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13

한국체육학회지, 2023, 제62권 제5호, 1-13 The Korean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2023, 62(5), 1-13

https://doi.org/10.23949/kjpe.2023.9.62.5.1 ISSN 1738-964X(Print) / ISSN 2508-7029(Online)

필라테스 이용자의 참여 만족과 삶의 만족도와의 관계: 주관적


건강상태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Relationship between Participation Satisfaction and Life Satisfaction of Pilates
Users: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Subjective Health Status
도경민 경희대학교 겸임교수ㆍ서일한* 경기대학교 교수
Do, Kyung-Min Kyung Hee Univ.ㆍSeo, Il-Han Kyonggi Univ.
요약
본 연구는 주관적 건강상태를 매개로 필라테스 이용자의 참여 만족과 삶의 만족도와의 관계를 규명하는 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연구를 진행하기 위하여 필라테스 이용객을 대상으로 4주간에 걸쳐 설문을 받았다. 설문지는 총 335부 응답을 받았
으나 이 중 답변이 누락된 15부를 제외한 320부를 연구자료로 분석하였다. 자료처리는 SPSS 27.0, Amos 27.0을 사용하였다.
빈도 분석, 신뢰도 분석을 하였고 타당도 검증은 탐색요인분석과 확인적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마지막으로 경로 분석을
하였다.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필라테스 참여 만족 하위요인 중 신체적, 사회적, 정서적 참여 만족에 대하여 내면 건강
과의 관계는 유의하게 나타났다. 하지만 이용 만족과 내면 건강과의 관계에서는 유의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필
라테스 참여 만족 하위요인 중 신체적, 이용 만족, 사회적, 정서적 만족에 대하여 외면 건강과의 관계는 모두 유의하지 않
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필라테스 내면 건강과 외면 건강은 유의하게 나타났다. 넷째, 필라테스 내면 건강은 삶의 만족
도에 유의하게 나타났다. 다섯째, 필라테스 외면 건강은 삶의 만족도에 유의하게 나타났다.

주요어: 필라테스, 참여 만족, 삶의 만족도, 주관적 건강상태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Pilates participation satisfaction and life
satisfaction through subjective health status. In order to conduct the study, a survey was conducted over 4 weeks
targeting Pilates users. A total of 330 copies of the questionnaire were received, but 320 copies were analyzed as
research data, excluding 15 copies with missing answers. For data processing, SPSS 27.0 and Amos 27.0 were used.
Frequency analysis and reliability analysis were conducted, and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ere conducted for validity verification. Finally, path analysis was performed. The conclusion is as follows.
First, among the sub-factors of Pilates participation satisfaction, the relationship between physical, social, and
emotional participation satisfaction with inner health was found to be significant. However, it was found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use satisfaction and inner health was not significant. Second, among the sub-factors of Pilates
participation satisfaction, the relationship between physical, use satisfaction, social and emotional satisfaction and
external health was found to be insignificant. Third, Pilates inner health and outer health showed significant results.
Fourth, inner health of Pilate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life satisfaction. Fifth, external health of Pilates
showed significant results in life satisfaction.

Key words: Pilates, Participation satisfaction, Life satisfaction, Subjective health status

