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15

한국체육학회지, 2023, 제62권 제6호, 33-47 The Korean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2023, 62(6), 33-47

https://doi.org/10.23949/kjpe.2023.11.62.6.3 ISSN 1738-964X(Print) / ISSN 2508-7029(Online)

PPM(push-pull-mooring) 이론을 적용한 실내골프연습장에서


스크린골프연습장으로의 전환의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xamining Switching Intention From Golf Driving Range to Screen
Golf Applying PPM Theory
전중건 경희대학교 박사과정⋅윤지인 경희대학교 교수⋅한진욱* 경희대학교 교수
Chun Chung Kun⋅Yoon Jee In⋅Han, Jin-Wook Kyung Hee Univ.
요약
본 연구는 PPM 이론을 적용하여 골프소비자의 골프연습장 전환의도를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구체적으로, push(낮은
서비스품질, 낮은 만족), pull(대안매력도, 주관적 규범), mooring(높은 전환비용, 낮은 변화추구)의 하위요인이 전환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실내골프연습장과 스크린골프연습장 모두를 이용해
본 경험이 있는 골프참여자를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진행하여 총 202부를 최종분석에 활용하였다. 자료분석은 빈도
분석, 기술분석, 신뢰도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상관분석, 기술분석 및 가설검증을 위한 구조방정식 모형 검증을 포함하였
고, 가설검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push 요인 중 낮은 서비스품질은 골프연습장 전환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push 요인 중 낮은 만족은 골프연습장 전환의도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pull 요인 중 대안매력도는 전환의도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pull 요인 중 주관적 규범은 전
환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mooring 요인인 높은 전환비용과 낮은 변화추구는 모두 골
프연습장 전환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실내골프연습장과 스크린골프연습장을 이용하는
소비자의 전환의도를 규명함으로써 골프소비자들이 어떠한 요인에 의해 전환의도를 갖는지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학문적
의의를 지니고 있다.

주요어: PPM이론, 전환의도, 스크린골프장, 골프연습장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golf participants’ intention to switch from golf driving range to screen golf
grounded on the PPM theory. To achieve this research purpose,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on golf participants
who had experience using both indoor golf driving ranges and screen golf. A total of 202 samples were recruited for
the analysis. Data analyses included frequency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descriptive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results of hypothesis testing were as follows.
Firstly, it was found that low service quality among the push factors was not significant on the intention to switch.
Secondly, it was found that low satisfaction among the push factors had a positive (-) effect on the intention to
switch. Thirdly, among the pull factors, alternative attractiveness was found to have a negative (-) effect on switch
intention. Fourthly, among the pull factors, subjective norms were found to have a positive (+) effect on switch
intention. Finally, it was found that both of the mooring factors, high conversion cost and low pursuit of change, had
positive (+) effects on the intention to switch. This study has an academic significance in that it analyzed golf
participants’ intention to switch with PPM theory, taking a step forward from previous studies that focused on the
acceptance of new technologies by golf participants. In addition, it has practical significance in that it provided data
that will be the basis for marketing strategy establishment to each driving range operator in the future.

Key words: PPM theory, Intention to switch, Screen golf, Golf driving range

* hjw5893@khu.ac.kr
Copyrightⓒ2023 KAHPERD
34 한국체육학회지 제62권 제6호

서론 늘었음을 발표하였다(윤상언, 2021).


이처럼 선풍적인 인기를 끌며 골프산업의 패러다임
을 바꿔놓은 스크린골프연습장의 출현은 실내골프연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습장이 갖고 있던 단점을 보완해주고 있다. 예를 들
어 실내골프연습장의 경우 공간의 제약으로 인해 짧
국내 골프참여 인구는 소득수준의 증가 및 여가에
은 비구거리를 갖고 있어, 공을 타격했을 시 실제로
대한 사회 인식의 변화로 인해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공의 구질이나 방향, 거리 등을 정확히 알 수 없어
추세를 보여 왔다(이원정, 2017). 더불어 코로나-19 기
실제 필드 환경에서 원근, 방향, 경사 등에서 착시현
간에 해외를 가지 못한 기존 골퍼들의 국내 골프장으
상을 일으키기 쉽다(권태원, 이명랑, 2018). 이러한 다
로 회귀와 함께 MZ세대의 신규 참여는 골프산업을
양한 착시현상은 골퍼들에게 골프경기 운영에 지대한
호황으로 이끌었다. 이와 같은 골프 인구의 양적 확
영향을 미쳐 골프 실력의 발전을 저해하는 요소가 된
대는 코로나-19 기간 중 각종 미디어에서 골프 관련
다. 스크린골프연습장도 실내골프연습장처럼 짧은 전
콘텐츠를 앞 다투어 다룰 정도로 관심을 끌었다(신재
장의 형태를 보이고 있지만 런치 모니터와 같은 기기
광, 김재환, 송관조, 2021).
를 활용하여 정확한 거리, 클럽 속도, 런치 앵글 등의
특히, 골프가 대중적인 스포츠로 자리매김할 수 있
데이터를 활용한 훈련이 가능해지면서, 일반 소비자들
었던 배경에는 실내골프연습장과 스크린골프장의 증
도 스크린골프연습장 기기에서 제공되는 데이터를 골
가를 꼽을 수 있고, 이를 통한 간접적인 골프 체험의
프 실력향상을 위한 방법으로 인식하게 되었다(최진
즐거움은 최근 10년 사이에 골프 인구를 급격하게 증
영, 최영철, 권태원, 2012). 즉, 스크린골프연습장과 같
가시켰다(김현재, 2020). 한국골프연습장협회(KGCA)에
은 시뮬레이션 기기는 기존 실내골프연습장이 제공하
의하면 2021년 기준 전국적으로 10,335개의 골프연습
지 못한 다양한 경기력 관련 데이터를 얻을 수 있다
장이 영업 중이며, 실외골프연습장이 1,205개, 실내골
는 장점으로 인해 아마추어 골퍼는 물론 프로골프선
프연습장이 4,336개, 스크린골프연습장이 4,784개의
수까지 선호하는 연습 공간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업소로 2018년에 비하여 3년 만에 23%가 증가하였다.
(설수황, 안병욱, 2019).
이중 실내골프연습장은 스크린골프연습장이 도입되기
전술한 바와 같이 골프인구와 골프관련 산업은 지
전까지 실외연습장에 비해 비교적 작은 공간에 많은
속적으로 증가세를 보일 것으로 판단된다. 이에 따라
타석을 유치할 수 있어 아파트와 같은 주거지역에 많
골프연습장과 관련한 다양한 주제의 연구가 진행되어
이 생겨났다(조원득, 안병욱, 송원익, 2008). 하지만 골
왔다. 실내골프연습장과 관련한 연구는 주로 관계마케
프산업의 발전과 함께 무분별하게 늘어난 실내골프연
팅(김홍식, 차여진, 소민수, 김가현, 2021; 김소연, 김
습장 간의 경쟁 심화와 함께 코로나-19 이후 운영의
가나, 최세희, 2019), 서비스품질(이승은, 박경실, 총루
어려움이 겹치면서 수많은 실내골프연습장은 존폐 위
이, 2018) 등과 같은 기존 고객 유지에 초점을 맞춘
기에 놓였다(박충일, 2021).
주제의 연구가 진행되었고, 스크린골프는 기술수용의
반면 스크린골프연습장은 실내골프연습장 대비 인
도(이인엽, 김동규, 최철환, 2022), 혁신확산이론(김상
구가 밀집된 도시 중심지 지역 위치해 접근성 및 비
호, 2021), 계획된 행동이론(김가나, 최영진, 2022)을
용효율성 측면에서 장점을 나타내면서 대한민국 골프
바탕으로 골프소비자가 새로운 기술인 스크린골프연
산업의 지속 성장 및 대중화에 큰 기여를 해왔다(서
습장을 어떻게 수용하는지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었다.
재열, 김나래, 2021). 스크린골프 산업의 성장은 국내
하지만 이러한 선행 연구결과만으로는 골프참여자가
대표적인 스크린골프 전문업체인 ‘골프존’의 매출액
기존 연습시설인 실내골프연습장에서 새로운 시설인
상승으로 확인할 수 있는데, 골프존은 2021년 2,810억
스크린골프연습장으로의 전환하려는 행동에 대한 명
원의 매출액을 기록해 2020년(2,391억)보다 21.3%가
확한 해답을 제시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PPM(push-pull-mooring) 이론을 적용한 실내골프연습장에서 스크린골프연습장으로의 전환의도에 관한 연구 35

