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204

2009년 정책연구개발사업

제 출 문

교 육 과 학 기 술 부 장관 귀 하

본 보고서를 “학교단위의 '신 교원 노사문화' 정착방안 연구”


최종보고서로 제출합니다.

2009 년 8 월 12 일

○ 주관연구기관명 : 한국교원대학교
○ 연 구 기 간 : 2009.3.9~8.8
○ 주관연구책임자 : 정 기 오
○참 여 연 구 원 :
․ 연구원 : 김 미 숙
․ 연구원 : 윤 광 희
․ 연구원 : 장 지 순
2009년 정책연구개발사업

학교단위의 '新 교원 노사문화'


정착방안 연구

연구책임자 정 기 오 한국교원대학교
: ( )

공동책임자 김 미 숙 한국교원대학교
: ( )

윤 광 희 윈윈노사관계연구소
( )

장 지 순 성균관대학교
( )

연구협력관 박 창 원 교육과학기술부 교원단체협력팀


: ( )

교육과학기술부
이 연구는 년도 교육과학기술부 정책연구개발비의 지원
2009

에 의해 수행되었으나 본 연구에서 제시된 정책대안이나 의견


,

등은 교육과학기술부의 공식적인 의견이 아니라 본 연구진들의


개인 견해임을 밝혀 둡니다 .
<요약문>

<요약문>

Ⅰ . 연구 개요

본 연구는 크게 4부분으로 이루어졌다. 먼저 교원노사관계전반이 단위학교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이를 모델화하기 위하여 <전략적 행위분석>의 관점에 입각하여 노사
양측의 전략을 분석하였다. 두 번째로 이러한 노사 양측 전략의 상호작용 결과 나타나는
단위 학교 분쟁과 분쟁해결 실태를 분석하였다. 세 번째는 이러한 분쟁 현장의 중심에
있는 교장(임용후보자)를 대상으로 설문과 집중면담을 통하여 학교 교원노동관계의 주
된 행위자인 교장의 인식과 대응양식을 탐구하였다. 마지막으로 교원노동관계의 새로운
모델로서 New Unionism을 상정하고 그 성립 발전조건을 학교체제의 구조와 역량 측면
에서 탐구하고 이를 충족시키기 위한 정책과 전략적 제언을 추가 하였다.
Ⅱ . 단위학교교원노동관계의 이론적 모델

교원노동관계 각 당사자의 전략분석을 하는 목적은 그러한 노사 양측의 전략에 따라


결과적으로 출현하게 되는 전반적 노동관계 모델이 단위학교의 교원노동관계의 성격과
양상을 결정하기 때문이다. 앞서 기술한 것처럼 전교조가 추구하는 전략은 4개 정도로
요약될 수 있으며 교육행정당국이 추구하는 전략은 협력-비협력의 2가지로 나뉜다. 이
를 조합하면 다음의 표에서처럼 8개 정도의 노동관계 모델이 나올 수 있다. 그러나 이들
모두가 실제로 구현되는 것은 아니다.
\교육행정당국전략
협력 전략 적대적 대결 전략
전교조전략 \
①조합주의 모델
산별교섭전략 ×
(neo-corporatism)
②사업장 단위
정치적 투쟁전략 ×
적대적 대항 모델

참교육-조직강화 전략 ③전면적 정복(conquest)-경쟁갈등 모델

전문직화 전략 ④New Unionism 모델 ×

양측이 모두 적대적 공격적 전략을 수행하는 경우에는 노동관계가 힘의 행사에 의존


하게 됨에 따라 온전한 불확실성 속에 빠지게 되며 이는 모델이라고 할 수도 없다. 현실

- i -
학교단위의 '新 교원 노사문화' 정착방안 연구

적으로 지난 10년간 우리나라에서 부분적으로 나마 구현된 교원노동관계모델은 3가지


정도 이며, 여기에 본 연구가 지향하는 미래의 발전 모델을 추가하면 다음과 같이 4개의
모델 정도를 이론적으로 상정할 수 있을 것이다.
① 사회적조합주의(social-corporatism) 모델
이미 지적한 것처럼 각 시도수준에서는 단체협약과 교육감선거를 매개로 시도교육행
정당국과 전교조 간의 상당 수준 협력관계가 출현하고 있었다. 국가조합주의적 전통에
의한 집권주의적 전통이 강한 우리나라의 현실에서 교육행정당국과 집권적 구조를 가진
교원노동조합이 협력할 때 나타나는 지배구조가 사회적조합주의 체제이다. 이때의 단위
학교 노동관계는 이러한 조합주의적 지배구조 속에 편입되면서 개별학교의 자율성을 잃
게 될 가능성이 높다. 단체협약에 대한 불만을 표현하는 학교관리자들의 인식은 이러한
결과를 반영하는 것이다.
② 사업장 단위 적대적 대항 모델
개개의 학교가 법적 자율성을 확고하게 가지고 있는 사립학교부문에서 구현된 모델이
이것이라 할 수 있다. 교원노동법이 상정하는 산별교섭 형태의 연합교섭이 사립학교측에
서 거부됨으로써 사업장 단위에서는 적대적 관계가 형성되고 전국적 수준에서는 교원노
조의 정치적 투쟁이 지속되는 형태의 퇴보적 모델이다. 이 모델의 중요성은 만약 노사
양측이 서로 적대적이면서 단위학교교장과 학교운영위원회에 대폭의 자율성이 주어지면
공립학교에서도 이러한 모델이 나타날 가능성이 높다는 점이다.
③ 전면적 정복-갈등 모델
외형상으로는 공립학교를 중심으로 노사협력 성격의 조합주의 양상이 나타났지만 앞
서 강령과 수단으로 나누어 분석한바 전교조 전략의 근본적 성격이 교육행정당국의 교
육내용행정기능을 무력화하고 이를 전교조가 대신하고자 하는 적대적 공격적이기 때문
에 이면에 언제나 잠재되어 있는 모델이며 사용자 측인 정부의 태도 변화에 따라 언제
라도 현재화될 수 있는 모델이다. 이명박 정부 하에서 현실화될 가능성이 매우 높은 모
델이 바로 이것이다. 이 모델은 노사 양측의 단순한 비협조와 갈등 정도가 아니라 전교
조가 마치 정당처럼 특정의 인간관과 세계관을 가지고 권력을 획득하여 이를 정치적으
로 실행에 옮기려 함에 따라 이익단체로서의 단순한 노동조합을 뛰어 넘는 초과된 목적
을 가지고 있어 생기는 우리나라 특유의 현상이 될 것이다.
④ New Unionism 모델

- ii -
<요약문>

이 모델은 단체교섭을 통한 권력배분에 치우친 노동운동 이념의 전면적 변화를 기반


으로 하고 개별 학교에 대폭적인 분권화 자율화가 이루어진 상황에서 이를 전제로 교육
정책당국이 교육개혁을 위하여 이에 협력함으로써 구현되는 모델이며 미래의 방향 모델
이다. 우리나라의 문민정부 시절 정부는 교육개혁을 위하여 전교조와 일정수준 협력을
추구함으로써 전교조 합법화가 이루어지고 이러한 협력관계가 국민의 정부로 이어졌으
나 이는 결국 조합주의적 지배로 이어졌을 뿐 학교단위 교육개혁의 성공을 낳을 수는
없었다. 이렇게 된 이유는 전교조가 이 모델의 전제인 단위학교 현장 중심의 분권화 자
율화를 받아들이지 않고 전국 단위의 집중화를 추구했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 모
델의 구현을 위한 조건과 정책을 탐구하는데 초점을 둔다.

Ⅲ. 단위학교 교원노동관계의 현실과 전망

본 연구 결과를 통하여 볼 때 우리 사회의 교원노동관계는 국가적조합주의로 지목되


던 우리 사회의 권위주의적 정치체제가 민주화되는 과정에서 노동조합이 참여하는 사회
적조합주의의 성격을 잠시 지향 하다가 최근에는 노사간 적대적 정복 모델로 빠져들고
있다고 요약될 수 있다. 어느 경우에도 단위학교는 교육행정관료제의 최하위 사업장으로
전락할 위험에 놓여 있으며 교원단체교섭 체제는 더욱 이러한 경향을 강화 하고 있다.
그러나 본 연구를 통해 확인된 중요한 사실은 그럼에도 불구하고 학교장들은 교원단체
교섭과 무관한 그 고유의 권한을 가지고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단체협약을 학교 현장에
맞게 변용 하는 등 단위학교의 자율 영역을 지키는 최일선에 서있다는 점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교육체제 내의 분권화와 단위학교자율화를 바탕으로 하는 단위학교
중심의 교원노동관계 발전이 얼마나 성공적일 것인지는 정부의 정책과 교육행정당국의
전략, 그리고 학교장의 역량과 리더십에 달려있다. 본 보고서의 본론을 노사 양측의 전
략분석에서 시작한 이유가 여기에 있다.
정부와 교육행정당국의 정책과 전략의 출발점은 먼저 전교조의 전략을 정확히 제대로
파악하는데 있다. 전교조가 “교원의 사회적 지위와 근로조건 개선을 목표로 하는 노동조
합”이라고 보는 것은 상대를 지극히 오판한 것이며 정부 정책의 실패가 우선적으로 여
기서 비롯된다. 전교조는 특정한 세계관과 인간관을 토대로 이를 구현할 권력을 현실 속
에서 전략적으로 추구하는 <정당유사조직>이다. 모든 정책과 전략을 이러한 인식을 토
대로 전면재검토해야 한다.
두 번째로는 상대를 극복할 역량을 가져야 한다. 현재의 상태로 볼 때 <교육행정의
지배를 타파>하고 현장교육을 <참교육>으로 바꾸는 중추기구가 되려 하는 전교조의 역
량이 교육행정시스템의 역량을 능가하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효과적인 장학시스

- iii -
학교단위의 '新 교원 노사문화' 정착방안 연구

템이 결여되거나 붕괴되어 있는 현행 교육행정체제로는 전교조의 <참교육 활동가>시스


템을 이길 수 없다. 교장의 역량이 단위학교노조분회장의 역량을 넘지 못하면 교원노동
관계는 정상화되기 어렵다.
마지막으로, 교원노동관계가 New Unionism에 입각하여 단위학교중심으로 발전하려면
참여를 통한 관료주의의 극복과 학교단위의 자율성에 중점이 놓인 분권화가 필수적이다.
전자는 근본적으로 전반적 지배체제의 변화 즉 조합주의적 지배(corporatism)에서 참여
를 통한 사회계약주의(conventionism)으로의 변화문제이며 후자는 교육행정조직 및 관
료제제의 수평화의 연원인 학교현장중심경영(SBM: school-based management)의 문제
이다. 협상과 설득을 바탕으로 하는 학교장의 리더십과 역량은 이러한 변화 과정의 결정
적 관건이다.
교육체제의 분권화와 노동관계
노동조합 특히 산업별 노조 체제를 취하는 노동조합은 조직의 힘과 단결을 통한 권력
추구의 속성이 있고 교원노조의 경우도 동일하다 단체협상테이블을 중심으로 교육행정
.

권과 경영권과의 교섭에서 교섭력 강화와 단결을 추구할 수밖에 없는 교원노조의 전반


적 입지 상황을 고려하여 다음과 같은 주요 문제들에 대한 공동인식의 범위와 한계를
/

어디에 설정하는가 하는 것이 교원 노사간에 선결되어야 한다 .

- 교육민주화 단위학교 자율화 및 경영 민주화 교사 교사회의 자율성 문제


: , /

- 학교개혁 특히 학교의 책무성 중심의 교육과정 개혁과 교사의 역할 재정립


- 이상의 변화를 달성하기 위한 중앙정부와 지방교육청의 기능 전환
이상과 같은 과제의 실현은 교육체제 내 권력 관계 변화의 핵심을 이룬다 이 문제들 .

에 대해 교원 단체와 교육행정 경영 측이 어떻게 인식하고 대응을 하는가에 따라 단체


교섭을 중심으로 하는 노동관계의 내용과 성격이 달라진다 예를 들어 미국의 교육에서 .

는 단체교섭제가 확산 보급되면서 교육행정의 관료제화가 더욱 급격히 진행되었다 교육 .

개혁이 수반되지 않은 채 교섭력과 힘 중심으로 단체교섭이 진행될 때 당연히 우리나라


에서도 나타날 수 있는 현상이며 본 연구조사에서도 단체협약에 의하여 학교의 현장성
,

다양성이 위축되면서 잡무가 증가하고 있다는 사실이 확인되었다 .

년대 후반 이후 미국교육행정이 학교현장 중심으로 권한의 분권화를 추구하면서 거


80

꾸로 이것이 교원노동관계에서 노사협력주의에 입각한 새로운 조합주의 (new unionism)

를 낳고 있다 결국 단위학교 중심의 새로운 노동관계는 단위학교자율화를 통하여 형성


.

되는 것이다 이미 지적한 것처럼 교육체제 내에서 단순한 지방분권은 지방단위의 조합


.

- iv -
<요약문>

주의적 지배체제를 낳는다 .

우리나라에서 단위학교노동관계가 발전적으로 변화하고 새로운 미래의 모델을 구현하


려면 다음의 표에서 시사하는 것처럼 단위학교자율화 체제를 구축하면서 노조의 정치투
쟁에 대한 과감한 법집행을 통해 노사간 적대적 상황을 피할 수 있는 예방적 규제적 조
치를 갖추어 나가는 것이 필요하다 .

협력적 적대적

정부-노조간
중앙집권 기존모델: 유럽식 조합주의 모델
상호 conquest 전략
기존모델: 지역단위 조합주의 모델
지역분권 지역적 갈등 모델
(local corporatism)
미래모델: New Unionism,
단위학교 자율화 지역-정보 거점으로서의 학교 다원주의 적대적 사립학교노동관계
모델

단위학교 중심 New Unionism의 전제: 교육과정개혁과 단위학교자율화


이상의 논의를 요약할 때 우리 나라에서도 으로 요약될 수 있는 단위 New Unionism

학교 중심의 노동관계 모델이 발전해야 할 것이다 교원노동관계가 에 . New Unionism

입각하여 단위학교중심으로 발전하려면 학교단위의 자율성에 중점이 놓인 분권화 참여


를 통한 관료주의의 극복이 필수적이다 이는 근본적으로 전반적 지배체제의 변화 즉 조
.

합주의적 지배 에서 참여를 통한 사회계약주의


(corporatism) 으로의 변화문 (conventionism)

제이다 이를 위해서는 두 가지 전제가 있다 우선 노동관계의 초점이 교육과정 개혁에


. .

놓여야 하며 둘째로 단위학교의 자율화가 확립되어야 한다는 점이 그 것이다 .

먼저 단위학교 중심 교육과정 개혁 의 의미와 방법론에 노사 양측이 인식과 전략을


< >

같이 해야 한다 아직 정체를 알 수 없는 참교육 에 매달리고 있는 교원노동조합 보다


. < >

도 교육행정당국이 먼저 이 문제를 선도해야 한다 현재 교육행정당국은 국가수준 교 . <

육과정 의 개편에 몰두해 있으나 단위학교 중심 교육과정 개혁 의 핵심은 국가교육과


> < >

정과 지방 교육청 교육과정 등 행정적 교육과정 문서와 교장 교사 간의 관계를 명료하게


( )

하는데 놓여 있다 교육행정당국이 이 부분에 있어서 명확한 비전과 정책 그리고 이를


.

실행에 옮길 수 있는 충분한 규모의 활동가로 구성된 장학시스템을 먼저 확립하지 못하


면 정체불명의 참교육 에 의해 단위학교 교육이 잠식되면서 국가교육과정은 무력화되
< >

고 말 것이다 이러한 결과에 직면하기 전에 교육행정당국이 단위학교 중심의 교육과정


.

개혁을 교육정책의 최우선 순위에 놓고 교원노동조합을 이 방향으로 선도해야 한다 .

단위학교 자율화를 통해 교육의 책무성이 발전하려면 우선 학교의 목적과 기능 학교 ,

운영위원회 등 조직에 대한 국민적 합의가 선행되고 이것이 국회를 통과한 법률에 상세

- v -
학교단위의 '新 교원 노사문화' 정착방안 연구

히 규정되어야 한다 그 것이 최우선이다 관련 집단 간의 공유된 가치와 학교의 목적


. .

인식이 없으면 책무성은 보장될 수 없다 우리나라 학교가 수행해야 할 임무에 대해 대 .

한민국 법률은 한 번도 영국처럼 상세히 규정해 본 바가 없다 국민간의 합의 도출에 계 .

속 실패하기 때문이다 기껏 해야 지극히 추상적인 용어로 얼버무려 합의의 결여를 가리


.

고 있을 뿐이다 교원단체와 교육당국이 협력하여 이 문제를 원활히 해결해 내지 못하


.

면 교원단체의 활동과 단체교섭은 오히려 한국의 교육을 후퇴시키는 큰 걸림돌이 될 것


,

이다 .

Ⅳ . 정책과 전략 제언
1. 교육정책당국의 역할

가. 교육에 대한 “부당한 지배”의 위험 차단


이른 바 참교육 논리로 특정 사회정치집단이 학교교육지배를 시도하는 위험성을 차
“ ”

단할 법적 장치를 마련해야 한다 구체적으로 구 일본 교육기본법의 부당한 지배 조항. “ ”

이 우리 교육기본법에도 규정되어야 한다 .

나. 단위학교(교장)의 자율성 보호를 위한 행정적 조치와 법제 정비


법률적으로 볼 때 단위학교의 자율성은 학교 자체가 법인화 되지 않는 이상은 법규로
규정된 교장의 지위와 권능으로 구현될 수밖에 없다 이미 전교조조차도 이를 인식하고 .

학교장과의 교섭 협의 사항 형태로 정리하여 전략화 하고 있음을 앞서 지적하였다 단위 .

학교 노동관계의 발전을 위해 교육정책 당국이 해야 할 첫 번째 역할은 교육과정 운용


을 둘러싼 교장 교사의 지위와 역할 관련 규범의 불투명과 불명료로 인한 혼란을 최소
화 하는데 있다 특히 전국단위 단체협약 또는 광역시․도단위 단체협약에 의하여 교장
. ,

의 법정지위와 권한이 침해되지 않도록 단체협약 관행을 확립해야 한다 .

두 번째로 교장 교감 교사의 교육법규상의 법정지위와 근로계약 단체협약 등 노사관


- - ,

계 상의 교장 교감 교사 지위의 혼란과 충돌을 방지하기 위하여 관계 규범의 정비와 명


- -

료화가 시급하다 먼저 초중등교육법 개정이 있어야 한다 다른 한편으로 노동조합에 의


. . ,

하여 전략적으로 공격되고 있음에도 교원노동관계의 분쟁이 노동조합 측에 의하여 먼저


쟁송화 되고 분쟁해결 의제화 되는 과정에서 방어수단이 없는 학교장의 고유한 권한이
보호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 교원노조법 개정이 있어야 한다 .

◇ 교장의 지위와 권한을 침범하는 단체협약의 금지


- 교육과학기술부 장관이 체결하는 단체협약은 물론이고 교육감들이 체결하는 단체협

- vi -
<요약문>

약에서도 교장의 법규상 지위와 권한에 관련된 사항을 교섭하거나 합의하지 않도록
한다 .

◇ 초․중등교육법 개정방향

-교장 교감의 ①법정고유권한과 ②위임된 교육행정권한을 구분하고 전자는 사용자 노 , /

동자 관계와 무관한 독립적 권한으로 상세화하며 후자는 교장의 중간자적 지위를 보호


,

하기 위하여 최소화하되 이를 대통령령 이상의 법정위임권한 중심으로 재정비한다 .

-사실상 운영되고 있는 초․중등 교장협의회 를 교육기본법에 의한 별도 교원단체이자


< >

초․중등교육법에 의한 법정단체로 정의하고 교장자격제도의 유지관리 교장의 양성 연 ,

수 교장들의 권익옹호 등 전문직단체로서의 기능을 부여한다 사용자 지위와 구별하


, . <

기 위하여 교육감협의회와 명확한 분리 필요 )

-교사의 지위를 결정에 핵심요소인 교육과정 과 교원 의 관계를 법률로 명확히 한다


< > < > .

◇ 교원노동조합법 개정 방향

-단체협약에 의하여 교장의 법정권한을 침해하거나 교장에게 법정직무 이외의 의무 ,

를 지우는 것을 금지하는 조항을 추가하고 그러한 단체협약조문의 무효를 명시 .

-교원노동조합이나 그 조합원이 개별적 행위에 의하여 교장의 법정권한을 침해하거


나 교장에게 법정직무 이외의 의무를 강제하는 것을 노동조합에 의한 부당노동행
, <

위 로 명시하고 처벌 조문 추가
> .1)

-교원노동관계를 전국단위에서 광역시 도 단위로 최대한 분권화함 원칙상 교육감협


/ :

의회를 전국차원의 단체협약을 위한 연합교섭의 당사자로 교육과학부장관은 예외적


당사자로 함 .

-교원노동조합법이 교육의 특수성을 제대로 고려한 법률이 되려면 법제 관리 측면에


서 동 법률이 현재처럼 노동부 단독 관리 법률이 아니라 교육과학기술부와 노동부의
1) 한국경영자총협회는 다음 사항을 노동 측의 부당노동행위로 유형화하여 입법할 것을 주장함,
1 특정 노동조합에의 가입 강요 및 위력을 사용한 파업참가 강요
2 근로를 제공하지 않은 조합원에 대한 임금 지급 요구
3 사용자단체의 결성 및 가입 강요
4 정당한 이유 없는 단체교섭 거부
5 단체교섭을 거치지 않은 쟁의행위
6 파업기간에 대한 임금지급 요구
7 명백히 위법한 쟁의행위나 폭력․파괴행위 근로자에 대한 민사․형사상면책강요
8 사용자에게 결정권이 없는사 항의 관철이나 노동조합간 세력권 다툼을 목적으로 하는 쟁의행위
9 교섭능력이 현저히 취약한 기업에 대한 산업별노동조합이나 지역별노동조합의 전면적 쟁의행위
10 사용자의 부당노동행위 강요
「「부당노동행위제도의 이해」」, 2004, 178∼180쪽 참고

- vii -
학교단위의 '新 교원 노사문화' 정착방안 연구

공동관리 법률로 전환되어야 한다 .

다. 교육행정 역량 강화

교육행정 역량이 전교조의 역량을 능가하도록 강화하는 것은 가장 시급한 과제이다 .

전교조 활동가의 역량을 능가하는 교과내용행정 중심의 장학시스템을 복원하고 교육감


협의회에 교원노동관계의 전문적 자문기구를 두어 지방교육행정 역량을 대폭 강화하지
않으면 전교조 역량을 능가하기 어렵다 교육행정 역량의 강화는 단순한 조직 개발 전략
.

에 그치지 않고 교장의 전문직화나 교사 신분의 다양화를 통해 교육행정체제 자체의 전


반적 역량을 강화하는 것을 포함해야 한다 .

◇ 장학시스템의 복원

현장의 실태를 파악하고 이를 정책정보로 가공하여 교육정책결정․집행자에게 전달하는


것이 장학의 원래 기능이라면 이러한 기능은 사무실 내에서 수행될 수 없다 년 이후 주 . 1975

앙정부 수준에서 장학관 장학사 등 장학요원들은 국․과․계 형태의 계선 조직 속으로 들어


가 일반 행정공무원과 똑 같이 사무실 내 사무처리작업을 하고 있다 이 상황에서는 원천적 .

으로 장학기능 수행이 불가능하다 장학활동은 전교조의 활동가들이 그렇게 하는 것처럼


.

고도로 현장 중심적이고도 창의적인 활동이다 사무실 내에서 표준화된 업무편람과 업무 .

처리절차에 따라 문서로 수행되는 업무가 아니며 고도의 조직목표 정책목표에 입각한


현장에서의 상호작용과 의사소통 활동인 것이다 지식기반사회에서의 장학기능은 특히 .

학교와 학교 밖을 연결하는데 그 커다란 역할이 기대되고 있다 이를 위해서는 학교내부 .

에만 맞추어져 있는 기존 장학진들의 시야를 학교 안팎으로 대폭 확대해야 한다 예를 .

들어 과학담당 장학의 기능은 과학교사와 과학기술계의 양쪽을 오가며 그 간극을 메워


야 할 것이며 예체능담당 장학의 기능은 음악 미술 체육 교사와 예술․공연․스포츠계
,

의 양쪽을 오가며 그 간극을 메워야 할 것이다 .

장학조직을 현장이 아니라 계층제의 국 과 계로 조직되어 사무실 내의 작업조직으로


- -

구성해서는 안 될 것이다 이는 장학의 본령인 현장중심의 외근을 포기하는 결과가 되며


.

결과적으로 장학기능이 위축되고 이 분야 행정과 정책이 현장과 유리되는 단초를 이루


는 것이다 장학진들은 마치 언론사 기자들처럼 사무실을 거점으로 해서 외근하는 것이
.

주된 근무형태이어야 할 것이며 재택근무도 가능할 것이다


, .

진정한 장학활동은 외교업무와 상당히 비슷해질 것이다 외교의 수단과 방법은 정해진 .

것이 없다 대사는 자신이 부임한 외국에서 본국의 신뢰와 국익이라는 목표를 중심으로


.

사교 교섭 정보보고 언론활동 프로젝트의 수행 등 필요한 모든 활동을 본국의 훈령과


, ,

- viii -
<요약문>

외교관의 전문성에 따라 자기주도적 창의적으로 수행하는 것이다 물론 외교관이나 대사 .

가 본국의 외무부 본청에 발령 받아 본부근무를 하는 경우도 있지만 그 경우는 일단은


외교 일선에서 떠나있는 상황인 것이다 장학진도 마찬가지이다 본청 사무실 내에서 수
. .

행하는 것은 장학활동이 아니며 장학활동은 사무실 밖으로 나와 자신이 담당한 영역에


서 문제해결자 교섭자 프로젝트수행자 정보보고자 기고자 강연자 논객 등으로 활동
, , , , , ,

할 때 비로소 시작되는 것이다 .

우리나라에서 장학이 제대로 활성화될 때 비로소 교사와 교육행정간 교사와 사회 간 ,

의 올바른 의사소통이 실현될 것이며 정책의 현장적합성이 높아질 것이다 그렇게 되려 .

면 장학조직과 장학진의 위상이 바로서야 한다 장학진은 외교관과 마찬가지로 현장에서.

는 장관 교육감 교육장을 대표한다 그들은 행정적 관료적 권한을 가지고 일하는 것이


.

아니라 외교관처럼 오로지 역량과 전문성으로 직무를 수행하는 것이다 대사의 말과 글 . ,

행동이 그 본국을 대표하며 그 본국에 대한 신뢰와 평화적 관계를 대표하는 것처럼 장 ,

학진의 말과 글 행동은 장관과 교육감을 대표하는 것이어야 하며 그런 것들이 쌓여 교


육정책에 대한 신뢰를 담보하는 것이 장학활동의 존재의의인 것이다 .

◇ 교원노동관계 연구자문기구 별도 설치

교육행정 체제의 역량개발 핵심은 제도형성 전략에 있다 분권화


(institution building) .

된 교원노동관계를 주도적으로 이끌어가려면 교육감들의 역량이 대폭 제고되어야 하면


이는 교육감 개개인의 역량이 아닌 제도적 역량이어야 한다 이를 위한 교원노동관계 연 .

구자문기구가 별도 설치되어야 한다 그 주된 기능은 다음과 같다 ①교원노동관계에 영


. :

향을 주는 노동법제 및 교육법제 발전 정책 연구자문 ②단체교섭을 위한 협상자문 교육 ,

행정기관의 담당공무원 연수 ③ 단위학교경영과 단위학교노동관계 연구 및 자문 .

이러한 기구의 설치와 운영을 위한 방안은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다 :

제 안 국가지정 중점연구소로 설치 운영하는 방안


1 :

- 연구소운영위원회 형태로 교원노동관계자문위원회 를 운영하고


(Steering Commission)

- 연구진 외에 실제 상담지도 가능한 전문인력 중심으로 일정 규모의 자문단을 운영


제 안 교육감협의회에 사무국을 두고 그 부설 연구소로 설치 운영하는 방안
2 :

- 교육감협의회 또는 그 위임을 받은 부교육감협의회가 연구소 운영위원회 (Steering

기능을 수행하며 교원노동관계자문 방향을 설정하고


Commission)

- 연구진 외에 실제 전문인력 중심으로 일정 규모의 교원노동관계자문단을 운영

- ix -
학교단위의 '新 교원 노사문화' 정착방안 연구

◇ 교장의 전문직화 추진

단위학교의 자율화를 위해서는 단위학교 경영의 전문화가 시급하다 교원노동관계의 .

선진화에 필요한 교사직의 전문직화를 선도하기 위해서는 먼저 교장직의 전문직화 를 < >

정착시켜야 한다 전문직화란 학교장이 더 이상 교원노동관계의 최일선 사용자가 아닌


.

노사관계로부터 독립된 제 의 지위를 갖는 것을 의미 한다 전문직화 전략의 핵심은 양 3 .

성프로그램 자격제도 전문직 단체의 세 가지에 놓여 있다


, , .

- 먼저 교장 양성연수프로그램 내용을 전면 재편하고 교육과학기술부 교육감협의회 - -

교장협의회를 중심으로 새로운 프로그램 개발 개년 중기사업 (3 )

- 교장자격제도를 현재처럼 관료제 내부 승진자격처럼 운영하지 말고 자격요건과 역


량 내용의 검증을 중심으로 객관화 한다 즉 승진대상자로 확정 후 자격 취득이 .

아니라 자격 취득자 중에서 교장을 임용하는 체제로 전환해야 한다 .

- 전문직 단체의 존재는 전문직화의 시작이자 끝이다 기존의 교장협의회를 법정 전 .

문직 단체화하고 전문직단체로서 공적 기능을 부여해야 한다 .

◇ 교사직의 다양화 추진

국가공무원 단일신분으로 일원화된 교사신분이야 말로 공공부문에 산업주의적 노동운


동이 출현하고 전국단위 단체교섭을 통해 조합주의적 관료적 교육지배구조가 형성되는
토대를 제공하고 있다 교사 신분을 다음과 같이 국가공무원 도단위공무원 자치도시 지
. , ,

방공무원의 가지로 다원화해야한다 그리고 이에 따른 교원노동관계도 원화 지역화되


3 . 3

도록 해야 한다 .

-국가공무원 국립학교 교사 교장 등 전국단위로 활동할 교육계 리더 트랙


: ,

-도단위공무원 농어촌 교육 등 광역 순환 전보 근무가 필요한 교사


:

-자치도시공무원 광역시학교교사 도 산하 자치 시 학교교사 등 평교사로서 전문직


: ,

화할 일반 교사
2. 지방교육행정당국의 역할

지방교육행정당국은 단위학교 중심의 발전에 핵심 역할을 담당해야 New Unionism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교원노조와의 단체교섭과 협약을 중심으로 조합주의적 교육지배


.

구조를 구축하게 되는 것을 지양하고 단위학교중심의 노사관계 운영을 지향하기 위한


- x -
<요약문>

노력의 중추에 서야 한다 .

◇ 학교장의 권한 사항의 단체협약체결 금지

먼저 법규상 학교장의 권한에 속하는 사항을 단체협약에 포함시키지 않도록 한다 이 .

는 그동안 학교장의 지위를 약화시키는 주된 원인이 되어 왔다 이러한 사항들은 단체교 .

섭이 아니라 학교장을 중심으로 단위학교에서 민주적으로 의사결정이 이루어져야 할 사


항들이다 .

◇ 학교장 지원을 교육행정의 중심으로: 장학과 <단위학교의사결정시스템>

학교장권한사항을 단위학교로 돌리게 되면 의사결정을 중심으로 교장의 성공적 직무


수행을 위한 장학지원이 활성화되어야 한다 학교장의 의사결정을 지원하는 의사결정지 .

원시스템 성격을 지닌 <단위학교의사결정지원시스템 >


(DSS: Decision Support System)

을 개발하여 보급해야 한다 이 작업은 교육감 협의회를 중심으로 추진될 수 있을 것이


.

다 단위학교의사결정지원시스템 에 포함되어야 할 핵심요소는 다음과 같다


. < > :

① 절차의 확립
CBD(consult before decision-making)

② 민주적 회의운영과 합의 도출을 위한 학교 내 커뮤니케이션 하위체제


③ 단위학교의사결정에 필요한 조사 및 지식관리 하위체제
④ 이견과 갈등 해소를 위한 협상과 의사소통 지원 하위체제
◇ 교과 장학시스템의 재구축

전교조 역량의 핵심을 이루는 활동가 와 분회장 을 능가하기 위해서는 이들 보다


< > < >

유능한 각 교과별 교과장학진의 확립이 결정적으로 중요하다 전국적 장학체제의 복원에 .

맞추어 각 시도에서도 특히 교과장학 체제의 복원을 추진해야 한다 .

3. 학교관리자의 역할과 교육훈련

학교관리자로서 교장은 노사관계와 무관한 각종의 권능을 법규에 의하여 수권 받고


있다 이러한 역할과 권한을 민주적으로 행사할 수 있는 역량이야 말로 학교장의 연수
.

교육 프로그램에 중점 반영되어야 한다 더 나아가 이러한 교육내용은 단위학교 현장에


.

서 수시로 업무에 참고하고 응용될 수 있는 <학교장 직무수행 매뉴얼 >의 형태로 매뉴


얼화 되어 단위학교 현장에 보급되어야 한다 그 내용구성의 대강은 다음과 같다 . .

학교장을 포함한 교감 부장교사등 및 핵심 교사를 위한 학교관리자 교육프로그램 발


( ,

전 방향과 세부 내용에 관하여는 별도 부록 참조 )

- xi -
학교단위의 '新 교원 노사문화' 정착방안 연구

가. 기초적 판단과 논리를 위한 사고력-“전교조 바로 알기”

학교장들은 전교조와 그 조합원이 주장하는 이른 바 참교육 논리 앞에서 대항하지 못


“ ”

하고 있다 이는 고도의 선전 논리 앞에 굴복하는 교장들의 지적 훈련 부족을 시사하고


.

있다 건전한 판단력과 논리적 사고를 통해 전교조 주변 교사 학생 학부모들에게 충분히


.

전교조의 실체를 드러내고 이들의 지지를 얻어낼 수 있는 역량이 필요하다 상식과 균형 .

에 입각한 다음과 같은 대항논리를 교장들이 습득해야 한다 .

“참교육 논리”와 강령 비판과 대항(“전교조 바로 알기”)의 논리


인간은 양면성을 지니며, <공동체>의 일원인 동시에
1. 우리는 더불어 사는 삶을 소중히 여 개별성과 고유성을 지닌 <인격>이다. 전자만을 강조
하면 창의성이 결여된 <공산주의적 인간상> <회사형
기는 인간상을 추구한다. 인간상>에 빠지며, 전교조가 편협한 일면적 인간상
을 추구함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강령이다.
1.전교조는 <국민교육-National Education>을 타파
하고 <민족교육>을 그에 대신하려 한다. 양자의 차
1. 우리는 민족의 자주성 확보와 평화통 이가 무엇인가를 전교조는 대답하지 못한다.
일을 앞당기기 위한 교육을 실천한다. 2.<민족교육>은 세계화 시대의 <더불어 사는 삶>과
충돌하는 배타적 이념이며 <주체사상>의 논리이다.
전교조 강령 1호와 2호는 서로 모순된다.
1. 전교조는 누구나 동의하는 보편적 이념과 가치를
1. 우리는 민주주의의 완성과 생활화를 자신 만의 것인 양 포장하여 독점하고 있다. 전교조
지향하는 교육을 실천한다. 강령의 이 부분은 “자신은 선하고, 남들은 악하다”라
는 도덕적 우월성과 아집의 논리에 기초하고 있다.
1. 우리는 몸과 마음의 건강을 지키는
2. 이들 전교조 강령은 고도의 선전(propaganda) 전
교육을 실천한다.
술의 반영이다. “A=B” “나는 A" 라는 단순한 규정
1. 우리는 양성평등교육을 실천한다. 의 논리, 주술적(呪術的) 논리를 반복 사용하는 것은
1. 우리는 인권교육을 실천한다. “적과 동지”를 구분하고 지지자를 세뇌하는 스탈린
주의적 정치선전 기법의 핵심이다.
1. 우리는 노동의 가치와 노동자의 권리
3. 이러한 이념과 교육목적 자체는 누구나 동의하는
를 존중하는 교육을 실천한다.
것이다. 전교조와 비 전교조간의 차이는 그 것을 추
1. 우리는 자연과 인간의 공생을 지향하 구하는 방법에 있다. 민주주의는 이념일 뿐 아니라
는 교육을 실천한다. 방법이다. 전교조는 정당한 민주적 이념과 목적을 비
민주적이고 부정한 방법으로 추구하고 있다.
1. 우리는 교육과정을 창조적으로 운영
4. 주장(主張)의 언어는 거짓과 진실이 구별되지 않
한다.
는다. 이때는 말과 행동이 일치하는 지가 거짓과 진
1. 우리는 서로 돕고 협동하는 학습의 실을 구별하는 결정적 기준이다. <참>인 진술은 진
원리를 구현한다. 실한 사람이 말하면 진실, 거짓말장이가 말하면 거짓
이 된다: 형식논리학 제1장
1. 우리는 학생자치를 존중하고 돕는다.
5. 각 강령마다 전교조의 말과 행동은 일치되지 않으
1. 우리는 동료 교사와 함께 연구하고
며, 따라서 전교조 강령은 모두 거짓이다. 이들 전교
실천한다. 조 강령이야 말로 그 단순성과 보편성으로 인해 역
1. 우리는 학부모·지역사회와 협력한다. 으로 전교조에 대항할 수 있는 가장 효과적인 무기
이다: “상대의 무기로 상대를 제압 한다”
참교육을 가로막는 제도와 관행에 맞서는 가장 올바
1. 우리는 참교육을 가로막는 제도와 관 른 방법은 <문제해결>의 논리이며 <투쟁>의 논리가
행에 맞서 투쟁한다. 아니다. 본 강령은 소위 “참교육”이 교육논리가 아니
라 정치논리임을 드러내는 핵심 강령임.

- xii -
<요약문>

나. 전문지식: 단위학교운영과 관련된 법률적 지식, 노동관계지식

○ 학교법제 관련 지식 교육과정법제 인사법제 단위학교법제


: , , :

노사관계와 무관한 학교장의 법정지위 및 고유권한과 직결되어 있으며 단위학교자율 ,

성의 핵심 내용이자 전교조가 학교장을 상대로 하는 단위학교내 교섭협의 사항으로


주목하고 있는 다음 사항을 교육의 초점으로 한다 .

■초․중등교육법
학교규칙 제정 학생의 징계 학교생활기록부 작성․관리
학년제외의 제도 채택 조기진급․조기졸업의 인정

■초·중등교육법시행령
업무분장 보직교사의 증치
산학겸임교사·강사·명예교사의 임용 수업일수 지정·감축
복식학급 편성 임시휴업 실시
복수 학과․학급의 병합 수업 교외체험학습허가
수업 시․종 시각 지정 수료․졸업 인정
학습부진아 판별·교육 입학․편입학․재입학․퇴학․전학․휴학의 허가
고등학교 입학전형 실시(고등학교장)

■학교급식법
위탁급식 실시 및 학교급식공급업자의 지정
■학교급식법시행규칙
학교급식위원 임명·위촉

■학교보건법
학생·교직원 신체검사 실시 전염병 보균자에 대한 등교정지 처분
임시휴업 실시
■학교보건법시행령
정화구역의 관리

■학교수업료및입학금에관한규칙
수업료·입학금의 면제·감액 수업료징수기일 지정
수업료 체납학생에 대한 징벌

○ 교원노동법제 관련지식 단체협약 부당노동행위 : ,

○ 교섭과 협상 관련 일반적인 법규범과 규칙


○ 교장 에게 필요한 학교조직 시설 교육과정 이론
< >

다. 역량: 리더십 key skills

○ 공동 의사결정의 기법과 절차
( )

-학교장은 교사들에게 민주주의가 무엇인지 행동으로 보여주고 상대방의 비민주적


행동을 설득으로 제지 할 수 있어야 한다 절차적 공정성 에 관한 학습이 필요
. < > .

- xiii -
학교단위의 '新 교원 노사문화' 정착방안 연구

○ 범용의 협상력 교섭력 상대방에게 제안을 하고 그에 대한 동의를 이끌어 내는 효


:

과적 방법이 협상이며 교장리더십 확보의 첩경이자 갈등관리의 핵심 기술임


, , .

○ 적극적 청취 (active효과적 인터뷰 기법 등 정보수집기술 민주적 관리


listening), :

자는 필요한 정보를 보고에 의존하지 않고 인터뷰를 통해 수집함 교사들 상대로 보 .

고를 요구하는 것이 아니라 인터뷰를 통해 관계를 확립하고 정보를 수집 .

○ 주장과 증거 문서화 등 규범적 사실적 변론 능력 논리로 포장된 상대방의 정치


, :

적 선전을 드러내고 비판 공략할 수 있는 판단력과 대항 논리 습득


○ 회의법과 회의 사회자로서 의장직 수행능력 학교업무는 수많은 회의로 이루어짐 : .

소수의 횡포를 제지하고 침묵하는 다수를 이끌어 내는 사회자의 역량 필요 .

○ 공중상대 스피치 역량
(public communication)

소수의 횡포를 제지하고 침묵하는 다수를 이끌어 내는 또 다른 중요한 방법은 청중


의 마음을 사로잡는 공개 스피치 역량에 있음 교장 직무 수행의 필수요소 . .

○ 교장이 가져야할 인문학 인간학적적 소양 인간심리연구 ( )

교사들의 행동에 나타난 표면의 입장과 논리가 아닌 상대방의 인간적 내면적 동기와
가치관을 파악하는 것은 가장 고도화된 관리자 역량에 속함 교장들에게 필수적임 . .

라. 직무윤리와 전문직으로서의 태도

도덕적 감수성과 윤리적 판단력은 모든 관리자 직무의 핵심 부분에 속함 이는 가치명 .

료화 훈련과 가치분석을 통해 함양 될 수 있음 특히 다음과 같은 소재를 중심으로 학.

습하다 보면 학교 내에서 발생하는 모든 갈등 문제를 해결의 토대가 되는 도덕적 리


더십을 확보할 수 있으며 교사와 학생들에 대하여 교장으로서의 지도력을 발휘하게
될 것임 :

○ 전문직 교장으로서 교사에 대한 태도와 윤리


○ 전문직 교장으로서 학부모에 대한 태도와 윤리
○ 전문직 교장으로서 학생에 대한 태도와 윤리
○ 전문직 교장으로서 지역사회에 대한 태도와 윤리

- xiv -
2009년 정책연구개발사업

학교단위의 '新 교원 노사문화' 정착방안 연구

I. 서론
목 차 1. 연구목적, 필요성과 배경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
2. 선행연구 검토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
3. 연구내용 및 연구 방법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

II. 교원노사 양측의 전략과 단위학교교원노동관계


1. 전략분석의 관점과 방법론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0
2. 교원노동조합 측의 전략분석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3
3. 교육행정당국의 전략분석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9
4. 전략분석종합: 단위학교교원노동관계의 이론적 모델 ·
··
··
··
··
··
··
··
··
··
··
··
··
··
··
··
· 51

III. 단위학교에서의 분쟁과 갈등 사례 분석


1. 행정적 실태조사결과와 교단안정화 대책 · ··
··
··
··
··
··
··
··
··
··
··
··
··
··
··
··
··
··
··
··
··
··
·· 53
2. 교원노사관계 쟁송 사례분석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6
3. 쟁송 실태분석 종합:<교육문제>의 실종 ·
··
··
··
··
··
··
··
··
··
··
··
··
··
··
··
··
··
··
··
··
··
··
··
· 83

IV. 단위학교 노동관계의 성과평가 및 학교장 인식조사


1. 조사개요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85
2. 교원노조 도입 이후의 10년 성과 · ··
··
···
··
··
···
··
··
···
··
···
··
···
··
··
··
··
··
··
··
··
··
··
··
· 89
3. 학교장의 역할과 인식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03
4. 조사결과 종합 및 논의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29

V. 단위학교노사관계 종합 진단 및 전망
1. 외국의 교원노동관계 추세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34
2. 우리나라 단위학교교원노동관계 모델의 현 상황과 전망 · ·
···
··
··
···
··
···
··
··
··
· 143
3. 단위학교‘신 교원노사문화’정착방안 ·
··
··
··
··
··
··
··
··
··
··
··
··
··
··
··
··
··
··
··
··
··
··
·· 150

VI. 결론 및 정책 제언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56
1. 교육정책당국의 역할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57
2. 지방교육행정당국의 역할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62
3. 학교관리자의 역할과 교육훈련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63

[참고문헌]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64
[부 록]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65
<부록-1> 학교관리자 노동관계교육 발전 방향 ·
··
··
··
··
··
··
··
··
··
··
··
··
··
··
··
··
··
··
··
·· 165
<부록-2> 전략분석에 활용된 전교조 관련 자료 목록 ·
··
··
··
··
··
··
··
··
··
··
··
··
··
··
··
· 180
2009년 정책연구개발사업

학교단위의 '新 교원 노사문화' 정착방안 연구

표 목차 <표 1> 교원노동관계의 권력요인 변화 추이 ·


·
<표 2> 교원노동관계의 노사양측 구조 비교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1
·
· 12
<표 3> 교원노동관계의 노사양측 행동 변화 추이 · ·
··
··
···
··
···
··
··
··
··
··
··
··
··
··
· 13
<표 4> 단체협약 2005년 이행 결과 현황 및 이행점검 실적 · ··
··
··
··
··
··
··
··
· 43
<표 5> 단위학교교원노동관계의 이론적 모델 · ··
··
··
··
··
···
··
··
···
··
··
··
··
··
··
··
··
··
··
· 51
<표 6> 조사대상자 기초사항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87
<표 7>‘단위학교 교원노동관계의 발전모델 연구’에 관한 설문 문항 · ·
··
···
··
·· 88
<표 8> 면담대상자 학교급별 지역별 분포 · ··
··
··
···
··
··
···
··
···
··
···
··
··
··
··
···
··
··
···
· 89
<표 9> 교원근무여건 및 지위 향상 ·
··
··
··
··
··
··
···
··
··
···
··
··
···
··
···
··
··
··
··
··
···
··
··
···
· 90
<표 10> 학교 경영 및 단위학교 환경의 민주화 · ···
··
···
··
··
···
··
···
··
···
··
··
··
··
··
· 90
<표 11> 교육과정 정상화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91
<표 12> 단체협약이행 및 실적 보고업무의 영향 · ··
··
···
··
··
···
··
···
··
···
··
··
··
··
··
· 92
<표 13> 단체협약으로 인한 학교장의 역할 약화정도 ·
··
··
··
··
··
··
··
··
··
··
··
··
··
··
· 93
<표 14> 교장의 영향력이 심각하게 약화된 부문 ··
··
··
··
··
··
··
··
··
··
··
··
··
··
··
··
··
·· 93
<표 15> 규칙, 규범 등이 의사결정에 미치는 구속력 ··
··
··
··
··
··
··
··
··
··
··
··
··
··
·· 94
<표 16> 부당노동행위로 비난이나 제소 가능성 ··
··
··
··
··
··
··
··
··
··
··
··
··
··
··
··
··
··
·· 94
<표 17> 부당노동행위에 대한 관리자의 경험 ·
··
··
··
··
··
··
··
··
··
··
··
··
··
··
··
··
··
··
··
·· 94
<표 18> 부당노동행위 관련 학교장과 교원노조 간의 갈등 · ·
··
··
··
··
··
··
··
··
··
·· 95
<표 19> 학교장과 교원노조원 간의 갈등 심각성 ·
··
··
··
··
··
··
··
··
··
··
··
··
··
··
··
··
··
· 96
<표 20> 부당노동행위 관련 교장 대응방식 ·
··
··
··
··
··
··
··
··
··
··
··
··
··
··
··
··
··
··
··
··
··
· 97
<표 21> 학교장과 교사의 지위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98
<표 22> 성공적 학교장을 위해 필요한 지식 · ·
··
··
···
··
··
···
··
··
···
··
···
··
··
··
··
··
··
·· 99
<표 23> 성공적 학교장을 위해 필요한 역량 ·
··
··
··
··
··
··
··
··
··
··
··
··
··
··
··
··
··
··
··
· 100
<표 23> 선진국의 노동법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35
<표 24> 선진국의 교원노동권 보장 방식 ·
··
··
··
··
··
··
··
··
··
··
··
··
··
··
··
··
··
··
··
··
··
·· 135
<표 25> 작업조직 성격과 통제의 변화(Kerchner & Mitchel,1988) ·
··
··
··
··
··
··
· 141
<표 26> 교원노동조합의 성격변화(자료:Kerchner & Caufman) ···
····
··
··
··
··
··
··
· 143
<표 27> 교육개혁과 교원노동관계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46
<표 28> 단위학교노동관계의 미래 모델 ·
··
··
··
··
··
··
··
··
··
··
··
··
··
··
··
··
··
··
··
··
··
··
·· 149

<그림 1> 전교조 분회장연수자료에 나타난 분회 조직 체계(예시) ·


··
··
··
··
··
··
··
··
··
·· 24
그림목차 <그림 2> 전교조 조직 기구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5
I. 서론

Ⅰ. 서론

1. 연구목적, 필요성과 배경

가. 연구목적
학교는 학교교육과정을 기반으로 하는 교육이 실행되는 기본 단위이며 교원과 학교간
의 일상적 노동관계 가 구현되는 주된 장소이다 학교경영진과 개별 교사간의 올바른
2)
.

노동관계 확립의 출발점이 바로 이곳 단위학교가 될 것이다 본 연구의 직접적인 목적은 .

단위 학교 교원노사관계의 실태를 진단하고 바람직한 모델을 정립하며 이를 실천에 옮


길 수 있는 중앙 지방 교육행정당국의 역할과 학교관리자 역량의 강화 방향을 제시하는
데 있다 .

단체교섭과 단체협약이 전국단위 광역시도 단위로 이루어지는 교원단체교섭협약 체제


하에서 개별 학교는 이러한 단체협약이 이행되는 주된 장소가 된다 그런데 단체협약은 .

그 자체가 집행되어야 할 관료제적 규칙의 기능을 갖게 됨에 따라 단위학교 자율화와


충돌되는 경향을 내재하고 있으며 단위학교 교원노사관계의 모델을 정립함에 있어 단체
협약체제와 단위학교의 자율화를 조화시키는 것은 가장 중요한 첫 번째 고려사항이 될
것이다 .

한편 단위학교 교원노사관계의 또 다른 중요한 양상은 학교장의 리더십행사와 교사들


,

의 노동권 간의 충돌이다 부당노동행위 를 둘러싼 갈등이 그 대표적인 사례이다 본


. “ ” .

연구의 또 다른 고려 요인은 이러한 충돌의 실태와 배경을 파악하고 이를 원만히 극복


하기 위한 방안의 도출에 있다 구체적으로 다음 사항을 포함하는 학교단위의 올바른
. ,

단위학교교원노동관계의 발전모델을 정립하고자 한다 .

○ 학교와 교실 단위 교육개혁에 기여하는 교원노조의 역할 제고


○ 단체협약의 집행을 둘러싼 학교단위의 논란과 갈등의 예방
○ 부당노동행위를 둘러싼 학교단위의 논란과 갈등의 예방
○ 교원노동관계의 원만한 발전에 기여하는 학교장의 리더십 확립
한편 상기 가지 요소를 중심으로 구성되는 발전모델이 단위 학교현장에 구현하기 위
4

해서는 학교장 등 학교관리자 학교운영위원 등 단위학교 의사결정 참여자의 역할이 매


,

2) “노사관계”라는 용어는 노사의 구분과 대립을 전제로 한다. 그러나 단위학교는 교장을 대표자로 교사와 학생
들의 자율공동체 성격이 크며 이에 대해 학교의 문제로서 <노동관계>를 다룰 수 있으나 이에 대해 노사관계
라는 용어를 적용하는 것은 학교의 실체를 사용자-노동자 관계로 왜곡할 우려가 크다. 이는 본 연구보고서의
취지와 배치되므로 여기서는 ‘노사관계“ 대신 ”노동관계“를 표준용어로 사용한다.

- 1 -
학교단위의 '新 교원 노사문화' 정착방안 연구

우 중요하다 본 연구의 부차적 목적으로 이들의 교원노동관계 리더십을 향상시키기 위


. ,

한 교육훈련과정의 운영과 설계 방향을 제시하는 것이 포함된다 .

나. 연구의 필요성
전국 광역시도 단위의 단체교섭 협약 체제가 도입되어 년이 되었다 이러한 집권적
/ 10 .

인 단체교섭체제를 운영해온 결과 일반적으로 산별노조체제에 뒤따르는 산업관계


의 주요 특징이 교육부문에도 나타나기 시작했다 즉 ①단결력 교섭
(industrial relations) . /

력을 중시하는 교육행정과 교원단체의 행동전략 ②교육감선거와 단체교섭테이블의 양자 ,

를 매개로 형성되는 교육행정지배구조에서의 경향이 그 것이다 갈등 속에 corporatism .

서 출범한 단체교섭 체제 하에서 학교 현장 중심의 노사 갈등 역시 다양한 양상으로 관


행화 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학교장의 학교경영권 노무감독권 과 노동조합활동 보장 . ( )

이나 단체협약의 준수를 요구하는 노동조합의 학교분회간의 갈등사례 인사자문위원회 (

규정 학급일지 및 교수학습지도안 폐지 교시수업 등 도 있었으며 교육정책의 집행 과


, , 0 ) ,

정에서 학교장과 교원노조 구성원의 갈등이 심화된 경우도 발생 특히 방과후 학교를 특 ( ,

기․적성교육으로 한정 학업성취도 평가 표집학교 실시 등 하면서 학생의 학습권과 학


, )

부모의 교육권 보호가 중요한 사안으로 대두되었다 .

결과적으로 자율적 질서를 바탕으로 운영되어야 할 단위학교가 획일화된 관료적 체제


하의 단위사업장으로 전락하는 추세가 나타나고 있었다 이와 더불어 단위학교에서는 .

<부당노동행위 여부와 단체협약의 이행을 둘러싸고 교장 등 학교관리직과 교원노동조


>

합원의 갈등이 만연되고 있으며 이 과정에서 학교장의 리더십이 뚜렷하게 약화되고 있


다 이러한 것은 교원노조법 제정당시 충분히 예상될 수 있었으나 교원단체교섭제도가
. ,

이를 기대한 것은 아니다 이러한 부작용들을 시정할 수 있는 제도적 개선과 단위학교


.

차원의 학교경영발전이 필요하다 그 출발점은 단위학교에서 찾아야 한다 즉 단위학교의 . .

실태조사와 그에 기초한 모델 탐구가 필요한 것이다 .

한편으로 년 대통령선거에 따른 새 정부 구성 이후 교원노사관계는 새로운 격동


2008

기에 들어서고 있다 지난 년간 교원노조합법화 이후 지탱되어 오던 불안정한 단체협


. 10

약체제가 새 정부 들어 단체협약의 연쇄적 해지로 단체협약 공백사태가 초래되면서 우


리나라의 현 교원노동관계 전반 상황은 극심한 불확실성에 직면하고 있다 새 정부는 교 .

원노동조합의 권력남용을 막기 위한 교원노조법 개정안을 제출함과 동시에 년 월 2008 11

에 그동안 자동 갱신되어 오던 단체협약의 해지를 선언하고 그에 따라 각 시도 교육청


들도 기존 협약의 해지와 함께 새로운 협약을 위한 교섭에 착수하고 있다 .

전국수준에서 보면 년 교원의노동조합설립및운영에관한법률 이 시행된 이후 교원


1999 ‘ ’

노조 교육부간 교섭을 통해 년 년 년 차례의 단체협약 타결이 있었다 이


- 1999 2001 2002 3 .

- 2 -
I. 서론

후 단체교섭이 계속 실패함에 따라 년 월 일에 전문 본문 개조 부칙 조를 2002 12 30 , , 105 , 5

포함한 단체협약이 체결이 마지막이었다 단체협약의 유효기간은 년으로 규정되었지만 . 1 ,

이후 여러 가지 사정으로 인하여 현재까지 새로운 단체협약이 체결되지 못하였다 . ‘04.1

월 교원노조가 교섭요구안을 제출한 이후 실무교섭을 회 본교섭을 회에 걸쳐 진행하 19 , 5

였으나 교원노조의 사정으로 단체교섭이 중단되었다 또한 월에는 교원노조가 새 .3) ’05.9

로운 교섭요구안을 제출한 이후 제 차 본교섭 일정까지 합의하였으나 교원노조 사이 전 1 , (

교조 한교조 자유교조 의 교섭단 구성 등의 문제로 인해 년 월 이후 단체교섭이 중


, , ) ’06 9

단되었다 따라서 현재의 전국단위 단체협약에 관한 한 교섭이 시작되면 기존 협약이 자


.

동 갱신된 것으로 보고 있는 년 협약 부칙 조 및 조에 따라 년 단체협약이2002 1 2 2002

우리나라의 교원 노사관계를 지배하여 왔으나 단체협약해지에 따라 새로운 단체교섭을


통한 새 협약 체결이 불가피하다 전국 단위와는 대조적으로 광역시도 단위에서는 비교
.

적 단체교섭이 꾸준히 이루어져 각 광역시도 별로 교육감 교원노조 간의 단체협약이 대 -

체로 성공적으로 체결 되어 왔으나 새 정부 들어서 이들도 교육감들에 의하여 연쇄적으


로 해지되어 지방 수준에서도 새로운 협약을 통한 노사관계의 재정립이 당면한 과제로
떠오르고 있다 그러나 중앙 지방을 막론하고 교섭상대방인 교원노조가 진보 성향의 전
.

교조 외에도 중도 성향의 한국교원노조 뉴라이트 계열의 자유교원노조와 대한교원노조 ,

등 개나 있어 노조들 간에 합의를 이루기 어려워 단체협상을 통한 새로운 협약 마련이


4

상당 기간 불가능한 상태에 놓여 있다 .

현재의 교원노사관계는 노동조합운동의 전반적 퇴조 현상에 의하여도 크게 변화할 기


로에 서있다 노동부의 자료 에 의하면 노동조합 조직률은 년 를 정점으로 하
. 4)
, 1989 19.8%

락하는 추세를 보여 년~ 년 대 년~ 년 1997 년 2001년 12% , 2002 2003 11%, 2004 10.6%, 2005

로 집계되었는데 년에는 년과 동일하게 로 조사되었다


10.3% , 2006 2005 10.3% .

지난 년 2007는 우리나라의 노동법 및 노사관계 진전 상황에 대한 모니터링을


OECD

3) 그 동안의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음


○ 교과부-교원노조 단체협약 체결(전문, 본문 105개조 부칙5조) : ‘02.12.30
○ 교원노조의 단체교섭 요구안 접수(총104조 320개항) : ’04.1월
○ 5차례 본교섭 위원회 및 19차례 실무교섭위원회 개최 이후 전교조 위원장 선거로 인해 교섭 유예 : ‘04.11월
○ 위원장 선거에서 집행부가 교체되면서 교섭 중단 : ‘04.12월
○ 교원노조의 단체교섭 요구안 접수(총137조 468개항) : ‘05.9월
○ 단체협약 체결을 위한 수시 실무협의회 개최 : ‘05.10~’06.4월
○ 제1차 본교섭 개최(5.19)관련 노사 협의 : ‘06.5.4
○ 신생 자유교조, 단체교섭 참여 요구하면서 교섭 중단 : ‘06. 5.10
○ 단체교섭 개최를 위한 실무교섭협의회를 3회 개최하였으나, 전교조 및 한교조의 불참으로 무산 : ‘06.6~9월
4) 노동부가 2008년에 발표한 2006년 전국노동조합 조직현황(2007년 12월 31일 기준) 참조.
- 한국노총의 노동조합수와 조합원수는 각각 3,429개소(58.2%), 755,234명(48.5%)이고, 민주노총
의 노동조합수와 조합원수는 각각 1,143개소(19.4%), 627,274명(40.2%)임.
- ‘노동조합 및 노동관계조정법’을 적용받는 노동조합수는 5,803개소(98.5%), 노동조합원 수는
1,375,845명(88.2%)으로 전체 노동조합의 대부분을 차지함. ‘교원의 노동조합설립 및 운영 등에
관한 법률’을 적용받는 노동조합 수는 8개소(0.2%), 노동조합원 수는 104,280명(6.7%)임.

- 3 -
학교단위의 '新 교원 노사문화' 정착방안 연구

즉시 종료하기로 결정하였다 이는 우리나라의 노동법 및 노사관계 개혁성과에 많은


.5)

진전이 있었음을 국제사회에서 공인받았음을 의미하며 나아가 우리나라의 노사관계가 , ,

새로운 전환점을 맞고 있음을 확인하는 것이다 노사양측은 국제기구나 외국의 지지에 .

매달리는 것에서 벗어나 한층 더 상생의 노사관계 정립에 공동 노력하는 모습을 보여야


하는 책임감과 의무감이 가중되었고 정부도 노사관계 선진화 입법 이후 하위법령 등 , ,

국제기준에 맞는 노동법 및 제도 마련에 박차를 가해야 할 상황이다 .

상술한 여러 가지 배경 상황을 통해서 볼 때 한층 선진화된 새로운 교원 노사관계 , ‘

모델 을 정립하고 이를 통해 단위학교에서 작동할 수 있는 다양한 전략을 강구할 필요


가 있게 되었다 교원노사관계의 원만한 발전을 위한 중앙정부 시․도교육청 관계 전문


. , ,

가 집단 교육․연수기관 등의 인적․물적 네트워크 구축 등 이 분야의 제도 형성


,

작업을 서두르는 동시에 궁극적으로 학생의 학습권을 보호해야 하


(institution building)

는 교직의 특수성과 교원의 노동기본권을 조화롭게 보장하는 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


는 것이다 이러한 필요성에 따라 본 연구는 교원노조 설립 이후의 교원 노사관계현황을
.

정리 분석하고 새로운 교원노사문화 정착을 위한 방안을 마련하는 데 그 목적이 있으며


,

이를 통해 교원의 노동권 보장은 물론 그동안 소홀히 취급되었던 학생의 학습권 보호가


조화되는 모델을 탐구하고자 하는 것이다 .

2. 선행연구 검토

유감스럽게도 지난 년간 교원노동관계에 관한 연구는 충분히 축적되지 않았다 노순


10 .

규 는 교원노조 및 전교조에 대한 노사관계의 역사적 경로를 살피고 교원노조법에


(2009)

대한 내용을 다각적으로 분석하였다 즉 교원노조로서 권리와 부당노동행위와 단체교섭


. ,

기법 및 전략 등을 법규와 판례 등을 중심으로 정리하였으며 특히 인터넷의 각종 포털 ,

사이트를 이용한 이론 및 사례를 인용한 것이 특징이다 .

우재구 는 노사관계의 본질 교원과 노동기본권 외국의 사례 등을 중심으로 한


(2008) , ,

분석을 통해 이원적 교섭체계의 개선 전문직주의와 조합주의의 통합 등 향후 교원 노사,

관계의 발전 방향에 대해서 기본 방향을 제시한 바 있다 .

윤종건 은 미국의 『
(2005) Conflicting Missions? - Teacher Unions and Educational

』의 분석을 통해서 미국에서 교원노조가 갖는 많은 측면들의 예를 들고 교원노


Reform ,

5) OECD는 우리나라가 1996년 OECD에 가입할 당시 노사관계법령을 국제기준에 부합하도록 개정하겠다고


약속함에 따라 지난 10여년간 우리나라의 노동법 및 노사관계 진전상황을 모니터링하였음. 그동안 우리나라
는 OECD가 제기한 쟁점들의 대부분을 해결하였음.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공무원/교원의 단결권, 단체교섭
및 단체협약권이 보장되었고, 필수공익사업장의 직권중재제도가 폐지되어 필수공익사업에서도 원칙적으로 근
로자의 파업이 가능하게 되었으며, 제3자 지원신고제도가 폐지되어 노사가 자유롭게 제3자의 지원을 받을 수
있게 되었음.

- 4 -
I. 서론

조와 교육개혁과의 수많은 논란에 대한 포괄적이고 균형잡힌 분석을 제공하고 있다 특 .

히 교원노조가 교육의 생산성 즉 학생들의 학업성취도에 기여했는가 하는 해답을 얻고


,

자 하는데 초점을 맞추었다 .

일부 실태와 성과 조사연구도 있다 박정신 은 교원노조의 상대적 임금효과 분석


. (2008)

을 통해서 초등교사 보수수준에 교원노조가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으며 이일권 , (2003)

은 교원노조 가입교사의 이중몰입에 대한 연구를 통해 학교 조직건강 및 노사관계 풍토


등에 대한 연구를 하였으며 김덕근 은 교육행정정보시스템
, 정책과정에서 나
(2004) (NEIS)

타난 교원노조의 영향에 대해서 내부적 변수 및 외부적 변수를 중심으로 한 분석을 하


였다 .

관련 법규 연구도 일부 진전이 있었다 박재윤 은 교원노동조합이 살아있는 실체 . (2004)

로 우리 사회에서 활발한 기능을 하는 상황에 있음에도 불구하고 교원노조법이라는 기


본적 규범에 대해서 인식을 넓히기 위해 교원노조법에 대한 전반적인 설명과 함께 각
조문을 해설하여 수록하였다 .

국내 논의 동향은 크게 보아 다음의 세 가지로 요약될 수 있으며 개별적 문제점 논의 ,

가 중심이 되고 있어 아직 교원노동관계 전반에 대한 재검토로 이어지지는 않고 있다 .

○ 우파 교육시민단체 중심의 논의 는 다음과 같은 단체교섭사항의 월권을 중심으로 비


6)

판하고 이를 막기 위한 법개정을 주장
교원노동조합에 대한 편의 제공 및 교내 노조 및 홍보활동 보장
-

교육정책과 관련된 사안에 관한 교섭


-

학교경영과 관련된 사안에 관한 교섭


-

교섭대상이 아닌 사립학교 관련 교육청 교섭


-

○ 교육연구자를 중심으로 하는 연구문헌 들은 교육과 관련한 노동관계로서의 특수성을 7)

강조하고 특히 교원전문직단체와의 통일적 취급을 강조하는 경향이나 교섭사항에 관하


여는 노동법학계의 일반적 해석론에 의존하는 경향이다 특히 학생과 학부모의 권익 보 . ,

호에 관하여는 교사의 교육권입장에서 이 문제에 접근하는 하는 것이 특징 8)

○ 노동법학자를 중심으로 하는 연구문헌 들은 교섭창구 교섭구도 등 기술적 사항에 9)


,

매달리는 경향을 보이거나 교원노조의 정치활동참여금지에 대한 비판에 머무르고 있으


,

며 노동관계 모델 그 자체에 관한 재검토는 거의 시도 하지 않고 있다 다만 노동법


10)
. ,

학자 중심의 본격적 정책연구로 나온 김영문 외 인 의 정부정책용역연구가 다음 2 (2005) 4

6) 2006 11월 바른교육권행동, 바른사회시민회의 주관 토론회


7) 허종렬(2000)
8) 안주열(2005)
9) 윤광희(1999), 이철수(2000),
10) 박종보(2006)

- 5 -
학교단위의 '新 교원 노사문화' 정착방안 연구

가지 사항을 결론으로 하고 있음 .

정부측 교섭주체의 확장
-

사립학교의 교섭주체 명확화


-

교섭대상과 비교섭대상
-

교원전문직단체와 교원노조가 함께 하는 개방형단체교섭모델 추구


- “ ”

이러한 국내 논의들은 커다란 한계를 보여주고 있다 선진국에서는 교원단체교섭제도 .

의 폐지와 사회적 교섭으로의 대체 행정계약 등 행정절차 관점의 도입 등 새로운 모델


,

이 시도되고 있으며 기존 단체교섭에 있어서도 제 의 전문가와 위원회 활용을 통한 중


, 3

재절차가 적극 강화되고 있으나 국내에서는 이러한 논의는 전반적으로 전혀 시도되고


있지 않고 있으며 세기 낡은 패러다임에 기초한 논의가 대부분 답습되고 있는 것이
20

바로 그 한계라 할 수 있다 .

3. 연구내용 및 연구방법

가. 연구내용
단위학교 교원노동관계 이하 노사관계 대신 노동관계 라는 용어를 채택하기로 한다
( “ ” “ ” )

에 초점을 둔 본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에 따른 연구의 범위는 첫째 사례분석을 통한 , ,

단위학교노동관계 실태 분석 둘째 새로운 교원 노사문화의 비전에 입각한 단위학교에


, ,

서의 교원노동관계의 모델 정립 및 추진과제 셋째 새로운 교원 노사문화의 확산 및 정 , ,

착 방안의 세 가지가 될 것이다 이를 각각 나누어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 .

단위 학교의 교원노동관계 실태조사


단위학교의 실태는 관련 당사자들의 구체적 개별적 행동과 행위들로 이루어진다 이에 .

관하여는 다음과 같은 내용의 축적된 실태조사자료를 수집 분석하는 동시에 질문지와


면접을 통한 조사가 이루어질 것이다 .

① 단위학교에서의 교원노동관계 분쟁사례분석


○ 교원 노사관계와 관련된 선행 실태조사 자료 검토
○ 노동위원회 제소와 심판 사례 교원의 소청 제기와 심판 사례 등 사례 분석을 통한
,

관련 규범과 학교 현장 실태 분석 ,

② 단위학교 교원노동관계 실태조사 설문조사와 면담을 통한 학교경영자의 인식 역할 :

및 행태 연구

- 6 -
I. 서론

○ 단체교섭과 단체협약이 단위학교에 미치는 영향 ,

○ 단체협약의 집행과정에서 오는 혼란 ,

○ 부당노동행위 집단행동 금지 교장의 행동 등


vs ,

○ 단위학교 교원노조 분회 활동과 경영권과의 갈등


교원노사관계에 있어서 노조의 탈법적 요구와 경영진의 대응
-

학교장의 역량 실태 및 학부모 및 교원의 역할 등


-

○ 교직관과 교원노동관계의 상호 관계 전문직관 노동자관 : vs

단위학교의 교원노동관계 모델 정립
단위학교의 노동관계가 현실로 어떻게 구현되는가 하는 문제는 유동적이다 불완전한 .

법제와 구조 하에서 노사 양측 당사자가 추구하는 전략이 단위학교에 궁극적 영향을 미


치기 때문이다 따라서 양측의 기존 전략 또는 향후 전략 변화 추세 등 전략분석을 토대
.

로 전략들의 조합에 따라 나타나는 단위학교 모델들을 탐구하고 학교미래의 발전에 필


요한 최선의 모델을 제시할 것이다 .

① 교원노조 운동 및 단체교섭 전략과 최근 동향 연구


교원노동관계에서 지난 10년간 추구된 노사 양측의 전략은 집권적, 조합주의
(corporatism)적이었다. 이러한 체제는 불안정하였으며 새로운 체제 구축이 필요하다. 국
제적으로도 교원노동관계에서 가장 앞서 나가 있던 미국 캐나다 호주권을 중심으로 기존
산별노조이념을 반성하고 새로운 노동조합주의(new unionism)에 입각한 교원노동입법동
향이 대두되고 있다.

② 新 교원 노사문화 의 비전 및 추진과제 도출
‘ ’

○ 학습권 보호를 지향하는 新 교원 노사문화 의 중․장기 비전


‘ ’

○ 단위학교 자율경영과 교육분야 단체교섭체제의 조화 방향


단위학교의 ‘新 교원노사문화 ’의 확산 및 정착을 위한 대책 연구
단위학교 교원노동관계의 원만한 발전과 학교의 미래를 위하여 여러 가지 시도와 제
안들이 나오고 있다 본 연구는 상기의 두 가지 연구 내용과 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

제안들에 대하여 타당성검토를 하는 동시에 적절한 실행 방향이나 대안을 제시할 것이


다.

① 교원 노사관계 중앙자문단 가칭 설립․운영 방안 도출


( )

○ 신교원노사문화의 확산 및 정착을 위한 대책 학교장만이 아닌 교원노조의 교섭요 :

구사항 및 행태 변화 등에 대한 제언

- 7 -
학교단위의 '新 교원 노사문화' 정착방안 연구

○ 교원노동관계에 관하여 교육감협의회를 자문함으로써 실질적으로 주된 사용자 입


장에 있는 교육감들의 신교원노사문화 리더십 을 강화하는 방안
② 교육 및 자문 컨텐츠의 내용 및 활용방안
○ 新 교원노사문화 교육콘텐츠 개발 연구
‘ ’ 에 근거하여 (New Unionism )

○ 학교장 및 관리자의 경영역량 강화를 위한 대책 도출


○ 교육프로그램의 내용 설계 및 운영 방안
교원노동관계와 교육법제의 기초 지식
-

학교의 의사결정과 참여 학교장의 역할


- -

협상력과 리더십
-

나. 연구방법과 일정
본 연구는 기본적으로 교원 노사관계 주요 당사자의 전략과 행동 실태를 조사하고 분
석하는 것을 방법론으로 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전략분석 또는 전략적 행위분석 방
. ( “ ”)

법과 설문지 및 심층면접을 통한 인식조사를 핵심적 방법으로 하였다 보고서의 작성에 .

이르는 과정에서 동원된 세부적 방법과 자료는 다음과 같다 :

○ 국내문헌 연구
-교원노조법의 성과와 문제점 교원노조와의 단체협약 개선에 대한 연구 등 선행연구
,

의 특징 및 문제점을 분석
-교원 노사관계와 일반 노사관계의 차이점에 대한 선행문헌 및 법제 연구
○ 외국사례 수집․분석
新 교원노조 운동 및 최근의 단체교섭 흐름 관련 논문 분석
- New Unionism( ) ,

-美 교육청 단체협약서 등 최근의 단체교섭 및 단체협약 동향 연구


, LA

○ 사례연구 및 서베이
-교원소청심사위원회 지방노동위원회 및 중앙노동위원회 법원 및 헌법재판소 등 각
, ,

종 사례 연구
-교원노조 활동 현황 및 문제점과 관련하여 학교장 조합원 비조합원 및 학부모․학 , ,

생 등 단위학교 구성원의 인식 조사 설문조사 또는 인터뷰 등 ( )

○ 세미나 토론회 및 전문가 협의회


,

-교원 노사관계 중앙자문단 및 정책연구진 간 정례협의회 개최


-교과부 및 시․도교육청 교직단체 담당자 협의회를 활용하여 정책연구 진행상황 발
표 및 검토

- 8 -
I. 서론

참고로 본 연구를 위하여 진행된 일정은 다음과 같다 .

월별
3월 4월 5월 6월 7월
연구내용

문헌연구, 해외사례 수집

사례연구 및 설문조사

교육용 콘텐츠 개발

新 교원 노사문화 비전 도출

토론회 및 전문가협의회

최종보고서 정리 및 제출

- 9 -
학교단위의 '新 교원 노사문화' 정착방안 연구

Ⅱ. 교원노사 양측의 전략과 단위학교교원노동관계

1. 전략분석의 관점과 방법론

가. 구조, 행위, 전략 및 모델
지난 년 이상 사회과학분야의 연구자들은 크게 두 방향으로 연구의 초점이 갈라져
100

왔다 한편으로 구조에 탐구를 집중하는 연구자들이 있었으며 다른 한편으로는 행위와


.

과정에 연구의 초점을 맞추기도 하였다 예를 들어 조직연구에 있어 조직구조 .

(organizational연구자들이 있는가 하면 구조나 형태를 버리고 조직행동


structure)

에 집중하는 연구자들이 있는 것과 같다 이들의 차이는 단순히


(organizational behavior) .

취향의 차이가 아니라 사회실재론과 사회명목론으로 갈리는 사회철학과 사회이론의 차


이이기도 하다 논리적으로는 관련 행위의 집적된 총체가 구조를 이루며 구조는 이들
. ,

행위들로 환원될 수 있을 것이다 .

그러나 구체적인 사회현상연구에 있어 이러한 양 극단의 논리를 적용하기는 어려운


경우가 많다 예를 들어 본 연구가 탐구해야 할 대상인 한국의 교원노동관계처럼 아직
.

안정되지 못한고 유동적인 사회현상을 연구할 때가 바로 그러하다 수 없이 다양하고 변 .

화무쌍한 단위학교 노사 양측 당사자의 행동을 자료를 통해 수집하고 그 전체적 모습을


일정한 개념과 이론 속에서 정리하는 작업은 불가능에 가까우며 잘못하면 자료 속에 파
묻혀 헤매게 될 수밖에 없다 반대로 아직 드러나지 않고 있으며 유동적일 수밖에 없는
.

단위학교 교원노동관계의 구조를 직접적 연구대상으로 설정하고 자료를 수집하는 것 역


시 불가능한 일이다 .

가장 합리적인 수준에서 자료를 수집하고 가시적인 분석의 단위로 할 수 있는 것은


구조와 행동의 중간 수준에 있는 전략 이다 전략 이란 사회적 상호작용의 < -strategy> . < >

당사자들이 추구하는 가치와 목적의 실현을 위하여 계산을 거쳐 선택한 행동 (strategic

들이다 분석단위 또는 연구 단위로서 이러한 전략들은 그 추구하는 가치와 목적


action) .

그리고 전형적인 수단적 행동들로 개념화되고 인식될 수 있다 그리고 이에 대한 자료는 .

그들 개인이나 조직의 전략을 담았거나 기술하고 있는 문헌 자료 또는 그들의 전략적 ,

행동에 관한 기술 자료를 통하여서 충분히 수집될 수 있을 것이다 .

사회적으로 상호작용하는 당사자들이 각자 취하는 전략은 서로 막바로 정합되어 구조


를 형성하지 못한다 전략과 전략이 서로 충돌하며 상호간에 조정되는 과정이 필수적으
.

로 뒤따른다 노사관계처럼 집단적 교섭


. 이 뒤따르는 경우는 그러 (collective bargaining)

한 조정조차도 쉽게 이루어지지 않는다 성공적인 조정을 위해서는 양 당사자의 전략적 .

행위만으로는 부족하며 이와는 본질적으로 다른 또 다른 사회적 행위 양식이 필요하다 .

- 10 -
II. 교원노사 양측의 전략과 단위학교교원노동관계

하버마스는 이를 소통적 행위 이라고 정의 내리고 전략적 행위와


(communicative action)

개념적으로 대조시켰다 결국 사회적 교섭과 협상 속에서 이루어지는 적절한 소통적 행


.

위를 통하여 양 당사자의 전략이 성공적으로 상호 조정되고 나서 당사자 사이에 구체적


이며 잠정적으로 안정된 노동관계가 구현되는 것이다 노동관계의 사회학적 모델은 이렇 .

게 구현된 노동관계의 유형들이 될 것이다 .

본 연구가 목적하는 바 단위학교 교원노동관계의 모델은 현 교원노사관계 양 당사자


인 교육행정당국과 교원노동조합이 현행 법제 하에서 전략적 행위를 주고 받으며 상호
작용한 결과로서 단위학교에 나타나게 된다 따라서 교원노사관계의 양 당사자의 전략을
.

분석하는 것이 연구의 출발점이 될 것이다 .

연구 방법론 측면에서 볼 때 이러한 전략 에 관한 자료의 수집과 해석은 계량적 방


< >

법만으로 수행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전략 당사자들이 추구하는 가치와 목적 그리고 그


.

를 위하여 선택하는 수단에 대한 이해를 필요로 하기 때문이다 뿐만 아니라 모델 구성 .

