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27

lOMoARcPSD|9510855

심리학개론 박형생 교수님 기말고사 족보

심리학개론(Introduction to Psychology) (서울대학교)

StuDocu는 특정 대학교로부터 스폰서를 받고 있지 않습니다.


Dong Gyun Woo (jungup2019@naver.com) ?(?) ?????
lOMoARcPSD|9510855

*2008년 가을학기 심리학개론* ①자율신경계 ②말초신경계


③운동신경계 ④중추신경계
1. 그림이나 만화로 설명하는 게 효과적인 인지발달단
계는? 11. ‘마음껏 웃고 난 다음, 좀 울적한 기분이 들었다.’
①전조작기 ②형식적 조작기 정서에서 다음 중 어떤 작용으로 설명할 수 있는가?
③감각운동기 ④구체적 조작기 ①길항작용 ②반동형성 ③대립과정 ④성향귀인

2. 아이들이 자발적인 동기를 보이지 않을 가능성이 높 12. Abraham Maslow의 욕구 위계설에서, 다음 욕구


은 성격으로 유도할 가능성이 높은 유형의 부모는? 들 중 가장 하위단계에 속하는 것은?
①권위적-호혜적 부모 ②허용적 부모 ①승인 ②소속감 ③안전 ④자존감
③권위주의적 부모 ④양가적 부모
13. 정서경헝에서 근육과 내장의 반응이 우선한다는 말
3. Harlow의 철사대리모 vs. 우단천 대리모 연구결과 초설과 거리가 먼 것은?
는 다음 중 어느 애착 이론을 약화시켰나? ①Lange ②Bard ③James ④생리적 각성
①Kohlberg 이론 ②접촉위안 이론
③찬장 이론 ④Erickson 이론 14. Freud의 (자아) 방어기제 중에서 사회적인 면에서
(상대적으로) 가장 가치 있는 것은?
4. Konrad Lorenz가 발견한 사회성 발달에 대해 제기 ①투사 ②반동형성 ③승화 ④합리화
한 각인이론은 다음 중 어느 것의 발견에 기초하나?
①임계기 ②보존 개념 ③선천적 공포 ④애착 유형 15. 정신역동학에서 인간의 도덕성에 대한 설명과 관련
이 있는 것은?
5. 전조작기의 특성이 아닌 것은? ①자아 ②방어기제 ③내재화 ④주지화
①순환과정 ②자아중심성
③도덕적 실재론 ④보존개념 실패 16. 세상에서 벌어지는 일들에 대한 통제감을 가질 때
삶에 대한 긍정적 태도를 갖는다는 관찰과 관련이 깊은
6. Baumrind의 부모 양육유형 중에서 민주적 지도자 것은?
와 유사한 경우는? ①부호화 책략 ②기대감 ③능력감 ④주관적 가치
①권위적-호혜적 부모 ②허용적 부모
③권위주의적 부모 ④안정적 부모 17. Walter Mischel의 인지적 요소들에 속하는 것은?
①능력감 ②비지시성 ③자기감시 ④객관적 가치
7. 사회성 발달에서 애착형성과정에서 가장 중요한 요
인은? 18. 인본주의 심리학자들이 중시한 측면은?
①생리적 욕구 충족 ②조망 수용 ①결핍욕구 ②성취동기 ③사회적 승인 ④현실원리
③허용적 양육 ④접촉 위안
19. 큰 부탁을 거절한 다음에는 작은 부탁을 들어주기
8. Aristotle의 네 개의 원인 중, 인간의 자아실형 동기 가 더 쉽다는 관찰에 따른 영업사원들이 사용하는 기법
와 개념상 가장 가까운 원인 cause는 무엇인가? 은?
①material cause ②formal cause ①door-in-the-face ②foot-in-the-door
③efficient cause ④final cause ③방관자 효과 ④후광 효과

9. 동기와 정서에서 관찰되는 최적 수준은 다음 중 어 20. 인간 행동의 원인을 지각 또는 추론하는 과정을 귀


떤 과정으로 잘 기술되나? 인이라고 한다. 귀인의 오류 중, 정보 수용의 차이에 따
①이원중추과정 ②활성화 ③대립과정 ④자극최소화 른 오류는?
①기본적 귀인오류 ②자기위주 편향
10. 위궤양, 고혈압, 심장병으로 드러나는 정신생리적 ③행위자-관찰자 편향 ④확증 편향
장애는 어느 신경계의 문제로 발생하나?

Dong Gyun Woo (jungup2019@naver.com) ?(?) ?????


lOMoARcPSD|9510855

21. 자기지각이론에 따르면 자신이 더 잘 대해준 사람


을 더 좋아하게 된다. 이를 응용한 기법은? 31. Freud의 정신역동이론에서 초자아가 형성될 때와
①halo effect ②looking-glass self 관련이 없는 것은?
③door-in-the-face ④foot-in-the-door ①합리화 ②동일시
③Electra complex ④Oedipus complex
22. Robert Sternberg의 사랑 이론에 세 요소에 포함
되지 않는 것은? 32. 인본주의 심리학자 Carl Rogers가 ‘무조건적 긍정
①정열 ②개입 ③친밀성 ④행동 적 존중’을 강조한 이유는 자아실현 욕구와 갈등을 일으
키는 어떤 욕구를 중재하기 위함인가?
23. 집단압력 실험 결과를 무력화시키는 조건은? ①승인욕구 ②안전 욕구
①지시자 ②설득자 ③동조자 ④동맹자 ③인지적 욕구 ④심미적 욕구

24. Ainsworth의 ‘낯선 생황’ 연구에서 아이가 부오와 33. 확증편향으로 잘 설명되는 사회심리현상은?
의 격리나 재회 장면에서 무관심한 태도를 보이는 경우 ①작은 부탁을 들어준 다음에 큰 부탁도 들어 준다.
는 어떤 유형의 애착이 형성된 것인가? ②큰 부탁을 거절한 다음에 작은 부탁은 들어 준다.
①회피적 애착 ②양가적 애착 ③핵심 속성을 달리하면 인상이 달라진다.
③안정적 애착 ④차별적 애착 ④첫인상은 오래 간다.

25. Piaget의 인지발달이론에 영향을 받아 도덕성에 대 34. 자아개념이 내집단에 준거하는 사회문화적 성향은?
한 발달이론을 전개한 심리학자는? ①집단주의 ②근대사회 ③개인주의 ④전통사회
①Bowlby ②Erikson ③Asch ④Kohlberg
35. 여러 사람들이 있는 경우, 어려운 사람을 돕지 않
26. 다음의 발달연구들의 공통적인 주장은? 는 방관자효과에 대한 설명과 거리가 먼 것은?
[심리성적 발달, 심리사회적 발달, 애착형성] ①상황에 대한 애매성 ②다수로 인한 무지
①초기결정설 ②생물학적 성숙 ③책임분산 ④조망수용 약화
③선천적 기질 ④분화과정
36. 누군가 부탁에 따라 행동한 경우, 자신의 이전 생
27. 영유아기의 사회적 자극 결핍이 초래할 수 있는 문 각이 달라지는 경우가 있다. 이를 잘 설명하는 개념은?
제는? ①인지적 동조 ②인지 부조화
①무감정적 반응 ②소속감 결핍 ③자기편향 귀인 ④강요된 응종
③만족지연능력 결여 ④정신생리적 장애
37. 자신의 지능이나 외모 등 지속적인 면에 자신의 무
28. 우리는 활동적 수면, 즉 REM 수면 중에 꿈을 꾼 가치함을 귀인하는 사람의 귀인 양식은?
다는 것이 밝혀졌다. 이 수면과 관련이 먼 것은? ①관찰자-편향 귀인 ②행위자-편향 귀인
①기억 왜곡 ②해마 ③학습 활동 ④정서적 불안정 ③내부-성향 귀인 ④외부-상황 귀인

29. 영양유지를 관장하는 섭식중추는 둘이 있는 것으로 38. 애착형성에 대한 기술 중 잘못된 것은?


추정되는데, 뇌의 어느 부위를 손상시킨 연구를 통해 ①3세까지의 애착형성 정도는 이후의 인지적, 정서적
확인되나? 발달에 큰 영향을 미친다.
①내측 슬상핵 ②시상하부 ③편도체 ④망상체 ②양육자에 대한 불신감은 회피적 애착 유형으로 분류
될 수 있다.
30. 설악산 권금성에 오른 당신이 이곳에서 만나 이성 ③탁아소가 애착형성에 장애가 되는 것을 낯선 상황이
에 매력을 느껴 데이트를 신청한다면, 이 때의 정서상 기 때문이다.
태를 잘 설명하는 이론은? ④애착 대상의 선택은 접촉위안이라는 개념으로 잘 설
①James-Lange 이론 ②각성-귀인 이론 명된다.
③Cannon-Bard 이론 ④자기지각 이론

Dong Gyun Woo (jungup2019@naver.com) ?(?) ?????


