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144

학술 논문 텍스트의 표지 분석

-국어학 학술 논문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 전공

박 지 순
감사의 글

길게만 느껴졌던 논문 학기를 마치면서 논문은 혼자 쓰는 것이 아니라던 선배님들


의 말을 실감합니다.자기 일처럼 걱정해 주시고 도와주신 많은 분들의 도움이 있었
기에 여기까지 올 수 있었습니다.
먼저 논문의 시작부터 끝까지 시종 진지함과 성실함으로 지도해주셨던 이희자 교수
님께 감사의 인사를 드립니다.길을 잃고 헤매고 있을 때조차 제게 보여 주신 선생님
의 믿음 덕분에 자신감을 가지고 무사히 논문을 마칠 수 있었습니다.바쁘신 와중에
도 미쳐 생각지도 못한 부분까지 꼼꼼하게 지적해 주셨던 전영옥 선생님과 넓은 안목
으로 비평과 격려를 아끼지 않으신 유현경 교수님께도 감사를 드립니다.세심한 논문
지도에 더해 선생님들로부터 연구에 임하는 학자로서의 성실함과 책임감,그리고 사
람을 대하는 진지한 자세를 배울 수 있었던 것은 앞으로의 제 인생에 큰 자산이 될
것입니다.
매학기 대학원 공부에 게을러지는 일이 없도록 독려해 주신 강승혜 선생님과 명강
의로 한국어 교육에 대한 보다 큰 비전을 주신 조항록 교수님,그리고 한국어 교육에
대한 열정과 신념을 몸소 보여 주신 백봉자 교수님께도 감사를 드립니다.그밖에 대
학원에서 가르침을 주셨던 많은 선생님들께도 감사의 인사를 전합니다.
함께 논문을 쓰면서 같이 고민하고 위로하고 격려해 준 동기 진경 언니에게도 고마
운 마음을 전하고 싶습니다.진경 언니가 없었다면 논문 쓰는 일이 얼마나 고되고 힘
들었을지 생각도 할 수 없습니다.논문 쓰기 전부터 멀리서 따뜻하게 격려해 준 임미
경 선배님과 한참 힘이 들 때 한 마디 위로로 힘을 준 소미 언니에게도 이 자리를 빌
어 감사의 인사를 전합니다.논문을 쓰는 동안 자기 일처럼 걱정해 주시고 배려해주
신 광운대학교 한국어 선생님들의 따뜻한 마음 역시 잊지 못할 것입니다.
마지막으로 언제나 제게 큰 힘과 의지가 되어 주신 사랑하는 부모님과 가족들이 아
니었다면 이 논문은 나올 수 없었을 겁니다.지면으로나마 제 사랑과 감사의 마음을
전합니다.그리고 제 모든 걸음을 아시며 항상 좋은 것만을 주시는 하나님의 사랑과
은혜를 기억하며 감사드립니다.

2005년 12월 박 지 순
차 례

국문초록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ⅳ

1.서 론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

1.
1.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

1.
2.분석 대상 및 방법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

1.
3.선행 연구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

2.텍 스 트 의 미 구 조 표 지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0

2.
1.텍스트 의미 구조 표지의 개념과 유형 ·
··
··
··
··
··
··
··
··
··
··
··
··
··
··
··
··
··
·10

2.
2.학술 논문의 텍스트 의미 구조 표지 ·
··
··
··
··
··
··
··
··
··
··
··
··
··
··
··
··
··
··
··
·16

3.학 술 논 문 텍 스 트 의 ‘
내 용 표 지 ’·
··
··
··
··
··
··
··
··
··
··
··
··
··
··
··
··
··
··
··
··
··
··
··
·23

3.
1.학술 논문의 일반적인 구조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4

3.
2.학술 논문의 내용 요소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6

3.
3.학술 논문의 ‘
내용 표지’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8

4.학 술 논 문 분 석 의 실 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0

4.
1.학술 논문의 텍스트 의미 구조 표지 분석 ·
··
··
··
··
··
··
··
··
··
··
··
··
··
·31

- i -
4.
2.학술 논문의 ‘
내용 표지’분석 ·
··
··
··
··
··
··
··
··
··
··
··
··
··
··
··
··
··
··
··
··
··
··
··
··
·41

4.
2.1.서론의 ‘
내용 표지’분석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2

1)‘
목적’표지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5

2)‘
동기’표지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7

3)‘
선행 연구’표지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8

4)‘
연구 자료’표지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3

5)‘
연구의 차례’표지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4

4.
2.2.본론의 ‘
내용 표지’분석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9

1)‘
문제제기’표지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71

2)‘
논의전개’표지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77

3)‘
소결론’표지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04

4.
2.3.결론의 ‘
내용 표지’분석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19

1)‘
요약’표지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20

2)‘
연구의 의의’표지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22

3)‘
한계점’표지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24

4)‘
후속과제’표지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25

5.결 론 및 제 언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28

참고문헌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30

ABSTRACT·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36

- ii -
표 차례

<표 1> 김봉순(


1996)
의 체계를 따른 관계 종류 규정 표지 ·
··
··
··
··
··
··
··
··
··
··
··
··
··
··
··
··
··
··
·13
<표 2> 학술 논문의 관계 종류 규정 표지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2
<표 3> 학술 논문의 내용 요소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7
<표 4> 학술 논문의 ‘
내용 표지’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9
<표 5> 학술 논문의 관계 종류 규정 표지 분석 수치 ·
··
··
··
··
··
··
··
··
··
··
··
··
··
··
··
··
··
··
··
··
··
··
··
·31
<표 6> 관계 종류 규정 표지 사용의 다양성과 생략 ·
··
··
··
··
··
··
··
··
··
··
··
··
··
··
··
··
··
··
··
··
··
··
··
··
·38
<표 7> 서론의 ‘
목적’표지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7
<표 8> 서론의 ‘
동기’표지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7
<표 9> 서론의 ‘
선행 연구’표지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8
<표 10> 서론의 ‘
연구 자료’표지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8
<표 11> 서론의 ‘
연구의 차례’표지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8
<표 12> ‘
예시’표지의 유형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79
<표 13> 본론의 ‘
문제제기’표지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15
<표 14> 본론의 ‘
예시’표지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15
<표 15> 본론의 ‘
인용’표지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16
<표 16> 본론의 ‘
용어 정의’표지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16
<표 17> 본론의 ‘
나열’표지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17
<표 18> 본론의 ‘
표 및 도표 읽기’표지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17
<표 19> 본론의 ‘
소결론’표지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18
<표 20> 결론의 표지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27

도표 차례

<도표 1> 서론의 관계 종류 규정 표지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2
<도표 2> 본론의 관계 종류 규정 표지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3
<도표 3> 결론의 관계 종류 규정 표지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4
<도표 4> 학술 논문의 관계 종류 규정 표지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5
<도표 5> 학술 논문의 관계 종류 규정 표지 사용의 다양성 ·
··
··
··
··
··
··
··
··
··
··
··
··
··
··
··
··
··
·39

- iii -
국 문 초 록

학술 논문 텍스트의 표지 분석
-국어학 학술 논문을 중심으로-

연 세 대 학 교 교 육 대 학 원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 전공

박 지 순

이 연구는 학술 논문 텍스트를 분석하여 학문 목적 한국어 교육에서의 읽기

와 쓰기 교육을 위한 기초 자료를 마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이를 위해

국어학 분야의 실제 학술 논문을 대상으로 내용 요소를 제외한 형식 요소 전

체를 추출하여 분석하였다.형식 요소로는 기존의 텍스트 분석에 관한 연구에

서 제시한 텍스트 의미 구조 표지를 간략히 살펴보았고,이 밖에 특정 텍스트

의 전형적인 내용을 나타내는 형식 요소로 ‘


내용 표지’
라는 개념을 설정하여

이를 분석하였다.

- iv -
텍스트 의미 구조 표지는 명제 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표지로서 텍스트 분석

에 관한 기존의 연구에서 텍스트 분석의 보편적인 틀로 제시되었으나 특정한

장르의 텍스트를 분석하는 데 한계가 있다.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명제 간의

관계 종류를 나타내는 관계 종류 규정 표지의 사용 양상만을 간략히 분석하였

는데,이는 관계 종류 규정 표지가 텍스트의 의미상 기본 단위인 명제의 연결

관계를 나타낸다는 점에서 학습자의 텍스트 이해와 생산에 필수적인 요소이기

때문이다.

내용 표지’
는 이 연구에서 설정한 새로운 개념으로서 특정한 장르의 텍스트

가 보이는 전형적인 내용을 언어로 표현한 형식 요소를 일컫는다.학술 논문

과 같이 그 형식상 전형성이 강한 텍스트 장르의 경우 장르적 특수성을 반영

할 수 있는 새로운 분석의 틀이 필요한데 ‘


내용 표지’
는 해당 장르의 실제 텍

스트를 분석하여 그 전형적인 내용 요소로부터 추출한 표지이기 때문에 특정

장르 텍스트의 분석틀로 적합하다.본 연구에서는 인문 과학 분야 학술 논문

텍스트의 서론,본론,결론에 나타나는 전형적인 내용 요소로부터 ‘


내용 표지’

의 체계를 세우고,이에 따라 실제 학술 논문 텍스트를 분석하여 ‘


내용 표지’

를 추출․유형화한 후 이를 예와 함께 제시하였다.

이 연구에서 분석한 학술 논문 텍스트의 ‘


내용 표지’
는 실제 학술 논문으로

부터 추출된 표지로 학술 논문에서의 한국어의 사용 양상을 여과 없이 보여준

다는 점에서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들의 학문적인 읽기와 쓰기 교육에 직접

적으로 활용이 가능한 교수․학습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핵심되는 말 : 텍스트 분석,학문 목적 한국어 교육,학술 논문,텍스트 의미 구조


표지,내용 표지

- v -
1.서 론

1.
1.연 구 의 필 요 성 및 목 적

최근 들어 우리나라 대학에 입학하는 외국인 유학생 수가 매년 증가하고 있

다.그러나 이들 외국인 유학생의 상당수가 학문 연구에 필요한 한국어 능력

을 갖추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고 있다.이런 사실을 반영하듯 고려대

학교 1학년에 재학 중인 외국인 및 재외 국민을 대상으로 한 김정숙(


2000)

조사에 의하면 68%에 해당하는 학생이 대학 수학이 불가능하다고 답하였으

며,이해영(
2003)
에서도 이화여자대학교 외국인 유학생의 20% 가량이 학습 매

개 언어인 한국어 숙달도가 문제가 되어 중도에서 유학생활을 포기하는 것으

로 나타났다.뿐만 아니라 한국 내 외국 유학생의 한국어 수준에 대한 노종희

(
2003)
의 조사 결과 한국 대학의 전체 유학생 중 한국어를 전혀 구사하지 못

하는 경우도 45.
1%에 이른다고 한다.

이 같은 상황은 국내 대학의 언어 교육 기관에서 한국어 교육이 실시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외국인 유학생을 위해 학문을 목적으로 하는 한국어 교육

은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음을 방증하는 것이다.실제로 대부분의 기관

에서 이루어지는 한국어 교육은 생활 언어 중심이므로 소정의 한국어 교육과

정을 이수한 경우에도 학업에는 어려움을 겪을 수밖에 없다.요컨대 외국인

유학생을 위한 학문 목적의 한국어 교육이 시급한 실정이다.

김정숙(
2000)
에서 실시된 조사에서는 학업에 어려움을 겪는 이유로 외국인

유학생의 50%가 학문적 텍스트에 대한 이해 부족을 꼽아 학문적 텍스트에 대

한 이해 부족이 학업의 성공을 좌우하는 것으로 나타났다.학문적 텍스트는

구조와 문체의 면에서 전형성이 강하기 때문에 이에 대한 이해 없이는 학문적

읽기와 쓰기 활동이 제대로 이루어지기 어려운 것이 사실이다.실제로 외국인

- 1 -
유학생들이 학업 중 많이 사용하는 언어 기능은 학문적 읽기이고,학업 중 가

장 필요하지만 어렵다고 느끼는 언어 기능은 학문적 쓰기인 것으로 나타났

다.
1) 읽기 기능을 많이 사용하게 되는 것은 일반적으로 교재를 비롯한 다양한

참고 서적을 읽음으로써 학문적인 지식을 받아들이기 때문인 것으로 보이며,

쓰기 기능의 필요도가 높게 나타난 것은 학업 중에 이루어지는 대부분의 평가

가 필기시험이나 보고서 작성 등 쓰기 활동을 통해 이루어지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외국인 유학생들이 한국의 대학에서 원활한 학업 활동을 하기 위해

서는 일반적인 한국어 능력과 더불어 학문적 텍스트에 대한 이해가 선행되어

야 한다.이를 위해서는 학문적 텍스트 자체에 대한 분석이 필요하다.

주지하다시피 학문적 텍스트에는 학문적 담화 공동체가 요구하는 특정한 형

식적,수사적 양식이 존재한다.김정숙(


2000)
에서는 특정한 담화 공동체의 담

화는 그 공동체에 속한 사람들이 모두 동의하는 특정한 전개 방식,가정과 상

투어,전문적인 어휘 등의 수사적 특질로 이루어지는,거기에 소속된 사람들이

이야기하는 방식이라고 하면서 학문적 담화 공동체에도 역시 이러한 방식이

존재한다고 하였다.김인규(
2003)역시 이와 같은 맥락에서 학문적인 텍스트는

사고를 표현하고 조직하는 글쓰기 활동이 정해진 틀에 따르기 때문에 학습자

는 이런 관습을 빨리 익히는 것이 중요하다는 점을 지적하였다.


2) 뿐만 아니라

박나리․조선경(
2003)
에서도 학문적 텍스트는 어휘와 표현,그리고 담화 구조

1) 전수정(2004)에서는 한국 내의 대학에 입학하여 학업 중에 있는 재외 국민을 포함한 순수 외국인 유


학생 126 명을 대상으로 학문 목적 읽기 교육을 위한 한국어 학습자의 요구 분석을 실시하였는데 조
사 결과 학업에서 많이 사용하는 언어 기능으로 읽기>듣기>쓰기>말하기, 학업에서 어려운 언어 기능
으로는 쓰기>읽기>말하기>듣기의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김정숙(2000)에서 조사한 바에 의하면 학업에 가장 필요한 언어 기술로 28.5%의 유학생들이 쓰
기 기술을 꼽아 쓰기 기술이 학업 활동에서 가장 필요한 기술로 나타났다. 뿐만 아니라 학업을 위해
향상시켜야 할 기술 중 쓰기가 30.6%로 가장 높은 수치를 보여 학습자들 스스로도 쓰기 활동의 중요
성을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 김인규(2003)는 학습자가 자신의 전공 분야에서 통용되는 텍스트를 산출해야 하기 때문에 학문 목적
쓰기가 대부분 결과 중심 쓰기를 지향한다는 점을 지적하기도 하였다.

- 2 -
의 면에서 여타의 텍스트보다 훨씬 더 전형적이라고 밝힌 바 있으며 3),이해영

(
2000)
에서 역시 특정한 담화 공동체의 담화는 그 공동체에 속한 사람들이 모

두 동의하는 특정한 전개방식과 수사적 특질이 있음을 지적하면서 학문적 목

적의 학습자들이 학문적 담화 공동체의 의사소통 기제에 익숙해질 필요가 있

음을 역설하고 있다.이처럼 외국인 유학생들의 성공적인 학업 활동을 위해서

는 자기 분야의 학문적 텍스트의 특정한 양식에 익숙해지는 것이 필요한데 이

를 위해서는 학문적 텍스트가 교육 자료로 활용되어야 한다.그런데 이것은

학문적 텍스트의 담화 유형 및 구조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고서는 불가

능한 일이다.

이러한 필요에 따라 이 논문에서는 실제 학술 논문을 분석하여 학술 논문


텍스트의 전형적인 형식 요소를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학술 논문 텍스
트의 구조와 형식은 전공 분야마다 차이가 있으므로 분석 대상은 특정한 분야
의 학술 논문으로 한정하기로 한다.분석을 통해 본고에서 밝히려고 하는 것
은 다음과 같은 것들로서 우선 본고에서는 기존의 다른 연구들에서 텍스트의
명제 간 연결 관계를 나타내는 형식 요소로 밝혀진 텍스트 의미 구조 표지의
사용 양상을 분석하여 학술 논문 텍스트에서의 명제 간 연결 관계를 알아 보
고자 한다.다음으로 특정 분야 학술 논문의 일반적인 구조를 규명하여 이로
부터 해당 장르에 속하는 텍스트의 전형적인 형식 요소를 추출하고 그 체계와
유형을를 밝히려고 한다.이와 같은 분석을 통해 학술 논문 텍스트의 전형적
인 형식 요소를 밝힌다면 외국인 유학생들의 학문적 읽기와 쓰기 활동에 유용
한 참고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3) 박나리ㆍ조선경(2003)은 텍스트를 생산할 때 어떤 단어와 표현을 고르고 어떤 담화 구조로 이들을 응


집성 있게 구성할까 하는 것은 화자의 개성적인 특징에 의해서도 좌우되지만, 외부적으로는 말하려고
하는 것 또는 쓰려고 하는 것이 어떤 텍스트 장르에 속하는가에 따라 결정된다고 하였다. 이에 따르면
초급 학습자나 해외 교포 자녀들이 일상 대화 표현을 발표 현장과 같은 공식적인 장면에서 그대로 사
용하는 것이나 쓰기 활동을 할 때 구어를 그대로 사용하는 것 등은 텍스트 장르에 대한 이해가 없기
때문에 발생하는 오류이다. 학문적 텍스트 장르는 특히 일반적인 텍스트 장르에 비해 그 어휘나 표현
및 담화 구조가 전문적이고 전형화되어 있기 때문에 학문적 목적의 학습자들에게 이의 학습이 절실히
요구된다고 역설한 바 있다.

- 3 -
1.
2.분 석 대 상 및 방 법

이 연구는 학술 논문 텍스트를 분석하여 학문 목적 한국어 교육에서의 읽기

와 쓰기 교육을 위한 기초 자료를 마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이를 위해

실제 학술 논문에서 내용 요소를 제외한 형식 요소 전체를 뽑아내어 이를 대

상으로 귀납적인 연구를 실시하였다.

본고의 분석 자료는 여러 분야의 학술 논문 4) 중 국어학 분야 5)의 논문으로

한정하여 학계에서 고빈도로 인용되는 저자 8인의 논문을 선정하였다.이 논

문들은 학술 논문의 전형적인 양식을 지녔으며,담화 구조가 명료하다고 판단

되는 논문들로 주 검증 대상을 네 편으로 하여 분석하였고,다른 네 편을 검

토 대상으로 삼아 분석결과를 검증하였다.주 검증 대상이 된 학술 논문들은

다음과 같다.

․남기심(
1982)
,“국어의 공시적 기술과 형태소의 분석”
,『배달말』7,배달말학회.

․송철의(
1998)
,“외래어의 순화 방안과 수용 대책”
,『새국어생활』8-2,국립국어연구원.

․장경희(
1986)
,“언어의 형식이 지니는 개념적 의미와 정보”
,『언어』11,한국언어학회.

․홍재성(
1998)
,“동사․형용사의 사전적 처리”
,『새국어생활』8-1,국립국어연구원.

그리고 네 편의 검토대상 학술 논문은 다음과 같다.

․이은희(
2002)
,“국어교육과 광고텍스트”
,『이중언어학』20,이중언어학회.

․신지연(
2001)
,“감탄사의 의미 구조”
,『한국어 의미학』8,한국어의미학회.

․최호철(
1995)
,“국어의 문법 단위와 문법 교육”
,『어문논집』34,민족어문학회.

․임지룡(
1997)
,“21세기 국어어휘의미연구의 방향”
,『한국어 의미학』1,한국어의미학회.

4) 3장에서도 언급하였지만 본고에서 학술 논문이라 함은 학위 논문을 제외한 연구 논문만을 일컫는 제


한된 개념으로 사용하기로 한다.
5) 학술 논문은 세부 전공 영역 별로 그 구조와 수사적인 특질이 다르므로 각 전공 영역 별로 별도의 분
석이 이루어져야 하지만 현재와 같이 관련 연구의 초기 단계에서는 어떤 분야에 대한 연구이든 그것
자체에 큰 의미는 없다. 본고에서 국어학 분야의 논문을 분석 대상으로 삼은 것은 필자에게 비교적 익
숙한 영역이라는 점 때문이다.

- 4 -
위의 분석 대상 텍스트로부터 추출해 낸 형식 요소는 크게 두 가지로 나누

어 볼 수 있다.첫 번째는 텍스트 의미 구조 표지로서 명제와 명제의 의미 관

계를 나타내는 형식 요소이며,두 번째는 텍스트 안에서 특정한 내용을 나타

내는 표지인데 이를 본 연구에서는 ‘
내용 표지’
라 부르기로 한다.텍스트 의미

구조 표지가 텍스트의 특정한 의미 구조를 나타내는 형식 요소인 것과 마찬가

지로 ‘
내용 표지’
는 ‘
목적’
,‘인용’등 텍스트의 특정한 내용 요소를 나타내는

형식 요소이다.‘
내용 표지’
는 명제 간의 단편적인 연결 관계를 드러내는 것에

서 더 나아가 학술 논문 텍스트의 형식상 기본 틀을 이루고 있으며 ‘


내용 표

지’안에 텍스트 의미 구조 표지가 산발적으로 분포하기 때문에 본 연구의 주

된 관심은 ‘
내용 표지’
의 분석에 있다.

텍스트 의미 구조 표지는 김봉순(


1996)
으로 대표되는 기존의 분류 체계를

참고로 하여 본고의 2장에서 학술 논문 텍스트의 분석에 적합하도록 분류를

보다 세분화하였다.기존의 분류 체계는 설명적인 글을 대상으로 한 것이므로

학술 논문과 같은 논증적인 텍스트의 명제 간 의미 관계를 나타내기에 적합하

지 않기 때문이다.특히 명제 간 의미 관계의 종류를 나타내는 관계 종류 규

정 표지의 경우에는 본고에서 제시한 분류 체계에 따라(


<표 2> 참고)실제

텍스트를 분석하였는데 서론,본론,결론별로 관계 종류 규정 표지의 사용 빈

도를 분석한 후에 표지 사용의 다양성과 생략 빈도를 살펴보았다.


내용 표지’
의 분석은 우선 학술 논문의 서론,본론,결론에 자주 등장하는

내용 요소를 선정한 후에 6),분석 대상 논문에서 각각의 내용 요소를 나타내는


내용 표지’를 추출하였다.추출된 ‘
7) 내용 표지’
는 그 특성에 따라 유형화하여

각 유형에 해당하는 대표적인 예문과 함께 제시하였다.

6) 학술 논문 텍스트의 내용 요소는 본고의 3장에 제시된 <표 3> 참고.


7) 학술 논문 텍스트의 ‘내용 표지’ 체계는 본고의 3장에 제시된 <표 4> 참고.

- 5 -
1.
3.선 행 연 구

학문적 목적의 한국어 교육을 위한 한국어 텍스트 분석의 선행 연구는 크게

두 분야로 나누어질 수 있다.첫 번째는 학문적 목적의 한국어 교육에 관한

연구이고,두 번째는 한국어 텍스트 분석에 관한 연구이다.

우선,학문 목적 한국어 교육에 관한 연구로는 교육과정과 교재개발에 관한

연구로 이해영(
2000,2001,2004)
와 김정숙(
2000)
,김인규(
2003)
,박나리ㆍ 조선

경(
2003)
,이덕희(
2003)등이 있으며,읽기와 쓰기에서의 구체적인 교육 방안에

관한 연구로 전수정(
2004)
,용재은(
2004)
,이준호(
2005)등이 있다.

이해영(
2000)
에서는 학문 연구를 위한 한국어 교육 교수요목을 주제,언어구

조,학습활동,기술의 네 가지 영역으로 구성할 것을 제안하였다.이 중 언어

구조 영역의 하위 분야로 어휘,문법 및 문체를 제시하였는데,이 연구는 구체

적으로 문법 및 문체를 검토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즉,5개 학문 영역에

나타난 문법 및 문체적 특성을 밝히면서 외국인 유학생들이 자신의 전공 영역

에 관련된 자료를 선택하여 주제 관련 문법과 문체를 집중적으로 학습해야 함

을 역설하였다.그러나 검토 자료가 학문적 서적에 한정되었다는 점,문법 및

문체가 구체적으로 분류되지 않은 점은 아쉬움으로 남는다.

이해영(
2001,2004)
에서는 주제 중심 교육 과정을 제안하면서 교과 구성 방

안의 하나로 학문적인 내용의 실제 자료를 다룰 것을 주장하였다.특히 특정

한 장르의 텍스트는 어휘,문법,관용어,구조의 면에서 다른 장르와 차이를

보이므로 학습자들이 이에 익숙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읽기와 쓰기 활동에

효과적임을 역설하였다.

- 6 -
김정숙(
2000)
은 학습자 요구 조사가 교육 과정 개발에 적용되어야 하며 학

문적 텍스트에 대한 담화 분석이 필요함을 주장하였다.이에 따라 요구 분석

을 통해 학문 활동에 필요한 언어 기술 및 기능에 대한 학습자들의 필요를 분

석하였으며,학문적 텍스트의 유형과 수사적 특질을 개괄적으로 보여주고 있

다.이 연구는 실제 자료를 분석한 결과를 바탕으로 한국어 교육이 이루어져

야 하며 그 방향이 어떠해야 함을 시사하였다는 점에서 의미 있는 연구라 하

겠다.

김인규(
2003)
는 요구분석을 중심으로 학문 목적의 한국어 교육의 교수요목

에 대한 설계를 제안하였는데 실제에 적용하기에는 너무 한정적이라는 점에서

아쉬움이 있다.한편 박나리ㆍ조선경(


2003)
은 학문적 목적을 가진 한국어 학습

자를 위한 교육과정의 기본 단계가 되는 교재 개발의 원리와 그 구체적인 적

용을 제안하였다. 여기에서는 학문적 목적의 언어 교육과정을

CBI
(Cont
ent
-Base
dIns
truct
ion)
원리에 따라야 한다고 보고,주제를 학문영역

별로 구분․선발한 후 CBI
의 원리를 반영한 실제 교재 단원 구성의 예를 제

시하였다.학문적 텍스트를 선정해야 할 필요성은 설득력 있게 보여주었지만,

학문적 텍스트의 장르를 문어와 구어의 전 영역을 망라한 거시적인 것으로 구

분하였다는 점이 제한점으로 남는다.학문적 텍스트의 구분은 이에서 더 세분

화되어야 한다.

학문 목적 읽기와 쓰기 교육 방안에 대한 연구는 전수정(


2004)
에서 학습자

요구 조사를 통해 학문적 읽기의 중요성을 밝힌 바 있으며,이를 바탕으로 읽

기 자료를 선정하고 읽기 전략을 제시하는 등 읽기 교육 방안을 제안하였다.

그런데 여기서도 학문적 텍스트의 수사구조에 대한 본격적인 분석의 필요성이

제기되었음은 주목할 필요가 있다.

- 7 -
또한 용재은(
2004)
은 구체적인 학술 논문 텍스트를 분석하여 학술 논문 텍

스트의 특질을 밝혀 이를 활용한 읽기와 쓰기 교육 방안까지 제시하였는데 실

제 텍스트를 분석한 결과를 바탕으로 하였다는 점에서 상당한 의의가 있다 하

겠다.그러나 분석 자료를 전공 별로 분류하여 분석이 이루어지지 않아 전공

영역 별로 문체 및 수사적 특질에 차이가 있음을 반영하지 못한 점이 아쉽다.

이준호(
2005)
에서는 학문 목적의 쓰기 교육과정 개발의 모형을 제시하였는

데 학문적 쓰기 중 보고서 쓰기에 초점을 두어 보고서의 구성,내용 요소 등

을 분석하였고,이를 바탕으로 쓰기 교육과정의 모형을 제안하였다.

이처럼 학문 목적의 한국어 교육에 관한 연구는 그 필요에 의해 최근에 많

이 연구되고 있으나 그 관심이 주로 교육 과정 개발에 집중되어 있다고 볼 수

있다.개별적 교육 방안에 대한 연구는 그다지 많지 않고,이들마저도 실제 텍

스트의 분석을 토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한국어 교육 분야에서 아직까지 텍스

트 분석에 관한 관심은 미미한 실정이다.

한국어 텍스트의 분석에 관한 연구는 크게 텍스트의 결속구조와 결속성에

관한 연구와 장르별 텍스트의 분석에 관한 연구로 나누어 볼 수 있다.텍스트

의 결속구조와 결속성에 관한 연구로는 황미향(


1998)
과 이희자(
2004)
의 텍스트

의 주제부-설명부에 관한 연구,그리고 남승호(


1985)
,이현우(
1986)
,김영희

(
1987)
,신지연(
2003)
,이은희(
1993)
의 접속에 관한 연구가 있고,생략에 대한

연구로는 김형정(
2002)
,노은희(
1999a,1999b)
,김희선(
1994)
,반복에 관한 연구

로는 전영옥(
1999)등이 있다.그리고 텍스트 의미 구조 표지에 관한 연구로

김봉순(
1996)
과 박진용(
1997)
을 들 수 있다.

장르별 텍스트 분석에 관한 연구로는 한국어의 전체 담화를 대상으로 한 강

범모(
1999)
의 연구와,설명적 텍스트를 분석한 임경대(
2002)
와 이삼형(
1993)

- 8 -
연구,그리고 논증적 텍스트를 분석한 조윤금(
1999)
,조영돈(
2002)
,서성교

(
2003)
,민병곤(
2003)
,김성환(
1999)
의 연구 등이 있다.이 밖에도 구체적인 텍

스트의 개별 장르에 관한 분석으로 일간지 사설 텍스트를 분석한 민병곤

(
2000)
의 연구가 있고,공지문 텍스트를 분석한 이은경(
2003)
,판결문 텍스트를

분석한 김광해(
2000)
,서평을 분석한 박여성(
1996)
,전자 편지 텍스트를 분석한

이정복(
2002)
의 연구가 있다.또한 한국인과 영어 원어민의 자기소개서를 분석

한 김정연(
1997)
,한국과 미국의 영문초록을 분석한 김경숙(
2000)
의 연구가 있

다.그러나 아직까지 학술 논문 텍스트 전반에 대한 분석은 이루어진 것이 없

다.강범모(
1999)
에서 한국어의 담화 장르를 22가지 기준에 따라 분석하여 각

장르별 특징을 계량적으로 규명한 바 있으나 석․박사 논문의 경우 전공별,

연구 방법 별로 학술 논문의 구조 및 수사적인 특질이 달라지기 때문에 각 전

공 영역별로 세분되어야 함에도 하위분류되지 않았다는 문제가 있다.

본 연구는 실제 학술 논문 텍스트를 대상으로 분석을 시도하였다는 점에서

학술 논문 텍스트의 구조와 특징을 분석한 용재은(


2004)
의 연구의 연장선상에

있다.그러나 용재은(
2004)
이 여러 분야의 학술 논문을 별도로 구분하지 않고

분석한 반면 본고는 국어학이라는 특정한 영역으로 분석 대상을 한정하여 특

정 전공 분야의 학술 논문의 특징을 밝히려 한다.

- 9 -
2.텍 스 트 의 미 구 조 표 지

2.
1.텍 스 트 의 미 구 조 표 지 의 개 념 과 유 형

텍스트 언어학 이론에 의하면 텍스트는 통일되고 완결된 사고를 담은 하나


이상의 문장으로 이루어진 문자 언어의 형식으로 정의된다.
8) 이러한 정의에

따르면 텍스트는 일종의 언어 형식으로,어휘와 문장과 같은 언어 형식이 각


각 개념과 명제를 그 의미로 갖는 것과 마찬가지로 의미를 갖는다고 할 수 있
다.텍스트를 이루는 것은 문장이므로 텍스트의 의미 역시 문장의 의미인 명
제들의 연결로 볼 수 있다.이 때 명제들의 연결은 결속적이고 완결된 방식으
로 이루어진다.즉,텍스트라는 언어 형식에 대응되는 의미는 명제들의 결속적
인 연결 구조인데 이것이 ‘
텍스트 의미 구조’
이다.이런 사실은 Ki
nst
ch(
1974)
와 Fr
ede
rikse
n(1975)
,Me
yer
(1975)
의 연구에서 텍스트를 분석한 결과와 텍스
트를 읽은 독자의 기억 내용을 검사한 결과가 일치했다는 점으로 확인된 바
있다.
텍스트는 내용 명제를 표현한 언어 요소와 내용 명제들 간의 관계를 표현한
언어 요소로 이루어져 있는데 후자를 ‘
텍스트 의미 구조 표지’라 한다.내용
9)

명제는 의미 구조에 새로운 내용을 첨가하지만,내용 명제들 간의 관계를 표


현한 언어 요소인 ‘
텍스트 의미 구조 표지’
는 텍스트의 의미 구조에 새로운 내
용을 더하지 않고 구조적 정보 10)만을 나타내는 일종의 틀(
frame
)이라고 할 수
있다.

8) 김봉순(1996) 참고.
9) 이 같은 요소를 Turner&Greene(1997)은 ‘연결사(connective)’, Kieras(1985)과 Meyer(1985)는 ‘신
호어(signaling)’라고 하였으나 여기서는 김봉순(1996)의 정의에 따라 ‘텍스트 의미 구조 표지’라는 용
어를 사용하기로 한다.
10) Frederikswn(1975)은 내용 명제를 ‘개념적 정보(conceptual information)’, 내용 명제들 간의 관계를
표현한 언어 요소를 ‘구조적 정보(structural information)’이라고 하였다. 김봉순(1996) 참조.

- 10 -
김봉순(
1996)
의 분류에 따르면 텍스트 의미 구조 표지는 크게 세 가지로 나
뉜다.첫 번째는 관계 대상 지정 표지로 관계가 성립하는 대상 명제들을 명시
적으로 지적하여 관계 성립 지점을 드러내 주는 표지이다.관계 대상 지정 표
지는 다시 지시형․제시형․반복형으로 나뉘는데,지시형은 명제의 위치나 방
향․순서를 지시하는 것을 통해,제시형은 관계 대상 명제의 개수로,반복형은
대상 명제의 표현을 반복함으로써 관계가 성립하는 지점을 나타내 준다.반복
형 표지는 명제를 옮겨 쓴 방법에 따라 다시 세 가지로 나뉘는데 전체 명제를
옮겨 쓴 경우는 ‘
전체 반복형’
,명제의 일부인 대표 개념만을 반복한 경우에는

부분 반복형’
,유사한 명제로 바꾸어 쓴 경우는 ‘
유사 반복형’
이라 한다.다음
은 각각의 표지가 사용된 예를 제시한 것으로 표지는 굵은 글씨체와 밑줄로
표시하였다.

[지시형 표지의 예]

(1) 그것이 사실이라면, 이들 네 가지 ‘는’을 하나의 형태소로 묶어야 할텐데 앞서 말


한 바와 같이 이들 각각의 변이형의 분포가 일치하지 않아 합리적으로 묶어지기
가 힘들다. (남기심, 1982)

(2) 앞에서 지적한 바와 같이 서로는 기본적으로 헤어지다나 믿다와 같은 동사구문에서


상호적 관계나 상황을 표현하는 상호사로 기능하는데, 어휘 범주로 보면 대명사적 성
격 기존 기술에서는 명사로 기술되어 있다과 부사적 성격을 아울러 갖고 있는 이중
범주적 또는 다범주적 어휘이다. (홍재성, 1998)

[제시형 표지의 예]

(3) 이 글에서는 두 가지 사실을 주장하려고 한다. 첫째는 언어의 형식에 대응되는


내용면이 개념적 의미와 정보로 구분되며 이들 사이에는 계층관계가 존재한다는
사실이고, 둘째는 개념적 의미와 정보는 세계와 관련되기는 하지만 세계와 독립되
어 별개의 실체로 존재하며 언어의 의미 설명에서는 개념적 의미와 정보가 직접
적인 대상이 되어야 한다는 사실이다.

(4) 앞에서 잠시 언급한 구문 사이의 규칙적 대응과 관련하여 여러 가지 제안하고 싶은


점이 있으나, 다음의 두 가지만
가지 지적해 둔다. (홍재성, 1998)

- 11 -
[반복형 표지의 예]11)

(5) 난파된 유조선에서 기름이 해양으로 유출되는 데에 고민이 있다. 기름 유출의 결


과로 환경 오염이 야기된다. 유조선 난파로 인한 환경 오염의
오염 한 에는 1970년 스
페인 근해에서 일어난 유조선 난파 사건에서 볼 수 있다. <전체반복형>

(6) 언어학자 카츠는 논리적 언어분석과 철학적 언어분석을 모두 반대하면서 그의 제


3의 단계를 뚜렷하게 주장하고 있다. 카츠뿐만
카츠 아니라 최근 하나의 유형처럼 되
어 있는 구조주의를 내세우는 레비스트로스도 보편적인 언어체계의 법칙을 찾기
위해서 의식적인 언어현상의 표면현상에서 그의 무의식적인 심층구조에로 연역해
들어가려 하고 있다. <부분반복형>

(7) 문화미란 그림의 아름다움을 아름다움으로 받아들이게 하는 그 시대의 문화적 조


건이 작용함으로써 아름다움을 발하는 것이다. 이러한 시대의 미관이 작용하는 아
름다움은,
름다움 그림이 아주 실물에 가까워서 어느 시대에 감상되더라도 아름답다는 인
상을 받을 수 있는 자연미와 구별된다. <유사반복형>

두 번째는 관계 종류 규정 표지로서 명제들 간에 성립하는 관계의 종류를


드러내 주는 표지이다.관계 종류 규정 표지는 명제들 간에 성립하는 관계의
종류에 따라 포함 관계를 나타내는 것으로 핵심-부가 관계 표지가,대등 관계
를 나타내는 것으로 ‘
원소-원소’
,‘대응점-대응점’
,‘원인-결과’
,‘문제-해결’관
계 표지의 다섯 가지가 있다.
12) 각 표지는 이에서 더 세분화되어 ‘
핵심-부가’
표지로 핵심 관계를 나타내는 포괄․선호 표지,부가 관계를 나타내는 상세
화․예시․등가 표지가 있고,‘
원소-원소’표지에는 나열 표지와 순서 제시 표
지가 있으며 ‘
대응점-대응점’표지에 대응․공통․차이 표지가,‘
원인-결과’


문제-해결’표지는 각각 원인 표지와 결과 표지,문제 표지와 해결 표지가 있
다.