에 까지 나아가려면 이러한 전략이 상호 조정되는데 필요한 소통적 행위 의 내용에 대 < >

한 이해 역시 필요하다 전략분석의 방법은 그렇기 때문에 질적 연구 방법에 크게 의존


.

한다 이를 위해 노사 양 당사자의 전략적 활동문서들의 내용을 추출하고 분석하며 그


.

문서들이 놓인 시대적 장소적 상황맥락 속에서 이해하는 것이 주된 연구방법이


(context)

된다.

나. 교원노동관계의 구조와 행동, 노사 양측의 전략

<표 1> 교원노동관계의 권력요인 변화 추이

현재 향후
권력요인1
노동관계의 의제와 논의의 다양한 이해 관계자의 참여
(노동관계 의제의
독점(대의제 경향, Corporatism) 직접민주제 경향(conventionism)
결정과 참여)
권력요인2
행정과 학교경영이 집권적 학교현장중심의 결정권
(행정경영의
사회 전반적 집권화 경향 사회 전반적인 현장중심 경향
집권화 정도)

권력요인3
정치적 지지와 교섭력에 의존 지식권력과 참여를 추구,
(권력의 추구 및
단결과 단체행동 선호 옵션, 이슈, 의제의 주도권 추구
행사의 방식)

노동관계의 구조는 구조화된 권력관계로 나타난다 그러한 이유로 던롭은 한 사회 내 .

에서의 권력 관계를 노동관계를 결정짓는 중요한 요소로 판단하였다 던롭이 권력관계라 .

할 때 이는 정치권력 뿐 아니라 사회대집단 간의 영향력 관계를 포함하는 넓은 의미로

- 11 -
학교단위의 '新 교원 노사문화' 정착방안 연구

사용한 것이다 교원노동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권력관계는 사회 전반적인 현상으로써 시


.

대 변화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상기의 도표는 세 가지 권력요인의 변화 추이를 제시하


.

고 있으며 이러한 변화들은 권력 원천과 통제 방식 변화를 초래하는 커다란 사회변동을


그 배경으로 하고 있다 .

문제는 우리나라의 교원노동관계가 어떠한 권력관계의 맥락 속에서 움직이고 있는가


하는 점이다 본 연구의 출발 초점은 교원노사문제 양 당사자의 전략에 놓여 있지만 그
.

러한 전략을 수행할 수 있는 자원의 인적자원의 조직을 중심으로 이미 드러난 최소한의


구조적 권력적 요인을 여기서 기술하고 넘어가는 것이 좋을 것이다 구조적 요인으로서 .

먼저 눈에 뜨이는 것은 대규모 조직 을 이루고 있는 노사


(large-scale social organization)

양 당사자의 핵심 인원규모와 조직구조의 비교이다 사용자 측인 교육행정당국과 그동안 .

가장 영향력이 계속되어온 전교조를 비교하면 다음과 같다 .

<표 2> 교원노동관계의 노사양측 구조 비교

시도 책임자 시군책임자 학교책임자 전문활동가

교육행정당국11) 교육감 16 교육장180 교장/원장 9332 교육전문(장학)직 4110

전교조12) 지부장 16 지회장 282개 분회장 약9600 전문활동가 약2000

상기와 같은 양측의 전략수행자원 규모를 볼 때 외형상은 비슷해 보인다 그들 간의 .

구조적 요인을 볼 때 교원노동관계에 있어 노사 양측의 힘겨루기가 있게 되면 거의 대


등하게 나타날 것이라는 점을 쉽게 짐작할 수 있다 즉 상기 양 대집단 간의 영향력 관 .

계가 막상 막하라는 점이 우선 주목되어야 한다 양측은 각기 중요한 영향력 우위 요인 .

을 가지고 있다 교육행정당국의 경우 개별 학교의 자율성 전문활동가의 역량의 상대적


. ,

부족과 업무의 분산 직선으로 뽑히는 교육감의 자율성과 독자성 등으로 인해 노동관계


,

를 중심으로 고도의 단결된 힘을 발휘하기 힘들지만 정부 내의 다른 사법기관 경찰기관


등의 지원을 받을 수 있다 전교조의 경우에는 고도로 단결되고 집권화된 조직역량에서
.

우세하며 민노총 등 연대 조직의 지원을 받을 수 있다 .

전반적인 교원노동관계를 결정하는 요인 중 노사 양측의 행동요인에 대하여도 몇 가


지 언급될 필요가 있다 단순히 양측이 서로 협력행동을 보이는가 대결행동을 보이는가
.

를 넘어서 단체교섭 테이블에 올리는 의제가 종합적 포괄적인 성격인가 아니면 핵심주
11) 2008교육통계연보 교육행정 현원 통계치

12) 김구현(2009) 전교조 없는 맑은 세상.엠에스북스. 수록 2006 추정통계치

- 12 -
II. 교원노사 양측의 전략과 단위학교교원노동관계

제에 한정된 중점의제인가 하는 것이 노동관계의 성격을 반영하는 것이다 전세계 노동 .

조합운동의 방향은 고도의 단결과 투쟁을 강조하는 산별노동조합 이념 (industrial

을 벗어나고 있으며 그에 따라 노사 양측의 행동에도 변화가 초래 되고 있다


unionism) .

이를 요약하면 다음의 표와 같다 .

<표 3> 교원노동관계의 노사양측 행동 변화 추이

현재 향후

행동요인1
일괄적 망라적 협약 지향 간소화된 중점 협약지향
(단체협약 내용의
정기적 의무적 교섭 지향 주제별 수시 정책교섭 지향
망라성 및 주기)
행동요인2 배분적, 경쟁적 협상전략 협력적, 공동문제해결지향
(교섭의 성격) 입장과 노선 중시 대안개발과 자원동원 중시

행동요인3 조직단결과 행동통일 중시, 절차적 참여적 의사결정


(교섭구도) 단일산별노조의 대표성 중시 소속단위노조의 자율성 중시

요약컨대 우리나라의 교원노동관계는 구조적 측면에서 노사 양측의 권력관계가 서로


대등한 세력을 이루는 가운데 불안정한 균형을 이루고 있으며 행동적 측면에서는 협력
보다 다양한 수단을 동원하여 대결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부안정한 구 .

조와 무한히 복잡한 노사관계 행동들 보다는 양측이 추구하고 구사하는 전략을 연구하
고 그러한 양측의 전략들이 어떤 귀결로 이어질까 특히 단위학교 현장에 미치는 영향이
무엇일까를 탐색하는 것이 연구에 있어서 효과적인 방법이 될 것이다 .

2. 교원노동조합 측의 전략분석

가. 전교조 강령과 기본전략 4가지와 그 한계


교원노동관계에서 전교조가 취하는 기본전략은 단일한 것이 아니며 여러 전통과 연원 ,

에 기초한 개의 기본 전략이 있다 이 개의 전략이 추구하는 것은 이른 바 노동조합의


4 . 4

법률상 목적인 勤勞條件의 유지·개선과 勤勞者의 經濟的·社會的 地位의 향상 을 크게


“ ”

뛰어 넘는다 전교조의 기본 이념을 담은 다음 강령이 이를 보여주고 있다


. .

- 13 -
학교단위의 '新 교원 노사문화' 정착방안 연구

전교조 강령
(①-④ 밑줄은 후술하는 분석적 설명을 위해 연구자가 부가)
1. 우리는 ②교육의 자주성,①전문성 확립과 ②교육민주화 실현을 위해 굳게 단결한다.
2. 우리는 ①교직원의 사회·경제적 지위향상과 민주적 권리의 획득 및 교육여건 개선에
모든 노력을 기울인다.
3. 우리는 학생들이 민주시민으로서 자주적 삶을 누릴 수 있도록 ③민족·민주·인간화 교
육에 앞장선다.
4. 우리는 자유, 평화, 민주주의를 사랑하는 ④국내 여러 단체 및 세계교원단체와 연대
한다.

전교조 내부에도 오랜 교원노조합법화와 민주화투쟁 과정 속에서 형성된 서로 다른


이념을 추구하는 내부 집단이 존재하는 것은 당연하다 그리고 이들 집단은 각기 자신들 .

의 이념과 이상을 현재의 강령 속에 절충하여 반영한 것이다 다음에 요약하는 개의 전 . 4

략은 이러한 각각의 이념 속에 뿌리를 두고 있다 중요한 점은 이러한 개 전략이 동시. 4

에 함께 구사되기 보다는 조직으로서 전교조의 복합적 성격을 반영하면서 그 내부의 권


력 관계 변동에 따라 시대와 시기 마다 서로 섞이며 우선순위가 달라질 수 있다는 점이
다.

① 교육의 “전문성 ”-집단적전문직주의 (Collective Professionalism) 전략


현대의 교원단체는 대체로 각국에서 이중의 지위를 갖고 있다 전문직단체로서의 지위 .

가 그 하나이며 또 임금생활자인 교사가 조직한 노동조합으로서의 지위가 다른 하나이


다 전자에 대하여 먼저 말하자면 대학교수를 제외한 교사가 과연 전문직인가 하는 논
. , ( )

란이 있고 특히 유럽국가에서의 현실은 교사의 전문직성을 대체로 인정하지 않는 입장


이 우세하다 그러나 유네스코가 채택한 교사의 지위에 관한 권고 가 교사의 전문직임
. “ ”

을 선언하고 있고 교원단체 또한 전문직으로서의 교사상을 전제로 활동하고 있기 때문


에 일단 전문직화 과정에 있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이 적절할 것이다 .

이렇게 보는 이유는 전문직이란 노동자라는 개념과는 달리 법적으로도 정의된 개념이


아니며 사회학적인 개념이기 때문에 교사가 통상 전문직으로 불리는 의사 변호사 대학
교수 등처럼 완전하게 확립된 전문직은 아니더라도 현재 하나의 사회현상으로서 교사가
집단적으로 전문직화를 지향하고 전문직으로서의 사회학적인 특성을 획득해 나가고 있
는 이상 전문직화가 진행 중이라고 판단하는 것이 정확하기 때문이다 .

원래 좁은 의미의 전문직이라는 제도는 영미권에 특유한 사회적 역사적 현상이다 전 .

문직이 사회적인 현상이라는 것은 전문직이란 의사 변호사 목사로 대표되는 것처럼 그


,

- 14 -
II. 교원노사 양측의 전략과 단위학교교원노동관계

직종 종사자 전체가 사회학적인 의미에서의 권력 즉 사회적 영향력에 의해 일정한 지위


를 차지하고 노동자와는 뚜렷이 구별되는 윤리적 이념을 확립하여 그 영향력을 정당한
것으로 사회구성원으로부터 승인 받아 제도화시킴으로써 비로소 존재하게 되는 것이기
때문이다.

교사의 경우는 전문직으로 가기 위한 수단으로서의 영향력을 확보하기 위한 전략적


차원에서 노동조합화를 추진하여 왔다고 보는 것이 정확할 것이다 미국과 캐나다에서는 .

이러한 교사들의 전략을 집단적 전문직주의


“ 라고 불러 왔다
(Collective Professionalism) .

교사집단은 이렇게 해서 전문직 단체로서 또 노동조합의 일종으로서 정책과정에서 중요


한 행위자의 지위를 확보해온 것이다 .

원래 전문직 이란 영국과 미국 사회에서 가장 전형적인 모습으로 발달한


(Profession)

현상이고 중세 때부터 시작된 그 역사적 발달 과정에서 대학 및 정부와 밀접하게 제휴


해오면서 전문직의 오늘날 특성을 갖추어 왔다 정부와의 제휴가 전문직으로의 발전에.

필수적인 이유는 다음과 같다 :

- 전문직자격증제도를 확립하고 자격증 미소지자의 해당직종 업무 종사를 배제하려면 정


부의 자격증인정과 무면허행위의 형사처벌이 필요했다.
- 전문직으로서의 기술적 이론 확립과 충원교육을 위해서 대학 또는 대학 내 전문교육과
정의 존재가 필수적이므로 정부와 협력이 필요했다.
- 전문직의 존립에 큰 위협이 되어왔던 직무행위의 결과의 잘못으로 인한 민사상 배상책
임과 형사상의 과실책임을 피하려면 결과로부터 단절된 기술적 처방의 과정만을 직무로
하는 서비스행위로서의 지위를 법적으로 인정받아야 했다.(변호사/의사의 보수는 소송
이나 치료의 결과에 영향이 없음)
- 정부는 공익성의 서비스라는 이유를 들어 상기의 법적인 배려를 해주는 대신 정부공무
원의 능력 밖인 기술적 사항들로 인한 정부의 직접적 책임을 피하고 공적임무를 넘겨
전문직단체에 수행시킴으로써 감독책임만 질 수 있었다.

이와 같이하여 전형적인 전문직은 상기의 과정을 주도적으로 성취해온 영미권의 의사


변호사 목사의 경우처럼 전문직단체 대학 정부의 삼각협력체제를 기반으로 근대사회에
- -

제도화되어 정착된 것이다 그런데 정부로부터 공적인 임무를 독점적으로 수탁 받아 수


.

행한다는 지위와 그 분야의 전문지식을 갖고 있다는 장점은 곧 정부의 해당분야 정책에


도 상당히 참여할 수 있는 길을 터 주게 되었고 현대사회에서 전문직들은 전문직단체를
통해 공적인 정부자문 및 정부의사결정과정에 대표를 보내거나 함으로써 정책과정에 깊
숙이 참여하게 된 것이다 이러한 이유로 대부분의 전문직단체는 일반적인 단체와는 달
.

리 자유설립이나 복수단체가 인정되지 않고 법상 인정된 하나의 단체에게만 대표성을


주게 되는 것이다 .

- 15 -
학교단위의 '新 교원 노사문화' 정착방안 연구

미국에서는 년대에 교원단체교섭의 입법화 운동이 시작되어 각 주 별로 단체교섭


1960

을 교원의 신분과 복무에 관한 주 정부 특별법 형태로 도입하기 시작하였다 주 정부 .13)

의 법률에 의한 단체교섭의 이론적 근거는 집합적 전문직론 (Collective Professionalism)

으로서 집합적 전문직론은


, 이 그의 저서 Education as a Profession
Myron Lieberman

(1959)을 통해 정립한 이론이다 그 요지는 다음과 같다 즉 교사는 위에서 기술한 전문


. .

직의 의미에서 의사 변호사 목사 등과 같은 전문직이어야 한다 그러나 교사의 경우는 .

이들 기성 전문직과는 달리 교사를 고용하고 있는 교육관료제에 의해 그 전문직화가 방


해를 받고 있다 그러므로 교육관료제를 극복하지 않으면 교사의 전문직화는 불가능하다
.

고 판단하고 이를 위한 전략적 수단으로 교원단체교섭체제를 통해 관료제를 견제하고


교사의 전문직화를 추구하자는 입장이 집합적 전문직 이론이며 최근 년 이상 미국 30

NEA 의 공식적 이념이 되어 왔다 .

은 전 세계적인 명저로 보급된 동 저서 출판 이후 자신의 주장을 실천하기


Lieberman

위한 입법운동에 투신하여 년대에 들면서 미국의 각 주에 교원 단체교섭제도를 보


1960

급한 일등공신이다 리버맨 등에 의해 북미주에 보급된 미국에서의 교원 단체교섭은 지


.

역교육청 단위로 행하여진다 교섭사항은 기업에서의 단체협약과 마찬가


(School District) .

지로 포괄적으로 임금 및 근로조건 관련사항을 포함하고 있다 .

오늘날 집합적 전문직주의 전략은 이미 그 본산지인 미국에서부터 한계에 부딪힌 지


오래되고 있다 이 전략의 창시자인 리버맨 본인이 년 돌연
. 1978 “Eggs That I Have

Laid"라는 논문을 통해 교원의 단체교섭제도를 주장 이론화하고 이의 입법화에 헌신한


, /

것은 자신의 결정적인 실수라고 고백하고 교원노조와 교원단체교섭제도의 가장 강한 반


대자로 변신하였다 이러한 단체교섭제도가 미국 교육에 남긴 영향은 오늘날 대체로 부
.

정적인 것으로 인식되며 다음의 세 가지로 요약될 수 있다 .

- 단체교섭에 의한 협약이 관료제적 규칙과 같은 기능을 하게 되어 그 집행을 위해


많은 레드테이프를 초래하고 그 결과 학교 일상과정의 관료제화를 급격히 촉진시
켰다 .

- 협약의 적용 범위가 확대됨에 따라 또 단체교섭에서의 교섭력 강화 필요성에 의해


학교구의 통합 대형화가 빠르게 진행되었고 교육행정의 집권화가 크게 진행되었다 .

- 선거에 의해 선출되는 교육장들이 단체교섭에서 선거를 의식하여 양보를 거듭함으


로써 교육정책결정이 교원노조 중심으로 편향되어 교육정책의 공공성이 훼손되었
다 그 결과 캘리포니아 시카고 등을 시작으로 년 대 교육세 납세거부와 학교
. 1980

폐쇄로 이어지는 학부모의 저항을 불러 일으켰다 .

13) 미국 근로자의 노동권과 노동조합의 단체교섭권이 연방노동법에 근거한 제도인데 반해 교원단체교섭은 주


정부의 법률에 의한 것인 점에서 일반 노동조합의 단체교섭과 성격이 다르다.

- 16 -
II. 교원노사 양측의 전략과 단위학교교원노동관계

미국에서 시작된 교원노조의 집합적 전문직주의 전략은 기본적으로 교육부문에서의 조


합주의적 지배 확립을 도모한 것이지만 학교구 단위로 단체교섭이 진행되는 고도의 분
권화 다원화 체제를 갖추고 있는 미국사회에서 이러한 시도는 실패로 끝날 수밖에 없었
다고 보여 진다 한국의 전교조 역시 이러한 조합주의적 전문직 지배체제를 추구하고
.14)

있다 .

② 교육의 “자주성 ” “민주화 ”-교육권력의 개편 획득 전략


교육의 자주성 은 전교조 내부의 이해에 따르면 민족교육 을 말한다 이에 대하여
“ ” < > .

는 다음 소절에서 참교육 과 연관하여 다시 설명할 것이다 적어도 한국과 일본의 개


< > .

념 발전의 역사 속에서 본다면 교육의 자주성 이란 구 일본 교육기본법 제 조제 항에


“ ” 10 1

규정된 부당한 지배 의 타파를 함께 의미한다 이는 일교조 입장에서나 우리나라 전교


“ ” .

조의 입장에서는 특히 교육행정의 교육에 대한 지배적 영향력 타파를 그 개념의 핵심으


로 한다 이광윤외 ( 교육의 민주화 는 교육행정의 부당한 지배와 함께 단
2003: 177-179). “ ”

위학교에서 학교장이 행사하는 권력을 겨냥한 개념이다 다음 안내문이 이를 전형적으로 .

보여준다 :

교장선출보직제와 학교자치는 진정한 교육적 가치를 교육주체가 스스로 세우고 실현할


수 있는 기반이다. 학생회를 법제화함으로써 평가에 대한 투명성과 신뢰성을 교사-학생
이 함께 만들고, 학부모회는 학교단위의 교육환경에 대한 종합평가와 교장추천을 통한
교원평가, 교사회는 교무와 학생지도에 대한 민주적 대화의 틀을 학교장과 함께 마련함
으로써 다양성과 민주성에 기초한 학교개혁을 힘있게 추진할 수 있다........중략........교
선보연대 회원이 되어 학교민주화 교육민주화에 힘을 보태어 주시기 바랍니다.(2004.6.3
0 참교육을위한전국학부모회&교장선출보직제와학교자치실현연대 공동 주최 세미나 안내
문 중에서)

전교조가 주장하는 교장선출보직제는 일반적인 전문직단체들의 제도 내 직위와 권력


획득 (Government 의 추구 전략의 틀 속에서 설명될 수 있다 전문직 입
Jobs Conquest) .

장에서는 해당 직종의 사회적 영향력 확대를 추구하는 전문직화 의 (professionalization)

마지막 단계이기도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문직의 공직진출은 정책과정에 전문직의 관


.

점과 문제의식을 투입하는 가장 효과적 수단이 되고 있다 반면에 근자에 들어 정부정 . ,

책의 공익성을 위협하는 가장 요인이 되고 있기도 하다 특히 전문직의 공직진출은 대부 .

분 한시적 공직 근무 이후 역시 해당 고객을 상대로 영위되는 직업일 수밖에 없는 전문


직에로의 복귀를 전제로 하고 있는 점에서 정부정책에 있어 가장 중요한 고객의 입장이 ,

무시되는 경향을 초래하게 된다 전문직화를 추구하는 교사집단에 있어서도 상기 전문직


.

14) Colin Gordon(1996) Why No Corporatism in the United States. University of Iowa

- 17 -
학교단위의 '新 교원 노사문화' 정착방안 연구

의 정책과정참여의 일반적 패턴이 상당히 나타나고 있다 반면 미국의 경우에는 교육행 .

정직 자체가 다시 전문직화를 추구하여 분화됨으로써 공직과 교직간의 완충 역할을 하


고 있고 유럽의 경우는 직업공무원과 교사가 상호 안정된 직업집단으로 정착되어 상호
독자적으로 존재한다 하지만 한국의 경우 직업공무원제도의 정착이 아직 안된 상태에서
.

전교조를 주축으로 집단적 전문직주의 이념 하에 공직획득에 적극 나서고 있는 상황이


다.

다른 한편으로 강령이 명시한 교육민주화 란 단위학교 현장을 전교조가 장악하는 것


“ ”

을 의미한다 전교조의 분회장 연수자료는 다음과 같이 기술한다


. :

③ 학교현장의 중요성을 다시 한번 상기하자


학교 현장은 교육민주화운동의 처음이자 끝이라고 할 수 있다. 전교조의 모든 사업도 단
위학교의 상태와 분위기에 맞춰서 기획되고 점검 받아야 한다. 전교조 사업의 성과와 실
패(그것들이 아무리 하찮은 것이라고 해도) 하나 하나가 모두 단위학교 분위기와 활동에
영향을 미친다. 단위학교 상태를 무시한 사업계획은 있을 수 없다.
지금까지 민주, 진보 세력과 반민주, 수구 세력은 학교를 사이에 두고 서로 혼신의 힘으
로 밀고 당기는 힘 겨루기를 해왔다고 볼 수 있다. 전교조가 주최한 각종 집회와 선전,
공청회, 토론회 등 장외 공방도 사실은 학교 현장에서의 장악력을 높이기 위한 전술이었
던 것이다. 활동가의 임무는 학교에서 민주적 성향의 교사들이 항상 분위기를 주도할 수
있도록 해야 하며, 조합원의 기를 북돋아주는 것이다.

교장선출보직제는 이러한 맥락에서 보면 학교 현장에서의 장악력을 높이기 위한 전략 “

의 최종 목표로 해석될 수 있다 .

③ “민족․민주․인간화 교육 ”-<참교육> 보급 전략
노동조합으로의 성격을 크게 뛰어 넘는 전교조의 핵심강령은 민족 민주 인간화 교 < , ,

육 이른 바 참교육 에 있다 즉 학교교육의 내용에 관한 특정한 이념과 실천을조직의


> “ ” .

주요 목적으로 하고 있는 것이다 전교조는 이를 위한 각종 연구 및 실천사업을 규약의


.

사업목적 제 호에 명시하고 있다 이러한 참교육 의 실체는 아직도 베일에 가려져 있으


5 . “ ”

며 매우 불분명하다 공식적으로는 년 월 일 정기대의원대회 때부터다 이날 대


. 2001 2 25 .

의원들이 제 참교육운동 사업의 한 축으로 이 사업을 의결 제안된 이래 년 동안 분회·


2 1

지회별 토론을 거쳐 올 월 일 제 차 대의원대회에서 심의 의결되고 그 해 월에 발


2 25 32 , 5

표된 다음 내용의 참교육 실천강령 이 유일한 유권적 해석문서일 뿐이다


< > .

- 18 -
II. 교원노사 양측의 전략과 단위학교교원노동관계

전국교직원노동조합 참교육실천강령
1. 우리는 더불어 사는 삶을 소중히 여기는 인간상을 추구한다.
1. 우리는 민족의 자주성 확보와 평화통일을 앞당기기 위한 교육을 실천한다.
1. 우리는 민주주의의 완성과 생활화를 지향하는 교육을 실천한다.
1. 우리는 몸과 마음의 건강을 지키는 교육을 실천한다.
1. 우리는 양성평등교육을 실천한다.
1. 우리는 인권교육을 실천한다.
1. 우리는 노동의 가치와 노동자의 권리를 존중하는 교육을 실천한다.
1. 우리는 자연과 인간의 공생을 지향하는 교육을 실천한다.
1. 우리는 교육과정을 창조적으로 운영한다.
1. 우리는 서로 돕고 협동하는 학습의 원리를 구현한다.
1. 우리는 학생자치를 존중하고 돕는다.
1. 우리는 동료 교사와 함께 연구하고 실천한다.
1. 우리는 학부모·지역사회와 협력한다.
1. 우리는 참교육을 가로막는 제도와 관행에 맞서 투쟁한다.

상기 강령의 내용은 그 두 번째와 마지막 강령을 제외하면 지극히 보편타당성을 가진


내용이어서 전교조가 고유하게 추구하는 참교육의 특징이라고 하기 어렵다 결국 참교육 .

의 핵심 요소는 민족교육 에 있다 전교조 위원장과 민노총 위원장을 지낸 이수호의 다


' ' .

음 공개 강연록 내용이 이를 분명히 하고 있다 .

민족교육은 강령(연구자 주: 전교조 강령을 말함)의 첫 순위일 뿐 아니라, 금년 제정된


실천강령((연구자 주: 전교조 참교육실천강령을 말함)에서도 첫 순위에 올라 있다. 실천
강령 제2항은 "우리는 민족의 자주성 확보와 평화통일을 앞당기기 위한 교육을 실천한
다."이다. ................. 중략............. 이렇게 민족교육의 문제를 전교조가 강령에서나 실
천강령에서 제일 먼저 앞세우는 것은 한반도에서 제반 사회모순을 불러일으키고 제반 사
회모순에 크나큰 영향을 미치는 중대한 문제라고 인식하기 때문이다. 지금 우리에게 민
족 문제라 하면, 가까이는 민족 경제를 급속히 세계자본(미국자본)에 예속당하고 하며 민
중들의 삶이 파탄에 빠뜨리고 있는 신자유주의라 불리는 신제국주의 침략문제와 미국 부
시 정부의 세계 전략과 냉전세력의 정략에 의해 한반도 화해와 평화통일로의 진전이 발
목 잡히고, 한반도의 전쟁위험이 높아지는 문제를 들 수 있겠고, 멀리는 전반적으로 사
대화 되어 있는 우리의 문화와 의식의 문제, 역사 인식의 문제를 들 수 있다. ..... 민
족 교육의 핵심은 다음과 같다: 1. 친일, 친미 사대주의의 교육사 청산 ; 교육의 자주성
회복 2. 반공, 냉전적 이데올로기 대결의 교육사 청산 ; 화해, 평화통일 교육 3. 국적불
명의 교육문화를 넘어 정체성 있는 민족문화를 형성15)

15) 2002. 6. 25 사월혁명회 민족학교 강의록 중 이수호 “민족교육의 과제”

- 19 -
학교단위의 '新 교원 노사문화' 정착방안 연구

참교육의 핵심이 <민족교육>에 있다면 이 민족교육의 핵심은 상기 이수호 강연에서


언급된 가지 중 통일교육 에 있다 전교조는 년 월 참교육실천강령이 제정된 다
3 < > . 2002 5

음 달인 월에 조합규약을 아래 와 같이 개정한다 개정 내용은 통일교육 을 전담하는


6 . < >

통일위원회를 정식으로 설치하면서 전국적 지부와 교사조직을 통해 통일교육을 참교육


실천사업 중 별도로 특별 관리하기 위한 체제를 갖추는 것이다 이는 참교육의 핵심이 .

민족교육 통일교육에 있음을 대 내외적으로 분명히 한 것이다


- .

전교조규약 제9장 통일위원회<2002.6.19. 본장 신설>


제71조(목적)
통일위원회의 목적은 조합의 규약이 정하는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통일교육에 관심이
있는 교사를 조직하고 통일교육과 관련된 사업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제반 사항을 심의 결
정하며 전교조의 목적 활동을 분담 실행하는데 있다.
제72조(사업)
통일위원회의 사업은 전교조 규약이 정하는 사업 중 통일위원회에 위임된 사업, 통일위원
회에서 결정된 특별한 사업 및 그 부대사업으로 한다.
제73조(산하조직)
전국 각 시도지부통일교육위원회는 운영위원회를 구성하고 사무기구를 둘 수 있다.
제74조(임원)
① 통일위원회에 위원장 1인, 약간명의 부위원장과 사무국장, 정책국장, 지부통일교육위원
장, 그 외 필요한 임원들로 구성한다.
② 위원장은 전국대의원대회의 동의를 얻어 조합의 위원장이 임명한다.
③ 부위원장은 위원장이 추천하여 조합의 위원장이 임명한다.
④ 사무국장, 정책국장, 참교육실천국장은 위원장의 추천을 받아 조합의 위원장이 임명한
다.
⑤ 임원의 임기는 1년으로 하며 연임할 수 있다.

전교조가 이렇게 참교육 민족교육 통일교육을 추진하기 위한 특별관리체제를 구축한


- -

것은 실제로 학교교육과정이 수행되는 단위학교에서 초중등교육법에 의한 공식적 학교


교육과정운용 즉 교과장학 체제와 정면으로 충돌할 수밖에 없다 부당한 지배의 타파를 .

의미하는 조합강령 첫 항에 꼽힌 교육의 자주성 이 상기 이수호의 강연록에서 민족교


“ ”

육 통일교육과 개념상 동일시되는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민족교육 통일교육을 위해


- . -

서는 그와 경쟁 갈등관계에 있는 기존 교육행정당국 중심의 공식적 교육과정장학 시스


템의 지배를 타파하는 것이 핵심 전략이 되기 때문이다 .

전교조는 특정한 인간관 을 토대로 그들이 말하는 참교육 을 통해 이를 구현하려는


< > “ ”

분명한 이념을 가지고 움직이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전교조가 조직으로서 사실상


.

출범한 지 상당한 시간이 흘러서 겨우 참교육 실천강령 형태로 그들의 전략 하나를 구

- 20 -
II. 교원노사 양측의 전략과 단위학교교원노동관계

체화 하였지만 여전히 참교육 의 토대이자 이념적 기초가 되는 인간상 은 온전히 드


“ ” < >

러나지 않고 있다 단지 더불어 사는 삶을 소중히 여기는 인간상 으로 표현되어 인간성


. “ ”

의 한 단편을 강조하고 있을 뿐이다 이러한 불완전한 인간상을 기반으로 하는 참교육


. “ ”

을 위해 국가 교육과정과 장학체제를 대체하려는 포괄적 하위전략과 계획을 실행하고


있다는 점에서 전교조의 전략은 외형상으로는 목적의 결핍과 수단의 과잉이라는 근본적
불균형과 한계를 내포하고 있다 .

④ “국내 여러 단체 및 세계교원단체와 연대 ”-사회주의 연대 전략


전교조 전략의 또 다른 특징은 특정한 세계관을 토대로 이를 공유하는 제 세력과 연
대하여 공동 투쟁을 지향하는데 있다 이 세계관은 전교조가 가입하고 전교조 출신으로
.

그 위원장을 내기도하는 등 주도적 역할을 하고 있는 민주노총의 다음 조합강령에 나타


나 있는 바로 그 세계관이다 .

민주노총 조합강령(일부)
1. 우리는 자주적이고 민주적인 노동조합운동의 역사와 전통을 계승하고, 인간의 존엄성
과 평등을 보장하는 참된 민주사회를 건설한다.
2. 우리는 노동자의 <정치세력화>를 실현하고 제민주세력과 연대를 강화하며, 민족의 자
주성과 건강한 민족문화를 확립하고 민주적 제권리를 쟁취하며 분단된 조국의 평화적 통
일을 실현한다.
3. 우리는 미조직 노동자의 조직화 등 조직역량을 확대 강화하고, 산업별 공동교섭, 공동
투쟁 체제를 확립하여 <산업별 노동조합을 건설>하고 전체 노동조합운동을 통일한다.
4. 우리는 <권력과 자본의 탄압과 통제를 분쇄>하고 노동기본권을 완전 쟁취하며, 공동
결정에 기초한 경영참가를 확대하고 노동현장의 비민주적 요소를 척결한다.

상기 강령에 나타난 세계관은 노동 중심의 세계관이며 강령은 이를 토대로 하는 정 “

치세력화 와 그 투쟁 수단으로서의 산별노조 및 산별 교섭 추구를 명시하고 있다 전교


” .

조가 민노총의 중추 역할을 하게 되는 이유는 이러한 민노총 강령에 이미 나타나 있다 .

일반적으로 우리나라의 사용자나 근로자들의 노동관계에 관한 의식 조사 결과는 산별노


조나 산별 교섭 보다는 기업별 노조와 기업별교섭을 선호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음에
도 불구하고 민노총은 물론이고 한국노총까지 산별노조와 산별교섭을 지향하고 있다
16)
.

교원노동조합은 법률에 의해서 처음부터 산별노조로 조직되고 전국단위와 시도 단위의 ,

산별교섭이 강제되고 있다 즉 국가 스스로 일반 국민의 의식과는 달리 교원노동조합에


.

16) 이주희(2004) 산별교섭의 실태와 정책과제. 한국노동연구원. 참고. 이 방면의 거의 유일한 보고서라고 할 수
있다.

- 21 -
학교단위의 '新 교원 노사문화' 정착방안 연구

관한한 산별 체제를 선택한 것이다 교원노조는 전체 노동조합 중 가장 지식인 노동조합


.

의 성격을 지녔으며 동시에 대규모이다 이러한 노동조합이 국가에 의하여 처음부터 산


.

별노조 산별교섭체제로 출범하였으니 민노총의 중추가 될 수밖에 없으며 세계관을 함께


할 수밖에 없는 것이다 .

교원노동조합법이 교원노조의 정치활동을 금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교원노조가 사


실상 정치활동에 끊임없이 나설 수밖에 없는 이유 역시 여기에 있는 것이다 원래 독일 .

의 사민당 기민당 등에서 보듯 서구의 근대적 정당이란 세계관 정당 으로 출현하였으 < >

며 특정한 세계관을 추구하면서 정치세력화 를 추구하는 조직이 있다면 이는 이미 실


“ ”

질적으로 정당이다 .

나. 전략의 실행수단과 방법-전교조 내부 생산문서의 내용 분석을 중심으로


전교조의 전략은 강령에 나타나는 이념과 목적만으로 구성되는 것이 아니라 그 전략
을 추구하는 수단을 통해 그 특징이 나타난다 이러한 수단적 전략에 노력을 집중하는 .

것이야 말로 하버마스가 구분한 소통적 행위 와 전략적 행위 중 전략적 행위에 집


< > < >

중된 전교조 행위 양식의 근본 특성을 이루고 있다 전교조 본부 지부 지회 분회들의 사 .

업계획은 거의 표준화된 개 사업 분야를 중심으로 구성된다 ①조직강화사업 ②단체교


4 .

섭 협약 관련사업 ③각종 투쟁사업 ④참교육실천사업이 바로 그 것이다 이러한 표준적


/ .

인 사업구조야 말로 전교조의 일관된 수단적 전략의 개요를 구성하는 것이다 .

1) 조직전략
종합적으로 판단할 때 전교조의 조직 전략의 전반적 성격은 근대국가 초기 국민교육
체제가 구축했던 교육행정조직계선과 장학시스템을 모방하며 이를 대체할 수 있는 고도
로 중앙집권화된 교사조직을 건설하는데 있다 .

전교조 전략의 특징은 우선 강력한 중앙집중조직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다음 페이 .

지 조직표에 보이는 것처럼 소위 민주적 집중제 원리에 입각하여 중앙상임집행위 중


“ ” -

앙집행위원회 중앙위원회 전국대의원대회의 계선 형태로 의결기관과 집행기관이 통합되


- -

어 있으며 이를 모두 연결하고 이끌어 가는 핵심조직은 위원장과 상임집행위원회 산하


사무기구들이다 이러한 중앙조직은 전국의 지방 지역 학교 마다 설치하는 지부 지회 학
.

교분회로 나뉘어 전국적 네트워크로 통일되어 있다 .

전교조의 조직 전략은 합법화 이후 최근까지 기층조직으로서의 학교분회를 강화 하려


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전교조 조직 전략의 궁극 목표는 학교분회 자체가 대중적 조직
.

으로서의 기반이 되는 것이다 다음은 년도 전교조 분회장 연수자료에 나타난 전교


. 2002

조가 보는 분회의 정의와 의미 부분을 그대로 옮긴 것이다 :

- 22 -
II. 교원노사 양측의 전략과 단위학교교원노동관계

1. 단위 학교 교사들의 자주적 조직이다

① 단위 학교 교사들의 이해와 요구에 기초해서 자주적으로 만들어지는 조직이라는 것


이 분회의 첫 번째 규정이다.
② 분회란 무엇보다도 단위 학교 교사들의 자주적 조직이다. 단위 학교 내에서 자주적
조직은 여러 가지 형태와 수준으로 존재한다. 그 중에서도 전교조 분회가 형식과
내용 면에서 가장 발달된 조직이다.
③ 단위 학교 조직은 교사 대중운동의 발전과 더불어 변화․발전해 왔다.
◦1기: 단위 학교 소모임 내지 지역 소모임과 연계한 1인 조직 시기
◦2기: 전교협 분회와 평교사회 시기
◦3기: 전교조 분회와 지회와 연계한 단위학교 소모임 시기
◦4기: 전교조 분회 자체가 대중 조직이 되는 시기
④ 밑으로부터의 자주성이 대중운동의 가장 중요한 요소이다. 대중을 대상화하는 그
순간부터 대중운동은 생명력을 상실하는 것이다. 따라서 대중 운동 조직으로서의
분회는 보다 큰 조직에 의해 위로부터 만들어지는 것이 아니라 단위 학교 현장에
서 끊임없이 새롭게 형성되고 쇄신되어야 할 단위 학교 교사들의 자주적 조직인
것이다.
⑤ 따라서 이름이 분회라고 해서 내용적으로 분회인 것은 아니다. 단위 학교 교사 대
중의 자주적 결의에 따라 결성하고 이 기초 위에 전국 단위 조직의 강령과 통일
방침에 따라 일정하게 단결 행동을 한다는 의지가 있는 조직이어야 한다.

2. 전교조의 기층 단위 조직이다
① 전국 조직인 전교조의 기층 단위 조직이라는 것이 분회의 두 번째 규정이다.
② 교사의 이해와 요구를 전국 단위로 통일성을 가지고 실현하는 조직인 전교조의 단
위 학교 조직으로서 분회가 확립되어야 전교조 운동이 대중 운동으로서의 면모를
갖출 수 있게 된다.
③ 따라서 분회는 단위 학교 교사들의 자주성에 기초하되 상부 조직에서 이의 결성과
활동을 위한 조건을 만들어주고 전반적인 분위기를 선도해 나가야 전면적 건설이
가능하다.

3. 단위 학교의 공동체적 삶을 일구기 위한 조직이다


① 분회의 가장 큰 목표는 단위 학교 내의 공동체적인 삶을 일구어내는 것이다. 파편
화․원자화된 무한 경쟁 세계에서의 개인의 삶을 공동체적인 원리에 기초한 삶으로
만들어 가는 것이 조직 활동의 중심 목표이다.
② 따라서 활동 내용과 활동 방식도 공동체적인 삶을 일구어낸다는 목표에 맞추어 규
정되어야 한다. 당장의 사업을 위해 과도한 수단과 방법을 사용하는 일이 종종 있
는데 이는 잘못이다. 끈끈한 사람과 사람의 관계 속에서 새로운 교육 공동체를 일
구어내야 한다.
③ 단위 학교 공동체는 교사만이 아니라 일반 직원과 교육의 주체인 학생과 학부모까
지 포함하는 것이며 분회는 교사의 단결을 통해 이 공동체를 선도하는 조직이다.

- 23 -
학교단위의 '新 교원 노사문화' 정착방안 연구

4. 대중의 자주성과 조직의 기층 규정성이 통일되어야 한다


① 분회는 구성원인 교사들의 자주적 조직이면서 동시에 단위 학교 차원의 대중적 이
해와 요구를 보다 높은 차원에서 승화․실현시키는 전국 단위, 시․도 단위, 시․군․구
단위, 급별 단위 등의 차원에서의 단결과 사업을 기층에서 실행하는 하부 조직이
다.
② 이런 양 측면은 종종 충돌을 일으키기도 한다. 무수한 갈등과 마찰은 오히려 자연
스러운 것이다. 조직 내의 민주주의와 개방적 논의 및 합의된 사업과 원칙에 대한
승복과 대동 단결의 기풍이 정착된다면 양 측면의 충돌과 갈등은 오히려 바람직하
다.
③ 특히 본격적 대중운동의 시대를 열어갈 2000년대의 교원노조 분회는 대중의 자주
성과 조직의 통일성이 전면적으로 살아 약동하는 조직이어야 한다.

단위학교노동관계 탐구측면에서 분회의 조직을 파악하는 것은 중요한 과제이다 다음은 .

전교조 본부가 준비한 분회장 연수 자료에 나타난 분회조직 구성안 사례이다 .

<그림 1> 전교조 분회장연수자료에 나타난 분회 조직 체계(예시)

분회총회

월례회의

분회장

총무 조직 교선 편집

이러한 학교분회를 토대로 하는 거대한 네트워크에 통일성을 부여 하는 핵심 조직과 자


원이 앞서 언급한 명 규모의 활동가 들이다 이들 활동가들이 바로 전교조를 이끌고
2000 “ ” .

가는 핵심 인적자원이다 이들은 교육행정조직의 장학요원 에 흡사한 기능을 가지며 이


. < >

른 바 활동가 연수 를 통하여 조직의 핵심 요원으로 훈련된다


“ ” .

- 24 -
II. 교원노사 양측의 전략과 단위학교교원노동관계

<그림 2> 전교조 조직 기구표

- 25 -
학교단위의 '新 교원 노사문화' 정착방안 연구

2) 교섭전략
전교조의 교섭 전략은 교육과정과 교육정책 관련 사항을 최대한 단체교섭의제로 올리
고 협약에 포함시키는 것이다 전국단위 교섭에서 이러한 시도는 초기에 비교적 성공을
.

하였다 최초의 단체협약인 년 협약에 포함되지 못했던 교육정책 관련사항들이 협


. 1999 ‘‘

약에 포함되지 않은 가지 합의사항 의 형태로 별도 합의되었다 동 합의 내용의 원문은


4 “ .

다음과 같다 .

1. 교육부는 초중등교육정책과 관련하여 교육부내에 구성되어 있거나 앞으로 구성되는


법정 비법정 각종위원회 및 협의회에 교원노조등 교직단체의 참여를 보장한다.
2. 교육부는 초중등교육정책에 관한 의견수렴을 위한 간담회를 교원노조등 교직단체와
단체교섭이 없는 분기에 분기별로 1회씩 개최한다
3. 이번 단체교섭에서 교원노조가 제안한 조합활동보장에 관한사항은 교육부와 교원노조
간에 이견이 대립될 수 있으므로 당분간 논의를 유보하고 이후 교육부와 교원노조간
에 개최되는 초중등교육정책에 관한 의견수렴을 위한 간담회 또는 단체교섭에서 계속
논의해 나가기로 한다.
4. 교육부는 해직교사 미임용교사 포함 “민주화운동 관련 명예회복 및 보상에 관한 법
률”에 의한 민주화운동관련자 명예회복 및 보상심의위원회에서 민주화운동관련자로
심의결정 되도록 노력하고 일정수준의 보상이 결정된다면 특별법제정 등을 적극적으
로 추진한다.

이렇게 단체협약에 포함되지 않고 별도 합의 형태로 문서화되던 교육정책사항들은


년 교섭에서 합의된 별도 정책협의회 등을 통하여 교섭되고 이에 합의된 것들이
1999

년 협약에는 다수 포함되게 되었다 즉 년 단체협약은 교원의 근무조건개선과


2002 . 2002

그동안 교원노조가 주장해왔던 교육여건이나 교육환경의 개선 및 학생들의 학습권보호


학부모의 교육비 경감등 교육개혁과 관련된 제반사항도 단체협약에 포함됨으로써 전문
직노조로서 교원노조의 역할이 자리 매김되는 계기가 된 것으로 평가된다 김현준 .( 2006:

사실상 마지막 단체협약이 된 년 협약은 바로 그러한 정책사항들 때문에


226-227) 2002

정부 측이 이를 단독 해지하는 빌미를 제공하였다 .

지방수준에서는 전국수준 교섭에 비해 전반적으로 볼 때 전교조가 비교적 수월한 입


장에서 교섭을 할 수 있었다 선거에 의하여 선출되는 교육감을 상대로 교섭함에 있어
.

선거에서의 캐스팅 보트 역할 등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전교조가 유리하기 때문이다 .

한편 전교조는 교원노동조합법상의 단체교섭과는 별개로 단위학교 수준에서 노조분회


와 학교장과의 교섭 협의를 강화하는 것을 주요 전략으로 삼고 있다 다음은 상기 분회 .

장 연수자료에 분회사업계획 예시문에 기술된 내용이다 이러한 학교단위 교섭을 지원하 .

기 위하여 전교조는 법령상 규정된 학교장의 권한사항들을 상세히 정리하여 단위학교분

- 26 -
II. 교원노사 양측의 전략과 단위학교교원노동관계

회에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권한들은 물론 사용자로부터 위임 받아 행사하는 권한이라


.

기보다는 초중등교육법규가 직접 학교장에게 부여한 법정권한이 대부분이다 .

분회사업계획서 예시문(일부)
공식적이며 공개적인 분회 활동의 전개
 학교장 대상 교섭 활동 정례화 추진
- 월 1회 정도 실시하며 사전에 전 교직원․학부모․학생 대상의 설문 조사를 실시하여 기초
자료를 확보하고 월례회에서 분회의 요구 사항 조정

분회가 학교장을 상대로 교섭 협의하는 것을 정례화 하려는 전교조의 전략은 단위학


교에서 그대로 실천에 옮겨졌다 다음은 순천 모 초등학교 분회활동 일지에 기록된 내용
.

이다.

4. 2002년 추진된 일들
가. 분회 총회
- 생략 -
나. 조합원 확대 사업
- 생략 -
다. 조합원 설문 및 학교장 면담자료 만들기
학교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작업을 하였다. 조합원에게 설문지를 통하여 학교의 문제에 대해
알아본 다음 학교장 면담자료를 작성하였다. 23가지 항목에 대한 문제점과 개선 방향을 문건으로 만
들어 학교장에게 전달하고 답변을 들었다. 그 결과 매월 1회 학교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회의를
갖기로 하였다(4월에 개선된 것 중 하나는 주교육안을 교감 전결에서 학년부장 전결로 바꿨다)

단체교섭에 관한 전교조의 전략은 기본적으로 사회조합주의 적 교육 (neo-corporatism)

지배체제 를 지향한다 즉 법정된 공식적 단체협상과 필요적 교


(educational governance) .

섭사항을 넘어 중앙 지방 지역 단위학교를 포괄하는 각 수준별 교섭체제를 체계적으로


개발하여 정부정책과 단위학교운영의 공동 파트너가 되는데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그러 .

나 이는 현재의 노사간 권력관계를 감안한 현실적 전략이며 궁극적으로는 조합강령에


나타난 것처럼 강화된 조합의 역량을 기반으로 교육행정당국을 능가하고 교장선출보직
제를 통하여 단위학교 분회장이 학교장의 지위를 획득함으로써 교원노동조합이 교육현
장을 지배하는 목표를 추구한다 .

3) 투쟁전략
노동법상의 단체행동권이 허용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도 전교조는 교섭 테이블 밖에
서 일반 법령상 활용할 수 있는 모든 수단을 강구하여 다양한 방식의 투쟁을 구사한다 .

원래 노동조합의 단체행동권이란 사용자의 권력에 비하여 불리한 교섭상의 지위를 보강

- 27 -
학교단위의 '新 교원 노사문화' 정착방안 연구

하여 교섭력을 강화하기 위한 수단으로 허용되는 것이다 즉 권력투쟁의 수단인 것이다 . .

이러한 권력투쟁의 수단이라는 점에서 보면 반드시 노동조합법상의 단체행동권만이 그


무기가 되는 것은 아니다 이른 바 연가투쟁 일반적 시민적 권리 행사로서의 집회와
. < >,

시위 등 그 불법여부의 법적 판단이 모호하고 한계선 상에 있는 수많은 행동이 권력투


쟁의 수단이 될 수 있는 것이다 .

한편 전교조 투쟁의 전략적 목표는 단체교섭에서의 교섭력 강화를 뛰어 넘어 학교현


장을 장악하는데 있다는 점을 특기할 필요가 있다 앞서 언급한 분회장 연수 자료에 명 .

시적으로 나타난 것처럼 전교조가 주최한 각종 집회와 선전 공청회 토론회 등 장외


“ , ,

공방도 사실은 학교 현장에서의 장악력을 높이기 위한 전술 이다 투쟁 사례는 지극히 ” .

다양하다 여기서는 전교조 투쟁의 전략적으로 주목할 만한 사례 가지를 핵심적으로 소


. 4

개한다 .

전략적 측면에서 가장 성공적인 전교조투쟁전략의 사례는 년부터 시작한 단체협 2002

약이행투쟁에서 찾아 볼 수 있다 단체협약이행 투쟁은 학교분회들이 학교장을 상대로 .

단체협약이행을 강제하면서 전교조에 이행실적을 분기별로 보고하는 형식으로 진행되었


다 이 과정에서 단체협약은 단순한 교육행정당국 교원노조간 협약문서의 성격을 넘어
. -

학교에서 준수해야 하는 학교 내 규범으로 그 성격이 전환되었다 원래 교원단체협약 사 .

항의 대부분은 개별적 근로 계약을 대체하는 규범적 효력을 갖는 사항들이 아니며 협약


체결주체인 장관 교육감과 교원노조간의 채권채무적 사항일 뿐이며 그 것 조차도 대부
-

분 신사협정의 성격이다 그러나 전교조는 단체협약이행투쟁 을 통하여 단체협약에 학


. < >

교현장을 지배하는 사실상의 규범력을 부여하는데 성공한 것이다 이로 인해 전교조는 .

대부분 학교 내에서 교사집단 내 소수파 임에도 불구하고 결정적인 영향력을 확보하게


된 것이다 .

전교조 투쟁의 최근 동향은 점점 조합주의적 지배 추구 전략을 강화하는 추세에 있다 .

공교육개편투쟁이 그 대표적 사례이다 전자정부를 위한 교육행정정보시스템 반대 . (NEIS)

투쟁을 효시로 시작된 이 투쟁은 전교조 정책실 주도로 교육시장화 저지 투쟁 차교육 , 7

과정 저지 투쟁 교장선출보직제 투쟁 등 다양한 내용을 담고 있다 전교조 구상의 개요


, .

는 다음 페이지 도표와 같다 .

공교육개편투쟁은 전교조가 단체교섭이나 정책간담회에서 제안 또는 요구하는데 그치


지 않고 전교조 기간조직인 지회와 학교분회를 통해 직접 공교육개편을 위한 전술을 실
행에 옮기는 것이다 다음 분회장 교육자료는 이를 위한 분회 활동 지침을 담고 있다
. :

분회 토론 이렇게 해봅시다(분회장 연수자료 중 일부)

■ 공교육개편에 대한 현장 활동계획 수립 방안 찾기

- 28 -
II. 교원노사 양측의 전략과 단위학교교원노동관계

1) 본부에서 나온 공교육개편운동에 대한 선전물을 돌려읽습니다. (교육희망, 분회총회자


료집, 조합원용 개인 선전물 등 참고)
2) 공교육개편운동의 성공했을 때, 이상적인 바라는 학교(교육)의 모습을 그려봅니다.
- 현재 학교의 모습을 그립니다.(그러나 지나치게 추상적인 것이 아니라 이미지화가 가
능할 정도-마인드 맵을 이용한 그림으로 그릴 수 있음-로 설정합니다)
-기대치와 비교해 볼 때 현재 놓여있는 객관적인 상태입니다.
-기대치와 비교가 가능할 정도로 설정해야 합니다.
3) 현실과의 차이를 확인해 봅시다
-무엇 때문에 기대치에 도달하지 못하는가?
-무엇이 있다면 기대치에 도달할 수 있는가?
-여러 가지 차이 중에서 본질적인 차이를 찾아냅니다.
-본질적인 차이를 중심으로 목표를 설정합니다.
(예) 보충수업 폐지 / 학교자치 활성화 / 대학평준화 / 표법시수 쟁취
4) 목표를 이루기 위한 핵심요소와 제약요소를 찾고 분리합니다.
- 우리 학교현장에서 구체적으로 실천할 목표(과제)을 설정합니다.
(예) 보충수업을 없애려면
교사,학생,학부모 교육3주체가 학교의 주인이 되려면
입시지옥이 없는 학교를 만들려면
표법시수 쟁취하려면, 사립학교법을 제정하려면
5) 정리 토론
분회 역량에 맞게 현장에서 구체적으로 실천할 내용, 계획을 정합니다.
- 우리분회 실천 5계명
- 앞으로 6개월간 분회, 내가 실천할 내용 3가지 등.
- 이 결과를 학교홈페이지나 교무회의에서 발표하거나, 게시판에 게시하여 공개합니다.
토론 결과들을 본부 홈페이지 분회장마당으로 보내주시길 바랍니다.

- 29 -
학교단위의 '新 교원 노사문화' 정착방안 연구

공교육종합개편안
<공 교 육 종 합 개 편 의 기 본 구 상 >

인간상 / 사회상
균형 있게 성장하는 인간 공동체 사회
■ ■
▪총 체 성 ▪사회적기본권 확립
▪민 주 성 ▪완전한 민주주의
▪공동체성 ▪생태적 환경
▪통일된 민족공동체
공교육 구조개편을 위한 핵심 이념
공공성(성격) 민주성(운영원리) 사회적 생산성(교육의 질)
▪공동체성((사회적 기능 측면) ▪민중통제성(민중교육권 측면) ▪학교교육의 질 강화
▪평 등 성(양적 측면) ▪자 치 성(학교구성원 측면) ▪사회 공적영역 확대
▪복 지 성(질적 측면)
공교육 구조개편을 위한 핵심 시스템
대학과 입시개혁 무상의무학제
▪ 국공립대 평준화 ▪유아교육 공교육화
▪ 지역인재할당제 ▪중등교육 통합
▪ 졸업자격고사제 ▪완전 무상 교육
보편적 교양교육과정 확립 자치와 민중통제에 의한 자율적․전문적 교원
교육행정구조
▪(가칭)사회적교육과정위원회구성 ▪교직원회․학생회․학부모회법제화 ▪목적형교원양성체제
▪국가수준 교육과정 최소화 ▪교육청지원센터화, ▪임용시험폐지
▪적게 깊게 배우는 교육과정 장학사순환보직제 ▪비정규직 교원(수)
▪교과외 교육활동 확대 ▪교육정책결정구조의민주화 차별금지, 축소
▪수준별․선택형 폐지 ▪교장선출보직제
▪집중이수교과와 지속교과 구분

자료원: 전교조 2004 공교육개편 활동가 연수자료 중

- 30 -
II. 교원노사 양측의 전략과 단위학교교원노동관계

공교육개편투쟁은 단순한 제안이나 구상을 넘어 정부교육정책에 대한 구체적 저지투


쟁 활동을 핵심으로 하고 있다 이때에도 단위학교 전교조 분회는 가장 중요한 투쟁의
.

기반이 되고 있다 다음은 전교조 충북지부가 교육과정투쟁활동 방안을 학교분회장에게


.

교육한 자료의 내용이다 :

2001학년도 교육과정 운영 기본계획에 따른 투쟁(충북분회장 교육자료중)

교육부 학교정책과 정책【일정】


시기 내용 경로
5월 초순(예상) 학교별 상황 보고(시뮬레이션) 학교 → 시도교육청
5월 중 시도교육청 자체계획 수립․추진 시도교육청
5월 31일 시도교육청 자체계획서와 2001년 운영 실적 보고 시도교육청→교육부
7월중 선택교과 관련 편성․운영 세부 안내 자료 배포 교육부
7-8월(예상) 학교교육과정(안) 편성 단위 학교
※ 음영 표시는 확정된 일정

1) 고등학교 - 단위학교 차원의 교육과정 모의 구성을 저지하자.


일정표에 의해 추론해보면 시도교육청은 4월말 5월 초․중순까지 학교별 상황 보고를 지
시할 것입니다. 단위학교는 시도교육청 고등학교 교육과정 편성운영지침(안)에 의거
교육청 선택 과목, 학교 선택과목을 결정하여 학교교육과정을 모의 구성하여 보고하여
야 합니다. 실무적인 절차를 거쳐 상반기에 선택중심교육과정의 구체안이 확정됩니다.
따라서 7차 교육과정을 현장에서 무력화시키기 위해서는 교육과정 운영 기본 계획을
무산시켜야 합니다.
그러기 위해 지회장님들은 분회가 결성되어있는 학교를 중심으로 시도 교육청에 대한
보고를 거부하는 투쟁을 조직하여야 합니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절차를 요구하고
그 과정에서 내용적으로 학교교육과정 구성을 무산시키도록 투쟁해야 합니다.

☞ 학교교육과정 위원회 구성을 요구한다.


학교교육과정 위원회는 교과별 협의회를 통한 의사수렴 구조를 가져야 한다.
단위 학교 차원에서 어떤 과목을 선택할 것인가에 대한 결정을 거부한다.
→→ 시도교육청에서 학교에 요구하는 보고사항 제출을 저지시킨다.

2) 학교급별 투쟁을 강화하여야 합니다.


4월 6일 교육부와 교원단체간 7차 교육과정 관련 간담회를 가졌습니다. 교육부에서는
학교정책실장, 교육과정정책과장 등 모두 5명이 참석하였고 교원단체에서는 전교조,
한교조, 교총 모두 3명이 참석하였습니다. 4시부터 6시 30분 정도까지 간담회가 이어
졌고 교육부는 교원단체들의 요구를 주로 듣는 입장이었습니다. 세 단체 모두 7차 교
육과정의 수정 보완의 필요에는 공감하였고 전교조가 요구하는 수정고시에 반대하지
않았습니다. 특별히 전교조는 ‘교육과정개선위원회’ 구성을 강력히 요구하였고 교육과
정정책과장은 포괄적으로 교육과정개선을 위한 기구를 곧 만들것임을 밝혔습니다. 내
년예산에는 이 기구의 운영을 위한 예산을 이미 신청하였고 올해는 편성된 예산이 없
어 특별 예산을 편성하여야 하지 않나 하는 생각을 내비치었습니다.
지난 2월 23일 교육과정 평가원 3주년 기념세미나에서부터 드러나기 시작한 교육부의
후퇴 조짐은 4월 6일 간담회를 통해서 더욱 구체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또한 3
월 29일자로 공포된 학교생활기록부전산처리 및 관리지침 개정안에 의해 2000년 7차
특위가 강력히 주장했던 내용들이 시정되었습니다.

- 31 -
학교단위의 '新 교원 노사문화' 정착방안 연구

교육부의 7차에 대한 후퇴 조짐은 분명합니다. 그러나 문제는 수정 고시의 내용과 수


준에 있습니다. 부분적인 보완 차원에서 끝난다면 형식만 갖추고 끝나는 꼴이 됩니다.
준비가 될 때까지 천천히 접근하자는 논의가 아니라 7차의 교육철학, 교육목표, 교육
내용, 교육방법, 평가 등 전면적인 개선을 이루어내자는 논의로 이끌어가야 합니다. 선
생님들의 적극적인 투쟁으로 이러한 논의를 강제해 내어야 합니다.

3) 학교급별로 구체적 투쟁 과제를 고민해야 합니다.


초등 - 재량활동 폐지를 통한 수업 시수 감축, 영어 폐지, 수학 단계형 저지,
학습량 적정화를 위해 심화 내용 폐기,
중학교 - 단계형 수준별 교육과정 무력화시키기, 학습량 적정화를 위해 심화 내용 폐

고등학교 - 선택형 수준별 교육과정에 의거한 학교교육과정 편성 저지,
실업계 고등학교는 7차 편성․운영 지침을 무시하는 편성을 추진
→ → 10학년에 집중 이수해야하는 공통기본과목을 11,12학년에 분산 이수
하는 학교교육과정을 편성한다. (이미 교육과정정책과 연구사와의 대화에서 이러한 편
성운영지침이 아무 문제가 없다는 것을 확인했고, 시도교육청 관련자들과의 회의에서
이를 특 별히 강조하기로 하였다.)

7차 교육과정 투쟁은 일정한 성과를 눈앞에 두고 있습니다. 분명한 것은 선생님들의


투쟁의 강도가 수정고시의 수위를 결정한다는 것입니다. 가칭 ‘교육과정개선위원회’가
만들어지는 것으로 투쟁이 완료되는 것이 아닙니다. 양날의 칼 같은 이 틀을 이용하여
우리가 원하는 수정고시의 내용을 획득해 내야 하는 것입니다.

전교조 투쟁전략의 또 하나 주목할 부분은 사립학교 노동관계에 있다 교원노조법은 .

사립학교가 전국단위 또는 시도단위 사용자연합단체를 구성하여 교원노동조합과 단체교


섭을 하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입법의 성격은 국회나 정부가 의식하지 못한 채 사립학
.

교교육의 영역에 조합주의적 지배구조를 확립하는 조치로 받아들여진다 종교계 사학의 .

종교적 자유를 포함하여 개별학교의 자율성을 사립학교제도의 핵심으로 여기는 사학재


단의 입장에서는 이러한 집권화되고 집단주의적인 조합주의 체제를 거부하는 것은 거의
필연적이다 즉 입법의 잘못 성격이 큰 것이다 결과적으로 사립학교재단 측은 이러한
. .

교섭목적의 단체 결성을 거부함으로써 단체교섭을 효과적으로 회피하고 있으며 전교조 ,

는 단위학교 중심의 사립학교부문 투쟁전략을 국공립부문과는 별개로 수립할 수밖에 없


는 상황이다 지금까지 사립학교부문 투쟁은 사립학교법개정투쟁 사립학교 학운위 진출
. ,

투쟁 자립형사립고 반대투쟁 상문고등학교 등 문제된 개별 사학들에 대한 시민단체와


, ,

의 연대투쟁 정도로 그 윤곽이 드러나 있다 .

적어도 사립 부문에 관한 한 전교조는 이렇다 할 투쟁전략을 갖고 있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 다음에 인용한 전교조의 사립활동가 연수 자료를 통해 저간의 사정을 읽을 수
.

있을 것이다 .

- 32 -
II. 교원노사 양측의 전략과 단위학교교원노동관계

사립은 두 개의 전선에 배치되어있다.(전교조 사립활동가 연수자료 중 발췌)

이금천(본부 사립위원회 사무국장)

1. 사립은 개별 자본과도 전쟁 중이다.


私人간의 계약관계에 기초를 둔 사립교사는 국가와의 계약 관계에 기초한 공립 부문과
상당한 차이를 갖고 있다. 수행하는 업무는 갖지만, 신분은 전혀 다른 것이다. 정부의 교
육정책과 개별 재단의 정책이라는 두 전선이 사립에는 존재하는 것이다.
우리 사회 전반이 국가에 의한 획일적, 전반적 통제에서 개별 자본에 의한 통제라는 형
태로 지배형태를 바꾸어 가고 있는 상황에서 지금은 국가보다 개별 자본(사학 재단)이
훨씬 중대하고 강력한 지배력을 행사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사립 교
사들은 재단과의 문제가 일차적인 과제가 되는 것이다.
사립학교를 지배하고 있는 재단들은 약탈적인 자본이 대부분이다. 사립학교 교사들은
원시적 자본 축적의 한 도구로써 역할을 끊임없이 강요받고 있는 실정이다.

2. 사립 사업이 강력히 추진되지 못하는 이유들


두 개의 전선에서 전투를 수행해야하는 사립학교 교사들의 특수성을 반영한 것이 전교
조의 사립위원회이다. 사립의 특수성에 기반한 사업들은 사립위원회가 기획하여 전교조
의 의사결정 단위의 의결을 거쳐 사업으로 설정하고, 이를 계선라인을 통해 집행하는 것
이 올바른 경로이다. 이는 참으로 타당한 이야기이나 세 가지 측면에서 문제가 있다. 먼
저 사립활동 역량의 부족으로 인한 기회의 상실이다. 둘째는 예측하지 못했던, 신속한
의사결정과 집행이 필요한 사업이 사립에는 돌발적으로 빈번하게 발생한다는 것이다. 끝
으로 결정된 사업을 집행할 지부와 지회에서 사립관련 사업이 왜곡되어지거나 소실되는
경우가 많다는 것이다.
첫 번째 문제는 지금 현재 활동하고 있는 사립 활동가들이 일차적인 해결의 주체로 나
서야 한다. 조합원은 증가하였으나, 활동가들의 진출은 이제서야 서서히 시작되고 있다.
그러나 아직 종합적인 연구 역량이나 기획 역량을 갖춘 활동가는 발견하기가 쉽지 않다.
사립 연수나 방문지도, 각 종 단위의 회의 등을 통해 조합원의 질을 높여야 한다. 그리
고 역량이 다소 부족하더라도 대의원, 지회, 지부의 활동가로 적극적으로 진출하여야 한
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적절한 조합원 교육이 분회, 지회, 지부 단위에서 이루어져야 한
다. 여기에 대한 적절한 프로그램의 개발과 보급이 필요하다. 의욕이 있어도 어떻게 해
야할지 몰라서 못하는 일은 없어야 한다.
두 번째 문제는 쟁의국을 설치하는 것이 한 방법이 되리라 생각한다. 조직실에 쟁의국
을 두어 전국의 상황을 유지하여 준비된 쟁의를 벌여야 한다. 돌발적인 쟁의에는 초기에
신속히 결합하여 바른 방향으로 이끌어야 한다. 그리고 쟁의의 결과에 대한 사후 조직적
과제를 적절한 경로로 풀 수 있도록 조치하여야 한다.
세번째 문제는 두 가지 다른 방식으로 표출된다. 일부 지부에서는 사립활동가들이 없어
사립관련 사업을 집행하는데 주체와 대상을 잡지 못하고 있다고 하는 가하면, 또 다른
곳에서는 사립활동가들이 전체 사업을 방기하고 특수성만을 강조하고 있다고 비난한다.
사립활동가를 세우는 것은 지역에 따라 대단히 어렵고 막막한 사업일 수 있다. 그러나
방치하다시피 하는 것은 반드시 시정되어야한다. 이 문제는 사립위원회로 대표되는 사립

- 33 -
학교단위의 '新 교원 노사문화' 정착방안 연구

활동가들 만의 힘으로 해결할 수 있는 일은 아니다.


사립의 활동가들이 처해 있는 현실을 생각해 보자. 기존의 활동가들은 해직 이후 공립
으로 복직하였고, 이후의 활동가들 중에서도 많은 이들이 공립으로 과원 교사, 우수교사
형태로 옮겨갔다. 조직에 도움을 요구하는 조합원은 대폭 증가하였으나, 요구를 효과적
으로 조직하여 사업으로 발전시키고 집행할 활동가들의 진출은 미비하거나 더디다. 이러
한 상황에서 활동가로 갓 진출한 조합원은 과중하고 막막한 사업에 묻혀 지쳐 쓰러져 가
고 있다. 어느 부문이나 과중한 업무로 힘든 나날을 보내고 있다는 것을 이해하지만 전
국적인 사립활동가들의 망을 구축할 수 있도록 적극적인 노력을 기울여 줄 것을 당부하
며, 사립 사업과 관련하여 전교조 활동가들의 인식을 제고할 수 있는 자리가 다양하게
마련되어야 한다.
사립활동가들이 사립 사업에 매몰된다고 비판하기 전에 사립의 상황을 판단하기를 바란
다. 정부와의 제1전선이외에도 재단과의 또 다른 전선을 갖고 있으며, 이 곳의 전투는
훨씬 열악한 상황에서 진행되는 것이라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그리고 이 전투를 기획하
고 지휘하고 수행할 조직적 역량의 취약성도 고려해야 하며, 이 전투에 단일노조라는 기
치아래 모여 있는 여타 부문의 활동가와 평조합원들이 어떤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 지도
고려해 보아야 한다. 전교조가 전체의 사업으로 잡아 집행하는 사업들은 사립에도 똑 같
이 중요한 문제이다. 그러나 사립은 그것보다 더 일차적으로 신분상의 위협과 반인권적
대우에 시달리고 있다. 그리고 이와 관련한 대부분의 투쟁은 우리가 선제 공격을 한 것
이 아니라 적의 도발에 의하여 촉발된 투쟁으로 방어적인 성격의 살아남기 위한 처절한
투쟁임을 명심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전교조의 전략 분석에서 주목할 사항은 노동조합 측이나 조합원이 노동법


이 부여한 정당한 투쟁 수단인 부당노동행위 고발을 단위학교 차원에서는 거의 사용
< >

하지 않고 있다는 점이다 전교조가 상정하는바 기존 권력 의 핵심에 있는 비민주적


. < >

학교장들을 투쟁의 대상으로 삼는 다면은 이 경우 부당노동행위 고발은 효과적 수단이


될 수 있다 그러나 교육부장과이나 교육감이 단체교섭거부를 이유로 수시로 고발당하는
.

반면 교장들은 거의 고발당하지 않고 있으며 극히 일부 사례가 있을 뿐이다 매우 도전 .

적이고 강경한 전교조 투쟁전략 전반에 비교해 볼 때 이 부분은 눈여겨 볼 필요가 있다 .

이러한 현상의 배경은 가지 점에서 납득할 수 있을 것이다 우선 전교조 출범이후 학교


2 .

장들이 전교조부 사례가심정적인 반감과는 별개로 전교조와 충돌하지 않으려는 몸조심 “ ”

전략을 펴는 것이 그 하나의 배경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또 다른 배경은 노동위원회나 .

사법 것 고발이 접수되고 나면 그 이후 진전 상황이 전교조의 통제범위를 완전히 벗어


날 수밖에 없는 부당노동행위 구제절차의 속성상 전교조 입장에서 이는 투쟁의 도구로
서 매우 비적합한 것일 수도 있다 여기에 덧붙인다면 사립학교부문의 경우 상기 사립
. ,

활동가 연수자료에 밑줄로 강조한 부분이 지적하듯 이른 바 활동가 의 부족 현상이 주 < >

된 원인이 되고 있다 역으로 이는 전교조의 전략적 행위에 있어서 활동가 역할이 얼


. < >

마나 큰 것인지를 보여주고 있다 .

- 34 -
II. 교원노사 양측의 전략과 단위학교교원노동관계

4) “참교육”을 위한 제도 형성(institution building)과 “트로이 목마” 전략


참교육 은 다른 모든 노동조합이나 우리나라의 사회주의 진보정당과 차별화된 전교
“ ”

조의 정체성에 핵심이 되는 강령이라는 점은 앞서 지적한 바 있다 수단 전략이라는 점 .

에서 참교육 전략은 이른 바 국민교육 을 담당해온 기존 국가 장학체제의 붕괴에 이


< > “ ”

은 전교조 주관의 제도형성 전략에 초점이 놓여 있다 앞서 언급한 것처럼 전교조 강령 .

상의 전략목표는 교육을 지배해온 국가교육권력을 배제하고 그 빈 자리를 전교조가 주


관하는 민족 민주 인간화 교육 으로 전환하는 것에 있다 이러한 전략 실행에 있어
< > .

중요한 성과는 먼저 국가교육권 을 기반으로 학교교육의 교육내용행정 을 담당해온


< > < >

기존의 국가 장학체제를 무력화하는데 성공한 것이다 년 김숙희 장관 시절 당시 교 . 2004

육부는 공식적으로 장학행정을 폐지한 바 있으며 그 이후로도 국가교육정책당국의 장학


기능은 온전히 회복되지 못하고 있다 우리나라 장학체제는 국가장학 교육청장학 학교 . < - -

장장학 의 세 축으로 이루어져 왔는바 그 중 국가 장학체제가 실질적으로 무너진 것이


>

다 각 지방 지역 별로 교육청에 의해 이루어지는 교육청 장학에 있어서도 교육내용을


.

다루는 교과장학은 과학기술교육의 일부를 제외하면 담당 장학진이 없어 사실상 붕괴되


어 있다 교육내용 장학기능의 마지막 최전선이었던 학교장 장학은
. 년중각 2000-2004

지방별 교육감 교원노조 간 단체협약에 따라 기존 수업지도안의 교장결재 관행이 대거


-

사라지게 되면서 사실상 불가능하게 되었다 결국 국가장학 교육청장학 교장장학으로 이 . - -

어지는 교육내용행정의 보장 체제가 총체적으로 붕괴된 것이다 노동관계가 권력 구조와 .

직결되어 있다는 앞서의 논의에서 교육행정당국의 장학진 천 여 명과 전교조 활동가 4

여명이 실질적으로 경쟁관계라 볼 때 전자 여명 대부분은 행정사무 처리를 하


2000 4000

고 있으며 실질적인 교과장학을 담당하는 전문가는 거의 없다 전교조 활동가 여 명 . 2000

중 절반 수준인 여명은 참교육 활동가들로서 교육내용개발과 확산에 있어 전자를


1000 < >

압도적으로 능가 한다 교육행정당국의 장학시스템이 이렇게 붕괴된 이후 전교조의 전략


.

적 목표는 당연히 전교조 주축으로 이를 대체할 새로운 제도 형성을 도모하는 것이다 .

교육내용을 변화시키는 목표 달성에 가장 효과적인 전략적 수단은 제도형성에 있기 때


문이다 전교조 합법화 다음 해인 년에 발족한 전교조 산하 참교육연구소의 다음 활
. 2000

동일지는 이러한 제도형성전략의 초기 모습을 선명하게 보여주고 있다 .

‘참교육연구소’ 활동일지

1998 정책위원회 정책연구실로 년동안 활동 1

1999.2 전교조 부설연구소 설립추진 준비위원회 가동


1999.2.6 중앙집행위원회 추진계획 승인 및 준비위원장 이수일 부위원장 이용관 위촉 ( ), ( )

1999.9.19 「전교조 부설 참교육연구소 가칭 규정안」 제 차 중앙위원회 통과


( ) 28

- 35 -
학교단위의 '新 교원 노사문화' 정착방안 연구

2000.1.19-21 제 회정책연구대회 5 (1.19-21)

2000.3.27 「 참교육연구소 규정 수정 안 」 전교조위원장 승인


‘ ’ ( )

2000.3.27 1기 참교육연구소 장 이수일 부소장 이용관 사무국장 김경욱 임명


‘ ’ ( ), ( ), ( )

연구원 연구위원 임명식 ,

2000년 연구과제
과제명 연구분과, 실
1. 7차 교육과정 비판과 대안 연구 교육과정연구실
2. 교원직제 연구 교원직제연구분과
3. 교원노사관계 비교연구 교원노조연구실
4. 현행 고등학생 평가방법 실태와 개선방안 연구 교육평가연구실
5. 특별활동 모델개발 연구 학교교육연구실
6. 학교실태 조사연구 통계조사실
7. 교사의식, 실태 및 학교환경 조사연구 통계조사실

8. 유아교육 공교육을 위한 올바른 학제개편연구 학제연구분과

9. 이제마의 사상철학이 교육에 주는 의미 교육사상연구실


10. 사립학교의 정체성과 방향성 연구 사학정책연구실
11. 학습 능력 신장을 위한 학교도서관 정보화 환경 조성 학교도서관연구분과
12. 민족의 진로와 민족교육 민족교육연구분과
13. 우리나라 대안학교(인문계 특성화고등학교)에 대한 사례연구 대안학교연구분과
14. 특수교육 개혁과제 특수교육연구분과
15. 사학 현안 문제 해결 방안 모색 사학정책연구실

2000.4 3 참교육연구소 창립 및 개소식


‘ '

2000.5.18 제 회 참교육아카데미 교육사상 강좌 강


1 : (15 )

♠ 1학기 강좌 교육개혁의 주된 사조에 대한 비판적 이해


제 강 학력사회와 능력사회 이규환 이화여대 명예교수
1 5/18 ( )

제 강 미국교육과 미국교육개혁에 대한 비판적 검토 권순택 그리스도신대


2 6/ 1 ( )

제 강 포스트모더니즘의 정체와 우리에게 주는 의미 송주성 문학평론가


3 6/15 ( )

제 강 신자유주의 자유주의 진보적 자유주의에 대한 비판적 이해 김동춘 성공회신학대 교수


4 7/6 , , ( )

제 강 유토피아로서의 교육정보화론과 이데올로기로서의 공교육론 박승배 전주교대 교수


제 강 한국교육개혁에 대한 교육사회학적 이해 실업고교정책을 중심으로 강연흥 경기기계공고 교사
5 7/13 ( )

6 7/27 - ( )

♠ 2학기 강좌 참된 교육개혁을 위한 교육사상의 이해


제 강 공교육에서가치추구의문제 개인주의 공동체주의를중심으로이진우 계명대
7 8/31 - , ( )

제 강 더불어 사는 상생의 교육 생태론적 교육론 노상우 전북대


8 9/14 - ( )

제 강 외국스님이 보는 한국 선 禪 무심스님 화계사


9 9/28 ( ) ( )

제 강 평등과 민주를 위한 교육 파이데이아 프로그램 손종운 대건중


10 10/12 - ( )

제 강 참된 만남과 삶의 의미를 추구하는 교육 강선보 고려대 교수


11 10/26 ( )

제 강 금 창조적 사고와 인간교육 교육의 총화와 중심으로서의 예술활동 황정현 서울교대 교수


제 강 공교육에서의 권리교육의 중요성 인권운동사랑방
12 11/10( ) - ( )

제 강 성찰적 근대화와 교육적 전통 공의 公義 와 서원교육을 중심으로 정재걸 대구교대 교수


13 11/23

제 강 참교육의 새로운 정립을 위한 모색 이수일 참교육연구소 소장


14 12/ 9 - ( ) ( )

15 12/21 ( )

2000.6 교육평론 참교육 창간준비 호 발간 1

2000.7 제 회 연수원수련회 차교육과정 비판과 대안


1 7

- 36 -
II. 교원노사 양측의 전략과 단위학교교원노동관계

교육평론 참교육 창간준비 호 발간


2000.9 2

『나 너 학교를 바꾸는 학교탐방』자료 발간


2000.9 ,

연구소 연구원 총회
2001.2.19

년 참교육연구소 연구과제 공모 및 연구원 모집 광고 및 공문


2001.3.3 2001 ( )

~ 재일동포 교육을 통해 본 민족교육의 방향 연구 를 위한 일본 현지 조사


2001.3.4 10 ‘ ’ :

민족교육분과 곽은주 오지연 ,

연구소 창립 주년 기념 토론회 참교육과정개발 어떻게 할 것인가


2001.5.10 1 ‘ ?’

