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218

건설업 보건관리

위험성평가 모델 개발(Ⅱ)
- 토목건설공사

김수근·고영욱·김원술·박동기·정혜선·손숙경·정태성
제 출 문
산업안전보건연구원장 귀하

본 보고서를 “건설업 보건관리 위험성평가 모델 개발


(Ⅱ)-토목건설공사”의 최종보고서로 제출합니다.

2018년 10월
연구 기관 : (주) 삼성의료재단 강북삼성병원

연구 기간 : 2018. 03. 29. ~2018. 10.31.

연구책임자 : 김 수 근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교수)

공동연구원 : 고 영 욱 (SK 건설 상무)


김 원 술 (강북삼성병원 교수)
박 동 기 (한국산업간호협회 전무)
정 혜 선 (가톨릭대학교 보건대학원 교수)

연구보조원 : 정 태 성 (한양대학교 의료원 팀장)


손 숙 경 (한국산업간호협회 국장)

보 조 원 : 이 혜 숙 (강북삼성병원)
요약문 ‥‥ i

요약문
연구기간 2018년 03월 ~ 2018년 10월

핵심단어 위험성 평가, 보건관리 지침, 토목건설공사

연구과제명
건설업 보건관리 위험성 평가 모델 개발(II)-토목건설
공사

1. 연구 배경
❍ 토목건설공사는 근로자의 유동성이 심하고 중량물을 취급하는 작업
이 많으며, 수차의 하도급 작업이 이루어짐.

❍ 옥외작업과 가변적이며 일회성 작업이 주를 이루고 있고, 다양한 위


험요소가 존재하고 있음.

❍ 토목건설공사 현장의 특성을 고려한 보건관리 기법에 대한 이해 부


족 등으로 현장의 보건관리가 정착되지 못하고 있음.

2. 주요 연구내용
❍ 토목공사 보건관리 위험성 평가 모델 개발
- 토목건설공사 종류별 공사개요 및 공정별 유해요인 제시
- 토목건설공사의 주요 유해요인과 건강영향
- 토목건설공사 현장의 위험성 평가 추진개요
- 토목건설공사 현자의 유해요인별 가능성(노출수준 등급)과 중대성(유
해성 등급)의 분류기준 제시
- 위험성 평가의 기록 및 모니터링
- 위험성 평가교육
ii‥‥ 건설업 보건관리 위험성 평가 모델 개발(Ⅱ)-토목공사

❍ 토목건설공사 보건관리 실무매뉴얼 개발

보건관리자 및 안전관리자, 재해예방기관종사자, 관리감독자 등 실무


자가 토목건설공사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보건관리 실무매뉴얼(보
급용) 개발하였다. 이번 매뉴얼은 토목공사 중에서 다음과 같이 9개 공
사별로 유해위험요인 관리방법을 중심으로 제시하였다.

- 토공사의 유해위험요인 및 관리방안


- 철근콘크리트공사의 유해위험요인 및 관리방안
- 교량공사의 유해위험요인 및 관리방안
- 터널공사의 유해위험요인 및 관리방안
- 항만공사의 유해위험요인 및 관리방안
- 댐공사의 유해위험요인 및 관리방안
- 포장공사의 유해위험요인 및 관리방안
- 관로공사의 유해위험요인 및 관리방안
- 철도공사의 유해위험요인 및 관리방안

3. 연구 활용방안
❍ 토목건설공사현장의 위험성 평가 활동의 실무 지침으로 활용
❍ 토목건설공사 현장의 유해요인의 파악과 건강영향에 대한 교육자료로 활용
❍ 토목건설공사 현자의 보건관리업무의 가이드로 활용

4. 연락처
- 연구책임자 :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교수 김 수 근
- 연구상대역 : 산업안전보건연구원 직업환경연구실 박현희
- ☎ 052) 703. 0901
- E-mail bioaerosol@kosha.or.kr
차례 ‥‥ i

차 례

요약문 ······················································································ 01
I. 서 론 ···················································································· 01
1. 연구배경 및 필요성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01
2. 연구목적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03

Ⅱ . 연구내용 및 연구방법 ················································· 04


1. 연구내용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04
2. 연구방법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06

III. 연구결과 ········································································· 08


1. 토목공사의 개요 및 유해위험요인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08
1) 토공사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08
2) 철근콘크리트 공사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1
ii‥‥ 건설업 보건관리 위험성 평가 모델 개발(Ⅱ)-토목공사

3) 교량공사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4
4) 터널공사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8
5) 항만공사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3
6) 댐공사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7
7) 포장공사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1
8) 관로공사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5
9) 철도공사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2

2. 토목공사의 유해요인과 건강영향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6
1) 토목공사현장의 분진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6
2) 철근콘크리트 공사에서 사용하는 화학물질 ·
··
··
··
··
··
··
··
··
··
··
··
··
··
··
··
··
··
··
··50
3) 방동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3
4) 디젤엔진배출물질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6
5) 아스팔트 흄(asphalt fume)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9
6) 토목구조물의 도장작업의 유해요인 ·
··
··
··
··
··
··
··
··
··
··
··
··
··
··
··
··
··
··
··
··
··
··
··
··
··
··72

3. 위험성 평가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79
1) 위험성 평가 개요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79
2) 토목공사현장의 위험성 평가 추진방법 ·
·
···
··
··
··
··
··
··
··
··
··
··
··
··
··
··
··
··
··
··
··
··
··84
3) 유해요인별 가능성 및 중대성 분류기준 ·
··
··
··
··
··
··
··
··
··
··
··
··
··
··
··
··
··
··
··
··
··
··99
4) 기록 및 모니터링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09
5) KRAS 활용법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11
6) 위험성평가 교육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17
차례 ‥‥ iii

4. 토목공사현장의 보건관리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19
1) 토공사의 유해위험요인 및 관리방안 ·
··
··
··
··
··
··
··
··
··
··
··
··
··
··
··
··
··
··
··
··
··
··
··
··119
2) 철근콘크리트공사의 유해위험요인 및 관리방안 ·
··
··
··
··
··
··
··
··
··
··
··
··
··
··140
3) 교량공사의 유해위험요인 및 관리방안 ·
·
···
··
··
··
··
··
··
··
··
··
··
··
··
··
··
··
··
··
··
··
··149
4) 터널공사의 유해위험요인 및 관리방안 ·
·
···
··
··
··
··
··
··
··
··
··
··
··
··
··
··
··
··
··
··
··
··163
5) 항만공사의 유해위험요인 및 관리방안 ·
·
···
··
··
··
··
··
··
··
··
··
··
··
··
··
··
··
··
··
··
··
··170
6) 댐공사의 유해위험요인 및 관리방안 ·
··
··
··
··
··
··
··
··
··
··
··
··
··
··
··
··
··
··
··
··
··
··
··
··175
7) 포장목공사의 유해위험요인 및 관리방안 ·
··
··
··
··
··
··
··
··
··
··
··
··
··
··
··
··
··
··
··
··179
8) 관로공사의 유해위험요인 및 관리방안 ·
·
···
··
··
··
··
··
··
··
··
··
··
··
··
··
··
··
··
··
··
··
··185
9) 철도공사의 유해위험요인 및 관리방안 ·
·
···
··
··
··
··
··
··
··
··
··
··
··
··
··
··
··
··
··
··
··
··198

IV. 결론 ··············································································· 199


참고문헌 ··············································································· 200
Abstract ·············································································· 203
iv‥‥ 건설업 보건관리 위험성 평가 모델 개발(Ⅱ)-토목공사

표차례
<표 1-1> 항만 시공 순서와 작업내용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3
<표 1-2> 댐공사의 공정별 유해위험요인 ·
··
··
··
··
··
··
··
··
··
··
··
··
··
··
··
··
··
··
··
··
··
··
··
··
··
·29
<표 2-1> 혼화제의 구성분과 구성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2
<표 2-2> 콘크리트 혼화제의 종류별 화학물질 ·
··
··
··
··
··
··
··
··
··
··
··
··
··
··
··
··
··
··
··
··
·53
<표 2-3>거푸집 박리제의 구성성분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8
<표 2-4> 구성성분의 명칭 및 함유랑 표시 ·
·
···
··
··
··
··
··
··
··
··
··
··
··
··
··
··
··
··
··
··
··
··
··
·59
<표 2-5> 국내 방동제의 구성성분과 함유량 ·
··
··
··
··
··
··
··
··
··
··
··
··
··
··
··
··
··
··
··
··
··
··
·63
<표 2-6> 디젤엔진배출물질의 주요 화학성분 ·
··
··
··
··
··
··
··
··
··
··
··
··
··
··
··
··
··
··
··
··
··
·67
<표 2-7> 합성수지 종류에 따른 도료의 구분 ·
··
··
··
··
··
··
··
··
··
··
··
··
··
··
··
··
··
··
··
··
··
·72
<표 2-8>도료에 사용되는 안료의 종류 ·
··
··
··
··
··
··
··
··
··
··
··
··
··
··
··
··
··
··
··
··
··
··
··
··
··
··
··
·74
<표 2-9>도료에 사용되는 유기용제의 종류 ·
·
···
··
··
··
··
··
··
··
··
··
··
··
··
··
··
··
··
··
··
··
··
··
·75
<표 3-1> 유해요인 가능성 추정 예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93
<표 3-2> 유해요인 중대성 추정 예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93
<표 3-3> 유해요인 개선⋅관리 예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97
<표 4-1> 청력보호구의 종류별 용도 및 장․단점 ·
··
··
··
··
··
··
··
··
··
··
··
··
··
··
··
··
··122
<표 4-2> 작업형태별, 성별, 연령별 취급 중량 기준 ·
··
··
··
··
··
··
··
··
··
··
··
··
··
··
·138
<표 4-3> 근골격계질환 유해요인 체크리스트 ·
··
··
··
··
··
··
··
··
··
··
··
··
··
··
··
··
··
··
··
··
·139
<표 4-4> 화상의 종류별 관리방안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53
<표 4-5> 인간공학적인 장비선택 체크리스트 ·
··
··
··
··
··
··
··
··
··
··
··
··
··
··
··
··
··
··
··
··
·154
<표 4-6> 페인트의 주요 발암물질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58
<표 4-7> 페인트의 사용과 대처방법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62
차례 ‥‥ v

<표 4-8> 잠수작업에 고려되어야 할 과거병력 ·


··
··
··
··
··
··
··
··
··
··
··
··
··
··
··
··
··
··
··
·174
<표 4-9> 화학제품과 물질의 목록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91
<표 4-10> 산안안전보건법 규정 대상 여부 ·
·
···
··
··
··
··
··
··
··
··
··
··
··
··
··
··
··
··
··
··
··
··
·192
<표 4-11> 화학물질의 건강유해성 분류체계 ·
··
··
··
··
··
··
··
··
··
··
··
··
··
··
··
··
··
··
··
··
··
·193
<표 4-12> 단일발암물질의 분류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94
<표 4-13> 발암물질이 혼합된 혼합물의 발암성 분류 ·
··
··
··
··
··
··
··
··
··
··
··
··
··
·194
<표 4-14> 단일물질의 분류: 특정표적장기 독성(반복노출) ·
··
··
··
··
··
··
··
··
·194
<표 4-15> 물질안전보건자료 제11항 독성에 관한 정보 ·
··
··
··
··
··
··
··
··
··
··
··
·195
vi‥‥ 건설업 보건관리 위험성 평가 모델 개발(Ⅱ)-토목공사

그림차례
[그림 1-1] 토공사의 공정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08
[그림 1-2] 터널공법의 분류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8
[그림 1-3] NATM공법 시공 흐름도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8
[그림 1-4] 필댐과 코크리트 댐의 시공과정 ·
··
··
··
··
··
··
··
··
··
··
··
··
··
··
··
··
··
··
··
··
··
··
··28
[그림 1-5] 관로공사의 수서와 작업내용 ·
··
··
··
··
··
··
··
··
··
··
··
··
··
··
··
··
··
··
··
··
··
··
··
··
··
··36
[그림 2-1] 거푸집 박리제 도포작업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0
[그림 2-2] 피막형성제의 종류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74
[그림 3-1] 위험성평가팀 조직도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87
[그림 4-1] 유기가스용 방독마스크 및 필터 ·
··
··
··
··
··
··
··
··
··
··
··
··
··
··
··
··
··
··
··
··
··
··167
Ⅰ. 서론 ‥‥ 1

I. 서 론
1. 연구배경 및 필요성
토목건설공사는 타 산업현장과 달리 근로자의 유동성이 심하고 중량물을 취
급하는 작업이 많으며, 수차의 하도급 작업이 이루지는 형태를 갖추고 있다. 또
한 옥외작업과 가변적이며 일회성 작업이 주를 이루고 있기 때문에 다양한 위
험요소가 존재하고 있다. 그리고 다양한 화학물질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이
러한 특징을 갖추고 있는 토목건설공사는 타 산업에 비하여 재해율 뿐만 아니
라 재해강도가 높다. 시공과정에서 위험도가 점차 커지고 있는 반면 토목건설
공사현장 구성원의 안전과 건강보호를 위한 의식은 여전히 미흡한 상태이다.
2016년에 발생한 산업재해 현황을 살펴보면, 토목건설공사가 포함된 건설업
에서 31.0%가 발생하여 제조업(28.0%) 보다 많은 현황을 나타내고 있다. 산업
별 사망자는 건설업(51%), 제조업(23%) 순으로 많이 발생하여 건설업이 업종
별 재해자가 가장 큰 사업이라 할 수 있다.
정부에서는 이 같은 건설현장의 재해를 예방하고자 관급공사 입찰참가자격
사전 심사제도(PQ), 자율안전컨설팅제도, 원·하청업체 상생협력 프로그램 제도,
재해예방 전문 지도기관을 통하여 밀착지원 사업 등을 시행하고 있다. 2013년
도부터는 위험성평가 제도를 도입하고, 2015년부터는 공사금액 800억 원(토목
1,000억 원) 이상인 건설현장에 보건관리자를 선임하도록 하였다. 2015년 산업
안전보건법 개정을 통해 공사금액 800억 원(토목 1,000억 원) 이상인 건설현장
에 보건관리자 선임이 의무화되었으나, 건설현장의 특성을 고려한 보건관리 기
법에 대한 이해 부족 등으로 현장의 보건관리가 정착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
다.
2 ‥‥ 건설업 보건관리 위험성 평가 모델 개발(Ⅱ)-토목공사

토목건설공사 현장에 대한 정부의 산업안전보건 정책의 실효성을 향상시키


기 위해서는 보다 실질적인 대안이 필요하다. 즉 토목건설공사 현장이 스스로
산업안전보건관리에 대한 관심과 자발적으로 참여 할 수 있도록 해야 하며, 위
험성평가 기법을 활용하여 보건관리 실무 매뉴얼을 개발하여 토목건설공사 현
장이 스스로 위험요인을 도출하고 산업재해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과제에서는 위험성평가 모델과 실무 매뉴얼을 개발하여 보급하고자
한다. 위험성평가 모델이란 예시, 보기, 본보기. 혹은 모방의 대상이 되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한마디로 요약하면, 잘 따라할 수 있어야 하며, 수월하게 업
무를 수행할 수 있으며 효율적으로 하게 될 뿐만 아니라, 의도하는 성과를 낼
수 있어야 하는 것이다. 안전보건공단에서도 2016년 건설업 보건관리자 실무지
침을 개발하여 건설업 보건관리자를 위한 업무지원을 실시하였다. 2016년에 개
발된 건설업 보건관리자 실무지침은 건설업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를 할 수 있
는 내용을 바탕으로 일반관리, 작업환경관리, 근로자 건강관리에 대한 내용을
제시함으로써 실무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내용이 종합적으로 기술되어 있
다. 그러나 2016년 실무지침 개발 당시 건설업의 다양한 직종 및 건설업의 공
종별 특성이 반영된 위험성평가 모델 개발이 필요하다는 건설현장 보건관리자
의 요구가 있었다. 이에 2017년도에 아파트 건축공사를 중심으로 공정 및 유해
인자별 보건 분야 위험성평가 모델을 개발하였다. 이어서 다양한 토목건설공사
현장에서 위험성평가를 할 때에 활용할 수 있는 모델을 제시함으로써 바로 현
장에서 따라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토목건설공사 현장의 특성에 맞는 특화된 위험성평가
모델 및 위험성평가 기법을 개발하여 실무 업무에 활용하는데 기여하고자 한
다. 아울러 보건관리 매뉴얼을 개발해서 함께 활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건설
공사 현장에 배치된 보건관리자들이 건설보건 분야의 위험성 평가를 수월하게
하면서도 우수한 성과를 낼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Ⅰ. 서론 ‥‥ 3

2. 연구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토목건설공사 현장에서 적용 가능한 위험성평가 모델을
제시하고, 보건관리 업무 매뉴얼을 개발함으로써 토목건설공사 현장의 위험성
평가가 활성화될 수 있는 기반을 조성하고, 건설업 보건관리자의 실질적인 업
무 수행을 지원하기 위한 것이다.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토목건설공사 현장에서 위험성평가를 하는 목적을 명확하게 제시한다. 이
것은 위험성평가 모델의 방향성을 규정하는 것으로 중요하다.
- 위험성평가 업무 흐름도 및 추진 절차를 제시한다. 옥외작업이면서 근로자
의 유동성은 물론 현장의 변화가 큰 토목건설공사에서 위험성평가 업무를
빠짐없이 적시에 효율적으로 시행하는 데에 도움이 될 수 있는 흐름도를
제시한다.
- 위험성평가를 추진하기 위해서 사전에 준비하여야 할 사항들을 제시한다.
- 위험성평가를 수행하는 데에 필요한 규정을 제시한다. 위험성평가는 규정
을 바탕으로 수행될 수 있어야 한다.
- 토목공사의 공정별로 유해요인을 제시하고, 유해위험요인을 파악하는 방법
을 제시한다.
- 위험성평가의 추진 단계별로 업무수행방법을 제시한다.
- 위해성평가 시 고려사항을 제시한다.
다만, 토목건설공사의 종류가 다양한 점을 고려하여 공통적으로 적용되는 토
공사, 철근콘크리트 공사를 대상으로 하고, 공종별로는 교량, 터널, 항만, 댐, 도
로포장, 관로 및 철도공사를 선정하여 다양한 토목건설공사 현장에서 적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4 ‥‥ 건설업 보건관리 위험성 평가 모델 개발(Ⅱ)-토목공사

Ⅱ . 연구내용 및 연구방법
1. 연구내용
1) 토목공사 보건관리 위험성평가 모델 개발

토목건설공사 종류별 공사의 개요 및 주요공정별 유해 위험요인 제시하여


위험성 평가 시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위험성 평가의 실시시기, 평가팀 구
성, 교육, 유해요인별 위험성 추정 결정 방법, 이행 및 이행확인 방법 등이 포
함된 위험성평가 실시계획서 작성방법을 제시한다.
❍ 토목건설공사 보건관리 위험성평가 절차를 다음과 같이 마련한다.
- 위험성평가 실시계획서 작성방법 제시
- 위험성평가 실시시기 및 평가팀 구성
- 위험성평가 사전 준비사항 제시
❍ 토목건설공사의 공정별로 파악된 유해·위험요인별로 위험성평가 방법,
노출수준등급과 유해성 등급을 정하는 타당한 방법을 검토한다.
❍ 유해요인별 위험성 추정 및 결정을 하는 타당한 방법을 검토한다.

❍ 개발된 위험성평가 방법을 현장에 적용하여 보완한다.

❍ 위험성 감소대책 수립 및 실행방법으로 위험성 정도가 큰 것부터 위험


성 감소대책 반영하여 개선하는 방안을 제시한다. 위험성 정도가 높음 또
는 보통인 경우에는 위험성 감소대책을 시행하여 허용가능 위험 정도가
되도록 하고, 필요시 추가 감소대책 수립․실행하는 방안을 제시한다.
Ⅰ. 서론 ‥‥ 5

2) 토목건설공사 보건관리 실무매뉴얼 개발

보건관리자 및 안전관리자, 재해예방기관종사자, 관리감독자 등 실무자가 토


목건설공사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보건관리 실무매뉴얼(보급용) 개발한다.
최고경영자가 경영방침에 안전보건정책을 선언하고 이에 대한 PDCA 사이클을
통하여 지속적인 개선을 하도록 하는 등의 체계적인 안전보건활동 수행 가이드
가 될 수 있도록 한다.
보급형 실무매뉴얼 주요 구성과 내용은 다음과 같다.
❍ 작업환경측정 및 관리
- 건설현장의 소음, 분진, 유기용제중금속 등 작업 시 발생하는 유해인자
노출정도 측정
- 관련 법규 및 주요 내용
❍ 특수건강진단 및 배치전 건강진단
- 화학물질, 소음, 진동, 분진 등의 유해인자를 보유한 직종에 근무하는
건설일용직 근로자는 해당 유해인자에 대한 특수건강검진 실시
- 관련 법규 및 주요 내용
❍ 화학물질관리 – 물질안전보건자료(MSDS)
- 공학적 대책 : 전체환기장치(강제 환기) 및 국소배기장치
- 관리적 대책 : 물질안전보건자료 게시 비치
- 교육적 대책 : 물질안전보건자료 교육
- 관련 법규 및 주요 내용
- 경고표지
6 ‥‥ 건설업 보건관리 위험성 평가 모델 개발(Ⅱ)-토목공사

2. 연구방법
1) 문헌고찰

❍ 국내 연구문헌과 직종별로 기존에 수행된 연구보고서 검토


2) 세미나 및 토론 실시

❍ 토목건설공사 현장 보건관리자 등 관련자 대상으로 실시


❍ 주요내용 : 토목건설공사의 종류별 유해위험요인 및 보건 분야 위험성
평가 애로사항과 개선사항 등
3) 현장방문 조사

❍ 토목건설공사 종류 중에서 국내에서 경험상 많이 이루어지고 있는


도로, 교량, 터널, 항만 및 관로공사를 대상으로 방문조사 실시.
4) 실무매뉴얼 개발을 위한 소그룹 간담회 개최

❍ 내용
- 작업환경 측정 관련
- 화학물질관리 및 MSDS 관리 관련
- 특수(배치)건강진단 관련
5) 위험성 평가 현장 적용성 검토

❍ 토목건설공사 현장 5개소를 대상으로 적용


Ⅱ. 연구방법 ‥‥ 7

6) 전문가 자문회의 개최

❍ 산업보건, 산업안전, 건설안전 등을 전공한 전문가 및 관련기관 협회


등의 관계자를 대상으로 다각적인 의견 수렴
❍ 연구기간 중 2회의 자문회의를 개최하여 진행사항 점검하고, 연구결과
논의
7) 연구진 정기회의 개최

❍ 연구진 정기회의를 개최하여 연구내용을 지속적으로 점검하고, 진행사항


파악
8 ‥‥ 건설업 보건관리 위험성 평가 모델 개발(Ⅱ)-토목공사

III. 연구결과
1. 토목공사의 개요 및 유해위험요인
토목공사는 다양하기 때문에 위험성 평가와 보건관리를 위해서 필요성이 높
거나 다른 토목공사에도 공통적으로 적용되는 공종으로 토공사와 철근콘크리트
공사는 모든 토목공사에 공통되는 것이므로 선정하였고, 주요 토목구조물인 교
량, 터널, 항만, 댐 공사를 선정하였다. 그리고 포장공사와 관로공사 및 철도공
사를 추가하였다.
1) 토공사

(1) 개요
토공사는 자연적인 지형에서 굴착, 적재, 운반, 성토, 다짐작업이 복합적으로
이루어지는 작업이다.
(2) 공정
토공사의 공정은 [그림 1-1]과 같이 제시할 수 있다.

절토 적재 운반 성토 다짐
(깍기, 절취, 굴착) (싣기) (쌓기) (전압)
사토 정리
[그림 1-1] 토공사의 공정
Ⅲ. 연구결과 ‥‥ 9

  가) 흙깍기(절토, 절취, Cutting)


지반을 굴착하는 작업으로 인력으로 굴착하는 경우와 장비를 사용하는 경우
가 있다. 수중에서는 수중굴착 또는 준설(Dredging)이라고 한다.
나) 굴착, 터파기(Excavation)
일정한 모양으로 지반을 파내는 것을 말한다.
다) 싣기(적재, Loading)
절토한 토사를 운반차에 싣거나 적재하는 것을 말한다.
라) 흙쌓기(성토, Banking)
흙깍기한 흙을 운반하여 수평층으로 메워가는 작업이다.
마) 다짐(Rolling, Compaction
성토한 흙을 다지는 작업을 말한다.
바) 끝맺음(고르기, Finishing)
절토나 성토의 표면을 소정의 모양으로 만드는 것을 말한다.
(3) 유해위험요인
가) 소음
굴착기와 트럭의 가동으로 인한 소음이 발생한다. 암반이 있는 경우에는 발
파작업이 이루어지면, 소음이 발생한다.
나) 분진
굴착, 적재 시에 토사에서 분진이 발생한다. 암반이 있는 경우에는 발파작업
이 이루어지면, 분진이 발생한다.
10 ‥‥ 건설업 보건관리 위험성 평가 모델 개발(Ⅱ)-토목공사

다) 디젤엔진 배출물질
굴착기와 트럭의 가동으로 디젤엔진배출물질이 발생한다. 구체적인 유해위험
성에 대해서는 “2. 토목공사의 유해위험요인별 건강영향”에 제시하였다.
라) 산소결핍
공기보다 무거운 기체로 인한 산소가 부족한 굴착지에서 산소부족으로 인한
질식이 발생할 수 있다. 정상적인 공기는 20.8 %의 산소를 가지고 있다. 19.5
% 이하의 수준은 산소 결핍으로 간주된다. 산소가 부족한 대기는 위험하며 의
식 불명, 뇌 손상 및 사망을 유발할 수 있다.
마) 유해가스
휘발성 유기 화합물은 굴착지에 축적될 수 있다. 이로 인해 화재 및 중독이
발생할 수 있다. 메탄은 하수, 나뭇잎 또는 잡초와 같은 유기 물질의 분해로 자
연적으로 발생한다. 또한, 굴착 근처에서 너무 많은 차량이나 장비의 일산화탄
소가 축적되어 유독한 환경을 조성 할 수 있다.
바) 인간공학적 요인
인력굴착의 경우 지속적인 허리 굽힘과 반복동작으로 근골격계 부담요인이
발생한다.
Ⅲ. 연구결과 ‥‥ 11

2) 철근콘크리트 공사

(1) 개요
콘크리트(concrete)는 시멘트, 잔 골재, 굵은 골재, 물 및 혼화 재료를 일정비
율로 배합한 것으로, 굳은 콘크리트와 굳지 않은 콘크리트로 구분할 수 있다.
철근 콘크리트는 압축력에는 강하나 인장력에는 약한 콘크리트를 철근으로 보
강한 구조체이다. 부식에 약한 철근은 콘크리트 속에서 어느 정도의 내부식성
을 확보할 수 있으며 녹이 슬지 않는다. 철근콘크리트공사는 높은 교각과 교량
과 터널의 천정 공사에 빠져서는 안 되는 기본적인 토목공사이다.
(2) 공정
가) 철근조립
철근가공과 조립작업은 주로 현장에서 이루어지며 장비를 이용한 작업이 많
고 철근이라는 자재가 무겁고 운반하기 힘들기 때문에 운반 및 가공 중에 재해
가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
나) 거푸집 조립
거푸집은 콘크리트를 필요한 형상으로 만드는 틀이다. 그러므로 거푸집은 콘
크리트 제품이 계획된 모양과 치수를 가질 수 있도록 정확하게 조립해야 하며,
처짐이나 벌어짐 등의 변형이 없어야 한다. 거푸집 작업은 현장의 작업 여건이
다양하고 변동사항이 많고, 공사가 진행 중인 곳에서 작업을 하는 경우도 많다.
다) 콘크리트 타설
굳지 않은 생콘크리트를 거푸집에 채워 넣고 모양을 갖춘 다음, 일정 시간이
12 ‥‥ 건설업 보건관리 위험성 평가 모델 개발(Ⅱ)-토목공사

경과한 후 거푸집을 해체한다. 콘크리트 타설작업은 전체 철근콘크리트 공사에


서 가장 중요한 부분이며 시공 불량시 공사 전체를 다시 해야 되는 매우 민감
한 작업이다. 콘크리트 양생은 콘크리트 타설 후 일정기간 콘크리트가 잘 경
화되도록 하는 것이다.
(3) 유해요인
가) 시멘트
시멘트로 콘크리트를 제조하는 과정에서 시멘트 분진에 노출되어 눈, 피부
및 호흡기의 자극과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과정에서 젖은 콘크리트에 노출되어
시멘트 화상이 발생할 수 있다.
① 시멘트 분진
시멘트 먼지에 노출되면 눈, 코, 인후 및 상부 호흡기를 자극 할 수 있다. 피부
에 접촉하면 화학 화상으로 피부가 심하게 손상되어 피부가 두꺼워지고 갈라진다.
② 젖은 콘크리트
습한 콘크리트에 노출되면 피부에 자극을 줄 수 있으며 1도, 2도 또는 3도
화학 화상을 유발할 수도 있다. 6가 크롬과 같은 화합물 또한 유해 할 수 있다.
나) 화학물질
철근콘크리트공사에서는 시멘트와 혼화재 및 거푸집 박리제 등을 사용하기
때문에 이들 화학물질 노출로 인한 건강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대한 구
체적인 내용은 “2. 토목공사의 유해위험요인별 건강영향”에 제시하였다.
다) 산소결핍
믹서는 작업자에게 위험한 밀폐된 공간이 될 수 있다. 믹서 드럼, 레디 믹스
트럭(ready-mix trucks), 저장 용기, 호퍼 및 기타 밀폐된 공간의 내부를 청소
Ⅲ. 연구결과 ‥‥ 13

할 때에 산소결핍의 위험에 빠질 수 있다.


라) 인간공학적 요인
철근가공을 할 때에 절단, 구부림 등의 작업을 할 때에 무리한 힘이 작용한
다. 거푸집을 설치하고 해체할 때에 단순반복작업과 불편한 작업자세 및 무리
한 힘이 작용한다. 콘크리트 재료를 운반할 때에 중량물 취급을 하게된다. 콘크
리트를 다지기 위해서 사용하는 진동기의 무게가 5kg 정도되기 때문에 상지에
무리한 힘이 작용한다.
마) 소음과 디젤엔젠배출물질
시멘트 반입과 반출시 및 트럭 믹서 드럼 내부의 굳은 시멘트를 제거하기
위하여 공압 치퍼(pneumatic chippers)를 사용하는 경우 과도한 소음에 노출될
수 있다. 콘크리트 타설을 위하여 사용하는 펌프카 등의 작동으로 소음과 디젤
엔젠배출물질에 노출 될 수 있다.
바) 진동
콘크리트 다지기에 사용되는 내부진동기 또는 거푸집 진동기 사용 시에 진
동에 노출된다. 진동기는 전기를 이용하거나 가솔린을 이용하는 경우가 있는
데, 전기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감전사고의 위험이 있고, 가솔린 을 이용하는 경
우에는 밀폐된 공간에서 다지기 작업을 할 경우에 유해가스노출 및 산소 결핍
으로 인한 위험에 빠질 수 있다.
14 ‥‥ 건설업 보건관리 위험성 평가 모델 개발(Ⅱ)-토목공사

3) 교량공사

(1) 개요
교량은 도로, 철도 등이 하천, 계곡, 해협 등의 자연 장애물이나 교차하는 다
른 통로를 가로지르기 위하여 만든 구조물이다.
가) 교량의 구조
교량은 상부 구조와 하부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부 구조는 교량의 주체가 되
는 부분으로, 교량을 통과하는 사람이나 차량의 하중을 직접 받아 하부 구조로
전달하는 기능을 한다. 하부 구조는 상부 구조에서 전달된 하중을 지반에 분
산·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나) 교량의 종류
단순교, 트러스교, 라멘교, 아치교, 현수교 및 사장교 등이 있다.
(2) 하부공
교대와 교각을 설치하는 공사이다. 교대는 교량의 양끝에서 교량의 상부구조
와 윗면의 토압을 지지하는 것이다. 교각은 양쪽 교대의 중간에 위치하는 구조
물이다. 교대와 교각은 주로 철근콘크리트로 설치한다. 철근콘크리트의 가설공
법은 동바리공법, 캔틸레버공법, 이동식비계공법, 압출공법, 프리캐스트 세그먼
트공법 등이 있다. 교량의 하부구조 공사는 앞에서 다룬 “2) 철근콘크리트 공
사”를 참조하면 된다.
Ⅲ. 연구결과 ‥‥ 15

(3) 상부공
가) 콘크리트 교량공사
콘크리트 교량은 철근콘크리트교(RC교)와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교(PSC
교)로 구분하고 있으나, PSC교는 시공상 프리스트레싱 작업이 추가되는 것은
제외하면 다른 점이 없다. 일반적으로 콘크리트교의 가설작업은 지보공의 조립,
콘크리트 타설, 프히스트레싱, 지보공 해체 순으로 이루어지며, 다음과 같은 방
법으로 구분할 수 있다.
① 지보공 가설 : 지보공 위에서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가설한다. 이때 고
정된 지보공을 설치한다. 지보공은 콘크리트 자중과 거푸집, 작업하중을 안전하
게 지지할 목적으로, 지주, 빔, 사재1) 등으로 구성된 가설물이다.
② 이동식 지보공 가설 : 지보공의 문제점을 보완하여 이동식으로 고안한
지보공을 설치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한다.
③ 캔틸레버 가설 : 교각에서 시작하여 양측으로 서로 균형을 잡으면서 가
설 작업차나 이동식 가설 크레인을 사용하여 한 블록씩 콘크리트 타설, 프리스트
레싱을 반복하여 중앙 연결부와 교대에 도달하는 공법이다. 거푸집 설치, 콘크리
트 타설, 프리스트레싱 등 같은 공정을 반복하여 교량상부구조를 완성한다.
④ 프리케스트 블록 가설(PSM) : 블록2)을 미리 공장이나 제작장에서 만
1) 대각으로 위치한 부재
2) 교량 상부구조 가설을 위해 프리캐스트 콘크리트로 제작된 단위 구조체를 말한다.
16 ‥‥ 건설업 보건관리 위험성 평가 모델 개발(Ⅱ)-토목공사

들어서 가설 지점으로 운반조립하고, 프리스트레싱3)을 가하여 연결한다.


나) 강 교량 공사
강교는 강재를 용접과 볼트로 조립하고 접합하여 교량상부구조를 만든다. 강
교는 공장에서 제작하여 현장에서는 대조립과 가설만 하게 된다. 용접은 전기
를 사용하는 아크용접과 가스용접이 주로 사용된다. 용접부의 결함을 검출하기
위해서 비파괴검사로 찾아내어 보수교정하게 된다. 강교를 가설하는 방법은 지
보공 위에서 조립하는 것과 지보공을 사용하지 않는 압출 가설, 캔틸레버식 가
설, 케이블을 사용하는 방식이 있다.
철은 녹이 생기며, 부식과 침식으로 결손이 생긴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
도장이 널리 사용된다. 도장작업은 철의 표면을 전처리하고 녹을 방지하는 녹
막이 페인트를 칠하고, 색체를 갖는 마감도장을 한다.
(4) 유해요인
콘크리트교는 가설공법의 차이가 있으나 기본적으로 철근콘크리트 공사와
같이 거푸집 조립, 지보공설치, 콘크리트 타설, 지보공 해체 등의 작업이 순차
적으로 반복해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2) 철근콘크리트 공사”를 참조하여 유해
위험요인을 파악하고 이해하면 된다. 또한, 해상과 하상의 하부공 작업을 할 경
우에는 케이슨공법 적용으로 인한 잠함병 발생 위험이 있다.
① 천공 및 파일 항타 작업(항타기 작업)시의 소음과 진동
② 시멘트의 유해위험성(분진, 시멘트의 자극성, 혼화제)
③ 철근의 배근과 거푸집 설치해체시의 신체부담작업
④ 철근 조립 및 배근시의 용접작업의 유해성
⑤ 거푸집 박리제의 유해성
⑥ 콘크리트 타설시의 신체부담과 진동기 사용으로 인한 진동
3) 프리스트레싱(prestressing) : 부재에 미리 내부 응력을 주는 조작 전체를 말한다.
Ⅲ. 연구결과 ‥‥ 17

⑦ 거푸집 해체 및 동바리 해체시의 소음


⑧ 세그먼트 접합을 위하여 에폭시(Epoxy) 도포
⑨ 콘크리트 박스 거더 내부작업시 산소결핍 위험
⑪ 강재의 용접작업으로 인한 유해성
⑫ 강재의 도장작업으로 인한 유해성
⑬ 강재를 볼트조임 시 공압기구 사용으로 인한 진동
⑭ 강 박스 내부 작업시 말폐공간으로 인한 산소 결핍
18 ‥‥ 건설업 보건관리 위험성 평가 모델 개발(Ⅱ)-토목공사

4) 터널공사

(1) 개요
터널공사는 암반 또는 토사 지층 내 수평방향으로 굴진하여 도로, 철도 등
의 토목 구조물을 조성하는 공사이다. 터널공법은 [그림 1-2]과 같이 분류할 수
있다.

[그림 1-2] 터널공법의 분류

(2) 공정
터널공법 중에서 다양하게 채택되고 있는 NATM(New Austrian
Tunneling Method)공법의 시공 흐름도는 [그림 1-3]와 같다.

