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6

한국간호교육학회지 제19권 제2호, 2013년 5월

J Korean Acad Soc Nurs Edu Vol.19 No.2, 172-182, May, 2013

간호대학생의 MBTI 성격유형에 따른 스트레스 정도,


스트레스 대처방식 및 학교적응
1) 2) 3)
이영란 김선희 주민선

서 론 는 직무능력과 생산성 저하 차원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져야


한다. 또한 신입간호사는 업무현장에서 직면하는 슬픔, 죽음,
연구의 필요성 통증과 갈등 등으로 인해 높은 스트레스를 경험하고, 스트레
스 대처 경험의 부족으로 높은 이직의도와 낮은 직무만족도
대학의 신입생은 입학과 더불어 새로운 환경에 대한 적응 를 나타낸다. 이는 간호대학에서 학습해야 할 간호의 핵심역
및 성인으로서의 사회적 역할과 책임을 갖게 되며, 새로운 역 량과 자질에 스트레스 대처와 적응능력이 포함되어야 함을
할과 책임은 심리 ․ 사회적 스트레스를 유발하고, 정체성 형성 알 수 있다(Lee, 2003). 스트레스에 대한 대처와 적응은 사회
을 위한 위기를 경험하게 한다(Kwon, 2002; Kim, 2005; Lee, 에서의 안전, 안정, 소속감 뿐 만 아니라 자아실현을 위한 기
2005). 대학 신입생이 직면하는 스트레스와 위기의 극복은 초 본적인 요소이다. 간호 대학생은 다른 전공 학생에 비해 다양
기 성인기 단계의 발달을 위한 과업이다. 발달과업의 달성이 한 현장에서 실습을 한다. 이것은 스트레스 관리와 학교적응
다음 단계의 발달을 위한 기초이므로, 대학 신입생의 스트레 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Kwon, 2002). 또한 간호대학생의
스 정도와 스트레스 대처방식 및 학교적응에 대한 이해와 관 스트레스 대처 및 학교 적응은 초기성인기에 달성해야 할 발
심이 필요하다. 개인의 스트레스는 환경과의 상호작용에 대한 달과업이며, 갖추어야 할 간호사의 직업적 소양이고 핵심역량
반응으로써, 개인이 대처능력을 초과한다고 지각하는 것이다 이다. 이에, 간호대학 신입생의 스트레스 정도와 대처방식과
(Nam, 1998). 스트레스에 대한 대처는 개인이 노력을 통해 성 학교적응을 알아 볼 필요가 있다.
장 발달할 수 있는 기회가 된다. 스트레스에 대한 대처의 궁 개인의 성격 형태에 따라 스트레스 정도와 대처방식은 차
극적 목표는 원인과 관계없이 적응이다(Nam, 1998). 그러므로 이가 있다(Davis & Phares, 1967; Nam, 1998). 성격은 개인의
대학 신입생의 적응이란 개인의 성장이며 성과라 할 수 있다. 사고와 행동을 결정하는 정신 ․ 물리적 체계로써 개인의 선호
의료인의 스트레스 정도와 대처는 중요한 관심분야이며, 간 와 관련된 개념이다(Kim, 2007). 개인이 어떤 정신기능을 선
호사의 스트레스와 대처능력 및 적응도 화두에 올라 있다 호하는가에 관한 심리기능유형과 인간이 지닌 유전적․생물학
(Park, 2011). 첨단화된 의료기술과 건강에 대한 사회적 요구 적 측면인 심리기질유형은 스트레스에 대한 대처방식에 높은
와 변화는 간호사에게 다양한 역할을 요구하고, 예측 불가능 영향력을 갖는다(Kim, 2007; Lim, 2012). 이러한 의미에서 성
한 응급상황 및 간호요구 등은 간호사에게 스트레스를 가져 격에 대한 검사를 통해 인간에 대한 이해와 발달을 규명하고
온다. 간호사는 의료기관 인력 중 차지하는 비율이 높고, 대 촉진하는 체계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Karl Jung의 인간심리유
상자를 돌보는 시간이 가장 많기 때문에 간호사의 스트레스 형론을 기반으로 만들어진 Myer-Briggs Type Indicator (이하

