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8

생물치료정신의학 제 22 권 제 1 호, 2016

J Korean Soc Biol Ther Psychiatry Vol 22, No 1, 2016


원 저

자살 임박 시기 알코올 사용과 자살 기도의 특성

김임규*·임지섭*·공보금*·강제욱*·문정준*
전동욱*·김성진*·김현정*·정도운*†

Higher Blood Alcohol Concentration Levels at the Time of Attempting


Suicide Predict Poorer Medical Outcomes

Im-Gyu Kim, M.D.,* Ji-Seop Lim, M.D.,* Bo-Geum Kong, M.D., Ph.D.,*
Je-Wook Kang, M.D., Ph.D.,* Jung-Joon Moon, M.D.,* Dong-Wook Jeon, M.D.,*
Sung-Jin Kim, M.D.,* Hyun-Jung Kim, M.D.,* Do-Un Jung, M.D., Ph.D.*†

Objective:The aim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of individuals who used alcohol at the
time of attempting suicide.
Methods:We divided 143 individuals who attempted suicide by consuming drugs into two groups on the basis of
their blood alcohol concentration level: drinker group(n=79) and non-drinker group(n=64). We compared epidemio-
logical characteristics and suicidal behavior between the groups by using the Suicidal Intent Scale(SIS) and the Risk
Rescue Rating Scale(RRRS). In addition, we administered the Glasgow Coma Scale(GCS) and the Acute Physiology
and Chronic Health Evaluation-II(APACHE-II) to evaluate the medical lethality of the individuals who attempted sui-
cide. We used Student’s t-test,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linear regression to analyze the data.
Results:The drinker group scored lower on the SIS’s planning subscale than the non-drinker group did(p=0.022).
The drinker group’s blood alcohol concentration levels we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the rescue potential of their
suicidal attempt(p=0.031) and the APACHE-II score(p=0.003). Higher blood alcohol concentration levels predicted
poorer medical outcomes measured by the APACHE-II(p=0.004).
Conclusion:Our findings support the notion that alcohol use increases suicidal impulsivity, decreases rescue po-
tential, and worsens medical outcomes. Therefore, suicide prevention programs need to include education and
counseling about the risks associated with alcohol use.

KEY WORDS:Alcohol · Drug intoxication · Suicide · Suicidal attempt.

협력기구(OECD) 가입국가 중 1위 이다.1) 또한 자살은 교


서 론 통사고, 간질환, 고혈압에 이은 네 번째 사망원인으로
중요한 건강문제이다.2) 주요 정신질환들은 자살 기도의
대한민국의 자살률은 인구 10만명당 33.3명으로 경제 위험성을 증가시키며,3) 기분장애는 자살시도와 관련된
투고일자:2015년 1월 7일 / 수정일자:2015년 10월 23일 / 게재확정일 :2015년 10월 23일
*인제대학교 의과대학 부산백병원 정신건강의학교실
Department of Psychiatry, Busan Paik Hospital, Inje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Busan