* sih23456@kgu.ac.kr
Copyrightⓒ2023 KAHPERD
2 한국체육학회지 제62권 제5호

서론 중적으로 운동을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런 장점


들 덕분에 주변 지인들에게 취미를 물었을 때 한 명쯤
은 필라테스를 하고 있을 만큼 대중화가 되어있다. 자
1. 연구의 필요성
세교정, 체형교정, 유연성 증가 및 운동능력 강화 등 여
러 가지 이유로 필라테스를 시작하는 경우가 많은데 그
삶의 가치에 있어 가장 중요한 요소는 건강일 수밖
중 정서적 측면 또한 포함된다고 한다. 운동 후 기분이
에 없다. 건강을 잘 유지⋅관리하는 것은 삶의 만족도
좋아진 경험이 있는 사람이라면 지속적으로 운동을 할
를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사회적 손실도 절감할 수 있
것이고 이로 인해 삶의 만족도와 행복감 등 정서적 측
다(오현옥, 2015). 이에 따라 건강과 웰빙에 대한 관심
면에 긍정적인 효과를 줄 수 있을 것이다. 삶의 만족도
증가로 인해 사람들이 운동을 적극적으로 찾고 있다.
란 자신의 삶에 대하여 인지하고 얼마나 만족하는지를
필라테스는 균형과 조절을 강화하는 운동으로 인지도가
개인이 주관적으로 평가하는 것이다(박복남, 2007).
점차 높아지고 있는데 이는 다양한 연령대의 참여자들
삶의 만족도가 높아지기 위해서는 삶이 질이 높아져
로부터 긍정적인 평가를 받고 있다. 삶의 질 향상 및 건
야 한다. 삶의 질과 운동은 상관관계에 있으며, 운동을
강증진을 위한 수단으로 여성의 필라테스 수요가 늘어
통해 삶의 질이 높아질수록 삶의 만족도 또한 높아진
나고 있다(김석인, 박정은, 2015).
다고 볼 수 있다. 그리고 삶의 질과 정서적 측면 또한
1900년대 초 조셉 필라테스(Joseph pilates)에 의해서
상관관계가 있으며 우리는 두 측면이 높아질 때 삶의
고안되고 개발되었던 필라테스는 신중히 고안된 동작
만족도가 높아진다고 본다.
들의 꾸준한 반복적 연습을 통하여 몸과 마음을 일치
현대인들은 여가 활용 시간을 건강관리에 많은 시간
시키고 건강한 신체와 건강한 정신, 나아가 건강한 삶
을 투자하며 이러한 건강증진 행동들은 삶의 질에 긍정
을 만든다는 데에 목표를 둔 신체 요법이므로 심리적
적인 영향을 미치며, 건강증진행위는 만성 질환의 발생
인 측면에 있어서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으로 사료 된
률을 감소시킬 뿐만 아니라 수명 연장, 건강관리 비용
다(임자영, 2006). 필라테스는 신체의 안정성(Stability)과
을 절감시킨다. 또한, 건강증진 행위는 잠재적이고 장기
가동성(Mobility)을 단련하는 데 있어 효과적이며, 급변
적인 이익을 가진다는 것에 대해서 사회 전반적인 관심
한 환경 속에서 적응해야 하는 현대인과 같이 지속적
이 증가되고 있다. 건강상태는 질병의 상태 유무 등을
인 스트레스에 노출된 집단에 적합한 운동이다(윤지은,
중심으로 파악하는 객관적 건강상태와 자기 자신의 건
2021). 타 운동과 다른 차별적 특징을 살펴보면, 필라
강에 관해 본인이 평가내리는 주관적 건강상태로 나눌
테스는 인간의 척추 움직임을 호흡과 함께 정확하게 신
수 있다. 객관적인 건강이 의료적 평가 영역이라면, 주
체 중심으로 인식하여, 자신의 신체 범위 내에서 조정
관적 건강상태는 본인이 평가하는 영역으로 자신의 건
하고 유연한 흐름으로 전환하며 점진적으로 발전시켜 나
강에 대한 평가와 전반적인 건강상태를 나타내는 지표
간다는 데 있다(이윤경, 김은혜, 2015). 또한, 필라테스는
로 제시된다(차은진⋅김경호, 2010).
운동적 요소와 함께 리드미컬한 움직임을 동시에 하고
손근호, 김경호(2020)에 따르면 주관적 건강상태는 자
있으며, 젊은 여성을 중심으로 몸매관리 대표 운동으로
기평가 건강상태로, 객관적 건강상태보다 주관적으로
자리 잡고 있다(이태용, 박문수, 2016). 이처럼 필라테스
인식하는 건강상태가 삶의 만족도에 더 많은 영향을
참여는 신체적 수행력을 증가시키고, 몸매를 아름답게
미칠 수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삶의 만족도는 생활만
변화시켜 외모 만족감으로 자신의 건강 및 행복에 대한
족도, 주관적 안녕, 경제적 안정, 행복감, 삶의 질 등으
지각에 많은 변화를 가져온다(전지윤, 차민영, 2023).
로 다양하게 정의되고 있으며(최순례⋅이홍직, 2022).
재활운동으로 널리 알려진 운동인 필라테스는 수업
주관적 건강상태는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며, 삶의
의 참여를 통해 인체의 기능과 구조에 대해서 배우면
만족도도 주관적 건강상태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여
서 각자의 통증이 있는 부위나 고민인 부위에 대해 집
러 연구 결과에서 보고되고 있다(지선향, 2017; 이정혜,
필라테스 이용자의 참여 만족과 삶의 만족도와의 관계 3

2018; 허성은, 2018; 이민지, 2022). 따라서 본 연구는 현 운동 참여 노인은 지각된 건강상태에 유의미한 관계를
대사회에서 건강한 삶을 누리기 위해 여가시간에 행하 나타내고 있다고 하였다. 하여 이러한 이론적 근거와
는 활동인 여가 스포츠 활동 중 신체적 측면과 심리적 선행연구를 참고하여 다음과 같은 가설을 설정하였다.
인 측면 모두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이라 기대되는
H-2-1. 필라테스 신체적 참여 만족은 외면 건강에
필라테스와 그에 참여하는 만족도가 주관적 건강상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와 삶의 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해 알아
H-2-2. 필라테스 이용 만족은 외면 건강에 긍정적인
보고자 한다.
영향을 미칠 것이다.
본 연구를 통해 필라테스 참여 만족과 삶의 만족도
H-2-3. 필라테스 사회적 참여 만족은 내면 건강에
간의 관계를 밝히고 주관적 건강상태가 어떠한 매개 효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과를 나타내는지 규명함으로써 운동프로그램 개발과
H-2-4. 필라테스 정서적 참여 만족은 내면 건강에
운영에 참고되어 필라테스 운동 참여자들이 즐거움과 함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께 만족을 느끼며 삶의 질을 향상하는 데 연구의 목적
이 있다. 전재희(2022)는 스트레스와 삶의 만족도에 관한 연구
에서 실내 여가활동이 스트레스 정도를 효과적으로 감
2. 연구 가설 소시킨다고 하였고, 윤동경, 김선희(2023)은 노인의 건강
증진 행위와 삶의 만족도 연구에서 노인의 건강증진 행
필라테스 이용자의 참여 만족과 삶의 만족도 간의 관 위가 주관적 건강상태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
계에 주관적 건강상태를 매개로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로 나타났다고 보고하였다. 하여 이러한 이론적 근거와
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연구가설을 다음과 같이 설정하 선행연구를 참고하여 다음과 같은 가설을 설정하였다.
였다.
H-3. 필라테스 내면 건강은 외면 건강에 긍정적인
임자영(2006)은 필라테스 참여와 정신건강 연구에서
영향을 미칠 것이다.
참여집단과 비참여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다고 하
였고, 조한무(2014)는 노인의 수영장 참여 만족과 정신 이영희, 이승신, 박미석(2010)은 심리적 건강과 삶의
건강 연구에서 수영장 참여 만족이 노인건강에 영향을 만족도 연구에서 노년기의 심리적인 건강상태는 삶의
미치는 것으로 보고하였다. 하여 이러한 이론적 근거와 만족도를 높여주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하였고, 마효
선행연구를 참고하여 다음과 같은 가설을 설정하였다. 정(2022)은 건강과 삶의 만족도 연구에서 여가 참여를
달마다 하는 경우 건강과 삶의 만족이 높은 것으로 나
H-1-1. 필라테스 신체적 참여 만족은 내면 건강에
타났다. 김태형(2022)은 주관적 건강과 삶의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관한 연구에서 대학생의 주관적 건강이 삶의 만족감에
H-1-2. 필라테스 이용 만족은 내면 건강에 긍정적인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친다고 하였다. 하여 이러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이론적 근거와 선행연구를 참고하여 다음과 같은 가설
H-1-3. 필라테스 사회적 참여 만족은 내면 건강에
을 설정하였다.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H-1-4. 필라테스 정서적 참여 만족은 내면 건강에 H-4. 필라테스 내면 건강은 삶의 만족도에 긍정적인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영향을 미칠 것이다.
H-5. 필라테스 외면 건강은 삶의 만족도에 긍정적인
이정일, 여인성(2023)은 여가스포츠 참여자의 건강관
영향을 미칠 것이다.
심도 연구에서 참여만족은 건강관심도에 긍정적인 영
향을 미친다고 하였고, 안상현, 김만근, 최영철(2023)은
재활운동 참여 노인의 지각된 건강상태 연구에서 재활
4 한국체육학회지 제62권 제5호

