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4

20년 9월 30일 월요일

Part 5. 통합적 상담

Chapter 14. 다중양식치료(MMT: multimodal therapy)

내담자 문제의 다양한 양식을 치료하고자 기존의 다양한 치료이론에서 효과적이라고 밝혀진 치료기법들
을 자유롭게 차용해서 치료하는, 기법적으로 절충주의적인 치료법이다.

내담자가 사고방식에 문제가 있다면 인지적 치료기법을, 정서에 문제가 있다면 정서중심적 치료기법을, 신
체적인 증상이 문제가 된다면 운동이나 음식 조절을 중심으로 하는 치료기법을 사용한다는 것이다.

아놀드 라자러스(Arnold Lazarus)

행동주의 치료(behavior therapy)에서 시작했으나 그 한계를 깨달아 치료적 관점을 인지행동치료적 치


료로 확장시켜 개발한 통합적 치료기법.

결국, 치료에서 중요한 것은 이론보다 기법이라는 것을 깨닫고 이론에 구애되지 않고 다양한 이론에 효과
적인 기법들을 활용하게 되었다. 다중양식치료는 내담자의 문제에 따라 가장 효과적이라고 알려진 최선의
치료기법들을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는 치료체계이다.

BASIC ID 모델

다중양식치료는 다양한 심리적 측면(이를 양식, modality라고 부름), 즉 행동(B, behavior), 정서(A,
affect), 인지(C, cognition) 뿐 아니라 감각(S, sensations), 심상(I, images), 대인관계(I,
interpersonal relations), 신체생물학적 요소(D, drugs)를 평가하고 치료한다.

인간의 일곱가지 기능 영역을 잘 다룰 수 있는 상담기법들을 이론과 관계없이 차용하여 효과적으로 상담을


이끌어 가야 한다는 것.

라자러스의 생애와 다중양식치료의 발전

• 1932년 남아공 요하네스버그 중산층 가정에서 출생.

• 임상심리학 전공(당시 학문적 토대는 정신역동적 및 인간중심적 이론), 조셉울프의 행동치료에 근거한
조건형성 기법, 런던의 말보로 병원 인턴생활 통해 아들러의 개인심리학적 접근

• 그는 인간발달이나 조건형성을 완벽하게 설명하는 하나의 심리치료이론은 존재하지 않으며, 행동주의


치료를 받은 내담자들을 상대로 추후 조사를 실시한 결과 많은 경우 문제행동이 재발되는 것을 발견했지
만, 반면, 행동주의와 인지주의 기법을 병행한 심리치료를 받았을 경우에는 치료 효과가 보다 오래 지속
되는 것을 깨달았다.

• 1970년대 초반, 그는 포괄적이면서도 체계적인 인지행동주의 기법들을 소개했고, 치료효과가 지속되려


면 행동이나 인지뿐만 아니라 인간의 전체적인 영역이 강조되어야 한다고 주장하면서 그 결과 인간 성격
의 모든 영역을 포괄하는 7가지 양식으로 구성된 다중양식 심리치료를 발전시켰다.

1
 
 
 
 
20년 9월 30일 월요일
그의 치료적 관점을 계속 발전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심리치료자의 역할을 새롭게 보고 있다. 예를 들면 그
는 내담자와 함께 테니스를 치거나 점심식사를 하며, 내담자와 치료자 간의 벽을 허물었던 어떤 내담자는
치료효과를 더 보인다고 주장한다.

[행동치료를 넘어서(Behavior Therapy and Beyond)] 라는 인지행동치료에 관한 책

주요개념
1. 기술적 절충주의

기술적 절충주의란 이론에 크게 신경 쓸 필요 없이 여러 다른 치료 이론으로부터 필요한 치료기법


들을 자유롭게 선택하여 적용하는 것을 말한다. 기술적 절충주의의 특징은

(1) 내담자의 문제를 해결하기에 적합한 하나의 치료이론을 선택한다.

(2) 다른 이론에서 사용하는 치료기법들을 추가로 동원하여 치료의 효과를 높인다.

(3) 치료기법들은 경험적 연구를 통하여 효과가 입증된 것이어야 한다.

다중양식치료는 그 자체로 완결된 하나의 치료적 접근법이라기보다 여러 가지 치료이론과 치료기법을 통


합하기 위한 하나의 체계라고 하는 편이 옳다.

2. 치료의 첫 단계 - 7가지 양식: BASIC ID 에 대한 종합적인 평가

• 행동(Behavior): 관찰 가능한 활동과 습관

• 정서(Affect): 기분과 정서

• 감각(Sensation): 감각경험(촉각, 미각, 후각, 시각, 청각) 및 신체적인 고민

• 심상(Image): 환상, 꿈, 기억, 자신/자신의 삶/미래에 대한 이미지

• 인지(Cognitions): 사고, 신념, 철학, 가치관, 계획, 의견, 통찰, 혼잣말

• 대인관계(Interpersonal relations): 친구관계 및 친밀관계, 타인과의 상호작용

• 약물, 생리(Drugs, biology): 넓은 의미에서의 생리적 기능(건강 상태, 영양 상태, 운동, 청결 관리 등)

3. 점화순서(firing order)

개인마다 스트레스 상황에서 7가지 양식이 반응하는 순서가 다르다.

4. 다리놓기(bridging) & 추적하기(tracking)

다리놓기란 치료자가 처음으로 내담자에게 다가가는 것을 말한다. 치료자는 내담자의 7가지 양식

중 어느 양식이 가장 잘 기능하는지를 파악하고, 이 양식에 적합하게 내담자에게 다가가서 rapport

를 맺어야 한다. 추적하기(tracking)이란 여러 양식의 ‘점화 순서’를 면밀히 추적하여 이 점화 순

서에 맞게 치료적 기법의 순서를 맞추어 따라가는 것을 말한다.