교신저자:gabriel.jdu@gmail.com

- 54 -
흔한 정신질환 중 하나이다.4) Nordentoft 등5)이 시행한 가지나, 국내에서 시행된 연구들은 대부분 만성 알코올
전향적 코흐트 연구에 의하면, 정신질환 중 남자의 경우 사용 장애 환자에서의 자살에 국한된 경우가 많았고, 자
양극성 정동장애와 연관된 자살률이 7.77%로 가장 높 살 임박 시기의 알코올 섭취 여부에 따른 자살 기도 특
았으며, 단극성 정동장애가 6.67%로 두 번째로 높은 결 성에 대한 평가가 드물었다.17) 저자들은 자살 임박 시기
과를 나타내었다. 여자의 경우, 조현병(4.91%)과 양극성 에 알코올을 섭취한 경우가 자살 의도가 더 높고, 자살
정동장애(4.78%)의 순서로 연관성을 가졌다. 이외에도 행동의 치명도 및 의학적 중등도도 높을 것이라고 가정
물질 남용, 인격장애 등의 질환도 자살률과 관련성이 있 하였다. 또한 혈중 알코올 농도가 높을수록 더 치명적이
6)
다는 연구들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정신질환들을 가지 며, 의학적 중증도가 높은 자살 기도를 시행했을 것이라
고 있다는 것 자체로만 자살 위험을 평가하는 것은 아 예상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자살 임박 시기의
니며, 자살 위기에 대한 즉각적 개입을 위해서는 정신장 알코올 사용 여부와 관련된 자살 기도의 특성을 분석하
애를 가진 환자들이 자살을 선택하게 하는 다른 요인을 고, 이차적으로 혈중 알코올 농도에 따른 자살 기도의
명확히 할 필요가 있다.7) 특성을 분석하였다.
자살에 대한 연구는 주로 위험 요소와 경고 신호를 평
가한다.8) 위험 요소는 만성적인 것들을 반영하지만 즉 대상 및 방법
각적인 자살 행동에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 이러한 요소
에는 가정문제, 경제적 어려움, 자살시도 횟수 등의 개인 1. 연구 대상
적 요인들이 포함될 수 있다. 대부분의 위험 요소는 안정 본 연구는 2013년 3월 1일부터 2014년 2월 28일까지 1
되어 있고, 쉽게 변하지 않기 때문에 개입에 제한점을 가 년간 자살 기도로 인한 급성 약물중독(drug intoxication)
9)
진다. 반면 경고 신호는 자살 위기를 민감하게 반영하 으로 인제대학교 부산백병원 응급실로 내원한 환자 178
므로 즉각적인 개입이 필요하다. 일반적으로 죽음에 대 명의 의무기록을 바탕으로 후향적 연구를 시행하였다.
한 강박적 생각, 유서쓰기, 갑작스런 성격의 변화, 수면- 연구에 포함된 대상자들은 응급실에서 정신건강의학
식이 패턴의 변화 등을 대표적인 자살 경고 신호로 보 과에 의뢰되어 평가 및 면담을 시행한 환자였으며, 178
고 평가하였으나, 일부에서는 이러한 자살 경고 신호를 명 중 자살 기도를 부인하고 급성 약물 중독의 증거가
타인에게 관찰되는 징후(sign)와 당사자가 느끼는 증상 명확하지 않은 35명의 환자를 제외한 143명이 최종적으
10)
(symptom)으로 구분하는 개념도 제시되고 있다. 알코 로 연구에 포함되었다.
올 섭취의 증가는 대표적인 자살 경고 신호 중 하나이다. 응급실 내원 시 시행된 혈중 알코올 농도 검사의 양성/
선행 연구들에서 자살 기도자(suicide attempter)에 비해 음성 여부에 따라 알코올 섭취군(drinker group)과 알코
자살 완수자(suicide completer)들이 자살 행동 전에 알 올 비섭취군(non-drinker group)으로 구분하였으며, 응
코올을 섭취하는 경향이 더 높음을 확인했으며, 자살 완 급실에서의 면담, 혈액 검사, 생체 징후 등을 통해 각 군
수자의 약 50%는 죽는 순간 취해 있었고 52%는 알코올 에서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자살 의도의 정도, 자살 행
이나 약물을 죽기 수 시간 전에 복용했다.11)12) 또한 자살 동의 위험성과 구조가능성, 의학적 중증도를 비교 평가
임박시기의 알코올 사용은 계획되지 않은 자살시도에 하였다. 다음으로 알코올 섭취군에서 혈중 알코올 농도
13)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는 알코올 사용이 탈억제 에 따른 자살 의도 정도, 자살 행동의 위험성과 구조가
와 충동성을 증가시키고, 공격성과 부정적 감정을 증가 능성, 의학적 중증도에 대해 상관관계 분석을 하였다.
시키며, 인지적 경직성(alcohol myopia)을 증가시켜 대 본 연구는 인제대학교 부산백병원 의생명연구윤리심
안적 대처 전략을 억제하기 때문이다.14)15) 알코올 섭취 의위원회(Institutional Review Board for Human Re-
는 자살 행동의 위험성을 증가시키며,16) 의학적으로 심 search)의 승인을 받았다.
각한 결과를 초래한 자살 기도를 한 경우에 알코올의
2. 인구사회학적 특성
섭취는 추후 자살 재시도 및 자살 완료 위험성을 더 높
나이, 성별, 교육 정도, 동반 질환, 내원 형태, 이전 자살
였다.14)
시도 병력을 조사하였다.
이렇듯 자살과 알코올 사용은 서로 밀접한 상관성을

