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9

체육과학연구, 2013, 제24권, 제4호, 653-661.

Korean Journal of Sport Science


2013, Vol. 24, No. 4, 653-661.

축구 공격지역 경기내용 비교 분석:


K-리그, LFP, EPL 중심으로
황정욱․김주학(명지대학교), 홍성진*(전주대학교)
이 연구는 축구 경기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 하나인 공격지역 내 경기내용에 대하여 한국의 K-리그,
스페인의 LFP, 영국의 EPL 간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비교․분석하여 리그별로 공격지역 내 경기 특성을
파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K-리그, LFP, EPL 리그경기에서 각 20경기씩 총 60경기의 공격지역 내 경기내
용을 부호화 분석방법을 통하여 침투유형의 특성을 알아보고, 요인들의 차이를 규명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세트플레이가 아닌 필드플레이로 공격지역에 침투하는 것은 LFP, EPL이 K-리그보다 많아 경기가 더
흥미롭게 진행된다고 볼 수 있다. 또한 경기 초반과 후반 61~75분에서 더 많은 공격 기회를 만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EPL은 공격지역 침투 전술에서 다른 리그에 비해 속공에 의한 공격빈도가 높았다. 한편 지공
에서의 차이는 없었지만 LFP가 다른 리그에 비해 다소 높게 나타났다. 셋째, 공격지역 침투 방법은 K-리그가
다른 리그에 비해 땅볼패스를 많이 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공격지역 침두방향에서도 측면공격을 많이
사용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 K-리그가 경기력을 향상시키고 관중들에게 더 많은 볼거리와 흥미를
주기위해서는 기본적인 실경기시간과 공격 빈도를 높이고와 공격방향의 다양성을 갖추는 것이 중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주요어: 축구, 경기분석, 공격지역, 부호화 분석, K-리그

서 론 1)
의 문화로 정착하고 있다.
국내에서도 축구에 대한 관심은 뜨겁지만 대부분의
스포츠란 무엇인가? 스포츠가 우리에게 제공할 수 있 관심이 국내 프로축구리그인 K-리그가 아닌 축구 국가
는 것은 무엇인가? 우리들은 스포츠에 무엇을 바라는 대표팀에 쏠려있는 경향이 있다. 국가대표 경기가 있는
가? 위 3가지 질문에 공통적으로 해당되는 답은 바로 날이면 경기장은 만원 관중을 이루지만, K-리그 경기에
‘재미’와 ‘감동’이다. 스포츠는 재미를 위해 존재한다고 서는 관중석이 많이 비어있는 것을 볼 수 있다.
할 수 있고, 감동을 제공해 줄 수도 있다. 또한 우리들은 축구팬들이 직접 경기장을 찾아와 축구경기를 보는
재미와 감동을 느끼기 위하여 스포츠를 직접 즐기기도 이유는 박진감 있는 경기를 보고, 선수들과 함께 호흡을
하고 관람하기도 한다(이경용, 2007). 그 중 축구는 전 같이 할 수 있기 때문일 것이다. 관중들은 공수전환이
세계인이 가장 열광하고 있는 스포츠이며, 200여 개 나 빠르고 박진감 있는 공격적인 경기를 보고 싶어하지(소
라가 국제축구연맹(FIFA)에 회원국으로 가입되어 있을 형석, 2009), 시간을 지연시킨다거나 필요 없는 패스를
정도로 보편화된 스포츠이다(김용만, 1998). 또한 2002 남발하는 루즈한 플레이, 수비 위주의 지루한 경기를 보
년 한일 월드컵에서도 나타난 것처럼 축구는 단순한 볼 고 싶어 하지 않는다. 이러한 K-리그의 흥행 및 만족도
거리를 벗어나 월드컵이라는 세계적인 축제를 통해 하나 에 관한 문제에 대해 시설이나 마케팅 측면의 연구와 해
결책에 비해 관중 동원에 있어 중요한 요소인 K-리그의
논문 투고일∶2013. 07. 30.
논문 수정일∶2013. 09. 06.
경기력에 대한 연구와 해결책은 부족한 현실이다. K-리
게재 확정일∶2013. 10. 03. 그의 진정한 성공은 소비자들이라고 할 수 있는 관중들
* 저자 연락처∶홍성진(speedmaster@cnue.ac.kr). 이 지속적으로 경기장에 동원되도록 하는 것이며 이것은
654 황정욱 외

