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2

저는 자기관리는 크게 외적 자기관리와 내적 자기관리의 두 종류로 나뉜다고 생각합니다.

외모 단장,
청결, 옷차림 등과 같은 유형(有形)의 항목들은 외적 자기관리에 해당됩니다. 내적 자기관리의
대상으로는 지식, 자존감, 배려심, 도덕성 등 무형(無形)의 존재를 예시로 들 수 있습니다.

또한 저는 내면의 아름다움이 비로소 외면에 투영되는 것이라고 봅니다. 실제로 내적 견고함을


갖추었다고 해서 외적인 요소가 극적으로 바뀌지는 않습니다만, 그 사람이 풍기는 특유의 ‘아우라
(aura)’, 즉 분위기에는 영향을 미친다고 생각합니다. 지성미, 인성, 신념, 자신감 등의 요소로부터
축적되는 내면의 단단함은 곧 태도와 행동, 어조 등 우리가 눈으로 확인할 수 있는 행위들로
나타나고, 이는 개개인 고유의 아우라를 창출해냅니다. 이러한 아우라는 아무리 외모 단정에 힘쓴다
하더라도 자아(自我)를 가꾸지 않는 이상 풍기기 어려운 것이죠.

이에 대해 저는, 명상을 대표적인 내적 자기관리 수단 중 한 종류임에 동의합니다. 독서를 통한 지식


축적, 가치관 확립 등도 내적미에 높이 기여하는 수단들이지만, 명상과 요가, 마음챙김과 같은 동양의
수행법은 인간의 내면 전체를 아우르는 역할을 한다고 생각합니다. 바로 내면의 평화를 찾아 주기
때문이죠. 저는 이를 위한 과정을 3 단계로 분류하겠습니다. 첫번째 단계인 ‘불안의 직면’은 말그대로
마음 속에 존재하는 불안을 인지한 상태입니다. 미래에 대한 불확실성으로부터 오는 걱정은 잔잔한
내면의 호수에 파장을 불러 일으키는데, 이 파장을 인지하는 상태를 전제조건으로 다음 단계인 ‘해소’
로 넘어가게 됩니다. 불안의 해소에서 제일 크게 작용하는 것이 바로 위의 수행법입니다. 그 예시로
명상은 우리로 하여금 현재의 경험에 집중하고, 특정 무언가의 실제를 ‘있는 그대로의 상태’로 보게
합니다. 그리하여 우리는 과거의 후회와 미래의 걱정으로 인한 불안을 순순히 받아들이고, 현재에
집중하게 되는 것이죠. 따라서 우리는 마지막 단계인 ‘내적 평화’ 상태에 돌입할 수 있게 됩니다. 내적
평화, 영어로는 ‘이너 피스(Inner Peace)’라고도 하죠. 애니메이션 영화 ‘쿵푸팬더’를 본 적이 있다면
기억에 남는 단어일 텐데요, 시푸 사부가 항상 언급했던 개념입니다. 사전적 정의로는 스트레스나
불안감 따위 없이 마음에 평화가 깃들어 있는 상태를 말합니다. 이 같은 내면의 평화는 곧 내면의
안정으로 이어집니다. 마음이 안정적인 상태에서 우리는 우리 자신을 돌아볼 여유가 생기고, 이는
자아성찰로 발전하게 되어 우리를 한 층 더 발전한 사람으로 만들어 줍니다. 즉, 이런 일련의 과정을
겪음으로써, 내적 성숙을 일구어 내는 것이죠.

따라서 위의 근거들을 바탕으로 동양의 수행법은 효과적인 자기 관리의 수단이 될 수 있다고 보는


입장입니다. 이상입니다!

이들 명상 전문가가 말하는 마음챙김이 필요한 이유와 효과는 무엇일까. 먼저 붓다 락키타 스님은 ‘


우리가 보는 것’의 실제를 설명했다. 그는 “물이 반이 담긴 컵을 똑같이 보고도, 한 사람은 ‘반이나
남았다’라고 안심하는데, 다른 사람은 ‘반밖에 안 남았잖아’라며 아쉬워할 수 있다”며 “위파사나는
더하지도 빼지도 말고 실제를 있는 그대로 보자는 것인데, 이는 ‘지켜볼 수 있는’(마음챙김) 힘이 있을
때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그는 “마음이 경험하는 대상이 우리가 사는 세계”라고 말했다. 우리가 아는
세계는 실제 세계가 아니라 자기 마음이 경험하는 세계라는 것이다. 그는 “(마음챙김 없이 사물을
보면) 마음이 덧붙이고 꾸미고 의미를 부여해 착각하고 왜곡하고 미혹하게 된다”고 말했다.

서광 스님도 ‘마음챙김’이 필요한 이유로 ‘인지 왜곡’을 들었다. 그는 “우리가 일상적으로 경험하는
인지, 지각, 정서는 왜곡되거나 치우쳐 있기에 고통과 갈등을 유발한다”며 “마음챙김은 왜곡과 편견을
줄이는 정신훈련”이라고 말했다. 그는 “생각의 렌즈를 거치지 않는 직접적 경험을 위해 현재 순간에
몸과 마음에서 일어나는 것을 있는 그대로 알아차림으로써 고통을 소멸시킬 수 있다”고 설명했다.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