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31

출품번호

1104

제67회 전국과학전람회

공중제비 후의 물병은
어떻게 중심을 잘 잡는 것일까?

2021. 8. 27.

출품학생
지도교사
구분 학생부
출품부문 물리
◉ 목 차 ◉

Ⅰ. 탐구 동기 및 목적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

Ⅱ. 탐구 개요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
1. 탐구 기간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
2. 탐구 장소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
3. 관련 이론 탐색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
4. 선행 연구 분석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

Ⅲ. 탐구과제의 선정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

Ⅳ. 탐구방법 및 결과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7
탐구과제 1. 자유낙하 한 물병과 공중제비 한 물병의 중심 잡기는 어떻게 다를까? ·
··
·7
1. 자유낙하 한 물병은 얼마나 중심을 잘 잡을까? ·
··
··
··
··
··
··
··
··
··
··
··
··
··
··
··
··
··
··
··
··
··
··
··
··
··
·7
2. 자유낙하 장치를 이용한 물병은 중심을 더 잘 잡을까? ·
··
··
··
··
··
··
··
··
··
··
··
··
··
··
··
··
··
··
·8
3. 공중제비 한 물병은 얼마나 중심을 잘 잡을까? ·
··
··
··
··
··
··
··
··
··
··
··
··
··
··
··
··
··
··
··
··
··
··
··
··
··
·9
4. 공중제비 장치를 이용한 물병은 중심을 더 잘 잡을까? ·
··
··
··
··
··
··
··
··
··
··
··
··
··
··
··
··
··
·11
5. 물병의 크기가 달라지면 중심 잡기의 결과도 달라질까? ·
··
··
··
··
··
··
··
··
··
··
··
··
··
··
··
··
·12

탐구과제 2. 중심을 잘 잡는 물병은 어떤 특징을 갖고 있을까? ·


··
··
··
··
··
··
··
··
··
··
··
··
··
·13
1. 중심을 잘 잡는 물병은 외부의 충격에도 잘 견딜까? ·
··
··
··
··
··
··
··
··
··
··
··
··
··
··
··
··
··
··
··
·13
2. 중심을 잘 잡는 물병은 기울기도 잘 견딜까? ·
··
··
··
··
··
··
··
··
··
··
··
··
··
··
··
··
··
··
··
··
··
··
··
··
··
··
·14
3. 중심을 잘 잡는 물병은 진동도 잘 견딜까?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5
4. 어떤 모양의 물병이 중심을 잘 잡을까?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6

탐구과제 3. 공중제비 후 물병이 중심을 잘 잡을 수 있는 장치를 만들 수 있을까? ·


··
··18
1. 높이와 빗면을 이용하면 만들 수 있을까?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8
2. 배구공의 탄성을 이용하면 만들 수 있을까?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9
3. 지렛대를 이용하면 만들 수 있을까?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0
4. 지렛대와 고무밴드를 이용하면 만들 수 있을까? ·
··
··
··
··
··
··
··
··
··
··
··
··
··
··
··
··
··
··
··
··
··
··
··
·21

탐구과제 4. 자유낙하 및 공중제비 후 착지까지 물병 속의 물은 어떻게 움직일까? ·


··
··
··23
1. 자유낙하 후 착지까지 물병 속의 물은 어떻게 움직일까? ·
··
··
··
··
··
··
··
··
··
··
··
··
··
··
··
·23
2. 공중제비 후 착지까지 물병 속의 물은 어떻게 움직일까? ·
··
··
··
··
··
··
··
··
··
··
··
··
··
··
··
·25

Ⅴ. 종합 결론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6
1. 탐구과제 1에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6
2. 탐구과제 2에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7
3. 탐구과제 3에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7
4. 탐구과제 4에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8
5. 알아낸 종합 결론은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9

Ⅵ. 제언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9

◉ 표 차 례 ◉
<표 1> 선행 연구 탐색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
<표 2> 자유낙하 한 물병의 중심 잡기 실험 결과 ·
··
··
··
··
··
··
··
··
··
··
··
··
··
··
··
··
··
··
··
··
··
··
··
··
··
·
··
··7
<표 3> 자유낙하 장치를 이용한 물병의 중심 잡기 실험 결과 ·
·
···
·
···
··
··
··
··
··
··
··
··
··
··
··
··
·9
<표 4> 공중제비 한 물병의 중심 잡기 실험 결과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0
<표 5> 500mL 물병의 중심 잡기 실험 결과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2
<표 6> 물병에 외부의 충격 주기 실험 결과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4
<표 7> 물병의 기울기 견딤 실험 결과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4
<표 8> 네모 모양 물병의 중심 잡기 실험 결과 및 비교 ·
·
··
··
··
··
··
··
··
··
·
··
··
··
··
··
··
··
··
·
··
··
··17
<표 9> 지렛대를 이용한 공중제비 탐구 과정 및 결과 ·
··
··
··
··
··
·
··
··
··
··
··
··
··
·
··
··
··
··
··
··
·
··
··
··21
<표 10> 지렛대와 고무밴드를 이용한 공중제비 탐구 과정 및 결과 ·
··
··
··
··
··
··
··
··
··
··23

◉ 그림차례 ◉
<그림 1> 물병 세우기 놀이 모습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
<그림 2> 국립중앙과학관에서 과학전람회 선행 연구 검색 ·
··
··
··
··
··
··
··
··
··
··
··
··
··
··
··
··
··
··
··
·6
<그림 3> 자유낙하 한 물병의 중심 잡기 실험 모습 ·
··
··
··
··
··
··
··
··
··
··
··
··
··
··
··
··
··
··
··
··
··
··
··
·
··
··7
<그림 4> 자유낙하 장치를 이용한 물병의 중심 잡기 실험 모습 ·
··
··
··
··
··
··
··
··
··
··
··
··
··
··
·8
<그림 5> 공중제비 한 물병의 중심 잡기 실험 모습 ·
·
··
··
··
··
··
··
··
·
··
··
··
··
··
··
·
··
··
··
··
··
··
··
·
··
··
·10
<그림 6> 공중제비 장치 [1]과 [2]를 이용한 물병의 중심 잡기 실험 모습 ·
··
··
··
··
·11
<그림 7> 500mL 물병의 중심 잡기 실험 모습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2
<그림 8> 물병에 외부의 충격 주기 실험 모습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3
<그림 9> 물병의 기울기 견딤 실험 모습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5
<그림 10> 교육청과학원 방문 및 물병의 진동 견딤 실험 모습 ·
··
··
··
··
··
··
··
··
··
··
··
··
··
··16
<그림 11> 네모 모양 물병의 중심 잡기 실험 모습 및 동영상 캡처 ·
··
··
··
··
··
··
··
··
··
··17
<그림 12> 높이와 빗면을 이용한 공중제비 장치 및 공중제비 탐구 모습 ·
··
··
··
··
··18
<그림 13> 배구공의 탄성을 이용한 공중제비 장치 및 공중제비 탐구 모습 ·
··
··
··19
<그림 14> 지렛대를 이용한 공중제비 장치 및 공중제비 탐구 모습 ·
··
··
··
··
··
··
··
··
··
··20
<그림 15> 지렛대와 고무밴드를 이용한 공중제비 장치 및 공중제비 탐구 모습 ·
··22
<그림 16> 자유낙하 후 착지까지 물병 속 물의 움직임 ·
·
···
·
···
··
··
··
··
··
··
··
··
··
··
··
··
··
··
··
··
··24
<그림 17> 공중제비 후 착지까지 물병 속 물의 움직임 ·
·
···
·
···
··
··
··
··
··
··
··
··
··
··
··
··
··
··
··
··
··25
I. 탐구동기 및 목적

새 학년이 시작되고 등교 수업을 마친 어느 날 오후, 우연히 선생님과 과학실에서 이야기할


기회가 있었다. 이런저런 이야기를 하던 중 선생님께서 “너희들 [신서유기]라는 프로그램 좋
아하니?”라고 물어보셨다. 평소 [신서유기]를 즐겨 보던 우리는 동시에 “네!”라고 대답했고,
선생님께서는 재미있는 영상을 보여주셨다.
선생님께서 보여주신 영상은 출연자 중 한 명이 미션으로 “물병 세우기”를 수행하는 내용
이었고, 여러 번의 연습을 거친 후 결국은 성공하는 것으로 끝이 났다. 물병을 공중에서 반드
시 한 바퀴 회전시킨 후 세우는 것이었기 때문에 미션을 성공하는 것이 상당히 어려워 보였고,
많은 연습이 필요했다.
영상을 모두 보고 난 후, 선생님께서는 갑자기 몇 가지 질문을 하셨다. “공중제비 한 물병
을 잘 세울 수 있는 장치를 만들 수 있을까? 물병 속 물의 양과 물병이 회전하는 속도, 물병의
크기와 생김새 등은 어떤 관계가 있을까? 그리고 공중에서 한 바퀴를 회전한 물병을 어떻게
잘 세울 수 있을까?”
우리는 단순하게만 보이는 “물병 세우기”에 재미있는 과학적 비밀이 숨겨져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그래서 선생님과 함께 여러 가지 장치를 만들고 실험을 하면서 과제를 탐구해 보
면 좋을 것 같아 이번 연구를 시작하게 되었다.

