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396

1

1. 아동의 개념
가 아동의 정의

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의 아동
• ‘나이가 적은 아이’,
‘대개 유치원에 다니는 나이로부터 사춘기 전의 아이’

 「아동복지법」에서의 아동
• ‘18세 미만의 사람’

 아동기란 넓은 의미로는 출생부터 청년기에 접어들기 전까지를 의미,


우리나라에서 아동은 법률적으로는 18세 미만의 사람을 이름

 아동은 관련 법령이나 나라에 따라 지칭하는 대상에 차이가 있음

 아동과 비슷한 용어로는 어린이, 아이 등이 있으며


유아, 청소년 등도 유사하거나 중복되는 대상을 가리키기도 함

 ‘아이’는 나이가 어린 사람을 지칭하는 것으로서 옛말 ‘아해’에서


왔으며, ‘어린이’는 ‘어린아이’를 높이거나 격식을 갖추어 이르는
용어로서 대개 4, 5세부터 초등학생까지의 아이를 가리킴

 이것은 17세기부터 사용해 온 용어로, 소파 방정환이 1920년에


‘어린이’란 말을 새롭게 쓰기 시작하면서부터 원래의 ‘어린이’에
없었던 높임의 뜻이 있음을 강조하여 현재에 이르게 됨

2
 아동의 어원

• 영어로는 ‘child’가 자궁이라는 ‘kilpei’에서 유래하고


중세에 이 용어가 ‘childer’, ‘cihdre’로 되고
이후 ‘child’로 변화되었다고 함

• 한자로는 ‘兒童’의 ‘兒’는 절구 구(臼)+ 사람 인(人)으로


이는 머리 모양이 절구 같은 사람을 이르렀다고 하고,
‘童’은 마을 리(里)+설 립(立)의 뜻,
즉 아이들이 서서(立) 마을(里)에서 뛰어 논다는 뜻을 지님

• 아동의 다른 지칭으로는 유아(幼兒)는 실같이 가는 힘을 가진 아이,


해아(孩兒) 체구에 비해 머리가 큰 벙글벙글 웃는 사람,
동치(童稚)는 벼가 새 꼬리만큼 자란 모습으로 어리다는 말이며,
동몽(童蒙)은 어려서 사리에 아직 어두운 아이라는 뜻을 가짐

 아동에 대한 이해(발달적·교육학적 관점)

• 발달심리학적 입장에서 인간의 발달단계는


태내기, 영아기, 유아기, 아동기(학령기), 청소년기(아동후기),
청년기, 성인기, 노년기로 구분

• 태내기는 임신부터 출생까지,


영아기 또는 초기유아기는 태어나서 만2세까지이며,

• 유아기 또는 후기유아기는 주로 만3세부터 취학 전 유아를 지칭


유아기는 학문적으로 초등학교 저학년까지를 포함하여
만8세 이전의 시기를 모두 포함하기도 함

3
• 아동기는 학령기 라고도 하는데 이 시기가 주로 제도적인 교육기관
에 취학하는 6〜12세에 해당되기 때문
그 이전의 시기는 영유아기로 초등학교 취학 이전까지로 구분하여
아동기와는 다르게 보기도 함

• 아동기 이후에는 청소년기 또는 후기 아동기와 청년기, 성인기,


노년기가 이어지게 됨

 발달적 측면과 교육학적 측면 외에 여러 가지 법률에서도


아동의 개념을 연령과 함께 규정하고 있음

 법에서 규정하는 아동은 법의 성격에 따라 사용하는 용어나


연령이 다소 상이하게 나타나고 있음

<표> 주요 법률에 나오는 아동과 관련된 연령의 정의


법령 개념 연령의 정의
유엔아동권리협약 아동 18세 미만
아동복지법 아동 18세 미만
입양특례법 아동 18세 미만
한부모가족지원법 아동 18세 미만
실종아동 등의 보호 및 지원에 관한 법률 아동 등 18세 미만
청소년기본법 청소년 9세 이상 24세 이하
청소년보호법 청소년 19세 미만
민법 미성년 19세 미만
영유아보호법 영유아 6세 미만
소년법 소년 19세 미만
출처: 정익중, 오정수(2021). 아동복지론. 학지사, p25.

4
나 아동의 특성

 아동기는 성장과 변화의 속도가 빠른 시기이기 때문에 좀 더


세부적인 발달 단계에 따라 발달 특성을 살펴보는 것이 필요함

 아동기는 일반적으로 학령기를 의미하지만 아동기에 포함될 수


있는 영유아기, 아동 전기(학령기), 아동 후기(청소년기)에 따른
특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음

1) 영유아기

• 영유아기는 일반적으로 출생부터 만 2세까지의 영아기와


만 3세부터 취학 전까지의 유아기로 구분

• 영아기는 전 생애에 있어서 가장 급속한 발달이 이루어지는 시기

• 이때는 부모나 양육자의 세심한 보살핌이 필요하며


키와 몸무게와 같은 신체적 성장뿐만 아니라 부모나 양육자와의
언어적·비언어적 상호작용을 경험하며 타인과의 관계형성에
기초가 되는 표현능력도 배우게 됨

5
• 유아기에는 대·소근육 능력이 현저하게 발달하며 부모뿐만 아니라
또래 및 교사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사회적 관계를 형성하게 됨

• 인지적 발달과 정서표현도 풍부해지지만 영아기 못지않게


성인의 보살핌이 필요한 시기

2) 아동 전기(학령기)

• 학령기에 해당하는 아동기는 주로 6세부터 12세까지의


초등학교시기로 점차 부모보다는 또래와의 관계에 의미를 두며,
학업과 신체활동이 주된 활동이 됨

• 학교생활을 통해 인지적 기술들을 습득하고


친구와의 관계를 통해 사회적 기술과 대인관계 능력을 익히며
적절한 성역할이 발달함

6
3) 아동 후기(청소년기)

• 아동 후기 또는 청소년기는 관련 법령마다 연령의 범위가 다르지만


일반적으로는 13세부터 24세까지로 중·고등학교와 대학교까지를
포함

• 청소년기는 아동기에서 성인기로 옮겨가는 과도기로서


모든 면에서 급격한 변화가 일어나는 시기

• 신체적으로 급격한 성장과 변화가 일어나고 인지능력도 급속히


확대되며 자의식이 발달하고 여러 가지 심리적 변화를 겪게 됨

• 신체적으로는 성인처럼 성장했지만 아직은 미성숙한 측면이


많은 시기

2. 아동관의 이해
가 아동관의 종류

 ‘아동은 본래 선한 존재인가? 악한 존재인가?’


아동의 본성에 대한 이러한 생각은 인간본성에 대한 입장과
맞닿아 있으며 아동이해의 출발점이 됨

 지금까지의 아동본성에 대한 관점은


크게 성선설, 성악설과 백지설로 구분할 수 있음

7
1) 성선설

• 주요내용: 인간의 본성은 원래 선하다.

• 주장한 사람들: 맹자, 루소(Rousseau)

• 아동복지에 주는 시사점
: 아동은 무한한 가능성을 향해 스스로 갈 수 있는 열려있는 존재
아동에게 성인의 관점이나 사고를 주입하는 것이 아니라
아동 스스로 성장·발달하도록 도와주어야 하고,
간혹 아동에게서 바람직하지 않은 면이 보이더라도
곧 바른 길을 가게 될 것이라는 믿음으로 인내심을 가지고
기다려 주는 것이 필요

2) 성악설

• 주요내용
: 사람이 가진 원래의 본성은 악이기 때문에
자유롭게 발현시키기보다는 억제하고 순화시켜야 함

• 주장한 사람들
: 순자, 아우구스티누스(Augustinus), 마키아벨리(Machiavelli),
홉스(Hobbes), 쇼펜하우어(Schopenhauer) 등

• 아동복지에 주는 시사점
: 아동은 스스로 발전할 수 있는 존재가 아니므로
올바른 습관과 발달을 위해 성인의 적절한 통제와 훈육이 필요

8
3) 백지설

• 주요내용
: 인간의 정신은 아무것도 그려져 있지 않는 하얀 백지와 같은
상태로 태어나서 주변 환경과의 상호작용을 통하여 이 빈 방을
하나씩 채워 가면서 성숙해 짐
선악은 인간의 고유한 속성이 아니라 인간자신이 선택하고
판단하는 환경에 있음

• 주장한 사람들: 로크(Locke)

• 아동복지에 주는 시사점
: 인간의 선한 본성은 키워 주고 악한 본성은 소멸시켜야 하므로
일찍부터 능동적인 지적활동과 후천적인 교육이 중요

 이 외에도 페스탈로치(Pestalozzi)는 어린이를 모든 인간 본성의


능력을 부여받은 아직 피지 않은 봉오리로 묘사하며,
유아를 선도 악도 아닌 ‘중간적 존재’로 봄(김정환, 1995)

 동양에서는 고대 중국의 고자(告子)가 인간의 성(性)에는


선도 악도 없다고 주장함
그는 ‘인간의 본성이 선(善)과 불선(不善)으로 나뉘어 있지 않은
것은 마치 물이 동서로 나뉘어 있지 않은 것과 같다’라고 함

 이러한 생각은 백지설과는 구별되지만 인간의 본성이


태어날 때 부터 이미 선과 악으로 정해져 있는 것이 아니라는 점에
서 백지설과 관점이 같음

9
나 아동관의 변화

 아동을 어떤 존재로 바라보고 대했는지는


역사적인 시점에 따라 변화·발전되어 옴

 전통적인 관점
• ‘어린 아이’, 신체적·정신적으로 미숙한 상태의 존재
• 성인에게 의존하고 도움을 필요로 하는 존재

 현대적 관점
• 아동의 인권과 가치를 존중
• 개인의 가치관, 인격을 지난 독립적 존재
• 아동을 존중하고 배려하는 가치관이 필요함을 강조

1) 고대의 아동관

• 인류 역사에서 고대사회는 생존을 위해 부족과 종족의 안전이 무엇보다도


중요시되는 사회였기 때문에 아동은 한 인간으로서의 권리를 가진 독립된
인격체라기보다는 종족보존을 위한 수단적인 존재였음

• 식량 부족이나 아이가 건강하지 못한 채 태어나 살해되거나 버려지는


영아 살해와 유기가 이루어졌으며, 카두신(Kadushin, 1980)에 따르면
아마존지역의 인디언들은 아기를 강물에 떠내려 보내 건강하게 살아남은
아이만 키웠다고 함

• 고대 그리스 스파르타 도시국가에서는 아동의 생활은 국가가 아동을 사용


할 지의 여부를 결정함으로써 시작되었고 아동들은 그 사회의 자식이고
폴리스의 운명을 짊어진 자로 여김을 받음

10
• 풀루타크(Plutarch)는 실제로 있었던 일을 소개함

“아이들은 아버지의 뜻대로 기를 수는 없었으며, 아버지가 레스케


(Lesche)라고 부르는 장소로 아이를 안고 갔다. 그곳에서는 부족의
장로들이 공식적으로 아동을 검사하여 튼튼하고 힘이 강하면 기르도
록 명하였다. 그러나 잘못 태어나거나 불구자일 경우에는 아포테타이
(Apothetai)라고 하는 타이게투스 (Taygetus) 산기슭 골짜기에 버렸
다. 그들은 처음부터 건강과 힘을 충분히 갖추어 있지 않은 아동의 생
명은 그 자신이나 국가에 전혀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여겼기 때문이
다. 아동을 기를 수 있도록 장로들이 결정하면 포도주로 목욕을 시켰
다. 포도주를 너무 많이 사용하면 허약한 사람에게 발작을 일으키거
나 의식을 잃게 만들기도 하지만 강철처럼 몸을 강하게 단련시키기
때문이었다.”(바클레이, 1993).

• 우리나라의 경우 삼국시대 이전의 아동관에 대해서는 관련 자료를


거의 찾아볼 수 없으나 삼국시대에 이어 고려시대까지는 불교의
영향이 컸기 때문에 불교의 가르침에 의해 아동이 양육되었을 것
으로 짐작할 수 있음

• 불교에서 보는 아동은 미숙하고 어리석은 존재가 아니라


마음이 아직 세속에 물들지 않는 이상적인 인간일 수 있음
(한미라, 전예화, 신혜영, 서현아, 천희영, 최미현, 안부금, 2005)

11
2) 중세의 아동관

• 중세(6~15세기) 유럽 초기에는 아동기를 생애에서 분리된 시기


로 간주함

• 중세 화가들은 종종 느슨하고 편안한 가운을 입고 게임을 하면서


어른을 올려다보는 어린이의 모습을 그리곤 하였음

• 문서에는 다른 사람으로부터 7~8세 이하의 어린이들을 구분하고


심지어는 어린 청소년들을 충분히 성장하지 않는 자로 표현하는
용어들이 포함되었음

• 14세까지는 건강, 수유, 의복과 게임을 포함하는 어린이 돌봄에


대한 많은 영역들에 대한 조언을 주는 책자들이 흔했음

• 법률에서 용인한 내용은 어린이들을 학대하는 성인으로부터


어린이들을 보호해야 한다는 것과 법정에서는 연약한 나이 때문에
범죄를 저지르는 청소년에게 관대하게 대함(Hanawalt, 1993)

• 중세에는 어린이가 상처받기 쉬운 존재라는 분명한 인식이 존재했


으나 종교적인 문서에는 어린이의 기본적 본성과 반대로 묘사됨

• 때로는 어린이를 귀신에 사로잡혀 정화가 필요한 존재로 그려졌고,


다른 시대에는 순수하여 천사와 가까운 존재로 묘사되기도 함
(Hanawalt, 1993)

12
• 아리에스(Aries)는 그의 저서 『아동의 탄생(Centuries of Childhood)』
에서 아동기의 개념이 서양에서 15세기 말부터 나타나며
그 이전에는 생애 주기에서 아동기라는 개념이 없었다고 주장함

• 중세시대에는 어른과 어린이가 크게 다르다고 생각하지 않아


어린이들을 ‘작은 어른’으로 회화에 묘사되었다는 주장을 함

• 16세기가 되어서야 화가들이 어린이들을 어린이처럼 그리기 시작


했으며, 19세기와 20세기에 이르러서야 ‘가족의 중심은 어린이’라는
관념이 널리 퍼짐

[그림] 성인의 축소판으로 보았던 시대의 아동 그림

August Erich의 ‘지방 태수 모리츠 폰 하센과 그의 가족들’(부분)

13
• 결론적으로, 중세에 이르러서도 아동관은 고대와 큰 변화가 없었음
성인의 기준에 비추어 모든 면에서 부족하고, 신체크기가 작은 성인의
축소물로 취급되어 5, 6세만 되어도 노동과 군사 활동에 참여하였음

• 즉, 아동은 ‘성인의 축소판’에 지나지 않는 것으로 여겨져 나름대로의


독자적인 특성을 인정받지 못했으며 단지 군사력과 경제력 확보의
수단으로 간주될 뿐이었음

[그림] 정자 속의 축소 인간

전성설[preformation theory, 前成說]


수정란이 발생하여 성체가 되는 과정에서
개개의 형태·구조가 이미 알 속에 갖추어져
있어 발생하게 될 때 전개된다는 학설

3) 종교개혁시대의 아동관

• 16세기 원죄를 믿은 청교도는 어린이들을 죄와 고집을 갖고


태어나 문명화되어야 한다는 견해를 가졌음

• 가혹하고 엄격한 양육 형태가 타락한 어린이를 길들이기 위해


추진되었음
어린이들이 어른 같은 자세를 갖도록 빳빳하고 불편한 옷을 입혔고,
불순종하는 학생들은 교사들에 의해 일상적으로 매를 맞음

• 그럼에도 불구하고 자기 자녀들에 대한 사랑과 애정은


대부분의 청교도 부모들이 극단적으로 억압하는 조치를
사용하는 것을 막아주었음

14
• 청교도들이 영국에서 뉴욕으로 이민 갔을 때, 어린이 양육을
자신들의 가장 중요한 의무라는 신념을 가졌음

• 비록 청교도들은 어린이의 영혼이 원죄에 의해 타락된 것으로


간주하였지만, 자신의 아들과 딸들이 선과 악을 구분하는 이성을
사용하도록 가르치려고 노력하였음

• 청교도들은 자기 자녀들에게 자존감과 자기 통제력을 훈련시켰기


때문에 청교도 부모들은 점차적으로 가혹함과 허용 사이에서
적절한 균형을 채택하였음

4) 계몽주의시대의 아동관

• 17세기 계몽주의는 인간존엄성과 존경 이상을 강조하는


새로운 철학을 가져옴

15
가) 존 로크

• 영국 철학자 로크(Jhon Locke, 1632 ~ 1704)의 저작들은


20세기 관점인 행동주의의 선구자 역할을 해 주었음

• 로크는 어린이를 빈 서판(백지)이라고 하는 라틴어


‘타불라 라사(tabula rasa)’라고 보았음

• 로크는 부모는 효과적인 모범과 착한 행동에 대한 보상을 통하여


자신이 원하는 방식으로 어린이의 행동을 형성할 수 있는
합리적인 교사로 보았음

• 로크는 현대 연구자들이 지지하는 어린이 양육 실천을 추천하고


있다는 점에서 시대를 앞서간 학자임

나) 루소

• 18세기 프랑스 철학자 루소(Jean-Jacques Rousseau, 1712 ~


1778)는 어린이에 대한 새로운 견해를 소개함

• 루소는 어린이들은 어른들의 교육에 의해 채워지는 백지도


아니고 빈 통도 아니라고 주장
자연적으로 옳고 그름의 감각이 주어진 존재이며 질서 있고 건강
하게 성장하는 타고난 계획을 부여받은 고귀한 야만인이라고 함

• 루소가 믿었던 바는 어린이의 형성된 도덕적 감각, 생각, 느낌의


독특한 방식들이 어른들의 훈련에 의해서만 해를 입는다는 것

16
• 아동의 발달단계, 즉 영아기, 아동기, 후기 아동기 그리고 청소년기
의 욕구를 어른들이 수용해야 한다는 아동중심 철학

• 결과적으로 중세사회의 아동관은 근대(17∼19세기)에도 그대로


이어졌으나 변화의 조짐을 보이기 시작한 것은 18세기에 이르러
루소에 의해서임

• 루소(Rousseau)는 저서 『에밀(Emile)』에서 아동은 성인의 축소판


이 아니라 성장과정의 각 시기마다 완성해야 할 독자적인 세계가
따로 있는 인격적 존재이며 사회의 중요한 구성원으로 보았음

• 루소는 아동에게도 인간답게 살 수 있는 기회를 주어야 하며,


개인적인 자유와 권리를 보장해야 한다고 주장함(신옥순, 2005)

5) 현대의 아동관

• 20세기에 들어와서 비로소 아동의 본성에 대한 과학적인 이해가


시도되었고, 20세기 후반에 이루어진 프로이드(Freud),
에릭슨(Erikson), 스키너(Skinner), 피아제(Piaget) 등과 같은
발달심리학자들의 체계적인 연구결과에 따라 아동기의 중요성이
크게 부각됨

• 1920년대 진보주의 교육의 주창자인 듀이(Dewey)는


아동의 개성에 대한 존중, 자유로운 활동의 존중, 남녀 아동이
자신의 소질을 최대한으로 개발할 수 있는 기회의 허용 등
아동중심사상을 발전시킴

17
• 이처럼 현대에 이르러 아동중심주의 사상이 기틀을 잡으면서
아동을 더 이상 성인의 축소판으로 보지 않았으며 나름대로
발달특성과 독자적인 인격을 가진 존재로 받아들이게 되었고,
1959년에는 UN(United Nations)에서 아동권리선언
(Declaration of the Rights of the Child)’을 발표하였음

• 우리나라의 현대적 아동관은 동학을 뿌리로 하는 천도교의


인내천(人乃天) 사상을 이어받은 방정환의 아동중심사상에서
찾을 수 있음

• 즉, 아동의 내면에 한울님이 존재하여 아동도 인격적인 존재로


존중받고 인정받아야 한다는 방정환의 아동존중사상은
아동의 세계를 인정하고 아동의 어림과 미성숙은 계몽되어야 할
어떤 것이 아니고 잠재성, 성장가능성으로 보았음
(이기숙, 장영희, 정미라, 엄정애, 2014)

18
3. 21세기 새로운 환경과 아동, 가정, 사회 이해
가 21세기 새로운 환경

 한국사회는 20세기 후반에 고도의 경제성장을 경험하였고,


지속되는 산업화와 경제성장 속에서 전통적인 가족제도가
해체 되면서 핵가족의 증가, 여성취업의 증가와 더불어
새로운 가족구조의 변화를 가져옴

 21세기에 들어선 최근에는 아동을 둘러싼 사회환경이 복합적이고


다양한 형태로 변화하고 있음

 저출산고령사회가 도래하고 있고, 부부와 자녀 중심의 핵가족 외에


도 다양한 형태의 가족이 나타나고 있으며, 사회양극화와 위기가정
의 증가, 아동학대와 방임 등 아동문제의 증가, 다문화사회의 도래
에 의한 인종적·문화적 다양성의 증가 등 새로운 사회환경이 아동과
가족복지의 영역에 도전을 주고 있음

 특히 저출산고령사회의 도래, 가족구조의 변화와 관련된 사회 변동,


아동양육에 관한 사회적 가치관의 변화, 사회양극화와 위기가정의
상황이 새로운 아동문제의 원천을 형성하면서 아동복지에 대한
다양한 사회적 수요를 창출하고 있음

19
나 아동과 가정, 사회

 아동과 가정 그리고 사회와의 관계는 아동이 성장함에 따라


상호작용하는 대상과 범위가 달라짐

 영아기(0~2세)의 아동은 부모를 중심으로 하는 가족구성원과의


관계를 갖지만,

유아기(2~6세)에는 가족구성원과의 관계 외에도 또래와의


관계를 가지며

아동기(6~12세)에는 학교와 이웃의 또래와 친구, 이웃과의


관계를 가지며 상호작용의 범위를 확대시켜 나감

 아동양육에 있어 부모를 포함하여 가족의 기능과 역할은 중요하나,


자녀의 보호와 양육, 사회화, 교육 등 아동을 위한 가족의 기능은
사회의 발전에 따라 점차 약화되었고 일부 기능이 보육기관이나
교육기관 등 다른 사회제도들에 의하여 수행되고 있음

 아동양육의 책임도 가족의 책임으로부터 사회의 책임으로


책임의 주체가 확대되거나 변화하고 있음

20
다 가정과 국가의 책임

 새로운 사회환경의 변화로 인하여 국가가 가족의 문제에 개입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사회적 인식과 관점의 변화가 나타날 수 있음

1) 가족의 역기능이 심화되어 사회를 유지하는 기본적인 사회적


단위인 가족이 붕괴되고 있다는 사회적 인식이 확대되면
이러한 인식의 변화가 나타남

2) 모든 국가의 정책이 가족의 삶에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게 된다는 점을 인식하게 됨으로써 국가개입을 위한
관점의 변화가 나타나게 됨

3) 아동복지에 대한 국가와 가족의 책임에서 균형을 찾는 작업은


모든 분야의 사회정책에서 이루어지며, 사회이념과 정책환경의
변화가 영향을 미침

21
22
1. 아동복지의 범위와 개념
 어원

• 아동복지는 ‘아동(child)’과 ‘복지(welfare)’의 합성어

• ‘복지(welfare)’는 ‘보다 만족스럽게, 행복하게’를 의미하는 ‘well’


이라는 부사어와 ‘지나가다’를 의미하는‘fare’라는 동사가 합해진
용어로 ‘행복하게 잘 지내다’를 의미

 그러므로 아동복지의 개념을 정의하는데 있어서 복지의 대상이 되는


아동의 범위와 아동이 행복한 삶을 영위하기 위해 제공되어야 할
복지서비스의 범위는 중요한 기준이 됨

23
가 아동복지의 범위

 복지의 대상이 되는 아동의 연령범위

• 국어대사전(이희승, 1982)에는 아동을


“심신이 완전한 청년기에 달하지 아니한 사람”,
“초등학교에서 배우는 아이, 학동”으로 규정하고 있음

• 또한 발달적인 측면에서 볼 때에 아동기는


좁은 의미로는 학동기를 지칭하는 것이지만
넓은 의미로는 영유아기 전체를 포함하는 것을 의미함

 법적인 측면에서 아동의 연령

• 법률에 따라 다소 차이를 보이고 있지만 「유엔아동권리협약」의 제1조


에서는 아동의 연령을 18세 미만까지로 규정하고 있으며,
우리나라의 「아동복지법」제3조 1항에도 “아동이라 함은 18세 미만인
사람을 말한다.”라고 규정함으로써 아동과 청소년을 모두 아동복지의
대상에 포함시키고 있음

• 아동의 연령뿐 아니라 복지의 대상으로 요보호아동만을 포함시키는지


혹은 일반아동까지를 포함시키는지도 쟁점이 됨
법적인 기준으로 볼 때 아동복지의 대상은 일반아동과 청소년을 망라
하는 것이지만 현실적인 여건을 감안하여 우리나라의 「아동복지법」은
보호를 필요로 하는 아동을 아동복지의 주요 대상으로 규정하고 있음

24
 우리나라의 아동복지는 「아동복지법」 제정 이전에는 저소득층이나
장애아동 등 도움을 필요로 하는 아동을 대상으로 하여 출발함
즉, 아동복지의 이념과는 무관하게 실제 시행에 있어서는
선별주의적 복지형태에서 크게 벗어나지 못하였음

 그러나 1981년 「아동복지법」제정 이후 우리나라의 아동복지는


요보호아동을 대상으로 하는 선별주의적 복지에서 모든 아동을
대상으로 하는 보편주의적 복지를 지향하고 있으며,
이를 위해 지속적으로 법령개정이 이루어지고 있음

 아동이 행복한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제공해야 할 복지서비스의 범위

• 카두신(Kadushin, 1980)은
제공하는 서비스의 기능을 중심으로 복지서비스를

지지적 서비스(supportive service),


보조적 서비스(supplementary service),
대리적 서비스(substitute service)로 구분함

25
• 지지적 서비스

- 아동이 자신의 가정에 머물면서도 받을 수 있는 서비스로,


복지시설은 외부에서 가족원 각자의 기능이 충실히 이루어지도
록 도와주는 역할만 수행함

- 지지적 서비스는 부부갈등이나 부모자녀 간 갈등으로 인해


부모자녀관계가 손상되거나 긴장상태에 있을 경우 초기의 문제
를 다루는 1차 방어선이라 할 수 있음

- 이와 같은 서비스는 주로 가족생활교육, 집단상담, 집단치료,


가족치료 프로그램, 아동학대예방 프로그램 등을 통해 제공됨

• 보조적 서비스

- 부모가 있지만 부모가 실직이나 질병, 취업 등의 이유로 부모


역할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할 경우 이를 보완하기 위한 서비스

- 이는 부모의 보호가 부적절하거나 부모자녀관계가 심각하게


손상되어 있는 경우 제공되는 2차적인 아동복지서비스라고
볼 수 있음

- 지지적 서비스가 외부적인 서비스 제공기능이라면


보조적 서비스는 내부적인 서비스 제공기능을 말함
가족 내부나 시설 내부에서 일시적으로 부모역할을 보조하는
보육서비스가 그 대표적인 예

26
• 대리적 서비스

- 부모의 사망과 가출, 유기 등으로 인하여 아동이 부모의 보호를


더 이상 받을 수 없게 된 경우 부모를 대리하여 제공하는 서비스

- 대리적 서비스는 아동이자신의 가족을 완전히 떠나 부모와 가정


의 역할을 대신해주는 타인에 의해 양육, 보호되는 것으로,
이에는 가정위탁과 입양, 시설보호 등이 포함됨

- 또한 특수한 치료를 필요로 하여 수용치료서비스를 받는 것도


대리적 서비스에 포함

나 아동복지의 개념

 장인협(1971)은 아동복지란 특수한 장애를 가진 아동은 물론


모든 아동들이 가족 및 사회의 일원으로서 육체적으로나 정신적으
로 건전하게 성장, 발달할 수 있도록 지역사회나 사회복지서비스
분야에 있는 공·사 단체나 기관들이 협력하여 아동복지에 필요한
사업을 계획하여 실행에 옮기는 조직적인 활동이라고 정의

 이러한 개념정의는 바로 아동복지가 요보호아동 뿐 아니라


일반아동을 포함하는 넓은 의미의 아동복지를 지향하고 있음을
의미하는 것

 그러므로 제공되는 복지서비스의 범위도 대리적 서비스뿐 아니라


보조적 서비스, 지지적 서비스를 망라하는 것으로 볼 수 있음

27
 카두신(Kadushin, 1980)은 아동복지를 넓은 의미의 아동복지와
좁은 의미의 아동복지로 구분

 좁은 의미의 아동복지는 그 대상이 특별한 문제를 가지고 있거나


보호를 필요로 하는 아동에 국한되는 반면,
넓은 의미의 아동복지는 특별한 문제를 가지고 있거나 보호를
필요로 하는 아동뿐만 아니라 일반아동을 포함하는 모든 아동과
그 가족이 대상이 됨

 즉, 넓은 의미의 아동복지란 모든 아동들의 행복 및 사회적응을


위해 심리적·생물학적 잠재력을 개발시켜주기 위한 각종 방법이며,
좁은 의미의 아동복지는 특수한 문제를 가진 아동과 그 가족을
대상으로 전문적인 기관에서 행하는 특수한 서비스를 의미

 이러한 구분에 근거할 때 좁은 의미의 복지활동에서는


대리적 서비스와 보조적 서비스가 보다 강조되는 반면,
넓은 의미의 복지활동에서는 지지적 서비스도 마찬가지로 강조됨

 아동복지란 18세 미만의 아동에게 정신적, 육체적으로 행복하고


만족스러운 삶을 보장해주기 위해 국가와 사회 그리고 전문가에
의해 제공되는 모든 서비스를 총칭하는 개념임

28
2. 아동복지의 의의, 이념, 가치
 아동복지의 의의는 3가지 측면에서 찾을 수 있음

 아동 개개인의 기본적 생활보장, 미래인력의 보호와 육성,


그리고 나아가서는 장차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사회문제를
예방 할 수 있다는 점

가 기본적 생활보장

 인간은 성숙한 개체로 기능하기까지 장기간 타인의 보호와


양육을 필요로 함

 특히 출생에서 2세 정도까지의 영아기에는 가장 기본적인


음식 섭취와 배설물의 통제로 혼자 힘으로 하기 어려우므로
타인의 도움이 없이는 생존 자체가 불가능

 유아기와 아동기에는 생리적 욕구 해결이나 언어에 의한


의사소통이 어느 정도 가능하지만 혼자서 지낼 수 없고
노동능력도 없어서 여전히 의존적인 특성을 보임

29
 즉, 한 인간이 스스로 자립한 사회적 인간으로 성숙하기 위해서는
일정한 기간 동안 타인의 도움이 절대적으로 필요함

 예전에는 대체로 부모와 가족에 의해서 자립할 수 있을 때 까지의


기본적 생활이 보장되었으나, 현대 사회에서는 핵가족화 및
여성의 취업 증가로 인한 가족의 구조와 기능의 변화, 그리고
가치관의 변화로 부모나 가족이 아동의 보호와 양육을 적절히
수행하지 못하는 경우가 늘어나고 있음

 이러한 현대 가정의 기능변화에 따라 자녀양육 및 교육의 문제를


개별 가정만의 문제로 인식하기보다는 사회적·국가적 책임으로
보아야 한다는 관점이 확산되고 있음

 보모나 가족이 당면한 신체적·정서적·사회적 또는 경제적인


어려움으로 양육의 기능을 다하지 못할 경우, 이러한 부모나
가족을 도와 아동이 기본적 생활을 유지하여 건전하게 성장 발달
할 수 있도록 기본적 생활을 보장하는 사회적 체계를 갖추는 것이
아동복지의 일차적 의의

30
나 미래 인력의 보호와 육성

 아동은 미래 사회를 이끌어 갈 주역으로, 이들을 적절히 보호하고


교육하는 것은 장차 나라의 장래와 직접적인 관련을 가짐

 따라서 아동이 전문적 지식과 건전한 인격을 갖춘 인간으로


성장하는 것은 한 사회와 국가의 발전을 도모할 수 있는 기회를
박탈당한 채 성장하고 있는 아동들이 늘어나고 있는 실정이며,
이러한 현상은 산업화 및 도시화의 진전으로 앞으로 더 심화될
것으로 예측됨

 환경적 박탈로 인해 불이익을 당하고 있는 아동의 복지증진을 위해


현재 세계 여러 나라들은 각종 교육·문화·의료시설을 설치하고
이들의 건전육성을 도모하고 있음

 예를 들어, 미국에서 1960년대 중반과 1970년대 초반까지


강력하게 추진되었던 헤드스타트(Head Start)운동은
미국의 복지정책의 성공사례 중 하나로 손꼽힘

 이의 기본 취지는 문화실조를 경험하고 있는 빈곤가정의 자녀에게


정부가 교육혜택을 제도적으로 보장함으로써 사회적 계층 상승을
가능케 하는 고등교육의 기회를 넓히자는 것

31
 이는 부모의 가난이 자녀세대에게 전수되는 구조적인 빈곤의 악순
환을 단절시킬 수 있는 방책인 동시에 미래 인력의 질을 향상시킴
으로써 국가 발전에 이바지할 수 있는 모범적인 아동복지정책임

 1980년대 이후부터 우리나라에서도 영유아 보호 및 교육에 대한


관심과 이를 위한 제도 등이 마련되고 있는바, 이는 아동들이 사회
와 국가의 주역임을 인정하고 이들을 보호·육성하려는 노력의
결실이라고 볼 수 있음

 따라서 미래의 동력으로써 아동을 유능한 사회 성원으로 발달시키


는 제도의 확충 역시 아동복지의 큰 의의

다 사회문제의 예방

 아동은 성인과 마찬가지로 다양한 욕구를 가지고 있으나,


스스로는 이러한 욕구를 충족할 수 있는 능력이 없으므로
가족이나 사회에서 이를 충족시켜 주어야 함

 아동의 욕구가 적절히 충족되지 않으면 사회의 유능한 성원이


되기 위한 건강한 발달을 도모하기 어려움 따라서 아동기에는
적절한 의식주 생활을 통한 기본적인 생리적 욕구 및 다양한 환경
이나 장난감에 접하거나 놀이를 함으로써 즐거움을 누리는 등의
문화적 욕구가 충족되어야 함

32
 만일 환경적인 결핍으로 계속되는 욕구의 좌절을 경험하면
정서불안이나 신체적 이상을 경험하기 쉽고,
청소년기의 비행이나 가출 등으로 연결되기도 함

 산업화·도시화로 인해 증가하고 있는 빈민층이나 결손가정의


아동은 욕구를 적절히 충족시키는 것과는 거리가 먼 환경에서
성장하는 경우가 많음

 이들이 처해있는 부적절한 환경은 아동의 잠재력이나 가능성을


개발할 기회를 박탈하고 계속되는 좌절감을 경험하게 하므로,
결국 비행이나 일탈 등의 부정적 행동 유형을 습득하게 하여
다양한 사회문제를 야기 시킴

 복지란 인간의 욕구를 충족시키거나 사회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각종의 서비스를 말하며, 아동복지의 목적은 아동이 신체적·정신
적으로 적응하여 자시의 잠재력을 최대로 실현함으로써 행복한
상태가 되도록 하는데 있음

 이러한 관점에서 아동복지란 아동들이 가지고 있는 욕구를 충족


시켜 행복감과 만족감을 누리게 함으로써 사회문제를 미연에 방지
하거나 해결하기 위한 각종 활동 및 제도의 정비로 볼 수 있음

 그러므로 환경적 박탈을 경험한 아동이 성장해서 야기할 사회문제


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한 예방책으로서도 아동복지는 의의
를 가짐

33
3. 아동복지의 필요성
 전통적으로 우리나라의 아동복지는 빈곤이나 전쟁으로 인한
고아나 기아, 미아와 같은 요보호아동을 중심으로 한 물질적
구호가 주요 목표였음

 그러나 현대사회에 들어와 이처럼 물질적 구호를 필요로 하는


아동의 수는 감소하였으나 또 다른 형태의 복지의 필요성은
증가하고 있음

 여성취업률의 증가, 저출산율과 인구구조의 변화, 다양한 가족


형태의 증가, 아동의 권리에 대한 인식 변화 등의 영향으로
다양한 내용의 아동복지서비스를 필요로 하고 있음

가 여성취업률의 증가

 최근 가족의 변화에 큰 영향을 미친 중요한 사건 가운데 하나가


기혼여성의 경제활동참여비율이 증가했다는 점

 여성의 교육수준 향상이나 자녀수의 감소, 가사노동량의 감소


등과 같은 생활구조의 변화로 부부가 모두 일터로 나가는
맞벌이가족(dual career family, dual earner family)은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됨

34
 맞벌이 가정의 최대 난제는 육아문제임
전통사회에서는 아버지와 어머니의 역할이 엄격하게 구분되어
있었으며, 파슨스와 베일즈(Parsons & Bales, 1955)는 이를
도구적 역할(instrumental role)과 표현적 역할(expressive role)
로 설명함

 즉, 아버지가 가족을 부양하는 도구적 역할을 수행했다면


어머니는 자녀양육을 담당하는 표현적 역할을 수행하였음

 그러나 여성취업률이 증가하면서 더 이상 가정에서 자녀양육의


역할을 담당할 수 있는 주체가 사라졌으며, 이러한 변화에도 불구
하고 육아에 대한 가족 내의 역할분담의식이나 정책적인 지원은
미흡한 실정임

 그 결과 우리나라 여성의 취업패턴은 선진국과는 대조적으로


M자형을 보이게 되었음

 실제로 자녀출산과 양육의 부담이 큰 30〜34세경 여성이 노동


시장에서 퇴장하는 비율은 급격하게 상승함

 어린 자녀의 존재 여부는 여성들의 취업 중단 경험에서 가장 많이


언급되는 요인이며, 최근의 저출산율은 이러한 갈등을 그대로
반영하는 것

 보육은 바로 이러한 육아문제를 지원하기 위한 복지제도임


이는 특히 보편주의적 복지를 실현하는 대표적인 방법으로
아동복지정책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큼

35
 그러나 아직 영유아보육은 양적·질적 차원에서 많은 개선이
필요한 상황이고, 다양한 형태의 어린이집의 확충이나 어린이집의
질적 수준, 보육비용, 보육교사의 자질 면에서 개선이 필요함

나 저출산율과 인구구조의 변화

 의학의 발달로 인간의 평균수명이 증가하고 있는 것은 세계적인 추세임


우리나라도 예외는 아니어서 평균수명의 연장으로 노인인구의 비율은
빠르게 증가하는 데 반해 저출산율로 아동 수는 점차 감소함으로써
인구구조가 급격하게 변화하고 있음

 더구나 우리나라는 평균수명의 증가속도가 세계 어느 나라보다도 빠른


반면, 출산율은 지속적으로 감소하여 사회적인 문제가 심화되고 있음

 이는 생산성이나 노인부양에서 심각한 문제를 초래할 수 있으며,


따라서 아동수당지급 등 출산장려를 유도하는 정책의 수립이
과거 그 어느 때보다도 절실한 상황임

36
다 다양한 가족형태의 증가

 우리나라는 전통적으로 부계확대가족이 가족형태의 근간을


이루었으나 점차 핵가족화, 소가족화 되면서 3대 가족은 이제
전체 가족의 10%에도 채 미치지 못하고 있음

 여성취업률의 증가와 더불어 이러한 가족형태의 변화는 자녀


양육자 부재현상을 촉진시키는 요인이 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해 현대의 부모들은 과거 대가족에서처럼 가족 내에서
자녀양육 방법을 자연스럽게 전수받을 기회가 없고 따라서
부모역할에 대한 준비도 부족한 실정임

 이는 부모역할의 어려움을 가중시키는 요인이 되고 있으며,


아동학대를 유발하는 요인으로 작용하기도 함
따라서 부모들을 대상으로 자녀양육과 관련된 교육 프로그램이나
상담서비스 등 다양한 복지서비스가 필요함

 가족보다 개인적인 성취에 더 많은 가치를 두게 되면서 현대사회


에서는 결혼을 통해 형성된 가족이 더 이상 안정적인 단위가 아님

 이혼율은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고, 이에 따른 한부모가족이나


재혼가족의 비율도 점차 증가하고 있음

 높은 이혼율은 아동의 성장과 발달뿐 아니라 부모역할에도


큰 영향을 미치게 됨

37
 이혼으로 인해 한부모가족이나 재혼가족이 점차 높은 비중을
차지하게 될 것이며, 이로 인해 유발되는 가족 내 갈등은
아동학대 문제로 확대되기도 함

 그러므로 이들 가족의 부모와 아동을 대상으로 한 지원 및


상담서비스의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음

라 아동권리에 대한 인식의 변화

 20세기에 들어와 많은 학자들은 인간발달에서 아동기의 중요성에


대해 관심을 갖게 되었음

 정신분석이론이나 학습이론, 인지발달이론 등 다양한 관점에서 연


구들이 이루어졌으며, 사회적으로도 자녀양육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을 갖게 되었음

 이들은 아동발달에서 부모역할의 중요성을 강조하기 시작하였으며,


이들의 주장은 가정위탁보호와 아동권리 사상의 발전 등
오늘날 아동복지사상과 정책의 근간이 되고 있다.

38
 특히 보울비와 에인스워드(Bowlby & Ainsworth)를 중심으로
발전된 애착이론은 기존의 시설보호에서 가정위탁으로의 전환에
지대한 영향을 미침

 또한 「유엔아동권리협약」은 요보호아동을 대상으로 물질적 구호


에 치중했던 기존의 복지에 대한 인식을 아동의 권리까지 보장하
는 방향으로 확장시킴

 우리나라의 경우 더 이상 자녀가 부모의 소유물이 아니라는


사회적 인식은 일반화되고 있으나 전통적으로 부모자녀관계를
상하관계로 인식하는 권위주의적인 양육태도로 인해
부모자녀관계에 긴장이 유발되기도 함

 이는 학교의 교사와 학생관계에서도 유사하게 나타나고 있음


따라서 「유엔아동권리협약」에서는 아동학대예방이나 체벌방지를
위한 구체적인 조항을 명시하고, 당사국들이 그 이행사항을 권리
위원회에 보고하도록 하고 있음

 그 결과 우리나라에서도 아동의 권리향상을 위한 많은 노력이


결실을 거두었지만 앞으로 이를 위한 정책입안이나 홍보가 적극적
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임

39
4. 아동복지와 사회복지의 비교 및 아동복지의 학문적 위상

 아동복지의 기본이념을 구현하기 위해 이를 학문적으로 체계화


한 것이 아동복지학이라고 볼 수 있음

 아동복지학은 사회복지학이나 아동학과 밀접한 관련성을 가지면서


동시에 차별성을 가짐

가 아동복지학과 사회복지학

 복지의 의미는 물질적, 정신적으로 행복한 삶을 영위하는 것이고,


행복한 삶이란 인간이 자신의 물질적 요구를 해결할 수 있고
정신적 열망을 충족시킬 수 있는 상태를 의미함

 그러므로 복지는 인간의 요구와 열망을 충족시키고자 하는


사회적 노력이라고 할 수 있음

 그러나 인간의 요구는 다양하며 요구에 따른 배분 또한


사회구조적으로 불평등하게 배분되어 있어서 사회문제가 유발됨

 이러한 사회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사회적 노력이 곧 사회복지임


(김영모, 1982)

40
 이러한 측면에서 본다면 아동복지는 아동과 관련된 사회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노력이라고 볼 수 있음
즉, 아동복지는 모든 아동이 전인적으로 건강하게 성장하도록
국가나 사회가 제공하는 조직적 활동이라는 점에서 아동복지는
사회복지의 한 범주라고 볼 수 있음

 우리나라에서도 산업화가 진행되면서 빈익빈 부익부 현상이 심화


되고 사회적 약자에 대한 보호의 필요성이 심각한 문제로 대두되
면서 사회복지에 대한 인식이 증대되었음

 이에 따라 사회정의의 실현을 위해 국가나 사회가 인간의


최저욕구수준을 충족시켜주고 인간다운 삶을 보장해주는 것에
그 목표를 둔 사회법이 제정되었음

 대표적인 사회법으로는 「사회보장법」과 「사회복지법」이었으며,


「아동복지법」은 「사회복지법」의 하위범주로 볼 수 있음

 그러나 한편으로 아동복지는 사회복지의 하위 범주 가운데 하나이


기도 하지만 아동기라는 발달상의 특성으로 인해 다른 사회복지의
영역과 차별화 됨

 모든 동물 중에서도 인간은 가장 긴 의존기간을 필요로 하며,


인간발달의 초기단계인 아동기의 발달은 이후의 발달에 미치는
영향이 지대함

41
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모든 아동들에게 신체적·정서적·교육적·
사회적 요구를 충족시켜주어야 하고, 아동은 그들을 위험으로부터
보호해 줄 수 있는 적어도 한 명 이상의 성인과 안정적이고 온정적
이며 지속적인 관계를 형성하는 것이 필요함

 따라서 아동복지의 주요한 과제는 단순한 물질적 지원 못지않게


이러한 요구를 충족시키고 안전감을 보장해줄 수 있는 포괄적인
지원이 필요하다는 것임

나 아동복지학의 학문적 위상

 많은 학자들은 아동복지학을 아동학의 중요한 영역으로 규정한


반면, 또 다른 학자들은 이와는 달리 서로 다른 개별적인 학문으로
규정하기도 함(한국아동학회, 2004)

 아동학과 아동복지학은 아동을 대상으로 이들의 건강한 성장


발달을 도모한다는 공통적인 목표를 가지고 있음

 그 대상에 있어서 아동학은 일반아동을 주요 연구대상으로


간주하는 보다 보편주의적 관점을 지향하는 반면, 아동복지학은
보편주의적 관점을 지향하되 실제로는 요보호아동이 주요 대상이
되는 보다 선별주의적 관점의 학문이라고 볼 수 있음

42
 또한 아동학이 아동발달의 모든 영역과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대한 이론적 탐구중심의 학문이라면,
아동복지학은 실제의 정책수립이나 서비스에 보다 치중하는
실천적 학문이라고 볼 수 있음

다 아동복지 관련 개념

1) 아동복지서비스

• 서구에서는 아동서비스(child service)로 보편화되어 있지만, 우리나라는


대체로 아동복지서비스(child welfare service)로 번역되어 사용됨

• 아동복지서비스는 아동의 복지를 증진시키기 위한 다양한 서비스를 포함함

• (학대)아동보호서비스, 보육서비스, 방과후서비스, 위탁보호서비스,


입양서비스, 시설보호서비스 등은 이러한 아동복지서비스의 다양한 형태

• 아동복지서비스는 아동복지전문가에 의한 개입과 대면적 접촉이


이루어지는 인간서비스로서의 특징을 가짐

43
2) 아동지원(아동양육비 지원)

• 아동지원(child support)은 엄밀히 말해서 아동양육비 지원으로


번역되며, 아동양육비 지원은 한부모와 생활하고 있는 아동의
양육을 위하여 지원되는 현금소득의 이전(移轉 권리를 넘겨주거나
받음, transfer)을 의미함

• 아동양육비 지원이 이루어지는 상황은 부모의 이론, 별거, 혼외 출생


등으로 발생하며, 법원의 판결에 따라 아동과 함께 거주하지 않는
부모 중 한편에 의하여 사적으로 소득이전(income transfer)이
이루어지거나 정부가 공적으로 아동양육비 지원을 행하기도 함

• 우리나라에서 사적이전으로써의 아동양육비 지원은 「가사소송법」에서


규정하고 있음

• 아동양육비 지원은 현금의 형태로 소득이전이 이루어지는 것을


의미하기에 전문가를 비롯한 대인적 접촉과 개입에 의해 이루어지는
인간서비스로서의 아동복지서비수와 성격이 구별됨

• 정부에 의해 공적으로 모든 국민이나 저소득가정을 대상으로


아동에 대한 소득지원이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사회보장의 형태로
소득지원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부모의 이혼 등 요인에 의하여
아동양육비 지원이 이루어지는 조건과는 다름
이 경우에는 아동수당(child benefit) 또는 가족수당(family
allowance)라고 함

44
3) 아동돌봄

• 아동돌봄(child care)은 아동의 발달과 생명을 유지하기 위하여


필요한 일상적인 욕구를 충족시키는 돌봄 형태의 양육과 관리를
의미함

• 일반적으로는 가정에서 부모나 보호자에 의한 모든 양육활동이


포함되나, 여기서의 아동볼봄은 집단형태의 생활단위나 시설에
서 아동의 신체적 보호, 치료적 보호, 생활습관 관리와 교육,
응급조치, 시설의 관리 등을 포함하는 활동

• 아동돌봄은 가정과 다양한 형태의 아동시설에서 이루어지는


전반적인 아동돌봄 활동

4) 학대아동보호

• 아동돌봄 개념과 간혹 혼란을 일으키는 아동보호(child protective)


서비스는 학대받는 아동을 위한 서비스로서 해당 아동을 위한
법적·사회적·의료적·시설보호서비스 등을 의미함

• 영어로는 ‘child care service’는 아동돌봄서비스로,


‘child protective service’는 학대아동보호 서비스로 번역함으로써
대상을 구별하여 용어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함

45
46
1. 아동발달의 이론
가 정신분석 이론

 정신분석학 이론은 발달은 주로 무의식(의식을 넘어서)이며


감정에 의해 덮여있다고 봄

 정신분석학 이론들은 행동은 단지 표면 특성일 뿐 발달의 진정한


이해는 행동의 상징적 의미와 마음의 깊은 내적 작용을 분석해야
한다고 주장함

 정신분석학 이론은 또한 부모와 함께 한 초기 경험이 주로 발달을


형성한다고 강조함

 정신분석학 이론은 프로이드 이론이 핵심

47
1) 프로이드 이론

• 프로이드(Sigmund Freud(1856-1939)는 그의 환자들의


이야기를 듣고 조사하고 분석하면서 그들의 문제는 생애 초기
경험의 결과인 것을 확신하게 됨

• 프로이드는 자신의 임상적 연구를 토대로 심리성적 발달이론을


정립하게 되었으며, 이는 발달 초기 부모-자녀관계의 영향의
중요성을 강조한 최초의 이론

• Freud는 인간의 성격은 원초아(id), 자아(ego), 초자아


(superego)의 세 구조로 되어 있고 이것은 다섯단계의 발달과정
을 거쳐 통합된다고 봄

[그림] 프로이드 이론의 지형학적 모형과 구조적 모형

48
• 원초아(id)는 출생할 때부터 존재하는 정신에너지의 근원이며
현실적 여건을 고려하지 않고 즉각적으로 욕구를 충족시키려는
쾌락의 원리(pleasure principle)에 따라 작동함

• 자아(ego)는 자아는 현실의 여건을 고려하여 판단하고 욕구충족


을 지연하며 행동을 통제하는데, 생후 6-8월부터 발달하기 시작하
며 2-3세가 되어야 기능을 제대로 수행하게 됨

• 초자아(superego)는 4-5세경부터 발달하기 시작하는데,


자아 이상과 양심이라는 두 가지 하위체계로 나눔

• 자아 이상은 자아에 대한 이상적인 열망들로 구성되어


부모로부터 보상받은 경험이 기초가 됨

• 양심은 잘못된 행위에 대하여 생기는 죄의식과 관련되어


부모와의 동일시를 통해 부모의 도덕적 규범이 내면화된
처벌적이며 비판적인 부분

• 프로이드는 어릴 때 일어나는 원초아와 자아, 그리고 초자아의


상호관계가 개인의 기본 성격을 결정한다고 함

49
• 프로이드의 또 다른 중요 개념은 심리성적 발달에 관한 내용
그는 아동들이 자라면서 그들 즐거움의 핵심인 성적 충동(리비도)들
이 입에서 항문, 그리고 궁극적으로 생식기로 옮겨간다고 생각함

• 결과적으로 심리성적 발달의 다섯 단계를 거치게 됨


: 구강기, 항문기, 남근기, 잠복기, 생식기

• 그는 성인의 성격은 각 단계마다의 즐거움의 근원과 현실의 요구


간의 갈등을 어떤 방식으로 해결해왔는지에 의해 결정된다고
주장하였음

• 프로이드의 이론은 수많은 정신분석학 이론가들에 의해 언급되고


영향을 줌

• 오늘날 많은 정신분석학 학자들은 프로이드가 성적본능을 과하게


강조하였음을 주장하며 개인의 발달에 문화적 경험이 또한 영향을
줄 수 있음을 언급하였음

• 무의식적 사고도 중심 주제이나 프로이드가 생각한 것 보다


의식적 사고도 큰 역할을 함

50
<표> 프로이드의 심리성적 발달단계

구강기 항문기 남근기 잠복기 생식기


Oral stage Anal stage Phallic stage Latency stage Genital stage

아동은 성적인 성적인 각성의


아동의 즐거움은 관심을 억제하고 시기; 성적 즐거
영아의 즐거움은 아동의 즐거움은
남근(성기)에 사회적이고 움의 근원이
구강에 집중된다. 항문에 맞춰진다.
집중된다. 지적인 기술을 가족 밖의
발달시킨다. 누군가가 된다.

