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28

「리더십연구」 https://doi.org/10.22243/tklq.2018.9.3.

97
제9권 3호 2018: 97~124쪽

공유리더십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긍정심리자본과 지식공유 및 고객지향성의
매개효과 3)

박영실*⋅차민석**

<초 록>

본 연구는 보다 수평적인 영향력인 공유리더십이 경영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에서 긍정


심리자본과 지식공유 및 고객지향성의 매개적 효과를 중심으로 연구를 하였다. 통계분석을 위해
257명의 기업 종사자들의 응답자료를 수집하여 분석에 활용하였다. 구조방정식 분석으로 공유리
더십과 주요변수들에 대한 개별 가설들을 수립하고 검증하였다. 주요한 유의한 결과들은 다음과
같다: 긍정심리자본에 대한 공유리더십의 경로계수는 0.711(t=10.633, p<.000)이며, 지식공유에
대한 공유리더십의 경로계수는0.712(t=10.795, p<.000)으로 나타났다. 셋째, 공유리더십이 고객
지향성에 미치는 영향의 경로계수는 0.375(t=3.784, p<.000)로 역시 유의하게 나타났다. 공유리더
십이 고객지향성에 미치는 영향은 긍정심리자본과 지식공유를 경유하는 경로에서도 유의하게 나
타났다. 고객지향성에 대한 긍정심리자본의 경로계수는 .262(t=3.408, p<.000)이고, 지식공유는
0.202(t=2.733, p=.006)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고객지향성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은 0.643(t=6.491, p<.000)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공유리더십은 직접 혹은 긍정심리자본과 지식
공유를 통해서 고객지향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어서, 고객가치를 창출하고 경영성과를 내는 인
과적 관계를 지지하는 확보하게 되었다. 이러한 실증적 근거를 바탕으로 시사점들을 논의하였다.

키워드: 공유리더십, 긍정심리자본, 지식공유, 고객지향성, 경영성과

논문투고일: 2018년 2월 26일 논문수정완료일: 2018년 6월 2일 논문게재확정일: 2018년 6월 5일


* 제1저자, 창원대학교 대학원 경영학과, 박사과정. E-mail: ys1979200@naver.com
** 교신저자, 창원대학교 경영학과, 부교수. E-mail: mincha@changwon.ac.kr
리더십연구

Ⅰ. 서 론

후기 산업사회가 고도화되고 복잡해지면서 기업에 요구되는 역량과 리더십도 달라지고


있다. 사업 환경의 변화에 적응할 수 있는 내부적인 자원과 역량을 개발하도록 촉진해야 한
다. 정보화, 자동화, 지능화의 가속화의 도전 속에서 조직이 지식을 적절히 공유하여 문제를
해결하고, 도전 속에서 희망과 회복성을 견지해가는 것이 더욱 중요해졌다. 조직 구성원이
적극적으로 지식과 정보를 통해 서로에게 공헌하고, 인간적인 역량인 긍정적 자세를 갖도록
하기 위해서 지시적이고 수직적인 리더십은 한계가 있다(Hollander, 2009). 리더십은 환경의
변화에 보다 잘 적응 할 수 있도록 해주고, 기업의 혁신적인 변화를 이끌 수 있도록 조직과정
에 주도적인 역할을 한다(Schein, 2010).
다양한 조직의 도전에 대응할 수 있는 리더십 이론으로 공유리더십에 주목하고자 한다.
수직적이고 독점적인 영향력을 통해 영웅적인 리더십으로 조직의 모든 문제의 답을 제시하
는 방식으로는 압도적인 후기 산업사회의 변화에 대응하기 어렵다. 공유리더십(Shared
leadership)은 팀 구성원들이 공유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자발적이고 자율적으로 구성원 서
로에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정의된다(Katz & Kahn, 1978). 사업 환경이 불확실해지고, 업무
환경이 복잡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조직 구성원들의 협력적이고 긍정적인 상호작용을 이끌어
갈 리더십이 필수적이다. 즉, 조직 내 구성원들이 자발적인 리더십을 통해 의견을 공유하고
업무를 진행할 때 불확실한 도전에 보다 효과적으로 대응하고, 목표하는 경영성과에 가까워
진다.
공유리더십은 단순히 리더십이 분산시켜 균형을 이루는 것이 아니라 리더들이 서로를
리더로 인식하는 관점과 자세의 문제이기도 하다. 리더십은 리더의 영향력 뿐 아니라, 팔로
어의 리더십을 포함한 상호작용으로 이루어진다(Hollander, 2009). 리더와 팔로워의 관계가 핵
심적인 부분으로 권한이양과 상호적 영향을 통해 리더십의 공유가 발생한다. 다양한 리더십
개념들은 주로 리더의 역할에 중점을 두고 있지만, 공유리더십은 리더십의 주체가 분산되고,
관계적으로 확장되고, 영향력과 적응력도 확대되는 속성이 있다. 특히, 공유리더십은 리더와
구성원간의 의사소통을 통해 나타나며, 따라서 수직적인 형태의 리더십에서 수평적인 리더
십이 추가된 개념이라고 할 수 있다(Pearce & Conger, 2002; 2003).
공유리더십을 통해서 분산된 리더의 역할들을 수행하는 구성원들이 적극적으로 자신의
지식을 공유하며 지적인 영향력을 행사할 것으로 기대한다. 기업은 구성원들에게 지원적인
분위기를 형성하여 조직 구성원들의 긍정적인 심리상태를 높일 수 있고, 적극적인 지식공유
에 참여하게 할 수 있다 (박문수 ․ 문형구, 2001; Luthans, Norman et al., 2007). 지식공유는 구

- 98 -
공유리더십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긍정심리자본과 지식공유 및 고객지향성의 매개효과

성원 개인 혹은 조직차원에서 지식이전을 통해 지식활용을 극대화하는 개념으로 혁신의 달


성과 조직의 역량을 강화하는 활동으로 볼 수 있다(Hu & Randel, 2014). 긍정심리자본은 구성
원들이 긍정적인 심리상태를 뜻하는 개념으로 리더의 역할로 인해 형성된다. 조직이 경쟁력
을 지속적으로 확보하고 유지하기 위해서는 과거 중시되었던 금융자본, 인적자본, 사회적 자
본을 뛰어넘는 긍정심리 자본에 주목해야 한다(Luthans et al., 2004). 공유리더십에 의해서
활성화되는 공유된 지식과 형성된 긍정심리자본을 통해 보다 사업적 관점에서 고객의 니즈
충족과 문제해결에 집중하고 성과를 거둘 것으로 기대한다. 개인과 조직차원의 성과 뿐 아니
라, 기업의 재무적 성과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
기업전략의 관점에서 경쟁우위를 갖게 되는 조직은 경쟁사에 비해 보다 나은 고객가치
를 제공하고 이를 위해 조직지식 창출과 공유와 불확실한 문제해결에 구성원들이 적극적으
로 참여하고 난관을 극복하는 심리자본이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이러한 혁신적 조직을 만들
어내는데 있어 공유리더십의 핵심적 역할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보다 고객의 가치를 중심으
로 사고하고, 조직의 지식을 효과적으로 적용하여 필요와 욕구를 정확히 파악하여 경쟁자보
다 효율적으로 가치를 전달할 때 고객지향성이 높은 조직이라고 할 수 있다(Andreasen &
Kotler, 2003). 이는 경영성과 뿐 아니라 재무적 경영성과에 중요한 선행변수이다.
공유리더십이 갖는 긍정적인 영향을 바탕으로 다음과 같이 본 연구의 목적을 설정하였
다. 첫째, 공유리더십이 긍정심리자본과 지식공유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둘째, 긍정심리
자본과 지식공유가 고객지향성이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다. 셋째, 공유리더십이 고객지향성에
미치는 영향관계에서 긍정심리자본과 지식공유의 역할을 살펴본다. 넷째, 공유리더십이 비재
무적 성과와 재무적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관계에서 긍정심리자본, 고객지향성, 그리고 지
식공유 고객지향성의 순차적인 매개효과를 살펴보고자 한다.