II. 탐구개요

1. 탐구 기간: 2021년 3월 ~ 2021년 8월(6개월간)

2. 탐구 장소: ★★초등학교 과학실

3. 관련 이론 탐색
가. 물병 세우기: 보틀 플립(bottle flip)

[그림 1] 물병 세우기 놀이 모습

- 3 -
물병 세우기(보틀 플립, bottle flip)는 4~5년 전부터 SNS를 통해 국내외에 알려지게 되었고
많은 사람들에게 인기를 끌고 있는 놀이로서, 물을 채운 물병을 공중에 던져서 한 바퀴를 돌린
후 바닥에 똑바로 착지시키기만 하면 성공하는 간단한 규칙을 갖고 있다. 미국의 어떤 고등학
생이 장기자랑 시간에 시도한 것이 최초로, 특별하지도 않은 기술이 SNS를 통해 전 세계로 공
유되었다. 최근 들어 텔레비전 예능 프로그램에도 자주 소개되면서 학생들이 체육시간 및 휴식
시간을 활용하여 도전하고 있다.

나. 무게중심
물체의 각 부분에 작용하는 중력의 합력의 작용점을 말한다. 물체의 윗부분에 무게중심이 있
을 경우 물체는 매우 불안정한 상태가 되어 쓰러지기 쉽다. 하지만 무게중심이 물체의 아랫부
분에 있을 경우 안정한 상태가 되어 잘 쓰러지지 않는다.

다. 포물선 운동
포물선의 궤도로 움직이는 운동이다. 중력의 영향 때문에 지상에서 연직 이외의 방향으로 던
진 물체가 밑을 향하여 일정한 가속도로 운동하는데, 그 궤도는 포물선이 된다.

라. 원심력
원운동을 하는 물체나 입자에 작용하는, 원의 바깥으로 나아가려는 힘이다. 구심력과 크기가
같고 방향은 반대인데 실재하는 힘은 아니고 관성력으로부터 변형된 형태의 힘이다.

마. 중력
지구 위의 물체가 지구로부터 받는 힘이다. 지구와 물체 사이의 만유인력과 지구의 자전에
따른 물체의 구심력을 합한 힘으로, 그 크기는 지구 위의 장소에 따라 다소 차이가 나며, 적도
부근이 가장 작다.

바. 각속도(회전 속도)
회전 운동을 하는 물체가 단위 시간에 움직이는 각도이다. 진동수에 원주율의 두 배를 곱한
것으로, 물체의 회전 속도, 회전축의 방향이나 회전 방향을 나타내는 벡터양으로 나타낸다. 단
위는 라디안이다.

사. 마찰력
접촉하고 있는 두 물체가 상대 운동을 하려고 하거나 상대 운동을 하고 있을 때, 그 운동을
방해하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이다.

아. 관성
물체가 외부의 힘을 받지 않는 한 정지 또는 등속도 운동의 상태를 지속하려는 성질이다. 보
통 질량이 클수록 물체의 관성이 크다.

- 4 -
4. 선행 연구 분석
[공중제비 후의 물병은 어떻게 중심을 잘 잡는 것일까?]에 대한 선행 연구를 조사하기 위해
국립중앙과학관과 인터넷 사이트 및 논문, 물리 서적 등을 찾아본 결과 비슷한 주제의 연구는
없었다. 다만 주제를 해결하기 위해 물병 세우기 및 관련 이론과 연관성이 있는 작품을 찾아보
면서, 어떤 탐구 내용과 방법으로 접근하였는지 참고하였다.

<표 1> 선행 연구 탐색

순 탐구 제목 탐구 내용 탐구자 비고
□ 개발한 실험장비를 이용한 다양한
포물선-전향력 변인 하에서의 전향력 연구 및 각속
실험 장치 개발과 도와 각가속도, 포사체의 초기속력과 노ㅇㅇ 제62회 전국
1 변화하는 각속도에 체공시간, 포사체가 받는 공기저항, 장ㅇㅇ 과학전람회
따른 포물체의 포사체의 무게 등을 변화시키며 실험 최ㅇㅇ (2016)
운동 연구 장비를 이용해 여러 변인 하에서 전
향력을 연구함

□ 자유낙하는 이론적으로 물체의 이


동거리나 평면상에서 중력가속도의
크기로, 운동을 하는 물체의 이동거
리는 질량과 무관하게 동일하다는 결
론에 이르는데, 현실세계에서 실제로
제64회 전국
관성질량과 중력질량 두 결과가 동일하게 나오는지 실험을 이ㅇㅇ
2 과학전람회
측정 실험장치 개발 통해 측정하기 위해 최근 사용되고 고ㅇㅇ
(2018)
있는 아두이노와 센서를 이용해 관성
질량과 중력질량을 측정하는 실험장
치를 만들고 결과값을 비교하여 관성
질량과 중력질량이 같다는 가정을 증
명함

□ 재난구조 로봇이 구조활동 중 추


락하여 파손되어 구조활동에 어려움
을 겪고 있다는 점에 주목하였으며,
히말라야 눈표범의 재난구조 로봇이 추락할 때 안정적
공중직립반사 능력과 착지가 가능한 로봇 모델을 제안함 제66회 전국
이ㅇㅇ
3 물병세우기 효과를 □ 로봇이 추락하는 상황에서 복잡한 과학전람회
홍ㅇㅇ
이용한 로봇의 코딩을 사용하는 것이 아닌 물리적인 (2020)
안정한 착지 연구 방법을 사용하여 가장 효과적으로 대
비할 수 있는 로봇 모델을 찾고, 이
모델을 모든 로봇에 일반화하여 적용
하기 위해 본 연구를 진행함

- 5 -
인터넷 검색창에서
[국립중앙과학관]
검색 후,
① 특별전·행사 →
② 전국과학전람회 →
③ 전람회 통합검색
클릭!

검색어 입력창에
[물병], [포물선],
[관성], [중력],
[보틀플립] 등을
입력하여 검색!

[그림 2] 국립중앙과학관에서 과학전람회 선행 연구 검색

선행 연구 탐색에서 얻은 시사점
인터넷 사이트 및 논문, 물리 서적 등의 여러 자료를 찾아본 결과 관련 이론에 관한 여러
가지 연구들이 소개되어 있었으나 [공중제비 후의 물병은 어떻게 중심을 잘 잡는 것일까?]와
비슷한 연구는 없었다. 그러나 선행 연구물들의 기법을 참고하여 참신한 탐구를 한다면 유용
한 연구물이 되리라 기대해본다.

III. 탐구과제의 선정

공중제비 후의 물병은 어떻게 중심을 잘 잡는 지의 이유를 밝히고자 아래와 같은 탐구과제


를 선정하여 연구하였다.

 탐구과제 1. 자유낙하 한 물병과 공중제비 한 물병의 중심 잡기는 어떻게 다를까?


 탐구과제 2. 중심을 잘 잡는 물병은 어떤 특징을 갖고 있을까?
 탐구과제 3. 공중제비 후 물병이 중심을 잘 잡을 수 있는 장치를 만들 수 있을까?
 탐구과제 4. 자유낙하 및 공중제비 후 착지까지 물병 속의 물은 어떻게 움직일까?

- 6 -
IV. 탐구방법 및 결과

▣ 탐구과제 1. 자유낙하 한 물병과 공중제비 한 물병의 중심 잡기는 어떻게 다를까?


다를까?
1. 자유낙하 한 물병은 얼마나 중심을 잘 잡을까?
가. 탐구 방법
1) 의문점: 공중에서 바로 자유낙하 한 물병은 얼마나 중심을 잘 잡을까?
2) 예상: 물의 양이 너무 많거나 적으면 중심을 잘 잡지 못할 것이다. 물병을 떨어뜨리는
높이가 높을수록 중심을 잘 잡지 못할 것이다.
3) 300mL 물병 11개를 준비한다.
4) 계량컵을 이용하여 각각의 물병에 물의 양을 0, 30, 60, 90, …, 300mL로 채운다.
5) 각각의 물병을 공중에서 바로 자유낙하 시키고, 중심을 잡은 횟수를 기록한다.
6) 물병을 떨어뜨리는 높이를 30, 50, 70, 90, 110㎝로 바꿔가며 실험을 반복한다.
7) 통제변인: 물병의 모양과 크기
8) 조작변인: 물의 양, 물병을 떨어뜨리는 높이

나. 탐구 과정 및 결과

물의 양이 다른 물병 11개 30㎝에서의 자유낙하 90㎝에서의 자유낙하


[그림 3] 자유낙하 한 물병의 중심 잡기 실험 모습

<표 2> 자유낙하 한 물병의 중심 잡기 실험 결과(단위: 회, N=200)


물의 양(mL)
구분
0 30 60 90 120 150 180 210 240 270 300
30 0 16 21 28 27 48 32 22 12 5 0
50 0 4 12 15 43 23 15 13 7 2 0
높이
70 0 2 6 14 29 10 6 6 2 0 0
(㎝)
90 0 0 4 12 13 6 1 0 0 0 0
110 0 0 0 4 9 3 1 0 0 0 0

- 7 -
다. 알게 된 점
1) 물의 양이 90, 120, 150mL 등으로 1/3~1/2 정도일 때, 물병은 중심을 가장 잘 잡았다.
물의 양이 1/3보다 적거나, 1/2보다 많아지면 물병은 중심을 잘 잡지 못했다.
2) 물병을 자유낙하 시키는 높이가 30㎝ 정도로 낮을 때는 물의 양이 많아져도 중심을 잡
는 경우가 많았다. 그러나 자유낙하 시키는 높이가 점점 높아질수록, 물병은 중심을 잘
잡지 못했다.
3) 실험을 처음 시작할 때는 물병을 자유낙하 시키는 것이 익숙하지 않아서 물병이 중심을
잡는 횟수가 적었는데, 실험을 계속하면서 요령이 생겨 물병이 중심을 잡는 횟수가 점
점 늘어났다. 그러나 물병을 떨어뜨리는 위치와 각도가 일정하지 않아서 결과가 불규칙
적이라는 생각이 들어서 자유낙하 장치를 만들면 좋겠다고 생각했다.