연구에서는 기존 연습시설인 실내골프연습장과 새로 PPM 이론은 본래 거주하는 곳으로부터 밀어내는 push


운 시설인 스크린골프연습장의 구성요인과 소비자 개 요인과 새로운 거주지로 끌어당기는 pull 요인을 푸쉬
인의 성향을 반영할 수 있는 PPM(push-pull-mooring) 효과(push effect), 풀 효과(pull effect)로 구분하여 이
이론을 적용하여 골프소비자의 골프연습장 간의 전환 들의 상호작용으로 이주 현상을 설명한다. 그러나 이
의도를 살펴보고자 한다. 두 가지 요인의 상호작용만으로는 사람들의 이주를 설
PPM 이론은 push-pull 개념을 토대로 이주를 설명 명하기에는 한계가 있다는 주장이 제기되면서 무어링
하기 위한 이론이며, PPM 이론에서의 이주는 하나의 효과(mooring effect)가 추가로 제시되었다(Hsieh, Hsieh,
지리적 장소에서 새로운 장소로 이동하는 것을 의미 Chiu, & Feng, 2012). mooring 요인이란 구체적으로 개
한다. 즉, 기존에 이용하던 서비스에서 다른 서비스로 인의 특성, 심리적 요인, 사회적 상황 등과 관련된 요
서의 이동을 의미하는 소비자 전환 행동은 이주이론 인으로서, push 요인과 pull 요인을 보완하는 역할을
과 유사한 흐름을 갖는다(조영수, 2018). 따라서 PPM 한다(조현, 이강배, 박상선, 2013; Moon, 1995). PPM 이
이론은 마케팅 분야에서 소비자들의 기존 서비스에서 론의 구성요소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새로운 서비스로 전환 및 수용 의도를 설명하는 데
매우 유용한 이론적 틀로 사용되고 있다(이지영, 2016; (1) push 요인
최현승, 양성병, 2016). PPM 이론은 인구통계학 분야 push 요인이란 기존의 거주지에서 삶의 질에 부정
의 이주이론에서 나온 이론이지만, 경영학에서 제품과 적 영향을 주는 특징으로부터 발생한 이동 원인이라
서비스에 대해 소비자들의 전환 행동을 분석하는 연 할 수 있다(Moon, 1995). 서비스 전환 행동에서의
구와 정보 분야에서 새로운 정보기술과 혁신 기술 시 push 요인은 이주이론에서와 마찬가지로 서비스의 실
스템으로의 전환 행동을 검증하기 위한 연구가 진행 패, 대응하는 종사원의 태도 등 이용하던 서비스에서
되어 왔다(Chang, Wong, & Li, 2017; Hsieh, Hsieh, 제공한 부정적 요소를 인지함으로써 전환을 결정하는
Chiu, & Feng, 2012; Sun, Liu, Chen, Wu, Shen, & 원인이 된다. 또한, 낮은 만족, 낮은 신뢰 등과 같은
Zhang, 2017). 하지만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이하여 사람들의 부정적, 심리적 판단으로 인하여 전환이 발
스포츠 산업에서도 첨단 기술기반의 새로운 서비스가 생할 수 있다. 대표적 push 요인으로 낮은 서비스품
등장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PPM 이론을 통해 스포 질과 만족을 꼽을 수 있다.
츠소비자의 새로운 시설, 서비스로의 이동을 이론적으 서비스품질에 대해 Parasuraman, Zeithaml, &
로 설명하려는 연구는 전무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 Berry(1988)는 특정 서비스에 대하여 소비자가 기대한
구는 PPM 이론을 적용하여 골프연습장 전환 행동에 수준과 해당 기업이 제공한 서비스에 대해 소비자가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이 무엇인지를 규명해보고자 한 경험한 이후 지각하게 되는 수준 간의 차이로 정의하
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기존 연구에서 미처 제시하 였다. Ha & Jang(2013)은 서비스품질을 낮게 평가한
지 못한 골프연습장 전환 행동의 원인을 규명하고, 고객이 다음의 구매 상황에서 재구매가 아닌 대안을
골프연습장 경영자에게 고객 유지와 이탈방지에 필요 선택하고, 서비스에 대해 높게 평가한 고객의 경우
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긍정적인 소비행동의도를 보인다고 주장하였다. 이에
항공사 이용 고객의 전환의도를 연구한 Jung, Han, &
2. 이론적 배경 및 가설수립 Oh(2017)는 push 요인을 낮은 서비스품질, 낮은 만족
도, 낮은 신뢰로 구성하고 낮은 서비스품질이 전환행
1) PPM(push-pull-mooring) 이론 동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을 실증하였다.
PPM 이론은 사람들이 한 지역에서 다른 지역으로 Keaveney(1995)는 서비스 전환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이동하는 요인을 설명하기 위한 이주이론(migration 가장 큰 요인은 서비스 실패이며, 서비스품질이 전환
theory)에 그 뿌리를 두고 있다(최양애, 정병규 2019). 의도에 강한 영향을 미친다고 주장하였다.
36 한국체육학회지 제62권 제6호

한편 만족도 전환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작 대안매력도와 주관적 규범으로 구성하였다.


