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149

09년 국방부 병영정책과 용역과제

효과적인 병영 스트레스 관리 방안

2009. 12.

국 방 대 학 교
효과적인 병영 스트레스 관리 방안

2009. 12.

연구 기간 : '09. 7. 15∼'09. 12. 15.(5개월)


연구책임자 : 최 병 순(국방대 교수)
연 구 원 : 임 흥 순(국방대)
황 태 원(국방대)
정 지 원(국방대)
이 선 재(국방대)
김 용 진(국방대)

국 방 대 학 교
<목 차>

제1장 머 리 말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
제1절 연구 배경 및 목적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
제2절 연구 범위 및 방법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

제2장 이론적 고찰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
제1절 병영 스트레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
1.병영 스트레스의 개념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
2.병영 스트레스의 발생 원인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
3.병영 스트레스의 영향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8
제2절 스트레스 관리전략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6
1.스트레스 관리의 개념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6
2.개인 수준의 관리전략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8
3.조직 수준의 관리전략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0
제3절 병영 스트레스 관리 프로그램 및 제도 ·
··
··
··
··
··
··
··
··
··
··
··
··
··
··
··
··
··
··
·21
1.한국군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1
2.미 군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8
3.군외 기관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0

제3장 현실태 진단 및 분석 ·
·
···
·
···
·
···
··
··
··
··
··
··
··
··
··
··
··
··
··
··
··
··
··
··
··
··
·32
제1절 병 스트레스 진단도구 검증 및 활용 실태 ·
··
··
··
··
··
··
··
··
··
··
··
··
··
··
··
·32
1.조사 대상 및 방법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2
2.병영 스트레스 진단도구 검증 결과 ·
··
··
··
··
··
··
··
··
··
··
··
··
··
··
··
··
··
··
··
··
··
··
··33
3.병 스트레스 진단도구 활용 실태 ·
··
··
··
··
··
··
··
··
··
··
··
··
··
··
··
··
··
··
··
··
··
··
··
··
··36

- i -
제2절 병영 스트레스 진단결과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1
1.일반부대 스트레스 진단결과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1
2.청해부대 스트레스 진단결과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4
제3절 PTSD 발생 현황 및 관리 실태 ·
··
··
··
··
··
··
··
··
··
··
··
··
··
··
··
··
··
··
··
··
··
··
··
··
··48
1.조사 대상 및 방법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8
2.외상사건 경험자 PTSD 발생 현황 ·
··
··
··
··
··
··
··
··
·
··
··
··
··
··
··
··
··
··
··
··
··
··
··
··49
3.PTSD 관리 실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0
제4절 비전캠프 운용 실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3
1.조사 대상 및 방법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3
2.조사 결과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7

제4장 발 전 방 안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84
제1절 병영 스트레스 관리방안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84
1.기본개념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84
2.효과적인 스트레스 진단 시스템 구축 ·
··
··
··
··
··
··
··
··
··
··
··
··
··
··
··
··
··
··
··
··
··85
3.병영 스트레스 예방교육 강화 ·
··
··
··
··
··
··
··
··
··
··
··
··
··
··
··
··
··
··
··
··
··
··
··
··
··
··
··
··89
4.병영 스트레스 해소 프로그램 개발 및 실시 ·
··
··
··
··
··
··
··
··
··
··
··
··
··
··
··92
5.병영 스트레스 관리 업무 시스템 구축 ·
··
··
··
··
··
··
··
··
··
··
··
··
··
··
··
··
··
··
··100
제2절 PTSD 관리 방안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01
1.PTSD 관리 기본 모형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01
2.단계별 PTSD 관리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01
3.PTSD 관리 업무체계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05
4.PTSD 관리를 위한 민군 협조 방안 ·
··
··
··
··
··
··
··
··
··
··
··
··
··
··
··
··
··
··
··
··
··
·106
제3절 비전캠프 프로그램 개선 및 보완 ·
··
··
··
··
··
··
··
··
··
··
··
··
··
··
··
··
··
··
··
··
··
··
·108
1.기본 개념 및 방향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08
2.운용 제대 및 입소 대상자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09

- ii -
3.진행자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09
4.교육 시기/
기간 및 장소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10
5.프로그램 내용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11
6.프로그램 진행 :「상담 특기병 제도」 도입 ·
··
··
··
··
··
··
··
··
··
··
··
··
··
·112

제5장 요약 및 맺음말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27

<참고문헌>
<붙 임>

- iii -
<표 차례>

<표 1-1> 연구 범위 및 방법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
<표 2-1> 스트레스의 개념 구분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
<표 2-2> 스트레스 원인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
<표 2-3> 군 조직에서의 스트레스 원인 ·
··
··
··
··
··
··
··
··
··
··
··
··
··
··
··
··
··
··
··
··
··
··
··
··
··
··
·7
<표 2-4> 군 사망자 현황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9
<표 2-5> 자살 사고의 원인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0
<표 2-6> 군무이탈 사고의 원인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0
<표 2-7> PTSD 관련 용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2
<표 2-8>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의 진단기준(
DSM-Ⅳ)·
··
··
··
··
··
··
··
··
··
··
··13
<표 2-9> 스트레스 관리전략의 구분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8
<표 2-10> 병영 스트레스 해소 관련 프로그램 ·
··
··
··
··
··
··
··
··
··
··
··
··
··
··
··
··
··
··
··
·22
<표 2-11> 비전캠프 일정 및 주요내용 ·
··
··
··
··
··
··
··
··
··
··
··
··
··
··
··
··
··
··
··
··
··
··
··
··
··
··
·23
<표 2-12> 이등병 선진 병영캠프 일정 및 주요내용 ·
··
··
··
··
··
··
··
··
··
··
··
··
··
··
·24
<표 2-13> 병장 선진 병영캠프 일정 및 주요내용 ·
··
··
··
··
··
··
··
··
··
··
··
··
··
··
··
··
·25
<표 2-14> Bl
ueLand프로그램 일정 및 주요내용 ·
··
··
··
··
··
··
··
··
··
··
··
··
··
··
··
·26
<표 2-15> 상병 진급캠프 프로그램 일정 및 주요내용 ·
··
··
··
··
··
··
··
··
··
··
··
··
·27
<표 2-16> 웰컴 캠프 일정 및 주요내용 ·
··
··
··
··
··
··
··
··
··
··
··
··
··
··
··
··
··
··
··
··
··
··
··
··
··
·27
<표 2-17> 미군의 스트레스 관리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9
<표 2-18> 군외 기관의 스트레스 관리 프로그램 ·
··
··
··
··
··
··
··
··
··
··
··
··
··
··
··
··
··
·31
<표 3-1> 조사 대상 부대 및 인원 현황 ·
··
··
··
··
··
··
··
··
··
··
··
··
··
··
··
··
··
··
··
··
··
··
··
··
··
·32

<표 3-2> 분석대상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


··
··
··
··
··
··
··
··
··
··
··
··
··
··
··
··
··
··
··
··
··
··
·33

<표 3-3> 병영 스트레스 진단도구의 하위범주별 신뢰성 검증 결과 ·


··
··
·34

- iv -
<표 3-4> 요인분석 결과 삭제 및 조정 필요 문항 ·
··
··
··
··
··
··
··
··
··
··
··
··
··
··
··
··
·36

<표 3-5> 스트레스 진단도구 활용 실태 ·


··
··
··
··
··
··
··
··
··
··
··
··
··
··
··
··
··
··
··
··
··
··
··
··
··
·37

<표 3-6> 병 스트레스 진단도구의 문제점 ·


··
··
··
··
··
··
··
··
··
··
··
··
··
··
··
··
··
··
··
··
··
··
··
·38

<표 3-7> 국방부 및 육본 통제 식별도구 ·


··
··
··
··
··
··
··
··
··
··
··
··
··
··
··
··
··
··
··
··
··
··
··
··
·40

<표 3-8> 스트레스 유발요인별 수준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2

<표 3-9> 스트레스 원인 분석(


자기진단)·
··
··
··
··
··
··
··
··
··
··
··
··
··
··
··
··
··
··
··
··
··
··
··
··
··43

<표 3-10> 계급별 스트레스 관리대상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3

<표 3-11> 스트레스 수준별 분석 결과 ·


··
··
··
··
··
··
··
··
··
··
··
··
··
··
··
··
··
··
··
··
··
··
··
··
··
··
·44

<표 3-12> 청해부대 스트레스 진단 및 설문 인원 ·


··
··
··
··
··
··
··
··
··
··
··
··
··
··
··
··
·45

<표 3-13> 계급별 설문인원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5

<표 3-14> 스트레스 유발요인별 수준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6

<표 3-15> 스트레스 수준별 분석 결과 ·


··
··
··
··
··
··
··
··
··
··
··
··
··
··
··
··
··
··
··
··
··
··
··
··
··
··
·47

<표 3-16> 스트레스 원인 분석(


자기진단)·
··
··
··
··
··
··
··
··
··
··
··
··
··
··
··
··
··
··
··
··
··
··
··
··47

<표 3-17> 조사 대상 부대 및 인원 현황 ·
··
··
··
··
··
··
··
··
··
··
··
··
··
··
··
··
··
··
··
··
··
··
··
··
·48

<표 3-18> 조사 대상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


··
··
··
··
··
··
··
··
··
··
··
··
··
··
··
··
··
··
··
··
·49

<표 3-19> 외상 사건 유형별 PTSD 수준 ·


··
··
··
··
··
··
··
··
··
··
··
··
··
··
··
··
··
··
··
··
··
··
··
·50

<표 3-20> PTSD에 대한 인식 여부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1

<표 3-21> 사고 관련 병사 대상 면담 실시 여부 ·
··
··
··
··
··
··
··
··
··
··
··
··
··
··
··
··
··
·51

<표 3-22> 면담 제공자 현황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2

<표 3-23> 면담 효과 여부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2

<표 3-24> 자료수집 현황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3

<표 3-25> 조사 대상자 현황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4

- v -
<표 3-26> 설문지 구성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5

<표 3-27> 비전캠프 프로그램 평가영역 및 방법 ·


··
··
··
··
··
··
··
··
··
··
··
··
··
··
··
··
··
·57

<표 3-28> 상황평가 결과 종합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8

<표 3-29> 군내 자살자 현황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9

<표 3-30> 인명사고 원인별 현황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9

<표 3-31> 관계자 조사 방법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0

<표 3-32> 병 요구 분석 결과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1

<표 3-33> 간부 인터뷰 결과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2

<표 3-34> 표본의 일반적인 현황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2

<표 3-35> 비전캠프가 차지하는 업무 비중 정도 ·


··
··
··
··
··
··
··
··
··
··
··
··
··
··
··
··
··
·63

<표 3-36> 비전캠프 진행상 어려운 점 ·


··
··
··
··
··
··
··
··
··
··
··
··
··
··
··
··
··
··
··
··
··
··
··
··
··
··
·63

<표 3-37> 군종장교들의 비전캠프 프로그램 개선 의견 ·


··
··
··
··
··
··
··
··
··
··
··
·64

<표 3-38> 프로그램 담당 실무자 인터뷰 결과 ·


··
··
··
··
··
··
··
··
··
··
··
··
··
··
··
··
··
··
··
·65

<표 3-39> 투입차원의 평가영역과 평가내용 ·


··
··
··
··
··
··
··
··
··
··
··
··
··
··
··
··
··
··
··
··
··
·66

<표 3-40> 투입평가 결과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7

<표 3-41> 비전캠프의 단계 구성과 핵심 개념 ·


··
··
··
··
··
··
··
··
··
··
··
··
··
··
··
··
··
··
··
·68

<표 3-42> 비전캠프 등록 절차 확인 결과 ·


··
··
··
··
··
··
··
··
··
··
··
··
··
··
··
··
··
··
··
··
··
··
··
·70

<표 3-43> 비전캠프 교육 시설 및 기자재 확인 결과 ·


··
··
··
··
··
··
··
··
··
··
··
··
··
·71

<표 3-44> ’
09비전캠프 예산 현황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72

<표 3-45> 비전캠프 횟수 및 인원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73

<표 3-46> 과정평가 영역과 평가내용 ·


··
··
··
··
··
··
··
··
··
··
··
··
··
··
··
··
··
··
··
··
··
··
··
··
··
··
··
·74

<표 3-47> 과정평가 결과 종합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74

- vi -
<표 3-48> ’
09전반기 비전캠프 입소사유별 현황 ·
··
··
··
··
··
··
··
··
··
··
··
··
··
··
··
··
··75

<표 3-49> 비전캠프 참가자 인터뷰 결과 ·


··
··
··
··
··
··
··
··
··
··
··
··
··
··
··
··
··
··
··
··
··
··
··
··
·76

<표 3-50> 비전캠프 참가자 사후관리 체계 ·


··
··
··
··
··
··
··
··
··
··
··
··
··
··
··
··
··
··
··
··
··
··
·76

<표 3-51> 도우미 병사 활용 설문 결과 ·


··
··
··
··
··
··
··
··
··
··
··
··
··
··
··
··
··
··
··
··
··
··
··
··
··
·77

<표 3-52> 교육대 인원 편성 현황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78

<표 3-53> 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79

<표 3-54> 리더십 프로그램 만족도 평가 결과 ·


··
··
··
··
··
··
··
··
··
··
··
··
··
··
··
··
··
··
··
·80

<표 3-55> 상담 관련 전공 현황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81

<표 3-56> 프로그램에 대한 학습평가 결과 ·


··
··
··
··
··
··
··
··
··
··
··
··
··
··
··
··
··
··
··
··
··
··
·81

<표 3-57> 프로그램에 대한 행동평가 결과 ·


··
··
··
··
··
··
··
··
··
··
··
··
··
··
··
··
··
··
··
··
··
··
·82

<표 3-58> 프로그램에 대한 결과평가 결과 ·


··
··
··
··
··
··
··
··
··
··
··
··
··
··
··
··
··
··
··
··
··
··
·83

<표 4-1> 병영 스트레스 진단 문항 중 수정 필요 문항 ·


··
··
··
··
··
··
··
··
··
··
··
·88

<표 4-2> 팀 빌딩 프로그램 대상부대 ·


··
··
··
··
··
··
··
··
··
··
··
··
··
··
··
··
··
··
··
··
··
··
··
··
··
··
··
·91

<표 4-3> 병영 스트레스 해소 프로그램 세부 교육 내용 ·


··
··
··
··
··
··
··
··
··
··
·93

<표 4-4> 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95

<표 4-5> 스트레스 수준 변화 측정 결과 ·


··
··
··
··
··
··
··
··
··
··
··
··
··
··
··
··
··
··
··
··
··
··
··
··
·96

<표 4-6> 군 스트레스 진단도구 적용 결과 ·


··
··
··
··
··
··
··
··
··
··
··
··
··
··
··
··
··
··
··
··
··
··
·97

<표 4-7> 소감문 분석 결과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98

<표 4-8> 스트레스 해소 프로그램 강사 양성교육 및 관리방안 ·


··
··
··
··
·99

<표 4-9> PTSD 예방 관리 교육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02

<표 4-10> 정신보건센터 운용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07

<표 4-11> 비전캠프 개선 및 보완 방향 ·


··
··
··
··
··
··
··
··
··
··
··
··
··
··
··
··
··
··
··
··
··
··
··
··
·108

- vii -
<표 4-12> 기본권 상담업무 관련 지침(
육군본부)·
··
··
··
··
··
··
··
··
··
··
··
··
··
··
··
··113

<표 4-13> 상담병 유형별 운영지침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15

<표 4-14> ‘
솔리언 또래상담’사업 현황 ·
··
··
··
··
··
··
··
··
··
··
··
··
··
··
··
··
··
··
··
··
··
··
··
··
·118

<표 4-15> 상담병 지원자격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19

<표 4-16> 상담 특기병 지원 가능학과 ·


··
··
··
··
··
··
··
··
··
··
··
··
··
··
··
··
··
··
··
··
··
··
··
··
··
·120

<표 4-17> 상담병 특기 교육 세부계획(


안)·
··
··
··
··
··
··
··
··
··
··
··
··
··
··
··
··
··
··
··
··
··
··121

<표 4-18> 한국 청소년 상담원의 단계별 또래상담 프로그램 구성 ·


··
··
·122

<표 4-19> 상담 특기병 임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23

<표 4-20> 청소년 상담사 자격요건 및 상담실무 경력표 ·


··
··
··
··
··
··
··
··
··
·124

<표 4-21> 상담 실무경력 인정기관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26

- viii -
<그림 차례>

<그림 2-1> 적정 스트레스 수준 곡선 ·


··
··
··
··
··
··
··
··
··
··
··
··
··
··
··
··
··
··
··
··
··
··
··
··
··
··
··
·8

<그림 2-2> 외상 사건 피해자의 분류 ·


··
··
··
··
··
··
··
··
··
··
··
··
··
··
··
··
··
··
··
··
··
··
··
··
··
··
·11

<그림 2-3> 정신질환의 사회적 기능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5

<그림 2-4> Qui


ck& Qui
ck의 스트레스 관리전략 연구모형 ·
··
··
··
··
··
··17

<그림 3-1> 병 스트레스 진단도구 집단 분석 결과(


예)·
··
··
··
··
··
··
··
··
··
··
··39

<그림 4-1> 스트레스 원인 및 결과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84

<그림 4-2> 효과적인 병영 스트레스 관리 ·


··
··
··
··
··
··
··
··
··
··
··
··
··
··
··
··
··
··
··
··
··
··
·85

<그림 4-3> 병영 스트레스 진단 시스템 개선 방향 ·


··
··
··
··
··
··
··
··
··
··
··
··
··
··
·86

<그림 4-4> 인성교육과 리더십 교육의 관계 ·


··
··
··
··
··
··
··
··
··
··
··
··
··
··
··
··
··
··
··
··
·90

<그림 4-5> 계급별 병 리더십 교육목표 및 이수 과정 ·


··
··
··
··
··
··
··
··
··
··
··
·90

<그림 4-6> 강사 양성 대상 및 양성 방법 ·
··
··
··
··
··
··
··
··
··
··
··
··
··
··
··
··
··
··
··
··
··
··
·99

<그림 4-7> 스트레스 관리업무 체계 ·


··
··
··
··
··
··
··
··
··
··
··
··
··
··
··
··
··
··
··
··
··
··
··
··
··
··
·100

<그림 4-8> PTSD 관리 기본모형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01

<그림 4-9> PTSD 응급대응체계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03

<그림 4-10> 응급대응단계 조치사항 ·


··
··
··
··
··
··
··
··
··
··
··
··
··
··
··
··
··
··
··
··
··
··
··
··
··
··
·103

<그림 4-11> 1차 진단 단계 조치사항 ·


··
··
··
··
··
··
··
··
··
··
··
··
··
··
··
··
··
··
··
··
··
··
··
··
··
·104

<그림 4-12> 2차 진단 단계 조치사항 ·


··
··
··
··
··
··
··
··
··
··
··
··
··
··
··
··
··
··
··
··
··
··
··
··
··
·105

<그림 4-13> PTSD 업무체계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06

<그림 4-14> 전문치료기관에의 협조체계 ·


··
··
··
··
··
··
··
··
··
··
··
··
··
··
··
··
··
··
··
··
··
··
·108

<그림 4-15> 상담 특기병 운용 개념 ·


··
··
··
··
··
··
··
··
··
··
··
··
··
··
··
··
··
··
··
··
··
··
··
··
··
··
·117

<그림 4-16> 상담병 교육체계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21

- ix -
제1장 머 리 말

제1절 연구 배경 및 목적

최근 경기 침체 속에서 스트레스에 인한 자살,우울증 등으로 인한 사고가


증가함에 따라 스트레스가 심각한 사회문제로 부상하고 있다.프랑스의 이동
통신업체인 프랑스텔레콤에서는 지난 1년 6개월 동안 22명의 직원이 업무 스
트레스와 퇴직 불안을 이유로 잇따라 자살하는 사고가 일어났다(
인터넷 한국
일보,2009)
.또한 우리나라에서도 많은 직장인들과 학생들이 직장 상황에 대
한 스트레스,생계 걱정,진로 걱정 등을 견디지 못해 스스로 목숨을 끊는 사
건이 발생하고 있어 국민들에게 충격을 안겨주고 있다.
가정이나 직장 생활 속에서 흔히들 “
스트레스 받는다”
라는 말을 자주 사용
하는 것처럼 스트레스는 누구에게나 있게 마련이다.하지만 어느 정도의 스트
레스는 일상 생활에 활력과 약간의 긴장을 줌으로써 우리에게 유익할 수도 있
겠지만 지나친 스트레스는 그 자체로써 질병이 될 수도 있고 다른 질병의 원
인이 되기도 한다.더 나아가 스트레스는 질병차원을 넘어 조직의 사기저하,
직무불만족,낮은 조직몰입을 초래하여 이로 인해 결근 및 이직률을 증가시키
고,또한 생산성 저하를 초래하여 조직의 성과에 매우 부정적인 요인으로 부
1
각되고 있다.)

우리 군에서도 자유분방한 생활을 하던 젊은이들이 통제된 위계조직에서의


단체생활과 여러 가지로 미흡한 생활여건,정신적․육체적인 피로를 야기하는
훈련 등으로 많은 스트레스를 경험하고 있다.이러한 스트레스가 지나칠 경우
에는 군의 단결과 사기를 저하시킬 뿐만 아니라 군 생활에 대한 불만족과 낮
은 조직몰입으로 군 전투력을 저하시키고,자살․폭행․탈영 등 악성사고를
유발시킬 수 있다.

1) 한국직무스트레스협회(2005)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직장인들의 스트레스 보유율은 95%로 미국


(40%), 일본(61%)보다 크게 높다고 한다.

- 1 -
따라서 병영 스트레스 관리의 중요성을 인식한 국방부에서도 병영 스트레
스 관리방안을 연구하여 스트레스 예방 및 해소를 위한 여러 가지 대책을 수
2
립해왔다.)

본 연구는 현재 국방부에서 시행하고 있는 스트레스 관리 대책의 효과성을


검증하고,이를 토대로 병영 스트레스를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는데 있다.

제2절 연구의 범위 및 방법

본 연구의 목적이 현재 시행 중인 병영 스트레스 관리 대책의 효과성을 검


증하고,효과적인 병영 스트레스 관리방안을 연구하는데 있기 때문에 <표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국방부에서 ‘
07년에 개발하여 ’
08년부터 각급 부대
에서 활용하도록 하고 있는 병영 스트레스 진단도구의 효과성 검증 및 개선방
안,PTSD 관리 실태 조사 및 효과적인 관리 방안,비전캠프 프로그램의 효과
성 검증 및 개선방안에 초점을 맞추어 연구하였다.

<표 1-1> 연구 범위 및 방법
연구 범위 연구 대상 연구 방법 연구 기간
병영 스트레스 진단도구 검증 및 청해부대 외

09.9.14~ 10.1
9
스트레스 관리 방안 10개 대대
설문 및
PTSD 발병 실태 및 관리 방안 7
개 부대 ’
09.9
.28~ 11.2
인터뷰
비전캠프 프로그램 운영 실태 분석
1
2개 사단 ’
09.9.1
4~11.6
및 개선방안
병영 스트레스 해소 프로그램
3
개 소대 실험교육 ’
09.10.1
3~20(
3회)
개발 및 활용 방안

2) 국방부는 사고와 관련성이 높은 스트레스 원인을 규명하고(신응섭∙김용주∙육성필, 2006), 스트레


스 진단도구를 개발하였으며(신응섭∙김용주∙육성필, 2007), 개발된 진단도구를 전산화하여 스트레
스 진단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각급 부대에서 활용하도록 하였다(김용주 외 3인, 2008).

- 2 -
또한 병영 스트레스는 예방 및 해소를 위한 스트레스 해소 프로그램을 개
발하고,이를 효과적으로 활용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군내외 스트레스 관련 논문 및 보고서,관련 관계기관에서
시행중이거나 추진하려고 하는 제도 및 관련 법규,그리고 미국군 및 군외기
관에서 실시중인 스트레스 관리 프로그램 등에 대하여 분석하였다.또한 야전
부대의 병 스트레스를 직접 진단하고,PTSD 관련 담당자 및 전문가와의 인터
뷰,그리고 비전캠프 프로그램을 참가자들을 대상으로 설문 및 인터뷰를 실시
하였다.
또한 본 연구는 연구 결과를 정책화하여 시행하는데 목적이 있기 때문에
관계 부서의 실무자 및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인터뷰 등을 통하여 정책화 가능
성 등에 대한 의견을 수렴하였다.

- 3 -
제2장 이론적 고찰

제1절 병영 스트레스

1.병영 스트레스의 개념

우리가 일상생활에서 흔히 사용하는 스트레스(


str
ess
)라는 말의 어원은 라
틴어의 ‘
str
inge
r(팽팽하게 죄다)
’라는 말에서 유래되어 14세기에 처음으로 사
용되기 시작했다(
Ivanc
evi
ch & Mat
ter
son,1979:378~380)
.이후 17세기에는

곤란’
이나 ‘
역경’
의 의미로 사용되다가 18세기 후반에는 인간의 신체기관과 정
신력 분야와 관련된 의미로 ‘
중압감,긴장,압력’등의 뜻으로 사용되었다
(
Davi
dson & Coope
r,1983:11)
.이와 같이 스트레스를 인간의 정신 및 육체
전반에 미치는 개념으로 보고 의학 및 정신분야 중심으로 연구가 이루어지다
가 20세기에 들어와서는 점차 심리학,조직학,경영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연
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스트레스라는 용어는 Cannon(
1935)
과 Se
lye
(1944)
에 의해 생리적ㆍ
의학적으로 그 개념이 체계화되기 시작하였다. 미국의 심리학자인 Cannon(
193
5)
은 ‘
생리적 스트레스(
syst
emi
cst
ress
)'라는 용어를 처음 사용하였는데,그는

스트레스’
를 “
유기체에 해를 가하는 감정상태”
로 정의하였다(
Ivanc
evi
ch&
Mat
ter
son, 1
980)
. 그리고 ‘
스트레스’
의 아버지라 불리는 캐나다 의학자인
Se
lye
(19
44)
는 ‘
일반적응 증후군(
GAS:Ge
ner
alAdapt
ati
on Syndr
ome
)’이라는
스트레스 이론을 발표하였는데,그는 ‘
스트레스’
를 “
신체에 가해진 어떤 외부
적 자극에 대하여 신체가 나타내는 일반적이고 비 특정적인 반응”
으로 정의하
였다(
Ivanc
evi
ch& Mat
ter
son,1979:156)
.
이 외에도 많은 학자들이 <표 2-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스트레스 정의를
내리고 있는데 스트레스의 어느 측면에 초점을 맞추었는가에 따라 이를 분류
해 보면 ‘
자극-반응-상호작용’
이라는 3가지 범주로 구분할 수 있다.즉 스트레

- 4 -
스는 환경의 자극이자,환경에 대한 개인의 반응이고,개인과 환경의 상호작용
이라는 것이다(
Ivance
vic
h& Mat
ter
son,1979)
.
한편 스트레스의 사전적 정의를 보면 Daum 백과사전에서는 스트레스를

유기체의 기능을 교란시키는 긴장이나 장애상태”
로,시사용어사전에서는 “

신건강상 사람에게 심리적․사회적 부담이 되는 것”
으로 정의하고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에서는 병영 스트레스를 “
병사들이 병영생활 과정
에서 경험하는 정신적․정서적 또는 신체적 긴장․피로 또는 고통”
이라고 정
의한다.

<표 2-1> 스트레스의 개념 구분

구 분 학 자 개 념

Hall&
조직이나 사람의 체계에 작용하는 외적 힘에 의해
Mansfie
ld
야기되는 내적체계상태의 변화와 긴장
(1971)

Cooper&
자 극 Mar shal
l 특정직무와 관련된 부정적 환경요인 또는 스트레스 요인
(1976)

Kroes&
작업자의 특성과 상호작용하여 심리적 또는 생리적 항상성을
Margol
is
파괴하는 작업의 조건
(
1974)

어떤 요구에 대한 보편적 반응,새로운 자극형태가 나타나서


Sel
ye
반 응 개인의 항상성 유지에 장애가 왔을 때 이에 대처하려는
(
1956)
정신적 방어의 틀

Bee hr& 직무와 관련된 요인이 작업자와 상호관련하여 개인의 정당한


Newman 기능으로부터 이탈되도록 심리적 또는 생리적 조건을 변화
상 호 ( 1978) 시키는 조건
작 용 Fr
e nch&
개인의 기술과 능력이 직무의 환경에 부적합하고 조직이
Cobb
제공한 직무환경과 개인의 욕구가 부적합한 상태
(1974)

출처 :Sc
hul
er(
1980
)

- 5 -
2.병영 스트레스의 발생 원인

스트레스는 비록 개인적으로 경험하는 것이지만,개인적인 요인만이 아니


라 집단 또는 조직 등 개인 외적인 요인들도 스트레스의 원인(
str
ess
or)
이 될
수 있다.따라서 스트레스 원인에 대하여 <표 2-2>에서와 같이 다양한 요인
들을 제시하고 있다.
Qui
ck & Qui
ck(
1984)
은 스트레스의 원인을 조직적ㆍ물리적ㆍ개인간ㆍ조직
외적 요인으로 구분하고 있고,Kas
t& Ros
enz
wei
g(1985)
는 물리적 환경,직
무의 질,개인 요인으로 구분하고 있다.그리고 Kos
lows
ky(
1998)
은 개인적 요
인, 집단과 조직적 요인, 조직외적 요인으로 구분하였고, Har
ris &
Har
tman(
2002)
는 개인의 인성적 특성,직무관련 요인,기타 요인으로 구분하
여 스트레스의 원인을 제시하고 있다.

<표 2-2> 스트레스 원인


연구자 스트레스 요인 세 부 내 용
Qui
ck& 조직적 요인 업무요구,경력과정,업적평가,직업불안정 등
물리적 요인 기온,조명,사무실 설계 등
Qui
ck
개인적 요인 직위불일치,리더십 스타일 등
(
1984) 조직외적 요인 결혼,자녀관계,사회적 책임 등
물리적 환경 요인 조명,소음,온도,공기,불확실성
Kast& 업무속도,업무부여(
과도,과소,다양,단순)
,
직무의 질 요인
Rosenzweig 업무압박
(1985) 모호한 책임성,과도한 성과평가,기대 혹은
개인 요인
요구에 대한 갈등
주관적 요인(보수의 적절성,환경)
,
개인적 요인 객관적 특징(유형,통근시간,퇴직 등)
,
Kosl
owsky 직무요인(직무요구,역할부담,대인관계 등)
(
1998
) 집단과 조직적 요인 문화,조직구조,업무조건에 대한 변화 등
가치와 기대,환경(소음,밀도,온도 등)
,
조직외적 요인
가정과 가족(사망,결혼,갈등 등)
Harris& 개인의 인성적 특성 신체조건,자아감정,연령,교육 등
Hartman 직무관련 요인 과도한 또는 과소한 업무부담
(2002) 기타 요인 불확실성,지각된 통제,감정적 수준
출처 :이영균(
200
4),송병식(
1996
)

- 6 -
이러한 여러 학자들의 견해를 종합해보면 스트레스의 원인은 임창희(
2007)
가 분류한 바와 같이 크게 환경적 원인,물리적 원인,개인적 원인으로 구분할
수 있다.
여기서 환경적 원인은 경제․사회․정치․기술적인 변화와 불확실성으로
야기되는 것으로 여기에는 조직과 직무와 관련된 스트레스를 말한다.물리적
원인은 모든 조직에서 발견될 수 있는 물리적 환경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소
음․조명․온도 등이 대표적인 예이다.그리고 개인적 원인은 가족․친구․종
교 등과 같이 개인의 일상생활에서 발생하는 것을 말한다.
한편 병영 스트레스의 원인을 <표 2-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육군본부
(
1999)
에서는 스트레스 원인으로 심리적,환경적,조직 및 업무관련,부대원 신
상관련,군대조직 외부 요인의 5가지 요인을 들고 있다.그리고 신응섭․김용
주․육성필(
2007)
은 병사 3,
116명을 대상으로 스트레스 원인을 조사하고 요인
분석(
fact
oranal
ysi
s)을 실시한 결과를 토대로 스트레스 요인을 부대환경,직
무환경,대인관계,개인신상 4가지로 구분하였다.

<표 2-3> 군 조직에서의 스트레스 원인


연구자 스트레스 요인 세 부 내 용
심리관련 요인 적대감,자존심,완전주의적 사고,우울증
환경관련 요인 조명,소음,온도,공간
육군본부
조직/
업무관련 요인 작업요건,조직구조,역할경계,경력발달
(
199
9)
부대원 신상관련 요인 능력,가치관,자기통제성,생활사건
군 조직 외부 요인 가족,경제형편,부대외적 인간관계
신응섭, 부대환경 요인 환경,시설,
김용주, 담당직무 요인 직무특성,부서특성,상급자 특성
육성필 대인관계 요인 상급자,선임병,동기,후임병 관계
(200
7) 개인신상 요인 가족,이성,친구,콤플렉스

본 연구에서는 신응섭․김용주․육성필(
2007)
의 한국군을 대상으로 한 실
증연구결과를 토대로 과학적인 방법으로 스트레스의 원인을 범주화했기 때문
에 이를 스트레스 원인의 범주로 활용하였다.

- 7 -
3.병영 스트레스의 영향

일반적으로 스트레스는 나쁜 것 또는 없어야 되는 것으로 인식하는 경향이


있지만 <그림 2-1>의 ‘
적정 스트레스 수준 곡선’
에서 보는 바와 같이 스트레
스가 항상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은 아니다.자신이 인내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스트레스는 개인의 활력을 부여하고,집중력 및 주의력을 증대시키고
조직의 생산성을 높이는 등의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하지만 스트레스가 지
나치게 낮거나 높을 때에는 초조,불안,긴장을 초래하고,심할 때에는 스트레
스에 의한 장애,고혈압 등의 원인으로 작용할 수도 있다.따라서 스트레스 수
준이 지나치게 높거나 낮으면 바람직하지 못하기 때문에 ‘
적정 스트레스 수준
(
opt
imalst
ressl
eve
l)’
을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종목,2008:71)
.

<그림 2-1> 적정 스트레스 수준 곡선

출처 :이종목(
2008
)

따라서 Ber
nar
d(1968)
와 같은 학자들은 스트레스의 효과가 순기능적인가
역기능적인가를 기준으로 유스트레스(
eust
res
s)와 디스트레스(
dis
tre
ss)
로 구분
하기도 한다(
오세진,1999:397)
.
본 연구의 목적이 역기능적인 병영 스트레스의 예방 및 해소에 있기 때문
에 여기서는 스트레스의 부정적 영향에 초점을 맞춰 살펴본다.

- 8 -
3.
1병영 스트레스와 사고
병영 스트레스로 인한 부정적인 영향은 크게 개인 차원과 조직 차원으로
구분할 수 있다.
개인 차원의 부정적 영향은 생리적ㆍ행동적ㆍ심리적 증상이 나타날 수 있
다.생리적 증상은 뼈와 근육 계통의 증상으로 긴장감,떨림,약해짐,통증을
경험하게 되고,내장계통의 증상으로 심장박동의 증가,소변 횟수의 증가,짧
은 호흡 주기,구토 등의 위장 기능장애 등이 나타난다(
신응섭ㆍ김용주ㆍ육성
필,2007:7)
.행동적 증상은 식욕상실,체중 변화,음주습관 변화,책임감 상실,
공격행동 등이 해당된다.그리고 심리적 증상은 다른 증상에 선행하여 발생하
는데,그 영향이 눈에 드러나지 않을 수도 있다.그런데 그 정도가 심해지면
생리적ㆍ행동적 반응보다 그 처리가 어렵기 때문에 효과적인 스트레스 관리를
위해서는 각별한 관심이 요구된다.여기에는 불안,우울,좌절감,갈등,탈진
등이 해당된다(
김병섭,1994)
.
한편 조직 차원에서 나타나는 스트레스의 부정적 영향은 개인 차원에서 발
생한 스트레스의 부정적 영향 때문이라고 할 수 있는데,많은 연구결과에서
스트레스를 받을수록 분노행위,결근,이직,갈등 등이 증가되고,이로 인해 업
무성과가 나빠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Mot
owi
dloㆍPac
kar
d& Manni
ng,1986)
.
군 조직에서 이러한 스트레스의 역기능은 일반적인 스트레스의 영향과는
크게 차이가 없다.다만 군대환경의 특수성으로 인해 결근,이직 등의 문제는
발생하지 않겠지만,사기를 저하시키거나 업무나 훈련의 능률을 떨어뜨리고,
자살․탈영․폭행 등 악성사고를 발생시킬 수 있다.
군에서는 <표 2-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매년 약 50~80여명이 여러 가지
이유로 자살을 하고 있는데

<표 2-4> 군 사망자 현황


연 도 ’
04 ’
0 5 ’
06 ’07 ’
08
군 사망자 135 124 125 121 134
군 자살자 수(병) 67
(49) 6
4( 4
1) 77(54) 80(53) 73(52)
육군 자살자 수 54(80.
5%) 52(
8 1%) 6
6(85.7
%) 6
8( 8
4%) 50
(96.2
%)
출처 :국방부(
2008)

- 9 -
이 중 육군의 자살사고 원인을 살펴보면 <표 2-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복
무부적응,우울증 및 건강,여자문제 순으로 나타났다.이러한 분석결과는 자
살사고의 원인은 개인적 원인이 더 큰 비중(
78%)
을 차지한다는 것을 의미한
다.또한 상급자에 의한 폭언․욕설 등과 같은 병영 부조리에 의한 자살이 11
명이나 발생한 것으로 보아 아직 존중과 배려의 선진 병영문화가 정착되지 않
았음을 알 수 있다.따라서 군내 자살사고는 개인적 또는 부대 병영 스트레스
가 직․간접적 원인이라고 할 수 있다.

