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18

상 담 학 연 구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2013, Vol. 14, No. 2, 839-856

상위-기분이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


정서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김 유 진 신 희 천†

아주대학교

상위-기분은 정서인식의 명확성, 정서에 대한 주의, 정서개선으로 구성되며, 대인관계문제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먼저, 상위-기분과 대인관계문제의 관계를 정적 정서와
부적 정서가 매개하는지 확인하였다. 연구결과 부적 정서는 상위-기분과 대인관계문제를 부분 매개
하는 유의미한 매개변인으로 확인되었다. 반면, 정적 정서는 상위-기분과 대인관계문제의 관계를 매
개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 번째로, 상위-기분의 하위요인들 중 어떤 요인이 부적 정서를 매
개로하여 대인관계문제에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한 결과, 정서인식의 명확성과 대인관계문제의 관계
는 부적 정서에 의해 부분매개 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정서개선과 대인관계문제의 관계 또한 부
적 정서에 의해 부분매개 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정서에 대한 주의는 부적 정서와 대인관계문제
를 유의미하게 예측해 내지 못했다. 본 연구에서 성별에 따른 매개효과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이런 결과를 중심으로 본 연구가 지니는 의의 및 시사점, 제한점, 후속 연구에 대한 제안을 논의하
였다.

주요어 : 상위-기분, 정적 정서 및 부적 정서, 대인관계문제

* 본 원고는 김유진(2011)의 석사학위논문 ‘상위-기분이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을 일부 수정한 것임.


†교신저자(Corresponding Author): 신희천 / 아주대학교 심리학과 / 경기도 수원시 영통구 원천동 산 5번지
Tel: 031-219-2747 / E-mail: hcshin@ajou.ac.kr

- 839 -
상담학연구

Sullivan(1953)은 대인관계를 강조하며 인간은 다 변인은 상위-기분이다. Goleman(1995)은 대인관계


른 사람을 떠나서는 살 수 없다고 하였다. 특히 에서의 성공과 적응이 머리의 힘인 지능이 아니
후기 청소년기이자 성인 초기인 대학생은 친구, 라 가슴의 힘인 상위-기분에 좌우된다고 주장하
연인, 동료, 교수, 가족 등과 친밀한 관계를 형성 였다. 상위-기분이 높은 사람들은 정서를 이해함
하고 그러한 능력을 계발 하여 성숙한 대인관계 으로써 자신의 감정을 표현할 수 있고, 감정에 대
의 바탕을 구축하는 중요한 심리사회적 발달단계 한 피드백을 이해할 수 있다. 또한 정서를 유발하
이다. Seiffge-Krenke(1995)의 연구에 따르면 청소년 는 사건과 정서간의 관계에 대해 보다 잘 이해할
이 경험하는 스트레스 요인의 대부분(80%)이 대 수 있게 되어 대인관계에서의 갈등을 해결하는데
인관계와 관련 있었다. 특히 집단주의적 문화특성 매우 유용할 수 있다(Denham, Zoller, & Couchoud,
을 강조하는 우리나라 청소년들은 다른 나라 청 1994; 정민, 장안나, 2009; 송현, 이영순, 2011). 그
소년들에 비해 대인관계문제로 더 많은 스트레스 동안 기분과 정서에 대한 상위-경험 차원을 평
를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김의철, 박영신, 가하기 위한 다양한 시도가 있어왔다(Mayer &
1997). 따라서 우리나라 청소년들의 대인관계문제 Gaschke, 1988; Mayer, Mamberg & Volanth, 1988;
를 해결하고 적응적인 관계를 이룰 수 있도록 도 Mayer & Stevens, 1994; Swinkels & Giuliano, 1995).
와주는 것이 필요한데, 이를 위해서는 대인관계문 이런 과정에서 Salovey 등(1995)은 상위-기분의 하
제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에 대한 탐색이 선행 위요인을 측정하기 위해 Trait Meta-Mood Scale
되어야 한다. (TMMS)을 개발하였다. 이 척도는 일반적인 정서
임상장면에서는 정서적 문제를 대인관계문제와 들에 대한 더 안정된 태도 뿐 아니라 개인들이
연결 지어 다루어왔다. Horowitz(1979; 1991)는 20 정서경험을 다루기 위한 영속적인 전략들을 측정
년 이상의 임상경험 동안 환자들과의 임상적 면 한다(Salovey et al., 1995). 여기에서 상위-기분은 세
접을 통해 환자들의 가장 주된 호소가 바로 대인 가지 요인으로 구성되는데, 정서에 대한 주의, 정
관계문제와 부적 정서라는 사실을 강조하고 있고, 서 인식의 명확성, 정서 개선이다. 정서에 대한
많은 임상가들이 이에 동의하고 있다(이태영, 심 주의는 정서적 상태에 주의를 기울이는 지각된
혜숙, 2011). 정서는 모든 사람들이 공유하는 심리 능력을 나타내며, 정서인식의 명확성은 정서적 질
적 기제로서 우리의 생활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의 차이에 대해 이해하고 구별하는 지각된 능력
인간의 삶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정서는 사회적 을 나타낸다. 마지막으로 정서 개선은 정적 기
인 삶에서 필요, 소망, 의도를 전달하고 상대방의 분을 유지시키고 부적 정서를 조절하는 것이다
의사를 정확히 인식하고 반응하는 것을 돕기 때 (Salovey et al., 1995).
문에 대인관계에 필수적인 부분이다. 국내외에서 Block과 Kremen(1996)은 상위-기분이 높은 사람
정서와 대인관계가 서로 관련되어 있으며 영향을 들은 자신의 감정을 솔직히 표현하고 긍정적인
주고받는다는 연구가 꾸준히 진행되어왔다(안현 자아관을 가지며 대인관계능력이 좋다고 하였다.
미, 1995; 윤재희, 1999; Gotlip & Robinson, 1982; 또한 Engelberg와 Sjoberg(2004)는 정서에 대한 지각
Brown, Bifulco & Harris, 1987; Beach, Sanden & 적이고 인지적인 능력이 사회적 기능에 대한 필
O'Leary, 1990). 요조건이라고 하였다. 실제로 Schutte 등(2001)은
정서와 관련하여 최근에 주목받고 있는 개인차 상위-기분과 대인관계의 관계를 확인한 결과, 상

