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23

학교활력 진단도구 개발과 유형의 특성 1)

이재덕 한국교육개발원 ( )

I. 서 론
초기의 학교활력 연구는 치열한 환경에서 살아남기 위해 학교가 어떻게 변해야 하
는지에 대한 관심에서 시작되었다 어떤 학교는 지원자들의 선호도가 높고 사회적인 평판
.

이 높은 반면 어떤 학교들은 학생이 줄어들고 사회적인 평판도 낮은 경우가 있다


, .

의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두 종류의 학교들이 혁신을 위한 준비 상태


Strommen(1980)

즉 학교활력을 진단하는 척도에서 상당한 대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로


, .

년대 이후 미국의 가톨릭학교가 개 이상 문을 닫았다


1990 그리고 1,300 . Costello, Elson,

는 사립학교들이 살아남지 못하고 문을 닫게 된 이유가 조직에 활력이 없었


Mears(2008)

기 때문이라고 보았다 그래서 그들은 가톨릭 학교의 활력을 증진시키기 위한 활력 향


.

상 모형을 제시하였다 이처럼 학교활력을 학교의 생명을 지속적으로 유지하고 발전하


.

기 위한 중요한 요인으로 인식하고 지속적으로 연구하고 있다 .

우리나라에서는 아직 학교활력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다만 교사 .

개인 활력의 구성요인을 밝힌 논문 차헌주 이 있으며 교사 활력화 ( , 2007) , (teacher

라는 개념을 제시한 논문 장동원


empowerment) 김화자 김필녀 등이 ( , 1999; , 2001; , 2003)

있을 뿐이다 그러나 이제는 학교 선택제가 점점 확대되고 있고 정부는 특별히 노력


. ,

하는 학교에 더 많은 재정을 지원하는 정책을 시행하고 있다 이러한 변화들로 인하여 문 .

닫는 학교가 생기는가 하면 새로운 활력을 찾아서 더 훌륭한 학교로 거듭나는 학교


,

도 생겨나고 있다 그러므로 학교가 환경의 변화에 적응하여 생존하고 발전하기 위해


.

학교활력은 더욱 중요하게 되었다 .

이러한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학교활력에 대한 선행연구들은 몇 가지 한계를 안고


있다 하나는 학교활력의 개념적 속성을 명확하게 밝히지 못하고 있다는 것이다 다른
. .

하나는 학교활력을 진단하고자 시도했던 연구들이 기존의 다른 진단도구들을 그대로 사


용했다는 것이다 이 두 가지 한계에 대한 인식이 본 연구의 출발점이다
. .

한편 현실적 측면에서 본 연구가 갖고 있는 관심은 학교 개선에 있다 조직을 진단하


, .

본 연구는 서울대학교 대학원 위원회에 제출한 박사학위 논문을 요약하여 발


1)

표한 것임 .

- 1 -
는 일은 학교를 개선하기 위해 필수적인 과정이다 행태과학적인 진단이 가능해야 학교 특 .

성에 맞는 처방을 내릴 수 있기 때문이다 조직진단이란 조직의 현재 상태를 점검하고 .

당면한 문제점을 해결하며 조직효과성을 증대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기 위하여 행태


,

과학의 개념 모형 및 방법을 사용하는 조사이다


, 그러나 지 (Harrison & Shirom, 1999).

금까지 이러한 조직진단이 학교에서는 제대로 실행되지 못하고 있다 실제적으로 학 .

교를 진단할 때 기업에서 사용하는 진단도구를 그대로 활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것이 .

바로 우리나라 학교의 실정에 맞는 진단도구의 개발이 시급한 이유이다 .

최근에 우리나라에서는 학교를 개선하기 위한 방법으로 학교컨설팅이 활발하게 이


루어지고 있다 교사의 전문성을 향상시키고 학교를 개선하기 위해 기존의 장학으로는
.

한계에 이르자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접근하고 있는 것이다 학교컨설팅은 학교교육을 .

개선하기 위해 일정한 전문성을 갖춘 사람들이 학교와 학교 구성원들의 요청에 따라


제공하는 독립적인 자문활동이다 진동섭 이러한 학교 개선활동이 전국적으로 확
( , 2003).

대되면서 학교의 진단은 더욱 중요하게 대두되고 있다 .

이러한 필요성에 입각하여 본 연구는 학교활력의 개념 모형을 만들고 학교활력의


수준을 진단할 수 있는 도구를 개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 .

해 선행연구를 분석하여 학교활력의 개념과 하위 구성요인을 밝히고 교육행정 학자 및


현장 교사의 의견을 수렴하여 학교활력의 개념 모형을 정립하였다 그리고 학교활력 진 .

단을 위한 척도를 개발하고 도구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

Ⅱ. 선행연구 분석
조직 활력에 대한 연구는 활력의 원천 또는 증진방안을 제시하는 연구와 활력 있는
조직이 나타내는 양상을 기술하는 연구 그리고 활력의 구성요인을 밝히는 연구로 나뉜
다 아래에서는 행정 및 기업조직의 활력과 대학 및 초․중등학교 조직의 활력에 대한
.

연구 결과를 제시하고자 한다 .

1. 행정 및 기업조직의 활력
조직 활력에 대한 초창기 연구는 에 의해 이루어졌다 은 조직의Dimock(1959) . Dimock

활력을 에너지가 지속적으로 발산되고 경쟁할 능력이 있으며 생존할 힘이 있는 상


“ , ,

태 라고 정의하였다 활력 있는 조직은 변화를 수용하고 혁신이 발생할 것을 기


”(p.5) . ,

대하고 진보를 지속하길 기대하며 새로운 아이디어나 방법을 환영한다 또한 가능한


, , .

한 빨리 결정하고 새로운 과업을 추진할 때 구성원들이 힘을 모은다 그리고 낭비를 줄


, .

- 2 -
이고 이익을 증대시키면 인센티브를 주는 양상을 보인다 그리고 . Cameron, Dutton

은 조직 활력의 양상을 조직의 구성원들이 조직의 과업에 접근할 수 있


Quinn(2003) “

고 창조적이며 다양한 방식으로 정보와 사람을 활용하며 관여할 수 있게 하는 것 으로


, , ”

보고 있다 그들에 의하면 조직이 활력을 가지려면 조직이 조직 구성원의 활력을 키워


.

주고 구성원의 활력이 조직의 역량을 확장시켜주고 창조해주는 선순환적인 모습을 보


, ,

여야 한다 과 등 의 공통점은 변화 혁신 진보 창조 등으로 요
. Dimock(1959) Cameron (2003) , , ,

약할 수 있다 .

한편 기업조직에서는 경영활력 이라는 개념이 년대 말부터 쓰이고 있다 당시 경


, ‘ ’ 1950 .

영활력은 조직의 규모가 커지면서 생긴 관료적인 병리 病理 현상을 치료하고 기업의욕 ( ) ,

을 일으키기 위해 도입한 개념이었다 이와 같은 발상은 조직내부의 체질을 활성화된 .

상태로 유지하고 새로운 아이디어를 구상하고 그것을 적절히 실행하면 조직이 성장할
, ,

수 있다는 인식에 바탕을 둔 것이다 .


Vicenzi 는 조직 활력을 조직 내 구성원들의 성장과 발달을 지
Adkins(2000, p.105) “

원하며 조직의 집단적 과업을 촉진하고 창의성과 혁신을 증대시키는 긍정 에너지 로 정


, , ”

의하였다 그에 의하면 활력 있는 조직은 강력한 목적과 지향점을 가지고 있으며 개인


. ,

의 견해를 자유롭게 표현하도록 허용하는 양상을 보인다 그는 혼돈이론을 기반으로 .

조직 활력을 측정하기 위한 개념적 하위 요인으로 조직의 목적과 가치 지도성과 신뢰 ,

의 질 다양성과 혁신성 권한 부여와 불안의 억제 등을 제안하였다 창조성과 혁신성을


, , .

