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34

출품번호

1213

제69회 전국과학전람회

우리집 샤워기 필터 속 이물질의 비밀

2023. 8. 10.

출품학생
지도교원
구 분 학생부
출품부문 화학
탐구 목차

Ⅰ. 탐구 동기 및 목적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
1. 탐구 동기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
2. 탐구 목적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

Ⅱ. 탐구를 위한 선행조사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
1. 이론적 배경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
2. 선행 연구 분석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
3. 탐구 방법 선정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
4. 선행 연구 시사점 및 탐구방향 선정 · ··
··
··
··
··
··
··
··
··
··
··
··
··
··
··
··
··
··
··
···
··
··
··
··
··
··
··4

Ⅲ. 탐구의 설계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
1. 탐구 기간 및 추진 내용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
2. 탐구 과제 선정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
3. 탐구를 위한 준비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

Ⅳ. 탐구 내용 및 방법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
1. 사전 탐구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
2. 세부 탐구 과제 선정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8
3. 탐구 과제 실행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9
- 탐구과제1 : 우리집 수돗물에 대해 탐구하기 · ··
··
··
··
··
··
··
··
··
··
··
··
···
·
···
··
··
··
·9
- 탐구과제2 : 우리집 샤워기 필터 속 이물질을 육안으로 관찰하기(1) · ·
··
··12
- 탐구과제3 : 우리집 샤워기 필터 속 이물질을 현미경으로 관찰하기(2) · ··
··
··15
- 탐구과제4 : 우리집 샤워기 필터 사용 전후 pH 비교 탐구하기(1) · ·
··
··
··17
- 탐구과제5 : 우리집 샤워기 필터 사용 전후 잔류염소 비교 탐구하기(2) · ···
··
··
·20
- 탐구과제6 : 우리집 샤워기 필터 사용 전후 탁도 비교 탐구하기(3) · ··
··
··23
- 탐구과제7 : 우리집 샤워기 필터 사용 전후 TDS와 전기전도도 비교 탐구하기(4) · ·25

Ⅴ. 탐구 결론 및 기대되는 성과 ·
··
··
··
··
··
··
··
··
··
··
··
··
··
··
··
··
··
··
··
··
··
··
··
··
··
··
28
1. 탐구 결론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8
2. 기대되는 성과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9

참고문헌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0
사진 목차

<사진1> 우리집 샤워기 필터 사용 전과 후의 모습 ·


··
··
··
··
··
··
··
··
··
··
··
··
··
··
··
··
··1
<사진2> 수돗물이 만들어지는 과정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
<사진3> 수돗물에 대해 관련 서적과 인터넷 자료 조사하기 ·
··
··
··
··
··
··
··
··
··6
<사진4> 수돗물과 샤워기 필터 관련 정보 조사 보고서 ·
··
··
··
··
··
··
··
··
··
··
··
··7
<사진5> 수돗물이 우리집까지 오기까지의 과정 ·
··
··
··
··
··
··
··
··
··
··
··
··
··
··
··
··
··
··
··
··9
<사진6> 우리집 수돗물의 수질자료 확인 ·
··
··
··
··
··
··
··
··
··
··
··
··
··
··
··
··
··
··
··
··
··
··
··
··
··11
<사진7> 탐구일지(우리집 수돗물에 대해 탐구하기) ·
··
··
··
··
··
··
··
··
··
··
··
··
··
··
··
·11
<사진8> 우리집 샤워기 필터 속 이물질을 육안으로 관찰하는 모습 ·
··
··
··12
<사진9> 30일간 샤워기 필터 모습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3
<사진10> 탐구 일지(우리집 샤워기 필터 속 이물질을 육안으로 관찰하기) ·
··
··
·14
<사진11> 우리집 샤워기 필터 속 이물질을 현미경으로 관찰하는 모습 ·
··
··15
<사진12> 샤워기 필터 사용 전후 현미경 관찰 비교 ·
··
··
··
··
··
··
··
··
··
··
··
··
··
··
··16
<사진13> 탐구 일지(우리집 샤워기 필터 속 이물질을 현미경으로 관찰하기) ·
··
··
··
·17
<사진14> 샤워기 필터 사용 전과 후의 수돗물 채수 장면 ·
··
··
··
··
··
··
··
··
··
··18
<사진15> 우리집 샤워기 필터 속 이물질을 pH로 판별 실험 모습 ·
··
··
·19
<사진16> 탐구 일지(수돗물의 pH를 비교하여 샤워기 필터 속 이물질의 원인 탐구하기) ·
··
··
··20
<사진17> 우리집 샤워기 필터 사용 전후 진류염소 농도 비교 실험 모습 ·
··
··
··21
<사진18> 탐구 일지(수돗물의 잔류염소를 비교하여 샤워기 필터 속 이물질의 원인 탐구하기) ·
··
··
··
·23
<사진19> 탐구 일지(수돗물의 탁도를 비교하여 샤워기 필터 속 이물질의 원인 탐구하기) ·
··
··
··
··25
<사진20> 수도관에 쌓인 퇴적물(좌)과 청소 후 모습(우) ·
··
··
··
··
··
··
··
··
··
··
·26
<사진21> 우리집 샤워기 필터 사용 전후 TDS와 전기전도도 비교 실험 모습 ·
··
··
·26
표 목차
<표1> 선행 연구 고찰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
<표2> 우리집 수돗물과 샤워기 필터를 탐구하는 방법 ·
··
··
··
··
··
··
··
··
··
··
··
··
··
··3
<표3> 탐구 순서별 탐구 방법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
<표4> 탐구 추진 내용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
<표5> 세부 탐구 과제 선정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7
<표6> 고산 정수장 수돗물 품질 검사 결과 ·
··
··
··
··
··
··
··
··
··
··
··
··
··
··
··
··
··
··
··
··
··
··
··10
<표7> 이물질을 육안으로 관찰했을 때의 탐구 결과 ·
··
··
··
··
··
··
··
··
··
··
··
··
··
··
··14
<표8> 이물질을 현미경으로 관찰했을 때의 탐구 결과 ·
··
··
··
··
··
··
··
··
··
··
··
··
··16
<표9> 우리집 샤워기 필터 속 이물질을 pH로 판별 실험 결과 ·
··
··
··
··
··
·19
<표10> 샤워기 필터 사용 전후 잔류 염소 비교 실험 결과 ·
··
··
··
··
··
··
··
··
··
··
··
··22
<표11> 샤워기 필터 사용 전후 탁도 비교 실험 결과 ·
··
··
··
··
··
··
··
··
··
··
··
··
··
··
··
··
··24
<표12> 샤워기 필터 사용 전후 TDS와 전기전도도 비교 실험 결과 ·
··
··
··
··27

그래프 목차

<그래프1> 학생 대상 설문 조사 결과 그래프 ·
··
··
··
··
··
··
··
··
··
··
··
··
··
··
··
··
··
··
··
··
··
··6
<그래프2> 고산정수장의 pH 농도 변화 ·
··
··
··
··
··
··
··
··
··
··
··
··
··
··
··
··
··
··
··
··
··
··
··
··
··
··
·19
<그래프3> 고산정수장의 잔류염소 농도 변화 ·
··
··
··
··
··
··
··
··
··
··
··
··
··
··
··
··
··
··
··
··
··22
<그래프4> 고산정수장의 탁도 변화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4
I 탐구 동기 및 목적

1. 탐구 동기

우리집 샤워기 필터 속 이물질이 보인다.