- 840 -
김유진․신희천 / 상위-기분이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 정서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위-기분이 높을 때 사회적 상황에 대한 자기-감시 부적응 적으로 대처하기 때문에 불안이 증가하고
(self-monitoring)능력과 사회적 기술이 좋으며, 친밀 지나간 일을 반추하면서 우울증을 겪을 수 있다
하고 다정한 관계를 경험한다고 보고하였다. (Salovey et al., 1995). 상위-기분은 낮은 수준의
한편 이러한 상위-기분은 정적 정서나 부적 정 감정표현 불능증, 반추적 사고, 불안, 우울
서에 영향을 미쳐 궁극적으로 적응 및 대인관계 (Fernandez-Berrocal et al., 2005; Rude & McCarthy,
에 기여할 것임을 시사하는 일련의 연구들이 최 2003)과 관련되어 있다. Salovey 등(1995)은 상위-기
근 들어 진행되고 있다. 예를 들어, Lopes와 그의 분과 스트레스 사건 이후 유발된 부적 정서, 반추
동료들(2006)은 상위-기분이 작업수행지표와 관련 사고와의 관계성을 보고했다. 부적 정서는 반추사
있다고 보고하는데, 여기서 작업수행지표란 회사 고와 수반되며, 정서인식의 명확성, 정서에 대한
등급, 능률승급비율뿐 아니라 대인관계를 촉진시 주의, 정서개선의 상위-기분과는 부적관계를 가지
키는 지표(대인관계 민감성, 사교성, 긍정적 작업 고 있었다.
환경을 위한 기여 등), 정서나 태도를 포함한다. 그런데 상위-기분은 정적 정서를 향상시킴으로
또한 Kafetsios와 Zampetakis(2008)의 연구에 의하면 써 대인관계문제를 개선하는 것인지, 아니면 부적
상위-기분이 사회적 관계와 관련 있으며, 상위-기 정서를 감소하고 조절함으로써 대인관계문제를
분과 직업만족도의 관계를 정적 정서와 부적 정 약화시키는 것인지는 아직 분명하지 않다. 즉,
서가 매개역할 한다고 보고하고 있다. 이들 연구 상위-기분이 정적 정서를 매개로 대인관계문제에
들은 상위-기분이 정적 정서나 부적 정서를 변화 영향을 미치는 것인지, 아니면 부적 정서를 매개
시킴으로써 대인관계에 영향을 미침을 시사하는 로 대인관계문제에 영향을 미치는 것인지를 경험
결과들이다. 적으로 규명할 필요가 있다. 왜냐하면 정적 정서
상위-기분이 정적 정서를 향상시킴으로써 대인 와 부적 정서는 각기 독립적인 차원으로 보는 것
관계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시사하는 선행연구들 이 타당함을 지지하는 결과들이 보고되고 있기
이 있다. Swinkels와 Guiliano(1995)는 정서가 사고 때문이다. Watson, Clark 및 Tellegen(1988)에 의하
나 행동에 연결되어 있어 정서를 명확히 인식하 면, 정적 정서(Positive Affect: PA)는 사람이 열광적
는 사람일수록 긍정적인 사고를 더 많이 경험한 이고, 활동적이며, 민활함을 느끼는 정도를 반영
다고 밝혔는데, 실제 상위-기분과 낙관성의 관계 한다. 높은 정적 정서는 높은 에너지, 완전한 집
를 살펴 본 결과 상위-기분 수준이 높은 학생은 중, 즐거운 일 등의 상태를 의미하는 반면에, 낮
긍정성이 높으며 낙관적 사고를 하는 경향이 있 은 정적 정서는 슬픔과 무기력의 특징을 갖는다.
다(이경애, 2007). 또한 Gohm와 Clore(2002)는 상위- 부적 정서(Negative Affect: NA)는 분노, 경멸, 메스
기분은 긍정적 사고, 적극적 대처와 관련 있다고 꺼움, 죄의식, 공포, 신경증을 포함한 다양한 혐오
보고 하였다. 적 정서 상태가 포함되는 주관적인 고통과 불쾌
마찬가지로 상위-기분이 부적 정서를 감소시킴 한 일의 일반적인 차원을 말한다. 이때 부적 정
으로써 대인관계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시사하는 서가 낮다는 것은 차분함(calmness), 평온함(serenity)
선행연구들이 있다. 상위-기분이 높은 개인은 부 등의 상태를 의미한다. 부적 정서는 자기 보고된
적 정서에 더 적응적으로 대처 하는 반면, 상대적 스트레스와 빈약한 대처(Clark & Watson, 1986;
으로 상위-기분이 낮은 개인은 부적 정서에 더 Kanner et al., 1981; Wills, 1986), 빈번한 불쾌한 사

- 841 -
상담학연구

건(Stone, 1981; Warr, Barter, & Brownbridge, 1983) 대인관계문제에 영향을 미치는 매개과정에서 주
등과 관련되고, 정적 정서는 사회적 활동, 만족감, 요한 역할을 하는 요인이 무엇인지를 규명하고자
빈번한 즐거운 사건들과 관련된다(Beiser, 1974; 한다.
Bradburn, 1969; Clark & Watson, 1986; Watson,
1988). 국내 연구들에서도 PA와 NA는 독립적인
것으로 밝혀졌는데, 즉 부적 정서성이 높은 사람 방 법
들이 반드시 정적 정서성이 낮은 것은 아니다(이
현희, 김은정, 이민규, 2003). 사람에 따라 부적 정 연구 대상
서성과 정적 정서성이 모두 높을 수도 있고, 둘
다 낮을 수도 있고, 어느 하나는 높고 다른 하나 경기도 소재 A대학교에서 심리학 관련 교양수
는 낮을 수 있다. 예컨대, 한 사람이 기쁨과 슬픔 업을 듣는 학생 310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실시
을 모두 자주 체험할 수도 있고, 기쁨과 슬픔 중 하였으며, 설문을 마친 후 출결에 대한 1크레딧을
한가지만을 자주 체험할 수도 있고, 두 정서 모두 부여했다. 참가자들의 성별은 남자 180명(58.1%),
를 드물게 체험할 수도 있다(민경환, 2002). 여자 130(41.9%)명이었으며, 연령은 18세에서 40세
상위-기분과 대인관계를 확인한 이전 연구들은 까지로 나타났고 평균 연령은 만 21.7세였다
상위-기분이 자신의 정서를 분명히 이해하고 조 (SD=2.475).
절하며 타인과의 관계를 효율적이고 적응적으로
맺도록 하는 능력이기 때문에 대인관계에 영향을 측정도구
미치며, 높은 상위-기분이 적응적 대인관계를 예
측한다고 보고해 왔다. 그러나 상위-기분이라는 특질 상위-기분 척도
것은 본질적으로 정서와 관련된 능력으로 정서적 Salovey 등(1995)에 의해 개발된 특질 상위-기분
측면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다. 또한 상위-기분 척도(Trait Meta-Mood Scale; TMMS)를 이수정, 이훈
자체가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이 분명 존재 구(1997)가 번안하여 타당화한 것을 사용하였다.
하지만, 정서가 대인관계에 있어서 중요한 예측변 이 척도는 총 21문항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정서
인이라는 사실 또한 명백하다. 이전의 상위-기분 에 대한 명확한 인식(11개 문항), 정서에 대한 주
과 대인관계의 관계를 확인한 연구들은 상위-기 의(5개 문항), 정서개선(5개 문항)의 3개의 하위
분과 대인관계에 있어서 정서의 중요성을 간과해 척도로 구성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 신뢰도는 전
왔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상위-기분과 정서, 체 문항이 .82, 정서에 대한 명확한 인식이 .85,
그리고 대인관계문제의 관련성을 살펴보고자 한 정서에 대한 주의가 .81, 정서개선이 .80로 나타났
다. 특히 상위-기분이 대인관계문제에 영향을 미 다.
치는 과정에서 정적 정서와 부적 정서 각각의 매
개 역할을 확인함으로써 상위-기분이 대인관계문 정적 정서 및 부적 정서 척도
제에 작동하는 기제를 확인하는데 본 연구의 목 Watson 등(1988)이 정적 정서 및 부적 정서와
적이 있다. 또한 상위-기분의 세 가지 요인(정서 관련되는 자기진술을 평가하기 위해 개발한 정적
인식의 명확성, 정서에 대한 주의, 정서개선) 중 정서 및 부적 정서 척도(the Positive and Negative

