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97

기본연구 2017-04

스포츠클럽 육성을 위한
법제 개선 연구

2017. 11

책임연구자 : 성 문 정 ( 한 국 스 포 츠 개 발 원 )
공동연구자 : 김 미 숙 ( 한 국 스 포 츠 개 발 원 )
김 화 룡 ( 한 국 교 통 대 학 교)
최 혜 선 ( 교 토 대 학 교)
발 간 사

세계경제포럼인 2016년 1월 열린 다보스 포럼에서는 4차 산업혁명을 화두로 제시


하면서, 4차 산업혁명을 ‘디지털 혁명에 기반하여 물리적 공간, 디지털 공간 및 생물
학적 공간의 경계가 희석되는 기술융합의 시대’로 정의하였습니다. 스포츠 분야에서도 ‘4차
산업혁명’의 물결은 급속히 확산되고 있으며, 우리 한국스포츠개발원에서도 대내외 환경
변화에 발맞추어 연구 및 지원사업을 활발하게 추진하고 있습니다.
한국스포츠개발원은 지난 30여년의 역사 동안 국가대표 경기력향상 분야 연구 및
지원을 시작으로 체육정책개발 및 지원, 스포츠산업 생태계 선순환구조 정착 기반
구축 연구 및 지원을 통해 사업 영역을 지속 확장․발전시키고 있습니다. 2017년도
역시 대한민국 체육 발전 싱크탱크로서의 역할에 최선의 노력을 다하였고, 그 성과인
기본연구 27건과 수탁연구 60건의 결과물을 여러분과 공유하고자 합니다.
한국스포츠개발원이 수행한 각종 연구 성과물은 체육정책 분야에서 선도할 수 있는,
경기력향상 분야에서 특화할 수 있는, 스포츠산업 분야에서 선순환구조 정착의 밑거름
으로 활용할 수 있는 충분한 가치가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 성과는 체육정책 분야
중장기 아젠다 발굴 및 확장으로, 엘리트선수 경기력향상 지원 노하우의 대국민서비스
확대로, 스포츠산업생태계 선순환구조 정착을 통한 미래성장동력으로 확대 재생산될
수 있을 것입니다.
사회문화적 환경은 급변하고 있고, 체육분야 역시 그에 따른 변화와 혁명을 요구받고
있습니다. 이러한 시대적 요구에 발맞추어 묵묵히 연구를 수행하는 박사들과 외부
공동연구자 및 지원인력, 내부 행정직원들의 노고에 감사를 드리는 바이며, 앞으로도
한국스포츠개발원은 더욱 열심히 소임을 다하고자 합니다. 감사합니다.

국민체육진흥공단 한국스포츠개발원
원장 박 영 옥
초 록

지금까지 정부는 우리나라에서 선진형 체육시스템이라 할 수 있는 스포츠클럽을


안정적으로 정착시키기 위해 다양한 정책들을 수립하고 지원해 왔다. 그럼에도 불구
하고 현재까지 선진형 스포츠클럽의 안정적 정착이나 성공사례는 찾아보기 쉽지 않다.
그러한 원인을 이 연구에서는 스포츠클럽 육성사업을 임의로 실시한 행정사업이라
는 측면에서 그 원인을 찾고, 현재의 스포츠클럽 사업이 성공적으로 정착하기 위해
서는 법제 개선을 통해 사업의 위상을 강화하기 위해 그 대안으로 스포츠클럽 육성
법 제정이나 생활체육진흥법 대폭 개정을 강조하였다.
이 연구에서 제안한 스포츠클럽 육성을 위한 법제 개선의 주요 내용을 간략히 정
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법제 개선의 목적으로 스포츠클럽 육성의 근거 마련을 통해 스포츠클럽의 방
향성을 공익 지향으로 명확히 하고 스포츠클럽을 통하여 국민들이 스포츠활동에 지
속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여건을 제공하고 이를 통한 국민의 스포츠복지 향상과 지
역사회 체육인재 양성에 기여하도록 목확히 하였으며 이를 위해 공공스포츠클럽을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에게 설립하여 운영토록하고 나아가 스포츠클럽이 협동조합
및 사회적 기업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하였다.
둘째,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에게 스포츠클럽의 육성 및 지원을 위하여 필요한 시책
을 수립·시행하도록 하였는데 지방자치단체가 설립한 공공스포츠클럽에 대하여는
해당 지방자치단체 소유의 공공체육시설을 사용하고자 할 경우 이용료를 감경하거
나 무상으로 제공할 수 있도록 하였다.
셋째, 스포츠클럽이 정부의 지원을 받기 위해서는 등록하도록 하였다. 특히 스포츠
클럽은 지방체육단체 및 경기단체들과 같은 비영리 조직이지만 회원의 회비와 클럽
존립을 위한 최소한의 수익활동 등을 할 수 있도록 법인화할 수 있도록 의무화하였다.
넷째, 스포츠클럽에 대한 지도자 배치와 이에 대한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의 지원
근거를 규정화하였다. 공공스포츠클럽이 공익적 사업을 위해 지방자치단체가 설치하
여 운영하는 사업이란 점을 감안하여 스포츠클럽 지도자 배치시에도 지방자치단체
가 보조할 수 있는 근거를 법규에 포함시켰다.
다섯째, 스포츠클럽의 성공적 정착을 위해서는 시설에 대한 안정적 확보가 필요한
데,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로 하여금 스포츠클럽이 공공체육시설에 대하여 우선 사용
하게 하는 등의 필요한 시책을 강구하도록 하였다.
마지막으로 스포츠클럽 운영의 기반이 되는 재정 안정성 확보를 위해 교습 프로그
램을 운영하는 스포츠클럽에 대해서도 세제혜택을 부여하여 스포츠클럽의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하였다.
외국에서는 스포츠클럽 육성과 관련한 중앙정부의 법률은 별도로 존재하지 않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연구에서는 스포츠클럽 육성을 위해 중앙정부차원의 법제 개
선을 강조하였는데, 이는 선진국형 체육시스템이라 할 수 있는 스포츠클럽의 안정적
정착을 위해서는 스포츠클럽을 종합적이고 일관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법적 기반을
하루 속히 구축할 필요가 있다는 점에 기인한 것이다.
CONTENTS

제1장 서 론 ···················································································································1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3
제2절 연구 내용 및 방법 ····························································································5

제2장 스포츠클럽에 대한 논의 ·····················································································9


제1절 스포츠클럽의 개념 ··························································································11
제2절 스포츠클럽의 특성 ··························································································13
제3절 스포츠클럽과 국가 체육발전의 상관성 ··························································18

제3장 스포츠클럽 육성사업 현황과 관련 법제 분석 ··················································23


제1절 스포츠클럽 육성사업 현황과 시사점 ······························································25
제2절 스포츠클럽 육성관련 법제 분석 ·····································································29

제4장 스포츠클럽육성을 위한 법제 개선 방안 ··························································49

제1절 법제 개선의 필요성 ························································································51


제2절 법제 개선의 기본 방향 ···················································································52
제3절 법제 개선 방안 ·····························································································53

제5장 결 론 ·················································································································69

참고문헌 ····················································································································· 75

표 목차
<표 2-1> 전통적 클럽과 상업클럽의 비교 ·······························································13
<표 2-2> 스포츠시스템의 종류와 특성 ····································································18

i
제1장 서 론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제2절 연구 내용 및 방법
제1장 서 론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스포츠클럽(Sports club)은 임의의 스포츠를 하기 위해 만들어진 집단으로 특정 스


포츠 종목을 매개로 결성된 조직 또는 단체가 공동 및 개인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
하여 직접적이고 지속적인 상호작용을 유지⋅발전시키는 기능집단으로 보거나, 자율
성과 자생력을 확보하고 종목⋅연령⋅기술의 다양성을 추구하면서 회원제로 운영되
는 스포츠활동 자치조직으로 볼 수 있다.
국가에 따라서 스포츠클럽은 사회제도화란 측면에서 공공부분의 지원이 이루어지기
도 하는데 비교적 스포츠클럽의 선진국이라 할 수 있는 독일에서는 클럽은 민법에
근거한 법적 자격을 갖추도록 하고 있으며 정부로부터 재정보조나 각종 세제혜택의
대상으로 부가세 법인세의 면제, 기부금에 대한 40% 세금감면 등의 혜택부여 받고
있다. 나아가 미국의 경우는 클럽 회원들이 스스로 재원을 마련하여 시설을 설치하
고 회원의 권익을 위해 해당 시설을 사용할 경우 시설에 부과하는 세금을 면제하는
등 스포츠클럽에 대한 지원을 당연시하기도 한다.
이처럼 스포츠클럽은 국가별로 조금씩 차이는 있으나 정부로부터 재정적 보조나
세제혜택의 대상이 되고 있으며 공공체육시설을 무상 또는 저렴한 비용으로 사용하
기도 한다. 또한 스포츠클럽은 지방자치단체로부터 클럽 보유시설 관리비용을 지원
받아 회원들이 저렴한 비용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한편, 우리나라에서는 중앙정부가 스포츠클럽에 대해 본격적으로 관심을 가지게 된
것은 엘리트-생활체육으로 이원화된 체육의 구조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목적으로
2005년부터 선진국형 스포츠클럽 시스템을 도입하여야 한다는 논의가 활발히 전개
되면서부터 라고 할 수 있다.
실제로 독일, 프랑스, 영국 등 주요 선진국가에서는 스포츠클럽이 국가 스포츠발전
체계의 주요 기반이 되고 있으며, 이들 국가의 스포츠클럽은 방과 후 체육활동을
가능하게 하는 동시에 전 연령대에 걸친 생활체육의 토대이자 선수발굴의 산실로서
역할을 하고 있다.
이러한 선진국의 사례를 토대로 우리나라에도 스포츠클럽 제도를 정착하기 위한
크고 작은 다양한 시범사업들이 추진되었다. 과거 정부주도의 한국형스포츠클럽, 대
한체육회 주관의 청소년스포츠클럽, 국민생활체육회 주관의 지역 스포츠클럽, 시⋅
도교육청 주관의 방과 후 자율체육활동 시범학교 운영 등이 그것이다. 이러한 시범
사업은 클럽에서의 선수 육성, 청소년의 클럽 가입, 지역 클럽조성, 학교에서의 스
포츠클럽 운영의 가능성을 타진하기 위한 것이었다.(문화체육관광부, 2004)
그러나 이러한 시범사업들이 단기적이거나 시행 주체간 갈등, 국회의 사업 중복에
대한 비판 등으로 한국형스포츠클럽 보급사업으로 통합하여 운영되었으나 2010년을
끝으로 정부의 지원이 끊기자 스포츠클럽들은 자생력을 담보하지 못하고 해산되고

3
스포츠클럽 육성을 위한 법제 개선 연구

말았다.
지금까지 정부에서 추진했던 스포츠클럽의 시범사업들은 첫째, 국민의 여가시간 증
가, 건강에 대한 관심제고로 인해 생활체육에 대한 수요 증가에 대한 대응 둘째, 아
동․청소년, 여성, 노인 등 스포츠 소외계층에 대한 정책적인 배려의 필요성으로 인해
이들을 스포츠클럽으로 적극 유입하여 모든 사람을 위한 스포츠활동 실현 셋째, 생
활체육-학교체육-전문체육의 연계 및 발전 기반 조성과 스포츠클럽을 통해 학교운
동부 중심의 충원구조인 엘리트체육 및 중장년 성인 남성 위주의 생활체육 동호인
동호회활동의 이원적 체육시스템의 연계 혁신 넷째, 지역공동체 복원 등을 목표로
했다.(성문정, 2008)
그러나 과거의 시범사업들은 당초 취지와는 달리 다양한 계층이 참여하지 못하고
생활-학교-전문체육의 연계 및 발전성도 미약할 뿐 아니라 사무국 비대와 회원중심
의 클럽운영이 아니라는 비판을 받기도 하였다.(성문정, 2008)
이러한 비판 속에서도 2013년 출범한 박근혜 정부는 문화법인형 공공스포츠클럽
보급을 국정과제로 채택하고 전국 229개의 지방자치단체에 종합형 스포츠클럽 설립
을 추진하였다. 이 과제에 따르면 종합형 스포츠클럽은 학교-생활-전문체육간 연계
강화, 은퇴선수 및 지도자 일자리 창출 등 안정적인 생활체육 선순환 생태계를 형
성하기 위해 3년간 매년 3억씩 총 9억원을 지원하는 방식으로 추진한 사업이다. 그
러나 이 사업 역시 공급자 중심의 정부 의존형 스포츠클럽 육성사업으로 지역사회
생활체육기반 조성, 시설 확보, 지역주민 생활체육서비스 제공, 자생력 확보 측면에
서 문제점을 노출하였다는 자기 반성에 직면하고 있다.(대한체육회, 2017)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에서 스포츠클럽 정착을 위한 각종 사업은 사업 자체
로서도 정책적 의미는 매우 크다. 왜냐하면 선진 유럽의 스포츠클럽은 그 역사가
백수십년에 이를 정도로 오래됐고 이 기간 동안 다양한 시행착오를 거치면서 자연
스럽게 사회적으로 제도적으로 정착되었지만 우리나라는 선진 유럽에 비해 사회문
화적 차이가 있어 빠른 시간 내에 스포츠클럽을 도입하고 정착시키기에는 무리가
따르기 때문이다.
현재 우리나라는 정부의 각종 생활체육진흥정책 추진과 국민의 건강에 대한 관심
증대 등으로 생활체육참여율이 2016년 기준 59.5%에 이르렀고 비참여율도 29.5%
로 서구의 핀란드(4%), 스웨덴(7%), 덴마크(17%)보다는 높으나 영국(31%), 프랑스(3
5%), 독일(36%) 등에 비해서는 비슷하거나 오히려 낮을 만큼 일상적 체육활동에 참
여하는 국민의 비율은 높아졌다.
그러나 아동․청소년의 경우는 대학입시를 위한 학교, 학원생활 중심의 생활패턴으
로 체육활동 참여를 억제시키고 있으며, 이러한 행태는 결과적으로 체력약화와 개인
주의 팽배로 나타나 국가 사회적인 문제점으로 부각되기도 하였다. 이 뿐만 아니라
우리나라는 출산율 저하로 인해 국제사회에서 국가이미지 제고에 커다란 역할을 하

4
제1장 서 론

는 선수자원 확보가 한계에 봉착하기 시작했으며, 엘리트선수자원 공급의 핵심 수단


이었던 학교운동부의 비교육적 운영행태 등에 따라 우수선수 육성 및 공급시스템
또한 점진적으로 붕괴에 직전하고 말 것이라는 의견들도 상당하게 제기되고 있다.
이러한 지적들은 생활체육과 엘리트체육의 이원적 운영에 기인한 것에서 그 원인
을 찾고 있다. 실제로 서구 선진국의 체육저변은 생활체육을 기반으로 한 엘리트체
육의 동반성장 구조이고, 그 중심에 스포츠클럽이 있다는 것은 잘 알려진 사실이다.
따라서 우리나라 체육발전시스템에도 생활체육의 기반 위에서 엘리트체육이 발전하
는 선진국의 통합적 개방적 시스템인 스포츠클럽제도의 확산과 안정적 정착을 체계
적으로 준비할 필요가 있다. 물론 그러한 준비와 노력도 국가차원에서 지난 2000년
대 초반부터 줄기차게 시도해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체계적으로 정착되지 못한 것은 법제 장치의 한계에
기인할 수 있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이러한 점을 착안하여 우리나라에서 스포츠
클럽의 안정적 정착을 위해서는 법제 개선이 필요하다는 점을 인식하고 그에 대한
개선안을 마련하고자 한다.
물론 스포츠클럽을 지원하기 위한 법령이 전혀 없는 것은 아니다. 2015년 제정된
생활체육진흥법에서도 스포츠클럽을 지원하기 위한 조문이 규정되어 있다.(법 제9조
및 이법 시행령 제4조)
그러나 이 조문들은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로 하여금 스포츠클럽 육성에 관한 시책
을 마련(생활체육진흥법 제9조)하거나 공공체육시설의 운영 및 위탁관리, 생활체육
지도자의 배치 지원, 스포츠클럽의 운영비 보조, 스포츠클럽 정보망의 구축․운영(생
활체육진흥법시행령 제4조)으로 매우 제한적이다.
따라서 이제는 우리나라에서도 스포츠클럽제도의 확산과 안정적 정착을 체계적으로
지원하기 위해서는 생활체육진흥법과 같은 소수의 조문이 아니라 스포츠클럽을 육
성하기 위한 정부를 비롯한 공공부분의 역할, 공공체육시설 사용 지원, 재정보조 및
조세감면, 전용시설 설치시 편의 제공 등 다양한 지원책들이 반영된 법률체계의 재
정비가 필요하다.
이상과 같은 이유로 이 연구에서는 이러한 점들을 충분히 반영한 법제도 개선방안
을 종합적으로 모색하고자 한다.

제2절 연구 내용 및 방법

1. 연구의 내용

이 연구는 우리나라에서 스포츠클럽제도의 확산과 안정적 정착을 체계적으로 지원


하기 위해서 필요한 법제도 개선방안을 종합적으로 모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이

5
스포츠클럽 육성을 위한 법제 개선 연구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주제들을 다루고자 한다.


첫째, 스포츠클럽의 이해를 돕기 위해서 서구에서 먼저 시작한 스포츠클럽에 대해
스포츠클럽의 개념과 역할, 기능 등에 대해 체계적인 검토를 시도하였다. 특히 스포
츠클럽의 역할과 기능에서는 지역사회 결사체로서의 스포츠클럽의 역할과 국가체육
발전의 시스템으로서의 스포츠클럽의 역할에 대해 살펴보았다.
둘째, 그 동안 우리나라에서 추진했던 스포츠클럽 육성사업들을 살펴보고 시사점을
분석해 보았다. 우리나라의 사례로는 그 동안 우리나라에서 추진했던 스포츠클럽관
련 정책 사업들에 대해 추진목표와 추진결과에 따른 문제점들을 간략히 정리해 보
았다. 분석의 대상이 되는 사업은 청소년스포츠클럽사업(2004~2007년), 지역스포츠
클럽 시범사업(2004~2005년), 한국형스포츠클럽시범사업(2006~2010년), 종합형스포
츠클럽사업(k-스포츠클럽사업, 2013~2016) 등이다.
셋째, 스포츠클럽 운영 및 육성과 관련한 국내외 법제 현황을 분석해 보았다. 여기
에서도 마찬가지로 해외사례로는 독일과 일본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이 연구의 궁극적인 목적이라 할 수 있는 사항으로 우리나라에서 스포
츠클럽제도의 확산과 안정적 정착을 체계적으로 지원하기 위한 법제 개선의 필요성
에 대한 논리를 개발하여 그에 따른 법제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개선방안은 크게 법제정과 개정의 두가지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법제정 방안에서는
가칭 스포츠클럽육성법 제정시안을 개발하였고, 개정방안으로는 현행법에서 스포츠
클럽에 관한 조문을 포함하고 있는 생활체육진흥법의 개정안을 제시하였다.

2. 연구방법

이 연구를 수행함에 있어 활용한 연구방법은 문헌분석, 현장조사, 전문가 회의 등


의 방식 등이다.
첫째, 스포츠클럽에 대한 논의 및 우리나라 스포츠클럽 사업 분석을 위해서는 문헌
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주제와 관련된 선행연구 및 연구보고서, 대한체육회의 내부
정책자료 등을 주로 검토하였다. 핵심 분석 대상은 대한체육회의 사업계획이나 사업
결과보고서로 이를 통해 실제 사업 운영상태를 파악해 보았다.
둘째, 현장조사를 실시하였다. 현장조사는 국내와 국외로 나누어 실시하는 것이 바
람직하나 연구여건상 해외 사례조사는 기존의 문헌을 중심으로 실시하였으며, 국내
는 현재 운영중인 스포츠클럽을 방문하여 사무국장 등을 면담하면서 운영상에서 나
타나는 문제점과 정부 지원 방안, 법제화시 필요사항, 그간의 시행착오 등에 대해
의견을 구하였다.
마지막으로 법제 개선방안 개발을 위해 전문가 자문회의를 실시하였다. 전문가 자
문회의는 현장조사, 해외조사 결과들을 종합적으로 정리하여 기초안을 설계하고 이

6
제1장 서 론

를 토대로 실시하였다. 전문가 자문회의는 클럽운영자와 체육회관계자, 학계 전문가


등을 중심으로 실시하였다.

3. 선행연구의 검토

앞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이 연구의 주제는 우리나라에서 스포츠클럽제도의 확산


과 안정적 정착을 체계적으로 지원하기 위해서 필요한 법제도 개선방안을 종합적으
로 모색하는 것이다.
이 연구 주제와 관련한 스포츠클럽 발전방안에 대해서는 다양한 연구가 있다. 대표
적인 연구보고서로는 국민체육진흥공단이 2005년 체육진흥사업으로 스포츠클럽연구
회에 위탁하여 진행한 ‘한국형스포츠클럽 모델개발 연구’와 지난 2008년 현재의 한
국스포츠개발원의 전신인 체육과학연구원에서 성문정 등이 수행한 ‘현행스포츠클럽
시범사업 평가 및 개선방안’, 2014년 김양례 등이 수행한 ‘종합형 스포츠클럽사업
육성방안 연구’ 등이 대표적이다.
‘한국형스포츠클럽 모델개발 연구’에서 스포츠클럽연구회는 한국형 스포츠클럽 모
델 개발시 고려해야 할 사항을 조직, 재정, 시설, 지도자, 프로그램, 홍보, 제도 등
7가지 측면으로 나누어 제안하였으며, 한국형 스포츠클럽의 모델을 단일종목-단일부
서형, 단일종목-다부서형, 다종목-다부서형으로 구분하여 제시하였다.
반면, 성문정은 2006년부터 시범 운영중이었던 한국형 스포츠클럽사업이 성공하기
위해서는 운영방식의 다원화, 법제적 장치마련, 자생력 강화를 위한 지원금 사용기
준 강화 등을 제시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연구는 우리나라에서의 스포츠클럽 발전을 위한 연구의 성격이 강
하며 이 연구에서 지향하고자 하는 법제도의 개선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연구와는
상당한 거리가 있다.
한편, 이 연구의 주제와 직접적인 관련이 있는 연구로는 이 연구의 책임자인 성문
정이 지난 2004년 수행한 ‘스포츠클럽제도화를 위한 법개정안 연구’가 유일하다. 이
연구는 당초 2006년부터 시행한 ‘한국형 스포츠클럽 사업’을 정착시키기 위해 스포
츠클럽의 법제화를 준비하면서 국민체육진흥법의 개정안을 마련하기 위한 사전준비
차원에서 이루어진 연구였다. 이 연구에서는 스포츠클럽의 법제화를 위해 스포츠클
럽을 기초자치단체장에게 등록하도록 하고, 스포츠클럽의 조직과 활동을 지원하기
위하여 보조금을 교부 할 수 있도록 했으며,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로 하여금 체육
시설, 스포츠클럽, 지도자, 프로그램 등 체육자원에 관한 데이터를 개발⋅집적하고
이를 온라인상에서 효율적으로 활용하게 하기 위하여 필요한 시책을 강구토록 하
는 등의 조문을 구성하여 국민체육진흥법에 반영하도록 하였다.
비록 이 연구보고서의 발간이 10년이 지났지만 현재의 우리나라 스포츠클럽제도는

7
스포츠클럽 육성을 위한 법제 개선 연구

과거 10여년에 비해 법제도적으로 크게 변화 발전한 바가 없어 이 연구를 진행함에


있어 상당한 참고자료가 되었다.