사용 전 깨끗한 샤워기 필터의 모습 사용 후 샤워기 필터 속 이물질의 모습

<사진1> 우리집 샤워기 필터 사용 전과 후 모습

매일 사용하는 샤워기에 필터를 장착하여 이물질을 탐구하다.

어느 날, 선생님께서 “샤워기 필터를 들어본 적이 있나요?”라고 물어보시면서, 집에서


샤워기를 사용할 때 필터를 사용하고 있는지 물어보셨다. 우리가 자주 이용하는 정수기 속
필터가 있다라는 얘기는 들었지만, 샤워기에 필터를 끼워 사용한다는 이야기는 처음이었다.
이어서 선생님이 사용하는 샤워기 필터 속에 자꾸 이물질이 생기고 색깔이 변한다는 말씀하
셨다. 우리는 깨끗한 수돗물을 사용하는 것뿐인데 왜 샤워기 필터에 이물질이 생기고 색깔
이 변할까?라는 의문이 생겼다. 이에 우리집 샤워기 필터 속 이물질의 비밀에 대해 연구해
보면 흥미롭고 재미있을 것 같은 생각이 들어 이번 탐구를 시작하게 되었다.

2. 탐구 목적

본 연구는 샤워기 필터 속 이물질의 특징을 탐구하고 샤워기 필터 사용 전후 수돗물의 상


태를 비교 실험을 해봄으로써, 우리집 샤워기 필터 속 이물질의 비밀을 탐구하는데 목적이
있다.

첫째 수돗물과 샤워기 필터에 대한 기본적인 정보를 조사하고 탐구하기

둘째 우리집 수돗물의 상태를 탐구하기

셋째 우리집 샤워기 필터 속 이물질의 특징 탐구하기

넷째 우리집 샤워기 필터 사용 전후 비교하여 이물질의 원인 탐구하기

- 1 -
Ⅱ 탐구를 위한 선행조사

1. 이론적 배경

가. 수돗물이란?
수돗물은 한자어‘수도(水道)'와 고유어‘물'의 합성어로, 상수도
에서 급수되는 물을 말하며 ‘강이나 호수의 물을 우리가 사용할
수 있도록 깨끗하게 만든 물’로서 정수 처리장에서 만들어진다.
생명과 농업에 필수적인 물을 수원지에서 끌어오는 기술은 인류
역사상 가장 획기적인 발명품 중 하나로 꼽히며, 오늘날 대부분
의 선진국에서는 상수도에 여과 시설을 설치하여 소독, 살균(정
수)된 수돗물을 공급한다.1) 우리나라 수돗물은 세계적으로 매우
깨끗한 물에 속한다고 할 수 있다.

나. 수돗물이 만들어지는 과정
강물에서 끌어올려진 물은 여러 단계에 거쳐 수돗물로 만들어진다. 충분한 살균과정과 염소
투입과정을 거쳐 만들어진 수돗물은 깨끗한 물이 되어 우리가 사용하게 된다. 하지만 대부분의
사람들은 깨끗하게 정수된 수돗물이 노후된 배관, 물탱크 등의 녹물이나 배관 이물질로 인해
오염될 가능성이 높다고 생각하여 수돗물을 바로 음용하는데 꺼려하는 편이다.

<사진2> 수돗물이 만들어지는 과정2)

다. 우리집 샤워기 필터의 원리


샤워기 필터란 ‘샤워기에서 헤드 안쪽에 위치하여 물을 거르는 여과 장치’를 말하며, 보통
세디먼트 필터를 사용하여 찌꺼기와 눈에 보이지 않는 모래 등 여러 가지 오염물질을 걸려줘
사람이 마실 수 있는 물을 만들어주는 장치라 할 수 있다. 세디먼트 필터는 롤형태로 되어
있으며 흔히 사람들이 쓰는 KF 80이상의 마스크와 비슷한 원리를 가지고 있다.

1) 출처: https://namu.wiki (나무위키)


2) 출처: kwater 천안권지사, 2022 수돗물 품질보고서 CCR(consumer Confidence Report)

- 2 -
2. 선행 연구 분석
본 탐구와 관련하여 선행 연구를 찾아보고 고찰하였다.
<표1> 선행 연구 고찰

연도 출처 연구 주제 연구 내용

우리 동네 수돗물의 성분을 탐구하고 다른


전국 우리 동네 수돗물에는 어
2021 지역의 물과 비교 분석하여 수돗물의 안전
과학전람회 떤 비밀이 숨어 있을까?
성을 확인하고 탐구한 내용

정수기 필터의 재활용에 대해 연구하고 가


전국 정수기 필터의 원리 및 재
2017 정에서 발생하는 생활폐수를 간단하게 정화
과학전람회 활용 방안에 대한 연구
하여 버리는 방법에 대해 탐구한 내용

겨울철 수도관이 얼지 않도록 수돗물을 살짝


겨울철 살짝 틀어놓은 수돗
전국 틀어 놓는 것이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고 물
2019 물이 얼지 않는 이유와 실
과학전람회 이 천천히 얼도록 하는 여러 가지 방법을 탐
생활 적용에 대한 연구
구한 내용

수돗물의 잔류 염소 등 수돗물 냄새의 원인인 염소 성분을 분석하고


전국
2015 염소소독부산물의 효과적인 잔류 염소를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방법에 대
과학전람회
제거방법 연구 해 탐구한 내용

3. 탐구 방법 선정
<표2> 우리집 수돗물과 샤워기 필터를 탐구하는 방법

탐구 방법 탐구 내용

육안 관찰 색, 모양 등 직접 눈으로 관찰하고 만져보기

현미경 관찰 1600배율 USB 현미경으로 자세하게 관찰하기

pH 판별 및 측정 pH 시험지와 측정기로 판별 및 측정

O-Tolidine(툴리딘) 용액(0.1%)으로 수돗물 속 잔류염소 반응 관찰


잔류 염소 측정
및 잔류염소 측정기로 측정

탁도 측정 수돗물의 혼탁한 정도를 측정

TDS(총용존고형물)
물 속에 용해되어 있는 고형물의 총량과 이온 물질의 총량을 측정
및 전기전도도 측정

- 3 -
<표3> 탐구 순서별 탐구 방법

우리집 수돗물 탐구 우리집 샤워기 이물질 특징 탐구 우리집 샤워기 필터 사용 전후 수돗물 비교하여 이물질 탐구

1. 우리집 2. 샤워기 3. 샤워기


5. 수돗물 7. 수돗물 TDS
수돗물 필터 속 필터 속 4. 수돗물 6. 수돗물
잔류염소 및 전기전도도
수질 조사 이물질 육안 이물질 pH 탐구 탁도 탐구
탐구 탐구
및 설문 관찰 현미경 관찰

4. 선행 연구 시사점 및 탐구방향 선정
앞서 제기한 선행 연구를 바탕으로 아래와 같이 시사점을 두고 탐구방향을 선정하였다.

