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11

JTCI 국내 논문 목록

Updated date; 2023. 01. 01

[JTCI] 일반적 특성, 검사 및 문화 비교

오현숙 (2016). 누가 공부를 잘하고 누가 공부를 잘 못하는가?: 학업성취와 관련된 지능, 기질 및 성격


특성에 관하여. 인하교육연구, 22(1), 101-125.

김옥연, 문성환 (2015). 초등 발명 영재교실 학생과 일반 학생의 기질 및 성격 특성 비교. 실과교육연구,


21(1), 35-49.

유수연 (2014). 청소년용 기질 및 성격검사(JTCI)의 진단적 타당화 가능성 연구. 한신대학교 정신분석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금호,정혜원 (2013). 다집단 확인적 요인분석을 이용한 기질 및 성격 검사(JTCI)의 구인동등성 분석 및


잠재평균분석. 교육연구논총, 34(2), 57-77.

오현숙, Kirstin Goth, 민병배 (2008). 독일과 한국 청소년의 기질 및 성격 특성의 차이.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14(1), 391-407.

하지현, 유희정, 조인희, 류인균, 신재공, 김지현, 홍계현, 최소현 (2005). 한국어판 소아청소년 기질성격검사의
신뢰도 및 타당도 연구. 신경정신의학, 14, 3-10.

Lyoo, I. K., Han, C. H., Lee, S. J., Yune, S. K., Ha, J. H., Chung, S. J., ... &Hong, K. E. (2004).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junior temperament and character inventory. Comprehensive Psychiatry, 45 (2), 121-128.

박진균 (2004). 한국판 학령전기 기질성격검사(K-psTCI)의 표준화 연구 - 인구통계학적 변인의 탐색 및 규준


수립. 건양대학교 의대학술지, 4(2), 125-132.

박진균 (2004). 한국판 학령전기 기질성격검사(K-psTCI)의 신뢰도 및 타당도 검사. 연세대학교 의학과
석사학위논문.

박진균, 김지웅, 기선완, 신의진 (2004). 한국판 학령전기 기질성격검사(K-psTCI)의 신뢰도 및 타당도 검사.
신경정신의학, 43(4), 425-432.

[JTCI] 양육 및 부모·자녀관계

이혜린(2022). 아동의 기질과 놀이성간의 관계에서 모자간 상호작용의 매개효과,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최지은(2022). 유아의 기질유형에 따른 정서지능, 어머니 양육행동, 유아의 성격 특성, 경성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박경미 (2020). 말 늦은 아동과 일반아동의 어머니의 기질 및 아동의 기질과 양육태도에 관한 비교분석.


한신대학교 정신분석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소영, 장재홍 (2019). 어머니가 지각한 초기 청소년 자녀의 기질과 기질 만족도가 어머니의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학연구, 26(3), 87-116.

조선영 (2018). 중학생의 위험회피 기질 및 사회적 민감성 기질과 수줍음의 관계에서 자녀가 지각한
어머니의 정서표현성의 조절효과.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김소영 (2017). 부모가 지각한 청소년 자녀의 기질과 기질에 대한 부모 만족도가 부모 양육 태도에 미치는
영향. 서강대학교 석사학위논문.

홍주명 (2017). 중학생의 기질과 자녀의 부정적 정서에 대한 어머니의 반응이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정서인식 명확성의 매개효과. 동덕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이숙희, 김태호, 전영순 (2016). 부모의 성격 및 자녀의 성격과 자녀의 심리적 적응 간의 관계.
소아청소년정신의학, 27(1), 56-63.

김명숙, 오현숙 (2015). 어머니의 기질과 우울 그리고 양육태도와 자녀 성격과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20(4), 513-530.

유경, 김락형 (2012). 어머니와 아동의 기질과 양육태도 관계 연구. 대한한방소아과학회지, 26(4), 38-43.

강지현, 오경자 (2011). 유아기 내재화 및 외현화 문제행동에 대한 연령, 기질과 양육행동의 영향에 있어서의
성차.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16(1), 1-21.

곽영희, 정현희 (2011). 청소년의 기질과 지각된 부모 양육태도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초기 부적응도식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청소년학연구, 18(8), 45-64.

김지영, 이지현, 성원영, 명성민, 강형원, 김지훤 (2011). 유아의 기질 및 성격에 따른 어머니의 스트레스 우울

수준의 차이.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22(3), 43-54.