- 842 -
김유진․신희천 / 상위-기분이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 정서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Affect Schedule; PANAS)를 이현희, 김은정, 이민규 지나치게 민감하고 책임지려고 하는 것과 관련된
(2003)가 재번안하여 타당화한 것에서 일부 수정 문제를 측정하는 자기희생(LM), 다른 사람에 대한
하여 사용하였다. Watson이 개발할 때 이 척도가 지나친 관여와 관련된 문제를 측정하는 과관여
총 20문항으로 정적 정서 10문항, 부적 정서 10문 (NO) 척도로 구성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 신뢰도
항이었던 것과 다르게 타당화에서 정적 정서를 는 전체 문항이 .91, 통제지배 .73, 자기중심성
나타내는 9개의 문항과 부적 정서를 나타내는 11 .82, 냉담 .83, 사회적 억제 .82, 비주장성 .85, 과
개의 문항으로 구성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순응성 .78, 자기희생 .71, 과관여 .69로 나타났다.
Watson에서 정적 정서였던, 그러나 타당화 과정에
서 부적 정서에 포함된 ‘기민한(alert)’을 ‘정신을 자료 분석
바짝 차린’으로 수정하여 정적 정서에 포함시켰
다. 본 연구에서 신뢰도는 전체 문항이 .78, 정적 본 연구에서는 SPSS 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정서 .86, 부적 정서 .82로 나타났다. 분석하였다. 먼저 각 측정 변인들의 평균, 표준편
차를 구하고, 성별에 따른 각 변인들의 차이를 검
대인관계문제 척도 증하기 위해 T검증을 실시하였다. 둘째, 각 변인
대인관계문제검사 원형척도의 단축형(Short form 들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상관분석을 실시하였
of the KIIP Circumplex Scales; KIIP-SC)은 Horowitz 다. 셋째, 상위-기분과 대인관계문제의 관계에서
등(1988)이 개발한 대인관계문제검사(Inventory 정적 정서 및 부적 정서가 매개 변인 역할을 하
of Interpersonal Problems; IIP)와 Alden, Wiggins와 는지 검증하기 위해 Baron & Kenny(1986)가 제시
Pincus(1990)가 64문항으로 재구성한 원형척도 한 3단계 매개 회귀 분석절차로 분석을 실시하였
(IIP-Circumplex Scale; IIP-C)를 바탕으로 국내에서 다. 그리고 정적 정서 및 부적 정서가 유의미한
김영환 등(2002)이 문항을 통합하고 한국 실정에 매개 변인인지 확인하기 위해 Sobel test(1987)를
맞는 문항들을 추가, 보완한 한국형 대인관계문제 실시하였다.
검사(Korean Inventory of Interpersonal Problem; KIIP)
의 단축형 검사이다.
KIIP-SC는 각 척도별로 5문항씩 총 40문항으로 연구결과
구성되어 있는데, 타인을 통제하고 조종하는 것과
관련된 문제를 측정하는 통제지배(PA), 자신의 안 주요 변인들의 평균과 표준편차
녕에 대한 과도한 관심과 관련된 문제를 측정하
는 자기중심성(BC), 정서를 경험하고 표현하는 것 전체 응답자의 상위-기분, 정적 정서 및 부적
과 관련된 문제를 측정하는 냉담(DE), 비사회적인 정서, 대인관계문제와 관련된 척도들의 평균 점수
경향, 수줍음과 관련된 문제를 측정하는 사회적 와 표준편차를 표 1에 제시하였다. 또한 주요 변
억제(FG), 자신감, 주장성 및 자존감의 결여와 관 인들에서 성별에 따른 차이가 나타나는지 알아보
련된 문제를 측정하는 비주장성(HI), 독립성을 유 기 위해 t-test를 실시하였다.
지하지 못하고 쉽게 설득, 이용당하는 것과 관련 그 결과 남녀 집단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된 문제를 측정하는 과순응성(JK), 타인의 욕구에 변인들이 나타났다. 상위-기분 전체는 t=2.66,

- 843 -
상담학연구

표 1. 주요 변인들의 평균과 표준편차

남자(N=180) 여자(N=130) 전체(N=310)


측정변인 t
M(SD) M(SD) M(SD)
상위-기분 3.55 (.41) 3.41 (.49) 3.50 (.45) 2.66**
정서 인식 3.58 (.59) 3.37 (.62) 3.50 (.61) 2.88**
정서 주의 3.64 (.66) 3.84 (.66) 3.72 (.67) -2.60**
정서 개선 3.42 (.67) 3.08 (.80) 3.28 (.74) 4.01***
정적 정서 2.97 (.66) 2.64 (.73) 2.83 (.71) 4.12***
부적 정서 2.08 (.64) 2.14 (.67) 2.11 (.65) -.73
대인관계문제 2.38 (.46) 2.50 (.67) 2.43 (.46) -2.37*
*** p< 0.001, ** p< 0.01, * p< 0.05

p<.01 수준에서 유의미하였으며, 정적 정서는 주요 변인들의 상관관계


t=4.12, p<.001 수준에서, 대인관계문제는 t=-2.37,
p<.05 수준에서 유의미하였다. 상위-기분의 하위 연구에서 사용된 각 변인들 간의 관계를 알아
요인들을 보면 정서에 대한 인식(t=2.88, p<.01), 보기 위해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정서에 대한 주의(t=-2.60, p<.01), 정서 개선 남자에서 상위-기분은 정적 정서 및 부적 정서,
(t=4.01, p<.001) 모두에서 남녀의 차이가 유의미 대인관계문제와 상관이 나타났다. 정적 정서는 부
한 것으로 나타났다. 부적 정서를 제외한 모든 변 적 정서, 대인관계문제와 상관이 나타나지 않았으
인에서 남녀의 차이가 유의미하였으므로 이후 분 나, 부적 정서는 대인관계문제와의 상관이 나타났
석은 남녀 각각에 대해 이루어졌다. 다. 상위-기분 하위요인인 정서인식과 정적 정서
는 상관이 나타나지 않았으며 정서주의는 정적

표 2. 남자: 주요 변인들의 상관관계(pearson 상관계수)

상위-기분 정서인식 정서주의 정서개선 정적정서 부적정서 대인관계문제


상위-기분 1    
정서인식 .86** 1
정서주의 .40** .08 1
정서개선 .47** .17* -.13 1
정적정서 .24** .10 .18* .25** 1    
부적정서 -.36** -.35** -.03 -.21** -.01 1  
대인관계문제 -.54** -.51** -.00 -.38** -.09 .44** 1
* p<.05, ** p<.01