- 55 -
3. 자살 의도 평가(Suicidal Intent Scale, SIS) 체적 치료 필요 항목의 합으로, 구조 가능성은 1) 자살
Aron T. Beck 등이 자살 기도자의 자살 의도의 심각 기도의 장소, 2) 구조자, 3) 발견 가능성, 4) 구조의 접근
성을 평가하기 위해 고안한 척도인 Suicidal Intent Scale 성, 5) 발견 지연 시간 항목의 합이며, 각 항목은 3점 척
(SIS)로 대상자의 자살 의도를 평가하였다.18)19) SIS는 도로 5~15점이며 점수가 높을수록 위험성과 구조 가능
15개의 자살시도 환경평가와 5개의 자가 보고로 이루어 성이 높은 것으로 평가된다. RRRS 점수는 위험성 점수
져 있으며, 자가 보고 항목은 총 점수에 반영되지 않는다. (Risk score)를 위험 점수와 구조가능성 점수(Rescue
자살 기도의 환경 평가는 1) 고립(Isolation), 2) 시간(Tim- score)의 합으로 나눈 비율로서 RRRS 점수가 높을수록
ing), 3) 발견/개입경계(Precautions against discovery/ 전반적인 자살 완수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평가한다.
intervention), 4) 도움 요청(Acting to get help during/
5. 혈액학적 검사
after attempt), 5) 죽음을 준비한 행동(Final acts in an-
혈액학적 검사로 혈중 알코올 농도 검사, 간기능 검
ticipation of death : will, gift, insurance), 6) 자살 기도
사, 전해질 검사, 동맥혈가스검사 등을 시행하였다.
의 계획 정도(Active preparation for attempt), 7) 유서
(Suicide Note), 8) 자살 의도 표현(Overt communica- 6. 자살 결과 평가
tion of intent before the attempt), 9) 자살 기도의 목적
1) 의식 수준 평가(Glasgow Coma Scale, GCS)
(Alleged purpose of attempt), 10) 치명성에 대한 기대
응급실 내원 당시의 신체징후와 신체검진을 통해 내
(Expectations of fatality), 11) 방법의 치명성에 대한 생
원 당시의 의식 수준을 사정하기 위한 척도로, 눈뜨기,
각(Conception of method’s lethality), 12) 자살 기도의
운동반응, 언어반응을 통해 평가하며, 점수가 낮을수록
심각성(Seriousness of attempt), 13) 삶에 대한 양가적
의식 수준이 나쁨을 나타낸다. 중독환자에 있어 초기
생각(Attitude toward living/dying), 14) 회복에 대한 기
GCS 점수가 중독환자의 예후판단에 유용하다고 알려
대(Conception of medical rescuability), 15) 사전 고려
져 있다.24)
의 정도(Degree of premeditation)로 구성된다. 자살시도
환경평가는 3점 척도로 그 범위는 0~30점이며 점수가 2) 의학적 중증도 평가(Acute Physiology and
높을수록 자살 의도가 높은 것으로 평가한다. Chronic Health Evaluation Score-II,
SIS는 자살 기도의 계획성과 예상 치명도 두 가지 구 APACHE-II)
성 요소로 나누어 볼 수 있으며, 자살 기도의 계획성은 연구 대상자의 신체 생리학적 인자들, 연령, 그리고
자살시도의 충동성과 역관계를 가지고 있다. 자살시도 만성 건강 상태 등의 항목을 평가하는 것으로, 입원 당
의 계획성(Planning)은 자살 기도의 계획 정도, 사전 고 시와 입원 후 첫 72시간 동안에 높은 APACHE-II 점수
려의 정도를 포함하여, 고립, 시간, 발견/개입경계, 죽음 는 높은 사망률과 연관성이 있다. 또한 중독 환자의 예
을 준비한 행동, 유서, 자살 의도 표현 항목의 합으로 표 후를 예측하여 표준 치료 계획을 수립하는데 있어 GCS
현된다. 자살시도의 예상 치명도(expected lethality)는 도 와 APACHE-II 점수가 유용성을 보인다.25) APACHE-
움요청, 자살 기도의 목적, 치명성에 대한 기대, 방법의 II 점수가 8점 이하는 4% 이하, 8점 이상은 11~18%의 사
치명성에 대한 생각, 자살 기도의 심각성, 삶에 대한 양가 망률을 보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26)
20-22)
적 생각, 회복에 대한 기대 항목의 합으로 나타낸다.
7. 통계 분석
4. 자살 행동 평가(Risk- Rescue Rating Scale, 모든 자료의 연속형 변수는 평균과 표준편차 및 범위
RRRS) 로, 이산형 변수는 도수와 백분율로 나타내었다. 각 군
RRRS는 Weisman과 Worden이 제안한23) 자살 행동의 간의 인구사회학적 특징과 자살 의도, 자살 행동의 위험
치명도를 평가하는 척도로 자살 행동의 위험성(Risk)과 성와 구조 가능성 및 의학적 중증도 평가 비교는 t 검정
구조 가능성(Rescue)을 각각 5가지 항목으로 평가하여 과 Fisher’s exact test를 통해서 이루어졌다. 혈중 알코
자살 기도의 완수 가능성을 평가하게 된다. 위험성은 1) 올 농도와 자살 의도, 자살 행동의 위험성과 구조 가능
자살시도의 방법, 2) 의식손상, 3) 독성, 4) 가역성, 5) 신 성, 의학적 중증도의 연관성을 구하기 위해 Pearson 상관