8
제2장 스포츠클럽에 대한 논의

제2장 스포츠클럽에 대한 논의

제1절 스포츠클럽의 개념
제2절 스포츠클럽의 특성
제3절 스포츠클럽과 국가 체육발전의 상관성

9
제2장 스포츠클럽에 대한 논의

제1절 스포츠클럽의 개념

클럽(club)의 국어사전적 의미는 취미, 오락, 기호 등 같은 목적을 가진 사람끼리의


모임이다. 이 사전적 의미에 따르면 스포츠클럽은 스포츠 또는 특정 종목을 좋아하
는 사람들이 체육활동이란 목적을 추구하기 위한 모임으로 정의할 수 있다. 우리 주
변에서 흔히 체육활동을 목적으로 구성되어 운영되고 있는 생활체육동호인 조직이
바로 여기에 해당한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개념 정의는 다만 사전적 의미
로 해석할 수 있을 뿐 스포츠클럽이 갖는 실제적 의미 즉, 스포츠클럽 조직의 회원
가입 및 탈퇴와 관련한 절차, 재정 운용, 의사결정 구조, 인력 자원의 활용 등에 대
한 구체적인 내용들을 포괄하지 못하는 한계를 갖는다.
스포츠클럽시스템의 기원은 산업화의 관점에서 이해되어야 하는 측면이 있다. 산업
화는 증기기관, 전기, 기계화된 장비의 개발과 발달로 경제적 발전을 가져온 것을
의미하는데 이러한 산업화는 산업화된 지역과 국가에서의 근로자의 삶에 많은 변화
를 초래했다.
산업화의 영향으로 이미 19세기 초에 유럽에서 가장 힘 있는 국가로 등장한 영국
사회는 스포츠 시합과 같은 모든 생활전반에 걸쳐서 조직화된 모임을 결성하였다.
크리켓, 경마, 골프, 축구와 같은 지역스포츠행사에 참여하기 위해 여러 도시에서
팀이 참가하였고 이 과정에서 주요 규칙이 표준화되었다. 지역단위 체육행사가 증가
하게 됨으로써 축구, 하키 등과 같은 인기스포츠가 탄생하였다.
이러한 스포츠는 스포츠 이벤트를 탄생시켰고 스포츠이벤트에 대한 참여 증가는
영국사회 전반으로 확대되면서 자발적 결사체(voluntary association)라고 하는 스포
츠클럽을 결성하는 계기가 된 것으로 보인다.(성문정, 2005)
이러한 스포츠클럽의 발달은 현대에 와서 점차적으로 스포츠화(sportification)를 촉
진했는데 지역적 오락수준의 스포츠가 규칙화된 경쟁 스포츠로 발달하게 되는 것이
이를 증명한다 할 것이다.
그렇다면 이러한 특성을 갖는 스포츠클럽을 어떻게 이해해야 할까? 조직사회학의
관점에서 스포츠클럽에 대해 정의한 Heinemann과 Horch의 견해를 통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김경숙 외, 2006)
Heinemann과 Horch는 영리 목적을 가진 상업 스포츠센터와는 달리 스포츠클럽
을 다음과 같은 다섯 가지의 구조적 특성을 가진 비영리 목적의 조직으로 정의하고
있다.
첫째, 스포츠클럽의 멤버십은 개인의 자유 의사에 따른다. 즉, 스포츠클럽의 회원
가입과 탈퇴는 개인의 자유 의사에 따르며, 출생, 계층, 정치 및 종교 성향 등에 의
해 불이익을 받지 않는다.
둘째, 스포츠클럽은 회원 공동의 이익, 즉 신체활동 또는 특정 종목에 대한 욕구의

11
스포츠클럽 육성을 위한 법제 개선 연구

충족을 추구한다.
셋째, 스포츠클럽은 민주적 의사결정 구조를 갖는다. 회원 개개인의 목적을 충족시
키기 위해서는 공동의 목적을 수렴하고 이를 실천하는 스포츠클럽 내부의 민주적
의사결정 구조가 필요하며, 이는 스포츠클럽의 정관에 명시되어야 한다.
넷째, 스포츠클럽은 자원봉사의 원칙에 따라 운영된다. 즉, 회원의 과제 수행과 그
에 따른 물질적 보상이 계약에 의해 규정되는 것이 아니며, 회원들에게 클럽의 과
제 수행이 강제되지 않는다는 것을 뜻한다.
다섯째, 스포츠클럽은 자율성을 토대로 한 조직이다. 스포츠클럽은 국가와 같은 제
3자의 간섭을 배제하고 자신의 목적을 추구하는 조직이다. 클럽의 창립과 해체 그
리고 클럽의 정책 등에 대해서 회원 스스로가 결정한다.
이러한 스포츠클럽의 기본적인 구성 요인 외에도 스포츠클럽을 특징짓는 중요한
요인하나가 바로 스포츠클럽의 비영리성이다. 시민의 자발적 결사체인 스포츠클럽은
이익 창출을 최상의 목적으로 하는 상업 스포츠센터와는 달리 회원들의 체육활동의
촉진을 우선 목적으로 한다. 이익금이 발생했을 경우 스포츠클럽은 이를 회원 개개
인에게 분배하는 것이 아니라 클럽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투자한다. 이러한 스포
츠클럽의 특성들을 토대로 스포츠클럽은 비영리조직(NPO; Nonprofit-Organization)의
한 전형으로 분류될 수 있다.
즉, 스포츠클럽은 영리 목적을 가진 상업 스포츠센터와는 달리 여러 가지 측면에서
구분되는데, 즉 전통적인 클럽은 구성원의 이해, 가치, 필요한 서비스를 원활히 공
급하는 것을 추구한다. 헬스클럽과 같이 상업클럽은 서비스에 중점을 둔다. 상업스
포츠클럽은 구성원보다는 고객으로서 회원이며 상업적 경영과 직원을 고용한다. 상
업스포츠클럽에서 클럽은 제공받고자 하는 서비스의 형태에 따라 구분되고 소속되
는 집단별의 클럽을 의미한다. 즉, 상업스포츠클럽에서 클럽은 제공받는 서비스를
의미하는 것이다. 일정액의 요금을 지불하고 그 요금에 해당하는 일정기간 일정한
서비스를 제공받는 개념이다.
전통적 클럽과 상업클럽은 일직선상에 배치하면 양쪽 끝 극단에 위치하게 된다. 그
사이에는 다양한 형태의 조합이 여러 요인들에 따라 배치가 가능할 것이다. 두 형
태를 비교해보면 여러 요인의 도출이 가능하고 그 요인들에 따라 중간형태가 가능
할 것이다. 이를 요약하여 정리하면 다음 <표 2-1>과 같다.(성문정, 2005)

12
제2장 스포츠클럽에 대한 논의

<표 2-1> 전통적 클럽과 상업클럽의 비교

전통적 클럽 상업 클럽

연대․결속에 기초 제공받는 서비스체 기초

모두가 클럽 운영에 참여 전문직원들이 클럽 운영

많은 자원봉사자 자원봉사 없음

회원이자 구성원 고객

회원이 위원회와 운영 담당 고객을 위한 위원회와 경영

과제와 책임이 비공식적으로 분담되고 역할을 담당 과제와 책임이 공식적으로 분담되고 역할을 담당

기획과 조직화는 비공식적이고 다양하며 즉흥적이고 기획과 조직화는 공식적이고 제한된 소수가 명확하게
임시적일 수 있음 분담함
회의와 토론을 통해 민주적이고 복잡한 의사결정절차
경영진에 의한 중앙지중식 의사결정
를 거치기도 함

위원회식 집행진 위원회식 감독진

위원회가 아이디어를 내고 결정 위원회는 경영진이 제시한 해법 판정

경영목표는 효율성, 연대감, 참여 등임 경영목표는 질과 능률임

운영과 의사결정이 공개적임 위원회와 경영진만이 운영과 의사결정 독점

다양하게 동기부여된 자원봉사진 보유 봉급, 보너스 등에 의해 동기부여된 유급직원


자료 : Rubingh, B., & Westerbeek, H. M.(1994). De professionele sportvere iniging, kiezen of delen. Spiel en Sport. 성문정(2005). 스
포츠클럽 제도화를 위한 법개정 방안 연구, 국민체육진흥공단 체육과학연구원. p.13.에서 재인용

제2절 스포츠클럽의 특성

위에서 살펴본 것처럼 스포츠클럽은 스포츠를 매개체로 결성된 주민들의 자발적


결사체이며 영리성을 갖는 조직체이다. 이러한 범주에서 보면 사실 현재 70,000여
개가 넘는 우리의 생활체육동호인도 이러한 스포츠클럽의 개념적 범주에서 크게 벗
어나지 않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굳이 동호인조직을 스포츠클럽과 구분하는 이유
는 무엇일까? 스포츠클럽의 성격규명을 통해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 지역사회 주민의 결사체

현대사회의 산업화는 개인적 삶의 여유를 바탕으로 주민의 사회적 교류를 활성화


시켰는데 이를 바탕으로 사회적으로는 청소년 선도, 자선, 스포츠 등이 포함되는 건
강증진, 사회복지, 여가 등을 담당하는 다양한 조직이 형성되었다.
이러한 조직들은 사회적 차원에서 건강한 사회생활을 촉진하고자 그 결성이 장려
되었는데 이는 시설사용 무료지원, 법원 공증과 공익단체로서의 지위 부여 등의 지

13
스포츠클럽 육성을 위한 법제 개선 연구

원이 이루어졌다. 스포츠클럽은 체육활동의 보급, 청소년의 스포츠활동 참여기회 부


여와 건전육성 등의 공익적 목적을 담당하고 있다.
독일의 경우 7명 이상이면 스포츠활동을 매개로 하는 조직 즉, 스포츠클럽을 자발
적으로 결성할 수 있다. 스포츠클럽은 자율적으로 운영하되 지방자치단체로부터 공
공체육시설 사용 등에 대한 지원을 받기 위해서는 일정한 절차를 거쳐 등록을 하여
야 한다. 스포츠클럽은 클럽을 대표하는 회장, 부회장, 총무 등 임원을 선출하고 독
일체육회가 규정한 회칙에 준하는 스포츠클럽 회칙을 만들어야 한다.
이를 토대로 스포츠클럽은 첫째, 스포츠클럽 창립을 위한 창립총회를 소집하고 둘
째, 창립총회에서 채택된 창립총회 회의록, 창립총회에서 선출된 임원명단, 회칙 등
을 독일체육회가 규정한 스포츠클럽 회칙에 부합하는지에 대해 공증변호사에게 공
증을 의뢰하며 셋째, 공증된 스포츠클럽 서류에 법률적인 문제가 없는지에 대해 행
정법원이 판단을 내리면 넷째, 행정법원에서 스포츠클럽 조직에 문제가 없다고 판단
될 경우 행정법원의 등기소에 등록하고 등록됨과 동시에 스포츠클럽은 법적인 보호
(eingetragener Verein : e.V)를 받게 되는 절차를 거친다. 'e.V'는 공익클럽을 의미
하며 상업성 클럽과 구분하여 비영리 클럽을 지원하고자 하는 것이다. 클럽해산은
총회에서 의결로 결정하게 된다.
이렇게 결성된 스포츠클럽은 클럽 결성시 나름대로의 회칙을 마련하고 이를 회원
상호간에 공유한다. 독일의 경우 이를 회원들이 참석하는 창립총회에서 결정한 후
관할 구청에 신청서를 제출한 후 법적 근거를 얻을 수 있다. 이 경우 공익법인으로
서 지방자치단체와 체육회로부터 지원을 받을 자격을 획득하게 되는데 이를 위해서
는 클럽의 목적과 활동내용을 명시하는 클럽의 회칙이 법원의 공증인으로부터 사전
허가를 받아야 한다. 따라서 그 내용이 거의 공익이라는 틀에 의해 유사한 항목과
내용을 갖게 된다.
독일의 노트라인-베스트팔렌주의 체육회정관을 토대로 하는 클럽의 회칙을 살펴보
면 첫째, 목적이 명시되어야 하는데 스포츠의 진흥과 청소년 계도사업을 중심으로
하며 자체 수익을 우선적인 목적으로 하여서는 안된다.
둘째, 협회의 재원은 정관의 목적을 위해서만 사용될 수 있다.
셋째, 회원은 청소년회원과 성인회원으로 구분되며 18세 이상이 투표권과 선거권
을 갖는다. 비정규회원과 명예회원도 가입하게 할 수는 있다.
넷째, 회원에 대한 통제 내용(징계 등)이 명기되어야 하며 신입회원을 받을 때에는
이에 대한 사항을 알려주어야 한다. 통제 내용으로는 경고 및 질책, 벌금, 자격제한,
추방 혹은 제명 등이 있다.
다섯째, 회원자격은 자연인 모두가 되며 가입신청서는 클럽에 제출되어야 한다. 회
원 자격은 회원이 사망, 탈퇴 하였을 때와 클럽에서 제명당했을 때 박탈된다. 회원
자격 박탈은 클럽의 이익에 반하는 행동을 하거나 여러 차례의 독촉에도 불구하고

14
제2장 스포츠클럽에 대한 논의

가입비 내지는 회비를 납부하지 않을 때 이루어진다.


여섯째, 클럽은 회비를 징수하며 회비는 가입비와 연회비로 나눌 수 있다. 연회비
는 4분기 내지는 반년마다 1회씩 징수할 수 있다. 회비와 가입비는 총회에서 결정
된다.
일곱째, 총회는 1년에 한번 개최하며 회장이 개최를 주관한다. 개최일 14일 이전
에 회원에게 통보하는 것이 관례이다. 회원총회의 결정은 투표자의 과반수에 의해
결정된다. 클럽의 해체 결정과 정관 변경은 과반수에 의하여 발의되고 2/3의 찬성
에 의하여 결정된다.
시대를 막론하고 스포츠클럽의 최고 의사결정기구는 총회이다. 회원자격을 갖는 구
성원 전체가 모여 구성하게 된다. 총회는 첫째, 회장단에 의하여 결정된 익년도 예
산안에 대한 승인 둘째, 결산에 대한 확정 셋째, 회장단의 연례보고서 수령 넷째,
회계보고서 수령 다섯째, 정관변경과 협회 해체에 대한 의결권 여섯째, 회장단 선출
및 청소년 회장단 승인 일곱째, 회계책임자 선출 등이다.
회장단은 최고 집행기구가 된다. 집행부에 해당하는 회장단은 회장, 부회장, 회계,
청소년담당, 사무국장, 서기 등으로 구성되고 정관에 개개인의 업무가 규정된다.
지도자는 2, 3급 지도자와 자원봉사 지도자가 대부분이며 자격기준을 설정하지는
않고 있다. 이들은 소속 팀 혹은 선수를 지도하고 팀 혹은 선수가 주단위 시합 등
에서 우수한 성적을 거둘 경우 소지한 자격증에 따라 주단위 체육지도자로 봉사할
수 있는 기회가 제공된다.
자원봉사자는 대부분 임원과 직원이 되며 전문성이 필요할 경우 연수를 받기도 한
다.
또한 자발적 결사체로서의 스포츠클럽은 일반적으로 사회의 공익적 조직의 범주에
속하는 특성을 나타내는데 이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공간(장소)적 측면에서 스포츠클럽은 공동의 공간을 가지고 있다. 스포츠클럽
은 본질이 스포츠 활동을 매개로 하기 때문에 시설을 확보하거나 이용시간을 확보
하여야 한다. 이때 스포츠시설은 스포츠클럽 활동의 중심공간이 된다. 규모가 큰 스
포츠클럽의 경우 회원의 회비, 은행융자 등을 받아 자체적으로 스포츠시설을 건축하
기도 한다.
둘째, 이해관계 측면에서 스포츠클럽은 공유된 이해관계가 있다. 회원 각자는 각자
의 이해를 초월하는 공통의 노력을 회원들을 위해 제공한다. 공통의 이해를 위한
자발적인 노력이 경제적 보상 기대 없이 이루어진다. 스포츠클럽은 크게 스포츠활동
에 참여하는 것과 사회적 책임을 다하는 장으로서 기능을 한다.
스포츠활동에 참여하는 것은 지역사회에 스포츠활동을 할 수 있는 시설을 확보하
고 관리하는 것이 스포츠클럽이기 때문에 스포츠클럽에서 스포츠 활동을 접하며 배
우고 향유하게 되는 것을 말한다.

15
스포츠클럽 육성을 위한 법제 개선 연구

스포츠클럽에서 사회적 책임을 위해 활동한다는 것은 스포츠활동에 참여하는 것


이외에 스포츠클럽이 사회적 봉사의 기회를 제공하는 장의 역할을 하는데 이는 청
소년 상담, 청소년체육활동 지도, 클럽회장, 총무 등으로서의 봉사와 같이 스포츠클
럽이라는 공익단체에서 사회적 책임을 다하기 위해 노력한다는 것이다.
셋째, 조직적 측면에서 스포츠클럽은 자발적인 결사체로서 시민들 스스로에 의해
결성된다. 자발적 결사체의 주요 특징 중 하나는 소속 구성원이 사용하는데 필요한
재화와 서비스가 소속 구성원에 의해 제공된다는 것이다.
스포츠클럽 운영의 핵심은 회원가입과 회원의 책무로서 납부되는 회비를 가지고
운영된다는 것이다. 회원의 지위는 정회원, 준회원 등으로 구분되며 회비는 연간회
비, 월회비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독일의 경우 회비 54.7%, 사업수익금 24.8%,
정부보조 10.7%, 기부금 7.3%의 상대적으로 안정적인 재정수입을 통한 자생적 운영
기반 확립하고 있다.
넷째, 기능적 측면에서 가치(가치와 규범), 이해(구성원 공통의 이슈), 서비스(서비
스생산 과정)의 세 가지 기본적 기능이 결합되어 있다. 가치의 측면에서 스포츠클럽
은 호혜조직에 해당한다. 호혜조직은 자발적 조직으로서 공동의 목적이나 이해관계
를 갖고 있는 한 무리의 사람들 혹은 소수집단이 단합해서 그들의 이익이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해 함께 행동하는 과정에서 형성된다.
스포츠클럽은 전형적인 호혜조직으로서 조직에 회원으로 가입하는 순간 조직의 성
원이 되며 조직이 제공하는 서비스의 주수혜자가 된다. 사회적 규범은 다양한 형태
로 존재하는 것이 가능하나 스포츠클럽에서 규범은 회칙의 형태로 존재한다. 회칙에
는 기본적으로 구성원의 의무와 역할, 총회 및 이사회의 구성과 임무, 자산 등에 관
한 내용이 포함된다.
스포츠클럽에서의 주된 관심은 스포츠활동을 통한 개인의 건강증진, 사회적 교류
등이다. 봉사는 클럽의 임원으로 봉사, 실기 지도자로 봉사 등 자신의 사회적 책무
를 수행하는 과정을 의미한다. 서비스는 스포츠클럽에서 제공하는 교실, 훈련, 대회
등이 해당된다. 스포츠클럽에서는 초보자를 위한 교실을 개설하고 실기교습을 하기
도 하고 연습과 훈련을 통한 지속적 참여를 유도하며 클럽내 리그와 클럽간 리그를
통하여 대회에 참여하도록 기회를 조성하고 제공한다.

2. 지역사회의 공적 제도

비교적 선진국의 스포츠클럽과 유사성을 갖고 있는 우리의 동호인클럽의 등록제를


스포츠선진국과 비교해 볼 때 가장 두드러진 차이는 동호인클럽의 창설과 상급단체
가입의 절차가 다르다는 점이다. 독일의 경우 스포츠클럽의 창설은 일련의 법적 요
건을 갖추어 관할 등기소에 설립등기를 하고 이후 주(州)체육회에 가입하는 과정을

16
제2장 스포츠클럽에 대한 논의

거친다.
이를 통해 스포츠클럽은 법인으로서의 권리와 의무를 담당하는 주체로서의 법인격
을 갖추게 된다. 독일 대부분의 스포츠클럽은 자신들의 클럽 명칭 뒤에 e.V. 즉 등
록 클럽을 명시한다. 등록된 스포츠클럽은 법적 토대 위에서 세제 혜택과 지방자치
단체의 행․재정적 지원 등 다양한 사회적 지원을 받을 수 있는 권리를 갖는다.(김경
숙 외, 2006)
그러나 독일의 사례와는 달리 우리의 생활체육동호인 조직들은 체육단체에 등록하
는 경우는 있지만 법적 보호를 받을 근거는 갖추고 있지 못하고 있어 임의단체의
수준에 머무르고 있는 실정이다.
독일의 스포츠클럽 결성은 기본적으로 우리의 헌법에 해당하는 독일 기본법 9조
(결사의 자유)에 근거하며, 실질적으로는 독일 민법의 제21조, 제24조부터 53조, 제
55조부터 제79조에 따른다. 독일의 스포츠클럽은 민법에서 규정하고 있는 일련의
과정을 거쳐 권리능력을 가진 비영리법인으로서의 법인격을 갖추게 된다.
스포츠클럽이 비영리법인으로서의 설립등기를 마치면 창립총회 회의록, 정관, 공익
성 증명서, 설립등기 증명서 등의 서류를 갖추어 주(州)체육회에 회원 가입을 신청
한다. 주(州)체육회의 이사회는 서류 심사를 통해 회원 가입여부를 결정하게 된다.
회원 가입이 결정되면 주(州)체육회와 관할 시⋅도체육회에 회비를 납부하게 되는
데, 니더작센주(州)의 경우 스포츠클럽은 회원 1인당 성인 3유로, 청소년(15-18세)
2유로, 어린이(14세까지) 1유로의 연회비를 주(州)체육회에 납부해야 하며, 관할 시
⋅도체육회의 연회비는 지역에 따라 조금씩 다르다. 스포츠클럽은 상급 단체에 회
비를 납부함으로써 회원 자격을 유지하게 되며, 이에 따라 다양한 행정적 재정적
지원을 받게 된다.(김경숙 외, 2006)
실제로 독일의 니더작센주(州)의 체육회가 가맹 스포츠클럽들에게 제공하는 지원의
세부 항목들은 스포츠상해보험을 통한 사회안전망 제공, 음악저작권에 대한 로열티
지출의 보조, 관리직 직장조합과의 보험계약을 통해 스포츠클럽의 체육지도자들에게
연간 최대 1,848유로 지원, 자격증을 소지한 겸직 체육지도자들을 위한 보조금 지
원, 체육시설 지원 프로그램 제공, 학교와 스포츠클럽 간 협력 지원 프로그램 제공,
스포츠클럽의 체육지도자와 임원들의 연수 등 각종 교육프로그램 제공, 스포츠클럽
을 위한 체육회의 자문 지원 등이다.
이렇듯 독일 대부분의 스포츠클럽은 일련의 법적 등록 절차를 거쳐 법적 권리와
의무를 갖춘 사회 제도로서의 위상을 가지고 있으며, 사회적 지원도 이에 상응하여
이루어지고 있다. 이는 스포츠클럽에 대한 사회적 지원의 지속성과 안정성 그리고
투명성을 보장함으로써 스포츠클럽으로 하여금 자신들의 특성에 맞는 클럽 운영 정
책을 실행할 수 있도록 하는 원동력이 된다.

17
스포츠클럽 육성을 위한 법제 개선 연구

제3절 스포츠클럽과 국가 체육발전의 상관성

1. 국가 체육발전의 토대

자생적으로 결성되기 시작한 스포츠클럽은 시간이 지날수록 스포츠를 즐기고 더


많은 사람을 참여하게 하고픈 욕구의 강화로 더 강한 토대를 가지는 경쟁적 스포츠
를 형성한다. 먼저 참여하고 선수생활을 경험한 자들이 시합을 조직하는 행정적 업
무를 담당하기도 한다. 결과적으로 지역수준에서 필요한 시설, 시합, 훈련, 사회적
관계 등이 자연스럽게 형성되고 제공된다. 이들 지역클럽간의 공유된 가치는 상호
연합을 통하여 연맹(federation)을 형성하게 된다. 연맹은 지역에서 전국수준으로 발
전하게 되고 이들 연맹은 시합을 준비하고 조직하는 동시에 소속 클럽의 이익을 추
구하는 로비조직으로서 역할을 하게 된다. 경쟁적 스포츠가 전국적인 차원에서 틀을
갖추게 되는 것이다.
스포츠에서의 경쟁은 3단계로 발생한다. 1단계는 생활체육차원의 경쟁이다. 2단계
는 집단을 대표하여 시합에 선수가 참여한다. 3단계는 최고 수행능력을 가진 엘리
트선수들이 참여한다.

<표 2-2> 스포츠시스템의 종류와 특성

시스템 주요 특성 지역

스포츠클럽 시스템 포커스 : 회원, 자원봉사자, 자발적 조직 서구 유럽

국가주도 스포츠시스템 포커스 : 국가, 클럽은 국가 조직의 일부 동부 유럽, 아시아

학교 스포츠 시스템 포커스 : 학교, 조직은 교육시스템의 부분 미국, 캐나다, 영국

미국, 캐나다, 일본, 호주, 유럽과 남아


상업 스포츠 시스템 포커스 : 상업적. 조직은 이윤을 추구
메리카의 성장 시장
자료 : Lisa P. Masteralexis외 2인(1998). Principles and Practice of Sport Management.

스포츠 연맹체는 명확하게 인식가능하고 명료하게 정의된 체계를 형성한다. 클럽은


특정 과제와 책무를 수행하기 위해 규칙과 동의를 통해 상호 연대를 강화한다. 스
포츠클럽이 스포츠참여의 기초 토대를 형성하고 전국스포츠연맹체는 시합과 관련된
규칙과 규정을 제정한다.
정부조직이나 언론매체는 이들 스포츠클럽이나 스포츠 연맹체들과 협력관계를 형성
한다. 이들 조직이 국제대회와 전국대회, 훈련, 규칙의 재개정, 시설표준화 등을 책
임지고 있다.
유럽 스포츠의 근간은 스포츠클럽이다. 독일이나 네덜란드는 전체 인구의 1/3 정도

18
제2장 스포츠클럽에 대한 논의

가 스포츠클럽에서 활동하고 있다. 이러한 저변은 스포츠조직이 힘을 발휘하는 중요


한 원천이 된다.
반면, 미국에서는 스포츠에 대한 정부의 영향력은 거의 없고 자본주의적 경제시스
템이 근간이 되기 때문에 클럽구성원의 수요에 부응하는 서비스조직이란 개념보다
는 클럽구성원이 필요한 서비스를 제공받는 댓가로 요금을 지불하는 고객의 개념이
주가 된다. 또한 미국의 경우 유럽과 달리 교육기관에서 스포츠의 역할이 매우 크
기 때문에 자발적 결사체의 필요성이 유럽에 비해 상대적으로 매우 낮은 편이다.

2. 생활체육과 엘리트체육의 연결고리

클럽은 생활체육의 토대이자 엘리트체육 육성의 기능을 담당한다. 그러나 모든 클


럽이 생활체육과 엘리트체육 모두를 담당하는 것은 아니다. 규모가 작거나 성인위주
의 클럽, 노인위주의 클럽 등 청소년회원이 없는 경우 기본적으로 생활체육형 클럽
으로 그 역할이 가능하다.
스포츠클럽은 규모면에서는 100명이하의 소규모 클럽에서부터 1000명 이상의 대
규모 조직까지 다양성을 갖는다. 스포츠클럽의 수준도 창설연도, 회원수, 지역사회
기여도, 경기력 등에 따라 다양하다. 운동종목의 수에 따라서는 단일종목형과 다종
목형이 있다. 연령별에 따라서는 6세 이하, 7~17세까지의 연령별 등급구조, 18세
이상의 성인, 노인 등 다양한 회원 구조를 갖는다. 성인만의 클럽, 청소년만의 클럽
등 다양한 클럽구조가 가능하다.
반면에 규모가 크고 자체적으로 시설과 지도자를 확보할 수 있는 클럽은 아동과
청소년을 회원으로 확보하고 있기 때문에 이들에 대한 스포츠 교육을 통하여 지속
적인 스포츠활동 참여를 유인하고 이들 중에서 우수한 아동은 지역체육회의 꿈나무
관리 프로그램과 연계하여 육성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독일의 경우 전체 클럽의 1
5%정도가 엘리트체육 육성을 담당한다.
이처럼 스포츠클럽이 스포츠 교육의 기능을 일부 담당하고 특히, 기능적 측면에서
스포츠에로의 사회화를 담당하기 때문에 클럽에 가입한 아동과 청소년의 경우 스포
츠클럽에서 스포츠를 배우게 된다.
클럽에서 스포츠에로의 사회화와 스포츠인으로서의 생애주기가 시작되면 진입하게
되는 스포츠수준에 따라 클럽내 대회, 클럽간 대회, 지역대회, 전국대회 등에 출전
하게 되며 이 과정에서 종목에 따라 성적의 결과로 전국 순위가 매겨진다.
한편, 국가는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국가를 대표하는 국가대표를 선발하고 훈련을
지원하며 국제대회에 출전하는 것을 지원한다. 이 과정에서 운용되는 것이 청소년대
표, 국가대표 등 국가별 실정에 부합하는 연령대별 우수선수 집단을 선발하고 훈련
시키는 우수선수 육성 체계이다.

19
스포츠클럽 육성을 위한 법제 개선 연구

독일의 경우 우수선수 육성체계로서 선두등급체계를 구성 운영한다. D급에 해당하


는 일명 ‘꿈나무 집단’이 최초 클럽에서 지역단위 우수선수로 전환되는 단계에 해당
한다.