Ⅱ. 이론적 배경

1. 공유리더십

일반적인 리더십 연구들은 집단 내 리더의 영향력이 1인의 리더로 부터 발현되는 현상


으로 이해한 관점들이 주를 이루어왔다(Pearce, Conger & Locke, 2008). 하지만 1인에 의한
리더십보다는 집단 내부적으로 발생하는 수평적인 리더십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Kozlowski & Bell, 2003). Gibb(1954)은 이미 집단 전체에 의해 리더십이 수행되어야 한다고

- 99 -
리더십연구

언급하였으며 분산된 리더십을 강조하였다. 특히 경영환경의 변화는 조직 내 집단이 처한 환


경의 변화를 가져왔으며, 자율성이 강조된 업무가 증가함에 따라 리더십의 원천이 팀 구성원
으로 옮겨가고 있다(Pearce, Conger & Locke, 2008).
공유리더십의 개념을 사회네트워크 이론으로 설명하면 리더십 영향력이 분산되어 리더
십이 복수의 원천으로부터 발현되는 것이다(Carson et al., 2007). 공유리더십이 높다는 것은
구성원간의 영향력이 고르게 나타나고, 전체적인 영향력의 크기와 빈도가 높다는 것을 의미
한다. 공유리더십은 구성원들 간에 정보를 공유하고, 조언과 지원이 개인적 관계와 같은 개
념이다(Brass, 1995). 이러한 공유리더십은 조직의 성과를 개선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된
다(Day et al., 2004).
이와 같이 공유리더십은 분산된 영향력들의 집답적 리더십을 형성하여 팀 구성원들이
전체적으로 리더십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Hiller et al., 2006). 즉 공유리더십은
리더십 역할이 집합적으로 나타나며 구성원간의 의사소통이 그 핵심이다. 공유리더십에 대
한 개념적 정의는 학자마다 다양하게 나타난다. 집단 수준에서 발현되는 리더십(Avolio et al,
1996), 팀 내에서 발현되는 분산된 영향력(Peace and Sims, 2002), 팀 구성원들이 공통으로 수
행하는 리더 역할(Hiller et al., 2006) 등 다양한 개념적 정의라 내려지고 있다.
공유리더십은 수직적 리더십을 완전히 부정하는 것이 아니라 수직적 리더십과 수평적
리더십이 상호보완적인 관계이다(Pearce & Conger, 2003). 수직적 리더십은 팀 내의 질서와
성과에 대한 책임을 부담하지만, 수평적인 리더십은 팀의 분위기를 고취시키는 지원 역할에
중점을 두게 된다(Carson et al, 2007). 공유리더십과 관련된 연구가 비교적 최근에 이루어지
고 있기 때문에 공유리더십의 효과성에 대한 연구와 기존 리더십과 어떻게 상호작용하는지
에 대한 연구가 지속될 필요가 있겠다.
현대 경영환경에서의 리더십은 팀장에 의한 영향력 발휘보다는 구성원들 간의 수평적
리더십에 의한 것이라는 견해가 받아들여지고 있다(Kozlowski & Bell, 2003). 조직을 둘러싼
급속한 환경변화에 따라 팀 관리 형식이 자율성을 강조하게 되었고, 자율적인 환경에서는 구
성원들 간에 발휘 도는 리더십으로 바뀌고 있다(Pearce, Manz & Sims, 2008). 이러한 공유리
더십은 직무몰입이 요구되는 상황, 창의성을 요구하는 업무, 부서의 업무가 상호의존적일 경
우, 업무의 복잡성이 클 경우 공유리더십의 효과는 크게 나타날 수 있다(Pearce & Manz,
2004).
공유리더십은 관계를 중심으로 발생하는 리더십으로 관계에 의한 리더십을 강조한다.
하지만 이러한 공유리더십의 연구가 비교적 최근에 이루어지고 있어 실증연구가 부족한 실
정이다(Carson et al, 2007).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공유리더십의 개념을 재확인하고 성과와
의 연관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 100 -
공유리더십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긍정심리자본과 지식공유 및 고객지향성의 매개효과

2. 긍정심리자본

긍정적 조직행동에 대한 연구에서부터 시작된 긍정심리자본이란 구성원들의 긍정적인


심리상태를 의미한다(Luthans & Youssef, 2007). 이러한 긍정심리자본은 개발 가능한 긍정적
심리상태이며, 관리가 가능하고 개선의 여지가 있는 상태적인 특성을 갖고 있다.
긍정심리자본을 구성하고 있는 하위요인은 자기 효능감, 희망, 낙관주의, 복원력 4개의
차원으로 구분된다 (배규환, 2015). 자기효능감은 도전적인 과업에 성공하기 위해 필요한 자
신감을 의미한다(Bandura, 1997). 희망은 긍정적인 동기부여 상태로써, 개인이 갖고 있는 목
표, 목표를 지향하는 의지와 목표로 향하는 계획 및 경로를 성공적으로 이끌어낸다(Snyder et
al., 1991). 낙관주의는 부정적인 문제에 직면했을 때 특수 상황에서 나타난 상황으로 여겨지
며 긍정적 사건 경험을 강화시켜 내면의 지배적 긍정 내적 상태를 의미한다(Luthans &
Youssef, 2007). 복원력은 역경, 마찰, 갈등, 실패 또는 긍정적 상황들로부터 되돌아오는 역량
으로 이를 이겨 내고 증가된 자신감으로 위기에 반응 및 자기 스스로 성장해 나가는 적극적
과정을 의미한다(Luthans & Youssef, 2007). 이러한 긍정심리자본은 긍정적인 동기부여를 통
해 구성원의 성과향상에 기여하게 된다(Luthans et al., 2007).
긍정심리자본의 측정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주로 자기효능감, 희망, 낙관주의, 복원
력으로 구분되어 개인적인 수준의 긍정적 심리변수들로 구성되어 있다. 이들 4개의 변수들은
이론적으로 독립된 개념으로써 실증연구를 통해서도 판별타당성이 검증되어 있는 척도이다
(Youssef & Luthans, 2007). 이러한 실증분석 연구에도 불구하고 긍정심리자본 개념이 개인의
인지상태와 동기부여와 관련이 높고, 각각의 차원이 결과변수에 미치는 영향력이 유사하기
때문에 서로 독립된 개념을 하나의 상위개념으로 통합해야 한다는 견해도 있다(Luthans et
al., 2007; Stajkovic, 2006). 즉 긍정심리 자본의 하위요인들이 개별적인 특징을 갖고 있으나,
한편으로는 개별적인 변수들이 다차원적인 심리를 구성하게 되며, 이들 변수들이 상호작용
을 통해 상위차원의 심리적 자원을 형성하게 된다는 점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Luthans et al.,
2007). 따라서 자기효능감, 희망, 낙관주의, 복원력으로 구성된 긍정심리자본이 개별적으로
인지되기 보다는 복합적으로 인지되는 것으로 간주할 수 있으며, 그 결합으로 인해 긍정적
인지상태를 유발하여 긍정적인 성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3. 지식공유

지식기반 이론에서 시작된 지식공유의 개념은 주로 경영전략 분야에서 다루어지기 시작


했다. 지식경영활동을 통해 지속적인 경쟁우위를 달성하기 위해서 지식은 중요한 자원으로

- 101 -
리더십연구

인식되기 시작했다(Davenport and Prusak, 1998). 지식공유에 대해 가장 간명하게 정의를 내리


자면 지식공유란 조직 내 다른 사람에게 지식을 제공할 수 있도록 행위라고 할 수 있다(Ipe,
2003).
지식공유의 정의에 대한 다양한 학자들의 의견을 살펴보면 Nelson & Cooprider(1996)은
집단성과에 영향을 주기 위한 상호간의 과정이라고 정의내렸으며, Chakravarthy et al.(1999)는
조직 내의 한 부서가 타 부서의 특출한 역량이 되는 지식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과정이라
고 하였다. Hansen (1999) 타부서 사람들과의 견고한 네트워크를 통해 이루어진다고 하였으
며, Gupta & Govindarajan (2000)은 지식을 구분, 전수, 이동, 흡수 등 모두를 포함하는 과정이
라고 정의하고 있다. 지식공유는 구성원 개인 혹은 조직차원에서 이루어지는 지식이전이며,
지식활용을 극대화하여 조직의 목표를 달성하고 역량을 강화하도록 한다(Nelson & Cooprider,
1996; 이형민 ․ 손승연 ․ 김경규, 2015).
지식공유를 방해하는 요소로는 조직문화, 최고경영자의 지식공유에 대한 중요성 인식
등 환경적인 요인이 작용한다(Ruggles, 1998). 지식공유를 위한 최적의 환경을 만들어주기 위
해서는 최고경영자의 역할이 중요하며(Chakravarthy et al., 1999), 지식공유 환경을 조성하려
는 고참 관리자의 리더십까지도 필요하다(O'Dell & Grayson, 1999).
이와 같이, 지식공유는 지식과 경험을 다른 구성원들에게 전파함으로써 이를 조직차원
의 지식으로 전환하는 과정이라 할 수 있다(김장익 ․ 나태균, 2007). 특히, 조직에 발생한 문제
를 해결할 때 다양한 부서의 사람들이 하나의 팀을 이루어 서로 협력한다면 창의적으로 문제
를 해결할 수 있다. 이렇듯 구성원들 간 지식을 공유하는 활동은 조직에게 유형적인 이익을
제공하게 되며, 조직의 경쟁력 향상에 이르기까지 기여하게 된다(O'Dell & Grayson, 1999;
Ruggles, 1998).
기업의 경쟁력의 제고를 위해서 지식공유 활동의 관리의 중요성이 높아짐에 따라 조직
과 구성원들은 이를 위한 활동에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지식공유는 개인이 보유하고 있는
지식과 경험을 다른 구성원들에게 전파하는 활동으로써, 지식공유를 통해 지식이 이전되고
지식활용이 극대화 되면 조직의 혁신과 역량을 강화할 수 있게 된다(Hu & Randel, 2014;
Ruggles, 1998). 뿐만 아니라 지식공유 활동을 통해 얻게 되는 이익은 기업의 경쟁력 향상에
도움이 된다(김장익 ․ 나태균, 2007).