11) 김봉순(1996)에서 예문 인용
12) 이러한 관계 설정은 설명적인 글을 분석 대상으로 한 김봉순(1996)의 체계를 따른 것으로 김봉순은
Meyer(1985)의 분석법을 기반으로 하고 있다. Meyer 역시 설명적인 글을 대상으로 하였는데 그는
명제들의 관계를 집합(collection), 인과(causall), 반응(문제-해결, response), 비교(comparison), 상
술(description)의 다섯 가지로 정리하였다.

- 12 -
<표 1> 김봉순(
1996)
의 체계를 따른 관계 종류 규정 표지 13)
유형 개 념 어 14) 연 결 어 15)
포함,종합.-도 -에 포함된다,-으로 집약된다,-을 종합
포괄성 -
하면

심 핵심,요약,중요,관점,초점,입장,나는 -라고 단언한다/
선 호 성 믿는다/생각한다/
주장한다/제안한다,-이 중요한 것이라고 -
생각한다

심 속성,특성,성격,속하다,구체적으로 말하다,상세히 말하
| 상 세 화 다,엄격히 말하다,사실 .-의 속성은 -이다,-한 특성을 갖 -
부 는다,-도 -에 속한다,구체적으로 말하면

부 예,예증,보기,따위,예를 들면,-은 -에 대한 예증이다,예컨대, 가령, 이를테
예시
가 보기들 들면,-따위가 있다 면,
이른바,소위
바꿔 말하다,다시 말하다,간단히 말하다,말을 바꾸다,뒤
즉,곧,말하자면,요컨
등 가 성 집어서 생각하다,요약하다,단적으로 말하여,쉽게 말해,

말을 바꾸면,요약하다
나열,열거,분류,차례로 들다,더하다,이외,동시,계속하 그리고,또,또한,뿐만
다.나열하면 다음과 같다,아래와 같이 열거할 수 있다,- 아니라, 게다가, 아울
원 나열
소 으로 분류된다,차례로 들어보면,이외에도,그 밖에,동시 러, 나아가서, 더구나,
| 에 더욱이,기타,및

소 첫째,둘째,셋째,넷째,또 하나,다른 하나,나머지 하나.
순서 우선,먼저,다음으로,끝으로,마지막으로,하나는,그리고 -
다른 하나는
비교,대비,비유,대응,비하다,-과 비교하면,비교된다,비
대응성 -
교 관계가 성립한다,비유컨대,-와 대응한다,-에 비하여

공통,공유,동일,유사,비근,마찬가지,같다,닮다,비슷하

다,-와 -는 공통점이 있다,-에 공유되는 것이 있다,-도 마치,-듯이,-와 같이,
점 공통성
동일하다,비근한 일로,-와 -는 유사하다,-도 마찬가지이 -처럼

다,-와 -는 같다

응 차이,구별,상이,반대,대신,대조,이론,예외,다르다,반
점 그러나, 하지만, 반면
하다,아니다,-와 -는 차이가 있다,-와 -은 서로 구별이
차이성 에,그럼에도 불구하고,
된다,-와 -은 상이하다,-와 반대로,-대신에,-에 반하여,
이와 달리
-이 아니라
원인,까닭,예증,근거,덕분,탓,기인,야기되다,인하다.- - 때문에,왜냐하면,-
원인성
원 에 기인하여,-에서 야기되어,따지고 보면 에 의하여,-하기에
인 따라서,그러므로,그래
| 서, 그리하여, 그러니
결 결과,결론,귀결,결정,야기하다.결과는 -이다,결론부터
결과성 까, 그러면, 그렇다면,
과 말하면,-으로 귀결된다,-을 야기한다
그러다 보니,결국,마
침내
문제,의문,논점,과제,쟁점,목적,해결이 필요하다,해결
문 을 해야 한다,문제는 -이다,-한 의문점이 있다,논점은 - -을 위하여,-도록,-
문제성
제 이다,당면 과제는 -이다,-이 쟁점이다,-한 목적으로,- 에 대하여
| 에 대한 해결이 필요하다
해 해결,대안,대책,방안,풀다,대안이 필요하다,대안은 -해
결 해결성 야 한다.해결책으로 -한 대안이 있다/
대책을 세울 수 있다 -
/
방안을 제시한다/대안이 있어야 한다

13) 이 표는 설명적인 글을 대상으로 한 김봉순(1996)의 분류를 따른 것으로 학술 논문의 경우는 <표


2>를 참고할 것.
14) 개념어는 특정 개념을 지시하는 어휘나 구로서 여러 형태로 활용하는 것을 일컫는다.(김봉순, 1996)
15) 연결어는 두 대상의 연결을 본래 기능으로 하는 비개념적인 어휘소 또는 구로서 접속 부사, 문장 부
사, 연결어미, 조사를 일컫는다.(김봉순, 1996)

- 13 -
세 번째는 구조 개관 표지인데 텍스트의 구조 전반을 드러내 텍스트의 구조
전체를 개관할 수 있게 하는 표지이다.구조 개관 표지는 대상 명제들에 대한
정보와 명제들이 이루는 관계의 종류에 대한 정보,그리고 상․하위 명제에
대한 정보를 모두 드러내야 한다.또한 구조 개관 표지는 구조를 드러내주는
표지이기 때문에 새로운 내용을 더하는 것이어서는 안 되고,텍스트의 다른
부분의 의미 구조를 반복한 것이어야 한다.구조 개관 표지의 언어 형식은 이
표지가 관계 대상 명제와 명제들의 관계 종류에 대한 정보를 담고 있기 때문
에 기본적으로 이들 표지의 형식을 따르는데 정보의 구체성 정도에 따라 다시
단순지시형․제시형․반복형으로 나뉜다.

(8) 따라서 여기서는 외래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각 주체들이 해야 할 일들을


제시해 보기로 하겠다. (송철의, 1998) <단순 지시형>

(9) 이상은 현대 국어 서울 방언을 대상으로 하여 그것의 공시적인 구조 기술을


목표로 했을 때의 분석이다. (남기심, 1982) <단순 지시형>

(10) 이와 관련하여 낱말의 의미에 대해서는 다음 세 가지의 주된 관점이 있다. (임


지룡, 1997) <제시형>

(11) 국어교육에서 생산의 입장에서 광고를 바라보아야 할 필요성은 두 가지 방향에


서 생각할 수 있다. (이은희, 2002) <제시형>

단순지시형은 위의 (
8)과 (
9)와 같이 구조를 직접적으로 제시하는 역할을 하
며,제시형은 (
10)
과 (
11)
의 예문에서처럼 직접적으로 개수를 제시하여 구조를
밝히는 것이다.
한편 반복형은 명제의 내용을 반복 표현하여 구조를 밝혀주는 것인데 관계
대상 지정 표지의 반복형과 마찬가지로 반복의 정도에 따라 ‘
부분 반복형’


전체 반복형’
으로 나뉜다.‘
부분 반복형’
은 명제를 대표하는 개념을 사용하여
상․하위 명제를 밝힌 것이고,‘
전체 반복형’
은 명제를 모두 옮겨 온 것이다.

- 14 -
지금까지 살펴 본 것은 김봉순(
1996)
의 분류에 의한 텍스트 의미 구조 표지
의 분류로서 이에 따르면 텍스트 의미 구조 표지는 크게 관계 대상 지정 표지
와 관계 종류 규정 표지 그리고 구조 개관 표지의 세 가지가 있다.관계 대상
지정 표지는 관계가 성립하는 명제들의 위치를 지정해주는 표지로서 형태에
따라 지시형 표지․제시형 표지․반복형 표지가 있으며,관계 종류 규정 표지
는 명제들이 이루는 관계의 종류에 따라 ‘
핵심-부가’
,‘원소-원소’
,‘대응-대응’
,

원인-결과’
,‘문제-해결’
의 다섯 가지의 유형으로 분류된다.이 때 각각의 유형
은 또 다시 ‘
핵심-부가’
의 핵심 관계로 포괄․선호 표지,‘
원소-원소’관계에는
나열․순서 제시 표지,‘
대응-대응’관계에 속하는 표지로는 대응․공통․차이
관계 표지,‘
원인-결과’
와 ‘
문제-해결’관계에 속하는 표지로는 각각 원인 표지
와 결과 표지 그리고 문제 표지와 해결 표지가 있다.마지막으로 구조 개관
표지는 텍스트의 구조 전반을 드러내주는 표지로서 역시 지시형․제시형․반
복형으로 나뉘는데 지시형 표지는 텍스트의 구조를 직접적으로 드러내 주며
제시형 표지는 관계 대상 지정 표지의 제시형과 마찬가지로 명제의 개수를 제
시하여 상․하위 명제를 드러낸다.반복형은 반복의 정도에 따라 부분 반복형
과 전체 반복형 표지로 나뉜다.관계 대상 지정 표지와 마찬가지로 명제를 대
표하는 개념을 사용하는 것이 부분 반복형이고 전체 명제를 그대로 옮긴 것이
전체 반복형이다.

- 15 -
2.
2.학 술 논 문 의 텍 스 트 의 미 구 조 표 지

텍스트 의미 구조 표지에 대한 기존의 이론은 김봉순(


1996)
으로 대표되는
데 실제 학술 논문 텍스트를 대상으로 한 분석에서는 기존의 분류 체계를 좀
더 세분화하거나 추가할 필요가 있었다.
먼저,관계 대상 지정 표지 중 관계가 성립하는 명제의 위치를 지정하는 지
시형 표지의 경우 지시하는 명제의 위치가 해당 지점에 선행하는가 후행하는
가에 따라 ‘
전방 지시’표지와 ‘
후방 지시’표지,그리고 명제의 위치를 상세하
게 지시한 ‘
구체적 지시’표지의 세 가지로 분류가 가능하다.
각각의 경우를 자세히 살펴보면 ‘
전방 지시’표지의 경우 다음의 예에서 볼
수 있듯이,‘
이상’
,‘앞’등의 표현으로 실현된다.

(12) 이상에서 살펴 본 외국어의 사용도 문제지만 외래어의 사용비율이 너무 높다


는 것도 문제이다. (송철의, 1998)

(13) 앞에서도 논의한 바와 같이 광고는 분명히 우리의 삶 속에 뿌리깊이 박혀 있다.


(이은희, 2002)

(14) 이상은 현대 국어 서울 방언을 대상으로 하여 그것의 공시적인 구조 기술을


목표로 했을 때의 분석이다. (남기심, 1982)

위의 (
12)
에서 ‘
이상에서 살펴 본 외국어의 사용’
은 문제가 되는 외국어의
사용의 실례를 제시하고 그것이 문제가 되는 이유를 서술한 선행 명제의 위치
를 지적하고 있다.이 때 선행 명제와 표지가 사용된 해당 명제는 원소-원소
(
나열)
관계에 있으며 지시되는 명제는 한 개의 명제가 아니라 관련 명제들이
하나의 의미 구조를 이루고 있는 보다 큰 단위로서의 명제이다.(
13)
의 경우도
마찬가지로 ‘
광고가 우리 삶 속에 뿌리 깊이 박혀 있다’
는 명제와 핵심-부가
(
등가)관계에 있는 명제가 앞서 논의된 즉,전방에 위치하는 일련의 명제들임
을 ‘
앞서 논의된 바와 같이’
라는 표지를 사용하여 지적하고 있다.(
14)
의 ‘
이상

- 16 -
은’은 앞선 논의 전체를 가리키는 표지로 해당 표지가 사용된 명제가 앞선
논의 전체에 대한 요약 즉,앞선 논의와 핵심-부가 관계에 있는 명제임을 지
적하고 있다.이와 같이 ‘
전방 지시’표지는 앞선 명제 전체를 지시하는 폭넓
은 범위로 사용되기도 한다.

후방 지시’표지의 경우에는 ‘
다음’
,‘아래’
와 같은 방향 지시어로 실현되는
데 주로 ‘
다음’
이 선호되는 경향이 있으며,보통은 ‘
-와/
과 같다’
의 표현과 같
이 쓰여 아래 (
15)
의 ‘
다음과 같이’
,(16)
의 ‘
~은/
는 다음과 같다’
,(17)
의 ‘
다음
과 같은’등으로 나타난다.

(15) 외국어에서 기원하여 국어에서 사용되고 있는 외래적인 요소들을 국어 순화


의 관점에서 몇 가지 부류로 나누어 본다면 다음과 같이 분류해 볼 수 있을
것이다. (송철의, 1998)

(16) 현행 7차 교육과정에 반영된 광고 언어 관련 내용을 들어보면 다음과 같다.


같다. (이
은희, 2002)

(17) 이 밖에도 동사 형용사 어휘 부류의 사전 항목 구성을 위해서, 총망라하는 것은


아니고 일부만 지적하자면, 다음과 같은 문제들이 있을 수 있는데, (생략) (홍재
성, 1998)

(
15)
의 예에서는 ‘
후방 지시’표지 ‘
다음과 같이’
를 사용하여 ‘
국어에 사용되
고 있는 외래적인 요소’
를 분류한 하위 명제들 곧,해당 명제와 핵심-부가 관
계에 있는 명제들의 위치를 지시하고 있다.(
16)
에서도 마찬가지로 ‘
다음과 같
다’
라는 표지를 사용하여 ‘
현행 7차 교육과정에 반영된 광고 언어 관련 내용’
에 대하여 핵심-부가(
상세화)관계에 있는 명제가 후방에 위치함을 지적하고
있으며 (
17)
의 경우는 ‘
동사,형용사 어휘 부류의 사전 항목의 구성을 위한 문
제’
에 대한 하위 명제의 위치를 ‘
다음과 같은 문제’
라고 하는 표현을 통해 지
시하고 있다.

- 17 -

구체적 지시’표지는 ‘
위’,‘
다음’과 같은 ‘
전방 지시’표지 또는 ‘
후방 지시’
표지와 함께 명제의 구체적인 위치를 표시하는 항목들이 사용된다.

(18) 위의 (12), (13)에서


(1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대등접속문에서는 재귀화가 일어나지 않는
다. (남기심, 1982)

(19) 다음 (17)에서
에서도
에서 그것을 알 수 있다. (남기심, 1982)

위 예문 (
18)
에서 ‘
위의 (
12)
,(13)
’의 경우에는 ‘
전방 지시’표지 ‘
위’가 사용
되기는 했으나 일반적인 ‘
전방 지시’표지와 같이 대상 명제의 위치가 단순히
전방에 있음을 나타내는 것이 아니라 구체적인 항목을 제시하여 명확히 그 위
치를 지시하고 있다.(
19)
의 경우도 마찬가지로 ‘
다음’
이라는 ‘
후방 지시’표지
와 함께 구체적인 위치를 지시하는 항목이 있어 명제의 위치를 명확히 표시하
고 있다.

다음으로 기존의 연구에서는 Me


yer
(1985)
의 집합,인과,반응,비교,부가 관
계와 마찬가지로 관계 규정 표지를 핵심-부가,원소-원소,대응-대응,원인-결
과,문제-해결의 다섯 가지로 보았다.그러나 이러한 분류는 설명적인 글
(
exposi
tor
yte
xt)
을 대상으로 한 것이므로 학술 논문과 같은 논증적인 글
(
argument
alt
ext
)의 경우에는 명제 간 관계 양상에 따라 이를 나타내는 표지
의 양상도 다르게 나타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실제 학술 논문을 대상으로 명제 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개념
어와 연결어를 모두 추출하여 이를 분류하였는데 그 결과 설명적인 글을 대상
으로 한 기존의 관계 종류 규정 표지의 분류에서 벗어나는 점이 몇 가지 발견
되었다.우선,원인-결과 관계에서 원인 표지의 경우 특정한 결과에 대한 ‘

인’
을 나타내는 표지 외에도 추론의 과정에서 다음 단계로 나아가기 위한 ‘

정’
16) ,특정한 명제의 성립을 전제하는 ‘
조건’
,특정 사실에 대한 저자 개인의

16) 백설자(1994)에서는 조건구문이 앞서 발전시킨 지식으로부터 유도해 내어 다음 단계의 출발점으로


삼음으로써 논증에서 하나의 이행을 이루어낸다고 하면서 이를 학술 논문 텍스트의 특징으로 보았다.
여기서의 조건구문은 문법구문 상의 명칭으로 명제 간의 관계 의미로 볼 때 본고의 ‘가정’ 관계와 일

- 18 -
주관적 판단을 나타내는 ‘
이유’
,저자의 단정이나 주장을 뒷받침하는 ‘
근거’등
을 발견할 수 있었다.이들 표지는 엄밀히 말해 모두 ‘
원인’
이라는 상위 범주
로 묶일 수 있는 것들로서 원인류의 표지라 할 수 있다.이렇게 원인류의 표
지가 다양하게 나타나는 것은 객관성과 논리성을 중시하는 학술 논문의 특성
에 기인한 것이라 하겠다.
17) 본고에서는 학술 논문 텍스트의 관계 종류 규정

표지 중에서 원인류의 표지를 더 세분화하여 ‘


가정’
,‘조건’
,‘이유’
,‘근거’
의 표
지를 추가하였으며 이에 따라 분석을 실시하도록 한다.
그 밖에 기존의 분류에 따른 핵심-부가,원소-원소,대응-대응,원인-결과,
문제-해결의 다섯 가지 관계 종류 중 어디에도 포함되지 않는 표지로 ‘
방법’
,

공제 18)’
,‘방법’
,‘양보’
의 표지가 나타났는데 학술 논문과 같은 논증적인 글의
특성상 간과할 수 없다고 판단되어 이를 ‘
기타’표지로 설정하였다.

방법’표지는 연구의 방법을 나타내는 표지로서 시행된 연구의 방법을 자세
히 기술해야 하는 학술 논문의 특성상 ‘
방법’
에 대한 언급이 빈번하기 마련이
다.다음은 실제 학술 논문에서 ‘
방법’표지가 사용된 예이다.

(20) 개념적 의미와 정보 사이의 계층관계를 직접 관찰할 수 없으므로 다른 사실들에


유추하여
여 살펴보고 문장이 지니는 내용과 발화가 지니는 내용을 비교해 보기로
한다. (장경희, 1986 )

(21) 본론은 “먹는다, 먹는구려, 먹는군, 먹느냐, 먹었는가, 먹는데, 먹는지”등에서 '는
이' 분석될 수 있으며, 그것은 한 개의 형태소 '는'으로 묶어질 수 있는가, 그리고
그것이 타당한 분석인가 하는 것을 살펴 봄으로써
으로써,
으로써 형태소의 극한 분석의 가능성
과 타당성을 논하고자 한다. (남기심, 1982)

치하는 것이다.
17) 논증적인 글을 대상으로 명제들 간의 관계를 분석한 조영돈(2002)의 연구에서도 원인-결과 관계를
보다 세분화하여 원인-결과 관계 외에도 조건-결과, 전제-결과, 이유-결과, 증거-결과를 설정하였다.
이처럼 명제 간 ‘원인류’의 관계 종류가 세분화되어 나타나는 것은 논증적인 글의 특징인 것으로 보
인다.
18) ‘공제’라는 용어는 조영돈(2002)에서 후행 명제의 의미 범위가 선행 명제의 의미 범위 의 일부를 제
외한 범위를 나타내는 경우의 명제 관계를 일컬은 것을 그대로 사용한 것이다.

- 19 -
위의 (
20)
에서는 ‘
개념적 의미와 정보 사이의 계층관계’
를 살펴보기 위한 방
법으로 ‘
다른 사실들에 유추’
하는 방법을 제시하였으며,(
21)
에서는 ‘
형태소의
극한 분석의 가능성과 타당성’
을 논하는 방법으로 ‘
-는’
의 분석의 가능성,‘
-는’
이 한 개의 형태소로 묶이는지의 여부,이 때의 분석 방법의 타당성을 살펴
볼 것을 제시하였다.이 때 ‘
방법’
을 나타내는 표지는 ‘
-여’
와 ‘
-(으)
로써’
가 사
용되었다.그 밖에 자주 사용되는 ‘
방법’표지로 ‘
-을/
를 통하여’
가 있다.

기타’표지로 설정된 ‘
공제’표지 역시 기존의 분류 체계의 어디에도 속하지
않는 것으로 후행하는 명제의 의미가 선행하는 명제의 전체 의미 중에서 일부
를 제외한 경우를 표시한다.

(22) 나는 음악을 좋아한다.


(23) 단, 클래식은 좋아하지 않는다.

위의 예문에서 (
23)
의 명제의 의미는 (
22)
의 전체 의미 범위 중에서 일부가
제외된 범위를 뜻한다.이 때 명제 (
23)
가 명제 (
22)
에 대해서 갖는 의미 관계
의 종류가 ‘
공제’
이며 ‘
공제’관계를 나타내는 표지는 ‘
단’이다.‘
공제’관계를 나
제외,~의 경우에만’등이 연결어로 ‘
타내는 표지에는 개념어로 ‘ 그러나,다만,
단’등이 있다.

(24) 그런데 문장에 대한 의미 연구가 시작되면서


면서 지시의미론에서 출발한 형식의미론
이 다시 의미 연구의 주된 흐름을 형성하게 되었다. (장경희, 1998)

(25) 형식의미론이 자연 언어의 의미 설명에 부적당하다고 지적하면서


면서,
면서 Barweise
and Perry는 상황의미론을 제안하고 발화의 의미를 발화가 이루어진 상황과 그
발화가 기술하는 상황사이의 관계로 파악하였다. (장경희, 1986)


동시’표지는 위의 예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두 가지의 현상이 시간적인
간격 없이 나타나는 경우에 사용된다.그러나 대부분은 연구사의 흐름을 기술
할 때 혹은 기존 연구를 검토할 때 주로 사용된다.연구사에서 ‘
동시’표지가
사용되는 경우는 (
24)
에서처럼 필연적인 관계 없이 동시에 나타나는 현상을

- 20 -
기술할 때이며,기존 연구 검토에서는 (
25)
과 같이 기존 연구에서 이루어진 연
구 결과를 나열할 때 ‘
동시’표지가 쓰인다.

(26) 남의 말을 들어서 얻은 정보는 세계에 관한 정보일지라도


일지라도 세계와의 일치 여부가
확인되지 않은 정보인데, 이러한 정보에 대해서는 우리는 사실성 여부를 평가하여
믿음을 부여한다. (장경희, 1986)

(27) 앞에서 언급했던 바와 같이 외래어란 어느 언어에나 있는 것으로서 그 존재 자


체를 부정할 필요는 없다. 그런데도 불구하고 외래어 문제의 심각성이 자꾸 제기
되는 것은 무엇 때문일까? (송철의, 1998)


양보’표지의 경우는 잘 알려진 대로 선행 명제와 후행 명제가 서로 ‘
양보’
관계에 있음을 표시한다.학술 논문에서 사용된 ‘
양보’표지에는 위의 예문을
통해 확인할 수 있듯이 ‘
-어/
아도,-라고/
다고 해서,-라고/
다고 할지라도,-
(
으)ㄹ지라도,그런데도 불구하고,그럼에도 불구하고’등이 있다.
다음 장의 <표 2>는 학술 논문의 관계 규정 표지를 간략히 정리하여 표로

보인 것이다.원인-결과 표지와 기타 표지를 제외한 나머지 관계 종류 표지는

<표 1>과 동일히다.

이상과 같이 학술 논문의 텍스트 의미 구조 표지는 기존의 체계보다 더 상

세히 분류된다.관계 대상 지정 표지의 경우 지시형 표지를 ‘


전방 지시’
,‘후방

지시’
,‘구체적 지시’표지로 세분하고,관계 종류 규정 표지는 기존의 분류에

서 원인류의 표지가 더 세분화되어 ‘


원인’
,‘가정’
,‘조건’
,‘이유’
,‘근거’
의 다섯

가지 표지를 설정할 뿐 아니라 기존의 체계에 포함되지 않는 ‘


기타’표지로


방법’
,‘공제’
,‘동시’
,‘양보’
의 표지를 추가한다.구조 개관 표지는 기존의 체계

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으므로 기존의 분류를 그대로 따르기로 한다.

- 21 -
<표 2> 학술 논문의 관계 종류 규정 표지 19)

유형 개념어 연결어

핵 포괄 포함,종합.-을 종합하면,… -
심 선호 핵심,중요,관점,초점,입장,… -

심 속성,특성,속하다,구체적으로 말하다,
상세화 -
| 상세히 말하다,…
부 부
가 가 예시 예,보기,-은 -에 대한 예증이다,… 예컨대,가령,이를테면,이른바,소위,…
바꿔 말하다,다시 말하다,간단히 말하
등가 즉,곧,말하자면,요컨대,…
다,단적으로 말하여,…

원 나열,열거,분류,-으로 분류된다,차례 그리고,또,또한,뿐만 아니라,게다가,아


나열
소 로 들어보면,이외에도,그 밖에,동시에 울러,나아가서,더구나,더욱이,기타,및

원 첫째,둘째,셋째,또 하나,다른 하나,
소 순서 -
우선,먼저,다음으로,마지막으로,…

대 대응 비교,대비,대응,비하다,비유컨대,… -

점 공통,동일,유사,마찬가지,같다,-와 -
공통 마치,-듯이,-와 같이,-처럼,…
| 는 공통점이 있다,비근하다,…

응 차이,구별,상이,반대,대조,예외,다 그러나,하지만,반면에,그럼에도 불구하
점 차이
르다,반하다,아니다,… 고,이와 달리,…
원인,까닭,예증,근거,덕분,탓,기인,
원인 야기되다,인하다.-에 기인하여,-에서 -때문에,왜냐하면,-에 의하여,-하기에
야기되어,따지고 보면,…
가정 그렇게 되면,만약 -(
으)면,-라면/
다면,-라고/
다고 보다
-라면/다면,-(
으)면,-라고/ 다고 하자,-
원 조건 경우
원 인 (으)
ㄹ 때,-어/아야,-는 한,-자면
인 류 -어/아,-어/
아서,-(
으)므로,-(
으)니,-은
| 이유 -기 때문이다,까닭 /는 바,-기에,-은/는 만큼,-라는/
다는
결 점에서

이렇게 볼 때,이와같은 관점에서 볼
-(
으)므로,-라는/다는 점에서,-을/
를 통
근거 때,이러한 관점에서,-의 관점에서 볼
해서,-기 때문에,어/아,그러므로
때,-을/
를 고려하면
결 결과,결론,귀결,결정,야기하다.결과 따라서,그러므로,그래서,그리하여,그러
과 결과 는 -이다,결론부터 말하면,-으로 귀결 니까,그러면,그렇다면,그러다 보니,결
류 된다,-을 야기한다 국,마침내

문 문제,의문,논점,과제,쟁점,목적,해
문제 -을 위하여,-도록,-에 대하여,…
제 결이 필요하다,…

해 해결,대안,대책,방안,풀다,대안이 필
결 해결 -
요하다,대안은 -해야 한다,…
방법 - -어/
아,-(
으)로써,통하여
공제 제외,-의 경우에만 다만,단
기 동시 - 그러면서도,-(
으)면서,-(
으)면서도

-어/
아도,-라고/다고 해서,-라고/
다고 할
양보 - 지라도, -(
으)ㄹ지라도, 그런데도 불구하
고,그럼에도 불구하고

19) 설명문을 대상으로 한 김봉순(1996)의 분류에서 더 세분화되거나 추가된 표지를 음영으로 표시하였
다.

- 22 -
3.학 술 논 문 텍 스 트 의 ‘
내용 표지’


학술 논문’
이라는 용어는 학위 논문이나 ‘
ter
m pape
r’를 포함하는 폭넓은 개
념이기도 하지만 통상적으로는 연구 논문을 일컫는다.
20) 따라서 본고에서도


학술 논문’
이라는 용어를 연구 논문을 가리키는 개념으로 사용하기로 한다.
학술 논문은 자기가 연구하는 전문분야에서 연구한 결과를 발표하기 위해 일
정한 논리체계에 따라 작성한 글을 말한다.학위 논문이나 ‘
ter
m pape
r’의 목
적이 연구 결과를 통해 학위 취득자로서 또는 특정한 과목 수강자로서 평가받
기 위한 것이라면,연구 논문은 자기와 같은 분야의 학자나 후진들에게 연구
성과를 알려 학술의 발전에 기여하기 위한 목적으로 자율적으로 작성하여 학
회지 등에 게재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20) 학문적인 글에 대한 영어의 분류는 우리보다 다양한데 간추려 보면 다음과 같다. 이 때 ‘article’이나
‘treatise’가 학술 논문에 해당한다.

신문이나 잡지 또는 학술지 등에 게재되는 간단한 논문


article (a complete piece of writing as a report or essay)
argument 하나의 주제에 대한 간단한 논설(a short statement of subject matter)
monograph 특정한 전문주제에 대한 논문으로 단행본 또는 학술지에 게재된 것을 말하는데 원래는
박물학의 논문을 일컫는 것이었는데 지금은 학문 분야에 관계 없이 통용됨
(a book, article or paper written about a particular subject)
essay 포괄적인 의미의 논문을 지칭하는데 어떠한 주제에 대한 개인적인 견해를 밝히는 논설로
서의 성격이 짙어 논문으로서의 체계는 덜 갖춤
(a short literally composition dealing with a single subject, usually from a
personal point of view and without completeness)
treatise 하나의 주제에 대한 체계적인 논문(a formal, systematic essay or book on some
subject, especially a discussion of facts or evidence or principles and the
conclusions based on there)
report 탐구한 결과나 사실을 타인에게 공표하기 위해서 비판이나 의견보다 사실의 보고에 중점
을 두고 작성한 보고논문(to give a formal statement on account of announce
formally, as the result of investigation)
review 한 주제에 대한 다양한 연구성과나 방법 등에 대한 종합적인 고찰 또는 특정한 연구물에
대한 평론(①general survey report or account, ②critical discussion or article on a
book or a paper etc.)
thesis ․ 학위논문으로 연구 방법의 성격에 따라 자연과학계의 실증적인 연구논문을 ‘thesis’, 인
dissertation 문, 사회과학분야의 이론적․문헌적인 연구논문을 'dissertation'이라 함
paper 통상적으로 연구논문 전반을 가리키는데 성질에 따라 research paper, documented
paper, class paper, course paper, term paper 등으로 구분

- 23 -
학술 논문의 형식은 일반적으로 각 분야의 학문 공동체에서 정해진 방식을
따르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보통 학문 분야에 따라,또는 학술 기관에 따라
그 형식이 조금씩 달라지는데 그럼에도 기본적인 체계나 내용구성은 크게 달
라지지 않는다.이 장에서는 학술 논문의 일반적인 형식에 대해 알아보고,특
히 본고가 분석 대상으로 하고 있는 인문 과학 분야 21)의 학술 논문에 초점을
맞추어 인문 과학 분야 학술 논문을 구성하고 있는 내용 요소를 살펴보기로
하겠다.

3.
1.학 술 논 문 의 일 반 적 인 구 조

학술 논문의 일반적인 구성은 인문 과학 분야와 사회․자연 과학 분야를 막


론하고 기본적으로 서두부와 본문과 참고자료부의 세 부분으로 이루어진다.
서두부는 다시 표지․표제지․내용 목차 등의 항목으로 구성되며,본문은 서
론․본론․결론의 세 부분으로,참고자료부는 참고문헌과 부록 등으로 나뉜다.
그러나 모든 항목을 반드시 갖출 필요는 없어서 각 전공 영역에 따라 혹은 학
술 기관에 따라 정해진 원칙을 참고하여 일부를 생략하는 것이 관례이다.다
음은 학술 논문의 일반적인 구성 양식을 나타낸 것이다.

1.서두부(
thepr
eli
mini
nar
ies
)
(
1)표지(
cove
r)
(
2)표제지(
tit
lepape
r)
(
3)인준서(
appr
ovalshe
et)(
필요시)
(
4)서문 :감사의 글 포함(
pref
ace
:inc
ludi
ng ac
knowl
edge
ment
s)(
필요시)
(
5)내용목차(
tabl
eofc
ont
ent
s)
(
6)표목차(
li
stoft
abl
es)(
필요시)
(
7)도표목차(
li
stoff
igur
es)(
필요시)

21) 여기서 인문 과학 분야의 학술 논문이라고 함은 문헌 자료의 고증을 통해 이루어진 논문을 말한다.


통상적으로 인문 과학 분야에 속한다고 알려진 언어학․문학․철학․역사학 등은 각기 연구 방법이 독특
하여 일관된 논문의 양식을 찾기는 어려우므로 여기서는 인문 과학 분야의 연구 방법 중 문헌 고증
에 의한 방법을 사용한 논문만을 인문 과학 분야의 논문이라 일컫는다. 이에 대하여 사회 ․ 자연 과
학 분야의 논문이라 함은 조사 ․ 실험 등의 연구 방법을 사용한 논문을 가리키는 개념으로 사용한다.

- 24 -
2.본문(
thet
extoft
hesi
s)
(
1)서론(
int
roduc
tion)
(
2)본론(
mai
ntext
)
(
3)요약 및 결론(
summar
yandc
onc
lusi
on)

3.참고자료(
ref
ere
ncemat
eri
als)
(
1)참고문헌(
bibl
iogr
aphy)
(
2)부록(
appe x)(
ndi 필요시)
(
3)색인(
i x)(
nde 필요시)
(
4)초록(
abst
rac
t)(
필요시)

이 때 서두부의 (
3)인준서와 (
4)서문,(
6)표목차,(
7)도표목차의 경우에는 필
요시에 추가하는데 보통은 학위 논문의 서두부에서 이를 포함하며 학술지에
게재되는 일반적인 학술 논문의 경우에는 별도의 표지와 표제지 없이 간단히
표제만으로 축약하고 여기에 내용 목차만을 더하여 서두부를 구성한다.학술
논문의 두 번째 구성 요소인 본문의 경우에는 어느 하나도 생략하지 않고 반
드시 갖추어야 한다.보통 학술 논문이라고 할 때는 이 본문(
text
)을 일컫는다
고 볼 수 있는데 학술지에 게재되는 학술 논문은 본문에 서두부와 참고자료부
의 일부를 첨가한 것이다.즉,서두부와 참고자료부는 전체적인 비중의 면에서
본문의 단행본이나 학술지로 발간할 수 있는 형식성 즉 서지적 요건을 갖추게
하는 요소에 불과하다고 할 수 있다.본문은 전공 분야나 주제의 성격,연구
방법에 따라 조금씩 달라지지만 일반적으로 서론,본론,결론의 구조로 이루어
진다.마지막으로 참고자료부의 경우에는 참고문헌만을 필수적으로 포함시키
며 (
2)부록,(
3)색인,(
4)초록은 필요시에만 추가한다.이 때 경우에 따라 (
1)참
고문헌과 (
2)부록의 순서를 바꾸기도 하고 (
4)초록을 본문의 서론 앞에 두기도
한다.
실제로 학술지에 게재되는 일반적인 학술 논문의 구성을 살펴 보면 본문이
가장 중심이 되고,여기에 표제와 목차만으로 간략화된 서두부와 참고문헌의
두 부분을 추가한 형식이 일반적이다.

- 25 -
3.
2.학 술 논 문 의 내 용 요 소

앞에서 살펴 본 대로 학술 논문은 서두부와 본문,참고자료부의 세 부분으


로 구성된다.이 때 학술 논문의 실질적인 내용을 담은 부분은 본문으로서 나
머지 서두부와 참고자료부는 발간을 위한 형식적 요건으로 볼 수 있다.따라
서 학술 논문의 내용을 이루는 요소들을 살펴 보기 위해서는 학술 논문의 본
문에서 서술되는 내용을 분석해야 할 것이다.본고는 인문 과학 분야의 학술
논문에 대한 분석이 목적이므로 인문 과학 분야 학술 논문의 본문을 살펴보기
로 한다.인문 과학 분야 학술 논문의 본문은 다른 분야와 마찬가지로 서론,
본론,결론의 세 부분으로 구성된다.각 부분의 내용을 간략히 살펴 보면 다음
과 같다.
먼저,서론에서는 ① 연구의 동기(
현황․문제점․필요성) ,② 연구의 목적,
22)

③ 선행 연구,④ 연구의 차례,⑤ 연구 자료 등의 내용을 서술한다.이 때 서


론에서 이들 항목이 모두 다루어져야 하는 것은 아니어서 연구 주제와 논문의
전개방식에 따라 취사선택하되,연구의 동기와 목적,연구의 차례는 분명히 제
시하는 것이 좋다.
각 내용 요소를 자세히 살펴 보면 연구의 동기는 연구를 시작하게 된 계기
로서 기존 상황 즉 현황을 진단하면서 또는 문제점을 지적하거나 연구의 필요
성을 제시하는 것을 통해 드러나게 된다.연구의 목적은 연구를 통해 밝히고
싶은 것이나 이루고 싶은 성과에 대한 기술이며 선행 연구는 기존에 이루어져
있는 연구에 대한 언급이다.연구의 차례는 앞으로 본론에서 다루게 될 논의
들을 순서에 따라 제시하는 것을 말하며 연구의 주제에 따라 구체적인 연구
자료가 필요한 경우에는 연구 자료에 대해서도 밝힌다.