K-리그의 경기 수준을 높이 끌어올려 관중들이 즐겁게 초 자료가 구축됨으로써 축구 경기의 과학적 분석방법의
경기에 몰입할 수 있도록 하는 기본적인 연구가 선행되 적용이 가능해지고 경기력을 객관적으로 평가함은 물론
어야 한다. 특정한 팀의 경기력을 항상 시킬 수 있는 토대가 마련되
축구 경기의 경기력 향상을 위해 수행된 선행연구를 살 는 것이라 할 수 있다(채재성 등, 2001).
펴보면 득점에 관한 연구(강수진, 2011; 김황섭, 2011; 홍성진(2009, 2010)은 축구 선수의 경기력을 객관
이규민, 2011; 장석산, 2007), 패스에 관한 연구(김동 적으로 분석하기 위하여 많은 요인을 질적으로 도출하였
수, 2005; 김성호, 2010; 김학범, 2006), 축구경기력 으며, 이를 분석하여 포지션 별로 평가하였다. 유강원
에 관한 연구(김경래, 2010; 이성철 등, 2003; 홍성진 (2013)은 상대비교 원리를 이용하여 요인별로 중요도
등, 2009), 축구경기 시간에 관한 연구(안익수, 2010; 를 산출하고 선수별로 평가하였다. 이러한 연구들은 팀
이상혁, 2010)등이 있다. 이러한 선행연구들은 경기력 은 물론 선수들을 객관적으로 분석하고 평가하여 경기력
향상을 위해 경기력 요인을 찾아내거나 선수개인이나 팀 을 향상시키기 위한 시도들로 볼 수 있다. 또한, James
의 경기 내용을 분석하고 평가하는데 초점을 맞추고 있 et al.(2006)나 Choi(2007)의 연구에서는 일반화 점
다. 이에 따라 특정 대회의 참가팀을 대상으로 경기력을 주(Z-score)를 이용하여 경기력을 비교․평가하는 방
분석하거나 득점유형, 패스 등 극히 단편적인 부분의 빈 법을 사용하였다.
도 및 비율만을 제시하고 있어 전반적인 경기 내용을 파 이에 본 연구에서는 K-리그와 스페인의 LFP, 영국
악하기 위한 경기정보는 제공해 주지 않고 있었다. 의 EPL 간의 공격지역 내 경기 내용에 차이가 있는지
경기력 향상에 관한 연구에 있어 김주학과 이원희 비교해 공격지역에서의 경기 내용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
(2003)는 경기력을 구성하는 모든 변인들에 관심을 가 공하고, 그 원인을 고찰하여 문제점을 보완해 박진감 넘
지고 과학적이고 논리적인 방법을 적용해야 한다고 주장 치는 경기로 관중의 흥미를 배가시켜 궁극적으로 K-리
했다. 축구 경기를 객관적이며 체계적인 분석을 할 수 그의 방송 중계권료, 각종 스폰서십, 입장 수입 등을 높
있는 방법 중의 하나가 바로 부호화(Notation)분석이 이는 효과를 거두는 긍정적인 기여를 할 것으로 생각한다.
다. 이와 관련된 연구는 축구 외에도 배드민턴(최형준과 이 연구는 축구 경기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 하나
정연성, 2010), 배구(김종원 외 3인) 등 다양하게 분석 인 공격지역 내 경기내용에 대하여 한국의 K-리그, 스페
되었다. 부호화분석의 역사는 5세기 전부터라고 알려져 인의 LFP, 영국의 EPL 간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비
있으며, 움직임에 대한 동작을 쉽고, 정확하며, 연속적 교․분석하여 리그별로 공격지역 내 경기 특성을 파악하
인 것에 대하여 부호화를 통하여 객관적인 정보를 얻기 는데 그 목적이 있다.
위한 방법으로 여러 분야에서 초보적인 수준으로 사용되
어오다가 1970년대부터는 단체 경기에서 나타나는 움
직임과 특정기술들을 부호화하는 분야로 발전하였다. 특
히 현재에는 첨단정보 기술분야의 발달로 컴퓨터화 된
연구방법
분석시스템들이 개발되고 있으며, 이러한 분석 시스템에 연구대상
의해 방대한 데이터베이스화와 댜앙한 분석방법을 통하
여 결과들이 실시간 제공되는 시점까지 발전하고 있다 이 연구의 대상은 2011년도 K-리그 총 306경기 중
(Hutchinson, 1970; Hughes & Franks, 1997). 20경기, 2010-2011 시즌 LFP 총 360경기 중 20경
축구 경기와 같은 단체 경기의 경기력을 파악하기 위 기, 그리고 EPL 총 360경기 중 20경기 총 60경기로
해서는 부호화 분석과 같은 방법으로 객관적이고 비교 선정하였다. K-리그는 10라운드부터 20라운드까지를
가능한 수치에 의해서 평가하는 것이 타당하다. 그러므 기준으로 선정하였으며, LFP와 EPL은 10라운드부터
로 경기력을 평가 할 수 있는 자료를 객관적이고 체계적 30라운드까지의 경기로 선정 기준을 설정하였다. 이 연
으로 구축하고 부호화되어 기록된 내용을 토대로 경기력 구에서 리그 중반부만을 분석 대상으로 선정한 것은 시
을 향상시키는데 필요한 정량적 자료를 도출해낼 수 있 즌 초반의 경직성에서 벗어나고, 새로운 시즌의 부담감
는 것이다(Hughes & Franks, 1997). 이와 같은 기 이 없는 시즌 중반이 가장 리그의 경기력을 대표할 수 있
축구 공격지역 경기내용 비교 분석: K-리그, LFP, EPL 중심으로 655

기 때문이라 판단하였다. 리그 종반의 경우에는 순위가 <표 3>과 같다.