강조하는 연구는 에게서도 찾아볼 수 있다 그는 조직 활력을 측정하면서


Stacey(1992) .

중요한 요인으로 창조성과 혁신성을 강조하였으며 활력이 있는 조직의 환경을 다섯 가 ,

지 요인으로 설명하였다 첫째는 조직 내에서 정보가 전달되고 이용되는 방법 둘째는


. ,

조직 구성원 간의 연결이나 외부 주주들과의 연결의 질 셋째는 권력과 영향력이 분 ,

산된 정도 넷째는 조직의 다양성 다섯째는 창조적이고 혁신적인 활동을 조직이 수용하


, ,

는 정도이다 와 등의 연구에서는 조직 활력의 개념적


. Stacey(1992), Vicenzi Adkins(2000)

정의와 활력 있는 조직의 양상을 주로 설명하고 있다 이들의 연구에서 조직 활력의 .

핵심은 변화 또는 혁신이다 정보 전달이나 구성원간의 연결을 나타내는 소통성을 강조 .

하고 있다 .

그러나 위의 연구들과는 다르게 활력을 향상시키려고 하는 실제적 접근을 시도한 연구


도 있다 은 개념이나 양상을 정의하기 보다는 단순히 조직의 활력을 향상
. Mitchell(1992)

시키는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은 관련 기업 조직의 활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 Mitchell IT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첫째 모든 행동과 전략의 기본은 고객을 최우선으로 삼는 것이


. ,

다 둘째 권한을 위임하여 혁신을 이루는 것이다 조직이 활력을 갖게 하려면 구성원의


. , .

참여와 주인의식이 중요하다 셋째 조직을 하나로 묶어주는 의사소통 전략을 사용하는 것 . ,

- 3 -
이다 구체적인 방법으로는 뉴스레터 발간 계간 정기 전체 모임 로고 사용 사보 게시
. , , ,

판 등이 있다 넷째 인터넷을 활용하여 실시간으로 의사소통을 하는 것이다 다섯째


. , . ,

업무 수행의 질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작업의 절차와 방법을 명확히 규정하고 고객과 . ,

파트너십을 갖고 업무수행에 대한 평가 방법을 마련하고 결점을 제거하는 것 등이 포


, ,

함된다 여섯째 직원의 경력개발을 촉진하는 것이다 조직 구성원이 대학원 과정에서 연


. , .

구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이 포함된다 .

이와 같이 조직 활력에 대한 실제적 접근을 한 연구들도 활력을 증진시킬 수 있는 원


천을 탐색해 볼 수 있는 좋은 자료를 제공해준다 이들 연구의 공통점은 행정조직과 마 .

찬가지로 활력 있는 조직의 특성은 비평과 혁신 참여와 위임 의사소통 및 정보교류 경 , , ,

력개발 다양성 등이 핵심적인 요인임을 알 수 있다


, .

2. 대학 및 초․중등학교 조직의 활력
학교조직을 대상으로 한 연구는 초․중등학교 보다 대학교에서 더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는 대학 조직의 활력을 조직의 목표 실현과 개인의 발전을 위
. Maher(1982, p.5) “

해서 교원과 직원이 지속적으로 에너지를 투입하도록 학교가 전략을 만들고 지속하는 능


력 으로 정의하였다 그에 의하면 대학 내부의 의사소통이 조직의 활력을 지속하고 강
” .

화하는 데 중요한 요소이다 그는 등 의 연구를 인용하여 조직 활력의 측 . Peterson (1970)

정을 위한 척도로 지적 심미적 잠재적 교육과정 자유 인적 다양성 공동체의 개선에 대- , , ,

한 관심 학생의 학습에 대한 관심 민주적 의사결정 지역사회 요구 수용 자기 주도


, , , ,

적 학습과 계획 새로운 지식에 대한 관심 혁신에 대한 관심 조직의 정신 등을 사용


, , ,

하였다 도 조직 활력에서 참여적 의사결정이나 의사소통을 강조하고 있다


. Centra(1985) .

그는 개 이상의 대학교를 대상으로 활력 있는 조직의 특성을 조사했다 조사 결과


300 .

빈도가 높은 응답은 혁신과 실험에 대한 개방성 학생 교육에 대한 관심 참여적 의사 , ,

결정 조직목표 실현을 위한 직원의 충성도 학생․교수․행정가 사이의 의사소통 학생


, , ,

의 학업 지향성과 성장 학생과 교수의 친밀한 관계 교수의 학식과 연구 질 높은 , , ,

교수진 등이었다 .

활력 있는 대학 조직의 양상은 와 이 잘 보여주고 있다 그들이 주 Maher Ebben(1979) .

장한 조직 활력의 특징은 첫째 분명하게 정의되고 공유되고 받아들여지는 목표를 가지 , ,

고 있다 둘째 도달할 수 있는 가까운 목표와 프로그램을 가지고 있다 셋째 창조적이


. , . ,

고 생산적이며 업무 수행을 할 때 에너지가 넘치도록 개인에게 힘을 실어주는 분위기


,

를 유지한다 .

조직 활력 측정 지표들을 정기적으로 모니터링 함으로써 학교 경영자들은 교육정책의


- 4 -
변화 조직적인 경쟁 환경적 동향 일시적인 조건 등에 대해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
, , ,

기 때문에 생존경쟁이 치열한 대학에서 활력에 대한 연구가 더 많이 이루어


(Scott, 1980)

진 것으로 보인다 .

초․중등학교를 대상으로 한 활력 연구는 의 연구가 시초이다 그는 Strommen(1980) .

학교 내에서 변화를 촉진하거나 더디게 하는 조직의 요인을 학교활력의 여덟 가지 요 “

인 으로 정리하였다 첫째 혁신의 필요성에 대한 인지이다 교직원이 혁신의 필요를


” . , .

느끼는 것은 학교활력의 요인 가운데 첫 번째로 중요하다 조직의 구성원이 필요를 .

느끼지 않는데 혁신을 시도하면 실패하게 된다 둘째 변화에 대한 저항이다 조직에 . , .

서 소수가 변화에 대한 저항을 보여도 실패할 수 있다 이 저항을 잘 관리하는 힘이 필 .

요하다 셋째 조직의 가치에 대한 인식이다 교직원이 학교의 미션과 목표에 동의할


. , .

때 학교활력이 나타난다 넷째 정보의 소통이다 정보는 사전에 마련된 개인 간 의사 . , .

소통 통로를 통해서 전파된다 다섯째 혁신을 수행하는 능력이다 수행 능력이 부족하 . , .

면 혁신적이 아이디어도 무용지물이 된다 수행 능력에는 가용한 직원 재정 수단 저항 . , ,

을 극복하거나 헌신을 이끌어 내는 방법과 할 수 있다는 집단적 태도가 포함된다 여섯 .

째 혁신을 추진할 적절한 시기이다 새로운 아이디어를 제안할 적절한 시기가 있다 변


, . .

화를 위한 가장 좋은 때를 예측하는 것이 관건이다 일곱째 혁신을 추진하고자 하는 분 . ,

위기이다 모든 조직에는 행동을 취하게 하거나 중단하게 하는 특별한 분위기가 있다 여


. .

덟째 성과에 대한 인지이다 그는 학교가 지속적으로 유지되려면 학교활력을 가져야 한


, .

다고 주장하고 있으며 활력을 설명하는 핵심적인 속성을 혁신 이라는 개념으로 설 , “ ”

명하였다 또한 학교활력의 요소로 소통 을 강조하였으며 변화를 주도하고자하는 분


. “ ” ,

위기나 변화에 대한 저항을 극복하는 조직의 자주성을 핵심 요소로 선정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

등 은 가톨릭 학교의 활력을 증진시키기 위한 활력 향상 모형을 제시하


Costello (2008)

였다 그는 활력 향상 모형에 세 가지 요인을 포함시켰다 첫째 가톨릭 학교의 정체


. . ,

성 둘째 학력향상을 위한 목표와 수단 셋째 총체적인 학교 개선 노력이다 그는 학


, , , , .