출생~약18개월 18개월~3세 3~6세 6세~사춘기 사춘기 이후

2) 에릭슨 이론

• 에릭슨(Erik Erikson, 1902-1994)은 프로이드의 훌륭함을


받아들였으나 인간 발달의 중요한 측면을 잘못 판단했다고 믿음

• 한가지, 에릭슨은 프로이드가 주장한 심리성적 단계 대신에


심리사회적 단계로 발달한다고 함

• 프로이드는 인간 행동의 주된 동기는 근본적으로 성적이라고


하였으나 에릭슨에 따르면 사회적이며 다른 사람과 관계를
맺으려 하는 욕구를 반영한다고 함

51
• 프로이드에 의하면 우리의 기본 성격은 인생의 초기 5년 동안
만들어지며 에릭슨에 의하면 발달적 변화는 생애 주기 전반에
걸쳐 일어남

• 따라서 앞서 언급된 발달의 초기-후기 경험 주제는 프로이드는


후기 경험보다는 초기 경험이 훨씬 중요하다고 주장하는 반면
에릭슨은 초기와 후기 경험 모두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것

• 에릭슨의 이론에서 발달의 8개의 단계는 전 생애를 걸쳐 전개됨


각 단계에서는 개개인이 반드시 해결해야 할 위기와 함께 하는
특정한 발달의 과업이 있음

• 에릭슨에게 있어 이 위기는 재난이 아닌, 증진된 취약점이며


강화된 잠재력으로 일종의 전환점이 됨

• 개인이 이 위기를 성공적으로 해결할수록 더 건강한 발달이


이루어짐

52
에릭슨의 심리사회적 단계

 1단계: 신뢰감 대 불신감(trust versus mistrust)

• 첫 1년 동안 이루어지며 영아기의 신뢰감은 세상이 좋을 것이며


살기에 즐거운 곳이 될 거란 전생애적인 기대를 만듦

 2단계: 자율성 대 수치심과 회의감(autonomy versus shame and doubt)

• 영아기 후반과 걸음마 기(1~3세)

• 양육자에게 신뢰감을 형성한 후에 영아들은 그들의 행동이


자신의 것이라는 것을 발견

• 영아들은 독립성이나 자율성을 주장하기 시작함


그들의 의지를 인식함

• 영아 혹은 걸음마기 영아들이 너무 심하게 제한을 받거나


거칠게 벌을 받으면 수치심이나 죄책감을 발달시키게 됨

53
 3단계: 주도성 대 죄책감(initiative versus guilt)

• 유아기

• 유아기 더 넓어진 세상을 만나면서 더 적극적이며 의도적이며


책임감 있는 행동을 요하는 새로운 도전들을 만나게 됨

• 그러나 만일 아동이 책임질 수 없고 너무 불안하게 되면


죄책감을 느끼게 됨

 4단계: 근면성 대 열등감(industry versus inferiority)

• 대략 초등학교 시기

• 아동들은 그들의 에너지를 지식과 지적 기술을 마스터하는데


집중시키도록 요구됨

• 부정적 산출물은 열등감 - 무능감과 비생산적인 느낌을


발달시키도록 함

54
 5단계: 정체성 대 정체성 혼란(identity versus identity confusion)

• 청소년 시기에는 개인은 자신들이 누구인지, 인생은 무엇인지,


어디를 향해 가고 있는지 등에 대한 답을 구하는 과업을 만나게 됨

• 에릭슨은 청소년이 건강한 자세로 역할을 탐색하고


인생의 긍정적인 길을 열어가려 하면 긍정적인 정체성을 성취하고
그렇지 않으면 정체성 혼란이 지배하게 된다고 함

 6단계: 친근감 대 고립감(intimacy versus isolation)

• 초기 성인기에 경험

• 이 시기 개인은 가까운 관계 형성의 과제를 가지며


젊은 성인이 타인과 건강한 우정과 가까운 관계를 형성하면
친근감을 이루며 그렇지 않으면 고립감을 얻음

 7단계: 생산성 대 침체성(generativity versus stagnation)

• 중기 성인기

• 생산성에 대해 에릭슨은 어린 세대가 발달하고 유용한 삶을


이끌어가도록 돕는 것에 주된 관심을 두는 것을 말함

• 다음 세대에게 아무 것도 해주지 못했다는 느낌을 가지는 것이 침체성

55
 8단계: 통합감 대 절망감(integrity versus despair)

• 성인기 후반부에 경험

• 이 단계에서 인간은 과거를 회고함


자신의 삶을 돌아보았을 때 잘 살아왔다고 느끼면 통합감을 얻게
되고 그렇지 않으면, 즉 회고했을 때 의심과 우울을 느끼게 됨
- 이것이 에릭슨이 말하는 절망감

나 인지이론

 정신분석학 이론들이 무의식의 중요성을 강조했다면,


인지 이론은 의식적 사고에 중점을 둠

 아동이 발달해가며 어떻게 생각하며,


이러한 생각이 변화해가는지에 초점을 둠

 인지 이론은 피아제의 인지발달 이론,


비고츠키의 사회문화적 인지이론

56
1) 피아제의 인지발달 이론

• 피아제(Piaget, 1896~1980)의 이론은 아동들이 적극적으로


그들 세계에 대한 이해를 구성하며 인지발달의 4단계를 거친다
고 하였음

• 피아제 이론의 4단계 발달에는 다음 두 가지 과정이 바탕이 됨


; 조직화(organization)와 적응(adaptation)

• 우리의 세계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우리의 경험을 조직화해야 함


예를 들어 중요한 생각을 덜 중요한 생각과 분리해야 하며
한 생각을 다른 것들과 연결해야 함

• 우리가 관찰한 것과 경험을 조직화하고 그것에 덧붙여 적응해야


하는데, 이것은 새로운 환경 요구에 맞추는 것

• 피아제(1954)는 인간은 세상을 이해하기 위해 4개의 단계를


거치는데 각 단계는 연령과 관련되고 단계마다 사고의 독특성을
가지며 단계마다 세상을 다른 방식으로 이해한다고 하였음
아동의 인지는 단계마다 질적으로 달라진다고 함

• 감각운동기 단계(sensorimotor stage)

- 출생에서 2세까지이며 첫 단계

- 이 단계에서는 감각 경험(보는 것, 듣는 것 등)을


신체적, 운동적 활동과 협응하면서 세상에 대해 이해해 나감
따라서 ‘감각운동’이라는 용어를 사용

57
• 전조작기 단계(preoperational stage)

- 2~7세에 해당하는 연령이며 두 번째 단계

- 이 단계에서는 아동들은 단순히 감각 정보를 신체 활동과 연결하는


것을 넘어서 세상을 단어나 심상, 그림 등으로 표상함

- 그러나 피아제에 의하면 유아들은 여전히 그가 말하는


‘조작(operation)’ - 아동들이 이전엔 신체를 써서만 할 수 있었던
것들을 정신적으로 할 수 있게 해주는 내면화된 정신 활동 - 을
수행할 수 있는 능력이 부족함

- 예를 들어 두 막대가 있는데, 실제 막대를 가지고 움직이지 않아도


막대의 길이가 어떻든 두 막대를 붙여 길이를 상상해 볼 수 있음

• 구체적 조작기 단계(concrete operational stage)

- 약 7세~11세까지의 기간

- 이 단계에서는 아동들은 사물이 포함된 조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특정하거나 구체적인 예를 다루는 것이라면
논리적인 추론을 할 수 있게 됨

- 예를 들어, 구체적 조작기 사고 유아는 이 단계 발달에서는


너무 추상적인 대수 방정식을 완성하기 위한 단계를 생각해
내지는 못함

58
• 형식적 조작기 단계(formal operational stage)

- 11세~15세 정도에서부터 시작하여 성인기까지 이어지는


피아제 인지발달의 4번째이며 마지막 단계

- 이 단계에서는 개인은 구체적인 경험을 뛰어넘어 추상적이며


더 논리적인 언어들로 사고할 수 있음

- 사고가 좀 더 추상적이 되면 청소년들은 좀 더 이상적인 상황들의


이미지들을 발달시킬 수 있게 됨

- 이상적인 부모님을 생각하여 이러한 이상적 표준과 실제 부모님과 비교해 봄

- 그들은 또한 미래의 가능성을 품으며 할 수 있음에 흥미를 가지게 됨

- 문제해결에 있어서는 더 체계적이 되며 어떤 것이 왜 그런 방식으로


만들어지는지 가설을 세우고 그러한 가설을 검증할 수 있게 됨

2) 비고츠키의 사회문화적 인지이론

• 피아제와 같이 러시아의 발달심리학자인 비고츠키(Lev Vygotsky,


1896-1934)는 아동들은 적극적으로 그들 지식을 구성한다고 주장

• 그러나 비고츠키(1962)는 피아제 보다도 사회적 상호작용과


문화의 역할에 더욱 큰 중요성을 둠

• 비고츠키의 이론은 사회문화적 인지이론으로 문화와


사회적 상호작용이 어떻게 인지발달을 안내하는지 강조하고 있음

• 비고츠키는 아동의 발달에 있어 사회적인 활동과 문화적인 활동을


분리할 수 없다고 하였음

59
• 기억, 주의력, 추론의 발달은 언어, 수학적 체계, 기억 책략 등의
사회적 발명품의 사용을 학습하는 것을 포함한다고 하였다.

• 따라서 한 문화에서는 아동이 수세기를 컴퓨터를 통해 배우고


다른 문화에서는 구슬을 이용해 배울 수 있음

• 비고츠키에 의하면 아동이 보다 숙련된 성인이나 또래와 사회적


상호작용하는 것은 필수적임
이러한 상호작용을 통해 아동이 그들 문화에 적응하고 성공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도구들을 학습할 수 있음

• 예를 들어 규칙적으로 아동이 책을 읽을 수 있도록 도와주면


단순히 읽기 기술을 증진시키는 것뿐 아니라 소통을 하게 되기에
읽는 것은 그들 문화의 중요한 활동이 됨

• 비고츠키의 이론은 지식이 상황적이고 협동적이라는 관점


(Gauvain, 2013)을 취함

• 이러한 시각에서는 지식은 개인 안에서 만들어지는 것이 아닌


그 문화 안의 다른 사람들과 책과 같은 사물들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구성되는 것

• 이것은 지식이 협동적 활동으로 다른 사람과의 상호작용을 통해서


만 가장 잘 발전될 수 있다는 것을 제시함

• 비고츠키의 이론은 피아제의 것처럼 1960년대의 미국 심리학자


들에게는 제대로 알려지지 못했었으나 이제는 두 이론 모두
교육학자나 심리학자들에게 많은 영향을 줌

60
다 행동주의와 사회인지이론

 프로이드가 그의 환자의 아동 초기 경험들을 통해 무의식적


내면을 해석할 때와 동일한 시기에 파블로프(Ivan Pavlov)와
왓슨(John B. Watson)은 통제된 실험실 장면 속에서 행동의
자세한 관찰을 수행하고 있었음

 그들의 작업은 행동주의, 즉 직접적으로 관찰되고 측정될 수


있을 때 만이 과학적으로 연구가 가능하다고 주장하는,
이론의 기초를 제공하였음

 행동적 전통에서부터 발달은 환경과의 경험을 통해 학습될 수


있는 관찰 가능한 행동이라는 신념이 생겨나게 되었음

 앞서 나왔던 발달의 연속성-불연속성 주제와 관련하여 행동주의와


사회인지 이론은 발달의 연속성, 즉 발달은 단계가 아님을 주장

 행동주의적 접근의 3가지는 파블로프의 고전적 조건형성,


스키너의 조작적 조건형성, 반두라의 사회인지 이론

61
1) 파블로프의 고전적 조건형성

• 1900년대 초반, 러시아 생리학자인 파블로프(Ivan Pavlov, 1849-


1936)는 개는 음식을 맛볼 때 침을 분비한다는 것을 알았으나
개가 음식을 먹기 전 다양한 불빛, 소리들에 반응하여 침을 흘리는
것에 대해 궁금해 함

• 예를 들어, 종소리와 음식이 짝지어지면 음식이 제시되고 종소리가


울리는 것은 후속적으로 개의 침을 흘리도록 이끌게 됨

• 이러한 실험으로 파블로프는 고전적 조건형성(classical


conditioning)의 원리를 발견하였고, 이것은 중립자극(종소리를
듣는 것)이 다른 자극(음식을 먹는 것)에 의해 나왔던 능력을 습득
하도록 하는 것

[그림] 파블로프의 고전적 조건형성 절차

출처: 박희숙, 강민희(2017)

62
2) 왓슨의 고전적 조건형성

• 20세기 초 왓슨(John Watson, 1878-1958)은


고전적 조건형성를 인간에게 증명함

• 앨버트(Albert)라는 영아에게 그들은 흰 토끼를 보여주며


무서워하는지 관찰하였으나 무서워하지 않았음

• 알버트가 쥐와 놀 때 그의 머리 뒤편에서 커다란 소리를 내어


알버트가 울도록 함

• 이렇게 큰 소리와 쥐를 함께 연합하여 몇 번을 경험하게 한 뒤에


알버트는 심지어 소리를 듣지 않아도 쥐만 보면 울게 되었음
알버트는 쥐의에 공포를 느끼도록 고전적 조건형성이 된 것

• 유사하게, 우리가 경험하는 많은 공포는 고전적 조건화의 결과임


: 치과에 대한 공포는 고통스런 경험을 학습하여 생긴 것이며,
운전에 대한 공포는 사고에 의해 생긴 것이며
높은 곳의 공포는 어릴 때 의자에서 떨어져 본 경험에 의하고
개에 대한 공포는 물려서 생긴 것

63
[그림] 왓슨의 공포형성 고전적 조건형성 과정

3) 스키너의 조작적 조건형성

• 고전적 조건형성은 우리가 공포와 같은 많은 불수의적인 반응을


어떻게 해서 발달시키게 되는지를 설명해 줌

• 그러나 스키너(B.F.Sknner, 1904-1990)는 두 번째 조건형성이


다른 종류의 행동을 발달시킴을 설명함

• 스키너에 의하면 조작적 조건형성(operant conditioning)을


통해 한 행동의 결과는 행동 발생의 확률을 변화시킨다고 하였음
(Skinner, 1938)

64
• 보상 자극을 받은 한 행동은 다시 일어날 가능성이 있고
반면에 벌 자극을 받은 행동은 다시 일어나지 않을 것

• 예를 들어, 아동이 무슨 일을 한 후 아이에게 미소를 지어주면,


찡그린 얼굴을 지어준 행동보다 이 행동을 더 하려 할 것

• 스키너에 따르면 그러한 보상과 벌은 발달을 만듦. 예를 들어, 성장하


면서 경험했던 것들의 결과로 수줍은 사람들은 수줍어하게 학습된 것

• 환경 속 행동수정이 수줍은 사람들이 더 사회성 있는 사람들로


되도록 도울 수 있을 것

• 또한 스키너에게 발달의 주요 측면은 행동이며 사고나 감정이 아님


발달은 보상과 벌에 의해 만들어지는 행동의 변화 패턴으로 만들어짐
을 강조함

4) 반두라의 사회인지 이론

• 일부 심리학자들은 발달이 환경과의 상호작용에 의해 학습되고


강하게 영향을 받는다고 하는 행동주의 학자들의 의견에 동의함

• 그러나 스키너와는 다르게 발달을 이해하는데


인지가 또한 중요하다고 주장

• 사회인지 이론(Social cognitive theory)은


행동, 환경, 그리고 인지가 발달의 중요 요인이라고 함

• 미국의 심리학자인 반두라(Albert Bandura, 1925- )는


사회인지 이론의 주 창립자
반두라는 인지적 과정은 환경과 행동과의 중요한 연결을 가진다고
강조(Bandura, 2001, 2007, 2009, 2010a, 2010b, 2012)

65
• 그의 초기 연구는 다른 사람들이 하는 것을 관찰하여 학습한다는
관찰 학습(observational learning)(또는 모방(imitation),
모델링(modeling))에 주로 강조를 두었음

• 예를 들어 어린 소년은 그의 아빠가 사람들에게 분노로 소리지르고


적대적으로 사람들을 대하는 것을 관찰하면 그의 친구들에게
그의 아빠가 보여준 것과 같은 특성을 가진 매우 공격적 행동을
하게 됨

• 어린 소녀가 그의 선생님의 지배적이며 빈정대는 태도를 모방한다면


어린 동생에게 “넌 너무 느려. 넌 어떻게 그렇게 느릴 수 있니?”라고
말하게 됨

• 사회인지 학자들은 사람들이 매우 넓은 범위의 행동, 사고, 감정


들은 다른 사람들의 행동을 통해 습득함을 강조하며
이러한 관찰은 아동의 발달에 중요한 부분을 형성한다고 함

• 반두라의 관점에서 인지(cognition)는 관찰 학습에 어떻게


작용하는가?

• 사람들은 다른 사람의 행동을 인지적으로 표상한 뒤


그 행동을 자신에게 적용함

66
• 반두라의 학습과 발달에 대한 최근 모형은 3개의 요소를 포함
: 환경(E), 행동(B), 사람(P 인지) (Bandura, 2009, 2010a, 2010b, 2012)

• 아래 그림처럼 행동, 사람(인지), 그리고 환경 요인은 상호작용함


행동은 사람 요인에 영향을 미치고 그 반대도 마찬가지임
인지적 활동은 환경에 영향을 미침
환경은 사람의 인지를 변화시킬 수 있음

[그림] 반두라의 사회인지모델

B(행동)
운동반응
언어반응
사회적 상호작용

P(사람) E(환경)
인지적 능력 물리적 환경
신체적 특성 가족과 친구
신념 및 태도 기타 사회적 영향

라 동물행동학

 미국의 발달 심리학자들은 20세기 중반 발달의 생물학적 기반에


관심을 두기 시작하였고 그들은 동물행동학 분야의 선구자였던
유럽의 동물학자들의 연구에 고마움을 가짐

 동물행동학은 행동은 진화와 연결된 생물학에 강하게 영향을


받으며, 결정적 시기, 혹은 민감기로 특징된다고 하였음
이것은 특정한 시간을 말하는 틀로서 동물행동학에서는 특정
경험의 유무는 개인에게 장기적으로 영향을 미친다고 주장

67
 유럽의 동물학자인 로렌쯔(Konrad Lorenz, 903-1989)는
탁월한 동물행동학자로서, 가장 유명한 실험에서 부화하자마자
그의 어미를 따르는 거위를 연구하였음(Lorenz,1965)

 일련의 실험에서 로렌쯔는 한 거위 어미로부터 낳은 거위의 알을


두 조건으로 나눔
하나는 어미에게 부화되도록 했고 다른 조건은 인큐베이터에서
부화되도록 함

 첫 번째 조건의 새끼는 예상대로 부화하자마자 어미를 따라다님


그러나 두 번째 조건은 부화하자마자 로렌쯔를 보고 마치 그가
어미인 양 어느 곳을 가던 따라다님

 로렌쯔는 새끼들에게 표시한 후 두 조건 새끼 모두 한 상자에 넣음


어미 거위와 로렌쯔 어미는 각각 상자 한쪽에 서 있었고 각 조건
새끼들은 각자의 어미에게 옴

 로렌쯔는 이러한 과정을 각인(imprinting) - 제한된, 결정적인


시기동안 처음 본 움직이는 물체에 애착을 형성하는 빠르고
선천적인 학습 - 이라고 함

[그림] 로렌쯔의 추종행동 실험

68
 처음에는 동물행동학 연구와 이론은 인간 인생주기 동안의 사회적
관계의 본질에 관하여는 아무것도 설명해 주지 못하고 거의 인간
을 연구에 포함하지도 않았음

 동물행동학의 결정적 시기(critical period) - 발달의 매우 초기


고정된 시기- 동안 일어나는 어떠한 행동을 정상발달이 요한다는
관점은 과장된 듯 보였음

 그러나 바울비(John Bowlby, 1907~1990)의 연구(Bowlby,


1969, 1989)는 동물행동학 이론을 인간 발달에 중요하게 활용
하게 됨. 바울비는 첫 해 동안 양육자에게 애착을 형성하는 것은
인생 전반에 걸쳐 중요한 결과를 갖는다고 주장함

 그는 이러한 애착이 긍정적이고 안정적이면 영아도 아동기와


성인기에 긍정적인 발달을 할 것이라고 하였음

 이 애착이 부정적이고 불안정적이며 아동 발달은 부적절할 것


이라고 하였음. 따라서 이 관점에 의하면 생애 첫 해 동안은
사회적 관계 발달의 민감기(sensitive period)가 됨

 동물행동학 이론의 기여는 발달에 생물학적이며 진화론적인 기초


를 두었다는 것이며 자연적 환경을 주의 깊게 관찰하였다는 것임

 제한점은 생물학적 기초에 너무 많은 강조를 두어 결정적 시기와


민감기 개념이 너무 융통성이 없다는 것

69
마 생태학

 동물행동학 이론이 생물학적 요소에 강조를 한 반면,


생태학적 이론은 환경적 요소에 초점을 둠

 아동발달에 중요한 의미를 준 생태학 이론 중 하나는


브론펜브레너(Uri Bronfenbrenner, 1917-2005)의 이론

1) 브론펜브레너의 생태학 이론

• 브론펜브레너는 인간의 발달과 행동에 영향을 주는 환경은 마치


크기가 다른 여러 개의 인형들이 겹겹이 들어 있는 러시아 인형,
마트료시카처럼 겹겹이 쌓여 위계적으로 영향을 미친다고 봄

• 가장 안쪽이 있는 러시아 인형을 개인이라고 가정하면,


그 개인이 들어 있는 다음 인형은 가장 즉각적이고 가까운 환경
체계이며, 이것은 다시 그보다 더 큰 환경체계인 그 다음 크기의
인형 안에 속함

• 인간의 경우 다섯 수준의 체계가 개인을 둘러싸고 있으며


그 체계가 무엇을 의미하는지 살펴보면 다음과 같음

70
• 발달은 몇 가지 환경 체계를 반영한다고 하였고 이 이론에서는
다섯 개의 환경적 체계를 제시함(Bronfenbrenner, 1986, 2000,
2004; Bronfenbrenner & Morris, 1998, 2006)

[그림] 브론펜브레너의 생태학적 체계

• 미시체계(Microsystem)

- 개인 삶의 장면
- 이 맥락은 가족, 또래 친구, 학교, 이웃, 직장 등을 포함
- 사회적 주체(agents)들 간의 가장 직접적인 산호작용들이 벌어지는 곳
- 부모님, 또래, 교사 등

• 중간체계(Mesosystem)

- 미시체계들 간의 관계 혹은 맥락 간 연결
즉, 가족 경험과 학교 경험들 간, 학교 경험과 교회 경험들 간,
가족 경험과 또래 경험들 간의 연결

- 예를 들어, 부모에게 거부당한 아동들은 교사와의 관계를 발달시키는 데


어려움을 가질 수 있음

71
• 외체계(Exosystem)

- 개인이 적극적으로 역할하지는 않고 개인과 밀접한 맥락이 아닌


사회적 장면들 간의 연결

- 예를 들어, 남편의, 자녀의 가정에서의 경험은


어머니의 직장 경험에 의해 영향을 받음

- 어머니가 출장을 자주하여야 승진을 보장받는다면


남편과의 갈등, 자녀와의 상호작용에 변화를 가질 수 밖에 없음

• 거시체계(Macrosystem)

- 개인이 살아가는 문화

- 문화는 같은 세대에서 세대를 거쳐가는 한 집단 사람들의


행동 패턴, 신념, 기타 산물들을 말함

- 횡-문화적인 연구, 즉 한 문화와 다른 문화 간의 비교는


발달의 일반성을 보여줌

72
• 시간체계(Chronosystem)

- 생의 과정 및 사회역사적 환경에서의 환경 사건과 변화


(transition)의 패턴을 말함(Schaie, 2012)

- 예를 들어, 이혼은 하나의 변화임


연구자들은 아동에게 이혼에 의한 부정적 효과는 이혼 후
첫 1년 간 가장 높음을 발견함(Hetherington, 1993, 2006)
이혼 후 2년째는 가족 상호작용이 덜 혼란스러우며 훨씬 안정됨

- 사회역사학적 환경의 예와 같이 여성에게 직업의 기회는


최근 30년 동안 증가되어 왔음을 고려해야 함

2. 아동의 신체, 인지, 언어, 사회성, 창의성 발달과정과 복지권

가 아동의 신체발달과 복지권

1) 아동기

가) 만 6세부터 12세까지로 규정(초등학교 학령기)

나) 아동기 발달에는 가정과 학교환경의 영향이 크며,


특히 학교에서 만난 또래들과 관계에 따라 영향을 받음

다) 영유아기와 달리 지각, 운동기능을 보다 기술적으로 사용하는


능력을 키우며, 인지적으로도 사물을 지각에 의존하지 않고
자기중심성을 극복하여 판단

73
라) 아동이 사회적 관계를 맺는 활동범위가 넓어져서 가정에서 학교
와 이웃에게까지 확대되며, 사회적 환경의 범위도 역시 확대됨
즉, 아동은 가족뿐 아니라 친구, 책 그리고 TV등의 매스컴의
영향을 받음

마) 타인과 의사소통하기, 학습에 필요한 개념 배우기, 읽기, 쓰기,


셈하기 등을 학습해야 함

바) 또래들과의 관계에 적응해야 하며,


사회 인지적으로는 도덕성과 양심을 발달시켜야 함

2) 신체 및 운동발달

가) 만 2세에서 6세

① 매년 체중은 2kg, 신장은 평균 7.6cm씩 증가

② 만 6세가 되면 평균적인 아동의 경우 체중은 19.4kg,


신장은 113cm가 되어 유아 티를 벗어나기 시작

나) 만 6세 전후

• 외형적으로는 영구치가 생겨 입매가 어릴 때와 달라져


소년 티가 남

74
다) 사춘기

① 남아가 여아보다 출생 시부터 10~11세까지는 더 크지만 여아가


사춘기에 먼저 도달하면서 체중과 신장 면에서 남아를 능가함

② 사춘기가 지나면 다시 남아가 여아보다 체중과 신장이 더 크고


무거워지게 됨

라) 신체 크기의 변화

① 부분의 신체 기관의 크기가 커진 것을 반영

② 심장, 폐, 위, 대장, 소장 등 모든 신체 기관의 크기가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커지게 됨

③ 근육의 부피도 커지게 되는데 이것은 근육섬유의 수가 증가하는 것


이 아니라, 각각의 근육섬유의 수는 출생 직후에 고정됨

마) 신체 비율의 변화

① 전체적인 신체의 크기에 대한 신체 각 부분의 비율은 태어나서부터


완전히 성숙할 때까지 큰 변화를 보임 → 아동이 성인과는 다른
신체비율을 보인다는 것은 아동이 단순히 성인의 축소판이 아님을
보여주는 한 가지 예

② 갓 태어났을 때는 머리가 신장의 1/4을 차지하지만 어른이 되면


머리의 크기는 2배로 커졌음에도 불구하고 머리가 신장에서 차지
하는 비율은 1/8로 줄어듦

③ 다리의 길이는 성숙이 끝나면 태어났을 때의 5배가 되어 신장의


1/2을 차지하게 됨

④ 하체의 길이가 길어지는 것은 유아가 영아기의 체지방을 잃기 시작


하는 유아기 초기에 시작됨

75
바) 골격의 발달

① 골화과정
• 태어나기 이전부터 시작되며 부드러운 조직이나 연골이
단단한 뼈로 바뀌는 과정

② 성장점
• 성장점과 뼈 본체 사이에 성장판이 있어서 사춘기 이후에
성숙이 완료될 때까지 뼈가 지속적으로 자라게 됨

• 성장판이 언제 닫히느냐 하는 것은 아동의 성별과 관계가 있음

• 일반적으로 여자 아동들이 남자 아동들보다 더 일찍 성숙하므로


여아들이 뼈가 몇 개월 앞서 성장할 수 있음

③ 운동기술
• 아동기에는 이미 획득한 운동기술이나 근육의 협력반응에
정교화가 이루어짐

• 아동의 운동기술은 지각이나 신체의 운동을 뒷받침하는 중추신경


및 대뇌의 발달이 이루어지는 5세에서 7세 사이에 발달

76
3) 아동의 신체발달 관련 복지권

가) 동물: 출생 즉시 신체를 이동할 수 있음

나) 인간: 출생 후 1년 동안 생존하기 위해 타인의 도움이 필요

다) 부모나 가족의 도움을 받을 수 없을 경우, 어린 아동의


생존권, 발달권, 복지권을 사회가 보장해야 함

라) 구체적인 방법

① 보육원의 양육서비스
② 입양서비스
③ 임시양육 서비스

나 아동의 인지발달과 복지권

1) 인지발달

가) 지각발달

① 감각, 운동발달과 밀접히 관련되어 있는 지각발달은


4~9세경에 지각적인 정보처리에 변화가 일어남
그 후에는 비슷한 과정을 밟으며 중요한 변화는
별로 일어나지 않음

② 엄밀히 말하면 감각과 지각능력은 태내기와 영·유아기에


형성되었다고 할 수 있음

77
나) 뇌의 성장

① 뉴런은 신체 성장 급등기가 이루어지기 이전인 임신 6개월에 형성

② 신경조직을 통해 전기적 메시지를 전달하고 수는


1000~2000억 개에 이름

③ 뇌 발달의 기초

• 수초화
- 수초화는 영아기 동안 급속도로 진행되어 유아기에도 지속되지만,
청년기까지 수초화가 이루어지지 않는 부위도 있다고 함

- 수초화가 증가하면 정보를 전달하는 속도가 빨라지고


정보 처리능력이 증가하고 문제해결능력이 증가

• 시냅스

- 뉴런과 뉴런을 연결해 주는 접합점을 의미하는 시냅스의 형성은


뇌의 성장 급등기 동안 급속하게 이루어짐

- 수초화와 시냅스 밀도의 증가로 인해 뇌 크기가 증가

78
다) 두뇌의 변화

① 출생 후 즉시 유아의 뇌는 생물학적 풍부성의 관점에서 사용


가능한 뉴런들 사이에 1조 억 개 이상의 연결고리를 생산

② 다원의 경쟁논리와 비슷한 과정을 통해서 뇌는 별로 사용되지


않거나 아예 사용되지 않는 연결고리나 시냅스를 제거

③ 유아의 뇌 속에 있는 초과의 시냅스는 10세 혹은 그보다 더


일찍 시작되어 감정과 이성의 패턴을 개성 있게 형성하는
제거과정을 겪음

라) 직접 양육의 중요성

• 실험(장난감이 주어진 상자 안에 쥐 vs. 황량하고 재미없는 상자 안에 쥐)

① 장난감이 주어진 상자 속에서 사육된 어린 쥐들은 황량하고


재미없는 상자에서 길러진 쥐들보다 더욱 복잡한 행동양상을 보임

② 뉴런 당 시냅스의 개수가 25% 정도나 더 많음

③ 이 결과들은 다양한 자극을 많이 경험할수록 두뇌가 더 활발하게


발달함을 보여줌

79
마) 사물인지발달

① 보존
• 양, 길이, 무게, 부피 등이 외형상의 변화에도 불구하고
그 물질이 그대로 남아 있을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하는 것

• 시간이란 그것이 어떻게 측정되든 사물의 운동 간에 일정하게


연속되어 진행된다는 것과 지속시간이 동일하다는 사실을
발견하는 것

• 양의 보존은 6~7세경에, 무게의 보존은 8~10세경에,


부피의 보존은 11~12세경이 되어야 비로소 이해하게 됨 →
이러한 시기적 차이를 피아제는 수평적 격차라는 개념으로 설명

• 수평적 격차
- 특정한 단계 내에서도 동일한 인지구조로 조작되는
여러 보존과제를 수행하는 데 나타나는 시간적 지연

- 이것은 여러 가지 보존 개념들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동일한 인지구조가 요구되지만, 개념들 자체는 난이도에 있어서
차이가 나기 때문

80
② 유목화
• 공통의 특성에 따라 대상들의 집합을 분류하여
한 대상이 하나의 유목에만 속하게 만드는 것

③ 서열화
• 특정한 속성에 따라 서로 양립할 수 없는 유목으로 나누면서,
동시에 상호관계에 따라 대상들을 잘 어울리게 배열하는 것

바) 탈(脫)중심화 능력의 발달

① 조망(眺望)수용
• 사람의 입장, 인지, 사고 등을 추론해서 이해하는 능력

② 공간조망
• 타인의 위치에서 보는 공간적 시각을 추론할 수 있는 능력

• 1단계(4~6세): 타인도 자기와 같게 본다고 생각

• 2단계(6~7세): 자기중심성을 벗어나기 시작

• 3단계(7~9세): 상대의 위치에 따라 그가 보는 면이 달라진다는 것을


이야기하지만 판단의 오류가 있음

• 4단계(9~10세): 주어진 위치에서의 타인의 조망을 정확하게 이해

81
③ 감정조망
• 어떤 상황에서 타인의 감정을 추출해서 이해하는 것

• 아동의 감정조망은 3~4세경에도 가능하며,


그 감정조망도 감정의 종류에 따라 다르게 나타남

• 기쁨과 슬픔에 대해서는 더 이른 나이에 조망하며,


두려움은 보다 늦게 조망

④ 인지조망
• 타인의 사고과정이나 행동의 원인을 추론하고 이해하는 능력
(6~7세 아동도 타인의 사고과정을 추론할 수 있다고 봄)

사) 기억 발달

① 연령의 증가로 기억력이 증가하는 이유


• 기억용량이 증가하고 기억폭이 증가되며 기억전략이 발달하기 때문

• 재인(再認) 과제 수행과 장기 기억과제인 회상(回想) 능력도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향상

② 회상능력이 아동기에 급격한 발달을 보이는 이유


• 어린이가 성장할수록 지식 기반이 커지므로 기억해야 할 정보의
부호화가 쉬워지기 때문

•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기억책략을 사용하려는 자발적인 동기와


의도가 증가하는 동시에, 사용할 수 있는 책략도 풍부해지고
정교해지기 때문

82
아) 최근의 관심사

① 기억능력이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② 아동의 인지양식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③ 가정환경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2) 인지발달과 관련 복지권

가) 인지발달의 기본원리
• 생애 초기에 인지발달 속도가 매우 빠르고 풍성하게 이루어짐
지적 자극을 받지 못하고 지적 자극을 주는 가정환경에서
성장한 아동 성장한 아기
초기 뇌세포의 활성화가
초기 뇌세포가 증가하지 못하고
이루어짐에 따라서 지적 능력이
지적 능력이 증가하지 못한 채
왕성하게 증가하여 지적 능력이
성장할 수 있음
높은 상태로 성장할 수 있음

나) 사회기관에서 아동을 맡아서 다양한 지적 자극을 줄 수 있는


프로그램을 제공해야 함

83
다 아동의 언어발달과 복지권

1) 언어발달

가) 구문의 발달

① 6세 미만의 유아
• 표면구조와 심층구조가 같은 주어로 되어 있는 문장은
이해하지만, 주어가 다른 경우에는 이해하지 못함

② 9세 아동
• 6세 미만의 유아가 이해 못하는 것을 이해할 수 있고,
실제 사용하여 쓸 수 있음

나) 피동문의 경우

① 영어
• 5세가 되어야 피동문을 이해하고 산출하지만,
때때로 오류를 빚음

② 한국어
• 3세 전후에 ‘히’라고 하는 피동 파생접사를 사용하여
피동문을 산출

• 그러나 아직 완전히 피동문을 획득하여 잘 이해하고 있지는 않음

• 가끔 오용문을 산출

84
다) 의사소통 능력의 발달

① 대상참조적 의사소통
• 아동들이 상대방의 연령, 상태 및 소속성을 고려해서 그에 맞게
자신의 언어를 적절하게 선택해서 구사할 수 있는 능력과 기술

② 참조적 의사소통이 차이를 보이는 이유


• 의사소통 특정을 위한 과제들이 요구하는 정보처리 정도에
차이가 있기 때문

• 의사소통을 하는 상황 때문

• 아동이 말로 전달한 내용 자체를 하나의 인지적 대상으로 생각하


여 그 내용을 혼자 머릿속에서 분석해 보거나 조절해 보는 능력,
즉 상위 의사소통 능력을 요구하는 정도가 과제마다 다르기 때문

2) 언어발달 관련 복지권

가) 언어발달의 중요성

• 생애 초기에 아동이 좋은 언어모델을 보고 언어를 조기에 획득한


다는 것은 그만큼 사고의 깊이와 폭을 더하고 인간관계를
맺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므로 그 중요성이 지대함
부모가 언어모델로 주위에 부모가 없거나 언어모델로
적절하게 기능하는 아기 부적절한 부모를 가진 아기
언어획득과 더불어 아기의 언어획득은 지연되고
언어표현력과 사고능력이 언어표현력과 사고능력은
발달할 수 있음 지체될 가능성이 있음

나) 보육시설과 보육원, 임시 아동보호소 등에서 다양한 언어모델을


접하게 하고 언어교육프로그램을 제공해야 함

85
라 아동의 창의성발달과 복지권

1) 창의성 발달

가) 창의성

① 판에 박힌 대로 사고하지 않고 융통성 있는 사고를 통해


아이디어를 고안해 내는 능력과 경향

② 단순히 새롭거나 독특한 것만이 아니라 주어진 맥락에도


적절하고, 다른 사람들의 가치에도 부합되는 산물을
만들어 내는 능력

나) 창의적 과정은 창의적 사고의 결과로 얻어진 개념,


소산 및 해결책 등에 의해서만이 파악될 수 있음

다) 어떤 소산이 창조적인가 아닌가는 많은 경우에 사회적 판단에 의함

라) 따라서 창조성(창의성)이란 개인적인 동시에 사회적인 의미를 지님

86
2) 창의성 발달과 복지권

가) 창조성은 타고난 능력과 관련된 것이지만 후천적으로 다양한 자극을


받지 않으면 개발될 수 없는 능력 (예: 음에 대한 이해 – 음에 대한
민감성은 유아기에 절정에 달하므로 현악기 등 음에 민감해야 하는
악기를 익히는 작업은 유아기에 이루어져야 효율적)

나) 창의성과 관련해 사회도 관심을 가지고 조기에 아동의 타고난 능력


을 개발하는 프로그램을 사회기관에 수용된 아동에게 제공해야 함

다) 보육시설, 보육원, 복지시설에 수용된 아동을 대상으로


공간 구성에 대해서도 관심을 두어야 함

마 아동의 사회성발달과 복지권

1) 사회성 발달

가) 부모와의 관계

• 인간의 아기가 처음 접한 인간인 부모와 애착을 돈독히 형성하면,


성장 후에도 인간에 대한 기본 신뢰를 형성하여
그를 바탕으로 상호교류와 관계를 형성할 수 있음

87
• 자녀와의 상호작용에 관심을 두고 사랑을 표현하면
아기는 안심하고 부모의 사랑을 받아들이고 자신의 미소와
온화한 몸짓으로 표현
부모
• 이러한 우호적 상호작용을 통해서 아동은 사회적 기술을
연마하며 사회적 능력을 키워나감

• 성장한 후에도 타인에 대해서 무관심하고 극심한 경우에는


적대감을 가지고 있음
무관심한
부모 • 부모의 애정을 받지 못하고 성장한 사람은 타인을 사랑하는
방법을 모르기 때문에 다른 사람과 애정을 주고 받지
못하므로 스스로 고독할 수 밖에 없음

나) 또래와의 관계

① 아동기 또래와의 상호작용은 훗날 성장한 다음에도


대인관계 기술을 훈련시키는 토대가 됨

• 이 시기의 아동들은 또래들과의 상호작용을 통하여


자기 자신에 대해서 새롭게 지각

• 타인과 상호 소통하는 방식을 획득

• 집단에 대해서 소속감이나 또는 그와 반대로 소외감을 발달시킴

• 이 시기 동안 또래와의 관계는 아동의 사회성과 자신감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후기 발달 단계인 청년기와 성인기에도
지속적인 영향을 미침

88
② 또래 동조성
• 아동이 자신을 인식하는 데에 또래들은 자신을 비춰 주는 거울
역할을 하기 때문에, 그들의 의견이나 반응에 대해 매우 민감해짐

• 또래 집단이 아동에게 미치는 영향은 함께 보내는 시간이 많을수록,


부모와의 의사소통이 적을수록, 집단 내 응집력이 클수록,
상황을 처리하는 방식이 애매할수록 증가하는 경향이 있음

• 소년들은 성인과 아동간의 관계에서는 가능하지 않은 거친 활동


들을 또래들과 함께 하면서 효과적인 공격기술이나 공격성을
통제하는 기술을 배움

③ 또래 관계
• 또래집단의 관계는 아동기가 진행되는 동안에 점차 형성되고
응집력이 강해지며 조직화됨

• 대략 만 6~8세경에는 비조직적인 놀이집단에서 서로 관계를 맺지만,


어떤 고정 멤버는 없음

• 만 10~11세경이 되면 친구 간의 동조성이 증가함에 따라 또래집단은


응집력이 강해지고, 조직적이 되며, 인지적 성숙과 병행해서 그들의
집단활동이 체계적이고 목적적으로 구성됨

• 단짝친구의 관계는 이 시기뿐만 아니라 후기 대인관계의 적응양식에도


영향을 미치므로 성격발달에 중요한 의의를 가짐

• 시설에서 보육되거나 양육되는 아동의 경우 사회적 관계에 대한


토대로서 또래관계를 상정해 훈련시켜야 함

89
다) 학교에 대한 태도

① 학교는 학습의 장이며 성취의 장인 동시에 재미있는 생활의 장

② 학교에서 배울 수 있는 것들
• 선도성
• 숙달감
• 근면감

- 자신에게 닥쳐오는 외부의 도전을 스스로의 힘으로 극복할 수


있다는 생각과 태도를 뜻하는 것으로, 성공 경험을 통해서
아동의 성취동기나 경쟁, 유능감 등이 강화되어 발달하게 됨

- 근면감을 느낀 아동은 긍정적인 자아개념을 획득하며 외부세계에


대해서도 자신감을 가져 능동적이고 활발한 성격을 형성

- 그러나 성공경험보다 실패 경험을 더 많이 한 아동은 자신의 도전


에 대해 스스로 위축되고 부정적인 성격을 형성하기 쉬움

90
2) 사회성 발달 관련 복지권

가) 아동의 사회성의 기초는 부모와의 애착관계를 통해 형성되며,


또래와의 관계나 학교생활을 통해 사회성이 개발됨

나) 보육원에서 부모 없이 성장한 아동이 믿을 만한 타인과의 애착


관계가 형성되지 못했을 때 사회성 발달이 지체될지 모른다는
전문가들의 경고에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있음

다) 시설에 있는 아동들은 상호작용하는 아동들이 머무는 방이나


활동실에서 짝지을 때에도 형제관계를 경험하지 못하는 것을
감안하여 연령별 혼합구성을 할 필요가 있음

91
1. 생애주기 관점과 아동의 발달적 욕구 특성
 인간이 환경의 여러 요소들과 밀접히 연결되어
끊임없이 상호교류하며 또한 그들을 변화시키며
환경에 지속적으로 적응하도록 한다고 함

 이것은 사회복지실천에서 클라이언트의 다양하고 복합적인


욕구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여러 가지 사회적 자원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함

92
 인간발달이란 생명이 시작되는 수정 순간부터 일생 동안 연령의
증가와 함께 일어나는 양적·질적 변화를 의미함

 인간발달의 영역은 신체발달, 인지발달, 사회정서발달로 나누어


지며, 생물학적 부모로부터 물려받는 타고난 특성뿐 아니라
환경의 영향을 받아 진행됨

 인간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 환경의 특성이나 범위는


발달단계에 따라 달라짐

2. 생태체계 관점과 아동의 주요 환경 이해


 아동복지의 대상은 전체 아동이지만,
아동에 대한 한계를 짓는 실정법마다 각기 다름

 우리나라 아동복지의 기초가 되는 「아동복지법」에서는


“아동이라 함은 18세 미만의 자”라고 규정하고 있으며,
「입양특례법」에서도 “아동이란 18세 미만의 자”라고
규정하고 있음

93
 그러나 「민법」에서는 “만 19세 미만을 미성년”이라고 규정하고 있고,
「소년법」에서도 “만 19세 미만의 자를 소년”이라고 규정하고 있으며,
「근로기준법」(제 65조)에서는 “18세 미만자를 도덕상 또는 보건상
유해·위험한 사업에 사용하지 못한다.”고 규정하고 있음

 이러한 여러 가지 아동 연령에 대한 규정 중 본 수업에서는


아동복지에 초점을 두고 「아동복지법」에 근거하여 “18세 미만인 자”
를 아동으로 정의하고자 함. 그리고 아동을 대상으로 이루어지는
복지를 아동복지라고 할 수 있음

 환경은 ‘개인에게 부딪히는 조건과 세력 및 외적 자극’이라 할 수


있는데 이는 다시 말해 개인에게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외적 조건
및 자극의 개별적·총합적 구조와 작용이라고 할 수 있음

가 아동과 가족환경

 아동 환경은 아동이 태어나서 성장해 나가는 과정 속에서 경험


하게 되는 삶의 장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환경에는 가정의
주택 등 물적 환경 뿐 아니라 부모의 양육태도 및 양육관을 비롯
한 심리적 혹은 인적 환경이 포함

 아동 환경 중 특히 가족과 부모는 자녀가 성장, 발달함에 있어서


필수적인 요소이며 또한 가족은 아동을 외부의 위험으로부터
보호하고 격려하면서 한 인격체로 성장시켜 나가는 가장 근본이
되는 체계라 할 수 있음

94
1) 가족환경의 의의와 변화

• 아동의 사회화 과정에 많은 사회적 요인과 집단이 영향을 주지만


그 중에서 가정이 강력한 영향력이 있는 집단이라 할 수 있는데,
그 주된 이유가 아동은 가족 구성원과 최초로 사회적 접촉을 가지며
많은 시간을 함께 보내기 때문

• 따라서 부모의 성격, 태도, 사회․ 경제적 지위, 교육 수준 등이 아동


의 문화에 대한 가치관이나 태도, 의식 등에 영향을 미치게 되는 것

• 가족 기능의 변화를 살펴보면 현대사회의 산업화와 도시화 현상은


가족의 구조와 기능 및 가족 간의 관계에 많은 변화를 가져왔으며,
이러한 변화는 가정을 통해 성장하는 아동에게도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

가) 가족관계 변화

• 1960년대 이후 정부의 산업화 정책에 힘입어 경제가 급성장하게


되면서 서구의 다양한 문화가 빠른 속도로 유입되었고,
물질만능주의가 팽배해 짐
뿐만 아니라 사회는 점차 다양화 되었으며 가치관도 빠른 속도로 변화

• 동시에 여성의 교육 수준 확대로 인한 사회진출의 기회가 증가됨에


따라 기존의 결혼관계, 부모-자녀 관계, 형제자매관계 등의 가족관계가
과거와는 다른 양상으로 변화를 거듭하게 되었음

95
• 오늘날 여성의 취업률이 증가하고 사회활동에 대한 욕구가
증대하면서 성역할 분업구조에도 변화가 일고 있으며
부모-자녀 관계에서도 부모의 권위는 낮아지고 오히려 부모가
자녀의 눈치를 보는 ‘역수직관계’로, 부모-자녀 관계도 이제는
서로에게 소외감과 부담을 가중시키는 관계로 변화

나) 출산율 저하

• 의학의 발달로 인간의 평균수명이 증가하고 있는 것은 세계적인 추세임


우리나라도 예외는 아니어서 평균수명의 연장으로 노인인구의 비율은
빠르게 증가하는 데 반해 저출산율로 아동 수는 점차 감소함으로써
인구구조가 급격하게 변화하고 있음
더구나 우리나라는 평균수명의 증가속도가 세계 어느 나라보다도 빠른
반면, 출산율은 지속적으로 감소하여 사회적인 문제가 심화되고 있음

• 이는 생산성이나 노인부양에서 심각한 문제를 초래할 수 있으며,


따라서 아동수당지급 등 출산장려를 유도하는 정책의 수립이
과거 그 어느 때보다도 절실한 상황

96
다) 이혼 증가

• 산업화에 따른 경제적 자립도의 증가, 전통적 도덕관의 쇠퇴,


핵가족화로 인한 갈등 중재자의 부재 등으로 인하여 결혼생활의
갈등을 이혼으로 해결하려는 경향이 높아지고 있기 때문으로
설명할 수 있음

• 여성의 사회진출 증대, 결혼율과 출산율의 감소, 개인의 개성이


나 감정을 존중하고 집단보다 개인을 우선시하는 가치관의 변화
로 인하여 사회가 보다 서구화됨에 따라 이혼에 대한 사회인식도
개방적으로 변하게 되어 이혼율의 증가라는 새로운 문제를 야기

2) 어머니의 취업과 아동

• 최근 가족의 변화에 큰 영향을 미친 중요한 사건 가운데 하나는


기혼여성의 경제활동참여비율이 증가했다는 점
여성의 교육수준 향상이나 자녀수의 감소, 가사노동량의 감소
등과 같은 생활구조의 변화로 부부가 모두 일터로 나가는 맞벌이
가족(dual career family, dual earner family)은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됨

• 맞벌이 가정의 최대 난제는 육아문제임. 전통사회에서는 아버지


와 어머니의 역할이 엄격하게 구분되어 있었으며, 파슨스와 베일
즈(Parsons & Bales, 1955)는 이를 도구적 역할(instrumental
role)과 표현적 역할(expressive role)로 설명

97
• 즉, 아버지가 가족을 부양하는 도구적 역할을 수행했다면
어머니는 자녀양육을 담당하는 표현적 역할을 수행하였음
그러나 여성취업률이 증가하면서 더 이상 가정에서 자녀양육의
역할을 담당할 수 있는 주체가 사라졌으며, 이러한 변화에도 불구
하고 육아에 대한 가족 내의 역할분담의식이나 정책적인 지원은
미흡한 실정임

• 그 결과 우리나라 여성의 취업패턴은 20대에 취업한 후 30대에


경력이 단절되는 현상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에
비해 여전히 도드라지는 것으로 조사됨

• 주요 선진국의 여성 고용률이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포물선을


그린 것과 달리 한국은 ‘M’자형으로 나타남
실제로 자녀출산과 양육의 부담이 큰 30〜34세경 여성이 노동
시장에서 퇴장하는 비율은 급격하게 상승함

예) 25∼29세 여성 고용률이 71.1%로 최고점을 찍은 뒤


30∼34세(64.6%), 35∼39세(59.9%) 등
30대에 접어들며 급격하게 낮아짐
그러다 40∼44세(62.7%), 45∼49세(67.4%) 등
40대 들어 다시 높아진 고용률은 50∼54세(68.0%) 이후
하락세를 보임

98
• 어린 자녀의 존재 여부는 여성들의 취업 중단 경험에서 가장 많이
언급되는 요인이며, 최근의 저출산율은 이러한 갈등을 그대로
반영하는 것임

• 보육은 바로 이러한 육아문제를 지원하기 위한 복지제도임


이는 특히 보편주의적 복지를 실현하는 대표적인 방법으로
아동복지정책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큼

• 그러나 아직 영유아보육은 양적·질적 차원에서 많은 개선이


필요한 상황이고, 다양한 형태의 어린이집의 확충이나 어린이집의
질적 수준, 보육비용, 보육교사의 자질 면에서 개선이 필요함

3) 아동권리에 대한 의식의 변화

• 20세기에 들어와 많은 학자들은 인간발달에서 아동기의 중요성


에 대해 관심을 갖게 되었음. 정신분석이론이나 학습이론, 인지
발달이론 등 다양한 관점에서 연구들이 이루어졌으며,
사회적으로도 자녀양육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을 갖게 됨

• 이들은 아동발달에서 부모역할의 중요성을 강조하기 시작하였


으며, 이들의 주장은 가정위탁보호와 아동권리 사상의 발전 등
오늘날 아동복지사상과 정책의 근간이 되고 있음

• 특히 보울비와 에인스워드(Bowlby & Ainsworth)를 중심으로


발전된 애착이론은 기존의 시설보호에서 가정위탁으로의 전환에
지대한 영향을 미침

99
• 또한 「유엔아동권리협약」은 요보호아동을 대상으로 물질적 구호
에 치중했던 기존의 복지에 대한 인식을 아동의 권리까지 보장하
는 방향으로 확장시킴

• 우리나라의 경우 더 이상 자녀가 부모의 소유물이 아니라는


사회적 인식은 일반화되고 있으나 전통적으로 부모자녀관계를
상하관계로 인식하는 권위주의적인 양육태도로 인해 부모자녀
관계에 긴장이 유발되기도 함
이는 학교의 교사와 학생관계에서도 유사하게 나타나고 있음

• 따라서 「유엔아동권리협약」에서는 아동학대예방이나 체벌방지를


위한 구체적인 조항을 명시하고, 당사국들이 그 이행사항을 권리
위원회에 보고하도록 하고 있음

• 그 결과 우리나라에서도 아동의 권리향상을 위한 많은 노력이


결실을 거두었지만 앞으로 이를 위한 정책입안이나 홍보가
적극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임

100
4) 자녀 양육 환경과 부모 역할

• 현대 사회로 접어들수록 부모들은 부모-자녀 관계가 와해되거나


자녀양육에 어려움이 있다고 토로함

• 자녀가 바람직하게 성장할 수 있도록 함에 있어서 부모의 역할은


가정환경 중에서도 매우 중요한 요인이라 할 수 있음

• 그러나 실제로 부모가 자녀양육의 역할을 수행하는 데는 성역할의


변화, 형제 출생, 가족구조 변화 등 여러 가지 요인들이 작용함

• 이러한 경향은 최근 사회변화로 인한 여성의 사회진출 증가 등의


현상이 아버지들로 하여금 자연스럽게 육아의 일부를 담당하도록
한 것과 어느 정도 관련이 있다고 할 수 있음

• 이렇게 아버지가 자녀양육에 참여하게 되자 부모역할을 새로운


시각에서 보게 되었고, 아버지와 자녀 간의 관계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게 되었음. 그 결과 현대사회에서 전통적인
아버지의 역할, 어머니의 역할을 고집하는 것은 더 이상 자녀의
바람직한 성장과 발달에 이롭지 못하다는 결론을 얻게 됨

• 이와 같은 현상은 어머니가 취업한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어머니의


취업 유무 자체가 아동의 행동 특성과 능력 발달에 큰 영향을
미치지는 않는다는 점. 즉, 이는 어머니의 취업 그 자체보다
어머니가 취업모로서 자신의 현재 역할 또는 비취업모로서의
현재 역할에 만족하는지, 어떤 의식과 태도를 가지고 자녀를 양육
하는지가 중요하기 때문

101
나 아동과 교육환경

1) 학교의 정의와 현황

• 학교 교육의 본질적 기능은 새로운 지식을 발견하고 가르치는


가능과 기존의 문화유산을 전달하고 습득시킴으로써 새로운
생활방식을 익히게 하는 사회화 기능 및 개인의 능력과 적성에
맞는 직업과 지위를 선택하고 분류하는 선발기능을 수행하는 것

• 그러나 우리나라의 학교교육은 입시위주의 교육으로 유치원에서


고등학교에 이르기까지 부모의 지나친 경쟁의식과 고학력 사회
풍토로 인하여 진정한 인간교육을 실현할 수 없는 중요한 조건이
되고 있음

• 입시 위주의 교육으로 인한 교육 병리와 현상

- 시험에 대한 중압감, 시험 후의 결과에 대한 불안,


시험 횟수의 과다로 인한 스트레스를 증가시켜
정신질환이나 자살까지 이르고 있음

- 교사나 친구와의 인간관계에 악영향을 미침

- 지식 위주의 교육으로 정서교육이나 의지력 훈련 기회가 부족


하게 되어 전인교육에 많은 지장을 초래하고 있음

- 학교에서의 생활지도교육이 형식적이고 미흡

102
2) 방과후 아동생활

• 최근 맞벌이 가정이 증가하면서 방과 후에 성인의 보호 없이


지내는 돌봄이 필요한 아동이 늘어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방과 후 아동돌봄에 대한 관심이 늘어나고 있음

• 이러한 경향은 맞벌이 부부와 한부모의 취업활동을 돕고


아동을 안전하게 보호, 지도하기 위해서도 필요한 부분

• 이러한 측면에서 방과후 돌봄 서비스는 아동에게 보호와 지도


뿐만 아니라 다양한 경험 또한 제공해 줄 수 있어야 함

• 또한 가족구조가 점차 핵가족화되어 가고 한자녀가정이 늘어나면서


아동은 주로 학교와 가정 내에서만 관계를 형성해 나가게 되고
또래와의 상호작용이나 학교 이외의 장소에서 사회적 경험을 가질
기회가 부족한 형편

• 따라서 아동들이 서로 어울려 지낼 수 있는 사회문화적 공간으로서,


또래와의 경험을 제공해 주는 장으로서 뿐만 아니라,
사회적으로 아동복지를 정착시켜 나간다는 의미에서 모든 가정의
아동을 대상으로 방과후 아동돌봄을 확산, 수립해 나가는 것이 필요