어느 정도 정해진 이후의 경기이기 때문에 고려대상에서
제외하였다. 표 1. 선행연구 및 문헌고찰

연구논문 · 저서 분석 인자
분석방법 공격전술, 일반패스, 시작점,
2010년 남아공 월드컵에서 침투패스, 2:1패스, 롱패스,
이 연구를 진행하기 위하여 선행 연구 및 문헌고찰을 나타난 슈팅요인 내어주기 크로스, 단독돌파 등의
한 후 분석인자를 선정하였으며 K-리그, LFP, EPL의 차이분석(이규민, 2010) 슈팅요인을 승·무·패별, FIFA
경기 중 공격지역에서 진행되는 플레이 장면을 Micro- 랭킹별 비교 분석
soft Windows Movie Maker를 통해 반복 재생하여 K-리그와 EPL을 통한 실제 경기시간, 드로인, 코너킥,
분석하였다. 실제경기시간과 경기 외 간접프리킥, 골킥, 파울, 경고,
시간에 나타나는 부상, 오프사이드, 선수교체,
축구경기력 특성에 관한 시간지연, PK등의 요인을 통해
1) 선행연구 및 문헌고찰 연구(안익수, 2010) 리그 비교 분석
선행 연구 및 관련문헌 고찰을 통해 공격지역에서 나 축구 득점력 향상을 위한 득점시간대, 경기상황, 득점형태,
타나는 요인들을 찾아내고 K-리그, LFP, EPL의 공격 경기 운영방법 득점실패 원인, 슈팅지역,
지역 내 경기내용 비교를 위한 분석인자를 조사하였다. 개발(신동성, 2005) 슈팅부위, 슈팅형태, 슈팅상황,
공격지역은 경기장을 가로로 3등분하여 2/3이상 되는 등의 분석인자 사용
지점을 공격지역으로 <그림 1>과 같이 하였다. <표 1>은 축구 선수의 경기력 평가를 슈팅, 패스, 드리블, 차단, 태클,
위한 상황 요인
대표적인 연구논문과 저서에 대한 분석인자를 나열한 것 이해(홍성진외 2명 2009) 파울 등, 157개 요인
이다. 또한 득점 가능지역, 패스시도 및 성공
축구경기의 공격력 분석에 횟수,득점가능지역으로의 볼 투입
관한 기초 연구(이성철외 및 성공 횟수, 슈팅 연결
2명, 2003) 빈도등의 분석 인자 사용
축구경기 점유율에 따른 크로스 성공, 실패, 드리블 성공,
기록 및 공격요인 실패, 백패스, 커팅, 속공 등의
분석(김동수, 2005) 분석 인자 사용
표 2. 공격지역 내 경기내용 분석요인

공격지역 내 경기내용
그림 1. 공격지역 분류
전술 속공, 지공, 세트피스
공격 시작점 공격지역, 미들지역, 수비지역, 세트피스
2) 공격지역 내 경기내용 분석요인 지역 방법 드리블, 땅볼/로빙패스, 프리킥, 드로잉,
선행연구 및 문헌고찰을 통해 공격지역 내 경기내용 진입 볼획득, 코너킥, 페널트킥
유형 방향 측면, 중앙
에 필요한 분석요인을 탐색하였다. 공격지역 진입 유형
에 있어서는 필드플레이와 세트플레이, 공격지역 진입 진입시간 공격지역 진입시간
시작점, 방법, 방향 및 진입시간으로 구분하여 <표 2>와
같이 체계적으로 분류하였다.
3) 공격지역 내 경기내용의 조작적 정의
공격지역 진입유형은 크게 공격전술, 공격시작점, 공
격침투방법, 공격침투 방향으로 나뉘며 조작적 정의는
656 황정욱 외

