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117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

0 대한민국

이용자는 아래의 조건을 따르는 경우에 한하여 자유롭게

l 이 저작물을 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 및 방송할 수 있습니다.

다음과 같은 조건을 따라야 합니다:

저작자표시. 귀하는 원저작자를 표시하여야 합니다.

비영리. 귀하는 이 저작물을 영리 목적으로 이용할 수 없습니다.

변경금지. 귀하는 이 저작물을 개작, 변형 또는 가공할 수 없습니다.

l 귀하는, 이 저작물의 재이용이나 배포의 경우, 이 저작물에 적용된 이용허락조건


을 명확하게 나타내어야 합니다.
l 저작권자로부터 별도의 허가를 받으면 이러한 조건들은 적용되지 않습니다.

저작권법에 따른 이용자의 권리는 위의 내용에 의하여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이것은 이용허락규약(Legal Code)을 이해하기 쉽게 요약한 것입니다.

Disclaimer
[UCI]I804:11006-200000502275

석사학위논문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신체관련 연어


교육 방안 연구

지도교수 김중섭

경희대학교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ZHI LIUYUAN

2021년 8월
석사학위논문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신체관련 연어


교육 방안 연구

지도교수 김중섭

경희대학교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ZHI LIUYUAN

2021년 8월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신체관련 연어

교육 방안 연구

지도교수 김중섭

이 논문을 석사 학위논문으로 제출함

경희대학교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한국어학전공

ZHI LIUYUAN

2021년 8월
ZHI LIUYUAN의 문학 석사학위
논문을 인준함

주심교수 조 현 용 ◯

부심교수 이 정 희 ◯

부심교수 김 중 섭 ◯

경희대학교 대학원

2021년 8월
< 목 차 >

< 국문 초록>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Ⅴ

1. 서론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
1.1. 연구 목적 및 필요성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
1.2. 선행연구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
1.2.1. 한국어 교육을 위한 연어 선정 연구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
1.2.2. 한국어 연어 교육 방안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
1.2.3. 신체관련 연어 연구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
1.3. 연구 방법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7

2. 이론적 배경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9
2.1. 연어의 개념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9
2.2. 연어의 유형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0
2.3. 연어 교육에서 신체관련 연어의 중요성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3

3. 신체관련 연어 목록 추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6
3.1. 한국어 교재에 수록된 신체관련 연어 목록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7
3.1.1. 한국 국내 교재에 수록된 신체관련 연어 목록 ·
·
··
··
·
··
··
·
··
··
·
··
··
·
··
··
·
··
··
·
··
··
·
··
·18
3.1.1.1. 서울대학교「서울대한국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8
3.1.1.2. 연세대학교「연세한국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0
3.1.1.3. 경희대학교「경희한국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2
3.1.2. 중국 국내 교재에 수록된 신체관련 연어 목록 ·
·
··
··
·
··
··
·
··
··
·
··
··
·
··
··
·
··
··
·
··
··
·
··
·25
3.1.2.1.「대학한국어」《大學韓國語》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5
3.1.2.2.「한국어( 수정판)」《韓國語( 修正版)》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8
3.2. 선행연구에서 추출된 신체관련 연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0
3.2.1. 문금현(2002)에서 추출된 신체관련 연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0
3.2.2. 허영임(2010)에서 추출된 신체관련 연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1
3.3. 중국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신체관련 연어 목록 선정 ·
··
·
··
··
·
··
··
·
··
··
·
··
··
··
··
·
··32
3.4. 추출된 신체관련 연어 목록의 등급화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6
3.4.1. 난이도 분석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7

- i -
3.4.1.1. 연어 구성 요소의 난이도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7
3.4.1.2. 한⦁중 신체에 관한 연어 간 의미 대조 분석 ·
··
··
·
··
··
··
·
··
··
·
··
··
··
··
·
··
··
··
·
··
·38
3.4.2. 사용 빈도 분석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8
3.4.3. 신체관련 연어 등급화 결과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9
3.5. 신체관련 사용 현황 조사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3

4. 신체에 관한 연어를 중심으로 교육 방안 연구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5
4.1.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신체관련 연어 교육 방안 모형 설계 ·
··
·
··
··
·
··
··
·
··
··
·
··
··
·
··55
4.2.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신체관련 연어 등급별의 교육 방안 실제 ·
··
·
··
··
·
··
··
·
··
··59
4.2.1. PPP 모형을 활용한 초급 학습자를 위한 교육 방안 ·
··
·
··
··
··
·
··
··
·
··
··
·
··
··
·
··
··59
4.2.2. TTT 모형을 활용한 중⦁ 고급 학습자를 위한 교육 방안 ·
·
···
·
···
··
··
··
··
··
65
4.3. 신체관련 연어의 교수⦁학습 방안 검증 결과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70