22) 최용섭(1983)에서는 서론에서 서술되는 내용을 7가지 제시하면서 첫 번째 항목으로 문제의 소재와
연구의 필요(동기) 및 의미를 설정하였는데 연구의 필요성 뿐 아니라 문제점 또한 저자가 해당 연구
를 시작하게 된 동기로 볼 수 있다. 또한 이준호(2005)에서는 서론의 내용으로 연구의 목적, 범위,
필요성, 배경, 관점, 방법의 여섯 가지를 들었는데 이 중 연구의 배경 또한 기존의 상황을 진단 ․ 비
판하면서 그로부터 문제점과 연구의 필요성을 찾아 내므로 이 또한 동기로 볼 수 있다.

- 26 -
본론은 보통 서론에서 제시한 본론의 방향에 따라 세 개에서 네 개 정도의
장으로 구성되는데 ‘
본론’
이라는 장제목은 붙이지 않고 논의의 주제에 따라 각
장의 제목을 달리한다.본론은 다시 여러 개의 하위 논제들로 나뉘어 논의가
전개되는데,각각의 하위 논제들에 대한 논의를 하나의 단위로 보면 논의 전
개의 단위는 다음의 세 가지의 요소로 구성된다.우선 하위 논제를 제시하는
문제제기와 제기된 논제의 성격에 따라 이를 논리적으로 해명하는 과정인 전
개부와 논의 전개로부터 일정한 결론이 도출되는 소결론의 세 가지가 본론의
한 단위를 구성하는 요소들이다.이 때 논의 전개에는 논제의 성격에 따라 예
시,인용,용어 정의 23),표 및 도표 제시,비교 및 대조,나열 등의 여러 가지
전개 방식이 사용된다.
마지막으로 결론에는 이제까지의 논의에 대한 ① 요약과 ② 해당 연구가 갖
는 의의,③ 한계점,④ 후속 과제에 대한 언급이 나타난다.서론의 내용 요소
와 마찬가지로 결론에서 이 모든 요소가 다 다루어질 필요는 없고 기본적으로
요약은 반드시 다루어져야 한다.이제까지 살펴 본 학술 논문의 내용 요소를
서론,본론,결론별로 나누어 간략히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표 3> 학술 논문의 내용 요소

서론 본론 결론

① 동기(
문제점,
필요성,
현황) ① 문제제기 ① 요약
② 연구의 목적 ② 논의 전개 ② 연구의 의의
③ 선행 연구 ③ 소결론 ③ 한계점
④ 연구의 차례 ④ 후속 과제
⑤ 연구 자료

23) 최용섭(1983)은 ‘용어 정의’를 서론의 내용으로 보았으나 일반 학술 논문의 경우에는 학위 논문과 달
리 서론이 간략하게 쓰여지기 때문에 용어 정의를 서론에서 따로이 하지 않고 해당 용어가 사용되는
본론의 각 부분에서 논의 전개에 앞서 개별적으로 다루는 것이 보통이다.

- 27 -
3.
3.학 술 논 문 의 ‘
내용 표지’

학술 논문의 내용 요소는 서론,본론,결론별로 각각 다르게 나타나는데 서


론에는 ① 동기(
현황․문제점․필요성)
,② 연구의 목적,③ 선행 연구,④ 연
구의 차례,⑤ 연구 자료가 제시되며,본론에는 ① 문제제기,② 논의 전개,③
소결론을 한 단위로 하여 논의가 전개된다.결론에는 ① 요약이 반드시 드러
나며,② 연구의 의의,③ 한계점,④ 후속 과제 등의 요소가 나타난다.한 편
의 학술 논문이 위와 같은 내용 요소를 반드시 모두 갖추어야 하는 것은 아니
지만 어떤 논문이든 위의 범주에서 그 내용 요소가 크게 벗어나지는 않는다.
학술 논문의 내용 요소는 특정한 언어 요소에 의해 표현되는데 이러한 언어
요소를 ‘
내용 표지’
라 한다.학술 논문을 구성하는 내용 요소가 서론,본론,결
론별로 전형화되어 있는 것과 마찬가지로 학술 논문의 특정한 내용 요소를 나
타내는 데 관용적으로 사용되는 전형화된 ‘
내용 표지’
가 있기 마련이다.이러
한 ‘
내용 표지’
는 텍스트 의미 구조 표지와는 달리 연결어나 개념어 등의 분절
적인 형태를 넘어 문장 단위의 완전한 형식으로 이루어진다.
학술 논문의 내용 요소를 나타내는 ‘
내용 표지’
는 서론의 경우 내용 요소의
체계에 따라 ① ‘
동기’표지,② ‘
연구의 목적’표지,③ ‘
선행 연구’표지,④

연구의 차례’표지,⑤ ‘
연구 자료’표지의 다섯 가지로 나누어지며,‘
동기’표
지의 경우는 다시 ‘
현황’표지․‘
문제점’표지․‘
필요성’표지의 세 가지로 나뉜
다.
본론의 ‘
내용 표지’
에는 크게 ① ‘
문제제기’표지,② ‘
논의 전개’표지,③ ‘

결론’표지가 있는데 이 때 ‘
논의 전개’표지는 논의 전개의 방법에 따라 몇
가지로 나눌 수 있다.논의 전개 방법은 예시․인용․용어 정의․비교 및 대
조․나열․표 및 도표의 제시와 분석․상세화 등의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으
나 여기서는 그 표현이 단순한 연결어나 개념어의 형식을 넘어 하나의 관용적
인 표현으로서의 전형성을 보이는 것들만을 ‘
내용 표지’
로 설정하기로 한다.
이에 따라 ‘
논의 전개’표지는 ‘
예시’표지․‘
인용’표지․‘
용어 정의’표지․‘

열’표지․‘
표 및 도표 읽기’표지의 다섯 가지로 설정한다.

- 28 -
마지막으로 결론의 ‘
내용 표지’
는 결론을 구성하는 내용 요소에 따라 ① ‘

약’표지,② ‘
연구의 의의’표지,③ ‘
한계점’표지,④ ‘
후속 과제’표지 등으로
나누어진다.이와 같은 학술 논문의 ‘
내용 표지’
의 체계를 표로 보이면 다음과
같다.

<표 4> 학술 논문의 ‘


내용 표지’

서론의 ‘
내용 표지’ 본론의 ‘
내용 표지’ 결론의 ‘
내용 표지’


현황’
① ‘
문제제기’
① ‘
동기’ ① ‘
요약’

문제점’
② ‘
논의 전개’
② ‘
연구의 의의’

필요성’
ㆍ‘
예시’
② ‘
연구의 목적’ ㆍ‘
인용’ ③ ‘
한계점’
ㆍ‘
용어 정의’
③ ‘
선행 연구’ ㆍ‘
나열’ ④ ‘
후속 과제’
ㆍ‘
표․도표 읽기’
④ ‘
연구의 차례’
③ ‘
소결론’
⑤ ‘
연구 자료’

지금까지 인문 과학 분야의 학술 논문을 대상으로 학술 논문의 일반적인 구


성 양식과 내용 요소를 살펴 보았으며 이를 바탕으로 학술 논문의 ‘
내용 표지’
를 설정하였다.학술 논문의 ‘
내용 표지’
는 서론,본론,결론에서 일반적으로
다루어지는 내용 요소를 언어화한 것으로서 그 형식이 단순한 연결어나 개념
어의 형태를 넘어 일종의 관용적인 표현으로서의 성격을 보이는 것이다.학술
논문 텍스트에 등장하는 ‘
내용 표지’
의 종류는 해당 논문의 연구 주제와 연구
방법에 따라 달라지지만 인문 과학 분야의 학술 논문 텍스트의 경우에는 <표
4>의 체계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는다.본고의 4.
3.에서는 <표 4>에서 보인

내용 표지’
의 분류 체계에 따라 실제 학술 논문 텍스트를 분석하여 각 ‘
내용
표지’
의 구체적인 유형과 형태를 밝히도록 할 것이다.

- 29 -
4.학 술 논 문 분 석 의 실 제

모든 텍스트는 내용 요소와 형식 요소로 이루어지는데 본고에서 살펴 본 텍


스트 의미 구조 표지와 ‘
내용 표지’
는 텍스트의 형식 요소로서 텍스트 분석에
유용한 도구이다.이 연구에서는 기존의 다른 연구들에서 텍스트의 형식 요소
로 제시된 텍스트 의미 구조 표지보다 본고에서 설정한 개념인 ‘
내용 표지’

초점을 맞추어 학술 논문을 분석하였다.‘
내용 표지’
를 중심으로 분석한 이유
는 특정 장르의 텍스트를 분석하는 데는 텍스트 의미 구조 표지보다 ‘
내용 표
지’
가 더 효과적이라고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즉 텍스트 의미 구조 표지는 장르를 막론하고 모든 텍스트에 나타나는 보편
적인 언어 요소로서 특정한 장르에 속하는 텍스트의 형태적 특수성을 밝히는
데 한계가 있는 반면,‘
내용 표지’
는 실제 텍스트의 전형적인 내용 요소로부터
추출한 표지이기 때문에 특정 장르에 속하는 텍스트의 분석에 더 효과적인 도
구가 될 수 있다.학술 논문 텍스트는 특히 형식상의 전형성이 강한 장르에
속하므로 ‘
내용 표지’분석의 필요성이 더욱 크다고 할 수 있다.
게다가 텍스트 의미 구조 표지가 연결어나 개념어 위주의 분절적인 형태인
것과는 달리 ‘
내용 표지’
는 문장 단위의 형식 요소이기 때문에 텍스트의 문체
상의 특징을 반영할 수 있어 학술 논문과 같은 특정 장르에 속하는 텍스트를
분석하는 데 유용한 도구가 된다.
그리고 텍스트 의미 구조 표지가 문장 단위의 ‘
내용 표지’
의 부분적인 요소
로서 ‘
내용 표지’안에 산발적으로 분포한다는 점 역시 ‘
내용 표지’
의 분석이
텍스트 의미 구조 표지의 분석에 선행해야 함을 보여준다.
이러한 이유로 본 연구에서는 학술 텍스트 분석의 초점을 주로 ‘
내용 표지’
에 두고자 한다.단,텍스트 의미 구조 표지 중에서 관계 종류 규정 표지는 명
제의 연결이 텍스트 구성의 기본 단위라는 점에서 간략한 분석을 실시하기로
한다.‘
내용 표지’
의 분석에 앞서 다음에서는 관계 종류 규정 표지의 서론,본
론,결론별 사용 양상과 사용된 표지의 다양성을 살펴 보겠다.

- 30 -
4.
1.학 술 논 문 의 텍 스 트 의 미 구 조 표 지 분 석

학술 논문의 관계 종류 표지는 주 검증 대상인 총 4편의 논문을 대상으로


분석하였으며 분류 체계는 본고의 2장 2절에서 제시한 것을 따랐다(
<표 2>
참고)
.학술 논문의 서론,본론,결론의 내용 구성이 다르므로 명제 간 관계
종류를 나타내는 관계 종류 규정 표지 역시 각 부분별로 별도의 분석을 실시
하였는데 분석 결과를 수치 24)로 보이면 아래의 <표 5>와 같다.이어서 분석
결과를 서론,본론,결론별로 도표화하여 각 부분별 관계 종류 규정 표지의 사
용 빈도를 구체적으로 살펴보고 이를 분석해 보도록 하겠다.

<표 5> 학술 논문의 관계 종류 규정 표지 분석 수치

서론 본론 결론 종합
표지종류
연결어 개념어 총계 연결어 개념어 총계 연결어 개념어 총계 연결어 개념어 총계
핵 포괄 0 0 0 1 6 7 0 1 1 1 7 8
심 선호 0 0 0 0 15 15 1 0 1 1 15 16
l 상세화 1 0 1 39 1 40 4 0 4 44 1 45
부 등가 0 0 0 6 2 8 0 0 0 6 2 8
가 예시 0 0 0 7 21 28 3 1 4 10 22 32
원소- 나열 25 0 25 243 10 253 27 0 27 295 10 305
원소 순서 2 3 5 3 1 4 0 0 0 5 4 9
대응 대응 0 0 0 1 5 6 0 1 1 1 6 7
l 공통 0 0 0 6 10 16 0 1 1 6 11 17
대응 차이 7 1 8 99 33 132 10 1 11 116 35 151
원 원인 8 2 10 47 20 67 6 1 7 61 23 84
인 가정 1 0 1 25 3 28 8 1 9 34 4 38
l 조건 1 0 1 23 3 26 1 0 1 25 3 28
결 이유 1 3 4 26 22 48 2 1 3 29 26 55
과 근거 0 0 0 10 7 17 3 0 3 13 7 20
결과 4 1 5 15 6 21 2 0 2 21 7 28
문제- 문제 0 1 1 4 12 16 2 1 3 6 14 20
해결 해결 0 0 0 4 4 8 1 1 2 5 5 10
방법 2 0 2 14 1 15 0 0 0 16 1 17
기 공제 0 0 0 2 0 2 0 0 0 2 0 2
타 동시 1 0 1 5 0 5 0 0 0 6 0 6
양보 1 0 1 10 1 11 0 0 0 11 1 12
54 11 65 590 183 773 70 10 80 714 204 918

가장 수치가 높음 두 번째로 수치가 높음 세 번째로 수치가 높음

24) 여기서 수치란 각 표지가 등장한 횟수를 의미한다.

- 31 -
1)서 론 의 관 계 종 류 규 정 표 지

<도표 1> 서론의 관계 종류 규정 표지

서론

45
38.5
40
35
30
25
(%)

20 15.4
15 12.3
10 7.7 6.2 7.7
1.6 1.6 1.6 1.6 3.1 1.6 1.6
5
0



-나

-순

-차

-원

-가

-조

-이

-결

-문



-상






위의 도표에서 보듯이 서론에서 가장 많이 나타난 표지는 나열 표지였으며,


그 뒤를 이어 원인,차이,순서,결과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나열,차이,원인
표지는 서론에서뿐만 아니라 본론,결론에서도 고빈도로 나타난다.
25) 이들 세

표지를 제외하고 순서와 결과 표지 등이 서론에 비교적 빈도 높게 출현하는


까닭은 서론에서 여러 가지 논점을 제시함에 있어 그 순서를 들어 서술하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또한 서론에서는 논문을 쓰게 된 동기를 밝히기 마련
인데 이것은 관련 사안에 관한 현황,문제점,필요성 등을 진단하여 그 결과로
표현되므로 결과 표지도 많이 등장하게 된다.표지의 종류 면에서는 전체 22
종류의 표지 중 단 13 개만 나타나,서론에 등장하는 의미 관계가 상당히 제
한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서론에 포함되는 내용요소가 26) 정형화되어 있음을
생각하면 이것은 자연스러운 결과라고 할 수 있다.

25) 나열, 차이, 원인 표지가 서론, 본론, 결론의 전 영역에서 고빈도로 나타나는 이유에 대해서는 3.2.4
에서 다루기로 한다.
26) 3.2.2에서의 분석 결과 서론에서는 목적, 동기, 연구 방법, 본론소개 등의 내용요소가 등장하는 것으
로 나타났다.

- 32 -
2)본 론 의 관 계 종 류 규 정 표 지

<도표 2> 본론의 관계 종류 규정 표지

본론

35 32.7

30

25

20 17.1
(%)

15
8.7
10
6.2
5.2
5 3.6 3.7 3.3
2.1 2.2 2.7 2.1
0.9 1.9 1 0.5 0.8 1 1.9
0.3 0.6
1.4
0

가 선호

부 등가

원 예시

원 나열

대 순서

대 대응

대 공통

결 차이

결 가정

결 조건

결 이유

결 근거

해 결과

해 문제


부 세화
-포

-해


핵 -상
-

핵 가-

-
원 응-

원 과-

원 과-

원 과-

원 과-

원 과-

문 과-

문 결-







본론에 많이 등장하는 표지는 위의 도표에 나타난대로 나열,차이,원인,이


유,상세화 표지의 순이다.이 중 전 영역에 걸쳐 높은 빈도를 보이는 나열,
차이,원인 표지를 제외하고 본론에서만 고빈도로 나타나는 표지로 이유 표지
와 상세화 표지를 들 수 있다.본론에서 이유 표지가 많이 나타나는 것은 본론
에서 본격적으로 논의와 관련하여 필자의 의견을 피력하게 되는데,학술논문의
특성상 객관성을 확보하기 위해 주관적인 의견을 제시할 때는 항상 설득력 있
는 이유를 동반하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상세화 표지의 경우는 제기된 문제
에 대한 논의를 구체화하는 본론의 성격상 본론에서 특히 많이 등장하는 것으
로 볼 수 있다.실제로 전체 상세화 표지 중 대다수인 89%가 본론에 분포하고
있었으며 서론에 등장한 경우는 단 1회에 불과했다.대표적인 상세화 표지는 ‘
-
는데’
로 전체 상세화 표지 중 83.
8%를 차지해 가장 높은 빈도를 보였다.이 밖
에도 본론에서는 서론,결론에서 일부 표지가 등장하지 않은 것과는 달리 전체
표지가 모두 한 번 이상 나타났다.이것은 본론이 서론과 결론보다 내용 요소의
전형성이 덜하여 다양한 의미 관계가 나타나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 33 -
3)결 론 의 관 계 종 류 규 정 표 지

<도표 3> 결론의 관계 종류 규정 표지

결론

40
33.8
35
30
25
(%)

20
13.8
15 11.3
8.8
10 5 5 3.8 3.8 2.5 3.8 2.5
5 1.3 1.3 1.3 1.3 1.3
0

-상 호

원 예시

대 나열

대 대응

대 공통

원 과 이

원 과 인

원 과 정

원 과 건

원 과 유

문 과 거

문 결 과

결 제

부 세화
-포

-선

결 차
인 -원

인 -가

인 -조

인 -이

인 -근

제 -결

제 -문

-해
-

-
-









결론에서 사용된 의미 관계 표지의 빈도를 분석한 결과 위의 도표와 같이

나열,차이,가정,원인,상세화 표지의 순으로 나타났다.전 영역에 걸쳐 빈도

높게 나타난 나열,차이,원인 표지를 제외하고는 가정과 상세화 표지가 많이

나타났다.가정 표지가 많이 나타난 이유는 결론에서 ‘


이상의 관점에 의하면,

이와 같은 사실로 볼 때’등의 표현을 시작으로 하는 요약 혹은 결과의 내용

요소가 자주 등장하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또한 전체 표지 22가지 중 16종

류만 등장하였는데 이는 서론에서와 마찬가지로 결론에 나타나는 내용 요소가

상당히 전형화되어 있어서 일부 표지는 단 한 차례도 나타나지 않게 된 것이

라 할 수 있다.

- 34 -
4)학 술 논 문 의 관 계 종 류 규 정 표 지

학술 논문의 관계 종류 규정 표지를 분석한 결과 서론,본론,결론 모든 영


역에 걸쳐 가장 빈도 높게 나타난 표지는 나열 표지이며 그 뒤를 이어 차이,
원인,이유,상세화,가정,예시 표지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이를 도표로 보이
면 아래 <도표 4>와 같다.

<도표 4> 학술 논문의 관계 종류 규정 표지

종합

35 33.2

30

25

20
16.4
(%)

15
9.2
10
6
4.9 4.1 3.1
3.5
5 1.9 2.2 3.1 2.2 1.1 1.9
0.9 1.7 0.9 1 0.8 0.2 0.7 1.3
0
가 괄

부 등가

원 예시

소 열
대 순서

응 응
대 공통

결 차이


결 조건

결 이유

결 근거

해 결과

해 문제


부 세화
-포

-선

-나

-대

-해


핵 -상

핵 가-

-
원 응-

원 과-

원 과-

원 과-

원 과-

원 과-

문 과-

문 결-








위의 도표에서 볼 수 있듯이 나열,차이,원인 표지가 전 영역에 걸쳐 가장


빈도 높게 나타났는데 그 중에서도 나열 표지가 33.
2%로 압도적으로 많이 등
장하였다.이는 호흡이 긴 논문의 특성상 명제의 나열이 빈번할 수밖에 없기
때문인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차이 표지의 경우에는 기존의 논의나 반대 의
견에 대하여 반박하거나,예상되는 반박에 대한 방어를 하기 위해 자주 등장
하는 것이라 생각된다.한편 원인 표지는 학술 논문의 특성상 특정 사안이나
현상에 대한 분석이 강조되는 데 따른 자연스러운 결과인 것으로 보인다.여
기서 주목할 것은 원인 표지뿐 아니라 가정,조건,이유,근거 등 원인류의 표

- 35 -
지가 전체적으로 많이 쓰이고 있다는 것이다.이들의 빈도는 서론,본론,결론
에서 각각 24.
8%,41.
2%,29%을 차지하고 있으며 전체적으로는 24.
6%를 차지
해,나열 표지 다음으로 가장 많이 등장하고 있다.
지금까지 학술 논문의 서론,본론,결론에 등장하는 의미 관계 표지를 살펴
보았다.학술 논문에 많이 등장하는 의미 관계는 원소-나열,원인결과-원인류,
대응-차이,핵심부가-상세화,핵심부가-예시,원인결과-결과 등의 순임을 알
수 있다.특히 원소-나열(
33.
2%)
,원인결과-원인류(
24.
6%)
,대응-차이(
16.
4%)
의 세 가지 의미 관계가 차지하는 비율은 전체의 74.
2%로 상당한 비중인 것
으로 나타나 학문 목적의 학습자에게 이들 세 종류의 의미 관계와 이를 나타
내는 표지의 학습이 우선적으로 필요함을 알 수 있다.

- 36 -
5)관 계 종 류 규 정 표 지 사 용 의 다 양 성 과 생 략

표지 사용의 다양성을 알아보기 위해 분석 대상 논문 한 편에 사용된 각 표


지가 사용된 종류를 분석한 결과 대응-차이,원인결과-원인 표지가 각각 14
종류가 사용되어 동일한 의미 관계로 가장 많은 종류의 표지를 사용한 것으로
파악되었다.그러나 실제로 해당 표지가 전체 텍스트에서 출현한 빈도를 고려
해 보면 대응-차이 표지는 총 66회,원인결과-원인 표지는 44회 나타나 하나
의 표지가 평균 4.
7,3.
1회 반복된 것임을 알 수 있다.다시 말해 대응-차이,
원인결과-원인 관계로 사용된 표지가 모두 14가지 종류이지만 대응-차이 관
계로 사용된 표지는 하나의 표지가 평균 4.
7회 반복되어 3.
1회 반복된 원인-결
과 표지보다 다양성의 정도가 떨어진다고 할 수 있다.따라서 사용된 표지의
다양성은 하나의 표지가 동일한 의미 관계로 몇 회 사용되었는지를 기준으로
분석하기로 한다.동일 표지 반복의 회수가 많을수록 표지가 다양하게 사용되
지 않은 것으로,적을수록 다양한 표지가 사용된 것이라 할 수 있다.
사용된 표지의 생략은 관계되는 명제 간에는 반드시 의미 관계를 나타내는
표지가 사용될 수 있다고 보고 표지가 나타나지 않은 경우,관계 종류 표지가
생략된 것으로 파악하였다.표지가 생략된 경우에는 관계되는 두 명제 사이의
의미 관계를 분석하여 생략된 표지를 밝혀내었고,표지별로 생략된 회수를 조사
하였다.
다음은 분석 대상 논문의(
장경희,
1986)
27) 동일 표지 반복 회수와 생략 빈도를

분석한 결과이다.

27) 분석 대상은 어절 수가 가장 많은 장경희(


1986)
의 논문 한 편만을 대상으로 하였다.

- 37 -
<표 6> 관계 종류 규정 표지 사용의 다양성과 생략

동일 표지 반복 생 략
표지종류
종류(
개) 반복 횟수(
회)생략 횟수(
회)생략빈도(
%)28)

핵심부가-포괄 3 2 8 57.1
핵심부가-선호 1 2 3 60
핵심부가-상세화 2 5.5 70 86.4
핵심부가-등가 3 1 0 0
핵심부가-예시 2 3 2 25
원소-나열 9 14.
3 23 15.13
원소-순서 4 1.3 0 0
대응-대응 5 1.4 1 12.5
대응-공통 6 1.2 0 0
대응-차이 14 4.7 5 7
원인결과-원인 14 3.1 8 8.7
원인결과-결과 7 1.3 8 47.1
문제해결-문제 8 1.5 1 7.7
문제해결-해결 1 2 3 60
방법 2 2.5 - -
공제 0 0 - -
동시 2 1.5 - -
양보 4 1.5 - -

위의 표에 의하면 원소-나열의 표지가 14.


3 회로 동일 표지 반복의 정도가
가장 컸고,핵심부가-상세화,대응-차이,원인결과-원인 표지가 그 뒤를 이었
으며,순서,결과,공통,등가 관계의 경우는 동일한 표지의 반복이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나 다양한 표지가 사용된 것으로 판단된다.분석 결과를 보면 사
용 빈도가 높은 표지일수록 동일 표지 반복 회수가 높은데 이것은 많이 사용
되는 표지일수록 제한된 표지를 반복하여 사용한다는 것을 의미한다.따라서
전체 텍스트에서 사용 빈도가 높으면서 동일 표지 반복의 정도 역시 큰 표지
들을 학문 목적의 학습자들에게 우선적으로 학습하도록 하면 효과적인 관계
종류 규정 표지의 학습이 되리라 판단된다.여기에서는 단순히 표지의 의미
관계 종류별 사용 빈도만을 분석하였지만 개별 표지의 사용 빈도와 사용 양상
까지 밝혀진다면 더욱 더 의미 있는 교수․학습 자료가 될 것이다.

28) 생략 빈도는 생략된 표지의 수 / (전체표지의 수 + 생략된 표지의 수)를 계산한 값이다. 수치가 높을
수록 생략의 정도가 크고, 수치가 낮을수록 생략의 정도가 작다.

- 38 -
<도표 5> 학술 논문의 관계 종류 규정 표지 사용의 다양성

표지의 다양성

16 14.3
14
동일 표지 반복 회수 (회)

12
10
8
5.5
6 4.7
4 3 2.5 3.1
2 2 2 2.5
2 1 1.3 1.4 1.2 1.3 1.5 1.5 1.5
0
0
심 가 괄
핵 가- 선호

핵 부가 등가

가 시
소 가
소 열
응 서
응 응
원 대응 공통
원 결과 차이
문 결과 원인
문 해결 결과

결 제





핵 부가 세화
핵 심부 - 포

부 예
원 -부
원 -나
대 -순
대 -대

해 문
-해





-
인 -
심 상
부 -

심 -
심 -

인 -
제 -
제 -
핵 부가

한편 명제 간의 의미 관계상 관계 종류 규정 표지가 사용되어야 하지만 생


략된 경우도 빈번했는데,관계 종류 규정 표지의 생략 빈도를 살펴 보면 앞서
의 <표 6>에서 볼 수 있듯이 핵심부가-상세화 표지의 경우 약 86.
4%가 생략
되어 생략빈도가 가장 높았고,그 뒤를 이어 핵심부가-포괄 표지의 생략이
57.
1%를 보였다.이 중 상세화 표지는 앞선 명제의 내용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될 것임을 표시하기 때문에 독자가 의미 구조를 따라가기에 큰 어려움이
없다는 점에서 생략이 빈번해도 독해에 큰 지장이 없다.반면,포괄 표지의 경
우에는 상당 범위의 전술 내용을 통합․정리하는 명제에 사용되므로 생략되었
을 경우 의미 구조의 파악이 덜 훈련된 독자는 포괄 관계에 있는 명제의 의미
구조 파악에 어려움을 겪을 것으로 예상된다.따라서 텍스트 생산과 이해에
있어서 포괄 관계 표지의 사용 양상에 대한 학습이 학습자의 수준에 따라 달
리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39 -
포괄 표지를 비롯하여 여타의 관계 종류 규정 표지의 생략이 비교적 많이
이루어지는 까닭은 분석 대상 텍스트가 학술 논문이라는 고급 글쓰기에 해당
되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즉 머리 속의 의미 구조를 언어화하는 논문의 생
산자나 생산된 텍스트를 읽고 언어로 표현된 의미 구조를 머리 속에 재구성하
는 독자 모두 의미 구조의 생산이나 파악에 있어서 훈련된 전문적인 주체들이
기 때문에 굳이 불필요한 표지를 나열하지 않는 것이다.이런 경우에는 표지
를 너무 빈번히 사용하는 것이 오히려 문맥상 매끄럽지 않고 독해에도 걸림돌
이 될 수 있다.여기서는 학술 논문 텍스트 한 편만을 대상으로 관계 종류 규
정 표지의 생략 빈도만을 간략히 살펴 보았지만 텍스트에 나타나는 표지의 생
략에 대해서는 생략의 주기나 생략의 유형과 같은 구체적인 양상에 대한 연구
가 텍스트의 종류별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그렇게 된다면 학문 목적의 한
국어 학습자들의 읽기와 쓰기 학습에 있어 유용한 참고 자료가 될 것이다.

- 40 -
4.
2.학 술 논 문 의 ‘
내 용 표 지 ’분 석

3장에서 살펴 본 바 있듯이 인문 과학 분야 학술 논문의 본문은 대체로 서


론,본론,결론의 구성 양식을 따르며 서론,본론,결론의 각 부분에 전형적으
로 등장하는 내용 요소가 있다.즉 서론에서는 동기,연구의 목적,선행 연구,
연구의 차례,연구 자료 등의 내용이 나타나고 본론에서는 문제제기,논의 전
개,소결론이,결론에서는 요약,연구의 의의와 한계점,그리고 후속 과제가 나
타나는 것이 일반적이다(
3장의 <표 3> 참고)
.그러나 모든 학술 논문이 이들
내용 요소를 전부 다루어야 하는 것은 아니어서 논의의 성격에 따라 다루어지
는 내용 요소가 다르게 나타난다.이러한 텍스트의 전형적인 내용 요소를 나
타내는 언어 표현을 ‘
내용 표지’
라 하는데 ‘
내용 표지’
는 논문에 따라 조금씩은
차이가 있지만 관용적인 양상을 보여 일반화가 가능하다.따라서 이 장에서는
실제 학술 논문 텍스트로부터 ‘
내용 표지’
를 추출하여 이를 유형화하고 각 유
형의 대표적인 예문을 제시하기로 한다.이 때 ‘
내용 표지’
의 분류 체계는 3장
에서 정한 것을 따른다.학술 논문의 ‘
내용 표지’
의 체계를 정리한 <표 4>를
다시 인용하면 다음과 같다.

<표 4> 학술 논문의 ‘


내용 표지’

서론의 ‘
내용 표지’ 본론의 ‘
내용 표지’ 결론의 ‘
내용 표지’


현황’
① ‘
문제제기’
① ‘
동기’ ① ‘
요약’

문제점’
② ‘
논의 전개’
② ‘
연구의 의의’

필요성’
ㆍ‘
예시’
② ‘
연구의 목적’ ㆍ‘
인용’ ③ ‘
한계점’
ㆍ‘
용어 정의’
③ ‘
선행 연구’ ㆍ‘
나열’ ④ ‘
후속 과제’
ㆍ‘
표․도표 읽기’
④ ‘
연구의 차례’
③ ‘
소결론’
⑤ ‘
연구 자료’

- 41 -
4.
2.1.서 론 의 ‘
내 용 표 지 ’분 석

학술 논문의 서론은 그 논문이 무엇을 왜,어떻게 다루려고 하는지를 밝히


는 부분으로서 서론에서 다루어지는 내용은 연구의 동기,목적,선행 연구,연
구의 차례,연구 자료 등이다.따라서 서론에는 이 같은 내용 요소를 나타내는

내용 표지’
로 ‘
동기’표지,‘
연구 목적’표지,‘
선행 연구’표지,‘
연구의 차례’표
지,‘
연구 자료’표지가 등장하게 된다.그러나 학술 논문의 서론에 이들 표지
가 반드시 포함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어서 연구의 주제와 방향에 따라 등장하
지 않는 표지도 있다.단,‘
연구의 목적’표지와 ‘
연구의 차례’표지는 거의 모
든 학술 논문의 서론에서 빠지지 않고 등장하는 필수적인 요소로 나타났다.
이 점은 8편의 분석 대상 논문의 서론의 내용 요소를 분석한 다음의 결과로
부터 알 수 있다.분석 대상 전편에서 연구의 목적을 다루고 있으며 연구의
차례 역시 단 한 편을 제외하고 모든 논문에서 다루어지고 있다.주검증 대상
4편에서는 연구의 목적이 서론의 앞부분에 위치하고 연구의 차례는 가장 마지
막에 위치하였으나,주검증 대상 논문의 저자들보다 비교적 연령대가 낮은 학
자들이 저자인 검토 대상 논문들에서는 내용 요소들이 각기 자유롭게 배열되
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목적 - 문제점 - 연구자료 - 연구차례 (남기심, 1982)


문제점 - 목적 - 현황/
필요성 - 연 구 차 례 (송철의, 1998)
목적 - 연구자료 - 연구차례 (홍재성, 1998)
목적 - 연구차례 (장경희, 1986)
현황 - 필요성 - 연구차례 - 목적 (이은희, 2002)
필요성 - 목적 - 현황/
문제점 - 연 구 차 례 (신지연, 2001)
현황 - 필요성 - 목적 (임지룡, 1997)
목적 - 연구차례 - 연구자료 (최호철, 1995)

- 42 -
학술 논문의 서론에 위와 같은 ‘
내용 표지’
가 등장한다는 사실을 실제 학술
논문의 서론 두 편을 통해 확인하도록 하겠다.아래 <예시 텍스트 1>은 분석
대상 논문 중 한 편으로부터 발췌한 서론의 전문으로서 연구의 목적과 동기,
연구 자료,연구 차례를 다루고 있다.

<예시 텍스트 1> 학술 논문의 서론


형태소의 분석은 언제나 극한 분석이 되어야 하는가,또 그것은 언제나
연구목적
가능한가 하는 것을
을 살펴 보고자 하는 것이 본론이 의도하는 바이다.

현황 형태소는 문법의 최소 기본 단위이기 때문에 가능한 한 극한적인 분석


동 이 이루어져야 함직하다.그러나 그 것 이 항 상 가 능 한 것 이 아 니 며 ,공시
문제점
기 적인 문법체계를 기술하기 위한 최선의 것인 인가 하 는 데 도 의 문 의 여 지
필요성 가 없지 않다.

형태소의 분석은 형태소의 개념상 공시적인 언어자료를 대상으로,공시


적인 관점에서 이루어지는 것이다.그러므로 형태소의 분석 작업은 공시
연구자료 적인 것이 될 수밖에 없다.통시적인 언어 사실은 참고와 암시는 될 수
있어도,그것이 기준이 될 수는 없으며,또 거기에 맞추어도 안될 것이다.
본 론 의 언 어 자 료 는 현대 서울의 방언이
이다 .

본론은 ‘ 먹는다,먹는구려,먹는군,먹느냐,먹었는가,먹는데,먹는지’ 등
에서 ‘는’이 분석될 수 있으며,그것은 한 개의 형태소 ‘ 는’으로 묶어질 수
연구의 차례
있는
는 가 ,그리고 그것이 타당한 분석인
인 가 하 는 것 을 살 펴 봄 으 로 써 ,형태
소의 극한 분석의 가능성과 타당성을 을 논 하 고 자 한 다 .(
남기심,1982)

먼저,연구 목적에서는 이 연구의 목적인 “


형태소의 분석이 언제나 극한 분
석이 되어야 하며,그것이 언제나 가능한가를 살펴 보고자 하는 것”
이 ‘
~을
살펴 보고자 하는 것이 본론이 의도하는 바이다’
라는 ‘
내용 표지’
를 통해 표현
되고 있다.연구 목적에 이어 연구의 동기가 나타나는데 해당 연구가 형태소
의 극한적인 분석이 언제나 가능하지 않고,문법 체계 기술의 최선책이 아니
라고 하는 문제점에서 시작되었음을 ‘
~는 데도 의문의 여지가 없지 않다’
라고
하는 ‘
문제점’표지를 통해 나타내고 있다.그 다음으로 이 연구가 “
현대 서울
의 방언”
을 분석 자료로 하고 있음이 밝혀지고,가장 마지막에 연구 차례가
기술되었는데 이 연구의 연구 차례는 ‘
는’이 분석될 수 있는지를 살펴 보고,
그것이 한 개의 형태소로 묶일 수 있는지를 진단한 후에,그러한 분석이 타당
한지를 살펴보는 것으로 ‘
~고자 한다’
라는 의도 표현으로 표시되었다.