표 3. 공격지역 진입유형의 조작적 정의 <그림 2>의 과정을 <표 4>와 같이 Microsoft Excel 프로
구분 조작적 정의 그램으로 옮겨 기록 정리하였다.
상대 수비대형이 갖추어져 있지 않은 상태를 이 공격지역 침투 유형을 분석하기 위해 먼저 홈, 어웨이
공격 속공 용해 빠르게 공격해 나가는 전술 두 팀중 한 팀이 공격지역으로 침투하면 부호화에 따라
전술 지공 상대 수비대형이 갖추어져 있는 상태로 볼 점유 팀을 입력하고 공격지역에 침투하기까지의 전술, 시작점,
율을 높여가면서 공격해 나가는 전술 방법, 방향, 진입시간을 차례대로 입력한다. 이후 공격
공격 공격 경기장을 3등분하여 공격에 위치한 지역 지역 내 이벤트를 분석하기 위해 패스, 드리블, 크로스,
시작 미들 경기장을 3등분하여 중앙에 위치한 지역 패스실패, 드리블실패, 크로스실패, 방향전환을 빈도수
점 수비 경기장을 3등분하여 수비에 위치한 지역
에 맞게 아라비아 숫자로 입력하고 슈팅유형, 슈팅위치
드리블 한한 선수가
경우
개인 기술을 통해 공격지역으로 진입 페널티 진입은 부호화에 따라 입력한다. 공격지역 내 플
땅볼 공격지역 밖의 선수가 공격지역 안에 있는 선수 레이 결과를 분석하기 위해 부호화에 따라 결과를 입력
패스 에게 땅볼로 공을 전달해 공격지역으로 진입 하고 공격지역 내 플레이가 종료되는 시간을 입력한다.
공격 로빙 공격지역 밖의 선수가 공격지역 안에 있는 선수
침투 패스 으로 진입 높이보다 높게 공을 전달해 공격지역
에게 허리 표 4. Excel 기록표

방법 볼획득 공격지역에서 볼을 빼앗아 공격권을 얻음 팀 전술 시작점 방법 방향 진입 결과 종료


시간 시간
프리킥 공격지역 밖에서 얻은 프리킥을 크로스로 공격지
역 내 선수에게 공을 전달해 공격지역으로 진입
1 2 3 1 2 1‘02 1 1‘13
2 1 2 3 1 1‘34 9 1‘40
드로잉 공격지역 밖에서 얻은 드로잉을 공격지역 내 선
수에게 공을 전달해 공격지역으로 진입 1 1 2 1 2 2‘00 4 2‘33
공격 측면 공격지역 내 경기장을 3등분하여 가운데를 제외 3 3 4 9 3 3‘10 9 3‘12
침투 한 양 측면
방향 중앙 공격지역 내 경기장을 3등분하여 가운데의 지역 5) 신뢰도
이 연구에서 분석된 요인들에 대하여 신뢰도를 검증
4) 기록방법 하는 방법으로 기록된 내용의 대상이 시간이 지나도 그
공격지역 내 경기내용 비교를 위해 분석인자를 토대로 내용이 변하지 않기 때문에 검사-재검사(Test-rest
method) 신뢰도를 사용하여 기록의 일치도를 검증하였
다. 측정대상은 무작위로 선정한 경기에서 나타난 17개
의 공격지역 내 요인으로서 최초 측정일과 15일 차이를
두고 측정하였으며 재 측정한 결과 99.4%의 정답률을
나타냈다. 기록자는 분석요인을 선정한 연구자 본인으로
서 2번 이상 영상을 반복 재생하여 기록하였기 때문에
기록내용의 일치도가 높아 본 기록내용은 신뢰할 수 있
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료처리
각 리그별 공격지역 침투 유형및 플레이 결과의 차이
를 분석하기 위해 통계프로그램 SPSS 18.0의 일원분
산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였으며 통계적 유
의수준은 .05로 하였다. 또한 사후분석(Scheffe)을 통
그림 2. 기록방법 해 집단 간 차이를 비교하였다.
축구 공격지역 경기내용 비교 분석: K-리그, LFP, EPL 중심으로 657

결과 및 논의 짧은 패스로 공격지역까지 만들어서 접근하는 것이 아닌


롱패스 위주의 공격을 자주 선보이는 것으로 예측된다.
Dobson & Goddard(1995)은 축구경기의 최종목표 이러한 이유로 K-리그가 다른 리그에 비해 경기의 흥미
는 득점이며, 이러한 득점은 공간적으로 득점이 용이한 가 저하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지역을 선점한 상태에서 볼을 점유하는 것이 1차적 과제
라고 말했다. 즉, 상대팀 문전 가까이에 침투하는 것이 시간대별 공격지역 침투 비교
득점 성공을 결정하는 가장 기초적인 요건이라는 것이다. 시간대별 공격지역 침투횟수의 평균차이를 분석한 결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득점의 기초 단계라고 할 수 있는 과 <표 6>과 같이 0~15분(F=9.09, P=0.000)과
공격지역 볼 투입 및 공격지역 내 침투유형을 분석해 리 61~75분(F=3.550, P=0.035)에서 통계적으로 유의
그별 공격지역 침투유형의 특성 및 차이를 알아보았다. 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16~30분, 31~45분, 76~90분
침투상황 비교 에서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0~15분은 EPL
(11.90±2.10), LFP(11.50±2.87), K-리그(8.90±
K-리그와 LFP, EPL의 경기당 공격지역 침투 유형 2.19)로 나타났고 61~75분은 EPL(12.75±3.40),
에 따른 침투횟수의 평균차이를 분석한 결과 <표 5>와 LFP(11.70±3.62), K-리그(10.05±2.56)로 나타났
같이 필드플레이(F=7.515, P=0.00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세트플레이에서는 차이가 없 표 6. 사간대별 공격지역 침투 비교