력향상을 위한 목표를 세우기 위해서 다양한 정보 자원으로부터 자료를 수집하고 분


석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으며 수단으로서는 평가 제도를 개선해야 하며 교수 방법 , ,

개선을 위해서 동료 간 협력을 활성화 시켜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또한 총체적인 학 .

교 개선을 위해서 재단뿐만 아니라 교사 학생 학부모가 모두 책임감을 가지고 재정확 , ,

충과 신입생 유치를 위해 노력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

학교활력의 원천 또는 증진 방안에 대한 연구에서 여러 개념 간 영향력을 밝히는 연


구로 전환된 것은 의 연구가 대표적이다 그는 학교의 정체성과 조직 지도
Hobbie(2009) .

성이 학교활력에 미치는 영향력을 밝히는 연구를 수행하였다 는 학교활력을 예 . Hobbie “

- 5 -
기치 않은 도전에 직면했을 때 효과적인 교육과 변화를 지속하는 것 으로 정의하고 있 ”

다 그는 가톨릭 초등학교의 학교활력을 교육적 특성 조직건강의 기술적 수준 조직적 특


. , ,

성으로 나누었다 그리고 교육적 특성 영역에서는 교육과정과 교수활동을 조직건강의 기


. ,

술적 수준 영역에서는 학문 강조와 교사들의 교육적 제휴를 조직적 특성 영역에서 , ,

는 직원의 마음챙김과 집단 효능감을 그 하위 요인으로 설정하였다 (p.6).


Strommen(1980) 외 등이 학교활력의 원천 또는 학교활력을 증진할 수
Costello (2008)

있는 방안을 제시했다면 는 학교활력을 측정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학교활력의


Hobbie

구성요인을 제시했다는 데서 본 논문에 중요한 시사점을 준다 그는 교육적 변화 지속 . ,

가능성 효과성 등을 학교활력의 준거로 보고


, 그리고 의 조직 Hoy, Tarter Kottamp(1991)

건강 척도 의 교직원 마음챙김 척도
, Hoy(2003) 의 집단 효능감 척도를 이 , Goddard(2002)

용하여 활력을 측정하였다 그러나 그의 연구에서는 기존에 학교를 진단하기 위해 개.

발된 세 가지 척도를 단순하게 합하여 학교활력을 측정함으로써 학교활력의 개념적 속


성을 드러내는 데는 실패했다 .

한편 와 등은 학교활력을 조직의 산출과 관련지어 설명하였


Hoy(2003) Blankstein(2004)

다 먼저 는 관료제 구조와 관련된 부정적인 결과를 제한하고 조직의 긍정적 산출


. Hoy ,

을 효과적으로 증진하는 학교 구조의 특징을 권능부여 구조 와 마 “ (Enabling Structure)” “

음챙김 구조 라는 개념으로 설명하였다 후에


(Mindful Structure)” 는 이를 활 . Hobbie(2009)

력 있는 학교의 특성으로 해석하여 그의 논문에서 발전시켰다 권능부여 구조와 마음챙 .

김 구조가 되기 위해서는 신뢰성 개방성 유연성 협력성 그리고 조직학습이 선행되어야 , , ,

한다 권능부여 구조의 특징은 문제를 기회로 보기 신뢰를 증진하기 차이에 가치부여하


. , ,

기 실수로부터 배우기 기대하지 않았던 것 예상하기 문제해결 촉진하기 협력 도와


, , , ,

주기 혁신 격려하기 유연함 갖기 등이 있다 마음챙김 구조의 특징은 실패에 전념하


, , .

기 단순함 배척하기 예상 외의 것들에 민감하기 회복에 전념하기 전문성 존중하기


, , , ,

등의 특징이 있다 은 학교활력을 지속적인 개선을 통해서 교육조직의 효과를


. Blankstein “

지속하고 장기적으로 직원의 역량을 개발하며 변화하는 환경에 적응하기 위한 지원적


, ,

인 환경을 갖춘 상태 로 정의하였다 그에 의하면 급변하는 시기에 학교의 목표


”(p.8) .

와 교사들의 열정을 높이기 위해서는 어려움에 굴하지 않는 지도성이 필요하며 광범위 ,

한 변화에 적응하는 문화를 만들기 위해서는 전문적인 학습 공동체를 구축하고 조직 운


영을 위한 절차를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 .

학교활력의 개념을 탐색하기 보다는 학교활력을 증진시키는 실천적인 방법을 제시


한 연구는 과 등이 있다
Moxley(2000), Newton 과 은작 Newton(1992) . Newton Newton

은 학교를 대상으로 수행한 연구에서 학교가 활력을 되찾기 위한 방안을 제시했다 그 .

- 6 -
들에 의하면 학교가 활력을 찾기 위해서는 학교 교육과 관련된 모든 이해관계자들의
목소리를 듣고 학교운영을 위해서 공유된 비전을 공식화하고 준비된 리더십이 필요하
, ,

다 는 개인과 조직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어 주는 방법으로 동반자적 지도성


. Moxley “

을 제안하고 있다
(partnership -as- leadership)” .

이상의 연구들을 종합해보면 조직 활력의 연구들은 조직의 변화 와 생존 에 초점 ‘ ’ ‘ ’

을 두고 있음을 볼 수 있다 그러나 선행 연구들은 조직 활력 개념의 하위 구성요인들


.

을 제안할 때 구성요인 간 배타성을 유지하지 못하는 한계를 보이고 있다 또한 구성요 .

인이 조직 활력의 선행 조건인지 아니면 조직 활력의 결과로 나타나는 것인지 명확하게


드러내지 못하고 있다 .

Ⅲ. 연구 절차 및 방법
본 연구의 절차는 연구 준비 단계 개념 정립 단계 척도 개발 단계 타당도 검증 , , ,

단계 특성 분석 단계로 나누었다
, .

1. 연구 준비 및 개념 정립 단계
연구 준비 단계에서는 진단의 목적을 확립하고 전문가 집단을 구성하였다 개념 .

정립 단계에서는 조직 활력에 관련된 문헌을 중심으로 이론적 탐색을 실시하여 잠


정적으로 학교활력의 주개념과 구성요인을 구안하고 전문가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 ,

여 주개념과 구성요인을 확정하였다 학교활력의 주개념과 구성요인에 대한 개방형 .

설문을 실시하고 전문가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개념을 수정한 다음 각 전문가들의


, ,

의견을 정리한 내용과 함께 다시 설문을 실시하는 과정을 반복하였다 .

2. 척도 개발 단계
학교활력의 구성요인별로 문항을 작성하여 차에 걸쳐 전문가들에게 내용타당도 , 2

및 안면타당도의 검증을 의뢰하였다 또한 검증된 문항으로 예비조사를 실시하였다 . .

예비문항 작성은 우리나라 학교의 풍토에 맞는 문항을 제작하기 위해서 학교 현장에


근무하며 교육행정 석․박사 학위를 가지고 있는 명의 교사에게 의뢰하였다 그리고 연
, 5 .

구자는 각종 문헌에서 사용한 설문내용을 분석하여 문항을 작성하였으며 끝으로 연구 ,

자가 연구 의도에 따라 문항을 직접 제작하였다 .

작성된 문항은 차에 걸쳐서 전문가 집단에 의뢰하여 내용타당도 및 안면타당도를


2

- 7 -
검증하였다 차에서는 작성된 내용의 적합성을 판정하기 위해 사전에 제작된 문항을
. 1

전문가 인에게 제시하고 토론을 거쳐서 문항을 삭제하거나 수정하였다


3 .

예비조사를 위한 표집은 서울시내 초등학교를 네 개 권역으로 나누고 각 권역별로 고


르게 개 학교를 선정하였다 각 학교에서는 직위 경력 담당 학년을 고려하여 임의로
16 . , ,

표집하여 총 명을 대상으로 예비조사를 실시하였다 미회수된 설문지와 불성실하게


330 .

응답한 설문지를 제외하고 부를 분석하였다 310 .

