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36

대인감정 및 대인행동

대인감정
 인간의 감정
 감정의 3 가지 구성요소
○ 정서적 체험
○ 생리적 반응
○ 행동준비성
 기본감정과 복합감정으로 구분
○ 기본감정 : 공포 , 분노 , 기쁨 , 슬픔 , 수용 , 혐오 , 기대 , 놀람
○ 복합감정 : 사랑 , 실망 , 경멸 , 낙관 , 복종 , 경외 , 후회 , 공격
(Plutchik 의 정서 구분 )
사랑

낙관 복종
기쁨 수용

기대 공포

공격 경외
분노 놀람

혐오 슬픔
경멸 실망

후회

Plutchik 의 정서바퀴
 일차적 정서
 분노 , 공포 , 슬픔 , 기쁨
 감각적 자극과 관련된 정서
 메스꺼움 , 구토증 , 기쁨 , 희열
 자기 평가와 관련된 정서
 성공감 , 실패감 , 수치감 , 죄의식
 타인과 관련된 정서
 사랑 , 증오
 감상의 정서
 미적 아름다움 , 기쁨 , 경탄 , 놀라움
 비애의 정서
 자신에 대한 슬픔 , 타인에 대한 슬픔
 정서란 무엇인가 ?
 정의적 속성이 묘사되기 어려움
 정서 경험의 지도를 그림으로 그려서 정서에 대해 설명

 다차원 척도법 : 유인가와 각성을 두 축으로 하는 이차원


공간에 정서 경험의 좌표를 표시
 유인가 (Valence) : 그 경험이 얼마나 정적인지 부적인지
 각성 (Arousal) : 그 경험이 얼마나 능동적인지 수동적인지
 정서 : 특정 패턴의 생리적 활동과 연합되는 정적 / 부적 경험
 다차원 척도법 (Russell)
정서 이론
https://youtu.be/kyxv0wZL29M?t=177
 정서이론
 제임스 - 랑게 설 : 자극이 자율신경계에 활동을 일으키고 ,
이것이 다시 뇌에서 정서 경험을 일으킴

특정한 두려움
생리 상태 경험
 정서이론
 제임스 - 랑게 설 : 자극이 자율신경계에 활동을 일으키고 , 이것이
다시 뇌에서 정서 경험을 일으킴
 캐논 - 바드 설 : 자극이 자율신경계의 활동과 뇌의 정서 경험을
동시에 일으킴

두려움
경험
특정한
생리 상태
 정서이론
 제임스 - 랑게 (James-Lange) 설 : 자극이 자율신경계에 활동을
일으키고 , 이것이 다시 뇌에서 정서 경험을 일으킴
 캐논 - 바드 (Cannon-Bard) 설 : 자극이 자율신경계의 활동과 뇌의
정서 경험을 동시에 일으킴
 이요인 이론 (Schachter, Two-Factor) : 정서는 미분화된 생리적
각성의 원인들에 관한 추측

일반
두려움
생리적
경험
각성
대인감정
 대인감정
 대인감정은 대인사고와 밀접한 관계
○ 감정은 일차적 평가의 산물 (Lazarus)
○ 일차적 평가 : 추구 목표와 관련 지어 사건 의미 평가하는 과정
○ 평가의 3 가지 측면
 목표관련성 : 특정 사건이 현재 추구하는 목표와 관련되는 정도
 목표합치성 : 사건이 목표추구에 도움이 되는 정도
 자아관여성 : 사건이 개인의 안녕과 자존감에 미치는 영향 평가
○ Lazarus : 다양한 감정과 관련된 일차적 평가의 사고내용 제시
 대인감정
- Lazarus: 정서는 사건에 대한 인지적 평가에 의해 유발된다