는 것으로 나타났다. 필드플레이는 EPL(M=68.05), 구분 N M SD F Hoc


LFP(M=65.75), K-리그(M=55.95)로 나타났으며, K리그 20 8.90 2.19 9.09
사후검정 결과 필드플레이는 LFP, EPL이 K-리그보다 0~15분 EPL LFP 20 11.50 2.87 *** a<b,c
20 11.90 2.10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합계 60 10.77 2.72
이것은 안익수(2010)의 ‘K-리그와 EPL을 통한 실 K리그 20 9.25 2.38 .190
제경기시간과 경기 외 시간에 나타나는 축구경기력 특성 16~30분 EPL LFP 20 10.65 2.72
에 관한 연구’와 이상혁(2010)의 ‘플레잉시간과 데드시 20 10.50 2.76
간으로 본 K-리그와 프리미어리그 비교 분석’에서 나타 합계 60 10.13 2.65
난 것처럼 K-리그의 실제경기시간이 타 리그에 비해 상 K리그 20 9.90 2.33 2.30
대적으로 적은 것이 공격지역 침투 빈도에도 영향을 준 31~45분 EPL LFP 20 11.75 3.72
것으로 사료된다. 특히, K-리그가 다른 리그에 비해 세 20 11.40 2.41
트플레이를 통하여 공격지역으로 침투한 것이 많은 것은 합계 60 11.02 2.96
K리그 20 9.35 2.97 2.85
46~60분 EPL LFP 20 11.05 3.26
표 5. 침투상황 비교 20 11.35 2.20
구분 N M SD F Hoc 합계 60 10.58 2.94
K리그 20 55.95 9.70 7.51 K리그 20 10.05 2.56 3.55
필 LFP 20 65.75 13.33 *** 61~75분 EPL LFP 20 11.70 3.62 * a<c
드 EPL 20 68.05 7.59 a<b,c 20 12.75 3.40
합계 60 63.25 11.58 합계 60 11.50 3.36
K리그 20 5.05 3.70 2.31 K리그 20 13.55 3.30 .337
세 LFP 20 3.25 2.04 76~90분 EPL LFP 20 12.35 3.32
트 EPL 20 3.60 2.39 20 13.75 3.00
합계 60 3.97 2.87 합계 60 13.22 3.22
*** p < .001, ** p < .01, * p < .05 *** p < .001, ** p < .01, * p < .05
a: K리그, b: LFP, c: EPL a: K리그, b: LFP, c: EPL
658 황정욱 외

다. 사후검정 결과 0~15분은 LFP, EPL이 K-리그보 한 결과 <표 8>과 같이 수비지역(F=7.98, P=0.001)


다 많은 것으로 나타났고 61~75분은 EPL이 K-리그 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공격지역,
보다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미들지역에서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비지역
즉, 공격지역에 침투되는 시간은 일정한 패턴 없이 이 은 EPL(M=25.90), LFP(M=19.85), K-리그(M=
루어진다고 볼 수 있다. 안익수(2010)의 연구에서는 축 16.20)로 나타났으며, 사후검정 결과 수비지역은 EPL
구 경기 전체의 실 경기시간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축 이 K-리그보다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구경기 특성 상 시간대의 구분 없이 볼을 중심으로 지속 미드필더들은 경기장 중앙 부분을 책임지며 팀의 공
적인 경쟁이 이루어진다는 연구결과가 도출되어 이연구 수 전환에 고리 역할을 담당한다. 수비할 때는 경기장
와 유사하게 나타났다. 중앙에서 상대 선수들을 압박하며 공격할 때는 수비수와
공격수 사이에서 볼 점유율을 높이며 골 찬스를 만들어
공격지역 침투 전술 비교 나간다. 때문에 “가장 치열하게 볼 다툼이 일어나는 곳이
공격지역 침투 전술에 따른 침투 횟수의 평균차이를 미드필드이고 이곳에서 공격이 시작되는 경우가 많다”는
분석한 결과 <표 7>과 같이 속공(F=7.51, P=0.001) 이규민(2010)의 연구결과와 유사한 결과가 나타났다.
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지공에서는 또한 히딩크감독의 말중에 ‘현대축구는 수비수와 공격수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속공은 EPL(M=19.90), 가 구분이 없는 토탈사커로서 강한 압박과 빠른 플레이
LFP(M=13.80), K-리그(M=12.00)로 나타났으며, 가 그 핵심이다’라고 말한 것을 고려하면 공격지역부터
사후검정 결과 속공은 EPL이 K-리그, LFP보다 많은 공격을 시작한 빈도 및 비율이 낮은 것은 세계 정상급 리
것으로 나타났다. 그에 비해 K-리그가 공격지역에서부터 압박을 통해 수
상대의 수비가 정비되어 있지 않은 상태를 이용해 빠 비를 시작하는 것이 다소 부족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르게 공격을 전개해 나가는 것이 득점 성공률이 높다는
이규민(2010)의 ‘2010년 남아공 월드컵 대회에서 나타 표 8. 공격 시작지역 비교

