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69

2007학년도 석사학위 논문

음악치료가 알코올중독 환자의


분노조절에 미치는 영향

한 세 대 학 교 대 학 원

음 악 치 료 전 공

김 수
음악치료가 알코올중독 환자의

분노조절에 미치는 영향

지도교수 정 지 영 교수

공동지도교수 김 서 규 교수

이 논문을 석사학위논문으로 제출함

2007년 12월

한 세 대 학 교 대 학 원

음 악 치 료 전 공

김 수
김 수의 석사학위 논문을 인준함

심사위원장

심사위원

심사위원

한 세 대 학 교 대 학 원

2007년 12월
목 차

국문초록 ․․․․․․․․․․․․․
․․․․․․․․․․․․․․․․․․․․․․․․․․․․․․․․․․ Ⅴ

Ⅰ. 서 론 ․․․․․․․․․․․․․․․․․․․․․․․․․․․․․․․․․․
․․․․․․․․․․․․․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 1

2. 연구가설 ․․․․․․․․․․․․․․․․․․․․․․․․․․․․․․․
․․․․․․․․․․․ 4

3. 용어의 정리 ․․․․․․․․․․․․․․․․․․․․․․․․․․
․․․․․․․․․․․․․ 5

Ⅱ. 이론적 배경 ․․․․․․․․․․․․․․․․․․․․․․․․․․․․․․․․․․․․․․․․․ 8

1. 알코올중독 ․․․․․․․․․․․․․․․․․․․․․․․․․․․
․․․․․․․․․․․․․ 8

1) 알코올중독의 정의 ․․․․․․․․․․․․․․․․․․
․․․․․․․․․․․․․ 8

2) 알코올중독의 원인 ․․․․․․․․․․․․․․․․․․
․․․․․․․․․․․․․ 9

3) 알코올중독의 특성 ․․․․․․․․․․․․․․․․․․
․․․․․․․․․․․․․ 11

2. 분노 ․․․․․․․․․․․․․․․․․․․․․․․․․․․․․․․․
․․․․․․․․․․․․․ 12

1) 분노의 정의 ․․․․․․․․․․․․․․․․․․․․․․․․
․․․․․․․․․․․․․ 12

2) 분노의 원인 ․․․․․․․․․․․․․․․․․․․․․․․․
․․․․․․․․․․․․․ 14

3. 알코올중독 환자의 분노와의 관계 ․․․․․․


․․․․․․․․․․․․․ 16

4. 분노조절을 위한 음악치료 ․․․․․․․․․․․․․․․․․․․․․․․․․ 18

- i -
Ⅲ. 연구방법 ․․․․․․․․․
․․․․․․․․․․․․․․․․․․․․․․․․․․․․․․․․․․․ 26

1. 연구대상 ․․․․․․․․․․․․․․․․․․․․․․․․․․․․․․․․․․․․․․․․․․ 26

2. 음악치료 프로그램 ․․․․․․․․․․․․․․․․․․․․․․․․․․․․․․․․․ 27

3. 측정도구 ․․․․․․․․․․․․․․․․․․․․․․․․․․․․․․․․․․․․․․․․․․ 28

4. 연구설계 ․․․․․․․․․․․․․․․․․․․․․․․․․․․․․․․․․․․․․․․․․․ 29

5. 절차 ․․․․․․․․․․․․․․․․․․․․․․․․․․․․․․․․․․․․․․․․․․․․․․ 30

Ⅳ. 연구결과 ․․․․․․․․․
․․․․․․․․․․․․․․․․․․․․․․․․․․․․․․․․․․․ 32

1. 가설 1의 검정 ․․․
․․․․․․․․․․․․․․․․․․․․․․․․․․․․․․․․․ 32

2. 가설 2의 검정 ․․․
․․․․․․․․․․․․․․․․․․․․․․․․․․․․․․․․․ 34

3. 가설 3의 검정 ․․․
․․․․․․․․․․․․․․․․․․․․․․․․․․․․․․․․․ 40

Ⅴ. 결론 및 논의 ․․․․․․․․․․․․․․․․․․․․․․․․․․․․․․․․․․․․․․․․ 48

1. 결론 ․․․․․․․․․․․․
․․․․․․․․․․․․․․․․․․․․․․․․․․․․․․․․․ 48

2. 연구의 제한점 및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 ․․․․․․․․․․․․ 50

참고문헌 ․․․․․․․․․․․․․․
․․․․․․․․․․․․․․․․․․․․․․․․․․․․․․․․․ 52

Abstract ․․․․․․․․․․․․․․․․․․․․․․․․․․․․․․․․․․․․․․․․․․․․․․․ 57

부록 ․․․․․․․․․․․․․․․․
․․․․․․․․․․․․․․․․․․․․․․․․․․․․․․․․․․․ 59

- ii -
표목차

표 1. 음악치료 활동의 구조 ․․․․․․․․․․․․․․․․․․․․․․․․․․․․․․ 27

표 2. 음악치료 프로그램 전체 구성 ․․․․․․․․․․․․․․․․․․․․․․․ 27

표 3. 분노의 하위영역별 문항구성 ․․․․․․․․․․․․․․․․․․․․․․․․ 29

표 4. 사전 사후 특성분노 ․․․․․․․․․․․․․․․․․․․․․․․․․․․․․․․․ 32

표 5. 사전 사후 상태분노 ․․․․․․․․․․․․․․․․․․․․․․․․․․․․․․․․ 34

표 6. 사전 사후 내적상태분노 ․․․․․․․․․․․․․․․․․․․․․․․․․․․․ 36

표 7. 사전 사후 외적상태분노 ․․․․․․․․․․․․․․․․․․․․․․․․․․․․ 38

표 8. 사전 사후 분노표현방식 ․․․․․․․․․․․․․․․․․․․․․․․․․․․․ 40

표 9. 사전 사후 분노통제 ․․․․․․․․․․․․․․․․․․․․․․․․․․․․․․․ 42

표 10. 사전 사후 분노표출 ․․․․․․․․․․․․․․․․․․․․․․․․․․․․․․․ 44

표 11. 사전 사후 분노억제 ․․․․․․․․․․․․․․․․․․․․․․․․․․․․․․ 46

- iii -
그림목차

그림 1. 특성분노의 사전 사후 측정 그래프 ․․․․․․․․․․․․․․․․ 33

그림 2. 상태분노의 사전 사후 측정 그래프 ․․․․․․․․․․․․․․․․ 35

그림 3. 내적상태분노의 사전 사후 측정 그래프 ․․․․․․․․․․․․ 37

그림 4. 외적상태분노의 사전 사후 측정 그래프 ․․․․․․․․․․․․ 39

그림 5. 분노표현방식의 사전 사후 측정 그래프 ․․․․․․․․․․․ 41

그림 6. 분노통제의 사전 사후 측정 그래프 ․․․․․․․․․․․․․․․․ 43

그림 7. 분노표출의 사전 사후 측정 그래프 ․․․․․․․․․․․․․․․․ 45

그림 8. 분노억제의 사전 사후 측정 그래프 ․․․․․․․․․․․․․․․․ 47

- iv -
국문초록

이 연구는 알코올중독 환자들을 대상으로 음악치료 프로그램을 시행

하여 환자들의 분노조절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한 것이다. 연구는

2007년 7월 6일부터 2007년 9월 21일까지 주1회(50분) 총 12회기로 경기

도 G시 소재 G병원에서 시행되었다. 대상의 선정은 알코올 중독으로 진

단받은 환자 중 의사소통 및 노래 부르기가 가능하고, 청각장애를 비롯한

다른 신체적 장애가 없으며, 악기활동에 지장이 없고, 현재 알코올 이외에

는 다른 정신과적 질환을 가지고 있지 않으며, 언어적 혹은 신체적인 공

격행동경험이 있는 자 16명이었다.

연구 설계법은 음악치료를 시행한 8명의 실험집단과 다른 8명의 통제

집단의 사전 사후로 분노조절에 대해 스필버거(Spielberger, 1988)의 상태

-특성 분노 표현척도(STAXI; State-Trait Anger Expression Inventory)

를 한국의 실정에 맞게 표준화한 한국판 STAXI(전겸구, 1997)척도로 측

정하였다. 음악치료는 주1회(50분) 총 12회기로 즉흥연주, 악기연주, 노래

부르기, 음악 감상, 노래 만들기로 구성하였다.

이 연구의 목적은 음악치료가 알코올중독 환자의 특성분노에 영향을

미칠 것이고, 상태분노에 영향을 미칠 것이고, 분노표현방식에 영향을 미

칠 것이라는 세 가지 가설 하에 수립되었다.

연구 결과 음악치료가 알코올중독 환자의 분노조절에 효과가 있는 것

을 알 수 있었고, 분노조절을 위한 연구가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 v -
Ⅰ. 서 론

이 장에서는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연구가설, 용어의 정리를 제시하

였다.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한국 성인 인구의 음주율은 현재에도 점차 증가되고 있는 실정이며

음주와 관련된 이차적 문제들 또한 심각한 수준에 이르고 있다. 알코올중

독 환자들은 만성적인 음주로 인해 사회적, 직업적 기능장애를 초래하고,

신체질환이 생기거나 더 악화될 수도 있다는 것을 알고 있음에도 불구하

고, 알코올 섭취량을 줄이거나 끊을 수가 없어 거의 매일 마셔야 하는 사

람들이다. 한국에서 알코올 남용의 평생 유병률은 12%, 알코올 의존은

10%로서, 알코올 중독에 대한 평생 유병률은 모두 22%나 된다(Lee,

1987).

알코올 중독의 원인에 대하여 명확히 밝혀져 있지는 않지만 다양한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것은 사실이라고 말할 수 있다. 크게 심리학

적, 생물학적, 사회문화적 측면에서 살펴볼 수 있다(김기태, 2005). 그 중

에서 알코올 중독이 되기까지 가장 높은 음주 동기는 심리학적 측면에

속하는 부정적 정서를 처리하기 위해서이다(Carey & Correia,. 1997;

Cooper, Russel, Skinner, J & Windle, M. 1992; 김혜성, 2006 재인용). 이

러한 여러 가지 부정적 정서 중 알코올중독 환자들이 경험하는 분노는

- 1 -
가장 많은 71%의 비율을 차지하고 있다(김길숙, 1998). 분노는 술을 마셨

을 때에 생기는 감정인 것과 동시에 알코올 섭취를 중단한 이후에도 장

기간 지속되는 감정 중 하나이므로 금주에 성공했다 하더라도 자신의 공

격적인 감정을 적절한 방법으로 해소하지 못한다면 공격적인 언행 및 분

노 감정은 지속될 것이고, 이것이 다시 알코올 섭취의 재발원인이 되기도

한다(김길숙, 1998). 이러한 감정이 폭력적인 행동이나 말로 표현될 경우

에는 인간관계의 악화를 가져오며, 타인 및 자신을 향하여 파괴적인 공격

성으로 표현되어 타인에게 육체적인 손상을 입힐 뿐 아니라 대인관계에

서 많은 문제를 발생시킨다(Sharkin, 1988).