용한다. 소비자는 서비스를 이용하기 전 형성된 기대 대안매력도는 새로운 대안이 되는 서비스가 기존 서
와 이용 후의 경험을 비교해 만족 혹은 불만족을 형 비스와 다르게 지닌 독특한 속성 혹은 요소의 매력에
성하는데, 불만족한 소비자의 경우 그 서비스를 지속 대해 개인이 지각하는 정도를 뜻한다(Bansal et al.,
하여 이용하지 않거나 전환하고자 하는 의도를 가지 2005). Keaveney(1995)는 소비자가 새로운 서비스에 대
게 된다(Anderson & Sullivan, 1993). 또한, 만족한 고 해 더 나은 서비스를 제공한다고 인식할 경우 고객들
객보다 불만족한 고객의 전환의도가 더 크게 나타나 은 새로운 서비스가 가격이 비싸거나 거리상 위치가
며, 고객이 불만족한 경우에는 대안을 적극적으로 모 멀고 불편해도 더 나은 서비스를 위해 전환행동을 보
색하게 된다(Hou, Chern, Chen, & Chen, 2011). 항공 인다고 주장하였다. 정지심 외(2015)는 대안의 매력도
사 고객의 전환의도를 규명한 정지심, 오미해, 한희섭 가 항공사 고객의 전환의도에 직접적이고 긍정적인 영
(2015)의 연구에서 낮은 만족이 고객 전환행동에 정(+) 향을 미친다고 보고하였다.
의 영향을 미친다고 규명하였으며, Bansal, Taylor, & 주관적 규범은 사회적 요소와 관련되는 변수로 기
James(2005)도 낮은 만족이 고객의 전환의도에 영향을 존 서비스의 대안이 되는 제품이나 서비스에 대해 주
미치는 변수라고 밝혔다. 본 연구에서는 앞서 제시한 변인들의 생각이나 의견이 영향을 미치는 정도를 말
이론적 근거 및 기존 연구결과를 통해 다음과 같은 한다(Ajzen, 1991). 주관적 규범은 기술 수용을 결정하
가설을 수립하였다. 게 되는 주요 변수임과 동시에 소비자 스스로 새로운
대안을 선택해 전환하고자 하는 의도에 유의한 영향
H1. Push 요인은 골프연습장 전환의도에 긍정적 영 을 미치는 변수로 알려져 있다(Bansal et al., 2005;
향을 미칠 것이다. Hou et al., 2011; Sun et al., 2017). Wu, Vssileva, &
H1-1. 낮은 서비스품질은 골프연습장의 전환의도에 Zhao(2017)는 새로운 대안에 대해서 주변 사람들이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진 긍정적 생각과 의견이 새로운 대안으로 전환하
H1-2. 낮은 만족은 골프연습장의 전환의도에 정(+) 려는 행동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주
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장하였다. Sun et al.(2017)의 연구에서는 주관적 규범
요인이 서비스 전환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2) pull 요인 결과를 도출하였다. 이러한 근거를 바탕으로 본 연구
이주이론에 따르면 사람들의 이주 결정은 기존 장소 는 다음과 같은 연구 가설을 설정하였다.
와 관련된 요인뿐만 아니라 이주 장소와 관련된 요인
들에 의해서도 영향을 받으며, 이를 pull 요인이라고 H2. Pull 요인은 골프연습장 전환의도에 긍정적 영
한다. 즉, pull 요인은 대상지에 대해 이주자들이 지각 향을 미칠 것이다.
하는 긍정적 요인이나 대상지를 매력적으로 만드는 요 H2-1. 대안매력도는 골프연습장의 전환의도에 정(+)
인이라고 할 수 있다(Bansal et al., 2005). Jung et al. 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2017)은 pull 요인을 경쟁 대안의 매력도와 대안의 매 H2-2. 주관적 규범은 골프연습장의 전환의도에 정
력적 기회, 가격 혜택으로 구성하여, 항공사 승객의 전 (+)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환의도 연구에서 pull 하위 요인이 항공사 전환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검증하였다. Sun et (3) mooring 요인
al.(2017)은 다른 모바일 메신저로의 전환 의도를 규명 mooring 요인은 PPM 이론에서 push, pull 요인만으
한 연구에서 pull 요인을 대안매력도, 주관적 규범으로 로는 이주 결정 과정의 복잡성을 설명할 수 없다는
구성하여 전환 행동을 검증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주장이 제기됨에 따라 추가되었다. 이는 push, pull 요
이러한 선행연구에 근거하여 pull 요인의 하위 요인을 인을 통해 정착을 지지하는 요인과 이주를 부추기는
PPM(push-pull-mooring) 이론을 적용한 실내골프연습장에서 스크린골프연습장으로의 전환의도에 관한 연구 37

요인이 모두 반영되더라도 개인의 성향이나 여건 때


문에 이주하지 않을 수 있다는 점에 주목한 것이다
(Hsieh, et al., 2012). Bansal et al.(2005)은 사회적 영
향을 받는 요인인 mooring요인을 비호의적 태도, 비
호의적인 주관적 기준, 높은 전환비용과 낮은 전환
경험, 낮은 변화추구 경향으로 구성하였으며, Jung et
al.(2017)은 mooring 요인을 높은 전환비용, 낮은 사전
전환경험, 낮은 변화추구, 비자발적 선택으로 구성하
여 항공사 이용 고객의 전환의도를 규명하였다.
이 중에서 전환비용은 서비스를 바꾸게 되는 경우
발생하는 비용, 희생을 의미하며 이는 금전적 비용,
그림 1. 연구모형
희생뿐만 아니라 시간과 노력, 불확실성과 같은 비금
전적 비용과 희생을 포함한다(Hou et al., 2011). 전환
의도와 관련한 선행연구에서도 전환비용은 mooring
요인을 구성하는 중요한 요소로 나타났다. 이는 높은
연구방법
전환비용이 전환 의도에 직접적으로 부정적 영향을
미친다고 볼 수 있다. 즉, 높은 전환비용이 소비자의 1. 연구대상
전환의도를 저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하여 고객이 서비
스 전환을 하지 않을 수 있다는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실내골프연습장과 스
한편, 정성광(2018)은 낮은 변화추구 성향을 가진 크린골프연습장을 모두 이용해본 경험이 있는 대상자를
소비자는 스스로 지각하는 유용성과 즐거움의 혜택을 모집단으로 선정하고, 비확률표본추출법(non-probability
위해 다양한 탐색을 실시하지 않기 때문에 변화추구 sampling) 중 편의표본추출법(convenience sampling
의 성향이 높은 소비자에 비해 유용성이나 즐거움의 method)을 활용하여 표본을 추출하였다. 설문조사는
가치에 대한 몰입이 낮다고 하였다. Hsieh et al.(2012) N사에서 제공하는 오피스폼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온라
은 변화해본 경험이 없는 소비자의 다수가 현재 상황 인 설문지를 작성하고, 2023년 3월부터 5월까지 약 3개
에 남아있으려는 경향을 보인다 하며, 변화추구가 전 월 동안 설문지를 배포하였다. 그 결과 총 210부의 설
환 행동에 영향을 주는 요인 중 하나라고 주장하였다. 문지가 회신되었고, 이중 응답에 불성실하게 응답한 8부
이러한 선행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높은 전환비용과 를 제외한 총 202부의 자료가 분석에 활용되었다. 연
낮은 변화추구는 전환의도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판 구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은 <표 1>과 같다.
단하고 다음과 같은 연구가설을 설정하였다.
2. 측정도구
H3. mooring 요인은 골프연습장 전환의도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변수를 측정하기 위해 선행연
H3-1. 높은 전환비용은 골프연습장의 전환의도에 구에서 사용한 설문 문항을 수정 및 보완하여 설문지
부(-)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를 작성하였다. 인구통계학적 변수(성별, 연령, 골프구
H3-2. 낮은 변화추구는 골프연습장의 전환의도에 력, 주당 연습회수)를 제외한 모든 항목은 5점 리커트
부(-)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Likert-type scale) 척도로 측정하였다(1=전혀 그렇지
않다, 5=매우 그렇다).
첫째, PPM 이론의 push 요인은 Cronin & Taylor
38 한국체육학회지 제62권 제6호