103
3) 학업과 아동문제

가) 학습장애

• 다른 아동과 비교해서 지능은 정상이지만 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 추리 또는 계산 능력에 문제가 나타나는 장애로서
특수학습장애라고도 함

• 학습장애(learning disorder)가 있는 아동은


실패감, 낮은 자아 존중감, 무기력을 경험할 수 있음

• 학동기 아동의 약 3~9%가 이 장애를 갖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학습의 기회나 교육적 자극이 부족한 경우, 정서적 문제,
신경학적 이상이 있거나 학습과 관련이 있는 뇌 기능 특정 영역
의 결함, 발육 지연 또는 장애가 있는 경우가 원인이 됨

• 또한 부모가 조기에 자녀의 능력과 적성을 잘 알지 못하는


경우에도 많이 생김

• 따라서 이러한 아동이 조기에 적절한 치료를 받을 수 있도록


아동복지기관은 정보 제공과 상담 그리고 자원 연결 등의 도움을
제공해야 함

104
나) 학교공포증

• 심인성 등교거부, 정신신경증적 거부라고도 할 수 있는데


발생 배경에는 현대 가정의 문제, 학교교육의 특성 등이 반영됨
일반적으로 학교공포증을 보이는 아동은 두통, 복통 등의
신체 증상을 호소하는 경우가 많음

• 이외에도 교사에 대한 불만, 공부와 다른 친구에 대한 불평,


교통문제 등을 호소하는 것으로 나타남

• 이러한 증상을 대부분이 무의식적 불안과 같은 심리적 이유에서


비롯된 것이므로 꾸중이나 강제적인 방법으로 학교에 가게 하는
것 보다는 정서적 안정을 유도하는 상담이나 치료를 통해
접근해야 함

• 이 외에도 장애아동, 그리고 결식아동 또는 소년소녀가정세대의


아동뿐만 아니라 가정해체나 경제적 어려움 등으로 인해 시설에서
보호받고 있는 아동도 아동복지기관에서 도움을 주어야 하는 대상

• 그리고 또래들로부터 집단 따돌림을 경험하는 아동,


부모나 양육자로부터 학대를 당하고 있는 아동 모두
전문가의 도움과 관심이 필요한 아동

105
다 아동과 사회환경

1) 또래환경

• 아동이 성장함에 따라 사회적 환경은 가정의 울타리를 벗어나


연령이 비슷한 또래 집단으로 확대되어 나가게 되며,
이러한 변화는 아동의 사회화 과정에 새로운 의미를 부여

• 특히 최근 들어 맞벌이 부부의 증가, 다산기피로 인한 외동아의


증가로 인하여 아동발달에 있어 또래는 더욱 중요한 의미와
역할을 지니게 됨
이 시기의 아동은 부모의 강력한 영향력에서 벗어나 친구, 또래,
그리고 선생님과의 접촉에 신경을 쓰게 되고, 그들과의 관계에
더 민감해짐

• 아동이 자신을 인식하는 데 있어 또래는 자신을 비춰주는 거울 역할을


하기 때문에 그들의 의견이나 반응에 매우 민감해짐

• 또래 사이에서 인기를 끄는 성격 특성은 나이, 성별, 계층에 따라 다름


여러 연구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고 있는 것은 우호적이고 사교적이며
참여적인 아동이 인기가 높은 반면, 수줍어하고 소심하고 무관심한
아동은 인기가 적음
인기를 좌우하는 요인은 아동의 성격 특성 뿐 아니라
그 가정의 사회·경제적 특성도 포함이 됨

• 아동은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점점 주변 세계의 지식을 넓힐 뿐 아니라


또래를 점점 더 중요하게 생각하기 시작하고 또래와 관계를 맺고
의사소통 하려고 노력

106
• 이 시기에 또래집단에 수용된다는 것은 아동의 자아발달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함. 특히 초등학교에 입학하게 되면 아동은 역량과 독립심이
더욱 발달하면서 부모를 따르는 것이 점차 줄어들고 또래와의 관계가 깊어짐

• 이와 같은 또래관계에서 나타날 수 있는 현상 중 한 가지는 또래 괴롭힘


또래 괴롭힘의 방법으로 남학생은 적극적으로 공격하는 방법을 사용하는
반면, 여학생은 수동적이면서 사회적 고립이나 배척 등 무시하는 방법을
자주 사용함

• 성격에 있어서도 공격자는 충동적이고 지배적이며, 공격적인 것이


가치가 있다고 생각하는 반면,
괴롭힘을 당하는 아동은 수줍어하고 순종하는 것이 가치 있다고
생각하는 등 뚜렷한 차이를 보임

• 이러한 또래 괴롭힘의 영향을 살펴보면 아동기 또래로부터


반복적 괴롭힘을 당한 피해 아동은 자아존중감이 낮고,
우울증 증세와 외로움을 보이며, 학교에 대한 거부감을 갖게 되는
등 사회·정서적 차원의 여러 가지 부적응 문제를 보임

• 이런 아동은 집중력 저하, 주의 산만, 심지어 비행이나 정신질환에


이를 수도 있으며 아동기에 경험한 또래 괴롭힘의 부정적 결과가
성인기 우울증 성향과 낮은 자아존중감과도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음

107
2) 대중매체환경

• 현대인에게 있어서 매체를 통한 생활은 필수불가결한 것이라고


받아들여지고 있음
특히 가정에서 텔레비전이나 컴퓨터는 생활의 필수 도구가 됨

• 이렇듯 대중매체는 현대의 아동과 매우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으며 앞으로 그 영향력은 더욱 커질 것임이 분명함

가) 텔레비전의 영향

• 텔레비전의 긍정적 측면

: 규칙적인 친사회적 프로그램을 통해 바람직한 행동을 습득하고,


좋은 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인지 능력의 향상 및 학교에 대한
준비도와 흥미도를 높여주는 것

• 텔레비전의 부정적 측면

: 텔레비전에서 방송되는 폭력 장면을 많이 시청한 아동은


폭력 장면을 적게 보는 동급생보다 더 적대적이고 공격적이
되는 경향이 있음

108
• 텔레비전 프로그램 가운데 성인 위주로 제작된 프로그램과
광고물의 내용이 지나치게 외설적이며 폭력적인 경향이 있고,
쇼나 개그 프로그램은 아동을 대상으로 자극적이고 퇴폐적인 복장
과 몸짓을 보이는 연예인 중심으로 구성되거나 도덕과 전통을
무시하고 국적도 품위도 없는 유행어와 몸짓을 소개하는
저질 프로그램의 경쟁으로 치닫는 경우도 있음

• 이 밖에 흔히 볼 수 있는 선정적인 광고물과 자극적인 선전 문구는


아동의 주의를 사로잡고 있음

나) 인터넷의 영향

• 인터넷을 통하여 아동은 자아를 탐색하고, 부모와 가족을 벗어나


다양한 국적, 성격, 취미, 가치관을 가진 사람들을 만날 수 있으며,
정보의 홍수 속에서 필요하고 가치는 정보를 찾을 수 있는 능력을
기를 수도 있고, 세상에 대한 이해와 폭을 넓힐 수도 있음

• 그러나 아동 및 청소년의 인터넷 중독이 사회적 문제도 대두되고


있고 이것은 인터넷에 접속하면 접속 시간을 조절하지 못하고,
인터넷을 하지 않을 때에는 막연한 불안감이나 궁금증 때문에
일을 제대로 할 수 없는 인터넷 중독 증세를 보인다고 나타남

109
• 매체 이용 관련하여 아동청소년들이 이용하는 기기에 대한
유해사이트 차단 프로그램 설치율은 여전히 낮은 수준(30%초반
이하)이며, 학교 내 폭력은 감소추세이나 ‘온라인 공간’에서의 폭력
피해가 증가하는 추세이기에 예방의 노력이 필요함

3) 아동보호와 유해환경

• 유해환경은 국가의 안전환경과 아동의 복지 및 삶의 질에


적극적으로 영향을 주는 매우 중요한 환경의 하나

• 우리나라 총 인구 대비 어린이 비율이 12.2%인데 반해,


어린이 안전사고는 전체 안전사고의 26.4%로 높아
대표적 안전 취약계층으로 나타남(2021년, 한국소비자원)

• 세계보건기구(WHO)에 따르면 유해환경과 관련한 각종 질병으로


전 세계적으로 14세 이하 아동 500만 명 이상이 매년 사망하고
있으며 급성 호흡기 질환, 말라리아, 설사 등으로 인한 아동의 사망
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건강한 환경 조성이 필요하고, 이 밖에 교통
사고와 익사 등 비의도적 부상이 아동 사망의 주요 원인으로 분석됨

110
3. 아동복지의 의의
가 아동복지의 필요성

 인간발달의 여러 단계에는 각 단계마다 성취해야 할 발달과업과


원리가 있으며 아동기의 발달과업 성취는 이후 자신의 발달과업을
이루는 기초로서 매우 중요함

 이것으로 인하여 아동을 대상으로 실천하는 아동복지는


모든 아동에게 필요한 것

1) 아동의 발달과업

• 아동은 연령에 따른 성장단계마다 이루어야 할 발달과업과


원칙이 있음

• 특히 유아기와 아동기(학령기)의 발달과업은 아동복지실천의


중심내용이 될 수 있음

111
가) 유아기의 발달과업

① 보행을 배운다.
② 고체음식을 먹는다.
③ 말을 배운다.
④ 배설통제를 배운다.
⑤ 성별을 구별하고 이에 따른 성에 관한 예의를 배운다.
⑥ 생리적인 안정을 유지할 수 있다.
⑦ 사회적·자연적 현실에 관한 단순개념이 형성된다.
⑧ 부모·형제·자매·타인과의 정서관계를 맺는다.
⑨ 선악을 판단할 수 있으며 양심이 발달한다.

나) 아동기 발달과업

① 일상적인 활동에 필요한 신체적 기능을 배운다.


② 성장하는 자기 자신에 대한 건전한 태도를 형성한다.
③ 같은 연령의 친구와 사귀는 법을 배운다.
④ 읽기·쓰기·셈하기의 기본 기술을 배운다.
⑤ 일상생활에 필요한 개념을 발달시킨다.
⑥ 양심·도덕·가치척도가 발달한다.
⑦ 적절한 성역할을 배운다.
⑧ 사회집단 제도에 대한 태도가 발달된다.

112
• 살펴본 과업이 내포하고 있는 내용으로 중요한 것은
각 단계의 과업에 적기성·기초성·누적성·불가역성의 원리라고
말할 수 있는 원칙이 있어 유아기 아동기의 경험과 보호·교육을
중심으로 하는 아동복지의 중요성을 절실히 느끼게 함

2) 아동기의 발달원리

• 아동이 출생하여 성인으로 성장해 나갈 때 발달의 원리라는


특성이 내재하고 있음

• 아동발달과정에 관여되는 발달원리로는


기초성의 원리, 적기성의 원리, 누적성의 원리, 불가역성의 원리
등이 있음

• 이 네 가지의 원리는 독립적이라기보다는 상호 밀접하게 관련된


것으로 상호 인간발달 영역에서 서로 영향을 미침

113
가) 기초성의 원리

• 기초성: 인간발달의 과업이 초기에 이루어지는데,


이 발달이 후일의 발달에 큰 영향을 미친다는 것

• 어릴 때 일수록 그 때의 경험 발달 여하가 그 후의 경험 성취를


위한 초석적인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는 원리

나) 적기성의 원리

• 적기성: 그 때가 그 과업, 그 학습, 그 경험을 성취할 수 있는 가장


적기적인 기회이며, 이 기회를 놓친다면 다른 때엔 그리 적시적인
효과가 없다는 것

• 인간의 발달과업에는 발달하기에 가장 적합한 시기가 있어서


그 시기에 그 발달과업이 이루어지지 못하면 다음 발달에 지장을
초래하게 된다는 원리

114
다) 누적성의 원리

• 누적성: 아동이 환경 경험으로 그의 성장과 발달에 한 번 결손이


생기면 그 결손이 다음 단계의 성장발달에도 영향을 준다는 원리

• 반대로 잘된 것이 원인이 되어 다음 단계에서 더욱 잘되는 것도


누적성의 원리

• 즉, 인간발달에서의 빈익빈 부익부의 기제라고도 말할 수 있음

라) 불가역성의 원리

• 불가역성의 원리란 불가회복성이라 해도 무방함

• 즉, 한 단계에서 잘한 것 또는 잘못한 것의 영향이 다음 또 다음


단계에 미치기는 할망정, 역으로 다음 단계에 잘한다고 해서
그것이 전단계의 잘못에 영향을 주거나 이를 교정·보충하는 데에
는 한계가 있다는 원리

• 따라서 아동의 복지 문제는 오늘의 문제이며 내일로 미룰 수


없는 문제. 내일의 사회가 밝고 희망차기를 바란다면 어린이의
오늘은 바람직하게 구축해야 함

115
• 부모와 사회와 성인은 이렇듯 무한한 성장과 잠재력을 가지고 있는
아동의 건전한 발달적 성취를 위하여 계속적으로 바람직스럽게
변화하고 성장 발달할 수 있도록 좋은 환경과 경험적 기회를 충분히
제공하여 본연의 잠재능력을 모두 발휘하여 유익한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해주는 것이 바로 아동에 대한 복지행위일 것

116
1. 아동의 권리와 아동복지
 아동의 권리보장은 아동복지 실현의 전제가 되는 핵심 과제이며,
인권으로써 아동권리의 인식과 아동복지의 실현은 밀접한 상호
관계를 갖고 있음

 역사적인 관점에서, 근대 사회에 이르기까지 아동의 권리를


보호 받지 못하거나 매우 소극적으로 보호되어 왔으며,
모든 아동을 온전한 인격적 존엄성과 권리를 지닌 존재로써
가치를 인식하고 보호하지는 못함

117
 근대사회 이후 인권사상이 발전한 서구 사회에서도
아동의 권리사상은 20세기에 들어와 확립되었으며,
비로소 아동복지의 이념과 실천의 기초로써 강조되고 있음

 과거에는 부모나 사회와의 관계에서 종속적인 존재에 지나지


않았던 아동들은 이제는 독립된 인간으로써 기본적인 권리의
주체가 되어야 한다는 사상이 발전하게 된 것

 즉, 아동은 수동적인 보호의 대상에서 능동적인 권리의 주체라는


사상을 발전하게 되었으며, 자선이나 박애에 의한 소극적인 보호
에서 권리와 책임에 의한 적극적인 복지가 요청된 것

가 아동권리의 개념

 인권: 사람이 이 세상에 태어나면서 출생과 더불어 존재로서


소유하는 자연법적 권리

 아동은 생존을 스스로 보장할 수 없는 특별한 존재 → 인권 적용


: 보호권과 양육보장권

 작은 사람인 아동에게 인권은 사람으로서 이 세상에서 성장하고


발달하고 차별 없이 살아갈 권리를 가짐

118
나 아동의 권리

1) 생존권

가) 인간은 스스로 생명이 존중되어야 하고


그 생명 활동이 유지되어야 함

나) 누구나 세상에 태어날 때 생존권을 가지고 태어남

다) 아동을 포함한 모든 사람이 그러함

라) 장애를 가진 아동과 발달이 지체된 아동도 예외가 아님

2) 성장발달권

가) 아동은 성인과 달리 신체적으로 성장하고


정신적으로 발달해야 할 과업이자 권리를 가지고 있음

나) 식품을 통해서 영양을 섭취하여 신체를 발달하도록 하고,


지적 자극을 받아들여서 정신적 발달을 도모해야 함

다) 아동에게 성장 발달은 자연스런 생명활동이자 발달 과업

라) 따라서 아동에게 성장 발달을 금지시키는 것은


생명에 손상을 입히는 것이나 다를 바가 없는 가해 행위가 됨

119
3) 시민권과 자유권

가) 성인이 사회의 시민으로서 자유롭게 의사 결정을 할 권리가


있는 것처럼 아동도 사회의 시민으로서 자유롭게 자신의 의견
을 제시하고 자기 미래를 결정할 권리가 있음

나) 아동은 때로는 부모의 부당한 친권 행사에 대해서도


자신의 성장과 행복을 추구할 권리를 가짐

다) 따라서 아동과 관련된 사항은 아동 자신의 행복을


최우선 조건으로 하여 결정되어야 함

4) 양육보장권(가정환경 및 대리보호에 대한 권리)

가) 성인과 달리 스스로를 보호할 수 없는 아동은 성장할 때까지


안전하게 양육될 권리를 가짐

나) 양육보장권은 아동의 발달에 적합한 가정 환경을 보장받아야


할 권리를 말함

다) 따라서 부모로부터의 방임이나 학대와 같이 가정 환경이


아동 발달에 부적합한 경우에 대리 보호자에 의해
건강한 대리 환경에서 보호받을 수가 있음

120
5) 복지권(기초보건 및 복리권)

가) 아동이 신체와 정신을 건강하게 발달시키고


타고난 신체와 지적 기능을 개발하고 행복하게 살기 위해서는
타고난 능력이나 상태와 상관없이 기초 보건을 유지하고
자신의 복리를 보장받을 복지권이 필요함

나) 특히 정상아가 아닌 경우 그 장애를 극복하고,


박탈가정에서 태어난 경우에는 그 환경의 문제를 극복하도록
사회가 지원해줘야 함

6) 교육권 및 문화향유권(교육, 여가 및 문화적 생활을 위한 권리)

가) 아동은 잠재된 능력을 개발하기 위해서 교육받을 권리가 있음

나) 특히 사회에 나가서 직업을 가지고 생활을 영위할 수 있는


기본 능력을 준비하는 교육과정이 제공되어야 함

다) 아동에게는 초, 중, 고등학교 과정의 정기 교육이 의무적으로


제공되는데, 이는 어디까지나 국가의 경제 사정에 의존함

라) 우리나라는 초, 중등학교 9년 과정을 의무교육으로 하고 있음

마) 5세아 무상 교육은 교육 환경이 열악한 농어촌부터 실시하기


시작해 이를 점차 확대 실시하고 있음

121
7) 특별보호권

가) 어떤 상황에서든 아동은 특별히 안전하게 보호받을 권리를 지님

나) 천재지변과 같은 재난, 전쟁, 위기 상황에서 아동은 최우선으로


보호되어야 함

다) 특별보호권은 정상 아동이나 특수 아동에 관계없이 주어지는


동일한 권리로 생각해야 함

2. 유엔아동권리협약
가 아동인권에 대한 인식 변화

1) 아동에게도 인권이 있다는 인식의 전환은 근래에 이루어짐

2) 르네상스
• 계몽사상의 영향으로 아동을 새롭게 발견하는 계기가 마련됨

3) 산업혁명 이후

가) 아동을 노동인력으로 이용
나) 아동의 혹사 문제와 더불어 열악한 생활환경에 대한 문제가 제기

122
4) 1923년 아동권리선언문

가) 제1차 세계대전 후 젭(jebb)에 의해 제정

나) 아동권리를 본격적으로 제안

다) 아동권리에 대한 제네바 선언(1924년)의 근간

• 아동권리선언의 선구는 1922년 영국의 국제아동기금단체연합이


발표한 세계아동헌장으로, 이 땅에 생명을 부여 받은 모든 아동이
그들의 신체적·심리적·정신적 행복을 위해 필요한 요소를 보장받
아야 함을 세계를 향해 선포하였음. 이는 모든 아동의 신체적,
심리적, 정신적 행복을 위해 필요한 요소를 부여 받아야 함을
세계를 향해 제시한 바 있음. 이것을 바탕으로 1924년 제네바에
서 개최된 〈국제연맹회의〉에서 제네바 선언 5개 항이 채택되었음

나 아동권리에 대한 제네바 선언문(1924) 5조항

1) 아동이 물질적으로나 도덕적 및 정신적으로,


정상적으로 성장하도록 도와주어야 함

2) 굶주린 아동에게는 먹을 것을, 병든 아동에게는 의료 혜택을,


장애가 있는 아동에게는 도움을, 부적응 아동에게는 감화를 주고,
고아나 기아는 수용되어야 함

3) 아동은 어려움에 처했을 때 먼저 구해져야 함

4) 아동에겐, 사회보장적 조치를 취해 주어야 하며 때가 되면


생계를 세울 수 있게 훈련되어야 하며 착취되어선 안됨

5) 아동은 자신의 재능을 가지고 동포에게 봉사한다는 자각을 갖도록


육성되어야 함

123
다 아동권리에 대한 제네바 선언문(1924)의 의의

1) 이 선언을 기초로 다시 UN에서 아동의 권리 선언(1959)이


있었으며, 국제 아동의 해(1979)를 제정하는 등
아동권리에 대한 관심이 모아짐

2) 실질적으로 아동권리를 보장하도록 하는 합의로 이어져서 아동권리


협약을 탄생시키고 많은 국가들이 이 협약을 비준하기에 이름

• 제2차 세계대전 이후 국제연합(UN)은 제네바 선언을 재검토하여


10개 조항으로 확장된 〈아동권리선언〉(Declaration of the
Rights of the Child)이 1959년 11월 20일 제 14차 총회에서
채택됨

라 UN의 아동의 권리선언(1959) 10조항

 제1조: 아동은 이 선언에 열거된 모든 권리를 갖는다.


모든 아동은 어떠한 예외도 없이 자기나 가정의 누구에게도
그 인권, 피부색, 성, 언어, 종교, 정치적 견해, 국가적 또는
사회적 출신, 재산, 문벌, 기타의 지위로 인하여 차별 받는 일이
없이 이들 권리가 부여되어야 한다.

 제2조: 아동은 특별한 보호를 받으며 건전하며 정상적인 방법 및


자유와 존엄의 상태 하에서 신체적, 지능적, 도덕적, 정신적 및
사회적으로 성장할 수 있는 기회나 혜택을 법률 기타의 수단으로
제공되어야 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법률을 제정함에 있어
아동의 최선의 이익에 대하여 최대의 고려가 주어져야 한다.

124
 제3조: 아동은 그 출생부터 이름과 국적을 가질 권리가 있다.

 제4조: 아동은 그 사회보장의 혜택을 받을 권리를 갖는다.


아동은 건전하게 발달하여 성장할 권리를 갖는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아동과 그 어머니는 출산 전후에 있어 적당한 보호를 포함하
는 특별한 보호를 제공해 주어야 한다. 아동은 적당한 영양, 주거,
오락 및 의료를 권리를 갖는다.

 제5조: 신체적, 정신적 또는 사회적으로 장애가 있는 아동은


그 특수 사정에 의해 필요 되는 특별한 치료, 교육 및 보호를
제공받아야 한다.

 제6조: 아동은 그 인격이 완전하며 조화적 발전을 위해 애정과


이해를 필요로 한다. 아동은 가능한 양친의 사랑과 책임 하에 또한
어떠한 경우에도 애정과 도덕적 및 물질적 보장이 있는 환경 하에
서 양육되어야 한다. 유아는 예외적인 경우를 제외하고는 그 어머
니로부터 분리시켜서는 안 된다. 사회나 공공기관은 가정이 없는
아동 및 적당한 생활유지의 방법이 없는 아동에 대해 특별한 양육
과 보호를 줄 의무를 지니고 있다. 자녀들이 많은 가정에 속하는
아동을 돕기 위해서는 국제나 기타 기관이 비용을 부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125
 제7조: ① 아동은 교육 받을 권리를 갖는다.
그 교육은 적어도 초등단계에서는 무상 또는 의무적이어야 한다.
아동은 그의 일반적 교양을 높이며 기회균등의 원칙에 입각하여
능력, 판단력 및 도덕적 또는 사회적 책임감을 발달케 하여
사회의 유용한 일원이 될 수 있도록 교육 받을 수 있게 해야 한다.
② 아동의 교육 및 지도에 대해 책임을 갖는 자는 아동에게 최선의
유익함을 제공하는 것을 그 지도의 원칙으로 삼아야 한다.
그 책임은 첫째로 양친에게 있다.
③ 아동은 유희 및 오락을 위한 충분한 기회를 제공받을 권리를 갖
는다. 그 유희나 오락은 교육과 동일한 목적을 갖고 지향해야 한다.
사회나 공공기관은 그 권리의 향유를 촉진하도록 노력해야 한다.

 제8조: 아동은 어떠한 상황에서도 우선 보호와 혜택을 받는 사람


들 속에 포함되어야 한다.

 제9조: ① 아동은 어떠한 방임이나 학대 및 착취 등으로부터


보호를 받아야 한다. 아동은 어떠한 형태에서도 매매의 대상이
되어서는 안 된다.
② 아동은 적당한 최적연령에 도달하기 전에 고용되어서는
안 된다. 아동은 어떠한 경우에도 그 건강과 교육에 유해하거나
신체적, 정신적 또는 도덕적 발달을 가로막는 직업 또는 고용에
종사케 하거나 종사하는 것을 허용하여서는 안 된다.

126
 제10조: 아동은 인종적, 종교적 기타 형태에 의한 차별을 조장할
우려가 있는 관습으로부터 보호되어야 한다. 아동은 이해, 관용,
국민들 간의 우애, 평화 및 세계 시민의 정신으로 또는 그의 힘과
재능을 인류를 위하여 헌신해야 한다는 충분한 의식 속에서 육성
되어야 한다.

마 아동권리협약(Convention on the Rights of the Child)

 어린이에게는 행복하게 누려야 할 많은 권리가 있음

 아동권리협약(Convention on the Rights of the Child : CRC)


은 18세 미만 아동의 모든 권리를 담은 국제적인 약속으로
1989년 11월 20일 유엔에서 만장일치로 채택되었음

 우리나라를 포함한 전 세계 196개국(2016년 기준)이 지키기로


했으며 유엔아동권리협약에는 이 세상 어린이라면 누구나
마땅히 누려야 할 생존·보호·발달·참여의 권리가 담겨 있음

127
<유엔 아동권리협약의 4가지 권리>

1) 1989년 11월 20일에 UN에 의해서 채택된 국제인권협약


: 192개국 비준 및 서명

2) 우리나라도 1991년 비준, 1994년 첫 보고서 제출

128
3) 모두 54조로 구성

• 어린이가 누려야 할 모든 권리를 담은 유엔아동권리협약은


각 나라에서 어린이 상황을 개선하는 기반이 됨

• 아동권리협약은 전문과 54개 조항으로 구성되며 1조부터 40조까지


실제적인 아동권리 내용을 담고 있음
모든 권리들은 서로 연관되어 있으며 모두 똑같이 중요하며
아동권리협약을 보완하는 3개의 선택의정서도 있음

가) 제1조~41조: 아동이 가지는 여러 가지 권리 규약

나) 제42조~45조: 당사국의 아동권리 이행에 대한 사항

다) 제46조~54조: 비준 가입의 문제와 협약의 개정에 관한 사항

4) 아동권리협약(1989)의 아동권리 54개 조항을 크게 세 가지로 세분

가) 아동에게는 생존과 발달에 필요한 모든 인간적·물질적 지원을


제공받고 또 이를 사용할 권리가 있음

① 이름과 국적을 가질 권리

② 보건과 영양 공급 및 교육받을 권리

③ 여가 및 놀이를 즐길 권리

④ 지체부자유아동이나 고아도 예외 없이 이 권리를 누리며


보호받을 권리

129
나) 아동은 모든 유해한 행위로부터 보호받을 권리가 있음

① 아동은 부모로부터 격리되어서는 안됨

② 노동이나 상업적·성적 착취, 육체적·정신적 학대와 방임,


전쟁과 재난으로부터 보호받을 권리

다) 아동에게는 자신의 인생에 영향을 미칠 중대한 결정에 대해 알


권리가 있음

① 아동은 성장과 더불어 책임 있는 성년기에 대한 준비로


사회활동에 참여할 기회를 더욱 많이 가져야 함

5) 아동권리협약에서 표현하는 아동권리에 대한 주요 원칙

가) 제 2조 무차별 원칙

나) 제 3조 아동이익 최우선 원칙

다) 제 12조 표현의 자유와 참여원칙

라) 이것은 서구 이념과 생태문화환경에 적합한 원칙


생태문화환경이 다른 사회에서는 위의 주 원칙 이외에
다른 원칙이 더 우선적으로 요구될 수도 있음
(예: 생존보장의 원칙, 생존권리와 발달원리)

130
6) 생존 보장의 원칙

• 국가는 모든 아동이 생명에 관한 고유 권리를 가지고 있음을


인정하고(제6조 1항) 가능한 한 최대한으로 아동의 생존과
발달을 보장(제6조 2항)해야 함

7) 아동의 생존권리

가) 적정한 생활수준을 누릴 권리
나) 의료 서비스를 받을 권리
다) 교육, 놀이, 여가, 정보를 누릴 권리(발달의 권리)
라) 문화 활동을 할 권리
마) 생각, 양심, 종교의 자유를 누릴 권리
바) 각종 착취와 만행, 가족과의 인위적 격리
사) 형법의 폐습으로부터 보호받을 권리

131
8) 그 외에 아동의 생존권리와 발달권리

가) 아동은 출생 후 즉시 등록되고 출생 시부터 성명권과


국적 취득권을 가지며, 가능한 자신의 부모를 알고
부모에 의해서 양육될 사회적 권리를 가짐(제7조 1항)

나) 부모와의 분리는 아동의 최상의 이익을 위해서 필요하다고


할 때 까지만 가능하며 아동이 원하지 않는 경우에는 부모와
분리되지 않아야 한다는 원칙을 내포함
부모와의 분리는 아동학대·유기 및 부모의 별거 등으로 인해
아동의 거취에 관한 결정이 내려져야 할 특수한 경우에만
필요한 일임(제9조 1항)

다) 1항의 규정에 의한 어떠한 절차에서도 모든 이해 당사자는


그 절차에 참가하여 자신의 견해를 표시할 기회를 부여 받음
또한 이러한 경우에도 아동의 이익이 최선의 이익에 반하는 경우
외에는 부모 한 사람 혹은 두 사람과 분리된 아동이 정기적으로
부모와 개인적 관계 및 직접 면접 교섭권을 가짐(제9조 3항)

132
9) 무차별 원칙

가) 부모나 후견인의 인종, 피부색, 성별, 언어, 종교, 정치적 견해,


기타의 의견, 민족적·인종적·사회적 출신, 재산, 능력 유무,
출생이나 기타 신분에 관계없이 아동의 권리를 존중하고
보장하는 것(제2조 1항)

나) 부모, 후견인, 가족 구성원들이 신분 활동 의견이나 신념 등의


이유로 행하는 모든 형태의 차별이나 처벌로부터 아동이 보호
되도록 하는 모든 적절한 조치를 뜻함

10) 아동이익 최우선 원칙

가) 공공기관이나 민간사회복지기관·법원·행정당국이나 입법기관


등에 의해서 실시되는 아동에 관한 모든 활동에서 아동의 이익이
최우선으로 고려되는 것(제3조 1항)을 말함

나) 국가는 아동의 부모 혹은 후견인이나 아동에 대해서 법적 책임이


있는 자의 권리와 의무를 고려하여 아동복지에 필요한 보호와
배려를 아동에게 보장하고 이를 위한 모든 적절한 입법적·행정적
조치를 취해야 함 (제3조 2항)

다) 국가는 아동에 대한 배려와 보호에 책임 있는 기관, 편의 제공


시설이 관계 당국이 설정한 기준, 특히 안전과 위생 분야 그리고
직원의 수 및 적격성은 물론 감독 기준에 따를 것을 보장하여야 함
(제3조 3항)

133
11) 아동의 의사존중의 원칙

가) 참여의 권리를 인정해 주는 원칙

나) 아동이 자신의 의사를 표시할 자유와 자기 생활에 영향을 주는


일에 대해서 말할 수 있는 권리, 책임감 있는 성인이 되기 위해
아동의 능력에 부응해 적절한 사회 활동에 참여할 기회를 가질
권리를 인정하는 것

12) 국제협약의 특징

가) 종래의 아동권리가 선언적 특성을 가졌던 것에 비추어


구속력 있는 아동의 권리를 구체적으로 제시

나) 아동을 소극적 보호 대상에서 벗어나 적극적인 권리의 주체로 규정

다) 정부 및 민간 차원에서 아동의 이익을 최우선으로 규정

라) 아동의 적극적 권리로서의 의사 표시권과 자기결정권을 보장

134
3) 국제협약의 아동권리 중 주된 원칙 4가지

가) 무차별원칙

나) 아동이익 최우선 원칙

다) 아동의 생명존중과 발달보장의 원칙

라) 아동의 의사존중의 원칙

• 구체적이고도 실천적 협약을 조인한 지 십여 년이 지난 현재,


국제협약의 아동권리 중 주된 4가지 원칙에 비추어
우리나라 아동의 가정 및 사회환경이 어떠한지 검토 필요성을 가짐

135
바 아동권리의 근거

1) 생존권 및 성장발달권의 근거

• 생존권(제6조)

• 발달권(제6조)

• 사생활보호권(제16조)

2) 시민권과 자유권의 근거

• 성명권(제7조)

• 국적취득권 및 신분보존권(제7조)

• 표현권(제8조)

• 사상·양심·종교 자유권(제14조)

• 결사집회자유권(제15조)

• 사생활보호권(제16조)

• 정보접근권(17조)을 포함

• 고문 및 기타 비인도적 취급을 받지 않을 권리(제37조) 등

136
3) 양육보장권의 근거

• 부모와 함께 살 권리(제18조)

• 부모로부터 지도와 감독을 받을 권리(제5조, 제18조)

• 학대 등의 경우에 부모로부터 분리가 가능한 권리(제9조)

• 가족재결합 권리(제10조)

• 아동의 양육비 회수 권리(제27조 4항)

• 각종 폭력과 학대로부터 보호될 권리(제19조 제32조)

• 성적 학대로부터 보호될 권리(제34조)

• 박탈환경으로부터 보상받을 권리(제20조)

• 입양 시 아동이익 우선 권리(제21조)

• 불법 해외이송 및 미귀환 방지권(제11조)

• 부모의 아동양육 일차 책임 부여(제18조 1항) 및


국가의 아동양육 보조시설 설치 의무(제18조 2항)

• 취업모를 둔 아동의 양육보조시설 이용권(제18조 3항)

• 사회보장권(제26조)

• 노동 또는 경제적 착취로부터 보호될 권리(제32조)

• 아동복지의 어떠한 측면에 대해서도 착취로부터 보호될 권리


(제36조) 등

137
4) 복지권(기초보건 및 복리권)의 근거

• 건강보장권(제24조)

• 신체적·정신적 건강의 관리 및 보호 또는 치료의 목적으로


양육 지정 조치된 아동에게 제공되는 치료 및 양육 지정과 관련
된 모든 사정에 대해 심사 받을 권리(제25조)

• 장애아동의 권리(제23조)

• 사회보장 및 아동보호시설의 권리(제26조)

• 생활수준 향유의 권리(제27조 1항), 1항과 관련해 부모의 책임


을 확인하고(제27조 2항), 2항과 관련해 영양, 의복, 주거 등
필요한 지원을 국가로부터 받을 권리(제27조 3항) 등

• 제 24조 건강보장권의 2항: 예방적 건강관리권이 6개 포함(세부항목)

① 유아와 아동의 사망률을 감소하는 조치

② 필요한 의료지원과 건강관리의 제공 보장

③ 환경오염의 위험과 손해를 감안하여 충분한 영양식 및


깨끗한 음료수의 제공 등을 통한 질병과 영양실조로부터의 방지 권리

④ 모유수유와 위생 및 환경정화

⑤ 사고예방에 관한 기초지식의 활용에 대한 정보 제공 및


교육과 지원을 받을 권리

138
139
1. 한국의 아동권리 상황 정리
 유엔국제협약을 비준한 우리나라 비준국의 의무
- 5년마다 이에 대한 보고서를 UN에 제출

 현재까지 한국정부는 국가보고서를 3회 제출 &


그에 대한 심사결과를 통고 받음

140
가 1차 보고서(1994)

 한국 정부의 아동권리협약의 이행 노력에 대한 것

1) UN아동권리위원회의 권고사항 14개 항목

① 9조 3항 자녀의 부모 면접권 보장

② 대국민 홍보와 교육제안

③ 아동관련업무 종사자들에게 구체적 협약내용 교육 권고

④ 정부가 3가지 원칙- 차별금지, 아동이익최우선, 아동견해 존중


기본원칙을 입법과정에 반영할 것

⑤ 협약이행여부와 아동불평등 검토하는 옴부즈맨제도


설립하도록 권함

⑥ 정보수집체계 개선, 지표확인, 발전 정도 평가

⑦ 아동의 권리 실현을 위한 이용가능자원 극대화와 불이익을 받고 있는


아동집단에 특별한 관심 둘 것

⑧ 정부가 기본자유보장, 가정학교사회활동에 참여 증진 시킬 것

⑨ 가정에서 양육, 발달되도록 정부가 추가조치

⑩ 유기와 학대 및 가정폭력방지, 적절한 회복 중재

⑪ ④를 교육정책에 반영하기

⑫ 노동 관련한 법 개정

⑬ UN기준에 적합한 법 개정

⑭ 이러한 노력을 공적으로 보이는 조치, 국가보고서, 심의요약보고서,


UN아동권리위원회의 권고 사항 등의 기록을 널리 배포할 것

141
나 2차 보고서(2000.05)

1) 유엔아동권리위원회는 이를 심의하고 몇 가지 권고의견을 제시

• 1997년 가정폭력특별법 아동학대의 조사와 보고를 규정

• 2000년 청소년(성)보호법
: 19세 미만 청소년으로부터의 성 매수를 범죄로 규정

• 2001년 국가인권유엔아동권리위원회의 설립

2) 아동권리협약의 이행 진전을 위해 이루어진 입법과 위원회의


설립 및 취업최저연령이 15세로 높아진 것을 바람직하게 평가

3) 최초 보고서에 대한 권고의견에 포함된 권고사항 중 아직도


이행되지 않거나 유보된 몇몇 사항에 대해서 이행할 것을 촉구

무차별 원칙(2조), 아동의 최상의 이익존중(3조)


생명발달권(6조), 연령과 성숙도에 따른 어린이의 견해존중(12조)

• 어린이 관련 법력에 적절히 통합

• 어린이에게 영향을 미치는 모든 정치적, 사법적, 행정적 결정과 사업에


적용되기를 권고

• 모든 수준에서의 정책 입안, 결정과정 및 사회복지, 보건, 교육당국, 법원,


행동당국에 의해 취해지는 모든 조치에 이들 원칙을 적용할 것을 권고

• 법적으로 우리나라의 국내법이 아동권리협약의 원칙과 조항에 완전히


부합하도록 보장하기 위해 필요한 모든 조치를 취할 것을 권고

142
4) 2002년 5월 유엔아동특별총회 및 아동특별 총회 결과문

• 아동권리협약상의 모든 권리: ‘어린이가 살기 좋은 세상’에서


약속된 사항을 포함할 수 있도록 2001년 마련된 어린이보호
육성계획의 범위를 확대할 것을 권고

• 유엔아동권리위원회는 당사국이 어린이를 대상으로 하는


모든 정책과 사업을 조정하는 중앙상설기구를 마련

• 중앙상설기구: 업무를 효율적으로 수행하는 데 필요한 권한과


재정적, 인적, 물적 자원을 부여할 것을 권고

• 국가인권위원회에 최소한 1인의 아동권리전문가로 위원을


두거나 아동 권리에 관한 소 권리 위원회를 설립 권고

• 어린이 친화적인 방식으로 어린이가 제기하는 청원을 접수, 조사,


대처하는 국가인권위의 기능을 널리 알림
→ 어린이가 국가인권위에 쉽게 접근할 수 있게 보장하도록 권고

143
5) 아동의 권리 상황의 정리

• 최근 2년간 경제회복에도 불구 보건과 교육 분야에서


한국 정부의 어린이 관련 중앙예산이 1997년 이후
점점 줄어들어 왔음을 우려

• 현재와 같은 수준의 지출 = 전국 및 지방차원에서 어린이 권리의


보호와 증진을 우선적으로 다루기에 충분치 않음

• 한국과 비슷한 경제발전 수준에 있는 다른 나라의 예산 분배


정도에 비해서도 낮은 수준이라고 평가

6) 다음과 같은 조치를 취함으로써 협약 4조의 완전한 이행을 위해


특별히 주의를 기울일 것을 권고

• 어린이권리 홍보 캠페인을 실시 권고(일반국민, 특히 어린이를 대상)


: 어린이, 일반국민, 어린이 관련 전문가들이 협약과 협약이 보장하고
있는 어린이의 권리를 잘 알고 있지 못한 점을 우려

• 아동권리협약에 대한 체계적인 교육훈련 실시(일반국민, 특히 어린이를


대상): 아동관련 전문가들을 대상(특히 교사, 판사, 의원, 경찰 등 사법
집행관련 공무원, 일반 공무원, 지자체 공무원, 어린이 수용시설 종사자,
정신과의사를 포함한 보건의료 종사자, 사회복지사 등)

• 3, 4차 보고서를 2008년까지 제출 & 그 후 매 5년마다 제출하기를 제안

144
7) 국내에서도 평가

• 아동권리에 대한 인식 부족과 협약 이행에 대한 의미 및


관심 부족의 문제가 지적 됨

• 아직 우리 사회가 아동의 인권에 대한 인식이 미약


– 아동의 권리를 법제화하여 그를 실천할 필요가 있음을 반영

• 아직도 아동에 관한 편견과 아동 권이 위반의 사례들이 있는 것


으로 평가 받음

• 심의 위원회 전문가들은 한국 정부에서 아동의 권리를 개선하기


위해 법률 개정, 새로운 제도 도입 등 몇몇의 비중 있는 계획들을
실행하였지만, 입법적 체계, 정부 부처들과 프로그램들 간의 조화
문제, 아동들의 빈곤문제, 이주아동, 체벌, 발언권, 입양 이슈와
헤이그 협약, 우울증과 자살 등 청소년들이 겪는 이슈들, 아동권리
를 담당하는 옴부즈맨, 미혼모들의 상황, 차별문제, 미성년 노동,
낙태 등의 이슈들이 남아 있음에 문제를 제기

• 아동권리의 국내 상황에 대한 객관적 평가와 더불어 앞으로의


계획이 또 다시 수립, 보완될 것

145
다 3차 보고서(2008)

1) 성과

• 2011년 8월 개정된 입양특례법

• 2011년 9월 개정된 민법

• 2011년 3월 개정된 초,중등교육법시행령

• 2011년 제정된 자살예방 및 생명존중문화 조성을 위한 법률

• 2010년 3월 개정된 가사소송법

• 2011년 제정된 장애아동복지지원법

• 2011년 개정된 아동복지법

• 2011년 개정된 다문화가족지원법

2) 여전히 지켜지지 않은 권고사항들

• 1차보고서
: 아동매매, 아동성매매, 아동음란물, 아동무력분쟁참여 등

• 2차보고서
: 국가인원위원회 내 아동권리 분과위원회 설립,
체벌의 전면적인 금지, 아동의 고도의 스트레스 줄이기 위한
교육정책 검토와 관련된 사항 등

146
3) 권고사항

입법-낙태 아동 최상의 이익의 원칙에 전면 합치하도록 청소년 미혼모가


관련법률 안전하게 낙태하고 불법낙태 및 입양강요에서 보호

국가행동계획 국가인권정책기본계획 2007-2011의 채택 환영

아동모니터링센터가 법적 지위를 갖고 권한과 예산책정에


독립모니터링
독립성을 갖도록 촉구

대한민국의 높은 경제발전 정도 및 OECD 수준에 좀더 걸맞도


자원할당
록 협약이행을 위해 배정된 재원 수준 검토 및 증가 촉구

자료수집 빈곤아동에 대한 자료 부족, 일관성 있는 체계 설립하기

보급, 인식 제고
학교 교과과정에 아동권리와 인권 교육
및 교육 연수

국제협력 국민총생산(GNP)대비 국제원조 기여 낮음

이외 강제아동노동, 차별금지법, 자살예방노력, 아동견해표현 등

라 5, 6차 보고서(2017)

 대한민국 정부는 2011년 이후 국내 아동권리 분야의 성과와 한계


등을 담은 제 5,6차 국가 보고서를 2017년 12월 유엔아동권리
위원회에 제출

 이후 2019년 9월 18~19일 보건복지부·교육부·외교부·법무부


등 관계부처로 구성된 정부 대표단이 스위스 제네바에서 열린 유엔
아동권리위원회에 참석해 위원들로부터 제 5,6차 국가보고서에
대한 심의를 받음

147
1) 내용

• 입양허가제를 도입하여 입양관련 조항(제21조 가목) 유보를 철회

• 「아동학대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제정 등 우리 사회에서


학대를 포함한 아동폭력에 관한 인식을 제고하였으며,

• 제1차 아동정책기본계획(2015-2019)를 수립하여


아동중심의 통합적 관점을 제시하였으며,

• 아동총회·아동의회·청소년특별회의 등 아동참여를 촉진하기


위한 다양한 시도가 있었음

• 또한 실태조사에 근거하여 청소년미혼모·이주아동·성소수 아동


등을 배려하고자 한 여러 정책적 노력들도 눈여겨볼 수 있음

2) 2019년 유엔아동권리위원회의 권고사항과 이행과제

• 유엔아동권리위워회는 난민법 제정(2012),


아동학대처벌법 제정(2014) 및 학대방지 예산의 확대,
입양허가제 도입 등에 따른 유보조항 철회(2017),
아동수당 도입(2018), 아동정책 영향평가체계 수립(2019),
아동 성범죄의 처벌 강화, 남성 육아휴직 및 한부모가정 지원
확대 등에 대해 매우 고무적이라고 하는 등
그간 우리나라의 정책적 노력에 대해 긍정적으로 평가함

148
• 반면, 유엔아동권리위원회는 다음의 사항에 대한 우려의 의견을 제시함

– 아동 관련 예산 규모가 국내총생산(GDP)에 비해 여전히 낮은 점

– 경제적으로 소외된 아동, 장애아동, 이주아동 등이 차별을


경험하고 있는 점

– 높은 아동 자살률과 가정 내 아동학대 발생률

– 지나치게 경쟁을 부추기는 교육 환경

– 형사 미성년자 연령을 만 13세 미만으로 낮추려는 제안

• 그리고 유엔아동권리위원회는 아동 관련 예산의 증액, 아동 자살의


근본 원인을 제거하기 위한 노력 강화, 모든 체벌의 명시적 금지,
교육 시스템 경쟁 완화, 형사 미성년자 연령의 만 14세 미만 유지 등
을 주문함

• 그 외 가습기 살균제 피해자들을 위한 충분한 구제, 배상, 보편적


아동등록제의 도입, 베이비박스 금지와 그 대안으로 익명 출산제의
검토, 성매매 연관 아동에 대한 보호 처분 폐지 및 피해자 대우 아동
의 이민자 수용소 구금 금지, 이주아동에 대한 자료수집 및 지원 강화
등을 권고함

• 위의 최종 견해에 대한 우리나라의 후속조치 등을 담은 제7차 국가


보고서는 2024년 12월까지 유엔아동권리위원회에 제출하여야 함

149
2. 아동권리에 비추어 본 아동복지 과제
 아동권리의 국제적 기준에 비추어 보면,
우리나라 아동복지 현실에는 개선되어야 할 과제가 많이 남아 있음

 특히 경쟁적 교육환경 속에서 아동이 경험하는 스트레스 방지와


자살예방을 위한 교육정책의 개혁, 사교육에 대한 의견과 불평등을
해결할 수 있도록 공교육의 강화, 한국의 높은 경제발전 정도 및
OECD 수준에 걸맞도록 아동에 대한 국가 재정투자 확대 등의
정책과제를 남겨두고 있음

가 권리 이행을 위한 과제

 제5·6차 최종견해에서 개선을 권고한 사항 가운데,


협약 이행의 가장 기본적인 조치가 되는 일반이행조치와
시급한 이행이 필요한 것으로 제시된 클러스터 및 이슈,
그리고 아동이 권리당사자로 능동적인 권리를 행사하기 위한
시민적 권리와 자유를 중심으로 그 내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음

150
1) 협약 이행을 위한 일반조치

• 당사국은 협약 이행의 책무를 가지고 있으며, 이행은 협약상의


아동권리의 실현을 보장하기 위한 조치를 취하는 과정(일반논평5)

• 협약 제4조에서는 당사국이 협약의 권리 실현을 위해서


‘모든 입법적·행정적 및 기타 조치’를 취할 것을 요구하고 있음

• 즉, 당사국은 자국의 모든 법률 및 제도, 행정 및 기타 조치들이


협약에 부합할 뿐 아니라 협약의 모든 권리를 적극적으로 보장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것

2) 비차별

• 협약 제2조에서는 기본적인 원칙으로 아동이나 부모의


어떠한 조건이나 신분, 상태, 견해 등과 관계없이 차별받지 않고
협약의 권리가 존중되고 보장받도록 하고 있음

• 이러한 비차별 원칙은 당사국의 관할권 내 모든 아동에게 해당


하는 것

• 차별금지를 위한 입법적 조치 등의 권고가 지속되어 왔는데,


제5·6차 최종견해에서는 이와 함께 관할권 내 모든 아동에게
보편적인 서비스의 접근권을 보장하고 지원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강조하고 있음

151
• 이주배경이나 지역, 장애, 경제적취약성 등에 따라 아동을 위한
서비스나 지원에 차별을 경험할 수 있다는데 우려를 표명하고,
모든 아동이 동일하게 출생신고, 보육 및 교육, 보건, 복지, 여가 관련
서비스 등의 접근권을 보장받도록 할 것을 권고하고 있음

• 또한 권리당사자인 아동의 의견을 비중있게 수렴하여 학교 안에서


성적에 근거한 차별을 방지하기 위한 조치를 취할 것을 권고하고 있음

• 이러한 협약의 원칙은 최종견해 전반에 구체적인 이슈로 제시되어


있는데, 특히 이주배경 아동의 출생신고, 아동수당, 의무교육,
국민건강보험 접근, 그리고 이중적인 어려움으로 장애 및 학대피해를
경험한 이주배경 아동에 대한 동일한 개입 및 서비스 접근 등이 개선
및 보장 이슈로 다루어지고 있음

3) 생명, 생존 및 발달의 권리

• 협약 제6조에는 아동의 생명에 대한 고유한 권리를 인정하고


아동의 생존과 발달을 최대한도로 보장하도록 하고 있는데,
이는 협약을 이행하는데 핵심적인 요소임

• 기존 권고는 협약의 기본 원칙의 이행차원에서 권고하였다면,


제3·4차부터는 아동자살을 아동의 기본권을 침해하는 심각한
이슈로서 제시하고 있음

• 우리나라 정부는 아동자살 방지를 위해서 관련 법률을 제정하고,


국가계획을 수립하여 시행하고 있지만 유엔에서는 근본적인
해결을 위한 체계적인 접근과 관련 예산이 미흡하다고 보고,
보다 근본적인 조치를 포함한 적극적인 해결노력을 촉구함

152
• 또한 제5·6차에서는 아동의 생존과 발달을 침해하는 구체적인
이슈로 아동의 가습기 살균제 피해 사건과 미세먼지 및 석면 노출
문제를 제시하고 이에 대한 정부의 미흡한 대응과 조치에 대해
개선을 촉구함

4) 아동에 대한 폭력

• 협약 제19조에서는 아동에 대한 신체적, 정신적, 폭력이나 학대,


방임, 성적학대나 착취 등의 모든 형태의 폭력으로부터 아동을
보호하기 위한 모든 적절한 조치를 취해야 함을 명시하고 있음

• 아동에 대한 폭력은 폭력의 형태나 경중과 상관없이 정당화할 수


없고 용납될 수 없음을 분명히 하고 있음(일반논평 13)

• 유엔은 우리나라 정부에 대해 「아동학대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 제정 등 아동보호를 위한 노력은 일정부분 인정하지만
여전히 체벌이 훈육의 일환으로 이루어지고 있고, 아동학대 피해
급증과 온라인 및 학교 폭력 발생률이 높은 것을 우려함

153
• 특히 체벌과 관련하여 부모의 징계권으로서 체벌이 허용될 여지로
오용될 수 있는 법조항(민법 제915조)이 존재하고, 학교에서 간접
체벌은 사실상 금지되고 있지 않고 있는 실정에 따라 모든 환경에
서 모든 형태의 체벌을 명시적으로 금지할 것을 권고함

• 이는 아동을 권리를 가진 개인으로서 인식하여 인간적 존엄성과


신체적·심리적 온전성을 존중하고 증진하는 방향으로 아동 돌봄과
보호의 패러다임이 변할 것을 요구(일반논평 13)하는 것

• 한편, 성적 학대 및 착취와 관련해서는 아동에 대한 성범죄 범위를


확대하고 처벌을 강화하는 법 개정 및 일련의 조치에 대해 긍정적
으로 평가함

• 그러나 온라인 성매매 및 그루밍 증가와 교사에 의한 성희롱 등을


포함 아동에 대한 성폭력이 여전히 발생하고 있고, 만 13세 이상
아동은 성적 자기결정권이 있는 것을 인정되어 성적 학대 및 착취
로부터 보호되지 못하는 점, 성매매 아동이 범죄자로 취급되어
보호처분 대상이 되고, 서비스나 지원이 부재한 점 등에 대해
우려를 표명함

• 이에, 온라인 성매매와 그루밍을 포함하여 모든 형태의 성적 착취


및 학대를 방지하고 대응하기 위한 조치를 강화하고, 성적 행위
금지 대상 연령을 상향하고, 성매매 등 성적 착취 및 학대와 연관
된 아동을 법적으로 피해자로 명시하고 피해자로서 처우와 지원을
강화할 것을 권고함

154
5) 교육

• 협약에서는 교육의 목적을 아동의 개성과 재능, 능력을 개발하고


사회에서 완전하고, 만족스러운 삶을 향유하도록 하는데 있음
(일반논평1)

• 그러나 제 5·6차 최종견해에서는 우리나라의 극심한 경쟁적


교육체제는 협약의 교육의 목적과 거리가 멀고, 아동의 생활양식
전반에 영향을 끼쳐 수면이나 신체활동 부족, 여가와 놀이 부족
으로 이어질 뿐만 아니라 높은 수준의 스트레스를 야기하고
자살의 주요한 원인이 되는 것에 우려를 표명함
그리고 이는 사실상 아동기의 사실상 박탈하는 것으로 평가함