1 차 평가 2 차 평가

( 목표 ) 관련성 예 ( 목표 ) 합치성 예
자극 사건 정서
평가 평가

관련 없음 아니오

12
사건의 단계적 평가와 정서의 체험
Lazarus 가 제시한 주요한 정서의 핵심적 사고주제

분노 나와 나의 것을 모욕하는 공격을 받음
불안 불확실하고 실존적인 위협에 직면함
공포 즉각적 , 구체적 , 압도적인 신체적 위험에 직면함
죄책감 도덕적 잘못을 저지름
수치심 자아이상에 미치지 못함
슬픔 돌이킬 수 없는 상실을 경험함
시기 다른 사람이 갖고 있는 것을 원함
질투 어떤 사람의 애정에 대한 위협이나 상실을 이유로 제 3 자를 미워함
혐오 소화할 수 없는 대상이나 생각을 지니거나 너무 가까이 있음
행복감 목표의 실현을 향해서 적당한 정도의 진전을 함
자부심 가치 있는 대상이나 성취에 대해서 자신의 정체감을 향상시킴
안도감 고통스러운 목표불합치 조건이 좋은 쪽으로 변화했거나 사라짐
희망 최악을 두려워하지만 더 좋아지는 것을 열망함
사랑 보통은 상호적이지만 때로는 일방적인 애정에 대한 욕망이나 참여
연민 타인의 고통에 의해서 마음이 움직이고 도와주고 싶어 함
 대인감정은 생리적 반응을 수반
○ 상이한 감정마다 자율신경계의 독특한 패턴 존재
○ 심장박동 수 : 행복 , 놀람 , 혐오 < 분노 , 공포 , 슬픔
○ 피부온도 : 공포 , 슬픔 < 분노
 대인감정은 행동을 촉진
○ 진화론적 관점에서 매우 적응적인 것
○ 불안 , 공포 : 위험으로부터 도피 행동 유발
○ 분노 , 혐오 : 적에 대한 공격적 행동 유발
○ 사랑 , 수용 : 배우자 , 동료에 대한 애착과 보호행동 촉진
 대인감정은 얼굴표정에서 가장 즉각적으로 표현
○ 공포 , 놀람 , 분노 , 혐오 , 슬픔 , 기쁨 : 문화 보편적
○ 수치 , 관심 , 경멸 : 문화 보편적 
 감정표현의 개인차
○ 외현형 : 실제 감정보다 과장 표현
: 여성 , 서구문화권 , 젊은 사람
○ 내면형 : 실제 감정보다 축소 표현
: 남성 , 동양문화권 , 나이든 사람
정서적 의사소통
 비언어적 의사소통
 얼굴표정 , 몸의 자세 , 눈동자의 크기 , 음조 등
 인종과 관계 없이 정서를 나타내는 얼굴표정 유사

행복감 분노 놀람
 정서 표현
 정서 상태에 관한 관찰 가능한 신호
 얼굴에서 가장 잘 드러남
 의사소통적인 표현
 보편성 가설 : 정서표현은 모든 사람에게 같은 의미를 가지고
있다는 가설
○ 증거 1 : 다른 문화권 사람의 정서표현을 비교적 정확히 판단
○ 증거 2 : 인간 얼굴을 본 적 없는 선천적 맹인이나 아기들도 같은
표정의 정서표현을 함
 표현의 원인과 결과
○ 일반적으로 정서경험이 정서표현을 유발하지만 그 반대도 가능
○ 누가 더 행복하다고 느낄까 ?

VS.

○ 안면되먹임 가설 : 정서표현이 그것을 나타내는 정서경험을 유발할


수 있다는 가설
 가식적인 표현 중성화의 달인 스티븐 시걸
 드러내기 규칙 : 정서표현의
제어를 위한 규범들
○ 강렬화 - 자신의 정서표현을 과장
○ 약화 - 자신의 정서표현을 약화
○ 차폐 - 자신이 느끼는 정서와 다른
정서를 표현
○ 중성화 - 아무 표현도 드러내지
않으면서 어떤 정서를 느낌
 가식적인 표현
 정서표현의 진실성을 판단하는 4 가지 기준
○ 형태론 - 어떤 얼굴 근육들은 의식적 제어에 저항하는 경향 존재

