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175

해운대구청 용역보고서

해운대구 사회적 자본 증진 5개년


종합계획 연구

본 과제의 최종보고서로 제출합니다.

(사) 한국지방정부학회

연구책임자 박영강(동의대 교수)


공동연구원 윤은기(동아대 교수)
공동연구원 이희태(신라대 교수)
공동연구원 초의수(신라대 교수)
<요 약>

□ 연구과제의 목적

○ 매력 있는 세계일류도시를 목표로 구민의 품성과 도시품격을 높이기 위해 구의 에너


지를 결집하고 사회적자본 증진이 구정 전반에 이식될 수 있는 종합적 실행계획 수립의
필요성 제기됨

○ 본 연구에서는 사회적자본 증진을 위한 시책을 개발하고 이를 체계적으로 추진하기


위한 5개년 종합계획안의 수립에 가장 큰 목적을 둠

○ 이를 위하여 해운대형 사회적자본 모델과 전략체계를 수립하고,지속적 관리를 위한


사회적자본 지표를 개발하고 실행을 위한 정책대안과 관련 시책의 로드맵을 제시함

□ 연구방법

○ 국내외 사례연구와 해운대구 사회적자본의 현황분석,해운대구민 설문조사,SWOT


분석,전문가인터뷰를 실시함
-국내외 자치단체의 사례연구는 문헌연구방식을 취하며,이를 통하여 사회적자본의 기
본개념과 일반적으로 논의되는 영역별 측정지표를 검토하고,해운대구의 정책방향에 대
한 시사점을 모색함
-해운대구 사회적자본의 현황분석을 위해서는 국내 공공부문에서 생산하는 통계지표를
분석하였으며,이를 통하여 국내 7대도시 및 부산시 자치구․군의 사회적자본 수준을
대비함

○ 해운대구민 설문조사는 선행연구에서 중시하는 사회적자본 측정지표를 중심으로 문


항을 구성하고,지역별,소득수준별 사회적자본의 수준을 수치로 나타내어 대비하였음
- 설문조사는 해운대구 소재 초․중․고 학부모 1,
400명 규모를 대상으로 하되 지역별,
성별,연령별,소득수준을 고려하여 표본을 추출하였음
-분석방법은 평균값 분석을 중심으로 주로 역내의 지역별 사회적자본의 수준을 대비하
되,교차분석을 통하여 구체적인 내용을 보완하는 방식을 취함

○ SWOT 분석은 해운대구 사회적자본의 현황분석결과와 주민설문조사를 토대로 하되,

- i -
이를 통하여 해운대구의 전략체계 수립과 실천전략을 모색하고자 하였음

○ 전문가인터뷰는 사회적자본 증진을 위한 개별적 시책의 실효성 혹은 중요성을 검토


하기 위하여 실시하였으며,자문위원 1
0명을 대상으로 중간 및 최종보고회를 겸한 자문
회의 방식을 취하되,부재자에 대해서는 설문조사방식을 취하였음

□ 국내외 사례의 시사점

○ 해외 사례로는 국내에 알려진 미국 필라델피아시 켄싱턴과 뉴햄프셔주 런던데리타


운,핀란드 탐페레시,일본 아이치현 토까이시를 중심으로 검토하였으며,국내사례로는
주로 대전광역시와 부산광역시 사례를 검토하였음

○ 문화적 환경조성과 지역공동체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시민운동을 선도할 구심점이 요


청되므로 초기에는 구청의 역할이 중요할 것으로 나타남

○ 그러나 토까이시 사례와 같이 관주도형에는 한계가 있으므로 향후 추진주체의 조직


화 과정에서 민간주도 방식으로 전환될 수 있는 방안의 모색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남

○ 사회적 자본 증진을 위한 관련 조례의 정비는 물론 관련사업과 성과지표를 지속적으


로 관리․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주민참여예산과 BSC와 같은 성과관리와의 유기적인 연
계가 필요할 것으로 나타남

○ 기존의 협력단체인 민간단체,기업,공공기관 외 초,중등학교와의 협력이 중요하므


로 이를 위한 프로그램의 모색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남

○ 그밖에 지역공통체 육성과 함께 시민운동을 주도할 수 있는 핵심적인 시민단체의 육


성의 필요성과 부산시 본청의 사회적 자본추진 정책과의 유기적인 협력의 필요성도 제
기됨

□ 해운대형 사회적자본모델의 성격

○ 해운대구에서 추진하는 해운대형 사회적자본모델은 아래와 같이 요약됨

- ii -
주 체 민간주도의 민관산학 거버넌스형

접근전략 주체 간 소통과 협력

내부 실행전략 BSC 기반 전사적 성과관리

중점목표 사회적 배려,마을공동체 활성화,세계시민 지향

○ 추진주체는 범시민운동본부를 구성하고 (


사)세계시민사회센터를 중심으로 핵심적인
사업을 추진하며,구청 내 세계시민사회와 향후 설치될 사회자본지원센터에서 이를 지
원하는 형태를 취하게 되므로 민간주도의 민․관․산․학 거버넌스형이 될 것임

○ 주된 접근전략은 주체간의 신뢰를 바탕으로 한 협력체제의 구축이며,이러한 과정에


서 상호 정보를 공유하게 되며,이러한 전략은 정부 3.
0패러다임과 맥락을 같이 함

○ 사회적자본의 목표를 성과지표로 나타내고 이를 지속적․체계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서는 해운대구의 성과관리 방식인 BSC와의 연계가 요청됨.특히 사회적자본 지표는 주
무부서인 세계시민사회과의 업무 범위를 넘어 전체 조직의 활동과도 연계되므로 성과지
표의 이행상태에 대한 점검은 주무부서에서 맡더라도 세부적 성과목표와 시책의 집행은
전 부서에서 분담할 필요가 있음

○ 중점목표는 해운대구의 특성을 감안할 때 “


사회적 배려”
,“마을공동체 활성화”
,“세
계시민 지향”
이라는 3대 목표가 되어야 할 것으로 보임.본 연구에서는 관련 시책을 5
대 영역별로 핵심과제와 중점과제로 구분하고 있으므로 해운대구의 특성이 부각되지 않
지만,전체 성과지표와 하위 시책은 이러한 3대 목표를 중심으로 재분류될 수 있음
-사회적 배려가 필요한 것은 해구대구 내부에서는 소득수준이나 주거환경 및 기반시설
측면에서 반송/
반여지역과 기타 지역이 뚜렷하게 구분되기 때문임
-마을공동체 활성화가 강조되는 것은 사회적자분 증진의 보편적인 수단인 동시에 낙후
지역의 사회적자본 증진을 위한 시책으로 매우 효과적인 측면을 지니고 있기 때문임
- 세계시민 지향을 목표로 삼는 것은 해운대구의 위상이 이미 국제적 도시를 지향하는
상태에 도달하였으므로 미래지향적 목표로 삼기에 적합하기 때문임

□ 실천방안

○ SWOT 분석에서 제시된 장점과 기회요인을 활용하여 현 구청장의 임기 내에 추진

- iii -
체제간의 협력과 지원체계를 구축함
- 해운대구의 가장 큰 강점이 되는 것은 사회적자본 전담 기구 설치 및 세계시민센터
활성화,문화복합센터건립 등과 같은 사회적 본 육성에 필요한 추진체계 및 인프라가
이미 상당 수준 구축되었다는 것임
- 중요한 기회적 요인으로는 최근 박근혜정부에서 국정운영 패러다임으로 정부 3
.0을
설정하고 사회적자본의 확산에 관심을 두고 있다는 점을 들 수 있음

○ 민간주도의 사회적자본 추진체계를 수립하기 위해여 범시민운동 추진본부 내에 유능


한 인재를 영입함은 물론 지역 내 운동리더들을 적극적으로 육성하도록 함

○ 지속적인 성과관리와 환류가 필요하며,지속적 추진을 위해서 부서 인력과 예산규모


를 감안하여 성과지표와 지표의 목표수준을 부서 간 조정하여 배분하도록 함

○ 마을만들기와 사회적자본의 확충은 근린자치의 활성화에서 비롯되므로 주민자치센터


기능을 활성화시킴

□ 전략적 핵심과제의 추진

○ 본 연구에서 제시한 5대 영역 22대 핵심과제 및 22대 중점과제 중에서 추진주체 확


립이후 단기적인 성과와 파급효과가 큰 과제로는 아래와 같은 들을 들 수 있음

○ 추진주체의 확립을 위한 과제
-사회자본지원센터 설립 및 운영(
추진주체의 확립)
-사회적자본 운동본부 구성 및 운영(
추진주체의 확립)

○ 단기적인 성과와 파급효과가 클 것으로 예상되는 사업


-사회적자본 증진을 위한 시민포럼 및 사회적자본아카데미 운영
-해운대 타운홀미팅
-하운대구 마을비전 및 마을공동체 기준선 운영
-마을만들기 전략계획 수립 및 운영
-마을지기(
마을리더)양성 프로그램 운영
-해운대비전재단 설립 및 운영

□ 정책적 제의

- iv -
○ 추진본부의 완성을 위해서는 범시민 추진본부의 구성과 함께 사회자본지원센터의 설
치를 위한 조례제정이 요청됨
-이 경우 민간위탁 규정을 둠으로써 별도의 조직을 설립하지 않고 관련 사업과 단체를
지원할 수 있도록 함

○ 구청내의 체계적 관리를 위해서는 현행 BSC 체계와 연계시키되 조직내외의 평가와


환류를 제도화해야 할 것임
-구청의 내부 평가는 기존의 BSC 체계를 통하여 성과지표를 측정하고 평가
- 외부평가는 매년 1회 정도 주민설문조사를 관련 성과지지표를 측정하는 방식을 취하
도록 함.자치단체 간 대비 통계지표는 시차가 있으므로 해운대구형에 부합되는 문항을
구성하도록 함

- v -
< 목 차 >

Ⅰ. 사회적 자본의 의의와 국내외 추진 현황 ·


·
···
·
···
··
··
··
··
··
··
··
··
··
··
··
··
··
··
··
··
··
·1
1. 사회적 자본의 의의와 현황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
2. 국내외 지방정부의 추진사례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2
3. 국내외 사례의 시사점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2

Ⅱ. 사회적자본 현황 분석 및 해운대형 지표개발 ·


··
··
··
··
··
··
··
··
··
··
··
··
··
··
··
··
·24
1. 국내 7대도시 및 해운대구의 사회적자본 지표 현황 ·
·
···
·
··
··
·
···
·
··
··
·
···
·
··
··
··
··
·
··
··
··
··
24
2. 해운대구의 잠재적 사회적자본 현황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0
3. 해운대형 사회적자본 지표의 모색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8

Ⅲ. 사회적자본의 전략수립을 위한 주민설문조사 ·


··
··
··
··
··
··
··
··
··
··
··
··
··
··
··
··
·54
1. 조사개요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4
2. 설문조사의 평균 값 분석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6
3. 설문조사의 교차분석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9
4. 분석결과의 요약과 시사점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71

Ⅳ. 해운대형 사회적자본모형 개발을 위한 추진전략과 실천과제 ·


··
··
·74
1. 해운대구의 현행 사회적자본 추진체계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74
2. 해운대구의 사회적자본 추진체계에 관한 SWOT 분석 ·
·
··
··
·
···
·
··
··
·
···
·
··
··
·
··
··
·
··
··
·
··
··
··
78
3. 해운대형 모형개발을 위한 전략체계도와 추진주체의 개선 방안 ·
··
··
·
···
·
··
··
·
···
·81
4. 영역별 실천과제와 성과지표의 개선방안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89

Ⅴ. 사회적자본 증진을 위한 5개년 종합계획 ·


·
···
··
··
··
··
··
··
··
··
··
··
··
··
··
··
··
··
··
··
·93
1. 5개년 계획의 기본 구상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93
2. 분야별 성과목표와 성과지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95
3. 해운대구 사회적자본정책의 실천전략과 환류방안 ·
·
··
··
·
···
·
··
··
·
··
··
·
··
··
·
··
··
··
··
·
··
··
·
···
·
·98
4. 분야별 사업의 5개년 추진계획(안)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02

<참고문헌>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51
<부록> 주민설문조사와 소득별 교차분석표 ·
·
···
·
···
··
··
··
··
··
··
··
··
··
··
··
··
··
··
··
··
··
·154

- vi -
<표 차례>

<표Ⅰ-1> 경제·인적·문화적 자본과 사회적 자본의 차이 ·


·
··
··
·
···
·
··
··
··
·
··
··
·
··
··
·
···
·
··
··
··
·
··
··
·1
<표Ⅰ-2> 사회적 자본의 구소요소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
<표Ⅰ-3> 사회적 자본 지수의 구성항목과 내용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8
<표Ⅰ-4> 해운대구 행정관리국 성과목표와 성과지표(발췌) ·
·
···
·
··
··
·
··
··
·
··
··
·
···
·
··
··
··
·
··
··
·
···
21
<표Ⅱ-1> 주요 도시의 사회지표 현황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5
<표Ⅱ-2> 해운대구 사회적 자본 현황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5
<표Ⅱ-3> 해운대구 사회적 자본의 인프라(기반) 개요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2
<표Ⅱ-4> 해운대구 사회적 자본운동본부 참여예정 민간단체(69개) ·
·
··
··
··
··
·
···
·
···
·
···
·
··
·43
<표Ⅱ-5> 부산광역시 본청 등록 비영리단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6
<표Ⅱ-6> 해운대구 사회적자본지표의 선정기준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8
<표Ⅱ-7> 신뢰지표의 성격과 관리의 필요성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9
<표Ⅱ-8> 규범지표의 성격과 관리의 필요성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0
<표Ⅱ-9> 네트워크지표의 성격과 관리의 필요성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1
<표Ⅱ-10> 참여지표의 성격과 관리의 필요성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2
<표Ⅱ-11> 사회구조지표의 성격과 관리의 필요성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3
<표Ⅲ-1> 표본의 주요 특성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4
<표Ⅲ-2> 해운대구 사회적 자본의 측정을 위한 측정지표 ·
·
··
··
·
···
·
··
··
··
·
··
··
·
··
··
·
···
·
··
··
··
·
··
··
·55
<표Ⅲ-3> 응답자의 지역별 평균값 대비(F-검정)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6
<표Ⅲ-4> 가족 간의 신뢰관계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9
<표Ⅲ-5> 친척들 간의 신뢰관계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0
<표Ⅲ-6> 이웃과의 신뢰관계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0
<표Ⅲ-7> 해운대구 행정에 대한 신뢰도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0
<표Ⅲ-8> 주민센타(동사무소)에 대한 신뢰도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1
<표Ⅲ-9> 부산시 행정에 대한 신뢰도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1
<표Ⅲ-10> 다른 사람을 도우면 자신도 도움을 받을 수 있는 가능성 ·
·
···
··
··
··
··
··
··
··
··
··
·61
<표Ⅲ-11> 이웃사람들이 남들에게 피해 주지 않으려고 조심하는 정도 ·
··
··
··
··
··
··
··
··
··
·62
<표Ⅲ-12> 헌혈이나 장기기증운동에 참여할 의사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2
<표Ⅲ-13> 백화점이나 공공장소에서 차례를 지키는 정도 ·
·
···
·
··
··
··
·
··
··
·
··
··
·
···
·
··
··
··
·
··
··
·
··
··
·63
<표Ⅲ-14> 교통질서를 지키는 정도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3
<표Ⅲ-15> 쓰레기를 잘 처리하는 정도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3
<표Ⅲ-16> 해운대구 주민으로서의 자부심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4

- vii -
<표Ⅲ-17> 부산시민으로서의 자부심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4
<표Ⅲ-18> 현재 사는 동 주민으로서의 자부심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4
<표Ⅲ-19> 현 지역에서 계속 거주하고자하는 욕구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5
<표Ⅲ-20> 현재 살고 있는 동네의 발전정도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5
<표Ⅲ-21> 가족들과 선물을 교환하거나 외식 등을 같이하는 정도 ·
··
··
··
··
·
···
·
···
·
···
·
··
··
·
·66
<표Ⅲ-22> 친척이나 친구들과 외식 혹은 놀이를 같이하는 정도 ·
··
··
··
··
·
···
·
··
··
·
···
·
··
··
·
···
·66
<표Ⅲ-23> 이웃 및 학부모 등과 식사 혹은 상의하는 정도 ·
·
··
··
·
··
··
·
···
·
··
··
··
·
···
·
··
··
··
·
··
··
·
···
66
<표Ⅲ-24> 아파트 동 대표나 통장들과의 유대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7
<표Ⅲ-25> 동사무소 혹은 해운대구 공무원들의 유대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7
<표Ⅲ-26> 지방의원이나 시민단체 구성원과의 유대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7
<표Ⅲ-27> 학부모 단체 구성원 혹은 교사들과의 유대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8
<표Ⅲ-28> 아파트 주민대표 혹은 거주지 부녀회 등의 참여 ·
·
··
··
·
···
·
··
··
··
·
···
·
··
··
··
·
··
··
·
···
·
··68
<표Ⅲ-29> 종교단체에 참여하여 활동하는 정도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9
<표Ⅲ-30> 봉사단체나 취미단체에 참여하는 정도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9
<표Ⅲ-31> 지역축제나 이벤트에 참여하는 정도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9
<표Ⅲ-32> 공공부문에 참여하여 봉사할 의사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70
<표Ⅲ-33> 공공부문에 이메일 등으로 제안할 의사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70
<표Ⅲ-34> 주민들과 함께 시위에 참여할 의사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70
<표Ⅲ-35> 교차분석결과의 요약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72
<표Ⅳ-1> 해운대구 사회적 자본 높이기 10대 시민운동 추진(안) ·
·
··
··
·
···
·
···
·
··
··
·
···
·
··
··
··75
<표Ⅳ-2> 해운대구 사회적자본의 현황과 환경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78
<표Ⅳ-3> 정부운영 패러다임의 변화 방향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81
<표Ⅳ-4> 지방 3.0 자치단체 추진과제 및 추진방식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83
<표Ⅳ-5> 5대 영역별 주요 실천과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91
<표Ⅳ-6> 사회적 자본의 핵심성과지표(Key Performance Index) ·
··
··
·
··
··
·
··
··
·
··
··
·
···
·
··
··
··
·92
<표Ⅴ-1> 사회적자본 시책에 대한 전문가 의견 및 연구진 판단(Ⅰ) ·
··
··
··
··
··
··
··
··
··
··
··
·93
<표Ⅴ-2> 사회적자본 시책에 대한 전문가 의견 및 연구진 판단(Ⅱ) ·
··
··
··
··
··
··
··
··
··
··
··
·94
<표Ⅴ-3> 5대 영역 22대 핵심과제 및 22대 중점과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94
<표Ⅴ-4> 해운대구 사회적자본의 외부평가를 위한 측정지표(주민용) ·
··
··
··
··
··
··
··
··
·101

- viii -
<그림 차례>

<그림Ⅰ-1> OECD의 국가의 사회적 자본 지수 점수와 순위 ·


·
···
·
··
··
··
·
··
··
·
··
··
·
···
·
··
··
··
·
··
··
·
··
··
·9
<그림Ⅰ-2> 사회적 자본의 각 차원의 상대적 수준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0
<그림Ⅰ-3> 일반화된 신뢰의 수준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0
<그림Ⅰ-4> 사람들에 대한 신뢰도 비교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1
<그림Ⅰ-5> 기관에 대한 신뢰도 비교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1
<그림Ⅰ-6> 사회기관 지도층에 대한 신뢰도 최근 추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2
<그림Ⅰ-7> 대전시정 3대 핵심과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8
<그림Ⅱ-1> 세계시민사회센터 조직도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8
<그림Ⅳ-1> 2013년 사회적 자본 증진 기본계획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75
<그림Ⅳ-2> 해운대구 사회적 자본 추진추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76
<그림Ⅳ-3> 해운대구 사회적 자본 비전과 전략체계(안) ·
··
··
·
··
··
·
··
··
·
··
··
·
··
··
·
··
··
·
··
··
·
··
··
·
··
··
·84
<그림Ⅳ-4> 해운대구 사회적자본의 핵심적 추진 주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89

- ix -
Ⅰ.사회적 자본의 의의와 국내외 추진 현황

1.사회적 자본의 의의와 현황

1)사회적 자본의 의의

□ 사회적 자본의 개념

○ 사회 자본은 “
협력된 행동을 촉진함으로서 사회의 효율을 개선시켜주는 신뢰,규범,
네트워크와 같은 사회적 조직의 요소들”
이라고 정의되며,사회 자본은 주로 시민사회와
결사체 활동의 산물로 인식됨(
Put
nam1993& 200
0).

○ 경제자본,인적자본,문화적 자본,사회적 자본의 차이는 다음과 같이 설명할 수 있


<표Ⅰ-1
> 경제·
인적·
문화적 자본과 사회적 자본의 차이

구분 경제자본 인적자본 문화적자본 사회적자본


화폐가 아닌 생산 자본가에 의한 배 경제자본과문화적 개인이 아닌 사회

이론적 수단 형태로 존재 타적 소유만 인정 자본불 일치 적 관계에서 파생

의의 하는 자본 되던 자본의 개념 되는 자본
수정

자본 개인(
자본가) 개인(
노동자) 가족전체 또는 가 집단

소유자 족의 개별구성원 (
사회집단)

자본 타인의 노동력에 노동시자에서 협 다른 계급과의 정보의 취득,사회

소유자가 대한 착취를 통한 상력 증대, 높은 구별짓기,계급의 적 연대, 결속의

갖는 이익 경제적 이익 임금 문화적 재생산 창출


물직적 수단 교육과 훈련을 통 가족구성원들이 사회적 관계속에

자본의 (
생산수단) 해 개별노동자에 공유하는 문화적 존재하는 신뢰와

존재형태 게 체화(
滯化)
된 취향 결속관계
기술,지식

자료:유석춘·
장미혜·
정병은·
배영 역(
2007)
,사회자본 :이론과 쟁점,도서출판 그린:65.

- 1 -
□ 사회적 자본의 중요성

○ 사회적 자본은 국민들의 신뢰수준을 높여 구성원의 단결을 가져오므로 민간기업의


생산력은 물론 공공부문의 국가경쟁력을 향상시키며,궁극적으로는 행복국가를 지향하
게 하는 새로운 사회적 자산이 됨

○ 2009년 독일의 연구소(


DIW)
는 교육과 고용이 사회의 신뢰지수와 높은 상관 관계가
있다고 논의함.2
010년 OECD 통계에 의하면 대한민국의 고용율은 OECD평균인 64.
8%
보다 낮은 62
.9%로 스위스 79%,네덜란드 75
.8%,독일 70.
4%보다 낮은 고용율로 인적
자원을 잘 활용하고 있지 못하고 있음.우리나라는 고용인구의 30%가 자영업에 종시하
고 있고,이러한 자영업 종사자의 26.
4%가 파산상태이고 임금노동자의 1/
3이상이 비정
규직 인 것을 감안하면 실질 고용률은 이보다 훨씬 낮을 것으로 예상됨(
정인성.20
13)
.

○ 세계은행 분석에서 다른 조건과 여건이 동일한 조건에서 국가 신뢰지수가 10% 하락


하면 경제 성장율은 0.
8% 하락 하는 것으로 조사되었음.후쿠야마는 높은 신뢰지수가
낮은 거래비용,효율적인 시장체제,효과적인 조직운용을 가능하게 하고,낮은 신뢰지수
는 높은 거래비용과 비효율적인 시장체제를 야기한다고 논의하고 있음

○ 국내외 사례에 의하면 신뢰가 거래비용을 절감하여 시장에서 공정한 거래와 함께 효


율적 투입과 운용을 가능케 하는 요소로 지식 창출,기업 혁신,창조 경제의 추진을 위
한 중요한 요소로 분석되고 있음.결과적으로,높은 사회적 자본의 수준은 교육,보건,
치안,문화 분야에서의 삶의 질에 향상에 기여 하고 있음

□ 사회적 자본의 문제점

○ 사회적 자본은 순기능적 측면이 강하지만 동시에 다음과 같은 역기능도 지니고 있는


것으로 지적되고 있음(
진관훈,2012
:398-39
9).

○ 사회적 자본의 증진을 위한 관계의 확립과 유지에는 상당한 투자가 수반되므로,공


공부분에서 이를 증진하기 위한 투자를 할 경우 비용이 증진효과를 상쇄하거나 초과할
수도 있음

○ 결속력이 강한 공동체는 외부인의 접근을 차단하거나 공공이익보다 집단의 이익을


강조할 수도 있으며,규범의 하향평준화를 유발시킬 수도 있음

- 2 -
2)사회적 자본의 구성요소

○ 사회적 자본의 구성요소는 연구자에 따라 상이하게 나타나고 있으나,요약하면 신


뢰,사회규범,네트워크,참여가 중심을 이루지만 넓은 의미에서는 사회구조와 제도가
포함됨

<표Ⅰ-2
> 사회적 자본의 구소요소
·가족과 친척에 대한 신뢰정도
신뢰 ·지역사회(
이웃,친구)
에 대한 신뢰정도
·공공기관에 대한 신뢰정도
·지역사회주민의 규범(법과 질서)준수여부
호혜성에 기반한
·지역내 갈등 및 문제 자체 해결 정도와 상호협력정도
사회 규범
·지역내 각종기관의 법규 준수 여부에 대한 인식
·지역사회 주민들의 소통과 정보공유 정도
네트워크 ·지역사회 단체 및 기관 간의 협력여부
·지역사회 단체 및 기관과 지자체 간 정보 공유 정도
·지역사회단체 및 활동에 대한 참여
참 여
·지역행사나 공공부문에 대한 참여
·특정 개인 또는 집단에 의해 좌우되는 정도
사회구조 ·지역사회 소득불균형 정도에 대한 인식
·지방자치단체의 행정업무 수행 능력

자료:진관훈(
2012)
,사회적 자본이 지역사회 복지거버넌스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사회복지정책,
Vol
.39
.NO 4에서 재정리.

① 신뢰

○ 신뢰는 관점에 따라 사회자본의 대표적 형태,구성요소,결과,원인요소 등으로 간주


되고 있는 개념임

○ Put
nam은 조밀하지만 분리된 네트워크는 시민간의 갈등을 초래할 수도 있다고 함.
즉 Put
nam은 일반시민에 대해 보편적으로 열려 있는 수평적인 신뢰(
hor
izont
alt
rus
t)는
민주주의 기능에 긍정적인 역할을 하는 반면,동질적이고 혈연,학연,지연 중심의 일차
사회적 관계를 가지고 있는 폐쇄적이고 수직적인 신뢰(
ver
ticalt
rus
t)는 민주적 거버넌
스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하였음

- 3 -
○ Fukuyama(
199
5)는 서양의 시민사회는 수평적이며 이차 사회적 신뢰가 일반적인 반
면,한국과 중국은 일반적인 사람들은 잘 믿지 않는 경향이 있다고 함.개인의 친소관계
에 따라 즉 가족,친구,친지 등 동질적인 관계에 있는 사람들에 대해 특별히 신뢰가 높
다는 것임.혈연,학연,지연을 바탕으로 한 수직적,폐쇄적 네트워크를 중심으로 발전된
각종 단체는 신뢰를 발전시키기 어렵다는 것을 논의함

② 호혜성(
reci
proc
ity)

○ 개인에게 있어 중요한 것은 ‘
사회적 유대를 유지하는 일’
인데 사회적 유대를 유지하
는 일에 작동하는 원칙이 바로 상호성과 호혜성임.즉 호혜성은 사회적 의무를 수반하
는 개념인데 주어야 하는 의무,받아야 하는 권리,되돌려 주어야 하는 의무이며,사회
적 의무를 바탕으로 하는 규범임

○ 호혜성은 등가성 여부와 보답의 시간에 따라 일반적(


포괄적)호혜성과 균형적(
구체
적)호혜성으로 구분 될 수 있는데,일반적 호혜성은 미래에 보답 받는다는 상호 기대
를 포함하는 지속적 관계이고,균형적 호혜성은 등가의 항목을 동시에 교환하는 것임
(
Put
nam,1992
:163-18
1).

③ 네트워크

○ Put
nam은 네트워크를 ‘
다른 사람과의 관계’
를 총칭하는 것으로 간주하면서,네트워
크를 수평적 네트워크와 수직적 네트워크로 분류함.수평적 네트워크는 동등한 여건과
권한을 가진 사람들 간의 연결이며,수직적 네트워크는 계급과 의존의 불평등한 개인들
간의 연계로 구분하고,수평적인 사회적 상호작용을 통해 사회 전체에 혜택을 확산시킨
다고 주장하였음 (
Put
nam,2000)
.

○ Put
nam은 사회 자본을 결속형(
Bondi
ng)사회자본과 연결형(
Bri
dgi
ng)사회 자본으
로 구분하면서,전자는 가족과 친구의 닫힌 네트워크 이고 후자는 다른 공동체들과 연
결된 열린 네트워크임
- 결속 사회 자본은 특정 호혜성,고립주의,협소성으로 형성되어 있고,배타적인 집단
정체성 지지와 외집단(
out
-gr
oup)
에 강한 적대감을 발산할 수 있음.이 결속 사회 자본
의 예는 우애조직과 여신도 독서그룹 등이 해당됨

-연결 사회 자본은 협동의 증가에 기여한다고 지적하고,구성원들의 일반 호혜성에 근

- 4 -
거한 연결 사회 자본을 가진 네트워크는 외부지향성(
out
war
d-or
ient
ed)
과 함께 구성원
의 이질성(
het
eroge
nous
)에 대한 상호 이해와 협력을 강조함.이 연결 사회 자본의 예는
시민권리 운동,지구적인 종교조직,청소년보호단체 등이 해당됨

○ 결속형 자본(
bondi
ng c
api
tal
)은 공통적인 생각과 이념을 가진 동질성의 집단내 구성
원들이 연대를 강화하기 위한 관계로서 가족 민족 종교등과 같이 동종 집단사이의 결합
과 네트워크로 이루어진 관계를 의미하는데,결속형 자본은 그들 간의 친밀감이나 집단
내의 신뢰를 토대로 이루어지며 집단 밖의 외부인에 대해서는 배타적인 성향임

○ 연결형 자본(
bri
dgi
ngcapi
tal
)은 다양한 집단들 사이에 횡적인 사회적 결합의 형태로
외부인에 대해서는 우호적인 성향을 보여주고,이질적인 집단들 간의 상호존중과 이해
를 바탕으로 하는 네트워크를 의미함

④ 시민적 협력과 참여

○ Put
nam은 사회자본의 측정을 위한 주요 지표인 시민적 참여(
civi
cengage
ment
)와
자발적 결사체(
vol
unt
aryas
soc
iat
ion)
를 강조함

○ 시민적 협력과 참여는 신뢰와 마찬가지로 네트워크에서 생성되는 중요한 사회자본의


요소로,신뢰가 인지적 성격이라면 참여와 협력은 행동적 성격의 구성요소임

○ 지역에서 주민들의 높은 정치참여,높은 공익 지향적 정치형태,높은 정치의식 등은


정부신뢰를 증가시키는 원인이 될 수 있고,사회자본이 개인의 특성보다는 전통적인 사
회적,경제적,역사적 요소와 특성들에 의해 결정된다고 하였음.정부신뢰는 사회의 통
합적 개념으로 주민들 간의 통합적인 관계와 인식으로 부터 형성되기 때문임

○ 정치참여와 정부신뢰의 관계에 있어서 기본적으로 정치참여가 높으면 정부신뢰가 높


아질 것이라는 점을 기본으로 함.Rot
hst
ein(
2001)
은 노동조합 및 정당에 가입하는 등
정치참여에 적극적인 사람들이 그렇지 않은 사람들에 비해 구성원 간의 신뢰와 정부신
뢰가 높게 나타난다고 하였음.이 같은 주장은 사회단체 참여와 정부신뢰 간의 관계를
긍정적으로 보는 학자들의 입장과 논리가 같음. 즉 Al
mond와 Ve
rba(
1963)
,
Tocque
vil
le(
1984)
,Put
nam(
1993a;1995)등 서구적 시민사회의 가치를 중시하는 학자들
이 주장하는 시민단체 및 정치참여의 시민문화 및 가치가 신뢰,협력,상호작용 등의 사
회 자본의 증가를 주장함

- 5 -
○ 반면,정부신뢰가 사회 내 구성원의 참여 및 신뢰와 관련이 있을 수 없다는 반론도
제기되고 있음.Le
vi와 St
oke
r(2000
)는 특정한 상황에서는 정부에 대한 불신이 정치적
참여를 증가시킬 수 있다고 하였음.De
th(
2000
)는 참여율이 높은 시민일수록 정치에 대
한 정보를 많이 인지함에 따라 오히려 정부에 대한 불신이 높을 수 있음.Us
lane
r(2002
)
는 정부신뢰는 현재 정부에 대한 신뢰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사회 내 구성원의 일반적인
참여와 신뢰를 포함하는 시민문화와 직접적으로 연결시키는 것의 문제점을 지적함

○ 정치참여와 관련하여 정치참여가 정부신뢰에 긍정적인 영향 혹은 부정적인 영향의


양론의 견해가 상존하고 있음.선진국에 있어서도 국가별로 정치참여와 정부신뢰의 관
계가 양(
+)의 관계로 나타나기도 하고,음(
-)의 관계일 수도 있으며,아무런 관계가 나
타나지 않는 경우도 있음.물론 발전도상국의 경우는 그 양태가 더 복잡해지기도 함.따
라서 한 국가의 정치참여 수준과 정부신뢰의 경우도 보다 세분하여 살펴볼 필요가 있는
데,정치참여의 성격과 정부기관의 성격도 다양할 수 있기 때문임

⑤ 제도

○ 사회자본의 주요 요소로 네트워크,협력과 참여,신뢰,호혜성 외에 Gar


dne
r(1994)
,
Os
trom & Cr
awf
ord(
1995)
,Gr
oot
aer
t(1998
)등의 관점에서 제도를 사회적 자본으로 간
주함

○ Ost
rom은 제도를 행동이나 결과의 허용과 제재를 명시하는 처방 또는 규칙이라고
정의함.즉 제도는 사람들이 고안해낸 게임의 법칙으로,사회적 결과의 예측가능성을 증
대시키고,명문화된 법,행정규제,법적 결정 등 공식적 제도를 의미함.이러한 공식적
제도는 국가와 지역수준에서 사회 협력을 유지하고 촉진하는 역할을 하고 법치주의,민
주주의적 환경,잘 구조화된 정부는 가치 있는 사회자본이라고 주장함 (
Ost
rom & Ahn,
2008
:22-24)
.

○ Nor
th(
1990)
는 제도(
ins
tit
uti
ons
)를 게임의 규칙으로 보면서,개인들은 이를 이용하여
모든 형태의 조직에서 활동한다고 보고 있음.상호작용을 구성하기 위하여 개인들이 사
용하는 규칙들은 공식적·
비공식적이기도 함.제도는 사회적 자본의 중요한 형태로서 효
과적인 법과 규칙은 사회적 자본을 증가함

○ 사회적 자본의 개념은 ‘


제도’
까지를 포함하는 것으로 확대되었고,Ol
son(
198
2)에 의하

- 6 -
면 사회적 자본은 정부,정권,법의 지배,법원 체제 등과 같은 공식적 제도를 변화시키
고,사람들 간의 복잡한 교환에 있어 협동적인 해결을 위해 친밀한 환경을 구성하는 것
이라고 함

○ 개인 신뢰와 정부신뢰의 관계는 서로 다른 차원이며,권위주의적 정부체제와 민주주


의적 정부체제애서 개인 신뢰와 정부신뢰와의 관계에서 차이가 있음을 보여주고 있음,
개인 신뢰와 정부신뢰 간의 관계에 관한 학자들의 연구는 일정한 패턴을 보이지 않고
있는데,역사적,시대적,문화적 배경에 따라 연구의 대상을 달리 하고 있기 때문임.공
통적으로 제도들은 개인 신뢰도와 정부 신뢰도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로 인식되
고 있음

○ 일반적으로 민주적 체제 내에 있는 시민들이 비민주적 체제에 거주하는 시민들보다


정부를 신뢰하는 성향이 있다고 함(
Newt
on2001)
.또한 보편적 복지 혜택을 주는 국가
가 선택적 복지 시스템 국가보다 신뢰가 높고,독립적 사법부와 대통령 권력에 대한 제
도적인 통제를 하는 국가는 그렇지 않은 국가보다 신뢰가 높다고 분석됨.사회갈등 및
부패 없는 경찰력과 법률시스템 및 공공관료제를 통한 성과 창출은 시민들의 신뢰증진
에 도움을 준다고 함(
Levi
,199
6).

○ De
lhe
y와 Ne
wton(
2003)
은 사회갈등이 없고,공공안전성이 높은 국가에서 정부신뢰
가 높다고 하였음.사회적 갈등과 양극화가 높은 국가는 신뢰도가 낮은 경향임

○ Por
tes
(200
0)는 경험적 연구를 통해 이태리,독일,프랑스에서 부패가 불신을 유인하
는 주된 요인임을 지적함.부패로 인한 비용 증가와 공공서비스의 질적 수준 저하가 시
민에 대한 정부 대응성을 저하시켜 정부능력에 대한 불신으로 이어진다는 것임

○ 시민들의 부패경험은 제도의 정당성에 대한 신뢰를 축소함.효율적인 제도적 장치는


신뢰에 본질적으로 구조적인 기초가 되고,부패가 없는 민주적 정부는 신뢰를 증가시키
는 제도적 구조를 형성하는 경향이 있음

3)사회적 자본의 측정지표

○ 사회적 자본을 측정하기 위한 측정지표 역시 연구목적이나 연구자에 따라 다양하게


제시되고 있음(
고경훈․안영훈․김건위,2
012)
.

- 7 -
○ 여기서는 삼성경제연구원에서 OECD의 국가의 사회적 자본 지수를 점수화하기 위하
여 사용한 측정지표를 대표적으로 예시함

<표Ⅰ-3> 사회적 자본 지수의 구성항목과 내용

분야 항목 내용 및 출처
대부분 사람을 신뢰할 수 있다고 응답한 비중
일반적 신뢰도
(Wor
ldVal
uesSur
vey:세계가치관조사,1
999~20
06년,이하 WVS)
공정성 남들이 자신을 이용하지 않고 공정히 대함( WVS)
GDP대비 민간부문 국내여신(
Wor
ld Bank, Worl
d Developme
nt
금융시장 신뢰
I
ndi
cat
ors
,(200
0~2007
년),이하 WDI
)
신뢰 공공기관 신뢰
정부,국회,경찰,사법제도,군대,행정사무,정당에 대한 신뢰도(
WVS)

사회기관 신뢰
종교,언론,노조,방송,기업에 대한 신뢰도(
WVS)

정부 소유권 법적구조 ‧소유권:사법제도의 독립성과 소유권 보호정도 포함
보호 (
Economi
cFr
eedom oft
heWor
ld,20
00~200
6년)
정부보조금 부정수급,공공교통 무임승차,탈세,뇌물수수를 정당화할 수
시민의식
없다고 응답한 비율(
WVS)
공무원과 정치인이 지위를 이용하여 사적이익을 추구
사 회 부패
(
Trans
par
enc
yInt
ernat
ional
,2000~2
007년)
규범
법과 질서가 잘 지켜지는 정도( 계약집행 수준,경찰‧법원의 질 등)
법의 지배
(Wor
ldBank,Wor
ldwi
deGove
rnanc
eIndi
cat
ors
(200
0~2007
년))
법의 기원 영국보통법 =0,시민법 =1,사회주의법 =2.
네 트 ⑴종교,⑵교육‧예술‧문화,⑶스포츠‧여가,⑷노조,⑸정치정당,⑹전문협회에 가입한 비중
워크 (
WVS)
소득불균형 지니계수(WDI
,1990~2000년)
민주주의 성숙도( Pol
ityI V Pr
oje
ct:Pol
it
icalRe
gime Char
act
eri
sti
cs and
민주주의
Tr
ans
iti
ons
,1991~
2007년)
정부의 정책수행능력( Wor
ldwi
de Gove
rnance I
ndi
cat
ors, Wor
ld Bank,
정부역량
2
000~20
07년)
사회갈등지수 (
소득불균형+민족다양성)÷ (
민주주의 지수+정부역량)
이민자 비중 (
Wor
ldMi
grantSt
ock,UN,20
00년,2005
년)
사 회
도시인구 비중 (
WDI,2
000~20
07년)
구조
친구,직장동료,종교친우,스포츠클럽 회원과 한 달에 한두 번 이상 교제
비공식적 교제
(
WVS)
TV 보급률 TV를 소유한 가정의 비중(
WDI
,2000~2
007년)
인터넷 보급률 1
00명당 인터넷 사용자 수(
WDI
,2000~20
07년)
선거,출마 등 정치적 절차에 자유롭게 참여할 수 있는 정도(
Fre
edom i
n
정치적 권리
t
heWorl
d,200
2~2008
년)
종교 인구 중 가톨릭과 이슬람교도 비중

자료 :삼성경제연구소(
2009
),사회적 자본 확충을 위한 정책과제:9
.

- 8 -
4)한국의 사회적 자본 현황

○ 삼성경제연구소(
2009)
의 연구결과에 의하면 한국은 사회적 자본 종합지수에서 측정
대상 72개 중 25위로 비교적 상위권에 속하지만,조사에 포함된 29개 OECD 회원국 중
에서는 22위로 하위권에 속하고 있음.종합지수의 점수는 5.
7로 OECD평균인 6.
55에 비
해서 많이 낮은 수준으로,특히 사회적 자본의 신뢰,사회규범,사회구조 분야가 낮은
것으로 평가되고,한국의 일반화된 신뢰수준은 0.
30으로 선진화된 국가보다 낮은 것으로
분석되어짐

<그림Ⅰ-1
> OECD의 국가의 사회적 자본 지수 점수와 순위

자료:삼성경제연구소(
2009)
,사회적 자본 확충을 위한 정책과제:10.

- 9 -
<그림Ⅰ-2> 사회적 자본의 각 차원의 상대적 수준

자료:삼성경제연구소(
2009)
.

<그림Ⅰ-3
> 일반화된 신뢰의 수준

자료:연세대학교(
2011
),공정사회 구축을 위한 사회적 자본 확충방안.2011
년도 특임장관실 학술연구
용역.

○ 사람들에 대한 신뢰 중에서 가족에 대한 신뢰만 OECD 평균 이상인 반면,아는 사


람이나 이웃,외국인,처음 만나는 사람에 대한 신뢰는 평균 이하로 나타남.가족과 같
이 더 친밀하고 폐쇄적인 관계에 대한 신뢰만 특히 높은 수준인 것으로 나타나 신뢰의
반경이 매우 좁음을 알 수 있음

- 10 -
<그림Ⅰ-4> 사람들에 대한 신뢰도 비교

자료:연세대학교(
2011
),공정사회 구축을 위한 사회적 자본 확충방안.2011
년도 특임장관실 학술연구
용역.

○ 기관에 대한 신뢰도 비교에서 국회,사법체계,경찰 분야에서 한국은 노르웨이와


OECD 평균치보다 낮은 것으로 평가되었고,정부,노조,환경운동,대기업 분야에서
OECD보다는 약간 높지만 노르웨이 보다는 낮은 것으로 평가되어짐

<그림Ⅰ-5> 기관에 대한 신뢰도 비교

자료:연세대학교(
2011
),공정사회 구축을 위한 사회적 자본 확충방안.2011
년도 특임장관실 학술연구
용역.