<표 2-5> 자살 사고의 원인


개인적 원인 부대적 원인
구 분 계 복무 우울증 여자 가정 병영 업무
소계 기타 소계
부적응 및 건강 문제 문제 부조리 부담
08년 68 5
3 15 14 11 10 3 15 11 4
출처 :육군본부(
2008)

또한 육군의 군무이탈 사고의 원인을 살펴보면 <표 2-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전체 사고는 전년대비 21%가 감소하였지만,여전히 통제 및 단체생활로
인한 복무부적응이 678명(
75%)
으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3) 또한

부대 원인보다는 개인적 원인이 더 큰 비중(


90%)
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
지만 결국 군무이탈 사고도 자살사고와 마찬가지로 개인적 원인 뿐만 아니라
처벌 우려 또는 사적제제 등의 병영 스트레스로 인해 발생한다고 할 수 있다.

<표 2-6> 군무이탈 사고의 원인


개인적 원인 부대적 원인
구 분 계 복무 가정 여자 신병 개인 처벌 사적
소계 기타 소계
부적응 환경 문제 비관 부채 우려 제재
08년 902 815 678 48 57 2
1 8 3 8
7 67 20
07년 1
,169 1
,050 906 68 58 8 6 4 119 106 13
출처 :육군본부(
2008)

3) 복무 부적응은 가치관, 성격, 체력 등 개인적인 요인 뿐만 아니라, 위계적․강압적 조직 분위기, 비


인격적 대우, 언어 폭력, 불합리한 리더십 등 때문에도 발생한다.

- 10 -
3.
2병영 스트레스와 PTSD

1)PTSD의 개념
가)일반적인 PTSD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PTSD :Pos
tTr
aumat
icSt
res
sDi
sor
der
)4)
란 일반
적으로 경험할 수 있는 스트레스의 한계를 넘어서는 매우 충격적이고 위협적
인 사건에 노출된 이후에 개인에게 남겨진 정신적 충격을 의미한다.그러나 오
늘날에는 매우 충격적인 외상 사건만이 아니라 교통사고와 같이 심각성이 덜
하고 반복적인 사건도 PTSD를 일으키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Bre
slaue
tal
.,
1990
).즉,심각성이 덜한 사건을 경험하거나 역시 외상사건이 될 수 있음과 자
신이 직접 외상 사건에 처하지 않더라도 타인에게 가해지는 외상을 목격하는
것만으로도 PTSD 발병을 촉발시킬 수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이유로 DSM-Ⅳ(
Diagnos
tic and St
ati
sti
cal Manual of Me
ntal
Di
sor
der
s-Ⅳ)
는 <그림 2-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외상 사건 피해자로 1차 피
해자인 사망자·
상해자 뿐 아니라 2·
3차 피해자인 외상 사건의 공식적·
비공식적
관련자를 모두 포함하고 있다(
채정호 등,2008)
.

<그림 2-2> 외상 사건 피해자의 분류


n 1차 피해자
• 사망자
• 신체적 ·정신적 외상이 있는 생존자

n 2차 피해자
• 사건을 목격한 사람
외상
• 1차 피해자의 가족/친구
사건
• 희생자의 유족
• 사건에 책임이 있다고 생각하는 사람
n 3차 피해자
• 응급서비스직(응급/소방/운전 등)
• 일차 병원 스태프와 상담가
• 사건 취재 관련 방송인

출처 :채정호 등(
2008
)

4) 미국정신의학회(APA)는 1980년 PTSD를 불안장애의 하위 정신 질환으로 공식적으로 채택하였다.

- 11 -
나)군에서의 PTSD
군에서 PTSD에 대한 인식은 <표 2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미국의 남북전
쟁에서 병사들이 심장 증상을 많이 호소함으로써 붙여진 ‘
다코스카 심장과민증
후군(
irr
itabl
ehe
art
)’
으로부터 시작되었다.이후 1차 세계대전에서 영국 부상병
들을 치료한 찰스 마이어스(
Char
les Mye
rs)
가 처음 사용한 ‘
탄환 공포(
she
ll
s
hoc
k)'
로 인해 PTSD 개념이 더욱 발전되었다.그는 직접적으로 포화에 노출
되지 않은 군인들에게도 옆에서 소리를 갑자기 내면 심박수가 2배 정도 증가
하는 등 PTSD 유사 증상이 나타남을 관찰함으로써 PTSD가 단순한 신체질환
이 아닌 정서적인 원인에 의해 생긴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제2차 세계대전 당시에는 군인들의 불안 증상을 설명하기 위해 ‘
전투 스트
레스 반응(
combats
tre
ssr
eac
tion)
'이란 용어가 사용되었다.아브함 카디너
(
Abr
ahm Kar
dine
r)는 그의 저서 ’
전쟁 외상 신경증(
TheTr
aumat
icNeur
ose
s
ofWar
)'을 통해 PTSD 환자들의 증상을 자세히 기술하였고,이전의 외상과
현재의 증상을 비교하면서 이전의 잘못된 진단(
히스테리아,꾀병,간질 등)

소개하였다.또한 그는 환경의 위협에 대해 환자들이 각성과 예민함을 계속
보인다는 점을 정확히 지적하였고,그가 주장한 ‘
생리신경증(
phys
ione
urosi
s)'
은 현재 PTSD 개념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쳤다.이후 베트남 전쟁이 PTSD
의 현대적 개념 정립에 많은 자료를 제공하였고,1차 걸프전(
Gul
fWar
)을 통
하여 PTSD 치료에 대한 이해가 넓어지게 되었다(
Yehuda,2001)
.

<표 2-7> PTSD 관련 용어


구 분 PTSD 관련 용어
미국남북전쟁 다코스카 심장 과민증후군(
irr
itabl
ehe
art
)
피로 증후군(
eff
orts
yndr
ome
)
1차 세계대전
탄환 공포(
she
llshock)
전투 스트레스 반응(
combatst
ressr
eac
tion)
2차 세계대전
전쟁 신경증(
warne
uros
is)
베트남 전쟁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PTSD)
걸프전 걸프전 증후군(
Gul
fWarsyndr
ome
)
출처 :채정호 등(
2008
)

- 12 -
2)증상 및 진단기준
PTSD의 진단기준은 <표 2-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외상 사건으로 인한
공포감을 나타내어야 하고,외상 사건을 지속적으로 재경험하고,외상과 관련
된 자극을 회피하며,예민한 각성 상태가 계속되는 세 가지 증상에 대해 각각
일정한 수준 이상의 증상이 충족된 상태로 1개월 이상 지속되어 일상생활을
영위하는 데 장해가 될 때이다(
APA,1994)
.

<표 2-8>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의 진단기준(


DSM-Ⅳ)

A.외상성 사건을 경험했던 개인에게 다음 2가지 증상이 모두 나타난다.


(
1)개인이 자신이나 타인의 실체적이거나 위협적인 죽음이나 심각한 상해,또는
신체적 안녕에 위협을 가져다주는 사건을 경험하거나 목격/
직면했을 때
(
2)개인의 반응에 극심한 공포,무력감,고통이 동반될 때
B.외상성 사건을 다음과 같은 방식 가운데 1가지 이상의 방식으로 지속적
으로 재경험 할 때
(
1)사건에 대한 반복적이고 집요하게 떠오르는 고통스런 회상( 영상/생각 등)
(
2)사건에 대한 반복적이고 괴로운 꿈
(
3)마치 외상적 사건이 재발하고 있는 것 같은 행동이나 느낌( 사건을 다시
경험하는 듯한 지각,착각,환각,해리적인 환각 재현의 삽화들.이런 경험
은 잠에서 깨어날 때 혹은 중독 상태에서의 경험을 포함한다. )
(
4)외상적 사건과 유사하거나 상징적인 내· 외적 단서에 노출되었을 때 심각한
심리적 고통
(
5)외상적 사건과 유사하거나 상징적인 내·
외적 단서에 노출되었을 때 생리적 반응
C.외상과 연관되는 자극을 지속적으로 회피하려 하거나,일반적인 반응의
마비(
전에는 없었던)가 다음 중 3가지 이상일 때
(
1)외상과 관련되는 생각,느낌,대화를 피한다.
(
2)외상이 회상되는 행동,장소,사람들을 피한다.
(
3)외상의 중요한 부분을 회상할 수 없다.
(
4)중요한 활동에 흥미나 참여가 매우 저하되어 있다.
(
5)정서의 범위가 제한되어 있다(예:사랑의 감정을 느낄 수 없다)
.
(
6)미래가 단축된 느낌(
예:직업,결혼,자녀,정상적 삶을 기대하지 않는다.
)
D.증가된 각성 반응의 증상(
외상 전에는 존재하지 않았던)
이 2가지 이상 있을 때
(
1)잠들기 어려움 또는 잠을 계속 자기 어려움
(
2)자극에 과민한 상태 또는 분노의 폭발 (3)집중의 어려움
(
4)지나친 경계 (
5)악화된 놀람 반응
E.장해(
진단기준 B,C,D)
의 기간이 1개월 이상이다.
F.증상이 임상적으로 심각한 고통이나 사회적,직업적,다른 중요한 기능
영역에서 장해를 초래한다.

- 13 -
3)PTSD 관리의 중요성
미국 정신의학협회(
APA,1994)
에 따르면 일반 인구에서 PTSD의 평생 유
병율(
li
fet
imepr
eval
enc
e)5
)은 약 1∼14%인 것으로 나타났고,Kes
sle
r등(
1995)
은 일생동안 50%이상의 남녀가 PTSD와 연관될 수 있을 만큼 심각한 외상을
경험한다고 하며,이런 외상 사건 이후 피해자의 최소 10∼20% 정도가 PTSD
를 겪는다고 보고되고 있다.
한국인이 외상 사건을 경험한 후 PTSD로 이어지는 비율은 현재까지의 연
구에 따르면 25.
5∼48%로 외상 사건별로 조금씩 차이를 보인다.자연재해를
겪은 후 3개월이 지난 시점에서 주민들의 심리적인 상태를 평가하였을 때
36%의 주민이 PTSD를 겪고 있었고(
이인숙 외,2003)
,산업현장에서 재해를
당한 사람들 중 25.
5%가 PTSD를 보인다는 보고가 있으며(
최경숙,2002)
,삼
풍백화점 붕괴 사고 이후 3개월 동안 급성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ASD)
로 진
단된 사람들은 41%,부분성 PTSD는 48%로 나타났다(
김승태 외,1997)
.뿐만
아니라,버스 사고를 당한 사람들에 대해서는 2개월이 경과한 시점에서 PTSD
를 겪는 사람의 비율이 27.
7%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선미,2001)
.
미국의 「국가공존 질환조사」에서는 전투,생명을 위협할 정도의 사고,학
대,자연 재해 등 명백히 위험한 사건 뿐 아니라,단순한 폭력,다른 사람의
부상이나 죽음을 목격한 경우,단순한 정신적 충격도 외상에 포함시키고 있다.
또한 군내에서 흔히 발생할 수 있는 사고,총상,동료의 죽음,살인 또는 부상
을 목격하는 것들도 PTSD를 유발한다고 조사 되었다(
Det
roi
tAr
ea Sur
vey
ofTr
auma,1996)
.특히,부상을 목격하는 것만도 7.
3%의 사람들이 PTSD가
발병한다는 사실은 실전과 같은 훈련 또는 실제 전투과정에서 전사는 물론 많
은 부상을 경험하게 되는 군에서 PTSD 관리에 대한 많은 관심이 필요함을
시사해주고 있다.
한편 외상 사건에 대한 감정적 상처나 충격은 지나치게 갑작스러운 방어기
제를 일으켜 인간의 심리적 발달에 장기간 지속되는 손상을 입히고 대개 신경
증을 유발하고,사회생활에 필요한 기초적인 기능을 저해하여 공동체 의식을
손상시키고 사람들 사이의 유대관계를 해친다(
Eri
cks
on,1976)
.외상 사건을

5) 평생 동안 특정한 정신 장애를 한 번 이상 경험한 사람들의 비율

- 14 -
경험한 직후에 나타나는 이러한 반응은 정상적인 반응일 수도 있으나,일부는
방치할 경우 증상이 더욱 심해지기도 하고 알코올 의존 문제나 자살 문제로
이어지기도 하므로 발병 초기의 발견과 치료가 중요하다.발병 초기에 도움이
적절하게 작용하면 추후에 이어질 수 있는 부정적이고 파괴적인 결과를 예방
할 수 있기 때문이다.
PTSD는 치료를 하지 않는 경우 저절로 회복되는 경향이 낮아 10년이 지
난 후에도 외상을 겪은 환자의 약 40%가 회복되지 않는 등 한번 PTSD로 진
단받는 경우 만성화되는 경향이 높다(
Kes
sle
retal
.,1995)
.또한 많은 연구에
서 삶의 질을 떨어뜨린다고 알려진 우울증과 강박장애 보다 PTSD가 삶의 질
을 더 저하시키는 것으로 나타났고,<그림 2-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일반인
과 비교 연구 결과 PTSD 발병자는 활력이 38%만 기능하고,사회적 기능의
경우 50%만 발휘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Mal
ike
tal
,1999)
.

<그림 2-3> 정신질환의 사회적 기능


100%

70%
63%
50%

출처:Mal
ike
tal
(19
99)

이와 같이 PTSD는 조기에 치료되지 않을 경우 그 영향이 치명적이기 때


문에 많은 국가들이 미국 등 많은 나라가 국가적 차원에서 PTSD 예방과 치
료를 위해 다양한 노력을 하고 있다.

- 15 -
제2절 스트레스 관리전략

1.스트레스 관리의 개념

스트레스 관리(
str
essma
nage
ment
)를 Ans
hel
(19
97)
은 “
스트레스에 의해 일어
나는 요구에 적응하거나 요구를 줄이거나 감소시키는 행동,또는 스트레스가
요구하는 사항을 조절하거나 개인이 스트레스를 통제할 수 있는 능력을 확장
하기 위한 시도”
라고 정의하였다.
그리고 박재옥(
2008)
은 “
개인과 조직의 건강을 증진시키고,동시에 개인과
조직의 디스트레스를 방지하기 위해서 특수방법을 이용하는 일련의 제 원칙이
면서 하나의 조직적 철학”
이라고 정의하고 있다.
스트레스의 관리는 결국 과도한 수준의 스트레스에 이르지 않도록 스트레
스를 관리해주는 것인데,이러한 스트레스 관리에 관한 대표적인 연구는
Qui
ck & Qui
ck(
1984)
의 연구라고 할 수 있다.그는 스트레스 관리를 <그림
2-4>와 같이 「요인중심의 1차적 예방」,「반응중심의 2차적 예방」,「증상
중심의 3차적 예방」의 3단계로 구분하고 있다.
「1차적 예방」은 스트레스 원인을 중심으로 한 예방으로 스트레스 원인을
제거하는 것이 목적이 아니라 빈도 및 강도를 최적 수준화 하는데 그 목적이
있고,「2차적 예방」은 스트레스 반응을 중심으로 한 예방으로 반응 그 자체
를 통제하는데 목적이 있다.그리고 「3차적 예방」은 스트레스 증후를 중심
으로 한 예방으로 결과적으로 나타나는 개인 및 조직수준의 증후를 최소화하
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스트레스 관리전략의 주체에 따라 「개인수준의 관리전략」과 「조직
수준의 관리전략」으로 구분하고 있는데,「개인수준의 관리전략」은 ‘
요인지
향적,반응지향적,증상지향적’
으로 구분하고 있고,「조직수준의 관리전략」은
직무 및 물리적 요건과 역할 및 대인관계적 요건으로 구분하고 있다.

- 16 -
<그림 2-4> Qui
ck& Qui
ck의 스트레스 관리전략 연구모형

출처 :Qui
ck& Qui
ck(
1984)

한편 스트레스 관리전략은 <표 2-9>와 같이 학자들마다 조금씩 다르게 구


분한다.Ne
wman(
1979)
은 적응반응형태(
개인,조직,외부환경)
,예방목표(
조직,
개인)
, 예방특성(
예방적, 치료적)
에 따라 12가지 유형으로 구분하고 있고,
Mur
phy(
1992)
는 1차 예방(
예방차단)
,2차 예방(
심각도 감소방안)
,3차 예방(

병치료)3단계의 스트레스 관리로 구분하여 설명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Qui
ck & Qui
ck(
1984)
의 연구모형에 따라 스트레스 관리전
략을 다음과 같이 크게 「개인수준의 스트레스 관리전략」과 「조직수준의 스
트레스 관리전략」으로 구분하였다.

- 17 -
<표 2-9> 스트레스 관리전략의 구분

연 구 자 구 분

Ne
wman 적응반응형태,예방목표,예방특성에 따라 1
2가지
(
1979) 유형으로 구분

Qui
ck& Qui
ck
개인적(
요인,반응,증상)관리와 조직적 관리로 구분
(
1984)

1차 예방(
예방차단)
,2차 예방(
심각도 감소방안)
,
Mur
phy(
1992)
3차 예방(
질병치료)

조현숙(
2001) 적극적 대처,소극적 대처,회피 반응으로 구분

이경숙 등(
2002) 적극적 대처,사회적 지지 대처로 구분

박형숙,강은희 문제중심,희망적 관점,무관심,사회적 지지,긍정적 관점,


(
2007) 긴장 해소로 구분

출처 :허찬영․박재옥(
200
8)

2.개인 수준의 스트레스 관리전략

개인수준의 스트레스 관리전략은 다음과 같이 요인중심 관리전략,반응중


심 관리전략,증상중심 관리전략으로 구분할 수 있다(
Qui
ck& Qui
ck,1984)
.

2.
1요인중심 관리전략
개인마다 스트레스를 받았을 경우 스트레스를 지각 또는 평가하는 과정이
다르기 때문에 스트레스 정도는 개인마다 다를 수 있다.즉 같은 스트레스를
받더라도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사람은 유스트레스로 작용할 것이고,부정적으
로 인식하는 사람은 디스트레스로 작용할 것이다.이와같이 요인중심의 관리
전략은 개인의 지각을 변경함으로써 잠재적인 스트레스 원인을 변경 또는 감
소시키는 것이다.

- 18 -
요인중심 관리전략은 지각관리,작업환경관리,생활스타일관리로 구분할 수
있다(
박재옥,2008)
.지각관리는 앞서 설명한 개인의 지각을 변경시키는 것을
말하는데 이와 같은 기법으로는 건설적 자기대화,긍정적․건설적 스트레스
인식,분노조절,인지적 왜곡 등의 기법이 해당된다.작업환경관리와 생활스타
일관리 기법은 작업장뿐만 아니라 개인의 가정생활에 대해 효율적인 계획수립
을 통해 적절한 휴식시간을 부여해줌으로써 스트레스를 예방하는 기법이 해당
된다.

2.
2반응중심 관리전략
반응중심은 개인이 받은 스트레스 정도를 최적화하려는 노력 및 행동이라
고 할 수 있는데 여기에는 이완훈련,신체적 배출,정서적 배출이 해당된다.
이완훈련은 긴장을 완화하기 위해 근육을 이완시키거나 긴장을 감소시키는 방
법으로 점진적 근육 이완법,명상,바이오 피드백 훈련,명상,최면 등의 기법
이 있다(
Jac
obs
on,1905)
.신체적 배출은 규칙적인 운동을 통해 근육긴장과 고
조된 정신적 에너지를 경감시켜주는 기법으로 많은 연구에서 그 효과가 입증
되고 있다.에어로빅,레크리에이션,산책,체육활동 등의 기법이 신체적 배출
에 해당된다.
정서적 배출은 스트레스 관련 정서를 외부로 표현해 냄으로서 스트레스를
경감시키는 기법으로 다른 사람과 대화하기,편지와 일기 등으로 문장으로 표
현하거나,울음,웃음,고함 등으로 행동하는 기법이 여기에 해당한다.하지만
사회적으로 정서를 표현하는 데는 많은 사회적 장애가 있어서 감정을 억눌러
야 하거나,의식적으로 약점을 노출시키지 않아야 할 경우가 많기 때문에 평
소 사용하기에 제한점이 있다.

2.
3증상중심 관리전략
증상중심은 스트레스로 인한 부정적인 결과들이 일어났을 경우 취하는 개
인적 예방관리로 전가에 의한 상담치료나 인지행동치료,의학적인 약물치료
등이 이 관리방법에 해당된다.상담은 타인의 도움을 통해서 자신의 사고,감

- 19 -
정,행동,상황 등을 표현함으로써 자신과 생활을 보다 명백히 이해하여 한층
더 효율적인 대처행동을 하고,보다 적절한 행동을 선택하고 변화시키도록 도
움을 주는 과정이다.이 기법에는 개인상담,행동치료,집단상담 등이 해당된
다.
의학적 약물치료는 스트레스에 의해 유발된 불쾌,불능 등을 예방하기 위
한 최종수단으로,이 기법은 1,2차 예방관리에도 불구하고 스트레스를 예방하
지 못했을 때 발생되는 결과이다.일반적으로 약물치료를 꺼리지만 전문의에
의한 정확한 처방이 이루어진다면 더 큰 스트레스로 인한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3.조직 수준의 관리전략

3.
1직무중심 관리전략
직무중심은 직무 및 물질․육체적 요구로 인해 받는 스트레스를 관리하기
위한 방법으로 세부기법으로는 직무재설계(
Job r
ede
sign)
, 참여적 관리
(
Par
tic
ipat
iveManage
ment
),경력개발(
Car
eerDe
vel
opme
nt)
,융통적 작업계획
(
Fle
xibl
eJob Sc
hedul
ing)등이 있다.직무재설계는 개인에게 부여되는 과제
를 변경시키는데 목적이 있는데,개인의 능력과 기호에 맞게 직무를 설계하고,
직무요구에 맞는 기술을 습득키 위한 훈련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등의 기법이
해당된다(
Hac
kman,1977)
.참여적 관리는 구성원의 참여를 극대화하기 위해
의사결정을 분권화하여 개인에게 어느 정도의 재량권과 자율성을 부여하는 것
이다.
경력개발은 구성원의 경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개인적 행동이나 다른 사람
과 협동하는 특수행동들을 말하는데,경력개발을 제대로 실시하지 않았을 경
우 조직은 이직과 좌절로 인해 과업성과가 떨어지게 된다.융통적 작업계획은
작업환경에서 개인의 통제력과 재량권을 증가시켜주는 것으로,작업이 독립적
이고 과제의 전문성이 높을수록 쉽게 사용될 수 있다.

- 20 -
3.
2관계중심 관리전략
관계중심은 조직구성원들의 역할 및 대인관계 측면에서 스트레스를 관리하
기 위한 방법으로 역할분석,목표설정,사회적 지지,팀 빌딩(
team bui
ldi
ng)
등의 기법이 해당된다.역할분석은 개인의 역할을 명확히 정의하여 줌으로써
스트레스를 야기하는 요인을 감소시키는데 목적이 있다(
이탁권,1994)
.이 분
야는 스트레스와 관련하여 가장 많은 연구가 이루어졌다.목표설정은 개인의
직무에 대한 구체적인 목표를 설정해 주는 방법이다.여기서 목표는 너무 쉽
거나 너무 어려워서는 안되며 도달 가능한 목표를 설정해야 한다.
사회적 지지는 주변 사람들에 의한 후원시스템을 말하는데,여러 연구결과
사회적 지지는 개인이 필요로 하는 정서적,정보적,도구적 지원을 통해 스트
레스의 심리적,생리적 효과를 약화시키는데 효과적이라고 나타나고 있다(

종목,2008)
.팀 빌딩은 작업집단에서 일어나는 대인관계 과정을 매개해주는
방법이다.즉 팀을 형성해 줌으로써 협동적인 관계를 만들어 집단의 응집력을
높여 결국 효과를 향상시키고자 하는 것이다.이때 팀은 임무 및 목적이 동일
해야 하며 적정수준의 규모를 이뤄야 한다.

제3절 병영 스트레스 관리 프로그램 및 제도

1.한 국 군

우리 군에서 병영 스트레스 해소를 위한 직접적인 프로그램을 운용하고 있


지는 않지만,사고예방과 관련하여 각 군별로 여러 가지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그러나 이들 프로그램 중 어떤 프로그램은 지속적으로 운영되지 못하고
현재 프로그램 명칭만 남아있거나 전체적으로 활용되지 못하고 몇 개 부대에
서만 제한적으로 시행되고 하다.
각 군에서 운영하고 있는 병영 스트레스 해소 관련 프로그램은 <표 2-10>
에서 보는 것과 같이 육군에서는 비전캠프,선진병영캠프,Bl
ueLand 프로그

- 21 -
램 등을 운영하고 있고,해군은 Br
ightSchool
,멘토링/
Mat
chi
ng 프로그램,그
리고 공군은 상병 진급캠프와 웰컴캠프를 운영하고 있는데 각 프로그램의 세
6)
부내용은 다음과 같다.

<표 2-10> 병영 스트레스 해소 관련 프로그램


구분 프로그램 명칭 대상 기간 주요 내용 실시부대
심리검사,자기개방,
복무부적응자,
비전캠프 4박5일 타인공감,자살예방, 전 부대
자살우려자
감정관리,자존감 향상
군복무 가치관,자살예방,
이등병 선진
전입신병 2박3일 사회봉사활동,자존심회복, 전 부대
병영캠프
의사소통
충ㆍ효ㆍ예 교육,신병시절
병장 선진 경험 토의,
육군 병장 진급자 1박2일 전 부대
병영캠프 선임병으로서 자세 토의,
체육활동
명상의 시간,제식훈련,
음악치료,봉사활동,
BlueLa
nd 자살우려자, MBTI검사,인성교육,
6박7일 3
1사단
프로그램 지휘부담병사 자살예방교육,제식훈련,
편지쓰기,산책,영화시청,
종교활동
인생관 확립,웃음/칭찬교육,
Br
ight 관심병사,
3박4일 충ㆍ효ㆍ예 교육, 1함대
Sc
hool 이등병
해군 리더십교육,문화탐방
멘토링/
Mat
chi
ng 영내하사, 부대환경 적응,업무적응, 을지문덕함
수시
프로그램 전입병사 친목활동,개인상담 이천함
역할연기,목표설정,
상병 자원봉사활동,
상병 진급자 2박3일 전 부대
진급캠프 동료에게 편지쓰기,
공군 안보교육,전쟁영화 시청
자기소개,부대이해,
웰컴 캠프 전입신병 1일 경험담 공유, 전 부대
군생활 실천계획서 작성
출처 :연구자가 정리

6) 이 중 대표적으로 활발하게 운영되고 있는 프로그램은 육군의 비전캠프와 선진병영캠프 및 공군


의 웰컴캠프이다.

- 22 -
1.
1비전캠프
비전캠프는 2003년 육군본부 군종실에서 프로그램을 개발하여,2004년부터
자살 및 사고예방 프로그램으로 운영되어 오고 있으며,2007년 1회의 개정작
업을 거쳤다(
육군본부 군종실,2007:6)
.
비전캠프 프로그램은 다양한 상담 및 심리치료 이론들에서 군대의 상담 장
면에 맞는 부분을 선택하여 구성되었다.<표 2-11>과 같이 집단 상담과정을
4단계로 나누어 3박 4일 프로그램으로 운영하고 있으며,교육대상자는 프로그
램 운영 취지에 맞게 군복무 부적응자나 자살우려자로 예상되는 병사이다.부
대에 따라서는 이들과 동시에 적응을 잘하고 있는 병사를 함께 입소시키기도
하는데,목적은 낙인의 문제로부터 부적응자를 보호하기 위한 것이다.

<표 2-11> 비전캠프 일정 및 주요내용

단 계 교육일정 프로그램 명 주요 내용

사전준비 ㆍ등록
1일차 ㆍ환영받는 느낌 갖게 하기
단계 ㆍMMPI검사

ㆍ오리엔테이션
도입 ㆍI
ceBr
eaki
ng
1일차 ㆍ자기소개하기
단계 ㆍ낮은 수준의 자기 개방
ㆍ마음을 열어요

ㆍ나의 이야기
ㆍ갈등과 저항에서 집단응집으로 전환
전환 1일차 ㆍ나의 발견(
성격검사)
ㆍ수용과 공감,공동체 활동
단계 2일차 ㆍ더불어 함께
ㆍ자기 발견의 심화
ㆍ영화감상/
종교행사

ㆍ서로 통해요
작업 ㆍ의사소통 개선 및 대인관계 향상
3일차 ㆍ나를 풀어주기
단계 ㆍ감정의 정화
ㆍ나의 꿈을 찾아서

종결 ㆍ마음 다지기 ㆍ실천의지 강화


4일차
단계 ㆍ새롭게 시작해요(
수료식) ㆍ미래에 대한 희망

출처 :육군본부(
2007
)

- 23 -
비전캠프는 심리치료 기법을 바탕으로 군에 도입된 실질적인 집단상담 프
로그램이었기 때문에,군의 사고예방에 상당부분 기여해 왔다.그러나 프로그
램의 대부분이 부적응 병사 자신에 대한 이해와 변화에 초점을 맞추고 있어,
군 복무 부적응의 주된 원인을 효과적으로 다루지 못하고 있다.

1.
2이등병 선진 병영캠프
이등병 선진 병영캠프의 목적은 병영생활 적응이 미숙한 전입신병에게 동
화교육을 시켜 군 생활에 대한 자신감 부여와 조기 적응능력을 배양하는 것이
다.<표 2-12>과 같이 이등병 선진 병영캠프는 군복무의 의의와 가치교육,동
료애 고취,부모님께 편지쓰기,인성교육 등으로 이루어지며 교육내용은 부대
에 따라 조금씩 변환하여 운영하고 있다.

<표 2-12> 이등병 선진 병영캠프 일정 및 주요내용

교육 일정 프로그램 명 주요 내용
ㆍ입소식
ㆍ충ㆍ효ㆍ예 교육
오전 ㆍ군 생활에 대한 조기 적응
ㆍ부대 역사관 견학
ㆍ부대 소개(VTR)
1
일차
ㆍ군복무 가치관 교육
ㆍ군 복무의 의의
ㆍ체육활동
오후 ㆍ동료애 함양
ㆍ동기들과 대화
ㆍ개인면담
ㆍ개인고충 털어놓기
ㆍ군법교육 ㆍ병영 사고 예방
오전
ㆍ사고 예방 교육(자살) ㆍ자살 사고 예방
2
일차 ㆍ봉사활동 ㆍ사회복지 시설 봉사활동
오후 ㆍ부모님께 편지쓰기 ㆍ군 생활에 대한 다짐
ㆍ개인고충 털어 놓기 ㆍ개인면담
ㆍ자존심 회복
오전 ㆍ인성교육 ㆍ의소소통 이해
3
일차 ㆍ역할극 놀이
ㆍ지휘관과의 대화
오후 -
ㆍ설문작성/
퇴소
출처 :육군본부(
2007)

- 24 -
1.
3병장 선진 병영캠프
병장 선진 병영캠프는 군 생활 경험이 완숙기에 이른 병장들의 의식개혁을
통하여 병영내 악ㆍ폐습 근절의지를 배양함으로써 합리적인 부대 관리를 정착
하기 위한 것이다.병장 진급자 전원에 대하여 <표 2-13>과 같이 병장 선진
병영캠프는 충ㆍ효ㆍ예 교육,군대예절 교육,신병시절 악ㆍ폐습 경험토의,선
임병으로서 생활자세,형(
兄)정신 함양과 애대심을 고취로 이루어진다.

<표 2-13> 병장 선진 병영캠프 일정 및 주요내용


교육 일정 프로그램 명 주 요 내 용
ㆍ입소식
ㆍ충ㆍ효ㆍ예 교육
오전 ㆍ군대예절 교육 ㆍ신병시절 악ㆍ폐습 경험 작성
ㆍ후임병때 바라본 선임병
모습 작성
1일차
ㆍ후임병때 바라본 선임병
모습 발표/토의 ㆍ신병시절 악ㆍ폐습 경험 토의
오후
ㆍ체육활동 ㆍ형(兄)정신 함양
ㆍ내무 부조리 근절방법 발표

ㆍ선진 병영문화 발표/ 토의


오전 ㆍ선임병으로서 생활 자세
ㆍ선임병으로서 각오 발표/토의
2일차
ㆍ등산 및 단체운동
오후 -
ㆍ소감문작성/퇴소

출처 :육군본부(
2007
)

1.
4Bl
ueLand프로그램
Bl
ueLand 프로그램은 자살우려자를 포함하여,대대장의 병력관리에 대한
지휘부담병사에 대한 사단 차원의 맞춤형 지도 및 조치 운영 체계로써,지휘
부담 병사를 수준에 따라 Eas
y형,Di
ff
icul
t형,Ver
y Di
ff
icul
t형으로 분류하여
맞춤식 지도 및 조치를 취하는 일련의 과정이다.<표 2-14>와 같이 지휘부담
병사를 입소시켜 6박 7일간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면서,유형별 상담 시간으
로 상담 방법을 달리한다.

- 25 -
<표 2-14> Bl
ueLand프로그램 일정 및 주요내용
교육 일정 프로그램 명 주 요 내 용
ㆍ명상의 시간(
매일 아침)
오전 ㆍ유형별 상담(
E형,D형,VD형) ㆍ면담 및 실태확인
1일차 ㆍ제식훈련

ㆍ음악치료
오후 ㆍ휴식
ㆍ주둔지 산책 /체육활동
오전 ㆍ봉사활동(
행복 재활원) ㆍ봉사활동
2일차 ㆍ봉사활동(행복 재활원)
오후 ㆍ봉사활동
ㆍ제식훈련
오전 ㆍMBTI검사 /제식훈련 ㆍ성격유형 검사
3일차 ㆍ음악치료 /인성교육
오후 ㆍ인성교육
ㆍ체육활동
ㆍ유형별 상담(
E형,D형,VD형) ㆍ상담 및 치료
오전
4일차 ㆍ자살사고 예방 교육 ㆍ자살 예방 교육
오후 ㆍ음악치료 /제식훈련 -
ㆍ생명 존중 교육
오전 ㆍ자살 예방 교육
ㆍ인성교육(VTR)
5일차 ㆍ충장호수 산책
오후 ㆍ유형별 상담(
E형,D형,VD형) ㆍ상담 및 조치
ㆍ부사단장 동반목욕

ㆍ부모,여자친구에게 편지쓰기
오전 -
6일차 ㆍ부모면회 /권장도서 읽기
오후 ㆍ영화시청 /체육활동 -
오전 ㆍ종교활동 /음악치료 -
7일차
오후 ㆍ영화시청 /체육활동 -
출처 :31사단(
2006)

1.
5상병 진급캠프
공군의 상병 진급캠프는 군 복무의 절반을 지나는 상병 진급자 전원을 대
상으로 계급 및 진급에 대한 의미를 부여하고,병영생활의 새로운 각오를 다
지게 하는 교육으로 <표 2-15>과 같이 상병 진급자를 대상으로 2박 3일간 인
성교육,자긍심 함양을 위해 프로그램을 진행한다.

- 26 -
<표 2-15> 상병 진급캠프 프로그램 일정 및 주요내용
교육 일정 프로그램 명 주 요 내 용
ㆍ입교식 ㆍ자아발견
오전
ㆍ자기 PR /공감대화 ㆍ의사소통 향상
1
일차 ㆍ부대 자랑신문 만들기 ㆍ자긍심 함양
오후
ㆍ역할극 /영화감상 ㆍ대인관계 향상
야간 ㆍ선ㆍ후임에게 편지쓰기 ㆍ대인관계 향상
ㆍ개인 신변 정리
오전 -
ㆍ봉사활동
ㆍ문화활동(전문가 초빙)
2
일차 오후 -
ㆍ체육활동
ㆍ머리 감겨주기
야간 -
ㆍ1
5개월의 재설계
ㆍ가상 전역식 /지휘관과의 대화
3
일차 오전 -
ㆍ상병 다짐의식

출처 :공군본부(
2007)

1.
6웰컴 캠프
웰컴 캠프는 <표 2-16>과 같이 전입신병에 대하여 자기이해 및 부대에 대
한 자긍심을 높이고 대인관계 능력을 배양하기 위해 1일 7시간 프로그램을 운
영한다.

<표 2-16> 웰컴 캠프 일정 및 주요내용


교육 일정 프로그램 명 주 요 내 용

ㆍ오리엔테이션 ㆍ프로그램 이해,친밀감 형성


오전 ㆍ인생등고선 ㆍ자기이해
ㆍ부대광고 만들기 ㆍ명예심 및 부대 자긍심 제고

1일차
ㆍ팀워크 형성 훈련
ㆍ용기와 자신감 제고
ㆍ부대 생활 곡선 /인생 등고선
오후 ㆍ대인관계 능력 배양
ㆍ가상 병영 시나리오 훈련
ㆍ군생활에 대한 각오
ㆍ병영 생활 실천 계획서

출처 :공군본부(
2009)

- 27 -
2.미 군

최근 ‘
미군의 가장 큰 적은 스트레스’
라는 말이 나올 정도로 미군은 스트레
스로 인한 피해가 심각한 수준에 다달해 있다.지난 5월에는 미군 병사가 바
그다드에서 총기를 난사해 동료 5명을 살해한 사건이 일어났고,또한 11월에
는 미 육군 군의관이 총기 난동극을 벌여 13명이 숨지고 30여명이 다친 사건
이 발생했다(
경향신문,2009.
11.
7).특히 미군은 이라크와 아프가니스탄 전쟁을
치루면서 전투 스트레스 관리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하고 국가적 차원 및 각
군 차원에서 노력하고 있다.