• 경쟁적인 교육체계 개선은 전 회차에 걸쳐 지속적으로 권고된 사안으로,


공교육 정상화를 위한 정부의 일련의 조치가 있었지만 실질적인 변화는
미비한 것으로 평가됨

• 이에, 유엔에서는 경쟁완화를 목표로 대학입시제도를 재검토하고


협약에 부합하게 공교육 제도를 전향적으로 개선할 것을 촉구함

• 이와 함께 이주배경, 지역, 경제적 취약성과 상관없이 모든 아동이


의무교육과 주류학교에 대한 접근성을 보장 받도록 지원을 강화하며,
학교 중퇴 아동의 근본원인을 파악하여 효과적으로 대응할 것을 권고함

• 또한 아동발달의 핵심요소로서 휴식, 여가 및 놀이가 보장받을 수


있도록 인식제고하고, 충분한 시간과 안전하고 접근성 있는 시설을
마련할 것을 권고함

155
6) 소년 사법

• 제5·6차 견해에서는 특별한 보호가 필요한 아동에 대한 조치


가운데, 소년사법 체계 내에 있는 아동에 대해 특별한 주의와
지원을 촉구함

• 협약 제40조에는 소년사업에서의 절차, 유죄로 인정받은 아동에


대한 조치와 처우 등과 관련하여 협약의 정신에 부합하게 아동의
권리를 존중하고 보장할 것을 규정하고 있음

• 우리나라정부에 대해서 형사 책임연령을 만 13세 미만으로


낮추려는 여론 및 개정안 발의, 범죄를 저지르지 않은 ‘우범소년’의
구금을 규정하는 관련법, 사법 절차상에 법적 조력이나 지원의 미비,
성인에 비해 높은 구금율과 과밀수용, 성인과 함께 수용하는 사례,
재량에 따른 징계 조치 남용 등에 대해 우려를 표명함

• 협약에서는 성장과 발달과정 속에 있는 아동의 특수성을 인정하고


한 개인으로의 건설적인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수사, 재판,
형집행의 전 과정에서 아동의 사회복귀와 회복을 소년사법의
목적으로 두고 있음(국가인권위원회, 2015)

156
• 따라서 유엔에서는 우리나라의 소년사법 관련 법률과 조치가
비행을 예방하고, 사법절차에 의존하지 않는 개입을 지향하며,
공정한 재판을 보장하고, 자유박탈은 최후수단으로 조치하는 등
(일반논평 10) 협약과 국제사법 기준에 일치하는 방식으로 이루어
지도록 권고하고 있음

• 소년사법전문법원 설립과 함께 형사책임 최소연령의 기존 유지,


소년법상 우범소년을 폐지를 권고하였으며, 조사 및 재판과정에
있어서 법정 후견인 참여 및 법적 조력 제공, 법률 구조 제도를
수립하고, 비구금형을 촉진하는 한편 구금시설의 처우가 적절하고
아동의 권리가 보장될 수 있도록 개선할 것을 권고함

7) 시민적 권리와 자유

• 협약에서는 인간의 권리로서 아동기를 강조함으로써 아동을


성인과 다름없는 시민으로 봄(이재연 외, 2018)

• 시민적 권리와 자유는 아동이 한 인간으로서 그리고 시민으로서


살아가기 위한 기본적인 권리로서 보장되는데, 아동이 출생과
더불어 자신이 어떤 사람인가를 엄연히 확립하고 신분을 보장하
기 위한 성명·국적권(제7조)과 신분유지(제8조)의 권리를 규정
을 두고 있음

157
• 제5·6차 최종 견해에서는 관련하여 제3·4차에 이어 특히
이주배경 아동이 부모의 법적 지위나 출신에 관계없이 출생신고를
할 수 있도록 보장할 것을 촉구하였으며, 정체성에 대한 권리 보장
으로 아동유기가 허용될 여지가 있는 베이비박스를 금지하고,
익명출산제 도입은 최후의 수단으로 고려할 것을 촉구함

• 또한 협약에서는 아동이 권리의 주체자이며 시민의 한 사람으로서


적극적인 권리를 향유를 보장하고 있는데(제14~제17조),
학교에서 성적을 이유로 표현과 참여의 권리가 제한되고 있으며,
결사 및 평화적 집회의 자유 등 정치적 권리는 미비함을 우려하며,
표현의 자유를 온전히 행사하도록 법률 및 학교 규정을 개정할 것과,
현재 만 19세로 규정된 선거연령 및 정당 가입 연령 하향을 고려
하도록 권고함

• 이러한 권리보장은 아동이 시민으로서의 권리를 누릴 뿐 아니라,


시민으로서 필요한 기술과 역량을 함양할 수 있는 경험과 기회를
제공해 줄 수 있음

• 또한 제5·6차에서는 개인의 존엄성과 신망과 관련하여 사생활에


대한 권리 보장으로서 학교에서 개인정보 및 사생활 보호를 위한
구체적인 조치, 정보수집에 있어 아동친화적인 절차 개발 및 적용
에 대해 권고함

158
나 아동복지의 과제

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우리나라 아동의 권리가


많은 부분에서 향상된 것만은 부인할 수 없음

 현 시점에서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아동의 권리에 대한 인식의 전환


아동을 보호의 대상이 아닌 권리의 주체로 인식하는 것

 아동의 권리가 신장되면 성인의 권리가 축소된다는 그릇된 신념에서


탈피하는 것

 <유엔아동권리협약>의 준수를 위한 정부의 노력도 중요하지만


이에 못지않게 일반인들을 대상으로 아동권리에 대한 홍보도 필요

 아동을 부모의 소유물이 아닌 한 사람의 인격체로서 존중하고


배려하는 문화가 뿌리내려야 함

159
1. 아동복지 전개과정
가 아동복지 전개과정의 개요

1) 아동문제에 대한 관심 & 사회적인 개입

• 아동이 소속된 시대의 지배적 가치, 사상, 가족 구조 및


경제 구조 등과 밀접하게 관련

160
나 고대사회 및 중세사회

1) 고대사회

가) 아동은 개인의 가치나 존엄성이 중시되기보다 생산이나


종족보존에 대한 기여 여부가 생존의 판단 준거

나) 아동은 병약자, 노인과 함께 생산과 생존투쟁에 도움이 되지


않는 무가치의 존재 (예: 아마존 강 유역 인디언의 생존실험 등)

다) 영아 살해 및 기아: 인구조절의 한 방편

① 아리스토텔레스: 인구 조절을 위해서 기아보다 낙태가 더 나음


② 고문관 세네카: 기아와 영아살해가 인구조절을 위한
중요한 수단임을 강조

라) 아동매매의 성행
• 유스티니아 법전(534년 제정) - 극빈한 부모에게 자식 팔 권리 허용

마) 고대사회의 아동

① 하나의 인격체가 아닌 어른들 생활에 부담 주는 성가신 존재


② 영아살해 & 기아 풍습: 거의 18세기까지 지속
③ 아동복지를 위한 이념이나 실천이 거의 없었음

바) 생명을 중시하는 기독교가 서구사회 뿌리를 내리게 되면서


기아, 낙태, 아동매매, 영아살해 등이 죄악시되었으며
콘스탄틴 법전에 아동살해금지조항 포함되면서
아동의 생명이 존중됨

161
2) 중세사회

가) 봉건제로서 종교의 영향이 강했음

• 아동에 대한 관심은 장원을 위한 경제력, 군사력 확보 수단


으로서의 가치 부여

나) 신분에 따른 처우가 달랐음

① 높은 계급 아동 → 혈통의 계승자
② 하류계급의 아동 → 농노로서 무가치한 생명가치 부여

다) 기독교 입장: 아동 = 성악설(매우 엄격히 다룸)

① 고대의 생사유탈은 죄로 여겨져 금지

② 코메니우스: 아동은 성인의 축소판이 아닌, 하나의 인격체임을 주장

라) 아동보호 사업이 싹틈

① 장애아에 대한 종교적 차원의 보호가 시작됨

② 그러나 동정에 근거한 종교적 자선의 행위였고 개인의 욕구나


권리를 존중하는 근대적 의미의 아동복지는 전개되지 않음

162
다 근대사회

1) 풍부한 노동력을 바탕으로 한 상공업의 발달

2) 산업혁명을 계기로 봉건제도가 붕괴 → 자본주의의 탄생

3) 개인주의와 자유주의

4) 경제활동 담당 역할을 기준으로 자본가와 노동자라는 사회계층의 구분

5) 사회적 약자에 대한 보호문제


• 개인의 원인보다는 사회 구조적 모순에 의해 발생한다는 점이 인식

6) 아동복지
• 개인적·종교적 차원이 아닌, 국가와 사회의 책임이라는 관점이 부각

7) 1601년 영국의 엘리자베스 구빈법(The Elizabeth Poor Law)

가) 오늘날 아동복지의 효시

나) 요보호 아동 포함, 빈곤층에 대한 국가보호를


최초로 법으로 공표

163
8) 집단 수용보호제도에서 아동중심의 시설로

가) 19세기 산업혁명의 급속한 진전으로 광범위한 사회문제 발생

나) 아동에 대한 이해 부족으로 노인과 장애인과 함께 혼합시설 보호

다) 높은 아동사망률, 건강과 복지에 문제점, 아동중심 시설로 대체 및 교육됨

• BUT 건강과 정서 측면은 문제점


• 19세기 후반에는 위탁가정운동, 구빈법과 결합한
도제 형식의 가정위탁

라) 영국의 공장법(1802) 제정

• 아동에 대한 노동력 착취 문제와 노동으로 인한 교육기회 박탈로


사회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을 방지하고자 함

9) 대량의 취업모에 대한 보호대책으로 민간주도의 탁아시설

가) 1861년 영국의 오웬(Owen)

• 공장 내 세운 성격형성 신학원(New Institute for the Formation


of Character)이 효시

나) 유아학교와 맹아학교 설립

• 유아학교(Infant school): 보호와 교육을 담당


• 맹아학교 설립: 장애아동에 대한 인식이 운명론에서 합리적으로 바뀜

다) 구빈법 제정으로 아동보호가 국가 책임 하에 놓임

• 민간 주도 자발적 아동보호사업의 전개로


아동의 분리수용보호와 가정위탁제도 도입

164
라 현대사회

1) 19세기 후반 이후

가) 현대사회로 오면서 많은 학자들이 활발하게 아동에 관한 연구 전개

나) 새로운 개념
: 성인과 달리 아동은 고유한 발단단계를 거쳐 성장하는 존재

다) 아동은 성인의 종속물이나 어른의 축소판이 아닌


독립된 인격을 지닌 존재하는 인식 확산됨

2) 20세기

가) 아동권리 사상, 권리로서의 아동복지 사상이 더욱 강조

나) 복지는 사후관리가 아닌 예방차원의 적극적 개입 시작

개최된 미국 백악관 회의
1909 : 아동문제와 사회사업에 대해 1959 국제연합의 ‘아동의 권리’
전국적 관심
국제연맹의
1924 1971 ‘정신박약아의 권리’
‘아동권리에 대한 제네바 선언’

3차 백악관 회의
1930 1990 아동의 권리에 관한 국제협약
: 19개조의 아동헌장 채택

165
3) 위탁 가정과 아동시설

• 요보호 아동을 보호하는 보편적인 형태로 발전,


아동의 노동에 대해서도 새로운 인식과 조치

4) 20세기의 아동복지

가) 아동복지에 있어 전문화

나) 아동복지 서비스도 지지적, 보완적, 대리적 서비스로 세분화

다) 아동복지 전문가가 양성되어 현장에서 실천

라) 아동요구를 고려한 수용시설, 소규모 집단 위탁가정보호,


장애아를 위한 수용시설과 특별 가정위탁보호 등 제도 등장

5) 문제점

가) 복지적 혜택에서 소외된 지역과 아이들

① 선진국과 후진국 간 사회 경제 격차에 의한 양극화로 인한


불안의 가중과 민족 간 갈등으로 인한 내전
→ 아동의 생존과 발달에 심각한 영향

② 극심한 가뭄과 개발도상국 빈민촌에서 기아와 질병에 노출된


아동들은 적절한 보호를 받지 못함

③ 선진국 내에서도 심화되고 있는 빈익빈 부익부 현상으로


많은 아동들이 풍요 속의 빈곤과 빈곤선 이하의 생활을 경험하
게 하며 폭력, 약물중독 등의 일탈행동에 쉽게 빠져들게 함

166
나) 여성 취업률의 급속한 증가

① 예방을 강조하는 아동복지의 방해물

② 부모 근로시간 증가는 자녀와 공유할 수 있는 시간의 감소로


인해 아동문제 발생 가능성 증가

③ 외국의 경우
• 1993년 가정 및 의료보호법에서 산전 산후 여성 근로자의
미국 출산 휴가와 복직이 보장되지 않았음
• 특히 50인 이하 산업체 제외
영국 • 1990년 45%의 여성이 출산휴가 보장 안됨
• 출산휴가 기간을 넉넉히 주어 신생아와 부모가 함께 있도록 함
유럽 • 네덜란드: 산모가정 프로그램 DCS(Dutch Cross Society)
• 스웨덴: 선택적인 출산휴가제도

6) 국가행동계획(National Plan of Action)

가) 1990년 9월 158개국 대표가 참석한 가운데 고통 받는 아동을


위한 국제 사회의 움직임

① 아동 사망률과 산모 사망률 저하,


5세 이하 아동의 영양실조율 50% 감소

② 깨끗한 식수 공급과 분뇨 위생 처리 시설의 보급

③ 학령기 아동 80%의 초등교육 이수

④ 여성을 중심으로 한 성인 문맹률 50%이하로 감소

⑤ 특별히 어려운 여건에 처한 아동보호 등

167
2. 외국의 아동복지 전개 과정
가 오늘날 복지정책의 세계화

1) 오늘날 각국의 복지정책은 전 세계적인 차원에서


서로 영향을 주고 받음

2) 선진국에서 실시하고 있는 선도적인 아동복지서비스 및 정책에


대한 검토 → 우리 실정에 적합한 복지모델 개발에 도움

나 영국

1) 전 세계에서 아동보호 원칙을 가장 먼저 수립


: 구빈법 제정(1601년)

2) 18세기 산업혁명으로 전국의 가난한 노동자들이 도시로 몰려


빈곤가정과 결손 가정 아동들이 속출

168
3) 사회적 대책 연구

가) 1802년 공장법 공포
• 노동자 노동 시간 1일 12시간으로 제한하는 등 노동 관련 내용

나) 1884년 아동학대 방지 협회 설립

다) 1889년 아동학대 방지법 제정

라) 1907년 교육법 제정, 모든 아동들에게 의무교육

마) 1945년 아동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아동에 대한 대책 간구

바) 1945년 가족 수당법 제정
• 부모의 지위에 관계없이 한 가정에 자녀가 둘 이상인 경우
16세 미만 아동들에게 매주 수당 지급

사) 1948년 「아동법」

• 영국 아동복지 확립의 기본골격. 가족 강화를 기본으로 요보호


아동에게 부모역할 부여. 분산되어 있던 아동의 보호와 양육에
관한 법을 통합 ‘아동의 권리에 관한 국제협약’의 원칙에 의거함

• 제2차 대전 이후 영국 아동정책의 출발은 1946년 커티스위원회


의 보고서와 1948년 「아동법」에 의해 이루어지게 됨.
정부는 정상적인 가정생활을 박탈당한 아동들에 대한 보호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이를 검토하기 위한 커티스위원회(Curtis
Committee)를 임명, 이 위원회의 보고서는 1948년 제정된
「아동법(Children Act)」의 기초가 되고 지방정부 행정체계에서
아동국(Children’s Department)의 설치를 가져옴.

169
• 커티스 보고서(1946) 주요내용
: 보호받은 아동을 친부모에게로 회복시키는 것, 수용시설보다는
탈시설(boarding out)을 강조하는 것, 입양에 대한 강조 등을 포함.

• 가능한 한 보호아동을 친부모에게 복귀시키는 것을 임무로 하는 지방


정부 아동국은 새로운 서비스에서 가족 케이스워크의 중요성을 강조.
「아동법」 에서 중요한 변화는 보호를 받는 아동을 지역사회의 다른
일반아동과 같은 권리를 지닌 한 개인으로서 존중하게 되었다는 것.

• 1948년 「아동법」의 제정으로 아동보호서비스가 제공되면서 아동복지


는 보호가 필요한 아동의 보호(care)뿐 아니라 예방(prevention)의
중요성이 부각됨. 이러한 예방적 접근은 1983년 「아동 및 청소년법」
의 제정에 의하여 비로소 이루어지게 됨.

아) 1948년 아동수당

• 아동을 가진 가정에 대한 가장 보편적이고 일반적인 경제적 지원


가정의 경제적 수준이나 기여 여부에 관계없이 모든 아동에게
주어지는 소득보장제도

170
자) 1963년 「아동 및 청소년법」

• 지방정부는 예방적 접근을 통한 아동복지 증진의 임무를 갖게


되어 비행을 다루는 전략과 아동방임을 다루는 전략을
결합함으로 이뤄짐.

• 1960년 발표된 잉글비보고서(Ingleby Report, 1960)는


청소년비행 문제를 주 관심사항으로 다루었으며,
보고서의 중요 권고사항이 1963년 입법에 반영됨.
이 보고서는 비행과 박탈을 다룸에 있어 비행행정의 처벌 모델이
아닌 치료 모델에 강조점을 둠.
특히 사회복지서비스가 사법부의 법정활동과 협력함으로써
사회복지가 재판의 소송과정에 침투하게 되는 효과 가져옴.

• 그리고 이 법은 1948년 「아동법」의 초점이 가족에 대한 지원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는 것을 확인함.

• 따라서 아동복지에서 가족서비스에 대한 길이 열리게 되었으며,


이것은 1970년 「지방정부 사회서비스법」에 의하여 기존의 아동국이
새로이 설치된 통합적 사회복지서비스 행정체계인 사회서비스국
(Social Service Department)에 통합됨으로 실현됨.

171
차) 1997년 슈어스타트(Sure Start)

• 가난하고 소외된 아동을 위한 복지정책

• 0세~14세의 아동 및 부모를 대상으로 아동에겐 보육과 교육


서비스를, 부모에겐 일자리를 갖고 자녀를 양육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가족을 단위로 한 서비스 정책

카) 1998년부터 만 4세아 무상교육

타) 2003년부터 아동조세공제(Child Tax Credit)

• 자녀 양육 가정의 조세부담 경감

파) 2004년 만 3세까지 확대, 낙후 지역에서는 만 2세도 무상교육 제공

다 미국

1) 영국 청교도 집단 이주자들로 국가의 기틀이 갖춰져


영국의 사회복지제도의 영향을 많이 받음

2) 중앙집권적이 아닌, 각 주가 중심이 되어 마련,


아동관련 복지도 각 주를 단위로 함 → 독자적 발전

172
3) 전개과정

가) 1727년 뉴올리언스의 우슬린 수도원

• 인디언에게 부모를 잃은 아동을 위한 양육원

나) 1740년 최초의 영속적 보호시설인 베더스타 고아원 설립

다) 1850년 이후 가정에서의 아동보호 모색 됨

라) 1895년 아동노동법 제정

• 14세 이하 아동의 노동금지, 야간작업 금지 및 노동 시간 제한


규정, 학교 출석 배려 등

마) 1909년 제 1회 백악관 회의
• :아동문제에 대한 관심이 전국적으로 확산됨.
아동국(Children’s Bureau)시설, 아동의 복지, 발달, 노동, 비행
등 아동에 관한 전반적인 연구 담당

바) 1930년 제 3회 백악관 회의
• 19개조의 어린이 헌장

사) 1940년 제 4회 백악관 회의
• 민주주의 발전과 국력의 번영, 아동복지 관련성 언급

아) 1950년 제 5회 백악관 회의
• 연방지역별로 여러 분야 다양한 사람이 참가

173
자) 1935년 제정된 사회보장법
• 미국 아동복지 사업의 국가적 체계가 갖춰짐.
요보호아동 부조 프로그램 포함

차) 1960년대 이후 경제 성장을 배경으로 도시 빈민층 자녀를 위한


교육과 영양 지원

카) 1964년 헤드스타트 프로그램과 푸드스탬프

타) 1974년 가출 아동에 관한 소년법, 청소년 처우 및 비행 예방법,


아동학대예방 및 처우법 등 제정

파) 1980년 「입양부조 및 아동복지법」

하) 1990년 「가족부조법」

거) 1999년 「가정위탁독립법」 등이 있으나


주정부 별로 다양한 법률체계 존재

174
4) 카투신의 3’s 모델에 의해 체계화

가) 지지 서비스(Supportive Service)
① 부모의 역할을 지원해 주는 것
② 가족 서비스, 지역정신보건서비스, 아동학대와 방임에 대한
보호적 서비스 등

나) 보완 서비스(Supplementary Service)
① 부모의 역할을 보충해 주는 것
② 요부양아동가족부조, 의료보호, 탁아 서비스 등

다) 대리 서비스(Substitutive Service)
① 부모의 역할을 대신해 주는 것
② 가정위탁, 입양, 시설보호 등

라 스웨덴

1) 구빈제도

가) 1853년 구빈에 대한 국가의 책임을 입법화한 구빈법을 계기


로 체계적인 구빈제도 성립

나) 영국 구빈법에서 많은 영향을 받음
• 15세 이하 아동과 병자, 폐질자 등을 구빈 대상으로 규정

다) 산업혁명의 영향으로 산업구조가 변함


• 지속적인 농업인구의 감소, 노동자 문제의 증가, 인구의 도시
집중화 현상, 부인과 연소 노동자의 증가, 청소년의 사회비행
등이 사회문제로 부각

175
2) 역사
노동금지법이 제정
1881년
• 저임금과 장시간 노동을 법적 규제
사회민주당 창당
1869년
• 사회복지정책이 강력히 추진 됨
노동자 화재보상법
1901년
• 아동복지에 많은 변화 계기
입양법 제정
1902년
• 입양아의 건강과 보건에 힘쓰기 시작

아동복지법 제정
• 구빈법의 수혜대상으로 취급되어오던 아동에 관한 법이
독립됨
1924년
• 아동과 청소년을 보호할 수 있는 기관과 시설을 담당하는
아동복지위원회가 설립되어 이 위원회에서 입양에 관한
감독 가능
(1/2)

스웨덴의 사회복지정책 성립기


1930년대
이후 • 세계경제공황을 전후로 출산률 격감으로 아동과 모성 및
학교 급식에 대한 국가 보조 실시
1938년 모자보건 대책
장애아학교법
1952년
• 장애아의 공립학교 출석을 허용
1955년 출산수당
구빈법을 공적부조법으로 개정
1956년
• 요보호자를 위한 생활보호 실시
국민보험법의 제정
1963년
• 16세 이상의 모든 국민이 보험혜택을 받게 됨
1975년 유아학교법 제정
1981년 오늘날의 스웨덴의 사회복지 근간이 된 사회사업법 시행
(2/2)

176
3) 여성을 위한 복지서비스 발달

가) 출산휴가: 출산 후 신생아를 돌보면서 지낼 수 있음

① 1937년 산모를 위한 출산휴가제도


② 1974년 부모에 대한 6개월 유급휴가
③ 1980년 360일 유급휴가
④ 1989년 450일 유급휴가
⑤ 1994년 360일 유급휴가

나) 가정보육시설
• 가정집에서 아동을 맡아서 돌봐줌

다) 보육시설
• 생후 6개월부터 취학 전 6세까지 어머니가 일하는 동안
아동을 맡길 수 있음

라) 아동간호사제도
• 아플 때 이용할 수 있음

마) 방과 후 보호서비스
• 학령기 아동이 방과 후에 이용할 수 있음

바) 이에 따른 경비는 지방자치단체에서 전액 지원

177
4) 아동을 위한 다양한 복지서비스

가) 취업모를 위한 대리 양육제도 구비

① 1955년 모든 시 당국이 1~6세 아동을 위한 탁아소나


가정탁아 서비스 제공 및 6~12세 아동을 위한
방과 후 보호 서비스 의무화

② 1973년 학령전교육법 제정 이후 보편주의로 아동보육제도 전환

③ 1977년 개정을 통해 지속적 시설확충과


부모취업 여부에 관계없이 12세까지 보육대상의 확대

나) 아동과 가족을 위한 조치

① 임신기간 무상검진
② 유아학교 아동들을 위한 무료검진
③ 19세까지의 무료 건강검진과 치과검진

다) 아동 옴브즈맨 사무소 설립(1993)

① 아동과 청소년의 권리 보장
② 스웨덴 아동권리보호협회
• 민간단체로 어린이전화를 운영하며
어려움에 처한 아동에게 창구 역할

178
라) 아동과 청소년을 위한 재정 지원

• 16세 이하 아동이 수혜대상인 아동수당(Child Allowance),


부모보험부조, 부양대출, 아동연금, 장애아보호수당 등

5) 평가

가) 복지국가의 전형
• 전반적인 복지 수준이 사회보장의 최소한의 기준선을 넘어선
나라로 평가

나) 아동 성장발달의 결정적 시기에 부모가 아동과 함께 할 시간을


최대한 확보해 줌으로 아동이 신체적으로나 정서적으로 건전하
게 성장할 수 있도록 각종 제도적 장치를 마련하고 있음

179
마 일본

1) 아동복지의 역사

가) 불교가 전개된 6세기 초 각종 자발적인 서비스와 더불어


불교신자, 왕가 및 귀족의 자선사업시작

나) 아스카 시대(593~710)의 빈민 및 고아를 수용·구제하는


공적인 구제 제도로 출발

다) 명치시대
• 정부가 기아양육미급여방(棄兒養育米給與方)을 정하여 3명 이
상 출산한 빈곤한 가정의 어머니에게 쌀을 지급하는 급여방(給與
方)을 정함으로 시작 → 국가 주도의 계획적, 조직적 아동복지 시

라) 1874년 공적 구빈법인 휼구규칙(恤救規則) 제정

① 친족 및 공동체의 상호부조를 원칙으로 하되 여의치 않을 경우


국가가 구제

② 대상은 극빈자로 하되 폐질자, 노약자, 중병자와


13세 미만의 고아로 한정한 빈곤대책중심의 복지

180
마) 명치시대 후기 산업발전과 더불어 선교사 가세로
활발한 아동복지사업 전개

1872년 학제(學制)가 공포
1887년 고아원: 빈곤아동을 위한 시설
대용간이소학교제(代用簡易召學校制)의 정부인준
1889년
: 전국에 빈민 아동을 위한 학교보급 실시

선교사들이 빈곤아동을 돌보기 위해 현대의 보육소와 유사한


1900년
기능의 후다바 유아원 설립
1918년 이후 공립 보육소 설립

휼구 규칙은 구호기관과 구호내용에 대한 사항 규정대상으로


1929년 임산부를 포함하며 구호법으로 개정되어 생활부조, 의료부조,
조산부조, 실업부조를 집행

바) 2차 세계대전 이후

① 수많은 고아 발생
→ 정부는 급식과 주거보호에 심혈

② 경제 부흥을 위한 노동력 수요
→ 여성 취업 증가, 보육소 수의 증가

③ 민간에서 아동보육사업 주도
→ 임신 중의 어머니의 자녀나 고아를 대상

181
2) 다양한 아동관련법 제정

가) 모든 아동의 건전한 발달을 위해

① 1946년 「아동복지법」
• 아동복지에 직접 관련되어 있는 법률로서 기본법의 성격을 가지고
기반으로 함. 총칙, 아동복지 조치와 보장, 사업과 시설, 비용, 각칙,
부칙 등 총 6장으로 구성됨.

• 그 외 아동에 관한 직접적 법률은 「아동부양수당법」, 「특별아동부양


수당 등의 지급에 관한 법률」, 「모자 및 과부복지법」, 「모자보건법」,
「아동수당법」이 있고 이들을 ‘아동복지 6법’이라고 부름.

• 이들 외에도 「아동학대방지법」(2000)이 별도로 제정되었고


「육아개호휴업법」, 「소년법」 등이 있고, 사회복지 일반, 교육, 노동,
사법, 보건의료·공중위생 등에 관한 법률이 연계되어 있음.

② 1947년 아동복지법 보육소


• 아동복지법 제정으로 법적인가를 받음
• 1949년부터 보육소 조치비의 정부 지급 시작
• 보육소 사업은 오늘날 일본 아동복지의 기둥으로 급성장

③ 1948년 소년법 및 소년법원법

④ 1949년 신체장애자복지법

⑤ 1950년 생활보호법

182
나) 아동의 교육제도 – 민간

① 1950년대 민간 차원의 학동보육 운동 시작


② 1963년 이후 지방자치단체의 학동보육 예산 확대

다) 아동의 교육제도 – 정부

① 1947년
• 교육기본법 및 학교교육법 → 모든 아동: 의무교육제도
• 장애아동을 대상으로 한 특수교육 실시를 의무화 할 것을 입법화

② 1955년 양호학교 및 특수학교 정비 촉진위원회 발족

③ 1956년 정신박약아를 위한 조기교육에 박차를 가하는 조치법 제정

라) 경제성장과 함께 아동문제를 취급하는 법이 다양화

1961년 개편된 모자보호법

1964년 특별아동부양수당 지급에 관한 법

1. 모자보건법
1965년
2. 정신박약 아동복지법

1971년 아동수당법

1981년 모자 및 과부복지법으로 확대

1997년 50년 만에 아동복지법 전면 개정

2000년 아동학대금지법 제정

183
3) 일본의 아동복지서비스

가) 아동수당제도

1971년 - 아동수당제도 입법화

- 출산저하로 대폭적으로 개정
1986년
- 지급대상: 종래의 제3자에서 차 자녀로 확대

- 출산저하로 대폭적으로 개정
1997년
- 지급대상: 종래의 제3자에서 차 자녀로 확대

나) 아동복지시설

① 분류(26개 유형)
• 조산시설, 보육소(어린이집), 유아원(영아원), 양호시설,
허약아시설, 정신박약 시설, 심신장애아시설, 교호원 등

② 수탁료
• 보호자 수입에 의해 결정

③ 운영기준
• 후생성이 운영기준을 만들고, 중앙 및 정부 등에서 지원

184
④ 복지서비스

• 위탁가정 지원

• 건전아동육성을 위한 아동복지서비스

• 복지사무소가 운영하는 가정아동상담실

• 아동후생시설인 아동관과 아동유원

• 지역조직활동으로서 어머니 클럽 설치

• 전국의 아동 관이나 아동센터


: 아동복지심의회가 추천하는 아동극 or 영화 상영하는 문화보급 활동

• 아동 클럽

• 노인세대와 아동세대를 연결하는 공동프로그램

4) 아동복지정책

가) 요보호 아동중심에서 전체 일반아동의 건전육성을 위한


방향으로 진전 → 아동상담소의 활성화, 각종 아동놀이와
문화시설의 확대에 주력

나) 일본사회의 최대의 과제는 ‘출산율 증진’

① 아동인구의 급격한 감소로 급속한 노령화 사회의 도래

② 출산이나 양육을 원하는 이들을 위한 편리한 환경 조성

③ 아동의 건전한 성장발달 돕기 위한 정부 지원책 →


자녀가 있는 가정에 대한 아동수당 및 아동부양 수당이 지급

④ 아동복지시설의 다양화와 전문화가 활발히 진행

185
186
1. 한국의 아동복지 전개과정
가 우리나라의 아동복지

1) 사회가 겪어 온 변화에 발맞추어 아동관이나 아동복지 사상,


복지사업과 서비스의 형태, 내용과 우선순위 등에서
많은 변화를 경험

2) 아동에 대한 관심은 아동의 권리나 인격이 아닌,


가계 계승을 위한 차원에 머무름

187
나 전통사회

1) 삼국시대(삼국사기)

가) 신라 유리왕 때 환과고독노병(鰥寡孤獨老炳)

• 홀아비, 고아, 아들 없는 이, 늙은이, 병든 이를


요보호 대상자로 정해 왕명으로 무료급식과 양육을 시행

나) 백제 온조왕과 고구려 태조왕 때

① 아동을 포함, 재해를 입은 자들에게 관곡 배급


② 고아에겐 민간차원에서 노비나 양자로 입양이 허용
③ 친척 등이 거두지 않는 고아에 대한 구제가 국가 차원에서 실시됨

2) 고려시대

가) 불교가 국교였던 고려시대에는 전쟁과 흉년으로 생긴 고아를


사찰에서 위탁 보호하여 승려 또는 사역승으로 양성하는 일이
성행

나) 민간으로도 확산되어 고아를 민간에서 수양하는 일이 성행,


후손이 없는 경우는 양자로 삼았지만 주로 노비로 삼음
→ 이 과정에서 고아입양을 빌미로 인신매매, 유괴, 약탈 등의
폐단이 출현

188
3) 조선시대

가) 1561년 현종 2년: 요보호 아동을 위한 법령 제정

① 한성 각 부의 유기아(遺棄兒)에 대한 관의 허가에 따른
민간입양이 실시되었으며, 이들에 대한 옷값도 지급

② 아동이 10세가 되면 양육한 사람에게 이들을 사역할 권리가 부여

나) 1696년 숙종 22년 ‘수양임시사목’과


1774년 영종 20년 ‘동사목’은 아동의 처우에 관한 법령

다) 1783년 정조 7년: 자휼전칙(字恤典則)

① 아동 처우에 관한 법률을 통합하여 친족부양, 수양관계의 보호,


집단수용의 보호를 원칙으로 한 법으로, 유기 및 부랑 아동을
국가에서 수용 보호하거나 민가에서 수양하여 정황에 따라
양 자녀나 노비로 삼는 것을 허가하는 것

② 근본정신은 영국의 구빈법(1601)과도 상통하며


아동의 생명구제를 위한 기본적 법령으로 기능

라) 그러나 전통사회에서는 오늘날의 시설보호와 같은


체계적인 개입은 존재하지 않았음

189
다 근대사회

1) 갑오경장 이후 외국 종교단체가 대거 입국,


포교를 위해 구호와 육아사업 실시

2) 서양인 선교사에 의해 수용시설에 의한 아동보호방법이


최초로 도입

3) 1855년 프랑스 메스트로 신부에 의한 근대적 육아사업으로


고아구제사업 효시

가) 고아원
1854년 파리외방선교회가 설립한 조선 영해회가 고아원 설립
프랑스 쟝 블랑(Jean Blanc) 신부가 양로원과 고아원
1880년
한양에 설립
미국 북장로교의 언더우드(Underwood)가 고아들을 모아
1886년
예수학당과 구세학당을 시작
조선 영해회가 종로의 수녀원 부속 건물로 고아원을 설립,
1888년
아동을 양육
1895년 영국 성공회 선교사 랜디스(Randis)는 인천에 고아학교 설립
1905년 이필화가 경성 고아원 설립

나) 서양 선교사들에 의한 시설보호제도의 도입은 이후 우리나라


아동보호에 있어 수용시설 중심의 발전에 영향

190
4) 1921년

• 한일병합 이후 총독부는 제생원(濟生院)이라는 수용시설을 설립,


사회과(社會課)를 신설하여 각종 구호 사업의 지휘·감독을
담당하도록 함

5) 1930년대

가) 각 지방에 보육원을 필두로 한 사회복지 시설을 건립

나) 1939년 까지는 전국적으로 60개 시설을 설치

6) 1944년

가) 생활이 빈곤한 임산부와 13세 이하 아동을 대상으로


가택구호를 원칙으로 하는 조선 총독부 구호령이 제정

나) 가택구호가 적절치 못한 경우에는 개인 가정에 위탁하거나


구호시설에 수용할 수 있도록 함

다) 그러나 전쟁으로 극심한 재정적 어려움에 봉착한 일본은


구호활동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함 → 따라서 조선총독부의
구호령은 명목적인 것이었음

191
7) 아동의 건강한 발달과 복지에 관심을 갖는 인물들이 출현하여
현대적 의미의 아동애호 사상 발전에 큰 기여

• 대표적 인물
: 아동문학과 출판활동을 활발히 펼친 소파 방정환,
많은 동요를 작곡한 윤석중

라 현대사회

1) 현대 사회복지의 구분

가) 아동구호시대(~1960년대)
나) 아동보호시대(1970~1980년대 중반)
다) 아동복지시대(1980년대 중반~)

2) 경제적 안정 바탕

가) 선별주의에서 보편주의로
나) 주관기관이 외원단체에서 정부로
다) 집단적 수용보호에서 소규모 수용보호나 재가보호로
라) 단순하고 비전문화된 서비스에서 다양한 형태의 전문적 서비스로

192
3) 즉, 현대 한국 사회 아동복지는 기초생활에 대한 지원에서
복리후생 차원으로, 찾는 서비스에서 찾아가는 서비스로
발전하고 있음을 볼 수 있음

마 현대사회 – 아동구호시대(~1960년대)

1) 해방 이후 곧 이은 한국전쟁은 기아와 미아의 문제를 발생

가) 1950년대: 응급 구호적인 성격

① 국가에 의한 사회적 보호가 미비해 다수의 외국기관이


국내에 들어와 활동하며 아동후원사업을 전개

② 기독교 아동복리회(C.C.F), 선명회 세계본부, 양친회 등이


대표적

193
나) 기독교 아동복리회(C.C.F), 선명회 세계본부, 양친회

① 이들 기관들은 민간 독지가를 중심

② 전쟁고아의 보호, 수용, 입양 등을 위해 설립된


수용시설 중심의 아동보호사업은 1950년대에 급속히 증가

③ 1960년에 아동복지시설을 472개로


전체 사회복지시설의 80%에 달함

④ 그러나 국가 주도하의 원칙에 따른 서비스 제공보다는


민간과 해외원조에 의존한 빈곤 아동구호의 차원에 그침

바 현대사회 – 1960~1970년대

1) 선별주의 원칙에 입각한 잔여적 형태의 서비스가 이루어진 단계

2) 국내외 입양사업이 확대되고 해외입양이 지속적 증가

3) 취업여성의 증가로 보육에 대한 서비스도 증가

4) 1960년대

가) 수용시설의 종류가 다양해지면서 영아원, 육아원, 모자원,


부랑보호시설, 직업보도시설 등 계속 증가

나) 1961년 아동복리법과 생활보호법, 미성년자보호법이 제정


되면서 요보호 아동에 대한 국가 책임의 원칙이 법제화 됨

194
5) 1970년대

가) 국가개입을 최소화하는 잔여적 복지정책이 지속됨

나) 그러나 외원기관의 점진적 철수로 아동복지시설 운영에


국가의 개입이 불가피해짐에 따라 아동보호정책도 점차
국가중심체제로 전환 → 이에 따라 1973년 모자보건법,
1976년 입양특례법, 1977년 소년원법과 특수교육진흥법이
차례로 공포됨

사 현대사회 – 아동보호시대(1970~1980년대 중반)

1) 요보호 아동을 대상으로 한 선별주의 단계의 시설수용보호

• 보편주의에 입각하여 가정위탁사업, 국내입양, 아동결연사업,


영유아보육사업 등으로 아동복지 형태가 다양하게 전환

2) 1981년 ‘아동복리법’을 ‘아동복지법’으로 개정

• 전체 아동을 대상으로 한 다양화·전문화된 아동복지서비스를 지향

3) 1982년에는 ‘생활보호법’이 개정되고 ‘유아교육진흥법’이 공포

195
아 현대사회 – 아동복지시대(1980년대 중반 이후~)

1987년 • 청소년 육성법 공포


1989년 • 모자복지법 공포
• 취업여성의 증가에 따른 보육수요의 확대에 따라
영유아보육법이 추가로 제정
1991년
• 보육서비스를 일반아동에게로 확대함으로써
보편적인 서비스의 확충을 기함
• OECD에 가입하면서 아동복지법 개정이 추진되어 새로운
2000년
아동복지법이 시행
• 아동복지법 및 영유아보육법이 개정
2004년
• 유아교육진흥법 폐지 → 유아교육법 공포(2005년부터 시행)
• 아동복지의 주관부서가 보건복지부에서 여성부로 이관
2004년
• 보육정책기능 강화
7월
• 보육의 패러다임 변화: ‘잔여적, 선별적 보육’ → ‘보편적 보육’
(1/2)

• 여성부가 여성가족부로 개칭과 아동복지법의 개정


→ 국무총리실 산하 ‘아동정잭조정위원회’ 신설
2005년 • 빈곤예방은 가급적 어린 나이에 개입하는 것이 보다 효율적이라는 인식
6월 → 빈곤의 세대 간 전이를 단절하기 위한 시도로 시작된 민간주도의
위스타트(We Start)운동이 2004년을 기점으로 시민단체중심의
통합적이고 체계적인 운동으로 발전
• 아동복지가족법과 청소년복지지원법을 체계적으로 통합하기 위한
2008년
‘아동복지 전부개정법률안’ 입법예고
• 12세 미만 모든 아동에게 월 10만원 지급하는 아동수당 도입을 위한
2010년
‘아동복지법’일부 개정 발의
2011년 • 성폭력 범죄자의 성충동 약물치료에 관한 법률안(화학적 거세법) 시행
2013년 • 0~5세 무상보육의 실시
2016년 • 2016년 아동학대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
• 만 7세 미만(0~83개월) 아동 대상 아동수당 시작
2019년
• 중앙정부 차원에서 아동 관련 서비스를 총괄하는 아동권리보장원 설립
• 아동수당 연령 확대(만8세 미만 아동은 2022년 4월부터 만 8세 생일이
2022년
도래하는 달의 전달까지 아동수당 받을 수 있음)
(2/2)

196
자 1990년대 이후 청소년관련법에 관한 정비도 활발히 이루어짐

1) 1991년 청소년육성법 → 청소년기본법

2) 1997년 청소년보호법

3) 2000년 청소년 성 보호에 관한 법률 제정

• 21세기에 진입한 최근에는 저출산 경향이 더욱 심화되고 여성의 노동


시장 참여가 확대되어 저출산을 극복하고 일과 자녀양육을 병행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이 국가적 과제로 대두하여 모든 아동을 대상으로
출산에서 양육에 이르기까지 국가적 차원의 개입과 재정지원의 필요성
이 증대되고 있음

• 이러한 사회적 환경의 변화와 추세는 아동복지를 더욱 보편주의 원칙에


기초한 제도로 발전시켜 나가고 있으며, 모든 아동에 대한 보편적 보육
이 도입됨

• 또한 보호대상 아동에 대한 다양한 서비스와 전달체계가 확립되고 있음.


2000년 개정 아동복지법 이후 가정위탁지원센터, 아동보호전문기관,
실종아동전문기관, 지역아동센터, 드림스타트센터, 중앙입양원 등
다양한 서비스 전달체계가 제도적으로 확립됨

197
• 이러한 변천과정에서 한국의 아동복지는 시설수용보호, 입양,
영유아보육, 아동결연, 가정위탁, 지역사회아동보호 등의 서비스
로 그 형태가 형성되어 옴

• 이와 함께 과거 아동복지의 주류를 형성하였던 시설수용보호의


중요성은 점차 퇴조하고 가정과 지역사회 중심의 가족지원서비스,
국내입양, 가정위탁, 방과후 보호 등 지역사회 내의 다양한
아동복지서비스의 의의와 중요성이 강조됨

• 사회변동과정에서 아동학대, 장애아동의 발생, 학교부적응,


학교폭력과 청소년비행, 컴퓨터와 스마트폰 중독, 미혼모와
아동의 문제, 가정해체와 결손가정의 증가 등 사회문제가 대두됨

• 이에 따라 학대아동에 대한 강제보호서비스, 장애아동서비스,


학교사회복지서비스, 방과후 아동보호, 결식아동보호, 지역사회
아동통합서비스 등도 새롭게 부각되고 있는 아동복지의 분야가 됨

198
2. 주요 선진국과 우리나라의 아동복지 전개과정 비교
가 주요 선진국인 미국, 영국, 일본의 아동복지 전개 과정

 사회복지제도와 서비스는 각 국가의 역사적 배경과 시간적 변화의


산물일 뿐 아니라 일정한 시간의 범위 안에서도 이념, 정치, 경제, 사회적
환경의 영향을 받아 국가마다 고유한 정체성과 차별성을 지니게 됨

 각 국가의 사회복지제도와 서비스는 국가 간 상호 영향을 미치기도 하며


어느 정도 일정한 방향으로 수렴현상을 보이는 것으로 평가되기도 함

 아동복지제도와 서비스도 이와 같아서 역사적·공간적 차이가 제도의


변화와 차이를 가져오기도 하며, 어느 정도 국가 간 유사한 제도와
서비스의 수렴현상을 보이기도 함

1) 아동복지 법률체계

가) 미국

• 미국의 아동복지 관련 법률은 시대적 상황의 변화에 따라,


그리고 주정부에 따라 입법이 임기응변적으로 이루어짐

• 따라서 하나의 전체적이고 일관된 법률체계가 존재하지 않으면,


전체아동을 대상으로 하는 기본법의 성격을 가진 하나의 통일된
아동복지 법률이 없음

• 법률의 제정과정도 중앙정부에 의하여 주도되기 보다는


주정부와 민간 기관이나 시민단체가 서비스를 공급하는
주체로서 그 역할을 주도함

199
• 아동복지에 관련된 연방정부의 법률에는
「아동학대예방 및 치료법」(1974), 「청소년비행예방법」(1974),
「장애아동교육법」(1975), 「인디언아동복지법」(1978),
「입양부조 및 아동복지법」(1980), 「가족부조법」(1990),
「가정위탁독립법」(1999)등이 있으나
주정부별로 다양한 법률체계가 존재함

나) 영국

• 영국의 아동복지 법률체계는 1946년 아동법을 개정한


1989년의 「아동법」을 근간으로 한 통합적인 체계이며,
「아동법」과 몇 개의 관련 법률로 구성되어 있음

• 관련 법률로는 1991년의 「아동부조법」이 있으며,


입양관련 법률로서 1976년에 제정된 「입양법」과 그 개정법률안
2002년의 「입양 및 아동법」이 있음

• 1989년에 제정된 「아동법」은 이전의 아동 관련 법체계를 대체


하였으며, 지방정부에 아동을 보호하고 지원하는 권한과 의무를
부여하였음

200
• 「아동법」에는 아동을 가족과 함께 보호하거나 또는 가족으로부터
격리하여 보호하는 조치, 가정위탁, 보육, 시설보호에서 이루어지는
보호와 감독에 관한 조치 등을 포함함으로써
아동복지의 기본법으로서의 기능을 갖고 있음

• 특별법으로는 입양에 관하여 2002년에 제정된 별도의 법률인


「입양법」이 있음
그리고 소득보장의 체계로서 아동수당을 위한 별도의 법률이 있으며,
「아동부조법」은 이혼 또는 별거 중인 부모의 아동을 위한 부양을
위하여 1991년에 제정되었음

다) 일본

• 일본의 아동복지법률체계는 아동복지에 직접 관련되어 있는


법률로서 기본법의 성격을 가진 「아동복지법」(1946)을
기반으로 하고 있음

• 「아동복지법」은 총칙, 아동복지 조치와 보장, 사업과 시설, 비용,


작칙, 부칙 등 총 6장으로 구성되어 있음

• 그 외 아동에 관한 직접적 법률은 「아동부양수당법」, 「특별아동부


양수당등의 지급에 관한 법률」, 「모자 및 과부복지법」, 「모자보건
법」, 「아동수당법」이 있으며, 이들을 ‘아동복지6법’이라고 부름

201
• 이들 외에도 「아동학대방지법」(2000)이 별도로 제정되었으며,
「육아개호휴업법」, 「소년법」 등이 있고, 사회복지 일반, 교육, 노동,
사법, 보건의료·공중위생 등에 관한 법률이 연계되어 있음

앞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영국과 일본은 아동복지에 관한 사항을


총괄하는 기본법으로서 「아동복지법」이 존재하는 반면,
미국은 기본법적인 성격의 아동복지법이 없이 개별 서비스로 분산되어
있고 지역별로 차이가 있음

소득보장에 관한 법률로서 아동수당이나 특별아동수당에 관한 법률은


영국과 일본의 경우 별도로 제정되어 있음

세 국가 모두 입양에 관한 법률을 별도로 제정하고 있는 반면,


영국에서는 학대아동보호에 관한 내용이 「아동법」안에 포함되어 있음

2) 아동복지서비스

가) 미국

• 미국의 아동복지정책에서 소득보장정책은 전체 아동보다는


저소득가정의 아동보호에 초점을 두고 있음

• 특히 1990년대 이후 과거의 ADC, 긴급부조 등을 통합한


요보호 가정 일시부조를 위한 정액보조금제도(TANF)를
시행하고 있음

• 아동을 위한 소득보장의 특징은 보편적인 제도로서 아동수당이


없으며, 아동양육과 관련된 세금공제 프로그램이 발달하였고,
현물지원이 많다는 것임

202
• 이러한 특징은 노동의욕 고취와 관련되어 있음
즉, 보편적 프로그램은 빈곤층의 의존 의식을 강화시킨다고 보기
때문에 보편적인 아동수당제도가 존재하지 않음
그리고 개인주의와 자유주의적 시장논리를 복지와 연결시키고자
하는 미국 복지정책의 이념적 지향을 반영하고 있음

• 현물지원이 많다는 점은 미국의 산업구조적 특징과 빈곤층에 대한


불신이 결합되어 나타난 형태로서 현물을 지급하여 과잉생산물의
소비를 촉진하면서 동시에 빈곤층이 현금을 생활비 이외 다른 곳
에 전용하는 것을 막기 위한 것

• 가정위탁은 부모의 학대나 방임 등의 이유로 인해 부모와 격리된


아동들이 다시 부나 모와 재결합할 수 있을 때까지 혹은 친권이
포기된 아동들의 입양가정을 기다리는 동안, 혹은 친권이 포기된
아동들 중에서 입양가정을 찾기가 힘든 특별한 욕구를 지닌 아동
들이 위탁가정에서 양육·보호되고 있음

• 미국의 위탁가정 종류는 친인척위탁과 일반위탁으로 나뉘어 있음


입양정책은 영구적 배치(permanent placement)에 대한 관심이
늘어나면서 입양을 적극 강조하고 있으며, 특히 장애아동이나
연장아동, 특별한 욕구를 가진 아동 등 입양되기 어려운 조건을
가진 아동들의 입양을 위해 특별 보조금을 지급하면서
범정부적으로 나서고 있음

203
• 시설보호의 경우 정원이 25명 이상인 공립아동시설에 대해서는
연방보조금의 지급을 중단하는 등 시설의 소규모화를 적극 추진함

• 또한 시설전환을 추진하였는데, 이는 일반 수용시설은 감소하는 대신


특수한 욕구를 지난 아동의 치료에 초점을 두어 정서장애아 시설,
청소년교호 시설 등의 시설이 늘어나는 현상을 말함

• 아동안전정책에 있어 미국은 가정, 학교, 공공장소, 교통사고,


환경오염, 유괴, 식품, 아동용품 등 아동의 안전을 저해할 수 있는
모든 요소에 법적인 규제를 가해서 다양한 위험으로부터 아동을 보호
할 수 있도록 제도적 장치를 설치해놓고 있음
즉, 식품의약청, 교통안전국, 보건 및 대인사회서비스부, 법무부와
같은 정부기관 산하에 별도의 아동보호 전담 부서를 제정해
감독과 통제를 할 수 있도록 전문화된 체제를 갖추고 있음

나) 영국

• 영국의 아동복지정책에서 소득보장은 전체 아동에 대한 아동수


당을 지급하며, 아동과 거주하는 한부모에게 아동보조를 지급함

• 아동보호는 지방정부 사회서비스국이 부모가 아동을 돌볼 수


없는 경우 혹은 아동학대나 아동방임의 증가가 있는 경우에
아동보호를 위한 조치를 취하며, 위탁보호, 아동홈 입소, 입양 등
의 서비스를 제공함

• 가정위탁은 장기위탁, 단기위탁으로 구분되며,


가끔 입양으로 옮겨가기 위한 중간 조치로 이용되기도 함

204
• 아동학대의 사례가 보고되면, 모니터링, 가정복지센터의 상담,
전문기관에 의뢰 등 조치가 이루어지면 특별히 위험에 처한
아동은 부모의 동의를 통하여 또는 법원의 보호명령에 의하여
보호조치를 받음

• 영국의 수용보호는 최후의 보호형태로서 행동장애나 정서장애


아동을 보호하는 경우가 많으며, 보호시설의 형태는 지역사회홈,
등록 아동홈, 비영리 아동홈 등이 있음

• 지역사회 일반 아동을 위한 서비스로는 다양한 형태의 보육시설이


발달되어 있으며, 최근에는 저소득 취약지역을 중심으로 Sure
Start 프로그램에 의하여 지방정부, 민간시설, 지역사회가 연계된
통합적 지역아동복지서비스가 제공되고 있음

• Sure Start 프로그램은 조기교육과 방과후교육, 아동보육, 건강,


가정지원서비스를 제공하며, 취약지역의 0~16세의 모든 아동을
포괄적으로 대상으로 하고 있음

• 지역의 아동복지관(children’s center)은 서비스 제공의 허브로서


지역사회의 공공기관, 민간기관과 자원을 연계하여 통합적으로
제공하고 있음

205
다) 일본

• 일본의 아동복지정책에서 소득보장에서는 아동수당제도를


통하여 소득수준과 부양 친족 수에 따라 차등적으로 지급됨

• 아동복지사업은 제공되는 서비스의 대상(요보호아동, 장애아동,


한부모가정아동, 일반가정아동)에 따라 아동자립지원사업,
장애아동지원사업, 한부모가정아동지원사업, 일반아동육성사업
으로 구분되어 추진되고 있음

• 요보호아동사업은 아동자립지원사업으로 불리며,


시설보호, 가정위탁 등이 제공됨

• 학대사례에 대한보다 전문적인 개입을 위한 법적 권한이 아동상담


소장에게 부여되어 있기 때문에, 학대받는 아동보호는 기초 행정
기관에 신고한 대부분의 사례들이 사회복지 사무소를 경유하여
아동상담소에 의뢰함

• 장애아동지원사업은 지체부자유, 시각장애, 청각장애, 등 신체


장애 또는 정신장애가 있는 아동을 지원하기 위한 사업으로서
장애가 없는 사람들과 같은 생활을 영위할 수 있도록 경제적 급여
(특별아동부양수당 등)를 제공함은 물론 신체·정신적 장애를
최소화하고 사회적 핸디캡을 제거하여 사회적 재활을 최대화하기
위하여 시설입소 또는 통원에 의한 보호, 치료, 교육, 훈련 등을
제공하는 등 각종 사회족지서비스가 지원되고 있음

206
• 한부모가정아동지원사업은 아동부양수당법에 의한 경제적 지원,
취업자립지원, 양육가정생활지원 등이 제공됨

• 일반아동 육성사업은 모자보건사업, 보육사업 등이 포함되어 있음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아동을 위한 소득보장에서 영국은 전체아동을


위한 보편적 아동수당제도, 일본은 소득수준과 부양친족 수에 따른 아동수
당제도를 시행하고 있는 반면, 미국은 아동수당제도가 없이 저소득가정의
아동보호를 위한 정액보조금제도를 시행하고 있다.
보호가 필요한 아동보호에 있어 미국과 영국은 아동복지정책의 초점이

학대아동보호, 가정위탁, 입양 서비스를 제공하며, 장애아동과 행동문제를


지닌 아동들에게 시설보호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유사하다. 한편, 일본의
아동보호는 시설보호와 가정위탁이 아동자립지원사업으로 시행되고 있고,
학대아동보호사업, 장애아동지원사업, 한부모가정아동지원사업 등도 시행
되고 있다.