천공 ⇒ 발파 ⇒ 환기 ⇒ 버럭처리 ⇒ 숏크리스트

⇒ 락볼트 ⇒ 방수 ⇒ 2차라이닝 콘크리트 치기


[그림 1-3] NATM공법 시공 흐름도
Ⅲ. 연구결과 ‥‥ 19

이 공법의 시공순서는 먼저 굴진한 뒤 지보공 세우기, 다음으로 벽면에 철망


을 바르기를 한 후에 콘크리트를 타설한다. 다음은 락볼트를 실시해서 굴착면
을 안정시킨다. NATM 공법은 숏크리트, 강지보재 및 락볼트 등의 지보재를
활용하여 터널 주변의 지반 내부에 지반 아치를 형성하여 이 아치로 하여금 터
널의 공동을 안전하게 유지하는 지보 기능을 발휘하도록 한다.
① 천공 : 발파용 장약을 암반 내부에 삽입하기 위하여 장전공을 사전 준
비하는 공정으로서, 점보드릴 등의 전용장비가 주로 적용되며, 발파
설계에서 검토된 천공 깊이까지 구멍을 뚫는 작업이다.
② 발파 : 천공된 장전공에 장약(폭약)을 삽입하고, 발파시 폭발력이 외기
노출면으로 발산되지 않고, 암반 내부 측으로 폭발력이 집중되게 하기
위해, 장약 삽입 후 그 외측에 모래마대 등의 재료를 충전하는 전색
작업을 한 후 안전규정과 절차에 따라 인원이 모두 대피 확인 후 점
화기를 이용해 발파를 하는 작업이다.
③ 버럭처리 : 버럭이란, 광물이 혼입되지 않은 암석조각 등을 의미하며,
발파하여 소할된 암반의 돌덩어리들을 통칭한다. 이러한 버럭을 로우
더 또는 굴삭기 장비를 이용해 덤프트럭에 선적하여 외부로 반출하는
작업이다.
④ 숏크리스트 : 숏크리스트는 지반의 초기변화를 억제하기 위하여 버럭처
리 후 급결제4)가 혼입된 모르타르를 고압으로 뿜칠하여 터널의 벽면과
천정에 분사, 급결시켜 부석낙하 등의 위험요소를 제어하는 공법이다.
⑤ 락볼트 : 신규 굴착된 터널 막장 및 천단부에 외관상 위험이 없어보였
으나, 갑작스레 불연속면이 탈락되어 붕락, 낙반 등이 발생되는 것을
제어하기 위해 긴 볼트 형식의 강재를 천단부에 천공 근입시켜 불연
속면에 의한 낙반사고 등을 예방하는 작업이다.
4) 시멘트의 응결을 촉진하기 위하여 가하는 약제(염화 칼슘, 물 유리, 탄산 나트륨, 규소 불산염
류 등)를 말한다.
20 ‥‥ 건설업 보건관리 위험성 평가 모델 개발(Ⅱ)-토목공사

⑥ 방수 : 터널은 누수로 인하여 하자 발생 및 미관을 저해하는 요인을


갖고 있기 때문에 지하수가 유입되지 방수지 도포 및 방수몰탈 등의
방법으로 지하수 유입을 차단하는 작업이다.
⑦ 라이닝 : 라이닝 콘크리트는 터널의 최종단계의 지보공으로서, 콘크리
트로 천단부와 벽체를 타설함으로서 내공의 안전성을 유지하고, 터널
의 미경관을 확보하며, 등기구, 환기구 등의 후속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게 하기 위해 시공한다.
(3) 유해위험요인
터널공사는 도로, 철도, 지하철, 댐(여수로) 등 토목공사 중 다양한 공종에
포함되며, 한정된 갱내에서 수행되는 작업이 대다수인 만큼, 근로자의 보건관리
에 많은 관심과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터널 시공 중 주요 유해요인은 분진 등 공기 중 유해물질에 의한 심폐관련
질환과 발파 소음/진동의 악영향 등이 가장 중요하다.
가) 분진
분진은 터널 공사 전 공정에서 나타나고 있으며 가장 심하게 노출되는 유해
인자이다. 천공작업 시 드릴로 암석이 분쇄되면서 분진이 발생한다. 특히 천공
작업과 동시에 천공구멍이 막히지 않도록 주변에서 작업자가 판지(필름)를 삽
입하는 작업을 하게 되는데 이때 미세분진에 직접 노출될 수 있다. 이에 천공
장비에는 분진을 제어할 수 있는 장치가 설치되어 있거나 물을 살수하며 작업
할 수 있도록 장비내 기능을 갖추고 있다. 하지만 비산하는 분진 전체를 제어
할 수 없다. 발파작업 시 발파와 동시에 파쇄된 암석에서 분진이 발생된다. 따
라서 발파 후 충분한 시간을 두고 환기된 상태에서 터널 내로 접근하도록 해야
한다. 버력처리 작업 시 분진이 발생한다. 굴삭기를 이용 계속해서 버력을 상차
하고 반출하는 과정에서 많은 분진에 노출될 수 있다. 숏크리트 작업 시 분진
Ⅲ. 연구결과 ‥‥ 21

이 발생한다. 숏크리트는 겔 형태로 되어 있으나 압력을 이용해 분사하는 방식


이므로 시멘트와 급결제가 함유된 미스트에 직접 노출될 수 있다. 이 외에도
모든 공정에서 운송장비 출입 등에 의한 분진 발생, 바닥·작업면 등에서 발생
되는 분진에 노출될 수 있다.
나) 소음과 진동
소음 발생은 터널공사 전 공정에서 나타나고 있으며 강렬한 소음부터 충격
소음 등 심한 소음에 노출되고 있다. 천공작업 시 천공기 드릴과 암석과의 마
찰로 인한 강렬한 소음이 발생된다. 소음은 천공기 운전 작업자뿐 아니라 주변
에서 작업하는 모든 근로자들이 노출된다. 발파작업 시 엄청난 폭발음에 의한
충격소음이 발생된다. 버럭처리 시 굴삭기 가동 등 장비 운전으로 발생하는 소
음에 노출된다. 숏크리트 작업 시 재료를 압출하기 때문에 소음이 발생한다.
진동에 대한 노출도 소음과 같이 천공기, 굴삭기 운전자는 바닥면이 고르지
않고 장비 진동에 대한 전신진동에 노출되고 숏크리트, 록볼트 작업자는 직접
장비를 들고 작업하므로 국소진동에 노출된다. 그리고 발파에 의한 진동은 인
근 지역에 까지 전파되어 안전상의 문제도 충분히 고려되어야 한다.
다) 조명
지하나 터널 내 작업 일 경우 충분한 조도 확보가 안 되는 경우가 많다.
라) 유해가스
발파공사에서 유해가스 발생은 여러 작업에서 나타날 수 있다. 디젤엔진 장
비 운전 시 질소산화물 등, 발파 시 화약성분에 의한 유해가스 및 광물에서
발생될 수 있는 가스 발생 우려이다.
마) 인간공학적 요인
발파공사 작업은 대부분 많은 힘의 사용과 불편한 작업자세와 무리하게 힘
을 사용하는 등 고된 작업이 많다.
22 ‥‥ 건설업 보건관리 위험성 평가 모델 개발(Ⅱ)-토목공사

바) 피부손상 및 자극
숏크리트 작업시 시멘트에 급결제를 배합하여 분사하게 된다. 이때 많은 미
스트가 비산되어 피부 및 눈에 영향을 줄 수 있다. 또한 높은 압력으로 분출되
기 때문에 피부나 눈에 맞으면 심한 손상 및 실명 위험도 있다.
사) 심리적 불안
발파작업은 폭약을 다루는 작업으로 작은 충격이나 부주의로도 언제든지 폭
발할 위험이 있어 작업 시 항상 긴장된 상태이다.
Ⅲ. 연구결과 ‥‥ 23

5) 항만공사

(1) 개요
항만은 선박의 출입과 화물을 수용하는 데 필요한 수역시설5), 외곽시설6), 계
류시설7) 등 다양한 시설을 갖추고 있다. 항만은 천연항인 항만(harbour)과 인
공적인 구조로 방파제, 안벽, 야적장 등을 설치한 인공항인 항구(port)로 구분할
수 있으며 항구는 인공적으로 수륙연결 기능을 갖추고 승객 또는 화물의 하역
에 관한 제반활동이 이루어지는 장소를 말한다.
(2) 항만공사의 주요공정
항만의 시공순서는 [표 1-1]과 같다.
<표 1-1> 항만 시공 순서와 작업내용
공정명 작업명 작업내용
보링 해저 지반 보강을 위한 천공 및 굴착물
인양
기초지반 보강 몰탈주입 인양과 동시에 몰탈 주입
  준설 장비를 사용하여 지반 준설토 준설
사석투하 케이슨 거치 위한 지반 평탄작업
(고르기)
5) 항만에 들어온 선박이 안전하게 항행 및 정박을 하고 하역할 수 있는 시설이다.
6) 외해로부터 침입하는 파랑을 방지, 연안 또는 하천에서 침입하는 표사의 항 내 유
입방지, 해안선의 유실 방지 등의 목적으로 축조한 시설물이다.
7) 선박이 접안하여 화물의 하역, 승객의 승강을 할 수 있도록 시설한 안벅, 물양장,
잔교, 계선 부표, 계선 말뚝과 선양장 등의 시설을 말한다.
24 ‥‥ 건설업 보건관리 위험성 평가 모델 개발(Ⅱ)-토목공사

거푸집 조립 케이슨 제작을 위한 거푸집 조립


케이슨제작 철근조립 철근가공 및 배근
레미콘 타설 레미콘 타설
면 정리 타설된 케이슨면 보수
케이슨 인양 케이슨 이동 케이슨 거치를 위한 이동
및 거치
케이슨 속 채움 속채움 거치된 케이슨을 안치하기 위한 속 채움
및 블럭설치 블럭설치 및 파도에 의한 케이슨 기초 손상 방지하
기 위한 불럭설치
상치 콘크리트 콘트리트 일반콘크리트타설 공사와 동일
타설 타설
전기시설작업 전기공사 전선거치, 케이블연결, 조명설치
가) 기초지반 보강공사
항만을 조성하는 기초 부지의 지반상태를 확인하여 안정적인 케이슨 안착
및 구조물 지지를 위한 천공(굴착)과 몰탈을 주입한다. 준설은 수중에서의 토사
굴착으로 항만의 수심증가의 목적으로 행해진다.
나) 케이슨 제작
케이슨(caisson)은 철근 콘크리트제의 상자 모양의 것으로, 계류시설 중 안벽
공사와 외곽 시설에서 방파제 공사의 직립부에 주로 사용되고 있다. 케이슨은
육상이나 도크에서 제작, 진수, 예항하여 현장에 설치하고 케이슨 배부를 속 채
움한 후 콘크리트 덮개를 씌우고 상부 콘크리트를 타설하면 공사가 완료된다.
케이슨 제작은 비닐깔기, 철근가공 및 조립, 거프집 조립, 콘크리트 타설, 양생
과정을 거친다. 케이슨 기초 작업전 비닐(T= 0.1mm)을 부설하여 콘크리트 타
설시 시멘트 몰탈의 누수를 방지하고, 케이슨 이동 시 거푸집의 탈착이 원활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Ⅲ. 연구결과 ‥‥ 25

다) 케이슨 인양 및 거치
케이슨 거치를 위한 인양작업으로 이동시 바람의 영향과 파도의 높이에 많
은 영향을 받는다. 제작된 케이슨을 운반하기 위하여 케이슨 상부에 조금구8)를
설치한다. 조금구 조립은 고장력 볼트/너트를 사용한다. 조금구 체결을 완료하
고, 인양용 와이어를 정해진 위치에 하강하여 케이슨과 디바이스 체결을 실시
하고 기중기선을 이용하여 거치한다.
라) 케이슨 속 채움 / 블록설치
거치된 케이슨을 안치하기 위해서 자갈이나 사석으로 케이슨의 속에 채우는
작업이다. 속채움 투하가 완료된 후 내부 격실 구간에 인력을 투입하여 면정리
를 실시한다. 면정리가 끝난 후 비닐을 포설하여 콘크리트 타설을 한다. 속채움
및 타설이 완료된 케이슨의 파도에 의한 침하유실을 방지하고, 상치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덮개 블록을 설치한다.
마) 상치콘크리트9) 타설
안치된 케이슨 위에 콘크리트을 타설하는 작업이다.
바) 전기시설 설치
전선거치, 케이블 연결, 조명설치 등의 작업을 한다.

8) 대중량물인 케이슨을 이동하기 위하여 케이슨 상부선단과 결합 고정하는 구조물을


말한다.
9) 상치콘크리트는 방파제나 항구 등에서 블록이나 구조물위에 얹어 놓는 것처럼 보
이는 상판 콘크리트를 말한다.
26 ‥‥ 건설업 보건관리 위험성 평가 모델 개발(Ⅱ)-토목공사

(3) 유해요인
가) 분진
보링작업, 케이슨제작, 상치 콘크리트 타설 작업으로 잉하여 분진과 시멘트
분진이 발생한다.
나) 소음
보링작업, 케이스 제장, 상치 콘크리트 타설작업을 할 때에 소음이 발생한다.
다) 이상기압
케이슨 인양 및 거치 작업, 케이슨 속 채움 / 블록설치 작업을 할 때에 해저
잠수작업을 하게 되므로 고기압 환경에 노출된다.
라) 인간공학적 요인
케이스 제작 작업은 철근콘크리트 공사와 유사한 근골격계 부담작업이며, 전
기설치 작업 시에 불편한 작업 자세와 반복동작 등이 발생한다.
Ⅲ. 연구결과 ‥‥ 27

6) 댐공사

(1) 개요
댐(Dam)이라 함은 하천의 흐름을 막아 그 저수를 생활 및 공업용수, 농업용
수, 발전, 홍수조절 기타의 용도로 이용하기 위한 15 m 이상의 공작물을 말한
다. 댐을 댐체 재료별 적용공법에 의한 분류하면 다음과 같다.
① 필댐(Fill Dam) : 암석(Rock) / 토사(Earth)
- 필댐의 공법유형 : 균일형 / 심벽형 / 표면차수벽형
② 콘크리트댐(Con`C Dam)
- 콘크리트댐의 공법유형 : 중력식 / 부벽식 / 아치식
(2) 공정
댐 공사는 최초 기존의 유수 흐름을 전환시키거나 우회시키는 유수전환공이
선행되어야 하고, 그 후 기초지반과의 안정성과 지지력을 확보하기 위한 기초
처리가 후속으로 필요하다.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댐체의 성토에 있어 필댐과
콘크리트 댐으로 분류하고 있으며, 필댐과 콘크리트 댐의 시공순서는 [그림
1-4]와 같다.
① 유수전환 및 기초처리 : 시공성 및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 기존 하천
의 흐름을 차단하는 공사를 말하며, 통상 하천을 전면체절(차단), 부분
체절, 가배수로 선시공 등의 방법 중 현장여건 고려하여 적용한다. 기
초처리공은 댐체와 원지반 사이로 추후 누수되는 문제 예방과, 지반의
28 ‥‥ 건설업 보건관리 위험성 평가 모델 개발(Ⅱ)-토목공사

지지력 확보를 위해 실시하는 작업으로서, 누수를 방지하기 위한 기초


처리 작업은 커튼(Curtain)그라우팅 공법을 적용하며, 지반 지지력 확
보 등 안정성을 보강하는 기초처리 작업은 콘솔리데이션
(Consolidation)그라우팅 공법으로 적용여 시공한다.

유수전환 및 기초처리 유수전환 및 기초처리


↓ ↓
댐체 성토 (암석 및 토사) 댐체 타설 (Con`C)
↓ ↓
층별 다짐관리 층별 다짐관리
↓ ↓
댐체 시공완료 댐체 시공완료
↓ ↓
부대시설 시공 부대시설 시공
[그림 1-4] 필댐과 코크리트 댐의 시공과정

② 댐체 성토(암석 및 토사) : 설계된 댐의 구체 형식에 따라, 적정한 재


료를 이용해 댐 본체를 조성하는 공정을 총칭한다.
③ 댐체 타설(Con`C) : 석재 및 토사를 이용하는 필 댐이 아닌, 콘크리트
댐의 경우 또는 표면차수벽형 댐의 경우 해당 구간에 거푸집 설치 및
저유동성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층층히 다지는 등의 작업이다.
④ 층별 다짐관리 : 점토차수재로 차수기능이 확보되는 필댐의 경우 점토
재료를 각 층층히 밀실하게 다짐하여야 차수기능이 확보되므로, 이를
위해 설계단계에서 검토된 적정 두께로 층층히 다지면서 댐 차수층
(Core체)을 시공하는 작업이다.
Ⅲ. 연구결과 ‥‥ 29

⑤ 댐체 시공완료 : 위 3∼4 항목의 작업을 반복 적용하여 설계에서 검토


한 댐체의 높이까지 구체를 완료하였을 때의 상태를 의미한다.
⑥ 부대시설 시공 : 조절탑 및 비상여수로, 취수구, 방수로 등의 댐체에
연한 기타 부대시설들을 시공하는 일련의 작업을 총칭한다.
(3) 유해요인
기초처리 과정에는 고화재 성분에 의한 인체 영향의 우려가 있다. 그 후 댐
본체 시공시 토사 및 암석을 사용하는 필댐은 각종 암분진과 비산먼지, 소음,
진동 등이 발생되며, 콘크리트댐에서는 박리제 및 양생제 등 각종 화학물질에
의한 유해요인이 발생된다.
① 기초처리 Grouting 중 고화재10) 성분에 의한 인체영향
② 비산먼지 및 암석에 함유된 미세 분진 흡입
③ 콘크리트 고화재 및 각종 혼화재료에 의한 인체영향
④ 다짐시공 중 진동 영향
⑤ 건설장비의 소음에 의한 영향
⑥ 건설장비 가동에 따른 배기가스
⑦ 거푸집 박리제 및 콘크리트 표면 피막양생제에 의한 영향
댐공사에서 발생하는 대부분은 보건학적 유해요인의 건설장비에 의한 소음
영향이 가장 크며 차량 이동에 따른 비산먼지의 발생도 많은 영향을 미친다.
또한 과거에는 고화재 및 콘크리트박리제에 함유된 유해성분이 있다.
각 공정별 발생하는 유해요인은 [표 1-2]과 같다.
10) 고화재란 시멘트와 포졸란 재료, 석회, 석고 및 무기염류 등의 첨가제가 이상적으
로 배합된 것으로 시멘트와 첨가제에 의한 고화반응이 결합되어 연약지반에서도
단시간에 안정된 지반을 형성하며, 단기 강도가 높고 장기적으로도 안정된 강도를
발현하게 한다.
30 ‥‥ 건설업 보건관리 위험성 평가 모델 개발(Ⅱ)-토목공사

<표 1-2> 댐공사의 공정별 유해위험요인

연번 공정명 작업방법 유해요인

기초처리과정으로 Grouting(지지력강
화)를 통한 지반 강화 작업으로 지반
에 침투재를 투입하거나 고화재를 소음 / 분진/
유수전환 사용한다. 화학물질/
1
기초처리 고화재는 시멘트, 포졸란재료, 석회, 근골격계부
석고 및 무기염류가 최적으로 조합 담작업
된 것으로 악조건의 흙이라도 강도
를 강화하는 작용을 한다.
암석/토사 또는 콘크리트를 이용하여
성토
절토부 및 성토부에 대한 채움작업 소음 / 분진
2 (암석/토사)
으로 비산먼지 및 암석에 함유된 미
(콘크리트)
세 분진 등이 발생한다.
성토 작업후에는 지층에 대한 다짐
작업을 실시하는데 성토작업에서 다 소음 / 분진
3
층별
짐정도를 판단하는 방법으로는 최대 /진동
다짐관리
건조밀도에 대한 현장건조밀도를 통
해 결정한다.
취수탑과 물넘이 등의 부속 설비 등 -
4 시공완료
의 시공
Ⅲ. 연구결과 ‥‥ 31

7) 포장공사

(1) 개요
포장은 시멘트 콘크리트 포장과 아스팔트 포장이 있는데, 아스팔트 포장이
대부분이다. 여기에서는 우리나라의 대부분에서 공급되고 있는 아스팔트 콘크
리트 포장공사를 다룬다. 아스팔트 포장이란 골재를 아스팔트 재료(bituminous
material)와 결합시켜서 만든 포장을 말한다. 아스팔트 콘크리트(asphalt
concrete)는 모래, 자갈 등의 골재를 녹인 아스팔트로 결합시킨 혼합물로, 도로
포장 등에 쓰는 자재이다. 아스팔트 콘크리트 포장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가) 표층
포장의 최상부로 가열한 아스팔트로 만들어진다. 표층은 교통하중을 분산 시
켜 밑의 층으로 전달하는 역학적인 기능과 교통차량에 의한 마모와 괘적 주행
이 가능한 평탄성, 그리고 미끄럼 저항성 등의 기능을 가져야 한다.
나) 기층
표층에서 전달되는 교통 하중을 견디기 위한 고품질의 재료가 필요하다. 이
러한 목적으로 설치되는 층을 기층이라 한다.
다) 보조기층
입상재료를 다진 층이거나 적정한 혼화재료로 처리한 토사층으로 구성된다.
흔히 사용되는 재료로는 모래, 자갈, 쇄석, 슬래그 또는 이들을 혼합한 골재 등
이며, 아스팔트, 포틀랜드 시멘트, 석회, 플라이 애쉬와 같은 혼화제를 사용할
수도 있다.
32 ‥‥ 건설업 보건관리 위험성 평가 모델 개발(Ⅱ)-토목공사

라) 동상방지층
노상이 동결할 우려가 있는 경우에 동결되지 않는 재료로 노상의 상부에 포
장의 형식에 상관없이 두는 층이다. 동상방지층은 포장을 동결로부터 보호하기
위해서 자갈이나 모래와 같은 재료를 사용한다.
마) 노상
노상면 아래 약 1m 두께의 층으로 포장층의 기초가 된다.
(2) 공정
아스팔트 콘크리트 포장공사의 시공순서는 다음과 같다.
가) 보조기층 점검
아스팔트 포설 전에 보조기층의 다짐상태 확인 및 이물질을 제거한다.
나) 프라임 코팅
프라임 코트(prime coat)는 기층 또는 보조기층 위에 아스팔트 등의 역청재
료를 살포한 얇은 층을 말한다. 아스팔트의 부착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기층 위
에 살포한다.
다) 아스팔트 기층 포설 및 다짐
기층까지는 골재 및 토사를 사용하여 포설하고 다지기를 한다.
라) 택코팅
택 코트(tack coat)는 역청재료 또는 시멘트 등을 사용한 하층과 아스팔트
혼합물로 된 상층을 결합시키기 위하여 하층에 역청재료를 살포하는 층을 말한
다. 아스팔트 중간층과 표층의 부착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살포한다.
Ⅲ. 연구결과 ‥‥ 33

마) 표충작업
표층 작업은 아스팔트 유제 도포작업, 아스콘 포장작업, 다짐작업 순서로 이루
어진다. 아스팔트 혼합물을 덤프트럭으로 운반 후, 아스팔트 재료를 포설 후 머
캐덤 로울러로 1차 다짐, 이후 타이어 로울러, 탠댐 로울러 등을 이용하여 다짐
작업을 마무리한다. 이 과정에서 롤러에 아스팔트혼합물이 부착하는 것을 방지하
기 위해 식물성 오일(oil)류 또는 전용의 부착 방지제(release agent)를 사용한다.
(3) 유해위험요인
아스팔트 콘크리트 포장공사를 할 때 발생 가능한 유해인자로는 아스팔트
흄과 고온 등의 기후 영향이 있다.
가) 아스팔트 흄(asphalt fume)
아스팔트는 원유에서 생산되며, 진갈색의 고체이다. 비슷한 성질을 가진 고
분자탄화수소물질인 콜타르와 구분되는 점은 콜타르 경우 석탄에서 발생된 흑
색 또는 진갈색의 물질이라는 것이다. 아스팔트 흄은 원유의 성분과 생산과정
에서 첨가되는 물질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게 된다. 따라서 아스팔트의 성분이
일정한 화합물이라고 할 수는 없다. 대부분의 아스팔트에는 질소, 산소, 황, 지
방족 탄화수소, 방향족 탄화수소 및 철, 니켈, 바나듐 등을 함유하고 있다.
아스팔트 흄에 노출되는 고위험 작업자는 트럭으로부터 아스콘을 받아 처음
도로에 포설하는 피니셔 운전자와 보조원들이다. 다음으로는 다짐용 롤로가 투
입되는 순서에 따라 머캐덤롤러와 타이어롤러 그리고 탠덤롤러 순으로 아스팔
트 흄에 많이 노출된다고 할 수 있다. 도로의 가장자리 등 피니셔를 이용하여
아스콘 포설이 곤란한 좁은 지역의 경우 밥캣이라는 건설장비를 이용하여 아스
콘을 도로에 깔게 되는데 동 장비를 운전하는 작업자 역시 피니셔 보조 작업자
정도의 아스팔트 흄에 노출될 수 있다(정지연, 2006).
34 ‥‥ 건설업 보건관리 위험성 평가 모델 개발(Ⅱ)-토목공사

나) 포장 작업장의 기후영향(고열, 한랭 및 직사광선)


고열 환경 작업 시 열사병, 열탈진, 열경련, 열피로, 열발진 등의 발생 위험이
있다. 직사광선에 의한 충혈, 광각막염, 결막염, 백내장, 홍반, 일광화상, 피부암
등 발생 위험이 있다. 한랭환경에 의해 동상 및 저체온증 등 발생 위험이 있다.
다) 소음과 진동
포장용 건설기계의 가동으로 인하여 작업장 주변에 소음이 발생하며, 포장용
건설기계 운전원들은 전신진동에 노출된다.
Ⅲ. 연구결과 ‥‥ 35

8) 관로공사[duct(line)construction]

(1) 개요
상하수도, 가스, 송유관, 난방 등을 위한 유체가 흐르는 덕트(파이프 등)와
전기케이블 또는 통신케이블 등을 설치하기 위한 지하 시설물(관, 피트, 맨홀
등)을 말한다. 주요 관로공사(지하 시설물)는 다음과 같이 구분한다.
① 상하수도 공사
② 가스공사
③ 전기 및 통신 케이블 공사
④ 송유관공사
⑤ 지역난방공사 등
(2) 공정
관로공사의 주요 공정흐름도는 [그림 1-6]과 같다.
(3) 공정별 유해위험요인
가) 예비조사
① 예비조사 실시
예비조사 시 현장지형(지상, 지하, 타시공물, 인근환경 등) 및 특성을 감
안한 관로공사가 시공될 수 있도록 기술검토서를 작성하여야 한다. 지형의 연
약정도, 지하구조 그리고 계획하는 관로공사 구간에 대한 타 지하 시설물(상하
수도, 가스, 통신 등)이 어떻게 구축되어 있는지 파악하고 확인여야 하다.
36 ‥‥ 건설업 보건관리 위험성 평가 모델 개발(Ⅱ)-토목공사

⇦ 현장안전보건조직 구성
⇦ 현장조사(지형 및 지하특성 및
예비조사 및 기술검토서 작성
타공사 지하매설물, 인근지역
상태 등)

기술검토서 및 도로굴착 등 ⇦ 유해요인 도출 및 관리방안
인허가 ⇦ 관련인허가 기관 승인

⇦ 커팅기사용으로 소음, 진동, 분
아스팔트 및 콘크리트 절단
진, 복사열, 혹한기(동상_)

⇦ 지하깊이 및 지반상태, 중장비
굴착공사(암반, 수심 등)
사용에 관한 안전.보건 사항

배관 저장(이송) 및 관리 ⇦ 중장비사용에 관한 안전.보건사항

배관 연결(용접)작업 및 ⇦ 용접흄(용접봉 확인, MSDS),


비파괴 검사 자외선, 보호구, 근골격계요인 등


⇦ 배관청소(에어컴퓨레셔, 질소)
배관청소(가스)작업
⇦ r-ray 등 비파괴 검사

⇦ 모래(흙) 및 중장비사용 (포크레인),
되메우기 작업
바이브레터에 관한 안전.보건사항

⇦ 아스콘(유기용제증기) 및 콘크리트포장
도로포장 작업 (시멘트혼합),차선작업 (유기용제),
(아스팔트 및 콘크리트) 열중증(고열),한랭작업, 자외선 등

[그림 1-5] 관로공사의 수서와 작업내용


Ⅲ. 연구결과 ‥‥ 37

② 유해요인
옥외현장 조사에 의한 열중증, 동상(혹한기), 쯔쯔가무시병 등
나) 기술검토서
① 기술검토서 작성
기술검토서 작성은 관로공사를 시공하고자하는 구간에 대한 예비조사를 바
탕으로 도면과 시방서를 작성한다. 도면 작성 시에는 타시설물에 대한 정보를
상세히 기록하여 굴착공사시 타 시설물 파손 등의 사고 및 재해예방에 대비토
록 하여야하며 만일의 사고를 대비하기 위하여 비상시 응급조치에 대한 내용이
기술검토서에 작성되어야 한다.
② 유해요인
오랜 시간의 도면작성 등으로 직무스트레스 발생, VDT작업에 의한 안구
장해 및 근골격계부담 등에 노출된다.
다) 기술검토서 인허가
① 인허가 업무
기술검토서가 작성되면 인허가를 득하기 위하여 관련 인허가 기관에 기술검
토서를 접수한다. 접수가 완료되면 인허가 기관에서 검토 후 승인을 한다.
② 유해요인
인허가관청의 담당자와의 기술검토서 타당성 논리 및 서로의 의견 충돌에
의한 직무스트레스가 발생할 수 있다.
38 ‥‥ 건설업 보건관리 위험성 평가 모델 개발(Ⅱ)-토목공사

라) 도로굴착 인허가
① 인허가 업무
기술검토서 승인이 완료되면 관할구청에 도로굴착 심의를 받고, 도로점용 허
가를 받는다. 이후에 관할경찰서에 교통계획신고서 승인을 받은 후 공사를 착
공 한다.
② 유해요인
인허가관청의 담당자와의 허가관련사항 타당성 논리와 서로의 의견 충돌, 공
사예정 시기에 허가받아야 하는 부담감 및 압박감 증가에 의한 직무스트레스가
발생될 수 있다.
마) 아스팔트 및 콘크리트 절단
① 아스팔트 및 콘크리트 절단 작업
아스팔트 및 콘크리트 절단을 위해서는 기술검토서상에 나타난 지역(지점)을
정확하게 표시하는 것이 중요하다. 공사구간이 표시되면 아스팔트 및 콘크리트
절단을 위해서는 도로 컷팅기가 주로사용 된다.
② 유해인자
도로 컷팅기 사용시 소음, 진동, 분진 및 도로의 복사열, 혹한기 등에 노출된
다.
Ⅲ. 연구결과 ‥‥ 39

바) 굴착공사
① 굴착공사
굴착공사시 지반의 연약정도 암반, 발파, 수심 등을 감안한 시공이 이루어져
야 한다.
② 유해인자
중장비 운전에 의한 전신진동 및 중장비, 작업장 버럭 등 이동처리를 위한
대형트럭에 의한 내연기관의 배기가스(일산화탄소, 이산화탄소, 부유물 등)에
노출 된다. 지하 또는 터널굴착 시 밀폐공간에서 유해가스 중독 및 질식재해가
발생할 수 있다.
사) 배관저장(이송) 및 관리
① 배관저장 및 관리
배관 매설을 위하여 가스관을 지정된 장소에 임시 저장 보관할 수도 있고,
작업구간에 배관을 나열하는 경우도 있지만 보통 굴착공사의 규모가 크면 지정
된 장소에 저장 후 공사 진행에 맞추어 나열하여 작업한다. 배관을 이송 할 때
주로 중장비를 사용하지만 배관의 사이즈가 작을 때는 인력으로 옮기든가 적재
하는 경우가 있다.
② 유해요인
배관 이송 시 무리한 힘 또는 부자연스러운 자세 등으로 근골격계 부담작업
이 될수 있다. 배관를 저장할때는 배관이 미끄러 내리지 않도록(흘러내리지 않
도록)받침대 등으로 안전하게 보관 한다.
40 ‥‥ 건설업 보건관리 위험성 평가 모델 개발(Ⅱ)-토목공사

아) 배관연결 작업
① 배관연결(용접)작업
배관연결을 위해서는 용접작업 등을 하게 된다. 용접작업이 완료되면 용접부
위에 대한 안전성을 위하여 비파괴 검사가 이루어진다, 배관의 두께가 대부분
크기 때문에 r-레이가 실시된다. 비파괴 검사 결과 용접 부위가 이상이 없으면
용접한 부위에 대하여 작업이 완료되고, 배관의 부식방지를 위하여 폴리에틸렌
(PE) 시트로 피복을 한다. 배관에 폴리에틸렌(PE)시트를 피복 할 때에는 토치를
사용하여 열을 가하여 시트가 수축되면서 배관과 단단하게 접합이 이루진다.
② 유해요인
용접작업으로 인한 용접흄, 자외선 발생, 고열(화염)에 노출된다. 또한 공간
협소 및 무리한 자세 등에 의한 근골격계에 부담이 작용한다.
자) 배관청소
① 배관청소(가스)
배관의 용접작업이 완료되면 배관 안에 있는 용접 이물질, 흙, 먼지, 물 등을
청소하기 위하여 주로 질소로서 청소(purge)가 실시된다.
② 유해요인
질소가스에 의한 질식재해가 발생 할 수 있다.
Ⅲ. 연구결과 ‥‥ 41

차) 되메우기 작업
① 되메우기 작업
배관 청소작업이 완료되면 되메우기 작업을 한다. 이때는 배관 밑에 모래를
깔고 그 위에 배관이 놓이게 된다. 모래와 흙으로 되메우기가 완료되면 굴착구
간이 침하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지면 진동기로 다지기를 한다.
② 유해요인
다짐 장비 사용으로 진동과 수공구 사용 등 인력작업으로 인한 근골격계에
부담이 작용한다. 되메우기 작업으로 인한 분진에 노출된다.
타) 도로포장 작업
① 포장(아스팔트 및 콘크리트)작업
되메우기가 완료되면 절개된 도로 부분을 포장하게 된다.
② 유해요인
아스팔트 흄, 기후에 따른 저온 및 고온, 복사열에 노출된다. 포장 건설기계
의 기동으로 인한 소음과 배기가스에 노출된다.
42 ‥‥ 건설업 보건관리 위험성 평가 모델 개발(Ⅱ)-토목공사

9) 철도공사

(1) 개요
철도의 선로는 토목공사를 통해 닦인 도상과 도상위에 일정간격으로 고정되
는 침목과 상기 침목 위에 시공되는 레일과 상기 침목과 레일을 고정하거나 연
결하는데 필요한 체결구를 비롯한 각종 부속품으로 구성된다. 도상은 쇄석 또
는 콘크리트 등으로 형성되고 하중을 분산시키는 역할을 하고, 침목은 목재, 콘
크리트, 철재 등의 소재로 형성되어 레일의 간격을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며, 레
일은 그 위에서 운행되는 열차의 진행을 유도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2) 궤도공사의 공정
궤도공사는 다음과 같은 순서로 진행된다.
자갈궤도 공사 → 콘크리트 궤도 부설공사 → 분기기 공사 → 레일신축
이음공사 → 레일용접공사 → 장대레일 설정 및 재설정 → 부대공사
➀ 궤도 : 운행하는 차량을 안전하게 유도하고 차량의 하중을 노반으로
넓게 분포시키는 구조로서 레일, 침목, 도상과 이들의 부속품으로 구
성되어 있다.
➁ 도상 : 도상은 레일 및 침목으로부터 전달되는 열차하중을 노반에 넓
게 분산시키고, 침목 또는 체결장치를 소정위치에 고정시키는 기능을
하며, 온도에 의한 레일의 좌굴을 방지하고 침목의 종방향력에 저항하
는 궤도재료로서 일반적으로 깬 자갈 또는 콘크리트가 사용된다.
Ⅲ. 연구결과 ‥‥ 43

➂ 분기기 : 열차의 궤도를 바꾸기 위한 설비를 말한다.