주요어 : 간호대학생, MBTI 성격유형, 스트레스, 스트레스 대처방식, 학교적응


* 본 논문은 2012년 서울여자간호대학교 교내 연구비 지원 사업에 의하여 연구되었음 (과제번호 : snjc2012-004)
1) 서울여자간호대학교 교수, 2) 서울여자간호대학교 조교수
3) 서울여자간호대학교 부교수(교신저자 E-mail: secretchu@snjc.ac.kr)
투고일: 2012년 11월 9일 심사완료일: 2013년 2월 14일 게재확정일: 2013년 3월 15일

172 한국간호교육학회지 19(2), 2013년 5월


간호대학생의 MBTI 성격유형에 따른 스트레스 정도, 스트레스 대처방식 및 학교적응

MBTI)는 선천적으로 태어난 심리유형을 알 수 있도록 하고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정신능력을 다루는 지표이다. MBTI는 선호하는 성격유형 뿐
만 아니라 개인이 사용하는 정신기능과 기질적인 유형에 따 연구 대상
른 자아의 탐색을 돕는 검사도구로 활용된다. 심리기능유형은
감각 또는 직관의 선호성향과 감정 또는 사고성향의 선호하 본 연구의 대상자는 연구에 참여하기를 동의한 서울소재 3
는 조합에 따른 정신기능 활동을 이해하도록 하고, 심리기질 년제 1개 간호대학 신입생들을 대상으로 편의 추출하였다. 연
*
유형에서는 감각 또는 직관의 선호성향과 즉흥적 또는 판단 구의 검정력 확보를 위한 대상자 수는 G POWER 3.1을 통해
적 성향의 선호하는 조합에 따른 성격 부분을 다룬다(Lim, 산출하였다. 통계방법은 ANOVA로, 유의수준(α) .05, 검정력
2012). 심리기능유형과 심리기질유형에 따라 스트레스 정도 (1-β) .90, effect size .25(중간크기)를 기준으로 하였을 때 예
뿐 만 아니라 동료, 보수 및 근무환경에 대한 직무만족도의 측 검정력을 유지할 수 있는 표집 수는 232명이었다(Faul,
차이가 있었다(Lim, 2012). Erdfelder, Lang & Buchner, 2007). 본 연구에서는 총 287명의
심리기능유형과 심리기질유형에 따라 스트레스 정도와 대처 자료가 수집되었으나 응답이 불완전하거나 누락된 20부를 제
및 적응의 수준이 다르다는 여러 연구들의 보고에도 학교적 외한 267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응의 과업을 갖는 간호대학 신입생에 관한 연구는 매우 드문
것이 현실이다. 이에 따라 간호대학 신입생의 스트레스의 정 자료 수집 방법
도와 대처방식 및 학교적응 수준을 분석하고 해석하는 시도
가 필요하다. 본 연구의 자료수집 기간은 2012년 3월 5일부터 3월 30일
이에 본 연구자들은 간호대학 신입생의 MBTI 성격유형에 까지이다. 자료수집을 위해 강의실의 게시판에 대상자의 조건,
따른 스트레스 정도와 이에 대한 대처 및 학교적응을 조사함 자료수집의 절차, 연구참여의 이점과 위험요인 및 연구목적을
으로써 대학생활 지도와 상담. 효과적인 교수 및 지도전략에 게시하였다. 연구자는 자료수집 전에 연구의 목적, 설문의 중
도움이 되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간호대 도 거부 가능, 개인정보의 보호, 설문소요시간 등을 대상자에
학 신입생이 초기성인기의 정체성 형성과 적응의 발달과업을 게 설명하였다. 대상자는 연구의 목적과 참여방법을 이해하고
달성하도록 돕고자 한다. 자발적으로 참여에 동의한 경우, 연구 참여 동의서를 작성하
고 참여하였다. 자료수집은 MBTI 성격검사와 설문지를 작성
연구 목적 으로 나누어 실시하였다. MBTI 성격검사는 공인된 기관의
MBTI 전문가가 검사방법에 대한 설명을 한 후 조사되었으며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대학 신입생의 MBTI 성격유형에 따 조사시간은 90여분이 소요되었다. 스트레스 정도, 스트레스
른 스트레스 정도, 대처방식 및 학교적응을 파악하여 대학생 대처 및 학교적응에 대한 대처는 연구자가 설문에 대하여 설
활 지도와 상담. 효과적인 교수 및 지도전략에 도움이 되는 명한 후 조사되었고, 조사시간은 30여분이 소요되었다.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간호대학 신입생의 MBTI 성격유형, 스트레스 정도, 스트레 연구 도구
스 대처방식 및 학교적응을 파악한다.
• 간호대학 신입생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스트레스 정도, 스 ● MBTI 성격검사
트레스 대처방식 및 학교적응을 파악한다. 성격유형을 조사하기 위해 사용한 도구는 1962년 Myers와
• 간호대학 신입생의 MBTI 성격유형(심리기능유형, 심리기질 Briggs가 융의 이론을 토대로 개발한 MBTI를 1990년 Kim과
유형)에 따른 스트레스 정도, 스트레스 대처방식과 학교적 Shim이 표준화 과정을 거쳐 완성한 한국판 MBTI이다 (Kim
응의 차이를 검증한다. & Shim, 2007). MBTI는 개인이 인식하고 판단 할 때 선호하
는 경향을 찾고 이러한 선호경향들이 하나 또는 여러 개가
연구 방법 합쳐져서 인간의 행동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를 파악하여
실생활에 응용할 수 있도록 제작된 것이다. 본 연구에서 사용
연구 설계 된 MBTI G형은 자기기입식 설문지로써 총 95문항이다.
MBTI는 두 가지씩의 양극을 이루는 네 쌍의 지표가 있고 이
본 연구는 간호대학 신입생의 MBTI 성격유형에 따른 스트 를 조합하면 16가지의 MBTI 성격유형이 나오며, 네 개의 문
레스 정도, 스트레스 대처방식 및 학교적응을 파악하기 위한 자로 표시된다. 위의 네 쌍의 지표는 외향형(Extraversion; 이