4. 고객지향성

고객지향성은 기업들의 핵심가치를 고객의 시각에서 그들의 욕구를 정의하는 것으로,


조직의 목표달성은 경쟁자에 비해 효율적으로 고객에게 만족을 전달하고자 하는 목표를 수

- 102 -
공유리더십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긍정심리자본과 지식공유 및 고객지향성의 매개효과

립하고 달성하는 것을 의미한다(Anderson & Kotler, 2003). Narver & Slater (1990)는 고객지향
성의 개념을 고객의 필요와 욕구를 파악하고 이를 충족시키기 위해 경쟁자보다 좋은 활동을
수행하는 것이며 이를 통해 경쟁우위를 창출하고자 하는 것으로 정의내리고 있다. 고객지향
성은 고객만족과 구분되는 개념으로 고객만족이란 기업의 서비스에 대해 느끼는 감정을 평
가하는 것인 반면, 고객지향성은 고객의 필요와 욕구를 충족시키고자 하는 기업과 직원의 자
세라고 할 수 있다(Hoffman & Ingram, 1991).
시장지향성의 개념에서 보면 고객지향성은 시장지향성을 구성하는 요소 중의 일부이기
도하다(Naver & Slater, 1990). 시장지향성은 기업차원의 마케팅 개념으로 고객지향성 외에 경
쟁자지향성, 기능 간 조정의 개념을 포함한다. 여기서 고객지향성은 시장지향성보다 좁은 개
념으로 고객만족과 서비스 수준을 종업원 개인의 입장에서 보는 개념이다(Kohli & Jaworski,
1990). 고객지향성은 시장지향성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이며 기업의 마케팅 전략의 핵심이라
고 할 수 있다(Schneider & Bowen, 1993).
고객지향성은 기업들이 고객의 관점에서 사고하는 것으로, 고객만족을 위한 조직의 목
표를 수립하고 달성하는 것을 의미한다(Kotler, 2003). 고객지향성은 마케팅 개념을 기반으로
하여 고객의 니즈와 욕구를 충족시키는데 중점을 둔다(Hajjat, 2002). 이러한 활동은 일련의
마케팅 계획 수립 과정에서도 살펴볼 수가 있는데, 마케팅 전략을 수립하기 위한 고객정보
수집, 고객만족 전략 수립, 고객에 대한 피드백 등을 수행하는 것 역시 고객지향성이라 할 수
있다(Ruekert, 1992).
고객의 욕구를 기업이 아닌 고객의 입장에서 이해하고 이를 충족시키려는 자세는 고객
접점에 있는 종사자로부터 시작된다(Brown, 2002). 이러한 과정에서 종사자들은 자신에 직무
와 역할에 대한 만족 수준이 높을수록 고객지향성이 높아져 고객들에게 보다 높은 수준의 정
성과 열의를 갖고 응대하게 된다. 즉 높은 수준의 만족을 종사원에게 줄 수 있다면 고객지향
성을 제고할 수 있게 된다(송효분, 박석희, 2005). 따라서 경쟁우위를 확보하기 위해 고객지향
성을 높이고자 한다면 종업원들이 고객들의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욕구를 파악하고 전달
하는 과정에서 어떠한 개인적 관계를 형성하는지를 이해할 필요가 있다(Donovan, 2001).
고객의 이익을 기업의 최우선 가치에 두고 지속적인 고객가치를 창출하려는 노력은 기
업의 경쟁우위가 된다(Rindfleisch & Moorman, 2003). 이러한 고객지향성은 일종의 고객만족
문화로써 기업의 활동이 고객의 이익을 증진시키기 위한 방향으로 이루어지게 되며, 기업의
이미지를 높이고 종사자의 직무만족을 높임으로써 고객지향성을 높일 수 있다(이영석, 2002).
기업이 장기적인 수익 향상을 기대한다면 고객을 우선으로 하는 집단수준의 신뢰가 기업 내
부적으로 형성되어야 한다(Deshpande, Farley & Webster, 1993).

- 103 -
리더십연구

5. 경영성과

조직의 경영성과는 다차원적인 특징을 갖고 있다. 글로벌 기업과 공공기관에서는 기존


의 재무적 경영성과만으로는 성과의 선행적 성과들을 관리하는데 어려움을 겪는다. 기존의
재무적 관점에서 치중한 경영성과를 고객성과, 프로세스 성과, 학습과 성장의 관점을 추가한
것이 균형 성과지표(Balanced Scorecard)이다(Kaplan & Norton, 1996). 이를 통해서 보다 포괄
적이고 전략적인 성과관리가 가능하다. 이러한 균형적 성과관점에서 경영성과를 크게 재무
적 지표와 선행하는 비재무적 성과지표로 나눌 수 있다. 계량적인 재무적 성과는 자산수익률
(ROA: Return on Asset)이나 투자수익률(ROI: Return on Investment), 이윤(Profit) 등 사업을 영
위하기 위해 기본적이고 객관적인 지표이다. 비재무적 성과는 조직효과성, 직무성과, 이직율,
조직만족도, 프로세스 효율성, 불량률, 고객만족도 등과 같이 재무적 성과에 영향을 줄 수 있
는 균형적 성과들을 말한다. 따라서 핵심적인 경영성과를 분석하기 위해서는 재무적 성과와
함께 비재무적인 성과측정을 통해 가능하다.
기업이 지속적으로 경쟁력을 유지하기 위한 전략적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기업의
객관적인 결과물을 측정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결과물을 만들어내기 위한 과정의 특성을 반
영한 결과를 측정할 필요가 있다. 리더십 관련 연구에서는 주관적 성과와 객관적 성과를 함
께 분석하고 있으며(Fuller et al., 1996), 사회적 성과(최종태, 1986; 이인석, 2003), 조직효과성
(Pearce & Sims, 2002; Carson et al., 2007) 등 다양한 형태의 비재무적 성과를 평가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인지된 재무적 성과와 함께 조직구성원 성과를 비재무적 성과를 경영성과에
포함하였다.

Ⅲ. 연구 설계

1. 연구모형

본 연구에서는 <그림 1>의 연구모형과 같이 공유리더십이 긍정심리자본, 지식공유, 고


객지향성에 미치는 영향과, 긍정심리자본과 지식공유가 고객지향성이 미치는 영향, 그리고
고객지향성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연구모형을 설정하였으며 이에 따른 가
설을 수립하였다.

- 104 -
공유리더십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긍정심리자본과 지식공유 및 고객지향성의 매개효과

경영성과
공유 리더십 고객지향성 - 재무적
- 비재무적

지식공유

<그림 1> 연구모형

2. 연구가설

2.1 공유리더십과 긍정심리자본, 지식공유, 고객지향성의 관계

공유리더십의 효과에 대한 실증연구들은 주로 팀의 유효성에 대한 검증에 국한되어 있


다(Carson et al, 2007; Sivasubramanium et al., 2002). 공유리더십의 효과로는 팀 유효성(Avolio
et al., 1996), 팀 성과( Sivasubramanium et al., 2002; Pearce, Yoo & Alavi, 2004; Carson et, al.,
2007) 등 집단의 역량에 관한 연구가 주를 이루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공유리더십의 결과변
수로 긍정심리자본, 지식공유, 고객지향성이 영향을 받게 될 것이라는 가설을 세웠다. 안타깝
게도 공유리더십의 연구가 현재까지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았기 때문에 이들 간의 관계에 관
한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하지만 기존의 리더십에 대한 연구들을 통해 공유리더십의
다양한 결과변수에 대한 추론이 가능하다.
긍정심리자본은 지원적 조직분위기에서 활성화되는 개념으로(Luthans, Norman et al.,
2007), 조직구성원들과의 직접적인 상호작용을 나타나는 리더십에 의해 영향을 받게 된다
(Stogdill, 1974). 사회인지이론에서는 인간은 인지학습과정에서 모방학습이 결정적 역할을 하
게 되기 때문에 개인은 리더와 타인의 관찰 또는 대리경험을 중요시한다(Bandura, 1986). 즉,
조직구성원 개인의 심리상태는 구성원들 간의 상호 공유 활동과 직간접적인 경험을 통해 결
핍된 역량을 보완하게 된다고 할 수 있다. 비록 긍정심리자본과 공유리더십간의 직접적인 관
계에 대한 선행연구는 거의 없으나 위와 같은 맥락에 따르면 개인 간의 공유 활동은 구성원
들로부터 전이되고 모방될 수 있다. 리더십 연구에서는 진성리더십(김순철 ․ 민윤기, 2015; 고
선희, 2015), 감성리더십(이지영 ․ 이희수, 2015, 김정현, 2016) 등 수평적 리더십은 긍정심리자
본을 형성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 105 -
리더십연구

가설 1: 공유리더십은 긍정심리자본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리더의 체계적인 지원과 이러한 환경을 조성하는 것은 지식공유를 활성화시키는 요소이


다(Cabrera, Collins, and Salgado 2006). 조직구성원들은 리더십에 의한 지원과 배려에 의해 적
극적인 지식공유에 참여하게 된다. 지식공유에 관한 연구들의 일관적인 특성은 지식공유가
일어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노력이 전제가 되었을 때 지식공유가 촉진된다는 점이
다(박문수 ․ 문형구, 2001). 사회적 자본 이론에 따르면 개인들 간의 관계 속에서 구조적 차원,
관계적 차원, 인지적 차원에서 나타나는 관계적 자산이다(Coleman, 1988). 공유리더십의 개념
역시 구성원 간 네트워크에서 발생하는 집단적인 공유가치이기 때문에 사회적인 교환이라는
맥락에서 그 의미가 유사하다고 할 수 있다. 구조적인 연결 네트워크 하에서 신뢰를 기반으
로 팀 내의 비젼, 목표, 가치 등이 공유되었을 때 지식공유의 의도가 높아진다(허문구, 2011)
일반적인 리더십 연구들에서도 리더십은 종업원들의 지식공유에 강한 영향을 미치는 것
으로 보고 있다(Srivastava et al., 2006). 문은진, 홍아정(2014)는 학습동아리 구성원의 자기주
도 학습능력이 지식공유에 미치는 영향관계에서 구성원들 간에 공유된 리더십이 지식공유를
촉진시키는 역할을 한다고 하였다. 권상집, 정지용(2016) 진성 리더십은 상사 신뢰, 심리적 웰
빙을 통해 지식공유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요인임을 밝혔다.
사회적 자본 이론에서는 조직 내 교환관계는 신뢰를 기반으로 한 호혜주의 규범을 근거
로 하게 되며, 이에 따라 구성원들은 협력 행동에 기꺼이 참여하려하기 때문에 거래비용 감
소와 경제적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Coleman, 1988). 즉 신뢰를 기반으로 한 공유 활동은
정보 획득의 비용을 절감시켜 기업의 목표에 집중할 수 있게 된다는 추론이 가능하다. 리더
십과 긍정심리자본 간의 관계 연구들을 살펴보면 진성리더십(김명수 ․ 장춘수, 2012, 한봉주,
2013, 김해룡 ․ 정현우, 2013), 임파워링 리더십(양필석 ․ 최석봉, 2012, 김용순, 2013)등 리더십
에 의해 긍정심리자본이 형성된다고 알려져 있다.