• 자갈도상 : 공장에서 가조립한 분기기를 육로로 운반하여 현장으로 반
입하여 조립한 분기기를 운반하고, 궤도철거하고 분기기를 하화 후 자
갈 살포, 자갈 다짐 및 현장정리를 한다.
• 콘크리트 도상 ; 분기기를 육로로 운반하여 하화하고, 현장에 조립 및
지그설치하고 분기기 부설, 철근조립, 거푸집 설치 후 분기기 검측 후
콘크리트 타설하여 완료한다.
➃ 레일신축 이음장치 설치공사 : 자갈궤도용 레일신축이음장치의 부설은
침목배열, 상판설치, 이동레일과 텅레일 설치, 침목 계재 설치, 도상자
갈 보충, 용접 및 정리 작업의 순으로 시행한다.
⑤ 궤도용접
• 가스압점 : 산소, 아세틸렌, 프로판 가스를 사용하여 이끌어 낸 가스불
꽃으로 양 레일의 단부를 가열하고, 강한 압력을 가하여 접합시키는
고온 압접법이다.
• 플래시벗 용접 : 용접할 2개의 레일 단면을 연마하여 중심 맞추기를 한
후 레일 단부를 약 2㎜로 띄어 전류를 통하게 하여 레일을 접촉시키면
레일 단면의 접촉점에서 전기저항에 의한 불꽃이 발생하고 온도가 급
격히 상승한다. 레일 단면의 접촉과 분리를 반복하여 단면이 용융 상태
가 된 시점에서 전류를 차단하고 순간적으로 모재를 가압하여 접합시
킨다.
• 테르밋트 용접 : 접합할 양 레일을 예열하고 레일 사이의 간극에 산화
금속과 알루미늄 간의 화학 반응에 의하여 생성되는 고온의 용융철을
채워 레일을 접합시키는 방법이다.
44 ‥‥ 건설업 보건관리 위험성 평가 모델 개발(Ⅱ)-토목공사

• 엔크로즈드 아크용접 : 피복 아크 용접봉을 이용한 수용접으로, 양 레


일 단부에 용접봉에 의한 전류를 통해서 발생하는 아크열에 의해 접합
하고자 하는 레일 단부를 용접봉으로 용접하는 방법이다.
⑥ 장대레일 설정 및 재설정 : 도상작업 완료 후 레일의 축력을 고르게
분포시키기 위하여 중위 온도에서 레일을 재체결하는 장대레일 부설
공사에 적용한다.
⑦ 부대공사
• 차막이설치공사 : 차막이 설비는 선로의 종단에 설치되는 설비로서,
일반적으로 본선과 측선의 종단, 그리고 기지내의 유치선과 입환선에
설치하여야 하므로 크레인장비, 레일용접, 레일천공 고정한다.
• 레일 연마작업 : 일반철도와 고속철도의 일반구간 레일 연마작업에 적
용하며, 회전방식(profile방식) 연마 또는 평삭(milling)방식의 레일표면
연마, 레일단면의 원형 재생(Re-profiling)작업에 적용한다.
• 가드레일 설치공사 : 탈선방지 가드레일을 부설한다. 탈선방지 가드레
일의 이음부는 특수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이음매판을 사용하고 이음
매판 볼트는 후렌지 웨이 바깥쪽에서 조여야 한다.
• 선로표지 공사 : 거리표, 기울기표, 곡선표, 곡선예고표, 선로작업표,
용지 경계표, 차량접촉 한계표, 담당구역표, 수준표, 낙석표, 임시 신호
기(서행, 서행예고, 서행해제 신호기), 차단기 있는 건널목표, 차단기
없는 건널목표, 기적표, 속도제한표, 속도제한 해제표, 서행구역통과측
정표, 공사알림판 등을 설치한다.
• 도상매트 부설공사 : 자갈의 세립화를 방지하고 소음과 진동을 저감시
키기 위해 궤도부설 전에 교량, 정거장, 터널 등의 바닥과 도상 사이
에 부설하는 도상매트의 부설공사에 적용한다.
• 터널내의 먼지제거공사 : 살수장비는 기관차, 유조탱크화차, 살수화차
Ⅲ. 연구결과 ‥‥ 45

로 구성하며, 살수에 이용하는 물은 콘크리트 생산에 적합한 수질이어


야 하며, 살수는 자갈도상과 터널 벽체 등에 대하여 시행한다.
• 도상자갈 비산방지공사 : 열차가 고속으로 주행할 때에 발생되는 설빙
의 비산을 방지하기 위해 시행하는 자갈네트, 자갈스크린, 합성수지제
시공법이 있다
• 건널목 설치공사 : 철도와 도로가 동일 평면에서 교차하는 경우 건널
목을 설치한다.
(3) 궤도공사의 공정별 유해위험요인
가) 기후영향(고온과 저온 및 태양광선)
궤도공사는 옥외작업으로 기후변화에 따른 고온과 저온환경 및 강한 태양광
선에 노출된다.
나) 분진 및 배기가스
자갈 포설, 콘크리트 타설 및 다짐작업 시에 분진에 노출된다. 레일 운반장
비 및 자갈포설 장비의 가동에 의한 배기가스에 노출된다.
다) 용접흄
레일 연결을 위한 용접작업 시에 용접흄에 노출된다.
라) 소음
자갈 포설, 콘크리트 타설 및 건설장비 가동 시에 발생하는 소음에 노출된다.
마) 인간공학적 요인
침목과 레일 운반과 배열 작업, 용접작업 및 자갈 다짐작업을 할 때에 부자연
스러운 작업자세와 무리한 힘 및 반복작업 동작으로 근골격계에 부담이 된다.
46 ‥‥ 건설업 보건관리 위험성 평가 모델 개발(Ⅱ)-토목공사

2. 토목공사의 유해요인과 건강영향

이 절에서는 토목건설공사 현장에서 발생하는 주요 유해요인의 건강영향과


관리대책에 대하여 정리하였다.
1) 토목공사현장의 분진

토목공사현장의 분진은 단순한 먼지 공해가 아니다. 분진은 작업자들의 생명


을 위협하는 숨어있는 컬러(Hidden Killer)라고 한다. 건강을 해치고 일부는 심
각한 암을 유발할 수 있다. 건설현장의 분진은 발생원이나 사용하는 재료 등에
따라서 다음과 같은 유형으로 분류할 수 있다.
① 실리카 분진 : 실리카가 함유된 건설재료를 취급할 때 발생한다. 모래,
콘크리트, 모르타르 등을 취급할 때 호흡성 결정형 유리규산
(Respirable Crystalline Silica, RCS)에 노출된다.
② 목재분진 : 연목이나 경목(Softwood, Hardwood) 및 목재를 가지고 만
든 합판이나 MDF11) 등을 취급할 때 발생한다.
③ 저독성 분진(Lower Toxicity Dusts) : 실리카가 거의 함유되어 있지
않은 건축재료를 취급할 때 발생한다. 석고(Gypsum)(예, 석고보드
Plasterboard), 석회암, 대리석 및 백운석 등을 이용한 작업 시 발생하
는 분진은 독성이 낮다.

11) 톱밥과 접착제를 섞어서 열과 압력으로 가공한 목재이다. 장점은 저렴한 가격과
견고함이다. 단점은 물이 묻으면 변형이 잘 된다.
Ⅲ. 연구결과 ‥‥ 47

(1) 분진의 건강위험성


건설공사현장의 분진으로 인하여 발생 가능한 질병은 다음과 같은 것이다.
∙ 폐암(Lung Cancer)
∙ 규폐증(Silicosis)
∙ 만성폐쇄성폐질환(COPD)
∙ 천식(Asthma)
(2) 주요 공정별 분진발생과 감소대책
분진감소대책을 현장에서 적용하기 위해서는 분진이 발생하는 공정을 이해
하는 것이 필요하다.
가) 보도블럭, 도로 경계석 등의 절단
포장, 보도블록 및 연석을 컷오프 톱(Cut-off Saw)으로 절단할 때 매우 많은
실리카가 함유된 분진이 발생한다. 이 작업은 단시간에 최고 70 mg/m3의 매우
높은 농도에 도달할 수 있다. 분진감소를 위해서 다음의 조치를 취한다.
• 분진 감소를 위해 블록 스플리터(Block Splitter) 등 저에너지 장비를
사용한다.
• 계획 및 설계단계에서 절단하는 횟수를 줄인다.
• 자재는 부지 밖에서 절단한다.
• 분진 배출장치(On-tool Extraction)가 장착된 도구를 사용한다.
• 보호 계수가 20인 호흡보호구를 착용한다.
나) 콘크리트 긁어내기
그라인더로 콘크리트 긁어내기(Chasing Concrete)는 매우 높은 수준의 실리
48 ‥‥ 건설업 보건관리 위험성 평가 모델 개발(Ⅱ)-토목공사

카 함유 분진을 생성 할 수 있다. 이 작업은 단시간에 약 5 mg/m3의 매우 높


은 농도에 도달할 수 있다. 이 작업에서 분진 감소대책은 다음과 같다.
• 설계단계에서 콘크리트를 긁어낼 필요성을 줄이고, 케이블을 덮어씌우
는 것처럼 콘크리트를 긁어낼 필요가 없는 작업 방법을 사용한다.
• 분진 배출장치(On-tool Extraction)가 장착된 도구를 사용한다.
• 보호 계수가 20인 호흡보호구를 착용한다. 장시간 작업(예 : 휴식 없이
1 시간 이상) 할 때는 전동식 호흡보호구(Powered RPE)를 착용한다.
다) 다듬기와 연마(Scabbling or grinding)
콘크리트 또는 기타 건축 자재를 다듬거나 연마를 할 때 매우 많은 실리카
가 함유된 분진이 생성 될 수 있다. 이 작업은 단시간에 약 1-2 mg/m3의 높은
피크 농도에 노출된다(HSE, 2018). 이 작업에서 분진감소를 위해 다음의 조치
를 취한다.
• 공사 마무리 단계에서 다듬기 작업이 필요 없는 자재를 사용한다.
• 고압 물 분사 장치(High-pressure Water Jetting)를 사용한다.
• 화학적 지연제(Chemical Retarders)를 사용한다.
• 전용 조인트 폼(예 : 메시 폼 제작)에서 주조한다.
• 분진 배출장치(On-tool Extraction)가 장착된 도구로 작업한다.
• 보호계수 20인 호흡보호구를 착용한다.
라) 철거작업(Demolition)
철거작업은 높은 수준의 먼지를 생성 할 수 있다. 철거대상에 실리카 또는
목분진이 함유된 경우 높은 위험성이 있다. 이 작업에서 분진감소를 위해 다음
의 조치를 취한다.
• 작업 영역에 있어야 하는 사람들의 수를 제한한다.
• 분진확산을 방지하기 위한 구역에서 스크린을 설치한다.
• 가능한 한 물을 이용한 분진 비산 억제 및 분진 배출 장치가 장착된
Ⅲ. 연구결과 ‥‥ 49

도구를 사용한다.
• 실내에서 작업을 할 때는 창문을 열고, 밀폐된 공간인 경우에는 청정
공기를 제공하기 위해 강제 환기가 필요하다.
• 보호계수 20인 호흡보호구를 착용한다. 장시간 일을 할 경우에는 전동
식 호흡보호구(Powered RPE)를 착용한다.
마) 목재 절단 및 샌딩(Cutting and Sanding Wood)
전동 공구로 나무를 자르고 샌딩하면 상당한 양의 분진이 발생할 수 있다.
벨트 샌더(Belt Sander)를 사용하는 경우 목분진 농도가 높을 수 있어, 목재를
취급하는 작업자는 천식에 걸릴 위험이 높다. 이 작업에서 분진발생을 억제하
거나 제거 및 흡입 방지를 위해 다음의 조치를 취한다.
• 독성이 덜 하다고 알려진 목재를 사용한다.
• 사전에 절단된 목재를 주문하거나, 미리 완성된 목재를 사용한다.
• 목 분진을 최소화하기 위한 전용 작업 공간을 사용한다.
• 분진 배출장치(On-tool Extraction)가 장착된 도구를 사용한다.
• 단시간(15-30분) 작업을 할 때는 보호계수 10인 방진마스크를 착용해
도 좋다.
50 ‥‥ 건설업 보건관리 위험성 평가 모델 개발(Ⅱ)-토목공사

2) 철근콘크리트 공사에서 사용하는 화학물질

(1) 시멘트
시멘트는 건물을 짓는데 들어가는 혼합물로서 건축계의 필수요소이다. 시멘
트는 수경성 혹은 비수경성으로 구분하며, 수경성 시멘트를 포틀랜드 시멘트,
혼합시멘트 및 특수시멘트로 분류한다. 시멘트는 모르타르와 콘크리트를 만드
는 데 사용되는 것이다.
가) 시멘트에 의한 피부손상
시멘트의 접촉은 다양한 형태의 피부 반응을 일으킬 수 있다. 접촉성 피부
염, 알레르기 접촉성 피부염 및 화상 등이 알려져 있다. 시멘트에 의한 피부염
및 궤양은 오래 전부터 잘 알려져 있으며, 일부에서는 모든 직업성 피부질환의
25% 정도가 포틀랜드 시멘트에 기인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ILO, 1983).
Irvine 등(1994)은 건설현장에서 피부 이상을 호소한 1,138명 중 시멘트 화상이
323명(28.3%)으로 그 빈도가 높음을 보고하였다.
① 알레르기 접촉 피부염
알레르기성(allergic) 접촉피부염은 시멘트에 함유되어 있는 크롬과 코발트에
이미 감작되어 있는 사람에게서 종종 관찰할 수 있다. 크롬의 경우 시멘트의
성분 중에 약 0.02%정도의 적은 양을 차지하나 알레르기 접촉 피부염의 흔한
원인이 되며, 일부에서는 니켈이나 코발트에 의해 발생하기도 한다. 크롬에 의
한 알레르기 접촉피부염은 예후가 불량하여 직업전환에 의해서도 호전되지 않
는 경우가 많으므로 처음 감작을 막는 것이 중요하다.
Ⅲ. 연구결과 ‥‥ 51

② 자극성 접촉 피부염 및 눈 손상
자극성 접촉피부염 역시 흔히 관찰되지만 대개 증상이 경미하다. 공기 중 시
멘트 분진에 노출되면 즉시 또는 지속적으로 눈의 자극을 유발할 수 있다. 노
출 수준에 따라 영향은 발적에서 화학 화상 및 실명에 이르기까지 다양 할 수
있다.
③ 시멘트 화상
시멘트 화상(cement burn)은 그 빈도는 상대적으로 적지만 흔히 피부 이식
이 필요할 만큼의 심각한 피부 손상을 일으킬 수 있다. 젖은 시멘트는 강한 알
칼리성을 띠며 피부에 장시간 노출 시에 발열반응에 의한 열손상과 함께 알칼
리 화상을 유발시킨다. 알칼리 화상은 피부지방을 분해하여 피부장벽을 쉽게
침투할 수 있으므로, 산성 화상에 비하여 보다 심하고 광범위한 조직의 파괴와
쉽게 회복되지 않는 깊은 궤양을 일으킬 수 있다(Freedberg et. al., 2003).
시멘트에 포함되어 있는 산화칼슘(CaO2) 성분은 수분에 노출되면 pH 12.9의
강한 알칼리성을 갖는 수산화칼슘[Ca(OH)2]을 형성하여 피부 조직의 부식을
일으킨다(Yoo et.al., 2000). 피부에의 직접 노출과 긴 접촉 시간, 접촉 부위의
폐색(occlusion) 등은 이러한 시멘트의 알칼리 화상의 반응에 필수적 요소들이
다(Rycroft, 1980). 그러한 이유로 무릎을 꿇고 작업을 하는 사람에게는 무릎이,
장화를 신고 작업하는 사람에게는 발목과 종아리가 시멘트 화상을 입는 호발
부위이다(Kelsey, 1995).
(2) 혼화재와 혼화제
콘크리트의 성능을 향상시키고 작업능률을 높이기 위하여 굳지 않은 콘크리
트에 여러 가지 약재들을 혼합하게 된다. 이를 혼화재료라고 하며, 혼화재
(mineral admixture)와 혼화제(chemical admixtures)로 구분한다.
52 ‥‥ 건설업 보건관리 위험성 평가 모델 개발(Ⅱ)-토목공사

가) 혼화재
혼화재는 혼화재료 중에서 그 사용량이 비교적 많은 재료로 콘크리트의 장
기 강도를 향상시키거나, 콘크리트의 균열 발생 억제 효과를 주는 시멘트와 같
은 분말의 재료들이다. 플라이 애쉬, 고로슬래그, 미분말 포졸란, 팽창재, 규산
질 미분말, 착색재, 고강도용 혼화재 등이 이에 해당한다.
• 포졸란(pozzolan) 작용이 있는 것 : 플라이 애쉬, 규조토, 화산회, 규산 백토
• 잠재 수경성이 있는 것 : 고로슬래그 미분말
• 경화 과정에서 팽창을 일으키는 것 : 팽창재
• 양생에 의하여 고강도를 나타내는 것 : 규산질 미분말
• 착색시키는 것 : 착색재
• 기타 : 고강도용 혼화재(실리카 흄), 폴리머, 중량재 등
이 중에서 특히 플라이 애쉬, 고로슬래그 미분말과 실리카 흄(silica fume)은
산업 부산물로서 유용하게 사용되고 있으며, 특히 이들을 포졸란 재료라고 한
다. 중요한 혼화재의 주성분과 조성은 [표 2-1]와 같다.
<표 2-1> 혼화재의 구성분과 구성

혼화재의 종류 주성분, 조성
포졸란 플라이 애쉬, 실리카 흄, 화산재 등으로 반응성 SiO2를
주성분으로 함.
고로슬래그 미분말 SiO2-Al2O3-MgO-CaO계 유리질
팽창재 Hauyne 계, CaO계 등
규산질 미분말 석영 등
고강도 혼화재 무수 석고계 등
광물질 미분말 CaCO3 등
착색재 각종 금속 산화물 등
폴리머 혼화재 각종 수용성 고분자, 폴리머 디스퍼젼 등
Ⅲ. 연구결과 ‥‥ 53

나) 혼화제
콘크리트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콘크리트의 용적의 1% 미만으로 첨가하
는 것이다. 콘크리트를 만들기 위해 시멘트와 물, 골재를 섞은 후에 소량을 첨
가하는 것으로 주요 화학적 혼화제와 화학성분은 [표 2-2]과 같다.
<표 2-2> 혼화제의 종류별 화학물질
혼화제 유형 화학물질
AE제 수지산염계, 양이온․비이온계 계면활성제
감수제, AE감수제 리그닌 술폰산염(Lignin Sulfon)계, 옥시카르본산염
(Oxy-Carbon)계 등
고성능 감수제 나프탈렌술폰산염계 축합물, 멜라민수지 술폰산염 축합물,
변성 리그닌 술폰산염, 폴리카르본산염 등
고성능 AE감수제 서방성 반응고 고분자, 정제 리그닌술폰산염 등
지연제(초지연제) 옥시카르본산염, 규화물, 분산염 등
촉진제 로단산염, 트리에탄올 아민, 아초산염
방청제 아초산염
다) 혼화재료의 유해성
① AE제
AE제는 직접적인 접촉으로 인해 약간의 눈 자극이 발생할 수 있다. 반복적
이거나 광범위한 접촉은 피부 자극을 유발할 수 있으며 일부 사람들에게는 알
레르기성 피부 반응을 일으킬 수 있다. AE제에 함유된 아민류(트리에탄올 아
민)는 실험동물 연구에서 혈액 영향 및 간 및 신장 손상을 일으켰다.
이 제품에 과도하게 노출되거나, 접촉이 일어났거나, 섭취하였다면 피해자의
증상에 대한 치료를 하면 된다. 특정 해독제는 없다.
54 ‥‥ 건설업 보건관리 위험성 평가 모델 개발(Ⅱ)-토목공사

② 감수제
물질의 구성에 따라 감수제는 물 술포네이트(water sulfonate), 다핵방향족염
( polynuclear aromatic salts) 및 수용성 수지술폰산염(water-soluble resin
sulfonate)으로 나눌 수 있다.고성능 AE 감수제는 주성분별로 보면 나프탈렌계,
멜라민계, 아미노술폰산계, 폴리카르본산계로 분류가 가능하다. PNS(NSF)로
불리는 poly napthalelne sulfor formaline condensation과 poly melamine sulfor
formaline condensation으로 불리는 멜라민계 고유동화제(고성능 감수제)이다.
현재까지 감수제의 유해성에 대해서 알려진 것은 확인하기 어렵다.
③ 지연제
지연제로 사용되는 Sodium Gluconate(527-07-01)는 피부 자극 또는 민감성을
유발한다. 피부에 접촉하지 않도록 하고 노출 된 부위는 즉시 물로 씻어 내야
한다. 눈에 대해서도 자극성이 있고 일시적으로 각막 손상을 일으킬 수 있다.
④ 촉진제
촉진제로 사용하는 염화칼슘은 습기나 물과 접촉하면 알칼리성이 된다. 피부
에 접촉되면 피부를 건조시킬 수 있으며, 알칼리 화상을 일으키고 점막에 영향
을 준다(Kennedy, 2017). 염화칼슘을 흡입하면 코, 목 및 폐에 점막을 형성하는
부위에 병변을 일으킬 수 있다. 흡입으로 인한 손상을 방지하려면 염화칼슘으
로 작업 할 때 항상 호흡보호구를 착용해야한다. 염화칼슘으로 작업하는 동안
기침을 하거나 목이 아프면 신선한 공기 또는 통풍이 잘되는 장소로 옮기고 증
상이 호전 될 때까지 쉬는 것이 좋다. 염화칼슘에 장시간 피부가 노출되면 피
부가 건조해지고 자극을 받을 수 있다. 피부 반응을 치료하려면 비누와 물로
충분히 씻어야 한다. 자극이 사라지지 않거나, 악화되거나, 불편함을 느끼면 의
사의 진료를 받도록 한다. 염화칼슘 노출로 인한 피부 자극을 피하기 위해 장
Ⅲ. 연구결과 ‥‥ 55

갑을 착용하고 긴 바지와 긴 소매를 착용할 것을 권장한다. 염화칼슘은 섭취하


면 위장에 구역질과 메스꺼움, 구토를 일으킬 수 있다. 섭취를 피하기 위해 염
화칼슘으로 작업하는 동안 먹거나 마시거나 흡연하지 말 것을 권장한다. 실수
로 염화칼슘을 섭취한 경우, 충분한 물을 마시고 의사에게 즉시 연락한다.
(3) 철근 부식방지제
부식방지제(corrosion inhibitor)란 부식의 속도를 저하시키는 물질로서 일반
적으로 금속 표면에 보호층을 형성하는 유기 및 무기 화합물이다. 크롬산염, 인
산염, 아질산염, 규산염과 같은 무기화합물의 부식방지제로 일반적으로 아질산
소다(NaNO2), 크롬산칼륨(KCrO3), 크롬산나트륨(NaCrO3), 아질산칼슘
(Ca(NO2)2), 아연 포스페이트(zinc phosphates) 등이 사용되고 있다(Diamanti,
2015). 유기억제제로는 아민(amines), 사이 클릭 아민(cyclic amines), 4급 아미
도아민(quaternary amidoamines), 디에틸아민(dietilamines), 이미다졸린
(imidazolines) 및 지방산(fatty acids) 등이 있다.
인간과 환경에 대한 독성 영향의 연구 결과로 인해 크롬산염과 납은 사용이
중단되었다. 부식방지제 중독은 신체의 많은 부분에서 증상을 유발할 수 있다.
가) 눈, 귀, 코 및 인후
• 시각 장애
• 목의 심한 통증
• 코, 눈, 귀, 입술 또는 혀에 심한 통증이나 화상
나) 위와 장
• 대변에 피가 묻어있다.
• 인후와 식도 화상
• 심한 복통
56 ‥‥ 건설업 보건관리 위험성 평가 모델 개발(Ⅱ)-토목공사

• 구토
• 토혈
다) 심장과 혈액
• 순환기 허탈(Collapse)
• 저혈압
• 메토헤모글로빈혈증(Methemoglobinemia)
• 혈액 내에 과도하거나 너무 적은 산이 생기므로 모든 신체 기관에 손
상을 준다.
라) 신장
• 신부전
마) 폐 및 기도
• 호흡 곤란
• 인후 부종(호흡곤란을 유발할 수 있음)
• 질식
• 화학적 폐렴
• 2차 세균성 또는 바이러스성 감염
• 출혈성 폐부종(Hemorrhagic pulmonary edema)
• 호흡 곤란 또는 부전(Respiratory distress or failure)
• 기흉(Pneumothorax)
• 흉막 삼출액(Pleural effusion)
• 농흉(Empyema)
바) 신경계
• 동요(Agitation)
Ⅲ. 연구결과 ‥‥ 57

• 혼수(Coma)
• 혼동(Confusion)
• 현기증(Dizziness)
• 불일치(Incoordination)
• 졸림(Somnolence)
• 두통(Headache)
• 흐려진 시야(Blurred vision)
• 약점(Weakness)
• 저산소로 인한 뇌 손상
사) 피부
• 화상(Burns)
• 자극(Irritation)
• 괴사(necrosis)
(4) 거푸집박리제
거푸집은 보통 굳지 않은 콘크리트에 접하는 막음 널과 이것을 지지하는 버
팀보, 띠장, 긴결재12) 등으로 되어있다. 막음 널에는 미리 거푸집 박리제를 발
라두어 굳은 후 떼어내기 쉽게 하는 경우가 많다. 거푸집 박리제는 깨끗하며
신속 용이한 탈형과 흠이 없는 깨끗한 표면의 고품질 콘크리트 생산을 위해 사
용한다.
가) 거푸집 박리제의 종류
박리제는 주요 성분에 따라서 4종류로 분류된다.
12) 긴결재(form tie)는 기둥이나 벽체거푸집과 같이 마주보는 거푸집에서 거푸집널을
일정한 간격으로 유지시켜 주는 동시에 콘크리트 측압을 최종적으로 지지하는 역
할을 하는 인장부재로 매립형과 관통형이 있다.
58 ‥‥ 건설업 보건관리 위험성 평가 모델 개발(Ⅱ)-토목공사

• 파라핀제
• 식물유제
• 광물유제
• 합성수지제
나) 거푸집 박리제의 구성
유성인 박리제는 광물유로 조제한 제품이며, 폐유를 정제하여 만든 제품이 많
다. 거푸집 박리제는 구성은 3 종류의 성분으로 구성 될 수 있다(Civil Engineer,
2018). 거푸집 박리제의 구체적인 성분과 작용효과는 [표 2-3]과 같다.
<표 2-3> 거푸집 박리제의 구성성분
재료(Materials) 성분(Ingredients) 효과, 롤링(Effects, rollings)
등유(kerosine) 윤활제, 유성 거푸집 박리제의
용제, 오일의 점도 조정
스핀들 오일 윤활제, 탈형 작용은 약함
미네랄 오일 트랜스 기계
오일
오일
오일의 점도 조정
윤활제, 탈형 작용은 약함
(Mineral oils) 터빈 오일 윤활제, 탈형 작용은 약함
모터 오일 윤활제, 탈형 작용은 약함
실린더 오일 윤활제, 탈형 작용은 약함
고급 지방산 탈형, 소포제, 윤활제, 방청작용
활성 첨가제 산성 왁스
수지 탈형, 소포제, 윤활제, 방청작용
탈형, 박리제의 담체
(active
additives) 지방산
합성수지
유도체 윤활제, 탈형
탈형
지방, 지방산 에스테르 유성 개량제(특히 겨울철)
계면 활성제 소포제, 유화제, 습윤제
보조 첨가제 석유 설포네이트 유화제, 방청작용
폴리머(폴리부텐 등) 유성 개량제
염료 착색제
캐리어
(수용성 형태 오일) 물 희석제, 윤활제
출처 ; Concrete Form Release Agent http://www.me.ccnw.ne.jp/osamu717/english.htm
Ⅲ. 연구결과 ‥‥ 59

국내에 유통되는 제품의 조성이 파라핀 왁스, 디클로로메테인, 페놀, 개미산


으로 된 사례로 [표 2-4]에 제시하였다.
<표 2-4> 구성성분의 명칭 및 함유량 예시

물질명 이명(관용명) CAS 번호 함유량(%)


파라핀 왁스 Paraffin 8002-74-2 2.5
디클로로메테인 염화 메틸렌 75-09-2 55
(Dichloromethane) (Methylene Chloride)
페놀 벤젠올(Benzenol) 108-95-2 15
개미산 메타노산(Methanoic acid) 64-18-6 15
다) 거푸집 박리제의 도포
거푸집 박리제는 롤러, 도포(spray), 분무(fogging)방식으로 거푸집에 칠한다
(그림 2-2). 거푸집 박리제의 각 유형의 효율성은 구성성분과 그 비율, 거푸집
의 유형 및 기타 요소에 크게 좌우된다. 거푸집 박리제를 도포(spray)하거나 분
무(fogging)할 때에 이와 관련된 위험성에 대한 우려가 많다.

[그림 2-2] 거푸집 박리제 도포작업


60 ‥‥ 건설업 보건관리 위험성 평가 모델 개발(Ⅱ)-토목공사

라) 유해성
거푸집박리제는 강한 산성(pH 1-3)이며, 노출되었을 때의 건강영향은 다음과
같다.
① 파라핀 왁스
파라핀 왁스13)는 소화되거나 흡수되지 않는다. 많은 양을 섭취하면 장 폐색
이 일어날 수 있다. 파라핀 왁스를 가열할 때에 생기는 증기는 오심을 유발하
고, 가볍게 코와 목구멍을 자극한다. 경미한 자극을 일으킬 수 있다. 가열된 용
액은 피부 화상을 일으킬 수 있다. 감작 반응을 일으킨다고 보고되었다. 작업성
노출 이후 이물질 피부 육아종이 발생했다고 보고되었다. 석유 정제 산업에서
파라핀 왁스는 불순물이 함유되어 있을 수 있는데 20년의 잠복기로 피부암을
촉진시키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직업적으로 고농도의 파라핀 왁스 에어로졸에
5년 동안 노출되었을 때 호흡곤란과 저산소증이 발생하였고 병리학적으로 지질
이 많이 적재된 대식세포 및 간질 섬유증 관련 폐포염이 특징인 지질성 폐렴으
로 발전하였다(식품안전처, 2018). 우리나라에서 규정하고 있는 작업장의 노출
한계는 2 mg/m3 TWA(왁스 연기)이다.
② 디클로로메테인
디클로로메탄은 무색의 비가연성이며 휘발성 액체이다. 클로로포름과 비슷한
냄새가 난다. 디클로로메테인은 중추신경계, 심장, 신장 및 간장 질환을 일으키
는 건강에 매우 위험한 유기용제이다. 급성으로 노출될 경우 중추신경억제 효
과가 있으며, 운동의 부조화와 어지럼증을 일으키고, 두통, 사지의 둔화 등을
유발한다. 고농도 노출의 경우 사망에까지 이른다. 디클로로메테인이 일산화탄
소로 대사되어 혈액내 심장조직에서 이용할 수 있는 산소의 양을 감소시킴으로
13) 파라핀 왁스는 일반식이 CnH2n+2이면서 n이 20보다 큰 알칸계 탄화수소들을 달리
부르는 이름이다. 파라핀의 고체 형태를 파라핀 왁스라고 부른다.
Ⅲ. 연구결과 ‥‥ 61

서 심장조직에 영향(급성 심근경색 발생 가능)을 준다. 간의 효소를 상승시킨


다. 간은 디클로로메테인 독성에 있어서 표적장기이다. 흡입 시 호흡기계에 자
극을 일으켜, 기침, 호흡곤란, 쌕쌕거림, 등을 유발한다. 또한 고농도에 노출될
경우 기관지염, 폐부종, 의식불명 및 사망할 수도 있다. 피부가 노출되면 피부
의 자극, 화상 및 눈에 자극을 유발한다. 남성의 경우에 생식기능에 장해가 있
다는 보고가 있고, 여성의 경우에도 생식 및 발달 장해에 대한 보고가 있다. 또
한 태아에 영향을 준다. 디클로로메테인은 동물실험결과 폐암, 간암, 췌장암을
일으키는 발암성 물질이며, 허혈성심질환을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고용
노동부는 발암성 추정 물질(A2)로 규정하고 있으며, 미국 산업위생전문가협의
회(ACGIH)은 동물발암성 물질(A3)로 규정하고 있다. 국제 발암성 연구소
(IARC)는 인체 발암성 가능 물질(Group 2B)로 분류하고 있다.
디클로로메테인을 취급할 때는 반드시 국소배기시설 등 환기가 잘 되는 곳
에서 호흡용 보호구 (방독마스크)와 보호장갑, 보호의 등을 착용하여야 한다.
노출기준으로 고용노동부와 ACGIH는 TLV-TWA를 50 ppm으로 규정하고
있고, OSHA에서는 25 ppm, 단시간 노출기준(15분)을 125 ppm으로 관리하고
있다.
62 ‥‥ 건설업 보건관리 위험성 평가 모델 개발(Ⅱ)-토목공사

3) 방동제

(1) 개요
방동제는 타설한 콘크리트가 영하의 기온에서도 동결에 의한 피해를 입지
않으며, 재령에 따른 충분한 강도가 발현할 수 있도록 하는 화학제품이다. 건설
현장에선 콘크리트의 파손 방지 용도로 쓰인다. 콘크리트가 저온에서 냉각되면
콘크리트 속의 물이 동결되어 벽이 약해지고 심하면 부서질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겨울철 건설공사현장에서는 없어서는 안 되는 필수품이다. 동절기 시멘
트 혼입 몰탈 및 콘크리트 공사에서 주로 사용된다.
(2) 성분
방동제의 구성성분은 아질산나트륨, 아질산칼슘, 계면활성제, 이산화규소,
멜라민, 물, 기타 첨가물 등이다. 국내에서 제공되는 방도제의 구성 성분과 함
량을 보년 다음과 같다(표 2-5).
<표 2-5> 국내 방동제의 구성성분과 함유량

회사 구성성분 CAS No. 함유량(%)


질산칼슘 13477-34-4 40-60
H 시멘트 물 7732-18-5 40-60
기타(영업비밀) - 0-5
J 회사 아질산 나트륨 7632-00-0 100%
아질산 나트륨과 같은 아질산염은 음식의 보존, 색깔변화 등의 용도로 식
품첨가물로 사용되었으며, 금속부식억제제로도 널리 사용 된다. 최근에는 부동
Ⅲ. 연구결과 ‥‥ 63

액의 성분으로 산업적으로 널리 사용되면서 색깔과 냄새가 거의 없는 아질산


나트륨의 특성으로 인해 물로 혼동하여 섭취함으로써 발생하는 메트헤모글로빈
혈증이 보고된 바 있다(Charles, 1991; Sohn et al, 2014; 이현우 등, 2014).
나) 질산칼슘(calcium nitrate)
분자식은 Ca(NO3)2. 분자량은 164.09이다. 무수물은 녹는점은 561℃이고, 무
색의 분말이며, 모두 조해성이 있다. 질산염이나 연화의 원료로 사용되며, 속효
성 비료이다.
(3) 유해성
방동제는 냄새가 없고 색깔도 투명해 생수병에 담아두면 물과 구분하가 힘
든 화학물질이다. 이러한 방동제를 음용하게 되면 초기 어지럼증과 메스꺼움
증상이 발생되고, 30여분이 경과되면 얼굴이 파랗게 질리고 구토가 일어나며,
결국 사지마비로 쓰러지게 된다.
방동제에 들어 있던 아질산나트륨은 우리 몸에 들어가면 적혈구의 헤모글로
빈의 변형을 초래하여 적혈구의 산소 운반기능을 무력화 시킨다. 조직의 산소
결핍증인 청색증(cyanosis)을 유발한다. 급성적으로 중태에 빠지는 것은 물론이
고 심한 경우 조직의 호흡곤란 증상으로 사망할 수 있다.
아질산이온이 체내에 흡수되면 혈중 2가 철을 갖는 헤모글로빈이 3가 철인
메트헤모글로빈으로 산화돼 산소 운반 기능이 떨어져 메트헤모글로빈혈증이 일
어난다. 메트헤모글로빈혈증은 헤모글로빈분자 중 철이 3가로 산화된 것으로
혈중에 고농도의 메트헤모글로빈이 존재하는 질환이다.
메트헤모글로빈혈증의 증상은 피로, 호흡곤란, 두통, 어지러움, 의식상실, 운
동능력 저하 및 산소결핍 때문에 청색증 등이 있다. 메트헤모글로빈 농도가
50% 이상인 경우에는 발작이나 혼수상태에 빠질 수 있다. 70% 이상인 경우에
는 사망할 수 있다.
64 ‥‥ 건설업 보건관리 위험성 평가 모델 개발(Ⅱ)-토목공사

메트헤모글로빈혈증은 혈중 농도에 따라 그 증상이 다르게 나타나며, 대부


분 무증상인 경우가 많다. 혈중 메트헤모글로빈의 농도가 10-15% 이상인 경우
청색증이 나타난다. 20% 이상이면 두통이나 빈맥, 불안 등을 호소하며, 30% 이
상이면 빈호흡, 어지럼증, 의식상태의 변화가 나타난다. 50%이상이면 혼수상태,
간질, 대사성 산증 등이 나타나며, 70%이상이면 사망에 이른다( Coleman et.