문항분석에서는 을 이용하여 평균 표준편차 왜도 첨도 항목 전체 상관관


SPSS 18.0 , , , , -

계 다중상관자승 신뢰도 문항 간 상관관계를 확인하였다 신뢰도분석에서는 문항내적


, , , .

일치도 계수를 산출하여 검사도구 전체의 신뢰도 수준을 확인하고 문항 제거시 신뢰


도 계수를 높게 하는 문항을 삭제하였다 그리고 다중상관자승 . (Squared Multiple

을 추출하여 해당 문항을 그 외 전체 문항이 얼마나 설명하고 있는지


Correlation: R )
2

확인하였다 탐색적 요인분석을 위해서


. 을 사용하였으며 요인 간의 상관관계가 CEFAtool ,

높기 때문에 요인의 회전은 오블리끄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확인적 요인 (Oblique) .

분석을 위해서 를 사용하였으며 자료의 결측치는 목록별 제거 방법으로 처리하였


Amos ,

다 를 활용하여 진단 모형의 적합도를 확인할 때 입력 자료는 공분산행렬을 이용


. Amos

하였다 모델의 적합도 평가는 χ


. 값을 활용하였다 2
, GFI, TLI, CFI, RMSEA . GFI, TLI,

CFI는 이상인 경우 모형이 적합하다고 수용했으며


.85 의 값은 이하인 경우 , RMSEA .08

모형이 적합하다고 수용했다 홍세희 조선배 끝으로 요인 간 상관추정치를


( , 1999; , 1996).

산출하여 다중공선성을 검토하였다 문항분석에서 적용한 기준과 같이 문수백 과 . (2009)

의 주장에 따라 상관 추정치가 이상인 경우 요인 간에 다중공선성이 있다


Kline(2005) .85

고 판단하였다 .

3. 타당도 검증 단계
본조사는 서울시 전체 초등학교의 를 상회하는 개 학교를 표집 하였다 표집 10% 60 .

방법은 대 권역 및 학교 규모별로 유층화군집 방법을 사용 하였으며 각 군집 안에


4 ,

서는 임의로 표집 학교를 선정하였다 배부된 장의 설문지 가운데 미회수된 설문지 . 994

와 불성실하게 응답한 설문지를 제외하고 총 장의 설문지를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866 .

본조사 분석에서는 구인타당도 준거타당도 교차타당도를 확인하였다 구인타당도를 , , .

검토하기 위하여 의 표본 적절성 측정치와 의 구형성 검증의


Kaiser-Meyer-Okin Bartlett

결과를 검토하여 자료의 상관이 요인분석에 사용할 만큼 적절한지 확인하였다 그리고 .

을 활용하여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했으며


CEFAtool 를 활용하여 확인적 요인분 , Amos

석을 실시하였다 준거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하여 윤종건 의 학교조직건강 진단도구


. (2004) “ ”

- 8 -
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학교조직 건강이 학교활력 전체 점수와 각 속성 .

을 얼마나 설명하고 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단순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교차타당도를 .

검증하기 위하여 표본 분할법을 실시하였다 표집을 두 집단으로 나누어 예측 모형 .

사례수의 과 실제 모형 사례수의 으로 명명하고 두 집단 간에 나타나는 진단


( 70%) ( 30%)

도구의 동질성을 확인하였다 .

4. 특성 분석 단계
학교활력의 유형을 찾기 위하여 군집분석을 실시하였다 자료는 원점수와 표준화 점 .

수 평균 분산 를 함께 제시하였다 군집화 방법은 집단 간 평균 결합을 나타내는


( 0, 1) .

집단 간 연결 을 설정하였으며 간격은 제곱유클리디안 거리 를 선택했다 군집의 해


‘ ’ , ‘ ’ .

법 범위는 개부터 개까지 입력하여 결과를 산출하고 분류된 결과를 확인한 뒤 적


2 6 ,

합한 집단을 선택하였다 학교활력의 유형에 따라 국가수준성취도평가 결과 학교 규


. ,

모 지역 교원단체 가입비율 교장의 성 교사의 성비 등이 어떻게 다르게 나타나는지


, , , ,

확인하였다 .

Ⅳ. 연구 결과
본 연구의 결과는 크게 네 부분으로 나눌 수 있다 첫째 이론적 검토와 전문가 델파 . ,

이 조사를 통해서 정립된 학교활력의 개념 모형이다 둘째 문항 제작과 내용 검토를 . ,

통해 척도를 개발한 결과이다 셋째 설문조사를 통하여 척도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 . ,

한 결과이다 넷째 학교활력의 유형별로 나타나는 학교활력의 특성을 분석한 결과이다


. , .

1. 학교활력의 개념
학교활력은 교육 목표를 공유하고 혁신을 추진하는 분위기 속에서 각종 정보와 의

견을 왕성하게 교류하며 환경으로부터 학습하고 환경변화에 신속히 대응하면서 조


,

직을 변화시키고 생명을 유지시키는 조직 내부의 힘 이다 조직 내부의 힘을 구성하는 ” .

개념적 속성은 자주성 소통성 적응성이다 , , .

조직의 정신 영역에서 나타나는 핵심적인 속성은 자주성 이다 자주성은 조직 전체 “ ” .

가 목표를 공유하고 그 목표를 이루기 위해서 자발적으로 혁신을 추진하려고 하는 현


상을 의미한다 본 속성에는 목표공유 와 혁신풍토 요인이 포함된다 소통성은 교육
. ‘ ’ ‘ ’ .

활동과 경영활동에 관한 모든 정보와 구성원의 의견이 원활하게 이동되는 현상을 의미한


- 9 -
다 본 속성에는 정보공유 와 의사소통 요인이 포함된다 조직의 환경 영역에서 나타
. ‘ ’ ‘ ’ .

나는 핵심적인 속성은 적응성 이다 적응성은 조직이 환경으로부터 지속적으로 학습


“ ” .

하고 환경변화에 신속히 대응하여 조직을 창조적으로 변화시키는 현상을 의미한다 본 .

속성에는 지속적 학습 과 창조적 반응 요인이 포함된다


‘ ’ ‘ ’ .

학교활력을 진단하기 위한 구성요인과 각 요인의 정의는 아래 표와 같다 .

<표 1> 학교활력구성요인의정의


영역 속성 구성요인 정의
정신 자주성 목표공유
혁신풍토
조직의목표나가치를분명하게정의하고공유하는정도
혁신을추진하려는분위기나혁신적인활동을조직이수용하는정도
구조 소통성 정보공유
의사소통
새로운정보를생산하여집적하고정보를공유하고활용하는정도
구성원및하부조직의다양한의견이상하좌우로이동하는정도
환경 적응성 지속적학습
창조적반응
지식과기술을습득하기위해다양한활동을수행하는정도
환경변화에신속히대응하여조직을창조적으로변화시키는정도

2. 척도 개발
가 . 문항제작 결과
현장 교사가 참여하여 제작한 문항과 연구자가 선행연구를 분석하여 추출한 문항
을 합하여 총 개 문항을 제작하였다 작성된 문항은 차에 걸쳐서 전문가 집단에
268 . 2

의뢰하여 내용타당도와 안면타당도를 검증하였다 차 검증에서는 작성된 내용의 적합 . 1

성을 판정하기 위해 사전에 제작된 문항을 전문가 인의 토론을 거쳐서 문항을 선별하 3

였다 차 검증에서는 학교활력 진단 문항의 타당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교육행정 전공


. 2

박사이며 학교 개선을 위해 연구한 경험이 있는 전문가 명을 패널로 위촉하여 내용


, 5

타당도 및 안면타당도를 검증하였다 전문가 패널에게 구성요인의 정의를 토대로 문항 .

의 적절성 여부를 단계로 평정하도록 하였으며 수정 요청 사항은 별도로 기술하도록


3 ,

하였다 이상에서 실시한 검토 결과 전체 구성요인에서 총 개 문항을 선정하였다


. 48 .