5. 결론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72

< 참고문헌>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74

< 부록>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78

<ABSTRACT>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05

- ii -
<표 차 례>

< 표 1> 이희자(1994) 에 의한 연어 유형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1
< 표 2> 김진해(2000) 에 의한 연어 유형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2
< 표 3> 문금현(2002) 에 의한 연어 유형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2
< 표 4> 임근석(2006) 에 의한 연어 유형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3
< 표 5> 본고에서 분석한 교재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7
< 표 6>「서울대한국어」에서 수출된 신체관련 연어 ·
··
·
··
··
·
··
··
·
··
··
··
··
·
··
··
··
··
·
··
··
··
··
·
··
··
··
·18
< 표 7>「연세한국어」에서 수출된 신체관련 연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0
< 표 8>「경희한국어」에서 수출된 신체관련 연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2
< 표 9> 「대학한국어」《大學韓國語》에서 수출된 신체관련 연어 ·
·
··
··
·
··
··
·
··
··
·
··
··
·
··
··25
< 표 10>「한국어( 수정판)」《韓國語( 修正版) 》에서 수출된 신체관련 연어 ·
··
··28
< 표 11> 문금현(2002)에 의한 신체관련 연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0
< 표 12> 허영임(2010)에 의한 신체관련 연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1
< 표 13> 중국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신체 관련 연어 목록 ·
·
···
··
··
··
··
··
··
··
··
··
··
··
··
··
33
< 표 14> 1차적 신체관련 연어 등급화 기준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8
< 표 15> 2차적 신체관련 연어 등급화 예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7
< 표 16> 3차적 신체관련 연어 등급화 예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8
< 표 17> 초급 단계 신체관련 연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9
< 표 18> 중급 단계 신체관련 연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0
< 표 19> 고급 단계 신체관련 연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2
< 표 20> 신체관련 연어 사용 빈도 조사 결과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3
< 표 21> PPP 수업 모형의 절차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5
< 표 22> TTT 수업 모형의 절차 ( 이준호, 2010)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6
< 표 23> 초급 학습자를 위한 신체관련 연어 수업 모형 ·
··
·
··
··
·
··
··
·
··
··
··
·
··
··
·
··
··
·
··
··
·
··
··
·57
< 표 24> 중⦁ 고급 학습자를 위한 신체관련 연어 수업 모형 ·
·
···
·
···
·
···
·
···
·
···
·
···
·
···
·
···
·58
< 표 25> 신체와 관련된 어휘를 떠올리기 예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9
< 표 26> 연어의 의미 유추하는 예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2
< 표 27> 한국어 연어를 중국어로 번역하는 예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2
< 표 28> 중국어를 한국어 연어로 번역하는 예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3
< 표 29> 연어 활용을 통한 말하기 예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4
< 표 30> 게임을 통한 신체관련 연어를 활용하는 예시 ·
··
·
··
··
·
··
··
·
··
··
··
·
··
··
·
··
··
·
··
··
·
··
··
·64
< 표 31> 텍스트를 활용하여 연어 도입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5

- iii -
< 표 32> 과제1 단계 예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7
< 표 33> 교육 단계 예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7
< 표 34> 과제2 단계 예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8
< 표 35> 실험 교시 및 내용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70

<그 림 차 례>

< 그림 1> 그림을 활용해 연어의 의미를 설명하는 예시 ·


·
···
·
···
·
···
··
··
··
··
··
··
··
··
··
··
··
··
··
··
·61
< 그림 2> 사전 사후 실험 정답률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71

<부 록 차 례>

< 부록 1> 한국어 주술 관계 연어와 이에 대응하는 중국어 표현 ·


·
···
·
···
··
··
··
··
··
··
··
··
·78
< 부록 2> 한국어 목술 관계 연어와 이에 대응하는 중국어 표현 ·
··
·
··
··
·
··
··
·
··
··
·
··
··
·
··
··84
< 부록 3> 신체관련 연어 등급화 결과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89
< 부록 4> 신체관련 연어 사용 빈도 조사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99
< 부록 5> 효과적인 신체관련 연어 교육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설문조사 ·
··
··
··102

- iv -
<국문 초록>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신체관련 연어 교육 방안 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한국어학전공
ZHI LIUYUAN