한국간호교육학회지 19(2), 2013년 5월 173


간호대학생의 MBTI 성격유형에 따른 스트레스 정도, 스트레스 대처방식 및 학교적응

<Table 1> General characteristics of subjects (N=267)


Variable n %
Age(year) 20.1±2.89 (Mean±SD)
Home 236 88.4
Relative's home 6 2.2
Place of residence Rented room 21 8.0
Boarding house 2 0.7
The others 2 0.7
Both 256 95.9
One 8 3.0
Existence of parents
None 1 0.4
The others 2 0.7
Above middle 5 1.9
Economic state Middle 211 79.0
Below middle 51 19.1
Student's own expense 180 67.4
Student loan 65 24.3
Paying the tuition fees
Scholarship 60 22.5
(multiple responses)
Loan 10 3.7
The others 25 9.4
Protestant 89 33.3
Buddhism 19 7.1
Religion Catholic 36 13.5
Won buddhism 1 0.4
The others 122 45.7
Wanted 159 59.6
Recommendation of others 63 23.6
Motivation of entrance
Corresponding to score 34 12.7
The others 11 4.1
After high school 195 73.0
After junior college 23 8.6
Time for entrance
After graduating or dropping out of the university 20 7.5
The others 29 10.9
Strong dissatisfaction 23 8.6
Dissatisfaction 77 28.8
Satisfaction in school life
Satisfaction 147 55.1
Strong satisfaction 20 7.5
Yes 201 75.3
Joining club or student council
No 66 24.7
Unhealthy 52 19.5
Perceived health status
Healthy 215 80.5

<Table 3> Stress, stress coping skills, school adaptation 연구대상자의 스트레스 정도는 총점 10점 중 평균 6.42점이
of subjects (N=267) 었고, 스트레스 대처에서 적극적 대처는 총점 36점 중 15.60
Variable Mean±SD 점, 소극적 대처는 총점 36점 중 16.72점이었으며, 학교적응은
Stress 6.42±1.66
총점 125점 중 76.52점이었다<Table 3>.
Active coping skills 15.60±6.27
Stress coping skills
Passive coping skills 16.72±5.18
School adaptation 76.52±11.20 일반적 특성에 따른 스트레스 정도, 스트레스
대처방식, 학교적응
으며, SF형이 91명(34.1%), NF형이 45명(16.9%), NT형이 26
명(9.7%)으로 나타났다. MBTI의 4가지 심리기질유형에서는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스트레스 정도, 스트레스
SJ형이 143명(53.5%)으로 가장 많았으며, SP형이 53명(19.9%), 대처방식, 학교적응은 <Table 4>와 같다.
NF형이 45명(16.9%), NT형이 26명(9.7%)으로 나타났다. 연구대상자의 스트레스 정도는 학교생활에 대한 만족도에