박장호, 정석훈, 김효원 (2011). 학령전기 아동의 정서인지행동특성과 양육스트레스. 소아청소년정신의학,


22(4), 236-245.

진하영 (2011). 부모-자녀의 기질 및 성격특질과 부적응문제 간의 관계: 내재화 및 외현화 문제를 중심으로.
충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하승수, 권석만 (2011). 기질과 지각된 부모 양육태도가 성격 강점에 미치는 영향: 지각된 부모 양육태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30(1), 263-284.

박현진, 이주영, 문경주, 권정혜 (2010). 자녀의 기질, 어머니의 기질 및 성격이 양육 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15(1), 25-44.

이정숙, 문보경 (2010). 유아의 기질이 문제 행동에 미치는 영향: 어머니의 정서조절방략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23(4), 55-74.

강지현 (2008). 유아기 외현화 및 내재화 문제행동의 발달경로 - 유아의 기질과 부모 양육행동의 영향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심리학과 박사학위논문.

박진아, 이경숙, 신의진 (2008). 정서 및 행동장애 유아의 정신병리 유형에 따른 기질과 역기능적 정서조절:
어머니 양육행동의 중재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27(2), 523-545.

배주미 (2008). 남자 중학생의 기질과 지각된 부모의 양육행동이 반사회적 행동경향에 미치는 영향:
스트레스 반응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청소년연구, 19(2), 5-36.

손소정 (2007). 학령기 아동의 기질 특성과 어머니의 양육 효능감이 양육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예비연구. 경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김보경, 민병배 (2006). 청소년 우울과 지각된 부모 양육 행동, 기질 및 성격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임상,
25(1), 221-236.

오현숙 (2006). 유아의 기질 및 성격, 어머니의 만족도와 양육행동의 관계: 유아의 자율성과 연대감 발달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11(2), 211-226.

이영숙, 서소정 (2006). 유아의 적응행동에 대한 연구: 유아와 어머니의 사회인구학적 변인, 유아의 기질 및
어머니의 양육태도를 중심으로. 대한가정학회지, 44(5), 143-155.

모인선, 김희연 (2005). 유아의 성격, 부모 만족도와 양육태도의 관계. 유아교육, 14(1), 131-144.

[JTCI] 정신병리 및 중독 관련

[정신병리]

경혜자 (2021). 부모상실 트라우마 경험아동의 성격유형 연구: 동물상징 성격유형검사(ASPT)와

아동의 기질 및 성격검사(JTCI)를 중심으로. 명지대학교 박사학위청구논문.

Oh, Y., Choi, J., Song, Y. M., Jhung, K., Lee, Y. R., Yoo, N. H., & Kim, Y. (2020). Defining subtypes in children with
nail biting: a latent profile analysis of personality. Psychiatry Investigation, 17(6), 517.

Lee, E., Choi, S. H., Choi, C. H., & Lee, K. (2020). Temperamental Characteristics of Pre-School Children Who
Stutter. Audiology and Speech Research, 16(4), 339-346.

홍장현, 오현숙 (2020). 자극추구, 위험회피 기질이 청소년의 내현화와 외현화 문제 행동에 미치는 영향:
자기조절양식과 의지적 억제양식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25(6), 1143-1161.
Kang, N. R., & Kwack, Y. S. (2019). Temperament and Character Profiles Associated with Internalizing and
Externalizing Problems in Children with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Psychiatry investigation, 16(3),
206.

오현숙 (2018). 자율성을 매개로 청소년 비행에 영향을 미치는 기질 및 주의력 결핍의
문제. 교육문화연구, 24(1), 351-372.

김영직 (2014). 어머니와 ADHD 아동의 기질과 아동의 외현화 문제행동과의 관련성 : 정상 아동비교.
한신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오현숙 (2013). 청소년의 주의력과 기질의 관계에서 나타나는 성차, 한국임상심리학회, 32(3), 589-610.

이재영 (2012). 청소년의 기질 및 성격 특성과 우울과의 관계에 관한 연구. 제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임소연, 채명옥, 이자형 (2012). 청소년의 기질, 부모 애착과 우울.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hild Health
Nursing, 18(4), 207-213.