- 844 -
김유진․신희천 / 상위-기분이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 정서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표 3. 여자: 주요 변인들의 상관관계(pearson 상관계수)

상위-기분 정서인식 정서주의 정서개선 정적정서 부적정서 대인관계문제


상위-기분 1    
정서인식 .89** 1
정서주의 .48** .21* 1
정서개선 .67** .40** .05 1
정적정서 .43** .38** -.08 .38** 1    
부적정서 -.32** -.26** -.02 -.36** -.15 1  
대인관계문제 -.42** -.35** -.10 -.40** -.13 .37** 1
* p<.05, ** p<.01

정서를 제외한 부적 정서 및 대인관계문제와의 서가 부분 매개하는지 알아보기 위해 Baron &


상관이 나타나지 않았다. 정서개선은 정적 정서, Kenny(1986)가 제안한 3단계 매개 효과 검증 절차
부적 정서, 대인관계문제와 상관이 나타났다. 를 사용하였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여자에서는 상위-기분과 정서주의를 제외한 상 표 4와 표 5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남녀 모두
위-기분 하위요인들은 정적 정서 및 부적 정서, 에서 독립변인인 상위-기분이 종속변인인 대인관
대인관계문제와 상관이 나타났다. 정적 정서는 부 계문제에 미치는 영향력이 통계적으로 유의하였
적 정서, 대인관계문제와 상관이 나타나지 않았으 고(  =-.536, p<.001;  =-.418, p<.001), 상위-기분
나, 부적 정서는 대인관계문제와의 상관이 나타났 이 매개변인인 부적 정서에 미치는 영향력도 통
다. 계적으로 유의하였다( =-.362, p<.001;  =-.321,
p<.001). 그리고 세 번째 단계에서 매개변인인 부
성별에 따른 상위-기분과 대인관계문제 간의 관 적 정서가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력이 유의
계에서 부적 정서의 매개효과 하였으며( =.280, p<.001;  =.266, p<.001), 상위-
기분이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력이 첫 번째
상위-기분과 대인관계문제의 관계를 부적 정 방정식( =-.536;  =-.418)보다 세 번째 방정식에

표 4. 남자: 상위-기분과 대인관계문제 간의 관계에서 부적 정서의 매개효과

단계 예측변인 종속변인 B  t R²(ΔR²) F


1 상위-기분 대인관계문제 -1.165 -.536 -8.466*** .287(.283) 71.673***
2 상위-기분 부적정서 -.272 -.362 -5.186*** .131(.126) 26.892***
상위-기분 -.944 -.434 -6.706***
3 대인관계문제 .355(.348) 18.766***
부적 정서 .813 .280 4.332***
* p<.05, ** p<.01, *** p<.001

- 845 -
상담학연구

표 5. 여자: 상위-기분과 대인관계문제 간의 관계에서 부적 정서의 매개효과

단계 예측변인 종속변인 B  t R²(ΔR²) F


1 상위-기분 대인관계문제 -.724 -.418 -5.202*** .175(.168) 27.065***
2 상위-기분 부적정서 -.209 -.321 -3.832*** .103(.096) 14.681***
상위-기분 -.576 -.332 -4.065***
3 대인관계문제 .238(.226) 10.574***
부적 정서 .707 .266 3.252***
* p<.05, ** p<.01, *** p<.001

그림 1. 남자: 상위-기분이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부적 정서의 매개효과

그림 2. 여자: 상위-기분이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부적 정서의 매개효과

서 줄어들었다(  =-.434;  =-.332). 따라서 부적 Kenny(1986)가 제안한 3단계 매개 효과 검증 절차


정서는 상위-기분과 대인관계문제에서 부분매개 를 사용하였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성별에 따른 표 6과 표 7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남녀 모두
매개효과의 차이는 없었다. 에서 독립변인인 상위-기분이 종속변인인 대인관
다음으로 Sobel test(1987)를 실시한 결과, 부적 계문제에 미치는 영향력이 통계적으로 유의하였
정서의 매개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확 고(  =-.536, p<.001;  =-.418, p<.001), 상위-기분
인되었다(t=-3.333, p<.001; t=-2.473, p<.05). 이 매개변인인 정적 정서에 미치는 영향력도 통
계적으로 유의하였다(  =.244, p<.001;  =.425,
성별에 따른 상위-기분과 대인관계문제 간의 관 p<.001). 그러나 세 번째 단계에서 매개변인인 정
계에서 정적 정서의 매개효과 적 정서가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력이 유
의미하지 않았다(  =.045, p>.05;  =.056, p>.05).
상위-기분과 대인관계문제의 관계를 정적 정 즉, 상위-기분은 정적 정서와 대인관계문제의 유
서가 부분 매개하는지 알아보기 위해 Baron & 의미한 예측변인이었으나, 정적 정서를 매개변인

- 846 -
김유진․신희천 / 상위-기분이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 정서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표 6. 남자: 상위-기분과 대인관계문제 간의 관계에서 정적 정서의 매개효과

단계 예측변인 종속변인 B  t R²(ΔR²) F


1 상위-기분 대인관계문제 -1.165 -.536 -8.466*** .287(.283) 71.673***
2 상위-기분 정적정서 .189 .244 3.359*** .060(.054) 11.285***
상위-기분 -1.188 -.547 -8.364***
3 대인관계문제 .289(.281) .464
정적 정서 .125 .045 .681
* p<.05, ** p<.01, *** p<.001

표 7. 여자: 상위-기분과 대인관계문제 간의 관계에서 정적 정서의 매개효과

단계 예측변인 종속변인 B  t R²(ΔR²) F


1 상위-기분 대인관계문제 -.724 -.418 -5.202*** .175(.168) 27.065***
2 상위-기분 정적정서 .301 .425 5.317*** .181(175) 28.269***
상위-기분 -.765 -.441 -4.963***
3 대인관계문제 .177(.164) .391
정적 정서 .136 .056 .626
* p<.05, ** p<.01, *** p<.001