일반아동보호는 미국과 영국, 일본에서 보육사업이 아동복지정책의 핵심


사업이 되고 있고, 특히 영국에서는 최근 지역사회 저소득계층을 중심으로
하는 Sure Start 프로그램이 활성화되어 있다.

207
3) 아동복지 전달체계

가) 미국

• 미국 아동복지서비스는 연방정부의 보건 및 대인서비스부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DHHS)의
아동가족국(Administration for Children and Families:
ACF)에서 관장하고 있음

• 아동가족국에서는 입양, 위탁보호, 아동학대 및 방임, 보육 및


헤드스타트, 소득부조 등 공법이 규정한 아동과 가족을 보호하
기 위한 복지서비스를 책임지고 있음

• 아동가족국은 헤드스타트국 아동국 가족 및 청소년서비스국,


아동보육국으로 나뉘어 있음
이 중 아동국은 아동복지, 가정위탁, 입양, 가족보존 및 지원
서비스를 담당 하지만 주요 서비스 내용, 전달 방법과 체계는
주정부에 맡겨 관장하게 하는 것이 특징임

• 미국 연방정부의 아동 및 가족복지 주무 행정체계는 미국 50개


주를 지역적으로 10개 구역으로 나누어 행정적인 관할을 함
그 예로 10구역은 알래스카 주, 아이다호 주, 오리건 주, 워싱턴
주를 포함하고 있음. 각 구역의 지역사무소는 이 지역의 해당 주
들이 긴밀한 협조체계를 유지할 수 있도록 조정적 역할을 수행 함

208
• 아동복지 서비스는 지역사무소 내 아동가족국에서 이루어짐

• 연방정부 예산은 총괄보조금의 형태로 지역사무소를 통해


주정부에 전달됨

나) 영국

• 영국에서 중앙정부의 아동복지의 행정관할은 보건부


(Department od Health)이며, 아동수당의 행정관할은
사회보장부(Department od Social Security)
특히 보건부는 모든 보건서비스와 대인사회서비스 행정에 관한
정책을 결정하고 정책을 수행하는 역할을 함

• 아동복지를 포함하는 대인사회서비스 행정에 대한 통제와 감독


은 보건부에서 수행하지만, 서비스 제공의 실제적인 책임과 집행
은 지방정부에 의하여 이루어짐

209
• 지방정부 사회서비스국은 아동과 가족, 노인, 장애인 등 다양한
인구대상을 위한 대인지원, 재가보호, 주간보호센터와 주거보호
등의 서비스를 제공함

• 지역사회복지 행정체계의 중심이 되는 사회서비스국(Social


Sevice Department)의 조직은 1993년 「지역사회보호법
(Community Care Act)」의 시행으로 대대적인 변화를 가져옴

• 기존의 사회서비스국이 서비스 대상인구별 조직이라면,


새로운 조직은 서비스 제공, 구매와 커미션, 관리운영이라는
새로운 기능분류에 의하여 기능별로 재조직 됨

• 이러한 조직의 구성에 의해 별도의 아동담당조직은 아동보호,


현장서비스, 실천기준과 관리 등의 부서로 구성됨

다) 일본

• 일본에서 아동복지를 담당하는 중앙정부의 부서는 고용균등·


아동가정국이며, 지방 정부인 도·도·부·현 → 시·정·촌을 포괄하
는 광역의 지방공공단체로서 광역에 걸치는 사항, 전국 통일적인
행정을 필요로 하는 사항, 시·정·촌에 관한 연락조정 등을
담당하는 기관임

• 아동복지 업무에 있어서 지방정부인 도·도·부·현은 아동복지


사업 기획, 예산조치, 아동복지시설의 인가 및 지도감독,
아동상담소·사회복지사무소·보건소의 설치운영, 시·정·촌에
대하여 필요한 원조, 아동가정상담 가운데 전문성이 높은
업무에의 대응 등을 수행하고 있음

210
이와 같이 미국은 연방정부의 아동가정국 산하에 아동관련 부서가
조직화되어 있고, 지방은 10개 구역으로 나뉘어 각 구역의 지역사무소
는 이 지역의 해당 주들과 긴밀한 협조체계 유지, 민간기관과 연계 서
비스를 제공함

영국은 중앙정부의 보건부가 사회서비스를 관할하며, 지방정부의 사회


서비스국에서 아동보호서비스를 구매 혹은 제공하며, 이는 공공 혹은
민간 서비스를 포함한다.

일본은 중앙정부의 고용균등·아동가정국이 아동관련 서비스를 관장하


며, 지방의 도·도·부·현은 아동복지사업의 기획, 예산조치, 아동복지시
설의 인가 및 지도감독, 아동상담소·사회복지사무소·보건소의 설치운
영, 시·정·촌에 대하여 필요한 원조를 제공한다.

따라서 3개 국가 모두 지방정부 차원의 독립된 공공부문의 사무소가


설치되어 아동보호를 위한 공적 조치와 서비스를 제공하는 전달체계를
가지고 있다.

<표> 주요 선진국 아동복지제도의 국가 간 비교


미국 영국 일본

• 기본법이있음
• 기본법이없음,
주별로다양한법률체계 • 기본법내에다양한보육, 가정위탁, • 기본법이있음
시설보호,장애아동보호,학대아동보
법률체계 • 아동보호에관한다양한 • 아동수당,아동부양수당,아동학대
호등아동보호서비스를포함함
서비스는각각별도의법률에의하여 예방등별도의법률로규정함
규정함 • 아동수당,입양등은별도의법률로
규정함

• 소득보장:저소득가정의아동보호를 • 소득보장:소득수준과부양친족수에
• 소득보장:보편적아동수당외조세감
위한정액보조금제도(TANF) 따른차등지급
액, 아동부조등
• 아동보호:영구배치를목표한입양, • 아동보호:아동자립지원사업,장애
정책내용 • 아동보호:가정위탁,학대아동보호,입
가정위탁,시설보호,학대아동보호 아동지원사업,한부모가정지원사업
양, 시설보호
• 일반아동보호:보육, 아동안전,Head • 일반아동보호:모자보건사업,
• 일반아동보호:보육, Sure Start
Start 보육사업

• 연방정부의보건및대인서비스부의
• 중앙정부의고용균등·아동가정국
아동가족국이담당. 아동가족국은 • 중앙정부의보건부가사회서비스
헤드스타트국,아동국, 가족및청소년 담당하며,아동수당은사회보장부가 • 지방의도·도·부·현은아동복지사업의
서비스국,아동보육국으로구성됨 담당함 기획, 예산조치,아동복지시설의인가
전달체계 및지도감독,아동상담소·사회복지사
• 지방은10개구역으로나뉘어각구역 • 지방정부의사회서비스국에서아동보
무소·보건소의설치운영,시·정·촌에
의지역사무소는이지역의해당주들 호서비스구매혹은제공, 공공혹은민
대하여필요한원조, 아동가정상담
과긴밀한협조체계유지, 민간기관과 간서비스
가운데전문성이높은업무에의대응
연계서비스제공

211
나 우리나라 아동복지 전개 과정

 한국의 아동복지는 해방 이후 현재까지 사회구호단체에서


선별주의 아동보호 단계를 거쳐 보편주의 아동복지 단계로 변화
하여 왔으며, 보호대상의 보편화, 서비스의 다양화와 전문화의
방향으로 발전하였음

<표> 우리나라 아동복지의 발전방향


구분 발전방향
보호의 이념 사회구호 → 선별주의 → 보편주의
책임의 주체 가족책임 → 국가책임
보호의 형태 시설보호 → 가정과 지역사회 보호
보호시설의 크기 집단적 대규모 수용보호 → 소규모 수용보호
다양성 단순한 수용보호 → 다양한 형태의 분화된 서비스
전문성 비전문적 서비스 → 전문화된 서비스
보호대상 일부 보호대상아동 → 전체아동

 이러한 변천과정에서 한국의 아동복지는 시설수용보호, 입양,


영유아보육, 아동 결연, 가정위탁, 지역사회아동보호 등의
서비스로 그 형태가 형성되어 옴

 이와 함께 과거 아동복지의 주류를 형성하였던 시설수용보호의


중요성은 점차 퇴조하고 가정과 지역사회 중심의 가족지원서비스,
국내입양, 가정위탁, 방과후 보호, 기역사회아동보호 등 지역사회
내의 다양한 아동복지서비스의 의의와 중요성이 강조되어 왔으며,
아동발달지원서비스가 도입됨

212
 또한 사회변동과정에서 아동학대, 장애아동의 발생, 학교부적응,
학교폭력과 청소년 비행, 컴퓨터와 스마트폰의 중독, 미혼모와
아동의 문제, 가정해체와 결손가정의 증가 등 사회문제 대두함

 이에 따라 학대아동에 대한 강제보호서비스, 장애아동서비스,


학교사회복지서비스, 방과후 아동보호, 결식아동보호, 지역사회
아동통합서비스 등도 새롭게 부각되고 있는 아동복지 분야가 됨

 이와 같이 한국의 아동복지는 해방 이후 현재까지 사회구호 단계


에서 선별주의아동보호 단계를 거쳐 보편주의 아동복지 단계로
변화하여 왔으며, 보호대상의 보편화, 서비스의 다양화와 전문화
방향으로 발전함

213
1. 아동복지와 사회복지실천
가 우리나라 사회복지의 특징

 현대 사회복지의 발달은 해방 후 50년을 겪으면서


비교적 짧은 기간에 걸쳐 일어난 사회체계의 급격한 변화와
정치권력의 개편, 생활구조의 변화, 국민의식의 변화 등
정치, 경제, 교육, 생활풍습, 국민생활 등과 밀접한 관계를 갖고
발전해 왔으며, 그 발달과정에서 몇 가지 특징을 살펴볼 수 있음

214
1) 외국의 자선단체나 외원에 의한 물질적 구호수준에서
시설보호중심으로 발전하면서 프로그램의 다양화와
사회복지기관의 세분화가 진행되어 왔으며,

2) 사회복지대상자의 경우 의식주 중심의 보호수준에서


건강, 청소년, 가족, 산업현장 등 전 국민을 수혜의 대상으로
확대시켜 왔으며,

3) 제도적 측면에서도 아동복지법과 생활보호법에서 시작하여


국민연금법과 고용보험, 장애인고용촉진법 등에 이르기까지
각종 공적부조법과 사회보험법 등이 제정되어 사회보장에
관련된 행정과 제도의 개선으로 나타남

4) 사회경제정책과 국민의 의식변화

가) 5-60년대
• 사회복지를 주로 자선사업이나 구호사업으로 인식
• 정치사회적 혼란기와 경제개발위주의 성장정책

나) 70년대 이후
• 경제개발활성화를 위한 보조정책으로서의 사회개발

다) 80년대
• 복지국가를 지향하는 정부의 정책발전
• 지방자치제 실시에 따른 지역복지에 대한 관심증대와
기업체의 기업복지에 대한 시도
• 국민의 복지의식 전환이 사회복지의 전문성과 질을 향상시키는 등
사회복지 실현의지가 강하게 부각됨

215
5) 우리나라 사회복지분야의 경우 경제변수에 심하게 종속되어 옴

• 지난 30여 년 동안 경제성장의 논리가 우선시됨에 따라


복지부문에 관한 논의는 유보되어질 수밖에 없었으며,

• 1인당 GNP가 10,000달러를 넘어서면서 삶의 질 향상에 대한


국가적 관심이 가시화될 무렵, 오히려 유동성 외환부족이라는
문제가 '97년 IMF (국제통화기금)의 구제금융을 요청하는 사태
로까지 악화되었으며,

• 이는 결국 실업문제를 중심으로 한 돌발적인 복지수요를


만들어내게 되었음

• 사회적 안전망 형성을 포함한 기초적 복지수요를 외면해 온


고속적 경제성장이 결과적으로 대량해고를 통한 실업문제라는
새로운 복지수요를 불러왔고 이는 현재까지도 국가적 차원에서
대응하지 않으면 안될 실업문제라는 범사회적 문제가 됨

216
6) 최근 우리나라의 사회복지는 사회의 급속한 변화 속에서
기본적인 패러다임을 전환시켜 가고 있음

• 먼저, 무연고자나 생활보호대상자등을 중심으로 한 시설중심의


대책에서 전체 일반 대중과 재가복지서비스분야로 서비스대상과
제공방법이 변화하고 있음을 살필 수 있고,

• 중앙정부주도의 복지행정이 지방자치시대에 맞게 지방행정으로


추진되고 있으며,

• 사회구조의 변화와 함께 국민대중의 복지 요구가 다양화되고 다계층


화됨에 따라 경제적이고 물질적 중심의 서비스와 함께 비물질적,
사회적 기능장애에 대처하는 서비스가 강화되고 있으며,

• 아울러 소득, 보건, 의료, 교육, 주택, 재활 등 각각의 사회복지분야가


상호 연계되거나 통합되어 가고 있음을 살펴볼 수 있음

7) 그러나 지난 '95년 고용보험의 도입으로 의료보험, 산재보험,


국민연금과 함께 4대 사회보험체계가 구축되고,
노인·장애인등 취약계층을 위한 기본적 복지서비스를 위한 제도의
기본 틀이 어느 정도 갖추게 되었다고는 하나,

• 사회보험이 아직 전 국민을 포괄하지 못하고

• 저소득실직자등 사회안전망의 사각지대에 놓여있는 한계계층이


존재하고 있으며,

• 보호대상자에 대한 지원수준이 국민의 기초생활보장 및 다양한


국민적 복지욕구 충족에는 미흡하고,

• 사회보장행정체계가 공급자의 편의위주로 되어있는 등 복지의 질적


인 수준이나 내용면에서 아직 미흡한 실정에 있는 것이 우리나라
사회복지 현실의 하나일 것

217
나 아동정책의 분석

 현행 우리나라 아동정책의 체계는 아동의 아동의 권리신장이라는


목표를 중심으로 세 가지 이행과제와 이행과제별 단위과제로
구성되어 있음

1) 이행과제

가) 보호아동을 위한 가정·사회보호시스템 강화

나) 지역사회중심의 저소득층 아동을 위한 지원체계 강화

다) 아동권리 모니터링과 아동학대예방 등


아동권익신장을 세부 정책 목표로 하고 있음

2) 단위과제

가) 가정중심의 아동보호시스템 강화를 위하여 국내 입양의 활성화,


가정위탁제도 및 공동생활가정 확대, 아동복지시설 기능의
다양화를 추진하고 있음

나) 지역사회중심의 저소득아동복지 지원강화를 위하여


지역아동센터 지원확대 활성화, 급식아동대상 확대 및 전달체계
강화, 빈곤아동 청소년 대책 등을 추진하고 있음

다) 아동권리, 아동학대예방 등 아동권익 신장을 위하여 UN아동권리


협약 이행 관련 모니터링, 아동보호종합센터 등 종합적 서비스
제공, 어린이날 행사, 아동복지유공자 포상, 실종아동 지원시스템
강화, 아동권리 안전교육 및 홍보강화를 추진하고 있음

218
3) 현행 아동정책 체계에 대한 평가와 개혁이 요구되는 점 분석

가) 과거에 비해 현행 아동정책의 방향은 보호가 필요한 아동 중심


에서 일반 아동 중심으로 균형을 추구하고 있음

그러나 지금까지 아동정책의 실제에 있어서는 보호가 필요한 아동


에 일차적인 초점을 두어옴. 따라서 21세기 아동정책의 지향점은
보호가 필요한 아동 중심에서 전체 일반아동 중심의 방향으로
정책의 우선순위를 이동하여야 할 필요성이 있음

그리고 전체아동의 권리 측면에서 아동의 행복권을 보장하는 방향


으로 아동정책이 추진되어야 함. 제2차 아동정책기본계획(2020~
2024)에서 ‘아동이 행복한 나라’를 비전으로 정하고 아동권리의
존중과 실현, 아동이 현재 행복을 누릴 수 있는 환경조성을 목표로
정하고 있는 것은 이러한 정책방향을 반영한 것

나) 2020년 이후 아동정책의 네 가지 추진 전략은


권리주체 아동권리 실현, 건강하고 균형있는 발달 지원,
공정한 출발 국가책임 강화, 코로나19대응 아동정책 혁신

이러한 아동정책의 추진전략에 따라 아동정책의 초점은


보호가 필요한 보호대상 아동, 저소득층 지역사회 아동,
전체 일반아동에 관한 정책과 서비스를 보다 적극적으로
개발하고 추진할 필요성이 있음

219
다) 다양한 아동문제 발생의 가장 기본적인 상황인 빈곤환경을
극복하고 아동문제의 예방을 위한 소득보장체계는 아동정책의
기반이 됨

그러나 그간의 아동정책은 소득보장의 기반이 취약하였음


현행 정책에서 빈곤아동을 위한 소득보장은 저소득가구에 대한
국민기초생활보장이 있으며, 일반아동을 위한 소득보장으로는
아동수당법에 의한 아동수당제도가 2018년에 도입되었음

2022년 2월 3일 아동수당법 일부 개정에 의해 0~7세 미만에서


만 0~8세 미만 아동으로 대상을 확대하였으며,
선진국의 아동수당제도에 비추어 18세 미만 전체 아동에 대한
아동수당의 확대가 검토되어야 함

그리고 이혼이나 사별 등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한부모가정이나


미혼모 아동에 대한 양육비 지원이 제도화되어야 할 필요성이 있음

또한 입양가정과 위탁가정에 지원되는 양육비 지원을


입양아동부양수당, 위탁가정아동부양수당 등으로 제정하여
소득보장의 차원에서 체계적이고 종합적인 지원대책을 수립하는
방안을 검토할 필요가 있음

220
라) 아동정책의 목표와 단위사업별 세부목표가 보다 구체적으로
제시되어야 함

현행 정책의 목표는 정책의 내용을 중심으로 기술되어 있는


경우가 많아서 정책이 추구하는 결과가 명확하게 제시되지
못하고 있음

따라서 각 정책의 목표는 평가기준으로서 결과에 대한 기술이


이루어져야 할 것임

마) 다양한 아동복지 욕구의 확대에 따라 새롭게 형성되고 있는 각종


아동복지 전달체계가 구심점을 갖지 못하고 상호 간의 연계가
이루어지지 못하여 혼란을 가져올 우려가 있음

특히 아동복지의 욕구를 지닌 대상자와 전달체계 간의 초기 접촉


점이 불분명함. 따라서 아동문제가 발생할 경우, 당사자의 임의
의 방법에 의하여 다양한 경로를 통하여 서비스 접촉이 이루어지
게 되어 효과적인 초기 사정(assessment)과 의뢰(referral) 체계
가 확립되어 있지 못함

이러한 관점에서 아동복지 전달체계의 구심이 되는 중심축으로


게이트키퍼(gatekeeper)의 역할을 수행하는 조직을 설립하는
것이 매우 중요한 아동정책의 과제가 되고 있음

221
바) 현행 아동정책은 중앙행정부서의 분립으로 장애아동에 대한 서비스,
비행아동에 대한 서비스, 일반아동에 대한 보육서비스가 핵심적인
아동정책 분야임에도 불구하고 정책의 분열현상이 나타나고 있음

현행 「아동복지법」에는 장애아동의 보호에 관한 법적 근거가 없으며,


비행아동에 대한 보호도 근거가 없음

장애아동과 비행아동에 대한 보호는 「장애인복지법」과 「청소년보호법」


등에 규정되어 있지만 아동복지 차원의 통합적 접근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음

장애아동의 보호에 있어 「아동복지법」과 「장애인복지법」의 차별화된


역할이 규정되어야 할 것으로 봄
따라서 이들 대상아동에 대한 정책과 서비스를 통합적 관점의
아동복지 차원에서 추진하는 법적·제도적 개혁이 요구되고 있음

2. 아동복지의 기본전제
 아동복지의 기본 전제는 국내외 학자들에 따라 다음 표와 같이
다양한 형태로 제시되고 있음
사회사업백과사전 프리데릭슨 케이 장인협, 오정수 이순형외
-가족생활 -부모의계몽 -튼튼하게태어날권리 -안정된가정생활 -부모및가정
-부모의보호 -가정생활의보존과강화 -건전하게양육받을권리 -경제적안정 -교육및훈련
-적절한가정경제, 주거 -심신보건시설의증진 -정상적인가정생활을 -보건및의료보호 -보건및의료
-건강과의료보호 -경제적안정 누릴권리 -교육 -놀이및여가
-교육 -종교 -교육받을권리 -노동 -노동및피착취
-유희나교우 -교육 -도덕적, 정신적훈련을 -오락 -특수보호
받을권리
-윤리적표준 -놀이 -특수보호등
-유희나오락을즐길권리
-이념과가치 -위험한착취로부터해방
-교육적, 직업적지도 -특수욕구를지닌아동에
-법적보호등 대한특별한서비스

222
 아동복지의 기본 요소는 아동복지사업의 기본 구조를 구성하는
요인으로 아동복지 대책의 전개 시 우선하여 적용될 수 있는
영역임

 아동복지의 기본 요소는 학자에 따라 견해 차이를 보이는데,


『사회사업백과사전(Encyclopedia of Social Work)(1965)』에서
는 가족생활, 윤리적 표준, 이념과 가치, 교육적, 직업적 지도,
법적 보호 등을 기본 요소로 들고 있음
프레데릭슨(Hazel Frederickson)은 부모의 계몽, 가정생활의
보존과 강화, 심신 보건시설의 증진, 경제적 안정, 종교, 교육,
놀이, 위험한 착취에서의 해방, 특수욕구를 지닌 아동에 대한
특별한 서비스 등을 들고 있음

 엘렌 케이(Ellen Key)는 아동의 복지권으로서 튼튼하게 태어날


권리, 건전하게 양육 받을 권리, 정상적인 가정생활을 누릴 권리,
교육을 받을 권리, 도덕적 정신적 훈련을 받을 권리, 유희나 오락
을 즐길 권리를 언급하고 있음

 장인협, 오정수(2001)는 아동복지의 기본전제로 안정된 가정


생활, 경제적 안정, 보권 및 의료보호, 교육, 노동, 오락, 특수보호
등을 제안함

 이상에서 공통으로 제시되는 아동복지의 기본요소는


첫째, 부모 및 가정, 둘째, 교육 및 훈련, 셋째, 보건 및 의료,
넷째, 놀이 및 여가, 다섯째, 노동 및 피착취, 여섯째, 특수 보호 등

223
 아동복지 실천의 기본 전제는 다음과 같이 안정된 가정환경,
소득과 주거의 보장, 건강과 의료 보호, 교육기회와 복지서비스의
제공, 유해노동과 환경으로부터의 보호, 건전한 놀이의 제공,
특수보호 등

가 안정된 가정환경

 우리나라 속담 중에 ‘세 살 버릇 여든 간다’ 라는 말이 있음
이 속담은 가정이 아동의 성격 형성에 얼마나 큰 영향을 끼치고
있는가를 잘 보여주고 있음

 아동은 부모와 가정의 일차적 매개체로 그 사회에 있어서의


기본적인 일상생활의 습관이나 행동의 기준 및 가치판단의 기준
을 습득하면서 점차 또래집단, 이웃, 친구, 학교, 직장, 일반사회
로 뻗어나가 사회적 인간으로 성장해 나감

 따라서 아동들의 가정생활의 안정이나 강화가 아동복지 실현의


가장 중요한 기초로서 인식되고 있음
가정은 문명의 소산 중 가장 높고 아름다운 것

224
 아동은 긴급을 요하거나 부득이한 이유를 제외하고 가정에서
이탈시켜서는 안됨

 그리하여 모든 아동들이 가능한 한 원만한 가정생활을 통하여


건전한 성격을 형성하는 가운데 성장, 발달해야 할 것

 부모 및 가정은 아동 복지의 일차적 책임을 지며 직접적인 영향을 미침


안정된 가정생활과 바람직한 부모역할은 아동발달의 기본 조건
이므로 바람직한 부모역할 수행, 가정의 안정과 양호한 경제적
여건을 아동복지 실현의 가장 중요한 기초가 됨

 현대 가족은 부부중심의 가족으로 아동의 처지에서 볼 때 자신을


보호하고 지지해 줄 양육체계가 과거에 비해 취약하며 가족 내
수평적 관계가 강조되고 핵가족 외 다른 성원과의 유대는 적어
갈등 및 정서적 긴장이 증대된 가능성이 높음

 그러면서도 아동의 성취에 대한 기대는 더욱 높아져 과잉보호


하거나 과잉 통제하는 양육태도를 보여주는가 하면, 부모 자신이
자신의 양육방식에 대해 확신은 갖지 못하여 혼란을 겪기도 함

 안정된 가정생활과 준비된 부모 역할은 아동복지 실현의 가장


중요한 기초가 될 것임

225
 부모로서 자녀양육의 책임에 대해 준비하도록 지도하고 필요한
때에 상담을 제공하는 프로그램이 부모에게 제공되어야 하며
아동발달의 원리, 자녀와의 대화 기법, 부모역할 등에 대한
부모교육이 필요함

 그러나 오늘날의 사회현상은 아동에게 이처럼 중요한 안정된


가정환경의 기회를 박탈하고 있음

 이것은 현대사회의 변화하는 환경의 새로운 도전 앞에 가족이


구조적 취약성을 노출하고 있는 사실에 그 원인이 있으며,
점차 증대하고 있는 가족의 위기와 해체 현상은 건전한 아동복지
실현의 기반을 위협하고 있음

 가정은 인류문명의 소산 중 가장 아름답고 고귀한 것임


따라서 긴급한 상황이나 불가피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아동을 부모로부터 이탈시켜서는 안 되며, 모든 아동이 안정된
가정환경을 통하여 성장 발달해야 할 것

 그리고 가정환경의 안정과 기능 강화를 위해서는


친부모에 대한 교육이나 서비스를 제공하고,
가족문제 해결을 위하여 아동과 부모가 접근할 수 있는
가족상담 서비스를 확충하여야 함

226
 아동이 불가피하게 가정을 벗어나는 경우에도 가정적인 형태의
보호를 제공하는 대체가정서비스인 가정위탁이나 입양이 바람직
하며, 가정에서의 보호가 아닌 시설보호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에
도 가정과 유사한 형태의 생활환경 분위기를 제공하는 공동생활
가정제도가 바람직함

나 소득과 주거의 보장

 아동의 건전한 육성을 위해서는 안정된 경제생활과 주거생활의


보장이 요구됨

 아동의 건전한 발달을 위해서는 가정에서 생활에 필요한


최소한의 물질적 욕구가 충족되어야 함
아동의 기본적 욕구인 의식주의 해결은 그들의 신체적, 정신적
발달에 필수적인 요소이기 때문

 빈곤과 경제적 불안정은 최소한의 아동의 욕구를 충족하지


못하게 하여 이들의 건전한 성장 발달에 장애를 초래하고,
교육과 문화적 경험의 기회마저 박탈하여 아동의 지적 발달과
정서적 발달을 저해함

227
 경제적으로 안정된 생활을 누리지 못하는 빈곤가정의 아동은
아동양육 환경상의 박탈이나 경함을 경험하게 되며
이것은 나아가 아동학대나 방임, 비행 등의 사회문제와 행동문제
를 초래하기도 함

 오늘날 빈곤의 개념은 주로 상대적 개념으로서 최저생계비 이하의


상태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교육, 건강, 비행, 불평등, 기회 등의
사회적 여건 또는 자원의 결핍상태를 의미하는 것임

 그러므로 절대적 빈곤과 상대적 빈곤의 상태에 처한 가정의 요구


와 필요에 부응할 수 있는 각종 복지대책이 마련되어야 함

 빈곤이 아동에게 미치는 영향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빈곤가정의 아동은 우선 신체적으로 영양의 부족이 초래되며,
영양이 부족한 아동은 건강상태가 좋지 않음

 정서적인 측면에서는 심리적 박탈과 불안감을 갖게 되고


대인관계와 인격형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됨

 교육기회와 문화적 경험의 기회의 측면에서도 빈곤가정의 아동은


박탈을 경험함. 빈곤아동은 다양한 학습과 문화적 경험의 기회를
갖지 못하여 지적 자극이 부족하고, 이것은 아동의 인지능력의
향상과 학습능력의 발달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됨

228
 아동빈곤의 문제를 해결하고 경제적 안정을 제공하기 위한 대책
으로는 빈곤가정과 위탁가정 아동을 지원하는 기초생활보장제도,
저소득층을 위한 각종 소득공제제도, 7세 미만 모든 아동에게
지원하는 보편적 아동수당제도, 아동양육비 지원, 저소득 가정의
아동을 위한 무료급식, 건강진단, 방과후교육 등의 급여와 서비스
가 있음

다 건강과 의료보호

 아동복지의 기본전제는 아동의 건강과 의료보호


유엔아동권리협약의 제24조에서는 아동이 최상의 건강수준을
향유하고 질병의 치료와 건강의 회복을 위한 시설을 사용할 수
있는 권리를 인정하고 있음

 당사국은 이를 위하여 유아와 아동의 사망률을 감소시키기 위한


조치, 기초건강관리의 발전에 중점을 두면서 모든 아동에게 필요
한 의료지원과 건강관리의 제공을 보장하는 조치, 질병과 영양실
조를 퇴치하기 위한 조치, 산모를 위하여 출산 전후의 적절한
건강관리를 보장하는 조치 등을 규정하고 있음

229
 「아동복지법」에는 아동의 건강과 안전을 위한 보호자의 책임,
국가의 책임을 규정하고 있고, 「모자보건법」과 「저출산·고령사회
기본법」에는 모성의 생명과 건강을 보호하고 자녀의 출산과 양육
을 도모하기 위하여 모성의 의무, 국가와 지방자치단체의 책임을
규정하고 있음

 「국민건강보험법」에 의한 건강보험제도에서도 아동의 출산과


양육의 어려움을 해소하여 출산친화적 환경을 조성하기 위하여
임신·출산 진료비 지원, 출산장려금 지원, 산모·신생아 건강관리
등이 지원되고 있음

 이것은 아동에 대한 건강투자를 확대하여 아동기의 건강을


향상시키는 제도적 장치로서 의의가 있음

라 교육기회와 복지서비스의 제공

 아동은 성장 발달단계에 따라 적절한 교육을 받음으로써


자기완성과 가치를 실현할 수 있음

 만약 이러한 교육기회가 박탈되거나 거절되는 경우에는


아동 자신의 욕구 좌절은 물론 부모나 사회에 대해서도
많은 부담을 안겨 주게 될 것

 모든 아동이 어려서부터 학교와 관계를 갖게 되는데,


학교는 단순히 지식을 전달하는 기능뿐만 아니라
아동의 전인격적 성장을 위한 교육의 장임
따라서 아동의 권리 중에 교육을 받을 권리는 으뜸이 되어야 함

230
 「헌법」 제27조에 명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모든 국민은 능력에
따라 균등하게 교육을 받을 권리를 가짐

 적어도 초·중등교육은 의무적이며 무상으로 받아야 하며,


일정한 연령에 도달하는 아동은 모두 정규교육을 받아야 함

 유엔아동권리협약 제28조에서도 초등교육은 의무적이며 모든


사람에게 무료로 제공되어야 하며, 일반교육 및 직업교육을 포함
한 여러 형태의 중등교육의 발전을 장려하고, 국가는 이에 대한
아동의 이용 및 접근이 가능하도록 재정적 지원을 제공하도록
규정하고 있음

 초등교육과 중등교육의 기회 제공과 함께 최근에는 유아교육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음. 특히 조기교육의 성과는 저소득지역,
농어촌지역의 어린이들에게서 잘 나타나고 있음

 여러 가지 유아프로그램을 이용하고 있지만 유아기를 대상으로 한


프로그램이나 교육은 상당 부분 사적 영역에 맡겨져 있기 때문에
유아들이 모두 교육의 기회를 갖지 못할 뿐 아니라 교육의 기회를
가진 경우도 그 교육의 내용과 질에서 큰 편차가 있음

 따라서 아동은 그의 능력, 필요, 흥미에 따라 교육의 기회가 부여


되어야 하며, 자기충족을 얻으며, 불안에서 벗어나기 위해 배우려
는 욕구를 충족할 수 있어야 함. 특히 특수한 장애를 가진 유아나
아동의 경우 조기 교육과 특수교육의 기회를 부여해야 함

231
 국가나 사회는 신체적, 정서적, 언어적, 지적 장애를 지닌 유아에
대한 조기 개입을 통해 장애를 가진 아동 역시 자신이 가진 잠재력
을 최대한 발달시켜 사회 속에 통합되고 행복을 추구할 수 있도록
사회적 기반을 마련해 주어야 함

 빈곤하거나 불우한 환경에서 교육의 기회를 누리지 못하고 자란


어린이들은 성인이 되어서도 빈곤에서 탈피하지 못하는 빈곤의
악순환을 경험하게 되는 것

 저소득 지역의 열악한 환경에서 살아가는 아동을 대상으로


1960년대부터 실시된 미국의 헤드스타트(Head Start) 프로그램
은 빈곤의 악순환을 극복하기 위한 정책적 목적으로 시도되었음

 영국의 슈어 스타트(Sure Start), 호주의 페어 스타트(Fare Start)


프로그램도 저소득지역 아동을 위한 국가적 차원의 대책으로
시행되고 있음

 우리나라의 경우도 2000년대 이후 저소득지역의 빈곤아동을


위하여 민간차원에서 교육, 복지, 건강 서비스를 결합한
위 스타트(We Start) 프로그램이 시행되고 있고,
공공차원에서는 드림스타트 프로그램이 도입되어 시행되고 있음

232
마 유해노동과 환경으로부터 보호

 아동복지의 기본전제는 모든 아동은 노동이나 유해한 환경에서


보호되어야 한다는 것

 산업혁명 이래로 아동이나 부녀자에게 노동을 강요하게 되었음


그 원인을 살펴보면, 아동의 임금은 성인에 비해 낮아서 생산비
를 줄일 수 있으므로 자본가들이 연소자를 고용하였으며,
아동은 성인에 비해 복종적이고 약한 점을 들 수 있음

 이러한 연소노동은 결과적으로 아동의 발달을 저해하고,


건강을 위태롭게 하고, 지능발달에 장애를 초래하며, 인성발달에
나쁜 영향을 미침. 아동은 사회규정상 아직도 성장·발달하고
보호받아야 하는 미성숙한 대상이기 때문임

 우리나라 「근로기준법」에는 15세 미만자는 근로자로 사용하지


못하며, 15세 이상 18세 미만자의 근로시간은 ‘1일에 7시간,
일주일에 42시간을 초과하지 못한다’고 규정하고 있음

 「아동복지법」 제17조에는 아동에게 음행을 시키거나 음행을 매개


하는 행위, 장애를 가진 아동을 공중에 관람시키는 행위, 아동에게
구걸을 시키거나 아동을 이용하여 구걸하는 행위, 공중의 오락
또는 흥행을 목적으로 아동의 건강 또는 안전에 유해한 곡예를
시키는 행위를 금지하고 있음

233
 이와 같이 아동의 유해노동으로부터 보호를 법률로 규정하는 것은
아동발달의 관점에서 아동에게 교육과 놀이의 기회를 충분히 보장
하고 정상적인 성장 발달을 도모하고자 하는 정신에서 나온 것으로
볼 수 있음

 아동이 불가피하게 취업해야 할 경우에는 아동의 연령, 능력 등을


충분히 고려해야 하며, 또한 취업과 함께 아동의 욕구를 충족해
줄 수 있는 교육이나 복지대책이 수반되어야 할 것임

바 건전한 놀이의 제공

 아동의 놀이는 단순한 장난이 아니라 귀중한 학습의 기회이고


발달의 기회임

 일찍이 연구자들은 놀이의 의미와 이점에 대해 탐색했고


아동에게 있어 놀이의 가치를 인식함

234
<표> 놀이의 의미와 이점
이론과 이론가 놀이하는 이유 큰 이점
잉여에너지이론
신체의 자연적 에너지 소비 신체적
(Spencer)

에너지 재생설 신체의 자연적 운동기능이 회복되는 동안


신체적
(Patrick) 지루함을 피하기 위해
반복이론(Hull) 인간 종의 진화과정 시기를 반목 신체적
연습이론(Gross) 성인기에 필요한 지식과 기술을 연습, 개발 신체적, 인지적
정신분석이론 주위 세계에 대한 통제감,
정서적, 사회적
(Freud, Erikson) 무의식적 충동표현, 불안감 해소

인지발달이론
인지발달의 촉진, 새로운 학습가능성을
(Bruner, Piaget, 인지적, 사회적
수용하면서 이미 일어난 학습을 통합
Sutton-Smith)
신경심리학
(Weininger, 우반구와 좌반구의 기능을 통합 생리적, 인지적
Fitzgerald)

 놀이를 통해 아동들은 자신의 경험을 재구성하고 자기 생명과 감정을


나타내고 창의적인 생각을 표현하고 발달시키기도 하고 억압된 감정을
해소하기도 함

 그러므로 아동에게는 취미를 발전시키고 운동 등에 능동적으로 참여


하도록 기회가 제공되어야 하며 여가활동을 건설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지도 받아야 함

 모든 아동에게는 성장에 도움이 되는 지적 관심과 신체적 활동을


추구하고, 자기 충족감을 줄 수 있는 놀이기회를 갖도록 해야 함

 아동의 놀이는 필수적인 것이며 놀이를 통하여 사회화 과정을 경험하며


대인관계의 기술을 습득함. 또한 놀이는 욕구나 감정 발산을 충족시키며
신체적, 정신적으로 건전하게 성장할 수 있는 촉진제가 됨

235
 아동에게 놀이가 갖는 가치

① 신체적, 정서적 및 사회적 성장 발달에 기여하며,

② 아동에게 생활경험을 제공하고,

③ 성장 후의 사회생활에 대한 준비와 훈련을 하게 됨

따라서 아동에게는 가족 구성원 이외의 또래집단의 아동과


놀이활동을 할 수 있는 기회가 주어져야 함

 학업을 중시하는 우리나라의 경쟁적 교육환경 속에서도 최근에는


제2차 아동정책기본계획(2020~2024)에 아동의 진정한 행복을
위하여 놀이와 학습의 균형과 건전한 놀이의 시간을 보장해야
한다는 반성이 나타나고 있음

236
1. 아동복지의 실천원칙
가 아동복지의 원칙

1) 권리와 책임의 원칙

• 아동 - 부모 - 사회

• 아동복지대책에 있어 당사자는 아동과 부모 및 사회로 볼 수


있으며 아동복지의 세 주체는 각각 권리와 책임을 가짐

• 권리에 대한 인정과 당사자의 책임을 인식함으로써 상호의


균형을 기해야 함

• 이 중 한 부분의 권리나 책임에서 야기되는 갈등이나 부적응


또는 지나친 요구 등은 아동들에게 어려운 문제들을 야기함

237
• 아동은 성인과 다름없는 하나의 인격체로서 성인과 같이
자신의 행복 추구 및 성장발달을 위한 권리를 가짐

• 유엔의 아동권리협약이나 어린이헌장에서 명시하고 있듯이


아동은 심신이 건강하게 태어나 살아가며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발달하고 교육과 지도를 통해 발전할 권리를 가지고 있으므로
아동복지사업을 전개하는 데 있어서는 이러한 아동의 권리가
바탕이 되어야 할 것

• 아동의 권리에 대한 인식과 함께 아동 역시 자신의 성장과 발달에


대한 책임을 지녀야 함

• 아동은 사회와 성인의 기대 및 합리적 요구를 고려해야 하고


자신에 대한 책임감을 발달시키며 자신의 발전에 도움이 되는
기회를 적극 활용해야 한다는 책임을 지님

• 아동의 양육을 담당하고 있는 부모의 권리와 책임으로서, 부모는


아동이 생활하는 환경을 구성해 주는 일부터 직접적인 상호작용에
참여하는 과정에서 부모는 아동에게 가장 큰 영향력을 발휘함

• 부모가 어린 자녀를 보호하고 양육하는 과정에서 이어지는 수많은


의사결정은 일상의 행동습관을 형성해 주는 것부터 교육 및 종교에
관한 것까지를 포함함

• 또한 부모는 스스로 의사결정하기 어려운 아동을 대신하여


아동의 이익을 최우선으로 하는 의사결정을 해야 할 권리와 책임도
인정되고 있음

• 부모의 책임으로 재정적 지원, 신체적 보호에 대비하는 일,


정서적 교양 보호, 기타 광범위한 부모의 의무 등이 있음

238
• 시대나 사회에 따라 부모의 권리와 책임에 대한 규정이 다르지만
부모는 아동의 삶의 모습을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요인이므로
부모의 역할 수행을 위한 직접적, 간접적 지지가 필요함

• 특히 현재와 같이 아동의 권리에 대한 인식이 제고되고 가족 내에


는 부모역할모델이 부재하며 가족원들이 각기 다중적 역할을 수행
해야 하는 상황에서는 부모의 역할과 의무에 대한 협의가 더욱
요청되며 부모를 위한 교육과 서비스가 절실함

• 아동복지의 또 다른 당사자는 사회 및 국가, 정부


사회 및 국가는 국민의 뜻을 수렴하여 아동복지의 방향과 실제를
결정하고 집행하는 주체임

• 의무교육을 통해 부모의 권리나 의사와 관계없이 아동을 위한


교육권을 보장하고 술이나 담배 등 유해물을 아동에게 팔 수 없도록
규정하고 감독하는 과정에서 그 권리와 책임을 실현함

• 특히 발달의 일차적 환경이 유해하거나 상실된 경우에는 적극 개입하여


아동의 발달을 위한 최선의 결정을 내려야 하는 책임과 권리를 가짐
즉, 정부는 아동의 복지와 관련된 정책의 개발을 위해 입법하고
법을 집행하는 과정에서 권리를 행사하고 국민 의사를 반영하여
미래의 국민을 건전하게 육성할 책임과 의무를 갖는 것

239
• 1991년 우리나라는 유엔의 아동권리에 관한 국제협약에 가입함

• 아동권리에 관한 국제법을 비준하면서 그간의 아동권리보호 정책


이나 활동을 점검하는 계기가 되고 있으며 사회와 국가가 보다
적극적으로 아동의 권리보호 및 아동의 복지에 대한 책임을
갖도록 기대되고 있음

• 아동복지의 발전적 전개는 세 당사자 간의 유기적인 관계를


필요로 함

• 아동은 권리의 주체로서 권리행사를 위해 부모 및 사회에


그 요구를 표현하고 전달할 수 있어야 하며
미래의 사회 성원으로서 건강하게 성장할 책임을 가짐

• 부모는 자녀가 자신으로부터 세상에 나왔을지라도


자녀는 공동체 속에서 자라 사회의 유지, 발전에 기여할 존재
이므로 자녀에 대한 책임을 최선으로 수행해야 할 것이고
국가는 모든 사람들의 행복추구를 보장하기 위해 정책을 개발하고
집행하듯 그 대상 속에 아동을 동등하게 포함시켜야 하며
아동과 부모 및 사회의 권리와 책임을 확립하고 재규정 해야 함

240
2) 보편성과 선별성의 원칙

• 아동복지대책에는 보편성과 선별성이 공히 적용될 수 있음


보편성의 원칙은 일반아동을 위해 적용되며 선별성의 원칙은
특수한 문제나 요구를 가진 아동에게 적용됨

• 아동복지대책의 보편주의란 전체 아동을 대상으로 아동의 제반


조건이나 특성에 관계없이 동등한 수준에서 예방적 서비스를 목적
으로 사회가 책임을 지고 여러 가지 복지조치를 제도적으로 실시
하는 것

• 아동이 있는 모든 가정에 수당을 지급함으로써 아동의 성장을 위한


최소한의 여건을 마련해 주는 경우나 모든 아동이 일정 수준의 교육
을 마땅히 받을 수 있도록 무상의무교육을 제도화하는 경우가 그 예

• 보편주의에 의한 제도는 대체로 일반조세로 충당되므로 누진적


조세구조에 의한 소득계층 간의 소득 재분배 효과가 나타남

• 아동복지대책의 선별주의는 빈곤계층의 아동이나 가장 욕구가


크고 긴급한 아동들, 즉 사회가 법적으로 인정하는 요보호 상태에
처한 아동들에게 초점을 두고 급여와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

• 예를 들어 고아나 기아를 아동복지시설에서 보호하거나


다른 가정에 입양할 수 있도록 조치하는 경우가 그 예

• 선별주의 원칙에 입각한 급여와 서비스는 그 성격에 있어서


시혜적이고 범주적이며 열등처우의 원칙이 불가피하며
낙인효과에 의한 수치감을 초래할 수도 있음

241
• 현재 아동복지대책을 위한 재정적 역량의 개선과 함께 복지에
대한 인식과 요구가 높아지면서 종래와 같이 선별주의 원칙에
의거한 복지시책보다는 모든 아동을 대상으로 하는 보편주의적
복지를 지향하고 있음

• 사회적 변화와 함께 가족의 기능과 구조도 크게 변화하였고


아동의 발달수준에 대한 기대나 교육적 욕구도 변화되어 예전과
같이 가족 내에서도 그러한 변화를 수용하고 욕구를 충족시키기
에는 한계가 있음

• 아동복지의 기본 토대가 되는 가족제도, 의료제도, 고용제도,


사회보장제도 등에서 공히 가족의 역할과 기능을 지지하는 제도를
구비함으로써 아동의 복지를 도모해야 함

• 또한 권리로서의 아동복지를 지향하는 현 시점에서는


개별 아동이 처한 환경여건에 관계없이 모든 아동을 대상으로
하는 복지가 실현되어야 함

242
3) 개발적 기능의 원칙

• 개발적 기능의 원칙이란 과거의 사후 복지지향적 아동복지체계


에서 나아가 개발지향적 체계를 적용해야 함을 의미함

• 아동복지사업의 변화과정에서 볼 수 있듯이 초기의 아동복지


사업은 가정에서 이탈된 아동이나 가정이 없는 아동을 아동복지
의 주 대상으로 고려했고 구호적·사후대책적 기능이 지배적이었
다고 볼 수 있음

• 그러나 시대적·사회적 변화와 함께 아동의 욕구 및 발달과업이


달라지고 있고 더 많은 사람들은 일반적으로 아동의 권리나 복지
의 필요성에 대해 공감하고 있으며 전체적인 사회복지에 대한
기대와 욕구가 높아졌음

• 또한 사회, 문화, 경제는 그 자체로 문제를 안은 채 아동과 가정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기도 하고 상호 관련되어 사회문제를 야기해
아동에게 부정적 영향을 주기도 함

• 따라서 향후의 아동복지사업은 대상 아동의 욕구를 발견하고 변화를


예측하며 사회구조나 경제조건에 바람직한 변화를 초래하는 접근을
모색함으로써 예방적·적극적 아동복지대책, 사회경제적 문제에 대한
적극적 개발기능이 요청됨
즉, 변화하는 사회에서의 아동복지는 개발적 기능의 원칙을 고려해야 함

• 아동복지와 관련성이 있는 여러 제도적 변화를 도모하는 것을 포함해


국가 전체의 욕구와 문제해결을 모색하는 적극적·의도적 수행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음

243
4) 포괄성의 원칙

• 포괄성의 원칙은 아동복지를 위한 프로그램의 계획과 제공 시


고려해야 할 원칙임

• 아동복지대책과 관련된 경제부문이나 교육, 의료, 주택, 노동,


오락부문의 포괄적 정책이 아동관련 제도, 정책, 프로그램과
서비스에 수반되어야 한다는 것

• 예를 들어 빈곤한 가족의 아동은 1차적으로는 부모의 경제적


빈곤으로 먹고 입는 생활에서 곤란을 겪으며 나아가 교육 및
학습에서나 문화적 기회에서도 불리한 입장에 있음

• 제도를 통해 의식주 문제를 해결하도록 돕는 것으로는 빈곤한


가정의 아동의 생활과 발달을 변화시키기에 한계가 있음

• 학대를 받는 아동도 많은 경우 부모 간 갈등의 문제나 가정의 경제


적 문제, 지역사회로부터의 고립, 학교에서의 부적응이나 고립 등
과 관련한 문제를 동반하므로 문제해결을 돕기 위해서는 아동을
둘러싼 다양하고도 중층적인 체계를 포괄적으로 고려해야 함

• 즉, 가정의 안정과 부모역할 수행을 위한 경제적 지원방안과 교육


및 상담제도, 아동을 위한 교육적 지원과 제도, 보건 및 의료지원
제도, 착취나 학대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관련 법, 제도의 정비 등
이 포괄적으로 마련되어야 아동이 가정상황이나 여건에 관계없이
건강한 성장과 발달의 기회를 가질 수 있을 것임

244
5) 전문성의 원칙

• 아동연구에 의하며 아동은 성인과 다른 방식으로 세계를 받아들이고


사고하며 지속적으로 변화하는 과정에 있음

• 생래적 요소를 바탕으로 살아가는 환경에서 무엇을 경험하는가에 따라


사회성과 정서, 도덕성이 발달하며 언어나 인지능력, 신체가 급격히 변화함

• 따라서 아동들의 욕구나 사고 및 행동의 발달과 변화, 특성에 관한


전문적 지식과 아동을 지도하기 위한 전문적 기술이 없이는
아동을 이해하기 어려우며 올바른 문제해결을 도모하기 어려움

• 아동들의 건전한 발달을 위해서는 아동 및 인간발달을 이해하는


전문적 인력이 요청되며 아동 관련 프로그램을 직접 기획하고
실천할 수 있는 역량을 가진 전문가가 절실함

나 아동복지서비스의 실천 원칙

 아동복지서비스의 실천은 아동과 가족, 국가의 역할과 책임에


대한 사회적 인식과 가치를 기초로 다음과 같은 일련의 원칙에
따라 수행됨

 다운즈 등(Downs et al., 2004)은 아동복지서비스의 실천에


적용하는 다음과 같은 네 가지 원칙을 제시하고 있음

245
1) 제1원칙: 안전하고 영구적인 가정이 아동을 위한 가장 최선의 환경이다.

• 아동은 의존적이고 미성숙한 존재로 생존과 번영을 위하여


외부의 보살핌, 보호, 지도가 필요한 존재이며

• 미래에 사회에서 필요한 역할을 수행하기 위하여


사회화를 통하여 점진적으로 그 역할을 학습해 나감

• 아동이 보살핌과 보호를 받고 사회화를 이루어가는 이러한 성장과


발달과정에서 안전하고 영구적인 가정은 최선의 환경을 제공함

• 아동의 욕구는 지속적인 양육, 지지 및 자극을 제공하는 환경에서


성장 발달할 기회를 갖는 것이며, 가정은 보살핌을 제공하는
보호자와의 안정된 관계를 제공하는 최선의 장

2) 제2원칙: 아동은 신체적, 성적, 정서적 학대로부터 자유롭고


안전한 환경에서 성장하여야 한다.

• 아동은 음식, 의복, 주거 등 기본적인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사랑을 제공하는 보호자의 관계 속에서 안전하게 자라야 함

• 아동의 가정이 이러한 안전한 환경을 제공할 능력을 상실했을


경우 제1원칙과 제2원칙이 충돌하는 경우가 생김

246
3) 제3원칙: 아동의 욕구가 가족에 의하여 충족될 수 있을 때,
아동복지서비스는 가족의 기능을 강화하고 지지하여야 한다.

• 제3의 원칙은 제1원칙과 제2원칙이 충돌하는 상황에서


이러한 딜레마를 해결하기 위한 실천원칙임
즉, 아동의 욕구가 가족에 의하여 충족될 수 있는 한,
서비스는 가족의 기능을 강화하고 지지해야 함

• 서비스는 아동을 가족으로부터 분리하지 않고 가족의 연속성을


유지하는 동시에, 가족은 지역사회로부터 적절한 소득보장,
의료보호, 주거에의 접근 등 아동양육을 위한 적절한 환경을
제공받을 자격이 있음

4) 제4원칙: 아동을 배치하는 결정은 가족의 연속성에 대한 아동


의 욕구를 존중하여야 한다.