표 1. 연구대상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3. 측정도구의 타당성 및 신뢰성


특성 구분 빈도(명) 비율(%)
남자 128 63.4 1) 타당성
성별 가설 검정에 앞서 본 연구에 이용된 측정도구의 타
여자 74 36.6
20대 56 27.7 당성 검증을 위하여 내용타당성과 구성타당성 검증을
30대 49 24.3 실행하였다. 먼저, 스포츠산업 전공 교수 1인과 박사급
연령 40대 40 19.8 연구원 3인에게 내용타당성 검증 절차를 밟았다. 둘째,
50대 42 20.8 설문 문항들의 구성타당성 검증을 위해 확인적 요인분
60대 15 7.4 석(confirmatory factor analysis)을 실시하였다. 확인적
1년 미만 58 28.7 요인분석 결과는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Browne
1년 이상 & Cudeck(1993)이 제시한 적합도 기준(CFI>.90, IFI>.90,
61 30.2
3년 미만 TLI>.90, RMSEA<.08)을 충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3년 이상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를 토대로 각 구성개념에 대한
골프 구력 31 15.3
5년 미만
5년 이상
집중타당성을 분석하기 위해 개념신뢰도(CR: construct
31 15.3
10년 미만 reliability)와 평균분산추출지수(AVE: average variance
10년 이상 21 10.4 extracted)를 산출하였다. 그 결과 본 연구에 사용된
1회 79 39.1 측정변수의 개념신뢰도는 864-.924, 평균분산추출지수
2회 49 24.3 는 .680-.803으로 나타나 Fornell & Larcker(1981)와
주당 연습회수 3회 40 19.8 Hair, Black, Babin, & Anderson(2006)이 제시한 기준
4회 21 10.4 치인 CR 값 .7 AVE 값 .5 이상의 값이 나타나 집중
5회 이상 13 6.4 타당성을 확보하였다.
합계 202 100.0
2) 신뢰성
(1992), Brady & Cronin(2001)의 연구에서 사용된 문항 측정도구의 신뢰도 분석을 위해 Cronbach’s α를
을 본 연구의 상황에 맞게 수정, 보완하여 낮은 서비 산출하였으며 모든 값은 Nunnally & Bernstein(1994)
스품질 세 문항, 낮은 만족 세 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이 제시한 기준치인 .7을 초과함에 따라 각 구성개념
둘째, pull 요인은 Ajzen(1991), Jung et al.(2017)의 연 별 문항들이 신뢰도를 확보한 것으로 나타났다<표 2>.
구에서 사용된 문항을 본 연구의 상황에 수정 및 보
완하였으며, 대안매력도 세 문항, 주관적 규범 세 문 4. 자료처리
항으로 구성하였다. 셋째, mooring 요인으로 설정한
높은 전환비용과 낮은 변화추구를 측정하기 위해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수집된 202부의
Chiu & Feng(2012)과 Jung et al.(2017)의 연구에 이용 데이터에 대하여 통계프로그램 SPSS 26.0과 AMOS
된 설문 문항을 본 연구에 맞게 수정하여 높은 전환 23.0을 사용해 분석하였다. 구체적인 자료처리 절차를
비용 세 문항, 낮은 변화추구 세 문항으로 측정하였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빈도분석을 통해 조사
다. 넷째, 본 연구의 종속변수인 전환의도를 측정하기 대상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을 확인하였다. 둘째, 측
위해 Keaveney (1995), 신동식 (2009)의 연구에서 사 정도구에 대한 타당도를 확인하기 위해 확인적 요인
용된 세 개의 문항을 본 연구에 맞게 수정, 보완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넷째, 본 연구에 이용된 변수들의
적용하였다. 신뢰성 검정을 위해 Cronbach’s α 계수를 살펴보았
다. 다섯째, 본 연구에 이용된 변수들이 가진 기초통
PPM(push-pull-mooring) 이론을 적용한 실내골프연습장에서 스크린골프연습장으로의 전환의도에 관한 연구 39

표 2. 확인적 요인분석 및 신뢰성 검증

요인 설문문항 β SE t AVE CR α
내가 이용하는 실내골프연습장은 시설이 오래됐다. .832 .065 14.178
낮은
내가 이용하는 실내골프연습장은 접근성이 불편하다. .845 .062 14.484
서비스 .714 .882 .882
품질 내가 이용하는 실내골프연습장은 고객서비스가 부족
.858 - -
하다.
push 내가 이용하는 실내골프연습장은 스크린골프연습장보
.831 .065 12.876
다 제공되는 데이터가 적어 불만족스럽다.
낮은 내가 이용하는 실내골프연습장은 스크린골프연습장보
.919 .071 14.242 .718 .883 .872
만족 다 이용하기 불편하여 불만족한다.
내가 이용하는 실내골프연습장에 대하여 전반적으로
.787 - -
불만족한다.
스크린골프연습장의 접근성이 실내골프연습장보다 우
.778 .071 13.486
수하다.
대안 스크린골프연습장은 실내골프연습장보다 날씨의 영향
.891 .066 16.402 .729 .889 .886
매력도 을 받지 않아 좋다.
스크린골프연습장은 실내골프연습장보다 나은 고객서
.889 - -
비스를 제공한다.
pull
나의 주변인들은 실내골프연습장보다 스크린골프연습
.847 .075 14.801
장을 더 선호한다.
주관적 나의 주변인들은 나에게 스크린골프연습장을 권유하
.898 .066 16.202 .744 .897 .893
규범 는 편이다.
나의 주변인들은 스크린골프연습장이 실력향상에 도
.842 - -
움이 된다고 믿는다.
실내골프연습장에서 스크린골프연습장으로 옮기는 것
.838 .073 12.547
은 지금보다 더 많은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높은 실내골프연습장에서 스크린골프연습장으로 옮기는 것
.844 .081 12.643 .680 .864 .864
전환비용 은 지금보다 더 많은 시간이 필요할 것이다.
실내골프연습장에서 스크린골프연습장으로 옮기는 데
mooring .791 - -
서 발생하는 비용이 부담스럽다.
새로운 골프연습장으로 옮기는 것은 신중해야 한다. .881 .094 12.659
낮은 나는 골프연습장을 변경한 적이 거의 없다. .951 .099 12.134
.730 .888 .876
변화추구
나는 친숙하지 않은 연습장에 다니는 것을 망설이게
.714 - -
된다.
나는 실내골프연습장보다 스크린골프연습장에 더 관심이 가는
.922 .059 17.375
편이다.
전환
.803 .924 .922
의도 나는 실내골프연습장보다 스크린골프연습장 이용을 늘릴 것이다. .926 .060 17.474
나는 실내골프연습장에서 스크린골프연습장으로 전환할 것이다. .838 - -
Model X2 df p IFI TLI CFI RMSEA
Fit 372.085 168 .000 .941 .926 .941 .078

계량, 자료의 정규성 및 상호관련성을 살펴보기 위해 형(SEM)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실증분석은
기술분석과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 모두 유의수준 α=.05에서 검증하였다.
구에서 설정한 가설을 검정하기 위해 구조방정식 모
40 한국체육학회지 제62권 제6호

표 3. 변수 간의 기술분석 및 상관분석

1 2 3 4 5 6 7
1. 낮은 서비스품질 .714
2. 낮은 만족 .621** .718
3. 대안매력도 .489** .555** .729
** **
4. 주관적규범 .649 .557 .553** .744
** ** **
5. 높은전환비용 .490 .564 .462 .640** .680
** ** ** .
6. 낮은변화추구 .473 .391 .393 617** .396** .730
** ** . ** ** **
7. 전환의도 .611 .616 448 .725 .611 .642** .803
M 4.016 3.782 3.742 4.033 3.635 3.991 3.948
SD .887 .932 .887 .858 .949 .852 .920
왜도 -.940 -.444 -.619 -1.001 -.412 -1.083 -.799
첨도 .858 -.303 .642 1.181 -.212 1.045 .345
**
p<.01, 음영부분은 AVE값을 나타냄.