- 56 -
분석을 사용하였다. 또한 의학적 중증도에 영향을 미치 기 위하여 알코올 섭취군과 알코올 비섭취군의 위험성
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다중선형회귀분석을 시행하 점수, 구조가능성 점수, RRRS 점수, SIS 점수, SIS 계획
였다. 통계분석은 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 성, SIS 예상 치명도, GCS, APACHE-II 점수를 독립
20(SPSS Inc., Chicago, IL, USA)을 사용하여 분석하였 표본 T-검정으로 분석하였다. SIS 계획성을 제외하고
고, 유의수준은 0.05 이하로 하였다. (p=0.022), 두 군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표 2).
결 과 3. 알코올 섭취량과 자살관련 요인 사이의 상관
알코올 섭취량에 따른 자살시도의 특성을 비교하기
1. 인구사회학적 특성
위해 알코올 섭취군을 대상으로 혈중 알코올 농도와 위
자살 기도로 음독 후 응급실로 내원한 143명의 전체
험성 점수, 구조가능성 점수, RRRS 점수, SIS 점수, SIS
연구대상자의 평균 연령은 43.52±10.03세(연령범위
계획성, SIS 예상 치명도, GCS, APACHE-II 점수의
14~90세)였고, 남자가 62명(43.4%), 여자가 81명(57.6%)
Pearson 상관계수(r)를 구하였다. 혈중 알코올 농도는
이었다. 알코올 섭취군에서 평균 알코올 농도는 135±
자살 기도의 구조가능성 점수(r=-0.242, p=0.031)와는
10.03mg/dL이었다. 알코올 비섭취군에서 여성 자살 기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APACHE-II 점수(r=0.335,
도자의 비율이 64.1%로 알코올 섭취군 50.6%에 비하여
p=0.003)와는 양의 상관 관계가 있었다(표 3).
더 높았다(p=0.03). 두 군간 연령, 종교, 교육, 결혼, 수
입, 이전 자살 기도 횟수 등의 인구사회학적 변인의 비 4. APACHE-II와 관련된 요인들
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표 1). 자살 기도자의 의학적 중증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분석하기 위하여 알코올 섭취군을 대상으로 APACHE-
2. 알코올 섭취 유무에 따른 자살시도의 특성
II를 종속변수로 하여 다중선형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알코올 섭취 유무에 따른 자살시도의 특성을 비교하
Table 1.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individuals who attempted suicide
Drinker group(n=79) Non-drinker group(n=64)
Characteristics t or χ2 p-value
mean±SD/N(%) mean±SD/N(%)
Age(years) 52.97±12.94 50.25±19.62 -0.996 0.321
Gender(M/F, male %) 39/40(49.4%) 23/41(35.9%) 2.597 0.033
Job
Employed 20(37.7%) 14(37.8%)
6.810 0.339
Unemployed 31(58.5%) 22(59.5%)
Religion
Atheist 13(35.1%) 23(79.3%) 0.863
Christian 06(16.2%) 03(10.3%)
Buddhist 17(45.9%) 03(10.3%)
Education(years) 10.17±1.030 12.36±2.320 5.940 0.204
Marital status
Married 20(36.3%) 14(40.0%)
Unmarried 17(30.9%) 14(40.0%)
0.406
Divorced 10(18.2%) 06(17.1%)
Bereaved 07(12.7%) 01(2.9%)0
Income(unit : 10,000KW)
<100 11(25.6%) 14(43.8%)
100-200 12(30.2%) 12(37.5 %)
0.173
200-300 18(41.9%) 04(12.5 %)
>300 01(2.3%)0 02(6.3 %)0
Number of previous attempt 00.45±0.950 00.75±1.630 1.278 0.204

