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7

*에릭슨은 누구인가?

발달심리학자이자 정신분석학자이다. 인간의 사회성 발달이론으로 유명하고 '정체감 위기'(Identity


Crisis)라는 말을 만들어 냈다. 주요 업적은 인간의 전 생애에 걸친 발달 심리학(life span
developmental psychology)을 다룬 것이다.

에릭슨의 가장 뛰어난 발견은 프로이트가 주장한 심리성적 발달의 다섯 단계를 부인하고 여덟


단계를 주장한 것이다. 에릭슨은 모든 인간은 온전한 발달에 이르기까지 특정 개수의 단계를
지닌다고 보고, 태어나서 죽기까지 인간이 겪게 되는 8 단계를 이론화하였다

에릭슨은 또한 인간에게 있어 '이드(id)의 역할'보다 '자아의 역할'을 중시한 자아 심리학의 창시자 중


한 명으로 여겨진다. 에릭슨에 따르면, 어린이가 사는 환경은 성장과 조정에 결정적이고, 자기 인식과
자아 정체성의 원천이 된다

1. 에릭슨의 심리사회적 발달이론

Erison 은 출생에서 사망까지의 인간의 생애는 신체적․심리적으로 성장하는 유기체와 사회적


영향과의 상호작용에 의해 이루어진다고 하며, 생애주기를 통한 발달적 변화, 사회적, 역사적인
요인을 배경으로 성격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함을 강조하였다. 또한 인간발달과 관련하여 최대의
관심을 기울여야 할 것은 자아라고 보았으며 Freud 와는 대조적으로 자아를 자율적인 성격구조로
보았다.

즉 에릭슨은 기본적으로 인간의 행동이 생물학적인 요인에 의해 동기화된다고 보지만 발달은 사회적
관심에 대한 욕구와 환경을 통제하고자 하는 욕구 따위의 사회적 요인에 의해 자극받는다고 보았다.
그렇다고 하여 무의식적 갈등이 없다는 것은 아니며, 다만 성격발달의 주요 초점이 환경과의 상호
작용에 있다고 본다. 에릭슨에게 있어 자아는 환경에 영향력을 행사하게 되는데 자아가 환경을
지배하고자 하는 자아통제가 그의 주요 개념이다

에릭슨은 정신병리가 심리사회적 발달에서 오는 신체, 심리, 사회적 측면의 갈등에 적절히 대처하지
못했기 때문에 발생한다고 보고 자신의 발달위기에 적절히 대처하지 못했다는 것을 깨닫는 통찰력
증진이 치료의 일차적 목적이라 하였다. 이러한 통찰력을 바탕으로 환경과 활발하고 긍정적으로
상호작용하고 환경에 대한 자아지배력을 회복함으로써 증상으로부터 벗어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는 생애주기를 8 단계로 나누어 각 단계를 통하여 나타나는 자아의 특성에 초점을 맞추고 이러한
인간발달은 모든 인간에게 공통적이라는 가정을 세웠다.

2. 에릭슨의 심리사회적 발달이론의 4 가지 주요개념

1. 인간발달은 8 단계(stage)에 의해 진행되고 인간발달과정의 어느 단계가 성공적으로


성취되면 그 결과가 누적되어 다음 단계에서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반대로 실패로
끝나면 그다음 단계도 누적된 실패의 영향을 받는다. 그러나 에릭슨은 인간의 후기 발달
단계에서 적극적인 결과가 생기면 전기 발달 단계의 부족한 측면을 재경험해서 새로운
자각을 경험할 수 있다는 것을 강조한다.

2. 인간발달은 주기적인 과정을 밟는 다는 것이다. 이 주기적인 과정은 개인적이기 보다는


세대적이다. 이것은 마치 맞물려 돌아가는 톱니바퀴처럼 한 개인과 한세대가 맺고 있는 상호
연관성을 지칭한다.