<시사점 및 탐구방향 선정>

선행 연구를 분석한 결과, 수돗물의 성분 탐구, 정수기 필터의 원리, 잔류 염소 제거 방법 등에 대한


연구는 있었지만 수돗물 사용으로 인해 생기는 샤워기 필터의 이물질에 대한 연구는 없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우리집 수돗물의 상태를 알아보고 샤워기 필터 사용 전후의 수돗물을 채수하여
비교 탐구함으로써 샤워기 필터에 걸러진 이물질의 비밀에 대해 알아보도록 탐구방향을 정하였다.

Ⅲ 탐구의 설계

1. 탐구 기간 및 추진 내용

탐구 기간 : 2022. 11. ~ 2023. 7.(9개월)


탐구 추진 내용
<표4> 탐구 추진 내용

탐구 기간(년/월) 2022년 2023년


단계
추진 내용 11월 12월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 주제 선정 및 관련 자료 수집

계획
■ 탐구 과제 선정
수립
■ 탐구 방법 선정

실행 ■ 탐구 활동 실시

■ 연구결과 분석 및 검증
분석
정리
■ 보고서 작성 및 제출

- 4 -
2. 탐구 과제 선정

수돗물과 우리집 샤워기 필터에 대한 기본적인 정보 조사하기


첫째 ▶ 수돗물에 대한 기본적인 정보 조사하기
▶ 우리집 샤워기 필터에 대한 기본적인 정보 조사하기

우리집 수돗물에 대해 탐구하기


둘째 ▶ 우리집 수돗물은 어디서 오는 것일까?
▶ 우리집 수돗물의 상태에 대해 탐구하기

우리집 샤워기 필터 속 이물질에 대해 탐구하기


셋째
▶ 우리집 샤워기 필터 속 이물질의 특징 탐구하기

우리집 샤워기 필터 사용 전후 비교 탐구하기


넷째 ▶ 우리집 샤워기 필터 사용 전과 후의 수돗물을 채수하기
▶ 채수한 수돗물을 비교 실험하여 샤워기 필터 속 이물질의 원인 탐구하기

3. 탐구를 위한 준비
탐구에 앞서 탐구에 참여한 두 학생에게 수돗물과 샤워기 필터에 대해 궁금한 사항을 직
접 조사해보도록 하였으며, 우리집 샤워기 필터와 수돗물에 관한 설문 조사를 진행하였다. 또
한 샤워기 필터를 직접 부착하여 한 달간 관찰하였다.

1) 수돗물과 샤워기 필터에 대한 궁금한 사항을 조사하기


- 수돗물에 관해 궁금한 사항을 탐색하기
- 샤워기 필터 원리에 대해 궁금한 사항을 탐색하기

2) 우리집 샤워기 필터와 수돗물에 관한 설문 조사하기


- 우리반 학생 대상으로 샤워기 필터와 수돗물에 관해 설문하기
- 우리집 샤워기 필터와 수돗물에 관한 설문 조사 결과를 분석하기

3) 우리집에 샤워기에 샤워기 필터를 직접 부착하기


- 2일에 한번 샤워기 필터를 관찰하고 기록하기
(2023. 3. 28.∼4. 27. 30일간 관찰 및 기록)

- 5 -
Ⅳ 탐구 내용 및 방법

1. 사전 탐구

수돗물과 샤워기 필터에 대한 기본적인 정보 조사하기


수돗물에 대한 기본적인 정보 조사하기
우리집 샤워기 필터 및 수돗물에 대해 설문 조사하기
우리집 샤워기 필터에 대한 기본적인 정보 조사하기

가. 수돗물과 샤워기 필터에 대한 정보 조사하기


- 수돗물에 대해 관련 서적과 인터넷 자료 조사하기

<사진3> 수돗물에 대해 관련 서적과 인터넷 자료 조사하기

나. 5∼6학년 학생(31명) 대상 설문 조사 결과

[그래프1] 학생 대상 설문 조사 결과 그래프

- 6 -
다. 관련 정보 조사 보고서 작성

<사진4> 수돗물과 샤워기 필터 관련 정보 조사 보고서

라. 사전 탐구 결과

★ 우리집 수돗물과 샤워기 필터에 대한 기본적인 탐구에서 알게 된 점 ★


수돗물이란 강이란 호수의 물을 우리가 사용할 수 있도록 깨끗하게 만든 물임을 알게 되었다.
설문 조사는 5∼6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샤워기 필터를 사용하는 학생 비율은 전체
중 48% 였으며, 이 중 80% 이상이 샤워기 필터 속 이물질이 무엇인지 모른다고 답변했다.
수돗물은 여러 단계를 거쳐 깨끗한 물로 만들어짐을 알게 되었다. 먼저, 강물에서 물을 끌어
올려 정수장으로 보내게 되며 혼화지로 물을 보낸 후 응집를 섞는다. 이는 여과가 쉽지 않은
작은 물질을 뭉치게 하는 단계이다. 응집제를 섞은 물은 응집지에 보내서 미세한 부유물을 큰
덩어리로 만드는데 침전지로 보내면 덩어리진 물질을 걸려낸 후 다시 한번 여과지에 불순물을
걸러낸다. 마지막으로 살균과정과 염소 투입과정을 거쳐서 우리가 먹게 되는 수돗물이 됨을 알
게 되었다.
K-water가 운영하는 누리집에서 온라인 수도 박물관을 견학을 할 수 있음을 알게 되었으며, “My
water”에서 수돗물이 우리집까지 오기까지의 과정 및 우리지역 수돗물 수질 자료 등 여러 가
지 정보를 검색할 수 있었다.