○ 대칭 - 진실한 표현은 진실하지 않은 표현보다 약간 더 대칭적


○ 지속시간 - 진실한 표현은 0.5~5 초 사이에 지속하는 경향이 있는
데 , 진실하지 않은 표현은 더 짧거나 길게 지속되는 경향
○ 시간적 패턴화 - 진실하지 않은 표현은 급작스럽게 출현하고
소멸하는 경향 . ( 동영상 참고 )

 진정한 미소  억지 미소
대인행동
 대인행동
 대인행동 : 관계 상황에서 외부로 드러내는 언어적 / 비언어적
행동
 반응적 대인행동과 자발적 대인행동으로 크게 구분
○ 반응적 대인행동 : 타인의 행동에 대한 반응 행동
 인간관계에서 나타나는 대부분의 행동
 대인감정이 행동으로 표현된 것
○ 자발적 대인행동 : 타인의 반응 유발을 위한 능동적 행동
 능동적이고 적극적인 사람들이 많이 나타냄
 상대방의 반응적 대인행동을 유발하여 대인간 상호작용 형성
 대인행동의 2 가지 차원

○ 원형구조 모델 :
- 지배성과 우호성 차원을 세로축과 가로축으로 하는 원형구조 속에서
다양한 대인행동을 분류

○ 지배성 : 타인의 행동을 자신의 뜻대로 통제하려 하는 정도


: 지배 - 복종의 연속선 상에서 대인행동을 평가
우호성 : 타인을 호의적으로 대하는 정도
: 사랑 - 미움의 연속선 상에서 대인행동을 평가
대인행동의 원형구조 모델
긍정적인 대인감정과 대인행동