2.
1육 군
미 육군은 이라크 및 아프가니스탄 전쟁 참전으로 인한 전투 스트레스
(
CombatSt
res
s)로 자살하는 인원이 급증함에 따라 이를 예방하기 위해 스트
레스 해소 프로그램을 기본훈련과정에 포함해 시행키로 결정하고,이 과정에
는 계급에 상관없이 사병과 장교,장성 등 전 인원이 참여하도록 하고 있다
(
연합뉴스,2009.
7.31)
.
미 육군은 <표 2-17>에서 보는 것과 같이 전 장병들에 대하여 전투지 배
치 전ㆍ중ㆍ후에 걸쳐 지속적으로 교육을 실시하고 있는데,대표적인 프로그
램으로 전투 마인드 훈련(
Bat
tl
eMi
ndTr
aini
ng)
은 일종의 정신교육으로써 전
장병을 대상으로 하는 전투지 배치 전․중․후 프로그램이다.
교육 내용은 자신감 및 정신력 향상 관련 내용 위주로 교육을 실시하고,
추가적으로 전투 스트레스 관리방법에 대해 교육을 실시한다.「파병 및 전투
스트레스 대처 지침서(
Gui
de t
o Copi
ng wi
th De
ployment and Combat
St
res
s)」는 일종의 전투 스트레스 관리 지침서로써 전투 및 작전중 스트레스
의 증상을 파악하고 대처 방식을 습득하도록 하기 위해 발간되었다.여기에는
스트레스에 대한 개인적 예방법,신체적․정신적 반응 등 내용이 포함되어 있
고,특히 전투 스트레스를 부득이 한 것으로 인식하고 이를 효과적으로 관리
할 수 있는 리더십이 필요하다는 것을 강조하고 있다.이 지침서는 한 장으로
요약되어 장병들이 쉽게 볼 수 있도록 Poc
ketBook7) 형태로도 제작되어 있다.

- 28 -
<표 2-17> 미군의 스트레스 관리
구 분 세 부 내 용 비 고
ㆍ교육시기/
대상 :전투지 배치 전ㆍ중ㆍ후 /전 장병
ㆍ교육내용
Bat
tl
e
-자신감 :위험감수,도전정신
Mind 교육
-정신력요인 :장애 /좌절 극복,긍정적 사고
Trai
ning 프로그램
-추가교육
(
2008)
ㆍ전투 스트레스 관리
ㆍmTBI
(mi
ldTr
aumat
icBr
ainI
njur
y)치료
ㆍ목적 :전투 및 작전중 스트레스의 증상을
육군 Gui
det
o
파악하고 대처 방식 습득
Copi
ng
ㆍ스트레스에 대한 일반적 내용
wit
h
-개인적 예방법 /리더가 해야 할 일
De
ployment
-신체적,정신적 반응(
예 :긴장,짜증,화,고갈 등) 지침서
and
ㆍ전투 스트레스를 부득이 한 것으로 봄(
리더십 필요)
Combat
ㆍ부하의 증상별(상/중/
하)조치 요령
Stre
ss
ㆍ동료를 도와주는 방법(
힘을 북돋우고,자살 예방을
(
2008)
위한 질문법)
ㆍ해군만의 특수한 스트레스 요인
Ope
rat
ional ㆍ스트레스 연속체 모델(
Str
essCont
inuum Mode
l)
Stre
ss -Gr
een-Ye
llow-Or
ange
-Re
d단계로 구분
Contr
ol -Gr
eenZone 에 남아 있기 위한 방법
(
2008) -Ye
llow 이상의 단계에서 나타나는 증상들
해군 지침서
ㆍ스트레스 응급치료 :상관,군종,의료적 협조
ㆍ시가지 전투환경의 특성 /강인한,실전적 훈련의
Combat
필요성
Stre
ss
ㆍ부하와 동거동락으로 하나가 되어야 함(
"Do
wns
hif
ti
ng"
)
(
2007)
ㆍ부하들의 스트레스 증상을 관찰
ㆍ스트레스 사건 이전/ 이후 그룹으로 나누어
고위험 집단(
EOD,조종사 등)에 대해 프로그램 실시
Landing
ㆍ프로그램 내용 교육
공군 Ge ar
-스트레스의 원인 및 환경 /일반적인 반응 프로그램
(
2008)
-휴식을 통한 재결단 /스트레스 예방
-도움을 얻을 수 있는 방법
출처 :연구자가 정리

7) 장병들이 휴대가능하도록 주요 핵심내용만으로 구성하여 제작된 포켓용 수첩

- 29 -
2.
2해 군
미 해군은 다른 군과 달리 추가적인 스트레스 요인에 노출되어 있음을 강
조하면서,스트레스 연속체 모델을 제시하고 있다.스트레스 연속체 모델에서
는 스트레스 정도에 따라 ‘
Gree
n-Ye
llow-Or
ange-Re
d’단계로 구분하여 단계
별 조치사항을 제시하고 있다.여기에는 Ye
llow 이상의 단계에서 나타나는 스
트레스 증상들을 설명하면서 Gr
eenZone
에 해당되기 위한 방법들을 제시하고
있다.또한 스트레스 응급치료는 상관,군종,의료진과의 긴밀한 협조가 필요
하다는 것을 강조하고 있다.
미 해병대의 MCRP 6-11C 전투 스트레스(
CombatSt
res
s)는 해병대에서
제작한 지침서로 해군에서는 「NTTP 1-15M 지휘관 전투 스트레스 핸드북
(
Commande
r's Handbook on ConbatSt
res
s)」로,육군에서는 「FM 90-44
전투스트레스(
CombatSt
ress
)」로 동시에 발간되었다.
주요 내용으로 시가지 전투환경의 특성과 강인하고 실전적인 훈련의 필요
성을 설명하고,전투 상황에서 지휘관이 대원들의 스트레스 관리를 위해 조치
해야 할 사항과 스트레스 증상들이 구체적으로 제시되어 있다.그리고 간부들
은 부하들과 동고동락해서 하나가 되어야 한다고 강조하고 있다.

2.
3공 군
미 공군의 ‘
Landi
ng Gear
’는 스트레스 사건 이전/
이후 그룹으로 나누어 스
트레스 고(
高)위험자(
EOD:폭발물처리반,조종사 등)
를 대상으로 스트레스 프
로그램을 실시한다.
프로그램의 내용은 스트레스의 원인 및 일반적인 반응에 대한 교육,그리
고 휴식을 통한 재결단 등의 스트레스 예방 교육,그리고 스트레스 증가시 별
도의 지원을 받을 수 있는 방법을 습득하도록 하는 것이다.

3.군외 기관

군대처럼 직무상 높은 스트레스에 노출되어 있는 조직은 소방방재청과 경

- 30 -
찰청이다.따라서 공무원으로써 소방방재청은 <표 2-1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주로 외상사건에 의한 스트레스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 사고현장에서의 환자
구조,화재 진화 과정에서 동료의 죽음 등 스트레스 원인 및 증상에 대해 사
전교육을 실시하고 있다.또한 사건 발생 시에는 사건 직 후,사건 12시간 이
전ㆍ이후로 구분하여 단계별 교육을 실시하고 있다.이때 강사는 부대에서 선
발된 간부급 인원이 양성교육을 받아 실시하도록 하고 있다.
한편 경찰은 치안연구소에서 <표 2-18>과 같이 경찰 간부에게 적용할 스
트레스 프로그램을 인지수정기법을 기반으로 개발하였지만,현재 프로그램을
운용하고 있지는 않다.
한편 각 지역 정신보건센터는 PTSD와 관련하여 소방공무원에 대해 구급과정
중 발생 가능한 PTSD 대처방법 등을 연 2
회 교육하고 있다.그리고 주민들의 외
상 사건과 관련해서는 2
007
년 서울 원목초등학교 안전체험학습 중 발생한 학부모
의 추락사고 후 해당 정신보건센터에서 임상전문가로 하여금 고위험군 학생들을
분류하고,이들에게 집단치료를 받게 한 사례가 있다.

<표 2-18> 군외 기관의 스트레스 관리 프로그램


기 관 명 칭 세 부 내 용
ㆍ목적 :외상 사건(동료사망,환자구조 등) 으로
인한 스트레스 유해성 감소
ㆍ스트레스 관리
긴급 -1단계 :스트레스 관리 교육(사건 전)
소방
업무스트레스 -2단계 :집단진정,정보제공( 사건 직후)
방재청
관리 프로그램 -3단계 :개인 심리적 안정 촉진(
사건 12시간 내)
-4단계 :개인 증상완화 교육(사건 12시간 후)
-기타 :개인중재,가족관리,추후관리 의뢰
ㆍ소방 간부를 대상으로 강사 양성교육 실시
ㆍ교육 대상 :경찰 간부
ㆍ주요 스트레스 원인 :급여,복리후생,인사평가
경찰대 경찰공무원의 ㆍ주요 스트레스 대처방법 :사회적지지,자기위로
치안연 스트레스 관리 ㆍ스트레스 관리 프로그램( 자신감 회복 프로그램)
구소 프로그램 -스트레스 인식 및 부정적 감정 객관화
-새로운 인식의 틀 형성 /재결단
ㆍ스트레스 해소 프로그램 미운영
출처 :소방방재청(
2007)
,경찰대 치안연구소(
2003)

- 31 -
제3장 현실태 진단 및 분석

제1절 병 스트레스 진단도구 검증 및 활용 실태

1.조사 대상 및 방법

병 스트레스 진단도구(
신응섭․김용주․육성필,2007)
의 적합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표 3-1>에서와 같이 육군 6개 부대,해군 2개 부대,공군 2개 부대를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육군은 전방,예비,향토,포병,공병,기계화 부대로 구분하여 각각 1개 부
대씩 선정하였고,해군은 함대와 해병대 1개 부대씩,공군은 2개 비행단을 각
각 선정하여 연구자가 직접 해당부대를 방문하여 설문을 실시하였다.

<표 3-1> 조사 대상 부대 및 인원 현황

구 분 조사 인원 분석 인원
총 계 820 743(
77)
A(
전방) 101 92(
9)
B(
예비) 95 84(
11)
C(
향토) 45 39(
6)
육 군
D(
기계화) 83 75(
8)
E(
포병) 103 93(
10)
F(
공병) 93 79(
14)
G(
함대) 14 14(
0)
해 군
H(
해병대) 84 76(
8)
I
(A비해단) 100 95(
5)
공 군
J
(B비행단) 102 96(
6)
주)( ):불성실한 응답으로 분석시 제외된 인원

- 32 -
조사는 ‘
09년 9.15일 ~ 10.19일까지 약 1개월간 실시하였고,육군 520명,
해군 98명,공군 202명을 대상으로 총 820명에게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그러
나 응답 설문지 중 중심화 경향이 뚜렷하거나 결측치가 있는 불성실한 응답을
한 설문지 77부를 제외하고,743부만을 본 조사의 결과분석에 사용하였다.
설문 응답자들의 구성은 <표 3-2>에서 보는 바와 같이 계급별 구성은
일․이등병 및 상병은 비슷했고,병장이 가장 적었다.그리고 직책별로는
78.
3%가 전투병으로 가장 많았다.학력은 대학교 재학중인 병사들이 84.
5%로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고,가족관계에서는 편모,편부 등 결손 가정인 병사가
약 23% 였다.

<표 3-2> 분석대상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구 분 인원(명) 비율(%) 구 분 인원(명) 비율( %)
이 병 175 23.
6 전투병 582 78.3
일 병 231 31.
1 정비병 99 13.3
계급 직책
상 병 214 28.
8 행정병 52 7.
0
병 장 123 16.
5 기 타 10 1.
4
고졸이하 12 1.6 21이하 467 62.9
고졸 88 11.
8 연령 22~23 258 34.7
학력
대재 628 84.
5 24이상 18 2.
4
대졸 15 2.1
양부모 648 87.
2 기독교 230 31.0
가족 편 모 54 7.3 천주교 72 9.
7
편 부 23 3.1 종교 불 교 82 11.0
관계 재 혼 14 1.9 없 음 351 47.2
모두사망 4 0.5 기 타 8 1.
1
N=7
43

2.병영 스트레스 진단도구 검증 결과

1.
1신뢰성 검증
신뢰성(
Rel
iabi
li
ty)
이란 유사한 측정도구 혹은 동일한 측정도구를 사용하여
동일한 개념을 반복 측정했을 때 일관성있는 결과를 얻는 것을 말한다.본 연

- 33 -
구에서는 내적 일관성 방법 중 널리 사용되고 있는 Cr
onbac
h'sAl
pha계수를
사용하여 신뢰도를 측정하였다.이 방법은 Cr
onbac
h'sAl
pha계수를 이용하여
신뢰도를 저해하는 항목을 측정도구에서 제외시킴으로써 각 항목들의 내적 일
관성을 높이는 방법이다.일반적으로 al
pha계수가 0.
6이상이면 비교적 신뢰
도가 높다고 보고 있다(
채서일,2008)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병영 스트레스 진단도구8) 중 스트레스 요인을 구성
하고 있는 하위범주들의 신뢰도를 측정한 결과 <표 3-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신뢰도 계수는 모두 0.
89이상이었다.따라서 병영 스트레스 진단도구의 신뢰
도는 매우 높다고 할 수 있다.

<표 3-3> 병영 스트레스 진단도구의 하위 범주별 신뢰성 검증 결과

변 수 문항수 Cr
onbac
h'sα
부대환경 6 .
87
근무 상급자특성 7 .
93
.
95
환경 직무부적합 6 .
83
직무과중 7 .
89
간부관계 6 .
94
대인 선임병관계 6 .
94
.
92
관계 동료관계 4 .
84
스트레스 후임병관계 4 .
83
요인 복무염증 5 .
85
개인 콤플렉스 4 .
73
.
89
신상 여자문제 3 .
89
가정문제 4 .
88
효능감결여 8 .
92
심리적 충동성 8 .
90
.
94
취약성 사회적 고립 7 .
90
정서불안 7 .
85

8) 병영 스트레스 진단도구는 크게 근무환경, 대인관계, 개인신상, 심리적 취약성, 스트레스 반응(S척


도) 으로 구성되어 있고, 이 중 스트레스 요인은 근무환경, 대인관계, 개인신상, 심리적 취약성이
다.

- 34 -
1.
2타당성 검증
타당성은 조사자가 측정하고자 하는 개념이나 속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개
발한 측정도구가 그 개념과 속성을 얼마나 정확히 측정하는가를 말하는데,이
는 아무리 측정값들의 신뢰도가 높게 나타났다 하더라도 측정된 값 자체가 다
른 속성이나 다른 개념을 측정한 것이라면 아무런 쓸모가 없기 때문이다(
채서
일,2008)
.
타당성은 그 평가방법에 따라 내용타당성(
cont
entval
idi
ty)
,기준에 의한 타
당성(
cri
ter
ion-r
elat
ed val
idi
ty)
,개념타당성(
cons
truc
tval
idi
ty)
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이 중 개념타당성이란 측정도구가 실제로 무엇을 측정하였는가 또는
조사자가 측정하고자 하는 추상적인 개념이 실제로 측정도구에 의해서 적절하
게 측정되었는가에 관한 문제로서 이론적 연구를 하는 데 있어서 가장 중요한
타당성이다.
본 연구에서는 개념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요인분석(
fac
toranal
ysi
s)을
실시하였다.요인분석은 다수의 변수들 간의 상관관계를 기초로 많은 변수들
속에 내재하는 체계적인 구조를 찾아내 보려는 기법으로,이를 통해 주어진
많은 정보를 쉽고 간단하게 보다 적은 수의 요인으로 제시해 주는 분석방법이
다.또한 보편적으로 사용하는 기법인 주성분분석(
PCA :Pr
inc
ipalCompone
nts
Anal
ysi
s)을 실시하였고,요인회전 방법으로는 직교회전(
var
imax r
otat
ion)방
식을 사용하였다.요인분석시 고유값(
eige
nval
ue)
이 1이상인 요인만을 선택하
고,요인적재량이 0. 9
4이상인 문항을 유의한 변수로 간주하였다.)

스트레스 요인분석 결과 <붙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16개의 하위요인으


로 추출되었고,총분산은 68. 1
2%를 설명하고 있다.0
)

대인관계와 심리적 취약성 요인은 신응섭․김용주․육성필(


2007)연구에서
와 같이 각각 4개의 요인이 추출되었다.그러나 일부 문항이 최초 연구결과에
서와 같은 요인으로 분류되지 않았기 때문에 삭제 또는 조정이 필요한 것으로

9) 0.4이상이 되면 유의한 변수로 간주하고, 0.5가 넘으면 아주 중요한 변수로 본다(채서일, 2008:
383).
10) 스트레스 요인분석 결과는 많은 문항과 요인으로 인해 분량이 많아 본문에 포함하기 어렵기 때
문에 <붙임 1>에 제시하였다.

- 35 -
판단된다.따라서 <표 3-4>에서 보는 바와 같이 근무환경 요인에서 묶이지
않는 2개의 문항(
A-1& 8)
은 삭제하고,개인신상 요인에서 1개의 문항(
C-10)
은 콤플레스 요인으로 구성되어 있으나 내용상 오히려 복무염증에 더 가깝기
때문에 복무염증 요인으로 분류하는 것이 더 타당한 것으로 판단된다.

<표 3-4> 요인분석 결과 삭제 및 조정 필요 문항

요 인 하위요인 문 항 내 용 비 고

부대환경 A-1 11
불필요한 신고 및 보고가 많다.) 삭제
근 무
환 경 나는 일과시간에 해야 할 일이
직무과중 A-8 12
)
삭제
너무 많다.

개 인 건강문제 때문에 군생활이 복무염증


콤플렉스 C-1
0 13)
신 상 힘들었다. 으로 조정

이와 같이 병 스트레스 진단도구는 위에 제시된 일부 문항의 삭제 및 조정


의 필요성이 있기는 하지만 신뢰도와 타당도가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많은 문항(
110문항)
으로 인하여 설문작성 시간이 15~20분 정도가 소
요되기 때문에 응답자의 집중도가 떨어지고 성실한 응답을 하지 않는 경향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3.병 스트레스 진단도구 활용 실태

국방부 주관하에 신응섭․김용주․육성필(


2007)
이 개발하여,‘
08년부터 각
급 부대에서 활용하도록 지침이 하달된 ‘
병영 스트레스 진단도구’
가 효과적으
로 활용되고 있는지를 조사하였다.

11) 병사들이 신고 또는 보고를 할 경우는 그리 많지 않기 때문에 부대환경으로 보기는 어렵다.


12) 해당 문항은 행정병일 경우에는 적절하나 병사들은 대부분이 전투병으로 일과시간에 할 일은 정
해져 있기 때문에 부적절하다고 할 수 있다.
13) 콤플렉스에 해당되려면 ‘다른 사람보다 건강이 안좋다’라고 표현해야 하는 것이 맞고, ‘~ 때문에
군생활이 힘들었다’라는 표현은 복무염증으로 가는 것이 더 적절하다.

- 36 -
조사결과 <표 3-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부대별로 진단시기와 방법에 차이
가 있고,일부 부대만이 스트레스 진단도구를 제대로 활용하고 있고,조사대상
부대의 대부분이 제대로 활용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예컨데 진단
대상의 경우 A사단은 전병력을 대상으로 진단하도록 되어 있지만 신병 및 관
심병 위주로 스트레스 진단을 하고 있었다.
스트레스 진단은 분기 1회 또는 필요시 수시활용 하도록 되어 있지만 전입
시,수시,매월,분기,반기 등 부대별로 상이하게 진단하고 있었다.
또한 진단방법은 ‘
스트레스 진단 프로그램’
을 행정반 컴퓨터에 설치하여 사
용하도록 되어 있지만,컴퓨터 부족으로 많은 부대가 진단 양식을 출력하여
사용하고 있었다.

<표 3-5> 스트레스 진단도구 활용 실태

구 분 대 상 진 단 시 기 진 단 방 법 활용여부
신병 및 신병 :전입시 간부연구실 컴퓨터
A(
전방) △
관심병 전원 :분기 사용
관심병 :수시
B(
예비) 행정반 컴퓨터 사용 ○
전원 :분기

C(
향토)
관심병 :매월
육군 전 병력 및 출력 후 작성 △
전원 :분기
포병) 관심병
D(

관심병 :수시
E(
공병) 행정반 컴퓨터 사용 △
전원 :반기
관심병 :매월
F(
기갑) 출력 후 작성 ○
전원 :분기
G(
함대) ㆍ ㆍ ㆍ ×
해군
H(
해병) ㆍ ㆍ ㆍ ×
전 병력 및
I 전원 :반기 행정반 컴퓨터 사용 △
공군 관심병
J ㆍ ㆍ ㆍ ×
주)○ :활용 양호, △ :활용 미흡, ×:전혀 활용 안함

- 37 -
조사결과 도출된 병 스트레스 진단도구의 문제점은 <표 3-6>에서 보는 바
와 같이 5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먼저 스트레스 진단 대상이 전 병력이어야
하지만 대부분의 부대가 관심병 위주로 진단하고 있었고14),그것조차 상급부
대 검열에 대비한 형식적인 진단을 하는 경향이 있었다.

<표 3-6> 병 스트레스 진단도구의 문제점

구 분 진단 결과

진단 대상 ․전 병사를 대상으로 실시해야 하나 관심병사 위주로 진단

진단 시기 ․매월 및 수시 측정으로 측정효과 감소

진단 내용 ․집단 수준의 스트레스 진단 불가

진단 방법 ․컴퓨터를 활용하여 직접 입력해야 하나 출력 후 작성

행정 소요 ․유사 측정도구로 인한 행정 부담

두 번째,진단시기가 다르다는 것이다.물론 부대별 특성과 여건이 다르기


때문에 진단시기가 다를 수 있지만 수시 또는 매월 측정하는 것은 이로 인한
행정소요가 증가하게 되고,반복적인 진단으로 인하여 설문내용을 숙지하게
되어 불성실한 응답이 이루어져 정확한 진단을 하지 못할 수 있다.
세 번째,진단내용이 <그림 3-1>과 같이 개인수준의 스트레스 분석만이
가능하도록 설계되어 있다는 것이다.즉 집단수준(
소대 등)
에서 스트레스 요인
별 점수가 얼마인지,그리고 스트레스 수준이 얼마인지만을 나타내 주기 때문
에 진단대상 집단(
소대 등)
의 위험군이 몇 명이고,관심군이 몇 명인지,그리
고 누가 위험군이고 관심군이지를 한눈에 알 수 없도록 되어 있다.

14) 조사시 해당 부대에서는 전 병력을 대상으로 하고 있다고는 하지만 그 근거가 유지되어 있지 않


았고 일부 관심 병사만 생활지도기록부에 분석결과가 유지되고 있었다.

- 38 -
<그림 3-1> 병 스트레스 진단도구 집단 분석 결과(
예)1
5)

네 번째,병영 스트레스 진단도구 개발시 진단대상자들이 컴퓨터에 직접


입력을 하도록 했지만 아직 중대급 부대까지 컴퓨터가 충분히 보급되지 않았
기 때문에 00부대는 설문지를 출력 후 작성을 하도록 하고 있었다.그리고 00
부대는 행정반에 있는 업무용 컴퓨터를 사용함으로써 비밀보장이 이뤄지지 않
고 있었고,또한 어수선한 분위기에서 진단을 하기 때문에 성실한 응답을 기
대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15) 가장 아래에 나타나는 스트레스(S)는 스트레스 척도(S척도)로써 4개의 집단군으로 분류시 1단계
분류기준으로 사용된다.

- 39 -
마지막으로 여러가지 진단도구 활용 지시로 하급 부대의 행정 부담이 가중
되고 있다는 것이다.<표 3-7>과 같이 국방부 및 육본 통제 식별도구가 정해
져 있으나 각 부대별로 Ego
-OkGr
am,MBTI
(성격유형검사)
,MMPI
(다면인성검
사)
,사이프로그램(
교우관계 확인)등 유사한 진단도구들을 추가적으로 활용하
고 있기 때문에 이러한 진단도구를 활용하여 부대관리에 도움을 받기보다는
검열에 대비한 형식적인 진단이 이루어지고 있는 부대도 있었다.

<표 3-7> 국방부 및 육본 통제 식별도구

표준 군 간편 스트레스 인터넷중독 개인 우울증


구 분
인성검사 인성검사 진단척도 자가진단 안전지표 자가진단
검사대상 대위이하 병 사 병 사 초급간부/
병사 병 사 전장병
시행부대 대대단위 중대급단위
전입시, 분기, 전입2주후/ 전입시,
실시시기 반기1회 전입시
필요시 필요시 수시 필요시
소요시간 45분 15분 15분 5분 5분 10분
엑셀프로그램 인트라넷에서
검사지 작성후 프로그램설치후 인트라넷에서 진단지
설치PC에서 문제풀이식
측정방법 답지 우송 행정PC이용 문답식진행 이용
설문방식 진행
(
128문항) (128문항) (31문항) (
71문항)
(
110문항) (61문항)
준법성 〇 〇
지도성 〇 〇
협력성 〇 〇
적응성 〇 〇 〇 〇
안정성 〇 〇 〇 〇

복종성 〇 〇 〇 〇

사회성 〇 〇 〇 〇

성장환경 〇 〇 〇 〇

인터넷 〇 〇 〇
상호작용 〇 〇 〇 〇
성윤리관 〇 〇
지도사항 〇
검사태도 〇 〇
비 고 국방부 국방부 국방부 육 군 육군 육 군
(
시행일) (
‘03.3) (
‘06.11) (
‘08.4) (
‘08.8) (
‘09.2) (
‘08.8)

- 40 -
제2절 병영 스트레스 진단결과

1.일반부대 스트레스 진단결과

1.
1스트레스 유발요인별 수준
병사들에게 스트레스를 유발하는 요인별 수준은 <표 3-8>에서 보는 바와
같이 근무환경(
2.45)
,대인관계(
2.41)
가 개인신상(
2.15)
,심리적 취약성(
2.13)
보다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이것은 병영 스트레스의 주 요인은 근무환경(
부대
환경,상급자특성,직무부적합,직무과중)
과 대인관계(
간부와의 관계,선임병과
의 관계)
라는 것을 시사해 주고 있다.
계급별로는 가장 계급이 낮은 이등병과 일등병이 상․병장보다 스트레스
유발요인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수치를 나타내고 있다.
16) 따라서 일반적으로

알고 있는 것처럼 신병들과 계급이 낮은 일등병이 병영생활 적응과정에서 스


트레스를 많이 느끼고 있기 때문에 이들의 스트레스 관리에 보다 많은 관심을
가져야함을 시사해주고 있다.
스트레스 유발요인별 분석을 해보면 근무환경 요인의 경우 부대환경 요인
이 가장 스트레스 수준이 높게 나타나고 있다.대인관계 요인의 경우는 계급
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고 있는데 상․병장은 간부와의 관계에서 스트레스를
많이 받고,일․이등병은 선임병과의 관계에서 스트레스를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개인 신상의 경우 복무염증이 콤플렉스,여자문제,가정문제에
비해 스트레스 수준이 높게 나타났다.그리고 심리적 취약성의 경우 신세대의
전형적인 특성인 충동성17)과 사회적 고립감이 효능감 결여와 정서적 불안정보
다 상대적으로 높은 수치를 나타내고 있다.

16) 상급자 특성, 간부관계를 제외한 모든 스트레스 유발 하위요인 수치가 가장 높다.


17) 마음속에 어떤 욕구같은 것이 갑작스럽게 일어나는 것으로 ‘감정 절제가 어렵다’, ‘하고 싶은 것
을 하지 못하면 화가 난다’ 등의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 41 -
<표 3-8> 스트레스 유발요인별 수준18)
변 수 계 이병 일병 상병 병장
계 2.
45 2.
54 2.
46 2
.38 2.
45
부대환경 2.
81 2.
87 2.
78 2
.79 2.
85
근무
상급자특성 2.
30 2.
34 2.
39 2
.22 2.
25
환경
직무부적합 2.
24 2.
44 2.
20 2
.13 2.
24
직무과중 2.
46 2.
51 2.
48 2
.38 2.
48
계 2.
41 2.
43 2.
51 2
.36 2.
29
대인
간부관계 2.
43 2.
22 2.
42 2.
50 2.
63
관계19)
선임병관계 2.
39 2.
65 2.
60 2
.22 1.
95
계 2.
15 2.
35 2.
12 2
.08 2.
04
복무염증 2.
87 3.
04 2.
88 2
.73 2.
85
개인
콤플렉스 1.
95 2.
25 1.
90 1
.86 1.
81
신상
여자문제 1.
60 1.
72 1.
65 1
.49 1.
53
가정문제 2.
17 2.
38 2.
06 2
.23 1.
99
계 2.
13 2.
37 2.
09 2
.03 2.
02
효능감 결여 2.
07 2.
41 1.
98 1
.96 1.
92
심리적
충동성 2.
49 2.
56 2.
47 2
.48 2.
47
취약성
사회적 고립 2.
15 2.
42 2.
17 1
.98 2.
02
정서 불안정 1.
81 2.
10 1.
75 1
.71 1.
69

주)수치 :평균값

한편 병영 스트레스 진단도구로 진단한 결과는 근무환경(


특히,부대환경)

가장 높은 스트레스 유발요인으로 나타났지만,<표 3-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응답자에게 직접적으로 ‘
군 생활중 가장 스트레스를 많이 받는 요인이 무엇인
지’
를 질문한 결과 상급자와의 관계(
35.
5%)
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따라서 병
사들에게 직접적으로 스트레스를 유발하는 가장 큰 요인은 상급자(
간부 또는
선임병)
와의 관계라고 할 수 있다.

18) 스트레스 지표가 보통(3.0) 이하이기 때문에 병영 스트레스 관리를 할 필요가 없다는 착각을 할
수 있지만 나타난 스트레스 지표는 평균값이기 때문에 추가적인 분석이 필요하다.
19) 대인관계 스트레스 하위요인은 간부관계, 선임병관계, 동료관계, 후임병관계 4개로 구분되나 동
료 및 후임병관계는 실질적으로 스트레스가 작기 때문에 분석시 제외하고 간부 및 선임병관계로
만 분석하였다.

- 42 -
<표 3-9> 스트레스 원인 분석(
자기진단)
상급자 업무 근무 개인 심리 동료 하급자
구분 계 기타
관계 부담 환경 신상 상태 관계 관계
인원 74
3 264 139 84 84 7
1 2
7 27 47
비율 10
0 35.
5 18
.7 11.
3 11.
3 9.
5 3
.6 3
.7 6.
4

1.
2스트레스 관리 대상자 분석
1)계급별 분석
스트레스 진단 결과20) <표 3-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조사 대상자 중 위
험군은 5.
9%(
44명)
,관심군은 7.
4%(
55명)
,잠재군은 10.
0%(
74명)이었다.따라
서 조사 대상자 중 13.
3%는 스트레스 관리가 필요하고,5.
9%는 상당히 심각한
스트레스를 받고 있다고 할 수 있다.그리고 계급별 관리대상군은 이등병이
21.
7%(
38명)
로 가장 많이 나타났고,상병은 12.
6%(
27명)
,일등병은 10.
4%(
24
명)
로 다소 비슷하게 나타났으며,병장은 8.
2%(
10명)
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앞의 분석과 같이 이등병이 가장 많은 스트레스를 받고 있음을
나타내주는 것이다.

<표 3-10> 계급별 스트레스 관리대상


관 리 대 상
구 분 계 잠재군 일반군
소 계 위 험 군 관 심 군
계 743 99 44 55 74 570
(
%) (
100) (
13.3) (5.
9) (7.
4) (
10.
0) (
76 .
7)
이등병 175 38 16 22 15 122
(
%) (
100) (
21.7) (9.
1) (
12.6) (8.
6) (
69 .
7)
일등병 231 24 11 13 21 186
(
%) (
100) (
10.4) (4.
8) (5.
6) (9.
1) (
80 .
5)
상병 214 27 11 16 19 168
(
%) (
100) (
12.6) (5.
1) (7.
5) (8.
9) (
78 .
5)
병장 123 10 6 4 19 94
(
%) (
100) (8.
2) (4.
9) (3.
3) (
15.
4) (
76 .
4)

20) 스트레스 수준 판정은 S척도(T점수 환산)를 기준으로 4개의 집단군으로 1차 분류 후 스트레스


유발요인의 점수(T점수 환산) 중 높은 요인의 갯수에 따라 집단군을 추가 분류한다. 또한 4개의
집단군으로 구분하는 기준선은 전체의 2.5%선을 위험군, 10%선을 관심군, 17%선을 잠재군으로
구분하고 있다.

- 43 -
2)군별 현황
군별 관리 대상자는 <표 3-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조사 대상자 중 해군
16.
8%,공군 14.
5%,육군 11.
7%로 지원 입대한 해군과 공군 병사들이 육군 병
사들보다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이러한 현상은 조사 대상자가 적기 때문
에 일반화할 수는 없지만 앞의 분석에서도 나타났듯이 병영 스트레스 유발의
직접적 요인이 간부 또는 선임병과의 대인관계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표 3-11> 스트레스 수준별 분석 결과

관 리 대 상
구 분 계 잠재군 일반군
소계 위 험 군 관 심 군

인원 743 99 44 55 74 57
0

(%) (
100.
0) (
13.
3) (
5.9) (
7.4) (
10.
0) (
76.7)

인원 462 54 20 34 40 36
8
육 군
(%) (
100.
0) (
11.
7) (
4.3) (
7.4) (
8 .
7) (
79.6)

인원 90 13 6 7 12 65
해 군
(%) (
10 0.
0) (
16.
8) (
9.4) (
7.4) (
11.
5) (
71.
7)

인원 191 32 18 14 22 13
7
공 군
(%) (
100.
0) (
14.
5) (
6.7) (
7.8) (
13.
3) (
72.2)

2.청해부대 스트레스 진단결과

2.
1.조사 대상 및 방법
청해부대는 해적 차단 및 테러 방지 등 해양안보작전 지원과 우리선박을
비롯한 국제선박을 보호하는 임무를 수행하는 우리나라 최초의 전투함 파병부
대이다.이러한 임무의 특수성 때문에 청해부대원들은 긴장상태에서 해적들의
공격에 대비해야 하고,가족과 떨어져 6개월 동안 해상에서만 근무하기 때문
에 일반 부대원들보다 더 많은 스트레스를 받을 수 있다.
따라서 청해부대원들의 스트레스 유발요인과 수준을 조사하기 위해 파병

- 44 -
임무를 마치고 복귀한 다음 날 청해부대를 연구원자들이 직접 방문하여 <표
3-12>과 같이 청해부대 간부 및 병 189명을 대상으로 병영 스트레스 진단도
21
구와 본 연구를 위해 작성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설문을 실시하였다. )

<표 3-12> 청해부대 스트레스 진단 및 설문 인원


구 분 진단 대상 인원 분석 대상 인원
계 187 169(
20)
간 부 127 120(
7)
병 62 49(
13)
주)( ):불성실한 응답으로 제외된 인원

분석 대상 인원의 구성은 <표 3-13>과 같이 병사는 상병,간부는 중․하


사가 가장 많았다.

<표 3-13> 계급별 설문 인원

간 부 병 사
구 분 계
소계 하ㆍ중사 상ㆍ원사 준사관 위관 소계 일병 상병 병장

인 원 120 83 28 2 7 49 12 2 7 10
169
(%) (
100) (
69.
2) (
23.
3) (
1.7) (
5.8) (
100)(
24.
5)(
55.
1)(
20.
4)

2.
2스트레스 분석 결과
분석결과 파병부대원들의 스트레스 유발요인별 수준은 <표 3-14>에서 보
는 바와 같이 평균적으로는 3.
0이하로 낮은 수준이었지만,병사들이 2.
5~2.
9
수준으로 1.
9~2.
2인 간부보다 모든 유발요인의 수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네가지 요인별 수준이 간부들은 1.
9~2.
2로 거의 동일한 수준이지만,
병사는 대인관계(
2.9)
가 다른 요인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21) 모든 진단(또는 설문) 문항을 “파병 기간중에 ~ ”라고 변경하여 설문 당시의 스트레스가 아니라 파
병 기간 중의 스트레스 수준을 측정할 수 있도록 하였다.

- 45 -
<표 3-14> 스트레스 유발요인별 수준

간 부 병 사
구 분
계 중ㆍ하사 상ㆍ원사 준사관 위관 계 일병 상병 병장
계 2.
1 2.
0 2.
1 1.
7 2
.4 2.
7 2.
4 2
.8 2.
7
부대환경 2.
1 2.
0 2.
4 1.
8 2
.2 2.
6 2.
1 2
.7 2.
9
근무
상급자특성 2.
0 2.
0 2.
0 1.
9 2
.4 2.
6 2.
3 2
.8 2.
5
환경
직무부적합 2.
0 2.
0 2.
0 1.
3 2
.2 2.
5 2.
3 2
.7 2.
5
직무과중 2.
2 2.
1 2.
1 1.
7 2
.8 3.
0 2.
7 3
.1 3.
0
계 2.
2 2.
1 2.
1 1.
9 2
.2 2.
9 2.
9 3
.0 2.
6
대인
간부관계 2.
1 2.
1 2.
1 1.
7 2
.1 2.
9 2.
7 3
.0 2.
7
관계
선임관계 2.
2 2.
1 2.
1 2.
0 2
.3 2.
8 3.
0 2
.9 2.
4
계 1.
9 1.
9 2.
1 1.
7 1
.9 2.
4 2.
2 2
.4 2.
2
복무염증 2.
0 2.
0 2.
0 1.
3 2
.0 3.
1 3.
0 3
.2 2.
9
개인
콤플렉스 1.
6 1.
5 1.
7 1.
0 1
.8 2.
0 1.
7 2
.2 1.
7
신상
여자문제 1.
7 1.
6 2.
0 1.
7 2
.0 1.
7 1.
6 1
.8 1.
5
가정문제 2.
3 2.
3 2.
7 2.
9 1
.8 2.
6 2.
6 2
.5 2.
7
계 2.
2 2.
2 2.
2 1.
8 2
.3 2.
5 2.
5 2
.5 2.
3
효능감결여 2.
0 2.
0 2.
0 1.
3 2
.0 2.
4 2.
6 2
.5 2.
0
심리적
충동성 2.
4 2.
4 2.
5 1.
5 2
.4 3.
0 3.
3 2
.9 2.
9
취약성
사회적고립 2.
4 2.
3 2.
3 2.
7 2
.8 2.
5 2.
4 2
.6 2.
3
정서불안 1.
9 1.
9 2.
0 1.
5 2
.1 2.
0 1.
8 2
.1 2.
1

한편 스트레스 진단도구에 의해 식별한 스트레스 관리대상군은 <표 3-15>


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간부들은 9.
2%,병사들은 약 30.
7%가 관심대상이었다.
이것은 부대원들의 평균적인 스트레스 유발요인의 수준은 낮지만 개인적으로
는 스트레스를 심각한 수준으로 받고 있는 간부,특히 병사들이 상당수가 있
었다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에 청해부대 장병들의 스트레스 관리에 많은 관심
을 가져야함을 시사해주고 있다.