나 . 예비조사 결과
문항분석을 실시하여 문항 간 다중공선성과 표준편차 및 신뢰도에 문제가 있는 4

- 10 -
개 문항을 삭제하여 문항을 선정하였다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개 문항은 학교활
44 . 44

력의 진단 모형과 같이 개의 요인으로 구별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요인 부하량이 이


6 . .4

하로 나타난 개 문항을 삭제하였다 그 결과 총 개 문항을 선택하였다 차 탐색적


8 . 36 . 2

요인분석에서 개요인 개 문항을 선정하였다 차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는 다음


6 24 . 2

표와 같다 .

<표 2> 예비조사: 2차탐색적요인분석결과


목표공유 혁신풍토 정보공유 의사소통 지속적학습 창조적반응 공유변량
1-1 0.596 0.079 0.207 -0.122 0.087 -0.004 0.546
1-3 0.907 -0.096 -0.022 0.050 -0.010 -0.020 0.629
1-5 0.742 0.100 -0.017 0.108 0.025 -0.039 0.661
1-8 0.574 0.175 0.056 -0.093 0.053 0.209 0.613
2-1 0.297 0.402 0.154 0.007 0.020 0.075 0.476
2-2 0.093 0.580 0.171 0.055 0.087 0.044 0.546
2-7 0.061 0.519 -0.050 0.244 -0.005 0.218 0.570
2-8 0.069 0.504 -0.024 0.222 0.044 0.251 0.636
3-1 0.029 0.221 0.533 0.068 0.068 -0.098 0.422
3-4 0.038 0.058 0.412 0.171 -0.094 0.165 0.367
3-7 0.008 -0.011 0.777 -0.011 0.030 -0.013 0.455
3-8 0.024 -0.064 0.693 0.114 0.007 0.077 0.627
4-2 0.044 0.023 0.062 0.705 0.012 0.072 0.512
4-3 0.052 -0.019 0.037 0.804 0.001 0.009 0.489
4-5 -0.071 0.199 0.126 0.429 0.200 -0.016 0.478
4-8 0.004 0.092 0.083 0.530 0.180 0.036 0.571
5-1 -0.003 0.150 -0.069 0.021 0.719 -0.050 0.482
5-6 -0.011 -0.036 0.010 0.070 0.747 0.015 0.669
5-7 0.063 -0.091 0.107 -0.036 0.687 0.107 0.639
5-8 0.128 -0.152 0.102 0.097 0.409 0.231 0.514
6-4 0.152 -0.040 0.107 0.025 0.238 0.470 0.631
6-5 -0.040 -0.056 0.022 0.032 0.027 0.786 0.375
6-6 0.028 0.137 -0.001 0.001 0.019 0.692 0.570
6-7 0.016 0.117 0.031 0.119 0.065 0.592 0.653

- 11 -
6개요인 개 문항을 대상으로 모형의 적합도를 검증한 결과 값과
24 GFI RMSEA

값이 매우 적합한 수준은 아니지만 허용할 만한 한계수준 (Q<3.0, GFI>.85, TLI>.85,

에는 도달했다 조선배
RMSEA=.05~.08) 검증 결과는 아래 표와 같다 ( , 1996). .

<표 3> 예비조사: 확인적요인분석적합도검증결과


CMIN(χ ) 2
DF CMIN/DF(Q) P GFI TLI CFI RMSEA
489.514 237 2.065 .000 .860 .914 .926 .066

구성요인 간 상관관계 추정치는 모두 유의수준 에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 .01 .

고 상관관계 추정치가 이상인 요인은 보이지 않았으므로 요인 간 다중공선성은 존


.85

재하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3. 척도의 타당도 검증
타당도는 구인타당도 준거타당도 교차타당도를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 , .

같다 .

가 . 구인타당도 분석
본 연구에서 설정한 모형에 대하여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 표와
같다 .

<표 4> 학교활력진단도구의확인적요인분석결과


Standard S.E. C.R. Standard S.E. C.R.
Estimate Estimate
V1_1 ← 목표공유 0.558 0.023 24.299* V4_2 ← 의사소통 0.782 0.029 27.237*
V1_3 ← 목표공유 0.645 0.025 26.103
*
V4_3 ← 의사소통 0.739 0.028 26.822
*

V1_5 ← 목표공유 0.625 0.023 26.894


*
V4_5 ← 의사소통 0.675 0.029 22.923
*

V1_8 ← 목표공유 0.637 0.024 26.186* V4_8 ← 의사소통 0.693 0.027 25.694*
V2_2 ← 혁신풍토 0.623 0.029 21.434
*
V5_5 ← 지속적학습 0.532 0.027 19.969
*

V2_4 ← 혁신풍토 0.734 0.029 25.189


*
V5_6 ← 지속적학습 0.629 0.026 24.024
*

V2_5 ← 혁신풍토 0.890 0.033 27.195* V5_7 ← 지속적학습 0.669 0.025 26.613*

- 12 -
V2_8 ← 혁신풍토 0.847 0.029 29.581* V5_8 ← 지속적학습 0.558 0.024 23.225*
V3_1 ← 정보소통 0.490 0.024 20.276
*
V6_2 ← 창조적반응 0.594 0.024 25.013
*

V3_4 ← 정보소통 0.586 0.032 18.198


*
V6_4 ← 창조적반응 0.733 0.031 23.585
*

V3_7 ← 정보소통 0.512 0.022 22.784* V6_5 ← 창조적반응 0.793 0.032 24.833*
V3_8 ← 정보소통 0.584 0.023 25.149
*
V6_7 ← 창조적반응 0.704 0.026 26.675
*

* p<.01

<표 5> 확인적요인분석적합도결과


CMIN(χ ) 2
DF CMIN/DF P GFI TLI CFI RMSEA
1034.878 237 4.367 .000 .896 .919 .931 .065

표 에서 보는 바와 같이 모든 경로의 표준화된 요인 부하량이 통계적으로 유의


< 4>

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χ 값의 경우 유의수준이 보다 작게 나타났으므로 모형


. CMIN(
2
) .5

이 적합하지 않다고 판단할 수 있으나 표본의 크기가 크고 측정변수가 많을 때 적합도


지수로 적절하지 않을 수 있다는 보고에 기초하여 적합도를 검증하는 데에는 활용하지
않았다 또한 값이 보다 작게 나타났으나 허용할 만한 수준이고
. GFI .9 값도 , RMSEA

로 괜찮은 적합도를 보이고 있다


.065 .

나 . 준거타당도 분석
학교활력 진단도구의 준거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하여 학교조직건강 진단도구와의 관
계를 분석하였다 학교활력 구성요인들은 학교조직건강과 유의확률 수준에서 통계적으
. .01

로 유의미한 정적 상관을 보이고 있다 두 가지 도구 간에 다중공선성은 나타나지 않는 것 .

을 확인하였다 그러므로 학교활력 진단도구는 준거타당도를 확보했다고 할 수 있다


. .

요인 간 상관분석과 더불어 학교조직건강이 학교활력 전체 점수와 각 속성을 얼마


나 설명하고 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단순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학교조직건강은 학교활 .

력을 설명하고 있다 또한 학교조직건강은 학교활력의 각 구성요인들을


61.2% . 부 30.0%

터 정도를 설명해준다 이러한 설명량은 유의수준 이내에서 유의한 것으


47.9% . .01

로 나타났다 이 결과로 학교조직의 건강이 높을수록 학교활력도 정적으로 높게 나


.

타나는 경향을 확인하였다 .

다 . 교차타당도 분석
표집을 두 집단으로 나누어 예측 모형 사례수의 ( 과 실제 모형 사례수의
70%) ( 30%) 으
- 13 -
로 명명하고 두 집단 간에 나타나는 진단도구의 동일성을 확인하였다 집단 간 요인 부하 .

량이 같은 것으로 제약된 측정 동일성 모형에서 로 통계적으로 유 CMIN=25.075(p>.05)

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두 집단 간에 요인구조뿐만 아니라 요인 부하량까 .