- 7 -
2. 세부 탐구 과제 선정
<표5> 세부 탐구 과제 선정

순 탐구 과제 탐구 조건 및 방법

우리집 수돗물에 대해 탐구하기


- 우리집 수돗물은 어디서 오는 것일까?
탐구과제
- 우리집 수돗물의 상태에 대해 탐구하기
1
[탐구과제1] 수돗물이 우리집에 오기까지의 과정 탐구하기 -인터넷 자료 검색 및 탐구
우리집 수돗물 상태 탐구하기 -관련 도서 검색 및 탐구

우리집 샤워기 필터 속 이물질에 대해 탐구하기


탐구과제 - 우리집 샤워기 필터 속 이물질의 특징 탐구하기
2∼3 [탐구과제2] 우리집 샤워기 이물질을 육안으로 관찰하기 -색, 냄새 등 육안으로 관찰
[탐구과제3] 우리집 샤워기 이물질을 현미경으로 관찰하기 -1600배율 USB 현미경으로 관찰

우리집 샤워기 필터 사용 전후 비교 탐구하기


- 우리집 샤워기 필터 사용 전과 후의 수돗물을 채수하기
- 채수한 수돗물을 비교하여 이물질의 원인 탐구하기
[탐구과제4] 채수한 수돗물의 pH를 비교하여 샤워기 필터 -pH시험지, 측정기로 판별
속 이물질의 원인 탐구하기 -O-Tolidine(툴리딘) 용액(0.1%)
탐구과제 [탐구과제5] 채수한 수돗물의 잔류염소를 비교하여 샤워기 으로 농도 관찰 및 측정
4∼7 필터 속 이물질의 원인 탐구하기 -수돗물의 혼탁한 정도를 탁도
[탐구과제6] 채수한 수돗물의 탁도를 비교하여 샤워기 측정기로 측정
필터 속 이물질의 원인 탐구하기 -물 속에 용해되어 있는 고형물의
[탐구과제7] 채수한 수돗물의 TDS(총용존고형물)와 전기 총량과 이온물질의 총량을 측정
전도도를 비교하여 샤워기 필터 속 이물질의
원인 탐구하기

가. 기초 탐구 방법 구안

문제인식 - 가설설정 --- 탐구설계 - 결과 및 해석 - 피드백


▼ ▼ ▼ ▼ ▼
실험기구를
문제 현상을 실험 결과를 탐구 결과를 서로 소통하며
사용하여
관찰하고 문제의 예상해보고 해석하고 탐구 의견을 나누고
비교 실험하고
원인을 파악하기 가설을 설정하기 일지를 작성하기 보고서 작성하기
원인을 탐구하기

- 8 -
3. 탐구 과제 실행

[탐구과제 1]
우리집 수돗물에 대해 탐구하기
- 수돗물이 우리집에 오기까지의 과정 탐구하기
- 우리집 수돗물의 상태에 대해 탐구하기

가. 문제 인식

우리집 샤워기 필터에 생긴 이물질은 어디서 올까?라는 의문이 풀리려면 우리집으로


오는 수돗물은 어디서 오는지 그리고 수돗물의 상태에 대해서 먼저 탐구해야 한다.

나. 가설 설정
우리집 수돗물의 이물질은 하천수, 호소수 등 취수원에 있는 물과 그 물을 원료로
수돗물을 제조하는 정수장에서 형성되었을 것이다.

다. 탐구 설계

1) K-water에서 운영하는“My water”를 통해 우리집 수돗물의 취수원 및 정수장을


파악한다.
2) “My water”에서 2022년 4월부터 2023년 3월까지 최근 1년간 고산정수장의 수돗
물 품질 검사 결과 및 수돗물이 정수장에서 우리집까지 도달 시간을 확인한다.
3) “My water”를 통해 본 과제 실험기간 동안 취수원의 물과 정수장의 수돗물에 대한
수질자료를 확인한다.

라. 탐구 결과

수돗물이 우리집까지 오기까지의 과정 확인하기

<사진5> 수돗물이 우리집까지 오기까지 과정


용담댐 ---33.6km---> 고산정수장 ---20.5km---> 금마배수지 ---12.2km---> ○○시 ○○면(우리집)

- 9 -
고산 정수장 수돗물 품질 검사 결과 확인 (2022. 4. ∼ 2023. 3.)
<표6>고산 정수장 수돗물 품질 검사 결과
항목 평균(최대/최소) 항목 평균(최대/최소)
일반세균 0 1,2-디브로모-3-클로로프로판 불검출
총대장균군 불검출 1,4-다이옥산 불검출
대장균 불검출 잔류염소 0.87mg/L(1.14/0.64)
납 불검출 총트리할로메탄 0.02mg/L(0.031/0.02)
불소 불검출 클로로포름 0.01mg/L(0.024/0.01)
비소 불검출 브로모디클로로메탄 0.005mg/L(0.007/0.004)
셀레늄 불검출 디브로모클로로메탄 불검출
수은 불검출 클로랄하이드레이트 0.0016mg/L(0.0026/0.0011)
시안 불검출 디브로모아세토니트릴 불검출
크롬 불검출 디클로로아세니트릴 0.001mg/L(0.0008/0.0019)
암모니아성 질소 불검출 트리클로로아세토니트릴 불검출
질산성질소 1.0mg/L(1.2/0.9) 할로아세틱에시드 0.017mg/L(0.008/0.026)
카드뮴 불검출 포름알데히드 불검출
붕소 불검출 경도 34mg/L(37/32)
브롬산염 0.0057mg/L(0.0014/불검출) 과망간산칼륨소비량 2mg/L(2.7/1)
페놀 불검출 냄새 없음
다이아지논 불검출 맛 없음
파라티온 불검출 동(구리) 불검출
페니트로티온 불검출 색도 불검출
카바릴 불검출 음이온계면활성제 불검출
1,1,1-트리클로로에탄 불검출 수소이온농도(pH) pH7.2(7.6/6.9)
테트라클로로에틸렌 불검출 아연 불검출
트리클로로에틸렌 불검출 염소이온 11.9mg/L(14.3/11)
디클로로메탄 불검출 증발잔류물 67mg/L(86/35)
벤젠 불검출 철 불검출
톨루엔 불검출 망간 불검출
에틸벤젠 불검출 탁도 0.06mg/L(0.08/0.05)
크실렌 불검출 황산이온 6(5/7)mg/L
1,1-디클로로에틸렌 불검출 알루미늄 불검출
사염화탄소 불검출 - -

- 10 -
우리지역 수돗물의 수질자료 확인하기

<사진6> 우리지역 수돗물 수질자료 확인

마. 탐구 일지
탐구일지(학생A) 탐구일지(학생B)

<사진7> 탐구 일지(우리집 수돗물에 대해 탐구하기)

바. 알게된 점

★ 우리집 수돗물에 대한 탐구에서 알게된 점 ★


우리집 샤워기 필터의 이물질 발생원인을 탐구하고자 수돗물 원료인 용담댐의 물과 고산정수장
에서 제조된 수돗물에 대한 수질 상태 조사가 필요함을 알게 되었다.
K-water가 운영하는 “My water”를 통해 용담댐 원수 및 고산정수장 수돗물의 pH, 탁도 등
59가지 수질항목을 확인해 본 결과, 수돗물 수질 법적기준을 만족하고 있어 정수장의 수돗물
이 안전함을 알게 되었다.
우리집 수돗물에 대한 탐구한 후, 3월 28일에 샤워기 필터를 부착하기로 했으며 고산정수장의
각 수질 항목 조사 기준 일자는 수돗물이 정수장에서 우리집까지 도달 시간(약 4일)을 고려하
여 3월 25일로 설정하였다.