lOMoARcPSD|9510855

39. Kohlberg의 도덕성 발달이론에 대한 올바른 설명 ②인간의 움직임의 원인은 물리학에서 강조한 효능인에
은? 근거할 때 타당성을 갖는다.
①복종과 처벌을 기본유형으로 해서 분화된 단계를 이 ③Maslow의 욕구위계설은 인간과 환경의 관계가 더
룬다. 복잡한 여러 층으로 분화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②3수준 6단계라는 구분에 대한 경험적 증거는 없고 ④국소성 가정과 물질 가정에 근거할 때 인간의 동기의
직관적인 판단에 근거한다. 시발점을 찾기는 요원하다.
③6단계의 인습 convention 유형은 각 사회문화적 패
턴에 따른 것이다. 44. 통증과 관련된 적응성에 대한 기술 중 잘못된 것
④사회적 계약과 윤리적 원칙은 자율적 도덕성의 발달 은?
특징이다. ①신체의 보존을 위한 강한 신호기능을 한다.
②동기의 자기조절적 특성의 대표적인 예이다.
40. 사회성 발달에 대한 설명으로 맞는 것은? ③중뇌 부위에서 통증 억제에 관여하는 중추가 있다.
①양극성에서 부정적 행동에 대한 사회학습은 심리적 ④일정시간이 지나 통증이 완화되는 것은 내인성 진통
위기를 초래한다. 제가 방출되기 때문이다.
②자율적인 도덕성은 사회적 환경의 규제와 영향 하에
서 타율성을 형성한다. 45. 성격이론에 대한 기술 중 틀린 것은?
③사회에서 여성, 남성이 갖는 역할은 동일시 사회학습 ①문화인류학 보고에 따르면 성격유형은 사회문화적 환
을 통한 환경적 영향을 받는다. 경에 따라 다르다.
④사회성 발달은 청년기까지 지속되고 이후 노년기까지 ②인간의 선천적 기본특성을 완전히 배제하기는 힘들
는 발달이 아니라 학습과 경험에 따른다. 다.
③인간의 성격은 기본특성과 상황의 함수로 설명하는
41. 발달과정에 환경이 미치는 영향에 대한 기술 중 틀 것이 더 적절하다.
린 것은? ④암묵적 성격이론은 무의식적 충동의 존재를 설명한
①환경의 영향에 따른 발달변화는 신경세포 수의 증가 다.
로 확인된다.
②풍요로운 환경에서 자란 쥐는 빈곤한 환경에서 자란 46. Freud의 정신역동적 접근에 따른 성격에 대한 기
쥐 보다 더 발달됨은 행동으로도 관찰된다. 술 중 틀린 것은?
③Piaget는 환경에 대한 적응을 동화와 순응(조절)과정 ①심리적 에너지의 분화과정에 따라 세 측면으로 성격
으로 설명한다. 을 구분하고 있다.
④애착 대상의 유무는 사회성발달에서 환경의 영향을 ②원초아 id, 자아 ego, 초자아 superego는 각각 인간
잘 보여준다. 의 원시성, 정체성, 초월성이라는 면을 잘 보여준다.
③5세까지의 유아기의 성격발달이 성인기의 성격유형을
42. 비만증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결정짓는다.
①과식증에 따른 체중 증가는 일정치 이상을 넘지 않는 ④쾌락원리와 현실원리는 무의식상태와 의식상태에 잘
다. 대응된다.
②거식증 anorexia은 사회적 이상형 집착에 기인할 수
있고 심할 경우 절명하게 된다. 47. 특성이론과 유형이론에 대한 기술 중 잘못된 것은?
③과식증 bulimia은 유전적 영향에 따른 결과로 체중증 ①두 이론은 동일한 이론적인 접근을 취하지만 개별적
가 부위가 사람에 따라 다르다. 인 특성을 고려한 다음, 범주화과정을 통해 유형이론으
④음식물에 대한 사전노출은 절식동기의 탈억제를 유발 로 발전한다.
해 다이어트에 실패하게 된다. ②특성이론은 연속적인 차원을 전제하는 반면, 유형이
론은 그렇지 않다.
43. 인간의 동기에 대한 설명 중 가장 설득력이 약한 ③ Hippocrates의 체질론과 Sheldon의 체형론은 유형
것은? 이론에 속한다.
①행동의 근거가 되는 동기가 결핍동기와 성취동기로 ④ 출생순서에 따른 성격 차이는 각기 다른 유형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구분된다.

Dong Gyun Woo (jungup2019@naver.com) ?(?) ?????


lOMoARcPSD|9510855

48. 군중행동에 대한 설명 중 가장 타당한 것은?


①군중행동은 기본적인 대인관계의 상호성원리로 설명
이 충분하다.
②사회적 응종과 동조가 암묵적으로 작용한 총체적 결
과이다.
③무의식적인 충동이 익명성이란 조건하에서 발현된 행
동이다.
④상황에 대한 인지적 해석에 따라 군중행동의 양상은
달라진다.

49. 종말론자 집단의 신도들은 거리에서 사람들의 회개


를 호소했었다. 종말일이 지난 다음 날 이들의 행동에
대한 적절한 설명은?
①자신의 신념이 변화되어 새로운 삶의 태도를 갖는 것
은 태도변화의 일반적 양상이다.
②인지부조화를 해소하기 위해 종말 연기를 알리는 공
개적인 활동을 한다.
③일관성을 위해 종말을 주장하는 다른 종교집단을 물
색하여 자신의 태도를 유지하려 한다.
④책임감 분산의 별다른 심리적 긴장감을 갖지 않기에
새로운 종교활동에 전념한다.

50. 사회적 응종에 대한 설명 중 잘못된 것은?


①인간은 합리적 권위에 쉽게 복종한다.
②수용소나 고문실에서의 인간의 잔인한 행위는 권위적
인 성격에 기인한다.
③몰인간화는 자신은 도구, 희생자는 대상물이라고 인
식하는 걸 가리킨다.
④합리적 권위에 대한 복종은 사회화의 결과이다.

Dong Gyun Woo (jungup2019@naver.com) ?(?) ?????


lOMoARcPSD|9510855

박형생 심개 기말고사 기출 정리

1. 그림이나 만화로 설명하는 게 효과적인 인지발달단계는 “구체적 조작기”이다.


*감각운동기(0~2세): 과제-대상영속성(느껴지는 대로 반사운동), 격리불안, 말 하기 전
*전조작기(2~6세): 과제-보존개념(비커물), 언어시작, 내적표상형성(안 보이는 것 자각), 초등입학 전
*구체적 조작기(7~11세): 과제-추상성(방정식), 구체적 사물조작, 과학 교과서 이름보다 그림, 초등
*형식적 조작기(11세 이후): 추상적 합리성, 가설 추리, 추리소설

2. 아이들이 자발적인 동기를 보이지 않을 가능성이 높은 성격으로 유도할 가능성이 높은 유형의 부


모는 “권위주의적 부모”이다.
*전제적, 권위주의적 태도(독재자형): 성과 높지만 의존적, 자발성과 창의성 결여, 위기 시 몰락
*허용적 태도(자유방임형): 성과는 중간 정도이지만 문제 해결력 높음, 자발성, 창의성, 관계형성 굳
*권위적, 호혜적 태도(민주형)

3. Harlow의 철사대리모, 우단천 대리모 연구 결과는 “찬장 이론(애착 이론의 일종)”을 약화시켰다.
*Kohlberg 이론: 3수준 6단계, 도덕성 발달이론
*접촉위안 이론: Harlow의 우단대리모 실험
*Erickson 이론: 심리사회적 발달 8단계, 심리적 위기 (양극성), 평생 동안 사회적 세계의 점증적
확장 (Self, We-concept의 확대)

4. Konrad Lorenz가 발견한 사회성 발달에 대해 제기한 각인이론은 “임계기”의 발견에 기초한다.
(아기 오리가 장화를 따라다니는 실험)
*보존 개념: 비커 물을 옮겨 담아도 비슷, Piaget의 실험
*선천적 공포: 낯선 상황에 대해서 선천적 공포 (낯가림), Bowlby의 애착이론 / 선천적 경향성 (생
후 6주 사회적 미소)
*애착 유형: Ainsworth 의 “낯선 상황” / 안정적 애착(탐색, 접근, 반가움) 불안정적, 양가 애착(저
항적, 회피, 불안적) 회피적 애착(무관심, 불안이 없고, 무시)

5. 전조작기의 특성이 아닌 것은 “순환 과정”이다.


*자아중심성, 도덕적 실재론, 보존개념 실패는 모두 전조작기의 특성!

6. Baumrind의 부모 양육 유형 중에서 민주적 지도자와 유사한 경우는 “권위적-호혜적 부모”이다.

7. 사회성 발달, 애착 형성과정에서 가장 중요한 요인은 “접촉 위안”이다. (우단천 대리모)


*생리적 욕구충족 (찬장이론, 프로이트)
*조망 수용(구체적 조작기에서 나와 남이 다르게 생각할 수 있다는 것을 받아들이는 것, 피아제)
*허용적 양육(자유방임형 부모와 연관 -> 버릇없이 큼)

Dong Gyun Woo (jungup2019@naver.com) ?(?) ?????


lOMoARcPSD|9510855

8. Aristotle의 네 개의 원인 중 인간의 자아실현 동기와 개념상 가장 가까운 것은 “Final Cause(목


적인)”이다.
*Material Cause(질료인, 재료)
*Formal Cause (형식인, 계획과 디자인)
*Efficient Cause(효능인, 망치질과 깎기) / 효능인만이 인과적이다 (환원주의, 기계론, 갈릴레오, 뉴
튼: 인과고리는 부분에서 전체로, 하위체계에서 상위체계로 흐르고 결코 그 역은 성립하지 않는다)

9. 동기와 정서에서 관찰되는 최적 수준은 “대립과정”으로 잘 기술된다.


*이원중추과정 / 섭식 이중 중추 이론: 내부 섭식 신호, 간의 혈당 수용기에 따라 달라짐
+ 기아중추(시상하부 외측 손상, 절식증) 포만중추(시상하부 복내측 손상, 과식증)
*활성화 (교감신경계, 에너지 활용, 위기상황대처)
*자극최소화 (공포, 고통, 기아감 -> 자극 최소화)
(보상의 생물학, Olds&Milner, 쾌 중추 / 호기심, 성욕 -> 각성수준 증가, 자극 증가)

10. 위궤양, 고혈압, 심장병으로 드러나는 정신생리적 장애는 “자율신경계(변연계에서 통제)”의 문제


로 발생한다.
*말초신경계, 운동신경계 (감각 신경)
*중추신경계 (뇌, 척수)

11. ‘마음껏 웃고 난 다음 좀 울적한 기분이 들었다.’는 “대립과정”으로 설명할 수 있다.