지 동일한 것으로 보아도 통계적으로 문제가 없음을 말해준다 문수백 구 ( , 2009, p.610).

조변량이 집단별로 동일하지는 않지만 개의 요인구조와 요인 부하량이 동일하다는 6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학교활력 진단도구의 교차타당도를 검증하였다 .

5. 학교활력 유형의 특성
가 . 학교활력의 유형
군집분석 결과 나타난 세 가지 군집 가운데 제 군집을 고활력형으로 제 군집을 1 , 2

중활력형으로 제 군집을 저활력형으로 명명하였다


, 3 .

1)고활력형 (High-Level Vitality Type)

고활력형은 학교활력 구성요인 전체에서 고르게 평균보다 매우 높은 점수를 보인다 . 6

개요인 가운데 지속적 학습 요인이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으나 나머지 다섯 개 요인에


서는 분산을 초과하여 높게 나타났다 .

60개 학교 가운데 개 학교가 고활력형으로 분류되었다 지역적으로 보면 권


17 (28%) . 1

역 강서 동작 남부 에 개 학교 권역 강동 강남 에 개 학교 권역 중부 서부 성
( , , ) 5 , 2 ( , ) 1 , 3 ( , ,

북 에 개 학교 권역 동부 북부 성동 에 개 학교가 여기에 속한다 학교 규모별로


) 5 , 4 ( , , ) 6 .

보면 소규모 학교 학급 미만 개 대규모 학교 학급 이상 개가 고활력형에 속해


(36 ) 11 , (36 ) 6

있다 .

2)중활력형 (Mid-Level Vitality Type)

중활력형은 학교활력 구성요인 전체에서 고르게 평균보다 약간 낮은 점수를 보인다 . 6

개요인 가운데 주도성에 속하는 목표공유와 혁신풍토가 상대적으로 약한 것으로 나타났


다 반면에 지속적 학습은 평균에 좀 더 가까운 모습을 보이고 있다
. .

60개 학교 가운데 개 학교가 중활력형으로 분류되었다 지역적으로 보면 권


42 (70%) . 1

역 강서 동작 남부 에 개 학교 권역 강동 강남 에 개 학교 권역 중부 서부 성
( , , ) 14 , 2 ( , ) 10 , 3 ( , ,

북 에 개 학교 권역 동부 북부 성동 에 개 학교가 여기에 속한다 학교 규모별로


) 9 , 4 ( , , ) 9 .

보면 소규모 학교 학급 미만 개 대규모 학교 학급 이상 개가 고활력형에 속


(36 ) 25 , (36 ) 17

해 있다 .

- 14 -
3)저활력형 (Low-Level Vitality Type)

저활력형은 학교활력 구성요인 전체에서 평균보다 매우 낮은 점수를 보인다 개요인 . 6

가운데 자주성에 속하는 목표공유와 혁신풍토가 최악의 상황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점


수를 보인다 그러나 적응성에 속하는 지속적 학습과 창조적 반응 요인에서는 분산
.

크기의 배 이상의 낮은 점수를 보이고 있다


2~3 .

60개 학교 가운데 개 학교가 저활력형으로 분류되었다 저활력형 학교는 권역


1 (1%) . 1

인 동작 교육지원청에 속해 있으며 학교 규모별로 보면 대규모 학교 학급 이상


, (36 )

에 속한다 .

[그림 은 학교활력 유형에 따른 학교활력의 프로파일분석 결과이다 고활력형 학교


1] .

는 모든 요인에서 고르게 높은 점수를 보이고 있으며 중활력형 학교는 모든 요인에서 고 ,

르게 중간 정도의 점수를 보이고 있다 두 가지 유형은 어느 특정 요인에 치우치지 않


.

고 고른 점수 분포를 보이고 있다는 특징이 있다 그러나 중활력형 학교와 저활력형 학 .

교 사이에서는 목표공유와 혁신풍토 요인이 비슷한 수준을 보이고 있으나 지속적 학습


과 창조적 반응 요인은 큰 차이를 보이고 있다 저활력형 학교는 변화를 실천하는 적응성 .

에서 취약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

목표공유
20

15

창조적반응 10 혁신풍토
5

지속적학습 정보공유
고활력형
중활력형
의사소통 저활력형
〔그림 1〕 학교활력유형에따른프로파일분석

- 15 -
나 . 학교활력 유형의 특성
학교활력의 유형에 따라 어떤 특성이 나타나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여러 가지 기준을
적용하였으나 본 논문에서는 유형별로 차이가 크게 나타나고 있는 학업성취도와 교장의
성비에 대한 결과만을 제시하고자 한다 .

1)학업 성취도 특성
성취도 평가 결과는 년과 년에 초등학교 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국
2010 2011 6

가수준 성취도 평가 결과 자료이다 서울시에 있는 개 초등학교의 학업 성취도 순위


. 589

자료에서 표집 학교의 순위를 뽑아 비교한 결과는 다음 표와 같다 .

<표 6> 학교활력유형별성취도평가순위


고활력형 중활력형 저활력형
2010년성취도평가순위평균 318.71(154.40) 321.43(185.11) 498.00(0)
2011년성취도평가순위평균 304.47(152.63) 326.33(182.30) 518.00(0)
성취도평가순위변화 14.24 -4.90 -20

* 순위(표준편차)

고활력형 학교는 년 성취도 평가 순위가 전체 개 학교 가운데


2011 등으로 589 304.47

중활력형 학교보다 등정도 높게 나타났다 또한 년과 년 성취도 평가를


22 . 2010 2011

함께 비교해보면 중활력형 학교는 등 하락하였고 저활력형 학교는 등 하락하였다


4.90 , 20 .

그러나 고활력형 학교는 등 상승하였다 이와 같이 학교활력이 높은 학교는 성취도의 향


14.24 .

상 정도가 매우 큰 것으로 나타났다 .

교장의 성비 특성
2)

학교활력 유형별 교장의 성비 특성은 다음 표와 같다 .

<표 8> 학교활력유형별교장의성비


고활력형 중활력형 저활력형 전체
남성 16(94.1) 28(66.7) 0 44(73.3)
여성 1(5.9) 14(33.3) 1(100) 16(26.7)
합계 17(100) 42(100) 1(100) 60(100)

* 명(%)

- 16 -
남성 교장은 전체의 를 차지한다 그런데 고활력형 학교에서 남성 교장은
73.3% .

를 차지하고 있다 마찬가지로 여성 교장은 전체의 를 차지하는데 고활력형


94.1% . 26.7% ,

학교에서 를 차지하고 있다 고활력형 학교에서 남성 교장의 비율이 매우 높게 나


5.9% .

타나고 있는 반면에 중활력형 학교에서는 여성 교장의 비율이 높게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

Ⅳ. 종합 논의
본 연구는 학교활력의 개념을 정립하고 학교활력 진단도구를 개발하는 데 목적이 있
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이론적 탐색과 전문가 집단의 합의를 통하여 학교
.

활력의 개념을 정립하였으며 그것을 진단할 수 있는 도구를 개발하고 학교활력의 특성 ,

을 확인하였다 이하에서는 개념 정립과 진단도구 개발 과정에서 나타난 결과와 진단도


.

구의 활용에 대해서 논의한다 .

1. 개념의 접근 방식
기존 연구자들이 조직 활력의 본질에 대해서 접근하는 방식은 주로 활력의 원
천 또는 증진방안을 제시하는 방식과 활력 있는 조직이 나타내는 양상을 기술하는 방
식으로 이루어졌다 그 외에 일부이기는 하지만 조직 활력의 구성요인을 기술하는 접근
.

방식이 있다 .

이상의 접근 방식은 논문에서 나타나는 연구방법으로서의 접근방식이므로 구체적인 ,

항목은 중복되기도 한다 즉 학교활력을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분명한 조직의 목표를


. ,

가져야 한다고 주장하는가 하면 활력 있는 학교의 특징은 공유된 분명한 목표를 가지 ,

고 있다고 주장하는 경우가 그 예이다 분명히 학교활력의 개념적 속성은 학교활력의 .