- 11 -
○ 2003년부터 2009
년까지 중앙정부,국회,법원,청와대,대기업 등의 사회기관 지도층
에 대한 신뢰도 추이 분석에서 큰 변화가 없이 정체적인 현상을 보여주고 있음

<그림Ⅰ-6> 사회기관 지도층에 대한 신뢰도 최근 추이

자료:연세대학교(
2011
),공정사회 구축을 위한 사회적 자본 확충방안.2011
년도 특임장관실 학술연구
용역.

○ 삼성경제연구소의 자료에 의하면 전체적으로 대한민국의 신뢰지수는 최하위권 수준


인 OECD 국가들중 24위를 차지하고 있고 전세계 국가들을 포함한 Le
gat
um 연구소의
번영지수에 의하면 대한민국의 사회적 자본 지수는 세계 51위로 나타나 있음(
정인성.
2013
).

2.국내외 지방정부의 추진사례

1)외국의 사례

□ 사례의 선정기준

○ 사회적 자본의 개념과 유용성에 대한 인식은 19세기 초에 토크빌(


Tocque
vil
le)
의 지
적한 바와 같이 미국으로부터 비롯되었음(
조경만․박숙현,20
12:113
).

- 12 -
○ 그러나 국가차원에서 중요성을 인식하고 체계적으로 성과지표를 개발하고 측정하기
시작한 것은 영국이라 볼 수 있음
-80년대 대처수상을 중심으로 한 보수정권의 민영화에 대한 부작용으로 실업률이 증가
되고 소득격차가 심화됨(
이응철,20
12:61-6
2).
- 이에 90년대 블레어 정권은 사회적 자본이론 이론을 토대로 사회서비스의 제공에 민
간기업이나 시민의 참가를 촉진시켰으며,동 정책은 호주,뉴질랜드 등으로 확산됨

○ 여기서는 해운대구에 시사점을 줄 수 있는 지방정부를 중심으로 그 활동이 국내외로


일려진 외국 도시의 사례를 살펴봄

○ 미국의 경우 전통적으로 지방자치와 직접민주주의 방식 및 시장경제의 발전,기독교


적 문화적 환경 등으로 인하여 사회적 자본의 수준이 높지만 지역이나 여건에 따라 다
양한 차이를 보이므로 시민운동이 지속되는 도시와 쇠퇴하는 사례를 선정하였음

□ 미국 필라델피아시 켄싱턴(
Kens
ingt
onDi
str
ict
,Pa)

○ 미국동부의 필라델피아주 펜실바니아 시(


Penns
ylvani
a,Phi
lade
lphi
a)의 하위 단체인
켄싱턴은 1
800년대 이후 산업사회로 발전해 왔으나,1
960년대 이후의 대규모 공장폐쇄
에 따라 부유한 백인계층들이 떠나고 유색인을 중심으로 한 새로운 이민자들이 유입되
면서 사회문제가 고조됨(
조경만․박숙현,2012:1
39-141)
.

○ 시정부에서는 당시 미국 전역에서 진행되었던 도시쇄신 정책을 추진하게 되었고 이


러한 과정에서 지역에 대한 연구와 지역문제 해결에 동참하려는 시민단체의 조직화가
전개됨
- 필라델피아시의 도시쇄신 정책의 초점은 도시를 재활성화하기 위하여 도시중심에 중
산층을 끌어들이기 위한 고급주택과 상업시설에 대한 투자에 두어졌으나 동시에 여러
가지 문제점도 유발시킴

○ 1
988-199
2년에 진행된 켄싱턴 사례조사에 의하면 상당수의 기존 주민들이 소지역 단
위의 블록연합에 가입되어 있었으며,주민지원가들은 정보교환과 자녀양육업무의 교대,
자녀등하교 동행 등을 통하여 학교를 중심으로 만남의 추억이 쌓이게 됨.이러한 과정
에서 신뢰가 확산되어 특정 캠페인이나 행사가 있을 경우 누구라도 언제든지 동참하는
분위기가 조성되고 그러한 동력으로 스스로 거리를 청소하고 재활용 운동이 펼쳐짐

- 13 -
○ 그러나 1990년대 후반에는 주정부 혹은 연방정부의 투자를 통한 지역발전에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시민들의 협력구도 역시 예산을 더 받기 위한 경쟁적 구도로 대체되기
시작하였고,시민단체와 블록단체들의 단결도 약화됨

○ 특히 스트릿 시장이 1999년부터 도시의 경관을 위한 조경사업 등의 지역개발사업에


초점을 두고 정부예산지원 확대 및 전문성을 위한 외부기업 위탁정책을 편 결과 주민의
주체적 삶과는 거리가 있는 방향으로 지역이 개발되고 시민의 참여도 약화되는 현상을
초래함

□ 미국 뉴햄프셔주 런던데리타운(
Londonde
rryTown,NH)

○ 미국동부의 뉴잉글랜드 지역에 속하는 뉴햄프셔서주의 3


5개 타운(
town)
과 버몬트주
의 8개 타운에서는 시정의 다양한 부분에 일반주민에게 참여가 공개되는 주민총회형 타
운미팅(
Del
ibe
rat
iveTownMe
eti
ng)
의 전통이 유지되고 있음(
남궁곤,200
4:135)
.

○ 런던데리는 행정구역상 뉴햄프셔주 로킹햄 카운티(


Roc
kingham Count
y)에 속하는
하위 자치단체인 타운으로 2
000년도 기준 인구는 23,
236
명이며,전통적인 농업지역이었
으나 19
70년대이후 인구유입과 도시화에 따른 사회적 갈등이 증가하여 왔음(
남궁곤,
2004
:129)
.

○ 국내의 인터넷 자료에 의하면 런던데리의 주민자치와 지역현안에 대한 참여방식의


특징으로 아래와 같은 것을 들 수 있음(
신문수,2013,ht
tp:
//ne
c1963.
ti
stor
y.c
om/
973)
.

○ 타운미팅
-183
5년부터 시행하였으며,마을 일을 주민 스스로 해결하고 월2회 개최
-누구나 어떤 주제로든 참여가능,주민 25명 서명제안서 제출
- 주정부 법률과 충돌되지 않는 범위내에서 타운미팅에서 결정(
도서관 신축,묘지관리,
스케이트보드 공원 조성,쓰레기재활용,사냥금지 등)
-5명의 타운미팅 의원을 선거로 선출하되 무보수임이며,동 의원들이 경찰서장,소방서
장,행정관을 임명

○ 런던데리 개인방송
-직접민주주의 직접방송,자기만의 프로그램 만들어 케이블TV 방영
-언론자유,취미 중요한 생각 등 모든 사람 참여 가능

- 14 -
-유익한 정보 이웃과 공유,방송비 및 방송기술교육 무료
-사전검열 없으나 각서 징구 모든 책임 본인이 짐

□ 핀란드 탐페레시(
Cit
yofTampe
re)

○ 해운대구에서 2
013년 4월 22일부터 5월 2일에 걸쳐 실시한 북유럽 4개국 탐방 보고
서에 의하면 핀란드의 공업도시인 탐페레시의 사회적 자본증진을 위한 주요 시책은 아
래와 같이 나타남(
해운대구,2013,북유럽 사회적 자본 결과보고)
.

○ 핀란드는 OECD의 국가의 사회적 자본 지수에서 상위권에 속하는 국가로 200


0년부
터 사회적 자본 증진 계획 수립 시행하였으며,2004년부터 2008
년까지 민관공동으로 집
중 추진

○ 핀란드에서 사회적 자본이 높은 이유로는 복지정책과 민주주의와 평등사상 및 동일


민족이 동일생각을 한다는 의식공유 공유의식이 강하기 때문임
-학교는 평등한 기회를 제공하는 곳으로 인식되며,사회적 자본의 가장 핵심적인 정책
은 교육에 대한 투자와 연계됨

○ 지역공동체 통한 문제해결
-페밀리 카페 :전국545개,정보공유,참여자 기획,3
1만명 참여
-이혼위기 가정의 밤 :이혼가족 모임,전문가 상담,자녀교육
-핀란드 슬롯머신 연합회 아동복지를 위한 기부

○ 핀란드 제2도시인 탐페레시는 다양한 주민참여제도를 지니고 있음


- 탐페레시의 발마포럼:기획단계 부터 모든 정책과 프로그램이 인터넷에 공개되고,제
시된 시민의견은 공무원과 의회에 전달되고 정책에 반영됨(
연간 300건 규모로 일부사업
에 대해서는 주민참여를 통한 여론수렴을 법규로 정함)
-시민과 고위정치인과 만남(
Res
ide
nt'
seve
nings
):시장 의장 연5회
-의회 청년 대표단,어린이 의회 연2회
-4개 권역 자문단,그룹별 50-60명,분과구성,연25회 회의 개최

○ 탐페레시 커뮤니티센터
-연인원 2만명,13-17
세 청소년,직원수 19명,예산 1
8억
-지역별 1개소 이상 청소년 커뮤니센터 운영

- 15 -
- 학교와 지역사회 연결 가교역할,다양한 시설 프로그램 운영(
어학,미술,예술,공연,
디자인,I
T,음악,목공,뜨개질,정치참여 등)

○ 탐페레 청소년 포럼
-청소년 민주주의 향상,청소년 의견대변,12~22
세 청소년
-법에 명시,시청과 시의회 협력관계 유지,학교와 협력
-민주적 활동,교육,훈련,워크숍,이벤트,프로젝트 추진
- 시의회와 협력,시의회 6개 위원회중 청소년포럼 2개 차지(
의견제시,토론,의사결정
과정에 청소년 의견반영 시의회 및 시장과 회의)
-커피하우스,음악밴드연습장,여가활동모금,스트레스해소 공간 건의

□ 일본의 아이치현(
愛知縣)토까이시(
東海市)

○ 일본의 사회적 자본 수준은 전술한 삼성경제연구원(


2009)
의 OECD 국가대비에서 중
위권수준이지만 신뢰수준은 상대적으로 상위권으로 높은 편이며,시계열적 관점에서 전
반적인 사회적 자본은 증가되는 추세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남(
이응철,2012:104
,110)
.

○ 토까이시(
東海市)
에서는 2001년에 鈴木시장이 취임하면서 시민참가에 의한 공공경영
을 목표로 하였으며,2002년에는 공모(
公募)
위원 25
명과 각종단체 추천위원,학식자 등
을 포함한 “
시민참가추진위원회”
를 설치하였고 그후 다음과 같은 일련의 시책을 추진
함(
이응철,2012
:193-19
7).

○ 동 위원회에서 선정한 100개의 생활과제를 시민 3,


500명(
회수 46
%)을 대상으로 한
의식조사를 통하여 38개 과제로 압축 선별함

○ 생활과제 해결에 기여할 수 있는 99개의 계량화된 마을조성지표를 설정하여,각 지


표의 현상치와 목표치를 하였으며,시민과 커뮤니티,기업,행정 등의 역할을 분담

○ 2003년 12월 22일에 “


마을조성기본조례”
를 시행하였으며,시정에 대한 시민참여를
보장하는 “
시민참여조례”
도 제정하여 제도적 기반을 구축함

○ 2005년 3월에는 마을조성지표를 반영시킨 제5


차 東海市종합계획을 수립함.마을조성
지표 조성과정에서 제기된 “
쾌적”
,“생생”
,“만남”
,“활력”
이라는 5개 키워드를 기본으로
19개 정책 53개 시책(
시민시책 3
9개 포함)
으로 체계화하고,시책에 기여할 수 있는 지표

- 16 -
를 설정

키워드 생활과제 마을조성지표 기준치 현상치 목표치

20세 이상 특정질병 환자수


대기오염,
안심 매연,악취 강하 매연량

없고 깨끗한 공기
대기오염,매연

○ 2
006년 6
월 “
협동”
과 “
공창”
을 추진하기 위하여 공모위원,커뮤니티지구대(
12개)

대표자로 구성된 “
마을조성 시민위원회”설치하여,시정책의 평가와 제안 및 지표와 함
께 작성된 액션플랜을 추진하도록 함

○ 주요성과는 시민중심의 NPO 법인 탄생 등 공공부분의 참여의식 강화,시민단체가


지표의 개선을 위하여 공헌하는 활동 수행,시민요구에 직결된 행정서비스 실현 등으로
나타남

○ 한계로는 초등학교 구(
區)단위의 커뮤니티지구대에서 참가한 위원들의 인식차이로
지연(
地緣)조직내의 구체적인 활동에는 미치지 못하고 있음.그리고 마을조성지표에 대
한 행정과 주민간의 역할 분담에 대한 명확한 규칙의 부재하고,지표의 성과평가와 제
안 등을 위하여 “
마을조성대회”
를 개최하고 하고 있으나 관계자 외 일반시민의 참가가
적은 것도 문제점으로 지적됨

2)국내 사례

□ 대전광역시

○ 대전광역시는 국내에서 선도적으로 사회적 자본 확충을 위한 정책을 추진하고 있으


며,사회적자본 확충조례에서(
제정 2
013년 2월 28일)
에서 다음과 같은 기본원칙을 천명

-모든 정책은 투명하고 민주적인 절차에 따라 결정되도록 할 것
-사회적 약자를 포함한 모든 계층이 정책결정 과정에 차별 없이 참여하도록 할 것
-지역사회 구성원은 사회적 책임의 확산을 위하여 스스로 노력할 것
-사회적자본 확충을 위한 사업은 시민공동체와 시민의 자발적인 참여를 바탕으로 추진
하도록 할 것

- 17 -
- 사회적자본 확충을 위한 사업은 시민과 행정기관의 상호 신뢰와 협력을 바탕으로 추
진할 것

○ 사회적 자본 확충을 위한 관련기구의 설치


- 조례에 의거 사회적자본의 확충에 대한 체계적인 조사 및 연구를 위해 대전발전연구
원 내 사회적자본 연구센터를 설치하였음
- 또한 조례에 의거 사회적자본의 확충을 위하여 시민참여를 촉진하고 지원 사업이 체
계적으로 추진될 수 있도록 사회적자본 지원센터를 설치할 예정임

○ 사회적 자본 확충을 대전시의 3대 핵심과제로 선정(


2013년 대전시정 역점과제,2013.
5:대전광역시 홈페이지 자료)
.

<그림Ⅰ-7> 대전시정 3대 핵심과제

자료:대전광역시 홈페이지(
htt
p:/
/www.
dae
jeon.
go.
kr,검색일:2013.8.1)
.

- 18 -
□ 부산광역시

○ 부산시는 마을계획가와 활동가,마을대표 등 20


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마을만들기
지역별 사례와 정보교환 등을 할 수 있는 '
대화의 장'
을 마련하였음(
아시아뉴스통신,
2013
.03.
31.
).

○ 20
13년 4월 1일 오후 4시 부산시청 국제회의장에 진행된 행사는 산복도로 르네상스
사업과 행복마을,커뮤니티 뉴딜 도시재생사업,도시활력 증진지역 개발사업,희망마을
만들기 사업 등 도시재생과 마을만들기 사업들의 사례를 통해 체계적이고 지속 가능한
방법 모색을 위해 실시되었음

○ 산복도로 르네상스에는 중구 1지구에서 4지구까지,행복마을만들기는 서구 닥밭골


마을,커뮤니티 뉴딜은 남구 소풍마을,좋은 마을만들기는 해운대구 반송LH 마을,건강
한 마을만들기는 사상구 학마을 등의 사례들이 차례대로 소개됨

○ 주무부서는 부산시 창조도시본부이며,당국에서는 향후 '


도시재생특별법'
이 제정‧시
행되면 마을 만들기가 시정의 핵심사업 가운데 하나가 되어 앞으로 마을 만들기,도시
재생 사업이 보다 효율적이고 체계적으로 추진될 것으로 전망함

○ 부산시는 이번 행사를 계기로 자생·


자립 마을만들기를 위한 '
마을만들기 천사 프로
젝트'
를 수립,마을만들기 전문가 육성 및 도시재생을 위한 “
(가칭)
도시재생 관련 헌장”
도 마련할 계획임

○ 또한 부산시는 마을만들기 사업을 보다 효율적으로 추진하기 위해 기반마련의 일환


으로 '
마을 만들기 지원센터'
를 20
13년 4월 말 개소할 예정이며 센터의 역할은 마을만
들기와 관련된 전문인력 양성,활동지원,각종 프로그램 개발 및 보급,컨설팅 지원 및
모니터링,연구분석 평가 및 DB구축,주민교육과 홍보,네트워크 등이 될 것으로 예상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 해운대구 반송동 희망세상은 1998


년 '
반송을 사랑하는 사람들'
로 창립돼 요즘 유행
하는 '
마을 만들기'
의 효시가 되고 있음(
부산일보 인터넷 신문:2
013.
04.
01)
.

- 19 -
○ 창립 직후 마을신문 '
반송사람들'
을 만들기 시작해,2
013년 3월 호까지 지령 16
3호를
냈음.매년 5월 개최하는 어린이날 축제는 민간 주도 행사로는 드물게 지역 전체 주민
의 1
0~20%가 참여하는 대규모 행사임

○ 상근 활동가 5
명(느티나무도서관 2
명,희망세상 3명)
이 헌신적으로 기획·
운영업무를
도맡아 해내고 있고,도서관과 관련된 일에는 자원활동가 50여 명과 후원회원 6
50명이
버팀목 역할을 함

○ 대표적인 지도자인 김혜정(


41)대표는 대학 졸업 후 청년단체 활동을 하러 반송에
왔다가 정착하여 운동의 구심점 역할을 하고 있으며,활동가의 중요성을 일깨우고 있음

○ 희망세상은 반송을 고향으로 둔 아이들에게,돈 같은 유한한 것보다는 “


책을 늘 가
까이 접할 수 있는 마을문화”
를 물려주자는 뜻을 모아 "
느티나무 도서관“
을 운영하게
되었음

○ 동 도서관은 놀이터이자 공부방이며 도서관을 통해 주부들이 하나둘 마을 일에 참여


하게 됐고,이웃집 아이들과도 반갑게 인사를 나눌 수 있는 매체가 되고 있음

○ 2011
년 희망세상이 만든 마을기업 '
변화의 시나리오'
는 카페와 도시락 사업을 벌이
며 마을경제의 자립 기반도 조금씩 갖춰 가고 있으며,향후 아빠밴드,엄마합창단 같은
좀 더 적극적인 문화 소모임을 구상하고 있음

3)기타 사례

○ 성과관리에서 선도적인 지방정부에서는 사회적 자본에 대한 명시적인 언급은 하지


않았지만 사회적 자본과 관련된 성과목표와 지표를 중시하고 이를 체계적으로 관리하여
왔음
-따라서 이러한 사례는 해운대구에서 사회적 자본 관련 지표를 관리할 경우 유용한 시
사점을 제시함

○ 미국 아리조나 피닉스시,노스캐롤라이나주 샬롯시,동경도 스기나미구,서울특별시,


부산광역시 등의 성과지표에서 이러한 사례를 발견할 수 있음

○ 동시에 해운대구 관리자의 BSC 성과지표에서도 유사한 사례를 발견할 수 있음.해

- 20 -
운대구의 경우 행정관리국에서 사회적 자본과 관련된 주요한 지표를 관리하고 있음

<표Ⅰ-4> 해운대구 행정관리국 성과목표와 성과지표(


발췌)

성과 성과지표
번호 실행계획
목표 성과지표명 목표점
∙2013인문 고전읽기 운동 전개
인문도서 읽기와
∙구정을 바꿀 한 권의 책 운영
다양한 인문학 8건
∙직원 인문고전아카데미 운영
프로그램 운영
∙북 콘서트&서평대회 운영 등
∙3월~12월(
월1회)
,저명강사 초청
늘배움 아카데미 강연 횟수 10회
∙다양하고 수준 높은 강연제공 등
살기좋은 마을공동체 공모 ∙마을문제 해결 위한 지역특성에
12건
사업 추진 건수 맞는 맞춤형 사업추진 등
선 진 의 식 ∙대규모 자원봉사 프로그램 실행
함 양 으 로 (
액션데이,맛&꾼)
나눔과 ∙동별 자원봉사 경진대회,YES캠프,
4 자원봉사 회원등록 확대 5,
796명 증
참 여 하 는 동별 특화사업 운영
구민 ∙청소년자원봉사활성화
육성 ∙우수봉사자 시상 및 격려 등
∙방학 어린이실 행사(
반기별,6회)
독서 문화 행사 개최 횟수 26회 ∙‘
도서관주간’
행사(
4.12~
4.18,
8회)
∙‘
독서의 달’
행사(9월,
12회)
∙도서관주간,독서의달,독서회,
이야기극장,작가만남,문화공연,
4%
독서진흥 프로그램 증가율 독서문화특강,소외계층독서지원,
(
452회)
시민의식함양프로그램,도서관축제,
자원봉사대운영,도서관체험교실
합동반상회 및 ∙동순방 ‘
구청장과 10
0분토론’:18회
13회
동순방,
골목길탐방 횟수 ∙주민생활주변 ‘
골목길탐방’:5회
∙각종 체육대회 개최 지원 확대
(
구청장배 및 각종 시대회 등 26

열린행정 으
유형별 실시)

5 ∙생활체육 프로그램 개발운영 및 수시
소 통 행 정 생활체육프로그램 구민참여
5% 증 주민여론 반영으로 주민 맞춤형
실현 율 제고
종목강화(
서핑,게이트볼,해운대걷기
대회 등)
∙주민홍보 강화(
홈페이지 월 1

이상 게재 및 소식지 배부)
재산세 ‘
부과대비 3년 평균 ∙과세자료 조사
안정적 자 징수율’ 9
6.4% ∙정기분 재산세 과징
6 주 초과달성 ∙체납자 재산압류
재원 확충 지방소득세 부과액 대비 평 ∙과징계획 수립 및 납부 홍보
9
3.3%
균 징수율 초과달성 ∙징수율 제고 활동 전개

자료:해운대구(
201
3),20
13년 성과관리 자체평가 시행 계획,내부자료.

- 21 -
3.국내외 사례의 시사점

□ 국내외 사례의 특징

○ 미국 런던데리타운 사례는 소지역 단위의 직접민주주의에 기초한 참여가 사회적 자


본의 주요한 자산이 됨을 밝혀주고 있음.그러나 켄싱턴 사례에서와 같이 지역의 외형
적 발전을 위하여 외부자원 의존적 경향을 보일 때 시민의 참여가 약화되는 문제점이
유발됨을 일깨워주고 있음

○ 토까이시 사례는 단체장이 주도할 경우 어느 정도 시민참여가 활성화될 수 있지만,


운동의 지속성을 위해서는 시민들의 자발적이며 주도적인 참여가 중요함을 암시함.동
시에 동 사례에서는 일본형 성과관리방식인 “
사무사업평가시스템”
과 유사한 방식으로
성과지표가 관리됨을 시사하고 있음

○ 핀란드 탐페레시 사례에서는 복지정책과 민주주의의 정착 및 강한 공동체 의식과 같


은 사회 문화적 환경이 중요한 토양이 되고 있지만,런던데리타운과 유사하게 지역공동
체의 활성화와 지역 문제를 스스로 해결하려는 주민들의 주도적 참여가 이루어지고 있

- 다양한 주체와의 거버넌스가 중시되며 특히 학교 교육에 대한 투자가 중시되고 있으
며,조례 등 제도적 장치를 통하여 시정부와 시민사이에 정보가 공유되고 시민의견이
용이하게 시책과 예산에 반영됨

○ 해운대구 반송동 마을만들기 사례에서는 지역공통체 육성과 함께 시민운동을 주도할


수 있는 핵심적인 리더 역할의 중요성을 나타냄

□ 해운대구에 대한 시사점

○ 문화적 환경조성과 지역공동체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시민운동을 선도할 구심점이 요


청되며,초기에는 구청의 역할이 중요할 것으로 보임

○ 그러나 토까이시 사례와 같이 관주도형에는 한계가 있으므로 향후 추진주체의 조직


화 과정에서 민간주도 방식으로 전환될 수 있는 방안의 모색이 요청됨

○ 사회적 자본 증진을 위한 관련 조례의 정비는 물론 관련사업과 성과지표를 지속적으

- 22 -
로 관리․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주민참여예산과 BSC와 같은 성과관리와의 유기적인 연
계가 필요할 것으로 보임

○ 기존의 협력단체인 민간단체,기업,공공기관 외 초,중등학교와의 협력과 관련 프로


그램에 대한 재정적 지원을 검토할 필요가 있음

○ 반송동 마을만들기 사례 등 기존의 지역공통체 육성과 함께 시민운동을 주도할 수


있는 핵심적인 시민단체의 육성이 요청되며,이를 통하여 지역 내 운동리더 그룹을 육
성하고 효과적인 프로그램을 확산시킬 필요가 있음

○ 특히 반송 마을만들기는 전국적인 모범사례로 인식되고 있으므로 해운대구의 사회적


자본 운동의 확산에 매우 긍정적인 역할 을 할 것으로 예상되며,이러한 사례들을 발굴
하고 확산시킴으로써 지역 내 운동리더 그룹을 확산시킬 필요가 있음

○ 또한 부산시 본청에서도 20
13년부터 사회적 자본을 위한 마을만들기에 관심을 두고
있으므로 본청과의 유기적인 협력도 요청됨.이러한 분야는 정부 3.
0및 지방 3.
0과도
연계되므로 중앙정부 혹은 광역단체의 지원을 받기에도 용이할 것임

- 23 -
Ⅱ.사회적자본 현황 분석 및 해운대형 지표개발

1.국내 7대도시 및 해운대구의 사회적자본 지표 현황

1)7대도시의 사회적자본 현황

(
1)분석자료 및 지표의 내용

□ 객관적 지표의 활용

○ 객관적 지표를 통해 서울,부산,인천,대구,광주,대전,울산의 주요 사회적 자본 현


황을 살펴봄으로써 부산의 사회적 자본의 전국적 수준을 파악하고,이를 통해 해운대구
의 사회적 자본 수준을 파악하는 데 준거로 삼기 위함

○ 여기서는 5
대 영역 중에서 사회구조 영역을 제외한 신뢰,규범,네트워크,참여 영역
을 기준으로 한 2
1개의 지표를 사용하여 현황분석 결과를 제시함

○ 신뢰:청렴지수,정부기관 신뢰도,조세공정성을 기준

○ 규범: 기초질서 준수율,교통문화지수,범죄발생건수,지방세징수율,준법수준을 기


○ 네트워크:본인세대 계층이동 가능성,낙심하거나 우울할 때 이야기 상대가 필요해


도움 받을 수 있는 사람 유무,갑자기 많은 돈을 빌릴 일이 생길 경우 도움 받을 수 있
는 사람 유무,몸이 아파 집안일을 부탁할 경우 도움 받을 수 있는 사람 유무를 기준

○ 참여는 환경보전 실천운동(


분리수거,일회용품 사용안하기,음식쓰레기 줄이기)
,기부
율,자원봉사 참여율,투표율을 기준

○ 활용 가능한 통계자료의 분석에 의하면 국내 7


대 도시의 사회적 자본 현황은 아래

- 24 -
표와 같이 요약됨

<표Ⅱ-1> 주요 도시의 사회지표 현황

구성요소 서울 부산 인천 대구 광주 대전 울산 비고
내부 7.
61 8.
16 8
.4 8.
07 7.
78 8.
03 8.
04 국민권
외부 7.
53 7.
44 7.
72 7.
93 7.
53 7.
82 7.
85 익위원
청렴도
회1)
종합 6.
96 6.
96 7.
27 7.
59 7.
21 7
.61 7.
21
안전 14.6% 14.9% 10.2% 12.7% 12.
5% 14.2% 14.4%
사회
보통 50.2% 50.9% 53.0% 51.9% 45.
9% 44.3% 49.0%
안전 인식도
신 불안 35.2% 34.2% 36.7% 35.4% 41.
7% 41.5% 36.6%
뢰 공정 6.7
% 6.4% 7.0% 8.0% 5.1% 8.3% 6.4%
경찰, 사법
보통 38.1% 46.1% 42.5% 42.3% 44.
4% 41.2% 42.1%
의 공정성
불공정 55.2% 47.5% 50.4% 49.7% 50.
5% 50.5% 51.5%
공정 5.8
% 5.1% 5.1% 5.7% 4.0% 6.8% 5.7% 국가통
조세 계포털
보통 33.4% 39.5% 32.8% 38.9% 38.
0% 39.3% 35.8% 2)
공정성
불공정 60.8% 55.5% 62.1% 55.4% 58.
0% 53.8% 58.4%
잘준수 34.2% 30
.57% 32
.63% 31.
02% 2
9.27% 3
0.62% 3
4.5
5%
기초
보통 35.5
8% 37
.08% 36
.32% 40.
3 % 3
5.63% 3
6.18% 3
5.4
8%
질서
비준수 29.8
2% 32
.33% 31
.05% 28.
72% 3
5.08% 3
3.17% 2
9.9
5%
교통문화지수 80.
77 75.89 81.45 77.74 80.64 79.71 80.
83
범죄발생건수:1
000명당) 33.
76 35.60 29.58 38.39 43.51 31.32 32.
45

범 지방세
지방세징수율 91.
8% 94
.4% 92.
9% 93.
9% 9
3.1% 93.
6% 94.
8% 정연감
3)

준수 66.
4% 69
.0% 64.9% 63.5% 6
4.7% 61.
8% 65.
1%
준법 수준 보통 31.
4% 29
.0% 32.2% 31.9% 3
1.9% 34.
2% 32.
9%
비준수 2
.3% 2.
1% 2.9% 4.5% 3.
4% 4.
1% 2
.1%
본인세대 계층이동 가능성 33.
1% 31
.7% 29.6% 32.2% 3
2.2% 36.
3% 28.
9%
있음 81.
5% 79
.6% 78.9% 80.9% 8
2.1% 79.
5% 79.
1%
네 이야기 상대
없음 18.
5% 20
.4% 21.1% 19.1% 1
7.9% 20.
5% 20.
9%

있음 50.
4% 47
.1% 46.1% 48.2% 5
0.1% 48.
5% 47.
8%
워 돈 빌릴 사람
크 없음 49.
6% 52
.9% 53.9% 51.8% 4
9.9% 51.
5% 52.
2%
집안일 도움 있음 76.
4% 73
.4% 73.9% 74.6% 7
7.4% 75.
0% 73.
2%
받을 사람 없음 23.
6% 26
.6% 26.1% 25.4% 2
2.6% 25.
0% 26.
8% 국가통
계포털
분리수거 93.
0% 91
.4% 92.4% 88.7% 9
2.7% 90.
9% 92.
6%
일회용품사
환경보전실 69.
6% 69
.5% 71.
3% 69.
1% 6
9.5% 70.
9% 73.
8%
용안하기
천운동
음식쓰레
83.
8% 82
.1% 85.
8% 81.
3% 8
5.1% 84.
3% 84.
9%
기 줄이기
기부율 37.
8% 39
.7% 34.
4% 34.
2% 3
8.8% 39.
4% 37.
1%
참 참여경험
18.
1% 17
.5% 17.
8% 18.
6% 1
7.9% 24.
5% 25.
2%
여 (2009)
자원봉사
참여의사
25.
7% 28
.4% 25.
1% 29.
5% 2
8.5% 19.
4% 24.
3%
(2009)

12 중앙선
55.
5% 54
.6% 51.
4% 52.
3% 5
2.7% 54.
2% 55.
7%
총선거 거관리
투표율 위원회
’12대선 75.
1% 76
.2% 74.
0% 79.
7% 8
0.4% 76.
5% 78.
4% 4)

*기초질서:차례지키기,거리환경질서,보행질서,운전자교통질서,공공장소금연,공공장소정숙

1)국민권익위원회(htt
p://www.acrc.
go.kr)
2)국가통계포털(ht
tp:
//kosi
s.
kr)
3)행정안전부,2
012지방세정연감( http:
//www.
wet
ax.
go.
kr)
4)중앙선거관리위원회( www. ne
c.go.
kr)

- 25 -
(
2)영역별 분석결과

① 신뢰영역

□ 청렴도

○ 내부청렴도:인천이 10점 만점에 8.


4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그 다음으로 부산
8.
16,대구 8.
07,울산8.
04,대전8
.03,광주7.
78,서울 7.
61순으로 나타났고,부산은 7대 도
시 중 2위로 내부청렴도는 비교적 우수함

○ 외부청렴도:대구가 7.
93으로 가장 높고,그 다음으로 울산 7
.85,대전 7.
82,인천
7.
72,서울ㆍ광주 7.
53,부산 7.
44순으로 나타났으며,부산은 7대 도시 중 최하위로 나타

○ 종합청렴도:대전이 7.
61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그 다음으로 대구 7.
59,인
천 7.
27,광주ㆍ울산 7.
21,서울ㆍ부산 6
.96순으로 부산은 서울과 함께 종합청렴도가 최
하위로 나타남

□ 사회 안전 인식도

○ 사회가 안전하다고 인식하는 시민들의 비율은 부산이 14.


9%로 가장 높고,그 다음으
로 서울 14
.6%,울산 14.
4%,대전 14.
2%,대구 12
.7%,광주 12.
5%,인천 10.
2% 순으로
나타남

○ 상대적으로 사회가 불안하다고 인식하는 시민의 비율은 광주가 41.


7%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그 다음으로 대전 41.
5%,인천 36.
7%,울산 36
.6%,대구 35.
4%,서울
35.
2%,부산 34
.2%순으로 나타남

□ 공정성

○ 경찰,사법의 공정성
- 경찰과 사법의 공정성에 대한 인식은 대전이 8.
3%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그 다음으
로 대구 8.
0%,인천 7
.0%,서울 6.
7%,부산과 울산 6.
4%,광주 5.
1% 순으로 나타남
- 상대적으로 경찰과 사법의 불공정성에 대한 인식은 서울이 55.
2%로 가장 높게 나타

- 26 -
났으며,그 다음으로 울산 5
1.5%,광주와 대전 50.
5%,인천 50.
4%,대구 49.
7%,부산
47.
5%로 나타남

○ 조세 공정성
- 조세 공정성에 대한 인식은 대전이 6.
8%로 가장 높게 타나났고,그 다음으로 서울
5.
8%,대구와 울산 5.
7%,부산과 인천 5.
1%,광주 4.
0% 순으로 나타남
-반면에 조세 불공정에 대한 인식은 인천이 6
2.1%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그 다음으로
서울 60.
8%,울산 58.
4%,광주 5
8.0%,부산 55.
5%,대구 55.
4%,대전 5
3.8% 순으로 나
타남

② 규범영역

□ 기초질서 준수

○ 기초질서의 가장 중요 요소인 차례지키기,거리환경질서,보행질서,운전자교통질서,


공공장소금연,공공장소 정숙 준수율을 종합한 결과 기초질서를 잘 준수하고 있다는 비
율은 울산이 34.
55%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그 다음으로 서울 3
4.2%,인천 3
2.63%,대
구 3
1.02%,대전 30.
62%,부산 3
0.57%,광주 29.
27% 순으로 나타남

○ 상대적으로 기초질서 비준수율은 광주가 35


.0%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그 다음으로
대전 3
3.17%,부산 32.
33%,인천 31.
05%,울산 29.
95%,서울 29.
82%,대구 28
.72% 순으
로 나타남

□ 교통문화지수

○ 교통문화지수는 100점 기준으로 인천이 81.


45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그 다음으로
울산 80.
83,서울 8
0.77,광주 80.
64,대전 79.
71,대구 7
7.74,부산 75.
89순으로 나타남

○ 부산의 교통문화지수는 7대 도시 중 최하위로 매우 취약한 것으로 나타남

□ 범죄발생 건수

○ 인구 1,
000명당 범죄발생 건수는 광주가 43.
51건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그 다음으
로 대구 38.
39건,부산 35.
60건,서울 33
.76건,울산 32.
45건,대전 31.
32건,인천 29
.58건

- 27 -
순으로 나타남

□ 지방세 징수율

○ 지방세 징수율은 울산이 94.


8%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그 다음으로 부산 94.
4%,
대구 93.
9%,대전 93.
6%,광주 9
3.1%,인천 92.
9%,서울 91.
8% 순으로 나타남

○ 부산의 지방세 징수율은 94


.4%로 7
대 도시 중 2
위로 우수한 수준으로 나타남

□ 준법 수준

○ 시민들의 준법수준은 부산이 69


.0%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그 다음으로 서울
66.
4%,울산 65
.1%,인천 64.
9%,광주 64.
7%,대구 63
.5%,대전 61.
8% 순으로 나타남

○ 전체적으로 시민들은 자신의 준법수준을 높게 평가하고 있음

③ 네트워크

□ 본인세대 계층 이동 가능성

○ 본인세대의 계층 이동 가능성은 대전이 36.


3%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그 다음으로
서울 33.
1%,대구와 광주 32
.2%,부산 31.
7%,인천 29.
6%,울산 28
.9% 순으로 나타남

□ 이야기 상대

○ 낙심하거나 우울할 때 이야기 상대가 필요해 도움 받을 수 있는 사람 유무에 대해


광주 시민의 82.
1%가 이야기 상대가 있다고 응답하였고,그 다음으로 서울 81.
5%,대구
80.
9%,부산 79
.6%,대전 79.
5%,울산 79.
1%,인천 78
.9% 순으로 나타남

□ 돈 빌릴 사람

○ 갑자기 많은 돈을 빌릴 일이 생길 경우 도움 받을 수 있는 사람 유무에 대해 서울
시민의 50.
4%가 있다고 응답한 것으로 나타났으며,그 다음으로 광주 5
0.1%,대전
48.
5%,대구 48.
2%,울산 47.
8%,부산 47.
1%,인천 46
.1% 순으로 났으며,부산은 거의

- 28 -
최하위 수준임

□ 집안일 도움 받을 사람

○ 몸이 아파 집안일을 부탁할 경우 도움 받을 수 있는 사람 유무에 대해 광주 시민의


77.
4%가 집안일 도움 받을 사람이 있다고 응답했고,그 다음으로 서울 76
.4%,대전
75.
0%,대구 74
.6%,인천 73.
9%,부산 73.
4%,울산 73
.2% 순으로 나타남

④ 참여

□ 환경보전 실천운동

○ 쓰레기 분리수거참여율은 서울이 9


3.0%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그 다음으로 광주
92.
7%,울산 92
.6%,인천 92.
4%,부산 91.
4%,대전 90
.9%,대구 88.
7% 순으로 나타남

○ 일회용품 사용 안하기 참여율은 울산이 73.


8%로 가장 높게 타나났고,그 다음으로
인천 71.
3%,대전 70.
9%,서울 6
9.6%,부산과 광주 69.
5%,인천 71
.3% 순으로 나타남

○ 음식쓰레기 줄이기 참여율은 인천이 85.


