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378

해외 스포츠정책 동향 분석

- 체육행정 거버넌스 및 주요 이슈 관련 정책비교 -

2016. 01.

책임연구자 : 조 현 주 ( 한국스포츠개발원 )
공동연구자 : 성 문 정 ( 한국스포츠개발원 )
(원 내) 김 미 숙 ( 한국스포츠개발원 )
노 용 구 ( 한국스포츠개발원 )
김 대 희 ( 한국스포츠개발원 )
김 언 호 ( 한국스포츠개발원 )
황 승 현 ( 한국스포츠개발원 )
보조연구원 : 최 준 규 ( 한국스포츠개발원 )
공동연구자 : Joncheray Helene ( 파리 제 5 대 학 )
(원 외) R i c h a r d H u ( 중국 청 화 대 학 교 )
Joerg Krieger ( 독일 쾰른체육대학교 )
최 혜 선 ( 전, 일본교토대학교 )
자문위원 : 최 동 주 ( 숙명여자대학교 )
발간사

2015년 기본과제 및 현안과제 결과보고서는 한 해 동안 각 분야 연구진들의


열정과 노력의 성과물입니다.

정책현장에서는 향후 전개될 대한민국 체육환경을 감안한 밑그림을 그리고,


법과 제도 개선 측면에서의 주도적 역할을 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였습니다.
경기장에서는 종목별 스포츠과학지원이 경기력향상과 접목될 수 있도록 연구
데이터 기반 밀착지원을 수행하였습니다. 스포츠산업분야 진흥을 위한 기초
데이터 확보 노력도 묵묵히 수행해 왔습니다.

이러한 체육분야별 현장 지원은 연구기반 데이터 확보와 그 응용이 연계된


활동이었고, 이를 통한 연구성과 확산은 우리 한국스포츠개발원의 존재이유를
증명하는 것이었습니다.

우리 개발원은 2015년 한 해에도 30건의 기본연구과제와 45건의 수탁연구를


수행하였습니다. 특히, 과제 추진에 있어서 체육계 변화에 대응한 대한민국
체육 미래 선도 정책연구, 국가대표 경기력 향상을 위한 스포츠과학 기반연구,
국내 스포츠산업 육성 방안 연구 및 실태조사 등을 통해 대한민국 체육 발전에
이바지하고자 노력하였습니다.

이제 이러한 노력의 열매를 세상에 펼쳐 놓게 되었습니다. 연구결과를 이끌어


내기 위해 연구실과 정책현장, 경기장, 산업현장을 오가며 조사하고 분석한
노력의 산물이기에 한국스포츠개발원 연구자 한 사람 한 사람을 자랑스럽게
생각합니다. 더불어 열정적으로 과제에 참여해주신 외부 공동연구자 및 자문위원,
보조연구원 여러분께도 진심으로 감사의 말씀을 전합니다.

- i -
연구과제 추진에 있어 많은 관심과 지원을 해주신 문화체육관광부, 대한체육회,
대한장애인체육회, 국민생활체육회, 한국체육학회, 스포츠산업체 등 체육부문의
관계자 여러분들께도 감사의 인사를 드립니다. 무엇보다 배려와 지원을 아끼지
않은 이사장님 이하 국민체육진흥공단 임직원 여러분들께도 감사를 드립니다.

본 연구보고서가 스포츠와 관련된 주요 현안을 공유하고, 대한민국 체육의


다양한 현안을 해결하는 통로를 열어주어 국민행복 실현에 기여할 수 있는
바람직한 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합니다. 내용이나 문맥상 부족한 부분은
독자 여러분들의 조언과 격려를 통해 채워지기를 기대하면서 열린 마음으로
독자 여러분들의 소리를 귀담아 듣겠습니다.

조선중기 문신인 신흠은 ʻ동천년노항장곡 매일생한불매향 월도천휴여본질


류경백별우신지(桐千年老恒藏曲 梅一生寒不賣香 月到千虧餘本質 柳莖百別又
新枝)ʼ라 했습니다. 즉, 오동나무는 천년을 묵어도 제 곡조를 간직하고, 매화는
평생을 춥게 지낸다 해도 그 향기를 팔지 않으며, 달은 천번을 이지러져도
본바탕은 변치 않고, 버들가지는 백번을 꺽인다 하여도 새가지가 돋는다는
말입니다. 우리 한국스포츠개발원은 변화하는 내외부 환경에도 불구하고 연구
과제 추진이 주어진 숙명이며 최우선의 임무임을 자각하고, 앞으로도 더 좋은
연구성과물 생산에 최선의 노력을 다할 것입니다.

끝으로 연구보고서 발간에 애써주신 많은 분들의 노고에 깊은 감사를 드립니다.

국민체육진흥공단 한국스포츠개발원

원장 박 영 옥

- ii -
초록
본 연구는 우리나라 스포츠 정책의 수립에 있어 참고가 될 주요 선진국
스포츠 정책의 기본 구조에 대해 살펴보는 것을 목표로 수행되었다. 2016년
3월 27일을 기점으로 우리나라 스포츠의 양대 단체인 대한체육회와 국민생활체
육회가 통합되는 구조적 변화를 겪게 되는 시점에서, 선진국의 엘리트 스포츠
영역과 생활 스포츠를 중심으로 한 각 분야의 거버넌스와 재정의 흐름 및
중심사업 등에 대한 이해가 그 어느 때 보다 절실한 상황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해외 스포츠 선진국들의 스포츠 영역별 정책 거버넌스를


고찰함으로써, 체육단체 통합 후 우리 정부의 스포츠 정책 수립의 거시적
방향설정에 필요한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첫째로, 국가별 스포츠 정책의
비교연구를 통해 축적된 비교 프레임워크를 질적 차원에서 보완하고, 관련
내용을 최신 동향에 맞추어 수집하였다. 특히 국제지역학적 연구경향을 반영하
여 중앙정부와 지방 행정조직 구조 및 기능, 재정, 지원법, 스포츠 참여, 스포츠
정책사례를 스포츠의 영역별(엘리트, 생활, 학교, 장애인) 거버넌스에 따라
기술하여 각 국가별 스포츠 거버넌스의 특성을 파악하고, 여기서의 거시적인
차원의 정책방향을 제시한다. 둘째로, 스포츠뿐만 아니라 국가 정책의 보편적인
영역에서 글로벌적으로 이슈가 되고 있는 두 개에 핵심 키워드인 ʻ양성평등
(Gender Equity)ʼ과 ʻ공공과 민간의 협력(Public-Private Partnership,
PPP)ʼ을 중심으로 국가별 스포츠 정책들의 활용 사례들을 살펴보고 정책 수립
시 이해를 돕고자 했다. 셋째로는 국가별 스포츠 정책 추진체계에 대한 거시적
방향성과 세부적 정책들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글로벌적 차원에서 스포츠
정책의 흐름이 경로의존이론(Path dependency theory)을 설명할 수 있는지
검증해 보았다.

- iii -
목차

Ⅰ. 서 론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
가. 연구의 필요성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
나. 연구의 목적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

2. 연구의 내용 및 방법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
가. 연구의 내용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
나. 연구의 방법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

3. 연구의 수행 체계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9

Ⅱ. 국가별 스포츠 정책 개관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0
1. 미국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0

2. 영국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0

3. 프랑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1

4. 독일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2

5. 일본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3

6. 중국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4

- iv -
Ⅲ. 국가별 스포츠 정책 거버넌스 ·
··
··
··
··
··
··
··
··
··
··
··
··
··
··
··
··
··
··
··
··
··
··
··
··
··
··15
1. 미국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5
·
가. 미국 스포츠 정책의 기본 철학 ··
··
··
··
··
··
··
··
··
··
··
··
··
··
··
··
··
··
··
··
··
··
··
··15
나. 미국 스포츠 행정 조직 구조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7
다. 미국 스포츠 정책 재정 현황 ·
··
··
··
··
··
··
··
··
··
··
··
··
··
··
··
··
··
··
··
··
··
··
··
··
··
··
··32
라. 미국 생활 스포츠 참여 실태 ·
··
··
··
··
··
··
··
··
··
··
··
··
··
··
··
··
··
··
··
··
··
··
··
··
··
··
··38
마. 미국 스포츠 정책 영역별 거버넌스 ·
··
··
··
··
··
··
··
··
··
··
··
··
··
··
··
··
··
··
··
··
··
·41
바. 미국 스포츠 정책 주요 이슈 동향 ·
·
···
··
··
··
··
··
··
··
··
··
··
··
··
··
··
··
··
··
··
·
··
··54

2. 영국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1
가. 영국 스포츠 정책의 기본 철학 ·
··
··
··
··
··
··
··
··
··
··
··
··
··
··
··
··
··
··
··
··
··
··
··
··
··61
나. 영국 스포츠 행정 조직 구조 ·
··
··
··
··
··
··
··
··
··
··
··
··
··
··
··
··
··
··
··
··
··
··
··
··
··
··66
다. 영국 스포츠 정책 재정 현황 ·
··
··
··
··
··
··
··
··
··
··
··
··
··
··
··
··
··
··
··
··
··
··
··
··
··
··
··81
라. 영국 생활 스포츠 참여 실태 ·
··
··
··
··
··
··
··
··
··
··
··
··
··
··
··
··
··
··
··
··
··
··
··
··
··
··
··86
마. 영국 스포츠 정책 영역별 거버넌스 ·
··
··
··
··
··
··
··
··
··
··
··
··
··
··
··
··
··
··
··
··
··
·91
바. 영국 스포츠 정책 주요 이슈 동향 ·
··
··
··
··
··
··
··
··
··
··
··
··
··
··
··
··
··
··
··
··
··121

3. 프랑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37
가. 프랑스 스포츠 정책의 기본 철학 ·
··
··
··
··
··
··
··
··
··
··
··
··
··
··
··
··
··
··
··
··
··
··137
나. 프랑스 스포츠 행정 조직 구조 ·
··
··
··
··
··
··
··
··
··
··
··
··
··
··
··
··
··
··
··
··
··
··
··139
다. 프랑스 스포츠 정책 재정 현황 ·
··
··
··
··
··
··
··
··
··
··
··
··
··
··
··
··
··
··
··
··
··
··
··
··141
라. 프랑스 생활 스포츠 참여 실태 ·
··
··
··
··
··
··
··
··
··
··
··
··
··
··
··
··
··
··
··
··
··
··
··
··143
마. 프랑스 스포츠 정책 영역별 거버넌스 ·
··
··
··
··
··
··
··
··
··
··
··
··
··
··
··
··
··
··
·143
바. 프랑스 스포츠 정책 주요 이슈 동향 ·
··
··
··
··
··
··
··
··
··
··
··
··
··
··
··
··
··
··
··
·154

4. 독일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63
가. 독일 스포츠 정책의 기본 철학 ·
··
··
··
··
··
··
··
··
··
··
··
··
··
··
··
··
··
··
··
··
··
··
··
··163

- v -
나. 독일 스포츠 행정 조직 구조 ·
··
··
··
··
··
··
··
··
··
··
··
··
··
··
··
··
··
··
··
··
··
··
··
··
··
·164
다. 독일 스포츠 정책 재정 현황 ·
··
··
··
··
··
··
··
··
··
··
··
··
··
··
··
··
··
··
··
··
··
··
··
··
··
·166
라. 독일 생활 스포츠 참여 실태 ·
··
··
··
··
··
··
··
··
··
··
··
··
··
··
··
··
··
··
··
··
··
··
··
··
··
·169
마. 독일 스포츠 정책 영역별 거버넌스 ·
··
··
··
··
··
··
··
··
··
··
··
··
··
··
··
··
··
··
··
··170
·
바. 독일 스포츠 정책 주요 이슈 동향 ··
··
··
··
··
··
··
··
··
··
··
··
··
··
··
··
··
··
··
··
··206

5. 일본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17
가. 일본 스포츠 정책의 기본 철학 ·
··
··
··
··
··
··
··
··
··
··
··
··
··
··
··
··
··
··
··
··
··
··
··217
나. 일본의 스포츠 행정 조직 구조 ·
··
··
··
··
··
··
··
··
··
··
··
··
··
··
··
··
··
··
··
··
··
··
··
··219
다. 일본 스포츠 정책 재정 현황 ·
··
··
··
··
··
··
··
··
··
··
··
··
··
··
··
··
··
··
··
··
··
··
··
··
··
·228
라. 일본 생활 스포츠 참여 실태 ·
··
··
··
··
··
··
··
··
··
··
··
··
··
··
··
··
··
··
··
··
··
··
··
··
··
·239
마. 일본 스포츠 정책 영역별 거버넌스 ·
··
··
··
··
··
··
··
··
··
··
··
··
··
··
··
··
··
··
··
··246
바. 일본 스포츠 정책 주요 이슈 동향 ·
··
··
··
··
··
··
··
··
··
··
··
··
··
··
··
··
··
··
··
··
··269

6. 중국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80
가. 중국 스포츠 정책의 기본 철학 ·
··
··
··
··
··
··
··
··
··
··
··
··
··
··
··
··
··
··
··
··
··
··
··
··280
나. 중국 스포츠 행정 조직 구조 ·
··
··
··
··
··
··
··
··
··
··
··
··
··
··
··
··
··
··
··
··
··
··
··
··
··
·283
다. 중국 스포츠 정책 재정 현황 ·
··
··
··
··
··
··
··
··
··
··
··
··
··
··
··
··
··
··
··
··
··
··
··
··
··
·286
라. 중국 생활 스포츠 참여 실태 ·
··
··
··
··
··
··
··
··
··
··
··
··
··
··
··
··
··
··
··
··
··
··
··
··
··
·287
마. 중국 스포츠 정책 영역별 거버넌스 ·
··
··
··
··
··
··
··
··
··
··
··
··
··
··
··
··
··
··
··
·287
바. 중국 스포츠 정책 주요 이슈 동향 ·
··
··
··
··
··
··
··
··
··
··
··
··
··
··
··
··
··
··
··
··
··301

Ⅳ. 국가별 스포츠 정책과 주요 이슈 ·


··
··
··
··
··
··
··
··
··
··
··
··
··
··
··
··
··
··
··
··
··
··314
1. 스포츠 정책과 양성평등 이슈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14

2. 스포츠 정책과 민관협력 이슈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16

- vi -
Ⅴ. 결론 및 제언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19
1. 국가별 스포츠 정책 방향성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20
가. 미국
ʻ모든 국민의 평등한 스포츠 및 레크리에이션 참여ʼ ·
··
··
··
··
··
··
··320
나. 영국
ʻ전 국민의 생활 속 운동 습관화로 건강 증진ʼ ·
··
··
··
··
··
··
··
··
··
··
··
·320
다. 프랑스
ʻ스포츠의 순기능을 다각적인 공공복지 증진책으로 활용ʼ ·
··
··
·321
라. 독일
ʻ스포츠를 통해 풍요로운 삶ʼ ·
··
··
··
··
··
··
··
··
··
··
··
··
··
··
··
··
··
··
··
··
··
··
··
··
··
··321
마. 일본
ʻ국가 및 지역사회 복지차원의 여가스포츠 활성화ʼ ·
··
··
··
··
··
··
··
··322
바. 중국
ʻ스포츠를 통한 국민 체질 강화와 사회주의 물질문명의 건설ʼ ·
··322

2. 스포츠 영역별 거버넌스 비교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23
가. 엘리트 스포츠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23
나. 생활 스포츠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27
다. 학교 스포츠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31
라. 장애인 스포츠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34
마. 최신 스포츠 정책 동향 분석 ·
··
··
··
··
··
··
··
··
··
··
··
··
··
··
··
··
··
··
··
··
··
··
··
··
··
·338

3. 이론에의 기여 및 한계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41

참 고 문 헌·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43

- vii -
표목차

<표 Ⅰ-1> 국내문헌 검색 결과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

<표 Ⅰ-2> 해외문헌 검색 결과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7

<표 Ⅰ-3> 해외 스포츠 정책 동향 분석 전문가 심층 인터뷰 문항 ·


··
··
··8

<표 Ⅲ-1> 대통령체력스포츠영양자문위원회 프로그램 ·


··
··
··
··
··
··
··
··
··
··
··
··22

<표 Ⅲ-2> 시애틀 시 스포츠 프로그램 ·


··
··
··
··
··
··
··
··
··
··
··
··
··
··
··
··
··
··
··
··
··
··
··
··
·24

<표 Ⅲ-3> 덴버시, 그릴리시 및 지출내역 ·


··
··
··
··
··
··
··
··
··
··
··
··
··
··
··
··
··
··
··
··
··
··
·25

<표 Ⅲ-4> 올림픽트레이닝센터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8

<표 Ⅲ-5> AAU 지역협회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9

<표 Ⅲ-6> AAU 운동종목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9

<표 Ⅲ-7> 각 DIVISION별 특징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0

<표 Ⅲ-8> 레크리에이션 및 스포츠관련 총 지출 ·


··
··
··
··
··
··
··
··
··
··
··
··
··
··
··
··
·32

<표 Ⅲ-9> 레크리에이션 및 스포츠관련 연방정부 총 지출 ·


··
··
··
··
··
··
··
··33

<표 Ⅲ-10> 레크리에이션 및 스포츠관련 주정부 총 지출 ·


··
··
··
··
··
··
··
··
··33

<표 Ⅲ-11> 레크리에이션 및 스포츠관련 지방정부 총 지출 ·


··
··
··
··
··
··
··34

<표 Ⅲ-12> 미국 올림픽위원회 수입 ·


··
··
··
··
··
··
··
··
··
··
··
··
··
··
··
··
··
··
··
··
··
··
··
··
··
··35

<표 Ⅲ-13> NCAA의 수입구조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7

<표 Ⅲ-14> NCAA수입분배 계획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7

<표 Ⅲ-15> 미국의 스포츠 참여비율 트렌드 ·


··
··
··
··
··
··
··
··
··
··
··
··
··
··
··
··
··
··
··
··38

- viii -
<표 Ⅲ-16> 피트니스활동에 의한 미국 스포츠 참여 트렌드 ·
··
··
··
··
··
··
··40

<표 Ⅲ-17> 미국올림픽위원회 종목별경기연맹단체 ·


··
··
··
··
··
··
··
··
··
··
··
··
··
··
·42

<표 Ⅲ-18> LA시 스포츠프로그램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6

<표 Ⅲ-19> 미국고등학교 스포츠 참여자 변화 추이 ·


··
··
··
··
··
··
··
··
··
··
··
··
··
·49

<표 Ⅲ-20> 미국 상위 10개 주 학교스포츠프로그램 참여자수 ·


··
··
··
··
··49

<표 Ⅲ-21> NCAA 운동선수 수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6

<표 Ⅲ-22> 미국여성스포츠재단 수입 ·


··
··
··
··
··
··
··
··
··
··
··
··
··
··
··
··
··
··
··
··
··
··
··
··
··
·57

<표 Ⅲ-23> NCAA 리더십프로그램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0

<표 Ⅲ-24> 1980년대 이후 영국 스포츠 정책 기조 ·


··
··
··
··
··
··
··
··
··
··
··
··
··
·65

<표 Ⅲ-25>행정각부의 기능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6

<표 Ⅲ-26> 문화·미디어·스포츠부 후원 비정부공공기관 ·


··
··
··
··
··
··
··
··71

<표 Ⅲ-27> 문화·미디어·스포츠부 소관분야별 지출 (BBC관련 지출 제외)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72

<표 Ⅲ-28> 스포츠시설안전관리국 축구경기장 분류에 따른 안전규제 75

<표 Ⅲ-29> UK 반도핑 기구 반도핑 프로그램 ·


··
··
··
··
··
··
··
··
··
··
··
··
··
··
··
··
··
··78

<표 Ⅲ-30> UK 스포츠, 스포츠 잉글랜드의 목적과 기능 비교 ·


··
··
··
··
··80

<표 Ⅲ-31> 스포츠 관련 중앙 정부 지출 ·


··
··
··
··
··
··
··
··
··
··
··
··
··
··
··
··
··
··
··
··
··
··
·81

<표 Ⅲ-32> 문화·미디어·스포츠부 스포츠 관련 비정부공공기관 정부


보조금 현황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82

<표 Ⅲ-33> 2012 런던 올림픽 및 패럴림픽 재원 조성 ·


··
··
··
··
··
··
··
··
··
··
··84

<표 Ⅲ-34> 잉글랜드 지방 정부 구성 ·


··
··
··
··
··
··
··
··
··
··
··
··
··
··
··
··
··
··
··
··
··
··
··
··
··
·85

<표 Ⅲ-35> 스포츠 및 레크리에이션 관련 지방 정부 지출 ·


··
··
··
··
··
··
··
··86

- ix -
<표 Ⅲ-36> UK스포츠 재정 현황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92

<표 Ⅲ-37> 월드 클래스 프로그램 지원 등급 분류 ·


··
··
··
··
··
··
··
··
··
··
··
··
··
··
·95

<표 Ⅲ-38> 선수 경기력 발전 보조금 등급 분류 ·


··
··
··
··
··
··
··
··
··
··
··
··
··
··
··
··97

<표 Ⅲ-39> 하계올림픽 종목별 UK스포츠 재정 지원 ·


··
··
··
··
··
··
··
··
··
··
··
··
··98

<표 Ⅲ-40> 과거 동계올림픽 종목별 UK스포츠 재정 지원 현황 ·


··
··
··
· 99

<표 Ⅲ-41> 1980년 이후 영국 국가대표 하계, 동계 올림픽 메달 수 및


최종 순위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00

<표 Ⅲ-42> 스포츠잉글랜드 재정 현황 ·


··
··
··
··
··
··
··
··
··
··
··
··
··
··
··
··
··
··
··
··
··
··
··
·101

<표 Ⅲ-43> 상위 5개 종목 참여인구 변화 ·


··
··
··
··
··
··
··
··
··
··
··
··
··
··
··
··
··
··
··
··
·105

<표 Ⅲ-44> 영국 국가 교육과정 구조 ·


··
··
··
··
··
··
··
··
··
··
··
··
··
··
··
··
··
··
··
··
··
··
··
··107

<표 Ⅲ-45> 핵심단계별 체육 교육 프로그램 ·


··
··
··
··
··
··
··
··
··
··
··
··
··
··
··
··
··
··
··108

<표 Ⅲ-46> 스쿨 게임(the School Games) 레벨 구성 ·


··
··
··
··
··
··
··
··
··
··
·111

<표 Ⅲ-47> 스쿨게임 재정지원 현황 ·


··
··
··
··
··
··
··
··
··
··
··
··
··
··
··
··
··
··
··
··
··
··
··
··
··114

<표 Ⅲ-48> 스쿨게임 참가 학생당 평균 공공자금 지출 현황


(2011/12~2014/15)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15

<표 Ⅲ-49> 영국 스포츠 시설 현황 (잉글랜드) ·


··
··
··
··
··
··
··
··
··
··
··
··
··
··
··
··
·116

<표 Ⅲ-50> 하계장애인올림픽 종목별 UK스포츠 재정 지원 현황 ·


··
··117

<표 Ⅲ-51> 동계장애인올림픽 종목별 UK스포츠 재정 지원 현황 ·


··
··119

<표 Ⅲ-52> 1992년 이후 영국 국가대표 하계, 동계 패럴림픽 메달 수


및 최종 순위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19

<표 Ⅲ-53> 스포츠 잉글랜드의 장애인 스포츠 투자 현황 ·


··
··
··
··
··
··
··
··120

<표 Ⅲ-54> 상위 5개 장애인 스포츠 참여 스포츠 종목 및 요구 스포츠 장비·


· 121

- x -
<표 Ⅲ-55> 장애별 스포츠 참여 현황 ·
··
··
··
··
··
··
··
··
··
··
··
··
··
··
··
··
··
··
··
··
··
··
··
··121

<표 Ⅲ-56> 위성 클럽 제도 참여 주체에 따른 역할과 책무 ·


··
··
··
··
··
··134

<표 Ⅲ-57> 위성 클럽 제도 참여 주체에 따른 기대 혜택 ·


··
··
··
··
··
··
··
·135

<표 Ⅲ-58> 16세 이상 스포츠 참여 형태 ·


··
··
··
··
··
··
··
··
··
··
··
··
··
··
··
··
··
··
··
··
··136

<표 Ⅲ-59> 지역별 16세 이상 스포츠 참여도 ·


··
··
··
··
··
··
··
··
··
··
··
··
··
··
··
··
··
·137

<표 Ⅲ-60> 프랑스 스포츠 정책 관련 단체 ·


··
··
··
··
··
··
··
··
··
··
··
··
··
··
··
··
··
··
··
·139

<표 Ⅲ-61> 엘리트 스포츠 내 여러 레벨 별 성별 비율 고급 진로 내의


성별 비율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58

<표 Ⅲ-62> 2011-2013년 직·간접적인 연방정부의 스포츠 분야 재정지원·


··
·167

<표 Ⅲ-63> 클럽 자체 보유 또는 공동 사용 시설 비율 ·
··
··
··
··
··
··
··
··
··
·170

<표 Ⅲ-64> 2012년 런던 올림픽 및 2014년 소치 올림픽 독일 대표팀


파견비용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72

<표 Ⅲ-65> 2014년 각 스포츠 연맹 내무부 재정지원 현황 ·


··
··
··
··
··
··172

<표 Ⅲ-66> 하계 및 동계 올림픽 독일 메달 획득 현황 ·


··
··
··
··
··
··
··
··
··
·174

<표 Ⅲ-67> DSJ및 회원단체 정부 재정지원 ·


··
··
··
··
··
··
··
··
··
··
··
··
··
··
··
··
··
··
··185

<표 Ⅲ-68> JTFO와 JTFP에 대한 내무부 지원 ·


··
··
··
··
··
··
··
··
··
··
··
··
··
··
··
··
·196

<표 Ⅲ-69> 지난 3회의 장애인 올림픽에서 독일이 획득한 메달 수 201

<표 Ⅲ-70> 과거 데프림픽에서 독일이 획득한 메달 수 ·


··
··
··
··
··
··
··
··
··
·202

<표 Ⅲ-71> 독일 은퇴 보험이 재활 스포츠 및 기능 훈련에 지원한 재정 규모·


··204

<표 Ⅲ-72> 2014년 NADA 재정 현황 ·


··
··
··
··
··
··
··
··
··
··
··
··
··
··
··
··
··
··
··
··
··
··
··
·207

<표 Ⅲ-73> 금지약물 규제 감독 총계 ·


··
··
··
··
··
··
··
··
··
··
··
··
··
··
··
··
··
··
··
··
··
··
··
··208

<표 Ⅲ-74> 스포츠 청 설립 이전, 스포츠 정책 담당 부처 ·


··
··
··
··
··
··
··219

- xi -
<표 Ⅲ-75> 일본의 주요 스포츠 진흥기관의 사업내용 ·
··
··
··
··
··
··
··
··
··
··
·223

<표 Ⅲ-76> 지방자치단체의 스포츠 진흥에 관한 사업단·재단 (도도부현 수준) ·


· 227

<표 Ⅲ-77> 지방자치단체의 스포츠 진흥에 관한 사업단·재단 (정령지정


도시 수준)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27

<표 Ⅲ-78> 중앙정부 스포츠 관련 예산 ·


··
··
··
··
··
··
··
··
··
··
··
··
··
··
··
··
··
··
··
··
··
··
·228

<표 Ⅲ-79> 2012~2014년도 문부과학성 스포츠 예산추이 ·


··
··
··
··
··
··
·232

<표 Ⅲ-80> 2014년도 스포츠 예산(안) 주요항목 ·


··
··
··
··
··
··
··
··
··
··
··
··
··
··
··238

<표 Ⅲ-81> 도도부현 별 시구정촌 수 및 창설/창설 준비 중인 클럽 수 ·


··240

<표 Ⅲ-82> 전국 체육 스포츠 시설 수 (조사종별·시설종별 설치개소 수) · 241

<표 Ⅲ-83> 도도부현·시구정촌 인구규모별 상황: 조사종별ㆍ시설종별


(설치코드 수)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44

<표 Ⅲ-84> 중앙경기단체의 수입에 관한 기본 통계 ·


··
··
··
··
··
··
··
··
··
··
··
··
·251

<표 Ⅲ-85> 중앙경기단체 법인격 유형별 수입 ·


··
··
··
··
··
··
··
··
··
··
··
··
··
··
··
··
··252

<표 Ⅲ-86> 민간 피트니스 클럽의 시장규모 추이 ·


··
··
··
··
··
··
··
··
··
··
··
··
··
··259

<표 Ⅲ-87> 민간 피트니스 클럽의 신규개업 시설 수 ·


··
··
··
··
··
··
··
··
··
··
··
·260

<표 Ⅲ-88> 민간 피트니스 클럽 시설 수 ·


··
··
··
··
··
··
··
··
··
··
··
··
··
··
··
··
··
··
··
··
··
·260

<표 Ⅲ-89> 민간 피트니스 클럽의 신규 회원 수·이용자 수 등의 추이 ·


··261

<표 Ⅲ-90> 지정관리자 제도의 운용지침 ·


··
··
··
··
··
··
··
··
··
··
··
··
··
··
··
··
··
··
··
··
··
·279

<표 Ⅳ-1> 각국의 스포츠 관련 주요 양성평등 정책 ·


··
··
··
··
··
··
··
··
··
··
··
··
·316

<표 Ⅳ-2> 각국의 스포츠 분야 공공-민간 협력 사례 ·


··
··
··
··
··
··
··
··
··
··
··
·318

- xii -
그림목차

<그림 Ⅰ-1> 연구추진체계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9

<그림 Ⅲ-1> 미국 정부 조직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8

<그림 Ⅲ-2> 미국스포츠행정 조직도 ·


··
··
··
··
··
··
··
··
··
··
··
··
··
··
··
··
··
··
··
··
··
··
··
··
··
··
·26

<그림 Ⅲ-3> Division Ⅰ 조직도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1

<그림 Ⅲ-4> 연령별 활동 부족비율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0

<그림 Ⅲ-5> 미국내 헬스 클럽 수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1

<그림 Ⅲ-6> 미국고등학교 체육연맹조직 ·


··
··
··
··
··
··
··
··
··
··
··
··
··
··
··
··
··
··
··
··
··
··
··50

<그림 Ⅲ-7> 미국 장애인 스포츠 클럽 수 ·


··
··
··
··
··
··
··
··
··
··
··
··
··
··
··
··
··
··
··
··
··
··53

<그림 Ⅲ-8> 미국 장애인 스포츠 참여자 ·


··
··
··
··
··
··
··
··
··
··
··
··
··
··
··
··
··
··
··
··
··
··
··53

<그림 Ⅲ-9> 고등학교 운동선수 참여자 ·


··
··
··
··
··
··
··
··
··
··
··
··
··
··
··
··
··
··
··
··
··
··
··
·58

<그림 Ⅲ-10> 대학교 운동선수 참여자 ·


··
··
··
··
··
··
··
··
··
··
··
··
··
··
··
··
··
··
··
··
··
··
··
··
·59

<그림 Ⅲ-11> 문화·미디어·스포츠부(DCMS) 조직도 ·


··
··
··
··
··
··
··
··
··
··
··
·69

<그림 Ⅲ-12> 영국 축구경기장 안전규제 시스템 ·


··
··
··
··
··
··
··
··
··
··
··
··
··
··
··
··
·75

<그림 Ⅲ-13> 국제 반도핑 시스템 에서 UK 반도핑 기구의 연계도 ·


·· 77

<그림 Ⅲ-14> 1995년 이후 복권기금의 스포츠 분야 투자 ·


··
··
··
··
··
··
··
··83

<그림 Ⅲ-15> 스포츠 참여인구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87

<그림 Ⅲ-16> 청소년(만 16~25세), 성인(만 26세 이상) 스포츠 참여


인구 비교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89

- xiii -
<그림 Ⅲ-17> 청소년(만 16~25세), 성인(만 26세 이상) 스포츠 참여 인구
비율 비교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89

<그림 Ⅲ-18> 장애인 스포츠 참여 인구 ·


··
··
··
··
··
··
··
··
··
··
··
··
··
··
··
··
··
··
··
··
··
··
··
·90

<그림 Ⅲ-19> 연령별 장애인 스포츠 참여도 ·


··
··
··
··
··
··
··
··
··
··
··
··
··
··
··
··
··
··
··
··90

<그림 Ⅲ-20> UK 스포츠의 엘리트 스포츠 지원 ·


··
··
··
··
··
··
··
··
··
··
··
··
··
··
··
··
·93

<그림 Ⅲ-21> UK 스포츠의 엘리트 스포츠 투자 (2013년 ~ 2017년) ·


· 94

<그림 Ⅲ-22> 엘리트 선수 수급 피라미드 ·


··
··
··
··
··
··
··
··
··
··
··
··
··
··
··
··
··
··
··
··
··
·96

<그림 Ⅲ-23> 스포츠 잉글랜드의 생활 및 학교 스포츠 지원 ·


··
··
··
··
··102

<그림 Ⅲ-24> 영국 학교 체육교육 및 청소년 스포츠 관계도 ·


··
··
··
··
··106

<그림 Ⅲ-25> 스쿨게임 레벨 간 관계 ·


··
··
··
··
··
··
··
··
··
··
··
··
··
··
··
··
··
··
··
··
··
··
··
··112

<그림 Ⅲ-26> 남녀 스포츠 참여 인구 ·


··
··
··
··
··
··
··
··
··
··
··
··
··
··
··
··
··
··
··
··
··
··
··
··125

<그림 Ⅲ-27> 연령별 남녀 스포츠 참여율 ·


··
··
··
··
··
··
··
··
··
··
··
··
··
··
··
··
··
··
··
··
·126

<그림 Ⅲ-28> This Girl Can캠페인 포스터 ·


··
··
··
··
··
··
··
··
··
··
··
··
··
··
··
··
··
··
··
··129

<그림 Ⅲ-29> 위성 클럽 모델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31

<그림 Ⅲ-30> 위성 클럽 제도 시행 주체 관계도 ·


··
··
··
··
··
··
··
··
··
··
··
··
··
··
··133

<그림 Ⅲ-31> 프랑스 스포츠 조직도 ·


··
··
··
··
··
··
··
··
··
··
··
··
··
··
··
··
··
··
··
··
··
··
··
··
··140

<그림 Ⅲ-32> 국립 체육 개발센터의 재정분배 현황 ·


··
··
··
··
··
··
··
··
··
··
··
··
·142

<그림 Ⅲ-33> 공공 스포츠 시설 건축, 개축, 운영, 유지의 민간단체 아웃


소싱 개념도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62

<그림 Ⅲ-34> 독일 스포츠 기구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64

<그림 Ⅲ-35> 독일 내 스포츠 과학 네트워크 ·


··
··
··
··
··
··
··
··
··
··
··
··
··
··
··
··
··
··179

<그림 Ⅲ-36> 독일 장애인 스포츠 협회 회원 증가 추이 ·


··
··
··
··
··
··
··
··
·199

- xiv -
<그림 Ⅲ-37> 스포츠청의 조직구성과 주요 업무 ·
··
··
··
··
··
··
··
··
··
··
··
··
··
··
··221

<그림 Ⅲ-38> 일본 스포츠 진흥 행정 체계도 ·


··
··
··
··
··
··
··
··
··
··
··
··
··
··
··
··
··
··225

<그림 Ⅲ-39> 지방자치단체 스포츠 진흥 재원 ·


··
··
··
··
··
··
··
··
··
··
··
··
··
··
··
··
··230

<그림 Ⅲ-40> 문부과학성 스포츠 예산 추이 ·


··
··
··
··
··
··
··
··
··
··
··
··
··
··
··
··
··
··
··232

<그림 Ⅲ-41> 일본스포츠진흥센터 조직구성 ·


··
··
··
··
··
··
··
··
··
··
··
··
··
··
··
··
··
··
··247

<그림 Ⅲ-42> 일본올림픽위원회 조직도 ·


··
··
··
··
··
··
··
··
··
··
··
··
··
··
··
··
··
··
··
··
··
··
·249

<그림 Ⅲ-43> 중앙경기단체의 수입과 지출 구조 ·


··
··
··
··
··
··
··
··
··
··
··
··
··
··
··250

<그림 Ⅲ-44> 중앙경기단체 수입 구성 ·


··
··
··
··
··
··
··
··
··
··
··
··
··
··
··
··
··
··
··
··
··
··
··
·254

<그림 Ⅲ-45> 일본체육협회 조직도 ·


··
··
··
··
··
··
··
··
··
··
··
··
··
··
··
··
··
··
··
··
··
··
··
··
··
··255

<그림 Ⅲ-46> 스포츠 클럽의 개념과 요건 ·


··
··
··
··
··
··
··
··
··
··
··
··
··
··
··
··
··
··
··
··
·256

<그림 Ⅲ-47> 스포츠클럽·동호회 가입현황 ·


··
··
··
··
··
··
··
··
··
··
··
··
··
··
··
··
··
··
··257

<그림 Ⅲ-48> 가입 스포츠 클럽·동호회 형태 ·


··
··
··
··
··
··
··
··
··
··
··
··
··
··
··
··
··258

<그림 Ⅲ-49> 스포츠클럽·동호회에서 실시하는 운동·스포츠 종목


(상위 12종목)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59

<그림 Ⅲ-50> 일본 스포츠 진흥 정책 ·


··
··
··
··
··
··
··
··
··
··
··
··
··
··
··
··
··
··
··
··
··
··
··
··275

<그림 Ⅲ-51> 중국 스포츠 행정 조직도 ·


··
··
··
··
··
··
··
··
··
··
··
··
··
··
··
··
··
··
··
··
··
··
·285

- xv -
Ⅰ. 서 론

Ⅰ.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가. 연구의 필요성

박근혜 정부에 들어 수립된 ʻ스포츠 비전 2018ʼ은 ʻ100세 시대, 스포츠로


대한민국을 바꿉니다!ʼ라는 슬로건 하에, 스포츠를 통한 사회·국격·미래를
바꾸겠다는 구체적인 목표를 설정하였다. 여기에는 국민행복을 국정 최우선
과제로 하는 정부의 정책방향과 궤를 같이 하여, 그간 엘리트 스포츠의 성공을
최대 과제로 삼았던 국가 체육정책의 목표를 선진 복지국가들과 같이 생활
스포츠 지원으로 방향선회 한다는 것을 내포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급격한
고령화 사회로의 진입과 기후 변화 등에 따른 다양한 사회문제의 발생과 질병
등의 예방 문제가 대두하면서, 국민의 삶 전반적인 질적 제고를 위해 스포츠를
활용하는 방안에 대한 정책적 인식의 변화에 대한 필요성을 함의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시대적 요구에 부응하는 국가 스포츠 정책의 수립을 위해


지금의 우리나라가 참고할 만한 주요 선진국 스포츠 정책의 기본 구조를 살펴보
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더구나 우리 체육계는 그 간 양분되어온 엘리트 스포츠와
생활 스포츠의 양대 대표기관 통합을 앞두고 있고, 이러한 구조적 변화가
향후 스포츠 정책의 미칠 영향에 대응할 준비가 필요한 시점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해외 스포츠 선진국들의 스포츠 영역별 정책 거버넌스를 고찰함으로
써, 체육단체 통합 후 우리 정부의 스포츠 정책 수립의 방향성 설정에 있어
유의미한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1
해외 스포츠 정책 동향 분석 – 체육행정 거버넌스 및 주요 이슈 관련 정책 비교 -

나. 연구의 목적

본 연구는 우선 그간 국내외에서 이루어져온 국가별 스포츠 정책의 비교연구


를 통해 축적된 비교 프레임워크를 보완하고, 관련 내용을 최신 동향에 맞추어
수집하는 데에 1차적 목표가 있다. 여기서 비교 프레임워크의 보완을 통해
국가별 비교의 항목을 일원화하고자 한 기존 연구들의 노력과 더불어 보다
탄력적으로 국가별 정책의 특성을 개성적으로 반영하고자 하였다. 다시 말하자
면, 국가별 정책의 의미나 정책적 비중을 보다 섬세하게 다루고자 한다는
점에서 단순히 항목을 늘리는 양적보완과는 차이가 있다. 기존의 스포츠 정책
연구에서 비교연구에 대한 평가는 개별 국가의 스포츠 정책에 대한 세세한
부분의 일률적 비교 고찰이라는, 프레임워크 중심의 비교연구법을 적용해왔다.
그러나 이러한 연구는 국가별 정책특성의 근본원인을 파악하여 국내현실에
적용할 수 있는 활용성이 상당히 제한적이라는 태생적 한계를 갖고 있다.
왜냐하면, 개별 국가의 정책적 차이를 그대로 답습하기에는 각나라의 실정이
매우 다르고, 개별 정책이나 분절적 단위기구들에 대한 비교를 통해서는 거시적
인 측면에서 해당 국가정책의 방향성과 흐름을 한눈에 볼 수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지역학적 연구경향을 반영하여 중앙정부와 지방 행정조직
구조 및 기능, 재정, 지원법, 스포츠 참여, 스포츠 정책사례를 스포츠의 영역별
(엘리트, 생활, 학교, 장애인) 거버넌스에 따라 기술하여 각 국가별 스포츠
거버넌스의 특성을 파악하고, 여기서의 거시적인 차원의 정책방향 시사점을
도출해내고자 한다.

둘째로, 스포츠뿐만 아니라 국가 정책의 보편적인 영역에서 글로벌적으로


이슈가 되고 있는 두 개에 핵심 키워드인 ʻ양성평등(Gender Equity)ʼ과 ʻ공공과
민간의 협력(Public-Private Partnership, PPP)ʼ을 중심으로 국가별 스포츠
정책들의 활용 사례들을 살펴보고 그에 따른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2
Ⅰ. 서 론

셋째로는 국가별 스포츠 정책 추진체계에 대한 거시적 방향성과 세부적


정책들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글로벌적 차원에서 스포츠 정책의 흐름이
경로의존이론(Path dependency theory)을 설명할 수 있는지 검증해 보고자
한다.

2. 연구의 내용 및 방법

가. 연구의 내용

본 연구의 대상으로 선정된 스포츠 정책 주요 선진국들은 기존 국제대회에서


우수한 성적을 거두며 또한 국가적 차원의 생활 스포츠 정책이 성공적으로
추진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는 국가로 설정하였다. 조사 대상 국가는 미국,
영국, 독일, 프랑스, 일본, 중국의 6개국으로 여기에는 그간 우리나라의 스포츠
정책 수립과 추진에 많은 참고가 되었던 전통적인 스포츠 선진국(미국, 영국,
독일, 일본)과 최근 새로이 스포츠 정책이 부각된 국가(프랑스, 중국)를 포함한
다. 조사 대상 국가들은 무엇보다도 정책입안 주무부처인 문화체육관광부
체육정책과의 필요에도 부합한 것으로 파악되었고, 선행연구(이용식, 1998;
오연풍, 2004)에도 불구하고, 최근 10년 정도의 정보를 수집할 필요성이
있기에 선행연구와의 연계성을 고려하여 선정하였다.

나. 연구의 방법

본 연구의 자료수집에 있어서 국가별 스포츠 정책관련 국내외 문헌을 중심으


로 필요한 내용을 체계적으로 수집하고 비교, 분석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판단하
였다. 따라서 첫 번째로는 문헌연구기법 중 체계적 문헌고찰(Systematic
Review)의 방법론을 활용하여, 보다 풍부하고 세부적인 자료를 수집하고자
하였다. 두 번째로, 연구 계획의 수립 후 전문가 심층 인터뷰(In-depth

3
해외 스포츠 정책 동향 분석 – 체육행정 거버넌스 및 주요 이슈 관련 정책 비교 -

Interview)를 통해 비교 프레임워크 설정에 있어 보완할 영역이 있는지, 혹은


연구의 규모를 고려할 때 불필요한 내용은 없는지 검증하였다. 셋째로,
본 연구가 조사 대상 국가들의 스포츠 동향을 현재 시점에서 파악하는 연구라는
것을 감안하여 국내외 문헌을 체계적으로 수집하고 하는 것과 함께, 국가별
최신 체육정책 관련 현황자료를 수집하는 것이 필요하였다. 이렇게 수집된
자료의 해석에 있어 한 나라의 스포츠 정책이라는 것은 정치·사회·문화적
환경이라는 특수한 ʻ상황ʼ과 역사적 통시성을 고려해야 하며, 따라서 해당
국가에 대한 관련지식을 바탕으로 살펴보고 해석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연구에
서는 이러한 부분의 도움을 받기 위해 국가별 스포츠 정책의 추진 거버넌스
및 사례에 활용을 위한 현지 자료 수집과 분석을 위해 해당 국가의 스포츠
정책 관련 연구기관의 선임 연구자를 공동연구진으로 구성하고 집필진으로
활용하였다. 이를 통해 주요국의 스포츠 정책 거버넌스에 대한 기술에서 해당
국가적 상황의 이해와 개별 정책의 현지 특수성 등을 반영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1) 체계적 문헌고찰 기법(Systematic Review)

본 연구에서는 먼저 국내 학술 데이터베이스와 해외 학술 데이터베이스에서


정해진 키워드로 검색하여 자료를 취합한 후, 연관성 검증(screened for
relevance)을 통하여 그 수를 줄여나가는 방식을 사용하였다. 연관성은 1차로
연구의 제목과 해당 연구가 게재된 출판물(publication)을 이용하여 검증하였
고, 1차 연관성 체크를 통해 남은 자료를 대상으로 초록(abstract)를 보고
2차로 연관성 검증을 실시하였다. 2차 검증 시 초록이 확보되지 않은 자료는
제외하였다. 위와 같은 연관성 검증은 Moher et al.에 의해 권고된 대로
두 명씩 두 번에 걸쳐 총 네 명의 연구자들에 의해 진행되었다. 마지막으로
1차, 2차 검증을 통해 확보된 자료를 대상으로 참고문헌을 살펴 연관성을

4
Ⅰ. 서 론

검증하였다. 연구의 연관성에 대한 해석의 불일치는 토의를 통해 합의를 도출하


였다. 끝으로 이와 같은 연관성 검증을 통해 확보된 연구들의 본문을 이용하여
문헌연구를 실시하였다.

가) 국내문헌 검토

(1) 키워드 선정

국내문헌 검색을 위한 키워드는 선정된 6개국의 국문명칭인 ʻ영국ʼ, ʻ미국ʼ,


ʻ프랑스ʼ, ʻ독일ʼ, ʻ일본ʼ, ʻ중국ʼ과 ʻ스포츠 정책ʼ이라는 키워드의 조합이 사용되었다.

(2) 데이터베이스

해외 6개국 (영국, 미국, 독일, 프랑스, 일본, 중국)의 스포츠 정책 동향을


위해 관련된 선행연구를 국내 학술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검색하여 수집하였다.
국내문헌 검색에 사용된 데이터베이스는 한국스포츠개발원 소장자료(KISS),
국가정책연구포털(NKIS), 정책연구관리시스템(PRISM), 학술연구정보서비
스(RISS)였다. 유사 선행연구가 2004년에 진행되었다는 점을 고려하고 (오연
풍, 2004), 최신 스포츠 정책 동향 탐색이라는 본 연구의 목적에 부합하기
위하여 검색기간은 2006년부터 2015년까지로 한정하였다. 국내 학술 데이터
베이스의 검색은 2015년 7월 1일부터 2015년 7월 27일 사이에 실행되었다.
(표 Ⅰ-1)

<표 Ⅰ-1> 국내문헌 검색 결과


데이터 베이스 검색구분 검색 건수 중복 제외 건 수
KISS 전체 30 29
RISS 초록 462 296
NKIS 초록 39 21
PRISM 전체 24 13

(2015년 7월 27일 최종검색)

5
해외 스포츠 정책 동향 분석 – 체육행정 거버넌스 및 주요 이슈 관련 정책 비교 -

나) 해외문헌 검토

(1) 키워드 선정

해외문헌을 검색하기 위한 키워드는 6개국(영국, 미국, 독일, 프랑스, 일본,


중국)의 영문 명칭과 '스포츠 정책'에 대응하는 영문 키워드를 조합하였다.
영문 국가명의 경우, 중국(China), 프랑스(France), 독일(Germany), 일본
(Japan) 등 영문 명칭이 하나로 통용되는 국가는 명사형과 형용사형을 동시에
검색하기 위해 단어 뒤에 '*'를 붙여 키워드로 사용하였으며, 프랑스의 경우는
명사형 'France'와 형용사형 ʻFrench'를 사용하여 검색하였다. 한편, 두 개
이상의 영문 국가명칭이 통용되는 영국의 경우에는 해당 국가명칭들을 포함할
수 있도록 복수의 키워드('G.B. or Great Britain', 'U.K. or United
Kingdom')를 이용하였으며, 형용사형인 'British'또한 사용되었다. 미국은
검색에 사용한 검색엔진인 EBSCOhost에서 'U.S.A'를 검색 시 'U.S.'와 ʼ
United States of America'의 검색결과를 함께 제공하고 있어 국가명 키워드로
는 ʻU.S.A.'만 사용하였다.

ʻ스포츠 정책ʼ과 연관된 키워드의 경우, 한글표기와 달리 복수의 영문표기가


가능하다는 점을 고려하여 'sport'와 '정책', '행정'을 표현하는 영문키워드들을
조합하여 사용하였다. '정책' 또는 '행정'을 표현하는 영문키워드로는 'policy',
'governance', 'administration', 'organization'의 4개의 키워드를 선정하였
다. 영미 권에서는 엘리트-생활-학교-장애인 체육의 구별이 모호하고 다른
표현을 다양하게 활용하지만, 체육행정과 관련해서는 대개 위의 4 단어를
기본적으로 포함하기에 단어 선택은 타당한 것으로 판단된다.

(2) 데이터베이스

해외 6개국의 스포츠 정책 동향을 알아보기 위해 관련된 해외문헌을 전자저널


검색엔진인 EBSCOhost를 이용하여 검색하였으며, 검색은 스포츠 관련 학술

6
Ⅰ. 서 론

데이터베이스인 SPORTDiscus를 이용하여 진행하였다. 본 연구가 최신 스포


츠 정책동향을 알아보는 것이고, 2004년 유사 연구(오연풍 2004)가 진행되던
점을 감안하여, 검색기간은 2006년 이후부터 2015년까지 지난 10년간의
연구로 한정하였다. 해외 학술 데이터베이스의 검색은 2015년 8월 17일부터
2015년 9월 3일까지 실행되었다. (표 Ⅰ-2)

<표 Ⅰ-2> 해외문헌 검색 결과


Sport Sport Sport
키워드 Sport policy
governance administration organization
U.K., G.B.,
1,159 146 622 1,737
British
U.S.A. 1,002 75 1,191 2,082
German* 105 18 93 168
France 130 10 69 203
Japan* 45 11 74 109
Chin* 146 14 180 185
소계 2,587 274 2,229 4,484
총계 9,754

(2015년 8월 30일 최종검색)

다) 체계적 문헌고찰 결과 및 추가 연관 문헌 고찰

상기의 방법으로 국내외 학술데이터 베이스를 이용, 선정된 키워드 검색을


통해 문헌을 수집하였고 중복제거 및 연관성 검증의 단계를 거쳐 문헌의 수를
줄여나갔다. 검색된 문헌 중 대다수가 연관성이 떨어지는 것으로 판단되어
제외되었는데 그 주된 이유들은 본 연구에서 다루지 않는 영역인 프로스포츠와
연관된 문헌 그리고 관광 등 산업 연계와 관련된 문헌들이었기 때문이다.
체계적 문헌고찰 기법의 키워드 선정상의 한계로 인해, 누락된 주요 문헌들을
포함하고자 전통적인 문헌고찰 기법을 병행하였다.

7
해외 스포츠 정책 동향 분석 – 체육행정 거버넌스 및 주요 이슈 관련 정책 비교 -

국가별 정책 자료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한 수집의 한계를 고려하고,


대상 국가들의 실제 활용 스포츠 정책 정보를 수집하기 위해 현지 스포츠
정책 전문가를 공동연구자로 섭외하였고, 이들을 통한 자료 수집을 병행하였다.
이와 같이 수집된 자료들을 토대로 국가별 내용을 기술하고, 국가별로 스포츠
행정 및 정책 특성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2) 전문가 심층 인터뷰(In-depth Interview)

본 연구에서는 ʻ양성평등ʼ과 ʻ공공과 민간의 협력관계ʼ라는 두 이슈에 중점을


두고 해외 스포츠 관련 정책을 살펴보고자 한다는 것을 앞서 밝힌 바 있다.
이에 본 연구의 전문가 심층 인터뷰는 해외 스포츠 행정 및 정책 비교 프레임워크
와 해당 이슈를 살펴보는데 있어서 참고해야 할 특이사항 등을 탐색하고자
이루어졌다. 때문에 본 연구의 전문가 인터뷰의 대상으로 스포츠 행정, 정책에
전문적인 지식을 가지고 있으며 해당분야에 3년 이상 연구 경험을 가진 대학교수
4인을 선정하였다. 전문가 심층 인터뷰를 통해 보완된 비교프레임워크는 해외공
동연구자 자료수집에 반영되었다. 인터뷰에 사용된 비 구조화된 질문은 다음과
같다. (표 Ⅰ-3)

<표 Ⅰ-3> 해외 스포츠 정책 동향 분석 전문가 심층 인터뷰 문항


번호 문항
1 해당 국가의 스포츠 정책 발전상 기술에서 다루어야 할 항목은 무엇인가
2 해당 국가의 영역별 스포츠 거버넌스 구조화에서 다루어야 할 항목은 무엇인가
3 해당 국가의 스포츠 정책의 양성평등 사례조사에서 다루어야 할 항목은 무엇인가
해당 국가의 스포츠 정책에서 공공과 민간의 협력 범위설정 등에 있어서 다루어야
4
할 항목은 무엇인가
5 해당 국가의 스포츠 정책 동향 파악에 있어 다루어야 할 항목은 무엇인가

8
Ⅰ. 서 론

3. 연구의 수행 체계

본 연구는 앞서 기술한 기본 연구 방향을 토대로 그림 Ⅰ-1과 같은 연구


추진 체계를 수립하였다.

<그림 Ⅰ-1> 연구추진체계

9
해외 스포츠 정책 동향 분석 – 체육행정 거버넌스 및 주요 이슈 관련 정책 비교 -

Ⅱ. 국가별 스포츠 정책 개관

1. 미국

미국의 경우, 엘리트 체육에 대한 정부의 개입은 미국올림픽위원회 등을


통해 간접적으로만 이루어지고 있다. 미국올림픽위원회는 아마추어 스포츠
법에 의해 미국 아마추어 스포츠의 최상위 조직으로 엘리트 선수 육성에 핵심적
인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정부로부터의 재정지원은 없으나 2014년 예산은
2억 7천만 달러였다. 미국 스포츠에서 정부는 생활체육과 학교체육을 중심으로
정책을 추진한다. 대통령체력자문위원회는 생활체육에 대한 지원과 장려를
목적으로 하고 있으며 교육부에서는 생활체육 진흥을 도모하고 있다. 학교체육
은 비영리 민간조직인 미국고등학교체육연맹을 활용, 고등학교 체육 활성화를
위한 스포츠 프로그램 개발 등을 통해 학생 체육활동 참여율을 높이고자 주
별 고등학교협회와 협력하고 있다. 이 단체의 2013-14년 예산은 1천 4백
60만 달러였다. 미국대학경기협회는 미국 학생엘리트 체육의 구심점으로 자립
적인 재정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 단체의 2014년 수입은 9억 8천 9백만 달러였으
며, 5억 2천 1백만 달러가 자체적 사업을 위해 배분되었다. 학교체육을 담당하는
이 조직들의 활동은 미국 엘리트체육 발전의 원천이 되고 있다. 미국 패럴림픽
조직위원회는 2001년 창설된 이후 미국 장애인체육을 관장하고 있다.

2. 영국

영국의 스포츠 행정은 문화·스포츠·미디어부 산하 비정부 공공기관인


UK스포츠와 스포츠 잉글랜드를 통한 정부 보조금 및 복권 기금의 배분에
의해 이루어지고 있다. 이들 기관의 기금은 주로 경기 종목 단체들로 배분되며

10
Ⅱ. 국가별 스포츠 정책 개관

이 경기단체들은 사실상 정부의 엘리트체육과 생활체육 양쪽의 정책을 프로그램


으로 구체화하여 실행하는 주체가 된다. 여기에서 UK스포츠는 엘리트체육
관련 기금 배부를 담당하고 있으며, 이 기금을 배분 받은 종목별 경기단체들은
엘리트체육 선수를 대상으로 하는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2014/15년 UK스포츠
의 예산은 약 1억3천 8백만 파운드였다. 스포츠 잉글랜드는 생활 및 학교
스포츠에 대한 재정지원을 담당하고 있는데 약 50%가 경기 종목 단체들로
배분되고 있어, 생활체육 및 학교체육 정책에서도 경기 종목 단체들이 정책시행
의 대리인 역할을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2014/15년 스포츠 잉글랜드의
예산은 3억 4천 5백만 파운드였다. 영국의 전국 단위 학교 스포츠 대회인
스쿨 게임은 생활체육, 학교체육 및 엘리트 체육을 연계하는 연결고리와 같은
역할을 한다. 대회의 3단계인 광역 단위 대회에서 경기 종목 단체들이 유능한
선수들을 선발하고 자체 훈련 과정으로 편입시켜 마지막 4단계인 전국대회에
출전하게 한다. 이를 통해 우수한 학생 선수들이 자연스럽게 경기 종목 단체들의
엘리트 선수 육성 프로그램으로 합류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장애인체육에서
엘리트 선수 육성은 UK스포츠가 지원하고 있으며, 장애인들의 생활체육에
대한 지원은 스포츠 잉글랜드가 담당하고 있다.

3. 프랑스

프랑스의 엘리트체육은 체육부 장관 주재의 엘리트스포츠국가위원회가 관할


하고 있다. 이 위원회는 정부, 프랑스 체육 올림픽 국가위원회, 엘리트 선수,
코치, 심판 및 지방자치단체의 대표들로 구성된다. 프랑스의 스포츠 정책에
대한 재정적 지원은 국립체육개발센터를 통해 이루어지며 2014년 프로그램을
위한 예산의 2억 7천 2백만 유로 중 80%가 엘리트체육 발전에 할당되었다.
생활체육에 대한 정책으로는 체육부 산하 '스포츠와 건강', '스포츠와 장애',
스포츠, 교육, 다양성과 시민권', '스포츠와 자연'의 네 개 지원센터를 통해

11
해외 스포츠 정책 동향 분석 – 체육행정 거버넌스 및 주요 이슈 관련 정책 비교 -

이루어지고 있다. 학교체육 관련 정책은 체육부와 교육부의 협력 하에 추진되고


있다. 학교체육 관련 단체로는 '초등학교체육연합', '학교체육연합', '프랑스대
학교체육연맹', '자율교육총연합', '대학교단체 천국연합'의 다섯 개 연맹이
유지, 관리되고 있다. 장애인체육 관련정책으로는 중앙 기관인 체육역량 강화지
원센터에 소속된 '국립 장애인 체육센터'와 체육부 내 '체육과 장애'지원 센터가
중심을 차지한다. 프랑스에서는 2008년 이후, 패럴림픽과 올림픽의 상여금을
같은 수준으로 조정하는 등 장애 유무에 따른 차별이 철폐된 바 있다.

4. 독일

독일의 경우, 2006년 독일 체육회와 독일 올림픽 위원회가 통합되어 만들어진


독일 올림픽스포츠 연맹이 모든 경기 단체들의 상위단체로서 독일 스포츠
전체를 관장하고 있다. 정부 부처차원에서는 내무부과 스포츠 관련 정책을
담당하고 있다. 독일의 엘리트체육은 독일 올림픽스포츠 연맹 산하 스포츠
연맹들에 의해 운영되고 있으며 내무부는 이들 경기단체들에 대한 재정지원을
하고 있다. 2014년 내무부가 각 스포츠 연맹에 지원한 총 지원금은 약5천
5백만 유로이다. 독일의 생활체육은 주정부가 주도하고 있으며 그 근간은
바로 스포츠클럽이다. 전국에 약91,000개의 스포츠클럽이 존재, 이들은 단순
히 스포츠 활동뿐만 아니라 공공복지의 발전을 목표하고 있다. 학교체육 정책은
중앙정부에서는 교육연구부가 담당하고 있고 교육문화부 장관회의의 스포츠
위원회의 스포츠장관회의에서 학교체육이 논의된다. 독일 올림픽스포츠 위원
회는 엘리트체육 발전에 있어서 청소년 스포츠가 차지하는 중요성이 매우
큼을 인식하고 '청소년 스포츠 계획 2020'을 만들어 학교체육과 엘리트체육
분야의 협력을 주도한다. 학교체육에서 엘리트 선수는 주정부 관련 단체의
지휘를 받아 학생선수들이 학업과 스포츠를 병행하면서 엘리트 선수로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독일에서의 장애인체육은 장애인 올림픽위원회가

12
Ⅱ. 국가별 스포츠 정책 개관

총괄하고 있다. 독일에서 장애인체육은 장애인 엘리트체육에만 국한되지 않고


생활체육과 재활 및 병약자를 위한 체육활동 모두를 포함, 이에 대한 지원은
증가 추세이다.

5. 일본

일본의 엘리트체육은 문부과학성의 외국(外局)인 스포츠 청에서 선수 강화비


명목으로 재정지원을 하고 있으며 이는 개별 경기 종목 단체들로 직접 배분되고
있다. 기존 선수 강화비를 배분하던 일본 올림픽 위원회는 강화비 배분 기능이
신설된 스포츠 청으로 이관된 후 합숙 또는 해외원정 비용 등의 권한만 가지도록
기능이 축소되었다. 엘리트체육 정책을 담당 하는 중앙경기단체들은 78.8%가
공익법인으로, 보조금 같은 외부 자금의 비율은 전체 수입의 13%에 불과한
높은 자립도를 보여주고 있다. 2014년 문부과학성이 '국제경기력 향상에 필요
한 경비'로 배정한 예산은 약 105억 1, 100만 엔이다. 같은 해, 중앙경기단체의
총 수입 합계는 498억 3,100만 엔이었다 생활체육의 진흥을 담당하는 협회는
일본체육협회로 1960년부터 매년 국민체육대회를 실시하고 있다. 정부는 위축
되는 생활체육의 진흥을 위해 유럽형 모델인 종합형 지역스포츠 클럽을 도입하
여 지속가능한 생활스포츠 환경을 조성하려 하고 있다. '생애스포츠 사회의
실현 필요 경비' 명목으로 배정한 문부과학성의 2014년 예산은 22억 3,500만
엔이다. 학교체육정책은 문부과학성의 소관이며 교원 수 감소와 전문지도자
부족 등의 문제에 직면해 있다. 이에 대한 대책으로 지역의 스포츠 지도자를
학교로 초빙하는 스포츠 지도자 은행 제도 등이 시행되고 있다. 한편, 일본장애
인 스포츠협회는 장애인체육의 보급 및 진흥을 총괄하며 2014년 문부과학성으
로부터 10억엔 규모의 보조금을 지급받았다. 종합형 지역스포츠 클럽을 통해
장애인에 대한 스포츠 서비스도 제공되고 있으며 약 30%의 장애인이 종합형
지역스포츠 클럽을 통한 스포츠 활동에 참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3
해외 스포츠 정책 동향 분석 – 체육행정 거버넌스 및 주요 이슈 관련 정책 비교 -

6. 중국

중국의 엘리트체육은 전적으로 정부차원의 ʻ전문체육 시스템ʼ 하에서 운영되


고 있다. 엘리트체육을 총괄하는 정부부처는 스포츠 총괄 행정부로 중국 올림픽
위원회도 사실상 정부 주도로 운영된다고 볼 수 있다. 스포츠 총괄 행정부
산하22개 스포츠 행정 센터들은 체육협회들을 관리하는 역할을 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중국의 모든 체육협회는 스포츠 총괄 행정부의 지배를 받고 있다.
중국의 모든 체육단체들은 전적으로 정부보조금에 의존한다. 생활체육의 발전
및 진흥을 담당하는 공식적인 기관은 중국생활체육연맹이다. 중국생활체육연
맹이 형식상 비정부 기관으로 설립되긴 했지만 사실상 스포츠 총괄 행정부의
지배하에 있으며, 실질적으로도 생활체육은 스포츠 총괄 행정부 내 대중체육부
서에서 관리하고 있다. 학교체육은 일반학교 시스템과 체육학교 시스템으로
나뉘며 체육학교 시스템은 전문체육의 '국가적 3단 훈련네트워크'의 구성요소로
엘리트 선수들의 육성을 담당한다. 한편, 장애인체육의 경우, 장애인 체육
행정기구에서 올림픽 위원회 역할을 포함한 장애인 스포츠 업무를 총괄하고
있다. 스포츠 총괄 행정부는 내부적으로 대중체육부서를 두고 장애인 행정기구
를 감독 하고 있다.

14
Ⅲ. 국가별 스포츠 정책 거버넌스

Ⅲ. 국가별 스포츠 정책 거버넌스

1. 미국

가. 미국 스포츠 정책의 기본 철학

미국의 스포츠정책은 전 국민들이 평등하게 스포츠 및 레크리에이션 활동을


누리며, 건강한 삶을 영위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따라서 노인, 청소년,
신체적 장애가 있는 국민 모두에게 지역별, 부문별로 스포츠정책을 실시해
오고 있다. 미국의 스포츠정책은 1960년대를 기점으로 새롭게 도약하였다.
연방정부와 주정부의 투자가 집중적으로 이루어졌으며, 생활체육의 기반이
다져지게 되었다. 이러한 토대 위에서 스포츠를 통한 국민의 건강증진 및
행복 도모를 위해 다양한 정책들을 실시하여 국민의 건강을 위해 노력을 하고
있다. 일찍이 개인의 인성과 극기, 자신감, 자존심, 행복감에 스포츠 활동이
도움이 된다는 미국 정부의 스포츠 정책적 철학은 자국민뿐만 아니라, 전
세계인들에게도 적용된다. 글로벌 정치경제에서 미국이 스포츠를 소프트 파워
로 국가경쟁력의 주요 요소로 활용하는 상황은 미국이 스포츠의 영향력을
어떻게 받아들이고 있는지 반증하는 것으로 보인다.

과거 미국 스포츠정책의 역사적 흐름은 크게 계급주의(Class), 사회적 통합


(Social integration), 상업화(Commercialism)의 흐름과 맥을 같이 해왔다고
할 수 있다. 식민지 시대의 미국은 지역과 종교에 따른 차별이 존재하는 사회였으
며, 따라서 각 계층에 따른 개인의 스포츠 활동에도 차이가 있었다. 미국
동북부의 뉴 잉글랜드지역(뉴햄프셔, 코네티컷, 메인, 버몬트, 메사추세츠,
로드아일랜드)의 경우 전통적으로 금욕주의를 바탕으로 한 청교도 사상에

15
해외 스포츠 정책 동향 분석 – 체육행정 거버넌스 및 주요 이슈 관련 정책 비교 -

의해 스포츠와 같은 신체적 유희 활동이 금지되었다. 19세기 이후 이민자들의


유입과 함께 각기 전통에 따른 다양한 토속 스포츠 활동이 유입되었고, 이러한
신체 활동을 영위하는 ʻ새로운ʼ 미국 문화가 태동하기 시작했다. 20세기 초반에
들어 자유와 평등 원칙에 근거한 스포츠 및 레크리에이션 활동이 가능해짐에
따라 더 많은 사람들이 스포츠로 여가를 즐길 수 있게 되었고, 상업 자본의
스포츠업계 유입과 이윤 창출이 관련 수요와 투자를 더욱 촉진 시켰다.

1차 세계대전 이후부터 미국의 스포츠는 양적, 질적으로 급격히 발전하게


되었다. 스포츠 프로그램이 미국 전역에 빠르게 확산되면서 스포츠를 통해
미국인들이 ʻ국가ʼ로서의 미국을 인지하고 ʻ미국민ʼ으로서의 의식적 정체성을
가지게 되었다. 1930년의 대공황에 직면, 뉴딜정책의 일환으로 스포츠 시설들
의 대규모로 신축이 이루어졌고, 이러한 시설안의 프로그램을 운영할 레크리에
이션 지도자들이 대거 양성되었다. 이유야 어찌됐건, 스포츠의 발전이 대공황을
극복하는 하나의 수단이 되었고, 비체계적으로나마 미국사회에 있어 스포츠의
인식 개선에 기여하였다(오연풍, 2004). 1972년 미국에서 교육개정법
(Educational Amendment Act)이 통과되었는데, 여기에서 여성의 스포츠
시설사용과 스포츠 참여기회의 평등한 권리의 보장이 명시되었다. 미국 국민
중 어느 누구도 성별에 근거하여 연방정부의 보조를 받는 프로그램이나 활동에
참여가 배제되거나, 지원을 거부하는 등의 차별을 받아서는 안 된다는 것을
내용으로 한 법적 토대위에서 여성들의 스포츠 참여가 지속적으로 증가하였고
1980년대부터는 흑인들의 스포츠 참여 역시 늘어나기 시작했다.

미국은 스포츠는 상업화의 과정 역시 매우 빠르게 거쳤다. 야구를 필두로


하는 프로스포츠의 탄생으로부터 프로스포츠를 중심으로 스포츠 산업이 발전해
왔음은 주지의 사실이다. 프로스포츠의 조직화 후 1950년대 후반부터는 선수
노조까지 조직화 되었을 정도로 선진적인 프로스포츠의 체계를 구축하였다.

16
Ⅲ. 국가별 스포츠 정책 거버넌스

여기에서 특히, 스포츠와 미디어의 결합에 따른 성장에 주목할 만 하다


(Nicholson & Matthew, 2007). 많은 프로스포츠 팀들이 생겨났고, TV
중계권 금액의 기하급수적인 증가는 산업적 측면에서 스포츠의 위상을 지속적으
로 높이고 있다. 뿐만 아니라 민간 기업들의 스폰서참여를 통한 마케팅적
차원의 미디어 노출을 통한 브랜드 효과로 비즈니스 영역에서 스포츠의 활용이
점차 광범위해지고 있다. 종합적으로 볼 때, 미국의 스포츠 향유 문화는 정부주
도의 정책적 지원을 통한 개인의 권리 향상의 토대위에서 민간 시장의 확대와
미디어 발전이 함께 접목되어 상업적 효과를 끌어내는 방향으로 발전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나. 미국 스포츠 행정 조직 구조

1) 미국의 정부조직 및 특징

미국의 행정조직은 크게 입법부, 행정부, 사법부로 이루어진 연방정부를


중심으로 연방주의, 권력분립, 견제와 균형을 근간으로 하는 미국 헌법의
주요 원칙에 따라 운영되고 있다. 이러한 연방제에서 중앙정부와 각 주는
권한을 나누어 갖는다. 권력분립 원칙의 경우 연방정부의 내각이 입법부,
행정부, 사법부로 나눠져 있으며 상호 독립적인 특성을 지님으로 유지된다.
이 경우 견제와 균형은 부서별로 독자적, 혹은 절대적인 권력을 행사하는
것에 대한 제한을 두면서 지켜진다. 미국의 행정부는 대통령제로 운영되고
있으며 행정부를 지탱하기 위해 15개의 부서가 존재하며, 이들 부서를 통해
정책의 집행기능이 수행되고 있다. 미국의 중앙 행정부처 15개부서는 다음과
같으며 (그림 Ⅲ-1)과 같은 체계로 존재한다.

17
해외 스포츠 정책 동향 분석 – 체육행정 거버넌스 및 주요 이슈 관련 정책 비교 -

<그림 Ⅲ-1> 미국 정부 조직

국무부(Department of State)/ 국방부(Department of Defense)/ 재무부(Department


of the Treasury)/ 법무부(Department of Justice)/ 내무부(Department of Interior)/
농무부(Department of Agriculture)/ 상무부(Department of Commerce)/ 노동부
(Department of Labor)/ 보건복지부(Department of Health & Human Services)/ 주택·
도시개발부(Department of Housing & Urban Development)/ 교통부(Department of
Transportation)/ 에너지부(Department of Energy)/ 교육부(Department of
Education)/ 원호부(Department of Veterans Affairs)/ 국토안보부(Department of
Homeland Security)

18
Ⅲ. 국가별 스포츠 정책 거버넌스

미국의 행정부는 각 부 최고 책임자인 장관(Secretary)을 중심으로 대통령


추천으로 상원의 동의를 받아 임명된다. 이들은 내각의 구성원으로 연방 정부의
행정을 실질적으로 집행한다. 이들의 아래로는 부장관, 차관, 차관보가 장관을
보좌하고 있다.

2) 미국의 연방정부, 주정부, 지방정부

미국의 행정구조는 연방정부, 주정부, 지방정부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들은


제 각기 독립적인 특성을 띄고 있다. 미국 연방정부는 주정부로부터 권한을
위임 받아 행사하고 있으며, 위임받은 권한은 연방헌법이 규정한 것과 같이
국방, 외교, 연방과세, 통화정책으로 한정하고 있다. 따라서 국민의 일상적인
생활과 비즈니스의 관계된 경우는 각 주의 주정부가 자치적으로 운영한다.
연방정부는 행정부, 입법부, 사법부로 나누어지며 상원의 경우 상원(The
senate)과 하원(The House of Representatives)로 구성된다. 사법부의 경우
연방법원과 주 법원으로 나누어지며 연방법원은 연방법원 및 연방법 하에
있는 법률적인 문제를 다루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있다.

미국의 주 정부는 연방정부 구조를 바탕으로 주지사가 행정의 장을 담당하며,


주정부는 행정, 입법, 사법의 삼권분립 시스템을 가지고 있다. 연방정부는
건강, 교육, 복지, 교통, 주택과 같이 광범위한 부분에 있어 책임을 진다면,
주정부는 그 책임을 수행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연방정부와의 협력에 기반을
둔 관계를 맺고 있다. 주정부의 각 부처는 연방정부의 각 부처와 같은 영역을
관장하며, 동일한 기능을 수행한다. 미국 주정부 아래에는 중간지방정부로서의
카운티 정부(county government), 그리고 기초지방정부로서의 시정부
(municipality), 타운ㆍ타운십 정부(townㆍtownship), 교육구(school
district), 특별구(special district)로 구성되고 있다. 미국 연방통계조사국의
2012년 정부센서스에 따르면 총 90,056개의 중간정부와 기초지방정부가 존재

19
해외 스포츠 정책 동향 분석 – 체육행정 거버넌스 및 주요 이슈 관련 정책 비교 -

하고 있다. 이 중에서 일반목적 지방정부로서의 카운티는 3,031개, 시는


19,519개, 타운ㆍ타운십은 16,360개, 그리고 특별지방정부로서의 교육구가
12,880개, 특별구가 51,146개에 이른다(U.S. Bureau of Census, 2013).

미국은 연방국가로서 스포츠 관련 업무 역시 연방정부, 주정부, 카운티


별로 세분화 되어 있다. 연방정부의 경우 야외레크리에이션국(Bureau of
Out Door Recreation)과 대통령 스포츠 체력영양 자문위원회가 이를 담당하고
있다. 야외레크리에이션국은 미국인들의 야외레크리에이션관련 문제를 해결
하기 위해 야외레크리에이션 자원조사위원회를 기초로 설치되었다. 야외 레크
리에이션국은 도시의 인구집중문제와 여가증대에 따른 야외레크리에이션 문제
해결을 위해 1962년 부터 설치되어 운영되어 왔다. 하지만 지방분권의 원칙
아래 연방정부는 지역단위의 스포츠와 레크리에이션에 대해 관여한 직접적인
정책보다는 규정이나 정부보조금 등 간접적인 지원으로 스포츠정책을 지원하고
있다. 이러한 원칙하에 주정부나 지방자치단체가 직접적인 행정권한을 가지면
서 주법에 의해 각종 공원, 체육관, 수영장 등의 관리와 세금 징수 등의 권한을
행사한다.

1941년 연방정부 산하의 민방위청(Office of Civilian Defense)이 신설되고


학교를 통한 신체활동의 중요성을 강조되었다. 1943년 체력증진위원회
(Committee on Physical Fitness)가 창설, 기존 민방위청 업무를 대신했다.
이후 1956년 대통령청소년체력자문위원회(Presidentʼs Council on Youth
Fitness)가 설립, 이후 1968년에 창설된 대통령 직속기관인 대통령체력스포츠
자문위원회(Presidentʼs Council on Physical Fitness and Sport)가 정부차
원에서 국민의 건강과 복지를 위한 임무를 수행하는 것으로 정리되었다. 이러한
역할에는 국민 개개인의 연령에 따른 특성을 파악하고 이에 맞는 운동을 제공하
는 프로그램의 확산 역시 포함된다. 이 조직은 미국인들은 교육시키고 건강한

20
Ⅲ. 국가별 스포츠 정책 거버넌스

삶을 영유하도록 하는데 기여하고 있으며 공공기관과 민간과의 협력을 통해


모든 연령, 배경의 사람들에게 건강을 향상시키고 동기를 부여하고 있다.
대통령체력스포츠자문위원회는 2010년 대통령스포츠체력영양자문위원회
(President's Council on Fitness, Sports and Nutrition)로 이름을 변경하여
범위를 영양에 까지 확대하였다. 더불어 대통령체력스포츠영양자문위원회의
프로그램을 이행하는 미국건강스포츠영양재단(The national Foundation
on Fitness, Sports and Nutrition)이 발족, 두 조직을 통해 모든 미국인들의
삶과 건강, 영양의 질을 향상을 위한 정책적 지원을 강화했다. 스포츠와 레크리
에이션 활성화 업무에 있어서 역시, 내무부(Dept. of Interior)와 보건복지부
(Dept. of Health and Human Service; HHS)가 일부분 기여하고 있지만,
실제적인 업무 수행에 있어서는 각 지방자치 단체의 공원·레크리에이션과
(Park and Recreation Department)가 하고 있다.

가) 대통령체력스포츠자문위원회

대통령체력스포츠영양자문위원회(President's Council on Fitness,


Sports and Nutrition)는 국민체력을 증진시키고 관리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홍보하여 이를 미국전역에 보급하고 있다. 대통령체력스포츠영양자
문위원회의 청소년 건강프로그램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지닌다. 첫째, 자발적인
프로그램으로 학생들이 무료로 청소년 건강프로그램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한다.
둘째, 전문적이고 의미 있는 프로그램을 통해 어린이 및 청소년들이 건강하게
살 수 있도록 기여한다. 셋째, 학생들이 활발한 라이프스타일을 유지하고,
사회생활에 적응하게끔 기여한다. 대통령 체력스포츠영양자문위원회의 프로
그램은 크게 3가지(PALA, Presidential Youth Fitness Program, ICDI)로
구성되어 진행되고 있다. 이 위원회는 대통령이 지정한 25명의 위원들로 구성되
어 있으며, 이들의 임기는 2년으로 이루어져 있다. 위원들의 경우 후임자가

21
해외 스포츠 정책 동향 분석 – 체육행정 거버넌스 및 주요 이슈 관련 정책 비교 -

정해지기 전까지는 2년의 기간이 경과되었을지라도 연임이 가능하다. 또한,


정기적인 체육활동, 스포츠참여, 좋은 영양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
연방, 주, 지방정부까지 이를 강조하며 공공과 민간 사이에서 건강도모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

<표 Ⅲ-1> 대통령체력스포츠영양자문위원회 프로그램


구분 특징
대상: 아이, 청소년, 성인
대통령상 :
목표: 체육활동과 좋은 영양을 장려하는 활동으로서 건강한
활동적인 라이프스타일상
라이프스타일 장려하고자 함
Presidential Active
특징: 6주에서 8주간의 식당 및 스포츠 참여 활동을 통해
Lifestyle Award (PALA)
건강한 삶을 영위하는데 기여
대상: 학생 대상
대통령청소년건강프로그램
목표: 학생들의 건강한 삶 유지 기여
Presidential Youth Fitness
특징: 학교 프로그램 기반 활용 및 자발적 프로그램
Program
청소년 건강 평가 및 관련 프로그램 제공 및 이행
나는 할 수 있다, 대상: 모든 미국인
너는 할 수 있다 프로그램 목표: 정기적인 운동참여 및 균형 잡힌 영양 목표
I Can Do it, You Can Do 특징: 세계의 다양한 나라에서 프로그램을 이행 및 미국인들의
it! (ICDI) 건강한 삶 장려

출처: 대통령체력스포츠자문위원회(2015, http://www.fitness.gov/)

나) 미국건강스포츠영양재단

2010년 버락 오바마 대통령에 의해 만들어진 미국건강스포츠영양재단(The


national Foundation on Fitness, Sports and Nutrition)은 대통령체력스포
츠영양자문위원회(President's Council on Fitness, Sports and Nutrition)
와 함께 미국인들의 활동적이고 건강한 삶 영위를 위해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이 재단의 경우 정기적인 체육활동과 스포츠 참여, 좋은 영양들의 중요성에

22
Ⅲ. 국가별 스포츠 정책 거버넌스

대한 인식제고를 위한 의회등의 자문 및 정보제공을 지원하고 공공과 민간


부분에 있어 스포츠 활동과 영양의 증진을 위한 협력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장려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또한, 스포츠 활동과 건강 및 스포츠 참여와
영양부분에 대한 질적 정보와 가이드라인 제공의 혜택이 전 미국인들의 혜택이
될 수 있도록 하는 데에 기여하고자 한다.

주정부의 경우 연방정부의 지침을 토대로 스포츠 및 레크리에이션 활동의


직접적인 책임을 지고 있다. 1958년 만들어진 실외레크리에이션자원조사위원
회(Outdoor Recreation Resource Review Commission)는 1962년에 4부
및 6지방 사무국으로 구성된 실외레크리에이션국을 설치했다. 이들 부서는
연방정부와 주정부 그리고 하위 단위의 정부의 역할에 관한 지침을 마련하였다.
하지만 실제로 연방정부의 역할은 보조금의 분배에 한정되어 있으며, 실제로
이 분배에도 소극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다. 주정부의 경우에는 공원, 스포츠,
레크리에이션 서비스의 일환으로 만, 산림, 강 공원과 같은 천연자원에 대한
관리의 전반을 포함하며, 이를 바탕으로 주민들에게 행정적인 도움을 주고
있다. 주정부는 지방정부의 지역 주민을 위해 스포츠 및 레크리에이션 활동을
지원 및 감독하고 있으나, 스포츠 및 레크리에이션 활동에 직접적으로 집행하기
보다는 지방정부의 행정을 지도하고 이를 재정적으로 지원하는 역할만을 담당하
고 있다.

주정부와 하위 정부의 경우 스포츠 및 레크리에이션에 있어 자치권을 가지고


있으며, 법원은 이들이 실제로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도움을 주고 있다. 특히나
지방 정부의 경우에는 공원·레크리에이션과(Park and Recreation
Department)가 주민들을 위해 스포츠 및 레크리에이션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있다. 또한, 건강한 커뮤니티 설립을 위해 다양한 프로그램을 제공하며 노력하고
있으며 스포츠 및 레크리에이션 서비스의 제공에 있어 학교에도 다방면으로

23
해외 스포츠 정책 동향 분석 – 체육행정 거버넌스 및 주요 이슈 관련 정책 비교 -

지원하고 있다. 이처럼 주정부 아래의 지방정부와 중간지방정부에 속하는


카운티는 주정부가 자치권을 가지는 것에 비하여 비자발적인 정부로 간주,
제한적인 기능을 해왔다. 하지만 현재의 카운티 정부와 지방정부는 스포츠와
관련해서 자치권을 가지고 주도적으로 스포츠 및 레크리에이션관련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며 새로운 도약을 보여주고 있다. 다음은 미국의 시애틀 시를
선정하여 공원·레크리에이션과의 스포츠 관련 프로그램을 정리한 것이다.
시애틀시 공원레크리에이션과는 스포츠 관련 행정서비스를 크게 청소년과
성인 그리고 계절별로 제공하고 있는 특징을 지닌다.

<표 Ⅲ-2> 시애틀 시 스포츠 프로그램


구분 프로그램 명
Girls and Boys Volleyball League
청소년 팀 스포츠
Youth Flag Football League
프로그램(가을)
Youth Cross Country (Girls and Boys)
청소년 팀 스포츠
Youth Basketball League (Girls and Boys)
프로그램(겨울)
Pickleball Tournament
Rollerderby
성인스포츠프로그램 Softball
Track
Flag Football

출처: Seattle parks and recreation (2015, http://www.seattle.gov/parks/)

표 Ⅲ-3은 지방정부 랭킹 별 스포츠 관련 지출 정도를 확인하기 위해 콜로라도


주의 주도인 덴버시와 그릴리시의 비교 하였다. 덴버시는 콜로라도주의 주도로
서 공원 및 레크리에이션과가 스포츠활동을 담당하고 있다. 공원 및 레크리에이
션 금액 역시 콜로라도주의 시인 그릴리와 비교했을 때 약 2배 이상의 차이를

24
Ⅲ. 국가별 스포츠 정책 거버넌스

보이고 있다. 이처럼 작은 시정부의 경우에는 공원 및 레크리에이션과와 복지를


한번에 묶어 행정을 처리하기도 하는데 하나의 부서로 통합하는 경우, 예산을
절감하는 효과는 있을 수 있지만 전문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지적되곤 한다.

<표 Ⅲ-3> 덴버시, 그릴리시 및 지출내역


(단위: 천달러)

덴버시 지출내역 금액 그릴리시 지출내역 금액


일반행정 211,460 일반행정 15,453
공공안전 500,627 공공안전 43,085
공공행정 129,111 공공행정 36,054
건강 48,957 건강 -
복지서비스 - 복지서비스 -
문화, 공원 및
공원 및 레크리에이션 57.476 20.019
레크리에이션
문화활동 41.064 문화활동
커뮤니티 발전 18,175 커뮤니티 발전 3.600
총 지출 18,273.54 총 지출 211,460

출처: The City of County of Denverʼs Department of Finance: Financial reports (2014)
The City of Greeley Colorado Comprehensive Annual Financial Report (2014)
The City of Greeley (2014)

그림 Ⅲ-2는 미국의 스포츠 행정관련 조직을 표로 나타낸 것으로 연방정부,


주정부, 지방정부 그리고 민간조직 별로 나누어져 운영되고 있는 특징을 확인
할 수 있다.

25
해외 스포츠 정책 동향 분석 – 체육행정 거버넌스 및 주요 이슈 관련 정책 비교 -

<그림 Ⅲ-2> 미국스포츠행정 조직도

26
Ⅲ. 국가별 스포츠 정책 거버넌스

다음에서는 미국의 스포츠 관련 조직으로서 미국 올림픽위원회(United


States Olympic Committee; USOC)와 아마추어스포츠연맹(Amateur
Athletic Union; AAU), 전국대학경기협회(National Collegiate Association;
NCAA)를 한다.

다) 미국올림픽위원회

미국올림픽위원회(USOC)는 1894년 설립되었으며, 콜로라도주 콜로라도


스프링스(Colorado Springs)를 본부로 하여 올림픽 운동(Olympic
Movement) 을 위해 앞장서는 비영리조직이다. 국가올림픽위원회(National
Olympic Committee: NOC)의 역할을 담당하며 올림픽과 장애인올림픽,
판 아메리칸 게임 참가와 관련된 결정권을 행사하고 있으며 아마추어 스포츠의
여러 부분에 전반적인 권한과 책임을 지니고 있다. 미국올림픽위원회는 연방정
부로부터 재정적인지원을 전혀 받지 않고 있는 특징을 지닌다. 미국올림픽위원
회의 목표는 스포츠에 성, 인종, 연령, 지리적 여건 등에 상관없이 기회를
제공하여 미국 내의 올림픽운동 보급에 있어 관리자 역할을 하고자 한다는
점이다. 특히나 미국 올림픽위원회는 미국 장애인올림픽게임을 지원하고 있으
며 이들의 펀딩, 건강보험, 미디어, 마케팅, 커리어서비스 등과 같이 다방면을
통해 지원하고 있다.

1978년 연방법으로서 아마추어 스포츠법(1998년 개정: 테드 스티븐슨 올림


픽과 아마추어 스포츠, The Ted Stevens Olympic and Amateur Sports
Act – revised in 1998)이 제정되면서 미국올림픽위원회가 강력한 역할과
권한을 가진 조직으로 성장하게 되었다. 미국올림픽위원회는 3개의 올림픽
트레이닝 센터를 설립하였고 15개의 주에 17개의 훈련지를 만들었다. 3개의
올림픽트레이닝센터는 콜로라도주의 콜로라도 스프링스(Colorado Springs),
뉴욕 주의 레이크 플라시드(Lake Placid), 캘리포니아 주의 출라 비스타(Chula

27
해외 스포츠 정책 동향 분석 – 체육행정 거버넌스 및 주요 이슈 관련 정책 비교 -

Vista)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미국 올림픽 교육센터(U.S. Olympic


Education Center)는 미시간 주 마켓에 위치하고 있다.

<표 Ⅲ-4> 올림픽트레이닝센터


구분 특징
미국올림픽위원회의 본부 위치
콜로라도스프링스 하계종목 위주로 수영, 사격, 체조, 역도, 레슬링, 배구, 유도, 사격,
Colorado Springs 태권도, 등을 위한 체육관 보유
500명의 코치와 선수들 수용 가능
전문선수의 경기력 향상을 위한 치료실 보유
레이크플라시드
동계종목 위주로 스키, 아이스하키, 복싱, 카누 등을 위한 시설 보유
Lake Placid
400명의 코치와 선수들 수용 가능
출라비스타 하계종목 위주로 양궁, 사이클, 축구, 테니스 등을 위한 시설 보유
Chula Vista 4000명의 운동선수 수용 가능

출처: 미국올림픽위원회(2015, http://www.teamusa.org/About-the-USOC)

라) 미국 아마추어 경기연맹(Amateur Athletic Union: AAU)

미국 아마추어 경기연맹(Amateur Athletic Union; AAU)은 미국 내의


아마추어스포츠와 생활체육의 진흥과 보급을 위해 1988년에 만들어진 민간
스포츠 조직이다. 아마추어 경기연맹은 1978년 아마추어 스포츠법 제정 이후
로, 생활체육 분야에 큰 초점을 두기 시작했다. 올랜도에 본사를 두고 있고,
"Sports for all, Forever(모두를 위한 스포츠, 영원히)"라는 철학 아래 수많은
자원봉사자와 회원들을 통해 운영되고 있다. 670,000명의 참여자와 100,000
명이 넘는 자원봉사자가 미국아마추어경기연맹에 참여하고 있다. 1978년 아마
추어 스포츠법이 제정되기 전에는 미국대학경기협회(NCAA)과 함께 강력한
영향력을 행사하는 스포츠 조직 중 하나였으나, 이후에는 미국 대학경기협회와
분쟁이 잦아지면서 강한 질타를 받기 시작했다. 이를 연방정부가 해결코자

28
Ⅲ. 국가별 스포츠 정책 거버넌스

개입하였고 이후 1978년 아마추어 스포츠법 제정 후에는 위상이 약화되어


생활체육진흥사업에 힘을 쏟고 있다. 미국 아마추어 경기연맹은 매년 수백만의
미국 청소년들에게 신체검사와 체력검사를 실시하고 있고 미국청소년 체력백서
를 발간해 오고 있다. 또한 주니어올림픽게임(AAU Junior Olympic games),
설리번상(AAU James E. Sullivan Memorial Award)을 운영하며, 대통령
챔피언십/ 청소년체력프로그램(Presidential Championships/ Presidentʼs
Challenge National Youth Physical Fitness Program)을 운영하고 있다.
이처럼 미국아마추어경기연맹은 미국 내 스포츠클럽을 총괄하는 역할을 해
오고 있으며 이들을 중심으로 지역협회별 방과 후 클럽스포츠가 운영되고 있다.

<표 Ⅲ-5> AAU 지역협회


구분 AAU지역협회

Adirondack, Alaska, Arkansas, Arizona, Central, Central California,


Colorado, Connecticut, Florida, Florida Gold Coast, Georgia, Gulf, Hawaii,
Indiana, Inland Empire, Iowa, Kentucky, Lake Erie, Maryland, Michigan,
Middle Atlantic, Minnesota, Missouri Valley, Montana, Nebraska, New
England, New Jersey, New Mexico, New York Metropolitan, Niagara,
54개
North Carolina, North Dakota, Ohio, Oklahoma, Oregon, Ozark, Pacific,
Pacific Northwest, Pacific Southwest, Potomac Valley, Puerto Rico, South
Carolina, South Dakota, South Texas, Southeaster, Southern Pacific,
Southwestern, Utah, Virginia, West Texas, West Virginia, Western
Pennsylvania, Wisconsin Wyoming

출처: 미국아마추어경기연맹(2015, https://www.aausports.org/)

<표 Ⅲ-6> AAU 운동종목


종목
육상, 야구, 농구, 볼링, 치어리딩, 댄스, 다이빙, 풋볼, 골프, 체조, 하키, 줄넘기, 라크로스,
무술(유도, 카라테, 쿵푸, 태권도), 축구, 소프트볼, 서핑, 수영, 탁구, 배구, 레슬링

출처: 미국아마추어경기연맹(2015, https://www.aausports.org/)

29
해외 스포츠 정책 동향 분석 – 체육행정 거버넌스 및 주요 이슈 관련 정책 비교 -

마) 미국대학경기협회(National Collegiate Athletic Association; NCAA)

미국대학경기협회(National Collegiate Athletic Association; NCAA)는


인디아나주 인디애나폴리스에 본부를 두고 있다. 미국과 캐나다의 수많은
학교들의 운동경기 프로그램을 관장하고 1,281개 학교와 조직이 속해있는
비영리 단체이다. NCAA는 Division Ⅰ, Ⅱ, Ⅲ으로 나누어지며 각 디비전에는
개별의 관리자와, 경기와 훈련 등에 대한 규칙을 지니고 있다. 디비전의 선택의
경우 학교가 디비전의 제시조건에 일치할 경우 디비전에 가입할 수 있다.
아마추어 스포츠는 아마추어 스포츠법(Amateur Sports Acts)이 1978년에
통과됨에 따라 올림픽 종목 단체들을 통한 관리로 이루어지고, 대학교 스포츠에
권리 전반을 가지고 있던 미국대학경기협회(NCAA)가 성장하게 되었다.