3. 스포츠의 공익가치 실현 매개체

지역사회에서 스포츠클럽의 결성 목적은 회원들의 체육활동 참가와 그에 따른 삶


의 질 향상을 바탕으로 하고 있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지역사회의 스포츠클럽은
지역에 기반한 스포츠 활동을 추구하며 자발적인 참여와 자원봉사에 근거한 활동을
중시하는 방향으로 발전하게 된다. 또한 전 연령층의 인구가 연령, 성, 경기력 등에
구애됨 없이 자유롭게 참가하고 이는 수혜자 부담의 원칙하에 자율적인 회비수납의
풍토를 조성하기도 한다.
클럽의 발달과정에서 클럽간 교류는 대회를 통해서 이루어지게 되는데 이것이 유
럽식 클럽간 리그제도이다. 성인중심의 리그는 자연스럽게 아동과 청소년 계층으로
확대되게 되었고 그 과정에서 체육활동을 열심히 하는 청소년들의 적극적인 참여가
가능하게 되었다.
청소년들은 많은 훈련과 노력, 그리고 대회참가 등에 따라 성취감 등을 경험하게
되었고 성인들의 시각에서는 TV시청, 마약, 폭력 등 청소년들이 유해한 활동과 환
경에서 벗어나 아동과 청소년기에 많은 체육활동을 함으로써 평생체육의 토대를 형
성하고 건강이 증진되는 등의 효과를 인식하고 그러한 효과는 스포츠클럽에서 제공
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사회적 합의에 도달하게 된 것이다.
스포츠클럽은 첫째, 스트레스 해소 등 적극적 성격을 함양하고 질병을 예방하고 의
료비를 절감하는 건강증진기능 둘째, 청소년의 건전한 자아형성, 사회성 함양, 탈선
및 약물 남용 문제 개선, 놀이문화 보급 등 청소년 선도 기능 셋째, 지역사회의 스
포츠클럽에 모든 연령층이 가입하고 스포츠활동을 통하여 화합 및 친목을 도모하는
세대간 갈등 해소 기능 넷째, 지역을 대표하여 해당 클럽에서 선수를 파견하고 이
과정에서 지역간 공동체의식을 함양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스포츠의 다양한 가치에 대한 사회적 합의는 스포츠클럽에 대한 다양한 지원으로
나타나게 된다. 사회적 합의는 주로 법률적인 지원으로 나타나기도 하는데 프랑스는
1901년 ‘단체결성 자유에 관한 법’ 제정을 효시로 스포츠클럽은 사회적 공인을 받
게 된다. 이후 스포츠는 사회경제적 기능(체육경기가 사회경제요소로서의 기능을
함), 사회편입 및 고용창출기능(사회갈등, 고용위기, 가치관의 상실 등으로 위협받고
있는 현대사회에서 청소년들의 사회편입 및 취업을 지원), 사회문제 예방기능(보건
문제, 특히, 마약 및 알코올 중독문제와 관련한 예방 기능), 사회통합 기능(단체정신
을 통하여 관용을 일깨우고 사회편입 가속화 도모), 준법준수 기능(‘심판의 호르라기

20
제2장 스포츠클럽에 대한 논의

소리는 규칙의 위반을 상징하며 심판은 판결자이고 규칙은 일종의 법이다’고 하는


준법정신의 고취)을 하는 것으로 사회적으로 인정받았고 국가는 체육단체와의 협약
을 통해 체육단체의 사회적 기능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지원을 강화하였다.
스포츠클럽에 대한 지원은 보조금 지급, 체육시설의 지원(무상제공, 저렴한 임대,
사용시간 배려 등) 등이다. 보조금 지급은 도나 시군구의회가 체육회 등에 지급할
수 있고 이러한 지원은 스포츠클럽에 대한 지원으로 이어진다. 스포츠지도자를 고용
하는 단체에 지원금을 지원할 수도 있다. 청소년 스포츠교실사업, 주부교실사업 등
과 같이 시군구의 사업을 대신 수행하는 경우 지원금을 받을 수 있다. 또한 스포츠
클럽이 장비 지원을 요청하는 경우 장비구입을 위한 지원금이 지원될 수도 있다.
체육시설의 지원은 가장 많이 이루어지는 지원이다. 대상은 주로 공공체육시설과
학교체육시설이 되며 이들 시설은 지방자치단체 소유(프랑스의 경우 학교가 체육시
설을 보유하지 않고 지역에 소재하고 있는 경향, 독일은 학교가 체육시설을 보유하
고 있으나 수업이후에는 클럽에 개방)가 일반적이다. 따라서 지방자치단체는 시설을
클럽에 임대하거나 시간계획을 수립하여 여러 클럽이 사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
다. 클럽에 임대하는 경우 연단위 혹은 그 이상 장기계약이 가능하고 이는 무상 혹
은 유상으로 하나 유상일 경우 저렴한 임대료를 책정한다. 스포츠시설의 핵심부분에
대한 수리 혹은 개선이 필요할 경우 지방자치단체가 지원하여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다.

21
제3장 스포츠클럽 육성사업 현황과 관련 법제 분석

제3장 스포츠클럽 육성사업 현황과 관련


법제 분석

제1절 스포츠클럽 육성사업 현황과 시사점


제2절 스포츠클럽 육성관련 법제 분석

23
제3장 스포츠클럽 육성사업 현황과 관련 법제 분석

제1절 스포츠클럽 육성사업 현황과 시사점

1. 스포츠클럽 육성사업 현황

우리나라의 스포츠클럽 육성사업은 성인 남성 중심의 동호인 활동을 다양한 연령


대가 참여하는 참여구조로 변경하여 이를 바탕으로 선수 육성까지 가능한 선진형
스포츠클럽 모델을 지향하면서 추진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엘리트-생활체육으로 분립된 우리나라 체육환경의 여건 속에서
장기적 전략보다는 당장의 에산 집행에만 집중된 나머지 성공적으로 정착하지 못하
고 시범사업의 시행과 중단을 반복하면서 지금에 이르렀다.
지금까지 우리나라는 2004년 청소년스포츠클럽 사업을 시작으로 지역 스포츠클럽,
한국형 스포츠클럽, 종합형 스포츠클럽 사업들이 추진되어 왔다. 이들 사업을 간략
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스포츠클럽 사업은 2004년~2007년까지 학교운동부와 학교체육시스템
및 아동⋅청소년의 체력약화 등의 문제점 개선을 위해 도입되었다. 청소년스포츠클
럽 사업은 학교 운동부 중심의 단일구조에서 선진국형 우수선수 공급시스템으로 다
변화, 운동과 학업 병행으로 체력향상 및 지·덕·체를 겸비한 건전한 청소년문화 창
출 유도, 지역단위 청소년스포츠클럽 활동을 통한 선수저변 확대로 생활체육, 학교
체육, 엘리트체육의 연계성 확보, 지역·학교체육 간 연계강화를 통한 청소년 및 지
역체육의 진흥을 목적으로 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청소년스포츠클럽을 중·장기적으
로 지역사회 선진형 공공스포츠클럽의 중심축으로 육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
다.
그러나 청소년스포츠클럽은 다연령층 스포츠클럽 특성에 대한 고려가 미흡하여 단
일형 교실사업 형태로만 진행되었으며, 지역 자율이 아닌 시체육회에 의해 타율적으
로 운영되었다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국민생활체육회, 2013)
둘째, 지역스포츠클럽 사업은 2004~2005년까지 지역별 종목클럽의 발전 방안 모
색 등을 위해 우리나라 시군구의 지역실정에 맞는 지역스포츠클럽 모델 개발을 위
해 추진되었다.
정부가 지역스포츠클럽 사업을 추진한 것은 스포츠클럽을 통해 새로운 발전 체계
를 구축하기 위한 것으로 체육단체 통합 이전 국민생활체육회 회원 단체인 국민생
활체육전국종목별 연합회 중에서 정부 보조가 아닌 마사회 보조금을 지원받아 회원
의 회비와 출연금 등 자체예산으로 운영이 이루어졌다.
종목으로는 축구, 배드민턴, 테니스종목이 선정되어 각 클럽 리그 전(성인, 청소년),
초보자 교실(성인 및 유⋅청소년), 클럽과 학교 연계 프로그램 및 회원 확보 등의
프로그램을 포함하며 운영되었다.

25
스포츠클럽 육성을 위한 법제 개선 연구

그러나 지역 스포츠클럽사업은 농어촌 군지역을 중심으로 추진한 결과 농어촌 지


역 생활체육 발전에는 기여하였으나 지역적 특성으로 인해 유⋅청소년 강습회원의
확보가 어려웠고, 리그운영이 거의 이루어지지 못했다. 또한 스포츠클럽을 운영할
만한 인력이 부족하여 스포츠클럽의 조직구조가 제대로 구축되지 못했으며, 지역단
위 교육기관과 연계가 충분히 이루어지 못해 지역스포츠클럽사업에 학생들의 참여
가 저조했다.(국민생활체육회, 2005)
셋째, 한국형 스포츠클럽 시범사업은 2004년부터 당시 문화관광부에서 전문가TF를
구성하여 1년여간 기획을 통해 준비한 사업으로 2006~2010년까지 생활체육과 엘
리트체육의 이원적 구조와 성인 남성 중심의 폐쇄적 체육동호인 조직 구성 운영,
학교운동부 중심 선수자원 확보 한계 등을 극복해보기 위해 추진되었다.
즉, 한국형 스포츠클럽 시범사업은 학교체육-생활체육-엘리트체육의 연계 및 발전
기반을 조성하며, 성인남성 위주로 구성하여 활동 중인 생활체육동호인 형태에서 벗
어나 어린이, 청소년, 여성, 노인, 장애인 등 기존 스포츠 소외계층을 스포츠클럽으
로 적극 유입하여 모두가 체육활동 참여할 수 있는 새로운 체육시스템을 제도화하
는데 목적이 있었다.
한국형 스포츠클럽 시범사업은 국민체육진흥기금과 지방비에서 5:5로 부담하는 것
을 원칙으로 재원을 확보하였으며, 5:5확보가 어려울 경우 기금과 지방비를 7:3으로
부담하는 것도 가능하도록 하였다.
한국형 스포츠클럽 시범사업의 특징은 스포츠클럽을 육성하기 위해 국가가 지방자
치단체까지 참여하도록 하여 범국가적으로 추진하였으나 결국은 시범사업이 끝나는
2011년을 기점으로 그 동안 지원을 받아 운영하는 스포츠클럽들은 정부 및 지방자
치단체의 지원이 끊기자 대부분 해산되어 스포츠클럽이 한국에서 자생적으로 정착
하기는 쉽지 않다는 교훈을 남겼다.
넷째, 종합형 스포츠클럽 사업은 2013년부터 박근혜정부의 국정과제에 포함되면서
전국 229개 지방자치단체에 문화법인형 스포츠클럽을 배치한다는 차원에서 시행되
어 2017년 9말 현재 52개소가 운영 중에 있다.
종합형 스포츠클럽 사업은 지방자치단체의 체육시설을 거점으로 다양한 계층과 연
령층의 지역주민이 원하는 종목을 저렴한 비용으로 즐길 수 있는 거점 체육시설 중
심의 선진형 공공클럽을 육성하고, 이를 통하여 청소년 건강증진, 우수선수 발굴에
기여 등 생활체육-학교체육-전문체육의 연계발전을 도모하기 위하여 시작되었다.
종합형 스포츠클럽 사업은 공모를 통해 선정된 클럽에 3년간 지역형은 연간 2~3
억원(총6~9억원), 거점형은 연간 8억원(총24억) 범위 내에서 지원하고, 3년 경과 후
에는 회비, 기업 후원 등으로 자립할 수 있도록 추진하고 있다.
또한 엄격한 평가관리를 통하여 1년차 스포츠클럽에게는 컨설팅을 중심으로 관리
지원하고 2년차 이상 스포츠클럽에게는 연간 2회(상⋅하반기) 성과평가를 실시하여

26
제3장 스포츠클럽 육성사업 현황과 관련 법제 분석

우수클럽은 해외연수 기회제공 등 인센티브 제공하고 부진클럽은 지원을 중단하거


나 퇴출을 시키고 있다.
평가지표로는 운영투명성, 기획, 운영, 성과 등 4가지 지표로 평가하고 부진클럽
지정시 정상화 요구 후 미충족 되면 예산지원을 중단하고 스포츠클럽 자격을 박탈
하여 기 지원된 예산도 회수하고 있다.

2. 시사점

지금까지 정부는 우리나라에서 선진형 체육시스템이라 할 수 있는 스포츠클럽을


안정적으로 정착시키기 위해 다양한 정책들을 수립하고 지원해 왔다. 그럼에도 불구
하고 현재까지 선진형 스포츠클럽의 안정적 정착이나 성공사례는 찾아보기 쉽지 않
다.
그 동안 정부가 추진했던 스포츠클럽 육성 사업은 성인남성 중심의 폐쇄적 생활
체육동호인 조직 운영과 운동부 중심의 선수육성 한계 극복, 지역공동체 복원이라는
목적 의식을 가지고 추진해 왔다. 따라서 정부는 스포츠클럽을 통하여 초보자도 쉽
게 운동할 수 있는 강습중심의 대중스포츠클럽 육성, 지역사회 생활체육서비스 제공
과 엘리트선수를 육성하는 공공스포츠클럽, 체육시설-지도자-프로그램을 통합 제공
하는 자립형 스포츠클럽을 지향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목표는 기존의 모든 사업에서 대부분 달성하지 못하고 말았다고
할 수 있는데 기존 사업을 통해 얻을 수 있는 시사점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자립운영 기준년도의 단기성이다. 정부의 스포츠클럽 육성 사업은 앞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명확한 목표를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스포츠클럽 정착 가능
시기를 3년으로 설정하고 3년 이후에는 정부지원을 일방적으로 중단한다는 것이다.
물론 스포츠클럽이 정부지원을 받는 3년간 열심히 노력하여 자립기반을 구축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일반적으로 스포츠클럽이 자립기반을 구축하기 위해서는 가장
필수 요소라 할 수 있는 클럽운영의 거점시설이 필요하다.
그러나 지금의 스포츠클럽들은 대부분 지역의 공공체육시설을 위탁받거나 무상으
로 사용하고 있는 수준에 불과하고 그것 역시도 정부가 지원하는 기간 내에서만 가
능하다. 정부가 지원을 중단할 경우 지방자치단체의 매칭 지원의 범주에서 지방자치
단체로부터 시설 사용을 지원받던 근거가 사라져 클럽의 거점 시설 또한 불분명한
위치에 놓이게 된다.
따라서 자립운영 기준년도를 현재의 3년보다 더 길게 설정하거나 정부의 지원이
중단되어도 정부의 지원에 의해 설치 운영된 스포츠클럽에 대해서는 지방자치단체
의 체육시설 사용을 장기화 할 수 있는 법적 근거를 갖추는 것이 필요하다.
둘째, 은퇴선수 지도자 확보의 탄력성이다. 공공체육시설을 무상 또는 그에 준하

27
스포츠클럽 육성을 위한 법제 개선 연구

는 수준으로 활용하는 스포츠클럽이 지역사회 회원들에게 수준 높은 강습서비스를


제공하여 회원들의 경기력을 지속적으로 발전시켜 나가도록 하는 것은 바람직한 방
향이다. 그러나 수준 높은 강습서비스를 제공하여 회원들의 경기력을 높이기 위하여
지도자의 30% 이상을 은퇴선수로 충당하도록 하는 것은 자생력이 미약한 스포츠클
럽에 대한 인건비 부담을 가중시켜 오히려 자생력을 약화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따라서 은퇴선수의 사회 적응과 은퇴 후 생계유지 지원을 위해 정부 정책상 스포
츠클럽 지도자로 취업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면 이에 대한 지원은 지원중단 후에도
일정기간 더 이루어지거나 스포츠클럽이 은퇴선수를 지도자로 채용하여 배치할 경
우 생활체육지도자 배치사업과 같이 일정비용을 보조할 필요가 있다.
셋째, 다연령 다계층 회원 확보율에 따른 지원의 차별성이 필요하다. 스포츠클럽
은 정부의 지원과 지방자치단체 공공체육시설의 거점시설 사용 등에 따라 종목별로
다양한 연령층이 참여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특히 지금까지의 우리나라 체육동호
인 조직의 활동이 연령대별로 분리되어 운영되거나 성인 남성 중심의 폐쇄적 운영
되어 온 점을 감안하면 더욱 필요한 사항이다.
정부의 스포츠클럽에 대한 정책 목표 역시 특정 연령대가 아닌 노인층 및 유⋅청
소년층 등 전 연령대가 함께 참여하며, 성인이 청소년을, 청소년 내에서도 고학년이
저학년의 체육활동을 도우며 모두가 참여하는 체육활동을 지향하고 있다.
그러나 실제 운영사례는 유⋅청소년층의 참여는 미약하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는 노인층 및 유⋅청소년층의 구성 비율에 따른 차등 지원이 이루어져야 한다. 독
일의 경우는 지방자치단체가 스포츠클럽을 지원할 경우 청소년의 참여비율을 지원
지표로 활용하고 있다.
넷째, 선수 육성을 위해 대회참여가 보장되어야 한다. 스포츠클럽을 통한 우수선
수 육성은 현재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스포츠클럽 사업 목표 중의 하나이다. 그럼
에도 불구하고 정부는 스포츠클럽에서 운영 중인 종목간 대회나 리그제 등을 개설
하여 운영하지 않고 있으며, 스포츠클럽 회원들의 일반대회 참여마저도 제대로 보장
하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은 스포츠클럽에서 우수선수를 육성할 수 있는 동기
를 부여할 수 없다.
따라서 정부는 스포츠클럽 회원도 자유롭게 정부나 지방자치단체, 공공기관에서
개최하거나 지원 및 후원하는 각종대회에 스포츠클럽 회원들이 스포츠클럽 소속으
로 차별없이 참가할 수 있도록 보장해줘야 한다.
다섯째, 스포츠클럽 육성사업을 임의의 행정사업에서 법률에 의한 법정사업으로 위
상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과거부터 현재까지 정부가 시행한 스포츠클럽 육성사업은
모두 대통령의 지시나 담당공무원들이 입안하여 시행한 임의적 행정사업이었다. 그
런 이유로 정부의 사업기간이 끝나면 지방자치단체의 지원근거가 부재하여 스포츠

28
제3장 스포츠클럽 육성사업 현황과 관련 법제 분석

클럽 사업은 표류하거나 소멸되고 말았다.


물론 지난 2015년 3월 생활체육진흥법이 시행되면서 스포츠클럽에 대한 법률조문
이 신설되어 스포츠클럽에 대한 법적 근거를 갖추게 되었지만 스포츠클럽에 대한
지원은 생활체육진흥법 시행령 제4조에서 공공체육시설의 운영 및 관리 위탁, 생활
체육지도자의 배치 지원, 스포츠클럽의 운영비 보조, 그 밖에 스포츠클럽 정보망의
구축·운영 등 스포츠클럽 육성에 필요한 사항으로 제한적 일뿐 선수육성 지원, 대회
운영 및 출전 보장, 사업 위탁 등에 대한 다양한 내용들이 부재하다. 이에 대한 개
선이 필요하다

제2절 스포츠클럽 육성관련 법제 분석

1. 우리나라 법제

스포츠클럽 육성과 관련하여 현존하는 우리나라의 법률은 국민체육진흥법과 생활체


육진흥법, 체육시설의 설치⋅ 이용에 관한 법률을 들 수 있다.
국민체육진흥법은 1962년 9월 17일 제정된 법률로서 ʻ국민체육을 진흥함으로써 국
민의 체력을 증진하고 건전한 정신을 함양하여 명랑한 국민생활을 영위하게 하며,
나아가 체육을 통하여 국위선양에 이바지함ʼ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 법은 체육진
흥의 기본이 되는 조장적 성격의 법으로서 체육, 선수, 체육지도자, 체육동호인조직,
운동경기부 등의 제 개념을 규정하고 있다.
스포츠클럽과 관련해서는 독립된 조문이 없으나 제3조에서 국가와 지방자치단체의
체육진흥시책 수립 및 체육활동의 권장⋅ 보호⋅ 육성의무를, 제4조에서는 문화체육
관광부 장관의 기본시책 수립⋅ 시행의무를 규정하고 있는데 이 조문에 따라 스포
츠클럽 육성과 관련한 기본계획 수립이나 육성 지원을 추진할 수는 있다. 그러나
모두 강제성을 담보하는 사안들이 아니므로 인해 국가와 지방자치단체가 스포츠클
럽을 육성하기에는 적잖은 한계가 있다.
체육시설의 설치⋅ 이용에 관한 법률은 1989년 3월 31일 제정⋅ 공포된 법률로서
‘체육시설의 설치와 이용을 장려하고 체육시설업을 건전하게 발전시켜 국민의 건강
증진과 여가선용에 이바지함’을 목적으로 하며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로 하여금 공공
체육시설의 설치 의무를 정하고 있다.
또한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와 직장의 장에게 전문체육시설, 생활체육시설의 설치
및 운영의 의무를 부가하는 동시에 지역주민을 위해 동 체육시설을 개방하도록 규
정하고 있으며, 국가와 지방자치단체의 전문체육시설 및 생활체육시설 사용을 촉진
하기 위하여 국가와 지방자치단체의 전문체육시설 및 생활체육시설에 대한 사용료
감면을 하도록 하고 있다

29
스포츠클럽 육성을 위한 법제 개선 연구

스포츠클럽과 관련해서는 국민체육진흥법과 마찬가지로 독립된 조문이 없으나 국가


와 지방자치단체의 전문체육시설 및 생활체육시설 사용을 촉진하기 위하여 지역주
민을 위해 체육시설을 개방하도록 하고 동시에 사용료 감면을 하도록 하고 있어 스
포츠클럽이 저렴하게 시설을 이용할 수는 있으나 그 대상이 클럽이 아닌 회원인 지
역주민을 대상으로 하고 있어 이 조항 역시 스포츠클럽 육성 지원에 적용하기에는
적잖은 한계를 가지고 있다.
마지막으로 생활체육진흥법은 2015년 3월 27일에 제정된 법으로 ‘생활체육 활성화
를 위해 필요한 사항을 규정함으로써 생활체육의 기반조성 및 활성화를 도모하고,
생활체육을 통한 국민의 건강과 체력증진, 여가선용 및 복지 향상에 이바지하며, 생
활체육과 전문체육의 연계를 강화하여 체육정책의 통일성을 높이는데 기여’함을 목
적으로 하고 있다.
스포츠클럽과 관련해서는 국민체육진흥법과 체육시설의 설치⋅ 이용에 관한 법률과
는 달리 제2조에서 스포츠클럽을 정의하였고(제2조5호) 제9조에서 스포츠클럽의 육
성 및 지원에 관한 사항을 규정하여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로 하여금 스포츠클럽 육
성에 관한 시책 마련과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스포츠클럽의 육성에 필요
한 행정⋅재정상 지원을 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나 법 제9조에 따라 위임된 지원요건을 규정한 생활체육진흥법 시행령 제4조
는 공공체육시설의 운영 및 관리 위탁, 생활체육지도자의 배치 지원, 스포츠클럽의
운영비 보조, 그 밖에 스포츠클럽 정보망의 구축·운영 등 스포츠클럽 육성에 필요한
사항만을 제한적으로 제시할 뿐 정부의 스포츠클럽 육성 정책 목표인 선수육성 등
에 대해서는 내용이 부재한 한계를 가지고 있다.

2. 외국의 법제

가. 독일

독일은 주단위 자치권이 강력하게 보장된 연방제 국가로 중앙정부 차원의 스포츠
클럽 육성에 대한 직접적인 법률은 존재하지 않는다. 다만 지방정부 단위에서는 스
포츠지원법이나 지침 들을 통해 스포츠클럽에 대해 지원하고 있다. 독일에서 스포츠
클럽 육성과 관련 법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 중앙정부차원의 관련 법률

독일의 중앙정부 차원의 스포츠클럽 육성관련 법제가 존재하지는 않지만 독일의


스포츠클럽이 법인격을 전제로 등록하는 것을 전제로 하므로 이와 관련한 법률들을
근거로 하여 스포츠클럽 육성과 관련한 독일 중앙정부의 법적 근거는 민법이나 사

30
제3장 스포츠클럽 육성사업 현황과 관련 법제 분석

단법인진흥법에서 부분적으로 찾아볼 수 있다. 이를 발췌하여 정리하면 다음과 같


다.

(1) 독일 민법

독일 민법에서는 제2편 사단법인편에서 스포츠클럽 육성과 관련한 조문들을 찾아


볼 수 있다. 이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제2편 법인
제1장 총칙
제21조(비영리사단법인) 영리가 아닌 사업을 목적으로 하는 사단법인은 관할법원에
설립등기를 함으로써 권리능력을 가진다.

제24조(사단법인의 주소) 사단법인의 주소는 다른 것이 정해지지 않는 한 그 행정


이 처리되는 곳을 주소지로 한다.

제25조(사단법인의 기본규정) 권리능력을 가진 사단법인의 기본규정은 이하 조문 이


외의 사항에 대해서는 사단법인의 정관으로 정한다.

제26조(이사회 및 대표권) ① 사단법인은 이사회를 두어야 하고, 이사회는 다수인으


로 구성할 수 있다.
② 이사회는 법인의 사무에 관하여 법인을 대표하며, 법정 대리인의 지위를 갖는다.
제3자에 대항할 수 있는 대표권의 제한은 정관에 기재하지 아니하면 그 효력이
없다.

제27조(이사회 구성원 선임과 업무이행) ① 이사회 구성원의 선임은 총회의 결의에


따른다.
② 선임은 언제든지 철회할 수 있으며, 계약상의 보상청구권은 영향을 받지 않는다.
철회는 정관에 의거 특히 의무를 손상시켰거나, 정상적인 업무 집행능력이 결여
되었을 경우 등 철회에 대한 중대한 이유가 있을 경우에 한해서 할 수 있다.

제31조(사단법인의 책임) 사단법인은 이사회, 이사회 구성원 또는 다른 법률에 의거


선임된 대리인이 업무집행에서 제 3자에게 손해를 끼쳤을 경우에 그 손해에 대
해 배상 책임을 진다.

제32조(회원총회) ① 사단법인의 사무는 이사회 또는 기타 사단법인의 조직에게 위

31
스포츠클럽 육성을 위한 법제 개선 연구

임한 사항 외에는 회원 총회의 결의에 의하여야 한다. 총회의 소집은 그 회의의


목적사항을 기재하여 통보하여야 한다. 총회의 의사는 출석한 회원 과반수의 찬
성으로 의결한다.
② 총회의 의사는 회원 전원의 찬성 동의를 얻어 서면 결의할 수 있다.

제36조(총회의 소집) 총회는 정관에 정한 경우 또는 사단법인의 이익을 위하여 필


요하다고 인정될 때에 소집할 수 있다.

