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23

자기이해 , 자기수용 , 자기개방 (2)

대구보건대학교 박 수 진 교수
2 주차 - 2 차시

자기이해 , 자기수용 , 자기개방


2 차시 목차
차시 제목
1 ) 자기개방
2 ) 조하리의 창
학습목표

1 자기개방의 의미를 이해 할 수 있다 .

2
조하리의 창 이론을 통해 자기개방을 설명할
수 있다 .
자기개방 (self-disclosure)

성숙한 인간이 된다는 것…


자기개방 (self-disclosure)

자기개방이란 ?
• 다른 사람에게 있는 그대로의 자기를 솔직하게 나타내 보이는 것

“ 이것이 바로 나 자신이다 . 이것이 바로 나의 현재의 느낌이고


생각이다 . 이것이 바로 내가 좋아하거나 싫어하는 것이다 .
이것이 바로 나의 신념이다 .”
자기개방 (self-disclosure)

Jourard(1971)

• 자기개방성은 건전한 성격의 한 징후

• 자기 개방을 통하여 건전한 성격을 발달시키고 타인과의 의미 있는 상호관계를

발전

• 자기 은폐로 인한 참된 자기로부터의 격리는 개인의 자기성장을 저해할 뿐

아니라 바람직한 인간관계의 형성도 어려움

자기개방은 “나”를 “나”되게 하는 길이며 , 타인과의 참 만남을 성취케 하는

요소인 것이다 .
자기개방 (self-disclosure)
https://blog.naver.com/tjsdk0484/221660901259

자기개방 효과

자기이해
증진
친밀한
관계 증진
의사소통
증진
감정정화
에너지
증진
조하리의 창
조하리의 창 이론
• Jo-hari 의 마음의 창문 (Luft,-1970) 으로 불리어짐
• 1955 년에 미국의 심리학자인 Joseph Luft & Harry Ingham 이 발표한
이론
• 다른 사람과의 관계 속에서 자신이 어떤 성향을 지니는 지와 관계
향상을 위해 어떤 성향을 개선할 필요가 있는지를 설명
조하리의 창

 총 4 개의 창 ( 영역 ) 으로 이뤄져 있음
 4 가지로 구분된 창문에는 생각 (thought), 감정 (feeling), 경험 (experience),
행동 (behavior), 동기 (motivation) 등이 담겨 있음
 가로축은‘자신이 아는 것과 모르는 것’ , 세로축은‘타인이 아는 것과 모는 것’
조하리의 창

열린 창 : 나도 알고 타인도 아는 영역
• 나와 타인에게 모두 개방 ( 공개 ) 된 영역

• 굳이 숨길 필요가 없는 편안하게 관계를 맺을 수 있는 영역

• 예시 : 성별 , 이름 등
조하리의 창

보이지 않는 창

• 나는 모르지만 타인은 알고 있는 영역

• 자신이 자신의 모습에 대해서 타인과 다르게 인지하고 있는 영역

• 예시 : 몸에 벤 습관 , 비언어적 행동 , 자신에 대한 타인의 감정


조하리의 창

숨겨진 창 : 나는 알지만 타인은 모르는 영역

• 이 영역은 나는 알지만 타인은 모르는 영역으로서 타인이 알면 안 되는

것이나 타인에게 보이고 싶지 않는 영역

• 예시 : 욕망 , 감정 , 꿈 , 기호 등
조하리의 창

미지의 창 : 나도 모르고 타인도 모르는 영역

• 이 영역은 누구에게도 개방되지 않은 미지의 영역으로서 프로이드에

의하면 무의식

• 예시 : 무의식적 소망 , 콤플렉스 등
조하리의 창



자기노출

그림출저 : https://blog.naver.com/elfpenguin/221653363923
조하리의 창 진단검사지 https://blog.naver.com/sunnynovel1004/221524632686

아래 문항은 인간관계에서 나타날 수 있는 일반적인 행동양식이 기술되어 있습니다 .


각 항목들이 자신의 행동양식을 얼마나 잘 나타내는지를 표시해 주십시요 .

다음
조하리의 창 진단검사지 https://blog.naver.com/sunnynovel1004/221524632686
조하리의 창 해석지 https://blog.naver.com/sunnynovel1004/221524632686

S 영역의 점수만큼 가로선을 긋고 , L 영역의 점수만큼 세로선을 긋는다 .


이번 차시 학습정리

• 자기개방은 다른 사람에게 있는 그대로의 자기를 진솔하게


나타내 보이는 것을 말한다 . 자신을 이해하고 수용할 수 있을
때 남을 이해하고 수용할 수 있으며 , 남을 수용하고 신뢰할
수 있을 때 자기를 있는 그대로 개방할 수 있다 .
• 자기개방을 통해서 타인과의 의미 있는 관계를 발달시킬 수
있다 .
다음 차시 학습예고

3 주차 1 차시 : 선택이론
참고문헌

• 윌리엄글래스 , 선택이론 , 한국심리상담 연구소 , 2017

• 김인자 , 현실치료 삼담과 선택이론 , 한국심리상담연구소 , 2015

• 신성철 , 부모교육 , 정민사 , 2018

• 신성철 , 청소년 심리 및 상담 , 정민사 , 2018

• https://blog.naver.com/elfpenguin/221653363923

• https://blog.naver.com/sunnynovel1004/221524632686
감사합니다
시험문제

• 조하리의 창 이론을 이용하여 대인관계 증진을 위한 방법을


설명해 보세요 .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