<표 Ⅲ-7> 각 DIVISION별 특징


분류 특징
350개의 학교 존재
Division 6000개의 운동팀 보유 및 170,000명의 학생선수들에게 기회 제공
ⅰ 가장 큰 학자금 지원 및 경기력 및 종목 수준이 타 디비전에 비해 높음
학업보다 운동에 더 큰 비중을 두고 있음
300개의 학교 존재
25000개의 운동팀 보유 및 8000명 아래의 학생선수들이 존재
Division
부분적인 학자금 지원 및 300개의 활동적인 멤버 활동 및 24개의 컨퍼런스

실시
운동보다 학업에 큰 비중을 두고 교육적 목표 달성 추구
450개 이상의 학교 존재
Division 180,000명의 학생선수 존재
ⅲ 타 디비전에 비해 적은 금액이나 학자금 지원
운동과 학업의 균형 강조 및 교육프로그램 제공

출처: 미국대학경기협회(2015, http://www.ncaa.com/)

30
Ⅲ. 국가별 스포츠 정책 거버넌스

<그림 Ⅲ-3> Division Ⅰ 조직도

31
해외 스포츠 정책 동향 분석 – 체육행정 거버넌스 및 주요 이슈 관련 정책 비교 -

다. 미국 스포츠 정책 재정 현황

1) 중앙정부 및 지방정부 스포츠 관련 예산

미국의 연방정부는 미국인들의 건강을 위해 레크리에이션과 스포츠 예산을


분배하고 있다. 표 Ⅲ-8은 미국의 스포츠관련 예산을 정리한 것이다. 표에서
보는 것과 같이, 미국의 스포츠 관련 예산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이는
국민의 건강증진과 행복한 삶 유지에 있어 스포츠에 대한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는 것과 관련이 있다. 특히 지속적인 예산 지출은 스포츠 시설의 건설과
유지 등에 있어서 연방차원에서 다방면으로 지원이 증가하고 있는 것에 기인한다.

<표 Ⅲ-8> 레크리에이션 및 스포츠관련 총 지출


(단위 : 10억원)

레크리에이션&스포츠서비스
회계연도 미국 GDP
관련 총 금액
2010 14,964.4 44.10
2011 15,517.9 42.52
2012 16,163.2 41.16
2013 16,768.1 41.05
2014 17,418.9 41.38
2015 17,985 41.72
2016 18,818.6 44.03
2017 19,708.6 46.25
2018 20,616.8 48.82
2019 21,539.9 51.09

출처: 미국정부지출(2015, http://www.usgovernmentspending.com/)

표 Ⅲ-9는 연방정부의 레크리에이션 및 스포츠관련 서비스에 대한 지출을


정리한 것이다. 연방정부의 예산은 다소 변동이 있는 편이나, 2015년 이후에는

32
Ⅲ. 국가별 스포츠 정책 거버넌스

스포츠에 대한 관심 증대와 중요성 강조로 예산 역시 확대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표 Ⅲ-9> 레크리에이션 및 스포츠관련 연방정부 총 지출


(단위 : 10억 원)

레크리에이션&스포츠서비스
회계연도 미국 GDP
관련 연방정부 총 금액
2010 14,964.4 3.91
2011 15,517.9 4.16
2012 16,163.2 3.75
2013 16,768.1 3.51
2014 17,418.9 3.36
2015 17,985 2.99
2016 18,818.6 4.26
2017 19,708.6 5.03
2018 20,616.8 5.72
2019 21,539.9 5.71

표 Ⅲ-10은 주정부의 레크리에이션 및 스포츠관련 서비스에 대한 지출을


정리한 것이다. 주정부의 레크리에이션 및 스포츠관련 서비스 지출금액은
지속적으로 증가해오고 있으며, 금액 역시 연방정부의 지출을 상회한다.

<표 Ⅲ-10> 레크리에이션 및 스포츠관련 주정부 총 지출


(단위 : 10억 원)

레크리에이션&스포츠서비스
회계연도 미국 GDP
관련 주정부 총 금액
2010 14,964.4 4.91
2011 15,517.9 4.83
2012 16,163.2 4.63

33
해외 스포츠 정책 동향 분석 – 체육행정 거버넌스 및 주요 이슈 관련 정책 비교 -

레크리에이션&스포츠서비스
회계연도 미국 GDP
관련 주정부 총 금액
2013 16,768.1 4.70
2014 17,418.9 4.81
2015 17,985 4.94
2016 18,818.6 5.09
2017 19,708.6 5.28
2018 20,616.8 5.50
2019 21,539.9 5.76

표 Ⅲ-11은 지방정부의 레크리에이션 및 스포츠관련 서비스에 대한 지출을


정리한 것이다. 지방정부의 금액은 연방정부, 주정부 등에 비해 월등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스포츠시설의 건설 및 유지 등의 실제 집행에 있어서
지방정부의 레크리에이션 및 스포츠 관련 예산 지출이 연방정부와 주정부에
비해 상당히 높은 것과 관련이 있다고 할 수 있다.

<표 Ⅲ-11> 레크리에이션 및 스포츠관련 지방정부 총 지출


(단위 : 10억 원)

레크리에이션&스포츠서비스
회계연도 미국 GDP
관련 지방정부 총 금액
2010 14964.4 35.28
2011 15517.9 33.53
2012 16163.2 32.77
2013 16768.1 32.83
2014 17418.9 33.20
2015 17985 33.79
2016 18818.6 34.68
2017 19708.6 35.95
2018 20616.8 37.60
2019 21539.9 39.62

34
Ⅲ. 국가별 스포츠 정책 거버넌스

2) 재정 확보

미국은 연방정부의 예산을 비롯하여 다양한 방법으로 스포츠관련 재정을


충당하고 있다. 스포츠 및 레크리에이션의 재정에 있어서 각 단체는 각각의
형태와 목적에 맞게 자구적으로 재정확보에 힘쓰고 있으며 이러한 단체로는
미국올림픽위원회, 경기단체, 스포츠가맹단체와 지방정부의 공원·레크리에
이션과 등을 들 수 있다.

가) 미국올림픽재단

미국의 올림픽 재단(U.S. Olympic and Paralympic Foundation)은 비영


리재단으로서 아마추어스포츠의 기금 마련을 위해 만들어졌으며, 이들은 1984
년 LA올림픽 개최를 위해 올림픽주화 판매 및 잉여금 등을 통해 재원을 만들었
다. 다른 나라의 올림픽 위원회가 종종 정부의 보조를 받는 것에 반하여,
연방의 보조를 받지 않는 특징을 지닌다. 예산 편성은 4년마다 한 번씩 실시하며,
수입은 대체로 다음과 같다. 2014년에는 3개의 새로운 파트너와 10개의 갱신된
파트너를 포함하여 37개의 파트너를 가지고 있다.

<표 Ⅲ-12> 미국 올림픽위원회 수입


구분 2014년 2012-2014년 2008-2012 2004-2008
기부금
(직접적인 24,694(2,049) 78,057(6,863) 182,916(18,826) 113,236(14,883)
후원자 수입)
순 기부금 수입 22,645 71,194 164,090 98,353
방송중계권료 111,185 114,808 268,325 206,574
USOC
95,000 184,977 284.438 318,624
마크사용수입
라이센싱
8,941 13,196 28.586 27,056
로열티 수입

35
해외 스포츠 정책 동향 분석 – 체육행정 거버넌스 및 주요 이슈 관련 정책 비교 -

구분 2014년 2012-2014년 2008-2012 2004-2008


미국 패럴림픽
1,583 1,583 - -
기부금
미국올림픽
9,683 18,993 36,316 49,311
기부금
투자 수입 857 2,321 3,676 11,380
기타 21,625 33,349 66,539 23,707
총 수입 271,519 44,421 851,970 735,005
출처: USOC (2014). 2014 Annual Report

미국 올림픽재단의 2014년의 예산은 270만 달러에 달한다. 수입의 경우


방송중계권료(41%), 마크사용권(35%), 기타수입(13%), 기부금(8%), 라이센
싱(3%)으로 이루어져 있다. 기업과 여러 조직에 의해 기부금을 받고 있으나
주목해야 할 점은 일반인 기부금 비율이 다른 국가에 비해 높은 경향이 있다는
점이다. 2008년의 경우 미국올림픽위원회는 일반인 기부금을 약 5000만 달러
를 목표로 하였다. 미국올림픽위원회(USOC) 기부금의 경우 현금, 중권, 부동산
등을 통해 기부 받고 있으며 이를 통해 재정확보에 큰 기여를 하고 있다.
하지만 2014년의 경우 과거 2000-2004년 13%에 달했던 데에 반하여, 그
비중이 줄어든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나) 미국아마추어경기연맹

미국아마추어경기연맹(Amateur Athletic Union; AAU)은 과거에는 엘리


트체육에 초점을 두었다면, 현재에는 생활체육에 더 집중하고 있는 단체라
할 수 있다. 이 연맹의 경우 연방정부와 주정부로 재정지원을 받지 않고 자립하여
운영을 해오고 있다.

다) 미국대학경기협회

미국대학경기협회(NCAA) 역시 재정을 자립적으로 확보하고 있다. NCAA의

36
Ⅲ. 국가별 스포츠 정책 거버넌스

2014년 총 수입은 2013년에 비해 소폭 증가한 것을 표 Ⅲ-13을 통해 확인


할 수 있다. NCAA의 방송중계권료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협회의
수입에서 가장 큰 비율을 차지한다. 이외에는 챔피언십을 통해 벌어들이는
수입, 투자수입, 세일즈 및 판매수입을 통해 자립적인 재정구조를 유지하고 있다.

<표 Ⅲ-13> NCAA의 수입구조


(단위 : 달러)

구분 2014년 2013년
방송중계권 및 마케팅권리 수입 753,595,560 726,319,860
챔피언십 및 NIT토너먼트 수입 114,846,763 110,631,867
투자수입 82,271,821 41,398,750
판매 및 서비스 수입 28,324,776 27,307,562
기타 기부금 3,000,000 -
시설관련 기부금 6,990,592 7,074,007
총 합계 989,029,512 912,804,046

출처: NCAA (2014). National Collegiate Athletic Association and Subsidiaries.

NCAA는 재정수입을 통해 표 Ⅲ-14와 같이 수입 분배를 하고 있다. 이러한


분배를 통해 학생들의 경기력과 교육 향상을 추구하며 다양한 교육적 프로그램
을 시행하고 있다. 이러한 노력을 통해 학생 선수들이 학문, 스포츠정신 등을
함양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표 Ⅲ-14> NCAA수입분배 계획


2014-15 수입 분배 계획- 총 합계: $512,01,000
스포츠 학업강화 컨퍼런스
농구펀드 보조금 학생보조금
스폰서십 비용 보조금
199,196,000 131,861,324 77,764,000 67,334,676 26,920,000 8,955,000
(39%) (26%) (15%) (13%) (5%) (2%)

출처: NCAA (2015). 2014-15 Division 1 Revenue Distribution Plan

37
해외 스포츠 정책 동향 분석 – 체육행정 거버넌스 및 주요 이슈 관련 정책 비교 -

라. 미국 생활 스포츠 참여 실태

미국에서 스포츠는 다양한 여가활동 중 인기 있는 활동 중 하나로서 많은


국민들이 직간접적으로 스포츠에 참여를 해오고 있다. 미국의 스포츠참여
비율을 보여주는 표 Ⅲ-15를 통해 미국 스포츠 참여의 특징을 알 수 있다.
미국정부나 조직에 의한 스포츠 참여실태 조사는 부족한 상황이며, 상업적인
마케팅 회사의 설문조사에 의해 스포츠 참여실태가 조사되고 있어 이로 인하여
모든 스포츠를 다 다루지 못하고 일부만 다루는 특징을 보인다. 2000년에
비해 2007년의 경우 많은 부분에서 참여 비율이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텔레비전과 컴퓨터와 같은 매체에 쏟는 시간이 증가한 것과 관련이 있다고
할 수 있다(Matthew, Russell, Barrie, 2010)

<표 Ⅲ-15> 미국의 스포츠 참여비율 트렌드


(단위 : 천단위)
스포츠종류 2000 2004 2007 Change(4-year)
Archery
6,047 6,756 5,852 11.72%
양궁
Badminton
8,490 6,432 5,328 -24.24%
배드민턴
Baseball
10,881 9,694 8,191 -10.91%
야구
Basketball
37,552 34,223 32,301 -8.87%
축구
Billiards
37,483 3,636 32,144 -3,01%
당구
Bowling
53,844 53,603 51,579 -0.45%
볼링
Cross-country
skilling 4,673 4,007 1,865 -18.84%
크로스컨트리스키

38
Ⅲ. 국가별 스포츠 정책 거버넌스

스포츠종류 2000 2004 2007 Change(4-year)


Football
18,285 16,432 18,122 -10.11%
풋볼
Golf
30,365 2,572 25,617 -15.29%
골프
Ice hockey
2,761 1,998 3,353 -27.63%
아이스하키
Martial arts
5,722 6,898 6,162 20.55%
무술
Racquet ball
5,155 5,533 5,705 7.33%
라켓볼
Snowboarding
11,649 10,592 11,616 -9.07%
스노우보딩
Soccer
17,334 159,000 15,551 -10.34%
축구
Softball
19,668 16,941 16,111 -13.87%
소프트볼
Table tennis
13,797 14,286 14,122 3.54%
탁구
Tennis
16,598 18,346 17,561 10.53%
테니스
Volleyball
22,876 22,216 18,491 -2.89%
배구
Wrestling
2,405 2,303 2,025 -4.24%
레슬링
출처: American Sports Data, Inc. (2007). Sport Participation

연방정부의 정책에 따른 스포츠 참여율의 변화 역시 주목할 만 한다. 앞서


언급하였던 바와 같이 연방정부는 교육개정법(Education Amendment Act
1972- Title Ⅸ)을 재정하였는데, 이는 연방정부의 재정적 지원을 받는 모든
교육 프로그램이나 활동은 여성들에게 동등한 권리를 보장해야 하며 차별을
금지한다는 내용을 골자로 한다. 이 조항은 모든 고등 교육기관과 대학 스포츠
활동에 적용되었다. 이러한 정책적 의지는 1971-1972년의 경우 204,015명이

39
해외 스포츠 정책 동향 분석 – 체육행정 거버넌스 및 주요 이슈 관련 정책 비교 -

었던 여고생 스포츠 참여자가 Title Ⅸ과 통과된 이후인 1999-2000년도에는


2,675,874명으로 10배 이상 증가되어 여성 스포츠 활동이 전개되는 데에
크게 기여하였음을 입증하고 있다(김미정, 2009).

<표 Ⅲ-16> 피트니스활동에 의한 미국 스포츠 참여 트렌드


(단위 : 천단위)

피트니스활동 2000 2004 2007 Change(4-year)


에어로빅 17,326 15,767 17,73 -9.00%
웨이트트레이닝 44,499 52,056 53,147 16.98%
필라테스 1,739 10,541 10,949 506.15%
러닝/조깅 33,680 37,310 39,653 10,78%
트레드밀 40,8161 47,463 49,967 16.29%
요가/태극권 7,400 12,414 10,949 97.79%

미국인들의 활동부족 비율을 나타낸 그림 Ⅲ-4를 보면 전반적으로 활동부족


이 증대되는 경향이 관찰된다. 2014년의 경우 2012년 보다18-24세와 35-44
세에서 스포츠 참여율이 증가함에도 불과하고, 전반적으로 스포츠참여율이
줄어든 것으로 확인 되었다.

<그림 Ⅲ-4> 연령별 활동 부족비율

40
Ⅲ. 국가별 스포츠 정책 거버넌스

미국의 피트니스센터와 헬스클럽 수는 2013년 기준 52,000개가 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민간과 공공시설이 합쳐진 수로서 <그림 Ⅲ-5>에서 보여
지듯이 피트니스센터와 헬스장의 수는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이다.

<그림 Ⅲ-5> 미국내 헬스 클럽 수


출처: The statistics portal (2014).
http://www.statista.com/statistics/236123/us-fitness-center—health-club-memberships/

마. 미국 스포츠 정책 영역별 거버넌스

1) 엘리트 스포츠 거버넌스

미국정부는 과거부터 엘리트 스포츠에 있어서 지속적으로 개입을 해오고


있으나, 이를 직접적으로 법률과 행정을 통해 명시하지는 않았다. 연방정부의
개입은 정책과 스포츠가 직접적 관련성이 있을 때에만 부분적으로 이루어졌지만
연방정부가 엘리트 스포츠에 관여하게 된 직접적인 계기는 과거 공산주의
국가들과의 체제경쟁의 일환으로 국제스포츠 경기대회력이 주목받기 시작한
것과 관련이 있다. 1950년대 이후 미국은 대외적인 목적을 갖고 스포츠에

41
해외 스포츠 정책 동향 분석 – 체육행정 거버넌스 및 주요 이슈 관련 정책 비교 -

대한 지원을 해왔다. 이를 위해 미국올림픽위원회와 아마추어경기연맹을 통해


엘리트 스포츠를 육성하고자 하였다. 이런 상황에서 엘리트 스포츠의 육성에
대한 주도권을 두고, NCAA(National Collegiate Athletic Association),
미국 아마추어 경기 연맹(AAU; Amateur Athletic Union), 미국올림픽위원
회(United States Olympic Committee) 등 세 단체가 대립하자, 연방정부는
미국아마추어 스포츠 중심의 문제해결을 위해 1978년 아마추어 스포츠법
(Amateur Sports Act)을 제정하였고, 이 법을 통해 미국올림픽위원회(USOC)
는 미국 아마추어 스포츠의 최상위조직으로서 권한을 갖게 되었다. 1998년에
아마추어 스포츠법은 올림픽·아마추어스포츠법(Olympic and Amateur
Sports Act: OASA)로 변경되어 장애인에게까지 그 범위가 확대되었다. 이러
한 배경에서 미국올림픽위원회는 미국 엘리트스포츠 육성의 핵심중추가 되었
다. 미국올림픽위원회는 3개의 올림픽트레이닝센터를 운영함과 동시에 미국
내 체육관련 조직에 대한 승인과, 올림픽게임, 장애인올림픽게임, 판 아메리칸
게임의 참여와 같은 모든 부분을 담당하고 있다. 또한, 미국 올림픽위원회는
48개의 종목별경기연맹단체를 바탕으로 엘리트운동선수를 육성하고자 노력해
오고 있으며 운동선수와 종목별경기연맹단체와 아마추어 스포츠 조직들 간의
분쟁을 조절하고 있다.

<표 Ⅲ-17> 미국올림픽위원회 종목별경기연맹단체


종목별경기연맹단체 위치
USA Archery 콜로라도주 콜로라도스프링스
USA Badminton 콜로라도주 콜로라도스프링스
콜로라도주 콜로라도스프링스
메인주, 뉴글로스터
콜로라도주 콜로라도스프링스
콜로라도주 콜로라도스프링스
오클라호마주, 오클라호마시티

42
Ⅲ. 국가별 스포츠 정책 거버넌스

종목별경기연맹단체 위치
위스콘신주, 스티븐즈포인트
콜롤콜로라도주 콜로라도스프링스
인디애나주, 인디애나폴리스
켄터키주, 렉싱턴
콜로라도주 콜로라도스프링스
버지니아주 버지니아비치
콜로라도주 콜로라도스프링스
인디애나주 인디애나폴리스
콜로라도주 콜로라도스프링스
콜로라도주 콜로라도스프링스
USA Luge 뉴욕주 레이크플라시드
USA Pentathlon 콜로라도주 콜로라도스프링스
뉴저지주 프린스턴
콜로라도주 볼더
로드아일랜드주, 포츠머스
콜로라도주 콜로라도스프링스
유타주 파크시티
일리노이주 시카고
U.S. Speedskating 유타주 컨즈
콜로라도주 콜로라도스프링스
USA Synchronized Swimming 인디애나주 인디애나스프링스
콜로라도주 콜로라도스프링스
콜로라도주 콜로라도스프링스
USA Team Handball 콜로라도주 콜로라도스프링스
화이트플레인즈, 뉴욕주
인디애나주 인디애나폴리스
콜로라도주 콜로라도스프링스
콜로라도주 콜로라도스프링스
USA Water Polo 콜로라도주 콜로라도스프링스
콜로라도주 콜로라도스프링스
콜로라도주 콜로라도스프링스
출처: USOC (2015, http://www.teamusa.org/)

43
해외 스포츠 정책 동향 분석 – 체육행정 거버넌스 및 주요 이슈 관련 정책 비교 -

미국대학경기협회(NCAA)는 엘리트운동선수를 양성하기 위해 미국올림픽


위원회와 협력해 오고 있다. 미국대학경기협회(NCAA)는 미국의 엘리트 체육을
담당하는 또 하나의 축으로서, 미국 대학스포츠 진흥을 위해 기여하고 있다.

2) 생활 스포츠 거버넌스

미국 정부는 20세기 초부터 생활 스포츠를 중심으로 국민의 건강과 영위를


도모하였다. 생활 스포츠는 개인의 건강 및 체력 증진과 여가 선용을 목표로
하며, 모든 사람을 위한 스포츠(Sport For All) 또는 평생 스포츠(Sport For
Lifetime)로 불린다. 이 시기의 미국 생활 스포츠는 이미 구축된 자발적 조직과
클럽을 통해 이루어졌으며, 1880년대 이후 공원시설들이 건설되면서 미국의
생활 스포츠 운동은 더욱 확산되었다(오연풍, 2004). 1906년에 미국운동장협
회가 조직되었고, 1936년에는 민간단체인 미국레크리에이션협회가 창설되어
생활 스포츠는 더욱 활성화 되었다. 1930년대의 경우 골프장(254), 스키장
(318), 수영장(805), 체육관(1720), 핸드볼장(1817), 경마장(2,261), 경기장
(3,026), 공원(8,000), 운동장(12,000) 등의 많은 시설물들이 건설되었다
(Clumpner, 1984).

1941년 루즈벨트 대통령은 민방위청(Office of Civilian Defense)을 설치하


여 공공단체, 클럽, 레크리에이션, 산업조직, 학교활동을 통해 생활 스포츠
프로그램을 장려했다. 과거에는 스포츠가 군인을 훈련시키는 군사적 목적과
교육적 목적을 겸비한 사회적 유용성에 의해 장려되었으나, 스포츠 그 본연의
가치에 의한 인정은 받지 못했다. 그러나 1956년에 시행된 Kraus Weber
Test의 결과, 미국 청소년들의 체력이 유럽 청소년들의 체력보다 뒤떨어진다는
보고를 받고 아이젠하워대통령에 의해 대통령 직속의 청소년체력자문위원회
(Presidentʼs Council on Youth Fitness)가 발족되고 청소년들의 체력향상
운동을 전개하게 되었다. 1963년 케네디 대통령이 취임하면서 이 위원회의

44
Ⅲ. 국가별 스포츠 정책 거버넌스

대상을 전 국민으로 확대하면서 가정과 지역사회가 협력하여 개인의 체력을


강화하는데 돕도록 하는 성명이 발표되고 그 명칭을 대통령체력자문위원회
(Presidentʼs Council on Physical Fitness)로 대체하였다. 1990년에 들어서
면서 연방정부는 생활 스포츠에 대한 간접적인 지원으로 다시 전환을 했지만,
스포츠·레크리에이션 시설 건설 등을 통해 사회복지 차원에 있어 다방면으로
생활 스포츠를 장려했다.

현재 미국의 생활체육은 연방차원에서는 보건복지부(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HHS)의 소관이며, 보건복지부 산하의 질병통제예방센
터(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CDC)에서 건강보호
및 증진에 초점을 맞춘 신체활동 확대 관련 정책과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있다.
질병통제예방센터는 미국인들의 신체활동의 증가 및 학교 내 체육수업 확대를
위한 정책을 만들어 스포츠 활동을 장려하고 있다. 1990년 이래 10년마다
10개년 단위 국민건강 증진 계획인 ʻʻHealthy People 2000ʼʼ, ʻʻHealthy People
2010ʼʼ, ʻʻHealthy People 2020ʼʼ을 작성하고 참여증대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
이처럼 미국은 생활체육 대중화를 위해 지방정부 차원에서 다양한 노력을
해오고 있다고 할 수 있다. LA시의 경우 공원·레크리에이션과를 주축으로
캘리포니아 정부와 연계하여 여러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있는데, LA시에서
제공하는 스포츠 프로그램을 바탕으로 일반인들이 스포츠 활동을 접할 수
있는 기회를 증대하고 있으며, 시는 시민들의 참여 유도를 위한 여러 방법을
모색 중에 있다. LA시는 184개의 레크리에이션센터와 61개의 수영장, 11개의
호수, 8개의 캠프장 등의 기본 시설을 바탕으로 청소년, 성인, 장애인들이
기본비용을 내고 시설을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표 Ⅲ-18은
LA시의 스포츠프로그램을 정리한 표이다. LA시는 시민들에게 체육활동을
통해 건강한 삶을 영위하는데 기여하며 일반시민들의 참여율을 늘리고자 하는
노력을 보여주고 있다.

45
해외 스포츠 정책 동향 분석 – 체육행정 거버넌스 및 주요 이슈 관련 정책 비교 -

<표 Ⅲ-18> LA시 스포츠프로그램


프로그램 명
Chivas at the Park L.A. Soccer Clinics
Junior Golf Program
Raise The Bar Program
Tregnan Golf Academy
Lincoln Heights Youth Center
Youth Flag Football Program
Youth Sports Tournaments

출처: LA (2015, http://www.laparks.org/programs.htm)

이를 바탕으로 미국 생활 스포츠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도출할 수 있었다.


첫째, 생활 스포츠에 대한 관심과 중요성이 건강 및 의학적 차원에서 지속적으로
확대되고 있다는 점이다. 지난 20년간, 미국 성인의 3분의 1인 33.8%가 비만이
며, 어린이와 청소년들의 17%가 비만이라는 결과가 나왔다. 미국정부는 심각성
을 깨닫고 이 문제를 해결하고자 대통령체력스포츠영양자문위원회에서 2008
년 미국인들을 위한 체육활동가이드라인을 제시했다. 이를 통해 6-17세의
아이들의 경우 하루에 60분씩 운동을 추천하며, 18-64세의 성인의 경우
매일 30분간의 운동을 꼭 필요로 한다고 밝혔다. 특히 6-17세의 아이와 청소년
은 하루에 60분씩 매일 운동을 권장하고 있다. 하루의 60분 이상의 신체활동은
삶을 활동적이게 만들며, 적어도 일주일에 3번은 활동적인 신체활동을 해야만
근력과 뼈 강화를 통해 건강한 삶을 유지할 수 있다는 가이드라인을 제시했다.
또한, 대통령 체력스포츠영양자문위원회는 대통령배(Presidentʼs Challenge),
대통령스포츠상(Presidential Sports Awards), 건강한 국민(Healthy
People) 등의 활동을 통해 생활 스포츠의 향상을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특히

46
Ⅲ. 국가별 스포츠 정책 거버넌스

미국인들의 생활 스포츠를 위해 모든 연령, 배경의 사람들이 스포츠 활동을


할 수 있도록 정책을 만들어 생활 스포츠를 장려하고 있다. 이처럼, 미국에서
생활 스포츠 활동은 그 중요성이 더 강해지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둘째, 생활 스포츠 지도자 양성 프로그램을 통해 생활 스포츠 교육 프로그램의


질적 성장을 촉진시키고 있다. 각 주마다 공식적·비공식적 생활 스포츠 지도자
양성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으며, 경기 연맹이나 사설기관에서 이를 주관 하고
있다. 전국적으로 많이 알려져 있는 프로그램으로는 미국스포츠교육프로그램,
미국스포츠보호연합, 전국청소년스포츠코치연합, 경기지도자 교육프로그램
등이며 이를 통해 생활 스포츠의 질적 향상에 기여하고 있는 특징을 가진다.

3) 학교 스포츠 거버넌스

연방정부차원에서 학교 관련 행정조직에 교육부가 체육발전을 도모하고


있다. 많은 주정부와 지방정부 역시 학교 스포츠를 활성화시키고자 체육관련
수업 시간 수를 의무화 하는 방법 등을 제시하고 있다. 미국의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에서는 적어도 1가지 종목의 체육활동을 장려하고 있으며,
스포츠와 학업과의 병행을 강조 하고 있다. 특히나 미국의 경우 주에 따라
체육 교육과정이 달라 지방정부 별 연령과 학년에 맞춘 권장 체육 활동을
제공하고 이에 따라 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예를 들어 방과 후 학교 스포츠
프로그램을 학생들에게 제공하여 스포츠에 대한 재미를 추구하여 건강증진을
장려하고 이를 통해 학생의 애교심을 증가를 도모하고 있다. 또한, 시즌 별,
수준별로 대회를 개최해 스포츠클럽 활동에 부모들이 학생들과 같이 적극
참여하도록 유도함으로써 엘리트 스포츠 중심으로 치우치지 않고 생활 스포츠의
뿌리 또한 강화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각 주정부는
학생들의 방과 후 스포츠 참여를 통해 스포츠를 쉽게 경험할 수 있도록 지원을
늘리는 추세이다. 정부의 학교 스포츠 활동 장려 계획과 함께, 미국의 청소년

47
해외 스포츠 정책 동향 분석 – 체육행정 거버넌스 및 주요 이슈 관련 정책 비교 -

스포츠 활동은 민간조직이 또 하나의 축을 담당하고 있다. 민간조직으로서는


미국고등학교 체육연맹, 카톨릭 청소년조직, 미국 청소년클럽(미국 보이·걸스
카우트, 교육부의 국가건강레크리에이션협회, 대학, 학교 이사회 및 레크리에
이션 담당부서와 함께 스포츠 시설을 공급)등의 단체가 학교 스포츠 행정에
참여하고 있다.

가) 미국고등학교체육연맹

미국고등학교체육연맹(National Federation of State High School


Association; NFHS)은 미국 내의 고등학교 체육활성화를 위해 설립된 비영리
민간조직이다. 미국 최대의 고교스포츠단체로서 고등학생들의 스포츠 활동을
도우며 인디애나주의 인디아나폴리스로부터 50개의 고등학교 활동과 선수들의
연맹에 기여하고 있다. 미국고등학교체육연맹은 교육적 가치 실현을 목적으로
18,500개의 고등학교에 다양한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있고, 천백만 명이 넘는
학생들에게 스포츠 관련 활동을 체계적으로 지원한다.

고등학생들의 스포츠 활동 참여경험을 통해 학업성취, 건전한 시민육성,


평등 사회구현에 기여한다는 것을 목표로 스포츠, 음악, 미술 웅변, 토론,
공연과 관련된 활동도 지원하고 있다. 이들은 스포츠와 문화적 활동기회 제공을
통해 미국고등학생의 스포츠에 대한 참여율 증가와 인식변화향상을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 중이다. 또한, 미국고등학교체육연맹은 주 별 고등학교협
회(State high school association)와 협력을 통해 학생들의 경기를 원활하게
운영하고자 노력하고 있으며, 학생스포츠 활동 참여율을 늘리려는 노력을
하고 있다. 표 Ⅲ-19와 표 Ⅲ-20은 미국고등학교 스포츠 참여자수와 상위
10개 주의 학교스포츠프로그램 참여자 수를 보여주고 있다. 미국고등학교
학생들의 스포츠참여율이 매년 계속 증가해 오고 있음을 알 수 있다.

48
Ⅲ. 국가별 스포츠 정책 거버넌스

<표 Ⅲ-19> 미국고등학교 스포츠 참여자 변화 추이


연도 남학생참여자 여학생참여자 전체금액
2000-01 3,921,069 2,784,154 6,705,223
2005-06 4,206,549 2,953,355 7,159,904
2010-11 4,494,406 3,173,549 7,667,955
2011-12 4,484,987 3,207,333 7,692,520
2012-13 4,490,854 3,222,723 7,713,577
2013-14 4,527,994 3,267,664 7,795,658

출처: NFHS (2014). Annual Report 2013-14

<표 Ⅲ-20> 미국 상위 10개 주 학교스포츠프로그램 참여자수


구분 참여율
뉴욕 389,475
일리노이 343,757
오하이오 325,448
펜실베니아 317,318
미시간 299,246
뉴저지 285,020
플로리다 268,266
미네소타 232,909

출처: NFHS (2014). Annual Report 2013-14.

49
해외 스포츠 정책 동향 분석 – 체육행정 거버넌스 및 주요 이슈 관련 정책 비교 -

<그림 Ⅲ-6> 미국고등학교 체육연맹조직


출처: NFHS (2014). Annual Report 2013-14.

50
Ⅲ. 국가별 스포츠 정책 거버넌스

4) 장애인 스포츠 거버넌스

미국 장애인 스포츠활동은 1978년에 제정된 아마추어스포츠법(Amateur


Sports Act, PL 95-606)에 의거하여 민간조직 장애인스포츠위원회에서 추진
되고 있다. 미국 장애인 스포츠 조직은 미국올림픽위원회가 관장하고 있다.
이후 미국은 1990년 7월에 미국장애인법(Americans With Disabilities Act;
ADA)을 제정하였다. 이 법은 장애에 근거한 차별대우가 불법임을 명시하는
연방법으로서 장애가 있는 자들의 시민권리를 보호하고, 공중서비스 등의
이용에 있어서 차별대우를 금지하고자 하는 법이다. 이를 통해 미국의 장애인들
은 연방법에 의해 보호를 받기 시작하였으며 장애인 관련 스포츠 활동 또한
확대되는 계기가 되었다.

미국의 장애인 스포츠 단체들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가 있다. 하나는


미국올림픽위원회의 회원으로서 참여하고 있는 단체와, 장애인 스포츠의 참여
기회를 확대하기 위해 참여하고 있는 단체이다. 미국올림픽위원회(USOC)와
협력 관계인 조직은 미국 장애인 스포츠협회(Disabled Sports USA), 미국왜소
증장애인경기협회(The Dwarf Athletic Association of America), 미국 장애인
스포츠연합(NDSA), 미국청각장애인스포츠연맹(USA Deaf Sports Federation:
USADSF), 미국시각장애인선수협회United States Association of Blind
Athletes: USABA), 미국휠체어스포츠협회(Wheelchair Sports, USA), 스
페셜올림픽위원회(Special Olympic International) 등이 있다. 또한, 미국장
애인 스포츠 조직의 경우 미국장애인선수회, 선수후원재단, 미국휠체어테니스
협회, 미국휠체어농구협회, 미국휠체어소프트볼협회, 북미장애인승마협회,
미국상이군인협회, 미국기타장애인스포츠협회 등이 있다.

51
해외 스포츠 정책 동향 분석 – 체육행정 거버넌스 및 주요 이슈 관련 정책 비교 -

가) 미국패럴림픽조직위원회

미국패럴림픽조직위원회(U.S Paralympic)는 미국올림픽위원회와 같이 콜


로라도주의 콜로라도 스프링스에 위치하고 있다. 미국패럴림픽조직위원회는
미국올림픽운동선수와 장애인운동선수들의 지속적이고 경쟁적인 경기력 증진
에 기여하고 있다. 미국패럴림픽조직위원회는 2001년에 형성되어 장애를 가진
미국인들이 스포츠와 관련된 꿈을 성취하는 것을 장려하고 있고, 미국 내의
여러 조직들과 협력하여 스포츠 프로그램과 더불어 교육적 기회를 제공한다.
또한, 미국패럴림픽조직위원회는 장애인스포츠에 관해 전 미국인을 대상으로
관심과 참가를 독려하며, 일반스포츠 프로그램에 아마추어 장애선수의 참가를
위해 미국올림픽위원회와 협력을 해오고 있다.

나) 미국장애인스포츠클럽

미국장애인스포츠클럽(Paralympic Sport Club; PCS)은 2007년 11월에


설립되었으며, 이 조직은 지방커뮤니티에 근거한 조직으로서 2014년 현재
48개주에 211개의 장애인스포츠클럽이 운영되고 있다. 2007년 미국패럴림픽
조직위원회는 미국올림픽위원회의 하나의 부서로서 파트너십을 운영해왔으
며, 이 조직을 주축으로 하여 장애인스포츠클럽을 만들었고, 커뮤니티에 근거하
여 장애인 스포츠 프로그램을 청소년과 성인들을 대상으로 운영해왔다. 모든
장애인스포츠클럽 프로그램은 지방조직에 의해서 운영되고 있으며, 지방조직
들은 지방정부의 공원·레크리에이션과와 함께 재생프로그램과 학교 시스템
등을 운영하여 장애인들의 재활을 돕고 있다.

그림 Ⅲ-7은 미국 장애인 스포츠 클럽의 증가율을 정리한 표이다. 미국


내 장애인 스포츠 클럽의 수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에 있음을 알 수
있다.

52
Ⅲ. 국가별 스포츠 정책 거버넌스

<그림 Ⅲ-7> 미국 장애인 스포츠 클럽 수


출처: United States Olympic Committee, U.S. Paralympics Division (2014).
Paralympic Sport Club Annual Report 2014.

그림 Ⅲ-8은 2014년 미국 장애인 스포츠 참여자 수를 나타낸 것이다.


미국 장애인 스포츠 참여자 는 18세 이하 청소년의 경우 7,751명, 19세 이상
성인은 14,593명으로 나타나 2014년 기준 총 22,290명이 참여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중 68%가 남성이었으며, 32%가 여성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림 Ⅲ-8> 미국 장애인 스포츠 참여자


출처: United States Olympic Committee, U.S. Paralympics Division (2014).
Paralympic Sport Club Annual Report 2014.

53
해외 스포츠 정책 동향 분석 – 체육행정 거버넌스 및 주요 이슈 관련 정책 비교 -

바. 미국 스포츠 정책 주요 이슈 동향

1) 최신 스포츠 정책 동향

지난 10년간 미국의 스포츠 정책은 다양한 정책의 결과물이라 할 수 있다.


엘리트 스포츠와 생활 스포츠라는 큰 기반을 바탕으로 국민들의 건강도모와
스포츠를 통한 삶의 질 향상을 목표로 연방정부는 주정부, 지방정부와 함께
노력을 해왔다. 지난 10년간의 기반을 토대로, 미국은 향후로도 엘리트 스포츠
에 대한 관심과 참여가 지대할 것이라 예상되며, 생활 스포츠의 대중화를
위해 생활 스포츠에 대한 연방정부의 간접후원과 지방정부의 직접적인 후원을
통해 많은 스포츠 시설을 건립 및 유지 될 것이다. 이처럼 연방정부는 국민들의
건강한 라이프 스타일을 만들어 행복한 삶을 장려하고, 향후에도 국민들이
스포츠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다양한 프로그램과 정책을 제시 할
것이다. 하지만 다른 나라와는 달리 국가적인 차원에서 지역의 정책을 세세히
주도하지 않는 특징은 지속적으로 유지될 것이라 판단된다. 또한, NCAA와
USOC, 프로스포츠리그들로 확립된 미국의 스포츠 시스템은 과거보다 더
견고하게 유지 될 것이라 예상된다. 한편, 지난 몇 십 년간 스포츠활동을
비만과 질병예방에 대한 해법으로 인식해온 온 미국의 관점은 향후 스포츠
정책에도 뚜렷하게 반영될 것으로 보인다.

2013년 미국은 보다 "건강한 미국을 위한 파트너십(Partnership for a


Healthier America)"을 운영하기 시작했다. 이 파트너십은 영부인이 공동의장
을 맡음으로써 정책적 무게감을 강조하였는데, 이를 통해 많은 기업과 시민사회
단체가 참여한 물 섭취 증대(Drink Up) 캠페인 전개하였다. 또한 2010년
버락 오바마 대통령의 법안 제의를 통해 미국체력스포츠영양재단(The
National Foundation on Fitness, Sorts and Nutrition)이 설립되었다.
이 재단은 대통령 스포츠 체력영양 자문위원회(President's Council on

54
Ⅲ. 국가별 스포츠 정책 거버넌스

Fitness, Sports and Nutrition)과 함께 미국인들이 건강한 생활을 영위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고 있으며 미국의 보건복지부의 장관이 이사회에 참여할
정도로 영향력 있는 단체이다. 이러한 움직임은 미국 국민들의 건강 증진에
있어서 스포츠의 역할에 대한 정부의 지대한 관심을 반영한 것이라 할 수
있다.

미국 보건복지부(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 HHS)는


현재 건강과 영양 및 스포츠 활동에 체계적으로 관여해오고 있으며 많은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이를 위해 주정부, 지방정부, 민간조직들, 개인을 위한 다양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 있다. 이처럼 건강관련 프로그램은 더욱 체계적으로
진행될 것이며, 그 중요성 역시 더욱 증대될 것이라 예상되는 바이다. 이에
발맞추어 향후 미국의 스포츠 정책들은 국민건강 증진 이라는 근본적인 목표를
추구하며, 생활체육과 엘리트 스포츠 등 다방면에 걸쳐 체계적인 지원을 제공하
는 방향으로 확대 될 것으로 예측된다.

2) 스포츠 정책에서의 양성평등

1972년 미국에서 교육개정법(Education Amendment Act) Title Ⅸ이


제정됨에 따라 학교체육에서 남녀 차별금지에 대한 법적 근거가 마련되었다.
Title Ⅸ의 경우연방정부의 보조를 받는 프로그램과 활동에 있어서 어느 누구도
성에 근거하여 참여가 배제되거나 수혜를 거부당하는 등의 차별을 받아서는
안 된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이를 통해 남녀 학생이 동등한 권리를 가지고
체육수업 및 체육활동에 참가할 수 있는 법적 근거가 마련되었다. Title Ⅸ
제정 이후 공립학교에서 남학생 및 여학생이 참여하는 스포츠 팀의 숫자가
비슷해졌고, 운동부 역시도 성별에 따른 참여를 제한하거나 차별할 수 없게
되었는데 이는 법안에 남녀 운동부 참여가 똑같아야 한다는 것과 관련이 있다.
이처럼 Title Ⅸ을 바탕으로 여성스포츠 참가가 증가하면서 여성에게 새로운

55
해외 스포츠 정책 동향 분석 – 체육행정 거버넌스 및 주요 이슈 관련 정책 비교 -

기회가 증대되고 건강과 체력에 대한 인식변화 또한 이루어졌다. 이 법안이


발표 된 이후에 여성의 스포츠 참여가 증가되었음은 물론, 대학에서 학위를
받는 여성의 비율이 높아졌으며, 스포츠 경기 프로그램에서의 성차별, 남녀
체육프로그램을 위한 예산배정, 체육 인사 배정 등의 행정에 있어서 양성평등에
대한 관심이 증대 되었다.

미국고등체육연맹의 자료를 살펴보면, Title Ⅸ 제정 이전에는 미국 고등학교


운동선수들 중 여성 비율은 7.4%밖에 되지 않았던 반면, 2011년 고등학교
여성 운동선수 비율은 41.4%까지 향상되었는데, 이는 Title Ⅸ의 실효성을
보여주는 실증자료의 하나라고 할 수 있다(James N, Mauro Gilli, Samara
Klar, Samara Klar, 2014).

<표 Ⅲ-21> NCAA 운동선수 수


연도 남자 여자 총 참여자수
2002-2003 214,464 158,469 372,933
2003-2004 214,845 160,997 375,851
2004-2005 219,744 164.998 384,742
2005-2006 224,926 168.583 393.509
2006-2007 230.259 172,534 402,793
2007-2008 236,774 175,994 412,768
2008-2009 240,822 180.347 421.169
2009-2010 245,875 184,426 430,301
2010-2011 252,946 191,131 444,077

출처: NCAA (2011)

표 Ⅲ-21은 NCAA의 운동선수 수를 정리한 것이다. NCAA의 여성운동선수


참여자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음을 알 수 있어, 여학생 스포츠 참여 제고에
대한 Title Ⅸ의 실효성이 입증되고 있다. 한편, 미국에서는 1988년 이후

56
Ⅲ. 국가별 스포츠 정책 거버넌스

599개의 여자축구 팀이 만들어졌는데, 축구 이외에 여성 운동선수 비율이


높은 종목으로는 골프, 소프트볼, 라크로스 등이 있다.

가) 미국 여성 스포츠 재단(Womenʼs Sports Foundation)

1974년에 빌리진 킹에 의해 설립된 여성 스포츠재단은 소녀와 여성들이


스포츠와 관련된 활동들을 지원 및 제공하고자 만들어졌다. 이 재단은 매년마다
여성 스포츠인 상을 수여하고 있으며, 교육과 리서치, 리더십등과 같은 다양한
프로그램을 제공 중이다. 펀딩의 경우 이벤트 와 기부금이 가장 큰 금액을
차지하고 있으며, 미국여성스포츠인상, 창립자 윌마 루돌프 커리지 (Wilma
Rudolph Courage Award)장학금과 같이 다양한 방식으로 상을 수여하여
미국 여성들과 소녀들의 스포츠 참여활동을 촉진하고 있다.

<표 Ⅲ-22> 미국여성스포츠재단 수입


구분 금액
기부금 및 보조금 1,758,021
이벤트수입 1,509,985
투자수입금 -26,231
기타 158,215

출처: Womenʼs Sport Foundation (2012). WSF Annual Report.

나) 전국여성교육연합

전국여성교육연합(The National Coalition for Women and Girls in


Education)은 1975년에 만들어진 비영리재단으로서 Title Ⅸ이 제정된 이후
법규 이행을 위해 보건복지부에 의해 만들어졌다. 현재 50개 이상의 그룹이
참여하고 있으며 여성들의 교육적 기회제공을 향상시키기는 것을 목표로 한다.

57
해외 스포츠 정책 동향 분석 – 체육행정 거버넌스 및 주요 이슈 관련 정책 비교 -

이 단체는 여성들이 리더십을 함양할 수 있도록 교육을 장려하고 있으며,


여성운동선수 등을 대상으로 교육적 정책 수혜를 위한 정책 개발 및 수행에
참여하였다.

<그림 Ⅲ-9> 고등학교 운동선수 참여자


출처: Title Ⅸ and Athletics (2012). National Coalition for women & Girls in Education.

그림 Ⅲ-9와 그림 Ⅲ-10은 여성 운동선수들의 고등학교 참여자수와 대학교


참여자수를 정리한 그래프이다. 1971-1972년 고등학교 여성선수는 294,015
명에 불과하였으나 2010-2011년에는 3,173,549명으로 약 11배가량 증가하
였음을 알 수 있다. 대학교 여성선수의 경우도 1971-1972년에는 30,000명이
채 되지 않았지만 2010-2011년에는 190,000명을 상회할 정도로, 타이틀
Ⅸ 이후 6배나 증가되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처럼 남성운동선수와
여성운동선수 비율은 1972년 Title Ⅸ 제정 이후 그 격차가 현저히 감소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다. 현재는 개인, 팀 스포츠에 상관없이 모든 스포츠에 여성이
참여하고 있으며 제도적 지원이 뒷받침되고 있다. 일례로1972년의 경우에는
여성운동선수는 아무런 혜택도 받지 못했던 반면, 2009-2010년에는 Division
Ⅰ학교의 48%가 여성운동선수를 위한 지원을 하고 있다.

58
Ⅲ. 국가별 스포츠 정책 거버넌스

<그림 Ⅲ-10> 대학교 운동선수 참여자


출처: NCAA (2011). Sports Sponsorship and Participation Report, 1971-72-2010-11.

Title Ⅸ이 시행된 지 40주년이 되는 해였던 지난 2012년은Title Ⅸ의


실효가 상징적으로 나타난 해였다. 그 해 열린 런던올림픽에서 미국이 획득한
금메달 41개 중 27개가 여성 선수에 의한 것이었으며, 총 메달 95개 중 54개를
여성선수가 획득한 것이다. 이는 런던올림픽에서 미국대표팀이 획득한 전체
메달의 56%가 여성선수에 의한 것으로 메달 수에서 여성이 남성을 앞지른
결과였다. 이러한 런던올림픽에서의 결과는 Title Ⅸ 제정 후 40년 동안 미국
내 여성 스포츠 참여 확대의 성과를 여실히 보여주는 것이다.

3) 스포츠 정책에서의 민관협력

공공과 민간의 파트너십을 말하는 PPP는 Public-Private Partnership의


줄임 말로, 공공기관과 민간기관이 파트너십을 형성하여 공공서비스의 조달
및 방법을 뜻한다. 이때 공공의 의미는 중앙정부 및 지방정부의 공공자원으로,
민간은 민간부분의 자원으로 이야기할 수 있다. 최근 악화되는 경제상황에
따라, 각 분야에서 공공과 민간의 합작이 늘어나고 있는 실정이다. 예를 들어,

59
해외 스포츠 정책 동향 분석 – 체육행정 거버넌스 및 주요 이슈 관련 정책 비교 -

새로운 스포츠 시설물 건설에 있어 공공기관이 민간기관과의 파트너십을 맺어


건설에 필요한 자금을 조달하는 것을 들 수 있는데, 이러한 공공기관과 민간기관
의 파트너십은 스포츠 시설 확충에 대안적인 자금을 제공하고 있다.

메사추세츠주의 시몬스 대학은 공공과 민간 합작을 통해 5만 달러의 금액을


받아 새로운 필드와 테니스 코트를 신설하였고, 기존의 필드와 커뮤니티 레크리
에이션 장소를 향상시켰는데 이는 앞서 언급한 PPP를 통한 자금 조달의 좋은
예이다. 한편, 프로 미식축구팀인 미네소타 바이킹스의 경우 선수와 팬들이
협력한 하나의 사례를 보여준다. 미네소타 바이킹스는 2016년 새로운 스타디움
건설을 목표로 공공과 팬들을 포함한 민간이 합작을 하여 975백만 달러의
펀딩 자금을 마련한 바 있는데 역시 하나의 공공과 민간의 합작을 보여주는
사례이다. 또 다른 공공과 민간의 프로그램으로는 NCAA의 협력프로그램을
들 수가 있다. NCAA는 리더십 프로그램을 통해 학생선수와 코치 그리고
운동부 담당부서들에게 맞춤화된 트레이닝을 제공하고 있다. 매년마다 20개의
프로그램을 운영 중에 있으며, 이 커리큘럼을 통해 학생선수와의 발전과 복지를
도모하는 특징을 지닌다. 리더십 발전프로그램은 커리어, 커뮤니케이션, 복지,
네트워크 구축, 코칭, 가치인식과 관련된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이러한 리더십
프로그램은 스포츠산업의 리더들인 NFL, NACWAA 등과 함께한다. 또한
NCAA는 디비전들을 대상으로 표 Ⅲ-23과 같은 프로그램을 제공하며 민간과
의 협력을 도모하고 있다.

<표 Ⅲ-23> NCAA 리더십프로그램


구분 프로그램 명
Career in Sports Forum
DISC Behavior Assessments
학생선수 National STUDENT-Athlete Day
Student-Athlete Leadership Forum
Kaplan Test Prep Services

60
Ⅲ. 국가별 스포츠 정책 거버넌스

구분 프로그램 명
NCAA Postgraduate Internship Program
인턴 및
NCAA Emerging Leaders Seminar
대학원조교
Division ⅲ Ethnic Minority and Womenʼs Internship Grant program
AFCA/NCAA 30 under 30 Coaches Leadership Institute
코치 NCAA and NFL Academy
NCAA Championship Forum
Life Skills Symposium
관리자 NCAA Leadership Institute
NCAA and NCWAA Womenʼs Leadership Symposium
고위관리자 NCAA Pathway Program
출처: NCAA (2015)

2. 영국

가. 영국 스포츠 정책의 기본 철학

1980년대 마거릿 대처(Margaret Thatcher) 수상이 집권하던 영국 정부는


스포츠를 그리 중요하게 여기지 않았다. 따라서 스포츠와 관련된 공공정책
또한 부족하거나 그 목표가 대부분 명확하지 않았다. 당시 스포츠 관련 정부의
공공정책은 훌리거니즘(Hooliganism)과 같이 스포츠로 인해 야기되는 사회적
문제들에 대한 대책에 집중되어 있었고, 스포츠 자체의 개발을 위한 정책은
미미하였다. 스포츠 분야에 대한 정부의 자원배분은 극히 제한적이었고 영국
스포츠위원회(Sports Council of Great Britain)와 각 연방스포츠위원회인
잉글랜드 스포츠위원회(England Sport Council), 스코틀랜드 스포츠위원회
(Scottish Sport Council), 웨일즈 스포츠위원회(Sport Council for Wales),
북아일랜드 스포츠위원회(Sport Council for Northern Ireland)의 소관업무
가 중첩되는 경우가 많아 비효율적인 시스템을 가지고 있었다. 스포츠에 대한
정부의 관심이 낮았기 때문에 각 스포츠 종목별 경기단체(National Governing

61
해외 스포츠 정책 동향 분석 – 체육행정 거버넌스 및 주요 이슈 관련 정책 비교 -

Bodies: NGBs)들은 정부의 간섭을 받지 않는 높은 자율성을 획득하고 있었으


나, 이는 한 편으로 이들 경기단체들의 대정부 로비능력 결여와 스포츠 관련
정책 토론에서의 배제를 의미했다. 이처럼 정부의 스포츠 관련 정책이 스포츠
개발에 직접적인 관련성이 없는 것이 대부분이었고, 여러 체육관련 단체들의
역할도 불분명하였으며, 경기단체들의 정책토론 참여 또한 극히 제한적이었기
때문에 1980년 대 영국의 스포츠 정책과 연관성 있는 성과를 언급하기에는
어려운 점이 있다.

스포츠에 대한 영국정부의 접근 관점은 1990년대를 기점으로 크게 변화하였


다. 개인으로서도 스포츠 팬이었던 존 메이저(John Major) 총리의 취임 이후,
영국 정부의 정책 수립에 있어서 스포츠에 대한 관심은 현저히 증가하게 된다.
메이저 정부에게 스포츠는, 1995년 정책문서인 "스포츠: 게임의 육성(Sport:
Raising the Game"에 잘 나타나 있듯이, 스포츠는 영국의 국가문화유산의
중심이자 세대와 사회를 통합하는 결속력으로 인식되고 있었다. 이러한 스포츠
에 대한 정부의 태도변화는 스포츠 관련 공공 정책의 목표 변화로 이어졌는데,
스포츠로 인한 사회적 문제에 집중했던 이전 정부와는 달리, 학교 체육 및
엘리트 체육에 중점을 두기 시작하였다. 스포츠 관련 정부 시스템도 개선되었는
데 UK스포츠(UK Sport)의 설립을 통해 각 연방스포츠위원회와 중첩되던
소관업무들을 감소시켰으며, 스포츠 담당 장관 임명 및 스포츠 담당부처인
국가문화유산부(Department of National Heritage)를 신설하여 스포츠 관
련 정부부처를 명확히 하였다. 또한 이 시기에 스포츠 유관단체들의 정책토론
참여도 활발해졌는데, 스포츠 단체들을 대표하는 체육레크리에이션 중앙위원
회(Central Council for Physical Recreation: 현 The Sport and
Recreation Alliance), 스포츠 및 레저 회사들의 상위단체인 스포츠레저산업
(Business in Sport and Leisure: BISL), 각 스포츠 종목별 경기단체(NGBs)
등 스포츠 관련 단체들의 대정부 로비활동이 증가하기 시작하였다. 1990년대

62
Ⅲ. 국가별 스포츠 정책 거버넌스

스포츠 정책의 성과는 스포츠 관련 정부가용 재원이 복권사업(The National


Lottery)을 통해 조달되어 현저히 증가하였다는 점을 들 수 있다. 1993년
시작된 국영복권사업은 정부의 스포츠 관련 정책을 수행에 상당한 재원을
지원하였으며, 현재까지도 영국 스포츠 개발과 관련된 재원 조달의 주요 원천으
로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2000년대 이후 영국의 스포츠관련 공공 정책이 반영하는 스포츠 개발 및


장려의 근본적인 의도는 스포츠 참여 증대를 통한 국민건강의 증진과 엘리트
스포츠의 국제무대 경쟁력 강화를 통한 국가브랜드 제고에 있다고 볼 수 있다.
국영의료서비스(National Health Service)를 통해 의료서비스가 공공으로
운영되고 있는 영국의 특성상 국민의료보건(health care) 분야가 차지하는
재정부담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2015년 기준 해당분야가 국가재정지
출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18%로 연 1,312억 파운드에 달한다. 이러한 가운데
정부는 스포츠를 국민건강을 증진시켜 가중되는 의료서비스 부담을 경감하기
위한 장기적인 대응수단으로 인식하고 청소년 스포츠 참여 증대와 전 생애주기
에 걸쳐 개인의 스포츠 참여 기간을 연장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한편,
1990년대 이후로 유지되어 온 정부의 정책적 기조인 엘리트 체육 육성은
2012년 자국에서 열린 런던올림픽을 계기로 엘리트 체육을 국가브랜드 강화의
일환으로 활용하려는 의도로 확장되었다고 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2012년
런던올림픽과 2014년 글래스고우 영연방게임(Commonwealth Games)를
개최하면서 신설한 스포츠 경기장과 획득한 노하우를 활용하여 지속적으로
권위 있는 국제 스포츠대회를 유치하는 것도 최근 스포츠 관련 공공정책의
목표 중 하나이다. 이와 같은 영국정부의 스포츠 개발 및 장려 의도는 다음의
스포츠 공공정책 목표에 잘 나타나 있다.

63
해외 스포츠 정책 동향 분석 – 체육행정 거버넌스 및 주요 이슈 관련 정책 비교 -

- 영국의 최고수준 운동선수들이 최대한의 잠재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돕고, 영국 내에서 경쟁할 수 있는 더 많은 기회를 제공하며, 엘리트
스포츠를 약물의 위협으로부터 지킴으로써 영국 엘리트 스포츠의 성과를
유지하고 발전시킨다.

- 국민들이 더 어린 나이에 스포츠를 시작하고 그들의 생애를 통해 지속적으


로 스포츠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결과적으로 더 많은 국민들이
스포츠에 참여하도록 한다.

- 2012년 올림픽과 장애인 올림픽의 유산을 오래 지속되는 유산으로 만든다.

(출처 : Triennial Review of UK Sport and Sport England, 2015)

한편 과거에 비해 정책네트워크는 더욱 활성화되어 가고 있으며 특히 엘리트


스포츠 및 청소년/학교 스포츠와 관련된 이슈들에 있어서 보다 효과적으로
조직화된 이해관계가 정책토론에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 2000년대 이후,
스포츠에 대한 정부의 다양한 영역에 걸친 지속적인 정책적 관심은 여러 성과로
이어졌는데 스포츠 관련 공공 및 비영리 분야의 통합이 공고해진 것과 정부
정책을 실행하는 대리인으로서 종목별 경기단체(NGB)들의 역할이 커지는
등 구조적, 시스템 적으로 변화가 나타났다. 이와 더불어 학교 스포츠 참여율에
상당한 증가를 가져온 것과 올림픽 및 장애인 올림픽에서 획득한 메달 수의
증가 또한 학교 스포츠와 엘리트 스포츠를 강조해온 영국 정부의 스포츠 정책
기조의 성과라고 할 수 있다. 표 Ⅲ-24는 1980년대 이후 영국 스포츠 정책
기조의 변화를 보여주고 있다.

64
Ⅲ. 국가별 스포츠 정책 거버넌스

<표 Ⅲ-24> 1980년대 이후 영국 스포츠 정책 기조


1980년대 1990년대 중반 2010년대 초반
정부차원에
존 메이저 총리 취임 후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있어서
스포츠의 낮음 1980년대와 비교 현저하
증가 게 높은 수준
중요성

청소년 참여(youth
participation) 증대, 엘
스포츠 관련 불명확 체육 및 엘리트 체육 리트 체육 양성, 스포츠
공공정책 스포츠로 야기되는 사회 학교 대회 유치 등
을 강조
목표 적 문제에 집중 국민건강 증진 및 양질교
육제공의 수단으로써의
스포츠

UK스포츠 설립으로 소관
중첩현상 감소
재원이 극히 제한됨
스포츠 관련 소관이 겹치는 경우가 잦 스포츠 담당 장관 임명 및 여전히 복잡
정부 시스템 아 혼란 스포츠 담당 정부부처 설

여전히 매우 복잡

신체활동중앙협의회
(Central Council for 정책 네트워크 활성화
Physical Recreation), 종
정책 엘리트 체육, 청소년 및
비영리, 영리 분야 모두 목별 경기단체 (national
하위분야 내 로비 역량 취약 학교 체육과 관련된 보다
governing bodies of
권력 분포 효율적이고 조직화된 이
sport), 스포츠레저산업 해관계 대두
(Business in Sport and
Leisure)의 로비활동 증가

공공 및 비영리 분야의 통
합이 공고해짐
종목별 경기단체들이 정
스포츠 정책 공공 정책 실행과 스포츠 정부의 가용 재원이 복권 부
스포츠 조정을 위한 중앙 정책 실행의 대리인으
로 부상
성과 성과와의 제한된 연관성 사업을 통해 현저히 증가 학교체육 참여 증대에 상
당한 성과
올림픽 및 장애인 올림픽
메달 획득 수 증가

출처: Houlihan & Lindsey (2013) 재편집

65
해외 스포츠 정책 동향 분석 – 체육행정 거버넌스 및 주요 이슈 관련 정책 비교 -

나. 영국 스포츠 행정 조직 구조

1) 영국 정부 조직 및 기능

법무상실(Attorney General's Office), 내각부(Cabinet Office), 사업·혁신·기술부


(Department for Business, Innovation & Skills), 공동체·지방정부부(Department
for Communities & Local Government), 문화·미디어·스포츠부(Department for
Culture, Media & Sport), 교육부(Department for Education), 환경·식품·농림부
(Department for Environment, Food & Rural Affairs), 국제개발부(Department for
International Development), 교통부(Department for Transport), 노동·연금부
(Department for Work and Pensions), 에너지·기후변화부(Department of Energy
and Climate Change), 보건부(Department of Health), 외무· 영연방부(Foreign and
Commonwealth Office), 재무부(Her Majesty's Treasury), 내무부(Home Office), 국방부
(Ministry of Defence), 법무부(Ministry of Justice), 북아일랜드부(Northern Ireland
Office), 스코틀랜드 법무관실(Office of the Advocate General for Scotland), 하원
원내총무 및 추밀원 의장실(Office of the Leader of the House of Commons and Lord
President of the Council), 상원 원내총무 및 옥새관실(Office of the Lord Privy Seal
and Leader of the House of Lords), 스코틀랜드부(Scotland Office), 영국수출금융부(UK
Export Finance), 웨일즈부(Wales Office)

영국 정부는 내각부(Cabinet Office)를 포함하여 위와 같은 24개 행정부처


(ministerial department)로 구성되어 있다. 영국 중앙정부 행정각부의
기능은 표 Ⅲ-25와 같다.

<표 Ⅲ-25>행정각부의 기능
명칭 기능
- 정부, 의회, 왕실의 법적 조언
법무상실
- 검사의 관리 및 감독
내각부 - 수상 및 내각 보좌
사업·혁신·기술부 - 지역과 산업의 지속적이고 균형 있는 성장을 통해 균형발전 도모
- 지방정부 정책, 도시 재개발, 지역 성장 정책 수립
공동체·지방정부부
- 종교, 인종 평등관련 이슈를 포함한 사회통합 업무
문화·미디어·스포 - 문화, 예술, 방송, 스포츠 관련 정책 수립
츠부 - 문화 예술 유산의 보존과 홍보 및 관광산업 육성

66
Ⅲ. 국가별 스포츠 정책 거버넌스

명칭 기능
교육부 - 교육 및 유소년 서비스 업무 수행
- 자연재해 대비를 포함한 환경 정책 수립
환경·식품·농림부
- 식품 및 농수산업 관련 업무 수행
- 개발도상국지원·개발 프로그램 수행
국제개발부
- 국제사회 빈곤퇴치 프로그램 참여
교통부 - 교통 시스템에 대한 정책 수립 및 집행
- 고용, 노동에 관련된 정책 수립 및 업무 수행
노동·연금부
- 연금 정책 및 장애인·유소년 사회보장제도 관련 업무 수행
에너지·기후변화부 - 에너지 정책 및 기후변화대책 수립
보건부 - 보건 정책의 수립 및 업무 수행
- 외국정부에 대한 영국정부의 정책 홍보 및 외국정부와의 관계증진
외무·영연방부
- 재외국민의 보호 및 관리
- 공공 지출, 금융 서비스, 조세시스템 관련 정책의 수립
재무부
- 금융기관, 금융 서비스에 대한 관리 감독
- 치안, 경찰, 소방 업무 수행
내무부
- 이민, 여권 관련 업무 수행
- 국내·국외 군 활동 지휘·감독
국방부
- 군 훈련, 장비 및 물품 조달 관련 업무
- 국민에게 향상된 법조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법무시스템의 개선
법무부
- 내각부 소관 이외의 헌법정책 수립 및 법률집행 감독
스코틀랜드 법무관실 - 영국 중앙 정부에 스코틀랜드법에 대한 자문 및 소송 서비스 제공
하원 원내총무실 - 하원 원내총무 업무 지원
상원 원내총무실 - 상원 원내총무 업무 지원
- 보험, 보증 등 수출금융과 관련된 서비스 제공
영국수출금융부
- 영국 재화 및 서비스의 해외구매자에 대한 대출 업무
북아일랜드부,
- 각 지역 지방분권 협약 실행 및 보호에 대한 업무
스코틀랜드부,
- 중앙 정부에 대한 각 지역의 이해관계 대표
웨일즈부
출처: Cabinet Office (2015)

내각제인 영국의 행정각부는 장관(Secretary of State)을 장으로 하고 그


직속에 부장관(Minister of State)를 둔다. 장관과 부장관은 정책과 기획
수립에 참여하는 정무차관(Parliamentary Under-Secretary of State)과,

67
해외 스포츠 정책 동향 분석 – 체육행정 거버넌스 및 주요 이슈 관련 정책 비교 -

부의 사무를 담당하며 소속 공무원을 지휘, 감독하는 공무원 신분의 사무차관


(Permanent Secretary)이 보좌한다.

2) 문화·미디어·스포츠부 (Department for Culture, Media & Sport: DCMS)

존 메이저 정부 이전에는 스포츠에 대한 업무를 담당하는 정부부처가 명확하


지 않았으며 유관기관들 간의 소관도 겹치는 경우가 많았다. 1974년부터는
환경부(Department for Environment)가 스포츠 관련 업무를 담당하기 시작
하였다. 그 이유는 당시에는 지방정부가 공공스포츠 및 레크리에이션 시설을
담당하고 있었는데 이 지방정부를 관할하는 주택·지방정부부(Ministry of
Housing and Local Government)가 교통부(Ministry of Transport)와
합병하면서 환경부로 개편되었기 때문이었다. 1991년, 환경부가 학교스포츠에
대한 업무를 담당하지 못하는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스포츠 담당 업무가 교육과
학부로 이관되었으며 이듬해 국가문화유산부가 설립되면서 스포츠 담당업무는
국가문화유산부의 소관으로 이관되었다. 존 메이저 정부는 스포츠 담당 정부부
처를 명확히 함과 동시에 스포츠 담당 장관(minister)를 임명하여 스포츠정책을
체계적으로 다루기 시작하였다. 국가문화유산부는 노동당으로 정권이 교체된
1997년 토니 블레어 정부에서 문화·미디어·스포츠부로 그 이름이 바뀌었으
며 스포츠 관련 업무를 담당해 왔다. 2010년 총선을 통해 보수-자민당 연립정권
이 들어서면서 소폭의 정부조직 개편이 이루어 졌으나 문화·미디어·스포츠
부는 2012년 런던올림픽을 대비해 2010년 문화·올림픽·미디어·스포츠부
(Department for Culture, Olympics, Media & Sport)로 이름이 바뀌었다가
2012년 올림픽 이후 다시 문화·미디어·스포츠부로 그 명칭이 바뀐 것을
제외하고는 큰 변화가 없었다. 현재 문화·미디어·스포츠부는 장관
(Secretary of State) 1명, 부장관(Minister of State) 1명, 정무차관
(Parliamentary Under Secretary) 3명, 사무차관(Permanent Secretary)

68
Ⅲ. 국가별 스포츠 정책 거버넌스

1명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사무차관 이하 실무진은 전략·분석·총괄국장


(Director General, Strategy and Analysis), 영국광대역통신 선임행정관
(Chief Executive, Broadband Delivery UK), 문화·스포츠국장(Director,
Culture and Sport), 디지털경제국장(Director, Digital Economy Unit),
미디어정책국장(Director, Media Policy), 금융 및 상업·복권 및 도박국장
(Director, Finance & Commercial; Lottery & Gambling), 정부평등국장
(Director, Government Equalities Office)의 7인으로 이루어져 있다.

문화·미디어·스포츠부의 조직구조는 그림 Ⅲ-11과 같다.

<그림 Ⅲ-11> 문화·미디어·스포츠부(DCMS) 조직도

69
해외 스포츠 정책 동향 분석 – 체육행정 거버넌스 및 주요 이슈 관련 정책 비교 -

문화·미디어·스포츠부 본부 소속 공무원은 약 380명으로 규모의 측면에서


영국 중앙정부부처 가운데 가장 작은 부처 중 하나이다. 2008년 글로벌 금융위
기 이후 재정적자가 급속히 누적되는 가운데 2010년 총선을 통해 집권한
보수당-자민당 연립정부는 작은 정부를 지향하며 정부부처 예산삭감과 공공부
문 일자리 축소 등을 포함하는 긴축정책을 실시하였다(우윤석, 김신우, 2015).
이러한 긴축정책의 영향으로 문화·미디어·스포츠부의 공무원 수도 2010년
443명에서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영국의 정부부처는 소관분야에 비정부공공기관(Non-Departmental


Public Bodies: NDPBs)을 두고 이들을 통해 정책실행을 추진하고 있다.
비정부공공기관은 공공과 민간의 중간 형태를 띠고 있는 기관으로 정부부처는
아니지만 그 설립과 운영에 있어서 유관 정부부처가 관여하고, 정부의 정책을
유관 정부부처의 지원 하에 실질적으로 실행하는 역할을 한다. 비정부공공기관
은 그 활동에 있어서 상당한 수준의 자율성이 부여되지만, 유관 정부부처
담당 장관은 산하 비정부공공기관의 활동에 대해 의회에 보고해야하는 의무를
가짐으로써 궁극적으로 해당 기관들의 활동 대한 정치적 책임을 진다. 문화·미
디어·스포츠부도 부처 소관의 여려 분야에 비정부공공기관인 43개의 파트너
사(Arm-length bodies: ALBs)를 두고 이들을 통해 정책실행을 추진하고
있다. 이들 비정부공공기관들은 각각의 분야에서 정부정책 추진, 유관기관으로
의 정부 공공지출의 분배 등을 담당하는 실무역할을 담당하고 있으며, 문화·미
디어·스포츠부는 이들에게 부처 예산의 95% 이상을 할당하고 그 활동을
관리, 감독하는 역할을 한다. 문화·미디어·스포츠부가 후원하는 43개 비정부
공공기관은 표 Ⅲ-26과 같으며, 소관분야별 부처지출은 표 Ⅲ-27과 같다.

70
Ⅲ. 국가별 스포츠 정책 거버넌스

<표 Ⅲ-26> 문화·미디어·스포츠부 후원 비정부공공기관


박물관 및 미술관
대영도서관 자연사박물관
대영박물관 왕립군사박물관
제프리 박물관 왕립박물관 그리니치
국립박물관 리버풀 과학박물관그룹
제국전쟁박물관 존 소안 경 박물관
국립미술관 테이트
국립초상화미술관 빅토리아 알버트 박물관
호니만 공공 박물관 & 공원 월래스 소장품관
규제 및 허가 관련
도박 위원회 방송통신심의위원회
스포츠시설안전관리국 통화정보서비스표준위원회
보조금 배분 및 진흥 관련
잉글랜드 예술위원회 스포츠 잉글랜드
영국영화원 UK 스포츠
문화유산복권기금 잉글랜드 문화유산
전문, 법적 자문 제공
예술품, 문화재 수출심사위원회 보물감정위원회
극장연합단체
관광진흥 관련
영국 방문진흥원 잉글랜드 방문진흥원
중요 문화유산 및 문화재 관리
교회보전단체 국가유산기념기금
왕궁관리 공원관리
특수 서비스 제공
잉글랜드스포츠연구소 올림픽집행위원회
경마과세위원회 UK 반도핑 기구
평등 및 비차별 증진 관련
평등인권위원회
방송국
BBC S4C
채널4

출처: DCMS Annual Report 2014-15 (2015)

71
해외 스포츠 정책 동향 분석 – 체육행정 거버넌스 및 주요 이슈 관련 정책 비교 -

<표 Ⅲ-27> 문화·미디어·스포츠부 소관분야별 지출 (BBC관련 지출 제외)


소관분야 지출액 (단위: 백만 ₤)
박물관 및 미술관 504
방송 및 미디어 자금 지원 308
DCMS 본부 217
국가유산관리 208
방송 및 미디어 127
올림픽 및 올림픽 유산 117
도서관 117
관광 47
공원관리 38
평등 및 인권 위원회 21
정부평등국 16
도박위원회 3
예술 및 문화 453
스포츠 150
총계 2,326

출처: DCMS Annual Report 2014-15 (2015)

문화·미디어·스포츠부의 43개 비정부공공기관 파트너 중 스포츠 정책과


관련된 기관은 스포츠 시설 안전 관리국(Sports Grounds Safety Authority),
UK 반도핑 기구(UK Anti-Doping), UK스포츠(UK Sport), 그리고 스포츠
잉글랜드(Sport England)가 있다. 연방스포츠 위원회의 경우, 본 연구에서는
영국 내 경제 및 인구 규모 면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연방인 잉글랜드의
스포츠 위원회인 스포츠 잉글랜드를 중심으로 다루기로 한다.

가) 스포츠시설안전관리국(Sports Grounds Safety Authority: SGSA)

스포츠시설안전관리국은 훌리건들의 소요가 축구장 벽 붕괴로 이어졌던


1985년 '헤이젤(Heysel) 참사'와 정원을 초과한 관중입장으로 인해 관객의

72
Ⅲ. 국가별 스포츠 정책 거버넌스

압사사태가 초래된 1989년 '힐스버러(Hillsborough) 참사' 이후 제정된 '축구


관객법 1989'를 근거로, 축구경기장 안전에 관한 업무를 담당하기 위해 1990년
설립된 '축구경기장 허가국(Football Licensing Authority)'을 전신으로 한다.
국내 축구장만을 대상으로 하던 축구경기장 허가국은 2011년 '스포츠시설안전
관리국법 2011'에 근거하여 스포츠시설안전관리국으로 명칭을 바꾸고, 다른
스포츠 및 국외의 시설에 대한 자문을 할 수 있도록 그 기능이 확장되었다.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스포츠시설안전관리국은 경기장 조사, 적정
수용인원 산출 자문, 신규 경기장의 경기장 안전가이드 준수 판단, 경기장
관리 직원 교육, 경기장 안전관련 컨퍼런스 개최, 경기장 운영 매뉴얼 및
기타 문서 제작 자문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스포츠시설안전관리국의
주요 기능은 크게 아래 세 가지로 요약될 수 있다.

첫째, 잉글리쉬 프리미어 리그(Englishi Premier League: EPL)과 축구


리그(Football League)에 소속된 92개 팀의 축구장과 런던의 웸블리 경기장
(Wembley Stadium), 카디프의 밀레니엄 경기장(Millennium Stadium)에
연간 허가(Annual Licence)를 발행하며, 전 좌석(all-seated) 축구 경기장에
관한 정부의 정책의 실행

둘째, 스포츠 구장 안전(Safety of Sports Grounds) 제정 및 안전 인증


(Safety Certification)에 관련해 지방 정부 당국 감독

셋째, 관객 안전에 대한 일반적인 지침과 자문 제공

최근 스포츠시설안전관리국이 다른 스포츠와 국외의 시설에 대한 자문도


가능하도록 기능이 확장되었다고는 하지만 여전히 주요 업무는 축구경기장의
안전규제에 집중되어 있다. 스포츠시설안전관리국의 축구경기장 안전규제는
문화·미디어·스포츠부 장관 지정 경기장을 대상으로 하는 연간 허가서 발행
과 비 지정 경기장을 포함하는 안전인증서 발행으로 요약될 수 있다. 스포츠시설

73
해외 스포츠 정책 동향 분석 – 체육행정 거버넌스 및 주요 이슈 관련 정책 비교 -

안전관리국은 영국 내 축구장을 지정 경기장(designated ground)과 비 지정


경기장(non-designated ground)으로 나누어 관리하는데 지정 경기장은 런
던의 웸블리 경기장, 카디프의 밀레니엄 경기장, 프로축구 1부~4부 리그에
속한 92개 클럽의 경기장, 그리고 정원 10,000명 이상의 축구경기장을 포함한
다. 지정 경기장은 스포츠시설안전관리국이 발행하는 연간 허가를 받아야
하는데 이 허가는 축구관객법 1989에 의거하여 축구장 내 관객 수용시설에
대한 정부의 기준을 적용하는데 그 주된 목적이 있다.

1989년 96명이 압사당한 힐스버러 참사 이후 영국 정부는 프로축구 경기장


내 테라스(입석 스탠드)를 금지하고 구장 전체를 좌석제로 바꾸도록 하였는데,
1부와 2부 리그 팀의 경기장은 1994년까지 그리고 3부와 4부 리그 팀의
경기장은 1999년까지 전 구장을 좌석제로 바꿀 것을 요구하였다. 이후 1992년
3부와 4부 리그 구단의 경기장은 일정 수준의 요구사항을 충족시키는 전제하에
구장 내 테라스를 일부 유지할 수 있으나 2부로 승격 시 3년 안에 전 구장
좌석제를 따르도록 규제를 완화하였다. 스포츠시설안전관리국은 이러한 규정
에 의거하여 지정 축구경기장을 대상으로 매년 허가서를 발행하고 있다.

그 결과, 현재 영국(잉글랜드 및 웨일즈)에는 전 구장 좌석을 갖춘 경기장이


71개 존재한다. 한편, 안전인증서(safety certificate)는 지정 및 비 지정
구장을 대상으로 발행되며 이는 경기장 내 관중수용인원을 규정하고 관중
안전시설 및 이동계획 등에 대한 평가를 포함하고 있다. 안전인증서의 발행은
해당 구장이 위치한 주의회(county council), 지방자치청(unitary authority),
대도시 및 런던 구청(metropolitan or London borough) 같은 지방정부가
담당하고 있다. 스포츠시설안전관리국은 관중수용인원 산출, 안전시설 기준
등을 담은 가이드라인인 '스포츠시설 안전에 대한 안내문(The Guide to Safety
at Sports Grounds)'를 발행하여 지방정부가 안전인증서를 발행하는데 필요한

74
Ⅲ. 국가별 스포츠 정책 거버넌스

정보를 제공하는 한편, 경기장 표본 추출 감사 및 인증서 발행의 지속적인


감시를 통해 지방정부의 안전인증서 발행을 관리, 감독한다. 영국 축구경기장
안전규제 시스템은 그림 Ⅲ-12와 같으며, 축구경기장 분류에 따른 안전규제는
표 Ⅲ-28과 같다.

<그림 Ⅲ-12> 영국 축구경기장 안전규제 시스템

<표 Ⅲ-28> 스포츠시설안전관리국 축구경기장 분류에 따른 안전규제


지정여부 소구분 안전규제 요구사항
허가서,
웸블리, 밀레니엄 구장 전 구장 좌석제
안전인증서
프리미어쉽, 챔피언쉽 구단 허가서,
전 구장 좌석제
구장 안전인증서
지정
허가서, 좌석 2,000석 확보,
리그1, 리그2 구단 구장
안전인증서 정원제한 입석 허용
허가서, 좌석 확보, 정원제한
정원 10,000명 이상 구장
안전인증서 입석 허용
비지정 정원 10,000명 미만 구장 안전인증서 정원제한 입석 허용

출처: 경기장시설안전관리국 (www.safetyatsportsgrounds.org.uk)

75
해외 스포츠 정책 동향 분석 – 체육행정 거버넌스 및 주요 이슈 관련 정책 비교 -

스포츠시설안전관리국은 스포츠시설안전관리에 대한 교육서비스도 제공하


고 있으며 이는 시설안전 관련 자문과 안전인력을 대상으로 하는 훈련프로그램
으로 구성된다. 먼저 스포츠시설 안전관리국은 스포츠시설 안전관리에 대한
자문을 국내, 국외의 다양한 스포츠 경기장에 제공하고 있다. 또한 '스포츠시설
안전에 대한 안내문'과 더불어 '경기장 접근 용이성(Accessible Stadia)', '경기
장 시설 통제(Control Rooms)',' 관중군집(Concourses)', ' 안전관리(Safety
Management)'의 5개 경기장 안전관련 안내서를 발행하고 있다. 한편 고급
안전인력을 양성하기 위해 관중 안전과 관련한 자격증(Certificate in
Spectator Safety)을 3개 등급(Level 2 ~ Level 4)으로 나누어 발급하고
있으며 이를 위한 교육프로그램을 위탁 운영하고 있다.

나) UK 반도핑 기구(UK Anti-Doping: UKAD)

반도핑 관련 업무를 담당하는 도핑 관리 인력(Doping Control Personnel)들


은 1990년부터 활동하기 시작하였으며 당시에는 각 종목별 경기단체를 대리하
여 활동하였다. 이후 도핑 관리 인력들은 UK 스포츠의 전신인 영국 스포츠
위원회에 속하여 업무를 수행하였고 2009년 영국의 국가 반도핑 기구
(National Anti-Doping Organisation)인 UK 반도핑 기구가 출범하면서
이 인력들의 관리에 대한 소관이 UK 반도핑 기구로 넘어오게 되었다. UK
반도핑 기구는 독립된 국가 반도핑 기구로서 영국 국가 반도핑 정책(UK's
National Anti-Doping Policy)의 실행을 통해 영국 내 스포츠 단체들이
세계 반도핑 조약(World Anti-Doping Code)를 준수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세계 반도핑 기구(World Anti-Doping Agency)가 제정하는 세계 반도
핑 조약은 범세계적, 범스포츠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반도핑 규정을 담은
조약으로 유네스코 국제 스포츠 반도핑 협약(UNESCO International
Convention against Doping in Sport)을 통해 회원국들에게 법적 구속력을

76
Ⅲ. 국가별 스포츠 정책 거버넌스

가진다. UK 반도핑 기구는 영국 내 종목별 경기단체들과 소속 선수들이 이


조약을 따르도록 교육프로그램과 도핑테스트를 실시하는 역할을 한다. 그림
Ⅲ-13은 국제 반도핑 시스템에서 UK 반도핑 기구의 역할을 도식화한 것이다.

<그림 Ⅲ-13> 국제 반도핑 시스템 에서 UK 반도핑 기구의 연계도

UK 반도핑 기구의 활동은 도핑을 사전에 차단하려는 교육 및 예방 프로그램


과, 사후에 도핑을 적발하기 위한 도핑 테스트로 나눌 수 있다. 100% 나(100%
Me)'는 UK 반도핑 기구가 제공하는 대표적인 반도핑 교육프로그램으로 성인
및 청소년 선수들을 대상으로 선수로서 인식해야 할 도핑의 위험성과 책임감을
주지시키고 반도핑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목표이다. UK 반도핑 기구는
이 프로그램을 통해 2005년 이후 25,000명 이상의 성인 선수에게 반도핑
교육을 실시하였으며, 학생 체전에 참가하는 15,000명 이상의 학생선수들에게
도 반도핑 교육을 제공하였다. 한편, UK 반도핑 기구는 도핑 테스트를 위한
시료를 채취하여 세계 반도핑 기구 인증 연구소에 전달하고, 테스트 결과를

77
해외 스포츠 정책 동향 분석 – 체육행정 거버넌스 및 주요 이슈 관련 정책 비교 -

해당 종목별 경기 단체와 국제체육단체에 보고하는 역할을 하며, 이를 위해


약 200여 명의 도핑 관리 인력을 운영하고 있다. UK 반도핑 기구의 도핑
테스트는 대회 기간 중 검사(In-Competition Testing)와 대회 기간 외 검사
(Out-of-Competition Testing)로 나누어 진다. 대회 기간 중 검사는 영국
내에서 열리는 모든 레벨의 종목별 경기 단체 또는 국제체육단체 주관 대회에서
무작위 표본 추출 검사를 통해 실시되며, 대상은 대회에 참가 및 참가를 위해
훈련 거주 중인 영국 및 비영국 선수들을 모두 포함한다. 한편, 대회 기간
외 검사는 종목별 반도핑 조항의 대상이 되는 모든 선수들을 대상으로 불특정
일시에 실시된다. UK 반도핑 기구는 이를 위해 엘리트 선수들을 검사대상집단
(Registered Testing Pool)에 지정할 수 있으며, 이에 지정된 선수들은 반도핑
관리 시스템(Anti-Doping Administration and Management System:
ADAMS)을 통해 자신의 위치를 UK 반도핑 기구에 신고할 의무가 있다.

표 Ⅲ-29는 UK 반도핑 기구의 반도핑 프로그램을 표로 나타낸 것이다.

<표 Ⅲ-29> UK 반도핑 기구 반도핑 프로그램


분류 프로그램 비고
- 선수들 및 청소년 선수들에게 반도핑에 대한 교육을 제공
하고, 도핑과 관련된 선수의 책임과 위험성을 상기시킴
- 2005년 이후 25,000명 이상의 선수에게 반도핑 교육 제공
교육 및
100% Me - 15,000명 이상의 학생선수들에게 반도핑 교육 실시
예방
- 하계, 동계 올림픽과 같은 메이저 대회 참가 선수들을
대상으로 하는 교육프로그램 제공
- 50개 이상의 종목별 경기단체와 연계하여 반도핑 교육 실시

- 종목별 경기단체 또는 국제체육단체가 주관하는 영국


내 모든 경기에 도핑테스트 제공
대회 기간 중
도핑 테스트 - 영국 내에서 열리는 모든 레벨에서 대회에 참가, 훈련,
검사
거주하는 영국 및 비영국 선수들을 대상으로 실시
- 무작위 표본 추출 검사

78
Ⅲ. 국가별 스포츠 정책 거버넌스

분류 프로그램 비고
- 종목별 반도핑 조항의 대상이 되는 모든 선수들은 불시
도핑 테스트의 대상이 됨
대회 기간 외
- 국제체육단체 또는 국가별 반도핑 기구가 지정한 엘리트
검사
선수들로 검사대상집단(Registered Testing Pool)을 구성
- 검사대상집단 선수들은 자신의 위치를 신고할 의무가 있음
출처: www.ukad.org.uk

다) UK 스포츠(UK Sport)

UK스포츠의 전신인 영국 스포츠 위원회(Sports Council of Great Britain)


는 생활체육 진흥에 중점을 두고 약 110 종목의 스포츠에 투자하던 기관이었다.
1994년 정부는 모든 스포츠에 투자를 하기 보다는 영국이 강점을 보이는
특정 스포츠들에 대한 투자에 집중하기 위해 영국 스포츠 위원회의 기능을
개편하기로 결정하고, 영국 스포츠 위원회를 엘리트 스포츠를 담당하는 UK
스포츠 위원회와 생활체육을 소관업무로 하는 각 연방 스포츠 위원회로 나눌
것을 추진하기 시작하였다. 그 결과 1997년 UK스포츠가 출범하여 약 30종의
스포츠에 정부의 보조금과 복권 기금을 배분하여 엘리트 스포츠 진흥을 담당하
게 되었다. UK스포츠의 설립 목적과 기능은 표 Ⅲ-30과 같으며 UK스포츠의
엘리트 스포츠 정책 프로그램은 이후 엘리트 스포츠 섹션에서 자세하게 다루기
로 한다.

라) 스포츠 잉글랜드(Sport England)

스포츠 잉글랜드는 영국 정부의 엘리트, 생활 체육 담당 기관 분리 정책에


의해 영국 스포츠 위원회를 엘리트 체육을 담당하는 UK스포츠와 생활 체육
및 학교 체육 등을 담당하는 각 연방 스포츠 위원회(Home Country Sports
Council)로 나누면서 잉글랜드 지역을 소관으로 하는 스포츠 위원회로 출범하
였다. 스포츠 잉글랜드는 1996년 잉글리쉬 스포츠 위원회(English Sport

79
해외 스포츠 정책 동향 분석 – 체육행정 거버넌스 및 주요 이슈 관련 정책 비교 -

Council)로 설립된 뒤 이듬해인 1997년부터 현재의 명칭으로 활동을 시작하였


다. 스포츠 잉글랜드는 잉글랜드 지역 국민의 스포츠 참여를 증진하는 것을
목표로 관련된 정책을 시행하기 위한 정부의 보조금과 복권기금 배분을 담당하
고 있는 기금 배분 기관(funding body)이다. 스포츠 정책 관련 기금 배분
기관이라는 점에서는 UK스포츠와 같은 기능을 하고 있으나 소관 영역이 엘리트
스포츠로 한정되는 UK스포츠와 달리 생활 체육과 학교 체육 등의 국민 전체를
대상으로 스포츠 참여를 증진을 위한 풀뿌리(grassroots)체육 환경을 조성하는
것에 중점을 둔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표 Ⅲ-30은 스포츠 잉글랜드의
목표와 기능을 UK스포츠와 비교해서 보여주고 있다. 영국 스포츠 거버넌스에
있어서 스포츠 잉글랜드의 역할은 이후 생활 체육 및 학교 체육 거버넌스
섹션에서 심도 깊게 다루기로 한다.

<표 Ⅲ-30> UK 스포츠, 스포츠 잉글랜드의 목적과 기능 비교


UK 스포츠 스포츠 잉글랜드
- 영국의 스포츠와 신체 레크리에이션 - 잉글랜드의 대중 전반에 걸쳐 스포츠
활동의 개발, 스포츠의 우수성 달성, 와 신체 레크리에이션 활동의 개발,
목적
스포츠 시설의 제공을 지원, 고무, 부 스포츠의 우수성 달성, 스포츠 시설의
흥한다. 제공을 지원, 고무, 부흥한다.
- 영국을 대표하여 하계, 동계 올림픽 및 - 더 많은 잉글랜드 내 14세 이상의 사람들
패럴림픽, 그리고 그에 상응하 세계대회 이 스포츠 활동에 정기적으로 참여할 수
에 참가하는 팀과 선수들을 지원한다. 있도록 시설을 포함한 환경을 조성한다.
- 올림픽, 패럴림픽, 영연방 대회 종목의 - 재능 있는 스포츠 인재를 발굴하고
주요 국제 스포츠 이벤트를 영국에 유 잉글랜드 내 각 지역을 대표하는 팀과
기능
치하는데 개최하는데 협조한다. 개인들을 지원한다(시설 포함).
- 국제 스포츠에 영국의 위상과 영향력 - 스포츠와 연관된 계획 결정에 있어서
을 극대화한다. 자문을 제공한다.
- UK스포츠와 스포츠 잉글랜드의 자금지원을 받는 스포츠 및 기관들이 잘 운영되
도록 한다.

출처: Triennial Review of UK Sport and Sport England (2015)

80
Ⅲ. 국가별 스포츠 정책 거버넌스

다. 영국 스포츠 정책 재정 현황

1) 중앙 정부의 스포츠 관련 재정 지출

2010년을 전후해서 영국 중앙 정부의 스포츠 관련 재정 지출 규모가 크게


상승하였는데 이는 2012년 런던 올림픽 및 패럴림픽의 개최에 기인한다.
표 Ⅲ-31은 2010년 이후 스포츠 관련 중앙 정부의 지출을 2012올림픽 관련
지출과 올림픽과 직접적인 연관이 없는 스포츠 분야 지출을 나타낸 것이다.
중앙 정부의 스포츠 관련 지출은 2012-13년에 23억2천5백50만 파운드로
정점을 찍은 후 2012올림픽이 종료된 이후인 2013-14년부터 1억6천만 파운드
규모로 축소된다. 이러한 지출의 축소는 물론 2012올림픽이 종료되어 관련
예산이 편성되지 않아서 이지만, 2012올림픽 관련 지출을 제외한 스포츠
분야 지출만 고려해도 2012-13년 이후 감소 추세를 보이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스포츠 분야 지출에 엘리트 스포츠를 담당하는 UK스포츠 예산이 포함되어
있는 등, 비록 올림픽과 직접적인 연관은 없더라도 간접적으로 연관이 있으며,
이러한 연유로 2010년 집권한 보수당-자민당 연립정부의 긴축재정 정책에도
불구하고 올림픽이 개최되는 2012년까지 예산이 축소가 미루어 졌다고 유추할
수 있다. 런던 올림픽이 종료된 2012년 이후의 변화를 감안할 때 향후 중앙
정부의 스포츠 관련 예산은 정부의 긴축재정 정책의 영향으로 당분간 감소
또는 동결의 추세를 보일 것으로 예상된다.

<표 Ⅲ-31> 스포츠 관련 중앙 정부 지출


(단위: 백만 ₤)
지출 분야 2010-11 2011-12 2012-13 2013-14 2014-15
스포츠 분야 지출 192 177.4 183.5 164.3 158.1
2012 올림픽 관련 지출 518.8 907.8 2,142 n/a n/a
총계 710.8 1,085.2 2,325.5 164.3 158.1

출처: DCMS Annual Report 2014-15 (2015)

81
해외 스포츠 정책 동향 분석 – 체육행정 거버넌스 및 주요 이슈 관련 정책 비교 -

영국 스포츠 정책 관련 재정 운용에 있어서의 특징은 중앙 정부의 재정


지출의 대부분이 비정부 공공기관을 통해 집행된다는 것이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문화·미디어·스포츠부의 비정부 공공기관 중 스포츠 정책과 관련
된 기관들은 스포츠시설안전관리국, UK 반도핑 기구, UK스포츠, 그리고
스포츠 잉글랜드가 있다. 특히, UK스포츠와 스포츠 잉글랜드는 문화·미디
어·스포츠부로부터 받은 정부 보조금과 복권기금으로부터의 배당금으로 조성
된 예산을 정책적 파트너들에게 배분하는 기금 배분 기관의 성격을 가지고
있으며, 이 두 기관으로부터 가장 많은 비율의 기금을 배분 받는 파트너는
경기 종목 단체(NGBs)들이다. 2010년 이후 지난 5년 간 문화·미디어·스포
츠부가 해당 4개 스포츠 정책 관련 비정부 공공기관에게 지출한 정부보조금
(Grant-in-Aid)의 규모는 표 Ⅲ-32와 같다.