가설 2: 공유리더십은 지식공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조직 내에서 경영자의 리더십은 조직의 특성과 방향을 결정하고 조직의 발전을 도모하
는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한다. 경영자가 갖고 있는 리더십은 기업의 문화를 결정지을 뿐만
아니라 시장에 대응하기 위한 방향을 결정하는데 매우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선행요인이다
(김봉관 ․ 이강호, 2008). Jaworski and Kohli (1993)의 시장지향성 연구에서도 최고경영층의 인
식과 실행 의지를 중요한 선행변수라고 설명하였으며, 시장지향적인 조직이 되기 위해서는
경영자의 강한 의지와 방침이 뒷받침 되어야 한다는 것을 강조하였다(신종국 외, 2006).

- 106 -
공유리더십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긍정심리자본과 지식공유 및 고객지향성의 매개효과

선행연구에 따르면, 최고경영자의 리더십은 조직의 고객지향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


고 하였다. 이기붕 ․ 오창택(2014)는 공기업의 고객접촉직원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최고경
영자의 섬김 리더십이 고객지향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을 확인하였고, 이지영 ․ 이희수
(2015)의 연구에서도 상사의 감성리더십이 직원의 고객지향성을 높이는 것을 밝혔다. 홍성오
․ 강영순(2015)는 호텔관리자의 감성리더십 요인들인 관계관리, 자기관리, 자기인식 능력이
호텔종업원의 고객지향성을 높이는 요인임을 증명하였다. 반면에 장해진 ․ 이새미 ․ 구동우
(2017)은 호텔 관리자의 포용적 리더십과 호텔 직원의 고객지향성간의 관계에 알아보았다.
그 결과 포용적 리더십은 고객지향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리더-부하간 교환관계의 질과 직무열의를 통해서 고객지향성에 영향을 주었다. 따라서 본 연
구에서는 최고경영자의 공유리더십 역시 고객지향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되
어 다음과 같은 가설을 제시하였다.

가설 3: 공유리더십은 고객지향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2.2 긍정심리자본과 지식공유가 고객지향성에 미치는 영향

고객가치는 적절한 제품과 서비스를 만들어내는 지식 집약적 활동과 전달공간에서 고객


에게 적절하고 긍정적으로 응대하는 정서 집약적 활동을 통해 만들어지고 전달된다. 고객가
치창출에서 지식공유를 통해서 고객의 니즈에 대응하는 해결책들과 효과적인 대응방법을 고
객응대 지점에서 지식이 적용될 수 있다. 여러 가지 까다로운 요구사항과 불만에 대해서도
구성원의 긍정심리자본을 통해 고객응대에서 어려움들을 극복할 수 있을 것이다. 요컨대, 고
객중심의 직무활동은 불확실하고 변화속도가 빠른 사업 환경에서 공유리더십에 의해 형성된
지식공유와 긍정심리자본은 고객중심의 직무활동으로 긍정적인 변화를 촉진한다.
실증분석을 통해 밝혀진 긍정심리자본의 성과로는 긍정심리자본이 개인의 지각된 성과
(Luthans et al., 2007), 세일즈 성과(Avey, Nimnicht, & Pigeon, 2010), 직원들의 서비스 태도와
행동(장창권 ․ 조윤경 ․ 김영택, 2014; Walumbwa, et al., 2010), 고객지향성(이지영 ․ 이희수,
2015)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조직 및 개인의 긍정적 심리자본은 자기효능감을 바탕
으로 고객에게 더 높은 신뢰감을 줄 수 있게 함으로써 더 높은 수준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며, 어려움에 처했을 경우에도 이를 긍정적으로 해석함으로써 부정적인 상태에서
빨리 회복할 수 있다(Luthans et al., 2007).
이지영 ․ 이희수(2015)는 보험회사 직원의 긍정심리자본과 고객지향성간의 관계에 대한
연구에서 긍정심리자본이 고객지향성을 높이는 것을 밝혔고, 김인숙 등(2015)은 임상간호사

- 107 -
리더십연구

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간호사의 긍정심리자본이 고객지향성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을


확인하였다. 김준환 (2017)은 영업사원의 긍정심리자본이 고객지향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
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다음과 같은 가설을 제시하였다.

가설 4: 긍정심리자본은 고객지향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지식공유는 지식과 경험을 다른 구성원들에게 전파함으로써 이를 조직차원의 지식으로


전환하는 과정이라 할 수 있다(김장익 ․ 나태균, 2007). 이러한 과정은 구성원들 간 상호작용
으로 조직을 위해 유형적인 이익을 제공하게 되며, 조직의 경쟁력 향상에 이르기까지 기여하
게 된다(O’Dell & Grayson, 1999; Ruggles, 1998). 박희서와 김구(2002)는 지방공무원들을 대상
으로 한 연구에서 지식 공유가 많은 공무원의 업무성과가 그렇지 않은 공무원보다 상대적으
로 높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고, 강여진(2005)은 중앙행정기관 조직이 지식을 공유함으로
써 업무 활용도와 같은 업무성과를 높이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홍재와 차용진(2006)도 조직
의 지식공유가 업무처리시간의 단축, 시행착오의 감소, 경제적 비용의 감소, 업무수행 능력
향상 등과 같은 업무 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을 밝혔다. 이러한 결과는 조직 구성원
들 사이에서 지식을 공유한다는 것은 시행착오의 감소 및 업무수행 능력 향상과 같은 개인적
인 역량을 높일 뿐만 아니라 업무 활용도를 높임으로써 결과적으로 고객과 관련된 업무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다음과 같은 가설을 제시하였다.

가설 5: 지식공유는 고객지향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2.3 고객지향성과 경영성과의 관계

재무성과는 계량화된 지표로 기업의 성과연구에 가장 중요한 변수이다. 성과를 측정하


는 방법은 다양하지만 기업의 궁극적인 목적이 이윤추구라는 점에서 재무적 목표와 동일하
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수익성과 안정성으로 표시되며 기업의 최종 성과를 평가하는 중요한
기준이 된다(Govindarajan, 1984).
비재무적 성과는 기업의 핵심적인 성공요인을 질적인 방식으로 측정할 수 있기 때문에
다양한 방식으로 측정이 가능하다. 본 연구에서는 직원성과 측정을 위해 내부마케팅의 개념
을 도입하여 내부고객 만족도를 활용하여 측정하였다. 고객만족 연구 분야에서는 외부고객
뿐만 아니라 내부고객 만족에 대한 연구도 기업전략에 있어서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는
데, 이는 직원의 만족을 이끌어 내면 최종적으로 외부고객의 만족을 확보할 수 있기 때문이

- 108 -
공유리더십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긍정심리자본과 지식공유 및 고객지향성의 매개효과

다(Rust et al., 1996). 따라서 많은 선행연구들에서 직원성과 즉 직원만족을 고객지향성의 결


과변수로 측정하고 있다(Farrell & Oczkowski, 1997; Jaworski & Kohli, 1993). 또한 직원 만족
은 동기부여, 조직 내 커뮤니케이션, 조직 내 보상체계, 기업이미지 등의 요인으로 구성된다
(Bowen & Chen, 2001).

가설 6: 고객지향성은 경영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2.4 공유리더십, 긍정심리자본, 지식공유, 고객지향성, 경영성과의 관계

조직 최고경영자의 리더십이 조직의 성과에 영향을 입증하는 연구들이 상당하지만(Agle,


1993; Sosik et al., 1997), 재무적 성과를 포함한 경영성과에 대한 효과는 재무적인 측면에서
의 입증이 부족해 보인다. Fuller et al.(1996)은 리더의 카리스마적 행동이 객관적 성과보다 인
지된 주관적 성과에 높은 효과를 보인다고 하였다. 이인석(2003)은 최고경영자의 리더십 행
동이 경영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혔으며, 최고경영자의 카리스마 행동과 적극적인
커뮤니케이션 행동은 기업의 경제적 성과와 사회적 성과를 높이는 요인임을 밝혔다. 공유리
더십과 성과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들은 주로 조직의 효과성을 중심으로 입증되었으며(Pearce
& Sims, 2002; Carson et al., 2007), 일부 연구에서는 공유리더십이 기업의 수익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밝혀냈다(Ensley et al., 2006). 공유리더십의 진가는 보다 불확실하고
도전적인 환경에서 고객에 대해 즉각적인 대응이 이루어져야 하는 과업환경에서 나타날 수
있다. 수직적 리더십 환경에서 최고경영자의 의사결정을 기다리는 대기시간 동안 고객에 적
절하게 응대할 수 있는 기회를 잃게 되기 때문이다.
선행연구에서는 리더십과 고객지향성간의 관계에서 긍정심리자본이 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을 확인하였고 (이지영 ․ 이희수, 2015), 교육훈련을 통한 지식의 공유는 직원의 고객지향성
에 강한 상관관계를 가지는 것을 밝혔다(이은용 ․ 박수진 ․ 이수범, 2007). 뿐만 아니라 고객지
향성은 기업의 시장지향성과 경영성과와의 관계에서 매개효과를 가진다(유봉호, 2011). 따라
서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연구를 종합하여 공유리더십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긍정심리자본, 고객지향성이 순차적으로 매개하는 영향력과 더불어 지식공유, 고객지향성을
순차적으로 매개하는 영향력을 살펴봄으로써 공유리더십이 조직의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파악하고자 한다.