• 만약 아동이 가족으로부터 불가피하게 분리되어야 하는 경우,


아동을 배치(placement)하는 결정은 가족에 대한 아동의
정서적인 애착과 연속성(continuity)을 유지하는 데 서비스의
초점을 두어야 함

• 혈연관계는 이러한 연속성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함

• 아동을 생물학적 부모로부터 분리시킬 때, 아동을 그들이 알고


있는 친척에게 보내는 것, 형제자매와 함께 거주하게 하는 것,
또는 친구나 교사, 친척 등 가까운 관계의 사람들과 접촉을 유지
하게 하는 것 등이 이러한 연속성을 고려한 조치임

247
• 입양을 통하여 영구적인 배치를 하는 경우에도 공개입양을 방법
으로 생물학적 부모와 관계를 유지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함

 이러한 아동복지서비스의 실천 원칙들은 미국을 비롯한 선진국의


학대보호, 가정위탁, 입양 등의 서비스에서 경험적으로 검증되어
왔으며 서비스 현장에서 적용되어 활동하고 있음

 한편, 미국의 The Casey Outcoms and Decision-Making


Project(1998)에서는 아동복지서비스의 원칙으로
다음과 같은 7가지 사항을 제시함

248
① 아동의 안전과 가족의 지지
• 가족구성원과 함께 거주하는 안전하고 영구적인 가정은
아동의 성장을 위한 최선의 장소

② 아동과 가족의 복리
• 아동의 복리란 아동의 기본적 욕구가 충족되어야 하며
아동이 지속적인 양육, 지지, 자극을 제공하는 환경 속에서 발달할
기회를 가져야 한다는 것

• 가족의 복리란 가족은 아동을 돌볼 능력을 갖고 있으며 아동의 발달,


교육, 사회, 문화, 보건 및 주거 욕구를 충족시켜야 한다는 것

• 아동을 위한 가족의 활동을 지원하는 것이 아동복지기관의 주요 목표

③ 가족에 대한 지역사회의 지원
• 지역사회는 가족이 아동을 위한 안전한 양육환경을 제공하도록
직업, 주거 및 지역사회 기반의 예방적이고 가족지지적인 서비스
를 제공해야 함

④ 가족중심적 서비스
• 아동을 위하여 주요 결정을 하고 그들의 욕구를 충족시키는
서비스를 계획하는 데에 가족은 아동양육 지원체계의 핵심적인
파트너가 되어야 함

⑤ 문화다양성의 능력
• 문화적 차이와 다양성을 이해하고 지원하는 서비스 체계를
구축해야 함

249
⑥ 책임성과 적시성
• 잘 조직된 서비스 전달체계, 수행기준에 대한 책임성, 서비스
시간계획은 아동을 보호하고 가족을 강화하는 활동의 핵심

⑦ 시스템과 자원의 조정
• 서비스와 지원활동을 조정하는 공식적 노력은 다양한 ᅟ기관에
서 제공되는 서비스의 응집력을 향상시킴

2. 아동복지 서비스의 유형(지지적, 보조적, 대리적 서비스)


 아동복지 서비스는 그 분류 기준에 따라 몇 가지로 나누어 볼 수 있음
서비스 전달제공 장소, 서비스 기능, 가족의 욕구를 기준으로
다음과 같이 분류됨

<표> 아동복지서비스의 분류
분류기준 가정 ← 분류의 연속성 → 시설
서비스가
가정 내 서비스 가정 외 서비스
제공되는 장소
서비스의 기능 보조적 서비스 지지적 서비스 대리적 서비스
제1차 방어선 제2차 방어선 제3차 방어선
방어선의 위치
(출생가정) (대리가정) (주거시설)
개별지도,
가사지원서비스,
서비스의 내용 집단지도, 가정위탁, 입양 주거시설
보육서비스
가족치료

250
가 서비스 제공 장소에 따른 분류

 서비스 제공 장소에 따른 분류는 아동복지서비스를 직접적으로


제공받는 아동이 어느 장소에서 생활하고 있는지에 따라
분류하는 방법

1) 가정 내 서비스(in-home service)

• 아동이 부모를 비롯한 가족구성원과 함께 생활하면서 필요한


양육과 서비스를 제공받는 경우

• 가정 내 서비스는 아동의 양육에서 가장 핵심적인 위치와 중요성


을 지니고 있다는 점에서 아동복지서비스에서 강조되고 있음

• 우리나라 「아동복지법」 제3조(기본이념)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아동은 완전하고 조화로운 인격발달을 위하여 안정된 가정환경
에서 행복하게 자라야 한다는 아동복지의 기본 이념과 아동복지
를 실현함에 있어 강조되는 가정중심의 보호원칙에 비추어 볼 때,
가정 내 서비스의 중요성을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음

251
2) 가정 외 서비스(out-of-home service)

• 아동이 자신이 거주하는 가정과 가정 밖의 서비스 제공 장소 간에


내왕하면서 보호나 서비스를 받는 경우, 그리고 자신의 출생 가정을
떠나서 일시적으로 또는 장기적으로 보호시설이나 다른 위탁가정
등에 거주하면서 양육이나 서비스를 제공받는 경우를 모두 포함함

• 아동의 보호에 있어 안정된 가정생활과 가정중심의 보호원칙의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가정이 해체되거나 아동의 특별한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불가피하게 가정을 떠나 보호를 받아야 하는
경우가 발생함. 이러한 경우 가정 외 서비스를 부정적인 관점에서
보기보다는 적극적인 선택으로서 아동의 복지를 위한 최선의 대안
으로 제공하여야 함

나 가족의 욕구수준에 따른 분류

 가족의 욕구수준에 따라 아동복지서비스가 분류되며


이 분류체계는 미국의 ‘아동보호기금(Children's Defence
Fund)’이라는 단체에 의해 개발되었음

252
[그림] 가족의 욕구수준에 따른 아동복지서비스

1) 모든 가정을 위한 서비스

• 피라미드의 가장 아래에 위치한 모든 가정을 위한 서비스는


모든 가정의 아동을 위한 보편적인 서비스이며 적절한 소득,
주거, 건강보호, 보육, 교육, 레크리에이션 서비스가 포함됨

2) 약간의 추가지원이 필요한 가정을 위한 서비스

• 약간의 추가지원 서비스에는 가정방문 프로그램, 가정지원센터


의 서비스, 부모 및 아동교육 프로그램을 포함함

253
3) 특별한 지원이 필요한 가정을 위한 서비스

• 특별한 지원이 필요한 가정을 위한 서비스에는


약물남용치료서비스, 정신건강서비스, 단기보호서비스,
가정폭력서비스, 부모가 감옥에 수감된 아동을 위한 서비스
등이 포함됨

4) 위기가정을 위한 서비스

• 위기가정 서비스는 욕구수준이 상당히 높은 단계로서


집중적 가족보존서비스, 학대아동보호서비스 등이 포함됨

5) 가정 밖의 서비스

• 아동이 자신의 가정에서 보호받지 못하는 상황이 오면, 아동은


자신의 가정을 떠나 외부의 가정이나 시설에서 보호를 받음

• 가정을 떠난 외부 서비스에는 비행아동을 위한 교정시설,


치료시설, 그룹홈, 위탁가정 등이 포함됨

254
다 서비스 기능에 따른 분류

 아동이 속한 원가정에 대해 서비스가 수행하는 기능에 따른 분류


(Kadushin, 1988)

 이 분류는 카두신이 제시한 것으로 아동양육을 위한 가정의 역할


에 대하여 아동복지서비스가 어떠한 기능을 지니는가에 따라
지지적 서비스, 보조적 서비스, 대리적 서비스로 구분함

1) 지지적 서비스(Supportive service)

• 부모와 아동이 그들 각자의 책임을 다할 수 있도록 그들의 능력


을 지원하고, 강화시키고자 하는 서비스

• 지지적 서비스는 자기 집에 살고 있는 아동을 위해 제공되고


있으므로 재가보호(home-based care)라고도 말할 수 있으며,
가장 예방적인 접근 방법임

• 지지적 서비스가 필요한 상황은 일반적으로 아동의 양부모가


함께 생활하고 부모의 역할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의사와 능력이
있지만 부모-자녀 간의 갈등이나 부부갈등의 결과 부모-자녀
관계에 어려움이 있는 경우임

255
• 지지적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에서 부모-자녀관계의 역기능이
있더라도 서비스는 가족의 구조를 손상시키지 않거나 가족구성원
의 역할과 기능을 대신하지 않음

• 서비스는 가족구조의 외부에서 머무르면서 도움을 제공함


이러한 지지적 서비스를 제공하는 주요 기관에는
가족서비스 기관과 아동상담기관이 있으며, 가족구성원에 대한
개별지도와 집단서비스, 가족치료 등의 접근방법이 활용됨

서비스의 종류 서비스 내용
가족해체∙붕괴, 가족 구성원의 역기능 수행을 예방하거나
가족복지사업
치료하기 위한 사업.
학교에서 아동이 그의 능력과 기능을 성취함에 있어
학교사회사업 방해가 되는 사회적∙정서적 문제를 아동이 극복하도록
돕기 위해 수행되는 사업.
근로아동의 취업활동, 근로환경 개선 및 교육기회를 제고
근로아동
하기 위한 시업으로 직업훈련, 특별학급 및 산업체학교
복지사업
운영 등이 이에 포함.
가정 내에서 부모와 아동이 바람직한 관계를 가지며
행복할 수 있도록 지지∙강화해 주는 사업.
상담사업
부모나 아동의 면접을 통한 상담서비스, 가족면담,
유사한 문제 등이 이에 포함.
법적인 혼인관계 이외의 남녀관계에서 자녀를 갖게 된
미혼부모 여성과 남성 그리고 그 자녀가 경험하는 문제를 해결하도
복지사업 록 지원하는 서비스 활동 및 미혼부모의 발생을 예방하는
교육적 활동사업.

256
2) 보조적 서비스(Supplementary service)

• 부모역할의 일부를 보조하는 서비스로 부모의 보호, 양육의 질이


부적절하거나 제약이 있을 때, 이를 보충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서비스

• 부모의 사망, 유기, 이혼, 별거 등으로 인해 부모의 역할이


영구적으로 수행되기 어려울 때, 혹은 교도소 수감, 질병,
직업상의 이유 등으로 인해 일시적으로 부모의 역할 수행이
힘들 때 제공될 수 있음

• 보조적 서비스는 가족의 적절한 역할수행이 어려움을 당하는 경


우에 아동의 욕구를 충족시키는 사회적 장치로서의 의미가 있음

• 보조적 서비스에는 빈곤 가정을 지원하는 소득보장으로서


연금급여 또는 아동수당, 일하는 어머니를 도와주는 보육서비스,
부모가 질병이나 부재중일 때 아동의 집안일을 도와주는
가정봉사원 서비스 등이 포함됨

257
서비스의 종류 서비스 내용
가정의 경제를 책임지는 보호자가 사망하거나 질병, 실업으로
무능하여 가정경제가 위기에 처했을 경우 가정을 유지하기 위해
소득보완사업
사회에서 연대책임을 지고 공적 부조와 사회보험을 통해
경제적 지원을 제공해 주는 사업
어머니의 사정으로 자녀를 양육하기 어렵거나 가사를 적절히 처리할
가사조력서비스 수 없을 때, 사회사업기관에서 파견된 가사 조력원이 적절한 도움을
제공하는 사업
보호자가 근로, 질병, 기타 사정으로 아동을 보육하기 어려운 경우
보육서비스 보호자의 위탁을 받아서 하루 중 일정 시간 동안 신체적∙정신적∙교육
적 발달을 가져올 수 있도록 아동을 보호하고 교육해 주는 사업
20세 미만으로 범죄행위를 하거나, 그의 성격상 또는 환경적 요인
비행아동복지사업 으로 범죄행위를 할 우려가 있는 비행아동을 대상으로 비행행동을
예방하거나 교정하는 사업
신체장애, 정신박약, 정서장애 아동에게 의료적∙직업적∙교육적∙사회
장애아동복지사업 적∙심리적 재훈련을 통합적∙협동적으로 실시함으로써 가능한 한
개인의 기능회복을 최대한 도모하는 사업
신체적, 정서적, 도덕적, 의료적, 교육적, 성적, 지역사회적 측면에서
아동보호서비스
유기 및 학대 받은 아동을 위한 보호활동

3) 대리적 서비스(Substitute service)

• 부모가 역할을 전적으로 수행할 수 없어 부모역할의 전부를


제삼자가 대신하여 맡는 경우를 말함

• 부모가 당면한 문제를 해결할 수 없어 양육기능을 일시적 또는


영구적으로 포기하고, 아동은 자신의 가정을 떠나서 다른 가정이
나 시설에서 생활하게 됨(Kadushin, 1988)

• 여기에는 가정위탁, 입양, 집단보호 등의 서비스가 포함됨

258
서비스의 종류 서비스 내용

시설보호에서의 미비점을 보충하기 위해 보호가 필요한 아동


가정위탁사업 에게 계획된 일정 기간 동안 대리가정에서 보호, 양육 받도록
하는 사업

행정적, 법적 권한에 의해 혈연관계가 없는 타인에게


입양사업 친자 관계를 형성시켜 줌으로써 인위적으로나마 아동이
가정 안에서 부모와 함께 생활할 수 있도록 하는 사업

부모가 부모의 역할을 수행할 능력이나 의사가 없는 경우,


시설보호사업 부모를 전적으로 대리하여 아동을 일시적 또는 장기적으로
집단 보호하는 사업

보호를 필요로 하는 아동에게 사회복지사 등의 보호자와 함께


가정 형태를 구성하여 생활하도록 하는 새로운 보호사업
공동생활가정사업 가정보호 형태를 통해 보호를 필요로 하는 아동의 건강한
성장과 발달을 도모하고 지역사회 내 사회적응능력을
배양시키고자 함

259
1. 아동복지서비스 실천과정과 방법
가 클라이언트로서의 아동의 특성

 아동은 작은 어른이 아니라 고유의 독특한 특성과 욕구를 지닌


인격적 존재이기에 클라이언트로서 아동과의 활동은
특별한 성격을 지님

260
1) 발달과정에 있다.

• 아동은 아직 발달과정에 있기 때문에 문제에 대한 개입에 있어서는


현재 상태의 모습에서 장래의 원만한 발달 가능성의 모습을
그리면서 개입의 목표와 계획을 세워야 함

2) 행동언어로 의사소통 한다.

• 아동은 이해력이 떨어질 수 있기에 언어보다는 행동언어로


의사소통 하는 특성을 지님

• 아동의 관점을 배우고 아동의 반응을 세밀하게 관찰해야 함

• 행동언어를 통해 믿음의 관계, 신뢰의 관계를 형성하고


공식적이고 딱딱한 면접절차를 피하고 비언어적인 도구를
사용하여 자연스럽게 진행

3) 부모에게 의존하고 있다.

• 아동은 부모 또는 부모의 기능을 대행하는 성인의 양육을 받으며 성장하고


있으므로 부모의 양육사와 현재의 양육태도, 부모의 성격이나 성장배경,
그리고 자녀와의 관계 등의 내용은 행동 문제의 원인을 생각할 때
중요한 참고자료가 됨

• 아동 행동문제 개입을 위해 부모와의 협력체제를 만들어가는 것은 중요함

4) 또래관계가 중요하다.

• 아동의 행동문제는 또래와의 상호작용 형태와 밀접한 관련이 있음

• 또래관계를 조정하여 적절한 또래관계가 형성되도록 개입하는 것이


직간접적으로 문제의 개선으로 연결되는 경우가 많음

261
5) 미성숙 상태에 있다.

• 아동의 자아는 연약하고 미개발 상태에 있음

• 기억이 연속되기 보다 조각조각 끊겨서 남을 수 있고


과장할 수 있음

• 공상과 현실을 구분하지 못하거나 관심을 끌거나 과장 비약,


도피 등을 위해 거짓말을 하기도 하기에 아동의 말만 믿고
판단을 내리기에는 위험할 수 있음

6) 비자발적인 클라이언트인 경우가 많다.

• 아동은 행동상의 문제를 지니고 비자발적이 클라이언트로서


오기에 아동의 문제와 상황에 비추어 치료사, 교사, 중재자,
대변자 등 다양한 사회복지사의 역할이 요구됨

• 비자발적이기에 관계 종료를 가져오기 쉽고 초기 저항이 심할 수


있으며 참여 의지나 문제의식이 없을 수 있기에 개인의 효력이
늦어질 수 있음

• 아동이 처음 기관을 방문할 때의 두려움, 걱정 및 질문 등을


전적으로 이해하고 참여시키기 위해 아동 스스로의 동기와 흥미
를 유발하고 유지하는 노력이 필수적이며 이를 위한 아동의 발달
수준도 반드시 고려해야 함

262
나 아동복지서비스 실천과정과 방법

1) 초기 단계

가) 초기 접수

• 초기 접수(intake)과정은 클라이언트의 관련 정보 수집,


여러 가지 행정적 서류 작성, 일상적 지침(서비스 정보,
요구사항, 제한점 등)등을 제공하는 공식적 과정

• 클라이언트와 사회복지사 간 이루어지는 최초의 대면 접촉

• 클라이언트의 문제와 욕구 파악하고 아동과 부모의 기대가 본


기관의 목적과 기능에 부합하는 것인가를 확인하는 것이 목적

• 수혜조건이나 경제적 상황도 조사되고 서비스 제공 여부와 형태


등을 결정하는 것이 가장 중요한 과업

 문제 및 욕구 확인

• 아동은 스스로 문제를 파악해서 오기보다는 비자발적으로 오는


경우가 많기에 부모를 대상으로 면접이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으며,
부모의 방문동기와 기대 등을 명료화하는 것이 중요함

 서비스 제공 가능성과 개입 형태 결정

• 우리나라 사회복지 기관에서는 초기 접수부터 개입, 종결에 이르기


까지 동일한 사회복지사가 하는 것이 일반적. 이러한 경우 초기
접수과정이 초기 상담과정으로 자연스럽게 연결됨

• 그러나 문제의 성격이나 제공받고자 하는 서비스 내용이 기고나


목적이나 기능에 부합하지 않을 경우 이유를 설명하고 관련된
다른 기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거나 의뢰하게 됨

263
 초기 저항 다루기

• 아동 원조 과정은 저항하거나 주저하는 가족구성원과 초기관계


를 형성하는 데서 시작됨

• 사회복지사는 도움을 주려는 시도가 거절되고 무시되더라도


도움이 필요한 아동과 그 가족에게 반드시 아웃리치(outreach)
해야 함

• 아동은 매우 다양한 방식으로 자신의 저항을 표현하게 되는데,


상담과정에 아동을 참여시키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아동 스스로
의 동기와 흥미를 유발하고 유지하는 노력이 필수적이며
이를 위해 해당 아동의 발달수준도 반드시 고려해야 함
상당한 인내심과 과정 극복의 노력이 필요

 서비스 과정에 대한 자세한 설명

• 상담 장소를 우호적이고 안락하며 편안하게 만들고 상담이란


무엇이며 무엇을 기대해야 할지를 이해시키는 일은 중요

• 아동에게 상담의 과정과 사회복지사의 기대를 설명하며


상담내용의 비밀보장을 알려줌

• 부모는 가족 욕구에 대한 사회복지사의 판단이나 의견에 동의


하지 않을 수 있기에 자기결정을 위한 부모의 권리와
아동 최선의 이익이라는 두 가지 방향에서 갈등할 수 있음

• 아동 문제가 클수록 사회복지사는 대신 좋은 부모가 되어


아동을 구하고 싶을 수 있지만 아동의 부모를 서비스계획에
포함시키고 가족전체의 영향을 주려 노력해야 함

264
나) 서비스 계약

• 사회복지사와 대상자 간의 작업 동맹을 증진시켜 서비스 효과를


높이기 위해 필요하다. 양측 모두 관계에 대해 책임을 질 수 있음

• 예를 들어, 약속 엄수와 같은 과제는 대상자와 사회복지사


모두에게 동일하게 적용됨

• 사회복지사는 비밀보장, 전문지식과 기술로 문제해결을


원조할 것을 약속하고, 클라이언트는 자기 개방을 동의하고,
원조과정에 협조를 약속함

• 클라이언트에게 서비스 계약에 대해 명시적이고 구체적으로


설명해야 함

2) 욕구사정 및 계획단계

• 욕구사정은 클라이언트 문제의 원인과 역동을 파악하기 위한 것


사정을 클라이언트의 문제적 상황에 영향을 미치는 가능한 요인들
을 찾아 사회복지사가 적절한 개입을 계획, 제안, 실행하는 데
도움이 되기 위한 것임

• 아동의 사회적 상황, 아동의 발달과 기능, 아동의 발달, 기능과


사회적 상황 간의 상호작용에 대한 분석을 포함하는 생태체계적
사정을 위해 심리검사, 가족관계 및 역동 조사, 아동 본인을 포함한
다양한 정보원에 대한 조사 등이 이루어짐

• 또한 아동발달에 대한 지식은 아동의 초기 사정 단계 뿐만 아니라


개입의 방향과 방법을 구체적으로 계획하고 실천하는 데도 필수적

265
3) 개입단계

• 아동과의 사회복지실천에서 활용되는 주요 접근 방법은


심리치료모델, 행동수정 모델, 클라이언트 중심모델 등이 있음

• 개입은 개별상담, 가족상담, 집단상담, 위기개입, 지역사회 연계,


모니터링이 필요함

 개별상담

• 아동을 개별적으로 면담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개별상담의


기법을 익혀주어야 함

• 개별상담을 위해서는 무엇보다 신뢰관계를 형성하는 것이 중요

• 진지하고 관심 있는 태도로 면담에 임하고 사회복지사 윤리강령


을 준수하는 것이 중요

• 아동과 함께 필요한 정보를 듣고 개입계획을 세우고 종결까지


몇 번 만날지 함께 결정

• 상담 초기 필요한 관계형성 기술, 자료수집방법, 상담 중기의


기법, 상담의 종결 등 각각 필요한 기술을 익혀야 함

266
 가족상담

• 아동에 대한 교육적 효과를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가족의 기능을 무시할 수 없음

• 가족 내 문제는 아동의 정서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며


아동에게 그대로 반영됨

• 사회복지사는 가족치료 기법에 대해 훈련 받아야 하며


가족치료를 할 경우 가족의 의사소통 양식, 역할 수행,
가족 간의 관계 등을 모두 파악할 수 있어야 함

• 임상기법 훈련이 부족하다고 느끼면 다른 전문가에게 의뢰하여


가족이 적절한 치료를 받도록 함. 부모교육 프로그램 등도 활용

 집단상담

• 사회복지사는 아동의 사회성을 높이고자 할 때,


아동이 동료 또래집단의 지지를 필요로 할 때,
아동의 정서적 문제가 집단의 역동성을 통해 변화를 강화시킬
수 있을 때 집단 상담을 하게 됨

• 많은 아동을 단시간에 도와주어야 할 때 또는 비슷한 문제를


가진 아동이 동시에 발생했을 때 시간의 효율성을 위해
집단상담을 활용

• 대화 방식과 프로그램 사용하는 방식으로 나뉘며


크게 과업집단, 상담집단, 주제별 집단, 자조잡단으로 나뉨

267
 위기개입

• 정상적인 발달단계의 위기를 비롯하여 정학처분을 받은 경우,


부모 이혼, 친구의 갑작스러운 사망이나 사고, 신체상해, 임신 등 다양

• 폭력, 아동학대, 범죄의 희생 등 또한 위기에 해당됨

• 우울증이 깊어지거나 알코올, 약물남용이 신체적 증상으로 나타날 때,


성학대 피해자임을 말할 때, 급성 정신질환 양상을 보일 때 등이
위기상황이며 위기개입 방법을 사용

• 위기 대처 훈련이 필요하며 심리정서적 외상과 애도를 표출할 기회를


제공해 주는 위기개입팀을 즉각 출동하도록 미리 훈련되어야 함

 지역사회연계

• 사회복지사의 주요한 기술은 지역사회의 자원에 의뢰하고


특정 문제상황을 해결하기 위해 다른 기관과 협력하며
아동과 부모를 위해 새로운 자원을 개발하는 것

 모니터링

• 기관의 서비스 제공자나 비공식적 지지망 등과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접촉을 통해 클라이언트의 변화나 진전 상황을
점검해야 함

268
4) 종결단계

• 초기접수 단계에서 제시되었던 문제나 어려움이 해결되었고


더 이상 개입을 위한 공식적 접촉이 없어도 된다는 것을 의미함

• 목표가 달성됐다고 판단되면 종결 시점을 결정하고


종결에 대한 준비를 하고 성과를 평가함

2. 아동과 가족을 위한 서비스 내용


가 아동을 위한 서비스

1) 정서적 지지

• 정서적 지지란 참여자의 마음을 이해하고 공감해 주는 것임

• “넌 괜찮은 아이야” “넌 참 대단해” “나는 너의 마음을 알아”등의


말들은 모두 정서적 지지의 언어가 될 수 있음

269
• 원하는 것을 할 수 있도록 돕는 것, 욕구를 표현해 낼 수 있도록 돕는
것, 지금까지 애써 온 것을 인정해 주는 것, 대상자가 하고 싶은 것을
하도록 지원하는 것, 놀이동산에서 시간을 보낼 수 있도록 마련해
주는 것 등은 모두 일상생활에서 찾을 수 있는 정서적 지지의
중요한 내용들임

• 사례관리자가 약속을 지켜주는 것, 기다려 주는 것도 역시 정서적


지지의 모습으로 이를 통해 대상자들은 자신이 소중한 존재라는
메시지를 전달받을 수 있음

• 특히 공감해 주기, 자신의 가정을 언어화시키기, 과거 이야기 들어주


기, 작은 소원 들어주기, 혼자 하기 어려웠던 것을 함께 해주기, 일상
생활에서 함께 하기 등은 정서적 지지에 크게 도움이 되는 좋은 방법

2) 교육

• 대상자 안에 내재되어 있는 힘이 원활히 발휘되어 건강한 생활이


지속될 수 있도록 필요한 기술과 정보를 제공해 주는 것을
교육이라고 함

• 이와 동시에 대상자가 잘못 가지고 있던 가치나 정보를


바로 잡아 주거는 것, 대략적으로 알고 있던 사실들을 정확하게
가르쳐 주는 것, 대상자가 이미 잘 수행하고 있는 것을 발견하고
그것이 더 잘될 수 있도록 확대시켜 주는 것, 대상자의 강점을
찾아 강화시켜 주는 것, 그리고 이를 통해 대상자의 성장이 가능
하도록 돕는 것 모두 교육의 범주에 들어갈 수 있음

270
• 아동이 발달과정에서 특정 사회기술, 생활기술들을 제공받지
못했음에도 사례관리자는 매우 기초적인 사항이라고 생각하고
넘어가는 경우가 발생

• 당연히 알고 있을 것이라고 생각하지 말고 제공되어야 할 정보와


내용에 대한 눈높이를 대상자의 시각에 맞추는 것이 중요

 일상생활기술 교육

• 특히 빈곤가정 아동들에게는 일상 생활기술에 대한 교육이


절실한 경우가 많음

• 일반적으로 부모가 아동과 함께 생활하며 가르쳐 주어야 했던


것들이 복합적인 이유로 제공되지 못했기 때문

• 대화의 기술, 아동이 학교에서 잘 놀며 친구를 사귈 수 있는


방법들, 옷 갈아입기 등의 생활관리 교육 등과 같이 여러 가지
환경적 제약으로 부모가 아동에게 전해야 하지만 교육하지
못했던 생활상 학습상 기술 습득 교육까지 일상생활기술에 대한
교육들을 매우 다양함

271
 자기표현기술 교육

• 대상 아동에게 대화를 통한 자기표현기술을 가르치는 것,


자기옹호 기술을 가르치는 것들은 아동의 원만한 사회관계 형성
을 위하여 매우 중요한 부분임

• 성인과 마찬가지로 아동 역시 매우 다양한 간정들은 경험함


분노, 짜증, 우울, 실망, 슬픔, 낙담, 의기소침 등은 성인에게도
그렇지만 아동들로 하여금 그것을 어떻게 느끼고 표현해야 할지
당황하게 하는 쉽지 않은 감정들임

• 필요한 것은 아동들이 자신의 다양한 감정을 알아차리고


그 감정을 인식하도록 도와주는 것, 부정적이라고 인식되더라도
그 감정을 허용하도록 도와주는 것

• 이것은 대상자들로 하여금 분노와 같은 부정적 감정을 피하고


그것이 두려워서 왜곡되게 표현하는 대신(자기 자신이나 타인을
해치는 등 간접적으로 감정을 표출하는 것들) 자기 자신이 느낄 수
있도록 도와주는 첫 번째 단계

• 다음 단계로 대상자들은 자신이 처한 상황을 분석하고 직접 그


사람에게 분노, 혹은 짜증, 실망 등을 표현할지 아니면 다른 여러
방법으로 은밀히 혹은 돌려서 표현할지를 결정하는 법을 배울
필요가 있음

272
 주의산만 과잉행동 아동을 위한 교육

• 이러한 아동들은 조용하게 앉아 있기 힘들어하고


안절부절 못하며 엄청나게 돌아다니고 때때로 매우 큰 소리로
말하며 친구들을 때리기도 하는 특징을 가짐

• 주의산만하고 과잉행동을 하는 아동들은 보고 듣고


만지는 것과 같은 지각 능력 전달 장애 등으로 인해
학습능력이 뒤떨어질 수 있음

• 또한 이러한 아동들은 약한 관계형성 기술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친구가 없는 경우가 많음

• 성인들은 그러한 아동들을 인내심 있게 기다려 주지 못하며


신뢰하지 못하고 호통치며 지지해 주지 못함

• 따라서 일반적으로 이러한 아동들은 낮은 자존감,


낮은 자기 이미지를 가지고 있기 쉬움

• 이때 사례관리자는 먼저 심리검사를 통해 명확한 진단을 받게


하는 것은 중요함

• 만약 심각하지 않은 경우라면 아동이 있는 그 자리에서 상담을


시작할 수 있음

273
나 가족을 위한 서비스

1) 경제적 지원

• 빈곤하다면 경제적으로 지원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문제

• 국가적으로 빈곤층의 기초적인 생활을 보장해주는 제도인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를 이용하도록 안내하고 이러한 업무를
담당하는 읍, 면, 동사무소의 사회복지전담공무원과 연계

• 또는 교회 등 각종 민간단체에서 결연후원이나 지원을 받을 수


있도록 함

2) 가족관계 회복

• 가족의 갈등을 해결하고 관계를 회복하도록 돕기 위해서는


가족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상담 및 치료 서비스가 도움이 됨

• 아동에 대한 부모의 양육방식에 문제가 있다면 부모상담 및


부모교육이 도움이 될 것

• 사례관리자는 이러한 서비스를 직접 제공하거나 각종 상담실,


기타 사회교육기관 등에 마련되어 있는 서비스를 이용하도록
연계함

274
3) 아동학대, 가정폭력 관련 서비스 연계

• 아동학대나 가정폭력의 문제가 있는 경우에 사례관리자는


이를 신고할 의무가 있음

• 사례관리자는 아동보호전문기관, 가정폭력상담소 등 관련 기관


과 협조를 맺고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함

• 어떤 가족은 아동을 학대하고 방임하는 것의 연속으로 서비스에


저항하고 협조하지 않는 경우가 있는데, 이에 법적으로 대응함으
로써 가족의 책임과 역할을 고무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음

• 가정폭력과 아동학대에 대해서는 공식적인 서비스가 마련되어


있으므로 사례관리과정에서 활용하도록 함

4) 특정한 문제 가족구성원을 위한 서비스 연계

• 가족구성원에게 알코올 중독, 정신장애, 만성질환 등


가족 기능에 심각하게 영향을 미치는 문제가 있어
서비스가 필요한 경우에는 문제에 따라 적합한 서비스를
연계하도록 함

275
5) 직업훈련, 취업지원

• 가족구성원이 기술을 습득하고 자격증을 취득하는 것에 관심이


있다면 관련된 서비스를 제공하고 연계하도록 함

• 직업훈련을 제공하는 기관 가운데는 특성화 학교, 특수목적


고등학교, 학력인정 평생교육시설 등의 형태로 학력이 인정되는
경우가 있음

• 학력이 인정되지 않는 형태로는 지방자치단체, 한국산업인력공


단 등에서 직업전문학교, 직업훈련원 등을 설치하고 있으며
다양한 직종의 기술훈련을 무료로 제공하고 있음

• 그 밖에 사설학원을 이용할 수 있으며 사설학원의 경우에도


고용노동부의 지원을 받아 교육비가 저렴한 곳이 있

• 또한 취업을 하기를 원한다면 적합한 직업을 찾을 수 있도록 도움

• 구인구직과 관련된 정보는 지역정보지 뿐만 아니라 정부기관에서


제공하는 인터넷 사이트를 통해서 얻을 수 있으며 인력은행을
활용할 수 있음

276
6) 자원봉사자 발굴 및 연계

• 빈곤아동과 가족의 욕구가 다양함에도 불구하고


서비스가 존재하지 않거나, 서비스 수급자격에 해당되지 않거나,
비용 때문에 서비스를 이용하지 못하는 등 꼭 필요한 서비스를
얻지 못하는 경우가 있음

• 이때에는 자원봉사자를 발굴하고 연계하여 활용하는


사례관리자의 역량이 필요

• 대학생, 대학생 출신 사병이라면 역할모델, 학습지도 등의


활동을, 일반 성인라면 음식 서비스, 의복 지원, 일대일 후원
등의 활동을 할 수 있을 것임

• 진료, 법률상담, 심리치료, 집단치료 등 전문적인 영역에 대해서도


관련 전문가를 자원봉사자로 활용할 수 있음

• 또한 서울이나 대도시를 중심으로 활동 중인 여러 사회복지재단과


의 접촉을 통해 농어촌에도 활동범위를 넓힐 수 있도록
여러 경로를 통해 협의

277
3. 통합적 사례관리와 드림스타트
가 통합적 사례관리

[그림] 아동복지서비스 실천에서 사례관리 과정의 흐름

출처: 오정수, 정익중(2017)

1) 사례발굴

• 먼저 병의원(특히 산부인과, 소아과), 보건(지)소의 의사, 간호사,


군청, 읍사무소의 사회복지전담공무원, 학교, 어린이집, 사설
학원의 교사, 종교 기관(교회, 성당, 절 등) 의 종사자 등 서비스
제공자에게 의뢰 받음

• 둘째, 이장, 통반장, 부녀회, 학교 앞의 다양한 상인 등


지역 주민들로부터 의뢰 받음

• 셋째, 홍보를 통해 서비스 욕구가 있는 아동이나 부모의 자발적


방문을 받음

• 넷째, 지역을 순회하면서 사례조정자의 아웃리치를 통해


도움이 필요한 사례들을 발견할 수 있음

278
• 아동들이 많이 오가면서 생활하여 아동들을 쉽게 만날 수 있는 곳
(학교 운동장 및 놀이터, 학교 앞 오락기계, PC방 등)에서 도움이
필요한 아동들을 찾아냄

→ 이는 기존 서비스 체계로부터 소외되어 있는 사각지대의 아동


들을 아동복지서비스 체계에 연결할 수 있는 중요한 기회가 됨

• 많은 사람이 사회복지서비스와 기관을 향해 직접 도움을 요청하는


것을 어려워 함
때로는 정보의 부족이나 무지로 인해 사회복지 지원망에서
제외되기도 함

• 빈곤가족은 국민기초생활보장을 통한 지원은 어느 정도 이루어지


고 있으나 보다 집중적이며 통합적인 서비스가 필요함에도 불구하
고 적절한 서비스 체계에 접근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가
많이 있음

• 참여자들은 직접 찾아가는 실천은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는


하나의 대안이 됨

• 도움이 필요한 아동이나 가족을 발견하기 위해 눈여겨보아야 할


점은 아동의 신체. 아동들이 보여주는 신체는 아동이 적절한
보살핌을 받고 있는가를 요약적으로 보여주는 경우가 많이 있음

279
• 보호자의 직접적인 학대나 방임으로 인한 상처들뿐만 아니라
발육부진, 비만, 사시, 치아발육, 발음 문제 들은 그 가족의 심리적,
경제적, 사회적 상태를 보여 준다고 해도 과언이 아님

• 아동들이 보이는 이러한 신체적 어려움들은 가정의 어떠한 요소들


과 관련이 있는지를 고려해야 함
학대나 방임을 비롯하여 치료하지 못할 정도의 경제적 어려움이
있는 것은 아닌지, 낮은 지적수준 등으로 중요한 문제로 인식하지
못하고 있는 것은 아닌지를 세심하게 살펴야 함

• 따라서 이러한 신체적 요소들을 잘 관찰하고 간단한 대화를 통해


아동들의 가정 내 상황을 파악할 필요가 있음

2) 1차 욕구사정 및 등록

• 접수된 아동들의 문제나 욕구를 가정방문이나 서비스 제공자


(기관 담당자) 면접을 통해 대략적으로 파악함
이를 사례관리 대상자 선정의 근거 및 사례회의의 자료로 활용함

• 이 과정에서 아동에게 집중적인 사례관리 서비스가 필요한지


(고위험 사례), 아니면 단일 프로그램이나 서비스로 문제가 해결
되는 것인지(저위험 사례)를 파악

• 사례관리 서비스가 필요하다면 부모나 기타 보호자에게


사례관리서비스의 내용을 알기 쉽게 전달하고 대상자가
이런 서비스를 받기를 원하는지 여부를 승낙 받음
서비스 수급에 대한 동의가 있으면 사례관리 대상자로 등록함

280
• 도움이 필요한 아동과 가족이 서비스 수급에 동의한 경우에는 다음
단계로 넘어가겠지만 서비스 수급에 거절한 경우 어떻게 대처하느냐
는 매우 중요한 문제임

• 일단은 참여자의 의견을 존중하고 서비스 제공을 보류하여야 하며


이후라도 동의 의사가 있다면 연락할 수 있도록 기본 작업을 해
두어야만 함. 예를 들어 ‘도움이 필요한 경우 언제라도 연락하세요.
기다리겠습니다’ 등의 말을 해 둘 수 있고 명함이나 팜플렛 등을
제공하여 연락처를 남기는 것이 좋음

• 그 이후에도 간혹 한 번씩 가정을 방문하여 안부를 묻는 것 외에도


그때마다 ‘뭔가 도울 일이 없을까?’하는 따뜻한 시선으로 아동과
가정을 살피고 부담을 느끼지 않는 선에서 예비 작업을 해 두면 좋음

• 예를 들어 인사를 자주 하거나 작은 선물을 제공한다든지 하는


활동을 통해서 지속적인 관심을 표현할 수 있음

• 이러한 활동을 통해 동의하지 않았던 아동과 가족은 사례관리자의


지속적인 관심과 호의 등을 느끼고 마음을 열어 서비스 수급을
받겠다는 결심을 가질 수 있음

281
3) 사례회의

• 사례회의를 통해 주 사례관리자, 사례조정자를 결정함


또한 고위험사례 여부를 판정하고 개입의 우선순위를 결정함

• 많은 사람이 대상자에 대한 민감한 정보가 상당히 노출되는


사례회의에 참여하므로 각 참여자들에게 비밀보장에 대해
주의할 것을 요청하고 처음 참석 시 비밀보장 각서를 받음

• 사례기록과 관련 정보의 비밀보호는 사회복지실천윤리에서


가장 기본적인 사항임. 대부분의 전문가들은 이 기록과 정보들이
자신이 속한 기관 외부로 공개되는 것은 매우 조심스럽게 다루고
있음. 하지만 기고나 내부 또는 동료들 사이에서는 그리 잘
이루어지지 않고 있음

• 기록지나 서류철 등을 자신의 책상 위에 펼쳐 놓은 채 자리를


떠나는 것, 누구나 접근 할 수 있는 공개된 곳(공동서류함,
네트워크 되어 있는 컴퓨터 등)에서 동료들과 큰 목소리로 대상자
에 대해 이야기하는 것, 다른 대상자가 들을 수 있는 곳에서
이야기 하는 것, 기관 외부의 사적인 장소에서 이야기 하는 것 등
이 쉽게 저지르는 실수라고 할 수 있음

• 사례기록과 정보를 외부에 공개해야 하는 경우라면 대상자로부터


동의를 얻어야 하며, 반드시 공문 발송 절차를 따르는 것이 바람직
함. 혹시라도 발생할 수 있는 윤리적 문제를 예방하는 한 방법임

282
• 또 사례회의와 같은 공식적인 시간 외에는 사례기록과 관련 정보
가 다른 사람들에게 노출되지 않도록 세심한 주의를 기울여야 함

• 사례관리자로서의 전문성을 인정받기 위한 첫 단계는 대상자의


인권을 적극적으로 보호하는 일부터 시작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님

 기존 사례점검

– 달라진 상황은 없는가?

– 어떤 변화가 나타났는가? 긍정적 또는 부정적?

– 변화가 나타난 요인은 무엇인가? 새로운 개입방안은 무엇인가?

– 변화를 유지 확대할 방안은 무엇인가? 개입을 촉진할 지원은?

– 추가적으로 변화되어야 할 요소는 무엇인가?


이를 촉진할 수 있는 자원은 무엇인가?

283
 신규 사례 검토

– 알아야 될 추가적인 정보는 없는가?

– 클라이언트의 주 호소 문제와 욕구는 무엇인가?

– 클라이언트의 실제 욕구와 문제는 무엇인가?

– 단기, 중기, 장기적 개입목표는 무엇인가?

– 개입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개입 전략은 무엇인가?

– 클라이언트의 장점은 무엇이며 개입전략에 적극 반영하고 있는가?

4) 2차 욕구사정

• 고위험사례인 경우 2차 욕구사정에 착수함

• 가족욕구 사정도구와 면접을 통해 사례관리 대상자의 문제 및


상황, 욕구, 자원 등을 다차원적으로 파악하여 이를 서비스 계획
의 자료로 활용하고, 앞으로 이루어질 개입의 효과성 평가의
기초 자료로 활용함

284
(1/2)

(2/2)
출처: 오정수, 정익중(2017), 아동복지론, 학지사

285
출처: 오정수, 정익중(2017), 아동복지론, 학지사

5) 서비스 목표 및 계획 수립

• 서비스 목표와 계획수립 단계에서는 사정기록지, 사례관리계획


을 가지고 대상자의 문제와 욕구를 해결하기 위한 개입방법을
다각적으로 모색함

• 1, 2차 사정단계에서의 자료를 바탕으로 결과기준을 설정하고


대상자와 사례관리자가 함께 목표를 수립함

• 이 단계에서 사례조정자는 대상자가 서비스의 목표와 과정에서


분명하게 알고 있는지, 사례관리자가 대상자의 적극적이고 자발
적인 의사를 반영하여 서비스를 계획하였는지, 서비스 계획은
일정과 행위가 분명하고 평가 가능한 것인지 등을 점검해야 함

286
• 아동의 문제나 욕구가 단일 서비스나 예방프로그램에 의해
해결되는 경우는 그에 적합한 서비스를 계획함

• 다양한 서비스를 필요로 하며 집중적 사례관리를 받아야 하는


학령기 아동을 위한 계획에는 가능하다면 아동, 부모, 교사 등을
함께 참여시키는 것이 바람직함

• 교사가 아동에게 직접적으로 서비스를 제공하지 않는다 하더라도


교사를 서비스 계획에 참여시키고 지속적으로 아동의 변화를
모니터링 하기 위해 상담하는 것이 교사의 아동에 대한 관심을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음

• 이 단계에서는 제공될 서비스의 내용, 서비스 제공자, 서비스의


양과 횟수, 시간 및 기간 등을 조정함

• 제공될 사례관리 서비스의 조정이 필요한 경우에는 사례회의를


통하여 내용을 조정함. 즉, 제공될 서비스의 제공 가능 여부 및
타전문가의 협조 가능 여부, 타 기관 의뢰 가능 여부 등에 대한 계획
및 논의도 이루어져야 함

• 사례관리 서비스와 관련된 모든 담당자(읍사무소의 사회복지담당


공무원, 지역보건(지)소 간호사, 지역아동센터 담당자, 학교의 교사,
학원의 강사 등)이 계획에 함께 참여할 수 있음

• 사례관리자는 적절한 의뢰를 위해 지역사회 내는 물론 인접 지역의


주요 서비스 기관에 대한 이해가 필수적이므로 각 기관에 대한
구체적 사항을 지역사회자원 목록에 정리하여 보관함
또한 이러한 기관들과 긴밀한 관계를 유지해야 함

287
6) 서비스 실행

• 사례관리자는 비교적 단순한 문제나 단일 욕구를 가진 다수의


아동을 위한 예방서비스를 개발하고 조정함

• 동시에 집중 서비스를 필요로 하는 대상자에게 아동, 부모, 교사


가 함께 동의하고 계약한 계획에 맞도록 학교 내에 필요한
서비스를 개발하거나 지역사회 서비스를 연계함

• 또한 서비스의 부재, 교통편 부족, 참여거부 등의 서비스 전달 상


의 장애요인들을 확인하고 이의 해결을 위한 방안을 마련함

• 또한 지역사회 기관들 간의 예산, 결산 편성방법 및 시기의 차이,


결재라인의 상이 등에서 빚어질 수 있는 문제점들도 해결해
나가야 함

• 필요 시 사례조정자는 아동이나 부모에게 직접적인 복지서비스를


제공할 수도 있음

• 개별상담이나 집단상담, 부모교육 등을 통해 교육자나 상담가로서


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음

• 빈곤계층 가정의 아동이나 학부모들에게 프로그램에 대한 참여


의욕이나 적극성이 부족할 수 있으므로 지속적으로 프로그램
참여를 동기화시킬 필요가 있음

• 대상자들은 대개 한편으로는 변화를 원하면서도 다른 한편으로는


변화를 두려워하고 불안해 함

288
• 두려움과 불안의 주요 원인은 지금까지와는 다른 새로운 방식으로
새로운 시도를 해야 한다는 부담감이 가장 크게 작용한다는 데 있음

• 따라서 사례관리자는 목표달성을 통해 대상자가 얻을 수 있는 것과


그 과정에서 겪을 수 있는 어려움을 검토함으로써 목표달성에 대한
대상자의 양가감정을 탐색하고 다룰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이 중요

• 사례관리자가 목표세우기에 급급한 나머지 대상자의 양립하는 감정


을 충분히 다루지 않은 경우, 목표달성 과정에서 대상자의 저항이나
적극적이지 못한 태도에 부딪힐 가능성이 높음

• 또한 목표 달성을 위해서는 걸림돌이 무엇인지 파악하고


이에 대한 현실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준비를 할 필요가 있음

나 드림 스타트

 드림스타트는 취약계층 아동에게 맞춤형 통합서비스를 제공하여


아동의 건강한 성장과 발달을 도모하고 공평한 출발기회를
보장함으로써 건강하고 행복한 사회구성원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사업

289
1) 법적 근거

• 아동복지법 제37조 (취약계층 아동에 대한 통합서비스지원)

① 국가와 지방자치단체는 아동의 건강한 성장과 발달을 도모하기


위하여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아동의 성장 및 복지
여건이 취약한 가정을 선정하여 그 가정의 지원대상아동과
가족을 대상으로 보건, 복지, 보호, 교육, 치료 등을 종합적으로
지원하는 통합서비스를 실시한다.

② 제1항에 따른 통합서비스지원의 대상 선정, 통합서비스의 내용


및 수행기관·수행인력 등에 필요한 사항은 대통령령으로 정한다.

③ 보건복지부장관은 통합서비스지원사업의 운영지원에 관한 업무


를 법인, 단체 등에 위탁할 수 있다.

• 아동복지법 시행령 제37조 (취약계층 아동에 대한 통합서비스지원)

① 보건복지부장관, 시·도지사 및 시장·군수·구청장은 법 제37조제1


항에 따라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가정 중에서 보건복지부장관이
아동의 발달수준 및 양육 환경 등을 고려하여 정하는 기준에 따라
통합서비스지원 대상을 선정한다.1.「국민기초생활 보장법」에
따른 수급자 또는 차상위계층 가정2. 그 밖에 보건복지부장관이
정하는 아동의 성장 및 복지 여건이 취약한 가정

② 법 제37조제1항에 따른 통합서비스의 내용은 다음 각 호와 같다.


1. 건강검진 및 질병예방교육 등 건강증진을 위한 서비스
2. 아동의 기초학습 및 사회성·정서 발달 교육 지원
3. 부모의 양육 지도
4. 그 밖에 아동의 성장과 발달을 도모하기 위하여 필요한 서비스

290
③ 보건복지부장관, 시·도지사 및 시장·군수·구청장은 법 제37조제2
항에 따라 통합서비스지원 업무를 수행하기 위한 통합서비스지원
기관을 설치·운영하여야 한다. 이 경우 통합서비스지원기관에는
보건복지부장관이 정하는 바에 따라 공무원과 민간 전문 인력을
배치하여야 한다.

2) 추진배경

• 가족해체, 사회양극화 등에 따라 아동빈곤 문제의 심각성 대두

• 빈곤 아동에 대한 사회투자 가치의 중요성 강조

※ 빈곤 아동에 대한 사회적 투자는 취업률, 소득수준, 교육성취,


복지수급 등의 측면에서 $1 투자에 대해 최대 $16.1의
환원효과 발생(美 랜드 연구소, ’06)

• 아동과 가족에 초점을 둔 통합사례관리를 통해 모든 아동에게


공평한 출발기회 보장

291
3) 지원 대상

• 지원대상: 0세(임산부) ~ 만12세(초등학생 이하)로 아동 및 가족

※ 만 12세 이상 아동 중 초등학교 재학 아동 포함

※ 국민기초수급 및 차상위 계층 가정, 법정 한부모가정(조손 가정


포함), 학대 및 성폭력피해아동 등에 대한 우선 지원 원칙

※ 드림스타트 대상 아동 선정과 관련된 자세한 사항은


해당 시·군·구 드림스타트로 문의

4) 지원 과정

• 가정방문을 통해 파악한 대상 아동과 가족의 기초정보 및


아동의 양육환경과 발달 정보를 기준으로 지역자원과 연계한
맞춤형 통합 서비스를 제공

292
5) 지원 내용
서비스 구분 서비스 내용 프로그램(예시)

• 아동의 건강한 성장과 신체발달 증진


• 건강검진, 예방접종, 건강교육,
신체·건강 • 건강한 생활을 위한 건강검진 및 예방, 치료
영양교육 등
• 아동발달에 필요한 신체/건강정보 제공

• 아동의 의사소통 및 기초학습 능력 강화


• 기초학력검사, 기초학력배양,
인지·언어 • 맞춤형 인지/언어 서비스를 통한 아동의 경제교육, 독서지도 등
강점 개발

• 자아존중감 및 긍정적 성격 형성을 위한


정서발달 서비스 제공 • 사회성발달프로그램, 아동학대예방,
정서·행동
심리상담 및 치료, 돌봄기관 연계 등
• 사회성 발달 및 아동 권리 신장을 위한 교육

• 부모자녀 상호작용 및 적합한 교육환경을


위한 부모역량 강화
• 부모의 유능감 및 자존감 강화 • 부모교육, 가족상담 및 치료,
부모·가족
부모취업지원, 산전산후관리 등
• 부모의 양육기술 지원
• 임산부의 건강한 출산 및 양육 지원

293
6) 드림스타트 추진체계

294
1. 놀이치료, 언어치료, 미술치료
가 놀이치료

 놀이치료(play therapy)는 아동이 놀이를 통해 분노나 감정을


적절하게 표출하여 올바른 정서적 기능을 하도록 도와주는
치료방법

 아동에게 있어 놀이는 ‘유희’의 기능만이 있는 것이 아니라,


실현 불가능한 자신의 욕구나 갈등과 같은 비언어적 의사를
담아내는 중요한 역할을 함

 언어적 기술이 부족한 아동은 많은 경우 놀이 속에서 자아(감정,


사고, 경험, 행동 등)를 탐색하고, 자신의 소망을 실현시킴

295
 즉 아동은 놀이를 통해 자신의 감정을 표출하고, 긴장을 해소하고,
외상이나 스트레스에 대처하는 적응력을 키움

 놀이치료는 아동이 치료자에 대한 거부나 저항 없이 곧 놀이에


몰두하고, 자신이 놀이의 주체이자 결정자가 되면서 신나게 놀면
서 문제를 표출하게 됨

 결국 아동은 놀이과정을 통해 치료자와의 역동적 관계를 형성하고,


자아존중감, 환경에 대한 숙달감, 그리고 내적통제력이 강화되어
현실에서 불가능한 행동에 대한 보상과 적응적 행동을 위한 대안
을 모색할 수 있음

 따라서 놀이치료는 아동의 특성을 고려한 심리치료방법이라고


할 수 있음

 놀이치료는 특히 최근에 성적학대, 부모의 이혼이나 죽음 등과


같은 심한 외상경험(traumatic experiences)을 한 아동에게
유용한 것으로 나타남

 놀잇감이 준비된 공간에서 놀이치료사와 함께 일주일에 한 번


정도씩 놀이를 하면서 감정을 조절하는 법을 배우고
정서를 안정시켜나감

 학대 받거나 정서가 불안한 아동을 도울 수도 있고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나 공격성이 과도한 아이 등 다양한 증상 치료에
적용됨

 사회성이 낮아 문제를 겪는 경우에도 놀이치료를 통해


도움을 받을 수 있음

296
1) 놀이치료의 활용

• 주요 개입 모델에 따른 개입방법에서도 놀이치료는 치료의 수단


으로 활용됨

• 놀이치료를 활용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놀이치료실의


구성과 배치, 놀이 도구의 마련, 놀이치료 담당 사회복지사의
역할 등을 살펴본다면,

가) 놀이치료실의 구성과 배치

• 놀이치료실은 개입 모델에 따라 달리 꾸며지지만, 허용적인


공간으로 편안한 느낌을 갖도록 채광, 통풍, 안락하게 느낄 수
있는 분위기 등이 필수적임

• 놀이치료실의 구성과 배치에서 가장 중요한 요건

① 놀이치료실의 크기는 개인치료의 경우 3.5×4.5m 정도가 적당


하며 집단치료실의 경우에는 4.5×7.5m 내외가 적당함
이와 같은 기준들은 안전하게 대근육 활동이 가능하면서도
심리적으로 편하게 느끼면서 움직일 수 있는 공간의 크기임

② 놀이치료실은 다른 방으로부터 독립된 공간이어야 하고 사적 비밀


이 보장되는 공간이어야 함. 아동의 놀이치료 장면에서 하는 말이
나 행동은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공개되어서는 안됨

③ 놀이치료 과정이 방해 받지 않고 지속될 수 있는 공간이어야 함


아동이 놀이에 몰두함으로써 자신의 내적 갈등을 표현할 수
있어야 함

297
나) 놀이도구

• 놀이치료에서 아동이 선택하는 놀이 도구는 의사소통의 도구


이므로 신중하게 선택되어야 하며 그 선택기준도 치료적으로
유용한 것으로 고려되어야 함

• 사회복지사는 아동의 성별, 발달 수준, 문제의 특징에 따라


놀이 도구를 제공해야 함

① 아동과 사회복지사의 사회적 관계를 돕는 놀이 도구가 요구됨


이러한 놀이 도구로는 가족 인형이 있음

② 정서 표현을 위한 놀이 도구가 요구된다, 퍼핏인형과 무대, 음악


놀이 도구, 동물인형, 그림물감, 찰흙, 모래놀이 상자 등은
아동이 자신의 감정을 쉽게 표현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놀잇감

③ 역할 연습을 위한 놀이도구가 요구됨


장난감 전화기, 화장대 세트, 부엌가구 세트, 소꿉놀이 세트,
병원놀이 세트 등은 역할 연습이나 실생활 경험을 탐색할 수 있는
놀이 도구

④ 긍정적 자아 개념의 발달을 돕는 놀이 도구가 요구됨


놀이 도구들은 아동의 발달 수준에 맞게 제공되어야 하며,
퍼즐, 조립식 로봇, 자동차 블록, 동화책 등이 연령에 따라
제공되면 아동 혼자서 다룰 수 있고 성취감을 느낄 수 있음

298
⑤ 자기 이해를 발달시킬 수 있는 놀이 도구가 요구됨
펀치백, 고무찰흙, 이젤, 물감 등은 폭넓은 감정 표현과
자기이해를 가져옴

⑥ 자기 통제력 발달을 돕는 놀이 도구가 요구됨


모래놀이상자, 게임 등은 감정 표출뿐 아니라
자기 통제력을 발달시키는 데 유용한 도구임

다) 놀이치료자로서 사회복지사

• 놀이치료자로서 사회복지사는 아동의 입장에서 아동의 언어,


표정, 행동 등에 민감하게 관찰하고 반응하며 많은 정보를
얻을 수 있음

• 치료자는 아동의 인지적·정서적·사회적·신체적 발달을 놀이를


통하여 진단하고 평가할 수 있으며 개입 목표를 설정할 수 있음

299
• 사회복지사는 놀이치료 시 다음과 같은 점을 주목하여 관찰함

① 아동의 놀이가 연령에 맞는가?


② 아동놀이에서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주제가 있는가?
③ 아동이 주로 좋아하는 놀이는 어떤 것인가?
④ 아동 스스로 놀이를 시작하고 즐길 수 있는가?
⑤ 놀잇감을 가지고 노는 형태에서 눈에 띄는 점이 있는가?
⑥ 놀이에서 어떤 감정을 표현하는가?
⑦ 감정을 표현할 때의 얼굴 표정이나 태도는 어떠한가?
⑧ 놀이에 몰입되어 노는가?
⑨ 적절한 언어 표현을 사용하는가?

