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2

1.

탈벤 샤하르의 7 가지 행복 교훈
1. 자신의 인간적 속성을 너그러이 인정하라
2. 직장에서나 가정에서나 의미 있고 즐거운
활동에 참여하는 것을 목표로 삼아야 한다.
3. 행복은 지위나 은행 예금 잔고의 상태가
아니라 대체로 마음의 상태에 달려있다.
4. 단순화하라!
5. 몸과 마음이 이어져 있음을 명심하라.
6. 가능한 감사의 뜻을 표현하라.
7. 행복의 첫 번째 가늠자는 우리가 관심을
쏟는 사람, 우리에게 관심을 쏟는 사람들과 함께
보내는 시간이다.
11. 무기력의 심리학과 긍정심리학
학습된 무기력: 심리학 용어로, 피하거나 극복할 수 없는
2. 여가의 경험적 해석(여가: 만남-사랑-행복) 부정적인 상황에 지속적으로 노출되면서, 어떠한 시도나
여가와 행복시간에 운명처럼 7 명의 형들과 누나와 친구들 노력도 결과를 바꿀 수 없다고 여기고 무기력해지는
만났습니다. 수업 이외에도 자주 만나고 같이 많은시간을 현상을 일컫는다.
보냈습니다. 사람들을 만날 때마다 사랑을 느끼고 그 긍정심리학:
과정에서 많은 행복을 느꼈습니다.
3. 여가와 좋은 삶의 세 가지 조건
자신의 운명을 결정할 수 있는 능력
자기계발 활동에 종사하는 시간(끼 찾기)
특별한 경험을 획득할 수 있는 기회
4. Freedom from(무엇으로부터의 자유)과 Freedom to(
무엇을 위한 자유)
Self-determination(SD)>Freedomfrom/Freedom to
Potential power(PP), Peak Experience(PE)

5. 여가경험 요인
Perceived freedom(자유감), Intrinsic Motivation(
내적동기, Perceived competence(유능감), positive
affects(긍정정서)
6. 활동으로서 여가
잘 산다는 것은 무엇인가
행복한 삶이란 어떤 것인가
행복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무엇이며 어떤 심리과정을
통해 행복감을 느끼는가
인간의 긍정적 성품
7. 사회계급의 상징으로서 여가
고난 극복하게 하는 특성
어떤 상황에서 능력 가장 잘

8. 마음의 상태로서 여가
여가는 마음의 상태(즐거운 마라톤 내적동기, 체중조절
달리기 외적동기)

9. flow(몰입) 모델
한정된 자극에 정신집중
자아의식의 불식상태
불안감이나 제약감의 불식
시간과 공간개념의 초월
인지력의 증진
즐기움
10. 진지한 여가와 일상적 여가
12. 금욕주의와 쾌락주의 행복관 결정요소
금욕주의: 욕망은 충족되기 어렵다.
욕망은 인간을 무절제하고 나태한 존재로 만들수있다
욕망과 쾌락에는 의미가 없다
욕망은 사회적 관계와 유대를 약화시킨다.
쾌락주의: 욕망은 삶이 의욕과 활기를 제공한다
욕망은 삶에 필요한 과제에 대응하는 능력을 증진
욕망은 즐거움의 원천이다
욕망에 대해 긍정적인 사람들은 금욕주의자들이 너무
편향적인 생각을 가지고 있다고 비판한다.

13. Jonathan Haidt 행복의 가설


1. 행복은 내가 원하는 것을 얻는 데서 온다.
2.행복은 안과 밖에 있다.
3.행복은 사이에 있다.
4. 행복은 만드는 것이다. (긍정심리학)
14, 진정한 행복이란?

15. 육체적 쾌감(낮은 기쁨)과 고등한 쾌감(높은 기쁨)


16. 쾌락경험에 대한 기억과 쾌감의 적응
우리가 느끼는 즐거움은 지금 여기에서의 순간적 감각보다
기억의 형태로 경험. 과거의 절정의 경험과 끝나는
시점에서의 종료경험이 중요.
동일한 쾌감의 반복은 적응이 되어 쾌감이 감소 경향.
사랑하던 사람이 결혼하면 그 열정이 식는 이유.
척추손상에도 크게 불운하거나 복권에 당첨되어도 크게
행복하지 않는 이유 : 적응경향
17. Fredrikson 의 긍정정서의 확장 및 축적이론

18. 행복의 기준점(Happiness set point)과 행복의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