구분 N M SD F Hoc
난 슈팅요인 차이분석’ 연구결과를 고려할 때 K-리그의 K리그 20 4.40 2.87 2.28
공격력과 득점력 향상을 위해서 속공 전술의 비중을 높
일 필요가 있다고 사료된다. 공격 LFP 20 6.15
EPL 20 5.55 1.95
2.94

표 7. 공격지역 침투 전술 비교
합계 60 5.37 2.68
구분 N M SD F Hoc K리그 20 35.35 9.84 .81
K리그 20 12.00 4.79 14.90 미들 LFP 20 39.75 15.43
EPL 20 36.60 6.57
속공 LFP 20 13.80 4.65 *** a,b<c 합계 60 37.23 11.19
EPL 20 19.90 4.94 7.98
합계 60 15.23 5.81 K리그 20 16.20 7.17 **
K리그 20 43.95 9.82 .056 수비 LFP 20 19.85 9.62 a<c
EPL 20 25.90 6.02
지공 LFP 20 51.95
EPL 20 48.15
11.63
9.23 합계 60 20.65 8.62
합계 60 48.02 10.62 *** p < .001, ** p < .01, * p < .05
*** p < .001, ** p < .01, * p < .05 a: K리그, b: LFP, c: EPL
a: K리그, b: LFP, c: EPL
공격지역 침투 방법 비교
공격 시작지역 비교
공격지역 침투방법에 따른 침투 횟수의 평균차이를
공격 시작지역에 따른 침투 횟수의 평균차이를 분석 분석한 결과 <표 9>와 같이 패스(F=8.55, P=0.001)
축구 공격지역 경기내용 비교 분석: K-리그, LFP, EPL 중심으로 659

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드리블, 로 한편, Hughes & Snook(2006)은 공격지역까지 도
빙패스, 공격지역 볼 획득, 프리킥, 드로잉에서는 차이 달하기 위한 내용을 연구하였다. 득점 및 유효슈팅이 일
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패스는 EPL(M=40.25), 어나는 과정에서 4~5회의 연속된 짧은 패스는 많은 볼
LFP(M=34.55), K-리그(M=28.75)로 나타났으며, 소유당 슈팅 기회를 가지고 온다고 하였다. 이는 슈팅
사후검정 결과 땅볼패스는 EPL이 K-리그보다 많은 것 기회를 만들기 위한 공격 전술은 한번에 연결되는 롱패
으로 나타났다. 스 보다 여러번 거쳐서 도달할 수 있는 방법이 더 효과적
K-리그는 로빙패스, 프리킥, 드로잉을 통한 공격지역 이라는 것이다. 즉, K-리그의 로빙패스, 드로잉, 그리고
침투 비율이 타 리그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는 것은 로빙 프리킥 등의 단순 기술들이 많이 발생한다는 것은 효과
패스보다 비교적 성공률이 높은 짧은 패스를 통해 공격 적이지 못한 공격 전술을 사용한다고 볼 수 있다.
을 전개하는 세계 정상급 리그에 비해 K-리그의 공격 침
투 방법에 있어 센터포드를 향해 길게 패스하는 공격 방 공격지역 침투 방향 비교
법을 선호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어떠한 전술이나
짜임새 있는 경기를 하지 못하기 때문에 의미 없는 패스 공격지역 침투 방향에 따른 침투 횟수의 평균차이를
를 주로 한다고 할 수 있는 것이다. 분석한 결과 <표 10>과 같이 측면(F=8.94, P=0.000)
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중앙에서는
표 9. 공격지역 침투 방법 비교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측면은 LFP(M=44.30)
구분 N M SD F Hoc EPL(M=43.65), K-리그(M=34.20)로 나타났으며,
K리그 20 10.95 3.23 2.25 사후검정 결과 측면공격은 K-리그가 LFP, EPL보다
드리블 EPL LFP 20 12.60 5.58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20 9.85 3.04 이는 현대축구에서의 득점형태는 측면플레이에 의한
합계 60 11.13 4.20 득점이 많은 비중을 차지한다(동아일보, 2010)는 선행
K리그 20 28.75 8.78 8.55 연구들의 연구결과를 고려할 때 K-리그에 시사점이 있
**
땅볼 LFP 20 34.55 9.16 a<c 다고 사료된다.
패스 EPL 20 40.25 8.40
합계 60 34.52 9.85 표 10. 공격지역 침투 방향 비교
K리그 20 11.85 5.10 .09 구분 N M SD F Hoc
로빙 LFP 20 12.45 5.75 K리그 20 34.20 8.17 8.94
패스 EPL 20 12.40 3.83 LFP 20 44.30 10.07 *** a<b,c
합계 60 12.23 4.88 측면 EPL 20 43.65 6.79
K리그 20 4.40 2.87 2.28 합계 60 40.72 9.52
볼획득 EPL LFP 20 6.15 2.94 K리그 20 21.75 5.39 1.27
20 5.55 1.95 중앙 EPL LFP 20 21.45 7.27
합계 60 5.37 2.68 20 24.40 6.45
K리그 20 3.35 2.18 2.61 합계 60 22.53 6.45
프리킥 EPL LFP 20 2.00 1.65 *** p < .001, ** p < .01, * p < .05
20 2.85 1.78 a: K리그, b: LFP, c: EPL
합계 60 2.73 1.93
K리그 20 1.70 2.27 1.55
드로잉 EPL LFP 20 1.25
20 .75
1.44
1.20 결 론
합계 60 1.23 1.72
*** p < .001, ** p < .01, * p < .05 이 연구는 K-리그, LFP, EPL 리그경기에서 각 20
a: K리그, b: LFP, c: EPL 경기씩 총 60경기의 공격지역 내 경기내용을 비교분석
660 황정욱 외