원천이나 양상과는 질이 다른 내용이다 그러므로 위와 같은 세 가지 접근은 학교활 .

력의 본질에 접근하기에는 근거가 약한 측면이 있다 직무 관여 에 관한 측정을 연구한 . ‘ ’

가 지적한 바와 같이 위의 연구들은 새로운 개념의 선행조건 원천 또는


Kanungo(1982) (

증진 방법 이나 상태 양상 그리고 그것의 결과 등을 다룸으로써 그 개념의 본질에 접근


) , ( )

하지 못하는 오류를 범하고 있기 때문이다 .

본 논문은 학교활력의 개념적인 속성과 구성요인을 찾아내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

이와 같이 개념의 속성과 구성요인을 밝히는 연구 결과가 축적된 이후에 학교활력을


증진시키는 요인이나 학교활력이 영향을 미치는 요인 등을 찾아내는 후속 연구가 이루
어져야 할 것이다 .

- 17 -
2. 속성과 구성요인의 관계
탐색적 요인분석에서 학교활력 진단도구의 개 척도는 개 요인으로 분류되었다 24 6 .

그러나 혁신풍토가 같은 속성에 속하는 목표설정 요인보다 의사소통이나 창조적 반응


과 상관이 더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소통성에 속하는 의사소통은 같은 속성에 속하는
.

정보공유보다 혁신풍토와 창조적 반응과 더 높은 상관을 보였다 이 부분은 요인 간 .

판별타당도를 점검할 필요가 있는 부분이다 .

개 하위 요인 간 상관관계는
6 로 나타났으며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 .557~.742

과를 나타냈다 그러나 같은 속성에 속하는 요인보다 다른 속성에 속한 요인과 상관


.

관계가 더 높게 나타난 것은 추후 심도 있는 분석이 필요할 것이라는 여지를 남겨놓고


있다 일단 본 논문에서는 목표공유가 같은 속성에 있는 혁신풍토와 가장 높은 상관
.

관계 를 나타냈고 정보공유도 같은 속성에 있는 의사소통과 가장 높은 상관관계


(.641) ,

를 나타냈으며 지속적 학습도 창조적 반응과 가장 높은 상관관계 를 나타냈다


(.676) , (.742)

는 점에서 큰 문제는 없을 것으로 본다 그러나 위와 같은 논의거리가 생긴 원인을 추 .

측해볼 필요는 있을 것이다 본 논문의 분석결과만 본다면 창조적 반응이 혁신풍토나


.

의사소통 등과 두루 높은 상관을 나타내고 있다는 것이다 이 점에서 창조적 반응 .

이 다른 요인과 겹치는 부분이 있는지 밝혀야 한다 .

3. 다른 도구와의 차별성
학교활력은 학교건강성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신체에서 건강 .

과 활력은 밀접한 관련이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학교조직건강과 학교활력은 관점에서 .

차이가 있다 즉 조직건강성은 체제이론으로부터 출발한다 산출을 높이기 위한 합리


. , .

적인 조직 과정에 이상이 생기면 환류에 의해 이를 수정하게 되는데 체제에서 입력과


과정에 이상이 없는 상태를 건강한 상태라고 본다 그러나 학교활력은 자기조직화조 .

직 이론에서 출발한다 활력 있는 조직은 합리적인 조직 또는 안정적인 조직 자체를 강


.

조하기 보다는 안정적인 상태를 벗어나서 새로운 것을 생각하는 것에 관심을 갖는다 .

그러므로 건강한 조직에서 혁신은 부적 환류를 받지 않기 위해서 또는 안정적인 조 ,

직을 운영하기 위해서 새로운 방법을 시도하는 반면 활력 있는 조직에서 혁신은 안정 ,

적인 조직을 흔들어 놓을 수 있는 새로운 아이디어를 산출하기 위해서 새로운 방법을


시도한다 .

- 18 -
4. 이론적 분석 결과와 전문가 의견의 차이
2차 델파이 조사 이후 이론적 분석을 통해서 수용성을 진단하기 위한 하위 요인으로
자원확보 요구수용을 선정했다 그러나 차 델파이 과정에서 전문가들의 의견에 따
, . 3

라 수용성을 적응성으로 변경했으며 그 하위요인도 지속적 학습 창조적 반응으로 변경 , ,

하였다 이론적 분석 결과와 전문가들의 의견에 실제적인 차이가 있는 것인지 아니면


.

선행 연구를 다른 측면에서 분석해 봐야할지는 좀 더 깊은 논의가 필요하다 .

우선 이러한 차이는 기업 사례나 외국 사례를 중심으로 분석한 선행연구와 한국 학교


조직의 상황이 적합하게 들어맞지 않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해볼 수 있다 전문가들은 .

학교단위 경영의 자율성이 많이 확보되지 않은 상황이므로 수용성이 학교별 특성을 잘


드러내지 않을 것으로 보고 있었다 또한 조직이 환경을 수용할 뿐만 아니라 환경을 수 .

용하면서 동시에 앞으로 닥칠 미래 환경을 예언하고 미리 대처하는 능력이나 혹은 환


경을 변화시키는 능력도 갖고 있다는 것을 강조하였다 또한 활력은 사전적으로 살아 . ‘

움직이는 힘 이라고 할 수 있으므로 이 역동성은 본질적으로 지속적인 학습 을 전제로


’ ' '

한다는 의견을 제시하였다 환경 영역에서 나타나는 속성으로 적응성의 의미와 그것을 진


.

단할 수 있는 하위 요인에 대해서 한국적 조직 풍토를 감안한 적합성 여부를 더욱 심도


있게 탐색할 필요가 있다 .

5. 진단도구의 활용
학교활력 진단은 학교 구성원 전체를 대상으로 실시하며 개인별로 각 구성요인의 ,

점수를 산출한다 그리고 구성요인의 점수를 합산하여 개인이 인식하는 학교활력 점수


.

를 산출한다 끝으로 학교 구성원 전체의 평균을 구하여 조직의 학교활력 점수를 산


.

출하면 된다 .

학교활력의 진단 결과를 해석하는 방법은 다양하다 .

첫째 원점수를 보고 해석하는 방법이 있다 원점수는 개 척도의 점수를 합한 것으


, . 24

로 만점이 점이고 최하 점수는 점 사이에 존재한다 본 연구에서 원점수는 최


120 24 .

소값 점부터 최대값
80.15 점의 분포를 보이고 있다 그러나 원점수만을 가지고는
108.70 .

학교의 상대적 위치나 절대적 수준을 판단하기 어렵다 .

둘째 표준점수로 환산하여 해석하는 방법이 있다 표준점수는 평균 표준편차


, . 100, 15

로 변환한 값이다 본 연구에서 산출한 원점수의 평균 과 표준편차 를 모집단의


. (94.90) (6.66)

평균과 표준편차로 활용하여 단위학교의 표준점수를 구할 수 있다 계산된 표준점수가 . 100

점 이상이면 활력이 있는 학교라고 판단할 수 있으며 점 미만이면 활력이 없는 학교 , 100

- 19 -
라고 판단할 수 있다 더 정확한 판단을 할 때는 표준편차를 활용할 수 있다 표준편
. . 1

차 이상인 점 이상이면 활력이 높은 학교이며 표준편차 이상인 점 이상이면


115 , 2 130

활력이 매우 높은 학교이다 반대로 점 미만일 경우는 활력이 낮은 학교이고 점 미


. 85 , 70

만일 경우는 활력이 매우 낮은 학교이다 .

셋째 퍼센트 점수로 환산하여 해석하는 방법이 있다 사람들은 일상적인 평가에서 만


, .

점을 점으로 인식하는 경향이 있다 그렇기 때문에 퍼센트 점수로 환산해서 점


100 . 100

만점에 해당 학교의 활력은 몇 점인지를 확인할 수 있다 활력 점수가 점 만점에 . 120

점이 나왔다면 퍼센트 점수는 점이 된다 해당 학교는 학교활력 점수가 점


100 , 83.33 . 100

만점에 점이라고 해석할 수 있다


83.33 .

