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1

PBL1 아이디어 교류 결과

038 반 3 조: 신혜람(팀장), 곽태훈, 이병재, 이지유, , 김정진, 최성우

1. 팀이 선정한 키워드:

자유

2. <농담>의 핵심적 메시지에 대한 참신한 견해

<농담>은 자유의 중요성과 더불어 진정한 자유가 무엇인지, 내가 생각하는 자유가 온전한
자유인지에 대한 고찰을 핵심 메시지로 다룬다.

<농담>의 주인공 루드비크는 자유롭게 사고하기보다는 과거에 얽매여 고통 속에서 살아간다.


그는 매몰된 사상에 의한 희생양이기도 하지만, 복수를 위해 타인에게 피해를 주기도 하며 입체적인
면모를 지닌다. 한편 제마네크는 열렬한 공산당원이었으나, 훗날 공산당과는 거리가 먼 인물과
연인이 되며 제마네크에 대한 복수를 꿈꿨던 루드비크를 허무에 빠뜨린다.

결국 절대적인 것은 없다. 이렇듯 <농담>은 다양하고 입체적인 인간상을 보여줌으로써, 어느


하나의 생각에 매몰되지 않고 늘 다양한 가능성을 열어 자유롭게 사고할 필요를 다룬다.

3. <농담>의 핵심적 메시지와 현대사회 문제의 관련성

우리는 생각의 자유가 보장되는 시대에 살고 있다, 그러나 우리가 진정 자유롭게 생각하고
있는지에 대해서는 다시 한 번 생각해 보아야 한다.

가령 티아라 화영 왕따 사건을 예시로 들 수 있다. 티아라 화영 왕따 사건은 네티즌들의 티아라


멤버 개인의 갈등을 두고 사건의 표면만 보거나 자극적인 언론 기사만을 보고 왕따 사건으로
몰아가며 가해자로 추정되는 멤버에게 악플을 단 사건이다. 여기서 악플을 단 사람들은 타인으로부터
악플을 달 것을 강요받지 않았다. 그러나 이들은 스스로 생각하기 보단 언론과 인터넷에 올라온
타인의 의견들로만 사건을 판단하였다. 이는 그들이 자신의 의견에 대한 성찰이 없었기 때문에
일어난 일이다. 자신의 의견이 정말 자신이 생각해 낸 것인지, 혹은 인터넷이나 언론에서 이야기하는
것들을 무비판적으로 수용한 것은 아닌지 성찰하지 않은 것이다. 자신의 생각에 대한 성찰과 고찰이
없다면, 문제의 핵심에서 멀어질 수 있다.

현대사회에서는 생각의 자유가 있고, 또 그 생각의 근거가 되는 정보들을 쉽게 접할 수 있어


개인은 자유롭게 생각 할 수 있다. .그러나 본인이 정말 자유롭게 생각하고 있는지 성찰하는 사람은
드물다. 주체적으로 생각할 자유가 없다면 또다른 루드비크와 같은 인물이 나올지도 모른다.
그렇기에 우리는 우리가 진정으로 자유로운지에 대해 끝 없이 성찰해야 한다.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