2. 자유낙하 장치를 이용한 물병은 중심을 더 잘 잡을까?


가. 탐구 방법
1) 의문점: 자유낙하 장치를 이용한 물병은 공중에서 바로 자유낙하 한 물병보다 중심을
더 잘 잡을까?
2) 예상: 자유낙하 장치를 이용한 물병이 중심을 더 잘 잡을 것이다.
3) 300mL 물병 11개를 준비한다.
4) 계량컵을 이용하여 각각의 물병에 물의 양을 0, 30, 60, 90, …, 300mL로 채운다.
5) 스탠드, 밑면이 뚫린 원기둥, 50㎝ 자 등을 이용하여 자유낙하 장치를 만든다.
6) 각각의 물병을 자유낙하 장치를 이용해 떨어뜨리고, 중심을 잡은 횟수를 기록한다.
7) 물병을 떨어뜨리는 높이를 30, 50, 70, 90, 110㎝로 바꿔가며 실험을 반복한다.
8) 통제변인: 물병 및 자유낙하 장치의 모양과 크기
9) 조작변인: 물의 양, 물병을 떨어뜨리는 높이

나. 탐구 과정 및 결과

30㎝에서의 자유낙하 50㎝에서의 자유낙하 110㎝에서의 자유낙하


[그림 4] 자유낙하 장치를 이용한 물병의 중심 잡기 실험 모습

- 8 -
<표 3> 자유낙하 장치를 이용한 물병의 중심 잡기 실험 결과(단위: 회, N=200)
물의 양(mL)
구분
0 30 60 90 120 150 180 210 240 270 300
30 1 36 26 37 39 62 68 95 38 14 5
50 0 5 28 32 103 88 26 32 23 2 0
높이
70 0 4 16 37 56 21 8 9 11 0 0
(㎝)
90 2 3 14 21 17 11 2 0 0 0 0
110 0 2 2 21 12 4 2 0 0 0 0

다. 알게 된 점
1) 공중에서 바로 자유낙하 시킨 물병과 마찬가지로 물의 양이 90, 120, 150mL 등으로
1/3~1/2 정도일 때, 물병은 중심을 가장 잘 잡았다. 역시 물의 양이 1/3보다 적거나, 1/2
보다 많아지면 물병은 중심을 잘 잡지 못했다. 앞의 실험과 이번 실험을 통해서 물의
양이 1/3~1/2 정도일 때, 물병은 중심을 잘 잡는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그래서 앞으
로의 실험에서는 경우에 따라서 물의 양이 90mL보다 적은 경우와 150mL보다 많은 경
우는 생략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했다.
2) 자유낙하 장치를 이용하는 경우에도 물병을 자유낙하 시키는 높이가 30㎝ 정도로 낮을
때는 물의 양이 많아져도 중심을 잡는 경우가 많았다. 그러나 자유낙하 시키는 높이가
점점 높아질수록, 물병은 중심을 잘 잡지 못했다. 역시 실험을 계속하면서 요령이 생겨
물병이 중심을 잡는 횟수가 점점 늘어났다. 물의 양이 210mL이고 자유낙하 시키는 높
이가 30㎝였을 때 중심을 잡는 횟수가 95회로 많았지만, 이것은 특이한 경우로 생각되
어 큰 의미를 부여하지 않았다.
3) 당초 예상과 마찬가지로 공중에서 바로 자유낙하 시킨 물병보다 자유낙하 장치를 이
용한 물병이 중심을 더 잘 잡았다. 특히 물의 양이 90, 120, 150mL 등으로 1/3~1/2 정
도일 때, 공중에서 바로 자유낙하 시킨 물병(284회 / 9.5%)보다 자유낙하 장치를 이용
한 물병(561회 / 18.7%)이 중심을 잡는 횟수가 2배 정도 증가하였다.

◇ 추가 탐구 ◇
- 의문: 자유낙하 한 물병이 착지 후, 중심을 잘 잡기 위한
지면과의 각도
- 탐구 방법: 동영상 화면과 온라인 각도기를 활용하여 측정
- 결과: 대체로 수직에서 3~4° 이내로 착지함

3. 공중제비 한 물병은 얼마나 중심을 잘 잡을까?


가. 탐구 방법
1) 의문점: 공중제비 한 물병은 공중에서 바로 자유낙하 한 물병보다 중심을 더 잘 잡을까?
2) 예상: 공중제비 한 물병이 중심을 더 잘 잡지 못할 것이다.
3) 300mL 물병 11개를 준비한다.

- 9 -
4) 계량컵을 이용하여 각각의 물병에 물의 양을 0, 30, 60, 90, …, 300mL로 채운다.
5) 각각의 물병을 한 바퀴 돌려 떨어뜨리고, 중심을 잡은 횟수를 기록한다.
6) 물병을 돌려 떨어뜨리는 높이를 30, 50, 70, 90, 110㎝로 바꿔가며 실험을 반복한다.
7) 통제변인: 물병의 모양 및 크기, 물병을 돌리는 방법(최대한 같도록 유지)
8) 조작변인: 물의 양, 물병을 떨어뜨리는 높이

나. 탐구 과정 및 결과

30㎝에서 회전하기 70㎝에서 회전하기 90㎝에서 회전하기


[그림 5] 공중제비 한 물병의 중심 잡기 실험 모습

<표 4> 공중제비 한 물병의 중심 잡기 실험 결과(단위: 회, N=200)


물의 양(mL)
구분
0 30 60 90 120 150 180 210 240 270 300
30 0 4 22 48 42 35 22 17 13 7 5
50 0 2 16 43 38 27 15 10 6 2 2
높이
70 0 4 12 26 28 22 10 8 4 0 0
(㎝)
90 0 2 4 12 20 14 7 2 0 0 0
110 0 0 6 4 13 10 4 2 0 0 0

다. 알게 된 점
1) 공중에서 바로 자유낙하 시킨 물병 및 자유낙하 장치를 이용한 물병 등 앞의 두 가지
실험과 마찬가지로 물의 양이 90, 120, 150mL 등으로 1/3~1/2 정도일 때, 물병은 중심을
가장 잘 잡았다. 역시 물의 양이 1/3보다 적거나, 1/2보다 많아지면 물병은 중심을 잘
잡지 못했다. 앞으로의 실험에서는 경우에 따라서 물의 양이 90mL보다 적은 경우와
150mL보다 많은 경우는 생략하는 것이 필요하겠다고 생각했다.
2) 공중제비 한 물병이 중심을 더 잘 잡지 못할 것이라는 예상과는 달리 물의 양이 90,
120, 150mL 등으로 1/3~1/2 정도일 때, 공중에서 바로 자유낙하 시킨 물병(284회 /
9.5%)보다 공중제비 한 물병(382회 / 12.7%)이 중심을 더 잘 잡는다는 사실을 알게 되
었으며, 그 이유가 무엇인가에 대해서 궁금증이 생겼다.
3) 사람마다 물병을 돌리는 방법과 힘이 모두 달라서, 일정한 방법과 힘으로 물병을 돌릴
수 있는 장치를 만들면 좋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 10 -
◇ 추가 탐구 ◇
- 의문: 물병 속에 물이 아닌 액체를 넣으면 어떻게 될까?
- 탐구 방법: 300mL 물병에 알코올, 식용유, 꿀 등을 각각
120mL씩 넣고 30㎝의 높이에서 자유낙하와 공중제
비를 시킴
- 결과: 알코올 > 식용유 > 꿀
(점성이 작을수록 중심을 잘 잡음)

4. 공중제비 장치를 이용한 물병은 중심을 더 잘 잡을까?