가설 7: 공유리더십과 경영성과와의 관계에서 긍정심리자본과 고객지향성은 연속적 매


개효과를 나타낼 것이다.

- 109 -
리더십연구

가설 8: 공유리더십과 경영성과와의 관계에서 지식공유와 고객지향성은 연속적 매개효


과를 나타낼 것이다.

3. 측정 도구

본 연구에 활용된 측정도구는 선행연구의 설문항목을 기초로 하여 연구자가 수정 또는


추가하였으며, 연구에 활용된 모든 측정도구는 Likert 5점 척도를 사용하였다.
공유리더십은 리더의 역할이 개인에 의한 것이 아닌 팀 전체에 의해 수행되는 리더십
(Ensley et al., 2006)으로서, Hiller et al. (2006)이 개발한 팀구성원이 역할을 공유하는 척도를
활용하였다. 공유리더십에 대해 팀 구성원들이 역할을 공유하는 정도를 ‘계획 및 조직’, ‘문
제해결’, ‘지원 및 배려’, ‘개발 및 멘토링’ 등의 핵심 책무들로 측정하였다. 긍정심리자본이란
조직 구성원들의 긍정적인 심리상태를 의미한다(Luthans & Youssef, 2007). 본 연구에서는 임
태홍(2014)이 Luthans and Youssef (2007)의 측정도구를 한국 실정에 맞도록 수정 및 보완하여
개발한 척도를 활용하여 긍정심리자본을 ‘자기효능감’, ‘희망’, ‘낙관주의’, ‘회복탄력성’으로
측정하였다.
지식공유란 조직 내의 다른 사람들에게 지식을 제공하도록 하는 행위다(Ipe, 2003). 본
연구에서는 지식공유를 측정하기 위해 이금심(2017)의 논문을 참조하여 직무수행, 외부, 동
료, 개인적으로 습득한 지식을 공유하는 정도로 측정하였다.
고객지향성은 고객의 필요와 욕구를 파악하여 이를 충족시킴으로써 경쟁우위를 창출하
고자 하는 것으로 정의된다(Narver & Slater, 1990). 본 연구에서는 Narver & Slater (1990)의 시
장지향성 연구에서 이를 구성하는 하위개념 중 고객지향성 척도를 활용하여 ‘사업목표와 고
객만족의 연결성’, ‘고객충족정도의 모니터링’, ‘고객만족을 통한 경쟁우위 확보 정도’, ‘사업
전략으로써의 고객만족’, ‘고객만족 측정’, ‘판매 후 서비스’로 측정하였다.
경영성과는 주관적 평가에 의한 재무성과와(Jaworski & Kohli, 1993). 조직이 사업을 운
영하여 발생하는 재무적 또는 비재무적 성과에 대하여 직원들이 느끼고 생각하는 정도를 나
타내는 직원성과로 측정하였다(한성호, 2002). 본 연구에서는 재무성과를 측정하기 위해
Watkins & Marsick (1993)의 측정도구를 활용하여 최근 3년간의 투자수익률(ROI), 영업이익,
매출액 추이, 원가 추이로 구성하였으며, 직원성과는 Babin & Boles (1996)의 측정도구를 활
용하여 직원에 대한 고객의 평가, 직원의 고객요구에 대한 이해, 직원들이 수행하고 있는 직
무에 대한 능숙 정도, 직원들의 자사 제품 및 서비스에 대한 이해정도로 구성하였다.

- 110 -
공유리더십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긍정심리자본과 지식공유 및 고객지향성의 매개효과

Ⅳ. 분석결과

1. 자료수집 및 표본 특성

본 연구는 공유리더십이 고객지향성과 지식공유를 통해 고객지향성과 경영성과에 미치


는 영향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기업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자료 수집은
2017년 7월부터 8월까지 약 1개월간 진행하였다. 총 30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여 260부를 회
수하였으며, 그 중 불성실한 응답 3부를 제외하여 257명의 응답 자료를 최종분석에 사용하였
다. 응답자의 성별은 남성이 208명(80.9%), 여성이 49명(19.1%)로 확인되었다. 연령은 30대 이
하 89명(34.6%), 40대 96명(37.4%), 50대 69명(26.8%), 60대 이상 2명(1.2%)로 나타났다. 응답
자의 근무경력은 3년 미만 22명(8.6%), 3~5년 26명(10.2%), 5~10년 56명(21.9%), 10~20년 80명
(31.3%), 20년 이상 72명(28.1%)으로 확인되었다. 응답자의 업무분야는 경영전략 31명(12.2%),
재무 17명(6.7%), 마케팅 16명(6.3%), 생산혁신 27명(10.6%), 연구개발 52명(20.4%), 인적자원
관리 28명(11.0%), 기타 84명(32.9%)로 집계되었다.

2. 신뢰성 및 타당성 분석

자료 분석은 SPSS 20.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응답자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한 빈도분석


을 실시하고, 신뢰도분석과 타당도 분석을 위해 Cronbach’s α와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
다. 또한 가설검증을 위해서 AMOS 20.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구성개념간의 인과관계를 검
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기반으로 확증 적 모형분석을 실시하기에 앞서
구성개념들의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전체 측정모형의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및 신
뢰도 분석결과는 다음 <표 1>과 같으며, 측정모형의 적합도 RMR=.022, GFI=.890, AGFI=.858,
NFI=.925, CFI=.963로 나타나 대체적으로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 111 -
리더십연구

<표 1> 측정모형의 확인적 요인분석 및 신뢰도 분석 결과

구성개념 측정항목 Estimate 표준오차 t P Cronbach’s α

공유1 1
공유2 1.029 0.065 15.784 .000
공유리더십 .902
공유3 1.121 0.065 17.173 .000
공유4 0.955 0.062 15.331 .000
긍정1 1
긍정2 1.064 0.069 15.436 .000
긍정심리자본 .900
긍정3 1.106 0.066 16.792 .000
긍정4 1.091 0.076 14.417 .000
지공2 1
지공3 0.963 0.07 13.693 .000

지식공유 지공4 1.027 0.065 15.8 .000 .927


지공5 1.183 0.065 18.206 .000

지공6 1.182 0.066 18.004 .000

고객1 1
고객3 1.155 0.076 15.273 .000
고객4 1.163 0.073 15.914 .000
고객지향성 .929
고객5 1.193 0.079 15.006 .000
고객6 1.186 0.084 14.136 .000
고객7 0.937 0.071 13.199 .000
재무성과 1
경영성과 .766
직원성과 1.412 0.166 8.525 .000

X2=338.158(p<.000, df=179)
모형 적합도지수
RMR=.022, GFI=.890, AGFI=.858, NFI=.925, CFI=.963

다음 <표 2>는 변수들의 기초통계량과 상관관계 및 타당도 분석 결과가 제시되어 있다.


각 변수의 평균은 3.36에서 3.79의 분포를 보여 보통 이상의 긍정적인 응답 결과를 보이고 있
다. 그리고 집중타당도를 평가하기 위한 CR은 모두 0.7 이상의 분포를 보였으며 평균분산추
출(AVE)는 0.5 이상으로 나타나 집중타당도는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 112 -
공유리더십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긍정심리자본과 지식공유 및 고객지향성의 매개효과

<표 2> 변수의 기초통계, 상관관계 및 집중타당도 분석 결과


표준 고객 공유 긍정심리 지식 조직
평균 CR AVE
편차 지향성 리더십 자본 공유 성과
고객
3.68 .810 0.931 0.692 1
지향성
공유
3.64 .614 0.903 0.700 0.680 1
리더십
긍정심리
3.68 .597 0.902 0.696 0.636 0.692 1
자본
지식
3.79 .628 0.927 0.719 0.618 0.693 0.629 1
공유
경영
3.36 .671 0.816 0.701 0.612 0.606 0.583 0.485 1
성과

3. 가설검증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검증된 구성요인들 간의 관계를 검증하기 위해 AMOS 프로그