- 46 -
<표 3-15> 스트레스 수준별 분석 결과

관 리 대 상
구 분 계 잠재군 일반군
소 계 위 험 군 관 심 군

인원 120 11 4 7 11 98
간부
(%) (
100.
0) (
100.0) (
3.3) (
5.8) (
9.2) (
81.
7)

인원 49 15 6 9 7 27

(%) (
100.0) (
100.0) (
12.3) (
18.4) (
14.2) (
55.
1)

또한 <표 3-1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직접적으로 “


파병 생활 중 가장 많이
받는 스트레스 요인은 무엇입니까?”
라고 묻는 질문에서는 간부들은 ‘
근무환경,
대인관계,업무무담’
,병사들은 ‘
업무부담,근무환경,대인관계’
로 인한 스트레
스가 상대적으로 높다고 응답하였다.
이러한 병영 스트레스 진단도구와 설문을 통한 스트레스 유발요인 분석결
과는 청해 부대원들의 스트레스 예방을 위해서는 근무환경 개선,대인관계,그
리고 업무부담 해소에 초점을 맞춘 스트레스 관리전략이 시행되어야 함을 시
사해 주고 있다.

<표 3-16> 스트레스 원인 분석(


자기진단)

구분 계 근무환경 대인관계 업무부담 개인신상 심리상태 기타

인원 120 40 23 2
1 15 11 10
간부
% 100
.0 32.
9 1
9.5 17.
4 12
.1 9
.4 8.
7

인원 49 1
3 11 16 3 1 5

% 100
.0 25.
8 2
2.8 922)
32. 4.
5 1
.5 10
.6

22) 병사들이 무엇 때문에 업무 부담을 느끼는지를 파악하기 위해 병사들과의 인터뷰를 실시한 결과


“부사관들이 자신들의 업무를 병들에게 하도록 하기 때문에 업무 부담을 많이 느낀다”고 응답을
하였다.

- 47 -
제3절 PTSD 발생 현황 및 관리 실태

1.조사 대상 및 방법

군 복무과정에서 외상 사건을 경험한 병사의 PTSD 발병률과 PTSD 관리


체계를 파악하기 위해 2009년 전반기에 부대 내에서 외상 사건(
자살사고,차
량사고)
으로 인하여 동료 중 사망자가 발생한 부대를 대상으로 ’
09년 9월 28
일부터 11월 2일까지 연구원이 직접 부대를 방문하여 설문 및 인터뷰를 실시
하였다.
조사 대상 부대는 <표 3-17>과 같이 7개 부대(
육군 6개,해군 1개)
였고,
23
)

조사 부대의 외상 사건 유형은 총기 자살사고 발생 2개 부대,목맴 자살자살


사고 발생 3개 부대,차량사고 발생 2개 부대였다.그리고 설문 및 인터뷰는
사고 장면의 현장 목격자,최초 목격자,사망자의 동일 소대원이나 동일 생활
관원 등 사망자와 근무 혹은 생활공간을 함께 하는 병 1
19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표 3-17> 조사 대상 부대 및 인원 현황
구 분 부대 수 설문 대상( 명) 인터뷰 대상(
명)
계 7 119 16
총기 자살 발생 부대 2 37 4
자살 사고 발생 부대 3 40 6
차량사고 발생 부대 2 42 6

조사 대상자의 인구통계학적인 특성은 <표 3-18>에서 보는 바와 같이 계


급별로는 주로 일병과 상병이었고,연령은 만 21∼22세,학력은 대재,종교는
개신교,성장지역은 대도시가 대부분이었다.그리고 PTSD 발병에 영향을 미
칠 수 있는 입대 전 사고 경험은 대부분(
68.
9%)
이 없었지만 약 30%는 입대
전에 외상 사건을 경험하였다.

23) 공군은 연구 목적에 맞는 부대가 1개 부대 뿐이었고, 사고 발생 부대도 부대 사정으로 조사가


어려워 조사 대상에 포함하지 않았다.

- 48 -
<표 3
-18
> 조사 대상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구 분 표본 수 비 율 구 분 표본 수 비 율
이 병 1 0.
8 0세 이하
만2 30 25
.2
일 병 4 38.
7 만21∼22세 76 63
.9
계급 상 병 46 38.
7 연령 만22∼23세 12 10
.1
병 장 26 21.
8 만25∼30세 1 0.
8
소 계 11
9 100 소 계 119 100
고졸 미만 1 0.
8 개신교 32 26
.9
고 졸 14 11.
8 천주교 13 10
.9
학력 대 재 10
4 87.
4 종교 불 교 19 16
.0
대 졸 0 0 없 음 55 45
.2
소 계 11
9 100 소 계 119 100
대 도 시 56 47.
1 없음 82 68
.9

중·
소 도시 43 36.
1 입대전 1회 17 14
.3
성장
읍·
면소재지 20 16.
8 사고 2회 11 9.
2
지역
경험 3회 이상 9 7.
6
소 계 11
9 100
소 계 119 100

2.외상사건 경험자 PTSD 발생 현황

외상 사건 경험자의 PTSD 발병 여부를 진단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Foa


등(
199
7)이 개발한 외상 후 스트레스 증상 진단 척도인 PDS(
Post
-tr
aumat
ic
Di
agnos
tic Sc
ale
)를 박유숙(
2002)
이 번안한 것을 사용하였다.그런데 PDS는
PTSD 진단용만이 아니라 증상의 심각성 수준을 평가하는 데도 매우 효과적
이다.
각 증상 문항들은 지난 2주 동안 자신이 경험한 증상의 정도를 4점 척도24)
로 보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증상의 수준은 17개 증상 문항의 총점을 구하
여 나타내는데,10점 이하는 약함(
mil
d),11∼20점은 중간 정도(
mode
rat
e),21
점 이상은 심함(
seve
re)
으로 간주하고 있다(
Foaetal
.,1997)
.

24) 0:전혀 그렇지 않거나 단 한 번도 그런 적이 없다, 1:주 1회로 가끔씩 그렇다, 2:주 2~4회로 자
주 그렇다, 3:일주일에 5번 이상 있거나 거의 매일 그렇다.

- 49 -
PTDS 진단 결과 <표 3-19>에서 보는 바와 같이 21점 이상의 ‘
심함’
에 속
하는 인원은 조사 대상자의 6.
7%였고,‘
중간’
에 속하는 인원은 31.
1%였다.이
러한 조사 결과는 ‘
미국 국가공존 질환조사(
1996)
’결과 가까운 사람의 예기치
않은 죽음으로 인한 유병율 12.
0%,살인 혹은 부상을 목격한 경우의 유병율
7.
0%와도 유사한 비율이다.사고 유형별로는 차량사고가 PTSD 고위험군이
11.
9%로 가장 많이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는데 그것은 차량사고의 경우 조사
대상자들 중 사고를 직접 경험한 병사들이 많았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외상 사건 경험자들의 PTSD 발생 현황 조사결과는 <표
2-4>에서 본 바와 같이 연간 120여건의 사망사고가 발생하고 있는 우리 군에
서 PTSD에 관한 관심과 효과적인 관리대책이 필요함을 시사해주고 있다.

<표 3-19> 외상사건 유형별 PTSD 수준


구 분 계 차량 사고 총기 자살사고 목맴 자살사고
119 42 37 40

(
100.
0) (
100.0) (
100.0) (
10 0.
0)
8 5 2 1
심함
(
6.7) (
11.9) (
5.4) (
2.5
)
37 19 10 8
중간
(
31.
1) (
45.
2) (
27.
0) (
20.0)
74 18 25 31
낮음
(
62.
2) (
42.
9) (
67.
6) (
77.
5)

3.PTSD 관리 실태

3.
1PTSD에 대한 이해 정도
충격적인 외상사건 경험 후에 나타나는 PTSD의 증상은 크게 재경험,회
피,과각성으로 나타나는데 이러한 PTSD에 대한 장병들의 이해 정도를 조사
한 결과 <표 3-20>에서 보는 바와 같이 PTSD 용어나 증상을 ‘
전혀 모른다’
78.
2%,‘
용어 정도만 안다’
는 14.
2%,그리고 ‘
용어의 증상에 대해 잘 이해하고
있다’
는 7.
6%였다.

- 50 -
PTSD에 대한 용어와 증상을 알고 있다면 자신의 심리적 이상 증상을 빨
리 자각하여 조기에 진단 및 치료를 할 수 있기 때문에 평소에 PTSD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지만,조사 결과에 나타난 것처럼 대부분이 PTSD에 대한 이해
정도가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에 PTSD에 대한 교육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표 3-20> PTSD에 대한 인식 여부


구 분 계 전혀 모른다 용어만 안다 증상을 잘 안다
인 원 119 93 17 9
(
%) (
100.
0) (
78.
2) (
14.
2) (
7.6)

3.
2.외상 사건 경험자 면담 실시 여부
PTSD는 조기에 발견해서 치료하지 않으면 만성화되고 활력이나 사회기능
이 일반인에 비해 약 50% 정도 떨어지는 등의 부작용이 많이 발생한다.따라
서 PTSD는 반드시 조기에 발견하여 치료해야 하는데 PTSD 발병 여부를 정
확히 진단하기 위해서는 임상심리사,정신과 의사 등의 PTSD 전문가가 조기
에 개입하도록 할 필요가 있다.
그런데 <표 3-2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조사대상자의 6.
7%가 PTSD 고위
험군으로 나타났기 때문에 이들의 정신적 건강을 위해서는 즉시 치료 등의 조
치가 이루어졌어야 하지만,7개 부대 중 1개 부대만이 군의관 등 의료진을 통
해 정신적 충격 정도를 진단하고 치료를 받는 조치를 취하였다.이와 같이 외
상 사건 경험자들에 대한 관리가 제대로 이루어지고 있지 않은 것은 간부들이
PTSD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고,군에 PTSD 관리체계가 구축되어 있지 않기
때문이다.

<표 3-21> 사고 관련 병사 대상 면담 실시 여부
구 분 계 실시하지 않았다 실시하지 않았다
인 원 119 74 45
(
%) (
100.
0) (
62.
2) (
37.
8)

- 51 -
한편 면담 또는 상담을 받았다고 응답한 병사 45명이 제공받은 면담 및 상
담은 <표 3-2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관 등 부대간부와의 면담 인원이 조사
대상자의 84.
1%였고,군종장교와의 면담 인원이 5명으로 조사대상자의 11.
4%
였으며 기타 응답으로는 상담관,군의관 등이 있었다.

<표 3-22> 면담 제공자 현황

구 분 계 부대 간부 군종장교 기 타

인 원 119 37 5 3
(
%) (
100.
0) (
84.
1) (
11.4) (
4.5)

또한 부대에서 상담/
면담을 제공받았다고 응답한 45명을 대상으로 제공받
은 상담이나 면담이 사고의 충격에서 회복되는 데 도움이 되었는가를 질문한
결과 <표 3-23>과 같이 ‘
도움이 되지 않았다’
라고 응답한 인원은 면담을 제공
받은 장병의 84.
1%였고,‘
조금 도움이 되었다’
는 11.
4%였으며,‘
매우 도움이 되
었다’
는 4.
5%였다.
따라서 PTSD 예방을 위해서는 전문가에 의한 면담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제도적 장치를 마련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해 주고 있다.

<표 3-23> 면담 효과 여부

구 분 계 도움이 되지 않았다 조금 도움이 되었다 매우 도움이 되었다

인 원 119 37 5 3
(%) (
100.
0) (
84.
1) (
11.4) (
4.5)

- 52 -
제4
절 비전캠프 운용 실태

1.조사 대상 및 방법

1.
1조사 대상
비전캠프의 운용실태를 조사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표 3-24
>에서 보는
바와 같이 비전캠프 관계자인 12개 사단에 소속되어 있는 비전캠프 참가자
213명25),도우미(
상주 도우미)4 명,주변동료 404명26),군종장교
7명,수료자 102
29명,관계자(
사단 안전장교,교육대장 등)5
0명 등총 8
45명에 대해서 조사하였다.

<표 3-24> 자료수집 현황


설 문 인터뷰
구 분 계 참가자 상주 주변 군종
도우미 수료자 간부 병
사전 사후 도우미 동료 장교
계 845 112 101 4 43 102 404 29 30 20
A사단 77 14 14 1 7 7 28 3 3 -
B사단 95 11 11 - 6 12 52 - 3 -
C사단 73 9 9 - 7 9 36 - 3 -
D사단 53 - - - 10 40 3 - -
E사단 70 10 10 - 5 7 28 7 3 -
F사단 105 25 25 - (
8) 10 40 3 2 -
G사단 52 11 - (
2) 5 6 24 - 1 5
H사단 82 10 10 - 7 10 36 6 3 -
I
사단 78 8 8 3 (
6) 10 36 5 3 5
J
사단 53 14 14 (
4) 6 - - - 9 10
K사단 56 - - - 11 44 1 - -
L사단 51 - - - 10 40 1 - -

25) 비전캠프 프로그램이 지속적인 효과가 있는지를 평가하기 위해 비전캠프 프로그램을 수료하고
현재 자대에서 복무 중인 병사들을 조사 대상에 포함하였다.
26) 수료자의 행동평가와 관련된 사항과 부적응 병사의 심리적인 특성 및 복무적응도 등을 평가하
기 위해 비전캠프에 참가하지는 않았지만 수료자와 함께 병영생활을 하고 있는 주변 동료(소대
원)를 포함하였다.

- 53 -
분석에 포함된 인원은 <표 3-2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불성실 응답자를 제
외한 7
44명27)이었고,계급별로는 이등병(
32.
4%)
이 가장 많았고,연령은 대부분
21~23세였으며,직책은 대부분 전투병(
60.
5%)
이었다.그리고 양부모가 모두 있
는 병사는 84.
4% 였고,약 20%가 편모,편부,재혼 또는 양부모 사망 등 결손
가정이었다.

<표 3-25> 조사 대상자 현황


구 분 빈 도( 명) 비 율(%)
소 계 74
4 10
0.0
이 병 24
1 3
2.4
계 급 일 병 18
7 2
5.1
상 병 20
5 2
7.6
병 장 11
1 1
4.9
소 계 74
4 1
00.
0
20
세 66 8.9
21
세 28
3 3
8.0
연 령 22
세 27
6 3
7.1
23
세 75 1
0.1
24
세 23 3
.1
25
세이상 21 2.7
소 계 74
4 1
00.
0
전투병 45
0 6
0.5
직 책 행정병 11
6 1
5.6
기술병 52 7
.0
기 타 12
6 1
6.9
소 계 74
4 1
00.
0
양부모 59
8 80.
4
편 모 67 9
.0
가족관계 편 부 41 5
.5
재 혼 20 2
.7
모두 사망 2 0
.3
기 타 16 2
.2

27) 군종장교 29명에 대해서는 전체적인 병사 집단의 표본과 성질이 다르므로 별도로 분석하였다.

- 54 -
1.
2조사 방법
비전캠프 프로그램의 효과성 및 운영실태 조사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설문
조사,인터뷰,그리고 문헌조사 방법을 사용하였으며 구체적인 조사 방법은 다
음과 같다.

1)설문 조사
비전캠프 프로그램의 교육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표 3-26>과 같이 프로그
램의 교육 목표인 자아존중감 향상,대인관계 변화,소외감 감소 등 8
개 항목을
측정할 수 있는 설문지를 개발하였다.

<표 3-26> 설문지 구성


구 분 문 항 수 하 위 요 인 출 처
자아존중감 5 긍정적 자아존중감 Ro
senbe
rg(19
65)
10
(
Sel
f-e
stee
m) 5 부정적 자아존중감 전병제( 197
4)
4 의사소통
대인관계 10 3 신뢰성 이형득‧
문선모(
198
2)
3 이해성
소외감 7 7 사회적 고립 이은숙(
200
2)
5 의미존재
삶의 의미 10 김교헌‧
권선중(
200
5)
5 의미추구
3 심신의 상태
4 임무수행의지
부대적응 18 5 직책과 직무만족 신태수(
1981
)
군 조직 환경에
6
대한 태도
7 집단원간의 수용성
집단응집력 17 5 집단분위기 강순화(
1994)
5 집단관여
9 강사만족도
6 프로그램 내용 만족도
반응평가 19 연구자 개발
2 프로그램 환경 만족도
2 종합평가
인구통계학적 계급,연령,복무기간,
11 11 -
변 수 학력,종교,가족관계 등

- 55 -
설문 조사는 연구자가 비전캠프 프로그램 실시 부대의 교육장을 직접 방문
하여 비전캠프에 참가한 병사들을 대상으로 설문의 목적과 취지를 설명한 후
설문을 실시하였다.설문을 실시하기 전에 비전캠프 프로그램과 비전캠프 운영
과 관련된 몇 가지 사항에 대한 집단인터뷰를 실시하였다.
개별적으로 설문지를 배부하고,설문지 작성이 완료된 후에는 연구자가 직
접 설문지를 회수함으로써 성실한 응답을 할 수 있도록 하였다.
비전캠프 수료자와 주변 동료 및 상주 도우미의 경우에도 동일한 방법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비전캠프 실시 일자가 겹쳤던 일부 부대의 경우에는 사전
조사는 연구자가 직접 실시 하였지만,사후 조사는 캠프 교육대장으로 하여금
취지를 설명하고 설문 조사를 실시하도록 하였다.

2)인터뷰
인터뷰는 비전캠프 프로그램을 시행하고 있는 부대의 사단 인사실무자,캠
프 운영 교육대의 교육대장,교육대 간부 및 병사,비전캠프 프로그램 참가자
및 수료자를 대상으로 연구자가 개별 또는 집단적으로 실시하였다.인터뷰의
내용은 사전에 작성된 인터뷰 내용에 따라 실시하였고,추가적인 의견에 대해
서는 별도로 정리하였다.

3)문헌조사
문헌조사는 육군본부 인트라넷의 육군기록물 검색28)에서 검색된 비전캠프
프로그램 관련 내용,육군본부에서 발행한 비전캠프 프로그램 관련자료29),그
리고 비전캠프 프로그램 개발에 직접 참여했던 관계자로부터 비전캠프 프로그
램 개발과 관련된 자료를 입수하여 이에 대한 분석을 실시 하였다.

28) 육군 기록물 검색을 통해 공개된 참모총장 결재 기록물, 육본 전자결재 기록물에 대해서 조사를
실시하였고, 일부 비공개된 자료에 대해서는 육군본부와 협조하여 조사하였다.
29) 비전캠프 프로그램 관련자료에는 비전캠프 2007(2007), 비전캠프 지침서(2006,2009)), 비전캠
프 선도사례집 : 다시찾은 나의 꿈(2008), 비전캠프 2007 영상메뉴얼, 비전캠프 프로그램 CBT,
비전캠프 프로그램 성과분석 회의 자료 등이 있다.

- 56 -
2.조사 결과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해 이용되는 대표적인 평가 모형으로는


Ki
rkpat
ric
k(1995)
의 4수준 평가 모형과 CI
PP 모형이 있다.
Ki
rkpat
ric
k의 평가모형은 평가의 기준을 반응평가(
reac
tion e
val
uat
ion)
,학
습평가(
lear
ning e
val
uat
ion)
, 행동평가(
behavi
or e
val
uat
ion)
, 결과평가(
resul
t
e
val
uat
ion) 등 4수준으로 구분하여 평가를 실시하는 것이다. 하지만
Ki
rkpat
ric
k의 평가모형은 프로그램의 전체 과정이 아니라 프로그램이 시행된
후 결과만을 평가한다는 한계점이 있다.
이와는 달리 CI
PP 모형은 상황평가(
cont
ext e
val
uat
ion)
,투입평가(
input
e
val
uat
ion)
,과정평가(
proc
esse
val
uat
ion)
,산출평가(
produc
teval
uat
ion)등 4
수준으로 구분하여 프로그램이 개발된 목적과 실시되는 과정상에서의 자료를
수집하여 의사결정자를 위해 유용한 정보를 생산 하는데 초점을 두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CI
PP 모형을 기본으로 하되,CI
PP 모형의 4번째 산
출평가 단계에 Ki
rkpat
ric
k의 4수준 모형을 포함하였다.
<표 3-27>에서 보는 바와 같이 비전캠프 프로그램의 상황,투입,과정,
산출영역에 해당되는 평가영역 및 방법을 설정하고 각 평가영역별로 다음과
같이 평가를 실시하였다.

<표 3
-27> 비전캠프 프로그램 평가영역 및 방법
구 분 상황 평가 투입 평가 과정 평가 산출 평가
▪조직의 요구 ▪프로그램 내용 구성 ▪프로그램 개발 ▪반응평가
평 가 ▪관계자의 요구 ▪시간 사용 ▪프로그램 진행 ▪학습평가
-병사,간부,강사,▪시설 및 기자재 ▪진행자의 교수법 ▪행동평가
영 역 실무자,교육대 간부 ▪강사( 진행자) ▪도우미 병사 활용 ▪결과평가
▪재정적 지원 ▪교육대 편성 및 운용
▪현존자료 분석 ▪문헌자료 분석 ▪프로그램 관찰 ▪결과에 대한 측정
성과 분석,관련연구)▪야전부대 현장 확인 ▪야전부대 현장 확인 ▪주변 관계자로부터
(
방 법 ▪설문조사 -강사 양성교육 실태 ▪교육대장 면담 결과에 대한 평가
▪관계자 면담 -프로그램 실시 시간 ▪참가자 면담 자료 수집
▪회별,연간 예산 확인 ▪관계자 면담

- 57 -
2.
1상황 평가
모든 인적자원개발 프로그램은 조직이 의도한 목표와 요구를 기초로 설계
되는데,상황평가는 프로그램의 목표가 합리적으로 설정되어 있는지를 확인
하기 위해 실시한다.
따라서 <표 3-28>에서 보는 바와 같이 비전캠프 상황평가는 프로그램이
합목적적으로 구성 및 진행되고 있는지,그리고 조직의 요구와 관계자의 요구
를 잘 반영하고 있는지에 초점을 맞춰 조사하였으며,구체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다.

<표 3-28> 상황평가 결과 종합


평 가 영 역 조 사 결 과

▪인명사고 중 자살사고의 비중이 높음(


45.
6%)
조직의 요구 ▪개인적 원인에 의한 자살사고의 비율 증가
▪부적응자로 인한 지휘관 부담 해소에 기여

▪자신의 흥미와 적성에 대한 이해 부족


대상자
▪군 복무에 대한 의미와 가치 부여 부족
(
병)
▪전역 후 진로와 관련된 프로그램 요구

▪프로그램 내용에 대한 수정 필요(


복무적응 위주)
간 부 ▪프로그램의 부정적 이미지는 비전캠프의 목적과 상반됨
관계자 ▪병의 자아정체성 제고 및 대인관계 기술의 부족
요 구
▪프로그램 목표에 부적절한 진행자
진행자
▪종파별로 특화된 상담 목표 설정하여 교육 필요
(
군종장교)
▪명확한 목표 설정을 통한 입소 대상자 선별

▪사단에서 프로그램 운영하는데 애로가 있음


실무자
▪기타 프로그램과 명확히 분리된 목표 필요

- 58 -
1)조직의 요구
군내 사망 사고는 <표 3-2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최근 10년간 감소 추세
이나 자살자는 70명 수준에서 거의 변하지 않고 있고,’
09.6월 현재 전년 대
비 22%나 증가하였다.
비전캠프는 이와 같은 군내 사망사고,특히 자살사고 예방을 주 목적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조직의 요구와 부합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표 3-29> 군내 자살자 현황


단위:

구 분 ‘
00 ‘
01 ‘
02 ‘
03 ‘
04 ‘
05 ‘
06 ‘
07 ‘
08 ‘
09.
6.

사망자 182 164 15


8 150 135 12
4 128 121 13
4 54

자살자 82 6
6 79 69 6
7 64 77 8
0 75 42

비율(
%) 45 4
0 50 46 5
0 52 60 6
6 56 78

출처 :국방부(
2009)

한편 자살사고 중 주 요인은 <표 3-30>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복무염증,가


정문제,염세비관,이성문제,경제문제 등의 개인적 원인이 연간 평균 81%였
다.

<표 3-30> 인명사고 원인별 현황

개인적 원인
부대적
구 분 계 복무 가정 염세 이성 경제
소계 기타 원인
염증 문제 비관 문제 문제

3
년 평균 62 17 14 12 8 4 7 15
77
(
’06
-’08) (
81%) (
22%) (
18%) (
16%) (
11%) (
5%) (
9%) (
19%)

’0
9년 36 9 9 6 4 3 5 6
42
6
월 현재 (
86%) (
21%) (
21%) (
14%) (
10%) (
7%) (
13%) (
14%)

출처 :국방부(
2009)

- 59 -
이와같이 비전캠프가 개인적 원인에 의한 자살이 많기 때문에 자살원인의
38%를 차지하고 있는 복무염증,염세비관 등을 예방 할 수 있는 자아 존중감
증진,소외감 해소,삶의 의미 인식을 프로그램의 목표로 설정하고 있는 것은
조직의 요구를 잘 반영하였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자살의 원인은 복무염증,염세비관 이외에도 가정문제,이성문제,경
제문제 등 다양한 원인이 있지만 비전캠프에서는 가정문제,이성문제,경제문
제의 해소에 관련된 내용은 포함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자살 예방 프로그램으
로서 한계를 내포하고 있다.다시 말해서 육군본부(
2007)
가 비전캠프가 모든
부대 부적응 원인을 해소할 수 있는 만능적인 프로그램이 아니라고 밝히고 있
듯이 다양한 부적응 원인과 유형에 맞추어 복무적응을 유도할 수 있는 맞춤형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2)관계자 요구
비전캠프 프로그램의 관계자는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참가자(
지휘관 추천자,
도우미 병사)
,프로그램 강사(
군종장교,지휘관,전문상담관)
,프로그램 담당 실
무자,참가자의 해당 부대 지휘관 등이라고 할 수 있다.
비전캠프에 대한 관계자 요구 분석을 위해 <표 3-31>에서 보는 바와 같이
관계자 182명을 대상으로 설문,개별 면담,집단 인터뷰,전화 인터뷰 등을 실
시하였으며 구체적인 조사 내용은 다음과 같다.

<표 3-31> 관계자 조사 방법


구 분 인 원(
명) 방 법
계 1
82 -
비전캠프 설문
101
수료자 개별 면담 10명 추가 실시

비전캠프
1
2 집단 인터뷰
미수료자
일선 부대 1
6 개별 면담
간 부 실무자 2
4 개별 면담
군종장교 2
9 설문,전화 인터뷰

- 60 -
가)병
비전캠프를 수료한 8개 사단의 병사 101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
였고 별도로 10명과 개별적으로 인터뷰를 실시하였다.또한 비전캠프에 참가
하지 않은 병사들의 비전캠프에 대한 요구를 조사하기 위해 병사 12명과 집단
인터뷰(
Focuse
dGr
oupI
nter
view)
를 실시하였다.
<표 3-3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비전캠프는 적응을 잘 못하는 병사들이 가
는 것이라는 인식과 교육 시간이 여유 없고 실내교육 위주로 편성되어 있어서
지루하다는 의견이 있었다.

<표 3-32> 병 요구 분석 결과

구 분 답 변 내 용

•적응을 잘 못하는 병사들이 가는 것(공통)


비전캠프에 대한
•한번 쯤 참여해 보고 싶은 생각도 있었는데 동료들의
인식은?
눈치가 좀 보임(병장)

•교육 시간이 너무 여유없이 편성되어 있으므로 여유 있게


비전캠프에 대한 시간 편성 필요
요구는? •실내교육 위주로 지루하므로 운동 및 체육활동 시간 편성 필요
•전역 후 진로 등 인생 전반에 대해 생각하는 교육 필요

N =1
13명

나)간 부
간부 6명(
대대장,작전과장,주임원사,중대장,소대장,부소대장)
과 지휘관
(
중대장)직책을 수행했던 장교 10명과 비전캠프에 대한 의견을 조사하기 위
해 개별 인터뷰를 진행하였다.그 결과 <표 3-33>에서 보는 바와 같이 프로
그램 내용과 비전캠프 이미지 개선에 대한 요구가 많았고,특히 비전캠프 수
료후에도 부대 생활에 잘 적응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을 구성하라는 요구가 많
았다.이것은 비전캠프 수료자들이 프로그램 이수후에도 부대 적응에 계속적
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프로그램 내용이 복무 부적응 해소의 목적을 충분
히 달성하지 못하고 있음을 시사해 준다고 할 수 있다.또한 많은 간부들이

- 61 -
비전캠프의 부정적 이미지에 대한 개선을 요구하고 있었는데,그것은 비전캠
프는 문제 병사들이 간다는 부정적인 이미지가 ‘
낙인효과’
를 발생시키고,프로
그램 참여에 대한 욕구를 저해하는 결과를 초래하기 때문이다.

<표 3-33> 간부 인터뷰 결과


구 분 답 변 내 용
•교육은 하지만 대부분의 병사들이 부적응자가 간다는
비전캠프에 대한 사실을 알고 있어 부정적으로 느낌( 공통)
인식은? •사실 나 자신도 프로그램 내용이 뭔지 잘 모름(공통)
•상시캠프와 마찬가지로 단순히 수용한다는 느낌(중대장)

비전캠프에 대한 •자대 복귀 후 잘 적응할 수 있는 내용으로 구성


요구는? •프로그램에 대한 부정적 이미지 개선 필요

N =16명

다)군종장교
비전캠프를 계획하고 진행하는 강사들인 군종장교들의 의견을 조사하기 위
해 8개 부대 29명을 대상으로 인터뷰 및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인터뷰를 실
시한 군종장교는 <표 3-34>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개신교가 55.
2%로 가장 많
았지만 3개 종파가 모두 포함되었고,모두 비전캠프 진행 경험을 갖고 있었다.

<표 3-34> 인터뷰 대상 군종장교 현황


구 분 빈 도(
명) 비 율(
%)
개신교 16 55.
2
종파 불 교 8 27.
6
천주교 5 17.
2
3회 이하 10 34.5
비전캠프 4 - 6회 3 10.3
진행횟수 7 - 9회 - -
10회 이상 16 55.2
N =29명

- 62 -
<표 3-35>에서 보는 바와 같이 군종장교로서의 업무 중 비전캠프가 차지
하는 업무 비중에 대한 질문에 55.
1%가 높다고 응답하였고,낮다고 응답한 비
율은 3.
4%였다.이것은 비전캠프가 다양한 군종업무 중에서 비전캠프 진행을
위해 할애하는 시간과 노력이 불균형적으로 많이 소요되고 있다는 것을 시사
3
해 주고 있다.0
)

<표 3-35> 비전캠프가 차지하는 업무 비중 정도

매 우 매 우
구 분 계 낮 음 보 통 높 음
낮 음 높 음
29 1 0 12 9 7
인 원(
%)
(
100.
0%) (
3.4%) (
0%) (
41.4%) (
31.
0%) (
24.
1%)

또한 <표 3-36>에서 보는 바와 같이 비전캠프 진행상 어려운 점에 대한


질문에는 프로그램 참가자 참여의지 부족(
36. 31
6%) )
,교육예산 부족(
19.
5%)
,교
육장소 불비(
17.
1%)
,교육기자재 불비(
12.
2%)
,지휘관에 의한 프로그램 임의
변경(
7.3%)
,프로그램에 대한 심도깊은 이해의 어려움(
7.3%)등을 들었다.

<표 3-36> 비전캠프 진행상 어려운 점

구 분 빈 도
•프로그램 참가자 참여의지 부족 15(
36.
6%)
•교육예산 부족 8(
19.
5%)
•교육장소 불비 7(
17.
1%)
•교육기자재 불비 5(
12.
2%)
•지휘관에 의한 프로그램 임의 변경 3(
7.3
%)
•프로그램에 대한 심도깊은 이해의 어려움 3(
7.3
%)

N =29명

30) 육군규정 190 군종업무규정(‘08. 7. 1) 제2장 3조(임무)에 ’종교활동‧교육활동‧선도활동 및 기타


활동을 통하여 장병들의 정신무장을 강화하고 사기를 진작시키며, 이들을 건전한 모범시민으로
육성하는데 있다‘고 규정하고 있다. 세부적인 내용에 대해서는 육군규정 190을 참조.
31) 강기호‧차호원(1987)은 특정한 치료를 목표로 하는 집단상담 상황에서는 집단 구성이 의무적,
타의적 절차에 의하여 형성된다고 하였다.

- 63 -
한편 군종장교들은 <표 3-37>과 같이 비전캠프 프로그램에 대한 문제점
및 다양한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특히 프로그램의 내용이 진행자의 역량
과 적합하지 않다는 의견이 있었고 대안으로 전문상담관의 강사 활용,종파
별 특성에 맞는 프로그램의 운용,군단으로 통합하고 전문 진행자가 운영하
는 방안 등을 제시하였다.

<표 3-37> 군종장교들의 비전캠프 프로그램 개선 의견

구 분 주 요 내 용 요 약

• 불합리한 입소대상자 선정
- 이등병을 무조건 보내는 부대
- 프로그램의 효과와 관련 없는 인원 입소 사례 많음
• 프로그램 예산 부족
문제점
• 열악한 교육 장소
- 종교시설외의 마땅한 장소 부재로 진행상 어려움 있음
• 상시캠프와 많은 부분이 중복됨
- 지휘관에 따라서 프로그램 내용이 혼합되는 사례 발생

• 명확한 역할 구분을 통한 비전캠프의 독립성 확보(업무 과중)


• 비전캠프가 전인치유 프로그램이 된다는 생각이 바뀌어야 함
• 군종장교들의 전문성을 발휘할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
- 법사님들 경우 참선, 자기돌아봄 등에 탁월한 식견을 가진 점 활용
개 선
• 전문상담관의 프로그램 강사 역할 수행
• 프로그램 진행간 간부들의 관심과 격려 필요(교육 기간 중 방문 등)
• 강사들의 프로그램과 관련된 실무위탁교육 확충
방 안
• 집단상담 형태의 프로그램 보다는 개인상담 위주 활동에 주력 필요
• 00사령부 예하 부대의 경우 사령부에서 통합하여 시행하는 방안 필요
- 군종장교가 제한되고 프로그램 참여 인원도 소수임
- 동원/향토 사단의 경우 민간 전문인력 강사 확보 및 지원

N =29명

- 64 -
라)비전캠프 담당 실무자
비전캠프 프로그램 담당 실무자와 교육대의 교육대장 및 교육담당관들과
인터뷰를 통해 비전캠프 프로그램 운영과 관련된 사항을 확인하였다.인터뷰
결과 <표 3-38>에서 보는 바와 같이 군단 통합 시행을 통한 예하부대 부담
최소화,전문 위탁기관 활용을 통한 전문성 제고,시설,예산,입소 시기의 문
제 등 다양한 요구가 도출되었다.
특히 비전캠프의 군단별 통합 시행과 전문 위탁기관 활용에 대한 의견이
있었는데 그것은 사단 군종장교들은 종교활동,교육활동,선도활동 등 대부분
의 임무를 함께 수행하므로 업무 부담이 과중하고,비전캠프는 전문성이 요구
되기 때문에 비전캠프를 사단급 부대에서 운영하는 것은 비효과적이기 때문이
라는 것이다.

<표 3-38> 프로그램 담당 실무자 인터뷰 결과

주 요 내 용 요 약

•입소시기 부적절 :월요일 입소 지침으로 인해서 교육 진행자가 아니라


교육대 간부들이 최초 맞이함(
교육대 간부)
•군단 통합 시행으로 예하부대 부담 최소화(
동원/
향토 사단)
•전문기관 위탁으로 전문성 제고(
지역 정신보건센터 등)
•동원/
향토 사단 군종장교 제한으로 비전캠프 운영 제한
•교육대 간부의 경우 파견된 간부이기 때문에 책임의 한계(
교육대 간부)
•년 6회 기준으로 편성되어 있는 예산의 경우 현실화 필요
•상시캠프에 대한 불명확한 지침으로 비전캠프와 비슷한 형태의 프로그램
운영(
공통)
•입소 당일 군의관 진료 및 개인상담 불필요 :자대 실시 후 입소함
•프로그램에 안주하는 병사 발생
•부사관 교육장과 함께 사용하고 있어서 교육이 겹치는 경우 발생

N =2
4명

- 65 -
2.
2투입 평가
투입평가는 프로그램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인적,물적 자원들을 효과
적으로 활용하고 있는가를 평가하기 위해서 실시되는 것으로 <표 3-39>에
서 보는 바와 같이 교육내용,시간 사용,시설과 기자재 확보,재정 영역 등
4개 영역을 평가하였다.

<표 3-39> 투입차원의 평가 영역과 평가내용


평 가 영 역 평 가 내 용

▪ 비전캠프 프로그램은 프로그램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내용으로


내 용 구 성
구성되었는가?

▪ 비전캠프 프로그램의 양적인 시간 배정은 적절한가?


시 간 사 용
▪ 비전캠프 프로그램의 질적인 시간 사용은 적절한가?

▪ 비전캠프 프로그램을 운용할 수 있는 실내 외 공간이 확보되어


있는가?
시설 및 기자재
▪ 비전캠프 프로그램 운용에 필요한 교재,교구가 충분히 배치되어
있는가?

재정적 지원 ▪ 비전캠프 프로그램 진행에 필요한 재정은 확보되어 있는가?