가. 탐구 방법
1) 의문점: 공중제비 장치를 이용한 물병은 손으로 공중제비를 시킨 물병보다 중심을 더
잘 잡을까?
2) 예상: 공중제비 장치를 이용한 물병이 중심을 더 잘 잡을 것이다.
3) 300mL 물병 11개를 준비한다.
4) 계량컵을 이용하여 각각의 물병에 물의 양을 0, 30, 60, 90, …, 300mL로 채운다.
5) 과학상자를 이용하여 탁구공 발사대를 변형한 공중제비 장치 [1]을 만든다.
6) 고무줄과 책상을 이용하여 공중제비 장치 [2]를 만든다.
7) 물병을 떨어뜨리는 높이를 30, 50, 70, 90, 110㎝로 바꿔가며 실험을 반복한다.
8) 통제변인: 물병 및 공중제비 장치의 모양과 크기
9) 조작변인: 물의 양, 물병을 떨어뜨리는 높이

나. 탐구 과정 및 결과

공중제비 장치 [1]을 이용한 실험 모습 공중제비 장치 [2]를 이용한 실험 모습


[그림 6] 공중제비 장치 [1]과 [2]를 이용한 물병의 중심 잡기 실험 모습

다. 알게 된 점
1) 예상과는 달리 탁구공 발사대를 변형한 공중제비 장치 [1]은 모터와 고무밴드의 힘이
약해서 물병을 제대로 움직이게 할 수 없었다. 20~400g 정도의 물병을 쉽게 움직이게

- 11 -
하려면 고무밴드보다는 훨씬 더 강한 힘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2) 고무줄과 책상을 이용한 공중제비 장치 [2]는 물병을 쉽게 움직일 수는 있었지만, 고무
줄의 힘이 너무 강해서 물병이 한 바퀴를 정확하게 돌도록 할 수는 없었다.
3) 물병이 한 바퀴를 정확하게 돌도록 하려면, 조절이 가능하면서 적당한 힘을 가진 다
른 방법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5. 물병의 크기가 달라지면 중심 잡기의 결과도 달라질까?


가. 탐구 방법
1) 의문점: 물병의 크기가 달라지면 물의 양과 물병을 떨어뜨리는 높이에 따른 중심 잡기
의 결과도 달라질까?
2) 예상: 물병의 크기가 달라져도 중심 잡기의 결과는 비슷할 것이다.
3) 500mL 물병 4개를 준비한다.
4) 계량컵을 이용하여 각각의 물병에 물의 양을 100, 200, 300, 400mL로 채운다.
5) 각각의 물병을 자유낙하 장치를 이용해 떨어뜨리고, 중심을 잡은 횟수를 기록한다.
6) 각각의 물병을 한 바퀴 돌려 떨어뜨리고, 중심을 잡은 횟수를 기록한다.
7) 물병을 자유낙하 및 공중제비로 떨어뜨리는 높이를 30, 50, 70㎝로 바꿔가며 실험을 반
복한다.
8) 통제변인: 물병의 모양 및 크기, 물병을 돌리는 방법(최대한 같도록 유지)
9) 조작변인: 물의 양, 물병을 떨어뜨리는 높이

나. 탐구 과정 및 결과

물의 양이 다른 500mL 물병 4개 자유낙하 실험 모습 공중제비 실험 모습


[그림 7] 500mL 물병의 중심 잡기 실험 모습

<표 5> 500mL 물병의 중심 잡기 실험 결과(단위: 회, N=100)


물의 양(mL)
구분
100 200 300 400
30㎝ 16 20 12 3
자유낙하 50㎝ 13 17 5 2
70㎝ 4 6 2 0

- 12 -
물의 양(mL)
구분
100 200 300 400
30㎝ 11 22 10 4
공중제비 50㎝ 8 14 7 2
70㎝ 6 9 2 0

다. 알게 된 점
1) 예상과 마찬가지로 물병의 크기가 달라져도 물의 양이 1/3~1/2 정도일 때, 물병은 중
심을 가장 잘 잡았다.
2) 물병을 자유낙하 및 공중제비로 떨어뜨리는 높이가 점점 높아질수록, 물병은 중심을 잘
잡지 못했다.

▣ 탐구과제 2. 중심을 잘 잡는 물병은 어떤 특징을 갖고 있을까?


있을까?
1. 중심을 잘 잡는 물병은 외부의 충격에도 잘 견딜까?
가. 탐구 방법
1) 의문점: 중심을 잘 잡는 물병(물의 양이 90, 120, 150mL인 경우)은 외부의 충격에도 잘
견딜까?
2) 예상: 중심을 잘 잡는 물병(물의 양이 90, 120, 150mL인 경우)은 외부의 충격에도 잘 견
딜 것이다.
3) 300mL 물병 11개를 준비한다.
4) 계량컵을 이용하여 각각의 물병에 물의 양을 0, 30, 60, 90, …, 300mL로 채운다.
5) 과학상자를 이용하여 물병에 충격을 줄 수 있는 장치를 만든다.
6) 장치의 각도를 바꿔가며 각각의 물병에 충격을 준 후, 중심을 잃은 각도를 기록한다.
7) 물병에 충격을 주는 부분을 위, 가운데, 아래로 바꿔가며 실험을 반복한다.
8) 통제변인: 물병과 충격 장치의 모양 및 크기
9) 조작변인: 물의 양, 물병에 충격을 주는 부분, 충격 장치의 각도

나. 탐구 과정 및 결과

각도기

충격 장치의 모습 100°의 높이에서 충격 주기 140°의 높이에서 충격 주기


[그림 8] 물병에 외부의 충격 주기 실험 모습

- 13 -
<표 6> 물병에 외부의 충격 주기 실험 결과
물의 양(mL)
구분
0 30 60 90 120 150 180 210 240 270 300
위(13㎝) 10° 40° 60° 70° 90° 100° 100° 110° 150° 110° 110°
충격
가운데(7㎝) 10° 40° 70° 70° 70° 100° 80° 110° 100° 80° 90°
위치
아래(1㎝) 50° 90° 180° 중심을 잃지는 않고 뒤로 밀려남 180° 180° 130°

다. 알게 된 점
1) 윗부분과 가운데 부분에 충격을 주었을 경우에는 물의 양이 많아질수록(무거워질수록)
외부의 충격을 잘 견디면서 중심을 잡았다. 특히 물의 양이 210, 240mL 정도일 때 중심
을 가장 잘 잡았으며, 이후에는 다시 중심을 잃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으로 보아 무
게가 무거워질수록 중심을 잘 잡았지만, 물체의 윗부분에 무게중심이 있으면 중심을 잘
잡지 못한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2) 아랫부분에 충격을 주었을 경우에는 물의 양에 관계없이 대체로 윗부분과 가운데 부분
보다 충격을 잘 견디면서 중심을 잡았다. 특히 물의 양이 90~210mL일 때는 아랫부분의
충격에도 중심을 잃지 않고 뒤로 밀려나기만 했다.
3) 예상대로 중심을 잘 잡는 물병(물의 양이 90, 120, 150mL인 경우)은 외부의 충격에도
잘 견뎠다.

2. 중심을 잘 잡는 물병은 기울기도 잘 견딜까?


가. 탐구 방법
1) 의문점: 중심을 잘 잡는 물병(물의 양이 90, 120, 150mL인 경우)은 기울기도 잘 견딜까?
2) 예상: 중심을 잘 잡는 물병(물의 양이 90, 120, 150mL인 경우)은 기울기도 잘 견딜 것이
다.
3) 300mL 물병 11개를 준비한다.
4) 계량컵을 이용하여 각각의 물병에 물의 양을 0, 30, 60, 90, …, 300mL로 채운다.
5) 과학상자를 이용하여 기울기에 변화를 줄 수 있는 장치를 만든다.
6) 기울기에 변화를 준 후, 물병이 중심을 잃은 각도를 기록한다.
7) 통제변인: 물병과 기울기 장치의 모양 및 크기
8) 조작변인: 물의 양, 장치의 기울기

나. 탐구 과정 및 결과

<표 7> 물병의 기울기 견딤 실험 결과(○: 견딤, ×: 쓰러짐)


물의 양(mL)
구분
0 30 60 90 120 150 180 210 240 270 300
10° ○ ○ ○ ○ ○ ○ ○ ○ ○ ○ ○
기울기
15° × ○ ○ ○ ○ ○ ○ ○ ○ ○ ○

- 14 -
물의 양(mL)
구분
0 30 60 90 120 150 180 210 240 270 300
20° × ○ ○ ○ ○ ○ ○ ○ ○ ○ ○
25° × ○ ○ ○ ○ ○ ○ ○ ○ ○ ×
30° × ○ ○ ○ ○ ○ ○ ○ ○ × ×
기울기 35° × ○ ○ ○ ○ ○ ○ ○ × × ×
40° × ○ ○ ○ ○ ○ ○ × × × ×
45° × × ○ ○ ○ ○ × × × × ×
50° × × ○ ○ ○ × × × × × ×

[그림 9] 물병의 기울기 견딤 실험 모습

다. 알게 된 점
1) 물의 양이 0mL일 때는 15°의 기울기에서 바로 쓰러졌으며, 60~120mL일 때는 10°~
50°의 기울기까지 잘 견디면서 중심을 잡았다. 150mL일 때는 45°까지는 잘 견뎠으
나, 50°에서 쓰러졌다. 180mL 이후부터는 물의 양이 많아짐에 따라 점점 기울기를 잘
견디지 못하고 쓰러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2) 물의 양에 관계없이 대체로 기울기가 급할수록 중심을 잘 잡지 못하고 쓰러졌다.
3) 예상대로 중심을 잘 잡는 물병(물의 양이 90, 120, 150mL인 경우)은 기울기도 잘 견뎠다.