<표 Ⅲ-32> 문화·미디어·스포츠부 스포츠 관련 비정부공공기관 정부보조금 현황


(단위: 백만 ₤)
기관명 2010-11 2011-12 2012-13 2013-14 2014-15
스포츠 시설 안전 관리국 1 0.9 1.1 1.1 1.2
UK 반도핑 6.4 6.3 6.5 6 5.7
UK 스포츠 55.4 60.7 66 43 49.5
스포츠 잉글랜드 121.4 97.6 99.8 88.6 83
총계 184.2 165.5 173.4 138.7 139.4

출처: DCMS Annual Report 2010-11 ~ 2014-15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1993년 출범한 국영복권사업(National Lottery)은


영국 스포츠 발전에 재정적으로 큰 역할을 하였다. 영국 정부는 복권사업의
수익금 중 28%를 '공익사업(good causes)'에 쓰도록 규정하고 있으며, 이것으
로 국영복권배분기금(The National Lottery distribution Fund: NLDF)을
조성해 배분하고 있다. 국영복권배분기금의 영역별 배분 비율은 문화유산
40%, 보건·교육·환경·자선사업에 20%, 예술 20%, 그리고 스포츠 20%이

82
Ⅲ. 국가별 스포츠 정책 거버넌스

다. 국영복권배분기금은 문화·미디어·스포츠부의 관할 하에 12개의 기금


배분 기관을 통해서 공익사업에 투자되며, 해당 12개 배분기관은 잉글랜드
예술 위원회(Art Council of England), 웨일즈 예술 위원회(Art Council
of Wales), 크리에이티브 스코틀랜드(Creative Scotland), 북아일랜드 예술
위원회(Art Council of Northern Ireland), 영국영화원(British Film
Institute), 스포츠 잉글랜드, 스포츠 북아일랜드(Sport Northern Ireland),
스포츠 스코틀랜드(Sport Scotland), 스포츠 웨일즈(Sport Wales), UK스포
츠, 문화유산복권기금(Heritage Lottery Fund), 그리고 자선사업을 담당하는
큰 복권 기금(Big Lottery Fund)이다. 이중 스포츠 분야에 투자하는 배분기관
은 4개의 각 연방스포츠위원회와 UK스포츠이다. 1995년 이후 스포츠 영역에
투자된 복권기금은 총 53억 8천 6백만 파운드이며, 그림 Ⅲ-14는 1995년 이후
스포츠 영역에 투자된 복권기금을 연도별로 보여준다. 복권 기금은 2012년 런던
올림픽 및 패럴림픽의 재원확보에도 일조하였는데 런던 올림픽의 총 재원
113억 파운드 중 약 20%에 달하는 22억 파운드가 복권기금을 통해 조달되었다.
표 Ⅲ-33은 2012년 런던 올림픽 및 패럴림픽의 재원 조달 구성을 나타낸다.

(단위: 백만)

<그림 Ⅲ-14> 1995년 이후 복권기금의 스포츠 분야 투자


출처: DCMS (2015)

83
해외 스포츠 정책 동향 분석 – 체육행정 거버넌스 및 주요 이슈 관련 정책 비교 -

<표 Ⅲ-33> 2012 런던 올림픽 및 패럴림픽 재원 조성


(단위: 백만 ₤)

대분류 소분류 금액
중앙정부 6,200
복권기금 2,200
공공분야 지방정부(런던) 875
스포츠 잉글랜드 40
소계 9,300
IOC 보조금 700
스폰서쉽 700
런던올림픽준비위원회
티켓 판매 600
소계 2,000
총 액 11,300

출처: DCMS, LOGOC

2) 지방 정부의 스포츠 관련 재정 지출

영국의 지방행정구역은 크게 런던(London) 지역, 대도시(Metropolitan)


지역, 주(Shire) 지역으로 구분되는데, 이에 따라 지방정부는 런던 자치구
(London Boroughs), 대도시 자치구(Metropolitan Districts), 지방 자치청
(Unitary Authorities), 지방 자치주(Shire Counties), 지방 자치구(Shire
Districts)로 나뉜다. 여기에 특수한 업무를 담당하는 단일 목적 당국(Single
Purpose Authorities)를 포함하여 여섯 개중 하나의 형태로 지방정부가 구성된
다. 스포츠 관련 서비스 제공에 관여하는 지방정부는 대도시 지방 자치구
의회(District Councils), 지방 자치청, 주 지방 자치구 의회, 런던 시(City
of London), 그리고 런던 자치구이다. 표 Ⅲ-34는 영국의 지방 정부 구분과
그 수를 나타낸다.

84
Ⅲ. 국가별 스포츠 정책 거버넌스

<표 Ⅲ-34> 잉글랜드 지방 정부 구성


대구분 소구분 개수
대도시 지방 자치구 의회 36
대도시 지역
단일 목적 당국 20
지방 자치청 56
지방 자치주 의회 27
주 지역
주 지방 자치구 의회 201
단일 목적 당국 55
런던 시 1
런던 지역 런던 자치구 32
단일 목적 당국 5 (런던 수도권 당국 포함)

출처: Local Government Financial Statistics England no.25 (2015)

지방정부가 담당하는 체육 관련 서비스는 지역문화회관 및 공공 회관, 해안,


강변 등 수변 시설, 골프장을 포함한 스포츠 레크리에이션 시설의 관리와
운영, 그리고 스포츠 개발 및 공동체 레크리에이션 지원이 있다. 지방 정부의
연간 총 지출은 영국 연간 재정지출(7,430억 파운드)의 약 23%에 달하며,
체육 관련 서비스에 대한 지방 정부의 재정지출은 연간 약 13억 파운드 규모로
1,690억 파운드인 지방 정부 총 지출의 약 7.5%정도를 차지하고 있다. 지방
정부의 재정은 주로 지방세(council tax)와 비거주용 재산세(national
non-domestic rates) 그리고 국고 보조(central government grant)를
통해 충당되고 있다. 영국 지방 정부의 스포츠 및 크리에이션 관련 분야별
지출을 나타내는 표 Ⅲ-35를 보면, 스포츠 관련 지방 정부 지출 또한 중앙
정부 지출과 마찬가지로 2010년을 기점으로 매년 약 5% 전후로 감소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2015년 집권한 보수당 정권이 앞선 보수당-민주자유당
연립정부의 작은 정부, 긴축 재정의 정책적 기조를 이어간다는 점을 감안할
때 이러한 감소추세가 당분간 지속 될 것이라고 전망할 수 있다.

85
해외 스포츠 정책 동향 분석 – 체육행정 거버넌스 및 주요 이슈 관련 정책 비교 -

<표 Ⅲ-35> 스포츠 및 레크리에이션 관련 지방 정부 지출


(단위: 백만 ₤)

지출 분야 2008-09 2009-10 2010-11 2011-12 2012-13


지역 문화센터,
108.1 100.6 96.3 101.9 97
공공 회관
수변 30 25.6 25.1 25.5 23.7
스포츠 개발, 공동체
307.9 390 378.8 349.5 332.3
레크리에이션
스포츠 시설
985.2 1,039.5 974.6 925.8 872.7
(골프장 포함)
총계 1,431.2 1,555.7 1,474.8 1,402.7 1,325.7

출처: Local Government Financial Statistics England (2010 ~ 2014)

라. 영국 생활 스포츠 참여 실태

국민의 스포츠 참여 증진은 영국 정부에게 있어서 중요한 공공 정책 이슈로


인식되고 있으며, 21세기 들어 이러한 인식은 더욱 명확해져 국민 스포츠
참여율 제고는 정권의 교체에 상관없이 공식 정책에서 꾸준히 언급되고 있다.
영국 정부는 스포츠에 참여하는 것이 개인의 건강 유지뿐 아니라 공동체에게도
이익이 되는 것이라 보고 있으며, 또한 학교 또는 지역 스포츠 클럽을 활동을
활성화하는 것이 스포츠 엘리트 발굴의 첫걸음이 될 수 있다고 인식하고 있다.
이러한 인식을 바탕으로 영국 정부는 스포츠 참여율 제고를 위한 정책적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영국 정부는 2006년부터 스포츠 잉글랜드를 통해 매년 '활동적인 국민 조사


(Active People Survey)'라는 전국적 스포츠 참여도 조사를 실시하여 국민들의
스포츠 참여를 모니터링 하고 있다. 이를 통해 정부의 스포츠 정책이 국민들의
스포츠 참여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그 효과를 검증하고, 정책 조정 및
수립의 참고자료로 활용하고 있다. 스포츠 참여에 대한 정의는 국가별로 어느

86
Ⅲ. 국가별 스포츠 정책 거버넌스

정도 차이가 존재하지만, 스포츠 잉글랜드는 스포츠 참여를 '적어도 일주일에


한 번, 최소 30분 이상(at least once a week, at least 30 minutes)'를
스포츠 참여의 기준으로 삼고 있으며 '보통의 강도(moderate intensity)'를
전제로 하여 걷기는 포함하지 않고 있다. 스포츠 잉글랜드는 이 기준을 가지고
정기적으로 스포츠에 참여하는 국민의 수를 조사한다. 최근 보고된 '활동적인
국민 조사'에 의하면, 그림 Ⅲ-15에서 보이듯이, 만 16세 이상의 영국 국민
중 약 35.5%에 달하는 1천5 50만 명 정도가 최소 일주일에 한 번, 30분
이상, 적절한 강도의 스포츠 활동을 영위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조사가 처음 시작되었던 2005/06년의 스포츠 참여 인구 1천 410만 명(34.6%)
과 비교하여 지난 10년간 스포츠 참여 인구가 약 140만 명 정도 증가한 것이다.
하지만 2012/13년 1천 590만 명(36.9%)을 기록한 이후 지속적인 감소 추세를
보이는 점을 감안할 때 향후 스포츠 참여 인구 증가를 낙관하기는 어렵다.

(만 16세 이상, 주 1회-30분 이상, 단위: 백만 명)

<그림 Ⅲ-15> 스포츠 참여인구


출처: Active People Survey 9Q2 (2015)

87
해외 스포츠 정책 동향 분석 – 체육행정 거버넌스 및 주요 이슈 관련 정책 비교 -

스포츠 참여와 관련하여 최근 영국 정부가 가지고 있는 이슈는 사람들이


학교를 졸업하면서 스포츠 활동을 중단하는 경우가 많다는 것이다. 이에 영국
정부는 더 많은 국민이 어린 나이에 스포츠를 시작하고, 학교를 마치고 사회생활
을 영위하는 과정에서도 꾸준히 오래도록 스포츠 활동을 하는 국민의 수를
늘리는데 중점을 두고 있다. 그림 Ⅲ-16은 만 16이상에서 만 25세 사이의
청소년과 만 26세 이상의 성인들 간의 스포츠 참여 인구를 지난 10년 간
비교한 것이다. 2006년에 비해 2015년의 청소년 스포츠 참여 인구는 약 12만
명 정도 증가하였고, 성인 스포츠 참여 인구는 약 129만 명이 증가한 것을
알 수 있다. 하지만 매년 해당 연령대 총인구의 수가 변화하기 때문에 단순히
절대적인 스포츠 참여 인원수의 증가만으로는 실질적으로 스포츠 참여가 증가하
고 있다고 판단할 수는 없으며, 해당 연령대의 총인구 대비 스포츠 참여 인원수,
즉 스포츠 참여율로 비교를 해야 정확한 변화의 추세를 알 수 있다. 그림
Ⅲ-17은 청소년과 성인의 해당 연령대 인구 대비 스포츠 참여율을 나타낸
것이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청소년의 스포츠 참여율은 지난 10년간 50%를
상회하였으며, 성인의 스포츠 참여율 보다 약 20% 높게 유지되어 왔다. 하지만
참여율의 변화 자체를 비교해 보면, 2006년 56.2%였던 청소년의 스포츠
참여율이 2015년에는 54.8%로 약 1.4% 정도 감소한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청소년 스포츠 참여 인원수가 증가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청소년 연령대의 총인구
증가의 폭이 더 컸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스포츠 참여율은 하락하였음을 의미한
다. 한편, 성인의 스포츠 참여율은 2006년 30.6%에서 2015년 31.9%로 소폭
상승한 것을 알 수 있다. 비록 2012년 33.4%로 고점을 기록한 후 3년 째
하락추세를 보이고 있지만 2006년에 비해서는 절대 인원수 면에서나 참여율
면에서 성인의 스포츠 참여가 증가하였다는 것을 뜻한다. 이러한 결과는 정부의
스포츠 참여 증진 정책이 학교를 졸업한 후 사회생활을 하면서도 스포츠 활동에
참여하는 성인을 늘리는 것에 비해 청소년의 스포츠 참여율을 높이는 데는
그렇지 못했다는 것을 암시한다.

88
Ⅲ. 국가별 스포츠 정책 거버넌스

(단위: 백만 명)

<그림 Ⅲ-16> 청소년(만 16~25세), 성인(만 26세 이상) 스포츠 참여 인구 비교


출처: Active People Survey 9Q2 (2015)

<그림 Ⅲ-17> 청소년(만 16~25세), 성인(만 26세 이상) 스포츠 참여 인구 비율 비교


출처: Active People Survey 9Q2 (2015)

그림 Ⅲ-18은 2006년 이후 장애인 스포츠 참여인구의 증감을 보여주고


있다. 2006년 133만 명으로 15.3%의 수준이었던 장애인 스포츠 참여율은
2015년에 156만 명으로 1.9% 정도 증가하였음을 알 수 있다. 2015년의
장애인 스포츠 참여율이 2006년에 비해서 증가한 것은 사실이나 2006년

89
해외 스포츠 정책 동향 분석 – 체육행정 거버넌스 및 주요 이슈 관련 정책 비교 -

이후로 지속적으로 보이던 스포츠 참여 장애인구 증가 추세가 2013년 172만


명(19.1%)을 기록한 후 하락세로 변한 것은 최근 장애인 인구의 스포츠 참여가
위축되는 경향을 보이고 있음을 의미한다. 그림 Ⅲ-19는 연령별 장애인 스포츠
참여율을 보여준다.

(만 16세 이상, 단위: 백만 명)

<그림 Ⅲ-18> 장애인 스포츠 참여 인구


출처: Active People Survey 9Q2 (2015)

<그림 Ⅲ-19> 연령별 장애인 스포츠 참여도


출처: Active People Survey 7 (2013)

90
Ⅲ. 국가별 스포츠 정책 거버넌스

2006년 이후, 만 16세 이상 스포츠 참여 인구(그림 Ⅲ-15), 청소년 및


성인 스포츠 참여 인구(그림 Ⅲ-16, Ⅲ-17), 그리고 장애인 스포츠 참여
인구(그림 Ⅲ-18)의 증감 추이를 살펴보면 모든 경우에서 관찰되는 변화의
공통점이 있다. 세 종류의 스포츠 참여 인구가 공통적으로 2006년 이후 증가
추세를 보이다가 2012년에서 2013년 사이에 스포츠 참여 인구 고점에 도달한
후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는 점이다. 이러한 변화는 2012년 런던 올림픽 및
패럴림픽으로 인한 국민들의 편승효과(Band wagon effect)와 올림픽을 준비
하는 과정에서 스포츠 분야에 정부의 투자 및 지원이 집중된 영향이라고 해석
가능하다. 이는 올림픽과 같은 국제 엘리트 스포츠 대회의 유치가 개최국의
일반 국민 스포츠 참여 증가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것을 암시하는
것이지만, 동시에 그 효과가 단기적이라는 것을 의미하기도 한다.

마. 영국 스포츠 정책 영역별 거버넌스

1) 엘리트 스포츠 거버넌스

영국의 엘리트 스포츠와 관련된 스포츠 정책의 수행은 비정부 공공기관으로써


기금 배분 기관의 역할을 하는 UK스포츠를 중심으로 이루어진다. 2010년
이후 정부의 긴축재정 기조로 인하여 정부의 투자가 축소되는 가운데, 복권사업
으로 조성된 '공익사업(good causes)' 기금 중 스포츠에 할당되는 기금의
비율이 2010년과 2012년 사이에 기존 16.66%에서 20%로 상향 조정 되면서,
정부의 스포츠 정책 실행에 있어서 복권기금으로 조달되는 재원의 비중이
커지고 있다. 이는 엘리트 스포츠 투자를 담당하는 UK스포츠의 재원 조달
구성에서도 나타나는데 지난 5년간 UK스포츠의 재원 현황을 나타낸 표 Ⅲ-36
을 보면, 2013/14년 이후 복권기금으로 조달되는 재원의 비중이 국고 보조금에
비해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91
해외 스포츠 정책 동향 분석 – 체육행정 거버넌스 및 주요 이슈 관련 정책 비교 -

<표 Ⅲ-36> UK스포츠 재정 현황


(단위: ₤)

2010/11 2011/12 2012/13 2013/14 2014/15


국고 55,360,000 60,651,000 65,966,000 43,020,000 49,452,000
복권 56,212,000 55,806,000 49,869,000 85,624,000 88,509,000
합계 111,572,000 116,457,000 115,835,000 128,644,000 137,961,000

출처: Triennial Review of UK Sport and Sport England (2015)

UK스포츠의 엘리트 스포츠에 대한 투자는 대부분 경기종목 단체들을 통해


이루어지고 있으며, UK스포츠는 올림픽 경기종목 단체들에게 재정 지원을
하고 그들로 하여금 엘리트 선수 육성 프로그램을 운영토록 한다. 또한, UK스포
츠는 선수들의 건강과 체력, 훈련 등을 향상시키기 위한 스포츠 의학 및 과학
연구를 수행하는 잉글랜드 스포츠 연구원(English Institute of Sport)를
자회사로 운영하며 연간 4천만 파운드를 투자하고 있다. 잉글랜드 스포츠
연구소는 UK스포츠에서 할당된 예산 이외에 각 종목별 경기단체들로부터
의뢰 받은 서비스에 대한 수임료를 통해 운영되고 있으며 종목별 경기단체들로
부터의 수익은 2012-13년 기준 6백10만 파운드이다. 한편, 영국의 국가
올림픽 위원회(National Olympic Committee)인 영국 올림픽 협회(British
Olympic Association)는 정부로부터 재정지원을 받지 않고 스폰서쉽 유치
등을 통해 재원을 조달, 독립적으로 운영되고 있다. 영국 올림픽 협회는 올림픽
경기종목 단체들과 함께 국가대표 선수 선발에 관여하며, 국가대표 선수단을
운영하는 역할을 한다. 국가대표 선발은 경기종목 단체들이 영국 올림픽 협회가
제시하는 가이드라인에 맞춰 선수를 추천하면 영국 올림픽 협회가 추천된
선수들이 기준에 맞는지 심사하는 방식으로 이루어 진다. 그림 Ⅲ-20은 엘리트
스포츠 정책 수행에 있어서 UK스포츠와 관련 단체들 간의 연계를 보여준다.

92
Ⅲ. 국가별 스포츠 정책 거버넌스

<그림 Ⅲ-20> UK 스포츠의 엘리트 스포츠 지원

UK스포츠는 현재 하계, 동계 올림픽과 패럴림픽 종목들을 대상으로, 정부


보조금과 복권기금으로 조달된 5억4천3백만 파운드 규모의 투자를2013
년~2017년 간 4년가 주기(cycle)의 프로그램으로 진행하고 있다. 이중 6천
1백만 파운드 정도가 잉글랜드 스포츠 연구원과 같은 파트너에게 투자되고
있으며, 올림픽 종목의 국제대회를 유치하려는 지방자치단체 또는 종목별
경기단체를 지원하는 골드 이벤트 프로그램에 2천 5백만 파운드가 투자될
예정이다. 골드 이벤트 프로그램은 향후 4년간, 36개의 세계 및 유럽 챔피언쉽
대회를 포함, 70개 이상의 주요 국제 스포츠 대회를 유치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또한, 코치들의 역량강화를 위한 월드 클래스 코치(World Class
Coaches), 국가대표 잠재력이 있는 선수를 발굴하기 위한 영재 발견(Talent
Identification) 등의 자체 프로그램에 7천만 파운드를 투자하고 있다.

93
해외 스포츠 정책 동향 분석 – 체육행정 거버넌스 및 주요 이슈 관련 정책 비교 -

<그림 Ⅲ-21> UK 스포츠의 엘리트 스포츠 투자 (2013년 ~ 2017년)


출처: UK Sport (www.uksport.gov.uk)

UK스포츠 전체 투자의 70%에 달하는 3억 8천 4백만 파운드가 엘리트


선수 지원 프로그램인 월드 클래스 프로그램(World Class Programme)으로
투입되고 있다. 월드 클래스 프로그램은 UK스포츠가 각 종목별 경기단체에
재정지원을 하고 경기단체들이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방식으로 시행되고 있으며
이 프로그램의 혜택을 받는 엘리트 선수들은 약 1,300여명에 달한다. 그림
Ⅲ-21은 UK스포츠의 엘리트 스포츠 투자를 도식화한 것이다.월드 클래스
프로그램은 UK스포츠 투자의 70%를 차지하는 데서 알 수 있듯이 영국 엘리트
스포츠 정책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다. 앞서 언급한 대로 월드 클래스 프로그램은

94
Ⅲ. 국가별 스포츠 정책 거버넌스

UK스포츠의 재정지원을 받아 각 종목별 경기단체가 운영을 한다. 종목별


경기단체들은 선수들의 경기력 향상을 위해 최고 수준의 지원 인력을 지원하고
최적의 훈련 환경을 제공하는데 중점을 둔다. 이 프로그램이 지원하는 내용은
코치 지원, 스포츠 의학 및 과학 서비스 지원, 전지훈련 및 적응훈련 지원,
훈련시설 사용 지원 등을 포함한다. UK스포츠는 종목별 경기단체들에게 재정
지원의 규모를 결정하는데 있어서 철저히 성과를 기반으로 한 투자를 하고
있다. 성과는 해당 종목의 메달 획득 수, 양성한 메달리스트의 수, 유망주
발굴 및 육성 시스템의 질을 기반으로 측정된다. 같은 맥락에서 UK스포츠는
프로그램의 수혜선수를 두 개의 등급으로 나누어 지원하도록 하고 있는데,
이 두 등급은 '포디움(Podium)'과 '포디움 포텐셜(Podium Potential)'로 구성
된다. 먼저 포디움 등급은 다음 올림픽 또는 패럴림픽에서 메달 획득이 가능한
경기력을 가진 선수들에게 주어지며, 포디움 포텐셜 등급은 그 다음 올림픽에서
메달 획득이 가능한 경기력을 가진 발전 가능성 있는 선수들에게 부여된다.
이는 비록 프로그램이 올림픽 주기에 맞춰 4년 단위로 운영이 되지만 선수들의
발전을 장기적인 관점에서 지원하기 위해 실질적으로 8년 단위 모델로 운영하기
위함이다. 포디움 등급의 선수들이 받는 혜택은 1인당 연간 약 3만 6천 파운드에
서 6만 파운드의 가치가 있으며, 포디움 포텐셜 선수들의 경우 1인당 연간
약 2만 3천 파운드에서 4만 파운드 에 준하는 지원을 받게 된다. 표 Ⅲ-37은
월드 클래스 프로그램 지원 등급 분류를 보여준다.

<표 Ⅲ-37> 월드 클래스 프로그램 지원 등급 분류


등급 설명 1인당 지원가치
다음 올림픽 또는 패럴림픽에서 메달 획득이
포디움 ₤36,000~₤60,000
가능한 능력이 있는 선수
포디움 다음다음 올림픽 또는 패럴림픽에서 메달 획득이
₤23,000~₤40,000
포텐셜 가능한 능력이 있다고 보이는 경기력을 가진 선수

출처: UK Sport (www.uksport.gov.uk)

95
해외 스포츠 정책 동향 분석 – 체육행정 거버넌스 및 주요 이슈 관련 정책 비교 -

그림 Ⅲ-22는 영국 엘리트 선수 수급 체계를 피라미드 형으로 나타낸 것이다.


4년 내에 국제대회에서 수상이 유력한 포디움 레벨의 선수들이 피라미드의
최상위에 위치하고 있으며, 그 아래로 8년 내에 국제대회에서 수상이 가능한
포디움 포텐셜 등급의 선수들이 위치한다. UK스포츠는 이 상위 두 등급의
선수를 대상으로 프로그램 투자를 진행한다. 포디움 포텐셜 아래로는 퍼포먼스
파운데이션(Performance Foundations)이라는 국가대표급 이전 단계의 선수
들이 위치하는데 이 등급은 1년에서 4년 사이의 기간 동안 포디움 포텐셜
등급으로 올라갈 수 있는 선수들을 대상으로 한다. 퍼포먼스 파운데이션에
포함되는 선수들은 각 종목별 경기단체에서 운영하는 조기 영재 개발 프로그램
(Early Talent Development Programmes), 지역프로그램(Regional
Programmes), 전국 연령별 프로그램(National Age Group Programmes)
등의 과정을 통해 수급된다. 선수들이 퍼포먼스 파운데이션까지 도달하기까지
거치는 프로그램은 종목별 경기단체 별로 상이 할 수 있으며 반드시 3단계의
과정으로 구성되는 것은 아니다. 퍼포먼스 파운데이션 이하의 프로그램은
스포츠 잉글랜드에서 지원한다.

<그림 Ⅲ-22> 엘리트 선수 수급 피라미드


출처: Triennial Review of UK Sport and Sport England (2015)

96
Ⅲ. 국가별 스포츠 정책 거버넌스

프로그램 지원과 더불어 UK스포츠는 선수 경기력 향상 보조금(Athlete


Performance Award)를 통해 선수들을 경제적으로 직접 지원하고 있다.
선수 경기력 향상 보조금은 전액 복권기금에서 출연되며, 선수들의 생계와
훈련 비용을 지원함으로써 선수들이 전임(full-time)으로 운동에 몰입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제도이다. 선수 경기력 향상 보조금 또한 선수의 국제대회
성적에 따라A, B, C 세 등급으로 나누어 차등 지급하고 있다. A등급은 올림픽
또는 세계 챔피언쉽 메달리스트이거나 장애인 올림픽 또는 장애인 세계 챔피언
쉽 금메달리스트를 대상으로 하며 연 보조금 상한은 2만 8천 파운드이다.
B등급은 올림픽 또는 세계 챔피언쉽 8위 이상 입상자이거나 장애인 올림픽
또는 장애인 세계 챔피언쉽 메달리스트를 대상으로 연 2만 1천 5백 파운드의
상한으로 보조금을 지급한다. C등급은 주요대회에서 우승이 가능할 만한 기량
을 가지고 있으며 4년 이내에 올림픽 또는 세계 대회에서 메달획득이 유력하다고
판단되는 선수가 대상이며 보조금 상한은 연 1만 5천 파운드이다. 선수 경기력
향상 보조금은 경제적으로 어려운 선수를 대상으로 시행하는 제도이기 때문에,
UK스포츠는 선수의 연 소득을 경기력 향상 보조금을 포함해서 6만 5천 파운드
로 상한하고 초과 분은 지급하지 않도록 하고 있다. 표 Ⅲ-38은 선수 경기력
향상 보조금의 등급 분류를 보여준다.

<표 Ⅲ-38> 선수 경기력 발전 보조금 등급 분류


등급 설명 보조금액
올림픽 또는 성인 세계 챔피언쉽 메달리스트
A 연간 ₤28,000까지
패럴림픽 또는 장애인 성인 세계 챔피언쉽 금메달리스트
올림픽 또는 성인 세계 챔피언쉽 8위 이상
B 연간 ₤21,500까지
패럴림픽 또는 장애인 성인 세계 챔피언쉽 메달리스트
주요대회에서 우승이 가능할 만한 경기력을 보이고, 4년 이내
C 연간 ₤15,000 까지
에 올림픽 또는 세계대회에서 메달 획득이 유력한 선수

출처: UK Sport (www.uksport.gov.uk)

97
해외 스포츠 정책 동향 분석 – 체육행정 거버넌스 및 주요 이슈 관련 정책 비교 -

영국 정부는 1990년 대 중반 공익사업을 위한 복권기금을 스포츠에 투자할


수 있도록 제도화하고, UK스포츠가 설립되어 엘리트 스포츠에 대한 정부
보조금 및 복권기금의 투자를 담당하게 한 이후 엘리트 스포츠에 꾸준히 투자하
며 엘리트 스포츠 부흥이라는 정책적 기조를 이어오고 있다. 표 Ⅱ-39는
2000년 시드니 올림픽부터 UK스포츠가 하계올림픽 종목별 경기단체에게
지출한 재정지원의 규모를 나타낸다. 해당 표는 또한 2016년 리우 올림픽을
대비하여 2013년부터 2017년까지의 투자 계획도 포함하고 있으며 그 규모가
2억 7천 4백만 파운드를 상회함을 보여준다. 표 Ⅲ-40은 2002년 솔트레이크
씨티 올림픽부터 UK스포츠가 동계올림픽 종목별 경기단체에게 지원한 투자
규모를 나타낸다. 2014년부터 2018년의 기간 동안 2018년 평창 동계올림픽을
대비하여 진행될 2천 7백만 파운드 규모의 재정지원도 해당 표에서 보인다.
표 Ⅲ-39와 표 Ⅲ-40에서 UK스포츠를 통한 정부의 엘리트 스포츠 지원이
계속해서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표 Ⅲ-39> 하계올림픽 종목별 UK스포츠 재정 지원


(단위: ₤, *지원기간: 2013~2017)
종목 시드니 아테네 베이징 런던 리우*
양궁 n/a 800,000 2,834,000 4,408,000 2,952,237
육상 10,600,000 11,400,000 26,513,000 25,148,000 26,824,206
배드민턴 n/a n/a 8,759,000 7,434,900 5,741,805
농구 n/a n/a 3,694,000 8,599,000 n/a
복싱 n/a n/a 5,005,000 9,551,400 13,764,437
카누 4,500,000 4,700,000 13,622,000 16,176,700 20,043,618
사이클링 5,400,000 8,600,000 22,151,000 26,032,000 30,517,816
다이빙 900,000 1,400,000 5,873,000 6,535,700 7,467,860
승마 3,000,000 4,400,000 11,727,000 13,395,100 17,992,600
펜싱 n/a n/a 3,074,000 2,529,335 4,184,336
체조 5,900,000 4,100,000 9,036,000 10,770,600 14,615,428

98
Ⅲ. 국가별 스포츠 정책 거버넌스

종목 시드니 아테네 베이징 런던 리우*


핸드볼 n/a n/a 2,986,000 2,924,721 n/a
하키 n/a n/a 9,882,000 15,013,200 16,141,393
유도 3,900,000 4,100,000 6,947,000 7,498,000 7,366,200
근대 5종 1,100,000 2,000,000 5,920,000 6,288,800 6,972,174
조정 9,600,000 10,600,000 26,042,000 27,287,600 32,622,862
요트 5,100,000 7,600,000 22,292,000 22,942,700 25,504,055
사격 n/a 1,400,000 5,056,000 2,461,866 3,950,888
수영 6,900,000 6,400,000 20,659,000 25,144,600 20,795,828
싱크로나이
n/a n/a 1,648,000 3,398,300 n/a
즈드 수영
탁구 n/a n/a 2,533,000 1,213,848 n/a
태권도 600,000 600,000 2,667,000 4,833,600 8,053,837
트라이애슬론 1,400,000 2,600,000 5,113,000 5,291,300 7,457,977
배구 n/a n/a 4,112,000 3,536,077 n/a
수구 n/a n/a 3,147,000 2,928,039 n/a
역도 n/a 300,000 1,686,000 1,365,157 1,709,340
레슬링 n/a n/a 2,125,000 1,435,210 n/a
합계 58,900,000 71,000,000 235,103,000 264,143,753 274,678,897
출처: UK Sport (www.uksport.gov.uk)

<표 Ⅲ-40> 과거 동계올림픽 종목별 UK스포츠 재정 지원 현황


(단위: ₤, *지원기간: 2014~2018)
올림픽 종목 솔트레이크 토리노 뱅쿠버 소치 평창*
봅슬레이 1,061,489 1,773,862 496,000 3,304,250 4,494,400
스켈레톤 298,579 봅슬레이에 포함 2,100,000 3,447,600 6,549,617
컬링 95,873 372,180 1,100,000 2,055,100 5,389,450
쇼트트랙 /
269,345 1,441,636 964,000 2,953,400 4,247,500
스피드 스케이팅
피겨 스케이팅 n/a 쇼트트랙에 포함 496,000 174,338 1,633,340
스키 /
185,000 1,939,166 620,000 1,509,950 4,890,326
스노우 보드
합계 1,910,286 5,536,844 5,776,000 13,444,638 27,204,633

출처: UK Sport (www.uksport.gov.uk)

99
해외 스포츠 정책 동향 분석 – 체육행정 거버넌스 및 주요 이슈 관련 정책 비교 -

UK스포츠가 엘리트 스포츠 정책 수행을 위한 투자를 전담한 이후 약 20여


년 간 이루어진 지속적인 투자는 1980년대 이후 국제대회에서 고전하던 국가대
표팀의 성적 향상으로 이어졌다. 표 Ⅲ-41은 1984년 이후 하계 및 동계
올림픽에서 영국 국가대표팀이 획득한 메달 수와 최종 순위를 표로 나타낸
것이다. 하계올림픽의 경우 1984년 로스앤젤레스 올림픽 이후로 총 획득
메달 수가 감소하고 최종 순위도 하락하며 1996년 애틀랜타 올림픽에서 총
메달 15개 획득, 최종 순위 36위로 가장 나쁜 성적을 기록하였으나, 그 후로
메달 수와 순위가 꾸준히 상승하고 자국에서 열린 2012년 런던 올림픽에서는
총 메달 수 65, 최종 순위 3위로 인상적인 성적을 낸 것을 알 수 있다. 동계
올림픽의 경우도 비록 순위의 변화는 크지 않지만 1994년 릴레함메르 동계올림
픽 이후 꾸준히 메달을 획득하며 최근 열린 2014년 소치 동계올림픽에서는
총 4개의 메달을 획득 하는 성과를 거두었다. 이와 같은 국제대회 성적은
1990년대 중반 이후 체계적으로 관리, 시행된 엘리트 스포츠 정책들이 효과를
거두고 있음을 보여준다.

<표 Ⅲ-41> 1980년 이후 영국 국가대표 하계, 동계 올림픽 메달 수 및 최종 순위


하계올림픽 금 은 동 순위 동계올림픽 금 은 동 순위
1984 로스앤젤레스 5 11 21 11 1984 사라예보 1 0 0 11
1988 서울 5 10 9 12 1988 캘거리 0 0 0 -
1992 바르셀로나 5 3 12 13 1992 알버트빌 0 0 0 -
1996 애틀랜타 1 8 6 36 1994 릴레함메르 0 0 2 21
2000 시드니 11 10 7 10 1998 나가노 0 0 1 22
2004 아테네 9 9 12 10 2002 솔트레이크 씨티 1 0 1 18
2008 베이징 19 13 15 4 2006 토리노 0 1 0 21
2012 런던 29 17 19 3 2010뱅쿠버 1 0 0 19
2014 소치 1 1 2 19

출처: International Olympic Committee

100
Ⅲ. 국가별 스포츠 정책 거버넌스

2) 생활 및 학교 스포츠 거버넌스

일반 대중들의 스포츠 활동 영위와 관련하여 "사람들이 더 어린 나이에


스포츠를 시작하고 그들의 생애를 통해 지속적으로 스포츠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결과적으로 더 많은 사람들이 스포츠에 참여하도록 한다"(Triennial
Review of UK Sport and Sport England, 2015)라고 명시한 정부 정책
문서에서 알 수 있듯이 영국 정부는 생활 스포츠 증진을 '청소년, 나아가 유소년
시기의 스포츠 참여가 높을수록 생애를 통해 스포츠 활동을 정기적으로 오래
영위 하는 사람들이 많아 질 것이다'라는 전제 하에 접근한다. 이러한 연유로
영국 정부는 생활 스포츠 활성화의 수단에 있어서 젊은이들의 스포츠 참여
증진에 중점을 두고 있으며, 때문에 생활 스포츠 정책은 학교 스포츠 정책과
깊은 연계를 가지고 있다. 비정부 공공기관인 스포츠 잉글랜드는 국고 보조금
및 복권기금의 배분기관으로써 생활 및 학교 스포츠 분야의 투자를 통해 정부의
생활 및 학교 스포츠 정책을 수행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표 Ⅲ-42는 스포츠
잉글랜드의 지난 5년간의 재정 현황을 나타낸 것이다.

<표 Ⅲ-42> 스포츠잉글랜드 재정 현황


(단위: ₤)
2010/11 2011/12 2012/13 2013/14 2014/15
국고 121,389,000 97,571,000 99,814,000 88,634,000 83,044,000
복권 133,200,000 206,800,000 173,900,000 224,740,000 262,353,000
합계 254,589,000 304,371,000 273,714,000 313,374,000 345,397,000

출처: Triennial Review of UK Sport and Sport England (2015)

스포츠 잉글랜드는 연령, 성별, 및 능력에 상관없이 스포츠를 정기적으로


즐기는 일반 국민의 증가를 최우선 과업으로 하고 있는데, 이를 위해 스포츠
참여(sport participation)을 주 1회 이상, 최소 30분, 매주 스포츠 활동을

101
해외 스포츠 정책 동향 분석 – 체육행정 거버넌스 및 주요 이슈 관련 정책 비교 -

하는 것으로 정의하고, 특히 14세에서 25세 사이의 청소년 스포츠 참여율


증진에 초점을 두고 있다. 한편, 스포츠에 참여하는 과정에서 스포츠에 잠재력을
발견한 청소년들이 UK스포츠에서 관리하는 엘리트 레벨 대상의 프로그램에
도달하기 까지 그들의 능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스포츠 영재 발굴도
과업으로 하고 있다. 아울러 국민의 스포츠 활동을 돕기 위해 스포츠 시설에
투자하는 것도 스포츠 잉글랜드의 과업 중 하나이다. 이러한 정책적 과업을
수행하기 위해 여러 영역의 파트너들에게 지원을 하고 있으며 이는 경기 종목
단체(NGBs)에서부터 학교, 지방 정부 당국(local authority), 지방 스포츠
파트너쉽(County Sport Partnerships: CSPs), 각종 스포츠 전문가 집단
(national partners with specialist), 그리고 지역 스포츠 클럽 및 프로젝트
(local sport clubs and projects)까지 포괄한다.

<그림 Ⅲ-23> 스포츠 잉글랜드의 생활 및 학교 스포츠 지원


출처: Sport England (www.sportengland.org)

102
Ⅲ. 국가별 스포츠 정책 거버넌스

이와 같은 지원을 위해 스포츠 잉글랜드가 정부 보조금 및 복권기금으로


조달하는 예산은 연간 3억 파운드를 상회하고 있다. 스포츠 잉글랜드의 스포츠
참여 증진을 위한 지원에 있어서 파트너 들과의 연계도는 그림 Ⅲ-23과 같다.
2012년 런던 올림픽 및 패럴림픽을 앞두고 스포츠 잉글랜드가 시작한 생활
스포츠 진흥 5개 년 전략인 '스포츠의 생활 습관화: 2012-2017(A Sporting
Habit for Life: 2012-2017)'은 향후 진행될 영국 정부의 생활 스포츠 정책을
반영하고 있다. 이 5개 년 계획이 목표로 하는 것은 첫째, 더 많은 사람들이
스포츠를 생활 습관으로 받아들이게 할 것; 둘째, 젊은 이들에게 더 많은
기회를 제공할 것; 셋째, 영재를 발굴하고 육성할 것; 넷째, 적절한 장소에
적절한 시설을 제공할 것; 다섯째, 지역 당국을 지원하고 지역 투자를 진행할
것; 여섯째, 공동체에게 실제적인 기회를 제공할 것으로 요약된다. 또한, 이를
위한 실행수단으로 첫째, 경기종목 단체들과의 기존 협력 관계를 지속하되
더 엄격한 성과제도를 도입하고; 둘째, 사람들이 학교 스포츠에서 공동체
스포츠로 전환하는 것을 더욱 수월히 할 수 있도록 하면서 청소년 스포츠에
초점을 두고; 셋째, 사람들의 스포츠 활동 접근성을 개선하는 것을 골자로
하고 있다. 스포츠 잉글랜드는 이를 위해 해당 기간 동안 국고 및 복권기금으로
조성된 예산 10억 파운드를 투자할 예정이다.

가) 경기 종목 단체(NGBs) 지원 - 통합 스포츠 계획(Whole Sport Plans)

스포츠 잉글랜드의 전체 투자의 약 50%가 경기 종목 단체로 이루어지고


있을 만큼 스포츠 잉글랜드의 스포츠 정책수행은 경기 종목 단체를 중심으로
이루어진다고 할 수 있다. 이는 종목별로 엘리트 스포츠와 생활 스포츠를
담당하는 단체가 나누어져 있지 않고, 각 종목별 경기단체가 엘리트 및 생활
스포츠를 모두 담당하고 있는 영국의 특징을 감안할 때 자연스러운 일이기도
하다. 스포츠 잉글랜드는 5년 단위의 투자 프로그램인 '통합 스포츠 계획'을

103
해외 스포츠 정책 동향 분석 – 체육행정 거버넌스 및 주요 이슈 관련 정책 비교 -

통해 경기 종목 단체들에게 재정 지원을 하고 있다. 재정지원을 받고자 하는


경기 종목 단체들은 스포츠 잉글랜드에 투자 신청서와 함께 재원 운용 계획을
제출해야 한다. 경기 종목 단체가 신청 자격을 갖추기 위해서는 첫째, 이전
투자 프로그램에서 재정지원을 받았고 그 계획 실행이 적절하였거나, 둘째,
해당 스포츠를 최소 주 1회 즐기는 사람들이 잉글랜드 내 7만 5천 명 이상
있는 경기 종목 단체일 것이다. 스포츠 잉글랜드는 신청한 경기 종목 단체들을
대상으로 투자 적절성 여부와 투자 규모를 심사, 결정하며, 심사의 기준은
과거 실적(20%), 계획의 적절성(40%), 효과의 크기(20%), 그리고 투자대비
효용성(20%)으로 나뉜다. 스포츠 잉글랜드는 경기 종목 단체들에게 계획 실행
을 통해 다음과 같은 목표 중 최소 하나 이상을 달성할 것을 요구한다.

· 14세~25세 사이의 청소년 인구의 해당 스포츠 참여를 증진시킬 것

· 성인들의 해당 스포츠 참여 인구를 증가시킬 것

· 현재 해당 스포츠 참여 인구에게 뛰어난 스포츠 경험을 제공하여 그들이


계속 참여하도록 할 것

· 해당 스포츠에 뛰어난 재능을 가진 참가자들을 육성하여 그들이 UK스포츠


의 엘리트 스포츠 프로그램으로 진출 할 수 있도록 할 것

· 장애인 참가자들(재능 있는 선수 포함)의 참가를 증진시킬 것

이와 더불어 해당 경기 종목 단체가 문화·미디어·스포츠부와 UK스포츠가


요구하는 높은 수준의 재정적 안정성과 지배구조 적절성을 충족시킬 것을
투자의 전제로 하고 있다. 또한 투자 금액의 60%에 달하는 혜택이 14세에서
25세 사이의 청소년들에게 돌아가고, 나머지 40%가 성인들에게 쓰이도록
권고하여 청소년층의 스포츠 참여 증대를 통한 전체 스포츠 참여 인구 증가라는
정책적 기조를 경기 종목 단체들의 스포츠 개발 계획에도 반영하려 하고 있다.

104
Ⅲ. 국가별 스포츠 정책 거버넌스

스포츠 잉글랜드가 2013년부터 2017년 사이에 '통합 스포츠 계획'을 통해


경기 종목 단체에 투자하려는 예산은 4억 6천 7백만 파운드이다.

표 Ⅲ-43은 스포츠 잉글랜드가 지원한 경기 종목들 중 잉글랜드 지역 스포츠


참여율 상위 5개 종목의 참여인구 변화를 2005-06년과 2014-15년의 데이터
를 통해 비교한 것이다. 수영은 약 2백 5십만 명의 인구가 참여하고 있어
가장 많은 인구가 참여하고 있는 스포츠이다. 하지만 약 10년 전의 참여인구인
3백 3십만 명과 비교하였을 때 큰 폭으로 감소한 것이며, 전체 인구대비 참여율도
약 2.2 퍼센트 포인트가 감소 한 것을 알 수 있다. 축구와 골프도 약 2005-06년
조사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에서 참여인구가 감소한 것을 알 수 있다.
반면, 육상과 싸이클링은 지난 10년 간 참여인구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으로
증가 한 것을 알 수 있다.

<표 Ⅲ-43> 상위 5개 종목 참여인구 변화


2005-2006 2014-2015
지역 통계적 증감
참여인구 참여도 참여인구 참여도
수영 3,273,800 8.04% 2,545,000 5.83% 감소
육상 1,353,800 3.33% 2,227,500 5.11% 증가
싸이클링 1,685,700 4.14% 2,059,800 4.72% 증가
축구 2,021,700 4.97% 1,881,600 4.34% 감소
골프 889,100 2.18% 727,700 1.67% 감소

출처: Active People Survey 9Q2 (2015)

나) 학교 스포츠

영국의 학교 스포츠 거버넌스에 긴밀하게 연계된 조직들은 중앙정부 기관인


교육부(Department for Education)와 보건부(Department for Health),
비정부 공공기관인 스포츠 잉글랜드, 그리고 독립 자선 단체(Independent
Charity)인 청소년 스포츠 신탁(Youth Sport Trust)가 있다. 교육부는 국가

105
해외 스포츠 정책 동향 분석 – 체육행정 거버넌스 및 주요 이슈 관련 정책 비교 -

교육과정(National Curriculum)의 제정과 같은 행정적인 관여와 예산 배분


같은 재정지원을 담당하고 있으며, 보건부 또한 학교스포츠를 통한 국민 건강
증진이라는 근거로 학교 체육교육에 재정지원을 하고 있다. 국민의 생활체육
전반을 담당하는 기금 배분기관인 스포츠 잉글랜드는 학교 스포츠를 통한
스포츠 참여 인구 증진을 목적으로 학교 스포츠에 기금을 투자하고 있다.
청소년 스포츠 신탁은 청소년 체육 진흥을 위하여 설립된 독립자선 단체로서
청소년을 대상으로 하는 체육 교육 및 스포츠 프로그램의 개발 및 자문 제공,
학교 및 지역자치단체 체육활동 지도자들을 대상으로 전문적인 지원과 훈련을
제공하는 단체이다. 그림 Ⅲ-24는 영국의 학교 및 청소년 스포츠에 관여하는
조직들의 역할을 도식화한 것이다.

<그림 Ⅲ-24> 영국 학교 체육교육 및 청소년 스포츠 관계도

영국의 의무교육은 약 13년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학제는 공립학교 기준


초등학교(primary school) 6년 과정과 중등학교(secondary school) 7년으로
구성되어 있고, 일차학교의 경우 정규 학제를 시작하기 전 기초과정
(foundation)을 거친다. 초등학교와 중등학교 과정은 다섯 개의 핵심단계(Key
Stage)로 나누어지는데 초등학교는 1단계인 1학년부터 2학년, 그리고 2단계인

106
Ⅲ. 국가별 스포츠 정책 거버넌스

3학년부터 6학년까지를 포함한다. 중등학교 과정은 3단계인 7학년부터 9학년,


4단계인 10학년에서 11학년, 그리고 5단계인 12학년과 13학년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중 5단계인 12학년과 13학년은 학생의 선택 따라 대학진학을 목표로
특정 과목을 선택하여 이수하는 과정과 기술습득을 목표로 기술교육을 받는
과정으로 나뉘게 된다. 진로에 따른 특수성을 가지고 있는 5단계를 제외한,
핵심단계1부터 4까지 11년의 과정이 실질적인 의무교육이라고 할 수 있는데
이 시기의 교육과정은 교육부에서 지정한 교과지침인 국가 교육과정(The
National Curriculum)을 따른다. 표 Ⅲ-44는 영국의 학제와 국가 교육과정의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표 Ⅲ-44> 영국 국가 교육과정 구조


핵심단계 1 핵심단계 2 핵심단계 3 핵심단계 4
연령 5 - 7 7 - 11 11 - 14 14 - 16
학년 1 - 2 3 - 6 7 - 9 10 - 11
학교 초등학교 중등학교
핵심 교과
영어 ○ ○ ○ ○
수학 ○ ○ ○ ○
과학 ○ ○ ○ ○
기초 교과
예술과 디자인 ○ ○ ○
시민교육 ○ ○
컴퓨터 ○ ○ ○ ○
디자인과 기술 ○ ○ ○
외국어 ○ ○
지리 ○ ○ ○
역사 ○ ○ ○
음악 ○ ○ ○
체육 교육 ○ ○ ○ ○

출처: The National Curriculum in England (2014)

107
해외 스포츠 정책 동향 분석 – 체육행정 거버넌스 및 주요 이슈 관련 정책 비교 -

국가 교육과정은 교과를 핵심교과(core subjects)와 기초교과(foundation


subjects)로 나누고 있으며, 4단계의 핵심단계에 걸쳐 모든 과정에서 교육을
받는 핵심교과는 영어, 수학, 과학이 포함되어 있다. 기초교과에는 예술과
디자인, 시민교육, 컴퓨터, 디자인과 기술, 외국어, 지리, 역사, 음악, 그리고
체육교육이 있다. 이들 기초교과 중 컴퓨터와 체육교육은 핵심교과와 같이
모든 단계에서 교육할 것을 지시하고 있어, 의무 교육과정에 있어서 체육교육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2000년대 노동당 정부에서는
학생들이 일주일에 최소 두 시간 이상의 체육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표로 하여 학교들에게 주간 체육교육 시간을 보고하도록 권고하고
있었으나, 2010년 집권한 보수당-자유민주당 연립정부는 이러한 권고사항을
철회하였다. 하지만 2014년 교육부 조사에 의하면 주간 체육교육 시간 평균은
122분으로 이전 해에 비해 13분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표 Ⅲ-45는 각
핵심단계별 체육교육 과정 구성을 보여준다.

<표 Ⅲ-45> 핵심단계별 체육 교육 프로그램


핵심단계 과정 구성
- 달리기, 뛰기, 던지기, 받기 등의 기본적인 움직임과 균형감각, 민첩성,
조정력을 개발
핵심단계 1
- 팀 게임을 하면서 공격과 수비에 관한 간단한 전술을 익힘
- 단순한 패턴의 움직임을 이용한 무용
- 달리기, 뛰기, 던지기, 받기 등을 단독으로 또는 단체로 실행
- 적절한 공격과 수비의 기본 원칙을 적용한 경기
- 유연성, 체력, 기술, 신체조정 및 균형 개발
핵심단계 2
- 다양한 패턴의 움직임을 이용한 무용
- 교외 및 탐험적 활동에 개인 또는 팀으로 참여
- 자신의 경기력을 이전의 경기력과 비교 분석하여 개인의 최고기량을 성취

- 개인 또는 단체 경기에서 상대를 이기기 위한 다양한 전술과 전략을 이용


핵심단계 3 - 여타 스포츠 경기에서 개인의 경기력을 발전시키고 기술을 개발
- 고도의 기술을 이용한 다양한 종류의 무용

108
Ⅲ. 국가별 스포츠 정책 거버넌스

핵심단계 과정 구성
- 지적, 신체적 노력과 팀워크를 요구하는 교외 및 탐험적 활동을 통해 개인
또는 단체로서 신뢰와 문제해결능력을 함양
- 자신의 경기력을 이전의 경기력과 비교 분석하여 개인의 최고기량을 성취
- 지역 사회 연계 또는 스포츠 클럽을 통해 학교 외 활동 및 스포츠 참여
- 개인 또는 단체 경기에서 상대를 이기기 위한 다양한 전술과 전략을 개발
- 여타 스포츠 또는 신체활동에서 개인의 경기력을 발전시키고 기술을 개발
- 지적, 신체적 노력과 팀워크를 요구하는 교외 및 탐험적 활동을 통해 개인
또는 단체로서 신뢰와 문제해결능력을 함양
핵심단계 4
- 자신의 경기력을 이전의 경기력과 비교하여 평가하고 다양한 신체 활동에
걸쳐 개인의 최고기량을 성취
- 지역 사회 연계 또는 스포츠 클럽을 통해 학교 외 활동 및 스포츠에 지속적으로
참여
출처: The National Curriculum in England (2014)

공공교육 재정지원은 교육부 산하의 책임운영기관(executive agency)인


교육기금배분기관(EFA: Education Funding Agency)을 통해 이루어진다.
교육기금배분기관은 3세에서 19세 사이의 유소년을 대상으로 하는 공공교육에
국가 보조금을 지원하는 기관으로 2013-2014 재정년도 기준 540억 파운드를
교육기관에 배분하였다. 공립 초등학교와 중등학교들에 대한 재정지원은 지방
정부당국으로 배분되며 주로 학교전용보조금(DSG: Dedicated Schools
Grant)의 명목으로 이루어지는데 이 보조금은 교과과정별로는 세분화되어
있지 않다. 2013-2014 재정년도 기준 학교전용보조금의 규모는 약 300억
파운드였다. 학교전용보조금이 체육교육을 위한 재정을 포함하고 있지만 교과
과정별로 세분화되어 있지 않은 반면 2013년도부터 시행된 체육교육 및 스포츠
프리미엄(The PE and Sport Premium)의 경우 초등학교의 체육교육과 스포
츠에 한정하여 용도 지정된 지원금이다. 체육교육 및 스포츠 프리미엄은 교육부,
보건부, 그리고 문화·미디어·스포츠부에 의해 조성되며 초등학교 교장에게
배분되며 그 규모는 연간 1억 5천만 파운드이다. 이 지원금의 용도는 체육교육
및 스포츠 제공 개선으로 한정되어 있지만 그 세부용도는 교장의 자율재량에

109
해외 스포츠 정책 동향 분석 – 체육행정 거버넌스 및 주요 이슈 관련 정책 비교 -

맡기고 있다. 초등학교와는 달리 중등학교의 경우, 현재 시행되는 체육교육


용도지정 추가 지원금은 없다.

(1) 스쿨 게임(The School Games)

2010년 영국정부는 학교에서의 경쟁 스포츠 진흥과 2012 올림픽의 유산을


계승하는데 일조하기 위해 올림픽 및 패럴림픽 형식의 학생 전국 체육 대회인
스쿨 게임을 창설하였다. 스쿨 게임은 9월경 대회를 시작하여 이듬해 전국
결승전을 치르는 1년에 걸쳐서 열리는 구조이며, 1년 동안 4단계(four levels)의
대회를 치르는 것으로 구성되어 있다. 첫 대회는 2011년 시작하여 2012년
런던의 올림픽 공원에서 결승전이 개최되었고, 약 30여 개 종목이 포함되어
있다. 스쿨 게임을 구성하는 4개의 레벨 중 레벨 1은 각 학교별 교내 대회
(intra-school Competition)로 원칙적으로 전교생이 참가할 수 있으며 교내
팀, 그룹 또는 체육 교과 시간을 통해 참여할 수 있다. 레벨 2는 지역(local)
내 학교 간 대회(inter-school competition)로 지역 내 각 학교의 대표로
선발된 개인 또는 팀들이 참가하는 정기적인 대회이다. 레벨2의 지역 내 학교
간 대회는 3학년부터 13학년까지를 대상으로 하며 다수의 종목이 리그 형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레벨 3은 광역자치주 단위(county/sub-regional)의 학교
간 종합경기대회로 '스쿨 게임 페스티벌'이라고 불리는 대회이며 레벨 2에
참가했던 팀과 개인이 참가자격을 획득 할 수 있다. 레벨 4는 학생 엘리트
선수들이 출전하는 전국종합대회(national multi-sport event)의 성격을
가지고 있으며 종목 별 경기단체에 선발된 학생 선수들이 출전한다. 레벨
1부터 3까지는 잉글랜드의 모든 학교들이 참가 가능하며, 레벨 4는 영국(UK)
전체를 포괄하는 대회이다. 표 Ⅲ-46은 스쿨 게임을 구성하는 4개의 레벨을
표로 나타낸 것이다.

110
Ⅲ. 국가별 스포츠 정책 거버넌스

<표 Ⅲ-46> 스쿨 게임(the School Games) 레벨 구성


레벨 설명
레벨1 전교생을 대상으로 하는 교내 대회
레벨2 학교 대표로 선발된 개인, 팀들 간의 지역(local) 내 학교간 대회
레벨3 광역(county/area) 단위 학생 종합경기대회
레벨4 학생 엘리트 선수들이 출전하는 전국대회

출처: School Games Indicator 2014/15 (2015)

스쿨 게임의 시행은 학교 체육 내 경쟁 스포츠의 진흥이라는 목적과 스포츠


영재 발굴(talent identification)을 더욱 효과적으로 하려는 의도도 가지고
있다. 영국 정부는 학교 내 대회, 학교 간 대회, 지역 내 대회, 그리고 전국
단위의 대회들로 구성된 4단계의 스쿨 게임 레벨들을 통하여 스포츠에 재능
있는 유·청소년들에게 엘리트 스포츠로 자연스럽게 전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레벨 1부터 레벨 3까지 과정은 레벨1의 교내 대회를 통해 선발된
학생 대표들이 레벨2의 지역 내 학교 간 정기전에 출전하고, 레벨2 대회에서
우수한 성적을 거둔 학생 선수들이 레벨3의 광역 단위 연례 학생 종합경기에
참가 할 수 있도록 하여 생활체육의 수준에서 체육 영재들을 수렴하는 구조이다.
레벨3의 단계에서 뛰어난 성적을 거둔 학생들은 종목별 경기 단체(NGB)들의
클럽이나 영재 계발 과정(talent pathways)을 통해 엘리트 스포츠로 진출
할 수 있는 기회를 얻을 수 있다.

111
해외 스포츠 정책 동향 분석 – 체육행정 거버넌스 및 주요 이슈 관련 정책 비교 -

<그림 Ⅲ-25> 스쿨게임 레벨 간 관계


출처: School Games Indicator 2014/15 (2015)

스쿨 게임에 파트너로 참여하는 종목별 경기 단체(NGB)들은 자체적인 시스


템을 통해 레벨3의 참가한 선수들 중 우수한 선수를 선발, 학생 엘리트 선수로
전환할 수 있도록 하며, 레벨 4에서 결승전 성격을 가진 전국 규모 학생 엘리트
선수 대상 전국대회에 출전하여 경쟁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레벨4의 대회의
경우 종목별 경기 단체의 선발에 의해 출전 선수들이 결정되므로 엄밀히 말하면
학교 기반의 대회라고 할 수 없지만, 이 단계가 스쿨 게임의 포멧에 포함됨으로써
학교 수준에서 생활 스포츠와 엘리트 스포츠가 유기적으로 연결되고 있다.
이처럼 유기적으로 연결된 4단계의 스쿨 게임 레벨은 유·청소년 체육 영재들이
생활 스포츠에서 엘리트 스포츠로 자연스럽게 전환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 그림 Ⅲ-25는 스쿨 게임의 4단계 레벨 간의 유기적인 관계를
도식화 한 것이다.

112
Ⅲ. 국가별 스포츠 정책 거버넌스

스쿨 게임은 문화·미디어·스포츠부가 전체적인 정책 리더십을 가지고


대회를 주관하며, 교육부와 보건부가 대회를 후원한다. 한편, 문화·미디어·
스포츠부의 유관기관이자 복권기금 배분기관인 스포츠 잉글랜드는 종목별
경기단체들의 대회 참여를 지원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청소년 스포츠 신탁은
스포츠 잉글랜드의 위탁을 받아 학교, 스포츠 파트너 및 지역 파트너들에게
발전 지원을 제공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지역단위에서의 스쿨 게임은 학교,
클럽, 스포츠 및 지역 파트너들에 의해서 조직되며, 교장들로 구성된 지역조직위
원회(Local Organising Committees: LOCs)가 전국적으로 약 50개 존재한
다. 스쿨 게임에 필요한 재원은 복권기금과 국고지원금을 포함한 공공기금과
스쿨 게임의 타이틀 스폰서십을 통한 민간기금으로 확보된다. 스쿨 게임 타이틀
스폰서십의 경우 슈퍼마켓 체인인 '세인즈버리스(Sainsbury's)'가 2012년부터
타이틀 스폰서로 참여하고 있으며 그 규모는 4년간 1천만 파운드이다. 공공기금
의 경우 스포츠 잉글랜드를 통한 복권기금과 보건부, 교육부, 그리고 스포츠
잉글랜드를 통한 문화·미디어·스포츠부의 국고기금으로 구성된다. 표 Ⅲ
-47는 공공기금의 스쿨 게임 재정 지원 현황을 보여준다. 복권기금의 경우,
2011/12년 첫 대회에 7백 8십만 파운드가 지원되었으며, 2014/15대회의
경우 1천만 파운드가 스쿨 게임에 배분되어 2014/15대회 기준 공공재원에서
약 46.3%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국고 지원의 경우 2014/15 대회 기준
지원주체에 따라 보건부 7백만 파운드(32.4%), 스포츠 잉글랜드를 통한 문화·
미디어·스포츠부 4백만 파운드(18.5%), 교육부 49만 파운드(2.3%) 등으로
나뉜다. 교육부의 스쿨 게임에 대한 재정지원의 경우, 2011/12년 첫 대회에
총 3천 6백 5십만 파운드로 총 재원 중 그 비중이 약 72%에 달하였으나
교육부 지원의 대부분을 차지하였던 체육교사파견기금이 2012/13년을 끝으로
폐지되면서 그 비중이 급감하였고, 장애인/자원봉사 기금도 지속적으로 감소하
며 전체 재원에서의 비중이 현저히 줄어들었다. 체육교사파견기금은 중등학교

113
해외 스포츠 정책 동향 분석 – 체육행정 거버넌스 및 주요 이슈 관련 정책 비교 -

체육교사가 지역 초등학교와 소속 중등학교에 전문 체육교육 및 스포츠 트레이


닝을 제공할 수 있도록 체육교사의 정규 수업을 주 1회 제하여 주기 위한
목적으로 각 학교에 지원되었던 교육부 지원금이다. 반면, 스포츠 잉글랜드를
통한 재정지원의 경우, 최근 두 대회에 1천 4백만 파운드를 각각 지원하며
약 3분의 2에 달하는 재원 조달을 책임지고 있으며, 보건부의 재정지원도
2012/13년 대회 이후로 7백만 파운드 규모의 지원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이와 같은 스쿨 게임 재정 지원 주체들 간 비중의 변화는 학교 스포츠를
관할하는 정책 리더십이 교육부에서 문화·미디어·스포츠부로 이동하고 있음
을 암시한다.

<표 Ⅲ-47> 스쿨게임 재정지원 현황


(2010/11~2015/16, 단위: 백만 ₤)
지원주체 재원 2010/11 2011/12 2012/13 2013/14 2014/15 2015/16
스포츠 잉글랜드 복권 1.2 7.8 6.2 10 10 5.5
보건부 국고 - 2.5 7.0 7.0 7.0 7.0
스포츠 잉글랜드
문화·미디어· 국고 - 4.0 4.0 4.0 4.0 4.0
스포츠부
교육부¹ 국고 - 32.5 32.5 - - -
교육부² 국고 - 4.0 1.3 0.95 0.49 미정
체육영재교환제도 국고 - - 0.02 0.1 0.07 0.09
합계 1.2 50.8 51.0 22.1 21.6 16.5
1) 체육교사파견 기금 2) 장애인, 자원봉사 기금
출처: School Games Indicator 2014/15 (2015)

표 Ⅲ-48은 2011/12년 1회 대회 이후 등록학교 수, 등록학생 수 및 학생


1인당 평균 공공자금 지출 현황을 나타낸 표이다. 2011/12년 8,341개였던
등록학교 수는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2014/15년 대회에 19,511개로 약 2.3배
증가하였으며, 등록학교 수의 증가에 따라 등록학생 수도 2011/12년 3백

114
Ⅲ. 국가별 스포츠 정책 거버넌스

8십 5 만 명에서 2014/15년 8백 3십 6만 명으로 약 2.2배 증가하였다. 스쿨


게임에 참가하는 학생 수는 증가한 반면,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교육부 지원의
감소로 인해 스쿨 게임에 지원되는 총 재정이 줄어 들었기 때문에 스쿨 게임을
통한 학생 1인당 평균 공공 자금 지출은 2011/12년 13.20파운드에서 2014/15
년 2.58파운드로 급감하였음을 알 수 있다.

<표 Ⅲ-48> 스쿨게임 참가 학생당 평균 공공자금 지출 현황(2011/12~2014/15)


등록학교 수 등록학생 수(명) 공공 자금 (₤) 학생당 평균 (₤)
2011/12 8,341 3,850,000 50,800,000 13.20
2012/13 13,561 5,410,000 51,020,000 9.43
2013/14 17,800 7,090,000 22,100,000 3.12
2014/15 19,511 8,360,000 21,600,000 2.58

출처: School Games Indicator 2014/15 (2015)

다) 스포츠 시설 투자

생활 스포츠 증진을 위한 스포츠 잉글랜드의 주요 투자 영역 중 하나는


국민들이 스포츠 활동을 즐길 수 있도록 다양한 스포츠 시설의 확충, 관리에
관한 것이다. 스포츠 잉글랜드의 스포츠 시설 투자는 소규모 지역 체육시설
및 클럽을 중심으로 스포츠 시설의 질적 향상과 양적 확장의 두 영역으로
이루어진다. 스포츠 시설의 질적 향상은 기존 시설 내 스포츠 활동 영역의
업그레이드뿐만 아니라, 탈의실, 샤워실과 같은 기존 시설들의 노후한 부대시설
을 현대화 하는 것을 포함한다. 한편, 양적 확장은 스포츠 시설의 신설과
더불어 사용률이 떨어지는 기존 시설의 사용률 증가와 체육공원보호
(protection of playing fields)의 방법으로 투자가 이루어진다. 잉글랜드에
위치한 스포츠 홀과 인조 잔디 구장의 75%, 그리고 수영장의 33%가 학교
시설인 관계로 방학 또는 야간에 사용이 되지 않아 사용률이 떨어질 수 밖에

115
해외 스포츠 정책 동향 분석 – 체육행정 거버넌스 및 주요 이슈 관련 정책 비교 -

없다. 스포츠 잉글랜드는 이러한 시설들의 사용률을 극대화하기 위해 이 시설들


을 학생들이 사용하지 않는 시간에 지역 주민들에게 개방하도록 하면서 학교에
보조금을 지급하고 있다. 또한, 스포츠 잉글랜드는 스포츠 시설 투자의 일환으로
체육공원보호기금(Protecting Playing Fields Fund)을 운용하고 있다. 체육
공원보호는 사용되지 않는 체육공원을 개량하여 다시 사용될 수 있게 하거나,
체육공원으로 사용 될 수 있는 땅을 구매 하는 방법, 그리고 개발 등으로
없어질 위기에 처한 체육공원을 구매하는 것 등을 포함하는 시설 투자 프로그램
이다. 스포츠 잉글랜드는 체육공원 부지가 포함되는 개발 사업에 있어서 계획을
신고, 자문 받아야 하는 법적 지위를 가지고 있으며, 개발 사업으로 없어지는
체육공원에 대한 대안을 전제로 사업을 승인하고 있다.

스포츠 시설 투자는 주로 복권 기금으로 조성된 '플레이스, 피플, 플레이


(Places, People, Play)'라는 이름의 기금으로 이루어진다. '플레이스, 피플,
플레이' 기금은 2012년까지 1차로 지역 스포츠 클럽 및 스포츠 시설 업그레이드
를 위해 5천만 파운드, 복합스포츠 시설 신설을 위해 3천만 파운드, 그리고
체육공원 보호를 위해 1천만 파운드를 투자하였으며, 2017년까지 추가로
1억 6천만 파운드를 투자할 예정이다. 표 Ⅲ-49는 잉글랜드 내 스포츠 시설의
종류와 수를 2009년과 2015년 현황으로 비교한 것이다. 지난 6년 간 스키
슬로프를 제외한 대부분의 스포츠 시설이 양적인 증가를 보였음을 알 수 있다.

<표 Ⅲ-49> 영국 스포츠 시설 현황 (잉글랜드)


시설 종류 2009년 2015년
육상 트랙 379 397
골프장 3,019 3,134
잔디구장 56,097 69,949
인조잔디구장 1,651 5,492
피트니스 센터 6,737 8,743

116
Ⅲ. 국가별 스포츠 정책 거버넌스

시설 종류 2009년 2015년
아이스 링크 44 49
실내 보울장 366 374
실내 테니스장 325 378
스키 슬로프 159 159
수영장 5,005 5,936
스포츠 홀 9,311 13,260
합계 83,093 107,871
출처: Active Places Power (2009, 2015)

3) 장애인 스포츠 거버넌스

영국의 장애인 스포츠는 비장애인 스포츠와 같이 경기 종목 단체에서 장애인


엘리트 스포츠와 장애인 생활 스포츠를 함께 총괄하고 있다. 마찬가지로 정부의
재정지원도 엘리트 스포츠의 경우 UK 스포츠를 통해, 생활 스포츠의 경우
스포츠 잉글랜드를 통해 이루어지고 있다. 엘리트 장애인 스포츠의 경우,
패럴림픽 종목들을 위주로 UK스포츠의 재정지원이 이루어 지고 있으며, 2016
년 리우 데 자네이루 패럴림픽을 위한 지원 대상 경기 종목 단체는 18개이다.
표 Ⅲ-50은 2000년 시드니 패럴림픽 이후 하계 패럴림픽 종목 경기 단체에
지원된 UK스포츠의 재정지원 현황을 나타낸다. 2013년부터 2017년 사이를
지원기간으로 하는 리우 데 자네이루 패럴림픽 대비 재정지원 규모가 2000년
시드니 패럴림픽 대비 재정지원 규모에 비해 약 7배 이상 증가하였음을 알 수 있다.

<표 Ⅲ-50> 하계장애인올림픽 종목별 UK스포츠 재정 지원 현황


(단위: ₤)
종목 시드니 아테네 베이징 런던 리우
양궁 n/a 531,000 1,212,000 2,147,700 2,449,947
육상 3,725,679 3,286,474 5,454,400 6,730,000 10,837,658

117
해외 스포츠 정책 동향 분석 – 체육행정 거버넌스 및 주요 이슈 관련 정책 비교 -

종목 시드니 아테네 베이징 런던 리우


보치아 112,122 229,384 614,761 2,333,300 3,663,781
사이클링 n/a 516,000 1,761,400 4,198,000 6,833,000
승마 n/a 1,188,000 2,404,700 3,605,500 3,782,800
펜싱 76,133 100,013 340,885 552,892 135,814
장애인 축구 n/a n/a 170,200 n/a n/a
골볼 162,103 17,975 115,000 513,453 n/a
유도 n/a 648,000 725,900 1,294,400 2,019,874
역도 151,006 339,455 691,100 1,092,700 891,444
조정 n/a n/a 1,303,900 2,332,300 3,834,382
요트 n/a n/a 1,228,000 1,748,900 3,616,610
사격 138,256 245,951 576,912 2,085,000 3,407,444
수영 3,523,238 4,445,181 6,925,196 10,468,750 11,756,218
탁구 272,446 401,099 909,590 1,699,400 3,006,850
배구 n/a n/a 230,200 786,961 n/a
휠체어 농구 1,636,433 1,835,609 3,099,200 4,493,930 5,379,264
휠체어 럭비 223,265 564,214 979,528 2,361,600 3,026,107
휠체어 테니스 54,921 473,000 803,000 809,600 1,925,270
카누 3,048,816
트라이애슬론 3,100,803
합계 10,075,602 14,821,355 29,545,842 49,254,386 72,716,080
*지원기간: 2013~2017
출처: UK Sport (www.uksport.gov.uk)

표 Ⅲ-51은 2006년 토리노 패럴림픽 이후 동계 패럴림픽 종목 경기 단체에


지원된 UK스포츠 재정지원이다. 동계 패럴림픽 종목에 대한 지원은 2006년
토리노 패럴림픽에서 장애인 알파인 스키에 1만 파운드가 지원이 된 것을
시작으로 2010년 뱅쿠버 패럴림픽부터 기존 장애인 알파인 스키에 휠체어
컬링 종목을 추가로 지원하며 재정지원이 대폭 증액되었다. 2014년과 2018년
을 지원기간으로 하는 2018년 평창 패럴림픽 대비 두 종목에 대한 재정지원
규모는 2010년 뱅쿠버 패럴림픽 지원금액 대비하여 약 6배가 증가한 규모이다.

118
Ⅲ. 국가별 스포츠 정책 거버넌스

<표 Ⅲ-51> 동계장애인올림픽 종목별 UK스포츠 재정 지원 현황


(단위: ₤)
올림픽 종목 토리노 뱅쿠버 소치 평창
장애인 알파인 스키 10,000 205,000 405,400 2,749,000
휠체어 컬링 n/a 445,000 350,200 1,167,300
합계 10,000 650,000 755,600 3,916,300

*지원기간: 2014~2018
출처: UK Sport (www.uksport.gov.uk)

1992년 바르셀로나 하계 패럴림픽과 알버트빌 동계 패럴림픽에서 영국


대표팀이 획득한 메달 수와 최종 순위는 표 Ⅲ-52에 나와 있는 것과 같다.
종전에 강세를 보여오던 하계 패럴림픽에서 꾸준히 좋은 성적을 거두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특히 동계 패럴림픽의 경우 2014년 소치 패럴림픽에서 거둔
괄목할만한 성과는 엘리트 장애인 스포츠에 대한 영국정부의 지원 효과를
반영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표 Ⅲ-52> 1992년 이후 영국 국가대표 하계, 동계 패럴림픽 메달 수 및 최종 순위


하계 패럴림픽 금 은 동 순위 동계 패럴림픽 금 은 동 순위
1992 바르셀로나 40 47 41 3 1992 알버트빌 0 1 4 15
1996 애틀랜타 39 42 41 3 1994 릴레함메르 0 0 5 21
2000 시드니 41 43 47 2 1998 나가노 0 0 0 22
2004 아테네 35 30 29 2 2002 솔트레이크 씨티 0 0 0 23
2008 베이징 42 29 31 2 2006 토리노 0 1 0 17
2012 런던 34 43 43 3 2010뱅쿠버 0 0 0 21
2014 소치 1 3 2 10

출처: International Paralympic Committee

장애인 생활 스포츠의 경우, 스포츠 잉글랜드에 의해 재정지원이 이루어지고


있다. 스포츠 잉글랜드는 장애인의 스포츠 시설 접근성 향상을 위하여 스포츠

119
해외 스포츠 정책 동향 분석 – 체육행정 거버넌스 및 주요 이슈 관련 정책 비교 -

시설에 대한 기금 '플레이스, 피플, 플레이'의 1억 5천만 파운드 중 약 1천만


파운드를 장애인 대상 개선 목적으로 용도 지정하여 투자하고 있다. 또한
경기 종목 단체에 대한 지원에 있어서도 '전 스포츠 계획 2013-17'의 투자를
받는 46개 경기 종목 단체에게 장애인 스포츠 활동에 대한 지원을 요구하여
경기 종목단체들이 장애인의 스포츠 참여 증진에도 관심을 가지도록 유도하고
있다. 스포츠 잉글랜드의 장애인 스포츠 투자현황은 표 Ⅲ-53과 같다.

<표 Ⅲ-53> 스포츠 잉글랜드의 장애인 스포츠 투자 현황


(단위: ₤)
분야 투자액
경기종목단체(2013-17) 91,500,000
시설 접근성 47,000,000
7개 국가 장애인 스포츠 기구 1,370,000
영국 장애인 스포츠 협회 1,980,000
2013 청각장애인 올림픽 134,000
하계 국내 스페셜 올림픽 191,000
장비지원 1,150,000
인클루시브 스포츠 (2013~2015) 19,200,000
신규 프로젝트 8,000,000
총계 171,000,000
출처: Sport England (www.sportengland.org)

스포츠 잉글랜드는 장애인들의 스포츠 참여에 있어서 가장 큰 걸림돌이


되는 것 중 하나가 전문 장애인 스포츠 장비라는 점에 주목하여, 복권기금에서
1백만 파운드를 출연하여 '겟 이큅트(Get Equipped)'라는 기금을 조성, 장애인
스포츠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관들의 전문 장애인 스포츠 용품구매를 지원하는
사업 또한 진행하고 있다. 장애인 스포츠 참여를 증진시키기 위한 이 장비구매보
조 기금은 장애인 스포츠와 관련한 비영리 기구들이 신청할 수 있으며 3백에서

120
Ⅲ. 국가별 스포츠 정책 거버넌스

1만 파운드 사이의 금액을 지원하고 있다. 표 Ⅲ-54는 장애인 스포츠 참여


상위 5개 스포츠와 요구 스포츠 장비를 나타낸 표이다. 한편, 표 Ⅲ-55에서는
장애 종류별 스포츠 참여현황을 알 수 있다.

<표 Ⅲ-54> 상위 5개 장애인 스포츠 참여 스포츠 종목 및 요구 스포츠 장비


순위 스포츠 종목 스포츠 장비
1 수영 휠체어
2 웨이트 트레이닝 골 볼 및 장비
3 피트니스 장애인 요트
4 사이클링 보치아 장비
5 육상 장애인 조정 장비

출처: Sport England (www.sportengland.org)

<표 Ⅲ-55> 장애별 스포츠 참여 현황


장애 종류 참여도
청각장애 11%
학습장애 15%
시각장애 11%
정신장애 16%
신체장애 18%
자폐장애 21%
기타장애 18%

출처: Active People Survey 7 (2013)

바. 영국 스포츠 정책 주요 이슈 동향

1) 최신 스포츠 정책 동향

앞서 언급한바 있듯이, 1990년대 이후 영국의 스포츠 정책은 엘리트 스포츠

121
해외 스포츠 정책 동향 분석 – 체육행정 거버넌스 및 주요 이슈 관련 정책 비교 -

진흥과 국민의 스포츠 참여율 제고를 위한 지원이라는 두 개의 큰 목표를


꾸준히 유지해왔다. 이러한 정책적 흐름은 2000년대에 들어서도 크게 변하지
않았지만 2010년 총선을 통해 보수당-자민당 연립 정권이 수립되면서 기존의
노동당 정권이 추진하던 스포츠 정책을 수정하거나 새로운 정책으로 대체하는
등 그 접근법에 있어서는 어느 정도 변화가 있었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변화의 배경에는 정권의 교체 이외에도 2000년대 후반 발생한 글로벌 금융위기
의 여파로 긴축재정의 기조를 내세울 수밖에 없었던 보수당-자민당 연립정권의
입장이 반영된 것도 있었다. 최신 주요 스포츠 정책에 대해서는 앞서 언급하지
못한 정책이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고자한다.

지난 10년간 영국의 스포츠 정책에 영향을 미친 이슈는 무엇보다 2012년


런던 올림픽을 꼽을 수 있을 것이다. 2012년 런던 올림픽은 대회 이전은
물론, 대회 종료 이후에도 영국의 스포츠 정책에 많은 영향을 미쳤다. 그
중에서도 주목할 만한 것은 엘리트 스포츠 진흥과 국민 스포츠 참여율 제고라는
기존의 두 스포츠 공공정책의 목표에 런던올림픽을 계기로 '올림픽 유산의
계승'이라는 새로운 정책적 목표가 추가되었다는 것이다. 문화·미디어·스포
츠부는 정책자료를 통해 "2012년 올림픽과 장애인 올림픽의 유산을 오래
지속되는 유산으로 만든다"라는 정책목표를 공표한 바 있다(Triennial Review
of UK Sport and Sport England, 2015). UK스포츠는 2012년 11월, 이
올림픽 유산의 계승이라는 정책목표를 구체화한 정책으로 '골드 이벤트 시리즈
프로그램(Gold Event Series Programme)'을 시행하여 국제 주요 스포츠
이벤트의 영국 내 개최를 진흥하고 있다. UK스포츠는 '2013-2019 골드
이벤트 시리즈'의 정책의도를"2012년 런던 올림픽과 2014년 글래스고우 영연
방게임의 유산을 활용하여 영국을 주요 국제 스포츠 이벤트 유치의 선도자로
만드는 것"으로 소개하고 있다(Gold Event Series Investment Guide
2013-2019). UK스포츠는 해당 프로그램을 통해 메이저 스포츠 이벤트 개최로

122
Ⅲ. 국가별 스포츠 정책 거버넌스

국민들이 스포츠를 향유할 수 있는 기회 제공, 런던올림픽 및 글래스고우


영연방게임을 통해 얻은 영국의 스포츠 위상 강화, 영국 발달된 스포츠 인프라
스트럭쳐의 활용, 사회·경제적으로 긍정적인 파급효과 유도 등의 목적을
달성하려 하고 있다. 이 프로그램은 주요 국제 스포츠 이벤트를 유치하려는
영국의 지방자치단체 또는 경기종목단체들에게 입찰부터 대회의 개최까지,
준비와 실행의 과정에 있어서, 문화·미디어·스포츠부와 UK스포츠, 그리고
각 정부부처가 지원 및 각종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또한 eventIMPACTS.com
이라는 웹사이트를 운영하여 국제 대회 유치에 필요한 정보 제공 및 대회
유치를 통한 파급 경제효과 등을 산출해 볼 수 있도록 하고 있다. UK스포츠는
2013년부터 2023년까지 시행되는 이 프로그램에 총 4천만 파운드를 투자할
예정이다. 프로그램이 시행된 이래 2015년까지 59개의 대회를 유치하였고,
이중 34개를 이미 개최하였다. 개최된 34개의 대회는 5백 5십만 명의 관중을
동원하였으며 경제적 파급효과는 1억 5천 7백만 파운드로 추산된다.

한편, 2000년대 후반 글로벌 금융위기로 인해 2010년 집권한 보수당-자민당


연립 정부는 긴축재정 기조 하에 작은 정부를 지향하게 되었고, 비용효율성을
전제로 비정부 공공기관들에 대한 구조조정을 실시하게 된다. 2011년 영국
내각부는 구조조정 후 남아있는 비정부 공공기관들이 3년 단위의 평가를 받을
것을 명시한 공공기관법 2011을 제정, 공표하였으며 이에 따라 모든 비정부
공공기관들은 매 3년 마다 정기 평가를 받고 이를 토대로 추후 기관 운영
방향에 대한 논의의 대상이 되게 되었다. 영국 스포츠 정책 수행의 대리인
성격을 가진 UK스포츠와 스포츠 잉글랜드, 두 비정부 공공기관도 이 공공기관
법 2011의 대상에서 예외는 아니었으며, 이는 특히 두 기관으로 나누어 운영되
는 현 구조에 관한 논의를 불러일으켰다. 앞서 자세히 살펴본 바와 같이 UK스포
츠와 스포츠 잉글랜드는 각각 엘리트 스포츠와 생활 스포츠에 초점을 두고,
정부 기금 및 복권 기금의 배분기관으로 서 경기종목단체 등 스포츠 관련

123
해외 스포츠 정책 동향 분석 – 체육행정 거버넌스 및 주요 이슈 관련 정책 비교 -

단체들에게 기금을 배분하여 정부의 스포츠 정책을 실질적으로 시행되게 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엘리트 스포츠와 생활 스포츠의 정책 소관을 분명히 하기
위해 1996년 설립된 이래 각각의 영역에서 활동해오던 두 기관에 대해 약
20년이 지난 시점에 지금처럼 분리해서 운영을 하는 것과 통합하여 운영하는
것 중 어느 것이 더 효율적인지에 대한 논의가 나오게 되었다. 2015년 발표된
'UK스포츠 및 스포츠 잉글랜드 3개년 평가(Triennial Review of UK Sport
and Sport England)에서는 현재의 시스템대로 UK스포츠와 스포츠 잉글랜드
가 엘리트 스포츠와 생활 스포츠의 영역을 각각 담당하는 것이 각각의 기능을
수행하기에 더 적합하며, 분리 운영하는 것이 각각의 이해당사자들의 공동
이익을 추구할 수 있는 방안이라는 결론이 도출되었다. 이에 따라 추후 평가에서
큰 변화가 없는 한, 두 기관은 당분간 독립된 비정부 공공기관으로서 공존하게
되었다.

2) 스포츠 정책에서의 양성평등

스포츠 잉글랜드가 정기적으로 실시하는 전국 스포츠 참여율 조사에 따르면


여성의 스포츠 참여율은 남성의 스포츠 참여율과 비교할 때 상대적으로 크게
낮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그림 Ⅲ-26은 2006년 이후 2015년까지 16세
이상 남녀 스포츠 참여 인구 및 비율을 나타낸 것이다. 남녀의 스포츠 참여
비율을 비교해 볼 때 2006년 남성이 39.4%, 여성이 30.1%로 여성의 스포츠
참여율이 약 9.3% 포인트 정도 낮게 조사된 이래 여성의 스포츠 참여율은
남성에 비해 약 10% 포인트 내외의 차이로 낮은 참여율을 지속적으로 보이고
있다. 최근 조사인 2015년 자료에서도 10% 포인트의 차이가 유지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여성의 스포츠 참여율만을 놓고 보았을 때도 2012년 런던 올림픽을
전후하여 약간 증가하였으나 2013년 이후 지속적으로 감소세를 보여 2015년에
는 2006년과 큰 차이가 없는 30.7%의 스포츠 참여율을 기록하였다.

124
Ⅲ. 국가별 스포츠 정책 거버넌스

(만 16세 이상, 단위: 백만 명)

<그림 Ⅲ-26> 남녀 스포츠 참여 인구


출처: Active People Survey 9Q2 (2015)

또한 그림 Ⅲ-27에 나타난 바와 같이, 남녀의 스포츠 참여율을 연령별로


비교해 보면 65세 연령대를 제외한 다른 모든 연령대에서 여성의 스포츠 참여율
이 남성에 비해 낮은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10대와 20대의 연령층에서는
그 격차가 더욱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국민의 스포츠 참여율 제고를 정책적
목표로 삼고 있는 영국 정부는 남성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여성의 스포츠
참여율에 주목하여 여성의 스포츠 참여율을 제고해야 할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으며, 이러한 의도는 스포츠 잉글랜드의 여성 스포츠 참여 촉진 사업으로
구체화되고 있다.

125
해외 스포츠 정책 동향 분석 – 체육행정 거버넌스 및 주요 이슈 관련 정책 비교 -

<그림 Ⅲ-27> 연령별 남녀 스포츠 참여율


출처: Go Where Women Are (2015)

스포츠 잉글랜드는 자료집인 '여성과 스포츠(Woman and Sport)'를 통해


여성 스포츠 참여 촉진의 필요성에 대해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이유를 밝히고 있다.

첫째, 여성의 스포츠 참여는 다른 가족 구성원의 스포츠 참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특히, 여성 자녀들은 스포츠 스타나 스포츠 이벤트 보다 스포츠
활동을 하는 어머니의 영향을 더 많이 받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둘째, 스포츠
활동은 여성의 정신적 건강을 증진시킨다. 신체 활동은 우울, 불안, 심리적
고통, 감정 기복을 완화시키며 자존감을 증진시키는 효과가 있다. 셋째, 여성은
스포츠 참여를 통해 신체적 건강을 도모할 수 있다. 스포츠에 참여하거나
신체 활동을 늘리는 것은 건강하지 못한 신체 상태를 피하는데 효과적이다.
2009/2010년, 잉글랜드 지역 일차의료기관에서 신체적 활동의 부족으로 인해
9억 4천만 파운드의 비용이 발생한 것으로 추산된다. (Women and sport, 2013)

두 번째와 세 번째 이유가 남녀에 상관없이 적용되는 이유인 반면, 첫 번째


이유는 여성, 그 중에서도 특히 가정 내에서 어머니의 스포츠 활동이 다른
가족 구성원의 스포츠 참여에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이라는 점에서 주목할

126
Ⅲ. 국가별 스포츠 정책 거버넌스

만 하다. 이는 여성의 스포츠 참여를 단순히 당사자의 참여로 그치는 것이


아니라 가족과 같은 주변 인물의 스포츠 참여를 촉진시키는 구심점이 될 수
있다고 인식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근거들을 바탕으로 스포츠
잉글랜드는 여성 스포츠 참여 증진을 위한 20개의 프로젝트에 1천만 파운드를
투자하고 있다.

스포츠 잉글랜드는 여성의 스포츠 참여가 저조한 원인을 찾기 위해 잉글랜드


북서부 지방에 위치한 도시인 버리(Bury)시에서 'I Will If You Will'이라는
1년 기간의 행동 변화 탐색 연구를 통해 여성의 스포츠 참여를 유도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연구를 진행한 바 있다. 스포츠 잉글랜드는 해당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Go where women are'라는 보고서를 발행하여 여성의 스포츠
참여 촉진에 있어서 고려해야 할 사항에 대한 통찰을 제공하였다. 해당 보고서는
여성의 스포츠 참여를 저해하는 원인에 대해 기존의 환경적인 문제(시간 부족,
접근성 부족, 정보 부족 등)뿐만 아니라 '여성이 스포츠 활동에 대해 가지고
있는 인식'의 문제를 강조하여 전환적인 접근법을 제시하였다. 해당 보고서는
여성이 가지고 있는 스포츠에 대한 인식이 여성과는 부정적인 이미지들로
연관되어 있으며 이로 인해 여성이 스포츠 활동에 참여할 동기부여가 어렵다는
점을 강조하며 이를 개인적인 장애물(personal barriers)이라고 하였다. 먼저,
여성은 스포츠에 참여하는 자신에 대한 타인들의 평가에 대한 두려움(fear
of judgement)을 가지고 있으며 이는 여성의 스포츠 참여에 장애물이 된다고
한다. 여성들은 스포츠에 참여하는 과정에서 다른 사람들의 시선을 의식하는
경향이 있어, 자신이 다른 사람들만큼 잘 하지 못한다든지, 잘 가꾼 몸을
가진 사람들과 비교된다든지, 다른 사람의 기대에 미치지 못한다든지 하는
것들에 대한 두려움으로 스포츠 참여를 꺼린다는 것이다. 또한 스포츠에 참여하
는 동안에 노출되는 자신의 모습에 대한 걱정도 여성의 스포츠 참여를 가로막는
하나의 원인이라고 밝혔다. 운동을 하는 동안 드러낼 수 밖에 없는 꾸미지

127
해외 스포츠 정책 동향 분석 – 체육행정 거버넌스 및 주요 이슈 관련 정책 비교 -

않은 모습, 예를 들면 화장을 하지 않은 모습이나 상기된 얼굴, 땀 흘리는


모습을 보이는 것을 좋아하지 않아 스포츠에 참여를 기피한다는 것이다. 이와
더불어 해당 보고서는 여성 스포츠 선수들의 근육질 몸매가 언론과 소셜 미디어
에 부정적으로 비치는 것도 여성이 스포츠 참여에 대해 부정적인 이미지를
가지게 하는 요인으로 꼽았다. 한편 개인적인 이유가 아닌 사회적·환경적
요인들을 현실적 장애물(practical barriers)이라고 하였는데 여기에는 육아와
가사 등으로 인한 시간의 부족, 경제적 부담, 자신에게 맞는 시간과 운동을
찾는 어려움, 정보의 부족 등이 포함되었다.

스포츠 잉글랜드는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여성의 스포츠 활동 참여를


촉진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여성들이 가지고 있는 스포츠 활동에 대한 인식을
전환하는 것이 우선되어야 한다고 판단하였으며, 스포츠 활동에 대한 여성들의
인식 전환을 통한 여성 스포츠 참여율 제고라는 전향적인 접근을 시도하고
있다. 새로운 접근법의 일환으로 스포츠 잉글랜드는 2015년 1월 'This Girl
Can'이라는 캠페인을 시작하였는데, 여성의 스포츠 활동에 대한 인식을 전환하
기 위한 이 캠페인은 TV를 비롯해 오프라인(지하철, 옥외 대형광고 등), 온라인
미디어를 통해 캠페인 포스터, 동영상 등으로 메시지를 전달하고 있다. 스포츠
활동에 참여하는 평범한 여성들의 이미지와 단문의 메시지로 구성된 캠페인
포스터 및 동영상은 여성들의 스포츠 참여를 저해하는 개인적 장애물들에
포커스를 맞춰 스포츠 참여에 대한 여성들의 태도를 전환하려 하고 있다.
기존의 캠페인들이 날씬한 몸매의 모델들이 운동하는 모습을 보여 주었던
것에 반해 'This Girl Can' 캠페인은 주위에서 흔히 볼 수 있는 평범한 여성들이
운동하며 땀을 흘리는 모습 등을 직접적으로 보여주며, 여성의 스포츠 참여가
날씬한 몸매를 만들기 위한 것, 남에게 보여주기 위한 것이 아닌 누구나 스포츠
그 자체를 즐기기 위한 것임을 강조하고 여성들의 스포츠 참여를 촉구하였다.
예로써, 축구를 하는 여성의 모습과 함께 'I kick balls. Deal with it'이라는

128
Ⅲ. 국가별 스포츠 정책 거버넌스

메시지를 보여주고(그림 Ⅲ-28, 左上), 자전거 타는 여성의 모습에 'I'm slow


but I'm lapping everyone on the couch'라는 문구를 노출함으로써(그림
Ⅱ-28, 右上) 여성들이 스포츠 참여에 개인적 장애물로 작용하는 타인들의
평가에 대한 두려움을 불식시키려 한다. 또한 스포츠 활동 중에 노출되는
모습을 걱정하는 여성들을 대상으로 하여 웨이트 트레이닝을 하며 땀 흘리는
여성의 모습과 'Hot and not bothered'라는 메시지를 함께 보여준다(그림
Ⅲ-28, 左下). 그리고 그림 Ⅲ-28(右下)에서 보여지듯이 수영복을 입은 여성의
모습과 함께 'I swim because I love my body. Not because hate it'이라는
문장을 함께 노출하여 여성의 스포츠 활동 참여가 자신의 현재 상태를 부정적으
로 인식하는 것에서 시작하는 것이 아니며 긍정적인 동기에서 시작한다는
것을 강조하기도 한다.