8%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그 다음으로 광주
85.
1%,울산 84
.9%,대전 84.
3%,서울 83.
8%,부산 82
.1%,대구 81.
3% 순으로 나타남

□ 기부율

○ 기부율은 부산이 39
.7%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그 다음으로 대전 3
9.4%,광주
38.
8%,서울 37
.8%,울산 37.
1%,인천 34.
4%,대구 34
.2% 순으로 나타남

□ 자원봉사

○ 자원봉사 참여 경험은 울산이 2


5.2%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대전 2
4.5%,대구
18.
6%,서울 18
.1%,광주 17.
9%,인천 17.
8%,부산 17
.5% 순으로 나타남

○ 자원봉사 참여의사는 대구가 29


.5%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그 다음으로 광주
28.
5%,부산 28
.4%,서울 25.
7%,인천 25.
1%,울산 24
.3%,대전 19.
4% 순으로 나타남

- 29 -
□ 투표율

○ 2012
년 총선거 투표율은 울산이 55.
7%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그 다음으로 서울
55.
5%,부산 54
.6%,대전 54.
2%,광주 52.
7%,대구 52
.3%,인천 51.
4% 순으로 나타남

○ 201
2년 대통령 선거 투표율은 광주가 80.
4%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그 다음으로 대
구 7
9.7%,울산 78.
4%,대전 76.
5%,부산 7
6.2%,서울 75.
1%,인천 74.
0% 순으로 나타

(
3)7대도시 분석결과의 시사점

① 부산광역시 사회적 자본 수준

□ 전체적 수준

○ 부산광역시의 사회적 자본은 7대도시 중 중하위권으로 나타났다는 점에서 국제도시


부산시의 위상제고를 위해서는 사회적 자본 수준을 높이기 위한 보다 체계적,종합적,
적극적인 노력이 요구됨

□ 부산광역시의 사회적 자본 중 강점 영역

○ 1
위:사회 안전 인식도,준법수준,기부율

○ 2
위:내부청렴도,지방세 징수율

○ 부산광역시 사회적 자본을 영역별로 볼 때,각 영역별 하위 지표 중 일부가 상위권


을 나타내고 있기는 하지만 전체적으로 특별히 강점을 나타내고 있는 영역은 없음

□ 부산광역시의 사회적 자본 중 약점 영역

○ 7
위:외부청렴도,교통문화지수,자원봉사 참여 경험

○ 6위:종합청렴도,기초질서 준수,갑자기 많은 돈을 빌릴 일이 생길 경우 도움 받을

- 30 -
수 있는 사람 비율,몸이 아파 집안일을 부탁할 경우 도움 받을 수 있는 사람,음식쓰레
기 줄이기

○ 부산광역시의 사회적 자본 수준 중 영역별로 가장 취약한 분야는 네트워크로 나타남


- 갑자기 많은 돈을 빌릴 일이 생길 경우 도움 받을 수 있는 사람 비율과 몸이 아파
집안일을 부탁할 경우 도움 받을 수 있는 사람 비율이 하위권으로 나타났다는 점에서
부산 시민들은 이웃과 교류가 제한되어 있고 지역공동체에 대한 관심도가 낮는 등 네트
워크 형성이 취약함을 알 수 있음

○ 특히 선진시민의 중요 지표로 인식되고 있는 기초질서,교통문화 지수,자원봉사 참


여 등이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는 점에서 시민들의 문화 수준과 자발적 참여 수준이
취약함을 알 수 있음

○ 사회적 자본 축적은 주민의 자발적 참여와 노력에 기초를 두고 있는 경우가 많다는


점에서 시민들의 자발적 참여를 유도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 마력과 적극적인 노력이
필요함

② 사회적 자본 영역별 수준

□ 신뢰

○ 신뢰영역은 전체적으로 중하위 수준으로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음

○ 청렴도
-부산의 경우 내부청렴도는 2위로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는데 비해 외부청렴도가 최
하위로 매우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으며,이러한 요인으로 종합청렴도도 7대 도시 중 최
하위 수준인 6위를 기록한 것으로 판단됨
-내부 청렴도 수준이 높다는 것은 인사,예산집행,업무처리가 투명하고 공정하게 이루
어지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는 점에서 바람직한 것으로 평가됨
-그러나 외부청렴도가 최하위로 나타난 것은 부패지수,투명성지수,책임성지수가 취약
하다는 것을 의미함
-공공부문 청렴도는 지방정부 신뢰형성의 핵심 요인일 뿐만 아니라 지방정부의 경쟁력
과 이미지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라는 점에서 외부청렴도 제고를 위한 부산시의
종합적,체계적인 노력이 요구됨

- 31 -
○ 사회 안전 인식도
-부산시민들의 사회 안전 인식도는 7
대 도시 중 1
위로 나타났으나 전체적으로 사회 안
전도에 대한 인식 수준은 높지 않은 것으로 나타남.시민들의 안전도 인식 수준을 높이
기 위한 체계적,종합적 노력이 요구됨

○ 공정성 인식
-공공부문 공정성의 중요 영역인 경찰과 사법의 공정성,조세 공정성은 모두 7대 도시
중 5
위로 중하위 수준으로 낮게 나타남
- 전체적으로 경찰과 사법의 공정성에 대한 인식은 매우 낮게 나타났으며,경찰과 사
법의 불공정성에 대한 인식보다는 조세 불공정성에 대한 인식이 더 높게 나타남.
-경찰과 사법의 법집행의 공정성 제고를 위한 노력과 더불어 조세 과세와 징수 과정의
투명성,공정성,민주성 제고를 위한 노력이 요구됨

□ 규범

○ 규범영역은 다른 세 영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수준을 나타내고 있으나 시민들의


기본적 소양을 나타내는 기초질서,교통문화지수는 하위권으로 매우 취약한 것으로 나
타남

○ 기초질서
-기초 질서 준수율은 7대 도시 중 6위로 매우 취약하다는 것을 알 수 있음
-국제도시,선진도시로 발전하기 위해서는 시민들의 문화수준을 나타내는 가장 기본적
인 지표인 기초질서 준수율을 높이는 것이 무엇보다 시급함을 알 수 있음

○ 교통문화지수
- 부산광역시의 교통문화지수가 7대 도시 중 최하위로 나타난 것은 부산시민의 운전행
태영역,교통안전영역,보행행태영역,교통약자영역이 매우 취약하다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에 시민들의 운전행태 및 보행행태 선진화를 위한 노력과 더불어 교통안전영역과
교통약자영역 개선을 위한 지방정부의 적극적인 노력과 투자가 요구됨

○ 범죄발생건수
- 부산의 범죄발생 건수는 인구 1,
000
명당 35.
60건으로 7대 도시 중 세 번째로 높게 나
타남

- 32 -
-높은 범죄발생율은 시민의 안전한 생활과 공공부문 신뢰를 저해하고 도시에 대한 부정
적 이미지를 높이게 된다는 점에서 범죄발생율을 낮추기 위한 보다 적극적이고 체계적
인 노력이 요구됨

○ 지방세 징수율
-부산광역시의 지방세 징수율 94.
4%로 7대 조시 중 2위로 높게 나타남
-지방세 징수율은 높은 것은 부산시민들이 국민의 기본의무인 납세의무를 성실히 이행
하고 있다는 측면과 더불어 지방정부에서도 지방세 징수를 효과적,체계적 노력을 기울
인 결과로 평가됨

○ 준법 수준
- 부산시민의 69.
0%(
1위)
가 법을 잘 지키고 있다고 응답한 것으로 나타났다는 점에서
부산시민들은 본인의 준법 수준을 매우 높게 평가하고 있음

□ 네트워크

○ 본인세대 계층이동 가능성


-부산시민들의 보인세대 계층 이동 가능성에 대한 반응은 31
.7%로 7대 도시 중 4위로
나타남
- 본인의 지위 향상에 대한 부정적 측면이 강하게 나타난 것으로 볼 수 있으며 이러한
현상이 지속될 경우 사회적 ‘
포기 심리’
가 확산되고 계층 간 갈등이 확산될 우려가 높아
지고 있으며,이는 결국 사회적 비용으로 연결될 수 있다는 점에서 본인세대 계층이동
가능성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적극적으로 마련할 필요가 있음

○ 이야기 상대
- 낙심하거나 우울할 때 이야기 상대가 필요해 도움 받을 수 있는 사람이 있는 경우는
79.
6%로 7대 도시 중 4위로 중간 수준으로 나타났다는 점에서 기본적인 수평적 네트워
크 구조는 갖추어져 있는 것으로 판단됨

○ 돈 빌릴 사람 및 집안일 도움 받을 사람
- 갑자기 많은 돈을 빌릴 일이 생길 경우 도움 받을 수 있는 사람이 있다는 반응은
47.
1%로 7대 도시 중 6
위로 매우 취약하게 나타났고,몸이 아파 집안일을 부탁할 경우
도움 받을 수 있는 사람이 있다는 반응은 전자보다는 높은 73.
4%로 나타났으나 7대 도
시 중 6
위로 취약하다는 점에서 부산광역시의 네트워크 수준은 매우 열악한 것으로 평

- 33 -
가됨
-이와 같이 네트워크가 취약할 경우 시민들 간 유대감이 약화되는 것은 물론이고 지역
사회 발전에 필요한 시민들의 자발적인 참여와 협력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됨
- 사회적 자본이 선진화된 사회는 시민들이 서로 돕고 의지하며 소통하고 협력하며 살
아가는 사회라는 점에서 이를 위한 보다 적극적이고 체계적인 노력이 필요함

□ 참여

○ 환경보전 실천운동
- 환경보전을 위한 시민들의 참여 수준은,분리수거 1위,일회용품 사용안하기 4위,음
식쓰레기 줄이기 5위로 전체적으로 중하위 수준임
- 오늘날 환경보전의 문제는 범지구적 문제로 인식되고 있고,주요 선진국에서는 이를
위한 시민들의 자발적이고 적극적인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는 점에서 시민들의 적극적
인 참여를 유도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 마련과 노력이 필요함

○ 기부율 및 자원봉사
- 부산시민의 기부율은 39.
7%로 7
대 도시 중 1위로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자원봉
사 참여 경험은 1
7.5%로 7대 도시 중 최하위로 매우 취약함
- 다만 자원봉사 참여 경험에 비해 앞으로 자원봉사활동에 참여하겠다는 의사를 가진
시민의 비율(
28.
4%로 7대 도시 중 3위)
이 더 높게 나타났다는 점에서 장기적으로 시민
들의 자원봉사활동 참여가능성은 비교적 높음을 알 수 있음

○ 투표율
- 부산 시민의 투표 참여율은 ’
12년 총선거 54.
6%(
3위)
,’12
년 대선 76.
2%(
5위)
로 7대
도시 중 중간 수준임
-낮은 투표율은 대의민주주의의 위기를 초래할 가능성이 있을 뿐만 아니라 선거결과에
대한 정당성과 대표성의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는 점에서 시민들의 투표 참여율 제고를
위한 노력이 요구됨

2)해운대구의 사회적 자본 현황

□ 부산시내 구․군 대비

○ 신뢰,규범,네트워크,참여에 관한 객관적 지표를 통해 해운대구의 사회적 자본 현

- 34 -
황과 수준을 파악한 결과 <표Ⅱ-2>와 같이 나타남

○ 부산시 구․군 대비에서는 2


2개의 각종 통계지표를 활용하였으나,비교단위의 차이
로 전술한 7대도시 비교 지표와는 다소 차이가 남

<표Ⅱ-2> 해운대구 사회적 자본 현황

구성 지 표 해운대구 부산평균 비고
요소
안전사고,재해도움 65.
2%
정부 기관 요청주체 64.
1%
(7위)
신뢰도
15.
2%
사법기관 법집행 11.
3% 2012부산시 사회지표
(1위)
4.5%
정치인에 대한 신뢰도 4.
7%
(9위)
신뢰
8.
02
종 합 6
.96
(5위)
청렴지수 8.
46 국민권익위원회
외 부 7
.44
(
10점 만점) (2위) (
201
2년도 공공기관 청렴도 측정결과)
7.
69
내 부 8
.16
(
12위)
만족:7.4%
만족:7
.0%(
6위) 불만족:
교통질서
불만족:54.
5% 52.
3%
기 초 질
서 만 족 2012부산시 사회지표
도 만족:8.0%
만족:10.
2%
불만족:
거리질서 (
1위)
39.
3%
불만족:39.4%
78.
59 국가 통계 포털
교통문화지수 75.
89
규범 준법수준 (7위) (
htt
p:/
/kos
is.
kr)
범죄발생건수: 34
.6
35.
25 2012부산시 사회지표
1,
000명 당) (
10위)
행정안전부,2012지방세정연감
9
5.3% (htt
p:/
/www. wetax.
go.kr
/ebook/
201
지방세 징수율 94.
4%
(1위) 1/al
tsr
/book.
html,2011년도 지방세
징수실적)
부산광역시, 2 010년 구· 군별 불법
불법주정차 6
7.0%
74.
0% 주정차 단속 실적 자료
단속율 (4위)
(단속율=단속실적/ 차량등록대수)
비영리 민간단체 39개 38
개 부산광역시 비영리민간단체 등록현
네트 등록 수(부산시) (7위) (
총 613 개)황자료
워크 도움요청 주체 중 친인척ㆍ이 5.0%
7.
7% 부산광역시 통계연보(
2011
)
웃 주민 비율 (
16위)
84.
5%
분리수거 81.
2%
(2위)
환경보전
46.
9%
실천운동 일회용품사용 안하기 49.
4% 2012부산시 사회지표
(
13위)
68.
8%
음식쓰레기줄이기 68.
0%
(7위)
53.
1%
참여 에너지절약 실천 (
12위)
55.
7% 2012부산시 사회지표
17.
3%
등록율 16.
0%
자원봉사 (4위) ’
12년 지자체합동평가 자원봉사 실
(
2011년) 23.
0% 적자료
참여율 24.
7%
(9위)
투표율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선거통계시스템
20
12총선 5
1.7%(
14위) 54.
6%
(
htt
p:/
/inf
or.
nec.
go.
kr/
elc
tioni
nfo/
)

- 35 -
7
6.4%
20
12대선 76.
2%
(7위)

(
1)신뢰

□ 정부기관 신뢰도

○ 안전사고,재해 도움요청 주체(


경찰,소방,행정기관,군 등)
에 대한 신뢰도
- 해운대구민의 안전사고,재해 도움요청 주체에 대한 신뢰도는 65.
2%로 부산시 평균
(
64.
1%)
보다 약간 높게 나타났으며,이는 부산지역 1
6개 구(
군)중 7위로 중간 수준임

○ 사법기관 법집행에 대한 신뢰도


- 해운대구민의 사법기관 법집행에 대한 신뢰도는 15.
2%로 부산시 평균 11.
3%보다 높
았으며,부산시 16개 구(
군)중 1위로 나타남

□ 정치인에 대한 신뢰도

○ 해운대구민의 정치인에 대한 신뢰도는 4.


5%로 부산시 평균(
4.7%)
과 비슷한 것으로
나타났으며,이는 부산지역 16개 구(
군)중 9
위로 중간 수준임

□ 청렴지수(
10점 만점 기준)

○ 종합청렴도
-해운대구의 종합청렴도는 8.
02로 나타났는데,이는 부산시 평균(
6.96)
보다 높은 것으로
16개 구(
군)중 5위로 중상위 수준임

○ 외부청렴도
- 해운대구의 외부청렴도는 8.
46으로 부산시 평균(
7.44)
보다 높게 나타났으며,16개 구
(
군)중 2
위로 우수한 수준임

○ 내부청렴도
-해운대구의 내부청렴도는 7.
69로 부산시 평균(
8.16)
보다 낮게 나타났으며,1
6개 구(
군)
중 1
2위로 낮게 나타남

- 36 -
(
2)규범(
준법수준)

□ 기초질서 만족도

○ 교통질서 만족도
-해운대 구민 중 교통질서에 대해 만족한다는 반응은 7.
0%(
부산 평균 7
.4%)
에 불과했
으며,이는 부산지역 16개 구(
군)중 6
위로 중간 수준에 해당됨.반면에 불만족 한다는
반응은 54.
5%(
부산시 평균 52.
3%)
로 나타남

○ 거리질서 만족도
- 해운대 구민 중 거리질서에 대해 만족한다는 반응은 10
.2%(
부산 평균 8.
0)로 부사지
역 1
6개 구(
군)중 1위로 높은 수준임.반면에 불만족 한다는 반응은 39.
4%(
부산시 평균
39.
3%)
로 나타남

□ 교통문화지수

○ 해운대구의 교통문화지수는 78.


59(
100기준)
로 부산시 평균(
75.
89)
보다 약간 높게 나
타났으며,이는 부산지역 1
6개 구(
군)중 7위에 해당하는 수준임

□ 범죄발생건수(
1,000
명당)

○ 해운대구의 인구 1,
000명당 범죄발생건수는 3
4.6명으로 부산시 평균 35.
25명과 비슷
한 수준이며,이는 부산지역 16개 구(
군)중 10위에 해당하는 수준임

□ 지방세 징수율

○ 해운대구의 20
12년도 지방세 징수율은 9
5.3%로 부산지역 평균 94.
4%보다 높고,이는
16개 구(
군)중 1위로 매우 우수한 수준임

□ 불법주정차 단속율

○ 해운대구의 불법주정차 단속율(


2010
년도 기준)
은 67.
0%로 부산시 평균 74.
0%보다
낮게 나타났으며,이는 부산지역 16개 구(
군)중 4위에 해당함

- 37 -
(
3)네크워크

□ 비영리민간단체 등록 수

○ 부산시에 등록한 비영민간단체 613개 중 해운대구에 소재한 단체는 39개로 부산시


16개 구(
군)평균(
38개)
과 비슷함(
16개 구(
군)중 7위)

□ 도움요청 주체 중 친인척ㆍ이웃 주민 비율

○ 해운대구 주민들의 도움요청 주체 중 친인척ㆍ이웃 주민 비율은 5.


0%로 부산시 평
균(
7.7%)
보다 낮게 나타났으며,이는 부산지역 16개 구(
군)중 최하위인 16
위로 나타남

(
4)참여

□ 환경보전실천운동

○ 분리수거
- 해운대구 주민들의 분리수거 참여율은 8
4.5%(
2위)
로 부산시 평균 81
.2%보다 높게 나
타남

○ 일회용품사용안하기
- 해운대구 주민들의 일회용품사용 안하기 참여율은 46.
9%로 부산시 평균 49.
4%보다
낮게나타났으며,부산지역 16개 구(
군)중 13
위로 취약함

○ 음식쓰레기 줄이기
- 해운대구 주민들의 음식쓰레기 줄이기 참여율은 68.
8%로 부산시 평균(
68.
0%)
과 비슷
하게 나타났으며,이는 부산지역 16개 구(
군)중 7위에 해당함

□ 에너지절약 실천

○ 해운대구 주민들의 에너지절약 실천 참여율은 5


3.1%로 부산시 평균 5
5.7%보다 낮게
나타났으며,이는 부산지역 16개 구(
군)중 1
2위에 해당한 것으로 취약함

- 38 -
□ 자원봉사

○ 등록율
- 해운대구 주민들의 자원봉사 등록율은 1
7.3%(
4위)
로 부산시 평균 16
.0%보다 높게 나
타남

○ 참여율
- 해운대구 주민들의 자원봉사 참여율은 23.
0%로 부산시 평균 24.
7%보다 낮게 나타났
으며,이는 부산지역 16개 구(
군)중 9
위에 해당함

□ 투표율

○ 2
012년 총선
-해운대구 주민들의 201
2년 총선거 투표 참여율은 51.
7%로 부산시 평균 54
.6%보다 낮
게 나타났으며,이는 부산지역 16
개 구(
군)중 14위에 해당한 것으로 취약함

○ 2
012년 대선
- 해운대구 주민들의 2
012년 대통령선거 투표 참여율은 76.
4%로 부산시 평균 7
6.2%와
비슷한 수준으로 나타났으며,이는 부산지역 1
6개 구(
군)중 7위에 해당함

5)해운대구 사회적 자본 분석 결과의 시사점

○ 객관적 사회적 자본 지표 분석 결과 해운대구의 사회적 자본은 부산지역 16개 구


(
군)중 중상위권으로 나타남

○ 7대 도시의 사회적 자본을 비교한 결과,부산은 중하위권으로 나타났다는 점을 고려


한다면 해운대구의 전국적 차원의 사회적 자본 수준은 낮은 것으로 평가됨

○ 사법기관 법집행에 대한 신뢰도,외부 청렴도,거리질서 만족도,지방세징수율,쓰레


기 분리수거는 1-2위로 우수한 수준으로 나타남.특히 지방세 징수율의 경우 201
1년도
91.
4%로 9위에서 2
012년도에는 95.
3%로 1위를 기록한 것은 높이 평가함

○ 그러나 도움요청 주체 중 친인척ㆍ이웃주민 비율은 최하위인 16


위로 나타났고,2012
년 총선 투표율 14
위,일회용품사용 안하기 13위,에너지절약 실천 12위,내부청렴도 12

- 39 -
위는 매우 취약한 것으로 나타남

○ 해운대구의 객관적 사회적 지표 중 가장 취약한 것은 도움요청 주체 중 친인척ㆍ이


웃주민 비율로 나타났다.자신이 위기에 처했을 때 가까운 이웃에게 도움을 청할 수 있
는 사람이 적다는 것은 그만큼 이웃에 대한 유대가 약하다는 것을 의미한다.그러나 주
민과의 유대는 사회적 자본 형성에 있어 매우 중요한 요소이기 때문에 이의 형성을 위
한 보다 체계적이고 적극적인 노력이 요구됨

○ 청렴도의 경우 외부청렴도는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내부 청렴도가 취약한 것으


로 나타났다는 점에서 해운대구의 종합청렴도 향상을 위해서는 내부청렴도 개선을 위한
적극적인 노력이 요구됨

○ 자원봉사 등록율은 중상위로 나타난 반면에 참여율은 9위로 중하위로 나타남.이의


개선을 위해서는 구민들의 자원봉사에 대한 의식,사회적 책임의식 등의 개선을 위한
다양한 노력과 더불어 주민들이 적극적으로 자원봉사활동에 참여할 수 있는 다양한 프
로그램과 유인체계 개발 등의 노력이 요구됨

○ 참여는 사회문제 및 공적 문제 해결을 위해 주민들이 자발적으로 참여하는 것으로


지역발전에 있어 매우 중요한 요인임.특히,시민의 참여의식과 책임의식의 중요한 지표
라고 할 수 있는 에너지 절약 실천,일회용품 사용 안하기,투표(
총선)참여율이 부산지
역에서 거의 최하위 수준으로 나타난 것은 국제적 명성을 얻고 있는 해운대구의 위상을
고려한다면 더욱 심각한 수준이라는 것을 의미할 뿐만 아니라 주민들의 사회적 책임의
식과 실천력 제고를 위한 보다 적극적이고 체계적인 노력이 필요함을 의미함

2.해운대구의 잠재적 사회적자본 현황

1)해운대구 사회적자본의 인프라(


기반)개요

□ 사회적자본의 인프라 파악 필요성

○ 앞에서는 해운대구의 사회적 자본 현황을 파악하기 위하여 통계자료를 토대로 한 객


관적 자료의 비교를 살펴보았으나,향후 해운대구의 사회적 자본발전 계획의 수립을 위
한 SWOT 분석 등을 위해서는 잠재적 기반을 파악할 필요가 있음.그리고 이러한 사회

- 40 -
적 자본의 잠재적 요소는 도로와 교량과 같은 물적 자본인 인프라(
사회간접자본)
에 비
유할 때 사회적 자본의 “
인프라”혹은 “
기반”
에 해당된다고 볼 수 있음

○ 사회적 자본에서는 시민 참여 및 시민단체와 기업과 공공기관간의 유기적인 협력이


가장 중요하므로,사회적 자본의 인프라 파악을 위해서 여기서는 시민들의 체계적인 참
여 현황과 해운대구와 협력 가능성이 높은 참여주체 및 그러한 참여를 용이하게 하는
시설의 파악에 초점을 둠

□ 해운대구 사회적자본의 주요 추진주체와 물적 기반

○ 아래 표에는 사회적 자본의 인프라(


기반)
를 구성하는 다양한 참여주체와 주요 시설
및 주민참여 현황이 나타나 있음

○ 전술한 부산시 자치구․군의 대비에서 시 본청에 등록된 해운대구 소재 비영리 민간


단체수는 39
개로 7위에 나타났으나,해운대구에는 중복단체 2개를 제외하더라도 구의
사회적 자본 증진운동에 동참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는 단체는 별도로 67개가 있으므
로 시민단체 수의 측면에서 인프라 수준은 결코 낮다고 볼 수 없음.따라서 전술한 자
치구․군 대비 본청에 등록단체수로 인적 인프라의 순위를 평가하기는 어려우며 참여의
질적 수준이 중요함을 시사하고 있음

○ 사회적 자본 확충을 위한 주민 참여과정에서는 특히 도서관이나 복지시설이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됨.이러한 분야의 해운대구 시설은 사립도서관 1개를 제외하고는 부산시
의 여타 자치구․군과 유사할 것으로 추정됨
- 마을만들기 사례의 모법으로 인식되는 반송 “
희망세상”
은 해운대구의 사립도서관인

느티나무도서관”
을 중심으로 사업이 전개되고 발전되어 왔음

○ 그러나 해운대구에는 다른 자치구․군에 없는 전국최초 형태의 “


사단법인 세계시민
사회센터”
가 존재하고 최근 신축된 해운대구 신청사를 활용하는 “
복합문화센터”
가 2013
년 1
1월부터 개소될 예정이므로 물적 인프라 수준은 매우 높은 것으로 평가됨

○ 한편,부산시 자치구․군의 대비에서 자원봉사 참여율은 9위로 나타났으나,해운대구


에는 인문학 강좌 강좌가 강조되고 참여인원도 증가되고 있으므로 이러한 점을 감안하
면 시민참여 수준도 비교적 높은 편에 속할 것으로 추정됨

- 41 -
<표Ⅱ-3
> 해운대구 사회적 자본의 인프라(
기반)개요

구 분 참여자 특성 주요 내용
민간부문 시민단체 해운대포럼,해운대를사랑하는 모임 등 69개 단체
사회적
공공기관 경찰서,복지관 등 21개 기관
자본운동본부참 공공부문
학 교 초,중고등학교,대학 6 9개교
여 대상(
안)
기업부문 기 업 파라다이스호텔,새마을 금고 등 32개
-민간인사로 임원 구성 및 집행기관 구성
(
사)세계시민사회센터 민간법인
-임직 5명,집행기관 15명 규모
해운대구 신청사 별관을 전면 활용( 민간위탁관리)
,
복합문화센터 공공 5층 건물의 연면적 8,
263
평방미터( 2,
504
평),
공연장,헬스장,강의실 등으로 사용
공공,
도서관 공공 6
개,민간 1개
민간
종합사회복지관 7개
사회복지시설 장애인생활시설,아동ㆍ여성 및 노인복지시설 20개
복지시설
경로당 202개
노인여가
노인교실 13개
-노년의 인문학( 반여권) :4회,50명
-희망의 인문학( 반송권) :4회,120명
권역별
지역 주민 -일상으로 스며드는 인문학:4회,12 0명
강좌
-청소년 인문학( 좌동권) :4회,150명
-영화로 보는 인문학( 재송권) :4회,2 00명
- 동서양 인문고전을 통해 성인의 삶을 재조명하는 프로
동서양 인문 구 민
그램으로 부산대 인문학연구소와 공동주관
학산책 (회원제)
-7회,매회 1 30명 참여
인문학 도시 - 최치원,정약용님의 사상에 대한 강좌를 통해 인문학고
길 위의
조성 사업 구 민 전 뿌리를 배우고,현장체험 계기
인문학
-4회,35명
인문학 -권역별 명사 초청,지역문화 활성화
구 민
콘서트 -4회,850 명
치유의 -영화,음악,미술,웰다잉으로 풀어가는 힐링강좌
구 민
인문학 -4회,매회 2 00여명
오거서운동 구 민 -인문도서 선정,서평대회 및 북콘서트 운영 등
야간아카데미
직장인 -6회,50여명
운영
각계 -총8 2개(주민자치센터 포함여부 확인 요)
위원회
전문가 -총 참여 위원 수:1, 061명
-민간 주최:7개
구민 참여 축 제 구 민
-구청 주최:2개
단 체 852개
자원봉사 -82,779명
개 인
-연 1회 이상봉사자 16, 915명
해운대문인협회,해운대 문화예술원 등 16개
문화예술
(1개 단체 시 등록)
직능,이익 의사회,장애인총연합회 등 28개
사회적자본운
정책추진 세계시민사회센터,민주평통 등 6개
동본부참여단
비영리 봉 사 적십자부녀회,여성자원봉사회 등 6개
체 예상
민간단체 해운대를 사랑하는 모임,환경공해주방운동 등 7 개
(
69개) 시민운동
구분 (1개 단체 시 등록)
기 타 체육 및 지역발전 관련 단체 6개
(
재)21공동체개발원,해운대문화예술원 등 39개
부산시 등록단체
(
40개 중 1개 단체 말소)

2)주요 참여주체

- 42 -
□ 사회적자본 운동본부

◯ 해운대구에서는 사회적자본 추진방식을 민간주도로 이행하고자하며,이를 위하여 전


체 구차원에서 민관산학의 다양한 분야 구성원을 중심으로 한 사회적자본운동본부를 구
성할 예정임

◯ 구청의 현황파악자료에 의하면 현재 참여 가능한 단체는 아래 표와 같이 민간부문


69개,공공기관 21개,학교 69개,기업 32개 수준임.따라서 이러한 참여 예상주체들은
해운대구 사회적 자본의 가장 핵심적인 인프라에 해당된다고 볼 수 있음

◯ 그러나 기업부문의 경우 관광업,새마을금고 등이 중심을 이루고 있어 보다 다양한


분야의 기업들이 참여할 수 있도록 할 필요가 있음.또한 민간단체의 경우에 경우 구정
에 우호적인 관변단체도 많으므로 다양한 참여를 위하여 시 본청에 등록된 단체들의 적
극적인 참여를 유도할 필요가 있을 것임

◯ 해운대구 사회적 자본운동본부 참여예정 민간단체의 내용은 아래와 같음

<표Ⅱ-4
> 해운대구 사회적 자본운동본부 참여예정 민간단체(
69개)

기관 및 단체 주소(
사무실 혹은 대표) 비고
해운대문화관광협의회장 해운대해변로 7
3경남마리나@ 1
06-1
005호
해운대미술작가회장 달맞이길65번길 12-12경동메르빌104-609
해운대문인협회장 달맞이길62번길 5-4
2해운비치빌라 나동5
01호
해운대포럼 대표 달맞이길117
번나길 1
11추리문학관 내 (
중동)
해운대를 사랑하는모임대표 APEC로 68
(우동) 본청등록
해운대달맞이민속보존회장 해운대로 5
47-1
(우동)
해운대한마당민속예술원 재반로 164(
재송동)
장산민속예술원 재반로 268(
반여동)
해운대달맞이 민속농악단 해운대로 5
43(
우동)
송정문화관광발전협의회 송정구덕포길 7
0(뉴구덕포횟집)(
송정동)
여성합창단 좌동순환로311번길 8영남@ 106-2201
진구 엄광로 176동의대 평생교육원 예술종합콘서
해운대여성합창단
바토리 음악과
해운대소년소녀합창단 기장군 정관면 정관로 548한진해모로 1
609
동 4
02호
남구 용호로 90
번길 12-4엘지메트로시티
청소년오케스트라단
233
동 2
302호 (
용호동)
해운대청소년오케스트라 남구 황령대로 504대연비치@ 1
05-6
02
해운대문화예술원 세실로 15
8동부@ 101-1403(
좌동) 본청등록

- 43 -
해운대해변로 73
해운대사진작가회
대우마리나 105-602
세계시민사회센터 해운대로 4
83번길103-80
1(롯데)
해운대구 신청사건립 추진위원
신반송로 1
99

해운대구 공공시설유치위원회 대천로 103번길6
1
해오름장학회 중동1로 37번길1
1
해운대재래시장 구남로 41번길26
-3(
칠암곰장어)
재송발전협의회 재송2로 208
민주평통해운대구지부 센텀중앙로 145108-2601(
센텀파크)
장산문화회 아랫반송로 41-2
해운대발전협의회 중동2로 8(
중동)
달맞이길65번길 12-12
민주평통해운대구협의회
(
중동,
경동메르빌)
생활체육 구협의회 재반로165번길112
(재송동)
대한노인회 구지회 선수촌로208
번길88-1
6(반여동)
구여성단체협의회 반송로895(
반송동)
창신어린이집)
장애인총연합회구회 달맞이길 6
2번길 5-523
03호
자연보호운동구협의회 청사포로58번길 59-13(
중동)
지방행정동우회 우동1로9-2
8,1-102(
신동아)
의정동우회 반송로 812
구자율방재단 삼어로 55104-1202
반여로1331
12-1
702
동방위협의회장단회
(
반여동,
롯데낙천대)
적십자부녀봉사구협의회 재송2로 153재송세명그린타워@ 409호
여성자원봉사회 기장군 기장읍 차성동로25번길 3
1
대천로 187106-1601
여성자원봉사회후원회
(
좌동,
화목)
맑고푸른해운대21
회 신반송로 1
7110
5동 301호
환경공해추방운동구지부 중동1로 17해정빌딩1호
중동2로24번길23-22
녹원회
(
중동)
재송1로20번길60-5
해운대구모범운전자회
(
재송동)
우동2로881
-405
구친절교통봉사대
(
우동,
신동비치)
공립보육시설연합회 반송로895(
창신어린이집)

민간보육시설연합부회 재반로 125번길3


0우신골든빌@ (
우신어린이집)

- 44 -
(
現,회장은 공석)
가정보육시설연합회 해운대로 3
61삼한@101-102(
에젤어린이집)
)
신반송로171104-306
해운대구축구연합회
(
삼한1차)
재향군인회구지회 중동2로 7(
4층)
세실로 126,112-603
해병전우회구지회
(
좌동,
건영2
차)
6.
25참전유공자구지회 중동2로 31(
3층)
상이군경회구지회 해운대로 6
10,
혜원빌딩 2

구남로 18번길 24
무공수훈자회구지회
해운비치O/
T 805호
전몰군경유족회구지회 해운대로 6
10,
혜원빌딩 2

전몰군경미망인회구지회 해운대로 6
10,혜원빌딩 2층
좌동로 152
고엽제전우회구지회
신도시시장 304호
해운대농협조합장 좌동로 93
(
사)한국외식업중앙회
중동1로 37번길 11(
국제갈비)
부산시지회 해운대구지부
좌동로 66
해운대구의사회
(
좌동,신세기이빈후과)
해운대구치과의사회 중동 1
로 1
7(좌동,정치과)
구남로 29번길 26
해운대구 한의사회
(
중동,초우한의원)
재반로 79-1
해운대구 약사회
(
재송동,메디팜지원약국)
해운대로 8
1번길 12
해운대구 안경사회
(
재송동,현대안경원)
좌동순환로79
해운대구 건축사회
KTl
incus
빌딩20
1호
좌동재래시장 좌동 순환로299번길1
1210
-602(
좌동,
벽산2차)

반송2동재래시장 윗반송로 5
1번길86

구남벌상가번영회 구남로30번길6,(
5층)

구남로를사랑하는모임 해운대해변로 2
65번길 15

구체육회수석부회 중동2로10번길21

◯ 참고로 해운대구 소재의 비영리단체로 시 본청에 등록된 단체의 내용은 아래와 같음

<표Ⅱ-5> 부산광역시 본청 등록 비영리단체

- 45 -
번 소재지 등록년
단 체 명 주된사업
호 (
해운대구) 월 일
(
사)환경보호국민운동본부
1 부산광역시지역본부 중동 20005.18 환경조사 교육
(
구.환경보호국민운동본부부산시지부)
2 (
재)21C공동체개발원 우1동 2000.5
.23 청소년 건전육성
최치원선생 추념헌공다
10 해운대문화예술원 우1동 2000.5
.30
례 행사 등
환 경 정 화 사 업
11 환경정화 실천연합회 우2동 2000.7
.26
(
200
4.12.
24등록말소)
(
사)한국장애인정보화협회
부산광역시장애인정보화협회 장애인 컴퓨터 교육 및
12 석대동 2001.
2.1
(
구.사)
한국장애인정보화추진부산 컴퓨터 무료보급
광역시협회)
반송2동
희망세상 민주적 지역공동체 건설
13 느 티 나 무도 2001.
2.1
9
(
구.반송을사랑하는사람들) 과 복지사회 실현
서관
(
사)태평양전쟁희생자유족회부산 유족실태조사와 유해발
14 우2동 2001.
3.1
6
지부 굴봉안 등
15 좌동주민문화교실자원봉사회 좌동 2001.
3.3
1 주민문화교실 운영
16 환경문화연합 우1동 2003.
2.1
2 환경문화사업
재난구조활동 및 자원봉
17 한국재난구조단부산지부 중동 2004.
9.
22

시정 및 구정의 주민참
18 해운대를 사랑하는 모임 좌동 2004.
11.
15
여활동
생활한경 및 자연 환경
19 해운대 환경포유회 우1동 2005.
1.
26
보전
교통사고 피해자 유자녀
20 (
사)한국교통시민협회부산협의회 재송2동 2005.
3.
25
장학사업
함께 장애아동의 운동, 사회
21 재송동 2005.
4.
4
(
구.발달장애운동능력향상센터) 적응훈련
22 넷펙(NETPAC) 우동 2005.
9.
27 아시아 영화진흥
중증장애인 활동보조 서
23 사랑샘 장애인자립생활 센터 반여동 2006.
11.
24
비스
청소년 건전육성, 해양
24 한국해양청소년단부산연맹 우1동 2006.
12.
14
훈련,스포츠 활동
화훼문화 정립 및 화훼
25 한국화훼원예복지협회 반여1동 2007.
9.
11
유통체계 확립
성매매피해여성지원사
26 해솔상담센터 우1동 2008.
6.
2
업,상담
사)부산광역시 청년연합회해운대 자율방범,거리질서 캠페
27 재송1동 2008.
7.
10
구 지회 인,청소년선도
28 해운대장애인자립생활센터 좌동 2008.
8.
26 장애인자립생활지원
재해,재난시 인명구조
29 (
사)대한민국재난구조협회 부산지부 우동 2008.
9.
25
및 복구활동
정보격차해소 및 지역정
30 뉴실버정보화리더3기 좌2동 2009.
3.
13
보화촉진 등
환경보전 및 환경감시활
31 환경공해추방운동 부산시지부 중1동 2009.
3.
25
동 등
환경오염방지를 위한 연
32 낙동강환경운동실천본부 반여3동 2009.
3.
25
구조사 등
야호
33 우동 2009.
12.
8 청소년 문화활동 등 지원
(
구,그루터기)
장애인에 교육과 장애인
34 (
사)부산장애인 다사랑회 중동 2009.
12.
16
의 재활

- 46 -
환경보전·감시 및 생태
35 청녹색운동연합회 재송동 2009.
12.
31
보전·체험 등
수영강 환경지킴이, 생
36 수영강생태보존협회 반여동 2010.
4.
2
태체험학교 등
드래곤보트 경기운동
37 부산광역시드래곤보트협회 우동 2011.
4.
11
보급
무료급식소지원, 저소
38 우1동일천원행복나눔회 우1동 2011.
4.
28
득자녀 교복지원
노동자취업알선 및 일자
39 부산시설관리인협회 재송1동 2013.
5.
20
리 나눔
오염방지실태조사와 모
40 녹색한국환경국민운동본부 반여3동 2013.
6.
25
니터링

자료:부산광역시(
2013)
,내부자료.

□ 세계시민사회센터

◯ 지역주민의 자발적 학습과 자원봉사활동에 대한 자발적 참여를 통하여 지역사회를


발전시키고 행복한 공동체를 건설하는 데 목표를 둠(
세계시민사회센터 홈페이지:
ht
tp:
//www.
cgc
sc.
org/
,검색일 2013
.10.25)
.

◯ 2007
년에 설립된 “
사단법인 해성회”
를 전신으로 하여 2011년에는 사단법인 “
세계시
민사회센터”
로 명칭과 사업목적을 변경함

◯ 이사장,이사 및 감사를 포함한 임원은 6명이며,집행기구는 센터장과 사무총장 외


사회적 자본국,자원봉사센터,인문학국을 두고 있으며,후원금 모금 및 사업의 참여를
확대를 위하여 별도로 회원을 모집하고 있음

◯ 해운대 주민의 의식을 선진국 수준으로 높임으로서 해운대구와 부산시를 세계의 도


시로 육성하는데 초점을 둔 봉사단체로 사회적 자본 확충을 위한 전국 최초의 민관협력
사례로 여겨짐.동시에 해운대구의 사회적자본 추진정책의 중심적인 추진체가 될 것이
므로 해운대구의 핵심적인 사회적자본 인프라라고 할 수 있음

<그림Ⅱ-1> 세계시민사회센터 조직도

- 47 -
자료:세계시민사회센터 홈페이지(
htt
p:/
/www.
cgcs
c.or
g/,검색일 201
3.10.2
5).

3.해운대형 사회적자본 지표의 모색

1)사회적자본지표의 선정기준

□ 지표의 영역 구분

○ 선행연구와 해운대구 사회적 자본에 대한 현황분석 및 지표의 분류기준을 토대로 사


회적 자본의 분야별 지표의 성격과 관리의 필요성을 5대 분야별로 요약하여 제시함

□ 해운대구 지표의 선정기준

○ 향후 해운대구 사회적자본모델의 구축을 위하여 성과측정을 위한 성과지표를 다음


표와 같은 7분야의 기준을 토대로 모색함

<표Ⅱ-6> 해운대구 사회적자본지표의 선정기준

지표의 선정기준 주요 내용
보편성 -다른 지자체에서의 관리여부 혹은 관리가능성
전략성 -지표의 일반적 중요성이니 파급효과
특수성 -해운대구의 비전과 발전 방향 및 여건의 반영 정도
통제가능성 -구청의 정책을 통한 개선 가능성

- 48 -
측정가능성 -기술적 난이도 및 비용과 시간적 측면
측정방식 -객관적 통계자료 혹은 주관적 설문조사
현행 관리여부 -해운대구의 기존 업무를 통한 관리 여부 및 관리정책명칭과 관리부서

2)분야별 지표

(
1)신뢰분야 지표

□ 사적 신뢰분야

○ 사적 신뢰분야는 관리의 필요성에도 불구하고 현재 전국적으로 측정되고 있지 않음.


동 지표는 삼성경제연구원(
2009)
에서 OECD의 국가의 사회적 자본 지수를 산정하는 과
정에서 활용되었으므로 장차 국내외적 대비를 위하여 해운대구에서도 설문조사 방식으
로 이를 측정할 필요가 있음

□ 공적 신뢰분야

○ 이 분야의 지표는 삼성경제연구원(


2009)
에서 사용하였을 뿐 아니라 부산시 사회지표
와 국민권익위원회 자료에도 나타나므로 해운대구에서도 이를 측정할 필요가 있음.이
경우 전국대비를 위해서는 해당 발행기관의 자료를 활용할 수 있으나,공공부문의 통계
자료는 취합에 시간이 소요되므로 매년 말 적시에 대비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음.따라
서 시 구청에서 매년 신속하게 정보를 파악하려면 독자적으로 설문조사를 통하여 측정
할 필요가 있음

<표Ⅱ-7> 신뢰지표의 성격과 관리의 필요성

지표의 성격과 현행 관리
구 분 지표의 세부내용 향후 관리 필요성
측정방식 방식(기구)
가족과 친지에 대한 신뢰
주관적 지표
사적신뢰 이웃 없음 높음
(
설문조사)
이웃에 대한 신뢰
안전사고,
재해도움 요청
정부 기관 주체
신뢰도
주관적 지표 부산시 사회지
공적신뢰 높음
사법기관 법집행 (
설문조사) 표

정치인에 대한 신뢰도

- 49 -
종 합
청렴지수 주관적 지표 국민권익위원
외 부 높음
(
10점 만점) (
설문조사) 회 자료
내 부

(
2)규범분야 지표

□ 호혜감과 연대감

○ 이 지표들은 OECD국가 대비 연구(


삼성경제연구원,2009)
에서는 사용되지 않았고,
우리나라 공공부문의 통계자료에도 나타나지 않지만,국내외 선행연구(
고경훈 외,2012:
51)
에서 일반적으로 중시되고 있으므로 해운대구에서 독자적으로 설문조사 방식으로 관
리할 필요가 있음

□ 준법성

○ 주민의 준법성에 대해서는 OECD국가 대비 연구(


삼성경제연구원,200
9)에서는 정부
보조금 부정수급,공공교통 무임승차,탈세 등의 지표를 사용하였으며,우리나라에서도
각종 통계조사에서 이를 중시하고 있음

○ 따라서 국내비교를 위하여 아래에 예시된 몇 가지 지표를 선별적으로 활용할 수 있


으나,신속하게 정보를 파악 하려면 독자적인 설문조사를 통하여 측정할 필요가 있음

<표Ⅱ-8> 규범지표의 성격과 관리의 필요성

지표의 성격과 현행 관리
구 분 지표의 세부내용 향후 관리 필요성
측정방식 방식(기구)
주관적 지표
호혜성 이웃에 대한 상호협력적 태도 없음 높음
(설문조사)
주관적 지표
연대감 주민으로서의 긍지 없음 높음
(설문조사)
교통질서 만족도 주관적 지표 부산시
높음
거리질서 만족도 (설문조사) 사회지표
주관적 지표 교통질서 및 거리질
교통문화지수 국가통계포털
(설문조사) 서와 중복
규범성 주민의 준법성 부산시
범죄발생건수 통계자료 높음
(
준법성) 사회지표
지방세징수율 통계자료 지방세정연감 높음

불법주정차단속율 구·
군별 실적자료 부산광역시 높음

공공기관의 준법성 - 없음 공적신뢰의 청렴지

- 50 -
표로 대체 검토

(
3)네트워크분야 지표

□ 주민의 사적연결망

○ 이 분야의 지표는 전술한 OECD국가 대비 연구 혹은 국내의 연구에서 중시되는 경


향이 지표의 구체적 내용에 대해서는 조사목적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음.우리나라의
공공부문 통계에서는 “
가족이나 이웃과의 소통과 유대 정도”
에 대해서는 측정이 이루어
지고 있지 않으므로 해운대구에서는 이러한 지표도 독자적으로 관리할 필요가 있다고
여겨짐

□ 주민의 공적연결망
○ 주민의 공적연결망에 대한 지표를 사용하는 선행연구는 많지 않지만 본 연구의 제1
장에서는 동 지표의 중요성을 감안하여 네트워크 분야에 이를 포함시켜 분류하였음.관
련된 지표에 대한 공공부문의 통계조사는 이루어지지 않고 있으므로 해운대구에서는 설
문조사를 통하여 독자적으로 관리할 필요가 있다고 여겨짐

□ 사회단체와 기관간의 연결망

○ 이 지표는 국내외 연구에서 일반적으로 중시되고 있으며,부산시에서도 비영리민간


단체 등록현황을 통하여 동 지표를 측정하고 있으므로 해운대구에서도 관리의 대상에
포함시키되 부산시 등의 자료를 활용하도록 함

<표Ⅱ-9> 네트워크지표의 성격과 관리의 필요성

지표의 성격과 현행 관리
구 분 지표의 세부내용 향후 관리 필요성
측정방식 방식(
기구)
가족과 이웃과의 소통과 유대 주관적 지표
없음 높음
주민의 정도 (설문조사)
사적연결망 도움요청 주체 중 주관적 지표 부산광역시
높음
친인척ㆍ이웃 주민 비율 (설문조사) 통계연보
주민의 공적 기관과의 연락과 주관적 지표
없음 높음
공적연결망 유대정도 (설문조사)
사회단체와 부산시
비영리 민간단체
기관간의 통계자료 비영리민간단 높음
등록 수(부산시)
연결망 체 등록현황

- 51 -
(
4)참여분야 지표

□ 지역사회 참여

○ 참여분야에서는 공공부문 참여가 강조되는 경향이 있지만 민간단체 혹은 이웃활동에


대한 참여 역시 사회적자본 형성에 중요한 요소가 됨.기존 자료로는 비영리 민간단체
등록 현황을 활용할 수 있으나,해운대구에서는 설문조사를 통하여 독자적으로 관리할
필요가 있음

□ 시민참여(
공공참여)

○ OECD국가 대비 연구에서는 사용되지 않았지만 시민들의 공공참여는 국내외 여구에


서 매우 중시되고 있음.동 지표에 대해서는 객관적 통계자료가 많지만,신속하게 정보
를 파악 하려면 독자적인 설문조사를 통하여 측정할 필요가 있음.특히 지역축제나 이
벤트의 참여 경우에는 통계자료가 생산되고 있지 않으므로 당분간 설문조사를 통해서
관리해야 할 것임

<표Ⅱ-10
> 참여지표의 성격과 관리의 필요성
지표의 성격과 현행 관리
구 분 지표의 세부내용 향후 관리 필요성
측정방식 방식(기구)
근린사회의 참여:아파트 주민회, 주관적 지표
없음 높음
부녀회 등 참여 (설문조사)
비영리 민간단체
주관적 지표
지역사회 취미단체 참여 없음 등록지표와의 연계
(설문조사)
참여 검토
비영리 민간단체
주관적 지표
종교단체 참여 없음 등록지표와의 연계
(설문조사)
검토
주관적 지표
지역축제나 참여의사
(설문조사) 없음 높음
이벤트의 참여
참여도 통계자료
공적 기구 참여 주관적 지표
참여의사
(
주민자치회, (설문조사) 없음 높음
시민참여 위원회 등) 참여도 통계자료
(
공공참여)
부산시
에너지절약실천 참여 통계자료 높음
사회지표

자원봉사단체 지자체합동
등록율 통계자료 높음
참여 평가 자료

- 52 -
참여율 통계자료
분리수거 통계자료
일회용품사용
환경보전실천운 통계자료 부산시
안하기 높음
동 사회지표
음식쓰레기줄이
통계자료

총선
중앙선거관
투표율 대선 선거자료 높음
리위원회
지방선거

(
5)사회구조분야 지표

○ 사회구조분야 지표는 OECD국가 대비 연구(


삼성경제연구소,200
9)에서 중시되었으
나,기타 연구에서는 그다지 강조되지 않는 경향이 있음.그러나 주민의 신뢰와 참여의
확대를 위해서는 동 지표의 개선이 필요하므로 해운대구에서는 설문조사와 같은 방식을
통하여 독자적으로 관리할 필요가 있음

<표Ⅱ-11> 사회구조지표의 성격과 관리의 필요성


지표의 성격과 현행 관리
구 분 지표의 세부내용 향후 관리 필요성
측정방식 방식(기구)
의사소통 구청 인터넷 접속정도 통계자료 미상 높음
주관적 지표
다문화에 대한 관용성 없음 비교적 낮음
(설문조사)
포용성
주관적 지표
사회적 약자에 대한 배려 없음 높음
(설문조사)
주관적 지표
도시의 위험정도 없음 높음
(설문조사)
지역사회 주관적 지표
도시의 주거환경 정도 없음 높음
구조 (설문조사)
주관적 지표 규범분야의 연대감
향후 거주희망 정도 없음
(설문조사) 지표와의 연계
역내 소득의 불균형 통계자료 없음 높음
계층구조
역내 투자의 불균형 통계자료 없음 높음
주관적 지표
단체장의 소통의지 없음
단체장 (설문조사) 정치인에 대한
리더십 주관적 지표 신뢰도와의 연계검토
단체장의 정책추진 능력 없음
(설문조사)
행정업무 주관적 지표
공무원의 전문성 없음 높음
수행능력 (설문조사)

자료:조권중(
2010)
,서울시 중장기 사회적 자본 증대방안 연구,서울시정개발연구원:77참조.