*길항작용 (교감신경계와 부교감신경계 사이의 반대 작용)
*반동형성 (프로이트의 자아 방어기제 중 하나)
*성향귀인 (행위자-관찰자 편향에서 관찰자가 보이는 편향, 내부에서 원인을 찾는 것)

12. Abraham Maslow의 욕구 위계설에서 가장 하위단계에 속하는 것은 “안전”이다.


1) 내적환경, 항상성, 생리적 욕구 (음식, 물, 산소, 잠, 성욕)
2) 외적환경, 보존성, 안전 욕구 (편안함, 안전, 공포로부터 자유)
3) 사회적 환경1, 항상성, 소속감, 사랑욕구 (교류, 수용, 소속감)
4) 사회적 환경2, 보존성, 자존감 욕구 (능력, 인정, 승인)
5) 자아-환경의 확장, 인지적 욕구 (지식, 이해, 독창성)
6) 자아-환경의 심화, 심미적 욕구 (대칭, 질서, 미)
7) 자아-환경 일체, 자아실현
8) 정상 경험, 절정 경험

13. 정서 경험에는 근육과 내장의 반응이 가장 우선한다는 말초설은 Lange, James가 발표했고 “생
리적 각성”과 관련 있다.
*Cannon-Bard는 중추설 주장 (말초적 반응은 정서경험에 필수적이지 않다/ Cannon : 공포와 분노
는 동일한 교감신경계 활성화, 시상하부)

Dong Gyun Woo (jungup2019@naver.com) ?(?) ?????


lOMoARcPSD|9510855

14. Freud의 (자아) 방어기제 중에서 사회적인 면에서 가장 가치 있는 것은 “승화(성적 욕구를 문학


이나 스포츠와 같이 가치 있는 문화로 승화)”이다.
*자아는 모든 쾌락이 성취될 수 없다는 것을 알고 현실적 제약에 따라 행동하는데, 그것이 바로 방
어기제이다.
*투사: 상대방에 감정이입
*반동형성: 억압된 소망을 그 정반대의 것으로 차단
*합리화: 자신의 감정, 행위를 보다 허용 가능한 것으로 해석
*기타 방어기제: 억압 (욕구 누름), 전위(다른 형태로 발현)

15. 정신 역동학에서 인간의 도덕성(초자아)에 대한 설명과 관련이 있는 것은 “내재화(된 부모나 사


회의 규칙, 계율에 의해 형성 / 초자아는 사회화의 결정체)”이다.
*원초아, 무의식적 충동은 세계와 대면에서 정서적 불안정을 초래하고, 자아는 이를 해결하려고 노
력한다.
*주지화: 신경증적 방어 기제의 하나로, 감정을 인식하거나 표현하지 않기 위해 이성적인 면만 두드
러지게 표현하거나 인식하는 것

16. 세상에서 벌어지는 일들에 대한 통제감을 가질 때 삶에 대한 긍정적 태도를 갖는다는 관찰 (W.


Mischel, 행동- 인지적 접근)과 관련이 깊은 것은 “기대감”이다.
*부호화 책략: 통제감에 대한 신념과 해석 (그 사건이 내 통제 하에 있다고 믿는 것)  귀인 유형
(우울 성향은 내적 성향적 귀인)

17. Walter Mischel 의 인지적 요소들에 속하는 것은 “능력감”이다.


*W. Mischel의 인지적 요소 (5) : 능력감, 부호화 책략, 기대, 주관적 가치, 자기조절체계 (마시멜로
실험, 만족지연, 자기통제)

18. 인본주의 심리학자들이 중시한 측면은 “성취동기”이다.


*특성이론: 선천적 기본특성, 일관적인 성격 특성
*인지-행동주의: 상황의존적 학습된 행동, 특성과 상황
*정신역동이론: 무의식 욕구와 의식의 적응기제, 결핍동기
*인본주의 심리학: 개인의 잠재성 실현
*문화 인류학: 사회문화적 제약

19. 큰 부탁을 거절한 다음에는 작은 부탁을 들어주기가 더 쉽다는 관찰에 따른 영업사원들이 사용


하는 기법은 “Door in the face” 기법이다.
*방관자 효과: 상황의 애매성, 다수로 인한 무지(사회비교), 책임분산, 이타심의 부재가 아니라 상황
을 이해하는 방식 때문 (사회인지)
*후광 효과: 어떤 대상이나 사람에 대한 일반적인 견해가 그 대상이나 사람의 구체적인 특성을 평가
하는 데 영향을 미치는 현상
*Foot- in the door 효과: 작은 부탁에서 성공으로, 자기지각이론에서 자신이 잘 대해준 사람을 더
좋아하게 된다는 것과 관련

Dong Gyun Woo (jungup2019@naver.com) ?(?) ?????


lOMoARcPSD|9510855

20. 인간 행동의 원인을 지각 또는 추론하는 과정을 귀인이라고 한다. 귀인의 오류 중 정보 수용의


차이에 따른 오류는 “행위자-관찰자 편향”이다.
*귀인의 오류: 기본적 귀인 오류, 행위자- 관찰자 편향, 자기위주 편향
*기본적 귀인 오류: 내부 귀인 경향성, 상황적 영향 과소 평가, 성향적 자질로의 강한 편향
*행위자-관찰자 편향: 관찰자는 성향귀인(내부), 행위자는 상황귀인(외부), 정보의 차이 + 관찰 조망
의 차이 (figure-ground separation)
*자기 위주 편향: 동기-정서적 요인, 실패 책임 부인(자기보존욕구), 성공의 공적인 인정(사회적 승
인 욕구)
*확증 편향: 첫인상이 잘 안 바뀌는 것과 관련

21. Robert Stemberg의 사랑 이론 세 요소는 “정열, 개입, 친밀성”이다.

22. 집단압력 실험 (Solomon Asch, 지각판단실험) 결과를 무력화시키는 조건은 “동맹자”이다.

23. Ainsworth의 낯선 상황 연구에서 아이가 부모와의 격리나 재회 장면에서 무관심한 태도를 보이


는 경우는 “회피적 애착”이 형성된 경우이다.

24. Piaget의 인지발달이론에 영향을 받아 도덕성에 대한 발달이론을 전개한 심리학자는 “Kohlberg”


이다.
*Bowlby의 애착이론: 사회적 상호작용에 대한 선천적 경향성 (생후 6주 사회적 미소) + 낯선 상황에
대한 선천적인 공포 (낯가림)
*Erikson의 심리사회적 발달: 8단계, 심리적 위기, 대면, 극복, 양면성

25. (심리성적 발달, 심리 사회적 발달, 애착형성) 발달연구의 공통적인 주장은 “초기결정설”이다.
*생물학적 성숙 (인지적 발달의 원인 찾을 때)
*선천적 기질
*분화과정 (피아제, 신체와 마찬가지로 마음과 정신도 분화하는 도식)

26. 영유아기의 사회적 자극 결핍이 초래할 수 있는 문제는 “무감정적 반응”이다.


*소속감 결핍
*만족지연능력 결여 (마시멜로 이야기)
*정신생리적 장애 (자율신경계, 변연계의 영향)

27. 우리는 활동적 수면 (REM 수면) 중에 꿈을 꾸는데, 이는 “해마, 학습활동, 정서적 불안정, 기억
정리”와 관련이 있다.

28. 영양유지를 관장하는 섭식중추는 둘(기아중추, 포만중추)이 있는 것으로 추정되는데, 이것은 “시


상하부”를 손상시킨 연구를 통해 확인된다.

Dong Gyun Woo (jungup2019@naver.com) ?(?) ?????


lOMoARcPSD|9510855

29. 설악산 권금성에 오른 당신이 이곳에서 만난 이성에 매력을 느껴 데이트를 신청했다면 이 때의


정서 상태는 “각성-귀인 이론”으로 설명할 수 있다.
*James-Lange 이론 (말초론)
*Cannon-Bard 이론 (중추론)
*자기지각이론(Bem) : 내가 좋아하는 사람에게 더 잘해주고, 내가 잘 대해준 사람을 더 좋아한다 ->
“문 안에 발 들여놓기 (Foot in the door)” 수법 / 이성계와 무학대사: 내가 본 세계가 바로 나

30. Freud의 정신 역동이론에서 초자아가 형성될 때와 관련이 없는 것은 “합리화” 이다.


*합리화
*관련 있는 것: 일렉트라 콤플렉스, 오이디푸스 콤플렉스, 동일시
*각 발달단계: 구강기(0~1.5세, 성감대 입과 고착, 젖먹기와 이유기)
항문기 (1.5~3세, 배변훈련, 위생강박, 인색)
남근기(3~5세, 오이디푸스나 일렉트라 콤플렉스, 동일시, 초자아 형성) / 잠재기(5~12세)
생식기 (12세~성인, 어른으로 파트너 찾음, 자신과 타인의 욕구충족, 강한 감정혼란, 사춘기)

31. 인본주의 심리학자 Carl Rogers (내담자 중심 요법) 가 ‘무조건적 긍정적 존중’을 강조한 이유는
자아실현 욕구와 갈등을 일으키는 “승인 욕구”를 중재하기 위해서다.

32. 확증 편향으로 잘 설명되는 사회심리현상은 “첫인상은 오래간다.” 이다.


*작은 부탁을 들어준 다음에 큰 부탁도 들어준다 (Foot in the door)
*큰 부탁을 거절한 다음에 작은 부탁은 들어준다 (Door in the Face)
*핵심속성을 달리하면 인상이 달라진다(?)

33. 자아개념이 내집단에 준거하는 사회문화적 성향은 “집단주의”이다. (주로 전통사회)


*개인주의 (외집단에 근거, 주로 근대사회)

34. 여러 사람들이 있는 경우, 어려운 사람들을 돕지 않는 방관자 효과는 “상황에 대한 애매성, 책


임 분산, 다수로 인한 무지”와 관련 있다.