본 연구에서는 한국과 중국의 대표적인 한국어 교재와『한국어 교육을 위한 한국


어 연어 사전』에 수록된 신체어휘 표제어를 바탕으로 ‘ 신체’관련 주술⦁ 목술 관계
연어를 추출하고 한국과 중국에서 대표적인 한국어 교재에 수록된 어휘의 경우 빈
도와 난이도를 고려하여 한국어 신체와 관련된 주술⦁목술 관계 연어 목록을 선정
하여 등급화를 실시한다. 한국어를 학습하고 있는 중국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적절
한 한국어 사용을 위한 교육 방안으로 한국어 연어 학습에 충분한 도움이 될 수 있
기를 바란다.
제1장에서는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을 제시하고 한국어 연어 목록 선정과 연어
교육 방안, 그리고 한국어 신체관련 연어와 관련된 선행 연구들을 살펴봄으로써 이
를 바탕으로 존재하는 문제점들을 찾아내 연어 교육의 대상과 더불어 해결 방법을
제시한다.
제2장에서는 한국어 연어의 개념, 유형과 같은 특징에 대한 선행 연구들을 정리
함으로써 연어에 대한 정의와 그 유형을 제시한다. 이와 더불어 연어 교육에서 신
체관련 연어의 중요성도 밝힌다.
제3장에서는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신체와 관련된 연어를 선정한다. 1차 연어 목
록은 먼저 다섯 종류의 한국어 교재를 대상으로 총 937개를 추출하였으며, 2차 목
록은 「한국어 연어 사전」에서 중복된 부분을 포함한 총 356개의 연어를 추출하
였다. 이는 한국어 연어 선정을 위한 필자의 편의를 최대한 넣지 않고 한국어 교육
에 중점을 두었음을 나타낸다. 3차 연어 선정은 선행 연구인 문금현(2002)과 허영
임(2010) 이 진행한 연구에 따라 추출된 연어 목록 중 신체 관련 연어 29개가 추
가되었고 최종 목록 385개가 선정되었다. 추출된 연어 목록은 연어 구성 요소, 한
국어와 중국어의 의미적 대응 양상, 그리고 「21세기 세종계획」에 나타난 사용 빈
도에 따라 이를 초・중・고급으로 등급화 시킨다. 마지막으로 설문조사를 거쳐 중국
인 학습자들의 신체관련 연어 사용 빈도 상황을 파악한다.
제4장에는 학습자의 등급에 따라 PPP 교수⦁학습 모형과 TTT 교수⦁학습 모형

- v -
을 활용해 초급 학습자 및 중・ 고급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신체관련 연어 교육이 어
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에 대한 여부와 더불어 현재 한국어 교실에서 연어를 활용
한 교육이 어떻게 실현되고 있는지에 대해서도 살펴봄으로써 이를 바탕으로 효율적
인 교육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제5장에서는 연구 내용을 요약하고 연구의 의미와 한계점에 대해 살펴본다.
본 연구는 한국어를 학습하고 있는 중국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적절한 한국어 사
용을 위한 교육 방안으로 한국어 연어 학습에 충분한 도움이 될 수 있기를 바란다.

키워드: 신체관련 연어, 연어 목록, 대응 양상, 교육 방안, 중국인 학습자.

- vi -
1. 서론

1.1. 연구 목적 및 필요성

한국과 중국이 1992년 수교를 맺은 이래 중국인들은 한국 문화뿐만 아니라 한국


어에도 많은 관심을 보이기 시작했다. 따라서 대학에 진학해 한국어학을 전공으로
서 삼는 학생들도 점차 증가하기 시작했으며 지금도 한국어학을 개설하고 있는 대
학들이 점점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며 한국문화 및 한국어 학습을 목적으로 한국으
로 유학 온 학생들도 증가하고 있다.
어휘는 언어의 말하기, 듣기, 읽기, 쓰기의 언어 기능을 습득하기 위한 기반이라
할 수 있으며 한국어능력시험의 표현 영역에서도 어휘 평가는 매우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특히 중국인 학습자들에게 어휘 교육을 진행할 경우 전반적인 한국
어 능력 향상에 도움을 가져다 줄 수 있기 때문에 현재 한국어 교육 현장에서 중국
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어휘 교육의 중요성이 매우 강조되고 있다. 그러나 실제
한국어 교육 현장에서 진행되고 있는 어휘 교육은 다른 교육 영역에 비해 비중 있
게 다루어지지 않고 있다. 즉 어휘 교육이 단순히 개별적인 단어가 지닌 의미상에
있어서의 교육만이 아닌 다른 단어들과의 연관관계에 대한 부분까지도 포함되어야
하기 때문에 어휘 교육에 있어서 연어에 대한 교육은 필수라 할 수 있다. 또한 수
많은 학자들도 마찬가지로 연어 교육이 학습자들의 전반적인 언어 능력 향상에 큰
도움이 된다고 여기고 있다. ( 브라운(Brown), 1974; 반스와 엘더(Bahns &
Eldaw), 1993; 네셀하우프(Nesselhauf), 2003). 이렇듯 연어 교육의 중요성 및
필요성에 대해 분명하게 인식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실제 한국어 교육 현장에서는
단순 암기와 반복 학습 수준의 활동을 통한 연어 교수 및 학습이 진행되고 있는 실
정이다. 이러한 교육 방식으로 연어를 습득한 학습자들은 실제 대화 상황에서 자신
이 의도한 내용과 일치하는 개별적인 단어를 사용함에도 불구하고 자연스러운 단어
를 선택해 사용할 수 없어 원활한 의사소통을 이끌어 가는데 어려움을 겪게 될 수
밖에 없다.
한송화⦁강현화(2004)에 따라 ‘ 나다, 치다, 지다, 내다’ 와 같은 동사는 결합되는
명사구가 없으면 그 단어의 의미를 정확하게 파악하기 어렵다는 것을 예측할 수 있
다. 따라서 구체적 의미가 있더라도 연어를 무시해서는 안 된다. 특히 동사의 사전
적 정의에는 반드시 ‘ 무엇 무엇 등을’이 나오는데 이는 동사의 앞에 결합되는 목적
어가 없이는 동사의 의미 정의를 제대로 이해하기가 어렵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
다. 뿐만 아니라 동사나 형용사의 대립·반의 관계는 연어 정보가 없으면 단순하게