으로 두었을 때 상위-기분과 정적 정서는 대인관 p<.001;  =.302, p<.001), 정서인식이 대인관계문


계문제를 유의미하게 예측하지 못했다. 이러한 결 제에 미치는 영향력이 첫 번째 방정식(  =-.505;
과는 남자와 여자에서 동일하게 나타났다.  =-.346)보다 세 번째 방정식에서 줄어들었다( 
=-.400;  =-.266). 따라서 부적 정서는 정서인식
상위-기분의 하위요인 의 명확성과 대인관계문제에서 부분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성별에 따른 매개효
상위-기분의 하위요인과 대인관계문제의 관계 과의 차이는 없었다. 다음으로 Sobel test(1987)를
에서 부적 정서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한 결과, 부적 정서의 매개효과가 통계적
위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표 8과 표 으로 유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t=-3.360, p<.001;
9에 제시된 바와 같이 남녀 모두에서 독립변인 t=-2.370, p<.05).
인 정서인식이 종속변인인 대인관계문제에 미 정서개선과 대인관계문제의 관계에서 부적 정
치는 영향력이 통계적으로 유의하였고(  =-.505, 서의 매개효과를 살펴본 결과, 남녀 모두에서 독
p<.001;  =-.346, p<.001), 정서인식이 매개변인인 립변인인 정서개선이 종속변인인 대인관계문제에
부적 정서에 미치는 영향력도 통계적으로 유의하 미치는 영향력이 통계적으로 유의하였고( =-.382,
였다(  =-.353, p<.001;  =-.264, p<.01). 그리고 세 p<.001;  =-.402, p<.001), 정서개선이 매개변인인
번째 단계에서 매개변인인 부적 정서가 대인관계 부적 정서에 미치는 영향력도 통계적으로 유의하
문제에 미치는 영향력이 유의하였으며(  =.296, 였다( =-.210, p<.01;  =-.355, p<.001). 그리고 세

- 847 -
상담학연구

표 8. 남자: 상위-기분의 하위요인과 대인관계문제 간의 관계에서 부적 정서의 매개효과

단계 예측변인 종속변인 B  t R²(ΔR²) F


1 정서인식 대인관계문제 -1.437 -.505 -7.807*** .255(.251) 60.944***
2 정서인식 부적 정서 -.346 -.353 -5.033*** .125(.120) 25.331***
3 정서인식 -1.139 -.400 -6.098***
대인관계문제 .332(.324) 20.385***
부적정서 .860 .296 4.515***
1 정서개선 대인관계문제 -2.121 -.382 -5.512*** .146(.141) 30.383***
2 정서개선 부적정서 -.403 -.210 -2.686** .044(.039) 8.226**
3 정서개선 -1.684 -.303 -4.647***
대인관계문제 .280(.271) 32.853***
부적정서 1.085 .374 5.732***
* p<.05, ** p<.01, *** p<.001

표 9. 여자: 상위-기분의 하위요인과 대인관계문제 간의 관계에서 부적 정서의 매개효과

단계 예측변인 종속변인 B  t R²(ΔR²) F


1 정서인식 대인관계문제 -.903 -.346 -4.166*** .119(.113) 17.355***
2 정서인식 부적 정서 -.260 -.264 -3.101** .070(.063) 9.617**
3 정서인식 -.694 -.266 -3.237**
대인관계문제 .204(.192) 13.575***
부적정서 .803 .302 3.684***
1 정서개선 대인관계문제 -1.794 -.402 -4.960*** .161(.155) 24.605***
2 정서개선 부적정서 -.597 -.355 -4.300*** .126(.119) 18.486***
3 정서개선 -1.376 -.308 -3.679***
대인관계문제 .222(.209) 9.874**
부적정서 .699 .263 3.142**
* p<.05, ** p<.01, *** p<.001

번째 단계에서 매개변인인 부적 정서가 대인관 없었다. 다음으로 Sobel test(1987)를 실시한 결과,
계문제에 미치는 영향력이 유의하였으며( =.374, 부적 정서의 매개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
p<.001;  =.263, p<.01), 정서개선이 대인관계문제 로 확인되었다(t=-2.573, p<.05; t=-2.532, p<.05).
에 미치는 영향력이 첫 번째 방정식(  =-.382;  그러나 정서에 대한 주의와 대인관계문제의 관
=-.402)보다 세 번째 방정식에서 줄어들었다(  계에서 부적 정서의 매개효과는 남녀 모두에서
=-.303;  =-.308). 따라서 부적 정서는 정서개선 유의하지 않았다.
과 대인관계문제에서 부분매개효과를 가지는 것
으로 나타났으며 성별에 따른 매개효과의 차이는

- 848 -
김유진․신희천 / 상위-기분이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 정서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논 의 두 번째로, 정적 정서와 부적 정서의 상관은


존재하지 않았다. 이는 정적 정서 척도와 부적 정
본 연구는 상위-기분이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서 척도가 서로 독립적인 것으로 나타났던 이전
영향을 살펴보고 그 중간 과정으로 정적 정서 및 결과와 일치한다(이현희, 김은정, 이민규, 2003).
부적 정서의 역할을 검증해 보았다. 결과와 그에 따라서 본 연구에서 정적 정서와 부적 정서 점수
따른 의미를 살펴보면, 첫 번째로 주요 측정 변인 를 하나로 계산하지 않고 따로 매개효과를 검증
들의 평균을 확인한 결과, 상위-기분 하위요인의 하고자 했던 가설은 적절하다고 볼 수 있다.
전체 평균은 정서에 대한 주의가 가장 높았으며, 세 번째로, 상위-기분과 대인관계문제 사이에서
정서 인식의 명확성, 정서개선 순으로 나타났다 정적 정서 및 부적 정서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
(각각 M=3.72, M=3.50, M=3.28). 대학생들은 정 과는 다음과 같다. 부적 정서는 상위-기분과 대인
서에 대한 주의를 가장 많이 하며, 정적 정서를 관계문제를 부분 매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
유지하고 부적 정서를 바꾸려는 믿음은 비교적 면 상위-기분은 정적 정서와 대인관계문제를 예
적은 편이라 예상해 볼 수 있다. 상위-기분의 하 측하는 유의미한 예측변인이었으나 정적 정서가
위요인 중 정서에 대한 주의는 여성의 경우 더 상위-기분과 대인관계문제 사이를 매개하지는 않
높게 나타났으며, 정서인식의 명확성과 정서 개선 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남자와 여
은 남성이 더 높게 나타났다. 이는 여성은 정서에 자에서 동일하게 나타났으며 성별에 따른 매개효
대한 주의를 많이 하며, 남성은 정서를 명확하게 과의 차이는 없었다. 이로 인해, 자신과 타인의
인식하고, 자신의 정서를 개선하려는 노력을 더 정서를 지각, 이해, 조절하는 능력인 상위-기분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난 이전 연구들과 일치하 (Mayer & Salovey, 1990, 1997; Schutte et al., 1998)
는 결과이다(Extremera, Duran & Rey, 2007; Thayer 이 높은 사람은 부적 정서 수준이 낮아 대인관계
et al., 2003). 정서에서는 남성이 여성보다 정적 문제를 덜 호소한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상
정서 점수가 더 높았으며 여성은 남성보다 부적 위-기분이 높으면, 정적 정서 수준이 높거나 대인
정서의 점수가 더 높았다. 대인관계문제에서는 여 관계문제를 덜 호소할 수는 있으나, 높은 상위-기
성의 평균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분이 정적 정서를 느끼게 하여 대인관계문제를
이러한 차이가 유의미한 결과인지 확인하기 위 줄인다고는 볼 수 없다.
해 T검증을 실시한 결과, 부적 정서를 제외하고 네 번째로, 상위-기분의 하위 요인들과 대인관
모든 변인들에서 그 차이가 유의미한 것으로 나 계문제 사이에서 부적 정서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타났다. 비록 상위-기분과 상위-기분 하위 변인들 결과는 다음과 같다. 정서인식의 명확성과 대인관
에서 성차가 유의미했음을 확인하였지만, 아동을 계문제의 관계를 부적 정서가 부분 매개하는 것
대상으로 한 다른 연구에서는 여아의 정서 지능 으로 확인되었다. 정서 개선과 대인관계문제 관계
이 남아보다 높게 나타났다(김경희, 1998; 신혜정, 또한 부적 정서가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
2000; 현인숙, 1999). 또한 곽윤정(1997), 심혜숙과 다. 그러나 정서에 대한 주의는 부적 정서와 대인
왕정희(2001), 황혜정(1999)은 정서지능에서 성차가 관계문제를 유의미하게 예측하지 못하였다. 이러
나타나지 않았다고 보고했다. 이와 같이 정서지능 한 결과는 남자와 여자에서 동일하게 나타났으며
에서의 성차는 일관되지 않은 결과를 보이고 있다. 성별에 따른 매개효과의 차이는 없었다. 즉, 정서