35. 누군가 부탁에 따라 행동한 경우 자신의 이전 생각이 달라지는 경우가 있다. 이는 “인지 부조화”
와 관련 있다. (Festinger)

36. 자신의 지능이나 외모 등 지속적인 면에 자신의 무가치함을 귀인하는 사람의 귀인 양식은 “내부
성향 귀인”이다.

37. 애착 형성에 대한 기술
*3세까지의 애착 형성 정도는 이후의 인지적, 정서적 발달에 큰 영향을 미친다.
*양육자에 대한 불신감은 회피적 애착 유형으로 분류될 수 있다.
*탁아소가 애착형성에 장애가 되는 것은 가정에서보다 애착, 애정을 덜 받기 때문이다.
*애착 대상의 선태은 접촉위안이라는 개념으로 잘 설명된다.

Dong Gyun Woo (jungup2019@naver.com) ?(?) ?????


lOMoARcPSD|9510855

38. Kohlberg의 도덕성 발달이론


*판단 및 추론을 기본 유형으로 해서 분화된 단계를 이룬다.
*3수준(전인습적, 인습적, 후인습적 / 원시적, 타율적, 자율적 도덕성)
*6단계 (복종, 처벌 지향/ 도구적 쾌락주의 지향/ 착한 아이 지향/ 법, 질서 준수/ 사회적 계약/ 윤
리적 원리 지향) 라는 구분에 대한 경험적 근거(Heinz Story)가 있다.
*6단계의 인습 유형은 발달 단계에 따른 것이다.
*사회적 계약과 윤리적 원칙은 자율적 도덕성의 발달 특징이다.

39. 사회성 발달에 대한 설명


*사회성 발달은 평생 동안 이루어진다.
*심리적 위기에서 어떤 선택을 하는지에 따라 발달 양상이 달라진다.
*사회에서 여성, 남성이 갖는 역할은 동일시와 사회학습을 통한 환경적 영향을 받는다.

40. 발달 과정에 환경이 미치는 영향


*환경의 영향에 따른 발달 변화는 시냅스 수의 증가로 확인된다. (신경 세포는 오히려 감소할 수도)
*풍요로운 환경에서 자란 쥐는 빈곤한 환경에서 바란 쥐보다 더 발달하고, 이는 행동으로 관찰된다.
(Rosenzweig의 실험)
*Piaget는 환경에 대한 적응을 동화와 순응(조절) 과정으로 설명한다. (도식, Schema)
*애착 대상의 유무는 사회성발달에서 환경의 영향을 잘 보여준다.

41. 비만증에 대한 설명
*과식증에 따른 체중 증가는 일정치 이상을 넘지 않는다. (체중 조절점) / 섭식 이중중추 이론
-포만중추, 시상하부 복내측 손상, 과식증
-기아중추, 시상하부 외측 손상, 절식증
*거식증(신경성 식욕부진)은 사회적 이상형 집착에 기인할 수 있고 심할 경우 절명하게 된다.
*대식증(병적 기아)는 스트레스 받아서 더 먹는 역설적 현상
*유전적 영향에 따른 결과로 체중 증가 부위가 사람에 따라 다를 수 있음
(일란성 쌍둥이끼리는 같음)
*음식물에 대한 사전노출은 절식동기의 탈억제를 유발해 다이어트에 실패하게 한다. (일반인의 경우
에는 해당하지 않음, What-the-hell diet-busting Effect)

42. 인간의 동기에 대한 설명 중 가장 약한 것: 인간의 움직임의 원인은 물리학에서 강조한 효능인


에 근거할 때 타당성을 갖는다.
*기타 선지
-행동의 근거가 되는 동기는 결핍동기(프로이트)와 성취동기(인본주의 심리학)로 나누어 볼 수 있다.
-매슬로우의 욕구위계설은 인간과 환경의 관계가 더 복잡한 여러 층으로 분화될 수 있음을 시사한
다.
-국소성 가정(모든 원인은 국소적이고 접촉에 의한다)과 물질 가정(물질은 스스로 원인이 될 수 없
다)에 근거할 때 인간의 동기의 시발점을 찾기는 요원하다.

Dong Gyun Woo (jungup2019@naver.com) ?(?) ?????


lOMoARcPSD|9510855

43. 통증과 관련된 적응성에 대한 기술


*신체의 보존을 위한 강한 신호기능을 한다.
*중뇌 부위에서 통증 억제에 관여하는 중추가 있다. (엔도르핀, 침과 관련, 자연적 모르핀 진통제)
*일정 시간이 지나 통증이 완화되는 것은 내인성 진통제가 방출되기 때문이다.

44. 성격이론에 대한 기술
*문화인류학 보고에 따르면 성격 유형은 사회문화적 환경에 따라 다르다.
*인간의 선천적 기본특성을 완전히 배제하기는 힘들다.
*인간의 성격은 기본특성과 상황의 함수로 설명하는 것이 더 적절하다.
*암묵적 성격이론?

45. Freud의 정신역동적 접근


*심리적 에너지의 분화과정에 따라 세 측면으로 성격을 구분하고 있다.
*원초아(ID), 자아(Ego), 초자아(Superego)는 각각 인간의 비합리성, 합리성, 도덕성이라는 면을 보
여준다.
*5세까지의 유아기의 성격발달이 성인기의 성격 유형을 결정짓는다.
*쾌락원리와 현실원리는 무의식상태와 의식 상태에 잘 대응된다.
*구강기, 항문기, 남근기, 잠재기, 생식기

46. 특성이론과 유형이론


*특성이론은 연속적인 차원을 전제하는 반면, 유형이론은 그렇지 않다.
*Hippocrates의 체질론, Sheldon의 체질론

47. 군중행동 (불확실, 전자가 더 유력)


*죄수의 딜레마: 상황에 대한 인지적 해석에 따라 군중행동의 양상이 달라짐
*무의식적인 충동이 익명성이란 조건하에서 발현된 행동

48. 종말론자 집단의 신도들은 거리에서 사람들의 회개를 호소했었다. 종말일이 지난 다음 날 이들


은 인지 부조화를 해소하기 위해 종말 연기를 알리는 공개적인 활동을 한다.

49. 사회적 응종에 대한 설명


*인간은 합리적 권위에 쉽게 복종한다.
*몰인간화는 자신을 도구, 희생자는 대상물이라고 인식하는 걸 가리킨다.
*합리적 권위에 대한 복종은 사회화의 결과이다.
*수용소나 고문실에서의 인간의 잔인한 행위는 “인지적 재해석”에 기인한다.

Dong Gyun Woo (jungup2019@naver.com) ?(?) ?????


lOMoARcPSD|9510855

Dong Gyun Woo (jungup2019@naver.com) ?(?) ?????


lOMoARcPSD|9510855

Dong Gyun Woo (jungup2019@naver.com) ?(?) ?????


lOMoARcPSD|9510855

Dong Gyun Woo (jungup2019@naver.com) ?(?) ?????


lOMoARcPSD|9510855

Dong Gyun Woo (jungup2019@naver.com) ?(?) ?????


lOMoARcPSD|9510855

*2011년 겨울학기 심리학개론* 10. Skinner의 4가지 강화계획 중 보험왕이나 도박행동을 설


명할 수 있는 것은?
1. 기억의 3단계 이론에서 기억용량이 가장 작은 것은? ①고정 간격계획 ②변화 간격계획
①감각기억 ②단기기억 ③장기기억 ④암묵기억 ③고정 비율계획 ④변화 비율계획

2. 여러 유령의 기억에 공통적인 기억과정의 세 측면에 속하 11. 새로 이사간 마을이 낯설다가 몇 달이 지난 후 친숙해지
지 않는 것은? 는 현상을 설명하는 학습과정은?
①부호화 ②저장 ③인출 ④책략 ①감각 사전조건 형성 ②장기 습관화
③지각적 재구성 ④인지도 형성
3. 법정의 목격자 증언에서 발생 가능한 잘못된 기억(오기억)
은 어떤 기억오류에 속하나? 12. 자주 먹는 음식(예, 밥, 김치)은 체하는 경우에도 혐오학
①관여의 오류 ②저장의 오류 습이 잘 일어나지 않는데, 이를 설명하는 학습개념은?
③인출의 오류 ④생략의 오류 ①잠재적 억제 ②혐오학습 ③차폐 ④뒤덮기

4. 정신물리학 연구에서 감각뿐만 아니라 동기와 인지적 측면 13. 고대 이집트의 사제들이나 Aristotle이 마음이 실제로 존
도 관여한다고 주장하는 입장은? 재한다고 믿었던 신체 부위는?
①신호탐지이론 ②Gestalt 이론 ①대뇌 피질 ②송과선 ③신경 섬유 ④심장
③처리깊이 가설 ④복마전 모형
14. 진화상 가장 나중에 형성된 뇌 구조물은?
5. Al Hassan 이 Camera Obscura를 통해 확인한 감각의 ①대뇌 ②소뇌 ③전뇌 ④후뇌
문제에 속하지 않는 것은?
①2차원 이미지 15. Roger Sperry의 연구에서 분할뇌 환자는 어느 곳이 분할
②3차원 이미지 된 것인가?
③좌우-상하 역전 ①뇌와 척수 사이 ②시상과 ?
④애매하고 왜곡된 이미지 ③경계부위인 변연계 ④양반구 ?