제43조(권리능력의 박탈) ① 사단법인이 법률에 위반되는 총회의 결정 또는 법률에


위반되는 이사회의 행위를 한 때에는 권리능력이 박탈된다.
② 영리사업을 목적으로 하지 않는 사단법인이 영리를 추구할 때 그 권리능력이 박
탈된다.
③ 삭제
④ 권리능력이 허가에 의해서 취득된 사단법인이 정관에서 정하지 않은 다른 목적
을 추구할 때 권리능력이 박탈된다.

제55조(법원의 관할) ① 사단법인의 등기는 제21조에 명시되어 있는 대로 사단법인


이 그 주소지를 가지고 있는 행정구역의 법원에서 하여야 한다.
② 주의 사법행정기관은 사단법인 등기 업무에 여러 법원의 관할이 중첩될 경우 하
나의 법원을 지정할 수 있다.

제56조(회원의 수) 등기할 때 회원의 수는 7인 이상 이어야 한다.

제59조(등기신청) ① 이사회는 법인의 등기를 신청하여야 한다.


② 신청 시에는 다음 사항들이 첨부되어야 한다.
1. 정관의 원본과 사본
2. 이사회선임에 대한 기록의 사본
③ 정관은 7인 이상이 서명하여야 하고, 정관 제정일이 명시 되어야 한다.

제64조(등기 내용) 등기에 있어서는 사단법인의 명칭, 주소, 정관작성일자 및 이사


회 구성원을 사단등기부에 기재해야만 한다. 이사회의 대표권을 제한하는 규정이
나 이사회의 결의는 제28조 1항과 다르게 등기부에 기재되어야 한다.

제69조(등기증명서) 이사회가 등기부에 등기된 사람에 의하여 구성되었음을 관청에


대하여 증명하는 것은 법원의 등기증명서에 의한다.

32
제3장 스포츠클럽 육성사업 현황과 관련 법제 분석

제73조(권리능력 박탈) 회원수가 3인 미만인 경우 법원은 이사회의 청구, 또는 그


청구가 3개월 내에 이루어 지지 않을 경우 법원은 직권으로 이사회의 의견을 청
취 후, 사단법인으로부터 권리능력을 박탈 할 수 있다.

제74조(사단법인의 해산) ① 사단법인의 해산과 권리능력 박탈은 사단등기부에 등기


하여야 한다. 파산절차가 진행 중일 때에는 등기할 수 없다.
② 사단법인이 총회의 결의에 의해서 또는 사단법인의 존속기간으로 정한 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해산할 때에는 이사회는 해산의 등기를 신청해야 한다. 총회에
의해 해산이 결의된 때에는 해산을 결의하는 기록의 사본을 첨부해야 한다.
③ 제43조에 의해 사단법인의 권리능력이 박탈된 때의 등기는 관할 행정관청의 통
지에 의한다.

(2) 사단법인진흥법

독일의 사단법인진흥법에서는 세제혜택과 관련한 조문들이 스포츠클럽육성과 관련


한 해당 조문들이다. 이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제64조(세금 납부의무가 부과되는 영업) ① 법인이 영리를 목적으로 경제활동(제 14


조)을 할 경우에는 세금혜택을 주지 아니한다. 법인은 그 영업운영이 목적사업이
아닐 때 (제 65조 68조) 영업활동에 해당하는 과세의 기본사항들에 대해 (수입,
판매, 재산) 세금혜택을 잃게 된다.
② 법인이 목적사업이 아닌 여러 개의 이익 영업소들을 운영한다면 이것은 이익을
목적으로 하는 영업사업으로 취급 된다.
③ 매출세금을 포함하여 목적사업이 아닌 영리적 영업사업들로부터 그 수입이 일년
에 6만 마르크를 넘지 않는다면 이 영업사업은 세금의 기본이 되는 법인세와 영
업세를 내지 않아도 된다.

제67a조(스포츠행사들) ① 스포츠클럽(사단법인)들의 스포츠행사는 그 수입이 매출


에 대한 세금을 포함하여 총 6만 마르크를 넘지 않을 경우 목적사업으로 본다.
음식과 음료의 판매, 광고는 스포츠행사에 속하지 않는다.
② 스포츠클럽은 세무서의 법인 과세에 대항할 수 없을 시, 사전에 제1항 1문의 적
용을 포기한다는 의사표시를 할 수 있다. 이 의사표시를 한 경우에는 스포츠 사
단법인에게 적어도 5회의 과세를 위한 준비기간을 제공할 수 있다.
③ 1항 1문의 적용이 불가한 경우라도, 스포츠 사단법인의 스포츠행사들은 다음과
같은 경우를 목적사업이라 한다.
1. 사단법인의 어떤 선수도 그 스포츠활동의 대가 또는 그 사람이나, 명칭․사진의

33
스포츠클럽 육성을 위한 법제 개선 연구

이용이 사단법인이나 제 3자의 광고를 목적으로 하지 않고, 사용된 경비 이상을


넘어서는 대가나 다른 이득을 취하지 않을 경우
2. 다른 어떤 선수도 경기에 참여하는 대가로 사단이나 사단과 연합하여 제 3
로부터 들어간 비용을 넘어서는 대가나 다른 이익을 받지 않아야 한다.
다른 스포츠행사는 세금의 의무를 지니는 경제적 영업활동이다. 이 영업은 경제
적대가나 다른 이익이 전적으로 목적사업이 아닌 경제적 영업행위 또는 제 3자에
한 것일 때에는, 세금혜택을 받지 못한다.

2) 지방정부차원의 관련 법률

독일은 연방국가로서 분권형 지방자치권이 강조되는 연방국가의 특성이 법제에서


도 그대로 나타난다. 라인란츠팔츠 주의 스포츠지원법을 통해 스포츠클럽 육성에 대
한 사항을 발췌하여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 라인란츠팔츠 주 스포츠지원법

제1조(목적) 이 법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a. 모든 거주자에게 적절한 스포츠 활동 제공
b. 중/고등학생, 대학생, 직업학생의 스포츠지원 보장
c. 자유로운 놀이를 위한 다양한 가능성 지원
d. 체육단체가 자율적, 스스로 책임지는 활동을 할 수 있도록 보장 및 향상

제2조(공공과제의 스포츠지원) ① 주(州)와 시, 군, 구 및 지방자치단체는 거주자의


복지를 위하여 스포츠를 지원할 의무를 가진다. 제6조(스포츠시설 계획원칙), 제7
조(스포츠시설 계획수립), 제15조(스포츠시설 안전과 사용)에 따른 법적조항은 자
기운영(Selbstverwaltung)을 전제로 하여 실현되어야 한다.
② 이러한 법에 따라 지방자치단체는 근처 지역도시와 조직적인 협력 및 통합을 통
하여 체육진흥을 위한 과제를 잘 이해하고, 공공 스포츠관리에 따른 과제를 올
바르게 수행하여야 한다.

제3조(공공지원의 대상) ① 공공 스포츠시설의 계획과 건축은 일반적, 전문적 상담


등을 통하여 지원받는다.
② 또한 지자체의 스포츠관리와 자기책임원칙을 가진 체육협회, 스포츠클럽도 지원
받는다.
③ 공공지원은 직업스포츠의 목적을 둔 조치에 해당되지 않는다.

34
제3장 스포츠클럽 육성사업 현황과 관련 법제 분석

제4조(스포츠시설과 여가시설) ① 스포츠시설과 여가시설에 해당되는 기관은 다음과


같다.
1. 학교, 클럽, 다른 사용집단의 훈련과 대회목적을 가진 체조장과 실내체육관
2. 다양한 훈련과 대회목적으로 분류된 자유공간인 운동장시설, 또한 자유공간에
훈련과 대회가 진행될 수 있는 가능성을 가진 종목과 공간적, 기능적인 조건을
갖춘 운동장시설도 포함된다.
3. 학교, 스포츠클럽,협회에서 지도,훈련,대회의 목적을 가지고, 주민들의 휴식, 수
영능력을 펼칠 수 있는 실내/외 수영장
4. 특별한 종목으로 정해진 특별 스포츠시설
5. 공공놀이터
6. 다양한 목적을 가진 스포츠, 게임, 휴식의 여가센터
② 유아, 장애인, 노인들은 타인의 보조없이 이러한 시설을 찾고 사용할 수 있어야
한다.
③ 사회,보건,스포츠부 장관은 스포츠시설관련 장관들과 공동 협력하여 스포츠시설
의 적용분야, 크기, 분류, 부대시설 등의 특징에 관한 규정을 결정한다.

제5조(공공 놀이터) ① 공공놀이터는 유아와 가족에게 적합하며, 게임과 가벼운 스


포츠활동을 할 수 있는 집근처의 놀이터를 말한다. 이 공간은 자유롭고, 사회적
인 관계를 도모하는 게임을 지향하고, 다양한 게임형태를 가능하게 하고, 유소년
의 신체적, 정신적 능력을 발전시키는 목적에 있다.
② 0~6세의 유아를 위한 놀이터는 집에 가까운 곳에 위치하여야 한다.
③ 가족을 위한 놀이터는 동네 근처에 설치되어야 한다. 이 공간은 모든 연령대가
사용할 수 있는 곳이어야 하고, 0~6세 유아를 위한 공간, 초등학생을 위한 공
간, 가족을 위한 공간으로 분류되어 설치되어야 한다.
④ 공공놀이터의 필요 시 주건설법에 따라 개인놀이터시설의 설치 및 유지에 관한
의무사항이 고려될 수도 있다.
⑤ 유아, 장애인, 노인들은 타인의 보조없이 이러한 시설을 찾고 사용할 수 있어야
한다.
⑥ 사회,보건,스포츠부 장관은 재정부장관과 공동 협력하여 스포츠시설의 적용분야,
크기, 분류, 부대시설 등의 특징에 관한 규정을 결정한다.

제6조(스포츠시설 계획원칙) ① 주(州)는 스포츠시설 계획수립 시 시,군,구와 함께


협력하여 원칙을 세운다. 해당관청은 일반적, 전문기술적 상담을 통해 주를 지원
해야 한다.
② 스포츠시설 계획원칙은 알맞은 시간계획 하에 진행된다.

35
스포츠클럽 육성을 위한 법제 개선 연구

제7조(스포츠시설 계획수립) ① 시군구는 스포츠시설의 목적, 상태와 장단점의 세부


설명이 있는 스포츠시설 계획을 수립하여야 한다. 특히 스포츠시설 계획수립은
스포츠시설의 종류, 크기, 장소 등이 포함되어야 한다.
② 스포츠시설 계획원칙은 알맞은 시간계획 하에 진행된다.

제8조(지원원칙 승인) ① 스포츠시설 계획원칙과 계획수립은 주(州) 차원의 관리, 계


획 그리고 공간에 관한 목적과 필요에 따라 고려되어야 한다. 시설지원 허가는
사회보건스포츠부에서 결정한다.
② 재정지원은 스포츠시설 지원계획에 따른 허가를 받은 시설이어야 하고, 기본적으
로 주(州)를 통해서 가능하다. 스포츠시설 계획에 명시된 기간까지만 재정이 지
원된다.

제9조(공간분류와 용기구) ① 스포츠시설은 사용목적에 따라 분류되는데, 학교가 가


장 우선순위에 있다. 도시계획 관점에 따라 학교가 우선순위에서 변할 수 있다.
이 법은 일반적으로 공공놀이터에 해당되지 않는다.
② 스포츠시설의 공간분류는 주(州) 관리차원의 관점으로 고려되고 있다.
③ 전체스포츠시설, 수영장, 다른 스포츠시설의 계획은 학교스포츠와 협회스포츠/클
럽스포츠, 여가스포츠의 요구에 따라 예측 및 산출되어야 한다.

제10조(시행규정) 사회보건스포츠부장관은 관련 장관들과 합의를 통해 설명의 형태


와 양식, 필요방법에 관한 규칙을 가지고 스포츠시설 계획 수립에 관한 법을 결
정한다.

제11조(법적책임 단체) ① 스포츠시설의 건축, 관리와 유지는 시,군,구의 승인된 스


포츠시설 계획에 따라 이루어진다.
② 스포츠시설의 단체는 기본적으로 시군구에서 법적책임을 지닌다. 특별한 경우 주
규정 제2조 2항의 조건에 상응하여 주(州)가 법적책임을 진다.
③ 다른 단체에 소속된 스포츠시설의 경우 스포츠시설 계획의 허가결정을 받았으면
지원금을 받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타 소속 스포츠시설) 시군구는 적절한 지원
금(예: 건설비)을 통하여 스포츠시설조건을 충족시킬 수 있다.
④ 학교와 대학교 스포츠시설의 책임단체는 특별한 규정을 따른다.

제12조(지원원칙) ① 주(州)는 주재정계획 안에 따라 지원받은 스포츠시설의 신축


및 철거에 관한 비용을 부담한다. 지원금에 해당하는 비용은 다음과 같다.
- 순수 건축비(필요한 부대시설 비용포함)

36
제3장 스포츠클럽 육성사업 현황과 관련 법제 분석

- 필요한 부지의 개발비용


- 울타리, 잔디 설치비용
- 지원가능한 건설정책에서 제외된 부대비용
- 대회시설의 경우 필요한 관중시설비용
실내외 수영장과 체조장, 실내체육관의 지원비용은 일반적으로 최대 총액으로 결정
된다. 특히 토지 취득 비용, 시설관련 토지 이외의 개발비용, 주차장비용, 매상비
용은 지원금에 해당되지 않는다.
② 지원금 배분은 법인단체의 재정크기에 따라 고려된다. 주의 지원금은 단체가 추
가비용을 획득할 수 있을 경우에만 지속된다.
③ 민간단체 소속 학교와 대학교는 특별한 규정을 따른다.

제13조(시와 지자체 협력) ① 지방자치단체는 해당 군이 예상한 지원금을 적절하게


받았을 경우 일반적으로 주(州)를 통해서만 지원받는다.
② 다른 단체 소속기관의 지원은 주와 지자체 협력으로 가능한 지원금을 합의하는
경우에만 이루어진다.
③ 민간단체 소속 학교와 대학교는 특별한 규정을 따른다.

제14조(주 규정) 사회보건스포츠부장관은 모든 스포츠시설의 통합지원에 관한 규정


이 포함되어 있는 공동 주(州)규정을 적용해야 한다. 지원방식, 지원금의 크기,
추가비용의 산출은 관련 장관들과 합의하여 문화부장관과 함께 결정한다.

제15조(안전과 사용) ① 공공재정으로 설치되거나 지원받은 스포츠시설은 반드시 안


전규칙이 명시되어야 한다 스포츠초보자를 위한 안전규칙은 허가받은 관청에서만
명시할 수 있다. 단기간 다른 목적으로 사용되면 다음과 같은 경우 승인없이 가
능하다.
② 학교스포츠와 대학스포츠 그리고 훈련과 대회목적을 가진 체육협회는 공공스포
츠시설을 무료로 사용할 권리를 가진다. 또한 상업적인 대회나 행사를 위한 무료
사용 그리고 입장비용을 받는 것은 기본적으로 배제된다. 일반적으로 실내외 수
영장은 무료사용이 제외된다. 학교수업 시 실내외 수영장 사용은 항상 무료이다.
③ 공공재정을 지원받은 민간단체는 학교, 추가비용이 생기지 않는 스포츠목적을 가
진 사용자집단이 사용가능하다. 사적인 목적으로 시설을 운영할 수 없다.
④ 공공재정이 지원된 스포츠시설의 단체는 시설소유주와 학교가 합의하여 사용자
계획을 작성하여야 한다. 학교스포츠와 대학스포츠가 우선순위에 있어야 하며,
그 다음 체육협회의 훈련과 대회에 대한 시간과 범위가 정해져야 한다. 또한 장
애인스포츠, 여가스포츠, 관광의 계획들도 적절하게 고려되어야 한다.

37
스포츠클럽 육성을 위한 법제 개선 연구

제16조(주 지원) ① 라인란츠 주체육회는 생활스포츠, 엘리트스포츠, 여가스포츠 육


성을 위하여 관련 조직과 다른 공공단체와 협력하여 모든 거주자들에게 규정을
투명하게 알려야 할 의무를 가진다. 주체육회는 위와 같은 과제수행을 위하여 주
(州)재정계획 안에 따라 지원금을 받는다.
② 지원여부는 체육단체들이 과제해결을 위하여 통상적 그리고 기대할 수 있는 성
과에 따라 다르다.
③ 지원은 다음과 같은 영역에 할당된다.
- 일반적 체육협회, 클럽 사업 지원 시
- 생활스포츠, 엘리트스포츠
- 장애인스포츠
- 직업교육/연수
- 스포츠의학 상담과 보호
④ 주재정 지원 및 지출은 재정부장관 그리고 회계 감사원의 의견일치를 통하여 사
회,보건,스포츠장관의 규정에 따라 결정된다. 주체육회의 회원으로 가입된 체육단
체들은 주체육회 규정 제3조에 따라 계획된 지원금을 받는다.

제17조(과제 및 구성) ① 주스포츠부협의회 업무는 주정부 상담을 위하여 스포츠관


련 기본질문의 답변하는 것이다. 이 기관은 주, 지자체, 체육단체의 스포츠진흥정
책에 관하여 의견을 제시할 수도 있다.
② 주스포츠협의회 인력은 주체육회소속 18명, 주의회소속 6명, 주정부소속 6명 지
자체소속 6명으로 총 36명이다.
③ 주스포츠협의회는 다수결 원칙에 의거하여 회원의 2/3이상이 찬성으로 결정된
운영규정을 가진다.

제18조(관할) ① 스포츠지원법 책임은 사회보건스포츠부서 담당이다. 학교스포츠와


대학스포츠분야는 문화부담당이다.
② 사회보건스포츠장관과 문화부장관은 법규정을 통하여 각각 다른 관청에 이관할
수 있다.

제19조(효력) 이 법은 1975년 1월 1일에 효력을 가진다.

(2) 슈투트가르트 시 체육진흥지침

제1조(스포츠클럽의 시설 임대)
제1조1항 : 슈투트가르트 시 스포츠시설 규정

38
제3장 스포츠클럽 육성사업 현황과 관련 법제 분석

ㅇ 슈투트가르트 시는 일반적으로 스포츠클럽을 위하여 운동장, 육상시설, 운동공간,


주차장 등의 시설을 건축한다.
ㅇ 스포츠클럽의 요구에 따라 시로부터 지원받아 건축된 스포츠시설은 스포츠클럽
의 자기책임원칙을 통해서만 임대될 수 있다.
ㅇ 슈투트가르트 시를 통한 스포츠시설임대를 받는 스포츠클럽은 다음과 같은 장점
을 가진다.
- 스포츠클럽은 생활체육의 중심지가 된다.
- 스포츠시설관리는 의무이자 법으로 자기책임원칙(자율성)을 갖는다.
- 클럽회원들이 직접 스포츠활동하는 시설이 잘 갖춰질수록 스포츠클럽에 긍정적
인 영향을 미친다.
ㅇ 슈투트가르트 시도 또한 스포츠클럽과 같이 장점을 가진다.
- 시의 입장에서는 스포츠시설관리와 탈의실/창고건축은 스포츠클럽이 직접 하기
때문에 재정적인 절약효과가 발생한다.
- 스포츠클럽의 회원들이 자원봉사활동을 통하여 시민의식이 강화된다. 스포츠분야
에 성인들이 직접 책임지고 운영하는 것을 어린아이들이 보고 배운다.
제1조2항 : 스포츠클럽의 시설임대 원칙(임대: 토지권리포함)
ㅇ 임대이자는 연간 0.02446유로/m2 이다(부가가치세 포함)
ㅇ 시설의 관리와 유지는 스포츠클럽의 의무이다. 시는 시설유지를 위한 지원비를
연간 지원한다. 비용이 많은 요구되는 보수공사는 시가 직접 담당한다.
ㅇ 스포츠시설 내 빈 공간은 클럽에 관련된 종목을 고려하여 임대사업을 할 수 있
다. 예를 들면, 단체종목: 축구, 혹은 단일종목: 테니스이다. 이것은 스포츠클럽의
수익사업으로 추가적인 이익이 발생되고, 클럽회원모집을 위한 광고가 될 수 있
다. 지자체는 중장기적으로 봤을 때 동일한 스포츠시설에서 다양한 스포츠활동이
가능하므로 업무부담이 경감되고, 일의 효율성이 증가한다.

제2조 스포츠클럽 용구/기자재 지원


제2조1항: 지원금 허가의 일반조건
a. 스포츠클럽은 슈투트가르트 시의 소속이 되어야 하고, 일반적으로 클럽설립이 최
소1년 이상 등록되어야 한다.
b. 뷔템부르크 주체육회, 독일올림픽체육회, 바덴 뷔템베르크 주 문화,청소년,스포츠
부 관련 회원으로 가입된 스포츠클럽은 지원받을 권리를 가진다.
c. 스포츠클럽의 공공성은 재정부로부터 법인으로 인정받아야 한다.
d. 스포츠클럽의 회원 수는 일반적으로 최소 50명이상이어야 한다. 매년 주체육회
에서 회원통계조사 시 회원의 수를 증명하여야 한다.
e. 스포츠클럽의 연간 회원비는 최소 96유로(한화 약 12만원)지불하여야 한다.(적극

39
스포츠클럽 육성을 위한 법제 개선 연구

적인 성인회원의 경우) 이런 규정에 따라 회원비가 부족할 경우 다른 사업을 통


하여 보충할 수 있다.

제2조2항 : 허가방식
a. 지원금은 일반적으로 서면 신청서를 통해서 승인이 된다. 신청서양식은 슈투트가
르트 체육국 홈페이지(www.stuttgart.de/sport)에 들어가면 인쇄할 수 있다.
b. 시의 지원금은 지원금 목적 및 계획서를 통해서만 승인된다.
c. 지원금 산출의 경우 부가가치세는 포함된다. 부가가치세 환급을 받은 경우 지원
금 지출이 될 수 없다. 따라서 이에 관한 사항은 지원금 허가 신청서 작성 시
포함되어 있다. 또한 재정계획 시 부가가치세 환급 여부가 설명되어야 한다.

제2조3항: 다양한 지원금 형태


<스포츠시설 건축계획 보조금>
a. 특별조건
ㅇ 스포츠시설 건축계획이 현실적으로 실행되기 위해서는 우선 시에서 체육진흥발
전에 있어 수요분석과 건축계약 등 의견일치를 확인하고, 스포츠시설의 관심이
있어야 지원이 될 수 있다.
ㅇ 스포츠클럽은 시의 투자를 받기 위하여 재정플랜을 제시하여야 한다.
ㅇ 스포츠클럽 신설의 경우 회원 수가 최소 100명이상은 있어야 한다. 시는 안정성
확보를 위해서 스포츠클럽에게 연회원비 1인당 최소120유로(한화 약 12만원, 적
극적인 성인회원의 경우)지불해야한다고 요청할 수 있다.
ㅇ 스포츠시설 신축 지원금의 비율은 스포츠클럽 내 전체회원 수에서 유소년의 회
원이 어느 정도 있는지에 따라 달라진다. 신축의 경우(A) 최소 25~40%까지 공
사지원비가 지급이 되고, 수리 및 보수의 경우(B) 최소 15~30%까지 지원금이 보
조된다. 이에 따른 지원금 검정 및 허가는 시의 체육국과 고층담당 건설부에서
맡게 된다.

지원자 그룹
전체회원 수 중 유소년(18세까지) 회원비
분류 A B
율%
지원금 % 지원금 %

1 0~10% 25 15

2 10~20% 30 20

3 20~30% 35 25

4 30~40% 40 30
* 지원자 그룹A는 체조장, 실내체육관, 지원자 그룹B는 부대시설

40
제3장 스포츠클럽 육성사업 현황과 관련 법제 분석

b. 슈투트가르트 시 범위이외의 스포츠시설 건축계획


ㅇ 특별한 조건(예: 부족한 토지)으로 인해서 시에 지원거절을 받은 건축계획은 예
외조건(슈투트가르트 시민들이 즉시 사용되어야 하는 스포츠시설)을 고려하여 다
시 검토되어 지원될 수 있다.
c. 31,000유로이상 특별 보조금(한화 약 3,875만원)
ㅇ 이 보조금은 늦어도 공사시작 전 6개월에 확실하고 검정이 통과된 신청서류가
시 체육국에 도착되어야 한다.
ㅇ 지원금수신자는 다음과 같은 의무사항을 이해하여야 한다.

<운동장시설 유지/보수 보조금>


ㅇ 시는 운동장시설 유지와 필요한 기능공간(탈의실,샤워장)의 운영을 위하여 보조
금을 지급한다.
a. 스포츠클럽시설 외부개장
ㅇ 스포츠클럽시설 외부(단체 혹은 개인)에 개장하는 경우 발생하는 비용(여행자보
험의무, 관리/청소)은 시가 지급한다. 초과비용은 총액으로 책정되어 다음과 같
다.
- 소규모 경기장의 경우: 연간 900유로(한화 약112만원)
- 운동장의 경우: 연간 2,000유로(한화 약250만원)
b. 허가방식
ㅇ 지원금은 운동장시설 관리와 기능공간의 운영하는데 명확한 지원목적을 가진다.
운동장시설 관리가 규정에 어긋나는 경우 지원금이 아예 없거나 일부만 지원된
다. 지원금 목적에 상응하지 않는 경우 지원금을 환급해야 한다.
ㅇ 일반적으로 지원금의 용도를 증명하지 않는다. 하지만 지원금 신청서 작성 시
클럽회장이 지원금의 용도에 알맞게 사용한다는 서명을 해야한다.

<스포츠시설 운영 보조금>
ㅇ 짐나스틱실, 체조장, 실내체육관, 수영장을 가지고 있는 대형스포츠클럽은 연간
운영손실금의 55~85%까지 보조금을 받을 수 있다.
a. 보조금 크기
ㅇ 보조금은 학교나 외부(단체 혹은 개인)에 체조장, 실내체육관, 수영장시설을 개방
한 시간과 연간 운영 손실금액을 고려하여 산출된다.

41
스포츠클럽 육성을 위한 법제 개선 연구

학교/외부 개장
지원금(%)
-전체 사용가능한 시간(%)

25%이하 55

25~50% 70

50%이상 85
* 학교나 외부개방 시간은 스포츠클럽이 정한다.

<제3자 시설임대 보조금(훈련목적인 경우)>


a. 시설사용 소속 클럽회원이 아닌 경우, 제3자는 훈련목적으로 시설을 사용하게 되
면 임대비용의 50%를 지원받는다. 장기임대의 경우 매달 평균 150시간, 하루에
최대 5시간까지 사용할 수 있다.