<표 3-40>에서 보는 바와 같이 비전캠프 프로그램의 내용 중 단계별 목


표에 부합하지 않은 부적절한 과목이 일부 편성되어 있었다.프로그램 운영
시간 측면에서는 프로그램 진행 책임자인 군종장교들의 휴무일인 월요일에
교육 대상자의 입소가 이루어지고 있고,비자발적인 참가자들 대상으로 오전
부터 야간까지 여유없는 프로그램 진행이 이루어지고 있었다.시설 및 기자
재 면에 있어서 비전캠프 만의 독립적인 장소가 확보되지 않았으며 기자재
는 다른 교육생들과 중복으로 사용하고 있었다.그리고 프로그램 운영 횟수
에 비하여 예산은 충분하게 지원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었으며,각 평가 영
역별 구체적인 평가 내용은 다음과 같다.

- 66 -
<표 3-40> 투입평가 결과

평 가 영 역 조 사 결 과

▪단계별 목표에 부합하지 않은 부적절한 과목 편성


내 용 구 성
▪프로그램 전체적인 흐름과 맞지 않은 과목 추가

▪부대 여건과 연계되지 않은 시간 편성


시 간 사 용
▪참가자의 특성을 미고려한 타이트한 프로그램 운영

▪집단상담을 위한 독립적인 장소 확보 미흡
시설 및 기자재
▪통합된 강의실에서 교육 기자재들의 중복 사용

재정적 지원 ▪비전캠프 운영횟수 증가로 예산 증가 필요

1)내용 구성
비전캠프 프로그램은 자살 우려자 및 복무 부적응자들을 대상으로,건강한
자아상 회복과 왜곡된 인식체계의 전환 그리고 문제해결능력을 향상하도록 하
여 복무적응을 유도하고 자살사고 예방에 기여하기 위한 목적으로 개발되었다
(
육군본부,2007)
.
프로그램의 특성상 <표 3-41>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개인별 심리평가 및 구
조화된 집단상담을 진행할 수 있는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고,사전 준비단계,
도입 단계,전환 단계,작업 단계,종결 단계로 프로그램이 진행된다.
「도입 단계」의 모듈인 ‘
자기 소개하기’
와 ‘
마음을 열어요’
를 통해서 비전
캠프에 대한 충분한 오리엔테이션을 함으로써 참가자들로 하여금 집단과 진행
자에게 좋은 인상을 갖도록 하고,신뢰감을 형성하여 도움을 받을 수 있을
것 같은 느낌을 경험하도록 해준다.
「전환 단계」의 모듈은 ‘
나의 이야기’
,‘나의 발견(
심리검사)
’,‘
더불어 함
께’
,‘영화감상/
종교행사’등으로 구성되어 있다.전환 단계의 목적은 과도적 단
계로서 집단의 분위기를 안정적이고 신뢰적으로 만드는 것이다.
여기서 ‘
나의발견(
심리검사)
’는 자기발견의 심화 과정으로서 전환 단계가
추구하는 목적보다는 도입 단계에서 더 효과적인 프로그램이다.또한 비전캠
프 운영 개선 계획32)에 의해 추가된 ‘
자살예방 교육’
(1H)
은 프로그램의 흐름을

- 67 -
저해하는 내용이다.전환 단계가 집단의 안정성과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한 목
적으로 진행되는 가운데 우울증 극복이라는 주제를 가지고 1시간을 교육하는
것은 전체적인 프로그램의 목적과 흐름에 부합하지 않는다고 할 수 있다.

<표 3-41> 비전캠프의 단계 구분과 핵심 개념


단계 일차 모 듈 핵심 개념
사전
등록 ∙등록 시 환영받는 느낌 갖게 하기
준비 1
일차
MMPI검사 ∙차분하고 여유 있는 MMPI검사
단계
∙비전캠프에 대한 기대감 갖게 하기
오리엔테이션 ∙비전캠프 규칙에 동의하기
도입
1
일차 1.
자기 소개하기 ∙수용적 존중을 통한 마음 열기
단계
2.
마음을 열어요 ∙어색함 누그러뜨리기(IceBr
eaki
ng)
∙낮은 수준의 자기 개방

3.
나의 이야기
∙갈등과 저항에서 집단 응집으로의 전환
4.
나의 발견
∙무 조건적 수용과 공감/공동체 활동
전환 1
일차 (
심리 검사)
→ 집단의 안정성,신뢰성,응집력
단계 2
일차 5.
더불어 함께
∙심리검사/영화 → 자기 발견의 심화
6.
영화 감상
/종교행사
∙행동 변화의 촉진
7.
서로 통해요
작업 -의사소통 개선과 대인관계 향상
3
일차 8.
나를 풀어주기
단계 -비효과적인 행동 패턴의 변화
9.
나의 꿈을 찾아서
∙감정의 정화 → 과거를 딛고 미래로
∙실천 의지 강화
10
.마음 다지기
종결 ∙나눔과 추수
4
일차 11
.새롭게 시작해요
단계 ∙미래에 대한 희망
(수료식)
∙비전캠프에 대한 긍정적 이미지

출처 :비전캠프 2007(
육군본부)

「작업 단계」의 프로그램은 ‘


서로 통해요’
,‘나를 풀어주기’
,‘나의 꿈을 찾
아서’등으로 구성되어 있다.「작업 단계」는 비전캠프의 가장 핵심적인 부분
으로 참가자들의 행동변화를 촉진하는 단계이다.「작업 단계」에서는 각자의

32) 제대별 병영생활 전문상담관 활용 및 자살 예방교육 확대 등 비전캠프 효율성 제고를 목적으로


육군본부에서 2009. 5.14일자로 검토 및 지시되었다.

- 68 -
문제를 노출하고 탐색하며 이해하고 수용하는 과정을 통하여 바람직하지 못한
행동패턴을 버리고 생산적인 대안행동을 학습하게 된다.이러한 상호 작용 속
에서 비전캠프 프로그램의 핵심적 요소인 ‘
집단응집력’
이 강화된다(
육군본부,
2009)
.
작업 단계가 추구하는 핵심개념인 행동변화의 촉진의 측면에서 ‘
서로 통해
요’
와 ‘
나의 꿈을 찾아서’
는 이 단계에 적합하지 않다.‘
서로 통해요’
는 효과적
인 의사소통을 위한 기본자세 및 기술 습득을 목표로 하는 프로그램이다.대
인관계 측면에서 상대방을 이해하고 의사소통하는 기술을 배우는 것이므로 행
동변화를 통한 집단응집력 강화에는 미흡한 내용이다.또한 ‘
나의 꿈을 찾아
서’
도 개인의 꿈과 희망을 성취하기 위한 동기부여를 하는 것인데 집단응집력
과는 관련없는 내용이다.오히려 ‘
나의 꿈을 찾아서’
의 경우 종결단계에서 프
로그램을 마무리하며 앞으로 군 복무 계획과 전역 후 삶에 대한 구체적인 생
애설계를 하는 방안으로 재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2)시간 사용
본 단계에서 시간사용의 평가는 프로그램에 사용되거나 계획된 시간의 양
적인 시간 뿐만 아니라 질적인 의미의 시간까지도 포함한다.단순히 계량적인
의미의 시간의 총 합의 개념을 뛰어넘어서 분석하였다.
먼저,양적인 의미에서 비전캠프 프로그램은 육군본부(
2007)
에서 배정된 시
간을 사용한다.비전캠프 프로그램은 2009년 개선된 표준모델 일정표에 의거
하여 병영생활 전문상담관 운용부대는 4박 5일을 실시하고,미운용 부대는 3
박 4일을 실시하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양적인 측면에서는 프로그램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충분한 시간
을 사용하고 있다고 할 수 있지만 질적인 측면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33
도출되었다. )

먼저,프로그램의 입소시기의 문제이다.동원 및 향토 사단을 제외한 대부

33) 대부분의 인적자원개발 또는 리더십 프로그램들이 2박 3일 내외의 시간을 활용하여 프로그램을 진행


하고 있다.

- 69 -
분의 부대가 월요일(
1일차)
에 비전캠프에 입소하여 등록 및 건강 진료,면접
상담,인성교육,MMPI검사 등을 실시하도록 하고 있다.
34) 그런데 사전 준비

단계인 등록 단계는 비전캠프 프로그램의 첫 인상을 결정짓기 때문에 강사메


뉴얼에 등록 단계의 핵심 개념을 환영받는 느낌을 갖게 하는 것으로 명시하고
있다.프로그램에 대한 기대와 동기부여는 오리엔테이션을 시작하는 ‘
#1.자기
소개하기’
에서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프로그램에 참여하기 위해 교육장(
교육
대)
에 도착하는 순간부터 시작된다.그러나 <표 3-4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연구자가 현장 방문한 9개 부대 중에서 어느 부대도 프로그램 참가자들을 교
3
육 장소에 미리 나와서 영접하고 따뜻한 인사를 나누는 곳은 없었다.5)

<표 3-42> 비전캠프 등록 절차 확인 결과

주변 환경 사전준비
구 분 현수막 부착 따뜻한 영접 조 성 (
명찰, 생활관)
A사단 O X △ O
B사단 O X O O
C사단 X X X X
D사단 X X X X
E사단 X X X O
F사단 X X X X
G사단 X X △ O
H사단 X X X X
I
사단 X X X O

범례 :○ (
우수)
,△ (
보통)
,X (
저조)

이러한 문제가 발생하게 되는 것은 월요일은 비전캠프 진행의 주체인 군종


장교들의 공식적인 휴무일이기 때문이다.따라서 입소대상자의 등록 절차는

34) 2009년 개선된 표준모델이 시행되기 전에는 비전캠프 프로그램 기간이 3박 4일로 프로그램 참
가자들의 입소가 화요일(1일차)에 이루어졌다.
35) 비전캠프에 대한 첫 인상은 프로그램 효과를 좌우 할 수 있기 때문에 비전캠프 2007(2007) 지침서
의 등록시 진행 지침으로 비전캠프 프로그램의 등록 절차에 대해서 상세하게 기술하고 있다.

- 70 -
군종장교(
군종담당관)
가 아니라 교육대가 설치되어 있는 부대는 교육대에서
담당하도록 하고 있다.그러나 책임의 한계가 분명하게 명시되어 있고 협조체
계가 잘 구축된 부대는 생활관의 사전 준비 및 주변 환경이 잘 조성되어 있는
반면에 군종부와 교육대간에 협조가 잘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부대는 프로그
램 참가자들을 생활관 한 쪽에 방치하고 있는 것 같은 인상을 받도록 하고 있
었다.

3)교육 시설 및 기자재
교육 시설과 교육 기자재는 프로그램의 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
이다.따라서 <표 3-43>에서 보는 바와 같이 교육장소 및 실내외 공간의 적
합성,소음 여부,교육 기자재 등을 평가항목으로 선정하여 9개 부대에 대해서
조사를 실시하였다.

<표 3-43> 비전캠프 교육 시설 및 기자재 확인 결과

교육 기자재
구 분 교육장소 실내외 공간 소 음
(
강의실 준비)

A사단 X O X X

B사단 O O O O

C사단 X △ O X

D사단 △ △ X △

E사단 △ △ △ △

F사단 △ X X X

G사단 O O O O

H사단 △ △ X X

I
사단 X △ O △

범례 :○ (
우수)
,△ (
보통)
,X (
저조)

- 71 -
조사대상 부대 중 별도 교육관이 마련되어 있는 부대는 B사단과 G사단 2
개 사단 뿐이였다.기타 부대는 종교시설 사용(
3개 사단)
,보충대와 통합 사용
(
2개 사단)
,신교대와 통합 사용(
2개 사단)
하고 있었다.특히 보충대와 신교대
대와 통합적으로 사용하는 부대에서는 보충병들과 신병들의 교육훈련으로 인
한 소음으로 프로그램의 진행을 방해받고 있었다.보충대에서 교육하는 부대
의 경우에는 식당이 강의장과 인접해 있어서 취사시 발생하는 소음과 냄새가
교육의 진행을 방해하였다.그리고 2개 부대는 프로그램 중간 휴식 시간을 이
용한 휴식 공간과 운동을 할 수 있는 공간이 없었다.

4)예 산
프로그램 진행을 위한 재정적 지원은 프로그램 활동에 필요한 자료구입,
외부강사 초청에 드는 비용,급량비 등을 말한다.<표 3-4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비전캠프 프로그램은 1회 실시 기준으로 총 600,
000원이 지원된다.

<표 3-44> ’
09비전캠프 예산 현황
항 목 1회 기준액 실시횟수 소 계

계 - - 2
42,
000
,00
0

급 량 비 400,
000 368/년 1
49,
500
,00
0

재 료 비 200,
000 386/년 7
5,9
00,
000

특별 강사료
200,
000 83 1
6,6
00,
000
(
MMPI강사지원)

출처 :육군본부 군종실(
2009)

그러나 <표 3-4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육군 전체적으로 비전캠프는 ’


04
부터 ’
08까지 연평균 417회로 현재 예산안 책정 기준인 368회 보다 49회가
3
더 추가적으로 실시되고 있다.6
) 그것은 야전부대의 지휘관들이 사고예방과

부적응자 해소를 위해서 비전캠프 프로그램을 기준 시행횟수 보다 초과 운

36) 49회 초과 운영시 추가 소요 예산은 49회 × 600,000원 = 29,400,000원이다.

- 72 -
3
영하고 있기 때문이다.7) 실제 조사부대 9개 부대 중 8개 부대는 매월 비전
캠프를 운영하고 있었다.또한 비전캠프 프로그램 종료 후에 시행하는 Post
비전캠프38)는 비예산으로 시행하고 있기 때문에 비전캠프 운영 예산의 부족
현상이 발생하고 있어 예산을 현실화 할 필요가 있다.

<표 3-45> 비전캠프 횟수 및 인원

구 분 평균 ‘
04 ‘
05 ‘
06 ‘
07 ‘
08 ‘
09전반기

횟 수 41
7 4
58 39
1 41
7 403 4
14 2
08

인원(
명) 8,
333 8,
017 7,
700 8,
609 8
,644 8
,69
3 3
,46
8

출처 :육군본부 군종실(
2009
)

2.
3과정 평가
과정평가는 프로그램의 실행단계에서 프로그램의 원활한 진행여부,실행
상의 장애요인,개선의 필요성을 파악하기 위한 평가단계로서 과정 및 절차
등의 실태와 문제점을 진단하여 프로그램 담당자에게 정보를 제공해 준다.
또한 St
uff
lebe
am & Shi
nkf
iel
d(1985)
는 프로그램 운영자들이 프로그램을 계
획대로 실행해 나가는 것을 돕기 위한 피드백 정보를 얻거나,애초의 계획이
부적절한 것으로 드러났을 때,그 계획을 필요에 따라 수정하는데 도움을 준
다고 하였다.
과정평가에서는 <표 3-46>에서 보는 바와 같이 프로그램 진행,도우미
병사 활용,교육대 편성 및 운용 등 3개 영역에 대한 평가를 실시 하였다.

37) 상비/향토 사단의 경우 격월로 1회(연 6회), 동원사단의 경우 분기 1회(연 4회) 실시하도록 규정
하고 있다(육군본부, 2007). 이 지침은 비전캠프 운영 개선 계획(육군본부, 2009)에 의거하여 상
비사단은 연 6~12회, 상담관 배치 향토사단은 연 6~8회, 상담관 미배치 향토사단 및 동원사단
은 연 4회로 조정되었으나 연간 예산은 변함이 없다.
38) Post 비전캠프는 비전캠프 수료 후 1~2개월 이내 시행하는 프로그램으로 비전캠프 퇴소 후에
변화된 모습을 나누고 새로운 충전의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1일 또는 1박 2일로 실시한다.

- 73 -
<표 3-46> 과정평가 영역과 평가내용
평 가 영 역 평 가 내 용
▪프로그램에 맞는 입소대상자 선정이 이루어지고 있는가?
프로그램 진행 ▪프로그램 입소 전 지휘관에 의한 면담이 이루어지고 있는가?
▪체계적인 사후관리가 이루어지고 있는가?
▪프로그램에 도우미 병사는 적극적으로 참여하는가?
도우미 병사
▪도우미 병사에 대한 사전교육 실시는 어떻게 실시하는가?
활 용
▪도우미 병사의 촉진자로서의 역할 수행 정도는?
교육대 편성 ▪교육대 간부의 선발 및 운용은?
및 운영 ▪입소 기간 내 병력관리 대책은 적절한가?

<표 3-47>에서 보는 바와 같이 과정평가 결과 부적절한 입소 대상자 선


정과 입소자에 대한 관심의 부족,도우미 병사의 집단상담 촉진자로서 역량
구비를 위한 노력 미흡,그리고 교육대의 비편제 조직 운영 등의 문제점이
도출되었다.

<표 3-47> 과정평가 결과 종합

평 가 영 역 조 사 결 과

▪프로그램 입소 대상자 선정 부적절(단순 부적응자 입소)


프로그램 진행
▪입소자에 대한 면담,격려 등 지휘 관심 부족

도우미 병사 ▪도우미 병사의 필요성은 인식하고 있으나,집단상담 촉진자로서


활 용 역할 수행을 위한 세부 교육 실시 미흡

교육대 편성 ▪비편제 보직에 의한 파견 운용에 따른 동기부여 미흡


및 운영 ▪일부 교육대 간부의 선발 부적절

1)프로그램 진행
비전캠프 프로그램이 효과적으로 운영되기 위해서는 프로그램에 적합한 인
원이 선정되어야 한다.<표 3-48>에서 보는 바와 같이 ’
09 전반기에는 총

- 74 -
3,
468명이 비전캠프 프로그램에 입소하였다.입소자의 입소사유를 살펴보면 가
정문제,건강문제,이성문제 등 비전캠프 프로그램이 추구하는 목적과는 관계
없는 병사들이 13.
0%,그리고 우울증(
10.
8%)
과 같이 교육이 아니라 정신과 치
료가 필요한 병사들도 입소하고 있다.

<표 3-48> '


09전반기 비전캠프 입소사유별 현황

구분 계 가정문제 건강문제 이성문제 대인관계 적응문제

221(
6.4%)182(
5.2%) 48(
1.4%) 254(
7.3%)1
338
(38
.6%)
인원
3,
468 정신문제 심리문제 우울증 기 타 도우미
(명)
197
(5.
7%) 32
4(9.
3%)373(
10.
8%) 71(
2.0%) 4
60(
13.
3%)

출처 :육군본부 군종실(
2009
)

비전캠프는 개인의 희망에 의해서 입소하는 경우는 거의 없고 지휘관의


추천에 의해서 입소 대상자가 결정된다.이와같이 비자발적으로 비전캠프에
입소하는 비전캠프 참가자들의 교육참여 동기부여를 위해서는 지휘관의 관심
과 격려가 필요하기 때문에 비전캠프 10대 운용 중점에서 두 번째로 강조하는
것이 입소 전 지휘관에 의한 면담이다.
그러나 <표 3-4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입소 전 1주일 이내에 면담(
대대장,
중대장,행정보급관)
을 하고 입소한 병사는 22.
0% 뿐이었다.또한 비전캠프에
대한 입소 사실을 입소 당일 인지한 병사가 41.
3%로 사전에 비전캠프에 입소
39
한다는 것을 알려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 그런데 인터뷰 과정에서 이

와같이 입소 사실을 사전에 알려주지 않은 것에 대해 “


도살장에 끌려가는 기
분이었다”
,“간부에게 배신감이 느껴진다”
,“내가 물건인 것 같은 느낌이 든
다”등 매우 부정적인 생각을 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따라서 비전캠프
입소한다는 사실을 사전에 알려 주고,프로그램의 목적과 내용 등을 잘 설명
해 줌으로써 교육 참여 동기를 부여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해 주고 있다.

39) 참가자가 관심병사로 사고를 우려한 부대의 조치인 것으로 판단된다.

- 75 -
<표 3-49> 비전캠프 참가자 인터뷰 결과

입소사실 인지
입소전
구 분 계
면담/격려
당일 하루전 이틀전 3
일이상

109 24 45 3
0 1
5 1
9
인원(
%)
(
100.0%) (
22.0%) (
41.3
%) (
27.
5%) (
13.
8%) (
17.
3%)

비전캠프 프로그램은 교육 기간이 지나면 끝나는 것이 아니다.비전캠프


종료 후 반드시 결과를 지휘관에게 보고하고 지속적인 부대방문 상담을 통한
후속조치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는데 <표 3-5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연구자
가 조사한 9개 부대 모두가 프로그램 종료 후 체계적인 관리를 하고 있었다.

<표 3-50> 비전캠프 참가자 사후관리 체계

구 분 사단 수

계 9

▪관심병사에 대해 전문상담관 순회 면담 1

▪1달 경과 후 교육대장 순회 면담 1

▪관심병사에 대해 전문상담관 순회 면담 2

▪1달 경과 후 교육대장 순회 면담 1

▪관심병사에 대해 전문상담관 순회 면담 4

2)도우미 병사 활용
프로그램 구성원의 대부분이 비자발적인 동기에서 참여한 인원이기 때문에
집단역동이 일어나게 진행하는 것은 전문적인 집단상담전문가도 어렵기 때문
에 도우미 병사가 촉진자로서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표 3-51>에서 보
는 바와 같이 프로그램을 진행한 군종장교를 대상으로 도우미 병사의 활용도
를 조사한 결과 도우미 병사의 프로그램 참여도는 ‘
적극적으로 참여’75.
9%,

- 76 -

소극적 참여’24.
1%였다.도우미 병사의 사전 교육 여부에 대한 질문에는 ‘

도 교육 미실시’14.
6%,‘
오리엔테이션 시작 전 교육 실시’24.
4%,‘
캠프 시작
2-3일 전 소집 교육 실시’4.
9%,‘
상주도우미 활용’17.
1%,무응답 9.
8%였다.
도우미 병사의 촉진자 역할 수행 정도는 ‘
도움이 된다’
는 긍정적인 응답이
62%,‘
보통이다 또는 약간 부족하다’
가 37.
9%였다.
이상의 설문 결과를 종합 분석해 보면 도우미 병사가 프로그램 진행에 도
움은 되지만 보다 더 촉진자로서 역할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도우
미 병사의 전문성 강화가 필요함을 시사해 주고 있다.

<표 3-51> 도우미 병사 활용 설문 결과 단위 :명(


%)

질 문 내 용 조 사 결 과 빈 도

도우미 병사의 ▪적극적 참여 22(


75.
9)
프로그램
참여도는? ▪소극적 참여 7(
24.
1)

▪별도 교육 미실시 6(
14.
6)

▪오리엔테이션 시작 전 교육 실시 10(
24.
4)
도우미 병사의
▪캠프 시작 2
-3일전 소집교육 실시 2(
4.9)
사전교육 방법은?
▪상주도우미 활용 7(
17.
1)

▪무응답 4(
9.8)

▪매우 부족 0(
0)

▪약간 부족 2(
6.9)
도우미 병사의
촉진자 역할 수행 ▪보 통 9(
31)
정도는?
▪약간 도움 9(
31)

▪매우 도움 9(
31)

주)7
개 부대 군종장교 2
9명 설문조사 결과

- 77 -
3)교육대 편성 및 운용
모든 비전캠프 참가자들은 교육대에서 함께 생활을 하면서 교육대장의 통
제를 받게 된다.따라서 프로그램 진행과정만이 아니라 교육대 생활과정에서
교육이 함께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에 교육대 구성요원들의 역할이 매우 중요
하다고 할 수 있다.
교육대는 <표 3-52>에서 보는 바와 같이 교육대장,교육담당관,상주도우
미,행정병으로 구성되는데 부대에 따라 교육대장을 장교 또는 부사관으로 서
로 다르게 보직하고 있었다.

<표 3-52> 교육대 인원 편성 현황


구 분 교육대장 행정담당관 교육담당관 상주 도우미 행정병
A사단 상사 /장기 중사 /장기 중사,장기 6 1
B사단 대위 /장기 중사 /장기 - 6 1
C사단 원사 /장기 중사 /연장 - 7 1
대위 /장기
D사단 중사 /장기 - 5 1
(
심리학 석사)
E사단 상사 /장기 중사 /장기 - 6 1
F사단 상사 /장기 중사 /장기 - 5 1
G사단 상사 /장기 중사 /장기 - 6 1
H사단 원사 /직보 상사 /장기 중사,장기 5 1
I
사단 상사 /장기 중사 /장기 - 6 1

그런데 교육대의 간부는 선발보직임에도 불구하고 교육대 간부들과의 인터


뷰 결과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발견할 수 있었다.첫째,편제 보직이 아니라
파견 형태로 근무하게 되므로 평정이나 경력관리에 불이익을 받을 수 있다는
것이다.둘째,교육대 간부로서 품성이 미흡한 인원이 일부 보직되어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교육대 간부의 선발 시 교육대 간부로서 적절성 여부를 심사하여
선발하고,보직자들에게 평정이나 경력관리에 불이익이 없도록 조치를 할 필
요가 있다.

- 78 -
2.
4산출 평가
교육의 성과를 평가하기 위해 Ki
rkpat
ric
k의 평가 모형에 따라 반응 평가,
학습 평가,행동 평가,결과 평가를 실시하였다.

1)반응 평가
반응 평가는 학습자가 강사 또는 교육 담당자의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만
족도를 평가하는 것으로 본 연구에서는 비전캠프 프로그램이 종료시 연구자
가 직접 실시하였으며 <표 3-53>에서 보는 바와 같이 프로그램 강사에 대
한 만족도,프로그램 내용에 대한 만족도,프로그램 장소에 대한 만족도,프
로그램을 타인에게 추천 여부 등을 비전캠프 프로그램 수료자들에게 설문을
실시하여 조사하였다.

<표 3-53> 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 단위 :명(


%)
응답 내용별
구 분 만족도 매우 매 우
불만 보 통 만 족
불만 만 족
목표 제시 3
.8 5(2.
5) 8(4.1
) 56
(28.
4) 72(
36.
5) 56(
28.
4)
동기 유발 3
.6 5(2.
5) 17(
8.6) 63
(32.
0) 73(
37.
1) 39(
19.
8)
강 내용 전달 3
.9 3(1.
5) 9(4.6
) 49
(24.
9) 86(
43.
7) 50(
25.
4)
전문적 지식 3
.6 3(1.
5) 16(
8.1) 71
(36.
0) 74(
37.
6) 33(
16.
8)

사례 제시 3
.6 4(2.
0) 15(
7.6) 64
(32.
5) 79(
40.
1) 35(
17.
8)

교육기자재 사용 3
.6 1(0.
5) 13(
6.6) 89
(45.
2) 57(
28.
9) 37(
18.
8)
가 참여 유도 3
.8 4(2.
0) 11(
5.6) 53
(26.
9) 74(
37.
6) 55(
27.
9)
강의에 대한 열의 3
.9 2(1.
0) 13(
6.6) 42
(21.
3) 83(
42.
1) 57(
28.
9)
교육준비 3
.7 4(2.
0) 12(
6.1) 66
(33.
5) 69(
35.
0) 46(
23.
4)
전체적인 만족 3
.7 10(
5.1) 13(
6.6) 55
(27.
9) 71(
36.
0) 48(
24.
4)

군 복무에 도움 3
.5 13(
6.6) 26(13.
2) 58
(29.
4) 60(
30.
5) 40(
20.
3)

교육내용 구성 3
.6 6(3.
0) 17(
8.6) 70
(35.
5) 63(
32.
0) 41(
20.
8)
평 교육 시간 3
.5 10(
5.1) 22(11.
2) 71
(36.
0) 54(
27.
4) 40(
20.
3)
가 교육보조자료 3
.5 12(
6.1) 19(
9.6) 62
(31.
5) 66(
33.
5) 38(
19.
3)
교육장소의 적절성 3
.6 9(
4.6
) 18(9.
1) 59
(29.9) 71(
36.0) 40(20.
3)
추천한다 :120(
60.9) 추천 안한다 :2 0(10
.2)
타인에게 추천 여부
모르겠다 :57( 2
8.9)
N=19
7명(
프로그램 수료자)/만족도는 5점 척도임

- 79 -
<표 3-53>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강사에 대한 만족도는 3.
6~3.
9,프로그램
내용에 대한 만족도는 3.
5~3.
7,교육장소에 대한 만족도는 3.
6 수준이었다.
그리고 타인에게 추천 여부에 대한 의견은 60.
9%가 추천 의사를 표명하였다.
그런데 이러한 프로그램에 대한 만족 수준은 3.
0(보통수준)
이상이기 때문
에 낮은 것은 아니라고 할 수 있지만 <표 3-54>에서 보는 바와 같이 국방
대 리더십 프로그램의 만족 수준과 비교해 보면 상대적으로 낮은 수준이기
때문에 프로그램의 내용과 강사의 질적 수준 향상을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고 할 수 있다.
40)

<표 3-54> 리더십 프로그램 만족도 평가 결과


만족 인원(%)
구 분 프로그램 만족도
강 사 시 간 장 소
육군본부
비전캠프 프로그램 3
.6 60
.6 47.
7 56.
3
(
2007)
조영기
신병 리더십 프로그램 4
.5 95
.9 - 89.
3
(
2008)
유근홍
코칭 리더십 프로그램 4
.5 100.
0 62.
0 76.
2
(
2007)
서선우 군 복무 부적응자
4
.7 100.
0 - -
(
2006) 적응력 강화 프로그램
김상목
분대장 리더십 프로그램 4
.7 - - -
(
2005)
이창호 의사소통능력 향상
4
.3 100.
0 83.
3 -
(
2003) 프로그램

또한 <표 3-55>에서 보는 바와 같이 군종장교 중 상담 관련 전공자는 24


명(
박사 5,석사 19)
으로 전체 군종장교 중 7.
0%이고 이 중 비전캠프 프로그
램을 진행하고 있는 군종장교는 15명으로 소수만이 심도있는 상담 관련 전문
지식을 보유하고 있다.

40) 리더십 프로그램의 강사의 경우 2년간 리더십 석사과정을 이수하고, 수차례의 리더십 프로그램
강사 실습을 통해 훈련된 인원들이다.

- 80 -
<표 3-55> 상담 관련 전공 현황
구분 계 목회상담 상담심리 기독교상담 임상심리 기 타
12 2 3
인원(
명) 24 3 4
(
신학박사 2) (
철학박사 2
) (
철학박사 1
)
출처 : 육군본부 군종실(2009)

2)학습 평가
학습평가는 프로그램 참여자의 프로그램 내용에 대한 학습 정도를 검사하
는 것으로 비전캠프 프로그램이 교육목표로 제시한 프로그램 참가자의 자아
존중감,대인관계,삶의 의미,소외감,집단응집력을 관련된 척도를 사용하여
프로그램 참여 전․후에 측정하였다.
사전-사후 조사결과 <표 3-56>에서 보는 바와 같이 대인관계와 집단응
집력은 사후 측정치가 사전 측정치보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증가한 것으
로 나타났다.그러나 자아존중감,삶의 의미,소외감은 사전-사후 측정 결과
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따라서 비전캠프가 대인관계와 집단응집력 향상에는 기여하지만 자아존중
감,삶의 의미,소외감 개선에는 효과가 없다고 할 수 있기 때문에 프로그램
의 목표를 수정하거나 프로그램의 내용을 수정․보완 할 필요가 있다.

<표 3-56> 프로그램에 대한 학습평가 결과(


대응표본 t
-검정)
평균값
구 분 평균차 t
값 유의확률
사전 사후
(
사후-사전)
목표 #
1 자아존중감 3.
21 3.
25 .
04 0.
568 .
572

목표 #
2 대인관계 3.
02 3.
24 .
22 3.
783 .
000

목표 #
3 삶의 의미 3.
26 3.
34 .
08 1.
061 .
291

목표 #
4 소외감 2.
20 2.
25 .
05 0.
714 .
477

목표 #
5 집단응집력 3.
04 3.
38 .
34 4.
705 .
000

N=99명(
프로그램 참가자)

- 81 -
3)행동 평가
행동평가는 학습한 내용을 직무현장에서 적용하는 정도를 평가하는 것으
로 프로그램 참가자 자신이 평가한 자료보다는 주변인들에 의해서 평가된
자료가 보다 타당하게 인정된다(
권대봉,2003)
.
본 연구에서는 비전캠프 참가자의 동일 소속 집단 동료(
선임,동기 및 후
임병)
에 의해서 평가를 실시하였다.평가 결과 <표 3-57>에서 보는 바와 같
이 교육 전과 비교했을 때 참가자의 얼굴 표정은 65.
0%,참가자의 자신감은
63.
9%가 좋아졌다고 평가했다.행동의 변화 측면에서 병영생활에 대한 적극
성은 65.
7%,동료들과의 대인관계는 66.
0%가 좋아졌다고 평가했다.
그리고 전반적인 군 생활 태도와 행동에 대한 평가는 69.3%가 좋아졌다
고 평가했지만,‘
교육전과 같다’
와 ‘
더 나빠졌다’
는 평가도 30.
7%나 되었다.
이러한 평가 결과는 육군본부(
2009)
에서 참가자의 지휘관들을 대상으로 조사
한 결과 85.
0%가 개선되었다는 것과 직접 비교하는 것은 평가자가 다르기
때문에 타당한 비교가 아니라고 할 수는 있지만 본 연구에서는 15% 정도
낮게 평가가 되었다.그러나 행동평가는 비전캠프 참가자와 함께 생활하고 있
는 동료들에 의한 평가가 지휘관에 의한 평가보다 더 정확 할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조사 결과를 더 의미있게 받아들일 필요가 있다.

<표 3
-57
> 프로그램에 대한 행동평가 결과 단위 :명(
%)
매우 약간 교육 전과 약간 매우
구 분
나빠졌다 나빠졌다 같다 좋아졌다 좋아졌다

태 참가자의 얼굴 표정 6(
1.5) 11(
2.8
) 1
20(
30.
7) 175(
44.
8) 7
9(20
.2)

도 참가자의 자신감 1(
0.3) 13(
3.3
) 1
27(
32.
5) 189(
48.
3) 6
1(15
.6)

행 병영생활에 대한 적극성 - 15(


3.8
) 1
19(
30.
4) 201(
51.
4) 5
6(14
.3)

동 동료들과의 대인관계 1(
0.3) 11(
2.8
) 1
21(
30.
9) 184(
47.
1) 7
4(18
.9)

전반적인 군 생활
2(
0.5) 16(
4.1
) 1
02(
26.
1) 179(
45.
8) 9
2(23
.5)
태도와 행동

N= 3
91명(
비전캠프 수료자 동일소속 부대 선임병 및 후임병)

- 82 -
4)결과 평가
결과평가는 교육 프로그램의 결과로 발생되는 효과에 대해 평가하는 것으
로 비전캠프 프로그램의 목적은 자살우려자 및 복무 부적응자의 군 복무 적
응에 있기 때문에 비전캠프 프로그램 참가자의 프로그램 참여 전․후의 복
무적응도를 측정하여 평가하였다.
<표 3-58>에서 보는 바와 같이 모든 항목에 있어서 비전캠프 프로그램
참여 전과 참여 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기 때문에 복
무적응도 향상에는 별다른 기여를 하지 못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표 3-58> 프로그램에 대한 결과평가 결과(


대응표본 t
-검정)
평균값
구 분 평균차 t
값 유의확률
사전 사후
(
사후-사전)
목표 #
6 심신의 상태 2.
65 2.
82 .
17 1.
926 .
057

목표 #
7 임무수행의지 2.
18 2.
28 .
10 1.
376 .
172

직책과
목표 #
8 2.
83 2.
81 -.
02 .
234 .
816
직무만족

군조직 환경에
목표 #
9 2.
80 2.
88 .
08 1.
248 .
215
대한 태도

N =99명(
프로그램 참가자)

- 83 -
제4장 발 전 방 안

제1절 병영 스트레스 관리방안

1.기본 개념

병영 스트레스는 이론적 고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여러 가지 복합적 요


인에 의해 발생하게 된다.그리고 이러한 복합적 요인에 의해 발생하는 스트
레스를 효과적으로 관리하지 못할 경우에 <그림 4-1>과 같이 개인만이 아니
라 조직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게 된다.그런데 우리 군에서는 병영 스트레스
를 관리를 자살․탈영 등 사고예방을 위한 수단으로만 접근하는 경향이 있었
다.그러나 스트레스는 사고예방만이 아니라 조직의 성과(
사기,응집력,전투
력 등)
를 저하시키기 때문에 이러한 측면까지도 고려한 종합적인 관리대책이
수립되어야 한다.

<그림 4-1> 스트레스 원인 및 결과

이러한 맥락에서는 스트레스 관리 대책을 사고예방을 위한 스트레스 예방


및 해소 뿐만 아니라 부대의 성과 저하를 방지하는데도 기여할 수 있도록
<그림 4-2>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스트레스 진단 시스템 구축,예방교육

- 84 -
강화,스트레스 해소 프로그램 개발 및 실시,스트레스 관리업무 시스템 구축
등 네가지 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그림 4-2> 효과적인 병영 스트레스 관리

2.효과적인 스트레스 진단 시스템 구축

3장 1절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병영 스트레스로 인한 사고를 예방하기 위


해 개발하여 보급한 병 스트레스 진단도구가 진단 시스템의 미비로 인하여 각
부대에서 제대로 활용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에 <그림 4-3>
과 같이 병영 스트레스 진단 시스템을 개선할 필요가 있다.