참교육연구보고 제 권 제 호 발간 총 1 1 ( 694p)

년 연구과제 선정 및 연구원 임명
2001

2001년 연구과제

1. 열린교육이 초등교육에 미친 영향과 그 실태 분석 열린교육연구분과

2. 부적응 학생을 위한 교육 과정의 정리와 개발 대안교육연구분과


교원양성임용연구분
3. 교원 임용고시 10년의 역사, 그 반성과 과제

4. 교원노사관계비교연구<교섭구조를 중심으로> 교원노사관계연구실

5. 우리나라 사학의 설립 형태에 따른 발전 방향 모색 사학정책연구실

6. 교육 재정의 효율적 사용을 위한 연구 교육행재정연구실

7. 생태론적 인간상 정립과 정보화교육 비판 교육사상연구실

8. 참교육과정개발(1차년도) 교육과정연구실

9. 통일대비 민족교육과정 개발(1차년도) 민족교육연구분과

10. 학부모, 학생 실태, 의식조사 통계조사실

2001.5.24 ~ 제 회 참교육아카데미 통일시대 민족교육의 정립을 위하여


7.5 2 ‘ ’

제 강 월 일 선언과 민족교육의 과제 교사의 역할 오종렬 전국연합 의장 퇴직교사


제 강 월 일 한반도 정세와 민족 민족주의 민경우 통일운동가
1 5 24 6.15 , : ( , )

제 강 월 일 재일동포의 민족교육 일본학교 내 민족학급을 중심으로 김광민 일본 오사카 민족교육촉진협의


2 5 31 , : ( )

회 사무국장
3 6 7 : : (

제 강 월 일 북한 북한교육의 올바른 이해 임종진 민족 기자 신연식 남성중 교


)


4 6 14 , : (‘ 21’ ) (

제 강 월 일 청산하지 못한 우리역사와 민족교육 박한용 민족문제연구소


)

5 6 21 : ( )


2001.6.14 공동선언 발표 돌 기념 민족통일대토론회 금강산 이수일 소장 참석
17 ‘6.15 1 ’ ,

민족공동체교육과 교육운동의 과제 연구소 민족교육토론회 차 서울지부 참실위


2001.6.28 ‘ ’ (1 )

과 공동주관
~ 제 회 연구원 수련회
2001.7.28 29 2

~ 참교육과정개발을 위한 세미나 차
2001.10.23 11.15 (4 )

1차 평가정책 일반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학교 평가 수행평가 국제비교평가 등


( , , , )

- 37 -
학교단위의 '新 교원 노사문화' 정착방안 연구

강사 채선희 교육과정평가원 일시 월 일 화 오후 시 분 시 분
차 교과 통합 원칙과 의미 한계와 우리의 현재 상황
: ( ) : 10 23 ( ) 3 00 - 5 30

강사 이혁규 청주교대 일시 월 일 목 오후 시 분
2 , ,

차 교육내용의 양과 수준의 적정화 왜 필요하며 어떻게 이룰것인가


: ( ) : 11 1 ( ) 6 00

강사 조난심 교육과정평가원 연구원 일시 월 일 화 오후 시 분


3 , ?

차 학교 교육에서 무엇을 가르쳐야 하는가 교육철학적 입장에서


: ( ) : 11 6 ( ) 5 00

강사 신득렬 계명대 교수 일시 월 일 목 오후 시 분
4 ? :

: ( ) : 11 15 ( ) 6 00

2001.10.24 참교육연구소식 호 발간 1

2001.11.10 2001 년 연구과제 중간보고회


2001.11.9 ~ 사립학교 운영 현황과 발전 방향 교사 학부모 재단관계자 설문조사
23 , ,

2001.12.10 ~ 열린교육 평가 및 실태조사를 초등교사 설문조사


14 ‘ ’

2002.1.12 ~ 제 회 참실보고대회 『교육과정과 평가』분과 개최


14 1

2002.2.21 2002 년 연구과제조정위원회 차 (1 )

2002.2.25 제 차 대의원대회 기 참교육연구소장 이수일 인준


32 2

2002.3.30 < 전교조 참교육연구소 와 학벌없는사회 연중기획 월례강연․토론회 > < >

학벌과 교육불평등 진단에서 대안까지 김용일 한국해양대학교


, , ( )

2002.4.3 연구소 창립 주년 참교육과정개발 차 토론회


2 ‘ 1 ’

2002년 연구과제 선정 및 연구원 임명식

이미 앞서 참교육강령해설에서 지적한 것처럼 민족교육 통일교육를 제외한 나머지 참


교육강령은 지극히 보편적인 강령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는 제도 . <institution building -

형성 전략의 특징이다
> .

기관형성 또는 제도형성이란 한 국가 또는 지역사회에 새로운 기관이나 제도가 도입


되거나 아니면 기존 체제의 혁신과정에서 기존 기관 제도가 전면 재구축되거나 새로이
창설되어 성공적으로 안착하는 과정을 의미한다 년대에 셀즈니크와 같은 사회학자 . 1960

에 의하여 개념화되어 오늘날까지 개도국 선진국을 막론하고 개발행정 발전행정을 위하


여 필수적으로 활용되는 접근방법이 제도형성이다 어떤 기업 사회단체 종교단체를 막 .17)

론하고 어떤 조직 이 제도로서의 지속가능성을 확보하려면 기존 사회의 가치관과 이념


< >

을 선택적으로 내부수용 해야 한다 이것이 제도 형성 전략의 핵심이다 유사


(co-optation) . .

한 개념으로 제도화 란 새로운 혁신이 기존의 가치관과 문화의 저항을 극복하고 그에


< >

통합되는 과정을 말한다 년대 미국 피츠버그 대학을 중심으로 개발도상국의 근대화


. 1960

를 위한 이론으로 발전하였지만 지속적으로 새로운 제도의 발전과 제도개혁을 시도하는


모든 선진국에서 이 기관형성론의 관점은 광범하게 확산되어 있다 과거에는 새로운 기 .

17) 국내에서는 주로 기관형성으로 번역하나 단순한 작업조직을 넘어선 조직과 제도의 일체를 가리키는 것
으로 여기서는 제도형성으로 번역한다.

- 38 -
II. 교원노사 양측의 전략과 단위학교교원노동관계

관이나 제도를 운영하는 숙련형성 이 강조되었으나 이의 한계가 인식되


<skill formation)

면서 오늘날에는 기관형성 제도 형성에 필요한 총체적 역량형성 전략 (capacity building)

이 강조되고 있다 오늘날 중국의 산업화 현대화 과정에서 인적자원개발 이라는 용어


. < >

대신 인적역량형성 이라는 용어가 대체되어 쓰이는 배경


(HCB: human capacity building)

이 바로 여기에 있다 이를 뒤집어 말하면 제도 형성이란 바로 인적자원개발의 문제와


.

동전의 앞뒤 관계에 있는 것이다 .

전교조의 참교육연구소 참교육실 교과연합 등 공개조직들은 바로 이러한


, , cooptation

을 통한 기존 가치의 내부수용 전략 실행하는 동시에 끊임 없는 활동가 연수를 통해 자


체 역량을 개발함으로써 기존 공교육행정의 장학시스템을 밀어내고 대체하 자위한 제도
형성전략을 추구한다 이들의 활동이 다양화 민주화되어 가는 우리 한국사회의 가치관과
.

신면에 비추어 고도의 타당성을 지닌 활동을 주로 다루는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

다른 한편으로 참교육은 앞서 기술한 것처럼 민족교육 통일교육 이라는 독특한 컨 < - >

텐츠를 가지고 있다 이 부분은 전교조 내에서는 참교육 관련 부서의 공개된 활동이


. < >

아닌 통일위원회 소관임은 이미 지적하였다 전교조의 계기수업투쟁 역시 통일위원회가 .

주도 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통일위원회의 내부조직과 그 활동은 소위 통일


. “

교육 일꾼 중심으로 전국적으로 조직화되고 있다는 점 외에는 거의 공개되지 않고 있


으며 비밀조직이다 전교조 통일위원회의 년 월 일자 전국 통일교육 일꾼 교양


. 2004 5 20 “

자료집 의 이적성 여부를 둘러싸고 우리 사회에 커다란 논쟁이 벌어지고 있으나 사법기

관이 수사를 통하여 밝히기 이전에는 알 수 없는 정도로 이 조직은 비밀에 가려져 있다 .

지극히 제한된 정보에 기초한 이상의 기술만으로도 전교조의 참교육실천전략을 객관


적으로 간결하게 요약하는데 충분하다 한 마디로 참교육전략은 일반 대중과 교육계의.

지지를 토대로 교육행정당국이 운영해온 기존 공교육장학체제를 타파하고 대체하기 위


한 새로운 제도형성 전략과 그 속에 숨겨진 민족교육 통일교육 을 트로이의 목마 로
< > < - > “ ”

활용하려는 이중의 전략에 기초하여 있다 이는 전교조 조직에도 그대로 반영되어 하나 .

는 공개조직 다른 하나는 비밀조직으로 이원화되어 있다 그러나 민주주의적 조합주의모 .

델에 입각한 지배구조를 넘어서 전교조 조직중심의 교육권력 획득을 지향하는 전교조


참교육 전략의 이러한 특징은 선거에 의하여 제한된 공권력을 획득하고 공적 책임을 지
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정당 도 아닌 하나의 사회단체의 지위와 활동의 법률적 한계를
< >

크게 넘어서는 것이다 .

3. 교육행정당국의 전략분석

교육행정당국의 전략적 행위는 크게 협력적 비협력적 두 개의 전략으로 나눌 수 있다 .

- 39 -
학교단위의 '新 교원 노사문화' 정착방안 연구

교육행정당국 전략의 주체는 일차적으로 중앙정부와 교육감이다 단위학교 교원노동관계 .

입장에서 볼 때 학교장이 노사관계의 당사자가 될 것인지는 다소 모호한 면이 있다 이 .

를 나누어 설명한다 .

가. 중앙정부의 전략
교원노동관계 전반에 관하여 중앙정부가 추구하는 일관된 전략이 과연 있는 지는 매
우 불분명하다 년 학교장의 자살사건 전교조의
. 002-2003 투쟁 등으로 어수선한 가
, NEIS

운데 우선 교육부 차원의 전략수립 노력의 일환으로 학교현장실태조사가 있었으며 이를


바탕으로 교단안정화 대책이 다음과 같이 건의되었다 .

교단 안정화 대책(건의요지발췌)

◇교원노조 문제는 법과 원칙에 따라 서로 신뢰를 쌓고 서로 합심하여 교육발전을 도모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며, 이러한 과제는 1~2년 사이에 완료될 수는 없으나 궁극적으로 우리가
추구할 미래상
◇교원노조가 1999년 7월 출범 이후 교단 민주화에 기여한 점도 없지 않으나, 최근 들어 문
제 해결을 위한 건설적인 노력과 협조보다는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고 일방적인 주장만 강
조하면서 대결적 투쟁으로 일관하려는 경향이 있고
◇또한, 지나치게 교원노조 중심적인 입장에 서서 의도적으로 교육당국·학교 등 교육 공동체
구성원 간의 반목과 갈등을 조장하고 있어 이에 대한 교단 안정화 대책이 필요

(1) 불법 노조활동에 대해 엄정 대처
♥합법적인 교원노조 활동에 대해서는 적극 지원하여 안정적이고 법 테두리 내에서 합리적인
노조활동으로 정착 유도
♥하지만, 불법적인 노조활동에 대해서는 법과 원칙에 따라 엄정 대처

(2)법과 원칙에 따른 단체교섭 실시


♥교원노조법상의 단체교섭 대상 및 절차 준수
-해직교원 복직, 교육정책, 교육과정, 조직의 운영, 인사 등의 교섭배제 및 학부모 의견 수
렴 등 준수
♥학생의 학습권과 학부모의 교육권이 우선 보호받는 토대 위에 단체교섭 실시관행 정착
♥교원노조 주장의 일방적 수용차원이 아닌 법과 원칙에 따른 권한 범위 내에서 단체교섭 실
시 및 단체협약 체결

(3)단체교섭 방법 개선 추진
♥상호비방, 수용할 수 없는 무리한 요구로 시간끌기 등 자제
♥교육인적자원부 및 시·도 교육청 단체교섭시 교섭대표로 초·중등학교 학교장 참여
♥단체교섭시 학부모들을 배석케 하여 교섭과정을 참관케하고 학부모 의견 수렴 기회로 활용

- 40 -
II. 교원노사 양측의 전략과 단위학교교원노동관계

♥교육인적자원부에서 사용자 측 단체교섭 요구안 마련하여 교원노조와 단체교섭 시범 추진

(4) 교원노조의 폐해에 대한 홍보강화


♥교원노조 활동에 의한 폐해 발생시 현장보존과 홍보 강화
♥교원노조 활동 순기능 제고를 위한 학부모의 견제역할 강화

(5) 교원 복무기강의 확립
♥근무시간 중 불법집회 참여 교원의 색출 및 상응한 신분상 조치로 복무기강 확립
♥교원의 복무 감독이 효율적으로 실시될 수 있도록 교장의 권한 제고 방안 강구
♥교원 연수시 올바른 교원노조의 목적과 노조활동 영역에 대한 이해를 도울 수 있는 연수 프
로그램 운영

(6) 교원노조 업무 담당 공무원의 전문성 제고 및 사기진작


♥교원노조 업무 담당자의 전문성 제고를 위한 노동관계법 연수 프로그램 운영 실시
♥교원노조 업무전담 우수인력 확보와 자긍심 제고를 위한 승진, 전보 등 인사상 우대 방안
강구
♥선진외국의 노사관계 제도, 운영실태 견문을 위한 국외연수 실시
♥원만한 노사관계 업무수행에 필요한 수당 신설 지원

(7) 교육감 및 학운위 위원 선출방법 개선검토


♥학교운영위원회의 선출방식 개선(1인 1표) 및 교원위원의 인원수 감축 조정
※교원위원수/총 학운위 위원수:40,386명 / 111,977명
♥현행 교육감 선출방식을 주민 직선 또는 임명직으로의 개선

(8)권위와 신뢰에 기반한 학교장의 리더십 확립


♥교사의 자율성과 전문성을 도모할 수 있도록 민주적인 학교 운영
♥학교장 회의 등을 이용하여 교원노조에 대한 올바른 이해 및 불신 제거 교육 병행
♥학교회계의 투명성 및 신뢰성 제고 방안 강구

상기와 같은 건의를 토대로 년 월 당시 윤덕홍 교육부장관과 손봉호 서울대 교


2003 8

수를 공동위원장으로 하는 교단안정화대책위원회가 출범하였으나 동 차 회의에서 교육 1

부의 교육현장 안정화 대책 추진전략과 국민제안 유관단체 제안 등을 다음과 같은 개


, 3

영역 개 과제를 정책의제로 확립했을 뿐 이후 구체적인 정책을 확정하여 추진하는데


16

실패하였다 이는 동 대책위원회 자체가 전교조 측이 참여하는 등 사용자측과 노조 측이


.

함께하는 위원회였기 때문에 정부 전략 수립을 위한 기구가 되기 어려웠기 때문이다 .

교단안정화대책위원회 주요 의제
◇제1영역(법과 원칙이 지켜지는 건전한 교원 노사관계 조성) = ▲교직단체 교섭창구 단

- 41 -
학교단위의 '新 교원 노사문화' 정착방안 연구

일화 ▲교육청.학교단위별 '학교교육분쟁조정기구' 설치 ▲단체교섭 범위 기준 마련 ▲노조


활동에 대한 법집행 일관성 유지
◇제2영역(교원인사제도 혁신을 통한 교원 전문성.책무성 강화) = ▲교원 평가.승진제도
개선 ▲기간제교원 처우 개선 ▲연수제도 개선을 통한 교원 전문성 제고 ▲교장 리더십
배양 ▲유치원.초등교원간 갈등 해소 추진
◇제3영역(자율.참여를 통한 교육공동제 형성) = ▲계기교육자료 개발.보급 및 수업 적절
성 담보 ▲단위학교 비정규 교육활동 자율권 확대 ▲사학의 자율성 및 책무성 제고 ▲초.
중등 학교운영위원회 제도 개선 ▲교육정책 수립시 현장의견 수렴

결과적으로 정부 측에서는 전국전인 교원노동관계에 있어 일관된 전략이 없이 그 때


그때 이슈에 따라 대응하여 왔다 단체교섭 초기에 있어서는 교섭의제를 중심으로 전교
.

조의 확대된 의제 요구를 배제하는 전략을 추구하다가 협약 외 합의 형태로 정책협의가,

발전하면서 년 협약에서는 다수 정책 사항들이 교섭의제에 포함되는 등 국민정부와


2002

참여정부 초기까지는 대체로 협력적이었다 그러나 전교조가 투쟁 차 교육과정


. NEIS , 7

투쟁 등 본격적인 전국단위 정치적 투쟁에 나서면서 이러한 협력에 금이 가기 시작하였


으며 그에 따라 단체교섭이 년 이후 계속 결렬되었다가 년 들어선 이명박 정부
2003 2008

이후 전면적인 비협력 전략으로 전환한 것은 이미 지적하였다 .

전교조 측의 집단적 투쟁이 늘어날수록 전국단위 노사관계는 교육행정당국 교원노조 -

간의 차원을 벗어날 수밖에 없다 치안당국 사법당국등 정부 내 다른 정책당국의 개입


. ,

이 늘어나기 때문이다 특히 전교조가 민노총과 그 움직임을 함께 할수록 이러한 경향은


.

커져 갔다 .

국민정부와 참여정부 하에서 교육정책 부문의 지배구조에서는 기본적으로 북구식 조


합주의 양상이 초기에 부분적으로 나타난 것으로 볼 수 있다 기왕에 중앙정부 중심의 .

국가적 체제를 이루고 있던 교육부문에 국가중앙집중화된 노동조합이라는 정책파트너가


출현하여 상당부분의 정책 참여가 이루어졌기 때문이다 .

나. 교육감-교육청의 전략
교육감선거에 전교조가 캐스팅 보트를 행사하는 기회가 많아지면서 교육청 교원노조 -

간의 단체교섭은 대체로 협력적 양상으로 이루어 졌다 초중등교육의 많은 권한이 직접 .

법규에 의하거나 권한위임에 의해서 교육감에 부여되어 있기 때문에 실질적 교섭이 여


러 시도의 단체협약을 통하여 이루어졌다 단위학교에 인사자문위원회 설치 학교장에
. ,

의한 수업지도안 결재와 주번근무제 등 오랜 단위학교 관습들의 혁파 학교장의 교원인 ,

사내신제 폐지 등을 담으면서 단위학교 차원의 주요한 변화를 초래한 것은 대체로 시도


차원의 단체협약이었다 실제로 전교조 측에서 파악한 다음 협약사항의 실행 현황을 보
.

- 42 -
II. 교원노사 양측의 전략과 단위학교교원노동관계

면 총 건의 다수 협약사항이 가 넘는 이행완료비율을 보이고 있으며 이를 볼


2274 70%

때 전반적으로 시도 수준의 노동관계는 대체로 협력적이었다고 판단된다 .

<표 4> 단체협약 2005년 이행 결과 현황 및 이행점검 실적

최근단체협약 '05이행결과현황(건수)
시도 이행점검실적
총건수 이행완료 추진중 예산미반영
서울 192 159 33 - 2회
부산 77 13 64 - 1회
대구 -        

인천 233 197 36 - 1회

광주 290 239 51   1회

대전 339 276 62 1 2회

울산 171 116 55 - 3회

경기 129 96 33   1회

강원 157 154 3   4회

충북       3회

충남 -        

전북 318 238 77 3 3회

전남 -        

경북 -        

경남 188 129 59 - 2회

제주 180 2 178    

계 2,274 1,619 651 4  

시도 수준에서의 교육감 교원노조간의 이러한 협력관계의 많은 부분은 교육과정 인사


-

등 교육정책 관련사항이거나 그와 직결되는 것들이었으며 지역 수준에서의 교육정책과


그 집행에 있어서는 노동조합이 참여하는 조합주의적 지배체제가 꾸준히 형성되어온 것
으로 보인다 .

다. 학교장의 전략과 인식, 학교장-교원노조 관계


학교장들은 앞서 교원노조의 전략에서 본 것처럼 학교장고유의 권한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단위학교분회와 정례 면담을 통하여 그 고유 권한 사항에 관하여 교섭 및 협의

- 43 -
학교단위의 '新 교원 노사문화' 정착방안 연구

요구를 받게 된다 이러한 단위학교노동관계에 관한 한 학교장은 사용자를 대표하는 것


.

으로 인식되어 노조 측에서는 협의 상대방으로 상정하고 있으나 공식적 단체교섭이 전


국단위 지방단위로 이루어지는 현실에서 학교장은 노동관계에 있어서 전략적 행위의 주
체가 되지 못하고 소외되어 있다 .

특히 다음 사항들은 그동안 교원노조가 주도 시도간 단체교섭의제로 요구하여 시도별


로 전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협약에 관철한 내용 중 단위학교에서 중요한 영향을 미
친 것들을 수집한 것이다 .

① 인사에 관한 사항
- 교육청은 인사에 있어서 객관성과 업무 추진의 일관성, 현장 교원의 전문성을 반영할 수 있도록
교육청과 교육청 소속 지역교육청 산하에 노·사 동수로 인사위원회를 구성하여 교원 인사규정의
제·개정 및 인사에 관한 제반 사항을 심의한다.
- 교육청은 해당교원이 전보관련 자료를 공개 요청할 경우 법령의 범위 내에서 열람할 수 있도록
한다.
- 교육청은 학교장의 내신권, 학교장 전입요청 제도(인사보강)를 폐지하며 전보유예는 자녀 및 배
우자가 장애등급 1·2급인 교사에 한한다.
- 교육청(지역교육청 포함)은 교원인사관리원칙 제·개정실무위원회에 교원노조위원 3명의 참여를
보장하며 전보작업시 교원노조가 지정하는 자가 참관·확인하도록 한다.
- 전보배치 우대대상은 자녀나 배우자가 장애인인 교사, 노부모 부양교사, 원로교사에 한한다.
- 전보인사에 근무평정점수를 반영하지 않으며, 전보의 우선순위를 본인의 희망, 대중교통수단을
고려한 근거리 배정, 교육경력 순으로 한다.
- 중학교 비정기 지역교육청간 원거리 전보의 경우 '통근거리가 20km 이상이어야 한다'는 규정을
폐지하고, 실 거주지가 현임교의 지역교육청 관내가 아닌 경우에는 실거주지의 지역교육청으로 전
보 신청을 할 수 있도록 한다.
- 고등학교 비정기 원거리 전보의 경우 통근거리가 20km 이상이어야 한다
- 사립학교의 경우에 원칙적으로 본인의 의사에 반하는 부당한 인사는 하지 않도록 행정지도 한
다.
- 사립학교의 경우에 재단 내 전보인사는 교사 본인의 서면동의에 의해 실시하도록 행정지도 한
다.
- 교육전문직 추천 및 선발에 있어 학교장 추천제를 폐지하며, 보직교사 경력 가산점 및 근무성적
가산점을 폐지한다.
- 각 학교에는 다음 사항을 심의하기 위해 인사위원회를 구성한다.
1. 학급담임 배정, 보직교사임명에 관한 사항
2. 교무분장에 관한 사항
3. 연수, 상벌, 파견, 훈.포장에 관한 사항
4. 기타 인사에 관한 사항
- 인사위원회의 결정에 대하여 학교장은 특별한 이유가 없는 한 이를 따른다. 다만 위원회의 결정
에 이의가 있을 시 학교장은 그 사유를 첨부하여 재심의를 요구할 수 있다.
- 조합원이 징계에 회부되었을 경우, 소속조합의 추천인 1인이 보조변론을 할 수 있도록 한다.
- 교육청은 사립학교 교원 임용이 민주적으로 구성된 학교인사위원회를 통해 이루어지도록 적극
행정지도한다.
② 학교내 사무처리관습에 관한 사항

- 44 -
II. 교원노사 양측의 전략과 단위학교교원노동관계

- 학교일지와 학급일지는 폐지한다.


- 근무상황카드(출근보조부)또는 출·퇴근 시간 기록부, 출·퇴근시간체크기는 폐지한다. 또한 교내근
거리 통신망(LAN)에 의한 출퇴근 체크를 하지 않는다.
- 교육청은 학교장이 학교실정에 맞게 위임전결규정을 개정하여 결재과정을 간소화하도록 권장한
다.

③ 교육과정운영과 학생지도 관련 사항
- 교육청은 교원의 근무조건 향상을 위해 초·중등학교의 부서체계 결정 시 다음의 사항이 반영되
도록 한다.
1. 현행 행정 중심의 부서체계를 교육과정운영 중심으로 개편한다.
2. 교사는 수업, 학급운영, 교재연구, 생활지도 등 교육관련 업무에 전념하고 행정업무를 담당하
지 않는다.
- 초등학교의 학년공개행사, 초·중등학교에서의 수업연구발표행사는 폐지한다.
학습지도안(학급경영록 포함)은 교사가 자율적으로 작성하여 활용하며 부장교사나 교감, 학교장이
결재하지 않는다. 또한 교육부가 발행하는 학습지도서나 교육부가 인정하는 교육기관이 발행한 학
습지도자료로 학습지도안을 대체할 수 있다.
- 학교장은 교사에게 본인의 의사에 반하여 특기적성, 상설특활교육, 방과후 특별활동 교육, 학부
모 취미교육을 요구할 수 없으며, 수익자부담의 특기적성지도교사의 강사료 지급기준은 학교운영
위원회에서 정하도록 한다.
- 교육청은 초·중·고등학교에서의 교육과정위원회의 조직과 운영이 민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
록 지도·지원한다.

④ 노동조합활동보장에 관한 사항
- 교육청은 수업 및 학교업무에 지장이 없는 한 교원노조 소속 조합원의 자유로운 노동조합 활동
을 보장하고, 어떠한 이유로도 조합운영을 방해 또는 개입하지 아니하며, 노동조합 활동을 이유로
어떠한 불이익 처우도 하지 아니한다.
- 교육청은 수업 및 학교업무에 지장이 없는 한 교원노조 소속 조합원의 교사나 학부모를 대상으
로 하는 노조의 홍보활동과 이를 위한 교내 시설의 설치 및 이용을 허용한다. 여기서 홍보활동이
란 인쇄물 배포, 선전물 부착, 현수막 부착 등을 말한다.

이들 사항들을 보면 대체로 어느 정도의 합리성을 지닌 요구로 보이나 그럼에도 불구


하고 이들에 관한 교육감들의 단체협약은 지금까지 법규나 관습에 의해 지지되어온 기
존 학교장들의 권한을 위축시키기에 충분한 내용을 담고 있다 이상과 같은 사항들에 대 .

한 단체협약은 그 것이 교육감이 체결한 것이기 때문에 개별 학교장들은 이들이 교장고


유권한 사항이라 생각하는 경우에도 이를 사실상 무시할 수 없으며 결과적으로는 교원
노조가 상급기관을 통하여 학교장을 압박한다는 인식을 갖게 된다 .

본 연구를 통해 배포된 전국의 교장자격연수생 대상 설문지의 질적 기술 부분에 나타난바


이러한 상황에 대한 여 응답자들의 기술 내용을 개의 내용으로 묶어 보면 다음과 같
300 8

다 학교장들의 이러한 인식 내용은 ①전반적으로 볼 때 전교조의 전국적 전략이 관철된


.

시도수준의 단체협약에 의해서 출현한 지방별조합주의 체제에 대한 불만 ②교원노조의 집


단적 투쟁에 의해 초래된 갈등과 이에 대한 법집행의 무력함에 대한 불만 ③전교조 조합

- 45 -
학교단위의 '新 교원 노사문화' 정착방안 연구

원들의 개인성 공격성에 대한 비판적 시각을 담고 있다 .

1. 교원노동조합활동 종합평가
교원노동조합은 전체적 조화와 공익보다는 개인과 조직의 이익을 추구하고 있다. 참교육을 표방
하고 있으나 실제는 참교육보다 무사안일에 빠져 사사건건 반대하며 관리자인 학교장, 교감은 안
중에도 없고 타도의 대상으로 생각하고 있다. 교원노동조합 단체활동이 극단적인 모습을 보여주
는 것이 인식을 흐리게 하는 요소이며, 대화를 통한 평화적인 타협의 모습을 보여야 한다. 교직단
체들의 마인드 전환이 필요하다. 단체활동을 빌어 공직자로서의 행동이 부당한 것도 타당한 것처
럼 포장한다. 정치색을 줄이고 교육자, 교직원 복지에 주력하여 활동하여야 한다. 대립보다 타협
협력하는 쪽에서 노동의 지위향상을 위한 노동운동이 되어야 한다. 지나친 억지, 과격한 투쟁은
우리 전체 교원에게 도움이 되지 못하며, 교원노조는 투쟁방법의 민주성을 고려해야 한다. • 사회
적 민감 사안에 대한 중립적 자세 견지해야 할 교원 단체의 정치 개입 반대한다. • 조합원들의 회
비를 교원 노동관계의 발전을 위하여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하고 회원 및 사회 복지 부문에 투자
하는 등 우선 노동조합이 많은 사람들에게 인정을 받도록 활동하면 좋겠다. 교원노동조합은 정치
영역에의 간섭과 투쟁을 삼가고 진정한 국가의 교육발전을 위하여 노력하는 단체가 되어야 한다.

2. 교원노사관계 총론-법과 원칙의 강조


진정한 교육을 위하여 교육행정당국과 교원노조간 대립 상황이 전개 되지 않아야 한다. • 교원
노동관계 영역을 벗어난 쟁의에 대하여 엄정한 대처가 필요함<정치관련 집회 참석 등> • 사용자
가 노조에 끌려다니는 양상의 단체교섭은 사라져야 한다.
• 교원노동관계가 정부교체와 상관없이 일정한 틀을 가지고 지속되어 나가야 하는데 정부에 따라
차이가 있어 갈등요소가 증폭되고 있다. 교원노동단체의 활동 범위를 노동 고유의 영역에만 국한
시켜야 한다. 교원 노동관계는 교직원의 복지 증진과 근무 여건 개선을 위한 정책 대안 모색에
한정되어야 한다.
• 노동조합법 보다 공무원법을 우선할 수 있는 강력한 체제가 중요하며 이를 정부에서 연수를 시
키든지, 강력하게 제재를 하든지 해야 한다.
• 단체협약이 시대변화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을 감안 협약체결을 위한 보편타당한 가이드라인
이 제시되어야 한다.
• 법과 원칙에 의해 노동관계를 실천 한다면 문제가 없다. 불법적인 노동운동도 문제지만 불법을
제대로 법과 원칙에 의거 처리하지 못하는 것은 더욱 문제가 크며 이로 인해 악순환이 되풀이 된
다. 교원 노조의 불법 활동을 법에 따라 엄정하게 징계하고 합법적인 활동만 보호해야 한다.
• 교원의 직무와 복무에 관한 법적 규정의 명확화가 필요하다.
• 노동관계 법이 아닌 초중등 교육 법령 정비를 통해 노조 측의 부당 노동 행위에 대한 제재를
강화 할 필요가 있으며 노동자관이 아닌 교원의 전문성 강화를 위한 법령 정비가 필요하다.
• 교원노동법과 관련한 교육을 학교장 뿐만 아니라 교원노조 가입 교사들에게도 실시할 필요가
있으며 특히 교원노조와 관련한 위법사항에 대해서는 엄격하게 교육해야 한다.

- 46 -
II. 교원노사 양측의 전략과 단위학교교원노동관계

3. 조합원인 교사
교원노조와 그 조합원인 교사들은 국가관 확립이 필요하다. 노동조합원들은 양보하고 배려하는
마음과 여러 사람을 설득하는 노력이 부족하다. (교수학습활동 등의 협약은 안 됨) 잘못된 협약
으로 인해 학교 교육 계획 실천에 어려움이 많으며, 가장 중요한 학년교육과정 수립 등 교원으로
해야 할 일을 하지 않는 전교조 교사가 있다(학년계획을 세우지 않고 학생지도가 가능한가?).

4. 교원노조-학교장 관계
• 학교장의 자율․책임 경영 구현을 위해 단체협약시 학교관리자의 의견을 충분히 수렴해야 한다.
• 교사들의 복지나 근무조건 등의 개선을 위한 노력은 적극 지지하나 학교장의 고유권한으로 학
생들의 학습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다음과 같은 사항은 수정 및 폐지되어야 한다.
①. 인사권: 학급 담임 및 교무업무 분장: 학교장은 적재적소에 교사를 배치하여 교육의 질 향상
을 하여야 하나 ‘교내인사 자문위원회’를 두어 학교장의 인사권 침해.
② ‘학습지도안의 교사 자율작성’은 학생이 좋은 수업을 받을 권리인 학습권을 침해
• 교원노조가 학교관리자를 대상으로 투쟁이나 갈등을 초래할 것이 아니라 교원의 법적 지위 향
상을 위하여 정부를 대상으로 협상을 추진해야 할 것임: ①법정 교사 확보를 위한 노력 ② 법정
시수 확보를 위한 노력 ③신설교 교사 확보를 위해서 기존의 학교에서 T.O감축하는 등 학교교육
의 문제점 발생-이에 대한 해소 노력이 요구됨 ④ 행정실의 명칭->학교지원실로 바꾸기 위한 노
력 ⑤행정실로의 업무이관을 통한 교사들의 업무경감을 위한 노력

5. 단위학교 상황
• 노조가 전 교직원을 대표하는 것이 아닌데 비노조원까지 그 협약에 따라야 한다는 것은 어불성
설이다. 교원단체가입자가 소수이거나 절반이 안 되는 경우에도, 마치 전체 교사들의 의견이나
주장이라고 생각하고 의견을 제시하거나, 학교 활동에 제동을 거는 경우가 많다. 교원노조가 허
락된 이래 학교에 위계질서가 너무나 무너지고 있으며 이는 정부의 책임이다. • 교원노조활동과
관련하여 무수히 많은 공문이 시달되고 교감은 “단체활동금지”등 전교조 활동에 감시자 역할을
해야 하는 등 많은 스트레스를 주고 있다.
• 단체교섭이나 집단행동이 학생의 학습권을 침해하는 경우에는 허용되지 말아야 한다.
• 노동조합원이거나 아니거나 모든 교원은 다 같은 교원이다. 조직적인 힘을 등에 업고 주장하는
것에 대하여는 원칙에 따라 단호히 대처할 수 있어야 한다. 전교조 소속 교사는 모든 사안을 전
교조 분회장, 지역 지부장에고 조언을 구하고 대처하며, 상급관청인 지역교육청/도교육청 등 지
시에는 안하무인이다. 어렵고 힘든 일(예, 학습지동란, 수업공개 등)은 노조를 등에 업고 모두 하
지 않으려 하며 편업고 지내기 위해 노조라는 우산 속에 들어가는 경향이 있으며 이것이 정말 바
뀌어야 한다. 교원노조교사는 교수학습 활동이나 생활지도, 근무(복무)는 성실하고 법규대로 하
지 않으려 하면서도, 특정 조직적을 등학생을 위하 등듯이 이중적 등듯식적으로 행동한다. 학교 등
학생의 교육을 위해 속한 장이며 교육에 속컐 않은 교원 단체의 권한과 권리 등없어져야 한

- 47 -
학교단위의 '新 교원 노사문화' 정착방안 연구

다.

6. 단체협약
교원단체협약도 상위법(교육법, 교육법시행령)의 범위에서 협약사항을 한정해야 한다. 단체협약
내용이 학교교육과정 정상운영(특히 교수․학습 관련 교사가 이행할 업무)에 저해되는 경우가 많
다.• (예: 경영록 일괄결재 반대로 현장에서 가장 중요한 학생의 기초 조사마저도 준비하지 않는
교사도 있음)학교의 발전을 저해하는 내용은 절대로 협약사항에 넣으면 안 됨. • 단체협약 내용
이 교직원 복무나 제규정 및 법규에 충돌되거나 학교장의 권한을 침해하는 경우가 많다. 교육과
정 운영에 관한 사항(예를 들면 수업지도안 결재, 0교시 수업 등)은 단체교섭 사항이 아니다.

7. 노동조합에 대한 적대적 인식
• 학교에서의 교사근무를 노동으로 생각해 본적이 없다. 교사는 제자들을 가르치고 지식을 전수
하는 전문직으로 국가의 발전을 위하여 노력해야 하며 교총을 통해 우리 교직의 어려움이 결집
해결되고 있음에도 신성하고 전문적인 교사집단이 노동조합의 시녀 노릇을 하고 있고. 교원노동
조합은 당초부터 잘못된 정책이다.
• 교원단체(교원노조)와 학교 내에서 대화할 필요가 없다. 단위학교 내 분회활동(직원회 전달 또
는 모임 등) 은 일체 금지되어야 한다.
• 교원노조를 교육감 선거에 절대 이용하지 말아야 한다. 학교교육의 황폐화를 초래한다.

8. 협력과 win-win 강조
• 교원 노사 양측이 파트너로 상호 인정하고, 의사소통하여 바람직한 교육정책 발전방안을 모색
해야 한다-노조의 목소리를 들어 주고 그들 입장에서 교육을 바라보려는 노력도 필요하다. 교육
목표는 같으며 눈앞의 이익만 추구하지 말고 교육자의 공감대를 확대하여 그길로 나아가는 것이
진정 다음 세대 교육자를 위한 초석이 될 것이다.
• 교원노조와의 관계를 갈등관계로 가져가지 않으려면 긍정적으로 생각하고 그들의 의견을 들어
주려 노력해야 하며 무조건 부정적으로 생각하면 그들 상대의 설득이나 접근이 어렵다. 교육동반
자로서 상생의 길을 찾고 학생을 가르치는 데 있어 서로 대립과 갈등의 모습을 보이지 않아야 한
다.
• 교원노동관계에 있어서 학부모 단체의 시각을 적극적으로 수용 소화 하는 것이 필요하다. 학
부모의 의견을 도외시하지 말고 노사 양쪽이 서로 상생하는 방향으로 의견 소통을 하여 교육과정
정상화를 기할 수 있는 방향으로 나가야 한다. • 교원노동관계자가 법적 위반되는 행동을 할 때
지도나 타협을 수용 못하여 갈등하는 사례 때 대응하는 전략적 기법 연수가 필요하다. • 노동조
합은 학교장을 갈등의 상대방으로 생각지 말고 교원들의 복지와 학생들의 교육에 집중해야 한다.
• 교원노동조합은 변화와 수업 개선에 적극 동참하는 방향으로 노선을 전환해야 한다. 교원노동
조합은 학교장이 하는 일을 견제해야 한다는 기본적 의식을 바꿔 협력을 기본으로 삼아야 한다.
• 단위학교에서는 교원노동 단체 활동은 대립이 아닌 협조적 자세가 필요하며 기타 노동관계 단

- 48 -
II. 교원노사 양측의 전략과 단위학교교원노동관계

체 및 각종 취미와 동호회 관계 단체가 활성화되어 전체적으로 조화될 수 있도록 하는 체제가 필


요하다.

단위학교 노동관계라는 입장에서 보면 학교장의 고유권한 또는 위임된 권한으로 법규


상 규정되어 있는 것들이 상당수 있다 이러한 것들은 원칙적으로 장관이나 교육감의 소
.

관을 벗어난다 따라서 논리적으로는 이들 권한에 관한 한 장관 교육감이 교원노조와


. /

단체협약을 체결하는 것은 불가능하며 이에 관하여 교육행정당국이 행정지도 를 한다 “ ”

는 식으로 단체협약을 체결하는 것 역시 권한을 넘어서 무리한 단체협약을 체결한 것이


다 교장들이 이에 대하여 불만을 토로 하는 것은 충분히 근거가 있다 전교조의 분회장
. .

연수자료 조차도 다음과 같이 이들 학교장 권한 사항에 관하여는 분회별로 학교장과 “

협의 하는 사항으로 별도 분류하고 있는 것이다


” .

학교장과 협의 가능 사항(충북지부 분회장 연수자료에서 발췌)

1. 학교내의 인사관리에 관한 사항 (교원인사는 학교운영위 사항이 아님)


담임 및 주임 임명 등 인사위원회의 운영에 관한 사항 (현재 공사립학교에 인사문제를 다루는 인사
위원회를 설치하고 있음)
학교장에게 부여된 교원 자유출퇴근제 운영에 관한 사항
각종 휴가의 허가에 관한 사항 (예, 연가 허가, 병휴직, 출산휴직 등의 허가, 기타 휴가의 허가
등)
학교장이 명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초과근무에 관한 사항
학교장이 조절할 수 있는 일숙직 교대시간에 관한 사항
사립학교에서 재단내의 학교간 전보인사에 관한 사항

2. 학교장의 권한 사항 중 학교운영위원회의 심의를 거치도록 한 사항


예를 들면 교원 연구비 지급에 관하여 학교예산에 편성토록 교섭하고, 학교운영위원회의 심의결과
에 따라 지급하도록 한다.
교원의 추가근무가 필요한 보충수업 등에 관하여 교섭, 학교운영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실시한다.
교원의 신분과 근무조건에 밀접한 교원초빙제와 학교장 초빙제 등에 대하여 학교장과 교섭하고, 이
를 학교운영위원회 심의를 거치도록 한다.
교원의 잡무를 보조할 교무전담직원의 배치를 학교장과 교섭하고, 이를 학교운영위원회의 예산 심
의과정에서 통과 되도록 하여 실시한다.
학교장이 부의하여 학교운영위원회의 심의를 거치도록 되어 있는 학칙 등 관련 규정 제정시 교원의
근무조건과 관련한 사항은 사전 협약 체결후 학교운영위원회에 부의토록 한다.
학교의 냉난방 등과 관련한 사항, 교섭 후 학교운영위원회에 예산확보를 요구하여 통과된 후 실시

3. 학교장의 권한 사항 중 교원의 근무조건과 직접관련이 없는 사항


학생 징계에 관한 규정 등 결정사항: 교원의 근무조건과 관련이 없다고도 할 수 있으나, 교원의 교
육활동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므로 이를 협의토록 한다. (물론 규정은 학교운영위원회 심의를 거쳐
야 함으로 학교운영위원회에서 심의 후 실시함)

- 49 -
학교단위의 '新 교원 노사문화' 정착방안 연구

기타 학생의 교육과 관련한 사항

4. 제외사항 예
재학생의 학적관리 등에 관한 사항
법령으로 그 기준이 정해진 사항이나 공개가 금지된 사항 (예, 근무평정)

[참고] 학교장의 권한에 속하는 사항: 다음은 법령에서 학교장의 권한으로 정하고 있는 사항을 추출한 것
이다. 학교장의 권한 또한 시·도별로 교육감권한위임전결규정 등을 통해 학교장에게 위임하고 있는 권한
들이 꽤 있으므로, 이를 면밀히 파악해야 한다.
■공무원당직및비상근무규칙
당직 명령 변경․승인 당직실 지정 당직편성 관외출타 승인
■교과용도서에관한규정
2종도서의 선정
■교원연수에관한규정
연수수료점수 미달자에 대한 재연수 지시 연수기관퇴학자, 연수등록거부자에 대한 징계요구
■교육공무원법
초빙교원의 임용요청 기간제교원의 임용 교외 자율연수 승인
■국가공무원복무규정
시간외근무 명령 연가 계획 및 허가
병가․공가 허가 포상휴가·장기재직휴가
■사립학교법
학교회계 예산편성 및 집행 교감․교사․사무직원의 임면 제청
기간제교원의 임면
■초․중등교육법
학교규칙 제정 학생의 징계 학교생활기록부 작성․관리
학년제외의 제도 채택 조기진급․조기졸업의 인정
■초·중등교육법시행령
업무분장 보직교사의 증치
산학겸임교사·강사·명예교사의 임용 수업일수 지정·감축
복식학급 편성 임시휴업 실시
복수 학과․학급의 병합 수업 교외체험학습허가
수업 시․종 시각 지정 수료․졸업 인정
학습부진아 판별·교육 입학․편입학․재입학․퇴학․전학․휴학의 허가
고등학교 입학전형 실시(고등학교장)
■학교급식법
위탁급식 실시 및 학교급식공급업자의 지정
■학교급식법시행규칙
학교급식위원 임명·위촉
■학교보건법
학생·교직원 신체검사 실시 전염병 보균자에 대한 등교정지 처분
임시휴업 실시
■학교보건법시행령
정화구역의 관리
■학교수업료및입학금에관한규칙
수업료·입학금의 면제·감액 수업료징수기일 지정
수업료 체납학생에 대한 징벌

- 50 -
II. 교원노사 양측의 전략과 단위학교교원노동관계

4. 전략분석 종합: 단위학교교원노동관계의 이론적 모델

<표 5> 단위학교교원노동관계의 이론적 모델

\교육행정당국전략
협력 전략 적대적 대결 전략
전교조전략 \
①조합주의 모델
산별교섭전략 ×
(neo-corporatism)
②사업장 단위
정치적 투쟁전략 ×
적대적 대항 모델

참교육-조직강화 전략 ③전면적 정복(conquest)-갈등 모델

전문직화 전략 ④New Unionism 모델 ×

교원노동관계 각 당사자의 전략분석을 하는 목적은 그러한 노사 양측의 전략에 따라


결과적으로 출현하게 되는 전반적 노동관계 모델이 단위학교의 교원노동관계의 성격과
양상을 결정하기 때문이다 앞서 기술한 것처럼 전교조가 추구하는 전략은 개 정도로
. 4

요약될 수 있으며 교육행정당국이 추구하는 전략은 협력 비협력의 로 나뉜다 이를 조 - 2 .

합하면 상기의 표에서처럼 개 정도의 노동관계 모델이 나올 수 있다 그러나 이들 모두


8 .

가 실제로 구현되는 것은 아니다 .

양측이 모두 적대적 공격적 전략을 수행하는 경우에는 노동관계가 힘의 행사에 의존


하게 됨에 따라 온전한 불확실성 속에 빠지게 되며 이는 모델이라고 할 수도 없다 현실 .

적으로 지난 년간 우리나라에서 부분적으로 나마 구현된 교원노동관계모델은 가지


10 3

정도 이며 여기에 본 연구가 지향하는 미래의 발전 모델을 추가하면 다음과 같이 개의


, 4

모델 정도를 이론적으로 상정할 수 있을 것이다 .

① 사회적조합주의(social-corporatism) 모델
이미 지적한 것처럼 각 시도수준에서는 단체협약과 교육감선거를 매개로 시도교육행
정당국과 전교조 간의 상당 수준 협력관계가 출현하고 있었다 국가조합주의적 전통에 .

의한 집권주의적 전통이 강한 우리나라의 현실에서 교육행정당국과 집권적 구조를 가진


교원노동조합이 협력할 때 나타나는 지배구조가 사회적조합주의 체제이다 이때의 단위 .

학교 노동관계는 이러한 조합주의적 지배구조 속에 편입되면서 개별학교의 자율성을 잃


게 될 가능성이 높다 단체협약에 대한 불만을 표현하는 앞서 소개된 학교관리자들의 인
.

- 51 -
학교단위의 '新 교원 노사문화' 정착방안 연구

식은 이러한 결과를 반영하는 것이다 .

② 사업장 단위 적대적 대항 모델
개개의 학교가 법적 자율성을 확고하게 가지고 있는 사립학교부문에서 구현된 모델이
이것이라 할 수 있다 교원노동법이 상정하는 산별교섭 형태의 연합교섭이 사립학교측에
.

서 거부됨으로써 사업장 단위에서는 적대적 관계가 형성되고 전국적 수준에서는 교원노


조의 정치적 투쟁이 지속되는 형태의 퇴보적 모델이다 이 모델의 중요성은 만약 노사.

양측이 서로 적대적이면서 단위학교교장과 학교운영위원회에 대폭의 자율성이 주어지면


공립학교에서도 이러한 모델이 나타날 가능성이 높다는 점이다 .

③ 전면적 정복-갈등 모델
외형상으로는 공립학교를 중심으로 노사협력적 성격의 조합주의 양상이 나타났지만
앞서 강령과 수단으로 나누어 분석한 바 전교조 전략의 근본적 성격이 교육행정당국의
교육내용행정기능을 무력화하고 이를 전교조가 대신하고자 하는 적대적 공격적이기 때
문에 이면에 언제나 잠재되어 있는 모델이며 사용자 측인 정부의 태도 변화에 따라 언
제라도 현재화될 수 있는 모델이다 이명박 정부 하에서 현실화될 가능성이 매우 높은
.

모델이 바로 이것이다 이 모델은 전교조가 이익단체로서의 단순한 노동조합을 뛰어 넘


.

는 인간관과 세계관을 가지고 마치 정당처럼 권력을 획득하여 이를 정치적으로 실행에


옮기려는 초과된 목적을 가지고 있어 생기는 우리 나라 특유의 현상이 될 것이다 .

④ New Unionism 모델
이 모델은 단체교섭을 통한 권력배분에 치우친 노동운동 이념의 전면적 변화를 기반
으로 하고 개별 학교에 대폭적인 분권화 자율화가 이루어진 상황에서 이를 전제로 교육
정책당국이 교육개혁을 위하여 이에 협력함으로써 구현되는 모델이며 미래의 방향 모델
이다 우리나라의 문민정부 시절 정부는 교육개혁을 위하여 전교조와 일정수준 협력을
.

추구함으로써 전교조 합법화가 이루어지고 이러한 협력관계가 국민의 정부로 이어졌으


나 이는 결국 조합주의적 지배로 이어졌을 뿐 학교단위 교육개혁의 성공을 낳을 수는
없었다 이렇게 된 이유는 이 모델의 전제인 단위학교 현장 중심의 분권화 자율화를 전
.

교조가 받아들이지 않고 전국 단위의 집중화를 추구했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 모 .

델의 구현을 위한 조건과 정책을 탐구하는데 초점을 둔다 .

- 52 -
III. 단위학교에서의 분쟁과 갈등 사례 분석

Ⅲ. 단위학교에서의 분쟁과 갈등 사례 분석

단위 학교에서의 분쟁과 갈등은 두 가지 측면의 성격을 지닌다 한편으로는 전교조 전 .

략과 교육행정당국의 전략이 만나서 생겨나는 학교현장에서의 산출이라는 성격이 있으


며 또 다른 측면은 이러한 양측의 전략과는 별개로 단위학교에서 교장과 교사 의 행태
를 둘러싸고 일어나는 사건 사고 로서의 성격이다 따라서 단위학교 교원노동관계에
< > .

관한 정책을 수립할 때에는 노동관계에서의 교육행정당국의 전략이라는 측면과 단위학


교에서의 행위자들에 대한 규제와 역량개발이라는 행태적 측면의 가지 측면을 함께 고 2

려하여 정책을 수립해야 한다 .

1. 행정적 실태조사결과와 교단안정화 대책

두 번째 단체협약이 체결된 년 당시 교육부는 단위학교 현장 실태조사 작업을 직


2002

접 수행한 바 있다 년 월중 시·도 교육청 교원노조담당과장 협의회 시·도 교육감


. 2002 6 ,

및 학교장 간담회 초·중등학교 교장 회장단 회의 개 단체 담당공무원의 학교현장 방


, (13 ),

문을 통한 실상 파악 교원노조와의 갈등으로 분규가 발생한 학교장 및 행정실장 간담회


,

등의 방법으로 조사된 이 문서에 따르면 년 월부터 년 월까지 교육현장에서 2002 2 2003 3

갈등사례가 발생한 건수는 농성 건 집회 및 시위 건 단위학교內 갈등 건 언론


(25 ), (29 ), (12 ),

을 통한 사회문제화 건 기타사례 건 등 총 건이며 조퇴·연가투쟁은 전국에서 다


(17 ), (11 ) 94 ,

수 발생했다 본 연구의 초점인 단위학교부분을 중심으로 이 실태조사 결과를 발췌하면


.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

Ⅰ.교원노조의 활동실태

1. 교원노조 합법화 초창기 위상강화를 위한 연례 행사적 불법집회 개최


2. 청사 및 사무실 무단점거·농성
3. 장기간 진행되어 온 집회투쟁상황
4. 학교장 경영권 약화를 위해 대립·갈등
♥학교행정을 감시한다는 명분으로 학교 예·결산, 학교발전기금 집행내역 등 증빙자료 일체를 요구
♥교원 성과급 지급 평가기준, 심사위원 명단, 회의록 사본, 심사결과 등 교원성과급 지급 관련 자료 일체를 요
구하고, 학교장을 상대로 행정소송, 고충심사 등을 청구
♥학습지도보다 학생·학부모 심리를 이용한 인기 전술적 언행에 비중을 두어 전교조 지지 기반세력 확보에 주력
-어린이 날, 학생의 날 등에 학생에게 무료 선물 등
♥전교조 개최 각종집회 참여를 위해 무단 결근, 연가 또는 조퇴 실시로 수업에 지장 초래
-불법집회 참석을 위한 연가신청시 학교장이 불허할 경우 시·도 지방노동위원회에 부당노동행위 구제신청
♥주번교사제 폐지·보충수업 폐지 등을 위해 근무시간 중 교내 노조활동 사실상 실시
♥발령받은 학교장의 부임을 거부하는 의사표시 수단으로 전교조 교사들이 검은 리본을 패용하고, 교문 앞 및 시
내 광고물 게시판에 현수막을 게시

- 53 -
학교단위의 '新 교원 노사문화' 정착방안 연구

♥검증되지 않은 학교장의 비리의혹이나 학교비방 등을 무책임하게 인터넷과 학교 게시판에 게시하는 등 학교장


의 명예와 교권 침해
♥교원노조에 가입하지 않는 젊은 교사를 왕따시키는 분위기 조성 및 반강제적 가입을 강요
-최근 교대 출신 신임교사 100%가 전교조에 가입하는 실정
♥특정학교의 교내 갈등문제를 다른 학교노조원과 연계하여 집단으로 몰려와 개입하고 시위하는 불법적인 행위
다반사
♥전교조 시·군·구 지회 등에서 단협이행 감시단을 자체 조직하여 학교를 방문, 학교장에게 자료제출을 요구하
고 非협조적일 경우 폭언, 위협 및 협박 등을 일삼고 있음
♥학교운영위원회의 교원위원에 전교조 교사만 선출시키고 학부모 위원을 친(親)전교조 인사로 선임할 것을 강요
♥학교장의 학습지도안 제출요구를 거부하고, 학생을 사주하여 학교장의 정당한 지도감독 행위를 방해
♥학교장의 학급담임 배정 등에 항의하기 위해 리본패용, 대자보 게시 및 교육청 홈페이지에 무차별 글 올리기
♥단체협약 관련 홍보물과 현수막을 학교장 허가없이 부착
♥수행평가는 각종 기록을 누가 기록하여 학생의 확인을 받고, 학교장의 결재를 받아야 하나, 수행평가 결과 기
록물의 결재 및 관찰 내용의 작성을 거부
♥근무시간 중 학교 밖에서 전교조 자율연수를 실시하고, 연수를 허가하지 않을 경우 전교조 시·도 지부 등에서
집단으로 항의 방문 및 교육청 홈페이지에 항의 글을 탑재
♥근무시간중 천막을 치고 북을 치면서 불법집회를 개최하고 학생들을 집회에 참가시키는 등 비교육적 행위
♥매주 1회씩 개최되는 교직원 회의시, 학교장 훈화 중에 전교조 조합원 전원이 집단으로 퇴장
♥교원의 지방직화 반대, 성과상여금 반환 등을 위한 서명행위 등 단체행동

5. 무리한 단체교섭 요구
♥교원노조의 단체교섭 요구는 조합원의 임금·근무조건·후생복지 등 경제적·사회적 지위향상에 관한 사항으로
한정(교원노조법 제6조)
♥해마다 단체교섭을 요구하는 건수가 약 400~500건으로 지나치게 과다하고, 해직교원 복직, 교육정책, 교육과
정, 기관의 운영 등 교섭대상이 아닌 교육전반에 대해 교섭을 요구하여 노사 갈등을 심화 증폭
-2002년도 교원노조 단체교섭 요구:434건

6. 빈번한 학생의 학습권 침해


♥2000년 3월27일~4월22일 「민주시민육성을 위한 공동수업안」을 전교조 총선 대비용으로 발간 보급하여 학생
수업에 활용
♥2001년 6~7월 경기 및 충북지역 초·중·고교에서 현직 교육감의 비리혐의를 주제로 학생들에게 「反부패 수
업」 실시
-법원이 판단하지 않은 「혐의」를 마치 사실처럼 수업자료로 삼았으며, 「지역 교육의 수장」을 손가락질하도
록 어린 학생들을 가르치는 비교육적 행위를 함
♥2002년 전교조 발행 이적성이 있는 「이 겨레 살리는 통일」과 「살아있는 국사」를 교과서 대용으로 학생 수
업에 적극 활용토록 배부

Ⅱ. 교장의 학교운영과 관련한 문제점

♥일방적이고 독단적인 학교운영


-학내 구성원의 의견수렴 절차가 필요한 중요한 사항 의사결정을 교장 독단적으로 한 후 구성원에게 강요
-교무회의 등 획일적 지시·명령·전달 위주의 회의 운영
-학교운영위원회를 의례적으로 운영함으로써 위원회 기능 활성화 저해와 불만 초래
♥불투명한 학교회계처리
-간부학생 학부모에게 모금을 할당하는 등 非교육적 방법에 의한 학교발전기금의 변칙적 조성·운용
-급식, 수학여행, 앨범 및 각종 물품 구매업자를 미리 내정하고 수의계약에 의해 선정
-어린이 신문 구독과 관련하여 기부금(1부당 평균 기부금 600원)을 받음으로써 교원노조와의 갈등 야기
-시·도 교육청 인사담당자가 교장·교감으로부터 거액의 금품을 수수한 사실이 사정기관에 적발됨으로써 교직사
회의 불신 초래
♥교원노조 활동에 대해 편향된 시각을 갖고 무조건적으로 교원노조 조합원을 적대시
♥교원정년 단축, 성과급 등 개혁적인 교육정책에 대해 정부 입장을 교원들에게 이해시키기 보다 동조하는 경향

- 54 -
III. 단위학교에서의 분쟁과 갈등 사례 분석

♥학교운영 책임자로서 원칙에 입각한 확고한 의지 없이 원만한 관계 유지를 위해 소신 없는 학교운영

Ⅲ. 노조활동 관련 문제점 분석

♥조직의 단결력 강화와 위상제고를 위해 불법행위 강행


-해마다 연례적으로 되풀이하여 대규모 인원을 동원한 불법집회를 개최
-자극적이고 과격한 불법활동의 전개로 사회적으로 교원노조의 존재 및 영향력 과시
-민주노총의 하부노조로서 일반 노동조합과 같은 수준의 단체행동권을 행사하려는 경향
-교총 등과 차별화를 위해 선명성 경쟁으로 파행적인 非교육적 행위를 하고 있음
♥교원노조는 아직도 힘으로 밀어붙이면 무엇이든지 해결할 수 있다는 사고 팽배
-교원노조의 집단 연가, 조퇴 투쟁, 사무실 점거·농성 파업협박 등을 통해 무리한 단체협약 관철 유도
-불법행위를 행한 조합원의 신분상 조치가 교원노조의 집단적 대응에 밀려 제대로 이행되지 않음으로써 복무기강
문란
-기관장 재임 중 원만한 관계 형성을 역이용, 교원노조의 강력한 재검토 요구로 이미 결정된 교육정책이나 시책
에 대해 노조의견을 수용하여 줌으로써 악순환 반복
♥불법행위 등을 해결하는 과정에 교육당국의 대응 미흡
-교원노조의 불법행위에 대해 엄정한 조치방침 통보 후 그대로 실행되지 않음으로 인해 오히려 기강확립에 역행
-교육인적자원부, 시·도교육청에서 교원노조의 세력을 무서워하여 아무런 조치도 할 수 없다는 것을 조합원들에
게 홍보
-아무런 제재 수단과 방법이 없는 학교장에게 문제를 해결하도록 하여 오히려 학교내 갈등과 반목만 증폭
♥교장선출보직제 등 관철을 위한 학교장의 권한 무력화 추진
-학교단위의 노조활동을 금지하고 있으나, 사실상 변형된 형태의 노조활동으로 학교장을 무력화하기 위하여 학교
운영에 일일이 간여
-교장선출보직제 및 사립학교 인사위원회의 의결기구화 등 인사권 확보 여건조성을 위해 시·도지부에서 단체교
섭 이행 실태점검 명분으로 학교를 방문, 학교장을 협박·위협
♥단체교섭의 우월적 입장 선점 전략 차원
-집단 투쟁적 집회개최 및 사무실 점거 농성
-조합원의 권익신장과 관계없는 교육정책·교육과정·인사 분야까지 교섭의제로 제시하여 이의 수용을 강요
-강성노조가 있는 시·도 교육청이 수용한 단체교섭 의제에 대해 다른 시·도 교육청까지 수용 파급 시도
♥학교장의 학교운영에 대한 상호 기대의 차이
-학교의 중요한 결정을 학교장이 독선적으로 처리
-학교장의 교원노조에 대한 편향된 시각으로 조합원 교원 무조건적 배척
-교원노조 교원은 교장의 권위 불인정, 학교운영 불만 제기

부록: 교장들의 토로

L교장: 교장으로 부임한 뒤 全敎組와 상견례 회식 중 全敎組 교사가 술을 따르라고 해서 술병을 집어 던지고 나
왔음. 일주일 후 새로 지어진 숙직실에 가 보았는데 수업시간 중인 교사가 누워 있었음. 그 교사에게 『왜 수업시
간에 누워 있냐』고 하느데 『여기가 당신 집이냐』라고 대답하였음. 訓話(훈화)를 하면 뒤에 서서 담배를 피우고
있신에 全敎組 집회참석을 위한 직실신청 문제로 교장에게 폭행까지 하여 형 상발한 적이 있음.

K교장: 인천 송도에서 학교 교원 연수 중 女교사와 男교사, 男교사 동료 등 3명이 새벽 2시30분까지 노래방에서


놀고 나오다가 동료 직원에게 발각되자, 여교사는 노래방에서 신체접촉을 당하는 등 성폭력을 당했다고 사실을 왜
곡함. 나중에 확인한 결과 全敎組 조합원들이 성폭력을 당했다는 서류를 만들어서 노래방에 같이 간 女교사에게
서명하라고 협박하였다고 함. 이 일로 男교사는 감봉 3개월, 교장과 교감은 경고를 받았는데 선량한 사람은 의지
할 데가 없음.

P교장: 全敎組 조합원은 파면되면 민주투사가 된다고 하면서 징계당하는 것을 오히려 좋아하고 있음.
B교장: 他학교 교원인 지부장이 수시로 학교장 면담을 하자는 식의 횡포가 심함.

K교장: 교원의 신분불안 문제가 全敎組에 가입하는 계기가 되고 있음.

- 55 -
학교단위의 '新 교원 노사문화' 정착방안 연구

G교장: 교장·교감 승진 인사를 하는데 全敎組에서 자기들이 원하는 사람이 아니라고 반발하면서 다시 선발할 것
을 요구하였음. 男교사 1명과 女교사 2명을 인사 이동하는 과정에서 全敎組 조합원인 女교사 1명이 이에 반발, 여
성부 홈페이지에 「학교에서 性차별한다」는 내용의 글을 올려 놓았음.

K교장: 全敎組 측에서 각 웹사이트에 교장의 자질문제를 거론하는 내용의 글을 올려 놓았음.


교육부 고위관계자: 우리 部는 교원노조와 그동안 동반자적 교육 노사관계 형성을 위해 원만히 지내려고 한 것이
사실이나, 교원노조의 불법행위가 갈수록 지나쳐 이제는 한계에 왔음.
H교장: 全敎組가 발행한 통일 교재 176쪽에 보면 윷놀이가 있는데 「국가보안법」이라는 자리에서는 한 번 더 머
무는 규칙이 있음. 이러한 사항은 은연중에 학생들에게 스며들게 되어 있어 정부의 대책이 필요함.
K교장: 우리 학교 교원노조에서 「현수막」 설치 지원 등을 단체협약으로 요구하고 있음.

Y교장: 全敎組는 전문화되고 조직화되어 싸우는데, 교장선생님들은 조직도 없이 외롭게 싸우고 있음.
N교장: 정부가 全敎組는 무서워하면서 교장선생님은 무서워하지 않음. 全敎組도 조합원 이전에 교원이므로 교원
노조법을 적용하기 전에 국가공무원법을 적용해야 함.
C교장: 우리 교육이 바로 서려면 교원이 학생을 사랑해야 하는데 全敎組는 그렇지 못함.
L교장: 이전에는 全敎組에 대해 호의적인 생각을 가졌는데 집단적인 실력행사로 문제를 해결하려는 빈도가 높아
全敎組에 대해 실망하였음.

N교장: 全敎組 교사의 불법적인 행동에 대항할 학부모 단체가 필요함. 교사들의 불법 집회 참가에 대한 엄정한
조치가 이루어지지 않아 현장에서는 교육당국의 발표를 우습게 여기고 있음.
L교장: 全敎組가 법을 위반해도 누구 하나 나서는 사람이 없음.

이상의 교육부 당국에 의한 단위학교실태조사에 나타난 전반적 양상은 그 이후 언론


과 기타 조사들에 나타나는 사항들과도 크게 다르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문제는 이러한 .

실태조사 대부분이 단위학교에 나타나는 현상 을 지적하고 요약하는데 그치고거나 그


< >

배경을 진단하는데 있어서 지극히 피상적인데 그치고 있다는 점이다 이들 실태조사의 .

결과는 그 많은 부분이 앞 장에서 분석된 전교조의 대 전략에서 그리고 이에 대응하는


8 ,

교육행정당국의 전략 또는 교장들의 인식과 행동전략들이 상호작용하여 나타나는 것들


,

이다 상기 실태조사는 단위학교의 갈등실태의 배경으로 교장의 학교운영과 관련된 문


. <

제점 을 언급하고 있으나 교장들의 인식구조와 그 배경을 이해하지 못하고 있으며 교


> , <

원노조활동과 관련한 문제점 을 기술하고 있으나 전교조의 전략에 대한 이해는 결여하


>

고 있다 이러한 실태조사를 배경으로 한 교단안정화 대책 수립 이 결국 불발로 끝날


. < >

수밖에 없었던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단위학교에서의 노동관계 실태는 단순한 현상


.

이 아니라 전교조 전략의 단위학교 산출물이라는 점에서 이들 현상의 배경과 원인을 이


해하려면 교장들의 인식 및 전교조의 전략을 이해해야 하는 것이다 .

2. 교원노사관계 쟁송 사례분석

단위학교노동관계에서의 상기와 같은 갈등의 일부분은 법적 쟁송형태로 노출된다 따 .

라서 이들을 정리하고 이들이 분쟁해결시스템의 일부라는 점에서 그 분쟁해결 구조의

- 56 -
III. 단위학교에서의 분쟁과 갈등 사례 분석

특성을 살필 필요가 있다 .

교원노조 체제가 본격 출범하는 년도 이후에 단위학교중심의 교원노동관계 갈등 2000

이 교원소청으로 이어지거나 법원에 소송으로 이어지는 사례는 매우 적다 오히려 이들 .

갈등의 대부분은 노동당국에 행정해석이 의뢰되거나 노동당국에 부당노동행위로 제소되


는 경향이 있어 노동위원회를 포함한 노동당국의 결정이 단위학교노동관계를 규제하는
사실상의 주요 요인이 되고 있다 교원소청이나 판결사례는 무단으로 전교조 집회참가하
.

는데 대한 징계건이 대표적이다 교육소청사건으로서 학교장의 허가 없이 무단결근


. 2003

및 무단조퇴를 하고 투쟁에 목적을 둔 전교조 집회에 참가하여 견책 처분한 것에


NEIS

대하여 청구인은 교원노조법과 피청구인 교육행정당국 의 지침이나 학교장의 직무상 명 ( )

령을 어기고 수차에 걸쳐 근무시간 중에 집회에 참가하여 학생들의 학습권을 침해하였


고 교사로서의 책무를 다하지 않은 사실이 인정되어 소청위원회가 이를 기각한 사례가
있다 이 건은 법원행정소송으로 이어져 역시 원고 패소로 결정한 지방법원 판결이 확정
.

되었다 징계재량권 남용 여부가 초점이 되었던 이 소청위원회 결정 및 판결의 취지는


.

공히 징계권 행사가 정당하다는 것으로 결론지었다 .

공무원이 집단행동으로 무더기 징계를 받은 대표적 사례는 전국교직원노동조합 전교 (

조 이 개최한 년 월 교원평가 저지와 성과급 철폐 교사결의대회 연가투쟁 집회


) 2006 11 ( )

참가 교사에 대한 대규모 징계 건이다 해당 교육청은 참가자들을 무더기로 징계했으며 .

법원 역시 그들에 대한 징계가 타당하다며 교육청의 손을 들어줬다 수원지법의 경우 당 .

시 초등학교 교사 명이 제기한 감봉처분 취소 소송에서 전교조 조합원들의 집회 참가


3 "

는 교원노조법에서 금지하는 쟁의행위에 해당한다 며 따라서 원고들이 집회에 참가한 " "

행위는 집단행위 금지에 위배된다 고 판단했다 " .

전교조 사이트에 동료교사 및 학교 관계자를 비난하는 허위의 글을 올려 벌금 만 1,000

원의 판결을 받아 해임처분한 사례에 대하여 년 소청위원회는 판결의 원인이 된 행 2004

위가 징계시효가 경과한 한 것을 이유로 징계 처분을 취소한 바 있다 .

년 판례로서 담임배정인사의 부당노동행위를 놓고 노동위원회와 법원의 판결이 엇


2007

갈린 경우가 있다 문제를 놓고 단위학교 분회장이 불성실하고 학교장 지시를 거부한다


.

는 이유로 단위학교인사자문위원회의 의견에도 불구하고 교장이 그 분회장을 담임에서


배제한 결정에 대하여 지방노동위원회 중앙노동위원회 모두 학교장의 담임배제 행위가
부당노동행위로 판정하였다 이에 대해 서울 고등법원은 교장의 교육철학과 해당교사의
.

교육철학이 다른 것이 이유가 되었을지언정 정당한 노조활동에 불이익을 주지 않은 것


이며 부당노동행위가 아니라고 판결하였다 이들과 관련 사례들을 행정심판 교원소청 . ( ),

법원판례와 헌법재판사례 노동행정당국법규해석과 노동심판으로 나누어 정리 요약 한


,

다 .

- 57 -
학교단위의 '新 교원 노사문화' 정착방안 연구

가. 행정심판(교원소청)에서 나타난 사례
교원소청심사의 사례에서는 대체로 학습권의 보장을 엄격하게 해석하였고 연가 투쟁 ,

에 대해서도 공무원의 성실근무 및 직장이탈 금지 등의 엄격한 법적용을 하였으며 교원 ,

의 쟁의행위는 어떠한 것이라도 엄격한 법의 판단에 따라야 함을 보여주고 있다 .

집회의 참가와 학습권의 보장


사례 1 : 학교장의 허가 없이 무단결근 및 무단조퇴를 하고 전교조 집회에 참가한 경우, 학생
들의 학습권을 침해하고, 교사로서의 의무를 고의적으로 저버리는 행위로 판단하여 견책처분하
였으나, 이를 청구하는 소송에서 견책처분이 정당하다는 결정을 함(2003-152 견책처분취소청
구)

<결론>
청구인은 교원노조법에서 쟁의행위를 금지하고 있고 여러 차례에 걸쳐 전교조 집회에 참가하
지 않도록 피청구인의 지침이나 학교장의 직무상 명령이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이를 어기고 수
차에 걸쳐 근무시간 중에 집회에 참가하여 학생들의 학습권을 침해하였고 교사로서의 책무를
다하지 않은 것은 국가공무원법 제56조(성실의무), 같은 법 제57조(복종의 의무), 같은 법 제
58조(직장이탈금지), 같은 법 제66조(집단행위의 금지) 및 교원노조법 제8조(쟁의행위의 금지)
의 규정을 위반한 행위로서, 그 소위에 비추어 원처분이 결코 과중하다 할 수 없으므로 이에
주문과 같이 결정한다.

1) 교원 휴가제도의 의의
교원노조의 행위 가운데 이슈가 되고 있는 것 중의 하나는 집회행위에 참여하는
것에 대한 위법성 여부이다 위의 판례는 교원이 휴가를 통한 집회를 함에 있어서
.

의 그 정당성에 대한 판단이다 이에 대한 판단은 매우 엄격하게 적용하고 있다


. .

즉 교원의 휴가제도는 업무의 특수성에 비추어 타 공무원과는 달리 학사일정을 감


,

안하여 따로 운영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이에 따라 교원의 휴가는 학생들의 수


18)
,

업 등을 고려하여 특별한 사유가 없는 한 방학 중에 실시하도록 하고 있다 그럼 19)


.

에도 불구하고 학생들의 수업이 있는 평일과 토요일에 연가내지 조퇴를 신청하고


,

전교조 집회에 참가한 것은 수업 등을 직접 담당하고 있는 교원으로써 수업 등은


하지 아니하고 이러한 집회에 참가하는 행위는 적법하다 볼 수 없는 것이다 .

그리고 본 사례와 같이 목적을 관철시키기 위하여 정상적인 업무수행을 저해할


,

18) 공무원휴가업무예규 2.나.(4), 행정자치부예규 제86호, 2001. 10. 31.


19) 교원휴가업무처리요령 3.가.(2), 교원 12140-128, 2000. 2. 1.

- 58 -
III. 단위학교에서의 분쟁과 갈등 사례 분석

의도로 집단적으로 연차휴가를 사용 및 복무 거부행위가 이루어진 경우로서 이는


이른바 쟁의적 준법투쟁으로서 쟁의행위에 해당한다 따라서 쟁의행위가 금지되 .20).

어있는 교원으로서 적법한 절차에 의해 결근 및 조퇴를 시도한 것이라고 볼 수도


없다 .

2)교원 쟁의 행위의 금지
국가가 공무원의 경우 헌법 제 조 제 항 에 따라 법률이 정하는 자에 한하여 단 ( 33 2 )

결권․단체교섭권 및 단체행동권을 가진다 이에 따라 국가공무원법 제 조제 항은 . 66 1

사실상 노무에 종사하는 공무원 이외의 공무원은 노동운동 기타 공무이외의 일을


위한 집단행위를 금지하고 있으며 교원노조법 제 조 또한 일체의 쟁의행위를 금 21)
, 8

지하고 있다 그렇다면 합법적인 수단을 강구하는 전교조의 집단행동을 원천적으로


. ,

봉쇄하는 것이 위헌적인 처사라는 주장은 이유가 없으며 더구나 교원노조법 제 조 , 8

쟁의행위의 금지 에 대하여는 위헌결정을 받은 바 없어 이를 위반할 경우 당연히


( )

징계사유가 된다 한편 교원노조법이 쟁의행위를 금지하고 있기 때문에 노동조합으


. ,

로서는 쟁의행위 외의 방법으로 노동조합의 요구를 주장하고 있으며 그 방법의 하 ,

나로 개인에게 주어진 휴가들의 기간을 이용하여 집회에 참석하는 것인데 이에 대 ,

해서 판례는 매우 엄격하게 해석하고 있다 특히 매년 개최되는 한국교총의 교직자 . ,

대회에 참석하기 위하여 조퇴․연가를 내는 행위와 교장단협의회 참석 등은 전혀


징계대상이 되지 않는 반면 교원노조 활동만을 징계대상으로 삼는 것은 형평의 원 ,

칙에 어긋난다고 주장하고 있으나 이에 대해서도 법에 의거하여 엄격하게 적용하 ,

고 있다 즉 전교조 조합원이기 이전에 학문의 연찬 및 교육의 원리와 방법을 탐


. ,

구 연마하여 학생의 교육에 전심전력하여야 하는 교원으로서 연가투쟁이라는 행위


,

의 형식․내용 및 집단행동의 목적 등을 종합하여 볼 때 이러한 행위는 위법한 행 ,

위라 하겠다 그리고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나 전교조 등 교원집단이 합법적인 범위


. ,

내에서 전문성 향상을 위한 직무연수를 신청할 경우에 교원등의연수에관한규정 제 ,

5조 지정연수 및 동 시행규칙 제 조 특수분야 연수기관의 지정 에 근거하여 이를


( ) 5 ( )

허가할 수 있기 때문에 형평의 원칙과 무관하다 .

반면 법정일수 범위 내에서 연가신청을 하였고 그와 같은 연가신청에 대하여 행정


,

기관의 장은 공무수행 상 특별한 지장이 없는 한 이를 허가하여야 한다고 되어 있


더라도 그 연가신청에 대한 허가도 있기 전에 근무지를 이탈한 청구인들의 행위는
,

특단의 사정이 없는 한 국가공무원법 제 조 직장이탈금지 에 위반되는 행위로서 징 58 ( )

20) ○○법원 1996. 7. 30. 선고, 96누587 판결 참조


21) 국가공무원법 제66조제1항의 집단행위금지에 대해서는 헌법재판소에서 합헌 결정을 한 바 있
다(헌법재판소 1999. 6. 24. 선고, 97헌바61 결정 참조)

- 59 -
학교단위의 '新 교원 노사문화' 정착방안 연구

계사유가 된다 따라서 교원노조법 제 조제 항과는 무관한 집회를 개최하고 참가


22)
. , 6 1

하고자 한 청구인의 집단연가신청에 대하여 지침에 따른 학교장의 연가불허 및 명 ,

령은 정당한 직무상 명령이었고 오히려 학교장의 연가를 허가하지 않았음에도 이


,

에 불복하고 무단으로 집회에 참가한 청구인들의 행위는 국가공무원법 제 조 복종 57 (

의 의무 뿐만 아니라 같은 법 제 조 직장이탈금지 를 위반한 행위였고 더 나아가


) 58 ( ) ,

교육의 정상운영에 전념하여야 할 같은 법 제 조 성실의무 까지도 위반하였다 56 ( ) .

3) 학습권의 보장
집회에 참가하기 위해 연가를 내었고 수업에 대해서는 보강 등을 통해 결강이 없이 하
,

여 학생들의 학습권 침해를 최소화하였다고 하나 교사의 업무가 수업진행이 전부가 아 ,

닌 생활지도 상담활동 등 교육에 관한 전반적인 업무를 망라하고 있는데 근무시간 중


, ,

근무지를 이탈하여 집회에 참가한 것은 학생지도를 소홀히 함으로써 학생들의 학습권을


침해한다고 보고 있다 더구나 학생들의 교육담당이라는 공적 업무를 수행하여야 할 교
.

사로서 집단행동으로 인해 교단안정화를 저해하였다고 보고 있다 .

국가공무원법상의 성실근무 및 직장이탈금지


사례 2 : 학교장의 사전허가를 받지 않고 연가를 실시하고, 무단결근, 근무지 이탈, 무단지각
등을 많이 하여 해임처분함(2000 - 175 해임처분 취소청구). 이에 대해 정직 3월 처분으로 변
경하였음

<결론>
청구인에 대한 징계사유가 청구인이 1999. 3. 1. ○○고등학교로 부임한 이후부터 2000. 6월
감사가 시작되기 전까지 상당기간 지속된 점, 이에 대해 수 차례에 걸쳐 교장 및 교감 등으로
부터 주의를 받아 시말서·서약서·자인서 등을 제출하고 서면경고까지 받았음에도 무단결근을
하고, 근무지를 이탈하여 학생들의 수업 및 학사지도를 소홀히 한 점에 대하여는 국가공무원법
제56조(성실의무) 및 제58조(직장이탈금지)에 위반되어 그 책임이 크게 인정된다 할 것이다.
그러나 청구인에 대한 해임처분이 사회통념상 근무관계를 계속할 수 없을 정도로 책임 있는
사유가 있는 경우에 행하여져야 정당성이 인정되는 것인바, 여러 가지 사정을 종합적으로 고려
하여 볼 때 이 사건 징계사유로는 청구인의 신분을 배제하는 해임처분에까지는 이르지 아니한
다.

1) 연가실시에 대한 입장

22) ○○법원 1987. 12. 8. 선고, 87누657, 658 판결 참조

- 60 -
III. 단위학교에서의 분쟁과 갈등 사례 분석

공무원근무사항에관한규칙 제 조에는 공무원이 휴가… 등을 실시하고자 하는 때에는


4 "

근무상황부 또는 근무상황카드에 의하여 사전에 소속기관의 장의 허가를 받아야 한다 ."