3. 중심을 잘 잡는 물병은 진동도 잘 견딜까?


가. 탐구 방법
1) 의문점: 중심을 잘 잡는 물병(물의 양이 90, 120, 150mL인 경우)은 진동도 잘 견딜까?
2) 예상: 중심을 잘 잡는 물병(물의 양이 90, 120, 150mL인 경우)은 진동도 잘 견딜 것이다.
3) 300mL 물병 11개를 준비한다.
4) 계량컵을 이용하여 각각의 물병에 물의 양을 0, 30, 60, 90, …, 300mL로 채운다.
5) 교육청과학원의 지진 실험장치를 이용하여 물병에 진동을 주는 실험을 한다.
6) 진동의 단계에 변화를 준 후, 물병이 중심을 잃은 단계를 기록한다.

- 15 -
7) 통제변인: 물병과 지진 실험장치의 모양 및 크기
8) 조작변인: 물의 양, 진동의 세기

나. 탐구 과정 및 결과

[그림 10] 교육청과학원 방문 및 물병의 진동 견딤 실험 모습

1) 지진 실험장치를 이용하여 물병에 진동을 준 결과, 11개의 물병 모두 쓰러지지 않고 중


심을 잘 잡았다. 지진 실험장치의 진동 세기를 1단계부터 5단계까지 변화를 주어가면서
실험을 반복했지만 결과는 같았다.
2) 진동의 세기가 커지면서 물병과 물병 속의 물이 흔들리는 현상, 또는 물병이 흔들리면
서 자리를 이동하는 현상이 발생했다.

다. 알게 된 점
1) 예상과는 달리 지진 실험장치를 이용하여 물병에 진동을 준 결과, 물병은 모두 쓰러지
지 않고 중심을 잘 잡았다.
2) 물의 양이 적을수록(가벼울수록) 진동에 의해 물병과 물의 흔들림이 심하게 발생했다.

4. 어떤 모양의 물병이 중심을 잘 잡을까?


가. 탐구 방법
1) 의문점: 물의 양이 90, 120, 150mL인 경우 어떤 모양의 물병이 중심을 잘 잡을까?
2) 예상: 네모 모양의 물병보다 둥근 모양의 물병이 중심을 잘 잡을 것이다.
3) 300mL 네모 모양의 물병 3개를 준비한다.
4) 계량컵을 이용하여 각각의 물병에 물의 양을 90, 120, 150mL로 채운다.
5) 각각의 물병을 자유낙하 장치를 이용해 떨어뜨리고, 중심을 잡은 횟수를 기록한다.
6) 각각의 물병을 한 바퀴 돌려 떨어뜨리고, 중심을 잡은 횟수를 기록한다.
7) 물병을 자유낙하 및 공중제비로 떨어뜨리는 높이를 30, 50, 70㎝로 바꿔가며 실험을 반
복하고, 그 결과를 둥근 모양의 물병과 비교한다.
8) 통제변인: 물병의 모양 및 크기, 물병을 돌리는 방법(최대한 같도록 유지)

- 16 -
9) 조작변인: 물의 양, 물병을 떨어뜨리는 높이

나. 탐구 과정 및 결과

자유낙하 실험 모습 공중제비 실험 모습 물의 움직임(동영상 캡처)


[그림 11] 네모 모양 물병의 중심 잡기 실험 모습 및 동영상 캡처

<표 8> 네모 모양 물병의 중심 잡기 실험 결과 및 비교(단위: 회, N=200)


네모 모양 둥근 모양
구분
90mL 120mL 150mL 90mL 120mL 150mL
30㎝ 26 28 34 37 39 62
자유낙하 50㎝ 21 25 31 32 103 88
70㎝ 15 18 11 37 56 21
30㎝ 17 24 30 48 42 35
공중제비 50㎝ 21 29 20 43 38 27
70㎝ 12 14 9 26 28 22

다. 알게 된 점
1) 자유낙하에서 네모 모양의 물병은 209회(11.6%) 성공했고, 둥근 모양의 물병은 561회
(18.7%) 성공했다. 공중제비에서 네모 모양의 물병은 176회(9.8%) 성공했고, 둥근 모양의
물병은 382회(12.7%) 성공했다.
2) 예상대로 네모 모양의 물병보다 둥근 모양의 물병이 중심을 잘 잡았다. 네모 모양의
물병은 밑면이 각진 모양이었기 때문에 둥근 모양의 물병에 비해 불규칙적으로 튀어
오르는 경우가 많았으며, 안정적으로 착지하기가 힘들었다.
3) 물병의 모양이 물의 움직임에 영향을 주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네모 모양의 물병과 둥근
모양의 물병을 동시에 흔든 후 초고속 카메라를 활용하여 촬영한 결과, 물이 움직이는
모양은 달랐지만 흔들림이 멈추는 시간은 비슷했다.

- 17 -
▣ 탐구과제 3. 공중제비 후 물병이 중심을 잘 잡을 수 있는 장치를 만들 수 있을까?
있을까?
1. 높이와 빗면을 이용하면 만들 수 있을까?
가. 탐구 방법
1) 의문점: 높이와 빗면을 이용하면 공중제비 후 물병이 중심을 잘 잡을 수 있는 장치를
만들 수 있을까?
2) 예상: 공중제비 후 물병이 중심을 잘 잡을 수 있는 장치를 만들 수 있을 것이다.
3) 중심을 잘 잡는 물병(물의 양이 90, 120, 150mL인 경우)을 각각 하나씩 준비한다.
4) 높이와 빗면을 이용하여 공중제비 장치를 만든다.
5) 물병을 떨어뜨리는 높이를 30㎝, 90㎝, 110㎝로 바꿔가며 공중제비를 시킨다. 각 높이에
서 빗면의 각도를 15°, 30°, 45°로 바꿔준다.
6) 통제변인: 물병 및 공중제비 장치의 모양과 크기
7) 조작변인: 물의 양, 물병을 떨어뜨리는 높이, 빗면의 각도

나. 탐구 과정 및 결과

높이와 빗면을 이용한 공중제비 장치 공중제비 탐구 모습


[그림 12] 높이와 빗면을 이용한 공중제비 장치 및 공중제비 탐구 모습

1) 높이를 30㎝, 90㎝, 110㎝로 바꿔가며 공중제비를 시키고 각 높이에서 빗면의 각도를
15°, 30°, 45°로 바꿔주면서 공중제비를 시켜도 봤지만, 물병은 중심을 잘 잡지 못했
다. 성공 횟수는 200회 중에서 2회(1%)뿐이었다.
2) 높이와 각도에 따라서 조금의 차이는 있었지만, 물병은 한 바퀴를 회전하는 과정에서
옆면으로 떨어지는 경우가 많았다.

다. 알게 된 점
1) 높이와 빗면을 이용한 공중제비 장치는 공중제비 후 물병이 중심을 잘 잡도록 하는 것
이 어려웠다.
2) 높이를 더 높게 하거나, 빗면의 각도를 수정하여 공중제비를 할 때 물병의 회전속도
를 빠르게 해준다면 착지 후 중심을 잘 잡도록 하는 것이 가능할 수도 있겠다고 생
각했다.

- 18 -
2. 배구공의 탄성을 이용하면 만들 수 있을까?
가. 탐구 방법
1) 의문점: 배구공의 탄성을 이용하면 공중제비 후 물병이 중심을 잘 잡을 수 있는 장치를
만들 수 있을까?
2) 예상: 공중제비 후 물병이 중심을 잘 잡을 수 있는 장치를 만들 수 있을 것이다.
3) 중심을 잘 잡는 물병(물의 양이 90, 120, 150mL인 경우)을 각각 하나씩 준비한다.
4) 공기의 압력을 다르게 한 배구공 3개를 준비한다. 공기의 압력은 손가락으로 눌렀을 때
들어가는 깊이에 따라 0.5㎝, 1㎝, 1.5㎝로 한다.
5) 배구공을 튕겨서 물병을 떨어뜨리는 높이를 30㎝, 50㎝, 70㎝로 바꿔가며 공중제비를
시킨다. 각 높이에서 압력을 다르게 준비한 배구공도 바꿔준다.
6) 통제변인: 물병 및 배구공의 모양과 크기
7) 조작변인: 물의 양, 배구공을 튕겨서 물병을 떨어뜨리는 높이, 배구공의 압력

나. 탐구 과정 및 결과

배구공의 탄성을 이용한 공중제비 장치 공중제비 탐구 모습


[그림 13] 배구공의 탄성을 이용한 공중제비 장치 및 공중제비 탐구 모습

1) 배구공을 튕겨서 물병을 떨어뜨리는 높이를 30㎝, 50㎝, 70㎝로 바꿔가며 공중제비를
시키고 각 높이에서 배구공을 바꿔주면서 공중제비를 시켜도 봤지만, 물병은 중심을 잘
잡지 못했다. 성공 횟수는 높이와 빗면을 이용한 공중제비 장치보다 조금 나아서 200회
중에서 4회(2%)를 성공했다.
2) 배구공이 튕긴 후 공중제비를 한 물병이 어느 방향으로 착지할지 몰라서 탐구하는데 어
려움을 겪었다.