결과 2. 연구가설 검증

1) 구조모형의 적합도 검증
1. 기술분석 및 상관분석
본 연구의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설정된 구조모형의
자료에 대한 적합성 검증 결과는 <표 4>와 같다. 구
본 연구에 이용된 변수들의 기초통계량, 자료의 정
조방정식 모형의 적합성을 검증하기 위해 Kline(1998)
규성 및 변수 간의 상관성을 살펴보기 위해 기술분석
의 제안에 따라 다양한 적합도 지수를 살펴보았다.
및 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표 3>과 같다. 먼저, 구
먼저, X2/df 값이 2.215로 나타나 기준치인 3.0이하를
성개념들의 평균값은 3.635(높은 전환비용)에서 4.033
만족시켜 측정모형이 수집된 자료에 적합하다고 판단
(주관적 규범) 사이의 값이 나타났으며, 표준편차는
하였다. 또한, 적합도 지수를 살펴본 결과 IFI=.941,
.852(낮은 변화추구)에서 .949(높은 전환비용) 사이의
TLI=.986, CFI=.941, RMSEA=.078로 모든 적합도 지수
값이 도출되었다. 둘째, 자료의 정규성을 확인을 위해
가 기준(IFI>.90, TLI>.90, CFI>.90, RMSEA<.10)을 충족
왜도와 첨도 값을 살펴본 결과에 따르면 West, Finch,
한 것으로 나타나 본 연구에서 설정한 구조모형이 자
& Curran(1995)이 제시한 기준치인 왜도 ±2, 첨도 ±7
료에 적합한 것으로 판단하여 가설검증을 진행하였다.
범위 안의 값이 나타나 자료의 정규성은 확보되었다.
셋째, 변수 간의 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표 3>에 제
2) 구조모형을 통한 가설 검정
시된 바와 같이 모든 변수 간의 상관계수가 Kline(1998)
연구가설에 대한 경로계수의 유의성을 검증한 결과
이 제시한 .85보다 작게 나타나 다중공선성에 관한 문
는 <표 5>와 같다. 구조모형 분석 결과를 조금 더 구
제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표 4. 구조모형의 적합도 분석결과

구분 X2 df p X2/df IFI TLI CFI RMSEA


기준 - - .05 <3.0 >.90 >.90 >.90 <.10
측정모형 372.085 168 .000 2.215 .941 .986 .941 .078
PPM(push-pull-mooring) 이론을 적용한 실내골프연습장에서 스크린골프연습장으로의 전환의도에 관한 연구 41

표 5.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한 가설검증 결과

H 경로 β S.E t p 가설수용
H1-1 낮은 서비스품질 → 전환의도 .072 .086 .841 .400 기각
H1-2 낮은 만족 → 전환의도 .216 .079 2.635 .008 채택
H2-1 대안매력도 → 전환의도 -.154 .070 -2.370 .018 기각
H2-2 주관적 규범 → 전환의도 .340 .130 3.012 .003 채택
H3-1 높은 전환비용 → 전환의도 .227 .085 2.644 .008 기각
H3-2 낮은 변화추구 → 전환의도 .295 .076 4.365 .000 기각

체적으로 살펴보면 첫째, 본 연구에서 push 요인으로 정, 이성숙(2014)의 연구에서도 공공도서관 이용자가
설정한 실내골프연습장의 낮은 서비스품질(β=.072, 지각하는 서비스품질이 높으면 전환의도가 낮아진다
t=.841, p>.05)은 전환의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 고 주장하였다. 하지만 본 연구의 결과가 이러한 선
로 나타나 본 연구의 가설 1-1은 기각되었다. 반면, 행연구의 결과와 다소 차이를 보이는 이유로는 골프
낮은 만족(β=.216, t=2.635, p<.01)은 전환의도에 정(+) 참여자가 골프연습장을 선택하는 상황의 특수성이 반
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가설 1-2는 채택되 영된 것으로 판단된다.
었다. 둘째, 본 연구에서의 pull 요인으로 설정한 대안 권선아, 김태연, 박현순(2023)은 골프참여자들이 골
매력도(β=.-.154, t=-2.370, p<.05)는 전환의도에 정(+) 프수행력을 높이고자 골프레슨에 대한 관심이 매우
의 영향을 미칠 것으로 가정하였지만, 부(-)의 영향을 높다고 주장하였다. 또한 골프참여자들은 레슨을 수행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가설 2-1은 기각되었다. 한편, 하는데 있어 지도자를 중요한 선택요인으로 판단한다
주관적 규범은(β=-.340, t=3.012, p<.01) 전환의도에 (이인엽, 한진욱, 김동규, 2018). 이를 미루어볼 때 본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2-2는 채택되었 연구의 서비스품질에서 제시한 시설과 접근성이 조금
다. 마지막으로 mooring 요인으로 설정한 높은 전환 불편하더라도 좋은 실력을 가진 지도자에게 레슨을
비용(β=.227, t=2.644, p<.01)과 낮은 변화추구(β=.295, 수행해 실력향상을 도모하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 이
t=4.365, p<.001)는 모두 부(-)의 영향을 미칠 것으로 에 추후 연구에서는 본 연구에서 미처 제시하지 못한
가정하였지만, 정(+)의 영향을 나타내 본 연구의 가설 지도자와 신뢰 등의 요인을 대입하여 서비스품질과
3-1, 3-2는 기각되었다. 전환의도에 대하여 연구해 볼 필요성이 있다.
반면 push 요인 중 낮은 만족은 골프연습장 전환
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논의 정지심 외(2015)의 항공사 고객전환의도를 규명한 연
구에서 낮은 만족이 전환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친
다는 결과와 유사하다. 테마파크 이용자의 이용 만족
1. push 요인(낮은 서비스품질, 낮은 만족)이
과 전환의도를 살펴본 신동식(2009)의 연구에서도 이
골프연습장 전환의도에 미치는 영향
용 만족은 전환의도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본 연구결과와 맥을 같이 한다. Anderson &
push 요인 중 낮은 서비스품질은 골프연습장 전환
Sullivan (1993)은 서비스를 경험한 이후 형성되는 만
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족과 불만족이 소비자의 서비스 전환의도에 강력한
김영택, 오종철(2007)은 모바일 뱅킹 이용자의 전환의
영향을 미치는 변수라고 주장하였다.
도를 규명한 연구에서 이용자에 제공되는 서비스품질
앞서 제시한 선행연구들과 같이 본 연구에서도 골
수준이 높을수록 전환의도가 낮아진다 하였고, 오윤
42 한국체육학회지 제62권 제6호