한국간호교육학회지 19(2), 2013년 5월 175


한국간호교육학회지 19(2), 2013년 5월

<Table > Stress, stress coping skills, school adaptation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of subjects (N=267)
Stress coping skills
Stress Sc ool adaptation
Variable Acti e coping skills assi e coping skills
Mean±SD t or p Mean±SD t or p Mean±SD t or p Mean±SD t or p
Age(year) -.04(.509) r(p) .10(.111) r(p) -.04(.540) r(p) .13(.030) r(p)
Home 6.34±1.68 1.02 .400 15.61±6.37 1.45 .220 16.55±5.21 0.62 .650 76.40±10.96 1.75 .140
Relative's home 5.83±1.33 15.67±2.25 18.00±4.86 84.33±6.92

간호대학생의 MBTI 성격유형에 따른 스트레스 정도, 스트레스 대처방식 및 학교적응


Place of residence Rented room 6.68±1.53 15.48±5.72 17.81±5.30 76.10±14.01
Boarding house 4.50±0.71 23.00±2.83 18.00±1.41 84.50±0.71
The others 6.00±1.41 8.0±0.00 20.00±2.83 63.00±8.49
Both 6.43±1.65 0.59 .620 15.64±6.27 0.30 .826 16.65±5.14 0.57 .635 76.53±11.40 0.37 .778
One 5.88±1.81 15.25±7.32 17.63±7.05 78.38±3.89
Existence of parents
None 8.00±0.00 15.00±0.00 22.00±0.00 73.00±0.00
The others 6.50±2.12 11.50±4.95 19.00±4.24 69.50±0.70
a
Above middle 7.80±2.17 2.28 .104 24.80±8.04 6.62 .002 21.00±6.20 4.83 .009 76.60±11.08 2.92 .056
Economic b
Middle 6.34±1.65 15.67±6.04 16.25±5.02 77.33±10.87
state c a>b,c*
Below middle 6.60±1.59 14.39±6.35 18.22±5.36 73.14±12.11
Protestant 6.45±1.64 0.07 .990 16.27±5.95 2.17 .072 17.13±5.74 1.04 .388 75.94±10.28 1.18 .321
Buddihism 6.45±1.74 15.47±6.95 16.05±3.54 72.26±13.67
Religion Catholic 6.30±1.80 17.67±7.88 17.78±4.79 78.86±11.07
Won Buddhism 6.00±0.00 14.00±0.00 20.00±0.00 77.00±0.00
The others 6.43±1.64 14.53±5.71 16.17±5.06 76.90±11.43
Wanted 6.23±1.71 2.08 .103 16.03±6.30 1.31 .271 16.80±5.03 0.05 .984 79.45±10.39 9.91 <.001
Motivation Recommendation of others 6.56±1.69 15.37±6.08 16.67±5.47 71.89±10.74
of entrance Corresponding to score 6.86±1.18 13.76±6.02 16.56±5.60 72.62±11.24
The others 7.00±1.61 16.36±7.16 16.27±4.88 72.73±12.55
After high school 6.42±1.62 0.12 .951 15.37±6.51 0.41 .746 16.55±5.22 0.53 .665 75.91±10.56 1.50 .215
After junior college 6.57±1.78 15.70±4.12 17.09±4.88 76.04±11.83
Time for entrance After graduating or
6.28±1.76 16.30±7.20 16.35±4.61 81.20±12.56
dropping out of the university
The others 6.38±1.83 16.59±5.39 17.76±5.59 77.76±13.46
Strong dissatisfaction a 7.57±1.93 13.48 <.001 15.83±8.14 5.02 .002 18.35±5.63 0.89 .446 66.04±15.86 34.17 <.001
Satisfaction in Dissatisfaction b 6.99±1.41 14.21±6.40 16.74±5.32 71.09±8.78
a,b>c>d* a,b,c<d* a,b<c<d*
school life Satisfaction c 6.11±1.55 15.67±5.80 16.51±5.14 79.58±8.68
d
Strong satisfaction 5.23±1.62 20.15±4.50 16.25±4.38 88.10±9.21
Joining Yes 6.42±1.68 0.06 .950 15.55±6.23 -0.24 .814 16.65±5.36 -0.38 .706 76.64±11.32 0.31 .761
club or student
council No 6.41±1.59 15.76±6.42 16.92±4.61 76.15±10.90
Perceived health Unhealthy 6.98±1.65 2.76 .006 15.17±7.19 -0.55 .586 17.79±5.26 1.67 .096 70.23±11.33 -4.69 <.001
status Healthy 6.28±1.63 15.70±6.04 16.46±5.14 78.04±10.65
* Scheffe test
177
간호대학생의 MBTI 성격유형에 따른 스트레스 정도, 스트레스 대처방식 및 학교적응