<그림 Ⅲ-28> This Girl Can캠페인 포스터


출처: This Girl Can (www.thisgirlcan.co.uk)

평범한 여성의 운동하는 모습을 앞세운 'This Girl Can' 캠페인은 영국


여성들로부터 즉각적인 호응을 받았다. 캠페인의 광고 영상은 공개 3일만에
1백만 회의 시청 횟수를 기록하였으며, 2015년 한 해 동안 유튜브와 페이스북을

129
해외 스포츠 정책 동향 분석 – 체육행정 거버넌스 및 주요 이슈 관련 정책 비교 -

통해서만 3천 7백만 회가 시청되었다. 해당 영상은 2015 칸 영화제에 출품되어


성 불평등과 편견에 대한 이슈를 다루는 영상에게 수여되는 '유리 사자상(Glass
Lion: The Lion for Change)'을 수상하기도 하였다. 스포츠 잉글랜드는
캠페인의 영향으로 2015년 4월부터 9월 사이에 매주 30분씩 1회 이상 운동하는
16세 이상 여성이 약 14만 8천 7백 명 증가한 것으로 추산하였다. 이는 2012년
런던 올림픽 이후 감소 추세를 보여온 스포츠 참여율을 반전시킨 의미 있는
결과라고 할 수 있다. 비록 해당 캠페인이 시행된 지 얼마 지나지 않은 시점이기
때문에 그 성패를 판단하는 것은 무리가 있으나, 해당 캠페인이 여성들이
가진 스포츠 참여에 대한 인식과 태도변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This Girl Can' 캠페인은 여성들이 가지고 있는 스포츠
활동에 대한 편견과 고정관념을 변화시켜 참여를 유도한다는 측면에서 남녀
간 스포츠 참여율의 불균형을 해소하기 위한 정책 시행에 새로운 접근법을
제시한다는 데 의미가 있다고 본다.

3) 스포츠 정책에서의 민간협력 - 위성 클럽(Satellite clubs) 제도의 사례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스포츠 정책을 관장하는 문화·미디어·스포츠부의


대리인 성격을 가지고 있는 UK스포츠와 스포츠 잉글랜드의 두 비정부공공기관
을 통해 정부 보조금 및 복권기금이 경기종목단체(NGBs) 등 민간 스포츠
조직으로 배분되고 있으며, 이들 민간 스포츠 조직의 프로그램을 통해 영국
정부의 스포츠 정책이 시행되고 있다. 이처럼 영국 스포츠 정책 수행 전반에
걸쳐서 공공 부문과 민간 부문 간의 협력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스포츠 참여율 제고를 위해 시행되고 있는 '위성 클럽(satellite clubs)'제도는
정책적 목적 달성을 위한 공공 부문과 민간 부문의 협력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라고 할 수 있다.

영국 정부는 스포츠 공공정책 목표에 "국민들이 더 어린 나이에 스포츠를


시작하고 그들의 생애를 통해 지속적으로 스포츠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130
Ⅲ. 국가별 스포츠 정책 거버넌스

결과적으로 더 많은 국민들이 스포츠에 참여하도록 한다"라고 명시하였듯이


생활 스포츠 진흥에 있어서 유·청소년기에 스포츠를 시작한 국민들이 지속적
으로 스포츠 활동을 영위하도록 함으로써 스포츠 참여도를 제고하려는 의도를
가지고 있다. 하지만 스포츠 잉글랜드의 생활 스포츠 증진 5 개년 전략인
'스포츠의 생활 습관화: 2012-2017(A Sporting Habit for Life:
2012-2017)'에서도 언급되었듯이, 중등학교 또는 대학교를 떠나는 시기에
스포츠 활동을 중단(drop out)하는 청소년들이 많으며 때문에 해당 연령 이후의
스포츠 참여율이 급감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그림 Ⅲ-17참조). 영국 정부는
이와 같은 청소년의 사회 진입 후 스포츠 활동 중단 현상의 원인을 청소년들이
중등학교 및 대학교 스포츠에서 사회 스포츠 활동으로 전환하는 것이 어렵기
때문이라고 판단하였다. 이에 스포츠 잉글랜드는 청소년들이 학교 스포츠에서
사회 스포츠로 전환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여, 지속적으로 스포츠 활동을 영위하
게 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해 '위성 클럽' 제도를 만들어 시행하고 있다.

위성 클럽은 지역사회 스포츠 클럽(community sports clubs)의 프랜차이즈


와 같은 형태의 스포츠 클럽으로 14세에서 25세 사이의 연령대 청소년 층을
대상으로 하여 주로 중등학교 또는 대학교에 설립되는 일종의 분점 형태의
스포츠 클럽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림 Ⅲ-29> 위성 클럽 모델
출처: Satellite Clubs Guide (2015)

131
해외 스포츠 정책 동향 분석 – 체육행정 거버넌스 및 주요 이슈 관련 정책 비교 -

위성 클럽을 파생하여 설립하는 지역사회 스포츠 클럽들은 허브 클럽(hub


club)이라고 불리기도 한다. 위성 클럽들은 보통 허브 클럽에의 해 운영되며,
허브 클럽에서 파견된 코치들과 자원봉사자들이 위성 클럽이 설립된 기관(주로
교육기관)과 협업하게 된다. 위성 클럽은 지역 내 청소년들에게 저녁과 주말
시간대에 참여할 수 있는 활동을 제공하고, 그들이 지속적으로 스포츠 활동에
참여할 수 있도록 유도하여, 청소년의 스포츠 참여 이탈을 감소시키는 것과
동시에, 특정 스포츠에 대한 수요 증가를 통해 허브 클럽의 역량을 강화하는
것을 주요 목표로 한다. 그림 Ⅲ-29는 위성 클럽 모델을 도식화 한 것이다.

위성 클럽의 주요 특징들은 다음과 같다.

- 주로 중등학교와 대학과 같은 지역에 기반을 두고 설립되지만 허브 클럽과


지리적인 인접성이 확보되는 범위 내에 위치

- 기반을 둔 중등학교나 대학의 재학생들에게 국한되지 않고 위성 클럽이


위치한 지역 사회의 모든 청소년들이 참여 가능

- 최소 주 1회 이상의 빈도로 정기적으로 운영되며 학기에 제한되지 않음

- 해당 지역의 청소년들이 시설을 이용할 수 있는 시간에 운영

- 지역사회 클럽으로 명확히 확인될 수 있음

- 허브 클럽의 코치와 자원봉사자들에 의해 운영(허브 클럽과의 주요 연계)

- 허브 클럽에 비해 상대적으로 회원가입 및 규정(유니폼, 장비 등)이 유연하


고 덜 격식적임

- 특정 집단을 대상으로 함 (장애인, 연령, 성별 등)

- 코치들과 자원봉사자들은 위성 클럽을 마치는 참가자들이 허브 클럽


가입 또는 다른 방법을 통해 해당 스포츠에 지속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유도하고 지원함

132
Ⅲ. 국가별 스포츠 정책 거버넌스

<그림 Ⅲ-30> 위성 클럽 제도 시행 주체 관계도

그림 Ⅲ-30은 위성 클럽 제도의 시행에 관여하는 주체들의 관계를 도식화


한 것이다. 그림 Ⅲ-30에서 보이듯이 위성 클럽 제도는 스포츠 잉글랜드의
재정지원 하에 허브 클럽이 속해 있는 종목별 경기단체(NGBs), 위성 클럽을
유치하는 지역의 지방정부당국, 그리고 허브 클럽과 유치 지역을 연결해 주는
역할을 하는 클럽 링크 메이커(Club Link Makers)가 속한 지역 스포츠 파트너
십(County Sport Partnerships: CSPs)의 연계에 의해 시행된다. 스포츠
잉글랜드는 2017년까지 잉글랜드 내 모든 중등학교에, 지역에 따라 하나
이상의 종목별 경기단체와 직접적인 연계를 가진, 위성 클럽을 유치하는 것을
목표로 2017년 3월까지 4천 8백 50만 파운드를 투자하고 있다. 이 계획에는
중등학교와 더불어 지역의 수요에 따라 대학 및 유사 교육기관, 그리고 지역사회
에 위성 클럽을 유치하는 것도 포함되어 있으며, 현재 약 6,800개의 위성

133
해외 스포츠 정책 동향 분석 – 체육행정 거버넌스 및 주요 이슈 관련 정책 비교 -

클럽이 설립되어 있다. 스포츠 잉글랜드의 투자는 세 가지 루트를 통해 이루어지


는데, 약 2천만 파운드가 '통합 스포츠 계획 2013-2017'을 통해 종목별 경기단
체들에게 전국적으로 지원되고 있으며, 약 2천 1백만 파운드가 중등학교를
비롯한 기타 유치 기관에 지역적으로 투자되고, 마지막으로 클럽 링크 메이커의
고용을 위한 비용으로 약 7백 5십만 파운드가 지역 스포츠 파트너십에 배분되고
있다. 지역 스포츠 파트너십(CSPs)은 지역사회와 종목별 경기단체(NGBs)의
연계를 통해 종목별 경기단체들이 스포츠 서비스를 지역 주민에게 제공하게
하는 역할을 하는 기관으로 스포츠 잉글랜드의 프로그램들을 지역 사회 수준에
제공하여 국민의 스포츠 참여를 증진시키는 것을 목표로 한다. 현재 잉글랜드
지역 내 45개의 지역 스포츠 파트너십이 존재하고 있다. 각 지역 스포츠 파트너십
은 클럽 링크 메이커를 고용하여 이들로 하여금 허브 클럽과 유치 지역을
연결하여 위성 클럽의 설립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위성 클럽 제도 시행에
관여하는 주체들에 따른 역할과 책무는 표 Ⅲ-56과 같으며, 예상되는 혜택은
표 Ⅲ-57에 보이는 바와 같다.

<표 Ⅲ-56> 위성 클럽 제도 참여 주체에 따른 역할과 책무


참가 주체 역할 및 책무
­위성 클럽의 소유 및 운영
­위성 클럽 운영을 위한 클럽 코치 및 자원봉사자의 모집 및 파견
지역사회 '허브' 클럽 ­서비스의 질 보장 및 보호 장치 제공
­참가자들이 원하는 때에 위성 클럽에서 허브 클럽으로 옮겨
갈 수 있거나 그에 상응하는 기회가 주어짐을 보장
­젊은이들이 참여하기에 적절한 시간과 장소에서 그들이 원
하는 스포츠를 위성 클럽이 제공할 수 있도록 상담
­위성 클럽이 가장 적합한 시설을 이용하고 지역의 요구에
위성 클럽 유치 기관 부응할 수 있도록 허브 클럽과 협업
(학교, 대학 등) ­유치 기관 및 상응하는 파트너들(지역 학교 및 대학)에 위
성 클럽을 홍보
­학생들이 참가자 또는 자원봉사로 위성 클럽에 참여할 수
있게 유도

134
Ⅲ. 국가별 스포츠 정책 거버넌스

참가 주체 역할 및 책무
­해당 스포츠의 지리적인 우선 지역 분석
­적절한 스포츠 서비스 규명
­참가자들이 초심자에서 정규 선수로 나아갈 수 있도록 적절
종목별 경기단체 한 진로를 제공
­전국 및 지역 직원을 통해 허브 클럽과 위성 클럽 지원
­필요 자원과 장비에 대한 접근 제공
­코치, 리더, 자원봉사자를 양성하는 기회 제공
­클럽 링크 메이커를 고용해 종목별 경기단체를 해당 지역의
학교, 대학 및 지역사회에 연결
­허브 클럽과 위성 클럽 유치 지역 둘의 요구가 모두 충족될
수 있도록 수요와 공급을 매칭
지역 스포츠 파트너쉽
­적절한 위성 클럽 유치지역을 규명하기 위해 학교, 대학,
지역정부당국과 협업
­종목별 경기단체가 학교와 지역 클럽의 요구사항을 파악할
수 있도록 지원
출처: Satellite Clubs Guide (2015)

<표 Ⅲ-57> 위성 클럽 제도 참여 주체에 따른 기대 혜택


참가 주체 기대 혜택
­정기적 참가자 및 신규 회원 모집
­장기적인 회원 수 유지 및 충성도 제고
종목별 경기단체
­14세~25세 연령층의 스포츠 참여 이탈 감소

­자원봉사자 및 리더 모집의 신규 기회 창출
허브 클럽
­지역사회와의 유대 강화
­클럽의 장기적 지속가능성 강화
­지역사회 클럽과의 신규 연계 창출, 학교 및 대학의 다양한 협
력관계 증대
­지역사회 내 학교 및 대학의 위상 제고
위성 클럽 유치 기관
­학교 및 대학의 시설 활용 극대화 및 잠재적 수익 창출
­학생들과 지역사회에 새로운 스포츠 참여 기회 확대
­지역사회 클럽으로 청년 리더를 파견할 수 있는 새로운 장의 창출
­적절한 장소와 시간에 적절한 스포츠 참여 경험
­친숙하고 보다 비 격식적인 환경에서 친구들과 스포츠 참여
참가자
­새로운 스포츠를 경험하고 배울 수 있는 기회
­코칭 또는 리더쉽 역할을 맡을 기회
출처: Satellite Clubs Guide (2015)

135
해외 스포츠 정책 동향 분석 – 체육행정 거버넌스 및 주요 이슈 관련 정책 비교 -

요컨대 위성 클럽 제도는 공공 부문에서 재정지원(스포츠 잉글랜드)과 시설제


공(학교 등)을 하고 민간 부문에서 스포츠 서비스(종목별 경기단체, 허브 클럽)
를 공급하여, 청소년들이 학교 스포츠에서 사회생활 스포츠로 자연스럽게
전환할 수 있도록 도와, 학교에서 사회로의 이동시기에 스포츠 참여 이탈을
감소시킴으로써 정부의 정책적 목표인 스포츠 참여율 제고를 도모한다는 점에서
스포츠 정책 시행에 있어서 공공-민간 협력(PPP)을 보여주는 사례라고 할
수 있다. 다만, 위성 클럽 제도는 2013년에 시작한 사업이기 때문에 그 정책적
효과를 아직은 검증하기 힘들다고 사료된다. 해당 사업의 효과는 '통합 스포츠
계획 2013-2017'의 1차시기가 끝나는 2017년 이후에 성인 스포츠 참여
실태를 사업 시작 전인 2013년 이전의 자료와 비교하여 검증이 가능할 것이다.
비교에 활용할 수 있는 자료의 예로는, 성인 스포츠 참여 형태 변화를 통해
스포츠 클럽을 통한 성인의 스포츠 참여가 증가하였는지의 여부, 연령별 스포츠
참여도 변화를 통해 14~25세 이후 스포츠 참여 이탈이 감소되었는지의 여부
등으로 사업의 효과를 검증할 수 있을 것이며, 부가적으로 지역별 스포츠
참여도 변화를 통해 지역별 지역 스포츠 파트너쉽의 성과도 비교가 가능할
것이다. 참고로 표 Ⅲ-58은 2015년 16세 이상 스포츠 참여 형태를 보여주는
것으로 스포츠 클럽을 통한 스포츠 참여가 21.9% 수준임을 알 수 있다. 표
Ⅲ-59는 지역별 16세 이상 스포츠 참여도를 2005년-2006년 자료와 2014년
-2015년 자료로 비교한 것이다.

<표 Ⅲ-58> 16세 이상 스포츠 참여 형태


참여형태 참여인구 인구대비 비율
스포츠 클럽 멤버 9,580,000 21.9%
스포츠 강습 수강 6,865,200 15.7%
스포츠 경기 참여 5,917,400 13.6%
자발적 참여 (단독 운동 등) 5,628,800 12.9%

출처: Active People Survey 9Q2 (2015 )

136
Ⅲ. 국가별 스포츠 정책 거버넌스

<표 Ⅲ-59> 지역별 16세 이상 스포츠 참여도


2005-2006 2014-2015 통계적
지역
참여인구 참여도 참여인구 참여도 증감
북동부 687,000 32.9% 683,700 31.9% 불변
북서부 1,879,400 34.1% 2,045,700 35.5% 증가
요크셔/험버 1,362,900 33.4% 1,508,500 34.9% 증가
동중부 1,185,600 34.0% 1,295,100 34.6% 증가
서중부 1,387,200 32.2% 1,512,800 33.2% 증가
동부 1,573,100 35.2% 1,663,900 34.6% 불변
런던 2,143,400 35.3% 2,555,400 38.1% 증가
남동부 2,444,700 37.1% 2,624,100 36.9% 불변
남서부 1,419,600 34.2% 1,602,200 36.2% 증가

출처: Active People Survey 9Q2 (2015)

3. 프랑스

가. 프랑스 스포츠 정책의 기본 철학

프랑스 체육정책의 목표는 체육법(Code du Sport)에 구체적으로 명시되어


있다. 프랑스 체육법 제1조에서는 "체육 및 신체 활동은 교육, 문화, 통합,
그리고 사회의 유지에 있어 중요한 요소ʼʼ로 규정하고 있다. 또한 "건강증진을
위한 도구적 역할과 더불어 학업 부진을 극복할 수 있도록 도와주고, 사회
문화적 불평등을 감소시키는" 역할을 한다고 한다. 덧붙여 "장애인을 포함한
모든 이에게 체육 및 신체 활동을 장려하고 발전시키는 것이 바로 공공의
이익"이라는 부분도 분명히 명시하고 있다. 프랑스 정부는 이러한 체육 및
신체활동을 통한 공공의 이익구현을 목표로 다양한 정책 사업들을 시행하고
있다. 중앙정부 체육부의 가장 중요한 역할이 국민의 신체 활동 및 스포츠
활동을 촉진하고 발전시키는 것이니만큼, 중앙정부는 우선적으로 국가 스포츠
정책의 목표를 정확히 정의하고 체육법과 같은 법률적 틀을 만들어 실행 할

137
해외 스포츠 정책 동향 분석 – 체육행정 거버넌스 및 주요 이슈 관련 정책 비교 -

책임을 가진다.

프랑스의 체육 발전 정책은 다음의 네 개의 주요 영역으로 나누어진다.

(1) 모든 사람, 특히 그 중 에서도 엘리트체육(선수)이 아닌, 대중을 위한


체육 발전

(2) 최고의 스포츠 국가의 지위 유지를 위한 엘리트체육(선수) 관련 조직 관련

(3) 도핑, 폭력, 인종차별과 부정 행위 등 모든 형태의 차별로부터의 보호와


차별방지 관련

(4) 체육 관련 직업의 개발과 고용 촉진

위의 네 가지 활동과 어우러져 추가되어야 할 것으로 프랑스 체육의 국제적


영향 증진과 유럽과 국제 사회 차원에서의 체육 활동 규제 및 규정을 준수하는
것이 포함된다. 1960년 로마 올림픽 당시 프랑스 선수들의 메달 순위는 국민의
기대에 크게 미치지 못했다. 이를 계기로 프랑스 정부는 체육의 역할을 재고하게
되었다. 1950년대 말 정부는 여러 체육 조직에 관여하기 시작했고 국가차원에서
의 체육 행정 체계를 구축하고자 했다. 1958년 청소년 및 체육 위원장(High
commissioner for youth and sports)의 임명은 바로 그 새로운 정책기조의
첫 번째 신호탄이었다. 당시 체육 정책의 목표는 (1) 현대적 체육 기반을
구축할 것, (2) 모든 이의 체육 활동 참여를 장려하고 발전시킬 것, 그리고
(3) 주요 국제 체육 대회에서 수상할 수 있을 정도의 엘리트 체육을 육성,
선수를 발굴하고 훈련시켜 내는 것이었다.

1975년, 마조법(Mazeaud law)에서는 스포츠를 통한 국위선양 이라는 공익


을 이루는데 있어서 엘리트 선수뿐 아니라 생활 체육 발전이 상당히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강조하였고, 1984년 7월 16일 법률 84-610은 민법과 별도로
체육 행정체계의 구조화와 기능을 더 구체적이고 명확히 하였다. 현재 체육법은

138
Ⅲ. 국가별 스포츠 정책 거버넌스

네 권의 법적 영역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이는 (1) 체육과 신체활동의 조직;


(2) 체육의 참가자들 (선수, 심판, 코치 등); (3) 다양한 체육 활동 유형;
(4) 체육 재정에 관한 것으로 나뉜다.

나. 프랑스 스포츠 행정 조직 구조

프랑스에서의 체육 조직은 특별히 국가와 스포츠 활성화를 위한 협력에


중점을 두고 있다. 정부는 체육부를 설치하고 이를 통해 하위 체육 조직을
지도하고 감독하면서 공공 행정을 지휘하는 역할을 한다. 체육정책과 연계된
다양한 조직들은 현재 정부부처인 체육, 청소년, 공교육과 지역생활부
(Ministry of Sports, Youth, Popular Education and Community Life)에
소속되어 있다. 표 Ⅲ-60은 프랑스 스포츠 정책에 관련된 단체들이며, 그림
Ⅲ-31은 프랑스의 스포츠 행정조직을 도식화 한 것이다.

<표 Ⅲ-60> 프랑스 스포츠 정책 관련 단체


AdCF: 프랑스 지역 당국 의회 CPSF: 프랑스 장애인올림픽 및 체육 위원회
ADF: 프랑스 도의회 CREPS: 체육 자원, 전문 기술 및 수행 센터
AMGVF: 프랑스 대도시 시장 협회 CROS: 지역 올림픽 체육 위원회
AMF: 프랑스 시장 협회 CTOS: 지방 올림픽 체육 위원회
AMA: 세계 반-도핑 단체 (WADA) CU: 도시 단체
ANOF: 프랑스 국립 올림픽학회 DDCSPP: 사회 통합 및 인구 보호 집행위원회
ARF: 프랑스 지방 협회 DDCS: 사회 통합 도 집행위원회
ARJEL: 프랑스 온라인 게임 규제국 DIGES: 주요 체육 행사를 위한 부서간 대표단
AFLD: 프랑스 반도핑기구 DJSCS: 청소년 체육과 사회 통합을 위한
부서 간 대표단
CA: 광역도시 단체
DRJSCS: 청소년 체육과 사회 통합을 위한
CAS: 스포츠중재재판소
지역 대표단
CCI: 프랑스 상공위원회
EN: 국립 학교 (등산, 수상스포츠 등)
CDC: 시 단체
EPCI: 지자체간 협력 공공기관

139
해외 스포츠 정책 동향 분석 – 체육행정 거버넌스 및 주요 이슈 관련 정책 비교 -

CDOS: 도 올림픽 체육위원회 CISS: 국제 맹인 체육 위원회 (ICSD)


CFSI: 프랑스 국제 체육위원회 INAS: 국제 지적장애인 체육연맹
CIO: 국제 올림픽위원회 (IOC) INSEP 국립 체육수행 및 기술협회
CNS: 국가 체육위원회 IPC: 국제 장애인올림픽 위원회
CNDS: 국립 체육개발센터 PRN: 국립 자원 센터 (야외스포츠, 장애 등)
CNOSF: 프랑스 체육 올림픽 국가위원회 TAS: 스포츠 중재재판소 (CAS)
COE: 유럽 올림픽 위원회 (EOC)

<그림 Ⅲ-31> 프랑스 스포츠 조직도

프랑스 행정조직 구조의 중심은 중앙정부 체육부처라고 할 수 있다. 각


지역적 차원에서 제공되는 스포츠 활동들은 개별 지자체를 통해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지만 그 서비스들을 『청소년, 체육 및 사회적 통합을 위한 지방정부(the
regional governing bodies for youth, sport and social cohesion:
DRDJSCS)』에서 통합하고 중앙정부의 체육부에서 각 지자체 및 여러 스포츠
기관들을 관리 감독 함으로써 전체적인 스포츠 활동에 대한 서비스가 통합적으
로 이루어지도록 노력하고 있다. 이러한 노력의 일환으로 국립 체육전문연구원

140
Ⅲ. 국가별 스포츠 정책 거버넌스

(National Institute for Sports, Expertise and Performance: INSEP)에서


는 엘리트 스포츠 분야 발전을 위한 정책 개발을 지원하는 일을 한다.

개별 스포츠 연맹들은 체육부의 지원을 통해 스포츠의 발전과 민주화를


위한 공공 서비스 임무에 함께 참여하는데, 이들의 활동으로는 도별, 지방별,
전국 등 다양한 차원에서 대회를 조직하고 국가대표팀을 선발하여 관리하는
것과 각자의 대회 및 스포츠 활동과 관련된 기술적 규칙들을 제정하는 역할
등을 포함한다.

다. 프랑스 스포츠 정책 재정 현황

1) 중앙 및 지방 정부 체육 관련 수입

프랑스 중앙정부가 스포츠에 할당하는 재정 비율은 유럽 다른 국가들에


비해 높은 편이다. 그러나 이것이 총 스포츠 재정 내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다른 수입원에 비해서는 적다. 총 스포츠 재정 구성비율을 보면, 지방정부
기관이 31%, 가계 50%, 회사와 기업체들이 10% 기여하는 데 비해, 중앙정부는
불과 10% 미만을 그치고 있다.

2) 재원

스포츠 활동에 대한 재정적 지원은 국립체육개발센터 (National Center


for the Development of Sports: CNDS)에 의해 이루어지며 CNDS의 재정은
매년 프랑스 의회에서 투표로 정해진다. CNDS의 재정은 먼저 "La Française
des Jeux" 라는 국영 회사(수익은 176.3백만 유로로 제한)에서 운영하는
비스포츠 복권과 다른 모든 복권회사들에서 운영하는 스포츠복권(수익은 3천1
백만 유로로 제한) 수익에 1.8%를 세금으로 부과한 것, 2011에서 2015년까지
『유로 2016 스타디움 건설과 개축을 위한 기금 참여』를 위한 추가세금

141
해외 스포츠 정책 동향 분석 – 체육행정 거버넌스 및 주요 이슈 관련 정책 비교 -

0.3%를 징수 한 것(수익은 연간 2천4백만 유로로 제한), 그리고 마지막으로


스포츠 행사 텔레비전 중계권에 부과되는 5% 의 세금(수익은 4천90만 유로로
제한)으로 조성된다.

3) 수입 분배 및 할당

CNDS는 생활체육과 스포츠 인프라 구성을 담당하는 체육 부처가 관할한다.


CNDS는 장비 구비와 운영을 위한 보조금을 체육 및 스포츠 분야의 공적
협회와 단체들, 프랑스 국가 체육 올림픽 위원회 (French National Sports
and Olympic Committee: CNOSF)와 관련 협회들, 지자체나 공공 산하기관
들, 도핑 예방 의료진을 운영하는 단체들에게 적절히 배분하는 일과 더불어
체육관 건립이나 개축 사업에 출자하는 방식으로 참여하고 있다. 2014년에
체육 및 스포츠 프로그램을 위한 예산의 경우, 272.4 백만 유로로 이 금액의
분배비율은 엘리트 스포츠 발전 (80%), 스포츠 직업 촉진 (8%), 체육 및 스포츠
안전 예방과 선수 보호 (7%), 그리고 생활체육 촉진 (5%) 등 4가지 분야와
체육 및 스포츠 활동을 위한 숙련된 유급 인력 1600명을 각 지역에 배치하는 데
사용되었다. 국립 체육 개발센터의 재정분배 현황은 그림 Ⅲ-32에 보이는 바와 같다.

<그림 Ⅲ-32> 국립 체육 개발센터의 재정분배 현황

142
Ⅲ. 국가별 스포츠 정책 거버넌스

라. 프랑스 생활 스포츠 참여 실태

프랑스의 인구 6천6백만 인구 중 클럽에 가입하여 체육 및 스포츠 활동에


참가하는 인구는 1천7백20만명 정도이다. 대부분의 회원들이 몇 개 특정
연맹들에 집중적으로 가입되어 있는데 그 중 8개 단체가 전체의 회원 수의
절반을 차지한다. 그 8개 중 4개는 올림픽 단일종목인 축구, 테니스, 승마
그리고 유도연맹이고, 4개는 멀티스포츠 연맹인데 그 중 3개가 학교체육과
관련이 있다. 약 164,000개 정도의 클럽이 연맹에 가입되어 있고, 클럽 회원들
중 여성이 차지하는 비율은 36.9% 이다.

전국규모의 체육시설 조사 (RES, Recensement des Equipements


Sportifs)에 따르면, 프랑스는 전국적으로 32만개의 체육시설을 가지고 있고
이는 주요 6개의 카테고리로 인 나누어 보면, 수영장, 테니스 코트, 대규모경기
운동장, 단체행사공간, 그리고 야외 시설, 출입이 자유로운 소규모 운동장과
기타 시설로 나누어진다. 체육 시설의 공유와 사유의 구분이라는 관점에서
볼 때, 프랑스에서는 공공에 개방된, 개인 소유 시설은 평균 14% 정도로
집계된다.

마. 프랑스 스포츠 정책 영역별 거버넌스

1) 엘리트 스포츠 거버넌스

프랑스 정부는 엘리트 스포츠 조직 구성과 재정지원에 참여한다. 이를 구체적


으로 담당하는 곳은 국가 고위급 위원회이자 체육부 장관이 주재하는 엘리트
스포츠 국가위원회 (Commission Nationale du Sport de Haut Niveau:
CNSHN)이다. CNSHN는 정부, CNOSF, 엘리트 선수들, 코치, 심판이나
엘리트심판과 지자체에서 선출된 대표들로 구성된다. 이 CNSHN는 주로 엘리
트 스포츠 분야를 다루는 자문기관으로 이와 관련된 정책적 방향을 설정하고,

143
해외 스포츠 정책 동향 분석 – 체육행정 거버넌스 및 주요 이슈 관련 정책 비교 -

엘리트 스포츠 발전 지원의 성격을 명확히 하며, 각 스포츠가 선수를 규정지을


수 있는 기준들을 정립한다. 더불어 엘리트 선수 명단에 포함될 선수들에
대한 의견 제시, 그리고 스포츠 역량강화를 위한 방향설정과 계획수립(PES,
parcours d'excellence sportive)관련 비준에 대한 의견을 제시한다. 또한
IOC 주최 하에 열리는 경기에 참여할 선수들을 선발하기 위한 기준을 정립하는
것 역시 CNSHN의 주요 사업이다.

CNSHN의 명단에는 6,900명 정도의 엘리트 선수들과 엘리트 선수가 되기


위한 훈련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청소년 선수들 8,000명 정도가 포함되어
있다. 대부분의 엘리트체육인들은 특정 기관이나 국립 학교들 (프랑스 국립
스키와 등산 학교; 프랑스 국립 해양학교; 프랑스 승마협회)이나 체육역량강화
지원센터(CREPS, Centre de Ressources, d'Expertise et de Performances
Sportives), 또는 국립체육개발연구원(INSEP)에 속해있다.

INSEP은 공공기관으로서 일반적 신체활동뿐 아니라 엘리트 스포츠분야의


국가 정책 개발 및 체육인들의 건강 보호, 스포츠윤리 준수 등의 활동에
기여하고 있다. 이 기관의 임무는 다음과 같다.

(1) 연맹과 협력하여 엘리트 선수들이 운동을 함에 있어서 선수로써의 성공뿐


아니라 직업적, 학업적으로 역시 잘 성장 할 수 있는 방안을 연구하는
것이다. 즉 선수들이 인생의 두 가지 목표 모두 조화롭게 달성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

(2) 올바른 기술 및 훈련방법을 보급하고 스포츠 관련 자원이 적절히 분배될


수 있도록 돕는 것

(3) 스포츠와 관련된 대학교와 성인 교육 및 훈련자원의 지원과 배분에 협력

(4) 체육부와 교육부의 인정을 받는 국가수료증 외에도 INSEP 자체적인

144
Ⅲ. 국가별 스포츠 정책 거버넌스

수료증을 발급하는 것

(5) 신체와 체육 활동 분야의 과학, 의학, 기술 연구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에


협력하는 것

(6) 엘리트 스포츠에 관한 국제적 협력을 주도하는 것

CREPS는 체육 부처의 감독 하에 있는 공공 기관으로 각 지역 체육부 대표들인


DRJSCS (Directions Régionales de la Jeunesse des Sports et de la
Cohésion Sociale)와 함께, 모든 사람들이 생활체육을 좀 더 쉽고 가까이에서
할 수 있도록 기반을 조성 하는 것 등의 정책개발에도 관여한다. 이들은 또한
엘리트 스포츠 네트워크 (réseau national du sport de haut-niveau) 구축
관련 업무에도 참여한다. INSEP의 주요 임무는 일반인보다는 엘리트 선수들에
더 초점이 맞혀져 있으며 그들이 선수로서 성과를 내는 것뿐 아니라 직업
또는 학업에도 집중할 수 있도록 준비시키고 훈련한다는 측면에서 RNSHN와
차이를 보인다.

개별 스포츠 연맹들은 프로 팀이나 스포츠 회사들 또는 그와 관련된 여러


단체들과 함께 프로리그를 창설하여 대회를 조직하고 주최할 수 있다. 이렇게
개최된 프로 리그는 연맹의 단체 조항 에 따라, 독립적인 법인격을 가지게
되며 이 단체의 규정 조항들이나 리그와 연맹간의 관계 정립에 있어서도 CNOSF
의 지문에 따른 행정법원의 결정에 의해 내려진 규칙에 따라야 한다. 이렇게
각 연맹이 창설한 프로 리그 단체는 독립적이고 자유 재량권을 가지며 그
대회에 참가하는 단체들과 스포츠 회사들에 대해 행정적, 법적, 금전적 재량권을
행사할 수 있게 된다. 이 프로 리그의 목표는 관련 단체들과 스포츠 회사들이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관계를 가지고 유지할 수 있는 제반 환경을 만들어 주는
것으로, 주로 스포츠 경기를 진행하는데 있어서 필요한 경제적 기반을 마련하고
경기의 공정성을 보장하는 일들을 한다.

145
해외 스포츠 정책 동향 분석 – 체육행정 거버넌스 및 주요 이슈 관련 정책 비교 -

체육부 장관은 여러 스포츠연맹들의, 재정적 지원이 필요한 구체적 사업


계획들을 후원 및 지원한다. 또한 직업을 가지고 있는 선수들이 대회출전에
필요한 여러 훈련들을 잘 감당해 낼 수 있도록 관련 회사들과 추가협정을
체결하기도 한다. 즉, 한마디로 말해서 프랑스에서 체육부장관이라는 지위는
올림픽이나 챔피언십과 같은 주요 경기에서 선수들이 그들의 능력을 최대로
발휘할 수 있도록 여러 방면에서 전적인 보증인 역할을 하는 동시에 그들의
안전 및 건강상태뿐 아니라 향후 직장인으로서의 생활도 안정적으로 보장해
주는 자리인 것이다. 체육법 제122-1조에 의하면 1백20만 유로 이상의 수익을
거두는 유료 스포츠 경기에 참가하거나 총 보수가 80만유로 이상인 선수가
소속되어 있는 스포츠 연맹에 가맹된 스포츠 단체들은 모두 활동 운영을 위한
상법에 따라 영리 사업체를 설립해야 한다. 연맹과 그 연맹이 설립한 회사와의
관계는 다음의 조항에 의해 정의된다.

(1) 아마추어 및 프로 부문에서의 활동들에 대한 정의

(2) 선수 훈련과 관계된 활동의 분배에 대한 사항

(3) 운동장, 건물들과 시설들의 사용에 대한 사항

(4) 단체의 이름이나 브랜드 또는 그 외 여러 고유 문양에 대한 판매권리


및 그에 따른 지불 조건에 대한 사항

(5) 협정 기간(스포츠 시즌이 끝나는 시점에 종료, 최대 5년까지로 제한)에


관한 사항

(6) 협정 갱신 관련 사항

국가체육정책과 관련해서 민간영역은 공공시설물의 사용과 재정지원의 측면


에서 살펴 볼 수 있다. 중앙정부 차원의 보조금 지원이나 기타 서비스제공
및 지자체의 시설물 대여와 같은 부분을 법적으로 규정하여 지원하고 있다.

146
Ⅲ. 국가별 스포츠 정책 거버넌스

지자체가 공익을 목적으로 프로 스포츠 단체에 지원할 수 있는 금액은 스포츠


한 시즌 당 2백 30만 유로로 제한되고 있으며 여기서 공익을 목적으로 함이란
다음 세 가지 유형의 활동을 의미한다.

(1) 인증된 스포츠 기관에서 교육적 또는 직업 개발적 차원의 목적으로


청소년 선수들에게 제공하는 스포츠 훈련

(2) 교육이나 사회 통합 및 화합을 위한 스포츠 단체의 참여,

(3) 공중 위생적 안전 개선과 경기장내에서의 폭력을 예방을 위한 기획

위에서 언급한 공익의 목적에는 포함되지는 않지만 지역당국과 민간 스포츠


기업 간에 체결하는 광고 계약이나 스폰서와 같은 여러 서비스 계약 또한
법의 관리대상이 된다. 이와 같은 계약의 체결을 위해 지자체가 지불할 수
있는 총액은 민간 스포츠 회사가 사용하는 비용의 30%까지 이며 이는 한
스포츠 시즌 당 상한선 1백만 60유로까지로 제한된다. 방송중계권의 소유자는
원칙적으로 각 연맹들이지만 프로 리그에 의해 조직된 민간 스포츠 회사가
그 프로 리그에 참여하고 있다면 방송중계권의 일부 또는 모두를 그 회사에
비용 지불 없이 양도 할 수도 있다. 2003년 이후 각 프로팀은 그들만의 고유한
상표와 문양을 만들어 판매할 수 있게 되었고 이는 그들의 회계 상 보이는
주요 자산 및 수입원이 되고 있다.

2) 생활 스포츠 거버넌스

체육부 장관은 여러 협정을 통해 국가적 차원에서 스포츠 연맹들의 활동을


지원하도록 되어 있다. 물론 스포츠관련 서비스를 조직적으로 제공하고 활동을
다양화하여 시민들의 스포츠 참여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지역적 차원의 리그나
스포츠 클럽 또는 관련 위원회들을 지원하는 작업 또한 하고 있다.

체육부의 정책적 목표는 모든 시민이 신체활동 및 스포츠를 안전하게 즐길

147
해외 스포츠 정책 동향 분석 – 체육행정 거버넌스 및 주요 이슈 관련 정책 비교 -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체육부 산하 행정부서인 "deirection des sports"를


필두로 네 개의 지원센터를 두고 있으며 이 지원센터들은 체육부 산하공공기관
CREPS에 기반하고 있다. 그 네 개의 지원센터란 (1) "스포츠와 건강" 센터;
(2) "스포츠와 장애" 센터; (3) "스포츠, 교육, 다양성과 시민권"센터; (4)
"스포츠와 자연"센터이며 이 지원센터들은 전문지식 제공 및 자문 역할을 하며
현장 체육관계자들(국가, 지방 공무원, 선출공무원, 스포츠연맹 및 협회관계자
등)이 프랑스뿐 아니라 유럽연합 내에서도 관련 활동을 적절히 실행할 수
있도록 정보를 공유하고 상호작용할 수 있도록 돕고 있다. 지원센터들은
DRJSCS 임원에 의해 선정된 지역 관계자들의 지역활동 계획을 지원하여
정부 정책이 적절히 실행되도록 하고 있다.

정부는 주로 스포츠 연맹들에 대한 지원을 통해 생활체육 정책을 실행하고


있다. 스포츠연맹이란 1901법에 의해 스포츠단체들의 연합으로 규정되고 있고
그 목적은 무엇보다 가입된 스포츠단체 및 회원들이 함께 경기에 참여하고
즐길 수 있도록 체육활동을 조직하는 것이다. 연맹들은 관련 부처의 승인을
받아 활동 하며 법적으로 공공서비스를 제공할 의무를 가지게 되는데 그 중
에서 스포츠 활동, 특히 경기를 위한 조직을 구성할 의무와 권리를 지속적으로
가지게 된다.

연맹별 범주의 구분은 다음과 같다.

(1) 단일 종목 스포츠 연맹으로 한 종목만을 관여하며 그것이 올림픽 종목일


경우 올림픽이라고 부르고 그렇지 않으면 비 올림픽으로 간주한다.

(2) 다 종목 스포츠연맹은 단일스포츠연맹들의 규칙을 지키면서 다른 종목의


스포츠를 수행 할 수 있게 한다.

(3) 인간을 부분적으로 보지 않고 전체로서의 인간을 고려하여 다양한 관련


활동에 주안점을 둔 멀티 스포츠 활동을 목적으로 하는 ʻʻ복수활동ʼʼ
(peer-based) 연맹들이 있다.

148
Ⅲ. 국가별 스포츠 정책 거버넌스

각 스포츠 연맹들은 각자가 맡은 스포츠 활동의 진흥을 위해 조직을 구성하고


장려할 책임을 가지고 있다. 체육법 L.131-8조와 L.131-14조는 정부의
승인을 통해 혜택 및 지원을 받은 연맹과 정부의 권한과 임무를 위임 받은
연맹을 서로 구별하여 두고 있다. 2010년 1월 1일부터, 다음에 제시되는
기구들을 기반으로 분산적 네트워크로 구축되고 있다. 먼저 (1) 22개의
DRJSCS로, 이것은 각각 독립적으로 활동하던 이전청소년 및 체육 지방이사회
(Regional Directorate for Youth and Sports: DRDJS)와 이전보건 및
사회활동 지방이사회(directions régionales de l'action sanitaire et
sociale: DRASS)의 사회 센터, 그리고 Acsé (사회통합과 동등한 기회를
위한 국립 에이전시)의 지역 지부들을 한 데 모아 것이다. 그리고 (2) 40만
명 이상 지역의 50개 DDCS 들과 (3) 40만 명 미만 지역의 46개 DDCSPP들
그리고 (4) 해외 지역의 5개 DDJS(청소년과 및 체육 지방 이사회)들이 그
기반이 되고 있다.

첫 번째로 제시했던 DRJSCS는 기본적으로 소외계층의 사회융합 및 사회연


대를 위한 정부의 사회 통합 정책을 강화하기 위해 설립되었지만 "다같이
더 잘 살기(Living together better)" 프로젝트를 실행함에 있어서 더 나은
서비스의 제공을 위해 적절히 대응하며 그 방법들을 강화할 수 있도록 이
기관의 권한을 사회, 스포츠, 청소년, 공동체 생활, 공교육 등 분야로까지
확대하였다.

2013 4월 4일 정부와 지방당국 및 주요 협력 공공기관, 그리고 스포츠활동


및 스포츠사회경제 관련자들을 한 데 묶는 자문 기구인 CNS (Conseil National
du Sport ) 스포츠 국가위원회가 설립 되었다. 이 CNS는 기타 관련 기관
외에도 정부, 지자체, 공공기관, 스포츠 활동 관련자, 스포츠 사회경제 관련자
등 이렇게 5개의 군으로 이루어져 있다. 정부부처는 주로 스포츠 활동에 대한

149
해외 스포츠 정책 동향 분석 – 체육행정 거버넌스 및 주요 이슈 관련 정책 비교 -

대중 참여에 주안점을 두는 반면 지방은 주로 엘리트 스포츠에 대한 지원을


강조하는 경향이 있다. 지자체의 스포츠 지원을 위해 사용되는 전체 지출은
예산총액의 약 30%정도를 차지하며, 전체 스포츠 시설 수의 80%를 소유하고
있다. 지자체들은 대부분의 경우 시설을 무료로 사용할 수 있는 게 하는 등
시설들의 효율적 사용을 위해 다양한 공공의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민간의
스포츠 클럽들은 회원전용으로 이용된다. 멤버십은 대개 5년 이상 회원이었고
성인 두 명이 가입하는 형태의 프로모션이 주를 이루었다. 입회비는 백 유로에서
부터 수 천 유로까지 다양하며 만 유로 정도로 높은 경우도 있다. 대기 기간은
2년에서 5년 정도이다.

3) 학교 스포츠 거버넌스

프랑스 학교의 체육활동으로는 체육 수업(EPS, Education Physique et


Sportive)와 같이 정규과정 안에서 의무적으로 진행되는 형태의 것들도 있고
학교 스포츠 동아리 활동과 같이 의무적이지 않은 것들도 있다. 그 형태가
어떠하든 스포츠·청소년·공교육 및 지역사회 생활부와 교육부는 학교체육을
통해 청소년의 체육 참여를 높이고자 하는 동일한 목표를 가지고 서로 협력하고
있다. 이러한 협력을 통해 우리는 학교체육이 프랑스 교육정책의 핵심적인
요소임을 확인할 수 있다. 대학교를 포함한 여러 학교들의 체육동아리들은
다음의 주요 다섯 개의 연맹들이 관리 감독하고 있다. 먼저 초등교육체육연합
(USEP, Union Sportive de lʼEnseignement du Premier Degré)이 있고,
학교체육전국연합(UNSS, Union Nationale du Sport Scolaire)과 프랑스
대학교체육연맹(FFSU, Fédération Française du Sport Universitaire)이
있는데 UNSS와 FFSU 두 단체는 각 학교의 체육단체들이 연합한 유형으로
정부가 설립한 연맹이다. 다음은 사립학교들을 위한 자율교육 총 체육연합
(UGSEL, lʼUnion Générale Sportive de lʼEnseignement Libre)과 CNOSF

150
Ⅲ. 국가별 스포츠 정책 거버넌스

에 속하는 연맹인 대학교단체전국연합 (UNCU, Union Nationale des Clubs


Universitaires)이 있다. 위 다섯 연맹들은 정규 수업의 연장선 상에서 체육
수업을 조직하고 진행한다. 그리고 그 활동들은 EPS 교사들의 관리 감독하에
이루어지는데 그 활동들이라 함은 학교가 참여하는 각 부문별, 학원
(academies)별, 지역별, 또는 전국적으로, 심지어 국제적 차원에서 하는 대회
및 경기 등이 포함된다. 이러한 대회 및 경기들을 통해 각 연맹들은 서로
연합하여 교육적 차원의 프로젝트를 조직하고 제공하게 된다. 현재 중등교육
학교들은 모두 EPS교사들에 의해 관리 감독 받는 체육 협회가 존재한다.
초등교육 학교의 경우에는 그러한 형태의 체육 협회 설립이 권장되고 있다.
그리고 각 학교 체육 협회들은 정부협정에서 규정하고 있는 사회, 교육 차원의
목표에 걸 맞는 공공 서비스를 제공할 책임이 있다. 다른 스포츠도 그렇겠지만
특히 학교체육의 경우 지자체의 영향을 많이 받는다. 지자체의 경우 학교
체육 협회에 지원금을 교부하거나, 학교가 학생들에게 체육을 제대로 지도할
수 있는 적절한 환경이 제공되도록 학교 체육 조직구조 운영에 대한 지원,
학생들이 경기나 대회 장소까지 안전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돕는 등 학교체육의
진흥을 위해 다양하고 구체적인 방법으로 지원하고 있다. 학교장들이나 각
지역별 또는 중앙의 교육부 관계자들은 학교체육이 따로 독립적으로 진행되는
것이 아니라 전체 교육과정과 잘 조화를 이루어 학교체육으로 발전시킬 책임이
있다. 교육부 관계자들은 교사 및 행정직원들에게 지속적으로 관련 교육 기회를
제공하고 또는 특정 대상들(중등학교 학생들, 특히 중등학교에서도 직업 교육
학생들이나, 여학생, 또는 우선배려학교 학생들(priority school students)
또는 국제우수 기숙학교 학생들, 그리고 장애학생들)을 선정하여 지원하기도
한다. 또한 학교들끼리, 내지는 학교와 지역별 체육 연맹 및 관련 기구들
의 협력을 강화할 수 있도록 네트워크를 공고히 구축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학교 체육 연맹에 가입된 학생들은 약 2백 70만명 정도이다. 그 중 105만

151
해외 스포츠 정책 동향 분석 – 체육행정 거버넌스 및 주요 이슈 관련 정책 비교 -

명은 UNSS에, 85만명은 USEP에, 80만명은 UGSEL에 가입되어 있다. 체육


협회는 학생들이 성공에 이를 수 있도록 학생들의 학교생활을 관리 감독하며
질서화 시키는데 주된 역할을 한다. 체육 협회는 사업을 세울 때 크게 두
가지 주안점을 바탕으로 세우는데 그 첫 번째는 체육을 통해 학생들이 실제로
스포츠나 신체활동을 하도록 하는 것이고 두 번째는 책임감 배우도록 하는
것이다.

4) 장애인 스포츠 거버넌스

체육부는 다음 두 가지 방법을 통해 장애인 체육 정책을 실현해 나간다.


첫 번째는 중앙 기관의 CREPS에 소속된 국립 장애인체육 지원센터(Pôle
Ressources National Sport et Handicaps: PRNSH)를 통해서이고, 두
번째는 부처가 지향하는 바를 구현하기 위하여 체육국 내에서 "체육과 장애
(sport et handicaps)" 사업을 통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그 사업은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1) "체육과 장애" 통신원 네트워크: PRNSH에서 훈련되고, 정부의 분권화된


여러 기관(DRJSCS, DDI, CREPS 및 국립학교 등)들에 속함

(2) 31명의 "스포츠 기술고문(CTS, conseillers techniques sportifs)":


부처에서 중역을 맡고 있으며, 소위 "특정" 연맹들과 국립 패럴림픽
스포츠 위원회(CPSF, Comité Paralympique et sportif Français)의
기술 고문으로서 각 연맹 및 위원회가 그 역할을 잘 수행 할 수 있도록 도움

(3) "비장애인" 스포츠 협회 내 "체육과 장애" 업무 담당자: 약 60%의 "비장애


인ʼʼ 연맹들이 ʼʼ스포츠와 장애" 업무를 맡는 담당자를 임명하고 있음

(4) 150명의 스포츠 전문직(ESQ, Emplois Sportifs Qualifiés): 정부가


자금을 지원하는 특정 연맹들 (프랑스 장애인 체육과 적용 스포츠 연맹들)

152
Ⅲ. 국가별 스포츠 정책 거버넌스

내의 선수를 위한 숙련직

(5) 스포츠와 장애 관련 단체에 배정 되는 재정의 지속적인 증액

2008년 베이징 패럴림픽 이후 체육부는 패럴림픽과 올림픽 상여금을 같은


수준으로 조정하는 등 어떤 종류의 장애를 가지고 있든 상관없이 엘리트 선수라
면 모두가 적절히 대우 받을 수 있도록, 장애인 엘리트선수들을 위한 적극적이고
실질적인 정책을 펴고자 노력하고 있다. 체육부는 멀티스포츠 연맹인 프랑스
장애인 체육연맹 FFH와 FFSA 두 단체에 그 임무를 위임하여 프랑스의 장애인
스포츠 서비스를 통합적으로 제공하고 있다. CPSF는 국제 패럴림픽 위원회
(IPC)의 프랑스 대표이다. 먼저, FFH의 경우 가장 큰 목표는 신체적 장애뿐
아니라 감각장애, 소인증 등 여러 장애가 있는 사람들이 FFH에서 제공하는
20여개 의 신체 및 체육 활동에 가능한 한 많이 참여하게 하는 것으로 이를
실행하기 위해 구체적으로는 스포츠 복지 여가, 청소년 발달, 훈련, 엘리트
체육이라는 네 가지로 업무로 나누어 진행하고 있다.

다음은 정신장애 및 정신지체 선수들을 위한 FFSA로, 그 주요 임무는 다음


네 개로 요약된다. (1) 정신장애 또는 정신지체자의 능력이나 필요, 요구가
무엇이든 상관없이 그가 선택한 스포츠를 당연히 받아야 할 시민권으로서
안전하고 즐겁게 열정적으로 경험할 수 있도록 해주는 것; (2) 장애인 당사자뿐
아니라 코치 및 여러 경기 및 활동 등 장애인 스포츠의 모든 영역을 발전시키는
것; (3) 장애인과 관련자들(가족, 단체, 협회, 선출대표, 각 중앙, 지방 당국
및 회사 등)이 신체 및 스포츠활동에 대한 접근이 용이하도록 지원하고 발전시키
는 것; (4) 마지막은 사회적 목표로 스포츠를 통해 건강을 유지하고 개인
역량을 발전시켜 사회적 조화와 통합을 이루고자 하는 것이다.

CPSF는 IPC와 패럴림픽 조직위원회의 회원으로 단독 협상자이며 비장애인


스포츠와의 관계에 있어서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 주요임무는 다음 네 가지

153
해외 스포츠 정책 동향 분석 – 체육행정 거버넌스 및 주요 이슈 관련 정책 비교 -

이다: (1) CPSF는 IPC의 유일한 프랑스 담당기관으로서 패럴림픽과 국제


경기 기간 동안 IPC의 후원 하에서 프랑스 위임단을 구성할 것; (2) 구성
기관들과의 긴밀한 협조를 통해 프랑스 패럴림픽의 연합을 촉진할 것; (3)
특히 IOC와 함께, 프랑스 패럴림픽 운동을 국제적으로 대표하고 방어하며
조직할 것; (4) 가입 연맹들과의 연결 속에서 고급 체육과 모두를 위한 체육의
발전을 촉진할 것이다.

각 지역 "장애인 스포츠" 위원회들은 FFH의 지부로서 그 지역의 전반적인


스포츠 발전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먼저 스포츠분야의 전문가 및 여러 직업들에
대한 인식을 높이고 교육시키며 장애인과 비장애인이 함께 스포츠를 즐길
수 있도록 환경을 만들고 각 스포츠 클럽이 자립하고 성장할 수 있도록 도와주고
엘리트 선수를 발굴하고 선발한다. 각 지역의 스포츠 위원들은 FFAS지부로서
각 지역에 상존하여 그 지역에 맞춘 전문가 훈련 및 FFSA 가맹 단체의 스포츠
대회 조직 등을 돕는다. 신체활동을 비롯한 스포츠에 참여하고 있는 장애인은
약 15만명 정도이고 그 중 FFH에 가입된 회원은 3만 5천여명, FFSA에 가입된
회원은 5만여 명으로 전체 8만 5천여명이 단체에 가입되어 스포츠에 참여하고 있다.

바. 프랑스 스포츠 정책 주요 이슈 동향

1) 최신 스포츠 정책 동향

가) 엘리트 스포츠 정책의 최근 동향

오랫동안 스포츠 정책에 대한 프랑스 정부의 입장은 스포츠를 특수영역으로


보호하는 방향이었다. 사회 다른 영역들과는 달리 스포츠를 통한 이득은 시장
활동을 통해 얻어지는 이윤추구에 목적이 있지 않다는 측면(또는 목적이어서는
안 된다는 교조주의적 입장)에서 스포츠 회사들의 활동을 엄격히 통제하고

154
Ⅲ. 국가별 스포츠 정책 거버넌스

면밀히 감시 관리 하여 왔다. 사실 이러한 정책적 입장의 기저에는 (1) 스포츠


연맹들 간의 불평등을 해결하고, (2) 아마추어와 프로 스포츠의 차이가 커지는
것 피하며, (3) 이 두 가지의 형태의 스포츠간의 연대성을 유지하려는 의도가
깔려있다. 그러나 이러한 프랑스 정부의 스포츠에 대한 예외적 보호 및 통제를
유지하고자 하는 관점은 민간 시장의 프로팀이 생존해야 하는 경쟁적 자유경제
사회의 맥락에 따라 현실적 시각으로 점차 바뀌게 되었다.

엘리트 분야는 스포츠의 국제적 영향력 등 여러 차원의 속성(high-level


nature)이 있다. 주요 국제대회에 출전하는 조직이나 관련 선수 명단은 미리
제정하여 둔 기준에 의해 확정된다. 실질적으로 선수 명단을 작성하고 결정하는
곳은 정부, CNOSF 그리고 지자체의 대표로 구성된 엘리트 스포츠 국가 위원회
이며 선발된 선수들에게는 대표선수로서의 지위에 상응하는 여러 특정 권리와
의료혜택, 개인 맞춤 재정 지원, 그리고 훈련 및 직장적응에 필요한 다양한
편의들이 주어진다. 마지막으로, 스포츠연맹, DRJSCS, 국가공공기관들
(CREPS, 협회, 및 학교들) 그리고 체육부의 엘리트 스포츠 관련 공무원들은
선수들이 특정종목에서의 경력뿐 아니라 그들의 은퇴 후 인생 계획에서도
성공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해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함께 공유한다. 이를 통해
각 선수들의 사회-직업적 상황을 파악하고 그에 따른 개별적 후속조치가
가능하도록 하고 있다.

나) 생활 스포츠 정책의 최근 동향

수 년 간 체육부는 적절한 신체활동 프로그램의 개발을 통해 국민들의 신체적


건강을 증진시키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체육부의 주요 목적은 국민 모두가
스포츠 및 신체 활동의 자유를 누릴 수 있도록 스포츠의 대중화를 이루는
것이다. 공중 보건 특히, 비 전염성 만성질환 및 자율신경계 이상 현상 등의
예방을 위해서 가장 우선적으로 장려되는 것이 바로 적절한 신체활동이다.

155
해외 스포츠 정책 동향 분석 – 체육행정 거버넌스 및 주요 이슈 관련 정책 비교 -

국립 건강의학 연구원(INSERIM, Institut National de la santé Et de


la Recherche Médicale)은 체육부의 요청에 따라 격렬한 운동시 주의 할
점뿐 아니라 모든 신체활동이 인구 각 계층의 건강 증진 및 비 전염성 만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학술조사연구를 실행하였다.

다) 학교 스포츠 정책의 최근 동향

교육, 문화, 그리고 사회적 통합 및 사회적 삶을 영위하는 데 있어서 신체와


스포츠 활동은 중요한 요소이다. 학생들은 학교에서 체육 활동을 통해 건강을
증진시킬 뿐 아니라 학교생활에 적응해 가고 사회 문화적 불평등 현상을 개선해
나갈 수 있다. 체육법 100-1조는(Sports Code, article 100-1) 장애인을
포함한 모두를 위한 체육 발전이 곧 공익의 실현이라고 명시하고 있다. 학교생활
속에서 체육을 어떻게 발전시키고 실행할 것인지는 교육적 차원에서 다루어야
할 교육정책의 중요한 쟁점 중 하나이다. 학교체육은 학생들에게 책임과 시민의
식을 배울 수 있게 해준다. 특히 팀 스포츠의 경우 학생들은 단체 생활의
중요성을 깨닫게 되고 이를 통해 어떻게 나 자신과 상대편, 그리고 심판과
규칙을 존중하는지를 훈련 받게 된다. 이러한 스포츠 대회나 협회 등의 조직
활동이나 그 외 여러 형태의 스포츠 참여는 학생들 사이에 연대의식을 향상시키
고, 학교 내 각종 폭력을 감소시킬 뿐 아니라 미래의 시민 양성을 위한 사회화
및 대화의 장소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스포츠는 모든 학생들에게 적용되는
권리와 의무라는 동등한 기회를 줌으로써 공정한 사회와 통합을 실현하는데도
이바지한다. 마지막으로 학교체육은 중독적인 습관을 버리고 건강한 생활습관
을 향상시키도록 도와준다. 학교체육에 있어서 지역 당국의 역할을 쇄신하고
재정립하기 위한 "Projet EDucatif Territoriaux" (PEDT) 교육 사업 및 학교
시간표 개편 등, 최근 초등교육에서는 학교체육 발전을 위한 새로운 시도들이
진행되고 있다. 이에 따라 결국 교장선생님들은 학생 시간표상에서 매주 수요일

156
Ⅲ. 국가별 스포츠 정책 거버넌스

오후 시간대는 학생들이 연맹 스포츠 대회나 기타 스포츠 활동을 할 수 있도록


남겨 두어야만 한다.

라) 장애인 스포츠 정책의 최근 동향

2003년부터, 체육부는 장애인들의 건강과 독립성 및 개인적, 직업적 발전과


사회적 통합의 향상에 있어 스포츠를 활용하기 위해 적극적인 정책을 세우려고
하고 있다. 가장 먼저는 장애인들이 스스로 선택한 스포츠 활동을 쉽고 즐겁게
할 수 있도록 환경을 만들어 주려는 노력 이다. 그 한 예로 장애인들에게
동등한 권리와 기회, 참여와 시민권을 부여하도록 하는 법이 2005년 2월
11일 이후부터 효력이 발생하여 공공분야의 모든 국가 기관들에게 2015년
1월 1일까지 제정된 기준에 맞는 장애인들의 접근권을 확보하도록 하게 했다.
또한 2013년 "국가 비전 제시(directive nationale d'orientation)"에서는
DRJCS에게 무엇보다 ʻʻ장애인들의 스포츠에 대한 접근 불평등을 개선하고
신체 및 스포츠 활동이 정부의 공중보건 정책의 일환으로 만들어져 스포츠
참여를 진흥시킬 것을 요청하는 등 장애인 스포츠 참여가 정치적 이슈로 다루어
지고 있다. 체육부 장관은 스포츠 단체 내 장애인의 신체 및 스포츠 활동의
참여를 촉진시키고 활발히 시키는 것이 장애인 스포츠 영역에서 가장 중요한
문제라고 보고 있다. 어떤 장애인에게 스포츠는 신체 기능 재활을 위해 필수이며
또 어떤 장애인에게 스포츠는 자율성을 부여해 준다. 또한 스포츠 참여는
모두에게 당연한 권리이며 성취를 맛볼 수 있게 해 주는 효과적인 도구가
된다. 특히 스포츠는 장애인이 주로 앉아서 생활하는 생활방식으로 인한 사회적
소외감을 극복하고 더 나아가 긍정적인 신체이미지를 가질 수 있게 해준다.
특히 패럴림픽은 비장애인으로 하여금 장애인 선수에 대해 다시금 긍정적으로
재인식할 수 있는 기회를 주어 사회를 더욱 성숙시키고 발전시키는 데 크게
기여한다고 볼 수 있다.

157
해외 스포츠 정책 동향 분석 – 체육행정 거버넌스 및 주요 이슈 관련 정책 비교 -

2) 스포츠 정책에서의 양성 평등

가) 엘리트 스포츠 정책에서의 양성평등

프랑스에서 체육 연맹에 가입하는 여성 회원 수는 점점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


다. 엘리트 선수 여성선수는 36.30%로 연맹에 가입한 여성의 비율인 36.91%와
비슷한 수치이다: 여성의 몫은 30.32% (훈련 파트너)에서 38.10%(재훈련)
사이이다. 표 Ⅲ-61은 엘리트 스포츠 내 여러 레벨에서의 남녀 성별 비율을
보여준다.

<표 Ⅲ-61> 엘리트 스포츠 내 여러 레벨 별 성별 비율 고급 진로 내의 성별 비율


유망 훈련
엘리트 시니어 청소년 재훈련 합계
선수들 파트너
여성 268 894 1,240 56 2,748 84 5,290
남성 441 1,513 2,267 91 4,774 193 9,279
합계 709 2,407 3,507 147 7,522 277 14,569

출처: MDFVJS data - Directions des sports

이미 2006년에 핸드볼, 농구, 사이클링과 축구 4개 연맹이 부처의 주도


하에 여성의 참여를 독려하고 배려하려는 ʻ여성스포츠참여ʼ 정책 사업을 수행하
였다. 그 뒤를 따라, 2009-2012년 올림픽 때는 조정, 아이스하키, 등산,
복싱, 철인3종과 테니스 연맹이 여성스포츠 참여 사업에 동참하였다. 프랑스
정부는 스포츠 단체들과의 2014-2017년 3개년 목표 기본 협약서를 통해
모든 스포츠 연맹 및 단체가 스포츠 훈련이나 코칭, 그리고 심판과 관련하여
여성스포츠참여사업 계획을 반드시 두도록 규정 하고 있다.

나) 생활 스포츠 정책에서의 양성평등

체육부는 소외계층 여성들의 스포츠 참여를 이끌어내고 여성 스포츠를 미디어

158
Ⅲ. 국가별 스포츠 정책 거버넌스

에 적극적으로 홍보하고자 해왔다. 또한 여성들이 스포츠 기관 고위직 진출에


어려움이 없도록 사전 대책을 강구하는 등 적극적인 정책 개발에 힘써왔다.
또한 CNDS는 인근 시설들을 개보수하고 특히 노동자 계층의 스포츠 참여에서
양성 평등이 제대로 구현될 수 있도록 정부조직체계를 개편 하였다. 프랑스의
특정 지역에서는, 여성의 스포츠 이용 및 참가 기회가 남성에 비해 두 배
이상 낮다. 가장 대중적인 스포츠 연맹이라는 곳에서도 여성 회원의 비율이
고작 4%에 불과 한 곳도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통계적으로 스포츠 참여
여성의 40%만이 동호회 등 스포츠 단체를 통해 스포츠에 참여하고 있다.
여성 스포츠 참여의 활성화를 위해 여성 스포츠 경기나 행사를 TV에 반영하는
것 또한 체육부가 우선적으로 고려하는 요소이다. 미디어 최고위원회(CSA,
Conseil supérieur de l'audiovisuel)의 최근 보고에 따르면, 텔레비전 방영된
방송의 85%가 남성 체육에 관한 것이다. 스포츠 여성의 참여를 장려하기
위한 여성스포츠 참여정책의 수립 후 2003년 처음으로 스포츠 연맹 목표
설정 시 반드시 다루어야 할 필수 항목이 되었다. 이는 곧 여성 스포츠 발전에
대한 체육부의 의무 및 임무를 확인 시켜주는 계기가 되었다 스포츠 연맹들이
정교하게 만든 여성스포츠 참여계획을 통해 여성 스포츠에 관한 지식과 능력을
관계자들끼리 서로 공유하고 상호 원활히 소통할 수 있도록 장려하였다. 이러한
정책을 통해 프랑스 정부가 여성 스포츠와 양성평등에 관한 여러 프로젝트들
(projects vis-à-vis womenʼs sports and gender equality)의 발전과 개선
을 위해 누구에게, 어떤 일을, 어떻게 협력하고 분배해 나갈지를 명확히 알
수 있다.

다) 학교 스포츠 정책에서의 양성평등

학생들의 안녕과 건강, 성공과 책임감, 그리고 그들의 행복을 위한 프랑스


교육 정책을 만들기 위해서 학교체육은 꼭 필요한 중요한 요소이다. 자원하는

159
해외 스포츠 정책 동향 분석 – 체육행정 거버넌스 및 주요 이슈 관련 정책 비교 -

학생들은 EPS 수업뿐 아니라 학교 스포츠 협회에서 제공하는 체육 및 신체활동


프로그램에 참여할 수 있다. 통계적으로 보면 중등학교에서는 다섯 명 중
한 명 꼴의 청소년들이 수요일 오후마다 100가지의 체육활동에 참여하고
있다. 또한, 여학생의 40%가 가입되어 있는 UNSS가 프랑스에서는 가장 큰
여성 스포츠 연맹이다. 학교 체육 협회나 연맹 등은 학생과 학부모, 또는
교육기관 및 각 지역의 스포츠 관계기관에 체육 활동을 장려하고 조장하기
위해 매년 전국 학교 체육대회의 날을 시행한다

라) 장애인 스포츠 정책에서의 양성평등

FFSA의 5만명의 회원들을 보면 대부분의 연령대가 가입되어 있고 성별


비율 또한 비슷하다. 국립 스포츠와 장애 지원센터(PRNSH)에서는 장애인이
현재 어떤 다양한 스포츠단체들이 있는지를 쉽게 접하고 선택할 수 있도록
프랑스 전국 5천여개 이상의 전국 스포츠단체와 조직에 대해 지역별, 스포츠
종목별, 장애별, 조직 구조 유형별, 단체 가입 조건 등에 따라 정리 해놓은
가이드를 내놓았다.

3) 스포츠 정책에서의 민관협력

가) 엘리트 스포츠의 사례

프랑스 정부는 엘리트 선수들의 학업 및 직업의 성취에 대해 다각도로 관여하


는데 특히 은퇴 후 선수들의 직업 교육을 지원하는 기업이나 단체와의 계약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그 대표적인 예로 "직업 적응 협정(convention
d'insertion professionnelle: CIP)"을 들 수 있다. 이 협정은 프랑스 엘리트
선수들이 직장에서의 근무 시간을 조정할 수 있어 스포츠 경력과 직업적 경력을
함께 추구할 수 있도록 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이 협정은 경기 일정과

160
Ⅲ. 국가별 스포츠 정책 거버넌스

훈련에 대한 편의를 도모하면서도 임금손실이 없도록 고용주의 승인을 받아


진행된다. 체육부와 이러한 협정을 맺은 기업들은, 특히 올림픽이나 패럴림픽의
경우, 스포츠를 통해 프랑스의 국제적 영향력에 기여한다는 점을 감안하여
선수들의 경기준비에 차질이 없도록 최대 100%의 근무시간을 제해주기도
한다. 그들은 또한 엘리트 선수들에게 별도의 시간을 할당하여 성공적인 직업적
역량을 개발하도록 적절한 환경을 제공, 선수들이 그들의 열정과 패기에 따라
적절한 직업적 개발을 하도록 도와준다. 이에 대한 반대급부로 회사들은 협정
하에 고용된 엘리트 선수들의 긍정적이고 책임감 있는 이미지나 모범성, 탁월함
이나 자신을 뛰어넘는 것과 같은 가치를 기업의 이미지와 연결하여 홍보하는데
활용할 수 있다. 정부는 회사들의 손실분에 대해서 직접 지원금을 통해 부분적으
로 보상 해주고 있으며, 또한 특정 조건 하에서는 "역량 기반 스폰서쉽(Mécénat
de compétences)"이라는 제도를 통해 참여 기업들의 법인세를 인하해주는
등 간접적 지원을 제공하여 그 나머지 부분도 보충해주기도 한다. 오늘날
10개의 대기업들이 중앙정부 체육부와 국가차원에서 직업 적응 협정을 맺어
현재 74명의 엘리트 선수들의 협정의 혜택을 받고 있다. 한편, 프랑스 곳곳에
지역적 차원에서도 직업 적응 협정이 시행되고 있는데, 지역 고용주들과 맺은
같은 종류의 협정을 통해 현재 163명의 선수들이 협정의 수혜를 누리고 있다.
기업들은 엘리트 선수들이 선수로서의 성공뿐만 아니라 직업적인 성과, 이
두 가지 모두를 목표로 할 수 있는 더블 프로젝트의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그들은 직업 적응 협정 하에, 국가 조직 다음으로, 선수들을 두 번째로
많이 고용하고 있는 중요한 파트너이다.

나) 생활 스포츠의 사례

민관협력관계(PPP, Partenariat public-privé)는 공공기관뿐 아니라 정부


나 지자체가 중요한 프로젝트 수행 시 사기업으로부터 재정의 일부 또는 전부를

161
해외 스포츠 정책 동향 분석 – 체육행정 거버넌스 및 주요 이슈 관련 정책 비교 -

마련할 수 있는 새로운 법적 방법이다. PPP 계약은 공공 및 민간 부문의


수행을 최적화하여 중요하거나 "복합적인" 프로젝트들을 적시에 최상의 조건에
서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만들어졌다. 이를 통해 민간 은 투자의 방식으로
공공 인프라 및 서비스 제공에 직간접적으로 참여할 수 있게 되고 공공기관은
재정의 근간을 마련할 수 있게 된다. 프랑스의 경우, 스포츠 분야에서의 공공시
설은 주로 PPP를 통해 재정을 마련하고 있다. 이 협력의 골자는 먼저 지자체가
공공 시설의 건축, 개축, 운영이나 유지를 민간 단체에 아웃소싱하고, 민간
단체는 지자체에게 임대료를 받는 대신 30년간의 운영권을 받는 구조이다.
그러면 민간 기업은 운영권을 활용하여 부수적인 경제 활동을 하고 그 이익으로
지자체나 공공기관에게 받을 임대료를 매년 차감한다. 이러한 파트너십은
프랑스에서 지난 10년간 상당히 증가해왔다.

<그림 Ⅲ-33> 공공 스포츠 시설 건축, 개축, 운영, 유지의 민간단체 아웃 소싱 개념도

부동산투자계의 대기업인 클레피에르는 영화멀티플렉스가 영화관람자 수를


증가시켰던 모형을 기반으로 현재 론-알프스 지방의 기보르 지역에 스포츠멀티
플렉스의 건립을 고려하고 있다. 개인이나 단체, 지역사회 모두가 언제나

162
Ⅲ. 국가별 스포츠 정책 거버넌스

이용할 수 있는 상설 스포츠센터를 100% 민영으로만 짓는 데 필요한 투자금은


15억 유로 정도이다. 클레피에르는 이 프로젝트에 공공, 민간, 투자회사를
한데 아우르는 새로운 생태계 모형을 개발하려 하고 있다.

4. 독일

가. 독일 스포츠 정책의 기본 철학

독일의 스포츠는 사회의 존속과 연결되는 매우 중요한 요소로 엘리트 스포츠


와 생활 스포츠는 그러한 중요한 체육정책의 순환이라는 관점에서 살펴 볼
수 있다. 독일 국민의 대부분은 개인으로써, 스포츠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며
이를 통해 자신들의 건강한 삶을 추구하고 있다. 다른 여가 활동과의 차이점으
로, 스포츠 활동은 사회, 문화 그리고 언어와 같은 이질적 차이를 극복하는
데에 실질적인 도움을 준다. 공정한 경쟁, 존중, 그리고 팀워크와 같은 사회적
가치를 전달하는 매개로써 스포츠의 사회적 함의는 매우 크다. 일반 국민들
역시 생활 속에서의 스포츠 활동을 통해 위에 언급된 세 가지 가치의 소중함을
체감하고 이러한 경험이 이들로 하여금 규칙을 받아들이면서 사회 안에서
화합을 이루는 능력, 승리와 패배에 대처하는 태도 등을 자연스럽게 기를
수 있게 한다. 여기에 덧붙여 올림픽과 같은 국제스포츠경기대회 등을 통해
스포츠를 통한 체험이 글로벌화 되면서, 타 문화에 대한 열린 마음과 관용의
정신을 배가하고 사회 간 정체성을 확립할 수 있는 기회가 점차 증가하고
있다.

독일 정부는 엘리트 스포츠를 통해 사회에서 긍정적으로 작용하는 다양한


담론의 형성과 파급의 효과를 인지하고 있으며, 이와 관련된 연구를 지속적으로
지원하고 있다. 독일 내 스포츠 선수들은 어린이들과 청소년의 롤 모델이
되며 스포츠 경기 속에서 경쟁, 인내, 규율, 존중 그리고 열정의 모습을 구현하는

163
해외 스포츠 정책 동향 분석 – 체육행정 거버넌스 및 주요 이슈 관련 정책 비교 -

역할을 한다. 그리고, 엘리트 선수들의 이러한 모습을 통해 어린이들과 청소년들


은 근대 올림픽 창시자 쿠베르탱이 제시했던 올림픽 정신을 배우게 된다.
국제스포츠경기대회에서의 성공 등을 통한 엘리트 선수들의 긍정적인 이미지는
국제사회 속에 독일의 국위선양에도 일조한다. 마지막으로 스포츠는 상품의
매출 수익이나 일자리 창출 같은 경제적 효과 또한 가져온다. 독일의 엘리트
스포츠는 생활 스포츠의 토대를 통해 발전하고, 성공한 엘리트 선수들은 다시
사회 속의 긍정적인 롤 모델로서 생활스포츠의 저변을 확대하는 데에 영향력을
발휘한다고 볼 수 있다.

나. 독일 스포츠 행정 조직 구조

<그림 Ⅲ-34> 독일 스포츠 기구


출처: Petry and Hallmann (2014)

164
Ⅲ. 국가별 스포츠 정책 거버넌스

독일 스포츠 기관은 스포츠 자치, 보조 그리고 파트너 정신에 입각한 협력


원칙을 따른다. 이러한 원칙은 역사를 통한 학습의 결과로 독일 특유의 사고방식
에 기반하며, 따라서 어떠한 상황에서도 쉽게 흔들리지 않는다. 독일 공공
스포츠 분야의 체계는 연방정부 산하의 공공 스포츠 행정과 자가 행정
(self-administered)으로 이분화 되어 있다. 공공 행정 스포츠와 자가 행정
체계를 통해 지방, 주, 국가 단위를 연계하고 또 구분 지을 수 있다. 공공
행정 스포츠의 경우 중앙 정부부처(내무부: BMI)와 16개 지방 정부부처(예,
주 별 문화부 또는 내무부)가 지역 내 스포츠를 공동으로 책임진다. 중앙정부
차원의 독립적인 스포츠 전담 부서는 없지만 주정부의 경우엔 스포츠 부서의
전문가가 스포츠 관련 정책을 담당하게 된다. 권력이 분배된 독일의 지방자치
특성상 이러한 행정 구조는 다른 나라와 같이 위계적인 상명하복의 관계가
아니다. 비록 각 주의 스포츠 장관 회의(Conference of Ministers of Sports:
SMK)가 주 단위에서 각자의 활동을 조율하고 있지만, 각각의 주정부가 자신들
의 능력 안에서 비교적 독립적인 역량을 발휘하고 있다. 한편, 스포츠 클럽들을
중심으로 활용되고 있는 자가 행정 자율 스포츠 분야는 스포츠 공공 행정과는
다소 다른 양상을 보인다. 스포츠 클럽들은 특정 경기 종목(경기종목단체)이나
복합 스포츠 (스포츠 연맹) 기관과 같이 양쪽에 소속된다. 2006년 5월, 독일
체육회(DSB)와 독일 올림픽체육회(NOC)가 합쳐진 이후 독일 올림픽연맹
(DOSB)은 상위단체로서 산하 회원단체들의 이익을 대변하고 있다. 독일 주
정부 내에서 스포츠와 관련한 업무를 조율하는 것은 내무부의 소관이다. 특히
이러한 역할은 엘리트 스포츠, 장애인 엘리트 스포츠, 스포츠 의학, 스포츠
과학, 엘리트 스포츠 시설 건설, 국제 스포츠 업무, 독일 연방 경찰 내 엘리트
스포츠, 그리고 스포츠를 통한 사회통합 등에 재정지원을 하는 것이다.

독일 연방 스포츠 과학 연구소 (German Federal Institute for Sport


Science: BISp)는 내무부를 대신해 스포츠 과학 연구를 증진시키고 관장한다.

165
해외 스포츠 정책 동향 분석 – 체육행정 거버넌스 및 주요 이슈 관련 정책 비교 -

내무부와 함께 열한 개 주 기관이 스포츠 관련 책임을 나눠 갖는데 해당 기관의


목록은 다음과 같다.

• 연방외무성 (AA)

• 재무부 (BMF)

• 국방부(BMVg)

• 경제, 기술부 (BMWi)

• 노동사회부 (BMAS)

• 교육연구부 (BMBF)

• 가족, 노인, 여성, 청소년부(BMFSFJ)

• 보건부 (BMG)

• 교통, 건설, 도시 개발부(BMVI)

• 환경, 자연보존, 핵안전부(BMUB)

• 경제 협력 개발부(BMZ)

다. 독일 스포츠 정책 재정 현황

독일 스포츠에 대한 정부의 재정지원은 내무부에 의해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는 다음과 같은 세 가지의 중요 원칙을 기반으로 이루어진다.

1) 스포츠의 자치성(Autonomy of Sport)

정부 스포츠 재정지원의 핵심 원칙은 정부의 재정지원에도 불구하고 근본적으


로 스포츠 조직에 대한 자율성을 보장한다는 인식에 기초한다는 것이다. 스포츠
가 스스로 필요한 조직을 구성하고 사회적으로 요구되는 사안들을 독립적으로
처리하는 것을 원칙으로 스포츠 정책은 스포츠 영역의 자치권과 독립성을

166
Ⅲ. 국가별 스포츠 정책 거버넌스

존중하면서 수립 및 시행한다. 이를 위해 연맹, 협회, 클럽 그리고 회원들의


활동을 지원할 수 있는 광범위하고 헌법적으로 보장된 기준이 필요하다. 각
스포츠 자치성은 독일 의회에서 결정되는 재정적, 법적 규정을 따르는 것을
기본으로 한다.

2) 보조(Subsidiary)

독일 정부의 재정지원은 어디까지나 재정보조의 차원이며 근본적으로 재정조


달의 책임은 각 스포츠 단체에 있다.

3) 협력적 파트너십(Cooperative partnership)

효율적인 스포츠 재정의 활용은 주 정부와 각 기관 그리고 스포츠 체계


내 각 기관들의 긴밀한 협력을 위한 파트너십을 토대로 한다. 이러한 협력의
예로는 2013년 1월 22일 체결된 내무부 (BMI) 와 독일올림픽연맹 (DOSB)의
협약체결을 들 수 있다. 이 협약에 따라 독일올림픽연맹이 스포츠 관련 사업의
주도권을 가지게 되었다. 그리고 내무부는 각 주의 필요에 따른 정치적 의사결정
과 재정지원을 맡게 되었다. 스포츠 재정의 대부분은 주정부, 중앙정부, 각종
유관단체와 같은 공공기관에서 조달된다. 독일 연방정부는 2010년에서 2013
년 사이에 직간접적으로 약 9억 4800만 유로를 스포츠 예산으로 조달했는데,
그 중 내무부의 재정지원이 가장 큰 비율을 차지했다. 표 Ⅲ-62는 2011년부터
2013년까지 이루어진 연방정부의 직간접적 재정지원을 표로 나타낸 것이다.

<표 Ⅲ-62> 2011-2013년 직·간접적인 연방정부의 스포츠 분야 재정지원


(단위: 백만 유로)

정부부처 2010 2011 2012 2013 2010~2013 누적


연방외무성 4.697 4.230 3.975 3.828 16.730
내무부* 156.595 158.941 158.091 161.011 634.638

167
해외 스포츠 정책 동향 분석 – 체육행정 거버넌스 및 주요 이슈 관련 정책 비교 -

정부부처 2010 2011 2012 2013 2010~2013 누적


재무부 2.171 1.469 338 2.505 6.483
노동사회부 1.203 775 665 654 3.297
국방부 61.736 58.859 49.068 52.120 221.783
보건부 1.362 443 822 1.262 3.889
환경, 자연보존,
368 199 142 178 887
핵안전부
가족, 노인, 여성,
6.428 13.076 16.894 17.183 53.581
청소년부
경제 협력 개발부 0 0 100 1.550 1.650
교육연구부 1.339 1.414 1.289 1.409 5.451
정부부처 총 합계 235.899 239.406 231.384 241.700 948.389
*내무부 135.515 132.859 130.477 132.238 531.089
독일경찰 15.285 19.777 21.197 21.040 77.299
독일연방
5.795 6.305 6.417 7.733 26.250
스포츠과학연구소
내무부 합계 156.595 158.941 158.091 161.011 634.638

정부부처 재정지원 이외에, 1972년 뮌헨 올림픽과 1974년 월드컵 재정


조달을 위해 1971년에 만들어진 이래 지금까지 이어져 온, 텔레비전 복권(글뤽
슈필랄레, Glücksspirale, 행운사슬) 또한 독일 스포츠에 재정에 한 몫을
차지하고 있다. 물론 복권의 수익금은 스포츠 재정지원 외에도 복지재단과
조각물 보존 사업 등에도 쓰이고 있다. 2010년에서 2013 년 사이 복권기금에
의한 스포츠 재정지원은 다음과 같다.

• 2010 : 1820만 유로

• 2011 : 1705만 유로

• 2012 : 1695만 유로

• 2013 : 1621만 유로

복권기금은 아래의 비율로 각 단체들에 분배되었다.

168
Ⅲ. 국가별 스포츠 정책 거버넌스

• 40% : 지역 스포츠 협회

• 35% : DOSB

• 25% : German Sport Aid (DSH)

라. 독일 생활 스포츠 참여 실태

독일 내에는 91,000여 개의 스포츠 클럽이 활동하고 있으며, 이들은 각


지역 내 엘리트, 생활 스포츠의 발전을 견인하고 있다. 국민들은 여가활용적
차원이나 건강증진적 목적으로 이들 스포츠를 활용하고 있으며, 이러한 측면에
서 스포츠 클럽은 공공복지에 기여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오랜 역사를 자랑하는
독일 스포츠 클럽 중 현존하는 스포츠 클럽의 8%는 1900년 이전에 창립되었다.
제 2차 세계대전 중에는 클럽의 수가 현저히 감소했으며, 현재 존재하는 대부분
의 독일의 스포츠 클럽은 1961년에서 1990년 사이에 활동하기 시작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자세히 분석해 보면 클럽의 23%가 독일 통일 이후에 만들어졌으
며, 독일 스포츠 체제를 클럽 중심으로 변화시켰음을 알 수 있다. 법적인
구조를 볼 때, 대부분 클럽(전체 클럽의 97.6%)은 명확히 등록단체(registered
societies)의 형태를 띠는 명확한 특징을 보인다. 독일 스포츠 클럽은 단순히
개인이 스포츠 활동을 하는 동호회적 성격뿐만 아니라 국가적 차원에서 공공복
지의 일환으로 국민의 스포츠 활동을 지원하고자 구성된 자치단체의 구현이라는
목표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독일 스포츠 클럽의 역할은 다음의 다섯 가지
스포츠의 역할과 목표에서도 나타난다.

(1) 페어 플레이와 인내 와 같은 가치의 전달

(2) 스포츠를 즐길 수 있는 저렴한 기회 제공

(3) 협동심과 긍정적인 분위기의 고취

169
해외 스포츠 정책 동향 분석 – 체육행정 거버넌스 및 주요 이슈 관련 정책 비교 -

(4) 이민자들에게도 스포츠를 즐길 수 있는 기회 제공

(5) 소녀/여성, 소년/남성 간의 동등한 기회 제공

공공적 역할을 띠고 있는 독일 스포츠 클럽의 45.8%는 자체적으로 스포츠


시설을 갖추고 있는 반면 약 56,800개의 클럽인 62.4%는 지역 학교 시설을
포함한 공공 스포츠 시설을 공유한다. 전체 클럽 중 31.4%는 공공시설 이용료를
지불하고 있으며 이는 공공 시설을 사용하는 클럽의 50.5%에 달한다. (표
Ⅲ-63)

<표 Ⅲ-63> 클럽 자체 보유 또는 공동 사용 시설 비율
클럽 비율(%) 전체 클럽 수
클럽 소유 시설 사용 45.8 41,700
공공 시설 사용 62.4 56,800
사용료 지불 31.4 28,700

마. 독일 스포츠 정책 영역별 거버넌스

1) 엘리트 스포츠 거버넌스

독일 연방정부는 스포츠 자치성의 원칙하에 종목별 경기 단체와 그 선수들이


국제 무대에서 최대 능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돕는 후원자로서의 역할을 담당한
다. 그렇기 때문에 독일 정부가 자체 프로그램을 운영하거나 전체적으로 지휘를
하기 보다는 스포츠의 자가행정에 관여하는 여러 단체들이 독일 엘리트 스포츠
의 각 사업에 주도적으로 참여한다. 독일 연방정부는 엘리트 스포츠 분야의
최고 결정권을 가진 독일 올림픽연맹의 위원회 등에 참여하고, 독일 스포츠
원조(German Sport Aid: DSH), 연방 훈련센터 이사회에 파견되어 있는
정도로 보면 된다. 물론 국가의 중앙정부가 개별 스포츠 단체의 자치성과

170
Ⅲ. 국가별 스포츠 정책 거버넌스

보조의 원칙을 따른다고 하지만, 연방 보조금을 매개로 자신들의 의지를 관철


시키고자 할 수도 있다. 2005년 중앙정부가 DOSB 재정 배분과 포괄적 재정지원
에 대한 요구를 거절한 때와 같은 경우가 바로 그 예일 것이다.

가) 독일 올림픽 연맹 프로젝트와 올림픽 지원

독일 내무부는 모든 스포츠에 대한 지원이라는 틀 안에서 엘리트 스포츠


내 특별 계획들을 지원하고 있다. 예컨대, 스포츠 의학 분야에 중점을 둔
엘리트 선수들 지원으로 예방 조치, 의학적 재활에 기반한 행위진단 권고
등이 이러한 사업에 포함된다. 최근 올림픽을 대비한 준비의 일환으로 스포츠
심리지원에 특히 중점을 두고 있다. 연례적으로 독일 국가대표 감독 회의와
올림픽연맹의 엘리트 스포츠 시스템 관련 출판 사업은 내무부의 지원을 받고
있다. 내무부는 연 3,000회 가량의 스포츠 의학 실험을 위해 아래와 같은
재정지원을 제공했다.

• 2010 : €649.477

• 2011 : €682.570

• 2012 : €684.821

• 2013 : €694.343

올림픽연맹의 다른 스포츠 사업에 대한 내무부의 연도별 재정지원 금액은


아래와 같다.

• 2010 : €400.243

• 2011 : €1.520.233

• 2012 : €310.859

• 2013 : €331.456

171
해외 스포츠 정책 동향 분석 – 체육행정 거버넌스 및 주요 이슈 관련 정책 비교 -

2012년 런던 올림픽과 2014년 소치 동계 올림픽에 독일 팀을 파견하는데


소비된 비용은 다음과 같다.

<표 Ⅲ-64> 2012년 런던 올림픽 및 2014년 소치 올림픽 독일 대표팀 파견비용


중앙정부 DOSB 및 자매기관 합계
2012 런던 올림픽 2,774 (51%) 2,638 (49%) 5,412
2014 소치 올림픽 3,490 (55%) 2,902 (45%) 6,392

나) 스포츠 연맹

독일 스포츠 연맹들은 해당 종목의 엘리트 스포츠 발전에 관여하며, 독일


올림픽 연맹, 주정부, 독일 스포츠 원조와 긴밀히 협력하고 있다. 또한 국가대표
선발, 국제대회 출전선수 선발 및 경기 출전 준비 업무를 수행한다. 스포츠
연맹의 재정지원은 내무부 엘리트 스포츠 지원 체계의 핵심이라고 볼 수 있다.
현재 31개 올림픽 종목 스포츠 연맹 및 15개 비 올림픽 종목 연맹이 그러한
재정지원의 대상이다. 2014년 내무부의 각 연맹 재정지원 현황은 표 Ⅲ-65와 같다.

<표 Ⅲ-65> 2014년 각 스포츠 연맹 내무부 재정지원 현황


연맹 정부지원금(€) 연맹 정부지원금(€)
배드민턴 752.702,65 피겨 스케이팅 727.118,06
농구 563.624,18 스피드 스케이팅 1.717.695,21
복싱 999.702,88 알파인 스키 1.045.000,00
펜싱 2.697.206,56 스노우 보드 1.104.251,56
역도 717.758,78 야구 134.670,61
핸드볼 542.151,22 당구 108.978,00
하키 1.838.490,00 보치아 및 보울 78.210,37
유도 1.460.108,78 바이에른 컬링 126.145,00
카누 2.812.486,73 피스트 볼 82.392,47
육상 6.489.047,19 실내 사이클 51.490,00

172
Ⅲ. 국가별 스포츠 정책 거버넌스

연맹 정부지원금(€) 연맹 정부지원금(€)
근대5종 475.176,92 주짓수 141.112,00
사이클 3.150.526,56 급류 카누 25.000,00
승마 2.120.090,52 가라테 202.392,00
레슬링 1.163.843,08 볼링 104.960,00
조정 4.489.116,64 코프볼 40.606,00
럭비 244.800,00 파워 리프팅 118.060,00
사격 1.937.908,31 미니골프 108.416,00
수영 4.210.560,98 오리엔테이션 런 30.067,00
요트 1.362.584,00 줄다리기 153.134,68
태권도 714.558,05 롤스포츠 225.515,00
탁구 920.940,00 체스 93.042,00
트라이애슬론 725.340,34 아크로바틱 76.842,00
체조 2.185.579,54 스쿼시 133.079,00
배구 1.447.519,96 스모 56.000,00
봅슬레이 3.169.214,95 댄스스포츠 156.112,00
컬링 377.437,90 수상스키 132.445,00
아이스하키 479.248,99 합계 54,864,347.67

내무부의 재정지원은 아래의 용도로 쓰인다.

• 훈련, 강좌, 재능 있는 선수 발굴

• 세계 및 유럽 선수권 출전

• 올림픽, 장애인 올림픽, 데프림픽 및 세계경기대회 출전

• 올림픽, 장애인 올림픽 및 데프림픽의 세부적 준비 및 예산지원

• 국가대표 코치진 수당

• 독일 내 국내 및 국제 행사 조직

• 국제 스포츠 우호관계 증진

• 스포츠연맹 시설 및 중앙기구 지원 (예:라츠부르크에 있는 조정아카데미 지원)

173
해외 스포츠 정책 동향 분석 – 체육행정 거버넌스 및 주요 이슈 관련 정책 비교 -

지난 5년 간 주요 스포츠 행사로는 2010년 밴쿠버 동계올림픽, 2012년


런던올림픽, 2014년 소치 동계올림픽을 들 수 있고, 독일 대표선수단의 성적은
표 Ⅲ-66과 같다.

<표 Ⅲ-66> 하계 및 동계 올림픽 독일 메달 획득 현황


금 은 동 합계
2010 10 13 7 30
2012 11 19 14 44
2014 8 6 5 19

독일 선수단은 밴쿠버에서는 종합2위, 런던과 소치에서는 종합 6위에 올랐으


며, 제9회 세계 대회에서는 메달 30개를 획득해 종합 6위를 했다.

다) 올림픽 훈련 센터(National Olympic Training Centers: OSPs)

독일 올림픽 훈련센터는 올림픽, 장애인 올림픽, 데프림픽, 1-3군 코치


감독 및 지원기관이다. 1984년 사라예보 동계올림픽과 1984년 로스엔젤레스
올림픽의 부진을 극복하고 세계무대에서 독일 엘리트 스포츠를 다시 정상급으로
자리매김하기 위해 건립되었다 (Daumann, 2007). 국립 올림픽 훈련센터의
개념은 '거점 시스템(Stützpunktsystem)'의 틀 안에서 발전되었다. 엘리트
스포츠를 위한 전체 거점 시스템은 '국립 올림픽 훈련 센터(OSPs)', '국립
훈련 거점(National Training Base: BSP)', 그리고 '국립 경기력 센터
(National Performance Center: BLZ)'로 구성되어 있다. 이 시스템은 훈련
빈도와 전문성을 높이기 위해 도입되었다. 1985년 전(前) DSB 위원회는 ʻʻ집중
육성 스포츠 가이드라인ʼʼ(Leitlinien für den Spitzensport)을 발표하고 올림
픽 훈련센터를 설립의 기초를 만든 뒤, 일 년 후 첫 번째 올림픽 훈련센터를
개소하였다. 현재 전국적으로 19개의 올림픽 훈련 센터가 있고 해당 지역은

174
Ⅲ. 국가별 스포츠 정책 거버넌스

아래와 같다.