2.
1스트레스 진단자
병영 스트레스는 각 부대 조사 결과 전 부대가 중․소대장에 의해 진단되
고 있었다.이로 인해 중․소대장은 또 하나의 추가적인 행정부담이 되고 있
기 때문에 기존의 다른 설문조사처럼 형식적으로 이루어질 수밖에 없다.또한
병사 입장에서도 스트레스 진단은 또 다른 조사사항으로 느껴져 형식적으로
설문에 응하게 된다.
따라서 전문상담관이 2011년에는 연대급까지 배치될 예정이기 때문에 전문
상담관에게 스트레스 진단을 맡기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그러나 전문상담

- 85 -
관이 배치되기 전까지는 사단 전문상담관이 신임 소대장 사단 전입 교육시 병
영 스트레스 진단도구에 대한 교육을 실시하여 중․소대장들이 스트레스 진단
도구를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그림 4-3> 병영 스트레스 진단 시스템 개선 방향

구 분 현 행 개 선
진단자 ․중․소대장 활용 ․집단상담관 활용
․신병 :전입후 1
개월 후
진단시기 ․수시,매월,분기,반기
기간병 :분기별 진단
진단대상 ․관심병 위주 진단 ․전 병력 진단
․과도한 문항 ․단축형 개발
진단내용
․부적절한 진단문항 포함 ․진단 문항 수정
․컴퓨터 보급전까지 진단지로 측정
․엑셀 및 프로그램 혼용 사용
진단방법 하여 Exc
ell프로그램 활용 분석
․개인수준 분석만 가능
․집단내 관심대상군 식별 가능화

2.
2진단 시기 및 대상
현재 스트레스 진단 시기는 부대별로 상이하게 실시되고 있는데,이는 부
대별로 임무와 여건이 다르기 때문에 불가피하다고 할 수 있다.그러나 스트
레스는 고정적인 것이 아니고 상황에 따라 계속 변하는 것이기 때문에 일정
주기로 진단을 실시해야만 병영 스트레스를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 86 -
따라서 신병은 전입 후 1개월되는 시점에서 스트레스 진단을 실시하는 것
이 바람직하다.
4) 그리고 기간병들은 분기별(
1 3개월 단위)
로 스트레스 진단을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진단 대상은 전 병력을 대상으로 실시해야 한다.행정부담을 줄이기
위해 관심 병사 위주로 실시하는 부대가 많이 있으나 스트레스는 관심 병사만
있는 것이 아니다.스트레스가 없던 병사들도 군 복무과정에서 여러 가지 요
인에 의해 스트레스를 받게 되기 때문에 전원(
소대원 등)
을 대상으로 스트레
스 진단을 실시하도록 해야 한다.

2.
3진단 내용
현재 스트레스 진단도구는 110문항으로 진단 시간이 15~20분 정도가 소요
되기 때문에 응답자가 집중해서 성실하게 응답하기 어렵다.물론 이론적으로
는 문항이 많음으로써 보다 더 정확한 측정을 할 수는 있지만 본인이 원해서
실시하는 진단이 아니기 때문에 성실하게 응답을 하지 않아 오히려 진단결과
가 왜곡될 우려가 있다.따라서 문항 수를 좀 더 축소한 단축형을 개발하여
작성 시간을 최소화할 필요가 있다.단축형이 개발되면 단축형으로 진단을 실
시한 후 진단결과 관리대상군으로 식별된 병사들에 대해 현행 진단도구로 재
검사를 실시하도록 한다면 진단 소요 시간 및 업무 부담을 줄일 수 있을 것이
다.
또한 스트레스 진단도구에 대한 신뢰도와 타당도는 높은 것으로 나타났지
만 제3장에서 지적한 바와 같은 문제점이 있기 때문에 일부 문항을 삭제 또는
조정할 필요가 있다.특히 부대환경에 관련된 문항에서 내무실,편의시설,의
료시설 등 부대환경에 대한 현실태를 묻는 문항이 있는데 시설이 열악하고,
부족하다고 해서 반드시 스트레스를 받는 것은 아닐 수 있기 때문에 이와 같
은 문항들은 <표 4-1>과 같이 수정할 필요가 있다.

41) 스트레스 진단 문항에 근무환경, 동료와의 대인관계 등 자대근무를 1개월 정도 함께하기 전에는
응답할 수 없는 문항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이다.

- 87 -
<표 4
-1> 병영 스트레스 진단문항 중 수정 필요 문항

구 분 현 행 개 선

생활관의 개인활용 공간이 생활관의 개인활용 공간이


너무 좁다. 너무 좁아 불편하다.
의료시설이나 의료도구 지원이 의료시설이나 의료도구 지원이
부족하다. 부족하여 불편하다.
문 항
전화기 등과 같은 편의시설이 전화기 등과 같은 편의시설이
부족하다. 부족하여 불편하다.
문화시설이나 공간이 문화시설이나 공간이
부족하다. 부족하여 불편하다.

2.
4진단 방법
국방부에서는 ’
08년 스트레스 진단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전 부대에 보급하
고 사용하도록 했지만 일부 부대만 해당 프로그램을 이용할 뿐 대부분의 부대
는 진단지를 출력하여 작성한 후 엑셀을 활용하여 그 결과를 분석 및 유지하
4
고 있다.2
) 그 이유는 앞에서도 지적한 바와 같이 야전부대에는 중대별로 4대
정도 컴퓨터가 보급되어 있는데,이것도 대부분 행정용으로 사용하고 있어 스
트레스 진단 프로그램을 개별적으로 사용할 수 없기 때문이다.
또한 병영 스트레스 진단 프로그램은 개인수준 및 집단수준도 분석이 가능
하도록 설계되어 있지만 집단수준 분석시 집단의 단순 종합 점수만 분석될 뿐
실질적으로 필요한 집단(
소대)
내에 위험군,관심군이 몇 명인지 등에 관한 분
석자료를 제공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컴퓨터가 중대급에 충분히 보급되기 이전에는 7군단에서 개발한

햇살속으로’
라는 엑셀 프로그램을 활용하도록 하고,중대급에 충분한 컴퓨터
보급이 이루어진 후에 진단 프로그램을 관리대상군(
위험군,관심군)식별이 가
능하도록 수정․보완하여 사용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42) 여기서 엑셀파일은 7군단에서 제작한 ‘햇살속으로’라는 프로그램을 사용하고 있었는데, 이것은
‘병영 스트레스 진단 프로그램’을 엑셀로 변형시킨 것으로 사용하기에 매우 편리하게 제작되어
있다.

- 88 -
3.병영 스트레스 예방교육 강화

병영 스트레스가 적정수준을 초과하게 되면 개인적으로는 폭행,탈영,자살


사고로 이어질 수 있으며,조직적으로는 조직의 사기 및 응집력 등을 저하시
켜 부대 전투력을 저하시킨다.
그런데 앞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병영 스트레스는 간부와 선임병의 강압
적․권위적․비인격적 리더십 등에서 비롯되는 대인관계 스트레스가 주 요인
이기 때문에 리더십 교육을 통해 솔선수범과 존중․배려의 바람직한 리더십을
4
발휘하도록 한다면 병영 스트레스를 예방할 수 있을 것이다.3
)

따라서 <그림 4-4>에서 보는 바와 같이 기존의 정신교육체제를 시사안보


교육과 리더십 교육으로 이원화하여 시사안보교육은 현재와 같이 강사진에 의
한 교육보다는 비디오 등을 통한 시청각 교육 중심으로 실시하고,기존의 인
성교육,충·
효·예 교육 등은 리더십 교육의 범주에 포함시켜 교육을 실시하는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44
)

이와같이 기존의 인성교육과 충·


효·예 교육을 리더십 교육의 범주에 포함
시키는 이유는 리더십 교육의 영역은 미 육군의 리더십 교범(
U.S.Ar
my,
1999)
에서 제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Be
-Know-Do」,즉 리더로서 “
어떠한 품
성을 가져야 하는가(
char
act
er)
,임무를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무엇을 알
아야 하는가(
compe
tenc
eorSki
ll
),그리고 임무수행을 위해 무엇을 해야 하는
가(
act
ion)
”이라고 할 수 있는데,그동안의 정신교육 내용 중 인성교육과 육군
의 가치관 교육45)은 대부분 「Be」에 해당된다고 할 수 있기 때문이다.또한 리

43) 국방대 리더십 석사과정에서 개발한 리더십 프로그램으로 1박 2일간 교육을 실시한 결과 병영 스트
레스가 감소되고, 부대원들 간에 응집력이 강화되는 등의 효과가 있었다. 이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이
상훈(2002), 이승오(2003), 최병순(2005), 최병순(2008b) 등 참조.
44) 그동안 병사들에게는 정신교육시간을 별도로 편성하여 군인으로서 알아야 할 시사안보교육, 인
성교육 및, 충·효·예 교육 등을 정훈장교나 지휘관, 또는 국방대학교 정신전력부의 정신교육단 교
수들에 의해 실시해 왔다. 이러한 정신교육은 정신전력을 강화시키고, 병사들의 품성을 개발하는
데 나름대로 기여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지만 “정신교육”이라는 용어의 거부감, 교육자의 전문성
미흡(특히 소·중대장에 의한 교육) 등의 문제점이 지적되어 왔다.
45) 우리 육군에서는 미군 교범에서 제시하고 있는 7대 가치관을 압축하여 육군의 5대 가치관으로
제시하고 있으며, 이를 장병들에게 정신교육 시간 등을 통하여 교육하고 있다.

- 89 -
더십은 누구나 갖기를 원하기 때문에 동일한 내용의 교육을 하더라도 정신교
육이나 인성교육 등의 용어를 사용하는 것보다는 리더십 교육이라는 용어를
사용하는 것이 피교육자들로 하여금 학습 동기를 유발할 수 있을 것이기 때문
이다.

<그림 4-4> 인성교육과 리더십 교육의 관계

인성교육
리더십 교육
충·효·예 교육

다음으로 병사들에 대한 리더십 교육은 단계별 공통 필수교육과 선택형 교


육,그리고 소대단위의 팀교육 등으로 구분하여 실시하고,단계별 공통 필수교
육은 진급자 교육으로 일등병,상병,병장 진급시 교육을 <그림 4-5>과 같이
4
차별화하여 실시하도록 하여야 한다.6)

이와 같이 진급자 교육을 실시한다면 병사들이 군 생활이 리더가 되어 가능


과정임을 상징적으로 인식하게 만드는 효과가 있고,이러한 리더십 교육을 통
해 선임병의 잘못된 리더십으로 인하여 야기되는 병영 스트레스를 예방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림 4-5> 계급별 병 리더십 교육목표 및 이수 과정47)

46) 사관학교에서 학년별로 리더십 개발 목표를 설명하고 있는 것처럼 병사들도 계급별로 <그림
4-6>과 같이 리더십 개발 목표를 설정하고, 이를 실현할 수 있는 교육프로그램을 설계하도록 해
야 할 것이다.
47) 구체적인 병 리더십 교육 추진 방안, 그리고 리더십 프로그램의 구성 및 교육효과에 대해서는 최병순
등(2008b)를 참조.

- 90 -
리더십 개발을 위한 계급별 공통 필수교육은 가급적 현행 교육시간(
정신교
육 및 인성교육)
을 활용하도록 하지만 가능하다면 군사훈련에 준하여 교육시
간을 배정하여야 한다.그러나 의사소통,대인관계,성격변화,자신감 향상 등
과 같은 리더십 핵심 역량을 강화시켜 주는 프로그램들을 개인별로 리더십 역
량에 차이가 있기 때문에 희망자들이 일과 후나 주말에 선택적으로 수강하도
록 해야 한다.
또한 팀 빌딩 프로그램을 개발․보급하여 부대원간에 사랑과 존중의 병영
문화를 조성함으로써 응집력을 강화시켜 병영 스트레스를 예방하고,전투력을
강화하도록 해야 한다.이러한 팀 빌딩 프로그램을 모든 부대를 대상으로 실
시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강사양성 등의 어려움이 있기 때문에 우선적으로
<표 4-2>와 같이 팀 빌딩(
team bui
ldi
ng)
이 가장 필요한 파병부대,GP/
GOP
부대,사고다발부대를 대상으로 실시하고,장기적으로는 전 소대급 부대에서
4
팀 빌딩 프로그램을 실시하도록 해야 할 것이다.8
)

<표 4-2> 팀 빌딩 프로그램 대상부대

구 분 대 상 교육 시기 주 관

파병부대 파병 전
각 군
내 용 GP/
GOP 부대 투입 전
리더십 센터
사고다발부대 사고발생 후

48) 팀 빌딩 프로그램의 구성 내용 및 교육 방법, 그리고 강사 양성 방안에 대해서는 최병순(2006)을 참


조.

- 91 -
4.병영 스트레스 해소 프로그램 개발 및 실시

우리 군에서 실시되고 있는 병영 스트레스 해소 관련 프로그램들은 <표


2-10>에서 살펴본 것과 같이 주로 개인 신상측면에 집중되어 병영 스트레스
의 주요 원인인 대인관계 문제나 직무관련 문제들과는 별다른 연관성을 갖고
있지 않다.또한 프로그램의 구성이 체계적인 요구분석 및 교육목표에 부합한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지 않은 상태이며,강사 양성교육을 제대로 받지 못한
비전문가들에 의해 프로그램이 진행되고 있는 실정이다.

4.
1스트레스 해소 프로그램의 개요
병영 스트레스 해소 프로그램은 병사들이 경험하고 있는 스트레스 원인을
개인 및 집단 차원에서 관리하고 해소하는 것을 목적으로 개발하였다.이 프
로그램은 병영 스트레스 원인을 병사 개개인의 문제로만 인식하지 않고 유기
적인 활동과정을 통해 해소법을 찾아가고자 하였다.
병영 스트레스 해소 프로그램의 교육대상자는 상호작용이 가장 활발히 일
어나고 24시간 함께 생활하는 소대급 부대원 전원이 참여하는 것으로 하였다.
그리고 교육 기간은 1일 9시간으로 설계하여 프로그램 운영에 따른 시간적 부
담을 최소화함으로써 각급 부대에서 쉽게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프로그램 개발은 교수체제 개발(
Educ
ati
onal Syst
em De
sign &
Deve
lopment
:ESD)모형을 바탕으로 개발하였고,육군 0군단 예하 방공대대
(
55명)
,해군 0함대 예하 고속정(
10명)
을 대상으로 프로그램 진행 후 그 효과
를 검증하였다.

1)스트레스 해소 프로그램의 구성 및 내용
본 프로그램의 구성은 <표 4-3>과 같이 크게 개인적 스트레스 해소,대인
적 스트레스 해소,집단적 스트레스 해소의 세 가지 모듈로 구성하였고,각 모
듈별 2~3개의 과목을 편성하여 총 7개의 과목으로 구성하였다.
그리고 개인 스트레스 해소는 3시간(
09:
00-12:
00)
,대인 스트레스 해소는 4

- 92 -
시간(
13:
30-17:
30)
,그리고 집단 스트레스 해소는 2시간(
18:
30-20:
30)
으로 설계
하였으며,각 모듈은 다음과 같은 내용으로 구성하였다.

<표 4-3> 병영 스트레스 해소 프로그램 세부 교육 내용

모 듈 과 목 명 교 육 내 용 시 간
∙교육목표/내용 소개
1
.오리엔테이션 ∙상호간 자기소개하기,게임 및 허깅 1H
∙스트레스 해소의 필요성 설명

∙스트레스의 유형 및 증상,영향
2
.스트레스 찾기 1H
개인 ∙스트레스의 원인 찾기
스트레스
∙신체적,인지적,정서적 스트레스 해소법
해소
파악
(
3H)
-이완법,자동적 사고기록,마음의 평화
3
.스트레스 해소법 -‘
생각과 신체반응과의 관계’동영상 1H
∙주도적 스트레스 관리
-마음의 법칙
∙스트레스 해소 실천계획 작성

∙대인관계 스트레스의 주요 원인 파악
4
.대인관계
∙갈등대처 방법 2H
스트레스 해소
-Wi
n-Wi
n해결법
대인
스트레스 ∙자기 및 타인 이해와 존중
해소 -꿈 나누기,지지하기
(
4H) 5 ∙효과적인 대화 방법
.대인관계 향상 2H
-듣기와 말하기
∙나를 표현하기
∙대인관계 향상 실천계획 작성

∙우리 병영의 모습 찾기
6
.병영내 ∙스트레스 극복을 위한 사회적지지 형성
집단 1H
스트레스 해소 방법
스트레스 ∙병영내 스트레스 원인 해결방안 도출
해소
(
2H) 7 ∙공동 책임 의식 및 수료식
.스트레스
-프로그램 핵심 정리,소감 발표 1H
Boo
m-Up의식
-각오 및 재결단 의식

- 93 -
「개인 스트레스 해소」는 ‘
오리엔테이션’
,‘스트레스 찾기’
,‘스트레스 해소
법’
의 3과목으로 구성하여,교육생 개개인이 느끼는 스트레스의 정도와 스트레
스 원인을 확인하고,개인적으로 스트레스를 해소할 수 있는 방법을 습득하도
록 하였다.특히,2강에서는 병사들이 느끼는 스트레스의 주요 원인을 도출하
여 차후 강의시 토의주제로 활용함으로써 교육 참가자들이 스스로 스트레스
해소방안을 모색하도록 하였다.그리고 본 프로그램에서 해결할 수 없는 부대
환경,직무 부적합,직무과중,상급자(
간부)특성,여자 친구 문제,가정문제로
인한 스트레스에 대해서는 강사가 별도로 종합하여 해당 부대 지휘관에게 알
려 줌으로써 해결책을 마련하도록 하였다.
「대인 스트레스 해소」는 ‘
대인관계 스트레스 해소’
와 ‘
대인관계 향상’
으로
구성하여 선임병,동기,후임병 사이에 발생하는 스트레스의 원인을 파악한 후
서로의 갈등에 대처하는 방법을 찾도록 하였다.또한 대인관계의 기본인 ‘
타인
이해 및 존중’
을 5강에 반영하여 대안관계상의 문제 해소를 넘어 구성원들이
더 좋은 대인 관계를 이루어 나갈 수 있도록 하였다.
마지막으로 모듈안「집단 스트레스 해소」는 ‘
병영내 스트레스 해소’
와 ‘

트레스 Boom-Up'
으로 구성하였고,‘
병영 스트레스 해소’
에서는 병영 내의 스
트레스를 불러일으키는 원인들을 확인하고 그 해결방안을 스스로 모색해가는
시간을 마련하였다.그리고 마지막 과목인 ‘
스트레스 Boom-Up 의식’
에서는
병영 내 스트레스 해소의 공동 책임의식을 강조하고 서로 노력하겠다는 각오
를 다짐으로써 프로그램 진행 중 작성한 실천계획(
act
ionpl
an)
을 행동으로 실
천할 수 있도록 하였다.

2)교육 결과 분석
가)교육만족도 분석
프로그램 참가자들은 <표 4-4>와 같이 모두 만족한다는 평가를 하였고,
교육내용의 이해 측면에서도 어려움 없이 쉽게 받아들일 수 있었다는 점에서
대부분이 긍정적 평가(
98.
5%)
를 보였다.

- 94 -
<표 4-4> 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

매우 매우
구 분 만족 보통 불만족
만족 불만족
39 26
전반적인 프로그램 만족도 - - -
(
60.
0) (
40.
0)
46 18 1
교육내용 이해에 대한 만족도 - -
(
70.
8) (
27.
7) (
1.5)
43 22
강사의 진행능력에 대한 만족도 - - -
(
66.
2) (
33.
8)
34 29 2
교ㆍ보재에 대한 만족도 - -
(
52.
3) (
44.
6) (
3.1)
40 25
스트레스 해소에 도움 - - -
(
61.
5) (
38.
5)
41 23 1
다른 부대원들에게 추천 - -
(
63.
1) (
35.
4) (
1.5)
주)N=65명

강사의 강의 진행에 대해서도 전원이 만족한다는 평가를 하였고,교보재에


대해서는 대부분(
96.
9%)
이 만족하였다.그리고 병영 스트레스 해소 프로그램
의 궁극적 목적인 스트레스 해소에 대한 프로그램의 도움 여부에 대해 전원이
만족스럽다는 평가를 하였고,다른 부대원들에게도 본 프로그램을 추천하겠는
가에 대한 질문에 대부분(
98.
5%)
이 추천한다는 방향으로 응답했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 개발한 병영 스트레스 해소 프로그램이 스트레스 해소에 효과적이라
고 할 수 있다.

나)사전-사후 측정결과
병영 스트레스 해소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방법으로 실험집단
에 대한 프로그램 참여 전과 참여 후(
1개월)
의 스트레스 수준 변화의 차이를
분석해 보았다.동시에 통제집단의 변화 차이를 분석하여 프로그램의 순수한
효과를 검증하였다.
검증결과 <표 4-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대인관계,심리적취약성,스트레스
증상 수준이 유의하게 감소하였다.반면,스트레스 해소 프로그램에 참가하지

- 95 -
않은 통제집단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지만 전반적 영역에서 오히려 증가
한 것으로 나타났다.

<표 4-5> 스트레스 수준 변화 측정 결과

평 균 값 평균차
구 분 집단구분 사후-
( t값 유의확률
사전 사후 사전)

실험집단A 2.
179 1
.880 -.
299 -2
.017 .
054

실험집단B 2.
182 1
.922 -.
260 -1
.818 .
081
직무 군
통제집단C 2.
124 2
.319 .
195 1
.371 .
181
환경
해 실험집단D 2.
352 1
.979 -.
373 -1
.453 .
180
군 통제집단E 1.
921 2
.199 .
278 1
.623 .
136
실험집단A 1.
936 1
.619 -.
317 -2
.090 .
046*

실험집단B 1.
880 1
.577 -.
303 -2
.492 .
019*
대인 군
통제집단C 2.
057 2
.144 .
087 .
509 .
615
관계
해 실험집단D 2.
077 1
.496 -.
581 -2
.512 .
033*
군 통제집단E 1.
534 1
.737 .
203 1
.414 .
188
실험집단A 2.
189 1
.884 -.
305 -2
.187 .
038*

실험집단B 1.
931 1
.731 -.
200 -1
.180 .
249
개인 군
통제집단C 2.
180 2
.203 .
023 .
176 .
861
신상
해 실험집단D 2.
173 1
.824 -.
349 -1
.316 .
221
군 통제집단E 1.
904 1
.811 -.
093 -.
417 .
686
실험집단A 2.
361 1
.893 -.
468 -2
.900 .
007**

실험집단B 2.
396 1
.807 -.
589 -4
.593 .
000**
심리적 군
통제집단C 2.
227 2
.453 .
226 1
.313 .
200
취약성
해 실험집단D 2.
280 1
.734 -.
546 -3
.563 .
006**
군 통제집단E 1.
887 1
.931 .
044 .
261 .
800
실험집단A 2.
476 2
.077 -.
399 -2
.672 .
013*

실험집단B 2.
220 1
.830 -.
390 -2
.383 .
025*
스트레스 군
통제집단C 2.
096 2
.305 .
209 1
.272 .
214
증상
해 실험집단D 2.
661 2
.044 -.
617 -2
.790 .
021*
군 통제집단E 2.
146 1
.843 -.
303 -1
.397 .
193
주)실험집단A:28명,실험집단B:27명,통제집단C:29명,실험집단D:10명,통제집단E:11명
*:p<.
05,**:p<.
01

- 96 -
또한 신응섭 등(
2007)
의 군 스트레스 진단도구를 활용하여 스트레스 수준
별 인원 변화를 확인한 결과 <표 4-6>과 같이 교차분석을 실시한 결과 통계
적으로 유의하게 ‘
관심군’
은 13명에서 3명,‘
잠재군’
은 5명에서 2명으로 감소하
였고,‘
일반군’
은 32명에서 45명으로 증가하였다.

<표 4-6> 군 스트레스 진단도구 적용 결과

계 관심대상자
구 분 잠재군 일반군
(
%) 위험군 관심군

65 13 5 47
프로그램 참가 전 -
(
100) (
20.
0) (
7.7) (
72.
3)

65 3 2 60
프로그램 참가 후 -
(
100) (
4.6) (
3.1) (
92.
3)

주)  =2
1.667(
P <.
001)

이러한 프로그램 검증 결과는 통해 병영 스트레스 해소 프로그램이 병사들


의 스트레스 수준을 감소시키고,스트레스 해소에 도움이 된다는 것을 입증해
주고 있다.

다)소감문 분석
프로그램 참가자들에게 프로그램에 대한 소감을 <표 4-7>와 같이 자유기
술형으로 받은 결과,병영 스트레스 해소 프로그램이 병영 스트레스를 해소하
는데 도움이 되었고,상대방을 생각하고 상대방에게 스트레스를 주지 않기 위
해 노력해야겠다는 응답이 주를 이루었다.

- 97 -
<표 4-7> 소감문 분석 결과

ㆍ서로에게 스트레스를 주지 않는 방법과 상대방을 한 번 더 생각할 수 있는 좋은


시간이었다.(
12)
ㆍ쌓여있던 스트레스를 방출한 것 같고,프로그램 진행 동안 재미있었다.군 생활
하면서 받았던 프로그램 중 가장 유익했던 것 같다.
(9)
ㆍ서로에 대해 알 수 있는 시간이었으며,상대방을 이해할 수 있게 되었다.
(5)
ㆍ다른 사람들이 느끼는 스트레스와 나의 스트레스가 비슷하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그리고 내가 스트레스 받을 만한 일을 남에게 하지 말아야겠다.(
2)
ㆍ우리들 모두 더 친밀하게 할 수 있게 하는 프로그램인 것 같다.
ㆍ무턱대고 짜증만 내는 것이 아니라,원인을 생각하고 그 것에 대한 적절한 대처
방법을 알게 되어 좋았다.
ㆍ솔직히 군 생활을 하면서 여러 스트레스에 접하게 되는데 이번에 기회로 상대방을
배려하고 존중하자는 결심이 우뚝 섰다.
ㆍ군 생활에 있어서 갈등과 스트레스 등으로 인해 불편한 점이 많았는데,선임과
후임 간에 갈등이 많이 해소되고 가까워진 것 같아서 좋았다.
ㆍ스트레스를 받으면 신체적으로나 정신적으로나 좋지 않다는 사실을 깨닫고 많
은 해소 방법을 터득하게 되었다.스트레스가 좋지 않다는 것은 알고 있지만,
가만히 지내다 보면 자연스레 해소 될 줄 알았다.하지만 스트레스로 인해 타인
에게 피해를 줄 수 있고 살아가는데 지장이 되는 것을 알았고 스트레스 해소에
대한 필요성을 느꼈다.

4.
2스트레스 해소 프로그램 활용 방안
병영 스트레스 해소 프로그램을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
병영 스트
레스 해소 프로그램’진행을 위한 강사 양성 과정을 개설하여야 한다.강사 양
성은 <그림 4-6>과 같이 우선 사단급 부대의 사고예방 관련 부서의 장교 및
부사관 2명으로 팀을 편성하여 1차적으로 강사 양성교육을 실시하고,이들이
각 사단에서 필요한 강사를(
연대별 또는 대대별)양성하도록 한다.그리고 이
들로 하여금 사고다발 부대(
소대급 부대)등 스트레스 고집단을 대상으로 프
로그램을 진행하도록 한다.
49
)

49) 병영 스트레스 프로그램 진행 강사로 선발되면서 현행 업무와 프로그램 진행을 함께하게 되기


때문에 업무가 과중할 수 있다. 따라서 일차적으로 스트레스 진단도구를 통해 스트레스가 높다고
판단된 소대만을 대상으로 프로그램을 진행하여 교육 소요를 줄이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 98 -
<그림 4-6> 강사 양성 대상 및 양성 방법

1단계 2단계 3단계

• 사단별 강사 양성
(사고예방 담당관)
➭ • 각 연대 또는 대대별
강사 양성(강사 능력 ➭ • 스트레스 고집단
프로그램 실시(사고
보유 간부) 다발 부대 등)

※ 각군 리더십센터 주관 ※ 사단 사고예방 담당관


(또는 국방부 병영정책과) 주관

또한,군의 특성상 양성 강사의 보직 순환 및 진급,전역 등을 고려할 때


지속적인 강사 수준유지를 위해서는 반기별 강사 양성교육을 실시하고,강사
들 간에 정보교환을 통해 프로그램의 내용과 진행 방법을 개선․보완할 수 있
도록 홈페이지를 구축할 필요가 있다.
한편,스트레스 해소 프로그램의 강사 양성은 <표 4-8>과 같이 4일간 일
정으로 실시하고,반기 1회 정도 유지․보수 교육을 실시하도록 하는 것이 바
람직하다.

<표 4-8> 「스트레스 해소 프로그램」 강사 양성교육 및 관리방안

구 분 방 법 기 간 주 관
체험 1일차
ㆍ집중교육 /합숙
심화 2일차 국방부 병영정책과
강사
(
또는 각 군 리더십센터)
양성 실습 ㆍ개인 연구강의/
체화 3일차

교육
ㆍ개인 시범강의 사단급 부대
평가 4일차
ㆍ강사자격증 수여

ㆍ양성 강사간 커뮤니티 구성 사단급 부대 책임자


공유 -
(
상호 피드백 및 자료공유) (안전장교 등)
유지
교육 ㆍ보수교육 및 프로그램 반기 각 군
발전
발전 워크샵 1회 리더십센터

- 99 -
5.병영 스트레스 관리 업무 시스템 구축

국방부로부터 각군 본부,그리고 각급 제대에 리더십 담당 업무부서와 담


당관을 지정하여 스트레스 관리 업무체계를 정비할 필요가 있다.이제까지 스
트레스 관리업무는 국방부 병영정책과에서 담당해왔지만 각군 본부나 예하부
대에서는 스트레스 관리 업무가 명시적으로 부여되지 않고,각 부대 인사실무
자에 의해 안전사고 예방업무의 하나로 여겨져왔다.
그러나 스트레스는 자살,탈영,폭행 등 군내 악성사고를 유발하는 주 요인
중의 하나이기 때문에 스트레스 관리 업무체계를 <그림 4-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지휘관에게 소속 부대 장병들의 스트레스와 관련된 업무를 조언하고,수
행하는 역할을 인사참모에게 부여하고,이러한 업무를 국방부(
병영정책과)

각 군 본부 인사참모부를50) 거쳐 각 군 교육사 리더십센터로부터 예하부대까
지 체계적으로 이루어지도록 업무체계를 정비하여야 한다.즉 각 군 리더십
센터를 적극 활용하여 스트레스 관리 관련 교육 및 연구를 하도록 해야 한다
는 것이다.
<그림 4-7> 스트레스 관리업무체계
현 행 개 선

50) 육군 : 인사참모부 안전관리과, 해․공군 : 인사참모실 인사계획과

- 100 -
제2절 PTSD 관리 방안

1.PTSD 관리 기본모형

효과적으로 PTSD를 관리하기 위해서는 외상 사건의 충격으로 인해 PTSD


가 이환되지 않도록 신속한 PTSD 대응 체계를 수립하여야 한다.PTSD 예방
및 치료를 위한 PTSD 대응 체계는 <그림 4-8>와 같이 크게 예방관리와 응
급대응,그리고 진단 및 치료의 3단계로 구분하여 구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림 4-8> PTSD 관리 기본모형

사고발생 1일 1개월
<평 시>

예방관리 응급대응 진단/치료

1차 진단 2차 진단

YES NO YES NO 완치 부대복귀

부대잔류 치 료 부대잔류 치 료

악화 입 원

2.단계별 PTSD 관리

2.
1예방관리
PTSD는 외상 사고(
traumat
ice
vent
s)가 전제 조건이기 때문에 PTSD 관리
는 사고가 발생한 후에 관리되어야 하는 것처럼 생각할 수 있지만,PTSD 발

- 101 -
생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예방 관리가 필요하다.특히 전시에는 동료들의 전사
혹은 부상,전장 공포 등으로 인하여 PTSD 발생 가능성이 매우 높기 때문에
평상시는 물론 전투시 발생할 수 있는 효과적인 PTSD 예방 및 관리를 위해
PTSD에 대한 사전 교육이 실시되어야 한다.
PTSD 예방 관리는 PTSD에 대한 실내 교육을 통해 실시하고 <표 4-9>에
서 보는 바와 같이 위관 장교를 대상으로 한 PTSD 교육은 각 군의 초·
고군
반 과정에서 각각 1시간(
H)내외로 편성하여 시행하도록 한다.그리고 교육내
용은 초군반은 PTSD에 대한 이해 및 관리방법,고군반은 전장에서의 PTSD
관리에 초점을 맞춰 교육을 하도록 한다.또한 병사들에 대한 PTSD 교육은
부대 교육훈련과정에 편성하여 교육하도록 하고,분대장들은 전·
평시에 발생
할 수 있는 PTSD를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방법을 습득시킨다.또한 수
사관들의 경우 자살,총기사고 등 사고발생시 사고원인 규명을 위한 수사과정
에서 PTSD에 대한 사전지식이 부족하여 수사 대상자의 PTSD를 유발하거나
수사관 본인이 PTSD가 발생하기도 한다.따라서 수사관들의 경우 수사관 양
성과정(
수사관 특기 초급과정)
에 PTSD에 대한 교육을 반드시 실시하도록 해
야 한다.

<표 4-9> PTSD 예방 관리 교육

대 상 과 정 시간 교육담당자 교육내용 비 고

전장에서의 PTSD
고군반 1
위관 예방 및 관리
장교 리더십센터 PTSD
초군반 1
담당관 이해 및 관리방법
수사관 PTSD
수사관 2
특기 초급과정 이해 및 예방관리
PTSD의 사고발생
부대교육훈련 1
병영생활 이해 및 예방방법 부대원
병사
전문상담관 전·
평시 PTSD 별도 교육
분대장 교육 시 1 실시
관리방법

- 102 -
2.
2응급대응
PTSD 응급 대응은 외상 사건 발생 직후 PTSD 발생을 예방하기 위해 실
시하는 것으로 PTSD 응급 대응 체계는 외상 사건 발생 직후 <그림 4-9>과
같이 외상 사건 발생을 인지한 각 사단급 부대의 사고처리 담당관(
인사참모
등)
이 사고 사실을 병영생활 전문상담관에게 통보하여 응급대응을 하도록 하
는 것이다.

<그림 4-9> PTSD 응급대응체계

사 고 사고사실
사단급 부대 병영생활 사고 부대
사고 발생 부대
보 고 사고처리 담당관 통 보
전문상담관 방문

사고 발생 사실을 통보받은 병영생활 전문상담관은 <그림 4-10>과 같이


사고 현장에 도착하여 사고 내용을 파악하여 사고 직접 노출 인원을 파악하고
수사관이 수사과정에 들어가기 전에 피해자를 진정시킨 후 수사과정 중에 발
생할 수 있는 신체적,심리적 증상 등에 대해 설명하고 이러한 증상 발생 시
5
심호흡,휴식 요청 등의 대처 요령을 숙지시킨다.1
)

<그림 4-10> 「응급대응 단계」조치사항

사고 사고부대
사고발생 즉시 사고 직접피해자 PTSD 고위험자
직·간접피해자 지휘관/수사관
사고부대 방문 파악 및 상담 상담 및 치료조치
PTSD교육 PTSD 예방교육

51) 차후 병영생활 전문상담관의 응급대응 단계에서의 담당 업무 및 처리 절차에 대한 세부 매뉴얼에 관


한 책자가 발간되어, 병영생활 전문상담관 교육시 활용되어야 한다.

- 103 -
또한 사고자의 동일 내무실원이나 소대원,부서원 등의 사고 간접 피해자
들에게도 PTSD 예방교육을 실시한다.이와 같은 사고 직접 노출인원에 대한
교육과 간접 노출 인원에 대한 교육은 사고의 규모가 작거나 사고의 심각도가
낮은 경우 통합하여 실시할 수 있다.병영생활 전문상담관은 특별한 이상 증
세를 보이는 장병을 식별하여 상담하고 필요할 경우 이들을 정신과 군의관이
있는 여·
사단 의무대로 후송하도록 한다.
그러나 차량사고 등의 경우에는 목격자 등의 사고 직접 노출자들도 신체적
상해를 심하게 입었을 경우 병원으로 후송되기 때문에 병영생활 전문상담관도
해당 병원으로 이동하여 위와 동일한 내용으로 응급대응을 실시하여야 한다.

2.
3진단 및 치료
1)1차 진단 및 치료
1차 진단 단계는 ASD(
급성 외상 후 스트레스 증상)
의 진단 단계로서 이
단계에서의 PTSD 담당 병영생활 전문상담관의 임무는 <그림 4-11>에서 보
는 바와 같이 사고 후 5∼7일 사이에 사고 부대를 재방문하여 PTSD 진단도
구인 PDS(
Pos
t-t
raumat
icDi
agnos
ticScal
e)나 I
ES-R(
ImpactofEve
ntSc
ale
-Revi
sed)
을 이용하여 직·
간접피해 장병들의 PTSD 수준을 측정한다.
측정 결과에 따라 저·
중·고 위험군으로 장병들을 분류하고 고위험군은 군
5
병원에서 정신과 군의관의 진단과 치료를 받게 하고 관련 자료를 유지한다.2
)

<그림 4-11> 「1차 진단 단계」 조치사항

위험군
저/중 부 대
사고발생
진단도구이용
5∼7일 후
PTSD 진단
재방문 고위
험군 치 료

52) 병영생활 전문상담관은 PTSD 측정 개인별 설문지를 유지함으로써 한 달 이후에 실시되는 2차 진단


결과와 비교하여 증상이 악화되는 인원을 쉽게 파악할 수 있다.

- 104 -
2)2차 진단 및 치료
병영생활 전문상담관은 <그림 4-12>와 같이 사고 후 1개월 후에 사고 부
대를 재방문하여 PTSD 진단도구로 PTSD 수준을 재진단한다.2차 진단은 1
차 진단과 마찬가지로 사고 직·
간접 피해자 전원을 대상으로 한다.측정 결과
에 따라 고위험군 발견시 군 병원으로 인계하여 정신과 군의관의 진단을 받게
한다.또한 1차 진단결과와 2차 진단 결과를 비교하여 PTSD가 의심되는 장병
과 상태가 악화되었다고 판단되는 장병을 대상으로 병영생활관이 상담을 실시
하고,전문의의 진단과 치료가 필요하다고 판단될 경우 정신과 군의관에게 진
단과 치료를 받도록 조치한다.