나 언어치료

 언어란 세상을 살아가는 가장 중요한 의사소통의 방법으로 넓은


의미로 듣기 말하기 쓰기 읽기 등의 모든 내용을 포함하고 있음

 이러한 네 가지 영역(말하기, 듣기, 쓰기, 읽기)에서 한 가지 혹은


여러 가지의 어려움이 있을 때에 언어치료라는 일련의 과정이
이루어지게 됨

 언어발달이 늦어지면 사회성의 문제(또래관계의 상호작용),


학습의 문제(언어로 이루어진 말하기, 쓰기, 읽기, 듣기의 전
영역)등이 생기게 되며 언어의 문제로 인해서 자신감의 저하,
정서 문제 등의 이차적인 문제 등이 유발되기도 함

300
 언어의 발달지체는 이러한 모든 발달영역에 어려움을 주게 되므로
조기에 발견하여 전문가의 상담으로 적절한 치료를 받는 것이
중요함

1) 언어치료의 과정

가) 우선 언어평가를 통해서 아동의 어휘력, 이해력, 표현력,


언어문제 해결력, 유창성, 조음문제, 조음기관의 문제점 등
언어전반에 관한 기능을 평가하게 됨

나) 평가를 통한 아동의 현재 언어능력과 잠재된 언어능력을


바탕으로 개개인에 맞는 목표와 치료계획을 수립하여
치료프로그램을 수행함

301
다) 가정에서 도와줄 수 있는 가정프로그램을 소개하며 적절한 언어
자극을 위한 가정 내에서의 부모님의 언어교육도 지도하게 됨

• 두 돌이 지났는데도 엄아, 아빠 등 몇 개의 단어 외엔 말하지


못하는 경우

• 만 3세가 되었는데, 단어로만 의사표현을 하고 문장을 아직


말하지 못하는 경우

• 눈 마주침도 어렵고 다른 사람의 말에 상호작용이 되지 않으며


사람의 말소리보단 기계음 등에 집착하고 정상적인 언어발달이
안 되는 경우

302
• 언어적인 지시를 이해 못해서 지시 따르기가 어렵거나
다른 사람의 말을 잘 이해 못해서 엉뚱한 대답을 하거나
오해를 하기도 하는 경우

• 친구들과 혹은 다른 사람과의 의사소통이 어려워서


대화가 적절히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 발음이 부정확해서 또래 친구들이나 다른 사람들이 아동의 말을


잘 이해하지 못하는 경우

• 또래 아동보다 표현력이 부족해서 유치원이나 어린이집에서


있었던 일 등이 전달이 안되고 다른 사람과의 대화에 어려움이
있는 경우

• 말을 시작하기가 어렵고, 단어나 음소를 여러 번 반복하거나


더듬고, 혹은 말소리를 길게 연장하기도 하여 말을 편안하게
못해서 말의 유창성이 떨어지는 경우

• 학령기 아동인데, 언어에 대한 학습이 어려워 언어적인 이해가


요구되는 과목이 힘든 경우

• 이중 언어 아동으로, 혹은 외국에 오랫동안 거주하여 모국어가


서툴러 어려움을 겪는 경우

• 기타 구조적인 결함으로 언어의 발달에 어려움이 있는 경우

303
• 많은 부모님들이 아동에게 언어적인 문제가 있다고 느끼면서도,
책을 읽어주고 말을 많이 하면 좋아지거나 아이가 자라면 좋아질
수 있을 거란 막연한 기대감으로 치료시기를 놓쳐서 또 다른
어려움을 야기하기도 함

• 따라서 위에 나열한 경우 외에도 부모님께서 언어적인 어려움이


있다고 판단될 경우, 전문가의 평가와 진단으로 아동의 언어발달
에 대한 정확한 이해와 함께 현재의 언어에 대한 어려움을 도와
주어서 차후에 발생하게 될 여러 발달사의 어려움을 미연에 방지
할 수 있음

다 미술치료

 미술치료는 ‘미술’이라는 방법과 ‘치료’라는 목적을 가짐

 미술치료에서 미술이 목적이 아니라 치료가 목적인 것은 분명함

 중요성을 이야기하라면 동일한 무게를 지닌다 할 수 있지만,


미술과 치료는 각기 방법과 목적으로서 자리매김 함

 미술이 방법이라는 뜻은 과정(process)을 포함하는 의미로서의


방법이며, 단순한 기법(technique)의 의미는 아님

304
 미술이라는 이름 아래 미술매체와 창작과정, 감상이 하나의 축으
로 씨실을 형성한다면, 치료 서비스를 제공받는 대상자의 문제를
규명하고 평가하며 치료계획과 절차를 수립하고 치료적 개입을
실시하는 것이 날실처럼 도 다른 축을 형성하고 있음

 미술치료란 개인이 갖는 내면세계를 이미지로 표현하고 그것을


의사소통의 도구로 사용하여 문제를 해결함으로 갈등을 해소하여
긍정적 변화와 성장을 갖도록 도와주는 심리치료의 한 분야라고
할 수 있음

1) 미술치료의 특징

가) 미술치료는 내담자가 미술활동을 통해 안전하게 자신의 감정,


사고, 행동을 펼치도록 함

나) 미술치료는 작품을 매개로 하여 내담자의 무의식적인 고통을


생생히 재연하여 부활시킬 수도 있으며 의식적인 환경에서
조금 더 깊게 자신의 고통을 탐색하는 수단으로 사용될 수 있음

다) 미술치료는 내담자가 언어를 사용하지 않아도 자신을 표현할


기회를 갖게 함

라) 미술치료는 작품을 통해 자신이 표현한 자신을 바라보는


거울을 만나게 됨

305
2) 미술치료의 장점

가) 미술은 심상(image)의 표현이다.

• 우리는 심상(image)으로 생각한다고 볼 수 있음


말이란 형태를 취하기 전에 심상으로 사고함
즉, 어머니라는 말을 하기 전에 ‘어머니’의 심상을 떠올릴 것

• 삶의 초기의 경험이 중요한 심상의 요소가 되며,


그 심상이 성격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됨

• 미술치료에서는 꿈이나 환상, 경험이 순수한 언어적 치료법


에서 처럼 말로 해석되기보다는 심상으로 그려짐

• 예술매체는 종종 심상이 표출을 자극하는 즉, 일차적 과정의


매체를 자극하여 창조적 과정으로 나아가게 됨

나) 미술은 방어가 감소된다.

• 심상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이 방어

• 우리는 어떤 다른 의사소통 양식보다 언어화시키는 작업에


숙달되어 있음

• 미술은 비언어적 수단이므로 통제를 적게 받음

• 예상치 않았던 작품이 그림이나 조소에서 제작 될 수 있는데,


가끔 창작자의 의도와는 완전히 반대가 되기도 함
이러한 것은 미술치료의 가장 흥미 있는 잠재성 중 하나

• 예상치 않았던 인식은 가끔 내담자의 통찰, 학습, 성장으로


유도되기도 함

306
다) 미술은 구체적인 유형의 자료를 즉시 얻을 수 있다.

• 눈으로 볼 수 있고, 만져볼 수 있는 자료가 내담자로부터 생산 되는 것

• 미술의 바로 이러한 측면이 많은 의미를 가짐

예컨대, 내담자가 만든 어떤 유형의 대상화를 통해서


치료자와 내담자 사이에 하나의 다리가 놓여짐

저항적인 내담자들의 경우는 내담자의 감정이나 사고 등이


그림이나 조소와 같은 하나의 사물로 구체화되기 때문에
언젠가는 자신도 모르게 자신이 만든 작품을 보고 각 개인의
실존을 깨닫게 됨

어떤 내담자는 단 한 번의 작품에서 자신의 감정을 느끼기도


하지만, 저항이 강한 사람은 더 오랜 시간이 걸림

라) 미술은 자료의 영속성이 있어 자신을 회상할 수 있다.

• 미술작품은 보관이 가능하기 때문에 내담자가 만든 작품을


필요한 시기에 재검토하여 치료 효과를 높일 수 있음

• 때로는 새로운 통찰이 일어나기도 하며, 내담자 자신도 이전에


만든 작품을 다시 보면서 당시 자신의 감정을 회상하기도 함
즉 그림이나 조소가 주관적인 기억의 왜곡을 방지 할 수 있음

• 또한, 내담자의 작품 변화를 통해서 치료의 과정을 한눈으로


이해할 수 있으며, 치료 팀의 회의에서도 작품을 통해
그 내담자의 생생한 목소리를 들을 수 있음

307
마) 미술은 공간성을 지닌다.

• 언어는 일차원적인 의사소통 방식임. 대체로 한 가지씩 나감


미술표현은 문법, 통사론, 논법 등의 언어규칙을 따를 필요가 없음
즉 본질적으로 공간적인 것이며, 시간적인 요소도 없음

• 미술에서는 공간 속에서의 연관성들이 발생함


이를테면, 우리가 가족을 소개할 때도 먼저 아버지, 어머니를
소개하면서 두 분의 관계를 얘기하고, 그리고 형제들과 그들의 관계,
그리고 나서 이 모든 식구들과 나와의 관계를 말할 것

• 그러나 분명한 것은, 우리는 이 모든 것을 동시에 경험하고 있음


미술의 공간성은 바로 경험을 복제한 것임
우리는 나의 가족을 말로 소개하고, 그림으로는 그것을 동시에
나타낼 수 있음

• 가깝고 먼 것이나 결합과 분리, 유사점과 차이점, 감정, 특정한


속성, 가족의 생활 환경 등을 표현하게 되므로 개인과 집단의 성격
을 이해하기가 쉬움

308
바) 미술은 창조성과 신체적 에너지를 유발한다.

• 미술작업을 시작하기 전의 개인의 신체적 에너지는 다소 떨어져


있지만, 미술작업을 진행하고, 토론하며, 감상하고, 정리하는
시간에는 대체로 활기찬 모습을 띔

• 체내의 에너지 정도가 변화한다는 것을 느끼는 사람이 많음


그것은 단순히 신체적인 운동이라기보다는 ‘창조적 에너지’의
발산이라고 해석됨

• 연극이나 영화에서 역할을 맡은 배우처럼, 미술재료는 하나의


작업이라기보다는 놀이와 레크리에이션과 음악과 열정이 있는
창조적 에너지를 발산하는 것이라 할 수 있음

2. 집단 활동
가 아동대상 집단 활동

 아동대상의 집단 활동에서 집단 사회복지의 이론과 기술을


많이 활용함

 아동의 연령에 따른 발달과제를 다루어 주거나 유사한 문제행동을


갖고 있는 아동집단을 대상으로 문제 해결 집단을 진행하기도 함

 아동 개인을 대상으로 일하는 것 못지않게 아동 집단과 일할 때


집단의 역동성과 응집력을 활용하여 많은 효과를 얻을 수 있음

309
 최근 아동복지기관에서 아동 집단 프로그램의 개발과 시행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고 그 효과성을 증명하는 연구들이 발표되고 있음

 집단 과정은 아동 집단 프로그램을 개발할 때 집단 목표에 맞는


프로그램 내용을 계획하고 프로그램을 실시한 후에 집단의 효과를
평가하는 모든 과정을 포함함

 또한 집단 활동에서는 집단 내에서의 아동의 개인적 특성을 파악


하고 집단의 상호 작용을 최대한 활용하는 고도의 기술이 필요함

나 아동 집단의 개념, 유형 및 특성

1) 아동 집단의 개념

• 아동복지에서의 집단 활동은 주로 유사한 연령이나 관심사를


가진 아동들의 모임으로 아동 개인에 대한 실천방법과는 달리
매우 복잡한 역동 구조와 성공의 요소를 갖고 있음

• 개별 접근보다 시간적인 면에서 효율적이라는 장점도 있지만


이러한 장점은 집단에 대한 효과적인 개입을 했을 때에만
성취 가능함

310
• 아동집단은 적어도 두 명 이상의 아동이 공통의 목표나 비슷한
인지적·정서적·사회적 흥미나 관심을 가지고 반복적으로 모여
서로에게 영향을 주며 함께 기능할 수 있는 규범을 만들고 집단적
활동을 하기 위한 목표와 응집력을 발달시키는 모임을 말함

• 아동 집단은 특정 자조 집단을 제외하고는 전문가의 지도자적


역할이 성인 집단보다 더 중요함

• 전문가는 지도자로서 의무와 책임을 지며, 집단의 아동들이 함께


집단 목적을 달성할 수 있도록 돕는 역할을 함

2) 아동 집단의 유형

• 아동집단의 유형은 그 목적이나 진행방식 또는 이론적 접근의


차이에 따라 매우 다양하게 구분될 수 있음

• 집단을 크게 과정 중심 집단과 과업 중심 집단으로 이분하기도


하는데, 아동 대상 집단의 경우 과정 중심보다는 과업 중심의
집단이 더 활용된다고 봄

311
• 아동 대상의 집단

– 과업 집단: 일정한 과업을 완성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집단

– 상담 집단: 심리 상담을 목표로 하는 집단

– 주제별 집단: 문제에 따라 주제를 가지고 운영하는 집단

– 자조집단: 지도자 없이 아동들끼리 모여 주제에 대해


서로의 의견을 나누는 형태로 진행되는 집단

• 최근 자조 집단의 효과가 널리 알려져 있는데


학령기 아동 대상으로도 자조 집단의 운영을 시도할 만 함

• 이 외에도 아동 대상으로 진행되는 집단 중 많이 활용되는 유형은


사회화 집단(Socialization group)

• 사회화 집단의 목적은 집단 아동의 행동과 태도를 좀 더


사회적으로 용납할 수 있는 태도로 변화, 발달시키기 위해
사회적 기술 발달, 자기 확신의 증대, 미래에 대한 계획들에
중점을 둠

312
• 사회화 집단의 특성

① 사회적 치료 집단과 유사하며 사회적 기능 향상에 목적을 두며


강화와 지지적 성향을 가짐

② 사회화 집단의 목표는 개인의 기능을 저해하는 요인과 행동을


수정, 변화시키는데 둠. 아동들에게 일탈이나 수용되지 않는
행동들을 포기하도록 격려하기도 함

③ 문제 중심 집단은 아동들의 문제 해결 능력의 신장을 목적으로


한다, 집단은 개별 아동이 놓여 있는 내적·외적인 어려움을 다룸

④ 보상적 집단에서는 변화에는 그다지 목적을 두지 않고 활동을


통해 아동들의 박탈감을 보상하거나 그들이 놓친 생활 경험을
제공하는 데 목적을 둠

3) 아동 집단의 특성

가) 아동 스스로가 자신을 집단 아동으로 인식함은 물론,


다른 아동들도 그를 집단에 속한 또래라고 인식하고 인정함
집단에는 사회복지사에 의해 새로 형성된 집단과 이미 형성되
어 있는 기존의 집단이 포함됨

나) 아동들은 일정한 기간 동안 시간을 정해 고정된 시간에 모임을


갖기도 하고 모임의 길이를 목적의 진척에 따라 결정하는
집단도 있음

다) 집단 내에서 아동들은 상호 의존하고, 직·간접적 상호 작용·


교환을 하므로 집단의 크기를 제한하게 됨

313
라) 집단은 한 가지 이상의 목적을 위해 형성됨
이 목적을 아동들이 공유함으로써 집단 내에서 상호작용을 하고
참여하며 일체감을 갖도록 지도함
그러나 집단 아동들의 집단 목표에 대한 동의는 집단의 초기 단계
에서는 쉽게 이루어지지 않음. 치료 집단의 경우 강제로 집단에
오게 된 비자발적인 아동들은 집단 목표에 대한 다른 주장을
펴거나 참여를 거부할 수 있음

마) 사회복지사가 근무하는 기관의 방침이 아동의 복지에 장애가


되기도 함. 이때 집단 사회복지사는 조직과 동료들에게 적합하고
새로운 아이디어나 기획 등을 제안하기도 하고, 그들 조직에 대한
전통적 방법과 태도를 변화시키기 위한 운동을 전개하기도 함

4) 아동 집단의 발달단계

• 아동 집단을 포함한 모든 집단의 실천은 일련의 발달 단계를


밟아 진행됨

• 집단의 단계는 일반적으로 초기, 중기, 말기로 나눔

• Yalom(1985)는 정향 단계, 갈등 단계, 응집력 발달의 단계,


하위 집단 형성의 단계, 자기 공개의 단계, 종결 단계의
6단계로 분류

• 학자에 따라서는 참여 단계, 전환단계, 작업 단계, 종결 단계의


4단계로 나누기도 함

314
<표> 집단 발달 단계별 특성
집단 발달
참여 단계 과도기적 단계 작업 단계 종결 단계
단계
• 자기소개, • 주도권 획득을 • 치료가 이루어 • 집단 종결 방법
개인별 욕구 및 위한 투쟁 지는 핵심단계 과 시기에 대한
집단 목표 합의와 확인
명료화 • 불안과 긴장 • 집단의 전반적
활동 증대 인 규칙과 • 종결에 대한
내용 및 • 새로운 상황에 분위기에 적응 거부당한 감정
따른 불안과 • 집단 참여자 의 발생
과정상 상호 간 갈등 • 문제 직면
의 특징 저항 발생
및 워커에 대한 • 집단 경험의
저항 증가 • 워커 주도하 내재화
에서 자치적
집단 운영으로
전환
(1/3)

집단 발달
참여 단계 과도기적 단계 작업 단계 종결 단계
단계
• 개인 욕구와 • 밀접한 대인 • ‘우리’의식 • 종결에 대한
집단 목표 간의 관계로의 진입 증가 불안 발생
연관성 파악 에 대한 불안과
긴장 발생 • 집단 신뢰, • 집단 경험에
• 집단에서의 솔직한 대한 만족
자신의 위치와 • 방관자, 자기 개방
• 상호 조언과 비
참여자의 역할에 대한 집단 공격자,
특성 관심 쉽게 거부되는 • 집단을 문제 판에 대한 수용
희생자, 보조자 해결을 위한
• 타인에게 실험의 장으로 • 자신에 대한 사
적 참여자의
비치는 자신의 활용할 수 랑과 가치 존중
발생
이미지에 대한 있게 됨
• 문제 상황에
관심
대한 융통성
있는 대처
(2/3)

315
집단 발달
참여 단계 과도기적 단계 작업 단계 종결 단계
단계
• 아이스브레이 • 일관된 태도를 • 자치능력과 • 일어난 변화에
크, 집단에 통한 신뢰감 자기결정 능력 대하여 파악하게
거는 기대감 구축 증진의 원조 함
명료화
• 부정적 감정에 • 충분한 지지와 • 집단에 의한
• 참여에 대한 대한 직접적 강화를 통한 개인 목표 달성
동기화 개입 자신감 부여 정도에 대한
사회복지 통찰력 촉진
• 효율적이고 신 • 적극적인 참여 • 문제 해결을
사의
뢰감 있는 집단 촉진 위한 행동 • 종결 불안에
역할
분위기 조성 실천 권장 및 대한 개입
• 집단 갈등에 집단적 지지를
• 집단 규칙을 개입 통한 강화의 • 치료 효과
통한 상호협력 확대 일반화를 위한
관계 촉진 • 정당한 분노 노력 촉구
표현과 절충적
문제 해결 능력
증진
(3/3)

• 집단의 단계 구분은 집단 모임의 회합 수에 의하여 분류되기 보다


는 참여자들이 나타내는 성숙도와 발달 단계상의 특성에 의하여
파악될 수 있음

• 이장호와 김정희(1992)는 집단 발달 단계를 참여 단계, 과도기적


단계, 작업 단계, 종결 단계의 4단계로 나누었으며,
집단 발달에 따른 일반적 발달 과정을 표와 같이 중요한 활동 내용,
발달 과정상의 특징, 집단 사회복지사의 역할과 참여자의 특성 별
로 설명함

316
다 아동 집단의 실천방법

1) 집단의 사정

• 아동 집단은 포함하여 모든 집단에서 사회복지사는 시작에서


종결에 이르기까지 집단 아동 개개인, 전체로서의 집단,
집단 환경 등 적어도 세 차원에서 집단에 대한 사정을 하게 됨

가) 집단 아동에 대한 사정

① 집단 아동의 강점과 특성에 대한 사정

• 집단 아동의 문제보다는 강점을 중심으로 그 특징을 사정함


필요에 따라서는 자세한 사정이 이루어지며 아동의 성장 발달
과정에서 일어난 일, 현재의 건강 상태, 심리 상태, 정신 상태,
교육, 직업, 수익, 취미, 신념, 기대, 동기 등에 대해 사정함

• 의사, 사회복지사, 기타 전문가의 평가와 관찰, 때로는 아동


자신의 자기보고 등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사정이
이루어짐

• 표준화된 척도나 질문지를 사용하여 집단 개시기와 종결 후


아동의 상태나 변화정도를 측정함

317
② 집단 아동 간 상호작용에 대한 사정

• 집단 아동 간의 상호 작용 유형, 아동의 경제 능력, 집단 안에서의


역할, 집단 안에서의 위치, 지도력, 그리고 집단 안에서 보이기
쉬운 행동, 태도, 장점, 집단에 대한 공헌 등에 대해서도 사정함

③ 집단 아동의 환경에 대한 사정

• 사회복지사는 아동의 환경이 각자의 욕구와 집단 목표 달성을


지지하는 환경인지 아닌지를 평가할 필요가 있음

• 이때 사회복지사는 반드시 한 번 이상은 아동의 가정을 방문하여


실제적인 정보를 확인할 필요가 있음

나) 집단에 대한 사정

• 집단에 대해 사정하고자 할 때 집단 역동에 대한 지식과


실천기술을 활용하면 많은 도움을 얻을 수 있음

• 집단 역동을 이해하는 데 필수적인 영역

① 집단 구조
② 집단 내 의사소통과 상호 작용 유형
③ 집단에 대한 매력과 응집력
④ 집단의 사회적 통제
⑤ 집단문화
⑥ 집단 발달 단계에 대한 지식 등

318
• 집단의 응집력을 사정하는 것이 중요함
아동들이 집단에 대해 매력을 느끼고 집단 내 응집력이 높아지면
집단 아동들 사이의 상호작용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경쟁적이지
않고 협력적이며 아동의 집단에 대한 만족도가 높아지고
아동들 사이에 상호 원조가 이루어짐

• 응집력은 집단 아동들이 우리, 우리들 것이라는 말을 사용하게


될 때, 아동들 서로가 서로를 잘 알고 인식하며 서로를 위해 중요
하다고 생각할 때 인식됨

• 응집력은 집단 내에서 각자의 개성을 표현할 수 있고,


충분한 친밀감을 허용하는 서로 간의 유대인 것

• 응집력은 또한 아동들의 서로에 대한 매력, 집단이 함께 하는 행동


이나 활동하는 목표에 대한 매력일 수 있으며, 함께하게 하는
외적 압력의 결과일 수도 있음

319
• 집단 아동이 하는 역할

① 지도자 역할
아동들은 집단 요구의 결과로 출현하는 공식적 또는 비공식적
지도자로서의 역할을 맡을 수 있음
또한 서로 다른 기능을 발휘하거나 경쟁적 하위 집단의 대표격
인 지도자가 출현하기도 함

② 과업 중심 역할
집단 문제를 규정하고 문제 해결 전략들을 이행하며
과업들을 수행하는 역할로, 특수한 목표 수립이 요구됨

③ 집단 유지 역할
집단 기능을 유지하고 강화하도록 지향하는 역할과 집단 생애의
사회적, 정서적인 측면을 강화하는 역할을 포함

④ 자기만족 추구 역할
집단을 희생해서 자신의 욕구를 충족하는 역할로,
이들은 집단이나 집단의 가치를 무너뜨리기 위해 저항하고,
방해와 반대를 일삼거나 참여도 않으면서 일방적으로
자기주장을 고집함

320
⑤ 희생양 역할
집단 문제에 대해 무거운 책임을 혼자 짊어진 것처럼 행동하지만,
다른 아동들로부터는 끊임없이 부정적 반응을 얻곤 함
이들은 수줍음이 많고 타인으로부터 긍정적인 반응을 이끌어
내려는 사회적 시도에 계속 실패해왔기 때문에 희생양 역할에
매력을 느끼기도 함

⑥ 고립자 역할
집단 내에 있지만 집단 아동에 의해 무시되는 아동을 말함
그는 다른 아동과 관계를 가져보려 노력하지만 거절당하는 아동

다) 집단 환경에 대한 사정

• 집단 환경으로는 사회복지사가 소속된 기관이나 시설을 비롯하여


이들 시설 간 환경 및 지역사회 환경에 관해 사정하게 됨

• 집단 환경에 대한 사정은 집단 목표 달성 가능성과 목표 도달에


효율적인 방법의 탐색 그리고 필요한 자원의 유무 및 동원 가능성
등을 탐색하는 작업과 연계하여 이루어짐

321
2) 집단 활동의 원칙

가) 개별화의 원칙

• 집단 사회복지의 개별화 원칙이란 집단 안에서 집단 관계를 통한


개인으로서의 입장을 명확히 하고 개인의 욕구에 대응하는 것이
원칙이며, 집단 그 자체를 하나의 유기체로서 다루는 것을 말함

• 집단 내 개별화를 위해서는 아동 개개인의 가정적, 사회적 배경,


집단 활동 경험 유무 등을 파악하고 이를 전제로 그들의 집단 내
태도, 행동을 이해할 수 있어야 함

나) 수용의 원칙

• 수용이란 집단아동 각자가 다양한 태도, 행동, 감정을 표현하고


어떤 가치관을 가졌다 하더라도 그 사람을 있는 그대로 인정하고
받아들이는 것임

• 수용은 우선 사회복지사 자신이 진솔하게 수용할 수 있는 지와


관련됨. 자신을 이해하기 위한 부단한 노력이 다른 사람을 받아
들일 수 있는 여유 있는 태도를 만들어 내기 때문임

• 전체로서의 인간에 대한 이해를 위한 노력, 이를 위한 사회복지


사의 수용적 태도야 말로 아동들의 성장을 촉진하게 됨

322
다) 참가의 원칙

• 집단 실천과정에서 참가의 원칙은 매우 중요함

• 참가를 촉진하기 위해 집단 아동의 흥미와 욕구를 반영할 필요가


있는데, 여기서 프로그램은 중요한 역할을 함

• 프로그램을 통해 개인적 욕구 및 흥미에 의한 집단 참가로부터


사회 참가로 확대해 갈 것이 요구됨

• 자신에게 흥미롭고 또래 관계에 도움이 된다고 실감할 때


참가는 촉진됨

라) 체험의 원칙

• 집단의 특색은 집단 과정에서 일어나는 여러 문제 및 과제 해결


능력을 기르는 데 있음

• 집단 아동들은 그때그때 상황을 잘 파악하고, 적절한 시기에


각자의 문제 및 과제를 스스로 해결할 수 있다는 느낌을 체험할
수 있어야 함

323
마) 갈등 해결의 원칙

• 집단 내 갈등이 생겼을 때 갈등으로부터 도피하지 말고,


직면하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노력하는 과정을 중시하는 것이
갈등 해결의 원칙

• 이를 위해 사회복지사는 항상 집단 전체의 움직임에 관심을


기울이고, 집단을 구성하고 있는 개개인의 집단 의식화 과정을
관찰함으로써, 개개인의 갈등해결을 원조할 수 있어야 함

바) 규범의 원칙

• 집단 아동들은 집단 내에서 개인적 욕구가 충족되지 않은 경우,


다른 아동의 방해 때문이라고 착각하거나, 다른 아동에게 그
원인을 전가하는 자폐적 태도를 갖기도 함

• 이러한 무의식적 행동이 많은 사람들에게 때로는 상처를 주기도


하고 활동을 저해하기도 함

• 그러므로 집단 활동 과정에서 최소한의 규칙, 규범, 기본적 태도


에 대한 규정이 필수적임

324
사) 계속 평가의 원칙

• 집단 목적의 하나는 집단에 참가하여 체험과 경험을 키우고


이를 통해 개인의 성장과 집단 자체의 성장을 가져오는 것

• 그것은 계속적인 활동을 통해 가능한 것으로,


단발적인 프로그램 활동만으로는 불가능한 것임

• 따라서 계속적, 연속적으로 집단 과정을 분석, 평가하고


그 평가에 기초하여 다음 단계로 이행하는 것이 중요함

3) 집단 활동의 기술

가) 집단을 이끄는 기술

• 집단을 이끄는 기술은 집단을 통제, 관리하는 기술 뿐 아니라,


충고, 조언, 상담하는 기술 들로 이루어짐

• 집단 목표에 도달하기 위한 방안에 대해서는 사회복지사와


아동들 사이에 이미 맺은 약속과 중복되긴 하지만,
사회복지사에게는 특히 집단의 움직임을 관찰하고
변화를 알아내는 기술도 요구됨

325
나) 지지 기술

• 사회복지사는 집단 스스로로가 집단을 유지할 수 있도록


가능한 한 아동들에게 지도력을 발휘할 수 있는 기회를 주고
개시기의 중심적 위치에서 벗어난 집단을 지지하고 필요에 따라
위치를 바꾸어가야 함

• 작업기가 끝날 무렵 사회복지사는 후방에서 집단을 지지하게 됨

• 집단 아동의 집단에 대한 기여나 성과를 집단에서 표명하는 것도


지지 기술에 포함됨

다) 집단 유지에 도움이 되는 프로그램 활용 기술

• 작업기 집단 유지를 위한 프로그램은 집단 일치의 결정을 지지


하고 규범에 따라 행동을 촉진시키며 서로 다른 역할을 지지하고
아동들이 집단에 소속되어 있다는 기분과 안정감을 강화시킬 수
있는 것이어야 하고, 작업기가 끝날 무렵에는 집단으로부터 아동
들이 독립하기 시작하는 과정을 지지할 수 있는 것이라야 함

• 활동 프로그램을 설정함에 있어서는 각 프로그램 활동이 집단의


목표 성취를 어느 정도 촉진시키며, 얼마만큼 도움을 준지, 아동
전원이 참가 가능한지, 시간 내에 마칠 수 있는지 등을 아동들과
함께 검토한 후 가능하면 집단에서 결정하도록 원조해야 함

326
라 아동집단 활동의 예

1) 개입 방법의 예

• 사회복지사의 기본적인 태도, 능력과 함께 전문적인 개입기술은


집단의 효과에 많은 영향을 끼침

• 사회복지사가 아동의 사회 기술 향상을 위해 효과적으로 개입


하는 방법은 모델링, 역할 시연, 강화 등 행동주의 이론에
입각한 방법이 많이 활용되고 있음

<표> 개입 방법의 예
개입방법 예

관찰학습 • 사회기술의 상황과 행동 요소를 차트로 설명하면서


(모델링, 시범을 보이고 게임을 통하여 실행대안을 모색하게 함
역할 시연) • 문제 상황을 구상하게 하고 역할 연기하게 함

• 아동 간에 서로의 장점을 지적하게 하고 지지와 칭찬을 유도함


사회 • 워커의 언어적 강화와 고개 끄덕이기, 안아주기, 눈을 보며
기술 웃어주기, 등 두드려 주기, 집단 아동들의 박수를 받게 하기
훈련
강화 • 초기 모습과의 비교를 통한 칭찬과 워커의 만족감 표현
• 한 아동의 행동이 집단 전체에 미치는 긍정적 영향에 대한 언급
• 과제물 완수에 대하여 확인한 후 스티커 부여
• 표적 행동에 대하여 스티커를 부여하고 강화물 선택의 기회 부여
(1/2)

327
개입방법 예
적절한 • 반복적으로 일어나는 문제를 집단 아동들이 지적하지 않고
유머 있을 때, 유머를 통하여 제재
사용 • 텔레비전 유행어나 아동이 사용하는 단어를 섞어서 설명

• 음성적으로 존재하는 문제를 공론화할 수 있도록 유도


직면 • 집단 분위기, 집단 사회복지사, 아동에게 느끼는 감정표현 촉진
시키기
집단의 • 역할 연기나 다른 활동을 통하여 문제에 대한 이해를 돕고
유지와 소감을 함께 나눔으로써 자발적인 문제 수정을 도움
발달
• 불만을 요구로 바꾸어 재명명
예) “너무 지겨워요” → “좀 더 흥미롭게 하고싶단 말이지”
의미의 →표현되지 않은 긍정적 측면을 부각
재명명
예) “언니들은 친하려고 노력했나요? 그런데 저만 욕하니 기분
나빠요” “친하고 싶었던 사람에게 비난받아서 서운했구나.
너의 진심을 친하고 싶었던 건데”
(2/2)

2) 아동 집단 프로그램의 예

• 아동 집단의 예로 한 기관에서 개발하여 실시한


‘아동의 사회성 향상 프로그램’

가) 문제 제기 및 필요성

• 이 프로그램은 ‘친구를 사귀고 싶지 않은 아동은 없다’는 전제


에서 시작됨

• 이는 ‘아동은 친구를 사귀고 싶어 한다’는 것을 의미하며


이에 대해 아동이 친구를 잘 사귈 수 있는 방법을 학습시켜주는
프로그램을 생각해 볼 수 있으며 아동의 발달과업과 관련하여
사회성을 경험할 수 있는 소집단 프로그램이 적절함

328
• 부모가 자녀의 사회성 발달에 대해 가장 민감하게 반응하는 시기
는 자녀가 유치원이나 초등학교에 입학한 후 또래 친구들과 어울
리지 못할 때, 공격적인 행동을 보이거나, 수줍음이 유난히 많거나
하는 등의 모습이 뚜렷하게 나타날 때임

• 사회성 향상 프로그램이란 사회성이 부족한 아동을 위한 집단


프로그램으로 즐겁고 다양한 또래 경험을 통하여 또래 관계에
대한 자신감을 기르고, 또래 경험을 통하여 일대일 개별 치료에서
는 볼 수 없는 긍정적 관계를 형성하도록 도와주며, 다양한 사회
기술을 배우고, 연습하며, 학습한 기술들을 실제 생활에 일반화
시켜 사회적응력을 키우는 프로그램임

• 2003년 에 기관에서 실시한 욕구 조사에 따르면,


교사는 학교수업 중 부적응 학생에 대한 올바른 개입이 어렵다는
의견이 있었고, 초등학생은 상당수가 친구를 사귀는 것에 대해
매우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었으며, 사회성프로그램에 대한 욕구가
있는 것으로 나타남

329
나) 이론적 배경

• 프로그램은 목표에 맞게 계획하고 실시하는 데 있어서


다음과 같은 이론에 기초함

① 사회성과 관련된 이론

• ‘사회성’은 어떤 사회가 가지고 있는 성질, 집단을 만들어 생활하려


는 인간의 기본 성질, 집단생활에 적응이 잘 되는 소질, 사교성,
사회문제에 대하여 관심을 기울이는 경향으로 설명되고 있음

• 학자에 따라서는 사회성을 주어진 사회적 서향에서 사회적으로


수용되고 가치를 부여받고 있는 특수한 방법으로 타인과 상호 작
용하는 능력이라고 봄. 또한 개인적인 차원에서 유익할 뿐만 아니
라 상호 유익하고 특별히 상대방에게 유익한 방법으로 정의됨

② 아동의 발달과 관련된 이론

• 에릭슨의 설명에 의하면, 학령기는 6-11세 정도의 연령이며


아동의 사교성이 활발하게 나타나고 근면성이 발달되는 시기

• 스위스의 심리학자 피아제는 이 시기를 전조작기로 설명하였고


아동이 자아중심성에서 벗어나기 시작하는 시기로 설명하고 있음

③ 인지행동 이론

• 자아중심성이 미성숙한 아동에게 다르게 생각하는 방법을 가르쳐


주기 위해서 아동의 패러다임의 변화, 자기 조절, 환경과의 관계에
대한 학습을 위해 역할극 등의 프로그램을 계획해서 진행함

330
④ 해결 중심 이론

• 해결중심 이론은 인간의 잠재적인 자원, 문제 해결 능력, 과거의


성공적인 경험, 변화 욕구 등을 중요시하고, 인간에 대한 긍정적
인 가정과 전제 가치를 기본으로 하는 이론

• 이 프로그램에서는 아동의 강점에 기초하여 아동에게 긍정적인


대인관계의 기회를 제공하고 놀이와 비언어적 활동을 활용함

⑤ 놀이 이론

• 놀이는 사회적인 장면 속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놀이와 아동의


사회성 발달과의 관계에 대한 연구들이 선행되었음

• 놀이는 아동의 불안과 갈등을 정상적으로 극복해 나가는 능력을


길러주고 자아중심성을 감소시켜 사회화의 기능을 습득시키는
역할을 함

• 이 프로그램에서는 놀이를 적극적으로 활용함

331
다) 프로그램 진행과정

☺ 프로그램의 홍보
• 오프라인 홍보
• 온라인 홍보

☺ 면접
• 부모면접
• 초기 사정 기록작성

☺ 접수
• 신청서 작성
• 프로그램 안내


☺ 프로그램 계획

☺ 아동 개별 목표 수립

☺ 프로그램 진행(8회-15회기)

☺ 사전검사
• 지도자 관찰기록서
• 자아존중감 척도

☺ 개별 관찰 기록

☺ 아동 개별 목표 재수정 후 진행

332

☺ 프로그램 평가

☺ 사후검사
• 지도자 관찰기록서
• 자아존중감 척도

☺ 아동개별 평가

☺ 부모만족도 조사

☺ 아동만족도 조사

라) 프로그램의 평가

• 실시된 프로그램은 사전·사후 검사와 아동과 부모의 만족도 조사


를 통해 평가되었음

• 이 프로그램은 지역사회의 욕구에 따라 아동의 사회성에 초점을


맞추어 계획되었으나 대상을 실제로 모집했을 때 사회성에 대한
개념 프로그램을 신청하는 부모들의 경우 매우 다르게 이해하고
있는 것을 알게 됨

• 실제 프로그램 대상들이 기대하는 내용을 잘 파악하는 것이


매우 중요함을 알게 됨

• 프로그램의 대상에 대해 더 구분할 필요가 있고,


좀 더 많은 인원이 참여할 수 있는 방안도 모색해야 함

333
• 이 프로그램은 주의가 산만한 아동, 소극적인 아동, 공격 성향이
강한 아동, 의사 표현을 잘 못하는 아동 등 아동에 대한 사정을
한 후에 프로그램을 계획하고 진행함

• 또한 피드백을 통하여 프로그램이 질적으로 성장하고 있는지


프로그램의 회기와 내용을 조정하였으며 욕구에 잘 부응하는
구조로 만들어졌는지를 검토하고 보완해 나가고자 함

• 집단 프로그램은 집단의 목표가 뚜렷하고 그 대상이 적합해야


하며 개입 방법에서는 이론적 기초와 그에 따른 기술을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함

• 프로그램 계획에서부터 평가까지 일련의 과정을 통해 집단 아동


간의 상호 작용이 만들어 내는 응집력을 활용할 때 개인 대상의
실천 못지않게 큰 효과를 볼 수 있음

334
3. 타 전문직과 함께 일하기
 사회복지사는 사회복지사가 주로 일하는 사회복지기관이나
시설에서, 혹은 다른 전문직과 함께 일하는 기관, 즉 병원, 보호
관찰소, 아동상담소, 보육시설, 동사무소, 시·군·구청 등에서
여러 전문직과 팀워크를 이루어 일할 수 있음

 특히 다른 전문직이 주를 이루는 기관에서 일하는 사회복지사


에게는 많은 어려움이 있음

 데인과 사이먼(Dane & Simon)은 그 문제에 대해서 네 가지로 제시

• 첫째, 다른 전문직과의 가치의 차이

• 둘째, 사회복지사의 명목적 위치의 주변성

• 셋째, 주로 남자들로 구성된 기관에서 사회복지사업을


여성의 일로 가치 저하시키는 것

• 넷째, 역할의 모호성과 역할긴장

335
 이와 더불어 우리 사회에서는 더 근원적인 문제에 직면하기도 함
즉, 사회복지사업이 전문직으로서 사회적으로 인가를 받고 있는
가에 대해 명확하고 자신 있게 긍정할 수 없기 때문에 생겨나는
문제는, 다양한 기관에서 다양한 전문직과 일하는 사회복지사
에게 위치와 역할에 있어서 많은 갈등을 안겨줌

 여러 전문직이 함께 일하는 기관에서는 서로 다른 전문직의 가치,


우선순위와 치료모델을 얼마나 잘 이해하고 인정하느냐에 따라
효과적인 팀워크 구성이 이루어질 수 있음
이때에는 다른 전문직과의 사회화가 중요하며 팀워크에 관련된
기술과 전문직 간의 협동이 강조되므로 사회복지사는 명확한
의미에서 자신의 중요성과 고유성을 인식해야 함(Abramson,
1993: 208).

 사회복지사는 사회복지기관 내 동료들, 타 전문직과의 관계 뿐만


아니라 비전문적인 대인서비스 실천가들과 관계를 가짐
일부 차이는 있지만 사회복지사업 동료와의 관계에서 지켜야 할
존경과 협동을 다른 전문직, 비전문직 동료에게 연장해서 실천해야
할 것이며, 이러한 의미에서 윤리적인 문제는 사회복지사업 동료들
과의 관계에서와 마찬가지로 적용해야 할 것

336
4. 아동복지의 실천과 평가
가 개별활동과 집단활동의 종결 단계

 개입 과정은 개임에 대한 최종 평가와 아동의 사회복지사 또는


부모와 사회복지사 간의 전문적 관계를 종결시킴으로써 끝나게 됨

 종결, 즉 아동에게 긍정적인 성과를 얻게 한 다음 원조 관계를


끝내는 일은 상당한 기술과 계획이 요구됨

 사회복지사는 아동이 종결에 대해 미리 준비할 수 있도록 하고


지금까지 변화된 부분이 지속될 수 있도록 강화해야 함

1) 종결 시기의 결정

• 종결은 이사 등 아동의 상황 변화에 따른 종결, 계약기간의 종료에


따른 종결, 목표 달성에 따른 종결, 사회복지사의 상황 변화에 따른
종결 등이 있음

• 가장 원만한 종결은 목표 달성을 이루게 됨에 따라


아동에게 준비시켜 결정하는 것

2) 정서적 반응의 해결

• 사회복지사는 종결에 대한 아동의 두려움이나 저항에 관심을 두어


긍정적 감정을 유지한 상태에서 원조관계를 종결해야 함
그리고 동일한 문제가 반복되지 않으며 아동의 변화가 지속될 수
있도록 강화시켜야 함

337
나 점검 및 재사정

 실행된 서비스에 대한 주기적인 점검(고위험 사례의 경우 2주에


한번 정도, 저위험 사례의 경우 2개월에 한번 정도)을 통해
대상자에게 제공되는 서비스의 적절성 여부, 서비스가 계획대로
수행되고 있는지 여부 등을 확인해야 함

 대상자에게 제공되는 전체 서비스 내용은 사례관리자가


사례관리 점검일지에 기록 정리하여 보관하여야 함

 서비스 제공자들은 제공된 서비스의 구체적인 내용을 서비스


일지에 기록하고 정기적인 사례회의를 통해 다른 전문가들의
조언을 받음

 서비스 제공자들은 아동들이 적극적으로 프로그램에 참여하지


않거나 이유 없이 불참하는 경우 사례조정자에게 이를 알려
서비스 변화가 필요한 것인지 검토해 볼 수 있도록 해야 함

 더불어 학령기 아동의 변화를 검토할 때에는 교사 및 부모 또는


보호자와의 상담도 병행하도록 함

 특히 학생의 학습이나 학교적응에 대한 변화를 가장 민감하게


감지하고 있는 사람은 교사이므로 교사로부터 정보를 수집하는
것은 중요함

 이 과정에서 서비스의 내용, 양과 질에 대한 점검하고 대상자의


변화를 측정함

338
 사정단계에서 조사된 사례관리 대상자의 생활환경 및 욕구의
변화가 있는지 여부 등에 대한 재사정과 피드백의 적용을 통해
서비스의 조정 등을 결정함

 저 위험사례 중에서 복합적 문제나 다양한 서비스 욕구가 발생하면


다면적 사정을 통해 고 위험사례로 전환하여 집중적 사례관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음

출처: 오정수, 정익중(2017), 아동복지론, 학지사

339
다 성과평가 및 종결

 사례관리 대상자에게 적용된 서비스의 효과와 효율성을 평가함


성과평가를 통해 서비스를 지속할 것인지 종결할 것인지 결정함

 이사 등을 통해 종결해야 하는 경우, 아직 취약한 상태에 있는


아동이라면 다른 지역사회 기관을 통해 서비스가 지속될 수
있도록 의뢰함

 종결 후에는 무엇을 목표로 어떤 서비스를 실행할 것인지,


어떤 면을 점검할 것인지 대상자와 함께 사후관리에 대해
구체적으로 계획하도록 함

 정기적으로 접촉을 하도록 구체적인 일시와 연락 방법에 대해


계약을 함. 대상자가 알아서 도움을 요청할 것이라고 기대하지
않는 것이 좋음

 사례조정자는 종결 내용을 종결 기록지에 기록 정리하여 보관함

340
341
1. 아동복지 관련 법률
가 아동복지 법률의 체계

 아동과 관련된 법률체계는 아동복지와 직접 관련이 있는 법률은


물론 기타 아동과 관련된 여러 가지 법률이 상호 관련되어
구성되어 있음

 대다수의 사회복지법, 특히 사회복지서비스 분야의 법이 그렇듯


아동복지 관련법들은 실제로 아동의 권리를 보장하고 있지 못한
형편이며, 아동복지에 대한 국가의 책임도 선언적 수준에 그치고
있음

342
 일반적으로 법규범은 헌법- 법률- 명령(시행령-시행규칙)-조례-
규칙 등의 수직적 단계를 가지며 이러한 법 단계에 따라 아동복지
관련법은 「헌법」 제34조 제1항이 규정하고 있는 ‘모든 국민의 인
간다운 생활을 할 권리’와, 같은 조 4항에서 ‘청소년의 복지 증진을
위한 정책을 실시할 국가의 의무’, 제36조 제2항에서 ‘모성 보호에
대한 국가의 책임규정’ 등을 명시하고 있음

 즉, 우리나라 「헌법」에는 기본적 인권, 최저생활보장권, 교육권 등


이 명시되어 있고 아동 역시 이와 동등한 권리를 가지며 국가는
이의 보장에 대한 책임을 짐

 사회복지 관련 법률 단계에서는 「사회보장기본법」이 최고의 규범


이며 이 법의 지휘를 받는 아동복지 관련법들이 존재함

 아동에 관한 제반 법률들을 분류해 보면 다음과 같고 이들 법률은


아동의 복지를 보장함에 있어 상호보완적 관계에 있으며 따라서
이에 대한 체계적 이해와 융통성 있는 적용이 요구됨

 우리나라의 아동복지 법률체계는 「아동복지법」을 기본법으로


하고, 아동복지와 관련된 다수 법률이 일부 아동복지의 하위 영역
에서 보완적으로 제정되어 있음

343
 「아동복지법」이 이 분야의 기본법이지만 1961년 「아동복리법」이
제정되고, 20년이 지난 1981년 「아동복지법」으로 개정될 당시에
는 시설보호를 근간으로 하는 선별주의적 아동복지사업을 중심으
로 제정되었고 이후 사회환경의 변화와 아동복지의 다양한 수요
확대에 따라 「아동복지법」이 부분적으로 개정, 보완되었기 때문에
기본법으로서의 체계가 갖추어지지 않았고 시설보호사업에
가정위탁사업, 학대아동보호사업 등을 덧붙인 형태로 구성되어
있어서 새로운 체계로 전면적인 개정의 필요성이 제기되어 왔는데,
이러한 「아동복지법」의 전면 개정 필요성에 의하여
2012년 전면 개정됨

 그리고 현재까지 제정된 아동복지 관련 법률들은 사회복지서비스


와 관련되어 있으며, 아동양육과 가정의 소득을 지원하는
「아동수당법」이 2018년 제정됨

 이혼이나 별거 부모로부터 양육비를 징수하는 「아동부양법」은


제정되지 않고 있으며, 아동양육비 강제징수는 「가사소송법」에
규정되어 있음

344
<표> 아동복지 법률의 구성체계
법률 구성체계 내용
아동복지기본법 아동복지법 아동복지에 관한 기본사항
영유아보육법 영유아보육
한부모가족지원법 한부모가족복지
입양특례법 입양절차 등
직접
모자보건법 모자보건
관련
실종아동보호지원법 실종아동보호
법률
장애아동 복지지원법 장애아동복지
아동학대범죄특례법 아동학대 방지
아동복지 저출산·고령사회기본법 저출산 대책
특별법 국민기초생활보장법 빈곤가정 아동, 소년소녀가정 아동 지원
긴급복지지원법 위기가정 아동 긴급지원
청소년 기본법 청소년복지의 기본 사항
간접
청소년 보호법 청소년 보호
관련
사회복지사업법 사회복지사업과 시설운영
법률
소년원법 비행소년
보호관찰법 비행청소년 보호관찰
장애인복지법 장애아동의 복지

나 아동복지법

 아동복지법은 1961년 아동복리법으로 제정된 후,


1981년 아동복지법으로 개정됨

 그 이전에는 1923년 조선감화령과 1944년 조선구호령에


의해서 아동문제가 다루어졌음

 아동복리법은 요보호아동에 대해 시설 중심의 보호를 행하는 것


이 중심 내용이었으나, 아동복지법에서는 전체 아동을 대상으로
“아동이 건강하게 출생하여 행복하고 안전하게 자랄 수 있도록
그 복지를 보장(제1조)”하는 것을 법의 목적으로 하고 있음

345
 총칙에서 아동복지의 목적, 이념, 정의, 책무 등을 규정하고 있고,
각 장에서는 아동복지정책의 수립 및 시행, 아동에 대한 보호서비
스 및 아동학대의 예방 및 방지, 아동에 대한 서비스, 아동복지
전담기관 및 아동복지 시설 등을 규정하고, 보칙에서는 비용, 권한,
벌칙 등을 규정하고 있음

<표> 아동복지법
목적 건강하게 출생, 행복하고 안전하게 자라도록 복지 보장
18세 미만인 사람으로,
• 보호자가 없거나 보호자로부터 이탈된 아동 또는 아동을 학대하는
대상 경우 등 아동을 양육하기에 적당하지 아니하거나 양육할 능력이
없는 경우의 아동
• 사회적, 경제적, 정서적 지원이 필요한 아동
• 아동정책조정위원회: 보건복지부장관은 아동정책기본계획을 5년마
다 수립. 국무총리 소속으로 아동정책조정위원회를 두며 시·도지사,
시장·군수·구청장은 그 소속으로 아동복지심의위원회를 둔다.

• 아동권리보장원: 보건복지장관은 아동정책에 대한 종합적인 수행과


전달체
아동복지 관련 사업의 효과적인 추진을 위해 필요한 정책 수립을

지원하고 사업평가 등이 업무 추진할 수 있도록 설립

• 다함께 돌봄 서비스 지원: 시·도지사, 시장·군수·구청장은 초등학교


의 정규교육 이외 시간 동안 돌봄서비스를 설시하기 위해 다함께돌
봄센터를 설치·운영할 수 있다.
(1/2)

346
• 아동복지시설: 학대아동의 치료, 사례관리, 아동학대예방사업을
위한 시·도 및 시·군·구에 아동보호전문기관의 설치와 업무 규정.
아동양육시설, 아동일시보호시설, 아동보호치료시설, 공동생활가
정, 자립지원시설, 아동상담소, 아동전용시설, 지역아동센터, 아동
보호전문기관, 가정위탁지원센터, 아동권리보장원을 규정, 이외의
전달체계 아동복지시설은 각 시설의 고유 목적사업 외 아동가정지원사업, 아
동주간보호사업, 아동전문상담사업, 학대아동보호사업, 공동생활
가정사업, 방과후아동지도사업을 추가로 실시 가능
• 아동복지 인력: 아동복지전담공무원, 아동위원, 아동안전보호인력,
아동복지시설의 종사자, 종사자의 교육훈련을 규정

아동 종합 실태조사, 아동정책 기본계획 및 시행계획 수립 시행, 친권


내용 상실 선고 청구권자, 아동학대 신고의무자 교육, 아동 관련 기관 취업
제한 등

재정 생계·교육·의료비, 양육비 등 정부보조, 후원금


(2/2)

다 아동복지 관련 주요 법률

1) 영유아보육법

• 핵가족이 보편화된 상황에서 1980년대 후반 기혼여성의 경제


활동 참가율이 증가하게 되자 탁아에 대한 필요가 급격하게
요구되었음

• 이에 기존의 아동복지법 시행령에 탁아시설 설치에 관한 법적


근거를 부활시키고, 1991년 1월 아동복지법의 특별법으로
「영유아보육법」을 제정하게 됨

347
• 이 법은 6세 미만 취학 전 아동인 영유아의 심신을 보호하고
건전하게 교육하여 건강한 사회 구성원으로 육성함과 아울러
보호자의 경제적, 사회적 활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영유아 및 가정의 복지 증진에 이바지함을 목적으로 함

• 따라서 이 법은 아동과 그 보호자인 여성을 동시에 보호하는


입법 목적을 가지고 있으며, 주된 서비스 내용은 보호와 교육을
통합한 보육서비스임

<표> 영유아보육법
목적 영유아보호와 교육, 가정복지 증진
대상 6세 미만 취학 전 아동(12세까지 연장 가능)
이념 아동의 권리를 위한 아동 이익 최우선의 원칙과 무차별의 원칙
서비스 성격 보호·양육·교육을 제공하는 ‘사회복지서비스’
기관(시설)
설치 기준: 보건복지부령
설치 관련
설립 인가
시장·군수·구청장 인가
(국·공립 외)
기관(시설) 1. 기초생활수급자 2. 한부모 자녀 3. 차상위계층 자녀
우선 이용자 4. 장애아 5. 다문화가족 자녀

- 엄격한 배치 기준 적용
교원배치 기준 - 영유아보육법 시행규칙
- 0세-1:3, 1세-1:5, 2세-1:7, 3세-1:15, 4세 이상- 1:20
출처: 한미현 외(2020), p150.