램을 이용하여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구조모형의 적합 도는
X2=338.158(p<.000, df=179), RMR=.022, GFI=.089, AGFI=.858, NFI=.825, CFI=.963으로 나타나
대체적으로 양호하게 나타났다. <표 3>의 결과를 살펴보면 긍정심리자본에 대한 공유리더십
의 경로계수는 .711(t=10.633, p<.000)이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
는 팀원들이 계획 및 조직, 문제 해결, 지원 및 배려, 개발 및 멘토링에 대한 내용을 팀원들이
자주 공유할수록 팀 내의 구성원들의 심리상태는 긍정적으로 평가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
러므로 ‘공유리더십은 긍정심리자본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는 가설은 채택되었다.
지식공유에 대한 공유리더십의 경로계수는 .712(t=10.795, p<.000)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팀원들이 직무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얼마나 자주 공유하는 리더십을 보이는가에
따라 지식을 공유하는 수준이 높아질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공유리더십은 지
식공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는 가설 2는 채택되었다. 고객지향성에 대한 공유리
더십의 경로계수는 .375(t=3.784, p<.000)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기업이 고객을 최
우선적으로 여기고, 고객만족을 위한 전략을 실행하는 것은 조직 내에서 공유하는 리더십이
높을수록 더 잘 이루어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공유리더십은 고객지향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는 가설 3은 지지되었다. 고객지향성에 대한 긍정심리자본의 경로계수
는 .262(t=3.408, p<.000)로 나타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조직 구성원들의 자기 효능 감, 낙
관주의, 희망, 회복탄력성과 같은 심리상태가 긍정적일수록 기업의 고객지향성이 높아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긍정심리자본은 고객지향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는 가설

- 113 -
리더십연구

4가 지지되었다. 고객지향성에 대한 지식공유의 경로계수는 .202(t=2.733, p=.006)로 통계적으


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개인이 직무와 관련된 여러 정보와 경험을 팀원들과 공유할수록 기업
의 고객지향성 수준이 높아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지식공유는 고객지향성에 긍정적
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는 가설 5는 지지되었다. 경영성과에 대한 고객지향성의 경로계수는
.643(t=6.491, p<.000)으로 고객신뢰를 최우선으로 하여 고객만족을 모니터링하고 사업전략으
로 설정하는 기업일수록 기업의 재무적인 성과와 직원들의 업무 성과가 높아진다는 것을 의
미한다. 따라서 ‘고객지향성은 경영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는 가설 6은 채택되
었다.

<표 3> 구성개념 간의 경로계수

표준화
가설 경로 표준오차 t 유의확률
경로계수

공유리더십→긍정심리자본 0.711 0.062 10.633 .000

공유리더십→지식공유 0.712 0.065 10.795 .000

공유리더십→고객지향성 0.375 0.124 3.784 .000

긍정심리자본→고객지향성 0.262 0.103 3.408 .000

지식공유→고객지향성 0.202 0.093 2.733 .006

고객지향성→경영성과 0.643 0.07 6.491 .000

.711*** .262***

*** .643***
.375
공유 리더십 고객지향성 경영성과

***
.712
.202**
지식공유

*** p<.001, **p<.01


<그림 1> 모형분석 결과

- 114 -
공유리더십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긍정심리자본과 지식공유 및 고객지향성의 매개효과

가설 검증 결과 공유리더십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관계에서 긍정심리자본, 고객지향


성으로 이어지는 경로, 지식공유, 고객지향성으로 이어지는 경로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따라서 이들 관계에서 매개효과가 나타나는지 검증하기 위해 다중매개모형 분석
을 실시하였다. 간접효과의 유의성을 검증하기 위해 부트스트랩 기법을 적용하였으며, 팬텀
변수를 이용하여 간접효과의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분석결과 ‘공유리더십→긍정심리자본→
고객지향성→경영성과’의 간접효과는 부트스트랩 신뢰구간 하한과 상한 간에 0이 나타나지
않았으므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공유리더십과 경영성과와의 관계에
서 긍정심리자본과 고객지향성은 연속매개효과를 나타낼 것이다’는 가설 7이 채택되었다. 또
한 ‘공유리더십→지식공유→고객지향성→경영성과’ 의 간접효과 역시 부트스트랩 신뢰구간
하한과 상한 간에 0이 나타나지 않았으므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공
유리더십과 경영성과와의 관계에서 지식공유와 고객지향성은 연속매개효과를 나타낼 것이
다.’는 가설 8이 지지되었다. 추가적으로 공유리더십이 고객지향성에 미치는 영향관계에서
나타나는 매개효과는 긍정심리자본, 지식공유의 효과의 합으로 나타나게 되며, 이를 구분하
여 특정 매개효과를 살펴본 결과 ‘공유리더십→긍정심리자본→고객지향성’의 간접효과는
.232, ‘공유리더십→지식공유→고객지향성’의 간접효과는 .180으로 나타나 공유리더십과 고
객지향성의 관계에서 긍정심리자본의 간접효과가 지식공유에 비해 보다 큰 것으로 나타났다.

<표 4> 연속적 매개효과 분석 결과

간접효과 부트스트랩 신뢰구간


경 로
Estimate S.E. Lower Upper

공유리더십→긍정심리자본→고객지향성→경영성과 .106 .044 .042 .221

공유리더십→지식공유→고객지향성→경영성과 .082 .037 .026 .180


공유리더십→긍정심리자본→고객지향성 .232 .085 .085 .434
공유리더십→지식공유→고객지향성 .180 .074 .053 .346

Ⅴ. 결론 및 시사점

1. 연구의 요약 및 시사점

수직적 리더십의 전제를 극복하고 보다 집합적이고 수평적으로 분산된 영향력으로 조직

- 115 -
리더십연구

의 성과를 달성하는데 공유리더십에 대한 연구의 차별성이 있다(양인실・이은국・김정훈,


2017). 공유리더십의 효과와 중요성을 실증하는 연구가 부족한 가운데, 공유리더십의 효과에
대해 새롭게 제안하는 긍정심리자본과 지식공유, 고객지향성 등 심리자본, 지식, 고객가치창
출 활동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고 이를 통한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공유리
더십이 생산적 조직에너지(양인실・이은국・김정훈, 2017)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에서는
인적자원관리 관점에서 접근하였다면, 긍정심리자본은 조직 심리적 관점에서 지식경영과 고
객지향성은 전략 경영적 관점에서 접근한 통합적 연구모형은 상보적인 의의가 있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먼저 공유리더십은 지식공유, 긍정심리자본, 고객지향성에 긍정적
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많은 리더십 연구들이 1인 개인의 리더십을 중심으로 이
들 역할이 조직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중점적으로 연구하였다. 반면 공유리더십은 팀
원들 개인들이 리더십을 공유하는 개념으로 팀이 업무에 대한 계획을 수립하고, 문제 발생
시 해결을 하는 과정, 팀원 간의 지원과 배려, 팀원들이 다른 구성원들이 개발할 수 있도록
멘토링 하는 리더십이 조직 내부적으로 긍정적인 효과를 불러온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둘째, 지식공유와 긍정심리자본은 고객지향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
다. 현대 기업들의 경영환경은 오래전부터 제품이나 브랜드 중심의 관점에서 벗어나 고객의
만족을 위한 경영전략을 수립하고 있다. 고객만족을 위한 사업전략 목표를 설정하는 것은 기
업의 역할이지만, 이를 수행하는 주체는 조직 구성원들이다. 따라서 이들의 심리상태를 긍정
적인 상태로 끌어올려 업무 분위기를 고취시켜야 할 것이다. 또한, 지속적으로 고객을 만족
시키기 위하여 세미나 및 교육활동을 활용한 지식공유를 활성화하여 서로간의 노하우를 공
유하는 것이 필요하다. 소비자들은 더 새로운 경험을 원하며, 서로간의 긍정적 또는 부정적
의견을 실시간으로 교환한다. 이러한 소비자들에게 더 높은 수준의 만족을 제공하고 기업의
지속적인 성장을 위하여, 직원의 역할이 점점 더 중요해지고 있으며, 결과적으로 지식공유와
긍정심리자본을 통해서 고객에게 더 높은 수준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고객지향성은 경영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는 경영성과를 주관적인 재무성과를 평가하는 것 외에도 직원들의 업무성과를 포함하였다.
조직의 내부 환경이 긍정적인 변화를 보인다면 기업의 재무적인 성과 역시 개선될 가능성이
크다. 하지만 이러한 관계가 직접적인 결과로 이어지는 데는 다소 무리가 있을 수 있으므로
오히려 직원에 대한 평가, 직원의 업무 능숙도, 직원들의 업무 이해도와 같은 업무성과가 보
다 적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밝힌 바와 같이 공유리더십, 지식공유, 긍정심리자본
에 의한 고객지향성이 향상된다면 장단기적인 성과를 높이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넷째, 공유리더십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관계에서 지식공유와 고객지향성의 매개효

- 116 -
공유리더십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긍정심리자본과 지식공유 및 고객지향성의 매개효과

과, 긍정심리자본과 고객지향성의 순차적인 매개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선행연구에


서는 주로 변인 간 인과관계, 또는 1차원적인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그치고 있으나 본 연구
에서는 공유리더십이 효과적으로 경영성과로 이어지기 위해서 지식공유와 고객지향성, 긍정
심리자본과 고객지향성이 순차적으로 관리되어야 한다는 것을 밝히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
에서 밝힌 바와 같이 공유리더십을 통해 경영성과를 기대하기 위해서는 어떠한 절차가 필요
한지에 더 자세히 알아봄으로써 학문적인 시사점뿐만 아니라 관리적 시사점을 제공하였으며,
다른 리더십 연구에서 활용할 수 있는 학문적 토대를 마련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2. 연구의 한계 및 향후 연구방향