최근에 알코올의존 환자와 분노에 관한 연구(송미경, 2006)에서는 알

코올중독 환자들에게 자신들의 분노에 대한 살아있는 이해를 하게하고

그 과정 속에서 자신에 대한 성찰을 하게 만들어 알코올중독 환자의 분

노이해와 조절에 도움을 주었다고 한다. 즉 알코올중독 환자들이 겪는 분

노를 조절할 수 있을 때 근본적인 치료가 가능하다고 보는 것이다.

따라서 알코올중독 환자의 근본적인 치료를 위해서는 첫째, 분노를

억제하고 다루는 심리적 정신적 치료법이 필요하다. 둘째, 이러한 관점에

서 분노라는 감정부하를 다룰 수 있는 능력을 신장시키기 위한 정서적

접근으로 음악치료가 알코올중독 환자들에게 절실히 요구된다. 셋째, 언

어가 일차원적 의사소통 방법인데 비하여 음악은 시각, 청각, 촉각 등의

여러 감각들을 복합적으로 사용하는 수단이기 때문에 더 쉽게 치료사와

알코올중독 환자 사이의 관계가 형성된다. 음악이라는 안정적인 환경 안

에서 환자는 통제를 적게 받아 자기방어를 감소하여 보다 용이하게 자신

의 감정을 발견하고 수용하며 이를 표현하고 해결시킬 수 있는 장점을

- 2 -
가진다. 또한 자기중심적인 태도에서 벗어나 그룹 안에서의 음악활동 가

운데 자신의 본모습을 찾고 서로 보안하고 격려해주는 기회를 마련할 수

있는 효율적인 도구라는 점에서 알코올중독 환자들에게 효과적인 대처기

술로서의 의미가 크다고 할 수 있다.

음악은 정서적인 행동과 다양한 감정의 변화를 불러일으킨다. 음악치

료의 특징은 첫째, 음악에 대한 미적 감수성과 음악적 사고를 바탕으로,

자기표현의 도구로써 음악을 이용하는 것이다. 둘째, 음악의 아름다움을

창조하고 순화된 정서를 기른다(Hinrich, 1997). 셋째, 노래를 부르거나 악

기연주 활동, 노래 만들기 등의 음악활동을 통해 알코올중독 환자의 정서

적 변화를 이끌어 낼 수 있다. 음악치료에서는 치료사와 알코올중독 환자

의 의사소통을 위한 근본적인 수단, 서로의 관계형성, 목표를 향한 작업

등의 필요를 위해 언어적인 경험뿐만 아니라 음악적 경험을 사용한다

(Bruscia, 1998)

따라서 이 연구의 목적은 음악치료를 시행 했을 경우, 알코올중독 환

자의 분노조절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 3 -
2. 연구가설

이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설정된 가설은 다음과 같다.

가설 1. 음악치료가 알코올중독 환자의 특성분노에 영향을 미칠 것이

다.

가설 2. 음악치료가 알코올중독 환자의 상태분노에 영향을 미칠 것이

다.

2-1. 음악치료가 알코올중독 환자의 내적상태분노에 영향을 미칠 것

이다.

2-2. 음악치료가 알코올중독 환자의 외적상태분노에 영향을 미칠 것

이다.

가설 3. 음악치료가 알코올중독 환자의 분노표현방식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3-1. 음악치료가 알코올중독 환자의 분노통제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3-2. 음악치료가 알코올중독 환자의 분노표출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3-3. 음악치료가 알코올중독 환자의 분노억제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 4 -
3. 용어의 정리

알코올 중독, 알코올중독 환자, 분노, 특성분노, 내적상태분노, 외적상

태분노, 분노억제, 분노표출, 분노통제, 음악치료의 용어를 정의하면 다음

과 같다.

1) 알코올중독

알코올 중독은 손상과 통제 상실의 문화적 요인을 강조하며 음주가

개인이 속한 문화에서 수용하는 한계를 넘어 때로는 그 문화권에서 부적

합하다고 여겨지거나 혹은 신체 건강을 해치거나 사회적 관계에 지장을

줄 정도로 과다하게 음주할 경우를 알코올 중독으로 규정한다(World

Health Organization, 1955).

2) 알코올중독 환자

미국 정신의학협회(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은 DSM-Ⅳ

(1995)에서 알코올 사용 때문에 중요한 사회적, 직업적 및 여가활동을 포

기하거나 감소하고 지속적 및 반복적으로 육체적, 정신적으로 문제가 생

기거나 악화된다는 것을 알면서도 계속 음주를 하는 자를 ‘알코올중독자’

라고 정의하고 있다(민성길, 2006). 이에 이 연구에서는 DSM-Ⅳ에 근거

하여 알코올 중독으로 진단을 받고, 현재 사회생활을 하기에 문제가 있어

- 5 -
정신과 병원에 입원 중인 자를 의미한다.

3) 분노

긴장되고 격분되고 화가 나는 주관적인 느낌으로 구성되는 정서 상태

와 이에 따른 자율 신경계의 활성화에 의해 규정되는 감정으로서 각 개

인에게 특유한 행동 양식을 유발하는 것을 말한다(Spielberger, 1988). 이

연구에서는 분노를 다섯 가지의 하위 영역으로 나타냈다. 첫째, 특성분노

는 상태분노의 상대적 개념으로서, 일정한 경향과 강도의 상태분노가 안

정적으로 유지되는 것을 의미한다. 둘째, 상태분노는 정서적·신체적 반응

을 포함하는 일시적 분노상태로서, 주관적 느낌과 생리적인 자율 신경계

의 활성화가 일어나며 강도가 다양하다. 상태분노에서 자신 내부의 분노

상태를 표현하는 것을 내적상태분노라고 하며, 자신 외부를 향한 분노상

태를 표현하는 것을 외적상태분노라 한다. 셋째, 분노억제는 분노 반응을

겉으로 드러내지 않고 속으로 삭히는 분노표현방식을 의미한다. 넷째, 분

노표출은 상대방이나 자신에 대한 공격적 언어나 행위 등을 통해 자신의

분노 감정을 직접 드러내는 분노표현방식을 의미한다. 이 연구에서는 분

노표출의 점수가 높을수록 공격성 분노표출이 높은 것을 의미한다. 다섯

째, 분노통제는 분노 유발 상황에 대해서 적절하고도 문제 해결에 도움이

되는 방식으로 표현할 수 있도록 분노를 조절하거나 완화시키기 위한 다

양한 전략을 사용하는 분노표현방식을 의미한다. 이 연구에서는 분노통제

의 점수가 낮을수록 분노를 통제하는데 방해되는 요인이 적다는 긍정적

- 6 -
의미로 해석한다.

이 연구에서는 스필버거(Spielberger, 1988)의 상태-특성 분노 표현척

도(STAXI; State-Trait Anger Expression Inventory)를 한국의 실정에

맞게 표준화한 한국판 STAXI(전겸구, 1996)로 측정된 점수를 말한다. 이

는 5가지 하위척도(특성-분노, 상태-분노, 분노-억제, 분노-표출, 및 분노

-통제)를 일차적으로 측정하고 있다.

4) 음악치료

치료적인 목적 즉 정신과 신체의 건강을 복원 및 유지시키며 향상시

키기 위해 음악을 사용하는 것이다(미국음악치료협회, 1997). 이 연구에서

는 주1회 50분간 음악감상, 즉흥연주를 포함한 악기연주, 노래 부르기와

노래 만들기로 12회에 걸쳐 진행되는 프로그램을 의미한다.

- 7 -
II. 이론적 배경

이 장에서는 알코올 중독, 분노, 알코올중독 환자와 분노와의 관계,

음악치료의 접근을 제시하였다.

1. 알코올중독

여기서는 알코올 중독의 정의, 원인, 특성을 제시하였다.

1) 알코올중독의 정의

알코올 중독은 복합적인 요인에 의해 발병하므로 그 정의를 한마디로 규

정한다는 것은 극히 어려운 일이나 세계보건기구(WHO, 1955)는 알코올 중

독이란 전통적 습관음주의 영역을 넘거나 혹은 지역사회 전체의 사회적

음주습관의 범위를 넘어 음주하는 경우를 말하며, 그에 부수한 병적 인자

나 그 병적 인자가 얼마만큼 유전, 체질 또는 신체 병리적, 대사적 영향

을 받고 있는가에 관계없이 그것을 알코올 중독이라고 하였다. 미국의학

협회(A.M.A)의 알코올 중독의 소개(Manual on alcoholism, 1973)에 의하

면 알코올 중독이란 음주의 편향된 특징을 가진 질환으로서 음주가 시작

되면 대개 중독상태가 되어야 끝나며 만성적, 진행적으로 재발되는 경향

을 가지고 있고 또한 지속적으로 과도한 음주 때문에 전형적인 신체장애,

- 8 -
정동장애, 직업장애, 사회부적응 등을 수반하는 특징을 가진다고 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알코올 중독에 대한 정의를 살펴보면 과도한 음주로

인하여 개인의 신체적, 정서적, 사회적 장애를 초래함은 물론 가족, 직업,

대인관계 등의 문제를 가져오면서도 음주에 대한 조절기능을 상실한 상

태라고 할 수 있다.

2) 알코올중독의 원인

알코올 중독은 여러 가지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원인불명의 질

병으로 알려져 있다. 이것은 음주시작과 알코올 중독 발병 기간과 많은

요인들이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따라서 알코올 중독은 어느 하나의 원

인이기보다는 여러 가지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나타난 것으로 학

자들마다 원인을 보는 시야가 다양한데 포괄적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는

이론들을 중심으로 크게 심리학적, 생물학적, 사회문학적 요인으로 살펴

볼 수 있다.

먼저, 알코올 중독 원인의 단서로써 오랫동안 탐색 되었던 생물학적

요인은 대부분 유전적 요소라 할 수 있다. 알코올 중독을 일으키는 유전

자가 따로 있어서 알코올중독 환자의 아들일 경우, 알코올중독자 부모에

게 양육되었는지 정상적 양부모에게 양육되었는지의 여부에 상관없이 알

코올중독 환자가 되는 비율이 일반인보다 네 배가 높다. 이와는 대조적으

로 알코올중독 환자의 딸의 경우 알코올중독 환자가 되는 비율이 일반인

에 비해 별로 높지 않다고 한다(김기태, 2005).

