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5

2023-1학기 예술치료와정신건강 수업자료2

Ⅰ. 미술치료

1. 미술치료의 개념
1) 심신의 어려움을 겪고 있는 대상자에게 미술활동을 통해 심리를 진단하고 치료하는 활동
2) 예술의 영역과 심리/의학이 결합된 학문으로 프로이드와 융의 영향으로 현대정신의학과 함께 성장
3) 1940년대 미국에서 본격적으로 시작
4) 미술치료는 시각 매체인 미술과 치료라는 두 영역의 만남으로 이루어진 학문

2. 미술치료 학자들의 견해
학자 입장 견해
Ulman 통합 ⦁치료와 창조의 개념으로 미술과 치료의 두 측면 모두 중요
⦁치료로써의 미술
Kramer 미술을 중시 ⦁미술작업 자체가 치료가 될 수 있다는 입장
⦁Art as therapy
⦁도구로써의 미술
Naumburg 치료에 중점 ⦁미술은 심리치료과정에서 유용한 매체로 이용
⦁Art in therapy

3. 미술치료의 3요소
1) 미술치료사
2) 미술치료 매체
3) 대상군

4. 미술치료의 특징
1) 심상의 표현
2) 내담자의 방어를 감소
3) 구체적인 유형의 결과물
4) 자료의 영속성과 회상
5) 공간성을 지님
6) 창조성과 신체적 에너지 유발

- 1 -
5. 미술치료 매체의 종류

매체 특징
드로잉 연필, 색연필, 수성색연필, 사인펜, 매직, 목탄, 파스텔, 오일 파스텔, 크레용, 크레파스 등
페인트 수채물감, 아크릴 컬러, 유화물감, 포스터칼라, 마블링 물감, 먹물 등
선재(모루, 리본끈, 노끈 철사, 낚시줄, 빵끈), 발포석고, 벽돌, 우드락, 폼보드, 스티로폼,
건식
입체재료 상자, 성냠개비, 이쑤시개, 빨대, 수수깡, 반짝이, 스팽글 등
습식 찰흙, 지점토, 종이죽, 데코레이션 점토, 유토, 클레이(천사점토), 석고, 석고붕대
자연재료 자연물, 곡식, 열매, 나뭇가지, 나뭇잎, 꽃, 조개, 자갈, 돌 등
비정형매체 면도크림, 비눗물, 생크림, 밀가루, 밀가루 풀, 전분, 바세린, 모대, 색모래, 모양 틀, 소금 등
도화지, 색지, 복사용지, 화선지, 한지, 장지, 섬유, 수채화용지, 모눈종이, 하드보드지, 포장지, 셀로
바탕재료
판지, 사포, OHP필름, 알루미늄호일, 색종이, 골판지, 습자지, 화장지, 천, 잡지 등
붓, 팔레트, 화판, 물통, 이젤, 점토 자르는 줄칼, 점토용 주걱, 나무망치, 가위, 풀, 본드, 스카치
도구
테이프 등

6. 미술치료 매체 활용시 유의점


1) 내담자가 선택하기 쉬워야 함
2) 내담자가 욕구와 치료목표에 타당하고 적합한 재료이어야 함
3) 주변에서 구하기 쉽고 언제든지 사용할 수 있으며, 적은 경비로 구입할 수 있는 재료이면 더욱 좋음
4) 폐품을 활용함
5) 재료의 질이 좋아야 함
6) 변화를 주어야 함
7) 안정성과 청결함을 갖추어야 함
8) 내담자의 기술로는 완성할 수 없는 것은 피하도록 함

7. PITR(Person In The Rain)


1) Anload Abrahams와 Abraham Amchin이 고안
2) 그림 속에 그려진 사람은 자화상과 같은 역할
3) 비는 어떠한 외부적 곤경이나 스트레스 환경을 상징
4) 인물화 검사를 기본으로 하여 비가 내리는 장면을 중심으로 대상자 본인의 다양한 정보를 제공
5) 현재 겪고 있는 스트레스의 정도와 대처능력을 파악
6) 그림을 그리는 사람이 외부의 자극이나 스트레스에 얼마만큼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는지 추측