<그림 4-12> 「2차 진단 단계」 조치사항

험군
저/중위 부 대
사고발생
PTSD
1개월 후
재진단
재방문 고위험
군 치 료

3.PTSD 관리 업무체계

PTSD를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업무체계는 <그림 4-13>와 같이,국방


부에서는 병영정책과에서 담당하고,각 군별로는 육군은 본부 인사참모부 안
전관리과, 해·
공군은 인사참모부 인사근무과에서 담당하도록 한다. 그리고
PTSD 예방 및 치료 관련 연구 및 교육 등의 실행 업무는 각 군 리더십센터
상담관이 담당하며,각 부대에서의 실질적인 업무 수행은 병영생활 전문상담
53
관이 담당하도록 한다. )

53) 병영생활 전문상담관은 심리학과 상담에 대한 전문지식이 있기 때문에 PTSD 전문가로부터 사전 교


육을 이수하도록 한다면 효과적으로 업무를 수행할 수 있다. PTSD 발생시키는 외상 사건은 자주 발
생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이로 인한 업무 부담도 크지 않다.

- 105 -
<그림 4-13> PTSD 업무체계

국방부

병영정책과

각 군 본부
육군 : 안전관리과
해·공군 : 인사근무과

각 군 리더십센터

상담 담당

예방 관리 응급 대응 1·2차 진단
각 군 리더십센터
병영생활전문상담관 병영생활전문상담관 병영생활전문상담관

협조 치 료
치 료
보건복지부 산하
군 병원 정신과 정신보건센터

4.PTSD 관리를 위한 민군 협조방안

정신보건법 제4조(
국가 등의 의무)
에서는 ‘
국가와 지방자치단체는 국민의
정신건강을 증진시키고,정신질환을 예방하며,정신질환자의 의료 및 장애극복
과 사회복귀촉진을 위한 연구·
조사와 지도·
상담 등 필요한 조치를 하여야 한
다’ 규정하고 있다.
현재 일반 주민들의 중증정신질환을 비롯한 정신건강은 광역 및 지역 정신
보건센터가 담당하고 있다.광역 및 지역 정신보건센터는 시·
군·구의 지원을
받는 비영리기관으로서 <표 4-10>에서와 같이 해당 지역 주민들의 정신건강
에 대한 상담,정보 제공,이동 상담 사업 등을 제공하고 있다.따라서 부대내

- 106 -
PTSD 전문군의관이 없을 경우 인근 지역의 정신보건센터에서 치료를 받을
수 있도록 협조체제를 구축할 필요가 있다.

<표 4-10> 정신보건센터 운영


구 분 표준형 정신보건센터 광역형 정신보건센터
∙자격
-정신과 전문의 또는 1급정신보건전문요원 ∙ 자격 :정신과 전문의
센터장 -보건소장 또는 국∙공립정신병원장 ∙ 임면 :위탁형의 경우 수탁기관장이
겸임 가능 임면하고,직영형인 경우
(
1인) ∙근무형태 :상근( 주 5일)
을 원칙으로 시∙도지사가 임면
하되,지역여건에 따라 비상근( 주 8시 ∙ 근무형태 :상근(주 5일)
간 이상)근무 가능
사업수행인력 ∙ 자격 :정신보건전문요원,간호사,사회 ∙ 자격 :정신보건전문요원,간호사,
(표준형 4인, 복지사,임상심리사 사회복지사,임상심리사
광역형 18인)∙ 근무형태 :상근(
주 5
일) ∙ 근무형태 :상근(
주 5일)
팀장 ∙ 자격 :정신보건전문요원 ∙ 자격 :2년 이상의 정신보건 실무경력
∙ 임면 :정신보건센터장이 정신보건전문 이 있는 정신보건전문요원
(표 준 형 1인 ,
요원 자격을 가진 사업수행인력 ∙ 임면 :센터장이 정신보건요원 자격을 가
광 역 형 3인 ) 중 1인을 임면 진 사업수행인력 중 3
인을 임면
∙ 자격 :정신과 전문의,정신과 전공의
정 신 과 의 사 ∙ 근무형태
-주 2회 이상 출근하며,1주일에
(1인 이 상 ) 최소 16시간 근무
-정신과전문의가 최소 주 8
시간 이상근무

앞에서 제안한 바와 같이 외상 사건을 겪은 군인의 정신건강을 위한 응급


대응과 1·
2차 진단 및 치료는 군의 병영생활 전문상담관과 정신과 군의관이
담당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그러나 군에서 제공한 의료서비스의 한계 때문에
환자의 PTSD 회복이 어려울 경우 <그림 4-14>와 같이 보건복지부의 협조를
통해 해당 부대가 주둔한 각 지역 정신보건센터에 PTSD에 대한 전문성을 갖
고 있는 정신과의사가 있을 경우 협조하여 치료를 받도록 할 필요가 있다.전
문치료기관에의 협조 체제는 PTSD 환자 소속부대에서 군 병원에서 치료를
담당한 군의관의 소견서를 첨부하여 해당 지역의 정신보건센터로 신고하고,
신고를 받은 정신보건센터에서는 전문가에 의한 진단 후 맞춤형 의료서비스를
제공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107 -
<그림 4-14> 전문치료기관에의 협조체계

협조 의뢰
PTSD 환자 해당 지역 정신보건센터

소속 부대 군의관 소견서 맞춤형 의료서비스 제공

제3
절 비전캠프 프로그램 개선 및 보완

1.기본 개념 및 방향

비전캠프 프로그램에 대한 효과성 검증 결과 앞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비


전캠프의 필요성과 유용성이 입증되었다.그러나 비전캠프가 더욱더 효과적인
프로그램으로 발전하기 위해서는 <표 4
-11>와 같이 비전캠프 프로그램의 목
표에 부합하도록 프로그램을 운영하고,비전캠프의 교육담당자(
강사)
,교육 시
기,교육 내용 및 방법 등을 개선 및 보완할 필요가 있다.

<표 4-11> 비전캠프 개선 및 보완 방향


구 분 현 행 개 선
운용제대 사 단 군단급 부대
대 상 자살우려자 /부적응자 자살우려자
입소자 연대 건의 또는 전문상담관 추천
연대 건의 → 사단 심의
심의 → 사단 심의
진행자 군종장교 군종장교 또는 전문상담관 중 적임자
입소시기 월요일 화요일
기 간 4박 5일 3
박 4
일(불필요 내용 삭제로 기간 단축)
장 소 사단 보충대,신교대 등 별도 교육관 운영
프로그램 대인관계 초점 자살 사고 예방에 초점
내 용 강의,토의,발표 기존 방법 +행동화 교육
프로그램 ▪도우미 병사 운영 ▪상담 특기병제 도입
진 행 ▪개인별 관찰식 평가 ▪관찰식 평가 +사전사후 평가

- 108 -
2.운용 제대 및 입소 대상자

비전캠프에 입소 인원이 사단별로 차이가 있지만 어떤 사단은 10명도 채 안


되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비효율적인 운영이 되고 있다.따라서 군단급 부대에
서 통합 교육하는 방안을 적극 검토할 필요가 있다.즉,군단에서는 자살예방
을 위한 비전캠프를 운영하고,각 사단에서는 비전캠프 수료자를 대상으로 한
상시캠프만을 운영하도록 한다면 프로그램을 보다 더 효과적으로 운영할 수
있을 것이다.또한 비전캠프 진행자를 군단내에서 선발하기 때문에 전문성을
구비한 자로 선발할 수 있고,강사진을 통합편성함으로써 업무부담을 경감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현재와 같이 자살우려자 및 복무 부적응자를 모두 입소대상자로 할 경
우 프로그램의 본래 목적을 달성할 수 없게 되기 때문에 비전캠프의 입소대상
자는 자살우려자로 한정할 필요가 있다.또한 입소대상자 선정시 연대에서의
추천 뿐만 아니라 병영생활 전문상담관에 의해 식별된 자살우려자에 대해서도
입소가 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그리고 단순 복무 부적응자의 경우 비전캠프 보다는 사단급에 설치된 상시
캠프 교육대에 입소시켜 복무적응을 유도하거나 별도의 맞춤형 프로그램을 개
발하여 부적응 원인에 따라 적절한 프로그램에 입소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
하다.
54
)

3.진 행 자

프로그램의 효과는 진행자의 역량과 교육 열의에 의해 결정된다.따라서 군


종장교들에게 일률적으로 비전캠프 진행을 의무화하기 보다는 전문성과 교육
열의를 갖고 있는 군종장교나 전문상담관이 비전캠프의 진행을 맡도록 하는

54) 상시캠프도 상급부대의 구조화된 프로그램이 적용되지 않고 검증되지 않은 부대별 교육 프로그


램과 전문성이 부족한 교육대 간부를 통해서 운용되는게 현실이다. 상시캠프의 경우에는 비전캠프
와 유형이 다른 별도의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군 차원에서 보급하여야 한다.

- 109 -
것이 바람직하다.즉 부대별 지휘관의 판단에 따라 교육 열의와 전문성을 구비
한 적임자가 비전캠프를 진행하도록 해야 한다는 것이다.집단상담은 전문적인
영역으로 단기간의 교육을 통해 쉽게 습득되는 기술과 같은 것이 아니기 때문
이다.집단상담 전문가들은 교육기관에서의 전문 학위는 물론이고 임상실습과
수련과정을 통해서 비로서 자신만의 상담 스킬을 발전하여 적용한다.물론 비
전캠프 프로그램이 비전문가도 프로그램 내용을 쉽게 이해하여 진행이 가능한
구조적인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형태를 갖추고 있지만 보다 더 프로그램의 효
과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진행자의 전문성과 열의가 요구된다.
전문상담관을 활용할 필요가 있는 또 다른 이유는 현재와 같이 사단별로 군
종장교들이 비전캠프를 운영하도록 한다면 종교활동,교육활동,선도활동 등
기타 부여된 임무에 지장을 초래할 수 있기 때문이다.또한 전문성이 미흡한
군종장교가 비자발적으로 입소한 인원을 대상으로 프로그램을 준비하고 진행
하는 것은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할 뿐만 아니라 교육효과를 극대화할 수
없기 때문이다.단순하게 짜여진 시간에 맞추어 교육하고 끝나는 것이 아니라
개개인의 심리적인 변화를 관찰하면서 그 변화에 맞추어 프로그램을 진행해
가는 교육 열의와 전문적인 역량이 필요하기 때문이다.장기적으로는 전문상담
관이 연대급까지 보직되고,운영 체계가 확립되면 전문상담관들을 각군 리더십
센터에서 관리하도록 하고 비전캠프의 운영책임을 리더십센터에 맡기는 방법
도 검토할 필요가 있다.

4.교육 시기/
기간 및 장소

입소 시기는 화요일 오전에 입소하여 금요일 오후에 퇴소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월요일 오전은 일선 부대가 한 주를 시작하는 시점으로 바쁜 일정
속에서 움직이기 때문에 입소자에 대한 관심이 소홀해지기 쉬운 시기이다.또
한 군종병과 휴무일이기 때문에 구조적으로 비전캠프 입소자를 따뜻하게 맞이
할 수도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화요일 오전에 입소하도록 입소 시기를 조정할 필요가 있다.그러나

- 110 -
전문상담관이 비전캠프를 진행하도록 한다면 현행과 같이 월요일에 입소하도
록 해도 된다.만일 입소 시기를 화요일로 조정한다면 현재와 같이 4
박 5일간
교육시 토요일까지 교육하게 된다.따라서 프로그램의 목적과 무관한 불필요한
내용을 제외하여 3박 4
일로 교육 기간을 단축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교육 장소는 가장 교육 여건이 좋은 장소를 선정하여 실시해야 한
다.집단상담 실시를 위한 고려사항으로 집단상담만을 위하여 사용할 수 있는
장소와 시간을 반드시 확보해야 한다고 강조하고 있다.또한 집단상담은 상담
참여자들이 어떠한 기대를 갖고 참여하도록 유도되어야 하는데 교육 여건이
좋지 않은 교육장에서 프로그램을 진행한다면 교육 참가자들의 교육 몰입도가
낮아질 것이기 때문이다.

5.프로그램 내용

현재 비전캠프는 앞장의 분석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교육 목적과 달리 대인


관계 변화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따라서 앞장의 현실태 분석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자살 예방 목적에 부합하도록 프로그램의 내용을 수정․보완할 필요가
있다.
또한 부적응의 원인이 다양하기 때문에 이러한 다양한 원인별로 맞춤형 프
로그램을 개발하여야 한다.
55) 즉,부적응 유형이 다양한 것처럼 부적응 원인을

해결하는 방법도 다양해야 한다는 것이다.개인의 성격이 문제인 병사는 성격


을 이해하고 자아를 찾는 프로그램이 필요하고,진로문제로 심각한 고민에 빠
진 병사에게는 진로개발 프로그램이 필요하다.어떤 프로그램도 만병통치약이
될 수 없고,대상과 상황에 맞는 맞춤식 프로그램을 개발하여야 한다.
56
)

55) 군 복무 부적응 유형에는 다양한 원인이 있다. 군 내에서 부적응자를 선별하는 기준은 사고 유발 가
능성 중심의 분류가 주를 이루고 있다. 병사들의 군 복무 부적응자 인권실태를 연구한 안현의‧최병순
(2006)의 연구에서는 부적응 이유를 가정문제, 성격문제, 이성문제, 열악한 근무환경, 대인관계 문제,
진로문제, 고된훈련, 군대문화로 구분하였다. 육군본부(2008)는 ‘사고예방활동 추진 지시’에서 보호
관심병사 선정 범주에 자살우려자, 구타우려자, 성추행 우려자 및 전력자, 상습적인 언어 폭력자, 게
임 중독자, 마약 경험자를 포함하여 관리할 것을 지시하였다.
56) 한편 현행 프로그램은 실내에서만 교육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지루함을 호소하고 있다. 따라서 야외
행동화 교육을 포함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을 조정할 필요가 있다.

- 111 -
6.프로그램 진행 :「상담특기병 제도」 도입

현재 비전캠프는 부대 모범병사 또는 비전캠프 수료자 중 모범이 되는 병사


를 도우미 병사로 선정하여 비전캠프에 함께 참여시키고 있는데 그들은 집단
상담에 있어서 촉진자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 충분한 능력을 가지고 있
지 않다.그것은 모범병사라고 해도 집단상담의 현장에서 진행자를 보조하여
집단 역동을 일으킬 수 있는 역량이 구비되어 있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비전캠프에 효과적인 촉진자로서 역할 수행을 할 수 있는 대안으로
최병순 등(
2009
)이 제안한 「상담특기병제」를 도입하고,이들을 도우미로 활
용하는 방안을 적극 추진할 필요가 있다.상담 특기병제는 대학에서 상담을 전
공한 병사에게 상담 특기를 부여하는 제도로서 부대에서는 일반 병사들과 동
일하게 임무를 수행하며 동시에 또래상담자로서 추가 임무를 수행하는 제도이
다.군에서의 상담활동을 개인의 상담 경력에 포함시켜 주는 인센티브를 부여
하여 개인에게는 복무의욕을 고취시키고,군에서는 상담 인력을 많은 부분에
활용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6.
1추진 방향
1)기본 운용 개념
상담병 운용의 기본 개념이 되는 또래 상담이란 “
상담 전문가가 아닌 비슷
한 연령과 유사한 생활경험 및 가치관 등을 지닌 또래가 일정한 훈련을 받은
후에 자신의 경험을 바탕으로 하여 주변에 있는 정상적인 다른 또래들이 발달
과정에서 경험할 수 있는 문제의 해결에 조력하여,이들이 성장,발달할 수 있
도록 생활의 제반 영역에서 지지적인 도움을 제공하는 행위”
를 말한다(
구본용
외,1994)
.
이러한 또래상담은 이미 초,중,고 대학교 현장에서는 그 효과성이 검증되었
을 뿐 아니라 활발히 운영되고 있으나,군 관련 또래 상담에 대한 연구(
김광은,
19
92;이귀열,20
07)
은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하지만 이러한 동료병사에 의
한 상담이 효과적이라는 것을 인식하여 <표 4-12>와 같이 육군본부에서 상담

- 112 -
관련 지침을 하달하여 자체적으로 (
가칭)상담병 또는 대표병(
이하 ‘
상담병’
이라 칭한다)
을 운용하도록 하고 있다.하지만 <표 4-14>과 같이 부대별 운
영은 다소 지침과 차이가 나거나,임명만 해놓고 제대로 활용하지 못하는 경
우도 많았다.

<표 4-12> 기본권 상담업무 관련 지침(


육군본부)

「장병 기본권 상담실」운영 [근거 : 육방침 06-15, ‘06. 3. 31)


가. 「장병 기본권 상담실」설치
1) 중대급 ~ 군사급까지 설치하여 운영하며, 기본권 전문 상담관이 배치된
부대는 별도의 사무실 지원
※ 「장병 기본권 상담실」간판 설치

2) 제대별 별도의 「장병 기본권 상담실」확보 불가시 주임원사실, 행정보급관실


기본권 상담실로 병행 사용
※ 병영현대화 공사시 중대급 상담실 반영

나. 「장병 기본권 상담실」편성 / 운영


1) 편 성
구분 사․여단 이상 연 대 대 대 중 대

운영책임 인사참모 인사과장 인사장교 중대장

•군종참모 / 장교 •군종장교(주임원사) •주임원사 •행정보급관


상담관
※전문상담관(운용부대) ※전문상담관(운용부대) (군의관) •상담병

2) 운 영
․․․․․․․․․․․․․․․․․․․․․․․․(중 략)․․․․․․․․․․․․․․․․․․․․․․․․
라) 중대급은 행정보급관을 상담관으로 임명하여 운영하고 상담병을 적극 활용

다. 상담병 임명 및 활용
1) 상담실이 설치된 중대급 이상 부대에는 상담병 임명, 활용
2) 상담병은 겸무보직으로 활용하고, 임명된 인원은 지휘관의 임명장 수여
3) 상담병 활용 가능 인원
가) 상담 및 심리학 전공, 유사 학문 전공자
나) 군종병 또는 제대별 장병들이 선호하는 선발된 병사

(계 속)

- 113 -
라. 상담관련 교육 실시
1) 사ㆍ여단 단위로 군종참모 주관하 상담병 / 상담관 소집교육 정례화
시 기 주 관 교 육 내 용
반기 군종참모 의사소통 기법, 상담기법 교육 / 실습
1회(1일)
※ 전문상담관 배치부대는 전문상담관이 교육 담당
2) 외부 전문가 및 학교기관 상담교관 초빙 소양교육 장려
※ 상담기법 동영상 교육자료 배포 예정(교육사, 8월중)

마. 상담여건 보장 및 홍보(
이하 내용 생략)

바. 상담결과 후속조치 체계 확립
1) 상담관은 상담결과를 종합(상담병 상담내용 포함)하여 수시 지휘관에게
보고 / 조치 실시
2) 제대별 병력결산 회의시 후속조치 결과보고 체계 정립
3) 각급제대 지휘관은 상담요원과 간담회 정례화 실시
가) 간담회 주기
구 분 중대장 연ㆍ대대장 사ㆍ여단장

주 기 주 1회 월 1회 반기 1회

나) 간담회시 확인사항
- 주요 상담내용 및 상담관 활동실적
- 상담결과 후속조치
※ 관심병사 선정, 비전캠프 입소, 병원진료, 보직조정 등
- 상담관 활동간 애로사항 확인 / 조치

육군본부에서 하달한 방침을 살펴보면,장병 기본권 상담실을 중대급부터


편성하여 운영하며,특히 중대급 상담관으로 ‘
상담병’
을 적극 활용할 것을 권
장하도록 명시했다.상담병 활용 가능인원 역시 전공지식과 인지도를 자격기
준으로 제시하고,정례적인 소집 교육 및 후속조치체계 관련 사항을 세부적으
로 명시하여 예하부대에 하달하였다.
이에 따라 예하부대는 <표 4-13>과 같이 부대별 여건에 따라 지침을 변경하
여 적용하고 있었는데 대표적으로 3가지 정도의 유형으로 분류된다.

- 114 -
<표 4-13> 상담병 유형별 운영지침
자 격 기 준 보 직 배 치
유 전 의 보 수
인 기타 지침
공 사 (
단일 (
제대 교 육
형 지
지 소
도 /
겸무) /
계급)
식 통
•대표병의 성격
A × ○ ○ 단일 중대 ×
•계급제한(
병장급)

소초별 •부적응 병사의 분대별,


B △ ○ ○ 겸무 ○
계급별 계급별 교차체크
•상담병 활용 저조

D ○ ○ △ 겸무 중대 •분대 상향식 일일결산체제
(
1회)
강화를 통한 보완

이상과 같이 상담병은 각 부대의 실질적 상황과 여건에 따라 상급부대의


지침보다 더 세부적으로 운용되기도 하고,임명만 해놓은 상태에서 그 필요성
마저 부인하는 부대까지 다양했다.
운영지침에서 도출 가능한 문제점을 분석해 보면 다음과 같다.

가)자격기준
자격기준의 경우 상담관련 기본지식에 대해서는 권장사항이긴 하더라도 필수
요소는 되지 않았다.오히려 병들 사이에서 인지도가 높고 의사소통 및 대인관계
능력이 뛰어난 병사를 임명하였다.하지만 실질적으로 상담관의 수적 부족을 보
완할 수 있는 ‘
준상담관’
의 역할을 하기 위해서는 기본적인 상담기법 및 자살에
대한 상식수준 이상의 지식과,일반 병사들보다 징후 포착 및 전문가 의뢰를 판
단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어야 한다.또한 인지도가 높다고 하더라도 그 중 일부
는 그 병사를 지지하지 않을 수 있고,그 ‘
일부’
가 오히려 부적응요소를 가질 가
능성이 높다.무조건 인지도가 높은 병사보다는 다른 사람과 쉽게 의사소통하고,
경청을 잘 하는 병사가 상담병으로 적합하다.

- 115 -
나)보 직
보직의 경우 각종 근무를 제외하고 개인상담,계급별 간담회 주최 등 상담
뿐 아니라 대표병의 임무수행을 위한 여건을 철저히 보장해주는 경우,일과는
동일하게 진행하되,일과후 시간에 상담시간을 보장하는 경우,또는 기본적으
로 별도의 상담시간 보장은 없지만,필요시 요청에 의해 상담시간을 보장해주
는 경우가 있었다.단일보직의 경우,일반 병사들의 일상과 거리감이 생겨 오
히려 위화감 조성이 될 수 있고,활동시간이 전혀 보장되지 않는다면 상담병
을 필요로 하는 병사가 있더라도 접근 기회를 놓치게 되므로 겸무보직으로 하
되 특정 요일이나 시간대를 지정,상담활동에 전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
다.

다)배 치
배치는 통상적으로 중대별 1명을 운용하지만,일부 사단의 경우 생활관 구
조 및 ‘
동료’
간의 의사소통의 활발함 등을 고려하여 소초별,계급별 상담병을
운용하였다.최소한 일상 속에서 쉽게 대면할 수 있는 범위를 고려하면 소대
당 1명,또래상담의 효과를 높이려면 계급별 1명이 적합하다.계급별 1명씩 둘
경우 의사소통은 최대화될 수 있으나 분대 지휘체계와의 충돌여지가 있는데,
이는 보고를 받는 간부의 융통성 발휘 및 조율이 필요한 부분이다.

라)보수 교육
상담병들에 대한 교육체계는 임명만 해놓고 전혀 없는 경우부터,예하부대
의 요청 시에만 상담관이 교육지원을 하거나 상담병 임명후 기본 상담기법 교
육만 하는 경우도 있었다.하지만 특정 사단의 경우 상담관의 적극적 관심과
노력으로 또래상담자 훈련 프로그램을 군의 실정에 맞게 간소화하여 진행하
고,주기적 보수교육을 실시하는 경우도 있었다.효과적 운영을 위해서는 상담
병 임명 후 양성교육과 정례적인 보수교육을 통하여 상담병 능력 향상이 필요
하지만,현재 상담관의 부족으로 정례적인 교육까지 담당하기에는 그 업무의
과중이 심각하다.

- 116 -
위와 같이 많은 야전부대가 이미 상담병을 운용되고 있지만 적합한 자격
요건이나 운용 지침의 미흡으로 그 운용이 불안정한 실정이다.현재 상담병
운영을 보완하여 상담에 대한 기본 소양을 지닌 준비된 상담병을 선발하여 부
대에 골고루 배치하고,체계적인 상담관련 교육을 시켜 <그림 4-15>와 같이
일상 속에서의 상담활동을 진행하도록 한다면,이들이 자살 우려자에 대한 징
후를 조기 식별하고 예방하는 데 큰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이다.이러한 맥락
에서 상담 특기병의 운용 개념은 다음 그림과 같이 제시할 수 있다.

<그림 4-15> 상담 특기병 운용 개념

군상담관

청 움
요 상 요
움 담 징후자 청
도 지도 담
보고

상담/지지 상담/지지

동료병사 상담병 동료병사


도움요청 도움요청

도움요청 교육/상담지원

지역 민간 상담센터/상담 관련 대학원(석사과정)

<그림 4-15>와 같이 상담 특기병은 동료 병사와 같은 생활공간 안에서


직접 대면할 수 있는 최소 생활범위인 소대 내 1명씩 배치되어 일상 속에서
자연스러운 상담활동을 통해 그들을 상담 및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상담
특기병의 상담 활동은 자연스럽게 동료 병사들과 편안한 친구관계를 맺는 것
부터 시작하며,더 나아가 신뢰가 쌓이게 되고,이러한 신뢰관계 속에서 동료
병사들은 별도의 상담 공간이 마련되지 않더라도 일상의 대화 속에서 고민을
털어놓거나 도움을 요청할 수 있게 된다.상담 특기병은 활동간 자살 징후 등
위기상황에 빠져 있는 병사들을 발견했을시 전문상담관에게 상담 의뢰하여 도

- 117 -
움을 받도록 할 수 있으며,주기적인 또래상담 보수 교육이나 상담기법 등의
지원을 지역의 청소년 상담센터나 상담관련 대학원에 재학중인 상담자원봉사
자와의 협조체계 구축을 통해 군 자체 교육의 부족분을 보완할 수 있다.현재
한국 청소년 상담원은 <표 4-1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또래상담 사업을 활발
히 진행 중이다.따라서 또래 상담자 양성 프로그램을 군의 상황에 맞게 도입
하고,지역의 청소년 상담센터와 협조체계를 구축하여 교육지원 및 자문을 받
는다면,효과적 운용이 가능할 것이다.

<표 4-14> ‘
솔리언 또래상담’사업 현황

내 용
또래상담자 양성(
15H) • 솔리언또래상담 프로그램으로 진행

• 솔리언또래상담에 대한 전반적 이해
또래상담지도자 양성
• 솔리언또래상담 프로그램 실습
관 (
15H)
• 학교에서의 프로그램 운영지침

또래상담 운영 학교지원 • 솔리언또래상담자 상담사례 수퍼비전,학교운영 컨설팅 등

업 • 또래상담 프로그램 이외의 다양한 활동
또래상담자 활동지원
(자원봉사,학교축제,사이버상담,심리극 공연 등)

또래상담자 및 • 연1
회 한국청소년상담원에서 주관하는 솔리언또래상담자
지도자 포상 상신 및 지도자 시상에 공적조서 상신

• 솔리언또래상담지도자에 의해 매년 전국 초․중․고교
또래상담자 에서 8,
000
여명이 새로 양성
• 교육누적인원 58,
000여명으로 추정

• 솔리언또래상담 프로그램을 통해 매년 1
,50
0여명 양성
성 또래상담지도자
• 현재 8,
000여명이 등록되어 있음

황 • 솔리언또래상담지도자를 양성
• 한국 청소년 상담원에서 연1회 교육을 통해 매년
또래상담전문지도자
80여명이 전문지도자로 위촉됨
• 현재 390여명이 등록되어 있음

출처 : 한국 청소년 상담원57)(2007)

57) 전국 청소년 상담센터 현황 :149개소 중 127개소

- 118 -
2)선 발
상담 특기병의 선발은 다른 특기병 모집과 동일하게 병무청에서 서류심사
에 의한 선발을 하고,지원요건은 <표 4-15>에서 명시한 바와 같이 상담에
대한 기본 소양 및 전문 지식을 갖춘 ‘
준비된 자’
를 선발하도록 한다.

<표 4-15> 상담병 지원자격58)

• 상담관련 전공 4년제 대학 졸업자


• 전문대학의 경우,상담 관련 분야를 전공하고 학사학위는 취득한 자로서
상담 실무경력이 2년 이상인 자.
• 위 인원 중 소속 대학 학장의 추천을 받은 자로,군 복무기간 동안 또래상담
자원 봉사자로 활동할 의지가 있는 자
※ 권장사항 :또래상담 훈련 프로그램 등 상담활동 제반 교육 수료 증명서

위 자격 기준은 현재 국가공인 청소년 상담사 3급의 자격기준에 준하는 내


용이다.이는 현재 청소년 또래상담자의 선발 기준59)보다는 훨씬 높다.가장
고민을 먼저 털어 놓는 대상이 병사라는 점에서 착안하여 상담병을 운용하지
만,그 임무는 상담관의 수적 부족을 채워 ‘
준상담관’
의 역할을 중/
소대급에서
수행토록 하는 것이다.따라서 적어도 기본적인 상담을 할 줄 알고,병사들의
자살징후 등 위기 포착시 전문가에게 의뢰할 수 있어야 한다.또 다른 착안점
은,상담병이 군복무 기간 동안 ‘
봉사’
의 개념으로 위기에 빠진 동료 병사들을
적극적으로 도우려는 의지가 있어야 하고,병사들 사이에서 인정을 받을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이를 위해 인간적인 자질에 대한 증명이 더욱 요구되
므로,소속 대학 학장의 추천을 필수요건으로 한다.

58) 참고로 군종병의 자격 요건은 종교(기독교, 카톨릭 신학, 불교) 관련 전공학과 2년 이상 수료


자)(불교는 1년)로서 세례(영세, 수계) 받은지 5년 이상자 또는 신앙생활 5년 이상자이며, 자격증
소지자(사회복지사, 카운슬러, 아동복지사, 초등/중등교사, 워드프로세서, 정보처리(산업)기사, 인
터넷 검색사 등)는 선발 우대한다(병무청, 2008)
59) 또래상담자의 선발기준 : 담임교사나 또래 친구들, 또는 선배들의 추천에 의해 친구들 사이에서
영향력이 큰 자질 있는 학생, 또는 또래상담 훈련 희망자이며, 별도의 지식 요구 기준 없이, 선발
후 훈련 프로그램 참가.

- 119 -
실제적으로 많은 상담 관련 자격증 응시 자격은 대학원 상담관련 석사과정
자에게만 주어진다.하지만,입대자들의 평균적 입대시기를 고려시 대학교 졸업
자로 하되 대학 기간 동안 상담에 대한 최대한 많은 과목을 이수,경험을 하도
록 유도해야 한다.이와 같이 대학 졸업자를 상담병으로 임명할 경우 지원자가
적을 우려가 있지만 군복무기간동안 상담활동 경력을 인정해 준다면 오히려 상담
분야 전문성을 체계적으로 쌓을 수 있는 여건이 보장되기 때문에 상담 분야 전공
자들에게 매력적인 선택이 될 수 있다.
실질적으로 군에 입대할 자원들 중 상담특기병으로 활용 가능한 과는 다음
<표 4-16>과 같이 상담,사회복지,심리,교육학과 관련하여 다양하다.

<표 4-16> 상담 특기병 지원가능학과

대학구분 관 련 학 과 대학 수

상담학과,상담심리학과,청소년상담심리학과,
상 담 27
사회복지상담학과 등

4년제 사회 사회복지학과,아동/
청소년/
노인복지학과,
137
복지 청소년학,가족상담 복지 전공,아동가족복지학 등
대학
심 리 심리학과,교육심리학 등 39

교육학 신학,교육학,기독교 상담학 등 •

전문대학 사회복지학과,사회복지 상담학과,사회복지경영학과 등 54

출처 :한국 대학교육협의회,전문대학교육협의회 관련 전공 검색 결과
ht
tp:
//uni
v.kc
ue.
or.
kr/
iphak2008
/cour
se_l
ist
.asp
ht
tp:
//220
.66.
49.
101/
ser
vic
e_l
esson/
les
son_de
par
tme
nt_vi
ew.
jsp?de
p..
.

현재 한국 대학교육협의회와 한국 전문대학교육협의회 사이트에 탑재된 관


련대학 학과 및 전공현황에 따르면,대부분의 대학교가 상담학,사회복지학,심
리학,신학,교육학 등 관련 학과를 기본적으로 운영하고 있다.단,관련된 학과
의 명칭과 분야가 매우 많고 세분화되어 있어 위에 제시한 현황이 상담 특기
병으로 활용 가능한 모든 학과를 포함하는 것은 아니다.또한 학문의 특성상

- 120 -
남학생 비율이 다소 적다는 것도 고려해야 할 사항이다.하지만 상담 수요를
채우지 못하고 있는 군의 입장에서 볼 때,그 인원이 몇 명이 되든 최대한 가
능한 인원을 상담병으로 선발하여 화용하는 제도를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
다.
60)

3)양성 및 보수교육
상담병의 교육은 <그림 4-16>와 <표 4-17>에 보는 바와 같이 특기교육과
보수교육으로 구분하여 실시한다.특기교육은 신병 교육 수료후 자대 배치전
1주,보수교육은 자대배치 후 주기적으로 실시하는 것을 기본 원칙으로 한다.

<그림 4-16> 상담병 교육체계

신 병 특기교육 자 대 보수교육
교 육 (사단/1주) 배 치 (수 시)

<표 4-17> 상담병 특기교육 세부계획(


안)

일 자 내 용 교 육 담 당 자
• 사단 자체 전입신병 교육
1-3일차 • 사단별 담당 간부
※ 다른 신병들과 통합 교육

• 입 소 식
• 상담병 기본교육
• 기본권 전문 상담관
-상담병 임무,역할
4일차 • 지역 청소년상담센터
-상담 기법 교육
또래상담지도전문가
-상담 보고일지 작성요령
-또래 상담병 동아리 결성

• 한국군 자살예방교육(
2박 3
일 과정)
5-7일차 • 자살예방 전문교관
• 퇴 소 식

60) 군종병의 경우 08년 병무청에서 총 94명(기독교 47명, 천주교 23명, 불교 24명)을


선발하였으며, 예하부대는 대대, 또는 중대급으로 자체적으로 선발, 활용한다.

- 121 -
이때 주목할 점은 상담병 역시 이등병이라는 점이다.상담병 역시 군복무
적응에 대한 부담을 안고 있으며,이에 상담을 해야 한다는 부담까지 가해지
면,상담병으로서의 제기능을 발휘할 수 없다.그러므로 특기교육계획은 전입
신병교육과 상담 특기병 기본교육을 진행하되,한국군 자살예방교육61)을 통하
여 상담병의 주요 임무중 하나인 동료 병사의 위기포착 및 조기개입,전문가
의뢰를 인식토록 한다.
마지막으로 특기교육기간에 상담 특기병간의 또래상담자 동아리를 결성하
여 상담관 및 지역 청소년 상담센터와 지속적인 활동을 위한 지지 기반을 구
축해 놓아야 한다.
보수교육은 또래상담자 훈련 프로그램과 정례소집교육으로 구성한다. 자
대 배치 후 1달간 주말을 이용하여 또래상담자 훈련 프로그램62)을 회기별로
진행한다.프로그램은 <표 4-18>의 한국 청소년 상담원의 또래상담자 훈련
프로그램을 군 상황에 맞도록 수정하여 운영하는 방법을 한국 청소년 상담원
과 협조하거나,군 자체 개발을 할 수 있다.

<표 4-18> 한국 청소년 상담원의 단계별 또래상담 프로그램 구성


단 원 목 표 및 내 용
• 또래상담 프로그램 오리엔테이션
들 어가 기
• 집단에 대한 친밀감과 신뢰감 형성
친한 친구 되기 • 또래상담자들의 친구관계 증진과 인성적 측면 성장
대화하는 친구 • 상대방의 마음을 이해하고,효과적인 의사소통으로
되기 대화를 이끄는 방식을 습득
도움주는 친구 • 또래들 속에서 도움을 주고,문제해결에 도움이 되는
되기 전략 습득
• 총정리,느낀점과 실행할 점 나누기
마 무 리
• 프로그램의 내용과 진행에 대한 평가
출 처 :이상희 등(
2004
)

61) QPR 교육을 한국군의 특성에 맞게 보완한 프로그램으로 세부 내용은 제 3장을 참조


62) 프로그램은 11회기로 구성되어 있고 한 회기는 50~90분으로 진행한다. 구체적 내용은 대인관
계 점검 및 증진, 효과적 의사소통을 위한 경청, 공감, 대화전략, 문제해결을 위한 대화, 갈등대처
등으로, 또래상담을 위해 필요한 기본적 지식 및 행동에 대한 것이다.

- 122 -
4)특기 관리 및 보직
교육을 마친 상담 특기병은 상담 특수자격63)을 부여하여 일상속에서 잦은
대면이 가능하도록 소대 1명씩 배치하도록 한다.그러나 임무수행이 불성실하
거나 능력이 없다고 판단되는 병사는 그 임무를 해지한다.
상담 특기병들은 겸무보직으로 별도의 상담시간 부여 없이 일과 중 또는
후에 일상생활 속 상담활동을 진행하는 것을 기본 전제로 하되 특별히 상담이
필요한 병사가 있다고 판단될 경우 일과 후 또는 주말에 상담활동시간 보장을
요구할 수 있다.단,일반 병사들의 상담병에 대한 접근성을 높여주기 위해 특
정 요일,시간대에 상담시간을 별도 지정하는 방안,동계급간의 의사소통이 가
장 활발함을 감안하여 계급별 1명씩 지정하는 방안은 추가적으로 검토할 필요
가 있다.

5)상담 특기병의 임무
상담 특기병은 부대 생활에 적응해 가면서 동료 병사들과 자연스럽게 친해
지는 것부터 그 임무를 시작하지만,사실상 기본권 전문 상담관과 유사하게
동료 병사들의 생활 전반에 거친 고민 상담 등 그 범위가 광범위하다.<표
4-19>와 같이 상담병의 주요 임무를 명확히 제시함으로써 상담관의 수적 부
족을 보완하는 ‘
준상담관’
의 역할을 할 수 있다.