고 규정하고 다만 불가피한 사유로 사전에 허가를 받지 못한 경우에는 사후에 지체없


, "

이 허가를 받아야 한다 고 규정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연가를 회나 실시하면


." . 8

서 한 번도 학교장의 사전허가를 받지 않았던 것은 불가피한 사유가 없는 한 위법하고 ,

공무원의 근무질서를 문란케 한 것이라 할 것이다 .

2) 근무행태의 위법성
무단결근 임의결강 근무지 무단이탈 무단지각 등은 전형적인 근무행태의 위법성을
, , ,

보여주는 것으로 이로 인하여 교원으로서 가장 본질적이고 기본적으로 수행하여야 할


학생에 대한 수업을 하지 않게 되고 동료교사들에게는 예기치 못한 수업부담을 초래하,

게 된다 또한 청구인이 아침 교무회의에 거의 지각하여 참석하지 못하거나 야외 학교


. ,

행사 중에 무단으로 이탈하는 것은 학교조직의 구성원으로서 소명의식이 결여되어 있고 ,

정상적인 학교운영을 위해 노력하지 못한 책임도 있다 이는 국가공무원법 제 조 성실 . 56 (

의무 및 제 조 직장이탈금지 에 위반된다고 볼 수 있다
) 58 ( ) .

징계처분의 범위
사례3: 인사 발령을 거부하고 집단행동을 했다는 등의 사유로 파면처분함(2000-184∼187 파면
처분 취소청구). 이에 대해 파면처분을 해임으로 변경

<결론>
청구인들에 대한 징계사유 중 인정되는 것은 자신들 나름대로의 요구사항을 관철하기 위하여
시위 및 농성을 하고 단체로 구호제창 및 노래를 하였으며, 임의로 직장을 이탈하는 등의 사유
가 인정되는바, 따라서 청구인들은 사립학교법 제55조에 의하여 준용되는 국가공무원법 제66조
제1항이 금지하고 있는 공무외의 집단적행위금지의무와 제56조의 성실의무 제57조의 복종의
의무, 제58조의 직장이탈금지의무를 위반하였다 할 것이고, 임면권자의 권한 내에서 학교운영
상 필요하여 이루어진 2000. 3. 1.자 전보발령 이행을 거부하고 집단행동 등 합법적이지 않은
방법으로 이의 제기를 계속함으로써 한편으로는 동료교사 20여명이 정직3월 등의 징계를 받았
거나 진행중에 있을 뿐만 아니라 또 한편으로는 이건 징계가 진행되는 동안 학생들의 학습권이
심히 침해되는 결과를 초래하였는바, 이는 학생들의 학습을 책임지고 있는 교사들로서는 도저
히 해서는 안 될 행위를 한 것이고 청구인들은 복종의 의무와 성실의무를 위반한 것이라 할 것
이어서 엄한 징계처분이 불가피하다 할 것이다. 다만 여러 사항을 고려할 때 청구인들에 대한
파면처분은 다소 과중하므로 파면처분을 해임으로 변경한다.

- 61 -
학교단위의 '新 교원 노사문화' 정착방안 연구

1) 집단행동의 위법성
요구사항을 관철하기 위하여 시위 및 농성을 하고 단체로 구호제창 및 노래를 하였으
며 임의로 직장을 이탈하는 등의 행위는 사립학교법 제 조에 의하여 준용되는 국가공
, 55

무원법 제 조 제 항이 금지하고 있는 공무외의 집단적행위금지의무와 제 조의 성실의


66 1 56

무 제 조의 복종의 의무 제 조의 직장이탈금지의무를 위반한 행동으로 징계사유가 된


57 , 58

다.

2) 인사발령에 대한 거부의 위법성


위법사항이 없이 임면권자의 권한 내에서 학교운영상 필요하여 이루어진 전보발령 이
행을 거부하고 집단행동 등 합법적이지 않은 방법으로 이의 제기를 계속함으로써 한편
으로는 동료교사 여명이 정직 월 등의 징계를 받았거나 진행중에 있을 뿐만 아니라
20 3

또 한편으로는 이건 징계가 진행되는 동안 학생들의 학습권이 심히 침해되는 결과를 초


래하였는바 이는 학생들의 학습을 책임지고 있는 교사들로서는 도저히 해서는 안 될 행
,

위를 한 것이고 청구인들은 복종의 의무와 성실의무를 위반한 것이라 할 것이어서 엄한


징계처분이 불가피하다 .

위법에 대한 직위해제처분
사례 4 : 인터넷 상의 비방에 대한 위법사실에 대해 직위해제 처분을 함(003-36 직위해제처분
취소청구). 이에 대해 직위해제처분취소 청구를 기각함

<결론>
청구인이 주장하는 처분의 절차상 하자는 이유가 없으며, 재량권의 남용 및 일탈에 대해서도
이유가 없다고 판단하고 있다.

위 사례에서 처분의 절차상 하자에 대해서 직위해제처분이 학교장의 제청 없이 이사


회를 개최한 것에 대하여 절차상 하자가 있다고 주장하고 있으나 학교장의 직위 해제 ,

제청에 대해 법인의 요구에 의해 서류에 찍은 행위는 법인정관 제 조제 항 형사사건 44 1 “

으로 기소된 교원에 대하여는 직위를 부여하지 아니한다 는 규정에 의한 행위로서 것으 ”

로 이는 절차상의 하자라고 볼 수 없다고 판단하고 있다 또한 이를 재량권의 남용·일 . ,

탈이라고 주장하고 있으나 사립학교법 제 조의 직위의 해제 제 항을 보면 사립학교


, 58 2( ) 1 ,

교원이 형사사건으로 기소된 경우 당해 교원의 임면권자는 직위를 부여하지 아니할 수


있다고 하고 있고 이 경우 ○○법원은 형사사건으로 기소되었다는 이유만으로 직위해제
,

처분을 하는 것은 정당화될 수 없고 당사자가 당연퇴직 사유인 국가공무원법 제 조제, 33 1

호 내지 제 호에 해당하는 유죄판결을 받을 고도의 개연성이 있는지 여부 당사자가 계속 직


6 ,

- 62 -
III. 단위학교에서의 분쟁과 갈등 사례 분석

무를 수행함으로 인하여 공정한 공무집행에 위험을 초래하는지 여부 등 구체적인 사정을 고


려하여 그 위법 여부를 판단하도록 하고 있어 재량권의 남용 및 일탈이라 볼 수 없다
23)
.

나. 법원 소송 및 헌법재판 사례 분석

1) 학생의 학습권과 교원의 수업권, 교원이 수업 거부


학교교육에 있어서 교원의 가르치는 권리를 수업권이라고 한다면 이것은 교원의 지위 ,

에서 생기는 학생에 대한 일차적인 교육상의 직무권한이지만 어디까지나 학생의 학습권


실현을 위하여 인정되는 것이므로 학생의 학습권은 교원의 수업권에 대하여 우월한 지
,

위에 있다 따라서 학생의 학습권이 왜곡되지 않고 올바로 행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

서라면 교원의 수업권은 일정한 범위 내에서 제약을 받을 수밖에 없고 학생의 학습권은 ,

개개 교원들의 정상을 벗어난 행동으로부터 보호되어야 한다 특히 교원의 수업거부행 . ,

위는 학생의 학습권과 정면으로 상충하는 것인바 교육의 계속성 유지의 중요성과 교육 ,

의 공공성에 비추어 보거나 학생·학부모 등 다른 교육당사자들의 이익과 교량해 볼 때


교원이 고의로 수업을 거부할 자유는 어떠한 경우에도 인정되지 아니하며 교원은 계획 ,

된 수업을 지속적으로 성실히 이행할 의무가 있다 24)


.

한편 교원의 수업거부행위의 위법성은 그 행위의 목적이 정당하였다는 이유만으로 조


,

각되는 것이 아니다 물론 학생의 학습권은 단순히 학교가 운영하는 교육과정을 이수할


. ,

권리에 그치지 않고 자신의 인간적인 성장·발달과 인격의 자유로운 발현을 도모하는 적


극적이고 포괄적인 권리라고 할 것이나 그렇다고 하여 교원이 이러한 포괄적 의미의 학
,

습권 실현을 내세우면서 계획된 수업을 거부함으로써 명백히 법률에 위배되는 방법으로


학생이 정상적인 교육과정을 이수하지 못하게 하는 행위까지 허용되는 것은 아니며 이 ,

러한 행위는 오히려 학습권의 본질적인 내용을 침해하는 것이다 또한 학습권의 주체인 . ,

학생들 스스로 수업에 참석하지 아니하는 바람에 교원이 계획된 수업을 이행하지 못한
때에는 원칙적으로 교원에게 그에 대한 책임을 물을 수 없을 것이나 학생자치단체의 결 ,

의에 따라 일부 학생들이 수업에 참석하지 않았다는 이유만으로 나머지 학생들에 대한


교원의 수업거부행위가 정당화된다고 할 수는 없다 학교교육에 있어서 학생의 학습권은 .

어디까지나 학생 개개인의 개인적 기본권이지 특정 학교에 재학중인 학생 전체의 집단


적인 기본권이 아니어서 다수결에 의한 학생자치단체의 의사결정에 따라 함부로 제한될
수 있는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더욱이 보통교육의 과정에 있는 초·중·고교의 학생들은
.

사물의 시비와 선악을 합리적으로 분별할 능력이 미숙하여 대학생이나 사회의 일반 성


23) 1999. 9. 17. 선고 98두15412 판결 참조
24) 대법원 2007.9.20. 선고 2005다25298 판결

- 63 -
학교단위의 '新 교원 노사문화' 정착방안 연구

인과는 달리 다양한 가치와 지식에 대하여 비판적으로 취사선택을 할 수 있는 독자적


능력이 부족하다 할 것인데 이러한 학생들의 수업거부 결의가 초·중등교육법 제 조에
, 17

의하여 권장·보호되는 학생의 자치활동 에 포함되는 것이라고 볼 수는 없고 또 이와 같


‘ ’ ,

이 미성숙한 학생들이 지식·덕성 및 체력의 함양과 향상을 통하여 그가 속한 시대와 사


회의 건전한 인격체로서 독립·발전할 수 있도록 가르치고 보살피는 숭고한 직책을 수행
하는 교원들로서는 자신들의 위법한 행위가 학생들의 자율적인 의사에 따른 것임을 내
세워 그 정당성을 주장할 수 없다 25)
.

2) 사립학교 교원의 품위손상행위


헌법 제 조 제 항 제 항에 근거하여 제정된 사립학교법은 사립학교 교원의 신분보
31 4 , 6

장·경제적 사회적 지위보장 등 교원의 권리에 해당하는 사항뿐 아니라 국민의 교육을
,

받을 권리를 저해할 우려가 있는 행위의 금지 등 교원의 의무에 관한 사항도 함께 규정


한 것으로 사립학교법 제 조에서 정한 징계는 교원에 대하여 교육법 등 공법상 부과되
61

어 있는 의무위반에 대한 것이고 한편 징계에 관한 사립학교 내부규정은 사립학교 교원


,

이 학교법인 또는 경영자와의 근로계약에 의하여 임용되고 사용자에 대한 성실의무를


부담함에 따라 학교법인 등이 사용자로서 법령의 범위 내에서 성실의무위반에 의한 질
서문란행위에 대한 징계를 규정한 것에 지나지 아니하므로 사립학교법에서 징계의 일종 ,

으로 파면을 규정하고 있는 이상 학교법인의 상벌규정의 내용에 관계없이 품위손상행위


에 대하여는 파면에 처하는 것이 가능하다 26)
.

또한 교원은 항상 사표가 될 품성과 자질의 향상에 힘쓰며 학문의 연찬 및 교육의 원


,

리와 방법을 탐구 연마하여 학생의 교육에 전심전력하여야 하는 점을 고려할 때 교원에


,

게는 일반 직업인보다 더 높은 도덕성이 요구되고 교원의 품위손상행위는 본인은 물론


교원사회 전체에 대한 국민의 신뢰를 실추시킬 우려가 있으므로 사립학교법은 사립학교
교원에 대하여도 직무와 관련된 부분은 물론 사적인 부분에서도 품위를 유지할 의무를
규정하고 있는데 여기서 품위라 함은 국민에 대한 교육자로서의 직책을 맡아 수행해 나
,

가기에 손색이 없는 인품을 말하고 어떤 행위가 품위손상행위에 해당하는가는 구체적


상황에 따라 건전한 사회통념에 의하여 판단하여야 한다 27)
.

3) 사립학교 교원에 대한 징계처분이 재량권의 한계를 벗어난 것인지 여부에 대한 판단 기준


교원인 피징계자에게 사립학교법상의 징계사유가 있어 징계처분을 하는 경우 어떠한
처분을 할 것인가는 징계권자의 재량에 맡겨진 것이고 다만 징계권자가 재량권의 행사 ,

25) 대법원 2007.9.20. 선고 2005다25298 판결


26) 대법원 2000. 6. 9. 선고 98두16613 판결
27) 대법원 2000. 6. 9. 선고 98두16613 판결

- 64 -
III. 단위학교에서의 분쟁과 갈등 사례 분석

로서 한 징계처분이 사회통념상 현저하게 타당성을 잃어 징계권자에게 맡겨진 재량권을


남용한 것이라고 인정되는 경우에 한하여 그 처분을 위법하다고 할 수 있고 교원에 대 ,

한 징계처분이 사회통념상 현저하게 타당성을 잃었다고 하려면 구체적인 사례에 따라


징계의 원인이 된 비위사실의 내용과 성질 징계에 의하여 달성하려고 하는 목적 징계
, ,

양정의 기준 등 여러 요소를 종합하여 판단할 때에 그 징계 내용이 객관적으로 명백히


부당하다고 인정할 수 있는 경우라야 하고 징계권의 행사가 임용권자의 재량에 맡겨진
,

것이라고 하여도 공익적 목적을 위하여 징계권을 행사하여야 할 공익의 원칙에 반하거
나 일반적으로 징계사유로 삼은 비행의 정도에 비하여 균형을 잃은 과중한 징계처분을
선택함으로써 비례의 원칙에 위반하거나 또는 합리적인 사유 없이 같은 정도의 비행에
대하여 일반적으로 적용하여 온 기준과 어긋나게 공평을 잃은 징계처분을 선택함으로써
평등의 원칙에 위반한 경우에 이러한 징계처분은 재량권의 한계를 벗어난 처분으로서
위법하다 28)
.

4) 사립학교 교원에 대한 해임처분이 징계재량권을 일탈·남용한 것이라고 한 사례


교원인 피징계자에게 사립학교법상의 징계사유가 있어 징계처분을 하는 경우 어떠한
처분을 할 것인가는 징계권자의 재량에 맡겨진 것이고 다만 징계권자가 재량권의 행사 ,

로서 한 징계처분이 사회통념상 현저하게 타당성을 잃어 징계권자에게 맡겨진 재량권을


남용한 것이라고 인정되는 경우에 한하여 그 처분을 위법하다고 할 수 있고 교원에 대 ,

한 징계처분이 사회통념상 현저하게 타당성을 잃었다고 하려면 구체적인 사례에 따라


징계의 원인이 된 비위사실의 내용과 성질 징계에 의하여 달성하려고 하는 목적 징계
, ,

양정의 기준 등 여러 요소를 종합하여 판단할 때에 그 징계 내용이 객관적으로 명백히


부당하다고 인정할 수 있는 경우라야 하고 징계권의 행사가 임용권자의 재량에 맡겨진
,

것이라고 하여도 공익적 목적을 위하여 징계권을 행사하여야 할 공익의 원칙에 반하거
나 일반적으로 징계사유로 삼은 비행의 정도에 비하여 균형을 잃은 과중한 징계처분을
선택함으로써 비례의 원칙에 위반하거나 또는 합리적인 사유 없이 같은 정도의 비행에
대하여 일반적으로 적용하여 온 기준과 어긋나게 공평을 잃은 징계처분을 선택함으로써
평등의 원칙에 위반한 경우에 이러한 징계처분은 재량권의 한계를 벗어난 처분으로서
위법하다 29)
.

5) 사립학교 교원의 임면에 관한 절차 등을 규정하고 있는 사립학교법 제54조 의 규정이 학교의 장에


게도 적용되는지 여부

28) 대법원 2000. 6. 9. 선고 98두16613 판결


29) 대법원 2000. 6. 9. 선고 98두16613 판결

- 65 -
학교단위의 '新 교원 노사문화' 정착방안 연구

사립학교 교원의 임면에 관한 절차 등을 규정하고 있는 사립학교법 제 조 의 규정이 54

학교의 장에게도 적용되는가에 관하여 보건대 같은 법 제 장의 제목은 사립학교 교원 , 4 ' '

이라고 되어 있고 그 이하에 제 조의 제 조의 과 같은 학교의 장에 관한 규정도 54 2 , 54 3

포함되어 있으며 교원자격 에 대하여 규정하고 있는 같은 법 제 조 는 그 내용으로


, ' ' 52

보아 학교의 장에 대하여도 적용된다고 보아야 하고 같은 법 제 조의 는 제목에서 , 53 2 '

학교의 장이 아닌 교원의 임면 이라고 하고 같은 법 제 조의 제 항 은 교원 학교의


' 53 3 1 ' (

장을 제외한다 이라고 함으로써 사립학교법에서 단순히 교원 이라고 하는 경우에는 학


)' ' '

교의 장도 포함한다는 것을 전제로 하고 있다고 풀이되며 교원의 징계사유 및 종류에 ,

관한 같은 법 제 조 는 교원 에 대하여서만 규정하고 있는데 따로 학교장의 징계에 관


61 ' '

한 규정은 없음에 비추어 역시 학교의 장에게도 적용된다고 보아야 할 것인바 이러한 ,

점들을 종합하면 사립학교법에서 교원 이라고 함은 다른 규정이 없는 한 학교의 장도


, ' '

포함하는 의미라고 해석함이 상당하고 또한 같은 법 제 조 에서는 교원 임면 에 관하 , 54 ' '

여 규정하면서 각급학교의 장으로서 임기만료로 해임된 경우는 제외한다 는 규정을 둠


' .'

으로써 이러한 예외를 제외하고는 학교장에게도 당해 조항이 적용됨을 전제로 하고 있


으므로 같은 법 제 조 의 규정은 학교의 장에게도 적용된다고 해석함이 상당하다
, 54 30)
.

더구나 학교를 설립·운영하는 법인과 그 교장은 자신들의 인격권을 침해하는 위법한


표현행위 등에 대하여 부작위청구권을 행사하는 권리주체가 될 수 있으며 나아가 학교 ,

에 대한 운영주체로서 그 시설관리권 등에 근거하여 면학분위기를 해치는 위법행위에


대한 방해예방청구 등 부작위청구권을 행사할 수 있다 31)
.

6) 교원의 지위에 관한 판단
교원의 지위에 관련된 사항에 관한 한 헌법 제 조 제 항이 근로기본권에 관한 헌법 31 6

제 조 제 항에 우선하여 적용되기 때문에 입법자가 교원에 대하여 일반노동조합과 유


33 1 ,

사한 형태의 조합을 결성할 수 있음을 규정하되 그 규율방식을 달리하여 근로조건의 향


상 등을 목적으로 하는 단결권 및 단체교섭권은 허용하면서도 단체행동권의 행사는 전
면적으로 금지하거나 혹은 개별 직장이 아닌 광역단위에 한하여 노동조합을 설립할 수
,

있도록 하는 등 이에 대하여 특별한 규율을 하는 것도 허용된다 32)


.

또한 교원들이 전국교직원노동조합 활동을 한다는 명목으로 집단행동의 일종인 시위


,

를 하는 것은 교원의 노동조합 설립 및 운영 등에 관한 법률 제 조에 위배되는 것이고 8 ,

법원이 헌법적 특별규정에 근거한 위 법률 제 조를 문면 그대로 적용한다고 하여도 위 8

헌적 상황이 발생한다고 보기 어렵다 33)


.

30) 대법원 2002.12.10. 선고 2002두3393 판결


31) 대법원 2006.5.26. 선고 2004다62597 판결
32) 대법원 2006.5.26. 선고 2004다62597 판결

- 66 -
III. 단위학교에서의 분쟁과 갈등 사례 분석

7) 교원의 근무경력의 의미 및 노조 전임자의 전임기간


구 지방교육자치에 관한 법률 법률 제 호로 전문 개정되기 전의 것 (2006. 12. 20. 8069 ,

이하 구 법 이라고 한다 제 조 제 항은 교육 또는 교육행정경력이 있는 자 이하 경
‘ ’ ) 60 2 “ ( ‘

력자 라 한다 로서 교육위원 후보자가 되고자 하는 자는 후보등록일을 기준으로 교육 또


’ )

는 교육행정경력이 년 이상 있거나 양 경력을 합하여 년 이상 있는 자이어야 한다


10 10 .”

라고 규정하면서 제 항 제 호에서는 교육경력은 유아교육법 제 조 제 호의 규정에 의


3 1 ‘ 2 2

한 유치원 초·중등교육법 제 조 및 고등교육법 제 조에 규정된 학교에서 교원으로 근무


, 2 2

한 경력 이라고 규정하고 있는바 여기의 교원으로 근무한 경력 은 교원으로서 그 직무


’ , ‘ ’

에 실제로 종사한 것을 의미한다고 봄이 상당하다 한편 교육공무원법 제 조 제 항 34)


. , 44 1

제 호는 교원의 노동조합설립 및 운영에 관한 법률 제 조의 규정에 의하여 노동조합


11 ‘ 5

전임자로 종사하게 된 때 에는 본인의 의사에 불구하고 휴직을 명하여야 한다고 규정하 ’

고 교원의 노동조합설립 및 운영에 관한 법률 제 조 제 항은 교원은 임용권자의 허


, ‘ ’ 5 1 “

가가 있는 경우에는 노동조합의 업무에만 종사할 수 있다 라고 규정하고 제 항은 전 .” , 3 “

임자는 그 전임기간 중 봉급을 받지 못한다 고 규정하며 국가공무원법 제 조 제 항은 .” , 73 1

휴직 중인 공무원은 신분은 유지하나 직무에 종사하지 못한다 고 규정하고 있는바 이


“ .” ,

들 규정을 종합하여 보면 교원의 노동조합 전임자로서의 전임기간은 구 법 제 조 제 60 2

항 및 제 항의 교육경력 에 포함되지 아니하는 것으로 봄이 상당하고 이러한 해석이


3 ‘ ’ ,

교원의 노동조합설립 및 운영에 관한 법률 제 조 제 항의 전임자는 그 전임기간 중


‘ ’ 5 4 “

전임자임을 이유로 승급 기타 신분상의 불이익을 받지 아니한다 는 규정 또는 근무성적 .”

평정을 함에 있어 위와 같은 휴직기간을 재직기간에 포함시켜 평정하고 있는 교육공무 ‘

원 승진규정 과 모순·저촉되는 것이라고는 할 수 없다


’ 35)
.

8) 헌법재판소 판례
① 사실상 노무에 종사하는 공무원을 제외한 나머지 공무원의 노동운동과 공무 이외
의 일을 위한 집단행위를 금지하는 지방공무원법 제 조 제 항의 규정 중 노동운동 58 1 ‘ ’,

공무 이외의 일을 위한 집단행위 사실상 노무에 종사하는 공무원 의 개념이 불명확하


‘ ’, ‘ ’

여 명확성의 원칙에 위반되는지 여부에 대해서 헌법재판소는 소극적으로 해석하고 있다 .

지방공무원법 이하 법 이라 한다 제 조 제 항에서 규정하고 있는 노동운동 의 개념은


( ‘ ’ ) 58 1 ‘ ’

그 근거가 되는 헌법 제 조 제 항의 취지에 비추어 근로자의 근로조건의 향상을 위한 33 2

단결권ㆍ단체교섭권ㆍ단체행동권 등 근로 권을 기초로 하여 이에 직접 관련된 행위를 3

33) 대법원 2006.5.26. 선고 2004다62597 판결


34) 대법원 2009.2.26. 선고 2008우26 판결
35) 대법원 2009.2.26. 선고 2008우26 판결

- 67 -
학교단위의 '新 교원 노사문화' 정착방안 연구

의미하는 것으로 좁게 해석하여야 하고 공무 이외의 일을 위한 집단행위 의 개념제외헌, ' '

법상의 집회ㆍ결사의 자유와 관련시켜 살펴보면 모든 집단행위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공무 이외의 일을 위한 집단행위 중 공익에 반하는 행위로 축소하여 해석하여야 하며 ,

법원제외한 개념들을 해석ㆍ하는함에 있어서 위와 유사한 뜻으로 명백히 한정해석하고


있다 아울러 사실상 노무에 종사하는 공무원 의 개념은 공무원의 주된 직무를 정신활
. ‘ ’

동으로 보고 이에 대비되는 신체활동에 종사하는 공무원으로 명확하게 해석된다 그렇다 .

면 한 개념들은 집행당국당국당국당자의나머해석의 여지를 주념은 수범자의 예견가능성을


,

해할 정Ä종사불명확하다고 볼 여지가 없다 36)


.

② 근로 권의 제한에 대한 입장
3

지방공무원법 제 조 제 항으로 인하여 근로 권이 제한되는 공무원과 그렇지 아니하는


58 1 3

사실상 노무에 종사하는 공무원 및 교원의 노동조합설립및운영등에관한법률 소정의 교


원과의 관계에서 평등권을 침해하는지 여부에 대해서 헌재는 소극적으로 해석한다 지방 .

공무원법 제 조 제 항이 사실상 노무에 종사하는 공무원에 대하여서만 근로 권을 보장


58 1 3

하고 그 이외의 공무원들에 대하여는 근로 권의 행사를 제한함으로써 양자를 달리 취급 3

하는 것은 헌법 제 조 제 항에 그 근거를 두고 있을 뿐 아니라 합리적인 이유가 있다


33 2

할 것이므로 헌법상 평등의 원칙에 위반되는 것이 아니다 한편 입법자는 합리적인 기 . ,

준에 따라 능력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법적 가치의 상향적인 구현을 위한 제도의 단


계적 개선을 추진할 수 있는 길을 선택할 수 있는 것이므로 공무원의 근로 권을 제한하 , 3

는 것이 헌법에 위반되는 것이 아닌 이상 현시점에서 교원의노동조합설립및운영등에관


한법률 소정의 교원은 단결권과 단체교섭권을 향유할 수 있으나 공무원에게는 이를 보
장하지 못하고 있다고 하여 이를 두고 자의적인 차별을 가하는 것이라 할 수는 없다 37)
.

③ 사립학교의 설립·경영자의 결사의 자유


사립학교의 설립․경영자들은 교원노조와 개별적으로 단체교섭을 할 수 없고 반드시 연
합하여 단체교섭에 응하도록 규정한 교원의노동조합설립및운영등에관한법률 (1999. 1. 29.

법률 제 호로 제정된 것 제 조 제 항 후문 이하 이 사건 법률조항 이라 한다 이 비
5727 ) 6 1 ( ‘ ’ )

례의 원칙에 어긋나게 사립학교의 설립·경영자인 청구인들의 결사의 자유를 침해하는지


여부에 대해서 헌재는 소극적이다 개별 학교에서의 교원노조를 인정하지 않는 것에 대
.

응하여 이 사건 법률조항이 개별 학교법인은 단체교섭의 상대방이 될 수 없도록 함으로


써 교원노조로 하여금 개별 학교의 운영에 관여하지 못하도록 한 것은 첫째 교원의 근 ,

36) 헌법재판소 2005.10.27. 선고 2003헌바50


37) 헌법재판소 2005.10.27. 선고 2003헌바50

- 68 -
III. 단위학교에서의 분쟁과 갈등 사례 분석

로조건이 각 학교법인별로 크게 다르지 아니한 점 둘째 교원의 지위를 통일적으로 보장 ,

할 필요가 있는 점 셋째 교원의 노사관계가 일반 노사관계와는 다른 특수성을 지니는


,

점 등을 모두 고려하여 개별 학교차원의 교섭으로 인한 혼란을 방지하고자 하는 것이라


고 할 것이므로 그 입법목적의 정당성 및 방법의 적절성을 인정할 수 있다 개별 학교
, .

법인에게 단체교섭의 상대방이 될 수 있도록 한다면 전국 단위 또는 시·도 단위 교원노


조가 모든 개별 학교법인과 단체교섭을 해야 하므로 이는 불필요한 인적·물적 낭비요인
이 될 뿐만 아니라 단체교섭의 결과인 단체협약의 내용이 개별 학교마다 다르다면 각
,

학교 사이에서 적지 않은 혼란이 야기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이 사건 법률조항은 청구인 .

들의 결사의 자유에 대한 필요·최소한의 제한이라고 할 수 있으므로 침해의 최소성 요


건을 충족한다 그리고 이 사건 법률조항이 추구하고자 하는 공익은 개별 학교법인이 단
.

체교섭의 상대방이 되지 못함으로 인하여 발생할 수 있는 결사의 자유의 제한보다 크다


고 할 것이므로 법익의 균형성도 충족한다 38)
.

다. 노동당국 행정해석 및 노동위원회 결정 사례

단위학교노동관계에서의 갈등 대부분이 교육소청이나 법원소송으로 이어지지 않는 이


유는 사용자 측이 쟁송을 제기하는 것이 아니라 노조 측에 쟁송을 제기하게 되며 이 경
우 노조측은 노동위원회 등 노동부문 쟁송제도를 이용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교육법규와 .

노동법규가 서로 충돌하는 경우 사실상 단위학교 노동관계의 대부분은 노동당국과 노동


위원회의 법해석과 규율에 따르게 된다 .

<노동당국의 행정해석사례모음 >


Ⅰ. 학교단위의 개별적 근로관계

1. 사립학교 교원에 대한 개별 근로관계에의 적용법규

(1) 교육관계법에 규정되지 않은 사항에 대해서는 사립학교 교원도 근로기준법·최저임금법


등의 적용을 받는다(1999.06.16, 근기 68207-1372).

교원의 노동조합설립 및 운영 등에 관한 법률의 시행에도 불구하고 교육관계법에 교원의 임


용·복무·처우 등이 규정되었다면 교원들에 대해서는 동 규정이 우선 적용되고, 교육관계법에
규정되지 아니한 사항에 대해서는 교원에 대해서도 근로기준법, 최저임금법이 적용되어야
할 것으로 보임.

38) 헌법재판소 2006.12.28. 선고 2004헌바67

- 69 -
학교단위의 '新 교원 노사문화' 정착방안 연구

○ 한편, 근로자참여 및 협력증진에 관한 법률의 경우 교육관계법 등에서 별도로 이의 적용


을 배제하는 규정이 없다면 사립학교 교원 등에 대해서도 동 법률이 적용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됨.

(2) 사립학교교원은 사립학교법에 특칙이 규정되어 있는 사항에 대해서는 근로기준법이 배


제되는 것이 원칙이다(1990.08.09, 근기 01254-11117).

사립학교교원의 복무관계 내지 근로조건에 있어 근로기준법의 특별법으로서 사립학교법에


특칙이 규정되어 있는 사항에 대해서는 근로기준법의 적용이 배제되는 것이 원칙임.

사립학교교원은 사립학교법 제55조 내지 제69조와 동법시행령 제59조 내지 제82조 및 정관


에 규정된 바에 의하여, 복무에 관하여는 본인의 의사에 반한 면직, 휴직 등의 금지규정이
있으며, 징계절차 및 재심절차(구제절차)가 상세히 규정되어 있으므로 징계해임된 사립학교
교원에 대한 재심절차(구제절차)는 근로기준법에 대한 특별법인 사립학교법 제67조에 규정
된 재심절차에 의하여야 한다.

(3) 사립학교 교원이 야영이나 수학여행시 밤늦게까지 학생을 지도하는 경우 초과근로 발생


여부 (2000.06.28, 근기 68207-1963)

사립학교 교원은 근로기준법상 근로자이나, 사립학교 교원의 자격·임면·복무·신분보장 및 징


계 등에 관하여 사립학교법령에서 규정하고 있어 사립학교법령이 근로기준법령에 우선하여
적용되며, 사립학교법령에서 규정하고 있지 아니한 부분에 대해서만 근로기준법이 적용됨.

근로기준법 제56조제1항 본문에 의하면 {근로자가 출장 기타의 사유로 근로시간의 전부 또


는 일부를 사업장 밖에서 근로하여 근로시간을 산정하기 어려운 때에는 소정근로시간을 근
로한 것으로 본다}고 규정하고 있으며,
- 또한 같은 법 제56조제1항 단서에 의하면 {당해 업무를 수행하기 위하여 통상적으로 소
정근로시간을 초과하여 근로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그 업무의 수행에 통상 필요한 시간을
근로한 것으로 본다}고 규정하고
- 같은 조 제2항에 의하면 {제1항 단서의 규정에 불구하고 당해 업무에 관하여 근로자대표
와 서면합의가 있는 때에는 그 합의에서 정하는 시간을 그 업무의 수행에 통상 필요한 시간
으로 본다}고 규정하고 있음.
- 즉, 근로자가 출장 기타의 사유로 근로시간의 전부 또는 일부를 사업장 밖에서 근로한 경
우에는 노사당사자간 특약이 없는 한 소정근로시간을 근로한 것으로 봄.

따라서 사립학교법령에 별도의 규정이 없다면 교사가 학생을 인솔하여 야영이나 수학여행을
가는 경우에는 근로기준법 제56조의 규정에 의한 사업장 밖 근로에 해당한다고 볼 수 있음.

2. 기간제 교원, 임시교원의 개별적 근로관계

- 70 -
III. 단위학교에서의 분쟁과 갈등 사례 분석

(1) 교원의 휴직기간 동안 임시교원으로 채용된 경우 동 기간 내라도 근로계약을 해지할 수


있는 내용이 포함되어 있는 등 종료 전 해지할 만한 사회통념상의 타당성이 있는 경우의 인
사조치는 인정된다(1993.12.29, 근기 68207-93).

교원에 대하여는 교원의 임명과 신분보장, 징계 및 이에 대한 구제절차 등에 대하여 특별법


인 교육공무원법, 사립학교법, 교원지위향상을 위한 특별법 등에 별도로 규정되어 있어 특별
법 우선의 원칙에 따라 근로기준법 제27조 내지 제27조의 3의 해고관련규정이 적용되지 아
니하는 것이나, 임시교원의 경우에는 신분보장, 징계 및 이에 대한 구제절차에 대하여 교육
공무원법 등의 적용이 배제되고 있는 것으로 보아 이들에게는 근로기준법상의 해고관련 규
정이 적용된다 할 것임. 또 근로기준법 제27조 제1항은 정당한 이유없이 해고 등 기타 징벌
을 하지 못하도록 규정하고 있는 바, 소정의 "정당한 이유"라 함은 사회통념상 근로계약을
계속시킬 수 없을 정도로 근로자에게 책임있는 사유가 있다든가 부득이한 경영상의 필요가
있는 경우를 말하는 것임.
그러나 교원의 휴직기간동안 기간을 정하여 임시교원으로 채용되었을 경우에도 휴직한 교원
이 휴직기간 종료전에 복직의 불가피한 사유가 발생하였거나, 휴직한 교원이 휴직기간 종료
전에 복직을 희망하는 경우에는 '근로계약 종료전이라도 당해 임시교원과의 근로계약을 해
지할 수 있다'는 내용이 근로계약상에 포함되어 있는 등 계약종료전에 이를 해지할 만한 사
회통념상의 타당성이 인정되는 경우에는 이에 따른 인사조치는 인정될 수 있을 것임.

(2) 교직원의 범위에 기간제 교원은 포함되지 않으므로 기간제 교원의 퇴직금에 관하여는
근로기준법을 적용하여야 한다(2000.07.04, 근기 68207-2028).

사립학교 교원은 근로기준법상 근로자이나, 사립학교 교원의 자격·임면·복무·신분보장 및 징


계 등에 관하여 사립학교법령에서 규정하고 있어 사립학교법령이 근로기준법령에 우선하여
적용되며, 사립학교법령에서 규정하고 있지 아니한 부분에 대해서만 근로기준법이 적용됨.

사립학교법 제54조의4 제1항에 의하면 기간제 교원은 교원자격증을 가진 자 중에서 기간을


정하여 임용하는 교원을 말하며, 각급 학교 교원의 임용권자는 일정한 사유가 있는 경우 기
간제 교원을 임용하도록 규정하고 있음.

또한 같은법 제2항에 의하면 기간제 교원은 교원의 신분보장 및 사회보장·징계에 관한 규정


중 일부를 적용하지 아니하며 임용기간이 만료되면 당연히 퇴직하는 것으로 규정하고 있으
며, 또한 사립학교교직원연금법상 교직원의 범위에 기간제 교원은 포함되지 않으므로 기간
제 교원의 퇴직금에 관하여는 근로기준법을 적용하여야 함.

근로기준법 제34조에서 규정한 계속근로년수란 “근로계약을 체결하여 해지될 때까지의 기


간”을 의미함. 따라서 근로계약기간이 단절된 경우에는 원칙적으로 계속근로로 볼 수 없음.

귀 질의내용에 대한 구체적인 사실관계가 확인되지 아니하여 정확한 판단이 곤란하나, 기간


제 교원의 임용사유는 사립학교법 제54조의4에서 명시하고 있는 바, 특별한 사유가 없는 한
임용기간은 한 학기 또는 몇 학기 등으로 예측이 가능하다고 사료됨.

- 71 -
학교단위의 '新 교원 노사문화' 정착방안 연구

따라서 임용기간이 예측됨에도 불구하고 초·중등교육법 제24조 제3항 및 동법 시행령 제45


조에서 규정한 수업일수로 인하여 부득이 수업이 없는 방학기간을 제외하고 반복적으로 임
용을 하였다면 반복적으로 임용한 전기간을 퇴직금 산정을 위한 계속근로로 인정할 수가 있
다고 사료됨. 다만 임용되지 아니하여 실제근로를 제공하지 아니한 방학기간은 퇴직금 산정
을 위한 계속근로년수 산정시 이를 제외하는 것이 타당함.

이 경우 노사당사자간 특약으로 실제 근로를 제공하지 아니한 방학기간을 퇴직금 산정을 위


한 계속근로기간에 포함시키는 것은 무방함.

(3) 공무원연금법의 적용을 받지 않는 임시교사는 퇴직금 적용을 받으며, 급량비ㆍ체력단련


비ㆍ효도휴가비 등이 정기적ㆍ계속적으로 지급되었다면 평균임금에 포함된다(1993.05.13,
임금 68207-280).

일반적으로 공무원인 근로자가 근로기준법상의 퇴직금 관련조항의 적용을 받지 아니하는 이


유는 이들에게는 공무원연금법 등이 우선 적용되기 때문임.
따라서 질의에 나타난 임시교사 등이 비록 공무원의 신분에 있다 하더라도 공무원연금법등
에 의한 퇴직금제도의 적용이 배제되어 있다면 이들에 대한 퇴직금은 당연히 근로기준법에
의거 평균임금을 기초로 산정하여야 하는 바, 근로기준법 제18조에서 임금이라 함은 그 명
칭 여하에 불문하고 근로의 대가로서 지급되는 일체의 금품을 말하므로, 급량비ㆍ체력단련
비ㆍ효도휴가비 등이 비록 "복리후생비" 명목으로 지급되었다 하더라도 월급여에 가산되어
정기적ㆍ계속적으로 지급되어 왔다면 이는 퇴직금 산정기초인 평균임금에 포함되어야 할 것
임.

(4) 기간제 교원 및 국·공립학교에 고용된 임시·일용·계약직 근로자의 고용보험 피보험자격


여부 ( 2000.11.25, 실업 68430-949 )

교육공무원법 제32조에 의한 기간제 교원이라 하더라도 동 기간제 교원이 국가공무원법 및


지방공무원법에 의한 공무원이나 사립학교교직원연금법의 적용을 받는 자 등으로서 고용보
험법 제8조에 규정된 적용제외 근로자에 해당되지 않는 한 고용보험의 피보험자격취득 대상
이 됨. 국·공립학교에 고용된 임시·일용·계약직 근로자는 2000. 1. 1부터 고용보험의 피보험
자격의 취득대상이 된다.

(5) 기간제교원의 퇴직금 지급의무자 및 계속 근로년수 판단기준 (2001.6.1, 근기


68207-1780)

교육공무원법 및 교육공무원임용령에 의해 기간제교원의 임용권자는 시·도 교육감인 바, 시·


도 교육감이 기간제교원의 퇴직금 지급의무자라고 볼 수 있음.
수업이 없는 방학기간을 제외하고 반복적으로 기간을 정하여 근무해온 경우 반복적으로 임
용한 전 기간을 계속근로로 인정할 수 있으며, 다만 실제 근로를 제공하지 않은 방학기간은
계속근로년수 산정 시 제외할 수 있음.

- 72 -
III. 단위학교에서의 분쟁과 갈등 사례 분석

- 이 때 방학기간을 약간 초과하여 공백기간이 있는 경우라도(개학이후 약간의 기간이 지나


재임용된 경우 등) 전체적으로 보아 계속근로로 볼 수 있는 경우에는 근로관계가 단절된다
고 볼 수 없을 것임
- 귀 질의와 같이 '가'중학교, '나'중학교, '다'중학교로 옮겨 근무하면서 각 중학교 학교장과
각각 임용계약을 체결한 경우 각 학교에서의 근로관계는 원칙적으로 단절된 것으로 사료됨

Ⅱ. 학교 단위의 집단적 노사관계

1. 학교단위 노동조합 분회 설치 및 근무시간 중 조합활동


(1) 학교단위 분회설치 및 근무시간 중 조합활동 가능 여부 (2007.11.01, 공공노사관계팀
-2184)

「교원의 노동조합 설립 및 운영 등에 관한 법률」(이하‘교원노조법’이라 함) 제4조 및 동법


시행령 제2조의 규정에 의하면 교원노조는 시ㆍ도(특별시ㆍ광역시ㆍ도)단위 또는 전국단위
로 설립할 수 있으며, 학교법인 또는 학교별 노조설립은 인정하지 않고 있음.
그러나, 교원노조가 자체 내부조직으로서 학교단위에 지부 또는 분회를 설치ㆍ운영하는 등
의 행위는 노조의 내부적인 운영에 관한 사항이라 할 것이므로 개별 학교에서 ‘분회’라는 명
칭을 사용한다 하여 교원노조법에 위반된다고 할 수는 없을 것으로 사료됨.

다만, 노동조합의 활동은 단체 협약상 관련 규정이 있거나 학교 측의 승인이 없는 한 근무


시간 외에 하는 것이 원칙이므로 노동조합 및 조합원이 노조관련 모임 등을 위한 연가 또는
조퇴를 하기 위해서는 사용자의 승인을 얻어야 할 것이며, 비록 수업이 없는 시간이라 할지
라도 사용자의 지휘ㆍ감독 하에 있는 한 동일함.

(2) 학교법인내에 학교별 분회설치 및 근무시간 중 조합활동 가능 여부(2002.03.02, 노조


68107-186)

1.교원의 노동조합 설립 및 운영 등에 관한 법률 제4조 및 동법 시행령 제2조의 규정에 의


하면 교원노조는 시ㆍ도(특별시ㆍ광역시ㆍ도)단위 또는 전국단위로 설립할 수 있으며, 학교
법인 또는 학교별 노조설립은 인정하지 않고 있음. 다만, 교원노조가 자체 내부조직으로서
학교단위에 지부 또는 분회를 설치하고 간부를 임명하여 홈페이지를 운영하는 등의 행위는
노조의 내부적인 운영에 관한 사항이라 할 것이므로 이를 가지고 동법에 위배된다고 단정하
기는 어려움

2. 노동조합의 활동은 단체협약에 별도의 정함이 없는 한 근무시간 외에 하는 것이 원칙이


므로, 단체 협약상 관련 규정이 있거나 학교 측의 승인이 없는 한 그 정당성을 인정받기는
어려우며, 비록 수업이 없는 시간이라 할지라도 사용자의 지휘ㆍ감독 하에 있는 한 동일함.

3. 또한, 노동조합이 노조관련 모임 등을 위해 학교 시설물을 사용할 때는 단체협약에 별도


의 정함이 없는 한 사용자의 승인을 얻어야 할 것이므로 일과시간 내ㆍ외를 불문하고 사용

- 73 -
학교단위의 '新 교원 노사문화' 정착방안 연구

자의 승인 없이 임의로 학교시설물을 사용하는 것은 정당성을 인정받기 어려울 것이며,

4. 노조의 내부조직인 분회의 임원이라 할지라도 근무시간 중에 학교 측의 승인 등이 없이


다른 학교에 가서 노조활동을 하거나 노조활동과 관련이 없는 학생들을 집단적으로 동원하
는 행위 등은 그 정당성을 인정받기 어려움.

2. 교원노동조합의 가입 범위

교감 등 보직교사가 교원노조에 가입할 수 있는지 여부(2000.03.03, 노조 01254-189 )

1. 노동조합에 가입할 수 있는 자의 자격 및 범위는 노동조합 및 노동관계 조정법 제2조 제


2호 및 제4호 가목 소정의 사용자 또는 그 이익 대표자에 해당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노동
조합의 규약으로 정할 수 있음.
2. 동법 제2조 제4호 가목에서 노동조합의 결격사유의 하나로 「사용자 또는 항상 그의 이
익을 대표하여 행동하는 자의 참가를 허용하는 경우」를 정하고 있는 것은 사용자에 해당하
는 자가 노조에 가입하여 노조의 조직운영에 지배ㆍ개입하는 행위를 방지함으로써 노조의
자주성을 보호하는 한편, 사용자의 노무관련 기밀에 관한 사항이 노조에 누설됨을 예방하여
노사 교섭력의 균형을 기하고자 하는데 그 입법 취지가 있는 것임.
3. 이 경우 「사용자 또는 항상 그의 이익을 대표하여 행동하는 자」인지 여부에 대한 판단
은 형식적인 직급 명칭이나 지위보다는 직무내용 및 회사규정의 운영실태, 근로자에 관한
사항에의 관여 정도 등 구체적인 사실관계를 토대로 근로자의 인사ㆍ후생ㆍ노무관리 등 근
로조건의 결정 또는 업무상의 명령이나 지휘감독 등에 대해 사업주로부터 권한과 책임을 부
여받았는지 여부, 근무평정 권한 및 책임이 최종적으로 귀속되는지 여부, 근로관계에 대한
계획과 방침 등 사용자의 기밀에 속하는 사항을 접하고 있어 근로자의 현 직책상의 직무수
행에 수반하는 책임과 의무가 노동조합의 조합원으로서의 활동에서 요구되는 성의와 책임에
직접 저촉되는지 여부 등에 따라 판단해야 함.

3. 노동조합의 활동 범위
(1) 리본패용이 정당한 노동조합 활동에 해당되는지 여부(2001.08.02, 노조68107-868)

1. 노동조합의 활동이라 함은 노동조합이 단결력을 유지ㆍ강화하기 위하여 행하는 제반 활


동을 의미한다고 볼 수 있을 것이므로, 귀문의 리본착용과 같은 행위도 노동조합의 활동이
라 할 수 있을 것이나 노동조합의 활동이 법으로 보호받기 위해서는 정당한 조합 활동이어
야 함.

2. 교원노조의 경우 「교원의 노동조합 설립 및 운영 등에 관한 법률」제8조에서 일체의 쟁


의행위를 금지하고 있으므로, 귀문과 같은 단체교섭을 위한 집단적 리본착용 행위의 정당성
여부는 교육서비스제공이라는 학교의 정상적 업무수행을 저해하였는지 여부에 따라서 판단
하여야 할 것임.

(2) 조회시간에 노조원 가입발언 등 노조활동이 가능한지 여부(1999.08.30, 노조

- 74 -
III. 단위학교에서의 분쟁과 갈등 사례 분석

01254-653 )

1. 원칙적으로 노동조합의 활동은 업무의 정상적 운영을 저해하지 않는 근무시간 외에 실시


하여야 하는 바, 직원 조회 시간에 조합원 모집 및 기타 행사를 홍보하는 경우에는 학교 측
의 승인을 받아 행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임.

2. 단순히 징계 관련 발언을 했다는 이유만으로 조합활동을 방해하였다고 판단할 수는 없을


것으로 사료되는 바, 징계발언의 배경 및 의도, 그에 따른 조합활동의 저해정도 등을 종합적
으로 고려하여 부당노동행위 해당 여부를 판단하여야 할 것임.

3. 노동조합의 활동은 업무의 정상적 운영을 저해하지 않는 근무시간 외에 실시하는 것이


원칙이므로 교원의 경우 비록 수업이 없는 시간이라 할지라도 그 시간이 근무시간 중이라면
학교측의 지휘ㆍ통제의 범위 내에 있는 것이므로 학교측의 승인이 있어야 할 것임.

(3) 교원노조지부장이 학교장에 대한 유언비어를 살포하는 등으로 정상적인 학교 운영을 저


해하는 경우 대응방안 (1999.07.10, 노조 01254-510)

노동조합 활동은 노동관계법령의 범위 내에서 업무의 정상적 운영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 내


에서 이루어져야 할 것이므로 노조 지부장이 특별한 사유 없이 학교장의 비리 운운하면서
유언비어를 살포하였다면 그 정도에 따라 관계법령 및 학교 규칙 등에 의거 징계 등의 조치
가 가능할 것임.
다만, 노동조합의 업무를 위한 정당한 행위를 한 것을 이유로 근로자에게 불이익을 주는 경
우에는 노동조합및노동관계조정법 제81조의 규정에 의한 부당노동행위에 해당될 수 있음

(4) 정부부처에 팩스 및 메일, 서명엽서 보내기 등이 정당한 노조활동에 해당하는지 여부(


2000.05.12, 노조01254-390)

교원노조가 정부부처의 정상적 업무를 저해할 목적으로 조직적으로 다량의 팩스, 메일, 엽서
등을 보내는 행위는 정부의 행정 기능을 저해할 뿐만 아니라 일반 국민의 긴급한 민원 처리
에 지장을 초래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지 않을 것임.

또한 노동조합의 활동은 노동관계법령이 정하는 바에 따라 업무의 정상적 운영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이루어져야 할 것인 바, 조합원인 교원이 조직적으로 근무시간 중 업무의
정상적인 운영을 저해하면서 팩스, 메일, 서명엽서 등을 작성ㆍ발송하여 복무관련 법령이나
학교규칙 등을 위반하였다면 동 규정에 의거하여 조치가 가능할 것임.

(5) 학교 내 플래카드 및 대자보 부착 등이 정당한 노조활동에 해당하는지 여부(


2000.05.12, 노조 01254-390)

학교 내 플래카드, 대자보 부착의 적법성 여부에 대하여 노동조합이 조합활동과 관련하여


사용자의 시설물을 사용할 때에는 단체협약에 별도의 정함이 있는 경우에는 그에 따르되,

- 75 -
학교단위의 '新 교원 노사문화' 정착방안 연구

그렇지 아니한 경우에는 사용자의 승인을 얻어 사용하여야 하는 것임.

따라서 귀 질의의 경우 교원노조가 단체협약이나 사용자의 승인 없이 임의로 학교 시설물에


플래카드 및 대자보를 부착하였다면 이는 사용자의 시설관리권을 침해하는 것으로 그 정당
성을 인정받기 어려울 것임.

(6) 현직 교사의 상급단체 전임자 활동의 적법성여부 (2000.04.16, 노조 68107-173)

1. 일반적으로 노동조합의 조합원은 법령 및 규약 등 관련 내부규정 등에 따라 노동조합 활


동을 할 수 있는 것이므로 초ㆍ중등교육법 제19조 제1항에서 규정하고 있는 교원도 달리 볼
사정이 없는 한 당해 노동조합 및 소속 상급단체 등에서 노동조합 활동을 할 수 있을 것임.

2. 다만, 교원의 노동조합 설립 및 운영 등에 관한 법률에 의거 설립된 노동조합의 조합원


이 상급단체에서 노동조합 활동(전임자로서의 활동까지 포함)을 할 수 있는지 여부는 동법
제5조에 의거 임용권자의 허가가 있는 경우에 노동조합 전임자로 활동할 수 있고 이때 전임
기간은 교육공무원법 제44조의 규정에 의한 휴직명령을 받은 것으로 간주하는 등 일반 노동
조합과는 달리 규정하고 있으므로 관련 법령의 입법취지, 그간의 관행 등을 종합적으로 검
토하여 당해 교원의 임용권자가 결정해야 할 것임.

3. 학교 단위와 단체교섭과 단체협약

(1) 학교법인에서 단체교섭권을 제3자에게 위임할 수 있는지 여부 (2004.09.06, 노조


01254-2578)

1. 교원노조법 제6조 제2항은 노동조합의 교섭위원은 당해 노동조합을 대표하는 자와 그 조


합원으로 구성한다고 규정하면서 사용자 측 교섭위원에 대하여는 이와 같은 명시적인 제한
규정을 두고 있지 않으므로 사용자측이 교섭권을 제3자에게 위임하는 것이 금지되는 것으로
해석하기에 어려움이 있음.

2. 다만, 교원 노동관계의 특수성을 감안할 때 단체교섭을 담당하는 노사의 교섭위원은 교


원 노동관계의 당사자와 그 소속원으로 한다는 것이 동법의 입법 취지로 이해되며, 동법이
노동조합 및 노동관계 조정법의 규정을 적용하면서 교섭권 위임 절차를 규정한 제29조 제2
항, 제3항의 적용을 배제하고 있는 점, 동법 시행령 제3조 제3항에서 노동관계당사자는 그
소속원 중에서 지명한 자로 하여금 교섭에 필요한 사항을 사전 협의하도록 규정하고 있는
점 등도 같은 취지로 이해됨.

따라서 위와 같은 입법 치지와 교섭권 위임 제한에 있어서 노사간 형평성을 감안하여 볼


때, 사용자의 경우에도 그 소속원 중에서 교섭위원을 선정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사료
됨.

(2) 사립학교 단체교섭 요구시 당사자 적격 및 조합원 존부에 대한 입증책임의 소재 (

- 76 -
III. 단위학교에서의 분쟁과 갈등 사례 분석

2004.08.16, 노조-2220)
1. 교원의 노동조합 설립 및 운영 등에 관한 법률 제6조 제1항은 “노동조합의 대표자는 그
노동조합 또는 조합원의 임금...에 관한 사항에 대하여 교육인적부장관, 시ㆍ도지사 또는 사
립학교를 설립ㆍ경영하는 자와 교섭하고 단체협약을 체결할 권한을 가진다. 이 경우 사립학
교의 경우에는 사립학교를 설립ㆍ경영하는 자가 전국 또는 시ㆍ도 단위로 연합하여 교섭에
응하여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는 바

2. 귀 질의의 경우, 사립학교 경영자는 연합하여 교섭에 응하도록 하고 있으므로 노동조합


은 교섭단위 내에서 조합원이 존재하는 모든 사립학교 경영자를 대상으로 연합하여 교섭에
응할 것을 요구하여야 할 것이며 임의로 수개의 사립학교 경영자만을 대상으로 교섭을 요구
하는 것은 동법의 취지에 반한다고 할 것임.

다만, 이 경우 노동조합의 대표자는 그 노동조합 또는 조합원에 관한 사항에 대하여 교섭권


을 가지는 것이므로 소속 조합원이 없는 사립학교에 대하여는 당해 노동조합이 단체교섭 당
사자로서의 지위를 갖는다고 보기 어려움.

3. 조합원의 부존재는 이를 주장하는 사립학교 경영자가 입증하여야 함.

(3) 단체교섭 및 교직단체 행사 참여시 공가 처리 여부(2002.05.17, 노조68107-434 )

1. 단체협약 제2조 제2항의 제2호 내지 제5호에 해당하는 조합활동은 「교원휴가업무처리요


령」상 학교의 장이 공가를 허가하여야 하는 경우로 규정되어 있지 않은 바, 이러한 조합활
동이 근무시간 중에 이루어질 경우 학교의 장이 공가처리를 할 수 있는지 여부는 교육인적
자원부 훈령인 「교원휴가업무처리요령」의 해석에 관한 문제로서 주관부처인 교육인적자원
부에 판단하여야 할 사항이라고 사료됨.

다만, 단체협약 제2조 제2항에 의하면 조합원의 조합 활동은 학생 수업과 학사 일정에 지장


을 주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적법한 절차를 밟아 참여할 수 있도록 한다고 규정하고 있으며,
적법한 절차와 관련하여 「교원휴가업무처리요령」에서는 학교의 장은 소속 교원이 교원의
노동조합 설립 및 운영 등에 관한 법률 제6조의 구정에 의한 단체교섭위원으로 참석할 때
공가를 허가하여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으므로, 학교의 장은 조합원인 소속교원이 「교원휴
가업무처리요령」에 규정이 없는 단체협약 제2조 제2항의 제2호 내지 제5호의 조합활동을
할 때 공고를 허가하여야 할 의무는 없을 것으로 사료됨.

2.「교원휴가업무처리요령」은 교육인적자원부 소관 훈령이므로, 동 처리요령의 개정 문제


는 교육부에서 판단ㆍ결정할 사항이라고 사료됨.

다만, 단체협약 당사자는 규정의 취지에 따라 단체협약을 성실히 이행하는 것이 원칙이므로,


단체협약 제2조에 의한 조합활동 보장을 위하여 예컨대 「교원휴가업무처리요령」등 관련
규정의 개정 등이 필요한 경우에는 적법한 절차에 따라 관련 규정을 개정하는 등 단체협약
의 성실한 이행에 필요한 제반 노력이 이루어져야 할 것임.

- 77 -
학교단위의 '新 교원 노사문화' 정착방안 연구

(4) 단체협약의 일반적 구속력의 적용기준 (2002.07.13, 노조68107-600)

1. 노동조합및노동관계조정법 제35조에서는 “하나의 사업 또는 사업장에 상시 사용되는 동


종의 근로자 반수 이상이 하나의 단체협약의 적용을 받게 된 때에는 당해 사업 또는 사업장
에 적용되는 다른 동종의 근로자에 대하여도 당해 단체협약이 적용된다”고 하여 단체협약의
일반적 구속력에 대하여 규정하고 있는 바, 여기서 하나의 사업 또는 사업장이라 함은 단체
협약의 적용을 받는 반수 이상의 근로자를 산출하는 단위를 의미함.

2. 또한, 교원노조의 시․도 단위 교섭에 있어 사용자측 교섭당사자는 교원의 노동조합 설립


및 운영 등에 관한법률 제6조 제1항의 규정에 의해 국․공립학교의 단위 연합단체가 되는 것
이므로 시․도 교육감이 교원노조(지부)와 체결한 단체협약은 원칙적으로 당해 시․도의 국․공
립학교에 적용되는 것인 바, 귀 질의의 도교육청과 교원노조(지부)가 체결한 단체협약의 일
반적 구속력 적용의 하나의 사업(장)은 각 국․공립학교로 보아야 할 것임.

3. 한편, 도교육청에서 일반적 구속력이 적용되지 않는 비조합원에 대해 단체협약의 규범적


인 부분을 동일하게 적용한다 하여 노동조합및노동관계조정법 제35조의 규정에 위배되는 것
은 아님.

(5) 교원노동조합과 시ㆍ도 교육청이 체결한 단체협약이 사립학교에도 효력을 미치는지 여


부 (2001.01.10, 노조 68107-42)

교원의 노동조합 설립 및 운영 등에 관한 법률 제6조에서 노동조합의 대표자는 그 노동조합


또는 조합원의 임금ㆍ근무조건ㆍ후생복지 등 경제적ㆍ사회적 지위향상에 관한 사항에 대하
여 교육인적자원부장관, 시ㆍ도 교육감 또는 사립학교를 설립ㆍ경영하는 자와 교섭하고 단
체협약을 체결할 권한을 가지며 사립학교의 경우에는 사립학교를 설립ㆍ경영하는 자가 전국
또는 시․도 단위로 연합하여 교섭에 응하여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음.

이와 같이 동법이 국ㆍ공립학교의 경우와 사립학교의 경우를 구분하여 교섭당사자를 따로


규정하고 있고, 노조법 제36조 지역단위의 일반적 구속력 규정의 적용을 배제하고 있는 입
법 취지에 비춰볼 때 시ㆍ도 교육감과 교원노동조합사이에 체결된 단체협약이 사립학교를
설립ㆍ경영하는 자와 사립학교 교원인 조합원에게까지 당연하고확장 적용될 수는 없다고 보
아야 할 것이고, 귀 질의의 내용 중지역단위의 부칙 제6조의 단체협약에게까과 설립된 내용
도 달리 볼 사정이 없는 한 국ㆍ공립학교에 한하여 적용된다고 보아야 할 것임.

(6) 조합원이 50%미만인 학교에도 단체협약(규범적 부분)이 확장적용 되는지 여부(


2000.01.10, 노조 68107-43 )

단체협약의 효력은 협약당사자의 구성원들에게만 미치는 것이 원칙이나, 노동조합 및 노동


관계조정법 제35조에서는 하나의 사업 또는 사업장에 상시 사용되는 동종 근로자 반수이상
이 하나의 단체협약을 적용받는 경우에 해당사업장의 다른 동종의 근로자들에게까지 당해

- 78 -
III. 단위학교에서의 분쟁과 갈등 사례 분석

단체협약의 규범적 부분이 확장 적용되도록 하는 일반적 구속력 규정을 두어 예외적으로 비


조합원인 근로자에게 단체협약이 확장 적용될 수 있도록 하고 있는 바, 일반적 구속력 규정
은 법적 요건을 충족하면 자동적으로 그 효력이 인정되면, 협약 당사자간 합의에 의해 일반
적 구속력의 적용을 배제하거나 요건을 완화시킬 수는 없는 것임.

4. 학교 단위에서의 쟁의행위
교원노조의 집단적인 연가사용 및 잡무거부 등의 행위가 노동조합 및 노동관계조정법 제2조
제6호의 쟁의행위에 해당하는지 여부 (2000.11.17, 노조68107-1068)

교원노조의 집단 연가사용 등이 기 체결된 단체협약의 이행, 교육관련법 개정 등 단체교섭


의 대상이 될 수 없거나 국가정책에 관한 사항을 관철할 목적으로 행하여진 것으로 근로조
건의 결정에 관한 노동조합의 주장을 관철할 목적으로 행하여지는 쟁의행위에 해당한다고
볼 수 없을 것으로 판단됨.

학교단위 교원노사관계에 대한 노동위원회 판정 동향


근무시간중 노동조합활동의 허용 여부
근무시간중의 노동조합 활동에 대하여 노동위원회는 여러 사건의 초심과 재심 판정에서 일
관되게 허용하지 않고 있다. 또한 근무시간 중의 집회 참가를 위해 연가신청할 것을 불허한
것 역시 부당노동행위가 되지 않는다고 판정하였다.
근무시간 중 노동조합이 개최하는 집회에 참가하기 위해 사용자의 승인 없이 근무지를 무
단이탈한 것을 이유로 징계처분을 한 것은 정당하며 부당노동행위가 성립되지 않는다는 것
이 중앙노동위원회의 태도(중노위 2007부노203)이다. 또한 근무시간중 사용자의 허가 없이
집단연가투쟁에 참여한 행위는 노무제공의무를 위반한 것으로 정당한 노동조합활동이라고
보기 어려우며 집단연가투쟁과 관련하여 서한문, 공문 등을 배포한 행위는 사용자의 정당한
직무수행행위라고 본다(중노위 2007부노180 ; 중노위2007부노123).

(1) 학교법인 석봉학원 부당노동행위구제재심신청사건(2007부노203)


사용자의 연가 불허에도 불구하고 전국교직원노동조합이 주최하는 교원평가 저지를 위한
연가투쟁집회에 무단으로 참가하여 이 사건 사용자로부터 견책처분을 받았던바, 동 징계처
분은 정당한 징계사유에 근거하여 행하여 진 것으로 부당노동행위에 해당되지 아니하며,
「사립학교법」,「국가공무원 복무규정」,「공무원휴가업무예규」,「교원휴가업무처리요
령」,「법인 정관」등에 근무시간 중의 집회를 허용하는 규정이 없고, 그러한 관행도 없는
상황에서 이 사건 사용자가 근로자의 집회참가를 위한 연가신청을 불허한 것은 정당하다.
- 초심(중노위와 동지) ;충남지노위 2007부노30
사용자의 승인 없이 근무시간 중에 이 사건 노동조합에서 개최하는 연가투쟁집회에 참석한
행위는 사립학교법 등 관련 법령을 위반한 행위로써, 이 사건 사용자가 이러한 행위를 징계
사유로 삼아 행한 견책의 징계처분은 정당한 이유가 있는 처분으로 부당노동행위에 해당된
다고 볼 수 없다할 것이며, 징계절차상 중대한 하자가 있어 부당노동행위에 해당된다는 이
사건 근로자 및 노동조합의 주장 또한 이를 인정할 수 없다.

- 79 -
학교단위의 '新 교원 노사문화' 정착방안 연구

(2) 대전광역시교육청 사건(2007부노180)


근로자들이 학교장의 승인 없이 근무시간 중 근무지를 무단이탈하여 전교조의 연가투쟁에
참석한 것은 근로자의 노무제공의무를 위반한 것으로 국가공무원법상 징계사유에 해당되므
로 이에 대한 견책의 징계처분은 정당하며 부당노동행위에 해당되지 아니한다.
-초심(중노위와 동지) 충남지노위 2007부노25
근로자들이 근무시간 중 이 사건 사용자의 허가없이 집단연가투쟁에 참여한 행위는 노무
제공의무를 위반한 것으로 정당한 조합활동이라고 보기 어려운 점, 이 사건 사용자가 근무
지 무단이탈에 대해 국가공무원법 등 위반사유로 견책처분을 한 것으로 보여지는 점, 이 사
건 사용자가 집단연가투쟁과 관련하여 서한문, 공문 등을 배포한 행위는 이 사건 사용자의
정당한 직무수행행위라고 보여지는 점 등 을 종합하여 볼 때 이 사건 견책처분 및 서한문
배포행위가 정당한 노동조합활동을 이유로 한 불이익처분이라거나 노동조합의 운영에 대한
지배개입의 부당노동행위라고는 보여지지 아니한다

(3) 교육인적자원부 외 16개 시도교육청 부당노동행위 구제재심신청사건(2007부노123)


노동조합은 교육인적자원부 등 사용자들이 2006.11.22.의 교원평가제 반대 등을 위한 집회
를 불법 집단행동으로 규정하고, 서한 및 공문을 통하여 연가를 불허토록 하는 등 일련의
행위를 한 것은, 조합활동권 침해 및 지배·개입의 부당노동행위에 해당한다고 주장하나, 이
미 사용자측에 수차례 통보된 주장을 관철하기 위하여 집단적으로 연가를 이용하여 개최하
려고 한 대규모 옥외 항의집회는 교육에 막대한 지장을 초래할 것이 예측될 뿐만 아니라,
이는 조합활동권을 넘어 노동조합에 법률상 금지되어 있는 ‘업무의 정상적인 운영을 저해하
는 쟁의행위’에 해당한다 할 것이므로, 사용자들의 위와 같은 지도·감독행위는 정당한 직무
수행 행위로서, 노동조합의 운영에 대한 지배·개입의 부당노동행위로 볼 수 없다 할 것이다.

-초심(중노위와 동지) ; 서울지노위 2007부노23


국가공무원법 제66조 및 교원의 노동조합 설립 및 운영 등에 관한 법률 제8조는 공무원
이 집단행동 및 쟁의행위를 하지 못하도록 규정하고 있는바,
노동조합의 조직을 통한 집단적인 연가신청과 이를 이용한 1만여 명 이상의 참여가 예상
되는 집회의 개최는 교육에 막대한 지장을 초래할 것이라는 예측이 가능하며, 이미 위 집회
에서 표명하고자 한 의견은 이 사건 사용자들 측에 이미 수차례 통보된 상황임에도 불구하
고 이를 관철하기 위해 대규모 옥외 항의집회를 개최하는 것은 조합활동권을 넘어 이 사건
노동조합에 법률상 금지되어 있는 ‘업무의 정상적인 운영을 저해하는 쟁의행위’에 해당한다
할 것이며,
따라서, 이에 대한 예방적 조치로서 이 사건 사용자들이 위 집회의 부당성을 홍보하고
그 참여를 이유로 한 연가신청을 불허하도록 지시하는 등의 지도·감독을 한 것은 정당한 직
무수행 행위로서, 그에 관한 서한 및 공문 발송 등을 노동조합의 운영에 대한 지배·개입의
부당노동행위로 볼 수는 없다 할 것이다.

노동조합의 홍보활동
학교법인 한광학원 부당노동행위 사건(2004부노205)
노동조합측이 홍보물 공간으로 관행적으로 사용하여 오던 교무실 칠판에 부착한 홍보물을

- 80 -
III. 단위학교에서의 분쟁과 갈등 사례 분석

학교측이 임의로 제거한 것은 부당노동행위에 해당한다. 다만 홍보물 부착이 관행적으로 허


용되어 오던 아니라면 임의로 제거하였다고 부당노동행위가 성립되는 것이라고 볼 수는 없
다고 본다. 학교법인 한광학원 사건에서 중앙노동위원회는 관행적으로 허용행해오던 홍보물
부착을 전교조 활동을 혐오한 나머지 허용하지 않는 것은 부당노동행위에 해당된다고 하였
다.
『전교조 한광분회를 비롯하여 각종 단체나 모임에서 단체협약 체결 이전부터 교무실 칠판
을 홍보물 게시공간으로 활용해 온 점 등으로 미루어 보아 재심신청인이 이를 묵시적으로
인정해온 사실이 인정되는바, 학교측이 이를 제한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제한의 필요성과
제한 방법 등을 정하여 교직원에게 공지시킨 후 각 단체나 모임이 이를 지키도록 하였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다른 단체의 홍보물 게시에 대하여는 문심신삼지 아니한 채 한광분회가 부
착한 홍보물에 대해서만 철p아니요구하고 철p하지 아니하자 이를 강제로 철p한 것은 교감
직무대리가 노조활동을 혐오하여 한광분회의 활동을 위축시킬 목적으로 행한 부당한 차별행
위로서 부당노동행위에 해당된다』

노동조합활동의 정당성과 부당노동행위


(1) 노동조합업무를 위한 정당한 행위가 되지 못하는 경우 ; 신성학원 인천외국어고등학교
부당노동행위 사건(2004부노202)
노동조합 업무를 위한 정당한 행위라고 주장되는 사실들이 노조활동으로 보기 어렵거나 적
절하지 못하고 파면사유에 해당하는 경우 비록 사용자가 노동조합활동을 못마땅하게 여긴
흔적이 있더라도 부당노동행위에 해당하지 않는다. 직원회의 불참, 부장회의 불참, 외부강사
초빙 직원연수 시 다른 조합원들과 흰색마스크 착용, 직원조회 시 전교조 투쟁조끼 착용, 근
무시간 중 ‘민주적 학사운영’이라고 적힌 패찰패용 등 징계사유를 구성하는 기초적 사실들을
인정하면서도 이러한 행위는 신청인의 비교육적 학사운영을 민주적으로 해결해보고자 전국
교직원노조 인천외고분회의 결정에 따라 행한 일상적인 노동조합 활동인데 이에 대하여 신
청인측이 노골적인 혐오감을 드러내며 분회활동에 앞장섰던 피신청인들(근로자)을 파면한
것이므로 부당노동행위에 해당된다고 주장하나 노조활동이라고 주장되는 행위들이 노동조합
업무를 위한 정당한 행위로 보기 어렵거나 부적절하였고 파면사유에 해당하므로 비록 사용
자가 노동조합활동을 못마땅하게 여긴 흔적이 있더라도 부당노동행위에 해당되지 아니한다
- 초심(중노위와 다른 취지) ; 인천지노위 2004부노30
인천지노위는 동일한 사건에 대하여 부당노동행위가 성립된다고 판정하였다. 중앙노동위원
회와는 달리 조합활동 범위를 넓게 인정하였다. 즉, 『교원의 노동조합 활동은 신분특성상
부장회의, 직원조회, 수업 진행방식 등과 관련된 행위들도 넓게는 노동조합 활동에 포함시킬
수 밖에 없다는 점, 또한 피신청인이 신청인을 최근 3년 이상 연속하여 담임에서 배제한
점, 아울러 예전에도 학교장이 인천외고 전교조 소속 교사인 정00에게 직권남용에 기초한
수업시수배제라는 불이익 처분을 하여 교육인적자원부 교원징계재심위원회에서 동 처분을
취소했던 점 등을 종합하여 고려해 볼 때 이는 피신청인이 신청인의 정당한 노동조합 활동
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에 기초한 불이익을 처분을 한 것이라고 보여진다.』
『다음으로 신청인의 피신청인의 노동조합에 대한 지배, 개입행위 주장에 대해서는 인정사
실 ‘어’에서와 같이 피신청인은 2004년 봄방학 전 직원 근무지시에 대하여 전국교직원노동
조합의 인천외고 앞 집회에 대한 시설보호 차원이며, 실제 전 교사가 출근한 날은 총 6일에
불과하다고 주장하나 만약, 학교장의 정상근무 지시가 없었더라면 신청인 1, 2를 포함한 전

- 81 -
학교단위의 '新 교원 노사문화' 정착방안 연구

교조 인천지부 인천외고분회 소속 교사들이 당연히 2004. 2.17 집회에 참가하였을 것이므로


결과적으로 노동조합원의 합법적인 집회에 참가하지 못하도록 함으로써 피신청인의 전국교
직원노동조합 인천지부의 노동조합 활동에 지배, 개입 의사가 있었다고 봄이 상당하다.』

(2) 부당노동행위 의사 입증과 부당노동행위; 경기도교육청부당노동행위 사건(2005부노


194)
근로자는 근로자가 전교조 조합원으로 활동한 것을 혐오하여 전보발령 되었다고 주장하는
외에 구체적으로 부당노동행위 의사를 입증할 수 있는 자료를 제출하지 못하고 있으며, 교
원소청심사위원회의 소청심사도 기각된 이상 근로자의 부당노동행위 주장은 이유없다.

(3) 정당한 노조활동을 이유로 인한 불이익취급과 부당노동행위 ; 경도학원사건(2002부노


179)
신청인은 피신청인들을 직무태만, 복종의무 위반, 품위유지의무 위반 사유로 징계한 것으로
노조활동과는 관련이 없으며, 이에 대한 구제신청은 노동위원회의 소관이 아니라고 주장하
는 반면, 피신청인은 징계사유들이 대부분 정당한 노조활동과 관련된 것으로 불이익처분에
의한 부당노동행위라고 주장하는 바, 본 건의 소관에 관해서는 교원의 노동조합설립 및 운
영등에 관한 법률 제13조에 의하여 교원징계재심위원회의 판단권한을 전적으로 노동위원회
에 일임하고 있으므로 신청인의 주장은 이유 없으며, 개개의 징계사유들이 명백하고 객관적
인 증거가 없어 징계사유로 인정하기 어렵고, 불이익취급에 이르는 과정 등을 전반적으로
종합하여 볼 때 이는 피신청인들의 정당한 노조활동에 대하여 전교조 조합원이라는 이유만
으로 불이익 취급을 한 것으로 부당노동행위에 해당한다고 할 것이다.

전교조 소속 교직원의 담임배정 배제와 부당노동행위


(1) 학교법인 동일학원사건(2004부노132)
학교법인인 사용자가 교사들에 대한 담임 배정을 함에 있어 비조합원교사는 대상인원 21명
중 20명을 담임으로 배정(95.2%)한 것에 반하여, 전교조 소속 교사는 9명 중 4명(44.4%)만
을 담임으로 배정함으로써, 전교조 소속 교사에 대한 담임배정의 비율이 비노조원인 교사들
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낮은 점이 인정되는바, 이는 전교조의 조합원인 교사들의 노동조합
활동에 대한 반감이 은연중에 반영된 것으로 부당노동행위에 해당한다.(초심 동지 ; 서울지
노위 2004부노67)

(2) 경기도 교육청 사건(2006부노170)


평소 노조와 마찰이 있던 상태에서 특별히 담임교사로서 부적합사유가 없는데도 전 노조분
회장을 담임배정에서 배제시킨 학교장의 조치가 부당노동행위에 해당한다고 판단. 000가
2005년 분회장으로 재직 당시 이 사건 학교장과의 사이에 마찰이 있어온 점, 위 2003년 단
체협약 제10조 제5항의 취지상 인사자문위원회의 의결은 최대한 존중하여야 함에도 불구하
고, 2006년도 00학교 인사자문위원회의 000에 대한 담임배정의결에 대해서 ‘학교장이 추구
하는 교육목표와 교육관이 다르다(학생의 자기주도학습 및 보충학습지도)’는 명분만을 내세
워 합리적 사유 없이 동위원회의 의결을 경시한 점, 학교장이 담임 부적합 사유로 삼은
2005년 2학기 중간고사 출제오류 등 일부 잘못한 점은 있으나 전체적으로 볼 때 000에게
특별히 담임으로서 부적합하다고 볼만한 사유를 발견할 수 없는 점 등을 종합하여 볼 때,

- 82 -
III. 단위학교에서의 분쟁과 갈등 사례 분석

이 사건 담임배제조치는 노동조합의 정당한 업무를 한 것을 이유로 그 근로자에게 불이익을


주는 것으로서 노동조합 및 노동관계조정법 제81조 제1호의 부당노동행위에 해당된다고 판
단된다. (초심동지; 경기지노위 ; 2006부노59)

3. 쟁송 실태 분석 종합: <교육문제>의 실종

노동조합설립에 관한 한 형식주의를 취하는 노동법제와 이들 노동법의 집행기관으로서 노


동위원회 노동행정당국 등 그 것을 유지하기 위한 장치들로 구성된 노동관료제가 대폭 강화
되고 교육문제에 개입하게 된 것은 교육관료제가 강화되고 있는 것 보다 더욱 큰 문제를 야
기하고 있다 노동법상의 판단과 의사결정이 교육상의 의사결정에 선행하고 이를 대체하게
.

되는 것이다 .

교원노동조합체제의 출범이 낳은 중요한 특징은 교육문제에 사법부나 노동위원회와 같은


준사법기관이 깊이 관여하는 통로를 활짝 열어 놓았다는 점이다 실제로 지난 년간 교육부 . 6

장관 교육감 학교장들이 부당노동행위나 단체교섭 거부로 지속 고발되어 왔다 사실 시장에 .

적용되는 사적자치와 마찬가지로 노사관계는 노사당사자자치의 원칙이 그 기본 원리이다 그 .

러나 우리나라처럼 당사자간 타협과 협력의 문화가 결여된 상황에서 벌어지는 형식적 단체


교섭은 교섭과정에서의 노조측의 부당노동행위 고소 통상 백여 개가 훨씬 넘는 단체협약조 ,

문의 효력을 둘러싼 법률적 분쟁으로 인하여 교육현장의 문제들이 대거 노동위원회와 검찰


법원의 결정에 좌우되는 결과를 초래한다 실제로는 법원소송 이전에 행정심판을 거치지 않
.

으면 안되는 행정심판전치주의 때문에 그리고 고발측이 노동조합측인 관계로 분쟁해결 사건


의 대부분은 노동위원회의 관할이 된다 이 때 분쟁해결 의제 자체가 교육문제 아닌 노동문
.

제로 이 되며 그 한도에서만 이들 준사법기관 또는 사법기관의 판단 법률이 된다 애


framing .

당초 관련되는 교육문제와 교육상의 고려를 심사할 여지가 배제되는 것이다 미국의 경우에 .

도 소위 사법화된 교육
< 의 폐단이 급증한 년대가 바로 교원단
: legalized education> 1960-70

체협약이 번성하던 시절이었으며 교육관련 소송의 많은 부분이 단체협약과 교사의 노동권을


,

둘러싼 것이었다 교원노동관계 쟁송을 통해서 본 단위학교노동관계의 특징은 다음과 같이


.

요약될 수 있다 .