- 9 -
많은 알코올중독 환자들에게 있어서 사회문학적 요소들이 알코올중독

의 원인에 영향을 끼치고 있다. 사회학적 요인으로서 알코올 중독은 문화

권의 음주 습관과 음주에 대한 관용성 그리고 민족적 혈통과 민족성과도

상당히 관련이 있다. 예를 들면, 종교의식으로만 알코올을 사용하는 유태

인들에게는 알코올 중독이 적게 발생되고 있고, 음주를 허용하는 로마 카

톨릭이 개신교에 비해서 알코올 중독의 위험성이 높다는 것은 알코올에

대한 종교 문화가 한 원인이 될 수 있는 것이다(강경호, 2002).

그러나 알코올 중독의 효과적인 치료를 위해서는 선천적인 생물학적

요인이나 외부와의 상호작용에 의해 알코올 중독에 이르게 하는 사회문

화적 요인보다는 알코올 중독이 되기 쉬운 심리적 취약성에 대해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다. 개인적 특성과 외부환경의 상대적 영향력에 따라서 성

격특징이나 태도, 가치, 신념 등과 같은 개인의 심리적 요인이 중독에 더

크게 작용하기 때문이다. 알코올중독 환자들은 심리적으로 대개 불안을

줄이기 위해 음주를 한다. 특히 초자아가 강해 자기징벌의 욕구가 있을

때 음주를 하게 된다. 알코올중독 환자들은 성격적으로 부끄러움이 많고

외톨이이며, 불안정하고, 인내심이 적고, 예민하고, 성적으로 억제되어 있

다. 그들에게 우울, 망상적 사고경향, 공격적 감정과 행위, 자존심, 책임감

및 자기 통제력의 저하를 보인다. 술은 이러한 심리적 취약성에 성취감,

해방감, 전능감을 준다. 일반적으로 음주 후 사람들에게는 비음주시와는

다른 심리적인 효과가 드러난다. 극단적으로 수줍어하던 사람이 대담한

행동을 하는가 하면 공격적 행동을 표출하기도 한다. 평소에 사려가 깊던

사람이 술에 취하면 이기적인 행동을 보이기도 한다. 이와 같은 상반되는

성격 특징은 평소에 억압되었던 무의식의 심리가 드러난 것으로 볼 수

- 10 -
있다. 많은 남성 음주자들이 술을 마시는 것을 남자답고 대담하다고 생각

하는 것은 성인남자로서 자신이 없다는 무의식적인 심리가 표출된 것이

라고 볼 수 있다.

3) 알코올중독의 특성

알코올은 직·간접적으로 신체의 모든 부분에 유해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알코올 중독은 진행되는 병이며, 치료하지 않으면 치명적인 특성을

가지고 있다. 알코올중독 환자의 특성은 일반적으로 반복적인 행동, 증가

된 긴장, 높은 불안, 심리적인 의존성, 비현실적 사고, 불가항력적인 충동,

통제력 상실, 낮은 자존감 등으로 중독된 행위를 통해 기분의 변화를 추

구하며 그 결과로 당사자들의 건전한 정상 생활을 상당히 방해하게 된다

는 점이다(이소정, 2003).

알코올중독 환자들은 알코올을 통한 문제해결이 습관화되고 더욱이

알코올만이 모든 불안을 해결할 수 있다는 강박적 태도를 보이는데, 알코

올중독 환자는 대개 정서장애를 수반하며 의존성과 충동적이고 이기적인

욕구충족을 갈망하고 있다. 또한 알코올중독 환자는 불안, 우울증이 많고

성격장애로는 대부분이 수동·공격적, 강박적 성격이며, 의존적 성격과 편

집증적 성격을 가질 뿐 아니라 반사회적 성격을 나타내기도 한다(서화정,

1993).

린드스토롬(Lindstorm, 1992)은 알코올 중독의 특성으로 네 가지로

말하였다. 첫째, 알코올 중독은 만성적이다. 여기서 만성적이라는 의미는

- 11 -
알코올 중독이 되기까지 서서히 진행되어 가는 경우가 많다는 것을 의미

한다. 둘째, 알코올 중독은 진행성이다. 셋째, 알코올 중독은 치명적이다.

넷째, 알코올 중독은 치료가 가능하지만 근본적 치유는 불가능하다는 것

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알코올 중독의 문제는 개인의 신체, 심리

적인 기능을 넘어서 사회적인 기능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심각한

문제 중 하나가 되고 있다.

2. 분노

여기에서는 분노의 정의, 원인을 제시하였다.

1) 분노의 정의

분노의 정의는 학자에 따라서 다양하다. 로덴버그(Rothenberg, 1971)

는 분노를 일종의 의사소통방식으로, 노바코(Novaco, 1979)는 정서적 스

트레스 반응으로, 그리고 앨쉴러(Alschuler)와 알슐러(Alshuler, 1984)는

상처받은 것에 대한 일시적인 내적상태로 보았으며, 샤킨(Sharkin, 1988)

은 이러한 정의들을 포괄하는 다차원적 정의를 내리고 있다(권효정, 2006

재인용). 그는 분노는 다양한 정도의 생리적, 정의적, 인지적, 운동적, 그

리고 언어적 요소 간의 상호작용을 포함하는 내적 상태라고 정의하면서,

신체적으로는 혈압상승과 심장박동증가를, 정의적으로는 미미한 짜증에서

- 12 -
극단의 격노까지를, 그리고 인지적으로는 분노대상에 대한 생각이나 사고

를 경험하게 된다고 하였다. 그런가하면 프리자(Frijda, 1986)도 분노를

행동경향성과 관련된 정서라고 설명한 바 있는데, 대부분 분노를 공격성

과 관련된 정서로 보는 경향이다. 이러한 정의들을 수렴해 보면, 분노감

은 공격을 위한 생리적 각성과 준비성을 수반하는 부정적인 감정 상태라

고 정의할 수 있다.

바워(Bower, 1981)는 정서에 대한 경험, 자동화된 반응형태, 정서의

언어적 명칭, 그리고 정서유발사건이 서로 연합하여 어떤 정서를 경험하

게 된다고 하였다. 어떤 종류의 부정적 정서가 최초로 분노와 관련된 느

낌, 행동경향, 사고, 기억을 활성화시킨다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부정

적 정서를 일으키는 요인에 대해서 특별히 언급하기보다는 불쾌한 날씨

나 좌절, 부정적 평가, 그리고 비도덕적 장면에의 목격 등 불쾌한 상황들

에의 대면이라고 설명하고 있다. 베르코비츠(Berkowitz, 1989,)는 달라드

(Dollard), 듑(Doob), 밀러(Miller), 모러(Mowrer) &, 시어스(Sears, 1939)

의 좌절-공격 가설을 부정하며 좌절은 공격의 필수조건이 아니고 이러한

불유쾌한 상황과 신체적 자극만으로도 분노와 공격성이 유발될 수 있다

고 하였다.

어떤 종류의 부정적 정서가 최초로 분노와 관련된 느낌, 행동경향, 사

고, 기억 등을 활성화시키게 되고 이러한 초기 단계에서는 주로 자율적

연합과정이 생리적 반응에 영향을 준다. 따라서 이때는 사고의 역할이 적

고 불유쾌한 사건에 대한 단순한 평가만을 한다. 그러나 시간이 흐름에

따라 이후 단계들에서는 인지이론가들이 제시한 고차적 인지 과정이 작

용한다고 가정하는 것이다. 즉, 보다 복잡한 정서를 불러일으키고 어떤

- 13 -
행동을 할 것이지를 조정하는 기능을 한다는 것이다.

사람들은 분노를 느낄 때 분노를 표현하고 싶은 욕구를 느끼기도 하

지만, 한편으로는 분노를 수치스러워 한다. 그래서 분노를 억제하거나 회

피하려고 하고 아니면 분노를 폭발시켜 심리적 해방과 함께 주의 끌기를

시도한다. 그러나 적절한 분노표현의 실패는 여러 가지 심리적 장애나 신

체적 증세를 가져오고 과도한 분노표현은 다른 사람의 권리를 침해하는

결과가 되기도 한다. 예를 들어서 분노해결의 실패는 불안, 우울, 또는 신

경증과 같은 또 다른 심리적 문제의 원인이 되고, 고혈압(예, Crane,

1981), 관상동맥질환(예, Spielberger & London, 1982), 심장병(예, Frijda,

1986), 암(예, Greer & Morris, 1975)과 같은 질병의 원인이 되는가 하면,

밖으로 행동화할 경우 간혹은 대인관계 또는 사회적으로 해로운 결과를

갖는다고 한다(남궁희승, 1996 재인용).

2) 분노의 원인

분노의 원인은 연령에 따라 차이가 있다 . 영아는 배가 고플 때, 그리

고 운동이 억제를 당할 때 분노를 느끼지만 점차 나이가 들어가면서 심

리적이고 인격적이며 사회적인 이유로 분노를 느끼게 된다. 이쟈드(Izard,

1977)는 분노유발원인을 세 가지로 정리하고 있는데, 첫째, 자신이 바라던

것을 심리적으로 또는 육체적으로 제지당했을 때, 둘째, 자신 또는 자신

에게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것에 대해서 평가 절하하는 공격을 당했을 때,

그리고 셋째, 만성적으로 해결되지 않는 강하고 지속적인 스트레스를 경

- 14 -
험하게 되었을 때 등이다. 이외에 소음과 같은 물리적 자극이나 불유쾌한

상황도 분노유발자극이 될 수 있다(Berkowitz, 1990).

에이버릴(Averill, 1983)은 정당성에 대한 부당함이 분노의 원인이며

그런 점에서 분노는 고발적 성격을 띤다고 주장하였다. 다시 말해서, 분

노는 어떤 지각된 잘못에 대한 반응으로 가치판단적인 것이며, 비난에 대

한 귀인을 어디에 하느냐에 달린 문제라는 것이다. 즉 분노대상의 잘못으

로 귀인된 경우 그에 대한 분노를 느끼게 된다. 그 귀인은 항상 옳거나

개인적 편견으로부터 자유로운 것은 아니며, 지금까지의 이론에서 강조하

는 가치중립적인 요들, 즉 좌절, 각성, 그리고 자극반응연합에 의해 영향

을 받을 수도 있다고 한다. 결국 이런 요인들 중 무엇에 강조를 두느냐에

따른 이론적 쟁점이 있을 뿐이라는 것이다. 또한, 그가 행한 피험자들의

자기보고에 의하며, 분노를 느끼는 맥락은 상호간에 정서적으로 밀접한

관계이므로 낯선 사람이나 싫어하는 사람보다 오히려 연인이나 친구처럼

잘 아는 사람 간에 분노를 더 많이 경험한다는 것이다. 그 이유는 가까운

사람들과 더 긴밀한 접촉을 갖고 서로의 행동에 의해 더 쉽게 상처를 받

기 때문으로 설명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분노란 자아의 침해 및 인지-심리적인

기대나 욕구의 좌절로 인한 정서의 한 반응으로 사회적 학습 결과에 따

라서 신체적 변화가 나타나고, 인지적인 기대와 강도에 따라서 분노의 양

이 결정된다고 볼 수 있다.