- 11 -
[탐구과제 2]
우리집 샤워기 필터 속 이물질에 대해 탐구하기(1)
- 우리집 샤워기 필터 속 이물질을 육안으로 관찰하기
가. 문제 인식
2023. 3. 28.∼4. 27. 30일간 2일에 한번 샤워기 필터를 관찰하고 일지에 기록한 결과,
샤워기 필터는 점점 누렇게 변하며 작은 알맹이와 검은 조각 등이 보였다.

나. 가설 설정

샤워기 필터에 생긴 이물질은 하천이나 호수 등 취수원에서 발생된 물질일 것이다.

다. 탐구 설계
<탐구 조건 설정>
★ 본 탐구에서부터는 각 가정의 샤워 횟수과 시간, 물의 양 등의 조건이 서로 다르기
때문에 사용 기간(2023. 3. 28.∼4. 27. 30일)으로 조건을 제한하여 샤워기 필터에
걸린 이물질에 대해 탐구하고자 한다.
1) 30일간 사용한 샤워기 필터를 관찰하고 2일에 한번 관찰일지에 기록한다.
2) 30일간 사용한 샤워기 필터를 샤워기에서 떼낸다.
3) 30일간 사용한 샤워기 필터를 흰색 배지에 올려놓고 색깔, 냄새 등을 비교해본다.
4) 샤워기 필터에 끼인 이물질을 육안으로 관찰한다.
5) 육안으로 관찰한 내용을 정리하여 보고서로 작성한다.

라. 탐구 결과

[사진8] 우리집 샤워기 필터 속 이물질을 육안으로 관찰하는 모습


구분 필터 부착 전 필터 부착 후 (30일후)

학생A
육안으로 필터
관찰했을
때 학생B
필터

- 12 -
[사진9] 30일간 관찰한 샤워기 필터 모습들

- 13 -
<표7> 이물질을 육안으로 관찰했을 때의 탐구 결과

구분 샤워기 필터 사용 전 샤워기 필터 (30일) 사용 후

◆ 모래 같은 작은 알갱이가 생김
◆ 이물질이 보이지 않고 ◆ 검은색 점처럼 보이는 조각들이 떠다니는
학생A
흰색으로 깨끗해 보임 것처럼 보임
필터
◆ 새제품 냄새가 남 ◆ 검은색 물질과 모래가 섞여 보임
육안으로
◆ 이상한 냄새가 남
관찰했을

◆ 필터 색깔이 누렇게 때가 낀 것처럼 보임
학생B ◆ 이물질이 보이지 않고 샤워기 헤드쪽의 색깔이 더 누렇게 보임
필터 흰색으로 깨끗해 보임 ◆ 작은 흰색의 알갱이와 검은색 조각이 보임
◆ 소독 냄새가 남

마. 탐구 일지
탐구일지(학생A) 탐구일지(학생B)

<사진10> 탐구 일지(우리집 샤워기 필터 속 이물질을 육안으로 관찰하기)

바. 알게된 점

★ 우리집 샤워기 필터 속 이물질을 육안으로 관찰 및 탐구에서 알게된 점 ★

샤워기 필터 속에 이물질은 주로 흰색과 검은색 등의 작은 알갱이처럼 보였으며, 전체적으로


누렇게 때가 끼인것처럼 보였다. 이 물질들은 하천이나 호소수에서 보일 수 있는 이물질처럼
보였으나 My Water에서 정수장의 4월 한달간 탁도 측정 수치를 확인한 결과 취수원에서 발생
된 이물질이 아닌 것을 알게 되었다.
육안으로 이물질을 확인하기엔 크기가 작고 불특정한 형태로 인해 보다 정확한 물체 확인을
위해 현미경 관찰이 필요함을 알게 되었다.

- 14 -
[탐구과제 3]
우리집 샤워기 필터 속 이물질에 대해 탐구하기(2)
- 우리집 샤워기 필터 속 이물질을 현미경으로 관찰하기

가. 문제 인식

2023. 3. 28.∼4. 27. 30일간 2일에 한번 샤워기 필터를 관찰하고 기록한 결과, 샤워기
필터는 점점 누렇게 변하며 작은 모래 알맹이와 검은 조각 등이 보였으나 육안으로
보기에는 한계가 있어 1600배율 USB 현미경으로 관찰하기로 하였다.

나. 가설 설정

샤워기 필터에 생긴 이물질은 수도관에서 발생된 물질일 것이다.

다. 탐구 설계
1) 30일간 사용한 샤워기 필터를 관찰하고 2일에 한번 관찰일지에 기록한다.
2) 30일간 동안 사용한 샤워기 필터를 샤워기에서 꺼낸다.
3) 30일간 사용한 샤워기 필터를 흰색 배지에 올려놓고 USB 현미경으로 관찰한다.
4) 샤워기 필터에 끼인 이물질을 떼내어 USB 현미경으로 관찰한다.
5) 30일간 사용한 샤워기 필터를 새 필터와 비교하며 관찰한 내용을 정리하여 보고서
에 기록한다.

[사진11] 우리집 샤워기 필터 속 이물질의 특징을 현미경으로 관찰하는 모습

구분 구분 샤워기 필터 부착 전
학생A
샤워기 필터를 필터
현미경으로
관찰했을 때 학생B
필터

- 15 -
[사진12] 샤워기 필터 사용 전후 현미경 관찰 비교
<표8> 샤워기 필터를 현미경으로 관찰했을 때의 탐구 결과

구분 샤워기 필터 사용 전 샤워기 필터 30일 사용 후

◆ 작고 검은 금속 조각으로 추정되는 이물질이


◆ 이물질이 보이지 않음
학생A 보임
◆ 전체적으로 흰색이며
필터 ◆ 모래 알갱이로 추정되는 이물질이 보임
샤워기 깨끗해 보임
◆ 살짝 누런색으로 변함
필터를
현미경
으로
관찰했을
때 ◆ 이물질이 보이지 않음 ◆ 필터 색깔이 전체적으로 누런색임
학생B
◆ 전체적으로 흰색이며 ◆ 샤워기 호스쪽 필터가 더 누런 때가 끼임
필터
깨끗해 보임 ◆ 모래 알갱이로 추정되는 이물질이 보임