○ 단위학교분쟁의 초점은 ①교사의 행위가 정당한 조합활동에 속하는가 여부 ②교장의 행


위가 부당노동행위인가 여부 ③단체교섭의 효력 여부의 가지에 놓여 있으며 노동위원회 3

심사절차나 법원 소송 절차 등 이들 분쟁에 대한 기존 분쟁해결 시스템 속에서의 심리와


판단은 이 세 가지 초점을 벗어나지 못한다 바꾸어 말하면 이들 분쟁해결 과정은 그 속 .

에서 교육문제 는 거의 고려되기 힘든 의제 구성과 판단 논리를 따라 운용되고 있다


< > .

- 83 -
학교단위의 '新 교원 노사문화' 정착방안 연구

○ 이들 분쟁해결절차는 사용자 노동자의 양 당사자 구조로 되어 있으며 학부모와 학생 등


-

교육기본법이 규정하는 또 다른 중요한 교육당사자는 절차와 과정 속에서 배제되어 있다.

○ 이들 분쟁해결절차 속에서 학교장은 오로지 사용자로만 간주된다 사용자도 아니며 노동


.

자도 아닌 노동관계 밖의 제 자로서 초․중등교육법 등 각종 법규가 직접 학교장에게 부


3

여하는 또 다른 법정 지위와 권능은 이러한 양자 구조 속에서 고려될 여지가 없으며 배


제된다 .

○ 교육법규와 노동법규가 서로 경합 충돌하는 경우 이들 법규의 경합과 충돌을 조절하고


종합하는 최선의 법해석이 노동관계분쟁해결 절차 속에서는 실질적으로 어려우며 사실상
교육법규에 대한 노동법규의 우월 현상이 초래된다 만약 노동법원이 설립되어 모든 교원
.

노동관계분쟁이 노동법원의 관할이 될 경우 교원노동관계 분쟁에서 교육법규는 규범력을


완전히 상실하게 될 것이다 .

- 84 -
IV. 단위학교 노동관계의 성과평가 및 학교장 인식조사

Ⅳ. 단위학교 노동관계의 성과평가 및 학교장 인식조사

1. 조사 개요

가. 실태조사의 초점과 목적
교원노조법 제정 이후 전국 광역시도 단위의 단체교섭 협약 체제가 도입되어 이러한
/

집권적인 단체교섭체제를 운영해온 결과 일반적으로 산별노조체제에 뒤따르는 산업관계


의 주요 특징이 교육부문에도 나타나기 시작했다 즉 ①단결력 교섭
(industrial relations) . /

력을 중시하는 교육행정과 교원단체의 행동전략 ②교육감선거와 단체교섭테이블의 양자 ,

를 매개로 형성되는 교육행정지배구조에서의 경향이 그 것이다 이러한 체 corporatism .

제 속에서 단위학교에서는 특히 부당노동행위 여부와 단체협약의 이행 특히 싸고 교


< >

장 등 학교관리직과 교원노동조합원의 갈등이 나타나고 있으며 이 과정에서 학교장의


리더십이 뚜렷하게 약화되고 있다 결과적으로 자율적 질서를 바탕으로 운영되어야 할
.

단위학교가 획일화된 관료적 체제 하의 단위사업장으로 전락할 우려가 높아지고 있는


것이다 .

이러한 것은 교원노조법 제정당시 충분히 예상될 수 있었으나 교원단체교섭제도가 이 ,

를 기대한 것은 아니다 이러한 부작용들을 시정할 수 있는 제도적 개선과 단위학교 차


.

원의 학교경영발전이 필요하다 그 출발점은 단위학교에서 찾아야 한다 전반적 교원노


. .

동관계가 교육행정당국의 전략과 전교조의 전략이 서로 상호작용하는 가운데 형성되지


만 지금까지 살펴본 것처럼 단위학교는 단순히 노사관계의 사업장에 그치는 것이 아니
며 그 자체가 교육기본법과 초중등교육법이 규정하는 공교육의 장으로서 자율성을 가진
공동체이며 학교장은 그러한 공동체를 대외적으로 대표하고 그 공동체를 이끌어갈 리더
십을 행사하는 지위를 각종 법규가 보장하고 있다 이 점에서 볼 때 교원노동관계에 대한 .

학교장의 인식 내용은 단위학교노동관계의 형성과 발전에 있어 대단히 중요한 것이다 .

교장의 인식을 연구조사의 대상으로 단위학교의 노동관계 실태를 파악함에 있어 연구


의 초점은 다음의 세 가지에 놓여있다 :

① 단체협약은 단위학교의 일상에 어떤 변화를 가져 왔는가 .

② 단위학교에서 부당노동행위를 둘러싼 갈등의 내용과 성격은 어떠한가 .

부당노동행위 관련 각종 분쟁은 과연 교사의 노동권 대 사용자의 경영권의 대립에


-

해당하는 것인가 .

부당노동행위 관련 분쟁에서 학교장은 어떠한 경위로 사용자로서 교육과학기술부장


-

관이나 교육감을 대표하는가 .

- 85 -
학교단위의 '新 교원 노사문화' 정착방안 연구

③ 단체교섭체제 하에서 학교장의 지위와 리더십 실태는 어떠하며 향후 어떻게 발전해


야 하는가 .

단위학교 교원노동관계에 대한 실태조사는 설문조사와 면담조사를 통해서 이루어졌다 .

설문조사는 단위학교 교원노동관계실태에 대한 일반적인 경향을 파악하기 위해서 교장연


수 참가자를 대상으로 이루어졌다 교장연수 참여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이유
.

는 단위학교 교원노동관계 발전모델을 교장의 리더십 측면에서 찾고자 하는 것이 이 연구


의 주요 연구목적 가운데 하나이기 때문에 앞으로 교장이 될 사람들이 어떻게 단위학교
,

노동관계와 발전방향을 인식하고 있는가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

현직교장이 경영자로서 생생하게 갖게 되는 교원노동관계 관련 경험이나 인식 또는 통


찰력은 단위학교 노동관계 발전 모델을 찾는데 좋은 시사점을 준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

비교적 성공적으로 학교경영을 하고 있다고 평판을 듣고 있는 전․현직 교장들과의 면담


을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서 단위학교 교원노동관계 실태뿐만 아니라 바람직한 교원노동
.

관계를 수립하기 위해서 필요한 교장 리더십의 특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는 미래 단위 .

학교 교원노동관계를 위한 리더십 연수발전 중요하게 참고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할


것이다 .

나. 조사방법

1) 설문조사

조사기본항목 설명(매개)항목 보고서 제언을 위한 시사점


① 교원의 근로조건 사회경제적 지
위는 높아졌는가?
경영-노동의 대립 ①교원 Unionism의 발전
② 학교는 보다 민주화되고 교사의
(부당노동행위 분쟁)
자율성은 높아졌는가? 방향
③ 단위학교 교육은 보다 참교육에
단체협약-학교관습의 대립
가까워졌는가?(과외문제, 학교폭력, ②정책(중앙/지방)제언
교육과정 개선) (단체협약 이행 관련 분쟁)

④ 교사-학부모 관계는 보다 좋아
교육과정과 교장교사 역할 ③학교경영리더십(관리자역
졌는가?
(교장-교사의 교육상 지위) 량향상)을 위한 제언
⑤ 바람직한 <미래학교모델>에 보
다 근접해졌는가?

설문항목을 선정함에 있어서 차용한 기본적인 관점은 상기 표와 같다 즉 교원 노사 양 .

측이 합의 할 수 있는 기본적인 학교교육발전이념에 실제로 교원노조 활동이 얼마나 기여

- 86 -
IV. 단위학교 노동관계의 성과평가 및 학교장 인식조사

하고 있는가에 대한 인식 여하와 그 수단으로 동원되는 법제상의 제도인 단체협약과 부당


노동행위 제도 교육과정운용상의 교장 교사 관계들이 단위학교 현장에서 어떻게 인식되
, -

고 있는가를 설문으로 하여 교장들의 인식을 조사하는 것이다 .

조사 대상
한국교원대학교에서는 전국을 대상으로 초․중등학교 교장 연수를 실시하고 있는데
년도 여름학기 교장 자격 연수중인 이들 교원 중 명을 대상으로 하여 설문조사를
2009 305

실시하였으며 조사대상표본의 기초사항은 다음과 같다


, .

<표 6> 조사대상자 기초사항

성별 빈도 % 거주지 빈도 % 학교급별 빈도 %
남 267 87.5 특별시, 광역시 67 22.0 초등학교 146 47.9
여 38 12.5 시군구 173 56.7 중학교 85 27.9
읍면기타 65 21.3 고등학교 68 22.3
무응답 6 2.0
계 305 100 계 305 100 계 305 100
학교설립
빈도 % 현직위 빈도 % 교직경력 빈도 %
유형
국공립 263 86.2 교감 301 98.7 10년 이하 0 0
사립 173 13.1 보직교사 1 0.3 10~20년 미만 2 0.7
무응답 2 0.7 교사 0 0 20년 이상 302 99.0
무응답 3 1.0 무응답 1 0.3
계 305 100 계 305 100 계 305 100
교원단체
빈도 %
가입
교총 296 97.0
전교조 1 0.3
한교조 1 0.3
자유노조 0 0
미가입 7 2.3
계 305 100

조사방법 및 분석방법
설문 문항은 선택형 문항과 자유기술형 문항으로 구성하였으며 본 연구를 수행하는 데 ,

있어서 자료의 처리는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의식조사에 중점을


SPSS 12.0 for Windows .

두고 있기 때문에 경향을 파악하고 문항별 반응을 알아보는 데에 중점을 두었다 구체적인 .

분석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응답자의 일반적인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모든 개인 배경


. ,

변인과 문항에 대한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둘째 복수 응답 문항의 경우에는 다중응답 . ,

- 87 -
학교단위의 '新 교원 노사문화' 정착방안 연구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

설문지의 세부 설문 내용은 아래 표 에 제시되어 있다 < 7> .

<표 7> ‘단위학교 교원노동관계의 발전모델 연구’에 관한 설문 문항

설문
설문 내용 번호 설문 유형

I. 교원노동조합의 평가 선택형 문항
1. 교원 근무여건 및 지위 향상 1 〃
2. 학교경영 및 단위학교 환경 민주화 2 〃
3. 교육과정의 정상화 3 〃
II. 단체협약의 영향
1. 단체협약 실적보고 관련 업무 4 〃
2. 학교장 전통적 역할 약화 5 〃
3. 학교장 역할 약화 정도 6 〃
4. 규범이나 규칙, 문서의 의사결정 구속력 7 〃
III. 부당노동행위
1. 부당노동행위 가능성 8 〃
2. 부당노동행위 사례 인지 횟수 9 〃
3. 학교장과 교원노동조합과의 갈등 정도 10 〃
4. 학교장과 교원노동조합과의 갈등 심각성 정도 11 〃
5. 학교장 대응방식 12 〃
IV. 교장과 교사의 지위
1. 교장과 교사의 지위 13 〃
V. 학교장의 성공적 직무수행에 필요한 지식과 역량
1. 학교장 직무수행 지식과 역량 14 〃
기타: 교원노동관계의 발전모델 연구추진 의견이나 고견 15 자유기술형 문항

2) 면담조사
연구에서는 총 명의 전․현직 교장들을 현직 교장 명 전직교장 명 대상으로 면담
11 ( 10 , 1 )

을 실시하였다 급별 지역별 분포를 보면 초등교장 명 대도시 명 중학교 교장 명 읍면


. , 3 ( 3 ), 4 (

지역 명 대도시 명 고등학교 교장 명 읍면지역 명 대도시 명 중소도시 명 이었다


1 , 3 ), 4 ( 1 , 2 , 1 ) .

반구조화 면담방법을 사용하였으며 면담은 인당 약 시간 동안 이루어졌다 면담대상 선


, 1 1 .

정은 교장과 교원노조 교사들이 교원노동관계를 포함하여 전반적으로 학교를 원만하게 운


영하고 있다고 인정하는 교장들 가운데 면담에 동의한 교장들을 대상으로 이루어졌다 여 .

기서 인용된 교장선생님들의 소속학교명은 모두 가명으로 처리되었다 .

면담대상자들의 학교급별 지역별 분포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

- 88 -
IV. 단위학교 노동관계의 성과평가 및 학교장 인식조사

<표 8> 면담대상자 학교급별 지역별 분포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대도시 중소도시 읍면지역 대도시 중소도시 읍면지역 대도시 중소도시 읍면지역
옥성초 인화중
성실고
태양초 금성중 논리중 신인고 직진고
미래고
성공초 초심중
3명 3명 1명 2명 1명 1명
총 11명

다. 조사한계

이 연구에서는 교원노동조합이 단위학교에 미친 영향을 관리자의 시각에서 조사한다 .

일반 교사들이 교원노동조합에 대해서 갖는 인식은 관리자의 시각과 다를 것이라고 추정


되나 그에 대한 정보는 제공하지 못하고 있다 설문을 위한 예비조사 를통 . (pilot interview)

하여 면담한 일반 교사들의 경우 전교조에 대한 기존 인식과 경험에 따라 지극히 편향되


거나 구조적 관리적 측면에 대한 무지로 인하여 본 연구가 필요로 하는 단위학교노동관계
에 관한 정보 취득에 부합하는 유용한 토의 이 불가능한 것으로 판단 (informed discussion)

되었다 이러한 이유로 교사 대상의 설문은 배제하였다


. .

2. 교원노조 도입 이후의 10년 성과

가. 교원노동조합의 평가

1) 교원 근무여건 및 지위
「교원근무여건 및 지위 향상」에 대해서 응답자들은 교원근무여건 및 지위 향상에서 임금증
가 근로시간 감소 교원의 사회적 지위와 관련한 부문은 별로 그렇지 않다 는 반응이 많았
, , ‘ ’

다 반면 인사의 공정성 복지 후생은 부정적 인식보다는 긍정적인 반응이 조금 더 많았다


. , .

각 영역 질문에 대한 조사대상 교원들의 응답 결과는 다음과 같다 .

「① 임금증가」영역에서는 별로 그렇지 않다 이상 보통이다‘ 비교적 그 ’ (56.0%), ‘ (27.5%), ‘

렇다 매우 그렇다
’(13.4%), 순으로 응답하였다 「② 근로시간 감소」영역에서는
‘ ’(2.6%) .

별로 그렇지 않다 이상
‘ 보통이다 ’비교적 그렇다 매우 그렇
(55.4%), ‘ (28.5%), ‘ ’(14.1%), ‘

다 순으로 응답하였다 「③ 인사의 공정성」영역에서는 보통이다


’(1.3%) . 비교적 ‘ (33.1%), ‘

그렇다 별로 그렇지 않다
’(27.9%), ‘ 전혀 그렇지 않다 매우 그렇다 ’(23.6%), ‘ ’(10.2%), ‘ ’(4.3%)

- 89 -
학교단위의 '新 교원 노사문화' 정착방안 연구

순으로 응답하였다 「④ 복지후생」영역에서는 보통이다. 비교적 그렇다 ‘ (31.8%), ‘ ’(31.5%),

별로 그렇지 않다
‘ 전혀 그렇지 않다 매우 그렇다 순으로 응답하였
’(22.0%), ‘ ’(9.5%), ‘ ’(4.3%)

다 「⑤ 교원의 사회적 지위」영역에서는 별로 그렇지 않다 이상


. 보통이다 ‘ ’ (64.3%), ‘

비교적 그렇다
(23.9%), ‘ 매우 그렇다 순으로 응답하였다
’(10.2%), ‘ ’(1.3%) .

<표 9> 교원근무여건 및 지위 향상


①임금증가 ②근로시간감소 ③인사공정성 ④복지후생 ⑤사회적지위
구분
빈도 % 빈도 % 빈도 % 빈도 % 빈도 %
매우 그렇다 8 2.6 4 1.3 13 4.3 13 4.3 4 1.3
비교적 그렇다 41 13.4 43 14.1 85 27.9 96 31.5 31 10.2
보통이다 84 27.5 87 28.5 101 33.1 97 31.8 73 23.9
별로 그렇지 않다 113 37.0 108 35.4 72 23.6 67 22.0 115 37.7
전혀 그렇지 않다 58 19.0 62 20.3 31 10.2 29 9.5 81 26.6
무응답 1 0.3 1 0.3 3 1.0 3 1.0 1 0.3
계 305 100.0 305 100.0 305 100.0 305 100.0 305 100.0

2) 학교경영 및 단위학교 환경의 민주화


「학교 경영 및 단위학교 환경의 민주화에 기여」에 대해서 응답자들은 평교사 의견수렴
및 참여 활성화 학생 의견 수렴 및 참여 활성화 학부모 의견 수렴 및 참여 활성화 투명한
, , ,

학교경영 학교 내 위원회 등 회의체 활성화 등에 대체로 긍정적인 반응을 하였고 이는 교


, ,

원노조가 학교경영 및 단위학교 환경의 민주화에 어느 정도 긍정적으로 기여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

각 영역 질문에 대한 조사대상 교원들의 응답 결과는 다음과 같다 .

「① 평교사 의견수렴 및 참여 활성화」영역에서는 비교적 그렇다 이상 보통이다 ‘ ’ (49.1%), ‘

별로 그렇지 않다
(28.9%), ‘ 전혀 그렇지 않다 순으로 응답하였다 「② 학생 의견
’(15.4%), ‘ ’(6.2%) .

수렴 및 참여 활성화」영역에서는 보통이다 비교적 그렇다 이상 별로 그렇지


‘ ’(35.7%), ‘ ’ (31.8%), ‘

않다 전혀 그렇지 않다 순으로 응답하였다 「③ 학부모 의견 수렴 및 참여 활성


’(23.0%), ‘ ’(9.2%) .

화」영역에서는 보통이다 비교적 그렇다 이상


‘ 별로 그렇지 않다
(33.8%), ‘ 전혀 ’ (27.9%), ‘ ’(25.2%), ‘

그렇지 않다 순으로 응답하였다 「④ 투명한 학교경영」영역에서는 비교적 그렇다 이상


’(12.5%) . ‘ ’

보통이다
(55.7%), ‘ 별로 그렇지 않다 전혀 그렇지 않다 순으로 응답하였
’(24.6%), ‘ ’(14.1%), ‘ ’(4.9%)

다 「⑤ 학교내 위원회」영역에서는 비교적 그렇다 이상


. 보통이다 별로 그렇지
‘ ’ (37.7%), ‘ ’(30.5%), ‘

않다 전혀 그렇지 않다 순으로 응답하였다


’(23.0%), ‘ ’(8.5%) .

<표 10> 학교 경영 및 단위학교 환경의 민주화

- 90 -
IV. 단위학교 노동관계의 성과평가 및 학교장 인식조사

①교사의견수렴 ②학생의견수렴 ③학부모의견수렴 ④투명학교경영 ⑤학교내위원회


구분
빈도 % 빈도 % 빈도 % 빈도 % 빈도 %
매우 그렇다 23 7.5 10 3.3 17 5.6 37 12.1 17 5.6
비교적 그렇다 127 41.6 87 28.5 68 22.3 133 43.6 98 32.1
보통이다 88 28.9 109 35.7 103 33.8 75 24.6 93 30.5
별로 그렇지 않다 47 15.4 70 23.0 77 25.2 43 14.1 70 23.0
전혀 그렇지 않다 19 6.2 28 9.2 38 12.5 15 4.9 26 8.5
무응답 1 0.3 1 0.3 2 0.7 2 0.7 1 0.3
계 305 100.0 305 100.0 305 100.0 305 100.0 305 100.0

3) 교육과정 정상화
「교육과정 정상화에 기여」에 대해서 응답자들은 합리적 교육과정 계획 수립 교육과정 ,

편제 운영 준수 자율장학의 활성화 특별․재량활동의 다양화 다양한 학습개발 탐구학습


, , , ( ,

조사학습 토론학습 등 모든 영역에서 교원노조가 교육과정 정상화에 기여했다고 반응을


, )

보인 응답자보다 부정적으로 인식하는 응답자가 많은 편이다 .

각 영역 질문에 대한 조사대상 교원들의 응답 결과는 다음과 같다 .

「① 합리적 교육과정 계획 수립」영역에서는 별로 그렇지 않다 이상은 보통이 ‘ ’ (53.8%), ‘

다 비교적 그렇다
’(29.8%), ‘ 매우 그렇다 순으로 응답하였다 「② 교육과
’(15.1%), ‘ ’(1.0%) .

정 편제 운영 준수」영역에서는 별로 그렇지 않다 이상은 보통이다 비‘ ’ (50.4%), ‘ ’(31.8%), ‘

교적 그렇다 매우 그렇다 순으로 응답하였다 「③ 자율장학의 활성화」


’(16.4%), , ‘ ’(1.3%) .

영역에서는 별로 그렇지 않다 이상은


‘ 보통이다 비교적 그렇다 ’ 매 (61.7%), ‘ ’(28.9%), ‘ ’(8.2%), ‘

우 그렇다 순으로 응답하였다 「④ 특별․재량활동의 다양화」영역에서는 별로 그렇


’(1.0%) . ‘

지 않다 이상은
’ 보통이다 비교적 그렇다 매우 그렇다
(53.7%), ‘ 순으 ’(31.8%), ‘ ’(13.1%), ‘ ’(1.0%)

로 응답하였다 「⑤ 다양한 학습개발」영역에서는 별로 그렇지 않다 이상은


. 보통 ‘ ’ (54.5%), ‘

이다 비교적 그렇다
’(33.1%), ‘ 매우 그렇다 순으로 응답하였다 ’(10.8%), ‘ ’(1.3%) .

<표 11> 교육과정 정상화


①교육과정계획 ②교육과정편제 ③자율장학활성화 ④특별재량다양화 ⑤다양한학습개발
구분
빈도 % 빈도 % 빈도 % 빈도 % 빈도 %
매우 그렇다 3 1.0 4 1.3 3 1.0 3 1.0 4 1.3
비교적 그렇다 46 15.1 50 16.4 25 8.2 40 13.1 33 10.8
보통이다 91 29.8 97 31.8 88 28.9 97 31.8 101 33.1
별로 그렇지 않다 115 37.7 102 33.4 100 32.8 102 33.4 107 35.2
전혀 그렇지 않다 49 16.1 52 17.0 88 28.9 62 20.3 59 19.3
무응답 1 0.3 0 0 1 0.3 1 0.3 1 0.3
계 305 100.0 305 100.0 305 100.0 305 100.0 305 100.0

나. 단체협약의 영향

- 91 -
학교단위의 '新 교원 노사문화' 정착방안 연구

1) 단체협약 이행과정과 실적보고 관련 업무의 단위학교 영향


「단체협약 이행과정과 실적보고 관련 업무의 단위학교 영향」에 대해서 응답자들은 단체
협약의 획일적 적용으로 개별학교의 현장성과 다양성이 약화되었다고 보았으며 단체협약 ,

이행 및 실적보고로 인한 잡무증가 되었다고 대체로 인정하고 있으며 단체협약과 단체교 ,

섭의 노사 양 당사자 구도가 강화되어 학교장 지위가 약화되었다고 보았다 .

각 영역 질문에 대한 조사대상 교원들의 응답 결과는 다음과 같다 .

「① 단체협약의 획일적 적용으로 개별학교의 현장성과 다양성이 약화」영역에서는 비교 ‘

적 그렇다 이상은 보통이다


’ 별로 그렇지 않다
(58.0%), ‘전혀 그렇지 않 ’(30.2%), ‘ ’(10.5%), ‘

다 순으로 응답하였다 「② 단체협약 이행 및 실적 보고로 인한 잡무 증가」영역에


’(1.3%) .

서는 비교적 그렇다 이상은


‘ 보통이다 별로 그렇지 않다
’ 전혀(51.8%), ‘ ’(32.5%), ‘ ’(14.8%), ‘

그렇지 않다 순으로 응답하였다 「③ 단체협약과 단체교섭의 노사 양 당사자 구도


’(1.0%) .

가 강화되면서 학교장 지위 약화」영역에서는 비교적 그렇다 이상은 보통이 ‘ ’ (67.5%), ‘

다 별로 그렇지 않다
’(21.3%), ‘ 전혀 그렇지 않다 순으로 응답하였다 ’(9.8%), ‘ ’(1.3%) .

<표 12> 단체협약이행 및 실적 보고업무의 영향

①현장성다양성약화 ②잡무증가 ③학교장지위약화


구분
빈도 % 빈도 % 빈도 %
매우 그렇다 68 22.3 31 10.2 104 34.1
비교적 그렇다 109 35.7 127 41.6 102 33.4
보통이다 92 30.2 99 32.5 65 21.3
별로 그렇지 않다 32 10.5 45 14.8 30 9.8
전혀 그렇지 않다 4 1.3 3 1.0 4 1.3
계 305 100.0 305 100.0 305 100.0

2) 교원노조와의 단체협약으로 인한 학교장의 전통적 역할 약화 정도


「교원노조와의 단체협약으로 인한 학교장의 전통적 역할 약화 정도」에 대해서 응답자들
은 학교발전에 대한 비전 제시 학교교육과정 편성 및 운영 교사의 역량과 전문성 신장 교, , (

장장학 교직원조직의 효율성 관리 업무분장 인사관리 학교예산 편성 및 집행은 다소 약


), ( , ),

화되었다고 보았다 그 중에 교사의 역량과 전문성 신장 교직원조직관리는 다른 영역에


. ,

비해 상대적으로 약화 정도를 조금 더 높다고 반응하였다 .

각 영역 질문에 대한 조사대상 교원들의 응답 결과는 다음과 같다 .

「① 학교발전에 대한 비전 제시」영역에서는 다소 약화 이상은 보통 ‘ ’ (50.2%), ‘ ’(24.3%),

별로 약화시키지 않음
‘ 전혀 약화시키지 않음 순으로 응답하였다 「② 학
’(22.6%), ‘ ’(2.6%) .

교교육과정 편성 및 운영」영역에서는 다소 약화 이상은 보통 별로 약 ‘ ’ (39.7%), ‘ ’(33.8%), ‘

화시키지 않음 전혀 약화시키지 않음 순으로 응답하였다 「③ 교사의 역


’(21.3%), ‘ ’(4.9%) .

- 92 -
IV. 단위학교 노동관계의 성과평가 및 학교장 인식조사

량과 전문성 신장 교장장학 」영역에서는 다소 약화 이상은


( 보통 ) 별로 ‘ ’ (55.4%), ‘ ’(23.6%), ‘

약화시키지 않음 전혀 약화시키지 않음 순으로 응답하였다 「④ 교직원조


’(18.0%), ‘ ’(2.3%) .

직의 효율성 관리 업무분장 인사관리 」영역에서는 다소 약화 이상은


( 보
, ) ‘ ’ (60.0%), ‘

통 별로 약화시키지 않음
’(22.3%), ‘ 전혀 약화시키지 않음 순으로 응답하였 ’(15.4%), ‘ ’(2.0%)

다 「⑤ 학교예산 편성 및 집행」영역에서는 다소 약화 이상은


. 보통 ‘ ’ (43.3%), ‘ ’(33.4%),

별로 약화시키지 않음
‘ 전혀 약화시키지 않음 순으로 응답하였다
’(18.4%), ‘ ’(4.6%) .

<표 13> 단체협약으로 인한 학교장의 역할 약화정도


①학교비전제시 ②교육과정편성 ③교장장학 ④조직관리 ⑤예산편성집행
구분
빈도 % 빈도 % 빈도 % 빈도 % 빈도 %
매우 약화 45 14.8 32 10.5 68 22.3 72 23.6 26 8.5
다소 약화 108 35.4 89 29.2 101 33.1 111 36.4 106 34.8
보통 74 24.3 103 33.8 72 23.6 68 22.3 102 33.4
별로 약화시키지 않음 69 22.6 65 21.3 55 18.0 47 15.4 56 18.4
전혀 약화시키지 않음 8 2.6 15 4.9 7 2.3 6 2.0 14 4.6
무응답 1 0.3 1 0.3 2 0.7 1 0.3 1 0.3
계 305 100.0 305 100.0 305 100.0 305 100.0 305 100.0

3) 교장의 영향력이 가장 심각하게 약화된 부문


「교장의 영향력이 가장 심각하게 약화된 부문」과 관련하여 문항 ①학교발전에 대한 5 (

비전제시~⑤ 학교예산 편성 및 집행 가운데 개를 골라 약화된 순서대로 반응을 조사하 ) 3

는 것이다 이에 응답 결과는 교장의 영향력이 가장 심각하게 약화된 부문 중 약화된 순서


. ,

대로 선택반응에서 첫 번째로 선택한 것은 ④ 교직원조직의 효율성 관리 업무분장 인사 ‘ ( ,

관리 ③ 교사의 역량과 전문성 신장 교장장학


)’ (31.8%), ‘ ① 학교발전에 대한 비 ( )’(25.2%), ‘

전 제시 ⑤ 학교예산 편성 및 집행
’(12.8%), ‘ ② 학교교육과정 편성 및 운영 ’(7.9%), ‘ ’(5.2%)

순으로 응답하였다 .

<표 14> 교장의 영향력이 심각하게 약화된 부문


첫 번째 선택 두 번째 선택 세 번째 선택
구분
빈도 % 빈도 % 빈도 %
① 학교발전에 대한 비전제시 39 12.8 32 10.5 49 16.1
② 학교교육과정 편성 및 운영 16 5.2 37 12.1 45 14.8
③ 교사의 역량과 전문성 신장 77 25.2 67 22.0 55 18.0
④ 교직원 조직의 효율성 관리 97 31.8 75 24.6 37 12.1
⑤ 학교예산 편성 및 집행 24 7.9 35 11.5 57 18.7
무응답 52 17.0 59 19.3 62 20.3
계 305 100.0 305 100.0 305 100.0

4) 규칙 규범, 문서의 등 학교운영과 교내 의사결정과정에 미치는 구속력

- 93 -
학교단위의 '新 교원 노사문화' 정착방안 연구

규칙이나 규범 문서 교육청의 지침문서 교사 전원이 참석한 교무회의에서 결정된 사항


, ( , ,

교원노동조합 교육행정당국간 단체협약 학교운영위원회의 결정사항 학교내 교육관습규


- , ,

범과 선례 가 사실상의 학교운영과 교내 의사결정과정에 미치는 구속력이 강한 순서대로


)

어떻게 생각하는지 반응을 조사하는 것이다 그 중 교육청의 지침문서 이 월등히 구 . (73.4%)

속력이 높다고 반응하였고 다음으로 단체협약 을 교내 의사결정과정에 미치는 구속력이


, ‘ ’

높은 것으로 반응하였다 .

질문에 대한 조사대상 교원들의 응답 결과는 다음과 같다 .

<표 15> 규칙, 규범 등이 의사결정에 미치는 구속력


첫 번째 선택 두 번째 선택 세 번째 선택 네 번째 선택 다섯 번째 선택
구분
빈도 % 빈도 % 빈도 % 빈도 % 빈도 %
① 교육청의 지침문서 224 73.4 25 8.2 18 5.9 19 6.2 8 2.6
② 교무회의 결정 사항 31 10.2 78 25.6 43 14.1 95 31.1 49 16.1
③ 단체협약 20 6.6 84 27.5 60 19.7 76 24.9 53 17.4
④ 학교운영위원회의 결정사항 15 4.9 76 24.9 66 21.6 69 22.6 66 21.6
⑤ 학교내 교육관습규범과 선례 4 1.3 31 10.2 105 34.4 34 11.1 117 38.4
무응답 11 3.6 11 3.6 13 4.3 12 3.9 12 3.9
계 305 100.0 305 100.0 305 100.0 305 100.0 305 100.0

이러한 설문결과는 단체협약이 단위학교에서 준수해야 하는 일반적 규칙화하고 있


음을 보여 준다 전교조는 공식적으로 장관 교육감 훈령 보다 단체협약이 법적 효
. /

력상 우월하다고 주장한다 실제 그 정도 까지는 아니더라도 교장들의 인식은 단체


.

협약의 효력이 개별 교육분야에 확립된 기존 학교관습이나 학운위 결정을 능가하는


강력한 구속력을 가지고 있다고 보는 것이다 다음의 표는 상기의 설문결과에 나타 .

난 규범들의 구속력 정도 평가를 점 만점의 점수로 다시 정리한 것이다 5 .

학교 내 규칙들의 구속력 평가 점수화 결과(교장임용대상자 설문결과)

교육청의 교무회의 학교운영위원 학교관습규범


단체협약
지침문서 결정 사항 회 결정사항 과 선례
구속력
4.325 2.740 2.693 2.557 1.408
평가 점수

상기 점수평가 결과를 보면 교장들은 교육행정당국의 훈령과 지침을 가장 무겁게 여기고


있다. 그러나 중요한 사실은 단체협약의 구속력을 학교교사 전체회의인 교무회의 결정 또
는 단위학교 최고 심의기구인 학교운영위원회 결정 사항 만큼 무겁게 여기고 있다는 점에
있다. 결국 법리(法理)상으로는 거의 교육행정당국-교원노조 간의 채권적 효력만을 지니
고 있는 단체협약이 강력한 일반적 규범적 효력을 발휘하고 있는 것이다.

- 94 -
IV. 단위학교 노동관계의 성과평가 및 학교장 인식조사

다. 부당노동행위

1) 부당노동행위로 비난받거나 제소될 가능성


교장 또는 교감으로서 직무수행에 임하면서 나의 행위가 부당노동행위 라는 이유로 비 < >

난받거나 제소될 가능성도 있다는 생각하는지에 대한 질문에서 조사대상 교원들은 거의 ‘

생각해본 바 없다 가끔 그렇다 한번도 생각해본 바 없다


’(45.6%), ‘ 종종 ’(25.9%), ‘ ’(12.1%), ‘

그렇다 거의 그렇다 순으로 응답하였다


’(11.8%), ‘ ’(3.6%) .

<표 16> 부당노동행위로 비난이나 제소 가능성


구분 빈도 %
거의 그렇다 11 3.6
종종 그렇다 36 11.8
가끔 그렇다 79 25.9
거의 생각해본 바 없다 139 45.6
한번도 생각해 본 바 없다 37 12.1
무응답 3 1.0
계 214 100.0

2) 부당노동행위 문제의 경험 여부
과거 또는 현재에 재직한 학교에서 부당노동행위문제로 교사와 갈등을 빚거나 제소되어 고
생하는 학교 관리자를 보신 적이 얼마나 되는가에 대한 질문에서 조사대상 교원들은 ‘0

회 회 회
’(51.5%), ‘1-3 회 회 이상 순으로 응답하였다
’(37.4%), ‘4-6 ’(7.2%), ‘7-9 ’(1.6%), ‘10 ’(1.6%) .

<표 17> 부당노동행위에 대한 관리자의 경험


구분 빈도 %
10회 이상 5 1.6
7-9회 5 1.6
4-6회 22 7.2
1-3회 114 37.4
0회 157 51.5
무응답 2 0.7
계 214 100.0

3) 학교장과 교원노동조합과의 부당노동행위를 둘러싼 갈등


「학교장과 교원노동조합과의 부당노동행위를 둘러싼 갈등」에 대해서 응답자들은 사회적 쟁점
성과급 지급 일제고사 교원평가 등 에 대한 교내의견 개진 단체협약 이행 과정 교시 자율학습
( , , ) , (0 , ,

수업지도안 등 영역은 응답자의 절반 이상이 비교적 갈등이 크다고 반응하였다 다음으로 학교


) .

밖 집단행위 참여 근무시간 중 노조 분회 활동 인사 담임 학년 보직 배정 등 교사의 근무조건


, ( ) , ( , , ),

개선 학교운영위원회의 교사위원활동 학교예산 편성 및 결산 순으로 갈등을 보인다고 반응을 나


, ,

- 95 -
학교단위의 '新 교원 노사문화' 정착방안 연구

타냈다 각 영역 질문에 대한 조사대상 교원들의 응답 결과는 다음과 같다


. .

「① 교사의 근무조건 개선」영역에서는 보통 비교적 크다 이상 별로 크지 않 ‘ ’(38.4%), ‘ ’ (35.1%), ‘

다 전혀 크지 않다 순으로 응답하였다 「② 학교운영위원회의 교사위원활동 」영


’(21.0%), ‘ ’(4.9%) .

역에서는 보통 비교적 크다 이상
‘ 별로 크지 않다
’(39.0%), ‘ 전혀 크지 않 ’ (29.8%), ‘ ’(22.3%), ‘

다 순으로 응답하였다 「③ 인사」영역에서는 비교적 크다 이상


’(7.2%) 보통
. ‘ ’ (40.9%), ‘ ’(33.1%),

별로 크지 않다
‘ 전혀 크지 않다 순으로 응답하였다 「④ 학교예산 편성 및 결
’(19.3%), ‘ ’(5.9%) .

산」영역에서는 보통 별로 크지 않다 이상
‘ 비교적 크다
’(42.3%), 매우 크‘ ’ (30.0%), ‘ ’(24.9%), ‘

다 순으로 응답하였다 「⑤ 근무시간 중 노조 분회 활동」영역에서는 비교적 크다 이상


’(2.0%) . ( ) ‘ ’

보통
(41.7%), ‘ 별로 크지 않다 전혀 크지 않다 순으로 응답하였다 「⑥
’(30.8%), ‘ ’(18.7%), ‘ ’(7.5%) .

학교 밖 집단행위 참여」영역에서는 비교적 크다 이상 보통 별로 크지 않 ‘ ’ (44.6%), ‘ ’(27.9%), ‘

다 전혀 크지 않다 순으로 응답하였다 「⑦ 단체협약 이행 과정」영역에서는 비교


’(18.7%), ‘ ’(6.9%) . ‘

적 크다 이상 보통 ’ 별로 크지 않다
(50.8%), ‘ 전혀 크지 않다 순으로 응답
’(28.2%), ‘ ’(4.8%), ‘ ’(5.6%)

하였다 「⑧ 사회적 쟁점에 대한 교내의견 개진」영역에서는 비교적 크다 이상


. 보 ‘ ’ (59.3%), ‘

통 별로 크지 않다
’(21.3%), ‘ 전혀 크지 않다 순으로 응답하였다 ’(13.4%), ‘ ’(5.2%) .

<표 18> 부당노동행위 관련 학교장과 교원노조 간의 갈등


①근무조건개선 ②학교운영위원회 ③인사 ④예산편성및결산
구분
빈도 % 빈도 % 빈도 % 빈도 %
매우 크다 20 6.6 16 5.2 23 7.5 6 2.0
비교적 크다 87 28.5 75 24.6 102 33.4 76 24.9
보통이다 117 38.4 119 39.0 101 33.1 129 42.3
별로 크지 않다 64 21.0 68 22.3 59 19.3 71 23.3
전혀 크지 않다 15 4.9 22 7.2 18 5.9 20 6.6
무응답 2 0.7 5 1.6 2 0.7 3 1.0
계 305 100.0 305 100.0 305 100.0 305 100.0

⑤노조활동 ⑥학교밖집단행위 ⑦단체협약이행 ⑧쟁점의견개진


구분
빈도 % 빈도 % 빈도 % 빈도 %
매우 크다 27 8.9 45 14.8 39 12.8 69 22.6
비교적 크다 100 32.8 91 29.8 116 38.0 112 36.7
보통이다 94 30.8 85 27.9 86 28.2 65 21.3
별로 크지 않다 57 18.7 57 18.7 45 4.8 41 13.4
전혀 크지 않다 23 7.5 21 6.9 17 5.6 16 5.2
무응답 4 1.3 6 2.0 2 0.7 2 0.7
계 305 100.0 305 100.0 305 100.0 305 100.0

4) 학교장과 교원노조원 간의 갈등 심각성


「학교장과 교원노조 간의 갈등 심각성」에 대한 분석은 개 답지문항 ① 교사의 근무조 10 (

건 개선~⑧사회적 쟁점에 대한 교내의견 가운데 개를 골라 심각성 순서대로 반응을 조 ) 3

사하는 것으로 질문에 대한 응답 결과는 다음과 같다 .

「학교장과 교원노조원 간의 갈등」에서 가지 선택하고 심각한 반응을 순서대로 나열했 3

을 때 참여한 응답자들은 첫 번째로 선택한 것은 ⑧ 사회적 쟁점에 대한 교내의견 개진


, ‘ ’

- 96 -
IV. 단위학교 노동관계의 성과평가 및 학교장 인식조사

⑥ 학교 밖 집단행위 참여
(23.6%), ⑦ 단체협약 이행 과정 ③ 인사 (14.8%), (14.8%), (10.8%),

⑤ 근무시간 중 노조 분회 활동 ① 교사의 근무조건 개선 ② 학교운영위원


( ) (7.9%), (6.6%),

회의 교사위원활동 ④ 학교예산 편성 및 결산 순으로 응답하였다


(2.6%), (2.6%) .

<표 19> 학교장과 교원노조원 간의 갈등 심각성


첫 번째 선택 두 번째 선택 세 번째 선택
구분
빈도 % 빈도 % 빈도 %
① 교사의 근무조건 개선 20 6.6 10 3.3 21 6.9
② 학교운영위원회 교사위원활동 8 2.6 4 1.3 23 7.5
③ 인사 33 10.8 34 11.1 29 9.5
④ 학교예산 편 성 및 결산 8 2.6 11 3.6 7 2.3
⑤ 근무시간 중 노조(분회)활동 24 7.9 28 9.2 31 10.2
⑥ 학교 밖 집단행위 참여 45 14.8 37 12.1 31 10.2
⑦ 단체협약 이행 과정 45 14.8 64 21.0 49 16.1
⑧ 사회적 쟁점에 대한 교내의견 개진 72 23.6 62 20.3 57 18.7
무응답 50 16.4 55 18.0 57 18.7
계 305 100.0 305 100.0 305 100.0

5) 부당노동행위 여부를 둘러싼 갈등 상황에서 학교장 대응 방식


「부당노동행위 여부를 둘러싼 갈등 상황에서 학교장 대응방식」에 대해서 응답자들은 타
협을 많이 선택했으며 그 유형에서 타협과 협력을 선택한 영역은 교사의 근무조건 개선
, ,

학교운영위원회의 교사위원활동 인사 담임 학년 보직 배정 등 학교예산 편성 및 결산 , ( , , ), ,

단체협약 이행 과정 교시 자율학습 수업지도안 등 에서 반응을 보였다 반면 근무시간


(0 , , ) .

중 노조 분회 활동은 타협과 대립 학교 밖 집단행위 참여는 대립과 타협 사회적 쟁점 성


( ) , , (

과급 지급 일제고사 교원평가 등 에 대한 교내의견 개진은 타협과 대립으로 타협 뿐 아


, , ) ‘ ’

니라 대립 의 양상을 보이기도 한다고 반응하였다


‘ ’ .

각 영역 질문에 대한 조사대상 교원들의 응답 결과는 다음과 같다 .

「① 교사의 근무조건 개선」영역에서는 타협 협력 양보 회 ‘ ’(54.4%), ‘ ’(19.0%), ‘ ’(16.7%), ‘

피 대립
’(4.9%), ‘ 순으로 응답하였다 「② 학교운영위원회의 교사위원활동」영역에
’(2.0%) .

서는 타협 ‘ 협력 양보 회피
’(55.4%), ‘ 대립 순으로 응답하였
’(22.0%), ‘ ’(12.5%), ‘ ’(4.6%), ‘ ’(3.6%)

다 「③ 인사」영역에서는 타협
. 협력 양보 회피 대 ‘ ’(49.8%), ‘ ’(22.0%), ‘ ’(12.1%), ‘ ’(8.5%), ‘

립 순으로 응답하였다 「④ 학교예산 편성 및 결산」영역에서는 타협


’(5.2%) 협 . ‘ ’(51.8%), ‘

력 양보
’(23.3%), 회피 대립 ‘ 순으로 응답하였다 「⑤ 근무시간 중
’(9.8%), ‘ ’(8.2%), ‘ ’(4.3%) .

노조 분회 활동」영역에서는 타협
( ) 대립 회피 양보 협 ‘ ’(33.4%), ‘ ’(24.6%), ‘ ’(15.1%), ‘ ’(12.8%), ‘

력 순으로 응답하였다 「⑥ 학교 밖 집단행위 참여」영역에서는 대립


’(11.8%) 타 . ‘ ’(37.0%), ‘

협 회피
’(26.2%), 양보 협력 순으로 응답하였다 「⑦ 단체협약
‘ ’(18.7%), ‘ ’(9.2%), ‘ ’(5.6%) .

이행 과정」영역에서는 타협 협력 양보 회피 대 ‘ ’(49.8%), ‘ ’(14.1%), ‘ ’(13.4%), ‘ ’(11.5%), ‘

- 97 -
학교단위의 '新 교원 노사문화' 정착방안 연구

립 ’(9.2%) 순으로 응답하였다 「⑧ 사회적 쟁점에 대한 교내의견 개진」영역에서는 타


. ‘

협 ’(45.2%), ‘대립 협력 양보 회피
’(23.9%), ‘ 순으로 응답하였다
’(10.8%), ‘ ’(10.5%), ‘ ’(7.5%) .

<표 20> 부당노동행위 관련 교장 대응방식


①근무조건개선 ②학교운영위원회 ③인사 ④예산편성및결산
구분
빈도 % 빈도 % 빈도 % 빈도 %
대립 6 2.0 11 3.6 16 5.2 13 4.3
회피 15 4.9 14 4.6 26 8.5 25 8.2
양보 51 16.7 38 12.5 37 12.1 30 9.8
타협 166 54.4 169 55.4 152 49.8 158 51.8
협력 58 19.0 67 22.0 67 22.0 71 23.3
무응답 9 3.0 6 2.0 7 2.3 8 2.6
계 305 100.0 305 100.0 305 100.0 305 100.0

⑤노조활동 ⑥학교밖집단행위 ⑦단체협약이행 ⑧쟁점의견개진


구분
빈도 % 빈도 % 빈도 % 빈도 %
대립 75 24.6 113 37.0 28 9.2 73 23.9
회피 46 15.1 57 18.7 35 11.5 23 7.5
양보 39 12.8 28 9.2 41 13.4 32 10.5
타협 102 33.4 80 26.2 152 49.8 138 45.2
협력 36 11.8 17 5.6 43 14.1 33 10.8
무응답 7 2.3 10 3.3 6 2.0 6 2.0
계 305 100.0 305 100.0 305 100.0 305 100.0

라. 교장과 교사의 지위

1) 교장과 교사의 지위
「교장과 교사의 지위」에 대해서 응답자들은 ① 학교장은 학교경영자로서 교원노사관계
에서 사용자인 교육행정당국을 최일선에서 대표 대리 하는 위치에 있는가 ② 학교장의 지 ( ) ?

위와 권한은 행정적으로 수임된 것이 아니라 초중등교육법에 의하여 직접 부여된 것인가 ?

③ 단위학교교육과정의 최종 확정 권한은 학교장에게 있는가 ④ 교사의 지위와 권한은 ?

행정적으로 수임된 것이 아니라 초중등교육법에 의하여 직접 부여된 것인가 에 대한 비 ? ‘

교적 그렇다 이상이 ~ 의 높은 반응을 보였다 반면에 ⑤ 단체협약은 단위학교의 교


’ 7 80% .

장과 교사가 지켜야할 구속력 있는 규범인가 ⑥ 학교장의 지위와 권한은 교육행정당국 ? -

교원노조간의 단체협약에 의하여 달라질 수 있는가 영역에서는 비교적 그렇다 이상이 ? ‘ ’

~ 의 반응을 보였다
3 40% .

각 영역 질문에 대한 조사대상 교원들의 응답 결과는 다음과 같다 .

「① 학교장은 학교경영자로서 교원노사관계에서 사용자인 교육행정당국을 최일선에서


대표 대리 하는 위치에 있다」영역에서는 비교적 그렇다 이상
( ) 보통이다 ‘ ’ (73.4%), ‘ ’(16.7%),

별로 그렇지 않다
‘ 전혀 그렇지 않다 순으로 응답하였다 「② 학교장의 지
’(5.9%), ‘ ’(2.6%) .

- 98 -
IV. 단위학교 노동관계의 성과평가 및 학교장 인식조사

위와 권한은 행정적으로 수임된 것이 아니라 초중등교육법에 의하여 직접 부여된 것이


다」영역에서는 비교적 그렇다 이상 보통이다
‘ 별로 그렇지 않다 ’ (84.9%), ‘ ’(10.2%), ‘ ’(3.3%),

전혀 그렇지 않다 순으로 응답하였다 「③ 단위학교교육과정의 최종 확정 권한은


‘ ’(0%) .

학교장에게 있다」영역에서는 비교적 그렇다 이상 보통이다 별로 그렇지 ‘ ’ (87.2%), ‘ ’(9.2%), ‘

않다 전혀 그렇지 않다
’(1.6%), ‘ 순으로 응답하였다 「④ 교사의 지위와 권한은 행 ’(0.7%) .

정적으로 수임된 것이 아니라 초중등교육법에 의하여 직접 부여된 것이다」영역에서는


비교적 그렇다 이상
‘ 보통이다 ’ 별로 그렇지 않다 전혀 그렇지 않
(82.3%), ‘ ’(14.1%), ‘ ’(1.6%), ‘

다 순으로 응답하였다 「⑤ 단체협약은 단위학교의 교장과 교사가 지켜야할 구속력


’(0%) .

있는 규범이다」영역에서는 비교적 그렇다 이상 보통이다 별로 그렇지 ‘ ’ (43.6%), ‘ ’(30.8%), ‘

않다 전혀 그렇지 않다
’(19.3%), ‘ 순으로 응답하였다 ’(4.9%) .

「⑥ 학교장의 지위와 권한은 교육행정당국 교원노조간의 단체협약에 의하여 달라질 수 -

있다」영역에서는 비교적 그렇다 이상 별로 그렇지 않다


‘ 보통이 ’ (36.7%), ‘ ’(23.3%), ‘

다 전혀 그렇지 않다
’(19.3%), ‘ 순으로 응답하였다 ’(19.3%) .

<표 21> 학교장과 교사의 지위


①학교경영자 ②학교장지위 ③학교교육과정 ④교사지위권한 ⑤단체협약 ⑥학교장협약
구분
빈도 % 빈도 % 빈도 % 빈도 % 빈도 % 빈도 %
매우 그렇다 95 31.1 130 42.6 180 59.0 117 38.4 20 6.6 30 9.8
비교적 그렇다 129 42.3 129 42.3 86 28.2 134 43.9 113 37.0 82 26.9
보통이다 51 16.7 31 10.2 28 9.2 43 14.1 94 30.8 59 19.3
별로 그렇지 않다 18 5.9 10 3.3 5 1.6 5 1.6 59 19.3 71 23.3
전혀 그렇지 않다 8 2.6 0 0 2 0.7 0 0 15 4.9 59 19.3
무응답 4 1.3 5 1.6 4 1.3 6 2.0 4 1.3 4 1.3
계 305 100.0 305 100.0 305 100.0 305 100.0 305 100.0 305 100.0

마. 학교장의 성공적 직무수행에 필요한 지식과 역량


「학교장의 성공적 직무수행에 필요한 지식과 역량」에 대해서 분석 영역은 지식 영역 < >

은 ① 학교법제 관련 지식 교육과정법제 인사법제 단위학교법제 ② 교원노동법제 관련지


: , ,

식 단체협약 부당노동행위 ③ 교장에게 필요한 학교조직 시설 교육과정 이론이며 역


: , , <

량 영역은 ① 공동 의사결정의 기법과 절차 ② 공중상대 스피치


> ( ) (public communication)

역량 ③ 회의법과 회의 사회자로서 의장직 수행능력 ④ 주장과 증거 문서화 등 규범적 사 ,

실적 변론 능력 ⑤ 적극적 청취 효과적 인터뷰 기법 등 의사소통과 정보 (active listening)

수집기술 ⑥ 일반적인 교섭력 설득력 협상력인데 이에 응답자들은 대체로 이상 필요 , 70%

하다고 반응으로 보여 학교장의 성공적인 직무수행에 필요한 지식과 역량에 대한 연찬과


연수 계획수립 시 지속적인 반영을 할 필요가 있다 .

각 영역 질문에 대한 조사대상 교원들의 응답 결과는 다음과 같다 .

- 99 -
학교단위의 '新 교원 노사문화' 정착방안 연구

1) 지식
「① 학교법제 관련 지식 교육과정법제 인사법제 단위학교법제」영역에서는 비교적 필 : , , ‘

요하다 이상 ’ 보통이다 별로 필요하지 않다 전혀 필요하지 않


(77.7%), ‘ ’(15.4%), ‘ ’(4.6%), ‘

다 순으로 응답하였다 「② 교원노동법제 관련지식 단체협약 부당노동행위」영역


’(1.0%) . : ,

에서는 비교적 필요하다 이상


‘ 보통이다 별로 필요하지 않다 전 ’ (67.2%), ‘ ’(23.0%), ‘ ’(6.2%), ‘

혀 필요하지 않다 순으로 응답하였다 「③ 교장에게 필요한 학교조직 시설 교육과


’(2.3%) .

정 이론」영역에서는 비교적 필요하다 이상 보통이다 별로 필요하지 않


‘ ’ (76.0%), ‘ ’(17.0%), ‘

다 전혀 필요하지 않다
’(4.6%), ‘ 순으로 응답하였다 ’(1.0%) .

<표 22> 성공적 학교장을 위해 필요한 지식


①학교법제 ②교원노동법제 ③학교조직시설
구분
빈도 % 빈도 % 빈도 %
매우 필요하다 133 43.6 97 31.8 120 39.3
비교적 필요하다 104 34.1 108 35.4 112 36.7
보통이다 47 15.4 70 23.0 52 17.0
별로 필요하지 않다 14 4.6 19 6.2 14 4.6
전혀 필요하지 않다 3 1.0 7 2.3 3 1.0
무응답 4 1.3 4 1.3 4 1.3
계 305 100.0 305 100.0 305 100.0

2) 역량
「① 공동 의사결정의 기법과 절차」영역에서는 비교적 필요하다 이상
( ) 보통이 ‘ ’ (73.7%), ‘

다 별로 필요하지 않다
’(19.3%), 전혀 필요하지 않다
‘ 순으로 응답하였다 ’(4.3%), ‘ ’(0.7%) .

「② 공중상대 스피치 역량」영역에서는 비교적 필요하다 이상 보통이 ‘ ’ (63.6%), ‘

다 별로 필요하지 않다
’(28.5%), 전혀 필요하지 않다
‘ 순으로 응답하였다 ’(3.6%), ‘ ’(1.6%) .

「③ 회의법과 회의 사회자로서 의장직 수행능력」영역에서는 비교적 필요하다 이상 ‘ ’

보통이다
(67.2%), ‘ 별로 필요하지 않다 전혀 필요하지 않다 순으로
’(25.6%), ‘ ’(3.6%), ‘ ’(1.3%)

응답하였다 「④ 주장과 증거 문서화 등 규범적 사실적 변론 능력」영역에서는 비교적


. , ‘

필요하다 이상 보통이다 ’ 별로 필요하지 않다 전혀 필요하지 않


(69.2%), ‘ ’(23.3%), ‘ ’(3.6%), ‘

다 순으로 응답하였다 「⑤ 적극적 청취 효과적 인터뷰 기법 등 의사소통과 정보


’(2.0%) . ,

수집기술」영역에서는 비교적 필요하다 이상 보통이다 별로 필요하지 ‘ ’ (72.5%), ‘ ’(21.0%), ‘

않다 전혀 필요하지 않다
’(3.0%), ‘ 순으로 응답하였다 「⑥ 일반적인 교섭력 설득력 ’(1.6%) .

협상력」영역에서는 비교적 필요하다 이상 보통이다 별로 필요하지 않


‘ ’ (73.1%), ‘ ’(20.3%), ‘

다 전혀 필요하지 않다
’(3.0%), ‘ 순으로 응답하였다 ’(1.3%) .

- 100 -
IV. 단위학교 노동관계의 성과평가 및 학교장 인식조사

<표 23> 성공적 학교장을 위해 필요한 역량


①의사결정기법 ②스피치역량 ③의장수행능력 ④변론능력 ⑤의사소통 ⑥협상력
구분
빈도 % 빈도 % 빈도 % 빈도 % 빈도 % 빈도 %
매우 필요하다 105 34.4 72 23.6 71 23.3 75 24.6 110 36.1 110 36.1
비교적 필요하다 120 39.3 122 40.0 134 43.9 136 44.6 111 36.4 113 37.0
보통이다 59 19.3 87 28.5 78 25.6 71 23.3 64 21.0 62 20.3
별로 필요하지 않다 13 4.3 11 3.6 11 3.6 11 3.6 9 3.0 9 3.0
전혀 필요하지 않다 2 0.7 5 1.6 4 1.3 6 2.0 5 1.6 4 1.3
무응답 6 2.0 8 2.6 7 2.3 6 2.0 6 2.0 7 2.3
계 305 100.0 305 100.0 305 100.0 305 100.0 305 100.0 305 100.0

마. 요약
교원노동조합이 단위학교에 미친 영향을 한국교원대학교 년 여름 초․중등학교 교 2009

장 연수중인 교원 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교원노동조합이 교원


305 .

의 근무여건 및 지위 향상에 미친 영향에 대해서 응답자들은 임금증가 근로시간 감소 교 , ,

원의 사회적 지위와 관련한 부문은 별로 그렇지 않다 는 반응이 많았다 반면 인사의 공정


‘ ’ .

성 복지 후생은 부정적 인식보다는 긍정적인 반응이 조금 더 많았다


, .

「학교 경영 및 단위학교 환경의 민주화에 기여」에 대해서는 평교사 의견수렴 및 참여


활성화 학생 의견 수렴 및 참여 활성화 학부모 의견 수렴 및 참여 활성화 투명한 학교경
, , ,

영 학교 내 위원회 등 회의체 활성화 등에 대체로 긍정적인 반응을 하였고 이는 교원노조


, ,

가 학교경영 및 단위학교 환경의 민주화에 어느 정도 긍정적으로 기여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

「교육과정 정상화에 기여」에 대해서는 합리적 교육과정 계획 수립 교육과정 편제 운영 ,

준수 자율장학의 활성화 특별․재량활동의 다양화 다양한 학습개발 탐구학습 조사학습


, , , ( , ,

토론학습 등 모든 영역에서 교원노조가 교육과정 정상화에 기여했다고 반응을 보인 응답


)

자보다 부정적으로 인식하는 응답자가 많은 편이다 .

「단체협약 이행과정과 실적보고 관련 업무의 단위학교 영향」에 대해서 응답자들은 단


체협약의 획일적 적용으로 개별학교의 현장성과 다양성이 약화되었다고 보았으며 단체협 ,

약 이행 및 실적보고로 인한 잡무증가 되었다고 대체로 인정하고 있으며 단체협약과 단체 ,

교섭의 노사 양 당사자 구도가 강화되어 학교장 지위가 약화되었다고 보았다 .

「교원노조와의 단체협약으로 인한 학교장의 전통적 역할 약화 정도」에 대해서는 학교


발전에 대한 비전 제시 학교교육과정 편성 및 운영 교사의 역량과 전문성 신장 교장장
, , (

학 교직원조직의 효율성 관리 업무분장 인사관리 학교예산 편성 및 집행은 다소 약화되


), ( , ),

었다고 보았다 그 중에 교사의 역량과 전문성 신장 교직원조직관리는 다른 영역에 비해


. ,

상대적으로 약화 정도를 조금 더 높다고 반응하였다 .

「교장의 영향력이 가장 심각하게 약화된 부문」에 대한 분석은 개의 답지문항 ①학교 5 (

- 101 -
학교단위의 '新 교원 노사문화' 정착방안 연구

발전에 대한 비전제시~⑤ 학교예산 편성 및 집행 가운데 개를 골라 약화된 순서대로 반 ) 3

응을 조사하였다 응답자들은 교장의 영향력이 가장 심각하게 약화된 부문 중 약화된 순


. ,

서대로 선택반응에서 첫 번째로 선택한 것은 ④ 교직원조직의 효율성 관리 업무분장 인 ‘ ( ,

사관리 ③ 교사의 역량과 전문성 신장 교장장학


)’ (31.8%), ‘ ① 학교발전에 대한 ( )’(25.2%), ‘

비전 제시 ⑤ 학교예산 편성 및 집행
’(12.8%), ② 학교교육과정 편성 및 운
‘ ’(7.9%), ‘

영 순으로 응답하였다
’(5.2%) .

규칙이나 규범 문서 교육청의 지침문서 교사 전원이 참석한 교무회의에서 결정된 사항


, ( , ,

교원노동조합 교육행정당국간 단체협약 학교운영위원회의 결정사항 학교내 교육관습규


- , ,

범과 선례 가 사실상의 학교운영과 교내 의사결정과정에 미치는 구속력이 강한 순서대로


)

어떻게 생각하는지 반응을 조사하는 것이다 그 중 교육청의 지침문서 이 월등히 구 . (73.4%)

속력이 높다고 반응하였고 다음으로 단체협약 을 교내 의사결정과정에 미치는 구속력이 , ‘ ’

높은 것으로 반응하였다 .

교장 또는 교감으로서 직무수행에 임하면서 나의 행위가 부당노동행위 라는 이유로 < >

비난받거나 제소될 가능성도 있다는 생각하는지에 대한 질문에서 조사대상 교원들은 거 ‘

의 생각해본 바 없다 가끔 그렇다 한번도 생각해본 바 없다 종


’(45.6%), ‘ ’(25.9%), ‘ ’(12.1%), ‘

종 그렇다 거의 그렇다 순으로 응답하였다


’(11.8%), ‘ ’(3.6%) .

과거 또는 현재에 재직한 학교에서 부당노동행위문제로 교사와 갈등을 빚거나 제소되어


고생하는 학교 관리자를 보신 적이 얼마나 됩니까 에 대한 질문에서 조사대상 교원들은 ? ‘0

회 회
’(51.5%), ‘1-3 회 회 회 이상 순으로 응답하였
’(37.4%), ‘4-6 ’(7.2%), ‘7-9 ’(1.6%), ‘10 ’(1.6%)

다 .

「학교장과 교원노동조합과의 부당노동행위를 둘러싼 갈등」에 대한 응답자들은 사회적


쟁점 성과급 지급 일제고사 교원평가 등 에 대한 교내의견 개진 단체협약 이행 과정 교
( , , ) , (0

시 자율학습 수업지도안 등 영역은 응답자의 절반 이상이 비교적 갈등이 크다고 반응하


, , )

였다 다음으로 학교 밖 집단행위 참여 근무시간 중 노조 분회 활동 인사 담임 학년 보직


. , ( ) , ( , ,

배정 등 교사의 근무조건 개선 학교운영위원회의 교사위원활동 학교예산 편성 및 결산


), , ,

순으로 갈등을 보인다고 반응을 나타냈다 .

「학교장과 교원노조 간의 갈등 심각성」에 대한 분석은 개 답지문항 ① 교사의 근무 10 (

조건 개선~⑧사회적 쟁점에 대한 교내의견 가운데 개를 골라 심각성 순서대로 반응을 ) 3

조사하는 것으로 질문에 대한 응답 결과는 다음과 같다 .

「학교장과 교원노조원 간의 갈등」에서 가지 선택하고 심각한 반응을 순서대로 나열했 3

을 때 참여한 응답자들은 첫 번째로 선택한 것은 ⑧ 사회적 쟁점에 대한 교내의견 개진


, ‘ ’

⑥ 학교 밖 집단행위 참여
(23.6%), ⑦ 단체협약 이행 과정 ③ 인사 (14.8%), (14.8%), (10.8%),

⑤ 근무시간 중 노조 분회 활동 ① 교사의 근무조건 개선 (② 학교운영위원 ) (7.9%), (6.6%),

- 102 -
IV. 단위학교 노동관계의 성과평가 및 학교장 인식조사

회의 교사위원활동 ④ 학교예산 편성 및 결산 순으로 응답하였다 (2.6%), (2.6%) .

「부당노동행위 여부를 둘러싼 갈등 상황에서 학교장 대응방식」에 대해서 응답자들은


타협을 많이 선택했으며 그 유형에서 타협과 협력을 선택한 영역은 교사의 근무조건 개 ,

선 학교운영위원회의 교사위원활동 인사 담임 학년 보직 배정 등 학교예산 편성 및 결


, , ( , , ),

산 단체협약 이행 과정 교시 자율학습 수업지도안 등 에서 반응을 보였다 반면 근무시


, (0 , , ) .

간 중 노조 분회 활동은 타협과 대립 학교 밖 집단행위 참여는 대립과 타협 사회적 쟁점


( ) , ,

성과급 지급 일제고사 교원평가 등 에 대한 교내의견 개진은 타협과 대립으로 타협 뿐


( , , ) ‘ ’

아니라 대립 의 양상을 보이기도 한다고 반응하였다


‘ ’ .

「교장과 교사의 지위」관련 문항에서 응답자들은 ① 학교장은 학교경영자로서 교원노사


관계에서 사용자인 교육행정당국을 최일선에서 대표 대리 하는 위치에 있는가 ② 학교장 ( ) ?

의 지위와 권한은 행정적으로 수임된 것이 아니라 초중등교육법에 의하여 직접 부여된 것


인가 ③ 단위학교교육과정의 최종 확정 권한은 학교장에게 있는가 ④ 교사의 지위와 권
? ?

한은 행정적으로 수임된 것이 아니라 초중등교육법에 의하여 직접 부여된 것인가 에 대 ?

한 비교적 그렇다 이상이 ~ 의 높은 반응을 보였다 반면에 ⑤ 단체협약은 단위학교


‘ ’ 7 80% .

의 교장과 교사가 지켜야할 구속력 있는 규범인가 ⑥ 학교장의 지위와 권한은 교육행정 ?

당국 교원노조간의 단체협약에 의하여 달라질 수 있는가 영역에서는 비교적 그렇다 이


- ? ‘ ’

상이 ~ 의 반응을 보였다 3 40% .

「학교장의 성공적 직무수행에 필요한 지식과 역량」에 대해서 지식 영역은 ① 학교법 < >

제 관련 지식 교육과정법제 인사법제 단위학교법제 ② 교원노동법제 관련지식 단체협


: , , :

약 부당노동행위 ③ 교장에게 필요한 학교조직 시설 교육과정 이론이며 역량 영역은 ①


, , < >

공동 의사결정의 기법과 절차 ② 공중상대 스피치


( ) 역량 ③ 회의법 (public communication)

과 회의 사회자로서 의장직 수행능력 ④ 주장과 증거 문서화 등 규범적 사실적 변론 능력 ,

⑤ 적극적 청취 효과적 인터뷰 기법 등 의사소통과 정보수집기술 ⑥ 일반


(active listening)

적인 교섭력 설득력 협상력인데 이에 응답자들은 대체로 이상 필요하다고 반응으로 , 70%

보여 학교장의 성공적인 직무수행에 필요한 지식과 역량에 대한 연찬과 연수 계획수립 시


지속적인 반영을 할 필요가 있다 .

3. 학교장의 역할과 인식

가. 교원노조가 단위학교에 미친 영향

1) 교원의 근무조건과 지위 향상
대부분의 교장선생님들은 교원노조가 교원의 근무조건에 기여했다고 인식했다 :

- 103 -
학교단위의 '新 교원 노사문화' 정착방안 연구

논리중교장: 여건도 많이 개선이 되고 또 교원의 지위향상도 많이 됐다고 생각을 합니다.

인화중교장: 없을 때보다는 영향을 많이 줬죠. 그런데 이런 쪽을 전문적으로 치중하지 않으니


까. 지금 신문에 나온 게 다 아시겠지만 만 칠 천명이 서명한 거 그런 쪽으로 자꾸 치중하니까
다른 게 별로 안 드러나죠.

옥성초교장 : 옛날에는 학교일을 하면 그냥 하면 되는 줄 알았는데 보상 같은 것은 생각도 못


하고 뭐 그런 것들이 지금은 많이 체계적으로 수당도 주고 밤늦게 일하면 수당도 밥도 좀 사
주고 학교에서 예를 들면 뭐 그런 거고~ 또 근무시간에 대한 개념이 많이 뚜렷해졌잖아요. 그
런 것은 바람직 한 것 같아요. 일한 만큼 보상을 받고 일 안한 사람은 뭐 안 받는 것은 당연한
것이고, 그런데 옛날에는 같이 묻혀서 그냥 갔으니까 소위 뭐 나이 드신 분들은 대접을 받아야
되고 젊은 사람이 다 해야 되고 각박하다고 생각할지 몰라도 그건 바람직한 거 같지 않아. 공
평한 거. 공평하게 대해주는 것들이 제대로 된 것 같아요.

교원노조가 근무여건 향상에는 기여했으나 교사를 전문직종사자 또는 성직이 아니라


,

노동자로 만들었기 때문에 사회적 지위향상에 동의할 수 없다고 하였다 :

직진고교장: 근무여건에 어느 정도 기여했다. 교원복지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 하지만 지위향


상은 이루어지지 않았다. 선생님을 성직이 아니라 일반노동자로 만들었다.

옥성초등학교교장에 의하면 교원노조가 사회발전에 분명히 기여했으나 교원의 지위


, ,

향상은 이루어지지 않았다고 했다 교사에 대한 사회적 시각이 호의적이지 않기 때문이


.

다 아이들이 행복하고 교사가 행복한 학교가 되어야 하는데 아직 그 단계는 아니라고


.

했다 :

옥성초교장: 그런데 교원노조원이 되면서 지위가 올라갔다고 생각을 안 해... 전교조 교원노조
에서 우리사회에서 일반적으로 학부형 시각이 과연 호의적인 학부형이 몇 명이나 될까. 그런
생각을 해요...아이들의 교육을 안 하고 교사들의 편의를 찾는다든지 그런 것은 교사의 이익을
위한 거라고 생각하는 것이지 그건 아니야. 결국은 교사들이 있을 필요가 없다는 그런 무용론
이 나올지도 몰라요. ...(중략) ...신문에 그래서 교원 근무 여건에 대해서는 사회가 발전되고
학교가 함께 발전되는 부분도 있지만은 분명히 교원노조가 긍정적인면도 있다. 분명히 기여한
부분이 있어요. 그러지만 우리 교원의 지위가 올라갔다고는 난 생각을 안 해요. 왜냐하면 직
위라는 것은 우리가 지위가 있다 없다 그러는 게 아니라 사회적인 판단이거든요. 근데 너무 부
정적인 면이 많이 있었기 때문에 결국은 교사가 노동자가 됐다는 거 그거 자체가 우선 그런
부정이 바뀌어 있잖아요? 그런 사회적인 변화도 있지만은 러는 게이 열심히 안 하면 존경 안
해요. 아이들도 그렇고 학부모들도 그렇고 그런데 모든 게 이게 고리처럼 돼있거든. 근무 든요
을 좋게 하려면은 뭔가 아이들도 영향을 줄 수밖에 없는 면도 있어요. 근무시간을 우리들 열심
히 해보자 자기들 근무시간에 뭐하러 가냐 그렇게 논란이 될 수도 있거든. 보면 그러니까 쪼금
그게 인제 쉽게 얘기하면은 아이들이 행복하려면 선생님들이 고생을 해야 돼. 선생님들이 행복
하면 아이들이 행복하지 못해요. 다같이 행복한 그런 학교가 되어야 되는데 지금은 그 단계까

- 104 -
IV. 단위학교 노동관계의 성과평가 및 학교장 인식조사

지는 되지 못해 선생님들은 대접을 덜 받고 있다고 생각을 많이 하거든

2) 단위학교의 민주화

교장선생님들은 교원노조가 단위학교의 민주화에 기여했다는 점에 동의했다 하지만 .

단위학교 민주화는 교원노조만의 힘으로 이루어진 것이 아니라 년대 후반이후 사회의 , 80

전반적인 민주화 경향에 영향을 받았으며 교원노조는 이러한 사회적 경향을 학교에서
,

좀 더 빨리 이루어지도록 하였다고 보았다 :

성공초교장: 전교조의 영향으로 투명성이 강조되었다. 하지만 시대변화도 있다. 80년대 후


반 이후 우리사회가 전체적으로 민주화되면서 교장의 권위의식이 약화되었다.

논리중교장: 사실 그 70년대나 80년대 군사 정부 시대를 거쳐 오면서 사실은 교장을 비롯한


관리자의 독단이나 이런 것도 없지 않아 있었거든요. 있었는데 상대적으로 교원노조가 있음으
로 해서 그런 권위나 독단이 지금은 거의 사라지고 지금은 민주적인 이런 방향으로 관리자가
많이 사고를 사고전환이 됐다고 생각합니다.

인화중교장: 교육 행정 자체가 투명해지고 민주적이 되고 공개적이고 의견 수렴을 해야 되


니까 그렇게 되는데 그것이 꼭 노조 때문에 되는 거는 아니라고 봐요. 지금 사회적인 전반적인
추세지. 교장들의 마인드가 옛날과 다르기 때문에 그렇게 되는 거지. 그것이 교원노조가 있기
때문에 그렇게 됐다 그거는 조금 더 속도가 빨라졌을지는 모르지만 전적으로 그 쪽의 효과는
아니라고 보고요. 그런 면에서는 여러 가지 교장선생님 스스로가 이제 감안을 하죠. 여러 가지
를.

3) 교육과정의 정상화
교원노조가 교육과정의 정상화에 기여했지만 이는 초기에 더욱 그러했다고 인식했다 .

대표적으로 입시에 비중이 큰 과목 중심의 교육과정 운영이 아닌 정상적 교과수업이 이


루어지도록 하였다는 것이다 :

연구자: 교원 노조가 교육과정의 정상화에 기여했다고 보시는지요?


논리중교장: 기여를 많이 했죠. 교원노조가 정상화를 부르짖었기 때문에 지금 거의 정상화됐
죠. 교육 과정이. 비정상적으로 하는 예는 거의 없습니다. 물론 고등학교 같은 데는 어쩔 수
없이 입시가 있기 때문에 조금 그건 고등학교에 있는 노조 선생님들도 다 수긍을 하는 거니까
요 그런 경우는 다 공감대가 이루어지는 거고 정상적이 아니라도 노조 선생님들도 다 그 학생
들 그러니까 학생을 진짜로 위한다는 명분에서는 선생님들 그 선생님들도 공감 안 할 수가 없
죠.
연구자: 대표적으로 정상화된 측면이 어떤 부분인가요?

- 105 -
학교단위의 '新 교원 노사문화' 정착방안 연구

논리중교장: 0교시가 없어졌다든지 또 지금은 모든 과목이 다 정해진 대로 다 수행을 하고


있잖아요. 옛날에는 70년대 이런 때는 입시 때가 가까워오면 영어 수학 아닌 과목은 예체능
과목을 소홀히 하고 그 시간에 영어 수학 해주는 경우도 아주 옛날에는 있었는데 지금 그런
건 없잖아요.

미래고교장: 그 전의 교장 선생님들이 학교 운영을 하는 데 있어서 교육과정 운영이라든지 또

는 학교의 여러 가지 회계문제라든지 하는 점에서 조금은 월권적인 일이 있었던 걸로 보여져요.


옛날에 제가 교장들에게서 느꼈습니다만 그런 일들이 상당히 말하자면 교원단체가 있으면서 아
무래도 조심하는 면이 있지요. 교육과정 운영을 갖고 파행적으로 한다든지 교육과정을 입시 위주
로 흘러가다 보니까 HR이라든지 CA라든지 이런 걸 운영을 안 하고 입시 위주로 편성을 했다가
옛날에 배제고등학교 같은 데서도 선생님이 전교조에서 고발을 했어요. 그래가지고 학교에서 그
점을 고쳤었죠.

교사들이 시간표 준수라는 점에선 정상화가 이루어졌으나 교사들이 수업지도안 다양


, ,

한 행사 수업공개 연구시범학교 등을 거부하기 때문에 교육과정 정상화를 저해하는 측


, ,

면이 있다는 인식도 있었다 :

태양초교장: 교육과정 운용에 있어서 그 좀 이렇게 뭐라고 그래야 하나. 아까 얘기 했지만


장학활동 그 교육과정 정상화라는게 사실은 뭐 시간표를 뭐 준수하고 그런 것도 있지만 내실
있는 수업 내실 있는 교수 학습활동이 이루어져야 되잖아요? 그런데 뭐 지도안도 안 쓰겠다.
수업공개도 안하겠다. 교실에 들어와서 순시하는 것도 싫다. 이런 분위기가 만들어지면서 오히
려 교장 교감 장학력이 학교에 따라서 약화되고 또 선생님들의 전문성 재고가 할 수 있는 기
회가 약화되고 그 다음에 선생님들이 수업을 공개하고 내 수업을 평가받고 이러한 적극적인
노력이 약화되고 또 뭐 우리는 시범학교 운용도 안하겠다.. 의욕적으로 하고 싶어 하는 사람들
도 있는데 그런 것을 무사안일 안하는 안하자는 주의로 무조건 반대적인 입장으로 ~ 무조건
편하자는 주의로 가는 그런 것에 의해서 정상 과정이 오히려 정상화되지 못하지 않냐? 또 우
리가 교육과정을 짤 때 좀 다이나믹하게 나갔으면 뭐 애들의 감성을 키우기 위해서 우리학교
이러이러한 행사하자. 뭐 학부모와 함께하는 민속놀이 운동 뭐 이런 거 토요일 오후에 하자!
학부모와 함께하는 산행대회 이런 것 일요일을 이용해서 하자. 그럼 우리 협의할 때 우리 선생
님들은 좋다 뭐 이렇게 해서 찬성했어요. 근데 그런 구조가 너무 학교에 따라서는 그런 특별한
행사를 하고 싶어도 못 할 것 아니예요. 토요일 오후에 왜 하냐?.. 그런 것 무조건 반대만 하
는 분위로 하면 우리는 그런 것 할 의무가 없다 근무시간외 왜 하냐? 하면 교육 과정 정상화
가 되겠냐? 하는 생각이 들어요.

옥성초등학교장은 옛날 교장의 일방적 권위에 대한 의식변화가 이루어지고 교사들이


함께 만들어가는 교육과정을 실행하고 있다는 점에서 교원노조가 일조했다고 말했다 :

옥성초교장: 우선은 학교에 교육과정을 구성을 할 때도 선생님들 의견이 것이기 중요하거든

- 106 -
IV. 단위학교 노동관계의 성과평가 및 학교장 인식조사

요. 그런데 다 뭐 우리가 설문지를 통해서 조사도하고 그러지만은 선생님들께서 교육과정에 대


해서 어떻게 생각을 하고 있느냐가 중요하다고 생각을 하는데 학교 교육과정이 크게 6차 교육
과정 때부터 한 것 같아. 만드는 교육과정이니 뭐... 옛날에 교육과정 그러면 교무부장이나 연
구부장이 딱 짜갖고 오면 끝 아닙니까? 교장의견 이건 안돼, 그러면 그건 끝이야 이게~ 그러
니까 선생님들 학교의 교육과정이 아니라 몇 사람의 교육과정이였어. 지금은 보면 근데 지금
학교에 교육과정뿐만 아니라 공개 안 하는 게 어디 있습니까? 다 공개합니다. 공개를 했기 때
문에 더 잘못된 부분은 잘 한건 잘 안 나타나더라고 금방 드러나요. 그럼 고쳐진단 말이지.
그 경우 그 목적도 있고, 보면, 그러니까 교육과정을 얼렁뚱땅 운용한다? 지금은 안되요. 지금
은 날이 덥다 오늘처럼 그럼 일찍가~ 그것도 안돼. 일찍 보내줘도 문제가 되는 거야 학부모한
테 미리 알려줘야 하고 절차도 필요하거요 보면 그러니까 교육과정이 엉터리로 운용된다는 그
런 학교는 없을 거라고 생각을 해요. 교장이 이렇게 보면 그래 일찍 좀 보내도 주지 그럼 보내
이런 거는 없다는 거지. 미리 세밀하게 다 짜잖아 1년치를 그리고 변화가 있을 땐 또 알려드
리고 우리학교 같은 경우도 학사력 같은 것도 봤나 봐요. 하루를 쉽게 못 바꾼다니까
연구자: 그러면 교육과정이 정상화되고 잘 진행이 되고 그 필요에 따라서 의견 수렴이 많이
되고 있다는 그런 과정 속에 교원노조가 어떤 역할이 커졌다고 보시는지요?
옥성초교장: 일조 한 것도 있죠. 아까 말씀드린 것 뭐 그런 것예요. 교사들에 대한 인식이
달라졌으니까 그 기관장들이 이게 제일 달라졌는데 아까 얘기 했는데 교사들 교원들을 찾아보
는 시각이 달려졌기 때문에 교육과정을 교장 마음대로 못한다니까. 그런 면에서는 교직단체가
전교조라는 단체가 자꾸만 이슈화되는 문제들을 많이 교육 과정D교장영을 하면서 제시를 했기
때문에 더 선생님들도 참여하려고 하는 생각들도 많아지고 반대로 교장들도 더 들어 보려고
하는 생각을 갖게 됐다는 것, 그런 면에서는 많이 기여했다고 생각해 볼 수 있다.