로 MBTI 성격유형 검사를 실시하는 것은 매우 유용하며 검 doctoral dissertation, Chonnam National University, Gwangju.
사 실시와 성격유형 파악에서 더 나아가 심층 이해를 위한 Kim, J. T., & Shim, H. S. (2007). Characteristics of 16
체계적인 교육 프로그램을 간호대학 교과과정이나 교과 외 personality types, Seoul; ASSESTA.
과정을 통해 운영한다면 간호학생들의 스트레스 대처, 학교적응 Kim, J. T., Shim, H, S., & Jae, S, B. (1995). MBTI
및 직업 적응을 증진시키는데 많은 도움이 되리라 생각된다. Development and Use. Seoul: Korean Psychological Testing
Institute.
참고 문헌 Kim, M. H. (2005). The effects of MBTI based self growth
program on ego identity, self efficacy and interpersonal
Baker, R. W., & Siryk, B. (1989). SACQ: Student adaptation relations ability in nursing students. Unpublished doctoral
to college questionnaire manual. LA: Western Psychological dissertation, Catholic university, Seoul.
Services. Kim, N., Lee, K., Kwon, M., & Kim, H. (2007). Ways of
Cho, S. H. (2009). MBTI : I design my personality. Seoul: coping and health-related hardiness in university students.
Bugulbook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 Nursing,
Davis, W. L., & Phares, E. J. (1967). Internal-external as a 14(2), 239-247.
determinant of inform-seeking in a social influence Kim, R. H. (2010). The analysis on how MBTI personality
situation,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35, type can influence on the job stress and coping method of
547-561. care helpers. Unpublished master's thesis, Sahmyook
Faul, F., Erdfelder, E., Lang, A. G., & Buchner, A. (2007). University, Seoul.
G*Power 3: A flexible statistical power analysis program Kwon, Y. H. (2002). Effect of ready planned self-growth
for the social, behavioral, and biomedical sciences. program through MBTI o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Behavior Research Methods, 39, 175-191. career identity of nursing college studentsss. Unpublished
Folkman, S., & Lazarus, R. S. (1985). If it changes it must be master's thesis, Keimyung University, Daegu.
a process: Study of emotion and coping during three Lazarus, R. S., & Folkman, S. (1984). Stress, appraisal, and
stages of a college examination. Journal of Personality coping. New York: Springer Publishing Company.
and Social Psychology, 48(1), 150-170. Lee, E. W. (2005). Impacts of the affective intelligence,
Jung, D. W. (2010). Psychosocial Stress. Paju: Korean Studies self-efficacy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f university
Information. students on the college life adaption. Unpublished master's
Kang, H. J. (2007). The relationships between job stress and thesis, Keimyung University, Daegu.
coping method according to MBTI personality types-focused Lee, Y. J. (2000). The non-residential students' adaptation to
on the education administrator. Unpublished master's thesis, college life and career plan.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okmin University, Seoul.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Keirsey, D. (1998). Please understand me II: temperament, Lee, Y. N. (2003). A study on the job stress factors, job
character, itelligence. Del Mar: Prometheus Nemesis Book stress perception and turnover intension of nurses at
Co. hospital. Unpublished master's thesis, Sung Kyun Kwan
Kim, C. J., Hur, H. K., Kang, D. H., & Kim, B. H. (2002). University, Seoul.
Effects of psychosocial stress management on stress and Lim, S. U. (2012). A study on child care teachers' MBTI
coping in student nurses.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personality types and jpb satisfaction. Unpublished master's
16(1), 90-101. thesis, Baekseok University, Chungcheongnam-do.
Kim, C. K. (2007). Difference analysis of self-esteem and Mahmoud, J. S., Statenm, R. T., Hall, L. A., & Lennie, T. A.
stress coping methods according to MBTI personality types. (2012). The relationship among young adult college
Unpublished master's thesis, Gyeongsang-National University, students' depression, anxiety, stress, demographics, life
Gyeongsangnam-do. satisfaction, and coping styles. Issues in Mental Health
Kim, E. A. (2011). Developing a prediction model regarding Nursing, 33, 149-156.
adjustment of nursing students to college life. Unpublished Myers, L. B., & McCaulley, M. H. (1985). Manual: A guide