프참여자가 이용하는 골프연습장에 대해 불만족하다 호의적으로 바꿔 실내골프연습장과의 격차를 줄일 필


면 전환하려는 의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유추된다. 요성이 있다.
Kotler(1997)는 고객 만족의 상승이 구전과 재이용의 한편 주관적 규범은 전환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
도 등 소비자 행동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라고 치는 결과가 나타났다. 이는 선행연구에서 밝혀진 결
하였다. 이는 골프연습장의 운영자가 소비자를 만족시 과와 맥을 같이하는데, Wu 등(2017)은 새로운 서비스
켜야 추후 골프참여자의 충성도 향상, 고객 이탈방지, 에 대한 주변인들이 갖는 긍정적 생각이나 의견이 소
신규 이용자 창출 등의 긍정적인 효과를 낼 수 있으 비자가 새로운 대안으로 전환하고자 하는 행동에 긍
며, 운영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소비자가 느 정적인 영항을 미칠 수 있음을 실증하였다. Sun et
끼기에 만족할만한 환경을 제공하고, 정기적인 만족도 al.(2017)은 주관적 규범이 서비스의 전환에 긍정적 영
조사를 통해 이용자의 불만 사항을 사전에 해결할 수 향을 미칠 수 있다고 주장하였다. 또한 Ajzen(1991)은
있는 양방향 커뮤니케이션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주관적 규범이 사회적인 요인과 관련된 변수로서 새
로운 대안이 되는 제품과 서비스에 대해서 주변 사람
2. pull 요인(대안매력도, 주관적 규범)이 들의 생각이나 의견이 수용을 결정하는 주요 변수라
골프연습장 전환의도에 미치는 영향 고 주장하였다.
최근 스크린골프연습장은 시설 내에 카페나 라운지
pull 요인 중 대안매력도는 골프연습장 전환의도에 등이 함께 운영되고 있어, 주변 지인들과 함께 연습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본 연구에서 수 할 수 연습시설로 자리 잡고 있다(김남익, 장호중,
립한 가설과 상반되는 결과가 도출되었다. 강영식, 이 2023). 이를 고려해볼 때 스크린골프연습장이 주변인
보경(2008)은 대안매력도가 높아지면 만족이 낮아져 과 함께 연습하고 휴식도 취하는 장소로 인식이 되며,
지속사용의도가 낮아진다고 주장하였다. 오지영(2009) 골프참여자가 주변 사람들의 긍정적 생각과 의견을
의 온라인 쇼핑 이용자들의 만족이 브랜드 충성도에 수렴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본 연구참여자의 약
미치는 영향을 규명한 연구에서 대안매력은 충성도에 60%는 골프 구력이 3년 미만인 골프 초보자로 주변
부정적 영향을 미쳐 전환행동으로 이어진다고 보고하 골프참여자의 의견을 적극 수용할 것으로 추측된다.
여 본 연구의 결과와 상반되는 결과를 제시하였다. 즉, 스크린골프연습장에 대하여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이처럼 선행연구가 제시하는 결과와 본 연구의 결과 주변인들의 의견은 그들의 연습장 선택에 영향을 미
가 다르게 나타난 이유는 골프소비자가 인지하는 스 칠 것이고,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스크린골프연습
크린골프연습장에 대한 인식 때문으로 추측된다. 장으로의 전환의도가 높게 나타난 것으로 유추된다.
Colgate & Lang(2001)은 고객이 적절한 대안을 찾
지 못했을 경우 현재 서비스를 지속, 유지할 것이라 3. mooring 요인(높은 전환비용, 낮은 변화추구)이
하였다. 특히 최근의 스크린골프연습장은 스윙분석과 골프연습장 전환의도에 미치는 영향
거리측정을 고성능 측정 장비와 분석 시스템을 활용
해 제공하고 있다(박승환, 2018). 하지만 이러한 신기 본 연구에서 설정한 mooring 요인인 높은 전환비용
술에 대해 받아들이는 소비자가 느끼는 심리적 부담 과 낮은 변화추구는 전환의도에 모두 정(+)의 영향을
감이 존재할 수도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이는 새로운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전환비용이 높
기술인 스크린골프연습장에 매력적인 태도를 형성하 을수록 현재 이용하는 서비스를 바꾸고자 하는 전환
고 있더라도 기존 골프연습장에 대한 태도가 더 호의 행동이 감소한다고 밝힌 선행연구들과 상반된 결과라
적일 경우 스크린골프연습장 이용에 큰 매력을 느끼 고 볼 수 있다(안준하, 2010; Anderson & Sullivan,
지 못할 수도 있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이를 고 1994).
려해볼 때 스크린골프연습장의 기술에 대한 태도를 본 연구의 결과가 선행연구의 결과와 차이를 보이
PPM(push-pull-mooring) 이론을 적용한 실내골프연습장에서 스크린골프연습장으로의 전환의도에 관한 연구 43

는 이유는 골프참여자의 다음과 같은 고유한 특성에 를 미루어볼 때 골프참여자가 선택할 수 있는 폭이


기인하는 것으로 추론된다. Kotler & Armstrong(2010) 넓어짐에 따라 골프연습장을 전환하는 행동이 자연스
은 소비자들이 단순히 가격 경쟁력에 만족하지 않기 러운 것으로 판단된다. Roos(1999)는 전환행동을 보이
때문에 비용이 높더라도 소비자가 얻고자 하는 가치 는 모든 고객이 서비스나 상품에 대하여 불만족 한
를 위해 그에 맞는 서비스나 상품을 찾게 된다고 주 것이 아니라, 단순 변화를 위해 전환할 수도 있다고
장하였다. 이러한 주장을 골프참여자들에게 대입한다 주장하였다. 이는 곧 골프연습장 운영자들이 골프참여
면 본인에게 더 필요하다고 생각되는 연습장이 더 높 자를 사로잡을 수 있는 콘텐츠를 개발해야 할 필요가
은 비용, 또는 더 많은 시간을 필요로 할지라도 전환 있다고 판단된다.
하려는 의도가 강하게 나타날 것으로 추측할 수 있다.
특히 본 연구참여자의 약 50%는 MZ세대(1980년대 초
반∼2000년대 초반 출생)로 그들은 기성세대와는 다 결론 및 제언
른 소비성향을 나타낸다고 알려져 있다. MZ세대는 경
제적 여유가 있을 때 자신의 욕구를 위해 과감하게
본 연구는 PPM 이론을 적용하여 골프연습장 전환
투자하고 즐길 줄 아는 세대로(신승아, 전기제, 2021)
의도를 예측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달성하
골프연습장을 선택할 때에도 이러한 성향이 나타난
기 위해 수립된 연구가설 검증 결과에 대한 결론은
것으로 보여진다. 즉, 비용, 시간 등 높은 전환비용이
다음과 같다.
제약요소로 평가받기 보다는 자신의 욕구 만족을 위
첫째, push 요인 중 낮은 서비스품질은 골프연습장
해서 필요하다고 판단된다면 기꺼이 지불을 수용하는
전환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
것으로 예측된다. 추후에 진행될 연구에서는 소비자집
났다. 둘째, push 요인 중 낮은 만족은 골프연습장 전
단을 MZ세대와 기성세대로 구분하여 세대별 차이를
환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
규명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째, pull 요인 중 대안매력도는 전환의도에 부(-)의 영
한편 다른 mooring 요인인 낮은 변화추구도 전환
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pull 요인 중 주
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가 도출되어 본
관적 규범은 전환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
연구에서 수립한 가설과 반대되는 결과가 나타났다.
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mooring 요인인 높은 전환
이는 PPM 이론을 적용해 항공사 고객의 전환의도를
비용과 낮은 변화추구 모두 골프연습장 전환의도에
규명한 서효원(2021)이 제시한 결과와 상반되는 결과
정(+)의 영향을 미쳤다.
로, 그는 낮은 변화추구가 전환의도에 부(-)의 영향을
이처럼 본 연구에서는 PPM 이론을 통해 실내골프
미친다고 주장하였다. 또한 임상곤, 이수범(2017)은 외
연습장과 스크린골프연습장을 이용하는 골프참여자의
식 소비자의 변화 성향과 전환의도의 관계를 규명한
전환의도를 규명함으로써 골프연습장 운영자에게 기
연구에서 변화추구성향은 전환의도에 정(+)의 영향을
존 고객 이탈방지와 신규고객 창출에 대한 마케팅 전
미친다는 결과를 제시하며 본 연구의 결과와 다른 결
략수립을 위한 토대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
과를 주장하였다.
서 낮은 만족과 주관적 규범이 전환의도에 유의한 영
특히 최근 골프의 대중화로 인하여 다양한 형태의
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골프연습장 운영자는 두
골프연습장이 생겨나고 있으며, 기존 골프연습장의 모
요인을 골프참여자가 지각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할
습에서 탈피해 다양한 콘셉트를 앞세운 골프연습장이
필요가 있다. 또한, 그동안 선행연구에서는 이루어지
등장하고 있다. 프라이빗 골프 스튜디오, 클럽과 같은
지 않았던 각 골프연습장 간의 전환의도를 살펴봄으
분위기의 조명과 음악이 나오는 연습장, 어프로치, 벙
로써 후속연구를 위한 기회를 제공하였다는데 그 의
커, 퍼팅 등의 숏게임 특화 연습장 등 여러 형태의
의가 있다. 그러나 본 연구를 수행함에 있어 몇 가지
골프연습장이 생겨나고 있다(권영준, 2022.12.08.). 이
44 한국체육학회지 제62권 제6호