3. 인간발달과정은 대극적(bipolar)으로 전개 된다는 것이다. 이 대극적 발달은 동조적(syntonic)


인 요소가 부조적(dystonic)인 요소를 능가함으로써 성장 지향적인 인간 발달을 이루는
것이지만 완전히 압도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못하다. 그 이유는 긴장관계가 해소됨으로써 그
다음 단계에서 정상적인 발달이 감소되기 때문이다.

4. 인간발달과정은 후성설적 근거 위에서 진행된다는 것이다. 인간발달의 각 단계는 그 전


단계의 원인이며 동시에 경과가 되어 모든 단계는 체계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곧 각 단계는
그 형태를 들어내기까지 잠재적인 어떤 형태로 존재하다가 시간이 성숙해지면 위기로
나타나거나 새로운 관점으로 발전되기도 한다는 것이다.

3 .에릭슨의 성격발달이론 8 단계

에릭슨의 발달단계는 심리사회적(psychosocial) 발달단계라 한다. 그 이유는 인간발달이 생물학적인


성숙으로 인해 자극되고, 이러한 성숙을 바탕으로 잠재력을 개발할 수 있는 사회적 여건이 충족되어
각 단계에서 직면하는 위기를 극복하면 건전한 자아 발달이 이루어진다고 보기 때문이다. 결국
사회적 요인이라 할 수 있는 사회제도와 주변 사람들이 개인의 발달에 긍정적인 지지를 제공하며
건강한 성격을 갖춘 개인이 다시 사회를 풍요롭게 한다는 것이다. 또한 에릭슨은 문화적 다양성을
존중하였다. 어떤 문화는 다른 사람을 신뢰하고 관대한 사람이 되도록 하기 위해 오랫동안 모유를
먹이는가 하면 다른 문화에서는 의존적이지 않은 독립적인 사람이 되도록 하기 위해 매우 일찍
이유를 실시하기도 한다. 이런 문화적 다양성의 영향을 인정하고 있다는 점이 프로이트와 다르다.

에릭슨은 프로이트의 5 단계 이후에 3 단계를 더 추가하여 노년기까지 총 8 단계에 걸쳐 발달한다고


보면서 각 단계마다 극복해야 할 심리사회적인 위기를 제시하고 있다. 이러한 위기는 모든
사람들에게 보편적인 현상이지만 문화에 따라 이를 해결하고 지지하는 방식이 다를 수 있다. 각
단계의 모든 위기는 긍정적인 측면과 부정적인 측면이 한 쌍을 이루어 제시되어 있는데, 긍정적인
측면이 더 많이 발달되어야 하지만 부정적인 측면 역시 전혀 없어서도 안 된다. 또한 심리사회적
이기를 극복하면 그 결과 각 단계마다 자아의 특질, 즉 기본적인 강점을 얻게 되지만 반대로 이러한
위기를 적절히 해결하지 못했을 경우 병리적인 문제가 나타나게 된다고 하였다. 에릭슨의 발달단계를
점성원칙(epigenetic principle)으로 설명하기도 하는데 이것은 각 단계의 발달이 전 단계의
심리사회적 갈등 해결과 통합을 토대로 이루어진다는 것이다.
에릭슨의 성격 발달 이론은 전생애에 걸친 발달을 강조한다. 에릭슨은 발달이란 전 생애에 걸친
적응과정이며 이러한 맥락에서 긍정적인것 만큼이나 부정적 경험도 중요할 수 있음을 갈등적
언급으로 이를 표현하고있다.

<8 단계>

1) 신뢰감 대 불신감(영아기, 0-1 세)

 사회적 관계는 어머니와의 관계이므로, 아주 중요

 어머니가 유아의 신체적, 심리적 욕구와 필요를 적절히 충족시켜 주는 것이 중요: 신뢰감
형성

 어머니가 거부적이거나, 주의를 기울이지 않거나, 일관성이 없을 때: 불신감 형성

 이 시기의 신뢰감은 생의 후기에 맺게 되는 모든 사회 관계의 밑거름

 무엇을 믿을 수 있는지 알아야 되지만 전적으로 믿을 필요가 없다는 것도 아는 것은 선택의


연속선상에 있는 생존에 있어서 중요함 따라서 어느 정도 불신감의 경험도 필요

 기본적 신뢰와 불신 간에 균형을 이루었을 때 생기는 힘은 희망

2) 자율성 대 의혹(수치심)(유아기, 2-3 세)