손애리, 황순택 (2011). 청소년기 성격장애 개념의 구인타당도: 성격장애들간 및 성격장애와 기질간 관계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30(1), 293-309.

조은이, 이지연, 김봉석 (2011). 기질 및 성격이 청소년의 우울 증상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
연차학술발표대회 논문집.

김남희, 정혜영 (2010). 유아의 기질 및 성격과 ADHD 성향과의 관계. 유아교육연구, 30(2), 109-124.

이주영, 오경자 (2010). 청소년기 우울-비행 공존 집단에 영향을 미치는 기질 및 성별의 효과: 잠재 프로파일

분석(latent profile analysis)의 적용.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9(1), 53-72.

신우승, 최혜라, 김건우, 이중선, 박수빈, 홍진표, 유한익 (2009).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남아의 증상과
부모의 주의력결핍 과잉행동 증상 및 인격 양상과의 관련성. 소아청소년정신의학, 20(1), 23-28.

박진아, 정문자 (2007). 불안장애 유아의 기질과 역기능적 정서조절의 관계에 대한 어머니 양육행동의
중재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9(2), 273-295.

정선우 (2007). 지역사회 소아 청소년 불안 장애의 유병률, 공존 질환, 기질 및 성격 특성. 서울대학교

의학과 석사학위논문.

Jang, W. S., Hong, S. D., & Jeong, Y. S. (2006). Temperament and character patterns of patients with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Journal of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45(1), 77-82.

김효원 (2006). 지역사회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아동의 아형에 따른 기질 및 성격 특성과 공존병리.


서울대학교 의학과(정신과학) 석사학위논문.

조수철, 김붕년, 정동선, 황준원, 신민섭, 류인균, 김재원, 고복자, 이상은, 정선우, 김효원 (2006). 지역사회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아동의 기질 및 성격 특성. 소아청소년정신의학, 17(2), 124-130.


임진현 (2005). 우울-품행장애성향 청소년의 기질과 자기개념 및 정서 특성. 서울대학교 심리학과
석사학위논문.

[중독]

김문영 (2019). 유아의 기질과 스마트폰 과다사용의 관계애서 어머니 성격특성의 조절 효과.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김수경 (2016). 고등학생의 자극추구, 사회적민감성과 SNS 중독경향성과의 관계 : 또래동조성을


매개변인으로. 한양사이버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정지혜, 박중규 (2011). 청소년의 기질 및 성격, 방어기제가 휴대폰 과다사용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

연차학술발표대회 논문집.

박상욱 (2008). 인터넷 및 약물 중독 위험 청소년들간의 기질 성격 비교. 고려대학교 의학과(정신과학)


석사학위논문.

Lee, M. S., Hong, S. D. D., & Joung, Y. S. (2007). Characteristics of temperament and character properties in
adolescents with internet addiction tendency. Journal of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46(1), 65-70.

이문수, 홍성도, 정유숙 (2007). 인터넷 중독 성향을 보이는 청소년들에서의 기질성격 특성. 신경정신의학,

46(1), 65-70.

이상규 (2007). 알코올 중독자 자녀의 기질, 성격 특성 및 알코올 의존 위험성 조사 연구. 한림대학교.

전경자, 손신영, 소애영, 이꽃메, 박선희 (2007). 고등학생의 인터넷 중독, 흡연, 음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강원지역을 중심으로. 대한간호학회지, 37(6), 872-882.

김은영, 이영식, 한덕현, 서동수, 기백석 (2006). 인터넷 중독 성향을 보이는 남자 청소년들의 기질 특성과
유전자 다형성. 신경정신의학, 45(5), 468-475.

정현모 (2005). 인터넷 중독 청소년의 성격 및 기질 특성. 한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서동수 (2004). 청소년 흡연자의 기질특성과 도파민 수용체, 단가 아민 수송체 및 카테콜아민 분해 효소

유전자 다형성. 중앙대학교 박사학위논문.

김수연, 유희정, 조인희, 윤숙경, 류인균, 하지현 (2003). 소아 인터넷 중독의 기질성격특성. 정신병리학, 12,
95-104.

[JTCI] 문제행동 및 비행 관련
박수영 (2015). 중학생의 기질과 외현화 문제의 관계에서 실행기능의 조절효과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김용례 (2010). 청소년의 기질 및 성격특성과 비행성향간의 관계. 전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손애리, 고은경, 황순택 (2010). 중학생 자기애 성향의 하위유형에 따른 기질과 공감 능력의 차이.
한국심리학회지: 학교, 7(3), 391-404.