한국간호교육학회지 19(2), 2013년 5월 181


이 영 란 외

to the development and use of the Myers-Briggs Type type A & B ego-identity and stress coping. Unpublished
Indicator. Palo Alto, CA: Consulting Psychologists Press. master`s thesi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Seoul.
Nam, J. Y. (1998). The relationship among chracter type A Park, Y. M. (2011). Effects of job stress and cognitive failure
and B, degree of self-perception and stress coping. of hospital nurses on safety accidents. Unpublished master's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thesis, Eulji University, Daejeon.
Nam, S. B. (2006). The Relation of MBTI Psychological Types, Sheu, S., Lin, H., & Hwang, S. (2002). Perceived stress and
Depression and School Life Satisfaction - With a Focus on physio-psycho-social status of nursing students during their
Girls High School Stud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initial period of clinical practice: the effect of coping
University of Incheon, Incheon. behaviors.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Studies, 39,
Nam, S. H. (2007). A study on stress in practice and coping 165-175.
style according to the personality types of nursing students. Wang, A., Chen, L., Zhao, B., & Xu, Y. (2006). First-year
Unpublished master's thesis,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students' psychological and behavior adaptation to college:
Daegu. The role of coping strategies and social support. US-China
Park, J. Y. (1995). A study on the relationship among character Education Review, 3(5), 51-57.

Stress, Stress Coping, and School Adaptation according to


Myers-Briggs Type Indicator(MBTI) Personality Type in Freshmen
Nursing Students*

Lee, Young-Ran1) Kim, Sun-Hee2) Chu, Min Sun3)

1) Professor, Seoul Women's College of Nursing


2) Assistant Professor, Seoul Women's College of Nursing
3) Associate Professor, Seoul Women's College of Nursing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scribe stress, stress coping, and school adaptation according to
Myers-Briggs type indicator(MBTI) personality type in freshmen nursing students. Methods: This study was a cross
sectional survey and the data was collected from 267 freshmen nursing students by means of self reported
questionnaires from March 3 to 30, 2012.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on SPSS win 18.0. Results: 16 personality
types were all seen in this study participant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stress, stress coping, and
school adaptation according to 4 functions and 4 temperaments of MBTI. Conclusion: Nursing students show
various personality types and we need to understand their diversity and reflect it to a school curriculum or
education program development. Further study is required to identify the effects of self-understanding program on
stress management and school adaptation.

Key words : Nursing student, Myers-briggs type, Stress, Coping Skill, Adaptation

* This study was supported by research funds from Seoul Women's College of Nursing (snjc2012-004).

∙ Address reprint requests to : Chu, Min Sun


Seoul Women's College of Nursing
287-89, Hongje-dong, Seudaemun-Gu, Seoul, Korea
Tel: 82-2-2287-1737 Fax: 82-2-395-8018 E-mail: secretchu@snjc.ac.kr

182 한국간호교육학회지 19(2), 2013년 5월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