- 2 -
Ⅱ. 사진치료

1. 사진치료의 개념
1) 사진기술이 발달하고 사진의 창작활동과 관련된 비용이 인하되어 사진이 대중화되면서 1970년대 본격적으
로 사진을 심리치료에 적용하기 시작
2) 사진치료는 사진을 찍거나 사진을 활용하여 창작하거나 사진을 보는 과정에서 치료사가 대상자의 문제를
진단 → 대상자 또한 자신의 증상을 알면서 치료가 가능
3) 사진은 접근이 용이한 매체로써, 셔터를 누르는 것만으로 창작활동이 가능하여 창작에 대한 두려움을 없앨
수 있는 치료적 매개효과를 지님

2. 사진치료의 3요소: 1) 사진치료사, 2) 사진치료 매체, 3) 대상군

3. 사진치료의 치료적 요인

1) 사진매체의 심리적 요인

요인 특징
⦁사진의 매체적 특성은 현실에 대한 직접적이고 정확함을 근거로 한 사실성
⦁매체가 주는 사실성의 속성은 사진을 보는 사람들에게 쉽게 신뢰감을 형성
⦁사진매체가 주는 신뢰감은 치료사와 내담자 사이에 긍정적인 라포를 형성하는데 도움을
신뢰감 형성
줄 수 있고, 또한 대상자로 하여금 자신의 현실을 직시할 수 있도록 함
⦁일반적으로 심리치료를 요하는 대상자의 경우, 대부분의 문제는 자신의 현실을 제대로
지각하지 못하는 데서 기인함
⦁인간은 언어로 기억하기보다 시각적 이미지로 기억하며, 이미지를 통해 시각적 사고를 함
기억의 재생 ⦁사진은 인간의 시각적 사고에 도움을 주어 기억을 쉽게 재생할 수 있도록 도움
⦁인간의 경험이 이미지로 저장되고 비슷한 형태의 이미지를 볼 때 경험이 다시 재생
⦁사진을 창작하는 과정이나 사진을 보는 활동은 사진의 자극을 받아들이고 저장, 인출하는
일련의 정신적 과정
인지방식의 표출 ⦁사람들의 고유한 인지방식을 표출
⦁사진을 볼 때 자신의 의식과 무의식을 투사해서 그 사진을 보기 때문에 자신의 인지방
식의 표출이라고 할 수 있음

2) 이미지의 치료적 요인
⦁창작활동을 통한 정화와 승화보다는 대상자의 무의식이 시각예술과 상징적 관계를 맺고 있다는 것에 더 큰
의미를 둠
3) 사진매체의 도구적 역할
⦁사진은 치료적 도구로써의 가치는 사진 그 자체는 어떤 사실이나 진실을 말하지 않지만, 사진은 상징을 제
공해 주고 함께 토의할 수 있는 가능성의 세계로 안내하는 역할을 함
⦁치료사와 대상자는 사진치료 활동을 통해 함께 치료 작업을 할 수 있음

- 3 -
Ⅲ. 문학치료

1. 문학치료의 정의
▶ 미국문학치료학회(National Association for Poetry Therapy : NAPT)

문학치료는 마음을 돌보기 위하여 문학이 주도적으로 혹은 부수적으로 사용되는 통합적 치료방법, 문학치료
사는 참여자들에게 글쓰기 작업을 통하여 자신의 문제를 알게 하고 진솔한 감정을 표현하게 함. 그리하여
자신의 삶을 변화 시킬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이 궁극적인 목표임