• OSP 바이에른

• OSP 니더작센

• OSP 베를린

• OSP 라인란트

• OSP 브란덴브루크

• OSP 라인-루어

• OSP 헤미츠-드레스덴

• OSP 라인-넥타

• OSP 프라이부르크-슈바르쯔발트

• OSP 라인란트-팔쯔/자란트

• OSP 헤센

• OSP 슈투트가르트

• OSP 함부르크/슐레스비히-홀슈타인

• OSP타우버비숍스하임

• OSP 라이프찌히

• OSP 튀링겐

• OSP 작센-안할트

• OSP 베스트팔리아

• OSP 멕클렌부르크-포퍼머른

175
해외 스포츠 정책 동향 분석 – 체육행정 거버넌스 및 주요 이슈 관련 정책 비교 -

올림픽 훈련센터(OSP)는 센터 별로 다른 종류의 '집중 종목(focus sports)'을


지원하기 때문에 시설의 평균 활용도는 센터의 수용인원과 집중 스포츠에
따라 큰 차이를 보인다. 예를 들어 2002년 OSP 바이에른과 OSP 타우버비숍스
하임에 소속된 선수 규모는 각각 738명 대 89명이고, 2004년 해당 OSP들에서
행한 훈련 종목은 21(바이에른) 대 1(타우버비숍스하임)로 그 차이가 확연히
나타난다. 결론적으로, 올림픽 훈련센터(OSP)는 개인 및 집단의 스포츠 성과를
향상시키는 도구인데 이 효율을 극대화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항목들에 따른
지원이 이루어진다.

(1) 스포츠 의학

스포츠 의학 전문의가 선수의 치료와 지원은 물론이고 일일 훈련 프로그램


중 개 인상담을 통해 최대한의 효율을 추구한다. 따라서 이러한 중요한 특수성
때문에 센터는 이를 위탁하지 않고 직접 운영을 하고 있다.

(2) 훈련분석

훈련분석의 목적은 개개인에 맞는 훈련과정을 제시, 설계, 감독을 목적으로


하고 다양한 테스트 과정을 거쳐 훈련 강도, 스피드, 민첩성을 극대화 한다.

(3) 물리치료

물리치료는 훈련기간 또는 경기 중에 재활시간을 줄이는데 그 목적이 있는데


부상 후 선수들 간의 화합을 통해 기량을 회복하는 데에도 도움이 된다. 물리치료
는 부상 후 치료는 물론이고 선수들의 부상을 방지하는 측면도 있다.

(4) 스포츠 심리학

스포츠 심리학을 유소년 일일 훈련 때부터 프로그램에 넣어 선수들 기량향상


을 꾀하고 있는데 주요 내용은 기초훈련, 기술훈련 그리고 위기관리이다.

176
Ⅲ. 국가별 스포츠 정책 거버넌스

스포츠 심리학 프로그램은 대부분 그룹으로 이루어지는데 상황에 따라 개인


상담으로도 편성된다. 이를 통해 인성개발에 도움을 주고 코치와 선수들 간
의사소통도 증진해 나간다.

(5) 영양상담

선수들 상태와 훈련계획에 따라 영양상담을 하고 정보를 제공한다. 그리고


선수 개개인에 따라 설계한 식이요법 계획으로 각 선수들의 운동능력을 최적화한다.

올림픽훈련센터는 다음의 목표를 가지고 있다.

• 독일 엘리트 스포츠 선수들이 질병이나 상해를 입었을 때 최대한 빨리


복귀할 수 있는 능력을 길러준다.

• 훈련 선행조건, 능력향상, 훈련조절, 강도조절, 훈련설계 조언 등을 통한


훈련 과정 설계를 한다.

• 학업과 스포츠를 병행하는 과정과 결과에서 오는 각종 질문 해결한다.

• 심리훈련과 영양상담으로 선수들을 준비시킨다.

센터는 주정부와 중앙정부의 재정지원을 받는데 세부적으로는 DOSB, 내무


부, 중앙정부 및 기관들의 이해관계에 의해서 매년 그 비율의 차이가 커진다.
또한 광고나 후원 같은 외부지원을 통한 기금조성도 이루어지고 있다. 그리고,
2010년에서 2013년 사이에 내무부는 센터에 약 1억 900만 유로를 지원했다.

라) 국립 훈련 거점(National Training Bases: BSP)

훈련거점은 각종 기반시설과 훈련된 상근 코치진을 통해 집중스포츠를 육성하


는 중심기관으로 각 스포츠 연맹의 엘리트 스포츠에 일일 훈련의 개념을 도입하
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클럽, 연방 스포츠 연맹 등이 훈련거점의 협조 아래서
업무를 해 나간다. DOBS는 올림픽을 기준으로 4년 주기로 운영되는 훈련거점의

177
해외 스포츠 정책 동향 분석 – 체육행정 거버넌스 및 주요 이슈 관련 정책 비교 -

공식적 지위를 인정하고 있는데 2014년에는 200개 이상의 훈련거점이 이에


해당했다.

마) 국립 경기력 센터(National Performance Centers: BLZ)

국립경기력센터는 DOBS와 내무부가 인정한 훈련과 교육이 가능한 스포츠


선수들이 머물면서 훈련을 할 수 있는 선수용 숙박시설이다. 특히 국가대표팀의
교육과 훈련을 맡고 있는데 현재는 종목 별로 네 곳의 지역센터가 있다.

• BLZ 두이스부르크 (카누)

• BLZ 헤네프(복싱, 레슬링)

• BLZ 킨바움 (종합)

• BLZ 비스바덴(사격)

이와 같은 국립경기력센터는 뒤스부르크, 비스바덴과 같이 위치한 지역의


지방자치단체, 미텔라인/헤네프 축구협회와 같은 종목별 단체, 또는 키엔바움
과 같은 지원단체가 운영한다. 2010년에서 2013년 사이에 내무부는 국립경기
력센터에 약 170만 유로를 지원했다.

바) 스포츠 과학

과학적 엘리트 스포츠 네트워크(Scientific Network Elite Sport: WVL)는


향후 수 년 간 독일 엘리트 선수들의 국제대회 성과 향상을 목표로 한다.
이에 대한 국내 관심이 증가하면서 내무부는 지원 비율을 높이는 경향을 보인다.
2006년 설립한 위원회를 주축으로 BISp와 DOSB가 돌아가며 회장직을 맡고
있다. 그림 Ⅱ-35는 과학적 엘리트 스포츠 네트워크를 도식화한 것이다.

178
Ⅲ. 국가별 스포츠 정책 거버넌스

<그림 Ⅲ-35> 독일 내 스포츠 과학 네트워크

BIPs 조직은 스포츠, 특히 스포츠 관련 각종 연맹들과 스포츠 연구소들에


과학적인 운용과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한다. BIPs 는 스포츠, 과학, 그리고
정치를 포함하는 내무부의 자문기관 역할도 한다. 2010년에서 2013년까지
자금운용은 다음과 같다.

• 2010 : 580만 유로

• 2011 : 630만 유로

• 2012 : 640만 유로

• 2013 : 770만 유로

그 중 아래의 예산이 스포츠 과학 연구와 결과 적용에 쓰였다.

• 2010 : 330만 유로

179
해외 스포츠 정책 동향 분석 – 체육행정 거버넌스 및 주요 이슈 관련 정책 비교 -

• 2011 : 350만 유로

• 2012 : 360만 유로

• 2013 : 470만 유로

사) 군인, 경찰, 세관의 역할

독일 정부의 엘리트 스포츠 정책에 따라 군(軍)도 엘리트 스포츠를 지원을


하고 있다. 엘리트 스포츠 선수들을 지원하기 위해 군은 DOSB에 최대 744개의
훈련 장소를 제공하고 있다. 독일 내 모든 스포츠 연맹이 군의 지원 혜택을
누리고 있다. 또한, DOSB의 코치 정책을 지원하며 올림픽 종목 연맹의 국가대표
팀 코치들을 위해 최대 50개의 일자리를 제공한다. 그 중에는 심리치료사를
위한 일자리도 포함된다. 현재 744명의 군인 선수가 있는데 그 중 250명은
여성으로 15개 스포츠 종목에 나뉘어 활동하고 있다. 지난 올림픽 때 군인들의
메달 획득비율이 꽤 높았는데 그 비율은 밴쿠버 올림픽 57%, 런던 올림픽
43% 그리고 소치 올림픽은 53%였다. 선수들은 지원 여부에 따라 일반군인이나
직업군인이 될 수도 있는데 이럴 경우 군사훈련을 더 많이 받아야 한다. 예비역도
올림픽 경기나 세계 또는 유럽 챔피언십에 출전할 수 있는데 이를 위해 군은
연간 2,500 일의 예비군 훈련을 편성하고 있으며, 지난 하계올림픽을 대비하면
서는 3,500일의 예비군 훈련을 편성하였다. 이처럼 군의 엘리트 스포츠 지원은
독일 엘리트 스포츠의 장기 계획에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 최근 DOSB는
엘리트 스포츠 육성에 있어서 군의 역할을 강조하고 있다.

독일 연방경찰도 1978년부터 하계 스포츠는 키엔바움, 동계 스포츠는 바트


엔도프에 위치한 연방 경찰 스포츠 학교에서 엘리트 스포츠를 지원하고 있다.
이는 선수들의 ʻʻ겸업ʼʼ을 허용하는 것으로 경찰관이 되는 전문교육을 받으면서
선수생활도 같이 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추후에 선수 생활을 중지해도 경찰

180
Ⅲ. 국가별 스포츠 정책 거버넌스

본업으로 복귀하면 된다. 현재 85명의 연방경찰이 동계 올림픽 종목에, 75명이


하계 종목에 선수로 등록되어 있다. 지난 2012년 런던 올림픽 때 25명의
경찰이 출전해 13개의 메달을, 2014년 동계 올림픽에는 24명의 경찰이 출전해
19개의 메달을 획득했다. 세관은 ʻʻ세관 스키팀ʼʼ을 운영하며 알파인 스키, 바이애
슬론, 크로스 컨트리 스키 등의 동계 종목을 지원한다. 현재 44명의 선수가
등록되어 세관업무를 겸하고 있는데 8명의 코치들과 한 명의 기술자가 스포츠단
을 지원하고 있다.

아) 독일 스포츠 원조(German Sport Aid: DSH)

독일 올림픽 협회와 DOSB 전신인 독일 스포츠연맹은 1967년에 독일 스포츠


원조를 설립했다. 독일 스포츠 원조는 정관에 따라 비영리 기관 자격으로
대회에 참가 준비 중이거나 과거 대회에서 뛰어난 기량을 선보인 엘리트 스포츠
선수들에 대한 사회적 보상 및 국가를 대표하는 대가로 금전적 지원뿐만 아니라
스포츠 활동을 유지하기 위한 다양한 자원을 한다. DSH는 창립이래 4만 7,000
여 명의 청소년과 엘리트 스포츠 선수들에게 약 3억 9,000만 유로의 지원을
해 오고 있다. 2014년에는 3,800여 명이 그 혜택을 받았으며 그 금액은 매
해1,250만 유로 정도이다. 더불어 독일 내 유소년 스포츠 지원도 하고 있는데
내용은 아래와 같다.

(1) 선수단 지원

선수단 지원을 받기 위해서는 인가 된 스포츠 연맹의 국가대표 선수 자격을


갖추어야 하며 모든 국가대표 선수는 100-300유로의 기본 지원금을 받는다.

(2) ʻʻ엘리트 플러스ʼʼ: 엘리트 스포츠 지원 최고단계

2016년 리우올림픽을 준비하는 선수들에게 최대 월 1,500유로를 최대 18개


월간 지급한다.

181
해외 스포츠 정책 동향 분석 – 체육행정 거버넌스 및 주요 이슈 관련 정책 비교 -

(3) 엘리트 선수 지원 연금

올림픽, 세계/유럽 챔피언십에서 메달을 획득한 선수들은 추가로 500-800


유로를 받게 되는데 현재 약 100여명이 이에 해당된다.

(4) 청소년 지원

약 150명의 청소년이 연간 최대 4,000유로의 지원금을 받는다.

(5) 올림픽 보너스

2014년 소치 올림픽 이후 장애인 올림픽 메달리스트들도 올림픽 메달리스트


동등한 혜택으로 올림픽 보너스를 지급받는다. 그 금액은 금메달 20,000유로,
은메달 15,000유로 그리고 동메달 10,000유로이다.

(6) 개인 지원

경제적 어려움이 있거나 일정한 소득이 없어서 선수 생활을 계속 할 수


없는 개인에게 재정적 지원을 한다.

(7) 스포츠와 직업

2013년에 각종 분야 산업과 연계해 선수들이 향후 취업시장에 나갈 때를


대비하는 새로운 구상이 만들어졌다.

DSH는 민간 자선단체이기 때문에 정부의 지원을 받지 않고 후원, 기부,


자선 공연 등을 통해 모금을 한다. 복권인 ʻʻ행운의 사슬(Glücksspirale)ʼʼ과
특별 우표도 그 수단 중 하나이다. 현재 루푸트한자, 메르세데스 벤츠, 도이치텔
레콤 그리고 도이치 방크 등이 후원하고 있다.

2013년 DSH 기금 운용 현황

- 직접 지원

182
Ⅲ. 국가별 스포츠 정책 거버넌스

하계 올림픽 종목 연맹 : 750만 유로

동계 올림픽 종목 연맹 : 170만 유로

하계 비 올림픽 종목 연맹 : 130만 유로

동계 비 올림픽 종목 연맹 : 70만 유로

예비비 : 60만 유로

직접 지원 합계 : 1270만 유로

- 간접 지원

선수 상담 및 기획 : 120만 유로

세미나, 비 금전적 지원, 시상식 : 90만 유로

간접 지원 합계 : 210만 유로

2) 생활 스포츠 거버넌스

독일의 국민 모두를 위한 생활 스포츠 정책은 주정부가 주도하고 있는데


독일 전반의 특정한 이해관계에 해당할 경우 중앙정부와 같이 정책을 추진하기
도 한다. 2010-2013년 사이 주정부의 우선순위는 아래와 같다.

가) 국제 독일 체조 축제(IDTF)와 세계 김나에스트라다

중앙정부는 4년 마다 열리는 IDTF에 재정지원을 제공한다. 2013년에는


7만 명 이상의 선수들이 3,400여 개의 클럽을 통해 체조 축제에 참가했으며
약 10만 여 명이 관람했다. 내무부는 독일 체조 연맹에 약 100만 유로를
지원해 행사를 보조했다. 세계 김나에스트라다(World Gymnaestrada)는 매
4년 마다 개최되는데, 2011년에는 독일 217개 클럽의 1860명이 참석했다.
내무부는 독일 선수단을 대표해 40만 유로를 지원했다.

183
해외 스포츠 정책 동향 분석 – 체육행정 거버넌스 및 주요 이슈 관련 정책 비교 -

나) 청소년 올림픽 준비단(JTFO)

내무부는 준비단에 연간 50만 유로를 지원하는데 세부 사항은 ʻʻ학교 스포츠


정책ʼʼ에 기술되어 있다.

다) 독일 스포츠 훈장(DSA)

독일 스포츠 훈장은 1913년에 칼 디엠이 만들었고 이후 3,300만 여 번


수여되었다. 독일 스포츠 훈장은 특정한 스포츠 성과를 거둔 경우 DOBS가
수여한다. 그 성과는 성별, 나이, 종목 별로 다른데 종류는 금, 은, 동 세
가지가 있으며 그 기준은 최고성적이 아닌 종목별 개인 성과에 따르고, 1952년
이후 수상 대상을 독일에서 전 세계로 확대하였다.

라) 어린이와 청소년 스포츠

어린이와 청소년 스포츠 정책은 독일 정부의 ʻ어린이와 청소년 계획ʼ을 기반으


로 한다. 재정지원의 주무부처는 가족, 노동, 여성, 청소년부(BMFSFJ)이다.
대상은 DOSB내 독일 스포츠 청소년단 (dsj)와 기타 몇몇 청소년 단체로 기본적
인 재정지원과 후원을 받게 된다. 2010-2013년 동안 중앙정부는 이를 위해
2,930만 유로의 예산을 집행하였으며 사회통합, 관용, 반극단 주의와 반 폭력을
주요 과제로 삼아 어린이와 청소년의 스포츠 활동을 지원했다.

마) 독일 스포츠 청소년단(dsj)

독일 스포츠 청소년단은 어린이와 청소년 스포츠 지원을 위한 최대 사단법인


이다. 980여 만 명 이상의 어린이, 유소년 그리고 27세 이하 청년들이 주정부
산하 16개 청소년 스포츠 기구, 각 연맹 산하 54개 청소년 스포츠 기구,
10개의 특수 분과 청소년 스포츠 기구를 포함해 약 9만 여 개 스포츠 클럽에서
활동 중이다. dsj는 본부 운영과 독일 내 모든 청소년 스포츠 기구를 관장하는

184
Ⅲ. 국가별 스포츠 정책 거버넌스

중앙 기구로서의 역할을 위해 지원을 받고 있다. 지원금의 그 주요 지출은


아래와 같다.

a. 청소년 방과후 학습

b. 직원 연수

c. 청소년 단체 직원 인건비, 출판, 행사추진비

dsj는 또한 정부로부터 국제 청소년 기구 회의 참가 비용을 지원받으며,


dsj는 정부지원 관련단체를 선발하는 역할도 한다.

<표 Ⅲ-67> DSJ및 회원단체 정부 재정지원


(단위: 백만 유로)

2010 2011 2012 2013


DSJ 예산 1,359 1,359 1,355 1,371
프로젝트 이익 1,400 1,330 1,375 1,365
총계 2,759 2,689 2,730 2,736

최근 독일의 청소년 스포츠 발전 안은 아래와 같다.

• "몸을 움직이고 정신을 신장하자"

• "스포츠로 함께하는 청소년 봉사활동"

• "미래에 대한 투자: 청소년들이 참여하는 스포츠"

• 국가 네트워크 "청소년 길거리 축구 지원"

이 외에도 내무부는 독일-프랑스 청소년 기구에 매 년 약 90만 유로를,


독일-폴란드 청소년 기구에 매년 약 16만 유로를 지원하고 있다.

185
해외 스포츠 정책 동향 분석 – 체육행정 거버넌스 및 주요 이슈 관련 정책 비교 -

바) 노인 스포츠

가족, 노인, 여성, 청소년 부( BMFSFJ)는 노인을 위한 스포츠 활성화를


위해 다음 세 가지를 제안했다.

- "스포츠, 운동 그리고 치매"

이 프로젝트는 로버트 보쉬 재단이 2013-2016년 동안 진행하는 것으로


치매환자들의 이슈를 사회 안에서 해결하려는 목적을 가지고 있다. 또한 각종
스포츠 활동을 통해 치매를 방지하고 발병의 진행을 늦추고자 하는 목적도
포함하고 있다.

- "건강한 50세/ 운동 네트워크 50+"

2002-2005년, 2009-2012년에 DOBS와 BMFSFJ는 이 프로젝트를 통해


50세 이상 노인들의 건강을 위해 시도되었다.

- "생활운동과 건강"

DOBS가 시작한 이 프로젝트는 2016년까지 계속되는데 연령대가 다른 노인


들을 그룹을 만들어서 생활운동을 한다. 그 대상은 아주 연로한 노인들과
갓 은퇴한 전환기 노인이다.

-"활기찬 노화와 세대간 화합하는 유럽의 해 2012"

BMFSFJ의 여러 활동들이 활동적인 노화와 세대 간의 조화를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사) 가족 스포츠

독일에서 가족 스포츠는 특정 가족 구성원을 대상으로 하는 게 아니라 세대를


뛰어 넘어 누구든 포괄적으로 참여하도록 한다는 의미의 가족 스포츠다. 이를
위해 가족 휴일 같은 때를 활용하여 평소 스포츠에 적극적이지 않은 구성원의

186
Ⅲ. 국가별 스포츠 정책 거버넌스

참여를 유도한다. 독일에는 103가지의 가족 휴가지가 있는데, BMFSFJ의


특별지원금을 받고 있으며 다양한 특별 스포츠 이벤트를 개최하고 있다.

- "스포츠를 통한 가족, 가족을 통한 스포츠"

2011, 2012년에 DOSB와 BMFSFJ가 추진한 이 사업은 가족 간의 스포츠


이벤트를 통해 시너지 효과를 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그 결과는
www.familien-sport.de 에서 단행본 형태로 다운 받을 수 있다. 이 프로젝트
는 2013년 이래 BMFSFJ의 지원 하에 계속 진행 되고 있다.

아) 지방 수준의 스포츠 활성화(예: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 주)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 주들의 주정부는 스포츠 활성화를 위해 1990년


주 최초로 ʻʻ스포츠 중심의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ʼʼ이라는 구호 아래 주 내
스포츠 관련 활동을 요약해 발표했는데 그 내용은 아래와 같다.

• 주정부가 주정부, 스포츠 기구 간, 주정부, 스포츠 클럽 간의 파트너십을


통해 스포츠 활성화를 위한 전제조건을 형성

• 주정부는 주 내의 스포츠 자원 활동을 지원함

• 주정부는 가족 내 통합에 기여하는 건강증진과 사회적 기회를 제공함

• 주정부는 엘리트 스포츠를 지원함

• 주정부는 독일 교육의 중심인 학교 스포츠를 지원함

• 주정부는 청소년과 어린이 스포츠 활동을 최우선으로 지원함

• 주정부는 어린이들 수영 능력 향상에 힘씀

• 주정부는 스포츠 시설 건설 및 현대화에 힘씀

• 주정부는 메가 스포츠 이벤트를 유치해 마케팅 활로를 개척함

187
해외 스포츠 정책 동향 분석 – 체육행정 거버넌스 및 주요 이슈 관련 정책 비교 -

자) 생활 스포츠 클럽

독일의 스포츠 클럽은 스포츠를 통한 사회복지 증진이라는 목적을 가지고


있다. 빠르게 변하는 현대사회 속에서 개인이 정서적, 신체적 안정을 찾을
수 있는 활동의 장으로써 클럽의 활용은 매우 중요하다. 스포츠 활동을 통해
이룰 수 있는 여러 가지 목표 중에 가장 중점을 두는 부분은 페어플레이 및
관용의 정신, 공평하고 공정한 기회 제공이다. 그리고 선수들이 소속감과
열정을 고무시키며 상업적 목적을 가진 스포츠 활동과의 차별을 가진다. 스포츠
클럽들은 학교, 스포츠 클럽, 유치원, 건강보험과 같은 사회복지 주체와 협력해
각종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이러한 프로그램의 운영에 있어 청소년 사무소
지부와 개별 기업의 고용 주체들 또한 일정한 역할을 하고 있다. 2만 여 개의
클럽이 독일 통일 이후 설립되었고 이를 통해 클럽 중심의 스포츠 시스템이
확립되었다.

한편, 청소년들에게 특정한 참여의 기회(예, 총회에서의 청소년 대표, 투표권)


가 주어지지 않는 클럽의 비율이 증가하는 추세이다. 클럽 이사회의 자원봉사자
는 감소하는데 반해 관리직 자원봉사자는 증가하고 있다. 결론적으로 2009년
이후 전체 자원봉사자 수는 평균을 유지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자원봉사
자, 코치/강사, 심판의 모집과 유지 등 인력수급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자원봉사
자 감소는 이사회의 긴 재임기간, 평균 연령 증가로 나타나기도 한다. 의장,
감사, 회계 등의 노동강도가 높은 것으로도 나타났다. 2009년과 비교해서
보면, 자원봉사로서 스포츠 클럽에서 일하는 이민자들이 줄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실제적인 문제가 있는 스포츠 클럽도 37% 증가한 것으로 알려졌다.
인적 자원의 문제 외에도, 행정비용의 증가와 종일 학교 운영으로 인한 문제도
증가하는 것으로 지속적으로 보고되고 있다. 행정비용과 관련해서는 세금
환급, 회계, 부기, 연차보고서 등과 관련된 업무들이 상당한 부담이 되고 있다.
반면, 기부 영수증 발행이나 주류 판매 면허 획득 등의 부담은 덜한 것으로

188
Ⅲ. 국가별 스포츠 정책 거버넌스

나타났다.

DOSB는 ʻʻ스포츠는 독일에게 이롭다ʼʼ 캠페인을 통해 국민들에게 스포츠의


사회정치적인 의미를 일깨우고 그 능력을 향상시키는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이를 위해서는 스포츠 클럽 네트워크를 장기적으로 지원, 확장해야 함은 물론이
다. DOSB의 후원단체나 협력단체들의 지원으로 포스터나 광고를 통해 이를
홍보한다. 시민들에게 적절한 수준의 가격으로 스포츠 서비스를 제공하려는
스포츠 클럽의 목표는 클럽의 회원비에 반영되고 있다. 스포츠 클럽들은 대중들
이 지불할 수 있는 수준의 가격으로 양질의 스포츠 프로그램들을 제공한다.
이러한 가격 정책은 가족과 같은 특정 그룹을 대상으로 적용되곤 한다. 전체
클럽의 61.2%가 가족 회원권을 판매하고 있다. 전체 클럽의 절반 정도가
월 최대 회원비를 어린이 2.50유로, 유소년 3.10유로, 성인 6.20유로 이하로
부과하고 있다. 가족회원권의 경우, 전체 클럽의 절반이 월 최대 회원비를
12.00유로로 책정하고 있다.

독일의 스포츠 클럽은 시민 스포츠를 다양화하기 위해 무급/유급 코치/트레이


너를 고용하는 제도가 있다. 클럽당 평균 인원은 10.5명으로 남성 6.3명,
여성 4.2명이다. 하지만 중앙값으로 보면 클럽 절반에 최대 다섯 명의 코치/트레
이너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독일 스포츠 클럽은 국민 건강에 많은 도움을
주고 있다. 전체의 3분의 1에 해당하는 약 31,000여 개의 클럽이 건강증진,
부상예방 그리고 재활에 관련된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장애인과 만성 질환자들
을 위한 코스도 이에 포함된다. 2011년 이후 위에 언급한 세 가지 중점 프로그램
중 건강증진 프로그램 비율이 크게 늘어서 전체 프로그램 대비 12.2%가 이에
해당했다. 건강증진과 1차 부상예방 프로그램이 비율상 10%로 프로그램 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한 반면에 재활과 3차 부상예방은 0.9%로 적은 비율을
보였다. 장애인과 만성 질환자들을 대상으로 하는 프로그램은 전체의 1.5%를
차지했다. 스포츠 클럽이 다양한 스포츠 기회를 제공하고 사회복지를 강화하기

189
해외 스포츠 정책 동향 분석 – 체육행정 거버넌스 및 주요 이슈 관련 정책 비교 -

위해 다른 공공복지 기관과 공조하는 경우가 증가하고 있다. 대부분이 스포츠


클럽과 학교의 협력인데 그 비율은 전체의 3분의 1을 차지한다. 또한 다른
클럽과 연계해 프로그램들 진행하는 경우도 약 3분의 1 정도 되고, 16.6%는
유치원이나 요양원과 협력해 스포츠 활성화를 도모하는 경우도 있다. 스포츠
클럽이 사회복지를 실현하는 주요 원동력은 이사회와 경영진의 자발적인 참여를
통한 중심 역할에서 비롯한다. 경영진은 이사회 결정에 따라 각종 스포츠
프로그램의 진행을 책임진다. 경영진에는 코치, 강사, 심판, 임원 등이 포함되어
있다. 독일 스포츠 클럽의 자원봉사자 규모는 총 170만 여 명이다. 그 중
120만 명은 남성, 50만 명은 여성이다. 2009-2013년 동안 경영진의 인력은
크게 증가하였으며 이사회 인력은 이와 반대로 약간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클럽 활동의 자발적인 참여와 별개로 클럽이 젊은 사람들에게 제공하는 특별한
가능성과 기회를 살펴볼 필요가 있다. 스포츠 클럽은 종종 (특히나 청소년)
민주주의 배움터라고 인식되곤 한다. 젊은이들의 참여 기회를 늘릴수록 클럽의
공공복지 기여도가 늘어난다는 것이다. 젊은이들이 클럽 활동에 참여할 수
있는 방법은 여러 가지인데 34.8%의 클럽이 이사회에 청소년 대표 또는 청소년
관련 별도의 실을 운영하고 있다. 클럽의 24.5%는 청소년들이 총회에서 투표권
을 행사할 수 있다. 스포츠 클럽의 18%에는 청소년 의장이 있고 13.3%의
클럽에는 청소년 이사회가 조직되어 있다. 7.4%의 클럽에서는 청소년이 부서의
장으로 뽑힐 수 있고, 클럽의 6.3%는 기타 방법으로 청소년의 참여를 보장한다.
하지만 전체 클럽의 36.6%는 청소년의 위와 같은 참여를 허용하지 않고 있다.

3) 학교 스포츠 거버넌스

가) 개론

독일 학교의 스포츠 정책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학제를 먼저 살펴보아야


한다. 교육분야는 연방정부가 아닌 주정부가 권한과 책임을 행사한다. 연방정부

190
Ⅲ. 국가별 스포츠 정책 거버넌스

가 기본법에 의거한 권한을 행사하지 않는 한 주정부가 법률 제정 권한을


가진다. 이러한 체계가 학교 전반, 고등교육, 성인 및 평생교육에 적용된다.
그렇기 때문에 교육 관련 행정과 정책은 철저히 주정부의 업무이다. 물론
헌법에 규정된 세부사항은 연방정부의 지침에 따라 유아기 교육, 학교 체계,
고등교육, 성인 및 평생교육 시스템을 유지한다. 교원 보수 및 연금 또한
주정부의 규정을 따른다. 독일 교육 체계는 아래와 같이 분류된다.

(1) 유아기 교육

유아기 교육은 취학 전인 6세까지의 아동을 일컫는다. 몇 개 주에서는 취


학연령임에도 불구하고 취학능력이 부족한 아이들을 위한 프로그램이 마
련되어 있다. 주 별로 그 관할이 다른 경우도 있지만 유아기 교육 또는 초
등 교육 담당기관이 이를 배분 받게 된다

(2) 의무교육

독일은 6세가 되면 의무교육이 시작되어 9년 동안 학교에 재학해야 한다.


예외 적으로 베를린, 브란덴부르크, 브레멘과 튀링겐은 10년 의무교육이고,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 주의 경우 김나지움 재학 시 의무교육은 9년, 직업학교
재학 시 의무교육은 10년이다. 정규교육을 풀타임으로 이수하지 않거나 중등교
육을 직업학교에서 받아서 의무교육 시간를 채웠다 해도 파트타임으로 학교에
적을 두고 있어야 한다. 몇 개 주는 중등교육 진학 후 정규교육을 이수하지
않거나 직업학교에 진학하는 학생들을 위한 규정을 두어 풀타임으로 학교에
다니거나 직업학교에 재학해야 한다.

(3) 초등교육

여섯 살이 되면 의무적으로 그룬트슐레(Grundschule초등학교)에 입학해야


하고 학제는 4년이다.

191
해외 스포츠 정책 동향 분석 – 체육행정 거버넌스 및 주요 이슈 관련 정책 비교 -

(4) 초등교육에서 중등교육 진학

초등학교에서 여러 형태의 중등학교로 진학을 한 후 그 의무출석을 마치는


기간은 주 별로 다르다. 그 기간 중에 학교를 그만 두는 것은 학생의 진로와
미래를 예상해서 지도하고 결정하는데 자세한 내용은 부모와 상담을 통해서
한다. 그리고 최종결정은 학부모, 학교 또는 학교 위원회에서 내리게 된다.
특정한 학교의 경우 그 기준이 학생의 능력 또는 교내 성취도에 의해 좌우되기도
한다.

(5) 중등교육

초등교육 후 (5-7학년)에 중등교육 (12-13학년)으로 진학할 때 학생의


능력과 진로에 따라 아래의 네 가지 형태의 학교로 진로가 나뉘게 된다.

• 하웁트슐레

• 레알슐레

• 김나지움

• 위의 두 가지 이상이 합쳐진 형태

하웁스슐레, 레알슐레, 김나지움은 일반적으로 단일과정을 제공하며 이곳에


서의 교육은 특정한 자격을 위한 교육의 방향으로 이루어진다. 이 세 가지
학제 중 두 가지 이상이 합쳐진 교육을 하는 학교의 경우도 하나의 우산과
같은 큰 틀 속에서 그 세부적인 지침이 정해지게 된다. 학생들이 약 15세가
되면 의무교육을 마치고 그 다음 단계 학교로 진학하는데 그 종류는 이전학교
재학 시 성적, 성취도 등에 따라 달라진다. 이것을 바탕으로 인문계, 직업학교,
직업교육과 실습 등의 세 가지 중에 진로를 결정하게 된다. 몇 개 주를 제외하고는
대부분이 인문계와 직업학교 진학을 권고한다.

192
Ⅲ. 국가별 스포츠 정책 거버넌스

(6) 3차 교육

3차 교육은 고등교육 기관들과 취업을 위한 자격 교육을 제공하는 교육기관들


로 이루어져 있으며, 중등 교육을 마치고 고등교육 입학 자격을 취득한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다. 독일에는 아래와 같은 종류의 3차 교육 기관이 있다.

• 대학교, 공업전문학교/대학교, 교육전문학교, 신학전문학교

• 예술학교, 음악학교

• 직업학교

(7) 평생교육

인구 변화와 더불어 평생교육의 중요성 또한 높아지고 있다. 이는 상이한


기간의 기본 교육의 수료 후 체계화된 배움의 연속 또는 재개 개념으로써
기존 지식과 기술 및 경험의 연속성을 꾀한다. 비정규적인 교육과 같이 새로운
형태가 특히 중요하게 떠오르고 있다. 평생교육은 일반, 직업적, 사회, 정치적
요소가 각각 본연의 기능 속에서 상호작용을 하게 된다.

독일의 학교 스포츠는 스포츠/운동 문화를 접하는 것과 이를 통해 인성을


개발하는 두 가지 특정한 교육적 목표를 가지고 있다. 거의 모든 주는 교육으로의
스포츠와 스포츠를 통한 교육 두 가지 목표를 학사과정에 명시해 두고 있다.
이를 기반으로 하는 학교 스포츠는 협동, 성취 등의 동기를 부여, 올림픽
교육을 통해 페어플레이라는 특별한 교육적 목적을 추구한다. ʼʼ협동, 경쟁,
소통ʼʼ, ʻʻ건강ʼʼ, ʻʻ심미적 교육ʼʼ 등의 교육적 목표 또한 이를 통해 수행한다.
대표적인 종목은 달리기, 멀리뛰기, 던지기, 체조, 댄싱, 구기 종목, 수상
및 동계 스포츠, 구르기 등이 있다. 독일 학교 스포츠와 학교 스포츠 시설은
수영장을 제외하고는 대체적으로 만족스러운 수준이다. 다만 적절한 교육을
받지 못한 교사들이 진행하는 체육 교육과 많은 수업 취소 횟수는 문제점으로

193
해외 스포츠 정책 동향 분석 – 체육행정 거버넌스 및 주요 이슈 관련 정책 비교 -

지적되고 있다.

나) 학교 스포츠 관련 행정기구 및 역할

(1) 연방정부

교육연구부가 연방정부를 대표해 주정부의 학교 스포츠를 책임지고 가족,


노인, 여성, 청소년부는 어린이 육아 관련 업무를 주관한다. 교육문화부 장관회
의 (KMK)에 장관, 상원 의원이 모여 교육, 고등교육 및 연구 그리고 문화
관련 사업을 논의한다. 이 회의는 ʻʻ학교와 대학의 교육과 문화정책 연구를
통한 정책 논의 및 결정ʼʼ을 목표로 한다. KMK틀 아래에서 주정부들은 교육,
과학, 문화 관련의 범지역적인 공동 목표를 만들고 협력한다. 또한, 협력과
합의를 통해 독일 내 학생, 교사, 학계 종사자 간 효율성을 최대화하려고
한다. 그 세부사항은 아래와 같다.

• 자격증과 자격시험의 통일성과 비교가능성

• 학교, 직업교육, 고등교육의 질 보호 및 유지

• 교육, 과학, 문화 기구 간 협력증진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연방교육연구부가 학교 및 대학교 스포츠 정책을


주관하는데 스포츠와 대학 스포츠의 지역 별 특정 사안이나 지역 별 협력이
필요한 안건을 심도 있게 논의하기 위해 1975년 4월 KMK가 출범했다. 스포츠
클럽이나 학교 스포츠 관련 안건은 스포츠 부 장관회의 (SMK)에서 다뤄진다.
KMK 스포츠 위원회는 주로 학교 스포츠 관련 안건을 다루면서 방과후 학교
스포츠, 스포츠 평생교육 등도 논의한다. 방과후 학교 스포츠 분야에서 위원회는
주정부를 대신해 청소년 올림픽 준비단(JTFO)을 운영하고 소년체전을 준비한
다. 이는 세계에서 가장 큰 학교 스포츠 체전으로 위원회가 소년체전과 연방청소
년체전을 책임진다. 1987년 KMK는 국제 학교 스포츠 연맹(ISF)에 가입했고

194
Ⅲ. 국가별 스포츠 정책 거버넌스

그 이후 모든 주를 대표해 관련업무를 처리한다. 예를 들어 가장 우수한 성적을


거둔 올림픽 준비단이 ISF에 참가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위원회는 SMK,
DOSB, 각종 기구와 협력해서 스포츠와 교육을 연구한다. 위원회 회원은 모든
주 학교 체육부서의 장들이다. DOSB와 KMK의 협약에 따라 학교 체육 및
스포츠 연맹 에서 열리는 청소년 스포츠 경기 적용, 실행되고 청소년 스포츠
프로그램의 제반 사항이 결정된다. 협약의 목적은 프로그램 간 협력 및 중복,
과다 경기 개최 방지이다. 마지막으로 비정부 기관이 주최하는 청소년 스포츠
경기를 살펴볼 필요가 있다. KMK와 괴테 연구소가 공동으로 조직한 학교
캠페인인 2006 FIFA 월드컵 조직위원회를 들 수 있다. DFL과 같이 각종
경기를 개최했음은 물론이고 축구 영재들을 위한 경기 또한 열었다. 그리고
2004년에 OSB는 KMK와 협력을 더불어 학교스포츠상을 신설했다.

(2) 청소년 올림픽 준비단(JTFO)

JTFO는 1969년 당시 독일 IOC 위원인 빌리 다우메(Willi Daume)와 KMK


가 잡지 ʻʻ스템(Stern)ʼʼ에서 창단했다. 당시에는 두 가지 종목 16,500명의
회원이 있었다. 이후 그 규모가 폭발적으로 증가해 2013년 현재 19개 종목(배드
민턴, 농구, 비치발리볼, 축구, 체조, 골프, 핸드볼, 하키, 유도, 육상, 조정,
수영, 알파인스키, 크로스컨트리스키, 스키점프, 테니스, 탁구, 트라이애슬론,
배구) 약 900,000여 명의 학생이 참가하고 있다. 2003년부터는 독일학교체육
연맹(DSSS)이 체전을 주관하고 있다. 16개 주 스포츠 및 문화부 장관들과
DOSB가 행사에 참여한다. 스포츠 안에서 그리고 스포츠를 통해 청소년들이
경쟁하고 발전하는 게 목표이다. 2013년에는 체전 결승전과 장애인 체전이
베를린에서 공동개최 되었다. 내무부는 JTFO와 JTFP에 표 Ⅲ-68의 금액을
지원했다.

195
해외 스포츠 정책 동향 분석 – 체육행정 거버넌스 및 주요 이슈 관련 정책 비교 -

<표 Ⅲ-68> JTFO와 JTFP에 대한 내무부 지원


연도 JTFO JTFP
2010 €500,000 0
2011 €500,000 €50,000
2012 €500,000 €126,000
2013 €500,000 €200,000

(3) 청소년 체전(BJS)

1951년부터 DOS, KMK, BMFSFJ는 청소년 체전을 조직해 다음의 목표를


지향한다.

• 장애가 있거나 없거나 상관 없이 모든 어린이들과 청소년이 참가할 수 있음

• 모두가 참여할 수 있고 눈에 보이는 성적을 거둘 수 있음

• 각기 다른 재능을 개발함

• 학교와 스포츠클럽이 참여해 발전을 도모

매 년 500만 여 명이 독일의 가장 큰 체육 축제인 체전에 참가한다. 특이한


점은 체육시간에 배운 스포츠 기술과 능력을 최대화 해 경기를 치른다는 것이다.
2010-2013년 중앙정부는 총 731,000유로를 체전에 지원했다.

라) 엘리트 학교 스포츠(ESS)

엘리트 스포츠는 청소년 스포츠 체계에 따라 그 성공여부가 좌우된다고


할 수 있다. DOSB는 ʻʻ청소년 스포츠 계획 2020ʼʼ을 만들어 교육과 엘리트
스포츠 분야의 협력을 강조하고 있다. 교육적 지원과 과학적 훈련을 통해
어린 선수들이 학교 생활, 훈련 생활에서 직면하는 문제를 합리적으로 해결하려
고 한다. 이러한 종합적인 접근으로 선수들이 학업과 스포츠를 병행하면서
엘리트 선수가 되어 최대한의 가능성을 펼칠 수 있도록 유도한다.

196
Ⅲ. 국가별 스포츠 정책 거버넌스

ESS는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만들어졌다. ESS는 정관에 따라 주정부


의 필요한 지휘를 받게 된다. 현재 DOSB가 그 지위를 인정한 ESS는 41개로
훈련과 학교 생활의 병행에서 오는 스트레스를 줄이고 어린 선수들이 엘리트
선수가 되는 과정을 최적화 하는 게 그 목표이다. 2013년 3월 DOSB 상임
간부회에서 선수들의 학업병행과 관련해 채택한 10개 강령 프로그램에 따라
ESS 지위가 향상되었다. 현재 ESS 질 향상은 DOSB, KMK, 주 별 스포츠
부 그리고 OSP의 협력 하에 이루어진다. 한편, 내무부는 ESS에 재정지원을
하고 있다. 많은 엘리트 선수들이 학교에서 운동을 시작하기 때문에 ESS의
지위와 위상이 더 높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마) 지방 정부

주 별로 다른 이름으로 불리는 교육문화부, 과학부는 교육, 과학, 문화 관련으


로 가장 높은 행정 권한을 가지고 있다. 책임 범위는 학교, 고등교육, 도서관,
기록보관, 성인교육, 문화 유산 보존 과 같은 예술문화 전반, 주와 종교단체,
이념단체 간의 관계 정리 등이다. 주정부는 교육, 과학, 예술 분야 정책 지침을
만들고 연방정부와 협력해 법령을 시행하며, 산하 기구나 재단을 통해 이를
관리하고 감시한다. 연방정부는 주정부의 업무를 보조하기 위해 학교교육,
고등교육, 평생교육 관련 기구를 만들었다.

바) 민간 분야

독일 내에는 교육 관련의 여러 민간 기구들이 있는데 그 종류는 미취학


아동 대상의 유치원, 초, 중, 고등 교육기구, 성인교육 기구 등이 있다. 공공부문
과 민간단체가 협력함에 따라 선택 가능한 프로그램 수가 늘어날 뿐만 아니라
현존 기구의 경쟁과 혁신 또한 가능하다. 교회나 기타 기구들이 교육 관련
부서를 만들어 사회와 주 내에서 활동한다.

197
해외 스포츠 정책 동향 분석 – 체육행정 거버넌스 및 주요 이슈 관련 정책 비교 -

4) 장애인 스포츠 거버넌스

가) 독일 장애인 스포츠 정책 기본 구조 및 기구

독일의 장애인 스포츠 정책의 대상은 헌법에 보장된 장애인 스포츠와 병약자
를 위한 스포츠를 가리키는 것으로 엘리트 스포츠, 생활 스포츠, 재활 스포츠와
는 구별된다. 장애인 스포츠 내에서 엘리트 스포츠, 생활 스포츠, 헌법에 보장된
장애인 스포츠의 일환인 재활 스포츠, 병약자를 위한 스포츠를 구분해야 한다.
독일 스포츠계에서 장애를 가진 사람들이 참여는 큰 비중을 차지한다. 독일
장애인 스포츠 클럽의 주축은 장애인 올림픽 위원회(DBS)로 약 65만 1000여
명의 회원이 가입되어 있다. DBS는 DOSB내 장애인 스포츠 총괄단체이자
국제 장애인 올림픽 위원회(IPC)도 겸하고 있다. DBS는 정관에 명시된 바와
같이 자체 청소년 기구인 독일 청소년 스포츠 협회(DBSJ)도 운영하고 있다.
DBS 회원은 일반 회원과 협회회원으로 나뉜다. 일반 회원은 17개 장애인
스포츠 연합과 2개의 스포츠 연맹으로 구성되어 있고, 협회회원은 6개 단체가
가입해 있다. 의장은 봉사직이고 4년 임기 선출직이다. 연방 사무소는 쾰른
근교의 프레헨에 위치하고 있으며 상근 형태로 운영된다. 사무국을 대표로
봉사직 의장과 관련 분과로 이루어져 있다. DSB는 여러 협력기구와 함께
장애인 스포츠 양성을 도모한다. 독일 엘리트 스포츠 내 장애인 스포츠는
이미 적지 않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다. OSP는 장애인 올림픽과 데프림픽
선수들을 지원하고 있고 그들은 센터 시설을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알 수 있듯이 장애인 엘리트 스포츠는 기존 엘리트 스포츠 시설을 활용하면서
독일 스포츠 체제 내에서 재정지원을 받고 있다. 또한 장애인 올림픽 메달리스트
들은 올림픽 메달리스트들과 동등한 대우를 받는다. 2014년 소치 동계 올림픽
금메달은 2만 유로, 은메달 15,000유로, 동메달은 10,000유로를 상금으로
받았다.

198
Ⅲ. 국가별 스포츠 정책 거버넌스

<그림 Ⅲ-36> 독일 장애인 스포츠 협회 회원 증가 추이

나) 장애인 엘리트 스포츠

2005년 9월 내무부 지침에 따라 장애인 엘리트 스포츠는 비장애인 스포츠


지원과 동등한 재정지원을 받는데 여기에는 장애인의 특수한 상황에 따른
특별 지원도 포함된다. 2010-2013년 내무부의 장애인 엘리트 스포츠 지원
총계는 아래와 같다.

• 2010 : 540만 유로

• 2011 : 538만 유로

• 2012 : 595만 유로

• 2013 : 593만 유로

장애인 스포츠에 대한 예산은 장애인 엘리트 스포츠가 경쟁력을 갖추거나,


이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사용되어야 한다. 그 분배는 장애인 엘리트
스포츠 관련 기관이 필요에 따라 아래와 같이 나누게 되며 내무부는 다음의
기준을 적용해 예산을 책정한다.

199
해외 스포츠 정책 동향 분석 – 체육행정 거버넌스 및 주요 이슈 관련 정책 비교 -

• 장애인 스포츠 기구 종사자 선수 및 코치진 인건비

• 일반 및 청소년 팀 훈련캠프 및 스카우트 캠프 유지

• 국제대회 준비 및 파견

• 독일 내 스포츠 행사 조직

• 스포츠 장비 구입

• 의료 지원

비장애인 엘리트 스포츠와 달리, 장애인 엘리트 스포츠는 특정 국립 훈련


거점에서 집중하는 것이 어렵다. 이는 종목들과 선수들의 지역성 그리고 개인의
상황이 강하게 연결되어 있기 때문이다. 그렇기 때문에 장애인 스포츠 기구는
개개인에 맞춘 해결책을 찾고 그 가능성에 집중한다. 2011년에 재무부 예산
중 일부는 장애인 선수들의 전문직 고용에 분배되었고 열 명이 그 지원을
받았다.

(1) 장애인 올림픽 스포츠

DSB는 최근 몇 년간의 동계/하계 올림픽에서 우수한 성과를 거두었다.


2010년 밴쿠버 동계 올림픽에서 독일은 메달 순위 1위를 기록했고, 2012년
런던 올림픽에서는 이전 올림픽에 비해 3위가 상승한 8등을 기록했다. 2014년
소치 올림픽에서는 러시아에 이은 메달 순위 2등을 했는데 여기서 주목할
점은 남녀 13명의 선수가 출전해 모두 15개의 메달을 획득했다는 것이다.
2010년 밴쿠버에서 활약을 한 선수 세 명은 은퇴를 한 후였기에 소치의 성과는
장애인 유소년 스포츠 육성의 결과라고 볼 수 있다. 2010-2013년사이 독일이
장애인 올림픽에서 획득한 메달 수는 표 Ⅲ-69와 같다.

200
Ⅲ. 국가별 스포츠 정책 거버넌스

<표 Ⅲ-69> 지난 3회의 장애인 올림픽에서 독일이 획득한 메달 수


금 은 동 합계
2010 13 5 6 24
2012 18 26 22 66
2014 9 5 1 15

내무부는 DSB를 통해 장애인 엘리트 스포츠 선수들을 대대적으로 지원한다.


2010년과 2012년 장애인 올림픽 때 선수 파견에 든 예산은 아래와 같다.

• 2010 : 432만 유로

• 2011 : 439만 유로

• 2012 : 495만 유로

• 2013 : 438만 유로

2012년 장애인 올림픽 결과를 보면 최근 전 세계 선수들의 기량이 고르게


향상 되었고 이에 따라 독일이 모든 종목에서 예전처럼 우위를 보이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DBS는 이미 2008년 베이징 올림픽에 앞서 이러한 동향을
파악하고 2008-2012년 동안 DBS 전문성을 향상하고 장애인 엘리트 선수들
기량을 높이려는 지원 프로그램을 운영했다. 분석에 따르면 DBS는 상근 국가대
표 코치, 이에 준하는 코치진, 특별 훈련수단, 국제 경기 경쟁력 강화, 선수들의
스포츠 외 전문 생활 보장을 위해 더 많은 재정지원이 필요한 실정이다. 독일
스포츠 보고서 최신판에 따르면 내무부는 장애인 스포츠 예산을 늘리는데
동의했고 최근 몇 년간 위와 같은 예산들 책정한 바 있다. 2007년 이후 장애인
스포츠 예산은 140만 달러 증가했다. 2014년 예산안에 따르면 내무부가 DBS의
2016년 장애인 올림픽 목표를 달성할 수 있도록 85만 유로를 추가로 배정했다.

201
해외 스포츠 정책 동향 분석 – 체육행정 거버넌스 및 주요 이슈 관련 정책 비교 -

(2) 데프림픽(Deaflympic) 스포츠

청각장애 선수연맹 (DGS)은 22개 스포츠 종목을 다루는데 현재 8600여


명의 회원이 가입해 있다. DGS는 지난 하계 소피아 데프림픽 때 131명의
선수를 파견했는데 내무부가 총 70만 유로를 지원했다. 선수단은 2009년
16위, 2013년 14위의 성적을 기록했다(표 Ⅲ-70)

<표 Ⅲ-70> 과거 데프림픽에서 독일이 획득한 메달 수


금 은 동 총계
2009 데프림픽 3 8 12 23
2013 데프림픽 3 6 5 14

2010-2013년 동안 내무부가 DGS에 지원한 예산은 아래와 같다.

• 2010 : 70만 유로

• 2011 : 70만 유로

• 2012 : 80만 유로

• 2013 : 130만 유로

(3) 독일 스페셜 올림픽

스페셜 올림픽은 지적 또는 다중 장애인들을 위한 IOC 인증을 받은 세계


최대 스포츠 행사이다. 이는 지적 장애인들이 스포츠에 참여하며 1968년
미국에서 시작되었고 현재 170여 개국에서 4백만 여명의 선수들이 참여
하고 있다. 독일 스페셜 올림픽 기구(SOD)에는 전국적으로 4만 5000여 명
의 회원이 등록되어 있고 900여 개 클럽이 정기적으로 훈련을 하고 있다.
SOD는 연간 약 185개의 행사를 하고, 격년으로 동계, 하계 번갈아 전국

202
Ⅲ. 국가별 스포츠 정책 거버넌스

스페셜 올림픽을 개최한다. 2011년 동계 스페셜 올림픽은 알테베르크에서,


2013년에는 파르텐키르헨에서 열렸고, 2012년에는 뮌헨에서 하계 스페셜
올림픽이, 2014년에는 뒤셀도르프에서 열렸다. 일례로 노동사회부(BMAS)
가 2012년 뮌헨에 14000유로를 지원하였다. 독일 정부는 스페셜 올림픽
선수들을 유럽 경기나 세계 대회에 보내는데 재정지원을 하고 있다. 2011
년 아테네 대회에 163명의 선수들이 출전해 140개의 메달(금 61, 은 39,
동 40)을 획득했다. 정부는 약 38만 유로를 지원했다. 평창 세계대회에는
71명이 출전해 83개의 메달(금 30, 은 30, 동 23)을 획득했고, 23만 유로
를 지원받았다. 이러한 예산 외에도 정부는 SOD 인적자원을 유지하고 세
계 대회에서 독일의 위상을 높이기 위해 예산을 배정한다.
• 2010 : 30만 유로

• 2011 : 20만 유로

• 2012 : 20만 유로

• 2013 : 20만 유로

다) 재활 스포츠

2001년에 나온 제 9차 사회보장법에 따라 비장애인들은 재활 스포츠에


참여하고 장애인들은 스포츠 기능훈련에 참여할 수 있게 되었다. 이전에는
몇몇 조약에 근거해 건강보험 혜택으로 약간의 사람들이 참여했는데 대부분은
은퇴보험, 건강보험 또는 사고보험 수혜자들이었다. 그러던 중 UN 협약에
따라 독일도 2009년 법을 제정하게 되었다. 독일에서 재활 스포츠는 국제적으로
분류된 기준에 의한 진단 후 이루어지게 된다. 이 진단은 장애등급뿐만 아니라
심장마비, 치매, 지적장애, 암이 해당한다. 그렇기 때문에 장애를 가졌거나
장애를 가지게 될 사람들뿐만 아니라 만성질병을 가진 사람들을 위해 스포츠의

203
해외 스포츠 정책 동향 분석 – 체육행정 거버넌스 및 주요 이슈 관련 정책 비교 -

생체-심리-사회적 접근이 체계적으로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재활 스포츠는


인정된 기관에서 고용한 전문가에 의해 이루어진다. 전문가의 자격증은 매
2/4년마다 갱신되고 전문가가 적합한 운동을 지도함에 있어 의사들도 함께
참여한다. DBS의 연방 스포츠 기구가 국가 인증 자격증을 발급하고 독일
내 재활스포츠를 총괄 지휘한다.

(1) 독일 은퇴 보험(DRV)의 의학-전문 재활 스포츠

스포츠와 운동은 의학적 재활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는데 이는 재활의 스포츠


와 기능적 훈련의 틀에만 국한되지 않는다. 사회보장 법에 따라 건강보험과
은퇴보험을 통해 각종 혜택을 받을 수 있는데 그 적용은 단일한 원칙에 의거한다.
DRV는 2010-2013년 재활 스포츠에 표 Ⅲ-71과 같은 예산을 지원했다.

<표 Ⅲ-71> 독일 은퇴 보험이 재활 스포츠 및 기능 훈련에 지원한 재정 규모


연도 재활스포츠 기능훈련 합계
2010 €14,608 €5,074 €19,682
2011 €17,960 €4,366 €22,326
2012 €21,784 €4,783 €26,567
2013 €25,752 €5,119 €30,871

(2) 병약자를 위한 스포츠(Sport for Invalids)

독일 배상법에 따르면 병약자는 그들을 위한 스포츠에 참여해 신체기능을


재활과 동시에 유지할 권리가 있다. 스포츠는 참여자의 부상 정도와 건강
상태에 맞추어 진행된다. 2013년 1만 여 개의 장애인 스포츠 그룹이 병약자를
위한 스포츠 프로그램을 제공했고 약 47만 여명이 참가했는데 그 중 1600여
명은 상이군인이었고 나머지는 배상법의 명시된 대상자들이었다. 2008년 이후
참여자는 약 30% 증가세인데 상이군인 참가자는 64% 줄어 노령화를 보여주었

204
Ⅲ. 국가별 스포츠 정책 거버넌스

다. 연도별로 지원된 예산은 아래와 같다.

• 2010 : 628,000 유로

• 2011 : 518,000 유로

• 2012 : 438,000 유로

• 2013 : 330,000 유로

그리고 노동사회부는 DBS를 통해 치료사 심화교육, 의사 인건비, 행정기금관


련 예산을 지원하는데 그 규모는 아래와 같다.

• 2010 : 207,662 유로

• 2011 : 218,416 유로

• 2012 : 213,171 유로

• 2013 : 238,094 유로

그리고 DBS는 매 년 전쟁 피해자 단체로부터 10만 유로를 지원받아 병약자를


위한 스포츠에 배정한다. 연방정부 또한 병약자를 위한 스포츠 기구의 행정비용
을 일부 지원한다.

(3) 보호 작업장 내 스포츠(Sport in Sheltered Workshops)

보호 작업장은 일반 구직시장서 작업능력이 어려운 장애를 가진 사람들의


공개적이고 전문적인 구직을 돕기 위해 만들어졌다. 스포츠는 워크샵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며 모든 워크샵은 구직자들을 위한 여러 스포츠 활동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를 통해 사람들은 팀워크, 공정함, 노력, 꼼꼼함, 신뢰 등을
익히고 무엇보다 체력유지 및 단련을 하게 된다. 이를 위해 기존 스포츠 클럽과
다양한 협력 하에 여러 프로그램이 개설되었다. 다수의 워크샵은 SOD 연계로
스포츠 행사와 시합을 개최하는데 스페셜 올림픽 참가자 대부분은 보호 작업장

205
해외 스포츠 정책 동향 분석 – 체육행정 거버넌스 및 주요 이슈 관련 정책 비교 -

출신이다. 이러한 스포츠 중 인기가 많은 종목은 축구이다. 축구는 교육적인


측면과 사회화합의 목적 성취에도 좋은 예가 되고 있으며 워크샵에서 활용된
바람직한 스포츠의 예가 된다. 2000년 이후 DFB Sepp Heberger charity,
SOD, DBS 간 긴밀한 협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매년 9월 각 주 우승자들이
참여하는 국가 선수권 대회가 열리는데, 성공적 개최를 위해 ʻʻ700개 클럽,
700개 워크샵ʼʼ을 목표로 각 클럽이 파트너 클럽을 찾아 같이 연습한다. 좋은
예로 FTV 1860 Frankfurt를 들 수 있는데 이 구단은 공식적으로 결연을
맺고 워크샵을 열고 있다.

바. 독일 스포츠 정책 주요 이슈 동향

1) 최신 스포츠 정책 동향

가) 엘리트 스포츠 정책

(1) 반 도핑

도핑과의 전쟁은 독일 엘리트 스포츠 정책의 핵심 사안이다. 연방정부,


주정부, 지방자치단체는 도핑에 관해서는 어떤 조작도 없는 공정한 스포츠를
추구한다. 세계 반 도핑 기구(World Anti-Doping Agency: WADA)는 매
년 독일정부로부터 50만 유로를 지원 받고 있으며 2012, 2013, 2015년에
걸쳐 세계 반도핑 제도 (World Anti-Doping Code: WADC)를 개선해 오고
있다. WADC의 가장 최근 목표는 세계적인 반도핑 규제의 조화로운 협력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에 독일 정부도 이에 발맞춰 청소년 보호, 인권 및
데이터 보호에 큰 노력을 하고 있다. 2014년에 독일 정부는 금지약물을 복용하
거나 이를 공급한 사람들을 최대 3년의 징역에 처하는 반도핑 법안을 발의했다.
이전에 독일이 반도핑 법으로 선수들을 처벌한 사례는 매우 드물었다. 하지만

206
Ⅲ. 국가별 스포츠 정책 거버넌스

이번에 발의한 법안은 최상위 레벨 스포츠를 겨냥해 ʻʻ스포츠로 특별히 대단한


이득을 취하ʼʼ는 선수들을 대상으로 한다. 독일 반도핑 기구(NADA)내 테스트
풀인 약7000여 명의 엘리트 선수들이 그 대상이고 아마추어나 대중 스포츠는
적용대상이 아니다. 아마추어 도핑으로 약간의 이득을 취할 수는 있겠지만
그것이 비 금전적이기 때문에 법적용이 어려운 측면이 있다. NADA는 중앙정부,
스포츠 기관, 경제계, 주 정부, 그리고 기부 등을 통해서 재정 지원을 받는다.

<표 Ⅲ-72> 2014년 NADA 재정 현황


수익원 비율: % 단위: €
경제 26.3 1,555,791
검사비용 반환 23.2 1,367,630
내무부 (BMI) 22.5 1,328,644
스포츠 기구 15.6 921,091
기부금 6.0 353,873
고정자본 2.5 150,000
중앙정부 및 지자체 2.3 134,667
기타 1.6 95,221
합계 100 5,906,917

최근 NADA의 주요 목표는 NADA의 감독 하에 훈련과 경기 관리를 할


수 있는 공동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다. 이러한 시스템은 품질이 보증된
기구들의 구비를 전제로 할 때 효율적이고 정확하게 운용될 수 있는 것이다.
그 일환으로 NADA가 DOSB조직 하에 올림픽 및 비 올림픽 훈련감독을 총괄하
고 있는데 2013년 그 비율은 20%정도였다. 독일 금지약물 규제 감독 총계는
세계 최고 수준이다.

207
해외 스포츠 정책 동향 분석 – 체육행정 거버넌스 및 주요 이슈 관련 정책 비교 -

<표 Ⅲ-73> 금지약물 규제 감독 총계


연도 총계 훈련 감독 경기 감독
2010 13,240 8,108 5,132
2011 12,854 7,767 5,087
2012 14,047 8,567 5,480
2013 13,417 8,106 5,311
2014 13,909 8,652 5,257

금지약물 규제와 더불어 도핑방지 방안도 반도핑 정책의 주요한 부분을


차지한다. 2009년 독일 연방정부, NADA, DOBS, 그리고 독일 청소년 스포츠
단은 함께 국가 반도핑계획 (National Doping Prevention Plan: NDPP)을
발표해 모든 가능한 방지책을 준비했다. 그리고, 이를 실행하기 위한 시범
단체도 만들었다. 내무부는 2010년 이후 매 년 30만 유로를 도핑방지 예산으로
투입하고 있음에도 주 정부는 이에 비해 적은 규모인 2-3만 유로를 지원해
내무부의 비난을 사고 있다. WADA 인가를 받은 도핑 연구소는 쾰른과 크라이샤
두 곳이고 여기서 독일 도핑 관련 분석 업무를 맡고 있는데 도핑 감지를 위한
최신의 연구도 진행하고 있다. 내무부는 2010년에서 2014년 동안 매 년 200만
유로를 반도핑 연구에 지원해 세계적인 도핑 분석 프로젝트 몇 가지를 수행하는
데 기여했다. DOBS의 스포츠 연맹들은 반도핑 규제안을 정관에 명시하고
있으며, 반도핑 특별 위원회를 설치하고 있다.

(2) 승부조작

세계 스포츠 사회에서 독일의 높은 명성은 페어플레이, 경기력 그리고 정직한


경쟁의 결과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근래 몇 년간 독일 스포츠 내의 부패와
승부조작이 독일 스포츠 사회의 심각한 문제로 제기되고 있으며, 스포츠 정책을
통해 이를 해결하기 위한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독일 내에서도 최근 몇
년 사이 인터넷 배팅이 가능해지면서 승부 조작 위험성이 높아지고 있다.

208
Ⅲ. 국가별 스포츠 정책 거버넌스

세계적인 네트워크를 가진 조직된 범죄집단이 이에 가담하고 있는데 현재까지


100만 유로가 넘는 불법 조작 시장이 합법적인 배팅과 더불어 나타나고 있다.
2011년 유럽위원회는 ʻʻ승부조작에 반대하는 스포츠 통합 권고안ʼʼ을 냈고,
2012년 10월 스포츠 승부조작을 해결하기 위한 협약을 맺었다. 여기에는
국가적인 차원에서 연방정부, 주정부, 도박 협회, 경찰, DOBS, DFL 그리고
유럽 올림픽 위원회가 참여하고 있다. 내무부와 DOBS가 국가 차원에서 주관하
는 회의도 여러 번 열렸는데 2013년 독일연방범죄수사국(BKA)은 DFB, DFL,
HBL과 전략적 협력 하에 승부조작 신고처를 개설했다.

(3) 이중 경력 (Dual Career)

이중 경력은 엘리트 스포츠 선수가 선수 생활과 학업을 병행하는 것을 가리킨


다. 이중 경력은 장기적으로 계획되고, 학교, 대학, 그리고 그 외 다른 교육기관의
조건이 선수 경력의 높은 경기력과 상응하는 수준일 때 지원이 된다. 엘리트
스포츠 시스템은 선수들에게 이중 경력 가능성을 제공하고자 이러한 프로그램을
시행하고 있다. 2013년에 DOBS는 이중 계획과 관련한 프로젝트를 만들어
그 열 가지 강령을 발표했는데, 선수들은 가까운 미래의 스포츠 성과를 목표로
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장기적으로 선수 생활 이후 직업적 가능성도 고려해야
한다는 것이 그 내용이다. 그렇기 때문에 중등교육 내 엘리트 스포츠 진로
상담이 매우 중요하고, 이를 위해 청소년 선수들이 최고의 훈련을 받으면서
동시에 때에 맞는 학위를 따고 진학하도록 지도하고 있다. 2008년에 DOBS,
문화장관회의, 스포츠 부 장관 회의 (SMK), 대학교 입학처장이 모여 모든
연방 주 내 대학교에 엘리트 스포츠 선수들의 입장에 맞게 학교를 입학할
수 있는 방안을 논의했고 일곱 개 주 (바덴-뷔텐부르크, 바이에른, 베를린,
브란덴 브루크, 함부르크, 오르트라인-베스트팔렌, 슐리비히-홀슈타인)가
해당하는 법조항을 마련했다. 또한, 독일 연방 경찰, 독일 세관 그리고 군대

209
해외 스포츠 정책 동향 분석 – 체육행정 거버넌스 및 주요 이슈 관련 정책 비교 -

및 몇몇 회사들이 엘리트 선수들의 효율적인 선수생활과 학업병행을 독려하고


있다.

나) 생활 스포츠 정책

스포츠는 사회적 통합의 역할을 하는데 DOSB는 각종 프로젝트와 프로그램을


통해 이를 수행한다. 사회 통합은 사회 구성원 모두가 동등한 자격으로 참여할
수 있어야 하는데 독일은 이러한 정신을 스포츠와 통합 프로젝트들에 반영하고
있다. 최근에는 관련 프로젝트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통합은 독일
스포츠 정책 개발에 중요한 요소로 자리잡아가고 있다.

연방정부의 재정지원과 DOBS의 주도로 ʻʻ스포츠를 통한 통합ʼʼ이라는 프로젝


트가 추진 중이다. 이것은 주로 이민자들을 대상으로 하는 프로그램으로 스포츠
약자인 소녀, 여성, 노약자들이 지역 스포츠 클럽에서 지원과 보호를 받을
수 있도록 하는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이 프로젝트의 핵심은 이러한 지원과
보호가 지역 스포츠 클럽에서 이루어 진다는 것이다. 연방 스포츠 기구가
특별 조정관을 두고 이를 계획, 조정, 실행한다. 이 과정에서 중앙정부, 주정부
등의 다양한 재정지원을 받을 수 있다. 독일 내 세계화의 속도가 빨라지면서
따라 스포츠 클럽의 이민자 통합 활동이 사회복지 평가 요소의 중요한 기준이
되고 있다. 전체 클럽의 66.6%인 약 60,700개의 스포츠 클럽에 이민 배경을
가진 회원이 등록되어 있고 평균적으로 클럽 회원의 6.2%가 이민자라고 한다.
전체 규모로 보면 170만 여명의 회원이 이민자이거나 이민 배경을 가지고
약 91000여 개의 스포츠 클럽에서 활동하고 있다. 하지만 지난 4년 동안
클럽 내 이민자 비율이 약 20%감소하는 뚜렷한 변화를 보이고 있다. 클럽
내 이민자 회원의 20%는 클럽 자원봉사 활동도 참여하고 있다. 그 중 11%가
이사회에 소속되어 있고 14.6%는 경영진으로 활동하고 있다. 이사회와 경영진
으로 활동하는 이민자 자원 활동가 대 부분은 남성이다. 2010-2013년 중앙정

210
Ⅲ. 국가별 스포츠 정책 거버넌스

부는 DOSB를 통해 스포츠와 사회통합을 위해 540만 유로를 지원했고, DOSB


는 이를 수행하면서 다른 협력단체의 재정지원도 받았다. 다음 프로젝트들은
국가 차원의 프로그램인 ʻʻ스포츠와 사회통합ʼʼ외에 추가적으로 시행된 프로젝트
들이다.

• EU지원의 ʻʻ스포츠 내 여성 이민자와 자원활동ʼʼ

• Turkcell사 지원의 네 종류 축구경기 개최

• 연방 난민청 지원의 ʻʻ스포츠를 통한 통합ʼʼ 프로그램

기타 프로젝트는 아래와 같다.

- "스핀-문화 간 스포츠ʻʻ

이는 Mercator 재단, Heinz Nixdorf 재단,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 연방


스포츠 위원회가 주 가족, 청소년, 문화, 스포츠 부 협조 하에 이민 배경을
가진 소녀와 여성의 사회통합을 목표로 하는 프로젝트이다.

- 베를린 축구 협회의 ʻʻ자격획득을 통한 사회통합ʼʼ

이 프로젝트는 2011-2013년에 독일 내 이민 소녀와 여성들의 사회통합을


스포츠를 통해 유도하면서 학부모의 학습 능력 강화, 독일어 능력 향상, 그리고
문화간 개방성 고취를 목표로 진행되었다.

다) 학교 스포츠 정책

의무/비의무 교육 내 체육교육 조건이 예전에 비해 또는 다른 나라에 비해


크게 나쁜 편은 아니다. 하지만, 체육교육과 학교 스포츠는 더 개발될 필요가
있다. ''스프린트 설문(SPRINTSurvey)ʻʻ에 의하면 수영장을 제외한 독일 체육
교육과 학교 스포츠는 조건과 시설, 교사의 질은 꽤 양호한 편이다. 초등학교의
체육시간 시간이 적고 체육교사의 자격이 고르지 못하다는 것, 특정직업학교

211
해외 스포츠 정책 동향 분석 – 체육행정 거버넌스 및 주요 이슈 관련 정책 비교 -

재학생의 불이익 등이 문제로 제기되고 있다. 게다가 G8 및 중등교육 후반


II 단계 학제개편과 연방정부 주관의 대학입학시험 도입으로 인한 주 별 교육내
용 차이 등도 문제로 제기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가 충돌하는 가운데 학교
체육교육을 계획하고 원활히 진행하는 데 어려움이 따르고 있다. 그렇다고
해서 학생들이 약간의 신체활동을 하거나 땀을 흘리는 것이 학교 체육교육이
추구하는 목표는 아니다. 학교 체육교육의 전반적인 질을 유지하면서 발전시키
기 위해 아래의 사항이 지켜져야 한다.

• 정치적 합의를 통해 체육교육 시간을 늘려 기반을 마련

• 학교 프로그램, 방과 후 교육 간 의사소통을 높여 프로그램 질 향상

• 주기적인 관리, 감독으로 교육의 질 유지

체육교육과 학교 스포츠를 방해하는 일부 현 상황을 극복하고 어린이들과


청소년들이 체육교육을 통해 최대한의 가능성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독일 학교 체육 정책의 주요 목표는 아래와 같다.

• 독일 학교 체육의 두 가지 목표 (1. 놀이와 스포츠를 통한 인성개발;


2. 놀이 스포츠 문화, 운동의 목표 제시).

• 종일학교(Ganztagsschule) 내 스포츠와 스포츠 클럽 활성화

• 비자격자 체육교육 문제 해결 (특히 초등학교)

• 스포츠로 건강을 유지하는 학교생활

라) 장애인 스포츠 정책

재활과 장애인 스포츠 재정확보는 정부 지원에 따라 규모와 비용이 결정된다.


관련된 최근 일례로 여성과 소녀들의 자신감 회복 프로젝트가 있는데 이는
타인에 의지하는 상황에서 종종 발생하는 성폭력 예방을 위한 것으로 소년과

212
Ⅲ. 국가별 스포츠 정책 거버넌스

남성들에도 해당된다. 다른 관점 하나는 독일의 인구학적 변화에 따른 사회


노령화로 만성 질환자와 장애인이 증가했다는 것이다. 이는 예상 수명 증가와
더불어 재활과 장애인 스포츠의 중요성을 새삼 일깨우며 일상생활 전반에
각종 정책들이 적용되고 있다.

2) 스포츠 정책에서의 양성평등

가) 생활 스포츠 양성 평등 정책

독일의 여성과 소녀들의 스포츠 활동 참여 비율은 높아서 스포츠 클럽 내


여성 회원은 약 40%에 달한다. 그들 일부는 피트니스 스튜디오와 같은 곳에서
다른 스포츠 활동을 하기도 한다. 여성 대부분은 건강과 신체단련을 위해
스포츠 활동에 참여하는데 활동적인 스포츠보다는 주로 미용과 몸매관리에
중점을 둔다. 이 경우를 통해 보면 여성과 소녀들이 선호하는 스포츠 활동들은
모두를 위한 스포츠 영역 안에 포함될 수 있다. 대부분 여성과 소녀들은 전체
스포츠 연맹 회원 수의 37%를 차지하는 독일 체조연맹에 소속되어 있는데,
이는 체조연맹이 생활 스포츠 부문을 강조하기에 여성 참여자들에게 큰 호응을
얻고 있기 때문으로 보인다. 여성 참여자의 10%가 독일 축구연맹에 소속되어
있다. 여덟 개 연맹에는 여성 참여자가 남성보다 많은데 그 목록은 아래와
같다.

a. 체조협회 (500만 명, 69%가 여성)

b. 승마 스포츠 (752.964명, 74% 가 여성)

c. 수영 (574.825 명, 52%가 여성)

d. 배구 (483.815명, 52% 가 여성)

e. 장애인 스포츠 (414.070명, 65% 가 여성)

213
해외 스포츠 정책 동향 분석 – 체육행정 거버넌스 및 주요 이슈 관련 정책 비교 -

f. 댄스 스포츠 (210.538명, 65%가 여성)

g. 근대 5종(78.407 명, 63%가 여성)

h. 아크로바틱스 (11.628 명, 70% 가 여성)

통계에 따르면, 나이가 어릴수록 소년에 비해 소녀들이 다양하고 활동적인


ʻʻ남성적ʼʼ 스포츠 활동에 참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여성과 소녀들의 더 많은
참여를 유도하기 위해서는 그들의 스포츠 참여 동기와 선호 분야를 알아야
한다. 2000년대 중반 이후 보건부와 DOSB는 여성들의 ʻʻ행동 주간ʼʼ을 설정했
고, 여성을 위한 기초반을 늘렸으며, 연말에는 한 해 동안 적극적으로 활동한
여성과 어린이들을 시상했다. 2012년에 DOSB는 ʻʻ혼합복식을 리드하기ʼʼ 라는
프로젝트를 통해 말단 여성 직원들의 스포츠 참여에 동기를 부여하고 지원했다.
2007년에 시작된 ʻʻ여성 폭력 퇴출ʼʼ 프로젝트는 여성과 소녀들에게 스포츠를
통해 자기 권리 주장, 방어, 확신을 가르쳤다. DOSB는 2015년에 위 프로젝트의
명칭을 ʻʻ폭력에 대항하는 강한 네트워크ʼʼ로 바꾸고 UN, 중앙정부와 함께
이를 스포츠 계의 국가적 계획으로 추진하고 있다.

나) 학교 스포츠 양성평등 정책

1970년대에 들어서야 스포츠 교육 내에서 성별에 따라 나뉜 스포츠를 변화시


키려는 노력이 시작되었다. 남녀가 같이 할 수 있는 학교 스포츠 및 경기가
소개되었고 사회적 호응도 급격히 증가했다. 그러나 ʻʻ성별과 교사ʼʼ 안건은
여전히 논란의 중심에 있다.

• 여성성과 전문가 영역의 충돌.

• 남녀공학 체육교육 문제 (예: ʻʻ남성적인ʼʼ 스포츠가 주류).

• 결코 분리될 수 없는 몸과 마음의 신체적 특징이 성차별을 부추김.

214
Ⅲ. 국가별 스포츠 정책 거버넌스

주정부는 남녀공학 학교 스포츠 가이드라인을 만들었다. 노르트라인-베스트


팔렌 주에서는 이 스포츠 가이드 라인을 남녀 공학 학생들이 협력심, 인식,
그리고 자기 결단이라는 원칙에 기반하여 제시한다. 주목할만한 프로젝트로는
2009년에 시작된 ʻʻ소녀를 중심으로-축구를 통해 소녀에게 더 많은 기회를ʼʼ이
있다. 이는 축구클럽과 학교 간의 협력을 증진해 비/이민자 소녀들이 축구에
대한 열정을 키우고, 여러 배경을 가진 소녀들이 스포츠를 통해 사회통합을
이룰 수 있도록 하려는 목적을 가지고 있다. 2012년에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
주의 20곳이 이 프로젝트에 참여했다.

3) 스포츠 정책에서의 민관협력

포괄적으로 조직된 독일 내 스포츠 상위단체인 DOSB는 스포츠 연맹과


같은 소속단체를 대표해 KMK와 SMK와 같은 정책결정자들을 만난다. 주요
업무는 학교 스포츠 실무를 조율하는 것과 문제가 발생시 이를 정책결정자들과
해결하는 것이다. 2009년에는 ʻʻ체육교육과 스포츠 양해각서ʼʼ를 체결해 독일
스포츠 과학 연맹, 독일 체육교사 연맹, DOSB에 적용했다. 현재 종일 학교제
도입 및 13년에서 12년으로 김나지움 학제 개편 등의 변화를 겪고 있다.
물론 학교에 머무는 시간이 많아짐에 따라 스포츠 클럽이 학교와 협력해 제공
가능한 프로그램도 이에 따라 증가한다. 그러나 학생들이 스포츠 클럽에 가는
시간을 줄이고 참가해야 하는 부담이 있어서 많은 어린이들과 청소년들이
클럽을 이탈하는 상황이 발생하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스포츠 클럽
행사를 학교 스포츠와 접목하는 방안이 제시된다. 많은 클럽이 이를 목표로
각종 프로그램을 개발해 체육교사 자격인증, 회원들 간 학교 스포츠 정보제공
등을 하고 있다. 학교와 스포츠 클럽 간 직접적인 협력은 DOSB의 지원 하에
엘리트 스포츠 분야에서 주로 이루어지고 있다. 지역 차원에서는 오랫동안
직접적인 협력이 이루어지지 않았는데 1972년이 되어서야 KMK와 독일 올림픽
위원회가 기본 협력 프로그램을 만들었다. 1985년 두 번째 협정에 따라 노르트

215
해외 스포츠 정책 동향 분석 – 체육행정 거버넌스 및 주요 이슈 관련 정책 비교 -

라인-베스트팔렌 주(1985)와 바덴-뷔르텐베르크 주(1987)가 학교와 스포츠


클럽 간 첫 제도적 협력을 발표했다. 1992-1996년에 독일 전역에서 여러
프로그램이 만들어졌다. 그러나 이는 학교 스포츠 프로그램 발전 차원이라기보
다는 거시에서 미시로 변한 독일 교육정책에 기인한 바가 더 크다. 이 시점을
계기로 학교 개별적으로 각종 프로그램과 학제를 운영하는 데 힘이 실렸고,
학교와 스포츠클럽이 대립적으로 존재하지 않고 협력해 나가는 시작점이 되었
다. 예를 들어 바덴-뷔르텐부르크 주는 약 3,700개 스포츠클럽이 학교와
협력해 사업을 진행하는데 이는 주 전체 스포츠 클럽의 37%에 해당하는 수치이
다. 최근에는 모든 주에서 비슷한 방식의 협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약어 정리] - DGS : German Association for Deaf Athletes


- 3. Liga :Third Football League(축구3부 리그) (독일 청각장애 선수 협회)
- AA : Federal Foreign Office(연방외무성) - DOSB : German Olympic Sports
- BBL: Firtst Basketball League(야구 리그) Confederation (독일 올림픽 스포츠 연맹)
- BISp : German Federal Institute for Sport - DRV : German Retirement Insurance (독일
Science (독일 연방 스포츠 과학 연구소) 은퇴자 보험)
- BJS : National Youth Games(청소년 체전) - DSA : German Sports Badge(독일 스포츠 훈장)
- BKA : Germany´s Federal Criminal Police - DSH : German Sport Aid(독일 스포츠 원조)
Office(독일 연방 범죄 수사청) - dsj : German Sport Youth(독일 청소년 스포츠단)
- BL : German Football League - DSSS : German School Sport Foundation
(독일 프로축구 리그) (독일 학교 스포츠 연맹)
- BLZ : National Performance Centre - e.V. : registered societies(사회조합)
(연방훈련센터) - ESS : Elite Schools of Sport
- BMAS : Federal Ministry for Employment (스포츠 앨리트 학교)
and Social Affairs(노동사회부) - HBL : First handball league(핸드볼 1부 리그)
- BMBF : Federal Ministry of Education and - IDTF : International German Gymnastics
Research(교육연구부) Festival (국제 독일 체조 축제)
- BMF : Federal Ministry of Finance(재무부) - IPC : International Paralympic Committee
- BMFSFJ : Federal Ministry for Family (국제 장애인 올림픽 협회)
Affairs, Senior Citizens, Women and Youth - ISF : International School Sport Federation
(가족, 노인, 여성,청소년부) (국제 학교 스포츠 연맹)
- BMG : Federal Ministry for Health(보건부) - JTFO : Youth Practices for Olympic Games
- BMI : Ministry of the Interior(내무부) (청소년 올림픽 준비단)
- BMUB : Federal Ministry for the Environment, - KMK : The Standing Conference of the
Nature Conservation, Building and Nuclear Ministers of Education and Cultural Affairs
Safety(환경, 자연보존, 건설, 핵안전부) of the federal states in Germany (교육 문화부
- BMVg : Federal Ministry of Defense(국방부) 장관 회의)

216
Ⅲ. 국가별 스포츠 정책 거버넌스

- BMVI : Federal Ministry of Traffic and


- NADA : National Anti-Doping Agency in
Digital Infrastructure(교통, 건설, 디지털 사
Germany (독일 반도핑 기구)
회기반시설부)
- NDPP : National Doping Prevention Plan
- BMWi : Federal Ministry of Economics and
(도핑방지안)
Energy(경제, 에너지부)
- OSP : National Olympic Training Centre
- BMZ : Federal Ministry for Economic
(국립 올림픽 훈련 센터)
Cooperation and Development(경제협력개발부)
- SGB : Social Act(사회보장법)
- BSP : National Training Base(국립훈련거점)
- SMK : Conference of Federal Ministers of
- DBS : German National Paralympic
Sports (연방 스포츠 장관 회의)
Committee(독일장애인올림픽위원회)
- SOD : German Special Olympics
- DBSJ : German Sport Youth for Disability
Organisation (독일 스페셜 올림픽 위원회)
Sport (독일 장애인스포츠협회)
- UEFA : European Football Association (유럽
- DEL : First Ice Hockey League
축구협회)
(아이스하키 1부 리그)
- WADA : World Anti-Doping Agency (세계
- DFB : German Football Association
반도핑 기구)
(독일 축구 협회)
- WADC : World Anti-Doping Code (세계 반도
- DFL : German Football League Organisation
핑 규약)
(독일 축구 연맹)

5. 일본

가. 일본 스포츠 정책의 기본 철학

스포츠기본법 제정 이전의 스포츠진흥법 제4조에서 ʻ문부대신은 스포츠의


진흥에 관한 기본계획을 정한다ʼ라고 정하고 있다. 그러나 스포츠진흥법이
제정된 이후에도 한동안 문부성에 설치된 보건체육심의회의에서 스포츠진흥기
본계획을 대체 수립해 왔다. 그러나, 1999년 5월에 스포츠진흥복권법이 국회에
서 가결되어 제정됨에 따라 2000년 9월이 되어서야 스포츠진흥기본계획이
제대로 수립되기에 이르렀다. 그 이전에 스포츠진흥기본계획이 수립되지 못했
던 이유는 2001년 11월 문부과학성 스포츠청소년국장에 따르면, 어려운 재정여
건으로 인해 세출 수반이 필연적인 중장기의 계획의 책정을 보류할 수 밖에
없었다고 설명되었다. 따라서 신규 스포츠진흥복권의 도입 등으로 재원확보가
가능하게 된 것이 스포츠진흥기본계획책정에 작용했다는 이해가 가능하다.

217
해외 스포츠 정책 동향 분석 – 체육행정 거버넌스 및 주요 이슈 관련 정책 비교 -

중앙정부 및 지방자치단체가 거액의 재정적자를 지고 있는 상황에서는 적극적으


로 스포츠에 대한 공적 지출을 늘리는 것은 일본의 경우에도 어려운 일이었다.
스포츠 진흥이라는 일반적인 방침에는 동의와는 별개로 재정여건과 우선순위가
스포츠 정책의 수립과 실행에 크게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의 반증이다. 더불어
1981년 당시 스즈키젠코내각에 설치된 제2차 임시행정조사회가 국철, 전기공
사, 전매공사의 민영화를 제언, 이후 나카소네 내각에서의 민영화의 단행
이후 1996년에 발족한 제2차 하시모토 내각에서는 행정개혁 노선에 따라
중앙성청의 재편 등 작은 정부를 지향하는 분위기였다는 점도 무시할 수 없는
정책적 환경이었다. 2001년 4월에 취임한 고이즈미 총리는 ʻ성역없는 구조개혁ʼ,
ʻ구조개혁없이는 경기회복이 없다ʼ는 슬로건 하에 즉수법인의 민영화 및 지방분
권화(삼위일체 개혁) 등 작은 정부를 지향하는 신자유주의노선을 가속화하였다.

스포츠기본법 제정 이전의 스포츠진흥법이 스포츠진흥에 관한 이념을 명확히


하였으나, 강제력이 없는 훈시적 규정에 불과하였던 것과 달리 2011년 6월에
제정된 스포츠기본법에서 스포츠권을 명시하고 국가가 스포츠라는 영역에서도
적극적으로 관여하여야 함을 명확히 하였다. 2002년의 정권성장전략인 '경제재
정운영과 구조개혁에 관한 기본방침 2002'에서는 음악 및 패션과 건강 및
스포츠분야의 산업화가 가속화되었다. 그 와중에 2006년 3월 도쿄도의회의
2016년 올림픽·패럴림픽 개최 유치결의는 스포츠정책에 대해 재고하는 계기
가 되었다. 실제로 2006년 12월에는 동년 9월에 아베정권의 발족에 따라
임명된 문부과학부 대신이 「스포츠에 관한 좌담회」를 설치하였고 2007년
8월에는 「ʻʻ스포츠입국ʼʼ일본-국가전략으로서의 탑스포츠(Top Sports」정
책을 수립하여 ʻ스포츠청ʼ의 설치 및 스포츠예산의 증액이 제언되었다. 스포츠를
국가의 정책과제로 정하여 적극적인 정책을 시행하려는 움직임이 표면화된
계기가 되었다.

218
Ⅲ. 국가별 스포츠 정책 거버넌스

나. 일본의 스포츠 행정 조직 구조

1) 스포츠청

가) 스포츠 행정조직의 일원화

스포츠에 관한 행정기관으로 종전에는 문부과학성 스포츠·청소년국을 중심


으로 각 부처에서 나누어 스포츠관련 업무를 하였으나, 2015년 10월 1일부터
문부과학성의 외국(外局)으로 설립된 스포츠청이 스포츠 행정을 총괄하게 되었
다. 이는 기존에 스포츠에 관한 정책을 다양한 행정기관이 나누어 실시하고
있었으나, 이를 하나의 기관으로 일원화하기 위함이다. 기존에 문부과학성은
스포츠 진흥, 스포츠기본계획의 추진, 어린이 체력향상, 생애스포츠, 경기스포
츠를 담당하였다. 또한, 후생노동성에서는 생활습관병의 대책으로 국민건강만
들기 정책을 실시 및 장애인과 고령자의 스포츠 활동의 진흥정책을 담당하고
있었다. 스포츠를 통한 국제교류는 외무성에서 담당하고 있었으며, 피트니스산
업 및 스포츠용품업 등 스포츠 서비스산업의 지원에 관하여는 경제산업성이
담당하고 있었다. 또한, 경기설비건설 및 도시공원 정비·관리는 국토교통성이
담당하였으며, 스포츠관광은 관광청, 자연공원의 시설정비는 환경성, 체력·
스포츠에 관한 여론조사는 내각부에서 담당하고 있었다. 이를 표로 정리하면
표 Ⅲ-74와 같다.

<표 Ⅲ-74> 스포츠 청 설립 이전, 스포츠 정책 담당 부처


각 성 청 정책
- 스포츠 진흥
- 스포츠기본계획 추진
문부과학성 - 어린이 체력향상
- 학생스포츠
- 경기스포츠

219
해외 스포츠 정책 동향 분석 – 체육행정 거버넌스 및 주요 이슈 관련 정책 비교 -

각 성 청 정책
- 생활습관병의 대책으로서 국민건강만들기
후생노동성
- 장애인과 고령자의 스포츠 활동 진흥
외무성 - 스포츠를 통한 국제교류
경제산업성 - 피트니스산업 및 스포츠 용품업 등을 포함한 서비스산업 지원
- 경기설비건설
국토교통성
- 도시공원 등 정비·관리
관광청 - 스포츠관광 추진
환경청 - 자연공원 등의 시설 정비
내각부 - 체력·스포츠에 관한 여론조사

나) 문부과학성 스포츠·청소년국의 확대 개편

기존의 문부과학성내의 스포츠·청소년국은 3과 1참사관 총원 76명으로


조직되어 있었다. 그 조직은 국장, 대신관방심의관, 중앙교육심의회 스포츠·
청소년분과회, 스포츠·청소년기획과(총괄·관리 업무, 스포츠·청소년분과
회, 스포츠기본계획, 일본스포츠진흥센터, 스포츠시설의 정비, 스포츠단체의
거버넌스 개선), 스포츠진흥과(지역스포츠클럽의 육성, 지도자의 육성, 스포츠
안전확보, 스포츠선수의 캐리어 형성 지원, 장애인 스포츠 진흥), 경기스포츠과
(선수강화를 위한 지원, 강화거점·강화비, 국제대회 유치, 2020년 올림픽·패
럴림픽 도쿄대회 준비, 국제교류, 도핑 대책), 참사관(학교체육·운동부 활동,
무도 진흥, 어린이 체력 향상)으로 조직되어 있었다. 2015년 스포츠·청소년국
이 스포츠청으로 개편되면서 관할 업무가 확장되었고 그림 Ⅲ-37은 스포츠·
청소년국에서 스포츠청으로 확대 개편되면서 변화된 조직 구성과 주요 업무를
나타낸 그림이다.

220
Ⅲ. 국가별 스포츠 정책 거버넌스

<그림 Ⅲ-37> 스포츠청의 조직구성과 주요 업무


출처: 일본 스포츠청

다) 스포츠청의 조직구성 및 주요업무

스포츠청은 위의 그림 1과 같이 5과 2참사관으로 조직되었으며, 각 성청에


소관되어 있던 각각의 스포츠 관련 업무를 스포츠청으로 일원화하였다. 또한,
올림픽·패럴림픽과는 2020년 동경올림픽 개최까지 한시적으로 조직 및 운영
하는 것으로 하였다. 스포츠청 각 과의 업무분장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정책과는 총괄·관리업무, 스포츠심의회, 스포츠 기본계획, 일본 스포츠진흥
센터, 무도 진흥, 국내외 동향조사, 전략적 홍보 (학교체육실: 학교체육·운동
부활동)업무를 담당한다. 스포츠건강추진과는 예방의학에 근거한 스포츠의
보급, 지역스포츠클럽의 육성, 어린이 체력향상, 스포츠의 안전 확보 (장애인
스포츠 진흥실: 장애인 스포츠에 충실)를 담당한다. 경기력 향상과는 선수강화
를 위한 지원(체력 거점·강화비), 의학·과학을 활용한 경기력향상정책의
개발)을 담당하며, 기존에는 선수강화비의 배분을 일본올림픽위원회(JOC)가
담당하였으나, 스포츠청의 설치 이후는 스포츠청이 주도하여 담당하게 되었다.

221
해외 스포츠 정책 동향 분석 – 체육행정 거버넌스 및 주요 이슈 관련 정책 비교 -

스포츠청의 주도로 독립행정법인을 설립하여 선수강화비를 각 경기단체에


배분(선수강화비 배분의 일원화)하는 것으로 정하였다. 이에 대하여는 「국가
주도의 올림픽」이라는 경향이 강화된 것으로 평가되고 있기도 하다. 스포츠
국제과는 국제대회의 유치, 국제교류, 도핑대책, 스포츠를 통한 국제공헌,
세계 스포츠계에 대한 적극적 관여(인재육성·파견 등)를 담당한다. 올림픽·
패럴림픽과(한시적 운영)는 올림픽·패럴림픽 추진(Sport for Tomorrow의
추진 등), 2020년 대회를 위한 스포츠단체 등과의 조정을 담당한다. 지역진흥담
당 참사관은 스포츠의 다양한 장을 창출(지역스포츠 시설의 충실 등), 스포츠를
통한 지역방문의 지원을 담당하고, 민간스포츠 담당 참사관은 스포츠단체의
거버넌스 개선, 스포츠 인재·지도자의 육성, 스포츠 선수의 커리어 형성
지원, 산업계와의 연대 촉진을 담당한다. 또한, 스포츠청 내에 스포츠심의회가
설치되는데, 심의회는 스포츠청 소관업무 중 중요사항에 관한 조사·심의,
불복심사 및 기타 전문가 등의 합의에 의해 처리하는 것이 타당한 사무를
관장하는 합의제 기관으로 구성되었다.