- 57 -
APACHE-II 점수는 혈중 알코올 농도가 높을수록(β=
0.034, p=2.945), GCS 점수가 낮을수록(β=-1.258, p< 고 찰
0.001) 유의하게 높았다. 이 분석의 설명력은 adjusted
R2=0.237이었다(표 4). 2011년 보건복지부에서 발간한 자살현황 연간보고서

Table 2. Comparison of clinical characteristics of individuals who attempted suicide


Drinker group(n=79) Non-drinker group(n=64)
Variables T p-value
mean±SD mean±SD
Risk score 01.89±1.09 02.17±1.22 1.483 0.140
Rescue score 03.00±1.38 03.33±1.26 1.471 0.144
RRRS 00.39±0.15 00.39±0.15 0.086 0.932
SIS 11.29±5.71 13.36±7.21 1.868 0.064
SIS planning 04.42±3.32 05.83±3.98 2.311 0.022
SIS lethality 06.87±3.11 07.53±4.08 1.064 0.289
GCS 11.44±2.94 11.58±3.44 0.253 0.801
APACHE-II 16.15±8.89 14.02±6.44 -1.665 0.098
APACHE-II : Acute Physiology And Chronic Health Evaluation-II, GCS : Glasgow Coma Scale, RRRS : Risk Rescue
Rating Scale, SIS : Suicidal Intent Scale, SIS lethality : Suicidal Intent Scale expected lethality sub-score, SIS plan-
ning : Suicidal Intent Scale planning sub-score

Table 3. Pearson correlations matrix with blood alcohol concentration level in the drinker group
Risk Rescue RRRS SIS SIS
BAC SIS GCS
score score score planning lethality
Risk score -0.017
Rescue score -0.242* -0.051
RRRS -0.206 -0.667*** -0.655***
SIS -0.078 -0.526*** -0.134 -0.252*
SIS planning -0.097 -0.466*** -0.182 -0.202 0.896***
SIS lethality -0.040 -0.470*** -0.051 -0.249* 0.881*** 0.581***
GCS -0.101 -0.193 -0.149 -0.257* 0.007 0.050 -0.041
APACHE-II -0.335** -0.055 -0.135 -0.139 0.096 0.020 -0.154 -0.430***
* : p<0.05, ** : p<0.01, *** : p<0.001. APACHE-II : Acute Physiology And Chronic Health Evaluation-II, BAC :
Blood Alcohol Concentration, GCS : Glasgow Coma Scale, RRRS : Risk Rescue Rating Scale, SIS : Suicidal Intent
Scale, SIS lethality : Suicidal Intent Scale expected lethality sub-score, SIS planning : Suicidal Intent Scale planning
sub-score

Table 4. Multiple linear regression results for independent predictors of APACHE-II in the drinker group
Variables β±SE t p-value
Risk score -1.119±2.3380 -0.479 0.634
Rescue score -0.014±1.7410 -0.008 0.993
RRRS 0.322±20.884 0.015 0.988
SIS planning 0.041±0.3500 0.118 0.907
SIS lethality 0.581±0.3700 1.568 0.121
GCS -1.258±0.3120 -4.027 <0.001
BAC 0.034±0.0110 2.945 0.004
SE : standard errors, R2=0.306, adjusted R2=0.237. APACHE-II : Acute Physiology And Chronic Health Evaluation-II,
BAC : Blood Alcohol Concentration, GCS : Glasgow Coma Scale, RRRS : Risk Rescue Rating Scale, SIS : Suicidal In-
tent Scale, SIS expected lethality : Suicidal Intent Scale Expected Lethality sub-score, SIS planning : Suicidal Intent
Scale Planning sub-score