- 43 -
<예시 텍스트 2> 학술 논문의 서론
외래어란 외국어로부터 들어와 자국어에 동화되어 자국어로 사용되는 어
휘들을 일컫는다.외국어로부터 들어오는 언어 요소에는 어휘적 요소 이
연구목적 외에 문법적 요소도 있으나 외래어와 관련하여 주로 문제가 되는 것은
어휘적인 요소들이다.따라서 여기서는 주로 어휘적 요소로서의 외래어에

대해서 논의하기로 한다.
(중략)
현황
우리나라의 경우에도 해방 이후 일본어의 잔재를 몰아내기 위한 국어 순
‧ 화 운동이 있은 이래 국어에서 외래요소를 줄이기 위한 노력이 계속되었
동기 문제점 다.그리하여 적지 않은 성과를 거두기도 하였다.그러나 날이 갈수록 서
‧ 구어계 외래어,특히 영어계 외래어가 늘어만 가고 심지어는 일상 언어
생활에서 외국어가 남용되고 있는는 실정이어서 이 문제에 대한 대책이
필요성 시급히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이 글 에 서 는 외국어 및 외래어의 남용 실태를 를 살 펴 보 고 이에 대
연구의 차례
한 순화 방안과 대책을 을 제 시 해 보 기 로 하 겠 다 .(
송철의,1998)

위에 제시된 논문의 서론은 가장 첫 부분에 ‘


어휘적 요소로서의 외래어에
대해 논의’
하겠다고 하는 연구 목적이 등장하고,뒤를 이어 관련 사안에 관한
현황으로 ‘
외래어를 줄이기 위한 노력이 계속되었지만 영어 계통의 외래어가
날이 갈수록 늘고 있다’
는 사실을 언급하였다.또한 이것이 문제임을 밝히면서
이 문제에 대한 대책이 시급히 요구된다는 점을 들어 연구의 필요성을 드러내
었다.여기에서 현황,문제점,필요성의 세 가지 요소가 논문을 쓰게 된 동기
의 역할을 충실히 수행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마지막으로 연구의 차
례 29)를 제시하고 있는데 ‘
외국어 및 외래어의 남용 실태를 살펴보는 것’
과 ‘

에 대한 순화 방안과 대책을 제시해 보는 것’
의 두 가지가 제시되었다.
위에 제시된 논문의 경우에는 연구 자료가 나타나지 않았는데 다른 논문의
경우에도 선행 연구와 연구 자료가 생략되는 경우가 있었다.그러나 연구의
목적과 연구의 차례의 경우는 생략되는 일이 없었으며,위치 또한 주검증 대
상 4편에서 연구의 목적이 가장 앞부분에,연구의 차례는 가장 마지막에 나타
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30)

29) 여기서는 연구의 차례라고 하였지만 연구자에 따라 논점, 본문소개, 논의방향, 연구방법 등의 명칭을
사용하기도 한다. 명칭은 다르지만 본론에서 다루게 될 논제를 제시하고 있다는 공통점이 있다.
30) 이에 따라 ‘내용 표지’의 분석의 결과는 ① ‘목적’, ② ‘동기’, ③ ‘선행 연구’, ④ ‘연구 자료’, ⑤ ‘연구
의 차례’ 표지의 순으로 기술하기로 한다.

- 44 -
1)‘
목 적 ’표 지


목적’표지는 서론의 내용 중에서 연구의 목적을 나타내는 언어 요소로 서
론의 앞 부분에 위치하는 경우가 많은데 해당 연구를 통해 밝히고 싶은 점을
나타내는 표지이다.연구 목적은 학술 논문의 전체적인 목적이 되므로 우선

이 글에서는’
,‘본 연구에서는’
,‘이 글은’
과 같이 논문 전체를 가리키는 표현이
등장한다.그리고 논의의 성격에 따라 ‘
거론하다’
,‘고찰하다’
,‘생각하다’
,‘검토
하다’등의 동사가 ‘
~고자 한다’
,‘~려고 한다’
,‘~을 것이다’등 의도를 나타내
는 표현과 함께 나타난다.한편 ‘
목적’
,‘과제’등의 표현을 사용해서 직접적으
로 ‘
목적’표지임을 드러낸 경우도 있다.아래 보기의 ㉤과 ㉥의 경우가 그러
한 예이다.다음은 학술 논문의 서론에 나타나는 ‘
목적’표지를 추출하여 형태
상 유사한 것끼리 묶은 것이다.이 때 표지 내의 동사를 기준으로 각각의 예
문도 함께 제시하였다.

이 글에서는 거론하려고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을/를
고찰해보겠다. ㉡
이 자리에서는
~에 대해
생각해 보겠다. ㉡

이 글은
검토할 것이다. ㉢
~을/를
본론은
논하고자 한다. ㉣
~데에 목적이 있다. ㉤
본고의 과제는 ~을/를 밝히는 것이다. ㉥

㉠ 이 자리에서는 ~을/
를 거론하려고 한다.

대칭동사 또는 대칭형용사에 대한 국어학적 관심은 근래에 몇몇 연구를 통해 많이 표


출이 되었다고 하겠는데, 이 자리에서는
자리에서는 특히 상호동사의 경우를
를 거론하고자 한다.
한다. (홍
재성, 1998)

- 45 -
㉡ 본 연구에서는 ~에 대해 고찰해보겠다(
을/를 생각해 보겠다)
.

광고텍스트의 특성에 대한 접근 방식은 매우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는데, 본 연구에서


는 언어 구조체와 의사소통의 과정이라는 두 측면을 중심으로 광고텍스트의 특성에
에대
해 고찰해 보고 국어교육적 의미를
를 생각해 보겠다.
보겠다. (이은희, 2002)

㉢ 이 글은 ~을/
를 검토할 것이다.

이 글은 구조 측면의 단위 분석에 한정하여 국어의 그것이 어떻게 이루어지는가를


를검
토할 것이다.
것이다. (최호철, 1995)

㉣ 본론은 ~을/
를 논하고자 한다.

본론은 "먹는다, 먹는구려, 먹는군,"등에서 "는"이 분석될 수 있으며, 그것은 한 개의


형태소 "는"으로 묶어질 수 있는가, 그리고 그것이 타당한 분석인가 하는 것을 살펴 봄
으로써, 형태소의 극한 분석의 가능성과 타당성을
을 논하고자 한다.
한다. (남기심, 1982)

㉤ 이 글은 ~는 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과제를 화두로 삼아, 이 글은 의미 연구의 일차적인 목표인 의미의 본질을 규명


하기 위하여 어휘의미를 대상으로 인지의미론적 관점에서 21세기의 연구 방향을 모색
해 보려는
는 데 목적이 있다.
있다. (임지룡, 1997)

㉥ 본고의 과제는 ~을/


를 밝히는 것이다.

본고의 과제는 감탄사의 의미 구조를


를 밝히는 것인데,
것인데 '감탄사'라는 범주의 이름이 이미
의미적 특징을 내비치고 있지만 실제로 이 범주의 특성은 의미적 양상에 기반하고 있
지 않다. (신지연, 2001)

- 46 -
2)‘
동 기 ’표 지

서론에는 논문을 쓰게 된 동기를 나타내는 요소가 등장하게 되는데 이를 나


타내는 언어 요소가 바로 ‘
동기’표지이다.일반적으로 논문을 기획하게 되는
이유는 관련 현황의 진단을 통해서 어떠한 문제나 필요를 발견하기 때문이다.
즉,관련 사안에 대한 현황과 문제점,필요성 등이 동기를 구성한다고 볼 수
있다.이에 따라 ‘
동기’
를 나타내는 표지는 ‘
현황’표지,‘
문제점’표지,‘
필요성’
표지 등으로 분류될 수 있는데 보통은 각각의 표지가 단독으로 나타나는 일은
별로 없고 보통 복합적으로 연결되어 나타난다.이를테면 아래 <예문 3>에서
와 같이 문제가 되는 현황을 지적하고 그로부터 연구의 필요성을 도출하는 경
우가 그러하다.<예시 텍스트 3>의 밑줄 친 ㉠은 외래어 사용의 현황을 기술
한 것인데 후술 명제에서 이를 ‘
이 문제’
라고 지시하여 현황인 동시에 문제임
을 표시하고 있다.㉡은 이러한 문제에 대한 대책이 요구된다고 하면서 외래
어의 수용 방안과 대책을 논의하는 해당 연구의 필요성을 역설하고 있다.이
때 ‘
~는 실정이다’
가 ‘
현황’표지,‘
문제’
라는 어휘가 ‘
문제점’표지,‘
~에 대한

대책이 시급히 요구되고 있다’


가 ‘
필요성’표지이다.

<예시 텍스트 3>

(
중략)
우리나라의 경우에도 해방 이후 일본어의 잔재를 몰아내기 위한
현황
국어 순화 운동이 있은 이래 국어에서 외래요소를 줄이기 위한

노력이 계속되었다.그리하여 적지 않은 성과를 거두기도 하였다.
동기 문제점
그러나 ㉠날이 갈수록 서구어계 외래어,특히 영어계 외래어가

늘어만 가고 심지어는 일상 언어 생활에서 외국어가 남용되고 있
필요성
는 실 정 이어서 ㉡이
이 문제에 대한 대책이 시급히 요구되고 있
다 .(
송철의,1998)

- 47 -
이 같은 사실은 <예시 텍스트 4>에서도 확인할 수 있는데 ㉠와 같이 광고
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논의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국어교육계의 현황을
진단하면서 ㉡과 ㉢에서 이런 논의가 국어 교육의 장에서 실현되어야 하며 이
를 위해 광고가 어떤 텍스트성을 지니고 있는지 광고 텍스트에 대한 논의가
필요함을 지적하고 있다.즉,여기에서도 현황과 필요성이 함께 나타나고 있
다.

<예시 텍스트 4>

앞에서도 논의한 바와 같이 광고는 분명히 우리의 삶 속에 뿌


리깊이 박혀 있다.그렇지만 존재한다는 것이 가르쳐야 할 이유
는 아닌 것이다.그렇기에 ㉠광고의 국어교육적 수용의 필요성에
대해서 다양한 학문적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는 상황은 매우 가치
롭다.그렇지만 ㉡이러한 본질에 대한 논의가 그 결과를 거두기

현황 위 해 서 는 이것이 국어교육의 장에서 실현되는 과정이
이 필요하다.
동기 ‧ 그런데 ㉢교육의 현장에서 광고를 국어교육의 한 부분으로 적
필요성 용하기
기 위 해 서 는 광고가 어떤 텍스트적 특성을 지니고 있는가에
대한 본질적 이해가
가 필 요 하 다 .광고를 의사소통 과정에서 사용
되는 언어적 구조체,즉 하나의 텍스트로 볼 때 우리는 광고텍스
트는 그 동안 국어교육의 장에서 다루어 왔던 음성이나 문자를
매체로 한 텍스트와는 여러 가지 면에서 다르다는 낯설음을 느끼
게 된다.(이은희, 2002)

이처럼 동기를 기술할 때 ‘


현황’표지와 ‘
문제점’표지 그리고 ‘
필요성’표지
의 어느 하나만 단독으로 나타나는 일은 없고 현황으로부터 문제점을 도출하
여 이를 해결하기 위한 연구임을 밝히거나,현황을 진단하여 이에서 해당 연
구의 필요성을 이끌어내는 식으로 복합적으로 동기를 표시하는 방식이 나타난
다.다음에서는 ‘
동기’표지에 속하는 ‘
현황’표지,‘
문제점’표지,‘
필요성’표지
를 하나씩 살펴보기로 하겠다.

- 48 -
① ‘
현 황 ’표 지


동기’
를 나타내는 표지의 하나인 ‘
현황’표지는 관련 사안에 대한 진단으로
서 현황으로서 그 유형이 두 가지로 나뉜다.첫 번째 유형은 ‘
현상’
,‘상황’
,‘경
향’
,‘추세’
,‘실정’등과 같은 현황과 관련된 명사를 사용한 표지들로서 ‘
현황’

나타내는 표지의 대부분을 이룬다.두 번째 유형은 현황을 나타내는 명사 없
이 ‘
~고 있다’
,‘~어/
아 왔다’등의 진행이나 지속을 나타내는 어미나 ‘
~게 되

다’
의 변화의 어미를 사용한 경우로 이 때는 ‘
현재’
,‘현상태에서’
,‘요즈음’
과 같
은 부사와 함께 쓰여 현황임을 드러낸다.다음은 ‘
현황’표지의 두 유형을 대
표적인 예문과 함께 보인 것이다.

[
유 형 1]현 황 관 련 명 사 를 사 용 한 경 우

~는 현상이 ㉠ 나타나기도 하였다.


~는 상황이 ㉡ 전개되고 있다.
~는 경향이 ㉢
있다.
~는 추세에 ㉣

현재 ~의 상황은 ~고 있는 실정이다. ㉤,㉥

대체로 ~는 것이 일반적인 현상인 듯하다. ㉦

㉠ ~는 현상이 나타나기도 하였다.

해방 후 이들에 대해서 직접차용이 이루어지자 간접차용어와 직접차용어가 공존하는



현상이 나타나기도 하였다.
하였다. (송철의, 1998)

㉡ ~는 상황이 전개되고 있다.

이제 언어사전은 사전 독자들의 어휘 지식의 공백을 간헐적으로 메꾸어 줌으로써 언어 지식을 확


충해 주는 단순한 교육 텍스트로서의 참고서에 머물지 않고, 언어학, 심리학, 전산학, 인지과학
또는 역사학, 사회학 등 다양한 인간과학의 연구가 교차하는 지점에서 하나의 과학적인 연구 대
상, 또는 연구 자료의 지위를 갖고 학제적인 관심의 초점이 되고 있으며, 또한 언어공학이나 언어
산업과 같은 이른바 첨단과학 기술이나 산업의 발전에 필수적인 요소로 기능하기도 하는 는 상황이
전개되고 있다.
있다. (홍재성, 1998)

- 49 -
㉢ ~는 경향이 있다.

일본을 통해 들어온 간접차용 특히 음역차용어들이 점차 사라져 가는


는 경향이 있으나 어
쨌든 그러한 공존은 결코 바람직한 것이 아니다. (송철의, 1998)

㉣ ~는 추세에 있다.

이와 관련된 언어 속성은 문형, 격틀 또는 구문 정보 등의 지칭 하에 요즈음의 한국어


사전에서도 반드시 수록되는
는 추세에 있다.
있다. (홍재성, 1998)

㉤ 현재 ~의 상황은 ~고 있는 실정이다.

그렇지만 앞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현재 국어교육계의


의 상황은 광고를 통한 교육에 머물
러 있는 상태이기에 광고텍스트의 특성에 대해서는 아직 본격적으로 교육적 관심이 주
어지지 않고 실정이다. (이은희, 2002)
고 있는 실정이다.

㉥ ~고 있는 실정이다.

그런데 아직 국어교육계에서는 의사소통이라는 측면에서 광고텍스트를 볼 때 어떤 방


향에서 광고텍스트에 접근해야 할 것인지 구체적인 방향 설정이 이루어지지 않은 채 단
편적인 논의들만이 제시되고
고 있는 실정이다.
실정이다. (이은희, 2002)

㉦ 대체로 ~는 것이 일반적인 현상인 듯하다.

대체로 활용형이 제한되면 명사와의 결합 폭에 제약이 가해지고, 의미해석도 달라지는



것이 일반적인 현상인 듯한데,
듯한데, (홍재성, 1998)

- 50 -
[
유 형 2]현 황 관 련 상 을 사 용 한 경 우

오늘날은
대체로
~고 있다. ㉠, ㉡

- ~어/아 왔다. ㉢
- 게 되었다. ㉣

㉠ 오늘날은 ~고 있다.

오늘날은 김대행(1995)에서 국어는 도구성과 문화성의 장력에 의해 움직인다고 천명했


던 바와 같이, 국어교육의 기능적 측면과 문화적 측면이 함께 강조되고
고 있다.
있다. (이은희,
2002)

㉡ 대체로 ~고 있다.

연구된 사전의 경우, 대체로 따로 구축한 말뭉치에서 자연 용례를 예문으로 인용하는


방침을 따르고
고 있는데,
있는데 여기에는 몇 가지 주의할 점이 있다. (홍재성, 1998)

㉢ ~어/
아 왔다.

국어 교육에서는 최근에 와서 대중 매체 언어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그 수용 방법을 인


식하고 있는 데 반해, 미디어의 수용과 이용 방식을 연구 대상으로 하는 미디어 교육은
꽤 오래 전부터 그 학문적 뿌리를 내려
려 왔다.
왔다. (이은희, 2002)

㉣ ~게 되었다.

이와 같이 국어교육에 있어서 문화적 측면을 강조함에 따라 현 시대의 문화를 가장 잘


반영하면서 동시에 새로운 문화를 형성해 나가는 대중 매체는 국어교육에서 중요한 화
두로 등장하게
게 되었다.
되었다. (이은희, 2002)

- 51 -
② ‘
문 제 점 ’표 지

서론에서 논문을 쓰게 된 동기는 관련 사항에 대한 문제점을 지적하는 것으


로 나타나기도 한다.이 때 문제점을 드러내는 언어 요소가 ‘
문제점’표지이다.

문제점’표지는 표현되는 방법에 따라 크게 세 가지 유형으로 나타난다.첫
번째는 ‘
문제’
라는 표현을 사용해서 직접적으로 문제점을 언급하는 경우이며,
두 번째는 관련 사안에 대하여 우려를 표명하면서 간접적으로 그것이 문제점
임을 지적하는 것이고,세 번째 유형은 해당 사항의 적용이나 시행에 있어 불
편하거나 어려운 부분이 있는 점을 들어 두 번째 유형과 마찬가지로 간접적으
로 문제임을 지적하는 경우이다.다음은 이와 같은 세 가지 유형을 간략히 정
리하여 예문과 함께 보인 것이다.

[
유 형 1]직 접 적 으 로 제 시 한 경 우

㉠ ~와/과 관련하여 주로 문제가


문제 되는 것은 ~이다.

㉡ ~은/는 ~다는 점에서 문제가


문제 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 ~다는 문제점도
문제점 드러내고 있다.

㉣ 다음과 같은 문제들이
문제 있을 수 있다.

㉠ ~와 관련하여 주로 문제가 되는 것은 ~이다.

외래어와
와 관련하여 주로 문제가 되는 것은 어휘적인 요소들이다
이다.
이다 (송철의,1998)

- 52 -
㉡ ~은/
는 다는 점에서 문제가 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사실 외래어의 사용은
은 언어 생활의 실제적인 필요성에 의한 것이라는 긍정적인 측
다는 점에서 더
면이 없지 않지만 외국어의 사용은 그러한 긍정적인 측면이 전혀 없다는
문제가 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있다. (송철의,1998)

㉢ ~다는 문제점도 드러내고 있다.

이는 또 한편으로는 정부 부처 간에 협조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는


다는 문제점도 드러
내고 있다.
있다. (송철의,1998)

㉣ 다음과 같은 문제들이 있을 수 있다.

이 밖에도 동사 형용사 어휘 부류의 사전 항목 구성을 위해서, 총망라하는 것은 아니고


일부만 지적하자면, 다음과 같은 문제들이 있을 수 있는데,
있는데 (홍재성, 1998)

- 53 -
[
유 형 2]우 려 를 통 해 간 접 적 으 로 지 적 한 경 우

두 번째 유형은 우려나 염려되는 점을 지적하여 간접적으로 그것이 문제임


을 드러내는 경우인데 이 때는 ‘
우려’
,‘염려’와 같은 표현이 쓰인다.그러나
이처럼 우려를 통해 간접적으로 문제점을 지적하는 경우는 연령대가 높은 학
자들의 논문에서 주로 나타나는 현상으로서 분석 대상 논문 중 주검증 대상에
서만 나타났을 뿐 검토 대상 논문에서는 나타나지 않았다.이는 연령대가 높
은 학자들의 경우에는 학계에서의 위치로 보아 학계 제반의 문제에 대해 우려
를 표명할만한 입장에 있으나 연령대가 낮은 학자들은 그렇지 않기 때문인 것
으로 보인다.따라서 우려를 통해 간접적으로 문제점을 지적하는 경우는 ‘
문제
점’표지의 유형으로 분류는 하되 일반화하여 적용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 ~(으)ㄹ 우려가
우려 있다.
㉡ ~(으)ㄹ까 우려되는
우려 것이다.
㉢ 염려스러운 것은 ~이다.

㉠ ~(
으)ㄹ 우려가 있다.

노래 제목을 영어로 붙이는 이러한 경향은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한 가요에서 나타나기


때문에 아직 사리분별이 확실하지 않은 그들로 하여금 외국어의 사용을 당연한 것으로
있다. (
인식하게 할 우려가 있다. 송철의,
1998)

㉡ ~(
으)ㄹ까 우려되는 것이다.

이러한 사전 설계에 대한 평가는 다른 기회로 미루고, 우리의 직접적인 관심사인 현대


표준 한국어 일반 어휘의 기술에 대해서만 우선적으로 지적을 한다면, 그것이 한 마디
로 전문어를 기술한 백과사전 부분에 비해 양적으로나 질적으로 미비하고 미진하지나
않을까
을까 우려되는 것이다.
것이다. (홍재성, 1998)

- 54 -
㉢ 염려스러운 것은 ~이다.

특히 더 염려스러운 것은 앞에서 제시한 바와 같이 담배 이름을 외국어로 붙이는 현상이



다. (송철의,1998)

[
유 형 3]어 려 움 ,불 편 함 을 통 해 간 접 적 으 로 지 적 한 경 우

세 번째 유형의 ‘
문제점’표지는 해당 사항의 적용이나 시행에 있어 불편하
거나 어려운 부분이 있다는 점을 들어 간접적으로 문제임을 지적하는 경우이
다.이러한 방식은 첫 번째 유형과 같이 문제가 되는 점을 직접 단정적으로
지적하는 위험을 피할 수 있으면서,제시하는 어려움이나 불편함 등이 해당
사항이 문제가 되는 객관적인 근거의 역할도 겸하기 때문에 자주 사용되는 것
으로 보인다.이 유형은 주로 연령대가 낮은 저자의 논문인 검토 대상 논문들
에서 비교적 많이 찾아볼 수 있었다.한편 어려움,불편함 등을 들어 간접적으
로 문제점을 드러내는 이들 표지는 서론에서 뿐 아니라 본론의 곳곳에서 기존
논의에 대한 반박의 표지로 사용되기도 한다.다음은 ‘
문제점’표지의 세 번째
유형의 대표적인 표지를 몇 가지 제시한 것이다.

㉠ ~에 장애가 되고 있다.
㉡ ~ 때문에 불편한 점이 생기기 마련이다.
㉢ ~은/는 ~기에는 적합하지 않다.
㉣ ~은/는 ~에서 커다란 혼란을 야기시킨다.
㉤ ~으로는 ~기가 어렵다.

- 55 -
㉠ ~에 장애가 되고 있다.

국어 문장을 분석함에 있어서는 직관에 따라 자연스럽게 하면서도 단어의 설정에서는


자립성을 너무 중시한 탓에 이를 변칙적으로 설명하고, 단어는 그 상위 단위인 어절까
지를 포함하는 경우가 있어 국어의 일관된 문법 기술에
에 장애가 되고 있다.
있다. (최호철,
1997)

㉡ ~때문에 불편한 점이 생기기 마련이다.

그런데 용례의 출처를 말뭉치의 자연 용례에만 국한하게 되면 말뭉치의 규모가 아무리


크다 할지라도 그것이 지닌 용례의 과부족이라는 내재적 한계 정보성이 낮은 용례는 불
필요하게 너무나 수가 많고, 반대로 정보성의 관점에서 꼭 필요하고 적절한 용례는 수
가 적거나 찾아지지 않는 현상 때문에 불편한 점이 생기기 마련이다.
마련이다. (홍재성, 1998)

㉢ ~은/
는 ~기에는 적합하지 않다.

이러한 이분법적 매체 설정 방식은


은 문자가 주된 전달 매체로서의 기능을 수행하던 시절
에 이루어진 것으로, 융합 텍스트적 특성을 지닌 광고텍스트를 설명하기에는
기에는 적합하지
않다.
않다. (이은희, 2002)

㉣ ~은/
는 ~에서 커다란 혼란을 야기시킨다.

이를 도외시함은
은 국어의 문법 설명에서
에서 커다란 혼란을 야기시킨다.
야기시킨다. (최호철, 1997)

㉤ ~로는 ~기가 어렵다.

이러한 방식으로는
으로는 광고텍스트의 본질을 정확하게 파악할
할 수 없으며 광고텍스트에 대한
의사소통 능력을 기른다는 국어교육적 목적을 달성하기도
기도 어렵다.
어렵다 (이은희, 2002)

- 56 -
③ ‘
필 요 성 ’표 지

서론에서 논문을 쓰게 된 동기는 연구의 필요성을 드러내는 것을 통해 나타


나기도 한다.이 때 필요성을 드러내는 언어 요소가 ‘
필요성’표지이다.그런데

필요성’표지는 단독으로 등장하는 경우는 찾아보기 어렵고 대체로 ‘
현황’또
는 ‘
문제점’표지와 함께 나타난다.관련 현황을 진단하는 과정에서 문제점을
발견하여,이를 바로잡을 목적으로 또는 부족하거나 보완할 점에 대해 연구의
필요성을 느껴서 논문을 쓰게 되기 때문이다.‘
필요성’표지에는 필요성을 드
러내는 방식에 따라 ‘
필요하다’
,‘필요성’등의 표현을 사용하여 직접적으로 필
요성을 표시하는 유형과 ‘
어/아야 하다’등의 당위적 표현을 사용하여 필요성
을 드러내는 유형이 있다.

[
유 형 1]‘
필 요 ’관 련 어 휘 를 사 용 하 여 직 접 제 시 하 는 경 우

~이/가 필요하다. ㉠,㉡


~기 위해서는
~이/가 필요한 실정이다. ㉢
여기에 ~의 필요성이 있는 것이다. ㉣

㉠ ~기 위해서는 이/
가 필요하다.

그런데 교육의 현장에서 광고를 국어교육의 한 부분으로 적용하기


기 위해서는 광고가 어
떤 텍스트적 특성을 지니고 있는가에 대한 본질적 이해가
가 필요하다.
필요하다. (이은희, 2002)

㉡ ~이/
가 필요하다.
[현황+필요성]

종래 의미 연구의 방법론은 19세기의 '역사의미론'을 비롯하여, 20세기의 '구조의미론


''생성의미론''형식의미론''화용론' 등 다양한 방법론이 개발되었다. 우리의 경우 지난
40년 동안 이러한 방법론이 어떤 형태로든 시험되고 수용되어 왔다. 이와 관련하여, 연
구 방법론은 일차적으로 의미의 본질을 규명함에 있어서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유연한
방법론을 모색하는 일이
이 필요하며,
필요하며, 외래이론을 정확하고 능동적으로 수용하여 이를 국
어 의미 연구에 적합한 방법론으로 토착화해 나가는 데 힘을 모아야 할 것이다. (임지
룡, 1997)

- 57 -
㉢ ~이/
가 필요한 실정이다.
[현황+필요성]

이러한 성과를 높이 평가하면서도 의미 연구의 과제 또한 만만찮게 우리 앞에 놓여 있


음을 보게 된다. 그러한 과제로서 의미 연구의 목표, 대상, 방법에 대한 반성과 새로운
방향의 모색이
이 필요한 실정이다.
실정이다. (임지룡, 1997)

㉣ 여기에 ~의 필요성이 있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우리가 제기해야 할 문제는 '어떻게?'이며 여기에 국어교육적 접근의


의 필요
성이 있는 것이다.
것이다. (이은희, 2002)

[
유 형 2]당 위 적 표 현 으 로 필 요 성 을 나 타 내 는 경 우

~어/아야 한다. ㉠
~을/를 위해서는
~어/아야 하리라 생각된다. ㉡
~는 실정이어서 이 문제에 대한 대책이 시급히 요구되고 있다. ㉢

㉠ ~을/
를 위해서는 ~어/
아야 한다.

언어의 체계적인 연구를


를 위해서는 그 대상이 되는 언어의 기본 단위를 정확히 파악하여

야 한다.
한다. (최호철, 1997)

㉡ ~어/
아야 하리라 생각된다.

시급히 다양한 유형의 언어사전이 만들어져야


야 하리라 생각되며,
생각되며, 그 중에서도 특히 표제
어를 핵심적인 일반 어휘로 제한하여 깊이 있게 기술한 언어사전의 구축이 중요하다고
여겨진다. (홍재성, 1998)

㉢ 이 문제에 대한 대책이 시급히 요구되고 있다.


[현황+문제점+필요성]

그러나 날이 갈수록 서구어계 외래어, 특히 영어계 외래어가 늘어만 가고 심지어는 일


상 언어 생활에서 외국어가 남용되고 있는 실정이어서 이 문제에 대한 대책이 시급히 요
구되고 있다.
있다. (송철의, 1998)

- 58 -
3)‘
선 행 연 구 ’표 지

선행 연구는 연구사 혹은 기존의 논의에 대한 고찰로서 해당 연구가 관련


논의의 장에서 어떠한 입장을 취하고 있으며 어떠한 접근 방법을 따르고 있는
지를 분명히 해두기 위해 사용된다.이렇게 선행 연구를 드러내는 언어 요소
를 ‘
선행 연구’표지라 한다.학술 논문의 서론은 보통 간략히 기술되기 때문
에 선행 연구를 다루지 않는 경우가 많다.그래서 본론에서 선행 연구를 검토
하는 경우도 있는데 이 때는 해당 연구의 입장을 분명히 하려는 목적 외에도
선행 연구의 특정 내용을 제시하여 그것을 논의의 출발점으로 삼는 경우도 있
다.‘
선행 연구’표지는 그 내용의 유형에 따라 크게 세 가지로 나뉘는데 첫
번째는 학계에서 일반화된 사실을 드러내는 경우로 ‘
흔히’
,‘잘 알려져 있다시
피’
,‘주지의 사실’등의 표현으로 나타나며,두 번째는 현재까지 학계에서 주
류를 이루어 온 논의를 통시적인 관점에서 짚어 보는 경우로 ‘
지금까지’
,‘종
래’등의 시간 부사와 현재까지의 지속을 나타내는 ‘
~어/
아 왔다’
라는 어미로
표현된다.세 번째 유형은 특정한 선행 연구나 이론을 제시할 때 사용되는데
~에서는 ~고 있다’
‘ 라는 표지가 대표적이다.다음은 ‘
선행 연구’표지를 각 유
형별로 도표화하여 예문과 함께 제시한 것이다.

[
유 형 1]일 반 화 된 사 실 의 경 우

~을 ~으로 이야기한다. ㉠
흔히
~이라고들 표현한다. ㉡
주지의 사실이다. ㉢
~은/는
이미 상식화된 사실이다. ㉣
~이/가 ~라는 것은
~에서 공론적 사실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
잘 알려져 있다시피 ~이다. ㉥

- 59 -
㉠ 흔히 ~을/
를 ~으로 이야기한다.

흔히 풍부한 용례의 수록을


을 바람직한 언어사전의 장점으로
으로 이야기한다.
이야기한다. (홍재성, 1998)

㉡ 흔히 ~이라고들 표현한다.

흔히 광고는 현대 자본주의 사회의 꽃이라고들


이라고들 표현한다.
표현한다. (이은희, 2002)

㉢ ~이/
가 ~라는 것은 주지의 사실이다.

단어들을 공통되는 특성을 가진 것끼리 몇 개의 부류로 묶는 품사 분류에서 제일 중요


한 기준이 되는 것이
이 형태적 의미적 특질에 앞서 다른 단어와의 관계에 기반한 기능적
특질이라는
이라는 것은 주지의 사실이다.
사실이다. (신지연, 2001)

㉣ ~은/
는 이미 상식화된 사실이다.

국어 사용 활동을 매체적 특성에 따라 음성 언어에 대한 '말하기, 듣기'와 문자 언어에


대한 '쓰기, 읽기'로 나누는 것은
은 국어교육계의 오랜 관행으로 이미 상식화된 사실이다.
사실이다.
(이은희, 2002)

㉤ ~은/
는 ~에서 공론적 사실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매체라는 축과 함께 '표현'과 '이해'라는 의사소통 과정에의 참여 방식을 중심으로 이루


어져 있는 현행 국어교육의 영역 설정 방식을 보면 의사소통 과정에 참여하는 이러한
두 방식은
은 국어교육계에서
에서 공론적 사실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있다. (이은희, 2002)

㉥ 잘 알려져 있다시피 ~이다.

잘 알려져 있다시피 한국어에서는 형용사가 동사와 유사한 것이다


이다.
이다 한국어에서는 형용
사와 동사는 거의 동일하게 활용하며 그 통사적 기능양상 역시 아주 비슷한 것이다. (홍
재성, 1998)

- 60 -
[
유 형 2]주 류 학 설 의 경 우

<학계>에서는 ~의 입장이 대립되어 왔다. ㉠


<학문>에서는 ~을/를 ~어/아서 접근해 왔다. ㉡
<이론>에서는 ~의 기준을 ~에 두어 왔다. ㉢
지금까지는 일반적으로 ~으로 인식되어 왔다. ㉣
종래 ~라고 하면 주로 ~에 관심을 기울여 왔다. ㉤
종래 연구의 경향은 ~에 편중되어 왔다. ㉥

㉠ <학계>에서는 ~의 입장이 대립되어 왔다.

이와 관련하여 언어학계에서는
에서는 동음어를 최대화하려는 입장과 다의어를 최대화하려는 입
장이 대립되어 왔는데,
왔는데, 인지의미론에서는 다의적 접근방식을 취하고 있다.(임지룡,1997)

㉡ <학계>에서는 ~을/
를 ~어/
아서 접근해 왔다.

지금까지 국어교육에서는
에서는 언어 사용 활동을 을 문자를 매체로 한 것과 음성을 매체로 한 것
으로 나누어서
어서 접근해 왔다.
왔다. (이은희, 2002)

㉢ <이론>에서는 ~의 기준을 ~에 두어 왔다.

자율주의에서는
에서는 다의어와 동음어의
의 변별 기준을 공유하는 '의미핵'의 유무에
에 두어 왔다.
왔다.
(임지룡, 1997)

㉣ 지금까지는 일반적으로 ~으로 인식되어 왔다.

지금까지는 명백한 근거가 없이 일반적으로 A, B형의 "는"은 분석이 되는 것으로, 그리


고 D형의 "는"은 어미의 일부로
로 인식되어 왔다.
왔다. (남기심, 1982)

㉤ 종래 ~라고 하면 주로 ~에 관심을 기울여 왔다.

종래,
종래, 어휘사전이라고
이라고 하면 주로 편찬된 사전에 에 관심을 기울여 왔으나 인지언어학에서
는 머리속 사전의 신비를 밝히려고 한다. (임지룡, 1997)

㉥ 종래 연구의 경향은 ~에 편중되어 왔다.

다음으로, 균형성과 관련하여 각각의 분야를 골고루 연구하는 일이 필요한데, 종래 연구


의 경향은 현대국어를 대상으로 한 어휘의미 연구에
에 편중되어 왔다.
왔다. (임지룡, 1997)

- 61 -
[
유 형 3]특 정 이 론 이 나 학 설 의 경 우

<학문>에서는 ~을/를 ~으로 보고 있다. ㉠


<학계>에서는 ~으로 파악하고 있다. ㉡
<이론>에서는 ~접근방식을 취하고 있다. ㉢
<논문>에서는 ~에 따라 ~을/를 분석하고 있다. ㉣

㉠ <논문>에서는 ~을 ~으로 보고 있다.

최현배(1937)에서는
에서는 감탄사의 기능을
을 "마디나 월의 앞에서 그것들을 꾸미는 씨"로
로 보고
있으나,
있으나, (신지연, 2001)

㉡ <학문>에서는 ~으로 파악하고 있다.

그 반면, 인지언어학에서는
에서는 비유란 의미를 부여하는 인간의 매우 기본적인 책략의 하나
로 파악하고 있다.
있다. (임지룡, 1997)

㉢ <학계>에서는 ~의 접근방식을 취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언어학계에서는 동음어를 최대화하려는 입장과 다의어를 최대화하려는


입장이 대립되어 왔는데, 인지의미론에서는
에서는 다의적 접근방식을 취하고 있다.
있다. (임지룡,
1997)

㉣ <이론>에서는 ~에 따라 ~을/
를 분석하고 있다.

자율주의에서는 다의어의 '핵의미 구조'를 인정해 온 반면, 인지주의에서는


에서는 원형이론을
바탕으로 '의미연쇄 구조'와 '의미망 구조'에
에 따라 다의어를
를 분석하고 있다.
있다. (임지룡,
1997)

- 62 -
4)‘
연 구 자 료 ’표 지

인문 과학 분야의 학술 논문은 대부분 문헌 자료의 검토와 분석을 통한 연


구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서론에서 연구 방법이 제시되는 대신 검토와 분석의
대상이 되는 자료를 제시하는 것이 보통이다.이 대 분석 자료를 나타내는 표
현이 바로 ‘
연구 자료’표지인데 주로 특정한 자료를 직접 밝히거나 전체 자료
의 범위 중 일부를 한정하는 표현으로 나타난다.다음은 학술 논문에 사용된
대표적인 ‘
연구 자료’표지를 예문과 함께 제시한 것이다.

㉠ 본론의 언어 자료는 ~이다.