.
al, 1996)
Ⅲ. 연구결과 ‥‥ 65

4) 디젤엔진배출물질

(1) 개요
토목공사현장에서 사용되는 건설기계 또는 중장비의 대부분은 디젤엔진을
사용하고 있다. 디젤엔진 배기가스 배출물에 대한 작업장 노출의 주요 출처는
화차 및 트랙터와 같은 디젤 연료를 사용하는 대형 차량 및 지게차에서 나온
것이다. 건설기계는 지게차와 굴삭기, 로더, 기중기, 불도저, 롤러 그리고 덤프
트럭과 펌프트럭, 믹서트럭 등을 말한다.
디젤엔진의 배기가스는 가스, 증기, 액체 에어러솔(liquid aerosols) 및 매연
입자(soot particles)의 복잡한 혼합물로 구성되어 있다. 그것은 다환방향족탄화
수소(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s, PAHs)와 같은 많이 알려진 발암성 물
질을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PAH는 그을음(soot)에 흡착되어 흡입하기 쉽다.
(2) 구성성분
디젤엔진 배기가스 배출물은 가스, 증기, 액체 에어러솔 및 미립자 물질의
복잡한 혼합물이다. [표 2-6]는 디젤엔진 배기가스 배출물의 주요 화학 성분을
제시한 것이다. 디젤엔진 배기가스 배출물은 매우 다양한 물질과 형태로 구성
되어 있는데, 가스상 물질로는 일산화탄소, 질소산화물과 벤젠이나 포름알데히
드 같은 휘발성 유기물들이 포함되어 있으며, 입자형태로는 유기탄소, 재, 황화
물 및 금속 등이 포함되어 있다. 다핵방향족탄화수소(PAH)와 니트로아렌
(nitroarenes)은 가스 및 입자의 두 가지 형태가 모두 분포되어 있다. 배기가스
의 성상은 연료, 엔진의 형태, 사용 기간, 유지·보수 상태, 배기가스 조절 장치
의 유무와 사용형태 등에 따라 달라지며, 배기가스 조절 장치가 없거나 제한적
66 ‥‥ 건설업 보건관리 위험성 평가 모델 개발(Ⅱ)-토목공사

인 구형의 디젤엔진 배기가스에는 더 많은 양의 입자상 물질을 함유하고 있다


(HSE, 2012).
<표 2-6> 디젤엔진배출물질의 주요 화학성분
탄소(그을음)[Carbon (soot)]
물 (H2O)
일산화탄소 (CO)
이산화탄소 (CO2)
질소 (N2)
질소 산화물 (NOx)
유황 산화물, 예를 들어 이산화황 (SO2)
알콜(Alcohols)
알데하이드(Aldehydes)
케톤(Ketones)
다양한 탄화수소(HC)
다환방향족탄화수소(PAHs)
(3) 유해성
호흡기로 흡입된 디젤엔진 배기가스 배출물은 여러 가지 건강에 유해한 영
향을 줄 수 있다. 단기간 노출되면 눈 또는 호흡곤란을 유발할 수 있다. 이럴
때에는 신선한 공기를 흡입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특히 푸른색 또는 검은색
연기에 장시간 노출되면 기침, 가슴 통증 및 호흡곤란을 유발할 수 있다.
수 년 동안 디젤엔진 배기가스 배출물에 반복적으로 노출되면 폐암의 위험
이 높아질 수 있다. 영국 산업안전보건청(HSE)은 위탁 연구를 통해서 2005년
에 디젤엔진 배기가스 배출물로 인한 암발생 조기 사망자가 200명이 넘는 것으
로 추정하였으며, 건설 근로자에게 중대한 위험이 미칠 수 있다는 것을 강조하
고 있다. 이 추정치는 50년 전의 과거 노출을 기준으로 한 것임을 유의해야 한
다. 그 이후로 엔진 및 연료 기술이 크게 바뀌었다. 그러나 위험을 제어할 필요
가 여전히 남아 있다(HSE, 2012).
Ⅲ. 연구결과 ‥‥ 67

가) 발암성
디젤엔진 배기가스 배출물에는 많은 알려진 발암성 물질, 예를 들어 그을음
미립자에 흡착되는 PAHs가 포함되어 있다. 이 미립자는 호흡기로 쉽게 흡입되
며 폐암의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다.
디젤엔진 배기가스 배출물은 2012년 6월 국제암연구소(International Agency
Research on Cancer, IARC)(2012)에서 폐암을 일으키는 근거가 확실한 1군 발
암물질(Group 1)로 발표하였다. 또한 방광암을 일으키는 의심물질(Group 2B)로
분류되었다.
나) 생식독성
생식 및 발달 독성은 디젤엔진 배기가스 배출물의 중요 종점(critical
end-points)이 아닌 것으로 여겨지고 있다.
다) 과민성
디젤엔진 배출가스 배출물의 민감성에 관한 몇몇 연구는 사람과 동물의 면
역체계에 디젤엔진 배기가스 배출물이 미치는 영향을 보여준다. 디젤엔진 배기
가스 배출물은 사람과 동물의 감작 테스트에서 보조제로 반응하며 알레르기 반
응과 천식과 같은 증상을 악화시킬 수 있다. 그러나 디젤엔진 배기가스 배출물
자체는 알레르겐이 아니다.
68 ‥‥ 건설업 보건관리 위험성 평가 모델 개발(Ⅱ)-토목공사

5) 아스팔트 흄(asphalt fume)

(1) 개요
아스팔트는 끓는점은 371 ℃ 이상이고 녹는점이 높기 때문에 제조 및 취급
시 화상을 입을 우려가 있다. 또한, 끓는점 이상에서는 아스팔트 흄이 발생된
다. 아스팔트 흄에 노출될 수 있는 경우는 아스팔트 제조, 아스콘 제조, 도로포
장 작업을 할 때이다. 모든 아스팔트는 가열시 증기 상 물질이 방출되며, 방출
된 증기 상 물질이 식어 농축되면 흄의 형태로 변한다. 아스팔트 포장작업 시
에 아스팔트 흄의 흡수는 흡입이나 피부를 통해서 이루어진다. 아스팔트 흄의
특성은 아직까지 잘 밝혀져 있지 않다.
(2) 아스팔트 흄의 유해성분
도로 포장작업 시에 노출되는 아스팔트 흄의 농도는 평균 10∼200 ng/m3 이
다. 아스팔트에서 벤젠 용해성 물질은 파라핀, 시클로파라핀, 일∼삼환 방향족
과 같이 크게 해롭지 않은 탄화수소물이 대부분이다. 다환방향족탄화수소
(PAHs)는 0.05%미만이다.
(3) 배설 및 생체지표(Biomarker)
아스팔트 흄의 노출지표물질은 소변 중 glucaric산 대사물과 thiosther, 소변
중 1-hydroxypyrene, DNA 및 단백질 부산물들을 쓸 수 있다.
Ⅲ. 연구결과 ‥‥ 69

(4) 유해성
가) 피부와 눈의 자극
아스팔트 흄의 급성 독성 영향으로는 결막 자극, 피부 자극, 간지러움증, 발
진 등이 있다. 알러지성 피부반응을 일으켜 접촉 시 발진과 습진양 병변이 생
길 수 있다.
나) 호흡기 자극
아스팔트 흄은 호흡기계를 자극하여, 노출로 기침, 인후통, 객담 증가 등이
발생할 수 있다. 반복해서 아스팔트 흄에 노출되면 기관지염과 폐기종이 발생
할 수 있다.
다) 기타 증상
아스팔트 흄에 노출된 작업자들에서 오심, 복통, 식욕감퇴, 두통, 피로가 발생
가능하다. 아스팔트 흄에 함유된 이황화수소로 반복 노출되면 어지러움증, 발
작, 혼수 및 사망할 수도 있다.
라) 만성 인체 영향
① 비발암성 영향
도로 포장 작업자들은 일반인구보다 호흡기 질환으로 인한 사망률이 높았
다. 그리고 아스팔트 흄 노출 직업에 종사한 기간이 증가할수록 위험도도 증가
하였다. 폐쇄성 호흡기질환은 흡입성 분진, NO2, PAHs, 오일 미스트 등에 의해
서 발생하며, 심혈관계 질환으로 인한 사망이 증가하였다.
② 발암성 영향
국제 암 연구소(IARC)에서는 아스팔트의 발암성은 group 3으로 발암성을 인
70 ‥‥ 건설업 보건관리 위험성 평가 모델 개발(Ⅱ)-토목공사

정하지 않고 있으며, 아스팔트 흄은 group 2B로 인체에 대한 발암성이 의심된


다고 하였다. 아울러 방광, 신장 등의 비뇨계에 발암성이 의심된다.
Ⅲ. 연구결과 ‥‥ 71

6) 토목구조물 도장작업의 유해요인

도료를 물체에 칠하여 도막을 만드는 조작을 도장이라고 한다. 도장해야 할


표면은 용제·계면활성제·충전제 등을 사용하여 깨끗하게 하고, 도 평활하게 한
다. 도장작업은 액체 형태로 적용되며 시간이 지나면 휘발성 성분이 증발하고
경화된 코팅이 보호층 역할을 한다.
(1) 도료의 성분(Constituents of Paint)
도료의 기본 구성 성분은 피막형성제(수지), 용제, 안료, 기타 보조제(첨가제/
살균제, 보존제, 가소제, 건조촉진제, 방염제, 침강 방지제, 분산제, 소포제, 레벨
링제, 접착증강제 등)로 되어 있다.
가) 수지
도료에 사용되는 수지는 안료와 안료를 연결하여 도막을 형성하는 주체가
되며, 도막의 특징을 내고, 광택과 견고함 등의 성질을 부여한다. 수지 종류에
따른 도료의 구분은 [표 2-7]과 같다(박현희 등, 2014).
<표 2-7> 합성수지 종류에 따른 도료의 구분

수지종류 특성 적용바탕
열 염화비닐 열을 용제가 증발하면 딱
아크릴 가하면 딱 해진다 (다시 용제 시멘트
수지 가소성 연화 에 녹는다 [가소성] )
종류 열 에폭시 열을 용제가 증발하고, 금속,
경화성 아크릴 가하면 수지 성분이 화학반 시멘트
실리콘 경화 응하여 단단해진다(경
72 ‥‥ 건설업 보건관리 위험성 평가 모델 개발(Ⅱ)-토목공사

불소수지 화한 용제는 다시 용
우레탄 제에 녹지 않는다 [비
가소성] )
프탈릭산 용제가 증발하고 공 금속,
유변성 알키드 기 중의 산소와 반응 목재
하여 단단해진다
수지 용제형 합성수지에멀젼
- 수지를 용제로 용해 금속,
목재,
상태 분산형 약용제(NAD)형 수지를 물, 용제로 분산 시멘트
수지를 피막형성제(film former)라고도 하며 페인트가 마를 때 안료가 표면
에 잘 붙어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천연 및 합성수지 등으로 분류하기도 한
다(그림 2-2).
나) 안료
안료는 도료에 색을 입히거나 도막에 충진효과를 주고, 은폐성을 가진 두께
를 형성하거나 특별한 성질을 가지게 한다. 또한, 금속의 녹을 방지하고 광택을
조절하고, 도막의 강도를 증가시키며, 비용을 낮추는 등의 목적에 사용된다. 안
료는 유색 불투명한 것으로 물기나 기름 또는 일반 용제에 녹지 않는 분말로
되어 있다. 이것에 착색안료·체질안료·방청안료·발광안료·시온안료 등의 여러
가지 종류가 있다(표 2-8)(박현희, 2014). 다양한 색깔을 위한 일반적인 안료는
다음과 같다.
• 블랙 : 램프 블랙, 슈트와 숯 블랙.
• 레드 : 베네디온 레드, 레드 리드, 인도 레드
• 갈색 : 연소 한 목재, 날 것 및 타오른 시에나14)
• 녹색 : 크롬 녹색, 황산 구리
• 블루 : 프러시안 블루와 울트라 마린
• 황색 : 황토와 크롬 황색
14) 시에나토(그림물감 원료로 쓰이는 황갈색·적색 점토)
Ⅲ. 연구결과 ‥‥ 73

[그림 2-2]피막형성제의 종류(이윤근, 1999)

<표 2-8>도료에 사용되는 안료의 종류

구분 용도 및 종류
체질안료 튼튼하고 두터운 도막을 형성하고 연마성을 좋게한다
예) 탈크(Talc), 탄산칼슘
주로 하도도료에 사용하며 녹의 발생을 막고 다음 도장되는 도료와
방청안료 철판과의 부착력을 향상시킨다
예) 크롬산아연, 아연분말, 황산바륨 등
착색안료 색을 나타내고 은폐력을 부여한다
예) 이산화티타늄(TiO2), 카본불랙(Carbon Black)
무기 내구성, 은폐력이 좋은 금속산화물로써 탁하고 선명성이 부족하다
예) 이산화티타늄(TiO2), 산화철, 암석 등
유기 아름답고 선명한 색을 나타내는 합성물질로써 음폐력이 약하다
74 ‥‥ 건설업 보건관리 위험성 평가 모델 개발(Ⅱ)-토목공사

예)프탈로시아닌 블루, 퀴나크라돈 레드 등


착색안료와 혼합 사용되어 금속성의 느낌을 주는 안료의 변종으로
입자 색상의 각변화를 준다. 펄에는 은백색 펄, 착색펄, 간섭펄이 있다
예)알루미늄(은분), 합성마이카(운모) 등
다) 희석제(Thinner)
신나는 유기용매로 페인트의 도장작업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Terpentine과 naptha는 일반적으로 희석제로 사용된다. 페인트를 바르면 증발
및 페인트 건조가 된다. 한 가지가 아니라 여러 가지의 유기용제가 혼합되어있
는 것이 일반적이다(표 2-9). 따라서 어떠한 유기용제가 함유되어 있는지 정보
가 제공되어야 하지만 물질안전보건자료 상에 제시되는 정보는 불충분한 경우
가 많다. 벤젠 등 매우 위험한 물질이 함유되어 있을 수 있기 때문에 반드시
확인하는 것이 필요하다.
<표 2-9>도료에 사용되는 유기용제의 종류15)
구분 종류
알콜류 메틸알콜, 에틸알콜, 이소프로필알콜, 이소부탄올,
2-프로판올, 2-부톡시 에탄올 등
글리콜률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등
에스테르류 초산메틸, 초산부틸(부틸아세테이트), 등
에테르류 에틸셀로솔브, 부틸셀로솔브, 에틸렌글리콜 모노 에테르 등
커톤류 아세톤, 메틸에틸케톤, 메틸이소부틸케톤 등
방향족 탄화 톨루엔, 크실렌, 에틸벤젠, 스티렌, 방향족 경질 나프타 등
수소류
지방족 탄화 석유에테르, 석유벤젠, 가솔린, 케로센, 스토다드 솔벤트,
수소류 영소화된 파라핀 등
할로겐족 탄화 트리클로로에틸렌, 사염화탄소 등
수소류
15) 박현희, 박해동. 건설업 직종별 화학물질 노출 매트릭스 구축 연구 (Ⅰ)- 도장작업 노출 실
태조사 중심으로 -. 안전보건연구원 보고서. 2014
Ⅲ. 연구결과 ‥‥ 75

라) 첨가제
도료에 각종 기능개선을 위해서 첨가제가 포함된다. 첨가제는 도료 내 안료
의 침전방지, 색분해방지, 도막의 유연성 부여 등 개질을 목적으로 첨가하며 용
제는 수지, 유류를 용해하고 유동성을 주어 안료와 수지가 잘 섞이게 한다.
건조제(drier)는 납, 망간, 코발트와 같은 금속 화합물이다. 건조제의 기능은
공기에서 산소를 흡수하여 경화시키기 위해 전색제에 공급하는 것이다. 페인트
가 사용될 때까지 건조제를 추가해서는 안된다. 과도한 건조제는 탄력을 파괴
하고 벗겨짐을 유발하기 때문에 문제가 된다.
이 중에서 가장 문제가 되는 것은 방부제이다. 포름알데히드 등 발암성 물질
을 방부제로 사용하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주의가 필요하다.
(2) 토목 구조물의 도장공사
도장 공사는 토목 구조물의 외벽이나 시설물의 보전을 위해 페인트로 도막
을 형성하는 공사를 말한다. 도장 공사로 구조물의 부식을 방지하여 오랫동안
보존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장 공사는 내습성과 내후성을 유지하며, 방부, 방충,
방화를 목적으로 시행한다.
토목 구조물에서 도장작업이 필요한 경우 코크리트 구조물과 강구조물(교
량, 육교 등)이다. 교량, 육교 등에 쓰이는 강구조물은 내구성은 좋으나, 쉽게
부식되어 일정 주기로 보수도장이 필요하다.
가) 전처리
철의 표면은 먼지, 유지, 목재 등이 부착되어 있는데, 이때 적합한 방법으로
제거하는 것을 전처리라고 한다. 전처리로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방법은 센드
블라스팅(Sand Blasting)과 피클링(Pickling)이다. 블라스팅은 압축공기를 이용
해서 모래 또는 주철입자를 고속으로 철의 표면에 분사하면 표면에 생긴 녹이
76 ‥‥ 건설업 보건관리 위험성 평가 모델 개발(Ⅱ)-토목공사

나 불순물이 완전히 제거되고 신선한 철의 면이 노출된다. 모래를 사용할 때문


샌드 블라스팅, 그리고 0.4-1.5 mm의 주철입자를 사용할 때는 숏 블라스팅
(Shot Blasting)이라고 한다.
나) 도장작업
도장작업의 재료로는 페인트, 니스, 래커 및 옻 등이 있다. 도장 방법으로는
브러시(Brush), 롤러(Roller), 스프레이(Spray)를 사용한다. 스프레이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일반적인 방법과 고압법, 그리고 정전기를 이용하는 방법이 있다. 손
으로 칠하는 방법은 솔, 롤러, 거품패드를 사용해 물체를 칠하는 방법이고, 물
체를 도료에 담갔다가 꺼내는 방법은 자동차 공장의 차체도장에서 볼 수 있다.
공기를 사용하지 않고, 공기로 구동되는 펌프를 사용하여 도료를 압축 가열
해서 노즐(Nozzle)로 분사하여, 도료를 미립분무로 만들어 뿌리는 방법을 에어
리스 스프레이(Airess Spray)라고 한다.
(4) 도장작업의 유해요인
도장공이 노출되는 유해요인은 다음과 같다.
• 페인트 제품, 솔벤트, 납 및 기타 독성 화학 물질에 노출된다.
• 신경 장해 및 심장/신장 손상을 포함한 여러 장기에 대한 독성 영향
(Toxic effects)을 받는다.
• 폐암, 백혈병, 림프종, 다발성 골수종(multiple myeloma) 및 기타 암의
발병 위험이 있다..
• 국제 암 연구소(International Agency for Research on Cancer, IARC)
는 도장작업을 발암성 직업으로 분류하고 있다.
• 독성 곰팡이(toxic molds), 곰팡이(fungi) 및 박테리아에 노출되어 감
염병(infectious disease)의 위험을 초래한다.
Ⅲ. 연구결과 ‥‥ 77

• 도료와 용제에는 인화성 위험 있다.


• 밀페된 좁은 공간에서 일하는 위험이 있다.
• 눈 부상의 위험이 있다.
• 미끄러짐, 넘어짐 및 추락, 낙하물로 인한 부상 위험이 있다.
• 불편한 자세와 반복적인 육체노동으로 근골격계질환 발생 위험이 있다.
• 오랜 시간 동안 서서 있어야 한다.
• 무겁거나 불편한 자세로 물건을 들어 올리는 위험이 있다.
• 실외에서 열과 자외선에 노출된다.
• 청력 상실 및 손상의 위험이 있는 소음에 노출된다.
• 연장 근로로 인한 스트레스와 부상 및 질병 위험이 증가한다.
78 ‥‥ 건설업 보건관리 위험성 평가 모델 개발(Ⅱ)-토목공사

3. 위험성 평가

1) 위험성 평가 개요

(1) 법적 근거
가) 산업안전보건법 41조의2(위험성평가)
사업주는 건설물, 기계·기구, 설비, 원재료, 가스, 증기, 분진 등에 의하거나
작업행동, 그 밖에 업무에 기인하는 유해요인을 찾아내어 위험도를 결정하고,
그 결과에 따라 조치를 하여야 하며, 근로자의 위험 또는 건강장해를 방지하기
위하여 필요한 경우에는 추가적인 조치를 하여야 한다. 사업주는 위험성평가를
실시한 경우에는 실시내용 및 결과를 기록·보존하여야 한다.
나) 산업안전보건법 시행규칙 제92조의11(위험성평가 실시내용 및
결과의 기록·보존) 사업주가 위험성평가의 실시내용 및 결과를 기록·보존할
때에는 다음 사항이 포함되어야 한다.
• 포함되어야 할 사항 : 위험성 평가가 필요한 유해요인, 위험도 결정
결과, 위험도에 따른 조치 내용, 위험도 평가를 위한 안전보건정보, 그
밖에 필요한 사항
• 보존기간 : 3년간 보존
다) 사업장 위험성평가에 관한 지침(고용노동부고시 제2017 - 36호)
• 위험성평가 : 유해요인 파악, 유해요인별 질병의 발생 가능성과 중대
성의 추정 및 결정, 감소대책의 수립 및 실행하는 과정
• 유해요인 파악 : 위험을 일으킬 잠재적 가능성이 있는 것의 고유한 특
징이나 속성이며, 유해요인을 찾아내는 과정
Ⅲ. 연구결과 ‥‥ 79

• 위험성 : 유해요인이 질병으로 이어질 수 있는 가능성(빈도)과 중대성


(강도)을 조합한 것
• 위험도 추정 : 유해요인별로 부상 또는 질병의 발생 가능성과 중대성
의 크기를 각각 추정하여 위험성의 크기를 산출하는 것
• 위험성 결정 : 유해요인별로 추정한 위험성의 크기가 허용 가능한 범
위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
• 위험성 감소대책 수립 및 실행 : 위험성 결정 결과 허용 불가능한 위
험성을 합리적으로 실천 가능한 범위에서 가능한 한 낮은 수준으로
감소시키기 위한 대책을 수립하고 실행하는 것
• 기록 : 사업장에서 위험성평가 활동을 수행한 근거와 그 결과를 문서
로 작성하여 보존하는 것
(2) 위험성평가 방법
가) 사업주의 역할
• 안전보건관리책임자 등 해당 사업장에서 사업의 실시를 총괄 관리하
는 사람에게 위험성평가의 실시를 총괄 관리하게 할 것
• 사업장의 보건관리자 또는 안전관리자 등이 위험성평가의 실시에 관
하여 안전보건관리책임자를 보좌하고 지도·조언하게 할 것
• 관리감독자가 유해요인을 파악 및 그 결과에 따른 개선조치를 시행하
게할것
• 유해요인을 파악하거나 감소대책을 수립하는 경우 특별한 사정이 없
는 한 해당 작업에 종사하고 있는 근로자를 참여하게 할 것
• 기계·기구, 설비 등과 관련된 위험성평가에는 해당 기계·기구, 설비 등
에 전문 지식을 갖춘 사람을 참여하게 할 것
• 안전·보건관리자의 선임의무가 없는 경우에는 업무를 수행할 사람을
지정하는 등 그 밖에 위험성평가를 위한 체제를 구축할 것
80 ‥‥ 건설업 보건관리 위험성 평가 모델 개발(Ⅱ)-토목공사

나) 위험성평가 절차
① 사전 준비
항목 세부 내용
- 평가 목적 및 방법
위험성평가 -- 평가책임자 및 담당자의 역할
실시규정 작성 - 평가시기와 절차
교육훈련방법과 유의사항
- 기록 및 보존
- 대상 : 과거에 산업재해가 발생한 작업, 위험한 일이
발생한 작업 등 근로자의 근로에 관계되는 유해·위험
위험성평가 요인에 의한 부상 또는 질병의 발생이 합리적으로 예
대상 선정 견 가능한 것은 모두 위험성평가의 대상
- 제외 : 매우 경미한 부상 또는 질병만을 초래할 것으
로 명백히 예상되는 것은 제외
- 작업절차와 표준표준 등에 관한 정보
- 기계와 기구 및 설비 등의 사양서, MSDS 등의 유
해요인에 관한 정보
- 작업 공정의 흐름과 주변의 환경에 관한 정보
위험성평가에 - 같은 장소에서 사업의 일부 또는 전부를 도급을 주
참조하는 정보 어 행하는 작업이 있는 경우 혼재 작업의 위험성 및
작업 상황 등에 관한 정보
- 산업재해통계 및 사례 등에 관한 정보
- 건강진단결과 및 작업환경측정결과에 관한 정보
- 그 밖에 위험성평가에 참고가 되는 자료 등
② 유해위험 요인 파악
항목 세부 내용
- 근로자 면담에 의한 방법
유해위험요인 - 사업장 현장 방문에 의한 방법
파악 방법 - 안전보건 점검표에 의한 방법
- 안전보건 정보에 의한 방법
Ⅲ. 연구결과 ‥‥ 81

- 그 밖에 사업장의 특성에 적합한 방법


③ 위험성 추정
항목 세부 내용
- 가능성과 중대성의 곱셈법
위험성 - 가능성과 중대성의 덧셈법
추정 방법 - 가능성과 중대성의 행렬법
- 그 밖에 적절한 방법
- 예상되는 부상 또는 질병의 대상자 및 내용을 명확
하게 예측할 것
- 최악의 상황에서 가장 큰 부상 또는 질병의 중대성
을 추정할 것
- 부상 또는 질병의 중대성은 부상이나 질병 등의 종
위험성 류에 관계없이 공통의 척도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
추정 시 직하며, 기본적으로 부상 또는 질병에 의한 요양기
유의사항 간 또는 근로손실 일수 등을 척도로 사용할 것
- 유해성이 입증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도 일정한 근거
가 있는 경우에는 그 근거를 기초로 하여 유해성이
존재하는 것으로 추정할 것
- 기계·기구, 설비, 작업 등의 특성과 부상 또는 질병
의 유형을 고려할 것
④ 위험성 결정
항목 세부 내용
위험성 - 유해·위험요인별 위험성 추정 결과와 허용 가능한
결정 방법 위험성 기준을 비교하여 해당 유해·위험요인별 위
험성의 크기가 허용 가능한지 여부 판단
⑤ 위험성 감소대책 수립 및 실행
항목 세부 내용
위험성 - 위험성의 크기, 영향을 받는 근로자 수
감소대책 - 위험한 작업의 폐지·변경, 유해·위험물질 대체 등의
수립 시행의 조치 또는 설계나 계획 단계에서 위험성을 제거 또
82 ‥‥ 건설업 보건관리 위험성 평가 모델 개발(Ⅱ)-토목공사

는 저감하는 조치
우선순위 - 공학적 대책으로 환기장치 등의 설치
- 관리적 대책으로 사업장 작업절차서 정비 등
- 개인용 보호구의 사용
- 위험성 감소대책 수립·실행 후 받아들일 수 있는 위
위험성 험인지 확인
감소대책 - 위험성 받아들일 수 없는 경우 수용 가능한 위험성
수립 및 정도가 될 때까지 감소대책 수립·실행
시행 후 - 위험성 감소대책 실행이 지연될 경우 즉시 임시조치
사업주 강구
조치사항 - 위험성평가를 종료한 후 남아 있는 유해·위험요인에
대해 게시, 주지 등의 방법으로 근로자에게 알림.
다) 실시 시기
항목 세부 내용
최초 평가 - 전체 작업을 대상으로 최초 평가 실시
- 사업장 건설물의 설치·이전·변경 또는 해체
- 기계·기구, 설비, 원재료 등의 신규 도입 또는 변경
- 건설물, 기계·기구, 설비 등의 정비 또는 보수
수시 평가 - 작업방법 또는 작업절차의 신규 도입 또는 변경
- 중대산업사고 또는 산업재해(휴업 이상의 요양을 요하
는 경우에 한정한다) 발생
- 그 밖에 사업주가 필요하다고 판단한 경우
정기 평가 - 최초평가 후 매년 정기적으로 실시
라) 정기평가 시 고려해야 할 사항
• 기계·기구, 설비 등의 기간 경과에 의한 성능 저하
• 신규 근로자로 교체된 경우에 근로자의 지식 또는 경험의 변화
• 새로운 안전·보건 지식의 습득
• 현재 수립되어 있는 위험성 감소대책의 유효성 등
Ⅲ. 연구결과 ‥‥ 83

2) 토목공사현장의 위험성 평가 추진방법

(1) 사전 준비
가) 위험성 평가 실시규정 작성
① 규정 작성 준비
∙ 위험성평가를 실시하는 사업장의 자체적인 규정 작성
∙ 실시규정을 토대로 실시계획서 작성
∙ 고용노동부고시 ‘사업장 위험성평가에 관한 지침’을 기초로 작성
② 실시규정에 포함되어야 할 내용
∙ 평가 목적과 방법
∙ 평가책임자와 담당자의 역할
∙ 평가시기 및 절차
∙ 주지방법 및 유의사항
∙ 결과의 기록·보존
③ 위험성평가 실시규정 작성 예시
[예시] 위험성평가 실시규정

1. 위험성평가의 목적
- 본 위험성평가는 유해요인을 파악하고 위험성을 추정 및 결정한 후
위험성을 감소시키기는 조치를 실시하기 위한 것이다.
2. 위험성평가의 방법
- 현장소장이 위험성평가 실시를 총괄한다.
- 위험성평가 전담직원을 지정한다.
- 관리감독자가 유해, 위험요인의 파악, 위험성의 추정, 결정, 위험성
84 ‥‥ 건설업 보건관리 위험성 평가 모델 개발(Ⅱ)-토목공사

감소대책의 수립, 실행을 담당한다.


- 위험성 파악과 대책 수립 시 해당 작업자가 참여한다.
- 기계, 기구, 설비 등에 능통한 사람이 참여한다.
- 위험성평가에 필요한 회의와 교육을 실시한다.
3. 평가책임자와 담당자의 역할
- 평가담당자 및 책임자의 역할은 다음과 같다.
담당자 역할
《위험성평가의 총괄 관리》
○ 사업주의 의지 구현
안전보건관리 - 방침 및 추진목표의 문서화 및 게시
책임자 - 실시계획서 작성 지원
(사업주 또는 - 위험성평가 실행조직구성 및 역할 부여
현장 소장) ○ 사업주의 위험성평가 교육 이수
○ 예산지원
○ 산업재해예방 노력
○ 무재해 운동 참여
《위험성평가 실시》
○ 유해요인 파악, 위험성 추정 및 결정
관리감독자 ○ 위험성 저감대책 수립 및 실행
○ 위험성평가 실시시기, 절차 및 내용
○ 책임과 권한 인지 및 이행
근로자 《위험성평가 참여》
(작업자) ○ 담당업무와 관련된 위험성평가 활동에 참여
(위험성평가담 ○ 담당업무의 안전보건수칙과 위험성평가결과 및 감소대책
당자와 ○ 비상 시의 대비와 대응방법
겸직가능) ○ 위험한 장소와 출입허가절차
위험성평가 《위험성평가의 실행 관리 및 지원》
담당자 ○ 위험성평가 담당자 교육 이수
(관리감독자 ○ 위험성평가 실시계획 수립 및 실행
및 근로자와 ○ 안전보건정보 수집 및 재해조사관련 자료 등을 기록
겸직가능) ○ 근로자에게 위험성평가 교육을 실시하고 기록유지
○ 위험성평가 검토와 결과의 기록과 보관
4. 평가시기
- 최초평가 : 매 공사 시작 시마다 최초 위험성평가를 실시한다.
- 정기평가 : 최초 평가 후 공사 전반에 대해 매년 1회 정기적으로
위험성평가를 실시한다.
Ⅲ. 연구결과 ‥‥ 85

- 수시평가 : 산업재해가 발생한 경우, 작업자 교체와 설비의 변경


시, 작업방법과 절차 등의 변경 시, 건설물이나 기계 기구, 설비 등의 정
비나 보수 작업시 수시평가를 실시한다.
5. 평가절차
-평가절차는 사전준비 → 유해위험요인 파악 → 위험성 추정 → 위
험성 결정 → 위험성 감소대책 수립 및 실행의 절차로 추진한다.
6. 주지방법 및 유의사항
- 주지방법
∙ 각종 주지사항을 회의, 행사 등에서 홍보하고 공지한다.
- 유의사항
∙ 위험성 평가의 중요성, 실시방법 등을 교육한다.
∙ 법에서 요구하는 사항에 적합한지, 위험수준이 높은 것부터 우선
적으로 대책을 반영하여 개선한다.
∙ 위험성평가는 안전보건공단의 ‘위험성평가 지원시스템(KRAS)’을
활용하여 실시한다.
7. 결과의 기록․보존
- 위험성 평가를 실시한 경우 실시내용 및 결과를 기록, 보존한다.
∙ 유해요인, 위험도 결정 내용, 조치의 내용, 사전 조사내용, 그밖에
사업장에서 필요하다고 정한 사항 등
- 기록물은 3년 이상 보존한다.
나) 평가팀 구성
① 구성 방법
∙ 공사종류와 규모에 적합한 조직 구성
∙ 안전보건 총괄책임자(현장소장), 관리감독자, 협력업체 소장, 안전보
건관리자, 근로자(협력업체 작업반장) 등으로 구성
∙ 중·소규모 토목공사현장의 위험성평가 평가담당자는 현장소장 또는
안전보건관리책임자, 관리감독자, 대상공종의 근로자로 구성하고,
평가에 필요한 교육 실시
∙ 토목공사현장의 작업반장, 협력업체 소장 등의 관리감독자는 근로자
86 ‥‥ 건설업 보건관리 위험성 평가 모델 개발(Ⅱ)-토목공사

의 경험 또는 성격 등을 잘 알고 있기 때문에 위험성평가 실시담당


자로 적임자라고 할 수 있음.
∙ 중·소규모 토목공사현장에서 위험성평가 운영 방법은 인력의 사정을
감안하여 업무분담을 할 수 있음.
∙ 해당 작업공종에 능통한 전문가들로 구성
∙ 조직을 구성한 사업주는 각각의 역할과 책임을 부여하고 위험성 평
가를 하도록 함.
∙ 구체적인 방법은 현장의 규모에 따라 조정할 수 있으며, 중소규모 현
장에서는 인력의 사정을 감안하여 역할 수행 가능
② 외부 전문가 활용
∙ 토목공사현장이 자체적으로 위험성평가를 할 수 없는 경우에는 외
부 전문가(기관)에게 의뢰하여 평가를 실시할 수 있음.
∙ 이 경우에도 위험성 평가의 책임은 현장소장에게 있고, 외부 전문가
에게 당해 현장에 대한 충분한 정보를 제공해야 함.
③ 안전보건팀의 역할
∙ 위험성 평가 계획의 수립과 확정
∙ 평가팀 구성
∙ 평가자별 위험성 평가 기법 및 방법 교육
∙ 위험성 평가에 대한 P→D→C→A의 진행을 경영층에 보고
∙ 다음 연도 안전보건계획 및 목표에 반영
④ 해당부서(또는 현장)의 역할
∙ 평가대상 단위작업 선정
∙ 위험성 평가 실시
Ⅲ. 연구결과 ‥‥ 87

∙ 위험성 평가표 관리
∙ 위험 감소조치 실행
∙ 위험성 평가 효과분석 및 경영층에 보고
⑤ 담당자
∙ 안전보건관리책임자 등 해당 사업장에서 사업의 실시를 총괄관리하
는 사람에게 위험성 평가의 실시를 총괄 관리하게 함.
∙ 사업장의 안전관리자, 보건관리자 등에게 위험성평가의 실시를 관리
하게 함.
∙ 안전관리자, 보건관리자 선임대상이 아닌 중·소규모 건설현장은 평
가담당자가 위험성평가의 실시를 관리
⑥ 위험성평가 조직도
책임자
(사업주 또는 현장소장)

성 명   위험성평가 담당자

성명  

         
       

관리감독자 관리감독자 관리감독자

직위 : ____________ 직위 : ___________ 직위 : ____________


성 명   성 명   성 명  
 
     
근로자 근로자 근로자

직위 : ____________ 직위 : ___________ 직위 : ____________


성 명   성 명   성 명  

[그림 3-1] 위험성평가팀 조직도


88 ‥‥ 건설업 보건관리 위험성 평가 모델 개발(Ⅱ)-토목공사

다) 위험성평가 대상 선정(평가대상)
• 평가대상로 분류하여 선정
• 평가대상은 단위작업으로 하고, 단위작업별로 평가 실시
• 평가대상 작업이 선정되면 평가 대상 유해요인과 범위 확정
• 평가대상 선정 : 정상작업, 비정상작업, 설비 포함
라) 위험성평가에 활용하는 안전보건정보 사전조사
• 사업장의 기본정보 파악
• 유해위험요인에 관한 정보 입수 시 법령, 지침, 관련업계, 사내규정 등
각종 기준의 정보 파악
• 산재통계, 안전보건관리자료 등을 이용하여 사업장의 유해요인에 관한
사전조사
• 도급사업 시 혼재 작업의 위험성 및 작업 상황 등에 관한 정보조사
• 작업환경측정결과, 근로자 건강진단결과에 관한 정보 조사
• 기계·기구, 설비 등의 사양서, 공정흐름, 물질안전보건자료(MSDS) 등
의 유해·위험요인에 관한 정보 조사
• 기타 위험성평가에 필요한 자료조사
❍ 위험성평가에 필요한 자료의 목록
- 관련설계도서(도면, 시방서 등)
- 공정표
- 시공 또는 작업계획서 등
- 투입 장비, 자재, 설비 등 사용계획서
- 점검․정비 절차서
- 유해․위험물질의 저장 및 취급량
- 가설전기 사용 계획
- 과거 재해사례 등
마) 유의사항
• 위험성평가는 위험도(risk)를 감소시키는데 있으며, 1회성평가에 머무
Ⅲ. 연구결과 ‥‥ 89

르는 것은 아무런 의미가 없으므로, PDCA 싸이클로 지속적인 개선이


되도록 해야 함.
• 공사초기 유해위험방지계획서 또는 안전관리계획서, 시공계획서를 작
성할 때 초기 위험성평가 실시
• 협력업체와 계약하여 공사 착수 전 초기에 작성한 해당공종의 위험성
평가서 제공
(2) 유해위험요인 파악
가) 토목공사현장의 산업보건 유해요인 파악
① 유해위험요인 파악방법
방법 파악내용
- 작업특성(조건) 파악, 취급 화학물질 파악, 위험작업이나
사업장 설비 특이점 파악, 설비의 정상 작동유무, 작업장 환경점
순회점검 검등
- 계측장비 준비 필요
- 건강관련 증상호소 유무, 작업내용 및 작업환경 관련 불
청취 조사 편내용, 근로자 개인특성(흡연, 음주, 질병 등)
- 개인정보의 경우 비밀보호
- 산업안전보건위원회 회의록, 안전보건활동자료, 작업허
산업보건 가서, 작업표준절차서, 재해사례 현황, 교육일지, 표지사용
관련 현황 등
자료 - 작업공정도, 화학물질의 물질안전보건자료(MSDS) 및
취급량, 작업환경측정결과, 건강진단결과, 근골격계부담작
업 유해요인조사 결과 등
점검표 - 안전보건 체크리스트에 의한 유해요인 조사표 활용
방법 (부록의 서식 참조)
② 확인해야 할 유해요인
90 ‥‥ 건설업 보건관리 위험성 평가 모델 개발(Ⅱ)-토목공사

∙ 인적요인 : 근로자의 불안전한 행동으로 인한 위험요인


∙ 원료요인 : 사용자재 및 물질에 의한 위험요인
∙ 작업특성 요인 : 작업방법에 의한 위험요인
∙ 기계요인 : 사용기계․기구에 대한 위험요인 확인
∙ 작업환경요인 : 소음, 진동, 분진, 온습도 등의 작업환경적인 위험요인
나) 순회점검 방법
① 순회점검 준비
∙ 사업장 현장 방문 시 기존에 발생한 재해사례(아차 사고)와 질병에
관한 자료 준비
∙ 이전에 위험성평가를 실시한 점검사항을 기록하고, 유해·위험작업이
나 건설장비의 특이한 사항에 관한 자료 준비
∙ 작업에 정통한 관리자와 동행
∙ 교대 작업인 경우 점검 시간대 조정
② 추진방법
∙ 사업장 순회점검에 의한 유해·위험요인 파악 후 근로자의 이해를 돕
기 위해 사진촬영 실시
∙ 사업장 순회점검 위험성평가표를 위험성평가 실시 전 엑셀양식에
작성
∙ 평가담당자는 위험성평가 교육 만족도 조사가 포함된 사업장 순회
점검 위험성평가표 작성
∙ 안전대책을 제시한 사업장 순회점검 위험성평가표는 위험성평가 교
육 시 평가담당자나 기술지도 요원이 토론식 강의 자료로 활용
다) 청취조사에 의한 방법
• 청취조사에 의한 유해·위험요인 파악은 근로자의 경험담과 목격담을
Ⅲ. 연구결과 ‥‥ 91