- 58 -
에 의하면 중독, 질식, 둔상, 투신, 날카로운 물건에 의 관련되어 있었고,33) 자살 기도자가 자살 결과를 잘 예상
한 손상 등의 방법으로 자살 기도를 하며, 자살 완수자 할 수 있는 경우에 자살 의도와 의학적 치명도가 높은
의 경우는 질식사가 가장 흔하지만, 자살 기도의 방법 상관관계를 보였다.34) 이는 자살 의도가 높은 사람이 자
27)
중에는 중독이 50~65%로 가장 많았다. 최근의 코호 살에 대해 더 많은 계획을 세우고 준비함에 따라 치명
트 연구에 의하면, 급성 약물 중독으로 인한 자살 기도 도가 더 높은 자살 방법을 선택하는 것과 관련된 것으로
는 첫 시도에서 단지 0.7%만이 사망하지만, 평균 5.3년 생각된다.20) 하지만, 높은 자살 계획 정도가 비폭력적이
의 추적 관찰 기간 동안 대조군에 비해 더 잦은 자살 기 고 덜 심각한 자살 기도와 유의한 상관관계를 가진다는
28)
도를 하였고, 뚜렷하게 높은 자살률을 보였다. 연구도 있었다.21) 이는 충동성이 자살 계획 정도보다 더
본 연구는 음독 자살 기도자가 자살 임박 시기에 알코 치명적 자살 결과에 영향을 주는 경우이거나,35) 자살 기
올을 섭취하는 지 여부에 따라 자살 기도 및 자살 치명도 도 후 발견 시간이 지체되어 치명적 자살 결과를 불러오
에 어떻게 영향을 주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두 군간 는 경우 등이 관련되는 것으로 보인다. 이렇듯 선행 연구
인구 사회학적 특성을 비교했을 때, 알코올 섭취군에서 에서 상반된 결과를 보이는데, 본 연구의 결과로 설명
남성과 여성의 비율에 차이가 없었다. 이는 알코올 관련 가능한 가설은 알코올 섭취가 충동성을 증가시키고, 높
자살이 남성에서 더 높은 빈도로 발생한다는 기존의 연 은 혈중 알코올 농도는 자살 기도 후 구조 가능성을 낮
구와 차이를 보이는데,29)30) 본 연구에는 자살 기도자를 추어서 임상적으로 위중한 결과를 초래할 가능성을 높
대상으로 하였고, 자살 완수자를 포함하지 않았던 점이 인다고 추정할 수 있다.
영향을 주었을 수 있다. 선행 연구들에서 자살 결과의 치명도(medical lethal-
알코올 비섭취군이 섭취군에 비해 자살 계획성에서 ity)를 정의하는 방법론적 차이로 인하여 연구결과가 상
유의미하게 높은 결과를 보여 알코올 섭취군이 충동적 이하게 나타나는데, 본 연구에서는 자살 결과를 평가하
으로 자살 기도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알코올 섭취 기 위해서 APACHE-II 점수를 사용하여 의학적 중증
군만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에서는 혈중 알코올 농도 도를 분석하였다. 이는 저자들의 문헌 검색 결과로는 국
와 자살 계획성과의 상관성을 찾을 수 없었다. 알코올 내에서 처음 시도되는 것으로 임상 현장에서 자살의 결
섭취 양에 비례하지는 않아도 알코올 섭취 여부 자체는 과를 객관적인 자료들(생체징후, 혈액학적 검사 등)을
충동적 자살 기도의 위험성을 높일 가능성이 있다. 이는 이용하여 도출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이전의 연구에서 알코올 사용이 계획되지 않은 자살 기 이번 연구에서 자살 임박시기의 알코올 섭취가 높은
13)
도의 중요한 요소로 고려되었던 것과 일치한다. 충동성, 낮은 구조 가능성, 높은 의학적 중증도와 연관
그 외의 변인들은 알코올 섭취군과 비섭취군에서 통 성이 있음을 확인하였지만, 몇 가지 제한점을 가진다.
계적으로 의미있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장기적으로 첫째, 본 연구는 후향적 연구방법을 사용함으로써 전향
과량의 알코올을 복용해온 알코올 사용 장애 환자의 경 적 연구에 비하여 신뢰할 수 있는 정보의 양이나 종류
우에는 자살 사고와 자살 계획이 증가한다는 보고가 있으 가 제한적이었다. 둘째, 일년 간 인제대학교 부산백병원
나,31) 이번 연구에서는 이런 연관성을 밝히지 못하였다. 응급실로 내원한 음독 자살 기도자를 대상으로 하였기
알코올 섭취군의 Pearson 상관관계 분석을 통하여 때문에 자살 기도자의 대표성에는 한계가 있다. 셋째,
자살관련 요인들을 분석한 결과, 혈중 알코올 농도는 구 응급실 내원 당시 의학적 중증도가 너무 심각한 경우는
조 가능성과 음의 상관관계를 보이며, 자살 기도로 인한 연구 대상자에 포함되지 않았고, 면담이 가능한 환자만
의학적 중증도와는 양의 상관 관계를 보였다. 알코올 섭 이 본 연구에 포함되었으므로 상대적으로 증상이 심한
취량 증가에 따라 의학적 중증도가 높아지는 것은 알코 환자들이 연구에서 제외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넷째, 자
올 섭취량 증가가 자살 행동의 위험성을 높인다는 선행 살 기도의 방법으로 급성 약물 중독을 선택한 환자를
16)32)
연구들과도 일치한다. 따라서, 알코올 섭취의 유무 대상으로 연구를 시행하여서, 다른 요인보다도 복용한
보다는 혈중 알코올 농도가 자살 기도의 위험성을 더 잘 약물의 종류에 따라 의학적 중증도가 달라질 수 있으나
반영한다고 볼 수 있다. 이런 점은 충분히 반영되지 못하였다. 다섯째, 자살 기
선행연구에서는 자살 의도와 자살 행동의 위험성이 도 후 발견이 지연된 경우에는 혈중 알코올 농도가 알