연구방법 설문지를 측정 도구로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측정 도


구인 설문지는 필라테스 참여자의 참여만족도, 내면 건
강상태, 외면 건강상태, 삶의 만족도, 그리고 일반적 특
1. 연구대상
성을 묻는 5개의 영역으로 구성하였다. 설문의 문항들
은 연구의 목적에 적합한 선행연구와 함께 학자들의 이
본 연구는 필라테스 참여 만족과 삶의 만족도 간의
론에 근거하여 구성하였다. 첫째, 필라테스 참여만족도
관계에 주관적 건강상태를 매개로 어떠한 영향을 미치
는 이재원, 김성훈(2018), 황체리, 전찬수, 신승호(2021)
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서울⋅수도권 운영 중인 필라테
연구에서 사용한 문항을 활용하여 4개의 하위요인(신체
스 센터를 찾아 이용객을 대상으로 2월 6일부터 3월
적, 이용만족, 사회적, 정서적) 16개 문항으로 구성하였
3일까지 4주간 설문을 받았다. 설문은 필라테스 원장님
다. 둘째, 내면 건강상태는 윤현성(2015), 김귀현(2022)의
들의 도움으로 연구자 2명이 필라테스 참여 만족과 삶
연구에서 제시되었던 문항들을 참고로 하여 연구의 상
의 만족도 간의 관계에 대하여 설명한 후 작성되었다.
황에 맞게 수정⋅보완하여 4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셋째,
설문지는 총 335부 응답을 받았으나 이 중 답변이 누락
외면 건강상태는 허성은(2018), 정유희(2021)의 연구에서
된 15부를 제외한 320부를 연구자료로 분석하였다. 연
제시되었던 문항들을 참고로 하여 연구의 상황에 맞게
구자의 일반적 특성은 <표 1>과 같다.
수정⋅보완하여 4문항으로 구성하였다. 넷째, 삶의 만
족도는 이동현, 김승철(2003), 서광훈(2018)의 연구에서
2. 측정 도구
제시되었던 문항들을 참고로 하여 연구의 상황에 맞게
수정⋅보완하여 4문항으로 구성하였다. 다섯째, 일반적
본 연구에서는 주관적 건강상태를 매개로 필라테스
특성은 성별, 연령, 필라테스 참여기간, 직업으로 분류
참여 만족과 삶의 만족도와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해
하여 4문항으로 하였고, 전체 설문은 32문항으로 구성
하였다.
표 1. 일반적 특성

특성 집단 빈도(n) 백분율(%) 3. 단일차원성과 신뢰성분석


남자 135 42.2
성별 본 연구에 포함된 변수들의 개념이 단일차원성임을
여자 185 57.8
15~20세 46 14.4 알아보기 위해 탐색적요인분석을 실시하여 측정된 변수
21~30세 151 47.2 가 구성개념을 얼마나 정확하게 측정하고 있는가를 살
연령
31~40세 69 21.5 펴보았다(조철호, 2021). 이후 연구에 제시된 요인들의
41세 이상 54 16.9 내적일관성은 Cronbach’s ɑ 값을 구하여 확인하였다.
3개월 미만 63 19.7 그리고 확인요인분석을 통해 척도변수를 정제하였다.
필라테스 3~6개월 82 25.6
경력 6~12개월 110 34.4 1) 탐색적요인분석(Exploratory Factor Analysis)
1년 이상 65 20.3 탐색적요인분석은 직각 회전방법인 배리맥스를 사용
학생 59 18.4 하였고, 요인추출로는 주성분 분석을 하였다. 그 외 측
사무직 66 20.6 정항목들에 대하여 신뢰도 검사를 하였고 결과는 <표 2>
직업 전문직 72 22.5 와 같다. 신뢰도 지수는 .843~.868로 나타나 .70보다 신
전업주부 60 18.8 뢰도 지수가 높으면 내적일관성이 있다는 Nunnally &
기타 63 19.7 Bernstein(1994)의 주장에 근거하여 연구에 사용하는 요
합계 320 100 인들은 신뢰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필라테스 이용자의 참여 만족과 삶의 만족도와의 관계 5

표 2. 필라테스 참여만족도에 대한 탐색적 요인분석

성분
요인 설문문항 공통성 신뢰도
1 2 3 4
4. 신체활동의 가치를 느끼게 해준다. .901 .212 .203 .193 .847
5. 다양한 기량과 능력을 발휘하게 해준다. .882 .196 .197 .170 .899
신체적 2. 체력증진에 도움이 된다. .859 .229 .209 .255 .871 .868
3. 신체적 활력소를 갖게 한다. .852 .238 .187 .230 .934
1. 건강유지에 도움이 된다. .849 .197 .203 .216 .884
10. 필라테스 센터 시설은 청결하다. .225 .899 .220 .152 .922
이용 11. 필라테스 센터는 접근성이 용이하다. .212 .897 .231 .140 .909
.862
만족 9. 필라테스 시설을 편안하게 이용할 수 있다. .227 .862 .286 .113 .861
12. 필라테스 기구가 잘 준비되어 있다. .257 .835 .312 .043 .889
14. 다른 사람과 사회적 교류를 원활하게 해준다. .233 .264 .847 .264 .929
13. 다른 사람과의 만남과 관계유지에 도움이 된다. .202 .285 .844 .216 .923
사회적 .856
15. 다른 사람과 친근감을 느끼게 된다. .203 .300 .839 .235 .863
16. 다른 사람과 공감대를 형성할 수 있게 해준다. .305 .305 .791 .239 .880
7. 필라테스를 통해 정서적 안정감을 얻는다. .241 .111 .235 .885 .911
정서적 6. 필라테스를 통해 자신감을 얻는다. .270 .120 .240 .882 .891 .843
8. 필라테스를 통해 자부심을 느낀다. .272 .134 .258 .838 .869
고유값 4.422 3.662 3.419 2.780
설명 분산(%) 27.639 22.885 21.368 17.374
누적 분산(%) 27.639 50.524 71.892 89.266
KMO= .847, χ2=8410.013, df=120, p=.000