- 16 -
마. 탐구 일지
탐구일지(학생A) 탐구일지(학생B)

<사진13> 탐구 일지(우리집 샤워기 필터 속 이물질을 현미경으로 관찰하기)

바. 알게된 점

★ 우리집 샤워기 필터 속 이물질을 현미경으로 관찰 및 탐구에서 알게된 점 ★


탐구2(육안으로 샤워기 필터 속 이물질 관찰 탐구)에서 고산 정수장 탁도 측정값을 확인한 결
과, 샤워기 필터 속 이물질은 취수원이 아니라 정수장에서 우리집까지 오는 수도관에서 발생
된 것을 알았다.
정확한 물체를 확인하기 위해 USB 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 다양한 형태와 색깔의 이물질이
발견되었다. USB 현미경으로 샤워기 필터의 이물질을 관찰하면서 매일 사용하는 수돗물에
작은 모래 알갱이, 흰색 알갱이, 금속물질로 보이는 검은 조각 등 다양한 이물질이 존재하는
것에 대해 놀라웠고 신기했다.

[탐구과제 4]
우리집 샤워기 필터 사용 전후 비교 탐구하기(1)
- 샤워기 필터 사용 전과 후의 수돗물 채수하기
- 채수한 수돗물의 pH를 비교하여 샤워기 필터 속 이물질의 원인 탐구하기

가. 문제 인식
탐구1∼3에서 탐구한 결과, 노후된 수도관에서 떨어져 나온 이물질들은 샤워기 필터
속에 보이는 것으로 보였다. 이는 수돗물의 pH 농도가 낮을수록 금속재질의 부식성이
높아지는 특성이 있다. 이로 인해 오래 사용한 수도관의 경우 점차 부식되어 이물질이
떨어져 나올 수 있다고 판단되어 우리집 수돗물의 pH를 측정해보았다.

나. 가설 설정
샤워기 필터 속 이물질들은 수돗물의 낮은 pH로 인해 수도관이 부식되어 떨어져 나온
물질일 것이다.

- 17 -
다. 탐구 설계

<사전 확인>
★ My Water 포털 사이트에서 우리 지역 수돗물 pH 농도(2023.3.27.기준)를 확인한다.
<pH 측정 실험으로 판별>
1) 우리집 샤워기 필터 부착 전 수돗물을 채수하여 비커에 50ml를 담는다.
2) pH 시험지와 측정기로 샤워기 필터 부착 전 수돗물의 pH 농도를 측정한다.
3) 우리집 샤워기 필터 부착 30일후 수돗물을 채수하여 비커에 50ml를 담는다.
4) pH 시험지와 측정기로 샤워기 필터 부착 30일차 수돗물의 pH 농도를 측정한다.
5) pH 시험지와 측정기 실험, 두 실험 결과를 보고서로 작성한다.

[사진13] 샤워기 필터 사용 전과 후의 수돗물 채수 장면 (수돗물 채수 날짜 및 시간)*

- 18 -
[사진15] 우리집 샤워기 필터 속 이물질을 pH로 판별 실험 모습
라. 탐구 결과
<표9> 우리집 샤워기 필터 속 이물질을 pH로 판별 실험 결과 (수돗물 채수 날짜 및 시간)*

2023. 3. 25.∼ 4. 28까지 고산 정수장 수돗물의 pH 농도 변화

[그래프2] 고산 정수장의 pH 농도 변화

- 19 -
마. 탐구 일지
탐구일지(수돗물A) 탐구일지(수돗물B)

<사진16> 탐구 일지(수돗물의 pH를 비교하여 샤워기 필터 속 이물질의 원인 탐구하기)

바. 알게된 점

★ 채수한 수돗물의 pH 비교 실험하여 이물질을 탐구에서 알게된 점 ★


수돗물의 pH 법적 수질 기준은 pH5.8~8.5로서 산성이 아닌 중성의 상태를 띄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에 고산 정수장의 수돗물과 우리집 샤워기 필터 설치 전·후 pH를 분석
한 결과 약 pH 7.1~7.4로 중성을 띄고 있어 금속 재질에 대한 부식성이 낮음을 알 수 있
었다.
pH는 우리집 샤워기 필터의 이물질 형성 원인과는 상관성이 낮음을 알 수 있었다.

[탐구과제 5]
우리집 샤워기 필터 사용 전후 비교 탐구하기(2)
- 샤워기 필터 사용 전과 후의 수돗물 채수하기
- 채수한 수돗물 잔류염소(Residual cholrine)를 비교하여 이물질의 원인 탐구하기

가. 문제 인식
잔류염소란 염소처리 결과 수중에 잔류하는 유효염소를 의미하며 강력한 살균효과와
저렴한 가격으로 소독제로 널리 쓰이고 있다. 1961년 수도법 개정으로 수돗물을 정화
하는 과정에서 염소소독을 의무화하고 있다. 용존 유기물질, 철, 망간 및 조류 등의
제거에 효과가 있으나 수중 잔류염소가 기준치 이상 존재 시 소독 냄새가 유발하기
도 한다. 현재 고산정수장은 소독제로 염소(Cl2)를 사용중이며, 전·중·후 염소 주입
을 통해 수도꼭지까지 법적 잔류염소 농도(0.1㎎/L)를 유지하고 있다. 수돗물 속 잔류
염소가 없을 경우에는 미생물이 재성장할 가능성이 있어 본 실험을 해보기로 하였다.

- 20 -
나. 가설 설정
우리집 샤워기 필터의 색깔이 누렇게 변하는 것은 수돗물 속에 잔류염소가 없어서
미생물의 번식에 의한 것이다.

다. 탐구 설계
<사전 확인>
★ My Water 포털 사이트에서 우리 지역 수돗물 잔류염소 농도(2023.3.27.기준)를
확인한다.
<잔류염소 농도 색깔 비교 실험>
1) 우리집 샤워기 필터 부착 전 수돗물을 채수하여 비커에 50ml를 담는다.
2) 필터 부착전 수돗물에 O-Tolidine(툴리딘) 용액(0.1%)을 떨어뜨린 후 색깔을 확인하고, 보
고서에 기록한다.
3) 우리집 샤워기 부착 30일차 수돗물을 채수하여 비커에 50ml를 담는다.
4) 30일차 수돗물에 O-Tolidine(툴리딘) 용액(0.1%)을 떨어뜨린 후 색깔을 확인하고, 보고서에
기록한다.
5) O-Tolidine(툴리딘) 용액(0.1%)을 떨어뜨린 두 비커의 색깔을 비교하여 실험 기록지에 기록한다.