- 59 -
코올 섭취량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할 가능성이 있다. 또 Korean Journal of Legal Medicine 2012;36:63-7.
한 알코올 섭취와 자살 기도 사이의 시간적 선후관계가 13) Brent DA, Baugher M, Bridge J, Chen T, Chiappetta L.
Age- and sex-related risk factors for adolescent suicide.
명확하지 않아 결과 해석에 혼란을 줄 수 있다. 여섯째,
J Am Acad Child Adolesc Psychiatry 1999;38:1497-505.
만성 알코올 중독이 자살률을 높인다는 많은 증거에도 14) Sher L. Alcohol consumption and suicide. QJM 2006;
불구하고, 본 연구에서는 연구 대상자의 평소 음주 습관 99:57-61.
을 파악하기 위한 자료가 부족하였다. 향후 이러한 점을 15) Hufford MR. Alcohol and suicidal behavior. Clin Psy-
보완하여 추가적 연구가 이루어진다면 자살 예방 대책 chol Rev 2001;21:797-811.
16) Powell K, Kresonw M, Mercy J, Potter L, Swann A,
마련에 있어서 좀 더 체계적인 접근이 이루어 질 수 있
Frankowski R. Alcohol consumption and nearly lethal
을 것으로 기대된다. suicide attempts. Suicide and Life-Threatening Behav-
ior 2002;32:30-41.
중심 단어:알코올·약물중독·자살·자살시도.
17) 이현경, 노성원. 우리나라 성인의 문제음주와 우울 및
자살생각과의 연관성. 한국알코올과학회지 2011;12:
참고문헌 155-68.
18) Beck RW, Morris JB, Beck AT. Cross-validation of the
1) OECD. Society at a glance 2014: Organisation for Suicidal Intent Scale. Psychol Rep 1974;34:445-6.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2014. 19) Beck AT, Kovacs M, Weissman A. Assessment of sui-
2) 통계청. 2013년 사망원인통계;2013. cidal intention: the Scale for Suicide Ideation. J Consult
3) Beautrais AL, Joyce PR, Mulder RT, Fergusson DM, Clin Psychol 1979;47:343-52.
Deavoll BJ, Nightingale SK. Prevalence and comorbid- 20) Baca-Garcia E, Diaz-Sastre C, Garcia Resa E, Blasco H,
ity of mental disorders in persons making serious suicide Braquehais Conesa D, Oquendo MA, et al. Suicide at-
attempts: a case-control study. Am J Psychiatry 1996; tempts and impulsivity. Eur Arch Psychiatry Clin Neu-
153:1009-14. rosci 2005;255:152-6.
4) Mann JJ. A current perspective of suicide and attempt- 21) Misson H, Mathieu F, Jollant F, Yon L, Guillaume S, Par-
ed suicide. Ann Intern Med 2002;136:302-11. mentier C, et al. Factor analyses of the Suicidal Intent
5) Nordentoft M, Mortensen PB, Pedersen CB. Absolute Scale(SIS) and the Risk-Rescue Rating Scale(RRRS):
risk of suicide after first hospital contact in mental toward the identification of homogeneous subgroups
disorder. Arch Gen Psychiatry 2011;68:1058-64. of suicidal behaviors. J Affect Disord 2010;121:80-7.
6) Rihmer Z. Suicide risk in mood disorders. Curr Opin 22) Diaz FJ, Baca-Garcia E, Diaz-Sastre C, Garcia Resa E,
Psychiatry 2007;20:17-22. Blasco H, Braquehais Conesa D, et al. Dimensions of
7) DeJong TM, Overholser JC, Stockmeier CA. Apples to suicidal behavior according to patient reports. Eur Arch
oranges?: a direct comparison between suicide attempt- Psychiatry Clin Neurosci 2003;253:197-202.
ers and suicide completers. J Affect Disord 2010;124: 23) Weisman AD, Worden JW. Risk-rescue rating in suicide
90-7. assessment. Arch Gen Psychiatry 1972;26:553-60.
8) Rudd MD. Warning signs for suicide? Suicide Life Threat 24) Chan B, Gaudry P, Grattan-Smith TM, McNeil R. The
Behav 2003;33:99-100. use of Glasgow Coma Scale in poisoning. J Emerg Med
9) Brown GK, Beck AT, Steer RA, Grisham JR. Risk factors 1993;11:579-82.
for suicide in psychiatric outpatients: a 20-year prospec- 25) Sam KG, Kondabolu K, Pati D, Kamath A, Pradeep
tive study. J Consult Clin Psychol 2000;68:371-7. Kumar G, Rao PG. Poisoning severity score, APACHE
10) Rudd MD, Berman AL, Joiner TE Jr, Nock MK, Silver- II and GCS: effective clinical indices for estimating
man MM, Mandrusiak M, et al. Warning signs for sui- severity and predicting outcome of acute organophos-
cide: theory, research, and clinical applications. Sui- phorus and carbamate poisoning. J Forensic Leg Med
cide Life Threat Behav 2006;36:255-62. 2009;16:239-47.
11) Moscicki EK. Epidemiology of completed and at- 26) Knaus WA, Draper EA, Wagner DP, Zimmerman JE.
tempted suicide: Toward a framework for prevention. APACHE II: a severity of disease classification system.
Clinical Neuroscience Research 2001;1:310-23. Crit Care Med 1985;13:818-29.
12) Choi H, Seo J, Pyo J, Park Y. Correlation of alcohol in- 27) 보건복지부. 대한민국 자살현황 연간보고서;2011.
take with suicide in cases confirmed by legal autopsy. 28) Finkelstein Y, Macdonald EM, Hollands S, Sivilotti ML,