최대한 반영함.
• 청취조사에 의한 유해·위험요인 파악은 근로자에게 경험담이나 목격담
을 직접 들을 수 있어 사망사고, 일반재해, 아차사고 사례를 공유할
수 있는 좋은 시간임.
• 중·소규모 토목공사 현장은 공종별(팀별)인원이 평균 5명 정도이므로,
가족적인 분위기에서 토론식 위험성평가 교육을 도입하여 근로자와
대화하고, 소통하는 과정에서 불안전한 행동 개선
• 근로자와 소통하면서 현장여건에 맞는 실질적인 재해예방 활동이 되
도록 다 같이 노력
• 근로자 청취조사 시 현장소장이 참석하여 당 현장에서 발생한 유해·위
험요인에 대해 파악 할 수 있도록 함. 위험성평가 교육 시 현장소장이
당 현장의 근로자 얘기를 충분히 듣고 해결해 줌으로써 실질적인 관
리가 이루어지도록 노력해야 함.
• 또한 현장소장의 경험담이나 목격담을 근로자에게 알려 주고 공유함
으로써 교육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을 것임.
라) 유의사항
• 해당공종을 자재반입부터 시공, 자재반출까지 세부단위로 구분하여 공
종표를 작성하고(대부분 2주간의 공종표 작성), 단위작업이 구분되면
작업에 대해 위험요소 파악
• 위험요인을 구체적으로 기록
• 예를 들면 ‘틀비계 작업 중 추락할 위험’ 이라고 하면 대책을 여러 가
지로 마련해야 하므로 ‘틀비계 작업발판의 안전난간 미설치로 인한 추
락’ 이라고 기록
• 취조사에 의한 유해·위험요인 파악 시 개인정보 활용 동의와 충분한
설명으로 근로자와 불필요한 마찰이 없도록 해야 함.
92 ‥‥ 건설업 보건관리 위험성 평가 모델 개발(Ⅱ)-토목공사

• 유해·위험요인 파악 후 각 요인별 산업안전보건법 관련근거를 제시하


고, 당 현장에서 발생한 유해·위험요인이 산업안전보건법에 명시되어
있는 내용인지를 현장 구성원 모두에게 공유함으로써 규제사항 유·무
를 확인함.
(3) 위험성 추정
가) 위험성의 정의
① 위험성(Risk)이란?
∙ 각 유해요인이 어느 정도 위험한지의 정도를 의미하는 것
∙ 질병의 발생 가능성과 질병이 발생하였을 때의 중대성(또는 심각성)
을 조합하여 산출. 질병발생 유해요인에 대해서는 가능성은 노출수
준등급으로 대체하고, 중대성은 유해성 등급 또는 노출시간 등으로
대체하여 실시
∙ 곱셈법, 덧셈법, 행렬법, 분기법 및 기타 적합한 방법을 사용
∙ 수치(값)가 크면 위험성이 크다고 할 수 있음.
나) 가능성(노출수준 등급)과 중대성(유해성 등급)
① 가능성(Probability)(노출수준 등급)이란?
∙ 유해요인에 대한 질병의 발생 가능성(확률, 빈도)을 의미
∙ 노출시간과 빈도, 유해한 사건의 발생 가능성 등을 고려하여 3∼5단
계 등급으로 구분하여 표시
② 중대성(Severity)(유해성 등급)이란?
∙ 중대성은 유해요인으로 질병이 발생하였을 경우에 영향의 정도 (심
각성)를 의미
Ⅲ. 연구결과 ‥‥ 93

∙ 건강영향(장해)의 정도, 치료기간, 후유장해 우무, 피해의 범위(1인,


복수) 등을 고려하여 3~5단계 등급으로 구분하여 표시
∙ 유해성의 정도를 등급으로 구분하여 표시

<표 3-1> 유해요인 가능성 추정 예시

유해요인 가능성 내용
- 작업환경측정결과 각 해당물질의 노출수준*을
화학물질 내용으로 단계별로 분류(정량적)
- 측정결과가 없을 시 1일 취급량, 비산성 휘발성
을 조합하여 노출수준 결정하고 분류함(정성적)
- 측정결과 있는 소음의 경우 노출수준을 내용으로 단
소음 진동 계별로 분류
- 측정결과가 없는 소음 진동의 경우 해당 유해
인자 노출시간과 빈도를 내용으로 단계별로 분류
근골격계 - 작업조건 중의 하나인 작업시간(노출시간) 및
부담작업 빈도를 내용으로 단계별로 분류
* 노출수준은 노출기준 대비 측정결과의 비율을 말함
<표 3-2> 유해요인 중대성 추정 예시

유해요인 중대성 내용
- 작업환경측정결과 각 해당물질의 노출기준 및
화학물질 발암성 유무 내용으로 단계별로 분류
분진 - 노출기준 미설정 및 측정결과 없을 시 해당물
질의 물질안전보건자료의 유해 위험문구(H-code)
또는 위험문구(R-phrase)에 따라서 단계별로 분류
소음 진동 - 유해성 정도에 따라 단계별로 분류
근골격계 - 건강영향의 정도를 부상 또는 통증수반 정도에
부담작업 서 사망에 이르기까지를 단계별로 분류
94 ‥‥ 건설업 보건관리 위험성 평가 모델 개발(Ⅱ)-토목공사

다) 위험성 추정방법
① 곱셈법에 의한 조합
중대성 대 중 소
가능성 단계 단계 3 2 1
상 3 9 6 3
중 2 6 4 2
하 1 3 2 1
라) 유의사항
• 예상되는 부상 또는 질병의 대상자 및 내용을 명확하게 예측
• 최악의 상황에서 가장 큰 부상 또는 질병의 중대성을 추정
• 부상 또는 질병의 중대성은 부상이나 질병 등의 종류에 관계없이 공
통의 척도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기본적으로 부상 또는 질병에
의한 요양기간 또는 근로손실 일수 등을 척도로 사용
• 유해성이 입증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도 일정한 근거가 있는 경우에는
그 근거를 기초로 하여 유해성이 존재하는 것으로 추정
• 기계·기구, 설비, 작업 등의 특성과 부상 또는 질병의 유형 고려
(4) 위험성 결정
가) 위험성 결정의 정의
① 위험성 결정이란?
• 유해위험요인별 위험성 계산 값에 따라 각각이 허용할 수 있는 범위
인지, 허용할 수 없는 범위인지를 판단하기 위해 현재의 위험성 상태
를 결정하는 것
• 추정된 위험도가 받아들여질 만한 수준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Ⅲ. 연구결과 ‥‥ 95

나) 위험성 결정 방법
• 위험도가 받아들일 수 있는 수준이라고 판단되면, 잔류 위험도의 존
재여부를 명시하고 종료 절차에 따라 들어감.
• 허용할 수 있는 수준이라고 인정되지 않으면 위험도를 감소대책을 반
복함.
• 파악된 유해요인에 대해 현장에서 조치 가능한 감소대책을 수립하여 작
성자와 공사담당자, 안전관리자, 보건관리자 등이 검토하여 위험성 결정
• 여러 공종이 이와 같은 방법으로 작성되면 해당공종 시작 전주에 집
계를 하여 위험성평가회의 실시
• 위험성평가회의 참석자는 작성협력업체, 시공사 공사 및 안전 직원,
현장소장 등으로 구성
• 각자의 단위작업 수행 시 타 공정과의 작업연관성으로 인한 위험성평
가에 추가 위험성을 평가하고 중점관리 위험요인 선정
다) 위험도 등급과 관리기준 설정
• 평가된 위험도 등급 및 관리 기준을 정함
• 평가대상 작업별 위험도를 상대적으로 비교하여 등급을 결정
• 사업장에서 관리기준을 설정할 수 있음
• 위험도 등급 결정
위험도 등급 평가기준
상(★★★) 발생 가능성과 발생 중대성을 곱한 값이 상대적
으로 높은 경우
중(★★) 발생 가능성과 발생 중대성을 곱한 값이 상대적
으로 중간인 경우
하(★) 발생 가능성과 발생 중대성을 곱한 값이 상대적
으로 낮은 경우
96 ‥‥ 건설업 보건관리 위험성 평가 모델 개발(Ⅱ)-토목공사

• 위험도 등급에 따른 관리기준


위험도 등급 평가기준
세부재해 예방대책을 수립하고 허용불가
상(★★★) 중대한
위험 중점 위험관리 활동 및 위험상황 위험
에 따라 작업중지가 필요한 위험
중(★★) 상당한
위험
관리감독자 배치, 안전시설 설치 허용불가
등의 대책이 필요한 위험 위험
개인보호구 착용, 위험표지 부착, 허용가능
하(★) 경미한
위험 필요시 안전시설 설치 등이 필요 위험
한 위험
라) 유의사항
• 사람에 따라 주관적 개입이 많은 단계이므로 자의적으로 해석하지 않음.
(5) 위험성 감소대책 수립과 실행
가) 위험도 감소대책 수립 및 실행의 정의
• 위험성평가 결과 위험을 받아들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개선대책을
수립하고, 실행하는 것을 말함.
• 가능성과 중대성을 낮추는 것이 결국 위험성을 감소시키는 것임.
• 가능성이 고정적이거나 변경이 어려울 경우, 작업환경, 관리적 사항 개
선 및 개인특성 관리를 통해 중대성을 낮추어 위험성을 감소시킴.
나) 위험성 감소의 우선순위 설정
• 위험성의 크기가 큰 것부터 위험도 감소대책의 대상으로 함.
• 위험에 노출된 근로자 수와 위험성의 크기를 고려하여 우선순위 설정
Ⅲ. 연구결과 ‥‥ 97

다) 개선대책 수립 방법
• 위험의 크기가 중대할 경우에는 구체적 감소대책을 수립하고 실행하여
허용할 수 있는 범위의 위험으로 끌어내리려야 함.
• 위험요인별 감소대책은 실행 가능한 대책을 수립하고 이를 개선대책
란에 기입
• 위험요인별로 감소대책을 한 경우에는 위험의 크기가 어느 정도 감소
하였는지 다시 위험도 평가 실시
<표 3-3> 유해요인 개선⋅관리 예시
구분 개선 관리 방안
작업조건 개선 -- 공정 자동화
(가능성 관리) - 작업방법 및변경시기조정,
작업시간 작업전환(변경), 휴식시간 조절
및 작업속도 조절
작업환경 개선 -- 화학물질의 제거 대체 격리 및 사용량 줄임
(가능성 및 - 인력작업
국소배기장치
보조설비 및 편의설비 설치
등 환기장치 설치, 흡음시설 설치, 대
중대성 피용 기구 및 구출장비 비치, 안내표지 설치, 세척시
관리) 설 설치
관리적
사항 개선 -진 교육 및 훈련, 운동/스트레칭 및 영양지도, 건강증
(중대성 관리) 프로그램 운영, 점검결과 기록관리, 요통예방 운동
근로자 개인특성 - 금연 및 금주, 개인질병 관리, 건강진단, 보호구 착
(중대성 관리) 용
라) 재평가
• 개선 관리 대책 실행 후 위험성을 재평가하여, 위험성의 크기가 허용
가능한 수준인지 확인
• 위험도가 충분히 제거되지 않았을 경우 다시 감소대책을 수립하여 허
용 가능한 수준이 될 때까지 추가대책 실행
98 ‥‥ 건설업 보건관리 위험성 평가 모델 개발(Ⅱ)-토목공사

마) 유의사항
• 선정된 위험요인에 대한 위험 감소대책을 언제 누가 조치하고 확인하
는지 결정하는 것이 필요함.
• 위험성평가 회의결과와 각 협력사에서 작성한 위험성평가서의 내용으
로 해당 작업 협력사 소장과 원청 시공 담당자가 작업자에게 작업 실
시 전일까지 전달교육 실시
3) 유해요인별 가능성 및 중대성 분류기준

(1) 화학물질 및 분진
가) 정의
• 관리대상유해물질 : 법 24조 제1항제1호에 따른 원재료 가스 증기 분
진 등으로서 유기화합물, 금속류, 산 알카리류, 가스상태 물질류 등
• 허가대상유해물질 : 고용노동부장관의 허가를 받지 않고는 제조사용이
금지되는 물질로서 산안법 시행령 제30조에 따른 물질
• 금지유해물질 : 산업법 시행령 제29조에 따른 유해물질
나) 자료 확보
• 사업장에서 취급하는 화학물질별로 MSDS 확보, 작업환경측정 및 특
수검진 결과표 등의 확보
• 화학물질별로 MSDS 확보, 작업환경측정 및 특수검진 결과표 등을 확
보하지 못한 경우와 같이 불확실 유해요인에 대해서는 관련 정보를 확
보할 때까지 가급적 사용 금지
• 동일한 기능을 갖는 독성이 낮은 물질로 대체할 것을 권고
Ⅲ. 연구결과 ‥‥ 99

다) 건강영향
• 급성중독, 직업성 피부질환, 직업성 암, 진폐 등
라) 화학물질 및 분진의 가능성 분류기준
• 작업환경 측정결과가 있는 화학물질 및 분진의 가능성 분류
구분 항목 가능성 내 용
3(상) 최상 4 화학물질(분진)의 노출수준이 100% 초과
2(중) 상 3 화학물질(분진)의 노출수준이 50% 초과 ∼ 100% 이하
1(하) 중하 21 화학물질(분진)의 노출수준이 10% 초과 ∼ 50% 이하
화학물질(분진)의 노출수준이 10% 이하

• 작업환경 측정결과가 없는 화학물질 및 분진의 가능성 분류


구분 하루 취급량 비산성 휘발성
3(대) ton, ㎥ 단위 먼지구름 형성 50미만
2(중) ㎏, ℓ 단위 먼지가 쉽게 가라앉는 경우 50-150
1(소) g, ㎖ 단위 먼지가 보이지않는 경우 150초과
마) 화학물질 및 분진의 중대성 분류기준
중대성 내 용 노 출 기 준
분 진 증 기
3(대) 한번 노출에 매우 큰 독성 0.01㎎/㎥ 미만 0.5ppm 미만
2(중) 심한 자극과 부식성 0.01~0.1㎎/㎥ 이하 0.5~5ppm 이하
한번 노출시 위험 0.1~1㎎/㎥ 이하 5~50ppm 이하
1(소)
피부나 눈의 자극 1~10㎎/㎥ 이하 50~500ppm 이하
100 ‥‥ 건설업 보건관리 위험성 평가 모델 개발(Ⅱ)-토목공사

바) 화학물질 및 분진의 위험성 감소대책


위험성 감소대책
해당물질 사용량 줄이기, 분진 등 고체상 물질의 경
우 취급공정 밀폐, 습식작업, 국소배기장치 설치, 국
가능성(P) 소배기장치 성능 향상, 전체 환기장치와 병행가동, 취
관리 급공정 자동화, 유해물질 용기 별도 저장 장소 보관
관리, 인근공정과 격리 등
☞ 작업조건 및 환경 개선으로 화학물질 노출수준 감
소로 인한 가능성(P)등급 낮아짐
해당물질 제거, 물질대체, 취급공정 폐쇄, 근로자 교
육, 물질안전보건자료 비치 게시, 화학물질 용기 경고
중대성(S) 표지 부착, 보호구착용표지판 설치, 보호구 착용, 특
관리 수검진 실시 등
☞ 유해성이 낮은 물질로 대체 및 관리적 사항 등의
개선으로 기준 수행사항에 추가적으로 개선 관리가
실행되면 중대성(S) 등급 한 단계 아래로 조정

(2) 소음 및 진동
가) 정의
• 소음작업 : 1일 8시간 작업 기준 85 dB(A) 이상의 소음 발생 작업 등
• 진동작업 : 착암기 체인톱 등의 기계 기구를 사용하는 작업 등
※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3편 제4장 소음 진동에 의한 건강장
해의 예방 참조
나) 건강영향
소음성난청, 진동에 의한 혈액순환 장애, 근골격계질환 등
Ⅲ. 연구결과 ‥‥ 101

다) 소음과 진동의 가능성 분류기준


소음의 가능성 분류는 하루 중 소음 노출시간으로 한다.
노출시간 노출시간 충격소음
구분 소음 진동 120dB(A) 130dB(A) 140dB(A)
높음(3) 4시간 이상 2시간 이상 10,000회 1,000회 100회
보통(2) 4시간 미만 1∼2시간 미만 1,000회 100회 10회
2시간 이상
낮음(1) 2시간 미만 1시간 미만 100회 10회 1회
1시간 이상

라) 소음의 중대성
소음의 중대성은 소음노출수준으로 한다.
위험성 구분 소음노출수준(TWA)
높음(3) 95dB(A) 부터
보통(2) 90dB(A) 부터~95dB(A) 미만
낮음(1) 90dB(A) 미만
마) 위험도 산출
가능성 4시간 4시간미만 2시간미만
중대성 이상 2시간이상 1시간이상
95dB(A) 이상 고도(3) 중등도(2)
90dB(A) 이상~ 고도(3) 중등도(2) 경도(1)
95dB(A) 미만
90dB(A) 미만 중등도(2) 경도(1)
바) 소음 위험도 결정
위험성 크기 허용 가능 여부 개선방법
고 도(3) 높음 허용 불가능 즉시 개선
중등도(2) 보통 가능한 한 빨리 개선
경 도(1) 낮음 허용 가능 연간계획에 따라 개선
102 ‥‥ 건설업 보건관리 위험성 평가 모델 개발(Ⅱ)-토목공사

사) 국소진동의 중대성 분류기준


우리나라에서는 국소진동의 노출기준이 없다. 여기에서는 유렵(EC)의 지
침 "진동"(2002/44/EC)기준으로 위험도 평가를 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국소진동
에 대한 조치 수준 및 노출 한계 값을 8시간을 기준 시간으로 하여 노출 한계 값
A(8)은 5 m/s2과 조치 수준은 2.5 m/s2으로 제시하고 있다.
위험성 구분 진동노출수준(가속도)
높음(3) 5 이상
m/s2
보통(2) 2.5 m/s2 이상~5 m/s2 미만
낮음(1) 2.5 m/s2 미만
아) 위험도 산출
가능성 2시간 2시간미만 1시간미만
중대성2 이상 1시간이상
5 m/s 2이상 고도(3) 중등도(2)
2.5 m/s2 이상~ 고도(3) 중등도(2) 경도(1)
5 m/s 2미만
2.5 m/s 미만 중등도(2) 경도(1)
자) 진동 위험도 결정
위험성 크기 수용 가능 여부 개선방법
고 도(3) 높음 허용 불가능 즉시 개선
중등도(2) 보통 가능한 한 빨리 개선
경 도(1) 낮음 허용 가능 연간계획에 따라 개선
Ⅲ. 연구결과 ‥‥ 103

차) 소음 및 진동작업의 위험성 감소대책


위험성 감소대책
기계 기구 등의 대체, 시설의 밀폐 흡음 또는 격리, 방진고무 및
제진재 사용, 방음부스 및 커버 설치, 근무시간 단축, 기계 기구
가능성(P) 의 유지보수 등
관리
☞ 작업조건 및 환경개선으로 측정치 저감, 노출(작업)시간 경감
을 통해 가능성(P)등급 낮아짐
청력보존프로그램 및 진동장해예방 프로그램 시행, 휴식시간 제
공 및 휴게시설 설치, 교육, 정기검진, 소음수준 표시, 보호구 착
중대성(S) 용, 금연 등
관리 ☞ 관리적 사항 및 근로자 개인특성 개선으로 건강영향 경감에
기여, 기존 수행사항에 추가적으로 개선 관리가 실행되면 중대
성(S)등급 한 단계로 아래로 조정

(3) 근골격계부담작업
가) 정의
법 24조제1항제5호(단순반복작업 또는 인체에 과도한 부담을 주는 작업에 의
한 건강장해)에 따른 작업으로서 작업량 작업속도 작업강도 및 작업장 구조 등
에 따라 고용부장관이 정하여 고시하는 작업(11가지 부담작업)
※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3편 제12장 근골격계부담작업에 의
한 건강장해의 예방 참조
나) 건강영향
요통, 수근관증후군, 회전근개파열, 근막통증후군, 건 관련 질환 등
104 ‥‥ 건설업 보건관리 위험성 평가 모델 개발(Ⅱ)-토목공사

다) 근골격계부담작업의 가능성 분류기준


구분 가능성 내 용
- 1일 4시간 이상 부담작업 수행
상 3 - 1일 10kg 이상 중량물 50회 이상, 25kg 이상
중량물 20회 이상 들기
- 1일 2시간∼4시간 부담작업 수행
중 2 - 1일 10kg 이상 중량물 25회∼50회, 5kg 이상
중량물 10회∼20회 들기
- 1주 2~3일 부담작업 2시간 내외 작업
하 1 - 1일 10kg 이상 중량물 25회 미만, 25kg 이상
중량물 10회 미만 들기
※ 근골격계부담작업 유해요인조사 결과 : 근골격계부담작업 보유시 5단계
라) 근골격계부담작업의 중대성 분류기준
구분 중대성 내용
대 3 중상 또는 즉시치료를 요하는 통증, 힘듬 또는 매우 힘듬
중 2 경미한 부상 또는 통증수반(1∼2회/주), 약간 힘듬
소 1 미미한 부상 또는 통증수반(1~2회/월), 쉬움 또는 매우 쉬움
※ 증상호소 주요 신체부위 : 허리, 팔, 다리, 손/손가락, 목 (증상조사표 참고)
• 미미한 부상 : 응급처치 할 수 있으며 작업 가능함
• 경미한 부상 : 응급처치 할 수 있으나 즉시 작업이 불가능함
• 중상 : 즉시 치료를 요하는 부상
마) 근골격계 부담작업의 위험성 감소대책
Ⅲ. 연구결과 ‥‥ 105

위험성 감소대책
인력작업 보조설비와 편의설비 설치, 2인 들기 작업 수행, 작업시
간 단축, 중량물 무게 조절, 공정 자동화, 작업대 높이조절, 의자비
가능성(P) 치, 수공구 개선 등
관리
☞ 작업조건 및 환경 개선으로 부담작업이 없어지거나 작업 수행
시간 감소, 중량물 들기 빈도 감소로 인한 가능성(P)등급 낮아짐
근골격계질환예방관리 프로그램 시행, 근골격계부담작업 유해요인
조사 실시, 작업전 스트레칭, 교육, 중량물 표시안내, 건강상담, 금
중대성(S) 연 및 금주 등 생활습관 관리, 휴식사간 제공, 보호구 착용 등
관리 ☞ 관리적 사항 및 근로자 개인특성 개선으로 건강영향 경감에 기
여, 기존 수행사항에 추가적으로 개선 관리가 실행되면 중대성(S)
등급 한 단계 아래로 조정
106 ‥‥ 건설업 보건관리 위험성 평가 모델 개발(Ⅱ)-토목공사

(4) 고열 및 한랭작업
가) 정의
• 고열작업 : 토목공사현장에서 폭서기의 옥외작업 등
• 한랭작업 : 토목공사현장에서 한파가 있을 때에 옥외작업 등(산업안전
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3편 제6장 온도 습도에 의한 건강장해의 예
방 참조)
• 기상청의 폭염 및 한파 특보를 참고하여 위험도 평가
나) 건겅영향
• 고열로 인한 열경련, 열탈진, 열사병 등
• 한랭에 의한 전신 저체온증, 동상 등
다) 고열 및 한랭작업의 가능성 분류기준
구분 가능성 내용
- 고열작업 : WBGT 28℃ 이상
상 3 - 한랭작업 : 1일 작업시간 4시간 이상
- 기상청 열지수 높음 이상
- 고열작업 : WBGT 25이상 ~ 28℃ 미만
중 2 - 한랭작업 : 1일 작업시간 2시간 ~ 4시간 미만
- 기상청 열지수 보통
- 고열작업 : WBGT 25℃ 미만
하 1 - 한랭작업 : 1일 작업시간 2시간 미만
- 기상청 열지수 낮음
※ 기상청 폭염정보(인터넷 www.kma.go.kr), 또는 모바일 앱(날씨나라) 활용
Ⅲ. 연구결과 ‥‥ 107

라) 고열 및 한랭작업의 중대성 분류기준


구분 중대성 내용
대 3 중상 또는 즉시치료 요함
중 2 경미한 부상
소 1 미미한 부상
※ 건강영향의 정도(중대성)의 기준 설명
• 미미한 부상 : 응급처치 할 수 있으며 작업 가능함
• 경미한 부상 : 응급처치 할 수 있으나 즉시 작업이 불가능함
• 중상 : 즉시 치료를 요하는 부상
마) 고열 및 한랭작업의 위험성 감소대책
위험성 감소대책
온습도 조절장치 및 환기장치 설치, 열원과 격리, 복사열 차단, 공정
가능성(P) 자동화, 작업 중 살수, 근무시간 조절 등
관리 ☞ 작업조건 및 환경개선으로 측정치 저감, 노출(작업)시간 경감을
통해 가능성(P)등급 낮아짐
휴게시설 및 세척시설 설치, 교육, 휴식시간 제공, 소음과 음료수 비
치, 운동 및 영양지도, 온도계 비치, 경고표지 설치, 보호구 착용 등
중대성(S)
관리 ☞ 관리적 사항 및 근로자 개인특성 개선으로 건강영향 경감에 기
여, 기존 수행사항에 추가적으로 개선 관리가 실행되면 중대성(S)등
급 한 단계로 아래로 조정
108 ‥‥ 건설업 보건관리 위험성 평가 모델 개발(Ⅱ)-토목공사

(5) 병원체
가) 감염병 분류 및 종류
• 혈액매개 감염병 : 인간면역결핍증, B형간염 및 C형 간염, 혈액 및 체
액을 매개로 타인에게 전염되어 질병을 유발하는 감염병
• 공기매개 감염병 : 결핵 수두 홍역 등 공기 또는 비말핵 등을 매개로
호흡기를 통하여 전염되는 감염병
• 곤충 및 동물매개 감염병 : 신증후군출혈열, 쯔쯔가무시증, 랩토스피라
증 등 동물의 배설물 등으로 점염되는 감염병 등
※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3편 제8장 병원체에 의한 건강장해
의 예방 참조
나) 병원체에 의한 위험성의 가능성 분류기준
구분 가능성 내용
상 3 대상 병원체의 격리 밀폐가 이루어지지 않고 근로
자가 적정한 보호구를 착용하지 않음
중 2 대상 병원체의 격리 밀폐가 이루어지지 않았으나
근로자가 적정한 보호구를 착용하였음
하 1 대상 병원체의 격리 밀폐가 적정하게 이루어져 근
로자에게 노출될 위험이 없음
다) 병원체에 의한 위험성의 가능성 분류기준
구분 중대성 내용
대 3 감염증세 심각하여 치료가 어려움
중 2 감염증세 있으며 치료가 용이함
소 1 감염증세 없고 정상 판정
Ⅲ. 연구결과 ‥‥ 109

라) 병원체 노출작업의 위험성 감소대책


위험성 감소대책
병원체에 대한 격리 및 밀폐조치 실시, 전염성 있는 환자와 접촉
제한, 보호구 착용, 감염병 발생 우려장소 출입금지 및 음식물
가능성(P) 섭취 제한 등
관리
☞ 작업조건 및 환경개선으로 노출빈도 경감을 통해 가능성(P)
등급 낮아짐
세척시설 설치, 교육, 휴식장소 제공, 작업복 착용, 예방접종 실
시, 건강검진 실시, 개인위생관리, 작업 후 소독실시 등
중대성(S)
관리 ☞ 작업환경, 관리적 사항 및 근로자 개인특성 개선으로 건강영
향 경감에 기여, 기존 수행사항에 추가적으로 개선 관리가 실행
되면 중대성(S)등급 한 단계로 아래로 조정

4) 기록 및 모니터링

(1) 기록의 정의 및 중요성


가) 기록의 정의
사업장에서 위험성평가 활동을 수행한 근거와 그 결과를 문서로 기록하여
보존하는 것
나) 기록의 중요성
• 문서화, 위험성 평가기록은 그 자체로 유용한 도구
• 유해요인 파악, 안전보건교육 등 안전보건 활동의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음.
• 사고의 원인규명의 자료에도 도움이 됨.
다) 위험성 평가의 기록
• 위험성평가의 실시내용과 결과를 기록 및 보존
• 평가 대상작업, 파악된 유해요인, 위험성 추정결과, 감소대책 등 위험성
평가를 기록으로 남김.
110 ‥‥ 건설업 보건관리 위험성 평가 모델 개발(Ⅱ)-토목공사

• 유해요인, 위험도 결정의 내용, 결정에 따른 조치의 내용, 사전 조사한


내용, 그밖에 사업장에서 필요하다고 정한 사항 등을 기록
• 근로자 의견을 반영하여 기록함
• 위험성평가 기록은 KRAS에서 관리하고, 필요시 출력하여 사용함.
• 위험성평가 결과는 모든 근로자가 알 수 있도록 배부하거나 게시
• 기록물 보존기간은 3년 이상, 최초평가 기록은 영구 보존 권장
(2) 평가결과의 타당성 검토 및 수정
가) 검토 및 수정의 정의
• 받아들일 수 있는 위험수준 이하로 하기 위해 위험성 평가를 검토하
고 수정하는 절차
• 5단계까지 위험성 평가 결과에 따른 위험 감소대책은 실효성이 있는
지 검토하여야 함.
나) 수정 방법
• 근로자들이 알 수 있도록 위험성 평가 방침, 목표 및 주지사항을 회의
또는 행사 등에서 홍보하고 게시
• 위험성평가 기록물은 연 1회 정도 정기적으로 검토
• 수정과 보완이 필요할 때에는 근로자의 의견을 반영하여 변경 여부를
결정하며, 모든 근로자가 알 수 있도록 함.
다) 위험성 평가 타당성 검토내용
① 위험 감소대책이 기술적 난이도를 고려했는지 여부
② 합리적으로 실행 가능한 낮은 수준으로(ALARP : As Low
As Reasonably Practical) 고려했는지 여부
③ 실행 우선순위가 적절한지 여부
④ 새로운 위험이 발생하지 않는지 여부
⑤ 대책을 실시하여 받아들일 수 있는 위험범위 내인지 여부
Ⅲ. 연구결과 ‥‥ 111

(3) 평가결과 보고 및 모니터링


가) 평가결과의 보고
최종적으로 위험 감소대책을 포함한 위험성 평가결과는 경영진에 보고하고
노와 사가 공동으로 감소대책을 실시함.
나) 평가결과의 모니터링
• 각 작업 공종별 중요한 유해ㆍ위험은 유해ㆍ위험 등록부에 기록하고
등록된 위험에 대해서는 항시 주의 깊게 위험관리를 하여야 함.
• 위험 감소대책을 포함한 위험성 평가결과는 근로자에게 전달하여 추
가로 감소대책이 없는 잔류 위험요인에 대한 인식을 같이 하도록 함.
• 위험감소 대책 시행 후 산재감소와 생산성 증진에 대한 모니터링을 정
기적으로 평가하여 다음년도 사업계획 및 재해감소 목표설정에 반영
다) 지속적 개선(Feed Back)
집중관리대상 유해위험요인의 위험성 수준이 허용가능 이내로 낮아질 때까
지 위험성평가, 감소대책수립 및 실행을 지속적으로 반복하여 실시
5) KRAS 활용법

(1) KRAS 활용의 필요성


가) 필요성
안전보건공단에서 제공하는 위험성평가 지원시스템(KRAS)을 활용하면
위험성평가 실시, 인정심사 신청, 교육 신청(사업주교육, 평가담당자교육), 안전
보건관련 자료, 화학물질 위험성평가, 컨설팅 기관안내, 교육 기관 안내 등 위
험성평가와 관련된 모든 정보를 활용 할 수 있음.
112 ‥‥ 건설업 보건관리 위험성 평가 모델 개발(Ⅱ)-토목공사

나) 이행 및 이행확인방법 제시
• 위험성 평가 조직도
위험성평가 조직도

□ 조직도
○ 평가 총괄 팀(담당자)장 : 안전관리자 ○ ○ ○
○ 공종별 평가자
공종명 평가담당자 성명 직책
가설공사
거푸집공사
철근공사
콘크리트공사
미장공사
조적공사
방수공사
전기공사
설비공사
□ 이행계획
구 분 내용 예상 완료일시

추진조직 ○ 총괄 평가팀(담당자) 지정
구성 ○ 공종별 평가 전담자 지정 17년. 00월.00일
○ 역할 및 권한 부여 등
유해위험요인 ○ 유해위험요인 파악
파악 및 평가 ○ 위험성
○ 계산
위험성 결정
17년. 00월.00일
대책수립 및 실행 ○ 위험성 감소대책 수립 및 실행 17.7.1-17.7.31
Ⅲ. 연구결과 ‥‥ 113

(2) KRAS 활용의 실제


114 ‥‥ 건설업 보건관리 위험성 평가 모델 개발(Ⅱ)-토목공사
Ⅲ. 연구결과 ‥‥ 115
116 ‥‥ 건설업 보건관리 위험성 평가 모델 개발(Ⅱ)-토목공사
Ⅲ. 연구결과 ‥‥ 117

6) 위험성평가 교육

(1) 안전교육 및 점검
• 아침조회, TBM 및 법정교육 시간을 활용하여 일일 집중관리대상 유
해위험요인 교육실시
• 안전점검 시 집중관리대상 유해위험요인 연계 점검실시
• 작업수행 등을 목적으로 현장 방문 시 수시 확인
• 안전점검 시 사전 파악하지 못한 추가 유해위험요인도 확인
※ 위험성평가표를 항상 휴대하여 확인점검사항 직접 명기
(2) 근로자 교육
위험성 평가를 수행한 결과를 작업자 및 관계자들에게 교육
118 ‥‥ 건설업 보건관리 위험성 평가 모델 개발(Ⅱ)-토목공사

위험성평가 교육 결과(예시)
교육일시 20 년 월 일 : ~ :
교육장소 (교육장)
□ 교육내용
●「위험성평가」를 위한 현장소장의 방침과 목표
●「위험성평가」를 위한 준비 및 유해위험요인 파악 방법
● 유해요인에 대한 위험성 추정과 결정방법
● 위험성 감소대책 수립과 실행 절차 및 기록·관리 방법

위험성평가 교육실시 사진 또는 교육자료 등

□ 참석자 명단
소속 성 명 서명 소속 성 명 서명
Ⅲ. 연구결과 ‥‥ 119

4. 토목공사현장의 보건관리

1) 토공사 유해위험요인별 관리방안

유해위험요인 관리방안
- 작업환경측정
- 특수건강진단
소음
- 청력보호구 지급
- 청력보존 프로그램
- 작업환경측정
- 특수건강진단
분진 - 호흡보호구 지급
- 분진위험 감소방안 모색
- 호흡기 보호 프로그램
- 노출 방지
디젤엔진 배출물질 - 노출감소위한 통제 조치
- 호흡보호구 지급
- 밀폐공간 작업관리
산소결핍 - 밀폐공간작업 필수 3대 안전수칙
- 밀폐공간 작업 시 재해자 구조방법
- 메탄의 건강영향 관리
유해가스(메탄, 일산화탄소)
- 일산화탄소의 건강영향 관리
- 근골격계질환 증상 파악
- 근골격계질환 특성 이해
인간공학적 요인
- 근골격계질환 예방 교육
- 근골격계질환 예방을 위한 작업방법
120 ‥‥ 건설업 보건관리 위험성 평가 모델 개발(Ⅱ)-토목공사

(1) 소음 관리

❍ 작업환경측정
- 측정기준 : 소음 수준이 8시간 시간 가중평균 80dB 이상일 때 실시
- 허용기준 : 8시간 시간 가중평균 90dB 이하
- 측정주기 : 소음 측정 결과 최근 2회 연속 85dB 이하인 경우 연1회 주기
로 실시
❍ 특수건강진단
- 실시기준 : 소음 수준이 8시간 시간 가중평균 85dB 이상에 노출되는 근
로자에게 실시
- 검진주기 : 소음 및 충격소음이 있는 작업일 경우 12개월 이내에 배치 후
첫 번째 특수건강진단을 받아야 하며, 24개월마다 특수건강진단을 받아야 함.
(산업안전보건시행규칙 [별표 12의 3])
Ⅲ. 연구결과 ‥‥ 121

❍ 소음작업의 기준

- 소음작업 : 1일 8시간 작업을 기준으로 85dB 이상의 소음이 발생하는 작업


- 강렬한 소음작업
가. 90dB 이상의 소음이 1일 8시간 이상 발생하는 작업
나. 95dB 이상의 소음이 1일 4시간 이상 발생하는 작업
다. 100dB 이상의 소음이 1일 2시간 이상 발생하는 작업
라. 105dB 이상의 소음이 1일 1시간 이상 발생하는 작업
마. 110dB 이상의 소음이 1일 30분 이상 발생하는 작업
바. 115dB 이상의 소음이 1일 15분 이상 발생하는 작업
- 충격소음작업 : 소음이 1초 이상 간격으로 발생하는 작업으로
가. 120dB을 초과하는 소음이 1일 1만회 이상 발생하는 작업
나. 130dB을 초과하는 소음이 1일 1천회 이상 발생하는 작업

❍ 청력 보호구 지급
가) 청력보호구 선택방법
- 소음수준과 작업내용, 개인의 상태에 알맞은 종류와 구조 선택
※ 85∼115dB : 귀마개 또는 귀덮개 착용 / 110~120dB 이상 : 귀마개와 귀덮개 동시 착용
- 사용할 때 불쾌감과 압박감을 주지 않아야 함.
- 사용되고 있는 재료는 피부에 자극을 주지 않아야 하며, 세척과 소독,
추위와 더위에 변형되지 않아야 함.
- 귀마개는 귀에 잘 맞아야 하며, 사용 중에 쉽게 빠지지 않아야 함.
- 귀덮개는 귀 전체를 덮을 수 있는 크기로 하고, 귀 주위에 잘 밀착
- 활동이 많은 작업 : 귀마개 착용 / 활동이 적은 작업 : 귀덮개 착용
나) 귀마개 착용방법(섬유형) 교육
122 ‥‥ 건설업 보건관리 위험성 평가 모델 개발(Ⅱ)-토목공사

- 섬유형태 귀마개 → 귓구멍 크기에 맞게 압축 → 외이도 삽입


- 귀마개를 자신의 귓구멍에 맞게 압축
- 반대 쪽 손을 머리 위로 돌려 귀를 바깥쪽으로 잡아당기고 압축 귀마
개를 귀에 삽입
- 귀마개를 삽입한 후 같은 쪽 손가락으로 30초 동안 누름
- 귀마개가 제대로 착용되었는지 확인
다) 청력보호구 관리방법 교육
- 오염되지 않도록 보관하고 사용
- 특히 귀마개 착용 시 더러운 손으로 만지거나 이물질이 귀에 들어가지
않도록 주의
- 귀마개는 소모성 재료로 필요하면 누구나 언제든지 교체 사용할 수 있
도록 현장 내에 비치
- 귀마개는 불쾌감이나 통증이 적은 재료로 만든 것을 선정
- 고무재질 보다 스폰지 재질이 비교적 좋음.
- 중이염 등 귀에 이상이 있을 때는 귀덮개 착용
- 귀마개 중 2종(EP-2)은 주로 고음을 차단시키고, 회화음 영역인 저음은
차단하지 않으므로 대화가 필요한 작업에 사용
<표 4-1> 청력보호구의 종류별 용도 및 장․단점

구분 귀마개 귀덮개

섬유형, 고정형(실리콘), 헤어밴드형


구조

소음이 발생되는 장소에서 작업자의 외이


작업자의 귀 전체를 덮어 저음부터
도에 삽입하여 청력을 보호한다. 1 종은 저
용도 고음까지 차음하여 청력을 보호한다.
음부터 고음까지 차음하며, 2 종은 고음만
차음한다.
Ⅲ. 연구결과 ‥‥ 123

① 작아서 휴대하기 편리하다 . ① 헤드밴드로 조절이 가능하여 누


② 안경 안전모 등에 의해 방해를
, 받지 구나 쓸 수 있다.
않는다. ② 차음효과가 귀마개보다 좋다 .