라) 스포츠청의 권한

성령을 제정하여야 하는 사안이 있는 경우에 스포츠청 장관은 그 안을 제안하


여 문부과학성 대신에게 이를 성령으로 제정할 것을 요구할 수 있다. 단,
성령에는 법률의 위임 없이 벌칙을 정하거나 의무의 부과 및 국민의 권리를
제한하는 규정을 정할 수 없다(국가행정조직법 제12조 참조). 또한, 스포츠청
장관은 고시, 훈령 또는 통달을 제정할 수 있으며, 행정기관 상호간 조정
및 협의를 필요로 하는 경우, 관계행정기관의 장에 대하여 자료의 제출을
요청할 수 있고, 관계 행정기관의 정책에 관하여 의견을 진술할 수 있다(국가행
정조직법 제8조 참조).

222
Ⅲ. 국가별 스포츠 정책 거버넌스

2) 일본의 주요 스포츠진흥기관

스포츠 청을 위시한 행정조직과 더불어 독립행정법인인 일본스포츠진흥센터


(Japan Sport Council: JSC), (공재)일본올림픽위원회 및 (공재)일본체육협
회, (공재)일본레크레이션협회 등 공익법인이 스포츠진흥을 위한 경기의 보급
과 강화, 스포츠진흥을 위한 조성, 스포츠 가치의 보전과 이해의 촉진 등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일본스포츠진흥센터(Japan Sport Council:
JSC)는 국립경기장 등의 스포츠 시설의 운영, 스포츠진흥에 필요한 보조,
학교의 관리하에 있는 아동청소년 등의 재해에 관하여 필요한 급부 및 강종
조사연구에 따라 스포츠의 진흥과 아동청소년 등의 건강 유지증진을 목적으로
한다. 일본올림픽위원회와 일본체육협회, 일본레크레이션협회는 각 경기단체
및 도도부현의 가맹단체를 통할하고, 국제경기력의 향상, 스포츠지도자의 양
성, 종합형 지역스포츠클럽의 육성과 어린이 체력향상 등 스포츠정책에 있어
사실상 국가의 행정기구의 일부로 조직되어 있다. (공재)안티·도핑기구는
일본 국내의 안티·도핑활동의 추진, 교육·계발, 조정기구로서 2001년에
설립되었다. 세계도핑방지규정에 서명한 당사자로서 일본국내의 통일규정인
일본도핑방지규정을 설치하고 있다. (공재)일본스포츠중재기구는 경기자가
공정하게 경기에 임할 수 있는 경기환경의 정비와 계발활동을 통해 스포츠
진흥에 기여하고 있다. 상기 기관들은 추후 스포츠 거버넌스에서 자세히
다루기로 한다. 표 Ⅲ-75는 일본의 주요 스포츠 진흥기관들과 그 사업내용을
정리한 표이며, 그림 Ⅲ-38은 일본 스포츠 진흥 행정 체계를 도식화 한 것이다.

<표 Ⅲ-75> 일본의 주요 스포츠 진흥기관의 사업내용


단체명 설립년도 목 적 사업내용
일본 국립경기장의 운영 및 스포츠의 보급·진흥
스포츠 일본 스포츠의 진흥 및 아동청 재해공제급부 및 학교안전지원
2003 소년의 건강 유지증진
진흥 스포츠과학·의학·정보연구
센터 내셔널트레이닝센터의 관리·운영업무

223
해외 스포츠 정책 동향 분석 – 체육행정 거버넌스 및 주요 이슈 관련 정책 비교 -

단체명 설립년도 목 적 사업내용


스포츠진흥투표등
스포츠진흥을 위한 조성사업
(JSC) 일본스포츠정보전략기능의 강화
등산에 관한 지도자 양성 및 조사연구
스포츠박물관·도서관의 관리·운영
국민체육대회 및 일본스포츠마스터스 개최
도도부현체육협회를 시작으로 한 지역의 스포츠조
직 기반정비 및 지역스포츠클럽의 육성지원
스포츠지도자의 육성
법인이 실시하는 각종 스포츠진흥사업과 스포츠에
일본 국민스포츠의 통일조직으로 스 관한 보급 계발을 위한 홍보의 실시
체육 포츠를 진흥하고 국민의 체력향 국민의 스포츠 진흥에 관한 각종 표창·표창사업의 실시
1911 상을 도모하며, 스포츠정신을 국민의 스포츠 진흥에 관한 국제교류사업의 실시
협회
(JASA) 기름 스포츠소년단 및 청소년 스포츠의 육성
국민의 스포츠 진흥에 관한 연구조사 및 경기자의 건강관리
이 법인의 특별기념사업의 실시
일본스포츠 진흥의 거점이 되는 시설의 관리운영
및 임대사업의 실시
기타 법인의 목적달성을 위해 필요한 사업
올림픽 헌장에 근거한 일본국내 선수강화, 강화스텝의 육성 및 지원
일본 올림픽위원회로서 올림픽의 이 올림픽 무브먼트의 추진
올림픽 념에 따라 스포츠 등을 통해 세 올림픽대회 등 국제종합경기대회에의 선수파견
1989 계평화의 유지와 국제적 우호친 및 성적우수자 등의 표창, 대회의 유치, 개최
위원회
(JOC) 선, 조화로운 인간성의 육성에 사업수행에 필요한 재원조달을 위한 지적소유권의
기여 관리 및 상표제공
스포츠, 생애학습, 문화, 예술,
야외, 자연체험 등의 활동에 의 활동의 보급촉진 및 각종대회의 개최
한 레크레이션의 보급진흥 및 계발 및 홍보
종합적인 사업을 실시함 지도자 양성
일본 이러한 활동을 하는 단체에 대 공인지도자 심사, 인정 및 등록
레크레 한 지원에 의해 아동·청소년 지식, 기술 연구 및 개발, 국내외정보 조사 및 수집
1947 등의 건전한 발달 및 근로자, 제 단체와의 연대 및 협력, 지원
이션
협회 고령자 등의 복지증진을 도모함 국가, 지방자치단체와의 연대 및 협력
지역사회의 건전한 발전과 환경 재 외국의 레크레이션 관계단체와의 교류
보호 및 보전에 대한 의식향상, 교재, 용구의 개발 및 보급
국민의 풍요로운 생활형성과 이 기타 법인의 목적달성을 위해 필요한 사업
를 실현하는 시회 환경의 정비
안티·도핑 관련 기본계획 수립
일본 스포츠가치의 보전 및 향상을 안티·도핑 관련 검사 실시
안티 위해 안티·도핑 활동을 추진하 안티·도핑 관련 교육 및 계발
고, 모든 경기자가 공정·공평 안티·도핑 관련 조사 및 연구
ㆍ 2001 한 조건하에 경기를 할 수 있는 안티·도핑 관련 정보 수집 및 관리
도핑 환경을 만들고 스포츠의 진흥 안티·도핑 관련 검사 지도 및 지원
기구 및 건전한 발전 안티·도핑 관련 사업의 추진체제 정비
기타 법인의 목적달성을 위해 필요한 사업
스포츠 중재 및 조정에 관한 기본계획 수립
스포츠 중재 및 조정을 위한 규칙 제정
스포츠법의 투명성을 높이고, 스포츠 중재 및 조정에 관한 업무
일본 국민의 스포츠에 대한 이해와
스포츠 신뢰를 함양하여, 개인 및 단체 스포츠 법 및 스포츠중재, 조정에 관한 교육 및
2003 와의 분쟁의 중재 또는 조정에
계발활동
중재 스포츠 법 및 스포츠중재, 조정에 관한 정보수집
기구 의한 해결을 통한 스포츠의 건
전한 진흥 및 관리
기타 국민의 스포츠에 대한 이해와 신뢰를 높이고
스포츠의 건전한 진흥을 위해 필요한 사업
출처: 스포츠백서 2014

224
Ⅲ. 국가별 스포츠 정책 거버넌스

<그림 Ⅲ-38> 일본 스포츠 진흥 행정 체계도


출처: 일본체육협회

225
해외 스포츠 정책 동향 분석 – 체육행정 거버넌스 및 주요 이슈 관련 정책 비교 -

3) 지방자치단체의 스포츠 행정기구

가) 도도부현 및 시구정촌의 스포츠 행정기구

도도부현 및 시구정촌의 스포츠행정은 주로 교육위원회가 담당하여 왔다.


스포츠기본법 제4조에서는 지방자치단체는 ʻ스포츠에 관한 스포츠에 대해 국가
와의 연대를 도모하고, 자율적이고 주체적으로 그 지역의 특성에 따른 시책의
수립 및 실시할 책무가 있다ʼ고 정하고 있다. 이는 ʻ지방교육행정의 조직 및
운영에 관한 법률ʼ 제23조 교육위원회의 직무권한 제13호에 교육위원회가
스포츠에 관한 시책운영을 관리·집행한다고 규정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그러
나, 2007년 ʻ지방교육행정의 조직 및 운영에 관한 법률ʼ의 일부 개정에 따라
동법 제24조의2 직무권한의 특례가 추가되어, 교육위원회 소관의 스포츠에
관한 사무를 지방자체단체장이 관리·집행할 수 있다고 규정되었다. 한편,
문부과학성 ʻ지방스포츠정책에 관한 조사연구(2013)ʼ에 의하면 정령지정도시
를 제외한 시구정촌에서는 90%이상의 교육위원회가 스포츠에 관한 사무를
소관하고 있다. 또한, 지방자치단체에서의 스포츠에 관한 사무·사업은 다양하
고 복수의 조직이 실시하는 사업도 있으므로 스포츠주관부국과 기타 관계조직과
의 밀접한 연대와 역할분담이 불가결하다.

나) 지방자치단체의 스포츠 진흥에 관한 사업단·재단

다수의 도도부현 및 정령지정도시에서는 스포츠진흥사업단 및 재단, 공사라


고 할 수 있는 공익법인이 설립되어 지방자치단체의 스포츠에 관한 사무를
보완하고, 스포츠의 보급 진흥에 일조하고 있다. 이러한 외부단체는 설립
시에 해당 지방자치단체로부터 자금보조를 받는다.

2003년의 지방자치법 일부개정에 의해 공공시설(스포츠시설, 도시공원,


문화시설, 사회복지시설 등)의 관리운영방법이 ʻ관리위탁제도ʼ에서 ʻ지정관리자

226
Ⅲ. 국가별 스포츠 정책 거버넌스

제도ʼ로 변경되었으며, 이는 2006년 9월에 전면시행 되었다. 기존의 ʻ관리위탁


제도ʼ하에서는 시설 관리운영업무를 지방자치단체가 직접 담당하거나 지자체가
출자한 재단이나 공사 등에 한정하고 있었다. ʻ지정관리자제도ʼ하에서는 지자체
가 직접 운영할지 또는 주식회사 등 민간사업자, 공익법인, NPO법인, 봉사단체
등으로부터 공모·선정된 지정관리자에게 위탁하는 방식이 되었다.

<표 Ⅲ-76> 지방자치단체의 스포츠 진흥에 관한 사업단·재단 (도도부현 수준)


도도부현 명 칭 설립연도
이와테현 공익재단법인 이와테현스포츠진흥사업단 1985
미야기현 공익재단법인 미야기현스포츠진흥재단 1994
아키타현 일반재단법인 아키타종합공사 2000
치바현 공익재단법인 치바현교육진흥재단 1974
도쿄부 공익재단법인 도쿄부스포츠문화사업단 1980
아이치현 공익재단법인 아이치현교육ㆍ스포츠진흥재단 1973
와카야마현 공익재단법인 와카야마현스포츠진흥재단 1974
공익재단법인 히로시마현교육사업단 1972
히로시마현
공익재단법인 히로시마현스포츠진흥재단 1988
야마구치현 일반재단법인 야마구치현시설관리재단 1990
도쿠시마현 일반재단법인 도쿠시마현스포츠진흥재단 1971
에히메현 공익재단법인 아이치현스포츠진흥사업단 1974
고치현 공익재단법인 고치현스포츠진흥재단 1978
후쿠오카현 공익재단법인 후쿠오카현스포츠진흥센터 1989
쿠마모토현 일반재단법인 쿠마모토현스포츠진흥사업단 1982
오이타현 공익재단법인 오이타현예술문화스포츠진흥재단 1996

출처: 스포츠백서 2014

<표 Ⅲ-77> 지방자치단체의 스포츠 진흥에 관한 사업단·재단 (정령지정도시 수준)


도도부현 명 칭 설립연도
삿포로시 일반재단법인 삿포로건강스포츠센터 1985
센다이시 공익재단법인 센다이시스포츠진흥사업단 1994

227
해외 스포츠 정책 동향 분석 – 체육행정 거버넌스 및 주요 이슈 관련 정책 비교 -

도도부현 명 칭 설립연도
치바시 일반재단법인 치바시스포츠진흥재단 2000
시즈오카시 공익재단법인 시즈오카시마을만들기공사 1974
오사카시 일반재단법인 오사카스포츠녹색재단 1980
사카이시 공익재단법인 사카이교육스포츠진흥사업단 1973
오카야마시 공익재단법인 오카야마시스포츠ㆍ문화진흥재단 1974
출처: 스포츠백서 2014

다. 일본 스포츠 정책 재정 현황

1) 중앙정부 및 지방정부 스포츠 관련 예산

가) 중앙정부의 스포츠 관련 예산

2020년 도쿄올림픽·패럴림픽을 계기로 종합적인 스포츠 진흥을 위한 예산


으로 2015년도의 예산은 28,976백만 엔이 편성되었다. 이는 전년도 예산
(25,528백만 엔) 편성액보다 증액된 것이다. 중앙정부 차원에서 스포츠 예산은
스포청을 개청하고 2020년 도쿄올림픽·패럴림픽 개최를 위해 선수강화비를
충실히 집행함과 동시에 스포츠를 통한 지역활성화 및 스포츠에 의한 건강증진,
국제공헌 등을 위한 정책을 수립하고 관련 시책을 종합적으로 추진하는 것에
필요한 예산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에 대한 보다 자세한 내용은 다음의 표와 같다.

<표 Ⅲ-78> 중앙정부 스포츠 관련 예산


(단위: 백만 엔)
경기력향상사업 (7,400)
2020년
경기력 향상추진 멀티서포트전략사업 (3,100)
도쿄올림픽 ·
프로그램 스포츠연구현신거점형성사업 (100)
패럴림픽 준비
(11,639)
(13,163) 내셔널트레이닝센터의 확충 및 정비 (85)

228
Ⅲ. 국가별 스포츠 정책 거버넌스

올림픽·패럴림픽 Sports for Tomorrow 등 추진 프로그램 (1,225)


스포츠유산 프로그램
스포츠에 의한 지역활성화 추진 사업 (306)
(1,530)
지역 장애인 스포츠 보급 및 촉진 사업 (131)
스포츠진흥
무도 등의 원활한 실시 지원 (4,729)
추진
운동부 활동 지도·개선 지원사업 (302)
(15,807)
사회체육시설 내진화(耐震化) 사업 (1,006)
출처: 스포츠백서 2014

2020년 도쿄올림픽·패럴림픽 준비를 위하여는 13,169백만 엔의 에산을


편성하고 있다. 그 중 경기력 향상 추진프로그램은 11,639백만 엔을 편성하고
있는데 이는 일본대표선수의 메달획득을 위해 각 경기의 선수강화활동(강화합
숙 등)을 충실히 함과 동시에 스포츠의·과학 등을 활용한 서포트, 스포츠연구
혁신 거점에 대한 지원, 내셔널트레이닝센터의 정비를 실시하는 것이다. 올림
픽·패럴림픽의 스포츠유산 프로그램은 2020년 도쿄대회의 유산화로서 계승
되는 것을 목표로 'Sports for Tomorrow'프로그램에 의한 국제공헌을 도모하
고, 대회를 도쿄에서만의 이벤트가 아닌 전국에 그 기운을 넓혀 스포츠를
통해 지방창생을 추진하기 위함이다. 'Sports for Tomorrow' 등 추진 프로그램
은 2020년 도쿄올림픽·패럴림픽 개최국으로서 국제적인 인재양성의 주요거
점 형성, 도상국의 스포츠환경 정비, 국제적인 안티-도핑추진체제의 강화
지원을 위한 'Sports for Tomorrow'프로그램의 실시 및 올림픽·패럴림픽
무브먼트를 일본 전국에 확산시키기 위한 정책들이다. 또한, 스포츠진흥 추진영
역에서 지역 장애인 스포츠 보급 및 촉진 사업은 지역에서 장애인이 계속적으로
스포츠에 참여할 수 있는 환경의 정비를 촉진하기 위해 도도부현에서 장애인
스포츠 보급을 위한 체제 구축 노하우의 작성을 지원하며 스포츠참여를 위한
장벽의 조사분석을 실시하는 것을 그 내용으로 한다. 무도 등의 원활한 실시
지원은 무도 등의 안정하고 원활한 실시를 위해 무도 등의 영역에서 수업의

229
해외 스포츠 정책 동향 분석 – 체육행정 거버넌스 및 주요 이슈 관련 정책 비교 -

충실, 젊은 교원의 확보 및 지도자의 자질향상, 무도력 강화를 추진하고, 무도체


제의 정비 및 공립중학교 무도장의 정비촉진을 그 내용으로 한다. 운동부
활동지도·개선 지원사업은 스포츠의·과학을 활용한 운동부 활동 지도체제의
구축 등 지도내용·방법의 개선, 체계적인 자질향상을 위한 연구협의와 연수
등의 장을 정비하여 체벌의 근절과 지도체제를 정비하여 운동부활동을 활성화하기
위함이다. 사회체육시설 내진화(耐震化)사업은 시설이용자의 안전확보 및 재해
피난장소로의 지정·활용 관점에서 지역스포츠시설의 내진화를 촉진하는 것이다.

나) 지방자치단체의 스포츠 관련 예산

지방자치단체에서의 스포츠 진흥 재원을 살펴보면(그림 Ⅲ-39) 1995년(평


성7년) 가장 규모가 큰 1조84억 엔으로 가장 큰 규모를 점하고 있었으며,
그 중 보통건설사업비는 6,016억 엔이었다. 1995년 이후 지방의 스포츠 관련
예산은 계속 하향세를 보이고 있으며, 2012년(평성24년)도에는 조금 상승되어
4,954억엔(그 중 보통건설사업비 1,304억엔) 규모를 점하게 된다. 이는 1995
년의 2분의 1 규모이다.

(단위 : 억원, 년도 : 평성)

<그림 Ⅲ-39> 지방자치단체 스포츠 진흥 재원


출처: 스포츠백서 2014

230
Ⅲ. 국가별 스포츠 정책 거버넌스

2) 재정 확보

가) 일본에서의 스포츠 예산의 추이

일본에서 스포츠 예산은 문부과학성에서 대부분을 소관하고 있었다. 2015년


10월의 스포츠청 설치로 인해 스포츠 예산은 스포츠청 소관으로 변경될 것이다.
2015년까지의 문부과학성 소관의 스포츠 예산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2013
년 이전까지는 후생노동성 소관이었던 장애인 스포츠에 관한 예산이 2014년도
부터는 예산·권한의 일원화를 위해 문부과학성으로 이관되었다. 다만, 지역에
서의 스포츠·레크리에이션 교실, 장애인스포츠대회의 개최경비를 일부 보조
하는 지역생활지원사업은 후생노동성, 국유임야에 대한 야외스포츠에 적합한
삼림을 ʻ레크리에이션 숲ʼ으로 선정한 시설의 정비를 실시하는 사업은 후생노동
성, 운동공원을 포함한 도시공원의 정비사업은 국토교통성이 소관하고 있는
등 스포츠청의 설치 이전까지는 관련 예산의 소관부처가 나뉘어 있었다고
할 수 있다. 이렇게 문부과학성 이외의 성청이 소관하는 예산을 포함하여
광의의 스포츠 관련 예산으로 포함할 수 있으나, 여기에서는 문부과학성 소관의
스포츠·청소년국이 발표하고 있는 예산을 ʻ스포츠 예산ʼ으로 정의하여 그
내용을 살펴본다. 일본의 스포츠예산은 2002년도 122억 3,990만 엔에서부터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매년도 과거 예산의 최고액을 갱신하고 있다.
2015년도는 289억 7,600만 엔(정부예산안)으로 2002년도와 비교하면 2배
이상 증가된 것을 알 수 있다. (그림 Ⅲ-40)

231
해외 스포츠 정책 동향 분석 – 체육행정 거버넌스 및 주요 이슈 관련 정책 비교 -

(단위: 백만엔)

<그림 Ⅲ-40> 문부과학성 스포츠 예산 추이


출처: 스포츠백서 2014

나) 스포츠 예산의 세부 항목

표 Ⅲ-79는 2012년부터 2014년 사이의 문부과학성의 스포츠 예산 추이를


나타낸 표이다. 예산 세부항목에 대한 설명은 다음과 같다.

<표 Ⅲ-79> 2012~2014년도 문부과학성 스포츠 예산추이


(단위: 천 엔)
시책명 2012년도 2013년도 2014년도
A. 어린이 체력향상에 필요한 경비 1,124,680 1,384,931 1,133,605
B. 생애스포츠사회의 실현에 필요한 경비 1,518,960 1,432,646 2,235,781
C. 국제경기력 향상에 필요한 경비 7,757,950 7,909,333 10,511,654
스포츠진흥비(A+B+C) 10,401,590 10,726,910 13,881,040
D. 일본스포츠진흥센터 운영비 5,493,695 6,999,208 5,274,804
E. 일본스포츠진흥센터 시설정비비 2,963,352 912,088 682,875

232
Ⅲ. 국가별 스포츠 정책 거버넌스

시책명 2012년도 2013년도 2014년도


F. 공립문교시설정비비 4,596,000 5,575,400 5,575,400
G. 학습지도요강 등의 편집개정 등 12,911 12,688 12,461
H. 문부과학본성 사무처리 5,055 4,731 5,673
I. 심의회 등 사무비 7,085 6,819 5,591
J. 사립학교진흥비 90,005 90,005 90,005
스포츠예산
23,542,693 24,327,849 25,527,849
(A+B+C+D+E+F+G+H+I+J)
출처: 문부과학성 홈페이지

- 어린이 체력향상에 필요한 경비

스포츠 예산은 2007년도 이후 해마다 증가하고 있어 과거 최고치를 갱신하고


있다. 문부과학성의 스포츠 예산(2014년도)을 보면 ʻʻ주요 사항ʼʼ으로서 ʻʻ전략적
스포츠 국제 공헌 사업ʼʼ(11억 4,470만 8,000엔)에서 ʻʻ중학교 무도장의 정비
촉진ʼʼ(46억 412만 5,000엔)까지 20개의 사업이 게재되고 있다. 이러한 사업의
예산을 합하면 165억 4,269만 5,000엔이며, 예정액 255억 2,784만 9,000엔
으로는 90억엔 정도의 차이가 있다.

- 생애스포츠사회 실현에 필요한 경비

ʻʻ생애 스포츠 사회의 실현을 위한 환경 정비의 추진ʼʼ에 관한 사업으로 11억


6,840만 4,000엔이 책정되어 있다. 이와 함께 ʻʻ일본 장애자 스포츠 협회
보조ʼʼ10억 1,237만 7,000엔 및 ʻʻ전국 장애자 스포츠 대회 개최 사업ʼʼ 5,500만
엔이 2014년도에서 계상되어 있으며, 이들은 후생 노동성으로부터 이관된
사업이다. ʻʻ생애 스포츠 사회의 실현을 향한 환경 정비의 추진ʼʼ에 관한 사업으로
예산액이 큰 것은 ʻʻ일본 체육 협회 보조ʼʼ 5억 349만 5,000엔이다. 내용은
주로 스포츠 지도자 양성을 실시하는 사업이다. ʻʻ민간 스포츠 진흥비 보조금ʼʼ이
4억 9,758만 9,000엔, ASEAN(동남 아시아 국가 연합)이나 동 아시아 국가들
의 청소년 스포츠 지도원의 연수를 실시하는 ʻʻ정부 개발 원조 민간 스포츠

233
해외 스포츠 정책 동향 분석 – 체육행정 거버넌스 및 주요 이슈 관련 정책 비교 -

진흥비 등 보조금ʼʼ이 590만 6,000엔으로 되어 있다. 또 종합형 지역 스포츠


클럽에 관한 사업도 이 경비에 포함되어 있다. 2012년도까지 올라왔던 ʻʻ종합형
지역 스포츠 클럽 육성 추진 사업ʼʼ(1억 3,667만 6,000엔: 2012년도)는 2013년
도 이후, 예산화되지 않았다. 그 시기에 시작되었던 ʻʻ지역 스포츠와 톱 스포츠의
선순환 추진 프로젝트ʼʼ는 5억 8,159만 8,000엔(2012년), 5억 8,886만 6,000
엔(2013년도)으로 6억엔 미만 규모로 유지했으나 2014년도에는 2억 5,646만
2,000엔으로 반감했다. 이 밖에 장애인 스포츠에 대한 조사와 실천 연구에
대한 ʻʻ비장애인과 장애인 스포츠, 레크리에이션 활동 연계 추진 사업ʼʼ(1억
396만 7,000엔)이나 고령자가 일상에서 간편하게 하는 운동 스포츠 프로그램의
실시 등을 실시하는 ʻʻ고령자의 체력 만들기 지원 사업ʼʼ(7,952만 8,000엔)
같은 대상자를 압축한 사업, ʻʻ스포츠청의 기본 방향에 관한 조사 연구 사업ʼʼ(996
만 6,000엔)과 ʻʻ스포츠에서의 봉사 활동 활성화를 위한 조사 연구ʼʼ(4,967만
6,000엔)사업도 이루어지고 있다.

- 국제 경기력 향상에 필요한 경비

ʻʻ경기력 향상 방안의 충실ʼʼ, ʻʻ도핑 방지 활동 추진ʼʼ, ʻʻ국민 체육 대회 개최


사업(지방 스포츠 진흥비 보조)ʼʼ, ʻʻ일본 올림픽 위원회 보조ʼʼ, ʻʻ일본 무도관
보조ʼʼ의 5가지로 구분 된다. ʻʻ국제 경기력 향상에 필요한 경비ʼʼ105억 1,165만
4,000원의 가운데 ʻʻ경기력 향상 방안의 충실ʼʼ이 70억 6,444만 5,000원을
차지하고 있지만, 그 중에서도 ʻʻ메달 획득을 위한 멀티 지원 전략 사업ʼʼ이
28억 3,406만 9,000엔으로 4할 이상을 차지하는 예산액이 가장 크다. 이
사업은 2012년도는 ʻʻ멀티 서포트에 따른 메달 획득 프로젝트ʼʼ(27억 4,647만
2,000엔), 2013년도는 ʻʻ멀티 서포트에 의한 최고 선수 지원ʼʼ(22억 9,952만
2,000엔)로 명칭은 약간 변경되었으나, 최근 20억 엔을 넘는 규모로 지원되고
있다. 멀티지원 사업 외, ʻʻ차세대 선수 특별 강화 추진 사업ʼʼ(3억 9,409만

234
Ⅲ. 국가별 스포츠 정책 거버넌스

9,000엔), ʻʻ여성 운동 선수의 육성·지원 프로젝트ʼʼ(4억 1,273만 6,000엔),


ʻʻ2020 타겟 에이지(Target Age) 육성·강화 프로젝트ʼʼ(13억6,948만 8,000
엔), ʻʻ국제경기대회 정보 네트워크 형성 지원 사업ʼʼ(7,172만, 000엔)과 ʻʻ전략적
양국간 스포츠 국제 공헌 사업ʼʼ(3억 4,967만 7,000엔)등 국제 관련 사업,
ʻʻ2019년 럭비 월드컵 보급 계발 사업ʼʼ(1,467만 2,000엔)과 ʻʻ장애인 올림픽을
위한 강화·연구 활동 거점에 대한 조사 연구ʼʼ(2,243만 5,000엔)등 국제
경기 대회에 관한 사업 등이 예산화되고 있다. ʻʻ도핑 방지 활동 추진"에는
3억 8,015만 1,000엔의 예산이 책정되어 있다. 공익재단법인 일본안티도핑기
구에 위탁 사업인 ʻʻ도핑방지 활동 추진사업ʼʼ(2억 1,068만 4,000엔)과 세계약물
복용방지기구 관련 경비로 1억 6,946만 7,000엔이 포함된다. ʻʻ국민 체육
대회 개최 사업(지방 스포츠 진흥비 보조)ʼʼ에서는 국민 체육 대회를 실시하는
도도 부현에 운영비 일부를 보조했으며 하계대회에 3억 8,000만엔, 동계
대회에 3,180만 7,000원이 책정되어 있다. ʻʻ일본올림픽위원회 보조ʼʼ는 공익재
단법인 일본올림픽위원회에 가입하는 경기 단체의 강화비 보조 및 국제 경기
대회에 파견 사업에 대한 보조 사업으로 25억 9,331만 6,000원이 책정되어 있다.

ʻʻ일본 무도관 보조ʼʼ는 공익재단법인 일본 무도관이 실시하는 지도자 강습회나


국제 교류, 고전무도보존사업 등에 대한 보조사업으로 6,193만 5,000원이
책정되어 있다.

- 독립행정법인 일본스포츠진흥센터 운영비

ʻʻ독립행정법인 일본스포츠진흥센터 일반운영비 교부금ʼʼ으로 52억 7,480만


4,000원이 책정되어 있다. 국립경기장과 국립스포츠과학센터, 내셔널 트레이
닝 센터 운영 등에 지출되고 있다.

- 독립행정법인 일본스포츠진흥센터 시설 정비비

ʻʻ독립행정법인 일본체육진흥센터 시설 정비비 보조금ʼʼ 또는 ʻʻ독립행정법인

235
해외 스포츠 정책 동향 분석 – 체육행정 거버넌스 및 주요 이슈 관련 정책 비교 -

일본체육진흥센터 연구 시설 정비비 보조금ʼʼ으로 6억 8,287만 5,000원이


책정되어 있다. 국립 경기장과 국립 스포츠 과학 센터의 정비에 필요한 공사비와
사무비, 부동산 구입 등으로 지출되고 있다.

- 공립문교시설 정비비

의무교육제 학교 등의 시설 정비비에 대해서 국가가 교부금을 출연하는


제도인 학교시설환경 개선 교부금으로 ʻʻ공립 중학교 무도장의 정비ʼʼ, ʻʻ사회체육
시설 내진화 사업ʼʼ 및 ʻʻ사회체육 시설 정비비 보조금ʼʼ이 있다. ʻʻ공립 중학교
무도장의 정비ʼʼ는 중학교 학습 지도 요령에서 필수인 무도의 안전하고 원활한
실시, 공립 중학교 무도장의 현대화에 대해서 국고 보조(보조율 3분의 1,
2013년도까지는 2분의 1)를 실시하는 사업으로, 45억 3,400만 엔이 책정되어
있다. ʻʻ독립행정법인 일본체육진흥센터 일반 계정 운영비 교부금ʼʼ을 제외하면
단일 사업으로는 스포츠 예산 중 가장 많은 액수를 차지하고 있다. ʻʻ사회체육
시설 내진화 사업ʼʼ은 공립사회 체육 시설에 대해서 이용자의 안전 확보 및
재해 시의 피난소로서의 역할에 비추어, 내진화 사업에 대한 도도부현 및
시구정촌 교육위원회에 국고 보조(보조율 3분의 1)를 실시하는 사업이다.
2013년도부터 10억 640만 엔이 책정되어 있다.

- 학습지도요강 등의 편집개정 등

ʻʻ학습 지도 요령의 편집 개정ʼʼ 및 ʻʻ학습 지도 요령 등 취지 철저ʼʼ의 2가지로


대별된다. ʻʻ학습 지도 요령의 편집 개정ʼʼ에서는 체육 보건에 대한 실기 지도
자료의 작성에 738만 3,000원이 책정되어 있다. ʻʻ학습지도요령 등 취지 철저ʼʼ에
서는 체육 보건에 대한 ʻʻ전국 학교 체육 연구 대회ʼʼ(209만 3,000엔), ʻʻ새교육
과정 설명회ʼʼ(203만 5,000엔), ʻʻ전국 각 교과 담당 지도 교사 연락 협의회(체육
회의)ʼʼ(95만엔)의 세 가지 사업에 총507만 8,000원이 책정되어 있다.

236
Ⅲ. 국가별 스포츠 정책 거버넌스

- 문부과학성 본성 사무처리

ʻʻ주최사업실시상황 조사 등의 실시ʼʼ에 있어서 ʻʻ국내 및 국제스포츠대회의


개최 등ʼʼ에 567만3,000엔이 책정되어 있다.

- 심의회 등 사무비

ʻʻ중앙교육심의회ʼʼ에서의 ʻʻ스포츠·청소년 위원회ʼʼ에 559만 1,000엔이 책정


되어 있다. 그 내역으로는 ʻʻ제1부회ʼʼ에 252만 4,000엔, ʻʻ제2부회ʼʼ에 241만
6,000엔, ʻʻ총회ʼʼ에 65만 1,000엔으로 되어 있다.

- 사립학교진흥비

ʻʻ사립학교 진흥에 필요한 경비ʼʼ에서의 ʻʻ사립학교 체육 등 제반 시설 정비비


보조ʼʼ로 ʻʻ사립학교 시설 정비비 보조금(중·고등 학교 무도장)ʼʼ에 7,012만
5,000엔, ʻʻ사립 학교 시설 정비비 보조금(수영장 등)ʼʼ에 1,988만엔이 책정되어 있다.

이상의 A부터 J를 합한 것이 ʻʻ스포츠 예산ʼʼ이다. 합계액을 보면 2012년도는


235억 4,269만 3,000엔, 2013년도는 243억 2,784만 9,000엔, 2014년도는
255억 2,784만 9,000엔으로 해마다 증가하고 있다. 그 중에서도 ʻʻ국제 경기력
향상에 필요한 경비ʼʼ의 증가액이 크며, 2012년도부터 27억엔 이상 증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2013년도부터 예산화된 ʻʻ사회체육 시설 내진화
사업ʼʼ(10억 4,140만엔)의 영향도 크다. 한편 ʻʻ어린이 체력 향상 경비ʼʼ는 2012년
도에 11억 2,468만엔, 2014년도에 11억 3,360만 5,000엔으로 거의 변화가
없다. ʻʻ생애 스포츠 사회의 실현에 필요한 경비ʼʼ는 2012년도에 15억 1,896만
엔, 2014년도에 22억 3,578만 1,000엔이며, 7억엔 정도 더 책정되어 있다.
이는 2014년도부터 ʻʻ일본장애인스포츠협회 보조ʼʼ 및 ʻʻ전국장애인스포츠대회
개최 사업ʼʼ의 합계 10억 6,737만 7,000엔이 후생노동성으로부터 이관되었기
때문이며, 이를 제외하면 2012년도보다 감액된 것이다.

237
해외 스포츠 정책 동향 분석 – 체육행정 거버넌스 및 주요 이슈 관련 정책 비교 -

<표 Ⅲ-80> 2014년도 스포츠 예산(안) 주요항목


(단위: 천 엔)
항목 2013년 2014년 증감액 항목
1. 2020년 도쿄올림픽·패
럴림픽 개최 지원 등
(1) 2020 스포츠전략플랜(신규) 2,514,196
①전략적 스포츠국제공헌사업 1,144,708
②2020Target Age육성·
1,369,488
강화프로젝트
(2) 패럴림픽을 위한 강화·
연구활동거점에 관한 조사연 22,435
구(신규)
스 2. 스포츠기복계획의 추진
포 국제경기력 향상을 위한 인재
츠 육성 및 스포츠 환경 정비 등
입 (1) 메달획득을 위한 멀티서
국 2,834,069
포트전략사업(신규)

(2) 일본올림픽위원회 보조
실 2,593,316
(확충)

24,327,849 25,527,849 1,200,000 (3) 내셔널트레이닝센터-경

기별 강화거점시설 활용 사 658,559

업(확충)

스 (4) 스포츠인을 폭력등으로
포 부터 지키는 제3자 상담·조 36,502
츠 사사업(신규)
진 3. 생애주기에 따른 스포츠
흥 활동 추진
(1) 코칭 이노베이션 추진사
30,751
업(신규)
(2) 스포츠 자원봉사활동 활
49,676
성화를 위한 조사연구(신규)
(3) 장애인 스포츠 및 엘리트
12,026
스포츠 호순환 추진프로젝트
(4) 비장애인 및 장애인 스포
츠·레크리에이션 활동 연대 103,967
추진사업(확충)

238
Ⅲ. 국가별 스포츠 정책 거버넌스

항목 2013년 2014년 증감액 항목


(5) 지역스포츠와 엘리트 스
256,462
포츠의 호순환 추진 프로젝트
(6) 사회체육시설 수요화사업 1,006,400
(7) 일본장애인스포츠협회보조 1,012,377
(8) 전국장애인스포츠대회
55,000
개최사업
4. 학교 및 지역 어린이 스포
츠 기회의 충실
(1) 운동부활동지도의 개선
301,630
지원사업(신규)
(2) 유아기 운동에 관한 지도
65,037
참고자료작성 사업(신규)
(3) 전국체력·운동능력, 운
305,464
동습관 등 조사
(4) 체육활동 과제대책추진
80,703
사업(확충)
(5) 중학교무도장의 정비 촉진 4,604,125
출처: 문부과학성 홈페이지

라. 일본 생활 스포츠 참여 실태

1) 종합형 지역 스포츠클럽의 육성

문부과학성에서는 1995년도부터 2003년도까지의 9년간 지역커뮤니티의


역할을 담당하는 스포츠 클럽을 조성하기 위한 선도적인 모델사업으로서 지역주
민의 자율적 운영을 목표로 ʻʻ종합형 지역 스포츠 클럽 육성 시범 사업ʼʼ을
실시하였다. 종합형지역스포츠클럽은 주민들이 쉽게 스포츠에 친숙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스포츠 클럽에서 ①어린이부터 고령자까지(다세대), ②다양한
스포츠를 애호가(여러 종목), ③초보에서 최고 수준까지 각각의 지향과 수준에
맞춰서 참여 가능(다지향)이라는 특징을 갖고 지역 주민이 자발적이고 주체적으
로 운영되는 스포츠 클럽이다.

239
해외 스포츠 정책 동향 분석 – 체육행정 거버넌스 및 주요 이슈 관련 정책 비교 -

<표 Ⅲ-81> 도도부현 별 시구정촌 수 및 창설/창설 준비 중인 클럽 수


도도부현 ① 시구정촌 수 ② 창설한 클럽 수 ③ 창설준비중인 클럽 수 ②+③
1 북해도 179 140 29 169
2 아오모리 40 29 5 34
3 이와테 33 55 16 71
4 미야기 35 44 2 46
5 아키타 25 67 3 70
6 야마가타 35 62 1 63
7 후쿠시마 59 87 1 88
8 이바라키 44 43 3 46
9 토라기 25 52 3 55
10 군마 35 43 2 44
11 사이타마 63 88 6 94
12 치바 54 73 8 81
13 도쿄 62 117 8 125
14 카나가와 33 78 13 91
15 니가타 30 46 2 48
16 토야마 15 60 0 60
17 이시카와 19 34 4 38
18 후쿠이 17 23 2 25
19 야마나시 27 25 6 31
20 나가노 77 64 11 75
21 기후 42 73 1 74
22 시즈오카 35 59 7 66
23 아이치 54 133 3 136
24 미에 29 64 2 66
25 시가 19 52 2 54
26 교토 26 43 4 47
27 오사카 43 57 0 57
28 효고 41 786 1 787
29 나라 39 40 17 57
30 와카야마 30 37 19 56
31 돗토리 19 25 5 30
32 시마네 19 33 0 33

240
Ⅲ. 국가별 스포츠 정책 거버넌스

도도부현 ① 시구정촌 수 ② 창설한 클럽 수 ③ 창설준비중인 클럽 수 ②+③


33 오카야마 27 43 2 45
34 히로시마 23 35 1 36
35 야마구치 19 47 3 50
36 도쿠시마 24 32 2 34
37 가가와 17 26 4 30
38 에히메 20 35 4 39
39 고치 34 32 0 32
40 후쿠오카 60 75 11 86
41 시가 20 30 3 33
42 나가사키 21 37 2 39
43 구마모토 45 65 5 70
44 오이타 18 42 0 42
45 미야자키 26 29 4 33
46 가고시마 43 49 14 63
47 오키나와 41 51 12 63
계 1,741 3,259 253 3,512
출처: 스포츠백서 2014

2) 스포츠 시설 현황

<표 Ⅲ-82> 전국 체육 스포츠 시설 수 (조사종별·시설종별 설치개소 수)


학교체육・스포츠시설
대학
체육 専修 공공 직장 민간
고등
스포츠 총수 초등 고등학 ・ 스포츠 스포츠 스포츠
계 중학교 체육
시설 학교 교 등 각종 시설 시설 시설
시설
학교
총수 222,533 136,276 64,119 40,152 31,437 568 8,375 53,732 6,827 17,323
육상
1 2,143 681 68 107 505 1 310 1,024 112 16
경기장
야구장소
2 10,113 1,914 142 347 1,418 7 466 6,766 787 180
프트볼장
3 구기장 3,164 860 74 109 671 6 368 1,428 233 275
다목적
4 46,413 35,933 21,195 9,604 5,034 100 1,048 8,258 940 234
운동광장
수영장
5 4,529 788 347 166 266 9 121 1,800 118 1,702
(실내)

241
해외 스포츠 정책 동향 분석 – 체육행정 거버넌스 및 주요 이슈 관련 정책 비교 -

학교체육・스포츠시설
대학
체육 専修 공공 직장 민간
고등
스포츠 총수 초등 고등학 ・ 스포츠 스포츠 스포츠
계 중학교 체육
시설 학교 교 등 각종 시설 시설 시설
시설
학교
수영장
6 31,315 28,171 18,610 6,865 2,691 5 344 2,512 159 129
(실외)
레저
7 496 2 - - 2 - - 356 2 136
수영장
8 다이빙 풀 67 4 - - 3 1 1 18 - 44
9 체육관 48,902 37,339 21,115 9,690 6,323 211 1,607 8,460 1,116 380
10 유도장 3,449 1,964 66 575 1,281 42 288 843 134 220
11 검도장 3,033 1,704 7 435 1,259 3 258 744 108 219
유검
12 도장 7,941 6,249 24 3,790 2,425 10 259 1,122 266 45
(무도장)
공수・합
13 719 39 - - 38 1 129 22 3 526
기도장
배구장
14 1,477 1,312 42 848 413 9 74 16 72 3
(실외)
정구장
15 18,975 9,542 108 5,259 4,123 52 1,312 5,530 1,565 1,026
(실외)
정구장
16 676 80 - 54 25 1 15 215 43 323
(실내)
농구장
17 2,165 2,008 822 995 177 14 58 47 46 6
(실외)
스모장
18 1,542 1,172 804 301 67 - 5 354 - 11
(실외)
스모장
19 320 173 20 40 113 - 30 105 8 4
(실내)
20 탁구장 2,731 1,939 211 649 1,060 19 187 250 228 127
21 궁도장 2,943 1,451 3 175 1,272 1 305 1,111 20 56
22 양궁장 364 88 - 2 85 1 127 126 3 20
마장
23 292 7 - - 7 - 50 48 1 186
마술장
아이스
24 스케이트장 96 - - - - - 2 57 1 36
(실내)
아이스
25 스케이트장 115 12 9 1 2 - - 97 - 6
(실외)
롤러스케
26 85 1 - - - 1 - 75 - 9
이트ㆍ

242
Ⅲ. 국가별 스포츠 정책 거버넌스

학교체육・스포츠시설
대학
체육 専修 공공 직장 민간
고등
스포츠 총수 초등 고등학 ・ 스포츠 스포츠 스포츠
계 중학교 체육
시설 학교 교 등 각종 시설 시설 시설
시설
학교
인라인스
케이트장
(실내)
롤러스케
이트ㆍ
27 인라인스 29 1 - - 1 - - 23 - 5
케이트장
(실외)
산간
28 학교 등의 366 6 2 - 4 - 35 198 34 93
시설
29 트레이닝장 6,154 1,747 22 30 1,654 41 561 1,816 620 1,410
30 레슬링장 119 74 - 2 72 - 29 9 2 5
31 복싱장 256 61 - 1 59 1 66 13 - 116
32 댄스장 1,479 67 - - 43 24 105 114 8 1,185
33 사격장 302 18 - - 18 - 15 118 - 151
34 골프장 2,423 - - - - - - 121 4 2,298
골프
35 1,998 15 - - 15 - 72 29 80 1,802
연습장
36 볼링장 535 - - - - - - 1 3 531
37 조정장 70 4 - - 4 - 8 55 1 2
게이트볼
38 ㆍ 2,578 2 1 - 1 - 1 2,303 73 199
크로켓장
스쿼시ㆍ
39 92 1 - - 1 - 3 19 - 69
라켓볼장
40 요트장 97 2 - 1 1 - 4 59 - 32
스키ㆍ스
41 821 2 1 1 - - 4 380 - 435
토보드장
42 캠프장 2,197 4 - - 3 1 2 1,706 - 485
43 하이킹코스 608 - - - - - - 574 1 33
사이클링
44 173 - - - - - - 166 - 7
코스
오리엔티
45 137 - - - - - - 127 - 10
어링코스
런닝
46 654 251 90 80 81 - 10 377 2 14
코스
모험놀이
47 632 361 326 11 24 - 3 251 - 17
코스

243
해외 스포츠 정책 동향 분석 – 체육행정 거버넌스 및 주요 이슈 관련 정책 비교 -

학교체육・스포츠시설
대학
체육 専修 공공 직장 민간
고등
스포츠 총수 초등 고등학 ・ 스포츠 스포츠 스포츠
계 중학교 체육
시설 학교 교 등 각종 시설 시설 시설
시설
학교
해수욕장
48 404 1 - - 1 - 2 362 4 35
등의 시설
하천ㆍ호
49 수 등의 25 - - - - - 1 19 - 5
유영장
스카이
50 스포츠 83 0 - - - - 1 41 - 41
시설
51 기타 6,236 226 10 14 195 7 89 3,467 30 2,424

출처: 스포츠백서 2014

<표 Ⅲ-83> 도도부현·시구정촌 인구규모별 상황: 조사종별ㆍ시설종별(설치코드 수)


학교체육・스포츠시설 공공 민간
도도부현 대학,고,전
총수 전수, 스포츠 스포츠
시구정촌 합계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체육시설
각종학교 시설 시설
인구규모
개소수 면수 개소수 면수 개소수 면수 개소수 면수 개소수 면수 개소수 면수 개소수 면수 개소수 면수 개소수 면수
총수 1,405 2,746 1,312 2,531 42 53 848 1,482 413 983 9 13 74 166 16 44 3 5
북해도 10 20 10 20 - - 6 12 4 8 - - - - - - - -
아오모리 2 2 - - - - - - - - - - - - 2 2 - -
이와테 1 1 - - - - - - - - - - - - 1 1 - -
미야기 3 19 1 15 - - - - 1 15 - - 2 4 - - - -
아키타 - - - - - - - - - - - - - - - - - -
야마가타 4 11 3 9 1 2 1 6 1 1 - - - - 1 2 - -
후쿠시마 5 18 2 12 - - 2 11 - 1 - - 3 6 - - - -
이바라키 44 87 43 81 - - 34 45 9 36 - - - - 1 6 - -
토라기 48 98 46 92 - - 37 68 9 24 - - - - 2 6 - -
군마 19 39 18 36 1 1 16 32 1 3 - - 1 3 - - - -
사이타마 129 268 122 256 - - 113 232 9 24 - - 6 10 - - 1 2
치바 80 122 76 113 - - 68 97 7 15 1 1 4 9 - - - -
도쿄 22 48 11 18 - - 6 7 5 11 - - 11 30 - - - -
카나가와 171 331 170 329 4 5 100 185 66 139 - - 1 2 - - - -
니가타 9 25 7 18 - - - - 7 18 - - 1 5 1 2 - -
토야마 - - - - - - - - - - - - - - - - - -
이시카와 - - - - - - - - - - - - - - - - - -
후쿠이 - - - - - - - - - - - - - - - - - -
야마나시 9 14 9 14 - - 9 14 - - - - - - - - - -
나가노 10 18 8 15 2 4 5 9 1 2 - - 1 2 1 1 - -
기후 46 125 45 121 - - 31 74 14 47 - - 1 4 - - - -

244
Ⅲ. 국가별 스포츠 정책 거버넌스

학교체육・스포츠시설 공공 민간
도도부현 대학,고,전
총수 전수, 스포츠 스포츠
시구정촌 합계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체육시설
각종학교 시설 시설
인구규모
개소수 면수 개소수 면수 개소수 면수 개소수 면수 개소수 면수 개소수 면수 개소수 면수 개소수 면수 개소수 면수
시즈오카 48 84 46 80 - - 40 63 6 17 - - 2 4 - - - -
아이치 198 369 191 354 2 2 111 176 75 173 3 3 7 15 - - - -
미에 13 20 13 20 1 1 11 15 1 4 - - - - - - - -
시가 1 2 - - - - - - - - - - - - - - 1 2
교토 43 104 34 87 - - 11 27 23 60 - - 8 15 1 2 - -
오사카 106 180 97 163 1 1 35 42 59 117 2 3 8 15 1 2 - -
효고 118 227 114 219 - - 90 164 24 55 - - 3 6 1 2 - -
나라 9 18 9 18 - - 3 6 5 11 1 1 - - - - - -
와카야마 4 4 4 4 1 1 2 2 1 1 - - - - - - - -
돗토리 - - - - - - - - - - - - - - - - - -
시마네 1 2 1 2 - - - - 1 2 - - - - - - - -
오카야마 12 25 10 22 - - 4 5 5 13 1 4 1 2 1 1 - -
히로시마 65 150 57 122 4 7 24 38 29 77 - - 5 15 3 13 - -
야마구치 57 94 56 92 15 17 30 48 11 27 - - 1 2 - - - -
도쿠시마 1 1 1 1 - - - - 1 1 - - - - - - - -
가가와 8 17 4 9 - - 1 2 3 7 - - 4 8 - - - -
에히메 4 9 4 9 1 2 1 2 2 5 - - - - - - - -
고치 4 7 3 4 1 1 2 3 - - - - 1 3 - - - -
후쿠오카 30 57 28 54 5 6 15 29 8 19 - - 1 2 - - 1 1
시가 3 9 3 9 - - - - 3 9 - - - - - - - -
나가사키 9 16 8 14 - - 4 6 4 8 - - 1 2 - - - -
구마모토 16 30 16 30 - - 8 14 7 15 1 1 - - - - - -
오이타 2 4 1 2 - - 1 2 - - - - 1 2 - - - -
미야자키 7 12 7 12 1 1 5 9 1 2 - - - - - - - -
가고시마 32 57 32 53 2 2 22 37 8 14 - - - - - 4 - -
오키나와 2 2 2 2 - - - - 2 2 - - - - - - - -
1만 명 11 28 8 18 1 1 5 13 2 4 - - - - 3 10 - -
미만
1~2만 명 24 50 21 45 - - 13 22 8 23 - - 1 2 2 3 - -
미만
2~3만 명 23 52 23 52 - - 9 17 14 35 - - - - - - - -
미만
3~5만 명 76 184 73 175 2 2 42 101 27 67 2 5 1 2 2 7 - -
미만
5~10만 157 365 151 355 1 1 87 191 63 163 - - 3 4 2 4 1 2
명 미만
10~20만 339 623 322 585 8 12 242 406 71 166 1 1 15 34 2 4 - -
명 미만
20~30만 108 215 99 196 1 2 68 132 29 60 1 2 6 14 2 3 1 2
명 미만
30~50만 286 496 269 456 21 25 178 269 69 161 1 1 17 40 - - - -
명 미만
50만 명 381 733 346 649 8 10 204 331 130 304 4 4 31 70 3 13 1 1
이상

출처: 스포츠백서 2014

245
해외 스포츠 정책 동향 분석 – 체육행정 거버넌스 및 주요 이슈 관련 정책 비교 -

마. 일본 스포츠 정책 영역별 거버넌스

1) 엘리트 스포츠 거버넌스

가) 엘리트 스포츠 관련 행정조직

(1) 일본스포츠진흥센터(Japan Sport Council: JSC)

독립행정법인 일본체육진흥센터는 독립행정법인통칙법(평성11년 법률 제


103호)및 독립행정법인 일본체육진흥센터법(평성14년 법률 제162호)에 근거
하여 설립되었다. 그 목적은 "스포츠의 진흥과 학생 등의 건강유지 및 증진을
위해 설치하는 스포츠 시설의 적절하고 효율적인 운영과 스포츠의 진흥을
위해 필요한 원조, 학교의 관리 하에서 학생 등의 재해에 관한 필요한 급부,
기타 스포츠 및 학생 등의 건강 유지 증진에 관한 조사 연구, 자료 수집 및
제공 등을 실시하여 국민의 심신의 건전한 발달에 기여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현재는 2020년 도쿄올림픽·패럴림픽의 주경기장이 되는 신국립경기장
의 건설과 내셔널 트레이닝 센터를 운영하고 있다. 또한, 스포츠의 재원으로
큰 역할을 하는 토토(체육복권)도 일본스포츠진흥센터가 직접 운영을 하고
있다. 2015년 8월, 스포츠청 창설 후의 공적인 선수강화비를 배분하는 역할에
대하여 초당파 스포츠의원연맹과 일본올림픽위원회(JOC) 및 문부과학성이
일본스포츠진흥센터(JSC)를 개편하고 신설하여 독립행정법인으로 일원화하
기로 합의하였다. 합의안에서는 스포츠청 내의 전문회의에 전문가 외에 일본올
림픽위원회, 각 경기단체(NF)의 담당자도 포함하는 선수강화방침을 정하였다.
강화비는 모두 새로운 법인을 경유하는 형식으로 하였으며, 그 중에서 메달
유망종목을 대상으로 하는 "전략적 강화비"는 새로운 법인이 경기단체에 직접
배분한다.

246
Ⅲ. 국가별 스포츠 정책 거버넌스

<그림 Ⅲ-41> 일본스포츠진흥센터 조직구성


출처: 일본스포츠진흥센터(JSC) 홈페이지

247
해외 스포츠 정책 동향 분석 – 체육행정 거버넌스 및 주요 이슈 관련 정책 비교 -

일본올림픽위원회가 배분하던 강화합숙이나 해외원정 비용 등은 권한을


남기고 "기반적 강화비"로 새로운 법인에서 일본올림픽위원회를 통해 각 NF로
분배된다. 또한, 장애인스포츠에 대하여도 새로운 법인으로부터 일본올림픽위
원회를 통해서 분배된다. 이에 대해서 스포츠청은 임시 국회에 관련 법안을
제출하고 내년 4월 새로운 법인의 창설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일본스포츠진흥센
터의 조직구성은 그림 Ⅲ-41과 같다.

(2) 일본올림픽위원회(Japan Olympic Council: JOC)

제2차 대전 후에 정부의 외부단체로 설치된 대일본체육협회는 1947년에


일본올림픽위원회를 설립하였다. 대일본체육협회는 재단법인 일본체육협회로
명칭을 변경하였으며, 그 당시 일본체육협회가 NOC로서의 성격을 가져야
하는지 또는 별도로 NOC를 설치할 것인지에 대해서 논란이 있었다. 이에
NOC로서 성격을 명확하게 하기 위하여 일본올림픽위원회를 설립하였다. 그
후 일본올림픽위원회는 국제스포츠위원회와 국내스포츠위원회로 분리되었으
며, 1952년 12월에 국제스포츠위원회를 일본올림픽위원회(JOC)로 명칭을
바꾸어 현재에 이르고 있다. 1989년에 일본올림픽위원회는 재단법인으로 인가
되어 일본체육협회로부터 완전히 분리·독립하게 되었으며, 이는 경기력 향상
과 자주 재원의 확보를 위한 것이었다. 이에 의하여 당시 국민 스포츠의 진흥(평
생스포츠의 추진)과 국제 경기력 향상이라는 두 가지의 목적을 추구하던 일본체
육협회는 이후 생애스포츠의 추진만을 목적으로 하게 되었고, 일본올림픽위원
회는 국제경기력향상을 목적으로 하게 되었다.

248
Ⅲ. 국가별 스포츠 정책 거버넌스

<그림 Ⅲ-42> 일본올림픽위원회 조직도


출처: 일본올림픽위원회(JOC) 홈페이지

249
해외 스포츠 정책 동향 분석 – 체육행정 거버넌스 및 주요 이슈 관련 정책 비교 -

나) 중앙경기단체의 재정현황

(1) 수입 및 지출의 구조

<그림 Ⅲ-43> 중앙경기단체의 수입과 지출 구조


출처: 스포츠백서 2014

- 수입 구조

중앙경기단체의 수입은 ʻ경기자·단체로부터의 수입ʼ, ʻ사업수입ʼ, 보조금,


조성금ʻ, ʼ기부금ʻ, '자산운용수입ʼ으로 구분된다. 경기자·단체로부터의 수입ʼ
내역은 연회비, 등록료 등이며, 각각의 경기에서 선수, 팀 도는 지역조직으로
활동하는 주체가 분담하고 있는 것이다. 이에 대하여 ʻ사업수입ʼ은 경기 관람객
입장료, 협찬금, 방송권료 등이며, 해당 단체가 제공하는 서비스에 대한 대가의

250
Ⅲ. 국가별 스포츠 정책 거버넌스

성격을 띠고 있다.

- 지출 구조

지출은ʻ관리비ʼ와 ʻ사업비ʼ 및 ʻ자산취득지출ʼ로 구분된다. ʻ사업비ʼ의 세부항목


은 단체에 따라 각각 다르다. 주로 ʻ강화ʼ, ʻ육성ʼ, ʻ보급ʼ이라는 목적 하에 유형화되
고 있는데, 예를 들면 해외원정이 육성인지 강화인지는 각 단체의 판단에
의한다. 예산서 상의 과목으로서 ʻ합숙·원정ʼ, ʻ경기회개최ʼ 등과 같이 외형에
의한 구분을 하고 있는 단체도 많다.

(2) 수입

- 수입 규모

66개 중앙경기단체의 총수입 합계는 498억3,100만엔, 각 단체 평균7억


5,500만 엔이다. 단, 총수입의 최대치는 약183억 엔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이는 평균을 높이고 있다. 최고액를 제외한 경우 평균은 4억8,300만 엔이다.
총수입의 최소치는 약200만 엔이다.

<표 Ⅲ-84> 중앙경기단체의 수입에 관한 기본 통계


총수입 합계 498억3,100만엔
평균 7억5,500만엔
최고액 단체의 총수입을 제외한 평균 4억8,300만엔
최고액 183억7,200만엔
최저액 200만엔
단체 수 66

출처: 스포츠백서 2014

표 Ⅲ-85에서는 66개의 중앙경기단체를 6가지 유형의 법인격으로 분류하여


단체 수, 총수입, 총수입의 합계, 총수입의 평균액을 나타내고 있다. 단체

251
해외 스포츠 정책 동향 분석 – 체육행정 거버넌스 및 주요 이슈 관련 정책 비교 -

수를 보면 공익재단법인은 28개 단체로 가장 많다. 공익사단법인이 24개


단체, 일반사단법인이 6개 단체, 특정비영리활동법인이 4개 단체, 일반재단법
인이 3개 단체, 임의단체가 1개 단체이다. 전체의 78.8%가 공익법인이다.
총수입의 합계를 보면 공익재단법인은 436억2,900억 엔으로 전체의 약87%를
차지하고 있다. 총수입이 최대인 공익재단법인은 모든 단체의 총수입 합계의
약37%를 차지하고 있다. 최고액 단체를 제외한 경우에도 총수입 총 평균은
공익재단법인이 전 법인격의 가운데 가장 높다.

<표 Ⅲ-85> 중앙경기단체 법인격 유형별 수입


단체 수 비율(%) 총수입합계 비율(%) 평균
공익재단법인 28 42.4 436억2,000만엔 87.554 15억5,800만엔
공익재단법인
27 252억5,700만엔 9억3,500만엔
(최고액 단체를 제외)
일반재단법인 3 4.5 6억9,400만엔 1.394 2억3,100만엔
공익사단법인 24 36.4 45억6,800만엔 9.168 1억9,000만엔
일반사단법인 6 9.1 5억1,100만엔 1.027 8,500만엔
특정비영리
4 6.1 4억2,400만엔 0.852 1억600만엔
활동법인
임의법인 1 1.5 200만엔 0.005 200만엔
전체 단체 66 100.0 498억3,100만엔 100.0 7억5,500만엔

출처: 스포츠백서 2014

- 수입 구성

각 단체의 예산서에는 경기단체의 다양한 사업내용을 반영하여 세부 수입과목


이 구성되어 있다. 또한 이들 과목은 단체별로 반드시 공통적이지는 않다.
이를 반영하여 전체 단체들의 수입 과목을 경기자·단체로부터의 수입, 사업
수입, 보조금, 조성금, 기부금, 자산 운영 수입으로 분류하고, 이 중 어디에도
해당되지 않는 수입 과목을 기타로 분류한다. 전체 경기단체의 수입 구성(비율)

252
Ⅲ. 국가별 스포츠 정책 거버넌스

을 보면 ʻ기타ʼ의 비율이 38.6%로 가장 높다. 이는 각 단체의 수입 과목 분류가


상기 분류에 해당하지 않을 경우"기타"에 포함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어 비율이
높은 과목은 ʻ사업수입ʼ의 25.7%, ʻ경기자·단체로부터의 수입ʼ의 21.6%이다.
외부자금인 ʻ보조금, 조성금ʼ은 13.1%, ʻ기부금ʼ은 더 낮은 0.8%이다. ʻ자산운영
수입ʼ은 수입비율이 가장 낮은 0.2%이다. 또한, 2010년도, 2012년도의 본
조사의 수입 구성 비율은 다음과 같다."경기자·단체로부터의 수입"는
22.2%(2010년도), 22.8%(2012년),"사업 수입"는 26.0%(2010년도),
24.0%(2012년),"보조금, 조성금"는 11.6%(2010년도), 11.1%(2012년),"기
부금"는 2.3%(2010년도), 2.3%(2012년),"자산 운영 수입"는 0.3%(2010년
도), 0.2%(2012년),"기타"는 37.7%(2010년도), 39.6%(2012년도)였다. 3회
조사에서는 조사 대상 단체가 완전히 일치하는 것은 아니지만 수입 구성 비율에
현저한 변동이 없음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림 Ⅱ-44에서는 총수입이 최대치인
1단체와 6가지로 분류한 수입 과목 중 2개 이상의 과목을 특정할 수 없는
1단체를 제외한 64단체를 대상으로 수입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64개 단체의
총수입 총 310억 2900만 엔의 구성 비율은 "사업 수입"(40.6%),"경기자·단체
로부터의 수입"(27.8%),"보조금, 조성금"(19.1%), "기타"(10.9%), "기부금
"(1.3%), "자산 운영 수입"(0.3%)순으로 크다. "경기자·단체로부터의 수입","
사업 수입","보조금, 조성금"의 3과목에서 9할 가까이를 차지하고 있다. "기타"
의 비율이 약 28% 낮으며"사업비 수입"는 또 약 15% 높다. 제외된 2개 단체의
수지 구성이 전체의 경향에 강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253
해외 스포츠 정책 동향 분석 – 체육행정 거버넌스 및 주요 이슈 관련 정책 비교 -

<그림 Ⅲ-44> 중앙경기단체 수입 구성


출처: 스포츠백서 2014

3) 생활 스포츠 거버넌스

가) 일본체육협회(Japan Sports Association: JASA)

일본체육협회는 올림픽대회 참가를 계기로 1911년에 창립되었다. 설립 당시


부터 올림픽 대회 참가에 그치지 않고 ʻʻ국민스포츠의 진흥ʼʼ과 ʻʻ국제 경기력의
향상ʼʼ을 큰 역할로써 사업을 실시하고, 1960년대부터 매년 각 도도부현에서
국민체육대회를 실시한다. 1962년에는 ʻʻ한 사람이라도 많은 청소년에게 스포
츠의 기쁨을ʼʼ이라는 이념 하에 일본스포츠소년단을 창설하고, 1964년에는
도쿄올림픽대회를 개최하였다. 이를 계기로 높아진 국민의 스포츠에 대한
관심에 부응하여, 스포츠 지도자의 육성, 국제 스포츠 교류, 스포츠 의·과학
연구 등 국민스포츠진흥사업을 적극적으로 전개하였다. 1989년 일본올림픽위

254
Ⅲ. 국가별 스포츠 정책 거버넌스

원회가 일본체육협회에서 분리·독립하여, 올림픽 등에 선수단의 편성·파견


과 올림픽 무브먼트의 추진을 담당하는 것으로 되었다. 일본체육협회는 국민
스포츠의 보급·진흥, 특히 생애스포츠의 추진을 담당하고 있다. 일본체육협회
의 조직구성은 그림 Ⅲ-45와 같다.

<그림 Ⅲ-45> 일본체육협회 조직도


출처: 일본체육협회(JASA) 홈페이지

나) 스포츠클럽

스포츠클럽은 학교, 지역, 기업을 모체로 활동·전개되어 왔다. 소수, 단일종


목, 동세대를 중심으로 한 팀의 규모로 발전해 왔다. 그러나, 출산율 감소에
따라 학교단위의 클럽 구성원 인원이 감소하고, 청소년 스포츠의 지도가 학교와
지역에서 어렵게 진행되었던 배경으로 인해 청소년기의 일관적인 스포츠 지도나
거점정비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더불어 고령자의 스포츠활동의 필요성과

255
해외 스포츠 정책 동향 분석 – 체육행정 거버넌스 및 주요 이슈 관련 정책 비교 -

다양한 시설을 갖춘 민간스포츠클럽의 증가 등, 지역스포츠클럽의 활동기반이


크게 변해왔다. 1995년부터 문부과학성은 지역의 학교를 포함한 구성기반으로
다 종목, 다 세대(世代), 자율운영을 전제로 한 유럽형 클럽인 종합형 지역스포츠
클럽을 일본의 생애스포츠정책의 중심으로 육성하였다. 종합형 지역스포츠클
럽에는 집단의 성숙과 함께 소수의 규모도 팀의 규모도 아닌 인적 교류 범위에
의해 넓은 활동이 요구된다. 동시에 근본적으로 같은 운영요건을 가진 민간스포
츠클럽이란 자발적·자치적인 운영 및 회원상호의 친목을 도모하여 사교성을
중시하는 점에서 크게 다르다. 어느 경우에도 지역스포츠클럽이란 지역기반
및 공공성·공익성을 전제로 하여 비영리로 주민의 운동 및 스포츠활동의
기회를 제공하고, 회원제도에 의한 자율운영과 회원의 세대간, 종목간 교류가
가능한 운영을 목표로 한 스포츠 집단으로 보는 것이 가능하고 이에는 비영리단
체로 법인격을 가진 스포츠클럽도 포함된다.

<그림 Ⅲ-46> 스포츠 클럽의 개념과 요건


출처: 스포츠백서 2014

다) 성인 스포츠클럽의 현황

(1) 클럽가입현황·형태·실시종목

스포츠라이프·데이터(2012)의 조사에 의하면 일본에서의 성인 스포츠클

256
Ⅲ. 국가별 스포츠 정책 거버넌스

럽·동호회·팀(이하, 스포츠클럽)에 가입하고 있는 자는 19.7%로 일본 성인


인구의 20%를 점하고 있다. 문부과학성 ʻ체력·스포츠에 관한 여론조사(2013)'
에 의하면 클럽·동호회 가입자는 남성이 22.3%로 여성 17.1%를 5.2포인트
상회한다. 한편 미가입자에서는 여성이 58.8%로 남성의 50.3%를 8.6포인트
상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스포츠라이프·데이터(2012)에 의하면 일본 성인
의 스포츠클럽 가입자 비율은 2002~2012년 까지 거의 20% 전후의 비율을
차지한다.

<그림 Ⅲ-47> 스포츠클럽·동호회 가입현황


출처: 스포츠백서 2014

(2) 형태별 스포츠클럽 가입현황

스포츠클럽의 가입상황을 형태별로 보면, ʻ지역주민 중심의 클럽·동호회·


팀(지역주민 중심 클럽)ʼ이 49.5%로 가장 많았고, ʻ민간 회원제 스포츠클럽
및 피트니스클럽(민간회원제클럽)ʼ, ʻ학교의 졸업생 등이 중심이 된 클럽·동호
회·팀(학교 졸업생 등 중심 클럽)ʼ으로 구분된다. 성별로 보면 지역중심클럽에
서는 여성이(56.1%)이 남성(44.3%)을 11.8포인트 상회하며, 민간회원제 클럽
도 남성(15.4%)에 대하여 여성(32.4%)로 여성이 남성을 17.0포인트 상회한다.

257
해외 스포츠 정책 동향 분석 – 체육행정 거버넌스 및 주요 이슈 관련 정책 비교 -

<그림 Ⅲ-48> 가입 스포츠 클럽·동호회 형태


출처: 스포츠백서 2014

다) 스포츠클럽 운동·스포츠 종목

문부과학성 ʻ체력·스포츠에 관한 여론조사(2013)ʼ에서 나타난 스포츠클럽


및 동호회에서 실시되고 있는 운동·스포츠 종목을 보면 ʻ체조(라디오체조,
직장체조, 미용체조, 에어로빅스 포함)ʼ를 하는 사람들의 비율이 20.3%로
가장 많다. 다음으로 ʻ테니스, 소프트볼, 배드민턴, 탁구ʼ는 18.6%, ʻ워킹(산책을
포함)ʼ은 12.7%, ʻ야구, 소프트볼ʼ은 11.1%, ʻ골프ʼ는 10.7%로 나타났다. 성별로
보면 남성이 실시하는 운동·스포츠 중에서 1위는 ʻ야구, 소프트볼(18.2%)ʼ이
었으며, ʻ골프(17.6%)ʼ, ʻ테니스·소프트테니스, 배드민턴, 탁구(17.1%)ʼ, ʻ워
킹(산책 포함)(12.9%)ʼ, ʻ축구, 풋살(블라인드 축구 포함) (11.8%)ʼ로 나타났다.
여성은 체조(라디오체조, 직장체조, 미용체조, 에어로빅스 포함)ʼ가 36.5%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ʻ테니스, 소프트볼, 배드민턴, 탁구ʼ가 20.4%, ʻ댄스(포
크댄스, 재즈댄스, 사교댄스, 전통댄스 포함)ʼ가 16.1%, ʻ워킹(산책 포함)ʼ이
12.4%로 나타나 각 종목에 있어 남녀 차를 보이고 있다.

258
Ⅲ. 국가별 스포츠 정책 거버넌스

<그림 Ⅲ-49> 스포츠클럽·동호회에서 실시하는 운동·스포츠 종목(상위 12종목)


출처: 스포츠백서 2014

라) 민간 스포츠클럽

(1) 민간 스포츠클럽 현황

2012년 12월말에 조사된 민간피트니스클럽의 시장규모는 4,124억엔(전년


대비 0.7%증가)으로 나타났다. 2009년까지는 경제성장의 정체와 더불어 저조
한 시장규모를 보였으나 2010년부터는 증가하였음을 알 수 있다. 2011년의
대지진의 영향으로 시장규모의 성장이 주춤하였으나, 2011년 7월경부터는
회복세를 보였고 2012년 이후에는 성장세로 돌아섰다. 특히, 지진피해를 입은
동북지역에 있는 클럽의 성장세가 두드러지는데 이는 지진으로 인해 주민들이
건강 및 체력에 더욱 관심을 갖게 된 결과로 보고 있다.

<표 Ⅲ-86> 민간 피트니스 클럽의 시장규모 추이


2008년 2009년 2010년 2011년 2012년
매상고(억엔) 4,157 4,087 4,142 4,095 4,124
증가율※(%) ▲1.5 ▲1.7 1.3 ▲1.1 0.7

※ 매상고의 증감에서 산출한 전년비


출처: 스포츠백서 2014

259
해외 스포츠 정책 동향 분석 – 체육행정 거버넌스 및 주요 이슈 관련 정책 비교 -

(2) 민간 스포츠클럽의 시설

민간피트니스클럽의 신규개점 수는 2010년 이후 매년 약200개소로 나타났


다. 그러나, 그 내용을 보면 2010년에는 소규모 서킷짐 155개소, 짐ㆍ스튜디오
/단일 아이템 시설 221개소, 일반 피트니스클럽 12개소, 2012년에는 소규모
서킷짐 156개소, 짐ㆍ스튜디오/단일 아이템 시설 36개소, 일반 피트니스클럽
20개소로 소규모 서킷짐의 개점 수가 현저히 많았다. 폐점한 시설의 수는
2012년 12월 말 일본 전국의 총 폐점시설 수는 3,945(전년대비 5.3% 증가)개소
로 나타났다. 개점지역으로는 도쿄, 카나가와, 오사카의 순으로 많았으며,
이는 소득수준이 높고 인구 밀집도가 높은 수도권과 킨키지역에서 개점 수도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표 Ⅲ-87> 민간 피트니스 클럽의 신규개업 시설 수


2008년 2009년 2010년 2011년 2012년
신규개업시설수 245 152 200 192 212
소규모서킷짐 156 98 155 159 156
짐ㆍ스튜디오/단일
35 22 23 21 36
아이템 시설

일반 피트니스클럽 54 32 22 12 20

※ ʻ피트니스비지니스ʼ조사(2013)
출처: 스포츠백서 2014

<표 Ⅲ-88> 민간 피트니스 클럽 시설 수


2008년 2009년 2010년 2011년 2012년
시설 수 3,269 3,388 3,574 3,745 3,945
증가율※(%) 7.5 3.6 5.4 4.8 5.3

※ 매상고의 증감에서 산출한 전년비


출처: 스포츠백서 2014

260
Ⅲ. 국가별 스포츠 정책 거버넌스

(3) 민간 스포츠클럽의 회원 수 및 이용자 수

재적회원수는 2011년부터 2012년까지 증가하였고, 2008년 이후 4년만에


400만명규모로 회복되었다. 2012년 12월말 시점의 총회원 수는 약 403만명이
며, 이는 일본 총인구 중 3.16%를 점하는 것이다. 회원비의 가격은 저가의
회원권 및 할인 캠페인 실시, 저가의 소규모클럽의 개점으로 인해 감소 경향을
나타내고 있으며, 이용자 수는 증가 추세에 있다. 2011년까지는 년 간 이용횟수
가 70회 전후로 떨어졌으나, 2012년에는 76회 전후로 상승하였다.

<표 Ⅲ-89> 민간 피트니스 클럽의 신규 회원 수·이용자 수 등의 추이


2008년 2009년 2010년 2011년 2012년
회원수(명) 4009082 3952970 3988164 3927229 4025410
참가율(%) 3.14 3.10 3.17 3.07 3.16
이용자 수(만명) 28665 27631 28236 27726 30633
1시설당 이용자 수(명) 87687 81556 79004 74035 77434
연간평균이용회수(회) 71.5 69.9 70.8 70.6 76.1

※ʻ특정서비스산업동태통계월보(경제산업성)ʼ를 근거로 추정
출처: 스포츠백서 2014

마) 종합형 지역스포츠클럽 설립·육성

종합형 지역스포츠클럽(이하, 종합형 클럽)은 ①다 종목(복수의 종목이 준비


되어 자신이 하고싶은 종목에 참여할 수 있음), ②다 세대(유아부터 고령자까지
참여할 수 있음), ③다 지향(多志向)(자신의 수준 및 목적에 맞게 참여할 수
있음)이라는 특징을 정하여 공공스포츠 시설 및 학교개방시설 등을 거점으로
지역주민이 자율적으로 운영하는 스포츠클럽이며, 문부과학성이 1995부터
육성하기 시작하였다. 문부과학성의 ʻ종합형 지역스포츠클럽 육성상황 조사
(2013)ʼ에 의하면 종합형 클럽 육성의 수는 조사를 시작한 2002년도부터 10년

261
해외 스포츠 정책 동향 분석 – 체육행정 거버넌스 및 주요 이슈 관련 정책 비교 -

간 6배 증가되었다. 특히, 2005년부터 2,115개의 클럽으로 급증하였다. 문부과


학성은 ʻ스포츠기본계획(2012)ʼ에서도 종합형 클럽을 중심으로 하는 지역스포
츠클럽이 스포츠를 통해 ʻ새로운 공공ʼ을 담당하고, 커뮤니티의 중심이 되도록
하는 인구규모 및 고령화, 과잉화 등에 유의하면서 지속적인 각 시구정촌에
적어도 하나의 종합형 클럽이 육성되도록 하는 것을 목표로 정하였다. 또한,
종합형 클럽이 보다 자립적으로 운영되도록 하기 위해 운영과 지도에서 주변
지역스포츠클럽을 지원할 수 있는 종합형 클럽(거점클럽)을 광역시정촌권(전국
300개소 정도)를 육성하고 있다. 지방자치단체가 종합형 클럽을 지원하는
이유는 종합형 클럽의 활동이 자치단체가 지역사회를 대상으로 하는 사업의
보완적 성격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지방자치단체는 종합형 클럽에게 청소년
의 건전한 육성 및 고령자 복지, 세대간의 교류 및 지역에서의 연대감의 함양
등, 지역사회의 과제해결에 적극적 역할을 기대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종합형
클럽이 존재함으로써 행정기관이 별도로 해야만 하는 역할을 종합형 클럽이
대행하는 보완적 역할을 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3) 학교 스포츠 거버넌스

가) 학교 스포츠 관련 행정조직

문부과학성은 스포츠기본법 등 스포츠진흥에 관한 기본적인 정책 외에 어린이


체력향상 등에 대한 정책을 실시하고 있다. 어린이 체력향상의 정책하에 ʻʻ체력테
스트의 실시, 전국체력·운동능력, 운동습관 등에 대한 조사, 학교체육의 충실,
어린이의 체력향상, 어린이 발달단계에 따른 체력향상 프로그램, 유아기의
운동에 대하여 각종 정책을 구현하고 있다. 이중에서 ʻ학교체육의 충실ʼ에
대한 세부 정책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262
Ⅲ. 국가별 스포츠 정책 거버넌스

(1) 운동부활동 지도가이드라인

먼저, 운동부활동 지도 가이드라인을 정하고 있다. 이 가이드라인은 오사카시


립고등학교에서의 체벌사건을 계기로 운동부 활동에서의 체벌이 사회문제가
되어, 교육재생실행회의 제1차 제언에서 운동부활동 지도 가이드라인을 작성하
는 것이 제언되면서 ʻ운동부 활동의 기본방향에 관한 조사·연구 협력자 회의ʼ를
설치하여 2013년 5월 27일 ʻ운동부활동 지도 가이드라인ʼ을 포함한 조사·연구
보고서가 정리되었다. 가이드라인에서는 각 학교 운동부 활동에서 적절하고
효과적인 지도가 전개되어 운동부활동이 보다 충실하게 되도록 지도의 기본적인
사고, 유의사항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특히, 학교교육에서 운동부활동의 위치,
의의, 역할 등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명시하고 있다.

a. 운동부활동은 학교교육의 일환으로서 행해질 것

b. 운동부활동은 스포츠의 기능 등의 향상만이 아닌 학생의 살아가는 힘,


즉 생존력의 육성, 풍부한 학교생활의 실현에 의의를 가질 것.

c. 학생의 자주적·자발적 활동의 장으로서의 충실을 위해 운동부 활동과


종합형 지역스포츠클럽 등이 지역의 특색을 담아 조직되어야 하며, 필요에
따라서는 연대할 것

또한, 운동부활동 지도에 관하여 필요한 7가지 사항으로 다음을 명시하고


있다.

a. 교원만이 운영 및 지원을 하는 것이 아닌 학교조직전체에서 운동부활동의


목 표와 지도의 방향을 고민할 것

b. 각 학교, 운동부활동에 적절한 지도체제를 정비할 것(외부지도자 등의


협력 확보, 연대)

c. 활동에 있어서 지도의 목표 및 내용을 명확하게 한 계획을 수립할 것,

263
해외 스포츠 정책 동향 분석 – 체육행정 거버넌스 및 주요 이슈 관련 정책 비교 -

d. 적절한 지도방법, 커뮤니케이션의 충실에 의해 학생의 의욕고취 및 자주적


자발적인 활동을 보장할 것,

e. 육체적, 정신적인 부담 및 엄격한 지도와 체벌이 허락되지 않는 지도를


명확히 구별할 것,

f. 최신 연구 성과 등을 포함한 과학적인 지도내용, 방법을 적극적으로


활용할 것,

g. 모든 면에서 지도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계속적으로 자질능력의 향상을


도모할 것

(2) 학교체육진흥사업

스포츠기본법에서는 학교체육이 청소년의 심신의 건전한 발달에 이바지하는


것이며 또한 스포츠에 관한 기능 및 평생 스포츠의 사랑을 태도를 키우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므로 학교 체육에 관한 지도의 충실이나 스포츠
시설 정비 등을 비롯한 지역에서의 스포츠 지도자 등의 활용과 기타 필요한
시책을 강구하도록 노력해야 한다고 규정되어 있다. 문부과학성은 학교체육진
흥사업으로 체육수업이나 운동 동아리 활동 등의 활성화를 통해서 아동학생이
운동의 즐거움, 상쾌함, 성취감 등을 체험하는 기회를 풍부함으로써 생애에
걸친 스포츠의 사랑을 기초를 쌓고, 나아가서 체력 향상에 이바지하기 위하여
2011년도부터 ʻʻ중학교 무도 필수화를 위한 지역 제휴 지도 실천 학교ʼʼ를 실시하
는 동시에, 2012년도부터는 ʻʻ지역 스포츠 인재를 활용한 운동 동아리 활동
등 추진 사업ʼʼ을 실시하고 있다. 또한 ʻʻ중학교 무도 필수화를 위한 지역 제휴
지도 실천 학교ʼʼ는 2012년도부터 필수로 된 무도·댄스를 원활히 실시할
수 있도록 지역 지도자나 단체·무도장 등을 활용함으로써 중학교에서의 무
도·댄스의 지도의 충실을 도모하기 위한 실천적 연구이며, 또 ʻʻ지역 스포츠
인재를 활용한 운동 동아리 활동 등 추진 사업ʼʼ는 학생 등이 다양한 스포츠에

264
Ⅲ. 국가별 스포츠 정책 거버넌스

가까이할 기회를 확보하기 위한 지역의 스포츠 지도자의 활용과 소규모 학교에


서의 복수 교합부 활동 등에 대한 연구이다.

(3) 무도ㆍ댄스 필수화

문부과학성에서는 2008년 3월 28일 중학교 학습지도요강의 개정을 고시하


고 중학교 보건체육에서 무도·댄스를 포함한 모든 영역을 필수로 하도록
하였다. 또한 2012년도부터 중학교학습지도요강의 완전실시를 위해 각 학교에
서 무도·댄스를 안전하고 원활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지도자·시설·용구에
대해 각 교육위원회의 조직을 지워하고 있다. 지도자 양성·확보를 위해 중학교
무도 필수화를 위한 지역연대지도학교에 대한 조사를 실시하며, 지역 스포츠
인재를 활용한 운동부활동 등 추진사업을 통해 아동·학생이 다양한 스포츠에
친근하게 접근하도록 하며 이는 나아가 교원의 부담을 경감하는 효과도 있다.
도도부현 교육위원회 등이 실시하는 무도강습회를 지방교부세로 지원하도록
조치하여 강습회의 개최경비를 지원한다. 무도장의 정비에 대하여는 ʻ안전·안
심 학교만들기 교부금(공립중학교무도장 정비)ʼ과 ʻ사립학교체육 등 제시설정비
경비보조ʼ를 하고 있다. 무도용구 등의 정비에 대하여는 학습지도요강의 원활한
실시를 위한 교재정비 긴급3개년 계획을 수립하여 유도복, 검도 도구, 죽도
등의 구입에 필요한 경비를 지방교부세에서 지원되도록 하고 있다.

(4) 학교에서의 체육활동 중의 사고 방지

스포츠기본법에서는 ʻʻ안전하고 공정한 환경 하에서 일상적으로 스포츠에


친근감, 스포츠를 즐기거나 스포츠를 지지하는 활동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확보되어야 한다ʼʼ고 규정하여 안전한 환경 하에서 스포츠를 할 필요가 있다고
규정하고 있다. 조사연구협력자회의에서는 체육 활동 중의 사고의 상황으로서
스포츠진흥센터가 실시하고 있는 재난공제급부의 실적으로 그 경향을 파악하고
그 중에서도 주로 사망 사고와 중증의 사고(장애 1급~3급 정도)의 사례 등을

265
해외 스포츠 정책 동향 분석 – 체육행정 거버넌스 및 주요 이슈 관련 정책 비교 -

주로 분석하고 체육 수업 및 운동부 활동을 중심으로 학교에서의 기본적인


안전 대책을 검토한 보고서를 발표하였다.

나) 지방정부 수준

ʻʻ스포츠 입국 전략ʼʼ에서는 2012년도부터 중학교에서 필수로 된 무도·댄스


의 지도의 충실을 도모하는 동시에 저출산에 따른 교원 수의 감소와 전문적인
지도를 할 수 있는 운동부활동 등의 지도자의 부족을 보완하고 체육 수업이나
체육부 활동의 충실을 도모하기 위해 스포츠클럽 및 관계 단체 등과 연계하여
아동·학생의 실태에 대응하고 지역의 스포츠 지도자를 외부 지도자로서 학교
등에 수용을 촉진하도록 하고 있다. 이를 위해서는 운동부 활동의 개선·충실의
구체적인 시책으로서 지역 지도자의 협력 확대가 거론되고 있으며 지역 지도자
의 운동부 활동에의 도입이 촉진되는 시스템의 구축과 동시에 운동부의 고문과
지역 지도자에 대한 연수를 충실히 할 것이 요구되고 있다. 또한 사고 발생
시의 보상의 충실에 대해서 지방 공공 단체의 활동을 촉구하는 등 지역의
지도자가 안심하고 협력할 수 있는 환경정비에 노력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와
더불어, 지역 지도자의 활용을 촉진하느라 지역 지도자의 학교 교육의 활용에
대해서 학교 관계자의 이해를 높임과 더불어 각 학교가 지역 지도자의 협력을
얻기 쉽게 하도록 지방 공공 단체가 설치하는 스포츠지도자은행을 활용을
권장하고 있다.

4) 장애인 스포츠 거버넌스

가) 장애인 스포츠 관련 행정조직

장애인 스포츠에 대한 스포츠 단체로는 공익재단법인 일본장애인스포츠협회


및 일본올림픽위원회가 존재한다. 공익재단법인 일본장애인스포츠협회는
1964년에 개최된 패럴림픽 도쿄 대회를 계기로 일본의 신체장애인 스포츠의

266
Ⅲ. 국가별 스포츠 정책 거버넌스

보급·진흥을 도모하는 총괄 조직으로서 ʻʻ재단법인 일본장애인스포츠협회ʼʼ의


명칭으로 1965년 후생성(현 후생노동성)인가를 받아 설립되었다. 1998년
나가노현에서 열린 패럴림픽을 계기로 장애 모든 스포츠 진흥을 총괄하는
조직으로서 국제 무대에서 활약할 수 있는 선수의 육성·강화를 담당하는
총괄 조직으로서의 위치 설정의 필요성이 전문가 회의에서 제언되었다 그곳에서
1999년 당 협회의 기부 행위를 개정하고 일본장애인스포츠협회로 조직 이름을
개칭하고 협회 내부에 일본올림픽위원회를 설치했다. 이후 2002년 각의결정된
장애인기본계획에서 장애인 스포츠의 진흥에 대해서는 일본장애인스포츠협회
를 중심으로 진행한다는 내용이 기술되었다. 2003년 8월에는 체육진흥법이
50년만에 전면개정되어 새로운 스포츠 기본법이 공포되었다. 이 스포츠기본법
에서 장애인 스포츠 진흥에 대해서 처음으로 언급되며 국가의 책무와 함께
일본장애인스포츠협회의 역할이 명확해졌다.

나) 장애인스포츠 실시 현황

2008년의 내각부 ʻ장애인시책종합조사ʼ에 의하면 40.5%의 장애인이 스포


츠·예술 활동에 참여하고 있다. 스포츠·예술 활동에 참여하고 있는 장애인의
참가의향을 보면, 41.3%가 ʻ참여하고 싶다ʼ고 답하고 있고 장애종류별로 보면
발달장애인이 70%, 시각장애인이 60%로 많다. 참여하고 싶은 스포츠 활동은
수영, 탁구, 육성의 순으로 나타났다. 스포츠·예술 활동에 참여하지 않거나,
참여할 수 없는 이유를 보면 ʻ지역에 희망하는 스포츠·예술 활동이 없다ʼ고
대답한 것이 28.3%로 가장 많았고, 그 외는 시간이 없다거나, 스포츠·예술
활동에 관한 정보가 없다는 답변도 많았다.

(1) 종합형 지역스포츠클럽의 장애인 참여 현황

문부과학성위탁조사인 ʻ비장애인과 장애인의 스포츠·레크레이션활동연대

267
해외 스포츠 정책 동향 분석 – 체육행정 거버넌스 및 주요 이슈 관련 정책 비교 -

추진사업(지역 장애인의 스포츠·레크레이션활동에 관한 조사연구)ʼ보고서


(2013)에 의하면 종합형 지역스포츠클럽에서 약 30%의 장애인이 스포츠ㆍ레
크레이션 활동에 참여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참여하고 있는 장애인의
장애종류를 보면 지체뷰자유가 48.0%로 가장 많았으며, 지적장애가 38.9%,
발달장애가 28.5%, 시각장애는 16.1%로 나타났다. 장애인이 참여하고 있는
종목을 보면 탁구가 15.1%로 가장 많았고, 그라운드골프는 13.1%, 건강체조·
운동은 11.4%, 워킹ㆍ하이킹은 10.4%, 주니어스포츠스쿨은 8.4%로 나타났다.

(2) 장애인스포츠의 경기

2013년 현재, (공재)일본장애인스포츠협회에 등록된 경기단체는 준등록단체


를 포함하여 59개 단체, 일본패럴림픽위원회(Japan Paralympic Committee
: JPC)에 등록되어 있는 단체는 63개 단체이다. 1990년데 초에는 지체뷰자유,
시각장애 등의 신체장애를 대상으로 한 경기단체가 중심이 되었으나, 90년대
후반부터는 지적장애 및 정신장애를 대상으로한 경기단체가 설립되었다. 또한,
전일본농아연맹스포츠위원회 및 일본지적장애인스포츠연맹에 모두 등록되어
있던 관련경기단체가 2009년 이후 개별적으로 등록되어 경기단체 수가 증가하
고 있다. 장애인스포츠 전국대회는 신체장애는 1965년부터, 지적장애는 1992
년부터 각각 실시되었으나, 2001년에 양대회가 통합되어 ʻ전국장애인스포츠대
회ʼ로서 매년 국민체육대회 직후에 같은 시설을 이용하여 실시되고 있다. 2008
년부터는 정신장애인이 참여하는 배구가 공식경기가 되어, ʻ전국장애인스포츠
대회ʼ는 신체·지적·정신의 3장애를 대상으로 한 대회가 되었다. 이 대회에는
매년 약3,200명의 선수와 약2,000명의 임원이 참여하고 있다.

일본패럴림픽은 (공재)일본장애인스포츠협회와 해당 경기단체가 공동주최


하는 대회이다. 전국장애인스포츠대회가 장애인의 사회참여의 추진 및 국민이
해의 촉진을 목적으로 하고 있는데 대하여, 일본패럴림픽은 경기력 향상을

268
Ⅲ. 국가별 스포츠 정책 거버넌스

주목적으로 하고 있다. 1991년부터는 국제패럴림픽위원회 공인대회로서 개최


되고 있다. 기타 종목으로 양궁은 1998년부터, 알펜스키 및 크로스컨트리
스키는 나가노패럴림픽에서의 선수강화를 목적으로 하여 1993년부터 개최되
고 있다. 아이스 슬레이지 하키는 스키와 같이 1993년부터 시작되었으나,
2011년 이후부터는 개최되지 않고 있다.

다) 장애인스포츠 시설

장애인스포츠센터는 장애인전용 또는 우선 스포츠 시설로, 체육관 및 수영장,


운동장, 트레이닝실 등이며, 장애인이 이용하기 쉽도록 다양한 고려를 하고
있다. 2013년 현재, 114개의 장애인스포츠 시설이 있다. 이 중 체육관을
설치한 시설은 96.5%, 트레이닝실 41.2%, 수영장 39.5%, 운동장 22.8%,
양궁장 17.5%, 탁구장 15.8%, 테니스코트 9.6%로 되어 있다. 시설 내부에는
바닥의 높이 차를 없애고 점자 블록을 설치하였으며, 장애인화장실의 설치
등 기본설비에 있어서 고려하고 있으며, 지적 장애가 있는 사람도 쉽게 알
수 있도록 그림이나 도면으로 관내를 표시하고, 청각장애인을 위해 전광판을
사용한 게시 등, 정보제공 면에서도 고려하였다. 또한, 장애인스포츠에 필요한
용구·기구가 비치되어 있고, 장애인스포츠 전문 지도자가 상주하고 있는
시설이 많아 장애인스포츠에 있어서 실질적으로 거점역할을 하고 있다.

바. 일본 스포츠 정책 주요 이슈 동향

1) 최신 스포츠 정책 동향 : 스포츠 기본 계획

가) 정책 목표

스포츠 기본 계획에는 "7개의 기둥"으로 불리는 스포츠 정책의 과제가 제시되


고 있다.