강지현, 오경자 (2009). 교사가 지각한 유아기 외현화 문제행동의 발달 경로 – 잠재성장곡선모형을 적용한
단기종단연구. 아동학회지, 30(4), 69-85.

송지희 (2009). 보호처분 판결 전 학교폭력 가해 청소년의 기질, 성격 및 환경특성과 재비행 예측: 신체적인
집단폭력 가해 청소년을 중심으로. 충북대학교 심리학과 석사학위논문.

Kim, S. Y., Lee, Y. S., Han, D. H., Nam, K. T., & Ko, B. J. (2006). The effect of temperament and attachment type
on adolescent test anxiety. Journal of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45(3), 222-229.

Yang, J. W., Noh, I. S., Hong, S. D., & Kim, J. H. (2005). The Effect of Temperament on Juvenile Delinquent
Behavior. Journal of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44(3), 350-356.

Chung, S. J., Suh, D. H., Hahm, B. J., Cho, S. J., Han, C. H., Lyoo, I. K., & Hong, K. E. (2002). Relationships between
temperament and character dimensions, family environmental factors and antisocial personality traits in

detained delinquent adolescents. Journal of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41(4), 670-680.

정선주, 서동혁, 함봉진, 조성진, 한창환, 류인균, 홍강의 (2002). 구속된 비행청소년들의 기질 및 성격 차원,
가정환경 요인과 반사회적 인격 특성간의 관계. 신경정신의학, 41(4), 670-680.

한창환 (2001). 생물유전적 기질과 가정환경이 청소년기 우울, 품행장애 성향 및 반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 성격, 자아상 및 스트레스를 매개변인으로. 서울대학교 의학과 박사학위논문.

[JTCI] 일반의학 및 한의학 관련

성원영, 김지영, 김락형 (2011). 중학생에서 기질 및 성격검사를 이용한 사상체질 특성 연구.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22(3), 55-64.

[JTCI] 특정 심리 및 인지 특성 관련

김혜원, 정윤경 (2017). 자극추구 기질과 아동기 안전사고 관련 의사결정과의 관계: 실행기능의
조절효과.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30(4), 117-136.

김수진 (2017). 청소년의 위험회피 기질이 자살사고에 미치는 영향: 걱정과 파국화의 매개효과.
동덕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최아라, 이숙 (2016). 중학생의 기질, 사회적지지 및 정서조절능력이 긍정심리자본에 미치는 영향.


한국아동학회, 37(2), 57-77.

박현경, 조남기, 조민혜, 김은성, 안현균 (2012). 남자 고등학생의 기질 및 성격과 체력의 관계.
한국웰니스학회지, 7(2), 121-131.

윤정진 (2012). 만 5세 유아의 기질이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 공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전영순, 김태호, 황순택, 권은정, 임목옥 (2012). 자아탄력-자아통제 수준에 따른 청소년의 기질 및 성격 특성.
소아청소년정신의학, 23(1), 14-22.

송수한 (2011). 도시·농촌에 따른 아동의 인성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신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옥재진 (2011). 담임교사와 학생 간의 기질 및 성격 일치 여부와 성격 성숙도에 따른 학생의 교사에 대한


신뢰감 차이. 한신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문혁준 (2010). 취학전 남아와 여아의 리더십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_기질, 또래상호작용, 어머니의
언어통제유형, 가정환경을 중심으로. 아동학회지, 31(1), 35-46.

서기남 (2009). 유아의 리더십과 관련된 변인 연구: 유아의 개인변인과 환경변인을 중심으로. 가톨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오현숙 (2009). 중학생의 기질, 성격, 지능, 성적의 관계에서의 성차.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14(3), 387-407.

강미경 (2008). 성격과 학업성취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역할. 충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박주용, 오현숙 (2005). 기질 및 성격 검사에서 밝혀진 영재기관 영재의 특성이 영재 선발에 주는 시사점.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11(1), 143-156.