6. 시각을 담당하는 각각의 신경세포들이 어떤 자극패턴에 반 16. ‘가을’이라는 말을 들으면 ‘낙엽’이 떠오르고 ‘낙엽’을 생각
응하는 지는 무엇을 통해 알 수 있나? 하면 ‘눈부시게 푸르른 날’이 떠오른다. 이런 현상은?
①활동전위 ②신경전달물질 ③뇌영상 ④수용장 ①위계망 모형 ②활성화확산모형
③명시적 인출 ④스키마 ?
7. 특정 사건의 심각성 때문에 그 사건의 발생확률이 과장되
게 추론되는 현상은 무엇과 관련되나? 17. 한 번 이름을 읽어본 경험만으로도 나중에 그 이름을 접
①기능적 고착 ②마음 갖춤새 하게 되면 유명한 사람으로 판단하는 경향이 있다. 이를 설명
③가용성 어림법 ④위계적 체제화 하는 개념과 거리가 먼 것은?
①암묵적 인출 ②기시감
8. 아날로그 표상은 지각표상과 어떤 관계를 갖나? ③섬광기억 ④운동기술
①확증적 편향성 ②기능적 등가성
③정보의 가용성 ④추상적 관계성 18. 여러분이 이 강의실에서 시험을 치르지 않고 다른 장소에
서 동일한 시험을 치른다면 기억이 잘 나지 않을 것이라는 주
9. 창의적 사고에서 긴 부화 기간을 무엇이라고 하나? 장과 관련이 없는 것은?
①잠복기 ②해명기 ③검증기 ④준비기 ①부합성 원리 ②암묵적 인출
③상태의존적 기억 ④기분 일관성 효과

Dong Gyun Woo (jungup2019@naver.com) ?(?) ?????


lOMoARcPSD|9510855

19. 동일한 물리적 자극이 다른 지각표상을 번갈아가며 형성 25. 뒤덮기(음영화)에 대한 설명으로 맞는 것은?
하는 가역성은 달리 표현하면 다음 중 어느 것인가? ①차폐와 동일한 학습현상이다.
①지각적 이중성 ②기억 체제화 ②무조건자극과 조건자극의 수반성 관계를 잘 보여준다.
③지각적 항등성 ④위계적 체계화 ③잠재적 억제의 선행조건이다.
④조건형성에서, 환경 자극들간의 상대적 강도를 보여준다.
20. Camera Obscura와 관련된 지각에 대한 논의로 잘못된
것은? 26. 학습에서 Rescorla의 수반성 실험은?
①물체의 원래 속성과 주어진 자극 상태와의 관계는 애매하고 ①도구적 조건형성에서 효과의 수반성을 다루었다.
불확실하다. ②조건정서학습에서 저순위에서 고순위로의 연결을 의미한다.
②공간지각의 단서는 망막이미지에 충분히 담겨 있음을 보여 ③조작적 조건형성에서 강화계획 패턴을 구분했다.
준다. ④Pavlov의 고전적 조건형성의 재해석이다.
③빛은 직진하므로, 눈 망막에 투사된 이미지는 상하와 좌우
가 역전된 상태이다. 27. 변동 간격계획으로 설명할 수 있는 경우는?
④2차원 상태로 근접자극이 주어지지만 지각되는 것은 3차원 ①꾸준히 성실하게 공부하는 학생
이라는 괴리를 보여준다. ②일정한 작업 후, 휴식시간을 반드시 갖는 근로자
③자동차 대리점의 판매왕
21. 물리적인 실제 움직임은 없지만 심리적으로는 운동지각이 ④아직 쿠키가 다 구워지지 않았는데도 계속 오븐을 열어보려
가능하다. 이런 지각은 신경계에 형성된 장 field에 따른다는 는 아이
생각은?
①시각 피질의 복합세포 ②심리-신경 동형성 28. 신경세포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③뇌의 가소성 ④위계적 체제화 ①신경원이라는 의미로 neuron 이라고 한다.
②수상돌기로부터 축색돌기 방향으로 신호가 전달된다.
22. 김정희는 세한도를 그려서 제자 이상적에게 주자 이상적 ③세포막 안에서 화학물질의 전달로 신호가 전달된다.
은 중국에 가져가 완당의 지인들인 중국의 ()학들에게 보여주 ④이전에는 세포가 아니라 일종의 섬유로 이루어진 관이라고
었다. 지인들이 세한도를 “감상할 때” 사용한 심적 표상은 무 보았다.
엇일까?
①아날로그 표상 ②상징적 표상 29. 표현성 실어증과 수용성 실어증은 처음에 어떤(?) 연구방
③두 표상 모두 ④답 없음 법을 통해 관련 뇌부위가 확인되었나?
①뇌손상 연구 ②신경전달물질의 ?
23. 충북 청주시는 충남 천안시보다 더 남쪽에 있지만 사람들 ③뇌량의 절개 ④기능적 뇌영상?
은 더 북쪽에 있다고 판단할 수가 있다. 이럴 수 있는 근거
는? 30. 신경계에 대한 설명으로 부적절한 것은?
①범주적 부호화 ②공간적 사고 ①신경계는 신체의 운동부위를 간(?), 그리고 신체와 환경간의
③심적 주사 ④논리적 오류 인터페이스 역할을 한다.
②감각운동 신경계는 대뇌피질의 큰 고랑 사이에 인접해서 한
24. 문제해결과 관련된 훈련이 계속되면서 수행이 더 이상 향 체계를 이룬다.
상되지 않는 평평한 고원을 한동안 보였다. 그런 다음 수행은 ③기본적으로 중추신경계와 말초신경계, 둘로 나뉜다.
다시 향상되는데, 이 고원상태에서 진행되는 심리적 활동에 ④자율신경계는 내장기관과 순환계의 활동을 조율하는데, 뇌
대한 적절한 것은? 사상태에서도 작동이 가능하다.
①수행향상의 한계점에 대한 지각이 일시적으로 지속된다.
②지속된 수행에 따른 심적 피로를 해소한다.
③지각적 재구성을 통한 통찰의 준비기이다.
④과제를 변형해서 새로운 subroutine을 형성한다.

31. 기억연구에서 계열위치에 따른 회상을 변화에 대한 기술

Dong Gyun Woo (jungup2019@naver.com) ?(?) ?????


lOMoARcPSD|9510855

로 옳지 않은 것은? 다.
①제시된 단어자극의 위치에 따른 회상을 변화여서(?) 계열위 ③반증가능성은 확률적 추론을 통해 극복될 수 있다.
치효과라고 한다. ④인간의 사고과정은 대칭성 경향을 갖기에 논리학으로 이해
②초두효과와 최신효과는 단기기억에서 암송가능성에 따른 결 하는 데 한계가 있다.
과이다.
③중간 위치의 저조한 회상율은 소멸이나 대치로 설명된다. 36. 문제해결 극복에 대한 설명으로 타당하지 않은 것은?
④물류창고의 하역대와 보관선반으로 쉽게 비유될 수 있다. ①인지적 지름길을 선택해서 잘못된 전제와 편향된 시각에서
벗어나야 한다.
32. 작업기억에 대한 설명 중 잘못된 것은? ②기존의 마음갖춤새에서 벗어나기 위해서는 부화기간을 갖는
①종속적인 부속체계들은 지각을 통하거나 장기기억에서 인출 것이 현명하다.
한 정보를 줄 수 있도록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③성급히 문제상태에서 목표상태로 이동하기 보다는 문제를
②일화적 완충장치는 자신이 경험한 사건을 여러 감각들이 통 표상하는 단계에서 충분한 시간을 보낼 필요가 있다.
합된 형태로 정보를 사용토록 한다. ④역행풀기는 문제구조 전반에 대한 다양한 시각이 필요함을
③장기기억으로 정보를 옮기는 암송이라는 활동을 중앙집행부 보여준다.
의 작업으로 재해석한다.
④전통적 기억 모형에서 단기기억을 새롭게 재개념화시킨 것 37. Russell은 Thorndike 와 Kohler가 각기 보여준 동물학습
이다. 연구에 대해 날카롭게 지적했다. 과연 학습과정은 어떻게 이
해하는 것이 가장 타당한가?
33. 광학적 흐름 optic flow에 대한 기술 중 틀린 것은? ①지각적 재구성이 학습에는 필수적이다.
①지각자의 움직임이 없어도 광학적 흐름은 발생한다. ②시행착오를 통한 도구적 학습은 새로운 행동의 학습에 별
②물리적 영향 없이 광학적 흐름만으로도 사람이 넘어질 수 도움을 주지 않는다.
있다. ③Kohler의 원숭이가 보이는 통찰적 행동은 직관이란 종 특유
③지각자가 앞으로 걸어갈 때 광학적 흐름은 확장된다. 의 유전적 영향에 따른 것임을 증명한다.
④지각자가 뒷걸음칠 때 광학적 흐름은 반드시 축소된다. ④Epstein의 실험에서 시사하듯이 통찰적 행동은 개별적으로
강화받은 행동들을 기반으로 한다.
34. 지각적 항상성(항등성)에 대한 설명 중 가장 타당한 것
은?
①생태학적 접근에서 볼 때, 항상성은 고차적 자극패턴에 존
재한다.
②Helmholtz의 무의식적 추리에 따르면, 추리에 요구되는 선
택적 주의가 주어질 때 항상성이 성취된다.
③맥락에 따라 변하는 자극 때문에 나타나는 착시를 해소하는
정보처리과정을 항상성이라 한다.
④일차적 성질에서는 항상성이 확보되지만, 이차적 성질(관계
적 속성)에서는 항상성이 줄어든다.