4) 교장 지도성 약화와 변화
교장선생님들은 교원노조가 교장의 독단이나 권위가 아닌 민주적인 리더십을 확산시
키는데 기여했으나 동시에 교장의 지도력 약화를 초래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 :

논리중교장: 사실 그 70년대나 80년대 군사 정부 시대를 거쳐 오면서 사실은 교장을 비롯


한 관리자의 독단이나 이런 것도 없지 않아 있었거든요. 있었는데 상대적으로 교원노조가 있음
으로 해서 그런 권위나 독단이 지금은 거의 사라지고 지금은 민주적인 이런 방향으로 관리자
가 많이 사고를 사고전환이 됐다고 생각합니다. 그런데 역으로 말씀드리자면 지금 오히려 역으
로 노조의 힘이 세 가지고 관리자의 운신폭이 줄어드는 이런 면이 있는데 저는 기본적으로 관
리자와 노조와의 적절한 뭐랄까요 역할분담이랄까 균형 있는 민주 시민 교육이 이루어지는 것
이 바람직하다고 생각합니다.

미래고교장: 어떤 학교의 운영을 할 때 상당히 교원단체가 의사표현을 할 때 많은 집단의 의


사, 교원단체 선생님들이 많지 않습니까? 집단적으로 모아서 의사표명을 하면서 의사표명이 지
나치게 교장이라든지 학교 운영을 하는 분들에게 억압적으로 비친 부분이 있었어요. 예를 들어
서 제가 그 전에 감사관으로 근처에 근무할 때 모 학교를 갔다가 중학교를 갔다가 남부에 있
는 모 중학교 감찰을 갔는데 교장 선생님이 그런 말씀을 하시더라고요. 그 때 인사자문위원회

- 107 -
학교단위의 '新 교원 노사문화' 정착방안 연구

를 만들면서 교원 노조 중심으로 해서.. 구성을 하고 부장 구성이라든지 담임 구성이라든지 하


는 면에 있어서 우리의 요구조건을 들어주지 않으면 학교 운영에 거부하겠다 이런 식으로 하
는데 교장 선생님 말씀이 여섯 명씩 네 시간 들어오더란 거예요. 그러니까 교장 선생님이 인사
자문위원회가 그렇게 되면 내가 그 학교운영을 하는데 어떻게 내가 부장을 갖다 하나하나 너
희들의 허락을 받고 하느냐 예를 들어서 너희들이 추천을 하면 그 중에서 쓸 수는 있지만 너
무 자기들끼리 제한해 놓으면 학교장의 인사권이라는 것이 제한된다. 그 얘기를 했더니 여섯
명이 선생님이 와서 얘기를 하다가 1교시 끝나고 나가더니 2교시 되니까 또 여섯 명이..모아서
또 들어오고 3교시에 또 들어오고 그래서 3일 정도를 얘기를 듣고 보니까 지쳐서 교장 선생님
이 어떻게 대꾸를 할 수가 없더래요. 너무 힘드니까 그래서 그 때 그 교장 선생님께서 실질적
으로 남부 쪽에 있는 교장들에게 손가락질하지 마라 실질적으로 여기 나와서 한 번 근무해봐
라. 이렇게 많은 선생님들이 한 두 분이 들어와서 얘기하는 것도 아니고 여섯 명씩 짝을 지어
서 들어오는데 그러니까 나중에는 목에서 침이 말라서 얘기가 안 나온대요. 예를 들어서 집단
적으로 그거에 대해 너무 억압적으로 하니까 학교에서 교장 선생님이 내 어떤 인사원칙이라든
지 내 학교 관리운영원칙이라든지 하는 걸 갖고 정해놓고 난 다음에 학교장이 자율적으로 학
교 운영을 하는 데 있어 상당히 어려움이 많다. 이 점이 좀 부정적이라고 보여져요.

교원노조단체가 권위주의라는 잘못된 것을 바로 잡으려다 너무 그것이 도가 지나쳐서


다시 말해 노조가 지나치게 학교운영에 개입하고 있다고 하였다 :

성실고교장: 솔직히 옛날에 저도 (전화통화) 옛날에 교장 제가 봐도 어휴 저러시면 안 되는


데 옛날에 그런 게 좀 있었는데..요즘에 교장들은 반면에 너무 힘이 없어. 너무 약해. 솔직히
제가 교왕과정이라는 말을 쓴 적이 있는데 그 교 자가 교도소 할 때 교 자. 우리 선생님들한테
도 얘기한 적이 있는데 그런 뜻이랍니다. 교 자가 바로잡을 교 자, 교도소니까. 교각살우할 때
쓰는. 왕은 꾸부러진 거, 곡이나 마찬가지지. 구부러진 것을 바로잡으려다가 정의 상태를 과,
지나쳤다 오바했다는 뜻이지. 만약에 발로 걷어차서 쑥 들어가서 이걸 바로잡으려면 원래 처음
만들 때 상태 거기로 나오도록 톡톡 쳐서 딱 되게끔 그걸 중 가운데 중 자 쓰고 바를 정 자
써서 중정이라고 해요. 거기 상태까지만 와야 되는데 이걸 너무 세게 차서 반대로 이번에는 안
으로 튀어나왔어 그게 교왕과정이란 뜻이예요. 그러니까 과거에 교장의 권한 권위주의 이걸 또
너무 힘이 있었다. 이걸 바로잡으려다가 이제는 너무 약한 거야....그러니까 중정의 상태로 다
시 와야 되는데 지금 교장이 바로 그 꼴이다. 또 반대로 선생님들 입장이라면 그 전에 선생님
들이 너무 힘이 사실 없었지. 지시 받아서 그대로 하고 그런데 지금은 너무 선생님들 권한이
세져서 거기 편승해서 근무도 태만하게 하는 사람도 있고 또 교장 교감한테 대들 것도 아닌데
대드는 사람도 있고 그래서 교육력이 약화되는 그런 게 있는 거 같아요.

하지만 최근에는 교원노조 교사들도 성숙하게 변화하고 있다고 말한다 예의를 지키지 .

않고 거만하다거나 감정적으로 발언하는 사람들이 교원노조원들이 왕따를 당한다고 “ ”

했다 교장선생님들이 모이면 이젠 선생님들이 성숙해졌다고 많이 좋아졌다고 말한


. “ ” “ ”

다 그래도 교장선생님들은 교원노조가 없을 때 보다 긴장의 끈 을 못 놓는다고 했다


. “ ” :

인화중교장: 과거 교원노조에 시달리다 교장들의 건강이 악화되기도 한다. 그래서 수술도 받

- 108 -
IV. 단위학교 노동관계의 성과평가 및 학교장 인식조사

고. 빨리 정년퇴직하고 싶다고 하기도 하였다. 최근에는 교원노조들이 바뀌고 있다. 강성노조


원들이 다른 전교조 회원들로부터 왕따를 당한다.
연구자: 강성노조원이란 어떤 사람들인가요?
인화중교장: 예의 안 지키고 사람 감정 자극하고 못된 발언 하고 인내심 부족하고. 감정적인
내용으로 말하는 분들이죠. 패악이 많아서.. 잘한 것도 말해야 하는데 잘 못하는 것만 말하니
까. 교장들이 다 선후배관계인데 그것을 무시한다. 왜 교장 교감을 적대시하는지.. 왜 선배로
안 보는지 모르겠다. 과거에 그들도 교원들이었다.

미래고교장: 그 분들도 이제 성숙해졌죠. 아 이렇게 우리가 하는 것도 어떻게 보면 옳지 않


을 수 있다 그런 게 많이 늘어나서 최근엔 많이 합리적이고 그런 식으로 많이 변해가고 있는
거 같애요.
연구자: 합리적으로 변화했다는 그 근거나 예를 들자면
미래고교장: 예를 들자면 합리적으로 변했다고 하면 예전 같으면 직원조회라든지 이런 어떤
안건을 냈을 때 여기저기서 많이 들고 일어나고 이게 뭐냐 하면서 막 대들고 싸우고 심지어는
재떨이도 왔다갔다 하고 그랬어요. 부수고 싸움도 하고 전에는 그랬거든요 그 모습을 제가 보
지는 못했어요. 다른 학교에 얘기를 들으면 그런 경우가 있었다 하고 실질적으로 좀 많이 거만
해진 것도 있었고요. 근데 요즘에는 어떤 직원조회하고 그럴 때 그런 모습은 안 보여요. 예를
들어서 학교에서 이런 것이 애들을 위해서 좋은 것인가 아 그것도 옳다 해서 대부분이 말하자
면 선생님들도 인정하고 있는 거 같죠. 하자면 선아주 심하게 이렇게 되거나 그런 건 없습니
다. 그래서 서 서 는 남쪽에 있는 교장들이 어떤 분 같은 경우는 아침에 학교 갈 때 머리가 아
프다 그랬어요. 내가 나가서 그 선생님하고 하루 종일 또 만나서 얼굴 붉히고 싸울 생각을 하
면 어떤 분은 내발로는 못 나가겠고 정년이 더 단축돼서 나 좀 내보내주면 좋겠다. 그런 얘기
하는 분도 있었어요. 근데 이제 요즘에는 교장들이 모이면 이제는 많이 선생님들이 성숙해졌다
고 해요 많이 좋아졌다고 생각해요. 그러면서도 아무래도 교장 입장에서 노조가 없었던 옛날에
비해서 긴장의 끈을 못 놓죠.

한편 교원노조가 능력 있는 교장에게는 법 근거를 찾아서 답변을 정확하게 하거나 협


,

상력을 강화하는 등의 자극을 주어 더 능력을 함양하도록 한 반면 소심한 교장들을 위 ,

축시키는 역할을 했다고 하였다 :

태양초교장: 학교장에 지도성에 뭐 크게 영향을 줬다고는 안 봐요. 지도성에 영향을 줬다고


는 안 보는데 이런 것은 있을 것 같아. 좀 능력이 뛰어난 교장들은 더 능력이 뛰어날 수 있게
끔 뭐 그런 의견을 듣고 거기에 법 근거라든지 이런 것을 철저히 찾아가지고 답변을 정확하게
한다든지 적극 대항한다든지 또 협상력을 강화한다든지 그러한 자극을 줬다고 그럴까? 그런
부분은 있을 것 같은데, 다른 업무적인 측면에서는 뭐 지도성에 줬다고는 안보이고, 또 소심한
교장들에게는 오히려 더 위축되게 만드는 오히려 지도성을 발휘할 수 없게 그러니까 방임한다
고 그럴까? 그냥 지도성을 위축시키는 그런 결과를 주지 않았나? 그런 생각이 들구요. 그래서
뭐. 역량이 뛰어난 교장들은 그 교원노조를 다 포섭해서 오히려 학교를 발전시키는 그런 경우
도 있긴 있었는데 그러지 않은 시간에 낭비랄않은 그런 부분이 있어서 교장에 학교 운용에 있어
서 지도성에 영향을 미쳤다고 그렇게 생각을 하지 않고 교장 개인의 어떤 자극은 주지 않았

- 109 -
학교단위의 '新 교원 노사문화' 정착방안 연구

나? 그렇게 생각은 들어요.

옥성초 교장은 전교조로 인해서 교장의 리더쉽이 약화되지 않았으며 오히려 강화되었
다고 했다 그는 구성원들의 의견을 들어가면서 충분히 학교를 운영할 수 있다고 했다
. :

옥성초교장: 전 그렇지 않아요. 더 강화됐다고 생각해요. 리더십이 강화됐다고 생각해요. 옛


날의 권위라는 것은 그야말로 권위주의라면은 지금은 안 그렇잖아요. 그런 권위는 인정도 안
해. 학교 구성원들이 있다면 모든 사람들의 의사를 들어서 해야지. 적어도 아이들 학부모 선생
님들 지역사회까지 나가서 보면 의견을 들어서 해야죠. 그리고 정책이라는 것은 학교에서 하는
게 아니예요. 국가에서 하는 것이지. 예를 들어서 애들 학력평가 그것 학교에서 하는 거 아니
잖아요. 그런 겁니다. 충분히 할 수 있어요. 학교를 운용을 하고 어떤 것을 할 때 구성원들의
의견을 다 들어놓고 다 보면서 잘 운용할 수 있다니까.

인화중학교 교장은 교원노조 합법화 이후 교장들의 지도력이 약화된 것이 아니라 변 ,

화된 것이라고 하였다 그는 예전의 권위적이고 독단적인 리더십 형태가 이제는 구성원


.

들을 배려하고 그들의 의견을 수렴하고 논리적으로 설득하거나 합당한 지시를 해야 하


는 방향으로 리더십 형태가 변화한 것이라고 하였다 :

연구자: 혹시 교원노조가 합법화된 이후에 교장선생님 지도성 중에 혹시 약화된 부분이 있다


고 생각되시는지요?
인화중교장: 그건 리더십이 여러 가지 리더십이 있겠지만 과거의 형태의 리더십은 약화가 됐
을 거고 조금 현대적으로 배려하고 동반해가는 그런 리더십이 강화가 됐다고 봐야죠. 어느 한
쪽이 약화됐다 예전 같으면 교장이 독단으로 확 해가지고 결정해버리잖아요 그런 거는 약화가
됐죠. 그러나 다른 게 강화가 됐죠.
연구자: 형태가 바뀌었다는 말씀이시죠?
인화중교장: 그렇죠. 리더십의 형태가 바뀌었죠. 구성원들하고 사회 전반적인 국민의 의식
선생님들의 의식이 다 바뀌었는데 옛날 리더십가지고 있으면 안 되니까 약화됐다는 건 조금
어떻게 보면
연구자: 적절한
인화중교장: 리더십 형태가 변화됐다 이렇게 표현하고 싶습니다.
연구자: 그게 더 적합하다고 보시는 거죠?
인화중교장: 그렇죠.
연구자: 리더십의 형태에 변화가 일어난 거지. 리더십의 영향력의 크기나 이런 부분이 약화
됐다 이거는 아니라고 보시는 거죠?
인화중교장: 네. 예전 같으면 교장 교감 단독으로 정하고 늘 해오던 거지만 요즘은 안 그렇
거든요. 다 물어봐요. 어디로 가는 게 좋으냐, 뭘 어떻게 하는 게 좋으냐, 의견 다 수렴해가지
고 정리해주고 그러니까 그 자체가 리더십 형태가 바뀐 거죠.

- 110 -
IV. 단위학교 노동관계의 성과평가 및 학교장 인식조사

나. 단체협약과 부당노동행위

1) 단체협약
교장들은 교원단체와 교육부 장관 또는 시도교육감이 계약한 단체협약의 이행에 대해
서 부담감을 갖는다고 하였다 :

연구자: 단체협약 사항을 단위학교에서 이행해야 한다고 보십니까?


신인고교장: 아무래도 시도교육감이 계약한 협약서 내용에 대해서 학교들은 자유롭지 않다.
성공초교장: 그렇죠. 단위학교로서는 자유롭지 않죠.

하지만 단위학교에서 단체협약의 이행과정은 획일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았다 교장의 .

해석과 교원노조교사들의 해석 간의 갈등 상대방에 대한 설득 그리고 타협 속에서 다양


,

한 방식으로 이행되었다 예를 들어 인화중학교에서는 방학 때 당직과 관련해서 처음에


.

는 교원노조의 요구로 없앴다가 증명서 발급 등의 불편함을 교사와 학생 학부모 관리 , ,

자들이 느끼면서 모든 교사들이 방학 중에 하루씩 당직을 서게 되었다 :

연구자: 단체협약 등의 문제로 갈등을 빚은 적이 있으십니까?


인화중교장: 처음 6개월에는 당직을 없앴다. 성적증명서를 떼려면 담임이 직접 와라 했다.
담임 ID가 있어야 하니까. 여름방학 때 성적 증명서를 떼야 하는데 교사는 동해안에 있고 그러
니 동료에게 ID를 알려주고 떼도록 하는 등의 불편함을 겪었다. 언제 학생들이 증명서를 떼러
올지 모르고. 여기 지역은 그런 증명서를 떼는 일이 빈번하고 그러다 보니 교사들이 불편함을
느끼게 되었던 것이다. 그래서 기획평가회협의회에서 하루만 정해서 하자고 했다. 그 이후 교
사들을 일렬로 다 세워서 누구나 다 당직을 서게 했다. 누구나 다 한다고 했다. 6개월 후 당직
제가 살아난 것이다. 내가 설명하기보다 스스로 터득해야 한다. 그 때까지 기다린다. 민주주
의로 하려면 시간이 오래 걸린다.

미래고등학교 교장선생님은 이전 학교의 예를 들었다 그가 교감으로 있을 때 선생님


.

들이 단체협약에 의해서 방학때 주번 근무를 못하겠다고 했다 그런데 전학증명서 등의 .

문제가 있고 그것을 부장들이 다 처리하기는 어려워서 결국 교사들이 오전근무만 하고


오후에는 행정실에서 처리하는 것으로 타협했다고 한다 :

연구자: 혹시 단체협약이행 과정과 관련해서 뭐 직간접적으로 경험한 적이


미래고교장: 있죠. 단체협약에 제가 한강고등학교에 교감을 할 때 단체협약이 당장 와서 얘
기 하더라고요. 저기 교감 선생님 일단 올 여름방학 때부터는 선생님들이 주번 근무라고 할까
요. 돌아가면서 하루씩 근무하면서 학교를 지켜주시는데 바로 올 여름부터는 그것을 못하겠습
니다. 학교를 갖다가 하루씩 근무하는 그걸 못하겠다고 했습니다. 그래서 그 때 그런 얘기를

- 111 -
학교단위의 '新 교원 노사문화' 정착방안 연구

했어요. 그렇다면 학교를 갖다 운영하는 데 예를 들어서 여름방학 중이라도 공부하고 또 전학


가겠다고 하는 학생도 있고 그런 걸 저희가 다 처리를 해야 되는데 선생님 한 분이 나오셔서
해주셔야 되는데 물론 부장급도 있어요. 부장 선생님 주임이라고 해서 부장들이 있지만 부장들
이 그걸 다 하기가 어렵다 같이 해야 된다. 그래서 그 때 첫해는 어떻게 했냐면 저희가 오전에
만 나와서 해주시는 걸로 하자 그리고 오후에는 행정실 직원이 해주는 걸로 하자 그랬어요.

교장은 이러한 타협이 한강고 학부모들의 학교참여가 높기 때문에 가능했다고 한다 .

그렇지 않은 곳에서는 대부분 당직이 없어졌으며 주번조회와 근무도 사라졌다고 한다 .

또 다른 예가 학습지도안이다 단체협약에 의하면 교장의 결재를 받지 않아도 된다고 되


.

어 있어서 많은 교사들이 안 쓰고 있다고 한다 하지만 미래고 교장은 정형화된 형태가


.

아닌 교사나름의 수업계획의 필요성을 말하였으며 이러한 교장의 논리는 노조원 교사를


,

포함해서 대부분의 교사들이 받아들여서 현재 각자 나름대로의 지도안을 만들고 있다고


했다 :

미래고교장: 근데 그렇게 타협을 본 학교도 있고 남부 쪽에 한강고등학교만 하더라도 남부


쪽에 있습니다만 한강 고등학교 학부모들이 말하자면 요새 그 학교에 대한 참여를 많이 하시
니까 그 정도로 타협이 됐습니다만 남부 쪽에 있는 많은 학교에서는 대부분 다 없어졌어요. 주
번 근무가. 그 다음에 우선 그 전에는 아실지 모르지만 매일 아침에 주번제도 있었는데요. 돌
아가면서 선생님들이 주번을 하고 각 반에 주번이 있어서 같이 아침에 주번조회하고 이제부터
올라가서 하라고 했는데 그 주번제도도 없어졌어요. 왜 이걸 우리가 해야 되느냐 그래서 없앴
고 그래서 주번제도도 한강고등학교에서 없앴어요. 그 다음에 세번째 학습지도안도 이것이 원
래는 단체협약에 어떻게 되어 있냐면 모든 교사는 학습지도안을 쓰게 돼 있어요. 학습지도안을
써서 왜냐면 자기 내일의 수업을 위해서 오늘 준비해야 하는데 단지 학교장 결재를 통하지 않
아도 된다 이거였어요. 근데 그 이후에 노조 쪽에서 선생님들은 그러면 학습지도안을 쓰지 않
아도 된다. 왜냐면 많이들 안 쓰시려고 했어요. 그러다가 보니까 학습지도안이 현재는 결재를
안 합니다. 그러나 단지 이렇게는 말씀을 드려요. 학습지도안을 옛날처럼 틀에 박힌 걸로 학습
지도안 이렇게 표지에다 하는 건 아니다. 그러나 내가 내일의 수업 오늘의 수업을 위해서 나름
대로 정형화되어 있진 않지만 나름대로의 학습지도안을 만들어서 가지고 수업을 해야 된다. 그
래서 많은 선생님들이 노조 선생님들도 그 점은 다 지키고 계세요. 지도안을 안 쓰시는 건 아
니고

단체협약 사안 가운데 하나는 인사자문회 구성을 권장하고 교장이 자문을 받으라고


되어 있는 것이다 이에 대해서 교원노조교사들이 인사자문회 자문을 따르도록 학교경영
.

자에게 압력을 주곤 하기 때문에 관리자들은 이와 관련된 갈등을 많이 겪는다고 했다


, :

연구자: 네 내부에서 인사자문위원회를 통해서 거의 모든 것이 결정되나요?


성실고교장: 많죠. 그런데 원래 인사자문위원회는 교장이 떳떳 이런 일에 대해선 자기 혼자 판
단하면 혹시 잘못될 수 있으니까 여러 사람 의견 들어보자 해서 만든 게 원래 인사자문위원회
인데 지금은 인사위원회도 있어야 겠어요.

- 112 -
IV. 단위학교 노동관계의 성과평가 및 학교장 인식조사

연구자: 자문위원회가 아니라


성실고교장: 네 거기에서 많은 걸 거의 다 결정해서 교장한테 가져오는 거야. 그러면 교장이
그 위원장은 물론 교감이죠. 그 내용을 크게 바꾸기가 어렵다 바꾸려면 이유가 있어야 되거든
요. 그것도 교장의 권한이 많이 약화된 거죠. 만약에 어느 부장을 하나 시키자 그러면 거기에
서 바로 선생님들의 누가 부장이 좋으냐 그러면 쫙 나와요. 그러면 교장 입장에선 이번에는 저
사람이 되면 업무가 잘 돌아갈 거 같고 그럴 것이다 이렇게 생각을 하고 있었는데 뜻대로 안
되는 거지. 오히려 교원단체에 가깝고 그런 사람이 되는 경우가 많지. 그러니까 요즘에 인사권
이 교원단체로 거의 넘어가 있다고 얘기하는 사람이 있을 정도예요.
연구자: 인사자문위원회임에도 불구하고 그 내용을 만약에 일부 거부하고 싶다고 하실 때에
는 이유를 제시하셔야 할
성실고교장: 그래야 될 거 아냐. 지금 그런 거 인사자문위원회에서 만약에 된 것을 확 바꾸
면 그걸 이제 가령 우리 학교는 좀 잠잠하다만 어느 학교 같은 경우는 교직원회의 때 그거 해
명하시오.
연구자: 그렇게 요구하신다는 거죠 공식적으로
성실고교장: 그럼요. 해명 요구를 하거든요. 그럼 그걸 또 데이터 갖고 설명해야 되는데 그
러면 선생님들의 의사를 무시하는 비민주적인 결정을 했다 이런 식으로 세우면 어렵지.

성실고에서는 학년 담임을 맡는 문제와 관련해서 교사들은 윤번제를 원하고 교장은


3

적격자가 더 맡아주기를 바라는 등 서로 다른 마음이 있었으나 여러 차례 대화를 통해 ,

서 문제를 풀어나갔다고 했다 :

성실고교장: 그거 외에는 아마, 교원의 인사관계가 좀 있을까? 교장이 보는 관점하고 일반


선생님들이 보는 관점 일반 선생님들은 거의 3학년 담임도 윤번제식으로 이렇게 돌아가면서
하는 걸 원하죠. 그러나 조직이라는 게 그것만 갖곤 안 되죠. 효율성도 있어야 되고 또 민주적
인 것도 좋죠. 다 같이 얘기 듣고 거기서 어떤 합리적 도출하고 중요한 거 같애서 그래서 전교
조 선생님들 대표라고 하나 그 분들하고 또 우리 교감 선생님이 위원장이세요. 인사자문위원회
그래서 자주 회의를 해서 아이들 입장 학부모 입장에서 봐가지고 저 분은 조금 더 만약 3학년
을 예로 든다면 지금 당장 어렵다 좀 더 갈고 닦아야 되겠다 그런 분은 인사자문위원회에서
거른다고 표현을 해야 되나. 그런 식으로 해서 학교 효율성도 생각하고 또 돌아가는 순번제 이
것도 이래가면서 풀었죠 많이. 그래서 선생님들 의견도 많이 참작이 되면서 효율성도 꾀하는.
이런 부분이 실제적으로 있죠.

최근에는 인사자문위원회의 규정이 교장의 어려움을 덜어주기도 한다고 했다 승진을 .

원치 않는 교사들의 경우 일거리가 많은 담임이나 부장을 꺼려하는 분위기가 있는데


, ,

공정한 내부 규정에 의해서 담임할 교사를 조정하거나 부장할 사람을 추천해 주기 때


“ ”

문에 인사의 어려움을 덜어준다고 했다 :

미래고교장: 이 인사자문위원회가 그 전에 없었죠. 단체협약 때문에 이게 생기고 난 다음에


인사자문위원회의 구성을 권장을 하고 교장선생님이 인사자문위원회에 자문을 받아서 해라 이

- 113 -
학교단위의 '新 교원 노사문화' 정착방안 연구

렇게 되어 있는데 이 분들은 거의 절대적으로 따라야 되는 게 아니냐고 말씀을 하시죠. 그래서


각 학교마다 인사자문위원회의 구성 이 운영하는 데 있어 마찰이 참 많았어요. 그랬는데 지금
은 그래도 상당히 안정이 됐어요. 인사자문위원회가 안정이 돼서 어떤 점에서는 저희가 도움도
받고 있어요. 이게 무슨 말이냐면 부장이라든지 담임을 갖다 배정할 때 선생님들이 안 하려고
해요. 담임을. 부장도 그렇고. 부장도 예를 들어서 내가 승진의 뜻을 갖고 있으면 기꺼이 부장
을 하려고 하는데 승진에 별로 뜻이 없는 분 같은 경우는 왜 그 힘든 걸 내가 하냐고 안 하시
려고 해요. 또 담임은 비담임에 비해서 너무 업무가 많잖아요. 담임 수당을 16만원 안 받아도
좋다 나 담임 안하겠다. 그래서 많은 분들이 담임을 회피해서 그러니까 2월ì업무되면 교장과
교감이 반에 담임을 배정하는 데 아주 힘들어해요. 그게 뭐냐면 저희많잖아요. 담임 도 선생님
숫자가 대략 교실 수의 약 2배 가까우니까 1.6배 그러니까 43학급이면 대략 85명 정도 돼요.
84-5명 정도 되는데 거기에서 43명의 담임을 하는 것도 쉽지는 않아요. 왜냐면 담임 희망자를
받기에서 412월ì에 근데 예를 들어서 희망서를 내주시는데 나는 1학년 담임으로 희망둜어서1
지망, 2지망 나는 1학년이 아닌 2학년을 희망한다 또는 어떤 분은 나는 3학년을 희망한다 2지
망 몇학년 이렇게 써주시는데 많은 분들이 제가 올해 몸이 좀 이러니까 담임을 빼주십시오 저
는 올해 아이를 낳을 계획이 있으니 빼주십시오 어머니가 아프니 빼주십시오 대부분 사정이
있습니다. 담임 배정 그렇게 하다가 보면 43학급 중에서 한 20여 명이 예를 들어서 신청을 했
다 그러면 나머지 20여명을 저희가 전화를 해드리고 사정을 해야 되잖아요. 그런데 인사자문
위원회가 있으니까 인사자문위원회에서 나름대로 희망서를 납부한 다음에 희망서에서 인사자
문위원회에서 추천을 해줘요. 이런 분들 했으면 좋겠네요. 그럼 저희는 선생님들에게 얘기를
할 때 우리가 인사자문위원회의 규약도 여기서 2년 연거푸 담임을 빠지는 건 안 된다. 한 해
안했으면 한 해는 해야 된다 그래요.

성실고등학교 역시 인사자문위원회에서 담임을 회 연속 안할 수 없도록 하는 내부규


2

정 때문에 관리자들이 담임을 배정하는 어려움이 덜 겪는다고 하였다 성실고 교장은 실.

질적으로 교원단체 리더 역할을 하는 평교사를 연구부장으로 발탁하였으며 그의 중심적 ,

역할 덕에 성실고는 교육부총리상을 받았다고 했다 그리고 현재 교무부장을 맡기고 있


.

다고 했다 :

성실고교장: 전교조 숫자가 50퍼센트예요... 전국에서 상위 랭킹입니다. 아실 거예요 정 부장


아시죠? 이번에 교무부장이 됐습니다. 잘 해요. 그 전에 연구부장 했었는데 그 양반이 제가 오
니까 평교사로 계시더라고요 그런데 이렇게 보니까 아주 행정능력도 뛰어나고 또 리더십도 강
하고 여러가지 잘하더라고요 그래서 연구부장으로 발탁을 했지 그랬더니 잘해요. 그래서 그 때
다른 분들도 많이 했지만 같이 이렇게 해가지고 저희 학교가 3년 전이죠? 학교 평가를 받았는
데 우리학교가 교육부총리 그 때 교육부총리 상을 받았어요. 그래서 상금도 한 이백만원 정도
주더라고 그래서 우리 선생님들 연수 명목으로 연수가서 워크샵을 하면서 식사도 하고.

논리중학교에서는 노조가입교사들이 더 확실하고 더 철저하게 수업도 하고 근로 도


“ ”

한다고 했다 :

- 114 -
IV. 단위학교 노동관계의 성과평가 및 학교장 인식조사

논리중교장: 여기는 노조에 가입한 선생님들이 더 확실하고 더 철저하게 수업도 하고 근로도


하십니다. 그렇기 때문에 이곳에서는 어느 선생님이 노조에 가입했는지 저도 지금 한 여덟분이
가입했는데 기억이 없어요. 왜냐면 구분이 안 돼요. 다른 학교에서는 대부분 구분이 되는데 여
기는 구분이 안 돼요. 구분을 지금도 저 선생님이 노조에 가입했나 안 했나를 제가 모르거든요
관심도 없지만 관심이 없을 정도로 잘 하시고 계시기 때문에 아마 지금 저희 학교 같은 학생
들이 최대의 혜택을 보는 학생들이 왜가 정말로 훌륭한 교사 밑에서 늘상 얘기하지만 그건
학생들이나 우리 학생들이나 우리 학부형들이나 공감하고 있는 겁니다. 그런 얘기를 학생들이
저한테 지나가면서도 누차 우리 학교 좋은 학교입니다 라는 걸 제대로 얘기하고 학부형들도
자기 학생들이 맥시멈으로 혜택을 받고 있다는 걸 알고 계세요. 우수한 교사들이 모 밑있다는
걸 아시고 계시고 우수하단 게 뭐 수업도 잘하시지만 열의가 대단해서 늘상 얘면 다른 학교
같으면 큰고 고 터질 것이 여기도 불성실한 학생들이 많거든요. 그이나 걔들을 우리 학교 선생
님 같으면 미연에 방지한다는 늘상 얘면 다른 학교 같으면 다른 학교 학생이 와서 그래도 그
학생이 자기 학교 학생인지 남의 학교 학생인지 모르는데 우리는 대번들이 압니다. 이거 우리
학교 학생 아니다, 너 왜 왔냐 하면 우리 학교 학생하고 다투러 왔다 이러면 이걸 예방을 하기
때문에 큰 생활 상의 문제가 날 것도 우리 학교에서는 그냥 사전에 소소하게 예방이 되는 이
런 형태로 그러니까 굉장히 바람직한 거죠.

성공초 교장은 교원노조교사가 어떻게 하는가는 교장의 리더쉽의 영향을 많이 받는다


고 하였다:

성공초교장: 교장에 따라서 별 볼일 없었던 교원노조교사들이 더 결집하여 학교운영에 반발


하기도 하지만, 교장에 따라서는 그들을 더 충성하게 만들기도 한다.

2) 부당노동행위

부당노동행위에 대한 관리자들의 인식은 다음과 같았다 우선적으로 교장들은 전교조


.

탈퇴 요구 등에 대해서 조심해야 한다고 했다 :

연구자: 부당노동행위 관련해서 문제가 되신 적이 있으십니까?


인화중교장: 전교조를 탈퇴해라 하지 말아야죠. 시국선언 몇 명이나 했냐고 물어보면 교사들
이 밝힐 수 없다고 합니다. 그러면 그렇지 하고 웃습니다. 서로 웃고 넘어 가는거죠. 화합이
중요합니다. 그러지 않으면 교육력이 떨어집니다. 인성교육은 끝이구요. 교사들이 화합될 때
까지 기다려야 합니다. 화합이 제일 중요합니다.

초심중교장: 법적으로 주어진 범위에서 해야 합니다. 전 학습권을 먼저 인정해라. 그리고 교


권을 절대 침해해서는 안 된다고 했어요. 한 학교에서 학부형들이 전교조 교사를 학교에 들여
보내지 않는다고 했을 때 교권을 절대 침해해서는 안 된다고 말했죠. 일부에서는 인간관계가

- 115 -
학교단위의 '新 교원 노사문화' 정착방안 연구

잘 안되니까 고발하는 것이라고 합니다. 이성적이기보다 감성적인 거죠. 술 마시고 적당히 어


울리고 그러면서 문제를 해결하는 거죠. 그렇다고 제가 인화를 깨는 것은 아닙니다.

연구자: 혹시 부당노동행위 관련해서요. 그런 문제가 발생했다거나 아니면 교감 선생님 하시


면서 그런 경험을 했다거나 그런 적 있으십니까?
성실고교장: 그런 건 서로 법들을 이미 아니까 가령 이런 얘긴 못하죠. 선생님 뭐 전교조 가입
하지 말아 이런 얘기를 못하죠. 하면 금방 나갈 테니까 안해야 될 거 해야 될 거를 알고 대처
하니까 저런 건 없었죠.

교장들은 어떤 행위가 부당노동행위이며 부당노동행위를 하면 고발될 수 있다는 점에


대해서 교장연수를 받을 때 노동관계법에 대해서 연수를 받았으며 교장협의회 정보교환
,

을 통해서 알고 있다고 했다 :

연구자: 이미 교장선생님께서 이게 부당노동행위에 관련된 거다 아니다 이런 걸 이미 아시고


계셨기 때문에
성실고교장: 그렇죠.
연구자: 그런 부분에 대해서 일선 교장선생님들께서 많이 인지하고 계신가요?
성실고교장: 그렇죠. 많이 알고 있죠. 교장 연수 받을 때도 노동관계법 이런 건 서울시교육청
에서도 그거에 대한 연수도 했어요. 또 교장 협의회 이런 데서도 서로 정보 교환하니까 그렇게
많이 알고 있을 거예요.
연구자: 그래서 이것은 부당 노동행위로 고발될 수 있다거나 문제가 될 수 있다거나 이런 것
에 대한 인식이 상당히 높다는 말씀이시죠?
성실고교장: 그렇죠.
연구자: 그래서 그 문제로 크게 갈등을 일으키거나 고발되거나 그런 사례는
성실고교장: 현재는 없죠.
연구자: 현장에서는 드물다는 얘기죠?
성실고교장: 드물 거예요 요즘 비정규직 관계 때문에 어떻게 될지는 모르지.

부당노동보다는 소위 불법집회 참여와 관련해서 갈등이 좀 있다고 했다


“ ” :

연구자: 혹시 교장 선생님 재직하셨던 학교에서 부당노동 행위 관련해서 갈등이 있었던 경우


가 있었나요?
논리중교장: 저는 부당노동행위를 제가 안 했기 때문에 그런 갈등은 없었고 선생님들 대외적
으로 왜 정부에서 불법집회라고 하는 거 그런 데 참여하지 말라는데 자꾸 가시려고 하잖아요.
그런 데서 이제 관리자하고 조금 안 가는 게 좋겠다 가야 된다 그런 정도지 뭐 그걸 교장이
부당 노동을 해서 선생님들을 저기하는 저는 그렇게 해본 적이 없으니까 모르겠어요.
연구자: 그런 불법 집회에 참여하지 말라고 일종의 권고를 하시는 정도
논리중교장: 권고라기보다는 설득을 하는 거죠.
연구자: 그러면 잘 따라오시나요?
논리중교장: 일부 선생님은 대부분 선생님들은 안 가시고 또 그 쪽에 간부직을 맡고 있는 분

- 116 -
IV. 단위학교 노동관계의 성과평가 및 학교장 인식조사

들은 가시더라고. 자기 간부까지도 안 가면.... 간부직을 맡고 있는 분들은 가는 분들도 있더라


고.
연구자: 가신 분들에 대해서는 어떤 식으로 대하시는지? 설득을 했음에도 불구하고
논리중교장: 정부 지시대로 하는 거지, 위법이면 법의 조치를 받아야 되는 거고. 그건 제 손
을 떠난 거니까. 그 선생님이 거기에 합당한 벌을 받으면 되는 거 아니예요.

미래고 교장은 교사들에게 교원단체에 가입하지 말라고 말하는 것은 부당노동행위이


며 이는 선생님의 고유권한이기 때문에 존중해야 한다고 했다 교원노조 현수막 설치와 .

관련해서는 아이들에게 필요한 내용인가 여부에 따라 위치와 시간 등을 교원단체 교사


들과의 대화를 통해서 해결한다고 했다 :

연구자: 혹시 부당노동행위 관련해서요. 재직학교에서 간접적이든 직접적이든 경험이 있으신


지요?
미래고교장: 전혀 없습니다. 부당노동행위라고 하는 건 노조의 일 그게 그러한 것들이 조심
스러운 게 예를 들어서 어떻게 친하다고 해도 술자리 같은 데서 교원단체 가입하지 말아 라든
지 거기 뭐하러 있어 탈퇴해 라든지 이런 걸 종용하는 것은 부당노동행위거든요. 그러니까 아
무리 선생님하고 좋은 자리가 돼서 관계가 좀 매끄러워졌다고 하더라도 그런 얘기는 굉장히
하면 안돼요. 그 선생님의 고유의 권한이고 내가 어떻게 하는 게 아니니까 당연히 그건 지켜줘
야죠 또 예를 들어서 이런 것도 있죠. 단체에서 와서 교장선생님 여기에다가 플랜카드를 저희
가 걸었습니다. 그 내용이 이게 교육적이냐 이것이 애들이 봤을 때 괜찮은 내용이냐 그렇지 않
으면 선생님이 있는 교원단체만을 광고하고 주장하는 그런 내용인가를 생각해보자. 그래서 되
도록이면 아이들에게 꼭 필요한 내용이라고 하면 이걸 허락하겠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에 허락
하기가 어렵다 일반인들에게 보여주고 싶은 내용이 아니냐. 이걸 그러면 부모들이 보실 수 있
는 내용이라면 저 쪽으로 좀 옮겨서 해다오 이렇게 상호 타협에 의해 나가죠 그러니까 안돼
무조건 이렇게 하는 것도 어려운 얘기죠. 예를 들어서 우리 저희들 남부에 있는 곳에 교원단체
선생님들이 일을 좀 해야 되겠다 오후에 예를 들어서 우리 학교 거기 방을 써서 회의를 하면
어떻습니까 물으시는데 어떤 내용이냐 이래서 이런 내용이다 그러면 방과후에는 가능하다 허
락하는 정도죠.

전교조 시지부는 있지만 학교단위 분회 또는 분회장이 교장을 대화상대로 여기는데


반해 교장들은 학교분회장이 공식직책이 아니기 때문에 그들과 협상할 수 없다고 주장
,

하는 등 갈등이 많았으나 이제는 분회장들이 합리적으로 변화하고 있다고 했다


, :

미래고교장: 실질적으로 명백하게 얘기해서 분회라는 것은 명칭상으로는 없어요. 전국교직원


노동조합의 간부 전국단위 그런 다음에 서울시 교육청 단위의 지부 서울 특별시 지부는 있지
만 학교단위의 분회에 분회장이라는 건 공식 명칭은 없어요. 실질적으로 교원단체가 가지고 있
는 것 중에 거기도 아마 어려움이 있을 거예요. 그것 때문에 애초에 분회를 인정 안 했거든요
조직할 때 근데 이제 노동운동을 하는 사람들 입장에서는 이 말단 식구들 중에 뭔가 구성이
돼 있어야 힘이 있지 위에서 공중에 떠 있는 걸로는 안되겠죠. 그러니까 단위 학교별로 구축하

- 117 -
학교단위의 '新 교원 노사문화' 정착방안 연구

고 거기에 분회장이 있고 이렇게 하죠. 그런데 분회장들은 본부에서 전교조에서 총 의장이 교


육부 장관하고 교섭을 하고 서울시 지부 지회장은 교육감하고 교섭을 하니까 분회장은 교장하
고 교섭을 해야 되는 게 아니냐. 이런 생각들을 가지고 있어요. 처음에는 그게 굉장히 강했어
요. 요즘엔 많이 덜해졌어요. 그런데 교장들도 이렇게 얘기하죠. 분회장이라고 하는 게 어디
있니? 그게 분회장이라는 게 애초에 조직에 없고 단지 당신들의 조직의 운영을 위해서 만든
것이고 공식적인 게 아니기 때문에 학교장이 당신들하고 교섭할 수 있는 건 아니지 않는가?
그래서 그 전에 1998년 10년 전에 태동했을 때 그 때부터 이해찬 장관 김대중 대통령 그 때
노무현 대통령까지 있을 때만 해도 그 쪽이 힘이 많이 셌죠. 그러다 보니까 교장실에 들어와서
단체교섭을 요구한다. 그렇게 요구하는 일들이 있었어요. 강성인 학교에서 그래서 교장이 그
경우에 난감한 거죠. 아니 교육부 장관하고 교육감이 교섭 당사자지 교장은 교섭 당사자가 아
니다. 그러다 보니까 못하겠다. 그래서 그런 게 있었습니다. 그런데 요즘에는 분회장이 있습니
다만 그분들도 이제 성숙해졌죠. 아 이렇게 우리가 하는 것도 어떻게 보면 옳지 않을 수 있다.
그런 게 많이 늘어나서 최근엔 많이 합리적이고 그런 식으로 많이 변해가고 있는 거 같애요.

다. 바람직한 교원노동관계를 위한 교장의 지도력

1) 투명한 재정운영
교원노동관계에 있어서 원만하게 또는 성공적으로 학교를 운영하고 있다고 평판을 듣
고 있는 교장들은 이구동성으로 학교재정 운영을 투명하게 하는 것이 교사들의 신뢰와
교장의 권위를 인정받을 수 있는 가장 중요하고도 기본적인 토대라고 강조하였다 :

초심중교장: 내가 교장으로 갔을 때 그들이 행정실에 와서 매일 뒤졌다. 그러나 난 걸릴 것


이 전혀 없었다. 학부형들 돈 10원도 받지 않았다. 학부형들과 같이 식사할 때 언제나 내가 냈
다. 그 부분의 신뢰가 대단히 중요하다. 내가 학부형들과 밥을 먹었다 하면 바로 소문이 납니
다. 그래서 중요언제나 학부형들과 식사할 때에도 제가 냈습니다.... 우리 사회 구석구석이
썩었습니다... 중요교원노조사람들에게 휘둘리지 않고 행정실 일반직에도 휘둘리지 않기 위해
서 원칙에 따라 일했습니다. 공사 진행할 때 일일이 다 쫓아다니면서 제대로 하는지 봤습니다.
백만원짜리한다고 하고 70만원차리 해도 교사들은 모릅니다. 일반직들이 학교장의 비리를 노
조교사들에게 줍니다... 학교장이 자기들 맘대로 되지 않으니까. 나중에 일반직들이 노조를 이
용합니다. ... 기초공사 탄탄히 해서 50면 100년 가게 해야 한다라고 했어요. 예산 충분히 따
다 줬어요. 그런데 속상하게 제대로 하지 않아서 다시 하라고 했죠. 결국 준공검사중요다른 사
람이 하게 했죠. 모델에 있지도 않은 변기로 갖다 놓고 문짝은 몇 번 치면 까.질 것을 달아놓
은 그 엉망이죠. 동파이프를 한다고 해서 pvc 파이프를 하라고 했어요. 그 대신 8mm 10mm
로 하라고 했어요. 막히면 그 부분만 고칠 수 있게 하기 위해서요. 시골 할머니처럼 옷서 고
열심히 쫓아다니면서 확인했어요... 소나쀴중요40만원부터 천만원짜리까지 있습니다. 40만원짜
리중요금방 껽방 껽방겉으로 봐 하라구별이 안돼요. 그래서 학운건설업자가 있길래
그분에게 공사를 감독하게 했어요. 매일 들여다보게 했죠. 나무도 제대로 된 나무를 심으려고
했는데, 결국 내가 나온 후에야 소나무를 심었더군요.

- 118 -
IV. 단위학교 노동관계의 성과평가 및 학교장 인식조사

성실고교장: 돈에 대해서 깨끗해야 되는 거 같애요. 유혹이 있어도 절대 돈에 뭐 연루되면


이 순간에 무너진다. 그거 선생님들이 다 알아요. 교장이 몰래 하는 거 같지만 다 알아요. 행
적이 그리고 벌써 저는 행정실에다가 물건 사고 이런 거 다 책임지고 하죠. 믿고 맡기는 거죠.
물품 이런 거 거기한테 책임지고 하여튼 행정실은 싸고 좋은 물건 사도록 하라 그 근처에 얼
씬도 안하는 거야 이런 경우 있잖아요. 신문에도 나오고 어떤 교장이 이 물품은 어디서 사고
어디서 사는게 좋겠어. 이러면 벌써 선생님들이 감을 잡지. 신뢰라는 것. 그 사람의 언행도 그
렇고 한 순간에 무너지는 거 같애요. 그것도 순리에 아마 들어갈 겁니다.

인화중교장: 지금 보여드리는 거는 이게 이제 이런 것들이 달라지는 거죠. 실장님이 새로 오


셔서 이렇게 한다는 거를 다 만들어서 부장회의에서 조금 전에 부장회의가 있었는데 이게 방
학 동안에 공사할 거 앞으로 학교에서 이런 거 한다는 거, 행정의 공개죠.
연구자: 네. 그러니까 시설 환경 이런 부분들을
인화중교장: 해당 부서하고만 의논할 수 있는데 다 의논해서 다 나눠줬어요. 앞으로 교실 선
풍기를 어디에 놓을 거고 에어컨을 어디에 놓을 거고 칠판을 어떻게 바꿀 거고 교실의 노트북
환경 구축을 어떻게 할 거다 이런 거 공기청정기 이런 얘기까지 이만큼 공개적으로 우리가 하
고 있다는 얘기죠...전체 과정 속에서 모든 게 홈페이지에 다 올라와 있고 댁에도 드리고요.

2) 의견수렴 그리고 명분과 논리를 통한 설득


성공적인 관리자들은 의사결정을 할 때 구성원들의 의견수렴을 중시하였다 :

옥성초교장: 제일 중요한 것은 구성원들에 소리를 잘 듣는 것이라고 생각을 해요. 그것을 한


곳에 딱 모아줄 수 있는 게 리더십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러니까 교장이 리더십이 있느냐 없느
냐 그걸 뭐 평가를 하나? 그건 아니라고 하더라도 그렇지만 첫째는 의견을 많이 수렴하고 듣
는 거 그게 리더십을 기르는 것, 듣는다는 것만 해도 리더십을 갖게 되는 것이라고 적어도 책
임을 갖고 있는 학교장이 함부로 행동 못해요. 그러니까 요점은 일방적인 학교 운용을 하느냐
안 하느냐 우선은 정확히 그 안에 있는 구성원들을 파악을 하고 같이 나가야 해, 그리고 억지
로 끌고 나가서도 안 되고, 때로는 어떤 목표가 있더라도 똑바로 갈 같이하더라도 그게 안 될
경우 화리고 거든 사실 돌아서 갈 줄도 알아야지. 1년이 안되면 2년째 할 수도 있고... 어떤
자기의 꿈이 다 있잖아요. 그런 것들을 이룰 때 한번 얘기 한 적이 있는데 그래서 그 리더십이
라는 게 뭐 나를 따라와라, 뭐 와라 이러는 것 보다는 그 생각들을 잘 읽어내는 게 나는 중요
하다고 생각해요. 근데 잘 표현을 안 하죠. 그런 것들을 많이 들어야 될 것 같아. 이야기들을
듣고 또 살펴보고 판단해보고 또 판단이 잘못 됐는지 물어보고 그 자꾸만 이야기를 끌어낼 수
있게 그게 중요한 것 같아요. 그러면 길이 나오더라구요...
연구자: 그러면 갈등해결 차원에서 만약 갈등문제가 발생했다면, 갈등해결 차원에서 교장선
생님들은 권위도 좀 있어야 된다. 그런 입장을 보이시는 것이죠?
옥성초교장: 우선은 뭐 이상적으로 얘기를 하면은 갈등을 안 만들면 제일 좋구요. 안 만든
게 제일 좋잖습니까? 보면 근데 그렇지 않아요. 현실은 갈등이 발생 됐을 때가 문제거든 보면
그럴 때 권위를 내새어서는 필요가 없고요. 내가 봤을 때 우선은 우리가 공무원들이니까 법적
인 테두리 법. 법이라는 것을 생각을 해야 되고. 거기에 더 중요한 것은 뭐냐면 교육을 생각하

- 119 -
학교단위의 '新 교원 노사문화' 정착방안 연구

면 되요. 거기에 다가 근본적인 것을 가지고 논의를 해요. 그럼 대화를 하는 수밖에 없죠. 그


리고서 또 해결이 안 되는 경우도 있어요. 보면은 다 해결이 되면 좋게? 학교에서도 안 되는
것도 있습니다. 그래도 이해를 시키고 설득을 시키는 수밖에 없죠.

미래고의 경우 교원노조가 반대하는 성과분 배분과 관련해서 교사처럼 학생들을 가르


치는 교수들도 평가를 받고 그에 터해서 성과급을 받고 있음을 교사들에게 설득하였다
고 한다 처음에 교원노조교사들이 균등배분을 요청했으나 교장은 본인이 교육부로부터
.

명을 받은 사람으로서 해야 할 직무가 있으며 이는 존중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는 교원 .

노조 탈퇴를 교장이 말할 수 없는 것처럼 상호 존중해야 할 일이라고 주장했다고 한다 .

그리고 성과상여금위원회를 조직해서 그 안에서 성과급 지불 기준을 자체적으로 정하게


하였다고 한다 :

미래고교장: 그러니까 지금 말씀대로 또 하나 말씀드리고 싶은 것은 성과급, 성과급이라고


하는 게 상당히 격차가 벌어져서 100여만원 이상 차이가 나요 근데 이제 그 성과급을 지불하
면서 저희가 교원단체 쪽에서는 모두 다 평등분배 해달라 똑같이 달라 그런 주장을 해서 그것
은 안된다. 성과급이라는 건 의미 자체가 근데 교원단체는 왜 교사의 측정을 돈으로 하는 것이
냐 그게 어떻게 될 수 있는 거냐 그러니까 얘기를 해요 그래서 그것은 선생님들의 얘기고 교
육부에서나 모든 분들이 생각할 때 우리 교사들도 평가라는 것을 받아야 된다고 생각하는데
그 첫 단계로 성과급을 줘야 되는데 대학의 교수라든지 또는 일반직이라든지 이거에 비하면
우리는 굉장히 차이가 없는 거예요 돈 백만원 차이 나는데 대학교수같으면 굉장히 차이가 많
이 나는 걸로 알고 있거든요 그래서 어떤 의미에서는 그게 그렇게 간극이 크지 않은 것이고
그게 안된다고 하면 안된다 그래서 많은 학교에서 성과급 때문에 교장과 교원단체에서 격렬하
게 서로 격돌을 많이 했어요. 교장들도 설득을 해야죠. 국가에서 이렇게 하라고 하는 게 교장
이 그걸 하는 게 아니고 따라서 우리는 당연히 담임을 했느냐 안했느냐 그게 너무 다르니까
담임을 안하려고 하니까 담임을 했느냐 안했느냐가 제일 먼저다 담임을 했으면 점수를 높게
주겠다 그 기준을 쭉 세세하게 발표해서 성과급을 지불했어요. 그랬더니 작년부터 담임을 지원
을 했다는 사람이 늘었어요.
연구자: 성과급을 주는 기준을 교장선생님께서 만드신 건가요?
미래고교장: 아니죠. 그것도 어떻게 만드냐면 성과상여금위원회를 조직해요. 그래서 50대 40
대 30대 20대 이렇게 해서 나이별로 왜냐면 그게 있거든요 나이가 많은 선생님들 입장에서는
우리가 담임하는 건 아니지만 나름대로 열심히 했는데 이럴거냐 또 젊은 선생님들은 우리는
담임을 했으니까 당연히 우리가 많이 받아야 되는 거 아니냐 그런 이해충돌이 일어나니까 상
여금추진위원회를 구성할 땐 나이별로 구성해요. 거기서 교감 연구부장 그 다음에 교무부장 그
리고 각 나이별 이렇게 대표들 이렇게 해서 한 여덟명이서 모여서 우리가 이번에 어떤 기준으
로 이걸 갖다 할 거냐 해서 기준을 만들어요. 그럼 이제 우리가 봐도 담임이 제일 고생이 많으
니까 담임을 좀 많이 주고 그 다음에 부장을 주자 근데 부장은 담임하고 거의 비슷하게 주자
또 어떤 분은 담임이 더 고생스럽다 부장을 좀 덜 줘야 된다. 또 그 다음에 수업 시수가 몇 시
간이냐 수업 시수가 어떤 부분은 열 몇시간 하는 분도 있고 스무 시간 하는 분도 있는데 수업
시수, 그 다음에 특별활동을 맡았느냐, 그 다음에 생활지도를 하는데 매일 수고하며 애들 지도

- 120 -
IV. 단위학교 노동관계의 성과평가 및 학교장 인식조사

했느냐 그런 걸 기준을 만들어요...지각결석을 평소에 했느냐 근무태도 그런 것까지 넣어서 열


여섯가지 항목으로 그거에 의해 점수를 내서 정확하게 성과상여금 지급을 했어요.
연구자: 그렇게 그러면 성과급추진위원회를 구성해라 그건 교장선생님께서 말씀하신 건가요?
미래고교장: 그렇죠.
연구자: 그리고 그런 위원회 구성한 건 다른 학교만 있었던 것도 아니고
미래고교장: 아닙니다. 교육부에서 내려올 때 성과급을 주기 위해서 각 학교에서 성과급위원
회를 구성해서 그 구성을 해서 추진하라고 공문에 돼 있어요. 어느 학교든 하는데 이제는 어떤
기준에 의해 할 것이냐 하는 건 학교의 문제예요 근데 큰 틀에서 교육부에서 많은 기본안을
줍니다 이런 것들을 해라 기준안을 주는데 학교마다 여러가지 문제들이 조금 다르죠.
연구자: 그 때 교장선생님께서는 좀 교장선생님의 의견을 거기에 포함하시진 않으셨나요?
미래고교장: 성과급 상여위원회에서 구성이 되고 다 하고 나면 교감이 저에게 와서 이거 이
렇습니다 그러면 의견을 얘기하면 다시들 한 번 더 모여서 위원회에서 하고 그러고 난 다음에
그 모든 것들을 하겠다고 한 걸 파워포인트로 만들어서 전 선생님들에게 설명해요 그러면 모
든 선생님들이 난 그건 좀 이해가 안 간다 얘기가 나올 거 아니겠습니까? 그러면 거기서 설명
한 다음에 컴퓨터에 메신저란 게 있잖아요. 메신저에서 의견을 받아요 의견을 받고서 예를 들
어서 이제 그 성과상여위원회에서 다시 모여서 모든 사람의 의견을 수렴해서 최후의 안을 만
듭니다. 근데 예를 들어서 전 교사가 모였을 때 그런 얘기가 나오죠. 교장선생님 균등분배 해
주십시오 이런 걸로 하지 말고 다른 학교 있는데 우리 학교도 그렇게 합시다 그럴 때 교장 입
장에서 그것은 안됩니다. 예를 들어서 선생님에게 선생님 교원단체 탈퇴하십시오 그건 뭐 때문
에 거기 돈 내면서 다니십니까 라고 하면 나는 선생님에 대해서 부당노동행위를 한 거예요. 똑
같이 내가 교장이 교육부와 교육청으로부터 명을 받은 일종의 저도 관료이자 경영자인데 여기
서 거기서 얘기한 걸 내가 무시하고 선생님들이 나한테 균등분배 해주십시오 할 때 내가 그걸
들을 수 있다면 선생님 내가 그걸 들어줄 수 있다고 나한테 지금 말씀을 하시는 거냐 그렇지
않으면 우리 80몇 명 중에서 중에서 35명 정도가 교원단체고 나머지는 아닌데 나에게 지금 얘
기하시는 거 자체가 우리라는 생각을 안 하는 거 아니냐... 내가 선생님들에게 과한 얘기를 할
수 없는 것처럼 예를 들어서 탈퇴하십시오. 이런 부당노동행위를 할 수 없는 것처럼 선생님들
도 똑같이 학교의 경영자로서 나에게 할 수 없는 얘기가 있습니다. 그걸 지켜줘야 합니다. 선
생님들이 듣고 보니까 이게 맞잖아요. 그러니까 알겠습니다. 그래서 자 오늘 여기서 회의는 끝
냅시다. 더 이상 얘기는 안 되니까 끝내고 나머지 의견이 있는 분은 메신저로 보내라. 이렇게
하니까 교장 입장에서 그런 것들 것 주의를 해야 하죠. 현명하게 해야 하는 점이 일부 있어요.

논리중학교 교장은 갈등이 있을 때 그 해결을 인품으로 제압하거나 전문지식으로 유 ,

도하거나 논리적으로 설득하는 유형이 있는데 논리적으로 설득하는 것이 가장 좋은 방


,

법이라고 했다 :

연구자: 그럴 경우에는 보통 어떤 식으로 해결을 하나요? 그렇게 관리자하고 교원 노조하고


좀 약간의 이견이 있거나 갈등이 있을 때
논리중교장: 제 경험으로는 저는 그렇게 생각합니다. 관리자가 선생님들을 리드할 경우에는
제 경험은 아니고 저는 특별히 품격이 인품이 훌륭하든가 훌륭해서 인품으로 제압을 하든가
아니면 아주 전문적인 지식이 있어서 전문 지식으로 리드를 하든가 또 그것도 아니면 논리적

- 121 -
학교단위의 '新 교원 노사문화' 정착방안 연구

인 사고를 통해서 서로 대화를 할 때 논리적으로 설득을 해서 그 상대편이 공감할 수 있도록


하는데 저는 뭐 세번째 주로 선생님들하고는 논리적으로 토론해서 제가 그 선생님들을 설득하
는 방향으로 많이 했습니다....
연구자: 효과 면에서는 어떻습니까?
논리중교장: 논리적인 것이 가장 좋다고 생각합니다. 왜냐면 논리적으로 토론을 해서 상대편도
제 말을 들었을 때 아 옳다 하면 더 이상 할 말이 없거든요 그 때는 다 수긍을 했으니까요. 그런
논리성이 부족하면 상당히 어렵죠. 오히려 역으로 설득당하는 수도 있죠.
연구자: 논리적으로 주로 대화하시고 그걸 통해서 설득을 하시고
논리중교장: 논리적으로 무장이 돼 있어야 돼요.
연구자: 그러면 굉장히 많이 생각하시고 고민하시고 그러셔야 되겠네요.
논리중교장: 그런 걸 항시 생각하고 있죠. 무슨 일을 할 때 선생님들이 어떻게 선생님들하고
의견을 조율할까 방과후 수업을 한다든지 이비에스 방송 수업을 한다든지 교육활동을 할 때
사전에 아 이거 활동하기 전에 선생님들 예상되는 선생님들의 이의제기 이런 거 다 생각해서
거기에 대해서 교장 나름대로의 논리를 가지고 있어야만 선생님들하고 대화해서 원만하게 풀
어갈 수가 있지 아무런 논리 무장이 없으면 무작정으로 밀어붙이고 이러면 선생님들이 되겠어
요? 안 되죠.
연구자: 예컨대 방과후 학교 이런 것들과 관련해서 혹은 보충수업과 관련해서 일부 전교조에
서는 반대하는 부분도 있었잖아요
논리중교장: 그렇죠
연구자: 뭐라고 설득을 하셨나요?
논리중교장: 저는 지금 저희 학교 같은 경우은 훌륭한 선생님들이 와계셔서 전교조 선생님들
도 계시는데 이제 제가 다른 학교에 있을 때 일부 전교조 간부 선생님들하고 같이 근무를 해
봤고 그런데 저는 주로 농촌학교에서 있었는데 그럴 때 농촌에서 예를 들면 농촌에서 학원이
있느냐 갈 곳이 있느냐 그런 소외되는 학생들을 우리 선생님들이 안 돌봐주면 이 학생들은 내
팽개진 거고 어떻게 되냐 하면 그 선생님들도 그거에 대해서는 이의를 달지 못하더라고요 공
감을 하고 하는 예를 봤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다 같이 큰 명분이 있으면 명분 앞에서는 관리
자든 선생님이든 그 명분 앞에서는 누구도 운신의 폭이 좁아질 수밖에 없습니다.

3) 확고한 교육철학과 소신

학교장의 지도력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교장의 확고한 교육철학과 소신이 있어야 한다


고 강조한다 그것이 없이는 노 없는 배 와 같다고 했다
. “ ” :

연구자: 좀 더 학교장의 어떤 지도력을 좀더 강화할 수 있는 강화하려면 어떤 뭐가 필요하


다고 생각하시는지요?
논리중교장: 저는 교장 선생님들이 뚜렷한 관리자는 관리자대로 뚜렷한 나름대로의 주관이
있어야 된다고 생각해요 뭐 무난하게 직장을 이끌어간다고 하고서 그냥 뭐 타당하지도 않은데
비위를 맞추려고 선생님들이 그 뭐랄까 포퓰리즘이라고 할까요. 거기에 의해서 선생님들한테
편의만 제공해주고 그러면 안 된다고 생각해요. 꼭 해야 할 일이 있으면 또 선생님들하고 트러
블이 있을 경우에 트러블을 해서라도 관철을 시켜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꼭 우리가 애들을 위

- 122 -
IV. 단위학교 노동관계의 성과평가 및 학교장 인식조사

해서 해야될 것은 어떠한 난관이나 어떠한 트러블이 있더라도 해서 관철을 시켜야지 그 트러


블을 회피해서 학생들한테 해야될 관리자의 의무를 안 하면 그건 직무유기 방기가 되는 거죠.
그건 제일 나쁜 거라고 생각해요 저는. 그래서 잡음 없이 해서 학생들의 학력이 신장되고 생활
상의 문제가 없다면 좋은 거죠 그런데 학력도 저하되고 생활 상의 문제가 많아서 그건 뭔가
교직원의 역할이 없었기 때문이란 말이에요 관리자의 역할이건 선생님들의 역할이건 그러면
관리자가 선생님들한테 어떤 방법으로든지 그 역할을 하게 만들어서 학생들이 민주시민 또 실
력 있는 학생 또 생활 상의 문제가 없는 학생으로 성숙되게 그렇게 하는 것이 의무라고 생각
합니다. 그래서 그럴 때는 교원노조 선생님이건 다른 선생님이건 의견이 다를 때는 강력하게
저는 해야 된다는 주장입니다...원칙과 주관이 있어야지 그것이 없으면 그거는 노 없는 배하고
똑같죠.

논리중학교 교장의 경우 교직원과 갈등이 있을 때 갈등을 해결하는 준거를 법 상부 ,

지침 그리고 교사로서 해야 할 역할이나 의무라고 인식했다


, :

연구자: 교장 선생님께서요 일반적으로 학교 경영을 하시면서요. 교직원하고 어떤 갈등이 있


다 그럴 때 갈등을 해결하는 기본적인 기준이나 준거 같은 거를 가지고 계신지?
논리중교장: 아까 말씀드렸지만
연구자: 아까 논리적으로 하시는 게 최선이라고 하셨는데
논리중교장: 네 거기에 준거를 가지고 얘기해야지 예를 들면 교육법적인 근거나 법적인 근거
또는 아니면 우리 공직자로서의 의무라든가 태도라든가 이런 준거를 가지고 대화를 해야지 아
무 준거도 없이 이렇게 해서는 곤란하죠. 근거도 없이 해서는 곤란하죠.
연구자: 그러니까 교장 선생님께서 갈등을 해결하는 기본 준거라고 하면 대체로는 교육법에
기초하거나 아니면 어떤
논리중교장: 법이건 법에 기초하거나 어떠한 상부 방침이라든가 또 상부의 지시라든가 또 아
니면 우리가 의무적으로 학생들에게 그 교사로서의 해야 할 의무라든가 역할이라든가 이런 거
를 근거를 가지고 대화를 해야죠.

많은 교장들이 갈등을 해결할 수 있는 확실한 원칙이 있어야 한다고 했는데 그 중요 ,

한 원칙은 과연 그것이 학생을 위한 것인가 하는 판단이라고 했다 :

옥성초교장: 우선 그 단체협약안 자체를 학교에서 지켰죠. 그 동안에 안 지킨게 아니예요.


예를 들어서 뭐 학습지도안 같은 것도 지금은 없어졌잖아요. 그런 것도 있고 여러 가지가 있는
데 요점은 그 제일 중요한 것은 부당노동행위냐 부당하냐 부당하지 않냐? 기준은 저는 그렇게
생각해요. 아이들이라고 생각해요. 그러니까 정확히 그걸 읽어야 돼. 아이들이 어떤 아이들 뒤
에는 학부모가 있잖아요. 학부모들이 학교에 호의적이지 않아요. 전 그렇게 생각을 해요. 학교
에 울타리를 나가는 순간부터 선생님은 공격을 받게 되어 있어요. 심지여 명절날 가족들끼리
모여도 교육에 대한 것을 논하다 보면 갈등이 있잖아요.

미래고교장: 예를 들어 선생님 애들을 위해서 예를 들어서 기본적인 포인트는 내 생각으로

- 123 -
학교단위의 '新 교원 노사문화' 정착방안 연구

일단 기본 포인트는 아무리 그 쪽에서 주장을 해도 아이들의 교육적인 관점으로 봐서 판단을


해야 된다. 애들에게 필요한 걸 봐야 되고 진단평가란 것이 내 생각은 그렇다. 예를 들어서 애
들을 갖다 백미터 달리기 할 때도 얘가 몸이 평소에 아프면 빼야 되는 거 아니냐? 애들의 상
태를 우리가 먼저 진단한 다음에 해야 되는 거 아니냐? 그러니까 당연히 우리도 중학교에서
들어온 애들을 평가를 해서 이 아이는 지금 영어 수학이 형편없구나. 얘는 영수부터 공부시켜
야 겠다 평가를 해서 나가야 이게 시작점을 분명히 해야 되는 거 아니냐? 그러니까 해야 된다
인정을 하는데도 그런데 우리 이렇게 있는데 애들을 너무 혹사시키는 거 아닙니까? 그래 그런
게 있어. 그게 좋지 않은 건 나도 알고 있다 근데 이 진단평가란 건 시작점이고 내가 볼 땐 과
한 거 같지는 않다 봐야 된다고 보고 그 다음에 더 정확하게 얘기하면 사회와 국가와 모든 것
이 세계화가 되어 가고 있으고 화가쟁이야 우리만 여기에 화가쟁시키는 건 안돼요. 이 아이들
여기 화대학 갈 때만 해도 모든 사회 나가 화취직해도 그렇고 끊임없는 가쟁인데 어떻게 여기
만 평가 하지 말고 있느냐? 그래 화자꾸 설득을 해서 얘기해야죠. 때에 따라 화심한 말로 할
때도 있어요. 그러면 이 선생 선생님 아들 어떻게 할래? 걔 공부 안 시켜? 집에 가서 공부 시
키고 있잖아 역시 부모들 입장이 되면 애들을 공부시키려고 할 수 밖에 아니야 그런 점에서
해야 될 거라고 봐 그래서 진단평가할 때도 무사히 넘어갔어요.

4) 기다림과 적절한 시기 선택

교사들의 반대가 있을 때 때로 기다리면서 설득하고 또 적절한 시기를 선택할 줄 알


아야 한다고 했다 또는 한 번에 문제를 해결하려고 하기보다 문제를 잘게 나누어 조금
.

씩 해결하는 것이 좋다고 했다 :

연구자: 교장선생님께서 무엇인가를 하시고자할 때 교사들의 반대가 있는 경우에 어떻게 하


시나요?
인화중교장: 기다립니다. 빨리 가지 않습니다. 마음이 편안해야 교육활동이 잘 되는 것처럼
분위기가 건강할 때를 기다립니다.... 함께 굴러가야지 추진력이 있습니다.

연구자: 그러면서도 상호 원만한 관계가 형성됐지만 그렇다고 해서 원칙이나 이런 것들을 놓


치면
성실고교장: 안 되죠.
연구자: 그걸 적정히 해야 할 건데
성실고교장: 그럼 소신은 가져야지. 소신을 잃으면 안되지. 소신을 갖고 해 나가는데 아까처
럼 크게 잘 안 풀릴 때가 있죠. 잘게 썰어서 접근하고 얘기해야죠. 얘기하고 ... 내가 교감한테
그런 얘기 자주 하는데 소 한 마리 먹는 방법을 말했어. 큰 소를 한 번에 어떻게 먹어 못 먹지
그러니까 잘게 썰어야지 큰 문제 어려운 문제가 있으면 한꺼번에 그 일이 해결되기는 어렵다
잘게 썰어라 시간도 오래가겠죠. 언젠가는 되지. 큰 일을 한꺼번에 하려고 하지 말고 쭉 줄기
차게 하면 언젠가는 소 한 마리 먹는다 .

- 124 -
IV. 단위학교 노동관계의 성과평가 및 학교장 인식조사

신임초교장: 몇 달 간 교무회의에 일체 참여하지 않았다. 그리고 왜 안오시냐고 해도 아무


말도 하지 않았다. 그렇게 4-5개월을 버텼다. 교육청의 담당장학사가 전화했다. 교육청에 도와
주려면 참아달라고 했다. 교사들이 왜 교장이 교무회의에 오지 않느냐고 해서 4-5개월 후에
노조리더를 오라고 했다. 7차 교육과정 시행령을 그대로 운영하라고 했다. 그것이 나의 업무라
고 했다. 그리고 직영급식 할 수 있다. 차근 차근 해보고 직영급식 시기가 되면 한다고 했다.
교무회의 규정 취소시키라고 했다. 교육법이 기틀정 취어야 한다고 했다... 적절한 시기가 언제
인지 판단해야 합니다. 학운위 규정집을 고치기 위해서 1년을 들였습니다. 그리고 공식적으로
고치고 나왔습니다. 학운위했다. 규정을 통과시킨 적 없다고 했습니다. 그냥 뭉뚱그려다. 통과
했던 것입니다. 교장 결재를 그렇게 받은 것이죠. 상위법에 위반되었다는 문서가 없는데 교육
청 문책이 있었는데 기다리라고 했어요. 규정집을 복사해서 보냈죠. 교무회의에서 2/3로 의결
한다고 되어 있는 거예요. 학운위위원장이 전국 규정집을 다 보아도 그런 규정은 없었죠. 정식
안건으로 내놓지도 않았고. 학운위위원장이 똑똑했어요. 긍정적이고 협조적이고 호흡도 잘 맞
고 적극 협조했어요. 1600명 학부모들의 서명을 받았죠.

5) 인화

원만하게 학교를 운영하는 교장들이 강조하는 또 하나의 요소는 인화였다 교사들과 .

잘 어울리기 위해서 여교장이지만 술도 마시고 개고기도 먹는다고 했다 :

성공초교장: 술도 마시고 때론 개고기도 먹어야 합니다.

인화중교장은 교사 간에 인화가 없으면 학생의 인성교육은 있을 수 없다고 했다 가급 .

적 교사들과 어울리고 그들을 포용하는 말 그리고 수고했다고 말해준다고 했다 :

연구자: 교사 간의 갈등이 있을 때 어떻게 하십니까?


인화중교장: 가급적 감싸 안는 말을 합니다. 유머도 섞고. 같이 어울리고. 학년회의나 교과회
의 또 동호인회 같은 회식이 있을 때 같이 합니다. 참석해서 말 들어주고 ‘힘드셨습니다’ 하고
말해줍니다. 교사들과 가급적 많이 어울리려고 하죠....인화가 깨지면 인성교육은 끝입니다. 교
사들간에 전에는 복도에서 만나도 휑하니 등 돌렸어요. 교사들이 그러는데 학생 인성교육이 제
대로 되나요? 인화가 깨지면 인성교육은 끝입니다.

성실고 교장의 경우 개별 교사들이 어떤 사정이 있는지 관심 기울이고 배려해주고 회


식에 가서 교사들의 말 듣고 또 자신의 입장을 이야기 한다고 했다 :

성실고교장: 제가 여기 와서 부임인사할 때 우리 선생님들께 세 가지 부탁을 드린 게 있는데


우선 저는 학교 경영을 순리대로 하겠다 그리고 그 안에는 합리적이란 말도 들어갈 것 같고
순리 안에, 또 여러분들의 의견도 많이 들어야 될 것도 같고 하여튼 순리대로 억지쓰지 않고

- 125 -
학교단위의 '新 교원 노사문화' 정착방안 연구

그 안에 비리도 없을 거 아니에요 그래서 순리대로 하겠다 그리고 두번째는 인화, 선생님들과


교장과의 인화, 선생님 사이의 인화, 또 선생님과 제자 간의 그땐 인화라는 말보다는 가까이
다가가는 거죠 그런 거에 힘쓰겠다 했어요. 셋째는 기본에 충실하자고 했죠. 전교조 숫자가 50
퍼센트예요...교장이 잘 해야 될 거 같애. 참 어려운 일인데 그러니까 뭐 선생님들도 어떻게 보
면 칭찬하고 선생님 속속들이 이 선생님이 어디에 지금 요즘에 힘든 부분이 있다 부인이 아프
다든지 아이가 그렇다든지 선생님들의 신상관계를 알아가지고 지나가면서 또 교장실 만약에
찾아오면 사모님 많이 나으셨어요? 또 아이 공부는 잘 하고 있죠? 이러면 깜짝 놀라요. 어유
교장이 나한테 관심을 갖고 있구나. 그러면 교장이 뭐 조금 잘못하더라도 또 넘어가주고. 그러
니까 선생님들한테 관심 그런 얘기 있잖아요. 관심 없이 관찰 없다 이런 말 있듯이 관심을 가
져야 선생님들이 보이고 그러면 벌써 서로간에 신뢰가 생기고 또 조금 어려운 일 부탁해도 에
휴 교장 체면 봐서 해야지. 그러니까 참 세세하게 관심 가져야 되는 거 같애 조금 게으름 피우
면 칭찬을 한참 하다가 그거 하나만 고치라고 얘기도 하고....또 저는 직원들 회식, 회식 때 잘
갑니다. 참여하지. 참여해서 그 사람들이 술 한 잔 마시면 또 적나라하게 나오거든 가서 그 분
들 얘기 듣고 또 제 얘기도 하고 그러면 생각보다 빨리빨리 풀리고 오해도 이해로 바뀌고 그
것도 하나의 인화의 수단이죠.

미래고 교장은 리더십을 발휘하는데 중요한 것은 바로 교사와 학생을 사랑하는 마음


이라고 했다 편 가르기를 하면 안 되고 모두를 사랑하는 마음이 있어야 한다고 했다
. :

미래고교장: 교장으로 나와 있으면서 리더십을 발휘한다는 게 우선 첫째는 교사와 학생을 사


랑하는 마음이 있어야 돼요. 절대로 편가르기 하면 안되고 모두를 사랑하는 마음이 있어야 되
고 아침마다 나올 때 기도하고 하나님 감사합니다. 여기 나와서 아침에 나오면 정문에서 애들
을 맞이해요. 선생님들도 어서 오십시오 하고 맞이하고 제가 생각하기에는 끊임없는 관심과 사
랑이 있어야 될 거 같고요 두번째는 그들의 어려움을 뭐든지 해결해주려고 하는 게 있어야 될
거 같고요. 아 그래요. 알았어요. 노력을 해볼께요. 그래서 그들의 어려움을 좀 해줄 수 있어야
되고 세번째는 어떠한 일이 있더라도 기본적인 판단에 근거를 학생과 학부모예요. 학생과 학부
모를 위하는 것이냐 이 과정이 그리고 이제 이 판단이 학생의 교육권과 학부모의 교육권을 침
해하는 건 아니냐 선생님들이 뭐라고 지도권을 얘기하더라도 학습지도권을 얘기하더라도 기본
적으로 그들의 권리를 침해하는 게 있냐 생각을 하고 판단 기준을 거기에 맞추게 된다는 거예
요... 이 학교가 교장과 교사가 그런 화합되지 않고 갈등을 자꾸 만들면 일을 하기가 어려워요.
일이 안되거든 그 피해가 학생한테 가요. 학부모한테 가고 그런 점에서 교장도 교사들 아끼고
사랑하고 동시에 선생님들도 아 사랑교장이 이러한 점이 있구나. 그래서 그들도 시간이 흘러
가면 인정을 하고 저 분은 참 학생들을 위해서 참 괜찮다.... 방과후있구나.그거 운영 좀 열심
히 해보자 해서 작년 9월에 시작했어요 작년에 좀 저희가 한 윳구년을 빼면 한 1600명 정도
되는데 1000명 정도를 방과후있활동을 했어요. 이번엔 저희가 자율학습하면서 저희가 윳구년하고
쳐서 1윳00명이 이걸 하거든요. 전 선생님이 합심한 거죠. 다 내가 강좌를 개설한다 애들을 모
집하고 그래서 한 1300명 정도 합니다. 그리고 저희 학교가 좋은 학교 만들기 사업을 하면서
서울시에서 저희가 1억원의 예산을 받았어요. 애들 공부할 때 방과후 학교에 3만원 2만원 못
내는 애들한테 그걸 대줘요. 수업하는 데 어려운 아이들 지원하고 야간자율학습 자습실을 350
명 정도 자리를 만들어서 그 아이들을 밤 11시까지 하고 그 대신에 선생님들이 돌아가면서 하

- 126 -
IV. 단위학교 노동관계의 성과평가 및 학교장 인식조사

고 이게 선생님들의 협조와 사랑이 없으면 안되거든요. 그러니까 선생님께 도와주십시오 하니


까 한 번 해보겠습니다. 그렇게 해주셨어요. 그래서 그 점이 저는 아주 고맙고 선생님들에게
감사합니다. 고맙다 정말 조그만 선물들 예를 들어서 선생님이 애를 낳으면 책 한권 사가지고
글을 써서 잘하고 와라 돼지고기 한 근 사 먹어라 봉투에다 이만원 정도 넣어서 잘 다녀와 그
런 배려 그런 것들이 학교를 운영하는 데 리더십이 아닐까 그런 생각을 해요. 옛날처럼 막 억
압적으로 강제하고 이런 거 가지고는 안되는 거 같아 이제는.