2) 측정모형분석(measurement model) 준치 0.7보다 높고, 평균 분산추출 값은 기준치 0.5보


구성개념과 측정변수를 측정모형이라 한다. 측정모 다 높게 나와 연구에 사용한 척도는 구성개념에 대표
형은 구성개념 타당도에 전반적으로 가능하게 해주며 성을 지닌다(Hair et al., 1995). 계속해서 요인 간의 판
(Bentler, 1978), 집중타당도와 판별타당도를 알아보는데 별타당도 충족을 확인코자 요인 간의 상관관계를 확인
있어서 확인적 분석을 가능하게 해준다(김계수, 2013). (조철호, 2021)하였다. 상관분석 결과는 <표 4>와 같다.
측정모형 분석으로는 최대우도법을 이용하였으며 적합 요인 간의 관계결과는 연구가설에서 설정한 대로 나타
도지수를 통한 측정모형 분석결과는 <표 3>과 같다. 났다. 상관이 가장 높은 내면 건강과 외면 건강의 상관
단계별 항목구성의 최적 상태를 도출하기 위해 적합 계수 제곱은 .449로 내면 건강(.835)과 외면 건강(.842)의
도 검증을 한 결과 χ2/df=12.848, RMR=.031, CFI=.936, 평균 분산분출보다 적게 나타나 판별타당도는 충족된
NFI=.921, RMSEA=.047로 나타났다. CFI>.9, NFI>.9와 것으로 판단된다(이승만, 서일한, 최광근, 2020).
RMSEA<1.0을 측정모형의 적합도 검증에 중요하게 고려
한다는 홍세희(2000)의 주장에 근거하여 측정모형은 적 4. 자료처리
합하다고 판단했다. 그 외 적합도 지수는 권장지수에 적
합한 것으로 분석되어 측정모형 구성개념의 척도들은 본 연구를 함에 있어 자료처리는 SPSS 27.0, AMOS
집중타당성을 확보하였다고 보았다. 구성개념 신뢰도 기 27.0을 사용하였다. 빈도분석을 하여 연구자의 일반적
6 한국체육학회지 제62권 제5호

표 3. 측정모형분석 결과

표준화 비표준화 구성개념 평균


요인 설문내용 S.E. C.R. p
회귀계수 회귀계수 신뢰도 분산추출
신체활동의 가치 .773 1 - - -
기량과 능력을 발휘 .812 1.030 .042 24.535 .000***
신체적 체력증진에 도움 .801 .994 .042 23.899 .000*** .795 .839
신체적 활력소 .876 1.084 .037 29.105 .000***
건강유지에 도움 .849 1.044 .039 27.084 .000***
시설은 청결하다 .825 1 - - -
이용 접근성이 용이하다 .855 1.072 .029 16.698 .000***
.886 .861
만족 편안하게 이용 .844 1.097 .030 15.711 .000***
참여
만족도 기구가 잘 준비됨 .793 .991 .034 15.830 .000***
사회적 교류 원활 .812 1 - - -
사람 만남과 관계유지 .846 .968 .034 16.110 .000***
사회적 .852 .842
타인과 친근감 .824 1.066 .036 17.615 .000***
타인과 공감대 형성 .801 1.158 .039 18.871 .000***
정서적 안정감을 얻음 .847 1 - - -
정서적 자신감을 얻는다 .825 .987 .032 29.679 .000*** .810 .781
***
자부심을 느낀다 .789 .851 .035 22.389 .000
소화가 잘 된다 .834 1 - - -
내면 몸 상태가 좋다 .864 .882 .023 14.340 .000***
.863 .854
건강 목과 허리에 이상 없다 .871 .788 .033 13.235 .000***
주관적 피곤하지 않다 .849 1.022 .038 15.831 .000***
건강
상태 대체적으로 건강하다 .839 1 - - -
외면 일상생활에 문제없다 .821 1.104 .032 22.335 .000***
.834 .806
건강 또래보다 건강하다 .870 .891 .034 21.869 .000***
스트레스 질환이 없다 .851 .876 .029 25.185 .000***
자신을 신뢰한다 .816 1 - - -
지인들과 잘 어울림 .829 .844 .028 24.235 .000***
삶의 만족도 .887 .844
새로운 시작을 좋아함 .821 .866 .032 22.369 .000***
주변을 의식하지 않음 .854 1.204 .038 20.255 .000***
χ2/df=12.848, RMR=.031, CFI=.936, NFI=.921, RMSEA=.047
p < .001

인 특성을 파악했고, 요인들의 신뢰도를 확인하기 위해 결과


Cronbach’s ɑ 값을 구하였다. 측정 도구 타당도 검증은
탐색요인분석은 직각 회전방법을 하였고, 요인추출은 주
1. 기술통계분석
성분 분석을 하였다. 측정모형은 확인적요인분석을 실
시하였다. 마지막으로 변인들의 관계를 입증하고자 경
본 연구에서 변인들의 평균, 표준편차, 왜도, 첨도 4가
로 분석을 하였다.
필라테스 이용자의 참여 만족과 삶의 만족도와의 관계 7