348
2) 입양특례법

• 근대적 의미의 입양제도가 우리나라에 등장한 것은 한국전쟁으로 인한


고아의 대량발생 및 미국 주둔으로 인한 혼혈 고아의 발생이 배경

• 이에 1954년 전쟁고아대책 수립, 1961년 「고아입양특례법」을


제정하였으며, 최근 산업화로 인한 미혼모 문제의 등장으로
혼외 출생 자녀의 문제가 대두되어, 1976년 「입양특례법」이
제정되고 2011년 전부 개정함

• 「입양특례법」은 요보호아동의 입양에 관한 요건 및 절차 등에


대한 특례와 지원에 필요한 사항을 정함으로써 양자가 되는
아동의 권익과 복지를 증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법률

<표> 입양특례법

출처: 주수길, 홍연숙, 황윤경, 주명국(2018), 아동복지론, 양성원

349
3) 실종아동등의 보호 및 지원에 관한 법률

• 이 법은 실종아동등의 발생을 예방하고 조속한 발견과 복귀를


도모하며 복귀 후의 사회 적응을 지원함으로써 실종아동등과
가정의 복지증진에 이바지함을 목적으로 함

• 2005년 5월 31일 제정되었으며 2005년 12월 1일부터 시행됨


당시에는 ‘아동 등’에 대하여 실종 당시 14세 미만인 아동과 장애
인 중 정신지체인, 발달장애인, 장신장애인을 말한다고 규정함

→ 2011년 8월 4일 일부 개정으로 장애인 중 지적장애인,


자폐성장애인 또는 정신장애인으로 변경하였으며, 2014년
1월 28일 일부 개정으로 실종 당시 18세 미만의 아동으로
개정되었고, 치매관리법에 의한 치매환자까지 확대됨

• 이 법의 시행을 위해 실종아동전문기관을 설치, 운영하고,


신고의무자 규정을 두었으며, 미신고 보호 행위를 금지하고
벌칙규정을 둠

• 그 외 지문정보등록, 정보시스템 구축 운영, 수색, 수사,


유전자 검사 등이 규정됨

<표> 실종아동등의 보호 및 지원에 관한 법률

출처: 주수길, 홍연숙, 황윤경, 주명국(2018), 아동복지론, 양성원

350
4) 아동학대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

• 2014년 1월 28일 제정 공포되고 2014년 9월 29일자로 특례법


이 시행됨에 따라 아동복지법에서 신고의무 제도, 신고의무자
직군, 신고의무 불이행 시 과태료 부과, 행위자 처벌 및 피해아동
보호 등 사업 처리 절차에 대한 근거조항이 특례법으로 이관됨

• 이 법에서 아동학대범죄, 아동보호 사건, 피해아동 보호명령


사건을 정의 내리고 있고, 아동학대범죄의 처벌에 관한 특례로서
가중처벌과 형벌과 수강명령의 병과, 친권상실 청구 등이 규정되
었고, 아동학대범죄의 처리 절차에 관한 특례로 신고의무 절차,
현장 출동, 아동 응급조치, 학대행위자 긴급 임시조치 등이
규정되어 있음

• 또한 아동보호사건에 대하여 사건송치, 검사의 결정 전 조사,


조건부 기소유예, 송치, 이송, 보호처분 등이 규정되고,
기타 피해아동보호명령과 벌칙 및 과태료 관련 규정이 있음

<표> 아동학대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

출처: 주수길, 홍연숙, 황윤경, 주명국(2018), 아동복지론, 양성원

351
5) 아동의 빈곤 예방과 지원 등에 관한 법률

• 2011년 7월 14일에 제정되고 2012년 7월 15일에 시행됨


이 법은 빈곤아동이 복지, 교육, 문화 등의 분야에서 소외와 차별
을 받지 않고, 한 사회의 구성원으로 건강하게 자랄 수 있도록
제도적 기반을 마련하는 것이 목적

• 아동빈곤이란 아동이 일상적인 생활 여건과 자원이 결핍하여


사회적, 경제적, 문화적 불이익을 받는 빈곤한 상태를 말함
내용은 5년마다 기본계획을 수립하고 매년 시행계획을 수립
시행하며, 아동빈곤예방위원회를 설치, 운영하는 것

• 위원회는 빈곤아동 정책의 방향, 제도 개선과 예산 지원, 빈곤


아동 관련 조약 이행, 평가, 조정에 관한 사항 등을 심의 조정함

<표> 아동의 빈곤예방과 지원 등에 관한 법률

출처: 주수길, 홍연숙, 황윤경, 주명국(2018), 아동복지론, 양성원

352
6) 장애아동복지지원법

• 이 법은 2011년 8월 9일 제정되고 2012년 8월 5일에 시행됨


목적은 장애아동의 특별한 복지적 욕구에 적합한 지원을 통합적
으로 제공함으로써 장애아동이 안정된 가정생활 속에서
건강하게 성장하고 사회에 활발하게 참여할 수 있도록 하며,
장애아동 가족의 부담을 줄이는데 이바지하고자 함

• 장애아동이란 18세 미만 사람 중 「장애인복지법」에 따라 등록한


장애인을 말함. 다만, 6세 미만의 아동으로서 장애가 있다고
보건복지부장관이 별도로 인정하는 사람을 포함

• 장애아동복지 지원이란 정부가 장애아동의 특별한 복지적 욕구에


따라 의료비 지원, 보육 지원, 가족 지원 및 장애아동의 발달에
필요한 지원 등 다양한 인적, 물적 자원을 제공하는 것을 말함

• 주요 내용을 보면, 장애아동의 권리를 6가지로 규정하고 있고,


장애아동복지 지원의 심의, 중앙장애아동지원센터의 설치, 운영,
시, 군, 구 단위의 지역장애아동지원 센터 설치, 운영, 3년마다
장애아동복지지원 실태조사 실시가 규정되어 있음

353
• 또한 복지지원 대상자 선정 및 복지지원 제공의 절차로 장애의
조기 발견, 복지지원의 신청, 대상자 선정, 개인별 지원계획의
수립을 하도록 하고 있고, 복지지원의 내용으로 의료비 지원,
보조기 지원, 발달재활서비스 지원, 보육 지원, 가족 지원, 돌봄 및
일시적 휴식 지원 서비스 지원, 문화예술 복지 지원, 취약가정
복지 지원 우선 제공 등이 규정되어 있음

<표> 장애아동복지지원법

출처: 주수길, 홍연숙, 황윤경, 주명국(2018), 아동복지론, 양성원

7) 보호관찰 등에 관한 법률

• 이 법은 죄를 지은 사람으로서 재범 방지를 위하여 보호관찰,


사회봉사, 수강 및 갱생보호 등 체계적인 사회 내 처우가 필요하
다고 인정되는 사람을 지도하고 보살피며 도움으로써 건전한
사회 복귀를 촉진하고, 효율적인 범죄예방 활동을 전개함으로써
개인 및 공공의 복지를 증진함과 아울러 사회를 보호함을
목적으로 함

• 아동과 관련하여 이 법의 적용을 받는 대상은 「소년법」제32조의


보호처분의 결정에서 제2호 수강명령, 제3호 사회봉사명령,
제4호 단기보호관찰, 제5호 장기보호관찰 처분을 받은 소년

354
• 보호관찰, 사회봉사, 수강명령에 관한 사무를 관장하기 위하여
법무부장관 소속으로 보호관찰소를 둠

• 보호관찰 대상자는 주거지에 상주하고 생업에 종사하며,


범죄로 이어지기 쉬운 나쁜 습관을 버리고 선행을 하며,
보호관찰관의 지도, 감독에 따르고 방문하면 응대해야 함

<표> 보호관찰 등에 관한 법률

출처: 주수길, 홍연숙, 황윤경, 주명국(2018), 아동복지론, 양성원

355
8) 아동·청소년의 성보호에 관한 법률

• 「아동·청소년의 성보호에 관한 법률」은 2000년 2월 3일 제정하여


그해 7월 1일부터 시행되었으며, 2012년 12월 18일 전부 개정됨

• 아동·청소년대상 성범죄의 처벌과 절차에 관한 특례를 규정하고


피해 아동·청소년을 위한 구제 및 지원 절차를 마련하며,
아동·청소년대상 성범죄자를 체계적으로 관리함으로써
아동·청소년을 성범죄로부터 보호하고, 아동·청소년이 건강한 사회
구성원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함

• 이 법률에서 아동·청소년이라 함은 19세 미만의 자를 말하며,


19세에 도달하는 연도의 1월 1일을 맞이하는 자는 제외함

• 아동·청소년의 성을 사는 행위 등(아동·청소년 이용 음란물의 제작과


배포, 아동·청소년 매매행위, 아동·청소년에 대한 강간, 강제추행을
포함)에 관한 처벌과 죄의 상대방이 된 대상아동·청소년의 선도 보호
(보호처분, 보호시설, 상담시설 등 명시)를 주요 내용으로 함

• 기밀의 누설금지와 심사절차에서 해당 아동·청소년의 인권 및 특성


을 배려하고, 명예와 존엄을 다치지 않도록 각별히 주의해야 하는
심사절차에서의 배려가 포함되어 있다. 또한 아동·청소년 관련기관
등에서의 취업제한 규정(제56조)이 있어서 취업 시 성범죄경력을
조회하도록 하고 있음. 사실상 노무에 종사하는 자도 포함됨

356
9) 아동수당법

• 「아동수당법」은 2018년 3월에 제정되어 9월 1일부터 시행되었


으며, 2022년 4월 1일부터 0세부터 만8세 미만의 아동에게
월 10만 원씩 지급함으로써, 아동의 건강한 성장 환경을 조성하여
아동의 기본적 권리와 복지 증진에 기여하기 위해 도입함

• 아동에게 아동수당을 지급하여 아동 양육에 따른 경제적 부담을


경감하고 건강한 성장 환경을 조성함으로써 아동의 기본적 권리
와 복지를 증진함을 목적으로 함

 그 외 성폭력 방지 및 피해자 보호 등에 관한 법률, 가정폭력방지 및


피해자보호등에 관한 법률, 한부모 가족지원법, 다문화 가족지원법
에 관하여 표를 참고

<표> 성폭력 방지 및 피해자 보호 등에 관한 법률

출처: 주수길, 홍연숙, 황윤경, 주명국(2018), 아동복지론, 양성원

357
<표> 가정폭력 방지 및 피해자 보호 등에 관한 법률

출처: 주수길, 홍연숙, 황윤경, 주명국(2018), 아동복지론, 양성원

<표> 한부모가족지원법

출처: 주수길, 홍연숙, 황윤경, 주명국(2018), 아동복지론, 양성원

358
<표> 다문화가족지원법

출처: 주수길, 홍연숙, 황윤경, 주명국(2018), 아동복지론, 양성원

2. 아동복지 행정의 특징
 근대적 의미의 행정에는 종종 정부의 정책결정까지도 포함되지만,
일반적으로 행정은 정부기능의 계획·조직·관리·조정·통제를 수행함

가 행정의 전달체제

 우리나라 아동복지서비스는 공공의 행정조직과 민간조직에 의해


전달되고 있음

 공공조직은 중앙정부 각 부처의 아동정책 및 아동권리 증진의


기본방향, 아동정책의 개선과 예산지원, 아동정책 관련 중앙부처 간
협조사항, 아동관련 국제조약의 이행과 평가, 조정을 위하여
2004년 국무총리 아동정책조정위원회가 설치 됨

359
 아동복지공공행정은 보건복지부를 중심으로 시·도, 시·군·구,
읍·면·동의 사회복지행정체계로 연결됨

 시·도, 시·군·구에는 아동복지심의위원회를 두어 연도별 아동정책


시행계획에 관한 사항, 아동의 보호조치, 퇴소조치, 친권행사의
제한이나 친권상실 선고 청구, 후견인의 선임이나 변경 청구, 지원
대상아동의 선정과 지원에 관한 사항을 심의함

 행정조직으로는 아동보육 및 아동복지 담당부서가 있으며,


읍·면·동에는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이 일선 아동복지행정을 담당함

 우리나라 아동복지 공공조직은 전담기구가 없어 매우 미약한


상황이지만 일부 시·도 단위에 공공의 아동복지 전담기구로
아동복지센터 또는 아동보호센터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도 있음

 2019년부터 아동정책의 종합적인 수행과 학대아동보호,


드림스타트를 통한 아동통합사례관리, 아동자립지원, 입양지원,
실종아동지원사업 등 아동복지 관련 사업의 효과적인 추진을
위하여 필요한 정책을 수립하고 사업평가 등의 업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아동권리보장원이 설립되어 출범함

 민간조직은 국내의 아동복지시설(생활시설, 이용시설), 어린이집,


아동보호전문기관, 입양기관, 가정위탁지원센터, 실종아동전문기
관 등이 설치되어 각 영역의 전문 아동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지역의 종합사회복지관에서 아동복지서비스를 제공하기도 함

360
<표> 아동복지 민간조직
아동복지 민간조직 시설의 종류/내용
아동양육시설, 아동일시보호시설, 아동보호치료시설,
생활시설
아동복지시설 자립지원시설, 공동생활가정
이용시설 아동상담소, 아동전용시설, 지역아동센터

국·공립어린이집, 사회복지법인어린이집, 법인단체등


어린이집 어린이집, 직장어린이집, 가정어린이집, 부모협동어린
이집, 민간어린이집
아동보호전문기관 지방 아동보호전문기관(시·도 또는 소규모 단위)
입양기관 국외입양기관, 국내입양기관
가정위탁지원센터 지방 가정위탁지원센터(시·도 또는 소규모 단위)
실종아동전문기관 실종아동전문기관

나 아동복지서비스 기관 및 종사자

 아동복지 종사자는 아동복지의 실천 주체

 협의의 개념

• 해당 아동복지사업을 수행하기 위해 요구되는 자격을 갖춘 사람


• 법적 자격을 갖춘 사람(예: 사회복지사, 보육교사, 유치원교사 등)

 광의의 개념

• 아동복지에 종사하는 모든 사람으로 협의의 대상과 함께


각종 심의 및 자문위원에 참여하는 전문가, 각종 아동복지 관련
행정기구(예, 우리나라의 아동위원), 아동복지 민간기관 및
여러 아동복지시설에서 일하는 자원봉사자 들을 모두 포함

361
 공공부분 아동복지 종사자는 보건복지부와 지방자치단체의
아동복지 관련 부서의 복지 담당 공무원과 읍·면·동에 배치되어
생활보호 업무의 일부로 아동복지 업무를 수행하는
사회복지담당자들을 들 수 있음

 민간부분의 경우 사회복지법인이나 비영리법인에 의한 사회복지


시설·기관·단체에 종사하는 인력으로 사회복지사가 주가 됨
이들은 영아, 유아, 장애 아동, 모자복지시설 등 수용시설의 종사자,
아동상담과 입양 분야의 민간 사회복지기관, 단체의 종사자,
보육기관 종사자 등

 아동복지에서 실천 주체는 전달체계의 마지막 단계로서


그 책임과 자질과 함께 전문성이 특히 요구됨

 공공부분의 종사자는 아동의 복지 보장과 증진을 위하여 행정적


지원뿐만 아니라 관계 제도를 구축하고 사회 변화에 부응하여
각종 제도를 정비하는 적극적 자세가 요구되며 간섭과 명령을
지양하고 업무의 중심을 아동의 복지 증진에 두는 융통성 있는
업무수행이 필요함

 민간부분 종사자는 그 직무와 자격, 종사자 종류와 수 등이 관계법에


규정되어 있으며 이들은 아동의 다양한 문제와 욕구에 부응하는
‘욕구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해 줄 수 있어야 함

 이를 위해 소정의 양성과정을 이수하고, 전문적이고 새로운 지식과


기술을 습득하고 동시에 자신을 재확인하기 위한 공적, 사적 연수를
계속해서 이수해 나가는 책임과 소명의식을 가질 필요가 있음

362
 민간부분의 실천 주체로 중요한 인력은 자원봉사자
이들은 아동복지의 운동주체라고도 할 수 있음

 이들의 자발적이고 직접적인 참여는 해당 지역의 아동의 요구나


문제가 무엇인가를 인식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지역주민들
스스로 봉사자로 참여하여 아동들의 복지 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중요한 인력들임

 아동복지의 성과는 전문 지도력에 의해 좌우되나 훈련된 자원봉사


자의 활동은 아동 보호의 수준을 향상시키고 경비를 절감할 수
있으며 봉사자 스스로에게도 긍정적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음

 예를 들어 시설아동의 경우, 식사와 배설, 목욕, 생활지도, 학습지도,


기술지도와 함께 여가 즐기기, 생일, 입학, 졸업 등의 행사 지원,
상담 및 전문적 프로그램 진행 등 봉사자의 역할은 매우 다양하며
이러한 봉사자의 역할도 보다 전문화되어 가고 있는 추세임

363
3. 아동복지 행정의 개선방안
 우리나라 아동복지 행정 전달체계의 문제점

• 아동복지서비스의 중심축 부재

• 아동보호조치의 공공성 부재

• 사법기관과의 협력체계 부재 등

가 아동복지서비스의 중심축 부재

 현행 아동복지 전달체계의 가장 핵심적인 문제점은 다양한


전달체계의 구심점이 되는 중심축이 부재하다는 것

 보호대상아동에게는 양육시설, 공공아동복지센터, 아동보호센터,


아동보호전문기관, 가정위탁지원센터, 입양기관 등 다양한 채널
을 통하여 보호신청이 산발적으로 접수되어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으나 시·도 단위에서 종합적인 체계가 마련되어 있지 않아
보호대상아동이 발견되었을 경우 적절한 대응이 신속하게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음

364
 즉, 보호대상아동이 발생하였을 경우 초기 접수창구가 통일되어
있지 않아 읍·면·동 행정복지센터(주민센터), 아동보호전문기관,
아동양육시설, 입양기관 등에 보호신청이 연결되면 각각의 기관,
시설은 각자의 업무처리 지침에 따라 독자적으로 처리하고 있음

 최근 아동복지에 대한 사회적 욕구가 다양하게 발생하면서 다양한


전달체계가 새롭게 마련되고 있으나 이러한 체계들 간의 연계가
형성되어 있지 않음

 가정위탁지원센터, 드림스타트센터, 지역아동센터, 건강가정지원


센터, 공동생활가정 등이 아동복지 전달체계로서 새롭게 형성되고
있음

 시·도와 시·군·구 단위에서 아동복지 전달체계의 중심축으로서


보호대상아동에 대한 초기의 접수신청과 진단이 통합적으로 이루
어질 수 있도록 하며, 기존의 아동복지 전달체계와 새롭게 형성되
고 있는 아동복지 전달체계가 상호 간에 어떠한 연계와 협력의
시스템을 구축할 것인가는 매우 중요한 정책과제임

365
나 아동보호조치의 공공성 부재

 「아동복지법」 제15조에 의하면, 지역사회에서 발생하는 보호가


필요한 아동에 대한 보호와 조치는 시·도지사 또는 시장, 군수,
구청장에 의하여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음

 이에 따라 보호가 필요한 아동에 대한 입양, 가정위탁, 시설입소


등의 조치는 공공부문으로서 지방자치단체와 공공아동복지센터
의 아동복지담당공무원의 업무 소관임

 지방자치단체의 조직개편으로 공공아동상담소를 공공 아동복지


센터와 아동보호센터로 운영하고 있는 서울특별시와 부산광역시
를 제외하고는 공공아동상담소가 지방자치단체의 행정기관으로
흡수되었음

 더욱이 시·군·구의 아동복지담당공무원은 1명 정도이며


다른 업무와 중복적으로 수행하고 있는 상황에서 지역의
아동보호와 조치에 관한 질적 서비스를 기대하기 어려운 실정임

366
다 사법기관과의 협력체계 부재

 아동에 대한 보호조치는 아동복지기관의 업무범위를 넘어


사법기관의 조치가 요구되기도 함

 아동학대 사례의 발생으로 인하여 부모의 친권을 제한하는 조치,


이혼소송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아동에 대한 보호조치는 법률적
심판과 조치가 아동복지적 차원의 고려와 동시에 이루어져야 함

 경찰에 의한 보호조치, 가정법원에 의한 재판과 법률서비스 등은


아동복지와 사법서비스가 함께 수행되는 대표적인 경우임

 「아동복지법」에서는 아동보호명령 등 이러한 사법기관에 의한


보호조치가 보다 명확하게 규정되어야 함

 사법기관은 단순한 법률적 판단과 심판을 넘어 아동복지 차원에서


아동을 보호하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제도적 기반을
마련하여야 할 것

367
368
1. 아동복지 정책
가 아동복지 정책의 개념

 아동복지 정책은 아동복지와 정책이라는 두 용어의 합성어이며,


또한 사회복지정책의 하위 영역

 Kadushin과 Martin(1988)은 아동복지정책을 포괄적으로 정의


하여 아동에게 영향을 미치는 모든 정책, 프로그램 및 활동으로
설명함

369
 주정일과 이소희(2001)은 아동복지정책이란 정부가 아동의 복지
를 설정한 방침이라고 정의하며, 그 수준은 현실적으로 국가의
성격과 복지 이념의 기준에 의해 결정된다고 봄

 그리고 공계순 외(2003)은 아동복지정책을 아동의 복지를 위한


정부의 원칙이나 지침, 또는 조직화된 노력으로 정의함
더 구체적으로는 아동의 물질적․ 비물질적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한 법적, 그리고 법에 기초한 정부의 서비스로 제한하여 봄

 한편 아동복지정책을 아동 및 가족복지정책으로 확대하여 정의


하기도 함. 이는 아동보호 및 복지를 지향하는 전통적인 아동복지
정책에 가족지원정책을 포함한 아동 및 가족복지정책으로
정의하는 것

 Antler(1985)는 아동복지정책은 부모의 아동양육의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해 시작되고 가족복지정책과 함께 다루어져 왔으므로
아동복지정책은 아동 및 가족복지 정책으로 개념화되어야 하며,
따라서 아동 및 가족복지정책은 아동 및 가족복지 분야에 관한
정책, 프로그램, 법령을 의미하고 사회복지정책의 특수 영역
이라고 봄

 이러한 경향성에 대해 Kamerman과 Kan(1985)는 아동만의


복지를 목표로 하는 전통적인 정책에서 아동이 있는 가족의 삶의
질 향상, 아동이 있는 가정의 복지를 지향하는 아동 및 가족복지
정책으로 개선된 것이며 이는 아동과 가족에 대한 이중 초점이라
고 강조함

370
∴ 아동복지 정책

- 아동복지정책을 확대한 개념으로서 아동 및 가족복지정책으로


보고 아동의 환경이 되는 가정의 적절한 기능 수행을 강화하고
가족을 유지시킴으로써 아동복지를 보장하는 모든 정책,
프로그램 및 활동들에 관한 원칙으로 정의함

나 아동복지 정책의 분석

 정책형성에 관한 분석틀을 아동복지정책의 형성과정에 적용하면,


아동복지정책의 형성이 이루어지는 다양한 맥락을 이해하게 되어
실천적인 측면에서는 바람직한 아동복지정책 형성을 위한
구체적 방법과 전략에 관한 함의를 얻을 수 있음

 사회복지정책의 일반적인 정책 목표에는 최저생활의 보장, 불평


등의 감소, 사회적 적절성의 달성, 사회통합의 달성 등이 있는데,
이러한 정책 목표는 아동복지정책 분석에서도 일반적인 목표로서
적용될 수 있음

371
 따라서 소득보장 프로그램은 가정이 유지, 최저생활의 보장,
안정적인 가정환경의 제공, 가족의 재결합, 후견자의 제공 등을
목표로 하고 있음

 정책 내용을 분석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으나


1974년 Gilbert와 Speccht의 분석틀을 근거로 수정한
Gilbert와 Terrel(1998)이 제시하는 분석틀에 의하면,
대상체계, 급여체계, 전달체계, 재정체계의 네 가지 틀에 의하여
이루어짐

1) 대상체계

• 대상체계(allocation)는 어떤 대상자에게 사회복지 급여를 할당


할 것인가?, 즉 수급의 자격을 결정하는 것으로서 아동복지정책
의 적용 대상은 아동복지의 급여나 서비스의 대상을 결정하는
차원으로 여기에는 보편주의 와 선별주의가 대표적인 원칙

• 대상의 자격을 결정하는 조건으로는 거주 여부나 기간, 시민권,


연령 등 인구학적 조건, 근로 능력, 사회보험에의 기여 여부,
소득·자산 조사, 전문적·행정적 판단 등이 있음

• 이러한 조건들은 사회통합, 소득재분배, 운영과 비용 효율성,


근로 동기에 미치는 영향 등에 관한 각 국가마다의 가치관을
반영하여 서비스 수급 자격 대상이 결정됨

372
• 영국의 아동수당(child benefit)은 6개월 이상의 거주 조건과
16세 미만의 아동이라는 인구학적 조건과 보편주의 원칙을 적용
한 경우로 사회적 연대와 사회통합의 가치를 강조한 정책

• 한편, 미국의 아동가족급여(AFDC)는 거주 조건, 16세 미만이라


는 아동의 인구학적 특성, 소득·자산조사, 모성의 근로 능력과
선별주의 원칙을 적용한 경우로서 비용 효율성과 근로 동기에
미치는 영향을 강조한 정책

• 그리고 가정 위탁, 입양, 시설보호 등 대부분의 아동복지서비스는


인구학적 특징과 전문적·행정적 판단에 의하여 자격을 결정함

2) 급여체계

• 급여체계는 수급 자격자에게 어떤 형태의 급여를 제공할 것인지를


결정하는 것으로 기회 제공, 정책 결정 참여, 비물질적 사회서비스
제공, 물품 제공, 신용(credit) 제공, 물품 교환권, 현금 제공 등이
있음

• 이 중 현금급여를 선택하는 기준이 되는 가치는 경제적 효용의


극대화, 소비자 주권의 보장, 인간존엄성의 유지 등이며,
현물급여는 목표 효율성의 제고, 규모의 경제 효과 활용 등임

• 아동복지를 실천하는 방법은 크게 소득보장과 서비스로 나누어지


는데, 현금 형태로 제공되는 소득보장 외의 대부분의 아동복지
프로그램은 서비스가 중심이 되어 있음

373
• 서비스는 아동복지 전문가의 개입에 의하여 전문가와 클라이언트
인 아동이나 가족과 의 대면적 만남을 통하여 이루어지고,
이러한 서비스에는 자기결정의 원리, 인간의 존엄성과 독특성의
강조와 같은 사회사업의 가치가 강조됨

3) 전달체계

• 전달체계는 급여를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하여 조직적 체계를


어떤 방법으로 설계할 것인지를 결정하는 것으로서 아동복지정
책을 통하여 제공되는 재화나 서비스는 여러 영역에서 다양하기
때문에 전달체계 또한 다양함

• 전달체계의 형태로는 공공조직, 민간조직, 공공과 민간조직의


혼합형태, 순수 민간조직이 있음

• 공공조직은 모든 국민을 대상으로 공공재를 전달할 때 유용하고


사회적 적절성과 서비스의 통합성을 성취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가격과 질의 저하, 관료주의적 경직성, 접근의 어려움
등의 단점이 있음

374
• 민간조직은 다양성, 선택의 자유, 창의성, 접근 용이성, 융통성의
장점이 있지만 서비스의 통합성과 지속성, 안정성 취약 등의
단점이 있음

• 혼합형태의 조직은 공공조직과 민간조직의 장점을 결합한 형태로


서 이는 사회복지가 제대로 공공재로서 성격을 지니고 있으므로
안정적인 서비스 공급을 위하여 공공조직의 역할이 필요하다는 점
과 민간조직의 장점을 도입해야 할 필요성에 의하여 나타난 형태
로서 최근 서구 복지국가에서 복지의 혼합경제 논리와 함께 확대
되고 있음

4) 재정체계

• 재정체계는 급여나 서비스의 비용을 어떤 방법으로 조달할 것인


지를 결정하는 차원으로 아동복지를 실현함에 필요한 재원을
공공재정 혹은 민간재정 등 어떤 방법으로 충당할 것인지 결정해
야 한다, 재정 방식의 다양성을 그 사회의 가치관, 정책 결정자의
입장, 사회의 이해관계 집단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

• 공공재정은 재정의 안정성과 지속성이 보장되는 장점이 있으나


정부 부담의 확대에 따른 조세 저항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그러한 경우 사회보장세로 할 것인지, 일반 조세로 할 것인지를
결정하여야 함

375
• 민간재정은 어떤 집단이나 지역의 특수한 욕구에 대처하기가 용이
하고 창의성 있는 서비스 개발을 촉진할 수 있으나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재원이 확보되지 못하는 경우가 생길 수 있음

• 민간재정으로 충당할 때에는 사용자 부담과 민간의 기부금 비중을


어떻게 할 것인지를 결정해야 함

• 아동복지에서 사회보장의 형태로 제공되는 아동수당이나


저소득 아동 급여는 공공재정에 의하여 충당되는 반면,
가정위탁, 입양, 아동강제보호서비스 등은 순수 민간재정에
의하여 운영되는 경우도 있음

• 아동복지서비스는 공공재로서의 특성 때문에 민간재정으로 운영


하면서 공공재정의 지원을 받는 혼합 형태인 경우가 많고,
또 비영리적 요인과 영리적 요인이 도입되어 혼합경제의 경향도
나타나고 있음

376
다 아동복지정책의 유형 및 범위

 장인협·오정수(2001)는 아동복지정책의 유형을 크게


가족유지 및 지원정책, 대체가정 서비스 정책, 아동보호서비스 정책
으로 분류하여 아동에게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는 정책의 유형으로
살펴보았음

1) 가족유지 및 지원 정책

• 아동양육을 지원하는 정책으로 소득보장에 의한 방법과


가족을 지원하는 서비스 정책

2) 대체가정 서비스 정책

• 가정위탁, 친족보호, 주거시설보호 등 일시적인 대체가정보호


정책 및 입양과 같은 영구적인 대체가정보호정책

3) 아동보호서비스 정책

• 아동의 학대와 유기에 대한 대응으로 학대 및 방임부모나


기타 보호자로부터 아동을 분리시켜 보호하는 정책

377
라 아동복지정책

 정부의 ‘아동분야 사업안내’에 의해 실시 중인 정책

1) 보호아동을 위한 가정사회보호시스템 강화

• 현행 아동복지정책 중 가정보호체계는 입양, 가정위탁보호,


공동생활가정(그룹홈)보호를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음

가) 입양 지원

• 입양지원정책의 목적은 보호자가 없거나 보호자로부터 이탈된


아동 등의 권익과 복지를 증진하기 위한 가정을 영구적으로
제공하여 신체적, 정서적, 사회적으로 건강하게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함

• 근거는 「입양특례법」이며 시설보호보다는 가정보호가 우선되도


록 하며, 국내입양을 우선하고 국외입양을 차선책으로 추진하며,
혈연 중심의 가족문화, 비밀입양위주 입양문화를 개선하기 위한
대국민 홍보를 강화하고 있음

378
• 입양기관에서 업무를 맡고 입양 비용을 받아 운영됨
국내 입양비용은 정부가 지원함

• 2012년 8월 「아동복지법」 전면 개정 이후 법원에서 입양을


허가해주고 있음

나) 가정위탁보호

• 가정위탁이란 보호대상아동의 보호를 위하여 「아동복지법」이


정하는 기준에 적합한 가정에 일정기간 위탁하는 것

• 보호아동 발생 시 가정보호를 우선시 하며, 특히 2세 미만일


경우 가정보호를 우선하는 정책을 펴고 있음

• 근거는 「아동복지법」과 「국민기초생활보장법」 및 「의료급여법」

• 양육보조금, 생계, 교육, 의료비 등을 지원하고 대학진학자금,


상해보험료, 심리치료비, 전제자금과 후원금 및 후원자 지원을
하고, 자립을 지원하며 보호 종결 시 자립정착금을 지원함

379
다) 아동양육시설보호

• 현행 아동정책에서 아동복지시설보호의 목적은 도움이 필요한 아동


중 입양, 대리양육, 가정위탁, 소년소녀가정지원 등 가정보호를 할 수
없는 아동을 양육시설에 입소시켜 건전한 사회인으로 육성하는 것

• 이에 따라 시설보호사업의 목표는 기존 양육시설의 성격을 아동상담,


일시 보호, 가정위탁 입양, 급식 프로그램 제공 등 지역사회 아동을
위한 종합서비스 시설로의 전환 추진을 기본방향으로 설정함

• 이러한 아동양육시설보호의 방향설정은 가정중심의 아동양육으로


전환을 선언한 것으로 새로운 아동양육시설보호의 목적에 비추어
매우 적절한 것으로 평가됨

• 최근 아동양육시설의 기능이 다양하고 복합적인 형태로 변화되어


야 할 필요성이 부각되고 있으며, 따라서 아동양육시설의 목표를
장기보호, 단기보호에 따른 가족과의 재결합, 독립생활, 치료목적
의 보호, 긴급아동양육 등 다양하고 복합적인 목표로 전환될
필요가 있음

• 시설보호의 적극적인 선택(positive choices)을 강조한 영국의


와그너(Wagner)보고서에서도 아동보호시설은 임시보호,
영구배치를 위한 준비, 가족관계의 유지, 보호와 통제,
치료의 제공이 중요한 기능임을 제시한 바 있음

380
라) 공동생활가정(그룹홈) 보호

• 공동생활가정 운영은 보호가 필요한 아동에게 가정과 같은


주거여건과 보호, 양육, 자립지원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

• 대규모 집단시설 위주의 보호에서 소규모 가정 형태의 보호로


전환하고 지역사회 중심의 아동 보호를 위한 형태로 1997년
부터 시범사업이 시작되었고, 2004년 1월 아동복지법상
아동복지시설로 추가되었음

• 주택형 숙사에서 보호아동은 5~7명으로 보육사와 함께 생활함


아동에 대한 수급비와 종사자 인건비 및 시설관리비 등 운영비를
지원함

• 공동생활가정보호는 가족중심보호가 아닌 지역사회중심보호


(커뮤니티케어)에 가깝다고 판단됨

• 그리고 공동생활가정보호는 아동양육시설과 대체관계에 있으므로


앞에서 언급된 아동양육시설보호의 목표를 근본적으로 재검토
하고 조정하는 작업이 선행되어야 함

381
2) 지역사회중심의 저소득층 아동 지원체계 강화

가) 아동 방과후 돌봄 서비스 활성화

• 지역아동센터 등의 운영을 통한 아동방과후 돌봄서비스의 목적


은 부모의 맞벌이, 한부모 등으로 방과후 나홀로 방치되어 있는
아동청소년의 비행, 범죄, 노출 사전예방 및 학습부진 해소하고
저소득층 청소년들에게 보충학습, 적성교육, 급식, 상담 등
종합적 돌봄서비스 제공으로 계층 간 양극화 해소 및 사회통합
에 기여하는 것

• 지역아동센터의 목표는 저소득층 부모의 경제활동기반 조성,


아동방임의 방지, 아동의 보호와 교육을 통한 사회적 적응능력
향상이라는 보다 구체적인 목표를 설정할 필요가 있음

나) 아동급식 지원

• 아동급식의 목적은 저소득 가정의 아동들이 건강하게 자랄 수


있도록 급식 지원 등을 통해 결식예방 및 영양을 개선하고자
하는 것

• 「아동복지법」에 근거하고, 2000년도 아동급식사업을 시작하였고,


2004년에는 방학이나 토, 공휴일의 취학아동 중식 지원이 교육부
에서 보건복지부로 이관되어 지방자치단체는 연중 지원(조, 석식
및 방학 등 중식)하나 교육청은 학기 중 중식(일부 지자체는 야간
수업자 석식 지원)을 지원함
이에 따라 시, 군, 구에서는 아동급식위원회를 설치하여
운영하고 있음

382
• 급식 대상은 18세 미만의 아동이며, 18세 이상이라도 고등학교
재학 중인 아동은 지원됨

• 저소득층의 결식 우려가 있는 아동에게 지원하며,


결식 우려란 아동 스스로 식사를 차려 먹기 어려운 경우를 말함

• 지원 방법은 개인급식과 단체급식으로 나눌 수 있고, 개인급식은


주로 카드를 사용하며 일반음식점이나 편의점을 이용하며,
단체급식은 지역아동센터에서의 급식이 대표적

다) 아동결연사업

• 결연사업이란 시설보호아동, 가정위탁보호아동, 소년소녀가정


등의 아동과 지역사회 이웃과의 결연으로 물질적, 정서적 지원을
하여, 이웃사랑의 사회분위기를 조성하고 아동의 건전한 육성을
도모하기 위한 사업

• 결연사업은 어린이재단, 사회복지공동모금회 등 민간자원 동원


이 관건이므로 효과적인 자원 개발전략이 필요함

383
라) 소년소녀가정 지원

• 소년소녀가정지원이란 수급자 중 만 18세 미만의 아동이


실질적으로 가정을 이끌어 가고 있는 세대로,
1985년부터 정부지원사업을 시작함

• 그러나 2000년도 가정위탁제도 실시 후 소년소녀가정의


가정위탁 전환이 시작되었고, 현재 신규지정이 금지되어있음

• 생계, 교육, 의료급여와 부가급여 및 전세자금을 지원하며,


민간 후원금 및 후원자 지원을 하고 있음

• 소년소녀가정은 가정위탁이나 시설보호에 비해 외부 위험에


노출되어 있는 보호형태로 UN 등에서도 폐지를 권고한 사업임

마) 보호아동 자립 지원

• 보호아동 자립 지원은 보호대상 아동의 자립 준비역량 강화 및 보호 종료


후 안정적인 사회진출과 자립을 실현하게 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음

• 1993년 자립지원센터 위탁사업이 진행되었고,


2012년 8월 개정된 「아동복지법」에서 근거 조항을 마련함

• 자립 지원의 의미는 보호대상 아동의 위탁 종료 또는 시설 퇴소 이후


자립에 필요한 주거, 생활, 교육, 취업 등의 지원, 자립에 필요한 자산의
형성 및 관리 지원, 자립에 대한 실태 조사 및 연구, 자립지원대상 아동의
사후관리체계 구축 운영, 자립생활 역량 강화를 위한 프로그램의 개발 및
운영, 자립 지원 관련 종사자 교육, 자립정착금 지원 등

384
• 자립지원대상아동은 가정위탁 보호 중인 아동, 아동복지시설에서
보호 중인 아동, 위탁보호가 종료되거나 시설에서 퇴소한 지
5년 이내의 아동

• 매년 아동 별 자립지원계획을 수립 시행함
자립지원계획에는 아동의 적성 및 욕구 파악, 사회성 발달 정도 및
자립능력과 수준 등 아동의 상태 평가, 정기적 진로상담, 체험 및
교육 프로그램 실시, 자립에 필요한 주거, 취업, 자산 형성, 정서적
지원 등 공적 서비스 및 지역 내 후원자원 연결 등이 포함됨

• 이를 위하여 중앙(국가)에서는 아동자립지원단을,


지방자치단체에는 자립지원전담기관을 설치 운영하고 있음

바) 디딤씨앗통장(CDA)

• 디딤씨앗통장사업은 저소득층 아동의 사회 진출 시 학자금, 취업,


창업, 주거마련 등에 소요되는 초기 비용 마련을 위한 자산 형성
을 장기적으로 지원할 필요에서, 2007년 4월부터 아동발달지원
계좌(CDA: Child Development Account)를 마련함

• 그리고 2012년 8월 개정된 「아동복지법」에서는 근거를 마련함

• 지원대상은 아동복지시설, 공동생활가정, 장애인시설아동, 가정


위탁아동 등의 보호 대상아동과 기초생활수급자 가정의 아동

385
• 아동이 후원자 또는 보호자의 도움으로 적립 시 국가와 지자체가
월 3만원 내에서 1:1 매칭으로 지원하는 국가펀드

• 아동은 월 47만원 내에서 추가 적립이 가능함


만 18세 이후 상기 용도로 사용이 가능하며 자립 사용 용도가
발생하지 않은 경우, 만 24세 도달 시 제한 없이 지급이 가능

• 중앙의 디딤씨앗지원사업단과 각 지방자치단체별 아동발달지원


계좌 관리기관에서 업무를 맡아 하고 있음

사) 드림스타트

• 드림스타트사업은 취약계층 아동에게 맞춤형 통합서비스를 제공


하여 아동의 건강한 성장과 발달을 도모하고, 공평한 출발의
기회를 보장함으로써 건강하고 행복한 사회구성원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함

• 사업 대상은 0세(임산부)부터 만 12세(초등학생 이하) 아동 및


가족이며, 사업 내용은 인적조사 및 사정을 통하여 대상자의
욕구 및 문제를 파악하고 보건, 복지, 보호, 교육 등 필요한
서비스를 종합적으로 지원하며, 지역자원을 발굴하고 관리함

386
• 「아동복지법」에 근거하며 보건복지부가 총괄하고
드림스타트사업지원단을 위탁 운영하며, 시, 군, 구에 1개소씩
공적 기관을 설치하고 공무원과 아동통합서비스 전문요원을
배치하여 운영하고 있음

• 인적 구성은 행정(공무원)과 간호, 보건, 사회복지, 보육, 교육


등의 종사자로 구성되며, 운영비는 전액 국비로 지원됨

• 센터에서 실시하고 있는 프로그램의 예


신체 및 건강과 정서 및 행동, 부모교육, 인지와 언어로 구분함

신체 및 건강 건강검진, 예방접종, 양양교육, 산전산후검진 등

직업 및 진로탐색, 아동권리교육, 아동학대 예방교육, 소방안전


정서 및 행동 교육, 인터넷 중독 예방교육, 가족과 함께 놀이동산 체험, 문화
공연 관람, 아동통합치료, 기초생활 지도, 여행 및 진로탐색 등

심리치료중인 아동의 부모집단교육, 자녀발달 및 양육 이해도


부모교육 를 높이기 위한 부모교육, 영유아 및 학령기 아동으로 구분한
맞춤식 부모교육 등

387
3) 아동권리와 아동학대 보호강화

가) 아동학대 예방 및 피해아동 보호

• 아동학대 피해 예방 및 피해아동 보호 사업의 목적은 아동학대


예방을 강화하고 피해아동에 대한 적극적인 보호를 통해
아동의 안정적인 성장환경 조성 및 권리 증진을 도모하고자
하는 것

• 아동학대의 정의는 보호자를 포함한 성인이 아동의 건강 또는


복지를 해치거나 정상적 발달을 저해할 수 있는 신체적, 정신적,
성적 폭력이나 가혹 행위를 하는 것과 아동의 보호자가 아동을
유기하거나 방임하는 것을 말함

• 2000년 1월 12일 아동복지법 전면 개정에 따라 제3조 정의에


아동학대의 개념이 삽입되었으며, 제17조 금지 행위에 기존의
유기 외 신체적, 정서적, 성적 학대와 방임의 4가지 아동학대 행위
가 포함되었음. 또한 긴급전화 및 아동보호전문기관 설치 근거,
아동학대 신고의무 등이 규정되었음

• 그 이전 1961년 12월 30일 최초 아동복리법 제정 시에는


제15조 금지행위 10호에 자기의 보호 또는 감독을 받는 아동을
학대하는 행위가 규정되어 있었으며 이후 변동이 없었음

388
• 2014년 1월 28일 제정되어 2014년 9월 29일 시행된 「아동학대
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에서는 신고의무자 직군이 24개로
확대되고 신고의무 불이행 과태료도 500만원으로 상향되었으며,
아동학대 치사, 아동학대 중상해, 아동복지시설 종사자의 아동학
대 범죄에 대하여 가중처벌 규정을 신설하고, 아동학대 중상해 및
상습 아동학대 행위자가 친권자인 경우 검사의 친권상실 청구를
의무화하였고, 학대행위자에 대한 친권의 제한, 정지 등 임시조치
근거를 마련하고, 법원의 임시 후견인 지정과 아동보호전문기관이
법원에 피해 아동 보호명령을 청구할 수 있도록 하는 등의 규정이
마련되었음

• 아동학대 신고전화는 2014년 9월 29일자로 112로 통합되어


아동학대 신고가 경찰로 접수됨으로써 정확성, 신속성이 제고됨

389
나) 실종 아동, 장애인 보호

• 「실종아동등의 보호 및 지원에 관한 법률」에 근거하여 실종아동을


보호하는 사업으로 ‘실종아동등’이란 약취, 유인 또는 유기되거나
사고를 당하거나 가출하거나 길을 잃는 등의 사유로 인하여
보호자로부터 이탈된 아동 등을 말함

• 실종아동등의 신고 접수는 국번없이 182이며


경찰청 실종아동찾기센터로 연결됨

• 신고의무자는 보호시설의 장과 종사자, 아동복지전담공무원,


청소년보호, 재활센터의 장과 종사자, 사회복지전담공무원,
의료인, 업무, 고용 등의 관계로 사실상 아동을 보호, 감독하는 자

• 신고를 하지 않으면 200만원 이하의 과태료가 부과되며,


실종아동등을 정당한 사유없이 보호한 자는 5년 이하 징역이나
3천만원 이하 벌금이 부과됨

• 각 시, 도에는 실종아동, 장애인 일시보호센터가 지정되어 있음


또한 실종아동 전문기관을 어린이재단으로 지정하여 신상카드
관리, 홍보 등의 업무를 하도록 하고 있음

390
<표> 우리나라의 아동복지정책
• 영유아 정책
어린이집과 유치원을 이용하지 않고, 직접 아이를 돌보는
가정양육수당 지원
가정에 양육비를 지원해준다.
어린이집을 이용하는 다문화 가정의 영유아 자녀에게 보육료를
다문화보육료지원 지원하여 부모의 양육에 대한 부담을 덜고, 부모가 원활한 경제
활동을 할 수 있도록 돕는다.
만 3~5세 유치원 및 어린이집에 다니는 만 3세~ 5세의 모든 유아에게
누리과정 지원 유아학비와 보육료를 지원한다.
보육비 만 0~5세 보육료 어린이집을 이용하는 영유아의 보육료를 지원하여 양육의 부담
지원 지원 사업 을 덜고, 가정의 경제를 돕는다.
시간제근로자 등이 필요한 때에 필요한 만큼 어린이집을 이용
시간제보육 하여 자녀 양육에 대한 부담을 경감하고 부모의 보육서비스
선택권을 보장한다.
장애로 인하여 생활이 어려운 장애아동이 보다 편안한 생활을 할
장애아동수당
수 있도록 지원한다.
어린이집을 이용하는 장애아의 보육료를 지원하여 부모의
장애아보육료 지원
경제적 부담을 경감한다.
(1/4)

공동육아 이웃 간의 자녀 돌봄 품앗이를 구성하여 핵가족화로 인한


나눔터 운영 육아부담을 경감시키고 지역중심의 자녀양육환경을 조성한다.

모성보호육아지원 출산 전후에 휴가급여와 육아휴직급여,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


(출산전후 휴가 급여, 급여를 제공하여 출산으로 인한 직장 여성의 이직을 방지하고
육아휴직 급여) 사업주의 여성 고용기피 요인을 해소한다.

국공립이나 법인 등 취약보육을 담당하는 어린이집의 보육


보육 돌봄 서비스
교직원에게 인건비를 지원하여 보다 안정적이고, 질 좋은
(어린이집 운영지원)
보육서비스를 제공한다.
생활
지원 취약계층 아동에게 맞춤형 통합서비스를 제공하여 건강한 성장
아동통합서비스지원
과 발달을 도모하고 공평한 출발기회를 보장함으로써 건강하고
(드림스타트 사업)
행복한 사회 구성원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맞벌이를 하거나 갑자기 아이를 돌볼 수 없는 일이 생겼을 때


아이 돌봄 서비스
육아 도우미가 방문하여 아이를 돌봐 준다.

영유아와 부모를 위한 종합적인 육아 종합 서비스를 제공하기


육아종합지원서비스
위하여 육아 종합지원 센터를 개설하고 운영비를 지원한다.

저소득층 기저귀, 저소득층 가구의 영아를 양육하는 부모에게 기저귀와 조제분유


조제분유 지원 를 지원한다.
(2/4)

391
영유아 예방접종률을 향상시키고, 양육자의 육아 부담을 덜기
국가예방접종
위해 보건소뿐만 아니라, 시장, 군수, 구청장 등이 예방접종을 할
지원 사업
경우에도 비용을 지원한다.
미숙아 및 선천성
보건소에 등록하여 관리하고 있는 미숙아 및 선천성 이상아 치료
이상아 등
에 소요되고 있는 의료비를 지원한다.
영유아 의료비지원
전문교육을 받은 산모, 신생아 건강관리사가 출산 가정을 방문해
산모, 신생아
산모의 건강회복을 돕고, 신생아를 보살펴 출산 가정의 경제적
건강관리 지원 사업
부담을 덜어 준다.
건강 선천성대사이상검사
사전 예방적 입장에서 신생아를 건강 관리한다.
및 환아 관리 지원
언어발달지원 사업 장애부모가 양육하는 비장애 자녀의 언어발달을 돕는다.
영, 유아의 건강증진을 도모하고 건강한 미래 인으로 성장할 수
의료급여 수급권자
있도록 연령에 적합한 건강검진 프로그램을 도입하여 성장과
6세 미만
발달 사항을 추적 관리하고, 보호자에게 적절한 교육 프로그램을
영유아 건강검진
제공한다.

취학 전 아동기의 시력 검진과 눈 건강 관리교육을 실시하여


취학 전 아동
저시력 및 안질환을 조기에 발견하고, 적절한 치료와 관리를
실명예방
통해 아동 시각장애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3/4)

가정위탁아동 가정위탁보호아동의 예상치 못한 질병과 안전사고에 대비해 상해


상해보험료 지원 보험료를 지원해 위탁가정의 심리적, 경제적 부담을 덜어준다.

입양가정위탁아동 입양가정에 위탁해서 자라고 있는 아동이 심리적으로 건강하게


심리치료 지원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아동 입양을 원하는 가정에 입양비용을 지원하여 국내 입양문화의


입양비용지원
활성화를 도모한다.
입양/
위탁
입양아동 입양아동 양육수당을 지원하여 입양가정의 경제적 부담을 완화하며
양육수당 지원 국내입양 활성화 및 아동의 건전한 육성을 도모한다.

장애아동 입양 장애 아동을 입양한 가정에 양육보조금을 지원하여 장애아동의


양육보조금 국내입양 활성화를 도모한다.

장애입양아동 장애아동을 입양한 국내입양가정에 의료비를 지원하여 장애아동의


의료비지원 국내입양을 활성화하고, 건전한 양육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4/4)

392
• 아동 & 청소년
어린이집을 이용하는 방과 후 보육료를 지원하여
방과 후 보육료지원
양육의 부담을 줄이고 원활한 경제활동을 돕는다.

교육지원 취약계층 아동에게 맞춤형 통합서비스를 제공하여 건강한


아동통합서비스지원 성장과 발달을 도모하고 공평한 출발기회를 보장함으로써
(드림스타트사업) 건강하고 행복한 사회구성원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가정위탁보호아동의 예상치 못한 질병과 안전사고에


가정위탁아동
대비해 상해 보험료를 지원해 위탁가정의 심리적, 경제적
상해 보험료지원
부담을 덜어준다

보호 가정폭력상담소 가정폭력의 피해자를 상담하고, 피해자를 임시보호하며,


(돌봄/안전) 운영지원 의료기관이나 피해자 보호시설로 인도한다.

심리, 정서, 신체적으로 위기상태에 있는 성폭력 피해 아동


성폭력 피해 아동청소년
이나 청소년에게 상담, 의료, 법률, 보로, 숙식제공 등 다양
전용 쉼터 운영지원
한 서비스를 제공하여 자립을 돕는다.

(1/4)

아동이나 지적 장애인(자폐/정신장애 포함)의 실종을 예방


실종아동 보호
하기 위한 교육과 홍보를 실시하고 가족이 해체되는 것을
및 지원
예방하기 위하여 장기실종 가족을 지원한다.

퇴직 경찰이나 교사 등 전문 인력이 퇴직 후 지역사회에


아동안전지킴이
의미 있는 활동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아동여성안전지역연대 지역사회의 아동과 여성의 안전망을 확보하고,


운영지원 지역을 연대 운영할 예산을 지원한다.
보호
(돌봄/안전)
입양가정위탁아동 입양가정에 위탁해서 자라고 있는 아동이 심리적으로 건강하
심리치료 지원 게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전국에 있는 55개 지역아동보호전문기관을 관리 감독하여


중앙아동보호
아동학대 예방 사업의 전문성을 확보하고, 사업을 활성화
전문기관 운영
한다.

학대피해아동 쉼터 아동학대와 관련한 현장을 조사하고, 학대피해아동을 격리하


설치 및 운영 여 보호한다.
(2/4)

393
장애아동의 인지, 의사소통, 적응행동, 감각, 운동 등의 기능
발달재활서비스 향상과 행동발달을 위한 재활서비스를 지원하고, 관련 정보를
건강 제공한다.

선천성대사이상검사 및
사전 예방적 입장에서 신생아를 건강 관리한다.
환아 관리 지원

정신보건센터 운영 일반인은 물론 아동, 청소년에게 발생할 수 있는 정신건강


(아동청소년 (정신질환 등) 문제를 예방하고 조기에 발견하여 상담과
정신보건사업 포함) 재활을 통해 치료받을 수 있도록 지원한다.

이웃 간의 자녀 돌봄 품앗이를 구성하여 핵가족화로 인한


공동육아나눔터 운영
육아부담을 경감시키고 지역중심의 자녀양육환경을 조성한다.

심리 저소득층 아동이 사회에 진출하는 초기 비용(학자금, 취업,


지원 아동발달지원계좌
창업, 주거)을 마련할 수 있도록 자산형성을 장기적으로
(디딤씨앗통장)지원
지원한다.

맞벌이를 하거나 갑자기 아이를 돌볼 수 없는 일이 생겼을 때


아이 돌봄 서비스
육아 도우미가 방문하여 아이를 돌봐 준다.

아동 입양을 원하는 가정에 입양비용을 지원하여 국내 입양


입양비용지원
문화의 활성화를 도모한다.
(3/4)

입양아동 입양아동 양육수당을 지원하여 입양가정의 경제적 부담을 완화하며


양육수당 지원 국내입양 활성화 및 아동의 건전한 육성을 도모한다.

장애로 인하여 생활이 어려운 장애아동이 보다 편안한 생활을 할 수


장애아동수당
있도록 지원한다.
생활
지원
장애아동입양 장애 아동을 입양한 가정에 양육보조금을 지원하여 장애아동의 국내입양
양육보조금 활성화를 도모한다.

한부모가족 아동 한부모가족이나 조손가족이 가족의 기능을 유지하고 안정된 생활을 할 수


양육비 지원 있도록 아동 양육비를 지원한다.
(4/4)
출처: 보건복지부 홈페이지(www.mohw.go.kr)

394
2. 아동복지 서비스 전달체계
 아동복지는 사회복지 분야의 공공기관과 민간기관, 단체들이
협력하여 필요한 사업을 계획하고 실천에 옮기는 조직적 활동

 아동복지를 실천하는 공공과 민간의 조직에 의한 전달체계의


수립이 필수적이며, 아동복지의 실천 주체는 국가, 지방자치단체,
민간기관·단체 또는 지역사회 주민들까지 포함

→ 여기서 주체의 개념은 전문 인력의 실천주체, 그리고 아동의


인권을 옹호하고 지역사회의 참여를 도모하는 지역사회
주민들의 운동주체를 말함

 사회복지에서 서비스 전달체계는 사회복지서비스의 공급자와


소비자(클라이언트, 아동, 가족 등) 간을 연결시키기 위한
조직적 장치라고 할 수 있음

 즉, 서비스의 공급자 간을 연결시키기 위해, 또는 서비스의


공급자와 소비자 간을 연결시키기 위해 만들어진 조직적 체계

 모든 아동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공·사 복지기관과 시설들이


체계화된 조직구조를 갖추고 서비스의 기획, 제공 절차, 실천 등
에 있어서 상호조정 및 유기적 관리 운영,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전달체계를 구축할 때, 아동복지행정은 서비스의 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음

395
396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