- 1 -
적용되지는 않는다. 예컨대, ‘모욕을 주다’ 의 반대말은 ‘모욕을 받다’ 가 아닌  ‘모욕
을 당하다’ 이고, ‘가벼운 부상’의 반대말은 ‘ 무거운 부상’ 이 아닌 ‘심한 부상’ 이다.
즉 ‘받다/ 주다’ 및 ‘무겁다/ 가볍다’와 같은 단순한 대조⦁대립 관계가 모든 문맥에
적용되지는 않는다.
지금까지 중국인 학습자를 위해 이루어지고 있는 연어 교육은 주로 등급화나 주
제별 목록 선정에 관한 연구가 대부분이며 교육 방안에 대한 부분은 세부적이지 않
고 제한적인 측면이 드러난다. 또한 신체와 관련된 연구는 주로 대응 양상 대비에
대한 측면 위주로 김하수 등(2007) 의『한국어 교육을 위한 한국어 연어 사전』을
기초 자료로 삼아 빈도와 난이도를 고려하지 않음에 따라 학습자의 실제 사용 환경
에 적용하기 어렵다는 점을 쉽게 예측이 가능하며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신체에 관
련 교육 방안을 제시하지 못한다는 점이 아쉬운 부분이다.
그 중 한국어 교육에 있어서 어휘 교육은 매우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나 다양
한 시각에서 이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으며 또한 실제 교육 현장에서
사용할 수 있는 단계적인 연어 목록의 선정과 다양한 교육 방안이 제시되고는 있으
나 대부분의 연어 교육에 대해 진행된 연구는 그 범위가 광범위하고 세부적이지 않
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게다가 연어에서 신체와 관련된 표현은 그 사회를 살아가
는 사람들의 사고방식을 반영할 수 있어 어휘 중에서도 매우 중요하지만 현재 이루
어지고 있는 연구는 주로 한국어와 중국어 대응 양상에 대한 연구가 대부분이며 특
히 ‘ 신체’와 관련된 주술⦁ 목술 관계 연어를 대상으로 한 교육 방안은 마련되어 있
지 않다는 사실을 발견할 수 있다. 교육 방안적인 측면에서 고려해 볼 때, 신체와
관련된 연어를 위한 교수 방안 개발을 통해 특정 학습자의 높은 호기심, 적극적인
학습 참여, 우수한 학습 효과 등을 기대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과 중국의 대표적인 한국어 교재와 『한국어 교육을 위한 한
국어 연어 사전』에 수록된 신체관련 연어, 그리고 선행연구에 등장하는 연어 목록
등을 바탕으로 ‘신체’ 관련 주술⦁목술 관계에 따른 연어를 추출한다. 다음으로는 빈
도와 난이도를 고려해 세 차례에 걸쳐 등급화를 실시한다. 한국어와 중국어의 의미
적 대응 양상에 대한 분석을 통해 중국인 학습자에게 비교적 습득하기 어려운 편이
다. 예를 들면 ‘마음을 비우다’ 의 경우 중국어로 번역하면 ‘ 抛除杂念’이며, 여기에서
‘ 비우다’는 ‘ 抛除’에 대응하지만 ‘ 杂念’은 ‘이기적인 생각’ 에 대응함에 따라 ‘ 마음’과
는 충분히 대응하지 못한다. 따라서 이러한 사례를 통해 모국어의 영향으로 인해
중국인 학습자는 수많은 오류를 범할 수 있음을 쉽게 예측할 수 있다. 본 연구는
한국어를 학습하고 있는 중국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적절한 한국어 사용을 위한 교
육 방안으로 한국어 연어 학습에 충분한 도움이 될 수 있기를 바란다.

- 2 -
1.2. 선행연구

한국에서 진행된 연어 연구는 1990년대를 시작으로 주로 국어 연어 연구로 시작


되었으며 이후 한국어 교육 분야에서 연어 학습의 필요성과 실용성을 고려하여 연
구가 점점 활발하게 이루어져 왔다. 본 논문은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신체관련 연
어 교육 방안에 중점을 두기 위해 선행연구 분석을 진행하였으며 한국어 교육을 위
한 연어 선정 연구, 한국어 연어 교육 방안, 신체관련 연어 연구 등 크게 셋 가지로
구분하여 논의해 보고자 한다. 선행연구를 중심으로 한국어 연어 연구가 지금까지
어떻게 이루어져 왔는지를 살펴보고 부족한 점을 보완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인 교육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1.2.1. 한국어 교육을 위한 연어 선정 연구