<스포츠시설 관리기계 구입 시 보조금>


ㅇ 시는 스포츠시설 관리기계 구입 시 보조금을 지급한다. 기계가 스포츠클럽에서
훈련과 대회에서 사용되는 경우에만 지원된다. 모터스포츠는 지원되지 않는다. 2
개 혹은 그 이상의 클럽끼리 공동으로 관리기계를 사용하는 경우 지원금이 최대
70%까지 받을 수 있다.
a. 지원금의 크기

최대 지원금액 최대 가능 지원금액
지원비율(%)
(유로) (유로)

스포츠기계 30 9.000

스포츠시설 30.000 50
관리기계
특별스포츠시설 25

그 이외의 필수기계
20.500 25 5.125
(예: 비디오시설, 음악시설)

<IT기계 보조금(구입 혹은 중고)>


시는 IT기계 구입을 위하여 보조금을 지급한다.
a. 지원금 크기
ㅇ 스포츠클럽 내 자원봉사자의 행정업무를 쉽게 처리하기 위하여 이러한 지원금을
받을 수 있다. 스포츠클럽의 규모를 고려하여 시는 클럽 당 IT기계의 개수를 결
정한다.
ㅇ 최대 신청가능 금액은 5,000유로(한화 약 625만원)이다. 실제 지원금은 신청금
액의 25%이다. 다른 클럽과 협력하면 최대 50%까지 지원받을 수 있다.

42
제3장 스포츠클럽 육성사업 현황과 관련 법제 분석

<스포츠클럽 협력/통합 인건비 보조금>


a. 스포츠클럽 협력
ㅇ 어떤 사업수행 시 클럽끼리 협력이 필요한 경우 협력계약서를 체결한다. 이에
따라 시는 정직원의 경우 3년까지 25%, 이후 연간 최대 10,000유로(한화 약125
0만원)까지 보조금을 지원한다.
ㅇ 비공식적인 대담, 엘리트스포츠클럽 설립, 스타트팀, 훈련팀 등은 이 조항에 해
당하지 않는다.
b. 스포츠클럽 통합
ㅇ 단순히 스포츠클럽이 해체되지 않고 다른 클럽과 통합을 하게 되면 보조금을 지
원받을 수 있다. 지원금의 조건은 새로 통합된 스포츠클럽의 회원수가 최소 250
명이상 되어야 한다.
- 통합준비: 지원금은 스포츠클럽 통합에 관련된 비용에 즉시 지원된다. 전문상담
비용, 공증비용, 등록비용 등이다. 지원금은 실제비용의 75% 지원된다.
- 통합마무리: 등록된 스포츠클럽은 가입한 회원 당 10유로씩 1회 특별지원금을
받는다.
- 인건비 보조금: 시는 통합 후 인건비, 운영비 부족을 해결하기 위하여 정직원의
경우 3년까지 50%, 이후 연간 최대 20,000유로(한화 약 2500만원)까지 보조
금을 지원받을 수 있다.

<운동강사, 청소년지도자, 클럽운영자 지원 보조금(자격증소지한 자)>


ㅇ 슈투트가르트 소속 모든 스포츠클럽의 다음과 같은 지도자들은 연간 282유로(한
화 약35만원) 보조금을 지원받는다.
- 여가스포츠, 생활스포츠, 엘리트스포츠 (3급 자격증 소지한 운동강사)
- 예방스포츠, 재활스포츠 (3급, 2급 운동강사, 3급 트레이너)
ㅇ 운동강사와 트레이너는 연간 200시간(한화 약25만원)이하 스포츠클럽에서 활동
하게 되면, 시의 보조금은 일부만 받게 된다.
ㅇ 청소년지도자는 연간 256유로(한화 약 32만원)보조금을 받게 된다. 청소년지도자
는 뷔템베르크 청소년스포츠협회에서 “청소년지도자” 기초과정을 이수한 자이고,
유효한 자격증을 소지한 자이다.
ㅇ 클럽매니저는 스포츠전문연맹에서 교육받은 자격증을 소지한 자로서, 연간 300
유로(한화 약37만원) 보조금을 받는다. 조건으로는 클럽 내에서 최소 100시간이
상 클럽운영 혹은 조직파트에서 업무경험이다. 또한 자격증 졸업시험 시 1회 25
0유로(한화 약31만원) 보조금을 지원한다. 졸업시험수료증 혹은 자격증을 제출하
면 스포츠클럽으로 입금된다.

43
스포츠클럽 육성을 위한 법제 개선 연구

<아마추어대회 참가 시 교통비 보조금>


ㅇ 시는 엘리트스포츠와 대회스포츠의 진흥을 위하여 국내/외 마이스터대회나 리그
대회 참가시 교통비용을 지원해준다. 마이스터대회 혹은 그 이외의 대회를 참여
하는 협회는 독일올림픽체육협회의 회원으로 가입하여야 한다.
a. 지원금 크기
- 교통비 지원금은 유류비와 숙박비로 구성되어 있다.
- 유류비 : 유류비는 인당 0,06유로/km(한화 약75원)이다. 각 대회와 스포츠클럽
은 최대 0,61유로(한화 약763원, 킬로당 최대10명까지) 지원금을 받는다. 대회까
지에서 슈투트가르트까지 350km이상 떨어져 있으면, 비행기를 탑승할 수 있다.
비행기 탑승 시 지원금은 인당 0,12유로(한화 약150원)이다. 비행기여행의 경우
10명까지 제한된다. 100킬로 내 지역에서 대회가 몇 일간 진행되면 모든 대회일
유류비를 지원받을 수 있다.
- 숙박비 : 숙박비는 인당 하루 10,23유로(한화 약 12,788원) 지원금을 받을 수
있다.

나. 일본

일본 역시도 독일과 마찬가지로 스포츠클럽 육성을 위한 독립된 법률은 없다. 다


만 스포츠기본법을 통해 기본계획을 수립하고 스포츠클럽을 육성하고 있다. 또한 일
본은 종합형 스포츠클럽을 집중 육성하면서 지원의 조건을 비영리법인으로 할 것을
요구하였다. 따라서 일본에서의 스포츠클럽 육성은 스포츠기본법과 특정비영리활동
촉진법에 기반한다고 보고 이들을 간략히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 스포츠기본법

일본의 스포츠기본법은 1961년에 제정된 스포츠진흥법을 50년만에 전면 개정하여,


스포츠에 관해 기본이념을 정하고, 국가 또는 지방공공단체의 책무, 그리고 스포츠
단체의 노력에 대해 명확히 함으로써 스포츠에 관한 시책의 기본이 되는 사항을 정
한 법이다. 스포츠 기본법에는 스포츠가 국민의 권리인 점을 강조, 지역의 스포츠환
경 조성에 힘쓸 것 등이 명시화 되어 있다.
스포츠클럽과 관련해서는 법에서 특별한 조항을 두고 있지는 않지만 제9조에서 문
부과학대신으로 하여금 스포츠에 관한 시책의 종합적이고 계획적인 추진을 위하여
스포츠의 추진에 관한 기본적인 계획을 정하도록 하고 있는데 이를 토대로 스포츠
클럽 육성과 관련한 기본계획을 수립하고 정책을 추진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스포츠기본법 제9조에 따라 2011년 3월에 마련된 스포츠 기본계획은 일본 정부가
종합형 지역스포츠클럽 확대 지원에 더욱 노력을 기울여야 하며, 이를 통해 지속적

44
제3장 스포츠클럽 육성사업 현황과 관련 법제 분석

인 확대가 이루어지는 것이 필요함을 분명하게 명시하고 있다. 이 스포츠 기본계획


에서는 종합형 지역스포츠클럽과 광역스포츠센터의 전국적 전개에 대해 지방자치단
체의 지원이 의무화 되었다.

2) 특정비영리활동촉진법

비영리조직(NPO : Non-Profit Organization)은 다양한 사회공헌활동을 하고, 단체


구성원에 대한 수익분배를 목적으로 하지 않는 단체로서 수익을 목적으로 하는 사
업을 하는 것 자체는 인정되지만, 사업으로 얻은 수익은 다양한 사회공헌활동에 사
용되어야 한다.
일본의 NPO 중 ‘특정비영리활동촉진법’에 근거한 법인격을 취득한 법인을 ‘특정비
영리활동법인(NPO법인)이라 하는데 다양한 분야(복지, 교육, 문화, 환경, 국제협력
등)에서 사회의 다양한 요구에 따른 역할을 한다.
현재 일본에서 운영 중인 종합형 스포츠클럽은 대부분 특정비영리활동촉진법에 따
라 비영리법인으로서의 지위를 갖고 있다. 종합형 지역스포츠 클럽에 대한 인정조건
은 지난 2010년 6월 4일 제8회 ‘새로운 공공’ 원탁회의의 결정에서 완화되었는데
문부과학성은 ‘새로운 공공’ 선언에서 언급된 종합형 스포츠클럽에 대한 폭넓은 기
부를 촉진하기 위하여 종합형 지역스포츠클럽 전국협의회의 요청에 따라 관련 인정
NPO법인제도의 인정요건을 완화하였다. 개정한 인정요건은 “사업활동에서 공익적
활동이 점하는 비율이 50%미만일 것”을 지역주민 누구든지 참여 가능한 활동(종합
형 지역 스포츠클럽, 학교지원지역본부 등)에 대해서는 제외하는 것으로 개정하여
종합형 스포츠클럽이 NPO법인으로서의 지위 획득을 용이하게 하였다
이는 가입요건 완화를 통하여 지역주민이 협력하는 종합형 지역스포츠클럽이 NPO
법인의 지위를 획득하여 운영을 안정화하고, 지속적인 활동으로 이어져 NPO 법인
화를 촉진하기 위한 것이었다.
종합형 스포츠클럽과 관련한 특정비영리활동촉진법의 주요 내용을 발췌하여 정리
하면 다음과 같다.

특정비영리활동촉진법(1998년 3월 25일 법률 제7호)

제1장 총칙

제1조(목적) 이 법률은 특정비영리활동을 실시하는 단체에 대한 법인격 부여, 운영


조직 및 사업 활동이 적정하고 공익 증진에 이바지하는 특정비영리활동법인의 인
정과 관련되는 제도의 설치 등에 의해, 자원봉사활동을 비롯한 시민의 자유로운
사회공헌활동으로서의 특정비영리활동의 건전한 발전을 촉진함으로써 공익 증진에

45
스포츠클럽 육성을 위한 법제 개선 연구

기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제2조(정의) ① 이 법률에서 「특정비영리활동」이란, 별표1)에서 제시하는 활동에 해


당하는 활동이며, 불특정 다수의 이익 증진에 기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활동
을 말한다.
② 이 법률에서 「특정비영리 활동법인」이란, 특정비영리활동을 실시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하며, 다음의 각호 전부에 해당하는 단체로, 이 법률에 의거하여 설립
된 법인을 말한다.

제2장 특정비영리활동법인

제1절 통칙

제3조(원칙) ① 특정비영리활동법인은 특정 개인 또는 법인, 기타 단체의 이익을 목


적으로 그 사업을 해서는 안 된다.
② 특정비영리활동법인은 이를 특정 정당을 위해 이용해서는 안 된다.

제4조(명칭의 사용제한) 특정비영리활동법인 이외의 자는 그 명칭 중에 「특정비영리


활동법인」 또는 이와 혼동하기 쉬운 문자를 써서는 안 된다.

1) 별표 (제2조 관련)

1. 보건, 의료 또는 복지의 증진을 도모하는 활동


2. 사회교육의 추진을 도모하는 활동
3. 마을만들기의 추진을 도모하는 활동
4. 관광의 진흥을 도모하는 활동
5. 농산어촌 또는 중산간 지역의 진흥을 도모하는 활동
6. 학술, 문화, 예술 또는 스포츠 진흥을 도모하는 활동
7. 환경의 보전을 도모하는 활동
8. 재해구원활동
9. 지역안전활동
10. 인권 옹호 또는 평화의 추진을 도모하는 활동
11. 국제협력활동
12. 남녀공동참획사회 형성의 촉진을 도모하는 활동
13. 어린이의 건전육성을 도모하는 활동
14. 정보화사회의 발전을 도모하는 활동
15. 과학기술의 진흥을 도모하는 활동
16. 경제활동의 활성화를 도모하는 활동
17. 직업능력 개발 또는 고용기회 확충을 지원하는 활동
18. 소비자의 보호를 도모하는 활동
19. 전 각호에서 제시하는 활동을 하는 단체의 운영 또는 활동에 관한 연락, 조언 또는 원조 활동
20. 전 각호에서 제시하는 활동에 준하는 활동으로서 도도부현 또는 지정도시의 조례에서 정한 활동

46
제3장 스포츠클럽 육성사업 현황과 관련 법제 분석

제5조(기타 사업) 특정비영리활동법인은 당해 법인이 실시하는 특정비영리활동에 관


련된 사업에 지장이 없는 한, 당해 특정비영리활동에 관련된 사업 이외의 사업
(이하 「기타 사업」이라고 함.)을 할 수 있다. 이 경우, 이익이 발생했을 시는 이
를 당해 특정비영리활동에 관련된 사업을 위해 사용하지 않으면 안 된다.

제7조(등기) 특정비영리활동법인은 정령(政令)에서 정하는 바에 의해 등기하지 않으


면 안 된다.

제2절 설립

제10조(설립 인증) 특정비영리활동법인을 설립하고자 하는 자는 도도부현 또는 지정


도시의 조례에서 정하는 바에 의해 다음의 서류를 첨부한 신청서를 관할청에 제
출하고 설립 인증을 받지 않으면 안 된다.

제5절 감독

제41조(보고 및 검사) 관할청은 특정비영리활동법인(인정특정비영리활동법인 및 가


인정특정비영리활동법인을 제외함. 이하 이 項 및 次項에서 같음.)이 법령, 법령
에 기초한 행정청의 처분 또는 정관을 위반한 혐의가 있다고 인정되는 상당한
이유가 있을 시는, 당해 특정비영리활동법인에 대하여 그 업무 혹은 재산 상황에
관하여 보고하게 하거나, 또는 그 직원에게 당해 특정비영리활동법인의 사무소,
기타 시설에 출입을 금지시키고, 그 업무 혹은 재산상황 혹은 장부, 서류, 기타
물건을 검사하게 할 수 있다.

제4장 세법상의 특례

제71조 개인 또는 법인이 인정특정비영리활동법인 등에 대하여 그것이 행하는 특정


비영리활동에 관련된 사업에 관련한 기부 또는 증여를 했을 시는 조세특별조치
법에서 정하는 바에 의해 당해 개인 또는 법인에 대한 소득세, 법인세 또는 상속
세의 과세에 관하여 기부금 공제 등의 특례가 적용된다.

다. 법제 분석의 시사점

앞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스포츠클럽 육성과 관련한 중앙정부의 법률은 별도로


존재하지 않는다. 그러나 독일의 경우는 연방국가로서 지방정부에게 자치권이 보장

47
스포츠클럽 육성을 위한 법제 개선 연구

되고 독자적인 법률 제정권이 부여되어 있어 실제적으로는 스포츠지원법 등을 통해


스포츠클럽에 대한 지원들을 보장하고 있다.
또한 독일은 지방자치단체에서 체육진흥지침 등을 통하여 스포츠클럽에 대한 구
체적인 지원 근거들을 명시하고 있었으며, 일본은 특정비영리활동촉진법에 따라 스
포츠클럽이 지원받을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해 놓았다.
그러나 이러한 사유는 우리나라에서 추진하는 국가차원의 스포츠클럽 육성법을
제정하는 근거로 작용하기에는 쉽지 않다. 오히려 개별법이나 지방자치단체 차원의
조례 등의 제정을 통하여 스포츠클럽 육성 사업을 추진할 필요가 있다는 논리로 역
작용할 수도 있다.
익히 알려져 있는 바와 같이 독일과 일본은 국가체육 발전 시스템으로서의 스포
츠클럽 육성을 강화하는 일관된 정책기조를 가지고 있다. 우리나라 또한 이러한 정
책기조는 지난 10여년 동안 지속되어 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는 지금껏
스포츠클럽을 국가체육 발전의 유용한 시스템으로 사용하지 못하고 있다. 10여년간
수백억원을 투입했으나 선진형 스포츠클럽을 정착시키는데 실패하고 말았다.
따라서 정부가 스포츠클럽 육성 정책을 포기하지 않고 더 많은 재원을 투입하여
국가체육 발전 시스템을 스포츠클럽을 중심으로 한 선진형 시스템으로 변화 발전시
키려 한다면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가 법적 제한없이 지속적으로 스포츠클럽을 지원
하고 육성할 수 있는 법적 장치 마련이 반드시 필요하다.
특히 스포츠발전 역사가 일천하고 급속한 산업화에 이은 핵가족화, 개인주의의
팽배에 따른 지역 공동체 훼손 등을 회복하고 스포츠클럽을 통한 체육활동 참여 인
구 저변확대와 이를 통한 우수선수 육성 등을 위해서는 스포츠클럽을 지원하고 육
성할 수 있는 법적 장치 마련이 반드시 필요하다.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스포츠클럽은 지역사회의 주요한 공공재로 활용되어 왔다.
그런 공공재에 대한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의 지원을 의무화하기 위한 법적 기반 구
축은 독일과 일본에서도 방식은 다르지만 이미 이루어지고 있음을 앞의 법제 분석
에서 충분히 알 수 있다.

48
제3장 스포츠클럽 육성사업 현황과 관련 법제 분석

제4장 스포츠클럽육성을 위한 법제
개선 방안

제1절 법제 개선의 필요성


제2절 법제 개선의 기본 방향
제3절 법제 개선 방안

49
제4장 스포츠클럽육성을 위한 법제 개선 방안

제1절 법제 개선의 필요성

외국의 사례를 보더라도 스포츠클럽을 육성하기 위해 직접적으로 법률을 제정해서


시행하는 나라는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연구에서는 스포츠클럽을 육성하기 위
한 대안으로 법제화를 강조하고 있다.
실제로 우리나라는 과거 2000년대 초부터 스포츠클럽을 육성하기 위해 국가적 차
원의 노력들을 상당히 해왔으나 지원에 대한 일정 시점이 지나 정부의 지원이 끊기
면 스포츠클럽은 자생력을 갖추지 못하고 모두 해산되고 말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스포츠클럽은 국가체육발전의 뿔뿌리라는 인식은 체육학계는
물론이고 체육단체를 비롯한 체육현장에서 여전히 강하다. 정부 또한 매 정권마다
스포츠클럽 육성을 주요 국정과제로 삼아왔으나 성공적인 정착은 모두 실패하고 말
았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그런 실패의 이유를 법제의 부재에서 일어나는 현상으
로 보고 스포츠클럽 육성을 위한 법제 개선의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스포츠클럽 육성에 대한 법제 개선을 통한 스포츠클럽의 제도화는 그간 우리나라
에서 시도했던 스포츠클럽에 대한 지원정책 등을 고려할 때 스포츠클럽 정착을 통
한 엘리트-생활체육의 유기적 통합, 스포츠클럽을 통한 선수양성 등을 위해 필요하
다. 또한 스포츠클럽 육성을 위한 법률 제정을 통한 스포츠클럽의 제도화는 다음
몇가지 측면에서 의미가 있다.
첫째, 생활체육 참여활동의 조직화를 위해 필요하다. 현재 우리나라는 주40시간 근
무제 확산, 건강에 대한 관심 증대 등으로 생활체육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
며, 생활체육참여율 또한 2016년 기준 59.5%로 60%에 육박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참여율 속에서도 국민들의 체육활동은 개인적 참여가 주를 이룬다.
이러한 현상은 개인 종목의 특성을 가진 걷기 등을 좋아하는 국민의 여가 유형에
기인한다고 할 수 있으나 실제로 단체 활동이 가능한 거의 모든 종목에서 자유롭고
안정적으로 체육시설을 활용하기가 곤란하기 때문이기도 하다.
따라서 체육활동에 대한 조직적, 지속적 참여와 참여효과의 극대화가 가능할 수 있
도록 하기 위해서는 공공체육시설 및 체육지도자 배치 등에 지원이 가능하도록 스
포츠클럽 육성의 근거되는 법률적 토대를 구축하여 할 필요가 있다.
둘째, 스포츠가치 극대화를 위해 필요하다. 스포츠클럽은 엘리트-생활체육 프로그
램을 동시에 운영할 수 있는 풀뿌리 체육조직으로 스포츠클럽에 대한 지원은 스포
츠클럽의 안정적 성장과 정착을 이루어 스포츠클럽이 생활체육 저변 확대의 거점으
로서 뿐만 아니라 이를 통한 선수자원의 공급과 은퇴선수의 취업, 재능 기부의 현
장으로 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게 한다.
셋째, 체육시스템의 선진화를 위해 필요하다. 우리나라의 체육시스템은 엘리트-생
활체육단체가 통합되었음에도 불구하고 현장에서 체육진흥 사업들은 엘리트-생활체

51
스포츠클럽 육성을 위한 법제 개선 연구

육이 분리되어 운영되고 있으며, 우수 선수양성은 학교운동부에 의존하고 있다.


따라서 스포츠클럽의 체계적 육성⋅지원에 관한 제도적 틀을 마련하여 운동부 중
심의 왜곡된 엘리트체육 발전구조를 완화하고 스포츠클럽에서도 선수를 양성할 수
있는 선진형 스포츠시스템으로 변화⋅발전시킬 필요가 있다.
넷째, 지역공동체 실현을 위해서 필요하다. 현재 우리나라 국민들의 체육활동 참
여율은 59.5%로 낮지 않는 수준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체육활동 참여 방식은 걷
기, 등산 등 개인적인 참여활동이 많다.
이러한 개인주의적 참여활동은 개인의 건강한 신체 유지와 체력 증진 등을 위해
필요하지만 스포츠를 통한 지역공동체 형성 등에는 부족한 측면이 강하다. 클럽 또
는 팀단위로 조직화된 스포츠활동은 스포츠종목 활동 외에 자원 봉사 참여나 학교
스포츠클럽이나 방과후 활동에 대한 스포츠 재능 기부 등 다양한 지역사회 봉사활
동에도 참여가 가능하다. 이러한 지역사회 봉사활동을 활동은 궁극적으로 스포츠를
통한 지역공동체 형성에도 도움을 줄 수밖에 없다.

제2절 법제 개선의 기본 방향

스포츠클럽 육성을 위한 법제 개선으로 기존 법률인 생활체육진흥법과 국민체육진


흥법을 개정하거나 신규 법률을 제정하는 두 가지 모두 가능하다할 수 있다. 따라
서 이 연구에서는 스포츠클럽육성법 제정안과 더불어 기존의 법률 개정안 개정 등
주가지 안을 동시에 개발하기로 한다. 다만, 두가지안 중에서 기존의 법률 개정안은
생활체육진흥법 개정으로 한정하고자 한다.
물론 생활체육진흥법 외에 국민체육진흥법이 체육을 아우르는 모법적 성격을 갖고
있어 국민체육진흥법을 개정하여 스포츠클럽을 육성할 수도 있으나 현행법 상 생활
체육진흥법에 스포츠클럽이 정의(제2조5호) 되어 있고, 제9조(스포츠클럽의 육성 및
지원)와 시행령 제4조(스포츠클럽에 대한 지원)에 지원 근거규정이 존재하므로 생활
체육진흥법 개정을 통한 스포츠클럽 육성을 추진하도록 하는 방향이 더 타당할 것
으로 판단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현행법 중 스포츠클럽을 규정하고 있는 생활체육진흥법을
개정하는 안과 스포츠클럽 육성책을 종합적으로 포함시킬 수 있는 스포츠클럽육성
법 제정안을 동시에 개발하였다.

<생활체육진흥법>
제2조(정의) 5. "스포츠클럽"이란 회원의 정기적인 체육활동을 위하여 비영리 목적으로 운영되는 법인 또
는 단체를 말한다.
제9조(스포츠클럽의 육성 및 지원) ①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는 스포츠클럽의 육성에 관한 시책을 마련하
여야 한다.

52
제4장 스포츠클럽육성을 위한 법제 개선 방안

②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는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스포츠클럽의 육성에 필요한 행정·재정상 지


원을 할 수 있다.

<생활체육진흥법 시행령>
제4조(스포츠클럽에 대한 지원)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는 법 제9조제2항에 따라 스포츠클럽의 육성에 필
요한 다음 각호의 사항을 지원할 수 있다.
1. 공공체육시설의 운영 및 관리 위탁
2. 생활체육지도자의 배치 지원
3. 스포츠클럽의 운영비 보조
4. 그 밖에 스포츠클럽 정보망의 구축·운영 등 스포츠클럽 육성에 필요한 사항

제3절 법제 개선 방안

1. 생활체육진흥법 개정

현재의 체육관련 국내법 중 스포츠클럽 지원을 규정하고 있는 법률로는 생활체육


진흥법이 유일하다. 즉, 생활체육진흥법 제2조 정의에서 제5호로 스포츠클럽이 정의
되어 있고, 제9조에서는 스포츠클럽의 육성 및 지원 사항을 규정하고 있다.
그러나 이 두 조항으로는 현재 정부에서 국정과제로 추진하는 스포츠클럽을 전국
적으로 설치하여 운영하고 이에 대한 국가적 지원을 하기에는 적잖은 한계가 있다.
그럼에도 새로운 법을 제정하기 보다는 생활체육진흥법을 개정하여 스포츠클럽을
육성하고자 한다면 다음 몇가지 사항에 대한 전면 신설이 필요하다.
첫째, 지방자치단체별로 스포츠클럽을 설치하여 운영하고 이에 대한 지원이 가능
하도록 하는 근거가 될 수 있는 조문이 필요하다. 즉, 공공스포츠클럽의 설치 운영
에 대한 규정이 필요한데 이를 조문화하여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제9조의2(공공스포츠클럽의 설치 운영) ① 지방자치단체는 지역 주민들이 스포츠활동에 지속으로 참여할


수 있는 여건을 마련함과 동시에 지역사회 우수선수 양성 등을 위하여 관할 지역내에 1개 이상의 공공스
포츠클럽을 설치⋅운영하여야 한다.
②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는 제1항에 따라 설치⋅운영하는 공공스포츠클럽에 대하여 해당 지방자치단체
소유의 공공체육시설을 사용하고자 할 경우 「체육시설의 설치⋅이용에 관한 법률 시행령」제4조의2제2
호에 해당하는 행사와 같은 수준으로 이용료를 감경하고, 스포츠클럽하우스와 사무공간 등을 「공유재
산 및 물품 관리법」 제22조에도 불구하고 무상으로 제공할 수 있다.
③ 지방자치단체의 장은 제1항에 따라 설치⋅운영하는 공공스포츠클럽의 육성에 필요한 사항을 조례로
정할 수 있다.
④ 지방자치단체의 장은 지역사회 스포츠클럽의 발전과 운영 활성화 등을 위하여 필요한 경우 제1항에
따른 공공스포츠클럽에게 해당 지방자치단체 내에서 운영중인 스포츠클럽에 대해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운영컨설팅 등을 지원하거나 통할하게 할 수 있다.