㉡ ~을/를 중심으로 살펴 보겠다.
㉢ 여기서 검토의 대상이 되는 자료는 ~에 한정된다.
㉣ ~와/과 관련하여 논의를 시작하는 데 있어 ~은/는 좋은 자료가 된다.

㉠ 본론의 언어 자료는 ~이다.

본론의 언어 자료는 현대 서울의 방언이다


이다.
이다. (남기심, 1982)

㉡ ~을/
를 중심으로 살펴 보겠다.

<문법>교과서의 '문장과 단어'(10~14면)를


를 중심으로 살펴 보겠다.
보겠다. (최호철, 1997)

㉢ 여기서 검토의 대상이 되는 자료는 ~에 한정된다.

여기서 검토의 대상이 되는 자료는 연구원 사전 편찬실에서 1997년 7월 30일자로 작성


한 통합 교열지침 중에서 일반어 교열지침의 관련되는 내용과 우리가 접해 볼 수 있었
던 완성본 상태는 아닌 일부 동사 형용사 항목의 기술 표현에
에 한정된다.
한정된다. (홍재성, 1998)

㉣ ~와/
과 관련하여 논의를 시작하는 데 있어 ~은/
는 좋은 자료가 된다.

문법 교육과
과 관련하여 논의를 시작하는 데 있어 교육부의 고등 학교 <문법>(서울:대한
교과서 주식회사, 1994)는
는 좋은 자료가 된다.
된다.

- 63 -
5)‘
연 구 의 차 례 ’표 지

서론에서 다루어지는 내용 요소에는 연구 목적과 동기,선행 연구,연구 자


료 외에도 연구의 차례가 있는데 이 중 연구 목적과 연구의 차례는 분석 대상
논문들에서 생략되는 일이 없이 모든 논문에서 나타났다.연구의 목적이 서론
의 앞부분에 등장하는 경우가 많은 것처럼 연구의 차례는 보통 가장 마지막에
소개되어 바로 본론으로 이어지는 경우가 많다.연구의 차례는 본론에서 논의
하게 될 논점들을 제시하는 역할을 하는데 논문 전체가 그 범위가 되는 만큼

연구의 차례’표지는 ‘
이 글에서는’
,‘본고에서는’
,‘본 연구에서는’
,‘본론은’등
과 같은 지시어로 시작되고,본론에서 다루어질 논점이 여러 개일 경우 ‘
은 후
에’
,‘은 다음에’
,‘마지막으로’등의 순서 표현으로 논점들이 차례로 제시된다.
이 때 ‘
검토하다,정리하다,논의하다,살펴 보다,제시하다,논하다,고찰하다,
생각하다,점검하다,조감하다,확인하다’등의 연구 동사가 사용되며 ~‘
을 것
이다’
,‘~고자 한다’
,‘~어/
아 보겠다’
,‘~도록 하겠다’
,‘~기로 한다’등의 의도

표현으로 본론의 방향을 분명히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다음은 ‘


연구의 차례’
표지의 형태를 간략히 구조화한 것이다.

지시어 연구 동사 의도 표현
논하다
~을/를 논의하다
고찰하다
~에 대해 ~을 것이다.
생각하다
이 글에서는 살펴 보다 ~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제시하다 ~기로 한다.
본고에서는 점검하다 ~도록 하겠다.
검토하다
~을/를 ~어/아 보겠다.
조감하다
정리하다
확인하다

- 64 -
실제 학술 논문에서 분석된 위와 같은 형태의 ‘
연구의 차례’표지는 제시되
는 논점의 수에 따라 구분될 수 있는데 다음은 이를 예와 함께 보인 것이다.

논점 ㉠ 이 글은 ~을/를 검토할 것이다.


1개 ㉡ 우리는 이 글에서 ~을/를 몇 가지 간략히 정리해 보고자 한다.

논점 ㉢ (1)을 살펴 본 후에 (2)를 논의하기로 한다.


2개 ㉣ 이 글에서는 (1)을 살퍼보고 (2)를 제시해 보도록 하겠다.
㉤ 본론은 (1), (2), 그리고 (3)을 살펴봄으로써, ~을/를 논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1)에 대해 고찰해 보고 (2)를 생각해 보겠다. (1)에 대
논점 한 논의에 앞서서 (3)에 대해 살펴보겠다.
3개 ㉦ 본고에서는 먼저, (1)과 (2)를 점검하기로 한다. 이렇게 (1),(2)를 논의
한 다음 (3)을 개략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 (1)을 조감한 후에, (2)를 확인하고 마지막으로, (3)을 살펴보기로 한다.

㉠ 이 글은 (
1)을 검토할 것이다.

이 글은 구조 측면의 단위 분석에 한정하여 국어의 그것이 어떻게 이루어지는가를


를 검토
할 것이다.
것이다. (최호철, 1997)

㉡ 우리는 이 글에서 (
1)을 몇 가지 간략히 정리해 보고자 한다.

우리는 이 글에서 국립국어연구원이 편찬 작업 중에 있는 새로운 대규모 한국어 사전에


서의 동사 및 형용사 어휘 기술에 대하여, 현재까지 작성되어 있는 바대로의 항목 구성
을 보완 개선하는 방향으로 재검토하는 데에 고려해 볼 수 있는 원론적 또는 실제적 세
부적 사항을
을 몇 가지 간략히 정리해 보고자 한다.
한다. (홍재성, 1998)

㉢ (
1)을 살펴 본 후에 (
2)를 논의하기로 한다.

개념적 의미와 정보가 구별되어 별개로 존재하는 실체임을


을 살펴 본 후에 개념적 의미와
정보 사이의 존재하는 계층관계를
를 논의하기로 한다.
한다. (장경희, 1986)

- 65 -
㉣ 이 글에서는 (
1)을 살펴보고 (
2)를 제시해 보기로 하겠다.

따라서 이 글에서는 외국어 및 외래어의 남용 실태를 를 살펴보고 이에 대한 순화 방안과


대책을
을 제시해 보기로 하겠다.
하겠다. (송철의, 1998)

㉤ 본론은 (
1),(
2),그리고 (
3)을 살펴 봄으로써,~을 논하고자 한다.

본론은 "먹는다, 먹는구려, 먹는군,"등에서 "는"이 분석될 수 있으며


으며,
으며 그것은 한 개의 형
태소 "는"으로 묶어질 수 있는가, 그리고 그것이 타당한 분석인가 하는 것을 을 살펴 봄으
로써,
로써, 형태소의 극한 분석의 가능성과 타당성을 을 논하고자 한다.
한다. (남기심, 1982)

㉥ 본 연구에서는 ~을 중심으로 (1)에 대해 고찰해 보고 (2)를 생각해 보겠다. (1)


에 대한 논의에 앞서서 (3)에 대해 살펴보겠다.

광고텍스트의 특성에 대한 접근 방식은 매우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는데, 본 연구에서는


언어 구조체와 의사소통의 과정이라는 두 측면을 을 중심으로 광고텍스트의 특성에에 대해
고찰해 보고 국어교육적 의미를 를 생각해 보겠다.
보겠다. 그리고 광고텍스트의 특성에
에 대한 논의
에 앞서서 예비적 단계로, 현재 국어교육에서 광고텍스트를 어떠한 방식으로 다루고 있
는지에 살펴보겠다. (이은희, 200)
에 대해 살펴보겠다.

㉦ 본고에서는 먼저,(
1)과 (
2)를 점검하기로 한다.이렇게 (
1),
(2)
를 논의한 다
음 (
3)을 개략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본고에서는 먼저,
먼저 감탄사가 과연 무엇인가 하는 문제와 관련된 범주적 특성과 과 보다 심층
적인 문제인 발화의 구조와 관련한 감탄사 발화의 층위 문제를 를 점검하기로 한다.
한다. 이렇게
감탄사의 기본 조건과 관련된 문제들을 들을 논의한 다음 이 범주의 의미 구조를
를 개략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한다. (신지연, 2001)

㉧ (
1)을 조감한 후에,(
2)를 확인하고 마지막으로 (
3)을 살펴보기로 한다.

형식의미론의 관점에 비해 심리주의적 관점이 자연언어의 의미 설명에 보다 적합함을을


조감한 후에,
후에 발화의 내용인 정보가 세계와 독립되어 존재하는 것을
을 확인하고 마지막으
로, 다른 분야의 학자들과언어학자의 임무를 발화의 내용인 정보와 관련하여 비교함으
로써 언어의 의미가 심리주의적 의미론의 관점에서 설명되는 것이 보다 타당하다는 사
실을
을 살펴 보기로 한다.
한다. (장경희,1986)

- 66 -
이제까지 분석한 서론의 각 표지들을 간략히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1)‘
목 적 ’표 지
<표 7> 서론의 ‘
목적’표지
이 글에서는 거론하려고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을/를
고찰해보겠다. ㉡
이 자리에서는
~에 대해

목적’
생각해 보겠다. ㉡

표지 이 글은
검토할 것이다. ㉢
~을/를
본론은
논하고자 한다. ㉣
~데에 목적이 있다. ㉤
본고의 과제는 ~을/를 밝히는 것이다. ㉥

2)‘
동 기 ’표 지
<표 8> 서론의 ‘
동기’표지
~는 현상이 ㉠ 나타나기도 하였다.
[
유 형 1] ~는 상황이 ㉡ 전개되고 있다.

현황 관련
~는 경향이 ㉢
있다.
명사
~는 추세에 ㉣

현황’ 현재 ~의 상황은 ~고 있는 실정이다. ㉤,㉥
표지 대체로 ~는 것이 일반적인 현상인 듯하다. ㉦
대체로
[
유 형 2]
오늘날은
~고 있다. ㉠,㉡
현황 관련
- ~어/아 왔다. ㉢
상 - 게 되었다. ㉣
㉠ ~와/과 관련하여 주로 문제가 되는 것은 ~이다.
[
유 형 1] ㉡ ~은/는 ~다는 점에서 문제가 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직접제시 ㉢ ~다는 문제점도 드러내고 있다.
㉣ 다음과 같은 문제들이 있을 수 있다.
[
유 형 2]

문 제 점 ’우려를 통한
㉠ ~(으)ㄹ 우려가 있다.
㉡ ~(으)ㄹ까 우려되는 것이다.
표지 간접제시 ㉢ 염려스러운 것은 ~이다.
[
유 형 3] ㉠ ~에 장애가 되고 있다.
어려움을 ㉡ ~ 때문에 불편한 점이 생기기 마련이다.

통한
㉢ ~은/는 ~기에는 적합하지 않다.
㉣ ~은/는 ~에서 커다란 혼란을 야기시킨다.
간접제시 ㉤ ~으로는 ~기가 어렵다.

[
유 형 1]
~이/가 필요하다. ㉠,㉡
~기 위해서는
~이/가 필요한 실정이다. ㉢
직접제시
‘필요성’
필요성’ 여기에 ~의 필요성이 있는 것이다. ㉣
표지 [
유 형 2] ~어/아야 한다. ㉠
당위적
~을/를 위해서는
~어/아야 하리라 생각된다. ㉡
표현 ~는 실정이어서 이 문제에 대한 대책이 시급히 요구되고 있다. ㉢

- 67 -
3)‘
선 행 연 구 ’표 지
<표 9> 서론의 ‘
선행 연구’표지

~을 ~으로 이야기한다. ㉠
흔히
~이라고들 표현한다. ㉡
[유형1]
유형1]
주지의 사실이다. ㉢
일반화된 ~은/는
이미 상식화된 사실이다. ㉣
사실 ~이/가 ~라는 것은
~에서 공론적 사실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
잘 알려져 있다시피 ~이다. ㉥

‘선행 <학계>에서는 ~의 입장이 대립되어 왔다. ㉠


<학문>에서는 ~을/를 ~어/아서 접근해 왔다. ㉡
연구’
연구’ <이론>에서는 ~의 기준을 ~에 두어 왔다. ㉢
[유형2]
유형2]
표지 지금까지는 일반적으로 ~으로 인식되어 왔다. ㉣
주류학설
종래 ~라고 하면 주로 ~에 관심을 기울여 왔다. ㉤
종래 연구의 경향은 ~에 편중되어 왔다. ㉥
<학문>에서는 ~을/를 ~으로 보고 있다. ㉠
[유형3]
유형3] <학계>에서는 ~으로 파악하고 있다. ㉡
특정학설 <이론>에서는 ~접근방식을 취하고 있다. ㉢
<논문>에서는 ~에 따라 ~을/를 분석하고 있다. ㉣

4)‘
연 구 자 료 ’표 지
<표 10> 서론의 ‘
연구 자료’표지

㉠ 본론의 언어 자료는 ~이다.


‘연구
㉡ ~을/를 중심으로 살펴 보겠다.
자료’
자료’
㉢ 여기서 검토의 대상이 되는 자료는 ~에 한정된다.
표지
㉣ ~와/과 관련하여 논의를 시작하는 데 있어 ~은/는 좋은 자료가 된다.

5)‘
연 구 의 차 례 ’표 지
<표 11> 서론의 ‘
연구의 차례’표지

논하다
~을/를 논의하다
고찰하다
~에 대해 ~을 것이다.
생각하다
‘연구의 이 글에서는 살펴 보다 ~고자 한다.
차례‘
차례‘ 본 연구에서는 제시하다 ~기로 한다.

표지 본고에서는 점검하다 ~도록 하겠다.


검토하다
~을/를 ~어/아 보겠다.
조감하다
정리하다
확인하다

- 68 -
4.
2.2.본 론 의 ‘
내 용 표 지 ’분 석

본론은 서론의 연구의 차례에 제시된 해당 논제들을 논리적으로 해결해 나


가는 부분으로서 학술 논문의 주제와 성격에 따라 본론의 논의 진행은 그 양
상이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다.그러나 인문학 분야의 경우 상세화,비교/

조,문제/
해결,인용,예시 등을 통해 내용을 전개하게 된다.이 때 해당 논제
들은 그 자체로 다루어지기도 하고,보다 하위의 논제들로 나뉘어 다루어지기
도 한다.서론에서 제시된 상위 논제가 본론에서 여러 개의 하위 논제들로 나
누어 전개되는 것은 실제 학술 논문의 상․하위 논제를 분석한 다음의 결과로
부터 확인할 수 있다.

<예시 텍스트 5>


본 연구에서는 ②언어 구조체와 ③의사소통의 과정이라는 두 측면을
중심으로 광고텍스트의 특성에 대해 고찰해 보고 국어교육적 의미를
서 연구의 차례
생각해 보겠다.(중략)그리고 광고텍스트의 특성에 대한 논의에 앞서
론 ①②③
서 예비적 단계로,①현재 국어교육에서 광고텍스트를 어떠한 방식으
로 다루고 있는지에 대해 살펴보겠다.
(
생략)④그렇다면 현재 국어교육에서 광고텍스트는 어떠한 방식으로
본 다루어지고 있는가?( 중략) ①의 하위 논제
론 ⑤그렇다면 광고를 교육의 대상으로 할 때 미디어 교육과의 변별성을 문제제기④
1 확보해 줄 수 있는 국어교육적 접근의 방식은 어디에서 찾아야 할 것 문제제기⑤
인가?(생략)
(
생략)⑥그렇다면 이러한 언어 구조체로서의 특성을 지니고 있는 광
고텍스트를 국어교육의 장에서 다룰 때 제일 먼저 부딪치는 문제는
②의 하위 논제
본 이를 국어교육의 어떤 영역에서 다루어야 할 것인가이다.(중략)
문제제기⑥
론 ⑦그렇다면 이런 매체의 변화에 따라 새로운 범주를 계속적으로 설정
문제제기⑦
2 해야 하는가의 문제가 제기된다.(중략)
문제제기⑧
⑧이와 같은 새로운 시대적 상황 속에서 어떻게 언어 사용 활동을 재
분류할 것인지는 많은 논의의 과정을 필요로 하는 사항이다.(생략)
(
생략)⑨먼저 생각해 볼 문제는 광고텍스트를 의사소통의 어떤 측면
에서 보는가이다.(중략) ③의 하위 논제

⑩다음으로 생각해 볼 문제는 이해의 측면에서 광고텍스트에 접근할 문제제기⑨

때 광고 이해를 어떻게 볼 것인가이다.( 중략) 문제제기⑩
3
⑪다음으로 생각해 보아야 할 문제는 광고텍스트를 수용한다고 할 때 문제제기⑪
과연 무엇을 수용할 것인가이다.(생략)
(
생략)본 연구에서는 광고텍스트는 언어 구조체로서 어떤 특성을 지
결 니고 있으며 의사소통의 과정에서 어떻게 기능하는지에 관해 살펴보
결론
론 면서,국어교육에서 광고텍스트에 대해 어떻게 접근해야 할 것인가에
대해 고찰해 보았다.(생략)(이은희,2002)

- 69 -
위에 제시된 논문은 서론에서 연구의 차례를 밝히면서 국어교육에서 광고
텍스트를 다루고 있는 방식과 광고텍스트의 언어 구조적 특성,그리고 광고텍
스트의 의사소통적 특성을 살펴 볼 것임을 분명히 하였다.이 세 가지 논제를
상위 논제로 하여 본론에서는 이들 각각이 두세 가지의 하위 논제들로 나뉘
어 다루어지고 있다.첫 번째 상위 논제에 대한 하위 논제는 본론 1에서 문제
제기 ④와 ⑤로 제시되는데 각각 “
현재 국어교육에서 광고텍스트는 어떠한
방식으로 다루어지는가?”
와 “
광고를 교육의 대상으로 할 때 미디어 교육과의
변별성을 확보해 줄 수 있는 국어교육적 접근의 방식은 어디에서 찾아야 할
것인가?”
라는 의문이 그것이다.두 번째와 세 번째 상위 논제의 경우도 마찬
가지로 본론 2와 본론 3에서 각각 세 가지 하위 논제로 나누어 논의가 이루
어진다.두 번째 상위 논제에 대한 하위 논제는 문제제기 ⑥,⑦,⑧로 제시되
었고,세 번째 상위 논제에 대한 하위 논제는 문제제기 ⑨,⑩,⑪의 세 가지
로 제시되었다.
이와 같이 서론에서 제시된 상위 논제들은 본론에서 보다 하위의 논제들로
나누어 다루어진다.각 하위 논제에 대한 논의는 보통 문제제기를 통해 논제
를 제시하고,이어서 상세화,비교/
대조 등의 방법을 통해 논의를 전개하여 일
정한 소결론에 도달하는 것을 하나의 단위로 하여 이루어진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론을 구성하는 논의의 단위는 문제제기,전개,소결론의 요소로 구성
된다.이들 각각의 내용을 나타내는 언어 요소를 본론의 ‘
내용 표지’
라 할 때
본론의 ‘
내용 표지’
에는 ‘
문제제기’표지,‘
전개’표지,‘
소결론’표지의 세 가지
가 있게 된다.이 때 ‘
전개’표지는 다시 전개의 방법에 따라 여러 가지로 분
류되는데 여기서는 그 형태가 전형적이어서 참고가 될 수 있는 것들만을 표지
로 추출하여 ‘
예시’
,‘인용’
,‘용어 정의’
,‘나열’
,‘표 및 그림 읽기’
의 다섯 가지
를 ‘
전개’표지로 보았다.
다음에서는 본론의 각 ‘
내용 표지’
가 실제 학술 논문에서 사용되는 양상과
각 표지에 따른 유형을 상세히 밝혀 보도록 하겠다.

- 70 -
1)‘
문 제 제 기 ’표 지

서론에서 이미 제시한 주요 상위 논제들은 본론에서 여러 개의 하위 논제로


나뉘어 논의되는데 이 때 하위 논제를 제시하는 방식이 바로 문제제기이다.

문제제기’표지는 문제제기를 표현하는 언어 요소로서 형태상으로 대략 세 가
지의 유형으로 구분된다.첫 번째 유형은 문제제기가 직접 의문문의 형태로
이루어지는 경우이며,두 번째 유형은 간접 의문문의 형태로 ‘
우리가 살펴보아
야 할 것은 ~은 무엇인가 하는 문제이다’
와 같이 표현되는 경우이다.마지막
세 번째 유형은 ‘
먼저 ~을 보기로 한다’
,‘다음으로 ~을 보기로 한다’등의 의
도 표현을 사용해 앞으로의 논의를 직접 소개하는 형태로 ‘
연구의 차례’표지
와 그 형태가 유사하다.다음은 ‘
문제제기’표지를 각 유형별로 간략히 도표화
하여 예문과 함께 보인 것이다.

[
유 형 1]문 제 제 기 가 직 접 의 문 형 으 로 이 루 어 지 는 경 우

본론에서의 ‘
문제제기’
는 직접 의문문의 형태로 이루어지기도 한다.‘
무엇,어
떻게,무슨 까닭’등의 의문사가 있는 설명의문문이 사용되기도 하고,의문사
가 없는 판정의문문이 사용되기도 한다.
31) 이 때 종결어미는 ‘
~는가’또는 ‘
~
을까’
로 나타난다.
32) 다음은 ‘
문제제기’
를 나타내는 직접의문문을 의문사의 여
부에 따라 그리고 사용된 종결어미의 종류에 따라 구별하여 각각의 예를 보인
것이다.

31) 남기심 외(1993)에 의하면 ‘예/아니오’의 대답을 요구하는 의문문을 판정의문문이라고 하고 의문


사가 있어 구체적 정보의 설명을 요구하는 의문문을 설명의문문이라고 한다.
32) 남기심 외(1993)에 의하면 설명문 등의 일반 산문이나 독백에 하라체의 의문형 종결어미인 ‘-(느)
ㄴ가’혹은 두루낮춤의 ‘-(으)ㄹ까’가 나타난다. 하라체는 특별한 청자를 대상으로 하지 않는 단
독적 장면에 쓰인다.

- 71 -
<의 문 사 가 있 는 의 문 문 >

㉠ ~은/는 그 기능이 무엇인가?


무엇인가?
㉡ ~와/과 ~은/는 어떠한 차이를
차이 지니는가?
㉡ 어떻게 ~이/가 ~을 수 있는가?
㉢ ~는 어떠한 방식으로 다루어지고 있는가?
㉣ ~을/를 어떻게,
어떻게, 어느 부위에서,
부위에서, 어느 정도까지 기술할 것인가?

㉠ ~은/
는 그 기능이 무엇인가?

그러면 이와 같이 분석된 A,B,C,D형의 "는"은


은 그 기능이
이 무엇인가?
무엇인가? (남기심, 1982)

㉡ ~와/
과 ~은/
는 어떠한 차이를 지니는가?

언어의 개념적 의미와


와 이 개념적 의미를 통하여 전달되는 정보는
는 본질에 있어 어떠한
차이를 지니며,
지니며 또한 개념적 의미를 통하여 어떻게 정보가
가 전달될
될 수 있는가?
있는가? (장경희,
1986)

㉢ ~은/
는 어떠한 방식으로 다루어지고 있는가?

그렇다면 현재 국어교육에서 광고텍스트는


는 어떠한 방식으로 다루어지고 있는가?
있는가? (이은
희, 2002)

㉣ ~을/
를 어떻게,어느 부위에서,어느 정도까지 기술할 것인가?

‘에 비추어’, ‘과 관련해서’ 등의 표현을


을 어떻게,
어떻게, 어느 부위에서,
부위에서, 어느 정도까지 기술할 것
인가?
인가? (홍재성, 1998)

- 72 -
<의 문 사 가 없 는 의 문 문 >

㉠ ~이/가 A인가? 또는 B인가?


㉡ ~을/를 부여할 것인가?
㉢ ~어/아야 할 필연성이 있는 것일까.
㉣ A로 기술할 것인가 또는 B로 기술할 것인가?

㉠ ~이/
가 A인가?또는 B인가?

답이 맞다, 못나다, 두드러지다, 굵다, 산재하다 등등이이 동사인가


인가 형용사인가
인가?
인가? 또는 이
중범주화가 가능한 어휘인가인가?
인가 ? (홍재성, 1998)

㉡ ~을/
를 부여할 것인가?

이들 연쇄를 복합어로 분석해서 표제어 지위를


를 부여할 것인가?
것인가? (홍재성, 1998)

㉢ ~어/
아야 할 필연성이 있는 것일까.

그런데 기존의 연구에서의 목록들, 독립성을 기반으로 의미적 공통성 없이 모인 이 어


휘들이 과연 하나로 범주화되어야
어야 할 필연성이 있는 것일까.
것일까 (신지연, 2001)

㉣ A로 기술할 것인가 또는 B로 기술할 것인가?

표제어 지위를 갖는다면 주표제어로


로 기술할 것인가 또는 표제어 에에 대해 부표제어로

기술할 것인가?
것인가? (홍재성, 1998)

- 73 -
[
유 형 2]문 제 제 기 가 간 접 의 문 형 으 로 이 루 어 지 는 경 우

본론에서의 ‘
문제제기’
는 간접 의문문의 형태로 이루어지기도 한다.‘
~는가’
로 끝나는 직접 의문문이 문장 안에서 하나의 성분이 되는 형태인데 이를테면

먼저 생각해 보아야 할 문제는 <직접의문문>이다’와 같은 형태로 나타난다.
다음은 간접 의문문의 형태로 이루어지는 ‘
문제제기’
를 형태에 따라 구별하여
예문과 함께 보인 것이다.

㉠ 우리가 살펴보아야 할 것은
~는가 하는 것이다.
㉡ 먼저 생각해 볼 문제는
~는가이다.
는가이다.
㉢ 다음으로 생각해 볼 할 문제는
㉣ 여기서 / 이 때에는 ~는가 하는 문제가
문제 제기될 수 있다.

㉠ 우리가 살펴보아야 할 것은 ~는가 하는 것이다.

개념적 의미는 단어라는 언어 형식에 대응되므로 우 리 가 살 펴 보 아 야 할 것 은 정


보에 대응되는 언어 형식이 무엇인
인 가 하 는 것 이 다 .(
장경희,1986)

㉡ 먼저 생각해 볼 문제는 ~는가이다.

먼 저 생 각 해 볼 문 제 는 광고텍스트를 의사소통의 어떤 측면에서 보는


는가이 다 .
(
이은희,2002)

㉢ 다음으로 생각해 볼 문제는 ~는가이다.

다 음 으 로 생 각 해 볼 문 제 는 이해의 측면에서 광고텍스트에 접근할 때 광고 이해


를 어떻게 볼 것인
인 가 이 다 .(
이은희,2002)

㉣ 여기서 ~는가 하는 문제가 제기될 수 있다.

여 기 서 외래어와 외국어는 어떻게 다른


른 가 하 는 문 제 가 제 기 될 수 있 다 .(
송철의,
1998)

- 74 -
[
유 형 3]논 제 를 직 접 제 시 하 는 경 우

문제제기가 직접적인 논제 제시로 이루어지는 경우의 ‘


문제제기’표지는 ‘

기서는,이 장에서는,아래에서는’등과 같은 지시어와 함께 ‘
보기로 한다’
,‘제
시해 보도록 하겠다’등의 연구 동사와 의도 표현이 결합된 형태를 보인다.서
론의 ‘
연구의 차례’
와 마찬가지의 형태이지만 ‘
연구의 차례’표지는 논문 전체
의 논제를 제시하는 것이니만큼 글 전체를 지칭하는 ‘
이 글에서’또는 ‘
본고에
서’
와 같은 표현을 사용하는 반면 ‘
문제제기’표지는 주로 해당 논제가 논의되
는 공간만을 지칭하는 ‘
여기에서는,먼저,다음으로’
와 같은 표현이 나타난다는
차이가 있다.다음은 ‘
문제제기’표지의 세 번째 유형인 직접 논제를 제시하는
경우의 표현을 구조화하여 대표적인 예를 보인 것이다.

보기로 한다. ㉠,㉡


여기서는 ~을/를 보이려고 한다. ㉢,㉣
이 장에서는 제시해 보기로 하겠다. ㉤
아래에서는
먼저/다음으로 ~을/를 살펴 보기로 한다. ㉥
~에 대해서 고찰해 보도록 하겠다. ㉦

㉠ 먼저,~을/
를 보기로 한다.

먼저,
먼저, 확대지칭 양상을
을 보기로 한다.
한다. (임지룡, 1997)

㉡ 다음으로,~을/
를 보기로 한다.

다음으로,
다음으로, 축소지칭 양상을
을 보기로 한다.
한다. (임지룡, 1997)

- 75 -
㉢ 여기서는 ~을/
를 보이려고 한다.

여기서는 다른 경우의 예를 들어서 어떤 요소들이 결합한 총화를 그 요소의 차원을 벗


어나서 다른 차원으로 인식하는 일이 인간의 지적작용의 하나임을
을 보이려고 한다.
한다. (장
경희, 1986)

㉣ 여기서는 ~을/
를 보이려고 한다.

여기서는 발화의 내용은 세계와 관계를 가지는 것이면서도 세계로 설명되는 것이 아니


고, 발화의 내용에 대한 설명은 발화의 내용인 정보를 직접적으로 설명하는 것이어야
하며 이것은 세계와 독립되어 이루어질 수 있음을
을 보이려고 한다.
한다. (장경희, 1986)

㉤ 여기서는 ~을/
를 제시해 보기로 하겠다.

따라서 여기서는 외래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각 주체들이 해야 할 일들을


을 제시해 보
기로 하겠다.
하겠다. (송철의, 1998)

㉥ ~에 대해서 살펴보기로 한다.

그러면, 인지의미론의 기본 원리에


에 대해서 살펴보기로 한다.
한다. (임지룡, 1997)

㉦ 이 장에서는 ~에 대해서 고찰해 보겠다.

이 장에서는 의사소통 능력의 향상이라는 점에서 광고텍스트에 접근할 때 과연 어떤 방


향을 취해야 할 것인지에
에 대해서 광고텍스트가 지닌 의사소통 과정상의 특성을 중심으
로 고찰해 보겠다.
보겠다. (이은희, 2002)

- 76 -
2)‘
논 의 전 개 ’표 지

본론에서는 서론에서 제시된 논제들이 다시 하위 논제들로 나뉘어 논의되는

데 하위 논제는 ‘
문제제기’표지를 통해 소개되고 이어서 예시,인용,용어 정

의,나열,표 및 그림 읽기 등의 방법을 통해 전개된다.이와 같이 논의의 전

개의 방법을 나타내는 언어 요소를 ‘


논의 전개’표지라 하는데 본고에서는 그

형태가 비교적 전형적이어서 표지로 추출할 수 있는 것들만을 ‘


내용 표지’

보아 ‘
논의 전개’표지로 ‘
예시’표지,‘
인용’표지,‘
용어 정의’표지,‘
나열’표

지,‘
표 및 그림 읽기’표지의 다섯 가지를 설정하였다.따라서 여기에서는 다

섯 가지의 ‘
논의 전개’표지 즉,‘
예시’
,‘인용’
,‘용어 정의’
,'나열‘
,’표 및 그림

읽기‘표지를 하나씩 상세히 살펴보도록 한다.그러나 본론에서 제시된 하위

논제들이 전개될 때는 한 가지 방법으로만 전개되기보다는 여러 가지의 전개

방법이 함께 나타나기 때문에 ‘


논의 전개’표지 역시 하나의 표지만 단독으로

쓰이는 일은 드물다는 점을 밝혀 둔다.

① ‘
예 시 ’표 지

문제제기를 통해 제시된 하위 논제가 전개될 때 가장 빈번히 사용되는 방법

중의 하나가 예시이다.예시는 일반적인 진술이나 원리에 대하여 그것이 반영

된 예를 보임으로써 제시되는 진술을 뒷받침하는 논의 전개 방식으로 이를 나

타내는 표현을 ‘
예시’표지라 한다.다음은 학술 논문의 본론에서 예시를 사용

하여 논의를 전개한 예를 보인 것이다.굵은 글씨체와 밑줄로 ‘


예시’표지를

표시하였다.

- 77 -
<예시 텍스트 6>

여 기 서 는 다른 경우의 예를 들어서 어떤 요소들이 결합한 총화를 그 요소


의 차원을 벗어나서 다른 차원으로 인식하는 일이 인간의 지적작용의 하나
임을
을 보 이 려 고 한 다 .이것은 인간의 두뇌에서 개념적 의미가 결합하여 정
문제제기

보를 형성한다는 사실을 좀 더 확실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계층관계의 형성에
에 대 한 가 장 가 까 운 예 로 는 언어 형식의
의 경우를 들 수
있 다 .‘
날씨가 좋다’
라는 언어 형식은 형태소와 단어들로 분석되지만 이 성
분들이 결합하여 이룩한 것은 단어의 차원이 아닌 발화의 차원에 속하게
된다.우리는 음과 음의 결합을 음절의 차원으로 인식하며 음절의 결합을
논의전개 형태소의 차원으로 인식하고 형태소들이 결합하면 단어의 차원으로,단어가
(예시)
예시) 결합하면 구,절과 문장의 차원으로 인식한다.물론 단어들이 결합하여 항
상 문장이 되는 것은 아니며 특정한 구조를 지니고 결합해야 한다.그런데
이러한 구조를 인식하고 계층관계를 설정하는 것은 인간의 지적작용이다.
언어학자가 문장,단어와 형태소 등의 계층을 언어 형식에 대하여 설정하지
않았다면 ‘
강아지가 개살구를 먹는다’
는 단순한 소리의 연속일 뿐이다.

요소들이 일정한 구조를 가지고 결합했을 때 나타난 결합의 총화를 다른


소결론 층위로 파악하는 일은
은 인간이 사물을 인식하는 방법의 하나로
로 생각된다.
(
장경희,1986)

위의 예문은 본론을 이루는 기본 단위인 ‘


문제제기-논의전개-소결론’
의 구조
를 갖춘 단락으로서 ‘
전개’
의 주된 방법으로 ‘
예시’
가 쓰인 경우이다.이 단락
에서는 “
어떤 요소들이 결합한 총화를 그 요소의 차원을 벗어나서 다른 차원
으로 인식하는 일이 인간의 지적작용의 하나임을 보이려고 한다”
와 같이 의도
표현으로 논의해야 할 문제를 제기하고 있고,이것을 ‘
언어 형식’
을 예로 들어
논의하였다.이 때 ‘
예시’표지로 사용된 표현은 ‘
~에 대한 가장 가까운 예로

는 ~의 경우를 들 수 있다’
이다.예시가 근거가 되어 “
요소들이 일정한 구조를
가지고 결합했을 때 나타난 결합의 총화를 다른 층위로 파악하는 일은 인간이
사물을 인식하는 방법의 하나”
임이 입증되었는데 이것이 문제제기 방식을 통
해 제시된 해당 논제에 대한 소결론이 된다.

- 78 -
예시는 논의 전개 방식 중 비교적 일반적인 방식이므로 예시를 나타내는 언

어 요소인 ‘
예시’표지는 그 형태가 다른 표지에 비해 다양하게 나타난다.‘

시’표지의 유형은 대략 세 가지로 나뉘는데 첫 번째는 가장 빈도 높게 등장

하는 유형으로서 ‘
예컨대’
와 같은 부사어를 사용하는 경우이다.이 때 이어지

는 예는 그 개수나 개념 단위의 제약이 없이 자유로운 것이 특징이다.두 번

째는 접속어의 사용 없이 ‘
~이/
가 그 대표적인 예이다’
에서와 같이 명제 단위

의 예를 간략히 제시하는 경우이다.경우에 따라 제시된 예에 대한 상세한 설

명이 이어지기도 한다.세 번째는 ‘


~의 예로 다음과 같은 경우들을 들 수 있

다’
와 같은 표지에서 보듯이 이어지는 문장에서 예가 제시될 것임을 표시하고,

이어서 상세하고 본격적인 예의 서술이 따르는 경우이다.보통은 제시될 예가

단순한 개념 단위가 아니라 여러 개의 명제 단위일 때,그리고 상세한 설명이

이루어져야 할 때 이러한 표지가 사용되는 것으로 보인다.‘


예시’표지의 위와

같은 세 가지 유형을 표로 보이면 다음과 같다.

<표 12> ‘
예시’표지의 유형

[
유 형 1] 예시 부사어 사용 예컨대,예를 들면,가령,이를테면

[
유 형 2] 간략한 예 제시 <예>의 경우가 그 대표적인 예이다.

[
유 형 3] 상세한 예 제시 ~의 예로 다음과 같은 경우들을 들 수 있다.

다음은 위에 제시된 ‘
예시’표지의 세 가지 유형을 각 유형별로 간략히 정리

하여 대표적인 예와 함께 보인 것이다.

- 79 -
[
유 형 1]예 시 부 사 어 사 용

학술 논문에 쓰이는 ‘
예시’표지 중 그 형태가 부사어인 표지는 몇 가지로
한정되어 있다.가장 빈번하게 등장하는 부사어는 ‘
예컨대’
이며 이 밖에도 ‘

를 들면’
,‘예를 들어’
,‘예를 들어 살펴보면’등이 있다.이어지는 예는 그 개수
나 개념 단위의 제약이 없이 자유로운 것이 특징이다.다음은 각각의 경우가
사용된 예를 보인 것이다.외곽선체로 표시한 부분은 예시에 의해 뒷받침되고
있는 일반적인 진술을 나타낸 것이다.