다. 알게 된 점
1) 예상과는 달리 배구공의 탄성을 이용한 공중제비 장치는 공중제비 후 물병이 중심을 잘
잡도록 하는 것이 어려웠다.
2) 배구공의 탄성이 물병의 회전속도를 빠르게 해줘서 공중제비를 시키는 것은 수월했으
나, 물의 양에 따라서 적합한 압력을 가진 배구공과 높이를 찾는 것이 어려웠다.

- 19 -
3. 지렛대를 이용하면 만들 수 있을까?
가. 탐구 방법
1) 의문점: 지렛대를 이용하면 공중제비 후 물병이 중심을 잘 잡을 수 있는 장치를 만들
수 있을까?
2) 예상: 공중제비 후 물병이 중심을 잘 잡을 수 있는 장치를 만들 수 있을 것이다.
3) 중심을 잘 잡는 물병(물의 양이 90, 120, 150mL인 경우)을 각각 하나씩 준비한다.
4) 스탠드, 밑면이 뚫린 원기둥, 50㎝ 자, 지렛대 등을 이용하여 공중제비 장치를 만든다.
5) 지렛대의 한쪽 끝(작용점)에 물병을 세우고, 반대쪽 끝(힘점)에서 같은 무게의 물병을 높
이를 다르게 하며 떨어뜨린다.
6) 통제변인: 물병 및 공중제비 장치의 모양과 크기, 물병을 세우고 떨어뜨리는 위치
7) 조작변인: 물의 양(무게), 물병을 떨어뜨리는 높이

나. 탐구 과정 및 결과

1단계 2단계

3단계 4단계
[그림 14] 지렛대를 이용한 공중제비 장치 및 공중제비 탐구 모습

- 20 -
1) 1단계: 지렛대의 한쪽 끝(작용점)에 물병을 세운다.
2) 2단계: 반대쪽 끝(힘점)에서 같은 무게의 물병을 높이를 다르게 하며 떨
어뜨린다.
3) 3단계: 힘점에 떨어진 물병의 힘에 의해 작용점의 물병이 공중제비를 시
작한다.
4) 4단계: 공중제비를 한 후, 물병이 중심을 잡고 착지한다. 또는 실패한다.
5) 1~4단계를 반복하며, 물의 양이 90, 120, 150mL인 물병이 공중제비 후 중심을 잘 잡을
수 있는 높이를 찾는다. 적당한 높이를 찾아서 공중제비를 시킨 후, 중심을 잡은 횟수
를 기록한다.

<표 9> 지렛대를 이용한 공중제비 탐구 과정 및 결과


힘점에 떨어뜨리는 중심을 잡은 횟수(N=200)
물의 양(mL) 무게(g)
높이(㎝) 1차 2차 3차
90 103 34±1 48(24%) 62(31%) 68(34%)
120 133 36±1 44(22%) 60(30%) 68(34%)
150 163 39±1 38(19%) 48(24%) 52(26%)

다. 알게 된 점
1) 앞의 실험(탐구과제 1-3)에서 중심을 잘 잡는 물병(물의 양이 90, 120, 150mL인 경우)
으로 공중제비를 하였을 때 평균 12.7%의 확률로 성공하였으나, 지렛대를 이용한 공
중제비 장치를 통해 공중제비 한 물병이 중심을 잡을 확률은 1차(21.7%) → 2차
(28.3%) → 3차(31.3%)로 크게 늘어났다.
2) 지렛대를 이용한 공중제비 장치는 물의 양과 떨어뜨리는 높이에 따라 장치의 모양을 계
속해서 조정해야 한다는 어려운 점이 있었지만, 공중제비 후 물병의 중심을 잘 잡을 수
있었다.
3) 지렛대를 이용한 장치이기 때문에 공중제비 한 물병이 포탄처럼 날아가는 모습을 보여
서 손으로 공중제비 한 물병의 움직임과는 다르다는 아쉬운 점이 있었다.

4. 지렛대와 고무밴드를 이용하면 만들 수 있을까?


가. 탐구 방법
1) 의문점: 지렛대와 고무밴드를 이용하면 손으로 공중제비 한 물병의 움직임과 같은 장치
를 만들 수 있을까?
2) 예상: 손으로 공중제비 한 물병의 움직임과 같은 장치를 만들 수 있을 것이다.
3) 중심을 잘 잡는 물병(물의 양이 90, 120, 150mL인 경우)을 각각 하나씩 준비한다.
4) 스탠드, 밑면이 뚫린 원기둥, 50㎝ 자, 지렛대, 고무밴드 등을 이용하여 공중제비 장치
를 만든다.
5) 지렛대의 한쪽 끝(작용점)에 물병을 세우고, 반대쪽 끝(힘점)에서 300mL 물병을 높이를
다르게 하며 떨어뜨린다.

- 21 -
6) 통제변인: 물병 및 공중제비 장치의 모양과 크기, 물병을 세우고 떨어뜨리는 위치
7) 조작변인: 물의 양(무게), 물병을 떨어뜨리는 높이

나. 탐구 과정 및 결과

1단계 2단계

3단계 4단계
[그림 15] 지렛대와 고무밴드를 이용한 공중제비 장치 및 공중제비 탐구 모습

1) 1단계: 지렛대의 한쪽 끝(작용점)에 물병을 세우고 고무밴드를 건다.


2) 2단계: 반대쪽 끝(힘점)에서 300mL의 물병을 높이를 다르게 하며 떨어
뜨린다.
3) 3단계: 힘점에 떨어진 물병의 힘과 고무밴드의 탄성에 의해 작용점의
물병이 공중제비를 시작한다.
4) 4단계: 공중제비를 한 후, 물병이 중심을 잡고 착지한다. 또는 실패한다.
5) 1~4단계를 반복하며, 물의 양이 90, 120, 150mL인 물병이 공중제비 후 중심을 잘 잡을
수 있는 높이를 찾는다. 적당한 높이를 찾아서 공중제비를 시킨 후, 중심을 잡은 횟수
를 기록한다.

- 22 -
<표 10> 지렛대와 고무밴드를 이용한 공중제비 탐구 과정 및 결과
힘점에 떨어뜨리는 중심을 잡은 횟수(N=200)
물의 양(mL) 무게(g)
높이(㎝) 1차 2차 3차
90 103 39±1 60(30%) 66(33%) 68(34%)
120 133 42±1 62(31%) 72(36%) 76(38%)
150 163 45±1 46(23%) 52(26%) 52(26%)

다. 알게 된 점
1) 지렛대와 고무밴드를 이용한 공중제비 장치를 통해 공중제비 한 물병이 중심을 잡을
확률은 1차(28.0%) → 2차(31.7%) → 3차(32.7%)로 늘어났다.
2) 지렛대와 고무밴드를 이용한 공중제비 장치는 앞의 장치에 비해 고무밴드를 거는 과정
이 하나 더 추가되면서, 손으로 공중제비 한 것과 같은 물병의 움직임을 만들어낼 수
있었고 공중제비 후 물병의 중심을 더 잘 잡을 수 있었다.
3) 이처럼 탐구를 계속하고, 실패 후에는 보완하고 자료를 쌓아나가는 과정을 거치면서 완
벽에 가까운 로봇팔과 인공 지능을 개발해 가는 것이라는 것을 느꼈다.

◇ 추가 탐구 ◇
- 의문: 공중제비 한 물병이 착지 후, 중심을 잘 잡기 위한
지면과의 각도
- 탐구 방법: 동영상 화면과 온라인 각도기를 활용하여 측정
- 결과: 대체로 수직에서 8~10° 이내로 착지함

▣ 탐구과제 4. 자유낙하 및 공중제비 후 착지까지 물병 속의 물은 어떻게 움직일까?


움직일까?
1. 자유낙하 후 착지까지 물병 속의 물은 어떻게 움직일까?
가. 탐구 방법
1) 의문점: 자유낙하 후 착지까지 물병 속의 물은 어떻게 움직일까?
2) 예상: 자유낙하를 시작하면 물병 속의 물은 위로 움직였다가 착지하면서 아래로 내려올
것이다.
3) 중심을 잘 잡는 물병(물의 양이 90, 120, 150mL인 경우)을 각각 하나씩 준비한다.
4) 물병을 자유낙하 시킨 후, 착지할 때까지의 과정을 촬영한다.
5) 물병을 바꿔가며 자유낙하와 촬영을 반복한다.
6) 통제변인: 물병의 모양과 크기, 물병을 떨어뜨리는 높이(50㎝)
7) 조작변인: 물의 양

나. 탐구 과정 및 결과
1) 1단계: 자유낙하를 시작하는 단계로서, 물병 속 물의 움직임은 거의 없다.
2) 2단계: 자유낙하 후 처음 지면에 닿기 직전의 단계로서, 여전히 물병 속 물의 움직임은

- 23 -
별로 없다.
3) 3단계: 물병이 처음 지면에 닿은 단계로서 물의 가운데 부분이 튀어 오
르기 시작한다.
4) 4단계: 지면에 닿은 물병이 다시 튀어 오르기 시작하면서, 물의 가운데
부분이 뚜껑까지 치솟아 오른다. 주변의 다른 물도 벽면을 타고 오른다.
5) 5단계: 물병이 다시 낙하하는 단계로, 위로 치솟았던 물이 벽면을 타고 아래로 내려온다.
6) 6단계: 물이 벽면을 타고 차례대로 내려오면서 무게중심의 이동과 마찰력에 의해 정지
한다.

