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2

1.

긍정적 정서 강화
1) 개요 : 긍정적 정서는 경험될수록 축적되며 확장됨. 이는 자아존중감 향상, 스트레스 완화 등 개인을
더 나은 방향으로의 변화를 촉진함.
2) 수단 및 방법
- 인생 그래프 그리기: 행복했던 기억, 극복했던 기억 등
- 강점 강의
: https://youtu.be/rGJS4UOmMvw (6 개의 미덕과 24 개의 성격 강점 소개)
: https://youtu.be/ETpLpLeMnUI (조엘 소넨버그 스토리 동영상 시청)
- 긍정적 자기 소개서
- 강점 이해: 내가 예상한 강점 / CST 검사결과 / 타인이 생각하는 강점(강점선물) -> 강점나무
만들기
- 감사 일기 쓰기
- 감사(긍정적 성향)을 못하게 하는 것에 대해 마찬가지로 인지적 혹은 정서적으로 재구조화 과정을
통해 접근할 수 있음.

2. 부정적 정서 최소화
1) 인지적 정서조절(감정의 원인과 과정을 이해하는 과정)
- ABC 모델
- 스트레스 유발 사건 자각
- 스트레스 대처전략(행동) / 역기능적 신념(사고) / 부정적 감정(정서) 탐색
- 역기능적 신념: 자동적 사고 -> 핵심 및 중간신념 -> 스키마
- 스트레스 사건 그 자체가 아닌 관련된 사고가 행동과 정서를 초래함을 인식
- 역기능적 신념에 대한 논박(논리적, 현실적, 실용적)
- 역기능적 신념을 탐색 / 합리적인 신념으로 대체하기 위한 방안 탐색
- 인지적 재구조화 과정을 위한 다양한 실습 방법 -> 사고기록지,
-
2) 체험적 정서조절(감정을 자각하고, 이를 표현하는 과정 전반을 강조)
-정서조절: 정서의 자각, 이해, 수용, 재경험 과정 등을 포괄하는 개념
- 빈의자 기법,
- (정서조절) 정서조절방략검사
- (정서인식) - 감정을 명확하게 언어화하는 것. 정서 맞추기 퀴즈즈, 감정 일기, 감정 명명, 감정카드
- ? 감정파이 ?
- ? 나의 감정날씨 ?
- ? 감정 보드게임 - 하트로 가는 신나는 여행 ?

- ? 감정코칭 전문강사 자격과정 매뉴얼 ?

----
스트레스에 대한 관점
스트레스는 생존 혹은 개인의 성장을 위해 필연적이며, 피할 수 없는 것.
스트레스에 의한 심리적 고통은 과도한 스트레스 때문인가? 스트레스에 대한 부적절한 대처 때문인가?
스트레스에 적절히 대처하는 방법, 효과적으로 관리하는 방법의 중요성 강조

----
대학생이 스트레스에 취약할 수 밖에 없는 이유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은 대인관계의 어려움
자아정체성 형성 시기의 부재
경쟁, 성과주의 문화 -> 타인의 고통과 어려움에 공감하기보다 개인의 고통과 어려움에 몰입 / 혼자
스스로 생존해야 한다는 압박감

3. 행동적 접근
YQMT 청소년용 현실치료 집단상담 프로그램(김인자, 1996)
QMT 일반용 현실치료 집단상담 프로그램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