- 60 -
Hutson JR, Mamdani MM, et al. Risk of Suicide Fol- 32) Borges G, Rosovsky H. Suicide attempts and alcohol
lowing Deliberate Self-poisoning. JAMA Psychiatry consumption in an emergency room sample. J Stud
2015;72:570-5. Alcohol 1996;57:543-8.
29) Nemtsov A. Suicides and alcohol consumption in Rus- 33) De Leo D, Burgis S, Bertolote JM, Kerkhof AJ, Bille-
sia, 1965-1999. Drug Alcohol Depend 2003;71:161-8. Brahe U. Definitions of suicidal behavior: lessons learned
30) Razvodovsky Y. Alcohol consumption and suicide rate from the WHO/EURO multicentre Study. Crisis 2006;
in belarus. Psychiatria Danubina 2006;18:64. 27:4-15.
31) Scocco P, de Girolamo G, Vilagut G, Alonso J. Prevalence 34) Beck AT, Beck R, Kovacs M. Classification of suicidal
of suicide ideation, plans, and attempts and related risk behaviors: I. Quantifying intent and medical lethality.
factors in Italy: results from the European Study on the Am J Psychiatry 1975;132:285-7.
Epidemiology of Mental Disorders--World Mental Health 35) Oquendo MA, Mann JJ. The biology of impulsivity and
study. Compr Psychiatry 2008;49:13-21. suicidality. Psychiatr Clin North Am 2000;23:11-25.

- 61 -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