1단계 2단계 3단계

4단계 5단계 6단계

[그림 16] 자유낙하 후 착지까지 물병 속 물의 움직임

다. 알게 된 점
1) 예상과는 달리, 물병이 자유낙하 후 처음으로 지면에 닿을 때까지 물의 움직임은 거의
없었다.
2) 물병이 처음 지면에 닿고 튀어 오를 때 물의 가운데 부분도 튀어 오르기 시작했고,
이후 물병의 뚜껑까지 치솟아 오르면서 주변의 다른 물도 벽면을 타고 올랐다.
3) 물병이 다시 낙하하면서 위로 치솟았던 물이 벽면을 타고 차례대로 내려오면서 무게중
심의 이동과 마찰력에 의해 정지했다.

- 24 -
2. 공중제비 후 착지까지 물병 속의 물은 어떻게 움직일까?
가. 탐구 방법
1) 의문점: 공중제비 후 착지까지 물병 속의 물은 어떻게 움직일까?
2) 예상: 회전속도에 의해 물병 속의 물이 밑면에 고정되어 있을 것이다.
3) 중심을 잘 잡는 물병(물의 양이 90, 120, 150mL인 경우)을 각각 하나씩 준비한다.
4) 물병을 공중제비 시킨 후, 착지할 때까지의 과정을 촬영한다.
5) 물병을 바꿔가며 공중제비와 촬영을 반복한다.
6) 통제변인: 물병의 모양과 크기
7) 조작변인: 물의 양, 힘점에 물병을 떨어뜨리는 높이

나. 탐구 과정 및 결과

1단계 2단계 3단계

4단계 5단계 6단계


[그림 17] 공중제비 후 착지까지 물병 속 물의 움직임

1) 1단계: 회전하는 속도에 의해서 윗부분의 물 중 일부가 물병의 벽면을 타고 흐르기 시


작하고, 아랫부분의 물은 관성에 의해 움직임이 거의 없다.
2) 2단계: 물병이 좀 더 빠르게 움직이면서 물병의 벽면을 타고 흘렀던 윗부분의 물은 계
속해서 아래로 흐르고, 머물러 있던 아랫부분의 물은 중력에 의해 반대쪽 벽면을 타고

- 25 -
흘러내린다.
3) 3단계: 물병의 회전에 따라 물도 빠르게 회전하면서 양쪽 벽을 타고 흐
르던 물이 물병의 뚜껑 부분으로 모인다. 물병의 가운데는 비어있다.
4) 4단계: 물병이 한 바퀴를 돌면서 회전속도가 감소하고, 위쪽의 물이 벽
면을 타고 아래로 흘러내린다. 물병의 가운데는 비어있다.
5) 5단계: 물병이 바로 서기 시작하며 물이 흘러내리고, 물병 전체를 물이 감싸는 것처럼
보인다. 물병의 가운데는 비어있다.
6) 6단계: 지면에 닿고 물병이 튀어 오르면서 물병 속의 물도 같이 튀어 올랐다가 윗부분
의 물이 벽면을 타고 차례대로 내려오면서 무게중심의 이동과 마찰력에 의해 정지한다.

다. 알게 된 점
1) 당초 예상과는 달리 물병 속의 물은 밑면에 고정되어 있지 않고 움직였으며, 그 모양은
자유낙하와는 달랐다. 전체의 물이 한꺼번에 움직이는 것이 아니라 물병의 회전속도에
의해서 윗부분의 물은 물병의 벽면을 타고 흐르고, 아랫부분의 물은 관성에 의해 움직
임이 거의 없다가 물병이 거꾸로 서면서 중력에 의해 흘러내렸다.
2) 물병의 회전속도가 증가하면서 양쪽 벽을 타고 흐르던 물이 물병의 뚜껑 부분으로 모이
면서 무게중심이 이동했으며, 회전속도는 감소되었다. 이때 물병 전체를 물이 감싸는
것처럼 흘러내렸으며, 물병의 가운데는 비어있었다.
3) 지면에 닿고 물병이 튀어 오르면서 물병 속의 물도 같이 튀어 올랐다가 아랫부분과 윗
부분의 물이 벽면을 타고 차례대로 내려오면서 무게중심의 이동과 마찰력에 의해 정지
했다.
4) 자유낙하 한 물병보다 공중제비 한 물병이 중심을 더 잘 잡는 이유는, 물병의 회전에
의해 물이 움직이며 무게중심을 빠르게 이동시키고, 물병의 회전속도를 줄여주어 착
지할 때 물병이 덜 튀어 오르게 하기 때문이다.

V. 종합 결론

공중제비 후의 물병은 어떻게 중심을 잘 잡는 것일까에 대한 궁금증을 밝히기 위한 탐구 활


동을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1. 탐구과제 1에서
자유낙하 한 물병과 공중제비 한 물병의 중심 잡기는 어떻게 다를까를 탐구한 결과,
가. 자유낙하 한 물병은 물의 양이 90, 120, 150mL 등으로 1/3~1/2 정도일 때 중심을 가장 잘
잡았다. 그러나 자유낙하 시키는 높이가 점점 높아질수록, 물병은 중심을 잘 잡지 못했는
데, 물병을 떨어뜨리는 위치와 각도가 일정하지 않아서 결과가 불규칙적이라는 생각이
들어서 자유낙하 장치를 만들면 좋겠다고 생각했다.

- 26 -
나. 자유낙하 장치를 이용한 물병은 공중에서 바로 자유낙하 시킨 물병과 마찬가지로 물의
양이 90, 120, 150mL 등으로 1/3~1/2 정도일 때 중심을 가장 잘 잡았다. 공중에서 바로
자유낙하 시킨 물병보다 자유낙하 장치를 이용한 물병이 중심을 더 잘 잡았는데, 물의
양이 90, 120, 150mL 등으로 1/3~1/2 정도일 때, 공중에서 바로 자유낙하 시킨 물병(284
회 / 9.5%)보다 자유낙하 장치를 이용한 물병(561회 / 18.7%)이 중심을 잡는 횟수가 2배
정도 증가하였다.
다. 공중제비 한 물병은 앞의 두 가지 실험과 마찬가지로 물의 양이 90, 120, 150mL 등으로
1/3~1/2 정도일 때 중심을 가장 잘 잡았다. 물의 양이 90, 120, 150mL 등으로 1/3~1/2 정
도일 때, 공중에서 바로 자유낙하 시킨 물병(284회 / 9.5%)보다 공중제비 한 물병(382회 /
12.7%)이 중심을 더 잘 잡는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으며, 그 이유가 무엇인가에 대해서
궁금증이 생겼다. 사람마다 물병을 돌리는 방법과 힘이 모두 달라서, 일정한 방법과 힘
으로 물병을 돌릴 수 있는 장치를 만들면 좋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라. 탁구공 발사대를 변형한 공중제비 장치 [1], 고무줄과 책상을 이용한 공중제비 장치 [2]는
물병이 공중제비 한 후에 중심을 잘 잡도록 할 수 없었다. 물병이 공중제비 한 후에 중
심을 잘 잡도록 하려면, 조절이 가능하면서 적당한 힘을 가진 다른 방법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마. 물병의 크기가 달라지면 물의 양과 물병을 떨어뜨리는 높이에 따른 중심 잡기의 결과도
달라질까라는 의문이 생겨서 실험한 결과, 물병의 크기가 달라져도 물의 양이 1/3~1/2 정
도일 때, 물병은 중심을 가장 잘 잡았다.

2. 탐구과제 2에서
중심을 잘 잡는 물병은 어떤 특징을 갖고 있을까를 탐구한 결과,
가. 중심을 잘 잡는 물병(물의 양이 90, 120, 150mL인 경우)은 외부의 충격에도 잘 견뎠다.
윗부분과 가운데 부분에 충격을 주었을 경우에는 물의 양이 많아질수록(무거워질수록)
외부의 충격을 잘 견디면서 중심을 잡았다. 아랫부분에 충격을 주었을 경우에는 물의 양
에 관계없이 대체로 윗부분과 가운데 부분보다 충격을 잘 견디면서 중심을 잡았다.
나. 중심을 잘 잡는 물병(물의 양이 90, 120, 150mL인 경우)은 기울기도 잘 견뎠다. 물의 양
이 60~120mL일 때는 10°~ 50°의 기울기까지 잘 견디면서 중심을 잡았으며, 물의 양에
관계없이 대체로 기울기가 급할수록 중심을 잘 잡지 못하고 쓰러졌다.
다. 중심을 잘 잡는 물병(물의 양이 90, 120, 150mL인 경우)은 진동도 잘 견뎠다. 지진 실험
장치를 이용하여 물병에 진동을 준 결과, 물병은 모두 쓰러지지 않고 중심을 잘 잡았는
데, 물의 양이 적을수록(가벼울수록) 진동에 의해 물병과 물의 흔들림이 심하게 발생했
다.
라. 어떤 모양의 물병이 중심을 잘 잡을까를 탐구한 결과, 네모 모양의 물병보다 둥근 모양
의 물병이 중심을 잘 잡았다. 네모 모양의 물병은 밑면이 각진 모양이었기 때문에 둥근
모양의 물병에 비해 불규칙적으로 튀어 오르는 경우가 많았으며, 안정적으로 착지하기가
힘들었다.