6) 실무관련 직무와 협상력 강화

교원노동관계에 대한 리더십강화를 위해서 교장 자격연수에서 실무관련 직무연수 협 ,

상력에 대한 연수를 포함했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

태양초교장: 자격 연수는 누구나 받고 나온 거니까 실습도 학고 막 이런 사례도 듣고 오고


교장선생님들도 사실 그런 것 원해요. 요구가 많아요. 시간을 더 늘려서 그런 자격 연수 예산
부분 이런 것은 받기를 원해요. 교장이 나와서 실무에 맞닥뜨리면서 선택해서 갈 이런 는 직무
연수도 개선하면 좋고 교장선생님이 늘 학교를 비울 이런없으니까 60시간 뭐 이런 직무연수도
받을 이런 는 기회가 많으면 좋겠죠... 그러니까 얘기를 다 들어주는 거야. 다 듣고 나서. 이
어떤 핵심포인트를 딱 얘기를 하니까 기선이 딱 제압되는 거야...(중략)... 그러니까 그 어떤 그
런 사례 역량을 키울 이런 는 협상력 뭐 또 들어분 이런 는 상담력, 이런 거를 그리고 또 문제
의 핵심을 파악할 이런 는 그런 자È.(연수를 교장선생님들.(접금만 시켜줘시켜줘장이 될 때 까
지는 역량을 가쳤다고 봐야 되요.

7) 노동법교육
금성중교장은 학교장에게 리더십강화를 위해서 노동법교육을 실시하고 실질적으로 ,

지금은 권한이 많이 없는 보수와 관련된 인사권 강화가 필요하다고 보았다 :

금성중교장: 예, 저는 사실 교장한테 노동법을 많이 해주어야 할 것 같아요. 그 다음에 또


하나는 관계개선에 대한 교육, 특히 인간관계 개선을 많이 시켜야 할 것 같아요. 그 부분이 중
요하고....저는 우리나라 체제하에서 과연 인사권 강화가 성립될 수 있을까? 그 부분을 참 많
이 생각하고 있어요. 왜냐하면 음..뉴욕이라든지 이런 데에 교육감 나오잖아요. 학교일정한 금
액을 딱주고 교장이 적절하게 예산을 쓸 수 있게 해주잖아요. 그런데 우리는 그렇지 못해요.
반드시 학교급당 얼마가 내려오고, 거기의 몇 %는 과학교육에 써야 되고, 몇 %는 도서를 사
야하고, 또 몇 %는 시설비로 써야하고, 그처럼 여러 가지 항목이 규정되어 나오는 상황이기
때문에 인사권과 돈은 관계가 깊어요. 제가 유능한 선생님을 모셔오고 싶어도 사실 중동같은
데는 월급을 더 주잖아요. 그럼 그렇게 보수와 직결되는 인사권이 아닌 다음에는 아무 의미가
없는 인사권이에요. 그렇지 않겠어요?

8) 별도의 자문기구 설치

- 127 -
학교단위의 '新 교원 노사문화' 정착방안 연구

금성중학교장은 학교단위에서 생기는 문제들을 자문할 수 있는 연구자문기구가 필요


하다고 말했다 :

금성중학교장: 전 그건 생겼으면 좋겠어요. 왜냐하면 현재 우리 교장들이 교장이 되고나서


연수를 많이 받고 나오지만 사실은 외길로 걸어온 인생이기 때문에 잡다한 것에 조금은 식견
이 부족한 경우가 많아요. 자문기구는 좀 있어서 쉽게 접할 수 있는 기구는 필요한 것 같아요.
이럴 때 어떻게 하면 좋겠습니까? 학교단위에서도 쉽게 묻는데, 교육청에서도 우리가 물어보면
답안해주잖아요? 그런 것. 오히려 학교에서 자율권 행사하지 못하고 그런 것 물어본다고 오히
려 불편해하는 경우가 많아요.

옥성초교장은 학교 교육청간의 실질적인 논의와 자문이 부재와 교육청인력의 한계 등


-

으로 실질적으로 자문해줄 수 있는 별도의 자문기구가 필요다고 말했다 .

옥성초교장: 저도 교육청에 있어 봤으니까 그 파트에 3사람 밖에 없어 전에는 전문 법무관


계 외부에서 고용도 했는데 지금은 없는 거 같으라고 보니까 소위 그 자리에 앉는 공무원이
몇 년 몇 년 근무를 하니까 전문가가 될 뿐이야...그런데 학교에서 실제로 벌어지는 문제는요.
별의 별일이 많잖아요. 물어볼 때가 없으면 어디에 물어봐? 교육청에 물어보면 본청에 물어보
라, 그러고 본청에 물어보면 학교에서 알아서 하라고 그러고, 대부분이 그렇습니다. 절대로 책
임 안 져요. 보면 문제가 났을 때 처벌만 하려고 그러지 도와주려고 한 게 아니야. 교장선생님
이 법을 압니까? 아닌 말로 경엘닌 있습니까? 그러니까 실제로 그랬죠. 전보 처리되면 어떤
선생님닌 오나? 전교조 아닌가? 골수분자가 우리학교 왔으면 우리 인제 큰일났다. 당연하죠.
그렇게 인제 그렇게 그 사람도 딱지가 붙어 왔지만 괜히 딱지가 붙었겠어? 명확히 아까 나도
배우고 노조원인 너도 배워서 정확한 내용을 갖고서 뭔가 논의가 되지 않은 상태이라면 맨날
싸울 수밖에 없잖아요. 방법로 경잖아요. 심지어는 교장이 자살까지 하는 데가 있는데, 교원노
조 때문에 퇴임하는 분도 이번에 명퇴 낸 분도 내가 알고 있어. 그러니까 실제로 그런 문제가
벌어져요 그러니까 필요하죠. 자문해주고 도와줄 수 있는 전문기구가 필요하죠. 지금 교육청
조직 갖고는 안됩니다. 왜냐 하면, 얼마나 많은 문제들이 발생하는데 사내별로 심지어는 목숨
을 끊을 정도로 심각한 문제 아닙니까? 근데 시간이 지나면 그냥 넘어갈 뿐이에요. 시간이 지
나서 잠잠해지면 그냥 넘어가는 것 뿐이야, 그리고 문제가 생기면 처벌하고 악순환이죠눬 목복
이 되는 거죠... 그 요 시간이전에 경애민에 게 더 , 교다는 거지. 그러려면 전문적인 기관이
필요하죠. 정연구원에서 하지만인 갰기 2박 3일 들어가서 일반적인 법규 알기도 어렵죠...그
런 것들을 전문적으로 상담도 해주고 해결방안도 해주고 거기에서 끝낼게 아니라 조정도 좀
해주고 와서 실제로 도움 줄 수 있는 것은 그거죠. 교육청의 장학사들 장학사들이 뭐 하겠습니
까? 시간 자체가 틀리거든요. 객관적인 입장에서 이쪽 입장도 들어보고 저쪽 입장도 들어보고
모든 것을 조정할 수 있는 전문가들이 필요한 거죠. 상담가라든가 자문사라든가 조정관이라든
가 앞으로 이건 힘이 들 거예요.

라. 면담결과 요약

- 128 -
IV. 단위학교 노동관계의 성과평가 및 학교장 인식조사

교원노조가 단위학교에 미친 영향에 대해서 전현직 교장 명 초등 명 중등 명 고 11 ( 3 , 4 ,

등 명 을 대상으로 면담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대부분의 교장들은 교원노조가 교


4 ) .

사들의 근무조건을 향상시키는데 기여했다고 동의했다 하지만 교사의 지위향상에는 동 .

의하지 않았다 교사들에 대한 사회적 인식이 좋지 않다고 했다 단위학교의 민주화에


. .

대한 교원노조의 기여에 대해서도 긍정적이었다 교원노조는 교장의 독단적 운영으로부 .

터 단위학교의 민주화를 촉진하는 역할을 했다고 인식했다 단위학교 민주화가 단순히 .

교원노조만의 힘에서 비롯된 것이 아니라 년대 후반 이후 우리 사회의 민주화의 영향80

을 받은 것이라는 인식도 컸다 교원노조는 입시비중이 큰 과목 중심의 교육과정 운영


. ,

교장 또는 일부 부장중심의 교육과정계획에서 벗어나 정상적 교과수업과 교사들이 참여


하는 교육과정이라는 개념을 확산시켰다고 했다 하지만 수업지도안 시범학교 공개수업 . , ,

등을 거부하는 등 교육의 내실화에서는 문제가 있다고 했다 .

교원노조가 학교장의 지도력에 어떻게 영향을 주었는가에 대해서는 여러 의견이 제시


되었다 독단적 권위적 학교운영이라는 문제를 해결하려고 하였으나 그것이 지나쳐서
. ,

교장의 학교운영에 대한 지도력을 약화시키고 있다는 인식이 있었다 다른 한편 교원 노 .

조가 소심한 교장들을 위축시키나 능력있는 교장들에게는 보다 정확한 답변을 위해서


,

법적 근거를 찾거나 협상력을 강화하는 등 지도력을 강화시키는데 기여했다는 인식도


,

있었다 또 다른 인식은 교원노조로 인해 교장의 지도력이 약화된 것이 아니라 독단적


. ,

권위주의 리더십에서 구성원의 의견을 잘 수렴하고 협의해 나가는 민주적 리더십으로


그 형태가 바뀌었다는 것이다 교원노조 역시 거친 모습에서 좀 더 성숙한 모습으로 변
.

화하고 있다는 것이 중론이다 그러나 여전히 교원노조는 교장들에게 무시하기 어려운


.

압력단체이자 견제세력으로 인식되고 있었다 .

교원노조가 교육부장관 또는 시도교육감과 체결한 단체협약의 이행과정은 단위학교


에서 획일적인 형태로 나타나지 않았다 단위학교를 구성하는 교원노조 교사들의 수와
.

결집력 그리고 그들의 해석과 요구 교장의 지도력 형태 등이 요소들이 상호작용하면서


, ,

다양하게 구현되었다 방학 중의 당직문제 인사자문위원회의 역할 인사배치 수업지도


. , , ,

안 수준별수업 등이 그러했다 면담대상이 된 교장들은 부당노동행위에 대한 실제 갈등


, .

경험은 많지 않았으나 문제에 대한 인식은 높은 편이었다 특히 교사들에게 교원단체 탈 .

퇴를 권유하면 부당노동행위로 고발될 수 있음을 잘 알고 있었다 .

교원노동관계를 포함하여 학교를 비교적 성공적으로 운영하고 있는 교장들의 학교 운


영 특성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았다 학교재정을 투명하게 운영하는 것이 교사들의 신뢰
.

와 교장의 권위를 인정받을 수 있는 매우 중요한 토대였다 학교경영과정에서 구성원들 .

의 의견수렴과 교육적 명분과 논리를 통한 설득 학생을 위한 교육에 대한 확고한 교육 ,

- 129 -
학교단위의 '新 교원 노사문화' 정착방안 연구

철학과 소신 인화를 위한 노력 기다리고 때로 우회하고 적절한 시기를 선택할 수 있


, , , ,

는 능력 등이 성공적 교장의 중요한 자질들이었다 그 외 교장 리더쉽 연수과정에서 실 .

문관련 직무연수와 협상력 대인관계 능력 노동법 교육 등이 강화되어야 한다고 했다


, , .

단위학교에서 일어나고 있는 다양한 교원노동관계 관련 문제에 대한 자문을 해주는 전


문연구 및 자문기구의 필요성도 제시되었다 .

4. 조사결과 종합 및 논의

설문조사와 면담조사를 통해서 발견된 것은 크게 두 가지로 요약될 수 있다 중앙집 .

권적 단체교섭 체제가 형성한 중앙과 지방의 조합주의적 지배구조 속에서 위축되고 있


지만 여전히 작동하고 있는 단위학교의 자율성 의 모습이 그 하나이며 다른 하나는
< > ,

전교조의 투쟁전략을 배경으로 나타나고 있는 전면적 정복 모델 속에서 중간에 끼어 리


더십 확보를 위해 고군분투하는 단위학교장의 모습이 그 두 번째이다 .

전반적으로 볼 때 교원노조 체제는 교육과정운영 학생지도 학교와 지역사회의 관계 , ,

정립 등 순수한 교육문제 의 해결을 통하여 학교를 이른 바 미래학교 의 모습으로


< > < >

발전시키는 데는 거의 기여하지 못하고 있다 이는 단위학교 현장에서 노동관계의 문제 . ,

와 갈등이 교육문제 가 고려되고 개입될 여지가 없는 노동문제 로 분쟁의제화 되고


< > < >

있으며 노동위원회 관할 사건과 노동문제 측면에서의 규제로 집중되고 있다는 본 보고


서의 앞서 진단과 일치한다 이러한 노동문제화를 통해서 변화된 학교의 모습은 거의 교
.

장의 학교경영행태가 민주화되는 과정으로 나타나고 있다 .

표면상 학교장들은 점점 민주적으로 변화하고 있다 즉 ①교사의 노동권을 존중하고 . ,

근무조건에 대한 배려가 늘고 있으며 ②부당노동행위 규제에 저촉되지 않도록 조심하고


있고 ③교사들의 의견을 물어 의사결정을 하는데 차츰 익숙해지고 있으며 ④학교경영의
투명성과 민주적 리더십을 확보해야 노동관계의 분쟁과 갈등을 피해갈 수 있다는 점을
학습해 가고 있다 .

반면 학교장들은 교육문제 가 해결되지 않고 오히려 악화되고 있음을 고민하고 있


, < >

으며 교육문제를 고민하는 최일선에 서있다 구체적으로 ①교원노조로 인해 교사들은 오 .

히려 사회적 존경을 잃고 지위가 하락하고 있으며 ②교육과정 운영에 있어 교장장학의


형태로 행사되는 교장의 리더십이 어려워졌으며 ③연구학교 수업지도안준비 등 교육내
실화를 위한 체제가 약화되고 있다고 보는 것이다 .

학교장들의 입장에서 교원노조 체제의 도입에 따른 직접적 변화는 ①단위학교 분회장

- 130 -
IV. 단위학교 노동관계의 성과평가 및 학교장 인식조사

과 분회원 조합원 이 교장의 고민거리인 상대로 부상하게 된 것과 ②조문화된 문서로서


( )

<단체협약 이 학교 현장에 출현한 것 ③부당노동행위를 이유로 비난 받을 가능성에 직


>

면하게 된 것의 가지이다 3 .

단위학교 노동조합분회의 효과
교장들은 단위학교분회의 존재를 마음속에서 애써 지우려 하고 있다 교원노동조합법 .

이 단위학교 노동조합을 인정하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장관 노동조합 교육감 노 . - -

동조합 사이에 체결 된 단체협약은 학교단위 노동조합의 활동을 전폭적으로 보장하고


있으며 이를 무시하고 행동하면 부당노동행위로 고발될 가능성이 높다 또한 현실적으로 .

교육감이 선거에 의해 선출되는 상황에서 교육감이 전교조를 무시할 수 없다는 것을 학


교장은 가장 잘 알고 있다 학교의 분회장과 조합원은 전교조의 배경을 등에 업고 있다
. .

그에 비해 교장인 자신을 뒷받침 해줄 조직과 힘은 과연 누구인지 알 수 없다 초등 교 .

장들은 각 지방의 교대 동창회가 유일한 배경이다 동창회를 통해 이들과 맞서는 방법이 .

있다 반면 중등학교 교장들은 믿을 수 있는 조직 배경이 없다 전교조를 등에 업고 있


. .

는 학교노동조합 분회장과 조합원들 앞에서 믿을 수 있는 유일한 힘은 자신의 철학과


논리뿐이다 설문조사와 면담조사를 통해 나타난 학교장들의 인식과 상황판단의 핵심이
.

여기에 바로 여기에 있다 .

단체협약의 효과: 관료제화 촉진, 학교자율성 약화 , 교장리더십 약화


단체협약은 법률상 정해진 효력을 초과하는 일반적 효력의 과잉 현상을 나타내고 < >

있으며 이것이 단위학교에서의 분쟁과 도덕적 해이의 원인이 되고 있다 노동부의 법령 .

해석이 명시한 것처럼 단체협약은 개별 학교 조합원이 소수인 상황에서 일반적 효력을


가질 수 없지만 사용자인 교육행정당국이 소수 집단과 체결한 단체협약을 모든 학교에
전면적 일반적으로 시행 하는 것은 전혀의 불법이 아니다 결국 교원단체협약은 교육행 .

정당국이 소수집단과 협상결과를 보편적으로 시행하는 것이다 이러한 일반적 효력의 과 .

잉은 비노조원인 다수 단체협약 에 따른 도덕적 해이의 원인이 되고 있다 이


Free Riding .

들은 조합에 가입하지 않으면서 잠재적인 교원노조 지지자로 행동한다 .

다른 한편으로 단체협약은 노동법이 규정하는 효력을 크게 초과하는 사실상의 영향력을


가지고 있다 :

-교장들은 법규에는 못 미치지만 교육청의 훈령과 지침과 동일한 구속적 규범으로서


,

단체협약을 받아들이고 있다 또한 . ,

-단체협약은 그 이행의 과정과 실적보고를 중심으로 과도한 레드테이프와 잡무 증가의

- 131 -
학교단위의 '新 교원 노사문화' 정착방안 연구

원인이 되고 있다 .

- 단체협약은 이상과 같은 메커니즘을 거쳐 기왕에 학교단위에서 작동해온 불문의 규칙


과 관습규범 에를 들어 수업지도안 작성 주번제 교사들의 정례적 공개수업 관행 을
( , , , )

구축하고 있으며 이러한 규범 충돌이 단위학교에서의 분쟁 원인이 되고 있다 .

부당노동행위제도의 영향
부당노동행위 제도는 단위학교에서 교원노조의 학교경영진을 대상으로 하는 투쟁의
< >

주요 수단이며 그 결과 이를 기반으로 학교경영진 단위학교노조분회간 사실상 의 교


, - < >

섭 및 협상 테이블이 형성되고 있다 이러한 교섭에서 교장들은 대체로 무력하다 학교


. .

장 자격연수를 이수중인 교감들의 절반이 부당노동행위의 혐의로 고생하는 학교관리자


를 경험하고 있다 그리고 대부분의 교장들이 이미 부당노동행위로 지목되는 행위를 조
.

심하고 있다 각종 노동법 관련 연수와 실제 경험을 통하여 부당노동행위 고발이 교장에


.

대항하는 노동조합의 가장 큰 무기인 점을 이미 익히 알고 있는 것이다 .

교원노동관계 속에서 학교장의 지위와 자율성


교장의 지위는 이중적이라는 점을 이미 교장들은 알고 있다 ①법률상의 교원 으로 : < >

서 초중등교육법규에 의해 직접 수권된 권한의 행사자로서의 교장 ②행정권한 위임에


관한 규정들에 의하여 교육감 교육장으로부터 수임된 행정권한의 행사자로서의 교장
, .

이 때 분쟁의 원인이 되는 부당노동행위의 주체로서 학교장의 지위는 전자의 지위에 기


인한 것이라기보다는 후자의 지위에 기인한 경우가 대부분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 . ,

용자를 대리하는 교장의 지위가 아닌 법규에 의해서 수임된 행정권한의 행사자로서의


교장의 지위가 교원노동조합에 의하여 지속 도전 받으며 약화되어 가고 있다 그 결과 .

교육 고유의 문제에 관한 교장 법규상 지위도 함께 추락하고 있다 그 대표적인 분야가 .

교장장학 영역이다 학교장은 교육문제에 관한 리더십의 추락을 가장 걱정하고 있다


. .

- 132 -
IV. 단위학교 노동관계의 성과평가 및 학교장 인식조사

구체적으로 ,

-단체협약의 양 당사자 구도가 강화되면서 실질적으로는 중간자인 학교장의 지위가


실종될 수밖에 없으며 이는 단체협약의 이행 과정 부당노동행위를 둘러싼
squiz out, ,

경영 노동 간의 투쟁 과정에서 더욱 현실화되고 있다
- .

-이 상황에서 ①학교장들은 역량부족에 따른 무력감 ②법적으로 보장된 교장지위의 힘에 ,

의한 박탈감을 느끼고 있으며 이는 전반적인 교장집단의 사기저하로 이어지고 있음 .

교육과정 운용 집행 과정의 혼란
원래 교장 교감 교사의 지위와 직무는 근로계약 또는 취업규칙과 같은 노동관계 내부
규범에 의하여 정해지는 것이 아니라 의사 변호사와 마찬가지로 법률 초․중등교육법 에 ( )

의하여 정해지는 것이다 현행 초중등교육법상 교장과 교사의 관계는 대등하다 교사는


. .

법률에 따라 교육을 하는 지위를 가지고 있으며 교장은 학교를 통할하며 교육에 임


“ ” “ ”

한다 과거의 교육법이 교사는 교장의 명에 따라 학생을 교육한다고 규정하는 것과는


. “ ”

전면적으로 법규상의 교장 교사 관계가 바뀐 것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근로계약과 단체 .

협약 등 사용자 근로자간 계약에 의한 법률관계가 도입이 되면서 노동관계 규범과 교


-

육법규 양자 간의 관계가 극히 불명료하여 단위학교 교육에 있어서 교장 교감 교사의 역 - -

할과 지위에 극도의 혼란이 초래 되고 있다 학교장 들은 이러한 곤란의 최일선에서 혼 .

란에 직면하고 있다 .

단위학교의 자율성 =학교장의 자율 역량


사실 교원노조법과 교원단체협약체제 하의 학교장의 지위와 리더십은 교장에 따라 천
,

차만별의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 조사를 통하여 자주 제기되는 제안과 응답이 유능하며 .

리더십 있는 교장은 교원노동조합체제 도입 이후에도 단위학교 교원 노동관계의 어려움


을 능히 헤쳐 나가고 있으며 결국에는 교장의 태도 자세 역량 등 개인적 요소가 중요
“ ”

하다는 논의이다 교육학자들의 결론이 통상 이렇게 흐르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개인행


. .

동 차원의 요인이 가진 무한한 다양성을 놓고 본 연구의 결론을 검


(individual behavior)

토할 수는 없다 제도 개인 간의 상호 관계 속에서 이러한 주장은 제도를 무시하고 개인


. -

의 속성으로 모든 것을 환원하는 개인적 환원주의로 귀결되게 되며 이러한 입장에 서면


모든 제도 연구와 정책연구는 무용지물이 되게 된다 .

연구조사를 통해 나타난 학교장들의 자율적 노력과 역량을 뒷받침해주는 제도와 정책


이 본 연구가 목적하는 핵심적 과제이다 학교장들의 자율적 노력과 역량을 뒷받침해주 .

- 133 -
학교단위의 '新 교원 노사문화' 정착방안 연구

는 교육법제 노동법제 그리고 노사 양측의 전략으로 형성되는 우리나라 교원 노동관계


의 시스템에 의하여 이러한 자율성이 발휘될 입지가 계속 축소되고 있다는 것이 본 연
구조사의 중요한 발견이다 그 원인은 단위학교의 자율성 그리고 사용자도 아니며 노동
.

자도 아닌 학교장의 고유한 지위를 무시하고 산별노조 체제를 지향하고 선도한 교원노


동법제와 교원노사 양측의 노동관계 전략에 있다 이러한 현상의 근본 원인은 노사 양측
.

이 중앙집권과 중앙통제를 지향하면서 현장의 무한한 다양성과 자율성을 위축시키는 방


향으로 교원노동관계를 이끌어 온데 있다 .

- 134 -
V. 단위학교노사관계 종합진단 및 전망

Ⅴ. 단위학교노동관계 종합진단 및 전망

지금까지 교원노동관계를 구성하는 노사 양측의 전략분석 단위학교 교원노동관계의 분 ,

쟁사례 분석 학교장들을 대상으로 하는 설문과 면담 조사를 통하여 확인된 단위학교의


,

교장 교사 간의 관계의 중요한 사실이 있다면 ①산별노동관계에서의 상급수준 노사양측


-

의 전략과는 별개의 고유한 영역을 갖는다는 것 이 영역은 ②기존의 노동법제나 노동관 ,

계 당국 중심의 노사간 분쟁해결 장치를 통해서 해결될 수 없는 문제로 구성된다는 것 ,

③교장들이 교사들과의 관계에서 진정 씨름하고 있는 문제는 교육의 내용과 교육의 방


법 등 단위학교에서의 교육과정 운용 문제를 중심으로 한다는 것의 셋으로 요약된다 이 .

부분을 우리는 단위학교의 자율영역으로 부를 수 있다 기존의 전국 또는 지방수준의 교 .

원노동관계가 조합주의적 모델 양상으로 흐르던 노사 상호간 정복과 투쟁의 양상으로 ,

흐르던 이들이 단위학교에 미치는 영향은 교장과 교사의 협력을 통해 이루어지는 단위


학교의 자율역량에 의하여 크게 달라지며 교원노동관계의 발전은 이러한 영역의 보장과
보호를 전제로 해야 한다 이러한 본 연구의 확인 결과는 자율화되고 분권화된 작업현장
.

의 혁신을 최우선시하는 방향으로 진화하는 선진국에서의 전반적인 노동조합운동의 이


념과 실제가 우리나라 교육노동관계에서도 그 발전 방향이라는 점을 다시 한 번 확인
해 준다 본 장에서는 이러한 관점에서 작업현장 중심의 혁신을 지향하는 세기 노동조
. 21

합운동의 흐름 방향을 구체적으로 소개하고 우리나라 교원노동관계의 현 상황을 이러한 ,

흐름 속에서 진단하며 이를 토대로 단위학교 노동관계 발전을 위한 구체적 방향을 논의


,

하고자 한다 .

1. 외국의 교원노동관계 추세

년 후반 이후 최근까지 외국의 입법 및 교원단체교섭동향은 학부모 권익 보호 중


1980

심으로 전환되고 있다 년대 들어 각국에서 공히 전문직주의가 다시 부활되면서 한


. 1990

동안 교직에 깊은 영향을 끼쳐온 산업주의적 노동조합주의는 급격히 힘을 잃어 가고 있


다 이에 따라 다음의 열거 사레에서 보듯 교원노동조합의 노선이나 활동 또한 크게 변
.

하고 있다 .

○ 년 영국 교원단체교섭제도를 폐지하고 교원 근로조건과 보수를 법정토록 함


1987

년 이후 교원평가 관련 사회적교섭 도입
-1991

○ British 사례 분쟁을 양산하는 전통적 교섭방식에서 학부모 전문


Columbia Canada :

가가 참여하는 과 사실조사관
Expert 에 조정을 위임하고 이
Commission (fact finder) -

- 135 -
학교단위의 '新 교원 노사문화' 정착방안 연구

해관련 집단들의 의견 청취하여 권고안 제시 조정 중재 등 관행 보급발전 - ADR

○ 코네티컷 주 교원단체교섭 의제로 교사평가 를 의무화 < > : 1989

○ 행정계약법 사회계약법 , 등 정부가 당사자가 되는 계


(social contract act-1993 ontario)

약에 관한 상위 일반법에 의한 절차적 규율 증가 .

계약에 의한 행정
( 의 보급에 따른 현상
-administration by contract )

외국의 교원노동관계의 추세를 좀 더 상세히 이해하려면 노동법제 및 교육노동권의 ,

보장에 대한 비교를 통해서 유형을 인식할 필요가 있다 우선 대부분의 국가에서 근로 . , 3

권과 유사한 권리를 헌법과 법률로 보장하고 있지만 우리나라와 같이 헌법에서 노동 권 3

을 규정하고 있는 나라는 일본 이태리 등 소수이며 각국의 보장형태는 다양하다 미국의 .

경우는 헌법에서 결사의 자유만 규정되어 있을 뿐이고 근로 권은 법률차원에서 보장하 3

고 있다 독일과 영국에서는 기본법상으로 단결권이 결사의 자유와는 별도로 보장되어


.

있지만 우리와 같이 근로 권이 병렬적으로 규정되어 있는 것은 아니며 단결권도 사용자


3 ,

를 포함하는 국민일반의 기본권으로서 규정하고 있다 다만 프랑스 제 공화국 헌법 전 . , 4

문에서 「모든 근로자는 그 대표를 통하여 근로조건의 단체적 결정 및 기업의 관리에


참가 한다」는 권리를 제 항에서 인정하고 있다8 .

<표 23> 선진국의 노동법제

유럽(영국포함) 미주 한국
교원노동조합
결사의 자유권 주정부 교육특별법 노동조합특별법
결성 근거
사회적 교섭 중앙정부-교육감
단체교섭 방식 학교구별 단체교섭
또는 노조와의 단체 교섭 단위교섭
불인정
노사단체협약 학교구별 단체협약 전국-시도 단체협약
(사회협약 허용)
단결권-단체교섭권 인정,
가장 강력한 national
결사의 자유만 (단결권과 그러나 최일선
level
비고 구별 불능) 학교구단위로 분권화
노동권 보장, 반면
인정되며 국가중심 법형식은 교육특별법,
교육권 가장 무시
행정계약법 등 다양

선진국은 결사의 자유에 입각하여 결성 자유설립주의 된 단체의 실질에 따라 노동조합


( )

으로 인정하고 단체교섭에 참여하는 실질주의를 채택하나 한국은 노동관계법에 의해 설 ,

립되어 신고된 것만 노동조합으로 인정하는 형식주의이다 국제비교 측면에서 볼 때 .

년대에 보급된 미국교원노조 방식이 산별노조의 중앙집권을 벗어나 학교구별로


1960-70

- 136 -
V. 단위학교노사관계 종합진단 및 전망

철저히 분권화된 형태로나마 가장 노동관계법에 근사한 단체교섭 단체협약 체제였다 - .

<표 24> 선진국의 교원노동권 보장 방식

노동조합결성 단체교섭 협약 단체행동


대체로 헌법상 결사의 계약의 자유 또는 집회시위의 자유 또는
선진국
자유권에 직접근거 별도 노동관계법률 별도 노동관계법률

결사의 자유와 별개로


한국 별도 노동관계법률 별도 노동관계법률
헌법조문-노동법

한국의 교원노조 교원노동관계는 가장 부실했던 년 체제로부터 미국의 경우보다 1980

강화된 노동권 중심 체제로 앞서나감으로써 사실상 교원노조의 영향력이 가장 강력한


나라가 되었다 그 원인은 여러 가지로 찾아볼 수 있으나 국제동향에 무지한 상태에서
. ,

노동계 목소리 만에 의하여 교원노동조합체제로 출범한 년도의 입법에서 찾아볼 수 1998

있다 특히
. 호 결사의 자유 호 규약 단체교섭권 의 해석 잘못이 그 원인이다
ILO 87 ( ) 98 ( ) .

그 결과 년의 우리나라 교원노동조합법은 세계에 유례없이 학부모 학생의 교육권이


1998

교원노동권에 의해 소외되는 입법이 되었다 .

한편 년 후반 이후 입법 및 교섭동향은 학부모 권익 중심이었다 년 영국은


, 1980 . 1987

교원단체교섭제도를 폐지하고 교원 근로조건과 보수를 법정토록 했다 그리하여 년 . 1991

이후 교원평가와 관련한 사회적 교섭을 도입하였다 또한 사 . , British Columbia Canada

례에서 보듯이 분쟁을 양산하는 전통적 교섭방식에서 학부모 전문가가 참여하는 전문가
위원회 (Expert과 사실조사관 에 조정을 위임하고 이해관련 집단
Commission) (fact finder) -

들의 의견 청취하여 권고안 제시 조정 중재 등 대안적 분쟁조정 - (ADR: Alternative

Dispute 관행을 보급 발전하고 있다 이하에서는 해외의 교원노동관계의 동


Resolution) .

향을 유형별로 살펴본다 .39)

가. 유럽의 직종별 노조주의(Trade Unionism)


유럽에서는 노동조합이 노동조합이기 이전에 중세에 까지 그 뿌리가 거슬러 올라가는
직종별 단체로서의 오랜 역사적 전통을 지니고 있었다 이에 더하여 근대 이후 사회주의 .

의 대두에 따라 정치 사회 발전에 일정한 기능을 수행하면서 자리를 잡은 것이 오늘날


-

의 노동조합이다 이러한 노동조합을 산업별 노동조합을 중심으로 산업관계


. (Industrial

39) 이에 관하여 상세는 정기오․김태기(1999), 학교를 위한 협상론, 한국교원대학교 출판부.를 참고.

- 137 -
학교단위의 '新 교원 노사문화' 정착방안 연구

에 치중하는 미국의 노동조합과 구별하여 직종별 노동조합


Relations) 으로 (Trade Unions)

지칭한다 구체적으로 유럽의 노동조합은 북미의 노동조합처럼 단체교섭과 단체협약 체


. ,

결에 활동이 집중되기보다는 다음과 같은 복합적 기능과 특징을 지닌다 .

① 노동시장의 일부로서의 기능 임금 노동시장의 수요와 공급 실업 생산성 및 분배 : , , , ,

근로자 교육훈련의 문제에 직접 이해관계를 가지고 역할


② 사회운동의 한 영역으로서 노동운동 노동자들을 사회의 속박으로부터 해방시키고 :

그들의 사회적 지위를 향상시키기 위한 조직


예 보통 선거권의 획득 등 정치적 민주주의를 확대 의료보험 실업보험 연금제도 등
) , , ,

사회보장 제도의 구축과 운영에의 참여 정치활동 정당 결성 영국 호주 등 이나 정당과 , : ( , )

의 조직적 연대 공교육제도의 확립 평등교육의 확대 등


, ,

③ 이해 집단으로서 기능 이해 집단으로서 회원의 이해를 보장하기 위해 정부나 국회


:

및 각종 관련단체 등에 압력을 행사하여 스스로의 권익을 지켜나감 노동조합 뿐만 아 (

니라 사용자 조직 소비자 운동 환경 운동 조직 등에서도 발견할 수 있는 가장 일반적


, ,

기능임 )

따라서 유럽에서는 교원노동조합도 직종별 노조의 특징과 기능을 대체로 공유하고 있


으며 활동도 교원단체교섭에 집중하기보다 직종단체로서 광범한 활동에 확대되어 있다 .

<유럽교원노조의 사례1: 영국의 NUT(National Union of Teachers)>


영국의 교육은 세기 이전까지는 국가의 개입 없이 주로 종교 단체가 설립한 자선
19

학교 에 의해 이루어져 왔다 당시의 자선 학교는 주로 경제적 여유가 없


(charity schools) .

어 학교에 다니지 못하는 노동자들의 자녀들을 대상으로 하였는데 학교에서 가르치는 ,

교육 내용은 읽기 쓰기 수학 등 가장 기본적 과목과 종교 교육이 주를 이루었다 학생


, , .

들을 가르치는 교사는 아무런 교사 양성 과정이나 자격제도도 없이 읽기와 쓰기 등에


가장 초보적인 기능만 가진 사람이면 누구나 채용될 수 있었다 따라서 교사의 신분은 .

대단히 낮고 보수도 열악하여 주로 반숙련 직인이나 점원 집안 살림을 담당하는 하인 , ,

등 하층 계급 출신들이 교사로 진출하였다 학생과 학부모들은 자신들과 같은 계층 출신 .

으로 별다른 능력도 소지하지 않았던 교사들을 신뢰하지 않았고 자연히 교사로 진출하
고자 하는 사람도 많지 않았다 그러나 세기 초가 되면서 교육에 대한 요구는 증대하
. 19

고 교사 채용에는 계속적으로 어려움을 겪게 되자 곳곳에서 자발적인 교사 양성 기관들


이 생기기 시작했다 이즈음 노동자 계급을 중심으로 무상 의무 교육 실시에 대한 요구
. /

가 증대하게 되고 교육에 대한 정부의 역할이 새롭게 부각되면서 정부로서도 더 이상

- 138 -
V. 단위학교노사관계 종합진단 및 전망

국민들의 교육적 요구를 외면할 수 없었다 이에 따라 정부는 교사 양성 기관에 입학하 .

는 학생들에게 재정적 도움을 주기 시작했으며 이것이 정부가 최초로 일반 국민들의 교 ,

육에 관여하는 계기가 되었다 당시 귀족계급과 중산층에서는 자신들의 세금으로 노동자


.

들의 자녀들을 교육시키는 데에 대한 반대가 만만치 않았다 그러나 노동자 계층의 팽배 .

해진 계급적 불만을 부분적으로나마 해소하고 최소한의 문자식별 능력을 갖춘 노동력을


요구하는 신흥 자본가들의 요구로 정부의 교육에 대한 지원은 확대된다 정부는 교육에 .

대한 지원과 함께 교사 자격제도의 신설 교사와 예비 교사에 대한 정부 보조금 지급 , ,

보조금 지급 학교에 대한 정기 감사 실시 교육 과정 편성 등 교육에 대한 개입을 적극 ,

적으로 확대해 나간다 교사 양성 기관의 설치와 교사 자격제도의 신설은 교직에 대해


.

최초로 기준을 정했다는 측면에서 의의가 있을 뿐만 아니라 자격을 갖춘 교사들 사이에 ,

서 교직에 대한 동료 의식과 연대감을 확산시키는 중요한 계기가 된다 이러한 교사들의 .

직업 의식의 성장과 연대감의 확산은 이후 교원노조를 결성하는 데에 결정적 역할을 하


게 된다 교사들은 차츰 지역별로 모임을 결성해 나가고 교육에 대한 종교 기관과 정부
. ,

의 통제에 대한 자신들의 입장을 분명히 밝히기 시작한다 당시 교사들은 보통교육 초등 . (

교육 에 대해서는 정부의 책임 하에 무상 의무 교육이 실시되어야 하고 교사들은 당연


) / ,

히 정부의 공무원으로 채용되어 사회적으로나 경제적으로 신분이 보장되어야 한다고 주


장해 왔다 그런데 정부는 교사들의 이러한 요구를 외면하고 년 학교의 실질적인 고
. 1852

용주인 성직자들에게 교원의 고용과 관련되어 전권을 행사할 수 있는 각서를 발표하게


된다 정부의 이러한 조치는 교사들의 신분에 치명적인 영향을 미치게 되고 스스로의
. ,

지위에 대해 위협을 느끼게 된 교사들은 지역별 차원을 넘어 전국 단위로 모임을 확산


해 나가게 된다 이러한 노력의 결과 년 지역별 교사협회가 모여 전국 단위에서 교
. 1870

원노조를 결성하게 되는데 그것이 지금의 영국교원노조 이다 현재 영국노조회의


, (NUT) .

에 가입해 있다
(TUC) .

<유럽교원노조의 사례2: 프랑스의 교원노동조합 활동>


프랑스는 우리나라처럼 공교육을 담당하는 모든 교사가 국가 공무원 신분이고 강력한
중앙집권적 체제를 가지고 있어 프랑스의 교원노동관계는 우리나라 교원 노동관계에 많 ,

은 시사점을 줄 수 있다 오랜 직종별조합주의 전통에 따라 교사단체가 자연스럽게 직종


.

별노동조합으로서 성립되어 단체교섭보다는 자율권을 가진 결사체로서 국가로부터 자유


,

로운 더 나아가 정부와 강한 대치 관계에 놓이는 직종단체 활동


(freedom of association)

에 치중하고 있다 .

그러나 프랑스의 교원노동조합은 원칙적으로 단체교섭을 통한 포괄적인 임금협약 단 ,

체협약을 체결하지 않으며 우리나라와 같이 정부측의 부당한 교섭거부가 부당노동행위

- 139 -
학교단위의 '新 교원 노사문화' 정착방안 연구

가 되는 단체교섭권도 가지고 있지 않다 다만 소수 존재하는 사립학교 거의 카톨릭 계 . , ( )

의 경우 이들 학교의 운영자인 카톨릭 측과 이들 학교 교직원 노조들의 연합체간에 민


간 기업과 똑 같이 단체 교섭을 하고 단체 협약을 체결한다 .

그 결과 프랑스의 교사노동조합은 조직화된 일반 시민단체와 마찬가지로 집회 정부기 ,

관 방문 협의 홍보 회원교육연수 정부와의 정책협의 활동에 주로 치중하며 때때로 집


, , , ,

단행동 역시 가능하다 이러한 집단행동은 포괄적인 집단행동 금지 규정이 없는 상황에


. ,

서 법적으로는 헌법상 보장된 집단행동의 범위 내에서 개별적으로 그 합법성을 평가받


,

는다 이러한 프랑스 교원노조의 집단행동은 우리나라에서처럼 노동 권의 하나로서 파업


. 3

태업 등 포괄적인 집단행동권의 금지 또는 보장으로 분명하게 선이 그어지는 집단행동


권의 행사라기보다는 집회 시위와 같은 시민적 집단적 의사표현권 행사로 규정되는 것
이다 .

종합적으로 프랑스의 교원노조는 단체협약 체결과 이를 위한 단체교섭이 조직의 목적


이 아니라 시민적 사회적 결사체로서 소속 교사의 권익을 옹호하며 정책에 자신들의 의
견을 반영한다 이를 위해 정부와 교섭을 하지만 이러한 교섭은 민간 기업에서와 같은
.

노동법상의 단체교섭이 아니라 정책결정에 관련된 제 사회단체간의 합의에 의해 정책을


결정하는 프랑스식 사회적 파트너십 의 차원에서 이루어지는 활동이다 (contract social) .

결론적으로 프랑스에는 교원 노조와 정부간에 개별적인 정책 이슈에 대한 협의와 그


결과인 합의는 있어도 포괄적인 임금협약이나 단체 협약은 존재하지 않는다 국민을 대 .

표하는 정부가 정책사안을 놓고 교원노조만을 상대로 하는 쌍무적인 협약 관계에 놓이


는 것을 프랑스인들의 법 관념이 용납하지 않기 때문이다 .

<유럽교원노조의 사례3: 독일의 교원노동조합>


독일의 교육체제는 일반적인 교과를 가르치는 학제형태로서 초등학교 그룬트슐레 직 ( ),

업학교 하우프트슐레 중간학교 레알슐레 특수학교 및 김나지움이 있고 부분 혹은 전


( ), ( ), ,

체적인 형태의 직업학제가 있다 학교감독관청은 주 마다 다르지만 대체적으로 주 전역


. ,

에 걸쳐 산재되어 있는 국립 교육청이 하위 학교감독관청으로서 그리고 주 문교부가 상 ,

위 학교감독관청으로서 존재하고 있다 독일에서는 국․공립학교 교원은 걸쳐이고 사 . ,

립학교 교원은 일반사무직근로자에 속한다 다만 사립보다는 국공립 교원이 약 정 . , 90%

도이며 특히 국립학교 교원 중 일반사무직근로자의 비율은 미만이다


, 10% .

기본적으로 독일에는 개의 대규모 교원노동조합이 있다 하나는 교학 敎學 노조


2 . ( ) (GEW:

이고 다른 하나는 독일 공무원연맹과 연결된 교


Gewerkschaft, Erziehung, Wissenschaft) ,

원단체들이다 교원단체의 권리는 개별 주마다 다른데 헤센주의 경우 주 공무원법


. , 108

조에 의거하여 공무원들은 기본법 조에서 헌법에 따라 명명된 단결의 자유를 근거로


( 9 )

- 140 -
V. 단위학교노사관계 종합진단 및 전망

노조나 직장단체를 결성할 수 있는 권리가 있다 여기에는 교섭권에 관한 내용도 담겨 .

있다 공무원법에는 공무원의 쟁의권에 관한 규정이 없다 또한 한국과 달리 교원노조의


. .

단결권 보장에 대한 제한은 없고 즉 교직 공무원급에서의 노조단결권에 대한 간섭은


, ,

없다 독일은 산별노조를 택하고 있기 때문에 교원노조의 단체교섭권이 없으며 중앙노


. ,

조연맹체의 관여권과 지역별 직원협의회의 관여권만 있다 단체교섭의 대상은 노동조건 .

이나 임금의 문제 혹은 교원복지 등이고 이는 고용관계에 있는 교원을 대상으로 한다


, , .

교육정책 문제는 별개의 문제이다 공무원신분이 교원들에겐 단체행동권이 주어져 있지


.

않으며 노조활동에 근거한 수업결손은 없다 어떠한 공무원도 노조활동이나 직장단체


, .

활동으로 인해 공무상 특혜를 받는다거나 공무에 해를 끼쳐선 안 된다 또한 계속적으 , . ,

로 이슈화되고 있는 교원노조의 요구사항으로는 수업일수 단축 노동시간 단축 소규모 , ,

학급편성 한 학급당 학생수를 감축하는 것 매체설비의 개선 급료인상 등이다


( ), , .

나. 북미권의 전문직주의(Professionalism)와 전문직노동조합


년 결성된 미국
1820 의 첫 년간은 교원들 뿐
NEA(National Education Association) 100

아니라 교감 교장 교육감들도 가입된 전문직 단체


, , 로서 학 ' ' (Professional Organization)

교생활의 연장인 교원․행정직원의 친목 단체의 성격이었다 그러나 세기 초에 들어 ' ' . 20

와서 교원들도 이제까지의 전문직 단체로서의 한계를 느끼고 교장․교육감 등 행정 직


,

원을 축출한 교원만의 단체로서 의 체질개선 운동이 일어나게 되었다 이러한 운동


NEA .

이 교장․교육감들의 반발로 좌절되자 이를 주도했던 계층은 년 를 탈퇴하였 , 1919 NEA

고 교원들로만 구성된
, 를 창설하였다 이것이 미
AFT(American Federation of Teachers) .

국 교원노조 운동의 시작이었다 이에 자극받아 도 교장․교육감 등 행정 직원을


. NEA

축출하고 흑인 교원단체들과 통합하여 민권운동에도 참여하게 되었다 그 이후에 대학


, .

교수들을 조직하여 명실공히 교원․교수만의 단체로 발전하며 단체협상을 시작한 것은 ,

그 뒤 년 가까이 지난 년대 후반이었다
50 1960 40)
.

한편 년대에 교원단체교섭의 입법화 운동이 시작되어 각 주 별로 단체교섭을 교


, 1960

원의 신분과 복무에 관한 주 정부 특별법 형태로 도입하기 시작하였다 미국 근로자의 .

노동권과 노동조합의 단체교섭권이 연방노동법에 근거한 제도인데 반해 교원단체교섭은


주 정부의 법률에 의한 것인 점에서 일반 노동조합의 단체교섭과 성격이 다르다 주 정 .

부의 법률에 의한 단체교섭의 이론적 근거는 집합적 전문직론 (Collective

으로서 집합적 전문직론은 리버만


Professionalism) , 이 그의 저서 전문직으로 (Lieberman)

40) 한국에서의 교육전문직 단체인 한국교총은 NEA와 같은 조직 형태로 출발하였으나, 90년대에 들어 노동운동
의 전반적인 발전 그리고 전교조 활동 등의 영향으로 정부와 단체교섭의 필요성을 느끼게 되어 '교원지위향
상을 위한 특별법' 제정을 요구하게 되는데, 정부에서도 교원노조의 태동을 견제하기 위한 방안의 하나로 한
국교총에게 부분적인 단체협상권을 부여하게 됨.

- 141 -
학교단위의 '新 교원 노사문화' 정착방안 연구

서의 교육 (Education 을 통해 정립한 이론이다 즉 교사는 전문직


as a Profession, 1959) .

의 의미로서의 의사 변호사 목사 등과 같은 전문직이어야 한다 그러나 교사의 경우는 .

이들 기성 전문직과는 달리 교사를 고용하고 있는 교육관료제에 의해 그 전문직화가 방


해를 받고 있다 그러므로 교육관료제를 극복하지 않으면 교사의 전문직화는 불가능하다
.

고 판단하고 이를 위한 전략적 수단으로 교원단체교섭체제를 통해 관료제를 견제하고


교사의 전문직화를 추구해야한다는 이론이다 이는 최근 년 이상 미국 의 공식적 . 30 NEA

이념이 되어 왔다 .

그러나 리버맨은 년에 내가 품었던 알


, 1978 이라는 논문을 통
‘ (Eggs That I Hatched)’

해 교원의 단체교섭제도를 주장 및 이론화하고 이의 입법화에 헌신한 것은 자신의 결정


,

적인 실수라고 고백하고 교원노조와 교원단체교섭제도의 가장 강한 반대자로 변신하였


다 이러한 단체교섭제도가 미국 교육에 남긴 영향은 오늘날 대체로 부정적인 것으로 인
.

식되며 다음의 세 가지로 크게 요약될 수 있다 .

① 단체교섭에 의한 협약이 관료제적 규칙과 같은 기능을 하게되어 그 집행을 위해


많은 레드테이프를 초래하고 그 결과 학교 일상과정의 관료제화를 급격히 촉진시
켰다 .

② 협약의 적용 범위가 확대됨에 따라 또 단체교섭에서의 교섭력 강화 필요성에 의해


학교구의 통합 대형화가 빠르게 진행되었고 교육행정의 집권화가 크게 진행되었다 .

③ 선거에 의해 선출되는 교육장들이 단체교섭에서 선거를 의식하여 양보를 거듭함으


로써 교육정책결정이 교원노조 중심으로 편향되어 교육정책의 공공성이 훼손되었
다 그 결과 캘리포니아 시카고 등을 시작으로 년 대 교육세 납세거부와 학교
. 1980

폐쇄로 이어지는 학부모의 저항을 불러 일으켰다 .

다. 새로운 교원노동운동(New Unionism)


후기 산업사회에서의 부가가치 높은 제품과 서비스의 생산은 더 이상 과거의 지배적
방식을 따르지 않는다 기계화된 생산공정과 단순노동도 아니고 독점적 지식과 면허로
. ,

뒷받침되는 전문직 서비스도 아니며 동종의 작업을 하는 기능인 들의 단결을 , (craftsman)

통해 제도화된 생산작업도 아니다 새로운 생산 방식은 수요자의 만족을 직접적 목표로


.

기예적인 작업과정을 지향한다 산업사회를 지배하던 과정중심주의 . 는 (process-emphasis)

결과적으로 공급자의 전횡을 불러 왔다 산업사회에서 생산과 서비스의 과정은 갈수록 .

복잡해지고 불투명해졌을 뿐 아니라 나중에는 과정을 위한 과정으로 타락하는 경향이


생겨났다 특히 과학과 기술 사회서비스 부문에서 이러한 경향이 짙어졌으며 이른 바 화
.

이트 칼라노동조합은 이러한 시대적 기반 위에서 번성하였다 .

- 142 -
V. 단위학교노사관계 종합진단 및 전망

<표 25> 작업조직 성격과 통제의 변화(Kerchner & Mitchel,1988)

산업적 조직 직종별 조직 전문직 조직 기예조직


작업의 성격
industrial craft professional arts

노동조합의 자격제도의 작업성과의


경영자와 협상 조직의 유지 강화
중점 노선 유지 관리 질 관리

작업정의요소 근로조건 과업(task) 정부정책 생산물 전달

조합의 통제 고용조건 길드유지 고객과의 관계 구체적 일(jobs)

조합원 자격 고용계약 도제계약 시험과 면허 솜씨의 인증

작업 주도권
경영자세력제한 자율성제고 높은 사회적 지위 생산물에의 권리
확보 방법

그러나 이러한 과정중심주의의 불투명성은 소비자와 고객의 불만을 야기시켰고 이에 ,

따라 성과 를 중요시하는 고객우선주의 인간중심주의가 공공부문 민간 부


(performance)

문을 막론하고 생산과 서비스의 현장을 지배하게 되었다 이러한 변화는 노동조합의 존 .

재방식과 활동내용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년대 후반 이후 전 세계적인 . 1980

노동운동의 퇴조는 새로운 변화에 적응하지 못하고 과거와 같은 행동양식을 고집하는


노동조합의 리더십 부족에 기인하는 것이다 산업사회에서 후기 산업사회에 걸친 작업조 .

직과 사회적 통제의 방식 변화는 상기의 도표와 같이 요약된다 .

한편 단체교섭과 단체협약 중심의 미국 교원노조운동은 학부모들의 저항과 함께 교육


,

개혁의 진전에 따라 커다란 변화를 맞게 된다 직접적으로는 학교단위경영제가 확대되고 .

학교경영에 학부모의 참여가 늘면서 단체협약의 구속력으로부터 이탈하고자 하는 학교


가 늘어나고 있다 년 미국의 전미교원연맹 는 개별학교가 학교운영위원회의
. 1994 (AFT)

결정에 따라 단체협약의 구속력으로부터 벗어나는 것을 받아들일 수밖에 없게 되었다 .

이는 단체교섭과 그 산물인 단체협약 중심의 교원노동관계를 발전시켜온 미국 교원노동


조합이 커다란 후퇴를 시작한 계기가 되었다 .

또 다른 변화는 간소화되는 단체교섭과 단체협약에서 찾을 수 있다 년 오랫동안 . 1999

를 이끌어 오던 샹커
AFT 가 물러나고 그 뒤를 이은 산드라 펠트먼
(Shanker) (Sandra

은 간소화된 단체협약
Feldman) 을 단체교섭의 목표로 선언하였다
(streamlined contract) .

단체협약을 간소화 한다함은 협약의 대강만을 정하고 그 구체적 사항은 학교 단위의 결


정에 맡기는 것을 의미한다 학교단위에 맡겨지는 것은 수업시간 학급의 크기 교원 연
. , ,

수 학교별 교직원 채용 등이 포함된다 이와 같은 변화는 학교단위 경영이 활성화됨에


.

따라 교육장과 교원노조로 집중되던 권한이 학교 단위로 되돌아감을 의미한다 .

- 143 -
학교단위의 '新 교원 노사문화' 정착방안 연구

한편 미국교육연합회
, 회장인 밥 체이스
(NEA) 는 년 전미기자클럽과 의(Bob Chase) 1997

회에서의 연설을 통해 미국교육연합회는 더 이상 임금과 근로조건에 치중하는 산업적


노동조합이념을 따르지 않겠다고 선언하고 새로운 노동조합주의 의 원칙 (New Unionism)

을 밝혔다 그 개요는 다음과 같다


. .

① 임금 근로조건의 향상을 추구하는 노동조합이념은 더 이상 전문직으로서의 교사들


의 이익과 학생 그리고 일반 대중의 이익에 부합하지 않는다 .

② 전통적인 적대적 투쟁적 노사협상은 오늘날의 학교에 맞지 않는다 .

③ 교사의 가장 큰 책임은 질 높은 교육이며 이를 위해 교사는 근로자가 아니라 학교


의 공동관리자가 되어야 하며 이에 부적격한 교사는 학교를 떠나야 한다 .

④ 미국교육연합회는 단체교섭을 통한 단체협약 보다 학교경영진과 교사들이 학교운


영에 함께 참여하는 학교단위의 기본질서확립을 추구한다 .

⑤ 미국교육연합회는 세기 미국의 학교를 위한 개혁에 정부와 학부모 산업계와 파


21

트너가 되어 공동으로 협력한다 .

이러한 변화는 동시에 세계적인 현상이기도 하다 세계적으로도 낡은 산업주의적 교원노 .

동조합운동과 새로운 전문직교원노동조합의 특징은 확연하게 구분되기 시작하고 있다 .

다음 도표는 이를 정리한 것이다 .

<표 26> 교원노동조합의 성격변화(자료: Kerchner & Caufman)

낡은 산업주의적 교원노조 새로운 전문직주의 교원노조


노동과 경영의 분리를 강조
학교 내 작업의 집합적 성격을 중시
․ 직무디자인과 교사의 작업을 분리
․ 수석교사를 통해 관리과 수업의 경계 완화
․ 직무계획과 그 시행을 분리
․ 팀에 의한 교육프로그램의 구상과 집행
․ 강화된 계층제
․ 권한 분산과 계층제의 평판화
(모토: 최고 경영자는 정책결정 관리자는
(모토: 팀이 개인 보다 우수하다)
관리 교사는 수업)
적대적 관계 강조 교사와 관리자의 상호의존 강조
․ 교사들의 불만을 중심으로 조직 ․ 교육향상에 대한 공동관심
․ 상호 평가절하: 무능교사, 관리자 ․ 상호 인정과 호혜적 협상
․ 배분적, 내용 제한적 협상 ․ 협상 내용의 다양성 광범위성

교사의 직무 보호를 강조
교사에 대한 보호를 강조
․ 교사이익과 공익의 조화
․ 교사의 권익 중시
․ 교사집단에 의한 자체적 질 통제
․ 외부 기관에 의한 질 통제
(모토: 조합은 무능한 조합원을 보호하지 않는
(모토: 교사의 모든 불만은 이유있다)
다.)

- 144 -
V. 단위학교노사관계 종합진단 및 전망

교원노조운동의 퇴조와 성격 변화는 그동안 나뉘어져 있던 교원 전문직 단체와 교원


노조 간의 차이를 점차 해소하는 결과를 가져 왔다 이에 따라 년에는 전문직단체와 . 1994

교원노조로 크게 양분되어 있던 전 세계 교원단체 연합체가 국제교원연맹 (Education

로 통합되고 이러한 통합이 각국 내의 교원단체 통합 압력을 더욱 가속


International: EI)

화하고 있다 미국에서도 와 양 단체간의 통합을 위한 협의가 수년 째 계속되


. NEA AFT

어 오고 있다 .

2. 우리나라 단위학교교원노동관계 모델의 현 상황과 전망

우리나라의 교원노조는 일관되게 교원 노동자관에 입각하여 노동조합주의를 지향하고


있다 초기에는 미국교육학의 영향 아래 리버맨
. 의 집합적 전문직론 (Myron Lieberman)

을 많이 참조하였었다 그 후 이에 더하여 민중사회과학의 영향 아래 민중교육론에 크게


.

근거하여 왔으며 참교육 의 기치 하에 포장되었다 교육법 이론상으로는 일교조의 영향


“ ” .

을 받아 정부 주도의 국가교육권론에 대항하는 국민교육권론으로 정리되어 교원노조가


국민교육권을 위임받아 행사한다는 이론에 그 이념적 근거를 구하고 있다 .

제 장에서 본 것처럼 교원노조는 교원 노조운동을 사회전체의 민주화와 교육민주화 학


2

교단위의 민주화를 위한 운동으로 파악하고 그 의미를 부여하고 있다 이러한 태도와 입 .

장은 도덕적․윤리적 조합관 혁명적 조합관의 전형적인 형태라고 볼 수 있다 그런 의


, .

미에서 우리나라의 교원노동관계는 서구에서 노동조합발전 초기에 지배적이던 조합관에


의해 크게 영향 받을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교원노동조합이 가진 이러한 특질은 우리 .

나라 교원노동관계를 한동안 지배하는 주요 특질이 될 것이다 .

교원단체교섭의 현실적 전망
교육부문 단체교섭체제는 교원노조 입장에서는 일종의 꽃놀이패가 될 가능성이 높다 .

이는 미국에서 교원단체교섭이 확산되면서 초래된 전형적 양상이다 즉 교원노조는 교육 .

감 교육부장관의 거취에 대한 선거 시위 등 민주적인 권리행사를 통한 압력과 단체교섭


테이블을 통한 압력이라는 두 개 수단을 교차하여 행사함으로써 교육행정 당국과의 협
상에서 결정적으로 유리한 지위에 설 수 있으며 교원노동관계의 사용자측은 이 때문에 ,

치밀하고 단호한 협상 전략이 없이는 교섭력이 취약할 수밖에 없다 .

권력관계의 변화가 교원노동관계에 커다란 영향을 주는 한 현 상황에서 교원노조의 ,

역할과 활로에 대한 교원노조의 자체 인식이나 이에 대한 교육행정 측의 대응이 중요해


진다 한국의 교원노조는 현재 국제적인 교원노조운동의 변화에 따라 정체성과 이념의
.

- 145 -
학교단위의 '新 교원 노사문화' 정착방안 연구

혼란을 시급히 극복해야할 어려움에 처해 있으며 교원노조와 전문직 단체의 통합이라는


국제 추세는 이러한 내부적 어려움은 가중시키고 있다 이러한 가중된 어려움 속에서 교 .

원노조는 조직 확대와 그 구성원의 헌신 확보에 중점을 둘 수밖에 없으며 내부적인 집


권화를 추구하고 있다 앞서 인용한 교원노조의 자체 진단에 나타나 있는 교원 노조의
.

상황인식을 요약하자면 다음과 같다 .

- 한국은 사회 각 부문의 민주화가 진행 중이며 정부 기업 학교의 조직내부 민주화 , ,

의 진전이 시대적 과제이며 그 한도에서 산별 부문별 노조운동의 강화가 민주화를 /

촉진할 것
- 한국교육부문에서도 이러한 민주화의 과제가 남아 있는 한 교원노조 민주노총 간 연 -

대가 필요하며 교원노조운동은 기왕의 전문직 단체와 노선을 달리할 필요 있음


- 민주화와는 별도로 한국에서도 국제적 추세인 세기 대비 교육체제와 교육과정의 21

개혁이 진전됨에 따라 이 교육개혁정책에 교원노조가 주도적 역할을 하고 이를 기


반으로 교원노조 주도의 교원단체 통합을 준비할 필요가 있음
이상과 같은 인식 아래 교원노조는 ①교육부문 민주화라는 측면에서는 정책참여를 통
,

한 단위학교 차원활동에 ②조직합법화 초기 조직의 존립기반구축과 교육개혁 교원단체


, ,

통합이라는 측면에서는 교육부 교육청과의 정책교섭에 주력하여 왔다 이러한 교원노조


/ .

의 상황인식과 전략적 기본방향이 구체적 실천으로 실천되기에는 아직 우리나라 교원노


동조합의 전문적 역량이 부족한 상태이다 이에 따라 교원노조는 단기적으로 앞서 제 장. 2

의 전략분석에서 본 바와 같은 전술 전략적 접근 방법에 매달려 왔다 구체적으로 교육 .

부 교육청 상대로는 단체교섭테이블에서의 강경노선과 입장을 견지하여 내부의 취약점


/

을 감추고 선전과 대내적 조직기반 확대에 주력하고 사립학교 경영자와 단위학교관리자 ,

상대로는 단체교섭 보다 학교민주화를 명분으로 학교분회조직 교사회의의 기능 확대 방 ,

향으로 투쟁하여 왔다 더 나아가 교육행정기관과의 협상을 통한 실질적 추구 목표는 ①


.

조직의 취약한 인적 물적 정보 기반 확보 ②단체교섭체제의 가시적 효과를 보여줄 소


, ,

수의 전시적 성과 획득에 놓여온 것이다 .

이러한 전교조 측의 전략과 전술은 당분간 변하기 어려울 것이다 교원노동관계의 발 .

전적 변화는 결국에는 교육행정당국의 전략적 변화와 선도로부터 시작되어야 한다 .

한국교원노동운동의 지체 현상
앞서 지적한 것처럼 한국의 교원노동조합은 과거 서구 노동운동의 발생 이래 노동조
합이 지녀온 과거의 다양한 이념과 노선을 뒤늦게 답습하고 있다 이는 민주화와 노동 .

- 146 -
V. 단위학교노사관계 종합진단 및 전망

분야에 있어서의 한국 사회 전반적 후진성과 궤를 함께 할 수밖에 없는 데서 오는 지체


현상이다 우선 민노총과 노선을 같이 하고 그와 협력을 통해 교원노동조합의 합의 합과
.

정을 성취한 결과 민노총이 지향하는 산업별 노조 중심의 산업민주화와 강력하고 단결


력을 가진 노조에 의한 경영 중과의 권력 균형을 지향하는 산업주의를 지향하게 된다 .

이러한 노선은 학교단위의 자율성 강화와 교사와 국가간의 협력 체제를 바탕으로 하는


교육개혁이라는 시대적 과제와는 모순될 수밖에 없으며 교원노조가 이러한 노선을 견지
하는 한 한국의 교육은 선진국의 교육개혁 추세와는 달리 중앙집권화와 관료제화의 심
화라는 퇴행적 상태를 지속할 수밖에 없게 된다 .

결국에는 한국의 교원 노동운동 역시 선진국의 추세를 따라 조합주의보다는 전문직주


의를 받아들이지 않을 수 없을 것이다 다만 산업주의적 노동운동을 초래하는 국내 정치
.

적 여건의 변화나 교육체제 내부의 민주화가 얼마나 빨리 이루어지는가에 따라 교원노


동조합의 변신과 교원단체 통일의 시기가 앞당겨질 것이다 이런 이유에서 우리나라 교 .

원노동관계의 발전은 사회 전반적인 권력관계 그리고 교육체제 내부의 민주화 정도에


크게 영향을 받을 것이다 이 과정에서의 관건은 교육개혁을 위해 국가와 교원 단체의
.

협력을 이끌어 낼 수 있는 양측의 협상능력과 교원 전체의 지지를 확보할 수 있는 교육


행정 당국 측의 전략적 리더십에 놓여 있다 이를 위해서라도 교육행정당국은 교원노동
.

조합 이념의 추세와 발전 방향 교육개혁과 교원노동관계의 상호 관계를 깊이 이해할 필


,

요가 있다 .

교육개혁과 교원노동관계
교원노동관계의 발전은 형태면에서 중앙집권화되고 전국단위에 집중된 단체교섭구도
로부터 다양화되고 지역적으로 분산된 교원단체활동으로의 변화를 수반한다 교육행정 .

체제가 집권화되어 있으면 그 상대방인 교원노동조합도 집권화될 수밖에 없다 그런 의 .

미에서 현재 교원노동조합활동이 광역 시․도 단위 전국단위에 집중될 것을 예상한 법 ,

제는 이러한 행정적 권력관계의 반영인 것이다 그러나 구체적인 교섭구도의 문제로 가.

면 현행법제로는 해결할 수 없고 관련 당사자의 노선과 전략에 의해 달라질 수밖에 없


다.

최근 년간 각국에서의 교원노조운동의 급격한 퇴조에 따른 교원노조의 변신 움직임이


10

가속화되고 있다 구체적으로 미국을 중심으로 교원 노조운동에 대한 학부모 지역사회


. ,

의 거부운동이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교육과정개혁이 교육개혁의 핵심과제로 방향이 잡


히면서 ① 정부와 교원단체 간의 상호 협조 필요성을 정부 교원노조가 함께 인정하여
단체교섭 테이블에서의 대립을 회피하는 경향이 대두하고 있고 ②학습관리자로서 교사 ,

의 역할이 부각되면서 교사의 노동자관이 설득력을 잃어가고 새로운 전문직으로서의 교

- 147 -
학교단위의 '新 교원 노사문화' 정착방안 연구

사관이 다시 부각되고 있으며 ③단체 교섭을 중심으로 하는 교원노조 교육행정기관 간


, -

의 쌍방 대화 체제의 한계가 드러나면서 교사 학부모 산업체 정부 학생 등 관계 집단의


다자간 합의 체제가 이를 대치하고 있다 .

이러한 경향은 일반적인 노동관계에서와 마찬가지로 교원노동관계도 산업사회적노동


조합주의 모델을 지양하고 협동적 전문직 노동관계로 발전을 모색하고 있는 것과 궤를
, /

같이 하는 것이다 교육분야에서의 이러한 발전의 배후에는 특히 전반적인 교육체제 운


.

영과 개혁을 위한 교사 학부모간의 파트너십 구축의 필요성이 놓여있다


, .

<표 27> 교육개혁과 교원노동관계

교육개혁요인1 학교 내 권력 배분 중시 교육과정/교수-학습 개혁 중시
학교의 조직/책임 교육의 기회와 공공성 중시 교육의 책무성 형평성 중시
교육개혁요인2
경직된 교직제도 신축적 교직제도
(교육노동시장)

그런 의미에서 실제의 교원 노동관계를 결정짓는 주요한 요인의 하나는 학교지배체제


를 둘러싼 교육행정 경영기관 교원단체간의 현실적 관계일 것이다 미국에서 단위학교 .

자율경영체제가 교원노동관계를 크게 변화시키는 이유는 이런데 있다 .

단위학교의 자율성과 책무성


교육정책에 있어서 최근의 동향은 사회집단간의 파트너십을 어떻게 교육개혁을 위해
동원할 것인가가 초점이 되어 있다 그 주요 방법의 하나가 법령에 의하여 교사 학부모
.

지역사회의 파트너십을 중심으로 단위학교를 독립된 경영 주체로서 자율화함과 동시에


책무성을 부여하여 유사시장 상황을 창출하고 교육행정은 학교관리운영 기능이 아니라
질 통제를 통한 단위 학교의 책무성 보장에 주력하는 것이다 이러한 학교단위자율경영 .

을 위한 수단으로는 미국의 차터스쿨 영국의 국고학교 등이 대표적이다 이 (GM-School) .

러한 조치들은 학교가 자율경영체제로 전환함에 있어 교사들에게 주도권을 주고 있다 .

이러한 학교 소속의 교사들은 스스로 단체협약의 구속으로부터 풀려나 책임을 가지고


자율적인 학교운영을 희망하게 된다 상급 노조 단위의 단체교섭에 치중하는 우리나라
.

교원노동관계는 이러한 자율적 학교들에게 있어서는 장애물이 될 수밖에 없다 .

한국에서 이러한 의미의 학교의 자율화와 학교의 책무성 설정 작업은 아주 최근에야


겨우 시도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단위학교의 자율성이라는 점에서 학교운영위원회가
.

설치되어 자율경영의 외관을 도입하였지만 아직 영미권에서와 같은 실질적인 교사 학부


모 지역사회 주도의 자율경영과는 거리가 멀다 따라서 교육청이 학교관리권을 학교에 .

이양함으로써 학교의 온전한 자율화가 선행되지 않는 상태에서 교육개혁 과정에서 도입

- 148 -
V. 단위학교노사관계 종합진단 및 전망

된 학교운영위원회가 산업적 경쟁적인 교원 노동관계를 저지할 요인이 되지 못하고 사


용자를 대표하는 교장과 노동자인 교사간 갈등 분출의 장으로 현실화될 가능성이 높다 .

자율화 문제의 핵심은 자율화된 학교의 목표 기능에 대한 관련 당사자의 공유된 신념 /

과 합의를 발전시키데 있다 합의된 학교의 목표 말로 학교의 자율성을 보장하고 책


. < >

무성을 평가하는 기준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목표가 합의되면 이에 대한 학교의 책무성 .

을 담보하는 것은 장학 감사활동에 의하거나 학교단위 의사결정의 효율화와 참여


1) / 2)

에 의하거나 학생 학부모의 선택에 의해 표시된 수요의 압력에 의하거나 다양한 방법


3) /

이 있다 영국의 교육개혁은 상호 연관된 이들 세 가지 메카니즘을 동시에 동원하고 있


.

다 그 중에서도 장학활동은 자율화된 단위학교가 책무성을 지니도록 함에 있어 나머지


.

두 가지 메카니즘이 효과적으로 작동되기 위한 촉매의 역할을 하고 있다 .

영국 교육기준청의 장학활동은 공인회계사처럼 개인서비스 사업자인 등록장학관


(Registered 가 학부모 일반인을 포함한 장학팀을 구성하여 교육행정당국으로
Inspector)

부터 도급 받아 시행되며 학교가 수행해야할 책무성의 표준을 구체화한 지표에 따라 학


,

교를 진단하고 그 결과 생산되는 해당학교에 대한 정보를 한편으로는 학교단위의 경영


의사결정자에게 다른 한편으로는 학교를 선택하는 학생 학부모에게 제공한다 / .

우리가 눈 여겨 볼 것은 이러한 장학활동의 절차와 장학지침의 내용이 법률화되어


1)

있고 그 만큼 학교의 목표에 대해 전 영국국민의 합의에 기초하고 있으며 장학을 받 2)

는 학교의 학교책무성 개선활동으로 이어지도록 장학팀과 학교당사자 간의 공동활동으


로 기획되며 팀의 보고서가 전체적으로 종합되어 공개됨으로써 전 영국 교육체제와
3)

학교에 관한 기본적인 정보 로 정책결정자 학부모 교육자 행정가들에게 제공된다는 DB

것이다 .

교육체제의 분권화와 노동관계


노동조합 특히 산업별 노조 체제를 취하는 노동조합은 조직의 힘과 단결을 통한 권력
추구의 속성이 있고 교원노조의 경우도 동일하다 단체협상테이블을 중심으로 교육행정 .

권과 경영권과의 교섭에서 교섭력 강화와 단결을 추구할 수밖에 없는 교원노조의 전반


적 입지 상황을 고려하여 다음과 같은 주요 문제들에 대한 공동인식의 범위와 한계를
/

어디에 설정하는가 하는 것이 교원 노사 간에 선결되어야 한다 .

- 교육민주화 단위학교 자율화 및 경영 민주화 교사 교사회의 자율성 문제


: , /

- 학교개혁 특히 학교의 책무성 중심의 교육과정 개혁과 교사의 역할 재정립


- 이상의 변화를 달성하기 위한 중앙정부와 지방교육청의 기능 전환

- 149 -
학교단위의 '新 교원 노사문화' 정착방안 연구

이상과 같은 과제의 실현은 교육체제 내 권력 관계 변화의 핵심을 이룬다 이 문제들 .

에 대해 교원 단체와 교육행정 경영 측이 어떻게 인식하고 대응을 하는가에 따라 단체


교섭을 중심으로 하는 노동관계의 내용과 성격이 달라진다 예를 들어 미국의 교육에서 .

는 단체교섭제가 확산 보급되면서 교육행정의 관료제화가 더욱 급격히 진행되었다 교육 .

개혁이 수반되지 않은 채 교섭력과 힘 중심으로 단체교섭이 진행될 때 당연히 우리나라


에서도 나타날 수 있는 현상이며 본 연구조사에서도 단체협약에 의하여 학교의 현장성
,

다양성이 위축되면서 잡무가 증가하고 있다는 사실이 확인되었다 .

년대 후반 이후 미국교육행정이 학교현장 중심으로 권한의 분권화를 추구하면서 거


80

꾸로 이것이 교원노동관계에서 노사협력주의에 입각한 새로운 조합주의 (new unionism)

를 낳고 있다 결국 단위학교 중심의 새로운 노동관계는 단위학교자율화를 통하여 형성


.

되는 것이다 이미 지적한 것처럼 교육체제 내에서 단순한 지방분권은 지방단위의 조합


.

주의적 지배체제를 낳는다 우리나라에서 단위학교노동관계가 발전적으로 변화하고 새로


.

운 모델을 구현하려면 다음의 표에서 시사하는 것처럼 단위학교자율화 체제를 구축하면


서 노조의 정치투쟁에 대한 과감한 법집행을 통해 노사간 적대적 상황을 피할 수 있는
예방적 규제적 조치를 갖추어나가는 것이 필요한 것이다 .

<표 28> 단위학교노동관계의 미래 모델

협력적 적대적

정부-노조간
중앙집권 기존모델: 유럽식 조합주의 모델
상호 conquest 전략

기존모델: 지역단위 조합주의 모델


지역분권 지역적 갈등 모델
(local corporatism)

미래모델: New Unionism,


단위학교 자율화 지역-정보 거점으로서의 학교 다원주의 적대적 사립학교노동관계
모델

3. 단위학교 ‘신 교원노사문화’ 정착방안

단위학교 중심 New Unionism의 전제: 교육과정개혁과 단위학교자율화


이상의 논의를 요약할 때 우리 나라에서도 으로 요약될 수 있는 단위
New Unionism

학교 중심의 노동관계 모델이 발전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두 가지 전제가 있


.41)

41) New Unionism에 관하여 상세는 정기오․김태기(1999), 학교를 위한 협상론, 한국교원

- 150 -
V. 단위학교노사관계 종합진단 및 전망

다 우선 노동관계의 초점이 교육과정 개혁에 놓여야 하며 둘째로 단위학교의 자율화가


.

확립되어야 한다는 점이 그 것이다 .

먼저 단위학교 중심 교육과정 개혁 의 의미와 방법론에 노사 양측이 인식과 전략을


< >

같이 해야 한다 아직 정체를 알 수 없는 참교육 에 매달리고 있는 교원노동조합 보다


. < >

도 교육행정당국이 먼저 이 문제를 선도해야 한다 현재 교육행정당국은 국가수준 교 . <

육과정 의 개편에 몰두해 있으나 단위학교 중심 교육과정 개혁 의 핵심은 국가교육과


> < >

정과 지방 교육청 교육과정 등 행정적 교육과정 문서와 교장 교사 간의 관계를 명료하게


( )

하는데 놓여 있다 교육행정당국이 이 부분에 있어서 명확한 비전과 정책 그리고 이를


.

실행에 옮길 수 있는 충분한 규모의 활동가로 구성된 장학시스템을 먼저 확립하지 못하


면 정체불명의 참교육 에 의해 단위학교 교육이 잠식되면서 국가교육과정은 무력화되
< >

고 말 것이다 이러한 결과에 직면하기 전에 교육행정당국이 단위학교 중심의 교육과정


.

개혁을 교육정책의 최우선 순위에 놓고 교원노동조합을 이 방향으로 선도해야 한다 .

단위학교 자율화는 한국교육의 책무성 발전을 위해서는 우선 학교의 목적과 기능 학 ,

교운영위원회 등 조직에 대한 국민적 합의가 선행되고 이것이 국회를 통과한 법률에 상


세히 규정되어야 한다 그 것이 최우선이다 관련 집단 간의 공유된 가치와 학교의 목적
. .

인식이 없으면 책무성은 보장될 수 없다 우리나라 학교가 수행해야 할 임무에 대해 대 .

한민국 법률은 한번도 영국처럼 상세히 규정해 본 바가 없다 국민간의 합의 도출에 계 .

속 실패하기 때문이다 기껏 해야 지극히 추상적인 용어로 얼버무려 합의의 결여를 가리


.

고 있을 뿐이다 교원단체와 교육당국이 협력하여 이 문제를 원활히 해결해 내지 못하


.

면 교원단체의 활동과 단체교섭은 오히려 한국의 교육을 후퇴시키는 큰 걸림돌이 될 것


,

이다 .

교육관료주의의 극복과 협상
교원노동관계가 에 입각하여 단위학교중심으로 발전하려면 학교단위의
New Unionism

자율성에 중점이 놓인 분권화참여를 통한 관료주의의 극복이 필수적이다 이는 근본적으 .

로 전반적 지배체제의 변화 즉 조합주의적 지배 에서 참여를 통한 사회계약 (corporatism)

주의 으로의 변화문제이다
(conventionism) .

규제와 서비스는 그 동안 정부관료제 기능의 핵심이었고 국가정책은 이들 규제와 서


비스를 내용으로 하는 것이었다 그런데 최근 들어 지방교육행정조직을 포함한 교육분야
.

정부관료제의 역할에 대해서는 점증하는 회의와 비난이 있어 왔고 그에 따른 교육관료


제의 정비도 일부 시도되고 있는 형편이다 이러한 움직임들은 국가가 공적인 급부로 교 .

대학교 출판부, Dorothy Sue Cobble(1997) "The Next Unionism: Structural Innovations for
revitalization." Labor law journal August 1997 439-442의 두 문헌을 참고.