박주용, 오현숙 (2003). 기질 및 성격의 측정법을 통해 본 과학/수학 영재의 특성. 교육심리연구, 17(4), 1-1
JTCI 해외 논문 목록

Updated date; 2023. 1. 01

[JTCI] 일반적 특성, 검사 및 문화 비교

Boson, K., Brändström, S., & Sigvardsson, S. (2018). The Junior Temperament and Character Inventory
(JTCI): Psychometric properties of multi-informant ratings. Psychological Assessment, 30(4), 550.

Lyoo, I. K., Han, C. H., Lee, S. J., Yune, S. K., Ha, J. H., Chung, S. J., ... & Hong, K. E. (2004).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junior temperament and character inventory. Comprehensive Psychiatry, 45(2), 121-128.

Shiner, R., & Caspi, A. (2003). Personality differences in childhood and adolescence: Measurement, development,
and consequences. Journal of child psychology and psychiatry, 44(1), 2-32.

Constantino, J. N., Cloninger, C. R., Clarke, A. R., Hashemi, B., & Przybeck, T. (2002). Application of the seven-
factor model of personality to early childhood. Psychiatry research, 109(3), 229-243.

Luby, J. L., Svrakic, D. M., McCallum, K., Przybeck, T. R., & Cloninger, C. R. (1999). The Junior Temperament and

Character Inventory: preliminary validation of a child self-report measure. Psychological reports, 84(3_suppl),
1127-1138.

[JTCI] 정신병리 및 중독 관련

Deotto, A., Eastwood, J. D., & Toplak, M. E. (2022). Temperament Profiles Associated with Internalizing

Symptoms and Externalizing Behavior in Adolescents with ADHD. Child Psychiatry & Human
Development, 53(1), 109-123.

Matiz, A., Fabbro, F., Paschetto, A., Urgesi, C., Ciucci, E., Baroncelli, A., & Crescentini, C. (2022). The
Impact of the COVID-19 Pandemic on Affect, Fear, and Personality of Primary School Children

Measured During the Second Wave of Infections in 2020. Frontiers in psychiatry, 13, 1-14

Šobot, V., Kovačević, S. I., Vejnović, A. M., Šegan, D., & Milatović, J. (2022). Temperament and character
differences in psychopathic and non-psychopathic antisocial adolescents. Primenjena
psihologija, 15(2), 269-301.

Yoo, S. Y., Park, S. M., Choi, C. H., Chung, S. J., Bhang, S. Y., Kim, J. W., ... & Choi, J. S. (2022). Harm
avoidance, daily stress, and problematic smartphone use in children and adolescents. Frontiers in
Psychiatry, 2084.
Deotto, A., Eastwood, J. D., & Toplak, M. E. (2021). Temperament Profiles Associated with Internalizing
Symptoms and Externalizing Behavior in Adolescents with ADHD. Child Psychiatry & Human Development , 1-
15.

Karimi, S., Pirmoradi, M., Ashouri, A., & Aghebati, A. (2021). Relationship of Temperament and Character Traits,
Emotional Regulation and Perceived Parenting With Self-harming Behaviors in Adolescents. Iranian Journal of
Psychiatry and Clinical Psychology, 26(4), 448-463.

Ucuz, I., Cicek, A. U., Cansel, N., Kilic, B., Colak, C., Yazici, I. P., ... & Kucukakcali, Z. (2021). Can Temperament

and Character Traits Be Used in the Diagnostic Differentiation of Children With ADHD?. The Journal of Nervous
and Mental Disease, 209(12), 905-910.

Kapetanovic, S., Skoog, T., Bohlin, M., & Gerdner, A. (2020). Does one size fit all?—Linking parenting with
adolescent substance use and adolescent temperament. Journal of research on adolescence, 30, 443-457.

Melegari, M. G., Sette, S., Vittori, E., Mallia, L., Devoto, A., Lucidi, F., ... & Bruni, O. (2020). Relations between
sleep and temperament in preschool children with ADHD. Journal of attention disorders, 24(4), 535-544.

Moreira, P. A., Inman, R. A., & Cloninger, C. R. (2021). Personality networks and 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s: Integrating temperament and character using latent profile and latent class
analyses. Child Psychiatry & Human Development, 52(5), 856-868..

Boson, K., Wennberg, P., Fahlke, C., & Berglund, K. (2019). Personality traits as predictors of early alcohol
inebriation among young adolescents: Mediating effects by mental health and gender-specific patterns.
Addictive behaviors, 95, 152-159.