2. 문학치료의과정: 4단계의 과정
1) 도입 단계: 책을 읽거나 글을 쓰게 하고 쓴 것을 이야기 하게 한다. 그 외에도 그림을 그리거나 음악, 영화
등의 대상물을 이용해도 좋다. 치료자는 참여자를 주의 깊게 관찰하고 기록해야 함.
2) 작업 단계: 참여자의 의사, 증상이나 질병에 따라 문학을 선정하여 읽어 주거나, 읽게 하거나, 연극 등을 연
행하게 한다. 문학을 통해 이야기 나누고 문제성을 치료사와 참여자가 같이 인식한다.
3) 통합 단계: 통합 단계에서는 많은 모호한 상징들이 구체적인 체험으로 바뀐다. 그러면서 정서적으로 과거를
이해하고 새로운 면을 통찰하기도 함.
4) 새 방향 설정 단계: 통합 단계를 거친 참여자는 새로운 문제에 직면하게 된다. 치료사는 참여자가 새로운
방향을 설정할 수 있도록 도와주어야 함.

3. 문학치료의 장점
⦁문제 해결을 위한 현실적인 태도 변화를 유발한다.
⦁감동을 시켜 인격을 조정하고 변화시킨다.
⦁감정과 체험의 결과를 표현하도록 유도한다.
⦁자신의 특성과 행동양식을 인식시킨다.
⦁새로운 체험을 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인성을 강화하거나 제한한다.
⦁치료사와 참여자의 관계를 원활히 한다.

4. 문학치료의 매체
1) 독서치료: 시/문학 텍스트에 자신의 깊은 내면을 비춰 반향을 얻는 작업
2) 시/쓰기치료: 능동적이고 적극적인 글쓰기가 중심에 있는 영역
3) 이야기치료: 참여자의 정보를 얻는데 가장 좋은 수단
4) 드라마 치료: 드라마의 개입을 통해 내면적·행동적 변화를 일으키는 것

- 4 -
Ⅳ. 영화치료

1. 영화치료의 정의
⦁1990년 Linda Berg-Cross, Pamela Jenning & Rhoda Baruch에 의해 처음으로 사용. 이후 영화치료는
1990년대에 미국을 중심으로 사회복지, 간호, 임상심리학 전문가들이 집단 상담이나 부부상담 등에 영화를
활용하는 방법들을 모색
⦁Gary Solomon(1995)은 영화치료를 ‘치유적 과정을 위해 내담자에게 영화를 처방하는 과정’이라고 정의
⦁Wolz(2006)는 영화가 심리치료적 도구로 사용되었을 때 치유와 변화가 일어날 수 있는 도구

2. 영화치료의 종류
1) 자기 조력적 영화치료(Self-help Cinema therapy)
:영화치료는 영화 텍스트와 독자의 자발적 작용을 통하여 치료가 일어남. 영화치료자의 개입 없다 해도 일상
에서 많은 사람이 영화를 보고 정서적 카타르시스를 경험한다. 1995년 <영화 처방전>을 쓴 영화치료의 선구
자 게리 솔로몬은 우리가 이미 우리의 삶에서 스스로를 돕기 위해 영화를 활용하고 있으며, 따라서 영화치료
는 이미 일상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자기조력적 영화치료이라고 주장함.

2) 상호작용적 영화치료(Interactive Cinema therapy)


:상호작용이란 영화치료의 텍스트와 내담자 간 상호작용과 내담자와 영화치료자 간 상호작용 모두를 말함. 영
화 역시 내담자와 영화치료자의 촉진적 상담관계에서 사용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임. 이 치료법에서는 영화
치료자의 역할은 영화를 보고 내담자의 치료 작용이 활발하게 일어날 수 있도록 개입하는 것임.

3) 표현 영화치료
:이 기법은 크게 동영상을 제작하는 비디오테라피와 영화 만들기로 나눌 수 있음.

3. 영화치료의 장점
1) 집단상담시 영화 활용의 장점
⦁집단원 상호간에 에너지를 주고, 토론을 활성화
⦁대인관계의 상대성과 왜곡을 한눈에 조망
⦁소속감과 동료의식, 자신과 타인이해, 다양한 성격체험
2) 영화치료의 3요소: 영화치료자, 내담자, 멀티텍스트(영상과 청각정보)

4. 영화치료의 기법: 동일시, 공감 또는 감정이입, 투사, 관찰학습, 거리두기

- 5 -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