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1

3.

사회・문화 현상을 바라보는 관점 사회 유기체설


사회를 생물 유기체에 비유하
⑴ 거시적 관점과 미시적 관점 여 사회의 작동 원리를 설명하
① 거시적 관점: 사회・문화 현상을 이해할 때 사회 구조나 제도 등 개개인의 행위를 초월한 사 는 이론이다. 사회 유기체설에
따르면 심장, 폐, 뇌 등과 같이
회 체계에 초점을 맞추는 관점으로, 기능론과 갈등론이 이에 해당함.
동물의 각 부위는 각각의 기능
② 미시적 관점: 사회・문화 현상을 이해할 때 일상생활에서 이루어지는 개인 간의 상호 작용이 을 가지고 상호 의존하면서 동
나 개개인의 주관적인 세계에 초점을 맞추는 관점으로, 상징적 상호 작용론이 이에 해당함. 물의 생존에 기여하듯이 사회
의 각 부분도 각각의 기능을
$1& !"# 거시적 관점과 미시적 관점 수행하면서 사회 전체의 유지
와 존속에 기여한다.
거시적 관점은 사회 구성원의 행위가 그들이 속한 사회로부터 강한 영향을 받는다고 본다. 따라서 사회・
문화 현상을 분석할 때, 분석의 대상을 사회 구조나 사회 제도 등 개개인의 행위를 초월한 사회 체계에 둔
다. 이혼이라는 사회・문화 현상을 분석하면서 혼인 제도나 가족 제도에 문제는 없는지, 경기 침체라는 상
황이 영향을 주고 있지 않은지 등과 같이 접근하는 것을 예로 들 수 있다. 이에 반해 미시적 관점은 인간
이 자율성을 갖고 사회・문화 현상을 구성해 가는 주체라고 본다. 따라서 사회・문화 현상을 분석할 때, 분
석의 대상을 구성원인 개인 간의 상호 작용이나 개개인의 주관적인 세계에 둔다. 이혼이라는 사회・문화
현상을 분석하면서 이혼한 사람들의 의사소통은 원활했는지, 상황에 대한 인식의 공유에 문제가 없었는
사회적 희소가치
지 등 상호 작용 측면에서 접근하는 것을 예로 들 수 있다.
부, 명예, 권력처럼 누구나 가
지고 싶어 하지만 모두를 충족
⑵ 기능론 시켜 줄 만큼 많지 않은 사회
사회는 유기체처럼 다양한 부분들이 상호 의존적인 관계를 이루며 하나의 체계를 형성하고 있음 적 자원을 말한다. 기능론에서
전제 는 사회적 합의에 의해 사회적
(사회 유기체설).
희소가치가 분배된다고 보지
•사회는 본질적으로 조화와 균형을 이루고 있으며, 일시적으로 불안정한 상태가 발생하더라도 스스
만, 갈등론에서는 지배 집단의
로 조화와 균형을 회복할 수 있는 힘을 지니고 있음.
강압에 의해 사회적 희소가치
핵심 •사회를 이루는 구성 요소들은 사회 속의 한 부분으로서 각기 서로 다른 기능을 담당하고 그러한 기 가 분배된다고 본다.
주장 능을 수행함으로써 사회의 안정과 질서가 유지됨.
•사회 규범이나 사회 제도 등이 수행하는 역할은 사회 전체의 합의가 반영된 것으로, 전체 사회의 통
합과 존속, 질서 유지에 기여함.
의의 사회 안정이 유지되고 통합이 이루어지는 현상을 이해하는 데 유용함.
•사회 안정과 합의를 지나치게 강조함으로써 사회 갈등을 간과함.
한계
•현존하는 사회를 이상적으로 보기 때문에 기존의 질서나 권력관계의 유지에 기여하는 보수적 관점임.

⑶ 갈등론
전제 사회는 사회적 희소가치를 둘러싼 집단 간의 갈등과 대립의 장(場)임. 개념 체크
•사회에는 지배 계급과 피지배 계급이 존재하고 사회 질서나 안정은 지배 계급의 강요나 억압에 의
❶ 기능론과 갈등론은 ( )
해 나타난 결과임. 관점으로, 상징적 상호 작
핵심 •지배 계급과 피지배 계급의 이익은 양립할 수 없기 때문에 갈등은 필연적이며, 그 갈등이 사회 변동 용론은 ( ) 관점으로
주장 의 원동력이 됨. 분류된다.
•사회 규범이나 사회 제도 등은 지배 계급이 자신의 기득권을 보호하고, 계급을 재생산하기 위해 만 ❷ ( )에 따르면 사회는
들어 낸 수단에 불과함. 유기체처럼 다양한 부분들
의의 사회 구조 속에 존재하는 지배와 피지배의 관계 및 갈등의 측면을 이해하는 데 유용함. 이 상호 의존 관계를 이루
고 있다.
•사회 각 부분 간의 복잡한 관계를 지배와 피지배의 관계로 단순화함.
한계 ❸ ( )에 따르면 사회는
•사회에서 나타나는 협동과 합의 및 조화를 설명하기 어렵고 사회 질서와 안정의 중요성을 경시함.
사회적 희소가치를 둘러싼
집단 간의 갈등과 대립의
$1& !"# 기능론과 갈등론에서 바라보는 사회 변동 장이다.

기능론에 따르면 사회는 본질적으로 조화와 균형을 이루고 있으므로 사회는 안정되어 있으며, 일시적인 불안 정답
❶ 거시적, 미시적
정 상태에서 사회 변동이 발생할 수 있다. 이와 달리 갈등론에 따르면 지배 계급과 피지배 계급 간 갈등은 필
❷ 기능론
연적이고 이러한 갈등이 사회 변동의 원동력으로 작동하므로 사회 변동은 자연스럽고 불가피한 현상이다. ❸ 갈등론

01. 사회・문화 현상의 이해 9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