- 53 -
Ⅲ.사회적자본의 전략수립을 위한 주민설문조사

1.조사개요

□ 표본의 특성

○ 해운대구를 3대 권역으로 구분하여 학부모 조사 실시

○ 표본의 특성:성별,연령,소득수준을 동시에 고려함

<표Ⅲ-1> 표본의 주요 특성

구분 내용 빈도 백분율(
%)

남자 577 3
9.74
성별
여자 875 6
0.26
30
대 이하 198 1
4.04
연령 4
0대 976 6
9.22
50
대 이상 236 1
6.74
3
00만원 미만 451 3
2.49

가구 월평균 소득 3
00만원 이상~5
00만원 미만 405 2
9.18

5
00만원 이상 532 3
8.33

반여/
반송 469 3
6.87
거주지역 우동/
중동 301 2
3.66
좌동 502 3
9.47
2년 이하 323 2
3.37
거주기간 3년 이상~10년 미만 594 4
2.98
10
년 이상 465 3
3.65

□ 측정지표 및 문항

○ 신뢰,규범,네트워크,참여의 4개 영역으로 구분하여 문항 구성

○ 측정지표는 해운대구 사회적 자본 현황분석에 초점을 두고,평균값 분석을 할 수 있


도록 가능한 리커트(
Like
rt)척도를 구성하도록 하였음
- 리커트 척도는 일명 총화평정척도(
總和評定尺度)
로도 불리며,특정 측정항목을 측정

- 54 -
하기 위하여 복수의 척도(
설문문항)
를 사용하고 이들 값의 평균값을 사용함.이 경우 척
도는 주로 등간척도를 사용함

○ 척도는 1-5점으로 구성하고 점수가 높을수록 해당분야의 지표 값이 높게 나타나도록


설계함

<표Ⅲ-2> 해운대구 사회적 자본의 측정을 위한 측정지표

측정영역 측정항목 측정지표( 5점 척도) 비고


-가족 간의 신뢰
1)사적 신뢰 -친척에 대한 신뢰
-이웃에 대한 신뢰
1.신뢰
-해운대구 행정에 대한 신뢰
2)공적 신뢰 -주민센타( 동사무소) 에 대한 신뢰
-부산시에 대한 신뢰
-다른 사람을 도우면 도움을 받을 수 있다
는 인식정도 소단위 마을만들기
1)호혜성 -타인에게 피해 주지 않기 위하여 조심하는 에 적합한 지표를
정도 중심으로 선정
-헌혈이나 장기 기증운동 참여용의
-차례 지키는 정도( 이웃)
-교통질서 지키는 정도( 이웃) 타인에 대한 평가
2.규범 2)규범성
-무단횡단의 정도( 이웃) 방식 채택
-쓰레기 무단투기 않는 정도( 이웃)
-해운대구 주민으로서의 자부심
-부산시민으로서의 자부심
3)연대감 -동 주민으로서의 자부심
-현 지역에서 계속 거주 욕구
-현 동내의 발전 전망에 대한 인식
-가족과의 교류정도( 선물,접촉)
1)사적연결망 -친지와의 교류정도( 선물,주기적만남)
-학부모들과의 교류정도( 대화,식사)
3.네트워크 -아파트 동대표 통장와의 유대
-동사무소 혹은 구청직원과의 유대 볼드체 척도는 평균
2)공적연결망
-지방의원과 혹은 시민단체와의 유대 값 분석에서 제외됨
-학부모단체나 교사와의 연락정도
-아파트 주민대표 혹은 거주지 부녀회 등
1)지역사회 참여
참여 -종교단체 참여
-봉사나 취미단체참여
4.참여 -지역축제나 이벤트 참여
-자문위원등 참여( 학교운영위, 동, 해운대
볼드체 척도는 평균
2)시민참여 구 등)정도 및 참여 의사
값 분석에서 제외됨
-공공부문에 의사표시 정도 및 용의
-시위 등의 참여 용의
1)거주지역 -반송/ 반여,우동,좌동 환경적 측면 고려
2)성별 -남,여
5.배경요인
3)연령층 -30대,40대,50대 이상
4)소득수준 -가구당 월 소득 기준

- 55 -
2.설문조사의 평균 값 분석

1)분석방법

○ 지역별로 사회적자본의 수준을 파악하기 위하여 측정항목별로 평균값 분석을 실시함


(
지역별 F-검정 실시)

○ F-검정 실시이전에 분야별 척도의 타당성과 신뢰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사전에 요인


분석(
Fac
torAnal
ysi
s) 크론바흐의 α 분석)
과 신뢰도 분석( 을 실시함

○ 요인분석을 토대로 한 신뢰도 분석에서 각 조사항목별 크론바흐의 α는 호혜성


(
0.49)
을 제외하고는 모두 0.
7이상의 수준을 유지함
-일반적으로 크론바흐의 α가 0.
7이면 신뢰도는 높은 수준이며,0
.5수준도 분석에는 무
리가 없는 것으로 인식됨

<표Ⅲ-3> 응답자의 지역별 평균값 대비(


F-검정)

조사항목 Dunc an그룹(소속) 지역별 유의도(


P)
구분 전체 평균 F값
크론바흐 α)
( 표본수 평균값 (
소득수준별)
299(A) 3.
76 우/중동
1.사적신뢰 0.083
499(BA) 3.
73 좌 동 3
.71 2.
49
(0.
68) (
<. 0.00
01)
466(B) 3.
66 반송/반여
481(A) 3.
06 좌 동
2.공적신뢰 0.079
452(A) 3.
06 반송/반여 3
.04 2.
54
(
0.85) (
0.057)
295(B) 2.
97 우/중동
495(A) 3.
70 좌 동
3.호혜성 0.001
300(A) 3.
68 우/중동 3
.64 6.
69
(
0.49) (
<. 0.00
01)
463(B) 3.
55 반송/반여
493(A) 3.
51 좌 동
4.규범성 0.
0002
300(A) 3.
47 우/중동 3
.43 8.
76
(
0.74) (
<.0.
0001)
461(B) 3.
33 반송/반여
299(A) 3.
58 우/중동
5.연대감 <.0001
497(A) 3.
53 좌 동 3
.39 78.
59
(
0.84) (
<.0.0001)
462(B) 3.
11 반송/반여
502(A) 3.
34 좌 동
6.사적연결망 0.356
301(A) 3.
31 우/중동 3
.32 1.
03
(
0.71) (
<. 0.00
01)
469(A) 3.
29 반송/반여
437(A) 2.
27 반송/반여
7.공적연결망 <.0001
466(B) 1.
99 좌 동 2
.09 15.
04
(
0.85) (
<.0.0001)
289(B) 1.
96 우/중동
295(A) 2.
37 우/중동
8.지역사회참여 0.708
446(A) 2.
35 반송/반여 2
.34 0.
35
(
0.70) (
0.058)
478(A) 2.
31 좌 동
436(A) 2.
70 반송/반여
9.시민참여 0.162
294(A) 2.
61 우/중동 2
.64 1.
82
(
0.76) (
0.056)
477(A) 2.
60 좌 동

- 56 -
주 1)척도는 1-5점으로 숫자가 높을수록 변수의 경향성이 높음
2)모든 문항에서 6점으로 측정된 “
잘 모름”
은 미싱 처리하였으므로 표본 수에서 다소 차이를 보임
3)Dunc
an그룹에서 동일한 문자는 집단 간 차이가 나타나지 않는 것으로 해석됨
4)소득수준별 유의수준은 표의 오른쪽 칸 ( )
속에 별도로 표시하였음

2)평균값 분석결과

(
1)사적신뢰

○ 아래 표에서 전체 평균값은 5점 만점에 3.


71로 비교적 높은 수준임

○ 95
% 신뢰수준(
P<0.
05)기준을 적용할 경우 지역별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P=0.
083)
,Dunc
an 그룹분석에 의하면 우/
중동 지역이 반송/
반여 지
역에 비하여 신뢰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남

○ 그러나 소득수준별로는 집단별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남(


P<.
0.
0001)
.이는 소득 수준
이 낮을 경우 상대적으로 사적 신뢰수준도 그만큼 낮아진다는 의미를 지님

(
2)공적신뢰

○ 전체 평균값은 5점 만점에 3.
04로 보통 수준임

○ 95
% 신뢰수준(
P<0.
05)
에서 지역별(
P=0.
079)
,소득수준별(
P=0
.057)
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음.그러나 Dunc
an 그룹분석에 의하면 우/
중동 지역이 다른 지역에 비하여
낮은 것으로 나타남

(
3)호혜성

○ 전체 평균값은 5점 만점에 3.
64로 비교적 높은 수준임

○ 지역별,소득수준별 분석에서는 유의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P<0.
05)
,특히
반송/
반여 지역에서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남

- 57 -
(
4)규범성

○ 전체 평균값은 5점 만점에 3.
43으로 다소 높은 수준임

○ 지역별,소득수준별 분석에서는 유의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P<0.
05)
,특히
반송/
반여 지역에서 낮은 것으로 나타남

(
5)연대감

○ 전체 평균값은 5점 만점에 3.
39으로 다소 높은 수준임

○ 지역별,소득수준별 분석에서는 유의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P<0.
05)
,특히
반송/
반여 지역에서 낮은 것으로 나타남

(
6)사적연결망

○ 전체 평균값은 5점 만점에 3.
32으로 다소 높은 수준임

○ 지역별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소득수준별 분석에서는 유의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
P<0
.05)
,소득이 낮을수록 개인 간의 연결망도 낮음을 나타내고 있

(
7)공적연결망

○ 전체 평균값은 5점 만점에 2.
09로 상당히 낮은 수준임

○ 지역별,소득수준별 분석에서는 유의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P<0.
05)
,다른
지표와 달리 특히 반송/
반여 지역에서 높은 것으로 나타남

(
8)지역사회참여

○ 전체 평균값은 5점 만점에 2.
34로 비교적 낮은 수준임

○ 지역별,소득수준별 분석에서는 집단별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음(


P>0.
05)
.

- 58 -
(
9)시민참여(
공공참여)

○ 전체 평균값은 5점 만점에 2.
64로 비교적 낮은 수준임

○ 그리고 지역별,소득수준별 분석에서도 집단별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음


(
P>0.
05)
.

3.설문조사의 교차분석

○ 여기서는 지역별 특성을 살펴보기 위한 지역별 교차분석결과를 제시하며,소득별 분


석결과는 부록에서 제시하고 참고 자료로 활용함

1)신뢰영역

(
1)사적 신뢰정도

○ 가족과 친척간의 신뢰수준은 비교적 높게 나타났으나,이웃에 대한 신뢰는 그다지


높지 않음

○ 3개 문항 중 가족 간의 신뢰관계 1
개의 문항에서 지역별로 유의한 차이(
P<0.
05)

나타나며,반여동/
반송동의 경우 다른 지역에 비하여 신뢰관계가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
로 나타남

<표Ⅲ-4
> 가족 간의 신뢰관계
<문항 1> 귀하와 가족 간의 신뢰관계는 어떠한 편입니까?
(
단위:명,
%)

척도
높음 보통 낮음 합계
지역
반여동/
반송동 35
6(75.
56) 97(
(20
.86) 12
(2.
58) 4
65(
100
)
우동/
중동 25
7(86.
24) 39
(13.
09) 2(
0.67) 2
98(
100
)
좌동 42
6(85.
54) 68
(13.
65) 4(
0.80) 4
98(
100
)
총합 1039(
82.
39) 204(
16.
18) 18
(1.
43) 1261
(100)
통계량 자유도 4 카이제곱 19.
9628 확률 0
.0005

- 59 -
<표Ⅲ-5> 친척들 간의 신뢰관계
<문항 2> 귀하와 친척들 간의 신뢰관계는 어떠한 편입니까?
(
단위:명,
%)

척도
높음 보통 낮음 합계
지역
반여동/
반송동 26
7(57.
54) 169(
36.
42) 28
(6.
03) 4
64(
100
)
우동/
중동 18
5(62.
29) 101(
34.
01) 11
(3.
70) 2
97(
100
)
좌동 29
5(59.
36) 183(
36.
82) 19
(3.
82) 4
97(
100
)
총합 74
7(59.
38) 453(
36.
01) 58
(4.
61) 1258
(100)
통계량 자유도 4 카이제곱 4.
3698 확률 0
.3583

<표Ⅲ-6
> 이웃과의 신뢰관계
<문항 3> 귀하와 이웃과의 신뢰관계는 어떠한 편입니까?
(
단위:명,
%)

척도
높음 보통 낮음 합계
지역
반여동/
반송동 17
0(37.
86) 202(
44.
99) 77(
17.
15) 4
49(
100
)
우동/
중동 11
2(39.
30) 136(
47.
72) 37(
12.
98) 2
85(
100
)
좌동 15
9(34.
27) 248(
53.
45) 57(
12.
28) 4
64(
100
)
총합 44
1(36.
81) 586(
48.
91) 171
(14.
27) 1198
(100)
통계량 자유도 4 카이제곱 9.
0971 확률 0
.0587

(
2)공적신뢰

○ 전반적으로 공적 신뢰는 보통이 중심을 이루고 있으나,반여동/


반송동에서 부산시
행정에 대한 신뢰도를 상대적으로 높게 평가하는 특징을 보임

<표Ⅲ-7> 해운대구 행정에 대한 신뢰도


<문항 4> 귀하의 해운대구 행정에 대한 신뢰도는 어떠한 편입니까?
(
단위:명,
%)

척도
높음 보통 낮음 합계
지역
반여동/
반송동 78(
18.
06) 287(
66.
44) 67(
15.
51) 4
32(
100
)
우동/
중동 47(
16.
55) 191(
67.
25) 46(
16.
20) 2
84(
23.
97)
좌동 84(
17.
91) 316(
67.
38) 69(
14.
71) 4
69(
100
)

- 60 -
총합 20
9(17.
64) 794(
67.
00) 182
(15.
36) 1185
(100)
통계량 자유도 4 카이제곱 0.
5506 확률 0
.9684

<표Ⅲ-8> 주민센타(
동사무소)
에 대한 신뢰도
<문항 5> 귀하의 주민센타(
동사무소)
에 대한 신뢰도는 어떠한 편입니까?
(
단위:명,
%)

척도
높음 보통 낮음 합계
지역
반여동/
반송동 11
4(25.
85) 288(
65.
31) 39
(8.
84) 4
41(
100
)
우동/
중동 65(
22.
49) 196(
67.
82) 28
(9.
69) 2
89(
100
)
좌동 11
2(23.
73) 320(
67.
80) 40
(8.
47) 4
72(
100
)
총합 29
1(24.
21) 804(
66.
89) 107(
8.90
) 1202
(100)
통계량 자유도 4 카이제곱 1.
4481 확률 0
.8358

<표Ⅲ-9> 부산시 행정에 대한 신뢰도


<문항 6> 귀하의 부산시 행정에 대한 신뢰도는 어떠한 편입니까?
(
단위:명,
%)

척도
높음 보통 낮음 합계
지역
반여동/
반송동 86(
19.
86) 265(
61.
20) 82(
18.
94) 4
33(
100
)
우동/
중동 30(
10.
34) 188(
64.
83) 72(
24.
83) 2
90(
100
)
좌동 70(
14.
96) 316(
67.
52) 82(
17.
52) 4
68(
100
)
총합 18
6(15.
62) 769(
64.
57) 236
(19.
82) 1191
(100)
통계량 자유도 4 카이제곱 16.
7703 확률 0
.0021

2)규범적 영역

(
1)호혜성

○ 전반적으로 다소 높은 인식수준을 지니고 있으나,반여동/


반송동에서 상대적으로 인
식수준이 낮은 것으로 나타남

<표Ⅲ-1
0> 다른 사람을 도우면 자신도 도움을 받을 수 있는 가능성
<문항 7> 귀하는 다른 사람을 도우면 자신도 타인의 도움을 받을 수 있는 가능성이 어

- 61 -
떠하다고 보십니까?
(
단위:명,
%)

척도
높음 보통 낮음 합계
지역
반여동/
반송동 21
9(47.
71) 205(
44.
66) 35
(7.
63) 4
59(
100
)
우동/
중동 16
1(54.
58) 115(
38.
98) 19
(6.
44) 2
95(
100
)
좌동 28
7(58.
57) 175(
35.
71) 28
(5.
71) 4
90(
100
)
총합 66
7(53.
62) 495(
39.
79) 82
(6.
59) 1244
(100)
통계량 자유도 4 카이제곱 11.
4371 확률 0
.0221

<표Ⅲ-11
> 이웃사람들이 남들에게 피해 주지 않으려고 조심하는 정도
<문항 8> 귀하의 이웃사람들이 평소 남들에게 피해 주지 않으려고 조심하는 정도가 어
떠하다고 보십니까?
(
단위:명,
%)

척도
높음 보통 낮음 합계
지역
반여동/
반송동 27
0(59.
08) 132(
28.
88) 55(
12.
04) 4
57(
100
)
우동/
중동 19
9(66.
56) 80
(26.
76) 20
(6.
69) 2
99(
100
)
좌동 32
0(64.
91) 141(
28.
60) 32
(6.
49) 4
93(
100
)
총합 78
9(63.
17) 353(
28.
26) 107(
8.57
) 1249
(100)
통계량 자유도 4 카이제곱 12.
4378 확률 0
.0144

<표Ⅲ-12> 헌혈이나 장기기증운동에 참여할 의사


<문항 9> 귀하는 앞으로 헌혈이나 장기기증운동에 참여할 의사가 어느 정도입니까?
(
단위:명,
%)

척도
높음 보통 낮음 합계
지역
반여동/
반송동 15
0(34.
64) 210(
48.
50) 73(
16.
86) 4
33(
100
)
우동/
중동 10
8(36.
99) 126(
43.
15) 58(
19.
86) 2
92(
100
)
좌동 17
8(37.
24) 201(
42.
05) 99(
20.
71) 4
78(
100
)
총합 43
6(36.
24) 537(
44.
64) 230
(19.
12) 1203
(100)
통계량 자유도 4 카이제곱 4.
6642 확률 0
.3235

(
2)규범성

- 62 -
○ 전반적으로 다소 높은 인식수준을 지니고 있으나,반여동/
반송동에서 상대적으로 인
식수준이 낮은 것으로 나타남

<표Ⅲ-13
> 백화점이나 공공장소에서 차례를 지키는 정도
<문항 10> 귀하의 이웃들이 백화점이나 공공장소에서 차례를 지키는 정도가 어떠하다
고 보십니까?
(
단위:명,
%)

척도
높음 보통 낮음 합계
지역
반여동/
반송동 21
4(48.
20) 180(
40.
54) 50(
11.
26) 4
44(
100
)
우동/
중동 15
8(53.
20) 121(
40.
74) 18
(6.
06) 2
97(
100
)
좌동 26
5(55.
09) 186(
38.
67) 30
(6.
24) 4
81(
100
)
총합 63
7(52.
13) 487(
39.
85) 98
(8.
02) 1222
(100)
통계량 자유도 4 카이제곱 11.
6177 확률 0
.0204

<표Ⅲ-14> 교통질서를 지키는 정도


<문항 11> 귀하의 이웃들이 교통질서를 지키는 정도는 어떠하다고 보십니까?
(
단위:명,
%)

척도
높음 보통 낮음 합계
지역
반여동/
반송동 16
4(37.
10) 221(
50.
00) 57(
12.
90) 4
42(
100
)
우동/
중동 13
0(43.
62) 136(
45.
64) 32(
10.
74) 2
98(
100
)
좌동 20
3(42.
12) 234(
48.
55) 45
(9.
34) 4
82(
100
)
총합 49
7(40.
67) 591(
48.
36) 134
(10.
97) 1222
(100)
통계량 자유도 4 카이제곱 5.
6583 확률 0
.2262

<표Ⅲ-15> 쓰레기를 잘 처리하는 정도


<문항 12
> 이웃들이 쓰레기를 함부로 버리지 않고 잘 처리하는 정도는 어떠한 편입니까?

(
단위:명,
%)

척도
높음 보통 낮음 합계
지역
반여동/
반송동 20
5(44.
96) 159(
34.
87) 92(
20.
18) 4
56(
100
)
우동/
중동 15
9(53.
90) 100(
33.
90) 36(
12.
20) 2
95(
100
)
좌동 27
3(56.
17) 179(
36.
83) 34
(7.
00) 4
86(
100
)
총합 63
7(51.
50) 438(
35.
41) 162
(13.
10) 1237
(100)

- 63 -
통계량 자유도 4 카이제곱 38.
1271 확률 0
.0001

(
3)연대감

○ 해운대구 주민으로서의 자부심은 비교적 높지만,반여동/


반송동의 경우 상대적으로
인식수준이 낮은 것으로 나타남

○ 그 밖의 문항에서도 반여동/
반송동의 경우 상대적으로 인식수준이 낮은 것으로 나타

<표Ⅲ-1
6> 해운대구 주민으로서의 자부심
<문항 13> 귀하는 해운대구 주민으로서의 자부심이 어떠한 편입니까?
(
단위:명,
%)

척도
높음 보통 낮음 합계
지역
반여동/
반송동 15
4(34.
22) 261(
58.
00) 35
(7.
78) 4
50(
100
)
우동/
중동 18
0(61.
02) 109(
36.
95) 6(
2.03) 2
95(
100
)
좌동 26
9(55.
35) 208(
42.
80) 9(
1.85) 4
86(
100
)
총합 60
3(48.
98) 578(
46.
95) 50
(4.
06) 1231
(100)
통계량 자유도 4 카이제곱 76.
6578 확률 0
.0001

<표Ⅲ-17> 부산시민으로서의 자부심


<문항 14> 귀하는 부산시민으로서의 자부심이 어떠한 편입니까?
(
단위:명,
%)

척도
높음 보통 낮음 합계
지역
반여동/
반송동 17
4(38.
41) 247(
54.
53) 32
(7.
06) 4
53(
100
)
우동/
중동 12
7(42.
91) 147(
49.
66) 22
(7.
43) 2
96(
100
)
좌동 19
6(39.
84) 274(
55.
69) 22
(4.
47) 4
92(
100
)
총합 49
7(40.
05) 668(
53.
83) 76
(6.
12) 1241
(100)
통계량 자유도 4 카이제곱 5.
8995 확률 0
.2068

<표Ⅲ-18> 현재 사는 동 주민으로서의 자부심


<문항 15> 귀하는 현재 사는 동 주민으로서의 자부심이 어떠한 편입니까?

- 64 -
(단위: 명,%)
척도
높음 보통 낮음 합계
지역
반여동/
반송동 113(
(25.
00) 270(
59.
73) 69(
15.
27) 4
52(
100
)
우동/
중동 13
6(46.
10) 149(
50.
51) 10
(3.
39) 2
95(
100
)
좌동 21
6(44.
17) 262(
53.
58) 11
(2.
25) 4
89(
100
)
총합 46
5(37.
62) 681(
55.
10) 90
(7.
28) 1236
(100)
통계량 자유도 4 카이제곱 96.
1607 확률 0
.0001

<표Ⅲ-19> 현 지역에서 계속 거주하고자하는 욕구


<문항 16> 귀하는 현 지역에서 계속 거주하고자하는 욕구가 어떠한 편입니까?
(
단위:명,
%)

척도
높음 보통 낮음 합계
지역
반여동/
반송동 13
8(30.
67) 190(
42.
22) 122
(27.
11) 4
50(
100
)
우동/
중동 18
4(61.
74) 94
(31.
54) 20
(6.
71) 2
98(
100
)
좌동 30
2(61.
76) 157(
32.
11) 30
(6.
13) 4
89(
100
)
총합 62
4(50.
44) 441(
35.
65) 172
(13.
90) 1237
(100)
통계량 자유도 4 카이제곱 152
.1963 확률 0
.0001

<표Ⅲ-20
> 현재 살고 있는 동네의 발전정도
<문항 17> 귀하는 현재 살고 있는 동네의 발전정도를 어떻게 보십니까?
(
단위:명,
%)

척도
높음 보통 낮음 합계
지역
반여동/
반송동 81(
17.
84) 203(
44.
71) 170
(37.
44) 4
54(
100
)
우동/
중동 18
9(63.
21) 94
(31.
44) 16
(5.
35) 2
99(
100
)
좌동 25
1(51.
33) 209(
42.
74) 29
(5.
93) 4
89(
100
)
총합 52
1(41.
95) 506(
40.
74) 215
(17.
31) 1242
(100)
통계량 자유도 4 카이제곱 281
.5761 확률 0
.0001

3)네트워크 영역

(
1)사적 연결망

○ 전반적으로 다소 높은 인식수준을 지니고 있으나,반여동/


반송동의 경우 가족 간 관

- 65 -
계에서 상대적으로 인식수준이 낮은 것으로 나타남

<표Ⅲ-21> 가족들과 선물을 교환하거나 외식 등을 같이하는 정도


<문항 18> 귀하의 가정에서 가족들과 선물을 교환하거나 외식 혹은 놀이를 같이하는
정도는 이웃에 비하여 어떠한 편입니까?
(
단위:명,
%)

척도
높음 보통 낮음 합계
지역
반여동/
반송동 19
5(42.
39) 182(
39.
57) 83(
18.
04) 4
60(
100
)
우동/
중동 13
7(46.
13) 135(
45.
45) 25
(8.
42) 2
97(
100
)
좌동 21
7(44.
38) 199(
40.
70) 73(
14.
93) 4
89(
100
)
총합 54
9(44.
06) 516(
41.
41) 181
(14.
53) 1246
(100)
통계량 자유도 4 카이제곱 13.
8030 확률 0
.0080

<표Ⅲ-22> 친척이나 친구들과 외식 혹은 놀이를 같이하는 정도


<문항 19> 귀하의 가정(
부부중심)
에서 친척이나 친구들과 외식 혹은 놀이를 같이하는
정도는 이웃에 비하여 어떠한 편입니까?
(
단위:명,
%)

척도
높음 보통 낮음 합계
지역
반여동/
반송동 14
4(31.
30) 224(
48.
70) 92(
20.
00) 4
60(
100
)
우동/
중동 11
0(37.
16) 143(
48.
31) 43(
14.
53) 2
96(
100
)
좌동 17
8(36.
33) 226(
46.
12) 86(
17.
55) 4
90(
100
)
총합 43
2(34.
67) 593(
47.
59) 221
(17.
74) 1246
(100)
통계량 자유도 4 카이제곱 5.
8505 확률 0
.2106

<표Ⅲ-23
> 이웃 및 학부모 등과 식사 혹은 상의하는 정도
<문항 20> 귀하의 가정(
부부중심)
에서 이웃 및 학부모 등과 잡담을 하거나 식사 혹은
상의하는 정도는 어떠한 편입니까?
(
단위:명,
%)

척도
높음 보통 낮음 합계
지역
반여동/
반송동 99(
21.
81) 176(
38.
77) 179
(39.
43) 4
54(
100
)
우동/
중동 77(
25.
93) 119(
40.
07) 101
(34.
01) 2
97(
100
)
좌동 11
5(23.
86) 176(
36.
51) 191
(39.
63) 4
82(
100
)
총합 29
1(23.
60) 471(
38.
20) 471
(38.
20) 1233
(100)

- 66 -
통계량 자유도 4 카이제곱 3.
7841 확률 0
.4360

(
2)공적 연결망

○ 전반적으로 상당히 낮은 인식수준을 보이고 있으나,반여동/


반송동의 경우 상대적으
로 높게 나타나는 특성을 보임

<표Ⅲ-24> 아파트 동 대표나 통장들과의 유대


<문항 2
1> 귀하의 가정(
부부중심)
에서 아파트 동 대표나 통장들과 연락하는 등 유대는
어떠한 편입니까?
(
단위:명,
%)

척도
높음 보통 낮음 합계
지역
반여동/
반송동 63(
14.
86) 137(
32.
31) 224
(52.
83) 4
24(
100
)
우동/
중동 2
2(7.
80) 78
(27.
66) 182
(64.
54) 2
82(
100
)
좌동 2
8(6.
19) 133(
29.
42) 291
(64.
38) 4
52(
100
)
총합 113(
9.7
6) 348(
30.
05) 697
(60.
19) 1158
(100)
통계량 자유도 4 카이제곱 25.
6284 확률 0
.0001

<표Ⅲ-25> 동사무소 혹은 해운대구 공무원들의 유대


<문항 22> 귀하의 가정(
부부중심)
에서 동사무소 혹은 해운대구 공무원들과 연락하는
등 유대는 어떠한 편입니까?
(
단위:명,
%)

척도
높음 보통 낮음 합계
지역
반여동/
반송동 47(
11.
38) 122(
29.
54) 244
(59.
08) 4
13(
100
)
우동/
중동 1
2(4.
43) 54
(19.
93) 205
(75.
65) 2
71(
100
)
좌동 2
4(5.
48) 113(
25.
80) 301
(68.
72) 4
38(
100
)
총합 8
3(7.
40) 289(
25.
76) 750
(66.
84) 1122
(100)
통계량 자유도 4 카이제곱 27.
2320 확률 0
.0001

<표Ⅲ-26> 지방의원이나 시민단체 구성원과의 유대


<문항 23> 귀하의 가정(
부부중심)
에서 지방의원(
해운대구 의원 포함)
이나 시민단체 구
성원과 연락하는 등 유대는 어떠한 편입니까?

- 67 -
(
단위:명,
%)

척도
높음 보통 낮음 합계
지역
반여동/
반송동 3
6(9.
07) 111(
27.
96) 250
(62.
97) 3
97(
100
)
우동/
중동 8(
3.19
) 53
(21.
12) 190
(75.
70) 2
51(
100
)
좌동 2
1(5.
01) 106(
25.
30) 292
(69.
69) 4
19(
100
)
총합 6
5(6.
09) 270(
25.
30) 732
(68.
60) 1067
(100)
통계량 자유도 4 카이제곱 16.
6455 확률 0
.0023

<표Ⅲ-27> 학부모 단체 구성원 혹은 교사들과의 유대


<문항 2
4> 귀하의 가정(
부부중심)
에서 학부모 단체 구성원 혹은 교사들과 연락하는 등
유대는 어떠한 편입니까?
(
단위:명,
%)

척도
높음 보통 낮음 합계
지역
반여동/
반송동 74(
16.
63) 164(
36.
85) 207
(46.
52) 4
45(
100
)
우동/
중동 2
8(9.
76) 115(
40.
07) 144
(50.
17) 2
87(
100
)
좌동 50(
10.
92) 184(
40.
17) 224
(48.
91) 4
58(
100
)
총합 15
2(12.
77) 463(
38.
91) 575
(48.
32) 1190
(100)
통계량 자유도 4 카이제곱 9.
7683 확률 0
.0445

4)참여영역

(
1)지역사회활동 참여

○ 전반적으로 상당히 낮은 인식수준을 보이고 있으나,반여동/


반송동의 경우 아파트
주민대표 혹은 거주지 부녀회 등에 대한 참여가 약간 높게 나타나는 특성을 보임

<표Ⅲ-28> 아파트 주민대표 혹은 거주지 부녀회 등의 참여


<문항 2
5> 귀하의 가정(
부부중심)
에서 아파트 주민대표 혹은 거주지 부녀회 등에 참여
하는 정도는 어떠한 편입니까?
(
단위:명,
%)

척도
높음 보통 낮음 합계
지역
반여동/
반송동 3
9(9.
54) 112(
27.
38) 258
(63.
08) 4
09(
100
)

- 68 -
우동/
중동 1
9(6.
91) 56
(20.
36) 200
(72.
73) 2
75(
100
)
좌동 2
3(5.
23) 121(
27.
50) 296
(67.
27) 4
40(
100
)
총합 8
1(7.
21) 289(
25.
71) 754
(67.
08) 1124
(100)
통계량 자유도 4 카이제곱 11.
8401 확률 0
.0186

<표Ⅲ-29> 종교단체에 참여하여 활동하는 정도


<문항 26> 귀하의 가정(
부부중심)
에서 종교단체에 참여하여 활동하는 정도는 어떠한
편입니까?
(
단위:명,
%)

척도
높음 보통 낮음 합계
지역
반여동/
반송동 82(
21.
75) 116(
30.
77) 179
(47.
48) 3
77(
100
)
우동/
중동 79(
30.
27) 64
(24.
52) 118
(45.
21) 2
61(
100
)
좌동 11
0(26.
51) 111(
26.
75) 194
(46.
75) 4
15(
100
)
총합 27
1(25.
74) 291(
27.
64) 491
(46.
63) 1053
(100)
통계량 자유도 4 카이제곱 7.
0521 확률 0
.1332

<표Ⅲ-30> 봉사단체나 취미단체에 참여하는 정도


<문항 27> 귀하의 가정(
부부중심)
에서 봉사단체나 취미단체에 참여하는 정도는 어떠한
편입니까?
(
단위:명,
%)

척도
높음 보통 낮음 합계
지역
반여동/
반송동 61(
14.
32) 150(
35.
21) 215
(50.
47) 4
26(
100
)
우동/
중동 50(
17.
36) 93
(32.
29) 145
(50.
35) 2
88(
100
)
좌동 67(
14.
53) 155(
33.
62) 239
(51.
84) 4
61(
100
)
총합 17
8(15.
15) 398(
33.
87) 599
(50.
98) 1175
(100)
통계량 자유도 4 카이제곱 1.
7974 확률 0
.7730

(
2)시민참여

○ 전반적으로 비교적 낮은 인식수준을 보이고 있으며,지역별 차이는 나타나지 않음

<표Ⅲ-31> 지역축제나 이벤트에 참여하는 정도


<문항 28> 귀하의 가정(
부부중심)
에서 지역축제나 이벤트에 참여하는 정도는 어떠한
편입니까?

- 69 -
(
단위:명,
%)

척도
높음 보통 낮음 합계
지역
반여동/
반송동 71(
16.
51) 163(
37.
91) 196
(45.
58) 4
30(
100
)
우동/
중동 41(
14.
09) 121(
41.
58) 129
(44.
33) 2
91(
100
)
좌동 54(
11.
51) 209(
44.
56) 206
(43.
92) 4
69(
100
)
총합 16
6(13.
95) 493(
41.
43) 531
(44.
62) 1190
(100)
통계량 자유도 4 카이제곱 6.
5687 확률 0
.1605

<표Ⅲ-32
> 공공부문에 참여하여 봉사할 의사
<문항 2
9> 귀하께서는 학부모단체나 해운대구 주민참여예산위원 등으로 참여하여 공공
부문에 봉사할 의사가 어떠한 편입니까?
(
단위:명,
%)

척도
높음 보통 낮음 합계
지역
반여동/
반송동 63(
15.
48) 197(
48.
40) 147
(36.
12) 4
07(
100
)
우동/
중동 34(
12.
01) 133(
47.
00) 116
(40.
99) 2
83(
100
)
좌동 57(
12.
64) 220(
48.
78) 174
(38.
58) 4
51(
100
)
총합 15
4(13.
50) 550(
48.
20) 437
(38.
30) 1141
(100)
통계량 자유도 4 카이제곱 3.
0618 확률 0
.5475

<표Ⅲ-33> 공공부문에 이메일 등으로 제안할 의사


<문항 30> 귀하께서는 좋은 아이디어가 있을 경우 해운대구 등 공공부문에 전화 혹은
이메일 등의 방식으로 제안할 의사가 어떠한 편입니까?
(
단위:명,
%)

척도
높음 보통 낮음 합계
지역
반여동/
반송동 54(
13.
20) 173(
42.
30) 182
(44.
50) 4
09(
100
)
우동/
중동 44(
15.
71) 108(
38.
57) 128
(45.
71) 2
80(
100
)
좌동 62(
13.
69) 190(
41.
94) 201
(44.
37) 4
53(
100
)
총합 16
0(14.
01) 471(
41.
24) 511
(44.
75) 1142
(100)
통계량 자유도 4 카이제곱 1.
5317 확률 0
.8210

<표Ⅲ-34> 주민들과 함께 시위에 참여할 의사


<문항 31> 귀하께서는 만약 해운대구 행정처리로 인하여 주민피해가 발생할 경우 주민

- 70 -
들과 함께 시위에 참여할 의사가 어떠한 편입니까?
(
단위:명,
%)

척도
높음 보통 낮음 합계
지역
반여동/
반송동 10
1(24.
05) 200(
47.
62) 119
(28.
33) 4
20(
100
)
우동/
중동 69(
24.
04) 132(
45.
99) 86(
29.
97) 2
87(
100
)
좌동 84(
18.
38) 228(
49.
89) 145
(31.
73) 4
57(
100
)
총합 25
4(21.
82) 560(
48.
11) 350
(30.
07) 1164
(100)
통계량 자유도 4 카이제곱 5.
5116 확률 0
.2387

4.분석결과의 요약과 시사점

1)평균값 분석결과

□ 영역별 평균값 수준

○ 비교적 높은 영역:사적신뢰(
3.71)
,호혜성(
3.64)

○ 다소 높은 영역:규범성(
3.43
),연대감(
3.3
9),사적연결망(
3.32
)

○ 보통 수준:공적신뢰(
3.04)

○ 비교적 낮은 수준:시민참여(
2.64)
, 지역사회참여(
2.34
)

○ 상당히 낮은 수준:공적연결망(
2.09
)

□ 지역별,소득수준별 차이

○ 대체로 소득수준이 낮은 지역의 경우 사회적 자본 수준도 낮은 경향을 보임

○ 그러나 공적연결망의 경우에는 반송/


반여 지역에서 보다 높은 특성을 보임

□ 평균값 분석결과의 시사점

- 71 -
○ 전반적 정책의 우선순위
-주민평가 수치가 낮은 공적신뢰와 시민참여,지역사회참여,공적연결망의 확충이 사회
적 자본의 수준을 향상시키기 위한 시급한 과제로 인식됨
- 해운대구의 청렴도와 전문성을 높이는 한편,시민참여를 비롯한 광범한 영역의 참여
를 위한 정책 및 사업주체의 정립이 요청됨

○ 취약지역에 대한 중점 시책 필요
- 소득수준에 따라 뚜렷한 차이가 나타나는 사적신뢰,호혜성,규범성,연대감 지표의
개선을 위해서는 낙후지역 중심으로 마을만들기 등의 사업을 통한 공동체 의식을 함양
시킬 필요가 있음

2)교차분석 결과

□ 분석결과의 요약

○ 지역별 교차분석결과와 소득별 교차분석결과는 유사하게 나타나고 있으며,사적신뢰


와 규범적 영역에서는 소득수준이 낮은 지역의 경우 해당 지표의 긍정적인 응답비율도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나고 있음

<표Ⅲ-35
> 교차분석결과의 요약

측정 지역별 소득별
측정항목 측정지표
영역 교차분석 교차분석
-가족 간의 신뢰 반여 낮음 비례 높음
1)사적 신뢰 -친지에 대한 신뢰 - 비례 높음
-이웃에 대한 신뢰 비례 높음
1.신뢰
-해운대구 행정에 대한 신뢰 - 비례 높음
2)공적 신뢰 -주민센타(동사무소)에 대한 신뢰 - -
-부산시에 대한 신뢰 반여 높음 -
-다른 사람을 도우면 도움을 받을 수 있
반여 낮음 비례 높음
다는 인식정도
1)호혜성 -타인에게 피해 주지 않기 위하여 조심
반여 낮음 비례 높음
하는 정도
-장기기증운동 참여 용의 - 비례 높음
-차례 지키는 정도(
이웃) 반여 낮음 비례 높음
2.규범
2)규범성 -교통질서 지키는 정도(
이웃) - 비례 높음
-쓰레기 무단투기 정도(
이웃) 반여 낮음 비례 높음
-해운대구 주민으로서의 자부심 반여 낮음 비례 높음
-부산시민으로서의 자부심 - 비례 높음
3)연대감 -동 주민으로서의 자부심 반여 낮음 비례 높음
-현 지역에서 거주하고자하는 욕구 반여 낮음 비례 높음

- 72 -
-현 거주 지역의 발전 정도 반여 낮음 비례 높음
-가족과의 교류정도(선물,접촉) 반여 낮음 비례 높음
1)사적 연결망 -친지와의 교류정도(선물,주기적 만남) - 비례 높음
-이웃과의 교류정도(잡담,식사,상의) - 비례 높음
-아파트 동 대표,통장과의 유대 반여 높음 중간 높음
3.네트워크
-동사무소,구청 직원과의 유대 반여 높음 중간 높음
2)공적 연결망 -지방의원과의 유대 반여 높음 중간 높음

-학교와의 유대 반여 높음 -
-아파트 주민대표 혹은 거주지 부녀회
반여 높음 -
1)지역사회참여 등 참여
-종교단체 참여 - -
-봉사,취미 단체참여 - 비례 높음
4.참여 -지역축제나 이벤트 참여 - 비례 높음
-자문위원등 참여(학교운영위,동,해운
- -
2)시민참여 대 구 등)정도 및 가능성
-공공부문에 의사표시 정도 및 용의 - 비례 높음
-시위 등 참여정도 및 용의 정도 - -
1)거주지역 -반여/반송,우동,좌동
5.배경요인
2)소득수준 -가구 월소득 기준

주:1
)소득별 교차분석 자료는 부록 참조
2)반여는 반여동/
반송동을 지칭함
3)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은 항목은 “
-”로 표시

□ 교차분석 결과의 시사점

○ 전술한 평균값 분석결과와 유사하지만,문항별 특성을 보다 구체적으로 제시하고 있


○ 반여동/
반송동 지역에서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나는 공적 신뢰수준은 해운대구나 주
민센타(
동사무소)
에 대한 것이 아니라 부산시에 대한 신뢰임을 시사하고 있음

○ 평균값 분석에서는 지역사회 참여 분야에서 지역별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


으나,교차분석에 의하면 “
아파트 주민대표 혹은 거주지 부녀회 등 참여”비율의 경우
반여동/
반송동 지역에서 오히려 높은 것으로 나타남

- 73 -
Ⅳ.해운대형 사회적자본모형 개발을 위한 추진전략과
실천과제

1.해운대구의 현행 사회적자본 추진체계

□ 해운대구의 사회적자본 정책 추진 배경

○ 해운대구에서는 세계적인 선진도시로 진입하기 위해서는 사회적 자본의 확충이 전략


적 과제임을 인식하고 “
사회적 자본 증진”
을 2013
년도 구정역점사업으로 선정함

○ 이러한 정책방향은 세계적 선진도시들의 정책방향과 부합될 뿐 아니라 박근혜정부의


국정과제인 ‘
국민 중심 서비스 정부 3.
0’
의 ‘
개방․공유․소통․협력이라는 정책방향과도
부합되고 있어 장차 중앙정부 및 부산광역시 본청의 지원을 받을 수 있는 가능성이 높
을 것으로 보임

○ 해운대구에서는 2012
년 7월에 세계사회시민과에 “
인문사회자본팀”
을 구성한 후 관련
기본계획을 수립하고,기초단체에서는 국내 최초로 2012,12
,20에 “
부산광역시 해운대
구 사회적 자본 증진조례”
를 제정‧공포함

○ 2013.1.2에는 사회적 자본 증진 이니셔티브 선포식을 개최하고 이후 관련 조직을


정비하고 추진계획을 이행하고 있음

□ 해운대구의 사회적자본에 관한 현행 추진체계

○ 아래 그림에는 해운대구의 2013년도 기본계획에 제시된 해운대구의 현행 비전과 전


략체계가 나타나 있으며,동 체계는 주체와 전략 측면에서는 올바른 접근을 시도하고
있은 것으로 여겨짐

○ 그러나 성과목표에 해당하는 3대 영역인 신뢰,협력,소통은 사회적 자본의 학술적


정의에 의거하여 분류된 것이므로,효율적 실천과 평가를 위해서는 이를 실용적 측면의
분류로 전환시킬 필요가 있음

- 74 -
<그림Ⅳ-1
> 2013년 사회적 자본 증진 기본계획

자료:해운대구 세계시민사회과(
2013
),

□ 핵심과제:3대 영역 1
0대 실천과제

○ 해운대구의 사회적 자본 증진 종합운영계획(


세계시민사회과,2013)
에 의하면 시민운
동을 위한 핵심적 사업은 아래 표와 같은 3
대 영역 10대 실천과제로 나타남

○ 이러한 10대 실천과제는 장차 해운대구 사회적 자본 증진을 위한 민관 협력사업의


중심을 이룰 것으로 여겨지지만,성과지표를 위한 종합적‧체계적인 관리를 위해서는 우
선순위가 재검토되고 보다 구체화되어야 할 것임

<표Ⅳ-1> 해운대구 사회적 자본 높이기 10대 시민운동 추진(


안)
연번 사 업 명 연번 사 업 명
준법 바로 세우기 운동(신뢰)
사회적 약자 다시 서기 운동(
협력)
1 법치,청렴,사회정의,학교폭력,금연,금주, 6
파산자 도전캠프,사회적 기업
떼법,무관용(제로 똘레랑스)
다시 도덕 실천하기 운동( 신뢰) 인문학 대중화 운동( 소통)
2 7
고전 및 유태인(탈무드)배우기 해운대플랜,오거서 운동
20f
or2
0사회지도층 의무 다하기 운동(
신뢰) 선진중산층 따라잡기 운동( 소통)
3 8
반송반여재송: 센텀마린 1:
1결연 나는 중산층이다,중산층 학교
자원봉사 기부하기 운동( 협력) 20
40희망마을 만들기 운동( 소통)
4 9
재능나눔,1달러의 행복 링컨학교,SNS 마켓터 양성
사회공헌 함께 하기 운동( 협력) 1% vs99% 갈등해소 운동(
소통)
5 10
사회정의 시민공모사업 애프터유,사과운동,갈등관리시스템

자료:해운대구 세계시민사회과(
2013
),201
3사회적 자본 증진 기본계획.