269
해외 스포츠 정책 동향 분석 – 체육행정 거버넌스 및 주요 이슈 관련 정책 비교 -

[1] 학교와 지역에서의 어린이 스포츠 기회의 확충

[2] 젊은층의 스포츠 참여 기회의 확충과 고령자의 체력 만들기 지원 등


라이프 스테이지에 따른 스포츠 활동의 추진

[3] 주민이 주체적으로 참여하는 지역의 스포츠 환경의 정비

[4] 국제경기력 향상을 위한 인재 양성과 스포츠 환경의 정비

[5] 올림픽 올림픽 등 국제 경기 대회 등 유치 및 개최 등을 통한 국제


교류 공헌의 추진

[6] 도핑 방지와 스포츠 중재 등의 추진에 의한 스포츠계의 투명성, 공평,


공정성의 향상

[7] 체육계의 선순환의 창출을 위한 최고 스포츠와 지역에서의 스포츠와의


제휴·협동의 추진

이 7개의 주제는 각각의 정책 목표를 표방하고 있다.

[1] 에서는 ʻ학교와 지역 등에서 모든 어린이가 스포츠를 즐길 수 있는 환경의


정비를 도모ʼ하며, ʻ향후 10년 이내에 아이의 체력이 1985년경 수준을
넘어설 수 있도록 향후 5년 동안 체력 향상이 유지되고 확고하게 되는
것을 목표로 한다.

[2] 에서는 ʻ라이프 스테이지에 따른 스포츠 활동을 추진하기 위하여 모든


국민이 안전하게 스포츠에 친숙할 수 생애 스포츠 사회의 실현을 향한
환경의 정비를 추진ʼ하며, ʻ가능한 한 조기에 성인 주 1회 스포츠 실시율을
65%정도, 주 3회 이상을 30%정도, 미실시자를 제로에 가깝게ʼ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3] 에서는 ʻ주민이 주체적으로 참여하는 지역의 스포츠 환경을 정비하기

270
Ⅲ. 국가별 스포츠 정책 거버넌스

위한 종합형 지역 스포츠 클럽의 육성, 스포츠 지도자 스포츠 시설의


충실ʼ을 목표로 한다.

[4] 에서는 ʻ경기성이 높은 장애인 스포츠를 포함한 톱 스포츠에서 주니어시기


부터 최고 수준의 체계적인 인재 양성 시스템 구축이나 스포츠 환경의
정비를 실시ʼ, ʻ하계ㆍ동계올림픽 에서의 과거 최다를 넘는 메달 수 획득
및 올림픽·세계 선수권에서의 과거 최다를 넘는 입상자 수의 실현을
도모ʼ, ʻ하계 올림픽에서는 5위 이내, 동계 올림픽에서는 10위 이내를
목표로 하며ʼ, ʻ올림픽 금메달 순위는 최근 대회 이상ʼ을 각각 목표로
하고 있다.

[5] 에서는 ʻ올림픽 등 국제 경기 대회 등의 적극적인 유치나 원활한 개최,


국제적인 정보의 수집·발신, 국제적인 인적 네트워크 구축 등을 실시ʼ를
목표로 하고 있다.

[6] 에서는 ʻ경기 단체·경기자 등에 대한 연수나 주니어층의 교육을 철저하는


등 도핑 방지 활동을 추진하기 위한 환경을 정비한다ʼ, ʻ스포츠 단체의
구조를 강화하는 조직 운영의 투명한ʼ, ʻ스포츠 분쟁의 중재를 위한 기초
여건 정비·정착을 도모ʼ를 목표로 하고 있다.

[7] 에서는 ʻ톱 정장의 신장과 스포츠 저변 확대를 촉구하는 스포츠계의


선순환의 창출을 목표로 최고 스포츠와 지역에서의 스포츠와의 제휴·협
동을 추진ʼ을 목표로 하고 있다.

나) 시책의 목표

정책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시책(시책 목표)을 다음과 같이 발표하고 있다.

[1] 에서는 ʻ유아기의 아이의 체력 향상 방안의 추진(ʻ전국 체력 운동 능력


조사ʼ등에 의한 검증을 실시하여 어린이가 적극적으로 운동놀이 등을

271
해외 스포츠 정책 동향 분석 – 체육행정 거버넌스 및 주요 이슈 관련 정책 비교 -

통해서 스포츠를 즐기는 습관 및 의욕을 기르고 체력의 향상을 도모)ʼ,


ʻ학교의 체육에 관한 활동의 충실(교원의 지도력 향상이나 스포츠 지도자
의 활용 등에 의한 체육 수업의 충실, 동아리 활동의 활성화 등에 의한
학교 교육 활동 전체를 통해서 아동 학생이 스포츠의 즐거움이나 기쁨을
맛 보도록 하고 체력의 향상을 도모)ʼ, ʻ어린이에 대한 사회 스포츠 환경의
충실(지역 사회 전체가 제휴·협력하여, 종합형 클럽을 비롯한 지역의
스포츠 환경의 내실화에 따른 자녀의 스포츠 기회를 향상시킴)ʼ의 시책을
추진하고 있다.

[2] 에서는 ʻ라이프 스테이지에 따른 스포츠 활동 등의 추진(연령, 성별을


불문하고 사람들이 스포츠를 하도록 하고 이미 가고 있는 사람에 대해선
빈도의 향상을 목표로 라이프 스테이지에 따른 스포츠 참여 등을 촉진하는
환경을 정비)ʼ , ʻ스포츠에서의 안전 확보(안심하고 스포츠 활동을 하기
위한 환경을 정비하고 스포츠에 의해서 생기는 사고·외상·장애 등의
예방과 경감을 도모)ʼ의 시책을 추진하고 있다.

[3] 에서는 ʻ커뮤니티의 중심이 되는 지역 스포츠 클럽의 육성·추진(종합형


클럽을 중심으로 하는 지역 스포츠 클럽이 스포츠를 통해서 ʻʻ새로운
공공ʼʼ을 담당하는 커뮤니티의 중심이 되도록 지방자치단체의 인구 규모와
고령화, 과소화 등에 유의하면서, 각 시정촌에 적어도 1개의 종합형
클럽이 육성되도록 노력한다. 종합형 클럽이 더 자주적으로 운영하도록
운영 면이나 지도 면에서 주변의 지역 스포츠 클럽을 지탱할 수 종합형
클럽(거점 클럽)을 광역 시정촌권(전국 300곳 정도)을 기준으로 육성)ʼ
, ʻ지역의 스포츠 지도자의 충실(지역 주민과 스포츠 단체 등의 요구를
근거로 하면서 스포츠 지도자 등의 양성을 추진하는 동시에 자격을 가지는
스포츠 지도자의 유효 활용을 도모)ʼ, ʻ지역 스포츠 시설의 충실(지역의

272
Ⅲ. 국가별 스포츠 정책 거버넌스

친밀한 스포츠 활동의 장소를 확보하기 때문에 학교 체육 시설 등의


유효 활용과 지역 스포츠 시설 정비를 지원)ʼ, ʻ지역 스포츠와 기업·대학
등과의 제휴(기업, 대학에 축적된 인재와 스포츠 시설, 스포츠 의사,
과학 연구 성과 등을 지역 스포츠에서 활용하기 위한 제휴·협동의 추진을
도모)ʼ의 시책을 추진하고 있다.

[4] 에서는 ʻ주니어시기에 최고수준의 전략적 지원 강화(최고 선수를 발굴·육


성, 강화하기 때문에 체육 단체와 강화·연구 관련 기관, 지역 등의
제휴에 의한 주니어기에서 최고 수준에 이르는 체계적이고 전략적인
지원을 강화)ʼ , ʻ스포츠 지도자 및 심판 등의 양성·연수나 캐리어 순환
형성(스포츠 지도자 및 심판 등 톱 스포츠의 추진에 기여하는 인재 양성과,
최고 선수의 지도자 등에 이르는 캐리어 형성을 실시하는 체제를 충실)ʼ,
ʻ최고 선수 강화·연구 활동 등의 거점 구축(세계 수준에 대응한 내셔널
트레이닝 센터(NTC), 국립 스포츠 과학 센터(JISS), 대학 등의 거점을
정비하고 강화·연구 관계 기관의 상호 연계 강화를 촉진)ʼ의 시책을
추진하고 있다.

[5] 에서는 ʻ올림픽 올림픽 등 국제 경기 대회 등의 유치·개최 등(국가나


독립 행정 법인, 지방 공공 단체, 스포츠 단체 등 관계 기관이 협력하여
국제 경기 대회 등의 적극적인 유치 및 원활한 개최를 지원)ʼ, ʻ스포츠에
관한 국제적인 교류 및 공헌의 추진(국제 스포츠계에서 활약할 수 있는
인재를 양성하고 정보를 수집·발신하는 체제를 정비하는 동시에 국제적
인 인적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우리의 기여도나 위상을 높임)ʼ의 시책을
추진하고 있다.

[6] 에서는 ʻ도핑 방지 활동 추"(국제적인 수준의 도핑 검사 조사 체제의


충실, 검사 기술·기기 등의 연구 개발 추진, 정보 제공 체제의 확충,

273
해외 스포츠 정책 동향 분석 – 체육행정 거버넌스 및 주요 이슈 관련 정책 비교 -

교육·연수, 보급 계발을 통한 도핑 방지 활동을 충실)ʼ, ʻ스포츠 단체의


거버넌스 강화와 투명성 향상을 위한 대응의 추진(스포츠 단체와 협력하
고 조직 운영 체제의 기본 방향에 관한 가이드 라인을 책정하면 구조를
강화하고 투명성이 높은 조직 운영 체제를 정비를 통해 스포츠 단체를
계속적으로 증가시킴)ʼ , ʻ스포츠 분쟁의 예방 및 신속·원활한 해결을
위한 대응의 추진(스포츠 단체와 연계하여 스포츠 중재의 자동 수탁
조항을 두고 단체의 지속적인 증가 등 스포츠 분쟁의 예방 및 신속·원활
한 해결을 위한 기초적 환경 정비를 촉진)ʼ의 시책을 추진하고 있다.

[7] 에서는 ʻ최고 스포츠와 지역에서의 스포츠와의 제휴·협동의 추진(차세대


선수 육성과 지역 스포츠의 추진이나 학교의 체육 관련 활동의 충실
등을 목적으로 한 최고 선수와 지역에서의 스포츠와의 제휴·협동추진을
도모한다)ʼ, ʻ지역 스포츠와 기업·대학 등과의 제휴(기업, 대학에 축적된
인재와 스포츠 시설, 스포츠 의사, 과학 연구 성과 등을 지역 스포츠에서
활용을 위한 제휴·협동의 추진을 도모)ʼ의 시책을 추진하고 있다.

274
Ⅲ. 국가별 스포츠 정책 거버넌스

<그림 Ⅲ-50> 일본 스포츠 진흥 정책


출처: 스포츠백서 2014

275
해외 스포츠 정책 동향 분석 – 체육행정 거버넌스 및 주요 이슈 관련 정책 비교 -

다) 지방정부수준에서의 정책 시행

도도부현의 스포츠 행정조직은 지방교육행정조직 및 운영에 관한 법률(이하


지방교육행정법이라 함)과 스포츠기본법에 규정되어 있다. 지방교육행정조직
및 운영에 관한 법률 제23조, 교육 위원회의 직무 권한으로 ʻʻ스포츠에 관한
것ʼʼ에 대해 교육위원회가 관리·집행하고 있다. 스포츠기본법 제10조는 도도부
현 및 시구정촌 교육위원회는 스포츠 기본 계획에 따라 그 지방의 실정에
맞는 스포츠의 진흥에 관한 계획을 정하도록 노력한다고 되어 있으며, 지방자치
단체의 교육위원회에서 스포츠 행정을 일차적으로 다루고 있다. 또한, 지방교육
행정법에서 지방자치단체의 장이 스포츠에 관한 사무 및 집행할 수 있다고
정하고 있음에 따라 각 도도부현에 대해서는 교육위원회뿐만이 아니라 도도부현
지사의 직속기관에도 스포츠를 담당하는 독립된 전담과를 설치하고 있다.
명칭에 대해서는 도도부현에 따라 각각 다르며 교육위원회 내에서 그 명칭을
보면 스포츠라는 명칭을 사용하는 도도부현이 많아지고 있다. 2010년의 일본체
육협회 자료에 따르면 체육과(보건 체육과 등을 포함), 스포츠과(스포츠 진흥과
등을 포함)등 1과 체제가 전국의 3분의 2정도이지만, 체육과(보건 체육과
등을 포함), 스포츠과(스포츠 진흥과 등을 포함)의 2과 체제로 대응하는 도도부
현도 3분의 1을 차지하고 있다. 지방교육행정법 제23조 교육위원회의 직무
권한으로 ʻʻ스포츠에 관한 것ʼʼ으로 규정하고 있는 것에 관하여 시구정촌에서도
교육위원회가 이를 관리하고 집행한다. 또한, 기존 스포츠진흥법 제4조에서도
시구정촌 교육위원회는 스포츠의 진흥에 관한 계획을 정하는 것으로 되어
있었으며, 스포츠기본법에서도 제10조에서 이와 마찬가지로 규정하고 있다.
시구정촌에서도 교육위원회에 스포츠 행정에 관한 일차적 역할을 하고 있다.
그러나 스포츠 행정 창구로서 시구정촌 교육위원회와는 독립된 전담과(체육과,
사회 체육과 평생 스포츠과 등)를 설치하는 지자체는 전국에서 약 30%수준이어
서 스포츠 지방행정 조직이 정비되어 있다고 하기는 어렵다. 인구가 적은

276
Ⅲ. 국가별 스포츠 정책 거버넌스

정촌 등에서는 독립된 ʻ과(課)ʼ가 아닌 교육위원회의 하나의 ʻ계(係ʼ)가 담당하는


경우가 많아서 ʻ과(課)ʼ가 독립하고 있더라도 ʻʻ사회 교육과ʼʼ또는 ʻʻ평생 학습과ʼʼ가
사회교육 전반을 다루는 과정에서 스포츠 행정을 담당하기도 한다. 10만 명
이상의 도시에서는 대부분 스포츠 행정을 담당하는 독립된 과(課)가 설치되어
있다.

2) 스포츠 정책에서의 양성평등 : 여성스포츠의 진흥

스포츠기본법에 따른 ʻ스포츠기본계획ʼ에서 제시된 7개의 시책 중에서 여성과


관련한 시책은 다음과 같다.

첫째, 중학교 단계에서 적극적으로 스포츠를 하지 않는 여성을 대상으로


하며, 스포츠의 즐거움이나 기쁨을 알 수 있도록 하며, 성별에 따른 스포츠의
추진이나 체력향상을 위해 스포츠 의·과학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도록 하였다.
또한, 중학교 및 고등 학교에서 남성에 비해 가입률이 낮은 여성의 운동부
활동 참가 기회의 향상을 도모하며, 중학교 여학생을 비롯한 적극적으로 스포츠를
하지 않는 어린이를 대상으로 하며, 종합형 클럽이나 스포츠 소년단 등, 지역에
서의 다양한 스포츠 기회를 확충시키기 위한 대응을 추진하도록 정하였다.

둘째, 일, 가사·육아 사이에 쉽게 할 수 있는 운동을 개발·보급하며,


지역스포츠클럽에서 레이디데이를 마련하는 등 행사 등을 개최하도록 하였다.
아동과 여성, 고령자, 장애인을 포함한 모든 지역 주민의 공공 스포츠환경의
안전 확보를 위해 노력하도록 하였다.

셋째, 청년, 노인, 여성, 장애인 스포츠 지도를 적절히 실시할 수 있도록,
지도자의 자질 향상을 도모하도록 정하였으며, 성별의 균형을 배려한 스포츠추
진위원을 위촉하도록 하였다. 또한, 아동과 여성, 고령자, 장애인을 포함한
모든 지역 주민의 공공 스포츠환경의 내실화를 위해 노력하도록 제언하였다.

277
해외 스포츠 정책 동향 분석 – 체육행정 거버넌스 및 주요 이슈 관련 정책 비교 -

넷째, 여자선수에 대한 지원으로서 국내외 정보 수집, 데이터베이스화 및


특유의 과제 해결을 위한 조사 연구를 추진하는 지원의 충실에 노력하도록
하였으며, 여성 지도자 육성 방안을 검토하도록 하였다.

다섯째, 여성단체임원 등의 적극적인 등용, 외부 이사·감사역의 등용을


도모하도록 하였다.

기본계획에서 제시된 여성에 대한 시책의 특징은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①중학생에서 현저하는 스포츠를 하지 않는 여자에 대한 대책, ②육아나
집안 일을 하는 성인 여성에 대한 대책, ③여성 선수에 대한 지원, ④여성
지도자 육성 및 등용이다.

3) 스포츠 정책에서의 민관 협력 : 지정관리자제도의 도입

지역커뮤니티 및 평생스포츠 활성화의 스포츠 정책 실현을 위해 1999년에


「민간자본 등의 활용에 의한 공공시설 등의 정비 등에 관한 법률」((PFI법
(Private Finance Initiative))을 제정하여 공공시설 등의 건설, 유지관리,
운영 등을 민간의 자금, 경영능력 및 기술적 능력을 활용하는 제도를 실시하고
있다. 특히, 민간자본, 경영능력, 기술적 능력을 활용함에 의해 국가나 지방자치
단체가 직접 실시하는 것보다도 효율적이고 효과적으로 공공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사업에 대해서 PFI를 실시하는 것이다. 이러한 제도는 영국 등 해외에서
PFI방식에 의한 공공서비스 제공이 실시되고 있고, 유료다리, 철도, 병원,
학교 등의 공공시설 등의 정비, 재개발 등 폭넓은 분야에서 그 성과를 나타내고
있는 제도이다. 또한, 공공기관와 민간이 연계하여 공공서비스의 제공을 추진하
는 PPP에는 PFI, 지정관리자제도, 시장화테스트, 공설민영(DBO)방식, 포괄
적 민간위탁, 지자체 업무의 아웃소싱도 포함된다. 스포츠와 관련한 PPP의
상황을 살펴보면 특히, 2004년 9월부터 시행된 ʻ지정관리자제도ʼ에 의해 민간단

278
Ⅲ. 국가별 스포츠 정책 거버넌스

체가 ʻ지정관리자ʼ로서 스포츠시설을 관리·운영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었다.


지정관리자제도로 관리·운영되고 있는 스포츠시설로는 오사카부립스포츠센
터, 사카이시 시립건강관, 고베시립시민복지스포츠센터, 교토부 무코시 건강증
진센터 등 각 지역에 많은 스포츠 관련 시설들이 대표적인 예이다. 특히,
고베시의 지정관리자제도의 운용 지침을 살펴보면 다음의 내용을 담고 있다.
공공시설의 관리운영 체크 부분에 관하여 이미 지정관리자제도가 도입된 시설을
포함한 모든 공공시설에 대해서 아래의 항목을 점검하고, 특히, 아래 항목
중 ④, ⑤, ⑥에 해당하는 시설에 대해서는 민간사업자등에 의한 운영을 염두에
두고 지정절차를 진행할 필요가 있다고 정하고 있다.

<표 Ⅲ-90> 지정관리자 제도의 운용지침


체크항목
① 민간사업자 등에게 맡기는 것으로 이용수요에 맞춰 개관인, 개관시간의 확대 등 서비스내용
의 충실 및 민간사업자등의 노하우활용을 기대할 수 있음
② 민간사업자 등에 맡김으로써 비용절감 가능성이 있음
③ 이용의 평등성, 공평성 등에 대해서 행정이아니면 확보할 수 없는 명확한 이유가 없음
④ 같은 종류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민간사업자등이 존재함
⑤ 시설이 제공하는 서비스의 전문성, 특수성, 시설의 규모 등을 감안하여 민간사업자등의
운영이 가능함
⑥ 조세분담이 아닌 사용료, 이용료금으로 운영을 하는 수익적 시설임

또한, 시의 직영시설에 대해서도 ʻ민간이나 시민이 할 수 있는 것은 민간이나


시민에게 위임하고, 행정은 이를 지지한다ʼ고하는 보완성의 시책을 수립하여,
이에 대한 점검결과도 고려하면서 민간사업자 등과의 역할분담을 해나간다고
하는 내용을 정하고 있다. 더불어, 지정관리자제도의 도입에 따른 공공체육시설
등에 ʻʻ상급 체육시설관리사ʼʼ가 배치되면서 시설관리 운영에 핵심 역할을 담당하
도록 하고 있다.

279
해외 스포츠 정책 동향 분석 – 체육행정 거버넌스 및 주요 이슈 관련 정책 비교 -

6. 중국

가. 중국 스포츠 정책의 기본 철학

스포츠 관련 중국어 표현 중 하나인 체육(Tiyu, 体育)은 신체 활동, 신체


교육 등, 다양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중국 체육의 거버넌스에 있어서, 이러한
용어의 다양한 함축은 의미상의 모호함을 가져와 논란이 될 가능성이 있다.
공자와 맹자의 시대 이래로, 신체 단련과 신체 활동은 사회 엘리트에 의하여
강조되어 왔다. 그러나 중국 문화 안에서 역사적으로 정신적·지적 우월성이
강조되어 온 것과 비교할 때, ʻ체육Tiyu(体育)ʼ은 상대적으로 경시되어 왔다고
할 수 있다. 근대 서구의 체육 개념이 중국에 소개되었던 20세기의 전환기는,
중국 역사에서 ʻ굴욕의 한 세기ʼ로 여겨진다. 당시, ʻ근대 체육ʼ의 개념은 무엇보다
도 국가주의적이고 애국적 색채를 강조하였다. 한 예로, 근대 서구 체육은
과거 "중국 국민들의 연대감과 정신력, 그리고 호전적 정신을 기르기 위한"
수단으로 인식되었으나, 21세기 들어 ʻʻ중국 국가의 회복의 징후ʼʼ로 변모되어
베이징 올림픽에서의 성공을 통해 외부에 보여주기 위한 수단이라는 새로운
의미를 가지게 되었다.

중국 체육 정책은 1949년 10월 1일 중화인민공화국(이하 중국)이 공식적으로


수립된 이후 계속적으로 변해왔다. 중국정부의 체육정책은 사회주의/공산주의
에 기반을 둔 것으로 중국의 국가적 상황과 관련된 정치적 특성들이 중국의
체육 철학 녹아있다. 체육과 국방 간 관계 강조, 체육과 위생의 강조, 그리고
초창기 중국 정권의 사회주의 특성인 집단주의적(collectivism) 이데올로기와
의 일관성을 위한, 대중 체육의 강조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초창기에 이른바
ʻ자본주의적 챔피언-주의(champion-ism)ʼ와의 관련성으로 인해 강조되지
않았던 엘리트 체육 진흥에 관한 정책적 기조의 변천은 주목할 필요가 있다.
엘리트 체육 발전에 대한 중국 정부의 태도는, 올림픽 운동(Olympic

280
Ⅲ. 국가별 스포츠 정책 거버넌스

Movement)에서 중국이 차지하는 위치와 흥미로운 상관관계를 보인다. 중국이


국제 올림픽 운동에 관여하는 동안, 중국의 엘리트 체육 발전은 정치 의제
속에서 우선적으로 고려되거나, 최소한 중국 체육의 다른 영역과 같은 수준의
관심을 받아왔다. 예컨대 중국은 1952년 헬싱키 올림픽에 출전하였으나, 1958
년 국제 올림픽 운동에서 ʻ두 개의 중국 딜레마ʼ 때문에 IOC와의 관계를 단절했다.
이 시기 동안에, 인민 중앙 정부 체육 위원회(the Sports Committee of
the Peopleʼs Central Government)가 설립되었으며, 7개 스포츠 종목으로
구성된 첫 국가대표팀이 구성되었다. 1979년 중국이 IOC에 재가입한 지 1년이
지난 1980년, 국가 체육 실무회의에서 ʻʻ(우리는) 1980년 올림픽 메달 순위에서
상위 10위에, 1984년에는 상위 6위에 오를 것을 시도 하고…… (그리고)
1980년대에 낙후된 중국의 엘리트 체육을 완전히 변화시킬 것을 (추구한다)ʼʼ라
는 내용의 결의안이 통과되었다. 국가 신체 문화와 체육 위원회(State Physical
Culture and Sports Commission: SPCSC)1)는 13개 스포츠 종목을 주요
스포츠 발전 의제로 상정하고, 국가대표팀의 연중 훈련, 특별 기금, 시설,
그리고 기타 지원 사업들을 제공하였다. 국가적으로 3단계로 구성된 훈련
네트워크 또한 이에 상응하여 개선되었다. 또한, 국가 체육 대회를 올림픽
체육 종목에 맞춰 개편하였는데, 이는 비인기 올림픽 체육 종목에는 심각하게
부정적인 영향을 주기도 하였다.

이처럼 엘리트 체육이 강조된 배경에는 먼저 정부의 부족한 자원으로 인해


전반적인 체육 발전이 저해될 수 밖에 없었던 점과 함께, 중국 국가 정체성
형성, 사회주의 우월성 강조, 그리고 새로운 외교적 소통 채널 제공 등 엘리트
체육의 정치적 효용성이 더 잘 인식되었던 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중화인민공화국 설립, 문화대혁명, 그리고 개혁과 개방 등과


같은 정치적 사건들로 구분되는 상이한 시기들이 존재해 온 것을 감안하여,

281
해외 스포츠 정책 동향 분석 – 체육행정 거버넌스 및 주요 이슈 관련 정책 비교 -

1979년 중국이 개혁을 시작한 이래 공표된 정책들을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문화 대혁명이 끝난 후, 중국 체육은 다시 정상궤도로 복귀하였다. 앞서
언급하였듯이, 중국의 IOC 재가입과 동시에 엘리트 스포츠는 중국 체육 정책에
있어서 다시금 우선순위에 놓이게 된다. 1978년 국가 체육 실무 회의에서는,
낙후된 엘리트 스포츠가 중국 체육의 약점으로 여겨지면서, "엘리트 스포츠
정점으로의 빠른 복귀"가 특별히 강조되었고 최우선 과제로 언급되었다. 이
시점 이후로, 엘리트 체육의 발전은 1)전통 중국 엘리트 체육 시스템, 전문
(Zhuanye) 체육, 그리고 이를 지원하고 관리하는 체제인 전국 체제(Juguo
Tizhi, 举国体制)의 강화와 2) 중국 엘리트 체육, 특히 전문(Zhuanye) 체육과
전국 체제(Juguo Tizhi)의 개혁을 중점으로 지원하고 있다. "체육 시스템
개선에 대한 SPCSC의 결정(초안)"(SPCSC, 1986)(이하 1986년 정책)과 "체육
시스템 개선을 심화시키는 것에 대한 SPCSC의 의견"(이하 1993년 정책)에서
1986년 정책의 목표는 ʻʻ중국체육의 전반적인 개발 진흥할 것ʼʼ을 주장하는
것이었다(SPCSC, 1986, p.68). 예를 들어, 1986년 정책에서 10개 섹션
중 9개는 부분적으로, 혹은 전적으로 중국 엘리트 체육과 관련되어 있다.
이러한 비율은 1993년 정책에서도 유지된다. 더욱이, 중국 엘리트 체육 안에서,
전문(Zhuanye) 체육과, 전국 체제(Juguo Tizhi)의 지배를 강조한다. 특히,
1993년 정책에서 5개 보조 문서들 가운데 4개의 문서들은 직접적으로, 혹은
부분적으로 엘리트 체육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따라서, 비록 두 정책들이
보통, 중국 체육 개혁을 위한 가이드라인이었지만, 이 정책들은 엘리트 체육
정책들을 분석하는데 중요한 자료를 제공한다.

1995년 이래로, 정기적으로 개정되는 중국 엘리트 체육 정책인, "승리의


올림픽 영광을 위한 전략적 계획"이 공표되었으며 현재까지 이 계획은 세
번 개정되었다. 이 계획은 본질적으로 ʻʻ엘리트 체육의 전반적인 개혁과 발전ʼʼ에
관한 정책을 의미하며, 중국 엘리트 체육에서의 전반적인 개혁과 개발 계획의

282
Ⅲ. 국가별 스포츠 정책 거버넌스

결과이다. 이는 올림픽을 중국 체육의 전반적 개혁과 발전을 위한 추진력으로


여기는 당시의 인식을 잘 반영하고 있다. 더불어 이 계획은 1993년 정책
이후 중국 엘리트 체육의 개발을 위한 가장 중심적인 정책적 지침으로 여겨진다.
그 요약 본은 ʻʻSPCSC가 [중국 엘리트 체육에 대한] 거시적 통제를 수행하기
위한 종합적이고 기본적인, 그리고 주요한 문서ʼʼ로 묘사된다. 또한 ʻʻ중국 엘리트
체육의 지속적인 발전을 안내하는 전략적 청사진, 및 중국 엘리트 체육의
개발과 올림픽 전략의 이행을 지시하는 계획적 문서ʼʼ 이기도 하다. 비록 중국이
국제 올림픽 운동과 거리를 두었던 시기 동안에 생활 체육이 중국 체육 정책에서
우선시 되곤 하였지만, 중국이 IOC에서 재가입한 이후에 정책 의제에서 엘리트
체육에 의해 대체된 바 있다. 그러나 여전히 중국 생활 체육의 개발을 위한
국가의 전략적 지침으로서 공표된 몇몇 중요한 정책들로 "모두를 위한 신체단련
프로그램"이 있다. 덧붙여, 대중 체육 또한 중국의 체육 산업의 개발을 진흥하는
중요한 요소로 여겨졌다. 관련 내용 또한, "체육 산업의 가속화와 체육에서의
소비 촉진을 위한 국가 자문위원회의 의견"(중국 국가 자문위원회의 총괄 사무
실, 2014)과 같은, 체육 산업과 관련된 최근 문서들에서 찾아볼 수 있다.

나. 중국 스포츠 행정 조직 구조

- 총괄 사무실

■ 문서들, 기밀 자료 관리, 불만 접수 및 항소, 행사 조직 및 조정

- 대중 체육부

■ 대중 체육을 위한 연구 및 개발 계획 초안 작성, 모두를 위한 신체단련


프로그램 촉진, 신체 운동의 국가 표준 이행에 대한 모니터링, 시민
신체 상황에 대한 조사 시행, 학교 체육, 시골 및 도시 지역 체육,
그리고 시민 사회 내 기타 체육의 감독과 촉진

283
해외 스포츠 정책 동향 분석 – 체육행정 거버넌스 및 주요 이슈 관련 정책 비교 -

- 엘리트 체육부

■ 엘리트 체육을 위한 연구 및 개발 계획 초안 작성, 상이한 체육 사이의


국가 대회와 고급 체육에 대한 연구와 균형 맞추기, 국가 행사 시스템
설계, 전반적인 계획 수립, 중요한 국제/국내 멀티체육 행사 조직의
조정, 전국 대회 및 시 대회 조직

- 체육 경제부

■ 체육의 중-장기 개발 계획 설계, GAS와 GAS 내부 조직의 재정 운용,


직접적 유관 기관들의 재정적 문제를 모니터링 및 지휘, 체육과 신체단
련, 대회와 오락, 훈련 서비스, 기술 및 정보 지원을 포함한 경제·상업적
행위에 관한 정책과 규정 연구 및 초안 작성

- 정책, 법, 그리고 규제부

■ 지침, 정책, 규정 및 체육 법 연구 및 계획 수립, 조사 및 연구, 체육과


체육 시스템 개혁에 중대한 문제 해결을 위한 계획 수립, 체육 이론과
체육 개발에 대한 연구 조직 및 지휘l

- 인적 자원부

■ GAS와 직접적 유관 기관들의 HR 사안 운용, NGBs의 자격과 그들의


지도자들 평가, 외국에 파견되는 직원의 정치적 배경 심사, 외국 유학에
직원 파견

284
Ⅲ. 국가별 스포츠 정책 거버넌스

<그림 Ⅲ-51> 중국 스포츠 행정 조직도

- 국제 사무부

■ 타국과 홍콩, 마카오, 그리고 대만 지역의 IFs와 체육 상황 조사,


규정 발행 및 체육에서의 외교적 사안과 홍콩, 마카오, 대만과의 체육
상호작용을 위한 시스템 설계, 체육에서의 외교적 사안과 홍콩, 마카오,
대만과 관련된 체육 활동을 위한 계획 초안 작성 및 조정, 체육 시스템에
서의 외교적 사안 행정업무, 중국 올림픽 위원회의 일일 업무 책임

- 과학 및 교육부

■ 체육 과학과 기술에 관한 중요한 연구 조직 및 실행, 탐구, 시험,


그리고 결과 확산, 연구물 생산, 교욱부의 모니터링 아래 고등학교와
HEIs에서의 PE(체육교육) 계획 수립, GAS와 직접적으로 소속된 교육
기관 행정관리, 반-도핑 문제들과 관련된 사안들 조직 및 다루기

285
해외 스포츠 정책 동향 분석 – 체육행정 거버넌스 및 주요 이슈 관련 정책 비교 -

- 홍보부

■ 체육 홍보를 위한 이론들을 소개하는 연구 및 초안 작성, 중요한 뉴스와


정보 공표, 중요한 체육 행사의 보고를 조직 및 조정

다. 중국 스포츠 정책 재정 현황

GAS와 직접적으로 소속된 기관들은 중앙 정부로부터 재정지원을 받는다.


반면 중국야구협회와 같은 기관들은 다르다. 중국야구 경우에는 협회 아래
전문 리그에 대한 상업적 스폰서십과 같은 별도의 재정적 수입을 가지고 있는데,
수익의 일부를 또한 GAS에게 다시 지불한다. 그러나 종목별 경기단체(NGBs)
의 유일한 예외적 사례인 중국축구협회의 경우, 독립적인 스포츠 단체로서
중앙 정부로부터 재정적 지원을 받지 않으며, 그들의 수익의 일부를 GAS에게
지불하지 않아도 된다. 복권 재정은 또 다른 소득 원천인데, 이 또한 GAS가
관리하고 분배한다. 소규모 지방과 성(province) 단위의 체육 기관들은 유사한
방식으로 지역 및 성(province) 단위 정부로부터 재정지원을 받는다. 공공
기관의 재정을 위한 규정(재정&GAS부, 2012)에 따르면, 공공 기관의 소득은
아래와 같은 6가지 방식으로 발생된다.

1. 재정적 보조금: 동일한 기관 수준(복권 재정 포함)의 재정적 부서로부터의


배분되는 기금

2. 체육 관련 활동들에서 기인한 소득: 체육 활동들, 행사들, 기타 관련


행동들로부터 기인하는 소득

3. 상위 부서로부터 보조금: 상위 부서 혹은 관리자로부터 발생한 비재정 수익

4. 유관 기관들로부터의 매출

5. 상업적 활동들을 통한 소득

6. 기타 수입

286
Ⅲ. 국가별 스포츠 정책 거버넌스

상기 소득원천 중 정부의 재정적 보조금은 정부로부터 할당된 재정 보조금은


소득의 주요 원천으로 약 50% 이상의 수익이 재정 보조금으로부터 발생하고
있다.

라. 중국 생활 스포츠 참여 실태

정부 소유의 경기장이 전국적으로 소재하고 있는 반면, 민간 부문 소유의


스포츠 시설들은 상대적으로 적다. 스포츠 복합 시설물인 베이징 마스터 센터가
민간 소유의 스포츠 시설의 대표적인 예이다. 이러한 민간 소유의 경기장
및 스포츠 시설들은 대부분 지방에 위치하고 있으며 정부로부터 재정 지원을
받고 있다. 하지만 그 수가 공공 부문 소유의 시설들에 비하여 극히 미미하기
때문에 민간 부문 소유의 체육 시설은 예외적인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중국
전역에 걸친 학교들과 대학들 또한 많은 수의 체육 시설들을 소유하고 있다.
중국 내 대다수 학교와 대학들이 공공 부문 소유라는 점을 감안할 때(2004년,
사립초중학교 학생들은 중국 내 초 중학교의 모든 학생수 가운데 3.62%에
불과하였음), 이러한 시설들 또한 공공 부문 소유로 간주 할 수 있다. 학교와
체육 학교 내 체육관들을 제외하고, 중국 엘리트 체육의 세-단계 훈련 체제에서
의 기관 종류의 마지막은, 사설 업체 의하여 소유, 운영되고 있는 체육관과
신체단련 클럽들이다.

마. 중국 스포츠 정책 영역별 거버넌스

1) 엘리트 스포츠 거버넌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엘리트 체육은 일반적으로 중국 체육에서 우선적


사안으로 여겨져 왔다. 체육의 총괄적 행정에서, 엘리트 체육을 관할하는
엘리트 체육 부서이다. 중국의 엘리트 체육 시스템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287
해외 스포츠 정책 동향 분석 – 체육행정 거버넌스 및 주요 이슈 관련 정책 비교 -

전문(Zhuanye) 체육과 전국 체제(Junguo Tizhi)라 불리는 두 개의 중요한


현상들을 명확히 구분하는 것이 중요하다. ʻ전문(Zhuanye) 체육ʼ은 중국 엘리트
체육의 지배적인 방식으로, 정부가 행정적으로 운용하고 통제하는 전통적인
중국 엘리트 체육 시스템이다. 전문(Zhuanye) 체육은, 전문(Zhuanye) 시스템
안의 직원들이 행정, 운용, 그리고 체육 관련 사안에 참여하기 위하여, 대부분
정부로부터 다양한 수준에서 고용되고, 평가 받고, 급여를 받음으로써, 국가재
정을 받는 전문직 시스템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전문적 시스템 안의 직원들은
단지 선수와 감독만을 포함할 뿐만 아니라, 행정 관리자와 기타 지원하는
직원들을 포함시킨다. 그러나, Bao (2009, p. 24)는, 미국의 MLB나 영국의
프리미어 리그와 같이 중국의 ʻ전문(Zhuanye) 체육ʼ을 ʻ전통적ʼ 프로 체육으로부
터 구별하는, 두 개의 정의적 특징들을 확인한다. 그것은 첫째, 프로
(professional) 선수들이 주로 그들의 고용주(보통 전문적인 클럽들)나 스폰서
로부터 급여를 받는 것과 달리, 전문(Zhuanye) 선수들은 정부로부터 급여나
보조금을 받는다. 둘째, 전문(Zhuanye) 선수들은 보통 그들의 인적 자본에
대한 완전한 소유권을 갖지 않는데, 이는 그들이 일종의 ʻ체육 공무원(sporting
civil servant)ʼ임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전문(Zhuanye) 선수들은, 재정과
시설 등의 면에서 그들의 체육 경력과 초기 은퇴단계에 이르기까지 정부로부터
지원을 받기 때문에, 국가 대표팀에 소속된 전문(Zhuanye) 선수들과 체육
당국 사이의 ʻ공식적으로 제안된ʼ 계약에 따르면, 국가대표 팀원으로서 선수의
신분에 대한 상업적 사용의 권리는 체육 당국에 소속된다. 심지어 몇몇 선수들의
경우 체육 당국은 개인으로서 그들의 정체성을 상업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권한을 갖는다. 그리고 그러한 상업적 개발로 얻은 수입은 완전히 체육 당국의
소유이며, 당국의 동의를 기반으로 선수에게 부분적으로 주어진다. 하지만
이러한 현실과는 다르게, 전문(Zhuanye) 체육은 보통 ʻ전문적인/프로 체육
(professional sport)ʼ로 번역이 되며, 앞서 지적되는 차이점들은 무시되고

288
Ⅲ. 국가별 스포츠 정책 거버넌스

있다. 중국 엘리트 체육 시스템의 전형으로 사용되는 전국 체제(Junguo Tizhi)


는, 보통 ʻʻ엘리트 체육 시스템을 위한 전-국가의 지원ʼʼ으로 번역되고 상술된다.
하지만 전국 체제는 전체적인 중국 체육 사안들을 관리하고 운용하고, 지원하는
체계로서 해석되는 것이 적절할 것이다. 전문(Zhuanye) 체육은 전 국가에
의하여 지원받는 체육 시스템으로서 인식되어야 하며, 전국 체제(Junguo
Tizhi)의 체계(framework) 안에서 정부에 의하여 운용 및 관리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전국 체제(Junguo Tizhi)라는 용어는 국가 자원이 집중되었던
문화대혁명 시기, 중국의 핵폭탄 개발 모델에서 유래한다. 그러한 국가 자원의
집중은 종종 사회주의 우월성을 주장하려는 수단으로 사용된다. 따라서, 중국
엘리트 체육에서 전국 체제(Junguo Tizhi)의 지속을 강조함으로써, 중국
체육 당국은 전반적으로 체육 당국 시스템과 정부의 국가적 시스템 안에서,
국가 자원을 관리 및 분배할 수 있는 자격을 얻는다. 중국 엘리트 체육의
전국 체제(Junguo Tizhi)의 향후 완성에 대한 연구, Li et al.(2003, p.2)를
보면, 전국 체제(Junguo Tizhi)의 특성이 명쾌하게 상술되어 있다. 전국 체제
(Junguo Tizhi)는 올림픽 경기와 기타 중요한 국제 대회에서 뛰어난 결과의
성취를 목적으로 하는 [중국] 엘리트 체육의 조직과 관리 시스템이다. [그것은]
정부 주도적이며, 주요 구성 요소는 [엘리트] 체육 시스템이다. [엘리트] 체육
자원의 할당을 최적화하는 방법을 [활용하기를 통하여], 이것은 [중국 엘리트
체육에서의] 시민 사회의 관여를 진흥하고 조직한다. [그 시스템은] 국가적
차원에서 하나의 목표를 지니며, 합리적으로 조직되고, 잘 운영되며, 상이한
이해관계들에 우선적 효율화와 주의를 제공한다.

ʻ전국 체제(Junguo Tizhi)를 개선한다ʼ는 중국 엘리트 체육 개혁의 목적에


따라, 두 가지를 구분하는 것은 중요하다. 그러므로, 이 개혁의 핵심은 전반적으
로 전문(Zhuanye) 체육 시스템을 수정하는 것이 아니라, 이제까지 체육 행정
부서가 지배하여 왔던 그것의 행정관리와 지원하는 체계를 개선하는 것이라고

289
해외 스포츠 정책 동향 분석 – 체육행정 거버넌스 및 주요 이슈 관련 정책 비교 -

할 수 있다.

1993년 개혁 전에, 중국의 체육 협회들은 체육 행정 부처(Sport Administration


Departments)들 아래 있는 형태처럼 보인다. 예를 들어, ASCF, COC, 그리고
GAS는 ʻʻ특정사람들의 한 개 단체에 의하여 공유되는 세 개의 부서들 이름으로ʼʼ
인식되며, 이들 사이에서는 가장 GAS가 두드러진다. 1993년 개혁이 주목했던
여러 부문들 중 하나는, 체육 협회들의 독립이었음은 분명했다. 비록 1993년
정책2)의 공표 이후에 체육 협회들의 독립이 급격한 성장을 경험하게 했으나,
1994년 체육 행정 센터 수립이 시작된 이후로는, 체육 협회들은 점차적으로
변했고 결과적으로는, 이러한 체육 거버넌스 조직체라는 새로운 종류의 중국체
육의 모습이 되었다. 행정 센터들은 체육 행정 부처가 체육 협회를 통제하는
연계선의 역할을 한다. 이러한 관계는 국가 신체 문화 및 체육 위원회의 체육
행정 센터들의 규정에 대한 경과 규정(SPCSC, 1997, p. 1)에 ʻʻ[센터들은]
SPCSC 아래 직접적으로 공공 기관들에 소속되며, [그들은] 체육의 공공경영
(governance)에 책임을 갖는다. [그리고] 국가에 의하여 경영되는 체육의
국가적 유대(association)의 지속적 단체로서(…) 공공 경영되는 체육에 대한
모든 종류의 책임을 지닌다ʼʼ와 같이 언급된바 있다. 이러한 행정 센터의 직원들
은 종래 SPCSC의 상응하는 기능상 부서나, 조직이 해체된 체육 사무실에서
선발된다. 예를 들어, 육상경기를 위한 행정 센터는, SPCSC의 훈련 및 대회
부서 내 육상경기 사무실 출신 직원들로 구성되었다. 개선 이후에, 중국육상경기
협회의 상설 조직인 육상경기를 위한 행정 센터는, SPCSC의 후원 아래 직접적으
로 소속된 공공기관이 되었다. 현재, 중국에는 모든 올림픽 체육과 대부분
비-올림픽 체육들을 관리하는 22개의 행정 센터가 있었다. 그리고 이러한
센터들은, ACSF에서 가장 많은 수의 체육을 구성하는, 70개 이상의 체육
협회들을 위한 행정 기구로서 활동한다. 많은 직원들이 행정 센터와 그들이
관리하는 체육 협회 사이에서 공유되며, 특히 최상위 수준의 임원들이 그렇다.

290
Ⅲ. 국가별 스포츠 정책 거버넌스

이러한 연유로 중국 엘리트 체육의 정부 입장과 비-정부 입장 사이의 정치적


일관성이 유지된다. 센터들은 GAS에 의하여 직접적으로 관리되고 재정적
지원을 받는다. 그리고 센터들과 체육 협회들 사이의 관계를 통해서, 체육
협회들 또한 원천적으로 GAS로부터 재정적 지원과 관리를 받는다. 그러나
중국축구협회가 최근 GAS로부터 독립한 예외적 사례가 있다는 점은 주목할
만하다. 새로운 중국축구협회(CFA)에 남길 원하는 모든 직원들은, 축구 센터
내 그들의 직업을 중지할 것을 요구 받으며, 동시에 GAS 시스템의 새로운
직업은 새로운 중국축구협회(CFA)에서 일하고 싶지 않은 사람들에게 제공될
것이라고 알려졌다. 덧붙여, 새로운 중국축구협회(CFA)는 또한 중앙 정부의
예산으로부터도 고립된다. 새로운 중국축구협회(CFA)가 중앙 정부로부터 재정
적 지원을 받지 않을 것이라는 점을 생각한다면, 새로운 CFA는 프로 축구
리그로부터 벌어들인 수입의 일부를 GAS에 지급하지 않아도 된다.

중국축구협회의 최근 개혁은, 중국 엘리트 체육 거버넌스의 향후 개혁을


향한 중국체육계의 영감을 제공하였다. 예를 들면, 더 많은 방식으로 더 많은
권력이 분산되어 NGBs에 의한 또 한 차례의 중국 엘리트 체육의 독립이
일어날 수 있다는 것이다. 하지만 다른 대부분의 부문에서, 전국 체제(Juguo
Tizhi)의 지배의 유지가 지속되고 있는 것과 같이, 중국 엘리트 체육의 거버넌스
또한 대부분 중국엘리트체육이 중국의 전통적인 방식(전통적인 중국 엘리트
체육 시스템과 전국 체제)을 따르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체육의 중국지역구분
인 성(province) 단위 및 지역 행정은 지역 차원에서 GAS와 연결되며, 성
(province) 단위 및 지역 정부의 직접적 소속 기관이다. 이러한 상황은 GAS와
지역 단위 국무원 사이의 관계가 중복되는 것으로 보일 수 있다. 베이징 체육
행정부(ASB)를 예로 들어 살펴보면, 체육 행정 기관은 지방자치 정부에 직접적
으로 소속되고, 베이징 내 사안들과 관련된 모든 체육에 대한 책임을 갖는
것이 분명하게 통제된다. ASB의 연 수입은 123,870.483) 위안으로, 이 중

291
해외 스포츠 정책 동향 분석 – 체육행정 거버넌스 및 주요 이슈 관련 정책 비교 -

정부로부터 배당 받은 기금은 91.4%를 차지한다. ASB에는 13개의 내부 부서가


있다. 이러한 부서들은 GAS와 부서들과 유사한 책임을 가지고 있으며, 부서들
에는 청소년 체육부, 기획 및 사업부, 당원위원회(연합), 시찰부, 은퇴 간부단
부서가 있다. 이와 함께 ABS에 직접적으로 소속된 기관은 베이징 내 체육
사안들에 대한 각각의 책임을 지는 중요한 기관이다. 시와 도시 수준의 체육
학교뿐만 아니라, 지자체 체육 행정 센터들에도 국가 수준과 같은 의무가
배정된다. 중국 엘리트 체육의 정부에 의한 운영 덕분에, 프로(professional)
체육 리그에서의 클럽들은, 민간사설 영역에 있어서, 중국 엘리트 체육 조직들의
가장 대표적인 사례들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오직 이러한 ʻ전문적인 클럽들ʼ
의 부문은 소수의 기업들에 의해 소유된다. 이러한 상업 조직들의 예로는
광저우 에버그란데 그룹(광저우 에버그랜데 F.C.)과 CITIC 궈안 인포메이션
인더스트리 Co. Ltd(베이징 궈안 F.C.) 등을 들 수 있다. 프로 야구 리그(CBA)의
경우, 대부분의 팀들은 과거 성(province) 단위 체육 행정기관에 의하여 ʻ소유되
었던ʼ 지방 소속 팀으로부터 이전 된 바 있다. 이러한 공동 소유 때문에, 이러한
프로 팀들은 또한, 지역 체육 행정기관으로부터 전국 대회(올림픽과 등가의
중국 경기)에 출전할 것을 요구 받는다. 이는, 전국 대회에서의 각 지역의
성과는 정치적 명예와 체육 지역 행정기관의 재정적 이익에 있어서 중요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전국 대회에서, 다른 지역(province)의 프로 팀으로 이적한
몇몇 선수들은, 전문(Zhuanye) 시스템 내 그들 원 소속 지역의 선수로 등록되어
있기 때문에 여전히 그들의 이전 (소속) 지역을 위하여 경기를 뛰고 있다.
다시 말해, 중국 프로 클럽 대부분은 이중의 목적을 가지고 있는데, 하나는
다른 나라의 프로 클럽들과 같이 동일한 방식으로 운용하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전국 대회에서 그들이 속한 지역을 위하여 만족스러운 성과를 제공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프로리그와 클럽들의 수입은 보통 세 가지 측면에서 발생하는데, 리그에

292
Ⅲ. 국가별 스포츠 정책 거버넌스

의한 수익의 분배, 스폰서십 비용(클럽의 네이밍권 판매와 지역 정부로부터의


보조금 포함), 그리고 입장권 판매이다. 리그에 의한 수익의 분배는 미미한
수준인데, 심지어 영향력 있는 국내 리그인 중국 프리미어 축구 리그(CPL)5)의
경우도 예외가 아니다. 예를 들어, CPL의 첫 해 동안(2005), 각각의 클럽은
오직 50만 위안(0.5 million)을 받았다. 3년 뒤엔, 1백 50만 위안(1.5 million),
750병의 병맥주, 그리고 한 명의 인쇄업자를 제공 받았다. 비록 각 클럽을
위한 총액이 1,200만 위안(12 million)으로 증가했고, CPL의 총 수입액은
2014년 3억 7000만 위안(370 million)에서 4억 4000만 위안(440 million)으
로 급증하였음에도 불구하고, CPL의 16개 클럽들 중 오직 5개의 클럽만이
수익을 냈다. 2014년 총 손실액은 2억 2천 2백만 위안(222 million)이며,
이는 2013년 총 손실액인 2억 6천 4백만 위안(264 million)보다는 줄어든
것이다6). 프로리그의 이윤율을 제한하는 가장 중요한 이유 중 하나는, 그들
방송권의 낮은 가격이다. 중국 내 중국중앙방송(CCTV)의 지배 때문에, 프로
리그의 방송권은 다른 나라들의 프로 리그들과 마찬가지로 수익성이 있지
않다. 예를 들어, 올해 체결 된(5년 간, 80억 위안, 8 billion) 중국 프리미어
축구 리그의 방송중계권 계약으로 중계권료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기 3년
전, CCTV는 7백 30만 위안(7.3 million)에 이 프로 리그의 연간 방송권을
완전히 구매했다. 이는 신규 계약의 연간 금액의 오직 0.4%에 해당하는 것이었
다. 이 현상은 중국 엘리트 스포츠 중계에 있어서 천문학적 숫자라고 할 수
있다. 중국 축구가 국가의 최고 지도자인 시진핑 주석의 관심을 비롯하여
정치권과의 연계가 극적으로 긴밀해지고 있다는 맥락은, 이처럼 급격히 성장하
는 상업적 이윤을 이해하는데 시사 하는 바가 크다.

2) 생활 스포츠 거버넌스

'대중 체육(Dazhong(大众) sport)ʼ으로 알려진 ʻ생활체육ʼ은 체육 총괄 행정

293
해외 스포츠 정책 동향 분석 – 체육행정 거버넌스 및 주요 이슈 관련 정책 비교 -

기관의 대중 체육 부서에서 관리된다. 공식적으로 대중 체육 개발의 진흥은


ʻ중국 생활체육 연맹(All China Sport Federation: ACSF)ʼ의 역할이다. ACSF
는 체육의 전국적 비 정부 기관으로, 비영리 협회이며, GAS에 의하여 관리된다.
그러나 중국 올림픽 위원회(COC), ACSF, GAS가 ʻʻ동일한 사람들에 의해
공유되는 세 개의 다른 명칭들ʼʼ라는 것과 이들 중 GAS가 지배적인 지위를
가지고 있다는 점을 감안할 때, 대중 체육부(Department of Mass Sport)는
중국 내 대중 체육과 관련한 사안들을 관할하는 주요 행정 및 운영 부처라고
할 수 있다. 그 부서의 역할은 맡고 있는 직무들에 대한 규정에 명백하게
나타나는데, 그 부서는 아래와 같은 직무들을 수행하는 공식적 기관으로서
여겨진다.

- 대중 체육 개발 계획의 연구와 초안 작성;

- ʻ생활체육(Sport-for-all)' 신체단련 프로그램 고취

- 신체 운동의 국가 표준의 이행에 관한 모니터링

- 시민 건강 상태의 조사 실행

- 학교 체육, 시골 및 도시 지역 체육, 시민 사회 내 기타 종류 체육의


지도와 진흥

GAS와 같이, 대중 체육 부서는 정부 예산의 재정적 지원을 받고 있다.


대중 체육부 산하에는 아래와 같은 네 개의 사무실이 있으며, 각각의 업무는
다음과 같다.

- 총무실(General Office):

■ 총괄 개발 계획 초안 작성, 대중 체육을 위한 법률 및 규제, 정책


및 규제와 관련한 감독행위 및 조사,

294
Ⅲ. 국가별 스포츠 정책 거버넌스

■ 대중 체육 개발과 관련된 전국 회의(학회) 조직, 전국 대중 체육의


수상 시스템 초안 작성 및 운용,

■ 시민 건강상태 및 신체 운동을 위한 전국 조사의 지시와 실행, 대중


체육에 관한 통계 자료 수집,

■ 부서 내 서기 및 조정 업무 책임 수행, 지도자의 지시 및 핵심 과업
개발의 실행에 대한 조사,

■ 부서 지도자로부터 할당된 과업 처리;

- 조직상 운영실(Organizational Working Office):

■ 대중 체육의 행정 및 운용 시스템을 수립하기 위한 중앙 정부 내 부서와의


조정, 실제 ʻ생활체육 신체증진 프로그램ʼ의 실행에 있어서 중앙 정부
내 부서에 역할 부여,

■ 법률 및 규정을 대한 연구와 제정, 대중 체육 조직 개발 계획 수립,


풀뿌리 수준에서의 대중 체육 기관(단체) 개발 지시,

■ ʻ사회 내 체육을 위한 관리자ʼ 시스템에 관한 정책 및 규정 초안 작성,

■ 대중 체육을 위한 자발적 서비스의 중기 메커니즘 수립

■ 농부, 노동자, 여성, 군대, 소수 민족, 노인, 장애인 및 특정 사회


부문과 산업과 관련된 체육 업무 지시,

■ 부서 지도자로부터 할당된 과업 처리;

- 시설관리실(Facility Office):

■ 대중 체육 시설 건설을 위한 계획 및 규범 초안 작성,

■ 대중 체육 시설의 건설과 관련된 전국 정책으로부터 할당된 과업의


조정 및 성취하기,

295
해외 스포츠 정책 동향 분석 – 체육행정 거버넌스 및 주요 이슈 관련 정책 비교 -

■ 대중 체육 시설 건립에 투입되는 (전국 및 지역) 복권 기금의 투자


지시 및 촉진하기,

■ 대중 체육 시설들의 운용 및 관리 지시하기,

■ 부서 지도자로부터 할당된 과업 처리;

- 국장실(Director's Office):

■ 대중 체육의 행정 및 운용 시스템을 수립하기 위해 GAS를 조정 및


보조하기, 실제 ʻ생활체육 신체단련 프로그램ʼ의 실행에 있어서 GAS
소속 부서들의 역할 부여하기;

■ 전국적이고 모범적인 대중 체육 활동과 프로그램을 지시 및 조정,


촉진하기

■ 대중 체육 활동, 프로그램, 대회들을 조직 및 운영하는 ʻ직접적으로


소속된 기관ʼ과 전국 체육 협회와 관련된 행정센터 지시하기;

■ 신체 운동을 위한 전국 규범의 실행을 지시하기;

■ 대중 체육에 참여하고 이를 고취시키는 시민 사회 내 자원을 지시


및 조정하기;

■ 부서 지도자로부터 할당된 과업 처리;

중국 전국 수준에서, 모든 체육 협회 내에는 대중 체육 개발을 책임지는


사무실이 있다. 그러나 체육 협회들이 사실상 체육 행정 센터들에 전적으로
종속된 조직이라는 성격을 감안할 때, 이러한 사무실들 또한 실질적으로 각
센터들 내 기관들이라고 할 수 있으며, 정부로부터 재정적 지원을 받고 있다(최
근 독립한 CFA의 사례는 예외적임). 중국 농구 협회의 사례를 보면, CBA의
상설 조직으로 정의되는 농구 행정 센터에는 7개의 사무실이 있다. 청소년

296
Ⅲ. 국가별 스포츠 정책 거버넌스

부서와 시민 사회 내 스포츠 발전을 위한 부서는 청소년 축구 선수의 육성과


풀뿌리 농구의 발전을 담당하고 있다. 앞서 언급된 것 같이, 지역 수준에서의
GAS에 상응하는 기관은 지역 및 성 단위의 체육 행정기관이다. GAS내 대중
체육 부서가 있듯이 지방 체육 행정기관들도 대중 체육을 담당하는 부서를
두고 있다. 부서들은 GAS 내 대중 체육 부서들과 유사한 직무를 지역 또는
성 단위에서 수행한다. 이러한 부서들 또한 정부 기금으로부터 재정적 지원을
받아 운영되고 있다.

ʻ스포츠 강대국화ʼ 개념의 영향 및 최근 스포츠 산업에 대한 관심의 증가로,


ʻ생활체육ʼ과 관련된 비즈니스는 급격히 발전되고 있다. 2015년 실시된 전국
조사에 따르면, 중국 내 체육 인구는 2009년 이후 2014년까지, 26%에서
40%로 증가했다. 이는 대중 체육 분야가 잠재적으로 팽창중인 시장임을 보여준
다. 체육 산업에 의한 전체 GDP의 약 80%를 스포츠 용품 제조업과 판매가
차지하고 있으며, 나머지 20%는 엘리트 체육과 오락, 체육 시설 제공, 레저와
신체단련 서비스, 훈련 및 코칭 등 기타 부문에 의하여 생산된다12). 현재의
생활 체육은 체육 산업의 미래 성장을 위한 상당한 가능성을 제공하는 미개발
영역이라고 할 수 있다. 대중 체육에 참여하는 민간 부문의 이해관계자들은
시설 임대와 운영, 훈련 및 코칭, 그리고 행사 조직 및 운용 등의 서비스를
제공한다. 그러나 중국 사회 내 대중 체육 참여자의 대다수는 조직화되지
않거나 덜 조직화된 방식으로 신체 활동에 참여하고 있다. ʻ생활체육ʼ 클럽들은
중국적 맥락 안에서 보통 ʻ체육관(운동)ʼ으로 번역된다13). 예를 들어, 중국
내 상업적인 ʻ생활체육ʼ 클럽들을 특징짓기 위한 시도의 작업에서, Chen과
Xiang(2011)은 여전히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체육 조직들이 아닌, 상업적
체육관들의 상이한 종류들을 논의하기에 그친다. 생활 체육 행사를 조직하는
것은, 최근 몇 년 동안, 상당한 상업적인 관심을 받아왔다. 대표적인 예로
로드 레이스(road race)가 있다. 마라톤의 경우, 2014년 50개가 넘는 마라톤

297
해외 스포츠 정책 동향 분석 – 체육행정 거버넌스 및 주요 이슈 관련 정책 비교 -

행사가 중국에서 조직되었으며, 80만 명의 사람들이 참가했다. 2011년에는


이 (마라톤 행사) 숫자가 불과 22개였다. 마라톤뿐만 아니라, 단축마라톤(10k
race), 크로스 컨트리 같은 경주들의 인기가 계속 증가하는 추세이다.
Lou(2015)에 따르면 2015년 첫 반기 동안 중국에서 302개가 넘는 로드
레이스 행사가 열렸다. ʻ러닝 케이크(running cake)ʼ로 알려진 마라톤은 주최자
들에게 새로운 고수익 사업으로 여겨진다. 예를 들어, 2015 베이징 마라톤의
총 등록비는 6백만 위안을 상회하였고, 2014 항저우 마라톤은 1백만 달러
이상의 수익을 주최 측에 안겨주었다.

3) 학교 스포츠 거버넌스

중국의 학교 체육은 두 개의 카테고리로 나뉜다. 하나는 일반 학교 시스템이


고, 다른 하나는 체육 학교 시스템이다. 비록 이러한 두 개의 시스템 모두
교육부와 GAS에 의하여 공동으로 관리되고 있지만, 각각의 기관은 상대보다
더 ʻ영향력 있는ʼ, 고유의 영역을 가지고 있다. 일반 학교와 대학 내 체육은,
교육부 내 체육·위생·예술부서(Department of Sport, Hygiene and Arts:
DSHA)에 의하여 행정관리를 받는다. DSHA는 교사를 위한 훈련을 제공하고
국제 대회에 대표단을 파견하는 지침 및 교과서와 관련된 정책 공표를 관장하고
있다16). DSHA에는 네 개의 사무실이 있으며, 그 중 하나는 체육에 관한
사안들을 다루는 스포츠실(Sport Office)이다. 학교 체육에 관여하는 두 개의
연맹이 있는데, 하나는 중국대학스포츠연맹(Federation of University Sport
of China: FUSC)이고, 다른 하나는 중국학교스포츠연맹(China School
Sport Federation: CSSF)이다. 이 각각의 연맹들은 대학 스포츠와 초·중·
고등학교 스포츠를 소관으로 하며, 두 스포츠 연맹은 모두 교육부에 의하여
관리된다17). 그러나 이렇게 두 개의 연맹들 또한 ʻʻGAS와 중국 내무부
(Ministry of Civil Affair)의 기술적 지침, 관리, 그리고 행정ʼʼ을 따른 다는

298
Ⅲ. 국가별 스포츠 정책 거버넌스

것은 주목할 만하다. 학교 체육 시스템은, 아마추어 체육학교들의 기본적


수준인, 전문(Zhuanye) 스포츠의 국가적 ʻ3단 훈련 네트워크ʼ의 중요한 구성요
소이다. 통상 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들은 방과 후 시간 동안 아마추어
체육 학교에 참여하고, 다양한 스포츠의 기본적인 기술을 연습한다. 다음
단계에서, 학생들은 정규 과정의 상급 체육 학교에 의하여 선발된다. 또한
이들은 보통, 지역 스포츠 팀이나 지역 청소년 팀 소속 단원들로서, 상급
체육 학교로부터 전문(Zhuanye) 시스템의 재정을 통하여 보조금을 받는다.
한편, 베이징 체육대학교는 GAS의 직속 대학교이다. 비록, 3단계 훈련 네트워
크의 상위 레벨에 속하는 모든 국가대표팀 선수들이 베이징체육대학교의 학생들
은 아니어도, 국가 챔피언과 올림픽 메달리스트의 대다수가 은퇴 후에, 베이징
체육대학교에 진학하고 있다. 중국 축구의 저조한 성과의 결과로서 오랫동안
힘든 시기를 겪어 온 사립축구학교들을 제외하고, 학교체육의 대부분은 교육부
나 전문(Zhuanye) 스포츠 시스템을 통해 정부 보조금을 받아왔다. 지역 및
성 단위의 학교 체육 거버넌스는 전국 수준의 거버넌스와 거의 같다. 보통
학교에서의 체육은 지역의 교육국/부서/위원회 내의 위생·예술·체육 담당
사무실에 의하여 행정 관리되고 기금을 받으며, 체육수업(physical education)
또는 학교간 대회를 통해 이루어진다. 체육학교가 지역 체육국에 의하여 관리되
는 반면, 체육 대학교의 경우, GAS나 지방 정부가 공동으로, 혹은 지역정부(의
교육부서) 단독으로 행정·운용한다.

사립 회사 및 단체들은 학교체육과 관계를 맺어오거나, 학교 연령대의 어린이


들에게 훈련 서비스를 제공하여 왔다. 이러한 사설 단체들은 훈련비용을 통한
이윤 창출을 목적으로 하거나, 전문(Zhuanye) 시스템이나 축구 및 농구와
같은 프로 리그 소속 팀들에게 유망주들을 제공하면서 이윤을 얻는다. 그러나
잘 구축된 ʻ3단ʼ 훈련 네트워크와 프로 클럽에 소속된 청소년 팀 및 교육기관들로
인해, 사설 단체가, 전문(Zhuanye) 시스템이나 프로 리그와 연결되거나 통합되

299
해외 스포츠 정책 동향 분석 – 체육행정 거버넌스 및 주요 이슈 관련 정책 비교 -

는 데 성공한 사례는 거의 없다. 2014년, 중국 프리미어 리그 내 클럽에


2억 위안에 팔린 젠바오 축구 단지(Genbao Football Base)는, 외부 조직으로부
터 정상급 프로 축구선수가 배출된 극히 드문 사례이다18).

4) 장애인 스포츠 거버넌스

비록 1949년 중국이 수립된 이후 기획된 장애인 체육 행사가 다수 존재하였지


만, 1980년 초기 전까지 공식적인 장애인 체육 기구는 설립되지 않았었다.
1983년, 중국 장애인 체육 협회(China Sports Association for the Disabled)
가 수립되었으며, 2년 후 중국 스페샬 올림픽(Special Olympic China)이
출범했고, 일 년 뒤인 1986년 중국 청각장애인 체육협회가 뒤이어 세워졌다.
장애인 체육 행정의 제도적 구조, 특히 패럴림픽과 관련된 장애인 체육의
행정은 비장애인 체육, 특히 엘리트 체육의 양식을 따라 왔다. 장애인 체육
행정기구(China Administration of Sports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는 장애인 체육에 업무에 관한 GAS에 상응하는 조직으로 운영되며, 직접적으로
는 장애인 체육의 국가대표팀을 행정 관리 한다. 이는 2003년 설립된 이전의
중국 패럴림픽 체육 행정기구(China Administration of Paralympic sports)
로부터 변형되었다. 중국 패럴림픽 체육 행정기구의 이전 모델은 1993년에
설립된, 중국 장애인 체육 연맹(China Disabled Person's Federation, CDPF)
의 체육 부서이다.

장애인 체육 행정기구는 CDPF의 비영리 직속 유관기관으로, CDPF로부터


모든 재정적 지원을 받고 있다. 이들은 장애인 올림픽 위원회(National
Paralympic Committee)의 사무 부서라는, 또 다른 (비정부적) 정체성도
가지고 있으며, CDPF와 중국 내무부의 지침과 감독 아래 업무를 수행한다.
GAS의 대중체육 부서는 또한, 이 기관에 대해 간접적인 감독을 한다. 또한,
장애인 체육 행정기구는, 중국 청각장애인 체육협회와 중국 스페셜 올림픽의

300
Ⅲ. 국가별 스포츠 정책 거버넌스

행정을 관할하고 있다. 지역 및 성 단위 차원에서, 장애인 체육을 위한 체육의


제도적인 구성은 전국 수준의 양식을 따른다. 장애인 체육 행정기구가 지역
장애인 연맹의 문화부서(혹은 체육 센터)의 이사직을 임명하는데 권한을 가지고
있음은 주목할 만하다. 장애인 체육과 연관된 민간 부문의 기관들은 그 수가
적다. 예를 들어, 장애를 지닌 사람들은 보통 CDPF나 지역 DPFs가 관리·운용
하는 스포츠 시설에 의존한다. 그러나 이러한 시설들의 수는 장애인들의 수요를
충족시키기에는 불충분한 것이 사실이다. 민간 부문의 단체들에 의하여 제공되
는 스포츠 시설들은 일반 고객들에게 부과하는 수준의 높은 사용료를 청구하거
나, 안전상의 이유 또는 특수목적 장비와 지도자들의 부족을 이유로 장애인들에
게 거의 서비스를 제공하지 않고 있다.

바. 중국 스포츠 정책 주요 이슈 동향

1) 최신 스포츠 정책 동향

가) 엘리트 스포츠 정책 수립의 최신 동향

중국 체육 역사에서 가장 중요한 사건 중 하나이면서, 지난 10년 간 중국


엘리트 체육 정책의 방향에 가장 큰 영향을 미쳐온 이슈는 2008년 베이징
올림픽의 개최였다. 중국이 2008년 올림픽 개최지로 선정된 이후, 두 가지
모순적인 방향 사이에서 중국 엘리트 체육 정책에서의 권력 균형의 변화가
있었다. 전국 체제(Juguo Tizhi)인 중국 엘리트 체육의 개혁의 촉진과, 지속적
으로 엘리트 체육 성과의 만족스러운 수준 제공을 겨냥한 전국 체제(Juguo
Tizhi)의 기술적 유지가 그것이다. (1993 정책과 올림픽 전략의 첫 번째 판은
2001년 이전 정책 경향을 위한 좋은 사례들을 제공한 바 있다.) 베이징이
2008 올림픽 개최지로 선정된 이후, 전국 체제(Juguo Tizhi)는 중국 엘리트
체육 정책의 초점이 되었고, 중국 엘리트 체육 담론으로 강조되었다. 그러나

301
해외 스포츠 정책 동향 분석 – 체육행정 거버넌스 및 주요 이슈 관련 정책 비교 -

그 이면에는 개혁과 관련된 내용이 정책 의제에서 점진적으로 축소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개혁의 소외는 세 가지 방식으로 나타났는데, 첫째 내용과
관련된 개혁의 배제, 둘째 2001년 이전 시대의 전국 체제(Juguo Tizhi)를
답습한 피상적인 개혁, 그리고 마지막으로 개혁 담론의 왜곡 등이다. 마지막으로
언급된 개혁 담론의 왜곡은 전국체제를 옹호하는 관점에서의 개혁에 대한
해석과 중국 엘리트 스포츠 정책 환경 개혁에 대한 자발적인 침묵을 뜻한다.
당시 중국 주석이었던 후진타오(2008)가 언급한 ʻ스포츠 강대국화ʼ 개념은
2008년 이후 중국 엘리트 체육 정책 개발에 본질적으로 영향을 미쳤다. 후진타
오 주석은 2008년 베이징 올림픽의 개최를 축하하면서, ʻʻ스포츠 거인ʼʼ에서
ʻʻ스포츠 강대국ʼʼ으로의 중국 체육 상태의 변화를 제안했다. 중국 엘리트 체육의
정치적 본질과 중국 체육 당국의 관료적 본질 등 중국 사회의 특성을 고려할
때, 이러한 개념이 곧 2008년 이후 중국 엘리트 체육 개발의 방향으로 정의되었
음을 알 수 있다. 비록 후진타오가 개념의 상세한 부분까지 언급하지 않은
까닭에 그 후 이러한 개념은 수많은 이해관계자들에 의하여 다양하게 해석되었
지만, ʻ스포츠 강대국화ʼ는 보통 중국 엘리트 체육 개혁의 증대하는 강조를
고취하는 개념으로 인식되고 있다. 베이징 올림픽 이후 중국 엘리트 체육의
개발과 함께, 엘리트 체육 개혁은 정책문서들에서 점점 더 강조되고 있다.
예를 들어, 2009년 체육부 장관의 연례 담화에서 대중 체육에 초점을 둔
섹션은 담화의 핵심으로 주목 받았다. 현 중국 주석인 시진핑에 의해서도
강조되고 있는 체육 산업과 관련된 특별 정책들(2014 중국국무원 총무부;
2014 중국국무원) 또한 2008년 이후 시대에 발행되었다. 실제로, 지금까지
반복적으로 언급되어 온 중국 축구 거버넌스에 있어서 최근의 주요한 변화는,
중국 엘리트 체육 개혁의 핵심적인 움직임으로 여겨진다.

302
Ⅲ. 국가별 스포츠 정책 거버넌스

나) 생활 스포츠 정책 최신 동향

지난 10년 동안, 전국 차원에서 발행된, ʻ생활 체육ʼ에 초점을 두고


"2011-2015생활체육 신체단련 프로그램"이 수립되었다. "생활체육 신체단련
프로그램"의 초판은 1995년에 발행되었고, 1995년에서 2010년까지의 기간을
다룬 바 있다. 2011년 프로그램의 목적은 아래와 같이 정의된다.

1) 향후 체육 참여를 촉진시키고, 정기적으로 체육에 참여하는 사람 수 증진

2) 증가하는 체육 참여의 결과로서 시민의 건강 상태를 증진

3) 체육 참여를 위한 서비스를 완벽하게 하기, 개선에 의한 조건, 환경,


지원, 체육 참여의 상징화

"전국 신체관련에 관한 규정"(중화민국 국무원, 2009b은 법률 문서이고,


따라서 관련 분야에서 법적 강제력을 가지고 있다. 이 문서는 체육부 장관에
의하여, 아래와 같은 법령으로 해석된다.

■ 국민은 레저와 신체단련 활동에 참여할 명확한 권리를 갖는다.

■ 대중 체육 진흥의 다양한 수준에서 정부의 책임이 강조된다.

■ 다양한 사회 집단을 위한 체육 참여를 더욱 조장하고 고취하여야 한다.

■ 일반 대중을 대상으로, 기존 체육 시설들을 개방하는 것을 크게 독려한다.

■ 체육 참여를 위한 서비스를 표준화하고, 체육 참여에서의 안전 문제를


보장하며 더 나아가서 체육 산업과 시장의 발전을 촉진한다.

덧붙여, 체육 사업의 개발을 촉진하는 정책은 중국 내 체육 산업 개발과


생활 체육의 제한적 발전을 강조한다. 생활 체육은 단지 참여자들의 건강상태를
증진시킨다는 유익함 때문만이 아니라, 잠재적 경제발전을 제공하는 기회라는
인식이 중국 체육 정책 내에서 형성되고 있다. 건강 상태 조사, 체육 시설들에

303
해외 스포츠 정책 동향 분석 – 체육행정 거버넌스 및 주요 이슈 관련 정책 비교 -

관한 법률들을 위한 기준과 같이 다른 더 특별한 계층에 집중하는 정책들도


있다15). 지역 및 성 단위 수준에서, 상응하는 정책들이 지역사회 제도의
상이한 수준에 맞춰 정부에 의하여 발표되었다. 예를 들어, 중국 내 각각의
성에는, 전국 "생활체육 건강관리 프로그램"과 유사한 내용을 가진 지역의
"생활체육 건강관리 프로그램"이 있다. 지역에서 발행된 프로그램들은, 지역의
특성을 담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다) 학교 스포츠 정책 최신 동향

학교 체육과 관련된 정책들은 보통 두 개 혹은 그 이상의 기관들이 공동으로


공표한다. "전국 학교 축구의 증진에 관한 GAS와 교육부서의 견해"(GAS&중국
의 교육부, 2013)와 같은 이러한 정책들은, 일반적으로 엘리트 체육보다는
학교 체육에 초점을 둔다. 시진핑 주석의 학교 체육에 관한 최근의 강조와,
지속적으로 저하하는 추세에 있는 학생들의 건강 상태 때문에, 학교 체육은
점점 더 정책 의제에서 중요시 되고 있다. 학생들의 건강상태 악화는, 학술적
성취와 성공적인 커리어를 강조하는 사회 분위기, (이로 인한) 중국 사회 내
높은 압박, 그리고 신체 운동을 경시하는 전통적인 중국 문화의 결과라는
주장이 제시되고 있다. N. Liu et al.(2009)는 학교 체육과 관련된 정책의
세 가지 관점을, 교육을 지향하는 것, 엘리트 체육을 지향하는 것, 군대를
지향하는 것 등으로 정의한다. 학교 스포츠에서의 교육적 기능, 즉 첫 번째
관점이 집중하는 정책은 21세기 이후 정책 의제에서 더더욱 강조되어 왔다
(ibid). 이 관점에서 만들어진 정책들은 일반적으로, 학생들의 건강상태 증진,
PE(체육교육)수업 내용의 개정, 학교 밖 신체 활동, 교내 체육시설 개선,
학교체육 내 안전 문제, 그리고 저개발 지역 내 학교 체육의 개발 등의 이슈를
포함하고 있다.

304
Ⅲ. 국가별 스포츠 정책 거버넌스

라) 장애인 스포츠 정책 최신 동향

엘리트 수준에서의 장애인 체육 정책을 볼 때, 중앙 정부에서 발행한 세


가지의 중요한 정책 문서가 있다.

1. 장애인 전국 대회에 관한 정부안,

2. 장애인의 체육의 계층화(Hierarchizing)에 대한 국가 정부안,

3. 장애인 체육의 전국 운동선수 등록에 관한 정부안,

일반적으로 혹은, 대중 체육 수준에서의 장애인 체육 정책을 보면, ʻ견해


(opinions)ʼ로 명명된 세 개의 정책들이 있으며, ʻ공지(notification)ʼ이라고
명명된 한 개의 정책들이 있다. 이들을 보면:

1. 장애인 사안 개발의 진흥에 관한, CPD 및 국무원의 중앙 위원회의 견해,

2. 향후 장애인을 위한 스포츠 발전에 관한 국무원의 총괄 사무실의 견해,

3. 새로운 영역에서의 일반적 수준에서, 장애인을 위한 꾸준한 체육 업무


강화에 관한 견해,

4. 전국 신체단련의 날에서의 활동 조직을 위한 공지(CDPF, GAS, 그리고


다른 정부기관이 공동으로 공표)

덧붙여, "중화민국의 장애인 법률(the people with disabilities act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에도, 관련 내용이 들어가 있다. 그러나
장애인의 체육 참여에 관한 전국적인 조사는 없다. 사전연구에서 장애인의
체육 참여에 관한 묘사는 이론적 추론을 통하여 만들어 지고 있으며, 때문에
이러한 통계들은 통계적으로 무의미하게 여겨진다.

305
해외 스포츠 정책 동향 분석 – 체육행정 거버넌스 및 주요 이슈 관련 정책 비교 -

2) 스포츠 정책에서의 양성평등

가) 성 평등에 관한 엘리트 스포츠 정책

남성과 여성의 성 평등을 고취시키는 것은 사회주의의 우월성의 징후로서


묘사 되어 왔으며, 이에 중국 정부에 의하여 강조되어 왔다. 최초 개최 년도인
1959년에서 7회째인 1993년까지의 중국 전국대회를 예로 보면, 여성 경기는
모든 행사에서 거의 50% 가량을 차지하고 있다(가장 낮은 경우는 43.9%,
가장 높은 경우는 55.7%). 비록 이후 이 비율이 감소하였으나, 여전히 전국대회
에서의 여성 및 남성 사이 경기의 비율은 올림픽 게임에서의 비율과 일치하는
수준이다(Lu, 2009). 이러한 상황은 올림픽 경기 방식의 중국 대회라는 전국경
기의 본질과 ʻ내부에서 준비하고 외부에 대항하여 겨루기ʼ라는 대회 목적에
부합하는 것이다. 중국의 여성 선수들은, 중국이 1984년 로스앤젤레스 올림픽
에서 사상 첫 번째 금메달을 획득한 이후, 그들 동년배의 남성 선수들보다
상대적으로 더 성과를 거두어왔다. 혼성 경기에서의 3개 올림픽 금메달을
제외하고, 117개의 올림픽 금메달이 중국 여성 선수들이 획득한 것이다. 이는
중국 남자 선수들이 획득한 메달 수에 비하여 36개나 많은 것이다. 평균적으로,
중국 여성 선수들은 각 올림픽 경기에서 남성 선수보다 4.5개 많은 금메달을
획득해왔으며, 2012 런던 올림픽에서 그 차이는 9개였다. 중국 선수들의
세계대회 우승 관한 성별 사이의 차이는 그리 크지 않다. 중화민국 수립 후
1966년 문화대혁명이 발생하기 전까지, 세계선수권대회에서는 남자 선수들이
더 많이 우승하였다. Lu(2009)는 1966년에서 1976년까지의 여성들의 더
나은 성적을 거두는 이유가, 정치적, 문화적, 사회적 담론 속에서 남성 같은
여성형의 강조를 통해 여성 해방이 미래지향적으로 인식되었던 정치 풍토와
관련된다고 주장하였다. 문화 대혁명의 지난 3년 동안, 중국 선수들이 세운
15개의 모든 세계 기록들은 모두 여성 경기에서 나왔다. 비록, 1978년에서

306
Ⅲ. 국가별 스포츠 정책 거버넌스

1986년까지 중국 내 여성 세계 챔피언이 더 적어지긴 했으나, 중국 여성


선수들은 1988년 서울 올림픽 이후, 올림픽에서 여성 경기 증가와 맞물려,
과거 수준의 지위를 회복하였다. 중국 여성 선수들의 뛰어난 경기력은 다른
나라와 비교할 때 중국 여성 선수들이 누리고 있는 상대적 이점의 결과로
인식될 수 있다. 중국 여성 선수들은 중국 엘리트 체육 전략적 계획의 수혜를
받고 있다. 예를 들어, 2001년 계획(GAS, 2002, p.1)을 보면, "수영과 다이빙에
서의 여성 경기는 우선적으로 여겨져야 한다…[우리는] 여성 탁구, 배드민턴,
다이빙, 역도, 체조, 그리고 유도에서의 우리의 강점을 요새화하고 강화 [해야
한다]…[우리는] 2008 올림픽에서 만족스러운 결과를 얻고자 노력하기 위하여
여성 배구, 축구, 소프트볼, 농구, 하키, 그리고 핸드볼 경기에 집중[해야한다].ʻʻ
고 명시되어 있다. 실제로, 전국 체제(Juguo Tizhi) 또한 중국 여성 선수들의
상대적인 이점을 야기하는데, 중국 여성 선수들은 전문(Zhuanye) 시스템에서
의 남자 선수들과 유사한 지원을 제공받는다는 점이다. 예를 들어, 특히 유도,
레슬링, 탁구 등의 국가대표 팀에 소속된 여성선수들은 국가로부터 남성 훈련
파트너를 제공받는다. 이러한 국가적 지원은 비록 비인기 종목이라 할 지라도
특정한 종목의 개발을 위하여 풍부한 자원이 투자될 수 있음을 뜻한다. 예를
들어, 중국은 아테네 올림픽에서 새로 채택된 종목들에서 7개의 금메달을
획득했으며 이 중 6개가 여성 경기에서 나왔다(IOC, 2005).

나) 성 평등에 관한 생활 스포츠 정책

양 성별에서 체육에 참여하는 인구수가 증가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성 평등이


나 체육의 여성 참여에 관하여 특별히 강조하는 정책은 드물다. 그러나 성
평등에 관한 개략적인 문구는 들어가 있다. "생활체육 건강관리 프로그램"의
1995년 버전을 보면, ʻʻ신체 건강, 여성과 노인의 건강 문제에 관심을 기울여야
하며, [우리는] 그들이 체육에 참여하도록 활발히 지원 [해야 한다]. 고된

307
해외 스포츠 정책 동향 분석 – 체육행정 거버넌스 및 주요 이슈 관련 정책 비교 -

노동을 수행하고 한정된 자유 시간을 갖는 여성 노동자들의 체육 참여에는


특별히 관심을 가져야 한다.ʼʼ고 명시되어 있다. "2011-2015년 생활체육 신체
단련 프로그램"을 보면, 여성 복싱은 모든 성별의 젊은이들 사이에서 인기가
있으며, 신체운동의 전국 기준 내 참여자의 나이에 따라 8개의 그룹으로 구분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다) 성 평등에 관한 학교 스포츠 정책

중국 체육의 다른 영역 내 정책들과 유사하게, 성 평등 문제와 관련된 진술들은


학교체육의 정책 안에 포함되어 있으나, 단지 암시적인 방법으로 나타날 뿐이다.
예를 들어, "의무 교육 규정들에 관한 기준"(중국 교육부, 2014, P. 1)에는
ʻʻ체육교육 과정에 있어서 (…) 여학생들의 특성에 특별히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으며 (…) 여학생과 남학생을 위한 합동의, 그리고 분리된 활동들을 조직하는
사례들을 통해, 여학생들이 자신들의 특성에 맞게 독립적으로 그들의 교과목들
을 선택할 수 있도록 보장하기 위해서ʼʼ라고 명시되어 있다. 비록 이 분야에
대한 학문적 관심은 있을지라도, 그러나 여전히 성 평등 문제에 관한 특별한
정책은 공표되지 않은 상태이다.

라) 성 평등에 관한 장애인 체육 정책

성 평등과 관련한 사안을 볼 때, 정책에는 미미한 수준의 일반적인 자유재량과


암시가 있으나, 그 어떤 문서도 특별하게 이 문제에 대해 집중하고 있지는 않다.

3) 스포츠 정책에서의 민관협력

가) 엘리트 스포츠의 사례

전국 체제(Juguo Tizhi) 개혁의 주요 목표인 중국 엘리트 체육 행정과

308
Ⅲ. 국가별 스포츠 정책 거버넌스

운영의 조합처럼, 프로 리그를 관리하는 GAS와 NGBs는 프로 리그의 행정관리


와 운영에 영향력을 가진 이해당사자라고 할 수 있다. 특히 해당 지역 내
전문 클럽들에 관하여 영향력이 있는, 지방 체육 행정기관(Provincial
Administrations of Sport) 또한 관할 지역 프로 구단들에게 상당한 영향력을
가지고 있는 이해당사자 중 하나이다. 전국 체제(Juguo Tizhi)에서 온 이러한
이해당사자(정부 또는 행정관료)들의 영향력은 다음과 같은 세 가지 통제력으로
요약될 수 있다.

1) 출전 자격의 통제

2) 인적 자원에 대한 소유 통제

3) 재정 보조금의 통제

예를 들어, 지방 체육 행정기관들은 CBA 프로 리그 참가권을 소유하기


때문에 프로 농구 팀의 소유권 이전은 체육 지방 행정기관의 승인을 받아야만
한다. 그렇지 않을 경우, 새로운 소유주에 의하여 소유되는 클럽은 같은 선수들
로 구성된 클럽이라 할지라도 프로 리그에 참가할 수 없다7). 더욱이,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프로 구단들 중의 극히 소수만이 민간 상업 분야에서 기인한
조직에게 소유되어 있다. 이는 프로 구단들이 대부분, 또는 최소한 부분적으로
는, 지방 체육 행정기관의 통제하에 놓여있다는 것을 뜻한다. 중국 프로 탁구
리그(Chinese Professional Table Tennis League: CTTL)는 이러한 관계를
상술하는 좋은 사례이다. 2012년 CTTL의 개혁이 있기 전에, 프로 클럽들은
선수들을 ʻ소유하지ʼ 않았으며 지방 전문(Zhuanye) 팀으로부터 선수를 임대해
야 했다. 이렇게 프로 클럽과 선수들 사이의 ʻ임대ʼ관계는 매년 2년 마다 종료되었
고, 모든 클럽들은 지방 전문(Zhuanye) 팀으로부터 선수들을 다시 임대하기
위해 입찰해야만 했다. 비록 개혁 이후, 이러한 ʻ임대관계ʼ가 4년으로 연장되었고
클럽들이 선수들을 다른 클럽으로 이적시킬 권리를 가지게 되었으나, 모든

309
해외 스포츠 정책 동향 분석 – 체육행정 거버넌스 및 주요 이슈 관련 정책 비교 -

선수들은 여전히, 전문(Zhuanye) 시스템에 의하여 조직되는 전국 선수권대회


와 같은 전국 대회나 다른 경기들에서 그들을 실질적으로 소유하고 있는 지방을
대표하여 경기에 참여해야만 한다.

한편, 지방 체육 행정기관들은 또한 프로 클럽들에게 재정적으로나 다른


측면에서 지원을 하고 있다. 예를 들어, 베이징시 시장이었던 궈진룽(Guo
Jinlong)은 베이징 배구팀과 이들의 스폰서인 베이징 자동차 그룹 간 스폰서쉽
체결의 배후에서 결정적인 역할을 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베이징 자동차
그룹의 스폰서쉽은 4,000위안 이하의 수준이었던 베이징 배구팀 선수들의
월수입을 1만 위안 이상까지 인상하는 효과를 가져온 바 있다8). 다른 예로,
비록 CBA 리그에 참여하는 베이징 쇼우강(Shougang) 농구팀의 선수들이
전문(Zhuanye) 시스템 소속이라기보다는 쇼우강 철강 그룹의 직원이라고
할지라도, 베이징 체육 행정기관은 쇼우강 아카데미의 모든 선수들이 엘리트
선수 대학 특별입학제를 통해 진학이 가능하도록 보장하는 계약을 클럽과
체결하고 있다9). 또한 그 선수들은 베이징시 영구거주권 획득에 있어서 우선적
으로 고려되고 있다10). 이에 더불어, 지역 체육 정부와 행정기관은 쇼우강
클럽과 그들의 홈 구장인 마스터 센터(the Master Center) 간 계약에도 배후에
서 영향력을 행사한다11). 그러므로, 체육 행정기관(Administration of
Sport)이 비록 프로 팀을 ʻ소유하지ʼ는 않고 있지만, ʻ부분적으로ʼ 지역 클럽을
소유하는 지방 정부기관들은 차치하더라도, 프로 클럽에 영향력을 미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나) 생활 스포츠의 사례

중국국무원은 정부문서인 "체육 산업 발전의 향후 가속화와 체육에서의


소비 촉진에 관한 국무원의 견해"(소위 '정책문서 46'으로 불림)를 통해 스포츠
산업의 발전에 있어서 대중 체육이 중요한 요소임을 공식적으로 언급한 바

310
Ⅲ. 국가별 스포츠 정책 거버넌스

있다. 이에 정부 다음과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시책을 명시하였다.

■ 시민 사회로부터의 투자 이끌어내기,

■ 레저와 신체단련 소비에 호의적인 정책 수립하기,

■ 과세 및 가격 정책 수립하기,

■ 토지 정책뿐만 아니라 공사 수주, 계획 수립에 관하여 정책 개선하기,

■ 고용과 관련하여, 운영관리자, 다른 재능 있는 사람들, 정책들의 함양


개선하기,

■ 혁신을 촉진시키는 무형 자산과 정책의 발전 수립하기,

■ 시장 환경 완벽하게 하기

실행을 위한 다양한 종류의 상세한 조치들을 포함하는 이러한 정책들은,


민간 부문 이해관계자들의 체육 산업에 투자를 독려하였다. 대중 체육에 관하여,
아래와 같은 사항을 정책과제로 발표하였다.

1) 도시 지역과 지역사회 내 걸어서 15분 거리 이내(약 1000 미터)의 일반


대중을 위한 체육 시설,

2) 학생들이 강의 사이에 참여하고, 노동자들이 차 마시며 쉬는 시간 동안


참여할 수 있는 신체단련 계획,

3) 일반 대중들에게 무료로 혹은 낮은 가격으로 제공되는 시설들,

4) 학교 축구와 시민 사회 내 축구의 강한 진흥,

5) 레저와 신체단련 프로그램의 발전을 위한 진흥,

6) 운동 처방을 위한 진흥

311
해외 스포츠 정책 동향 분석 – 체육행정 거버넌스 및 주요 이슈 관련 정책 비교 -

중국의 생활체육 정책들은 이와 같이 상황에 맞춰 실행되어 왔다. 예를


들어, 일반 대중에게 서비스 또는 시설들을 제공하는 민간 회사를 위해서,
정부(대부분 지방정부)는 종종 보조금이나 지원 정책들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산둥성에 위치한 칭다오 시의 정부는, 싱싱(Xinxing) 체육 복합지구에 1억
2천만 위안을 들여, 장비와 연간 보조금을 제공했다. 이는 체육 복합지구
건설비용을 감소시킴으로써, 시민 사회를 대상으로 하는 서비스 비용을 낮추기
위해서다. 재정적 지원의 또 다른 사례로, 청소년들에게 굉장히 큰 인기가
있는 암벽 등반 훈련 및 시설인 ʻ톈타이(Tiantai) 스포츠ʼ에 칭다오 정부가
재정지원을 제공한 예가 있다14).