<표 4-19> 상담 특기병 임무

1.소대 내 동료 병사들의 자살 징후 발견 및 예방 활동
2.소대내 부적응 병사에 대한 기본적 수준의 상담과 지지

3.필요시 소대장 및 상담관에게 보고 및 상담 의뢰 조치


4.또래상담 관찰 기록지 작성 및 보고
5.또래상담 소집교육 및 동아리 활동(
정기 모임,사이버 활동 포함)

63) 육규 133. 제 77조 5. 특수 및 외국어 자격부여 : 특수 및 외국어자격 부호는 해당분야에 자격이 있


다고 인정되는 자를 분류권이 있는 부대장이 부여하며, 자격부호는 군사특기를 받기 전에도 신병양성
부대장 또는 재분류권이 있는 부대장이 부여할 수 있다.

- 123 -
상담 특기병의 임무는 ‘
비전문가’
이며 ‘
준상담관’
임을 명확히 하는데서 출발
한다.
상담병의 역할과 활동을 과도하게 기대하거나 경직되게 규정하여 당사자
에게 부담을 주거나 동료 병사와의 관계에서도 위화감을 주는 과오를 피해야
한다.병사들의 편안한 대화상대가 되어주고 가벼운 고민에 대해 상담,지지해
주는 과정에서 위험징후를 포착하면 지휘계통에 보고 또는 상담관에게 의뢰하
는 것이지 상담병 본인이 진단 및 위기상담을 하는 것이 아니다.단,자살 예
방과 관련한 특별 임무로 동료 병사들의 자살 징후 발견 및 예방활동을 명시
하여 위험에 빠진 동료 병사에 대한 초기 위기 개입에 항상 주시토록 하면 된
다.

6)인센티브
상담 특기병에 대한 인센티브의 기본개념은 ‘
대학 전공 - 군복무간 경력
인정 - 진로 및 취업연계’
이다.<표 4-20>과 같이 청소년 상담사(
국가공인)
자격을 취득하려면 상담실무 경력이 요구된다.

<표 4-20> 청소년 상담사(


국가 공인)자격요건 및 상담실무 경력표

구분 세 부 내 용

1
.대학원에서 청소년(
지도)
학,교육학,심리학,사회사업(
복지)
학,정신의학,
아동(
복지)
학 분야 또는 기타 총리령이 정하는 상담관련 분야(
이하 “
상담
관련분야”
라 한다)
를 전공하고 박사학위를 취득한 자
자격
2
.대학원에서 상담관련분야를 전공하고 석사학위 취득후 상담실무경력이 4

요건
이상인 자
1
3
.2급 청소년 상담사로서 상담실무 경력이 3
년 이상인 자

4
.제 2
호및2
호에 규정된 자와 동등이상의 자격이 있다고 총리령이 정하는 자

개인상담 대면상담 50회 이상 실시


상담
실무 집단상담 24
시간 이상 실시(
구조화 혹은 비구조화 집단상담)
경력
심리검사 1
0사례 이상 실시(
전국 표준화 검사와 투사적 검사만 인정)

(
계속)

- 124 -
구분 세 부 내 용

1
.대학원에서 상담관련 분야를 전공하고 석사학위를 취득한 자
2
.대학 및 다른 법력의 규정에 의하여 이와 동등한 학력을 인정받는 기관에서

2 상담관련 분야를 전공하고 학사학위 취득후 상담실무경력이 3


년 이상인 자

급 3
.3급 청소년 상담사로서 상담실무 경력이 2
년 이상인자
4
.제 2
호 내지 제 3
호에 규정된 자와 동등이상의 자격이 있다고 총리령이 정하는 자

상담실무경력 :1
급과 동일

1
.대학 및 「평생교육법」에 의한 학력이 인정되는 평생교육시설의 상담관련 분야
졸업(
예정)

2
.전문대학 및 다른 법령의 규정에 의하여 이와 동등한 학력을 인정받는 기관에서
상담 관련 분야를 전공하고 전문학사를 취득한 자로서 상담실무 경력이 2
년 이상인 자
3
.대학 및 다른 법령의 규정에 의하여 이와 동등한 학력을 인정받는 기관에서 상담
관련 분야가 아닌 분야를 전공가고 학사학위를 취득한 후 상담실무 경력이 2
년 이상인 자
4
.전문대학 및 다른 법령의 규정에 의하여 이와 동등한 학력을 인정받는 기관에서
3 상담 관련 분야가 아닌 분야를 전공하고 전문학사를 취득한 후 상담실무 경력이 4

급 이상인 자
5
.고등학교를 졸업하고 상담 실무경력이 5
년 이상인 자
6
.제 1
호 내지 제 4
호에 규정된 자와 동등이상의 자격이 있다고 총리령이 정하는 자

개인상담 대인상담 20회 이상 실시


상담
6시간 이상 참가
실무 집단상담
(비구조화,구조화 집단 상담,wor
kshop참가경험 인정)
경력
심리검사 3사례 이상 실시(
특정하 제한 두지 않음)

출처 :한국 청소년 상담원(


2008
)

현재 국가 공인 청소년 상담사는 학력과 경력 등의 자격요건에 따라 3등급


으로 구분되어 있으며,상담실무경력을 인정하는 기관은 <표 4-2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별도로 지정되어 있다.

- 125 -
<표 4-21> 상담 실무경력 인정기관(
청소년 상담사 시행령 별표 3의 규정)

청소년 상담자 등급별 응시자격의 기준에서 “상담 실무경력”이라 함은 청소년


기본법 제 3조 제 8호의 규정에 의한 “청소년단체”, 제 46조 규정에 의한 “지방
청소년 종합센터 ․ 지방청소년상담센터”, 청소년 복지지원법 제 14조 규정에 의
한 “청소년 쉼터”, 초․중등교육법 제 2조의 규정에 의한 각급 “학교”, 고등교육
법 제 2조의 규정에 의한 각종 “대학” 및 기타 검정위원회가 인정하는 상담기관
에서 개인상담, 집단상담, 심리검사를 실시한 경력을 말한다.

위 규정에 상담 특기병이 작성하는 상담활동일지 및 기타 활동을 근거로


군기관을 상담 실무경력을 인정해주는 기관으로 포함시켜 상담 특기병의 자격
증 취득시 활용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담 특기병으로의 군복무경력은 현재 확대 선발중인 군 기본권 전문
상담관의 자격요건에서 볼 때 최적의 자격이 될 수 있다.2년간 병사로 군복
무하며 동료병사들의 고충을 상담한 경험은 현재 예비역 기본권 상담관이 지
닌 병사 입장에서의 고충에 대한 공감대 형성미흡 및 상담 실무경력 부족과,
민간 기본권 상담관이 지닌 군 특수성에 대한 이해부족을 가장 잘 보완한다.
이러한 상담 특기병 경력을 기본권 전문 상담관 선발시 우대자격으로 포함한
다면,개인적 차원에서도 군 복무가 자신의 인생에 가장 중요한 기간이 되고,
군의 입장에서도 우수한 상담병 자원 획득에 크게 도움이 될 것이다.

- 126 -
제5장 요약 및 맺음말

본 연구는 현재 시행 중인 병영 스트레스 관리 대책의 효과성을 검증하고,


효과적인 병영 스트레스 관리방안을 제안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이를 위해
병영 스트레스 진단도구의 효과성 검증 및 개선방안,PTSD의 실태조사 및 효
과적인 관리방안,비전캠프 프로그램의 효과성 검증 및 개선방안,병영 스트레
스 해소 프로그램의 개발 및 활용 방안에 초점을 맞추어 문제점을 분석하고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연구진은 본 연구를 수행하면서 국방부 및 각급 부대에서 병영 스트레스
관리에 대한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고,병영 스트레스 예방 및 해소를 위해
많은 노력을 기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병영 스트레스 관리에 대한 이해 부족과 현실적인 제약으로 인하여
현행 병영 스트레스 관리 시스템을 개선 및 보완 필요성이 있음을 발견하였
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병영 스트레스 관리 시스템을 개선․보
완할 것을 제안하였다.
첫째,국방부에서 개발하여 보급한 「병영 스트레스 진단도구」를 개선하
고,활용체제(
진단책임자,진단대상 및 시기,진단내용 등)
를 합목적으로 개선
하여야 한다.
둘째,병영 스트레스 예방을 위해 병 리더십 교육 체제를 구축하고,팀 빌
딩 프로그램을 개발․보급하여야 한다.
셋째,스트레스 고집단군(
소대급 부대)
을 대상으로 한 병영 스트레스 해소
프로그램을 개발․보급하고,강사 양성교육 시스템을 구축하여야 한다.
넷째,병영 스트레스 관리를 위한 업무체계를 구축하여 각 군 리더십 센터
가 병영 스트레스 관리 교육과 연구에 능동적으로 기여하도록 해야 한다.
다섯째,비전 캠프 프로그램의 교육효과를 보다 더 높이기 위해 운영시스
템(
진행제대 진행책임자,교육내용,진행방법 등)
을 개선하고,상담 특기병 제

- 127 -
도를 도입하여 도우미로 활용하는 방안을 적극 추진하여야 한다.
여섯째,효과적인 PTSD 관리를 위해 초급간부 및 병,그리고 수사관들을
대상으로 PTSD 예방 및 관리 방법에 대한 교육을 실시하고,사단 전문상담관
을 PTSD 담당관으로 임명하도록 해야 한다.
이상과 같은 방안들이 정책화되어 추진된다면 병영 스트레스 예방 및 해소
로 군내 각종 사고를 예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복무의욕 고취와 장병 상호
간에 신뢰 형성으로 전투력 강화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 128 -
<참 고 문 헌>

강진영(
200
8),「또래상담병 제도 도입을 통한 군내 상담 활성화 방안 연구」,국방대
학교 석사학위논문.
강기호․차호원(
198
7),「집단상담의 이론과 기술」,서울:교보문구.
고려대학교 부설 행동과학연구소 편(
200
7),「심리척도 핸드북 Ⅰ‧
Ⅱ」,서울:학지사.
공수자ㆍ이은희(
2006)
,“여자대학생들의 생활스트레스와 우울간의 관계에서 대
처방식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제11권,제1호,21-40쪽.
구본장ㆍ박계홍(
2004)
,「조직행동론」,서울:형설출판사.
구승신(
2003)
,「신세대 병사의 군 생활 적응에 관한 연구」,이화여자대학교 박사
학위논문.
권대봉(
2003)
,「인적자원개발의 개념 변천과 이론에 대한 종합적 고찰」,
서울:원미사.
김병섭(
1994
),“
공무원의 복지부동과 직무몰입도 :동기이론과 스트레스 이론을
중심으로”
,「한국행정학보」:제28권,제4호,1279-1299쪽.
(
199
8),「경찰공무원의 근로생활과 질(
QWL)
에 관한 연구」,치안연구소
연구보고서.
김승태,김병로,홍경수,정유숙,유범희,김도관(
199
7),“
삼풍사고 생존자들에서의
급성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 :발생빈도,예측인자,증상 변화에 대한 예비적
연구”
,「신경정신의학」,제3
6권,제3
호.
김용채(
2003)
,「스트레스 보이지 않는 그림자」,서울:궁리.
김용주ㆍ신응섭ㆍ고재원ㆍ이혁준(
200
8),「사고예방을 위한 진단 및 맞춤형 처방
프로그램 개발」,육군사관학교 화랑대연구소.
김혜숙ㆍ심상구ㆍ이동규(
200
3),「경찰공무원의 직무 스트레스 비교ㆍ분석 및 스
트레스 관리 프로그램 개발 연구」,치안연구소 연구보고서.
박순천․박순화․나정순(
2005
),「군내 자살 예방 대책 효과 분석:
비전캠프를
중심으로」,육군본부 군종감실편.
박재옥(
2008)
,「직무스트레스의 예방관리전략에 관한 연구」,한남대학교 박사
학위과정

- 129 -
서선우(
2006
),「군 복무 부적응자 적응력 강화 프로그램 개발」,국방대학교 석사
학위논문.
소방방재청(
200
7),「긴급업무스트레스 관리 프로그램 운영」.
송병식(
1996
),“
스트레스 관리에 관한 이론적 연구”
,산업논집,125~130
쪽.
신응섭ㆍ김용주ㆍ육성필(
2006
),「사고예방을 위한 상황적 스트레스 진단지표
개발」,육군사관학교 화랑대연구소.
신응섭ㆍ김용주ㆍ고재원(
200
7),「사고예방을 위한 군 스트레스 진단도구 개발」,
육군사관학교 화랑대연구소.
안현의ㆍ최병순(
2006)
,「군복무 부적응자 인권상황 실태조사」,국가인권위원회.
육군본부(
1998)
,「한국적인 군인상 정립」.
(
1999)
,「병영 스트레스 원인과 대책」,대전:육군인쇄창.
(
2007)
,「비전캠프 2007」,대전:육군인쇄창.
(
2008)
,「군종업무규정」,대전:육군인쇄창.
(
2008)
,‘07년 발생사고 분석 및 08년 사고예방 활동 방향’
.
(
2009)
,비전캠프 운영 개선 계획(
지시)
.
육군본부 군종실(
2009)
,비전캠프 관련자료.
이상훈(
200
2),「소부대 응집력 향상 프로그램 개발」,국방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이승오(
200
3),「팀 리더십 프로그램 개발」,국방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이영균(
2004
),“
스트레스의 원인과 대처방안에 관한 탐색”
,한국정책과학
학회보,제8권 제1
호,66
~71
쪽.
이인숙,하양숙,김기정,김정희,권용희,박진경,이나윤(
2003)
,“일개 지역사회
재해 주민의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정도와 관련요인 분석”
,대한간호학회지
간호학회지,제33호,829-838쪽.
이종목(
2008)
,「직무스트레스의 이해와 관리전략」,전남대학교 출판부.
임창희(
2007)
,「조직행동」,서울:학현사
채서일(
2006)
,「사회과학조사 방법론」,서울:비엔엠북스
채정호 외 1
1명(
200
8),「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발생 시 대응관리 체계 구축,환자
전달체계 및 치료 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연구보고서」,국방부.
최경숙(
200
1),「일부 산업재해 환자들에서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130 -
최병순 등(
200
5),「리더십 강사 양성 프로그램 개발」,안보문제연구소.
(
2008)
,「군 자살사고 예방제도 개선방안 연구」,국민권익위원회.
(
2008b)
,「국가 리더십 경쟁력 강화방안:군 리더십 역량 강화를 중심
으로」,국방대학교.
허찬영․박재옥(
200
8),“
직무스트레스 요인이 직무스트레스 결과에 미치는 영향”
,
인적자원관리연구,15(
2):197-224.
Ar
nol
d,H.J
.& Fe
ldman,D.C.
(1986)
,Or
gani
zat
ionBehavi
or,N.Y :
Mc
Graw-Hi
llI
nte
rnat
ionalEdi
ti
on,p.
187.
Ame
ric
anPs
ychi
atr
icAs
soc
iat
ion(
199
4),Di
agnos
tica
ndSt
ati
sti
calMa
nua
lof
Ment
alDi
sor
der
(4t
hed.
),Was
hingt
onD.
C,Ame
ric
anPs
ychi
atr
icPr
ess
.
Bowe
r,C.A.
,J.L.Weave
r& B.B.Mor
gan,J
r.(
1996)
,Mode
rat
ingt
he
Pe
rfor
manc
eEf
fec
tsofSt
res
sor
,InJ
.E.Dr
iske
llandE.Sal
as,St
res
sand
HumanPer
for
manc
e,163-192,mahwah,N.
J:Lawr
enc
eEr
lbaum
As
soc
iat
es,I
nc.
Br
esl
auN,Ke
ssl
erR.
C,Chi
lc
oatH.
D,Sc
hul
tzL.
R,Da
visGC,Andr
eski
p(1
998
),
Tr
aumaandPos
tTr
aumat
icSt
res
sDi
sor
derI
nTheCommuni
ty:t
he
1996De
troi
tAr
eaSur
veyofTr
auma,Ar
chGenPs
ychi
atr
y55,626-632.
Car
rieH.Ke
nne
dy& Er
icA.Zi
ll
mer
(2006)
, Mi
li
tar
yPs
ychol
ogy:Cl
ini
cal
andOper
ati
onalAppl
icat
ions
,N.
Y:TheGui
lf
ordPr
ess.
Cox,T.
(19
93)St
res
sMa
nagementa
ndSt
res
sRes
ear
ch:Put
tingTh
eor
yto
Wor
k,HSE Cont
rac
tRe
sear
chRe
por
t.
Davi
dson,M.& Coope
r,C.
(19
83)
,St
res
sandt
heWomanMa
nage
r,Cowl
ey,
Oxf
ord:Mar
tinRober
tsonandCompanyLt
d,p.
11.
Er
icks
on,K.T.
(1976)
,Ever
ythi
ng i
nit
sPat
h:De
str
uct
ionofCommuni
ty
i
ntheBuf
fal
oCr
eekFkood,New Yor
k,Si
monandSc
hus
ter
.
For
syt
h,D.L.
(1999)
,Gr
oupDyna
mic
s,3
rde
d.,Be
lmont
,CA:Wads
wor
th.
Fr
edLut
hans
(20
05)
,Or
gani
zat
iona
lBeh
avi
or,Mc
Gra
w-Hi
llI
nte
rna
tio
nalEdi
ti
on.

- 131 -
Fol
kman,S.& Laz
arus
,R.S.
(1980)
,AnAnal
ysi
sofCopi
ngi
naMi
ddl
e
Age
dCommuni
tySampl
e:Jour
nalofHeal
thandSoc
ialBehavi
or,Vol
.25
,
pp.
229-244.
Foa,E.B.Cas
hman,L.
,Jayc
ox,L.
,& Pe
rry,K.
(19
97)
,TheVal
idat
ionofa
Se
lf-Repor
tMe
asur
eofPos
t-t
raumat
icDi
agnost
icSc
ale
,Ps
ychol
ogi
cal
As
ses
sment
,Vol
.9,No4,445-451.
He
rzbe
rg,F.e
t.al
.(
1959)
,TheMot
ivat
iont
oWor
k,J
ohnWi
ley& Sons
,
I
nc,pp.
52~89.
Hughe
s,Ri
cha
rdL.
,Gi
nne
t,Ro
ber
tC.& Cur
phy,Go
rdo
nJ.
(19
99)
,Le
ade
rsh
ip:
Enhanc
ing t
heLes
sonsofExper
ienc
e,N.
Y:Mc
Graw-Hi
ll
.
I
vance
vic
h,J
.M.& Mat
teson,M.T.
(1979)
,Or
gani
zat
ionalSt
res
sor
s.
andDi
sease:A Res
ear
chMode
l,Ac
ademyofManagementRevi
ew,
pp.
378-380.
I
vanc
evi
ch,J
.M.& Ma
tte
son,M.T.
(19
80)
,St
res
sandWor
k:A Manage
rial
Per
spe
cti
ve,Sc
ott
,For
esmanandCompany.
J
onat
hanPas
smor
e(2007)
,Exc
ell
enc
einCoac
hing,London:KoganPage.
Kant
er,R.M.
(1968)
,Commi
tme
ntandSoc
ialOr
gani
zat
ion,Amer
ican
Soc
iol
ogi
calRevi
ew,Vol
.33,No4,pp.
499~517.
Ka
st.F.E.& Ro
zen
wei
g.J
.E.
(1
979
),Or
gan
iza
tio
nan
dMa
nage
men
tA Sy
ste
msa
nd
Cont
ingenc
yAppr
oac
h,3
rde
d.,Mc
Graw-Hi
ll
.
Kes
sle
r,R.C.
,Sonne
ga,A.
,Br
ome
t,E.
,Hughe
s,M.
,& Ne
lson,C.B.
(1995)
,
Pos
t-t
raumat
ics
tre
ssdi
sor
deri
ntheNat
ionalComor
bidi
tySur
vey,
Ar
chi
vesofGener
alPs
ychi
atr
y,52,pp.
1048-1060.
Li
ker
t,R.
(1967)
,HumanOr
gani
zat
ion,N.Y.:Mc
graw-Hi
llCo.
Mal
ikML,ConnorKM,Sut
her
landSM,Smi
thRD,Davi
dsonRM,
Davi
dsonJ
R(1999)
,Qual
it
yofl
if
eandpost
-tr
aumat
icst
ressdi
sor
der
,
Jour
nalofTr
aumaSt
res
s,Vol
.12,No2,pp.
387-393.

- 132 -
Sc
hul
er,R.S.
(1980)
,TheSoc
ialCont
extofLe
ade
r-Subor
dinat
e
Re
lat
ions
:Or
gani
zat
ionalBehavi
orandHumanPer
for
manc
e,25.
U.
S.Ai
rFor
ce(
2008)
,Landi
ngGe
ar:Manualf
orI
nst
ruc
tor
s& St
ude
nts
.
U.
S.Ar
my(
2008)
,Gui
det
oCopi
ngwi
thDe
ployme
ntandCombatSt
res
s,
TG 320.
(
2008b)
,Bat
tl
eMi
ndTr
aini
ng:Anove
rvi
ew.
U.
S.Mar
ineCor
ps(
2000)
,CombatSt
ress
,MCRP 6-11C.
(
2007)
,CombatSt
ress
:A c
once
ptf
orDe
ali
ngwi
tht
he
HumanDi
mens
ionofUr
banConf
li
ct.
U.
S.Navy(
2008)
,Ope
rat
ionalSt
res
sCont
rol
:Awar
enes
sBr
ief
.
Ye
huda,R.
,Wpe
rtus,I
.L.
,& Gol
ier
,J.A.
(2001)
,Rel
ati
onas
hipBet
ween
Chi
ldhoodExper
ienc
eandPTSD i
nAdul
ts,Washi
ngt
on,D.
C.,Ame
ric
an
Psyc
hiat
ryAs
soci
ati
on.

- 133 -
<붙 임>
스트레스 변수의 요인분석 결과
요 인
문 항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D-23 0.
779 0.
057 0.
091 0
.141 0.
149 0.
078 0.
050 0.
153 0.
122 0.
053 0
.041 0.
026 0.
011 0
D-24 0.
770 0.
032 0.
126 0
.215 0.
199 0.
065 0.
058 0.
118 0.
105 0.
043 0
.044 0.
039 0.
093 0
D-25 0.
738 0.
068 0.
175 0
.260 0.
186 0.
107 0.
072 0.
087 0.
063 0.
086 0
.019 0.
089 0.
105 0
D-21 0.
728 0.
040 0.
133 0
.191 0.
175 0.
075 0.
039 0.
141 0.
091 0.
151 0
.070 0.
034 0.
064 0
D-22 0.
705 0.
083 0.
169 0
.213 0.
135 0.
107 0.
105 0.
083 0.
121 0.
131 0
.051 0.
078 0.
067 0
D-20 0.
660 0.
056 0.
017 0
.126 0.
157 0.
002 0.
072 0.
193 0.
041 0.
032 0
.078 0.
013 0.
013 0
D-26 0.
637 0.
030 0.
096 0
.133 0.
167 0.
034 0.
060 0.
211 0.
096 0.
027 0
.120 -0
.014 0.
048 -0
D-19 0.
591 0.
118 0.
087 0
.183 0.
204 0.
034 0.
095 0.
179 0.
103 0.
205 0
.059 0.
081 0.
148 0
B-6 0.
017 0.
820 0.
133 0
.102 0.
036 0.
128 0.
137 0.
007 0.
044 0.
113 0
.138 0.
101 0.
064 0
B-3 0.
094 0.
817 0.
078 0
.076 0.
055 0.
141 0.
175 0.
032 0.
063 0.
077 0
.122 0.
129 0.
091 0
B-2 0.
059 0.
811 0.
089 0
.119 0.
068 0.
131 0.
131 0.
046 0.
041 0.
093 0
.117 0.
081 0.
131 0
B-4 0.
090 0.
809 0.
116 0
.103 0.
083 0.
089 0.
148 0.
001 0.
043 0.
156 0
.096 0.
181 0.
116 0
B-5 0.
010 0.
808 0.
103 0
.069 0.
030 0.
196 0.
101 0.
053 0.
011 0.
054 0
.088 0.
046 0.
036 0
B-1 0.
088 0.
783 0.
066 0
.106 0.
020 0.
200 0.
191 0.
016 0.
046 0.
067 0
.120 0.
089 0.
102 0
B-9 0.
155 0.
090 0.
787 0
.165 0.
122 0.
224 0.
130 0.
092 0.
091 0.
167 0
.102 0.
029 0.
074 0
B-8 0.
065 0.
131 0.
781 0
.106 0.
072 0.
264 0.
113 0.
049 0.
043 0.
040 0
.137 0.
040 0.
054 0
B-12 0.
131 0.
069 0.
773 0
.115 0.
116 0.
251 0.
095 0.
097 0.
034 0.
118 0
.081 0.
035 0.
077 0
B-10 0.
147 0.
113 0.
767 0
.175 0.
099 0.
264 0.
166 0.
040 0.
051 0.
105 0
.058 0.
082 0.
105 0
B-7 0.
112 0.
151 0.
733 0
.120 0.
102 0.
271 0.
100 0.
013 0.
023 0.
080 0
.162 0.
025 0.
068 0
B-11 0.
260 0.
086 0.
730 0
.151 0.
146 0.
194 0.
117 0.
088 0.
065 0.
068 0
.078 0.
049 0.
098 0

- 붙임 1 -
요 인
문 항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D-31 0.
103 0.065 0.
143 0
.784 0.
048 0.108 0.095 -0.013 0.
112 0.124 0
.063 0.
048 0.
040 0
D-29 0.
081 0.074 0.
104 0
.772 0.
048 0.080 0.071 0.083 0.
120 0.076 0
.098 0.
112 -0.012 0
D-30 0.
122 0.089 0.
172 0
.720 0.
085 0.139 0.130 0.059 0.
085 0.093 0
.057 0.
051 -0.011 0
D-32 0.
203 0.116 0.
092 0
.684 0.
022 0.122 0.097 0.012 0.
036 0.197 0
.028 0.
068 0.
132 0
D-33 0.
317 0.100 0.
090 0
.616 0.
037 0.133 0.083 0.069 0.
113 0.136 -0.053 0.
159 0.
119 0
D-28 0.
201 0.097 0.
012 0
.606 0.
039 -0.045 0.
078 0.017 0.
066 0.030 0
.077 0.
326 0.
126 0
D-27 0.
336 0.090 0.
106 0
.605 0.
103 0.085 0.017 0.052 0.
089 0.073 0
.056 0.
123 0.
043 0
D-34 0.
315 0.074 0.
111 0
.570 0.
039 0.159 0.090 0.150 0.
116 0.098 -0.086 0.
069 0.
065 0
D-37 0.
171 -0.03
7 0.
034 0
.049 0.
789 -0.002 0.
026 0.144 0.
018 -0.034 0
.016 0.
006 0.
116 0
D-40 0.
206 0.017 0.
081 0
.065 0.
785 -0.010 0.
058 0.233 0.
072 0.046 0
.057 0.
070 0.
064 0
D-38 0.
172 0.026 0.
092 0
.057 0.
769 0.069 0.023 0.192 0.
002 0.008 -0.021 0.
062 0.
061 0
D-41 0.
234 0.010 0.
059 0
.095 0.
765 0.030 0.026 0.159 0.
096 0.055 0
.018 0.
089 0.
060 0
D-35 0.
140 0.040 0.
024 0
.017 0.
747 0.056 -0.002 0.
157 -0.05
1 0.030 0
.063 -0.025 0.
049 0
D-36 0.
128 0.219 0.
196 0
.051 0.
624 0.217 -0.002 0.
109 0.
052 0.137 0
.088 0.
094 -0.098 -0
D-39 0.
120 0.170 0.
250 0
.056 0.
601 0.232 -0.012 0.
146 0.
060 0.263 0
.006 -0.004 -0.053 -0
A-18 0.
062 0.184 0.
309 0
.179 0.
058 0.730 0.121 -0.009 0.
044 0.143 0
.188 0.
034 0.
087 0
A-19 0.
002 0.206 0.
246 0
.189 0.
104 0.705 0.135 0.054 0.
041 0.052 0
.088 0.
063 0.
093 0
A-20 0.
069 0.207 0.
299 0
.147 0.
095 0.696 0.183 0.018 0.
059 0.136 0
.156 0.
096 0.
049 0
A-17 0.
019 0.153 0.
316 0
.157 0.
066 0.680 0.109 0.030 0.
001 0.134 0
.144 0.
007 0.
168 0
A-23 0.
165 0.258 0.
294 0
.092 0.
086 0.649 0.167 0.034 0.
066 0.069 0
.117 0.
211 0.
022 0
A-22 0.
190 0.212 0.
324 0
.062 0.
103 0.630 0.121 0.052 0.
055 0.121 0
.152 0.
152 0.
139 0
A-21 0.
193 0.232 0.
329 0
.081 0.
133 0.553 0.107 0.071 0.
037 0.181 0
.165 0.
163 0.
148 0

- 붙임 2 -
요 인
문 항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A-4 0.
132 0.
178 0.053 0
.118 -0
.055 0.
219 0.755 0.
076 0.
076 0.053 0
.082 0.
132 0.
094 0
A-7 0.
117 0.
140 0.173 0
.092 0.
090 0.028 0.737 -0.016 0.
088 0.114 0
.178 0.
131 0.
014 0
A-6 0.
057 0.
172 0.200 0
.088 0.
109 -0.002 0.
703 0.
007 0.
124 0.090 0
.152 0.
090 0.
104 0
A-5 0.
132 0.
290 0.082 0
.090 -0
.023 0.
232 0.678 0.
072 0.
060 0.056 0
.022 0.
166 0.
116 -0
A-3 0.
034 0.
141 0.151 0
.149 -0
.012 0.
146 0.674 0.
042 0.
012 0.176 0
.152 0.
162 0.
038 0
D-45 0.
338 0.
035 0.040 0
.030 0.
252 0.025 0.012 0.
697 0.
069 -0.023 -0.087 0.
084 0.
083 0
D-44 0.
285 0.
000 0.043 0
.016 0.
253 0.120 0.027 0.
677 0.
057 -0.019 -0.102 0.
057 0.
095 0
D-42 0.
180 0.
044 0.092 0
.031 0.
252 0.082 0.008 0.
649 0.
077 0.011 -0.097 0.
043 0.
150 0
D-43 0.
211 0.
016 0.065 0
.009 0.
256 0.076 -0.010 0.
645 0.
087 0.099 -0.006 0.
108 0.
242 0
D-46 0.
167 0.
039 0.082 0
.101 0.
183 -0.019 0.
099 0.
635 0.
039 0.212 0
.290 0.
003 -0.105 -0
D-47 0.
085 0.
037 0.105 0
.078 0.
298 -0.014 0.
116 0.
583 0.
013 0.213 0
.286 -0.003 -0.052 0
D-48 0.
161 0.
057 0.024 0
.213 0.
207 -0.054 0.
026 0.
538 0.
099 0.187 0
.216 -0.028 0.
015 -0
C-1 0.
126 0.
048 0.036 0
.143 0.
056 0.041 0.049 0.
062 0.
839 0.043 -0.009 0.
000 0.
029 0
C-3 0.
150 0.
050 0.055 0
.125 0.
040 0.054 0.074 0.
107 0.
819 0.102 0
.037 0.
068 -0.068 0
C-2 0.
071 0.
015 0.037 0
.085 0.
025 0.034 0.045 -0.011 0.
794 0.028 0
.031 0.
037 0.
056 0
C-4 0.
170 0.
094 0.097 0
.135 0.
026 0.032 0.097 0.
125 0.
792 0.105 0
.047 0.
000 -0.007 0
C-9 0.
099 0.
198 0.142 0
.199 0.
093 0.161 0.150 0.
109 0.
137 0.684 0
.081 0.
084 0.
171 0
C-13 0.
133 0.
109 0.143 0
.202 0.
086 0.150 0.168 0.
125 0.
087 0.670 0
.126 0.
105 0.
037 0
C-11 0.
183 0.
157 0.178 0
.226 0.
081 0.177 0.157 0.
131 0.
072 0.651 0
.097 0.
117 0.
145 0
C-12 0.
208 0.
188 0.188 0
.216 0.
131 0.148 0.078 0.
135 0.
078 0.648 0
.091 0.
110 0.
072 0
C-10 0.
191 0.
144 0.070 0
.138 0.
031 0.152 0.087 0.
145 0.
171 0.430 0
.178 0.
068 0.
070 0
C-8 0.
229 0.
052 -0.026 0
.179 0.
098 0.018 0.130 -0.017 0.
337 0.412 -0.068 0.
140 0.
209 -0

- 붙임 3 -
요 인
문 항
1 2 3 4 5 6 7 8 9 10 11 12 1
3
A-24 0.
119 0.
266 0.
226 0
.032 0.
090 0.
197 0.
160 0.
128 0.
025 0.
144 0
.643 0.
082 0.
249 0
A-25 0.
085 0.
155 0.
206 0
.049 0.
013 0.
277 0.
155 0.
073 -0.
021 0.
114 0
.634 0.
068 0.
056 0
A-2 0.
034 0.
332 0.
035 0
.088 0.
056 0.
210 0.
347 0.
038 0.
069 0.
006 0
.595 0.
013 0.
102 0
A-26 0.
215 0.
262 0.
215 0
.019 0.
116 0.
186 0.
147 -0.
003 0.
080 0.
098 0
.533 0.
118 0.
289 0
A-14 0.
083 0.
226 0.
179 0
.151 -0
.014 0.
206 0.
289 0.
121 0.
030 0.
185 0
.484 0.
127 0.
353 0
A-9 0.
024 0.
348 0.
193 0
.020 0.
054 0.
175 0.
306 -0.
013 0.
012 0.
052 0
.441 0.
120 0.
299 0
B-20 0.
051 0.
152 0.
078 0
.188 0.
057 0.
116 0.
227 0.
059 0.
032 0.
103 -0.
021 0.
754 0.
114 0
B-17 0.
019 0.
144 0.
156 0
.167 0.
101 0.
115 0.
132 0.
025 0.
013 0.
076 0
.093 0.
712 0.
071 0
B-19 0.
046 0.
185 -0.
059 0
.233 0.
093 0.
081 0.
210 -0.
009 0.
065 0.
072 -0.
006 0.
700 0.
006 -0
B-18 0.
138 0.
160 0.
058 0
.137 0.
000 0.
124 0.
105 0.
119 0.
044 0.
096 0
.209 0.
638 0.
045 0
A-12 0.
076 0.
197 0.
110 0
.109 0.
123 0.
077 0.
079 0.
068 -0.
023 0.
018 0
.185 0.
161 0.
634 0
A-15 0.
206 0.
129 0.
089 0
.147 0.
010 0.
191 0.
127 0.
270 0.
060 0.
103 0
.166 0.
017 0.
532 0
A-13 0.
208 0.
255 0.
260 0
.073 0.
067 0.
142 0.
152 0.
022 -0.
001 0.
286 0
.179 0.
144 0.
491 0
A-10 0.
155 0.
234 0.
218 0
.071 0.
116 0.
130 0.
193 0.
108 0.
014 0.
255 0
.191 -0
.076 0.
482 0
A-11 0.
245 0.
226 0.
146 0
.117 0.
082 0.
281 0.
315 0.
019 0.
024 0.
224 0
.135 0.
029 0.
434 0
A-16 0.
134 0.
050 0.
096 0
.192 0.
037 0.
192 0.
123 0.
202 0.
076 0.
205 0
.258 -0
.016 0.
421 -0

- 붙임 4 -
요 인
문 항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C-6 0.
079 0
.100 0.
044 0.
108 0.
054 0.
082 0.
039 0.
059 0.
121 0
.092 0.
009 0.
009 0.
070 0

C-7 0.
061 0
.064 0.
059 0.
106 0.
063 0.
059 0.
035 0.
050 0.
068 0
.077 0.
111 0.
051 0.
046 0

C-5 0.
047 0
.073 0.
090 0.
153 0.
118 0.
091 0.
076 0.
060 0.
160 0
.124 0.
010 0.
000 0.
032 0

B-14 0.
242 0
.019 0.
109 0.
071 0.
316 0.
059 0.
087 0.
049 0.
095 0
.052 -0.
013 0.
123 0.
118 0

B-13 0.
274 0
.047 0.
154 0.
122 0.
202 0.
080 0.
051 0.
057 0.
109 0
.048 -0.
076 0.
159 0.
108 0

B-16 0.
227 0
.063 0.
166 0.
103 0.
176 0.
026 0.
001 0.
195 0.
055 0
.027 0.
163 0.
192 0.
053 0

B-15 0.
279 0
.067 0.
260 0.
111 0.
249 0.
023 0.
056 0.
158 0.
099 0
.103 0.
072 0.
154 0.
119 0

C-14 0.
282 0
.002 0.
087 0.
108 0.
210 0.
048 0.
066 0.
113 0.
222 0
.153 0.
019 0.
088 0.
073 0

C-15 0.
420 -0.
013 0.
056 0.
065 0.
127 0.
096 0.
122 0.
196 0.
099 0
.226 0.
035 -0.
008 0.
039 0

C-16 0.
381 0
.033 0.
087 0.
194 0.
088 0.
018 0.
045 0.
145 0.
194 0
.125 0.
037 0.
055 0.
079 0

e
ige
nval
ue 6.
505 5
.765 5.
416 5.
117 5.
065 4.
780 4.
193 3.
761 3.
331 3
.320 3.
197 2.
841 2.
708 2

분산(
%) 7.
071 6
.266 5.
887 5.
562 5.
506 5.
195 4.
557 4.
088 3.
621 3
.608 3.
475 3.
088 2.
944 2

누적분산(
%) 7.
071 13.
337 1
9.224 24.
786 30.
292 3
5.487 40.
045 44.
132 47
.753 51.
361 5
4.837 57.
925 60.
869 6

- 붙임 5 -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