- 75 -
□ 사회적 자본정책의 추진주체

○ 해운대구의 사회자본 추진을 위한 중심적인 추진주체는 아래 그림과 같은 민 ․ 관


협력적인 형태를 취하고 있음

○ 현재 해운대구에서 구상하고 있는 조직체계에서 가장 핵심적 역할을 수행하는 주체


는 해운대구 본청의 인문사회자본팀과 민간조직인 세계시민사회센터라 할 수 있음

<그림Ⅳ-2> 해운대구 사회적 자본 추진추체

해 운 대 구

해운대구청 민 간

인문사회자본팀 18
개동 세계시민사회센터 범시민운동
※자문위원회 실무위원회 (
사회적자본국) 추진본부

자료:자료:해운대구 세계시민사회과(
2013
),201
3사회적 자본 증진 기본계획.

□ 세계시민사회과「인문사회자본팀」

○ 2012년 7월에 구성되었으며,구성인원은 팀장 외 팀원 5명임 (


선진시민의식 함양,사
회적자본,인문학,외국인지원 등)

○ 주요역할
-사회적자본 증진을 위한 기반구축 (
법적 지원근거 제정 및 정비)
-사회적자본 증진사업 동참유도 위한 교육 및 홍보
-사회적자본 증진 사업공모 지원,사업평가 및 시상
-사회적자본 증진 5개년 종합계획 수립 등

□ 사회적자본 증진 자문위원회

○ 20
13년 2월에 구성되었으며,인원은 15명으로 구의원,행정∙교육∙언론 전문가,유
관기관 및 시민단체 대표 등으로 구성됨(
인문학도시 자문위원회와 병행 운영)

- 76 -
○ 주요역할
-사회적자본 증진 종합계획 수립 및 단계별 실천과제 발굴을 위한 정책연구․개발,시
책 제안
-1차 회의(
'13. 2
월 중)
:종합계획 수립에 대한 자문,시책제안
-2차 회의(
'13.11
월 중)
:영역별 추진성과 보고,사업별 평가·
수상자 선정

□ 사회적자본 실무위원회

○ 2
012년 2
월 중 구성되었으며,18
개동 주민자치위원회 내 “
사회적자본 실무추진 분
과”
를 설치하는 방식으로 구성함

○ 주요역할
-‘
향약’(
마을규약)만들기 및 실천 운동 추진
-고유 미풍양속 2
4절기 재현 문화행사 추진
-사회적자본(
신뢰,소통,협력)높이기 자체 운동 추진 등

□ 세계시민사회센터 내 사회적자본국

○ 2
013년 1월에 구성하였으며,인원은 총장,사무처장,직원 1명임

○ 주요역할
-사회적자본 증진 사업의 홍보 및 시민참여 유도 교육
-착한꿈학교,모떠꿈 워크샵 등 약자의 희망을 위한 프로그램 운영
-마을단위 공동체 문화조성을 위한 마을리더 육성교육
-건전한 시민단체(
신규 NGO,NPO)양성교육
-선진시민의식 함양을 위한 세계시민대학 운영 등

□ 사회적자본 증진 범시민운동추진본부

○ 민간 주도의 사회적 자본 증진 정책의 추진동력을 하기위한 조직으로 2013년 11월


중 구성 예정하며,참여대상은 기업․시민단체 등 지역사회문제 해결에 관심 있는 민간
인임

- 77 -
○ 주요역할
-사회적 자본 증진 정책의 사업제안 및 수익사업
-사회적 자본 증진위한 수익사업
-시민참여를 위한 사업홍보,포럼 및 토론회 개최 등

2.해운대구의 사회적자본 추진체계에 관한 SWOT 분석

1)SWOT 분석의 근거자료

○ 해운대구가 부산시에서 차지하는 전반적 위상과 제2장의 해운대구 사회적자본의 현


황분석과 제3
장의 설문조사결과 및 본장 제1절의 해운대구 사회적자본 추진체계에 대한
논의를 토대로 함

○ 해운대구의 전반적 위상에 대해서는 해운대구 203


0비전과 전략 및 최근 해운대구의
미래발전방향에 대한 주민설문조사 결과를 토대로 함(
해운대구,201
1:박영강 외,20
13)
.

2)SWOT 분석결과

□ 해운대구 사회적자본 현황과 환경

○ 아래 표에는 해운대구의 사회적자본 추진체계와 사회적자본의 수준 및 이를 둘러싼


환경적 요인에 대한 분석결과가 요약되어 있음

○ 표에는 강점과 약점,기회와 위협요인의 대표적인 요소를 분야별로 5


개씩 제시함.강
점과 약점은 해운대구 사회적자본에 대한 현황분석을 토대로,기회와 위협요인은 환경
적 요인의 분석을 토대로 제시함

<표Ⅳ-2> 해운대구 사회적자본의 현황과 환경

강점(
Str
engt
h) 기회(
Oppor
tuni
ty)
l 사회적 자본 전담 기구 설치 및 세계시민센 l 사회적 자본에 대한 관심 증대에 따른 국가
터 활성화 등 사회적 자본 육성에 필요한 인프 적 차원의 사회적 자본 육성 노력 및 지방자치
라 구축 단체 확산 분위기
l 구청장의 높은 관심과 공무원의 참여 l 기부와 자원봉사 참여 분위기 확산
l 세계적 명성과 그에 따른 구민의 높은 자긍 l 해운대의 위상 제고에 따른 기업 등과의 협
심과 시민의식 력체계 구축 용이

- 78 -
l 지역 내 다양한 학습네트워크 구축 l 마을만들기 성공사례의 확산
l 높은 수준의 거리질서 및 지방세 징수율 l 높은 수준의 사적 신뢰
약점(
Weakne
ss) 위협(
Thr
eat
)
l 사회적 자본 육성을 위한 종합적 발전 계획
l 현 구청장의 짧은 잔여 임기
및 관리체계의 미 확립
l 구청 주도의 사회적자본 육성에 따른 냉소적
l 주도적 민간참여주체 및 리더십의 미 확립
분위기 형성 가능성
l 사회적자본의 체계적 증진을 위한 프로그램
l 사회적자본 증진사업을 위한 예산의 증가
의 미 정립 및 학교교육과의 연계부족
l 지역 간,소득계층간의 높은 격차
l 내부 청렴도 수준의 약화에 따른 공적 신뢰
l 젊은 층의 공동체의식 약화 및 고령화에 따
기반 취약
른 새로운 빈곤층의 출현가능성
l 이웃 간 신뢰 및 공적 연결망의 취약성

□ 해운대구 사회적자본 추진의 강점

○ 해운대구에서 향후 사회적자본 증진정책을 추진함에 있어서 가장 큰 강점이 되는 것


은 사회적자본 전담 기구 설치 및 세계시민센터 활성화,문화복합센터건립 등과 같은
사회적 본 육성에 필요한 추진체계 및 인프라가 이미 상당 수준 구축되었다는 것임

○ 그리고 현 구청장이 확고한 방향 정립과 추진정책 및 담당 부서를 중심으로 한 공무


원들이 해외연구 참여 및 자체연구를 통하여 상상한 수준의 지식을 축적하고 조직적으
로 대응하고 있다는 점을 들 수 있음

○ 한편 해운대구 미래비전 설정을 위한 주민설문조사결과에 의하면 주민의 대다수가


지난 1
0년간 해운대구의 명성이 크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나,이러한 결과가 구민통합과
사회적자본 증진의 유리한 요인으로 작용될 것임을 시사하였음(
박영강 외,2013)
.

□ 해운대구 사회적자본 추진의 약점

○ 현재 해운대구의 내적 추진체계와 물적 인프라는 상당 수준 구축되었으나,민간운동


차원에서 지속적으로 이를 추진할 수 있는 운동본부가 조직화되지 못하였고,또한 민간
운동에서 가장 중요한 리더그룹도 형성되지 못한 점이 추진체계의 가장 큰 약점으로 인
식됨

○ 그리고 향후 해운대구 사회적자본 증진정책의 중심적 집행조직이 될 것으로 예상되


는 세계시민사회센터의 기존 교육프로그램은 인문학 강좌의 운영에 초점이 두어져 있고
사회적자본의 체계적인 증진과는 다소 거리가 있음(
세계시민사회센터,201
3,내부자료)
.

- 79 -
○ 핀란드 탐페레시 사례에 의하면 학교교육과의 연계가 중시되고 있으나,해운대구의
정책이나 세계시민사회센터의 프로그램에는 그러한 유형의 프로그램이 강조되고 있지
않음

□ 해운대구 사회적자본 추진의 기회요인

○ 사회적자본을 둘러싼 환경 중 가장 큰 기회적 요인으로는 박근혜정부에서 국정운영


패러다임으로 정부 3
.0을 설정하고 신뢰와 소통을 바탕으로 한 다양한 주체 간 협력을
강조하고 사회적자본의 확산에 관심을 두고 있다는 점을 들 수 있음

○ 그리고 최근 확산되고 있는 기부문화와 학교교육을 중심으로 하는 봉사의 확대도 기


회요인이 되고 있음

○ 그리고 해운대구의 위상변화에 따른 긍정적 파급효과 및 반송지역의 “


희망세상”

같은 마을만들기 성공사례의 확산 역시 기획적 요인으로 작용할 것임

□ 해운대구 사회적자본 추진의 위협요인

○ 그동안 해운대구 사회적자본 추진의 중심체는 구청장이었다고 할 수 있으므로 현 구


청장의 잔여 임기가 내년 6월로 끝난다는 점은 가장 큰 위협요인으로 작용할 것임

○ 그리고 장차 해운대구 사회적자본 운동을 주도할 시민운동본부의 구성 역시 초기적


상황이라 구청이 주도하게 되므로 관변조직 중심의 구성이 될 가능성이 대단히 높음.
이 경우 냉소주의가 나타나 자생적 단체의 참여가 저조할 수도 있음

○ 그밖에 외국의 경험에 의하면 사회적자본 증진을 위한 사업수행과정에서 예산이 수


반되어 긍정적 효과를 감쇄시키는 경우도 나타나고 있으므로 장기적으로 예산의 부담도
고려해야 할 것임

3)SWOT 분석의 시사점

□ 강점과 기회요인의 적극적 활용

○ 구청장의 높은 관심과 공무원의 적극적인 참여가 가장 큰 장점이 되며,정부와 부산

- 80 -
광역시의 정책이 우호적으로 전개되므로 임기 내에 미완의 사회적자본 추진체계와 인프
라를 정립하고 이를 정착시키는 것이 가장 중요한 과제가 될 것임

○ 동시에 현 구청장의 영향력을 토대로 다양한 집단을 시민운동본부에 참여 시키고 이


를 이끌어 갈 유능한 인사를 영입할 필요가 있음

○ 또한 지방 3.
0사업과 연계하여 국고보조금 혹은 시비보조금을 수령함으로써 사회적
자본의 추진사업에 소요되는 재정 부담을 최소화하도록 함

3.해운대형 모형개발을 위한 전략체계도와 추진주체의 개선 방안

1)박근혜정부의 사회적자본 정책방향

□ 정부 3.
0의 의의

○ 정부에서는 일자리 창출 등을 통하여 국가경쟁력을 향상시키고 행복한 국가를 만들


기 위한 국정운영패러다임으로 “
정부 3.
0”이란 개념을 도입하고 이를 전국적으로 확산
시키기 위하여 20
13년 6
월19일 「국민과의 약속,정부3.
0」이라는 비전 선포식을 개최함

○ 정부 3
.0이란 공공정보를 적극 개방·
공유하고,처간 칸막이를 없애고 소통·
협력함으
로써 국정과제에 대한 추진동력을 확보하고 국민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함과 동시에 일
자리 창출과 창조경제를 지원하는 새로운 정부운영 패러다임

<표Ⅳ-3
> 정부운영 패러다임의 변화 방향

자료:관계부처 합동보도자료(
2013)
,안전행정부 홈페이지(
htt
p:/
/www.
mos
pa.
go.
kr)
.

- 81 -
□ 비전과 전략

자료:관계부처 합동보도자료(
2013)
,안전행정부 홈페이지(
htt
p:/
/www.
mos
pa.
go.
kr)

□ 중점추진과제

자료:관계부처 합동보도자료(
2013)
,안전행정부 홈페이지(
htt
p:/
/www.
mos
pa.
go.
kr)
.

□ 해운대구에서는 20
13년 9월에 정부 3.
0의 4대 핵심가치(
개방,공유,소통,협력)
를 반
영할 수 있는 “
해운대구 지방3.
0종합계획‘
을 수립함

○ 공통과제와 선도과제로 구분하여 전략적 추진

과제구분 내용 및 추진방식
공통과제 ∙정부3.
0의 10대 과제
∙조기성과 창출이 가능한 과제
공모과제
-6대 유형별 지자체 공모사업 추진
선도과제 ∙지방․중앙간,지자체 상호간 협업을 위한
제도개선 과제 제도개선 과제
-4대 과제 우선 추진,지속적 과제발굴 추진

- 82 -
○ 공통과제는 정부 3.
0에 부응할 수 있는 3대 목표 10
대 과제로 선정함

소통하는 ① 공공정보 적극 공개로 구민의 알권리 충족


② 공공 데이터의 민간 활용 활성화
투명한 구정 ③ 민․관 협치 강화

일 잘하는 ① 부서 간 칸막이 해소
② 협업․ 소통 지원을 위한 운영 시스템 개선
유능한 조직 ③ 빅데이터를 활용한 과학적 행정 구현

① 수요자 맞춤형 서비스 통합 제공


민간 중심의 ② 창업 및 기업 활동 원스톱 지원 강화
서비스 구정 ③ 정보 취약 계층의 서비스 접근성 제고
④ 새로운 정보기술을 활용한 맞춤형 서비스 창출

○ 이러한 과제들은 수요자에 대한 맞춤형서비스의 제공과 사회적 자본증진 및 지역공


동체 조성에 기여할 것으로 전망됨

□ 안전행정부 지방행정실(
지방3
.0추진단)
의 공모과제

○정부 3.
0의 4대가치(
개방․공유․소통․협력)
를 자치단체 차원에서 구체적 로 실천하
기 위해 공통과제와 선도과제를 선정하여 추진

○ 정부3.
0기본계획의 연속선에서 지자체 합동평가 지표에 반영하여 관리

○ 선도과제는 공모과제와 제도개선과제로 구분하여 추진


-선도과제 중 조례 제․개정,행정절차 간소화․효율화,기관간 협업,소규모예산 등으
로 추진 가능한 사업으로 지방 3.
0의 가치구현에 적합하며 주민체감도 및 파급효과가
크고 조기성과를 제시할 수 있는 공모과제를 우선 발굴․시행하여 지방3.
0패러다임 조
기 확산

<표Ⅳ-4> 지방 3.
0자치단체 추진과제 및 추진방식
과제구분 내 용 및 추 진 방 식
정부3.
0의 10
대 중점과제에 대해 모든 지자체가 역점적으로 추진하여 구체적
공 통과제 성과를 도출할 과제
-지자체 추진실적을 합동평가의 평가지표에 반영하여 관리
공모 지자체가 바로 추진하여 조기성과 창출 가능 과제
과제 -6대 유형별 지자체 공모방식으로 추진
선도
과제 제도
지방 ‧중앙간,지자체 상호간 협업을 위한 제도개선 필요과제
개선
-4대 과제 우선 추진,지속적 과제발굴로 제도개선 추진
과제

- 83 -
○ 행·
재정적 지원으로 지방 3
.0조기정착 유도(
공모과제)
-비예산 사업 :선정된 과제는 자치단체 합동평가시 가중치 반영
-예산 사업 :특별교부세 지원(
1∼3억,총 50억원)검토

○ 6
대 유형별 지자체 공모과제:5대 공모과제+지자체 제안사업
-자치단체간 사회기반시설 공동 활용(
자치단체간 칸막이 해소)
-주민 맞춤형 서비스 창출(
새로운 정보기술 활용)
-정보분석을 통한 과학적 지방행정 구현(
빅데이터 활용)
-지방자치단체 의사결정 기구에의 민간참여(
거버넌스 강화)
-지방자치단체 정보공개범위 확대(
공공정보 공개로 주민 알권리 충족)
-기타 「지방 3.
0」 패러다임에 부합하는 자치단체 제안사업

2)해운대구 비전과 전략체계도의 개선안

○ 해운대구의 기존 비전과 전략체계도는 새 정부의 국정패러다임인 정부 3.


0및 해운
대구 3.
0기본계획과 연계될 필요가 있음

○ 그밖에 해운대구의 사회적 자본 현황과 주민설문분석결과의 시사점,SWOT 분석결


과를 토대로 향후 5년간 지향해야할 핵심적인 전략목표를 도출하고 이를 구체화할 수
있는 성과목표와 성과지표 및 개별사업(
과제)
을 체계화할 수 있어야 함

○ 이상의 내용을 감안할 때 해운대구 현행 비전과 전략체계도의 개선안으로는 아래와


같은 그림으로 제시될 수 있음

<그림Ⅳ-3> 해운대구 사회적 자본 비전과 전략체계(


안)

- 84 -
자료:삼일 PwC컨설팅 역(
2006)
,정부와 공공부문 BSC 성과관리체계 구축 방법론,(
주)시그마인사이
트컴:370참조.

□ 비전,전략목표,슬로건

○ 해운대구 기존계획의 비전에서 사회적 자본의 육성이 도시의 품격을 높일 수 있다는


점은 향후의 비전에 포함시켜도 무방할 것임

○ 기존계획에서 중·
단기적으로 사회적 자본의 롤 모델의 정립과 해운대인의 품성과 해
운대의 품격높이기를 전략적 목표로 선정한 점도 올바른 방향인 것으로 보임

○ 동시에 설문조사결과 등에서 해운대구의 공적 신뢰와 참여가 낮은 점을 감안하면 이


를 새로운 전략적 목표로 추가할 필요가 있음

○ 또한 기존계획에서 “
신뢰,소통,협력”
을 주요 사업영역의 분류기준으로 활용하였지
만 개선안에서는 그 중요성을 감안하여 이를 전략원칙으로 설정함
-이 경우 소통과 협력은 신뢰를 전제하게 되므로 전략원칙에서 “
신뢰”
는 제외시킴
-전략원칙은 전략목표 추진과정에서 강조되는 업무추진방식으로 이해할 수 있음

- 85 -
○ 이러한 전략원칙은 개방,공유,소통,협력이라는 정부 3.
0패러다임과도 일치함.개
방과 공유는 소통과 협력의 전제가 되기 때문에 소통과 협력이라는 전략원칙에는 이들
개념이 내포되기 때문임

3)해운대구 추진주체의 개선안

□ 구청 내 추진주체의 보완

○ 추진초기단계이므로 공공부문 주체 및 동 주체와 파트너십을 형성할 민간추진주체의


내실 있는 조직화의 필요성 높음

○ 현재 해운대구의 사회사본증진을 위한 기획과 집행의 실질적인 담당자는 세계시민사


회과 소속 2명의 직원이 맡고 있으므로 기획력과 다양한 주체와의 효과적인 거버넌스
구축에는 한계가 있음

○ 또한 부서 직원의 경우 순환보직을 하게 되므로 장기적인 노하우를 축적하기에는 한


계가 있으며,단체장이나 부서장이 바뀔 경우 정책의 추진이 약화될 수도 있음

○ 따라서 현행 자원봉사센터와 유사한 형태의 가칭 “


사회적자본지원센터”
를 설치할 필
요가 있음

□ 가칭 “
사회자본지원센터”
를 설치 및 위탁 방식 채택

○ 사회적 자본 정책의 지속성을 위해서는 안정적인 재정지원이 필요하므로 조례로서


근거규정을 둘 필요가 있음

○ 조례의 형식은 현행 “
해운대구 자원봉사활동 지원 조례”
와 같이 근거규정 및 위탁규
정을 둠으로써 별도의 조직구성 없이 능력 있는 민간단체에 위임할 수 있게 함

- 86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자원봉사활동 지원 조례(
일부개정;20
10.
08.
02)

제1
1조 (
자원봉사센터의 설치)구청장은 자원봉사활동을 효율적으로 지원·
장려하기 위하여 부산광
역시해운대구자원봉사센터(
이하 “
센터”
라 한다)
를 둔다.

제1
6조(
센터의 위탁운영 등) ①법 제19
조제1항의 규정에 의하여 센터를 비영리 법인에게 위탁하
여 운영하는 경우 그 운영기간은 3년으로 하며 연장할 수 있다.
②구청장은 다음 각호의 1에 해당하는 사유가 발생한 때에는 제1항의 규정에 의한 위탁계약기간에
도 불구하고 위탁계약을 해지할 수 있다.
1.수탁자가 관계법령 또는 이 조례 및 이 조례의 규정에 의한 명령 등을 위반한 때
2.수탁자가 위탁협약을 위반한 때
3.공익상 위탁운영을 계속할 수 없는 사유가 발생한 때

□ 범시민운동 추진본부의 구성

○ 중․장기적으로 사회적 자본 중진정책은 민간주도로 추진할 필요가 있으므로 당초


예상했던 범시민운동 추진본부를 조기에 구성하도록 함

○ 주요 기능은 해운대구의 사회적 자본증진을 위한 정책방향 정립과 지역 내 주체 네


트워크의 증진,추진사업의 평가와 우수사례 수상 및 포상대상자의 선정 등으로 함

○ 구성원으로는 공공과 민간이 함께 참여하되 공공기관으로는 구청 및 공공기관 외


초,중,학교의 구성원의 참여가 요청됨.민간인사로는 구청 내 사회적자본 관련 자문위
원,주민자치위원,세계시민사회센터,아파트공동체 네트워크,평생학습동아리 등 역내의
다양한 민간단체 구성원을 포함시킴

○ 운동본부는 봉사단체의 성격을 띠게 되므로 사명감 있는 간부의 영입이 성과를 좌우


하게 됨.따라서 초기의 인선에는 각별한 주의가 요청됨

○ 범시민운동 추진본부의 구성과 지원에 대해서는 별도의 조례제정 없이 기존의 사회


단체 지원 방식을 따르면 될 것임

□ 세계시민사회센터의 효과적 운영

○ 해운대구의 초기 사회적 자본 증진운동은 세계시민사회센터를 중심으로 이루어질 가


능성이 대단히 높음

- 87 -
○ 세계시민사회센터는 설립이후 지금까지의 사회적 자본 관련 프로그램은 모두 교육
및 강좌 중심으로 이루어졌으며,운동전반에 대한 체계적인 기획이 부재하였음

□ 새로운 추진주체의 역할 분담 방향:민간주도형으로 전한

○ 세계시민사회과의 사회적자본팀은 5개년 계획에 의거하며 추진사업을 기획하고 예산


등을 지원하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함.동시에 가칭 “
사회자본지원센터”
를 설치하고 위
탁 방식으로 운영할 경우 운영주체에 대한 계약과 지원 및 감독 업무를 수행하도록 함
- 업무수탁과정에서는 구청의 각 부서에서 관리하는 성과지표와의 연계를 고려하여야
할 것이며,업무 수행과 관련된 전반적 과정에서 사회적자본자문위원회 및 MOU를 체
결한 연구기관을 활용하도록 함

○ 범시민운동 추진본부에서는 1
차적으로 세계시민사회과의 사회적자본팀에서 확정한
기획안에 대한 검토와 의견의 제시 및 정책방향을 제시하고,세계시민사회과 등 추진기
구의 활동 전반에 대한 평가기능 및 우수 사례의 표창자 선정 등 상징적 역할도 수행하
도록 함(
시상은 구청장이 실시)
.동시에 자체적으로 운동의 확산과 네트워크의 향상을
위한 활동을 수행하도록 함

○ 세계시민사회센터가 가칭 “
사회자본지원센터”
의 업무를 위탁 수행할 경우 가장 핵심
적인 집행기구가 될 것임.이 경우 사업의 범위를 기존의 강의방식에서 벗어나 구청과
의 계약에 따른 포괄적 기능을 수행해야 할 것임
- 이를 위해서는 센터 내에 새로운 전문가의 영입이나 외부자문위원의 활용과 같은 운
영방식의 개선도 필요할 것임

○ 이상의 과정에서 장차 범시민운동 추진본부가 중추적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민간주


도형으로의 전환이 요청되며,이러한 형태의 조직도는 아래 그림과 같이 나타날 수 있

- 88 -
<그림Ⅳ-4> 해운대구 사회적자본의 핵심적 추진 주체

범시민운동 추진본부
(
민·관·
산학연대)

해운대구
·인문사회자본팀 세계시민사회센터
(
자문위원회) (
사회적자본국)
·사회자본지원센터
·18개동 실무위원회

4.영역별 실천과제와 성과지표의 개선방안

□ 5
대 영역으로 구분

○ 학술적 분류에서 벗어나 참여주체 및 기능적 측면을 고려하여 5개 영역으로 구분함

○ 사회적 자본 선도의 구정 운영:초기단계인 만큼 사회적 자본 정책의 핵심 주체가


해운대구이며,구청의 성과관리 체계와 연계시킨다는 의미를 강조하는 분류임

○ 사회적 자본 역량강화위한 구민 참여 확대:사회적 자본 구축의 초기단계이므로 역


량강화를 위한 조직화 및 파급효과가 높은 중점 사업을 내포함

○ 주민행복의 마을공동체 활성화:사회적 자본의 육성의 핵심적 요소는 지방자치의 활


성화와 소지역의 공동체 활성화에 있으므로 이를 위한 주요 사업을 포함시킴

- 89 -
○ 지역사회공헌 기업 및 기관의 참여 강화:사회적 자본의 육성을 위해서는 민간기업
의 참여와 기여는 물론 사회적 기업의 육성과 참여 및 다양한 문화단체 참여가 필요하
므로 이를 포함시킴

○ 국내외 사회적 자본 교류 협력 강화:사회적 자본의 육성을 위해서는 다양한 차원의


거버넌스가 필요하므로 국내외적인 정보교류와 협력을 위하여 동 분야를 별도로 구분하
여 포함시킴

□ 5
대 영역별 실천과제

○ 아래와 같은 영역별 실천과제는 향후 전문가들과 실무자들의 의견 수렴을 통하여 선


별되고 구체화될 것임

- 90 -
<표Ⅳ-5> 5대 영역별 주요 실천과제

영 역 실천과제
1)사회적자본증진 전략계획 수립․운영 등 사회적 자본 중심의 구정 추진
(기존)
2)사회적 자본 지표개발 및 성과관리체계 운영
3)사회적 자본 우수사업 공모 및 확산( 기존)
4)사회적 자본 홍보활동 강화( 기존)
1.사회적 자본 선 5)사회적자본지원센터 설립 및 운영
도의 구정 운영 6)사회적 자본 증진 10대 시민실천과제 확산( 기존)
7)사회적자본 강화 및 ‘ 주민생활 친화 정보서비스’ 를 위한 ‘
해운대 정보3.0’
운영
8)Hell
o-Wor
k를 통한 소통형 조직 운영
9)민․관파트너십 전략화 등 거버넌스 구정 운영
10)해운대 사회적자본 운동본부 구성 및 운영
1)사회적 자본형 평생학습도시 활성화( 기존)
2)사회적 자본 증진을 위한 시민포럼 및 사회적 자본 아카데미 운영( 기존)
3)사회적 자본 명사 초청 특강 및 학술활동 강화( 기존)
4)해운대 TownHallMe e
ting
5)'구민 발언대'등 구민직접참여활동 촉진 +1일 구민구청장
2.사회적 자본 역
6)주민참여예산제 및 주민배심원제 등 구민참여시스템 활성화( 기존)
량강화위한 구민 참
7)예술인네트워크 구성,운영
여 확대
8)해운대청년프론티어 운영 및 청년 일자리 확대
9)청소년 지역사회참여 촉진( 생애단계별 시민역량 강화)
10)어르신 지역사회참여 프로그램 운영
11)자원봉사 명품도시( 기존)
12)인문학도시 조성 및 인문창작활동 활성화( 기존)
1)해운대구 마을비전 및 마을공동체 기준선 운영
2)마을만들기 전략계획 수립 및 운영
3)마을곳간,마을가게,마을주택,마을일터 등 4대 커뮤니티재생사업추진
4)사회적 자본 증진 우수마을 지정 및 박람회 개최
5)아파트 한가족공동체 운동 추진( 기존)
3.주민행복의 마을
6)해운대 향약 활성화( 기존)
공동체 활성화
7)마을지기( 마을리더)양성 프로그램 운영( 기존)
8)주민자치위원회 사회적 자본 역량 강화
9)24절기 지역문화행사 추진
10)마을맞춤형 일자리 활성화
11)“일곱빛깔 무지개 프로젝터”등 동네자본 형성을 통한 취약계층 지원
1)해운대비전재단 설립 및 운영
2)기업 및 기관의 사회공헌 활동 강화( 기존)
4.지역사회공헌 기
3)해운대형 사회적 경제 활성화
업 및 기관의 참여
4)사회적 자본형 비즈니스 인큐베이팅과 사회공헌 활성화( 기존)
강화
5)문화창조산업의 강화( 영화영상,디지털,디자인산업 등)
6)지역초등학교의 사회적 자본 육성 교육프로그램 운영
1)사회적 자본 선도도시 국제네트워크 운영( 기존)
5. 국내외 사회적 2)사회적 자본 선도도시 국내네트워크 운영
자본 교류 협력 강 3)사회적 자본 정보교류센터 운영
화 4)국제컨퍼런스 등을 통한 선도전략 공유( 기존)
5)국제자원봉사 촉진( 기존)

- 91 -
□ 핵심성과지표(
KeyPe
rfor
manc
eInde
x)

○ 사회적 자본의 체계적 관리를 위하여 핵심적인 성과지표를 선정하고 이를 관리자의


성과목표와 연계시킴.이 경우 영역별 실천과제는 핵심성과지표를 달성하기 위한 개별
적 사업(
프로그램)
에 해당되므로,개별사업은 성과지표의 달성에 기여하도록 설정됨

○ 영역별 핵심성과지표와 지표의 학문적 분류에 따른 성격은 아래 표와 같이 분류됨

<표Ⅳ-6> 사회적 자본의 핵심성과지표(


KeyPe
rfor
manceI
nde
x)

영 역 핵심성과지표( KPI) 지표의 성격


사회적 자본 관리 체계의 확립 고유지표
구청장에 대한 신뢰도 신뢰:공적
구청 공무원의 청렴지수 신뢰:공적
행정의 전문성 구조:행정능력
1.사회적 자본 선도의 구정 기초질서 만족도 규범:준법성
교통문화지수 규범:준법성
운영 범죄발생건수 규범:준법성
지방세징수율 규범:준법성
불법주정차단속율 규범:준법성
인터넷 접속정도 구조:의사소통
역내 소득(
투자)의 불균형정도 구조:계층구조
비영리민간단체 등록 수 네트워크:단체/기관
공적기구 참여도(각종 위원회 등) 참여:시민참여
2.사회적 자본 역량강화위 에너지절약실천 참여도 참여:시민참여
자원봉사등록율/참여율 참여:시민참여
한 구민 참여 확대 환경보전실천운동참여도 참여:시민참여
투표율 참여:시민참여
인문학 강좌수와 참여도 고유지표
지역축제나 이벤트 참여도 참여:지역참여
친지와 이웃에 대한 신뢰도 신뢰:사적
이웃에 대한 상호협력적 태도 규범:호혜성
3. 주민행복의 마을공동체 주민으로서의 긍지 규범:연대감
활성화 이웃과의 소통과 유대정도 네트워크:사적
도움주체 중 친인척,이웃비율 네트워크:사적
다문화에 대한 관용성 구조:포용성
사회적 약자에 대한 배려 구조:포용성
사회적 기업의 수(직원 수) 네트워크:단체/기관
4.지역사회공헌 기업 및 기 지역사회 기부참여 기업 수( 금액) 네트워크:단체/기관
관의 참여 강화 문화활동 참여기업의 수 네트워크:단체/기관
지역학교 참여수(프로그램 참여학생 수) 네트워크:단체/기관
5.국내외 사회적 자본 교류 국내 교류기관 및 교류 횟수/인원 네트워크:단체/기관
국제 교류기관 및 교류 횟수/인원 네트워크:단체/기관
협력 강화 국제자원봉사사업 프로그램 수/ 참여자 수 네트워크:단체/기관

- 92 -
Ⅴ.사회적자본 증진을 위한 5개년 종합계획

1.5개년 계획의 기본 구상

1)주요 시책에 대한 자문위원 의견 및 연구진의 판단

○ 효과적인 사업의 추진을 위하여 성과가 높은 사업을 검토하는 과정에서 외부자문위


원 1
0명을 대상으로 분야별 사업의 중요성에 관한 설문조사를 실시함

○ 아래 표는 동 설문조사결과와 본 연구진의 판단을 요약한 것으로 이러한 결과를 토


대로 전체사업과제를 가장 우선적으로 추진할 핵심과제와 선별적으로 추진할 필요가 있
는 중점과제로 분류함

<표Ⅴ-1
> 사회적자본 시책에 대한 전문가 의견 및 연구진 판단(
Ⅰ)

자문위원회 연구진
영역 시책
의견 판단
1.사회적자본 증진 전략계획 수립․운영 등 사회적자본 중심 ◎ ◎
의 구정 추진
2.사회적자본 지표개발 및 성과관리체계 운영( 해운대구 지방 ◎ ◎
3.
0과 연계)
3.사회적자본 우수사업 공모 및 확산 ○ ○
4.사회적자본 홍보활동 강화 ○ ○
1. 사회적
자본 선도 5.사회적자본지원센터 설립 및 운영 ○ ◎
의 구정 6.사회적자본 증진 10 대 시민실천과제 확산 ○ ○
운영
7.사회적자본 강화 및 ‘ 주민생활 친화 정보서비스’ 를 위한 ‘
해 - ◎
운대 정보3. 0’운영( 해운대구 지방3.0
과 연계)
8.Hel
lo
-Work를 통한 소통형 조직 운영(해운대구 지방3.
0과 연계) - ○
9.민․관파트너십 전략화 등 거버넌스 구정 운영( 해운대구 - ○
지방3.0과 연계)
10.해운대 사회적자본 운동본부 구성 및 운영 - ◎
1.사회적자본형 평생학습도시 활성화 ◎ ◎
2사회적자본 증진을 위한 시민포럼 및 사회적자본 아카데미 ◎ ◎
운영
3.사회적자본 명사 초청 특강 및 학술활동 강화 ○ ○
4.해운대 타운홀미팅 ◎ ◎
2. 사회적 5.'구민 발언광장' ,‘
일일 구청장’등 구민 직접참여 활동 촉진 ○ ○
자본 역량
강화위한 6.주민참여예산제 및 주민배심원제 등 구민참여시스템 활성화 ○ ◎
구민 참여 7.예술인네트워크 구성,운영 ○ ○
확대
8.해운대 청년프론티어 운영 및 청년 일자리 확대 ◎ ◎
9.청소년 지역사회참여 촉진 ○ ○
10.어르신 지역사회참여 프로그램 운영 ○ ○
11.자원봉사 명품도시 ◎ ◎
12.인문학도시 조성 및 인문창작활동 활성화 ○ ○

- 93 -
주:1)자문위원회 의견은 ◎ 매우 중요,○ 중요,△ 보통으로 구분하고,연구진 판단은 ◎ 핵심사업,
○ 중점사업으로 분류함
2)자문위원들에게 제시되지 않은 추가사업은 “-”
로 표시함

<표Ⅴ-2
> 사회적자본 시책에 대한 전문가 의견 및 연구진 판단(
Ⅱ)

자문위원회 연구진
영역 시책
의견 판단
1.해운대구 마을비전 및 마을공동체 기준선 운영 ◎ ◎
2.마을만들기 전략계획 수립 및 운영 ◎ ◎
3.마을곳간,마을가게,마을주택,마을일터 등 4 대 커뮤니티
◎ ◎
재생사업추진
4.사회적자본 증진 우수마을 지정 및 박람회 개최 ○ ○
3. 주민행
5.아파트 한가족공동체 운동 활성화 ○ ○
복의 마을
6.해운대 향약 활성화 ○ ○
공동체 활
7.마을지기( 마을리더)양성 프로그램 운영 ◎ ◎
성화
8.주민자치위원회 사회적자본 역량 강화 ◎ ○
9.24절기 활용 지역문화행사 및 지역축제 추진 ○ ○
10.마을맞춤형 일자리 활성화 ◎ ○
11.‘일곱 빛깔 무지개 프로젝트’등 동네자본을 통한 취약계
○ ○
층 지원
4. 지역사 1해운대비전재단 설립 및 운영 ○ ◎
2기업 및 기관의 사회공헌 활동 강화 ◎ ◎
회공헌의
3해운대형 사회적 경제 활성화 ◎ ◎
기업 및
4사회적자본형 비즈니스 인큐베이팅과 사회공헌 활성화 ◎ ◎
기관의 참
5문화창조산업의 강화 ○ ○
여 강화 6)지역초등학교의 사회적자본 육성 교육프로그램 운영 - ◎
1.사회적자본 선도도시 국제네트워크 운영 ○ ◎
5. 국내외
2.사회적자본 선도도시 국내네트워크 운영 ○ ◎
사회적자
3.사회적자본 정보교류센터 운영 ○ ○
본 교류협
4.국제컨퍼런스 등을 통한 선도전략 공유 ○ ○
력 강화
5.국제자원봉사 촉진 ○ ○