- 15 -
3 알코올중독 환자와 분노와의 관계

술을 마시는 것은 기분을 애매하게 만들어 분노를 포함한 다양한 감

정을 유발시킨다. 하지만 알코올의 주된 영향은 말 싸움과 주먹 싸움에

말려들게 하는 것이 아니라 기분을 우울하게 만들고 신체적인 반응을 둔

하게 하는 것이다. 술을 마시면 포악한 분노에 빠지게 되는 사람들을 위

해서 할 수 있는 최선의 일은 그들이 자기의 분노에 대하여 도덕적이고

법적으로 책임을 지게 만드는 것이다.

알코올중독 환자의 성격특성 중 하나인 자기방어적인 과대평가는 본

인에게 불리한 견해를 받아들일 수 없게 만들어 비현실적인 자기 강화로

이어지게 된다. 사실 표면적인 이러한 우월감은 심각한 열등감과 불안감

을 위장하고 있는 것이라 볼 수 있다. 또한 알코올중독 환자들은 현재 자

신의 문제를 외부로 귀인하는 경향이 강해서 타인에 대한 원망과 편집증

적인 과민성이 두드러진다.

이 연구에 토대가 되고 있는 선행 연구들을 살펴보면, 알코올중독 환

자와 분노와의 관계는 다음과 같다. 몬티(Monti, 1985)는 분노 등을 포함

한 부정적 감정은 개인으로 하여금 술에 취하고 싶은 충동을 불러일으키

므로, 음주 문제를 극복하고 싶은 모든 사람과는 매우 밀접한 관련이 있

다고 하였다. 또한 알코올 중독에 걸린 사람이 술을 마시는 이유 중의 하

나는 술을 마셔야만 다른 사람들에게 마음을 털어놓을 수 있기 때문인데,

이것은 바로 정신이 온전할 때는 쉽게 화를 표현할 수 없지만 술에 취하

면 쉽게 화를 표현할 수 있는 힘과 자유를 느끼기 때문이다.

- 16 -
음주와 분노의 관계는 다음과 같은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

다. 첫째, 술 자체가 탈 억제 작용을 하여 평상시와 다른 격양된 감정 표

현과 행동이 초래될 수 있고 둘째, 일차적인 정신적, 신체적 질환이 있는

상태에서 술을 마셔 분노를 억제해 악화되는 경우, 셋째, 사회문화적 요

인으로 음주 시의 분노에 대한 사회적 태도 등에 따라 나타날 수 있다

(김길숙, 1998). 따라서 분노 자체가 음주행위에 영향을 주고, 또한 불안

이나 우울증 같은 심리적 문제가 있는 경우 분노가 음주로 인해 더 악화

되는 경우가 많다는 것이다.

자신과 타인을 향한 분노는 스스로를 불안하게 하며 자기 방어를 위

해서 정신적인 자기지만에 의존하게 하고 동시에 알코올이 부정적인 생

활에서 야기된 부정적인 정서를 줄여주고 분노를 느끼는 상황을 이완시

켜 준다고 믿게 만든다. 이처럼 분노라는 감정은 알코올중독 환자들을 알

코올 중독에서 해방되지 못하도록 저지하고 더 어렵게 하기 때문에 특히

위험한 감정이라고 할 수 있다(허지영, 1998).

알코올중독 환자들은 상당수들은 여러 가지 스트레스 상황이나 분노

상황에서 대처하는 방법을 적절히 습득하지 못하여, 술로 이를 해소하고

그 결과로 나타난 반응에 대하여 죄책감을 느끼게 되며, 자신을 비하하거

나 성격 또한 소극적으로 변하여 타인과의 정서적 관계를 지속적으로 유

지하지 못하여 고립되어 진다고 볼 수 있다. 만성 알코올중독 환자들에게

서 재발의 차이를 연구한 결과 술을 거절하는 기술이 뛰어난 사람들이

재발이 되지 않으며(Rosenberg, 1983), 알코올중독 환자들이 여타 비교집

단에 비해 문제상황에 처했을 때 대처하는 기술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

다(Erickson, 1986).

- 17 -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선행 연구들은 알코올중독 환자의 분노

에 대한 영향만을 밝히고 있다. 하지만 알코올중독 환자의 주요원인인 분

노조절에 관한 연구는 거의 발표되지 않고 있다. 이 연구자는 음악치료를

사용하여 알코올중독 환자의 분노조절에 대한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4. 분노조절을 위한 음악치료

음악치료는 음악이라는 안전한 환경 속에서 사회적, 정서적, 인지적,

운동적인 요소들을 통합한 개입방법이 될 수 있다. 음악은 관계의 교류를

원활하게 도와줄 수 있는 가장 유용한 수단으로서 음악은 말로 표현하지

못하는 감정을 쉽게 표현하도록 해주며 커뮤니케이션의 방법으로 이용할

수 있다.

음악적 자극은 실패로 인한 좌절감이나 소외감을 느끼게 하지 않고,

상호 의사소통의 기회를 제공하며, 사회적 기술을 습득하게 해주며, 활동

으로서의 참여를 격려하며, 타인과의 교류 기회를 제공한다(최병철, 1999).

이와 같이 음악은 비언어적 의사소통의 수단이 될 수 있으므로 자기주장

을 건전하게 표현하지 못하는 알코올중독 환자에게 음악활동은 다양한

소리로 자연스럽게 자신을 표현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는 것이다. 정대

영(1997)은 음악치료는 다른 사람들과 협동하는 능력을 키우며, 어떠한

행동들이 타인에게 용납, 수용될 것인가에 대한 인식을 배양하므로 사회

적 행동을 발달시킬 수 있다고 하였다. 여러문헌(신인철, 1978; 이은화,

1993; 최병철, 1999; Bruscia, 1998; Gaston, 1968)에서 음악이 인간의 사

- 18 -
회기술 영역 발달에 효과적임을 언급하였고 이경숙(1999)은 음악치료가

정신과 영역에서 사회성 영역에 효과가 있음을 입증하였다. 또한 성인영

(1999)은 음악치료가 인간관계에 안정감을 갖게 된다고 하였다.

정서적인 면에서 보면 분노는 인간의 자연스러운 감정이라고 할 수

있는데 알코올중독 환자들은 이러한 분노를 적절하게 조절하기 어려워한

다. 이들은 정서적 요구가 필요하다고 할 수 있는데 정서적 행동을 불러

일으키는 음악의 힘은 그들의 긍정적인 감정을 일깨워줄 수 있고, 목적

있는 삶을 위한 자극이 되거나 감정의 이완을 통해 인성개조에 공헌을

할 수 있다(김영미, 2000). 정서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 연구 중에서

타우트(Thaut, 1989)는 교도소 정신병원 수감환자들을 대상으로 음악치료

를 실시하였는데 긴장이완, 정서, 사고변화에 유의미한 영향이 있음을 입

증하였고, 김정화(1995)는 음악적 경험이나 음악활동이 적개심, 증오감 등

부정적인 감정 및 정서를 해소하는데 효과가 있다고 보고하였다.

음악치료는 알코올중독 환자들이 음악치료 안에서 자아를 실현하고

자기의 가능성이 되고자 하는 성향으로 나타나도록 하는데 있다. 환자들

이 음악치료의 과정을 통해 초월적 자아의 새로운 길을 찾는 것에서 자

기자각이 증가하고, 과거의 미지의 내면을 두드리며, 습관적이고 반대효

과를 가져오는 생각이나 응답의 패턴이나 대안을 찾고, 정서를 치유하려

는 적극적인 참여도 하게 된다(Soshensky, 2001). 또한 음악활동이 자제

력 결여의 문제, 자존감 부족, 동기부족을 가진 학생들의 비효율적 학습.

알코올과 마약의 문제, 낮은 생존의 기술 문제에 도움을 준다(Duerksen,

1991).

분노조절을 위한 접근방법으로 긴장이완 훈련, 사회기술 훈련, 문제해

- 19 -
결기술 훈련, 자기주장 훈련, 정서적 훈련, 인지행동적 훈련 등이 실시되

고 있는데 다양한 행동패턴을 보이는 알코올중독 환자들의 분노조절을

위해서는 각각의 요소들을 통합한 개입방법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이러한 통합적 접근 방법은 개인으로 하여금 분노환경에서 분노원천을

인식하게 해주고 효과적인 의사소통과 문제해결 행동의 수행을 증진시켜

서 분노의 축적을 조절하고 공격적인 과잉반응을 예방하여 분노를 일으

키는 상황을 변화시켜 나갈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해 주는데 도움이 된다

(천성문, 1999).

콘(Kohn)과 코우라스(Coulas, 1985)는 알코올을 많이 사용하는 사람

일수록 감각추구 등 탈 억제경향이 더 높다고 했다. 그리고 알코올중독

환자들의 감각추구 성향 조사연구(이병희, 1996)에 의하면, 알코올중독군

이 비관습적이고 비동조적인 생활방식과 마음과 감각을 통해 새로운 경

험을 추구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권태감과 무료감에 대한 취약성 척도

(BS Scale)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할 정도로 권태감 및 무료감에 더

많이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한다(이병희, 1996).

밀러(Miller, 1970)는 음악치료에 참여한 성인 남성 알코올중독 환자

들이 다른 재활 그룹에 참가하는 확률이 높다고 말했다. 음악치료는 소외

된 개인을 그룹의 음악적 경험 속에 점차 빠져들도록 자극하여 이러한

행동을 다른 재활 그룹에 일반화시키는 것에 목적을 둔다고 하였다

(James, 1988).

도우덜티(Dougherty, 1984)는 음악치료가 알코올중독 환자를 위한 치

료방법 중의 하나가 될 수 있으며, 음악치료 세션의 가장 중요한 공헌은

약물에 의존하지 않고 감정을 조절하는 법을 알려주는 것이라고 했다. 알

- 20 -
코올 재활 센터에서의 음악치료는 감정적인 자기표현의 효과적인 수단으

로서 그룹원간의 대화를 촉진시키고 고통스러운 감정과 갈등을 회피하려

고 하는 환자에게 음악을 사용하여 감정과 갈등을 표현하도록 자극한다.

