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12

3주차

성장, 과거의 모습으로부터 탈출하는 연습

「프로네시스 세미나」 온라인 강의 학습자료


학습 목표 및 차례

▪ 학습목표
1. 성공과 성장의 의미를 구분하고 설명할 수 있다.
2. 성장으로 이끄는 변화의 힘이 무엇인지 이해할 수 있다.
3. 관계적 존재로서의 인간에 대해 이해할 수 있다.

▪ 목차
1. 성공지상주의 사회에서 성장을 외치다
2. 인간의 삶은 성장의 길이다
3. 성장과 제2의 탄생

1
1. 성공지상주의 사회에서 성장을 외치다

▪ ‘성장’은 한 개인이 자신의 정체성을 수립하고 타인과 건강한 관계를 형성할


만큼의 단계에 이르렀을 때 지칭하는 단어.
▪ 청년기는 인간의 성장과 관련하여 중요한 분기점을 형성하는 시기

“인간은 누구나 결함을 지닌 존재다. 그리고 인간의 삶이란 결함 있는 내면의 나와 끊임


없이 투쟁하며 성장하는 과정이다. 이러한 전통에서는 겸손과 절제를 가장 중요한 덕목
으로 여기며, 삶의 궁극적인 목적을 외적 성공이 아니라 내적 성숙에 둔다. 평생에 걸친
노력으로 끊임없이 스스로를 단련하고 개선시켜 나가는 것이다.”

―데이비드 브룩스, 『인간의 품격』 중에서

2
1. 성공지상주의 사회에서 성장을 외치다

■ 성공과 성장의 차이
✓ 성공은 개인의 능력을 최고의 미덕으로 설정하고, 타인과의 경쟁 속에서 자신
의 탁월성을 입증해야 하지만, 성장은 타인과의 건강한 관계 속에서 내적 성
숙을 이루어냄
✓ 성공은 눈에 보일 만큼 가시적이지만, 성장은 눈으로 그 성장의 정도를 가늠
하기 어려움
✓ 성공은 늘 실패와의 대결구도 속에서 자리매김되지만, 성장은 실패를 대립관
계 속에서 바라보지 않음
✓ 성장은 성공의 좌표와 방향을 설정한다는 점에서 성공의 조건이라 할 수 있음

3
2. 인간의 삶은 성장의 길이다

■ 자기 자신만의 고유한 길을 가라

✓ 헤르만 헤세의 『데미안』은 주인공 싱클레어가 데미안을 통해 정신적으로 성장해가는


과정을 정교한 필치로 그려낸 명작
✓ 이 책에서 작가는 청년들에게 ‘자기 자신만의 고유한 길을 가라’는 강렬한 메시지를 주
인공 싱클레어의 변화된 모습을 통해 보여주고 있음

“깨어난 인간에게는 단 한 가지, 자기 자신을 탐색하고, 자기 안에서 더욱 확고해지고, 그


것이 어디로 향하든 자신의 길을 계속 더듬어나가는 것 말고는 달리 그 어떤, 어떤, 어떤
의무도 없다. 이 깨달음이 나를 깊이 뒤흔들었다. (…) 우리 각자에게 주어진 진정한 소명
이란 오직 자기 자신에게로 가는 것, 그것뿐이다.”
― 헤르만 헤세, 『데미안』 중에서