주:1)자문위원회 의견은 ◎ 매우 중요,○ 중요,△ 보통으로 구분하고,연구진 판단은 ◎ 핵심사업,


○ 중점사업으로 분류함
2)자문위원들에게 제시되지 않은 추가사업은 “-”
로 표시함

2)핵심과제와 중점과제

○ 본 연구의 과제는 아래 표와 같이 5
대 영역 2
2대 핵심과제 및 22대 중점과제로 분류

<표Ⅴ-3> 5대 영역 2
2대 핵심과제 및 22
대 중점과제

- 94 -
5대 영역 핵심과제 중점과제
■사회적자본 증진 전략계획 수립․운영
등 사회적자본 중심의 구정 추진 ■사회적자본 우수사업 공모 및 확산
■사회적자본 지표개발 및 성과관리체계 ■사회적자본 홍보활동 강화
1.사회적자본 운영 ■사회적자본 증진 10대 시민실천과제
선도의 구정 ■사회적자본지원센터 설립 및 운영 확산
운영 ■사회적자본 강화 및 ‘주민 손안에 정 ■Hel
lo-wor
k를 통한 소통형 조직 운영
보’
를 위한 ‘
해운대 지방정보 3.
0’운영 ■민․관파트너십 전략화 등 거버넌스
■해운대 사회적자본 운동본부 구성 및 구정 운영
운영
■사회적자본형 평생학습도시 활성화 ■사회적자본 명사 초청 특강 및 학술활
■사회적자본 증진을 위한 시민포럼 및 동 강화
사회적자본 아카데미 운영 ■'구민 발언광장',‘
일일 구청장’등 구
2.사회적자본
■해운대 타운홀미팅 민 직접참여 활동 촉진
역량강화위한
■주민참여예산제 및 주민배심원제 등 ■예술인네트워크 구성,운영
구민 참여 확
구민참여시스템 활성화 ■청소년 지역사회참여 촉진

■해운대 청년프론티어 운영 및 청년 일 ■어르신 지역사회참여 프로그램 운영
자리 확대 ■인문학도시 조성 및 인문창작활동 활
■자원봉사 명품도시 성화
■사회적자본 증진 우수마을 지정 및 박
람회 개최
■해운대구 마을비전 및 마을공동체 기
■아파트 한가족공동체 운동 활성화
준선 운영
■해운대 향약 활성화
3.주민행복의 ■마을만들기 전략계획 수립 및 운영
■주민자치위원회 사회적자본 역량 강화
마을공동체 ■마을곳간,마을가게,마을주택,마을일
■24절기 활용 지역문화행사 및 지역축
활성화 터 등 4대 커뮤니티재생사업추진
제 추진
■마을지기( 마을리더)양성 프로그램 운
■마을맞춤형 일자리 활성화

■‘
일곱 빛깔 무지개 프로젝트’등 동네
자본을 통한 취약계층 지원
■해운대비전재단 설립 및 운영
■기업 및 기관의 사회공헌 활동 강화
4.지역사회공
■해운대형 사회적 경제 활성화
헌의 기업 및
■사회적자본형 비즈니스 인큐베이팅과 ■문화창조산업의 강화
기관의 참여
사회공헌 활성화
강화
■지역초등학교의 사회적자본 육성 교육
프로그램 운영
■사회적자본 선도도시 국제네트워크 운
■사회적자본 정보교류센터 운영
5.국내외 사 영
■국제컨퍼런스 등을 통한 선도전략 공
회적자본 교

류협력 강화 ■사회적자본 선도도시 국내네트워크 운
■국제자원봉사 촉진

2.분야별 성과목표와 성과지표

□ 성과지표와 사업의 배분

○ 여기서는 사회적 자본 확충을 위하여 해운대구에서 관리할 필요가 여겨지는 성과지


표와 해운대구의 5개 영역별 사업과제를 대비시킴

- 95 -
○ 핵심성과지표를 구성하는 사업이 제시되지 않고 다른 사업과 연계되는 경우 구체적
인 사업의 지정과 성과지표의 관리를 위해서는 모든 부서의 BSC 성과지표를 검토하고
그 결과를 토대로 부서별로 관리지표와 관련 사업의 내용을 조정하도록 함

○ 다른 사업과 연계되는 지표의 사업은 대체로 기존사업과 연계되어 있으므로 가능한


새로운 사업보다는 기존사업을 통하여 지표를 관리하도록 함

○ 성과지표의 목표치는 부서의 인력과 예산범위에서 설정할 필요가 있으나,초기에는


사업의 확산을 위하여 가능한 도전적 목표치를 설정하도록 함

□ 사회적 자본 선도의 구정 운영

핵심성과지표(
KPI
) 목표치 관련 사업 비고
-사회적 자본 증진 전략계획 수립․운영 등
사회적 자본 중심의 구정 추진
-사회적 자본 지표개발 및 성과관리체계 운영
-사회적 자본 우수사업 공모 및 확산
-사회적 자본 홍보활동 강화 인문사회자
사회적 자본 관리 체계의 사 업 별 -사회적자본지원센터 설립 및 운영
본팀, 평생
확립 달성도 -사회적 자본 증진 1 0대 시민실천과제 확산
-사회적 자본 강화 및 ‘ 주민 손안에 정보’
를 학습팀 분담
위한 ‘ 해운대 지방정보 3. 0’운영
-He
llo-wor
k를 통한 소통형 조직 운영
-민관파트너십 전략화 등 거버넌스 구정 운영
-해운대구 사회적 자본 운동본부 구성 및 운영
구청장에 대한 신뢰도 전반적 사업과 연계/ 성과관리체계 운영 부서간 협의
구청 공무원의 청렴지수 전반적 사업과 연계/ 성과관리체계 운영 부서간 협의
행정의 전문성 전반적 사업과 연계/ 성과관리체계 운영 부서간 협의
기초질서 만족도 다른 사업과 연계/ 성과관리체계 운영 부서간 협의
교통문화지수 다른 사업과 연계/ 성과관리체계 운영 부서간 협의
범죄발생건수 다른 사업과 연계/ 성과관리체계 운영 부서간 협의
지방세징수율 다른 사업과 연계/ 성과관리체계 운영 부서간 협의
불법주정차단속율 다른 사업과 연계/ 성과관리체계 운영 부서간 협의
인터넷 접속정도 다른 사업과 연계/ 성과관리체계 운영 부서간 협의
역내 소득(
투자)
의 불균형정도 다른 사업과 연계/
성과관리체계 운영 부서간 협의

□ 사회적 자본 역량강화위한 구민 참여 확대

- 96 -
목표
핵심성과지표(
KPI
) 관련사업 비고

비영리민간단체 등록(
활동) 관광문화과
-예술인네트워크 구성,운영
수 (
문화축제팀)
-해운대 TownHal
lMeet
ing 인문사회자본
공적기구 참여도(
각종 위 -'
구민 발언대'등 구민직접참여활동 촉진 + 팀, 행정지원
원회 등) 1일 구민구청장 과,기획조정팀
-주민참여예산제 등 활성화 분담
에너지절약실천 참여도 다른 사업과 연계 부서간 협의
-해운대청년프론티어 운영 및 청년 일자리 확
기획조정실,

행복나눔과,
자원봉사등록율/
참여율 -청소년 지역사회참여 촉진
자원봉사팀
-어르신 지역사회참여 프로그램 운영
분담
-자원봉사 명품도시
환경보전실천운동참여도 다른 사업과 연계 부서간 협의
투표율 다른 사업과 연계 부서간 협의
-사회적 자본형 평생학습도시 활성화
-사회적 자본 증진을 위한 시민포럼 및 사회 평생학습팀,
적 자본 아카데미 운영 인문사회자본
인문학 강좌수와 참여도
-사회적 자본 명사 초청 특강 및 학술활동 강 팀
화 분담
-인문학도시 조성 및 인문창작활동 활성화

□ 주민행복의 마을공동체 활성화

핵심성과지표(
KPI
) 목표치 관련사업 비고
지역축제나 이벤트 참여도 -2
4절기 지역문화행사 추진 평생학습팀
친지와 이웃에 대한 신뢰도 다른 사업과 연계 부서간 협의
-마을곳간,마을가게,마을주택,마을
이웃에 대한 상호협력적 태도 일자리복지단
일터 등 4대 커뮤니티재생사업추진
-사회적 자본 증진 우수마을 지정
및 박람회 개최
주민으로서의 긍지 -마을지기(마을리더) 양성 프로그램 평생학습팀
운영
-해운대 향약 활성화
-해운대구 마을비전 및 마을공동체
기준선 운영(구정선도)
-마을만들기 전략계획 수립 및 운영 평생학습팀,
이웃과의 소통과 유대정도 (구정선도) 인문사회자본팀
-주민자치위원회 사회적 자본 역량 분담
강화
-아파트 한가족공동체 운동 추진
도움주체 중 친인척,이웃비율 다른 사업과 연계 부서간 협의
다문화에 대한 관용성 다른 사업과 연계 부서간 협의
일자리복지단,
-마을맞춤형 일자리 활성화
사회적 약자에 대한 배려 자원봉사팀
-동네자본 형성을 통한 취약계층 지원
분담

□ 지역사회공헌 기업 및 기관의 참여 강화

- 97 -
핵심성과지표(
KPI
) 목표치 관련사업 비고
-해운대형 사회적 경제 활성화 일자리복지단,
사회적 기업의 수(
직원 수) -사회적 자본형 비즈니스 인큐베이 인문사회자본팀
팅과 사회공헌 활성화 분담
지역사회 기부참여 기업 수
-기업 및 기관의 사회공헌 활동 강화 경제진흥과
(
금액)
-해운대창조재단 설립 및 운영 인문사회자본팀,
문화활동 참여기업의 수 -문화창조산업의 강화(영화영상, 경제진흥과
디지털,디자인산업 등) 분담
지역학교 참여수(
프로그램 참 -지역초등학교의 교육프로그램 운
인문사회자본팀
여 학생수) 영

□ 국내외 사회적 자본 교류 협력 강화

핵심성과지표(
KPI
) 목표치 관련사업 비고
-사회적 자본 선도도시 국내네트워
인문사회자
국내 교류기관 및 교류 횟수/
인원 크 운영
본팀
-사회적 자본 정보교류센터 운영
-사회적 자본 선도도시 국제네트워
크 운영 인문사회자
국제 교류기관 및 교류 횟수/
인원
-국제컨퍼런스 등을 통한 선도전략 본팀
공유
국제자원봉사사업 프로그램 수/

-국제자원봉사 촉진 자원봉사팀
여자수

3.해운대구 사회적자본정책의 실천전략과 환류방안

1)실천전략

□ 장점과 기회요인의 활용

○ SWOT 분석에서 제시된 바와 같이 현 구청장의 임기내에 장점과 기회요인을 적극


적으로 활용함
-전담기구 등 추진 인프라 구축:사회자본지원센터,범시민운동 추진본부
-민간기구의 활성화:세계시민사회센터를 비롯한 역내 선도적 단체의 지원과 홍보
-광역단체와 연계와 협력:지방정부 3
.0사업의 공동추진

□ 시민운동 지도자의 격려와 육성


○ 향후 민간주도의 사회적자본 추진체계를 수립하기 위해서는 범시민운동 추진본부내
에 유능한 인재를 영입함은 물론 지역내 운동리더들을 적극적으로 육성할 필요가 있음

- 98 -
-범시민운동 추진본부 중심으로 리더그룹 육성을 위한 연대활동 전개
-반송동 희망세상과 같은 리더를 발굴하고 활동을 적극적으로 장려하여 마을만들기 운
동을 확산 시킴

□ 지속적인 성과관리와 환류

○ 사회적자분 증진정책의 지속적 전개를 위해서는 부서 인력과 예산 감안하여 성과지


표와 지표의 목표수준을 부서 간 조정하여 배분하도록 함

○ 현 구청장 임기내에 제도를 정착시키기 위하여 초기에는 도전적 목표를 설정할 필요


가 있으며,평가를 통한 환류과정에서 목표치를 조정하도록 함

□ 주민자치센터기능의 활성화

○ 마을만들기와 사회적자본의 확충은 근린자치의 활성화에서 비롯되므로 주민자치센터


기능을 활성화시킬 필요가 있음

○ 이를 위하여 주민자치센터 부서장에게 관련 성과목표 부여하는 한편 18개동 실무위


원회의 활성화를 유도할 필요가 있음.실무위원회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범시민운동 추
진본부와 주민자치센터 공무원간의 긴밀한 협력이 요청됨

□ 전략적 핵심과제의 추진

○ 본 연구에서 제시한 5대영역 22대 핵심과제 및 22대 중점과제는 매우 방대하므로 사


업의 초기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보다 성과가 높을 것으로 예상되는 과제를 전략적으
로 추진할 필요가 있음

○ 연구진의 판단에 의하면 아래와 같은 과제의 우선순위가 높을 것으로 보임


-사회자본지원센터 설립 및 운영
-사회적자본 운동본부 구성 및 운영
-사회적자본 증진을 위한 시민포럼 및 사회적자본아카데미 운영
-해운대 타운홀미팅
-하운대구 마을비전 및 마을공동체 기준선 운영
-마을만들기 전략계획 수립 및 운영

- 99 -
-마을지기(
마을리더)양성 프로그램 운영
-해운대비전재단 설립 및 운영

2)평가와 환류

□ 내부적 성과평가

○ 구청 내에서는 BSC 체계를 통하여 매년 조직별로 할당된 성과지표의 달성도를 측정


하도록 하며,동 결과를 토대로 성과지표의 종류와 수준 및 사업을 내용을 조정하도록

□ 외부적 성과평가

○ 외부평가는 크게 2가지 유형으로 구분됨


- 첫째는 중앙정부 및 부산광역시에서 작성하는 통계지표를 통하여 평가하는 방식으로
부산시내 자치구․군간의 대비 혹은 전국적인 대비를 위해서 필요함
- 둘째는 해운대구 주민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통하여 직접 측정하는 방식으로 해
운대구의 사회적자본 현황을 적기에 파악하기 위해서 필요한 방법임

□ 바람직한 평가방안

○ 매년 내부평가와 외부평가를 병행하되,현재 대부분의 지방자치단체에서 사회적 자


본을 측정하지 않고 있으므로 자치단체 간 비교보다는 독자적 모델의 의거하여 자체적
으로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보임

○ 이러한 경우 정부의 통계자료를 활용할 수 없으므로 해운대구에서 주민을 대상으로


한 설문지를 사전에 확정하여 매년 1
회 측정하여 연도별 대비를 할 필요가 있음

○ 동 설문지에는 본 연구의 주민조사에서 활용한 문항 외 사회구조분야의 측정 문항도


포함시켜야 할 것임
-본 연구의 주민설문조사에서는 일반적으로 중시되는 4가지 영역의 척도를 사용하였으
나,보다 체계적인 평가를 위해서는 영역의 확대가 필요하다고 여겨짐

□ 해운대구 사회적자본 측정을 위한 주민설문 조사항목의 예시

- 100 -
○ 본 연구 제3장의 해운대구 주민설문조사에서 사용된 지표를 보완한 아래의 문항을
사용할 수 있음

<표Ⅴ-4> 해운대구 사회적자본의 외부평가를 위한 측정지표(


주민용)

측정영역 측정항목 측정지표(문항) 비고


-가족 간의 신뢰
1)사적 신뢰 -친척에 대한 신뢰 등간척도(
1-5점)
-이웃에 대한 신뢰
1.신뢰
-해운대구 행정에 대한 신뢰
2)공적 신뢰 -주민센타(동사무소) 에 대한 신뢰 등간척도(
1-5점)
-부산시에 대한 신뢰
-다른 사람을 도우면 도움을 받을 수 있다
는 인식정도
1)호혜성 -타인에게 피해 주지 않기 위하여 조심하는 등간척도(
1-5점)
정도
-헌혈이나 장기 기증운동 참여용의
2.규범 -차례 지키는 정도(이웃)
2)규범성 -교통질서 지키는 정도( 이웃) 등간척도(
1-5점)
-쓰레기 무단투기 않는 정도( 이웃)
-동 주민으로서의 자부심
3)연대감 -현 지역에서 계속 거주 욕구 등간척도(
1-5점)
-현 동내의 발전 전망에 대한 인식
-가족과의 교류정도( 선물,접촉)
1)사적연결망 -친지와의 교류정도( 선물,주기적만남) 등간척도(
1-5점)
-학부모들과의 교류정도( 대화,식사)
3.네트워크
-아파트 동대표 통장와의 유대
2)공적연결망 -동사무소 혹은 구청직원과의 유대 등간척도(
1-5점)
-지방의원과 혹은 시민단체와의 유대
-아파트 주민대표 혹은 거주지 부녀회 등
1)지역사회 참여
등간척도(
1-5점)
참여 -종교단체 참여
-봉사나 취미단체참여
4.참여
-자문위원등 참여( 학교운영위, 동, 해운대
구 등)정도 및 참여 의사
2)시민참여 등간척도(
1-5점)
-공공부문에 의사표시 정도 및 용의
-시위 등의 참여용의
-다문화에 대한 관용성
1)포용성 등간척도(
1-5점)
-사회적 약자에 대한 배려
-구청 인터넷 접속정도
5.사회구조 2)소통 등간척도(
1-5점)
-구청의 주문의견 수렴정도
-행정의 전문성
3)행정능력 등간척도(
1-5점)
-업무의 신속성
1)거주지역 -각 동별 구분 명목척도
2)성별 -남,여 명목척도
6.배경요인
3)연령층 -30대,4
0대,50대 이상 서열척도
4)소득수준 -가구당 월 소득 기준 서열척도

주:제2장 해운대형 사회적자본 지표와 제3


장 주민설문조사문항을 토대로 재구성

- 101 -
4.분야별 사업의 5개년 추진계획(
안)

1)사회적자본 선도의 구정 운영

(
1)사회적자본 증진 전략계획 수립․운영 등 사회적자본 중심의 구정 추진(
신규)

① 기본방향

○ 사회적자본중심의 구정운영을 통해 해운대 품격을 높이며 매력있는 세계일류도시로


도약

○ 구체적 계획과 정책목표의 수립을 통해 체계적이고 목표지향적인 시책을 추진

② 주요내용

○ 사회적자본 증진 전략 계획 수립 및 추진
-구정정책의 거시적 목표로서 사회적자본 위상 정립
-기수립된 사회적자본 증진 기본계획(
2013.1
.1⑸을 구체화한 5개년실천계획의 수립 및
추진
-목적과 목표,구체적 과제 및 시책의 수립을 통해 전략적이고 계획적인 추진

○ 사회적자본 조례 제정 및 운영을 통한 제도적 기반 구축


-201
2.12
.20공포된 사회적자본 조례의 체계적 실천
-조례제정 주요 내용 :구의 책무,구의 지원사항,실천과제,자문위원회의 구성 등

○ 사회적자본 증진 이니셔티브 및 실천문의 확산


-201
3.1.2선포한 사회적자본 증진 이니셔티브 및 실천문의 보급을 통한 공감대 확대

③ 주관부서 :세계시민사회과(
인문사회지원팀)
,사회적자본지원센터

④ 5
개년계획

- 102 -
연차별 추진내용
구분 비 고
2013 201
4 201
5 2016 2
017
사회적자본 증진 전략
계획 수립 분야별 추진 → → →
계획 수립 및 추진
사회적자본 증진 조례 조례관련
→ → → →
제정 및 운영 운영
부서․직원
사회적자본 증진 이니
선포 별 추진 및 → → →
셔티브 및 실천문 확산
확산

(
2)사회적자본 지표개발 및 성과관리체계 운영(
신규,해운대구 지방3.
0과 연계)

① 기본방향

○ 해운대형 사회적자본 지표체계를 개발하여 우리구의 사회적자본실태에 대해 체계적


으로 진단하고 강점과 개선점에 대해 체계적으로 분석하여 개선점을 제시함

○ 사회적자본에 대한 성과목표체계를 설정,제시하고 매 연도 추진상황을 점검하여 미


흡한 영역을 보완하고 성과 부분을 더욱 확장시킴

② 주요내용

○ 해운대형 사회적자본 지표체계 개발 및 운영


- 사회적자본의 이론 및 지표체계에 대한 연구,분석을 통해 사회적자본 분석의 틀을
수립
- OECD,EU,Wor
ldBank 등의 국제기구와 호주․미국․캐나다․영국 등 해외국가에
서의 사회적자본 주요 연구동향 등을 검토하여 우리 현실에 적합한 해운대형 사회적자
본의 이론적 틀을 정립함
-신뢰,상호호혜규범,네트워크,참여 등 사회적자본의 주요 영역별 지표체계와 객관적,
주관적 지표체계 등을 유형화하여 현실진단에 유용하고 목표중심적인 운영이 가능하도
록 개발함
-우리구 사회적자본 연구팀을 통해 해운대형 사회적자본 지표체계를 활용하여 매년 우
리구 사회적자본에 대한 경험적,체계적 조사,진단,분석의 과정을 추진함

○ 사회적자본을 기존의 성과관리체계와 연계시켜 전부서적인 성과중심적 사회적자본의


증진을 도모

- 103 -
-사회적자본 성과관리계획을 수립하여 목표지향적,성과중심적 운영.성과에 대해 점검
하고 피드백과정을 통해 미진한 부분의 개선을 도모함
- 우리 구 각 부서별 사회적자본 수행지표 및 핵심수행지표 제시하고 목표관리의 방식
으로 운영.우수부서에 대한 평가와 시상,그리고 Be
stPr
act
ice중심으로 확산 추진.
-우리 구의 구정 전반에 대한 사회적자본에 대한 수행지표 및 핵심수행지표(
KPI
,Ke
y
Pe
rfor
manc
eInde
x)체계를 통해 추진실적을 점검하고 점검하며 다음 해 수행과제에 피
드백의 과정을 거침

○ 지표별 목표치의 설정과 관리


-시행초기에는 가급적 목표치의 달성이 쉽지 않은 도전적인 목표수준 설정
-성과결과를 바탕으로 우수사업 시상 및 우수사례 발표 및 전파
-사회적자본 증진사업 참여 유도를 위해 인센티브 부여
-추진사업 중 우수사례 발굴․전파 등 성과 확산

③ 주관부서 :세계시민사회과(
인문사회지원팀)
,사회적자본지원센터

④ 5
개년계획

연차별 추진내용
구분 비 고
2013 201
4 201
5 2016 2
017
해운대형 사회적자본
지표체계 개발 지표의 조정 → → →
지표체계 개발 및 운영

사회적자본 성과관리체 기존 성과관리 부서별 사업


→ → →
계 운영 체계와 연계 조정

평가 및 우
지표별 목표치 설정과 도전적 목표
수사례 유인 → → →
관리 설정
제공

(
3)사회적자본 우수사업 공모 및 확산(
기존)

① 기본방향

○ 사회적자본 증진 사업 추진에 민간 영역의 참여계층을 확대하고 민간 주도로 추진하


는 사업의 장려

- 104 -
○ 사회적자본 증진을 구체화 시킬 수 있는 다양한 사업아이템 발굴,추진

○ 클라우딩시스템을 통한 과제 및 자원 발굴,추진

② 주요내용

○ 참여대상 :일반기업 및 민간단체,아파트,주민

○ 사회적자본 우수 사업 공모
-사회적자본 증진사업 공모를 통해 기관 및 단체를 심사,선정하여 사업비 차등 지원

○ 클라우딩 시스템을 도입하여 온라인상 과제발굴,자원동원,사업추진의 방식으로 진



- 해운대 지역사회 혁신,돌봄과 나눔,교육과 인재육성,도시개발과 마을재생 등과 관
련된 프로젝트를 온라인상에 올리면 다양한 주체들의 재정,재능,조직,현물 등의 기부
및 참여를 통해 사업 추진
-주민 등 다양한 주체의 참여를 전제로 한 사업의 추진

○ 추진일정
- 중점과제 실천사업 공모 계획 수립 → 설명회 개최 → 신청사업 대상 심사․선정 →
사업
비 차등 배정 → 사업추진 → 사업성과 보고회 개최,우수기관 및 단체 시상

○ 기대효과
- 기업·
민간·
단체·
아파트 등 각계각층의 민간영역 참여 유도로 사회적자본 증진 및 활
성화
- 사회 전역에서 구체적으로 실천 가능한 다양한 사업 아이템 발굴로 범시민운동으로
정착화 가능
-지역개발과 지역과제 해소에 클라우딩시스템의 도입 등 진화적,혁신적 사업 접근 가

③ 주관부서 :세계시민사회과(
인문사회지원팀)
,사회적자본지원센터

④ 5
개년계획

- 105 -
연차별 추진내용
구분 비 고
2013 20
14 2015 2016 201
7
- 18개 全
사회적자본 우수 洞 참여 - 주요기관 - 주요기관 - 주요기관 - 주요기관
사업 공모 참여 - 주요기관 15
% 참여 2
0% 참여 25% 참여 30% 참여
10% 참여

(
4)사회적자본 홍보활동 강화(
기존)

① 기본방향

○ 사회적자본에 대한 주민 이해도를 높이고 사회적자본 증진에 대한 공감대 형성과 적


극적 참여 유도

○ 홍보영상물,특강,시민포럼,SNS 등 활용하여 전방위적 홍보 강화

② 주요내용

○ 홍보영상물 제작
-제작 내용 :주민교육용 홍보 동영상,광고,프리젠테이션 등
-주요 수록 내용 :사회적자본의 개념,사업추진의 필요성,실천과제 및 추진계획,사회
적자본이 높은 선진국 사례 등
-활용방안 :행사,회의,사업설명회 등 다중집합행사시 사업 홍보

○ 인터넷 매체 활용한 다각적 홍보활동의 전개


-사회적자본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face
book,t
wit
ter등)구축 및 운영
-구 홈페이지 및 블로그,트위터 활용 관련 자료 업로드,홍보
-각종 인터넷카페 및 블로그 등을 통한 홍보 및 참여 유도

③ 주관부서 :세계시민사회과(
인문사회지원팀)
,사회적자본지원센터

④ 5
개년계획

- 106 -
연차별 추진내용
구분 비 고
2013 201
4 2015 2016 2017
-홍 보 영 상 -홍 보 영 상
-홍 보 영 상
물 제작/ 물 제작/
홍보영상물 제작 물 제작 -주요 행사 -주요 행사
업데이트 업데이트
및 보급 -주요 행사 시 설명회 시 설명회
-주요 행사 -주요 행사
시 설명회
시 설명회 시 설명회
-기 본 운 영 -주요 SNS
SNS 활동 추진 계획수립 및 기반 구축 → → →
활동 및 활동

(
5)사회적자본지원센터(
HSC:Hae
undaeSoc
ialCapi
talCe
nte
r)설립 및 운영(
신규)

① 기본방향

○ 사회적자본의 활동이 확산될 수 있도록 각종 활동의 총괄적 지원 체계 구축

○ 활동가 육성,단체 지원,마을공동체활동 지원,사회적자본 지표 및 정책성과 관리


등 중간지원기관으로서 다양한 활동 총괄 지원

○ 다양한 마을재생사업과 마을만들기사업,주민조직화 등을 지원하고 협력할 마을만들


기 활동 지원

② 주요내용

○ 사회적자본 활동가 양성과정,포럼,착한 꿈 학교 등 추진

○ 각종 강의,교육과정,시민참여 프로그램 개발,사회적자본 확산 사업,사회적자본 평


가 사업 등 사회적자본관련 제반 사업에 대한 총괄 기획 및 지원 업무 수행

○ 해운대구 마을비전,마을공동체 기준선,마을만들기 전략계획 수립

○ 지역내 근린재생을 총괄하고 각 마을별 계획수립,마을특성별 사업 도출,주민조직화


등을 종합적으로 지원
-도시재생법 제정과 발표에 따라 기초자치단체별 근린재생활성화전략 수립이 중요해졌
으며 이에 부응하기 위한 지역(
주민)
주도형 재생사업 전략계획수립 및 추진 필요

- 107 -
○ 6
대핵심사업의 추진
-사회적자본 강화 기반구축,사회적 자본 강화 단체활동 지원,마을만들기 주체별 역량
강화,주민공동체 및 마을활성화 사업지원,마을만들기 통합 네트워크 구축,마을만들기
통합 조사 및 모니터링사회적자본 강화 기반 구축 :전략 및 계획수립,지표체계의 개
발,성과관리
·사회적자본 강화 단체활동 지원 :지역내 단체 및 기관 종사자와 활동가에 대한 체계
적 교육,각종 사업기획
·마을만들기 주체별 역량 강화 :교육운영,찾아가는 강좌,활동가 통합관리 및 지원,
통합네트워크의 구축,창의인력 육성,현장지원T/
F운영
·주민공동체 및 마을활성화 사업지원 :주민공동체 활동지원 공모사업,마을기업 창업
컨설팅 지원,통합재생
·마을만들기 통합 네트워크 구축 :자원네트워크 구축,네트워크 환경 구축 및 정비
·마을만들기 통합 조사 및 모니터링 :지역자원조사,마을진단조사,사업모니터링 시스
템 운영

③ 주관부서 :세계시민사회과(
인문사회지원팀)
,사회적자본지원센터

④ 5
개년계획

연차별 추진내용
구분 비 고
2013 201
4 20
15 201
6 201
7
-센터 구축
사회적자 본지원지원센
-운 영 계 획 -사업추진 → → →
터 구축 및 운영
수립
계획 및 성
사업 수행
사회적자본 증진 사업 과평가계획 → → →
및 평가
수립
강의․교육․시민참여․
사업추진 → → → →
평가 등의 사업 수행

(
6)사회적자본 증진 1
0대 시민실천과제 확산(
기존)

① 기본방향

○ 시민,공무원,기업 등 각 주체들이 함께 추진해야 할 10대 시민행동과제의 확산

② 주요내용

- 108 -
○ 신뢰·
협동·
소통사회를 위한 10대 시민행동과제의 수립
-신뢰사회 :사회정의준법 바로 세우기,도덕성 회복하기,지역사회 참여하기
-협동사회 :자원봉사기부하기,사회공헌 함께 하기,사회적 약자 다시서기 운동
- 소통사회 :양극화 및 갈등 해소하기,20대․30대 희망만들기,선진중산층 따라잡기,
인문학도시 해운대 만들기

○ 수행지표의 설정과 정기적 평가 추진

○ 시민행동과제 우수 수행자들에게 시상

③ 주관부서 :세계시민사회과(
인문사회지원팀)
,사회적자본지원센터

○ 민간주체 :해운대 사회적자본 운동본부

④ 5
개년계획

연차별 추진내용
구분 비 고
2013 2014 201
5 2016 2017
신뢰․협동․소통사회 세부 실천방
실행 및 평
를 위한 10대 시민행동 안 및 수행 → → →

과제 실천 지표 설정

(
7)사회적자본 강화 및 ‘
주민생활 친화 정보서비스’
를 위한 ‘
해운대 정보 3.
0’운영(
신규,
해운대구 지방3.
0과 연계)

① 기본방향

○ 해운대구 사회적자본 활동 관련 정보와 주민생활 친화 정보에 대한 개발,서비스 제


공,활성화 추진

○ 이를 통한 공공데이터의 민간 활용 활성화와 민관 거버넌스 확대

② 주요내용

○ 해운대형 사회적자본 활동 성과 및 지표에 대한 공개

- 109 -
-사회적자본 계획 및 주요 운영체계에 대한 소개
-해운대 사회적자본 지표체계와 연도별 성과지표 결과 공개

○ 해운대구 사회적자본 활동에 대한 소개를 통해 소통 확대


- 지역내 다양한 사회적자본활동,교육,집단프로그램 등의 소개로 구민참여 및 쌍방향
소통의 촉진

○ 공공정보 공개
-구민의 시각에서 공개수요가 큰 정보를 파악하고 이에 대한 정보공개
-각종 만족도 조사 결과,보육시설 현황,모범음식점․관광안내소․해수욕장수질검사결
과 공영주차장 등 핵심정보의 집중 관리 및 공개

○ 빅데이터 체계 도입 및 공공 데이터 개방 확대
- 입찰관련 계약정보 및 수의계약 현황,각종 사회복지시설의 연락처,환경오염물질 배
출 시설 및 폐기물 사업장,대형건설공사의 사업지 및 공사감독,재개발․재건축 사업
장,국․공유재산 현황 등 핵심정보의 집중 관리 및 공개

○ 주민생활친화형 정보 서비스 제공
-동네수질,물맛 지표,모범음식점,주차장,교통상황,주민편의시설,대중교통 운행,버
스승강장 알리미 등 핵심정보 파악 및 서비스 제공

③ 주관부서 :세계시민사회과(
인문사회지원팀)
,사회적자본지원센터

④ 5
개년계획

연차별 추진내용
구분 비 고
20
13 2014 2015 2
016 20
17
사회적자본 활동 정 정보공개 계 실행 및 평 해운대 지방
→ → →
보공개 획 수립 가 3.
0연계
정보공개 계 실행 및 평 해운대 지방
공공정보 공개 → → →
획 수립 가 3.
0연계
빅 데이터 체계 도입 기본계획 수 실행계획 수 실행 및 평 해운대 지방
→ →
및 공공데이터 개방 립 립 가 3.
0연계
실행계획 수
주민생활친화형 정보 기본계획 수 실행 및 평 해운대 지방
립 및 → →
서비스 제공 립 가 3.
0연계
시범 실시

(
8)He
llo-Wor
k를 통한 소통형 조직 운영(
신규,해운대구 지방3.
0과 연계)

- 110 -
① 기본방향

○ 행정내 상호 소통과 협력을 통한 업무 효율 제고와 사회적자본중심의 행정운영 시스


템인 He
llo-Wor
k체계 운영

② 주요내용

○ 부서간 칸막이 해소와 소통․협업의 업무 운영


- 기존의 ‘
지식 정보 광장’
,브레인스토밍,글로벌 창조시책회의,주니어보드 등 행정소
통 시스템의 활성화
-행정정보공동이용,부서간 협업과제 발굴,협업과제 지원을 통해 부서 간 칸막이 행정
의 해소와 업무 효율화 증진
-크로스 매칭제를 통한 조직간 유연성 확보

○ He
llo-Wor
k시스템을 통한 스마트워크 행정 구현
- 언제 어디서나 모든 공무원이 PC 및 스마트폰 등을 활용하여 의사소통을 하고 온라
인에서 협업하는 스마트워크의 행정 구현
-Smar
t(혹은 He
llo)Wor
kCe
nte
r구축 및 운영과 디지털행정협업시스템의 확대

○ 빅데이터를 활용한 과학적 행정 구현


- 업무중 생성되는 다양한 빅데이터를 가공하고 이의 과학적 분석을 통해 미래 트랜드
의 예측 및 구정 정책 수립 자료로 활용

③ 주관부서 :세계시민사회과(
인문사회지원팀)

④ 5
개년계획

연차별 추진내용
구분 비 고
2013 2014 20
15 2016 20
17
기존, 신규
칸막이 해소 업무 실행 및 평 해운대 지방
등 프로그램 → → →
프로세스 가 3.
0연계
정비
Hel
lo-Wor
k 시스템 실행 및 평 해운대 지방
계획 수립 → → →
운영 가 3.
0연계
빅 데이터 체계 도 기본계획 수 실행계획 수 실행 및 평 해운대 지방
→ →
입 및 운영 립 립 가 3.
0연계

- 111 -
(
9)민․관 파트너십 전략화 등 거버넌스 구정 운영(
신규,해운대구 지방3.
0과 연계)

① 기본방향

○ 구민의 다양한 구정 참여를 유도하고 소통 채널을 다양화하는 민․관 파트너십의 전


략화를 통해 특색있는 해운대 거버넌스 체제 운영

② 주요내용

○ 각종 위원회의 거버넌스 활동 촉진,우수 거버넌스 사례 발굴 및 확대


-해운대구 규제개혁위원회 등 총 57개 위원회별 거버넌스 운영 성과 관리
-참여,파트너십,공동의사결정 등 핵심 영역별 거버넌스 운영 매뉴얼 보급

○ 위원회 활동 중심의 SNS 및 블로그 운영체제 도입과 활성화


-홈페이지,트위터,페이스북,블로그 등 다양한 SNS 체제 도입 및 운영 활성화
-해운대구 알리기 게임 등 참여 확대를 위한 사업 개발

○ 해운대 펠로우 운영
-해운대를 사랑하고 기여한 공적이 있는 민간전문가,기관관계자,공무원 등을 매년 선
정하여 해운대 발전과제에 대한 의견수렴과 구정 모니터링 실시

③ 주관부서 :세계시민사회과(
인문사회지원팀)
,사회적자본지원센터

④ 5
개년계획

연차별 추진내용
구분 비 고
2013 2014 2015 2016 20
17
거버넌스 시
거버넌스형 위원회 매 실행 및 평 해운대 지방
책 개발 및 → → →
뉴얼 개발 및 운영 가 3.
0연계
매뉴얼 작성
실행 및 평 해운대 지방
위원회 SNS 운영 계획 수립 → → →
가 3.
0연계
실행 및 평 해운대 지방
해운대 펠로우 운영 계획 수립 → → →
가 3.
0연계

(
10)해운대 사회적자본 운동본부 구성 및 운영(
신규)

- 112 -
① 기본방향

○ 사회적자본의 증진을 위해 사회 전 영역의 공감대 형성을 위해 민․관 협력 조직체


를 구성하고 시민운동으로 확산하고자 함

② 주요내용

○ 공공․민간․기업 등 사회 각계 각층의 참여를 통해 사회적자본 운동본부의 구성


-해운대구 지역내외의 각계 인사를 통해 운동본부 구성
-민간주도 및 민간참여형 사회적 자본운동 확대
-정례모임과 수시모임을 통한 범시민운동 추진

○ 공공사업,민간사업,기업사업 등 3개 분과와 자문위원단으로 구성,운영


-공공분과는 공공기관 및 정부지원기관 중심의 운영으로 사회4
대악 근절 등의 운동 추

-민간분과는 주민자치위원회 및 아파트공동체 등의 조직을 기반으로 여민동락 공동체
운동,공유문화,아파트공동체 운동 등 추진
-기업사업분과는 관내 기업 및 언론사 대표 등으로 구성하여 지역사회재생,메세나,사
업홍보,사회적 기업 등 추진

○ 자문위원단은 사회적자본 증진의 사업발굴 및 제안 활동 추진

③ 주관부서 :세계시민사회과(
인문사회지원팀)
,사회적자본지원센터

④ 5
개년계획

연차별 추진내용
구분 비 고
2013 2014 2015 201
6 2017
사회적자본 운동본부 운동본부의
→ → → →
위원 구성 및 활동 구성,운영
분과 및 자
분과와 자문위원단 구
문위원단 구 → → →
성 및 활동
성,운영

2)사회적자본 역량강화위한 구민 참여 확대

- 113 -
(
1)사회적자본형 평생학습도시 활성화(
기존)

○ 사회적자본 시민대학 운영

○ 다지기/
굳히기(
기존)

○ ‘
해운대알기’
교육인증제

① 기본방향

○ 사회적자본 증진에는 시민들의 역량과 학습의 역할이 중요하므로 평생학습도시 활성


화를 통해 시민들의 지식과 실천 역량의 증진을 도모함

② 주요내용

○ 평생학습도시 해운대 네트워크 구축 운영


-교육청,도서관,복지관 등 유관기관 네트워크 구축

○ 평생학습관 활성화
- 해운대 평생학습관과 구 지정 평생학습관(
반여종합사회복지관,반송종합사회복지관
등)
을 활용한 주민평생학습 프로그램 추진

○ 해운대구청사 별관 활용 시민교육 활성화


-별관내 인문학도서관,공연장,헬스장,교육장 등을 통한 시민문화역량 강화

○ 장애인 도서택배서비스,원거리 자료반납서비스,복지관 순회문고 등 찾아가는 도서


관 프로그램 운영

○ 다문화가정 교육지원프로그램 운영

③ 주관부서 :세계시민사회과(
평생학습팀)
,사회적자본지원센터

④ 5
개년계획

- 114 -
연차별 추진내용
구분 비 고
2013 2014 2015 20
16 2017
평생학습도시 네트 네트워크 구 네트워크 활
→ → →
워크 구축,운영 축 성화
프로그램 프로그램 프로그램 프로그램 프로그램
평생학습관 활성화 만족도 80 % 만족도 80% 만족도 85% 만족도 85
% 만족도 90%
이상 이상 이상 이상 이상

(
2)사회적자본 증진을 위한 시민포럼 및 사회적자본 아카데미 운영(
기존)

① 기본방향

○ 시민포럼과 사회적자본 아카데미를 통해 각계 각층,시민 일반의 사회적자본의 학습


기회와 실천의 역량을 제고 시킴

② 주요내용

○ 시민포럼의 운영
-사회적자본 증진 및 발전방안 등에 대한 전문가초청 포럼 운영
-사회적자본 증진 및 의제 발굴을 위한 시민토론회 개최,운영
-시민의 창의적 아이디어 발굴 및 수렴

○ 사회적자본 아카데미 운영을 통한 각 계층별(


5대 핵심대상)교육 및 인식 저변 확대
-국민운동단체 교육 :사회적자본의 의미와 국민운동의 역할
-구민 일반 교육 :사회적자본과 시민생활실천과제
-청소년 및 대학생 교육 :사회적자본의 동향과 도시발전
-마을리더 교육 :사회적자본중심의 사회적자본
-NPO과정 :지역사회문제 해결로서 사회적자본의 과제

③ 주관부서 :세계시민사회과(
인문사회지원팀)
,사회적자본지원센터

④ 5
개년계획

- 115 -
연차별 추진내용
구분 비 고
201
3 2014 20
15 2016 2017
시민포럼 연1
회 연3회 이상 → → →
5대 핵심대 50
0명 이상
사회적자본 아카데미 → → →
상 300명 교육

(
3)사회적자본 명사 초청 특강 및 학술활동 강화(
기존)

① 기본방향

○ 사회적자본과 관련된 주요 전문가 및 명사를 초청하여 사회적자본에 대한 이해 및


실천의 저변을 확대하며 주민의 직접적 참여 확산

② 주요내용

○ 사회적자본 명사 초청 특강
-7개 권역별 개최(
우동/
중동/
송정/
좌동/
재송/
반여/
반송)
와 전체 통합 개최 병행
-장소 :동주민센터 활용
- 초청강사 :주민대상의 경우는 대중적이고 흡인력 있는 강사,사업단체 대상의 경우
는 실천력 확보를 위해 시민 및 주민운동 전문가
- 강영주제 :주민대상의 경우는 사회적자본 증진에 대한 공감대형성 및 시민의식교육,
사업단체 대상의 경우는 사업의 성공을 위한 방향제시 및 자문에 주력

○ 사회적자본관련 학술활동
-연구조사 활동 :사회적자본관련 주요 이슈에 대한 연구 및 조사 활동 추진
- 학술발표회 :주요 이슈에 관련하여 세미나,컨퍼런스 등 학술발표회 개최 등을 통해
공감대 확산

③ 주관부서 :세계시민사회과(
인문사회지원팀)
,사회적자본지원센터

④ 5
개년계획

- 116 -
연차별 추진내용
구분 비 고
20
13 2
014 20
15 2016 2017
7개 권역별
명사 초청 특강 → → → →
실시
사회적자본관련 연구 매년 2개과
→ → → →
조사 실시 제 추진

(
4)해운대 타운홀미팅

① 기본방향

○ 지역주민들의 직접 참여민주제를 통해 사회자본중심의 참여형 구정을 추진

○ 구의 중요한 정책에 대한 소개와 구정의 핵심의제에 대한 주민들의 의견 수렴

○ 인터넷과 e
-Hae
undaeHal
lMe
eti
ng을 통한 온라인 토론장 운영

② 주요내용

○ 해운대 타운홀미팅(
TownHal
lMe
eti
ng)운영
-타운홀미팅은 주민들이 정책과 공약에 대한 설명을 듣고 의견을 교환할 수 있는 직접
참여민주주의 및 숙의민주주의(
del
ibe
rat
ivede
moc
rac
y)의 장임
- 식민지시대 미국 뉴잉글랜드지역의 타운미팅(
town me
eti
ng)
에서 시작되어 주민에게
중요한 정책 및 이슈에 대해 구청장 및 공직자의 참여를 통해 직접 주민의 의견 수렴
- 연초 구정계획 발표와 연말 구정 결산시 타운홀미팅 개최를 통한 구정발표와 주민의
견의 수렴
-구민의 토의가 필요한 주제 발생시 타운홀미팅의 수시 개최