53
스포츠클럽 육성을 위한 법제 개선 연구

둘째, 스포츠클럽의 등록에 관한 규정이 필요하다. 특히 스포츠클럽은 지방체육단


체 및 경기단체들과 같은 비영리 조직이지만 회원의 회비와 클럽 존립을 위한 최소
한의 수익활동 등을 할 수 있도록 법인화할 수 있도록 의무화하는 규정이 필요하
다. 아울러 스포츠클럽이 지역 정치인들과 결탁하여 지방자치단체로부터 각종 수혜
를 받는 것을 원천적으로 차단하기 위하여 대표자 등의 정치적 중립성을 보장하기
위한 제한적 요소들을 규정에 포함시킬 필요가 있다. 이를 조문화하여 정리하면 다
음과 같다.

제9조의3(스포츠클럽의 등록 등) ① 이 법에서 정한 바에 따라 지원을 받고자 하는 스포츠클럽은 다음 각


호의 요건을 구비하여 소재지를 관할하는 지방자치단체의 장에게 등록을 신청하여야 한다. 다만, 다음
각 호에도 불구하고 제6조에 따른 공공스포츠클럽은 개설일 즉시 등록된 것으로 본다.
1. 법인일 것
2. 최근 3개월 간 정기적인 체육활동 실적이 있을 것(연간운영계획서 포함)
3. 10명 이상의 회원이 있을 것
4. 개설한 프로그램에 따라 지도자를 확보하고 있을 것. 단, 지도자가 2종목 이상의 지도자 자격증을
보유 한 경우 2종목 이내에서 중복지도 인정
5. 활동공간 및 시설을 확보하고 있을 것. 단, 자체 보유시설이 아닌 경우 이용계약서 첨부
6. 대표자 및 회원의 대의기구가 있을 것.
7. 정치활동에 관여하지 않을 것(그 대표자 및 임원이 국회의원, 지방자치단체의 장, 지방의회의원을 겸
하지 아니할 것)
② 제1항에 따라 등록신청을 받은 지방자치단체의 장은 그 서류를 확인하고 14일 이내에 등록의 가부를
결정하여 통보하고 등록이 결정된 경우에는 공보에 이를 게재하여야 한다.
③ 지방자치단체의 장은 제2항에 따라 등록가부를 결정할 경우에는 스포츠클럽등록관리심의위원회를 통하
여 사전에 심의하여야 하며, 등록된 스포츠클럽이 제1항의 요건을 구비하지 못하여 등록을 취소하는
경우 또한 같다.
④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는 스포츠클럽의 등록 및 관리 등을 원활히 하기 위하여 전담인력을 배치하거나
전담인력 운용에 필요한 경비를 보조할 수 있다.
⑤ 스포츠클럽의 등록 및 취소 절차, 스포츠클럽등록관리심의위원회 구성과 기능, 전담인력의 배치 등에
필요한 사항은 대통령령으로 정한다.
⑥ 지방자치단체의 장은 스포츠클럽을 등록하거나 취소한 경우 그 결과를 문화체육관광부장관에게 보고하
여야 한다.

셋째, 스포츠클럽에 대한 지도자 배치와 이에 대한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의 지원


근거가 되는 규정이 필요하다. 스포츠클럽의 성공적 운영은 능력있는 지도자 배치와
도 연관된다. 그러나 지도자 배치는 스포츠클럽의 운영에 있어 가장 많은 비용이
드는 부분으로 스포츠클럽 회원의 회비와 자체 수익으로만 모든 비용을 부담하기에
는 적잖은 한계가 있다. 따라서 공공스포츠클럽이 공익적 사업을 위해 지방자치단체
가 설치하여 운영하는 사업이란 점을 감안하여 스포츠클럽 지도자 배치시에도 지방
자치단체가 보조할 수 있는 근거를 명확히 할 필요가 있다. 이를 조문화하여 정리
하면 다음과 같다.

54
제4장 스포츠클럽육성을 위한 법제 개선 방안

제9조의4(스포츠클럽지도자 배치) ① 스포츠클럽은 회원 및 일반이용자에게 전문적인 운동기술을 가르치


게 하기 위하여 스포츠클럽지도자를 배치할 경우 「국민체육진흥법」 제2조제6호에 따른 체육지도자를 배치
하여야 한다. 다만, 체육지도자가 양성되지 못한 종목에 대해서는 대의기구의 결정에 따른다.
②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는 공공스포츠클럽이 제1항에 따라 스포츠클럽지도자를 배치할 경우 예산을 지원
하여야 한다.
③ 「국민체육진흥법」 제33조와 제34조에 따른 체육단체의 지부 또는 지회는 공공스포츠클럽이 체육지도
자 파견을 요청할 경우 1년 단위 이상의 파견기간을 정하여 2명 이내에서 체육지도자를 파견할 수 있
다.
④ 제1항에 따른 배치 및 지원의 기준과 범위 등에 필요한 사항은 대통령령으로 정한다.

넷째, 스포츠클럽의 육성과 안정적 정착을 위하여 공공체육시설에 대한 지원근거


가 되는 규정이 필요하다. 스포츠클럽이 안정적으로 정착되기 위해서는 가장 중요한
요소 중의 하나가 클럽 운영의 거점이 되는 시설의 확보이다.

제9조의5(시설의 지원) ①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는 스포츠클럽의 육성과 발전을 위하여 공공체육시설에


대하여 우선 사용하거나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등의 필요한 시책을 강구하여야 한다.
②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는 공공스포츠클럽이 그 회원과 일반이용자가 훈련과 교습 및 경기에 전용할 수
있는 전용시설을 설치·운용할 수 있다.
③ 지방자치단체는 국가의 보조 등에 의해 신규 체육시설을 설치하거나 리모델링을 하는 경우 해당 체육
시설에 공공스포츠클럽을 우선 배치하여야 한다. 다만, 해당 자치단체내에 공공스포츠클럽이 설치되어
있지 않는 경우 국가는 보조의 조건으로 공공스포츠클럽 설치운영을 요구할 수 있다.
④ 지방자치단체는 체육시설의 효율적 활용과 공공스포츠클럽의 육성을 위하여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경우
에는 「공유재산 및 물품 관리법」 제21조제1항 및 제27조제1항에도 불구하고 공유재산을 25년 이내의
기간을 정하여 그 목적 또는 용도에 장애가 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사용⋅수익을 허가하거나 관리를
위탁할 수 있다.
⑤ 지방자치단체의 장은 제4항에 따라 공유재산을 사용·수익하게 하는 경우에는 「공유재산 및 물품 관리
법」 제22조에도 불구하고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해당 공유재산의 사용료와 납부 방법 등을
정할 수 있다.
⑥ 지방자치단체의 장은 공유재산 중 체육시설(민간자본을 유치하여 건설 또는 개수·보수된 시설을 포함
한다)을 공공스포츠클럽의 연고 훈련⋅교습 및 경기장으로 사용·수익을 허가하거나 그 관리를 위탁하
는 경우 「공유재산 및 물품 관리법」 제20조 및 제27조에도 불구하고 해당 체육시설과 그에 딸린 부대
시설에 대하여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우선하여 수의 계약할 수 있다. 건설 중인 경우에도 또
한 같다.
⑦ 제4항에 따라 공유재산의 사용·수익을 허가받거나 관리를 위탁받은 공공스포츠클럽은 필요한 경우 해
당 체육시설을 직접 수리 또는 보수할 수 있다. 다만, 그 수리 또는 보수가 공유재산의 원상이 변경되
는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대규모의 수리 또는 보수에 해당할 경우에는 지방자치단체의 장의 승인을 받
아야 한다. 이 경우 지방자치단체는 수리 또는 보수에 필요한 비용의 전부 또는 일부를 지원할 수 있
다.

다섯째, 스포츠클럽 운영시 발생하는 사고에 대한 보상 등에 대비하기 위한 규정


이 필요하다. 즉, 스포츠클럽은 유소년에서 노인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계층이 참여

55
스포츠클럽 육성을 위한 법제 개선 연구

하고 다양한 종목에 대한 활동이 이루어지는 공간으로 예측할 수 없는 인적 물적


사고들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러한 사고는 필연적으로 보상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클럽 자체의 재정 부담을 완화하기 위해 보험 등을 가입하
게 할 필요가 있다. 이를 조문화하여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제9조의6(보험 가입) 스포츠클럽은 스포츠클럽의 운영과 관련되거나 그 스포츠클럽 안에서 발생한 피해를
보상하기 위하여 문화체육관광부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보험 또는 공제에 가입하여야 한다.

여섯째, 공익을 위하여 지방자치단체가 설치 운영하는 스포츠클럽이 건전한 운영


등을 위한 조문이 필요하다. 즉, 클럽운영으로 인해 지역주민들과 갈등을 유발할 수
있는 문제점들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도록 하고, 회원들의 권익보호를 위한 교습비
반환 조건 등을 명확히 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이를 조문화하여 정리하면 다음
과 같다.

제9조의7(스포츠클럽의 준수 사항) ① 스포츠클럽은 다음 각 호의 사항을 지켜야 한다.


1. 「소음·진동관리법」 등 개별법의 규정을 초과하는 소음·진동으로 지역 주민의 주거 환경을 해치지 아
니하도록 할 것
2. 스포츠클럽 안에서 하는 도박이나 그 밖의 사행행위를 조장하거나 묵인하지 아니할 것
3. 이용약관 등 회원 및 일반이용자와 약정한 사항을 지킬 것
4. 다음 각 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로서 교습비 반환사유 및 반환금액에 관하여 회원 및 일반
이용자와 약정하지 아니한 때에는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반환기준에 따라 회원 및 일반이용자로부터
받은 교습비를 반환할 것
가. 회원 및 일반이용자가 본인의 사정상 스포츠클럽을 이용할 수 없게 된 경우
나. 스포츠클럽의 폐업, 휴업 등으로 운영을 계속할 수 없는 경우

일곱째, 클럽 운영의 재정적 기반이 회비와 교습비 징수를 명확히 하고 교습비에


대해서는 세제혜택을 줄 수 있는 조문이 필요하다. 실제로 현재에도 체육시설의 설
치 이용에 관한법률에 의한 체육도장업에 대해서는 부가가치세를 면제하고 있는 것
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체육도장업에서 하는 교습과 같은 유형의 교습 프로그램
을 운영하는 스포츠클럽에 대해서도 세제혜택을 부여하여 스포츠클럽의 활성화에
국가적으로 기여할 필요가 있다. 이를 조문화하여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제9조의8(회비 등의 징수) ① 스포츠클럽은 회원들에게 가입비와 회비를 받을 수 있다.


② 스포츠클럽은 회원과 일반이용자에게 교습비를 따로 받을 수 있다.
③ 제1항과 제2항에 따라 회비와 교습비를 받는 스포츠클럽은 회비와 교습비가 적시된 게시판을 만들어
회원과 일반이용자 등이 손쉽게 볼 수 있도록 입구 등 잘 보이는 곳에 게시하여야 한다.
④ 국가는 「부가가치세법」제26조제1항제6호에서와 같이 제6조에 따른 공공스포츠클럽에서 공급하는 교육
용역에 대하여는 부가가치세를 면제한다. 다만, 공공스포츠클럽이 아니어도 회원이 19세 이하의 청소

56
제4장 스포츠클럽육성을 위한 법제 개선 방안

년 및 유소년을 대상으로 하는 스포츠클럽인 경우 또한 같다.


⑤ 스포츠클럽은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국민체육진흥법」에 따른 체육단체(지회 및 경기단체를
포함한다)에 회비의 일부를 납부하여야 한다.
⑥ 제1항 및 제2항에 따른 가입비, 회비, 교습비 납부에 관한 사항과 제5항에 따라 납부한 회비의 사용,
정산 등 그 밖에 필요한 사항은 대통령령으로 정한다.

2. 스포츠클럽육성법 제정

가. 제정안의 주요 내용

ㅇ 법 제정목적에서 스포츠클럽의 방향성을 공익 지향으로 명확히 하고 스포츠클럽


을 통하여 국민들이 스포츠활동에 지속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여건을 제공하고
이를 통한 국민의 스포츠복지 향상과 지역사회 우수선수 육성에 기여하도록 함
(제1조)
ㅇ 법에서 사용하는 용어를 정의하였으며 스포츠클럽을 회원의 정기적인 스포츠활
동을 위해 설립⋅운영되는 비영리 법인 또는 단체로 규정하고 여기에 협동조합
및 사회적 기업을 포함하도록 함(제2조)
ㅇ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에게 스포츠클럽의 육성 및 지원을 위하여 필요한 시책을
수립⋅시행하도록 하고, 이러한 책무를 다하기 위하여 이에 수반되는 예산상의
조치를 취하도록 함(제3조)
ㅇ 문화체육관광부장관에게 스포츠클럽을 육성하고 체계적으로 지원하기 위하여 스
포츠클럽 육성에 관한 기본계획을 5년마다 수립⋅시행하도록 하고 이에 필요한
자료를 관계 중앙행정기관의 장 및 지방자치단체의 장에게 제출 또는 협조를 요
청할 수 있도록 함(제4조)
ㅇ 지방자치단체의 장에게 기본계획에 따라 스포츠클럽 육성 등에 필요한 지방자치
단체의 집행계획을 수립⋅시행하도록 하고, 수립된 집행계획의 내용 등이 우수
한 지방자치단체에게는 문화체육관광부장관이 별도의 지원을 할 수 있도록 함
(제5조)
ㅇ 지방자치단체에게 관할 지역 내에 1개 이상의 공공스포츠클럽을 설치⋅운영하
고, 공공스포츠클럽에 대하여는 해당 지방자치단체 소유의 공공체육시설을 사용
하고자 할 경우 「체육시설의 설치⋅이용에 관한 법률 시행령」제4조의2제2호에
해당하는 행사와 같은 수준으로 이용료를 감경하고, 스포츠클럽하우스와 사무공
간 등을 「공유재산 및 물품 관리법」 제22조에도 불구하고 무상으로 제공할 수
있도록 함. 또한 공공스포츠클럽 육성에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지방자치단체
의 조례로 정할 수 있게 함(제6조)
ㅇ 학교의 장은 학생들이 신체활동 프로그램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학교스포츠클럽

57
스포츠클럽 육성을 위한 법제 개선 연구

을 설립⋅운영할 수 있도록 했으며, 학교스포츠클럽의 육성 및 지원 등에 대해


서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가 예산의 범위내에서 지원할 수 있도록 함(제7조)
ㅇ 스포츠클럽육성법에서 정한 지원을 받고자 하는 스포츠클럽은 법에서 정한 조건
을 갖추어 지방자치단체의 장에게 등록하도록 하고, 등록 심의는 담당공무원이
아닌 ‘스포츠클럽등록관리심의위원회’를 통하여 사전에 심의하도록 함(제9조)
ㅇ 스포츠클럽이 회원들에게 가입비와 회비, 교습비를 받을 수 있도록 했으며, 교습
비는 「부가가치세법」상의 교육 용역처럼 부가가치세를 면제하도록 함. 또한 스포
츠클럽은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국민체육진흥법」에 따른 체육단체(지
회 및 경기단체를 포함한다)에 회비의 일부를 납부하여 체육단체의 자생력강화의
밑받침이 되도록 함(제9조)
ㅇ 스포츠클럽이 지도자를 배치할 경우 「국민체육진흥법」 제2조제6호에 따른 체육
지도자를 배치하도록 하였으며, 이 경우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는 예산을 지원하
도록 함. 다만, 배치하고자 하는 지도자가 비양성 종목인 경우 대의기구의 결정
에 따르도록 함(제10조)
ㅇ 스포츠클럽에서 우수 선수를 양성하기 위하여 선수반을 설치하여 운영할 수 있
게 했으며,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는 스포츠클럽회원이 국가대표선수 및 지역대
표선수 등으로 선발되었을 경우 해당 선수의 경기력 발전을 위하여 그에 필요한
비용 등을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별도로 지원할 수 있게 함(제11조)
ㅇ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에게 스포츠클럽선수가 공공기관 등이 개최하거나 후원하
는 각종대회에 스포츠클럽의 소속과 명의로 출전할 수 있게 보장하도록 했으며,
클럽회원이라도 각종 대표선수 선발 등에서 차별 받지 않도록 함(제12조)
ㅇ 지방자치단체 및 학교로 하여금 공공스포츠클럽에게 생활체육진흥 등 지역체육
발전에 필요한 사업이나 체육관련 방과 후 사업 등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사업에
대해서는 위탁할 수 있도록 함(제13조)
ㅇ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에게 스포츠클럽의 육성과 안정적 정착을 위하여 공공체육
시설에 대하여 우선 사용하게 하는 등의 필요한 시책을 강구하도록 했으며, 국
가의 보조 등에 의해 스포츠클럽 전용시설이나 종합체육관 이상의 신규 체육시
설을 설치하거나 개보수를 하는 경우 해당 체육시설에 공공스포츠클럽을 우선
배치할 수 있도록 함. 또한 위탁기간을 「공유재산 및 물품 관리법」에도 불구 25
년 이내의 기간을 정하여 위탁할 수 있도록 함(제14조)
ㅇ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에게 스포츠클럽 매니저 등 스포츠클럽 육성에 필요한 전
문인력을 양성하기 위하여 노력하도록 하고, 전문인력의 양성을 위하여 스포츠
클럽 전문인력 양성기관을 지정하여 운영할 수 있도록 함. 이 경우 국가 및 지
방자치단체는 그 양성에 필요한 경비를 예산의 범위에서 보조할 수 있도록 함
(제15조)

58
제4장 스포츠클럽육성을 위한 법제 개선 방안

ㅇ 문화체육관광부장관에게 스포츠클럽의 육성 및 지원에 관한 시책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하여 스포츠클럽 업무를 전담하는 기관을 설치하거나 지정할 수 있
도록 하고 예산의 범위에서 전담기관의 운영에 필요한 경비의 일부를 보조할 수
있도록 함(제16조)
ㅇ 문화체육관광부장관에게 스포츠클럽과 관련된 창업을 촉진하고, 일자리를 창출하
기 위하여 창업 및 운영에 필요한 교육, 지원 등을 위하여 필요한 시책을 마련
하도록 하고, 스포츠클럽 창업 및 운영교육에 필요한 자금을 국가 및 지방자치
단체로 하여금 예산의 범위에서 지원할 수 있게 함(제17조)
ㅇ 스포츠클럽에게 회원 및 일반이용자가 스포츠클럽을 안전하고 쾌적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문화체육관광부령으로 정하는 안전⋅위생 기준을 지키도록 했으며,
스포츠클럽의 이용하는 자가 이를 준수하지 아니한 경우 스포츠클럽 이용을 거
절하거나 중지하게 할 수 있게 함(제18조)
ㅇ 스포츠클럽에게 스포츠클럽의 운영과 관련되거나 그 스포츠클럽 안에서 발생한
피해를 보상하기 위하여 문화체육관광부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보험 등에 가
입하도록 함(제19조)
ㅇ 스포츠클럽의 준수 사항(소음진동 규제, 클럽내 사행행위 금지, 약정사항, 교습비
반환 등)을 나열 함(제20조)
ㅇ 문화체육관광부장관에게 스포츠클럽을 체계적으로 육성하기 위하여 매년 스포츠
클럽의 활동현황 및 실태 등에 대한 조사를 하고 그 결과를 공표하도록 함(제21
조)
ㅇ 문화체육관광부장관에게 스포츠클럽 관련 정보를 종합적으로 관리하고 스포츠클
럽 간의 협력기반 구축 및 스포츠클럽 활동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종합정보시스템을 구축⋅운영할 수 있도록 함(제22조)
ㅇ 스포츠클럽의 건전한 발전과 상호 협력증진 등을 위하여 문화체육관광부장관의
인가를 받아 스포츠클럽협의회를 설립할 수 있도록 함(제23조)
ㅇ 지방자치단체의 장이 제10조제4항에 따라 스포츠클럽 등록을 취소할 때에는 미
리 청문을 하도록 함(제24조)
ㅇ 문화체육관광부장관 또는 지방자치단체의 장에게 스포츠클럽육성법에 따른 권한
의 일부를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전담기관 등에 위탁할 수 있도록 함
(제25조)
ㅇ 문화체육관광부장관이 스포츠클럽의 발전에 기여한 공로가 현저한 개인⋅단체
등을 선정하여 포상할 수 있도록 함(제26조)
ㅇ 이 법에서 정한 사항들을 위반한 자에게는 1000만원 이하의 과태료를 부과할
수 있는 위반 사항들을 나열하고 과태료는 문화체육관광부장관이나 지방자치단
체의 장이 부과⋅징수하도록 함(제27조)

59
스포츠클럽 육성을 위한 법제 개선 연구

ㅇ 부칙에서 이 법 시행 당시 2013년부터 종전의 지침에 따라 설립된 종합형스포


츠클럽이나 K-스포츠클럽, 지역스포츠클럽은 이 법에 따른 공공스포츠클럽으로
인정하도록 함(부칙 제2조)

나. 스포츠클럽육성법 시안

제1조(목적) 이 법은 공익을 지향하는 스포츠클럽의 육성에 필요한 사항을 규정함으


로써 스포츠클럽을 통하여 국민들이 스포츠활동에 지속으로 참여할 수
있는 여건을 제공하고 이를 통한 국민의 스포츠복지 향상과 지역사회
우수선수 양성에 이바지함을 목적으로 한다.

제2조(정의) 이 법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뜻은 다음과 같다.


1. “스포츠클럽”이란 회원의 정기적인 스포츠활동을 위해 설립⋅운영되는 비영리
법인(협동조합기본법에 따른 비영리 협동조합과 사회적기업육성법에 따른 비
영리 사회적 기업을 포함한다) 또는 단체를 말한다.
2. “스포츠클럽회원”이란 스포츠클럽의 시설이나 프로그램을 일반이용자보다 우선
적으로 이용하거나 유리한 조건으로 이용하기 위하여 스포츠클럽에 가입하고
회비를 내는 사람을 말한다.
3. “스포츠클럽 일반이용자”란 1년 미만의 일정 기간을 정하여 스포츠클럽에 교
습비를 지불하고 그 프로그램을 이용하기로 스포츠클럽과 약정한 사람을 말
한다.
4. “스포츠클럽 회비”란 스포츠클럽의 개설이나 유지를 위해 회원이 내는 돈을
말한다.
5. “스포츠클럽 교습비”란 스포츠클럽의 프로그램을 이용하기 위한 대가로 회원
이나 일반 이용자가 지불하는 돈을 말한다.
6. "스포츠클럽지도자”란 스포츠클럽에 소속되어 회원 등을 지도·감독하는 사람을
말한다.

제3조(국가 및 지방자치단체의 책무) ①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는 스포츠클럽의 육성


및 지원을 위하여 필요한 시책을 수립⋅시행하여야 한다.
②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는 제1항에 따른 책무를 다하기 위하여 이에 수반되는 행
정적 재정적 조치를 취하여야 한다.

제4조(기본계획의 수립 등) ① 문화체육관광부장관은 스포츠클럽을 육성하고 체계적


으로 지원하기 위하여 스포츠클럽 육성에 관한 기본계획(이하“기본계획”이라 한

60
제4장 스포츠클럽육성을 위한 법제 개선 방안

다)을 5년마다 수립⋅시행하여야 한다.


② 기본계획에는 다음 각 호의 사항이 포함되어야 한다.
1. 스포츠클럽 육성의 기본방향에 관한 사항
2. 스포츠클럽 육성 정책의 조정·집행에 관한 사항
3. 스포츠클럽 육성 및 지원을 위한 재정확보와 운영에 관한 사항
4. 스포츠클럽 활동에서의 안전관리에 관한 사항
5. 스포츠클럽지도자 배치 및 전문성 제고에 관한 사항
6. 스포츠클럽 회원 및 일반이용자 등의 권익보호에 관한 사항
7. 스포츠클럽의 교류전 및 종목별 리그 등 대회 운영에 관한 사항
8. 스포츠클럽 관련 통계 조사·관리 및 정보체계구축·운영에 관한 사항
9. 그 밖에 스포츠클럽의 육성 및 지원을 위하여 필요한 사항
③ 문화체육관광부장관은 관계 중앙행정기관의 장 및 지방자치단체의 장에게 기본
계획의 수립⋅시행에 필요한 자료의 제출 또는 협조를 요청할 수 있으며, 관계
중앙행정기관의 장 및 지방자치단체의 장은 특별한 사정이 없으면 이에 따라야
한다.
④ 문화체육관광부장관은 제1항에 따라 수립된 기본계획을 관계 중앙행정기관의 장
및 지방자치단체의 장에게 통보하여야 한다.
⑤ 관계 중앙행정기관의 장 및 지방자치단체의 장은 다른 법률에 따라 스포츠클럽
과 관련된 계획을 수립할 때에는 기본계획과 조화되도록 하여야 한다.
⑥ 기본계획의 수립⋅시행 등에 필요한 사항은 대통령령으로 정할 수 있다.

제5조(집행계획의 수립⋅시행 등) ① 지방자치단체의 장은 기본계획에 따라 스포츠


클럽 육성 등에 필요한 지방자치단체의 집행계획(이하“집행계획”이라 한다)을 수
립⋅시행하여야 한다.
② 지방자치단체의 장은 제1항에 따라 집행계획을 수립하였을 때에는 그 계획을 문
화체육관광부장관에게 제출하여야 한다.
③ 제1항에 따른 집행계획의 수립시기·대상·내용 등에 필요한 사항은 대통령령으로
정한다.
④ 문화체육관광부장관은 수립된 집행계획의 내용 등이 우수한 지방자치단체에게는
별도의 지원을 할 수 있다.

제6조(공공스포츠클럽의 설치⋅운영지원 등) ① 지방자치단체는 지역 주민들이 스포


츠활동에 지속으로 참여할 수 있는 여건을 마련함과 동시에 지역사회 우수선수
육성 등을 위하여 관할 지역내에 1개 이상의 공공스포츠클럽을 설치⋅운영하여
야 한다.

61
스포츠클럽 육성을 위한 법제 개선 연구

②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는 제1항에 따라 설치⋅운영하는 공공스포츠클럽에 대하여


해당 지방자치단체 소유의 공공체육시설을 사용하고자 할 경우 「체육시설의 설
치⋅이용에 관한 법률 시행령」제4조의2제2호에 해당하는 행사와 같은 수준으로
이용료를 감경하고, 스포츠클럽하우스와 사무공간 등을 「공유재산 및 물품 관리
법」 제22조에도 불구하고 무상으로 제공할 수 있다.
③ 지방자치단체의 장은 제1항에 따라 설치⋅운영하는 공공스포츠클럽의 육성에 필
요한 사항을 조례로 정할 수 있다.
④ 지방자치단체의 장은 지역사회 스포츠클럽의 발전과 운영 활성화 등을 위하여
필요한 경우 제1항에 따른 공공스포츠클럽에게 해당 지방자치단체 내에서 운영
중인 스포츠클럽에 대해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운영컨설팅 등을 지원
하거나 통할하게 할 수 있다.