하여 공격지역 침투유형의 특성을 알아보고, 요인들의 김용만(1998). 월드컵축구대표팀 스폰서십이 스폰서 인지도
차이를 규명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및 상표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스포츠산업경영학회지,
첫째, 세트플레이가 아닌 필드플레이로 공격지역에 3(1), 15-30.

침투하는 것은 LFP, EPL이 K-리그보다 많아 경기가 김주학, 이원희(2003). 축구경기 분석시스템에 관한 연구. 한국
스포츠기록분석학회지, 1(1), 1-19
더 흥미롭게 진행된다고 볼 수 있다. 또한 경기 초반과 김종원, 김주학, 김진환, 홍성진(2011). 배구 서브리시브에
후반 61~75분에서 더 많은 공격 기회를 만드는 것으로 따른 팀 간 공격 차이분석. 체육과학연구, 22(3), 2119-
나타났다. 2131.
둘째, EPL은 공격지역 침투 전술에서 다른 리그에 김학범 (2006). Delphi 방법을 활용한 축구 훈련방법에 관한
비해 속공에 의한 공격빈도가 높았다. 한편 지공에서의 내용 분석. 박사학위 논문. 명지대학교 대학원.
차이는 없었지만 LFP가 다른 리그에 비해 다소 높게 나 김황섭(2011). 2010년 월드컵 경기의 득점 분석. 석사학위
타났다. 논문. 수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셋째, 공격지역 침투 방법은 K-리그가 다른 리그에 동아일보(2010). 유럽 빠른 축구, 알고보니 측면 공격이 열쇠.
비해 땅볼패스를 많이 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소형석(2009). 직장인들의 해외 프로축구 중계방송 시청동기와
시청형태 및 만족도 연구. 석사학위논문. 한국체육대학교
공격지역 침두방향에서도 측면공격을 많이 사용하지 않 사회체육대학원.
는 것으로 나타났다. 안익수 (2010). K-리그와 EPL을 통한 실제경기시간과 경기
국내 K-리그가 경기력을 향상시키고 관중들에게 더 외 시간에 나타나는 축구경기력 특성에 관한 연구. 박사학
많은 볼거리와 흥미를 주기위해서는 기본적인 실경기시 위 논문. 명지대학교 일반대학원.
간과 공격 빈도를 높이고와 공격방향의 다양성을 갖추는 이경용(2007). K-리그, 프리미어리그, 프리메라리가, 세리에
것이 중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A 반칙유형 비교·분석. 석사학위논문. 명지대학교 기록정
한편, 이 연구를 통하여 K-리그, LFP, EPL의 공격 보과학전문대학원.
지역 내 경기 내용에 대한 정보를 알 수 있었지만 미들지 이규민 (2010). 2010년 남아공 월드컵에서 나타난 슈팅요인
차이분석. 명지대학교 기록과학전문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역, 수비지역을 포함한 전체 경기 내용에 대한 정보를 이상혁(2010). 플레잉시간과 데드시간으로 본 K-리그와 프리
제공해 줄 수 없었다. 전반적인 경기 내용을 제공해 줄 미어리그 비교 분석. 석사학위논문. 명지대학교 기록정보
수 있는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리그 당 20경기라 과학전문대학원.
는 제한된 경기로 결과물을 도출 하였기에 이를 각 리그 이성철, 현무성, 이세호 (2003). 축구경기의 공격력 분석에
전체로 일반화하기에는 다소 무리가 있다. 향후 리그 전 관한 기초 연구. 한국사회체육학회지, 20(1), 1297-1306.
반적인 연구를 통해 공격지역 내 경기내용을 비교·분석 장석산 (2007). 축구 경기의 득점 분석 및 득점력 향상 지도
하려는 적극적인 관심과 노력이 필요하다. 방안. 석사학위 논문.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채재성, 민대기, 이성철 (2000). 축구경기력의 비교분석을 위한
인덱스 개발 및 적용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체육학회지,
참고문헌 16(1), 1329-1340.
최형준, 정연성(2010). 배드민턴 혼합복식의 승패 및 랠리 상황
강수진(2011). 축구 경기의 득점에 관한 조사 분석 : 2010 별 경기분석. 한국체육측정평가학회, 12(3), 103-113.
WK-League를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경기대학교 교 홍성진(2009). 축구 선수의 경기력 평가를 위한 상황 요인 이해.
육대학원. 체육과학연구, 20(3), 612-620.
김경래 (2010). 축구의 상황별 경기력 분석을 위한 개인역량 홍성진(2010). 축구 선수의 포지션별 평가를 위한 경기력 결정
평가요인 탐색에 관한연구. 박사학위 논문. 명지대학교 대 요인 규준 개발. 체육과학연구, 21(2), 1172-1182.
학원. Choi, H. J. (2007). Comparisons between Korean and Japanese
김동수 (2005). 축구경기 점유율에 따른 기록 및 공격요인 분석.
석사학위 논문. 명지대학교 대학원.
team performances within football Worldcup 2002 and