- 151 -
학교단위의 '新 교원 노사문화' 정착방안 연구

육을 제공할 책임에 따라 학교를 설립하고 이들 학교체제의 관리를 위해 유지해왔던 공


교육체제의 관리조직으로서의 교육관료제를 비판의 표적으로 하고 있다 공교육은 복지 .

국가의 대표적인 서비스활동으로 존재해왔고 그 공적성격의 유지를 위한 규제 또한 교


육정책의 커다란 부분이었는데 바로 그 서비스의 비능률성과 규제의 부적절성이 점점
교육관료제의 존재의의를 부정하는 근거로 되고 있는 것이다 .

이러한 경향은 교육체제 내에 고유한 원인에 기인한다기보다는 근본적으로 현대국가


가 복지개념에 의거 수행해온 복지서비스와 복지개념에 입각한 시장개입활동 전반에 대
한 회의라는 새로운 동향에 그 연원을 두고 있는 것이다 이 새로운 동향에 따르면 규제 .

와 서비스라는 종래의 정책수단은 市場과 市場類似機構의 창설과 관리 (MTM: Market T

ype 또는 파트너십의 창설과 관리라는 방식으로 점차 전환되고 있고 규


Management) ,

정에 따라 정의된 역할에 의해 움직이던 관료조직은 포괄적으로 부여된 목표에 따라 움


직이도록 요구되고 있다 교육정책에 있어서도 최근의 동향은
(Management by Objective) .

정확히 이러한 일반 동향과 일치되어 시장원리를 어떻게 교육에 도입할 것인가 사회집 , ,

단간의 파트너십을 어떻게 교육개혁을 위해 동원할 것인가가 초점이 되어 있으며 교육


체제의 관리를 스웨덴의 경우처럼 목표에 의한 관리 로 명시적으로 (Steering by Goals)

전환하거나 보다 넓은 각도에서 성과지향학습 능력지향학습 (outcome based learning)/ (co

으로 전환하는 추세에 있다
mpetence based learning) .

현대국가에서 교육관료제를 포함한 정부관료제는 전통적인 정책집행기능과 아울러 입


법과 예산편성에 있어서의 역할 증대를 통해 정책과정의 중심에 서왔다 관료제는 정책 .

문제를 스스로 제기하거나 제기된 정책문제의 정의와 정책과제화의 과정에서 주도적 역


할을 해왔고 대안의 개발과 분석 선택 및 예산조치와 법안형태로의 포장은 관료제의 고
,

유기능이었다 더 나아가 의회 등 민주적 대표기구의 결정이라는 입법화 과정에 필요한


.

합의를 위해 정치가와 국민들을 설득하고 토론에 참여하는 것도 관료제가 정책과정에서


담당하는 통상의 몫이었다 .

그런데 이러한 일들은 엄격히 말하면 규제와 서비스라는 조직규정에 따른 본연의 업


무 이외에 조직의 목표에 근거해서 수행해오던 임무였다 규제와 서비스라는 정책수단 .

자체가 달라져야한다는 요구는 그 동안 규제 서비스 조직 그 자체였던 관료제 자신의


, /

변화가 이제는 정책과정의 중심이 되어야한다는 것이며 이러한 변화는 정부 다시 짜기 “

(Reinventing 라는 이름으로 명명된 관료제의 총체적 변화과정이다 종래


Government)” .

의 관료계층제 조직은 효과적인 정책수립과 집행을 위한 정책정보의 흐름을 위한 채널


로서는 이미 그 한계가 뚜렷해지고 있다 이제 정부공무원과 관료조직은 정책정보의 수 .

요충족과 정책 입안 집행을 위해서 담당정책분야 내의 공공 비공공 부문을 막론한 네트


워크조직을 구축 이를 유지 관리하지 않으면 안되게 되었으며 이를 위해서는 협상하지
,

- 152 -
V. 단위학교노사관계 종합진단 및 전망

않으면 안 된다 즉 협상이 공무원의 기본적인 직무기술로 되어 버린 것이다


. .

원래 영미권에서의 공공행정은 경찰 등 권력적인 행정이 아닌 한 계약에 의한 행정


즉 협상에 의한 행정이 그 기본이다 심지어는 권력적 행정의 경우에도 그 권력을 사용
.

하기 전 까지는 가급적 협상에 의한 행정을 차적으로 시도하는 것이 일반화되어 있다1 .

교육행정은 특히 이러한 협상에 의한 행정이 유효한 분야이다 한국의 교육행정은 이제 .

협상과 계약에 의한 행정으로 전면적으로 바뀌지 않고는 그 기능을 수행하기 어려운 상


황이 되었다 빈발하는 교육분쟁과 이로 인한 교육행정과 학교운영의 무력화가 그 증거
.

이다 교육행정의 패러다임을 협상을 중심으로 바꾸지 않고 과거의 방식에 안주하는 한


.

교육행정의 무력화 현상을 막을 수 없다 .

교육행정의 변화과정은 법률과 예산 조직구조의 변경과 같은 구조적 변화 이외에 공


무원의 태도와 행동방식의 변화 없이는 불가능하며 그렇기 때문에 앞으로는 협상을 중
심으로 한 공무원의 재교육이 정책과정의 가장 중요한 국면으로 간주될 것이다 .

협상을 통한 민주성의 회복
년에 한국은 역사상 처음으로 선거에 의한 정권교체를 경험하였다 그러나 민주주
1998 .

의는 선거에 의한 정치권력의 변화만으로는 성취되지 않는다 정부 기업 공공기관 학교 .

등 모든 사회기구와 조직이 민주적으로 운영되고 민주주의가 생활화되어야 비로소 민주


주의인 것이다 민주주의는 어릴 때부터의 교육과 학습을 통해서 그것을 익힌 사람들이
.

우리 국민의 중추가 되어야 가능하다 현재 우리나라의 여러 정치 경제 사회제도들이 그


.

민주적 외양에도 불구하고 민주적으로 운영되지 못하는 것은 정부수립 이후 정상적으로


학교를 다니고 졸업한 지금의 우리 국민 대부분이 학교시절 민주주의 교육을 제대로 받
지 못했기 때문이다 민주적으로 운영되지 않는 학교에서 민주주의를 학습한다는 것은
.

불가능하다 학교의 민주적 운영이 지금 단계에서 중요한 교육개혁 과제인 이유는 여기


.

에 있으며 그 방법은 학부모의 선택과 참여에 있다 .

사법 행정 교육 등 모든 근대적인 제 제도들이 오늘날 민주적 개혁의 대상이 되고 있


다 거의 모든 국가에서 이러한 민주적 개혁은 공통적인 흐름을 형성하고 있다 행정개
. .

혁 사법개혁 교육개혁을 막론하고 거스를 수 없는 변화의 추세 속에서 「참여」와「선


택」은 대표의 원리에 입각한 근대민주주의를 넘어서는 탈근대적 민주주의의 핵심원리
로 등장하고 있다 현대행정은 이핵심오래 전부터 국민의 참여와 선택을 행정서비스의 근
.

간으로 발전시켜왔현대행정러한 추세는 사법제도의 개혁으로 이어져 현재 각국의 사법개혁


은 국민의 참여와 분쟁당사자의 선택권 보장을 통한 사법의 민주화를 개혁의 근본이념
으로 하고 있다 원래 사법제도는 최근까지도 국민주권이개혁 민주적 원리보다는 법률가
.

들에 의한 법주권의 원리로 짙선택채색론하개혁이었다 이렇게 민주성의 원리와 거리가 멀 .

- 153 -
학교단위의 '新 교원 노사문화' 정착방안 연구

었던 부문까지 참여와 선택이 확산되는 것이 오늘날 민주주의 발전의 거스를 수 없는


흐름인 것이다 .

지금까지 교육부문은 사법분야와 마찬가지로 민주주의의 원리보다는 전문가 지배의


원리가 우선 되어온 대표적인 부문이었다 그러나 전문가 지배의 원리가 교육에서 차지
.

하는 입지가 자꾸 좁아져 가고 있는 것이 교육에 있어 민주주의 발전의 한 모습문가 지


배의 이제 모든 학교 교사와 교육행정공무원들은 그들의 힘과 권위의 원천을 그들의 전
문성에서 찾기 이전에 고객인 학부모로부터 찾도록 노력해야 한다 즉 학부모의 선택에 .

의해 표현된 학부모의 의사에 따라 경쟁을 통해 우수 교육프로그램을 다양하게 보장하


든지 이러한 선택권 보장이 어렵다면 그 대신 프로그램 운영에 학부모의 목소리를 반영
,

해야하는 것이다 즉 학부모의 선택권 아니면 학부모참여의 둘 중 하나를 보장하는 것이


.

교육 개혁에 추진력을 부여하는 요체이다 우리나라를 포함해서 각국의 교육개혁이 주춤


.

거리는 가장 큰 이유는 교육개혁을 추진하는 핵심 주체가 될 수밖에 없는 교원단체와


교육행정의 변화가 지체되기 때문이다 .

협상을 통한 교사와 교원단체의 변화


흔히 교사가 교육개혁의 주체라고 얘기한다 물론 추상적으로는 옳은 말이다 그러나 . .

이는 대체로 수사학적인 원론에 그칠 뿐이다 교사가 주체라고 말할 때 그 교사는 전체 .

로서 교사집단을 말하는 것인가 아니면 특정 개인으로서의 교사를 말하는 것인가 개혁 ?

의 주체라고 말하자면 당연히 전자의 의미여야 한다 그러나 교사들은 언제나 자신의 교 .

실을 무대로 홀로 일하는 개개인이다 교사가 문자 그대로 커다란 사회적 변화로서의 교


.

육개혁의 주체가 되려면 집단으로 조직되고 집단으로서 행동능력을 가져야 한다 또한 .

이렇게 조직화된 교원 단체가 변동역군으로서의 올바른 역사의식과 전문성으로 뒷받침


된 정확한 현실진단 능력을 가져야 한다 그러나 전교조의 전략분석을 통해 드러난 것처
.

럼 우리 나라의 교원단체가 현재 이러한 인식과 능력을 갖추고 있다고 보기는 아직 어


렵다 이미 본 것처럼 우리나라의 교사와 교원단체는 과거의 민주화 투쟁 시절의 편협한
.

의식과 인식 수준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

교사가 교육개혁의 주체로서 행동능력을 가지려면 우선 교사가 성직관 노동자관 전 , ,

문직관 모두를 버려야 한다 우리나라에서의 교사에 대한 성직관은 학생과 교사를 유교


.

적 국가질서 사회질서의 객체화하는 경향을 초래한다 국가사회질서의 기본단위로서의 .

개인 가정 학교를 생각하고 교사에게 이를 유지하는 결정적 기능을 부여하고 존경하는


, ,

것이다 노동자로서의 교사 역시 개개의 교사의 행동능력과 주체성을 집단적 노동관계와


.

조합 속에 해소해 버리는 경향을 보일 수밖에 없다 전문직으로서의 교사관 역시 고객인 .

학생과 학부모의 목소리를 배제하고 이들의 선택권을 제한하며 공직을 접수하는데 치중

- 154 -
V. 단위학교노사관계 종합진단 및 전망

하여 집단적인 힘을 동원하여 왔다 .

개혁의 주체로서 올바른 교사의 모습은 집단의 힘에 의존하거나 기존질서가 부여하는


상징적 권위의 힘을 빌려 성취될 수 없으며 무엇보다도 개개인의 교사가 문제해결력을 ,

가진 유능한 전문가가 됨으로써 성취된다 이를 위해서는 교사 스스로가 학습자가 되어 .

야 한다 즉 교사는 스스로는 뛰어난 학습자이자 학생과 지역사회에 대하여는 학습지도


.

자여야 한다 특히 공동의 문제해결을 위한 협상자로서의 교사야말로 유능한 전문가 학


. ,

습자 학습지도자로서의 교사의 모습으로 가는 첩경이며 동시에 행동능력을 가진 교육


, , “

개혁주체로서의 교사 라는 개념을 허구가 아닌 현실로 가능하게 할 것이다


” .

교원단체 역시 전문직단체의 환상이나 산업주의적 노동조합관에서 벗어나야 한다 의 .

료 법조 등의 전문직 단체들은 전 세계적인 민주화의 흐름 속에서 가장 집중적인 공격


의 대상이 되고 있다 지금까지 전문직제도의 사회적 윤리적 정통성을 지녀온 것은 오로
.

지 고객의 이익을 위해 봉사한다 는 전문직의 이념 때문이다 그러나 현대의 대중들은


“ ” .

이를 더 이상 의심 없이 받아들이지 않고 있으며 지식과 정보의 발달로 고객은 그들의


이익을 더 이상 전문직의 봉사 에 맡기지 않고 스스로 지킬 수 있게 되었다 산업주의
“ ” .

적인 교원노동조합 체제 역시 새로운 시대의 교원단체가 취하는 조직형태로는 적합하지


않으며 몸에 맞지 않는 옷으로서 교직의 발전을 오히려 저해할 것이 분명하다 .

교원단체는 정치적 사회적 직업적 단체로서 결사와 집회 표현의 자유를 행사하고 자


조적 노력의 구심체 역할에 집중하는 것이 단체로서의 역량을 가장 잘 발휘할 수 있는
방법이다 이른 바 참여 민주주의로 특징지어지는 현대행정과 정치과정은 더 이상 과거
.

와 같은 전문직 단체나 노동조합의 우세한 지위를 용인하지 않고 있으며 오히려 전문직


단체나 노동조합 형태의 조직은 참여에 의한 의사결정이나 정책과정에서 여러모로 불리
한 위치에 서게 되는 경우가 많아졌다 이미 지적한 것처럼 학교단위의사결정의 확산에 .

따라 미국의 교원노조의 입지가 크게 약화되는 것이 그 전형적 사례이다 .

미래의 교원노조는 학습자로서의 교사를 조직화하는 학습지원조직이자 교사들을 위한


공공의 대화에 참여하는 조직으로서 사명과 역할을 재정의 하여야 한다 전문적 지식의 .

축적과 문제해결을 위한 다자간 협상능력은 그러한 역할과 사명을 위한 핵심역량이 될


것이다 .

협력적 교원노동관계 당사자들의 행동


단체교섭과 협약 체결이든 근로자 참가든 고충처리 및 분쟁해결이든 근로자 참여에
,

의한 의사결정 과정을 그 핵심으로 할 수밖에 없다 이러한 의사결정과정은 교섭과 협상 .

을 내포하게 마련이다 노동관계의 성숙도나 유형은 바로 한 나라의 교섭과 협상의 스타


.

일 대화와 참여의 문화의 차이에 따라 달라진다


, .

- 155 -
학교단위의 '新 교원 노사문화' 정착방안 연구

흔히 우리나라에는 계약의 문화 협상의 문화가 발달하지 못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 .

합의에 의한 결정보다는 권위적 결정 대화와 타협보다는 자기주장과 명분을 중시하는 ,

문화로 알려져 있다 한국 교원노동관계가 어떤 유형으로 발전하고 정착하는가는 바로


.

이러한 한국의 문화적 특성이 교원노조를 포함한 교육노동관계에 어떻게 반영될 것인가
에 달려 있다 .

모든 협상이 다 그렇지만 특히 교원노동관계에서의 협상은 표면에 나타난 입장과 이


면에 읽히는 실질적 이해관계를 구분해서 후자를 중시할 필요가 있다 앞서 기술된 교원 .

노조의 입지에 대한 선 이해를 바탕으로 교원노조 협약안이 어떤 의도를 가지고 기술되


었는지를 해석하고 교섭전략수립과 실질적 의사소통에 주력해야 하는 것이다 .

일반적으로 교원노동관계가 협력적 노동관계를 지향하기 위해서는 다음 사항이 지속


적으로 강조되고 사회적으로 합의되어야 한다 .

- 협력적 노동관계 교육행정가와 교사는 대립적 경쟁적 관계가 아니다


: .

- 교육개혁 교육정책 사항에는 학부모 지역사회의 참여 필요 단체교섭 외에 별도


/ :

다자간 채널 예 행정절차법에 따른 행정절차 이 바람직하다


( : ) .

- 분쟁해결을 위해서는 협약에 의한 새로운 제도 창설보다 협약에 의한 기존제도의


이용과 기능의 활성화가 추구되어야 한다 .

- 학교단위에서는 학교운영위원회의 제도적 발전을 통한 단위학교자율체제 확립에


노사가 협력한다 .

- 교직사회의 분화 전문화와 능력개발이 강조되어야 한다 .

- 대도시학교와 도서벽지학교의 교사는 역할과 사명의 차이 획일적 접근은 불가능 :

하다 .

- 교원노조 체제하에서는 교사직 교장 교감직 장학연구직은 분화 차별화되어야 한 , / ,

다 이는 장학기능의 복원에 필수적이다


. .

- 상기 자의 분화된 경력발전 경로에 따른 연수와 능력개발의 차별화와 강화되어야


3

한다 .

- 교원의 사회경제적 지위를 개선하려면 단체교섭 보다 학교와 교실 내에서 교사의


작업방식 변화와 역할 혁신 교육과정개혁과 지역사회참여 이 더욱 효과적이며 능
( )

력향상이 선행 요건이다 .

- 학생 학부모는 미조직화된 국민으로서 정부에 의한 그 이익 보호와 후견이 필요


/

하며 이는 학생 학부모의 이익에 대한 교사의 관심 보다 더욱 상위의 정통성을


/

가진 개념이다 .

- 교원의 사회경제적 지위는 교원의 사익 문제이기 이전에 공익을 위한 제도와 정책이다 .

- 156 -
V. 단위학교노사관계 종합진단 및 전망

- 교육부 장관과 교육감은 학부모 학생인 국민과 주민에게 공익과 관련된 사항에 대
해 알릴 의무와 책임이 있다
.

- 157 -
학교단위의 '新 교원 노사문화' 정착방안 연구

Ⅵ. 결론 및 정책 제언

본 연구 결과를 통하여 볼 때 우리 사회의 교원노동관계는 국가적 조합주의로 지목되


던 우리 사회의 권위주의적 정치체제가 민주화되는 과정에서 노동조합이 참여하는 사회
적조합주의의 성격을 잠시 지향 하다가 최근에는 노사간 적대적 정복 모델로 빠져들고
있다고 요약될 수 있다 어느 경우에도 단위학교는 교육행정관료제의 최하위 사업장으로
.

전락할 위험에 놓여 있으며 교원단체교섭 체제는 더욱 이러한 경향을 강화 하고 있다 .

그러나 본 연구를 통해 확인된 중요한 사실은 그럼에도 불구하고 학교장들은 교원단체


교섭과 무관한 그 고유의 권한을 가지고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단체협약을 학교 현장에
맞게 변용 하는 등 단위학교의 자율 영역을 지키는 최일선에 서있다는 점이다 .

이러한 상황에서 교육체제 내의 분권화와 단위학교자율화를 바탕으로 하는 단위학교


중심의 교원노동관계 발전이 얼마나 성공적일 것인지는 정부의 정책과 교육행정당국의
전략 그리고 학교장의 역량과 리더십에 달려있다 본 보고서의 본론을 노사 양측의 전
, .

략분석에서 시작한 이유가 여기에 있다 .

먼저 정부와 교육행정당국의 정책과 전략의 출발점은 먼저 전교조의 전략을 정확히


,

제대로 파악하는데 있다 전교조가 교원의 사회적 지위와 근로조건 개선을 목표로 하는


. “

노동조합 이라고 보는 것은 상대를 지극히 오판한 것이며 정부 정책의 실패가 우선적으


로 여기서 비롯된다 전교조는 특정한 세계관과 인간관을 토대로 이를 구현할 권력을 현


.

실 속에서 전략적으로 추구하는 정당유사조직 이다 모든 정책과 전략을 이러한 인식


< > .

을 토대로 전면재검토해야 한다 .

두 번째로는 상대를 극복할 역량을 가져야 한다 현재의 상태로 볼 때 교육행정의 . <

지배를 타파 하고 현장교육을 참교육 으로 바꾸는 중추기구가 되려 하는 전교조의 역


> < >

량이 교육행정시스템의 역량을 능가하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효과적인 장학시스 .

템이 결여되거나 붕괴되어 있는 현행 교육행정체제로는 전교조의 참교육 활동가 시스 < >

템을 이길 수 없다 .

세 번째로 단위학교 교장의 자율성과 역량을 단위학교 노동관계 정상화의 핵심으로


놓아야 한다 교장은 단순히 노사관계에 있어 사용자의 최일선에 불과한 지위가 아니다
. .

교장은 자율성을 지닌 학교를 대표하며 그 학교 교사를 대표하는 지위에 있다 먼저 교 .

장의 이러한 지위를 명확히 하고 이러한 교장의 지위가 교육행정기관이나 교원노조 즉


교원노사 양측의 어느 쪽에 의해서도 침범당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교장 .

의 역량강화가 시급하다 단적으로 말해서 교장의 역량이 단위학교노조분회장의 역량을


.

넘지 못하면 고도로 집권화 된 교원노조가 이들을 통하여 단위학교를 이끌게 될 것이다 .

- 158 -
VI. 결론 및 정책 제언

1. 교육정책당국의 역할

가. 교육에 대한 “부당한 지배”의 위험 차단


이른 바 참교육 논리로 특정 사회정치집단이 학교교육지배를 시도하는 위험성을 차
“ ”

단할 법적 장치를 마련해야 한다 구체적으로 구 일본 교육기본법의 부당한 지배 조항


. “ ”

이 우리 교육기본법에도 규정되어야 한다 .

나. 단위학교 교장의 지율성 보호를 위한 행정적 조치와 법제 정비


법률적으로 볼 때 단위학교의 자율성은 학교 자체가 법인화 되지 않는 이상은 법규로
규정된 교장의 지위와 권능으로 구현될 수밖에 없다 이미 전교조조차도 이를 인식하고 .

학교장과의 교섭 협의 사항 형태로 정리하여 전략화 하고 있음을 앞서 지적하였다 단위 .

학교 노동관계의 발전을 위해 교육정책 당국이 해야 할 첫 번째 역할은 교육과정 운용


을 둘러싼 교장 교사의 지위와 역할 관련 규범의 불투명과 불명료로 인한 혼란을 최소
화 하는데 있다 특히 전국단위 단체협약 또는 광역시․도단위 단체협약에 의하여 교장
. ,

의 법정지위와 권한이 침해되지 않도록 단체협약 관행을 확립해야 한다 .

두 번째로 교장 교감 교사의 교육법규상의 법정지위와 근로계약 단체협약 등 노사관


- - ,

계 상의 교장 교감 교사 지위의 혼란과 충돌을 방지하기 위하여 관계 규범의 정비와 명


- -

료화가 시급하다 먼저 초․중등교육법 개정이 있어야 한다 다른 한편으로 노동조합에


. . ,

의하여 전략적으로 공격되고 있음에도 교원노동관계의 분쟁이 노동조합 측에 의하여 먼


저 쟁송화 되고 분쟁해결 의제화 되는 과정에서 방어수단이 없는 학교장의 고유한 권한
이 보호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 교원노조법 개정이 있어야 한다 .

◇ 교장의 지위와 권한을 침범하는 단체협약의 금지


-교육과학기술부 장관이 체결하는 단체협약은 물론이고 교육감이 체결하는 단체협약
에서도 교장의 법규상 지위와 권한 관련 사항을 교섭하거나 합의하지 않도록 한다 .

◇ 초․중등교육법 개정방향

-교장 교감의 ①법정고유권한과 ②위임된 교육행정권한을 구분하고 전자는 사용자 노 , /

동자 관계와 무관한 독립적 권한으로 상세화하며 후자는 교장의 중간자적 지위를 보호 ,

하기 위하여 최소화하되 이를 대통령령 이상의 법정위임권한 중심으로 재정비한다 .

-사실상 운영되고 있는 초․중등 교장협의회 를 교육기본법에 의한 별도 교원단체이자


< >

초․중등교육법에 의한 법정단체로 정의하고 교장자격제도의 유지관리 교장의 양성 연 ,

- 159 -
학교단위의 '新 교원 노사문화' 정착방안 연구

수 교장들의 권익옹호 등 전문직단체로서의 기능을 부여한다 사용자 지위와 구별하


, . <

기 위하여 교육감협의회와 명확한 분리 필요 )

-교사의 지위를 결정에 핵심요소인 교육과정 과 교원 의 관계를 법률로 명확히 한다


< > < > .

◇ 교원노동조합법 개정 방향

-단체협약에 의하여 교장의 법정권한을 침해하거나 교장에게 법정직무 이외의 의무 ,

를 지우는 것을 금지하는 조항을 추가하고 그러한 단체협약조문의 무효를 명시 .

-교원노동조합이나 그 조합원이 개별적 행위에 의하여 교장의 법정권한을 침해하거


나 교장에게 법정직무 이외의 의무를 강제하는 것을 노동조합에 의한 부당노동행
, <

위 로 명시하고 처벌 조문 추가
> .42)

-교원노동관계를 전국단위에서 광역시 도 단위로 최대한 분권화함 원칙상 교육감협/ :

의회를 전국차원의 단체협약을 위한 연합교섭의 당사자로 교육과학부장관은 예외적


당사자로 함 .

-교원노동조합법이 교육의 특수성을 제대로 고려한 법률이 되려면 법제 관리 측면에


서 동 법률이 현재처럼 노동부 단독 관리 법률이 아니라 교육과학기술부와 노동부의
공동관리 법률로 전환되어야 한다 .

다. 교육행정 역량 강화

교육행정 역량이 전교조의 역량을 능가하도록 강화하는 것은 가장 시급한 과제이다 .

전교조 활동가의 역량을 능가하는 교과내용행정 중심의 장학시스템을 복원하고 교육감


협의회에 교원노동관계의 전문적 자문기구를 두어 지방교육행정 역량을 대폭 강화하지
않으면 전교조 역량을 능가하기 어렵다 교육행정 역량의 강화는 단순한 조직 개발 전략
.

에 그치지 않고 교장의 전문직화나 교사 신분의 다양화를 통해 교육행정체제 자체의 전


반적 역량을 강화하는 것을 포함해야 한다 .

42) 한국경영자총협회는 다음 사항을 노동 측의 부당노동행위로 유형화하여 입법할 것을 주장함,


1 특정 노동조합에의 가입 강요 및 위력을 사용한 파업참가 강요
2 근로를 제공하지 않은 조합원에 대한 임금 지급 요구
3 사용자단체의 결성 및 가입 강요
4 정당한 이유 없는 단체교섭 거부
5 단체교섭을 거치지 않은 쟁의행위
6 파업기간에 대한 임금지급 요구
7 명백히 위법한 쟁의행위나 폭력․파괴행위 근로자에 대한 민사․형사상면책강요
8 사용자에게 결정권이 없는사 항의 관철이나 노동조합간 세력권 다툼을 목적으로 하는 쟁의행위
9 교섭능력이 현저히 취약한 기업에 대한 산업별노동조합이나 지역별노동조합의 전면적 쟁의행위
10 사용자의 부당노동행위 강요
「「부당노동행위제도의 이해」」, 2004, 178∼180쪽 참고

- 160 -
VI. 결론 및 정책 제언

◇ 장학시스템의 복원

장학의 기능
세기 유럽에서 근대 공교육 국민교육체제가 확립되면서 그와 동시에 장학관 장학사를 통
19 - -

한 장학시스템이 동시에 출발하였다 이 장학체제의 기능은 과연 국가교육정책이 학교교육현 .

장에서 제대로 집행되는지를 점검하고 평가하여 정책결정자에게 보고 하는 데 있었 -feedback

다 바로 정책이 실행되는 현장 정보의 수집 분석 평가 보고를 위한 정책정보체제가 바로


. , , , ,

장학시스템이었던 것이다 교육정책에서 장학체제라는 교육정책에 특유한 정책정보 시스템을


.

발전시킬 수밖에 없는 이유는 계량화가 가능한 경제현상과는 달리 교육과 학습이라는 현상


은 그 대부분이 계량화 불가능한 질적 정보 현장하여서만 파악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이를 .

위하여 고도의 전문성을 지닌 장학진에게 그 일을 맡기는 체제가 년 이상 발전하여 온 100

것이다 우리나라에서는 언제부터인가 오래 전부터 바로 이러한 장학의 기능이 실종되어 버


.

렸으며 바로 이 이유 때문에 교육정책이 전혀 교육현장의 실태에 무지한 상태에서 입안되고


,

바로 그 때문에 정책의 실패 를 끊임없이 반복하고 있다


< > .

장학조직 붕괴의 경과와 원인


정부수립 이후 년까지 국가단위 장학조직은 보통교육국 또는 기획조정실 내에 장학진
1961

이 배치되고 있을 따름이었으며 년에 비로소 학무국이라는 이름으로 국 단위 장학조직 1961

이 생겨난다 이어 년 장학실로 승격하면서 본격적 장학시스템이 구축되었다 이후 중간


. 1963 .

에 편수행정 기능이 분리되거나 다시 통합하는 다소의 변동이나 교육정책실 부터 (1994.12.23 ),

초․중등교육실 부터 학교정책실 이후 로 이름이 변경되기는 하였으나 조직


(1996.7.5 ), (1998.3.10 )

상의 장학 담부서가 실장 급 수준의 부서조직으로 존재하여 왔다 (1 ) .

한편 형식적인 조직의 유무와는 상관없이 실질적 의미의 국가장학기능은 공식적으로는


,

년 김숙희 장관이 장학협의 기능을 폐지하도록 하는 지시에 의하여 사라졌으며 이후


1993 < > ,

회복되지 못하고 있다 그러나 실질적으로 장학기능이 사실상 무력화된 시기를 거슬러 올


.43)

라가자면 문교부직제개편으로 그때까지 참모조직 형태였던 장학실을 장학연구


1975. 3. 30 ,

학생지도 윤리교육담당의 계선조직 형태로 바꾼 시점부터라고 할 수 있다 바로 이 때부터


, .

국가교육정책이 학교교육현장에서 제대로 집행되는지를 점검하고 평가하여 정책결정자에게


보고하는 장학시스템은 그 작동이 사실상 멈추었다고 볼 수 있으며 국가교육정책의 입안과 ,

집행이 학교현장과 유리되기 시작하였다 .

43) 이 당시 장관은 단지 장학협의 폐지만이 아니라 장학실과 장학진 전체를 폐지하는 것이 당초의 희망이었다.
이후에도 지난 10여년간 교육부 직제 개편시 마다 학교정책실 등 초중등교육 관할조직을 없애거나 최소한 실
장 자리만이라도 없애려는 시도가 정부 내부에서 있어 왔다.

- 161 -
학교단위의 '新 교원 노사문화' 정착방안 연구

장학체제의 회복 방향: 장학요원의 사무원화 →현장 전문가로서의 장학요원


현장의 실태를 파악하고 이를 정책정보로 가공하여 교육정책결정․집행자에게 전달하는
것이 장학의 원래 기능이라면 이러한 기능은 사무실 내에서 수행될 수 없다 년 이후 주 . 1975

앙정부 수준에서 장학관 장학사 등 장학요원들은 국․과․계 형태의 계선 조직 속으로 들어


가 일반 행정공무원과 똑 같이 사무실 내 사무처리작업을 하고 있다 이 상황에서는 원천적 .

으로 장학기능 수행이 불가능하다 장학활동은 전교조의 활동가들이 그렇게 하는 것 처럼


.

고도로 현장 중심적이고도 창의적인 활동이다 바꾸어 말 장학기은 사무실 내에서 표준 . t

화된 업무편람과 업무처리절차에 따라 문서로 수행되는 업무가 아니며 고도의 조직목표


정책목표에 입각한 현장에서의 상호작용과 의사소통 활동이다 지식기반사회에서의 장학 .

기능은 특히 학교와 학교 밖을 연결하는데 그 커다란 역할이 기대되고 있다 이를 위해 .

서는 학교내부에만 맞추어져 있는 기존 장학진들의 시야를 학교 안팎으로 대폭 확대해


야 한다 예를 들어 과학담당 장학의 기능은 과학교사와 과학기술계의 양쪽을 오가며 그
.

간극을 메워야 할 것이며 예체능담당 장학의 기능은 음악 미술 체육 교사와 예술․공


,

연․스포츠계의 양쪽을 오가며 그 간극을 메워야 할 것이다 .

장학조직을 현장이 아니라 계층제의 국 과 계로 조직되어 사무실 내의 작업조직으로 - -

구성해서는 안 될 것이다 이는 장학의 본령인 현장중심의 외근을 포기하는 결과가 되며


.

결과적으로 장학기능이 위축되고 이 분야 행정과 정책이 현장과 유리되는 단초를 이루


는 것이다 장학진들은 마치 언론사 기자들처럼 사무실을 거점으로 해서 외근하는 것이
.

주된 근무형태이어야 할 것이며 재택근무도 가능할 것이다 , .

진정한 장학활동은 외교업무와 상당히 비슷해질 것이다 외교의 수단과 방법은 정해진 .

것이 없다 대사는 자신이 부임한 외국에서 본국의 신뢰와 국익이라는 목표를 중심으로


.

사교 교섭 정보보고 언론활동 프로젝트의 수행 등 필요한 모든 활동을 본국의 훈령과


, ,

외교관의 전문성에 따라 자기주도적 창의적으로 수행하는 것이다 물론 외교관이나 대사 .

가 본국의 외무부 본청에 발령 받아 본부근무를 하는 경우도 있지만 그 경우는 일단은


외교 일선에서 떠나있는 상황인 것이다 장학진도 마찬가지이다 본청 사무실 내에서 수
. .

행하는 것은 장학활동이 아니며 장학활동은 사무실 밖으로 나와 자신이 담당한 영역에


서 문제해결자 교섭자 프로젝트수행자 정보보고자 기고자 강연자 논객 등으로 활동
, , , , , ,

할 때 비로소 시작되는 것이다 .

우리나라에서 장학이 제대로 활성화될 때 비로소 교사와 교육행정간 교사와 사회 간 ,

의 올바른 의사소통이 실현될 것이며 정책의 현장적합성이 높아질 것이다 그렇게 되려 .

면 장학조직과 장학진의 위상이 바로서야 한다 장학진은 외교관과 마찬가지로 현장에서 .

- 162 -
VI. 결론 및 정책 제언

는 장관 교육감 교육장을 대표한다 그들은 행정적 관료적 권한을 가지고 일하는 것이


.

아니라 외교관처럼 오로지 역량과 전문성으로 직무를 수행하는 것이다 대사의 말과 글 . ,

행동이 그 본국을 대표하며 그 본국에 대한 신뢰와 평화적 관계를 대표하는 것처럼 장 ,

학진의 말과 글 행동은 교육인적자원부장관을 대표하는 것이어야 하며 그런 것들이 쌓


여 교육정책에 대한 신뢰를 담보하는 것이 장학활동의 존재의의인 것이다 .

마지막으로 장학은 무엇보다도 그를 통해 인적자원의 성장과 발전을 위한 문제의 발


,

견과 확인 이에 대처하는 전략과 정책 등에 관한 정보교환과 토론이 활성화되는 계기를


,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 장학평가할 수한 방법은 결국 준거지향 보다는 문제해결지향


. ,

객관적 투명성보다는 전문성 중시 과정보다는 목표와 성과 우선 개별적인 프로그램보


, ,

다는 전체적 지역공동체의 총체성 그 조직과 제도를 중심으로 평가되는 것이 바람직하


,

다 이 과정에서는 단위사업과 정책프로그램중심으로 그 발전 발전적 변화가 우리나라사


.

회의 전체적 발전과 변화로 이어지는지 여부가 실증되어야 할 것이다 .

◇ 교원노동관계 연구자문기구 별도 설치

교육행정 체제의 역량개발 핵심은 제도형성 전략에 있다 분권화(institution building) .

된 교원노동관계를 주도적으로 이끌어가려면 교육감들의 역량이 대폭 제고되어야 하면


이는 교육감 개개인의 역량이 아닌 제도적 역량이어야 한다 이를 위한 교원노동관계 연 .

구자문기구가 별도 설치되어야 한다 그 주된 기능은 다음과 같다 ①교원노동관계에 영


. :

향을 주는 노동법제 및 교육법제 발전 정책 연구자문 ②단체교섭을 위한 협상자문 교육 ,

행정기관의 담당공무원 연수 ③ 단위학교경영과 단위학교노동관계 연구 및 자문 .

이러한 기구의 설치와 운영을 위한 방안은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다 :

제 안 국가지정 중점연구소로 설치 운영하는 방안


1 :

- 연구소운영위원회 형태로 교원노동관계자문위원회 를 운영하고


(Steering Commission)

- 연구진 외에 실제 상담지도 가능한 전문인력 중심으로 일정 규모의 자문단을 운영


제 안 교육감협의회에 사무국을 두고 그 부설 연구소로 설치 운영하는 방안
2 :

- 교육감협의회 또는 그 위임을 받은 부교육감협의회가 연구소 운영위원회 (Steering

기능을 수행하며 교원노동관계자문 방향을 설정하고


Commission)

- 연구진 외에 실제 전문인력 중심으로 일정 규모의 교원노동관계자문단을 운영


◇ 교장의 전문직화 추진

단위학교의 자율화를 위해서는 단위학교 경영의 전문화가 시급하다 교원노동관계의 .

- 163 -
학교단위의 '新 교원 노사문화' 정착방안 연구

선진화에 필요한 교사직의 전문직화를 선도하기 위해서는 먼저 교장직의 전문직화 를 < >

정착시켜야 한다 전문직화란 학교장이 더 이상 교원노동관계의 최일선 사용자가 아닌


.

노사관계로부터 독립된 제 의 지위를 갖는 것을 의미 한다 전문직화 전략의 핵심은 양 3 .

성프로그램 자격제도 전문직 단체의 세 가지에 놓여 있다


, , .

- 먼저 교장 양성연수프로그램 내용을 전면 재편하고 교육과학기술부 교육감협의회 - -

교장협의회를 중심으로 새로운 프로그램 개발 개년 중기사업 (3 )

- 교장자격제도를 현재처럼 관료제 내부 승진자격처럼 운영하지 말고 자격요건과 역


량 내용의 검증을 중심으로 객관화 한다 즉 승진대상자로 확정 후 자격 취득이 .

아니라 자격 취득자 중에서 교장을 임용하는 체제로 전환해야 한다 .

- 전문직 단체의 존재는 전문직화의 시작이자 끝이다 기존의 교장협의회를 법정 전 .

문직 단체화하고 전문직단체로서 공적 기능을 부여해야 한다 .

◇ 교사직의 다양화 추진

국가공무원 단일신분으로 일원화된 교사신분이야 말로 공공부문에 산업주의적 노동운


동이 출현하고 전국단위 단체교섭을 통해 조합주의적 관료적 교육지배구조가 형성되는
토대를 제공하고 있다 교사 신분을 다음과 같이 국가공무원 도단위공무원 자치도시 지
. , ,

방공무원의 가지로 다원화해야한다 그리고 이에 따른 교원노동관계도 원화 지역화 되


3 . 3

도록 해야 한다 .

-국가공무원 국립학교 교사 교장 등 전국단위로 활동할 교육계 리더 트랙


: ,

-도단위공무원 농어촌 교육 등 광역 순환 전보 근무가 필요한 교사


:

-자치도시공무원 광역시학교교사 도 산하 자치 시 학교교사 등 평교사로서 전문직


: ,

화할 일반 교사
2. 지방교육행정당국의 역할

지방교육행정당국은 단위학교 중심의 발전에 핵심 역할을 담당해야 New Unionism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교원노조와의 단체교섭과 협약을 중심으로 조합주의적 교육지배


.

구조를 구축하게 되는 것을 지양하고 단위학교중심의 노사관계 운영을 지향하기 위한


노력의 중추에 서야 한다 .

◇ 학교장의 권한 사항의 단체협약체결 금지

- 164 -
VI. 결론 및 정책 제언

먼저 법규상 학교장의 권한에 속하는 사항을 단체협약에 포함시키지 않도록 한다 이 .

는 그동안 학교장의 지위를 약화시키는 주된 원인이 되어 왔다 이러한 사항들은 단체교 .

섭이 아니라 학교장을 중심으로 단위학교에서 민주적으로 의사결정이 이루어져야 할 사


항들이다 .

◇ 학교장 지원을 교육행정의 중심으로: 장학과 <단위학교의사결정시스템>

학교장권한사항을 단위학교로 돌리게 되면 의사결정을 중심으로 교장의 성공적 직무


수행을 위한 장학지원이 활성화되어야 한다 학교장의 의사결정을 지원하는 의사결정지 .

원시스템 성격을 지닌 <단위학교의사결정지원시스템 >


(DSS: Decision Support System)

을 개발하여 보급해야 한다 이 작업은 교육감 협의회를 중심으로 추진될 수 있을 것이


.

다 단위학교의사결정지원시스템 에 포함되어야 할 핵심요소는 다음과 같다


. < > :

① 절차의 확립
CBD(consult before decision-making)

② 민주적 회의운영과 합의 도출을 위한 학교 내 커뮤니케이션 하위체제


③ 단위학교의사결정에 필요한 조사 및 지식관리 하위체제
④ 이견과 갈등 해소를 위한 협상과 의사소통 지원 하위체제
◇ 교과 장학시스템의 재구축

전교조 역량의 핵심을 이루는 활동가 와 분회장 을 능가하기 위해서는 이들 보다


< > < >

유능한 각 교과별 교과장학진의 확립이 결정적으로 중요하다 전국적 장학체제의 복원에 .

맞추어 각 시도에서도 특히 교과장학 체제의 복원을 추진해야 한다 .

3. 학교관리자의 역할과 교육훈련

학교관리자로서 교장은 노사관계와 무관한 각종의 권능을 법규에 의하여 수권 받고


있다 이러한 역할과 권한을 민주적으로 행사할 수 있는 능력이야 말로 학교장의 연수
.

교육 프로그램에 중점 반영되어야 한다 더 나아가 이러한 교육내용은 단위학교 현장에


.

서 수시로 업무에 참고하고 응용될 수 있는 <학교장 직무수행 매뉴얼 >의 형태로 매뉴


얼화 되어 단위학교 현장에 보급되어야 한다 .

설문조사와 심층면접을 통해 확인된 학교자들의 학습수요는 크게 ①논리와 사고 ② 지


식 ③ 핵심역량 ④전문직윤리의 부문으로 나눌 수 있다 그 내용구성의 대강은 다음
4 .

과 같다 .

학교장을 포함한 교감 부장교사등 및 핵심 교사를 위한 학교관리자 교육프로그램 발


( ,

전 방향과 세부 내용에 관하여는 별도 부록 참조 )

- 165 -
학교단위의 '新 교원 노사문화' 정착방안 연구

가. 기초적 판단과 논리를 위한 사고력-“전교조 바로 알기”

학교장들은 전교조와 그 조합원이 주장하는 이른 바 참교육 논리 앞에서 대항하지 못


“ ”

하고 있다 이는 고도의 선전 논리 앞에 굴복하는 교장들의 지적 훈련 부족을 시사하고


.

있다 건전한 판단력과 논리적 사고를 통해 전교조 주변 교사 학생 학부모들에게 충분히


.

전교조의 실체를 드러내고 이들의 지지를 얻어낼 수 있는 역량이 필요하다 상식과 균형 .

에 입각한 다음과 같은 대항논리를 교장들이 습득해야 한다 .

“참교육 논리”와 강령 비판과 대항(“전교조 바로 알기”)의 논리


인간은 양면성을 지니며, <공동체>의 일원인 동시에
1. 우리는 더불어 사는 삶을 소중히 여 개별성과 고유성을 지닌 <인격>이다. 전자만을 강조
하면 창의성이 결여된 <공산주의적 인간상> <회사형
기는 인간상을 추구한다. 인간상>에 빠지며, 전교조가 편협한 일면적 인간상
을 추구함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강령이다.
1.전교조는 <국민교육-National Education>을 타파
하고 <민족교육>을 그에 대신하려 한다. 양자의 차
1. 우리는 민족의 자주성 확보와 평화통 이가 무엇인가를 전교조는 대답하지 못한다.
일을 앞당기기 위한 교육을 실천한다. 2.<민족교육>은 세계화 시대의 <더불어 사는 삶>과
충돌하는 배타적 이념이며 <주체사상>의 논리이다.
전교조 강령 1호와 2호는 서로 모순된다.
1. 전교조는 누구나 동의하는 보편적 이념과 가치를
1. 우리는 민주주의의 완성과 생활화를 자신 만의 것인 양 포장하여 독점하고 있다. 전교조
지향하는 교육을 실천한다. 강령의 이 부분은 “자신은 선하고, 남들은 악하다”라
는 도덕적 우월성과 아집의 논리에 기초하고 있다.
1. 우리는 몸과 마음의 건강을 지키는
2. 이들 전교조 강령은 고도의 선전(propaganda) 전
교육을 실천한다.
술의 반영이다. “A=B” “나는 A" 라는 단순한 규정
1. 우리는 양성평등교육을 실천한다. 의 논리, 주술적(呪術的) 논리를 반복 사용하는 것은
1. 우리는 인권교육을 실천한다. “적과 동지”를 구분하고 지지자를 세뇌하는 스탈린
주의적 정치선전 기법의 핵심이다.
1. 우리는 노동의 가치와 노동자의 권리
3. 이러한 이념과 교육목적 자체는 누구나 동의하는
를 존중하는 교육을 실천한다.
것이다. 전교조와 비 전교조간의 차이는 그 것을 추
1. 우리는 자연과 인간의 공생을 지향하 구하는 방법에 있다. 민주주의는 이념일 뿐 아니라
는 교육을 실천한다. 방법이다. 전교조는 정당한 민주적 이념과 목적을 비
민주적이고 부정한 방법으로 추구하고 있다.
1. 우리는 교육과정을 창조적으로 운영
4. 주장(主張)의 언어는 거짓과 진실이 구별되지 않
한다.
는다. 이때는 말과 행동이 일치하는 지가 거짓과 진
1. 우리는 서로 돕고 협동하는 학습의 실을 구별하는 결정적 기준이다. <참>인 진술은 진
원리를 구현한다. 실한 사람이 말하면 진실, 거짓말장이가 말하면 거짓
이 된다: 형식논리학 제1장
1. 우리는 학생자치를 존중하고 돕는다.
5. 각 강령마다 전교조의 말과 행동은 일치되지 않으
1. 우리는 동료 교사와 함께 연구하고
며, 따라서 전교조 강령은 모두 거짓이다. 이들 전교
실천한다. 조 강령이야 말로 그 단순성과 보편성으로 인해 역
1. 우리는 학부모·지역사회와 협력한다. 으로 전교조에 대항할 수 있는 가장 효과적인 무기
이다: “상대의 무기로 상대를 제압 한다”

참교육을 가로막는 제도와 관행에 맞서는 가장 올바


1. 우리는 참교육을 가로막는 제도와 관 른 방법은 <문제해결>의 논리이며 <투쟁>의 논리가
행에 맞서 투쟁한다. 아니다. 본 강령은 소위 “참교육”이 교육논리가 아니
라 정치논리임을 드러내는 핵심 강령임.

- 166 -
VI. 결론 및 정책 제언

나. 전문지식: 단위학교운영과 관련된 법률적 지식, 노동관계지식

○ 학교법제 관련 지식 교육과정법제 인사법제 단위학교법제


: , , :

노사관계와 무관한 학교장의 법정지위 및 고유권한과 직결되어 있으며 단위학교자율 ,

성의 핵심 내용이자 전교조가 학교장을 상대로 하는 단위학교내 교섭협의 사항으로


주목하고 있는 다음 사항을 교육의 초점으로 한다 .

■초․중등교육법
학교규칙 제정 학생의 징계 학교생활기록부 작성․관리
학년제외의 제도 채택 조기진급․조기졸업의 인정

■초·중등교육법시행령
업무분장 보직교사의 증치
산학겸임교사·강사·명예교사의 임용 수업일수 지정·감축
복식학급 편성 임시휴업 실시
복수 학과․학급의 병합 수업 교외체험학습허가
수업 시․종 시각 지정 수료․졸업 인정
학습부진아 판별·교육 입학․편입학․재입학․퇴학․전학․휴학의 허가
고등학교 입학전형 실시(고등학교장)

■학교급식법
위탁급식 실시 및 학교급식공급업자의 지정
■학교급식법시행규칙
학교급식위원 임명·위촉

■학교보건법
학생·교직원 신체검사 실시 전염병 보균자에 대한 등교정지 처분
임시휴업 실시
■학교보건법시행령
정화구역의 관리

■학교수업료및입학금에관한규칙
수업료·입학금의 면제·감액 수업료징수기일 지정
수업료 체납학생에 대한 징벌

○ 교원노동법제 관련지식 단체협약 부당노동행위 : ,

○ 교섭과 협상 관련 일반적인 법규범과 규칙


○ 교장 에게 필요한 학교조직 시설 교육과정 이론
< >

다. 역량: 리더십 key skills

○ 공동 의사결정의 기법과 절차
( )

-학교장은 교사들에게 민주주의가 무엇인지 행동으로 보여주고 상대방의 비민주적


행동을 설득으로 제지 할 수 있어야 한다 절차적 공정성 에 관한 학습이 필요. < > .

○ 범용의 협상력 교섭력 상대방에게 제안을 하고 그에 대한 동의를 이끌어 내는 효


:

- 167 -
학교단위의 '新 교원 노사문화' 정착방안 연구

과적 방법이 협상이며 교장리더십 확보의 첩경이자 갈등관리의 핵심 기술임


, , .

○ 적극적 청취 (active효과적 인터뷰 기법 등 정보수집기술 민주적 관리


listening), :

자는 필요한 정보를 보고에 의존하지 않고 인터뷰를 통해 수집함 교사들 상대로 보 .

고를 요구하는 것이 아니라 인터뷰를 통해 관계를 확립하고 정보를 수집 .

○ 주장과 증거 문서화 등 규범적 사실적 변론 능력 논리로 포장된 상대방의 정치


, :

적 선전을 드러내고 비판 공략할 수 있는 판단력과 대항 논리 습득


○ 회의법과 회의 사회자로서 의장직 수행능력 학교업무는 수많은 회의로 이루어짐 : .

소수의 횡포를 제지하고 침묵하는 다수를 이끌어 내는 사회자의 역량 필요 .

○ 공중상대 스피치 역량
(public communication)

소수의 횡포를 제지하고 침묵하는 다수를 이끌어 내는 또 다른 중요한 방법은 청중


의 마음을 사로잡는 공개 스피치 역량에 있음 교장 직무 수행의 필수요소 . .

○ 교장이 가져야할 인문학 인간학적적 소양 인간심리연구 ( )

교사들의 행동에 나타난 표면의 입장과 논리가 아닌 상대방의 인간적 내면적 동기와
가치관을 파악하는 것은 가장 고도화된 관리자 역량에 속함 교장들에게 필수적임 . .

라. 직무윤리와 전문직으로서의 태도

도덕적 감수성과 윤리적 판단력은 모든 관리자 직무의 핵심 부분에 속함 이는 가치명 .

료화 훈련과 가치분석을 통해 함양 될 수 있음 특히 다음과 같은 소재를 중심으로 학.

습하다 보면 학교 내에서 발생하는 모든 갈등 문제를 해결의 토대가 되는 도덕적 리


더십을 확보할 수 있으며 교사와 학생들에 대하여 교장으로서의 지도력을 발휘하게
될 것임 :

○ 전문직 교장으로서 교사에 대한 태도와 윤리


○ 전문직 교장으로서 학부모에 대한 태도와 윤리
○ 전문직 교장으로서 학생에 대한 태도와 윤리
○ 전문직 교장으로서 지역사회에 대한 태도와 윤리

- 168 -
VI. 결론 및 정책 제언

[ 참고문헌 ]

김구현 전교조 없는 맑은 세상 엠에스북스


(2009) . .

김덕근 교육행정정보시스템 정책과정에서 나타난 교원노조의 영향력에 관한 연


(2004), “

구 교육행정학연구 권 호 통권 호
”, , 22 2 55 , pp421-440

김태기 단체교섭의 절차와 기법 한국노동연구원


(1993), ,

김태기 협상의 원칙 대한민국 협상론의 새로운 모색 사회평론


(2003), : ,

노순규 교원노조와 노사관계 기업경영연구원 노순규


(2009), , , , 2009

박정신 외 초등교사 보수수준 결정에 교원노조가 미치는 영향분석 교육재정경


(2008), “ ”,

제학회 세미나 논문
박재윤 교원노조법해설 한국문화사
(2004), ,

우재구 교원노사관계의 이해 한국노동교육원


(2008), ,

윤종건 교원노조와 교육개혁 원미사


(2005), ,

이득기 경기도내 중등학교 교사들의 교사노동단체설립에 대한 의식조사 江


(2000) “ ”

南大學校 論文集 第 輯 , , 35 , 2000. 1-46

이일권 교원노조 가입교사의 이중몰입에 대한 연구 고려대 대학원 박사학위


(2003), , ,

이일권 교원노조법의 쟁점에 대한 비판적 고찰 교원의 노동기본권을 중심으로


(2003), : ,

교육행정학연구 권 호 통권 호 21 4 , 53 , pp243-258

이주희 산별교섭의 실태와 정책과제 한국노동연구원


(2004) .

이명희 년대 日敎組의 방향 전환 성과와 과제 년 월 교육개혁포럼


(2003) “ 1990 : ”2003 12

월례 세미나 자료
정기오․김태기 (1999), 학교를 위한 협상론 한국교원대학교 출판부 ,

Bolton, Roger(2005) "Habermas's Strategic Action and Social Capital." Paper at

meeting of Association of American Geographers, Denver, Colorado,

April 2005.

Gordon, Colin (1996) Why No Corporatism in the United States. University of Iowa

Dorothy Sue Cobble(1997) "The Next Unionism: Structural Innovations for

revitalization." Labor law journal August 1997 439-442

Driver, Steven and luke Martell (2001) "From Old Labour to New Labour" Politics

2001 21(1) 47-50.

Healey, John and Frances O'Grady(1997) "New unionism in the 1990s" Soundings

issue 6 Summer 1997.

Leo Troy(2004). "New Unionism and the New Politics". Labor Watch April 2004

Kerchner, C.T. & Caufman, K. D.(1993) "Building the Airplane while it's Rolling

down the Runaway" in C.T. Kerchner J.E. Koppich A Union of

Professionals: labor Relation and Education Reform. New York: Teachers

College Press.

- 169 -
학교단위의 '新 교원 노사문화' 정착방안 연구

Kerchner, CT, & Caufman, KD. (1995). "Lurching toward professionalism: The saga of

teacher unionism." The Elementary School Journal, 96(1), 107-122.

Kerchner, C.T. & Mitchell, D.E. (1988). The Changing Idea of a Teachers’Union.

New York : Falmer Press.

Munro, Anne and Helen Rainbird(2000) "The New Unionism and the New Bargaining

Agenda: UNISON^Employer Partnerships on Workplace Learning"

British Journal of Industrial Relations June 2000, 223-240.

MERROW REPORT(1999) “New Unionism: A Conversation with Bob Chase”

Date recorded: December 14, 1999

Pamela S. Barr; J. L. Stimpert; Anne S. Huff(1992) "Cognitive Change, Strategic

Action, and Organizational Renewal" Strategic Management Journal,

Vol. 13, 15-36

M. Lieberman(1979) "The Eggs That I Have Laid"

- 170 -
<부록>

<부록-1> 학교관리자 노동관계교육 발전 방향

Ⅰ. 학교 노사관계 교육실태

1. 교육 실시 규모
년도 학교 노사관계 교육 실시는 주로 한국노동교육원에서 담당하였다 전국시도
2008 .

교육청과 한국노동교육원은 각 교육청 단위별로 학교경영자들을 대상으로 다음과 같이


교육을 실시하였으며 경기교육청만이 기본과정과 심화과정을 실시하였다
, .

구분 대상 규모 비고

서울교육청 학교장(감), 장학사 10회 400명 기본과정(2박3일)

학교장(감), 장학사 14회 700명 기본과정(2박3일)

경기교육청 학교장(감), 장학사 6회 300명 심화과정(2박3일)

교사 2회 100명 교사노사관계교육

대전 교육청 학교장(감), 장학사 2회 100명 기본과정(2박3일)

충남 교육청 학교장(감), 장학사 2회 100명 기본과정(2박3일)

전북/제주교육청 학교장, 장학사 1회 50명 기본과정(2박3일)

전남교육청 학교장, 장학사 2회 200명 기본과정(2박3일)

경북교육청 학교장, 장학사 1회 50명 기본과정(2박3일)

대구교육청 학교장(감), 장학사 2회 100명 기본과정(2박3일)

부산교육청 학교장, 장학사 3회 150명 기본과정(2박3일)

경남교육청 학교장, 장학사 5회 250명 기본과정(2박3일)

학교장(감), 장학사 4회 200명 기본과정(2박3일)


인천교육청
학교장(감), 노조간부 1회 40명 노사합동과정

충북교육청 학교장(감), 장학사 1회 40명 기본과정(2박3일)

강원교육청 학교장(감), 장학사 3회 150명 기본과정(2박3일)

공통 교사 1회 30명 교원(교사)노사관계교육

- 171 -
학교단위의 '新 교원 노사문화' 정착방안 연구

2. 교과 내용 구성

(1) 학교 경영자 노사교육(기본과정)

구분 교과목 주요 내용 시간 강사

- 참여와 협력의 노사관계


노사 노사관계 이해 2- 노동행정연수
- 노사파트너십의 가치와 방향
관계 (상생관계 중심으로) 3H 원 교수
- 노사파트너십을 위한 리더십

- 교원노동권의 헌법상 보장과 내용


교원노조법과 단체교 - 교원노조법의 올바른 이해
3H 공인노무사
섭 및 부당노동행위 - 단체교섭 및 단체협약에 관한 노동조
합법 규정
노동법
- 근로계약 및 근로ㆍ휴게시간
근로기준법 주요내용
- 비정규직 제ㆍ개정법의 주요내용
및 비정규직 쟁점해 3H 공인노무사
- 모성보호 및 연소자 보호

- 직장내에서의 성희롱 예방 등

- 조직활성화를 위한 효과적 의사소통


갈등관리와 커뮤니케 2- 노동행정연수
- 의사소통에서의 걸림돌 피하기
이션 3H 원 교수
- 학교현장에서의 갈등관리
조직
관리
- 협상의 구성요소
노동행정연수
노사협상과 교섭기법 - 협상단계와 전략 2H
원 교수
- win-win교섭기법의 이해

- 노사분규의 현상 및 쟁점변화 추이
- 공공부문 노사관계의 특징 및 현황
김용목
- 노사분규 사례연구 2-
노사협력성공사례 노루페인트 노
- 무한경쟁시대의 노동조합의 새로운 역 3H
조위원장
할과 과제
노사
협력
및 - 교원단체와 노동조합
운영 - 노동권과 관계법령 이해
학교 노사관계와 갈 2- 교육청 교원단
사례 - 교육노사관계 발전방향
등사례 3H 체 담당관실
- 노동조합 관계법의 비교
- 학교현장 노사관계 및 갈등 사례

교육청 학교
특강 - 교육현장과 교육혁신에 관한 사항 2H
정책과

- 172 -
<부록>

(2) 학교경영자 노사교육(심화과정) : 경기교육청

과목 주요내용 시간 강사

- 교원노조법 POINT
ㆍ정당한 노조활동
ㆍ부당노동행위
ㆍ단체교섭
교원단체교섭의 김광욱노무사
ㆍ단체협약
이해와 5H ( 한국실 무노동 법연
ㆍ쟁의행위
전략(ⅠㆍⅡ) 구회)
- 교원노조법 CASE STUDY
- 교원노사관계전략
ㆍ상호신뢰심 구축방안
ㆍ교장리더십 강화

- 단체교섭의 절차 및 기법
단체교섭의 배일도
- 교섭위원의 역할과 과제 2H
운영사례 (국회의원)
- 공공부문의 단체교섭 운영사례 등

- 노동관계법 개요
학교경영과 최 학종노 무사 ( 한국
- 개별적 노무관리(근로기준법, 비정규직법) 2H
노무관리 노무법인)
- 집단적 노사관계(노조설립과 단체교섭)

갈등해결과
- 갈등을 합리적으로 푸는 대화기법
협상을 위한 홍기문원장
- 성공적인 협상을 위한 커뮤니케이션 기술 3H
커뮤니케이션 (한국기업문화원)
- 인간에 대한 이해를 통한 신뢰적 협상
기법

- 21세기 환경변화와 교육패러다임


학교조직변화를 김정일교수
- 교육지도자의 변화관리 역량 2H
위한 리더십 (한국노동교육원)
- 교육지도자의 혁신과 리더십 배양

특강 - 교육혁신과 정책에 관한 사항 2H 학교정책과

- 173 -
학교단위의 '新 교원 노사문화' 정착방안 연구

(3) 교원노사관계 교육(교사) : 경기교육청 특별과정

교과목 주요내용 시간 비고

- 선진국 노사관계 양태와 추이


교원노사관계의 - 교원노조와 교섭단체 비교 송태수교수
2H
이해 - 단체협약의 효력 (한국노동교육원)
- 학교 갈등실태 원인분석과 시사점 등

노동인권방법론과 - 노동인권 교육방법론 윤성봉


3H
교육실습(Ⅰ) - 노동인권 교육프로그램 체험 및 기획 등 (노동인권네트워크)

노동인권과 - 현장 노동인권 침해사례 이수정노무사


2H
교육실습(Ⅱ) - 노동인권 교육실습 등 (민주노무법인)

- 노사분규의 현상 및 쟁점변화 추이
- 공공부문 노사관계의 특징 및 현황
노사파트너십 김용목위원장
- 노사분규 사례연구 2.5H
성공사례 (노루페인트 노조)
- 무한경쟁시대의 노동조합의 새로운 역할
과 과제

- 근로계약 및 근로ㆍ휴게시간
- 비정규직 제ㆍ개정법의 주요내용 최학종노무사
노동법 이해 3H
- 모성보호 및 연소자 보호 (한국노무법인)
- 직장내에서의 성희롱 예방 등

배경내 상임위원
특강 - 학교에서의 현장 실천 사례 등 1H
(노동인권네트워크)

- 조직활성화를 위한 효과적 의사소통


갈등관리와 김정일ㆍ손영근교수
- 의사소통에서의 걸림돌 피하기 2H
커뮤니케이션 (한국노동교육원)
- 학교현장에서의 갈등관리 등

- 174 -
<부록>

(4) 교원노사합동교육 : 인천교육청 특별과정

교과목 주요내용 시간 강사

- 한국노사관계와 교원노사관계의 역사 송태수교수


교원노사관계이해
- 신정부정책과 교원노사관계 쟁점이슈 2H (한 국노 동교 육
와 과제
- 바람직한 교원노사관계의 방향 원)

- 근로계약 및 근로ㆍ휴게시간, 임금 등
근로기준법 및
- 기간제 및 단시간근로 보호 등에 관한 법률 송영호노무사
비정규직법 3H
- 파견근로자 보호 등에 관한 법률 (선진노무법인)
주요내용 및 해설
- 학교 비정규직 근로자와 노동법

- 교원노조법의 올바른 이해
교원노조법과 김광욱노무사
- 단체교섭의 의의, 주체, 구조와 절차 및 대상
단체교섭 및 3H (한 국실 무노 동
- 단체협약에 대한 노동조합법 규정
부당노동행위 법연구소)
- 부당노동행위 등

- 리더십의 정의
김정일교수
- 학교경영자에게 요구되는 리더십
상생의 리더십 2H (한 국노 동교 육
- 학교조직의 변화에 요구되는 리더십
원)
- 상생리더십의 필요성과 전략

- 갈등의 정의 및 유형 홍기문원장
갈등관리와
- 갈등의 진단 및 원인 3H (기 업문 화연 구
커뮤니케이션
- 갈등해결을 위한 커뮤니케이션 원)

- 학교 노사관계 특징 및 시사점
학교현장 갈등사례 박종암사무관
- 학교현장의 노사관계 및 갈등사례 3H
및 토론 (경기교육청)
- 바람직한 노사관계를 위한 역할 및 토론

선진노사협력사례 - 선진노사협력사례(국내ㆍ외)모델 연구 강현규차장


3H
및 기법 - 선진노사협력 기법 (팬택)

- 175 -
학교단위의 '新 교원 노사문화' 정착방안 연구

3. 교육실태 분석

① 일부 경기교육청 에서만 교원노사관계 교육이 활성화 되어 있으며 여타 시도교육청에


( )

서는 아직 교원노사관계 교육이 원활하지 못함 신규 경영관리자의 육성과 아울러 교육 .

을 확대 편성 실시할 필요가 있음 .

② 교육 내용 구성이 노사관계의 기본 사항인 노동관계 법규 중심으로 편성되어 있으며 ,

학교 노사관계의 직무특성에 부합된 교과내용 편성과 교육목표 설정이 필요함 .

③ 교육기간이 짧아 교육내용이 일반론적인 접근에 그치고 있어 교육기간을 더 확대하


여 교육내용의 전문성과 현장 적용력을 강화할 필요가 있음 .

④ 전문적인 강사 풀 개발 단계에 있어 강사별 교육내용의 편차가 심하고 내용


(POOL)

구성의 표준화가 미흡한 수준에 있으므로 강의내용과 강의안을 표준화 모듈화하고 전문


,

강사진에 의한 일관성과 체계성을 갖춘 진행이 필요함 .

⑤ 교육주관 기관이 노동행정연수원 한국노동교육원 으로 통일되어 있어 시도교육청간


( )

교육내용의 일관성이 어느 정도 유지된 점은 있으나 교육장소가 노동행정연수원 한국노 (

동교육원 에서 실시하여 이동간의 거리가 많으며 해당 시도교육청연수원에서 실시할 필


) ,

요가 있음 .

⑥ 학교 관리자인 부장교사 및 일반 교사에 대한 노사관계 교육은 거의 전무한 실정이


기 때문에 학교단위 노사관계 발전을 위해 이들에 대한 교육도 추가적으로 실시될 필요
가 있음 .

Ⅱ. 학교 노동관계 교육 기본방향

1. 교육대상자 범위
교육대상자는 학교 단위의 경영자인 교장 교감을 대상으로 함을 한정 ,

2. 교육 대상자 직무 및 특성 분석

가. 직무분석
- 초중등교육법에 의한 법정 고유권한과 교육행정위임 권한을 행사
- 학교 단위에서 교원들에 대한 경영관리자로서 직무
- 단체협약의 학교 현장 단위에서의 사용자측 이행 의무자
- 교육법과 단체협약의 위임에 의한 학교 단위에서의 노사관계 업무수행

- 176 -
<부록>

- 학교 현장에서의 노동조합 활동에 대한 합법성 준수 감독


- 학교 현장 단위에서의 교원과의 주요 현안문제 협의 설득
- 학교 현장 단위에서의 일반 공무원과 주요 현안문제 협의 설득
- 학교 현장 단위에서의 일반 직원과의 주요 현안문제 협의 설득
- 학교 현장 단위에서의 중요 현안 사항 회의 진행
- 학교 현장 단위에서의 교원 참여하의 중요사항 의사 결정
- 학교 현장 단위에서의 노사갈등 현안 문제 해결
- 학교 현장 노사관계 당사자의 상시 의사소통 채널
- 학교 현장 노사관계 주변인 학생 학부모 지역사회 과의 상시 의사소통
( , , )

나. 특성 분석
- 학교 단위에서의 교원노사관계의 사용자측 지위
- 학교 단위에서의 교원노사관계 현안 문제 상시 접촉
- 학교 단위에서의 교원노조원과 동일 공간 직무수행
- 학교 단위에서의 부당노동행위 대표적 행위자 지위
- 학교 단위 학부모 학생 지역사회에 대한 상시 접촉
, ,

- 교원과의 집단적 의사결정의 합리성과 전문성이 필요


- 학교 단위에서의 문제 교원에 대한 원만한 대응력 필요
- 학교 단위에서의 합리적 교원노조활동 유지 확보
다. 학교 현장에서의 애로사항(교육니즈)
- 교원과의 의사결정에서의 갈등현상 노출
- 교원간의 갈등상황에서의 갈등 조정 해결
- 교원노조원의 노조활동을 둘러싼 문제 해결
- 단체협약 규정상의 내용 이행상의 노조원과의 갈등 예방 및 해소
- 경영자의 경영방침의 원만한 이행
- 교원들과의 인간적인 교류상의 갈등 예방 및 해소
- 경영자에 적대적인 감정의 교원과의 갈등해소
- 학교 경영상의 일상적인 문제해결상의 교원과의 마찰 예방 해소
- 학교 경영 일상적인 문제로 인한 교원간의 갈등 예방 해결

- 177 -
학교단위의 '新 교원 노사문화' 정착방안 연구

3. 교육목표
o 단위 학교 운영과 관련된 법률적 노동관계적 전문지식 습득 ,

o 단위 학교 운영상의 합리적 문제해결 능력 배양


o 단위 학교 운영상의 회의 진행 능력 배양
o 단위 학교 운영상의 노사협상력 및 설득력 배양
o 전문직 관리자로서의 올바른 태도와 윤리 형성
4. 교육방침 및 전략
o 현장 적용 가능한 실제적인 실무 적용 능력 배양
o Package프로그램에 의한 체계적이고 입체적인 학습
o 참여토의 및 실습 위주의 학습 진행
o 학급인원을 소수 명이내 편성으로 학습효과 심화
(30 )

o 소수 실무 전문강사진에 의한 운영으로 실제적인 학습효과 제고


o 직무교육성과를 위해 분임조활동은 생략하고 분임조별 실습실시
5. 교육시행체계
가 . 교육 총괄 내용 편성 구성 등 교육과학기술부 교원단체 담당관실
( , ) :

나 . 교육 대상자 선정 및 홍보 교육과학기술부 연수원 :

다 . 교육실시 및 평가 노동부 노동행정연수원 공공부문교육팀


:

라 . 기타 노동부 노동행정연수원은 교육실시 결과를 교육과학기술부 담당관실에 통보


:

- 178 -
<부록>

Ⅲ. 세부시행 방안

1. 교과목 구성

교과분야 교과 과목(시간) : 13개 교과 28시간 교육방법

교육 관련 법제 이해(2H) 강의/질의토의

교원노사관계 법제 이해(3H) 강의/질의토의

노사관계
근로관계 법제 이해(3H) 강의/질의토의
전문지식

교원 노사관계 이해(2H) 강의/참여토의

협상관련 이론과 실무(3H) 강의/실습

소계 : 13시간

의사소통 능력(청취, 말하기)(2H) 강의/실습

공동 의사결정 과정 기법과 절차(2H) 강의/참여토의

회의 진행 기법과 의장직 수행능력(2H) 강의/실습

조직관리
역량 인간간의 신뢰형성과 관계개선 원리(2H) 강의/참여토의

문제해결 능력(2H) 강의/참여토의

갈등관리(3H) 강의/참여토의

소계 : 13시간

전문직으로서의 학교 구성원에 대한 태도
실습
(2H)
경영자로서의 전문직으로서 지역사회에 대한 태도와
자세ㆍ태도 강의/참여토의
윤리(2H)

소계 : 2시간

기타 행정 및 정보교환시간 4시간

- 179 -
학교단위의 '新 교원 노사문화' 정착방안 연구

2. 교육과목별 세부내용

가. 노사관계 전문지식 분야

□ 과목명 교육 관련 법제의 이해
:

□ 배정시간 시간 : 2

□ 주요 교육내용
주요 교육내용 교육방법 및 기법

- 초중등교육법상의 교장교감의 법정 고유권한


- 초중등교육법상의 교육행정권한
- 초중등교육법상의 교과과정 편성체계 강의 및 질의토의
- 행정수권교육과정과 교사수권교육과정
- 장학의 개념과 교육과정 유형

□ 과목명 교원노사관계의 법제 이해
:

□ 배정시간 시간 : 3

□ 주요 교육내용
주요 교육내용 교육방법 및 기법
- 교원노동조합의 설립과 운영/조합활동
- 단체교섭의 주체와 대상
- 단체협약의 내용과 효력
강의 및 질의토의
- 교원노동쟁의의 조정과 중재
- 교원노사관계의 쟁의행위 금지
- 부당노동행위의 유형과 성립

□ 과목명 근로관계 법제 이해
:

□ 배정시간 시간 : 3

□ 주요 교육내용
주요 교육내용 교육방법 및 기법
- 근로관계의 성립과 권리의무
- 노무지휘권과 징계
- 근로관계의 종료
강의 및 질의토의
- 임금 실무
- 근로시간과 휴식
- 고용보험과 산재보험 실무

- 180 -
<부록>

□ 과목명 교원노사관계의 이해
:

□ 배정시간 시간 : 2

□ 주요 교육내용
주요 교육내용 교육방법 및 기법

- 교원노사관계 변천과정
- 교직단체와 교원단체의 구분
- 교원노사관계의 특징
강의 및 참여토의
- 선진국 교원노사관계 현황
- 교원노사관계의 과제
- 교원노사관계 발전방향

□ 과목명 협상관련 이론과 실무


:

□ 배정시간 시간 : 3

□ 주요 교육내용
주요 교육내용 교육방법 및 기법

- 협상의 개념과 구조
- 협상의 유형과 전략
- 교원 노사협상의 특징과 과제
강의 및 실습
- win-win협상 개념과 원칙
- win-win협상의 개념 실습
- 협상에서의 대화 원리

나. 조직관리 역량 분야
□ 과목명 의사소통 능력 청취 말하기
: ( , )

□ 배정시간 시간 : 2

□ 주요 교육내용
주요 교육내용 교육방법 및 기법

- 조직관리에서의 의사소통의 의의
- 의사소통에서의 듣기 훈련
- 의사소통에서의 말하기 훈련 강의 및 실습
- 능동적 구성원 만들기 의사소통 전략
- 상황별 의사소통 전략

- 181 -
학교단위의 '新 교원 노사문화' 정착방안 연구

□ 과목명 공동의사결정 과정 기법과 절차


:

□ 배정시간 시간 : 2

□ 주요 교육내용
주요 교육내용 교육방법 및 기법

- 조직관리와 공동의사결정 과정의 의의


- 긍정적 공동의사결정 기법과 절차
강의 및 참여토의
- 공동의사결정과정에서의 경영자의 역할
- 공동의사결정 과정에서의 문제요인 해결방안

□ 과목명 회의진행 기법과 의장직 수행능력


:

□ 배정시간 시간 : 2

□ 주요 교육내용
주요 교육내용 교육방법 및 기법

- 회의의 필요성과 종류
- 회의에 임하는 자세 및 회의의 효과
- 회의의 계획과 준비 강의 및 실습
- 회의의 진행법
- 회의 리더의 요령

□ 과목명 인간간의 신뢰형성과 관계개선 원리


:

□ 배정시간 시간 : 2

□ 주요 교육내용
주요 교육내용 교육방법 및 기법

- 인간에 대한 이해
- 인간간의 신뢰형성의 원리
- 불편한 상대와의 관계 개선 원리 강의 및 참여토의
- 상대방에 대한 인정요령
- 신뢰형성원리로서의 긍정적 접촉 요령

- 182 -
<부록>

□ 과목명 갈등관리
:

□ 배정시간 시간 : 3

□ 주요 교육내용
주요 교육내용 교육방법 및 기법

- 조직에서의 갈등의 기능
- 갈등해결의 원리
- 갈등해결을 위한 커뮤니케이션 기법 강의 및 참여토의
- 인간의 심층심리와 갈등 예방
- 감정적 반응 대처방법

□ 과목명 문제해결 능력
:

□ 배정시간 시간 : 2

□ 주요 교육내용
주요 교육내용 교육방법 및 기법

- 문제해결의 프로세스
- 문제해결을 위한 페르미 추정
- 문제해결을 위한 가설 사고력 강의 및 참여토의
- 문제해결을 위한 프레임 워크 사고력
- 프레임 워크 사고력 개발 방법

다. 경영자로서의 자세ㆍ태도
□ 과목명 전문직으로서의 학교구성원에 대한 태도
:

□ 배정시간 시간 : 2

□ 주요 교육내용
주요 교육내용 교육방법 및 기법

- 학교 경영자의 전문직으로서의 특징적 지위


- 학교 경영자의 책임과 역할
- 교사가 바라보는 학교 경영자의 바람직한 모습 강의 및 참여토의
- 학생, 학부모가 바라보는 경영자의 바람직한 모습
- 학교 경영자 동료가 바라보는 바람직한 모습

- 183 -
학교단위의 '新 교원 노사문화' 정착방안 연구

□ 과목명 전문직으로서 지역사회에 대한 태도와 윤리


:

□ 배정시간 시간 : 2

□ 주요 교육내용
주요 교육내용 교육방법 및 기법

- 지역사회가 바라보는 전문직 학교 경영자의 역할과 책임


- 지역사회에 대한 책임 역할 수행 사례
- 학교 활동과 지역사회와의 동반자적 관계 강의 및 참여토의
- 학교의 지역사회 봉사활동과 구성원간의 신뢰구축
- 학교 경영자의 지역사회 활동 참여방안

3. 강사편성 운영 : 각 분야의 전문가로 편성 운영


가. 강사선정 기준
① 교육에 대한 기본 이해가 있으면서 해당분야의 전문가를 위촉
② 교육 내용의 연계성을 위해 단일 강사가 여타 과목 담당
③ 교육 반응도와 효과성을 감안하여 편성
④ 교육주관부처 교과부 와 시행처 행정연수원 이 협의하여 선정
( ) ( )

나. 강사운영
① 매 교육시 마다 평가하여 강사에게 피드백하여 교육효과 제고
② 강사에게는 과목에 상관없이 동일한 시간당 강사료 책정 지급
③ 교육효과 제고를 위해 매 교육시 마다 강사평가 결과 따라 재선정 운영

- 184 -
<부록>

4. 교육시간표 예시

교육시간 제 일차
1 제 일차
2 제 일차
3 제 일차
4

07:30~08:30 조 식 조식 조 식
09:00~09:50
신뢰형성과
10:00~10:50 교원노사관계 협상관련 이론과 관계개선
법제 이해 실무
11:00~11:50 등록/숙소배정
학교경영자의
지역사회에 대한
중 식 태도 (특강 )
12:00~12:50 중 식 중 식
교육안내 및 중 식
개강식
13:00~13:50 학교 경영자의 교육평가 수료식/

학교구성원에
14:00~14:50 대한 태도 (특강 ) 근로관계 법제 갈등관리
이해
15:00~15:50
교육관련
법제 이해
16:00~16:50
의사소통능력 공동의사
결정기법
17:00~17:50 교원노사관계
이해

18:00~18:50 석 식 석 식 석 식
19:00~19:50
학교 현장에서의
노사현안문제 회의진행기법 문제해결능력
20:00~20:50 정보교환

- 185 -
학교단위의 '新 교원 노사문화' 정착방안 연구

<부록-2> 전략분석에 활용된 전교조 관련 자료 목록

1) 전국교직원노동조합 규약규정 _ (2007)

2) 참교육연구소 주년기념토론자료집
2

3) 5.23_대회분회총회자료
4) 4 회보고대회 주제토의자료 전교조정책실
- ( )

5) 2002년분회장직무연수 전남 -

6) 2003_ 활동가 전국겨울연수 자료


7) 2006전국초등여름활동가연수
8) 2009여름활동가직무연수
9) 전교조 공교육개편활동가연수자료
10) 분회장일과및 분회계획
_

11) 분회활동매뉴얼 부산지부 -

12) 사월혁명회 민족학교 이수호참교육강연 -

13) 성과급반납 지침 추가
_ ( )

14) 성과급투쟁 토론자료


_

15) 성심분회연수자료
16) 초등활동가자료집 강원 -

17) 참교육공식해설서 더불어사는 삶을 가르치는 참교육


“ ”

18) 지회장교육자료
19) 충북분회장교육자료집
20) 전교조 통일교재에 대한 국사편찬위원회와 통일부의 검토보고서

- 186 -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