이때 음악은 ‘느낌을 표현하여 듣는 사람의 감정에 호소하는 언어로써’

접근한다(Ruud, 1995). 이러한 감정표현의 결과로 환자는 자신의 감정에

미치는 음악의 영향력을 통찰하고, 스스로 음악을 선택함으로써 문제해결

능력을 향상시킨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음악이 가지고 있는 이러한 긍정적인 면

들을 근거로 다양한 음악치료 중 즉흥연주, 악기연주, 노래 부르기, 음악

감상, 노래 만들기의 음악치료 방법을 통하여 알코올중독 환자들이 내적

인 음악적 인식을 갖고 분노를 조절하며 긍정적인 반응으로 표출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한다.

1) 즉흥연주

즉흥연주는 미리 준비된 악보나 스케치에 의하지 않고 연주자에 의하

여 직접 자발적으로 이루어지는 연주를 말한다. 즉흥연주는 본질적으로

순간적이고 일시적인 성격을 지니며 연주자 자신의 즉석에 의한 창작이

나 악곡의 기존 골격 구조를 장식하거나 변형하는 행위 또는, 이 두 가지

행위의 중간 형태를 포함한다(김미정, 2000).

즉흥연주의 여러 의미들 중에서 이 연구에서 사용하는 즉흥연주란 악

보에 의존하지 않고 떠오른 영감을 음악적 감각을 토대로 유기적 생성의

원리를 통해 즉흥적으로 표현하고 연주하는 행위로서 기존의 악곡을 변

- 21 -
형하고 노래와 악기로 즉흥적으로 연주하는 것을 뜻한다. 따라서 치료사

는 이러한 즉흥연주에서 음악을 구성하는 기본요소를 가지고 자신의 방

식대로 다양하게 변화시켜 개성있게 표현할 수 있도록 유도해야 하며 학

습된 결과보다는 창의적인 활동 과정을 중요하게 여겨야 한다.

이러한 즉흥연주를 다른 사람이 해 놓은 것에 대해서 재산출하는 법

을 배우거나 듣는 것을 뜻하는 것이 아니라 알코올중독 환자 스스로 창

조해 나가는 노력으로 남의 것을 듣는 것보다 훨씬 흥미롭고 가치 있는

일이다. 또한 적극적 창조활동을 통하여 환자는 음악에 대해서 더 쉽게

접근할 수 있으며, 부정적이고 억압된 정서를 표출, 자신과 환경에 대한

평가를 하도록 돕는다. 분노 등의 부정적인 감정은 즉흥연주를 통해 음악

으로 표현되고 그렇게 음악으로 표현하는 것은 말로 표현하는 것보다 수

월하기 때문이다.

2) 악기연주

악기연주는 신체적인 움직임으로 소리를 만드는 것이다. 음악치료에

서는 치료받는 사람이 악기를 연주하기 위해 몸을 움직이는 동작 자체,

그 동작으로 인해 소리를 능동적으로 만드는 점, 또 악기를 연주함으로써

감정표현의 배출구를 발견하게 되는 점 등에 초점을 두어 이를 치료에

최대한 이용한다. 따라서 어떤 곡을 처음부터 끝까지 틀리지 않고 연주하

는 것이 중요한 것이 아니라, 악기를 만지작거리며 소리를 내는 것에서부

터 한 곡을 제대로 연주하는 것까지를 모두 포함하는 것이다. 그런 의미

에서 음악치료에서는 누구든지 악기를 연주할 수 있다.

- 22 -
이러한 악기연주는 에너지를 집중할 수 있게 하고 그밖에도 정서를

자극하고 이완시키며 성취감과 성공감을 즉각적으로 부여하며 집단 응집

력과 사회적 기술을 향상시키며 주의집중 시간을 증가시키는 적응행동을

위한 통로를 제공한다(Boxill, 1983). 따라서 악기연주는 환자의 심리적,

정신적, 생리적인 건강을 회복, 유지, 증진토록 하고 행동적, 발달적, 신체

적, 사회적 기술을 습득, 재활, 유지하기 위한 치료적 방법으로 사용하였

다.

3) 노래 부르기

노래 부르기는 노래를 부를 수 없거나 자발적으로 부르지 않는 사람

에게 신체적, 정신적, 정서적 자각을 일깨우는 내부 감각을 자극한다. 이

것은 말하기와 이해하기, 그리고 심신 통합을 위한 통로이다. 그리고 이

런 종류의 감각, 운동적인 경험은 가장 기본적인 수준에서 자기자신에 대

한 인식을 더 나아가서는 무언가 하고 있다는 인식을 동기화 시키는 즉

각적인 피드백을 제공한다.

환자에게 감정이나 생각의 구체적인 표현방법을 노래로서 유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괄호 채우기 기법을 사용한다면 자연스럽게 자신의 감정

이나 구체적인 표현방법을 노래로써 유도할 수 있다. 이것이 바로 노래의

자연스럽고 편안한 특성이며, 이런 특성으로 인해 치료적 유용성을 살릴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노래를 부름으로서 자신이 갖고 있는 감정이 무엇

인가를 찾을 수 있다는 것은 환자에게 매우 중요한 일이다. 또한, 환자의

억눌려 있던 기억이나 감정들도 노래라는 자극을 통해 찾아낼 수 있다.

- 23 -
따라서 노래 부르기를 통해서 환자에게 정서적 안정감을 제공해 주고, 언

어적 의사소통의 통로가 되므로 서로에게 감정과 생각을 구체적으로 전

달할 수 있게 하는 시발점이 된다(엄현경, 1993).

4) 음악감상

음악감상은 가사의 언어적 의미가 포함된 곡조를 감상하는 것으로 가

사의 내용과 의미를 생각하며 감상하는 방법으로, 음악적 요소에 직접적

으로 반응하는 신체의 자율신경시스템의 작용으로 인해 신체를 이완시키

는데, 이러한 이완은 심리적인 현상으로 연결되어 내면의 긴장을 완화시

켜준다. 음악감상의 기법은 노래 가사의 메시지에 대한 감정이입, 투사,

동일시 등의 심리적 작용으로 인해 환자들의 느낌과 정서, 갈등과 문제

등을 발견하도록 한다.

또한 음악감상은 신체가 완전히 이완된 상태에서 음악에 몰입하여 음

악을 주의 깊게 감상하며 자신이 현재 경험하고 있는 심상을 치료사에게

말로 전달하고 치료사는 거기에 대한 반응하는 과정 속에서 음악을 자각

하고, 음악은 심상의 변화들을 불러일으키는 자극제의 역할을 하며 음악

의 다양한 요소, 즉 리듬, 멜로디, 화성, 구조, 악기의 음색 등의 변화에

의해 다양한 경험을 촉발시킨다(Bonny, 1978). 즉 음악감상은 자신의 생

각과 관련된 영상으로 인해 자기표현과 자기 정화, 카다르시스 등을 용이

하게 하므로 긍정적인 정서함량, 집중 향상 등의 목적으로 사용된다

(Clark & Kaiser, 1984).

- 24 -
5) 노래 만들기

노래 만들기는 노래의 구조에 특정한 단어나, 구절 혹은 멜로디를 자

신의 것으로 대치시키는 방법으로(Fichen, 1976), 자신의 음악을 창작하는

과정을 통해 긍정적인 재인식과 결과물로 인한 만족감을 얻을 수 있다.

노래 만들기는 노래를 작사, 작곡하므로 인해 자신의 생각을 정리하고,

내면을 성찰하며, 나아가 억압된 감정과 욕구를 표현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노래 만들기는 개별 치료뿐만 아니라 집단치료에서도 빈번하게

시행된다. 집단치료에서 그룹 구성원들과 함께 노래를 만들어가는 과정은

개인의 감정과 생각을 서로 공유하고, 교류하는 등의 사회화의 기회를 제

공한다. 또한 기능수준이 높은 클라이언트는 기능수준이 낮은 클라이언트

를 돕는 보조자의 역할을 하는데, 이들의 서로 다른 특성들이 상호보완적

으로 작용하여 효과적인 대인관계 행동의 적절한 모델로 제공될 수 있기

때문이다(Wolfe, 1996). 게다가 그룹원은 서로 협동하여 새롭게 재창조

된 노래 결과에 대한 만족감을 통해 그룹 구성원들 간의 신뢰감을 형성

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그룹에서 형성된 신뢰감은 더욱 안전한 환경 속에

서 자신의 내면을 표현할 수 있도록 돕는 촉매제 역할을 한다.

종합해 보면, 다양한 음악활동이 알코올중독 환자 자신의 자아를 찾

을 수 있도록 도와주고, 부정적 정서를 조절하여, 분노조절의 효과적인

개입방법으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 25 -
Ⅲ. 연구방법

1. 연구대상

이 연구의 대상은 경기도 G시에 소재한 G병원의 환자 중 아래의 조

건에 해당하는 16명을 선정하여 실험집단 8명 통제집단 8명으로 구성하

였다. 16명의 대상은 다음과 같은 사항에 해당하는 자이다.

가. DSM-Ⅳ에 근거하여 알코올 중독으로 진단받은 자.

나. 의사소통 및 노래 부르기가 가능한 자.

다. 시각, 청각장애를 비롯한 다른 신체적 장애가 없으며 악기활동에

지장이 없는 자.

라. 현재 알코올 이외에는 다른 정신과적 질환을 가지고 있지 않은 자.

마. 언어적 혹은 신체적인 공격행동경험이 있는 자.

실험집단을 대상으로 주 1회 50분씩 음악치료 프로그램을 실시 하였

으며, 총 12회의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 26 -
2. 음악치료 프로그램
<표 1> 음악치료 활동의 구조

활 동 시 간 횟 수
인사 노래 5분
몸 이완하기 (Relax) 10분
12회기
연주 및 토의 30분

헤어지는 노래 5분

<표 2> 음악치료 프로그램 전체 구성

회기 치료 목표 프로그램 내용 준비물

1 사회적 교류를 인사 나누기, Hello․Bye song 배우기

2 위한 라포형성 자신의 이름과 이미지 즉흥연주 피아노

3 자아 탐구 가장 행복했던 순간 즉흥연주
및 CD
4 문제 탐색 가장 화가났던 순간 즉흥연주

5 현실 자각 Here and now 즉흥연주


종이
6 및
감정 표출 감정 단어 즉흥연주
7
악보
8 리듬과 종이 찢기
감정해결,
9 조절능력향상 리듬 악보 보며 연주하기
다양한
10 및 리듬 대화하기
긍정적인 타악기
11 노래 만들기
정서함양
12 가사토의 및 노래 만들기

- 27 -
3. 측정도구

알코올중독 환자의 분노조절을 측정하는 도구로는 스필버거(Spielberger,

1988)의 상태-특성 분노 표현척도(STAXI; State-Trait Anger Expression

Inventory)를 한국의 실정에 맞게 표준화한 한국판 STAXI(전겸구, 1997)

척도로 측정하였다. 이 척도는 분노의 경험적 측면을 특성-분노와 상태-

분노로 나누어 각각 10문항으로 측정하도록 구성되어있고, 그 중 상태분

노의 하위문항을 각각 5개씩 자신 내부의 분노상태를 표현하는 내적 상

태분노와 외부를 향한 분노상태를 표현하는 외적 상태분노로 구성되어있

다. 또한 분노 표현 양식에 따라 분노표현의 3가지 유형 분노-억제 8문

항, 분노-표출 8문항, 분노-통제 8문항을 측정하는 총 24문항으로 구성되

어 있다.