<잔류염소 수치 비교 실험>
1) 우리집 샤워기 필터 부착 전 수돗물을 채수하여 비커에 50ml를 담는다.
2) 잔류염소 측정기로 필터 부착 전 수돗물의 잔류염소를 측정하고 수치를 실험 기록
지에 기록한다.
3) 우리집 샤워기 필터 부착 30일차 수돗물을 채수하여 비커에 50ml를 담는다.
4) 잔류염소 측정기로 30일차 수돗물의 잔류염소를 측정하고 수치를 실험 기록지에
기록한다.
5) 두 잔류염소 측정 수치를 비교하고 분석하여 보고서에 기록한다.

[사진17] 우리집 샤워기 필터 사용 전후 잔류염소 농도 및 수치 비교 실험 모습

- 21 -
라. 탐구 결과
<표10> 샤워기 필터 사용 전후 잔류 염소 비교 실험 결과 (수돗물 채수 날짜 및 시간)*

2023. 3. 25.∼ 4. 28까지 고산 정수장의 잔류염소 농도(mg/L) 변화

[그래프3] 고산 정수장의 잔류염소 농도 변화

- 22 -
마. 탐구 일지
탐구일지(학생A) 탐구일지(학생B)

<사진18> 탐구 일지(수돗물의 잔류염소를 비교하여 샤워기 필터 속 이물질의 원인 탐구하기)

바. 알게된 점

★ 채수한 수돗물의 잔류염소 비교 실험하여 이물질을 탐구에서 알게 된 점 ★


수돗물의 잔류염소 법적 수질기준은 4.0mg/L 이하이며, 세균 등 미생물에 대한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 가정용 수도꼭지 잔류염소 법적 수질기준은 0.1mg/L 이상으로 관리하고
있음을 알게 되었다.
이에 30일차 샤워기 필터의 수돗물 잔류염소를 측정한 결과, 0.13mg/L(학생A수돗물)과
0.11mg/L(학생B수돗물)로 샤워기 필터 부착 전의 잔류염소 농도를 비교해볼 때, 수돗물
색깔 상으로 조금 연해진 것으로 보이나 법적 수질기준이 충족되어 미생물이 존재할 가
능성이 적음을 알게 되었다.
우리집 샤워기 필터의 표면 색깔 변화는 미생물과는 전혀 상관성이 없다는 것을 알게 되
었다.

[탐구과제 6]
우리집 샤워기 필터 사용 전후 비교 탐구하기(3)
- 샤워기 필터 사용 전과 후의 수돗물 채수하기
- 채수한 수돗물 탁도(Turbidity)를 비교하여 이물질의 원인 탐구하기

가. 문제 인식
탁도란 물의 혼탁한 정도를 말하며 물이 빛을 흡수하고 분산하는 능력의 척도가 된다. 또한
물속의 부유물질과 관련해 가정 및 산업용수의 수질오염을 나타내는 지표로 쓰이기도 하여 모래,
진흙, 박테리아 및 기타 세균, 화학 침전물 등에 의해 유발된다. 이에 우리집 샤워기 필터 속
이물질은 수돗물의 탁도와 관련이 있을거라 예상하여 본 실험을 해보기로 하였다.

나. 가설 설정

우리집 샤워기 필터 속 이물질이 생긴 것은 우리집 수돗물의 탁도가 높아서일 것이다.

- 23 -
다. 탐구 설계

<사전 확인>
★ My Water 포털 사이트에서 우리 지역 수돗물 탁도(2023.3.27.기준)를 확인한다.

<사전 확인>
★ My Water 포털 사이트에서 우리 지역 수돗물 탁도 확인한다.
<탁도 수치 비교 실험>
1) 우리집 샤워기 필터 부착 전 수돗물을 채수하여 비커에 50ml를 담는다.
2) 탁도 측정기로 필터 부착 전 수돗물의 탁도를 측정하고 수치를 실험 기록지에 기록
한다.
3) 우리집 샤워기 필터 부착 30일차 수돗물을 채수하여 비커에 50ml를 담는다.
4) 탁도 측정기로 30일차 수돗물의 탁도를 측정하고 수치를 실험 기록지에 기록한다.
5) 두 탁도 측정 수치를 비교하여 보고서에 기록하고 자료를 분석한다.

라. 탐구 결과
<표11> 샤워기 필터 사용 전후 탁도 비교 실험 결과 (수돗물 채수 날짜 및 시간)*

2023. 3. 25.∼ 4. 28까지 고산 정수장의 탁도(NTU) 변화

[그래프4] 고산 정수장의 탁도 변화

- 24 -
마. 탐구 일지
탐구일지(수돗물A) 탐구일지(수돗물B)

<사진19> 탐구 일지(수돗물의 탁도를 비교하여 샤워기 필터 속 이물질의 원인 탐구하기)

바. 알게된 점

★ 채수한 수돗물의 탁도(NTU)비교 실험하여 이물질을 탐구에서 알게된 점 ★


수돗물의 탁도 법적 수질기준은 0.5NTU이다. 고산정수장에서 생성된 수돗물의 탁도는
0.03~0.04NTU이며, 우리집 샤워기 수돗물의 탁도를 측정한 결과 0.1~0.2NTU으로 모두 법
적 수질기준을 만족하였다. 따라서 우리집 샤워기 필터의 이물질과 수돗물의 탁도간의 상
관성이 높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고산정수장 대비 우리집 수돗물의 탁도가 높아진 것은 정수장으로부터 우리집까지의 수
도관내 부착된 이물질이 떨어져 나와 탁도가 상승된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필터 부착
후 수돗물 A와 B의 탁도가 유사한 것은 동일한 탁도 제거 성능을 가진 샤워기 필터에 의
한 것으로 추정된다.

[탐구과제 7]
우리집 샤워기 필터 사용 전후 비교 탐구하기(3)
- 샤워기 필터 사용 전과 후의 수돗물 채수하기
- 채수한 수돗물 TDS(총용존고형물)와 전기전도도를 비교하여 이물질의 원인 탐구하기
가. 문제 인식

TDS(총용존고형물)은 물 속에 녹아있는 철, 망간, 칼슘, 염소이온 등 양이온 및 음이온과


같은 전해성 이온 물질과 유기물질의 총량을 의미하며, 전기전도도는 물 속의 용해되어
있는 이온물질의 총량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물의 오염도가 높을수록 TDS 및 전기전
도도 농도가 비례하여 증가한다. 우리집 샤워기 필터에 걸린 이물질은 물 사용량이 적은
구간 등의 수도관 내 표면에 부착된 이물질이 떨어져 나온 것으로 판단되어, 이에 관련 항
목인 TDS 및 전기전도도 실험을 하기로 하였다.