한국어 교육을 위한 연어 선정에 있어 대표적으로 문금현(2002), 허영임(2010),


류정민(2012), 이숙진(2017) 등의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문금현(2002) 은 외국인을 대상으로 한 한국어 어휘 교육에서 큰 비중을 두는 연
어 표현 교육을 위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서울대, 선문대, 연세대 등에서 출판되고
있는 한국어 교재, 그리고 문어체 텍스트와 구어체 텍스트에서 사용 빈도가 높은
연어 목록을 중심으로 한국어에서 사용되고 있는 대표적인 연어목록을 선정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학습자를 초급, 중급, 고급 단계로 구분하여 각 단계에 적합한 학습
목표와 연어 학습 목록을 제시하고 학습 방법을 모색하였다.
허영임(2010) 은 한국어 교육에서 일반적인 목적으로 한국어를 학습하는 학습자
를 위해 우선『한국어 학습용 어휘』를 통해 A등급 494개, B등급 451개, C등급
263개로 분류하였으며 <21세기 세종계획> 을 바탕으로 추출된 목록을 개별 어휘
등급 연어의 출현 빈도에 따른 기준에 맞춰 최종적으로 A등급 337개, B등급 244
개, C등급 218개로 분류하였다. 또한 한국어 교육용 연어가 지니고 있는 특정 등을
살펴보고 그에 적합한 기준에 따라 연어를 선정하는 등 등급화 방안을 모색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류정민(2012) 은 기존 대학기관에서 사용되고 있는 한국어 초급 교재 10권을 통
해 교재 내 연어를 분석하였다. 김중섭(2009)에서 제시한 ‘초급 표준 어휘 목록’에
수록된 명사를 통해 한국어 연어사전(2007)의 표제어를 기준으로 연어핵을 선정하
였다. 또한 김중섭(2009) 에서 제시한 초급용 용언을 고려해 연어변을 더하고 한국
어 연어사전에 제시된 연어를 통해 연어 목록을 추출하였으며. 빈도수는 적으나 연
어 교육에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연어와 교육용으로 적합하지 않는 연어를 다시 한

- 3 -
번 정리하여 최종 ‘체언+ 용언’형 연어 총 174를 선정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하지만 이 연구는 최종적으로 선정된 연어를 활용한 구체적인 교수⦁학습 모형과
학습 방안을 제시하지 못한 한계를 지니고 있다.
이숙진(2017) 은 <21세기 세종 전자 연어 사전> 과 『한국어교육을 위한 한국어
연어 사전』, < 표준국어대사전>을 통한 연어 총 목록을 선정하고 이를 바탕으로
『한국어 교육 어휘 내용 개발(4단계)』 보고서와의 비교를 통해 타당성을 검토하
였으며 『현대 국어 사용 빈도 조사』 보고서의 어휘 빈도 확인을 통해 실재성을
검토하는 등 최종적으로 한국어 교육용 ‘체언+용언’ 형 연어 22,607개를 구축하였
다. 한국어 교육 현장에서 적용상의 용이성을 고려해 의미 항목을 설정하고 각각의
의미 항목에 해당하는 연어를 객관적인 기준을 통해 초・중・ 고급으로 나누어 효과적
인 연어 학습에 도움을 가져다 줄 수 있다는 점에 큰 의미를 지니고 있다.

1.2.2. 한국어 연어 교육 방안

한국어 교육을 위한 연어 교육 방안에 있어 대표적인 한송화⦁강현화(2004), 박


숙영(2005), 박현정(2007), 김원경(2010), 정인경(2012), 진정정(2016) 등의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한송화⦁강현화(2004)는 연어를 교실 활동과 연계시킬 수 있는 교육 방안을 모
색하였다. 한국어 교사가 이용할 수 있는 표준 말뭉치를 구축하고 특히 외국어로서
의 한국어 교육에서 주목해야 할 연어 관계를 밝히는 등 학습자 말뭉치를 통한 어
휘의 오류 정리가 선행되어야 한다고 여겼다. 이 연구는 연어 교육을 위한 다양한
교수⦁학습 방안 개발하는데 그 의미가 있다.
박숙영(2005) 은 경희대학교, 고려대학교, 서울대학교, 연세대학교, 이화여자대학
교 등 한국어 교육기관에서 사용 중인 교재 가운데 나타나는 연어 목록을 제시하였
다. 또한 한국어 어휘교육에 있어 연어를 효과적으로 교육하기 위해서는 일상생활
에서 기본적으로 사용되는 의사소통 등에 대한 교수⦁학습이 필수적이며 학습자의
학습 단계 및 한국 문화 이해도 등과 같은 요인을 고려해 초급, 중급, 고급 단계 한
국어 교육 현장에서 사용 가능한 학습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고 여겼다.
박현정(2007) 은 다섯 종류의 한국어 교재를 대상으로 연어 목록을 정리하였다.
130명 중국인 중급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설문 조사를 통해 연어에 대한 인식이
부족한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자주 범하게 되는 오류의 원인도 분석할 수 있었다.
다음에 효과적인 한국어 연어 학습 활동을 제시하고 듣기⦁ 말하기와 읽기⦁쓰기 수
업 모형을 따로 구성하였다. 이 연구는 특정 언어권, 즉 중국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연어 목록 선정과 이와 관련된 교육 방안을 제시 부분에서도 큰 의미를 지닌다.