예컨대 ㉠,㉡ 예를 들어 ㉢ 예를 들면 ㉣ 예를 들어 살펴보면 ㉤

㉠ 예컨대

여기서는 일단
논의를
진행하기로 한다. 예컨대 신문의 부문 제목을 굿모닝 이코노미라고 한다든가, 남의
부인이나 자기 아내를 와이프라고 한다든가, 기분이 좋다라고 할 것을 기분이 나이
스하다라고 하는 경우 등을 외국어의 사용으로 간주하고자 하는 것이다. (송철의,
1998)

㉡ 예컨대

인지모형은 문화 의존적인 성격을 띠고 있다. 문화인류학에서는 개별 문화권 속에서


공유된 인지모형을 강조하는데, 실제로
예컨
대, '새'의 원형에 대해서 한국에서는 '참새', 미국에서는 '로빈', 영국에서는 '찌바귀',
인디아에서는 '공작' 등으로 나타난다. (임지룡, 1997)

- 80 -
㉢ 예를 들어

다음으로 생각해 볼 문제는 이해의 측면에서 광고텍스트에 접근할 때 광고 이해를


어떻게 볼 것인가이다. 지금까지
예를 들어 광고에서 나타나는 언어적 일탈 현상을
찾아본다든지 아니면 이데올로기적 측면에서 광고가 반영하고 있는 지배 계층 또는
특정 집단의 가치관을 찾고 비판해 보는 것 등이 광고 교육의 내용을 설정하는 중
요한 방식이었다고 할 수 있다. (이은희, 2002)

㉣ 예를 들면

'는'이 '았, 겠' 등과 대립되는 시상(또는 현실법)의 형태소로 분석될 경우, 그것은
규칙적인 문법 범주인데 예를 들면 종지형 어미 '오,
아요' 앞에서는 '먹으오, 먹어요' 해야 옳다. 같은 자리에 '먹었오, 먹겠어요'와 같이
다른 시상 형태소는 자유롭게 나타난다. (남기심, 1982)

㉤ 예를 들어 살펴 보면

예를 들어 살펴 보면 Craggs(1992)가 구안한 영국 초등학교 미디어 교육 교육


과정은 '왜 광고에 대해서 배워야 하는지, 특정한 광고물의 목적은 무엇인지, 소비
를 유발하기 위해 사용하는 기법은 무엇인지, 그 광고가 성공적인지 혹시 아닌지,
그 광고의 내용을 믿을만하다고 여기는지, 광고가 수용자의 눈길을 끌고 소비를 유
발하기 위해 사용하는 속임수나 기법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를 생각해 보고 토론
하도록 하며, 담배 광고와 건강 교육에 대한 내용, 광고를 만들기 위한 카메라 실습
등이 포함'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은희, 2002)

- 81 -
[
유 형 2]간 략 한 예 를 제 시 할 때


예시’표지의 두 번째 유형은 아래와 같은 것이 대표적인데 ‘
예’라는 직접적
인 표현이 사용된다.주로 일반적 진술 표현의 뒤에 이어 해당 예를 간략히
제시할 때 쓰이나 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이 필요한 경우에는 간략히 제시한
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는 부분이 뒤따르기도 한다.아래에 제시된 예문에서
외곽선체로 표시된 부분은 일반적 진술이고 진한 글씨체와 밑줄 표시는 ‘
예시’
표지,
【】로 표시된 부분은 제시된 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는 부분이다.

㉠ 그런
~이/가 ㉡ 그러한 예이다.
㉢ 그 대표적인
㉣ ~던 예들이 이에 해당한다.
㉤ ~에 관한 보기로는 ~을/를 들 수 있다.
㉥ ~의 대표적인 예들로서는 ~들을 들 수 있다.

㉠ ~이/
가 그런 예이다.

국어의 경우에는 한자어가 상당한 세력을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도 흔하다. 위의 릴레이를 계주라고 번역하여 받아들이는 경우가
가 그런
예이다.
예이다. (송철의, 1998)

㉡ ~이/
가 그러한 예이다.

최근에는 까지 나타나고 있다. We are the future,


Goodbye yesterday, Com back home, Lonely night 등이
이 그러한 예이다.
예이다. (송철
의, 1998)

- 82 -
㉢ ~이/
가 그 대표적인 예이다.


있다. 국어의 “그”나 영어의 “the' 등이
이 그 대표적인 예이다.
예이다.【국어의 ”그“는 담화의
장에서 청자 가까이에 있는 대상을 지시하는 데 쓰이는 지시어인데 또 한편으로는
담화의 장에 존재하지 않는 대상에 대해서도 쓰일 수가 있다.】 (장경희, 1986)

㉣ ~던 예들이 이에 해당한다.

해방 이후 국어 순화 운동이 계속되어 왔지만 그것이 만족스럽게 성공하지 못한 이


유 중의 하나는
있다. 자외선을 넘보라살, 공처가를 아내무섬쟁이, 러시아워를
몰림때로 바꾸려 했던
던 예들이 이에 해당한다.
해당한다. (송철의, 1998)

㉤ ~에 관한 보기로는 ~을/
를 들 수 있다.

에 관한 보기로는 "{많음/좋음/
힘있음}은 위쪽이며, {적음/나쁨/힘없음}은 아래쪽이다"를
를 들 수 있다.
있다. (임지룡,
1997)

㉥ ~의 대표적인 예들로서는 ~들을 들 수 있다.

대표적인 예들로서는 불교 관계 용어들을


들을 들 수 있다.
있다
【아미타, 석가, 열반 등은 중국에서 산스크리트어로부터 음역 차용한 것을 우리가
다시 차용한 것이며 법계, 중생, 귀의, 공양 등은 번역차용한 것을 우리가 다시 차
용한 것이다.】 (송철의,1998)

- 83 -
[
유 형 3]상 세 한 예 를 제 시 할 때


예시’표지의 세 번째 유형은 ‘
예시’표지에 이어서 상세한 예가 뒤따르는
경우이다.이 경우의 ‘
예시’표지는 앞에서 언급한 일반적 명제의 예가 이어지
는 문장에서 상세하게 제시될 것임을 뜻하는 표현으로 이루어진다.그리고 표
지에 언급된 대로 이어지는 문장에는 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이 뒤따른다.다
음은 학술 논문에서 상세한 예를 제시할 때 사용되는 ‘
예시’표지를 대표적인
것만 몇 가지 뽑아 이를 예문과 함께 보인 것이다.예문에서 굵은 글씨체로
표시된 부분이 ‘
예시’표지이며,외곽선으로 표시된 부분은 예시가 뒷받침하고
있는 일반적인 진술을,【】로 표시된 부분은 본격적인 예가 서술되는 부분이
다.이 때 외곽선으로 표시된 부분은 앞에서 나온 명제를 다시 한 번 반복하
는 관계 대상 지정 표지이다.
33)

~의 예로 ~의 경우를 들어 보기로 한다. ㉠


~는 예로서는 다음과 같은 경우들을 들 수 있다. ㉡
~은/는 다음과 같은 예를 통해서도 알 수 있다. ㉢
~의 경우를 예로 들어보자. ㉣

㉠ ~의 예로 믿음의 경우를 들어 보기로 한다.

정보는 심리적 활동을 통하여 세계와 관계를 가지게 된다.


의 예로 믿음의 경우를 들어 보기로 한다.
한다.【우리는 직접 경험하여 얻
은 정보에 대해서는 의심의 여지없이 강한 믿음을 지니며 이러한 정보들을 세계와
관련시켜서 여러 가지 일을 한다. 남의 말을 들어서 얻은 정보는 세계에 관한 정보
일지라도 세계와의 일치 여부가 확인되지 않은 정보인데, 이러한 정보에 대해서는
우리는 사실성 여부를 평가하여 믿음을 부여한다.】 (장경희, 1986)

33) 앞에서 나온 명제를 다시 반복하는 경우의 표현은 관계 대상 지정 표지 중 반복형 표지로 나타난다.


㉠과 ㉡에서는 관계 대상 지정 표지 중 전체 반복형 표지가, ㉣에서는 유사 반복형 표지가 사용되었
다.

- 84 -
㉡ ~는 예로서는 다음과 같은 경우들을 들 수 있다.

위와 같이 하는
는 예로서는 다음과 같은 경우들을 들 수 있다.
있다.
【먼저 외국어 문장이나 구를 그대로 사용하는 경우로서 방송 프로그램의 제목이나
신문기사의 제목, 상호명을 들 수 있다. 몇 예씩만 들어 보기로 한다. (생략)】(송철
의, 1998)

㉢ ~은/
는 다음과 같은 예를 통해서도 알 수 있다.

이때, 은 다음과 같은 예를
통해서도 알 수 있다.
있다.

【(4) 제가 이제 나이가 한 오십줄에 접어들다 보니까 저 나름대로는 인제 뭐야 전공도 살


리고 또 뭐야 취미도 살려서 이렇게 인제 뭐야 가정 생활을 아니 사회 생활을 하는 것도
참 좋은 일이지만…】

위에서 밑줄친 부분이 형식 감탄사로서 담화 층위에서 끼어 들어간 것으로 볼 수


있는 부분인데 통사 층위의 상대존대법과 감탄사의 상대존대법이 차이가 나는 것
을 볼 수 있다. 곧, 담화 층위의 감탄사는 상위문의 통사와 관계맺지 않는 것이다.
(신지연, 2001)

㉣ ~의 경우를 예로 들어 보자.

여기서 인지모형은 구조의미론의 '의미장'과 관련된다.

'칫솔''의 경우를 예로 들어보자.


들어보자.
【의미장 이론에 따르면 ‘칫솔’의 의미는 계열관계에 있는 ‘손톱솔’, ‘구두솔’과 같은
‘솔’의 의미장에 있는 항목들의 의미에 의해서 한정된다고 본다. 한편, 인지모형 이
론에서 ‘칫솔’의 의미는 언어 체계 내의 계열적 대조로부터 이해되는 것이 아니라,
구강 위생에 있어서 칫솔의 역할로부터 그 의미가 인지된다고 본다.】(임지룡,
1997)

- 85 -
② ‘
인 용 ’표 지

본론에서 제기된 문제를 전개하는 과정에서 예시에 못지않게 자주 사용되는


방식은 인용이다.학술 논문에서의 인용은 주로 저자의 주장을 뒷받침하는 근
거로 사용하거나 다른 사람의 이론이나 주장을 반박하기 위해서 사용하는 경
우가 대부분이며,이밖에도 자신의 주장에 대해 확신이 없을 경우 다른 사람
의 말임을 드러내 진술에 대한 책임을 경감하기 위한 목적으로도 사용된다.
34)

다음 예시 텍스트를 통해 학술 논문의 본론에서 문제제기를 통해 제시된 하위


논점이 인용을 통해 전개되는 양상을 확인하도록 한다.

<예시 텍스트 7>

이러한 주장에 대하여 개념적인 의미들이 결합하여 어 떻 게 정보가 되


는 가 또한 그러한 일이 가능한
한 가 하 는 문 제 가 제 기 될 수 있 는 데 여기
서도 언어심리학이나 인지심리학의 논의들로부터 우리의 질문에 대한
문제제기

대답을 찾을 수 있다.

인지심리학에
에 서 는 인간에게 들어 온 정보가 장기기억장치에 저장될 때
의미적으로 약호화되어 저장된다
다 고 한 다 .중다기억장치 모형에
에 의하면
기억장치에는 단기기억장치와 장기기억장치가 있고,단기기억장치는 음
운적 정보를 파지하는데 약 15초 정도로 일시적으로 정보를 파지하며
논의전개

이것이 장기기억장치에 저장될 때는 개념을 사용한 의미적 정보로 바


(인용)
인용)

뀌어져서 저장된다
다 는 것 이 다 .또한 발화나 글을 읽을 경우는 의미적으
로 처리된 명제가 기억에 저장된다
다고 한 다 .

인간의 두뇌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가 개념적 의미로 이루어져 있고 발


화의 내용이 머리 속에서 의미적으로 처리된 명제의 형식으로 저장되
소결론 어 있다
다 면 ,단어의 개념적 의미들이 결합하여 또 다른 심리적 실체인
정보를 형성한다는 우리의 논의는 인간의 두뇌에 존재하는 현상에 상
응하는 것임을
을 알 수 있 다 .(
장경희,1986)

34) 이창덕(1999)에서는 텍스트 유형에 따라 인용의 양상이 달라진다고 보고 평론이나 논문 등에 나타나


는 인용은 주로 글쓰는 이의 주장의 논리적 증거를 마련하기 위해서 또는 글쓰는 이의 주장을 펴기
위한 반박 자료를 마련하기 위해 사용된다고 하였다.

- 86 -
위의 예시 텍스트는 본론을 이루는 기본 단위인 ‘
문제제기-논의전개-소결론’
의 구조를 갖춘 단락으로서 ‘
전개’
의 주된 방법으로 ‘
인용’
이 쓰인 경우이다.
이 단락에서는 “
개념적인 의미들이 결합하여 어떻게 정보가 되는가 또한 그러
한 일이 가능한가”라는 문제를 제기하였는데 인지심리학의 학설을 인용하여

단어의 개념적 의미들이 결합하여 또 다른 심리적 실체인 정보를 형성한다는
사실이 인간의 두뇌에 존재하는 현상”
임을 보이고 있다.즉 제기된 문제를 논
의하여 소결론에 이르는 데 있어 인용의 전개 방법이 사용되고 있는 것이다.
학술 논문에서는 원문을 그대로 옮겨오지 않고 ‘
다고,라고’등의 조사를 사
용하여 그 형식을 바꾼 간접 인용 35)과 원문을 그대로 옮겨 오는 직접 인용이
모두 사용된다.직접 인용을 사용하는 경우는 원문에 따옴표를 처리하는 것이
일반적이나 원문이 세 줄 이상으로 길 경우에는 별도의 문단으로 처리한다.
학문적 글쓰기에서 인용의 출처는 반드시 밝히게 되어 있는데 인용의 출처
는 주로 학술 논문,특정 학문의 이론,서적,또는 이전에 실시된 조사의 결과
이다.출처가 학술 논문일 경우에는 ‘
홍길동(
1999)
’와 같이 저자의 이름과 논문
의 발표 연도를 함께 쓰는 것이 일반적이고,동일 저자의 동일 연도의 논문을
여러 편 인용할 경우에는 ‘
홍길동(
1999a)
’와 같이 영어 알파벳 소문자로 구별
하여 표시한다.출판된 서적을 인용할 때는 ‘
<국한회어>(
1985)
’와 같이 서명과
발행 연도를 함께 표기하거나,‘
홍길동(
1999)
의 <국한회어>와 같이 인명과 함
께 표기한다.또한 특정한 학문의 이론을 인용할 경우에는 학계에서 통용되는
학문명이나 이론명을 밝히는데 이러한 인용문의 출처는 ‘
~에 의하면,~에서는,
~은/
는’등의 조사와 함께 나타나며 ‘
~라고,~다고’
의 조사는 사용되기도 하고
경우에 따라 사용되지 않기도 한다.다음은 인용의 유형을 출처에 따라 위와
같이 ‘
학술 논문’
인 경우,‘
특정 학문의 이론’
인 경우,‘
서적’
인 경우,‘
조사 결과’
인 경우의 네 가지로 나누어 각각에 사용되는 ‘
인용’표지를 실제 학술 논문을
대상으로 분석한 것이다.

35) 인용의 형식은 일반적으로 원 담화의 형식을 그대로 인용하면 직접 인용, 내용을 중심으로 형식을 변
형시켜서 인용하면 간접 인용으로 분류한다. 이창덕(1999) 참조.

- 87 -
[
유 형 1]인 용 의 출 처 가 학 술 논 문 인 경 우

한다(하였다). ㉠
~라고/다고
주장한다(주장하였다). ㉡
~에서는 보고 있다. ㉢
~(으)로
간주하고 있다

<인명(
연도)
>
~은/는 (~을/를)설명하고 있다.㉣
제시하고 있다.
~에 대해
논의하고 있다. ㉤
언급한다.
파악되고 있다. ㉥
~(으)로
정의되었다.
~에 의하면
한다.
~라고/다고
할 수 있다. ㉦

㉠ <인명(
연도)
>은/
는 ~라고 한다.

Fillmore(1969, 1972)는
1972)는 문장이 명제와 양태로 구성된다고 하면서 '양태'는 문장의 여
러 부분을 통해 표현되며 명제에 수시로 첨삭될 수 있는 성분이라고
이라고 한다.
한다. (신지연,
2001)

㉡ <인명(
연도)
>은/
는 ~라고 주장한다.

이러한 현상에 대해서 Twichell(2001)은


Twichell(2001)은 소비자인 우리가 물고기라면 광고는 물이
라고 주장한다.
주장한다. (이은희, 2002)

㉢ <인명(
연도)
>에서는 ~을 ~로 보고 있다.

최현배(1937)
최현배(1937)에서는
(1937)에서는 감탄사의 기능을
을 "마디나 월의 앞에서 그것들을 꾸미는 씨"로
로 보고
있으나,(생략)
있으나 (신지연, 2001)

- 88 -
㉣ <인명(
연도)
>은/
는 ~을/
를 설명하고 있다.

인류의 역사에 있어서 소통 수단의 변화와 그 영향에 대해서 Ong(1995)은


Ong(1995)은 구술 문
화와 문자 문화, 그리고 이 양자의 바탕 위에서 세워진 전자 문화로 문화를 나누어
서, 이것이 단순히 소통 수단의 차이만이 아니라 정신 구조에 차이를 일으키는 것임
을 설명하고 있다.
있다. (이은희, 2002)

㉤ <인명(
연도)
>에서는 ~에 대해 제시하고 있다.

류성기(2000)
류성기(2000)에서는
(2000)에서는 국어교육에 있어서 광고 교육의 필요성을 논하면서 광고를 통한
이해력 신장 학습과 광고문 제작 활동을 통한 설득 표현력 신장 학습에 대해 제시하고
있으며, 김혜숙(2001)에서는 광고 언어를 통해 문법 교육의 효율성을 높이는 방안과 그
실제에
에 대해 논의하고 있다.
있다. (이은희, 2002)

㉥ <인명(
연도)
>에 의하면 ~(으)로 파악되고 있다.

S에 의하면 음운, 어휘, 단어의 의미 그리고 문법이 인간의 두뇌에 별개의 체계로
구분되어 저장되어 있으며 정보 또한 별개로 저장되어 있는 것으로
으로 파악되고 있다.
있다.
(장경희, 1986)

㉦ <인명(
연도)
>에 의하면 ~은/
는 ~라고 할 수 있다.

최창섭(1994)
최창섭(1994)에
(1994)에 의하면 미디어 교육은 미디어의 본질, 미디어 제도와 조직, 미디어의
기능과 효과 등에 대하여 이해시키고 미디어의 내용을 평가할 수 있으며, 미디어를 적
이라고 할 수 있다.
절하게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는 능력을 교육시키는 것이라고 있다. (이은희,
2002)

- 89 -
[
유 형 2]인 용 의 출 처 가 특 정 학 문 의 이 론 인 경 우

~에 따르면 본다. ㉠
~라고/다고
~에 의하면 가정한다. ㉡

<학문명>
~에 의하면 ~(으)로 파악되었다. ㉢

<이론명> 한다. ㉣
~에서는 ~라고/다고 본다. ㉤
주장한다. ㉥
~(으)로 본다. ㉦

㉠ <이론명>에 따르면 ~다고 본다.

의미장 이론에 따르면 '칫솔'의 의미는 언어체계 내의 계열적 대조로부터 이해되는 것이


아니라, 구강위생에 있어서 칫솔의 역할로부터 그 의미가 인지된다고
다고 본다.
본다. (임지룡,
1997)

㉡ <이론명>에 따르면 ~다고 가정한다.

형식주의에 따르면,
따르면 낱말은 객관적인 의미자질의 집합으로 되어 있고, 문장은 일련
의 논리규칙에 의해서 생성된다고
다고 가정한다.
가정한다. (임지룡, 1997)

㉢ <이론>에 의하면 ~으로 파악되었다.

상황의미론에 의하면 발화과 상황과의 관계에서 정보를 전달하는 것으로


으로 파악되었지
만 실제로 발화는 상황과의 관계만으로 정보를 전달하지 못한다. (장경희, 1986)

- 90 -
㉣ <학문명>에서는 ~라고/
다고 한다.

인지심리학에서는
에서는 인간에게 들어 온 정보가 장기기억장치에 저장될 때 의미적으로
약호화되어 저장된다고
다고 한다.
한다. (장경희,1986)

㉤ <이론명>에서는 ~다고 본다.

구조의미론에서는 의미관계의 정적인 측면에 주목하며 의미를 언어내적 맥락에서


고정된 대조로 취급하는 반면, 인지언어학에서는 의미관계의 동적인 성질에 주목하
며 언어외적 환경에 의존하고 있다고
다고 본다.
본다. (임지룡, 1997)

㉥ <이론명>에서는 ~다고 주장한다.

기능주의에서는 언어와 다른 정신적 처리과정 간의 차이는 본질상의 차이가 아니라


정도의 문제라고 보며, 언어내적으로도 인지영역을 가로질러 공유된 원리를 찾는 것
이 바람직하다고
다고 주장한다.
주장한다. (임지룡, 1997)

㉦ <학문명>에서는 ~으로 본다.

인지언어학에서는 ‘인지모형(cognitive models)’을 통하여 개념을 인지하는 것으로


으로 본
다. ( 임지룡, 1997)

- 91 -
[
유 형 3]인 용 의 출 처 가 서 적 인 경 우

<서명(연도)>에서는 ~라고/다고 하고 있다. ㉠

<서명>에서 <인명>이 제시한 “~”라는 명제 ㉡

㉠ <서명(
연도)
>에서는 ~라고 하고 있다.

<국한회어>(1985)
국한회어>(1985)에서는
>(1985)에서는 '기선'을 '김배'라고
라고 하고 있다.
있다. (송철의, 1998)

㉡ <서명>에서 <인명>이 제시한 “~”라는 명제

‘미디어의 이해’
이해’에서 McLuhan이
McLuhan이 제시한 "미디어는 메시지이다."
메시지이다."라는
."라는 명제를
명제 떠올리
게 된다. (이은희, 2002)

[
유 형 4]인 용 의 출 처 가 이 전 에 실 시 된 조 사 의 결 과 인 경 우

~라고/다고 한다. ㉠
~<조사>에 의하면 나타났다. ㉠
~으로
조사되었다. ㉠

㉠ ~<조사>에 의하면 ~라고 한다.

최근의 조사에 의하면 텔레비전 방송 제목 중 외래어로만 되어 있는 것이 22.7%, 외래


어가 포함되어 있는 것이 40.3%라고
라고 한다.
한다. 상호의 경우에는 업종에 따라서 차이가 있
는데, 경양식집의 경우 77.4%, 미용실의 경우 96.0%인 것으로
으로 나타났다.
나타났다. 컴퓨터 통
신 메뉴의 경우 순외래어가 12.2%, 외래어가 섞인 것이 34.8%, 도함 47%가 외래
어를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송철의, 1998)

- 92 -
③ ‘
용 어 정 의 ’표 지

본론의 논의 전개에서는 논의를 시작하기 전에 우선 논의에서 다룰 용어의


개념을 명확히 정해 두는 일이 있다.이렇게 용어를 정의하는 표지를 ‘
용어 정
의’표지라고 한다.용어 정의는 기존에 다른 논문에서 정의되어 사용된 개념
이거나 학계에서 일반화된 개념일 경우 이를 다시 제시하는 경우도 있고,아
직 해당 용어에 대한 개념 정의가 되어 있지 않거나 기존의 개념과는 다른 개
념으로 사용하고자 할 경우 해당 논문에서 새로이 개념을 규정하는 경우도 있
는데 이 때 ‘
용어 정의’표지는 각각 다르게 나타난다.그러므로 ‘
용어 정의’
표지는 정의의 성격에 따라 일반적인 개념을 제시하는 유형과 새로이 개념 규
정하는 유형의 두 가지로 분류될 수 있다.다음은 ‘
용어 정의’표지의 형태를
각 유형 별로 정리하여 예문과 함께 보인 것이다.

[
유 형 1]용 어 개 념 제 시

새로이 용어의 개념을 규정하지 않고 기존에 정의된 개념이나 학계에서 일


반화된 개념을 제시할 때에는 ‘
일컫다’
,‘말하다’
,‘지칭하다’등의 단정적인 표
현을 사용한다.다음에서 이 유형에 속하는 대표적인 표지들을 대표적인 예문
과 함께 제시하였다.

~을/를 말한다. ㉠
~란
~을/를 일컫는다. ㉡

~라고 한다. ㉢,㉣


~을/를
~라는 용어로 지칭한다. ㉤

- 93 -
㉠ ~란 ~을/
를 말한다.

여기서 '확대지칭 양상'이란 부분이 전체를 지칭하는 것이며, '축소지칭 양상'이란


이란 전체
가 부분을 지칭하는 것을
을 말한다.
말한다. (임지룡, 1997)

㉡ ~란 ~을/
를 일컫는다.

외래어란
란 외국어로부터 들어와 자국어에 동화되어 자국어로 사용되는 어휘들을
을 일컫는
다. (송철의, 1998)

㉢ ~을/
를 ~라고 한다.

이러한 맥락에서 인지언어학은 언어기호의 형식과 내용 사이에 동기화에 관심을 가지


고 있는데, 언어의 형태와 개념 체계의 상관성을
을 '도상성'이라고
이라고 한다.
한다. (임지룡, 1997)

㉣ ~을/
를 ~라고 한다.

어휘적 의미를 갖고 있는 '내용어'는 '기능어'로 확장되는 경향이 있는데, 이를


를 '문법화'
라고 한다.
한다. (임지룡, 1997)

㉤ ~을/
를 ~라는 용어로 지칭한다.

일상의 언어 활동에서 작용하는 음성 외의 다양한 요인들을


을 흔히 상황이라는
라는 용어로 지
칭하는데,
칭하는데 (생략). (이은희, 2002)

- 94 -
[
유 형 2]용 어 개 념 정 의

기존 연구에서 해당 용어에 대한 개념 정의가 되어 있지 않거나 기존의 개


념과는 다른 개념으로 해당 용어를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본론에서 새로이
용어의 개념을 규정해야 한다.이 때는 그 용어의 정의가 일반화된 것이 아니
라 해당 연구에서 규정된 것임을 표시하기 위하여 ‘
이 글에서는’
,‘여기서는’

같은 표현을 사용하여 사용 범위를 한정한다.‘
사용하기로 한다’
,‘부르기로 한
다’등의 규정하는 표현이 나타나는 것도 이와 마찬가지의 맥락에서인 것으로
볼 수 있다.다음은 이처럼 새로이 용어의 개념을 정의하는 경우의 ‘
용어 정
의’표지가 쓰인 대표적인 예를 실제 학술 논문으로부터 발췌한 것이다.

우리는 ~라는 표현을 사용하기로 한다.


한다. ㉠
이 글에서는 ~을/를 ~라고 부르기로 한다.
한다. ㉡
여기서는 ~을/를 ~라고 보고 논의를 진행하기로 한다.
한다. ㉢

㉠ 이 글에서는 ~라는 표현을 사용하기로 한다.

이 글에서는 혼동될 염려가 없는 경우는 “명제적 정보”라는 표현 대신 “정보”라는


라는 표현
을 사용하기로 한다.
한다. (장경희, 1986)

㉡ ~을/
를 ~라고 부르기로 한다.

우리는 단어가 지니는 개념적 의미와 구별하여 발화가 전달하는 내용 즉 발화의 내용을

정보라고
라고 부르기로 한다.
한다. (장경희, 1986)

㉢ 여기서는 ~을/
를 ~라고 보고 논의를 진행하기로 한다.

여기서는 일단 문장이나 구 단위의 외국어, 국어에 이미 존재하는 단어를 젖혀 두고 그


에 해당하는 외국어 단어를 사용하는 경우를
를 외국어의 사용이라고
이라고 보고 논의를 진행하
기로 한다.
한다. (송철의, 1998)

- 95 -
④ ‘
나 열 ’표 지

본론의 논의 전개 방식에는 특정한 개념이나 특정 명제에 속하는 요소들을


몇 가지 나열하는 방법이 있다.이렇게 요소들의 나열을 나타내는 언어 표현
을 ‘
나열’표지라 하는데,나열하는 요소의 개수에 따라 표현이 조금씩 달라진
다.여기에서는 요소의 개수가 두 가지,세 가지,그 이상일 때로 나누어 본다.

[
유 형 1]두 가 지 요 소 의 나 열

두 가지 요소를 나열할 때는 아래와 같이 ‘


나열’표지 안에 요소가 명시되는
경우도 있고,표지 안에는 요소의 개수만 나타내고 이어지는 문장에서 제시하
는 경우도 있다.전자의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각 요소에 대한 설명이 뒤따르
기도 하는데 이 때는 ‘
전자’
,‘후자’
라는 지시어로 각 요소를 지칭한다.후자의
경우에는 ‘
하나’
,‘또 하나/
다른 하나/
또 다른 하나’
로 각 요소를 지칭하여 제시
한다.

가 있다. ㉠
가 있을 수 있다. ㉡
A와 B 전자는, 후자는 ~.
로 나뉜다. ㉢
~은/는 로 구분된다. ㉣
(~에는*) 가 있다. ㉤
하나는, 또 하나는
로 나뉜다. ㉥
크게 두 가지 하나는, 다른 하나는
로 구별될 수 있다. ㉦
하나는, 또 다른 하나는
를 들 수 있다. ㉧
*㉠,㉤의 ‘~가 있다’의 경우 ‘~에는’이 사용되기도 한다.

㉠ ~은/
는 크게 ~와/
과 ~이/
가 있는데,전자가 ~,후자는 ~.

감탄사는
는 크게 느낌을 나타내는 것과
과 세계에 대한 태도를 나타내는 것이
이 있는데,
있는데, 전자가
청자를 상정하지 않은 단독적 장면에서 발화되는 데 반해 후자는 청자를 상정해야 하는
상관적 장면에서 발화된다는 특징을 갖는다. (신지연, 2001)

㉡ ~에 따라 A와 B가 있을 수 있다.

한편 외래어를 받아들이는 통로가 직접적이냐 간접적이냐에


에 따라 직접차용과
과 간접
차용이
이 있을 수 있다.
있다. (송철의, 1998)

- 96 -
㉢ ~은/
는 에 따라 A와 B로 나뉜다.

어사는
는 그 주된 의미에
에 따라 어휘적 어사와
와 통사적 어사로
로 나뉜다.
나뉜다. (최호철, 1997)

㉣ ~은/
는 A와 B로 구분되는데,전자는 ~,후자는 ~.

의미관계는
는 계열적 관계와
와 결합적 관계로
로 구분되는데,
구분되는데, 전자는 낱말이 계열체에 의해서
선택적으로 대치되는 관계이며, 후자는 낱말이 결합체에 의해서 연쇄적으로 공기되는
관계를
를 말한다.
말한다. (임지룡, 1997)

㉤ ~은/
는 ~에 따라 크게 두 가지가 있다.하나는 ~,또 하나는 ~.

사전에 선별 수록되는 용례는


는 출처에
에 따라 크게 두 가지가 있다.
있다. 하나는 실제로 쓰여진
글에서 직접 인용하는 자연 용례이고, 또 하나는 사전 항목의 작성자가 필요에 따라 만
들어 낸 인공 또는 가공 예문이다. (홍재성, 1998)

㉥ ~은/
는 크게 두 가지로 나뉜다.하나는 ~,또 다른 하나는 ~.

국어교육에서 광고텍스트를 다룬다고 할 때 광고를 보는 시각은


은 크게 두 가지 방식으로
나뉜다.
나뉜다. 하나는 광고를 현대 사회엣 있어서 언어 전달의 중요한 수단으로 인정하면서 이
를 정보 획득의 수단으로 활용하는 데 목적을 두는 것이며, 또 다른 하나는 광고를 하나
의 텍스트로 보면서 여기서 나타나는 언어 사용 방식의 특이성을 인정하고 그 언어 사
용의 양식을 습득하는 데 목적을 두는 것이다. (이은희, 2002)

㉦ ~은/
는 크게 두 가지로 구별될 수 있다.

그 유형은
은 크게 두 가지의 경우로 구별될 수 있음을
있음 지적하였다. (홍재성, 1998)

㉧ ~은/
는 크게 두 가지를 들 수 있다.하나는 ~,다른 하나는 ~.

외래어 사용상의 문제점으로서는


는 크게 두 가지를 들 수 있다.
있다. 하나는 외래어의 남용
이고 다른 하나는 외래어의 오용이다. 남용과 오용, 두 가지 문제 중에서 현재 우리
에게 더 심각한 것은 남용의 문제이다. (송철의, 1998)

- 97 -
[
유 형 2]세 가 지 요 소 의 나 열

세 가지 요소를 나열할 경우에는 ‘


나열’표지 안에 세 요소를 명시하는 경우
도 있고,요소의 개수만 나타내고 이어지는 문장에서 ‘
첫째,둘째,셋째’
로 순
서를 밝혀 가며 제시하는 경우도 있다.

A, B, C로 나뉜다. ㉠
~은/는
크게 A, B, C 등으로 나눌 수 있다. ㉡
~에 대해서는 다음 세 가지의 주된 ~이 있다. 첫째, 둘째, 셋째, ㉢
~로는 A, B, C 등이 있다. ㉣
~에는 A, B, C의 세 가지가 있다. ㉤

㉠ ~은/
는 ~은 면에서 A,B,C로 나뉜다.

한편 어사는
는 그것이 이루어지는 형태적인
인 면에서 단일 어사, 파생 어사, 복합 어사
로 나뉜다.
나뉜다. (최호철, 1997)

㉡ ~은/
는 크게 A,B,C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의지적 간투사는는 크게 명령적 의미를 갖는 것, 부르거나 대답하는 소리, 문장의 처음이


나 중간에 머뭇거리는 소리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있다. (신지연, 2001)

㉢ ~에 대해서는 다음 세 가지의 주된 ~이 있다.첫째,둘째,셋째 ~

이와 관련하여 낱말의 의미에


에 대해서는 다음 세 가지의 주된 관점이 있다.
있다. (임지룡, 1997)

㉣ ~로는 A,B,C 등이 있다.

그러한 구조의 모형으로는


으로는 핵의미 구조, 의미연쇄 구조, 의미망 구조 등이 있는데,
있는데 다의어
가운데는 핵의미 구조를 이룬 경우도 있을 것이나, 의미확장의 다양한 모습을 고려해 볼
때 의미연쇄 구조나 의미망 구조를 띌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보인다. (임지룡, 1997)

㉤ ~에는 A,B,C의 세 가지가 있다.

굴절어에서 자연스럽게 분석되는 단위에는 에는 의미적 특성으로 보아 실질적 의미를 갖는


것, 형식적 의미를 갖는 것, 실질적 의미와 형식적 의미를 함께 갖는 것의
의 세 가지가 있
다. (최호철, 1997)

- 98 -
[
유 형 3]여 러 요 소 의 나 열

세 개 이상의 여러 요소들을 나열하는 경우에는 다음과 같은 표지들이 사용


되었는데 실제 학술 논문에서 나열되는 요소의 개수는 두세 가지가 가장 많았
고 일반적으로 여섯 가지를 넘지 않았다.

~의 관점에서 나누어 본다면 다음과 같이 분류해 볼 수 있을 것이다.


~을/를 첫째, 둘째, 셋쩨, 넷째, 다섯째, ㉠
~에 따라 나누어 보면 A, B, C, D, E로 나눌 수 있다. ㉡
~에는 다음과 같은 여러 유형이 있다. A나 B, 또는 C, D, E ㉢
~로서 A, B, C, D 등을 들기도 한다. ㉣

㉠ ~을/
를 ~의 관점에서 몇 가지 부류로 나누어 본다면 다음과 같이 분류해
볼 수 있을 것이다.첫째,둘째,셋째,넷째,다섯째,

외국어에서 기원하여 국어에서 사용되고 있는 외래적인 요소들을


을 국어 순화의
의 관점
에서 몇 가지 부류로 나누어 본다면 다음과 같이 분류해 볼 수 있을 것이다.
것이다. 첫째,
첫째,
순화 대상이 되는 어휘를 그대로 사용하는 부류, 둘째,
둘째 순화 대상 어휘와 순화한 어
휘를 모두 쓸 수 있는 부류, 셋째,
셋째 될 수 있으면 순화한 어휘를 쓰도록 되어 있는
부류, 넷째,
넷째 순화한 어휘만 쓰도록 되어 있는 부류, 다섯째,
다섯째 외국어를 단순히 발음에
따라 국어 표기로 바꾸어 놓았거나 아예 외국 문자로 표기한 부류 등이다. (송철의,
1998)

㉡~을 ~에 따라 나누어 보면 A,B,C,D,E로 나눌 수 있다.