각 문항의 평가방법은 4개의 항목 중에 하나를 선택하도록 되어있는

4점 척도로 ‘1-전혀 아니다,’ ‘2-조금 그렇다,’ ‘3-상당히 그렇다,’ ‘4-매우

그렇다’로 평정하도록 하였다.

이 때 전체 항목과 각각의 변수 및 요인들의 내적 일관성이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신뢰도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신뢰도 분석결과, 알파계수

(Cronbach's ɑ)가 .6으로 나타나 문항 간 내적 일관성이 매우 높은 것으

로 나타났다.

척도의 신뢰도 ɑ계수는 특성분노(Cronbach's ɑ= .91), 내적상태분노

(Cronbach's ɑ=.77), 외적상태분노(Cronbach's ɑ=.88), 분노통제

(Cronbach's ɑ=.94), 분노표출(Cronbach's ɑ=.90), 분노억압(Cronbach's

- 28 -
ɑ=.60)으로 모두 신뢰도가 높게 나타났다.

<표 3> 분노의 하위영역별 문항구성

종 류 하위영역명 문항수 하위문항번호

특성분노 특성분노 10 1,2,3,4,5,6,7,8,9,10

내적상태분노 5 11,12,13,16,19
상태분노
외적상태분노 5 14,15,17,18,20

분노통제 8 21,24,28,31,35,38,40,44
상태-특성분노의
분노표출 8 22,27,29,32,34,39,42,43
표현양식
분노억제 8 23,25,26,30,33,36,37,41

4. 연구설계

이 연구는 알코올중독 환자에게 음악치료를 실시하여 분노조절에 미

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음악치료에 참석한 실험집단과 처치를 받지 않

은 통제집단의 사전 사후의 분노경험정도와 분노표현 방식을 비교하였다.

여기서 사용된 구체적인 실증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상태-특성분노의 차이 검정을 위하여 평균차이 검정인 t검정

을 실시하였다.

- 29 -
둘째, 이 연구의 실증분석은 모두 유의수준 p<.001 에서 검정하였으

며, 통계처리는 SPSSWIN 1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5. 절차

연구 기간은 2007년 7월 6일부터 2007년 9월 21일 까지 12주간 이었

으며, 음악치료를 시행하기 전에 측정도구로 측정하고, 음악치료 후 모든

연구대상자들에게 사전검사와 동일한 도구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음악치료 절차는 다음과 같다. 1회기는 인사 나누는 활동으로 음악치

료에 대해 설명하고 음악치료에 대한 기대감을 가지게 한다. 2회기는 악

기를 탐색한 후 자신의 이름과 이미지를 악기로 표현함으로써 신뢰관계

형성 및 안정감을 형성한다. 3회기는 자신의 내면에 있는 긍정적 감정을

탐색하기 위해 편안한, 안정된 음악을 듣고 가장 행복했던 순간을 생각해

보고 악기로 표현한 후 토의한다. 4회기는 3회기에 이어서 자신의 내면에

있는 부정적 감정을 탐색하기 위해 자극적인 음악을 듣고 가장 화가 났

던 순간을 생각해보고 악기로 표현한 후 토의한다. 기대효과는 자신의 문

제를 인식하는 것을 돕기 위해 탐색하도록 하여 문제해결능력을 증진시

킨다. 5회기는 지금, 여기에서의 감정과 기분에 대해 서로가 이야기 하고

악기로 표현한다. 기대효과는 최근의 자신의 문제를 인식하도록 하여 현

실자각에 도움을 준다. 6회기와 7회기는 감정을 표출하는 활동으로 내담

자는 좋은 감정과 나쁜 감정을 차례로 돌아가며 하나씩 이야기 하면 치

료사는 종이에 적는다. 내담자는 제비를 뽑은 후 종이 안에 쓰여 있는 감

- 30 -
정을 타악기, 소리, 동작으로 표현한다. 어떠한 감정들이 존재하는지 상황

에 맞게 적절하게 표현할 수 있도록 도와주어 환자로 하여금 숨기려는

부분이 없고 표출할 수 있도록 한다. 8회기는 리듬과 종이 찢기 활동으로

치료사의 즉흥리듬 연주에 맞춰 내담자는 신문지를 찢는다. 기대효과는

종이를 찢음으로써 내담자는 스트레스도 풀게 되고 치료사의 리듬에 맞

춰 찢어야 하므로 감정조절능력도 향상되어진다. 9회기는 리듬 악보를 보

며 연주하는 활동으로 북을 연주하면서 자신의 감정을 표현하고 리듬에

맞춰 연주함으로써 감정을 조절할 수 있는 능력을 향상시킨다. 10회기는

리듬으로 대화하는 활동으로 각자 타악기를 하나씩 선택한 후 내담자 중

한 사람이 리듬을 제시하면 그 리듬을 듣고 다른 리듬으로 응답하는 식

이다. 기대효과 그동안의 원만하지 못한 대인관계나 대인관계에서 쌓인

분노를 조절하는 능력을 향상시킨다. 11회기는 노래 만들기라는 활동으로

《얼굴 찌푸리지 말아요》라는 노래를 같이 부르고 치료사가 만든 악보

의 노래 부분 중 ( )넣기를 한다. 기대효과는 얼굴을 찌푸리지 말고 밝게

웃자는 주제가 담긴 노래를 배움으로써, 내담자는 사회적 관계에서 다른

사람을 대할 때 감정을 조절해서 웃으며 대화할 수 있게 된다. 12회기는

스케치북 이라는 노래를 듣고 토의하는 활동이다. 기대효과는 단 하루의

삶이 주어졌을 때 어떻게 보내야 하는지, 하루의 삶이 주어졌을 때 어떻

게 보내야 하는지를 토의함으로써 스스로 감정을 다스리고 앞으로의 삶

을 자기 스스로 선택하고 책임지고 살아가야겠다는 것을 다짐하도록 한

다.

- 31 -
Ⅳ. 연구결과

이 연구의 목적인 음악치료가 알코올중독 환자의 분노조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음악치료에 참석한 실험집단과 처치를 받지 않은 통제집단

의 사전 사후 통계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가설 1의 검정

가설 1은 다음과 같다.

가설 1. 음악치료가 알코올중독 환자들의 특성분노에 영향을 미칠 것

이다.

<표 4> 사전 사후 특성분노

구 분 n 평균 표준편차 t p

통제집단 8 28.38 1.30


사전 -.72 .481
실험집단 8 27.88 1.46

통제집단 8 28.75 1.98


***
사후 -13.62 .000
실험집단 8 17.63 1.19

*** p<.001

- 32 -
<표 4>와 같이 특성분노에 대한 음악치료 전의 점수를 살펴보면, 통

제집단이 28.38점, 실험집단이 27.88점으로 통제집단이 실험집단보다 높았

으나 통계적으로는 유의미하지는 않은 것으로 나타나 동질집단임이 확인

되었다.

그림 1. 특성분노의 사전 사후 측정 그래프

음악치료 실시 후의 특성분노는 실험집단이 17.63점, 통제집단이

28.75점으로 음악치료를 실시한 실험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해 낮아졌으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p<.001). 따라서 음악치료가 알코

올중독 환자의 특성분노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33 -
2. 가설 2의 검정

가설 2는 다음과 같다.

가설 2. 음악치료가 알코올중독 환자들의 상태분노에 영향을 미칠 것

이다.

<표 5> 사전 사후 상태분노

구 분 n 평균 표준편차 t p

통제집단 8 21.38 1.31


사전 .08 .940
실험집단 8 21.00 1.16

통제집단 8 22.00 1.12


***
사후 -12.70 .000
실험집단 8 12.50 .98

*** p<.001

<표 5>와 같이 상태분노에 대한 음악치료 전의 점수를 살펴보면, 통

제집단이 21.38점, 실험집단이 21.00점으로 통제집단이 실험집단보다 높았

으나 통계적으로는 유의미하지는 않은 것으로 나타나 동질집단임이 확인

되었다.

- 34 -
그림 2. 상태분노의 사전 사후 측정 그래프

음악치료 실시 후의 상태분노는 실험집단이 12.50점, 통제집단이

22.00점으로 음악치료를 실시한 실험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해 낮아졌으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p<.001). 따라서 음악치료가 알코

올중독 환자의 상태분노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35 -
1) 가설 2-1의 검정

가설 2-1은 다음과 같다.

2-1. 음악치료가 알코올중독 환자들의 내적상태분노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표 6> 사전 사후 내적상태분노

구 분 n 평균 표준편차 t p

통제집단 8 10,00 1.07


사전 1.05 .312
실험집단 8 10.63 1.30

통제집단 8 10.50 .54


***
사후 -10.33 .000
실험집단 8 6.63 .92

*** p<.001

<표 6>와 같이 내적상태분노에 대한 음악치료 전의 점수를 살펴보

면, 통제집단이 10.00점, 실험집단이 10.63점으로 통제집단이 실험집단보

다 낮았으나 통계적으로는 유의미하지는 않은 것으로 나타나 동질집단임

이 확인되었다.

- 36 -
그림 3. 내적상태분노의 사전 사후 측정 그래프

음악치료 실시 후의 내적상태분노는 실험집단이 6.63점, 통제집단이

10.50점으로 음악치료를 실시한 실험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해 낮아졌으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p<.001). 따라서 음악치료가 알코

올중독 환자의 내적상태분노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37 -
2) 가설 2-2의 검정

가설 2-2는 다음과 같다.

2-2. 음악치료가 알코올중독 환자들의 외적상태분노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표 7> 사전 사후 외적상태분노

구 분 n 평균 표준편차 t p

통제집단 8 11.38 1.30


사전 -1.78 .097
실험집단 8 10.38 .92

통제집단 8 11.50 .54


***
사후 -14.13 .000
실험집단 8 5.88 .99

*** p<.001

<표 7>와 같이 외적상태분노에 대한 음악치료 전의 점수를 살펴보

면, 통제집단이 11.38점, 실험집단이 10.38점으로 통제집단이 실험집단보

다 높았으나 통계적으로는 유의미하지는 않은 것으로 나타나 동질집단임

이 확인되었다.