35. Wason의 2-4-6 실험이 시사하는 바는?


①귀납추리와 연역추리의 통합적인 시도가 중요하다.
②우리가 가지고 있는 기존의 지식은 틀릴 수 있음을 보여준

Dong Gyun Woo (jungup2019@naver.com) ?(?) ?????


lOMoARcPSD|9510855

심리학개론 기말고사 원본 (박형생 교수님, 2012 가을학기)

1. 피아제(Piaget)의 전조작기의 아이들은 심적 표상은 형성되 10. 자율신경계의 작동에 따른 정서적 반응을 전반적으로 관
지만 표상의 조작에는 한계를 갖는데 이와 거기가 먼 특성은? 장하는 신경 구조물은?
a.감각-운동 협응 b. 자아 중심성 a. 번연계 b. 대뇌피질 c. 운동신경계 d. 소뇌
c. 보존개념 실패 d. 도덕적 실재론
11. 동기의 세 벡터가 작동될 때 우선성의 차이를 무엇이라
2. 타인을 배려하고, 책임감이 강하며, 자발적인 동기에 따라 하나?
행동하는 청소년은 어린 시적 어떤 유형의 부모에게서 성장했 a. 준비화 b. 길항작용 c. 항역동성 d. 조절점
나?
a. 권위적-호혜적 부모 b. 허용적 부모 12. 욕구위계설에서, 성취동기에 속하지 않는 것은?
c. 권위주의적 부모 d. 양가적 부모 a. 자아실현 욕구 b. 자존감 욕구
c. 인지적 욕구 d. 심미적 욕구
3. 에릭슨(Erikson)의 발달단계에서 신뢰감 vs. 불신감이라는
양극성과 관련 지어 이해할 수 있는 발달 이론은? 13.‘무서워서 도망가는 게 아니라 도망가고 나서 무서워졌다’
a. Kohlberg 이론 b. 접촉위안 이론 라고 표현하는 정서이론은?
c. 찬장 이론 d. Piaget의 인지발달이론 a.각성-귀인이론 b. 2요인 이론 c. 말초설 d. 중추설

4. 태어난 지 얼마 후, 애착대상이 각인되는 시기는? 14. 신동은 후동이 밉지만, 아주 호의적으로 대한다면 어떤
a. 임계기 b. 전조작기 c. 구강기 d. 수유기 방어기제가 사용된다고 볼 수있나?
a. 투사 b. 반동형성 c. 대치 d. 부인
5.심리사회적 발달 8단계 모두에서 양극성을 보이게 되는 계
기는 무엇인가? 15. Freud에 따르면, 무의식세계의 성격 성분은?
a. 전-생애 발달 b. 성역할 학습 a. SUPEREGO b. EGO c. ID d. LIBIDO
c. 심리적 위기 d. 정체성 유예
16. 자기감시척도가 높은 사람은 다음 중 어느 요소가 비중이
6.주변의 중요한 타인의 초보적인 승인을 중시하는 도덕적 발 높은가?
달 단계는? a. 통제감 b. 상황 c. 능력감 d. 특성
a. 착한 아이 지향 b. 도구적 쾌락주의 지향
c. 복종-처벌 지향 d. 법-질서 지향 17. Walter Mischel의 인지적 요소 중 자기조절첵PDhk 관련
되 행동은?
7. 동기의 기본 세 벡터 중에서 정서와 연결 정도가 가장 높 a. 만족지연 b. 대리학습 c. 자기감시 d. 운동재현
은 것은?
a. 자기-보존 b. 자기-회복 c. 자기-조절 d. 셋 모두 동일 18. 집단주의 사회 구성원들이 자아개년 형성을 할 때 근거하
는 것은?
8.피그말리온 효과와 같이 자기-예언적인 행동변화는 아리스 a. 내집단 b. 외집단 c. 공동체사회 d. 지역사회
토텔레스(Aristotle)의 어느 원인과 관련이 깊나?
a. material cause b. formal cause 19. “첫 인상”이 나쁜 경우는 쉽게 고쳐지지 않는다. 이를 설
c. final cause d. efficient cause 명하는 개념은?
a. door-in-the-face b. foot-in-the-door c. 심리적 부담 d.
9.약물의 사용은 각성상태를 급격히 변동시킨다. 흥분제의 효 인지적 경제성
과가 사라진 다음 졸음이나 무기력상태에 빠지는 것은 어떤
개념으로 설명되나? 20. 인간의 동기적인 측면 때문에 나타나는 귀인 오류는?
a. 최적수준 b. 체계적 둔감화 a. 기본적 귀인오류 b. 자기위주 편향
c. 대립과정 d. 자극최소화 c. 자기지각 편향 d. 대칭성 오류

Dong Gyun Woo (jungup2019@naver.com) ?(?) ?????


lOMoARcPSD|9510855

21. “Door-in-the-face"라는 마케팅 기법에 사용된 우너리와 31. 젊은 Freud에 영향을 준 학자에 속하지 않는 사람은?
관련이 없는 것은? a. Wiliam James b. Jean B. Chorcot
a. 자기지각이론 b. 사회적 교환 c. Franz Brentano d. Hermann won Helmholtz
c. 호혜성 원리 d. 양보의 상호성
32.자아실현자들이 공통적으로 보이는 특성이 아닌것은?
22. Robert Sternberg의 사랑 삼각이론에서 세 요소 모두 관 a. 민주적 윤리관 b. 현실적 판단
여되는 사랑 유형은? c. 자발적 동기 d. 소수의 친밀한 관계
a. 정열적 사랑 b. 로멘틱 사랑
c. 동반자적 사랑 d. 완전한 사랑 33. 자기지각이론으로 잘 설명되는 사회심리현상은?
a.작은 부탁을 들어준 다은에 큰 부탁도 들어 준다.
23. 동맹자효과는 다음 중 어떤 사회적 행동을 약화시키나? b. 큰 부탁을 거절한 다음에 작은 부탁은 들어 준다.
a. 동조 b.응종 c. 사회적 촉진 d.사회적 억제 c. 핵심속성을 달리하면 인상이 달라진다.
d. 첫인상은 오래 간다.
24. 청소년기에 무감정적 반응을 보이는 아이들은 유아기에
어떤 애착유형에 속할 가능성이 높나? 34. 성격에 대한 사회문화적 관점은 다음 중 어떤 성격이론의
a. 허용적 애착 b. 양가적 애착 연장선으로 이해 할 수 있나?
c. 안정적 애착 d. 회피적 애착 a. 특성이론 b. 행동-인지적 접근
c. 정신역동학 d. 인본주의 심리학
25. 도덕발달 6단계 이론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 발달이론
은? 35. 방관자효과에 대한 기술로 옳은 것은?
a. Piaget의 인지발달 b. 신피아제학파 이론 a. 상황에 따른 인지과정에 따라 방관자가 될 수 있다.
c. Erikson의 심리사회적 발달 d.Harlow의 접촉이론 b. 상황에 대한 무지한 방관자는 남을 돕지 못한다.
c. 방관자들간에는 책임감의 분산이 신속히 진행된다.
26. 다음 심리학자들의 연구에서 공통적인 점은? d. 사회적 상황에서 도덕적 책임감의 약화를 말한다.
<Harlow, Bowlby, Ainsworth, Skeels, Freud, Erikson>
a. 정보처리 책략 b. 애착대상의 결정 36. 누군가 부탁에 따라 행동한 경우, 자신의 이전 생각이 달
c. 초기 결정설 d. 사회성 발달 라지는 경우가 있다. 이에 해당하는 사회적 행동이 아닌 것
은?
27. 영유아기 발달측면에서 볼 때, 어린이방 같은 탁아소 상 a. 호의적인 이미지 유지 b. 맹목적 복종
황이 가질 수 있는 가장 큰 문제는? c. 노력의 정당화 d. 강요된 응종
a. 무감정적 반응 b. 애착 자극 결핍
c. 만족지연능력 결여 d. 밀집공간에 따른 혼란 37. 상화에 대한 인지적 해성에 따라 군중행동이 달라짐을 보
여주는 해석은?
28.RIM 수면은 어떤 면에서 자기회복 기능을 갖는가? a. 죄수 딜레마 b. 도덕적 딜레마 c. 익명성 d. 몰독자성
a. 꿈의 해석 b. 무의식의 의식화
c. 심리적 회복 d. 각성상태 유지 38. 인지발달에 대한 기술 중 가장 타당한 기술은?
a. 구체적 조작기에는 개별적인 대상에 대한 지각적 변화에
29. 섭식장애인 거식증이나 대식증의 공통적인 원인은? 그에 따른 행동적인 변화의 연결이 발달한다.
a. 사회적 이상형 b. 시상하부 손상 b. 인지발달은 구체적인 것에서 추상적인 것으로 진행된다.
c. 심리적 자존감 d. 피질과 피질하부 부조화 c. 메타인지란 인지과정의 상위단계로 사춘기부터 발달하기
시작해서 성인에게 일반적으로 나타난다.
30. 대둔산 금강 구름다리에 오늘 당신이 이곳에서 만난 정서 d. 전조작기는 내적 표상이 형성되기 이전 단계로 감각-운동
상태를 잘 설명하는 이론은? 협응이 극대화된 발달단계를 지칭한다.
a. 인지부조화 이론 b. 각성-귀인 이론
c. 게임 이론 d. 자기지각이론

Dong Gyun Woo (jungup2019@naver.com) ?(?) ?????


lOMoARcPSD|9510855

39. 도덕성 발달에 대한 부적절한 기술은? d. 국소성 가적과 불질 가정에 근거할 때 인간의 동기의 시발
a. 도덕성발달의 기본은 중요한 타인과의 관계에서 비롯됨은 점을 찾기는 요원하다.
Freud의 초자아 형성을 통해 알 수 있다.
b. 3수준 6단계라는 구분은 경험적인 자료를 통해서 잘 구분 44. 쾌 중추에 대한 기술 중 부적절한 것은?
된다. a. 보상 (또는 정적 강화)와 관련된 중추로 해석된다.
c. 도덕발달 6단계는 인습 convention에 영향을 받기 전과 후 b. 정신역동학의 쾌락원리에서 가정하는 뇌 구조물이다.
에 걸친 도덕적 추론의 변화를 보인다. c. 동물 연구에서 가장 강한 강화물로 작용함이 확인되었다.
d. 심리사회적 발달단계는 도덕성은 사회성발달에 기초함을 d. 동기와 관련해서 특수할 지, 일반적 일 지는 아직 밝혀져
보인다. 있진 않다.