의사소통을
을 수준에
에 따라 나누어 보면,
보면, 한 개인이 혼자 말하고 생각하는 대내적 의사소
통, 개인과 개인 사이에 이루어지는 대인적 의사소통, 개인과 개인 사이에 이루어지는
대인적 의사소통, 소규모 집단 또는 조직에서 일어나는 집단 도는 조직 의사소통, 공중
을 대상으로 하며 대중 매체의 중재에 의한 대중 의사소통으로
으로 나눌 수 있다.
있다. (이은희,
200)

- 99 -
㉢ ~에는 다음과 같은 여러 유형이 있다.A나 B,또는 C,D,E

문제가 되는 형용사에는
에는 다음과 같은 여러 유형이 있다.
있다. '공연하다, 진정하다, 우연하다,
참답다, 엄연하다 아무도 부인할 수 없는의 의미' 등 관형형이나 히형 부사 또는 경
우에 따라 '-게' 활용형만 가능하며, 의미 해석은 투명한 경우, '공연한 일, 참다운
삶, 진정한 의미, 엄연한 사실, 우연한 기회에 졸린 눈, 괴로운 표정, 지친 얼굴' 등
과 같은 결합에 나타나는 형용사, 의미 해석은 투명한데, 피수식 명사가 단문에서
주어로 나타날 수 있는 제일논항으로 분석되지 않는 특징을 갖는다. '새빨간 거짓말'
이나 '새카만 후배, 뽀족한 수, 따가운 질책'에서와 같이 직설적 기본적 의미로는 자
유 활용을 보이는 형용사가 특정명사와 결합하여 연어 표현을 구성하는 경우. '식은
땀을 흘리다, 따끔한 맛을 보여 주다'와 같이, 명사구 전체가 동사와 결합하여 숙어
구문을 이룰 때 삽입된 형용사 (홍재성, 1998)

㉣ ~로서 A,B,C,D 등을 들기도 한다.

대체로 외래어와 외국어를 구별하는 기준으로서


으로서 동화의 정도, 국어 문장 속에서의
자연스러움의 정도, 외국어의 의식이 있는가 없는가, 우리 사회에서 널리 쓰이는가
그렇지 않은가 등을 들기도 하는데,
하는데, 이러한 기준 역시 각자의 입장에 따라서, 또는
분야에 따라서 일정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문제가 그렇게 간단하지는 않다. (송
철의, 1998)

- 100 -
⑤ ‘
표 및 도 표 읽 기 ’표 지

본론의 논의 전개 방식에는 표나 도표,그림 등을 제시하여 이것을 해석하


여 이로부터 소결론을 이끌어 내는 경우도 있다.이 때에는 우선 제시될 표
및 그림이 무엇을 보여주는 것인지를 나타내는 표지가 등장하고,제시된 표
및 그림을 해석하는 표지가 등장하기 마련이다.따라서 ‘
표 및 도표 읽기’표
지는 두 가지로 나뉘는데 첫 번째는 표 및 도표를 제시하는 표지이고,두 번
째는 제시된 표 및 도표를 해석하는 표지이다.다음은 ‘
표 및 도표 읽기’표지
에 속하는 이들 두 가지 유형을 대표적인 예와 함께 보인 것이다.
36)

[
유 형 1]제 시 할 때

표 및 도표를 제시할 때는 우선 그것이 무엇을 보여주는 것인지를 나타내는


표현이 등장하고 표 및 도표가 어디에 위치하는지 그 위치를 지적하는 관계
대상 지정 표지의 지시형이 등장하기 마련이다.이 때는 지시형 중 후방 지시
형이 주로 사용되는 것이 특징이다.

다음과 같다. ㉠,㉡


~을/를 표/도표 로 보이면
아래와 같다. ㉢
정리된다. ㉣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
~은/는 나타낼 수 있다. ㉥
다음과 같은 도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 ㉦

㉠ ~을/
를 표로 보이면 다음과 같다.[
표]

지금까지 분석된 바를 요약하여 이를


를 표로 보이면 다음과 같다.
같다. (남기심, 1982)

36) 본고에서 분석 대상으로 한 논문에서는 표 및 도표가 많이 나타나지 않아 ‘표 및 도표 읽기’ 표지의


분석에서만 다른 두 논문(이상섭, 1990, “현대 사전편찬학의 이론과 실제”,『사전편찬학연구』3 ;고
영근, 1998, ”좋은 텍스트를 만드는 길“,『새국어생활』8-4)을 추가하여 분석하였다.

- 101 -
㉡ ~을/
를 도표로 보이면 다음과 같다.[
도표]

위의 단계 1의 5 과정을
을 도표로 보이면 다음과 같다.
같다. (이상섭, 1990)

㉢ ~을/
를 도표로 보이면 아래와 같다.[
도표]

탐색 이전의 연구를
를 도표로 보이면 아래와 같다.
같다. (이상섭, 1990)

㉣ 은/
는 다음과 같이 정리된다.[
도표]

지금의 '어절'과 '단어'의 쓰임으로 보아 '어절'은 '듬'만을 가리키나 '단어'는 '씨'와 '
듬'을 다 가리키므로 이를 명확하게 하기 위하여 '씨'에 해당하는 용어로써 '어사'를
사용하고 '단어'는 문자 그대로 '형태'의 개념으로 사용하면 이들의 관계는
는 다음과 같
이 정리된다.
정리된다. (최호철, 1997)

㉤ 은/
는 다음과 같이 정리될 수 있다.[
도식]

감정적 감탄사의 하위 범주는


는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있다. (신지연, 2001)

㉥ 은/
는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도식]

이들 세 가지 구조도는
는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있다. (임지룡, 1997)

㉦ 은/
는 다음과 같은 도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
도식]

이 두 가지 개념을 다시 고려한다면 주시경의 의미해석이론은


은 다음과 같은 도식으로도
나타낼 수 있다.
있다. (고영근, 1998)

- 102 -
[
유 형 2]해 석 할 때

제시된 표,도표 또는 그림은 제시로 끝나는 경우도 있지만 일부 항목에 대한


해석이 따르기도 한다.이 때에는 ‘
(3)
의 D에서 보듯이’
,‘(
5)의 그림’
과 같이
해석할 각 항목을 구체적으로 지시하는 표현이 등장하며 또한 ‘
~에서 보듯이’
,

~의 그림처럼’
,‘~와/
과 같이’의 표현으로 각 항목에 대한 해석을 시작한다.
학술 논문에서 표 및 도표,그림에 대한 해석을 나타내는 표지의 예를 대표적
인 것만 몇 가지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 ~에서 보듯이 …
㉡ ~은 ~의 그림처럼 …
㉢ 앞의 표에서 보인 바와 같이 A~D의 각 형은 …

㉠ ~에서 보듯이 …

대칭동사의 경우에는 (3)에서


(3)에서 보듯이 서로가 수의적이며, (3)의 D에서 보듯이 위의
(3)의 속성을 갖고 있지 않다. (홍재성, 1998)

㉡ ~은/
는 (
5)의 그림처럼 …

국어의 담화 표지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으며 이들은


은 (5)의
(5)의 그림처럼 담화와 담화
를 연결해 주는 일을 한다. (신지연, 2001)

㉢ 앞의 표에서 보인 바와 같이 A~D의 각 형은 …

앞의 표에서 보인 바와 같이 A~D의
A~D의 각 형은 제각기 둘 또는 세 가지 변이형이 있
는데 각 형의 변이형이 일치하지도 않을 뿐만 아니라, 각 형의 변이형으로 변동하게
되는 조건도 일치하지 않는다. (남기심, 1982)

- 103 -
3)‘
소 결 론 ’표 지

소결론은 본론에서 문제제기를 통해 제시된 하위 논제가 여러 전개의 방법


들을 통해 논의된 결과를 제시하는 부분이다.다루어지는 논제와 논의 전개
방식에 따라 소결론의 성격은 다양하지만 대략 결론에 해당하는 명제의 종류
에 따라 세 가지로 나누어 볼 수 있다.첫 번째는 소결론이 사실 명제로 되어
있는 경우인데 이때는 논의 전개를 통해 특정 명제가 타당함을 입증하게 된
다.두 번째는 소결론이 저자의 주관적인 판단에 관한 명제인 경우로 논의 전
개를 통해 어떤 것이 더 바람직하며 적합한가를 평가하는 경우이며,마지막은
당위적인 명제로 논의 전개를 통해 결론적으로 특정한 행동을 촉구하는 것이
다.이 때 소결론임을 나타내는 ‘
소결론’표지는 각각 다르다.그럼 소결론의
성격에 따른 ‘
소결론’표지를 하나씩 살펴보기로 한다.

[
유 형 1]
소결론이 사실적 명제일 경우

소결론에서는 논의 전개를 통해 특정한 명제가 사실임이 입증되거나 다시금


확인되기도 한다.이때 입증되는 명제는 특정한 사실을 나타내는 사실적 명제
로 다음과 같은 명제가 이에 해당한다.아래의 명제는 ‘
발화가 주어지면 두뇌
활동을 통해서 정보가 산출되면 여기에 심리적 활동이 관여하여 정보가 세계
와 관계된다’
라는 사실로서 앞선 논의 전개를 통하여 이와 같은 사실이 입증
되고 있다.이 때 ‘
소결론’표지는 굵은 글씨체와 밑줄로 표시된 ‘
이러한 사실
을 통해서 우리는 ~을/
를 알 수 있다’
로 나타났다.

이러한 사실을 통해서 우리는

을 알 수 있다.
있다. (장경희, 1986)

- 104 -
다음은 위의 경우와 같이 소결론이 본론의 논의 전개를 통해 특정 사실을
입증하거나 확인하는 경우를 유형화한 것이다.명제의 사실성에 대한 확신의
정도에 따라 단정의 형태와 추측의 형태로 이루어진다.단정의 형태에는 주로

알 수 있다’
,‘보았다’
,‘확인할 수 있다’등의 표현이 사용되며 추측의 형태로
는 ‘
~다고 할 수 있다’
,‘생각된다’
,‘짐작할 수 있다’등의 추측 표현이 사용된
다.

이러한 경우는 ~을/를 보여준다. ㉠


~을/를 보았다. ㉡
단정 이상의 논의를 통하여 ~을/를 볼 수 있었다. ㉡
~을/를 확인할 수 있게 되었다. ㉢
이와 같은 사실에서 ~을/를 볼 수 있다. ㉣
이상과 같은 사실로부터 ~을/를 알 수 있다. ㉤
~을/를 고려해 보면 ~다고 할 수 있다. ㉥
이상의 예들을 통해서 ~을/를 짐작할 수 있다. ㉦
추측
~다고 하겠다. ㉧,㉨
~은/는 ~으로 생각된다. ㉩
~은/는 ~으로 해석할 수 있겠다. ㉪

㉠ 이러한 경우는 ~을/


를 보여 준다.

이러한 기억력 상실증 환자의


의 경우는 단어의 개념적 의미와 발화가 지니는 정보가
두뇌 속에서 별개로 존재하고 있음을
을 보여 준다.
준다. (장경희, 1986)

㉡ 이상의 논의를 통하여 ~을/


를 볼 수 있었다.그리고 ~을/
를 보았다.

이상의 논의를 통하여 우리는, 단어의 내용은 개념적 의미이며 발화의 내용은 개체
의미와 관계의미의 결합에서 생겨난 정보임을
을 볼 수 있었다.
있었다. 그리고 개념적 의미와
정보 사이에는 계층관계가 성립되며 언어의 내용면도 의미라는 단일한 차원이 아니
고 개념적 의미와 정보라는 두 개의 계층이 존재하는 것을
을 보았다.
보았다. (장경희, 1986)

- 105 -
㉢ 이상의 논의를 통하여 ~을/
를 확인할 수 있게 되었다.

이상의 논의를 통하여 개념적 의미들이 결합하여 형성된 실체가 정보가 되는 것을



어느 정도 확인할 수 있게 되었다.
되었다. 정보가 발화의 언어 형식에 대응되는 심리적 실
체이므로 정보는 발화 형식이 지니는 내용 곧, 발화의 의미가 된다. (장경희, 1986)

㉣ 이와 같은 사실에서 ~을/
를 볼 수 있다.

이와 같은 사실에서 조형의 이념적 행태들이 결합하여 동일한 이념적 형태의 차원


에 머물지 아니하고 현실적 형태라는 다른 차원을 형성하는 것을
을 볼 수 있다.
있다. (장경
희, 1986)

㉤ 이상과 같은 사실로부터 ~을/


를 알 수 있다.

이상과 같은 사실로부터 화자가 발화를 하기 위해서는 개념적 의미와 정보라는 두


개의 심리적 실체가 존재한다는 사실을
을 알 수 있다.
있다. (장경희, 1986)

㉥ ~을/
를 고려해 보면,~다고 할 수 있다.

그런데 국어 생활, 독서, 작문은 11~12학년의 선택 과목의 성격을 지니고 있는 반면,


국어 과목은 1~10학년에 걸쳐서 공통 과목으로 제시되고 있는 점을
을 고려해 보면,
보면 국어
교육에서 광고를 다룰 때의 중점은 광고 언어에 대한 교육이 아닌, 광고를 통한 교육에
놓여 있다고
다고 할 수 있다.
있다. (이은희, 2002)

㉦ 이상의 예들을 통해서 ~을/


를 짐작할 수 있다.

이상의 예들을 통해서 우리는 우리의 언어 생활에서 외국어 단어들이 얼마나 흔하게 사
용되고 있는가를 있다. (송철의, 1998)
를 짐작할 수 있다.

- 106 -
㉧ ~다고 하겠다.

자연의 세계에서 사물들은 다양한 계층관계로 이루어져 있고 자연으로부터 이러한


계층관계를 배운 인간이 만들어 낸 사물들도 자연과 닮은 계층관계를 지니고 있다

고 하겠다.
하겠다. (장경희, 1986)

㉨ ~다고 하겠다.

위의 도표에서 보듯이 언어의 형식면에서 단어들이 결합하여 생겨난 것은 발화라고


하는 다른 층위의 형식이다. 내용면에서 보면 발화의 내용은 단어가 지니는 개념적
의미들의 결합으로 되어 있는데 이 성분들이 지닌 개념적 의미의 총화가 동일한 개
념적인 의미가 되는 것이 아니고 정보라는 다른 계층의 산물을 형성한다고
다고 하겠다
하겠다..
(장경희, 1986)

㉩ ~은/
는 ~으로 생각된다.

요소들이 일정한 구조를 가지고 결합했을 때 나타난 결합의 총화를 다른 층위로 파


악하는 일은
은 인간이 사물을 인식하는 방법의 하나로
로 생각된다.
생각된다. (장경희, 1986)

㉪ ~은/
는 ~으로 해석할 수 있겠다.

이러한 현상은
은 모두 형용사 동사 언어로서의 한국어 어휘 범주의 유형론적 특성을
반영하는 사실로
로 해석할 수 있겠는데,
있겠는데 한국어 사전에서는 이러한 국면의 기술을 소
홀히 할 수 없을 것이다. (홍재성, 1998)

- 107 -
[
유 형 2]소 결 론 이 판 단 에 관 한 명 제 일 경 우

소결론은 여러 가지 사실 중에서 근거를 들어 특정 사실에 대한 선호를 나


타내는 판단 명제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이를테면 다음의 예문에서는 외곽선
체로 표시된 “
광고의 국어교육적 수용의 필요성에 대해서 다양한 학문적 논의
가 이루어지고 있는 상황”
이 가치 있는 것임을 피력하면서 이에 대한 근거로
앞서 전개된 논의를 제시하고 있다.이 때 앞선 논의가 근거가 됨은 ‘
그렇기
에’
라는 표현으로 알 수 있다.굵은 글씨체와 밑줄로 표시된 ‘
그렇기에 ~은/

매우 가치롭다’
가 바로 이 문장이 해당 논제에 대한 소결론임을 나타내는 ‘

결론’표지이다.

그렇기에
은 매우 가치롭다.
가치롭다. (이은희, 2002)

특정 사실에 대한 판단을 나타내는 ‘


소결론’표지를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
다.‘
소결론’표지는 판단의 강도에 따라 단정하는 형태와 추측하는 형태로 나
누어진다.

이러한 관점에서 ~이/가 바람직하다. ㉠


단정 이런 사실에 비추어 ~이/가 더 합당하다. ㉡
~므로 ~이/가 ~에 더 적절하다. ㉢

~이/가 바람직하다고 본다. ㉣


추측 따라서 ~이/가 더 타당하게 생각된다. ㉤
~이/가 더 타당하다고 할 수 있다. ㉥

- 108 -
㉠ 이러한 관점에서 ~이/
가 바람직하다.

이러한 관점에서 상호 구문의 가능성은 동사의 사전 기술에서 적극적으로 고려되는


것이
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다. (홍재성, 1998)

㉡ 이런 사실에 비추어 ~이/


가 더 합당하다.

이런 사실에 비추어 관형사형의 "는"을 제외한 A,B,D형의 "는"을 모두 그에 후속하는


어미의 일부로 보는 편이
이 더 합당하다.
합당하다. (남기심, 1982) 주장

㉢ ~므로 ~이/
가 ~에 더욱 적절하다.

그러나 실제로는 발화로부터 얻게 되는 정보가 청자에 따라서 다르므로


므로 발화의 의
미를 심리적으로 실체인 정보로 파악하고 이 정보를 개인의 정보망과의 관계 속에
이 언어 현상 설명에
서 재해석 하는 것이 에 더욱 적절하다.
적절하다. (장경희, 1986)

㉣ 따라서,~이/
가 바람직하다고 본다.

따라서,
따라서 언어외적으로 다른 정신적 능력에 대한 언급이 없이 언어적 원리를 탐구하는
것이 이상적이라고 보며, 언어내적으로 의미론적 내용의 언급 없이 통사론적 원리를 탐
구하는 것이
이 바람직하다고 본다.
본다. (임지룡, 1997)

㉤ ~이/
가 보다 타당하게 생각된다.

그밖에, 화자지시와 함축적 의미 등을 설명하는 데에도 외부 상황을 통한 의미 기술


보다는 정보망으로 설명하는 것이
이 보다 타당하게 생각된다.
생각된다. (장경희, 1986)

㉥ ~이/
가 보다 타당하며 효율적이라 할 수 있다.

그 중 다의어를 극대화하는 방식이


이 보다 타당하며 효율적이라 할 수 있다.
있다. (임지룡,
1997)

- 109 -
이 밖에 판단을 나타내는 표지에는 위와 같이 선호의 경향을 나타내는 표지
외에 비선호,즉 부정적인 판단을 나타내는 것도 있는데 보통은 기존 논의를
비판하거나 또는 반박할 때 사용된다.사용되는 표지는 아래의 예문에서와 같
이 ‘
무의미하다’
,‘옳지 않다’
,‘어렵다’
,‘힘들다’
,‘적합하지 않다’등의 부정적인
판단을 나타내는 표현이다.그리고 부정적인 판단을 내린 이유를 동반하는 일
이 많다.부정적인 판단을 나타내는 ‘
소결론 표지’
는 ‘
옳지 않다’
,‘무의미하다’
등 직접적으로 부정적인 입장을 표명하는 표현과 ‘
힘들 것 같다’
,‘~다고 보기

어렵다’등으로 완곡하게 부정하는 표현의 두 가지로 나누어 볼 수 있다.다음


은 이에 속하는 대표적인 표지를 유형별로 예와 함께 보인 것이다.

~은/는 옳지 않다. ㉠
따라서
직접적 ~은/는 무의미한 일이다. ㉡
~므로
~은/는 ~에는 적합하지 않다. ㉢

~이/가 힘들 것 같다. ㉣
따라서
간접적 ~을/를 의심하게 된다. ㉤
~므로
~이/가 ~다고 보기 어렵다. ㉥

㉠ 따라서 ~은/
는 옳지 않다.

따 라 서 외래어의 존재 자체를 무조건 부정적으로 보려는 태도는


는 옳 지 않 다 .(
송철
의,1998)

㉡ ~므로,~은/
는 무의미한 일이다.

그러나 이러한 대립이 이 주어진 범위를 벗어나서는 통용되지 않으


으 므 로 ,이러한 제
한된 범위의 것을 위하여 새로운 문법 범주를 설정한다는 것은
은 무의미한 일이다.
(
남기심,1982)

- 110 -
㉢ ~은/
는 ~에는 적합하지 않다.

이러한 이분법적 매체 설정 방식은


은 문자가 주된 전달 매체로서의 기능을 수행하던
시절에 이루어진 것으로, 융합 텍스트적 특성을 지닌 광고텍스트를 설명하기에는
기에는 적
합하지 않다.
않다. (이은희, 2002)

㉣ ~기가 힘들 것 같다.

그들이 각기 별개의 형태소를 구성할 수 있는 기능이 부여되기


기가 힘들 것 같 다 .
(
남기심,1982)

㉤ ~을/
를 의심하게 된다.

나아가서 이렇게 변동조건이 크게 다른 이들 A,B형이 과연 하나의 형태소로 묶여질


수 있는 성질의 것인가 하는 것을
을 의심하게 된다.
된다. (남기심, 1982)

㉥ ~이/
가 다고 보기 어렵다.

그러나 우리의 생각은 이러한 선택이


이 크게 긍정적인 의의가 있다고
다고 보기 어렵다.
어렵다.
(홍재성, 1998)

- 111 -
[
유 형 3]소 결 론 이 당 위 적 명 제 일 경 우

소결론에서는 논의 전개를 통해 어떠한 당위적인 명제를 주장하기도 한다.


아래의 예문에서는 “
적절하지 못한 정보성이 미약하거나,잉여적인 경우 용례
의 선별은 엄격히 제한해야 한다”
는 당위적인 명제를 앞선 논의에 대한 소결
론으로 제시하고 있는데 이 때 사용된 ‘
소결론’표지는 ‘
이러한 ~에서 볼 때
어/
아야 할 것이다’
가 된다.아래의 예문에서 외곽선체는 소결론의 당위적 명
제를,굵은 글씨체와 밑줄은 ‘
소결론’표지를 표시한 것이다.

이러한 정보성의 관점에서


에서 볼 때
야 할 것이다.
것이다. (홍재성, 1998)


소결론’표지는 주로 ‘
필요하다’등 필요성을 나타내는 표현으로 당위적 주
장을 객관화시켜 피력하기도 하고,‘
~어/
아야 하다’
의 직접적인 당위 표현으로
~어/
강하게 피력하기도 한다.하지만 ‘ 아야 하다’등의 당위 표현에 ‘
생각되다’
나 ‘
~을 수 있을 것이다’등의 가능성을 나타내는 표현을 덧붙이면 주장의 강

도가 조금 완곡하게 표현된다.당위적 명제를 나타내는 ‘


소결론’표지도 다른
경우들과 마찬가지로 주장의 강도에 따라 단정적인 표현과 추측의 표현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이를 구조화하여 예문과 함께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이/가 필요하다. ㉠
따라서
~어/아야 할 것이다. ㉡
단정 이러한 관점에서
~이/가 필요할 것이다. ㉢
이와 같은 관점에서 볼 때
~이/가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가 필요하다고 하겠다. ㉤


추측 따라서 ~어/아야 하리라 생각된다. ㉥
~을/를 강구해 볼 수 있을 것이다.㉦

- 112 -
㉠ 따라서 ~이/
가 필요하다.

따라서 국어교육에서 광고를 다룰 때는 한 면만이 아니라, 이러한 의사소통의 다양한


측면에서 광고가 지닌 총체성을 고려한 접근이
이 필요하다.
필요하다. (이은희, 2002)

㉡ 이와 같은 관점에서 볼 때,~어/
아야 할 것이다.

이와 같은 관점에서 볼 때, 선별된 언어속성을 기술 표상하는 도구인 사전적 메타언


어는, 실천적 사전학의 원칙에 알맞게 일반 사전 독자에게 접근이 용이해야 하며,
전체적으로 사전 인쇄 공간의 구성-항목 구성 요소의 배치나 활자, 약호, 기호 또는
삽화나 도표와 같은 비언어적 기호의 사용을 포함하여-은 신속하고 효율적일 뿐 아
니라 쾌적한 정보검색의 상황을 제공할 수 있어야
어야 할 것이다.
것이다. (홍재성, 1998)

㉢ 그렇다면 ~이/
가 필요할 것이다.

그렇다면 매체적 특성에 따라 새롭게 나타나는 유형의 텍스트에 대해서 새로운 범주를
계속적으로 설정할 것이 아니라, 이들을 총체적으로 설명해 줄 수 있는 방식을 찾아나
가는 것이
이 필요할 것이다.
것이다. (이은희, 2002)

㉣ 이러한 ~을/
를 통해 생각해 보면,~이/
가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명제를
를 통해 생각해 보면,
보면 광고텍스트는 그 동안 우리에게 익숙했던 말이나 글을
매체로 한 텍스트와는 매체적 특성을 달리 하기에, 말이나 글로 이루어진 텍스트와는
다른 방식으로 이해하는 것이
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있다. (이은희, 2002)

- 113 -
㉤ 따라서 ~이/
가 필요하다고 하겠다.

따라서,
따라서 앞으로의 의미 연구는 어휘 의미 뿐 아니라, 문장의미 및 담화의미의 독자성을
확보하고 더불어 고대국어, 중세국어, 현대국어의 공시론적 연구 및 통시론적 연구를
병행함으로써 연구 대상 간의 균형을 이루는 일이
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하겠다. (임지룡, 1997)

㉥ ~어/
아야 하리라 생각된다.

우리는 이와 같은 서로의 쓰임새가 사전 기술에서 충실히 기록되어야


어야 하리라 생각
된다.
된다. (홍재성, 1998)

㉦ 따라서 ~을/
를 강구해 볼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긴 완전문 용례가 부적절한 경우에는 부분적인 가공의 필요성이 있고 이 경우,


여러 가지 면에서 저작권의 문제가 제기될 수도 있기는 하지만 보완책으로 예구를 용례
로 활용하거나, 부분적으로 인공 용례를 사용하는 방법도
도 강구해 볼 수 있을 것이다.
것이다. (홍
재성, 1998)

- 114 -
이제까지 분석한 본론의 각 표지들을 간략히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1)‘
문 제 제 기 ’표 지

<표 13> 본론의 ‘


문제제기’표지

㉠ ~은/는 그 기능이 무엇인가?


㉡ ~와/과 ~은/는 어떠한 차이를 지니는가?
㉡ 어떻게 ~이/가 ~을 수 있는가?

[
유 형 1]
㉢ ~는 어떠한 방식으로 다루어지고 있는가?
㉣ ~을/를 어떻게, 어느 부위에서, 어느 정도까지 기술할 것인가?
직접의문형
㉠ ~이/가 A인가? 또는 B인가?
㉡ ~을/를 부여할 것인가?

문제
㉢ ~어/아야 할 필연성이 있는 것일까.

제기’
㉣ A로 기술할 것인가 또는 B로 기술할 것인가?

표지
㉠ 우리가 살펴보아야 할 것은
[
유 형 2]
~는가 하는 것이다.
㉡ 먼저 생각해 볼 문제는
~는가이다.
간접의문형 ㉢ 다음으로 생각해 볼 할 문제는
㉣ 여기서 / 이 때에는 ~는가 하는 문제가 제기될 수 있다.
보기로 한다. ㉠,㉡
여기서는
[
유 형 3]
~을/를 보이려고 한다. ㉢,㉣
이 장에서는 제시해 보기로 하겠다. ㉤
직접제시 아래에서는
먼저/다음으로 ~을/를 살펴 보기로 한다. ㉥
~에 대해서 고찰해 보도록 하겠다. ㉦

2)‘
논 의 전 개 ’표 지

① ‘
예 시 ’표 지

<표 14> 본론의 ‘


예시’표지

[
유 형 1]
부사어
예컨대㉠,㉡/ 예를 들어㉢ /예를 들면㉣ /예를 들어 살펴 보면㉤

㉠ 그런
~이/가 ㉡ 그러한 예이다.
[
유 형 2] ㉢ 그 대표적인

예 시 ’ 간략한 예 ㉣ ~던 예들이 이에 해당한다.
표지 ㉤ ~에 관한 보기로는 ~을/를 들 수 있다.
㉥ ~의 대표적인 예들로서는 ~들을 들 수 있다.
㉠ ~의 예로 ~의 경우를 들어 보기로 한다.
[
유 형 3] ㉡ ~는 예로서는 다음과 같은 경우들을 들 수 있다.
상세한 예 ㉢ ~은/는 다음과 같은 예를 통해서도 알 수 있다.
㉣ ~의 경우를 예로 들어보자.

- 115 -
① ‘
인 용 ’표 지

<표 15> 본론의 ‘


인용’표지
한다(하였다). ㉠
~라고/다고
주장한다(주장하였다). ㉡
보고 있다. ㉢
~에서는
~(으)로 간주하고 있다.
(~을/를)설명하고 있다. ㉣
[
유 형 1]
~은/는
인명(
연도)
제시하고 있다.
학술논문 ~에 대해 논의하고 있다. ㉤
언급한다.
파악되고 있다. ㉥
~(으)로
정의되었다.
~에 의하면
한다.

인용’
~라고/다고
할 수 있다. ㉦
표지
~에 따르면 본다. ㉠
~라고/다고
~에 의하면 가정한다. ㉡
[
유 형 2]
~에 의하면 ~(으)로 파악되었다. ㉢
<학문명>
이론
한다. ㉣
<이론명>
~라고/다고 본다. ㉤
~에서는
주장한다. ㉥
~(으)로 본다. ㉦
[
유 형 3] <서명(연도)>에서는 ~라고/다고 하고 있다. ㉠
서적 <서명>에서 <인명>이 제시한 “~”라는 명제 ㉡
[
유 형 4] ~라고/다고 한다. ㉠

조사결과
~<조사>에 의하면 나타났다. ㉠
~으로
조사되었다. ㉠

③ ‘
용 어 정 의 ’표 지

<표 16> 본론의 ‘


용어 정의’표지

~을/를 말한다. ㉠
[
유 형 1]
~란
~을/를 일컫는다. ㉡
‘용어 개념제시 ~라고 한다. ㉢,㉣
~을/를
정의’
정의’ ~라는 용어로 지칭한다. ㉤

[
유 형 2]
표지 우리는 ~라는 표현을 사용하기로 한다. ㉠

개념정의
이 글에서는 ~을/를 ~라고 부르기로 한다. ㉡
여기서는 ~을/를 ~라고 보고 논의를 진행하기로 한다. ㉢

- 116 -
④ ‘
나 열 ’표 지

<표 17> 본론의 ‘


나열’표지

가 있다. ㉠
가 있을 수 있다. ㉡
~은/는 A와 B 전자는, 후자는 ~.
로 나뉜다. ㉢
[
유 형 1]
(㉠,㉤의 로 구분된다. ㉣
두 가지
경우
‘~에는’도 가 있다. ㉤
하나는, 또 하나는
가능) 크게 로 나뉜다. ㉥
하나는, 다른 하나는
두 가지 로 구별될 수 있다.㉦
하나는, 또 다른 하나는
를 들 수 있다. ㉧
A, B, C로 나뉜다. ㉠

나열’
~은/는
크게 A, B, C 등으로 나눌 수 있다. ㉡
표지 [
유 형 2] ~에
세 가지
다음 세 가지의 주된 ~이 있다. 첫째, 둘째, 셋째, ㉢
대해서는
~로는 A, B, C 등이 있다. ㉣
~에는 A, B, C의 세 가지가 있다. ㉤
~의 관점에서 나누어 본다면 다음과 같이 분류해 볼 수
[
유 형 3]
있을 것이다.
~을/를
세 가지
첫째, 둘째, 셋쩨, 넷째, 다섯째, ㉠

이상
~에 따라 나누어 보면 A,B,C,D,E로 나눌 수 있다. ㉡
~에는 다음과 같은 여러 유형이 있다. A나 B, 또는 C, D, E ㉢
~로서 A, B, C, D 등을 들기도 한다. ㉣

⑤ ‘
표 및 도 표 읽 기 ’표 지

<표 18> 본론의 ‘


표 및 도표 읽기’표지
다음과 같다. ㉠,㉡
~을/를 표/도표 로 보이면
아래와 같다. ㉢
[
유 형 1] 정리된다. ㉣
‘표 및 표 제시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
~은/는 나타낼 수 있다. ㉥
그림’
그림’
다음과 같은 도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 ㉦
표지
[
유 형 2]
㉠ ~에서 보듯이 …

표 해석
㉡ ~은 ~의 그림처럼 …
㉢ 앞의 표에서 보인 바와 같이 A~D의 각 형은 …

- 117 -
3)‘
소 결 론 ’표 지

<표 19> 본론의 ‘


소결론’표지

이러한 경우는 ~을/를 보여준다. ㉠


~을/를 보았다. ㉡
이상의 논의를 통하여 ~을/를 볼 수 있었다. ㉡
단정 ~을/를 확인할 수 있게 되었다.㉢

[
유 형 1]
이와 같은 사실에서 ~을/를 볼 수 있다. ㉣
이상과 같은 사실로부터 ~을/를 알 수 있다. ㉤
사실적 명제
~을/를 고려해 보면 ~다고 할 수 있다. ㉥
이상의 예들을 통해서 ~을/를 짐작할 수 있다. ㉦
추측 ~다고 하겠다. ㉧,㉨
~은/는 ~으로 생각된다. ㉩
~은/는 ~으로 해석할 수 있겠다. ㉪

소결론’ 이러한 관점에서 ~이/가 바람직하다. ㉠
표지 단정 이런 사실에 비추어 ~이/가 더 합당하다. ㉡
[
유 형 2] ~므로 ~이/가 ~에 더 적절하다. ㉢
판단적 명제 ~이/가 바람직하다고 본다. ㉣
추측 따라서 ~이/가 더 타당하게 생각된다. ㉤
~이/가 더 타당하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이/가 필요하다. ㉠
이러한 관점에서 ~어/아야 할 것이다. ㉡
단정
이와 같은 관점에서 볼 ~이/가 필요할 것이다. ㉢
[
유 형 3] 때 ~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
당위적 명제
~이/가 필요하다고 하겠다. ㉤
추측 따라서 ~어/아야 하리라 생각된다. ㉥
~을/를 강구해 볼 수 있을 것이다.㉦

- 118 -
4.
2.3.결 론 의 ‘
내 용 표 지 ’분 석

학술 논문의 결론에서는 일반적으로 본론에서 진행시킨 논의를 요약하고 연


구의 의의와 한계점,앞으로 해결해야 할 후속 과제 등을 제시하는 것이 일반
적이다.따라서 결론에 나타나는 내용 표지는 ‘
요약’표지,‘
연구의 의의’표지,

한계점’표지,‘
후속 과제’표지인데 분석 대상 논문들에서는 공통적으로 본론
의 논의에 대한 간략한 요약이 먼저 등장하였고 그 뒤를 이어 연구의 의의,
한계점,후속 과제 등이 선택적으로 나타났다.아래의 <예시 텍스트 8>은 실
제 학술 논문의 결론을 발췌한 것으로 요약과 한계점이 나타났는데 굵은 글씨
체와 밑줄로 표시한 부분이 ‘
요약’표지와 ‘
한계점’표지이다.여기에서는 ‘
연구
의 의의’표지와 ‘
후속 과제’표지는 나타나지 않았다.

<예시 텍스트 8>

요약
지금까지 국립국어연구원이 개발하고 있는 대규모 한국어 사전에서의
동사 형용사 항목 처리 문제와
와 관련하여 몇 가지 생각을 적어 보았다.
보았다.

항목 기술을 보완하고 개선하기 위한 실용적이고 구체적인 대안이나


처방을 내놓았다기보다는
다기보다는 몇몇 문제들을 거론하는 데에 그쳤고,
그쳤고 오히려
평소에 이 사전 기획에 걸어 온 기대와 그에 대한 요구를 이 기회에
다시 한번 피력한 셈이다. 연구원의 항목 기술 담당자들이 손쉽게 활
용할 수 있는 중요한 핵심 한국어 어휘 예컨대 앞에서 언급한 ‘서로’
와 ‘같은’에 대한 국어학적 분석이나 기술이 아직 미진하고, 숙달된 전

한계점
문 편찬 인력이 부족하며, 또 이 두 가지 기본적인 문제를 해결해 가
면서 사전을 완성시키기에는 시간이 너무나 모자라리라는 점을 잘 알
고 있기에
기에 우리의 요구가
가 무리이며 비현실적이기까지 한 면이 없지 않
을 것이다.
것이다. 어쨌든 연구원이 완성본을 상재하기까지 최대한의 노력을
기울여 제한된 핵심 표제어 어휘 기술의 면에서도 당분간 필적할 만
한, 그것에 대치할 만한 또 다른 사전이 나올 수 없는, 독보적인 언어
사전 부분을 내포한 성공적인 사전을 만들어내기를 바라고, 또 성원을
보낼 뿐이다. (홍재성, 1998)

- 119 -
1)‘
요 약 ’표 지

결론에서는 반드시 본론까지의 논의에 대한 요약이 이루어져야 한다.학술


논문의 결론은 간략하게 서술하기 때문에 요약은 일반적으로 짧게는 한 두 문
장에서 최대 한두 단락을 넘지 않는다.‘
요약’표지는 논의 전체를 지시하는

이 글에서는’
,‘이상은’등과 같은 지시어로 시작하여 ‘
살펴보았다’
,‘파악하였
다’
,‘검토하였다’
,‘고찰해 보았다’
와 같은 연구 동사의 과거형으로 표현된다.
경우에 따라 연구의 방법을 나타내는 ‘
~을/
를 통하여’
,연구의 자료와 범위를
뜻하는 ‘
~에 한정하여’
,‘~을/
를 대상으로 하여’
,연구의 입장을 나타내는 ‘
~의

관점에서’등의 표현을 동반하기도 한다.아래의 예를 보기로 한다.

~을/를 살펴보았다. ㉠
이제까지 ~에 관하여 살펴보았다. ㉠
~을/를 ~로 파악하였다. ㉠
지금까지 ~을/를 볼 수 있었다. ㉡
~을/를 모색해 보았다. ㉢
이 글은 ~에 대해 고찰해 보았다. ㉣
본 연구에서는 ~을/를 검토하였다. ㉤
이상은 ~을/를 목표로 했을 때의 분석이다. ㉥
본고의 논의를 종합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둘째, 셋째, 넷째, 다섯째, ㉦

㉠ 지금까지 우리는 ~에 관하여 살펴보았다.