김성호 (2010). 2006, 2002 월드컵 16강 진출 팀의 패스내용


2006. In Hiroshima Univ.(Eds.) The Asian Pacific conference
on Exercise and Sports Science 2007, pp.94, Hiroshima,
분석. 박사학위 논문. 인천대학교 대학원. Japan.
축구 공격지역 경기내용 비교 분석: K-리그, LFP, EPL 중심으로 661

Dobson, S. M., & Goddard, J. A. (1995). The demand for M. Hughes & P. O'Donoghue (Eds.) WCPAS7, pp. 46-61,
Professional league football in England and wales. The Cardiff: CPA, UWIC.
Statistician, 44, 1925-92. James, N., Caudrelier, T., & Evans, G. (2006). What do per-
Huchison, A. (1970). Labanotation - The system of Analysing and formance indicators in golf tell us about scoring perfora-
Recording Movement. Oxford University Press: London. mnce? In D. Henriette, M. Hughes & P.O'Donoghue (Eds.)
Huges, M. & Frank, I. M. (1997). Notaion analysis of Sport. The World Congress of Performance Analysis of Sport VII,
E & FN SPON: London. pp. Szombathely, Hungary.
Hughes, M. & Snook, N. (2006). Effectiveness of attacking
play in the 2004 European Championships. In D. Henriette,

An Analysis of Comparison on Performances


in Soccer Attacking-Third

Jung-Wook Hwang1, Joo-hak Kim1, & Seong-Jin Hong2


1
Myongji University, & 2Jeonju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and contrast the performances in attacking-third of K-League, LPF,
and EPL. In order to find out the characteristics of performances in attacking-third, this study was used notational
analysis as watching total of 60 games (20 games per K-League, LFP, and EPL). The investigatio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EPL and LFP are much more dynamic than K-Leauge. This is because most of penetration in the
attacking-third is field-play, not set-play. And, it was found from the research that many players make chance to
attack in the beginning of the game and around 61~75 minutes in the second half. Second, while short-passes are
the major attacking stratgey of LFP, fast-break is what EPL and K-League mostly used in offensive plays. Also, it
was found out that most of the offensive plays were started from the defense. Lastly, since K-League's penetration
in attacking-third is formed with long balls and crosses, the passing accuracy is very low. Therefore, if K-League
wants to increase the level of game and the number of attendance, different attacking style and various attacking
formation should be played throughout the game.

Key Words: Soccer, Statistics on Soccer, Attacking-Third, Notation Analysis, K-League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