- 38 -
그림 4. 외적상태분노의 사전 사후 측정 그래프

음악치료 실시 후의 외적상태분노는 실험집단이 5.588점, 통제집단이

11.50점으로 음악치료를 실시한 실험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해 낮아졌으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p<.001). 따라서 음악치료가 알코

올중독 환자의 외적상태분노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39 -
3. 가설 3의 검정

가설 3은 다음과 같다.

가설 3. 음악치료가 알코올중독 환자들의 분노표현방식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표 8> 사전 사후 분노표현방식

구 분 n 평균 표준편차 t p

통제집단 8 61.88 2.10


사전 .08 .083
실험집단 8 62.00 4.14

통제집단 8 65.00 2.83


사후 -15.70*** .000
실험집단 8 47.00 1.60

*** p<.001

<표 8>와 같이 사전 사후 분노표현방식에 대한 음악치료 전의 점수

를 살펴보면, 통제집단이 61.88점, 실험집단이 62.00점으로 통제집단이 실

험집단보다 낮았으나 통계적으로는 유의미하지는 않은 것으로 나타나 동

질집단임이 확인되었다.

- 40 -
그림 5. 분노표현방식의 사전 사후 측정 그래프

음악치료 실시 후의 분노표현방식은 실험집단이 47.00점, 통제집단이

65.00점으로 음악치료를 실시한 실험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해 낮아졌으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p<.001). 따라서 음악치료가 알코

올중독 환자의 분노표현방식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41 -
1) 가설 3-1의 검정

가설 3-1은 다음과 같다.

3-1. 음악치료가 알코올중독 환자의 분노통제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표 9> 사전 사후 분노통제

구 분 n 평균 표준편차 t p

통제집단 8 31.00 .93


사전 -.22 .833
실험집단 8 30.88 1.36

통제집단 8 31.50 .76


***
사후 -24.62 .000
실험집단 8 22.88 .64

주. 분노통제는 점수가 낮을수록 분노를 통제하는데 방해되는 요인이 적다는 긍

정적 의미로 해석한다.

*** p<.001

<표 9>와 같이 분노통제에 대한 음악치료 전의 점수를 살펴보면, 통

제집단이 31.00점, 실험집단이 30.88점으로 통제집단이 실험집단보다 높았

으나 통계적으로는 유의미하지는 않은 것으로 나타나 동질집단임이 확인

되었다.

- 42 -
그림 6. 분노통제의 사전 사후 측정 그래프

음악치료 실시 후의 분노통제는 실험집단이 22.88점, 통제집단이

31.50점으로 음악치료를 실시한 실험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해 낮아졌으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p<.001). 따라서 음악치료가 알코

올중독 환자의 분노통제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43 -
2) 가설 3-2의 검정

가설 3-2는 다음과 같다.

3-2. 음악치료가 알코올중독 환자의 분노표출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표 10> 사전 사후 분노표출

구 분 n 평균 표준편차 t p

통제집단 8 18.88 1.36


사전 .94 .362
실험집단 8 19.75 2.25

통제집단 8 21.38 1.85


***
사후 -11.42 .000
실험집단 8 11.50 1.60

*** p<.001

<표 10>와 같이 분노표출에 대한 음악치료 전의 점수를 살펴보면,

통제집단이 18.88점, 실험집단이 19.75점으로 통제집단이 실험집단보다 낮

았으나 통계적으로는 유의미하지는 않은 것으로 나타나 동질집단임이 확

인되었다.

- 44 -
그림 7. 분노표출의 사전 사후 측정 그래프

음악치료 실시 후의 분노표출은 실험집단이 11.50점, 통제집단이

21.38점으로 음악치료 실시한 실험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해 낮아졌으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p<.001). 따라서 음악치료가 알코

올중독 환자의 분노표출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45 -
3) 가설 3-3의 검정

가설 3-3은 다음과 같다.

3-3. 음악치료가 알코올중독 환자의 분노억제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표 11> 사전 사후 분노억제

구 분 n 평균 표준편차 t p

통제집단 8 12.00 .93


사전 -.96 .355
실험집단 8 11.38 1.60

통제집단 8 12.13 1.13


사후 -.68 .446
실험집단 8 10.63 1.41

<표 11>와 같이 분노억제에 대한 음악치료 전의 점수를 살펴보면,

통제집단이 12.00점, 실험집단이 11.38점으로 통제집단이 실험집단보다 높

았으나 통계적으로는 유의미하지는 않은 것으로 나타나 동질집단임이 확

인되었다.

- 46 -
그림 8. 분노억제의 사전 사후 측정 그래프

음악치료 실시 후의 분노억제는 실험집단이 10.63점, 통제집단이

12.13점으로 음악치료 실시한 실험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해 낮아졌으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 47 -
Ⅴ. 결론 및 논의

1. 결론

이 연구는 음악치료가 알코올중독 환자의 분노조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목적으로 이루어졌다. 연구의 대상은 경기도 G시 소재 G

병원의 알코올중독 환자 중 1. DSM-Ⅳ에 근거하여 알코올중독으로 진단

받은 자. 2. 의사소통 및 노래 부르기가 가능한 자. 3. 시각, 청각장애를

비롯한 다른 신체적 장애가 없으며 악기활동에 지장이 없는 자. 4. 현재

알코올 이외에는 다른 정신과적 질환을 가지고 있지 않은 자. 5. 언어적 혹

은 신체적인 공격행동경험이 있는 자를 선정하였으며, 실험집단을 대상으

로 주 1회(50분씩) 총 12회의 음악치료를 실시하였고, 집단 간 음악치료

실시전과 후를 t검정을 통해 검정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연구가설에 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음악치료가 알코올중독 환자의 특성분노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

는 가설은 t검정을 한 결과 음악치료 전보다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

으로 나타남으로써 (p<.001)채택되었다.

둘째, 음악치료가 알코올중독 환자의 상태분노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

는 가설은 t검정을 한 결과 음악치료 전보다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

으로 나타남으로써 (p<.001)채택되었다.

셋째, 음악치료가 알코올중독 환자의 내적상태분노에 영향을 미칠 것

이라는 가설은 t검정을 한 결과 음악치료 전보다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 48 -
것으로 나타남으로써 (p<.001)채택되었다.

넷째, 음악치료가 알코올중독 환자의 외적상태분노에 영향을 미칠 것

이라는 가설은 t검정을 한 결과 음악치료 전보다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남으로써 (p<.001)채택되었다.

다섯째, 음악치료가 알코올중독 환자의 분노표현방식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은 t검정을 한 결과 음악치료 전보다 유의미한 차이가 있

는 것으로 나타남으로써 (p<.001)채택되었다.

여섯째, 음악치료가 알코올중독 환자의 분노통제에 영향을 미칠 것이

라는 가설은 t검정을 한 결과 음악치료 전보다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남으로써 (p<.001)채택되었다.

일곱째, 음악치료가 알코올중독 환자의 분노표출에 영향을 미칠 것이

라는 가설은 t검정을 한 결과 음악치료 전보다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남으로써 (p<.001)채택되었다.

여덟째, 음악치료가 알코올중독 환자의 분노억제에 영향을 미칠 것이

라는 가설은 t검정을 한 결과 음악치료 전보다 낮아진 것으로 나타났으

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는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대상

자수가 비교적 적어 분노억제점수가 낮아지는 경향성이 보이는 데도 불

구하고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는 않았다고 본다. 그러나 전

체적으로 삼분의 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기에 채택되어 영향을 미치

는 것으로 보는 것이 타당하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해서 음악치료가 알코올중독 환자의 분노조절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전의 연구를 살펴보면 그레이엄(Graham,

1983)은 음악치료의 과정이 알코올중독 환자들의 자기 합리화를 감소시

- 49 -
키고, 적극적인 의사소통 기술을 증진시키고, 긴장을 이완시키고, 음악적

인 관심이나 생활습관을 긍정적인 방향으로 변화시킨다는 결과를 보고하

였고, 스테판(Stephens, 1974)은 음악과 이완 기법을 사용하여 알코올중독

환자들의 분노에 영향을 주는 불안을 감소시킨다고 보고하여 이 연구의

긍정적인 결과를 뒷받침 해주고 있다.

또한 이러한 결과는 음악이 알코올중독 환자의 분노의 느낌을 표현하

는 출구로 음악을 통해 신체와 목소리, 감정의 카타르시스를 경험하면서

격렬한 외부적 폭발을 방지할 수 있다는 가드스톰(Gardstorm, 1999)의 주

장과 음악활동이 분노와 적대적인 배출구로 제공될 수 있다고 한 리더만

(Liederman, 1967)의 주장을 반영해 준다.

이상의 연구 결과로 볼 때, 이 연구의 결과는 음악치료가 알코올중독

환자의 분노조절에 대한 치료적 접근 방법으로서 바람직하고, 치료효과를

보았다는 데에 이 연구가 가지는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2 연구의 제한점 및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

이 연구의 제한점으로는 첫째, 분노에 대한 보고를 환자의 주관적 보

고에만 의존하였으므로 신뢰성(reliability)의 문제가 생기는 것을 피하기

는 어려웠다. 둘째, 실험집단이 8명이라는 소수의 대상자로 단기에 걸쳐

연구하였기 때문에 이 연구의 효과성을 일반화하는데 한계가 있다. 셋째,

실험 사후 검사 이후 환자들의 퇴원으로 추후평가가 어려워 계속적인 음

악치료의 효과검증을 하기에 한계가 있었다.

- 50 -
이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후속 연구에서는 첫째, 집단의 인원수를 늘

리고 치료의 기간을 늘려서 보다 효과적인 차이를 보여줄 수 있을 것이

다. 둘째, 실험의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 주관적 보고와 함께 객관적으로

환자의 분노에 대한 반응들을 측정할 수 있는 정신 생리학적 도구를 사

용하는 것이 이루어져야겠다. 셋째, 정신분열병이나 노인성 질환만큼 활

발한 연구가 없었기 때문에 알코올중독 환자의 재활을 위한 연구가 절실

히 요구된다. 따라서 알코올중독 환자에게 효과적인 음악치료의 정착을

위해서는 음악치료 프로그램의 다양성과 보편화가 이루어져야겠다. 넷째,

알코올중독 환자들의 입원기간이 대체로 짧기 때문에 병원 내에서 단기

치료의 효율을 높일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해 단기간 동안 재활치료에

적극 참여함으로써 환자들이 사회에서의 일반화와 연결시킬 수 있는 프

로그램의 개발이 이루어져야겠다.

- 51 -
참고문헌

강경호. “중독의 위기와 상담”. 경기: 한사랑가족상담연구소, 2002.

김군자, “알코올 환자들을 위한 음악치료 효과의 검증: 분석적 음악치료

와 게슈탈트 음악치료를 중심으로”. 이화여자 대학교, 박사학위논

문, 2002.