40. 다음은 Skeels 보고서에 대한 기술이다. 타당하지 않은 45. 암묵적 성격이론에 대한 기술로 맞는 것은?
것은? a. 명시기억-암묵기억 구분과 동일하게 인간의 성격은 명시기
a. 영유아기의 사회적 자극의 결핍은 청소년기 뿐만 아니라 억-암묵성격 양 측면으로 이해될 수 있다.
성인기에도 사회적응 실패로 이어진다. b. 다양한 성격이론들은 암묵적으로 동일한 가정과 전제를 공
b. 양육자의 지적 능력은 영유아기 애착형성에 큰 영향을 미 유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치지 않는다. c. 암묵적 인출을 통해 구성된 대인지각을 말한다.
c. 시설(예, 고아원)에서 성장한 아이들은 일반가정과 다른 환 d. 타인에 대한 인상형서에 관여되는 인지적 구성체를 가리킨
경적 특성 때문에 사회성 문제을 보인다. 다.
d. 사회성발달은 초기 3년간 사회적 관계가 결정적임을 잘 보
인다. 46. 정신역동학과 인본주의 심리학에서의 성격에 대한 논의로
옳지 못한 것은?
41. 유전-대-환경 논의에 대한 설명으로 부적절한 것은? a. 두 이론 모두 실증적인 증거가 부족하여 의문시 되어 왔
a. 본성-대-양육 논쟁으로 발달과정에 대한 이해를 더 풍부하 다.
게 했다. b. 원초아, 자아, 초자아의 구분은 인가의 잠재성 실현과정을
b. 풍요로운 환경과 빈곤한 환경의 차이에 대한 생리적 증거 설명하게에는 역부족이다.
는 신경세포의 수로 확인될 수 있다. c. 인본주의 심리학은 하위의 기본욕우과 심리적 용구을 통해
c. 동화와 조절은 일종의 환경에 대한 적응과정으로 이해된 정신역동학의 주장을 수용할 수 있었다.
다. d. 무의식과 의식의 구분은 결핍욕구와 성취동기의 구분에 대
d. 남성성-여성성 구분에 대한 생물학적 증거도 있지만, 성- 응된다.
유형화로도 이해 가능하다.
47. 행동-인지적 접근에 따른 성격에 대한 설명 중 설득력이
42. 조절점에 대한 성명 중 틀린 것은? 부족한 것은?
a. 사이버네틱스 cybernetics의 통제방식 중 부적 피드백 시 a. 인지적 요소에 따라 개인간의 성격차이를 설명할 수 있다.
스템에서 사용되는 특정 상태값을 가리킨다. b. 한 개인이 상화에 따라 다른 행동패턴을 보이는 것을 일관
b. 자기조절 벡터는 뇌의 시상하부를 통해 조절점에 따라 영 성있게 설명한다.
양, 수분, 체온 등을 일정하게 유지한다. c. 인간의 다양한 환경 적응을 중시하여 성격의 지속성을 부
c. 조절점은 일정하지 않고 상황에 따라 변동하는데, 항역동 정한다.
성이라는 개념으로 기술된다. d. 인가의 경우, 환경이 미치는 영향은 사회학습이론을 통해
d. 성취동기는 조절점의 지속적인 상승과정으로 설명할 수 있 잘 이해된다.
다.
48. 게임이론에 근거한 사회적 딜레마에 대한 설명 중 가장
43. 국소성가정과 물질가정에 대한 기술로 부적절한 것은? 타당한 것은?
a. 과학혁명시대 이래로 자연현상을 설명할 때 사용되어 온 a. 에너지 절약과 같은 문제는 국가간의 경제적 게임성격을
기본적인 두 가정이다. 갖기에 국내 사회적 딜레마로 보기 힘들다.
b. 변화를 설명하는 타당한 원인은 물질, 형성과정, 힘의 작 b. 상황에 변화에 대한 인지에 따라 사회구성원의 행동이 달
용, 목적 모두를 포괄해야 한다. 리지므로 딜레마해결은 이에 대한 고려가 필수적이다.
c. 가동자와 피동자는 시공간 상에서 물리적 접촉을 통해 설 c. 인간의 이기심과 이타심은 게임의 교환관계를 갖는다.
정된다.

Dong Gyun Woo (jungup2019@naver.com) ?(?) ?????


lOMoARcPSD|9510855

d. 사회적 양극화라는 딜레마는 제로-섬 게임에 다른 결과로


설명될 수 있지만, 논 제로-섬 게임으로 극복이 가능하다. 50. 나치 캠프나 포로 수용소에서 벌어지는 잔혹한 행위에 대
한 설명 중 잘못된 것은?
49. 이서계와 무학대사 간의 대화에 대한 부적절한 해석은? a. 명령데 대한 복종뿐만 아니라 지시나 부탁에 따른 응종의
a. 대상에 대한 자신의 지각과 행동을 통해 자기 자신을 이해 일종으로 해석 할 수 있다.
하게 된다. b. 수용소나 고문실에서의 인간의 잔인한 행위는 권위적인 성
b. 외부세계 (또는 환경)에 대한 지각은 행동가능성 지각과 격에 기인한다.
동일한 맥락에서 이해할 수 있다. c. 잔인한 행위를 하는 자신은 도구, 희생자는 대상물이라고
c. Looking-glass-self 라는 사회적 자아의 형성과 연결시켜 인식하는 몰인간화가 벌어진다.
해석할 수 있다. d. 맹목적으로 보이는 복종도 권위영역 내에서 작동하는 것은
d. 대인지각에서 사회적 교환 원리가 작동됨을 보여주는 예이 일반적인 현상이다.
다.

Dong Gyun Woo (jungup2019@naver.com) ?(?) ?????


lOMoARcPSD|9510855

심리학 개론 (담당교수 : 박형생)


2018년 가을학기 기말고사

1. 정체성 위기를 잘 극복하기 위해 필요한 과정은? 13. Jean Piaget 가 인지발달 설명에 적용한 이론적 개념은?
a. 자율성 보존 b. 자율성 전복 a. 연합 학습 b. 생물학적 분화
c. 정체성 유예 d. 정체성 유실 c. 정보 처리 d. 인지 부조화

2. 통증은 시간이 흐르면서 자연스레 완화된다. 이와 관련된 14. 정서적 경험에 대한 말초설에 따르면 신체적 흥분상태가
신경 화학물질은? 일차적이다. 이를 담당하는 신경계는?
a. 모르핀 b. 에도르핀 c. 도파민 d. 세로토닌 a. 중추신경계 b. 자율신경계 c. 운동신경계 d. 소뇌

3. 특성이론은 다음 중 어떤 연구방식으로 시작되었나? 15. Rogers는 심리적 장애의 원인으로 승인욕구를 들었다. 이
a. 인문학 b. 인류학 c. 분류학 d. 물리학 욕구를 달리 표현하면?
a. 소속감 욕구 b. 자존감 욕구
4. 사회교환의 상호성 원리가 적용되지 않는 것은? c. 심미적 욕구 d. 인지적 욕구
a. 설득 b. 응종 c. 양보 d. 자기 개방
16. 사람들이 보이는 행동의 원인을 찾을 때 나타나는 문제가
5. 인지발달에서 자아중심성을 보여 타인의 다른 생각을 이해 아닌 것은?
하지 못하는 단계는? a. 자기위주 편향 b. 기본적 귀인오류
a. 전조작기 b. 구체적 조작기 c. 행위자-관찰자 편향 d. 대칭성 오류
c. 형식적 조작기 d. 감각운동 협응기
17. 영유아 양육과 관련된 복지정책의 이론적 근거는?
6. 동기의 세 벡터들과 관련이 없는 동기는? a. 도덕실재론 b. 초기결정설 c. 환원주의 d. 집단주의
a. 안전 욕구 b. 생리적 욕구
c. 기본 욕구 d. 소속감 욕구 18. 욕구에는 위계가 있지만, 여러 수준들 간의 복잡한 영향
을 주고받는다. 이를 잘 설명하는 개념은?
7. 여러 상황에 걸친 행동의 변동성을 잘 보여주는 척도는? a. 부적 피드백 b. 정적 피드백 c. 항역동성 d. 항상성
a. 효능감 척도 b. 자기감시척도
c. 기대감 척도 d. 자기통제척도 19. 문학, 예술, 스포츠 같이 사회적으로 인정 받는 행위를 통
해 욕구를 충족시키는 방어기제는?
8. 동맹자효과는 어떤 사회적 행동이 약화된 것인가? a. 승화 b. 합리화 c. 주지화 d. 정화
a. 응종 b. 설득 c. 양보 d. 동조
20. 사회적 상황에서 ‘암묵적 성격이론’은 다음 중 무엇과 관
9. 권위적-호혜적 부모 아래서 성장한 아이의 특성이 아닌 것은? 련된 개념인가?
a. 타인에 대한 배려 b. 양가적 행동 a. 사회적 촉진 b. 사회적 억제
c. 자발적 동기 d. 임무에 대한 책임감 c. 인상 형성 d. 인지 부조화

10. ‘도망치고 나서 무서워졌다가 아니라 무서워서 도망갔다’ 21. Kohlberg는 자신의 도덕발달이론을 구성할 때 어떤 개념
라고 표현하는 정서이론은? 에 근거해서 세 부류로 나누었나?
a. 각성-귀인이론 b. 2요인 이론 c. 말초설 d. 중추설 a. 사회 b. 실재 c. 조직 d. 인습

11. Freud는 성격의 지속성을 고착으로 설명했다. 그가 근거 22. 각성수준이 아주 미약한 상태에서 작동되는 동기는?
했을 유사한 물리학 개념은? a. 자기조절 b. 조기회복 c. 자기보존 d. 자기실현
a. 에너지 b. 승화 c. 투사 d. 관성
23. Freud 성격이론에서, 원초아 id의 작동원리는?
12. “Out of sight, out of mind”라는 말과 연관 있는 사랑의 a. 쾌락원리 b. 현실원리 c. 충동원리 d. 이상원리
요인은?
a. 정열 b. 개입 c. 친밀성 d. 유희 24. 친구들이 추천하는 브랜드의 컴퓨터를 구입한다면, 설득
의 어떤 측면이 영향을 준 것일까?
a. 근접성 b. 전문성 c. 유사성 d. 신뢰성

