You are on page 1of 3

제재 정리 Ⅳ. 다양한 분야의 글 읽기 1.

인문·예술 분야의 글 읽기

로봇에도 인권이 있을까_김용석


▪ 핵심 정리

갈래 논설문

성격 설명적, 예시적, 설득적

제재 인간과 로봇의 관계

로봇에게 인권을 부여해야 하는가의 문제가 제기하는 문제가 제기하는 새로운


주제
철학적 과제와 인간 존재 성찰의 필요성
① 독자에게 익숙한 카를로 콜로디의 동화 《피노키오의 모험》을 예로 들어 철
학적 주제에 보다 쉽게 접근하고 있음.
② 로봇 과학자들의 주장을 인용하여 미래 사회에 로봇과 관련하여 야기될 문
특징
제를 제기하고 있음.
③ 로봇의 어원을 밝히면서 미래 사회에 로봇을 대하는 인간의 태도가 달라져
야 함을 강조하고 있음.

▪ 작품의 구성

처음 도덕적 교훈을 담고 있는 동화 《피노키오의 모험》

중간 인공 생명의 철학

끝 로봇이 던지는 철학적 과제와 인간의 새로운 타자로서의 로봇

▪ 새로운 관점에서 읽은 《피노키오의 모험》

기존의 관점 새로운 관점

피노키오가 착한 일을 많이 해서 진짜 사람 인공 지능과 로봇 공학의 미래를 은유한 동


이 된다는 도덕적 교훈을 담은 동화 화

- 1 -
▪ 인공 생명의 철학

로봇에게 인간적 위상과


로봇이 인간을 빠르게 닮
로봇 공학과 인간학이 뗄 인간적 권리를 얼마만큼
아 가면서, ‘인간 되기’를 ⇨ ⇨
수 없는 관계가 됨. 인정해야 할 것인가 하는
목표로 삼음.
문제가 야기됨.

▪ ‘착한 로봇’의 개념과 로봇의 자유 의지

시게오 히로세의 ‘착한 로봇’ 창세기

• 지능을 갖도록 설계된 로봇이라면 누 • 인간이 조물주인 신의 명령을 거역하


구나 도덕적 존재가 될 수 있음. 고 그 결과 낙원에서 쫓겨남.
• 인간을 해치지 않는 로봇, 즉 ‘인간을 • 모든 창조 행위에는 조물주의 통제를
위한 로봇’이라는 개념을 전제함. 벗어나는 자유의 영역이 있음.

인간은 피조물인 로봇을 완벽히 통제할 수 없음.

통제가 아닌 자율과 평등의 원칙으로 인공 생명과의 관계를 해결해 나가야 함.

▪ 오늘날 로봇의 역할 확대

어원 오늘날

• ‘강제 노동’을 뜻하는 체코어 ‘로보타 • 애완동물 로봇, 간병인 로봇, 가정 교


(robota)’ 사 로봇, 배우 로봇 등

• 인간 대신 천하고 힘든 일을 하는 인 • 단순 노동자보다는 인간 삶의 동반자
공 노예 역할 강조

언젠가 로봇은 인간과 같은 정도의 지능과 의식을 갖게 될 것이고,


그렇게 되면 이들을 인공 노예나 대체 노동자로 부리며 노예 취급해서는 안 됨.

- 2 -
▪ 인공 생명이 제기하는 철학적 과제

• ‘새로운 타자’라는 철학적 과제


로봇에게 로봇권을
→ • 로봇과 구별되는 인간의 정체성과 인간 존재론에 대한
어떻게 인정할 것인가?
성찰

▪ 인공 생명을 대하는 인간의 자세


• 피노키오를 창조한 제페토처럼, 인간의 새로운 타자로서 로봇과 서로 인내하는 태도를 가져
야 함.

- 3 -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