표 4. 요인들 간의 상관행렬

구성 개념 간 상관 관계
척도
신체 이용 사회 정서 내면 외면 만족
신체 1
이용 .520 1
사회 .547 .618 1
정서 .545 .366 .568 1
내면 .609 .542 .657 .648 1
외면 .542 .488 .582 .566 .670 1
만족 .510 .469 .603 .534 .584 .529 1
AVE .839 .861 .842 .781 .835 .842 .872

표 5. 기술통계분석 표 6. 가설모형 적합도 검증

변인 평균 표준편차 왜도 첨도 적합도 가설모형


2
신체적 3.240 1.072 .128 .766 χ /df 2.749
이용만족 3.225 .998 -.099 -.797 RMR .041
사회적 3.189 1.078 -.111 -.637 CFI .918
정서적 3.199 1.074 .121 .647 NFI .936
내면건강 3.437 1.144 .135 .890 RMSEA .073
외면건강 3.237 1.103 -.126 -.862
삶의만족 3.203 1.115 .125 .757 형 적합도는 CFI>.90, NFI>.9, RMSEA<1.00을 중요 판단
근거로 삼았던 홍세희(2000)의 주장을 따랐다. 그 결과
지를 가지고 기술통계를 분석한 결과는 <표 5>와 같다. 적합도는 CFI=.918, NFI=.936, RMSEA=.073로 수용하는
평균 3.189~3.437로 분포되었고, 표준편차는 .998~1.144 데 가능한 것으로 검증되어 분석자료로 사용하였다.
로 분포되어 있다. 왜도 절대값은 .099~.135로 분포되어
있으며 첨도 절대값은 .637~.890로 분포되어 있다. 왜도 3. 경로 분석
일변량 정규성 위반 준거 < ±3.0 (West, Finch & Curran,
1995)와 첨도 일변량 정규성 위반 준거 < ±10.0 (Kline, 가설모형에서 변인 간의 관계에 대한 구체적인 결과
2015)를 충족시켰다. 는 <표 7>과 같다.
결과에 미치는 영향이 적어 구조모형 검증 적격성을 H1-1, 필라테스 신체적 참여 만족과 내면 건강을 분
충족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West, Finch & Curran, 석한 결과, 경로계수가 .175(t=3.548)로 유의하게 나타났
1995). 다. H1-2, 필라테스 이용 만족과 내면 건강을 분석한
결과, 경로계수는 .157(t=3.098)로 유의하지 않게 나타났
2. 연구가설의 적합도 다. H1-3, 필라테스 사회적 참여 만족과 내면 건강을
분석한 결과, 경로계수가 .275(t=4.772)로 유의하게 나타
본 연구 시작에서 설정한 변인 간의 관계를 확인하 났다. H1-4, 필라테스 정서적 참여 만족과 내면 건강을
기에 앞서 가설모형 적합도를 검증하였다. 가설모형 경 분석한 결과, 경로계수가 .362(t=7.092)로 유의하게 나타
로 분석 적합도는 <표 6>과 같다. 본 연구에서 가설모 났다. H2-1, 필라테스 신체적 참여 만족과 외면 건강을
8 한국체육학회지 제62권 제5호

표 7. 경로분석 결과

표준화 비표준화
경로 S.E C.R P 채택여부
회귀계수 회귀계수
H1-1 신체적 → 내면건강 .175 .201 .047 3.548 .002** 채택
H1-2 이용만족 → 내면건강 .157 .164 .063 3.098 .052 기각
***
H1-3 사회적 → 내면건강 .275 .306 .084 4.772 .000 채택
H1-4 정서적 → 내면건강 .362 .395 .076 7.092 .000*** 채택
H2-1 신체적 → 외면건강 .134 .139 .058 2.389 .057 기각
H2-2 이용만족 → 외면건강 .094 .089 .085 1.636 .102 기각
H2-3 사회적 → 외면건강 .139 .140 .097 2.087 .067 기각
H2-4 정서적 → 외면건강 .180 .178 .082 2.884 .074 기각
*
H3 내면건강 → 외면건강 .344 .312 .087 4.872 .022 채택
H4 내면건강 → 삶의 만족도 .363 .299 .057 5.217 .000*** 채택
***
H5 외면건강 → 삶의 만족도 .287 .260 .064 4.089 .000 채택
* ** ***
p<.05, p<.01, p<.001

분석한 결과, 경로계수는 .134(t=2.389)로 유의하지 않게 1. 필라테스 참여 만족은 내면 건강과 관련이 있을


나타났다. H2-2, 필라테스 이용 만족과 외면 건강을 분 것이다
석한 결과, 경로계수는 .094(t=1.636)로 유의하지 않게 나
타났다. H2-3, 필라테스 사회적 참여 만족과 외면 건강 필라테스 참여 만족과 내면 건강은 밀접한 관계가 있
을 분석한 결과, 경로계수는 .139(t=2.087)로 유의하지 다는 가설을 설정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필라테스 참
않게 나타났다. H2-4, 필라테스 정서적 참여 만족과 외 여 만족 하위요인 중 신체적, 사회적, 정서적 참여 만족
면 건강을 분석한 결과, 경로계수는 .180(t=2.884)로 유 에 대하여 내면 건강과의 관계는 유의하게 나타났다.
의하지 않게 나타났다. H3, 내면 건강과 외면 건강을 분 하지만 이용 만족과 내면 건강과의 관계에서는 유의하
석한 결과, 경로계수가 .344(t=4.872)로 유의하게 나타났 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필라테스 센터를 이용
다. H4, 내면 건강과 삶의 만족도를 분석한 결과, 경로 하는 것만으로 내면 건강에 도움이 되지는 않는다고
계수가 .363(t=5.217)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H5, 외면 건 인식하고 있다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강과 삶의 만족도를 분석한 결과, 경로계수가 .287(t= 임자영(2006)은 필라테스 참여와 정신건강 연구에서
4.089)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참여집단과 비참여집단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고 보
고하고 있고, 이재원, 김성훈(2018)은 필라테스 참여에
따른 주관적 건강상태 연구에서 필라테스 운동참여가
논의 주관적 건강상태에 유의한 차이를 나타낸다고 하였다.
김석인, 박정은(2015)은 필라테스 참여 노인들의 주관
적 건강상태 연구에서 노인들의 필라테스 참여에 따른
본 연구에서는 주관적 건강상태를 매개로 필라테스
주관적 건강상태에 높게 지각하고 있다고 하여 본 연
참여 만족과 삶의 만족도와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하여
구를 지지해주고 있다. 필라테스는 몸과 마음의 균형을
연구를 진행하였다.
맞추고, 근육을 강화하고 연마시키는 운동으로, 신체적
인 효과뿐만 아니라 정신적인 측면에서도 많은 도움을
주고 있다.
필라테스 이용자의 참여 만족과 삶의 만족도와의 관계 9