- 1 -
Dong Gyun Woo (jungup2019@naver.com) ?(?) ?????
lOMoARcPSD|9510855

25. 아이의 사회적 성격은 가정교육방식만으로 결정되지 않는 36. 누군가가 부탁을 하면 그에 따라 자동적으로 행동할 수
다. 어떤 요인들의 상호교환과정을 고려해야 하나? 있다. 하지만 그와의 사회적 관계 영역 안에서만 가능하
a. 신뢰감과 불신감 b. 자아중심성과 조망수용 다. 이에 해당하는 것은?
c. 동조와 응종 d. 기질과 양육 a. 맹목적 복종 b. 강요된 응종
c. 노력의 정당화 d. 호의적인 이미지 유지
26. 위기상황에 대처한 후, 신체의 기관들이 각자의 활동으로
돌아가게 하는 신경계는? 37. 특성이론에서 특성들 각각을 독립된 차원들로 이해할 때
a. 말초 신경계 b. 교감 신경계 가정되는 성질은?
c. 중추 신경계 d. 부교감 신경계 a. 신경 안정성 b. 경험 개방성 c. 성실성 d. 직교성

27. Walter Mischel의 인지적 요소 중 하나인 자기조절체계 38. 상담가들은 어떤 경우 내담자의 얘기를 듣기만 하고 상담을
형성과정을 잘 보여주는 행동은? 마치는 경우가 있다. Carl Rogers가 제안한 이런 기법은?
a. 성실성 b. 강박적 행동 c. 만족 지연 d. 자아실현 a. 분석에 따른 통찰 b. 비지시적 기법
c. 자기지각이론 d. 몰입 기법
28. 포로수용소에서 화재발생시 포로들이 보이는 공황행동을
전통적으로 설명하는 것과 거리가 먼 것은? 39. 개인의 성격 보다는 사회적 상황에 따라 판이한 역할 수행
a. 익명성 b. 몰독자성 c. 욕구의 탈억제 d. 죄수 딜레마 을 하는 모습을 심리학자 Zimbardo는 무엇이라 하나?
a. Looking-glass-self b. Door-in-the-face
29. 심리학적 발달단계에서 각 단계를 특징짓는 계기는? c. Lucifer effect d. Pigmalion effect
a. 도식 형성 b. 심리적 위기 c. 동화와 조절 d. 양극성
40. 지각을 무의식적 추리로 설명한 Helmholtz는 젊은 Freud에
30. 다이어트에 성공해도 요요현상이 벌어지는 이유는? 게 어떤 측면에서 영향을 주었나?
a. 심리적 열등감 b. 피질과 피질하부 부조화 a. 지향성과 현상학 b. 의지와 표상으로서 세계
c. 조절점 d. 시상하부 손상 c. 신경학과 최면요법 d. 신경 에너지

31. 자아실현욕구와 관련이 없는 것은? 41. 유전-대-환경 논의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a. 심미적 욕구 b. 열정과 자존감 a. 본성-대-양육 논쟁의 발달과정에 대한 상세한 기술로 대
c. 인지적 욕구 d. 정상 경험 체되었다.
b. 풍요로운 환경과 빈곤한 환경의 차이에 대한 신경과학적
32. 타인이 보인 행동의 원인을 과학자처럼 탐색할 때 사용하 증거는 시냅스의 수로 확인될 수 있다.
는 원리는? c. Piaget의 동화와 조절은 생물한적 기제로 환경과 관련없이
a. 편향 원리 b. 공변 원리 c. 직교성 원리 d. 현실 원리 인지발달을 설명한다.
d. 성호르몬은 신체적 특징만 결정하고, 남성성-여성성 구분
33. 애착 유형의 구분은 Erikson의 발달단계에서는 어떻게 대 은 성-유형화로 대부분 설명된다.
별되나?
a. 신뢰감 대 불신감 b. 자신감 대 열등감 42. 인간의 이타적 행동에 대한 기술로 가장 옳은 것은?
c. 친밀감 대 소외감 d. 자율감 대 수치감 a. 사적인 관심이나 이득에 따라 나타날 수도 있다.
b. 상황에 대해 무지한 방관자는 남을 돕지 못한다.
34. 연인과 롤러코스터를 타고난 다음, 세상이 선명하게 보이 c. 독립적인 성격의 소유자에게서 주로 발견된다.
고 평온해졌다. 이를 잘 설명하는 이론은? d. 책임감 분산이 이타적 행동의 근본이다.
a. 이원중추 이론 b. 사랑의 삼각 이론
c. 대립과정 이론 d. 2 요인 이론 43. 자아실현자에 대한 기술로 부적절한 것은?
a. 현실적인 판단에 기반을 두고 여러 사람들과 긴밀한 관계
35. 흔히 말하는 국민성이나 지방색은 다음 중 어떤 관점에서 를 유지하기 위해 노력한다.
이해할 수 있나? b. 자아실현자들은 정상경험을 자주 빈번히 한다.
a. 정신역동적 접근 b. 사회비판이론 c. 자신의 신상이나 경력과는 무관하게 자신이 하는 일을 통
c. 암묵적 성격이론 d. 사회문화적 관점 해 정체성을 갖는다.
d. 보편적인 인류애에 기초한 도덕성을 실천한다.

- 2 -
Dong Gyun Woo (jungup2019@naver.com) ?(?) ?????
lOMoARcPSD|9510855

44. 근대과학에 따라 인간 행동의 원인을 추적하는 작업에는 한 49. Stanley Milgram의 응종실험과 관련된 설명 중 가장 옳은
계가 있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한 것은? 것은?
a. 제1원인의 설정에 논리적 한계로 인간 동기 추적은 요원하다. a. 사회적 영향력 행사에서 복종과 응종은 맹목성의 정도에서
b. 모든 원인들은 인간의 의지인 효능인으로 귀결될 필요가 있다. 차이가 난다.
c. 상보성 원리에 따라 기계론과 유기체론을 결합해서 환원주 b. 국민성 같은 성격의 문제가 아니라 상황 구조에 따라 극단
의를 극복해야 한다. 적인 응종도 가능하다.
d. 인간동기의 진정한 과학적 설명을 위해 국소성 가정과 물 c. 지시자와 수행자 간의 게임 관계에 따라 응종하는 양상이
질 가정을 준수해야 한다. 달라지고, 몰인간화하는 경우도 있다.
d. 죄수 딜레마에서 경우처럼, 감옥이나 수용소 캠프에서는
45. 성격에 대한 심리학 연구와 관련한 논의에서 가장 타당한 맹목적인 응종이 발생한다.
기술은?
a. 특성-대-상황 논쟁을 넘어서서 생물학적 욕구, 자아실현, 50. 거리에서 종교적인 주장을 하는 사람과 집회에 참여해서 깃
사회적 영향을 유기적으로 연결시켜야 한다. 발을 흔드는 사람에 대한 적절한 설명은?
b. 사회적 상황에 따라 성격이 달라지므로 성격이라는 개념은 a. 주변에서 구경하는 방관자와는 달리 곤경에 처한 사람을
타당성을 잃었다. 도와줄 가능성이 높아진다.
c. 인간의 비합리성, 합리성, 도덕성을 한 체계에서 일관되게 b. 배후의 조직책이 개발한 세뇌기법 적용이 성공한 사례들이다.
다루기는 힘들다. c. 자신의 행동에 일관성을 부여하는 방향으로 신념이 강해진다.
d. 인본주의 접근에서는 진정한 인간 이해를 위해 결핍욕구의 d. 자신들의 주장과 배치되는 결과를 확인시켜주면 태도를 변
충족을 전제하고 자아실현에 대해 논한다. 화시켜 반대되는 활동에 나선다.

46. 도덕성발달에 대한 기술 중 가장 타당한 기술은?


a. 신뢰감, 자율감, 주도성, 자신감을 형성한 아이들은 도덕발
달의 진전이 빠르다.
b. 도덕적 판단은 인지 발달에 그 기반을 둔다.
c. 부모의 양육방식은 아이의 성격을 결정하고, 그 성격에 따
라 도덕성 발달이 결정된다.
d. 도덕성 발달은 사회성 발달과는 독립적이고, 선천적으로
설정된 기준이 있다.

47. 2 요인 이론에 대한 설명으로 타당한 것은?


a. 특정 상황에서의 각성과 그에 대한 인지적 평가가 함께 작
동할 때 정서적 경험이 일어난다.
b. 정서는 사회적 의사소통 수단으로 자신과 상대방 모두를
고려할 때 이해된다.
c. 대립과정을 통해 정서가 변동되기에 상대적인 요인들의 상
호작용이 정서경험 이해에 도움이 된다.
d. 인지적 평가는 정서적 평가와 함께 작동하므로 둘이 공변
하는 정도에 따라 정서경험이 달라진다.

48. 쾌 중추에 대한 기술 중 부적절한 것은?


a. 보상 중추 또는 보상 경로라고 부르는 중격 의지핵으로 확
인된다.
b. 여러 조절점들의 동시적 활성화를 관장한다.
c. 실험을 통해 확인해보면 생리적 욕구의 결핍에도 불구하고
이 중추의 자극을 받으려는 행동을 보인다.
d. 행동의 결과뿐만 아니라 결과에 대한 기대에도 이 중추는
강하게 활성화된다.

- 3 -
Dong Gyun Woo (jungup2019@naver.com) ?(?) ?????
lOMoARcPSD|9510855

Dong Gyun Woo (jungup2019@naver.com) ?(?) ?????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