본 연구에서 다뤄지지 않은 점들을 고려한 후속연구를 제안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연구에서는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에서 모형의 간결성을 유지하기 위해 공유리더십과 긍정심
리자본을 하나의 구성요인으로 처리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후속연구에서는 보다 정교한
연구결과를 도출하기 위해 공유리더십의 구성요인인 계획과 조직화, 문제해결, 지원과 배려,
개발과 멘토링에 포함된 하위변수들의 효과를 살펴볼 필요가 있다. 이를 통해서 보다 정교한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두 번째, 표본 집단을 구성하는데 있어 보다 정교한
방법이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모집단을 단순히 기업종사자를 대상으로 구성하여, 업종, 기
업규모 등 통제 또는 조절 역할을 하는 변수를 포함하지 못하였다. 지식서비스업을 주로 염
두에 두고 연구모형을 제안하고 연구를 하여 고객지향성을 통한 경영성과로의 연결경로를
상정하였지만, 제조업의 경우 기술지향성을 통한 혁신성과가 보다 주요한 성과경로일 수 있
다. 후속연구에서는 연구결과의 일반화를 위해 표본특성을 고려한 연구를 수행해볼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공유리더십은 구성원들이 리더십을 수평적으로 공유하는 현상이므로, 구
체적인 영향력의 비중의 변화에 따른 조직의 인지적, 정서적, 태도 적 변화와 이에 따른 가치
창출에의 긍정적인 효과를 종단 적으로 연구할 필요가 있다. 패널을 구성한 시계열 변화 추
이를 분석하는 시도나 종단적인 사례연구를 통해 현상의 진행과정에 대한 심화된 연구를 해
본다면 학술적으로도 새로운 발견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 117 -
리더십연구

참고문헌

<국내 문헌>
강여진. 2005. 지식공유 영향요인이 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행정논집, 17(2): 432-458.
고선희. 2015. 진정성리더십이 긍정심리자본 및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 관광레저연구,
27(1): 267-283.
권상집 ․ 정지용. 2016. 진성 리더십, 상사 신뢰, 심리적 웰빙, 지식공유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지식경영연구, 17(4): 1-25.
김명수 ․ 장춘수. 2012. Authentic Leadership이 조직구성원의 긍정심리자본과 정서적 몰입에 미
치는 영향. 인적자원개발연구, 15(1): 101-125.
김순철 ․ 민윤기. 2015. 진정성 리더십과 긍정심리자본이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사회과학
연구, 26(4): 3-25.
김용순. 2013. 임파워링 리더십, 긍정심리자본, 심리적 주인의식과 조직시민행동의 관련성에
관한 연구. 관광레저연구, 25(3): 89-203.
김인숙 ․ 서유빈 ․ 김복남 ․ 민아리. 2015. 임상간호사의 긍정심리자본이 조직몰입과고객지향성
에 미치는 영향. 간호행정학회지, 21(1): 10-19.
김장익 ․ 나태균. 2007. 외식기업의 지식공유 저해요인이 개인 및 조직 업무성과와 기업의 경영
성과에 미치는 영향. 외식경영연구, 10: 319-339.
김정현. 2016. 조직구성원이 인식한 최고경영자의 감성리더십이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
조직 규모 간 다중집단 구조방정식 모델 분석. Andragogy Today, 19, 91-111.
김준환. 2017. 무형식 학습과 긍정심리자본이 직무만족 및 고객지향성에 미치는 영향. 디지털
융복합 연구, 15(12): 195-202.
김해룡 ․ 정현우. 2013. 감성리더십이 긍정심리자본과 변화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긍
정심리자본의 매개효과. 인적자원관리연구, 20(3): 1-30.
김홍영 ․ 서철준 ․ 강대석. 2011. 신뢰관계를 촉진하는 서번트 리더십이 중국 외자기업 종업원들
의 태도에 미치는 영향. 인적자원개발연구, 14(2): 55-75.
문은진 ․ 홍아정. 2014. 학습동아리 구성원의 자기주도 학습능력이 지식공유에 미치는 영향과
공유리더십의 매개효과. 평생교육학 연구, 20(3): 1-26.
박문수 ․ 문형구. 2001. 지식공유의 영향요인: 연구동향과 과제. 지식경영연구, 2(1): 1-23.
박희서 ․ 김 구. 2002. 행정기관에 있어서 지식관리의 활용성 제고요인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행정학보, 36(2): 41-61.
배규환. 2015. 리더의 성과관리 코칭이 팀 몰입 및 긍정심리자본을 통한 팀원의 성과에 미치는

- 118 -
공유리더십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긍정심리자본과 지식공유 및 고객지향성의 매개효과

영향: 다수준 접근법을 중심으로. 리더십연구, 6: 123-156.


양인실 ․ 이은국 ․ 김정훈. 2017. 공유리더십과 성과간의 관계에서 생산적 조직에너지의 매개효
과. 리더십연구, 8: 165-187.
양필석 ․ 최석봉. 2012. 임파워링 리더십이 심리적 자본과 조직변화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인적자원관리연구, 19(2): 63-81.
유봉호. 2011. 기업가적 시장지향성과 조직유효성 ․ 경영성과 간에 혁신성 ․ 고객지향성의 매개
효과. 한국 산학기술 학회 논문지, 12(9): 3924-3935.
이기붕 ․ 오창택. 2014. 섬김 리더십이 정서몰입, 고객지향성, 이타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조
직학회보, 11(2): 1-26.
이금심. 2017. 개인 창의성과 조직구성원의 가치혁신문화 인식이 혁신성과 및 경영성과에 미
치는 영향: 혁신행동, 지식공유의 매개효과. 건양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이동석 ․ 정락채. 2010. 우리나라 중소기업의 기술혁신능력과 기술사업화능력이 경영성과에 미
치는 영향연구. 중소기업연구, 32(1): 65-87.
이은용 ․ 박수진 ․ 이수범. 2007. 항공사 기내승무원의 인지된 서번트리더십, 교육훈련 관련요인
과 고객지향성 및 자긍심과의 관련성 분석. 관광연구저널, 21(1): 83-99.
이지영 ․ 이희수. 2015. 감성리더십이 고객지향성에 미치는 영향과 긍정심리자본의 매개효과:
국내 보험회사 설계사를 대상으로. 직업교육연구, 34(4): 199-221.
이형민 ․ 손승연 ․ 김경규. 2015. 임파워링 리더십이 지식공유에 미치는 영향: 내재적 동기부여
의 매개효과 및 감성지능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리더십연구, 6: 5-28.
이홍재 ․ 차용진. 2006. 지식관리 활동과 업무성과에 관한 실증연구. 한국행정학보, 40(3): 105-127.
임태홍. 2014. 한국판 긍정심리자본척도 (K-PPC) 타당화 검증. 코칭능력개발지, 16(3): 157-166.
장창권 ․ 조윤경 ․ 김영택. 2014. 항공사 객실승무원의 긍정심리자본이 직무태도 및 고객지향성
에 미치는 영향 연구. 관광레저연구, 26(4): 355-372.
장해진 ․ 이새미 ․ 구동우. 2017. 포용적 리더십이 고객지향성과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외식경
영연구, 20: 159-180.
한봉주. 2013. 진성 리더십 (Authentic Leadership) 과 조직몰입 간의 관계에서 LMX 와 심리적
자본의 매개효과 분석. 조직과 인사관리연구, 3: 125-153.
한성호. 2002. 관광개발에 관한 정부의 지원정책이 개발사업자의경영성과와 선호개발유형에
미치는 영향. 관광레저연구, 13(2): 211-227.
허문구. 2011. 사회적 자본이 지식창출과 혁신에 미치는 영향. 인사조직연구, 19: 41-78.
홍성오 ․ 강영순. 2015. 감성리더십과 고객지향성간 조직몰입 및 직무만족의 매개효과. 산경논
집, 34: 263-280.

- 119 -
리더십연구

<외국 문헌>
Andreasen, A. R., Kotler, P., & Parker, D. 2003. Strategic marketing for nonprofit organizations.
Upper Saddle River, NJ: Prentice Hall.
Avey, J. B., Nimnicht, J. L., & Graber Pigeon, N. 2010. Two field studies examining the association
between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employee performance. Leadership &
Organization Development Journal, 31(5): 384-401.
Avolio, B. J., Jung, D. I., Murry, W., & Sivasbramaniam, N. 1996. Building highly developed
teams: Focusing on shared leadership process, efficacy, trust, and performance. In M. M.
Beyerlein, D. A. Johnson, & S. T. Beyerlein (Eds.), Advances in interdisciplinary studies
of work teams: Team leadership, Vol. 3, pp. 173-209). Elsevier Science/JAI Press.
Babin, B. J., & Boles, J. S. 1996. The effects of perceived co-worker involvement and supervisor
support on service provider role stress, performance and job satisfaction. Journal of
Retailing, 72(1): 57-75.
Bandura, A. (1986). The explanatory and predictive scope of self-efficacy theory. Journal of Social
and Clinical Psychology, 4(3): 359-373.
Bandura, A. (1997), Self-efficacy: The exercise of control. Macmillan.
Bowen, J. T., & Chen, S. L. 2001. The relationship between customer loyalty and customer
satisfac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Contemporary Hospitality Management, 13(5):
213-217.
Brass, D. J. 1995. A social network perspective on human resources management. In G. R. Ferris
(Ed.), Research in personnel and human resources management, vol. 13: 39-79.
Greenwich, CT: JAI Press.
Brass, D. J. 2001. Social capital and organizational leadership. The nature of organizational
leadership In S. J. Zaccaro & R. J. Klimoski (Eds.), The Nature of organizational
leadership: Understanding the performance imperatives confronting today’s leaders, (pp.
132-152). San Francisco, CA: Jossey-Bass..
Cabrera, A., Collins, W. C., & Salgado, J. F. 2006. Determinants of individual engagement in
knowledge sharing. The International Journal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17(2):
245-264.
Carson, J. B., Tesluk, P. E., & Marrone, J. A. 2007. Shared leadership in teams: An investigation
of antecedent conditions and performance.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50(5):
1217-1234.
Chakravarthy, B., Zaheer, A., & Zaheer, S. 1999. Knowledge Sharing in Organization: A Field

- 120 -
공유리더십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긍정심리자본과 지식공유 및 고객지향성의 매개효과

Study. Organization Science Research Workshop on Management, 327-342.