장점 ③ 고온 , 좁은 작업장소 등에 영향을 받지 ③ 귀에 염증이 있어도 사용할 수


않는다. 있다.
④ 세탁이 간단하다 . ④ 멀리서도 착용여부를 확인할 수
⑤ 가격이 귀덮개보다 저렴하다 . 있다.
① 귓구멍이 개인차가 커서 크기가 다양
① 부피가 커서 휴대하기 불편하다 .
해야 한다.
② 작아서 분실 위험이 있고 ② 안경 안전모 등에 방해된다
, .
, 귀마개 착용
③ 고온 좁은 장소에서 불편하다
, .
여부를 확인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③ 차음효과가 ④ 세탁방법이 복잡하다 .

단점
자 간에 차이가 많다.
귀덮개보다 떨어지고 사용
⑤ 가격이 비싸다 .

④ 귀마개에 묻어 있는 오염물질이 귀에
들어갈 수 있다.
⑤ 귀에 병이 있을 때는 착용이 불가능하
다.

❍ 청력보존 프로그램
- 근거 :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517조
- 대상
· 산업안전보건법 제42조(작업환경측정 등)의 규정에 의한 소음 작업환경
측정 결과 소음 수준이 90 데시벨을 초과하는 현장
· 소음작업으로 인하여 근로자에게 건강장해가 발생한 현장
- 청력보존 프로그램의 내용
· 소음노출평가
· 소음노출기준 초과에 따른 공학적 대책
· 청력보호구의 지급 및 착용
124 ‥‥ 건설업 보건관리 위험성 평가 모델 개발(Ⅱ)-토목공사

· 소음의 유해성과 예방에 관한 교육


· 정기적 청력검사
· 기록·관리 등이 포함된 소음성난청 예방관리 종합계획 수립
❍ 소음발생 작업장 점검 체크리스트
점검항목 점검결과

1. 작업장 소음수준에 대한 평가를 하는가?


2. 소음평가 결과는 기록되고 보관되는가?
3. 120dB(A)을 초과하는 충격 소음에 노출되는가?
4. 작업자에게 개인별 청력보호구를 지급하는가?
5. 노출기준 초과 소음에 대하여 공학적 또는 관리적 대책
을 수립하여 시행하고 있는가?
6. 소음에 노출되는 근로자들에 대한 교육을 실시하는가?
Ⅲ. 연구결과 ‥‥ 125

(2) 분진 관리

❍ 분진의 작업환경측정
- 산화규소 분진의 작업환경측정 기준 : 석영, 크리스토바라이트, 트리디마
이트에 노출되는 근로자가 있는 작업장
- 측정 주기 : 최초 30일 이내, 이후 6개월마다 1회 이상 실시
❍ 분진의 특수건강진단
- 산화규소분진 특수건강진단 주기 : 배치 후 12개월 이내, 이후 24개월 주
기마다 실시
- 검사항목
❍ 1차 검사항목
- 직업력 및 노출력 조사
- 주요 표적기관과 관련된 병력조사
- 임상검사 및 진찰
① 호흡기계 : 청진, 흉부방사선(후전면), 객담세포검사, 폐활량검사
② 눈, 피부, 비강, 인두 : 점막자극증상 문진

❍ 2차 검사항목
- 임상검사 및 진찰
① 호흡기계 : 흉부방사선(측면), 결핵도말검사, 흉부 전산화 단층촬영
② 눈, 피부, 비강, 인두 : 세극등현미경검사, KOH 검사, 피부단자시험, 비강 및 인두
검사

❍ 분진의 위험감소 방안 모색
① 작업방법 또는 작업도구의 변경
126 ‥‥ 건설업 보건관리 위험성 평가 모델 개발(Ⅱ)-토목공사

- 작업을 시작하기 전에 분진을 막거나 줄이는 방법을 살펴봄.


- 분진이 덜 발생할 수 있는 다른 재료, 덜 강력한 도구 또는 다른 작업 방
법을 고려
- 절단 또는 추가적인 준비가 덜 필요하게 적절한 크기의 건축 자재 사용
② 분진위험 감소 대책
- 분진이 발생하는 작업영역 근처에서 작업하는 사람의 수를 제한
- 분진작업을 하는 사람을 계속 같은 작업만 하게 하지 말고 다른 작업으
로 순환
- 분진이 대기 중으로 확산되지 않도록 작업을 밀폐
- 분진이 붙어서 잘 떨어지지 않는 작업복은 사용하지 않음.
③ 작업자 교육
- 분진의 위험성과 건강에 피해를 입히는 방법
- 분진 제어장치를 사용하는 방법
- 장비의 유지보수 방법
- 호흡보호구 및 기타 개인보호장비 사용 및 관리 방법
- 무엇인가 잘못 되었다고 생각될 때 취해야 할 조치
④ 분진 위험감소대책 점검
- 올바른 방식으로 작업이 수행 되도록 하는 절차가 있으며, 지켜지고 있는
가?
- 분진위험 감소 조치들은 효과적인가? 작업 중 여전히 분진이 많이 발생
하고 있는가?
- 작업자들이 분진 위험 감소조치를 수립하고 시행하는 데 참여하고 있는
Ⅲ. 연구결과 ‥‥ 127

가?
- 장비는 적절하게 관리되고 수리가 필요한 것들은 보수가 되고 있는가?
❍ 분진위험감소 장비 유지, 보수 체크

- 장비의 유지보수 매뉴얼이 있는가?


- 매뉴얼이 지켜지고 있는가?
- 정기적으로 장비를 점검하고 있는가?
- 1회용 호흡보호구는 제조 및 공급사의 권고대로 관리하고 있는가?
- 반복사용 가능한 호흡보호구는 정해진 방법대로 청소, 보관 및 관리하고
있는가?
- 제조 및 공급사가 권장하는 대로 호흡보호구의 필터를 교체하고 있는가?
- 최소한 14개월마다 On-tool Extraction System에 대한 점검을 하고 있는
가?

❍ 호흡 보호구 제공
- 호흡보호구 제공 시 확인사항
항목 확인사항
- 호흡보호구에는 착용으로 보호가 얼마나 되는 지를 보여주는
① 분진의 양과 종 할당보호계수(Assigned Protection Factor, APF)16)가 있음.
류에 알맞은가? - 건설공사현장의 분진에 대한 일반적인 수준은 APF 20임.
- 즉, 착용자는 공기 중 분진의 20분의 1만 호흡함.
- 일회용 마스크 또는 반면형 마스크는 장시간 착용하는 것이 불
② 작업에 적합한 편할
-
수 있음.
동력형 호흡보호구(Powered RPE)17)는 이러한 문제를 최소화
가? 함.
- 휴식 없이 1시간 이상 일할 때 이러한 호흡보호구 고려
③ 다른 보호장비 - 눈 보호구를 착용하면서 호흡보호구를 착용하는 등 다른 보호
와 함께 사용할 경 장비와 함께 착용하게 될 경우에 적합하여야 함.
우 적합한가?
④ 사용자에게 적 - 호흡보호구가 얼굴 크기 등에 맞아야 하며, 밀착도 자가점검을
128 ‥‥ 건설업 보건관리 위험성 평가 모델 개발(Ⅱ)-토목공사

합한가? 하여 꼭 맞는 호흡보호구를 착용해야 함.


- 수염이 있는 작업자는 면도를 하고 호흡보호구를 착용해야 함.
(3) 디젤엔진 배출 물질 관리

❍ 노출 방지
- 작업 방식 변경
- 작업 공간의 레이아웃 수정
- 작업장 내부의 배기가스 배출을 위한 작업 수정
- 디젤 연료를 보다 안전한 연료 또는 대체 기술(예 : 압축 천연 가스, 배터
리 구동 차량)로 대체하는 것
❍ 노출 감소 위한 통제조치
① 엔지니어링 제어
- 가능한 한 저 배출 또는 더 연비가 낮은 엔진의 사용, 미립자를 줄이기
위한 더 높은 엔진 분사 압력, 기체 산화물 배출을 줄이기 위한 배기가스 재순
환 시스템 설치 등을 반영하도록 함.
- 저 유황 디젤 연료와 같은 청정 연료 사용
- 유기물질 및 가스를 산화시키는 촉매 변환기와 같은 디젤배기가스 '후 처
리'시스템의 사용 및 미립자 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미립자 트랩 사용
16) 할당보호계수(Assigned Protection Factor: APF)는 적절히 밀착이 이루어진 호흡기보호구를
훈련된 일련의 착용자들이 작업장에서 착용하였을 때 기대되는 최소 보호정도 값을 말한다.
예를 들어, APF가 100인 보호구를 착용하고 작업장에 들어가면 착용자는 외부 유해물질로부
터 적어도 100배만큼의 보호를 받을 수 있다는 의미이다.
17) 이러한 호흡보호구로는 전동팬에 의해 외부로부터 방호면이나 후두 안으로 신선한 공기를
공급하여 방진보호면과 방진마스크의 양 기능을 갖춘 보호구가 있다. 전동(동력)공기정화 호
흡보호구와 급기[공기공급] 호흡용 보호구 등이 있다.
Ⅲ. 연구결과 ‥‥ 129

② 실행 및 관리 제어
- 상당한 기간 동안 필요하지 않을 때 엔진을 끄고 정기적인 엔진 유지 보
수 프로그램을 채택하는 것과 같이 디젤엔진 배기가스 배출물의 생성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되는 프로세스 또는 작업 시스템을 사용
- 실행 가능한 경우, 직접 노출되는 직원 수와 그 노출 기간을 줄이는 것이
필요
❍ 호흡 보호구 지급
- 디젤엔진 배기가스 배출물에 대한 노출은 발생원에 대한 조치 또는 다른
수단에 의해 가장 잘 제어되기 때문에 호흡보호구는 최후의 수단으로 사용
- 선택된 호흡보호구는 기체 및 미립자 성분에 대한 보호에 적합해야 함.
- 모든 관리 조치가 적절히 사용되거나 적용되는지 확인해야 함.
- 근로자는 사업주가 제공한 모든 통제방법이나 개인보호장비를 철저히 사
용해야 하며, 관리를 위해 모든 결함을 즉시 사업주에게 보고해야 함.
- 디젤엔진은 발암성이 충분한 Group 1 물질로 인정되었으나, 우리나라에
서는 근로자의 디젤엔진 배기가스 배출물 노출평가를 위한 작업환경측정, 특수
건강진단, 건강관리수첩 등의 관리에 포함되어 있지 않아 건설 근로자들은 대
형 건설기계가 작동되는 현장에서 디젤엔진 배기가스 배출물에 노출되는 것이
방치되고 있음.
- 우리나라에서도 건설기계 등 디젤엔진을 사용하는 차량과 기계를 정비하
는 업무에 종사한 근로자에게 발생한 폐암이 인정된 사례가 있음.
❍ 호흡기 보호 프로그램
- 근거 :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616조
130 ‥‥ 건설업 보건관리 위험성 평가 모델 개발(Ⅱ)-토목공사

- 대상
· 산업안전보건법 제42조(작업환경측정 등)의 규정에 의한 분진의 작업환
경측정 결과 노출기준을 초과하는 사업장
· 분진작업으로 인하여 근로자에게 건강장해가 발생한 사업장
- 호흡기 보호프로그램 내용
· 분진노출평가
· 노출기준 초과에 따른 공학적 대책
· 호흡용보호구의 지급 및 착용
· 분진의 유해성과 예방에 관한 교육
· 정기적 건강 진단
· 기록·관리 등이 포함된 호흡기질환 예방관리 위한 종합계획 수립
(4) 산소결핍 밀폐공간 작업관리

❍ 밀폐공간 작업관리
※ 산소결핍이 발생하는 밀폐공간의 정의
- 제한된 출입구, 불량한 자연환기, 작업자가 상주하지 않는 공간
- 산소결핍이나 유해가스로 인한 건강장해가 일어나는 공간
- 인화성물질에 의한 화재, 폭발 등의 위험이 있는 장소
① 관리감독자 지정
- 밀폐공간에서 작업을 하는 경우 관리감독자를 지정하여 다음과 같은 직
무를 수행 하도록 해야 함.
Ⅲ. 연구결과 ‥‥ 131

※ 관리감독자의 직무

- 산소가 결핍된 공기가 유해가스에 노출되지 않도록 작업 시작 전에 작업


방법을 결정하고 이에 따라 당해 근로자의 작업 지휘
- 작업을 행하는 장소의 공기가 적정한지 여부를 작업시작 전에 확인
- 측정장비, 환기장치 또는 송기마스크 등을 작업시작 전에 점검
- 근로자에게 송기마스크 등의 착용을 지도하고 착용상황 점검

- 관리감독자 점검결과, 이상을 발견하여 보고할 때 사업주는 즉시 환기,


보호구 지급, 설비 보수 등의 필요한 조치를 실시해야 함.
② 감시인 배치
- 밀폐공간에 근로자를 종사하도록 할 때에는 상시작업 상황을 감시할 수
있는 감시인을 지정하여 밀폐공간 외부에 배치해야 함.
- 감시인은 밀폐공간 내 근로자에게 이상이 있을 때 구조요청 등 필요한
조치를 한 후 이를 즉시 안전담당자나 관리감독자에게 알려야 함.
③ 인원의 점검
- 밀폐공간에서 작업을 하는 경우에는 출입하는 근로자의 인원을 상시 점
검해야 함.
④ 출입 금지
- 밀폐공간 내에서 작업 시에는 관계 근로자 외의 출입을 금지시킨 후 금
지 표지판을 보기 쉬운 장소에 게시 해야 함.
132 ‥‥ 건설업 보건관리 위험성 평가 모델 개발(Ⅱ)-토목공사

⑤ 연락체제 구축
- 밀폐공간 내부와 외부 사이에 상시 연락할 수 있는 장비 및 설비를 갖추
어야 함.
⑥ 밀폐공간 작업 전 안전한 작업방법 등에 관한 주지
- 밀폐공간 작업 시에는 매 작업 시작 전 다음 사항에 대하여 해당 작업
근로자에게 알려야 함.
※ 밀폐공간 작업 관리방법

- 산소 및 유해가스 농도측정에 관한 사항
- 사고 시 응급조치 요령
- 환기설비의 가동
- 보호구 착용 및 사용방법에 관한 사항
- 구조용 장비 사용 등 비상 시 구출에 관한 사항

❍ 밀폐공간 작업 필수 3대 안전수칙
- 작업 전, 작업 중 산소 및 유해가스 농도 측정
- 작업 전, 작업 중 환기 실시
- 구조작업 시 송기마스크 등 보호장비 필히 착용
Ⅲ. 연구결과 ‥‥ 133

❍ 밀폐공간 작업 시 재해자 구조방법


`
밀폐공간에서 작업자가 쓰러진 것을 발견한 경우

아무리 급해도 재해자 구조위해 안전장비 착용없이 밀폐공간내로 그냥 들어가지 말 것!!!

◈ 주변 동료작업자 또는 구조대(119)로 연락

구조요청

◈ 호흡용보호구 착용 후 구조
- 양압식 공기호흡기, 송기마스크 등
※ 주의 : 호흡용보호구가 없는 경우에는
밀폐공간 밖에서 구조대를 기다릴 것
안전조치 후

재해자 구조

◈ 구조된 재해자에 대해 심폐소생술 실시


반응확인→맥박확인→심폐소생술
응급처치

* 출처 : 안전보건공단 (2012). 『사업장 보건관리자 실무』


134 ‥‥ 건설업 보건관리 위험성 평가 모델 개발(Ⅱ)-토목공사

(5) 유해가스 건강영향 관리

❍ 메탄의 건강영향 관리
- 천연가스의 주요 구성성분(95%)이며, 대기에서 발견되는 주된 온실 가스
로, 메탄 질식 증상은 산소가 결핍되는 속도와 산소 결핍의 지속 시간에 따라
달라짐.
- 갑작스런 급성 질식에서는 즉각적으로 의식 불명 상태가 될 수도 있으며,
증상이 느리게 나타나는 경우에는 빠른 호흡 및 맥박, 숨가쁨, 어지럼증, 의식
저하, 머리 조임, 자통감, 협동 운동 장애, 판단력 저하, 감정적 불안정, 빠른 피
로 등이 있을 수 있고, 질식이 진행되면 오심, 구토, 허탈, 무의식, 경련, 깊은
혼수, 사망이 일어날 수 있음.
- 부작용이 발생하면 오염되지 않은 구역으로 이동하고, 숨을 쉬지 않으면
인공 호흡을 함. 호흡하기 어려울 경우 산소를 공급해야 함.
❍ 일산화탄소의 건강영향 관리
- 일산화탄소는 탄소와 산소로 구성된 화합물로, 산소보다 헤모글로빈과의
친화력이 200배 정도 더 좋기 때문에 소량 흡입시에도 호흡 대사를 방해하여
생명 유지가 어려울 수 있음.
- 일산화탄소중독 시의 증상은 초기에 두통, 귀 울림, 현기증 정도인데, 점
차 그 정도가 심해지며 구역질을 하기 시작함. 심할 경우 의식이 없어지며 안
면 홍조, 맥박 촉진, 경련, 혼수상태에 이르고 결국 사망하게 됨. 만성 중독일
경우 기억 장애, 운동 장애 등의 신경 증상이 동반됨.
- 일산화탄소중독이 발생한 경우 즉시 일산화탄소 발생원을 제거한 뒤. 산
소가 많이 포함된 신선한 공기를 흡입시킴.
Ⅲ. 연구결과 ‥‥ 135

(6) 인간공학적 요인 관리

❍ 근골격계질환 증상 파악

❍ 근골격계질환 특성 이해
- 다양한 요인이 질환을 유발
- 유전, 성, 연령 생활습관, 체력, 면역력, 음주, 흡연, 식생활습관, 가사노동
심인성 요인 등 없어질 수 있는 병이 아님.
- 물리적/정신적 스트레스의 근본적 제거는 불가능 지속적 관리에 의한 질
환발생 예방/최소화가 목표 조기발견을 통한 조기대책 실시만이 대안
- 조기발견→조기개선→작업부담의 경감/완화 조기발견→조기치료→조기복
귀 순서로 관리
- 근로자 참여에 의한 자기관리 노력이 매우 중요
136 ‥‥ 건설업 보건관리 위험성 평가 모델 개발(Ⅱ)-토목공사

- 예방운동, 근력강화 운동 자기관리능력의 강화


❍ 근골격계질환 예방 교육
- 올바른 작업자세와 작업동작
- 기계장비와 보조도구의 올바른 사용방법
- 올바르지 않은 작업자세와 작업동작 또는 인력에 의한 중량물 취급을 잘
못했을 때 수반되는 위험
- 관절이나 근육에 과도한 부담 있을 때 나타나는 조기증상 및 증후 등
❍ 근골격계질환 예방을 위한 작업방법
<짐을 들어올리는 방법>
① 짐은 몸에 가깝게 할 것
② 발을 벌리고 몸은 정확하게 균형을 유지할 것
③ 무릎을 굽힐 것
④ 목과 등은 거의 일직선이 되게 할 것
⑤ 등을 반듯이 유지하면서 다리를 펼 것
⑥ 가능하면 짐을 양손으로 잡을 것
Ⅲ. 연구결과 ‥‥ 137

<운반하기>
① 가능한 2인 1조로 작업(일반 포대무게 약 40kg)
② 올바른 작업자세 유지
③ 가급적 이동대차 사용
④ 보조운반기구 사용
138 ‥‥ 건설업 보건관리 위험성 평가 모델 개발(Ⅱ)-토목공사

<표 4-2> 작업형태별, 성별, 연령별 취급 중량 기준

작업형태 성별 18세 이하 연령별 허용 권장기준(㎏)


19~35세 36~50세 51세 이상
일시작업 남 25 30 27 25
(시간당 2회 이하) 여 17 20 17 15
계속작업 남 12 15 13 10
(시간당 3회 이상) 여 8 10 8 5
* 출처 : KOSHA GUIDE(G-75-2011). 인력운반 안전작업에 관한 지침.
<밀기와 당기기>
① 발을 고정시킨다.
② 운반경로는 턱이 없고, 바닥 높이는 같게
<작업 공구>
① 인간공학적인 설계, 적절한 유지·보수
② 기계와 연장의 무게나 크기가 작업자의 손에 잘 맞게
③ 날카로운 모서리나 깊게 패인 홈이 없도록
④ 가능한 한 손목과 팔이 편한 자세를 취할 수 있도록
⑤ 진동공구 사용시 방진장갑
<반복적 또는 제한된 장소에서의 작업>
① 다양한 자세와 동작 유지
<규칙적인 운동 및 작업습관 유지>
① 규칙적인 운동 실시
② 작업자세는 가능한 중립 유지
Ⅲ. 연구결과 ‥‥ 139

<표 4-3> 근골격계질환 유해요인 체크리스트


항 목 예 아니오
■ 중량물 취급
1. 무거운 물건이나 장비 등을 직접 드는 경우가 있는가?
2. 무거운 물건이나 장비 등을 걸으면서 옮기는 경우가 있는가?
3. 작업을 하는 동안 3㎏이상의 물체를 자주 드는가?
4. 불편한 자세로 들기 작업이 이루어지는가?
(예를 들어, 몸에서 멀리 든다거나, 무릎아래 또는 어깨위에서
들기 작업이 이루어지는가?)
■ 밀기/당기기 작업
1. 대차 등을 사용하여 밀기/당기기 작업 수행 시 적절한 힘의 분
배가 이루어지는가?
2. 바닥의 상태는 밀기/당기기 작업 수행에 적절한가?
3. 밀기/당기기 작업 공간은 비좁지 않은가?
4. 밀기/당기기 작업 시 작업들의 이동적재 빈도가 잦은가?
5. 작업자는 밀기/당기기 작업이 힘들다고 느끼는가?
6. 장비가 부족하거나 장비의 유지보수가 잘 이루어지지 않는가?
■ 작업자세
1. 작업자들이 불편한 자세로 작업을 수행하는가?
2. 작업자들은 허리나 목이 굽혀지거나 젖혀진 상태로 작업을 수
행하는가?
3. 작업 중 목이 비틀어지거나 허리가 비틀어지는 경우가 자주 발
생하는가?
4. 작업자들은 동일한 자세로 장시간 작업을 수행하는가?
5. 작업공간은 일하기에 충분한 크기인가?
6. 작업이 주로 서서 수행되는가?
7. 주로 사용하는 작업장의 높이는 적절한가?
8. 작업 중 계단의 오르내르기와 같은 작업이 자주 발생하는가?
■ 진동
1. 작업을 하는 동안 지속적인 진동에 노출되어 있는가?
■ 정신적 스트레스
1. 작업이 빨리 이루어지는가?
2. 업무시간은 작업자가 일하기에 적절한가?
3. 작업장은 작업을 하기에 적절한 온도를 유지하는가?
※ 안전보건공단(2008). 『근골격계질환 예방관리프로그램운영매뉴얼』
140 ‥‥ 건설업 보건관리 위험성 평가 모델 개발(Ⅱ)-토목공사

2) 철근콘크리트공사 유해위험요인별 관리방안

유해위험요인 관리방안
- 젖은 시멘트에 노출된 경우의 관리
시멘트 - 시멘트 화상의 응급처치
- 건강영향 표시
- 혼화제 관리
- 지연제 관리
화학물질
- 촉진제 관리
- 거푸집 박리제 관리
- 밀폐공간 작업관리
산소결핍 - 밀폐공간작업 필수 3대 안전수칙
- 밀폐공간 작업 시 재해자 구조방법
- 근골격계질환 증상 파악
- 근골격계질환 특성 이해
인간공학적 요인
- 근골격계질환 예방 교육
- 근골격계질환 예방을 위한 작업방법
- 작업환경측정
- 특수건강진단
소음
- 청력보호구 지급
- 청력보존 프로그램
- 노출 방지
디젤엔진 배출물질 - 노출감소위한 통제 조치
- 호흡보호구 지급
- 방진시설 설치

진동 - 전파하는 진동을 차단하는 방법


- 진동장해 예방대책
※ 산소결핍, 인간공학적 요인, 소음, 디젤엔진 배출물질은 토공사 참조
Ⅲ. 연구결과 ‥‥ 141

(1) 시멘트에 의한 손상 관리

❍ 시멘트에 의한 건강영향 관리
① 작업수칙
- 분진 흩날림을 최소화할 수 있는 방법으로 작업
- 벽돌의 커팅 시 가능하다면 건식보다 습식 방법으로 시행
- 건조 시멘트의 혼합은 환기가 잘 되는 곳에서 실시
- 작업현장에서는 가능한 콘크리트를 혼합하지 않음.
- 굳지 않은 콘크리트에서 무릎 꿇고 작업할 때는 마른 판넬을 사용하 거
나 방수되는 무릎 보호패드 착용 - 반지, 시계 등의 악세사리는 시멘트가 낄
수 있으므로 제거 후 작업
② 개인 보호구 착용
- 알칼리 저항성 보호장갑 착용
- 긴 팔과 긴 바지의 보호복 착용
- 콘크리트가 부츠 안으로 들어오지 못하도록 충분한 높이의 방수 부츠 착용
- 시멘트 분진 취급시 호흡기 보호를 위해 적합한 방진마스크 착용
- 시멘트의 혼합, 주입 등의 작업 시 눈 보호 위한 보호안경 또는 고글 착용
③ 개인위생
- 옷이 오염되었다면 즉시 제거하여야 하며, 피부에 접촉 시 차갑고 깨끗한
물로 즉시 오랫동안 씻어주어야 함.
- 양동이에 담겨진 도구 세척용 물로 손을 씻지 않음.
- 적합한 위생시설을 갖추어 작업 - 음식 섭취나, 흡연 전에 손과 얼굴을
142 ‥‥ 건설업 보건관리 위험성 평가 모델 개발(Ⅱ)-토목공사

씻도록 함.
- 부츠를 세척하고 탈의할 수 있는 시설 이용
④ 교육
- 6가크롬이 시멘트에 함유되어 있음을 알리고, 시멘트 취급 근로자에게 유
해물질에 대한 정보와 대처 방법 교육
⑤ 응급처치
- 시멘트에 피부가 노출되었을 때는 가능한 빨리 차가운 흐르는 물에 씻어
야 하며, 화끈거리고 붉어진 경우 적당한 붕대로 감아주고 통증이 지속 되면
치료를 받아야 함.
- 눈에 시멘트 분진이 노출되었을 때는 적어도 15분간 흐르는 물에 눈을
씻고 가까운 병원에서 치료를 받음.
❍ 젖은 시멘트에 노출된 경우의 관리
- 묻은 의복을 제거하고 다량의 흐르는 물로 씻어내는 것이 원칙
- 시멘트는 입자의 특성상 진피내로 깊숙이 침투하기 때문에 물 세척만으
로 충분하지 않으며, 경구 진통제 투여 후 수세미(scrubbing brush)와 클로헥시
딘(chlorhexidine) 세척을 병행하는 것이 입자의 완전제거에 효과적
❍ 시멘트 화상의 응급처치
- 시멘트에 젖은 옷과 장화 등을 제거한 뒤 병변부위를 물로 충분히 씻어
내고, 인산염 등을 제거한 뒤 병변부를 물로 충분히 씻어내고, 인산염 완충용액
Ⅲ. 연구결과 ‥‥ 143

(buffered phosphate solution), 혹은 1% 아세트산 용액(acetic acid solution)으


로 병변부위를 담그는(soaking) 방법 사용(Wilson, 1985)
- 이후 전문 의료진에게 일찍 의뢰하여, 피부 전층의 화상이 발생한 경우에
는 조기에 상처를 제거하고, 피부 이식을 시행하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음.
❍ 건강영향 표시
- 시멘트 포장지나 라벨상의 경고 문구를 잘 볼 수 있도록 크고 분명하게
표시
- 근로자 교육 시멘트의 건강영향에 대해 교육
(2) 화학물질(시멘트 혼화제 및 거푸집 박리제) 건강영향 관리

❍ 혼화제 관리
- AE제는 직접적인 접촉으로 인해 약간의 눈 자극이 발생할 수 있음. 반복
적이거나 광범위한 접촉은 피부 자극을 유발할 수 있으며 일부 사람들에게는
알레르기성 피부 반응을 일으킬 수 있음.
- 이 제품에 과도하게 노출되거나, 접촉이 일어났거나, 섭취하였다면 피
해자의 증상에 대한 치료를 실시함. 특정 해독제는 없음.
❍ 지연제 관리
- 지연제로 사용되는 Sodium Gluconate(527-07-01)는 피부 자극 또는 민
감성을 유발하므로, 피부에 접촉하지 않도록 하고 노출 된 부위는 즉시 물로
144 ‥‥ 건설업 보건관리 위험성 평가 모델 개발(Ⅱ)-토목공사

씻어 내야 함.
- 눈에 대해서도 자극성이 있고 일시적으로 각막 손상을 일으킬 수 있음.
❍ 촉진제 관리
- 촉진제로 사용하는 염화칼슘을 흡입하면 코, 목 및 폐에 점막을 형성하
는 부위에 병변을 일으킬 수 있음.
- 흡입으로 인한 손상을 방지하려면 염화칼슘으로 작업 할 때 항상 호흡
보호구를 착용해야 함.
- 염화칼슘으로 작업하는 동안 기침을 하거나 목이 아프면 신선한 공기
또는 통풍이 잘되는 장소로 옮기고 증상이 호전 될 때까지 쉬는 것이 좋음.
- 염화칼슘에 장시간 피부가 노출되면 피부가 건조해지고 자극을 받을
수 있는데, 피부 반응을 치료하려면 비누와 물로 충분히 씻어야 함.
- 자극이 사라지지 않거나, 악화되거나, 불편함을 느끼면 의사의 진료를
받도록 함.
- 염화칼슘 노출로 인한 피부 자극을 피하기 위해 장갑을 착용하고 긴
바지와 긴 소매를 착용할 것을 권장
- 염화칼슘은 섭취하면 위장에 구역질과 메스꺼움, 구토를 일으킬 수 있
으므로, 섭취를 피하기 위해 염화칼슘으로 작업하는 동안 먹거나 마시거나 흡
연하지 말 것을 권장
- 실수로 염화칼슘을 섭취한 경우, 충분한 물을 마시고 의사에게 즉시 연락
❍ 거푸집박리제 관리
- 디클로로메테인을 취급할 때는 반드시 국소배기시설 등 환기가
Ⅲ. 연구결과 ‥‥ 145

잘 되는 곳에서 호흡용 보호구 (방독마스크)와 보호장갑, 보호의 등을 착


용하여야 함.
- 작업환경관리 : 8시간 노출기준을 50ppm으로 관리
(3) 진동작업 관리

❍ 방진 시설 설치
- 방진시설 중에는 방진구의 방진효율이 가장 좋음,
- 깊이에 따른 한계는 고려해야 하며, 연약지반에서는 시공이 어려움.
- PVC 파이프를 이용하여 내부를 공극상태로 하여 다열 배치한 경우 방진
효율은 좋으나 시공상의 어려움으로 인해 깊이가 증가할 경우 파이프의 휨변형
으로 효율이 나빠질 수 있음.
146 ‥‥ 건설업 보건관리 위험성 평가 모델 개발(Ⅱ)-토목공사

❍ 전파하는 진동을 차단하는 방법


(1) 선균열 발파 및 라인드릴링 활용
- 발파원과 관심대상 구조물사이의 암반내의 단층과 같은 거대한 지질학적
불연속면이나 파쇄대가 존재하면 그것을 통과하는 발파진동은 상당히 감소
- 인공적으로 라인드릴링이나 프리스플릿링을 실시하면 그 부분에서 많은
진동이 반사되고 통과하는 부분은 작아져 진동의 차단효과를 가져옴.
(2) 방진묵 설치
- 주발파 영향권은 발파구역 및 심도를 시공순서를 조정하여 기존 암을 방
진묵으로 형성하고 유용토사가적치로 방진묵을 설치하여 지표면을 따라 전파되
는 진동경로 차단
(3) 방진구 설치
- 암 굴착과 병행하여 옹벽설치구간을 병행 시공하여 옹벽 기초터파기 구
간을 방진구로 활용하여 상당한 양의 진동이 더 이상 전파되지 못하고 감소
- 일부 진동이 방진구를 투과하거나 회절하여 수진점에 도달하기도 하지만
전체적으로 상당한 양의 진동이 감소
- 방진구에 의한 진동전파의 차단효과는 방진구가 깊을수록 커지지만 전파
되는 파의 파장에도 영향을 받음.
Ⅲ. 연구결과 ‥‥ 147

※ 공사장 방음시설 설치기준

1 . 방음벽 시설 전후의 소음도 차이(삽입손실)는 최소 7㏈ 이상이 되어야


하며, 높이는 3m 이상 되어야 함.
2. 공사장 인접지역에 고층건물 등이 위치하고 있어 방음벽시설로 인한 반
사피해가 우려되는 경우에는 흡음형 방음벽 시설을 설치 하여야 한다.
3. 방음벽시설에는 방음판의 파손, 도장부의 손상 등이 없어야 한다.
4. 방음벽시설의 기초부와 방음판, 지주 사이에 틈새가 없도록 하여 음의 누
출을 방지하여야 한다.