3. 탐구과제 3에서

- 27 -
공중제비 후 물병이 중심을 잘 잡을 수 있는 장치를 만들 수 있을까를 탐구한 결과,
가. 높이와 빗면을 이용한 공중제비 장치는 공중제비 후 물병이 중심을 잘 잡도록 하는 것이
어려웠다. 단, 높이를 더 높게 하거나 빗면의 각도를 수정하여 공중제비를 할 때 물병의
회전속도를 빠르게 해준다면 착지 후 중심을 잘 잡도록 하는 것이 가능할 수도 있겠다고
생각했다.
나. 배구공의 탄성을 이용한 공중제비 장치는 공중제비 후 물병이 중심을 잘 잡도록 하는 것
이 어려웠다. 배구공의 탄성이 물병의 회전속도를 빠르게 해줘서 공중제비를 시키는 것
은 수월했으나, 물의 양에 따라서 적합한 압력을 가진 배구공과 높이를 찾는 것이 어려
웠다.
다. 지렛대를 이용한 공중제비 장치는 물의 양과 떨어뜨리는 높이에 따라 장치의 모양을 계
속해서 바꿔야 한다는 어려운 점이 있었지만, 공중제비 후 물병의 중심을 가장 잘 잡을
수 있었다. 지렛대를 이용한 공중제비 장치를 이용하여 공중제비 한 물병이 중심을 잡은
확률은 1차(21.7%) → 2차(28.3%) → 3차(31.3%)로 크게 늘어났다. 지렛대를 이용한 장치
이기 때문에 공중제비 한 물병이 포탄처럼 날아가는 모습을 보여서 손으로 공중제비 한
물병의 움직임과는 다르다는 아쉬운 점이 있었다.
라. 지렛대와 고무밴드를 이용한 공중제비 장치는 앞의 장치에 비해 고무밴드를 거는 과정이
하나 더 추가되면서, 손으로 공중제비 한 것과 같은 물병의 움직임을 만들어낼 수 있었
고 공중제비 후 물병의 중심을 더 잘 잡을 수 있었다. 이에 따라 공중제비 한 물병이 중
심을 잡을 확률은 1차(28.0%) → 2차(31.7%) → 3차(32.7%)로 늘어났다. 이처럼 탐구를 계
속하고, 실패 후에는 보완하고 자료를 쌓아나가는 과정을 거치면서 완벽에 가까운 로봇
팔과 인공 지능을 개발해 가는 것이라는 것을 느꼈다.

4. 탐구과제 4에서
자유낙하 및 공중제비 후 착지까지 물병 속의 물은 어떻게 움직일까를 탐구한 결과,
가. 자유낙하의 경우에는 물병이 처음으로 지면에 닿을 때까지 물의 움직임은 거의 없었다.
물병이 처음 지면에 닿고 튀어 오를 때 물의 가운데 부분도 튀어 오르기 시작했고, 이후
물병의 뚜껑까지 치솟아 오르면서 주변의 다른 물도 벽면을 타고 올랐다. 물병이 다시
낙하하면서 위로 치솟았던 물이 벽면을 타고 차례대로 내려오면서 무게중심의 이동과 마
찰력에 의해 정지했다.
나. 공중제비의 경우에는 전체의 물이 한꺼번에 움직이는 것이 아니라 물병의 회전속도에 의
해서 윗부분의 물은 물병의 벽면을 타고 흐르고, 아랫부분의 물은 관성에 의해 움직임이
거의 없다가 물병이 거꾸로 서면서 중력에 의해 흘러내렸다. 물병의 회전속도가 증가하
면서 양쪽 벽을 타고 흐르던 물이 물병의 뚜껑 부분으로 모이면서 무게중심이 이동했으
며, 회전속도는 감소되었다. 이때 물병 전체를 물이 감싸는 것처럼 흘러내렸으며, 물병의
가운데는 비어있었다. 지면에 닿고 물병이 튀어 오르면서 물병 속의 물도 같이 튀어 올
랐다가 아랫부분과 윗부분의 물이 벽면을 타고 차례대로 내려오면서 무게중심의 이동과
마찰력에 의해 정지했다.
다. 자유낙하 한 물병보다 공중제비 한 물병이 중심을 더 잘 잡는 이유는, 물병의 회전에 의
해 물이 움직이며 무게중심을 빠르게 이동시키고, 물병의 회전속도를 줄여주어 착지할

- 28 -
때 물병이 덜 튀어 오르게 하기 때문이다.

5. 알아낸 종합 결론은
가. 자유낙하 한 물병과 자유낙하 장치를 이용한 물병, 공중제비 한 물병은 공통적으로 물의
양이 90, 120, 150mL 등으로 1/3~1/2 정도일 때 중심을 가장 잘 잡았다. 성공 확률은 자
유낙하 장치를 이용한 물병(18.7%), 공중제비 한 물병(12.7%), 자유낙하 한 물병(9.5%) 순
이었다.
나. 중심을 잘 잡는 물병(물의 양이 90, 120, 150mL인 경우)은 외부의 충격, 기울기, 진동에
도 잘 견뎠으며, 네모 모양의 물병보다 둥근 모양의 물병이 중심을 잘 잡았다.
다. 지렛대와 고무밴드를 이용한 공중제비 장치를 이용하면 공중제비 후 물병의 중심을 잘
잡을 수 있었는데, 이를 통해 공중제비 한 물병이 중심을 잡은 확률은 1차(28.0%) → 2차
(31.7%) → 3차(32.7%)로 늘어났다.
라. 자유낙하 한 물병보다 공중제비 한 물병이 중심을 더 잘 잡는 이유는, 물병의 회전에 의
해 물이 움직이며 무게중심을 빠르게 이동시키고, 물병의 회전속도를 줄여주어 착지할
때 물병이 덜 튀어 오르게 하기 때문이다.

VI. 제언

첫째, “공중제비 후의 물병은 어떻게 중심을 잘 잡는 것일까?”라는 주제 안에는 기초 과학


중에서도 물리학과 관련된 지식이 많이 담겨있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래서 물리학을 이해하기
쉽도록 소개한 자료를 찾아보았지만, 안타깝게도 대부분의 자료는 초등학생에게는 너무 어려운
수준의 것이었다. 앞으로 초등학생들이 좀 더 쉽게 이해할 수 있고 응용할 수 있는 기초 물리
학 서적이 많이 나왔으면 좋겠다.
둘째, 공중제비 후 물병이 중심을 잘 잡을 수 있는 장치를 만들어서 탐구하는 과정에서 많은
한계에 부딪혔다. 기회가 된다면 이번에 실패했던 다른 장치를 보완해서 계속 탐구를 해보고
싶다. 이처럼 탐구를 계속하고, 실패 후에는 보완하고 자료를 쌓아나가는 과정을 거치면서 완
벽에 가까운 로봇팔과 인공 지능을 개발해 가는 것이라는 것을 느꼈다.
셋째, 우리의 생활 주변을 유심히 살펴보면, 많은 과학적 원리가 숨어있다. 이것들을 발견하
고 탐구하기 위해서는 항상 세심하게 관찰하고, 생각하려는 태도가 필요하다. 그러므로 앞으로
는 생활과 학습에서 체계적이고 과학적인 탐구방법을 익히도록 노력해야겠다.

- 29 -
▷▷ 참고 문헌 ◁◁

예림당(2019), Why? 물리, ㈜예림당.


노ㅇㅇ, 장ㅇㅇ, 최ㅇㅇ(2016), 포물선-전향력 실험 장치 개발과 변화하는 각속도에 따른 포물
체의 운동 연구, 제62회 전국과학전람회.
이ㅇㅇ, 고ㅇㅇ(2018), 관성질량과 중력질량 측정 실험장치 개발, 제64회 전국과학전람회.
이ㅇㅇ, 홍ㅇㅇ(2020), 히말라야 눈표범의 공중직립반사 능력과 물병세우기 효과를 이용한 로봇
의 안정한 작지 연구, 제66회 전국과학전람회.
https://ko.dict.naver.com/#/entry/koko/b5853421ff134a669832600f8e24fa1e(중력).
https://ko.dict.naver.com/#/entry/koko/3cc5fae7a1bc41caacfd2ac617278c80(포물선 운동).
https://ko.dict.naver.com/#/entry/koko/4bdda38c6ce249f886d3e113073e74a6(마찰력).
https://ko.dict.naver.com/#/entry/koko/5330f83a358e454fa83b6ff3d8b7d0d5(관성).
https://ko.dict.naver.com/#/entry/koko/6f8f240667514e86967ec920f596be20(원심력).
https://ko.dict.naver.com/#/entry/koko/7ab852367b4946a0a6455ac52948de34(각속도).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1094515&cid=40942&categoryId=32229(무게중심).
https://1boon.daum.net/share/bottleflip(보틀 플립).
https://www.ginifab.com/feeds/angle_measurement/online_protractor.ko.php(온라인 각도기).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