각 양식별 치료목표
• 행동: 비효과적인 행동 포기하기, 원하는 행동 행하기, 불필요하고 비합리적인 회피행동을 중지하기,
현실적인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효과적인 행동하기

• 정서: 감정을 인정하기, 감정을 명료화시키기, 감정을 수용하기, 불쾌한 감정에 대해 대처하기, 긍정적
인 감정 향상시키기, 고통스러운 경험과 감정을 상세히 이야기하기

 




20년 9월 30일 월요일
• 감각: 긴장 이완하기, 감각 즐기기, 긍정적/부정적 감각 인식하기, 고통을 인내할 수 있는 경계 수준 향
상시키기

• 심상: 효과적인 대처심상 개발하기, 자기 이미지 향상시키기, 자신의 심상과 교류하기

• 인지: 자신의 인지 인식하기, 문제해결기술 향상시키기, 자기패배적이고 경직된 신념 수정하기, 유연하


고 현실적 사고 향상시키기, 자기수용하기, 잘못된 정보 교정하기, 부족한 정보 제공하기

• 대인관계: 다른 사람들을 판단하지 않고 수용하기, 유용한 대인관계기술 모방하기, 건강하지 못한 융합


관계 중단하기, 자기주장기술 향상하기, 의사소통기술 향상하기, 사교적 기술 향상하기

• 약물/생리: 균형 잡힌 영양 섭취하기, 운동하기, 약물남용 중단하기, 절주, 신체적 장애에 대한 치료받


기, 정신장애에 대한 치료받기’

치료원리 ‘진실한 카멜레온’


다중양식치료는 ‘맞춤치료(bespoke therapy)’이다. 각 내담자의 문제나 요구에 따라 치료의 종류, 진행방
식, 보조적 치료기법은 달라질 수 있으며, ‘특정 상황에서 특정 개인에게 가장 잘 맞는 치료자와 치료기법
이 있다’는 기본적인 가정에서 출발한다. 또한 치료자 개인의 융통성, 가변성 및 기법적인 절충주의가 강조
되며, 라자러스는 치료자를 ‘진실한 카멜레온’이라고 표현한다.

다중양식치료와 인지행동치료 및 합리적 정서행동치료와 공통점

(1) 내담자 대부분의문제는 잘못된 사회학습과정에서 발생한다고 가정한다.

(2) 치료자-내담자 관계는 의사-환자 관계가 아닌 코치-훈련생의 관계이다

(3) 치료효과가 치료실 밖의 일상적 환경으로 전이 되기 위해서는 계획적으로 구조화된 과제부여가 필요


하다

(4) 정신과적 진단명칭은 외현적 행동을 토대로 조작적으로 정의되어야 한다

치료과정

• 치료자는 초기평가에서 내담자가 어떤 것을 해소하고 싶어 하는지를 잘 살펴야 한다.

• 치료자는 내담자의 강점과 긍정적 특성이 무엇인지도 파악하는 편이 좋다.

• 초기면담에서 구체적인 개입이 이루어지는 경우도 많을 정도로, 단기치료를 지향한다.

• 완전한 평가가 이루어질 때까지 기다릴 필요 없이 치료작업을 시작해도 된다.

• ‘다중향식 생애질문지’를 배부하여 내담자의 호소문제의 선행사건, 문제 유지 요인이 무엇인지를 질문


한다.

치료기법

다중양식치료는 내담자가 흔히 여러 가지 특수한 문제로 고통을 당하므로 치료 역시 여러 가지 특수한 방


법으로 이루어져야 한다는 기본 전제를 가지므로, 내담자가 제시하는 주요 호소문제를 나름대로의 이론적
틀에 의해 개념화하여 내담자의 특성과 문제유형에 따라 가장 적합한 치료적 기법을 적용한다.

• 행동: 행동시연, 빈 의자 기법, 자기노출, 고정역할치료, 모델링, 역설절 의도, 심리극, 정적 및 부적 강


화, 반응방지, 위기수용훈련, self-monitoring 기록, 자극통제, 수치심 공격하기, 소거, 역조건형성, 처

• 정서: 감정의 발산, 분노표현, 불안/분노조절, 감정확인하기, 감정의 수용

• 감각: 바이오피드백, 최면, 명상, 긴장이완훈련, 감각확인훈련, 감각적 쾌감 유도

20년 9월 30일 월요일


• 심상: 반미래적 충격 심상, 연합 심상, 혐오 심상, 대처 심상, 내파와 상상적 노출, 긍정적 심상, 합리적
정서적 심상, 시간투사 심상, 자기상의 변화, 대안적 심상 유도

• 인지: 독서치료, 왜곡된 추론 도전하기, 인지적 리허설, 대처방법 서술하기, 잘못된 정보 수정하기, 비
합리적 신념 논박하기, 초점 맞추기, 긍정적 자기진술, 문제해결훈련, 부족한 정보 제공하기, 합리적 전
향, 자기수용 훈련, 사고중지법, 인지재구성

• 대인관계: 자기주장훈련, 의사소통훈련, 계약하기, 고정역할치료, 우정/친밀감 훈련, 점진적 성적 접


근, 역설적 의도, 역할놀이, 사회기술훈련, 모델 따라하기, 불필요한 대인공포 제거

• 약물/생리: 물질남용 중단 프로그램, 생활패턴 변화(운동, 영양 등), 의사나 다른 전문가에게 의뢰하


기, 금연 프로그램, 체중 조절 프로그램, 운동, 영양 섭취, 향정신성 약물의 사용

치료기법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