❍ 진동장해 예방대책
- 전동 수공구는 적절하게 유지보수하고 진동이 많이 발생 되는 기구는 교체
- 작업시간은 매 1시간 연속 진동노출에 대하여 10분 휴식을 취함.
- 지지대를 설치하는 등의 방법으로 작업자가 작업공구를 가능한 적게 접촉
- 작업자가 적정한 체온을 유지할 수 있게 관리
- 손은 따뜻하고 건조한 상태 유지
- 가능한 공구는 낮은 속력에서 작동될 수 있는 것을 선택
- 방진장갑 등 진동보호구를 착용
- 손가락의 진통, 무감각, 창백화 현상이 발생되면 즉각 전문의료인에게 상담
- 니코틴은 혈관을 수축시키기 때문에 진동공구를 조작하는 동안 금연
- 관리자와 작업자는 국소진동에 대하여 건강상 위험성을 충분히 알고 있
어야 함.
※ 진동 장해 예방을 위해 사업주가 해야 할 일
- 해당 진동 기계·기구의 사용설명서 등을 작업장 내에 갖춤.
- 진동 기계·기구가 정상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상시 점검하여 보수하는
148 ‥‥ 건설업 보건관리 위험성 평가 모델 개발(Ⅱ)-토목공사

등 관리를 해야 함.
- 방진장갑 등 진동보호구를 지급해야 함.
※ 근로자는 지급된 진동보호구를 사업주의 지시에 따라 착용해야 함.
※ 진동장해 예방을 위한 근로자 교육내용
- 진동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과 증상
- 보호구의 선정과 착용방법
- 진동 기계·기구 관리방법
- 진동 장해 예방방법
Ⅲ. 연구결과 ‥‥ 149

3) 교량공사 유해위험요인별 관리방안

유해위험요인 관리방안
- 작업환경측정
- 특수건강진단
소음
- 청력보호구 지급
- 청력보존 프로그램
- 방진시설 설치

진동 - 전파하는 진동을 차단하는 방법


- 진동장해 예방대책
- 젖은 시멘트에 노출된 경우의 관리
시멘트 - 시멘트 화상의 응급처치
- 건강영향 표시
- 근골격계질환 증상 파악
- 근골격계질환 특성 이해
신체부담작업
- 근골격계질환 예방 교육
- 근골격계질환 예방을 위한 작업방법
- 용접 흄 제거를 위한 환기대책

- 개인보호구 지급
- 유해광선 관리대책
- 호흡기질환 관리
용접작업
- 안질환 관리
- 피부질환 관리
- 고열, 불티에 의한 화상예방대책
- 용접작업 세트 선정 시 인간공학적 설계 특징 고려
거푸집 박리제 - 거푸집 박리제 관리
에폭시 도포 - 에폭시 방수 시 유해가스 방출 작업 관리
- 밀폐공간 작업관리
산소 결핍
- 밀폐공간작업 필수 3대 안전수칙
150 ‥‥ 건설업 보건관리 위험성 평가 모델 개발(Ⅱ)-토목공사

- 밀폐공간 작업 시 재해자 구조방법


- 도료 관리

- 스프레이 도장 시 주의
- 적절한 보호구 지급
- 피부 보호
도장작업
- 밀폐공간에서 도장작업 시 관리
- 개인위생 점검 및 정리정돈
- 도장작업 예방대책
- 페인트 관리
※ 소음, 신체부담작업(인간공학적 요인), 산소결핍은 토공사 참조
※ 진동, 시멘트, 거푸집 박리제는 철근콘크리트공사 참조
(1) 용접 작업 보건관리

❍ 용접 흄 제거를 위한 환기대책
① 국소배기장치 설치
- 후드는 작업방법, 분진의 발산상황 등을 고려하여 분진을 흡입하기 적당
한 형식과 크기 선택
- 탁트는 가능한 길이가 짧고 굴곡 수가 적으며, 적당한 부위 청소구를 설
치하여 청소하기 쉬운 구조로 설치
- 배풍기는 공기 정화장치를 거쳐 공기 통과 위치 설치, 흡인된 분진에 의
한 폭발 혹은 배풍기의 부식, 마모 우려가 적을 때에는 공기 정화장치 앞에 설
치 가능
- 배기구는 옥외 설치하여야 하나 이동시 국소배기장치를 설치, 공기 정화
장치를 부설한 경우 옥외 설치하지 않을 수 있음.
Ⅲ. 연구결과 ‥‥ 151

② 전체 환기장치 설치
- 필요환기량(작업장 환기횟수:15∼20회/시간)을 충족시킬 것
- 후드는 오염원에 근접시킬 것
- 유입공기가 오염장소를 통과하도록 위치 선정할 것
- 급기는 청정공기를 공급할 것
- 오염원 주위에 다른 공정이 있으면 공기배출량을 공급량보다 크게 하고,
주의 공정이 없을 시에는 청정공기의 급기량을 배출량보다 크게 할 것
- 배출된 공기가 재유입되지 않도록 배출구 위치를 선정할 것
- 난방 및 냉방, 창문 등의 영향을 충분히 고려하여 설치할 것
❍ 개인보호구 지급
- 올바른 보호구 제공 ; 흄융 방진마스크, 송기 마스크 활용
- 깨끗한 보호구와 오염된 보호구 관리를 위한 저장함 설치
❍ 유해광선 관리대책
- 차광안경을 착용하고 작업
- 용접보안면을 착용하고 작업
- 인접 작업장에 영향을 미칠 우려가 있을 때에는 차광막을 설치하여 다른
근로자에게 유해광선이 미치지 않도록 함.
152 ‥‥ 건설업 보건관리 위험성 평가 모델 개발(Ⅱ)-토목공사

차광안경 착용 보안면 착용 차광막 설치

❍ 호흡기 질환 관리
- 원인물질에 의한 노출을 최대한 피하는 것이 가장 중요
- 조기발견과 적정한 노출관리 대책 필요
- 적절한 환기시설 및 국소배기장치 설치
- 배치 전 건강진단을 실시하여 호흡기 이상 여부 확인
- 충분한 수분을 섭취하여 호흡기 건조 예방
- 과도한 작업으로 호흡곤란시 환기가 잘되는 곳으로 근로자 이동
- 쪼여진 옷이나 벨트 등을 제거하고, 의식이 있으면 편안한 자세로 쉬도록 함.
- 의식이 없을 때 심폐소생술 실시
❍안질환 관리
- 적당한 차광도를 가진 차광안경을 착용하고 작업함.
- 눈이나 주변에 이물질을 들어갔을 시 제거하려고 하지 말아야 함.
- 눈에 화상을 입은 경우 찬 물로 화상으로 인한 부위의 열기를 낮추고, 차
가운 거즈로 눈을 덮고 병원에서 치료 받음.
❍ 피부질환 관리
- 용접 보안면과 앞치마를 착용하고 작업함.
- 화상방지를 위해 가죽장갑을 착용하고, 장갑 틈 사이로 스패터 등이 날아
Ⅲ. 연구결과 ‥‥ 153

드는 것 막기 위해 팔덮개 병용
- 선박 건조 등 간판 위에서 강력한 적외선을 받는 경우 수시로 휴식을 취
하고 냉수를 마심.
❍ 고열․불티에 의한 화상 예방 대책
- 적당한 차광도를 가진 보호 안경을 착용하여 눈 보호
- 가죽장갑을 착용하면 손 부위의 화상방지가 가능
- 앞치마를 착용하여 작업자의 가슴부터 무릎까지 보호
- 작업화의 상부에 뜨거운 스패터 등이 들어가는 것을 막기 위해 가죽 발덮
개 착용
- 목 주위를 수건 등으로 보호
<표 4-4> 화상의 종류별 관리방안
종류 증상 관리 방안
1도 화상 환부가 붉게 되고 따끔따끔
아픔을 느끼는 정도
증상이 감소될 때까지 찬물에
담금
통증이 있고 피부가 부어오 물집을 터지거나 벗겨지지 않게
2도 화상 르고 물집이 생기며 표피가
벗겨지고 심한 통증과 작열 찬물에 담근 후, 깨끗이 건조된
감 붕대로 덮고 의료 처치
속살이 뭉개지고 부풀은 흔 물집을 터지거나 벗겨지지 않게
3도 화상 적이 남고 조직괴사가 심해 찬물에 담근 후, 깨끗이 건조된
부종이 생김 붕대로 덮고 최대한 빨리 병원
으로 후송
❍ 용접장비 세트 선정시 인간공학적 설계 특징 고려
- 용접세트를 들고 옮겨야 하는 경우 들어 올리거나 등에 지는 대신 밀거
나 당길 수 있는 지 여부
154 ‥‥ 건설업 보건관리 위험성 평가 모델 개발(Ⅱ)-토목공사

- 손잡이가 적당하고 쉽게 잡을 수 있는지 여부


- 몸 가까이에서 잡을 수 있는지 여부(모서리가 날카롭거나, 끝이 뾰족하거
나, 표면이 거친지 파악)
- 안정적인 장비인지 여부 확인
<표 4-5> 인간공학적인 장비선택 체크리스트
용접세트 취급
인체 공학적 체크리스트
크기 유형

(1) 몸 가까이에서 들 수 있는가?


- 모서리가 날카롭지 않고 둥글어서 부상이나 의복 손상
없이 가까이에서 다룰 수 있어야 한다.

1인
소형 한손 (2) 손에 들고 갈 때 단단히 쥘 수 있는가?
또는 - 손잡이의 크기가 적당하고 여유가 있어서 장갑을 낀
양손 상태에서도 단단히 쥘 수 있어야 한다.

(3) 손잡이의 위치가 적당한가?


- 옆에 손잡이가 달려있어 가까이에서 다룰수 있어야 한
다.
Ⅲ. 연구결과 ‥‥ 155

(4) 손목 위치가 적당한가?


- 손잡이가 각이 져서 손목이 편안하며, 보다 단단하게
쥘 수 있어야 한다.
(1) 두 사람 모두의 자세가 편안한가?
- 손잡이가 옆에 달려있고 이동작업자에게 더 넓은 공간
을 제공하여 부담을 경감할 수 있어야 한다.
- 또 다른 손잡이나 바퀴를 추가 것으로 개선시킬 수 있
다.

중형 2인 (2) 한사람에게 너무 무거운가?


- 한 손으로 10kg 이상, 양손으로 25kg 이상을 들어 올
리고 운반하는 것은 허리 부상을 야기할 위험이 높아지기
때문에 피해야 한다.

대형 2~4개 (1) 손잡이 넓이가 적당한가?


156 ‥‥ 건설업 보건관리 위험성 평가 모델 개발(Ⅱ)-토목공사

- 한 사람이 손잡이 잡고 서 있을 수 있을 정도로 충분


한 넓이가 확보되어야 한다.

(2) 손잡이 길이가 적당한가?


- 밀고 가는 동안 다리를 편안히 움직일 수 있을 정도로
충분한 길이가 확보되어야 한다.

바퀴
(3) 손잡이 높이가 적당한가?
- 작업자가 몸을 구부리지 않고도 옮길 수 있어야 한다.

(4) 축 구성
- 여러 다양한 축 설계를 평가할 때, 작업자가 평탄치
못한 표면을 쉽게 갈 수 있는지를 고려하여야 한다.
Ⅲ. 연구결과 ‥‥ 157

(2) 에폭시 도포 작업 시 관리

❍ 에폭시 방수 시 유해가스 방출 작업관리


- 배수지 터 등의 터라이닝 콘크리트 표면에 방수공사를 하는 경우에는 방
수액 도포 후 발생하는 유해가스를 터널 외부로 신속히 배출할 수 있도록 환기
시설을 설치하고 유해가스의 농도가 노출기준 이하로 유지되도록 연속으로 가

- 배수지 터 등의 터라이닝 콘크리트 표면에 에폭시 방수공사를 하는 장소
에는 화재발생 위험을 예방하기 하여 불씨가 되는 용접작업 등 점화원 을 격리
하고 소화기 비치
- 배수지 터 등의 터라이닝 콘크리트 표면에 에폭시 방수공사를 하는 근로
자는 유기가스용 방독마스크 착용
(3) 도장작업 보건관리

❍ 도료 관리
- 도료 구성성분 중 발암성 물질과 생식독성물질은 최대한 유해성이 낮은
물질로 대체하고 유해성이 높은 물질은 사용규제 방안 고려
- 도료 선정 시 작업성뿐 아니라 도료 구성성분 중 발암성, 생식독성물질
등 건강장해 유발물질의 함유여부와 함유량 등을 확인
- 페인트의 주요 발암요인 이해
158 ‥‥ 건설업 보건관리 위험성 평가 모델 개발(Ⅱ)-토목공사

<표 4-6> 페인트의 주요 발암물질

유해화학물질 건강영향 발암위험성 분류

연(납) 빈혈 발암성 2
안료
크롬 폐암 발암성 1A
희석제 벤젠 백혈병 발암성 1A, 생식세포변이원성 1B
첨가제 포름알데히드 백혈병, 비강암 발암성 1A
* 출처 : 고용노동부(2012). 『화학물질 및 물리적인자의 노출기준』
❍ 스프레이 도장 시 주의
- 스프레이 방식의 도장은 미스트와 증기가 다량으로 발생하기 때문에 호
흡보호구를 착용한 상태에서 작업을 해야 함.
- 고농도의 증기가 발생하여 중독이 일어날 수 있으므로 환기시설이 매우
중요
❍ 적절한 보호구 지급
- 도장작업은 호흡기로 노출되는 유해인자는 물론, 피부로 접촉하는 물질들
도 있으므로 호흡 보호구와 함께 보호의, 보호 장갑도 착용해야 함.
① 호흡용 보호구
- 유기용제 취급 시에는 방독마스크(공기정화식)를 착용하여야 하며 방독마
스크는 대상물질의 농도에 적합한 형식을 선택하며 사용 전 흡·배기 상태, 유
Ⅲ. 연구결과 ‥‥ 159

효시간, 가스종류와 농도, 정화통의 적합성을 점검해야 함.


- 지하나 탱크내 작업 등 바람이 통하지 않는 곳을 칠할 때는 충분한 통풍
및 환기시설을 설치하고 송기 마스크를 착용하여 산소결핍이나 급성중독을 예
방함.
- 산소농도 18% 미만인 장소나 밀폐공간인 작업에서 송기마스크(공기공급
식)를 사용해야 하며, 격리된 장소, 행동반경이 크거나 공기의 공급 장소가 멀
리 떨어진 경우에 공기호흡기를 지급하고 사용 전 기능을 확실히 체크해야 함.

② 화학용 보호복, 보호장갑, 보안경


- 도장작업 시 사용되는 화학물질의 미스트, 가스 및 증기는 호흡기를 통하
여 인체에 흡수될 뿐만 아니라 피부를 통하여 흡수되거나 피부에 상해를 초래
하기도 하므로 유해물질로부터 피부를 보호하기 위하여 화학적 보호성능을 갖
는 보호복, 보호장갑이 요구됨.
- 보호복은 착용 및 조작이 원활하여야 하며 착용상태에서 작업을 행하는
데 지장이 없는 것을 선택하고 작업자의 신체 사이즈(키, 가슴둘레, 허리둘레)
에 맞는 보호복을 선택해야 함.
- 페인트 등이 눈에 튀는 경우가 발생하므로 보안경을 착용해야 함.
❍ 피부 보호
- 피부에 묻은 도료는 신나로 닦지 말고 (피부손상, 피부염) 전용세척비누
를 사용하며, 세척 후 피부를 보호하기 위하여 크림이나 로션을 사용함.
160 ‥‥ 건설업 보건관리 위험성 평가 모델 개발(Ⅱ)-토목공사

❍ 밀폐공간에서 도장작업 시 관리
- 밀폐된 공간 내에서 도장작업을 하는 경우 환기시설은 설치 및 작동 여
부 확인(탱크 등 밀폐된 공간의 내부 도장 시에는 송풍기 등 환기설비를 설치)
- 도료용제 등은 필요한 만큼만 반입하여 사용
- 송기마스크(환기가 될 경우 방독마스크) 및 개인보호구를 착용 확인
- 밀폐된 공간 내부 작업 시, 작업전, 작업중 산소농도(18% 이상 유지) 측
정 및 송풍 또는 환기 실시
- 맨홀 등 산소결핍장소에서 페인트 등 유기용제 취급할 경우에는 작업지
휘자를 지정하고, 특별안전교육 실시
- 작업 장소에 소화기 비치 및 화기 사용 금지
❍ 개인위생 점검 및 정리 정돈
- 작업 종료 후 피부에 묻은 도료는 시너로 닦지 말고 전용세척비누를 사
용하며, 세척 후 피부를 보호하기 위하여 크림이나 로션을 사용하도록 함.
- 깨끗한 물로 비누칠을 하여 몸에 묻은 유해물질을 깨끗이 씻어내고 작업
복을 자주 세탁하여 새로운 옷을 갈아입어 개인위생을 철저히 하도록 하고 주
기적으로 작업장을 정리·정돈하고 청소를 실시하여 유해물질로 인한 폭로를 줄
이도록 노력해야 함.
Ⅲ. 연구결과 ‥‥ 161

적절한 보호구 착용 개인위생 및 정리정돈


❍ 도장작업 예방대책

도장 예방대책

반복동작 - 용기의 무게를 정량화 하고, 분사


범위를 넓혀주고 조절이 잘되는 노즐
로 교체하여 반복작업의 부담을 줄일
수 있도록 관리
진동 - 방진장갑 등을 착용하여 진동 노
출을 최소화 하도록 개선
- 동력공구를 수시 점검하여 정상상
태를 유지하도록 관리
- 진동발생이 적은 동력공구로 대체
162 ‥‥ 건설업 보건관리 위험성 평가 모델 개발(Ⅱ)-토목공사

❍ 페인트 관리
<표 4-7> 페인트의 사용과 대처방법
분류 긴급유해⦁위험성 예방대책 응급조치 및 소화방법

− 페인트의 구성성분 − 페인트를 취급하는 − 불꽃, 스파크, 정전기 등


에 따라 약간 차이 곳에는 불꽃, 스파
가 있음 크, 흡연 금지
점화원 제거
− 화재 시 분말, 포말, 이산
화재
− 고인화성 물질로 상 − 철저
등을 설 화탄소 등의
환기

온에서 쉽게 증발하 − 방폭설비
일반소화제
폭발
여 증기화됨 치 사용

− 증기/공기혼합물은 − 접지등을 하여 − 가열된 는 물을 뿌려



용기

폭발위험이 큼 전기 발생 방지
냉각

− 주로 증기형태로 흡 − 임산부, 어린이, 청


입. 페인트의 직접 소년 등 유해인자에
노출
적인 피부접촉 또는 민감한 사람들은 노
경로
섭취에 의해 몸으로 출을 피할 것
흡수됨
− 메스꺼움, 구토, 두 − 적절한 유지 − 으로
환기
가 있는 곳
신선한 공기

통, 어지러움, 졸음, − 국소배기장치를 설


− 과 을 취할 것
이동
흡입
의식상실 등 하거나

− 필요시
호흡 보
보온
실시
안정
인공호흡
호구 착용
− 에게 의료인 의뢰
− 피부로 흡수되어 전
신증상이 나타날 수 − 유기용제용 − 페인트가 묻은 옷을 벗길
있음 착용
보호장

피부
− 피부건조, 피부가 갑
− 필요시 − 다량의 물로 10~15분간
접촉
빨갛게 되거나 가려 을 바를 것
피부보호
씻거나 샤워를 할 것
움, 심하면 갈라지 크림

고 피부염이 발생함
− 페인트가 눈에 튀지 − 제일 먼저, 다량의 물로
− 눈이 따갑고 아픔 않도록 착 10~15분간 눈을 충분히

− 빨갛게 충혈이 일어 용
보안경
씻을 것
접촉
남 − 콘텍트 렌즈 착용 − 가능하면 콘택트 렌즈를
금지 제거할 것
− 의사의 치료를 받을 것
− 의식이 있으면 위 내용물
− 흡입에 의한 유해⦁ − 페인트를 취급하는 을 토하게 할 것
섭취
위험성을 참조할 것 식을 먹지말음주,
동안 흡연,

음 − 다량의 물 섭취
− 의사의 치료를 받을 것
* 출처 : 안전보건공단(2009). 『이달의안전교육96-도장작업안전』
Ⅲ. 연구결과 ‥‥ 163

4) 터널공사 유해위험요인별 관리방안

유해위험요인 관리방안
- 작업환경측정
- 특수건강진단
분진 - 호흡보호구 지급
- 분진위험 감소방안 모색
- 호흡기 보호 프로그램
- 작업환경측정
- 특수건강진단
소음
- 청력보호구 지급
- 청력보존 프로그램
- 방진시설 설치

진동 - 전파하는 진동을 차단하는 방법


- 진동장해 예방대책
- 터널 길이별 조명 설치
조명 - 터널 조도 관리
- 조도 측정방법
- 발파 후 유해가스 노출 예방 및 관리
유해가스
- 유해가스 방독마스크 착용
- 근골격계질환 증상 파악
- 근골격계질환 특성 이해
신체부담작업
- 근골격계질환 예방 교육
- 근골격계질환 예방을 위한 작업방법
- 피부손상의 특성 이해
피부 손상
- 접촉성 피부염 관리
- 조직적 관리방법
심리적 불안
- 개인적 관리방법
※ 분진, 소음, 신체부담작업(인간공학적 요인)은 토공사 참조
※ 진동은 철근콘크리트공사 참조
164 ‥‥ 건설업 보건관리 위험성 평가 모델 개발(Ⅱ)-토목공사

(1) 조도 관리

❍ 터널길이별 조명 설치
용도 종류 터널길이(m)
20미만 20~50 50~200 200이상
입구조명 ○ ○
주간용 내부조명 ○ ○ ○
출구조명 ★
야간용 내부조명 ○ ○ ○ ○
출구부 도로조명 ◆ ○
비상용 내부조명 ★ ◆
★ : 특히 중요한 터널의 경우 / ◆ : 중요한 터널의 경우
❍ 터널 조도 관리
- 터널 조도 기준 준수
구간 조도 기준
막장 구간 70Lux 이상
터널 중간구간 50Lux 이상
터널 입출구 30Lux 이상
- 터널 내 작업자 통행로를 설치함으로써 작업 차량과 작업자의 이동경로
분리
- 잘 알아볼 수 있는 작업복 착용
❍ 조도 측정방법
- 조도계의 센서는 작업자의 시선이 향하는 작업면의 방향과 정확하게 일
치시킴.
Ⅲ. 연구결과 ‥‥ 165

- 작업면이 수평면이면 센서도 수평면에 위치시키고, 작업자의 시선이 벽면


등과 같이 수직면이면 센서도 수직면에 놓고 측정
- 측정자의 위치, 복장 등이 조도측정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유의
- 측정 전에 전구는 최소 5분, 방전등은 10~30분 정도 켜둠.
- 조명기구의 상태(오염정도, 부식상태 등), 광원의 형식 및 크기(등의 종류,
밝기 등) 확인
- 작업환경 조건 및 날씨 등이 직접적인 영향을 줄 수 있는지 여부를 미리
조사
- 작업장 바닥 면에서 85cm 높이(작업대 면에서는 75cm)에서 측정
- 광원의 바로 아래 지점의 좌·우 일렬로 점을 찍은 후 교차점을 측정점으
로 함.
- 측정 전 반드시 영점조정 및 밧데리의 충전상태 확인
(2) 유해가스 관리

❍ 발파 후 유해가스 노출 예방 및 관리
- 발파 후 환기가 불충분한 상태의 터널 진입 금지
- 발파 후 입구에 경고표지판을 부착하여 무단출입 엄금
- 발파 후 터널 출입에 대한 안전교육을 철저히 시행
- 유해가스의 종류를 사전에 파악하여 이에 적절한 방독면 착용
❍ 유해가스 방독마스크 착용
- 작업환경 중에 존재하는 유해한 가스·증기상태의 유기화합물을 제거하여
근로자의 호흡기 내로의 침입을 막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
- 흡착제와 가스·증기 분자간의 Van der Waals력에 의해 제거됨.
166 ‥‥ 건설업 보건관리 위험성 평가 모델 개발(Ⅱ)-토목공사

- 이를 위해 활성탄(activated carbon), soda lime, silica gel, hopcalite 등


유해물질을 흡착하거나 유해물질과 반응하는 물질이 들어 있는 정화통 사용(일
반적으로 비극성의 유기증기에는 활성탄, 극성 물질에는 실리카겔 사용)
- 유해가스의 종류에 따라 유기가스용, 할로겐가스용, 일산화탄소용, 암모니
아용, 아황산가스용 등이 있음.
- 정화통에 들어 있는 물질은 대개 특정한 화학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것
이기 때문에 다른 유해물질이 있을 때에는 사용할 수 없으므로 정화통에는 사
용할 수 있는 대상 유해물질명이 써 있고 특정한 색깔이 칠해져 있음.
- 산성가스, 유기용제증기 등 유사한 가스들을 대상으로 같이 사용할 수 있
는 흡착제를 이용한 마스크도 있음.
- 유기가스 마스크 사용 시 주의할 점은 산소농도가 19.5% 미만인 산소결
핍장소나 순간적으로 건강이나 생명에 위험을 줄 수 있는 유해물질의 고농도
상태인 IDLH(immediately dangerous to life or health) 상황에서는 절대 사용
해서는 안 된다는 것임.
- 밀착성이 좋아야 하고, 한번 정화통을 개방하였거나 사용한 것은 공기 중
의 습기를 흡수하거나 기타 방해물과 반응해서 성능이 떨어지므로 재사용은 원
칙적으로 피해야 하며, 흡착제는 수명이 있기 때문에 자주 갈아 주어야 하고,
마스크의 수명에 대해 미리 숙지하고 있어야 함.
- 마스크의 종류는 정화통 및 면체로 이루어지는 직결식 및 직결식 소형과
정화통 형상에 따라 연결관 및 면체로 이루어지는 격리식 등으로 구별되며, 면
체가 안면전체를 덮는 전면형과 코와 입 주위만을 덮는 반면형이 있음. 일반적
으로 반면형은 수명이 짧음.
Ⅲ. 연구결과 ‥‥ 167

- 근래에는 별도의 정화통이 없이 마스크 자체에 흡착제가 장착되어 있는


일회용 마스크도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가볍고 착용이 용이하여 근로자들
이 선호하고 있음.
- 유기가스 마스크 중에는 universal mask라 불리는 다목적 마스크가 있으
나 이것은 모든 물질에 대해 유용하기는 하지만 단시간만 사용할 수 있음.

* 출처 : www.3m.com
[그림 4-1] 유기가스용 방독마스크 및 필터

(3) 피부손상 관리

❍ 피부손상의 특성 이해
- 외부 자극제나 알레르기를 일으키는 물질에 접촉 또는 자극에 의해 습진
또는 피부염 발생
- 모든 물질은 어느 정도 자극성을 가지고 있어 일정 이상의 농도와 충분
한 시간 피부에 접촉하면 피부염을 유발할 수 있음.
- 약한 자극물질에 의해 반복적으로 노출되어 발생하는 피부염은 피부건조,
균열, 인설과 같은 만성적인 습진의 형태를 보이며, 강한 자극물질은 피부괴사
나 화상과 같은 반응을 일으키기도 함.
168 ‥‥ 건설업 보건관리 위험성 평가 모델 개발(Ⅱ)-토목공사

- 대표적인 피부자극물질 : 산, 알칼리, 시멘트, 용제(알코올, 케톤 등), 금속


염(크롬, 니켈, 염화수소, 삼산화비소 등)
❍ 접촉성 피부염 관리
- 원인 물질을 확인한 후 그 물질에 접촉을 피해야 함.
- 급성 접촉피부염의 특징적인 증상 : 홍반, 부종 수포, 진물
- 급성 접촉피부염 관리방법 : 냉습포를 시행하여 수포성 병변을 말리고,
수분이 많은 크림과 로션 사용
- 만성 접촉피부염 관리방법 : 각질과 태선화를 특징으로 하는 만성 접촉피
부염은 기름기가 많은 연고나 크림제가 효과적이며, 약제를 바른 후 밀봉하면
질환의 빠른 치유에 도움이 됨.
(4) 심리적 불안 및 직무스트레스 관리

❍ 조직적 관리방안
- 근무 중 잠시 휴식할 수 있도록 의자가 비치된 휴식공간 마련
- 동료 등과 쉽게 대화할 수 있는 채널 마련
- 근로자와 상사가 서로 의사소통할 수 있는 창구 마련
- 회사의 결정에 근로자가 참여할 기회 제공
- 업무에 대한 역할과 책임을 명확히 함.
- 업무수행 시 지지체계 마련
- 직무스트레스에 대한 예방 교육 실시
❍ 개인적 관리방안
- 직무스트레스 발생 시 자신의 어려움을 나눌 수 있고, 도움을 받을 수 있
Ⅲ. 연구결과 ‥‥ 169

는 상사나 멘토를 만들어 대화를 나눔.


- 효율적인 의사소통 방법을 익혀서 다른 사람들과 원활한 의사소통을 할
수 있게 함.
- 동호회 활동 등을 통해 심리적 재충전의 기회 마련
- 생활습관개선
․규칙적 운동
․올바른 식습관 유지
․하루 7~8시간의 쾌적한 수면시간 유지
․카페인이 많이 든 커피, 차, 콜라, 초콜릿 등의 섭취 감소
- 직무스트레스 해소방법
․복식호흡 : 양손을 아랫배에 대고 천천히 숨을 들이마시고 내쉼.
※ 코나 목으로 호흡하는 것이 아니라 아랫배를 이용하여 숨을 쉼.
․근육이완법 : 근육에 주의를 집중시켜 불필요한 긴장을 해소하는 단계적
인 훈련
170 ‥‥ 건설업 보건관리 위험성 평가 모델 개발(Ⅱ)-토목공사

5) 항만공사 유해위험요인별 관리방안

유해위험요인 관리방안
- 작업환경측정
- 특수건강진단
분진 - 호흡보호구 지급
- 분진위험 감소방안 모색
- 호흡기 보호 프로그램
- 작업환경측정
- 특수건강진단
소음
- 청력보호구 지급
- 청력보존 프로그램
- 수중작업 관리

수중작업 - 개인용 잠수장비 확인


- 잠수작업 안전수칙
- 고기압에 대한 특수건강진단
- 감압병의 예방
이상기압
- 감압병의 치료
- 잠수작업자의 질병관리
- 근골격계질환 증상 파악
- 근골격계질환 특성 이해
신체부담작업
- 근골격계질환 예방 교육
- 근골격계질환 예방을 위한 작업방법
※ 분진, 소음, 신체부담작업(인간공학적 요인)은 토공사 참조
(1) 수중작업 안전보건관리

❍ 수중작업 관리
Ⅲ. 연구결과 ‥‥ 171

- 수중작업은 힘들고 위험한 업무가 많아 잠수관련 안전규정을 철저히 지


켜야 함.
- 규정을 무시하고 반복잠수를 하거나 기상조건을 간과한 경우 잠수사고
발생 위험이 있음.
- 철저한 잠수계획에 따라 작업을 진행하며 잠수작업자의 건강과 산업재해
발생을 예방하기 위해 노력해야 함.
❍ 개인용 잠수장비 확인
- 잠수작업자의 안전과 건강 보호를 위해 사업주는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과 고용노동부고시 제2014-28호「고기압작업에 관한 기준」에서
정한 규격품의 잠수설비와 잠수장비를 갖추고, 정해진 주기에 따라 고압작업설
비와 잠수작업설비 상태를 점검하고 관리해야 함.
- 작업 시점별로 점검하여 장비에 이상이 없음을 반드시 확인하고, 점검결
과는 기록하며 5년간 보관
- 송기설비는 최초 사용하거나 분해하여 수리하고 사용하는 경우와 1개월
이상 사용하지 않은 경우에는 잠수작업 전에 작동상태 확인해야 함.
❍ 잠수작업 안전수칙
- 잠수작업은 잠수팀을 구성하여 작업해야 하며, 잠수팀은 최소한 잠수작업
자, 비상대기 잠수작업자, 감독관, 보조자로 구성되어야 함.
- 잠수작업자는 반드시 유자격자이어야 함.
- 수중 체류시간이 제한되어 있어 가능한 주어진 시간에 업무를 완수해야
함.
- 작업속도를 잘 조절하여 체력을 아끼고 한 번에 한 가지 일만 수행
- 작업이 진행되지 않고 있거나 위험한 상황이라고 판단되면 즉시 잠수작
업을 중단해야 함.
172 ‥‥ 건설업 보건관리 위험성 평가 모델 개발(Ⅱ)-토목공사

- 잠수작업자는 잠수 전, 입수, 하잠, 수중작업, 상승, 수면도착 시점 등 업


무절차별로 정해진 안전수칙을 준수해야 함.
- 잠수감독관과 보조사는 작업이 종료될 때까지 정해진 위치에서 이탈하지
않아야 함.
- 잠수작업자는 작업 전에 개인용 잠수장비상태를 확인하고, 작업 시 반드
시 이를 장착해야 함.
- 잠수작업 후 상승속도는 매 분당 10m 이하로 해야 하며, 수심이 깊은 곳
에서 작업을 한 경우에는 감압규정을 준수해야 함.
(2) 이상기압으로 인한 건강요인 관리

❍ 고기압에 대한 특수건강진단
- 잠수작업자는 유해인자 고기압에 대한 특수건강진단을 받아야 함.
- 감압병과 여러 장기에 영향을 미치는 압력손상, 잠수사고 등 다양한 건강
문제를 야기하므로 건강장해를 조기발견하고 사후관리를 강화해야 함.
❍ 감압병의 예방
- 계획적인 잠수로 정해진 시간 이상의 잠수를 피하고 상승과정에서 수심
과 해저체류시간에 의하여 결정된 감압표에 의거하여 단계적 감압절차를 밟아
체내에 용해된 질소를 잘 배출해야 감압병을 예방할 수 있음.
- 비감압 한계를 초과하여 작업하는 경우 반드시 감압을 실시해야 함.
- 감압이 필요하지 않은 수심에서 잠수작업을 하더라도 반복잠수를 하는
경우에는 체내에 질소가 축적될 수 있음을 고려
- 감압병을 예방하기 위해 충분한 휴식이 필요하고, 잠수 전·후에 충분한
수분을 섭취하며, 잠수 전에 음주를 삼가하고 잠수 후에는 심한 운동이나 뜨거
Ⅲ. 연구결과 ‥‥ 173

운 물에 목욕하는 것은 피하는 것이 바람직


❍ 감압병의 치료
- 감압병의 가장 효과적인 치료 방법은 고압산소치료
- 재가압 치료는 감압병이 의심되는 모든 환자에게 적용할 수 있음
- 감압병은 증상이 발생한 후 빠른 시간 내에 치료를 시작하여 기포를 없
앨수록 치료효과가 좋음.
- 증상이 경미하여도 시간이 지나면서 진행될 수 있어, 증상이 나타났을 때
가능하면 재가압 치료를 받는 것이 바람직
❍ 잠수작업자의 질병관리
- 산업안전보건법 시행규칙 제117조에 의거 다음과 같은 질병이 있는 경우
잠수작업에 종사하지 않아야 함.
(1) 감압증이나 그 밖에 고기압에 의한 장애 또는 그 후유증
(2) 결핵, 급성상기도감염, 진폐, 폐기종, 그 밖의 호흡기계의 질병
(3) 빈혈증, 심장판막증, 관상동맥경화증, 고혈압증, 그 밖의 혈액 또는 순환기
계의 질병
(4) 정신신경증, 알코올중독, 신경통, 그 밖의 정신신경계의 질병
(5) 메니에르씨병, 중이염, 그 밖의 이관협착을 수반하는 귀 질환
(6) 관절염, 류마티스, 그 밖의 운동기계의 질병
(7) 천식, 비만, 바세도우씨병, 그 밖에 알레르기성·내분비계·물질대사 또는 영
양장해 등과 관련된 질병
174 ‥‥ 건설업 보건관리 위험성 평가 모델 개발(Ⅱ)-토목공사

<표 4-8> 잠수작업에 고려되어야 할 과거병력

병력 설명

신경질환 빈번한 두통, 현기증, 실신, 의식상실, 경련, 발작, 두부


외상, 심한 멀미
정신질환 정신분열증, 양극성 정동장애, 심한 우울증, 자살기도,
공황장애, 알코올중독, 마약중독
순환기질환 고혈압, 비정상적 심박동, 흉통, 협심증
호흡기질환 만성기침, 가래, 호흡곤란, 천식, 늑막염, 기흉
이비인후과질환 부비동염, 알레르기성비염, 외이도염, 중이염, 고막천공
안질환 콘택트렌즈, 녹내장, 시력교정술, 색각이상
내분비질환 갑상선질환, 당뇨병
소화기질환 탈장, 간질환, 담낭질환
기타 신장질환, 골절, 골괴사, 빈혈, 치과질환, 임신
병력 수술, 현 복용약품, 최근 2년간 병원진료
※ 안전보건공단(2011). 『잠수작업자 보건관리지침』
Ⅲ. 연구결과 ‥‥ 175

6) 댐공사 유해위험요인별 관리방안

유해위험요인 관리방안

- 젖은 고화재(시멘트)에 노출된 경우의 관리


고화재 - 화상의 응급처치
- 건강영향 표시

- 작업환경측정
- 특수건강진단
분진 - 호흡보호구 지급
- 분진위험 감소방안 모색
- 호흡기 보호 프로그램

- 방진시설 설치
진동 - 전파하는 진동을 차단하는 방법
- 진동장해 예방대책

- 작업환경측정
- 특수건강진단
소음
- 청력보호구 지급
- 청력보존 프로그램

- 건설장비 가동에 따른 배기가스 관리


배기가스
- 배기가스에서 발생하는 미세먼지 건강관리

거푸집 박리제 - 거푸집 박리제 관리

- 콘크리트 피막양생제의 특성 이해
피막양생제
- 양생제의 종류별 영향

※ 고화재(시멘트), 진동, 거푸집 박리제는 철근콘크리트공사 참조


※ 분진, 소음은 토공사 참조
176 ‥‥ 건설업 보건관리 위험성 평가 모델 개발(Ⅱ)-토목공사

(1) 배기가스 관리

❍ 건설장비 가동에 따른 배기가스 관리


- 필요하지 않을 경우 엔진 정지
- 높은 연료 효율과 유해 배출물의 양이 적은 엔진 사용
- 기체산화물 배출 감소를 위해 엔진분사압력이 높은 엔진 및 배기가스 재
순환 시스템 적용
❍ 배기가스에서 발생하는 미세먼지 건강관리
- 미세먼지는 자동차 배기가스, 난방, 담배연기 등의 화석연료의 연소과정에
서 발생되는데, 입자가 작아서 들이마셨을 경우 대부분 기도에서 걸러지지 못
하고 폐포까지 깊숙이 침투해 면역기능을 저하시키며 혈액과 폐에 염증을 유발
하여 폐와 심장질환의 직접 원인이 됨.
- 농도가 높은 날 외부 작업을 오래 해서 미세먼지를 많이 마시게 되면 폐
의 부담 증가로 마른기침이 지속되는 등 호흡기에 영향을 미치므로. 천식이나
알레르기 등 호흡기가 약한 사람들은 작업 시 특히 주의해야 함.
- 미세먼지 농도가 높은 날씨에는 미세먼지를 걸러주는 필터 기능이 있는
황사 마스크를 착용해도 입자 크기가 더 작은 초미세먼지는 완전히 차단하지
못하기 때문에 야외 작업을 제한하는 것이 좋음.
- 미세먼지로부터 기관지를 보호하기 위해서는 물을 한 두 모금씩 자주 마
셔 코 안의 습도를 잘 유지해야 건조한 공기로 인해 코와 호흡기의 점막이 부
어 바이러스가 쉽게 침투하는 것을 막을 수 있게 됨.
Ⅲ. 연구결과 ‥‥ 177

(2) 피막양생제 관리

❍ 콘크리트 피막양생제의 특성 이해
- 굳지 않은 콘크리트는 직사광선 및 통풍 등의 영향으로 경화하기 전에
건조되어 수축균열, 강도저하, 내구성저하 등의 치명적인 결과를 초래할 수 있
으므로 굳기 전 콘크리트 표면에서 증발하는 수분을 억제하여 방지하거나 최소
화하는 목적으로 콘크리트 표면에 살포되는 화학약품 등을 양생제 또는 액상피
막형성제라고 함.
- 양생제는 초기 소성 수축 균열의 발생 억제를 위한 재료로서 콘크리트에
서 발생하는 초기 균열의 억제를 위한 제품임.
❍ 양생제의 종류별 영향
① 유성 Type
- 유성의 경우 용해제로 Toluene, Xylene이 사용되는데, 이들은 광독성을
일으키거나 인체에 유해하므로 사용하지 않아야 하며, 인체의 유해성이 작은
방향족이 없는 저취 용제를 사용해야 함.
- 이를 사용할 경우에는 반드시 보호구를 갖추어야 함.
- 주위에 사람이 있을 경우 사용하지 않아야 함.
- 화기 또는 화원과는 절대 격리되어야 하며, 사용 중 담배 등은 폭발, 화
재를 발생시키므로 절대 주의하여야 함.
- 빈용기 역시 내부에 가스가 있을 수 있으므로 사용 후 반드시 뚜껑을 열
어놓아 가스가 완전히 없어지도록 해야 함.
- 수용성의 경우 수분 존재 하에 살포되어 초기의 균열 억제 능력이 유용
성에 비하여 우수하지 않아, 피막의 형성 속도가 빠른 유용성이 국내 제품의
178 ‥‥ 건설업 보건관리 위험성 평가 모델 개발(Ⅱ)-토목공사

주류를 이루고 있으므로, 건강영향을 고려하여 사용해야 함.