Carriere, C., Michel, G., Féart, C., Pellay, H., Onorato, O., Barat, P., & Thibault, H. (2019). Relationships between
emotional disorders, personality dimensions, and binge eating disorder in French obese adolescents . Archives
de Pédiatrie, 26(3), 138-144.

Rubin, D. H., Crehan, E. T., Althoff, R. R., Rettew, D. C., Krist, E., Harder, V., ... &Hudziak, J. J. (2017).
Temperamental Characteristics of Withdrawn Behavior Problems in Children. Child Psychiatry & Human
Development, 48(3), 478-484.

Althoff, R. R., Ayer, L. A., Crehan, E. T., Rettew, D. C., Baer, J. R., &Hudziak, J. J. (2012). Temperamental profiles
of dysregulated children. Child Psychiatry &Human Development, 43(4), 511-522.

Elek Dinya, Janos Csorba, Zsófia Grósz (2011). Differential characteristics of anxiety syndromes in clinical

adolescents. Central European journal of medicine, 7(1), 45-50.

George, S. M., Connor, J. P., Gullo, M. J., &Young, R. M. (2010). A prospective study of personality features
predictive of early adolescent alcohol misuse.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49(3), 204-209.
Hartmann, A. S., Czaja, J., Rief, W., &Hilbert, A. (2010). Personality and psychopathology in children with and
without loss of control over eating. Comprehensive psychiatry, 51(6), 572-578.

Kim, H. W., Cho, S. C., Kim, B. N., Kim, J. W., Shin, M. S., &Yeo, J. Y. (2010). Does oppositional defiant disorder

have temperament and psychopathological profiles independent of attention 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Comprehensive psychiatry, 51(4), 412-418.

Hiramura, H., Uji, M., Shikai, N., Chen, Z., Matsuoka, N., &Kitamura, T. (2010). Understanding externalizing
behavior from children's personality and parenting characteristics. Psychiatry research, 175(1), 142-147.

Poustka L, Parzer P, Brunner R, Resch F. (2007). Basic Symptoms, temperament and character in adolescent
psychiatric disorders. Psychopathology, 40(5), 321-328.

Park, S., Yoo, H. K., Kim, J. Y., Jeon, J., Choi, S. H., Wang, H. R., & Ko, T. S. (2007). Temperament and
character factors in Korean children with seizure disorders. The Journal of nervous and mental
disease, 195(6), 470-476.

Kim, S. J., Lee, S. J., Yune, S. K., Sung, Y. H., Bae, S. C., Chung, A., Kim, J., Lyoo, I. K. (2006).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iogenetic temperament and character and psychopathology in adolescents. Psychopathology,
39(2), 80-86.

Oldehinkel, A.J., Veenstra, R, Ormel, J.,, de Winter, A.F., Verhulst, F.C. (2006). Temperament, parenting, and
depressive symptoms in a population sample of preadolescents. Journal of Child Psychology and Psychiatry,
47, 684-695.

Yoo, H. J., Kim, M., Ha, J. H., Chung, A., Sim, M. E., Kim, S. J., & Lyoo, I. K. (2006). Biogenetic temperament and
character and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in Korean children. Psychopathology, 39(1), 25-31.

Schmeck, K. & Poustka, F. (2001). Temperament and disruptive behavior disorders. Psychopathology, 34(3), 159-
163.

[JTCI] 일반의학 및 한의학 관련

Lee, S. H., Hwang, M., Choi, S. H., Kim, H. J., Lee, E. J., Kwon, C. Y., ... & Chang, G. T. (2021). Analysis
of the bio-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Sasang typology in Korean preschool children using the
ponderal index and the temperament and character inventory. Journal of Complementary and

Integrative Medicine, 18(1), 175-183

[JTCI] 특정 심리 및 인지 특성 관련
Moreira, P. A., Inman, R. A., Rosa, I., Cloninger, K., Duarte, A., & Robert Cloninger, C. (2021). The
psychobiological model of personality and its association with student approaches to learning:

Integrating temperament and character. Scandinavian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65(4), 693-

709.

Manetsch, M., Aebi, M., Barra, S., Goth, K., Boonmann, C., Schmeck, K., ... & Plattner, B. (2022).
Temperament and offending behaviors in male adolescents. International journal of offender therapy
and comparative criminology, 0306624X221113532.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