- 4 -
김원경(2010) 은 동사 ‘나다’ 중심의 연어를 선정하여 교사는 학습자가 만든 오류
문장을 수정하고 학습자는 이 과정을 통해 연어에 대한 인식을 강화시킨다. 명사인
‘ 광고’ 중심의 연어 교육 방안은 3급 이상 학습자를 위해 구체적인 맥락을 통해 이
에 부합하는 실제 광고를 제시함으로써 연어를 자연스럽게 습득할 수 있도록 유도
한다. 이러한 명시적인 연어 교육이 실시된다면 효과적인 어휘 교육의 일환으로 한
국어 학습자의 한국어 능력 향상에 도움이 될 것이다.
정인경(2012) 은 앞서 진행된 선행연구를 통해 제시한 연어 목록을 분석하고 ‘최
종 연어 목록 175개 초급 연어 목록’ 을 선정함으로써 일상생활, 여가생활, 건강, 생
각과 감정, 수( 數), 경제활동, 휴일, 자연현상 등과 같은 분야별로 구분해 초급 학습
자를 위한 ‘체언+ 용언’형 연어를 제안하였다. 또한 초급 학습자를 위한 실제 연어
교육 모형을 제시하고 이에 맞춘 수업 설계를 구성하였다. 이 연구는 선정된 초급
연어 목록의 주제에 따라 연어 교육 방안을 제시하는데 그 의미가 있다.
진정정(2016) 은『한국어 학습용 어휘 선정 결과 보고서』와『한국어교육을 위한
한국어 연어 사전』, 한국어 교육기관에서 사용하는 한국어 교재를 중요 자료로 삼
았다. 여러 학자들은 정리한 연어 목록을 참고하여 최종 교육용 어휘 연어 목록을
선정하였다. ‘한국인의 사회’, ‘ 한국 가치관’, ‘ 한국 생활’, ‘ 한국의 역사’ 등 총 4개
의 대주제로 분류하고 세부적인 중주제와 소주제로 나누어 초급, 중급, 고급으로 등
급을 고려한 목록을 작성하였다. 또한 교육 원리를 검토하고 이에 따른 중국인 학
습자를 위한 교육 방안을 모색하는 등 수업의 모형을 제시하였다. 중국 현지의 한
국어 교육자에게는 효과적인 연어 교육 지침서가 될 수 있으며 문화 내용과 연계하
는 주제별 연어 교육이라는 관점에서 교육적 가치가 크다는 것을 알 수 있다.

1.2.3. 신체관련 연어 연구

한국어와 중국어 연어 대응 양상에 있어 대표적으로 왕춘예(2011), HU


MENG(2012), 란첨(2013), 박혜인(2016), 왕시엔(2019) 등의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왕춘예(2011) 는 한국어를 학습하는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연어에 따른
중국어 대응 표현의 구성과 더불어 의미상의 대응 양상을 분석함으로써 신체와 관
련된 한국어 연어의 이해력 향상에 도움을 가져다 줄 수 있다. 한국어 연어에 대한
중국어 대응 양식은 연어, 자유결합, 어휘요소, 관용어 등 설명하였으며 또한 한국
어의 신체어와 관련된 연어를 ‘기본의미+기본의미' 연어, ‘기본의미+파생의미' 연
어, ‘ 파생의미+기본의미' 연어, ‘파생의미+파생의미' 연어로 구분하였다. 하지만 연
구 대상 선정에 있어 신체어 및 일부 자료에만 한정되어 있다는 점과 더불어 아쉽