2. 필라테스 참여 만족은 외면 건강과 관련이 있을 은미, 정혜선(2021)은 근로자의 주관적 건강상태에 관


것이다 한 연구에서 언어적 폭력, 성희롱, 위협이나 협박과 같
은 직장폭력을 경험 근로자는 그렇지 않은 근로자에 비
필라테스 참여 만족과 외면 건강은 밀접한 관계가 해 건강 수준이 더 낮다고 하였다. 손신영(2011)은 근로
있다는 가설을 설정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필라테스 형태와 주관적 건강상태 연구에서 정규직 근로자에 비
참여 만족 하위요인 중 신체적, 이용 만족, 사회적, 정 해 비정규직 근로자의 주관적 건강상태가 낮았고, 정규
서적 만족에 대하여 외면 건강과의 관계는 모두 유의 직과 비정규직의 고용형태는 대상자의 주관적 건강상
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연구가설과는 정반대 태에 영향을 준다고 주장하여 내면 건강이 외면 건강에
의 결과로 필라테스를 수강하는 이용객들은 필라테스 영향을 주는 것으로 결과를 도출한 본 연구를 지지해
참여 만족과 외면 건강에 대해서는 관련이 없다고 인 주고 있다. 연구 결과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심리적 긴장,
식하고 있음을 나타내어 준다. 필라테스는 몸을 움직여 쇠약, 스트레스 등 정신적 내면 건강은 근육, 건강상태,
신체를 더 움직이기 쉽고 편안하게 만드는 것으로 신 지병, 심혈관 질환 등 외면 건강에 상당한 영향을 미친
체 건강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조한무(2014)는 노인의 수영장 참여 만족과 정신건
강 연구에서 노인의 수영장 참여 만족이 정신건강에 영 4. 필라테스 내면 건강은 삶의 만족도와 관련이
향을 미친다고 하였고, 윤현성(2015)은 스포츠센터 참여 있을 것이다
유형과 주관적 건강상태 연구에서 참여유형이 주관적
건강상태에 체지방 감소와 재활프로그램에 유의한 차 필라테스 내면 건강은 삶의 만족도와 밀접한 관계가
이가 나타나지 않았다고 하여 본 연구를 부분적으로 있다는 가설을 설정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지지해주고 있다. 김용규, 구교만(2021)은 노인 신체활 최혜정(2017)은 주관적 건강상태와 삶의 만족도 연
동 참여와 주관적 건강상태 연구에서 걷기 참여하는 노 구에서 주관적 건강상태를 부정적으로 볼 때, 사회적
인과 참여하지 않는 노인의 주관적 건강상태에는 차이 관계 만족도가 낮은 사람의 삶의 만족도 수준이 사회
가 있다고 보고하고 있어서 본 연구와는 차이가 있음 적 관계 만족도가 높은 사람보다 더 큰 폭으로 감소한
을 나타낸다. 이는 신체활동 참여와 필라테스 참여의 차 다고 하였고 박수연(2022)은 노인의 주관적 건강상태와
이로 볼 수 있는데 비교 연구의 대상자들은 걷기를 운 삶의 만족도 연구에서 노인의 삶의 만족도는 긍정적인
동으로 인식하였다. 반면 본 연구의 대상자들은 필라테 그룹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주관적 건강상태 수준에 따
스 참여만으로는 운동으로 인식하지 않았다고 볼 수 라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차이가 있다고 주장하고 있
있다. 으며 정연경(2019)은 노인의 정신건강과 삶의 만족도
연구에서 삶의 만족도에 긍정적인 정신건강이 관련이
3. 필라테스 내면 건강은 외면 건강과 관련이 있을 있다고 주장하여 본 연구를 지지해주고 있다. 삶의 만
것이다 족도란 신체적인 건강과 정신적 건강한 상태를 유지하
며 즐겁고 행복하게 사는 것을 말한다. 그러기 위해서
필라테스 내면 건강과 외면 건강은 밀접한 관계가 는 신체적인 건강도 중요하지만, 정신적인 내면 건강
있다는 가설을 설정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또한 중요함을 인지해야 한다.
는 필라테스 내면 건강과 외면 건강을 분석한 결과, 경
로계수가 .344(t=4.872)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5. 필라테스 외면 건강은 삶의 만족도와 관련이
박순미, 문수열(2018)은 노인의 사회활동 참여와 건 있을 것이다
강만족도 연구에서 노인의 사회활동 참여는 내면건강과
외면건강과 관련이 있다고 하였고, 정명희, 이복임, 백 필라테스 외면 건강은 삶의 만족도와 밀접한 관계가
10 한국체육학회지 제62권 제5호

있다는 가설을 설정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지 않게 나타났다. 필라테스 사회적 참여 만족과 내면