한계점도 나타나 연구결과를 일반화하는 것에는 한계 권태원, 이명랑(2018). 골프코스의 착시현상이 거리


가 있을 수 있다. 측정 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과학회
첫째, 본 연구에서는 PPM 이론을 통해 골프연습장 지, 27(4), 1023-1030.
간의 전환의도를 규명하기 위하여, 다수의 이론 및 김가나, 최영진(2022). 계획행동이론을 적용한 MZ
선행연구를 고찰하는 과정을 통해 push-pull-mooring 세대의 골프 소비행동 연구. 골프연구,
변수에서 각각 두 개의 하위요인들로 구성하여 연구 16(3), 257-267.
를 진행하였지만, 다른 연구에서 활용되었던 개인 혁 김남익, 장호중(2023). 스크린골프연습장 참여자의
신성, 신뢰 등도 골프참여자의 전환의도에 영향을 미 선택속성과 골프몰입 및 참여지속의도의
칠 가능성이 존재한다. 따라서 추후 진행될 연구에서 관계. 한국스포츠학회지, 21(2), 63-72.
는 앞서 제시한 요인들을 포함하여, 보다 확장된 연 김상현, 박현선(2018). 스마트 가전의 전환의도에
구모형을 통해 전환의도를 예측해 볼 필요성이 있다. 관한 연구: 이주이론과 현상유지편향 관점.
둘째, 본 연구에서는 실내골프연습장과 스크린골프 정보시스템연구, 27(2), 221-245.
연습장 중 응답자들이 현재 어떤 유형의 골프연습장 김상호(2021). VR 기반 스포츠 관람에 대한 관람동
을 이용하는지를 구분하지 않았다. 향후 연구대상자를 기와 인지된 혁신의 특성이 종목별 관람의
선정함에있어 보다 세분화된 구분이 필요할 것으로 도에 미치는 영향-이용-충족이론과 혁신확
판단된다. 가령 후속 연구에서는 실내골프연습장 이용 산이론을 이론적 토대로. 한국사회체육학
객과 스크린골프연습장 이용객을 구분하여 집단 간 회지, 85, 53-65.
전환의도의 차이를 검증할 필요가 요구된다. 김소연, 김가나, 최세희(2019). 실내골프연습장 관
셋째, 본 연구에서는 응답자의 세대를 구분하여 연 계마케팅이 고객신뢰 및 재이용의도에 미
구를 진행하지 않았다. 향후 연구에서는 연구대상자를 치는 영향. 한국사회체육학회지, 76, 111-121.
세대별로 구분하여 집단 간 차이를 규명해볼 필요가 김영택, 오종철(2007). 모바일 뱅킹 서비스품질이
있다. 고객충성도 및 전환 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적 연구. 대한경영학회지, 20(6),
2855-2877.
참고문헌 김현재(2020). 스크린 골프장 이용자의 경험적 가
치와 심리적 웰빙이 재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 골프연구, 14(4), 165-174.
강영식, 이보경(2008). 대안 매력도와 자아 이미지
김홍식, 차여진, 소민수, 김가현(2021). 실내골프연
일치 효과의 온라인 서비스 지속사용에 관
습장 고객의 관계마케팅 실행요인이 운동
한 연구: 구조방정식모델 기법인 PLS 분석
만족 및 운동몰입에 미치는 영향. 한국스포
관점에서. Journal of the Korean data
츠학회지, 19(2), 217-227.
analysis society, 10(1), 433-447.
박충일(2021). 골프연습장 고객이 지각하는 서비스
권선아, 김태연, 박현순(2023). MZ세대 골퍼의 골프
공정성과 이용만족 및 재이용의도의 관계.
만족이 골프비용에 미치는 영향. 골프연구,
골프연구, 15(4), 43-53.
17(2), 77-90.
서재열, 김나래(2021). 스크린골프장의 게임속성,
권영준(2022, 12월 10일). MZ세대 골프인구 100만
재미, 몰입 및 지속의도의 구조적관계. 골프
명 시대... 콘셉튼 골프연습장이 뜬다. 스포
연구, 15(4), 55-65.
츠월드, http://www.sportsworldi.com/news
서효원(2022). PPM 모델을 적용한 항공사 이용 고
View/20221208506349
객의 전환의도 연구: 현상유지편향 조절효
PPM(push-pull-mooring) 이론을 적용한 실내골프연습장에서 스크린골프연습장으로의 전환의도에 관한 연구 45