- 5 -
게도 분석 결과에 한계점이 드러난다.
HUMENG(2012) 는 「한국어 연어사전」 및 부록인 「한국어 연어목록」에서
추출한 총 1,303개의 연어 표현을 대조 언어학 관점에서 살펴본 한국어 신체어 연
어의 통사적 대조를 통해 형태 및 의미적인 측면에서 이를 분석하였다. 그 중 중국
어에서 대응어가 있는 한국어 연어의 경우 동형동의형, 동형이의형, 부분이형동의
형, 완전이형동의형, 대응의 부재 등 모두 다섯 가지 유형으로 분류하였으며 각각의
대표적인 사례들과 함께 구체적 설명을 통해 이를 기술하였다. 해당 논문은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연어 교수 및 학습 시 오류를 사전에 미리 예방하고 적절하면서도
긍정적인 학습 효과를 가져 올 수 있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으나 연어 교수⦁ 학
습 방안에 대한 연구가 충분히 이루어지지 못한 점이 다소 아쉽다.
란첨(2013) 은「한국어 연어 사전」에서 추출한 ‘ 체언+용언’형 ‘마음’ 과 관련된
‘ 체언+용언’형 연어 103개에 대한 중국어 대응 양상을 완전일치, 부분일치, 불일
치, 중국어 표현의 부재 등 모두 4 가지로 분류하였다. 이렇듯 한국어의 ‘ 마음’과
관련된 연어의 중국어 대응 양상 분석을 통해 한국어와 중국어 연어의 차이점과 공
통점을 밝힘으로써 중국인 학습자의 연어 학습에 큰 도움을 가져다주고 있으나 연
구 중 한국어 ‘ 마음’관련된 연어의 중국어 대응 표현을 선정하는 데 주관성의 개입
이 불가피하고 교육 방안을 제시하지 못한다는 점에서 아쉬운 점이 드러난다.
박혜인(2016) 은 진행한 신체관련 연어 목록 선정을 통해 교육자와 학습자가 이
를 어떻게 활용하는 지에 대해 참고할 만한 자료가 될 것으로 여긴다. 외국인 학습
자를 위한 ‘신체명사+용언’ 형 연어 목록을 설정하기 위한 대상인 < 세종코퍼스>의
“신체명사+용언” 형 연어 1,703개 중 가장 높은 빈도로 사용되는 연어 102개를 선
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신체명사 중 고유어만을 선정하였으나 합성어와 관형사형
연어에 대한 연구는 한국어 교육 분야에서는 거의 찾아볼 수 없어 다루지 못했다.
왕시엔(2019) 은「한국어 연어사전」에 수록된 '눈[ 眼]'과 관련된 연어 표현을 선
정하여 한국어와 중국어의 대조 양사에서 완전일치, 부분일치, 불일치, 문법 형태소
의 부재 혹은 어휘 부재 요소 등으로 구분하여 그 차이점과 공통점에 대해 살펴보
았다. 또한 이를 바탕으로 효과적인 다의어의 교수 방안을 제시하고 수업 결과를
분석하였다. 중국인 학습자가 연어의 활용을 통해 언어 학습을 진행하는 것은 효과
적인 다의어 교육 방안을 모색하는 데 도움이 되지만 다의어인 '눈'과 관련된 연어
전체를 대상으로 목록을 선정하지 못한 한계점을 지니고 있으며 연어의 교수⦁ 학습
방안에 있어서도 대상자가 적어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지 못한 점이 보인다.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를 통해 밝혀진 연어의 개념, 유형을 밝히고 광범하게 한
국과 중국에서 사용되고 있는 교재에 수록된 신체와 관련된 연어를 「한국어 교육
을 위한 연어 사전」의 내용을 바탕으로 그 목록을 선정한다. 한국어 학습에 있어

- 6 -
주의해야 할 점은 모국어의 영향이 매우 크기 때문에 언어에 따른 교수⦁학습 방법
역시 달라져야 함은 물론이다. 따라서 언어관을 고려해 중국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선정할 필요가 충분하다. 지금까지 신체와 관련 된 연어 선정 목록은 주로「연어
사전」에 수록되어 실제 사용되고 있는 교재 상황을 고려하지 못하고 특별한 대상
에 따른 교수⦁학습 방안에 관한 연구가 잘 이루어지지 못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각 연어의 등급별 난이도를 고려할 때, 한국어와 학습자의 해당 모국어 간 의미적
차이가 미치는 영향을 고려한 연구가 많지 않다는 사실을 발견할 수 있다. 또한 학
습자의 등급을 고려하여 주로 PPP 모형을 통한 교수⦁학습 방안을 설정한 연구는
많은 편이나 TTT 모형을 활용한 연어 교육 방안은 찾아보기가 힘든 실정이다. 따
라서 이와 같은 부족한 점을 고려하여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구체적이고 보다 효과
적인 한국어 연어 교육 방안이 마련될 필요성이 충분하다.

1.3. 연구 방법

본 논문은 중국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신체 관련 연어 교육 방안을 모색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우선 김하수 외(2007)의 「한국어교육을 위한 한국어 연어
사전」과 부록「한국어 연어 목록」을 기반으로 한국어 신체관련 연어를 제시하고
한국의 대표적인 교재와 더불어 중국 국내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는 교재를
참고 자료로 삼아 신체관련 연어 목록을 추출하고 초・중・ 고급으로 나누어 등급화를
시킨 후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효과적인 교육 방안을 모색한다.
제1장에서는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을 제시하고 관련된 선행 연구들을 살펴봄으
로써 이를 바탕으로 존재하는 문제점들을 찾아내 연어 교육의 대상과 더불어 해결
방법을 제시한다.
제2장에서는 한국어 연어의 개념, 유형과 같은 특징에 대한 선행 연구들을 정리
함으로써 연어에 대한 정의와 그 유형을 제시한다. 이와 더불어 연어 교육에서 신
체관련 연어의 중요성도 밝힌다.
제3장에서는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신체와 관련된 연어를 선정한다. 1차 연어 목
록은 먼저 다섯 종류의 한국어 교재를 대상으로 총 937개를 추출하였으며, 2차 목
록은 「한국어 연어 사전」에서 중복된 부분을 포함한 총 356개의 연어를 추출하
였다. 이는 한국어 연어 선정을 위한 필자의 편의를 최대한 넣지 않고 한국어 교육
에 중점을 두었음을 나타낸다. 3차 연어 선정은 선행 연구인 문금현(2002)과 허영
임(2010) 이 진행한 연구에 따라 추출된 연어 목록 중 신체 관련 연어가 추가되고
최종 목록 총 385개가 선정된다. 다음으로 난이도와 빈도를 고려한 선정된 연어 목
록의 등급화는 3차로 진행하였다. 1차 등급화는「국제 통용 한국어 표준교육 과정