- 25 -
[사진20] 수도관에 쌓인 퇴적물(좌)과 청소 후 모습(우)
나. 가설 설정

수돗물 속 철이나 망간 등 금속이온의 농도가 높아서 우리집 샤워기 필터 속에 이물질이


생긴 것이다.

다. 탐구 설계

<사전 확인>
★ 사워기 필터 부착 전 우리집 수돗물의 TDS와 전기전도도 농도를 측정한다.
<탁도 수치 비교 실험>
1) 우리집 샤워기 필터 부착 전 수돗물을 채수하여 비커에 50ml를 담는다.
2) 필터 부착 전 수돗물의 TDS와 전기전도도 측정하고 수치를 보고서에 기록한다.
3) 우리집 샤워기 필터 부착 30일차 수돗물을 채수하여 비커에 50ml를 담는다.
4) 30일차 수돗물의 TDS와 전기전도도 농도를 측정하고 수치를 실험 기록지에 기록한다.
5) 두 탁도 측정 수치를 비교하여 보고서에 기록하고 자료를 분석한다.

[사진21] 우리집 샤워기 필터 사용 전후 TDS와 전기전도도 비교 실험 모습

- 26 -
라. 탐구 결과
<표12> 샤워기 필터 사용 전후 TDS와 전기전도도 비교 실험 결과 (수돗물 채수 날짜 및 시간)*

마. 탐구 일지
탐구일지(수돗물A) 탐구일지(수돗물B)

<사진20> 탐구 일지(수돗물의 TDS와 전기전도도를 비교하여 샤워기 필터 속 이물질의 원인 탐구하기)

- 27 -
바. 알게된 점

★ 채수한 수돗물 TDS(총용존고형물)와 전기전도도 비교 탐구에서 알게 된 점 ★


수돗물의 TDS(총용존고형물) 권장 최대 농도 기준값은 500mg/L으로, 우리집 샤워기 필터
부착 30일차 수돗물의 TDS를 측정한 결과, 샤워기 필터 부착 전 대비 농도값이 각각
0.4%(수돗물A), 0.2%(수돗물B)만큼 떨어졌음을 알 수 있었다.
전기전도도의 경우 약 7%(수돗물A), 약 5%(수돗물B)만큼 떨어졌다. 따라서, TDS 및 전기
전도도의 농도로 보아 우리집 샤워기 필터에 걸린 이물질은 수돗물 속 철이나 망간 등
금속이온 성분임을 알게 되었다. 이는 수도관 내 수돗물 수질 변화가 상기 금속이온에 의
한 것으로 문헌 등에 확인을 할 수 있었다.

Ⅴ 탐구 결론 및 기대되는 성과

1. 탐구 결론

구분 알게 된 점
우리집 수돗물은 고산정수장에서 용담댐 원수를 취수하여 정수처리 후 수도관을
탐구과제1 통해 공급되고 있었다. 정수장에서 생산된 수돗물은 매월 수질검사를 하고 있으며,
법적 수질 기준을 항상 만족하고 있어 정수장의 수돗물이 안전함을 알 수 있었다.
샤워기 필터 속 이물질이 하천이나 호소수에서 볼 수 있는 이물질처럼 보였으나
탐구과제2,3 정수장의 수돗물 탁도 측정값을 확인 결과, 샤워기 필터 속 이물질은 취수원이 아니라
정수장에서 우리집까지 오는 수도관에서 발생된 것을 알 수 있었다.

정수장의 수돗물과 우리집 샤워기 필터 설치 전․후의 pH는 약 7.1~7.4로 중성을 띄고


탐구과제4 있어 금속 재질에 대한 부식성이 낮음을 알게 되었으며, pH와 샤워기 필터의 이물질 형성과
상관성이 낮음을 알 수 있었다.
수도관 내 미생물 등 재성장을 방지하기 위해 수도꼭지 수돗물의 잔류염소 농도를
0.1㎎/L 이상으로 관리하고 있다. 샤워기 필터 부착 후 우리집 수돗물의 잔류염소가
탐구과제5
0.11~0.18㎎/L로 미생물이 존재할 가능성이 미미하며, 샤워기 필터의 변색과도 상관성이
낮음을 알 수 있었다.
우리집 샤워기 필터를 통과하여 나온 수돗물의 탁도가 0.1~0.25NTU로 샤워기
필터의 이물질과 수돗물의 탁도 간 상관성은 높지 않으나, 정수장(0.03.NTU) 대비
탐구과제6
샤워기 필터를 통과한 수돗물의 탁도 상승은 정수장에서 우리집까지 오는 수도관에
부착된 이물질에 의한 것임을 알게 되었다.
우리집 수돗물의 TDS 및 전기전도도 농도가 필터 통과 전 대비 모두 떨어졌다.
이는 수돗물 내 망간, 철 등 필터 변색 유발물질이 샤워기 필터에 걸려 각각의
탐구과제7 농도가 저하된 것으로 판단되며, 이는 필터를 누렇게 변색시키는 원인 중 하나임을
알게 되었다. 또한 필터 표면에 붙어 있는 작은 검은색 조각들은 수도관 표면에
퇴적된 이물질이 떨어져 나온 것임을 알게 되었다.

- 28 -
2. 기대되는 성과

우리지역 수돗물 수질 정보, 정수 과정, 정수장에서 우리집까지 오는 과정 등 수돗물


에 대한 기본적인 정보 탐색하는 방법을 알고 이해하는 좋은 기회가 될 것이다.

본 탐구와 관련된 수돗물 탐구활동 자료들은 교과수업 활용 자료와 지역사회와 연계


한 과학체험 활동 자료로 다양하게 활용될 것이다.

수돗물의 이물질은 정수장이 아닌 정수장에서 우리집까지 오는 과정에서 발생된 것


으로 수도관의 관리 중요성을 인지하였으며, 정부 및 지자체 역시 공급과정에서의
수돗물 품질을 개선하기 위해 노후관 교체, 플러싱 등 체계적인 관리를 하고 있음을
알게 될 것이다.

이번 탐구를 통하여, 막대한 비용을 들여 공급되고 있는 맑고 깨끗한 수돗물을 가치


있게 이용하고 아껴 쓰며 안전한 수돗물에 대한 인식이 향상되기를 기대해본다.

- 29 -
참고문헌 및 자료

1. 2017 먹는물 해설서, 환경부·국립환경과학원, 2017


2. 관로내 탁질 발생 현황 및 성상 분석 연구, 한국수자원공사 연구분석자료, 2016
3. 한국수자원공사 포털사이트(https://www.k-water.or.kr)
4. 인천광역시 상수도사업본부(https://www.incheon.go.kr/water)
5. 2022 수돗물 품질보고서 CCR(consumer Confidence Report)kwater 천안권지사, 2022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