제7조(학교스포츠클럽) ① 학교의 장은 학생들이 신체활동 프로그램에 참여할 수 있


도록 학교스포츠클럽을 설립⋅운영하여야 한다.
②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는 제1항에 따른 학교스포츠클럽의 운영에 대하여 예산의
범위내에서 지원할 수 있다.
③ 그 밖에 학교스포츠클럽에 대하여는 「학교체육진흥법」에 따른다.

제8조(스포츠클럽의 등록 등) ① 이 법에서 정한 바에 따라 지원을 받고자 하는 스


포츠클럽은 다음 각 호의 요건을 구비하여 소재지를 관할하는 지방자치단체의
장에게 등록을 신청하여야 한다. 다만, 다음 각 호에도 불구하고 제6조에 따른
공공스포츠클럽은 개설일 즉시 등록된 것으로 본다.
1. 법인일 것
2. 최근 3개월 간 정기적인 체육활동 실적이 있을 것(연간운영계획서 포함)
3. 10명 이상의 회원이 있을 것
4. 개설한 프로그램에 따라 지도자를 확보하고 있을 것. 단, 지도자가 2종목 이상
의 지도자 자격증을 보유 한 경우 2종목 이내에서 중복지도 인정
5. 활동공간 및 시설을 확보하고 있을 것. 단, 자체 보유시설이 아닌 경우 이용계
약서 첨부
6. 대표자 및 회원의 대의기구가 있을 것.
7. 정치활동에 관여하지 않을 것(그 대표자 및 임원이 국회의원, 지방자치단체의
장, 지방의회의원을 겸하지 아니할 것)
② 제1항에 따라 등록신청을 받은 지방자치단체의 장은 그 서류를 확인하고 14일
이내에 등록의 가부를 결정하여 통보하고 등록이 결정된 경우에는 공보에 이를
게재하여야 한다.

62
제4장 스포츠클럽육성을 위한 법제 개선 방안

③ 지방자치단체의 장은 제2항에 따라 등록가부를 결정할 경우에는 스포츠클럽등록


관리심의위원회를 통하여 사전에 심의하여야 하며, 등록된 스포츠클럽이 제1항
의 요건을 구비하지 못하여 등록을 취소하는 경우 또한 같다.
④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는 스포츠클럽의 등록 및 관리 등을 원활히 하기 위하여
전담인력을 배치하거나 전담인력 운용에 필요한 경비를 보조할 수 있다.
⑤ 스포츠클럽의 등록 및 취소 절차, 스포츠클럽등록관리심의위원회 구성과 기능,
전담인력의 배치 등에 필요한 사항은 대통령령으로 정한다.
⑥ 지방자치단체의 장은 스포츠클럽을 등록하거나 취소한 경우 그 결과를 문화체육
관광부장관에게 보고하여야 한다.

제9조(회비 등의 징수) ① 스포츠클럽은 회원들에게 가입비와 회비를 받을 수 있다.


② 스포츠클럽은 회원과 일반이용자에게 교습비를 따로 받을 수 있다.
③ 제1항과 제2항에 따라 회비와 교습비를 받는 스포츠클럽은 회비와 교습비가 적
시된 게시판을 만들어 회원과 일반이용자 등이 손쉽게 볼 수 있도록 입구 등 잘
보이는 곳에 게시하여야 한다.
④ 국가는 「부가가치세법」제26조제1항제6호에서와 같이 제6조에 따른 공공스포츠클
럽에서 공급하는 교육 용역에 대하여는 부가가치세를 면제한다. 다만, 공공스포
츠클럽이 아니어도 회원이 19세 이하의 청소년 및 유소년을 대상으로 하는 스포
츠클럽인 경우 또한 같다.
⑤ 스포츠클럽은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국민체육진흥법」에 따른 체육단
체(지회 및 경기단체를 포함한다)에 회비의 일부를 납부하여야 한다.
⑥ 제1항 및 제2항에 따른 가입비, 회비, 교습비 납부에 관한 사항과 제5항에 따
라 납부한 회비의 사용, 정산 등 그 밖에 필요한 사항은 대통령령으로 정한다.

제10조(스포츠클럽지도자 배치) ① 스포츠클럽은 회원 및 일반이용자에게 전문적인


운동기술을 가르치게 하기 위하여 스포츠클럽지도자를 배치할 경우 「국민체육진
흥법」 제2조제6호에 따른 체육지도자를 배치하여야 한다. 다만, 체육지도자가 양
성되지 못한 종목에 대해서는 대의기구의 결정에 따른다.
②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는 공공스포츠클럽이 제1항에 따라 스포츠클럽지도자를 배
치할 경우 예산을 지원하여야 한다.
③ 「국민체육진흥법」 제33조와 제34조에 따른 체육단체의 지부 또는 지회는 공공스
포츠클럽이 체육지도자 파견을 요청할 경우 1년 단위 이상의 파견기간을 정하여
2명 이내에서 체육지도자를 파견할 수 있다.
④ 제1항에 따른 배치 및 지원의 기준과 범위 등에 필요한 사항은 대통령령으로 정
한다.

63
스포츠클럽 육성을 위한 법제 개선 연구

제11조(우수선수 육성) ① 스포츠클럽은 우수 선수를 양성하기 위하여 선수육성반을


설치하여 운영할 수 있다.
②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는 스포츠클럽회원이 국가대표선수 및 지역대표선수 등으
로 선발되었을 경우 해당 선수의 경기력 발전을 위하여 그에 필요한 비용 등을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별도로 지원할 수 있다.
③ 지방자치단체의 장은 스포츠클럽의 선수육성반이 해당 지방자치단체 소유의 공
공체육시설을 사용하고자 할 경우 사용료의 일부 또는 전부를 감면할 수 있다.

제12조(스포츠클럽선수의 대회출전 등) ①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는 스포츠클럽의 발


전을 위하여 스포츠클럽 상호간의 교류전을 비롯한 종목별 리그대회 등을 개설
하고 운영에 필요한 예산을 지원하여야 한다.
②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와 학교의 장은 학교스포츠클럽이 제1항에 따른 종목별 리
그대회에 출전할 경우 그에 필요한 예산을 지원할 수 있다.
③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는 스포츠클럽 회원이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와 그 소속기
관, 「국민체육진흥법」 제33조와 제34조에 따른 체육단체와 그에 딸린 지회 및
그에 가입한 종목단체, 「공공기관의 운영에 관한 법률」제4조에 따른 공공기관,
「지방공기업법」에 적용받는 지방공기업에서 개최 또는 후원하는 대회에 스포츠
클럽의 소속과 명의로 출전할 수 있도록 보장하여야 한다. 국가대표 선발전 및
지방자치단체 대표 선발전 또한 같다.
④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는 스포츠클럽의 회원이 제3항에 따른 대회에 출전하여 우
수한 성적을 낼 경우 국가대표 또는 해당 지방자치단체 대표선수로 선발하는데
차별을 하여서는 안된다.
⑤ 「국민체육진흥법」 제33조와 제34조에 따른 체육단체와 그에 딸린 지회 및 그에
가입한 경기단체는 제3항에 따른 대회에 스포츠클럽 회원이 참가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하며, 대회 출전 이력 관리 등 어떠한 경우라도 차별하여서는 안된다.

제13조(사업의 위탁) ①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는 공공스포츠클럽에게 생활체육진흥


등 지역체육 진흥에 필요한 사업들을 위탁할 수 있다.
② 학교는 공공스포츠클럽에게 체육관련 방과 후 사업 등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사
업에 대해서는 위탁할 수 있다.

제14조(시설의 지원) ①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는 스포츠클럽의 육성과 발전을 위하


여 공공체육시설에 대하여 우선 사용하거나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등의 필요한 시책을 강구하여야 한다.
②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는 공공스포츠클럽이 그 회원과 일반이용자가 훈련과 교습

64
제4장 스포츠클럽육성을 위한 법제 개선 방안

및 경기에 전용할 수 있는 전용시설을 설치⋅운용할 수 있다.


③ 지방자치단체는 국가의 보조 등에 의해 신규 체육시설을 설치하거나 개축 및 보
수 등을 하는 경우 해당 체육시설에 공공스포츠클럽을 우선 배치하여야 한다.
다만, 해당 자치단체내에 공공스포츠클럽이 설치되어 있지 않는 경우 국가는 보
조의 조건으로 공공스포츠클럽 설치⋅운영을 요구할 수 있다.
④ 지방자치단체는 체육시설의 효율적 활용과 공공스포츠클럽의 육성을 위하여 필
요하다고 인정하는 경우에는 「공유재산 및 물품 관리법」 제21조제1항 및 제27
조제1항에도 불구하고 공유재산을 25년 이내의 기간을 정하여 그 목적 또는 용
도에 장애가 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사용·수익을 허가하거나 관리를 위탁할 수
있다.
⑤ 지방자치단체의 장은 제4항에 따라 공유재산을 사용⋅수익하게 하는 경우에는
「공유재산 및 물품 관리법」 제22조에도 불구하고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
라 해당 공유재산의 사용료와 납부 방법 등을 정할 수 있다.
⑥ 지방자치단체의 장은 공유재산 중 체육시설(민간자본을 유치하여 건설 또는 개
수·보수된 시설을 포함한다)을 공공스포츠클럽의 연고 훈련⋅교습 및 경기장으
로 사용⋅수익을 허가하거나 그 관리를 위탁하는 경우 「공유재산 및 물품 관리
법」 제20조 및 제27조에도 불구하고 해당 체육시설과 그에 딸린 부대시설에 대
하여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우선하여 수의 계약할 수 있다. 건설 중인
경우에도 또한 같다.
⑦ 제4항에 따라 공유재산의 사용⋅수익을 허가받거나 관리를 위탁받은 공공스포츠
클럽은 필요한 경우 해당 체육시설을 직접 수리 또는 보수할 수 있다. 다만, 그
수리 또는 보수가 공유재산의 원상이 변경되는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대규모의
수리 또는 보수에 해당할 경우에는 지방자치단체의 장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
이 경우 지방자치단체는 수리 또는 보수에 필요한 비용의 전부 또는 일부를 지
원할 수 있다.

제15조(전문인력 양성) ①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는 스포츠클럽 매니저 등 스포츠클


럽 육성에 필요한 전문인력을 양성하기 위하여 노력하여야 한다.
② 문화체육관광부장관은 제1항에 따른 전문인력의 양성을 위하여 대통령령으로 정
하는 바에 따라 스포츠클럽 전문인력 양성기관을 지정하여 운영할 수 있다.
③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는 제2항에 따라 지정된 스포츠클럽 전문인력 양성기관에
대하여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그 양성에 필요한 경비를 보조할 수 있
다.
④ 그 밖에 스포츠클럽 전문인력의 양성에 필요한 사항은 대통령령으로 정한다.

65
스포츠클럽 육성을 위한 법제 개선 연구

제16조(전담기관 지정 등) ① 문화체육관광부장관은 스포츠클럽의 육성 및 지원에


관한 시책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하여 스포츠클럽 업무를 전담하는 기관(이하
“전담기관” 이라 한다)을 설치하거나 지정하여 운영할 수 있다.
② 국가는 예산의 범위에서 전담기관의 운영에 필요한 경비를 보조할 수 있다.
③ 전담기관의 지정 및 운영 등에 필요한 사항은 대통령령으로 정한다.
④ 문화체육관광부장관은 감독에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경우에는 전담기관에 대하여
그 업무 및 재산에 관한 보고 또는 자료의 제출을 명하거나 소속 공무원으로 하
여금 현장출입 또는 서류검사를 하게 하는 등 필요한 조치를 할 수 있다.
⑤ 제4항에 따라 출입⋅검사를 하는 사람은 그 권한을 표시하는 증표를 지니고 이
를 관계인에게 내보여야 한다.

제17조(창업 및 운영교육 지원 등) ① 문화체육관광부장관은 스포츠클럽과 관련된


창업을 촉진하거나 운영 등에 필요한 지식 및 정보 등을 제공하기 위하여 창업
및 운영 등에 필요한 교육이나 지원 등을 위하여 필요한 시책을 마련하여야 한
다.
②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는 스포츠클럽의 창업 및 운영교육 등에 필요한 자금을 지
원할 수 있다.
③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는 스포츠클럽의 창업 및 운영교육을 제15조에 따른 스포
츠클럽 전문인력 양성기관이나 제23조에 따른 스포츠클럽협의회에 위탁할 수 있
다.

제18조(안전⋅위생 기준) ① 스포츠클럽은 회원 및 일반이용자가 스포츠클럽을 안


전하고 쾌적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문화체육관광부령으로 정하는 안전⋅위생 기
준을 지켜야 한다.
② 스포츠클럽을 이용하는 자는 제1항의 안전⋅위생 기준을 따라야 한다.
③ 스포츠클럽은 스포츠클럽을 이용하는 자가 제2항의 기준을 준수하지 아니한 경
우에는 스포츠클럽 이용을 거절하거나 중지하게 할 수 있다.

제19조(보험 가입) 스포츠클럽은 스포츠클럽의 운영과 관련되거나 그 스포츠클럽 안


에서 발생한 피해를 보상하기 위하여 문화체육관광부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보험 또는 공제에 가입하여야 한다.

제20조(스포츠클럽의 준수 사항) ① 스포츠클럽은 다음 각 호의 사항을 지켜야 한


다.
1. 「소음⋅진동관리법」 등 개별법의 규정을 초과하는 소음⋅진동으로 지역 주민

66
제4장 스포츠클럽육성을 위한 법제 개선 방안

의 주거 환경을 해치지 아니하도록 할 것


2. 스포츠클럽 안에서 하는 도박이나 그 밖의 사행행위를 조장하거나 묵인하지
아니할 것
3. 이용약관 등 회원 및 일반이용자와 약정한 사항을 지킬 것
4. 다음 각 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로서 교습비 반환사유 및 반환금액에
관하여 회원 및 일반이용자와 약정하지 아니한 때에는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반환기준에 따라 회원 및 일반이용자로부터 받은 교습비를 반환할 것
가. 회원 및 일반이용자가 본인의 사정상 스포츠클럽을 이용할 수 없게 된 경우
나. 스포츠클럽의 폐업, 휴업 등으로 운영을 계속할 수 없는 경우

제21조(실태조사) ① 문화체육관광부장관은 스포츠클럽을 체계적으로 육성하기 위하


여 매년 스포츠클럽의 활동현황 및 실태 등에 대한 조사를 하고 그 결과를 공표
하여야 한다.
② 문화체육관광부장관은 제1항에 따른 실태조사를 하기 위하여 필요한 경우에는
스포츠클럽 또는 관련 기관⋅단체에 대하여 자료의 제출이나 의견의 진술 등을
요청할 수 있다. 이 경우 요청을 받은 스포츠클럽 또는 관련 기관·단체는 특별
한 사정이 없으면 요청에 따라야 한다.

제22조(종합정보시스템 구축·운영) 문화체육관광부장관은 스포츠클럽 관련 정보를


종합적으로 관리하고 스포츠클럽 간의 협력기반 구축 및 스포츠클럽 활동에 유
용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종합정보시스템을 구축⋅운영할 수 있다.

제23조(협의회의 설립) 스포츠클럽은 스포츠클럽의 건전한 발전과 상호 협력증진 등


을 위하여 문화체육관광부장관의 인가를 받아 스포츠클럽협의회를 설립할 수 있
다.

제24조(청문) 지방자치단체의 장은 제8조제3항에 따라 스포츠클럽 등록을 취소할


때에는 미리 청문을 하여야 한다.

제25조(권한의 위탁) 문화체육관광부장관 또는 지방자치단체의 장은 이 법에 따른


권한의 일부를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전담기관 등에 위탁할 수 있다.

제26조(포상) ① 문화체육관광부장관은 스포츠클럽의 발전에 기여한 공로가 현저한


개인⋅단체 등을 선정하여 포상할 수 있다.
② 그 밖에 제1항의 포상에 필요한 사항은 대통령령으로 정한다.

67
스포츠클럽 육성을 위한 법제 개선 연구

제27조(과태료) ①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에게는 1000만원 이하의


과태료를 부과한다.
1. 제9조에 따른 가입비와 회비, 교습비를 부정한 방법으로 사용한 자
2. 제9조제3항 및 제4항을 위반한 자
3. 제10조제1항을 위반한 자
4. 제12조제5항을 위반한 자
5. 제18조에 따른 안전위생기준을 위반한 자
6. 제19조에 따른 보험 가입을 아니한 자
7. 제20조에 따른 준수사항을 위반한 자
② 제1항의 규정에 따른 과태료는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이나 지방자치단체의 장이 부과⋅징수한다.

부 칙

제1조(시행일) 이 법은 공포 후 1년이 경과한 날부터 시행한다.


제2조(일반적 경과조치) 이 법 시행 당시 2013년부터 종전의 지침에 따라 설립된
종합형스포츠클럽이나 K-스포츠클럽, 지역스포츠클럽은 이 법에 따른 공공스포츠
클럽으로 본다.
제3조(다른 법률의 개정) 생활체육진흥법 일부를 다음과 같이 개정한다.
제2조제5호 및 제9조를 삭제한다.

68
제5장 결 론

제5장 결 론

69
제5장 결 론

앞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지금까지 정부는 우리나라에서 선진형 체육시스템이라


할 수 있는 스포츠클럽을 안정적으로 정착시키기 위해 다양한 정책들을 수립하고
지원해 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재까지 선진형 스포츠클럽의 안정적 정착이나 성
공사례는 찾아보기 쉽지 않다.
정부는 스포츠클럽을 통하여 초보자도 쉽게 운동할 수 있는 강습중심의 대중스포
츠클럽 육성, 지역사회 생활체육서비스 제공과 엘리트선수를 육성하는 공공스포츠클
럽, 체육시설-지도자-프로그램을 통합제공하는 자립형 스포츠클럽을 지향한다는 명
확한 목표 의식하에 스포츠클럽을 육성하고 지원하였으나 지원한 스포츠클럽이 자
립적으로 정착하지 못하고 모두 해산되거나 소멸되어 결과적으로는 거의 실패한 것
이나 다름없었다.
이러한 현상을 이 연구에서는 스포츠클럽 육성사업을 임의로 실시한 행정사업이라
는 측면에서 그 원인을 찾았다. 따라서는 이 연구는 현재의 스포츠클럽 사업을 법
제 개선을 통해 법정사업으로 위상을 강화할 필요가 있고 그 대안으로 스포츠클럽
육성법 제정이나 생활체육진흥법 대폭 개정을 강조하였다.
그 근거로는 지난 2015년 3월 생활체육진흥법이 시행되면서 스포츠클럽에 대한
법률조문이 신설되어 스포츠클럽에 대한 법적 근거를 갖추게 되었지만 스포츠클럽
에 대한 지원은 생활체육진흥법 시행령 제4조에서 공공체육시설의 운영 및 관리 위
탁, 생활체육지도자의 배치 지원, 스포츠클럽의 운영비 보조, 그 밖에 스포츠클럽
정보망의 구축·운영 등 스포츠클럽 육성에 필요한 사항으로 제한적 일뿐 선수육성
지원, 대회 운영 및 출전 보장, 사업 위탁 등에 대한 다양한 내용들이 부재하다는
점이 작용하였다.
이 연구에서 제안한 스포츠클럽 육성을 위한 법제 개선의 주요 내용을 간략히 정
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법제 개선의 목적으로 스포츠클럽 육성의 근거 마련을 통해 스포츠클럽의 방
향성을 공익 지향으로 명확히 하고 스포츠클럽을 통하여 국민들이 스포츠활동에 지
속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여건을 제공하고 이를 통한 국민의 스포츠복지 향상과 지
역사회 체육인재 양성에 기여하도록 목확히 하였으며 이를 위해 공공스포츠클럽을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에게 설립하여 운영토록하고 나아가 스포츠클럽이 협동조합
및 사회적 기업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하였다.
둘째,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에게 스포츠클럽의 육성 및 지원을 위하여 필요한 시책
을 수립·시행하도록 하였는데 지방자치단체가 설립한 공공스포츠클럽에 대하여는
해당 지방자치단체 소유의 공공체육시설을 사용하고자 할 경우 「체육시설의 설치⋅
이용에 관한 법률 시행령」제4조의2제2호에 해당하는 행사와 같은 수준으로 이용료
를 감경하고, 스포츠클럽하우스와 사무공간 등을 「공유재산 및 물품 관리법」 제22
조에도 불구하고 무상으로 제공할 수 있도록 법규에 포함시켰다.

71
스포츠클럽 육성을 위한 법제 개선 연구

셋째, 스포츠클럽이 정부의 지원을 받기 위해서는 등록하도록 하였다. 특히 스포츠


클럽은 지방체육단체 및 경기단체들과 같은 비영리 조직이지만 회원의 회비와 클럽
존립을 위한 최소한의 수익활동 등을 할 수 있도록 법인화할 수 있도록 의무화하였
고, 스포츠클럽이 지역 정치인들과 결탁하여 지방자치단체로부터 각종 수혜를 받는
것을 원천적으로 차단하기 위하여 대표자 등의 정치적 중립성을 보장하기 위한 제
한적 요소들을 법규에 포함시켰다.
넷째, 스포츠클럽에 대한 지도자 배치와 이에 대한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의 지원
근거를 규정화하였다. 스포츠클럽의 성공적 운영은 능력있는 지도자 배치와도 연관
된다. 그러나 지도자 배치는 스포츠클럽의 운영에 있어 가장 많은 비용이 드는 부
분으로 스포츠클럽 회원의 회비와 자체 수익으로만 모든 비용을 부담하기에는 적잖
은 한계가 있다. 따라서 공공스포츠클럽이 공익적 사업을 위해 지방자치단체가 설치
하여 운영하는 사업이란 점을 감안하여 스포츠클럽 지도자 배치시에도 지방자치단
체가 보조할 수 있는 근거를 법규에 포함시켰다.
다섯째, 스포츠클럽의 성공적 정착을 위해서는 시설에 대한 안정적 확보가 필요하
다. 따라서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에게 스포츠클럽의 육성과 안정적 정착을 위하여
공공체육시설에 대하여 우선 사용하게 하는 등의 필요한 시책을 강구하도록 했으며,
국가의 보조 등에 의해 스포츠클럽 전용시설이나 종합체육관 이상의 신규 체육시설
을 설치하거나 리모델링을 하는 경우 해당 체육시설에 공공스포츠클럽을 우선 배치
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위탁기간을 「공유재산 및 물품 관리법」에도 불구 25년
이내의 기간을 정하여 위탁할 수 있도록 하여 스포츠클럽이 안정적으로 거점시설을
확보하고 이를 통한 자생력강화에 힘쓸 수 있도록 그 근거를 법규에 포함시켰다.
여섯째, 스포츠클럽 운영의 기반은 재정이다. 따라서 안정적 재정 기반 확보를 위
해 스포츠클럽으로 하여금 회비와 교습비를 징수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교습비에
대해서는 세제혜택을 줄 수 있도록 법규화 하였다. 현재에도 체육시설의 설치 이용
에 관한 법률에 의한 체육도장업에 대해서는 부가가치세를 면제하고 있다. 따라서
체육도장업에서 하는 교습과 같은 유형의 교습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스포츠클럽에
대해서도 세제혜택을 부여하여 스포츠클럽의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하였다.
외국의 법제 분석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중앙정부차원에서 스포츠클럽 육성과 관
련한 중앙정부의 법률은 별도로 존재하지 않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연구에서는
스포츠클럽 육성을 위해 중앙정부차원의 법제 개선을 강조하였다.
스포츠발전 역사가 일천하여 민간 주도의 스포츠시장이 발전하기에는 적잖은 한
계를 가지고 있는 우리나라 상황에서 급속한 산업화에 이은 핵가족화, 개인주의의
팽배에 따른 지역 공동체 훼손 등을 회복하고 스포츠클럽을 통한 체육활동 참여 인
구 저변확대와 이를 통한 우수선수 육성 등을 위해서는 스포츠클럽을 지원하고 육
성할 수 있는 법적 장치 마련이 반드시 필요하다는 점도 강조하였다.

72
제5장 결 론

스포츠의 가치는 개인의 자아실현과 여가선용 수단으로도 작용하지만 국위선양과


지역사회 공동체 형성의 주요한 공공재로도 작용해 왔다. 비록 육성과 지원을 위한
법제 방식이 독일과 일본의 방식과는 다르지만 공공재로서 스포츠클럽에 대한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의 지원은 같은 맥락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우리나라에서도 선진국의 체육시스템이라 할 수 있는 스포츠클럽의 안정
적 정착을 위해서는 스포츠클럽을 종합적이고 일관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법적 기
반을 하루 속히 구축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다시 한번 강조하고자 한다.

73
제5장 결 론

참고문헌

75
참고문헌

참고문헌

국민생활체육회(2013). 국민생활체육회 종합스포츠클럽 모형 개발 및 제도 개선.


국민생활체육회(2014). 종합형스포츠클럽 운영실태조사 및 성과평가.
대한체육회(2017). 신규 지역스포츠클럽 공모 자료
국회⋅문화관광부⋅체육단체(2003). 선진국 체육행정 및 체육단체 실태조사 결과보고서
김양례 외(2014). 종합형스포츠클럽사업 육성방안 연구. 체육과학연구원
대한체육회(2003). 독일 NOC 및 독일체육회 방문결과 보고서
대한체육회(2017). 스포츠클럽의 현재와 미래. 스포츠클럽발전 심포지움 자료집.
대한체육회 KBS.
문부과학성(2004). 종합형지역스포츠클럽 육성 매뉴얼, 체육과학연구원 번역자료
문화관광부(2004). 독일 스포츠클럽 실태조사 결과 보고서
문화관광부(2005). 한국형 스포츠클럽 추진방향
성문정 외(2005). 스포츠클럽 제도화를 위한 법개정 방안 연구, 체육과학연구원
성문정 외(2008). 스포츠클럽제도화를 위한 법개정안 연구. 체육과학연구원
스포츠클럽연구회(2005). 한국형 스포츠클럽모델개발 연구.

Lisa P. Masteralexis외 2인(1998). Principles and Practice of Sport Management.


Rubingh, B., & Westerbeek, H. M.(1994). De professionele sportvereiniging,
kiezen of delen. Spiel en Sport.