② 수성 Type
- 수성의 경우 폭발, 화재의 위험이 없으나 유화제(emulsifier)의 사용에 따
른 수질 오염에 치명적이므로, 건조되기 전 우천 등은 수질 오염을 발생시킬
수 있음을 유의해야 함.
- 사용 도중 비가 내릴 경우 사용을 중지 하여야 하며, 이미 도포된 면에
물이 스미지 않도록 해야 함.
- 수성의 경우 파라핀 또는 고분자물이 콘크리트 미세공극을 채워 방수 등
의 후속 공정 시 나쁜 영향을 줄 수 있음. 이는 고농도 양생제가 콘크리트의
물에 작용하여 확산되어 발생하는 것으로 수성 양생제를 사용할 때 반드시 콘
크리트가 거의 물기가 없는 상태에서 사용하면 표면에서 즉시 피막이 형성되므
로 확산을 감소시켜 좋은 효과를 볼 수 있음.
Ⅲ. 연구결과 ‥‥ 179

7) 포장공사 유해위험요인별 관리방안

유해위험요인 관리방안
- 보호구 지급
- 작업관리
- 국소배기장치
아스팔트 흄
- 안전보건교육 실시
- 작업자 보호
- 응급처치
- 작업장 관리
고열, 직사광선 - 건강관리 지도
- 고온 작업환경에서 작업시 주의사항
- 작업환경측정
- 특수건강진단
소음
- 청력보호구 지급
- 청력보존 프로그램
- 방진시설 설치

진동 - 전파하는 진동을 차단하는 방법


- 진동장해 예방대책
※ 소음은 토공사 참조
※ 진동은 철근콘크리트공사 참조
(1) 아스팔트 흄의 관리대책

❍ 보호구 지급
가) 피부, 눈 등의 보호를 위한 개인 보호구
- 작업자는 작업장 공기 중의 아스팔트흄의 농도와 상관없이 전신을 보호
180 ‥‥ 건설업 보건관리 위험성 평가 모델 개발(Ⅱ)-토목공사

할 수 있는 작업복을 착용하고 작업을 해야 함.


- 필요하다면 보호장갑, 앞치마, 보안경등도 착용해야 하며, 이러한 개인보
호구의 재질은 뜨거운 아스팔트에도 충분히 견딜 수 있는 재질의 것을 사용하
여야 함.
- 특히 아스팔트를 이송하는 탱크로리 작업자, 현장에서 아스팔트의 가열하
는 가열로(kettle) 작업자, 아스팔트 제조 사업장에서 뜨거운 아스팔트를 샘플링
하는 작업자 경우 얼굴 전면을 충분히 보호할 수 있는 보안면과, 열에 강한 재
질의 보호 장갑을 반드시 착용토록 해야 함.
- 안전모의 착용도 필수이며, 안전화의 경우 미끄럼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
어야 함.
- 실온에서 액체 상태를 유지하는 컷백아스팔트나 유화아스팔트를 취급하
는 작업자 경우 고무재질의 장갑, 앞치마, 그리고 화학물질에 강한 보안경을 착
용하고 작업토록 해야 하며, 이러한 개인보호구는 자주 세척하여 깨끗한 상태
가 유지되도록 해야 함.
나) 호흡용 보호구
- 작업장에서 호흡용 보호구 착용이 필요한 경우가 발생한다면 사업주 또
는 건설현장의 작업자를 지휘․감독하는 사람은 아래사항을 시행하거나 관련내
용을 작업자에게 교육 훈련시켜야 함.
∙ 보호구가 근로자의 얼굴체형에 적합한지에 대한 밀착도 검사 및 적절
한 보호구 착용요령, 세척 및 보관방법 등에 관한 사항
∙ 정화통의 주기적인 교체 등
- 미국 NIOSH의 경우 다음과 같은 호흡용보호구를 착용하면 노출을 최소
화 시킬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음(NIOSH, 2003).
∙ R100 또는 P100 필터 또는 헤파 필터와 활성탄이 들어 있는 유기용
제용 정화통이 콤비형태로 부착된 반면형 호흡용 보호구
∙ 밀폐된 공간의 경우 전면형 송기마스크를 착용해야 함.
Ⅲ. 연구결과 ‥‥ 181

- 아스팔트 및 흄·유기화합물용 방독마스크, 안전장갑, 방열복, 안전화 착용


- 고열·열을 잘 흡수하는 복장을 피하고 흡습성, 환기성이 좋은 작업복 착용
- 환기성이 좋은 모자 및 자외선 차단용 안경 착용
- 직사광선에 노출된 신체부위에 자외선 차단제 도포
- 한랭·방한모, 방한화, 방한장갑, 방한복 착용
❍ 작업 관리
- 도로포장시 작업방향은 옥외 작업이므로 바람의 방향에 따라 근로자의
노출정도는 매우 많은 영향을 받게 됨.
- 가능하면 바람을 등지는 방향에서 아스콘 포설을 한다면 아스팔트흄의
노출을 줄일 수 있을 것임.
❍ 국소배기장치
- 아스팔트 포장 시 덤프트럭으로 실어온 아스콘을 도로에 균일하게 도포
하는 아스팔트 피니셔 자체에 국소배기장치를 설치를 하면 작업시 발생하는 흄
의 상당부분을 제거하는 효과를 줄 수 있음.
❍ 안전보건교육 실시
∙ 아스팔트의 물질안전보건자료에 관한 사항
∙ 아스팔트의 물리·화학적 특성 및 독성과 건강장해 예방대책
∙ 직업병 예방을 위한 조치사항 및 유지·관리요령
∙ 공정별 표준작업 요령 보호구 사용 및 관리방법
∙ 응급처치방법 고열 및 한랭환경 예방대책
182 ‥‥ 건설업 보건관리 위험성 평가 모델 개발(Ⅱ)-토목공사

❍ 작업자 보호
- 아스팔트를 취급하는 하는 작업자는 다음 수단의 강구를 통해 아스팔트
흄 및 증기상물질의 노출 및 화상의 위험을 최소화 할 수 있음.
∙ 작업복은 손목, 목 등을 보호할 수 있는 충분한 길이여야 함.
∙ 일을 할 때는 항상 깨끗한 작업복을 착용하도록 함(아스팔트에 심하게
오염된 작업복을 계속해서 입지 않도록 함.)
∙ 작업이 끝나면 작업복을 벗은 후 충분히 몸을 샤워하고 일상복을 입고
퇴근 하도록 해야 함.
∙ 도로포장등과 같이 작업장소가 이동성이 있는 경우라도 최소한 손을 씻
을 수 있는 임시설비는 갖추어야 하며 현장을, 떠나서라도 작업 후에는 반드시
샤워하도록 교육을 시키는 것이 좋음.
∙ 작업자는 음식물을 섭취 시는 반드시 손을 씻은 후 섭취해야 하며, 작
업 장소에서 흡연 등을 삼가 해야 함.
❍ 응급처치
가) 흡입 시
- 부작용이 발생하면 오염지역을 벗어나 신선한 공기가 있는 곳으로 이동
시키고 호흡하지 않는 경우 인공호흡을 실시하도록 함. 필요시 의사의 치료를
받도록 함.
나) 피부 접촉시
- 오염된 의복, 신발, 장신구 등은 즉시 제거해야 함.
- 화학물질이 완전히 제거될 때까지 다량의 물을 사용하여 비누 또는 중성
Ⅲ. 연구결과 ‥‥ 183

세제로 씻어냄(최소 15-20분간).


- 오염된 의복과 신발은 재사용 전에 철저히 건조시키고 세탁해야 함.
- 필요시 의사의 치료를 받도록 함.
다) 눈 접촉시
- 위․아래 눈꺼풀을 들어 올린 채 화학물질이 완전히 제거 될 때까지 즉
시 다량의 물 또는 식염수로 눈을 씻어내도록 하고(최소 15분 동안), 의사의 치
료를 받도록 함.
라) 섭취 시
- 의식불명의 사람에게 토하지 않도록 해야 하며, 만약 구토가 일어나는 경
우 구토물이 기도를 막지 않도록 머리를 둔부보다 낮추어야 하며, 의사의 치료
를 받도록 함.
- 아스팔트 흄 흡입에 따른 부작용 발생 시 신선한 공기가 있는 장소로 이
동 및 호흡하지 않는 경우 인공호흡 실시
- 아스팔트 흄의 피부 접촉 시 오염된 의복, 신발, 장신구는 즉시 제거 및
피부 세척
- 눈 접촉 시 완전히 제거될 때까지 물 또는 식염수로 세척
- 열경련, 열탈진 등 발생 시 서늘한 곳으로 이동 및 증상에 따라 수분·염
분 보충
- 저체온증 및 동상 발생 시 따뜻한 곳으로 이동하고, 체온 상승 조치 실시
(2) 고열, 직사관선에 의한 건강영향 관리

❍ 작업장 관리
184 ‥‥ 건설업 보건관리 위험성 평가 모델 개발(Ⅱ)-토목공사

- 직사광선을 차단할 수 있는 천막 등을 설치하여 그늘에서 휴식하도록 조치


- 신규작업자는 고열에 순응할 수 있도록 작업시간을 단계적으로 증가
- 온·습도계 등의 기기를 작업 장소에 상시 비치
- 휴식시간에 이용할 수 있는 간이 휴게시설 설치 권장
- 순환근무를 통한 고열 환경 노출시간 최소화 및 젖은 옷은 수시로 갈아
입음.
❍ 건강관리 지도
- 고열환경 작업자에게 수분·염분 지급
- 임신부 또는 18세 미만의 사람은 아스팔트 포장작업 근로금지
- 비만자, 심혈관계 이상자, 발열성 질환자, 고령자는 작업 시 주의
- 고혈압 및 심혈관계질환자, 간 및 위장기능 장애자, 신장기능 이상자, 감
기에 잘 걸리는 자는 한랭작업 시 주의
❍ 고온 작업 환경에서 작업시 주의사항
- 열경련, 열탈진 등의 고온으로 인한 질병의 증상이 나타날 때 지체없이 서
늘한 곳으로 이동시켜 체온을 떨어뜨리고, 증상에 따라 수분 및 염분 보충시키
고 필요한 경우 즉시 의사의 진찰을 받음.
- 고온 환경에서 일하는 방법에 대한 교육 : 고온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 고
온으로 인한 건강장해 예방법, 응급처치 등
- 더운 날씨 작업에 적합한 흡습성, 환기성이 좋은 복장 착용
- 심혈관질환 및 위험 근로자, 비만 근로자, 고령 근로자에 대한 특별한 주
의와 근로 제한
- 적절한 휴식, 음료, 염분 공급
- 방열장갑과 방열복 제공
Ⅲ. 연구결과 ‥‥ 185

8) 관로공사 유해위험요인별 관리방안

유해위험요인 관리방안
- 작업장 관리
열중증 - 건강관리 지도
- 고온 작업환경에서 작업시 주의사항
- 동상의 증상 교육

동상 - 동상의 치료
- 저온환경에서 작업 시 주의사항
- 평상시 예방수칙
쯔쯔가무시병 - 작업중 예방수칙
- 작업후 예방수칙
- 조직적 관리방법
직무스트레스
- 개인적 관리방법
- 근골격계질환 증상 파악
- 근골격계질환 특성 이해
근골격계 부담작업
- 근골격계질환 예방 교육
- 근골격계질환 예방을 위한 작업방법
- 작업환경측정
- 특수건강진단
소음
- 청력보호구 지급
- 청력보존 프로그램
- 방진시설 설치

진동 - 전파하는 진동을 차단하는 방법


- 진동장해 예방대책
- 작업환경측정
- 특수건강진단
분진 - 호흡보호구 지급
- 분진위험 감소방안 모색
- 호흡기 보호 프로그램
배기가스 - 건설장비 가동에 따른 배기가스 관리
186 ‥‥ 건설업 보건관리 위험성 평가 모델 개발(Ⅱ)-토목공사

- 배기가스에서 발생하는 미세먼지 건강관리


- 밀폐공간 작업관리
질식재해 - 밀폐공간작업 필수 3대 안전수칙
- 밀폐공간 작업 시 재해자 구조방법
- 용접 흄 제거를 위한 환기대책

- 개인보호구 지급

- 유해광선 관리대책

- 호흡기질환 관리

용접흄 - 안질환 관리

- 피부질환 관리

- 고열, 불티에 의한 화상예방대책

- 용접작업 세트 선정 시 인간공학적 설계 특

징 고려
유해가스 - 유해가스 방독마스크 착용
- 화학물질 목록 작성

- 산업안전보건법 적용 범위 파악
- 화학물질별 건강유해성 파악
화학물질 중독 - 개인보호구 지급
- 표준작업 수칙 준수
- 화학물질취급 근로자가 지켜야 할 건강수칙
안전보건교육 실시
※ 열중증(고열)은 포장공사 참조
-

※ 직무스트레스(심리적 부담감)는 터널공사 참조


※ 근골격계부담작업(인간공학적 요인), 소음, 분진, 질식재해(산소결핍)는
토공사 참조
※ 진동은 철근콘크리트공사 참조
※ 배기가스는 댐공사 참조
※ 질식재해는 댐공사 참조
※ 용접 흄은 교량공사 참조
※ 유해가스는 터널공사 참조
Ⅲ. 연구결과 ‥‥ 187

(1) 동상의 관리

❍ 동상의 증상 교육
- 동상 증상의 정도는 보통 노출의 정도를 반영
- 가장 흔한 증상은 75%가 무감각
- 초기에는 가벼운 건드림, 통증, 온도에 대한 감각의 손실이 옴.
- 지각마비(무감각증 anesthesia)는 심한 혈관 수축에 의한 손상시에 나타
남.
- 부분적인 조직 손상 시는 간헐적인 통증이 생김.
- 정상감각, 따뜻함, 수포가 초기에 생기는 경우에는 좋은 예후를 나타내지
만, 출혈성 수포, 부종 형성이 안 되는 경우에는 나쁜 예후를 나타냄.
❍ 동상의 치료
- 가벼운 동상을 입었다면 따뜻하게 해 주면 되지만, 중증의 동상을 입었을
경우에는 응급실에 가야 함.
- 병원에 가기 전에 젖은 옷을 벗기고 동상이 걸린 부위를 움직이지 않게
함.
- 마찰을 통해 열을 내는 것은 오히려 조직 손상을 더 일으킬 수 있음.
- 이송 중에는 점진적이고 부분적인 녹임을 막기 위해 마른 열은 피하고
완전히 해동할 수 없다면 현장에서 해동하는 것은 피해야 함.
- 고단백 식사와 금연도 치료에 도움이 됨.
188 ‥‥ 건설업 보건관리 위험성 평가 모델 개발(Ⅱ)-토목공사

❍ 저온 작업 환경에서 작업시 주의사항


- 추운 환경으로 인한 질병의 증상이 나타날 때 신속히 대처
※ 위험신호 : 통제되지 않은 떨림, 분명치 않는 말, 어색한 움직임, 피로,
혼란한 행동 등
- 저온 작업환경에 적합한 복장 착용, 방한복을 반드시 착용한 상태에서 업
무 수행
- 극도의 피로를 피하고 가능하면 가장 따뜻한 시간대에 작업
- 저온 환경에서 일하는 방법에 대한 교육 : 저온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 저
온으로 인한 건강장해 예방법, 응급처치 등
- 달고 따뜻한 음료와 따뜻하고 기름지지 않은 칼로리가 높은 음식 섭취
- 혈관질환, 또는 고혈압, 당뇨를 앓고 있거나 다른 건강문제로 건강상태가
좋지 않은 경우 특별히 주의
Ⅲ. 연구결과 ‥‥ 189

(2) 쯔쯔가무시증 예방수칙

❍ 평상시 예방수칙
- 전용 작업복 구비 및 작업 시 항시 착용
(긴팔·긴바지, 모자, 목수건, 토시, 장갑, 양말, 장화)
- 진드기 기피제 보조 사용
❍ 작업 중 예방수칙
- 도로에 옷벗어 놓지 않기
- 휴식 시 돗자리 사용
- 보조도구 이용 : 작업용 앞치마 또는 방석
- 야외에서 용변 금지
❍ 작업 후 예방수칙
- 작업복 일체 세탁하기 : 귀가 즉시 평상복과 분리하여 세탁
- 목욕 : 귀가 즉시, 입욕 추천하나 샤워도 가능
- 적기치료 : 작업 수행자 중 발열, 오한 등 감시상이나 가피(검은 딱지) 발
견 즉시 꼭 의료기관 방문 치료
190 ‥‥ 건설업 보건관리 위험성 평가 모델 개발(Ⅱ)-토목공사
Ⅲ. 연구결과 ‥‥ 191

(3) 화학물질 중독 관리

❍ 화학물질 목록 작성
- 화학제품과 물질의 목록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제공업체로부터 제출받은
물질안전보건자료(MSDS)를 수집하여 화학제품명과 구성 성분인 화학물질의
명칭과 CAS 번호를 먼저 정리<표 4-9>
<표 4-9> 화학제품과 물질의 목록

화학제품명 구성성분명칭뭉 CAS 번호

- 작업현장에는 다양한 경로로 화학제품과 물질을 구입해서 사용하는 경우


가 많기 때문에 현장방문을 통해서 추가로 사용하는 화학제품과 물질목옥을 파
악하는 것이 필요
- 현장방문 시 작업자 면담 등을 통해 MSDS가 확보되지 않은 화학제품과
물질을 추가로 발굴하는 노력이 필요
❍ 산업안전보건법 적용 범위 파악
- 사용하는 화학물질을 산업안전보건법으로 정하는 금지물질, 허가 물질, 허
용기준 설정물질, 노출기준 설정 물질, 작업환경측정대상물질, 특수건강진단 대
상물질, 관리대상물질, 특별관리대상물질, 건강관리수첩 발급 대상 물질 등으로
분류
192 ‥‥ 건설업 보건관리 위험성 평가 모델 개발(Ⅱ)-토목공사

<표 4-10> 산안안전보건법 규정 대상 여부


작업 특수 건강
허용 노출 관리 특별 관리
화학 환경 건강
금지 허가 기준 기준 대상 관리 수첩
물질 측정 진단
발급
물질 물질 설정 설정 유해 대상
명칭 대상 대상 대상
물질 물질 물질 물질
물질 물질 물질

※ 산업안전보건법에서 화학물질의 건강피해를 발지하기 위하여 관리대상으로 규정하


는 물질의 구분
∙ 제조 등 금지물질(법 제37조) : 같은 법 시행령 제29조
∙ 제조 등 허가물질(법 제38조) : 같은 법 시행령 제30조
∙ 허용기준 설정 대상 유해인자(법 제39조의2제1항) : 같은 법 시행규칙 별표 11
의3
∙ 노출기준 설정 대상 유해인자(법 제39조제2항) : 화학물질 및 물리적 인자의
노출기준(고용노동부고시 제2018-24호)
∙ 산업안전보건법 제 42조의제1항) : 작업환경측정 대상 유해인자(시행규칙 제93
조제1항)(같은 법 시행규칙 별표 11의 5)
∙ 특수건강진단 대상 유해인자(산안법 제43조, 시행규칙 별표 12의2)
∙ 관리대상 유해물질(안전보건규칙 제420조제1호) : 별표 12
∙ 특별관리 대상물질(안전보건규칙 별표 12)
∙ 건강관리수첩 발급대상(산안법 제44조 제1항, 시행규칙 제108조 별표 14의 2).
∙ 물질안전보건자료의 작성 비치 등(법 제41조)

❍ 화학물질별 건강유해성 파악
- GHS(Global Harmonized System of classification and labelling of
chemicals)18)에서는 화학물질에 의한 건강유해성의 분류체계를 제시하였으며,
18) 화학물질에 대한 분류ㆍ표시 국제조화 시스템을 말한다. 1989년 ILO 총회에서 인도는 화학
Ⅲ. 연구결과 ‥‥ 193

고용노동부에서도 <표 4-11>과 같이 이를 채택하고 있음.19)


- 물질안전보건자료의 제2항 유해·위험성 정보에서 제시된 해당 물질 또는
혼합물의 건강유해성 분류 결과 표시 활용
<표 4-11> 화학물질의 건강유해성 분류체계
건강 유해성 구분
• 급성독성 물질 구분 1, 2, 3, 4
• 피부 부식성 / 피부 자극성 구분 1, 2
• 심한 눈 손상성 / 눈 자극성 구분 1, 2
• 호흡기 과민성 구분 1
• 피부과민성 구분 1
• 생식세포 변이원성 구분 1A, 1B, 2
• 발암성 구분 1A, 1B, 2
• 생식독성 구분 1A, 1B, 2, 수유독성
구분 1, 2, 구분3 (마취작용 또는 호흡
• 특정표적장기 독성-1회 노출
기 자극)
• 특정표적장기 독성-반복 노출 구분 1, 2
• 흡인 유해성 구분 1, 2

- 건강유해성이 분류된 정보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화학물질의 분류·표시


및 물질안전보건자료에 관한 기준20)”의 <별표 1> 화학물질 등의 분류별 세부
기준을 활용할 수 있어야 함.
- 발암성21)의 경우에 다음과 같은 분류기준에 따라서 분류된 정보가 제공
됨<표 4-12>.
제품의 위험유해성에 관한 분류 및 표지의 세계통일화를 제안했고 이듬해 ILO 화학물질회의
에서 인도의 제안이 채택되었다. 그리고 1992년 리우의 UN환경개발 회의(UNCED)에서 GHS
를 추진하기로 결정하였다. 그 후 UN 관계 전문가들의 노력으로 2002년 9월 UN은 지속가능
개발세계정상회의에서 2008년까지 OECD 가입국가에 대하여 GHS를 도입하기로 결정한 바
있다.
19) GHS체계 하에서 화학물질의 유해․위험성 분류는 유엔에서 제시한 분류기준과 새로운 물질
의 분류에 필요한 세부기준을 참고하여 결정한다. 우리나라는 다음의 분류 원칙에 따라 물
리적 위험성 16가지, 건강유해성 11가지 및 환경 유해성 2가지로 분류하였다
20) 고용노동부고시 제2016-19호

21) 암을 일으키거나 그 발생을 증가시키는 성질을 말한다.


194 ‥‥ 건설업 보건관리 위험성 평가 모델 개발(Ⅱ)-토목공사

<표 4-12> 단일발암물질의 분류


구분 구분 기준
1A 사람에게 충분한 발암성 증거가 있는 물질
시험동물에서 발암성 증거가 충분히 있거나, 시험동물과 사
1B
람 모두에서 제한된 발암성 증거가 있는 물질
사람이나 동물에서 제한된 증거가 있지만, 구분1로 분류하
2
기에는 증거가 충분하지 않는 물질

- 구성성분의 발암성 자료가 있는 경우에는 우선적으로 한계 농도를 이용


하여 다음과 같이 분류<표 4-13>
<표 4-13> 발암물질이 혼합된 혼합물의 발암성 분류

구 분 구분 기준
1A 구분 1A인 성분의 함량이 0.1% 이상인 혼합물
1B 구분 1B인 성분의 함량이 0.1% 이상인 혼합물
2 구분 2인 성분의 함량이 1.0% 이상인 혼합물

<표 4-14> 단일물질의 분류: 특정표적장기 독성(반복노출)


구분 구분 기준
다음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물질
① 사람에 대한 사례연구 또는 역학조사로부터 반복 노출에 의해
사람에게 중대한 독성을 일으킨다는 신뢰성이 있고 질적으로 우수
1 한 증거가 있는 경우
② 낮은 수준의 용량으로 반복 노출 동물 시험에서 나타난 중대하
거나 강한 독성소견을 근거로, 반복 노출에 의해 사람에게 중대한
독성을 일으킬 것으로 추정되는 경우
보통 수준의 용량으로 반복 노출 동물 시험에서 나타난 중대한 독
2 성소견을 근거로, 반복 노출에 의해 사람의 건강에 유해를 일으킬
가능성이 있다고 추정되는 물질
Ⅲ. 연구결과 ‥‥ 195

<표 4-15> 물질안전보건자료 제11항 독성에 관한 정보


가. 가능성이 높은 노출 경로에 관한 정보
나. 건강 유해성 정보
○ 급성 독성(노출 가능한 모든 경로에 대해 기재) :
○ 피부 부식성 또는 자극성 :
○ 심한 눈 손상 또는 자극성 :
○ 호흡기 과민성 :
○ 피부 과민성 :
○ 발암성 :
○ 생식세포 변이원성 :
○ 생식독성 :
○ 특정 표적장기 독성 (1회 노출) :
○ 특정 표적장기 독성 (반복 노출) :
○ 흡인 유해성 :
※ 가.항 및 나.항을 합쳐서 노출 경로와 건강유해성정보를 함께 기재할
수 있음

❍ 개인보호구 지급
- 독성물질을 취급하는 작업을 할 때는 반드시 작업방법과 취급물질의 성
상을 파악하여 호흡보호구, 보호의, 보호장갑 등을 작업장에 구비하여 사용하
고, 주기적으로 교육을 실시하여 근로자 스스로 인식과 관심 및 주의 저하를
방지하고 적응성을 높이도록 하여야 함.
- 작업별로 급성독성물질, 부식성 물질을 사용하는 공정 일 때는 해당 물질
에 적합한 내산성 보호복, 방독마스크, 내산성 안전장갑 등 취급 물질에 맞게
적절한 보호구를 착용하고 작업하여야 함. 또한, 보호구 선정 시에는 안전인증
제품을 선정하여야 함.
- 근로자는 제공된 보호구를 적합한 착용방법에 따라서 작업 중에는 항시
착용하도록 해야 함.
196 ‥‥ 건설업 보건관리 위험성 평가 모델 개발(Ⅱ)-토목공사

❍ 표준작업수칙 준수
- 규정된 작업안전수칙을 준수하기 위해서는 근로자는 필요한 작업안전수
칙을 인식하고 있어야 함.
- 사업장에서는 작업에 필요한 작업방법을 기술한 작업 절차서를 만들어
주기적으로 문제점을 보완해 가면서 근로자들에게 교육을 실시하여야 함.
- 이러한 안전작업절차를 통하여 개발한 작업안전수칙을 근로자가 가장 잘
인식할 수 있는 장소에 게시하여 근로자의 안전의식능력을 향상시키도록 하여
야 함.
- 근로자는 게시된 작성부칙을 숙지하고 준수하도록 해야 함.
❍ 화학물질취급 근로자가 지켜야 할 건강수칙
- 사용하는 물질이 무엇이고, 어떤 독성이 있는지 제대로 알아야 함.
- 공기 중에 화학물질이 섞이지 않도록 용기 뚜껑을 잘 닫아야 함.
- 환기시설을 잘 가동하여 작업장의 공기가 깨끗하도록 해야 함.
- 개인용 보호구를 작 착용해야 함.
- 정기적으로 건강진단을 받아야 함.
❍ 안전보건교육 실시
- 화학물질 취급 시 발생될 수 있는 재해나 직업병을 사전에 예방하고 불
의의 사고에도 신속히 대응하기 위해 화학물질의 명칭·성분·함유량·안전보건상
의 취급주의 사항 등을 적은 물질안전보건자료(MSDS)를 비치하고 작업자에게
안전교육을 실시해야 함.
- 작업범위, 작업내용, 작업순서 등의 전반적인 사항을 작업자가 충분히 이
해하고 작업에 임할 수 있도록 전체 작업을 지휘 할 수 있는 관리감독자를 지
정하고, 관리감독자에 의한 교육 및 작업 중 지도·감독이 필요
Ⅲ. 연구결과 ‥‥ 197

- 교육내용은 다음사항을 포함하도록 함.


• 취급화학물질의 유해, 위험성 확인
• 올바른 취급방법 준수
• 적격 보호구선정과 착용
• 비상시 대응방법 숙지 및 교육
- 누출차단 (불가능시 즉각 대피)
- 접근차단 (누출물 회수)
- 누출물 접촉, 흡입금지
- 화재 시 적정 소화수단 사용
• MSDS 등 화학물질정보의 이용방법
198 ‥‥ 건설업 보건관리 위험성 평가 모델 개발(Ⅱ)-토목공사

9) 철도공사 유해위험요인별 관리방안

유해위험요인 관리방안
- 작업장 관리
고열, 직사광선 - 건강관리 지도
- 고온 작업환경에서 작업시 주의사항
- 동상의 증상 교육

동상 - 동상의 치료

- 저온환경에서 작업 시 주의사항

- 작업환경측정
- 특수건강진단
분진 - 호흡보호구 지급
- 분진위험 감소방안 모색
- 호흡기 보호 프로그램
- 건설장비 가동에 따른 배기가스 관리
배기가스
- 배기가스에서 발생하는 미세먼지 건강관리

- 용접 흄 제거를 위한 환기대책

- 개인보호구 지급

- 유해광선 관리대책

- 호흡기질환 관리
용접작업
- 안질환 관리

- 피부질환 관리

- 고열, 불티에 의한 화상예방대책

- 용접작업 세트 선정 시 인간공학적 설계 특징 고려

- 작업환경측정
- 특수건강진단
소음
- 청력보호구 지급
- 청력보존 프로그램
- 근골격계질환 증상 파악
- 근골격계질환 특성 이해
인간공학적 요인
- 근골격계질환 예방 교육
- 근골격계질환 예방을 위한 작업방법
※ 기후영향(고열, 동상)은 포장공사, 관로공사 참조
※ 분진, 소음, 인간공학적 요인은 토공사 참조
※ 배기가스는 댐공사 참조
※ 용접작업은 교량공사 참조
Ⅳ. 결 론 ‥‥ 199

Ⅳ .결론
토목공사는 타 업종과 달리 근로자의 유동성이 심하고, 옥외작업과 가변적이
며 일회성 작업이 주를 이루고 있기 때문에 다양한 위험요소가 존재하고, 이로
인한 건강피해가 우려된다.
그러나 아직까지 국내에서는 토목공사의 다양한 공사의 종류별로 건강유해위
험요인에 대한 소개가 부족하였으며, 이들 유해위험용인에 대한 위험성 평가와
보건관리방안에 대한 자료가 부족하였다.
이번 연구를 통해서 토목공사의 주종을 이루는 9개 공사에 대한 개요 및 공
정별 유해위험요인을 개관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이중에서 특히 중점을 두어
야 할 건강 유해위험요인에 대해서는 별도로 건강유해성을 제시하였다. 아울러
9대 공사의 유해위험요인에 대한 보건관리 매뉴얼을 제작하였다.
2015년 산업안전보건법 개정을 통해 공사금액 800억원(토목 1,000억원) 이상
인 건설현장에 보건관리자 선임이 의무화되었으나, 건설현장의 건강유해위험요
인의 특성을 고려한 보건관리가 정착되는 데에 이번 연구결과가 일조할 수 있
을 것으로 기대하며 다음과 같이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토목건설공사현장의 위험성 평가 활동의 실무 지침으로 활용
❍ 토목건설공사 현장의 유해요인의 파악과 건강영향에 대한 교육자료로 활용
❍ 토목건설공사 현자의 보건관리업무의 가이드로 활용

앞으로 토목공사현장의 특성을 반영한 산업안전보건제도와 정책이 모색되는


데에도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건설보건제도가 모색되고 정착될 수 있도록 보다 구체적인 공사현장별로 보
건관리의 문제를 발 굴 하고 개선하는 연구가 제안되어야 할 것이다.
200 ‥‥ 건설업 보건관리 위험성 평가 모델 개발(Ⅱ)-토목공사

참고문헌
박현희, 박해동. 건설업 직종별 화학물질 노출 매트릭스 구축 연구
(Ⅰ)- 도장작업 노출 실태조사 중심으로 -. 안전보건연구원 보고
서. 2014
식품안전처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 독성정보. 파라핀왁스.
http://www.nifds.go.kr/toxinfo/SearchUtil_getDetailChemTcd.actio
n?hddnToxicCode=T1000000329
이윤근. 도장작업, 직업별 산업위생관리 핸드북 개발. 산업안전보건연구
원 보고서. 1999
이현우, 정주혁, 신정아, 박준석, 오세원, 한금현, 한상엽.아질산나트륨이
포함된 부동액 복용 후 발생한 급성 메트헤모글로빈혈증 1예. 인
제의학 제35권 (2014년) pp.183-188
정지연. 유해물질 산업보건 편람-아스팔트흄(Asphalt fume)-. 한국산업
안전공단. 2006. 11
Boyce DE, Dickson WA. Wet cement: a poorly recognized cause of
full-thickness skin burns. Injury 1993;24:615-7.
Charles JK. Antifreezer admixtures for cold regions conctreting.
Concr Int 1991:13;38-41
Civil Engineer. Composition of Concrete Release Agents.
http://civilengineersite.com/composition-concrete-release-agents/
Coleman MD, Coleman NA. Drug-induced methaemoglobinemia.
Treatment issues. Drug Saf 1996; 14:394-405.
참고문헌. ‥‥ 201

Diamanti, MV., EA. Rosales, G. Raffaini, F. Ganazzoli, A. Brenna, M.


Pedefferri, and M. Ormellese, “Molecular modelling and
electrochemical evaluation of organic inhibitors in concrete,”
Corrosion Science, vol. 100, pp. 231-241, 2015.
Freedberg IM, Eisen AZ, Wolff K, Austen KF, Goldsmith LA, Katz
SI, editors. Fitzpatrick's dermatology in general medicine. 6th
ed. New York: McGraw-Hill, 2003:1309-1330
HSE. Construction dust: Scabbling or grinding.
http://www.hse.gov.uk/construction/healthrisks/hazardous-substa
nces/scabbling-or-grinding.htm
Health and Safety Executive. Control of diesel engine exhaust
emissions in the workplace. Third edition, 2012. ISBN 978 0
7176 6541 9
IARC: DIESEL ENGINE EXHAUST CARCINOGENIC. Lyon, France,
June 12, 2012
https://www.iarc.fr/en/media-centre/pr/2012/pdfs/pr213_E.pdf
International Labour Organization. Encyclopedia of Occupational
Health and Safety. 3rd ed. 1983. pp 436-9.
Irvine C, Pugh CE, Hansen EJ, Rycroft RJ. Cement dermatitis in
underground workers during construction of theChannel Tunnel.
Occup Med 1994;44:17-23.
Kelsey R, Alvey T. Skin burns from prolonged exposure to wet
cement. J Am Podiatr Med Ass 1995;85:315-317
KENNEDY, AL. What Are the Dangers of Calcium Chloride? Oct 03,
2017
202 ‥‥ 건설업 보건관리 위험성 평가 모델 개발(Ⅱ)-토목공사

http://www.livestrong.com/article/253218-what-are-the-dangers-
of-calcium-chloride/
Lewis PM, Ennis O, Kashif A, Dickson WA. Wet cement remains a
poorly recognised cause of full-thickness skin burns. Injury
2004;35:982-5.
Mackey SP, Dheansa BS. Scrubbing brush decontamination-cement
burn treatment. Burns 2005;31:236.
Rycroft RJG. Acute ulcerative contact dermatitis from readymixed
cement. Clin Exp Dermatol 1980;5:245-247
Sohn CH, Seo DW, Ryoo SM, Lee JH, Kim WY, Lim KS, Oh BJ.
Life-threatening methemoglobinemia after unintentional ingestion
of antifreeze admixtures containing sodium nitrite in the
construction sites.Clin Toxicol (Phila). 2014 Jan;52(1):44-7.
Wilson GR, Davidson PM. Full thickness burns from ready-mixed
cement. Burns 1985;12:139-145
Yoo SH, Kim YG, Lee AY. Two cases of cement burn.Ann
Dermatol (Seoul) 2000;12:197-198
Abstract ‥‥ 203

Development of Risk Assessment Model for


Construction Industry(II)
-Civil Engineering
1. Objectives

Civil engineering construction has a lot of worker's mobility and


heavy work, and subcontracting work is done. Outdoor work,
variable and one-off work, and various risk factors exist. Health
management in the field is not established due to lack of
understanding about health management techniques considering
characteristics of civil engineering construction sit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a risk assessment model
that can be applied in civil engineering construction site and to
develop a manual for health management work to establish the basis
for the risk evaluation of civil engineering construction site.
2. Methods

This study reviews the relevant literature, conducts seminars and


debates, and summarizes the theoretical content. And we visited the road,
bridge, tunnel, port and pipeline construction site in the civil engineering
construction work to investigate the actual condition of health management
204 ‥‥ 건설업 보건관리 위험성 평가 모델 개발(Ⅱ)-토목공사

and the necessity of risk assessment. We also collected opinions on the risk
assessment methods presented in this study.
3.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 Development of a risk assessment model for public works health
management
- Outline of construction by type of civil engineering construction and
present harmful factors by process
- Major hazards and health effects of civil engineering construction
- Outline of Risk Assessment in Civil Engineering Construction Site
- Classification criteria of possibility (exposure level grade) and
materiality (hazard class) according to harmful factors of civil
engineering construction worker
- Record and monitor risk assessment
- Risk assessment training
❍ Development of civil engineering construction work health
management practical manual
4. Conclusions

The risk assessment model and health management manual presented in


this study can be used as follows.
❍ Use as a practical guideline for risk assessment activities on civil
engineering construction site
Abstract ‥‥ 205

❍ Identify hazardous factors in civil engineering construction sites and


use them as educational data on health effects
❍ Utilizing it as a guide for health management duties of civil
engineering construction workers
-Key words: risk assessment, health managent, civil engineering
<<연 구 진>>

연 구 기 관 : 성균관대학교 강북삼성병원

연구책임자 : 김 수 근 (교수, 의학박사, 성균관대학교)


연 구 원 : 고 영 욱 (상무, 공학박사, SK 건설)
김 원 술 (교수, 의학박사, 강북삼성병원)
박 동 기 (전무, 보건학 석사, 한국직업건강협회)
정 혜 선 (교수, 박사, 가톨릭 대학교)
연구보조원 : 손 숙 경 (국장, 보건학 석사, 한국직업건강협회)
정 태 성 (팀장, 학사, 한양대학교 의료원)
연구상대역 : 박 현 희 (연구위원, 직업환경연구실)
<<연 구 기 간>>
2018. 03.29 ~ 2018. 10. 31

본 연구는 산업안전보건연구원의 2018년도 위탁연구 용역사업에


의한 것임
Abstract ‥‥ 207

본 연구보고서의 내용은 연구책임자의 개인


적 견해이며, 우리 연구원의 공식견해와 다를
수도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산업안전보건연구원장

2018-연구원-801

과제명 : 건설업 보건관리 위험성평가 모델 개발(Ⅱ)


- 토목건설공사
(2018-연구원-801)

발 행 일 : 2018 년 10 월 31 일
발 행 인 : 산업안전보건연구원장 김 장 호
연구책임자 : 성균관대학교 강북삼성병원교수 김 수 근
발 행 처 : 안전보건공단 산업안전보건연구원
주 소 : ( 우)44429 울산광역시 중구 종가로 북정동)
400(

전 화 : (052) 7030-901

F A X : (052) 7030-337

Homepage : http://oshri.kosha.or.kr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