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5

1.

사회・문화 현상을 바라보는 관점


2. 사회 불평등 현상을 바라보는 관점
3. 사회 불평등 현상을 설명하는 이론
4. 사회 문제를 바라보는 관점
5. 일탈 이론
6. 개인과 사회의 관계

CHAPTER 00 사회・문화 현상을 바라보는 관점 7


Part 00 단원 키워드

Keyword

0단원. 사회・문화 현상을 바라보는 관점

• 거시적 관점 : 기능론, 갈등론


1. 사회・문화 현상을 바라보는 관점
• 미시적 관점 : 상징적 상호 작용론

2. 사회 불평등 현상을 바라보는 관점 • 기능론 vs 갈등론

3. 사회 불평등 현상을 설명하는 이론 • 계층론 (베버) vs 계급론 (마르크스)

• 거시적 관점 : 기능론, 갈등론


4. 사회 문제를 바라보는 관점
• 미시적 관점 : 상징적 상호 작용론

• 낙인 이론

• 차별적 교제 이론

5. 일탈 이론 • 뒤르켐 아노미(무규범의 아노미)

• 머튼 아노미(목적과 수단 괴리 아노미)

• 갈등 이론

6. 개인과 사회의 관계 • 사회 명목론 vs 사회 실재론

Memo

8 사회・문화 스펙트럼
00
Chpt.

Part 01 사회・문화 현상을 바라보는 관점

손글씨 핵심정리

미시적 관점과 거시적 관점

미시적 관점 VS 거시적 관점

• 사회 구성원의 행위가 그들이 속한 사회 구


• 인간이 자율성을 가지고 사회・문화 현상을 조적 특성으로부터 강한 영향을 받는다고
구성해가는 주체라고 보는 입장 특징 보는 입장
• 인간 행동의 동기와 의미 해석을 강조 • 사회 구성원들에 대한 개별적 이해보다는
사회가 구조적으로 갖는 특성을 강조

• 구성원인 개인 간의 상호 작용
분석 대상 • 사회 구조나 사회 제도 등 사회 체계
• 개개인의 주관적인 세계

• 기능론
• 상징적 상호 작용론
대표적 시각 • 갈등론
• 사회 명목론
• 사회 실재론

CHAPTER 00 사회・문화 현상을 바라보는 관점 9


Part 02 사회 불평등 현상을 바라보는 관점

손글씨 핵심정리

사회 불평등 현상을 바라보는 관점


기능론 VS 갈등론

• 지배・피지배 관계의 유지 및 계급 재생산을 위해


• 직업별 사회적 기여도에 따른 차등 분배 불평등 현상의
지배 집단이 만든 분배 구조
• 개인 능력 차에 따른 보상의 차이 원인
• 부모의 부와 권력의 세습

• 특정 집단의 합의(기득권층, 지배 집단의 합의)


• 개인의 능력과 자질, 업적 등 사회 전체적으로
가치 배분 기준 • 가정 배경이나 권력 등 지배 집단에게 유리한
합의된 정당한 기준
기준

• 성취동기 부여하고 구성원 간 경쟁을 유발함으 • 사회적 희소가치가 개인의 능력과 무관하게 분
로써 개인과 사회가 최선을 다하게 함 불평등 현상의 배됨으로써 피지배 집단 구성원의 계층 상승을
•인
 재의 적재적소 충원 사회적 기능 억압함
→ 사회 전체의 효율성 향상 • 불평등한 계층 구조를 재생산하거나 고착화시킴

• 불평등 현상에 대해 긍정적 • 불평등 현상에 대해 부정적


• 어느 사회에서나 존재하는 보편적 현상으로서 • 사회 불평등이 보편적인 현상일지 몰라도 불가
불평등 현상에
사회 발전을 위해 필수 불가결함 피하지 않음
대한 입장
• 불평등 현상이 존재함으로써 사회의 유지와 발 • 불평등이 존재하지 않는 사회를 만들기 위해
전에 기여함 사회 구조를 변혁해야 함

• 가정 배경 등이 계층화에 미치는 현실적인 영향 • 개인의 능력이나 노력이 사회적 보상・지위에


한계
력을 간과함 미치는 영향을 무시함

14 사회・문화 스펙트럼
00
Chpt.

CHECK!

핵심 문제

03 2022 03 학력평가 18
사회 불평등 현상을 바라보는 관점 A , B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A는 직업 간 사회적 기여도에 차이가 있으므로 차등 분배가 필요하다고 보는 B의 주장이 지배 집단의 기득권을


정당화하는 논리에 불과하다고 본다.

① A 는 차등 분배 체계가 기존 불평등 구조를 재생산하기 위한 수단이라고 본다.


② A 는 개인의 능력이나 노력 수준에 비례하여 사회적 성공 정도가 결정된다고 본다.
③ B 는 원칙적으로 사회 불평등 현상을 사회 문제로 본다.
④ B 는 사회 발전을 위해 사회 불평등 현상이 제거되어야 한다고 본다.
⑤ A 는 B 와 달리 사회 불평등 현상이 보편적인 현상이라고 본다.

04 2021 수능 10
다음 자료에 대한 옳은 설명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 ( 단 , A , B는 각각 기능론 , 갈등론 중
하나이다 .)

답변
질문
갑 을
A는 직업 유형 간 사회적 중요도에서 차이가 있다고 보는가? 아니요 ㉠
(가) 예 예
A는 차등 분배가 갖는 사회적 순기능을 강조하는가? 아니요 예
B는 사회 불평등을 불가피한 현상으로 보는가? 아니요 예
점수 2점 1점
*교사는 각 질문별로 채점하고, 답변 하나가 맞을 때마다 1점씩 부여함.

<보기>
ㄱ.  ( 가 )에는 ‘A는 B와 달리 개인의 귀속적 요인이 사회 불평등에 미치는 영향을 간과하는가?’가 들어갈 수 있다.
ㄴ.  ㉠은 ‘아니요’이다.
ㄷ.  A는 균등 분배가 인재의 적재적소 배치에 어려움을 야기한다고 본다.
ㄹ.  B는 희소가치의 분배 기준은 대다수 사회 구성원이 합의한 것이라고 본다.

① ㄱ, ㄷ ② ㄱ, ㄹ ③ ㄴ, ㄷ ④ ㄱ, ㄴ, ㄹ ⑤ ㄴ, ㄷ, ㄹ

CHAPTER 00 사회・문화 현상을 바라보는 관점 15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