맹문례(2023)는 노인의 건강상태와 삶의 만족도 연 건강은 경로계수가 .275(t=4.772)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구에서 건강상태가 좋을수록, 경제상태가 좋을수록 삶 필라테스 정서적 참여 만족과 내면 건강은 경로계수가
의 만족도가 높게 나타난다고 하였고 박혜숙, 이금재 .362(t=7.092)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필라테스 참여 만족
(2007)는 건강 행위와 삶의 만족도 연구에서 건강 행위, 하위요인 중 신체적, 사회적, 정서적 참여 만족에 대하
신체기능과 삶의 만족도 간에 상관관계가 있다고 하였 여 내면 건강과의 관계는 유의하게 나타났다. 하지만
다. 또한, 김혜수, 어성연(2021)은 건강상태와 삶의 만 이용 만족과 내면 건강과의 관계에서는 유의하지 않는
족도 연구에서 건강상태와 삶의 만족도 관계에서 변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필라테스 신체적 참여 만족과
간 직접적인 영향력이 통계적으로 유의하다고 주장하 외면 건강은 경로계수는 .134(t=2.389)로 유의하지 않게
여 본 연구를 지지해주고 있다. 신체 건강은 삶의 만족 나타났다. 필라테스 이용 만족과 외면 건강은 경로계수
도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활기 있는 상태에서 삶 는 .094(t=1.636)로 유의하지 않게 나타났다. 필라테스 사
을 살면, 일상적인 활동을 더 여유롭게 영위할 수 있 회적 참여 만족과 외면 건강은 경로계수는 .139(t=2.087)
고, 더 많은 활동을 즐기고, 더 많은 삶의 기회를 누릴 로 유의하지 않게 나타났다. 필라테스 정서적 참여 만
수 있다. 반면에 신체 건강이 좋지 못하면 일상적인 활 족과 외면 건강은 경로계수는 .180(t=2.884)로 유의하지
동에 제약을 받고, 삶의 만족도를 충족하기 힘들다. 신 않게 나타났다. 필라테스 참여 만족 하위요인 중 신체
체 건강은 삶의 질을 높이고 활동 범위를 넓혀주며, 더 적, 이용 만족, 사회적, 정서적 만족에 대하여 외면 건
많은 경험과 즐거움을 얻을 수 있게 해준다. 필라테스 강과의 관계는 모두 유의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는 사람들에게 즐거움을 주는 운동으로 사람들이 필라 셋째, 필라테스 내면 건강과 외면 건강은 경로계수가
테스를 부담 없이 즐기면서 신체의 근육을 과학적으로 .344(t=4.872)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넷째, 필라테스 내면
단련하고 아름다운 몸을 만들어가고 있다. 필라테스는 건강은 삶의 만족도와 경로계수가 .363(t=5.217)로 유의
운동 부족과 재활 치료 정신 수련을 위해 침대와 매트 하게 나타났다. 다섯째, 필라테스 외면 건강은 삶의 만
에서 간단한 기구만으로 운동할 수 있도록 고안하였는 족도와 경로계수가 .287(t=4.089)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데 사람들이 즐기며 하고 있다. 필라테스 참여만으로 마지막으로 본 연구를 진행하면서 아쉬웠던 점을 제
내면 건강과 삶의 만족도에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언으로 남긴다. 전국적으로 필라테스 센터가 8,000개 이
는 점에서 연구의 시사점을 찾을 수 있으며 외면 건강 상 개업해 있다. 그러나 필라테스와 삶의 만족도에 관
에 대해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못한다는 연구 결 한 논문은 많지가 않다. 또한, 주관적 건강상태에 관한
과는 차후 연구자들에게 후속연구를 할 필요성을 제기 연구는 많으나 내면 건강과 외면 건강을 나누어 연구
하였다. 한 사례는 찾아보기가 힘들다. 하여 차후 후속연구에서
는 필라테스 참여와 삶의 만족도에 관한 연구와 더불
어 필라테스 참여에 따른 내면 건강과 외면 건강과의
결론 및 제언 관계에 관한 연구도 진행되기를 제언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주관적 건강상태를 매개로 필라테스 참여


만족과 삶의 만족도와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하여 연구 참고문헌
를 진행하였다.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필라테스 참여 만족과 내면 건강은 경로계수 김계수(2013). AMOS구조방정식 모형분석. 한나래
가 .175(t=3.548)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필라테스 이용 아카데미.
만족과 내면 건강은 경로계수는 .157(t=3.098)로 유의하 김귀현(2022). 삶의 질, 수면시간, 주관적 건강상태
필라테스 이용자의 참여 만족과 삶의 만족도와의 관계 11