Coleman, J. S. 1988. Social capital in the creation of human capital.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94: S95-S120.
Davenport, T. H., & Prusak, L. 1998. Working knowledge: How organizations manage what they
know. Harvard Business Press.
Day, A. L., & Carroll, S. A. 2004. Using an ability-based measure of emotional intelligence to
predict individual performance, group performance, and group citizenship behaviours.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36(6): 1443-1458.
Day, D. V., Gronn, P., & Salas, E. 2004. Leadership capacity in teams. The Leadership Quarterly,
15(6): 857-880.
Ensley, M. D., Hmieleski, K. M., & Pearce, C. L. 2006. The importance of vertical and shared
leadership within new venture top management teams: Implications for the performance
of startups. The Leadership Quarterly, 17(3): 217-231.
Farrell, M. A., & Oczkowski, E. 1997. An analysis of the MKTOR and MARKOR measures of
market orientation: an Australian perspective. Marketing Bulletin-Department of Marketing
Massey University, 8: 30-40.
Gibb, C. A. 1954. Leadership. In G. Lindzey (Ed.), Handbook of Social Psychology, Vol. 2 (pp.
877-917). Reading, MA7 Addison-Wesley.
Govindarajan, V. 1984. Appropriateness of accounting data in performance evaluation: an empirical
examination of environmental uncertainty as an intervening variable. Accounting.
Organizations and Society, 9(2): 125-135.
Gupta, A. K., & Govindarajan, V. 2000. Knowledge flows within multinational corporations.
Strategic Management Journal, 473-496.
Hansen, M. T. 1999. The search-transfer problem: The role of weak ties in sharing knowledge
across organization subunits. Administrative Science Quarterly, 44(1): 82-111.
Hiller, N. J., Day, D. V., & Vance, R. J. 2006. Collective enactment of leadership roles and team
effectiveness: A field study. The Leadership Quarterly, 17(4): 387-397.
Hoffman, K. D., & Ingram, T. N. 1991. Creating customer-oriented employees: The case in home
health care. Marketing Health Services, 11(2): 24.
Hollander, E. P. 2009. Inclusive leadership: The Essential Leader-Follower Relationship. New York:
Routhledge.
Hu, L., & Randel, A. E. 2014. Knowledge sharing in teams: Social capital, extrinsic incentives, and
team innovation. Group & Organization Management, 39(2): 213-243.

- 121 -
리더십연구

Ipe, M. 2003. Knowledge Sharing in Organizations: A Conceptual Framework. Human Resource


Development Review, 2(4): 337-359.
Jaworski, B. J., & Kohli, A. K. 1993. Market orientation: antecedents and consequences. Journal
of Marketing, 57(3): 53-70.
Katz, D., & Kahn, R. L. 1978. The social psychology of organizations. New York: Wiley.
Kohli, A. K., & Jaworski, B. J. 1990. Market orientation: the construct, research propositions, and
managerial implications. Journal of Marketing, 54(2): 1-18.
Kozlowski, S. W., & Bell, B. S. 2003. Work groups and teams in organizations. In Handbook of
Psychology: Industri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ed. WC Borman, DR Ilgen, RJ
Klimoski, pp. 333-75. London: Wiley.
Luthans, F., Luthans, K. W., & Luthans, B. C. 2004.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Beyond human
and social capital. Business Horizons, 47(1): 45-50.
Luthans, F., & Youssef, C. M. 2007. Emerging positive organizational behavior. Journal of
Management, 33(3): 321-349.
Luthans, F., Avolio, B. J., Avey, J. B., & Norman, S. M. 2007.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Measurement and relationship with performance and satisfaction. Personnel Psychology,
60(3): 541-572.
Narver, J. C., & Slater, S. F. 1990. The effect of a market orientation on business profitability. The
Journal of Marketing, 54(4): 20-35.
Nelson, K. M., & Cooprider, J. G. 1996. The contribution of shared knowledge to IS group
performance. MIS quarterly, 20(4): 409-432.
O'Dell, C., & Jackson Grayson Jr, C. 1999. Knowledge transfer: discover your value proposition.
Strategy & Leadership, 27(2): 10-15.
Pearce, C. L., & Sims Jr, H. P. 2002. Vertical versus shared leadership as predictors of the
effectiveness of change management teams: An examination of aversive, directive,
transactional, transformational, and empowering leader behaviors. Group Dynamics:
Theory, Research, and Practice, 6(2): 172-197.
Pearce, C. L., & Conger, J. A. 2003. All those years ago. Shared leadership: Reframing the hows
and whys of leadership, 1-18.
Pearce, C. L., Conger, J. A., & Locke, E. A. 2008. Shared leadership theory. The Leadership
Quarterly, 19(5): 622-628.
Pearce, C. L., Manz, C. C., & Sims, H. P. 2008. The roles of vertical and shared leadership in
the enactment of executive corruption: Implications for research and practice. The

- 122 -
공유리더십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긍정심리자본과 지식공유 및 고객지향성의 매개효과

Leadership Quarterly, 19(3): 353-359.


Pearce, C. L., Yoo, Y., & Alavi, M. 2004. Leadership, social work and virtual teams: The relative
influence of vertical vs. shared leadership in the nonprofit sector. In R. E. Riggio & S.
Smith-Orr (Eds.), Improving leadership in nonprofit organizations: 180-203. San
Francisco: Jossey-Bass.
Rindfleisch, A., & Moorman, C. 2003. Interfirm cooperation and customer orientation.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40(4): 421-436.
Ruggles, R. 1998. The state of the notion: knowledge management in practice. California
Management Review, 40(3): 80-89.
Rust, R. T., Stewart, G. L., Miller, H., & Pielack, D. 1996. The satisfaction and retention of
frontline employees: A customer satisfaction measurement approach. International Journal
of Service Industry Management, 7(5): 62-80.
Schein, E. H. 2010. Organizational culture and leadership. John Wiley & Sons.
Schneider, B., & Bowen, D. E. 1993. The service organization: Human resources management is
crucial. Organizational Dynamics, 21(4): 39-52.
Seligman, M. E. 1999. Positive social science. Journal of Positive Behavior Interventions, 1(3): 181.
Sivasubramaniam, N., Murry, W. D., Avolio, B. J., & Jung, D. I. 2002. A longitudinal model of
the effects of team leadership and group potency on group performance. Group &
Organization Management, 27(1): 66-96.
Snyder, C. R., Harris, C., Anderson, J. R., Holleran, S. A., Irving, L. M., Sigmon, S. T., & Harney,
P. 1991. The will and the ways: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n individual-differences
measure of hope.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60(4): 570-585.
Srivastava, A., Bartol, K. M., & Locke, E. A. 2006. Empowering leadership in management teams:
Effects on knowledge sharing, efficacy, and performance.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49(6): 1239-1251.
Stogdill, R. M. 1974. Handbook of leadership: A survey of theory and research. Free Press.
Walumbwa, F. O., Peterson, S. J., Avolio, B. J., & Hartnell, C. A. 2010. An investigation of the
relationships among leader and follower psychological capital, service climate, and job
performance. Personnel Psychology, 63(4): 937-963.
Watkins, K. E., & Marsick, V. J. 1993. Sculpting the learning organization: Lessons in the art and
science of systemic change. Jossey-Bass.

- 123 -
리더십연구

The Study on the Influence of the Shared Leadership on


the Business Performance: Mediating Effects of the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the Knowledge
Sharing

Park, Yeong-Sil*, Cha, Min-Seok** 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shared leadership on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knowledge sharing, and mediating role of the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knowledge sharing and the customer orientation on the business performance. For the analysis,
257 corporate workers’ response data were collected and used for the statistical analysis. The
hypothesis were verified by structural equation analysis. There are several significant results as
follows: First, the path coefficient of shared leadership on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is 0.711
(p<.000). Second, the path coefficient of shared leadership on knowledge sharing is 0.712 (p<.000).
Third, the path coefficient of shared leadership on customer orientation is s0.375 (p<.000). Fourth,
the path coefficient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knowledge sharing on the customer
orientation are 0.262 (p<.000) and 0.202 (p=.006). Lastly, the path coefficient of customer
orientation on business performance is 0.643 (p<.000). The implications of the shared leadership are
discussed.

Key words: shared leadership,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knowledge sharing, customer orientation,
business performance

* The first author, The Doctoral Candidate, Department of Business Adminstration, Graduate School, Changwon National
University. E-mail: ys1979200@naver.com
** Corresponding author, Associate Professor, Dept. Chair, Department of Business Adminstration, Changwon National
University. E-mail: mincha@changwon.ac.kr

- 124 -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