 유아는 여러 개의 상반되는 충동 사이에서 스스로 선택,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자신의


의지를 나타냄

 유아는 근육발달로 인하여 대소변의 통제가 가능

 자기 발로 서서 걷게 되면서부터 자기 주위를 혼자서 열심히 탐색하게 되고, 음식도 남의


도움을 받지 않고 자신의 힘으로 먹으려고 함

 자율성의 언어: <나>, <내 것>등의 말을 자주 반복하여 사용, 특히 <안 해 !>라는 말을


씀으로써 자기 주장을 표현

 유아는 사회적 기대(부모)에 적합한 행동을 원활하게 수행하지 못하면 수치심과 회의감을
갖게 됨

 수치심이란 자신이 타인들의 눈에 좋게 보이지 않는다고 생각할 때 갖는 느낌

 자율성의 사회적 대응물은 법과 질서

3) 주도성 대 죄책감(유치기, 3-6 세)

 '유희 연령'인 이 단계는 자신과 자기 세계를 구성하는 것에 책임의식


 성공적 발달은 목적(목표)을 설정하는 것

 죄책감은 지나치게 엄격한 훈육이나 윤리적 태도를 강요할 때 형성

4) 근면성 대 열등감(아동기, 6-11 세)

 자아성장의 결정적인 시기

 학교를 통해서 근면성 획득: 읽기, 쓰기, 셈하기 등의 인지적 기술을 획득, 또래와 같이 놀고
일하는 것을 배움

 열등감 발달: 실수나 실패를 거듭하게 되면, 혹은 학교나 사회가 어린이에 대한 편견적
태도를 취할 때 발달되기 쉬움

 능력이란 기술의 심리적 기초, 이 단계에서부터 우리는 생산적인 일원으로 우리 문화에 합류

5) 정체감 대 정체감 혼란(청소년기, 약 12-20 세)

 이 시기에는 자기 존재에 대해 새로운 경험과 탐색이 시작

 이 시기의 중심 과제는 자아 정체감의 확립

 자아정체감이란 자기 동일성에 대한 자각인 동시에, 자기의 위치, 능력, 역할 및 책임에 대한


분명한 인식

 성적 정체감 형성을 못하면 양성 혼란

 자아정체감은 일생을 통한 투쟁

 심리사회적 유예기간(psychosocial moratorium)을 언급함

 이상적 특징은 충성(fidelity). 충성이란 직업과 궁극적인 가치에 헌신하는 것

6) 친밀성 대 고립감(청년기, 대략 20-40)

 이 시기는 공식적인 성인생활 시작: 직업을 선택, 배우자를 찾음

 타인과의 관계에서 친밀성을 이룩하는 일이 중요 과업

 청년기에 긍정적인 정체감을 확립한 사람만이 진정한 친밀성을 이룰 수 있음. 정체감을


확립하지 못한 사람은 자기 자신에 대하여 자신감을 가지지 못하므로, 타인과의 관계에서
친밀성을 형성하지 못하고 고립하여 자기 자신에게만 몰두하게 됨

 친밀성은 동성과 이성 간의 인간관계, 친밀감, 연대의식, 공동의식 등의 따뜻한 인간관계에서


형성
 심리적 고립감은 과도한 또는 형식적인 인간관계에서 형성

 다른 사람이나 집단과 친밀한 관계를 맺는 능력은 적성과 충실에 바탕을 둠

7) 생산성 대 침체감(중장년기, 약 40-65)

 생산은 개인이 다음 세대에 대한 복지뿐만 아니라 다음 세대가 일하며 살아 갈 사회의


성격에 대한 관심

 생산, 양육, 그에 따른 자기 자손의 성취에 관한 개인의 만족감

 생산적 요소는 한 세대에서 다음 세대로 전해지는 모든 것, 기술적 생산품, 아이디어, 책,


예술작업 등에서 재현

 생산성이 제대로 발휘하지 못하거나 안 하게 되면 침체감이 형성

 이 경우에는 타인들에 대한 관심보다는 자신의 욕구에 더 치중하는 경향을 보이며, 남에게


대한 관대함이 결여(자기도취)

 중년기의 덕은 돌봄. 돌봄은 베품, 전수, 자기 것을 넘겨주는 것에 대해 감수할 수 있는 능력.