~을/
를 살펴보았으며,
~을/
를 로 파악하였다.

지금까지 우리는 언어 형식이 지니는 의미와 정보에


에 관하여 살펴보았다.
살펴보았다. 개념적 의미와 정보
라는 두 개의 심리적 실체가 인간의 두뇌에 별개로 존재하는 사실을
을 살펴보았으며,
살펴보았으며, 이들에
대응되는 언어 형식이 단어와 발화로 구분되므로 단어의 내용을 개념적 의미로, 발화를
를 정보
로 파악하였다.
파악하였다. (장경희, 1986)

㉡〔 ~을/
를 통하여〕 ~을/
를 볼 수 있었다.

개념적 의미와 정보의 특징을 을 통하여 이들의 차이점을


을 볼 수 있었고 개념적 의미와 정보의
구별을 통하여 언어의 내용면에 대한 연구가 의미론과 화용론으로 구분될 수 있음을 살펴
보았다. (장경희, 1986)

- 120 -
㉢ 이제까지〔 ~의 관점에서〕 ~을/
를 모색해 보았다.

이제까지 인지언어학적 관점에서 어휘의미 연구의 새로운 방향을


을 모색해 보았다.
보았다. (임지
룡, 1997)

㉣ 본 연구에서는 ~에 대해 고찰하였다.

이러한 측면에 주목하면서 본 연구에서는 광고텍스트는 언어 구조체로서 어떤 특성을


지니고 있으며 의사소통의 과정에서 어떻게 기능하는지에 관해 살펴보면서, 국어교육
에서 광고텍스트에 대해 어떻게 접근해야 할 것인가에
에 대해 고찰해 보았다.
보았다. (이은희,
2002)

㉤ 이 글은〔 ~에 한정하여〕 ~을/


를 검토하였다.

이 글은 구조 측면의 단위 분석에
에 한정하여 국어의 그것이 어떻게 이루어지는가를
를 검토
하였다.
하였다. (최호철, 1997)

㉥ 이상은〔 ~을/
를 대상으로 하여〕 ~을/
를 목표로 했을 때의 분석이다.

이상은 현대 국어 서울 방언을
을 대상으로 하여 그것의 공시적인 구조 기술을
을 목표로 했을
때의 분석이다.
분석이다. (남기심, 1982)

㉦ 본고의 논의를 종합하면 다음과 같다.첫째,둘째,셋째,넷째,다섯째,

본고의 논의를 종합하면 다음과 같다.


같다.
첫째,, 감탄사의 일차적 조건은 후행 문장에 대해 기능상 독립적일아는 점이며, 감탄사는 그
첫째
자체로 하나의 소형발화를 이룬다.
둘째,
둘째, 감탄사는 통사 층위와 분리되어 해석되어야 하는 화용상의 단어이다.
셋째,
셋째, 감탄사는 화용상의 단어로서 ‘담화 표지’의 기능을 한다.
넷째,, 감탄사는 화용상의 단어이므로 최소한의 기본 의미만을 가지며, 그 구체적 의미는 대
넷째
부분 상황 의미이다.
다섯째,
다섯째, 감탄사의 기본 의미는 담화 표지적 기능과 관계된다. (신지연, 2001)

- 121 -
2)‘
연 구 의 의 의 ’표 지

연구의 의의는 해당 연구가 관련 분야에서 어떠한 기여를 할 것인지,어떠


한 학문적 의미가 있는지를 밝히는 것을 말하며 이를 나타내는 표지가 ‘
연구
의 의의’표지이다.분석 대상 논문들에서 ‘
연구의 의의’표지는 그다지 많이
나타나지 않았는데 이것은 연구의 의의가 결론에서 다루어지는 내용 요소 중
필수적인 요소가 아니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이러한 이유로 ‘
연구의 의의’
표지는 ‘
의의’
,‘뜻깊은’
,‘계기’
,‘기여’등의 의의와 관련된 표현이 사용된다는
공통점이 있을 뿐 각각 다른 표현으로 나타난다.다음은 분석 대상 학술 논문
에 나타난 ‘
연구의 의의’표지를 대표적인 예와 함께 제시한 것이다.

㉠ ~은/는 ~으로 의의가


의의 있는 것이다.
㉡ ~는 시점에서 ~은/는 뜻깊은 일이라 하겠다.
㉢ 이번 논의를 통하여 ~는 계기가
계기 될 수 있길 바란다.
㉣ 이러한 ~은/는 ~라는 의문을 해결하는 데 중요한 기여를
기여 하게 될 것이다.

㉠ ~은/
는 ~으로 의의가 있는 것이다.

그러나 타동성 범주의 설정은


은 범언어적으로
으로 의의가 있는 것이며,
것이며 (홍재성, 1998)

㉡ ~는 시점에서 ~은/는 뜻깊은 일이라 하겠다.

이렇게 사전에 대한 의식이 획기적으로 바뀌고 그 가치가 새롭게 평가될 뿐만 아니라,


어휘 중심 언어학의 전개, 전산기술의 발전, 사전학의 정립 등으로 사전편찬의 환경이
크게 변화하고 있는
는 시점에서 국립국어연구원을 비롯한 몇 군데의 기관에서 진행하고
있는 새로운 한국어 사전의 편찬 작업은
은 그 성과가 자못 궁금하게 기다려지는 뜻깊은
일이라 하겠다.
하겠다. (홍재성, 1998)

- 122 -
㉢ 이번 논의를 통하여 ~는 계기가 될 수 있길 바란다.

이번 논의를 통하여 감탄사 논의가 분명히 명제에 관련된 논의의주변부에서 이루어지지


는 계기가
만 자연 언어 발화의 양상을 밝히는 중요한 요인이 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하는
될 수 있길 바란다.
바란다. (신지연, 2001)

㉣ 이러한 ~은/
는 ~라는 의문을 해결하는 데 중요한 기여를 하게 될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두 가지 방향에서의 접근은


은 국어교육에서 광고텍스트를 다룰 때 만나게
되는 근본적인 의문, 즉 과연 광고텍스트를 국어교육의 어떤 영역에서 다루어야 하며
광고텍스트를 통해 이루려고 하는 의사소통 능력이 과연 무엇인가라는
라는 의문을 해결하는
데 중요한 기여를 하게 될 것이다.
것이다. (이은희, 2002)

- 123 -
3)‘
한 계 점 ’표 지

학술 논문의 결론 부분에는 지금까지 진행된 연구가 미처 다루지 못한 부분


이나 연구 자료 및 연구 방법의 한계에 대한 언급이 나타난다.실제 분석 대
상 논문들에서는 논의의 한계를 나타내는 이러한 ‘
한계점’표지가 많이 등장하
지 않았는데 이것은 ‘
연구의 의의’표지와 마찬가지로 논의의 한계에 대한 언
급이 결론에서 필수적으로 다루어져야 하는 요소가 아니기 때문이다.이와 같
은 이유로 ‘
한계점’표지는 유형화가 가능할만큼 반복되는 표현으로 나타나지
는 않고 다만,‘
그치다’
,‘을 뿐’등의 한계를 나타내는 표현이 쓰였다는 점이
특징적이다.분석 대상 논문에서 사용된 ‘
한계점’표지를 보이면 다음과 같다.

㉠ ~다기보다는 ~는 데에 그쳤다.
㉡ ~기에 ~면이 없지 않을 것이다.
㉢ 이는 ~에 대한 하나의 증거가 될 뿐이다.

㉠ ~다기보다는 ~는 데에 그쳤다.

항목 기술을 보완하고 개선하기 위한 실용적이고 구체적인 대안이나 처방을 내놓았다기 다기


보다는 몇몇 문제들을 거론하는는 데에 그쳤고,
그쳤고 오히려 평소에 이 사전 기획에 걸어 온 기
대와 그에 대한 요구를 이 기회에 다시 한번 피력한 셈이다.(홍재성, 1998)

㉡ ~기에 ~면이 없지 않을 것이다.

연구원의 항목 기술 담당자들이 손쉽게 활용할 수 있는 중요한 핵심 한국어 어휘 예컨대 앞


에서 언급한 서로와 같은에 대한 국어학적 분석이나 기술이 아직 미진하고, 숙달된 전문 편
찬 인력이 부족하며, 또 이 두 가지 기본적인 문제를 해결해 가면서 사전을 완성시키기에는
시간이 너무나 모자라리라는 점을 잘 알고 있기에 기에 우리의 요구가 무리이며 비현실적이기까
지 한 면이 없지 않을 것이다
것이다.. (홍재성, 1998)

㉢ 이는 ~에 대한 하나의 증거가 될 뿐이다.

이는 곧 문법의 주변부에 대한 관심으로 보여질 수도 있겠으나, 이러한 생각은 기존 문법이


명제부에 지나치게 편중된 관심을 보여 왔다는 사실에
에 대한 하나의 증거가 될 뿐이다.
뿐이다. (신지
연, 2001)

- 124 -
4)‘
후 속 과 제 ’표 지

학술 논문의 결론에서는 해당 연구에서 다루지 못했거나 관련 논의의 연장


선상에서 이루어질 필요가 있는 과제를 제시하면서 논의를 마무리하기도 하는
데 이를 나타내는 표현을 ‘
후속 과제’표지라 한다.‘
후속 과제’표지는 분석
대상 학술 논문에서 당위적 표현이나 필요성의 표현,그리고 기대나 전망의
표현 등으로 나타났다.‘
연구의 의의’표지와 ‘
한계점’표지의 경우처럼 결론에
서 반드시 다루어지는 요소가 아니므로 전형적인 표현은 찾아보기 어렵다.다
음은 분석 대상 논문들에 나타난 ‘
후속 과제’표지의 유형을 예와 함께 보인
것이다.

필요성 ㉠ ~기 위해 ~이/가 필요하다.

㉡ 앞으로 ~의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당위
㉢ ~에 대한 접근은 ~의 측면에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앞으로 ~을 때 ~이/가 확립될 수 있을 것이다.


기대나
㉤ ~은/는 ~을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전망
㉥ 다만, ~이/가 ~을 때 ~으로 발전할 수 있을 것이다.

㉠ ~기 위해 ~이/
가 필요하다.

즉 광고텍스트에 대한 의사소통 능력을 기르기 위해 광고를 교육하는 것과 함께 광고에


드러나 있는 언어 문화적 요소를 인식하기
기 위해 광고에 접근하는 두 방향의 교육이
이 함
께 필요하다.
필요하다. (이은희, 2002)

㉡ 앞으로 ~의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광고에 대한 이와 같은 기본적인 시각의 전환 위에서 앞으로 광고 교육의 내용이 무엇


이 되어야 할 것인지를 모색하는
는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것이다. (이은희, 2002)

- 125 -
㉢ ~에 대한 접근은 ~의 측면에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국어교육의 전체 체계를 기능적 측면과 문화적인 측면으로 나누어 보면, 광고 언어에



대한 접근 역시 두 가지 측면에서 동시에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것이다. (이은희, 2002)

㉣ 앞으로 ~을 때 ~이/
가 확립될 수 있을 것이다.

앞으로 이러한 방면에서의 다양한 연구가 축적될


될 때 광고텍스트를 국어교육의 대상으
로 어떻게 받아들이고 이를 구체적 교육의 장에서 어떻게 실현할 수 있을지 방법이
이 확
립될 수 있을 것이다.
것이다. (이은희, 2002)

㉤ ~은/
는 ~을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그러나 인지언어학의 방법론은


은 생성이론이 해결하지 못했거나 간과해 왔던 의미연구의
과제들 예컨대, 이 글에서 논의한 개념화, 의미관계, 비유, 다의어, 어휘사전, 도상성 등
에 대해서뿐만 아니라, 의미와 세상사의 지식, 의미의 유연성과 창조성, 언어와 사고의
상관성, 의미변화, 의미습득 등의 문제를 보다 설득력 있고 명쾌하게 해명해 줄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있다. (임지룡, 1997)

㉥ 다만,~이/
가 ~을 때 ~으로 발전할 수 있을 것이다.

다만,
다만 아인슈타인의 상대성 이론이 뉴톤의 고전적 이론을 수용했듯이, 인지언어학이
이자
율언어학의 성과를 완전히 무시할 것이 아니라, 그 장점을 포용할
할 때 더욱 강력한 이론
으로 발전할 수 있을 것이다.
것이다. (임지룡, 1997)

- 126 -
지금까지 결론의 ‘
내용 표지’
들을 분석해 보았다.결론에는 ‘
요약’표지,‘
연구
의 의의’표지,‘
한계점’표지,‘
후속 과제’표지 등이 등장하지만 이 중 ‘
요약’
표지는 모든 논문에서 나타나는 반면 이를 제외한 나머지 표지들은 그다지 많
이 나타나지 않아 표지를 유형화하기가 어려웠다.다음은 앞에서 분석한 결론
의 각 ‘
내용 표지’
들을 간략히 표로 나타낸 것이다.

<표 20> 결론의 표지

~을/를 살펴보았다. ㉠
~에 관하여 살펴보았다. ㉠
이제까지
~을/를 ~로 파악하였다. ㉠
지금까지

요약’
~을/를 볼 수 있었다. ㉡
~을/를 모색해 보았다. ㉢
표지 이 글은 ~에 대해 고찰해 보았다. ㉣
본 연구에서는 ~을/를 검토하였다. ㉤
이상은 ~을/를 목표로 했을 때의 분석이다. ㉥
본고의 논의를 종합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둘째, 셋째, 넷째, 다섯째, ㉦


연구의
㉠ ~은/는 ~으로 의의가 있는 것이다.
㉡ ~는 시점에서 ~은/는 뜻깊은 일이라 하겠다.
의의‘
표지 ㉢ 이번 논의를 통하여 ~는 계기가 될 수 있길 바란다.
㉣ 이러한 ~은/는 ~라는 의문을 해결하는 데 중요한 기여를 하게 될 것이다.


한 계 점 ’ ㉠ ~다기보다는 ~는 데에 그쳤다.
표지
㉡ ~기에 ~면이 없지 않을 것이다.
㉢ 이는 ~에 대한 하나의 증거가 될 뿐이다.

필요성 ㉠ ~기 위해 ~이/가 필요하다.


㉡ 앞으로 ~의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후속과제’
당위
㉢ ~에 대한 접근은 ~의 측면에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표지 ㉣ 앞으로 ~을 때 ~이/가 확립될 수 있을 것이다.
기대나
㉤ ~은/는 ~을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전망
㉥ 다만, ~이/가 ~을 때 ~으로 발전할 수 있을 것이다.

- 127 -
5.결 론 및 제 언

이 연구에서는 학문 연구를 목적으로 하는 한국어 학습자들의 읽기와 쓰기


교수․학습을 위한 기초 자료를 마련하기 위하여 실제 학술 논문 텍스트의 형
식 요소를 분석하였다.분석은 국어학 분야의 학술 논문 중에서 학계에서 고
빈도로 인용되는 저자 8인의 논문 8편을 대상으로 하였고,텍스트의 내용 요
소를 제외한 형식 요소에 대하여 귀납적인 분석을 하였다.그 결과 국어학 분
야 학술 논문의 서론,본론,결론이 전형적인 내용 요소로 이루어져 있음을 확
인할 수 있었는데 이로부터 ‘
내용 표지’
를 설정하게 되었다.‘
내용 표지’
란 특
정 장르에 속하는 텍스트의 전형적인 내용 요소를 나타내는 표지로서 본 연구
에서 새로이 설정한 개념이다.텍스트의 내용을 나타내는 형식 요소로 기존의
다른 연구에서 제시한 텍스트 의미 구조 표지는 ‘
내용 표지’안에 산발적으로
분포할 뿐 아니라 장르를 막론하고 모든 텍스트에 나타나는 보편적인 형식요
소이므로 본 연구에서는 텍스트 의미 구조 표지보다는 ‘
내용 표지’
의 분석에
초점을 두었다.
텍스트 의미 구조 표지의 분석은 명제 간 의미 관계의 종류를 나타내는 관
계 종류 규정 표지의 체계를 더욱 세분화하여 그 빈도를 분석하였는데 그 결
과 나열 표지와 원인류 표지,차이 표지 전체의 빈도가 전체의 74.
2%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다.따라서 학문 목적의 학습자들의 학문적 읽기와 쓰기
를 위해 이 세 가지 표지를 우선적으로 교수․학습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또한 텍스트 내에서 상세화 표지와 포괄 표지의 86.
4%와 57.
1%가 생
략되어 비교적 높은 생략 비율을 보였는데,포괄 표지의 경우 상당 범위의 전
술 내용을 통합․정리하는 데 사용된다는 점에서 생략되면 텍스트 전체의 의
미 파악에 어려움을 겪게 되므로 이에 대비한 교수․학습이 필요하다고 본다.
다음으로 국어학 분야의 실제 학술 논문 텍스트로부터 추출한 ‘
내용 표지’

그 표현이 단순한 연결어나 개념어의 형식을 넘어 하나의 관용적인 표현으로
서의 전형성을 보이는 것들로서 서론의 경우 ‘
동기’표지,‘
연구의 목적’표지,

- 128 -

선행 연구’표지,‘
연구의 차례’표지,‘
연구 자료’표지의 다섯 가지로 나누어
지며,‘
동기’표지는 다시 ‘
현황’표지․‘
문제점’표지․‘
필요성’표지의 세 가지
로 나뉜다.본론의 ‘
내용 표지’
에는 크게 ‘
문제제기’표지,‘
논의 전개’표지,‘

결론’표지가 있는데 이 때 ‘
논의 전개’표지는 논의 전개의 방법에 따라 ‘

시’표지․‘
인용’표지․‘
용어 정의’표지․‘
나열’표지․‘
표 및 도표 읽기’표지
의 다섯 가지로 설정한다.마지막으로 결론의 ‘
내용 표지’
는 결론을 구성하는
내용 요소에 따라 ‘
요약’표지,‘
연구의 의의’표지,‘
한계점’표지,‘
후속 과제’
표지로 나누어진다.본 연구의 본론에서는 각 ‘
내용 표지’
의 대표적인 형태들
을 유형화하여 예와 함께 제시하였다.
이와 같이 본 연구에서 설정한 ‘
내용 표지’
는 텍스트를 분석하는 새로운 방
법으로서 특히 특정한 장르에 속하는 텍스트를 분석하는 데 유용한 분석틀이
될 수 있을 것이다.또한 ‘
내용 표지’
는 실제 텍스트로부터 추출된 표지로서
특정 장르 텍스트에서의 한국어의 사용 양상을 여과 없이 보여준다는 점에서
특정 목적의 한국어 학습자들의 읽기와 쓰기 교수와 학습에 일종의 지침서로
서 유용한 참고 자료가 될 수 있으리라 본다.이와 같은 관점에서 본 연구에
서 분석한 학술 논문 텍스트의 ‘
내용 표지’분석은 학문을 목적으로 하는 한국
어 학습자들의 읽기와 쓰기 교수․학습에 직접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기초 자
료가 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다만,이 연구가 질적인 연구 방법을 따르고 있기 때문에 분석 자료의 양적
한계는 연구의 제한점으로 남는다.따라서 앞으로는 보다 많은 분석 자료를
대상으로 이와 같은 분석이 이루어져야 하며,본고에서 분석 대상으로 한 국
어학 분야뿐만 아니라 전공 분야를 달리하여,또 연구방법별로도 ‘
내용 표지’
의 분석이 실시되어야 한다.이렇게 학술 논문 텍스트의 전공 분야별․연구방
법별 ‘
내용 표지’분석이 이루어진다면 학술 논문 텍스트의 특성이 한층 명확
히 밝혀져 학문을 목적으로 하는 한국어 교육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
이다.

- 129 -
참고문헌

강범모,1999,「한국어 텍스트 장르와 언어 특성」,고려대학교 출판부.

강범모ㆍ김홍규ㆍ허명회,2000,「한국어의 텍스트 장르 문체,유형;컴퓨터와 통계적

기법의 이용」,태학사.

강범모ㆍ김홍규ㆍ허명회,1998,“
통계적 방법에 의한 한국어 텍스트 유형 및 문체 분

석”
,『언어학』제22호,대한언어학회.

강현화ㆍ박동규,2004,“
학문 목적의 병존 언어 교수 모델 적용 연구-경영학 전공 학

습자를 대상으로-”
,『한국어교육』15-2,국제한국어교육학회.

구법회,1980,현대국어 접속어미의 의미구문론적 연구,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구지인,2005,“
학문 목적 한국어를 위한 담화표지 학습 연구”
,『한국어교육』16-1,국

제한국어교육학회.

김경숙,2000,한국과 미국의 영문 초록 텍스트의 담화 분석,숭실대학교 대학원 석사

논문.

김광해,2000,“
우리나라 판결문의 텍스트성에 대한 연구”
,『텍스트언어학』 8,한국

텍스트언어학회회.

김민재,2004,외국인 유학생을 위한 내용중심 대학 예비과정 설계 연구,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봉순,1995,텍스트 의미 구조의 표지 연구,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1996,“
텍스트 의미 구조의 기능에 대한 실험 연구”
,『독서연구』1,한국독서학

회.

-----,1999,“
쓰기 영역의 수행 평가 방안”
,『국어교육』100,한국어교육학회.

-----,1995,“
텍스트 구조 표지의 독해에서의 기능”
,『국어교육학연구』5,국어교육학

회.

-----,2001,“
국어교육을 위한 텍스트언어학”
,『국어교육학연구』12,국어교육학회.

-----,2002,「국어교육과 텍스트구조」,서울대학교 출판부.

- 130 -
김상현,2001,「영어로 논문쓰기-영어논문의 작성과 표현-」,도서출판 미크로.

김성환,1999,“
한,영 논증문에서 논리적 연결어와 어휘결속의 유형과 기능”
,『영어교

육연구』10.한국영어교육학회.

김성훈,1993,“
텍스트에서의 생략현상에 대한 연구”
,『텍스트언어학』1,한국텍스트언

어학회회.

김영만,2001,“
고급수준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교재 단원 구성 방안”
,『한국어교육』

12-2,국제한국어교육학회.

김영희,1987,“
국어의 접속문”
,『새국어생활』11,국립국어연구원.

김옥화,2005,“
대학생의 논증 문단 작성 실태와 지도 방안”
,『언어학』13,대한언어학

회.

김인규,2003,“
학문 목적을 위한 한국어 교수요목”
,『한국어교육』14-3,국제한국어교

육학회.

김정숙,2000,“
학문적 목적의 한국어 교육과정 설계를 위한 기초 연구-대학 진학생을

위한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한국어교육』11,국제한국어교육학회.

김정연,1997,“
한국인과 영어 원어민의 영어 글담화(
Wri
tt
en Di
scour
se)구조 분석-영

문 자기 소개서를 중심으로-”
,『영어교육연구』17,한국영어교육학회.

김종록,1991,“
국어접속어미 지도를 통한 사고력 향상방안”
,『국어교육연구』23,경

북대학교 사범대학국어교육연구회.

김진원,1999,“
텍스트문법과 독해”
,『이중언어학』16,이중언어학회.

김형정,2002,한국어 입말 담화의 결속성 연구,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희선,1994,“
담화 구조의 측면에서 본 생략현상과 그 형식-라포 탈락 현상을 중심

으로”
,『화용론논집』2,언어정보연구원.

남기심․고영근,1993,「표준국어문법론」,탑출판사.

남승호,1985,국어의 접속문구성과 양상에 대하여,서울대 대학원 박사논문.

노은희,1999,“
담화에서의 생략에 대한 비판적 고찰”
,『선청어문』22.

-----,1999,대화 지도를 위한 반복표현의 기능 연구,서울대 국어교육학과 박사학위

논문.

- 131 -
명현국 외,1999,「이공계 연구자를 위한 영어논문 작성법」,문운당.

민병곤,2000,“
신문사설의 논증구조 분석”
,『국어국문학』127,국어국문학회.

-----,2003,“
논증적 텍스트의 생산 과정에서 논증 도식의 운용 양상에 대한 분석

및 교육적 시사”
,『국어교육학 연구』18,국어교육학회.

박갑수,1998,“
문체론의 과제와 전망”
,『한국언어학회』 겨울연구회 특강 자료.

박나리․조선경,2003,“
학문목적의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재 개발”
,『외국어교육』

10-1,한국외국어교육학회.

박수자,1993,읽기전략 지도 교재 구성에 관한 연구,서울대 박사학위논문.

박여성,1996,“
비난 또는 헌사(
獻辭)
? :서평(
書評)
에 대한 텍스트언어학적 고찰,
『텍

스트언어학』4,한국텍스트언어학회.

박종훈,2001,“
강의 담화에서의 부차적 정보의 구조와 기능”
,『선청어문』29,서울대

학교 국어교육과.

박진용,1997,텍스트 의미 구조의 과정 중심 분석 방법 연구,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방성원,2003,“
고급교재의 문법 내용 구성 방안”
,『한국어교육』14-2,국제한국어교육

학회.

백설자,19
94,“
조건구문과 학술논문의 이행점”
,『텍스트언어학』2
,한국텍스트언어학회.

-----,1995,“
학술 논증의 예외조건”
,『독일문학』57,한국독어독문학회.

서성교,2003,“
논증 텍스트와 비논증 텍스트의 수사구조”
,『언어학』11-4,대한언어학회.

송경숙,1999,“
영어 구두와 문자 내러티브 담화의 비교 연구:영어 회화와 작문 교육

에서의 활용”
,『영어교육연구』11.

송기중,1999,“
글의 분석과 평가-대학 작문교육의 효과적 방법을 개발하기 위한 시

론”
,『선청어문』27,서울대학교 국어교육과.

신지연,2003,“
거시구조 접속의 양상-일간지 사설 텍스트를 중심으로-”
,『텍스트언어

학『14,한국텍스트언어학회.

용재은,2004,대학 수학 목적의 한국어 읽기․쓰기 교육 방안 연구-학문적 텍스트의

분석과 적용을 중심으로-,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132 -
유혜진,2004,유의관계 접속어군의 의미 변별 연구,경인교육대 교육대학원.

유효진,2002,한국어 학습자 작문의 텍스트 의미 구조 표지 연구,연세대학교 교육대

학원 석사학위 논문.

이기동,1977,“
대조-양보의 접속어미 의미 연구”
,『어학연구』13-2.

이대규,19
86,“
작문 교육 내용으로서의 설명과 논증”
,『배달말교육』4,배달말교육학회

이미혜,2002,“
한국어 문법 교육에서 '
표현항목'설정에 대한 연구”
,『한국어교육』

13-2,국제한국어교육학회.

이삼형,1993,설명적 텍스트의 내용구조분석 방법과 교육적 적용 연구,서울대학교

국어교육과 박사학위논문

이성만,19
96,“
텍스트에서 논증 행위의 구조”
,『독어교육』1
4,한국독어독문학교육학회

이원표,2002,“
인용조사 '
-고'
의 담화분석:간접인용의 주관화와 문법화를 중심으로”
,

『사회언어학』7-1.

이은경,20
03,“
공지문 텍스트의 구조와 기능”
,『텍스트언어학』15
,한국텍스트언어학회.

이은희,1993,접속관계의 텍스트 언어학적 연구,서울대 대학원 박사논문

이재승,1997,“
쓰기 과정에서의 자동성과 통제성”
,『국어교육』95,한국어교육학회.

이정복,2002,“
전자편지 텍스트의 구조와 기능”
,『텍스트언어학』12,한국텍스트언어

학회.

이준호,2005,대학 수학 목적의 쓰기 교육을 위한 교수요목 설계-보고서 쓰기 교육을

중심으로-,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창덕,1999,“
현대 국어 인용 체계 연구”
,『텍스트언어학』6,한국텍스트언어학회회

이해영,2000,“
학문 연구를 위한 한국어 교육”
,『한국어교육』13,국제한국어교육학회.

-----,2001,“
대학의 외국인 유학생 위한 한국어 교육”
,『이중언어학』1
8,이중언어학회.

-----,2004,“
학문목적의 한국어 교과과정 설계 연구”
,『한국어교육』15,국제한국어

교육학회.

이현우,1986,현대 국어의 접속의 양상에 관한 연구,서울대 대학원

이희자,2004,“
주제부 전개로 본 텍스트 구성 연구”
,『텍스트언어학』24,한국텍스트

언어학회.

- 133 -
임경대,2002,설명적 텍스트의 기능 구조 분석 방법과 교육적 적용 연구,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임연제,1974,“
연구논문 작성요령”
,『교육연구』64,한국교육생산성연구소교육연구사.

임지룡,2002,“
글쓰기를 위한 문법교육 텍스트”
,『국어교육연구』34,국어교육학회.

장남숙,1995,“
구조 익히기를 통한 설명문 쓰기 지도 방안 연구”
,『어문학교육』26,

한국어문교육학회.

장신재,1999,“
학술 논문 작성법”
,『인문과학』7,홍익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장재성,2001,“
문장 구성의 틀과,단락의 이음새”
,『교육 한글』14.

장훈,1996,텍스트 이론을 통한 독해력 신장에 관한 연구,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

사학위논문.

전수정,2004,학문 목적 읽기 교육을 위한 한국어 학습자의 요구 분석 연구,연세대

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전영옥,1999,반복표현의 기능,상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정오,1991,지시어,접속어 지도에 관한 연구,전북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조영돈,20
02,논증적인 글의 텍스트 언어학적 분석,경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조윤금,1999,“
논술텍스트의 쟁점 부각 요소의 분석적 연구”
,『국어교육연구』31,국

어교육학회.

주옥파,2004,“
고급학습자를 위한 읽기 교육에 관한 연구-논설문 텍스트를 중심으로”
,

『한국어교육』15-1,국제한국어교육학회.

최용섭,19
83,“
논문작성법:
교재개발초고”
,『교육연구』1,조선대학교교육연구소.

최인철,유훈근,2001,“
논설 담화 구조 및 문체에 따라 분류된 TWE 모델 작문의 구

문 분석”
,Jour
naloft
he Appl
ied Li
ngui
sti
cs As
soc
iat
ion ofKor
ea.

Vol
.17,No.
1,성신여자대학교.

최종수,2002,“
문제 해결을 통한 주장하는 글 쓰기 지도 연구”
,『어문학교육』24,한

국어문교육학회.

황미향,1998,한국어 텍스트의 계층구조와 결속표지의 기능 연구,경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134 -
-----,199
9,“
한국어 텍스트의 구성소 분석”
,『텍스트언어학』6,한국텍스트언어학회회

Car
son.J ,1999,Readi
.G. ng and wr
iti
ng f
oracademi
cpur
pose.
,In M.Rai
il
y(Ed)
.

Sust
ainedc
ont
entr
eadi
ng i
nac
ade
mic
..

Cr
other
s,E.J
.,1972,Memor
y st
ruct
ure and t
he r
ecal
lofdi
scour
se,Language
compr
ehensi
on and t
he acqui
sit
ion of knowl
edge, Fr
eedl
e, R. O. &

Car
rol
l,J
.B.
,ed.
,Was
hingt
on:
Wins
ton.

Fr
ede
rikse , 1975, Repr
n, C. H. esent
ing l
ogi
cal and semant
ic st
ruct
ure of
knowl
edgeacqui
redf
rom di
scour
se,Cogni
ti
vePsyc
hol
ogy7,371-458.

Gr
aesse
r,A.C.
,Gol
ding,J ,1991,Nar
.M.& Long,D.L. rat
ive r
epr
esent
ati
on and
compr
ehensi
on,Handbook ofr
eadi
ng r
esear
ch v.
Ⅱ,Bar
r,R.
,Kami
l,M.

L.
,Mose
nthal
,P.B.& Pe
arson,P.D.e
d.,Longman.

I
n-r ,2002,A Soci
an Choi alAppr
oach t
o Resear
ch on Wr
itt
en Language,J
our
nal

oft
heAppl
iedLi
ngui
sti
csAs
soc
iai
onofKor
ea.Vol
.18,No2,De
cembe
r.

Le
ki,1991, Twent
y-f
ive year
s ofcont
rast
ive r
het
ori
c: t
ext anal
ysi
s & wr
iti
ng
pedagogi
es.
,TESOL Quar
ter
ly.25t
h

Mar
iko Oda․MakiMi
sono,2001,『테마별로 즉시 쓸 수 있는 영어논문 표현집』,

학일출판사

Me
yer
,B.J ,1975, The or
.F. gani
zat
ion ofpr
ose and i
ts ef
f
ect
s on memor
y,
Amst
erdam:
Hil
lsdal
e,New J
erse
y.

---------------,1985,Si
gnal
ing t
he st
ruct
ure oft
ext
,The t
echnol
ogy oft
ext

Ⅱ,J
onas
sen,D.H.ed.
,Educat
ionalTe
chnol
ogy Publ
icat
ions
.

Roanne G.Br
ic,2004,Connec
e ting Or
aland Wr
itt
en Language Thr
ough Appl
ied
Wr
iti
ng St
rat
gies.
,Int
ervent
ion i
n Sc
hool and Cl
ini
c, Vol
.40,
No.
1,

Se
ptembe
r2004

Weaver
, C. A. & Ki
ntsc , 1991, Expos
h, W. itor
y t
ext
, Handbook of r
eadi
ng
r
esear
chv.
Ⅱ,Bar
r,R.
,Kami
l,M.L.
,Mose
nthal
,P.B.& Pe
arson,P.D.

e
d.,Longman.

- 135 -
ABSTRACT

Anal
ysi
s ofMar
ker
sfr
om Academi
c Paper
s
-base
dont
hes
tudy ofKor
eanLi
ngui
sti
cs-

Par
k,J
i-Soon

Maj
ori
nKor
eanLanguageEduc
ati
on

asaFor
eignLanguage

TheGr
aduat
eSchoolofEduc
ati
on

Yonse
iUni
ver
sit
y

The
sisSupe
rvi
sor
:Aee
,Hee
-Ja

Thi
s s
tudy i
sto pr
ovi
de basi
c dat
a f
or r
eadi
ng and wr
iti
ng

e
duc
ati
on pr
ogr
ams ofKor
ean f
or acade
mic pur
pose
s by anal
ysi
ng

var
ious t
ext
s and t
hei
r st
ruct
uralel
eme
ntsf
rom act
ual ac
ade
mic

pape
rsf
rom t
he s
tudy of Kor
ean Language.I
n t
he s
tudy Two

st
ruc
tur
al e
leme
nts we
re r
evi
ewe
d and anal
yse
d ; Mar
ker of

t
ext
-st
ruct
ure t
hat was pr
evi
ous
ly i
ntr
oduc
ed i
n t
he e
xis
ting

l
it
erat
ure and spe
cif
ic Cont
entMar
ker
sthatwas ne
wly def
ine
din

t
his st
udy as one of t
he st
ruc
tur
ale
leme
ntst
ore
pre
sent t
ypi
cal

cont
ent
since
rtai
nte
xts.

- 136 -
I
n Chapt
er2,f
orsyst
emat
ic anal
ysi
s ofMar
keroft
ext
-st
ruc
tur
e

and Cont
ent Mar
ker
, exi
sti
ng t
heor
ies about t
he Make
r of

t
ext
-st
ruct
ure and i
ts cons
truc
tin acade
mic paper
s we
re br
ief
ly

i
ntr
oduce
d. I
n Chapt
er 3 Cont
ent Mar
ker
s of pape
rte
xts we
re

e
xtr
act
ed f
rom ge
ner
al cons
truct of academi
c pape
rs i
n t
he

humani
ti
esandt
hei
rtypi
calc
ont
ente
leme
nts.

I
n Chapt
er 4 act
ualt
ext
sfr
om ac
ade
mic pape
rs we
re anal
ysed

bas
ed on t
he Mar
keroft
ext
-st
ruct
ure and t
he s
yst
ems ofcont
ent

e
leme
ntsr
evi
ewe
din pr
evi
ousChapt
er2and3.Theanal
ysi
smai
nly

f
ocus
ed on t
he Cont
ent Mar
ker be
caus
e Cont
ent Mar
ker
s coul
d

i
ncl
ude mostoft
he Mar
ker oft
ext
-st
ruct
ure and al
so we
re mor
e

sui
tabl
eforananal
ysi
soft
ext
sfr
om ace
rtai
nge
nre
.

For t
he Mar
ker of t
ext
-st
ruc
tur
e,onl
y usage
s of t
he At
tri
but
e

Mar
kerwe
rebr
ief
ly anal
yzed.The Cont
entMar
ker
s we
re pr
ese
nted

wi
the
xampl
es pr
oduc
ed by c
ate
gor
ize
d expr
ess
ions f
rom t
he t
ext
s

bas
edont
hesyst
emt
hatwasdi
vide
dinChapt
er3.

I
n Chapt
er5,wi
ths
ummar
y oft
he whol
est
udy unt
ilChapt
er4,

l
imi
tat
ions and si
gni
fi
canceoft
hes
tudy and r
ese
arch subj
ect
s ne
ed

t
o be addr
esse
d f
or f
urt
her anal
yti
c s
tudy i
n t
he f
utur
e we
re

pr
ese
nte
d.

Keywor
ds: Te
xtAnal
ysi
s,Kor
ean Educ
ati
on f
orAc
ade
micPur
pos
es,Ac
ade
mic
Paper
s,Mar
ker
soft
ext
-st
ruc
tur
e,Cont
entMar
ker

- 137 -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