77
【 2017년도 연구과제 목록 】

❖ 기본과제 * 현안과제 8건 포함

도서명 책임연구자

도시개발 제도 개선을 통한 체육시설 확충 방안 연구 김미옥


성공적인 스포츠클럽 운영 모델을 위한 기초연구 남상우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스포츠활동 참여실태 분석연구 노용구
스포츠클럽육성을 위한 법제 개선 연구 성문정
장애인스포츠·레저학교 설치운영 방안 연구 성문정
지속가능발전목표(SDGs)연계 스포츠 시사성 탐구 연구 조현주
유·청소년 스포츠정책 방향 및 과제 수립을 위한 연구 정현우
손목밴드형 웨어러블 기기 활용을 통한 여성노인의 간헐적 운동중재 효과 박세정
심박변이도를 활용한 불안과 운동수행력간의 관계 검증 황승현
스포츠산업 금융지원 개선 방안 연구 고경진
스포츠경기서비스업 마케팅 활성화를 통한 스포츠산업 시장 확대 방안 –종목 중심으로– 김민수
대한체육회 상임심판제도 운영 개선방안(비공개) 김미숙
유도 메치기(당기기)용 벡터측정장치 개발(비공개) 길세기
한국형 운동능력별 엘리트선수의 체력 SNP 비교 -대규모 SNP Case-Control 연구-(비공개) 김광준
우수 양궁 선수들이 지각하는 지도자-선수 의사소통 요인 탐색(비공개) 김영숙
엘리트선수들의 ACTN3, AGTR2, PGC-1⍺ 유전자 다형의 비율 및 운동능력과의 관련성
민석기
(비공개)
엘리트 육상 단거리 선수들의 대요근과 전문체력의 관계(비공개) 성봉주
빙상/슬라이딩 종목 경기 장비 연구시설 아이스챔버의 온도/속도센서의 교정 및 얼음
이상철
표면 가공 조건 연구(비공개)
혁신형 스포츠전문 교육기관 설립 기초연구(비공개) 정지명
오버헤드 운동선수들의 운동 유발성 어깨 통증 유무에 따른 어깨뼈(견갑골) 움직임 비교
박종철
분석(현안과제)
스포츠 부문 일자리 중장기 대책 수립을 위한 기초연구(현안과제) 김상훈
스포츠산업 서비스R&D 활성화 방안 연구(현안과제) 김상훈
태권도선수의 무릎관절 탄성능력에 따른 하지관절 특성분석(현안과제, 비공개) 김태완
엘리트 유도선수의 심리적 강점 측정도구 개발연구(현안과제, 비공개) 박상혁
체조 마루 종목 공중 비틀기 턴 연결동작 완성도 평가(현안과제, 비공개) 송주호
청소년을 위한 스포츠 인성발달 프로그램 활용 지침서 개발(현안과제, 영문판) 노용구
2016 한국의 체육지표(현안과제, 기배포) 정지명
❖ 수탁과제

도서명 책임연구자

2016 체육백서 발간 사업 노용구


2017 대한장애인체육회 가맹단체 종합 평가 용역 한태룡
2017 레슬링 국가대표[그레코로만형] 과학적 훈련 지원 및 분석
송홍선
-2018 자카르타아시안게임 및 2020 동경올림픽대비
2017 상임심판 운영 김미숙
2017-2018 꿈나무선발 및 경기력 향상도 측정 평가 김광준
2017년 국민체력실태조사 송홍선
2017년 장애인생활체육 현장평가 및 만족도 조사 정현우
2018 자카르타 아시안게임 대비 여자 유도 굳히기 기술 분류 및 대응전술 동영상 개발 김태완
2018 평창동계올림픽 대비 프리스타일스키 슬로프스타일/하프파이프 기술훈련 지원 박종철
2018 평창동계올림픽 봅슬레이/스켈레톤 골드프로젝트 민석기
2018 평창동계올림픽 페럴림픽레거시 발전모델 수립연구 조현주
2018 평창동계올림픽 페럴림픽레거시 지속가능발전 방안 제시 조현주
2018 평창올림픽 대비 바이애슬론선수 심폐지구력 강화 훈련프로그램개발 및 적용효과 성봉주
2018 평창올림픽 대비 아이스 환경조건이 컬링 스위퍼에 미치는 생체역학적 영향 분석 김태완
2018 평창올림픽 대비 컬링 샷 정확도 향상을 위한 압박형 훈련장비 개발 길세기
2018 평창올림픽 대비 컬링 선수들의 경기 중 역경상황과 대처전략 탐색 김영숙
2020 도쿄올림픽 대비 양궁 주의 집중 훈련을 위한 우수 양궁 선수들의 시각탐색 특성분석 김영숙
2020 동경올림픽 대비 체조 도마 종목 신기술 가능성 탐색 송주호
2020 동경올림픽 및 그 이후 올림픽 대비 차세대 역도선수 스포츠과학적 육성지원 송주호
경기력분석을 위한 운동역학 현장 지원방안 개발 김태완
구기종목 실시간 경기분석 코드 개발 -핸드볼, 하키 종목을 중심으로 박종철
국가대표 경기력 향상을 위한 쇼트트랙 시뮬레이션 후 생리학적 반응에 대한 연구 김언호
국가대표 선수 체력 측정 지원 효율성 향상을 위한 이종 에르고메타 간 측정 데이터
이상철
변환방법 연구 -육상중심으로
국가대표 펜싱 선수의 손상예방 가이드북 개발 김언호
국민체력100 체력측정항목 기준검증및 추가 항목 개발 송홍선
국민체력100사업과 국민건강보험공단의 협업성과 연구 박세정
근대5종 중장기 발전 방안 김미숙
동계빙상 스포츠경기력 향상을 위한 스마트 아이스챔버 고도화 컨설팅 이상철
레저스포츠 진흥 및 안전에 관한 제도적 기반 구축 연구 김대희
루지경기력 향상을 위한 곡선구간 영상 획득 장치 기능구성 컨설팅 황승현
병역법상 체육요원 제도개선 및 특기활용 봉사활동 활성화 방안 연구 김대희
생활체육진흥 기본계획 및 홍보물 개발 김양례
도서명 책임연구자

수영에서 피부색 변화를 활용한 심박수 측정 가능성 검토 민석기


스포츠산업 가계지출 조사 김상훈
스포츠산업기술개발사업 지원과제 성과추적 평가 김민수
스포츠산업백서 김민수
실내테마파크형 스포에듀테인먼트 서비스를 위한 스포츠기술정보 제공 길세기
자카르타 아시안게임 대비 사격 경기시 정서적 변화와 대응하는 심리적 안정화 전략 방안 박상혁
전국축구장 인프라현황 시범조사 연구 -Division 7 리그 홈 경기장 현황 조사 길세기
전국축구장 인프라현황 시범조사 연구 -k 리그/K3리그/N 리그 구단 홈 경기장 인프라
이상철
현황 조사
전통 무예 활성화 방안 연구용역 김대희
제23기 경륜선수후보생의 경기력 향상을 위한 스포츠과학 적용 김언호
제3차 장애인체육 중장기 발전계획 수립 김권일
조정 스컬 종목 선수들의 경기력 향상을 위한 훈련지침서 개발 -체력 훈련 중심으로 김영수
종목별 경기력 결정 체력 요인 분석 김언호
종목별 상임심판 운영 시스템 구축 용역 김미숙
종목별 체력훈련 프로그램 개발 성봉주
지역스포츠산업육성 및 경쟁력 강화방안 연구/스포노믹스육성사업 고경진
지역스포츠산업육성 및 경쟁력 강화방안 연구/지역융복합스포츠산업 거점육성사업 정지명
지역스포츠산업육성 및 경쟁력 강화방안 연구/지역특화스포츠관광산업육성 김민수
천연약용식물 추출 액상차 섭취가 엘리트선수들의 체력 및 피로회복에 미치는 영향 성봉주
체육분야 문화비전 연구용역 유지곤
체육시설안전관리 제도개선을 위한 체육시설법령 개정안 수립 연구 성문정
체육지도자 자격제도 개선 한태룡
컬링경기력 향상을 위한 스톤 이동속도 측정 및 시현장치 기능구성 컨설팅 김태완
태권도 경기력 향상을 위한 태권도 경기와 저항성 운동의 내분비계 변화에 대한 연구 김언호
태권도 진흥을 위한 2030 중장기 발전방안 수립 조현주
태권도 활성화 및 세계화 전략 연구 조현주
평창동계올림픽 스피드스케이팅 골드프로젝트 송주호
평창올림픽 대비 모글 스키 선수들의 자기통제기술 강화를 위한 바이오피드백훈련 적용 황승현
【 2016년도 연구과제 목록 】

❖ 기본과제 * 현안과제 15건 포함

도서명 책임연구자

인구구조변화에 대응한 생활체육정책 방향과 과제 김미숙


대한체육회 회원종목단체 심판운영 현황 및 개선방안 김미숙
기금지원 체육시설 이용실태 및 향후 추진방안 김미옥
민간자유업 체육시설 실태조사 및 관리방안 김미옥
스포츠 교육연수원 설립 타당성 및 운영 방안 연구 김미옥
엘리트-생활체육대회 통합운영 방안 성문정
체육균형발전지수(KSBI) 개발 송명규
부상 엘리트 선수를 위한 컨디셔닝 센터 체계화 방안 서태범
소셜 빅데이터를 활용한 스포츠산업 지원 사업 수요분석 김민수
스포츠산업 일자리 창출방안 연구 김상훈
대한체육회「지도자·선수·체육동호인 등록규정」개정방안 연구(비공개) 김대희
국가 체육정책 추진체계 발전방안(비공개) 성문정
국제체육교류진흥재단 설립 기본 타당성 연구(비공개) 조현주
장애인은퇴선수 취업실태 및 일자리 지원방안(비공개) 한태룡
「스포츠산업진흥법」하위법령 개정방안 연구(현안과제) 김대희
지방자치단체「스포츠산업진흥 표준조례」제정안 연구(현안과제) 김대희
개발도상국 분쟁지역 청소년대상 스포츠프로그램(KISS-HOPE) 효과 검증(현안과제) 노용구
체육인재 해외진출지원을 위한 플랫폼 구축방안(현안과제) 조현주
하퇴 키네시오 테이핑 적용 전후의 주상골 하강과 족저압 비교 분석(현안과제) 박종철
윈게이트 기기별 파워변인의 신뢰도와 타당도 분석을 통한 상호변환 추정식 개발(현안과제) 성봉주
유소년 야구선수들의 연령에 따른 체격, 체력, 골연령 관계성 연구(현안과제) 송홍선
엘리트 펜싱선수 손상실태 조사(현안과제) 정진욱
왕복달리기용 고정밀도 무선측정방법 개발(현안과제, 비공개) 길세기
세계빙상연맹(ISU) 기준에 따른 쇼트 트랙 빙상용 안전매트에 대한 무게 추 낙하 충격
이상철
시험(현안과제, 비공개)
적외선과 영상을 이용한 사격 조준선 정렬 훈련 장비 국산화 기초 연구(현안과제, 비공개) 이상철
세계태권도연맹 태권도 몸통호구 충격흡수 성능 기준 설정을 위한 연구(현안과제, 비공개) 황종학
스포츠도시 육성사업 추진방안(현안과제, 비공개) 고경진
한국 체육 중장기 계획 수립을 위한 기초연구(현안과제, 비공개) 남상우
2015 한국의 체육지표(현안과제, 기배포) 정지명
❖ 수탁과제

도서명 책임연구자

2015 대통령 국무총리기(배) 대회 평가 연구 김양례


2015 스포츠산업백서 김민수
2015 체육백서 노용구
2016 대한장애인체육회 생활체육지원사업 만족도 조사 정현우
2016 리우올림픽 대비 체조 도마 종목 YANG Hak Seon 기술에 대한 최적화 방안
송주호
탐색
2016년 꿈나무선수 경기력 향상도 측정 평가 김광준
2016년 꿈나무선수 선발 측정평가 김광준
2016년 대한장애인체육회 가맹단체 평가 한태룡
2016년 리우올림픽 대비 맞잡기 특이적 훈련프로그램이 여자유도 주요선수들의
김태완
전문체력 및 상지근력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2016년 리우올림픽 대비 여자하키 주요경쟁국가 경기내용 분석 및 대응방안 박종철
2016년 리우올림픽을 위한 컨디셔닝 지침서 민석기
경북ICT 융복합 스포츠산업 육성 타당성 조사 및 기본계획 수립 연구 김상훈
국가대표 컬링팀을 위한 팀빌딩프로그램 개발과 적용 김영숙
국민체력100 – 국민체력실태조사와 국민체력100 사업의 연계방안 보고서 박세정
국민체력100 – 한국성인 및 노인의 건강체력 기준제시 박세정
국민체육진흥기금 조성의 다원화 방안 유지곤
권총 및 소총 사격 선수들의 경기력 향상을 위한 시합 스트레스 및 스트레스
박상혁
대처 방안 탐색
동계스포츠 경기력 향상을 위한 공기저항 3%이상 저감시키는 인체공학적 플랫폼 섬유
문영진
소재 및 프리미엄급 응용제품 개발(3차년도)
동계스포츠 종목 선수들의 심리적 모멘텀 요인 탐색(인지-정서-생리적 변화) 박상혁
리우올림픽대비 레슬링 그레코로만형 대표선수 경기력 향상을 위한 스포츠과학 지원 최규정
봅슬레이/스켈레톤 경기의 스타트타임 및 기록 향상 전략 수립 민석기
상임심판제도 운영 김대희
쇼트트랙 선수들의 근기능 강화 훈련프로그램 적용에 따른 근력 및 근파워 비교 연구 김언호
수영운동시 에너지 소비량 측정 방안 도출 박세정
수영운동인식기 성능 검증 및 운동지표 도출 민석기
스마트아령 운동기구 개발 황종학
스포츠 4대악 유형별 비리사례집 발간 연구
김대희
스포츠 경기력 향상 IoT 서비스 개발 컨설팅
제1세부 동계 빙상 스포츠 경기력 향상을 위한 스마트 아이스 쳄버 구성 이상철
제2세부 루지 경기력 향상을 위한 스마트 IoT 박스 개발 길세기
제3세부 루지 경기력 향상을 위한 VR(Virtual Reality) 이미지 트레이닝의 활용 방법 황승현
제4세부 스키 경기력 향상을 위한 스마트 기문 개발 박종철
도서명 책임연구자

스포츠산업 선도기업 육성을 위한 기업 운영 실태조사 고경진


스포츠안전기술 연구개발 로드맵 수립 황종학
스포츠용품 인증기관 지정 도입 및 육성 방안 길세기
스포츠용품제조업 총조사 김상훈
스피드 스케이팅 500m 종목 스타트 기술에 관한 연구 지원 송주호
승마형 운동기구(마렝고휘트니스)의 공학적 알고리즘 연구 황종학
승마형 운동기구(마렝고휘트니스)의 운동시 에너지소비량 및 운동효과 분석 성봉주
심박변이도를 활용한 봅슬레이/스켈레톤 선수들의 각성조절 호흡법 개발 및 적용 황승현
안전관리 우수체육시설 인증제도 도입을 위한 기초 연구 유지곤
야외운동기구 설치 안전기준 도입을 위한 기초 연구 황종학
양궁 리커브 선수들을 위한 리우 경기장 적응 시뮬레이션 훈련 개발 및 적용 김영숙
엘리트 선수 양성 시스템 개선 방안 정진욱
올림픽공원 올림픽 컨벤션센터 중장기 활용 방안 노용구
장애인스포츠 직장운동경기부(실업팀) 운영실태 및 활성화 방안 연구 정현우
전국 종합운동장 스포츠허브(가칭) 조성 모델개발 김미옥
전국장애인체육대회 모니터링 연구 노용구
제22기 경륜선수후보생의 경주력 향상을 위한 스포츠과학 적용 서태범
지역스포츠과학센터 심리평가 기준 개발 황승현
체력단련시설 운영 실태조사 정지명
체육시설 안전교육 전문기관 육성 및 안전교육 제도화 방안 수립 김미옥
초등학교 운동선수 체력 훈련지원 지침서(유소년용) 송홍선
초등학교선수용 스포츠과학센터 측정평가 도구 개발 성봉주
컬링 브러쉬 잡기 위치에 따른 효율적 스위핑 기술 분석 김태완
태권도선수의 근기능 강화 체력 훈련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김언호
통합백서 김대희
펜싱 사브르 훈련용 반응시간 측정장치 개발에 관한 연구 길세기
프리스타일스키 공중기술 향상을 위한 기술 분석 박종철
한국형 에이전트 제도 도입을 위한 방안 마련 김대희
해외 올림픽레거시 우수사례 분석 및 시사점 조현주
【 2015년도 연구과제 목록 】

❖ 기본과제 * 현안과제 17건 포함

도서명 책임연구자

경기력향상연구연금 수급자의 생활실태 분석 및 지원 방안 김양례


공공체육시설 관리운영 개선방안 김미옥
유휴공간을 활용한 생활체육시설 조성방안 김미옥
대한체육회 지도자⋅선수등록규정 개선방안 연구 김대희
스포츠복지 개념 및 정책방향 설정에 관한 연구 노용구
해외 스포츠정책 동향 분석 조현주
학교운동부의 학교급간별 적정 운동시간 설정을 위한 연구 김언호
시장분석을 통한 스포츠산업 발전방안 연구 김상훈
성과분석에 기반한 스포츠산업 지원 사업 개선방안 김민수
경기단체 주관 전국규모대회 실태 및 개선방안(비공개) 김미숙
전국체육대회운영의 법제도적 개선방안(비공개) 한태룡
뉴로피드백을 활용한 심상 훈련의 적용(비공개) 김영숙
골프 유사회원권 시장 실태조사를 통한 제도개선방안 연구(비공개) 정지명
체육요원 병역특례제도 개선방안 연구(현안과제) 김대희
스포츠도시 선정 평가지표 개발 연구(현안과제) 김미옥
일본 학교체육의 제도와 운영에 대한 실태조사(현안과제) 한태룡
고강도 저항성운동과 저강도 저항성운동이 동맥경화도에 미치는 영향(현안과제) 김언호
2015년도 국민체력100 체력증진교실 체력 향상도 분석(현안과제) 박세정
투기 종목 선수들의 스포츠 용기 구성 개념 탐색(현안과제) 박상혁
스포츠심리 현장지원을 위한 심박변이도(HRV) 활용방안에 관한 문헌 연구(현안과제) 황승현
스포츠영상분석센터 운영 매뉴얼 개발 및 활성화 방안 연구(현안과제) 박종철
아시아 수영선진국의 지원시스템 분석 및 비교(현안과제) 민석기
학교체육 거버넌스 운영조직 설립방안(현안과제, 비공개) 한태룡
개발도상국 청소년대상 스포츠 프로그램(KISS-HOPE)효과 검증(현안과제, 비공개) 노용구
국제무예센터(가칭) 건립 기본구상(안) 연구(현안과제, 비공개) 유지곤
3m 스프링보드 다이빙 109C형 기술 완성도 평가(현안과제, 비공개) 김태완
체조 도마 종목 Ri Se Gwang 기술에 관한 연구(현안과제, 비공개) 송주호
역도 인상 동작 시 무릎 전방십자인대 부상 관련요인 평가(현안과제) 문영진
한국스포츠개발원 체력 측정 및 평가 매뉴얼Ⅱ(현안과제, 내부용) 김영수
2014 한국의 체육지표(현안과제, 기배포) 정지명
❖ 수탁과제

도서명 책임연구자

2014 대통령기(배) 대회 평가 김양례


2014 대한장애인체육회 가맹단체 평가 김권일
2014 상임심판제도 운영평가 연구 김대희
2014년 체육백서 발간 사업 김미숙
2014년도 꿈나무선수 경기력 향상도 측정평가 김광준
2015 국민생활체육 참여 실태조사 김양례
2015 꿈나무선수 선발 측정평가 김광준
2015 장애인생활체육지원사업 현장평가 및 만족도 조사 조현주
2015년 국민체력실태조사 성봉주
2015년 우수영재 육성사업 스포츠과학 측정의뢰 최규정
2015년도 꿈나무선수 경기력 향상도 측정평가 김광준
2018 평창동계올림픽대회 및 장애인 동계올림픽대회 홍보측정과 전략관리 김민수
S Health의 운동 사용성 평가 및 개선 정진욱
S Health의 운동 서비스 개선을 위한 컨설팅 정진욱
S Health의 운동 프로그램 고도화를 위한 컨설팅 프로젝트 정진욱
강릉 동계종목 선수훈련장 조성 타당성 조사 유지곤
국민체력100 - 대체항목 개발 정진욱
국민체력100 - 평가기준 개선 고병구
국민체력100 - 한국성인의 스포츠활동 평가 도구 개발 고병구
국민체력100 – 한국인 건강체력 기준개발(2차년도) 박세정
국민체력100사업과 건강증진사업 협업 및 차별화 전략 방안 김양례
국민체력100 - 스포츠활동 인증가이드북 송홍선
국제체육 아젠다 발굴 기획 사업 조현주
남북체육교류 활성화 기반조성 사업 성문정
늘품체조 효과성 평가 분석 서태범
동계스포츠 경기력 향상을 위한 공기저항 3%이상 저감시키는 인체공학적 플랫폼
문영진
섬유 소재 및 프리미엄급 응용제품 개발(2차년도)
부산경정사업 타당성 조사 유지곤
사용자 활동량 기술 개발 박세정
상임심판 제도 운영 김미숙
스포츠 4대악 유형별 비리사례집 발간 및 보급 김대희
스포츠무형자산가치 평가모델 개발 및 시스템 구축 정지명
스포츠산업 소비자 가계지출 조사 김상훈
도서명 책임연구자

장애인국제대회 연금지급방안 컨설팅 연구 김권일


종목별 스포츠산업 실태조사(야구 부문) 김상훈
종목별 스포츠산업 실태조사(축구 부문) 최용석
종목별 스포츠산업 실태조사(농구 부문) 김민수
종목별 스포츠산업 실태조사(배구 부문) 정지명
4대 스포츠 종목별 발전방안 연구(야구) 김상훈
4대 스포츠 종목별 발전방안 연구(축구) 최용석
4대 스포츠 종목별 발전방안 연구(농구) 김민수
4대 스포츠 종목별 발전방안 연구(배구) 정지명
체육시설 안전관리 기본계획 수립을 위한 연구 유지곤
체육주간 및 체육의날 활성화를 위한 연구 노용구
통합DB구축 및 측정항목 개선-체육영재 및 중고 학생선수의 통합 관리를 위한
최규정
연계방안 연구
통합DB구축 및 측정항목 개선-체육영재 발굴프로그램 고병구
한국스포츠개발원 정기간행물 안내

□ 스포츠과학
스포츠과학 은 체육정책, 스포츠과학, 스포츠산업분야 등 최신 체육정보를 폭넓게 소개하는 체육전문잡지입니다.

ㅇ 발행일 : 2, 5, 8, 11월 말일(계간)


ㅇ 1년 구독료 : 20,000원 * 낱권 6,000원
ㅇ 구독신청 : 한국스포츠개발원 홈페이지(www.sports.re.kr)

□ 체육과학연구
체육과학연구 는 2003년 한국학술진흥재단 등재학술지로 선정된 국내 최고의 체육종합학술지입니다.

ㅇ 발행일 : 3, 6, 9, 12월 말일(계간)


ㅇ 낱권구독료 : 10,000원(2018년 이전 발간 과월호)
ㅇ 구독신청 : 한국스포츠개발원 홈페이지(www.sports.re.kr)
* 29권1호(2018년 3월 31일) 발행부터 전자출판 됩니다.

□ IJASS
IJASS 는 2016년 한국연구재단 등재학술지로 선정된 체육종합 영문학술지입니다.

※ International Journal of Applied Sports Science


ㅇ 발행일 : 6, 12월 말일(반년간)
ㅇ 낱권구독료 : 10,000원(2018년 이전 발간 과월호)
ㅇ 구독신청 : 한국스포츠개발원 홈페이지(www.sports.re.kr)
* 30권1호(2018년 6월 30일) 발행부터 전자출판 됩니다.
□ SI포커스
스포츠산업 동향에 대한 부문별 심층 분석을 제공합니다.

소셜 빅데이터를 활용한 스포츠산업 인식 분석 (제2017_1호)


국내외 프로스포츠 방송 중계권 시장 동향 분석 (제2017_3호)
스포츠산업 실태 및 인적자원 구조 변화 분석 (제2017_4호)
국내 태권도산업 수요현황 진단 분석 (제2017_5호)
국내 배드민턴산업 수요 분석 (제2017_6호)
국내 자전거산업 수요 분석 (제2017_7호)
국내 당구산업 수요 분석 (제2017_8호)
국내 태권도산업체 조직실태 분석 (제2017_9호)
국내 배드민턴산업체 조직실태 분석 (제2017_10호)
국내 자전거산업체 조직실태 분석 (제2017_11호)
국내 당구산업체 조직실태 분석 (제2017_12호)

□ 이슈페이퍼
스포츠산업 현안을 집중 분석하여 성장에 필요한 대안을 제공합니다.

가상현실 기반 스포츠 테마파크! 평창 동계올림픽 사후 경기장 활용의 시작 (제2017_1호)


뜨거워지고 있는 한국프로야구의 스토브리그 이대로 좋은가? (제2017_3호)
스포츠 협동조합에 대한 법제도적 접근과 보완점 (제2017_4호)
스포츠의 또 다른 융·복합가치 : 스포츠 연계 금융상품의 현황과 시사점 (제2017_5호)
스포츠 산업의 관점에서 본 FIFA U-20월드컵 가치와 효과는? (제2017_6호)
국내 승마산업의 주역! 유·청소년 승마의 현재와 미래 : 국내 승마산업의 Key Word (제2017_7호)
정책의 사각지대, 해양스포츠산업의 현황 및 전문인력양성 방안 (제2017_8호)
개인적 일탈과 나비효과 : 심판과 구단의 부적절한 관계로 인한 프로야구의 위기 (제2017_9호)
3x3농구의 활성화와 농구 산업의 확장 (제2017_10호)
메가 스포츠 이벤트와 도시브랜딩 (제2017_11호)
국내 스키산업의 현황과 향후 과제 (제2017_12호)

* SI포커스 및 이슈페이퍼 다운로드 : 스포이즈 홈페이지(spois.kspo.or.kr)


스포츠클럽 육성을 위한
법제 개선 연구

발행일 : 2018년 2월
발행처 : 한국스포츠개발원

서울특별시 노원구 화랑로 727(공릉동)


☎ 02)970-9588 www.sports.re.kr
인쇄처 : (사)한국장애인유권자연맹
편집디자인 : 아하디자인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