적극적이고 직접적으로 가르치고 지도하려는 욕구. 만약, 이런 행동이 나타나지 않을 때 "
정체, 지루함, 대인관계에서의 피폐"감에 압도

8) 자아통합성 대 절망(노년기, 65 세 이상)

 마지막 단계인 노년기에는, 신체적인 노쇠와 직업으로부터 은퇴, 친한 친구나 배우자의 죽음


등으로 인하여, 인생에 대한 무력감을 동반할 수 있는 상실감을 보다 많이 느낌

 개인의 관심이 미래에서 과거로 옮겨 감. 자신이 지금까지 살아온 생애를 돌아보면서 자신의
생애가 가치 있는 삶이었는지를 음미해 보게 됨.

 자아 통합은 유연하게 '나는 만족스러운 삶을 살기를 위해 노력했다'라고 확신하는 능력

 자신의 삶이 무의미한 것이었다고 느끼게 되면 절망에 빠지게 됨

 지혜는 죽음에 직면하여 인생이라는 외부세계로부터 다시 자신의 내면으로 향하는 적극적인


관심을 갖는 것

4. 에릭슨의 심리사회적 발달이론의 교육적 시사점


1. 일생에 걸친 성장을 논하고 있다. 유아기부터 노년기까지 주된 쟁점들을 규명하고
구별하였다

2. 인간이 생물학적 혹은 환경적 영향에 전적으로 좌우되지 않는다고 가정하고 있다. 즉 인간은
매 단계의 심리적 발달을 주도하는 능력을 가지고 있으며, 자신을 보호하고 자신의 삶의
과정을 지시함으로써 경험을 통합하며 조직화한다고 가정하였다.

3. 개인의 성장에 문화가 기여하는 것을 주목하였다. 매 단계마다 문화적 목표와 동경, 사회적
기대와 요건, 문화가 개인에게 제공하는 기회들이 있다는 것이다. 다시말해 사회가 양육의
패턴을 전수하고 교육기회를 제공하며 성욕, 친밀, 일에 대한 가치와 태도를 전달한다고
보았다.

인간의 심리발달은 생물학적 성숙과정의 요구와 일상생활 중에 직면하는 사회의 요구 및 사회적


압력 간의 상호작용에서 비롯되는 것으로 간주되었다.

5.프로이드, 에릭슨 이론 비교

이론의 공통점

① 프로이드와 에릭슨의 이론은 아동발델에 많은 영향을 미쳤으며 어린 시절의 갈등 구조를 잘


해결하여야 한다고 보았으며 어린 시절을 매우 중요하게 여겼다. 특히 어린 시절의 경험과 부모와의
관계가 인간의 발달에 큰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강조하였다.

② 인간발달의 과정을 단계적 방법으로 접근하였으며 질적 차이가 있는 단계로 구성되어 있꼬


발달도 각기 다른 단계와 구별되는 독특한 특성을 지니고 단계별로 진행된다고 주장하였다.

③ 인간성격분석이 같고 인간의 자아분석에 기초를 두어 자아의 성장과정을 설명하고자 하였다.

④ 과학적인 근거를 제시할 수 있는 정확성이 결여되어 있다.

차이점

 프로이드가 원초아(id)의 욕구 변화를 강조한 반면 에릭슨은 인간현실의 자아(ego)를 강조

 프로이드는 사회심리적 문제해결을 무의식 존재와 작용에 관심을 가졌으나 에릭슨은


그러한 위기를 극복해 나가는 인간의 능력에 관심을 가졌다
 프로이드는 아동의 성격발달에 미치는 부모의 영향을 강조했으나 에릭슨은 심리사회
환경의 중요성 즉 역사적 사회적 맥락을 강조.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