- 849 -
상담학연구

에 대해 이해하고 구별하는 정서인식의 명확성과 명확하게 인식하고 이해하는 과정이나 정서를 조


정적 정서를 유지시키고 부적 정서를 조절하는 절하는 과정, 정서관련 대처 전략이 동반되어질
정서 개선 능력이 높은 사람이 부적 정서를 적게 때 적응적으로 기능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해 볼
경험하여 대인관계문제를 덜 느끼게 된다는 것을 수 있다. 그러나 정서에 대한 명확한 이해, 조절
확인할 수 있다. 반면 정서에 대해 주의를 기울이 하려는 노력, 정서에 대한 대처능력이 없는 상태
는 것이 부적 정서나 대인관계문제를 예측하지는 에서 정서에 주의를 기울이는 것은 부적 정서를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서에 대한 주의와 부 경험하게 할 수 있다고 예상해 볼 수 있다. 따라
적 정서 및 대인관계문제와 관련된 이전 연구들 서 추후 연구에서 다양한 정서에 대한 대처전략
은 불일치된 결과들을 보고하고 있다. Swinkels와 과 정서에 대한 주의과정의 상호작용 효과를 확
Giuliano(1995)는 정서에 대한 주의가 주로 부적인 인해 볼 필요가 있다.
정서와 관련된다고 보고하였으며, 김현주(2005)와 이렇게 결과와 그 의미들을 살펴보았을 때 본
김미경(1998)은 정서에 대한 주의가 개인이 가지 연구 결과를 일반화하기에는 몇 가지 제한점이
는 예민성을 암시하고 이 예민성이 타인의 감정 있다. 이런 제한점은 동시에 후속 연구를 위한 제
을 알아차리는 공감능력으로 기능하여 대인관계 안점이 될 것이다.
에 유익을 줄 수 있다고 언급하였다. 그러나 본 첫째, 본 연구는 자기 보고식 질문지를 통한
연구의 결과 정서에 대한 주의는 부적 정서와 관 연구이기 때문에, 자기보고식 측정의 다양한 문제
련이 없었으며, 대인관계문제와도 상관이 나타나 와 측정 오류가 반영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예컨
지 않았다. 대, 정서나 대인관계문제에 대해서 응답자가 주관
Ingram(1990)은 정서에 지속적으로 주의를 기울 적으로 느끼는 것을 측정하였기 때문에 실제의
이는 자기 초점화 주의가 부적 정서의 유발에 잠 정서 상태나 대인관계문제와는 차이가 있을 수
재적 취약성을 야기한다고 지적하였다. 즉 정서에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후속 연구에서는 면접법
대한 주의 과정은 정서인식의 명확성이 동반되지 또는 객관화되고 구체화된 측정도구를 사용한 반
않을 경우 취약조건으로 작용한다는 것이다(최요 복 검증이 필요하다.
원, 2004). 정서인식의 명확성이 낮은 사람들은 경 둘째, 본 연구가 모두 비임상 대학생을 대상으
험하는 정서를 이해하기 위해 보다 많은 시간을 로 이루어졌다는 점과 남녀 비율에서 약간의 차
들여 초점화된 주의를 기울이지만 이들은 자신의 이가 있다는 점에서 연구 결과의 일반화에 어려
정서 경험을 매우 복잡하게 지각함으로써 오히려 움이 있다. 대학생들이 호소하는 정서의 정도가
정서에 압도되게 된다는 것이다. 즉 정서 상태에 비임상적인 수준일 가능성이 크며, 따라서 임상장
대한 무분별한 주의가 명확한 인식 없이 발생할 면에서 실제로 상위-기분이 우울과 불안과 같은
때 이는 부적응적 반응으로 이어지게 되는 반면 임상적 어려움을 매개로 하여 대인관계문제에 영
주의를 기울이되 정서를 명확하게 인식하는 과정 향을 미칠 수다고 확장하기에는 무리가 있을 것
이 동반되면 적응적인 상태로 이어지게 될 것이 이다. 본 연구를 일반화하기 위해서는 임상, 비임
라는 것이다. 상 표본을 대상으로 하여 남녀의 비율을 균등하
Ingram(1990)이 언급한 것을 바탕으로 생각해 게 분배하여 반복 검증할 필요가 있다.
볼 때, 정서에 대해 주의를 기울이는 것은 정서를 셋째, 본 연구에서 사용된 표본은 남자 180명,

- 850 -
김유진․신희천 / 상위-기분이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 정서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여자 130명, 총 310명으로 변수의 숫자에 비하여 첫째, 상위-기분과 대인관계문제의 관계에서 정