김기태, 안영실, 최송식, 이은희. 『2005. 알코올중독의 이해』, 양서원,

2005.

김길숙, 오동열. “분노조절이 알코올중독에 미치는 영향”. 임상연구논문집,

국립서울병원, 1998.

김미정. “능동적 활동을 유발하기 위한 즉흥연주 지도 방안”, 청원: 한국

교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00.

김영미. “장애아동의 음악치료에 대한 특수교사, 부모, 음악치료사의 인식

도 조사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0.

전겸구. 『한국판 STAXI 척도 개발 연구(II)』. 재활심리연구, 3(1),

53-69, 1997.

정대영, 『장애학생들을 위한 음악치료』, 서울: 국립특수교육원, 1997.

민성길 외 공저. 『최신정신의학』, 일조각, 2000.

서화정. “알코올중독에 대한 가족의 인식도에 관한 연구”. 부산대학교 사

회복지학과 석사학위논문, 1993.

성인영. “음악활동이 정신지체아의 부적응행동 감소에 미치는 효과”. 숙명

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9.

- 52 -
송미경. 『알코올의존 환자의 분노읽기』. 경기 : 한국학술정보, 2006.

신인철, 『현대유아음악 교육법』, 동격: 동아음악사, 1978.

엄현경. 『음악치료의 개념 및 방법에 관한 고찰』. 특수아동임상연구,

1993.

이경숙. “집단음악활동이 정신분열증 환자의 감정표현력과 정신병적 행동

에 미치는 영향”.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9..

이병희, 김상훈, 박상학. “알코올 중독과 감각추구 성향”. 『신경정신의

학』, 35(1), 144-153, 1996.

이소정, 윤해주, 이태경, 민성호. “중동관련행동문제에 대한 일반인들의

인식조사”, 『중독정신의학』, 7:1 53-59, 2003.

이은화, 『유아사회교육』, 서울: 양서원, 1993.

천성문. “신경증적 비행청소년의 분노조절을 위한 인지행동적 집단 치료

효과”. 영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9.

최병철, 『음악치료학』. 서울: 학지사, 1999.

허지영. “알코올중독자를 위한 분노조절프로그램의 효과성 측정”. 경북대

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8.

Alschuler, C. F., & Alschuler, A. S. Developing healthy responese to

anger: The counselor's role. Journal of Counseling and

Development, 63, 26-29, 1984.

American Music Therapy Association, Music Therapy as a career,

Washingtion, D.C: American Music Therapy Association, 1997.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 53 -
Mental Disorders(DSM-III), 3rd rev. ed. Washington DC,

American Psychiatric Press, 1995.

Averill. J. R.. Studies on anger and aggression: Inplications, 1983.

Berkowitz, L. Frustration-aggression hypothesis: examination and

reformulation. Psychological Bulletin. 106. No.1. 59-73, 1989.

Berkowitz, L. On the formulation and regulation of anger and

association: A Cognitive-neoassociationistic analysis. American

Psychologist. 45. No.4. 494-503, 1990.

Boxill, Eh. Music therapy for the developmentally disabled. An Aspen

Publication, 1985.

Bruscia, K. E. The Dynamic of Music Psychotherapy, Barcelona

Publishers, 1998.

Carey, K. B. & Correia, C. J. Drinking motive predict alcohol-related

problems in college students. Journal of studies on alcohol. 58.

100-105, 1997.

Crane, R. The role of anger, hostility and aggression in essential

hypertensio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South Florida, 1981.

Dougherty, K. M. Music Therapy in the Treatment of the Alcoholic

Client, The Journal of the American Association for Music

Therapy, 4(1), 47-54, 1984.

Duerken G. L. A stud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erception of

musical process and the enjoyment of music Cuncil for Reserch

- 54 -
in Music Education, 16, 1-8, 1968.

Ficken, T. The use of songwriting in a psychiatric setting. Journal of

Music Therapy, 13(4), 163-172, 1976.

Frijda, N. H. The Emotion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6.

Gaston, E. T. Man and Music. In E. T Gaston(Ed). Music in

Therapy. New York: The MacMillan Company, 1968.

Greer, S & Morris, T. Psychological attributes of woman who develop

breast cancer: A controlled study. Journal of Psychosomatic

Research. 2. 147-153, 1975.

Izard, C. E. Human emotions. New York: Plenum, 1977.

James, M. R. Music Therapy and Alcoholism: Part-Treatment

Services. Music Therapy Perspectives, 5, 65-68, 1988.

James, M. R. Self-monitoring Inclinations and Adolescent Clients

with Chemical Dependency. Journal of Music Therapy, 25(2),

1988.

Liederman, P. C. Music and rhythm group therapy for geriatric

patients, Journal of Music therapy, 4(4), 126-127

Lindstorm, L. Managing Alcoholism: Matching Clients to Treatment.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1992.

Miller, A. S. Music Therapy for alcoholics at a salvation Army

Center. Journal of Music Therapy, 7, 136-138, 1970.

Monti, P. M., D. B. Abrams, R. M. Kadden, & N. L. Cooney. Treating

Alcohol Dependence: A Coping Skiils Training Guide. New

- 55 -
York & London: The Guilford Press, 1985.

Novaco. R. W. The cognitive regulation of anger and stress. In P. C.

Kendall & S. D. Hollen(ed.) Cognitive-behavioral interventions:

Theory, research, and procedures. New York: Academic Press,

1979.

Rothenberg. A. On Anger. American Journal of Psychiatry. 128:4.

October. 454-460, 1971.

Ruud, E. Improvisation as a liminal experience: Jazz and music

therapy as modern 'rites of passage'. In C. Kenny (Ed.),

Listening, playing, creating: Essays on the power of

sound(91-117). Albany, NY: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1995.

Sharkin B. S. The measurement and treatment of client anger in

counseling. Journal of Counseling and Development. April. 66.

361-365, 1988.

Spielberger, C, D. Professional manual for the State-Trait Anger

Express Inventory(STAXI)(research ed.). Tampa, FL:

Psychological Assessment Resources, Inc., 1988.

W.H.O. Alcohol and Alcoholism, Report of An Expert Committee.

W.H.O. Tech. Reposer. 94, 1955.

- 56 -
Abstract

The Effect of Music Therapy on Anger

Control in Patients with alcoholism

Soo Kim

Major in Music Therapy

The Graduate School of Hansei University

This research was carried out in order to examine how the

musical treatment program has an effect on anger control of alcoholic

patients.

The research was conducted at G hospital in G city in Kyunggi

province, from the sixth of July in 2007 to the 21st of September,

once in a week, 12 sessions in all. 16 subjects who are able to hear

sing, and communicate were selected for this experiment. They have

no other mental disease except alcoholism.

The result of this research is measured by Korean version of

STAXI, which is standardized Spielberger's(1988) State-Trait Anger

Expression Iventory of 8 members of examination group and the other

- 57 -
8 of control group on anger control to befit Korean circumstances.

Music therapy is comprised of musical appreciation, improvisation,

instrumental performance, singing and composing once a week, 12

terms in all.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set up by the hypothesis; the

musical treatment will have an effect on alcoholic patients' state as

well as trait anger and the way of expressing it.

The result of this research shows that the musical treatment is

effective for alcoholic patients to control anger.

- 58 -
<부록 1> 상태-특성 분노표현 척도

다음은 화가 나거나 속상한 일이 생겼을 때 어떻게 처신하는지를 파악하기 위한


STAXI
것입니다.
평소에 느끼는 일반적인 기분과 심정을 기준으 평소에 화가 나거나 분노를 느꼈을 때 어떻게 하

로 답합니다. 시는지를 기준으로 답합니다.


평소에 나는 ___ 화가 나거나 분노를 느낄 때 나는 ___

1. 성미가 급하다. 21. 화를 참는다.


2. 불같은 성질을 지녔다. 22. 화난 감정을 표현한다,
3. 격해지기 쉬운 사람이다. 23. 말을 하지 않는다.
4. 다른 사람이 잘못해서 내 일이 늦어지게 되 24. 사람들에게 인내심을 갖고 대한다.
면 화가 난다. 25. 뚱해지거나 토라진다.
5. 일을 잘하고도 다른 사람으로부터 인정받지 26. 사람들을 피한다.
못하면 분통이 터진다. 27. 소리를 지른다.
6. 쉽게 나면 욕을 한다. 28. 냉정을 유지한다.
7. 화가 나면 욕을 한다. 29. 문을 쾅 닫아버리는 식의 행동을 한다.
8. 다른 사람 앞에서 비판을 받게 되면 격분 한 30. 상대의 시선을 피한다.
다. 31. 나의 행동을 자제한다.
9. 내 일이 막히면, 누군가를 때려 주고 싶다. 32. 사람들과 말다툼한다.
10. 일을 잘 했는데도 나쁜 평가를 받게 되면 33. 아무에게도 말하지는 않으나. 안으로 앙심을
격분을 느낀다. 품는 경향이 있다.
평소가 아니라 지금 이 순간에 느끼는 기분과
34. 목소리를 높인다.
심정을 기준으로 답합니다,
지금 이 순간에 나는 ___ 35. 화가 나더라도 침착하게 자제할 수 있다.

36. 속으로 다른 사람들을 비판한다.


11. 격분하고 있다. 37. 나 자신이 인정하고 싶은 것 보다 화가 더
12. 짜증을 느끼고 있다. 나있다.
13. 분노하고 있다. 38. 대부분의 사람보다 진정을 빨리 회복한다.
14. 누군가에게 소리 지르고 싶다 39. 욕을 한다.
15. 물건을 부수고 싶다. 40. 참고 이해하려고 노력한다.
16. 미칠 듯이 화가 나 있다. 41. 다른 사람들이 알고 있는 것보다 분통이 더
17. 책상을 주먹으로 내리치고 싶다. 나 있다.
18. 누군가를 때려주고 싶다. 42. 자제심을 잃고 화를 낸다.
19. 속이 부글부글 끓고 있다. 43. 화난 표정을 짓는다.
20. 욕을 퍼붓고 싶다. 44. 화난 감정을 자제한다.

- 59 -
<부록 2> 상태-특성 분노표현 척도 답안지

해당란에 V표 하세요

3단계 평가(STAXI)
전혀그렇 조금 보통 매우 전혀그렇 조금 보통 매우

문항 지않다 그렇다 그렇다 그렇다 문항 지않다 그렇다 그렇다 그렇다


1 2 3 4 1 2 3 4
1 21
2 22
3 23
4 24
5 25
6 26
7 27
8 28
9 29
10 30
11 31
12 32
13 33
14 34
15 35
16 36
17 37
18 38
19 39
20 40
41
42
43
44

- 60 -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