다) 학교 스포츠의 사례

중국 체육 내 다른 영역에서의 정부 역할과 같이, 정부 및 정부기관들 또한


학교 스포츠에서 지배적 역할을 하며, 독점적 방식으로 재정과 인적자원 등의
자원을 통제한다. 스포츠 산업 발전의 진흥에 대한 최근의 강조 덕분에, 스포츠
체육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설 기관들을 대상으로 하는 보조금과 다른 형태의
정부 지원이 점점 더 많아지고 있다. 그 사례로, 베이징 지방자치 체육부서가,
아이들과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훈련(프로그램)을 제공하는 단체들에게 지원하
는 특별 보조금을 들 수 있다19). 그리고 젠바오 축구 단지의 경우, 충밍현의
현장이 유명 중국 축구 감독인 축구학교 교장에게 선제적으로 부지를 제공하였
다20). 정부 부처 간 협력과 관련하여, 특히 교육 부문과 전문(Zhuanye)
시스템 내 기구들 소속 기관들 사이의 경우, 공동 협업에 대한 좋고, 나쁜
사례들이 남아있다. 중국의 최상위 대학들 중 한 곳인 칭화 대학교와, 중국
엘리트 체육의 ʻʻ자부심이자 드림 팀ʼʼ으로 알려진 중국 다이빙 대표팀 사이의
갈등은 나쁜 사례의 전형이었다(H. Li, 2009, p. 231). 1997년에, 칭화대는
중국 다이빙 국가대표팀의 전 부감독인, 유펜(Yu Fen)을 영입했다. 유펜은,

312
Ⅲ. 국가별 스포츠 정책 거버넌스

올림픽 메달리스트인 후밍샤(Fu Mingxia)21), 린유에(Lin Yue)22) 그리고


저우루쉰(Zhou Lvxin)23)을 포함한 칭화대의 수많은 일류 다이버들을 발굴하
고 훈련시켰다. 후밍샤를 제외하고, 이들 대부분은 칭화대 부속초등학교 이래
칭화 시스템 속에서 15년간의 훈련 및 교육 계약을 맺었다. 하지만, 2001년
GAS가 ʻ이중-등록ʼ 정책을 폐기한 후24), 이 시스템은 상당한 방해를 받게
된다. 정책이 바뀐 이후, 칭화에 등록된 다이버는 그 누구도 국가대표팀으로
선발되지 않았으며, 그 결과 칭화대 소속 다이빙 선수들은 대학 시스템을
떠나 전문(Zhuanye) 시스템의 지역팀으로 합류하기 시작하였다. 그들 중
몇몇은 전문(Zhuanye) 시스템의 일원으로서, 국가대표팀으로 선발되었다.
이러한 불화는 칭화대 감독인 유펜과 중국 다이빙 대표팀 지도자간의 반목에서
기인하는데, 둘은 어린 시절 지역팀에 속해있던 시절부터 라이벌 관계를 형성해
온 바 있다. 현재, 칭화에서 훈련하는 모든 선수들은 개인 취미로 참여하는
아마추어이거나, 교육 과정에서 대학과 아무런 관계를 가지고 있지 않은,
지역팀 소속의 어린 다이빙 선수들이다(X. Hu, 2015).

313
해외 스포츠 정책 동향 분석 – 체육행정 거버넌스 및 주요 이슈 관련 정책 비교 -

Ⅳ. 국가별 스포츠 정책과 주요 이슈

1. 스포츠 정책과 양성평등 이슈

각국의 대표적인 양성평등 관련 스포츠 정책을 보면 해당국이 가지고 있는


스포츠 참여에 있어서 성비 불균형의 문제를 인식하는 관점과 이를 해소하기
위한 접근법을 유추할 수 있다. 많은 경우, 스포츠 참여에 있어서의 성비
불균형은 남성에 비해 상대적으로 여성의 스포츠 참여율이 낮은 것에서 시작하
는 것을 감안하면, 한 국가의 스포츠 관련 양성평등 정책은 주로 여성의 스포츠
참여율 제고에 맞춰져 있다.

미국의 교육개정법 Title ⅸ은 연방정부보조를 받는 학교 스포츠 프로그램


활동에 있어서 성에 근거한 차별을 금지하는 것을 골자로 하는 법으로, 1972년
제정된 이래 미국뿐만 아니라 이외의 국가들에게도 시사적인 법안이 되었다고
할 수 있다. Title ⅸ이 여성에게 주어지는 스포츠 참여의 기회가 스포츠
활동은 남성에게 어울리는 것이라는 사회적 통념으로 인하 제한되고 있다는
점에 주목하였다는 것을 볼 때 이는 성인지적 관점에서 출발하였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기회의 불평등을Title ⅸ이라는 법을 제정함으로써 해소하려
하였다는 점에서 제도적인 방법으로 문제해결을 시도하였다고 볼 수 있다.

프랑스의 경우, 여성의 스포츠 참여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지만 여전히
남성에 비하여 낮으며, 특히 소외계층 여성들의 경우 그 차이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대처하는 프랑스의 정책의 특징은 미디어를 통한 스포츠 전달을
고려하였다는 것이다. 프랑스는 텔레비전을 통한 스포츠 관련 방송의 85%가
남성 스포츠에 관한 것이라는 점에 주목하여, 정부 차원에서 여성스포츠의

314
Ⅳ. 국가별 스포츠 정책과 주요 이슈

방송 중계를 늘리도록 권고 하고 있다.

일본은 중, 고등학교 수준에서 스포츠 클럽에 가입하는 여성의 비율이 남성에


비해 낮다는 점을 주목하여 여성의 낮은 스포츠 참여율의 원인이 어린 연령대에
서부터 기인한다고 판단하였다. 이에 중학교 단계에서부터 여성의 스포츠
참여를 독려하고 있다. 또한 일본 내 여성의 성 역할이 육아, 가사에 편중되어
있다는 점을 인식하고, 가사와 육아 사이에 쉽게 할 수 있는 운동을 개발,
보급하고 있다. 한편, 스포츠 분야에서 여성지도자, 위원, 임원의 수가 남성에
비해 극히 적다는 점을 고려하여 스포츠 관련 단체들로 하여금 여성을 등용할
것을 권고하고 있다.

독일은 여성의 스포츠 참여가 비교적 활발한 경우로 스포츠 클럽 내 여성회원


이 40%에 달하고 있다. 독일은 전체적인 여성의 스포츠 참여율보다는 스포츠
별로 참여하는 남녀의 차이가 크다는 점에 주목하고 있다. 이에 연령이 증가할
수록 남녀 간 선호 스포츠의 차이가 커진다는 점을 고려하여 학교 스포츠에서부
터 성별에 따라 참여하는 스포츠 종목이 나뉘는 현상을 변화시키려 하고 있다.
이를 위해 남녀가 같이 할 수 있는 스포츠를 도입하는 등의 정책을 시행하고 있다.

앞서 언급한 국가들이 여성의 낮은 스포츠 참여를 구조적인 측면에서 개선하


고자 접근한 반면, 영국은 여성의 낮은 스포츠 참여율이 여성이 가진 스포츠
활동에 대한 인식, 즉 개인의 내적인 원인에서 기인한다고 보았다. 이러한
전향적인 관점에 근거하여, 여성들이 가진 스포츠 활동의 이미지를 변화시키기
위한 메시지를 온-오프라인 미디어를 통해 전달하는 캠페인을 시행하고 있다.
여성의 스포츠 참여를 증진시키기 위한 접근성 개선이나 정보의 제공 같은
환경적인 측면에서의 지원과 더불어, 여성 스스로 스포츠 활동의 필요성을
깨닫고 행동하게 유도하는 이러한 캠페인은 전반적으로 큰 호응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315
해외 스포츠 정책 동향 분석 – 체육행정 거버넌스 및 주요 이슈 관련 정책 비교 -

중국의 여성 스포츠 정책은 사실상 스포츠에 있어서 양성평등을 추구하려는


의도보다는 여성 스포츠를 통한 이데올로기 과시라는 측면이 강조되고 있다는
점에서 다른 국가들과는 분리해서 다룰 수 밖에 없다. 중국은 국제 스포츠
대회에서 자국 여성 선수들이 우수한 성적을 거두는 것이 사회주의 체제의
우월성을 과시하는 수단으로 활용될 수 있다고 판단하고, 여성 엘리트 스포츠
선수들에 대한 지원을 남성 선수들과 동일하게 제공하는데 정책적 초점을
두고 있다. 이 외에 다른 분야에서의 양성평등 정책은 거의 없다고 볼 수
있다.

<표 Ⅳ-1> 각국의 스포츠 관련 주요 양성평등 정책


국가 정책 비고
교육개정법 Title ⅸ
성인지적 관점
미국 연방정부보조 프로그램 활동에 있어서 성에 근거한
제도적 접근 (법 제정)
차별 금지
여성스포츠참여율 제고 캠페인 (This Girl Can) 심리사회적 관점
영국
여성의 스포츠 활동에 대한 인식 변화를 통한 참여 유도 홍보, 캠페인
여성스포츠참여 사업 (정부-스포츠 단체 기본 협약) 성인지적 관점
프랑스
여성스포츠 중계 활성화 제도적 접근 (규정 등)
종목에 따른 남녀 스포츠 참여 차이 해소에 중점 사회적 관점
독일
남녀가 함께 참여할 수 있는 학교 스포츠 도입 제도적 접근 (가이드라인)
중학교 여학생, 주부의 스포츠 참여 제고 성인지적 관점
일본
스포츠 지도자, 위원, 임원의 여성 비율 고려 권고 제도적 접근 (법적 권고)
여성 엘리트 스포츠 선수 지원에 집중 도구적 관점
중국
학생, 생활 스포츠 차원의 정책 미미 제도적 접근

2. 스포츠 정책과 민관협력 이슈

본 연구에서 다루어진 대부분의 국가에서 스포츠 분야의 공공 부문과 민간


부문의 협력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었다. 다른 공공 시설 분야와 마찬가지로

316
Ⅳ. 국가별 스포츠 정책과 주요 이슈

스포츠 시설 분야에서의 민관 합작은 여전히 꾸준히 진행되고 있었다. 낙후된


공공 시설의 증·개축, 공공 스포츠 시설의 신축, 운영 등에 있어서 민간의
자본, 기술, 운영능력을 도입하는 방식은 대부분의 나라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
는 공공-민간 협력 방식이었다. 스포츠 시설의 건설, 운영에 관한 민관 협력이
오래 전부터 이루어지던 협력 방식이었다면, 스포츠 프로그램 운영에 있어서
민관협력은 서방 국가들을 중심으로 그 사례가 증가하고 있는 유형의 협력
방식이라고 할 수 있다.

주로 민간의 스포츠 클럽이 전문 인력,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 노하우를


제공하고, 정부 또는 지방자치단체들이 운영 자금, 시설, 제도적 지원을 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지는 스포츠 프로그램들은 학교 스포츠에서 대표적인 사례(영
국, 독일)들이 보고되었다. 이러한 프로그램의 주요 목적은 학교 스포츠에
민간 스포츠 클럽(주로 지역 스포츠 클럽)들이 접목되어 궁극적으로 국민의
스포츠 참여율을 높이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한편, 민간 기업이 엘리트 선수들의 고용에 참여하고 정부로부터 재정적,


행정적 지원을 직·간접적으로 받는 프랑스의 '직업 적응 협정'같은 경우는,
우리나라 엘리트 선수들이 지방자치단체 소속팀 또는 실업 팀의 소속 형식으로
선수 생활을 하는 것과 유사한 점이 많다. 추후 관련 주제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경우 해외 사례로서 활용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중국의 경우, PPP사례를 찾기가 힘들며, 민간영역도 사실상 정부의 영향하에


있는 특성 때문에 PPP사례가 있더라도 그것이 유의미한 사례라고 보기 어려운
점이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317
해외 스포츠 정책 동향 분석 – 체육행정 거버넌스 및 주요 이슈 관련 정책 비교 -

<표 Ⅳ-2> 각국의 스포츠 분야 공공-민간 협력 사례


국가 정책
스포츠 시설 신축, 정비 등에 공공과 민간이 합작 투자
미국 NCAA 협력 프로그램: 스포츠 산업 분야와 협력해 학생선수 및 코치 등을
대상으로 하는 리더쉽 프로그램 운영
위성 클럽(satellite clubs) 제도: 지역사회 스포츠 클럽(민간)이 스포츠 잉글랜
드(공공)의 재정지원과 학교(공공)의 시설지원을 받아 학교 내 스포츠 클럽을
영국
설치·운영하는 모델
청소년들이 학교에서 사회로 전환하는 시기에 스포츠 참여 영속성 증대
직업 적응 협정: 기업이(민간) 엘리트 선수들을 고용하면서 이들이 대회
참가 및 준비를 할 수 있도록 편의를 제공. 정부(공공)는 참여 기업들에게
프랑스
지원금 및 세제혜택을 제공
공공스포츠 시설 신축 및 운용에 있어서 민간기업과 BTO계약
학교의 종일제 도입, 학제 개편 등으로 인하여 학생들의 스포츠 클럽 이탈이
독일 증가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스포츠 클럽 행사를 학교 스포츠와 접목
학교와 스포츠 클럽 간의 공존 및 동반 성장 도모
민간자본 등의 활용에 의한 공공시설 등의 정비 등에 관한 법률: 공공시설의
건설, 유지관리, 운영 등에 민간의 자금, 경영능력, 기술적 능력을 활용하는
일본 취지
지정관리자제도: 민간단체가 '지정관리자'로서 공공 스포츠 시설을 관리 및
운영
일반 대중을 대상으로 하는 민간 스포츠 서비스 및 시설 제공 업체에게 정부가
보조금 지급 또는 지원 정책 시행
중국
정부에 의해 모든 스포츠 정책이 통제되는 특성상 유의미한 민관협력이 이루어
지지 않음

318
Ⅴ. 결론 및 제언

Ⅴ. 결론 및 제언

본 연구는 주요 국가의 스포츠 정책에 대한 자료를 수집, 분석함으로써


우리나라 체육정책에 활용할 수 있는 시사점의 도출을 목표로 하고 있다.
학술적인 측면에서는 본 연구를 통해 국가별 스포츠 정책 분야에서 비교적
ʻ경로의존성이론 ʼ이 적용되어 정책의 방향성에 있어서 일관적 기조를 보이는
현상이 드러난다. 본 연구에서 살펴본 6개국이 모두 엘리트 스포츠에 대한
지원에서 생활 스포츠와의 연계를 모색하는 정책적 방향성이나, 국가적 차원에
서 스포츠를 활용도를 극대화하기 위한 노력, 그리고 양성평등 및 민관 협력의
관점에서 스포츠 분야의 발전을 지속적으로 지원하고 있다는 점에서 그렇게
판단할 수 있다. 물론 엘리트 스포츠와 생활 스포츠, 학교 스포츠의 선 순환적
연계라는 방향성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부분들이 완벽히 합치되지 못하는
한계 역시 경로 의존성이론의 비효율적 특정 경로의 의존이라는 측면을 보여주
고 있다. 이러한 과정을 분석함에 있어 물론 국가적 정치, 경제, 사회, 문화적
특성의 차이에서 기인하는 방법론적 차이점은 물론 존재한다. 그러나 본 연구에
서 경로의존성 이론은 이러한 차이의 세부적인 부분을 고려하기 보다는, 정책의
방향성 측면에서 거시적인 부분을 고려한다는 면에서 적용된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의 방법적인 부분은 형식적인 측면에서는 기본의 국가별 비교 방법의


체계를 따르고 있지만, 정책내용의 분석적인 측면에서는 국가별 사례분석법을
준용하고 있다. 이 경우 개별 스포츠 영역의 특성에 따른 의미 및 적용의
현실적 상황을 보다 다층적으로 이해하고, 이를 통한 국내 스포츠 정책에의
적용을 위한 시사점에 집중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연구의 학문적인
성과와 정책 활용적 의의를 모두 고려할 때, 국별 비교는 거시적인 스포츠
정책의 방향성 도출에 영역별 집중 분석은 세부적 정책 수립 시에 활용도가

319
해외 스포츠 정책 동향 분석 – 체육행정 거버넌스 및 주요 이슈 관련 정책 비교 -

높을 것으로 기대한다.

1. 국가별 스포츠 정책 방향성

가. 미국 ʻ모든 국민의 평등한 스포츠 및 레크리에이션 참여ʼ

○ 1956년 아이젠하워 대통령에 의해 대통령 직속의 청소년체력자문위원회


ʻPresidentʼs Council on Youth Fitnessʼ 발족 (Kraus Weber Test
결과 미국 청소년들의 체력이 유럽 청소년들보다 뒤진다는 판단)

○ 1963년 케네디 대통령 때 전 국민 대상으로 확대하면서 ʻ대통령 체력


자문위원회로 대체

○ 1968년 존슨 대통령이 전 생애를 통한 스포츠 참여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하고 창설한 ʻ대통령 체력스포츠자문위원회ʼ를 통해 국민의 레크리에
이션 및 스포츠 활동에 대한 자문역할과 지방정부의 스포츠 시설에
대한 지원 및 지도역할을 수행

○ 1990년대에 들어 연방정부는 생활체육 간접 지원, 직접적인 활동은


지방정부 차원

나. 영국 ʻ전 국민의 생활 속 운동 습관화로 건강 증진ʼ

○ 1930년대부터 1950년대까지 청소년 체력증진 차원에서 정부개입

○ 1960년대 국제대회 상위 입상을 위해 엘리트 체육에도 관심

○ 1970년대 대중체육과 레크리에이션 기회를 확대하는 데에 관심을 가지면


서 시설 확충 기여(수영장 500여개에서 1300개 이상, 스포츠 홀 20여개에
서 1500여개)

○ 2008년 학교체육, 지역사회 스포츠 그리고 엘리트 체육을 포괄하는

320
Ⅴ. 결론 및 제언

국가 스포츠정책 비전과 방향을 제시 (ʻPlaying to Wing: A New Era


for Sportʼ)

다. 프랑스 ʻ스포츠의 순기능을 다각적인 공공복지 증진책으로 활용ʼ

○ 1960년대 국가가 직접 스포츠개발정책 수립

○ 1975년 마조(Mazeaud)법은 국가가 스포츠연맹 및 단체를 인증할 권한을


가지며 이들 단체와의 협력 하에 체육계 발전을 도모하는 역할을 수행할
것을 명시

○ 1984년 스포츠가 ʻ교육제도에 기여하며, 학습 낙오자들을 없애고 사회문


화적 불평등을 줄이는데 기여하는 것ʼ으로 명시, 국민전체의 공공이익을
증진해야하고 국가가 국민에게 의무적으로 제공하는 공공 서비스의 이념
을 구현하는 수단으로 규정

○ 1992년 국가의 체육발전, 교육, 안전에 관한 감시 역할을 강화

○ 2000년 사회 다각적 측면에서 순 기능으로 작용할 수 있는 스포츠

라. 독일 ʻ스포츠를 통해 풍요로운 삶ʼ

○ 분단 이후 서독 체육을 중심으로 볼 때, 1961년부터 15년 장기 계획으로


시작된 스포츠 진흥 계획(Golden Plan)은 국가차원의 스포츠시설 건설계
획으로 생활체육의 진흥이라는 일차적 목표 설정(1975년 14700개의
경기장, 15900개의 체육관, 3000개의 실내수영장, 2400개의 실외수영
장 31000개의 어린이를 위한 운동장이 건설)

○ 1970년대 생활체육 운동으로 트림 캠페인(Trimm) 시작(Trimm Dich


durch Sport-스포츠를 통한 건강증진)

321
해외 스포츠 정책 동향 분석 – 체육행정 거버넌스 및 주요 이슈 관련 정책 비교 -

○ 1983년부터 2차 트리밍 130(Trimming 130-건강운동 130)

○ 1987년부터 상업스포츠센터 확산에 따른 스포츠 클럽 위기극복을 위해


트림 캠페인 차원에서 ʻ함께 적극적으로-클럽스포츠가 최고ʼ (Gemeinsam
aktiv - Im Verein ist Sport am schönsten) 캠페인 진행

○ 1995년부터 트림 캠페인으로 스포츠 클럽 홍보 캠페인 중심

○ 2002년부터는스포츠의 사회적 기능에 대한 캠페인을 중심으로 전환

마. 일본 ʻ국가 및 지역사회 복지차원의 여가스포츠 활성화ʼ

○ 1960년대 정부 최초로 체육에 대한 정책적 개입 시작

○ 1961년 학교체육운동부 중심의 엘리트체육 시스템 확산을 위한 스포츠


진흥법 제정

○ 1970년대 사회체육의 붐을 일으키면서 체육 및 스포츠에 대한 기본적


정책방향 설정

○ 1989년 올림픽게임과 같은 국제경기를 위해 엘리트 체육진흥에 정책적


목표 설정

○ 1990년대 스포츠 진흥기금 설치로 엘리트 선수들의 훈련을 지원 (JOC Gold Plan)

○ 2000년대 생애 스포츠사회의 실현

바. 중국 ʻ스포츠를 통한 국민 체질 강화와 사회주의 물질문명의 건설ʼ

○ 1950년대 조직 체계가 국가 행정부처와 업무기관의 두 형태로 구성

○ 1960년대 체육관련 업무와 행정적 수요 증가에 불구, 기구와 인력이


축소되는 기현상

○ 1970년대 국제올림픽위원회 구성원으로 복귀하면서 엘리트 스포츠의

322
Ⅴ. 결론 및 제언

경기력 향상에 주력

○ 1980년대 시장경제 체제로의 전환과 체육의 사회적 가치에 대한 인식


전환으로 정부 주도의 체육관리 체제에 대한 개혁의 필요성 제기

○ 1990년대 중국체육의 발전방향이 ʻ사회화, 산업화로의 발전ʼ

○ 2000년대 체육사업 발전에 부합되는 조직의 구성과 사회주의 시장경제


체제에 맞는 운영방식 설정

2. 스포츠 영역별 거버넌스 비교

가. 엘리트 스포츠

1) 미국

○ 엘리트 스포츠에 대한 정부의 개입은 지속적으로 있어왔으나 법률과


행정적인 수단을 통한 직접적 개입은 이루어지지 않았으며, 정부의 엘리트
스포츠에 대한 지원은 미국올림픽위원회 및 아마추어 경기연맹 등을
통해 간접적으로 이루어졌다.

○ 미국 올림픽 위원회는 아마추어 스포츠 법을 통해 미국 아마추어 스포츠의


최상위조직으로 인정받았으며 엘리트스포츠 육성의 핵심적인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2) 영국

○ 엘리트 스포츠 관련 정책 수행은 기금 배분기관인 UK스포츠를 중심으로


이루어진다. 엘리트 스포츠에 대한 투자는 대부분 경기 종목 단체들을
통해 이루어지고 있으며 각 단체들은 엘리트 스포츠 프로그램을 운영하여
정부의 엘리트 스포츠 정책을 구체화한다.

323
해외 스포츠 정책 동향 분석 – 체육행정 거버넌스 및 주요 이슈 관련 정책 비교 -

○ 엘리트 스포츠에 대한 투자는 동, 하계 올림픽에 맞춰 4년 단위로 이루어지


며, 각 종목에 대한 투자규모는 철저히 국제대회에서의 성과를 기반으로
결정된다. UK스포츠를 통한 엘리트 스포츠에 대한 투자는 지난 5년간
지속적으로 증가하였다.

○ 월드 클래스 프로그램은 올림픽 종목 엘리트 스포츠 선수들을 대상으로


하는 대표적 프로그램으로 선수들에게 최적의 훈련환경을 제공하는 것과
더불어 보조금을 통한 직접적인 경제적 지원도 포함한다. 월드 클래스
프로그램 또한 4년 단위로 운영되지만, 장기적인 관점에서의 지원을
위해 실질적으로 8년 단위 모델로 운영되고 있다.

3) 프랑스

○ 엘리트 스포츠에 재정 지원을 하고 조직 구성에 참여하는 기관은 체육부


장관이 주재하는 엘리트 스포츠 국가위원회이다. 이 위원회는 정부, 프랑
스 올림픽 위원회, 엘리트 선수, 코치, 심판 및 지자체 대표들로 구성되며,
엘리트 스포츠 관련 정책적 방향을 설정하고 지원의 성격을 명확히 한다.
또한, IOC 주최 대회들에 참여할 대표선수들의 기준을 정하는 것도 이
위원회가 담당한다.

○ 개별 스포츠 연맹의 주도하에 스포츠 회사 또는 클럽들로 구성되어 창설된


프로리그는 독립적 법인격을 가지게 되며, 리그와 연맹의 관계 정립에
있어서 프랑스 체육 올림픽 국가위원회의 자문에 따른 행정법원의 결정에
따르게 된다. 이는 리그의 자유재량권을 보장하는 것으로 리그 관련
단체가 지속 가능한 성장을 할 수 있도록 경제적 기반을 마련함과 동시에
경기의 공정성을 보장하려는 의도이다.

○ 엘리트스포츠의 민간영역에 대한 국가의 지원은 공공시설물 사용과 재정

324
Ⅴ. 결론 및 제언

지원으로 이루어지며, 보조금 지원과 시설물 이용 등은 법적인 규정에


따라 이루어진다. 또한 지역 당국과 민간 스포츠 기업 간의 광고 또는
스폰서십의 계약도 법의 관리 대상이 된다.

4) 독일

○ 독일 정부의 엘리트 스포츠에 대한 지원은 스포츠 자치성의 원칙에 입각하


여 엘리트 스포츠 단체와 그 선수들을 돕는 후원자의 역할로 국한된다.
이는 독일 정부가 자체 프로그램을 운영하기 보다는 스포츠의 자가 행정에
관여하는 단체들에 참여하는 형태로 나타난다. 하지만 연방보조금을
통한 비공식적 개입은 충분히 가능하다.

○ 독일의 스포츠 연맹들은 독일 올림픽 스포츠 연맹(DOSB), 중앙정부,


독일 스포츠 원조와 긴밀한 협조 하에 엘리트 스포츠를 실질적으로 운영하
는 주체이며, 스포츠 연맹들에 대한 재정지원은 내무부 엘리트 스포츠
지원체계의 핵심이다.

○ 엘리트 스포츠를 위한 엘리트 선수 훈련 시스템인 '거점 시스템'은 '국립


올림픽 훈련 센터(19개소)', '국립 훈련 거점(약 200개소)', '국립 경기력
센터(4개소)'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는 엘리트 선수들의 훈련 빈도와 전문
성을 높이기 위해 도입, 운영되고 있다.

○ 독일 정부의 엘리트 스포츠 정책에 따라 군, 경찰, 세관도 엘리트 스포츠를


지원하고 있으며 이는 훈련 장소의 제공, 선수 및 코치를 위한 일자리
제공 등이 포함된다. 지난 올림픽들에서 군인 선수들의 메달 획득 비율은
약 50% 내외였으며, 엘리트 스포츠 육성에 있어서 군의 역할이 더욱
강조되고 있다.

○ 민간 자선단체인 독일 스포츠 원조는 비영리 기관 자격으로 대회 참가준비

325
해외 스포츠 정책 동향 분석 – 체육행정 거버넌스 및 주요 이슈 관련 정책 비교 -

선수 또는 과거 뛰어난 성과를 거둔 선수에게 금전적인 지원을 포함한


다양한 지원을 하고 있다. 독일 스포츠 원조는 정부의 지원을 받지 않고
있으며 후원, 기부, 자선 공연 등을 통해 재원을 조달한다.

5) 일본

○ 일본 스포츠 진흥 센터는 독립행정법인으로서 학교 스포츠, 생활 스포


츠, 스포츠 시설 관련 정책을 담당하고 있다. 또한 2020년 도쿄 올림픽·
패럴림픽의 주 경기장 건설과 내셔널 트레이닝 센터 운영을 담당하고
있으며 체육복권사업도 운영하고 있다.

○ 일본 올림픽 위원회는 일본의 NOC로서 국제 경기력 향상을 위해 각


경기 종목 단체들에 정부보조금인 선수강화비 등을 배분하는 역할을
담당하고 있었다. 그러나 스포츠청의 설립 이후 선수강화비의 배분 권
한이 스포츠청으로 이관된 후, 강화 합숙 또는 해외 원정 비용 등의
권 한만을 가지게 되었다. 이는 엘리트 스포츠에 있어서 일본 올림픽
위원 회의 영향력이 약해진 것을 의미한다.

○ 중앙경기단체는 전체의 78.8%가 공익법인으로 되어 있으며 수익의 약


50% 정도를 '사업수입'과 '경기자·단체로부터의 수입'으로 충당하고
있 다. 전자는 입장료, 방송권료 등이며, 후자는 연회비, 등록료 등을
포함 한다. 반면, 외부자금인 '보조금, 조성금'은 약13% 정도를 차지하고
있다. 이는 경기단체의 재정적 자립도가 비교적 양호함을 시사한다.

6) 중국

○ 엘리트 체육 시스템은 전문 체육과 전국체제라는 두 가지 현상으로 특


징화 된다. 전문 체육은 정부가 엘리트 체육을 행정적으로 운용하고
통제하는 전통적인 중국 엘리트 시스템이다. 이 시스템 안에서 전문

326
Ⅴ. 결론 및 제언

체육인은 정부에 의해서 고용되고, 평가 받고, 급여를 받는 전문직 이라고


할 수 있다.

○ 전국 체제는 엘리트 체육의 집중 성장을 위한 전(全) 국가의 지원을


의 미하여 이는 정부에 의해 통제되고 지원되는 정부 주도적 엘리트
조직 체계로서 해석될 수 있다.

○ 스포츠 총괄 행정부는 중국 올림픽 위원회를 포함하여 사실상 대부분


의 스포츠 조직을 장악하고 있다. 스포츠 총괄 행정부는 22개의 스포츠
행정 센터를 설치하여 체육협회 들을 위한 행정기구로서 활동하게 한
다. 센터들은 스포츠 총괄 행정부에 의해 직접적으로 관리되고 재정적
지원을 받는다.

나. 생활 스포츠

1) 미국

○ 미국 정부는 엘리트 스포츠에 비해 상대적으로 생활 스포츠에 더 개입


해 왔다고 할 수 있다. 대통령체력자문위원회도 생활 체육에 대한 간접
적인 지원과 생활 체육 장려를 주 목적으로 하고 있다.

○ 미국의 생활체육 진흥에 대한 관심은 계속 증가하고 있으며 이는 미국


성인 및 청소년들의 비만 비율 증가와 관련 깊다.

2) 영국

○ 생활 스포츠 진흥을 위한 영국의 공공 정책은 비정부 공공기관인 스포


츠 잉글랜드의 기금 배분을 통해 수행된다. 스포츠 잉글랜드는 스포츠
를 정기적으로 즐기는 일반 국민의 증가를 최우선 과업으로 하고 있으
며, 이를 위해 '스포츠 참여'를 매 주1회 이상, 최소 30분 이상 스포츠
활동을 하는 것으로 정의하고 있다.

327
해외 스포츠 정책 동향 분석 – 체육행정 거버넌스 및 주요 이슈 관련 정책 비교 -

○ 스포츠 잉글랜드는 생활 스포츠 진흥을 위해 여러 영역의 파트너들에


게 지원을 하고 있으며, 여기에는 경기 종목 단체, 학교, 지방 정부 당
국, 지방 스포츠 파트너쉽, 스포츠 전문가 집단, 지역 스포츠 클럽 등이
포함된다. 스포츠 잉글랜드의 예산은 3억 파운드를 상회하며 이는 지난
매년 증가 추세에 있다.

○ 스포츠 잉글랜드가 추진하는 생활 스포츠 진흥 5개 년 전략인 '스포츠


의 생활 습관화: 201202017'은 경기 종목 단체들과의 긴밀한 협력,
학 교 스포츠에서 공동체 스포츠로의 전환 촉진, 스포츠 활동 접근성
개선 을 통해 국민의 스포츠 참여를 제고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3) 프랑스

○ 체육부의 생활 스포츠 관련 정책적 목표는 모든 시민이 신체 활동 및


스포츠를 안전하게 즐길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이를 위해 '스포츠와
건강', '스포츠와 장애', '스포츠, 교육, 다양성과 시민권', '스포츠와 자연'
의 네 개의 지원센터를 두고 있다. 생활 체육 정책은 주로 스포츠 연맹
들에 대한 지원을 통해 이루어 진다.

○ 지방 차원에서의 생활 스포츠는 분산적 네트워크로 구축되고 있는데,


이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기구 중 대표적인 것이 '청소년 체육과 사회통
합을 위한 지역 대표단'이다. 이 대표단은 기존의 독립적으로 활동하
던 '청소년 및 체육 지방이사회', '보건 및 사회활동 지방이사회의 사회
센터', '사회통합과 동등한 기회를 위한 국립에이전시의 지역지부'들을
통합한 것으로 전국적으로 22개가 존재한다.

328
Ⅴ. 결론 및 제언

4) 독일

○ 독일의 생활 스포츠 정책은 주정부에 의해 주도되고 있으며 경우에 따


라 중앙정부와 협력하고 있다. 정부의 대표적인 생활 스포츠 지원 영역
은 국제 독일 체조 축제 및 세계 김나에스트라다, 청소년 올림픽 준비
단, 독일 스포츠 훈장, 어린이와 청소년 스포츠, 독일 스포츠 청소년단,
노인 스포츠 활성화, 가족스포츠의 권장 등이 있으며, 이러한 영역에
정부의 재정 지원이 이루어지고 있다.

○ 독일의 스포츠 클럽은 생활 스포츠의 근간을 이루는 것으로써 스포츠


를 통한 사회복지 증진에 큰 역할을 하고 있다. 독일 스포츠 클럽들의
상위 단체인 독일 올림픽 스포츠 연맹은 국민들에게 스포츠의 사회정
치적인 의미를 일깨우고 그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스포츠 진흥 캠페
인을 진행하고 있다.

○ 사회복지에 방점을 둔 독일 스포츠 클럽의 특성상, 스포츠 클럽의 회원


비는 대부분의 시민이 지불 가능한 수준에서 책정되고 있으며, 국민
건 강 증진을 위해 약 3 분의 1에 해당하는 클럽이 건강증진, 부상예방,
재활 등에 관련된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있다. 또한 다른 공공복지 기관
과의 공조도 증가하는 추세이다.

5) 일본

○ 일본체육협회는 '국민스포츠 진흥'과 '국제경기력의 향상'을 목표로 하


는 단체였으나 일본올림픽위원회가 분리·독립하면서 국민스포츠의 보
급 및 진흥을 추진하고 있다.

○ 종합형 지역스포츠클럽은 유럽형 클럽을 모델로 생에 스포츠정책의 중


심으로 육성된 것이다. 기존의 단일 종목, 동세대를 중심으로 한 클럽

329
해외 스포츠 정책 동향 분석 – 체육행정 거버넌스 및 주요 이슈 관련 정책 비교 -

이 출산율 감소 등의 이유로 지속가능성이 떨어지자 지역 중심의 클럽


거점 정비의 필요성이 대두되었고 이에 다 종목, 다 세대, 자율운영을
전제로 한 종합형 지역스포츠 클럽의 육성을 통해 지속가능한 생활 스
포츠 환경을 제공하기 위해 추진되었다.

○ 지방자치단체의 종합형 클럽 지원의 배경에는 클럽 활동을 통해 청소


년의 건전한 육성, 고령자 복지, 세대간의 교류, 지역에서의 연대감 함
양 등 지역사회 과제를 해결하는 지방자치단체의 보완적 역할이 가능
하기 때문이다.

6) 중국

○ 공식적으로 대중 체육 개발 진흥은 '중국 생활 체육 연맹'의 소관이다.


중국 생활 체육 연맹은 전국적 비 정부 기관으로 비영리 협회라고 규
정되어 있지만 이는 스포츠 총괄 행정부의 관리를 받고 있으며 사실상
스포츠 총괄 행정부의 지배하에 놓여있다. 따라서 중국의 생활 스포츠
는 스포츠 총괄 행정부 내의 대중 체육 부서에서 사실상 관리되고 있
다고 할 수 있다.

○ 모든 체육 협회 내에는 대중 체육 개발을 책임지는 부서가 있으나 체


육 협회들이 사실상 스포츠 행정 센터에 전적으로 종속된 조직이라는
검을 감안하면 해당 부서들도 실질적으로 스포츠 행정 센터의 내부 조
직이라고 볼 수 있다.

○ 중국 생활 체육 연맹, 각 체육 협회 내 대중 체육 개발 부서는 정부
기 금으로부터 재정적 지원을 받아 운영되고 있다.

330
Ⅴ. 결론 및 제언

다. 학교 스포츠

1) 미국

○ 학교 스포츠의 경우, 연방정부 차원에서는 교육부가 그 발전을 도모하


고 있으며 주정부와 지방정부 또한 학교 스포츠 활성화하기 위해 체육
수업 시간 수 의무화 등의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 학생들이 학교에서 최소한 1가지 종목의 체육 활동에 참가할 것을 장


려하고 있으며 방과후 스포츠 프로그램들을 통해 학생들의 스포츠 참
여를 유도하고 있다.

○ 미국 고등학교 체육연맹은 미국 내 고등학교 체육활성화를 위해 설립


된 비영리 민간조직으로, 고등학교들에게 스포츠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있으며, 주 별 고등학교협회와 협력을 통해 학생스포츠 활동 참여율
제 고에 힘쓰고 있다.

2) 영국

○ 학교 스포츠 정책에 관여하는 중앙 정부 조직들은 교육부, 보건부, 그


리고 문화·미디어·스포츠부(스포츠 잉글랜드)이며, 독립 자선단체인
청소년 스포츠 신탁이 참여하고 있다. 정부 조직들은 주로 행정적인
측면과 재정 지원을 담당하고 있으며 청소년 스포츠 신탁은 체육 교육
프로그 램 개발 및 자문 등의 역할을 하고 있다.

○ 학교 스포츠 재정 지원은 교육기금배분기관이 지방 정부 당국으로 배


분하는 학교전용보조금에 포함되어 있으나 이 보조금은 교과과정별로
는 세분화되어 있지 않다. 다만 교육부, 보건부, 문화·미디어·스포츠부
에 의해 조성된 '체육교육 및 스포츠 프리미엄'의 경우 초등학교의 체육교

331
해외 스포츠 정책 동향 분석 – 체육행정 거버넌스 및 주요 이슈 관련 정책 비교 -

육과 스포츠에 한정하여 용도 지정된 지원금이며 규모는 연간 1억 5천


만 파운드이다.

○ 스쿨게임은 학교 경쟁 스포츠 진흥과 2012년 런던 올림픽 유산을 계승 하기


위해 창설한 올림픽 형식의 학생 전국 체육 대회로 교내대회, 지 역 내
학교 간 대회, 광역단위 종합경기대회, 엘리트 학생 선수들이 출 전하는
전국대회의 4단계로 구성되어 있다. 문화·미디어·스포츠부(스포츠
잉글랜드)가 정책리더십을 가지고 주관하는 이 대회는 광역 종합경 기대회
인 3단계와 전국대회인 4단계의 연결에 종목별 경기 단체들이 적극 참여하
여 학교 스포츠에서 두각을 나타낸 선수들이 자연스럽게 엘리트 스포츠로
진출 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이는 스쿨게임이 학교 스포츠 진흥뿐만
아니라, 생활 스포츠와 엘리트 스포츠를 잇는 연 결고리의 역할을 하여
엘리트 스포츠 진흥에도 일조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3) 프랑스

○ 학교 스포츠 관련한 정책은 스포츠·청소년·공교육 및 지역사회 생활부


와 교육부의 협력 하에 시행되는데 이는 의무적인 과정(체육 수업 등)
으로 진행되는 것과 비의무적인 과정(스포츠 동아리 활동 등)으로 진행
되는 것을 포함한다.
○ 학교 스포츠 동아리들은 '초등학교체육연합', '학교체육전국연합', '프랑
스 대학교체육연맹', '자율교육 총 체육연합', '대학교단체 전국연합'의
다섯 개 연맹들이 관리하고 있다. 이 연맹들은 정규 수업의 연장선 상
에서 체육 수업을 조직하고 진행하며 이는 체육 수업 교사들의 관리
감독 하에 이루어진다.
○ 지방 자치 단체는 학교 체육 협회에 지원금을 교부, 적절한 학교 체육
환경 제공을 위한 운영 지원 등 학교 체육 진흥을 위해 구체적인 지원
을 하고 있다.

332
Ⅴ. 결론 및 제언

4) 독일

○ 중앙정부 수준에서 교육연구부는 주정부의 학교 스포츠 관련 정책을


담당하고 있으며, 가족·노인·여성·청소년부는 어린이 육아 관련 업무
를 주관한다. 교육과 문화 정책에 대한 논의 및 결정을 목표로 하는
교육 문화부 장관회의의 스포츠 위원회인 스포츠부 장관회의에서 학교
스포 츠 관련 안건이 논의되며 여기에는 방과 후 학교 스포츠, 스포츠
평생 교육의 이슈도 포함된다.

○ 청소년 올림픽 준비단은 국제 학교 스포츠 연맹에서 주관하는 스포츠


체전에 출전하기 위한 국내 대회에 참가하는 학생들로 현재 19개 종목
에서 약 900,000여명의 학생이 참가하고 있다. 독일학교체육연맹이
체 전을 주관하고 있으며 16개 주 청소년들이 이를 통해 경쟁하고 발전하
도록 하는 것이 목표이다.

○ 독일 올림픽 스포츠 위원회는 청소년 스포츠 체계가 엘리트 스포츠의


성공을 좌우하는 요소라고 인식하고 '청소년 스포츠 계획 2020'을 만들
어 학교 스포츠와 엘리트 스포츠 분야의 협력을 도모하고 있다. 이는
학생 선수들이 학업과 스포츠를 병행하면서 엘리트 선수로 성장할 수
있도록 교육적 지원과 과학적 훈련을 제공한다.

5) 일본

○ 학교스포츠는 문부과학성의 관할 하에 정책이 실시되고 있으며 학교


체육의 충실, 어린이 체력향상, 전국체력·운동능력·운동습관 조사
등의 정책이 추진되고 있다. 또한 중학교에서의 무도·댄스 교육 필수화,
학교에서의 체육활동 중 사고방지 등 스포츠 기본법에서 규정한 안전한
환 경하에 일상적으로 스포츠를 즐기거나 지지하는 활동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보장하려 하고 있다.

333
해외 스포츠 정책 동향 분석 – 체육행정 거버넌스 및 주요 이슈 관련 정책 비교 -

○ 교원 수의 감소와 전문지도자의 부족 등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스포


츠 클럽 및 관계 단체와의 연계 등을 추진하고 있으며, 지역의 스포츠
지도자를 외부 지도자로 초빙하는 방안도 권장하고 있다. 이러한 맥락
에서 각 학교와 지역지도자의 협력을 촉진하기 위해 지방 공공 단체가
설치하는 스포츠지도자은행 제도도 시행하고 있다.

6) 중국

○ 중국의 학교 체육은 일반 학교 시스템과 체육학교 시스템으로 나뉜다.


두 시스템은 교육부와 스포츠 총괄 행정부에 의해 공동으로 관리되지
만 각 기관은 고유의 영역을 가지고 있다.

○ 일반 학교 시스템 내의 체육은 교육부 내 체육·위생·예술부서에 의해


행정 관리를 받는다. 학교 체육에 관여하는 중국대학스포츠 연맹과
중 국학교스포츠연맹이 교육부에 의해 관리되고 있다. 그러나 이 두
개의 연맹도 스포츠 총괄 행정부의 지침과 관리는 따르도록 되어 있다.

○ 체육 학교 시스템은 전문 스포츠의 국가적 '3단 훈련 네트워크 '의 구


성요소로서 초등학교 재학생들은 방과 후에 체육 교육을 받게 된다.
이 학생들 중 일부는 상급 체육 학교에 의해 선발되며 이후 스포츠 총괄
행정부의 직속 대학교인 베이징 체육대학교에 진학하게 된다.

라. 장애인 스포츠

1) 미국

○ 미국 장애인 스포츠 활동은 1978년 제정된 아마추어스포츠 법에 의거


하여 민간 조직인 장애인스포츠위원회가 관할하고 있다. 또한 1990년
에 제정된 미국장애인 법은 장애인의 스포츠 참여에 대한 권리를 연방
법으로 보호하고 있다.

334
Ⅴ. 결론 및 제언

○ 장애인 엘리트 체육은 미국패럴림픽조직위원회의 소관이며 스포츠 프


로그램 및 교육적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 미국장애인스포츠 클럽은 지방 커뮤니티에 근거한 조직으로 48개 주


211개의 장애인 클럽이 운영되고 있다. 미국 내 장애인 스포츠 클럽
수는 지난 5년 간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2) 영국

○ 영국 정부의 장애인 스포츠에 대한 투자는 장애인 엘리트 체육의 경우


UK스포츠, 장애인 생활 체육의 경우 스포츠 잉글랜드가 담당하는 기조
를 따른다. 이러한 투자는 비장애인 스포츠와 같이 경기 종목 단체를
통해서 주로 이루어 진다.

○ 장애인 엘리트 스포츠에 대한 지원은 동계, 하계 패럴림픽에 맞춰 4년


단위로 이루어 지고 있으며, UK스포츠의 장애인 엘리트 스포츠에 대한
투자는 계속 증가하는 추세이다.

○ 스포츠 잉글랜드의 장애인 생활 스포츠 진흥을 위한 직접적 투자는 장


애인의 스포츠 시설 접근성 향상을 위한 투자와 전문 장애인 스포츠
장비 지원이 대표적이다. 간접적으로는 스포츠 잉글랜드의 지원을 받는
46개 경기 종목 단체들에게 장애인 스포츠 참여 촉진을 위해 노력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3) 프랑스

○ 체육부의 장애인 체육 정책은, 중앙 기관의 체육역량강화지원센터에


소 속된 '국립 장애인 체육센터'와 체육부 내의 '체육과 장애' 지원센터를
통해서 시행된다.

335
해외 스포츠 정책 동향 분석 – 체육행정 거버넌스 및 주요 이슈 관련 정책 비교 -

○ 2008년 베이징 올림픽 이후, 체육부는 패럴림픽과 올림픽의 상여금을


같은 수준으로 조정하는 등 장애의 유무에 관계없이 엘리트 선수들이
동등한 대우를 받을 수 있도록 하였다.

○ 지방 정부 차원에서는 각 지역에 프랑스 장애인 체육연맹의 지부인 '장


애인 스포츠'위원회를 두어 해당 지역의 전반적인 장애인 스포츠 발전
을 도모한다. 각 지역의 위원들은 지역에 맞는 전문가 훈련 및 프랑스
장애인 체육 협회 가맹단체의 스포츠 대회 조직 등을 돕는다.

4) 독일

○ 독일의 장애인 스포츠 정책은 장애인 엘리트 스포츠뿐만 아니라 장애


인 생활 스포츠, 재활 스포츠, 병약자를 위한 스포츠를 모두 포함한다.

○ 독일 장애인 스포츠 클럽의 주축은 국제 장애인 올림픽 위원회인 장애


인 올림픽 위원회로 이는 독일 올림픽 스포츠 연맹 내 장애인 스포츠
를 총괄하는 단체이다. 독일 엘리트 스포츠 내에서 장애인 스포츠의
비 중은 적지 않으며 올림픽 훈련 센터도 장애인 엘리트 선수들을 지원하
고 있다. 장애인 엘리트 선수들은 국제대회 성적에 따라 비장애인 선수
들과 동등한 대우를 받는다.

○ 내무부 지침에 따라 장애인 엘리트 스포츠는 비장애인 엘리트 스포츠


와 동등한 재정지원을 받고 있으며 장애인의 특수성에 따른 특별지원
도 제공된다. 장애인 엘리트 스포츠에 대한 지원은 증가하는 추세이다.

○ 한편 재활 스포츠는 국제적으로 분류된 기준에 의한 진단 후에 제공되


며 이 서비스를 제공하는 전문인력은 매 2/4년마다 갱신하는 자격을
취득해야 한다. 이 국가 인증 자격은 장애인 올림픽 위원회의 연방스포
츠 기구가 발급하고 있으며, 이 기구는 독일 내 재활 스포츠를 총괄한다.

336
Ⅴ. 결론 및 제언

5) 일본

○ 일본 장애인 스포츠 협회는 장애인 스포츠의 보급·진흥을 도모하는


총 괄 조직으로 1998년 나가노 동계 패럴림픽을 계기로 모든 장애인
스포 츠 진흥을 총괄하는 조직으로 확대, 국제대회 출전 선수의 육성도
담당 하게 되었고, 이후 협회 내부에 일본장애인올림픽위원회를 설치하였
다. 2003년 스포츠 기본법에 장애인 스포츠 진흥이 처음으로 언급되며
일 본장애인스포츠협회의 역할이 명확해졌다.

○ 약 30%의 장애인이 종합형 지역스포츠 클럽에서 스포츠·레크리에이션


활동에 참여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된 바 있다. 2001년부터 국민체육대
회 직후에 전국장애인스포츠 대회가 열리고 있으며 이는 장애인의 사
회참여 추진과 국민의 이해 촉진을 목적으로 한다.

○ 일본 패럴림픽은 일본장애인스포츠협회와 등록 경기단체가 공동 주최


하는 대회로 장애인 앨리트 선수들의 경기력 향상을 주목적으로 하는
대회이다.

6) 중국

○ 장애인 체육 행정의 제도적 구조는 비장애인 체육 행정의 제도와 유사


하며, 특히 장애인 엘리트 체육의 행정은 비장애인 엘리트 행정의 양식
을 따라 왔다.

○ 장애인 체육 행정기구는 장애인 체육 업무에 관한 스포츠 총괄 행정부 에


상응하는 조직으로 장애인 국가대표팀의 행정 관리도 맡고 있다. 장
애인 체육 행정기구는 장애인 올림픽 위원회의 역할도 담당하고 있다.
또한 중국 청각 장애인 협회와 중국 스페셜 올림픽의 행정도 관할 하 고 있다.

○ 장애인 체육 행정기구는 중국 내무부의 지침과 감독하에 업무를 수행

337
해외 스포츠 정책 동향 분석 – 체육행정 거버넌스 및 주요 이슈 관련 정책 비교 -

하며, 스포츠 총괄 행정부의 대중체육 부서는 장애인 체육 행정기구에


대해 간접적인 감독을 한다.

마. 최신 스포츠 정책 동향 분석

1) 미국

○ 엘리트 체육에 대한 국민의 관심은 앞으로도 지속될 것으로 보이며,


생 활체육의 대중화를 강조하는 연방정부 및 지방정부의 직간접적인
후 원이 계속될 것으로 예상된다.

○ 스포츠 진흥을 국가차원에서 주도하지 않는 특징은 계속될 것으로 보


이며 이러한 역할을 민간 스포츠 조직(NCAA, USOC 등)이 담당하는
시 스템이 유지될 것으로 보인다.

2) 영국

○ 엘리트 스포츠 진흥과 국민 스포츠 참여율 제고라는 기존의 두 스포츠


공공 정책 목표에 2012년 런던 올림픽 이후 올림픽 유산의 계승이라는
새로운 정책적 목표가 추가되었다. UK스포츠는 이러한 추가적인 정책
적 목표를 구체화 한 정책으로 '골드 이벤트 시리즈 프로그램'을 시행
하고 있는데 이 프로그램의 목적은 영국을 주요 국제 이벤트 유치의
선도자로 만드는 것을 골자로 하고 있다.

○ 영국 정부의 긴축재정 기조 아래 비정부 공공기관들에 대한 구조조정


이 단행 중이며, 그 일환으로 UK스포츠와 스포츠 잉글랜드의 통합에
관한 논의가 이루어 졌다. 2012년부터 2015년까지 3년간 이루어진
기 관 평가에서는 현재의 구조대로 두 기관을 분리 운영하는 것이 더
적 절하다는 의견이 수렴되어 UK스포츠와 스포츠 잉글랜드는 당분간
독립 된 비정부 공공기관으로 공존하게 되었다.

338
Ⅴ. 결론 및 제언

3) 프랑스

○ 엘리트 체육 분야는 국제적 영향력 등의 속성을 감안하여 주요 국제대


회에 출전하는 조직이나 선수들은 미리 제정해둔 기준에 의해 선발된
다. 체육부의 엘리트 스포츠 관련 공무원들은 엘리트 선수들의 은퇴
후 인생관리를 위해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공유한다. 이를 통해 선수들의
사회-직업적 상황 파악과 개별적 후속조치를 취한다.

○ 학교 체육에 있어서 지역 당국의 역할을 쇄신하고 재정립하기 위한 교


육사업이 진행 중이며 이는 학교 시간표 개편 등을 포함하고 있다. 이
에 따라 학교장들은 매주 수요일 오후를 연맹 스포츠 대회나 기타 스
포츠 활동을 하도록 비워두어야 한다.

○ 최근 장애인들의 스포츠에 대한 접근의 불평등을 해소하고 스포츠 활


동을 정부의 공중보건 정책의 일환으로 하여 스포츠 참여를 증진시키
려는 등 장애인의 스포츠 참여에 대한 이슈가 부각되고 있다. 장애인에
게 동등한 권리와 기회, 참여를 보장하는 법이 시행되어 공공분야의
모 든 국가기관들은 제정된 기중에 부합하는 장애인 접근권을 확보해야
만 한다.

4) 독일

○ 독일 정부는 2014년 반도핑 관련 법안을 발의 하여 도핑 위반을 한


사 람이나 관련된 사람들을 최대 징역 3년에 처할 수 있는 법적 근거를
마련하고 세계 반도핑 규제에 조화로운 협력을 도모하고 있다. 독일
반 도핑 기구의 최근 주요 목표는 기구의 감독하에 훈련과 경기를 관리할
수 있는 공동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다. 반도핑 규제는 독일 올림픽
스포츠 연맹의 조직하에 독일 반도핑 기구가 총괄하고 있으며 독일 올

339
해외 스포츠 정책 동향 분석 – 체육행정 거버넌스 및 주요 이슈 관련 정책 비교 -

림픽 스포츠 연맹 산하단체들은 반도핑 규제안을 정관에 명시하도록


하고 있다.

○ 독일 올림픽 스포츠 연맹은 엘리트 스포츠 선수들이 선수로서의 경력


이외에도 은퇴 이후 직업적 가능성을 가지게 하기 위하여 이중 경력
(Dual Career) 프로그램을 시행하여 엘리트 선수들이 선수 생활과 더불
어 교육의 기회도 가질 수 있도록 돕고 있다.

○ 최근 독일 내 이민자의 급속한 증가로 인하여 스포츠 클럽을 통한 이


민자 통합이 이슈가 되고 있으며, 중앙정부의 재정지원과 독일 올림픽
스포츠 연맹의 주도로 '스포츠를 통한 통합'이라는 프로젝트가 추진 중
이다.

5) 일본

○ 스포츠기본계획을 통해 1) 어린이 스포츠 기회의 확충; 2) 라이프 스테


이지에 따른 스포츠 활동 추진; 3) 주민이 주체적으로 참여하는 지역의
스포츠 환경의 정비; 4) 국제 경기력 향상을 위한 인재양성과 스포츠
환경의 정비; 5) 국제대회 유치 및 개최를 통한 국제교류; 6) 도핑방지
등 스포츠계의 투명성, 공정성 향상; 7) 최고 스포츠와 지역에서의 스포
츠와의 제휴·협동 추진이라는 7가지 정책적 과제가 제시되고 있다.

○ 스포츠 기본법 제 10조에 의해 도도부현 및 시구정촌 교육위원회는


지 방의 실정에 맞는 스포츠 진흥에 관한 계획을 정해야 한다. 이에
따라 각 지방자치단체에는 스포츠를 전담하는 독립과를 설치하는 추세이다.

6) 중국

○ 베이징이 2008년 올림픽 개최지로 선정된 이후 중국 엘리트 체육이

340
Ⅴ. 결론 및 제언

정 책의 초점이 되었다. 그러나 엘리트 체육 시스템의 개역과 관련 된


내 용이 정책 의제에서 점진적으로 축소되는 양상을 보인다. 이는 개혁과
관련된 내용의 배제, 기존의 전국 체제를 답습하는 피상적인 개혁, 개
혁 담론의 왜곡 등의 형태로 나타났다.

○ 중국 대중 체육 발전을 위한 전략적 지침으로 일컬어지는 '2011-2015


생활체육 단련 프로그램'은 대중 체육 발전의 목표로 정기적으로 체육
에 참여하는 사람 수 증진, 시민의 건강 상태를 증진, 체육 참여를 위
한 서비스 개선 등을 내세우고 있다.

○ 최근 중국 내 체육 산업 개발에 대한 정치적 관심으로 생활 체육이 단


지 참여자들의 건강상태를 증진시키려는 유익함 때문만이 아니라 잠재
적 경제발전 기회의 제공이라는 인식이 체육 정책 내에서 형성, 반영되
고 있다.

3. 이론에의 기여 및 한계

본 연구를 시작함에 있어 우리나라 스포츠 정책의 수립에 있어 전통적으로


벤치마킹을 해온 주요 6개국의 영역별 스포츠 정책을 비교하며, 이를 정책
일관성 및 방향성 점검과 연계되는 ʻ경로의존성 이론ʼ의 검증에 활용해 보고자
하였다. 경로의존성 이론은 스탠퍼드 대학의 폴 데이비드 교수와 산타페 연구소
의 브라이언 아서가 처음 사용한 용어로, 국가별 정책의 의사결정 과정에
있어 여러 환경적 제약요인으로 인해 거시적 방향성에 부합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관성적인 정책수립 및 집행을 반복하는 것은 아닌지에 대한 물음에
답하기 위해 선택한 이론이다.

국가별 엘리트 스포츠, 생활 스포츠, 학교스포츠, 장애인 스포츠 정책들을


수집하고 파악하는 과정에서 대개의 국가가 스포츠 정책의 수립과 집행에

341
해외 스포츠 정책 동향 분석 – 체육행정 거버넌스 및 주요 이슈 관련 정책 비교 -

있어 일정부분 경로 의존성 이론에 대한 부합하고 있다는 결론을 얻을 수


있다. 먼저 엘리트 스포츠 정책 자체가 국가의 정책임에도 불구하고, 국제
정치경제적 환경의 영향 및 올림픽 거버넌스라는 체제의 영향을 많이 받는다는
점에서 ʻ생활 스포츠ʼ에 기반을 둔 국민행복, 건강한 국민 등에 집중한 정책
수립의 한계가 존재한다는 점을 들 수 있다. 엘리트 스포츠의 성과에 대한
수혜는 생활스포츠나 소외계층 스포츠 참여를 위한 낙수효과 보다는, 국가
혹은 사회의 정치적 단합 및 과학기술의 발전을 위한 투자에 더 유익하기에,
스포츠 정책을 통한 국민 개개인의 건강과 행복 증진이라는 미시적 레벨을
고려한 정책이라고는 설명하긴 어렵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6개국 모두 국제
스포츠계에서의 국가적 위상을 위한 투자가 정책적 으로 강화되고 있었다는
점에서 단순히 냉전시대의 체제경쟁이라고 비판받아온 엘리트 스포츠 집중적
지원에 대한 지속성은 여전하다고 할 수 이었고, 이는 경로의존성 이론을
일정부분 지지하고 있다고 본다.

둘째는, 생활-학교-장애인 스포츠간의 연계에서 국가별로 차이는 보이고


있지만, 대개 참여율이라는 양적 결과에 집중하는 성과를 보인다는 것도 스포츠
정책 입안자들의 성과 지향적인 정책수립 경로의존의 경향을 대변한다고 할
수 있다. 스포츠 본연의 가치가 국민들의 개개인의 삶의 질과 직결됨에도
불구하고, 질적 접근보다는 양적 참여율의 확산을 중요시하는 경향이 국가별
정책에 대한 보고와 개선의 방향에서 확연히 드러났다.

이러한 발견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가 국가별 정책에 대한 입안 배경과


실행과정, 그리고 결과에 대한 세부 데이터를 가지고 이론의 검증을 활용한
것이 아니라, 정책의 개괄과 방향성, 그리고 전반적인 내용을 중심으로 판단한
것이라는 점에서 본 연구의 한계는 명백하다. 따라서 추후 연구에서는 국가의
수를 최소화 하고 특정정책들에 초점을 맞춘 보다 깊이 있는 연구의 수행으로
이론의 검증의 신뢰도와 타당성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본다.

342
참고문헌

참 고 문 헌

- 미국 -
김미정(2009). 여성과 스포츠, 한양메티컬리뷰, 29(1), 28-33
NCAA (2011). NCAA Sports Sponsorship and Participation Report,
1971-72-2010-11.
NFHS (2014). Annual Report 2013-14.
James N. Druckman., Mauro. Gilli., & Samara. Klar. (2014). Athlete support for
Title Ⅸ. Sport Journal (1), 1-10
Sagamore Publishing, L.L.C (2008). SPORT GOVERNANCE AND POLICY
DEVELOPMENT
The City of County of Denver’s Department of Finance (2014). Financial reports
The City of Greeley, Colorado Comprehensive Annual Financial Report (2014).
The City of Greeley, Colorado Comprehensive Annual Financial Report
Title Ⅸ and Athletics (2012). National Coalition for women & Girls in Education.
United States Olympic Committee, U.S. Paralympics Division (2014). Paralympic
Sport Club Annual Report 2014.
미국대학경기협회(2015). http://www.ncaa.com/
미국아마추어경기연맹(2015). https://www.aausports.org/
미국올림픽위원회(2015). http://www.teamusa.org/About-the-USOC
미국정부지출(2015). http://www.usgovernmentspending.com/
대통령체력스포츠자문위원회(2015). http://www.fitness.gov/
LA parks and recreation (2015). http://www.laparks.org/programs.htm
Seattle parks and recreation (2015). http://www.seattle.gov/parks/
The statistics portal (2014). http://www.statista.com/statistics/236123/us-fitness-ce
nter--health-club-memberships/

343
해외 스포츠 정책 동향 분석 – 체육행정 거버넌스 및 주요 이슈 관련 정책 비교 -

- 영국 -
Cabinet Office (2015), List of Ministerial Responsibilities: Including Executive
Agencies and Non-Ministerial Departments. Government publication
County Sport Partnership Network (2015), CSPN Annual Review 2015.
Department for Communities and Local Government (2015), Local Government
Financial Statistics No.25 2015. Government publication
Department for Culture, Media & Sport (2015), A Living Legacy: 2010-15 Sport
Policy and Investment. Government publication
Department for Culture, Media & Sport (2015), DCMS Annual Report and
Account 2014-2015. Government publication
Department for Culture, Media & Sport (2012), Creating a Sporting Habit for
Life: A New Youth Sport Strategy. Government publication
Department for Culture, Media & Sport (2015), Guide to Safety at Sport Ground.
Government publication
Department for Culture, Media & Sport (2015), Government Policy: Sport
Participation. Policy paper
Department for Culture, Media & Sport (2015), Government Policy: Elite Sports
Performance. Policy paper
Department for Culture, Media & Sport (2015), Satellite Clubs Guide.
Government publication
Department for Culture, Media & Sport (2015), School Games Indicator 2014/15:
Statistical Release. Government Publication
Department for Culture, Media & Sport (2015), Triennial Review of UK Sport
and Sport England. Government publication
Department for Education (2014), PE and sport premium: an investigation in
primary schools. Government publication
Department for Education (2012), The Department comments on school sport
target. Government publication, Government publication
Department for Education (2014), The National Curriculum in England:
Framework document December 2014. Government publication

344
참고문헌

Department for Education and Skills and Department for Culture, Media and
Sport (2003), Learning through PE and Sport. Government publication
Department for Education (2013), Primary school sport funding. Government
publication
Education Funding Agency (2015), Education Funding Agency: Annual Report
and Accounts for the period 1 April 2013 to 31 March 2014. Government
publication
Education Funding Agency (2015), Summary: EFA Annual Report and Accounts
2013 to 2014. Government publication
HM Treasury (2015), Summer Budget 2015. Government publication
Houlihan, B. and Linsey, I. (2013), Sport Policy in Britain. Oxon: Routledge
House of Commons Library (2015), School Sport. Briefing paper, No.6836
House of Commons Library (2015), School Sport Partnerships. Briefing paper,
No.6052
National Lottery (2015), National Lottery Distribution Fund Account 2014-15.
Government publication
National Lottery (2013), Olympic Lottery Distribution Fund Account 2012-13.
Government publication
Sheffield Hallam University (2010), Economic Value of Sport in England
1985-2008
Sport England (2015), Active People Survey 9Q2. Non-departmental public body
publication
Sport England (2012), Get Equipped Guide. Non-departmental public body
publication
Sport England (2015), Go Where Women Are. Non-departmental public body
publication
Sport England (2012), National Governing Body 2013/17 Whole Sport Plan:
Investment Guidance. Non-departmental public body publication
Sport England (2012), School Games: Executive Summary Year 1 - response
document by Sport England. Non-departmental public body publication

345
해외 스포츠 정책 동향 분석 – 체육행정 거버넌스 및 주요 이슈 관련 정책 비교 -

Sport England (2015), Sport England Annual Report and Accounts 2014-2015.
Non-departmental public body publication
Sports Grounds Safety Authority (2015), Sports Grounds Safety Authority:
Annual Report and Accounts 2014/2015. Non-departmental public body
publication
Telegraph (2015), "'This Girl Can' campaign inspires almost 150,000 women to
take up sport", 10th, December, 2015
UK Anti-Doping (2015), UK Anti-Doping: Annual Report and Accounts 2014/15.
Non-departmental public body publication
UK Sport (2013), Gold Event Series Investment Guide 2014-2019.
Non-departmental public body publication
UK Sport (2013), Gold Framework: Guidance on UK-level support available
when bidding for and staging major sporting events. Non-departmental public
body publication
UK Sport (2015), The United Kingdom Sports Council: Grant-in-Aid and Lottery
Distribution Fund Report and Accounts for the year ended 31 March 2015.
Non-departmental public body publication
우윤석, 김신우 (2015), 영국의 정부조직 변동 추이와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공공관
리학보, 29(1), 29-55
This Girl Can 캠페인 www.thisgirlcan.co.uk
UK스포츠www.uksport.gov.uk
스포츠 잉글랜드www.sportengland.org
문화·미디어·스포츠부 www.gov.uk/government/organisations/department-
for-culture-media-sport
스쿨 게임www.yourschoolgames.com
액티브 플레이스www.activeplacespower.com
카운티 스포츠 파트너쉽 네트워크 www.cspnetwork.org
스포츠 시설 안전 관리국www.safetyatsportsgrounds.org.uk
UK 반-도핑 기구www.ukad.org.uk

346
참고문헌

- 프랑스 -
체육, 청소년, 공교육과 지역생활부 www.sports.gouv.fr
프랑스 반도핑기구 www.afld.fr
프랑스 장애인올림픽 및 체육 위원회 www.france-paralympique.fr
체육 자원, 전문 기술 및 수행 센터 www.creps-ile-de-france.jeunesse-sports.
gouv.fr
프랑스 체육 올림픽 국가위원회 franceolympique.com
국립 체육개발센터 www.cnds.sports.gouv.fr
청소년 체육과 사회 통합을 위한 지역 대표단 ile-de-france.drjscs.gouv.fr
국립 체육수행 및 기술협회 www.insep.fr
국립자원센터 www.semc.sports.gouv.fr

- 독일 -
독일 연방 스포츠 과학 연구소 www.bisp.de
독일 연방 범죄 수사청 www.bka.de
연방훈련센터 www.kienbaum-sport.de
독일 내무부 www.bmi.bund.de
독일 스포츠 원조 www.sporthilfe.de
독일 청소년 스포츠단 www.dsj.de
교육 문화부 장관 회의 www.kmk.org
독일 반도핑 기구www.nada.de
독일 올림픽 스포츠 연맹 www.dosb.de

- 일본
小野漬子,スポーツ百書ースポーツの使命と可能性ー,笹川スポーツ財団,2014.

347
해외 스포츠 정책 동향 분석 – 체육행정 거버넌스 및 주요 이슈 관련 정책 비교 -

加藤大人,権利としてのスポーツ,政策としてのスポーツ,体育研究所紀要  54
(1),慶應義塾大学体育研究所,2015.
武藤泰明,三浦一輝,中央競技団体現況調査,笹川スポーツ財団,2014.
飯田 貴子, 日本のスポーツ政策とジェンダー −第2スポーツ基本{計画に向けて−,
人間科学部研究年報 15, 帝塚山学院大学 , 2013.
일본 문부과학성 http://www.mext.go.jp/a_menu/a004.htm
일본 스포츠청 http://www.mext.go.jp/sports/
笹川스포츠재단 http://www.ssf.or.jp/index.html

- 중국 -
베이징 시 체육국www.bjsports.gov.cn
중국 교육부 www.moe.edu.cn
중학생체육협회 www.sports.edu.cn
Takefoto (2015), www.takefoto.cn/viewnews-550623.html
Sports Sina (2014), http://sports.sina.com.cn/j/2014-11-13/11067408051.shtml
YT Sports (2015), http://www.ytsports.cn/news-7827.html
Sports 163 (2014), http://sports.163.com/14/1105/07/AA9724NL00051C8U.html
Sports Sina (2013), http://sports.sina.com.cn/cba/2013-06-10/02306612856.shtml
Sports 163 (2012), http://sports.163.com/special/bjtyj/
Sports 163 (2012), http://sports.163.com/12/0331/04/7TTA7SPP000502OI_3.html
Sports Huanqiu (2015), http://sports.huanqiu.com/basketball/cba/2015-03/600357
8.html
Sports Ifeng (2015), http://sports.ifeng.com/a/20150424/43620597_0.shtml

348
【 2015년도 연구과제 목록 】

❖ 기본과제 * 현안과제 17건 포함

책 임
도서명 연구자
󰋎 경기력향상연구연금 수급자의 생활실태 분석 및 지원 방안 김양례
󰋏 공공체육시설 관리운영 개선방안 김미옥
󰋐 유휴공간을 활용한 생활체육시설 조성방안 김미옥
󰋑 대한체육회 지도자⋅선수등록규정 개선방안 연구 김대희
󰋒 스포츠복지 개념 및 정책방향 설정에 관한 연구 노용구
󰋓 해외 스포츠정책 동향 분석 조현주
󰋔 학교운동부의 학교급간별 최대 운동시간 설정을 위한 연구 김언호
󰋕 시장분석을 통한 스포츠산업 발전방안 연구 김상훈
󰋖 성과분석에 기반한 스포츠산업 지원 사업 개선방안 김민수
󰋠 경기단체주관 전국규모대회 실태 및 개선방안(비공개)
󰋗 김미숙
󰋡 전국체육대회 운영의 법제도적 개선방안(비공개)
󰋗 한태룡
󰋢 뉴로피드백을 활용한 심상 훈련의 적용(비공개)
󰋗 김영숙
󰋣 골프 유사회원권 시장 실태조사를 통한 제도개선방안 연구(비공개)
󰋗 정지명
󰋤 체육요원 병역특례제도 개선방안 연구(현안과제)
󰋗 김대희
󰋗 일본 학교체육의 제도와 운영에 대한 실태조사(현안과제)
󰋥 한태룡
󰋦 고강도 저항성운동과 저강도 저항성운동이 동맥경화도에 미치는 영향(현안과제)
󰋗 김언호
󰋧 2015년도 국민체력100 체력증진교실 체력 향상도 분석(현안과제)
󰋗 박세정
󰋨 투기 종목 선수들의 스포츠 용기 구성 개념 탐색(현안과제)
󰋗 박상혁
󰋩 스포츠심리 현장지원을 위한 심박변이도(HRV) 활용방안에 관한 문헌 연구(현안과제)
󰋗 황승현
󰋠 스포츠영상분석센터 운영 매뉴얼 개발 및 활성화 방안 연구(현안과제)
󰋘 박종철
󰋡 아시아 수영선진국의 지원시스템 분석 및 비교(현안과제)
󰋘 민석기
󰋢 학교체육 거버넌스 운영조직 설립방안(현안과제, 비공개)
󰋘 한태룡
󰋣 스포츠도시 선정 평가지표 개발 연구(현안과제, 비공개)
󰋘 김미옥
󰋘 개발도상국 청소년대상 스포츠 프로그램(KISS-HOPE)효과 검증(현안과제, 비공개)
󰋤 노용구
󰋥 국제무예센터(가칭) 건립 기본구상(안) 연구(현안과제, 비공개)
󰋘 유지곤
󰋦 3m 스프링보드 다이빙 109C형 기술 완성도 평가(현안과제, 비공개)
󰋘 김태완
책 임
도서명 연구자
󰋧 체조 도마 종목 Ri Se Gwang 기술에 관한 연구(현안과제, 비공개)
󰋘 송주호
󰋨 역도 인상 동작 시 대퇴직근과 대퇴이두근의 근 활성 및 지연정도가 전방십자인대 부하에 문영진
󰋘
미치는 영향(현안과제, 비공개)
󰋩 한국스포츠개발원 체력 측정 및 평가 매뉴얼Ⅱ(현안과제, 내부용)
󰋘 김영수
󰋠 2014 한국의 체육지표(현안과제, 기배포)
󰋙 정지명

❖ 수탁연구과제
책 임
도서명 연구자
󰋎 2014 대통령기(배) 대회 평가 김양례
󰋏 2014 대한장애인체육회 가맹단체 평가 김권일
󰋐 2014 상임심판제도 운영평가 연구 김대희
󰋑 2014년 체육백서 발간 사업 김미숙
󰋒 2014년도 꿈나무선수 경기력 향상도 측정평가 김광준
󰋓 2015 국민생활체육 참여 실태조사 김양례
󰋔 2015 꿈나무선수 선발 측정평가 김광준
󰋕 2015 장애인생활체육지원사업 현장평가 및 만족도 조사 조현주
󰋖 2015년 국민체력실태조사 성봉주
󰋠 2015년 우수영재 육성사업 스포츠과학 측정의뢰
󰋗 최규정
󰋡 2015년도 꿈나무선수 경기력 향상도 측정평가
󰋗 김광준
󰋢 2018 평창동계올림픽대회 및 장애인 동계올림픽대회 홍보측정과 전략관리
󰋗 김민수
󰋗 S Health의 운동 사용성 평가 및 개선
󰋣 정진욱
󰋤 S Health의 운동 서비스 개선을 위한 컨설팅
󰋗 정진욱
󰋥 S Health의 운동 프로그램 고도화를 위한 컨설팅 프로젝트
󰋗 정진욱
󰋦 강릉 동계종목 선수훈련장 조성 타당성 조사
󰋗 유지곤
󰋧 국민체력100 - 대체항목 개발
󰋗 정진욱
󰋗 국민체력100 - 평가기준 개선
󰋨 고병구
󰋩 국민체력100 - 한국성인의 스포츠활동 평가 도구 개발
󰋗 고병구
󰋠 국민체력100 – 한국인 건강체력 기준개발(2차년도)
󰋘 박세정
󰋡 국민체력100사업과 건강증진사업 협업 및 차별화 전략 방안
󰋘 김양례
󰋘 국민체력100 - 스포츠활동 인증가이드북
󰋢 송홍선
책 임
도서명 연구자
󰋣 국제체육 아젠다 발굴 기획 사업
󰋘 조현주
󰋤 남북체육교류 활성화 기반조성 사업
󰋘 성문정
󰋥 늘품체조 효과성 평가 분석
󰋘 서태범
󰋦 동계스포츠 경기력향상을 위한 공기저항 3%이상 저감시키는 인체공학적 플랫폼 섬유소재 문영진
󰋘
및 프리미엄급 응용제품 개발(2차년도)
󰋧 부산경정사업 타당성 조사
󰋘 유지곤
󰋨 사용자 활동량 기술 개발
󰋘 박세정
󰋩 상임심판 제도 운영
󰋘 김미숙
󰋙 스포츠 4대악 유형별 비리사례집 발간 및 보급
󰋠 김대희
󰋡 스포츠무형자산가치 평가모델 개발 및 시스템 구축
󰋙 정지명
󰋢 스포츠산업 소비자 가계지출 조사
󰋙 김상훈
󰋣 장애인국제대회 연금지급방안 컨설팅 연구
󰋙 김권일
󰋤 종목별 스포츠산업 실태조사(야구 부문)
󰋙 김상훈
󰋙 종목별 스포츠산업 실태조사(축구 부문)
󰋥 최용석
󰋦 종목별 스포츠산업 실태조사(농구 부문)
󰋙 김민수
󰋧 종목별 스포츠산업 실태조사(배구 부문)
󰋙 정지명
󰋨 4대 스포츠 종목별 발전방안 연구(야구)
󰋙 김상훈
󰋙 4대 스포츠 종목별 발전방안 연구(축구)
󰋩 최용석
󰋠 4대 스포츠 종목별 발전방안 연구(농구)
󰋚 김민수
󰋡 4대 스포츠 종목별 발전방안 연구(배구)
󰋚 정지명
󰋢 체육시설 안전관리 기본계획 수립을 위한 연구
󰋚 유지곤
󰋣 체육주간 및 체육의날 활성화를 위한 연구
󰋚 노용구
󰋚 통합DB구축 및 측정항목 개선-체육영재 및 중고 학생선수의 통합 관리를 위한 연계방안 연구 최규정
󰋤
󰋥 통합DB구축 및 측정항목 개선-체육영재 발굴프로그램
󰋚 고병구
【 2014년도 연구과제 목록 】

❖ 기본과제
책 임
도서명 연구자
󰋎 종합형 스포츠클럽 사업 육성 방안 연구 김양례
󰋏 특수학교 운동부 실태 및 활성화 방안 김권일
󰋐 대학스포츠 발전방안 이용식
󰋑 스포츠 공적개발원조(ODA)사업 개발연구 노용구
󰋒 2018 평창동계올림픽 대비 경기력 향상을 위한 정책적 지원 방안Ⅱ 김미숙
- 제도, 재정, 인력을 중심으로 -

󰋓 장애인스포츠지도사 활용방안 연구 김권일


󰋔 학습권 보장제의 운영실태 및 효율적 운영방안 수립 한태룡
- 최저학력제를 중심으로 -

󰋕 Recreation Handbook for Youth 노용구


󰋖 대한민국체육유공자제도 운영방안 연구 김권일
󰋠 심판의 공정성과 전문성 강화를 위한 개선 방안
󰋗 김미숙
󰋗 체육단체 선진화를 위한 관련규정 개선방안 연구
󰋡 성문정
󰋢 해외 스포츠정책 동향에 관한 정보지(Newletter) 발간
󰋗 노용구
󰋣 학생체육 운영조직 개편을 위한 기초연구
󰋗 한태룡
󰋤 생활체육육성부문 기금지원의 사업효과성 분석
󰋗 송명규
󰋥 복합훈련 순서와 휴식시간이 근비대 및 유산소성 변인에 미치는 효과
󰋗 서태범
- 분자생물학적 변인을 중심으로 -

󰋦 연속적인 탈진 운동 후 overtraining 관련 타액 변인 조사
󰋗 서태범
- 비침습적 실시간 분석 kit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

󰋧 뉴로피드백 시스템 개발과 현장 적용 효과 검증


󰋗 김영숙
󰋗 국가대표 중점지원 종목의 스포츠 손상 유발동작 탐색
󰋨 김태완
󰋩 비만 예방을 위한 한국 청소년 체력 기준치 설정
󰋗 고병구
󰋠 역도 인상동작시 손상관련 동작 및 신체관절부위에 대한 평가
󰋘 문영진
󰋡 도마 종목 신기술(손 짚고 옆 돌아 뒤 공중 돌며 1260도 비틀기) 완성도 향상을 위한 송주호
󰋘
연구
󰋢 2014 인천아시안게임 태권도 국가대표선수들을 위한 이완-인지재구성(MR-CR)
󰋘 김용승
불안제어 프로그램의 현장 적용 효과
책 임
도서명 연구자
󰋣 컬링 경기 시 스코어와 선·후공에 따른 작전유형 및 대응방안 Digital Media DB 구축 김태완
󰋘
󰋤 엘리트 스포츠지도자의 스포츠심리상담 요구 탐색 및 확인
󰋘 김영숙
󰋘 한국형 운동능력별 엘리트선수의 체력 SNP 비교
󰋥 김광준
󰋦 사격 선수의 유능성과 자기 조절초점을 기반으로 한 차별적 정서와 노력 행동의 예측 박상혁
󰋘
󰋧 쇼트트랙 선수들의 시합 수행 효능감 척도 개발
󰋘 박상혁
󰋨 Wingate test를 통한 엘리트선수들의 ACTN3 유전자 다형별 비교 및 훈련 프로그램의 민석기
󰋘
기초자료 모색
󰋩 한국 초․중․고 학생선수 훈련시간 국내․외 실태조사
󰋘 성봉주
󰋠 국가대표선수 경기력 향상을 위한 스포츠과학 지원시스템 개선 연구
󰋙 최규정
󰋡 2014 인천아시아경기대회 대비 체조 안마, 링 종목 연기내용 분석에 관한 연구
󰋙 송주호
󰋙 건강운동관리사 실기․구술시험 시행방안연구
󰋢 정진욱
󰋣 실시간 모니터링을 통한 엘리트 필드하키 선수들의 포지션별 운동궤적 및 대응방안 모색 민석기
󰋙
󰋤 한국인의 체력나이 추정식 개발
󰋙 고병구
󰋥 지역 스포츠과학센터 실질적 운영을 위한 실행방안 연구
󰋙 문영진
󰋦 2013 한국의 체육지표
󰋙 정지명

❖ 수탁연구과제
책 임
도서명 연구자
󰋎 동계스포츠 경기력향상을 위한 공기저항 3%이상 저감시키는 인체공학적 플랫폼 섬유소재 문영진
및 프리미엄급 응용제품개발(1차년도)
󰋏 2013년도 꿈나무선수 경기력 향상도 측정평가 김광준
󰋐 휠체어농구 리그제 도입방안 김권일
󰋑 S Health 보행운동인식 성능 검증에 대한 컨설팅 프로젝트 박세정
󰋒 국민체력100 스포츠활동 평가기준 및 인증단계 개발 송홍선
󰋓 국민체력100 체력인증센터 모델개발 정진욱
󰋔 국민체력100 노인기 효과 검증 박세정
󰋕 국민체력100 한국인 건강체력 기준개발 박세정
󰋖 2013 체육백서 김권일
󰋠 2013 전국종목별연합회 성과평가
󰋗 이용식
󰋡 구미시 공공체육시설 확충 기본계획수립
󰋗 유지곤
책 임
도서명 연구자
󰋢 2014년 꿈나무 선수 잠재력 측정평가
󰋗 김광준
󰋣 유아 운동발달 프로그램 지침서 개발
󰋗 송홍선
󰋤 2014년 스포츠산업경영정보조사 사업
󰋗 정지명
󰋥 국립체육박물관 건립 기본구상
󰋗 한태룡
󰋦 스포츠산업 무형자산가치 상용화 타당성 검토
󰋗 정지명
󰋗 스포츠 사회적기업 육성방안 연구
󰋧 김상훈
󰋨 인증기준 규격개발 로드맵 수립
󰋗 길세기
󰋩 스포츠용품규격개발 (태권도 전자호구)
󰋗 황종학
󰋠 스포츠용품규격개발 (빙상안전매트)
󰋘 이상철
󰋘 스포츠용품규격개발 (체육도장 바닥매트)
󰋡 이상철
󰋢 스포츠용품규격개발 (등산용스틱)
󰋘 길세기
󰋣 2014 국민생활체육 참여 실태조사
󰋘 김양례
󰋤 제21기 경륜선수후보생의 경기력 향상을 위한 스포츠과학 적용
󰋘 서태범
󰋥 2014년도 레저스포츠 안전관리 교육 사업
󰋘 성문정
󰋘 세계태권도연맹 태권도용품 신뢰성 검증을 위한 규격 연구
󰋦 황종학
󰋧 국민건강생활체조
󰋘 정진욱
󰋨 유형별 체육단체 법인화 방안 연구
󰋘 김권일
󰋩 종목별 취약점 분석 및 평가지표 개선
󰋘 유의동
󰋠 국제심판 양성방안 연구
󰋙 김미숙
󰋙 전국장애인체육대회 운영 개선방안 연구
󰋡 김미숙
【 2013년도 연구과제 목록 】

❖ 기본과제
책 임
도서명 연구자
팀과제 󰋎 ~ 󰋗
󰋢

스포츠산업 정보 플랫폼 구축 연구 최용석


󰋎 제1과제 : 스포츠산업 정보의 종류 및 사례조사 / 조운용
󰋏 제2과제 : 스포츠산업 정보 수요자 조사 / 유의동
제3과제 : 정보 수집 및 정보화 설계 연구 / 정지명
󰋐
󰋑 제4과제 : 정보전달 시스템 구축 연구

󰋒 스포츠심리 현장지원에서의 바이오피드백 활용 방안 고찰 김영숙

한국 청소년의 비만기준 연구 박세정


󰋓 제1과제 : 한국청소년 비만 기준 개발 / 송홍선
󰋔 제2과제 : 한국청소년의 비만과 체력의 상관성 연구
트레이닝의 분자생물학적 효과 고찰 김영수
󰋕 제1과제 : 지구성 트레이닝의 분자생물학적 효과 고찰 / 서태범
󰋖 제2과제 : 저항성 트레이닝의 분자생물학적 효과 고찰
󰋠 제3과제 : 복합 트레이닝의 분자생물학적 효과 고찰
󰋗
2018 컬링 골드 프로젝트 이상철
󰋗 제1과제 : 컬링 딜리버리 시 드로우와 테이크아웃 기술의 운동역학적 비교 연구
󰋡 / 김태완
󰋢 제2과제 : 컬링 브러쉬 스위핑 물리량에 따른 얼음 표면 온도변화 연구
󰋗
󰋣 지역 스포츠과학 거점 조성 및 운영방안
󰋗 김권일
󰋤 2018 평창동계올림픽 대비 경기력 향상을 위한 정책적 지원 방안
󰋗 김미숙
󰋥 스포츠부문 사회적 기업 도입방안 연구
󰋗 김상훈
󰋦 청소년 전인발달을 위한 스포츠 활용 프로그램 핸드북 개발
󰋗 노용구
󰋗 국내 경기단체의 NF-IF 관계관리역량 강화 방안
󰋧 박영옥
󰋨 공공스포츠시설이 민간 스포츠시설의 운영에 미치는 영향
󰋗 유지곤
󰋩 학교운동부 주말리그제 발전방안
󰋗 이용식
󰋠 배드민턴 대표선수의 경기력 향상을 위한 선수 개인별 루틴 개발과 적용
󰋘 구해모
󰋡 β-alanine 섭취와 복합 체력훈련이 국가대표 복싱선수들의 경기력 및 전문체력에 미치는 김광준
󰋘
영향
󰋢 엘리트 조정선수들의 유산소파워능력향상을 위한 심박수 편향점 연구
󰋘 김영수
󰋣 올림픽 출전 선수들이 지각하는 올림픽 경기력 영향 요인
󰋘 김영숙
책 임
도서명 연구자
󰋤 움직이는 상대선수를 대상으로 태권도 차기 유형별 동작의 반응시간 및 속도특성 비교분석 김태완
󰋘
󰋥 도마 신기술(손 짚고 옆 돌아 뒤 공중 돌며 1260도 비틀기) 착지 유형별 특성 연구 송주호
󰋘
󰋦 한국인의 생활습관, 체력과 건강과의 관계 분석
󰋘 송홍선
󰋧 고충격에 강한 실시간 투사체 각가속도 변화 측정분석시스템 개발
󰋘 길세기
󰋨 드라이버 클럽 개발을 위한 사용감 선호도 분석
󰋘 안병화
󰋩 봅슬레이 출발 구간에서 푸시바에 가해지는 힘 측정 장비 개발 연구
󰋘 이상철

󰋠 국가대표 운동선수들의 학업 및 진로지원 방안


󰋙 김양례

󰋡 한국형 운동 능력별 엘리트선수의 우수체력 SNP 진단 Chip 개발을 위한 Pilot study(SNP 김광준
󰋙
case-control study)
󰋢 노인성 뇌 혈관질환에 대한 운동의 효과
󰋙 서태범

󰋣 체육 분야 기관생명윤리위원회 표준운영지침(안) 수립
󰋙 박세정

󰋤 국민체육센터 스포츠교실 적정 이용가격 결정 사례연구


󰋙 최용석

󰋥 경기력진단평가프로그램 개선 방안 연구
󰋙 정진욱

󰋦 한국 선수 ʻ강인한 정신력ʼ의 심리학적 개념구조 및 지도의 지침


󰋙 김용승

󰋧 2014년 소치 동계올림픽 대비 위기관리 매뉴얼


󰋙 구해모

󰋨 배드민턴 스트로크 이후 대응 동작에 관한 연구


󰋙 송주호

󰋩 펜싱 경기동영상 기술분석 소프트웨어 개발


󰋙 길세기

󰋠 중점종목별 국가대표선수와 전문체력 평가기준 개발


󰋚 고병구

󰋡 스포츠공정위원회 설치·운영방안 연구
󰋚 성문정

❖ 수탁연구과제
책 임
도서명 연구자
󰋎 투표권사업 해외사례 분석 연구 정지명
󰋏 국제경기대회 유치 평가 모델 개발 박영옥
󰋐 장애인 동계종목 훈련장 건립 타당성 조사 연구 김상훈
󰋑 제20기 경륜선수후보생의 경기력 향상을 위한 스포츠 과학 적용 서태범
󰋒 스포츠산업 중장기 경쟁력강화 연구사업 조운용
󰋓 2012 국민생활체육전국종목별연합회 성과평가 이용식
책 임
도서명 연구자
󰋔 체육지도자 자격제도 개선(법령분과) 성문정
󰋕 스포츠복지정책 수립의 인프라 확충(국민생활체육진흥종합계획) 김양례
󰋖 2013 국민생활체육 참여 실태조사 김상훈
󰋠 청소년기 체력인증기준 개발(국민체력100)
󰋗 고병구
󰋡 청소년기 운동처방 프로그램 지침서 개발(국민체력100)
󰋗 송홍선
󰋗 청소년기 운동 동영상 제작(국민체력100)
󰋢 김광준
󰋣 국민체력100 참여노인의 체력과 건강관련요인 분석(국민체력100)
󰋗 박세정
󰋤 스포츠활동 및 종목인증 추진방안 연구(국민체력100)
󰋗 김미숙
󰋥 국민체력100 사업성과 제고방안 연구(국민체력100)
󰋗 김상훈
󰋦 2012 체육백서
󰋗 김권일
󰋧 스포츠관광 콘텐츠 확충 및 모델 개발(공공체육시설 균형배치 중장기 계획 수립)
󰋗 유지곤
󰋨 2013년 레저스포츠 안전관리 교육
󰋗 성문정
󰋩 2013년도 국민체력실태조사
󰋗 정진욱
󰋠 여학생 체육활동 참여실태 조사 및 분석
󰋘 조운용
󰋡 2013년도 꿈나무선수 선발 잠재력 측정평가
󰋘 김광준
󰋢 2013년 스포츠산업 경영정보조사 사업
󰋘 정지명
󰋣 2013년 경기단체 평가 지표개발 및 평가
󰋘 유의동
󰋤 스포츠관광 콘텐츠 확충 및 모델개발 사업
󰋘 정지명
󰋥 스포츠비즈니스 역량강화 사업
󰋘 유의동
󰋘 국내 골프산업 실태조사 및 제도개선 방안연구
󰋦 김상훈
󰋧 스포츠분야 컨슈머 리포트 발간
󰋘 조운용
󰋨 2013 대한장애인체육회 가맹단체 조직운영 평가
󰋘 김권일
한국스포츠개발원 정기간행물 안내

□ 스포츠과학
『스포츠과학󰡕은 체육정책, 스포츠과학, 스포츠산업분야 등 최신 체육정보를 폭넓게 소개하는
체육전문잡지입니다.

ㅇ 발행월 및 배포 부수 : 2, 5, 8, 11월(계간), 800부


ㅇ 배포처 : 국회, 문화체육관광부, 체육단체, 공공도서관 등
ㅇ 1년 구독료 : 20,000원(낱권 : 6,000원)
* 구독 신청 : 02-970-9570

□ 체육과학연구
󰡔체육과학연구󰡕는 2003년 한국연구재단 등재학술지로 선정된 국내 최고의 체육종합학술지
입니다.

ㅇ 발행월 및 배포 부수 : 3, 6, 9, 12월(계간), 500부


ㅇ 배포처 : 국회, 문화체육관광부, 체육단체, 공공도서관 등
ㅇ 1년 구독료 : 30,000원(낱권 : 10,000원)
* 구독 신청 : 02-970-9570

□ IJASS
󰡔IJASS󰡕는 국내 유일의 체육종합 영문 학술지입니다.

※ International Journal of Applied Sports Science


ㅇ 발행월 및 배포 부수 : 6, 12월(반년간), 800부
ㅇ 배포처 : 해외 체육관련기관 및 공공도서관 등
ㅇ 1년 구독료 : 20,000원(낱권 : 10,000원)
* 구독 신청 : 02-970-9570
□ 스포슈머 리포트
스포슈머 리포트(Sposumer Report)는 소비자 설문조사, 품질시험, 해외시장 가격비교 등
스포츠용품 분야의 객관적인 정보를 제공합니다.

제1호 텐트 (2013년 12월)


제2호 자전거 (2014년 04월)
제3호 골프 (2014년 09월)
제4호 아웃도어 재킷 (2014년 11월)
제5호 등산배낭 (2014년 12월)
제6호 자전거 용품 (2015년 05월)
제7호 라켓류 (2015년 06월)
제8호 캠핑용품 (2015년 08월)
제9호 야구 및 축구용품 (2015년 10월)
제10호 스키 (2015년 12월)

* 스포슈머 리포트 웹진 http://sposumer.spois.or.kr


페이스북 https://www.facebook.com/sposumer.spois
블로그 http://blog.naver.com/sposumer2015
* 발간시기 : 연중 5회(변동가능)

□ SI포커스
SI포커스는 스포츠산업 동향에 대한 부문별 심층 분석을 제공합니다.

제1호 스포츠산업의 외형적 구조변화 분석 (2015년 3월)


제2호 축구 참여 및 관람수요 분석 (2015년 4월)
제3호 야구산업 수요 분석 (2015년 5월)
제4호 한국 프로야구 SNS 빅 데이터 분석 (2015년 6월)
제5호 스포츠산업 기술 수요와 R&D 지원 현황 (2015년 7월)
제6호 한중 FTA가 스포츠산업에 미치는 영향과 대응방안 (2015년 8월)
제7호 농구산업 수요 분석 (2015년 9월)
제8호 배구산업 수요 분석 (2015년 10월)
제9호 해외 스포츠산업 분류체계 및 현황 분석 (2015년 11월)
제10호 한국 스포츠기업의 해외진출 동향과 전망 (2015년 12월)

* SI포커스 다운로드 http://www.spois.or.kr/front/www/issue/list.do


* 발간시기 : 월간 1회
해외 스포츠정책 동향 분석
-체육정책 거버넌스 및 주요 이슈 관련 정책비교-

발행일 : 2016년 5월
발행처 : 한국스포츠개발원
139-800
서울특별시 노원구 화랑로 727(공릉동)
인쇄처 : (사)한국장애인유권자연맹 ☎ 02)325-1585
편집디자인 : (주)비 전 테 크 시 스 템 즈 ☎ 02)3432-7132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