표본의 크기가 작았다. 양병화(1998)에 따르면 단 적 정서 및 부적 정서가 매개역할을 하는지 확인
계적 회귀분석(stepwise regression)을 수행할 때 독 할 수 있었다. 특히 정적 정서와 부적 정서 각각
립변인과 사례수의 비율이 약 1:40은 되어야 결과 의 매개효과를 확인함으로써 그 설명을 더욱 구
를 일반화 할 수 있다고 보았다. 그러나 본 연구 체화하였다. 높은 상위-기분은 부적 정서를 적게
에서는 독립변인의 수(4개)를 고려할 때 사례수가 경험하게 하여 대인관계문제를 줄여주지만, 높은
남녀 각각 160명 이상이 되어야 하나, 여자의 사 상위-기분으로 정적 정서를 더 많이 경험한다고
례수가 130명으로 이에 미치지 못했다. 따라서 후 해서 이러한 정적 정서가 대인관계문제를 줄여준
속 연구에서는 더 많은 표본을 추출하여 반복 검 다고는 볼 수 없음을 확인하였다.
증할 필요가 있다. 둘째, 상위-기분의 하위 요인들 중 어느 것이
넷째, 상위-기분과 대인관계문제를 매개할 수 부적 정서를 매개로 대인관계문제에 영향을 미치
있는 많은 변인들 중에 본 연구에서는 정서를 이 는지 확인할 수 있었다. 정서를 명확하게 인식하
용하였지만, 다른 변인들(예컨대, 공감)도 추가로 는 것과 정서를 개선하려는 과정은 부적 정서를
연구가 된다면 대인관계문제를 더 많이 설명할 적게 경험하게 하여 대인관계문제를 줄여준다. 그
수 있을 것이다. 러나 정서에 대한 주의를 많이 하는 사람이 부적
다섯째, 상위-기분과 정서가 대인관계문제뿐 아 정서와 대인관계문제를 적게 호소하지는 않음을
니라 사회적 기술이나 대인관계 대처 기술과 같 확인할 수 있었다.
은 긍정적인 지표와도 관련이 있을 수 있다. 본 셋째, 본 연구 결과는 상위-기분이 높은 사람이
연구에서는 대인관계문제만을 보았지만, 사회적 왜 대인관계에서 더 적응적일 수 있는지에 대한
기술과 같은 긍정적 변인을 대상으로 연구하여 설명을 제공한다. 상위-기분 능력은 그 자체로 적
볼 필요도 있을 것이다. 응적 대인관계를 형성하는데 유용한 기술이라 볼
여섯째, 비록 본 연구에서 변인 간 인과적 관 수 있고, 상위-기분이 부적 정서를 개선시켜 부적
련성을 설정하고 검증하였지만, 각 변인의 측정이 정서를 줄이는 과정 또한 대인관계의 문제를 덜
동시에 이루어졌기 때문에 그 인과성을 설명하기 경험하게 하는데 유용함을 알 수 있다.
에 한계가 있다. Mayer와 Salovey(1997), Schutte 등 이러한 결과는 상담 장면에서 매우 유용할 수
(1998)이 상위-기분을 비교적 안정적인 것으로 개 있다. 대인관계문제를 호소하는 내담자에게 자신
념화했지만, 다른 연구자들(Nelis et al., 2009)에 의 이 경험하는 정서를 명확히 인식하도록 돕고 부
하면 상위-기분 프로그램을 통해 상위-기분이 향 적 정서성을 잘 다룰 수 있도록 상담자가 적절하
상됨을 보고하였다. 따라서 추후 연구에서, 개인 게 개입한다면 대인관계문제에서 긍정적인 효과
의 상위-기분 능력이 향상됨을 통하여서 부적 정 를 나타낼 것으로 보인다.
서가 개선되고, 이것이 대인관계문제의 해결에 도
움이 되는지 실험적 방법을 통해 인과적으로 확
인해 볼 필요가 있다. 참고문헌
하지만 이러한 제한점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
는 다음과 같은 의의를 갖는다. 곽윤정 (1997). 정서지능의 발달 경향과 구인 타당

- 851 -
상담학연구

화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인하대학교.


김경희 (1998). 교사용 유아 정서지능 평정척도 개발 이수정, 이훈구 (1997). Trait Meta-Mood Scale의 타
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당화에 관한 연구: 정서지능의 하위 요인에
김미경 (1998). 정서주의력, 정서인식의 명확성, 부 대한 탐색. 한국상담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정적 기분조절 기대치가 도움추구 행동에 미치 11(1), 95-116.
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이태영, 심혜숙 (2011). 아동기 외상경험이 초기
김영환, 진유경, 조용래, 권정혜, 홍상황, 박은영 성인기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에서
(2002). 한국형 대인관계문제검사의 타당화: 내면화된 수치심의 매개효과. 상담학연구,
KIIP-C와 KIIP-PD의 신뢰도와 타당도. 한국심 12(6), 2273-2291.
리학회지: 임상, 21(2), 391-411. 이현희, 김은정, 이민규 (2003). 한국판 정적 정서
김의철, 박영신 (1997). 스트레스 경험, 대처와 적 및 부적 정서 척도의 타당화 연구. 한국심리
응 결과.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2(1), 96-126. 학회지: 임상, 22(4), 935-946.
김현주 (2005). 상위기분과 공감의 관계. 석사학위 정 민, 장안나 (2009). 대학생의 자아개념과 대인
논문, 가톨릭대학교. 관계에서 정서지능의 매개효과. 상담학연구,
민경환 (2002). 성격심리학. 경기도: 법문사. 10(2), 669-681.
송 현, 이영순 (2011). 심리적 강인성과 정서지능 최요원, 이수정 (2004). 대학생의 정서인식의 개인
이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 적극적 대처 차가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
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상담학연구, 12(4), 지: 건강, 9(4), 887-901.
1231-1246. 황혜정 (1999). 아동의 정서지능 발달과 정서, 행
신혜정 (2000). 유아의 부정적 정서에 대한 대처반 동문제와의 관계에 대한 연구. 초등교육연구,
응과 정서지능과의 관계. 석사학위논문, 경희 13(1), 67-84.
대학교. 현인숙 (1999). 인기아동과 배척아동의 정서지능과
심혜숙, 왕정희 (2001). 초등학생의 정서지능과 사 행동특성 연구. 석사학위논문, 가톨릭대학교.
회적 능력 및 대인문제 해결력과의 관계. 한 Alden, L. E., Wiggins, J. S., & Pincus, A. L. (1990).
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3, 163-175. Construction of circumplex scales for the
안현미 (1995). 대인관계 유형이 불안에 미치는 영 Inventory of Interpersonal Problems. Journal of
향: 여성성역할 태도를 중심으로. 석사학위논 Personality Assessment, 55(3 & 4), 521-436.
문, 이화여자대학교. Baron, R. M., & Kenny, D. A. (1986). The
양병화 (1998). 다변량 자료분석의 이해와 활용. 서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울: 학지사.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윤재희 (1999). 인터넷 중독과 우울, 충동성 감각추 statis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구 성향 및 대인관계의 연관성. 석사학위논문, Social Psychology, 51, 1173-1182.
고려대학교. Beach, S. R. H., Sanden, E. E., & O' Leary, K. D.
이경애 (2007). 초등학생의 정서지능과 낙관적 사고 (1990). Depression in marriage: A model for etiology
가 대인관계성향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and treatment. New York: Guilford Press.