○ 해운대원탁회의 진행
-소규모 그룹별 시민참여로 의견 결정할 사항시 원탁회의 방법으로 진행
-사전 신청자 접수 통해 참석자 확정
-원탁별 퍼실리테이터 교육 및 양성을 통해 전문회의 보조진행자 확보,운영

○ e
-Hae
undaeHal
lMe
eti
ng운영
- 우리구의 중요한 사항에 대해 f
ace
book,t
wit
ter
,해운대구 홈페이지,카톡 등 다양한

- 117 -
SNS를 통해 온라인 타운홀 미팅을 추진
-전자정보시대에 맞는 시민의견수렴 및 의제검토로 e
-Hae
undaeHal
lMe
eti
ng운영

③ 주관부서 :세계시민사회과(
인문사회지원팀)

④ 5
개년계획

연차별 추진내용
구분 비 고
2013 2014 2015 2016 2017
기본계획
해운대 타운홀 미팅 추진 연4회 추진 → → →
연2회 추진
e- Hae
undae Hal
l
연1회 운영 연2회 운영 연4회이상 → →
Meet
ing

(
5)'
구민 발언광장'
,‘일일 구청장’등 구민 직접참여 활동 촉진

① 기본방향

○ 주민의 직접 참여를 통한 숙의민주제의 추진 구정의 발전을 촉진

② 주요내용

○ 구민 발언광장의 설치 및 운영
-해운대구내 주민의 접근성이 가장 좋은 곳에 설치
-발언자가 직접 스위치를 눌러 발언을 하고 발언 결과는 녹화하여 담당부서에 송부
-시행결과를 담당부서가 홈페이지를 통해 알림

○ 일일 구청장 운영
-구민이 직접 일일 해운대구청장이 되어 구정을 학습하고 중요한 정책에 결정을 내림
-구 살림살이에 대한 주민의 이해도를 제고함
-매주 목요일 등 일정한 날을 정하여 정기적으로 시행
-어르신,중장년,여성,장애인,아동 및 청소년,대학생 등 다양한 집단별 참여 유도

③ 주관부서 :행정지원과(
행정팀)

④ 5
개년계획

- 118 -
연차별 추진내용
구분 비 고
201
3 20
14 2
015 20
16 20
17
운영계획수
구민 발언광장 운영 → → →
립 및 설치
일일 구청장 운영 15명 20
명 2
5명 30
명 30명

(
6)주민참여예산제 및 구민배심원제 등 구민참여시스템 활성화(
기존)

① 기본방향

○ 구 의회를 넘어서 시민일반과 시민단체 등 주민의 광범위한 의견 수렴과 참여의 과


정을 통해 예산을 확정함

② 주요내용

○ 2
006년 전국 기초자치단체 역사상 처음으로 주민참여예산제 실시
-구 재정운영상황 및 예산편성에 대한 공개
- 예산편성과정에 주민 참여 및 의견 반영의 기회 제공(
예산참여주민위원회 및 지역회
의)
-폭넓은 주민의견의 수렴(
지역별 토론회개최 및 사이버 창구 운영)

○ 지역별 현장방문 및 의견청취를 통해 사업의 구체성을 담보한 참여예산제 추진

○ 해운대구 주민참여예산제 운영조례를 통한 책임있는 추진

○ 분과위원회의 구성을 통해 의견의 수렴과 전문적 검토


-관광경제분과,주민생활지원분과,도시건설분과,기획행정분과 등으로 구성

○ 주민참여예산연구회,예산아카데미,예산학교,구민의견수렴 등 역량있는 시민을 통


한 예산편성 진행

○ 성과관리예산(
BSC)
와 예산을 연계한 상과관리 예산체계 구축

○ 성별영향평가를 반영한 성인지 예산서 작성

- 119 -
○ 주민참여예산제 수행매뉴얼과 수행지표 개발을 통해 매년 수행과정의 체계적 점검과
달성도
- 주민에 대한 예산설명,주민위원회 및 지역회의 등의 추진체계 작동,참여자 만족도
등 수행지표를 통해 점검과 달성여부 점검
- 지역이기주의 작용 가능성,가용재원의 부족,의사수렴의 긴 시간 소요 등의 한계를
공정하고 합리적인 수행과정 체계화로 극복

○ 주민 및 전문가 주도적 구민배심원제 운영 활성화


-지역주민,전문가,관 등이 함께 참여하는 30인내외 구민배심원제 구성,운영
-정책갈등 등 주요 현안 문제를 구민 스스로 해결할 수 있도록 함

③ 주관부서 :기획조정실

④ 5
개년계획

연차별 추진내용
구분 비 고
2013 2014 2015 2016 20
17
PDS(계획․ 매뉴얼과 수
수행․평가) 행지표 충실
주민참여예산제 활성화 과정 수행매 도로 점검, → → →
뉴얼 및 수 차년도 계획
행지표개발 수립
구민배심원
구민배심원제 운영 활 제 매뉴얼
시행 → → →
성화 및 지표 개

(
7)문화예술전문가 네트워크 구성,운영

① 기본방향

○ 문화예술 전문가들의 네트워크 운영을 통한 지역사회 참여 촉진과 문화예술 창조도


시 건설

② 주요내용

○ 세계도시 발전 트랜드가 문화예술의 창의성과 역동성에 의해 작용되고 있어서 문화

- 120 -
예술전문가의 도시발전 참여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음

○ 문학,음악,미술,무용,건축 등 장르별 문화예술 전문가들의 네트워크 운영으로 지


역사회발전 참여 기회를 확대하고 이를 통해 문화예술 창조도시로 발전

○ 원도심 재생,지역별 근린재생,지역축제,문화예술의 거리 조성,스토리텔링 해운대


프로젝트 추진 등 다양한 과제별 사업 수행

○ 구성은 우리 구 거주를 넘어서서 해운대를 아끼고 사랑하는 모든 이들에게 참여 확


○ 벡스코,부산시립미술관,각종 갤러리,호텔 등과 같은 인프라와 해운대해수욕장과


같은 자연자원 활용한 장소자산 기반형 문화예술선도도시 전략화

○ 우리 구의 원도심지역 및 주민근린생활지역 등의 구체적 Communi


tyAr
t추진

③ 주관부서 :관광문화과(
문화축제팀)

④ 5
개년계획

연차별 추진내용
구분 비 고
2013 201
4 201
5 2016 2
017
장르별 네트
네트워크 활
문화예술전문가 네트워 워크 구축
동 및 과제 → → →
크 운영 핵심과제 설
수행

(
8)해운대 청년프론티어 운영 및 청년 일자리 확대

① 기본방향

○ 우리 구 거주 청년들의 조직화와 다양한 영역별,도시과제별 청년 참여를 통한 역동


적인 도시발전 추진

② 주요내용

- 121 -
○ 우리 구의 산업,기업,도시개발,문화예술도시,녹색도시,도시재생,마을만들기,복
지,교육,나눔과 돌봄 등 많은 영역별,과제별 사업에 청년의 참여 조직화

○ 청년프론티어 사업 제안 공모하여 우수사업에 예산 지원

○ 성과 발표회 개최 및 성과 확산

○ 지역내 기업과 기관에 청년일자리 확대


-지역청년고용시 기업세금 감면 및 기업지원 인센티브 제공

○ 지역내 청년창업센터 및 지구 조성하여 창업 활성화


-창업을 통한 일자리의 적극적 발굴

③ 주관부서 :기획조정실(
기획팀)

④ 5
개년계획

연차별 추진내용
구분 비 고
2013 2014 201
5 2016 2017
-사 업 계 획 -청 년 프 론
해운대 청년프론티어 수립 티어사업 공 -영역별 운
→ →
활성화 -네 트 워 크 모 영 활성화
조직
-청 년 고 용
-사업추진
활성화 계획
청년 취업 활성화 -센터 운영 → → →
-청 년 창 업
활성화
센터 준비

(
9)청소년 지역사회참여 촉진

① 기본방향

○ 생애단계별 사회자본증진을 위해 청소년시기 및 정규교육 단계부터 신뢰,협력,참여


의 사회적자본 역량에 대한 교육과 지역사회참여를 강화함

② 주요내용

○ 가정-학교-직장-지역사회의 4대영역별 청소년 사회적자본 증진전략 추진

- 122 -
○ 가정을 통한 시민적 활동 참여 촉진
- 청소년층의 시민참여 경로의 시발점으로서 가정에서의 기초 시민기술과 정치적 관심
함영과 함께 필요한 자원을 제공
-다양한 가족 r
esi
li
enc
e증진 지원

○ 학교를 통한 청소년의 시민적 활동 참여 촉진


- 학교가 청소년층의 시민참여,지역사회참여를 증대시키도록 시민교육의 주도적 역할
수행
-민주제도 이해 및 지식습득,정치적 의사결정력 함양 교육,정치참여 커뮤니케이션 기술
교육

○ 직장을 통한 청소년 시민적 활동 참여 촉진


-직장을 청소년층 참여에 대한 보상프로그램 적용 중심지로 유도
-직장에서의 시민성 확장 및 멘토링 프로그램 개발과 운영

○ 지역사회네트워크를 통한 청소년 시민적 활동 참여 촉진


- 지역사회네트워크를 통한 참여 촉진․확장․유지 프로그램과 청소년층의 리더십 및
조직 참여 프로그램의 개발․운영

○ 청소년의 사회적자본 측정 패널 운영
-청소년들의 사회참여 저조를 극복하기 위한 과학적 진단 및 사회적자본 증진 전략 수
립위한 기초적 과업 수행
- 영국 ONS 수행의 사회적자본 측정 프레임워크처럼 청소년 사회적자본 패널 구축과
조사를 시범사업으로 추진

③ 주관부서 :행복나눔과(
여성청소년팀)
,사회적자본지원센터

④ 5
개년계획

연차별 추진내용
구분 비 고
2013 2014 201
5 2
016 2017
청소년 사회적자본 증 -실천전략 -실 천 전 략
→ → →
진 4대 전략 수립 추진

- 123 -
(
10)어르신 지역사회참여 프로그램 운영

① 기본방향

○ 어르신의 사회참여 확대를 위한 지역단위의 네트워크 구축

○ 세대간 화합을 위한 정책실행 기반 조성

② 주요내용

○ 어르신과 지역사회를 연결시키기 위한 지역사회 네트워크 구축 지원


-노년기의 성인들이 ‘
가교적 사회적자본’
을 형성하도록 지원

○ 분야별 자발적 결사체 운영과 지원


-지역사회복지관 등을 활용하여 자발적 결사체를 구성하여 어르신 사회적자본 역량 강

○ 시니어 지역코디네이터 육성을 통한 마을재생 추진


- 어르신들이 근린지역,마을재생사업의 핵심 코디네이터로 참여함으로써 지역사회 참
여와 마을재생 활성화 성과 거양

③ 주관부서 :행복나눔과(
고령화대책팀)

④ 5
개년계획

연차별 추진내용
구분 비 고
2013 2014 201
5 2016 2
017
-18
개 동별 -네 크 워 크
지역사회 네트워크 구
다양한 네트 운영 및 활 → → →
축,운영
워크 구축 성화
-근 린 재 생
시니어 지역코디네이터
지역별 육성 → → → →
육성
및 운영

(
11)자원봉사 평품도시(
기존)

① 기본방향

- 124 -
○ 주민의 다양하고 체계적인 자원봉사 적극적 참여로 함께 더불어 사는 해운대구로 발

② 주요내용

○ 재능나눔의 분위기 조성
- 해운대 재능나눔 네트워크의 구성 :변호사,의료인,교육인 등 다양한 직업 및 직능
의 재능나눔 참여자로 구성
- 사랑의 재능나눔 릴레이 :의료봉사분야,문화예술분야,전문기술분야,상담지원분야

-1구민 1재능 나눔 캠페인 전개
-전문가와 함께 하는 대화마당 ‘
리빙 라이브러리’운영

○ 자원봉사 참여률 제고
-동별자원봉사 특화사업 및 경진대회 운영
-‘
0시간 봉사자’대상 새내기 학교 운영
-신규봉사자를 위한 맛보기 체험프로그램 운영
-기업,종교단체와 자원봉사센터 활동 프로그램 연계

○ 경쟁력 있는 자원봉사센터 운영
-일곱빛깔나눔 공모사업,사회공헌 협약
-해외봉사단 파견,해운대 워크캠프 운영
-해양레포츠 안전지컴이 전문봉사단 운영
-해운대구 자원봉사대상 시상 및 성과 확산
-자원봉사 회원 등록 확대 :2015년 구민 25%(
100,
000명)목표(
2012년 말 현재 봉사자
수 8
2,7
79명,봉사단체 852개)

③ 주관부서 :세계시민사회과(
자원봉사팀)

④ 5
개년계획

- 125 -
연차별 추진내용
구분 비 고
2013 201
4 201
5 2016 2
017
-분야별 활
해운대 재능나눔 네트 동
→ → → →
워크 -재 능 나 눔
릴레이
자원봉사 참여률 제고 9만명 9.
50만명 10만명 1
1만명 12만명

(
12)인문학도시 조성 및 인문창작활동 활성화(
기존)

① 기본방향

○ 다양한 인문학강좌 및 인문학활동의 활성화를 통해 인문학도시로 브랜딩화

② 주요내용

○ 인문학도시 추진체계 구축
-인문학콘서트 및 어울마당 개최,홍보물 제작
-인문학로드 조성(
폐․공가를 활용한 예술작품 전시)
-사업성과 평가 및 우수사례 공모대회 개최

○ 인문학창작활동의 활성화
-동아리활동 지원으로 인문학 저변 확대
-주민센터,사회복지관,도서관 등을 이용한 인문학창작거점 구축 및 창작활동 활성화

○ 문화예술과 인문학 확산을 위한 지역예술인의 창작공간 마련 지원


-'
또따또가'
와 같은 열린,창작,소통의 문화예술창작 장소 조성

○ 인문예술인 네트워크 및 클러스트 조성으로 지역문화발전의 시너지 효과


-도시 어디서든 인문학을 향유하고 즐길 수 있는 분위기 조성

○ 도심거리의 활력을 제공하는 대형 ‘


글판’제작 지원 예)
광화문글판
-교훈적 메시지를 시적으로 표현,읽은 이에게 사색의 시간 제공

③ 주관부서 :세계시민사회과(
자원봉사팀)
,사회적자본지원센터

- 126 -
④ 5
개년계획

연차별 추진내용
구분 비 고
2013 2014 2015 201
6 2017
-인 문 학 콘
서트
-인 문 학 로
인문학도시 추진체계
드 조성 → → → →
구축
-우 수 사 업
평가 및 확

인문학창작활동의 활성 -인 문 학 창
→ → → →
화 작거점 구축

3)주민행복의 마을공동체 활성화

(
1)해운대구 마을비전 및 마을공동체 기준선 운영

① 기본방향

○ 해운대 마을공동체(
커뮤니티)
에 대한 비전을 수립하여 주민중심의 공동체 발전의 방
향을 제시하고 마을복지기준선의 수립을 통해 공동체와 주민의 복지수준을 향상시킴

② 주요내용

○ 해운대 마을 비전의 제시
- 마을에 대한 비전은 ‘
지속가능하고 살기좋은 주민공동체(
Sust
ainabl
e & Li
vabl
e
Communi
ty)

-마을만들기 비전은 ‘
지속가능한 주민공동체중심의 살기좋은 마을만들기’
- 세부적으로 마을만들기비전은 ‘
주민주도로 사람중심의 가치와 협력을 통해 마을발전
의 비전과 목표를 공유하며 살기 좋은 정주환경을 조성’등으로 설정

○ 해운대 커뮤니티의 영역별 비전 수립


-주민들의 기초생활보장
-일자리 마련 및 고용안정
-신체적 정신적 건강 증진
-아동,청소년,성인들의 질 높은 교육

- 127 -
-불편함이 없는 주택
-질서와 안녕이 보장되는 마을안전
-교통 등 생활여건이 구비된 마을시설

○ 마을복지기준선 설정
-총 8대 마을복지영역의 설정
-활력있는 마을경제와 일자리 확충
-주민욕구에 능동적인 사회서비스 운영 :돌봄 건강
-쾌적하고 알맞은 주택 조성
-편리한 생활여건의 연계
-매력적이고 특성있는 지역사회 조성
-주민 모두에게 질 높은 교육과 문화 활동 제공
-위험으로부터 안전한 공동체 조성
-주민자치와 참여 역량의 제고
-최소기준과 적정기준별로 마을복지기준선의 수립
․최저기준(
Mini
mum St
andar
ds)
과 적정기준(
Dec
entSt
andar
ds)
을 구분하여 접근
․최저기준(
Mini
mum St
andar
ds)
은 커뮤니티 뉴딜 사업을 통해 반드시 달성할 것을 전
제하는 목표로써, 한국 및 부산의 경제,사회적 발전수준을 고려한 최소한의 수준임
․적정기준(
Dec
entSt
andar
ds)
은 주민으로서 품위를 유지할 수 있는 수준으로의 추상적
의미가 있으며 향후 부산시의 마을개선의 정책수준과 질을 제고할 수 있는 정책가이드
라인으로 의미를 가짐
․책임주체 :최저기준은 정부와 부산시 책임을 적극적으로 설정할 수 있지만 적정기준
의 실현은 정부와 부산시 뿐 아니라 개별시민 및 가족,해당지역의 주민,기업,사회단
체 등 다양한 주체의 공동책임을 전제로 함

○ 주민친화형 마을지표 작성과 운영


- 시애틀처럼 근린생활환경을 진단하고 목표를 제시할 수 있는 주민친화형의 마을지표
개발
-주민,전문가,공무원이 함께 만드는 지표로 지표체계 구성
-3년마다 지표결과 발표로 살기좋은마을에 대한 진단 및 개선방향 제시

③ 주관부서 :세계시민사회과(
평생학습팀)
,사회적자본지원센터

④ 5
개년계획

- 128 -
연차별 추진내용
구분 비 고
2
013 2014 201
5 2016 2017
-지 표 결 과
해운대 마을비전 및 -준비 및 -지 표 결 과 -평가와 개
→ 발표와 개선
커뮤니티 기준선 제시 제시 발표 선과제 제시
과제 제시
-지 표 결 과
주민친화형 마을지표 -지 표 체 계 -지 표 결 과 -평가와 개
→ 발표와 개선
작성과 운영 구성 발표 선과제 제시
과제 제시

(
2)마을만들기 전략계획 수립 및 운영

① 기본방향

○ 마을의 특성에 따른 마을만들기전략계획 수립과 체계적 추진을 통해 마을맞춤형 성과


제고

② 주요내용

○ 경제적 자활 강화,사회서비스 강화,주거생활여건 개선,공동체 역량 강화,통합형


등 4
대 영역별 마을만들기 전략계획 수립과 각 영역별 성과평가체계 마련
-전략계획 수립은 주민주도로 하되 전문가의 컨설팅T/
F 지원
-성과평가체계를 수립하여 매년 진척사항 점검 및 운영

○ 경제적 자활 강화형
-마을기업 육성,희망근로프로젝트,지역 공동체 일자리 창출 사업,지역맞춤형 일자리
지원 사업,장애인 일자리 사업,노인 일자리 지원 사업,지역 사회적 기업 활성화,공동
작업장 운영,지역 경제재생 사업과 연계,지역자활사업 촉진,찾아가는 고용지원 서비
스,마을(
사업)
기금 등의 사업 추진

○ 사회서비스 강화형
- 보육공동체 조성,의료공동체 조성,아동보육 및 돌봄지원,노인돌봄 지원(
무료급식,
도시락배달,외출지원,의료지원,자원봉사,문화여건 개선,쌈지도서관 확대,커뮤니티
아트,고지대 주거환경 복지지원,정책이주지 주민복지지원,복지관 부재지역 복지전달
체계 운영,지역정신보건센터(
지소)구축 운영,지역건강지원센터 구축 운영 등의 사업
추진

- 129 -
○ 주거생활여건 개선형
- 다양한 유형별 노후주택개선모형개발,집수리사업,주민친화형 주거지 재생,소단위
맞춤형 정비,문화예술마을,용도쇠퇴 공공건축물 재활용 통한 주거기반시설 지원,노
인․장애인 주택개조사업,공동화장실 개선 /석면슬레이트 제거 등 주거환경개선사업,
생활환경개선사업,난방시설개선,그린파킹사업,담장허물기사업,대안에너지 공급체계
구축,쌈지공원․녹화 등 녹색공간의 조성,공동주차장 조성,두꺼비 하우징 사업 등의
사업 추진

○ 공동체 역량 강화형
-주민교실 지원,마을리더학교 운영 지원,소식지발간,마을방송국 및 마을마케팅 지원,
마을발전계획 수립 지원,마을회관 설립․운영 등의 사업 추진

○ 통합형
-경제적 자활형,사회서비스 강화형,주거생활여건 개선형,공동체 역량 강화형간에 상
호연계를 통한 사업도 가능

③ 주관부서 :세계시민사회과(
평생학습팀)

④ 5
개년계획

연차별 추진내용
구분 비 고
2013 2014 2015 2016 2017
-성 과 평 가 -성 과 평 가
마을만들기 전략계획 -각동별 계 -수정
및 개선과제 → 및 개선과제
수립 및 성과평가 획수립 계획수립
도출 도출

(
3)마을곳간,마을가게,마을주택,마을일터 등 4대 커뮤니티재생사업추진

① 기본방향

○ 해운대 지역특화의 커뮤니티재생사업 추진으로 마을만들기의 성과를 높이고 주민만


족도를 제고

② 주요내용

- 130 -
○ 마을주택
-주택개량과 관계된 두꺼비하우징 벤치마킹 +임대주택 +역모기지 통합
-노후불량주택 개량은 동일.공가주택까지 확대하여 임대주택으로 활용
-거동이 어려운 독거노인이나 소년소녀가장의 주택을 역모기지로 활용.주택을 담보로
돌봄 서비스기능을 제공.3가구 이상을 한 곳에 모아 돌봄을 제공함.

○ 마을곳간
-기존 공동체는 주로 인력서비스,무료급식이 많으며 혜택 제외지역 다수 존재하여 이
들 지역을 대상으로 저소득층이나 돌봄이 필요한 주민에게 기본적 연명에 필요한 식료
품과 연료를 공급하는 형태
- 마을곳간은 도움 대상의 선정이나 자원봉사 인력의 모집과 파견 등 직접적인 행사에
관여하는 것이 아니라,물자의 모집과 배포의 물량&시스템을 담당
- 물자의 모집이 용이한 지역 혹은 물자의 배포가 꼭 필요한 마을에 지점을 설립하여
운영하되 네트워크 형성을 통해 배분하는 시스템을 도입
-기존 공동체와 연계하여 음식물 모집 및 배포 시스템을 보다 발전되고 광역적인 범위
에서 공공에서 지원

○ 마을일터
- 일종의 직업소개소.인력요청과 근로신청을 받아 Mat
ch시켜 주되 지원센터 등록을
통해 부산시 전체를 관리하고 직장 알선.지역자활센터와 연계하여 추진(
자활센터에 대
한 예산 지원)
-기존의 자원봉사가 주로 무보수 비전문가 위주 단순 노동
- 공공이 참여하는 거버넌스를 통해 운영할 경우 공공관리가 가능하므로 공공근로자제
도를 활용한 소정의 보상(
신청내용에 따라 교통비,식사,인건비 등 산정)
까지 지급 가

-고정적인 인력투입이 필요한 곳은 커뮤니티 사업으로 독립시켜 향후 인건비를 독자적
으로 조달하도록 유도
-일시적인 인력투입이 필요한 곳은 신청인원을 고려하여 월단위 개인별 노동일수를 조
절하여 고른 혜택이 돌아가도록 조정하고,기술교육과 병행할 경우 향후의 기술인력 양
성에 도움 가능
-사업분야는 주택도우미,청결도우미,창조도우미 등 사업수요가 높은 분야를 집중적으
로 육성함

○ 마을가게

- 131 -
- 일종의 신탁형 나눔가게.재활용이 가능한 중고품이나 마을공방 등에서 제작한 새제
품을 위탁하여 판매,초기 쿠폰제에서 지역화폐로 발전
-중고품 재활용을 통해 가격을 낮춤으로써 실질적인 지역사회의 나눔 구현
-지역주민의 커뮤니티 활동의 매개 역할
-지역생산품 유통 지원 및 지역화폐 활성화를 통한 지역경제활동의 촉진
-주요 사업
․물품 유통 :중고품 및 지역생산품의 신탁판매
․되살림 강좌 :재활용품 활용 및 디자인 교육 및 지역주민간 관계 맺기
․나눔장터 :정기․비정기 벼룩시장 운영 통한 자원재활용 생활문화 확산

③ 주관부서 :일자리복지단,사회적자본지원센터

④ 5
개년계획

연차별 추진내용
구분 비 고
2013 201
4 2
015 2016 2017
4대 커뮤니티재생사 마을별 특성 성과평가 및
추진 → →
업 추진 화 사업기획 추진

(
4)사회적자본 증진 우수마을 지정 및 박람회 개최

① 기본방향

○ 사회적자본 활동을 적극적이고 체계적으로 전개하고 성과가 우수한 마을에 대해 시


상하고 박람회를 통해 다양한 성과를 확산시킴

② 주요내용

○ 사회적자본 증진 우수마을만들기 사업 지원
-사회적자본 증진사업에 대한 마을별 공모 제안과 선정,결과 평가 과정 추진
-관련기금의 조성과 예산 지원을 통해 지속적 추진

○ 사회적자본 증진 우수마을 평가 및 지정
- 사회적자본 증진을 위한 주민참여,과제설정 및 계획수립,추진사업,사업의 지역
I
mpac
t등의 다양한 성과를 평가하는 지표체계 수립

- 132 -
-공정한 심사단을 구성하여 지표체계에 의해 우수마을 평가 및 지정

○ 사회적자본 증진 우수마을 박람회


- 주민조직,과제설정,조직체계 구성,특화사업 운영,결과 등의 내용을 중심으로 박람회
개최
-다른 지역 사회적자본 증진 우수마을도 초청하여 정보교류 및 성과 공유

③ 주관부서 :세계시민사회과(
평생학습팀)
,사회적자본지원센터

④ 5
개년계획

연차별 추진내용
구분 비 고
2013 2014 20
15 201
6 2017
-관 련 기 금 -사 회 적 자
확보 본 증진 우
사회적자본 증진 우수 -기 본 운 영
-우 수 마 을 수마을 활동 → →
마을 추진 계획 수립
선정지표 확 -박 람 회
립 및 선정 개최

(
5)아파트 한가족공동체 운동 활성화(
기존)

① 기본방향

○ 전체 주택중 아파트 비중이 점차 높아짐에 따라 근린형 사회적자본 증진사업에 아파


트공동체형 전략이 매우 중요해지고 있으며 이에 따라 아파트 한가족공동체 운동 추진

② 주요내용

○ '
가족친구만들기'― 아파트 라인별 가족단위 친구 맺어 상호 교류
-함께 여가활동 및 자원봉사 활동 등을 같이하며 친목 도모
-소규모 네트워크 구축,지역사회 관심 유도 및 참여문화 조성

○ '
사랑방(
Wat
erCool
ing)
‘공간 조성 ⇨ 커뮤니티 라운지
-아파트내 유휴공간 등 활용,지역사회문제 함께 의논하는 공간조성
-아파트 공동체 내 어려운 이웃에 대한 관심 및 지원 용이
-한부모 및 조손가정 어린이의 학습 및 놀이 등 공동육아장소로 활용

- 133 -
-맞벌이 일반화로 실제 양육담당하는 조부모위한 육아교실 공간

○ '
우리가족을 소개합니다'추진
-아파트 라인별 게시판(
엘리베이터)활용,매월 릴레이식 가족소개
-이웃간 서로를 알아감으로써 친밀감 형성,소통으로 주민 화합 기대

○ '
아름다운 가치 실천운동'전개
- 아파트 라인별 게시판(
엘리베이터)활용,'
이달의 아름다운 가치'또는 '
이달의 시'

게시하여 주민 간 좋은 정서 공유 → 신뢰,배려,사랑,감사,봉사,나눔,화합,인사,협
력 등

③ 주관부서 :세계시민사회과(
평생학습팀)
,사회적자본지원센터

④ 5
개년계획

연차별 추진내용
구분 비 고
2013 201
4 2015 2016 20
17
아파트 한가족공동체 -세부 실천
→ → → →
운동 활성화 과제 추진

(
6)해운대 향약 활성화(
기존)

○ 향약 활성화

○ 사회적자본실무위원회 구성과 향약 재현(


기존)

○ 마을 사회적자본 증진 회의 운영

① 기본방향

○ 지역사회의 전통적 요소와 결합한 근린형 사회적자본 프로그램 추진

② 주요내용

○ 우리의 전통 사회적자본인 ‘
향약의 정신’
을 동 주민센터에서 재현

- 134 -
-‘
해운대향약’:아름다운 고장을 만들기 위한 지역주민들의 공동약속
-동별 주민자치위원회에서 ‘
선한 마을 규약’제정,주민에게 전파
-향약 4대 덕목을 바탕으로 사회적자본 증진 실천사업 추진

○ 추진주체 :18개동 주민자치위원회 내 설치된 「사회적자본 분과」

○ 이웃과 지역위한 자치와 협치능력 함양,배려와 질서 정착된 도시 공동체 구축

③ 주관부서 :세계시민사회과(
평생학습팀)
,사회적자본지원센터

④ 5개년계획
연차별 추진내용
구분 비 고
2013 2014 201
5 2
016 2017
-1
8개 동별 세부
사업 수립,운영
해운대 향약 활성화 → → → →
-사회적자본 분
과 설치,운영

(
7)마을지기(
마을리더)양성 프로그램 운영(
기존)

① 기본방향

○ 마을지기 양성을 통해 주민과 상호작용 협력적 조정관계가 유지가능한 지역밀착 전


문가 양성

② 주요내용

○ 마을활동가를 체계적이고 집중적으로 양성함.주민조직화,마을의제발굴,마을계획수


립,마을사업추진방식,마을사업평가 등의 교육을 중심으로 추진.

○ 지역사회의 목표 발굴,지역사회 개선을 위한 자발적 집단활동 장려

○ 주민이 마을문제 인식,해결방안 제시하는 등 주민 참여역량 강화

○ 마을지기 양성 프로그램 참여 전문가 pool구성

- 135 -
○ 마을만들기지원센터에서 집중 기획 및 관리

③ 주관부서 :세계시민사회과(
평생학습팀)
,사회적자본지원센터
○ 협력부서 :동 주민센터
○ 민간주체 :주민자치위원회

④ 5
개년계획

연차별 추진내용
구분 비 고
2013 2014 20
15 2016 2017
마을지기 양성 프로 -운 영 계 획 -프 로 그 램
→ → →
그램 수립 추진

(
8)주민자치위원회 강화

① 기본방향

○ 향후 주민자치회 근린공동체 사업 추진의 핵심적 역할을 수행함에 따라 주민자치위


원회의 역할을 강화하고 모범적인 주민자치회로 전환할 수 있도록 체계적인 추진

② 주요내용

○ 주민자치위원회 역량 강화 교육 추진
-주민자치위원회 기본교육,마을진단,마을만들기 과제 및 전략 수립,주민조직화 기술,
마을기업 운영,마을만들기 성과평가 등에 대한 교육 실시
-리더십,인간관계 기술,돌봄지원,자원동원 등 마을지기 교육

○ 우수 주민자치위원회 선정 및 시상
-주민자치위원회 평가체계 구축,우수 주민자치위원회 선정 및 시상

○ 주민자치회 전환 계획 추진
-시범사업 선정 추진
-지역대표,일반주민,직능대표 등 주민자치회 위원 선출
-위탁사업 및 자체 수익사업 등 사업영역 발굴

- 136 -
③ 주관부서 :세계시민사회과(
평생학습팀)
,사회적자본지원센터

④ 5
개년계획

연차별 추진내용
구분 비 고
2013 201
4 201
5 2016 2
017
주민자치위원회 역량 -교 육 계 획
-교육추진 → → →
강화 교육 추진 수립
-지 표 체 계
우수 주민자치위원회 -선정 및
및 운영계획 → → →
선정 및 시상 시상
수립
-시 범 사 업 -시 범 사 업
시범 주민자치회 선정
선정계획 준 추진 및 전 → → →
추진
비 환 준비

(
9)24절기 활용 지역문화행사 및 지역축제 추진(
기존)

① 기본방향

○ 전통의 절기 및 월력을 활용한 문화행사와 지역축제 추진으로 전통 발전과 공동체 연


대 강화

② 주요내용

○ 절기 및 월력에 따른 세시풍속을 이웃과 함께하는 문화행사로 재현 → 이웃관계망




-봄(
입춘,
우수,
경첩,
춘분,
청명,
곡우):입춘방쓰기,동신제,화전놀이,지신밟기 등
-여름(
입하,
소만,
망종,
하지,
소서,
대서):연등∙단오부채 만들기,족탁,유두놀이 등
-가을 (
입추,
처서,
백로,
추분,
한로,
상강):화채∙국화전 나누기,풍국놀이 등
-겨울 (
입동,
소설,
대설,
동지,
소한,
대한):동지차례,동지헛말,세찬나누기 등

○ 동 단위 마을축제를 '
24절기'
에 맞춰 풍속을 재현하여,동네 주민과의 화합을 도모하
는 특색있는 문화행사로 운영

③ 주관부서 :세계시민사회과(
평생학습팀)
,사회적자본지원센터

- 137 -
④ 5
개년계획

연차별 추진내용
구분 비 고
2013 2
014 201
5 2
016 2017
24절기 지역문화행사 및 -계 획 수 립
→ → → →
지역축제 추진 및 추진

(
10)마을맞춤형 일자리 활성화

① 기본방향

○ 지역의 환경정비,돌봄,공동체 강화,경제적 소득 창출 등 마을특성에 적합한 일자


리의 창출 및 활성화 추진

② 주요내용

○ 마을별 환경정비,돌봄,공동체 강화,경제적 소득 창출 등 주요 욕구 및 과제의 선


○ 인력의 수요와 공급 계획 수립

○ 현재 추진중인 지역공동체 일자리 사업을 확대하여 추진

○ 지역의 인적,물적 자원을 활용한 특화사업으로 추진

○ 해운대형 사업,녹색성장사업,중소기업 취업 지원 등의 사업과 병행 추진

○ 마을맞춤형 일자리를 통해 마을만들기의 성공적 추진과 주민의 경제적 소득 보장을


통한 근린형 사회적자본 역량 강화

③ 주관부서 :일자리복지사업단

④ 5
개년계획

- 138 -
연차별 추진내용
구분 비 고
2013 2
014 20
15 2016 2017
-마 을 과 제
마을맞춤형 일자리 및 욕구분석
→ → → →
활성화 -일 자 리 기
획 및 추진

(
11)일곱빛깔무지개프로젝트 등 동네자본을 통한 취약계층 지원(
기존)

① 기본방향

○ 동내안의 주요 자원을 통해 취약계층의 사회경제적 자립과 생활 지원

② 주요내용

○ 의식주,동전,마음,재능,녹색,지식,문화 등 7가지 나눔영역에 따른 추진

○ 사회적 약자 다시서기 돕기 및 글로벌 사회공헌 활성화 기여

○ 사회적 경제의 사회적 기업,협동조합의 육성을 위해 1사 1기업/


조합의 제휴,지원

③ 주관부서 :세계시민사회과(
자원봉사팀)
,사회적자본지원센터

④ 5
개년계획

연차별 추진내용
구분 비 고
2
013 201
4 2015 2016 201
7
-7가지 나눔영역
일곱빛깔 프로젝트 → → → →
에 따른 추진

4)지역사회공헌의 기업 및 기관의 참여 강화

(
1)해운대비전재단 설립 및 운영

① 기본방향

- 139 -
○ 공익 지역재단(
communi
tyf
oundat
ion)
의 설립과 운영을 통해 지역사회 욕구와 과제
를 해결하고 해운대지역발전을 도모함

② 주요내용

○ 지역재단은 다수 지역주민이 스스로 기부하여 모금된 돈으로 특정 목적의 기금을 만


들고,그 기금을 토대로 공익적 활동을 벌이는 지역단체에 배분함으로서 지역사회 요구
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고 이를 통해 지역발전과 지역변화를 이끌어내는 조직기반
-지역에 의한,지역을 위한,지역의 재단.지역의 변화와 발전에 필수불간결한 요소.

○ 해운대 지역 각계 각층의 광범위한 참여를 통한 재단의 설립,운영


-기업 및 경제계,문화예술계,사회복지계,시민사회단체 등 광범위한 참여 유도

○ 해운대창조재단의 특성
-지역재단(
communi
tyf
oundat
ion):지역사회발전을 도모를 최우선 목적으로 으로 하는
조직
-비영리 공익법인 :해운대 지역사회 공공적,공익적 목적을 위한 법인
- 기금 조성 및 배분 전문기관 :지역사회발전을 위한 다양한 활동을 지원하는 기금의
조성 및 배분
-창의적 도시발전 전략 창출 :해운대지역 발전을 위한 시민주도의 창의적 아이디어를
창출하고 결집시킴
-공동체 및 연대 가치의 확산 :서로 돕고 협력하는 공동체적 가치를 확산시키는 운동
전개
- 다양한 주체의 지원 및 협력 네트워크 플랫폼 :해운대지역내 비영리조직,공익활동
가에 대한 지원 및 네트워크.구군단위 유사 지역재단 및 활동에 대한 지원 및 정보제

○ 주요사업
-기금조성,기금배분,직접사업,NPO지원 및 컨설팅,주민아이디어 개발과 정책화

③ 주관부서 :세계시민사회과(
인문사회지원팀)
,해운대비전재단,사회적자본지원센터

④ 5
개년계획

- 140 -
연차별 추진내용
구분 비 고
2013 201
4 201
5 2
016 2017
해운대비전재단의 발족 -재 단 설 립 -재단의 발
→ → →
및 운영 준비 족,운영

(
2)기업 및 기관의 사회공헌 활동 강화(
기존)

① 기본방향

○ 기업의 사회적 책임,사회와 함께 발전하는 사회공헌 활동 방안 마련

○ 단순한 기부나 봉사활동이 아닌 고객 참여형 사회공헌 사업 추진

② 주요내용

○ 지역사회내 기업 및 기관의 사회공헌 협약 및 인증제 운영

○ 지역사회 역점분야 참여 강화

○ 사회공헌협약 체결
-대상 :관내 기업,은행,일반업소 등의 대표자 (
기관․단체 포함)
-기업이 가지고 있는 재능과 기술을 활용해 사회적 문제 해결 약속
-지역사회재생,지역주민 권익증진사업,취약계층위한 사회서비스 등 주요 과제 참여

③ 주관부서 :세계시민사회과(
인문사회지원팀)
,사회적자본지원센터

④ 5
개년계획

연차별 추진내용
구분 비 고
2013 201
4 201
5 2
016 2017
-기업과 기
-지 역 과 제 관의 사회공
기업 및 기관의 사회공
분석 및 제 헌협약 체결 → → →
헌 활동 강화
안 및 참여 강

- 141 -
(
3)해운대형 사회적 경제 활성화

① 기본방향

○ 사회적 경제의 구축을 통해 지역사회 욕구 및 서비스 충족 등 과제해결,지역사회이


익 환원,일자리 창출,지역경제 성장 도모 등 다목적 목표 충족

○ 사회적 경제의 3대 주축인 마을기업,사회적기업,협동조합의 100


대업체 조성 추진

② 주요내용

○ 특색있는 마을기업 발굴·


육성
-적극적인 마을기업 발굴·
지원을 통한 지역공동체 생활형 일자리 창출
-1개동 1마을기업 목표,지역특성을 반영한 특화모델 지속 발굴
-사회적기업 전환 유도 및 지속가능 성장을 위한 자립기반 확충 지원
-마을기업 3개소(
오감미술아카데미,반들학교,변화의 시나리오)

○ 더불어 사는 사회적기업 지원
-예비 사회적기업 적극 발굴 및 사회적기업 인증시까지 지속 지원
-사회적기업 인큐베이팅 및 사회적기업가 양성 아카데미 운영(
년1회)
-착한거리장터(
분기1회)
,SNS와 스마트폰 마케팅,기업간 연계로 판로개척
-은퇴자 중심으로 우산,자전거,운동화 등 수선 전문 기술자 배양,사회적기업 육성
-사회적기업 지원센터 건립 :반송동 행복나눔센터 증축,총사업비 6.
8억원

○주민생활 활력의 협동조합 육성


- 다양한 영역의 생활협동조합 활성화가 가능하도록 교육 및 컨설팅 지원,공동물류창
고 운영,교육센터 운영 등의 시책을 추진
-다양한 영역의 생활협동조합의 활성화
- 생활협동조합은 생활의 다양한 영역의 과제들을 민주적 참여,자율적 협동과 연대의
정신에 의거하여 서로 도우며 해결하기 위한 기반임
-협동조합은 공동소유와 민주적 권리를 통해 주민들에게 경제적 자립의 기회를 제공하
며,지역의 생산물에 대한 구매 및 고용창출로 지역사회에 공헌하게 되는 사회적,경제
적 기능을 수행함
-생활협동조합에 대한 교육,컨설팅,사업화 확대를 위한 지원 조치 추진

- 142 -
- 공동물류창고,소비자교육센터 등의 공동시설 건립 지원,지방세 감면 등 생활협동조
합 활성화를 위한 다양한 조치 추진

③ 주관부서 :일자리복지사업단

④ 5
개년계획

연차별 추진내용
구분 비 고
2013 201
4 201
5 2
016 2017
마을기업, 사회적기업,
-기 본 계 획
협동조합 등 3대 사회
수립 및 기 -계획추진 → → →
적 경제영역 주체 100
반구축
대업체 육성

(
4)사회적자본형 비즈니스 인큐베이팅과 사회공헌 활성화(
기존)

① 기본방향

○ 지역내 기업,재능,자원을 상호결합하여 비즈니스 인큐베이팅,일자리 창출,사회공


헌 등의 활동을 수행

② 주요내용

○ 입주기업에 대한 지원

○ 창업교육 지원

○ 다양한 네트워크 구축

○ 주민연계 프로그램 운영

○ 청년창업자 발굴

○ 지역문제에의 동참

- 143 -
○ 개방형 센터 운영

③ 주관부서 :세계시민사회과(
인문사회지원팀)

④ 5
개년계획

연차별 추진내용
구분 비 고
2013 20
14 2015 20
16 2017
-교육, 네트워
크,나눔 등
행복나눔센터 내실화 → → → →
주요 사업
추진

(
5)문화창조산업의 강화

① 기본방향

○ 2
1세기 도시발전은 창조산업 특히 문화창조산업에 의해 추진됨

○ 지역의 인적,물적,문화적 자산의 결합을 통한 해운대형 문화창조산업의 조성으로


사회적자본중심의 지역창조경제의 모델 도시로 성장

② 주요내용

○ 해운대형 문화창조산업 전략계획 수립


-영화영상,게임,애니메이션,I
T,디자인산업,MI
CE 등

○ 문화와 창의환경이 있는 산업단지 조성과 창의기업 육성


-센텀시티 산업단지 및 석대 도시첨단산업단치의 문화화와 매력공간화

○ 사회적자본을 통한 기업유치
-인적 네트워크 강화
-다양한 문화관광서비스의 제공으로 기업유치 촉진

○ 해운대 모래축제,해운대 프린지 페스티벌,인문학 축제,문화콘텐츠․스토리텔링 연


계의 축제 등 문화관광축제의 차별화

- 144 -
③ 주관부서 :경제진흥과(
기업지원팀)