4
2. 인간의 삶은 성장의 길이다

■ 자기 자신만의 고유한 길을 가라

✓ 청년시절의 방황은 새로운 성장을 위한 준비과정. 일종의 열매를 맺

기 위해 땅을 비옥하게 만드는 준비기간

✓ 진정한 방황은 자기 자신을 성장시키기 위해 모든 것을 의심해보는

것에서 출발

5
2. 인간의 삶은 성장의 길이다

■ 자기 자신만의 고유한 길을 가라

“교양교육은 유용하다. 유용하다는 것은 교양교육의 목적이 학생들에게 전문직을 위한 트레이닝을 시


키거나 졸업 후 삶의 이정표를 제시한다는 말이 아니다. 또한 그들에게 친숙한 세계만이 중요하다는 가
정을 치켜세움으로써 학생들에게 자신감을 갖게 하는 것은 더더욱 아니다. 그 반대로 교양교육의 목적
은 전제들의 기반을 흔들어놓고, 익숙한 것들을 낯설게 하고, 외적 현상에 대한 저변과 배후에 작동하고
있는 것들을 밝히고, 젊은이들에게 방향감각을 잃게 해 혼란을 가져다주고 다시 그들 스스로가 방향감
각을 되찾아 길을 발견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이다. 교양교육은 이를 위해 학생들에게 가정들에 의문
을 제기하고, 자기 성찰을 유발하고, 비판적이고 분석적인 사고를 가르치고, 학생들 스스로의 능력으로
는 이해하기 어려운 현상과 마주치고, 근본적으로 상이한 역사적 계기와 문화적 형성과 마주치면서 산
출되는 소외감을 경험하도록 한다.”
― 하버드대학교, “교양교육 TF팀 보고서”(2007) 중에서

6
2. 인간의 삶은 성장의 길이다

■ 모든 것을 의심하라
✓ 주어진 사태를 그저 받아들이는 것이 아니라 자기 자신의 힘으로 적극적으로 의심해보고, 사고하고
판단해보는 것이 중요함

“확실한 어떤 것을 만날 때까지, 아니 하다못해 확실한 것은 아무것도 없다는 것만이라도 확실히 인식할


때까지 계속 나아가자. 아르키메데스가 지구를 그 자리에서 움직이기 위해 확고부동한 일점밖에 찾지
않았듯이, 나 역시 확실하고 흔들리지 않는 최소한의 것만이라도 발견하게 된다면 큰 일을 도모할 수 있
다고 희망할 수 있지 않을까. 그러므로 내가 보는 것은 모두 거짓이라고 가정하자 저 기만적인 기억이
나에게 나타내는 것은 결코 현존한 적이 없다고 믿자. 나는 어떠한 감각도 갖고 있지 않으며, 물체, 형태,
연장, 운동 및 장소도 정신이 꾸며낸 것들이라고 생각하자. 그러면 참된 것은 도대체 무엇이란 말인가?
아마도 확실한 것은 아무것도 없다는 한 가지 사실뿐이다.” ― 데카르트, 『성찰』 중에서

✓ 주체적인 사고란 자신만의 시각을 갖고 사태를 바라볼 줄 아는 능력을 말하며, 이러한 능력의 출발
점은 세상에 대해 의문을 품는 능력에서 출발함

7
2. 인간의 삶은 성장의 길이다

■ 새로운 나를 위해 고통을 감수하라

“새는 힘겹게 투쟁하여 알에서 나온다. 알은 세계다. 태어나려는 자는 한 세계


를 깨뜨려야 한다. 새는 신에게로 날아간다. 그 신의 이름은 아프락사스다.”
― 헤르만 헤세, 『데미안』 중에서

✓ 자기 자신이 된다는 것, 새로운 자기로 성장한다는 것은 자기 스스로


이루어내는 행위임. 따라서 성장으로 이끌 변화의 힘은 결국 우리
자신에게 있음.

8
3. 성장과 제2의 탄생

“우리는 말하자면 두 번 태어난다. 한번은 존재하기 위해, 다른 한 번은 살기


위해서다. (…) 이것이 내가 말하는 제2의 탄생이다. 바로 여기서 인간은 진정
으로 인생에 눈을 뜨며 인간적인 어떤 것도 그에게 무관하지 않게 된다.”
―루소, 『에밀』 중에서

▪ 청년은 지금의 상황에 순응하고 만족하지 않고, 끊임없이 새로움을 갈구


하는 존재이며, 타인과의 건강한 관계를 통해 함께 성장을 도모하는 존재
▪ 청년은 신체적 우월성으로 자신을 증명하는 존재가 아니라 자기를 극복하
고 타인과 건강한 관계를 형성하여 세상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태도로
자신을 증명하는 존재

9
참고문헌

✓ 김선희, 『8개의 철학지도』, 지식너머, 2014.


✓ 데이비드 브룩스, 『인간의 품격』, 김희정 옮김, 부키, 2016.
✓ 신오현, 『자아의 철학』, 문학과지성사, 1987.
✓ 유헌식, 『행복한 뫼르소: 소설 속 주인공과 함께 하는 철학 산책』, 아카넷,
2017.
✓ 장 자크 루소, 『에밀』, 이환 편역, 돋을새김, 2008.
✓ 헤르만 헤세, 『데미안』, 안인희 옮김, 문학동네, 2013.
✓ Faculty of Arts and Sciences in Harvard University (2007).
“Report of the Fask Force on General Education,” Harvard
University.

10
11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