가 비만에 미치는 영향. 인문사회21, 13(5), 안상현, 김만근, 최영철(2023). 재활운동 참여 노인


71-86. 의 지각된 건강상태, 운동열정과 생활만족
김석인, 박정은(2015). 필라테스 신체 운동 참여 노 의 관계. 한국체육과학회지, 32(2), 875-884.
인들의 라이프스타일과 주관적 건강상태 오현옥(2015). 필라테스 참여특성과 사회자본 수준
및 삶의 질의 관계. 한국체육학회지, 54(6), 이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 한국체육과학회
339-349. 지, 24(3), 107-120.
김용규, 구교만(2021). 노인의 신체활동 참여가 주 윤지은(2021). 필라테스 참여자의 자기효능감이 자
관적 건강상태에 미치는 영향. 한국특수체 아탄력성, 운동지속의사에 미치는 영향. 미
육학회지, 29(1), 169-177. 간행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교육
마효정(2022). 노인의 여가, 건강, 삶의 만족도 간의 대학원.
관계에 관한 연구. 한국여가복지경영연구, 윤현성(2015). 스포츠센터 참여유형에 따른 몰입경
3(2), 85-107. 험이 주관적 건강상태에 미치는 영향. 미간
맹문례(2023). 노인의 건강상태와 사회활동참여가 행 석사학위논문, 한국체육대학교 대학원.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박사학 이동현, 김승철(2003). 중년여성의 여가 스포츠참여
위논문, 칼빈대학교 대학원. 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스포츠심리
박복남(2007). 맞춤형 운동프로그램이 대학생의 건 학회지, 14(4), 127∼148.
강과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보건정보 이민지(2022). 필라테스 참여에 따른 삶의 만족도
통계학회지, 32(1), 49-69. 가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
박수연(2022). 한국 노인의 주관적 건강상태 수준 논문,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별 삶의 만족도 관련요인: 2차 자료분석. 미 이승만, 서일한, 최광근(2020). 청소년 여가 스포츠
간행 석사학위논문, 전남대학교 대학원. 참여 관련 변인들의 구조적 관계. 한국체육
박순미, 문수열(2018). 만성질환 유무별 노인의 사 학회지, 59(2), 59-73.
회활동 참여가 주관적 건강만족도에 미치 이영희, 이승신, 박미석(2010). 노년층의 손자녀 돌
는 영향비교. 보건의료산업학회지, 12(2), 봄 활동이 심리적 건강과 삶의 만족도에 미
113-123. 치는 영향. 가정과삶의질학회, 2010(12),
박혜숙, 이금재(2007). 여성노인의 건강행위, 신체 270.
기능과 삶의 만족도에 관한 연구. 여성건강 이윤경, 김은혜(2015). 인문적 교양 필라테스 수업
간호학회지, 13(2), 115-122. 의 교육과정 개발 사례. 한국체육학회지,
서광훈(2018). 평생교육융합학과 대학 재학 성인학 54(5), 345-366.
습자의 참여동기와 자기효능감 및 삶의 만 이재원, 김성훈(2018). 성인여성이 필라테스 참여에
족도.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대구한의대학 따른 주관적 건강상태 및 생활만족도의 차
교 대학원. 이분석. 체육연구, 14(1),53-66.
손근호, 김경호(2020). 연령 집단별 노인의 주관적 이정일, 여인성(2023). 베이비붐 세대 여가스포츠
건강인식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과 참여자의 건강관심도와 생활만족의 관계에
사회활동참여의 매개효과. 한국콘텐츠학회 서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한국여가레크
논문지, 20(7). 127-138. 리에이션학회지, 47(2), 95-107.
손신영(2011). 정규직 및 비정규직 근로형태가 주 이정혜(2018). 노인의 체육복지 프로그램 만족도가
관적 건강상태에 미치는 영향. 한국직업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과 건강상태의
강간호학회지, 20(3), 346-355. 매개효과.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경기대학
12 한국체육학회지 제62권 제5호

교 행정⋅사회복지대학원. 최순례, 이홍직(2022). 여성 베이비부머의 주관적


이태용, 박문수(2016). 필라테스 회원이 지각하는 건강상태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주
지도자의 전문성이 운동몰입 및 고객 만족 관적 기대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
과의 관계. 한국체육과학회지, 25(1), 667- 융합인문학, 10(1), 7-27.
678. 최혜정(2017). 손자녀 양육여부에 따른 조모의 주
임자영(2006). 필라테스 참여가 정신건강과 생활만 관적 건강상태, 우울, 삶의 질 및 자녀와의
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무용학회지, 6(1), 갈등 비료. 부모자녀건강학회지, 20(2),
23-40. 80-87.
전재희(2022). COVID-19 펜데믹 상황에서 대학생 허성은(2018). 주관적 전신건강상태와 건강행위가
의 여가활동 참여가 스트레스와 삶의 만족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 관
도에 미치는 영향. 다문화건강학회지, 12(1), 한 융합연구. 한국융합학회논문지, 9(9),
41-50. 135-142.
전지윤, 차민영(2023). 조셉 필라테스의 생애사로 홍세희(2000). 구조 방정식 모형의 적합도 지수 선
본 필라테스의 기원과 형성배경. 한국스포 정기준과 그 근거. 한국심리학회지, 19(1),
츠인류학회, 18(2), 69-86. 161-177.
정명희, 이복임, 백은미, 정혜선(2021). 고객 폭력 황체리, 전찬수, 신승호(2021). 비대면 운동프로그
경험, 보호제도, 모니터링제도가 근로자 주 램에 대한 참여동기가 참여만족 및 운동지
관적 건강상태에 미치는 영향.: 판매원과 전 속의도에 미치는 영향: 홈트레이닝 참여자
자제품수리원을 중심으로. 한국직업건강간 를 대상자로. 한국스포츠학회, 19(4),
호학회지, 30(4), 145-155. 323-335.
정연경(2019). 노인의 정신건강이 삶의 만족도에 Bentler, P. M.(1978). “The Interdependence of
미치는 영향 - 건강상태의 매개효과를 중심 Theory, Methodology and Empirical Data;
으로.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을지대학교 대 Causal Modeling as an Approach to
학원. Construct Validation.” In James C.
정유희(2021). 만성질환노인의 건강행위에 스마트 Anderson and David W. Gerbing,
폰건강정보이용, 주관적 건강상태 및 자기 Psychological Bulletin(1988), Vol.103, No.3,
효능감이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논 pp.411-423.
문, 부산카톨릭대학교 대학원. Hair, J. F., Anderson, R. E., Tatham, R. L., and
조철호(2021). SPSS/AMOS 활용 구조방정식 모형 Black, W. C.(1995). Multivariaaate Data
논문통계분석(제3판). 도서출판 청람, 463. Analysis with Reading, Prentice Hall.
조한무(2014). 노인의 수영장 서비스품질 지각이 Kline, R. B. (2015). Principles and practice of
참여만족, 생활만족,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New York:
향. 스포츠과학논문집, 26, 1-19. Guilford publications.
지선향(2017). 노인의 주관적 건강상태가 삶의 만 Nunnally, J. C., & Bernstein, I. H. (1994).
족도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Psychometric theory(3rd ed). New York:
경북대학교 대학원. McGraw-Hill.
차은진, 김경호(2010). 사회복지학 전공 대학생의 West, S. G., Finch, J. F., & Curran, P. J. (1995).
노화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호남대학 Structural equation model with non-normal
교 대학원 논문집, 7(0), 233-254. variables: Problems and remedies. In R.
필라테스 이용자의 참여 만족과 삶의 만족도와의 관계 13

Hoyle (E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Concepts, Issues and Applications (pp.
56-75). Newbury Park, CA: Sage.

논문투고일: 2023. 08. 06


논문심사일: 2023. 08. 16
심사완료일: 2023. 08. 28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