④ 5
개년계획

연차별 추진내용
구분 비 고
2013 2014 2015 20
16 201
7
-동남권 1위
해운대형 문화창조산업 -전 략 계 획 -전 략 계 획
→ → 문화창조산
의 강화 수립 추진
업벨트 구축

(
6)지역초등학교의 사회적자본 증진 기반구축 및 활동 촉진 교육프로그램 운영

① 기본방향

○ 근린생활에 가장 기초적인 지역초등학교를 중심으로 초등학생의 지역사회 참여와 지


역사회 개선 실천활동 촉진
○ 1
마을-1교(
校)-1사(
社)의 결연을 통해 지역내 역동적인 네트워크를 구성하여 지역사
회목표 달성 추진

② 주요내용

○ 해운대교육지원청 산하 해운대구 초등학교 사회자본 및 지역사회참여 교육과정 개발


및 운영
- 우리마을알기,마을지도그리기,살기좋은 마을활동 참여,마을의 기관알기 등 초등학
교 마을만들기 참여프로그램 개발,교육과정 개발

○ 1
마을-1교(
校)-1사(
社)의 결연을 통한 마을네트워크 운영
-학교의 지역사회교육기능 강화를 통한 시민교육의 장으로 활용
- 기업의 현장중심의 교육을 학교에 접목하여 실제적이고 직업세계에 밀착된 교육과정
운영(
지역금융기관 통해 금융관련 지식 향상)
-방과후 학교 운영에 대한 기업 지원 확대

○ 교육청-학교-주민센터-유관기관-기업 연계의 지역사회교육협의체 운영


-지역사회발전과 지역사회교육 역량 강화를 위한 관련 지역사회교육협의체 운영
-지역사회문제 해결과 지역사회발전 증진의 허브 역할로서 학교 기능 강화

- 145 -
-지역특성에따라 차별화되는 교육역량 강화

③ 주관부서 :해운대교육지원청,우리구 각 초등학교,주민센터

④ 5
개년계획

연차별 추진내용
구분 비 고
2013 201
4 2015 20
16 2017

해운대형 초등학교 지
-프 로 그 램 -프 로 그 램
역사회참여 프로그램 → → →
개발 운영,추진
개발,운영

1마을-1교(
校)-1사(
社) -네 트 워 크
의 결연을 통한 마을네 기본계획 수 -운영 → → →
트워크 운영 립 및 구성

-협의체 기
지역사회교육협의체 운
본계획 수립 -운영 → → →

및 구성

5)국내외 사회적자본 교류협력 강화

(
1)사회적자본 선도도시 국제네트워크 운영(
기존)

① 기본방향

○ 사회적자본의 국제적 선도도시들과의 네트워크를 통해 핵심적 역량을 향상시킴

② 주요내용

○ 기존 사회적자본 국제교류도시의 관계 확대
-201
3.4.22~ 5.2간 교류했던 주요 도시들과의 교류 협력 확대
-핀란드 탐페레시,스웨덴 칼스타드,덴마크 로스킬드 대학 등

○ 미국 시애틀시,캐나다 오타와시,일본 도쿄도 세타가야구,일본 요코하마 창조네트


워크 등 근린역량 강화를 통한 사회적자본 강화를 추진한 도시 등 지속적으로 우수도시
에 대한 교류 확대 추진
- 근린역량 강화 도시(
시애틀,오타와,세타가야 등)
,공동협력 도시(
영국 뉴캐슬,쉐필

- 146 -
드)
,공공정책(
프랑크푸르트)
,환경(
프라이부르크)

○ 캐나다 Pol
icy Re
sear
chI
nit
iat
ive
,Wor
ld Bank의 Soc
ialDe
vel
opme
nt등 연구기관
의 성과들을 통해 사회적자본 우수도시들에 대한 정보 파악
- 캐나다 Pol
icy Re
sear
chI
nit
iat
ive
,덴마크 로스킬레대학 사회적자본 연구소,Wor
ld
Bank의 Soc
ialDe
vel
opme
nt등 사회적자본 Be
stPr
act
ice도시들에 대한 연구

○ 사회적자본 우수도시들과의 Be
nchmar
king전략을 통한 역량 향상
-사회적자본과 사회적 성숙도도 높은 국가의 도시들에 대한 특성과 도시발전 전략,사
회적자본 향상을 위한 우수 사업들에 대한 지속적 연구와 교류,벤치마킹 전략을 통해
우리 구의 사회적자본의 역량을 향상시킴

○ Soci
alCapi
talI
nit
iat
iveGl
obalNe
twor
k구축,운영
-사회적자본 국제선도도시들과의 협정을 통해 국제적 네트워크 구축
-상호정보교류,국제인증,선도도시 지정,우수사례 확산 등

③ 주관부서 :세계시민사회과(
인문사회지원팀)
,사회적자본지원센터

④ 5
개년계획

연차별 추진내용
구분 비 고
2013 201
4 2015 20
16 2017
기존 사회적자본 국제
상호교류 → → → →
교류도시 관계 확대
사회적자본 Be
st 정보 파악
정보 파악 → → →
Pr
act
ice정보 파악 및 상호교류
근린 중심 전략의 사회 상호교류 확
정보 파악 → → →
적자본 도시와 교류 대
SocialCapi
talI
nit
iat
ive
대상도시들 네트워크 구 네트워크 발
Global Net
work 구축, → →
과의 교류 축 협의 족
운영

(
2)사회적자본 선도도시 국내네트워크 운영

① 기본방향

○ 사회적자본 선도 국내도시들과의 교류를 통해 정책방향,주요 성과지표,우수사업,


추진시스템 등에 대한 실질적 역량 강화

- 147 -
② 주요내용

○ 국가연구기관 및 타시도 연구기관 등 국내 주요 Thi


nk-Tank들과 Thi
nkNe
twor
king
추진
-국내 사회적자본 우수 국책연구기관인 한국교육개발원,우수 시 출연연구기관인 서울
연구원,대전발전연구원 등과 사회적자본 증진을 위하나 교류,협력 확대

○ 대전시,성북구 등과의 교류 협력 강화
- 사회적자본센터를 운영하고 있는 대전시,마을만들기지원센터를 운영하고 있는 서울
시 및 성북구청 등 사회적자본 우수 지자체와의 정보교류,우수사례 교환 등의 활동 추

③ 주관부서 :세계시민사회과(
인문사회지원팀)
,사회적자본지원센터

④ 5
개년계획

연차별 추진내용
구분 비 고
2
013 2
014 2015 2016 2017
사회적자본 선도도시 대상도시글 네트 워크 네 트 워크
상호교류 상호교류
네트워크 구축,운영 과의 교류 구축 협의 발족

(
3)사회적자본 정보교류센터 운영

① 기본방향

○ 사회적자본의 구민 교육 및 정보 제공,국내외 도시와의 교류 거점 역할을 수행할 센터


로 운영

② 주요내용

○ 사회적자본 정보교류센터의 설립 및 운영
-우리 구의 사회적자본 주요 활동,성과,주민참여,지역공동체 활동상황,사회적자본의
국내외 동향 등 다양한 정보의 수집 및 외부 발신

- 148 -
○ 정기적 웹진 발간,주요 활동보고서 발간 등 주요 출간 활동 실시

○ 구민 의견 제안 수렴,인터넷 웹 사이트 운영

③ 주관부서 :세계시민사회과(
인문사회지원팀)
,사회적자본지원센터

④ 5
개년계획

연차별 추진내용
구분 비 고
2013 2014 2015 2016 2017
해운대 사회적자본정보 조직 설립기본계
설립,운영 → →
교류센터 설립 및 운영 설립구상 획수립
전담 웹사이트 운영 및 기본 구상 웹사이트 구
→ → →
구민의견 수렴 수립 축 및 운영

(
4)국제컨퍼런스 등을 통한 선도전략 공유(
기존)

① 기본방향

○ 국내외적 사회적자본 우수 활동 및 선도전략 등에 대한 교류와 학습의 컨퍼런스 등


의 개최로 사회적자본의 역량 강화

② 주요내용

○ 해외 선진도시 및 국내도시의 사회적자본 우수사례 발표


-주요 해외 선진도시 및 국내 선진도시의 Bs
etPr
act
ice소개 및 학습

○ 우리 구 사회적자본 증진사업 및 우수사례의 발표


-우리 구가 역점적으로 실시한 사회적자본의 추진경위와 발전과정 소개

○ 우리 구 내외의 사례들에 대한 비교 분석

③ 주관부서 :세계시민사회과(
인문사회지원팀)
,사회적자본지원센터

④ 5
개년계획

- 149 -
연차별 추진내용
구분 비 고
2013 2014 2015 2016 2017
정기 국제컨퍼런스 실시 1회 개최 2회 개최 3회 개최 4회 개최 5회 개최
국제 및 국내 정책세미
연중 필요시 → → → →
나 개최,운영

(
5)국제자원봉사 촉진(
기존)

① 기본방향

○ 아시아 및 아프리카 등 아직 개발도상에 있는 주요 국가들에 대한 국제자원봉사의


실천으로 시민역량 및 국제교류의 기회 확대

② 주요내용

○ 국제자원봉사 실천 국가 및 도시 선정
-자원봉사 추진 사각지대 및 미실천 대상 국가․도시의 우선 선정
-대상도시 선정을 위한 지표체계 운영

○ 국제자원봉사 우선 대상 지역 자원봉사 실시
-구청은 지원 중심으로 하고 민간이 주도하여 추진

○ 다양한 원조 및 마을만들기 등 프로그램 지원


-의료 및 보건지원,문화,복지,주거환경개선 등 다양한 프로그램 운영
-마을만들기 등 해운대 사회자본 우수 사업 등의 집중적 지원

③ 주관부서 :세계시민사회과(
인문사회지원팀)
,사회적자본지원센터

④ 5
개년계획

연차별 추진내용
구분 비 고
2013 201
4 201
5 2
016 2017
대상 1차 대상
국제자원봉사 추진 → → →
도시선정 도시 선정

- 150 -
<참고문헌>

김동윤․오소현역(
2008)
,사회자본:Soc
ialCapi
tal
:A The
oryofSoc
ialSt
ruc
tur
e and
Ac
tion(
서울:커뮤니케이션북스)
.
김안나(
2003)
,한국과 독일의 친척 연결망 비교.한국사회학 37
(4)
.
김용학(
2004)
,사회연결망이론.박영사.
김용학․손재석(
199
8),미시적 신뢰와 거시적 위험.계간사상.가을호:115-1
31.
고경훈․안영훈․김건위(
2012)
,지방자치단체의 사회적 자본 측정 및 증진방안.한국지
방행정연구원.
남궁곤(
2004)
, 뉴잉글랜드 타운미팅을 통해 본 미국 참여 민주주의: 런던데리
(
Londonde
rry,NH)
.미국학논집.36(
2):127-14
9.
대전광역시 홈페이지(
htt
p:/
/www.
dae
jeon.
go.
kr)
.
박영강․허철행․이수구(
2013)
,세계일류도시 완성을 위한 해운대구 발전방안.해운대
구․한국지방정부학회 공동주최 세미나 발표논문.한국지방정부학회.
부산일보 홈페이지(
htt
p:/
/www.
busan.
com)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2011
),203
0비전과 전략.
부산광역시(
2005)
,부산발전 202
0비전과 전략.
신문수(
2013)
,인터넷 자료(
htt
p:/
/ne
c19
63.
ti
stor
y.c
om/
973:검색일 201
3.10.
4).
세계시민사회센터 홈페이지(
htt
p:/
/www.
cgc
sc.
org:검색일 20
13.
10.
25)
.
삼일 PwC컨설팅 역(
2006)
,정부와 공공부문 BSC 성과관리체계 구축 방법론.㈜시그마
인사이트컴.
유석춘·
장미혜·
정병은·
배영, 사회자본: 이론과 쟁점(
2007)
. Pi
err
e Bour
die
u, J
ame
s
Col
eman, Robe
rt Put
nam, Al
ejandr
o Por
tes
, Ke
nne
th Ne
wton, Mi
chae
l
Wool
coc
k.서울:그린.
이희태(
2012)
,지방정부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사회적 자본 확충 전략:부산광역시 해운
대구를 중심으로.지방정부연구.1
6(3)
.pp.69-89.
이동원․박준․강민형․채승병․최홍(
2009)
,사회적 자본 확충을 위한 정책과제.삼성경
제연구소.
이응철(
2012)
,사회적 자본 법제화(
Ⅰ)해외사례연구:일본.한국법제연구원.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201
1),공정사회 구축을 위한 사회적 자본 확충방안.201
1년도
특임장관실 학술연구용역.
아시아뉴스통신 홈페이지(
htt
p:/
/www.
ane
wsa.
com)
.

- 151 -
안전행정부 홈페이지 관계부처 합동보도자료(
2013)
(ht
tp:
//www.
mospa.
go.
kr)
.
조경만․박숙현(
201
2),사회적 자본 법제화(
Ⅰ)해외사례연구:캐나다․미국.한국법제연
구원.
진관훈(
2012)
,지방정부의 사회적 자본 증진 방안 연구.지방정부연구.16(
3):39
5-412.
진관훈(
2012)
,사회적 자본이 지역사회 복지거버넌스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사회
복지정책.Vol
.39.NO 4.pp. 205-23
0.
정인성(
2013)
,지적자본.사회적자본.그리고 뉴 패러다임.
한준(
2007)
,사회적 자본의 국제비교.직업과 인력개발.
해운대구(
201
3),20
13년 성과관리 자체평가 시행 계획.내부자료.
해운대구 세계시민사회과(
2013)
,2013사회적 자본 증진 기본계획.
Al
mond,Gabr
ieland Ve
rba,Si
dne
y,"
The Ci
vic Cul
tur
e:Pol
it
icalAt
ti
tude
s and
De
moc
rac
yinFi
veNat
ions
",SagePubl
icat
ionI
nc,196
3.
Cr
awf
ord,SueE.S.& Os
trom,El
inor,"
A Gr
ammarofI
nst
it
uti
ons
",TheAme
ric
an
Pol
it
icalSc
ienc
eRe
viw,Vol
ume8
9,I
ssue3,Se
p.,1995,58
2-600.
De
th,J
an W.Van.(
2000)
.Int
ere
sti
ng buti
rre
levant
:Soc
ialc
api
taland t
hesal
ienc
y
of pol
it
icsi
n We
ste
rn Eur
ope
.Eur
ope
an J
our
nalof Pol
it
icalRe
sear
ch,37:
115-1
47.
Fukuyama,F.
(1995
).Tr
ust:TheSoc
ialVi
rtue
sandt
heCr
eat
ionofPr
ospe
rit
y.Ne
w
Yor
k:TheFr
eePr
ess
.
Gr
oot
aer
t,Chr
ist
iaan,"
SOCI
AL CAPI
TAL:THE MI
SSI
NG LI
NK?"
,Soc
ialCapi
tal
I
nit
iat
ive
, Soc
ialCapi
talI
nit
iat
iveWor
kingPape
rNo.
3,1998
.
Le
vi,Mr
gar
et,"
Soc
ialand Uns
oci
alCapi
tal
:A Re
vie
w Es
say ofRobe
rtPut
nam'
s
Maki
ngDe
mocr
acyWor
k",Pol
it
ics& Soc
iet
yVol
.24,No.45,1996
Le
vi,Magar
et& Laur
a St
oke
r.(
2000)
.Pol
it
icalTr
ustand Tr
ust
wor
thi
ness
.Annual
Re
vie
w ofPol
it
icalSc
ienc
e,3:4
75–50
7.
Ne
wton,Ke
nne
th,"
Trus
t,s
oci
alcapi
tal
,ci
vils
oci
ety,and de
moc
rac
y",I
nte
rnat
ional
Pol
it
icalSc
ienc
eRe
viw,Vol
.22,No.2,pp.201-14
,2001.
Nor
th Dougl
ass C, I
nst
it
uti
ons
,Ins
tit
uti
onalChange
s and Ec
onomi
c Pe
rfor
mance
(
Cambr
idge
;Har
var
dUni
ver
sit
yPr
ess,19
90)
.
Os
trom E & Ahn T.K, Foundat
ions of s
oci
alc
api
tal(
USA,
; Edwar
d El
gar
Publ
ishi
ng,200
8).
Ol
son,Manc
ur,"
The Ri
se and De
cli
ne ofNat
ions
:Ec
onomi
c Gr
owt
h,St
agf
lat
ion,
andSoc
ialRi
gidi
ti
es"
,Yal
eUni
ver
sit
yPr
ess,19
82.
Por
tes
,A.(
200
0)."
TheTwoMe
ani
ngsofSoc
ialCapi
tal
",Soc
iol
ogi
calFor
ums,vol
.

- 152 -
15I
ssue1,pp1
-12.
Put
nam,Robe
rtD(
1993)
.(wi
th Robe
rtLe
onar
diand Raf
fae
lla Y.Nane
tti
),"
Maki
ng
De
moc
rac
y Wor
k:Ci
vic Tr
adi
ti
ons i
n Mode
rnI
tal
y",Pr
inc
eton Uni
ver
sit
y
Pr
ess.
Put
nam,R.(
1995)
.“Bowl
ing Al
one
:Ame
ric
a'sDe
cli
ning Soc
ialCapi
tal
”.J
our
nalof
De
moc
rac
y.Vol
.6.
Put
nam R,Bowl
ing Al
one
:TheCol
lapseandRe
vivalofAme
ric
anCommuni
ty(
New
Yor
k,;Si
mon& Sc
hus
ter
,2000)
.
Rot
hst
ein Bo and Di
etl
ind St
oll
e,“
Soci
al Capi
tal i
n Scandi
navi
a,” Sc
andi
navi
an
Pol
it
icalSt
udi
es,Vol
.26,I
ssue1(
2001)
,pp.1∼26
.
Tocque
vil
le,Al
exi
sde
,"De
moc
rac
yInAme
ric
a"r
ene
wdbyRi
char
dD.He
ffne
r,Ne
w
Yor
k:Pe
ngui
nBooks
,1984.
Us
lane
r,Er
ic.(
200
2).Mor
alFoundat
ionofTr
ust
.Ne
w Yor
k:Cambr
idge
Uni
ver
sit
yPr
ess
.

- 153 -
<부록> 주민설문조사와 소득별 교차분석표

◎ 가구 월평균 소득

1)신뢰영역

(
1)사적신뢰

<표-1> 가족 간의 신뢰관계
<문항 1> 귀하와 가족 간의 신뢰관계는 어떠한 편입니까?
(
단위:명,
%)

척도
높음 보통 낮음 합계
소득
30
0만원 미만 32
8(73.
38) 111(
24.
83) 8(
1.79) 4
47(
100
)
30
0만원 이상
34
1(84.
83) 55
(13.
68) 6(
1.49) 4
02(
100
)
50
0만원 미만
50
0만원 이상 46
6(87.
92) 59
(11.
13) 5(
0.94) 5
30(
100
)
총합 1135(
82.
31) 225(
16.
32) 19
(1.
38) 1379
(100)
통계량 자유도 4 카이제곱 38.
2950 확률 0
.0001

<표-2> 친척들 간의 신뢰관계


<문항 2> 귀하와 친척들 간의 신뢰관계는 어떠한 편입니까?
(
단위:명,
%)

척도
높음 보통 낮음 합계
소득
30
0만원 미만 22
0(49.
22) 187(
41.
83) 40
(8.
95) 4
47(
100
)
30
0만원 이상
24
9(61.
79) 144(
35.
73) 10
(2.
48) 4
03(
100
)
50
0만원 미만
50
0만원 이상 35
1(66.
73) 159(
30.
23) 16
(3.
04) 5
26(
100
)
총합 82
0(59.
59) 490(
35.
61) 66
(4.
80) 1376
(100)
통계량 자유도 4 카이제곱 45.
9858 확률 0
.0001

<표-3> 이웃과의 신뢰관계

- 154 -
<문항 3> 귀하와 이웃과의 신뢰관계는 어떠한 편입니까?
(
단위:명,
%)

척도
높음 보통 낮음 합계
소득
30
0만원 미만 13
8(31.
80) 207(
47.
70) 89(
20.
51) 4
34(
100
)
30
0만원 이상
14
1(37.
20) 198(
52.
24) 40(
10.
55) 3
79(
100
)
50
0만원 미만
50
0만원 이상 19
3(38.
76) 238(
47.
79) 67(
13.
45) 4
98(
100
)
총합 47
2(36.
00) 643(
49.
05) 196
(14.
95) 1311
(100)
통계량 자유도 4 카이제곱 19.
0508 확률 0
.0008

(
2)공적신뢰

<표-4> 해운대구 행정에 대한 신뢰도


<문항 4> 귀하의 해운대구 행정에 대한 신뢰도는 어떠한 편입니까?
(
단위:명,
%)

척도
높음 보통 낮음 합계
소득
30
0만원 미만 70(
16.
79) 261(
62.
59) 86(
20.
62) 4
17(
100
)
30
0만원 이상
60(
15.
58) 277(
71.
95) 48(
12.
47) 3
85(
100
)
50
0만원 미만
50
0만원 이상 10
8(22.
18) 319(
65.
50) 60(
12.
32) 4
87(
100
)
총합 23
8(18.
46) 857(
66.
49) 194
(15.
05) 1289
(100)
통계량 자유도 4 카이제곱 21.
4742 확률 0
.0003

<표-5> 주민센타(
동사무소)
에 대한 신뢰도
<문항 5> 귀하의 주민센타(
동사무소)
에 대한 신뢰도는 어떠한 편입니까?
(
단위:명,
%)

척도
높음 보통 낮음 합계
소득
30
0만원 미만 10
3(24.
01) 279(
65.
03) 47(
10.
96) 4
29(
100
)
30
0만원 이상
88(
22.
74) 268(
69.
25) 31
(8.
01) 3
87(
100
)
50
0만원 미만
50
0만원 이상 14
0(28.
34) 313(
63.
36) 41
(8.
30) 4
94(
100
)
총합 33
1(25.
27) 860(
65.
65) 119(
9.08
) 1310
(100)
통계량 자유도 4 카이제곱 6.
7574 확률 0
.1493

- 155 -
<표-6> 부산시 행정에 대한 신뢰도
<문항 6> 귀하의 부산시 행정에 대한 신뢰도는 어떠한 편입니까?
(
단위:명,
%)

척도
높음 보통 낮음 합계
소득
30
0만원 미만 67(
16.
11) 258(
62.
02) 91(
21.
88) 4
16(
100
)
30
0만원 이상
65(
16.
75) 265(
68.
30) 58(
14.
95) 3
88(
100
)
50
0만원 미만
50
0만원 이상 86(
17.
41) 310(
62.
75) 98(
19.
84) 4
94(
100
)
총합 21
8(16.
80) 833(
64.
18) 247
(19.
03) 1298
(100)
통계량 자유도 4 카이제곱 7.
0479 확률 0
.1333

2)규범적 영역

(
1)호혜성

<표-7> 다른 사람을 도우면 자신도 도움을 받을 수 있는 가능성


<문항 7> 귀하는 다른 사람을 도우면 자신도 타인의 도움을 받을 수 있는 가능성이 어
떠하다고 보십니까?
(
단위:명,
%)

척도
높음 보통 낮음 합계
소득
30
0만원 미만 19
4(43.
69) 211(
47.
52) 39
(8.
78) 4
44(
100
)
30
0만원 이상
22
7(56.
89) 153(
38.
35) 19
(4.
76) 3
99(
100
)
50
0만원 미만
50
0만원 이상 31
3(60.
08) 170(
32.
63) 38
(7.
29) 5
21(
100
)
총합 73
4(53.
81) 534(
39.
15) 96
(7.
04) 1364
(100)
통계량 자유도 4 카이제곱 31.
5326 확률 0
.0001

<표-8> 이웃사람들이 남들에게 피해 주지 않으려고 조심하는 정도


<문항 8> 귀하의 이웃사람들이 평소 남들에게 피해 주지 않으려고 조심하는 정도가 어
떠하다고 보십니까?
(
단위:명,
%)

- 156 -
척도
높음 보통 낮음 합계
소득
30
0만원 미만 25
9(58.
47) 138(
31.
15) 46(
10.
38) 4
43(
100
)
30
0만원 이상
24
2(60.
50) 137(
34.
25) 21
(5.
25) 4
00(
100
)
50
0만원 미만
50
0만원 이상 35
8(68.
45) 122(
23.
33) 43
(8.
22) 5
23(
100
)
총합 85
9(62.
88) 397(
29.
06) 110(
8.05
) 1366
(100)
통계량 자유도 4 카이제곱 21.
5132 확률 0
.0003

<표-9> 헌혈이나 장기기증운동에 참여할 의사


<문항 9> 귀하는 앞으로 헌혈이나 장기기증운동에 참여할 의사가 어느 정도 입니까?
(
단위:명,
%)

척도
높음 보통 낮음 합계
소득
30
0만원 미만 12
7(30.
38) 203(
48.
56) 88(
21.
05) 4
18(
100
)
30
0만원 이상
13
7(34.
86) 188(
47.
84) 68(
17.
30) 3
93(
100
)
50
0만원 미만
50
0만원 이상 21
0(41.
26) 202(
39.
69) 97(
19.
06) 5
09(
100
)
총합 47
4(35.
91) 593(
44.
92) 253
(19.
17) 1320
(100)
통계량 자유도 4 카이제곱 14.
3059 확률 0
.0064

(
2)규범성

<표-10> 백화점이나 공공장소에서 차례를 지키는 정도


<문항 10> 귀하의 이웃들이 백화점이나 공공장소에서 차례를 지키는 정도가 어떠하다
고 보십니까?
(
단위:명,
%)

척도
높음 보통 낮음 합계
소득
30
0만원 미만 20
4(47.
00) 181(
41.
71) 49(
11.
29) 4
34(
100
)
30
0만원 이상
20
6(52.
42) 165(
41.
98) 22
(5.
60) 3
93(
100
)
50
0만원 미만
50
0만원 이상 29
7(58.
58) 178(
35.
11) 32
(6.
31) 5
07(
100
)
총합 70
7(53.
00) 524(
39.
28) 103(
7.72
) 1334
(100)
통계량 자유도 4 카이제곱 20.
3344 확률 0
.0004

- 157 -
<표-11> 교통질서를 지키는 정도
<문항 11> 귀하의 이웃들이 교통질서를 지키는 정도는 어떠하다고 보십니까?
(
단위:명,
%)

척도
높음 보통 낮음 합계
소득
30
0만원 미만 15
3(35.
75) 220(
51.
40) 55(
12.
85) 4
28(
100
)
30
0만원 이상
16
9(42.
89) 189(
47.
97) 36
(9.
14) 3
94(
100
)
50
0만원 미만
50
0만원 이상 23
5(17.
59) 223(
16.
69) 56
(4.
19) 5
14(
100
)
총합 55
7(41.
69) 632(
47.
31) 147
(11.
00) 1336
(100)
통계량 자유도 4 카이제곱 11.
5687 확률 0
.0209

<표-12> 쓰레기를 잘 처리하는 정도


<문항 12> 이웃들이 쓰레기를 함부로 버리지 않고 잘 처리하는 정도는 어떠한 편입니까?
(
단위:명,
%)

척도
높음 보통 낮음 합계
소득
30
0만원 미만 19
0(43.
28) 170(
38.
72) 79(
18.
00) 4
39(
100
)
30
0만원 이상
19
9(50.
25) 153(
38.
64) 44(
11.
11) 3
96(
100
)
50
0만원 미만
50
0만원 이상 30
4(58.
91) 162(
31.
40) 50
(9.
69) 5
16(
100
)
총합 69
3(51.
30) 485(
35.
90) 173
(12.
81) 1351
(100)
통계량 자유도 4 카이제곱 30.
1736 확률 0
.0001

(
3)연대감

<표-13> 해운대구 주민으로서의 자부심


<문항 13> 귀하는 해운대구 주민으로서의 자부심이 어떠한 편입니까?
(
단위:명,
%)

척도
높음 보통 낮음 합계
소득
30
0만원 미만 15
4(35.
65) 248(
57.
41) 30
(6.
94) 4
32(
100
)
30
0만원 이상
20
9(52.
78) 177(
44.
70) 10
(2.
53) 3
96(
100
)
50
0만원 미만

- 158 -
50
0만원 이상 29
9(58.
28) 198(
38.
60) 16
(3.
12) 5
13(
100
)
총합 66
2(49.
37) 623(
46.
46) 56
(4.
18) 1341
(100)
통계량 자유도 4 카이제곱 55.
7893 확률 0
.0001

<표-14> 부산시민으로서의 자부심


<문항 14> 귀하는 부산시민으로서의 자부심이 어떠한 편입니까?
(
단위:명,
%)

척도
높음 보통 낮음 합계
소득
30
0만원 미만 15
8(36.
24) 245(
56.
19) 33
(7.
57) 4
36(
100
)
30
0만원 이상
18
5(45.
91) 199(
49.
38) 19
(4.
71) 4
03(
100
)
50
0만원 미만
50
0만원 이상 22
2(42.
77) 267(
51.
45) 30
(5.
78) 5
19(
100
)
총합 56
5(41.
61) 711(
52.
36) 82
(6.
04) 1358
(100)
통계량 자유도 4 카이제곱 9.
8880 확률 0
.0424

<표-15> 현재 사는 동 주민으로서의 자부심


<문항 15> 귀하는 현재 사는 동 주민으로서의 자부심이 어떠한 편입니까?
(
단위:명,
%)

척도
높음 보통 낮음 합계
소득
30
0만원 미만 10
6(24.
31) 276(
63.
30) 54(
12.
39) 4
36(
100
)
30
0만원 이상
16
3(40.
75) 214(
53.
50) 23
(5.
75) 4
00(
100
)
50
0만원 미만
50
0만원 이상 23
8(46.
39) 250(
48.
73) 25
(4.
87) 5
13(
100
)
총합 50
7(37.
58) 740(
54.
86) 102(
7.56
) 1349
(100)
통계량 자유도 4 카이제곱 61.
4630 확률 0
.0001

<표-16> 현 지역에서 계속 거주하고자하는 욕구


<문항 16> 귀하는 현 지역에서 계속 거주하고자하는 욕구가 어떠한 편입니까?
(
단위:명,
%)

척도
높음 보통 낮음 합계
소득
30
0만원 미만 15
1(34.
87) 191(
44.
11) 91(
21.
02) 4
33(
100
)

30
0만원 이상 20
4(51.
00) 153(
38.
25) 43(
10.
75) 4
00(
100
)

- 159 -
50
0만원 미만
50
0만원 이상 32
7(62.
64) 138(
26.
44) 57(
10.
92) 5
22(
100
)
총합 68
2(50.
33) 482(
35.
57) 191
(14.
10) 1355
(100)
통계량 자유도 4 카이제곱 79.
8668 확률 0
.0001

<표-17> 현재 살고 있는 동네의 발전정도


<문항 17> 귀하는 현재 살고 있는 동네의 발전정도를 어떻게 보십니까?
(
단위:명,
%)

척도
높음 보통 낮음 합계
소득
30
0만원 미만 11
5(26.
38) 198(
45.
41) 123
(28.
21) 4
36(
100
)
30
0만원 이상
16
9(42.
25) 165(
41.
25) 66(
16.
50) 4
00(
100
)
50
0만원 미만
50
0만원 이상 29
4(56.
00) 182(
34.
67) 49
(9.
33) 5
25(
100
)
총합 57
8(42.
47) 545(
40.
04) 238
(17.
49) 1361
(100)
통계량 자유도 4 카이제곱 105
.1562 확률 0
.0001

3)네트워크 영역

(
1)사적 연결망

<표-18> 가족들과 선물을 교환하거나 외식 등을 같이하는 정도


<문항 18> 귀하의 가정에서 가족들과 선물을 교환하거나 외식 혹은 놀이를 같이하는
정도는 이웃에 비하여 어떠한 편입니까?
(
단위:명,
%)

척도
높음 보통 낮음 합계
소득
30
0만원 미만 14
5(32.
66) 194(
43.
69) 105
(23.
65) 4
44(
100
)
30
0만원 이상
16
7(42.
17) 187(
47.
22) 42(
10.
61) 3
96(
100
)
50
0만원 미만
50
0만원 이상 28
2(54.
13) 187(
35.
89) 52
(9.
98) 5
21(
100
)
총합 59
4(43.
64) 568(
41.
73) 199
(14.
62) 1361
(100)
통계량 자유도 4 카이제곱 69.
9054 확률 0
.0001

<표-19> 친척이나 친구들과 외식 혹은 놀이를 같이하는 정도

- 160 -
<문항 19> 귀하의 가정(
부부중심)
에서 친척이나 친구들과 외식 혹은 놀이를 같이하는
정도는 이웃에 비하여 어떠한 편입니까?
(
단위:명,
%)

척도
높음 보통 낮음 합계
소득
30
0만원 미만 10
8(24.
43) 218(
49.
32) 116
(26.
24) 4
42(
100
)
30
0만원 이상
13
6(34.
34) 207(
52.
27) 53(
13.
38) 3
96(
100
)
50
0만원 미만
50
0만원 이상 22
9(44.
04) 208(
40.
00) 83(
15.
96) 5
20(
100
)
총합 47
3(34.
83) 633(
46.
61) 252
(18.
56) 1358
(100)
통계량 자유도 4 카이제곱 56.
3702 확률 0
.0001

<표-20> 이웃 및 학부모 등과 식사 혹은 상의하는 정도


<문항 20> 귀하의 가정(
부부중심)
에서 이웃 및 학부모 등과 잡담을 하거나 식사 혹은
상의하는 정도는 어떠한 편입니까?
(
단위:명,
%)

척도
높음 보통 낮음 합계
소득
30
0만원 미만 78(
17.
89) 164(
37.
61) 194
(44.
50) 4
36(
100
)
30
0만원 이상
99(
25.
13) 154(
39.
09) 141
(35.
79) 3
94(
100
)
50
0만원 미만
50
0만원 이상 14
7(28.
32) 184(
35.
45) 188
(36.
22) 5
19(
100
)
총합 32
4(24.
02) 502(
37.
21) 523
(38.
77) 1349
(100)
통계량 자유도 4 카이제곱 17.
3065 확률 0
.0017

(
2)공적연결망

<표-21> 아파트 동 대표나 통장들과의 유대


<문항 2
1> 귀하의 가정(
부부중심)
에서 아파트 동 대표나 통장들과 연락하는 등 유대는
어떠한 편입니까?
(
단위:명,
%)

척도
높음 보통 낮음 합계
소득
30
0만원 미만 3
7(9.
07) 137(
33.
58) 234
(57.
35) 4
08(
100
)
30
0만원 이상
49(
13.
07) 122(
32.
53) 204
(54.
40) 3
75(
100
)
50
0만원 미만

- 161 -
50
0만원 이상 4
1(8.
35) 125(
25.
46) 325
(66.
19) 4
91(
100
)
총합 127(
9.9
7) 384(
30.
14) 763
(59.
89) 1274
(100)
통계량 자유도 4 카이제곱 16.
6967 확률 0
.0022

<표-22> 동사무소 혹은 해운대구 공무원들의 유대


<문항 22> 귀하의 가정(
부부중심)
에서 동사무소 혹은 해운대구 공무원들과 연락하는
등 유대는 어떠한 편입니까?
(
단위:명,
%)

척도
높음 보통 낮음 합계
소득
30
0만원 미만 3
3(8.
21) 118(
29.
35) 251
(62.
44) 4
02(
100
)
30
0만원 이상
3
5(9.
64) 101(
27.
82) 227
(62.
53) 3
63(
100
)
50
0만원 미만
50
0만원 이상 2
5(5.
36) 98
(21.
03) 343
(73.
61) 4
66(
100
)
총합 9
3(7.
55) 317(
25.
75) 821
(66.
69) 1231
(100)
통계량 자유도 4 카이제곱 17.
3143 확률 0
.0017

<표-23> 지방의원이나 시민단체 구성원과의 유대


<문항 23> 귀하의 가정(
부부중심)
에서 지방의원(
해운대구 의원 포함)
이나 시민단체 구
성원과 연락하는 등 유대는 어떠한 편입니까?
(
단위:명,
%)

척도
높음 보통 낮음 합계
소득
30
0만원 미만 1
7(4.
38) 102(
26.
29) 269
(69.
33) 3
88(
100
)
30
0만원 이상
2
9(8.
55) 97
(28.
61) 213
(62.
83) 3
39(
100
)
50
0만원 미만
50
0만원 이상 2
6(5.
87) 96
(21.
67) 321
(72.
46) 4
43(
100
)
총합 7
2(6.
15) 295(
25.
21) 803
(68.
63) 1170
(100)
통계량 자유도 4 카이제곱 11.
7871 확률 0
.0190

<표-24> 학부모 단체 구성원 혹은 교사들과의 유대


<문항 2
4> 귀하의 가정(
부부중심)
에서 학부모 단체 구성원 혹은 교사들과 연락하는 등
유대는 어떠한 편입니까?
(
단위:명,
%)

- 162 -
척도
높음 보통 낮음 합계
소득
30
0만원 미만 50(
11.
71) 154(
36.
07) 223
(52.
22) 4
27(
100
)
30
0만원 이상
49(
12.
89) 145(
38.
16) 186
(48.
95) 3
80(
100
)
50
0만원 미만
50
0만원 이상 72(14.
49) 196(
39.
44) 229
(46.
08) 4
97(100)
총합 171(
13.11) 495(
37.
96) 638
(48.
93) 1304
(100)
통계량 자유도 4 카이제곱 3.
8382 확률 0 .
4283

4)참여영역

(
1)지역사회활동 참여

<표-25> 아파트 주민대표 혹은 거주지 부녀회 등의 참여


<문항 2
5> 귀하의 가정(
부부중심)
에서 아파트 주민대표 혹은 거주지 부녀회 등에 참여
하는 정도는 어떠한 편입니까?
(
단위:명,
%)

척도
높음 보통 낮음 합계
소득
30
0만원 미만 2
5(6.
38) 101(
25.
77) 266
(67.
86) 3
92(
100
)
30
0만원 이상
37(
10.
03) 105(
28.
46) 227
(61.
52) 3
69(
100
)
50
0만원 미만
50
0만원 이상 3
4(7.
20) 110(
23.
31) 328
(69.
49) 4
72(
100
)
총합 9
6(7.
79) 316(
25.
63) 821
(66.
59) 1233
(100)
통계량 자유도 4 카이제곱 7.
8496 확률 0
.0972

<표-26> 종교단체에 참여하여 활동하는 정도


<문항 26> 귀하의 가정(
부부중심)
에서 종교단체에 참여하여 활동하는 정도는 어떠한
편입니까?
(
단위:명,
%)

척도
높음 보통 낮음 합계
소득
30
0만원 미만 86(
24.
23) 104(
29.
30) 165
(46.
48) 3
55(
100
)
30
0만원 이상
83(
23.
78) 109(
31.
23) 157
(44.
99) 3
49(
100
)
50
0만원 미만

- 163 -
50
0만원 이상 12
6(28.
51) 106(
23.
98) 210
(47.
51) 4
42(
100
)
총합 29
5(25.
74) 319(
27.
84) 532
(46.
42) 1146
(100)
통계량 자유도 4 카이제곱 6.
4952 확률 0
.1651

<표-27> 봉사단체나 취미단체에 참여하는 정도


<문항 27> 귀하의 가정(
부부중심)
에서 봉사단체나 취미단체에 참여하는 정도는 어떠한
편입니까?
(
단위:명,
%)

척도
높음 보통 낮음 합계
소득
30
0만원 미만 52(
12.
53) 122(
29.
40) 241
(58.
07) 4
15(
100
)
30
0만원 이상
62(
16.
27) 135(
35.
43) 184
(48.
29) 3
81(
100
)
50
0만원 미만
50
0만원 이상 86(
17.
34) 175(
35.
28) 235
(47.
38) 4
96(
100
)
총합 20
0(15.
48) 432(
33.
44) 660
(51.
08) 1292
(100)
통계량 자유도 4 카이제곱 12.
4597 확률 0
.0142

(
2)시민참여

<표-28> 지역축제나 이벤트에 참여하는 정도


<문항 28> 귀하의 가정(
부부중심)
에서 지역축제나 이벤트에 참여하는 정도 어떠한 편
입니까?
(
단위:명,
%)

척도
높음 보통 낮음 합계
소득
30
0만원 미만 47(
11.
24) 153(
36.
60) 218
(52.
15) 4
18(
100
)
30
0만원 이상
54(
13.
99) 164(
42.
49) 168
(43.
52) 3
86(
100
)
50
0만원 미만
50
0만원 이상 77(
15.
34) 219(
43.
63) 206
(41.
04) 5
02(
100
)
총합 17
8(13.
63) 536(
41.
04) 592
(45.
33) 1306
(100)
통계량 자유도 4 카이제곱 12.
4908 확률 0
.0141

<표-29> 공공부문에 참여하여 봉사할 의사


<문항 2
9> 귀하께서는 학부모단체나 해운대구 주민참여예산위원 등으로 참여하여 공공
부문에 봉사할 의사가 어떠한 편입니까?

- 164 -
(
단위:명,
%)

척도
높음 보통 낮음 합계
소득
30
0만원 미만 41(
10.
43) 181(
46.
06) 171
(43.
51) 3
93(
100
)
30
0만원 이상
55(
14.
71) 183(
48.
93) 136
(36.
36) 3
74(
100
)
50
0만원 미만
50
0만원 이상 72(
14.
88) 223(
46.
07) 189
(39.
05) 4
84(
100
)
총합 16
8(13.
43) 587(
46.
92) 496
(39.
65) 1251
(100)
통계량 자유도 4 카이제곱 6.
8355 확률 0
.1448

<표-30> 공공부문에 이메일 등으로 제안할 의사


<문항 30> 귀하께서는 좋은 아이디어가 있을 경우 해운대구 등 공공부문에 전화 혹은
이메일 등의 방식으로 제안할 의사가 어떠한 편입니까?
(
단위:명,
%)

척도
높음 보통 낮음 합계
소득
30
0만원 미만 40(
10.
26) 161(
41.
28) 189
(48.
46) 3
90(
100
)
30
0만원 이상
60(
16.
17) 147(
39.
62) 164
(44.
20) 3
71(
100
)
50
0만원 미만
50
0만원 이상 79(
16.
09) 210(
42.
77) 202
(41.
14) 4
91(
100
)
총합 17
9(14.
30) 518(
41.
37) 555
(44.
33) 1252
(100)
통계량 자유도 4 카이제곱 9.
6068 확률 0
.0476

<표-31> 주민들과 함께 시위에 참여할 의사


<문항 31> 귀하께서는 만약 해운대구 행정처리로 인하여 주민피해가 발생할 경우 주민
들과 함께 시위에 참여할 의사가 어떠한 편입니까?
(
단위:명,
%)

척도
높음 보통 낮음 합계
소득
30
0만원 미만 77(
19.
25) 188(
47.
00) 135
(33.
75) 4
00(
100
)
30
0만원 이상
88(
23.
16) 190(
50.
00) 102
(26.
84) 3
80(
100
)
50
0만원 미만
50
0만원 이상 11
0(22.
36) 235(
47.
76) 147
(29.
88) 4
92(
100
)
총합 27
5(21.
62) 613(
48.
19) 384
(30.
19) 1272
(100)
통계량 자유도 4 카이제곱 5.
0791 확률 0
.2793

- 165 -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