- 852 -
김유진․신희천 / 상위-기분이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 정서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Beiser, M. (1974). Components and correlates of of emotional experience and their involvement in
mental well-being. Journal of Health and Social attributional style, coping and well-being. Cognition
Behavior, 15, 320-327. and Emotion, 16, 495-518.
Block, J., & Kremen, A. M. (1996). IQ and Goleman, D. (1995). Emotional intelligence. New York:
ego-resiliency: Conceptual and empirical Bantam Books.
connections and separateness. Journal of Personality Gotlib, I. H., & Robinson, L. A. (1982). Responses
and Social Psychology, 70, 349-361. to depressed individuals: Discrepancies between
Bradburn, N. M. (1969). The structure of psychological self-report and observer-rated behavior. Journal of
well-being. Chicago: Aldine. Abnormal Psychology, 91, 231-240.
Brown, G. W., Bifulco, A., & Harris, T. O. (1987). Horowitz, L. M. (1979). On the cognitive structure of
Life Events, Vulnerability and Onset of interpersonal problems treated in psychotherapy.
Depression: Some Refinements. British Journal of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47,
Psychiatry, 150, 30-42. 5-15.
Clark, L. A., & Watson, D. (1986). Diurnal variation Horowitz, M. J. (1991). Person schemas. In L. J.
in mood: Interaction with daily events and personality. Horowitz(Eds.), Person schemas and maladaptive
Paper presented at the meeting of the American interpersonal patterns.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sychological Association, Washington, DC. Press.
Denham, S. A., Zoller, D., & Couchoud, E. A. (1994). Horowitz, L. M., Rosenberg, S. E., Baer, A. A., Utero,
Socialization of preschoolers' understanding of G., & Villasenor, V. (1988). Inventory of
emotion. Developmental psychology, 30, 928-936. Interpersonal Problems: Psychometric properties
Engelberg, E., & Sjoberg, L. (2004). Emotional and clinical applications. Journal of Consulting and
intelligence, affect intensity, and social adjustment. Clinical Psychology, 56, 885-892.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37, 533-542. Ingram, R. E. (1990). Self-focused attention in clinical
Extremera, N., Duran, A., & Rey, L. (2007). Perceived disorders: Review and a conceptual model.
emotional intelligence and dispositional optimism- Psychological Bulletin, 107, 156-176.
pessimism: Analyzing their role in predicting Kafetsios, K., & Zampetakis, L. A. (2008). Emotional
psychological adjustment among adolescents. intelligence and job satisfaction: Testing the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42, 1069 mediatory role of positive and negative affect at
-1079. work.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44,
Fernandez-Berrocal, P., Salovey, P., Vera, A., 712-722.
Extremera, N., & Ramos, N. (2005). Cultural Kanner, A. D., Coyne, J. C., Schaefer, C., & Lazarus,
influences on the relation between perceived R. S. (1981). Comparison of two modes of stress
emotional intelligence and depression. International measurement: Daily hassles and uplifts versus
Review of Social Psychology, 18, 91-107. major life events. Journal of Behavioral Medicine, 4,
Gohm C. L., & Clore, G. L. (2002). Four latent traits 1-39.

- 853 -
상담학연구

Lopes, P. N., Grewal, D., Kadis, J., Gall, M., & Association, 7, 125-154.
Salovey, P. (2006). Evidence that emotional Schutte, N. S., Malouff, J. M., Bobik, C., Coston, T.
intelligence is related to job performance and D., Greeson, C., Jedlicka, C., et al. (2001).
affect and attitudes at work. Psicothema, 18(1), Emotional Intelligence and Interpersonal Relations.
132-138. Journal of Social Psychology, 141(4), 523-536.
Mayer, J. D., & Gaschke, Y. N. (1988). The Schutte, N. S., Malouff, J. M., Hall, L. E., Haggerty,
experience and meta-experience of mood. Journal of D. J., Cooper, J. T., Golden, C. J., & Dornheim,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5, 102-111. L. (1998).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Mayer, J. D., Mamberg, M., & Volanth, A. J. (1988). measure of emotional intelligence. Personality and
Cognitive domains of the mood system. Journal of Individual Differences, 25, 167-177.
personality, 56, 453-486. Seiffge-Krenke, I. (1995). Health psychology in adolescence:
Mayer, J. D., & Salovey, P. (1997). What is emotional Physical and Psychological Aspects. Hillsdale, NJ:
intelligence? In P. Salovey & D. J. Sluyter, Emotional Lawrence Erlbaum Associates.
development and emotional intelligence: Educational Stone, A. A. (1981). The association between
implications (pp.1-30). New York: Basic Books, perceptions of daily experiences and self-and
Harp Collins Pub. spouse-rated mood. Journal of Research in
Mayer, J. D., & Stevens, A. A. (1994). An emerging Personality, 15, 510-522.
understanding of the reflective(mets-) experience of Sullivan, H. S. (1953). The interpersonal theory of
mood. Journal of research in personality, 28, 351 psychiatry. New York: Norton.
-373. Swinkels, A., & Giuliano, T. A. (1995). The
Nelis, D., Quoidbach, J., Mikolajczak, M., & measurement and conceptualization of mood
Hansenne, M. (2009). Increasing emotional awareness: Monitoring and Labeling One's Mood
intelligence: (How) is it possible? Personality and States.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Bulletin, 21,
Individual Differences, 47, 36-41. 934-949.
Rude, S. S., & McCarthy, C. T. (2003). Emotional Thayer, J. E., Rossy, L. A., Ruiz-Padial, E., &
functioning in depressed and depression-vulnerable Johnson, B. H. (2003). Gender differences in the
college students. Cognition and Emotion, 17, 799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regulation and
-806. depressive symptoms. Cognitive Therapy and
Salovey, P., & Mayer, J. D. (1990). Emotional Research, 27, 349-364.
intelligence. Imagination, Cognition and Personality, Warr, P., Barter, J., & Brownbridge, G. (1983). On
9, 185-211. the independence of positive and negative affect.
Salovey, P., Mayer, J. D., Goldman, S. L., Turvey, C.,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44,
& Palfai, T. P. (1995). Emotion attention, clarity 644-651.
and repair: Exploring emotional intelligence using Watson, D. (1988). Intraindividual and interindividual
the trait meta-mood scale. American psychological analyses of Positive and Negative Affect: Their

- 854 -
김유진․신희천 / 상위-기분이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 정서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relation to health complaints, perceived stress, and Wills, T. A. (1986). Stress and coping in early
daily activitie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adolescence: Relationships to substance use in
Psychology, 54, 1020-1030. urban school samples. Health psychology, 5, 503
Watson, D., Clark, L. A., & Tellegen, A. (1988). -529.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brief Measures of
Positive and Negative Affect: The PANAS Scale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4,
1063-1070. Copyright (C) 1988 by the American 원고 접수일 : 2012. 12. 15.
Psychological Association. Reproduced with 수정원고 접수일 : 2013. 2. 20.
permission. 게재 결정일 : 2013. 3. 2.

- 855 -
상 담 학 연 구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2013, Vol. 14, No. 2, 839-856

The Influence of Meta-Mood on Interpersonal problems:


The Mediating effects of Affect

Kim, You-Jin Shin, Hee-Cheon

Ajou University

Meta-Mood is composed of three subscales: attention to feeling, clarity of feeling and mood repair. It is known
that Meta-Mood is intimately related to Interpersonal problems. Accordingly, first of all, this study was aimed to
investigate mediating effects of the positive and negative affect between Meta-mood and interpersonal problems.

In the results, NA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 between Meta-mood and interpersonal problems. However, PA
did not mediate the link between Meta-mood and interpersonal problems. Secondly, among the three Meta-mood
dimensions, the relation between clarity of feeling and interpersonal problems was partially mediated by NA. And

the relation between mood repair and interpersonal problems was also partially mediated by NA. Attention to
feeling was non significant independent predictor of NA and interpersonal problems. Mediating effects had no
difference according to gender. And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the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es were

discussed.

Key words : Meta-Mood, Positive affect & Negative affect, Interpersonal problems

- 856 -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