넷째 분점수
, 9 를 활용하여 학교의 활력 등급을 확인할 수 있다 분점
(Stanine scores) . 9

수는 정규분포를 가정해야 하기 때문에 퍼센트 점수를 이용하여 구해야 한다 그러므 .

로 본 연구에서 산출한 퍼센트 점수의 평균 과 표준편차 를 모집단의 평균과 (79.08) (5.55)

표준편차로 활용하여 단위학교의 분점수를 구할 수 있다 분점수가 점이면 학교활력 9 . 9 9

이 등급이 되고 점이면 학교활력이 등급이 된다


1 , 1 9 .

Ⅴ. 결론
학교활력 진단도구의 개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 규명하고자 했던 연구문제에
대한 결론을 도출하면 다음과 같다 .

첫째, 학교활력은 조직을 변화시키고 생명을 유지시키는 조직 내부의 힘이며 학교 ,

활력을 구성하는 개념적 속성은 자주성 소통성 적응성이다 학교는 변화를 지향하는 , , .

자주성과 구성원간에 상호 협력하는 소통성 그리고 변화를 실천하는 적응성을 가질 필 ,

요가 있다 .

둘째 본 연구에서 개발한 진단도구는 간명성을 고려하여 활용 가능성을 높였으며 조


, ,

직의 유지 발전에 핵심적인 내부의 힘을 진단하기 때문에 활용 효과성이 매우 높을


것이다 학교 구성원이나 연구자들이 진단도구를 손쉽게 활용할 수 있도록 시스템을
.

갖추는 지원이 필요하다 .

셋째 학교활력의 유형은 고활력형 중활력형 저활력형으로 구분되며 유형별로 학교의


, , ,

특성이 다르게 나타난다 특히 학업성취도의 향상 정도에서 고활력형 학교들은 큰


.

폭으로 향상된 것에 반해 저활력형 학교는 큰 폭으로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활력과 학 .

업성취도의 인과관계는 추후 연구를 통해서 확인할 필요는 있지만 학교활력의 구성요


인별로 진단과 처방이 이루어진다면 학교 개선에 효과적인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이다 .

이상의 결론을 바탕으로 정책적 제언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

- 20 -
첫째 학교 구성원이 스스로 학교를 진단하려고 할 때 언제 어디서든지 온라인으로
,

진단을 수행하고 그 결과를 바로 받아볼 수 있도록 시스템을 마련해야 한다 둘째 추후. ,

학교활력을 진단한 결과 학교활력 점수와 구성요인별 점수 는 본 연구의 표본인 개


( ) 60

학교에 사례수를 더해서 자료의 양을 늘리고 자료의 질을 확보해야 한다 셋째 전체 학


. ,

교의 이상 차지하는 중활력형 학교에 대한 관심을 높일 필요가 있다 넷째 교육지


70% . ,

원청별로 학교활력이 차이가 나는 원인을 분석하고 적절한 처방을 고려해야 한다 다섯 .

째 여성 교장과 남성 교장의 어떤 특성이 학교활력에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고 필요한


,

역량을 기를 수 있도록 지원할 필요가 있다


.

- 21 -
참고문헌
김필녀 (2003). 초등교장의 도덕적 지도성과 교사의 활력화가 학교조직의 효과성에 미치
는 영향 국민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

김화자 (2001). 학교장의 변형적 지도성과 교사 활력화 및 학교효과성 간의 관계 전북대 .

학교 박사학위논문 .

문수백 (2009). 구조방정식모델링의 이해와 적용 서울 학지사 . : .

윤종건 (2004). 학교조직건강 진단검사 제작연구 교육행정학연구 , 22 . (2), 469-483.

조선배 (1996). LISREL 구조방정식모델 서울 영지문화사 . ; .

진동섭 (2003). 교육개혁의 새로운 접근 학교컨설팅 서울 학지사 . : .

차헌주 (2007). 세 초등교사의 활력에 관한 생애사 연구 진주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

홍세희 (1999). 문항반응 이론과 요인분석을 이용한 척도개발 및 타당화 년도 임상 . 99

심리학회 차 워크숍 자료 3 .

Blankstein. A. M.(2004). Failure is not an option: Six principles that guide student

achievement in high performing schools. Thousand Oaks, CA: Corwin Press.

Cameron, K. S., Dutton, J. E., & Quinn, R. E.(2003). Positive organizational scholarship.

박래효 조영만 옮김
San Francisco, CA : Berrett-Koehler. , (2009). 탁월한
성과를 창출하는 긍정조직학 서울 북스 . : POS .

Centra, J. A.(1985). Maintaining faculty vitality through faculty development. In S. M.

Clark & D. R. Lewis(Eds.), Faculty vitality and institutional productivity:

Critical perspectives for higher education(pp. 141-156). NY: Teachers

College Press.

Costello, R., Elson, P., & Mears, K.(2008). A model for improving catholic school

system vitality. momentum, 39(4), 12-17.

Dimock, M. E.(1959). Administrative vitality: the conflict with bureaucracy. NY: Harper

and Brothers.

Goddard, R. D.(2002). A theoretical and empirical analysis of the measurement of

collective efficacy: The development of a short form. Educational and

Psychological Measurement, 62(1), 97-110.

Harrison, M. I., & Shirom, A.(1999). Organizational diagnosis and assessment. CA: Sage.

Hobbie, M.(2009). The impact of catholic school identity and organizational leadership

on the vitality of catholic elementary school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The Catholic University of America, Washington, D.C.

- 22 -
Hoy, W. K.(2003). An analysis of enabling and mindful school structures: Some

theoretical, research and prac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41(1), 87-108.

Hoy, W. K., Tarter, C. J., & Kottamp, R. B.(1991). Open schools/


healthy schools: Measuring

organizational climate. Newbury Park: Sage Publications.

Kanungo, R. N.(1982). Measurement of Job and work involvement.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67(3), 341-349.

Kline, R. B.(2005). Principles and practice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Guilford

이현숙 김수진 전수현 역


Publications. , , (2010). 구조방정식모형 원리와
적용 서울 학지사
. : .

Maher, T. H.(1982, june). Institutional vitality in higher education. (Report No.

RIEOCT 1982). Washington, DC: American Association for Higher

Education. (ERIC Document Reproduction Service No. ED 216668)

Maher, T. H., & Ebben, J.(1979). Capturing institutional vitality. (Report No. RIEDEC

1979). San Diego, CA: Association for Institutional Research. (ERIC

Document Reproduction Service No. ED 174092)

Mitchell, G. E. (1992). Enhancing the vitality of technical communication organizations.

IPCC 92 santa fe. crossing frontiers conference record, 436-441.

Moxley, R. S. (2000). Leadership and spirit: Breathing new vitality and energy into

individuals and organizations. San Francisco: Jossey Bass.

Newton, E., & Newton, P.(1992). Voices, vision and vitality: Redesigning small

schools. (Journal Code. RIEFEB 1995). Kensington Rd, N.W. (ERIC

Document Reproduction Service No. ED 374956)

Peterson, R. et al.(1970). Institutional functioning inventory preliminary technical manual.

Princeton, NJ: Educational Testing Service.

Scott, R. A.(1980). Indicators of institutional vitality. (Report No. RIEOCT 1980).

Washington D.C.: ERIC Clearinghouse microfiches. (ERIC Document

Reproduction Service No. ED 187242)

Stacey, R. D. (1992). Managing the unknowable: Strategic boundaries between order and

chaos in organizations. San Francisco: Jossey Bass.

Strommen, M. P.(1980). Eight factors in school vitality. Momentum, 11(1), 32-35.

Vicenzi, R., & Adkins, G.(2000). A tool for assessing organizational vitality in an era

of complexity. Technological forecasting and social change, 64(1), 101-103.

- 23 -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