과. 이벤트컨벤션연구, 45, 179-202. 이인엽, 한진욱, 김동규(2018). 스크린골프장 여성


설수황, 안병욱(2019). 액티브시니어의 골프 시뮬레 고객의 선택속성이 재방문의도 및 추천의
이션 레슨프로그램 신뢰와 골프열정 및 심 도에 미치는 영향–IPA 기법을 활용하여. 한
리적 행복감의 관계. 한국산학기술학회논 국체육과학회지, 27(6), 529-544.
문지, 20(4), 353-360. 이승은, 박경실, 총루이(2018). 실내골프연습장의
신동식(2009). 기대불일치이론을 적용한 테마파크 서비스품질이 고객만족, 고객충성도 및 재
이용자의 이용만족과 전환의도에 관한 연 등록의사에 미치는 영향: 고객만족과 고객
구: 대안매력도의 조절효과 검정. 관광연구, 충성도의 매개효과 검증. 디지털융복합연
24(2), 177-197. 구, 16(10), 497-510.
신승아, 전기제(2021). MZ 세대 골프참여자의 상징 임상곤, 이수범(2017). 외식 다양성 추구 성향과 충
적 소비성향과 참여태도, 지속참여의도와 성도 및 전환의도간의 구조적 관계 연구:
의 관계: Process Macro 를 활용한 매개효 지각된 가격 조절효과. 관광연구저널, 31(8),
과 검증. 골프연구, 15(4), 183-196. 239-254.
신재광, 김재환, 송관조(2021). 시각적 자료를 통한 정성광(2018). O2O 커머스 서비스 품질과 태도 및
이미지 트레이닝이 골퍼의 퍼팅 방향성에 재이용의도에 관한 연구-자기 결정성의 조
미치는 영향. 골프연구, 15(2), 57-66. 절효과. 유통물류연구, 5(2), 21-40.
안대희(2001). 서비스소비자의 정보탐색 활동에 관 정지심, 오미해, 한희섭(2015). 항공사 업계에서의
한 연구. 광고연구, 50, 75-90. 고객 전환행동의 이해: push-pull-mooring
안준하(2010). 골프연습장의 서비스 품질, 고객만 관점에서. 호텔경영학연구, 24(1), 261-280.
족, 전환장벽이 고객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조영수(2018). 패션제품 구매 시 옴니채널 이용의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경성대학교 대학원. 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오윤정, 이성숙(2014). 공공도서관 서비스 품질과 PPM(Push-Pull-Mooring) 이론을 중심으로.
관계품질, 재이용의도 및 전환의도 간의 관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대
계. 사회과학연구, 25(3), 33-55. 학원.
오지영(2009). 고객만족과 전환장벽이 브랜드충성 조원득, 안병욱, 송원익(2008). 골프연습장 참여자
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온라인 쇼 의 서비스만족과 여가만족도의 관계 분석.
핑몰 이용자를 중심으로. 미간행 석사학위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32(4), 119-
논문, 한양대학교 대학원. 132.
윤상언(2021, 6월 6일). MZ세대 ‘골린이’발 지각변 조현, 이강배, 박상선(2013). 사이버 이주: 온라인
동 스크린골프 뜨고 골프웨어 난다. 중앙일 서비스 전환에 관한 실증 연구.
보, https://www.joongang.co.kr/article/2407 Telecommunications Review, 23(4), 472-
5392. 486.
이원정(2017). 골프지도자의 직업전문성 형성에 관 최양애, 정병규(2019). 확장된 PPM 모델을 적용한
한 생애사적 연구.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고 6 차산업 체험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려대학교 대학원. 관한 연구. 유통경영학회지, 22(4), 117-127.
이인엽, 김동규, 최철환(2022). 시뮬레이션 골프연 최진영, 최영철, 권태원(2012). 스크린 골프연습장
습장 이용자의 기술준비도가 기술수용의도 이용객의 특성에 따른 참여 동기, 물리적
및 지속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세대 간 서비스 환경, 재방문 의사결정의 차이분석.
비교분석. 한국스포츠학회지, 20(1), 1-12. 한국체육과학회지, 21(1), 1011-1025.
46 한국체육학회지 제62권 제6호

최현승, 양성병(2016). 온라인 쇼핑에서 웹루밍으로 structural equation models with


의 쇼핑전환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unobservable variables and measurement
대한 연구. 지능정보연구, 22(1), 19-41. error.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18
Ajzen, I. (1991).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1), 39-50.
Organizational Behavior and Human Ha, J., & Jang, S. (2013). Attributes, consequences,
Decision Processes, 50 (2), 179-211. and consumer values: A means‐end chain
Anderson, E. W., & Sullivan, M. W. (1993). The approach across restaurant segments.
antecedents and consequences of customer International Journal of Contemporary
satisfaction for firms. Marketing Science, Hospitality Management, 25 (3), 383-409.
12 (2), 125-143. Hair, J. F., Black, W. C., Babin, B. J., Anderson, R.
Anderson, J. C., & Narus, J. A. (1990). A model of E., & Tatham, R. L. (2006). Multivariate
distributor firm and manufacturer firm data analysis 6th Edition.
working partnerships. Journal of Hou, A. C., Chern, C. C., Chen, H. G., & Chen, Y.
Marketing, 54 (1), 42-58. C. (2011). ‘Migrating to a new virtual
Bansal, H. S., Taylor, S. F., & St. James, Y. (2005). world’: Exploring MMORPG switching
“Migrating” to new service providers: through human migration theory.
Toward a unifying framework of Computers in Human Behavior, 27 (5),
consumers’ switching behaviors. Journal of 1892-1903.
the Academy of Marketing Science, 33 (1), Hsieh, J. K., Hsieh, Y. C., Chiu, H. C., & Feng, Y.
96-115. C. (2012). Post-adoption switching behavior
Brady, M. K., & Cronin Jr, J. J. (2001). Some new for online service substitutes: A
thoughts on conceptualizing perceived perspective of the push–pull–mooring
service quality: a hierarchical approach. framework. Computers in Human Behavior,
Journal of Marketing, 65 (3), 34-49. 28 (5), 1912-1920.
Chang, H. H., Wong, K. H., & Li, S. Y. (2017). Jung, J., Han, H., & Oh, M. (2017). Travelers’
Applying push-pull-mooring to investigate switching behavior in the airline industry
channel switching behaviors: M-shopping from the perspective of the push-pull-
self-efficacy and switching costs as mooring framework. Tourism Management,
moderators. Electronic Commerce 59 (C), 139-153.
Research and Applications, 24 (C), 50-67. Keaveney, S. M. (1995). Customer switching
Colgate, M., & Lang, B. (2001). Switching barriers behavior in service industries: An
in consumer markets: an investigation of exploratory study. Journal of Marketing, 59
the financial services industry. Journal of (2), 71-82.
Consumer Marketing, 18 (4), 332-347. Kline, R. B. (1998). Software review: Software
Cronin Jr, J. J., & Taylor, S. A. (1992). Measuring programs for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rvice quality: a reexamination and Amos, EQS, and LISREL. Journal of
extension. Journal of Marketing, 56 (3), Psychoeducational Assessment, 16 (4),
55-68. 343-364.
Fornell, C., & Larcker, D. F. (1981). Evaluating Kotler, P., & Armstrong, G. (1994). Marketing
PPM(push-pull-mooring) 이론을 적용한 실내골프연습장에서 스크린골프연습장으로의 전환의도에 관한 연구 47

management, analysis, planning, Sharma, N., & Patterson, P. G. (2000). Switching


implementation, and control, Philip Kotler. costs, alternative attractiveness and
London: Prentice-Hall International. experience as moderators of relationship
Kotler, P., & Armstrong, G. M. (2010). Principles of commitment in professional, consumer
marketing. Prentice Hall, Boston. services. International Journal of Service
Moon, B. (1995). Paradigms in migration research: Industry Management, 11 (5), 470-490.
exploring’moorings’ as a schema. Progress Sun, Y., Liu, D., Chen, S., Wu, X., Shen, X. L., &
in Human Geography, 19 (4), 504-524. Zhang, X. (2017). Understanding users’
Nunnally J.C., & Bernstein I. H. (1994) switching behavior of mobile instant
Psychometric theory. Mcgraw-Hill, New messaging applications: An empirical study
York from the perspective of push-pull-mooring
Parasuraman, A., Zeithaml, V. A., & Berry, L. L. framework. Computers in Human Behavior,
(1988). SERVQUAL: A multiple-item scale 75 (C), 727-738.
for measuring consumer perceptions of West, S. G., Finch, J. F., & Curran, P. J. (1995).
service quality. Journal of Retailing. 64 (1), Structural equation models with nonnormal
12-40. variables: Problems and remedies. In R. H.
Rigdon, E. E. (1996). CFI versus RMSEA: A Hoyle (E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comparison of two fit indexes for structural Concepts, issues, and applications (pp.
equation modeling. Structural Equation 56-75). Sage Publications, Inc.
Modeling: A Multidisciplinary Journal, 3 (4), Wu, K., Vassileva, J., & Zhao, Y. (2017).
369-379. Understanding users’ intention to switch
Roos, I. (1999). Switching processes in customer personal cloud storage services: Evidence
relationships. Journal of Service Research, from the Chinese market. Computers in
2 (1), 68-85. Human Behavior, 68 (C), 300-314.

논문투고일: 2023. 09. 31


논문심사일: 2023. 10. 18
심사완료일: 2023. 10. 26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