 기쁨 : 행복감과 환희
 목표가 달성되었거나 달성되고 있다고 생각될 때 느끼는 감정
 웃는 얼굴 , 외현적 행동 , 자기확장감 , 팽창감 , 희망적 사고 ,
부정적 감정으로부터 해방 , 이타적 행동 유발
 성격적 특성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는 주장 존재
○ 외향성
○ 행복감을 느끼는 능력
 자기긍지감
 자신이 가치 있는 존재라고 느낄 때 경험되는 긍정적 감정
 자신에 대한 타인의 긍정적 평가가 자기긍지감을 느끼도록 함
 자기가치 평가의 2 가지 기준
○ 자신의 성취와 업적에 대한 긍정적인 자기평가
○ 다른 사람들이 나타내는 애정과 인정
 타인에게 자신 있고 당당한 행동을 유발
○ 지나치면 자기도취적 , 자기중심적 , 자기과시적 행동
부정적인 대인감정과 대인행동
 분노
 개인의 가치를 떨어뜨리는 공격적 행동에 대한 반응적 감정
 공격적 행동의 유형
○ 개인의 신체나 소유물을 손상하는 행동
○ 개인의 인격을 손상하는 비하적 행동
○ 개인이 추구하는 목표달성을 방해하고 좌절시키는 행동
○ 분노는 공격과 복수의 행동을 유발
 분노의 표현과 해소 방법
○ 대치행동 : 제 3 자에게 공격행동을 하는 것
○ 수동적 공격 : 상대를 간접적으로 괴롭히는 우회적 방법
○ 내향화 : 문제의 근원을 자기에게 돌림으로써 자책하는 것
○ 승화 : 분노감정을 건설적인 방법으로 발산하는 것
○ 용서 : 분노감정과 공격충동을 스스로 해소하는 것
 불안과 공포
 위험에 대한 반응적 감정
 불안
○ 막연하고 모호한 위험에 대한 반응 ( 신경증적 불안 , 도덕적 불안 )
○ 불안을 경험하는 상황 ( 현실적 불안 )
 개인의 능력과 인격이 평가되는 상황
 상대의 반응을 예측할 수 없거나 적대적인 태도를 지니고 있다고
판단되는 상황
 대인관계 상황에서의 대처능력에 대한 자신이 없는 상황
 공포
○ 구체적이고 임박한 강력한 위험에 대한 반응
 불안과 공포에 대한 대응 행동
○ 회피와 도피
 불안과 공포에 대한 가장 일반적인 대처행동
 인간사회의 대인관계에서 비효과적일 때가 많음
 사회공포증 : 대인상황에서의 불안이 매우 심하여 이러한 상황을
지속적으로 회피하는 경우
○ 위험상황을 기다리며 경계 , 대비
 자율신경계의 흥분으로 여러 신체적 대응반응 발생
○ 불안을 감소시키기 위한 행동
 줄담배 , 커피 마시기 , 부산하게 움직이기 , 방어기제 사용
○ 선제공격
 불안 유발 대상에게 분노를 느끼고 먼저 공격적 행동을 가함
 방어기제
○ 억압 (repression), 투사 (projection), 전위 (displacement), 합리화
(rationalization), 승화 , 반동형성 등
 죄책감과 수치감
 잘못한 자신의 행동에 대해서 느끼는 부정적 감정
 죄책감
○ 도덕적 기준에 비추어 잘못한 행동에 대해서 느끼는 감정
○ 죄책감에 대한 행동적 반응
 후회
 속죄
 보상행동
 자해행동
 변명과 합리화
 수치감
○ 이상적인 자기모습에 비추어 잘못한 행동에 대해서 느끼는 감정
○ 수치감에 대한 주된 행동적 반응 : 숨기
○ 죄책감과 달리 불편한 감정을 해소할 대상이 분명치 않다는 점에서
해소하기 어려움
○ 수치감을 극복하는 방법
 자기자신을 용서하기
 자신의 긍정적인 면을 2 배로 강화하여 초라함 보상하기
 슬픔
 상실에 대한 인간의 정서적 반응
 상실이 미래에 예견될 때는 불안을 느끼는 반면 , 현실이 되었을
때는 슬픔을 경험
 슬픔을 경험하는 대인관계 상황
○ 사랑하는 사람의 죽음이나 이별
○ 다른 사람으로부터의 긍정적인 관심과 애정의 상실
○ 자신의 중요한 가치나 역할의 상실
 슬픔의 행동적 표현
○ 애도행동
○ 무활동
○ 반추
○ 타인의 도움이나 정서적 지지 요구
○ 슬픔을 유발한 사람에 대한 분노와 원망
○ 우울 또는 절망
 시기와 질투
 시기
○ 내가 원하지만 갖지 못한 것을 타인이 갖고 있을 때 느끼는 부러움과
시샘의 감정
○ 선망 , 좌절감 , 분노가 혼합
○ 상대의 성공을 깎아 내리는 행동이 나타남
○ 상대방에 대한 분노의 은밀한 표출 방식
 질투
○ 삼각관계 속에서 느끼는 감정
○ 불안 , 분노가 혼합
○ 경쟁상대 또는 자신의 연인에게 은밀한 분노행동을 유발
 혐오감
 대인관계에서 싫고 멀리하고 싶은 감정
 거부감
○ 혐오감의 주된 요소
○ 혐오스런 대상을 배척하여 멀리하는 행동을 촉발
 혐오감을 유발하는 사람의 특성
○ 공격적인 사람
○ 지나치게 이질적인 사람
○ 심리적으로 소화하기 어려운 사람
 심리적 소화 : 대상의 여러 가지 속성이 자신의 가치관과 일치하며
자신의 친분상대로 수용함을 의미
 고독감
 타인과 단절되어 고립되어 있는 상태에 대한 정서적 반응
 매우 주관적인 불쾌감정
 타인과의 관계에 대한 부정적 평가에 기인
 경미한 수준에서는 불안감과 유사하나 , 심하고 장기화되면
우울감으로 발전
 4 가지 동반자 ( 가족 동반자 , 낭만적 동반자 , 사교적 동반자 ,
작업적 동반자 ) 중 한 영역이 결여되어 있거나 불만족스러울 때
경험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