- 7 -
적용 연구」에 따라 연어를 이루는 연어핵과 연어변으로 등급화를 진행했으며, 2차
등급화는 왕춘예(2011)가 연구한 한국어와 중국어의 의미 대응 양상은 완전일치,
부분일치, 불일치 등과 같은 유형으로 연어를 구분하고 예시를 통해 살펴보았다. 3
차 빈도수를 고려하여「21세기 세종계획」에 등장하는 말뭉치를 통해 연어의 사용
빈도를 파악하고 초・중・ 고급으로 등급화를 시켰다. 마지막으로 설문조사를 거쳐 중
국인 학습자들의 신체관련 연어 사용 빈도 상황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제4장에는 신체와 관련된 연어 교육이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 여부와 더불어
현재 한국어 교실에서 연어를 활용한 교육이 어떻게 실현되고 있는지에 대해 살펴
보고 이를 바탕으로 효율적인 교육 방안을 제시할 것이다. 초급 단계에서는 PPP
모형을 보완함으로써 현재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는 수업 모형인 ‘ 도입-제시-연
습-활용-마무리’ 의 모형으로 교육 방안을 구성하고 중⦁고급 단계에서는 TTT 모
형을 활용하여 ‘도입- 과제1-교육-과제2-마무리’ 단계를 거쳐 교육 방안을 제시
한다. 이 교육 방안의 경우 효과 및 바탕성 등에 대한 검증이 요구되기 때문에 사
전 조사와 사후 조사 결과를 분석할 필요가 있다.
제5장에서는 연구 내용을 요약하고 연구의 의미와 한계점에 대해 살펴본다.

- 8 -
2. 이론적 배경

2.1. 연어의 개념

이번 장에서는 주로 연구자에 따라 각기 다르게 정의된 연어의 개념을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Firth(1957) 는 연어라는 개념에 처음 도입되었다. 그는 연어는
‘ 단어의 습관적이거나 관습적인 사용 위치에 대한 설명’ 을 말한다.
한국 90년대 이후 연어에 대한 연구가 많이 이루어지지고 다음에 연어의 개념은
연구자에 따라 살펴보고자 한다.
최배현(1928) 은 연어가 ‘ 이은말’로 불렀다. 익은말이란 여러 낱말이 묶게 되어서
하나의 복잡한 의미를 구성하되, 아직 온전한 생각을 나타내지 못한 것을 말한다.
이희자(1994) 는 관용구를 구 내적구조의 특성, 구성 요소들 사이의 의미상의 관
련성의 긴밀도, 어휘와의 정도에 따라 숙어와 연어로 나눴다. ‘ 숙어’ 또는 ‘ 익은말’
은 ‘둘 이상의 어절이 습관적으로 합하여 사용되면서 이들 어절의 의미의 합으로는
나타나지 않는 제삼의 의미를 가지는 구절들’ 이라고 정의하고 그 외에 연어라고 정
의하였다.
강현화(1997) 는 연어라고 하는 것은 ‘ 말뭉치에서 한 어휘적 요소가 다른 몇 가
지의 어휘적 요소와 같이 쓰이는 경우가 많으며 이런 어휘 요소 사이의 밀접하고
고정된 공기 관계’ 라고 할 수 있다. 즉 연어는 일반적으로 통사적 구성으로 이루어
지며 다만 두 구성 요소가 긴밀한 공기 관계를 나타내는 것에 불과한 것이다. 숙어
를 따로 구분하지 않고 연어를 상위 개념으로 보았다.
김진해(2000) 는 연어란 ‘ 특정 단어가 다른 몇 개의 특정한 단어들을 요구함으로
생겨나는 어휘소들 간의 제한적인 공기 관계’라고 정의하였다. 연어를 구성하는 요
소 사이에 선택과 피선택의 단일 방향성이 성립하며 이는 구성 요소가 상호 선택적
인 관용어와 본질적으로 구별되는 특성이라고 할 수 있다.
문금현(2002) 에 의하면 연어는 두 개 이상의 단어가 축적된 의미를 가지면서 긴
밀한 결합 관계를 소유하는 어군으로 일상생활에서 등장하는 빈도가 높고 심리적인
현저성이 높다고 밝혔다. 연어는 협의적으로 정의하자면 한 문장 안에서 어휘소와
어휘소 사이, 또는 어휘소와 문법소 사이에 전형적인 공기 관계를 나타낼 경우이다.
임홍빈(2002) 은 연어란 연어 관계를 유지하는 어휘소가 문법적인 관계를 가장
기본적으로 나타내는 것을 말한다. 연어는 자유표현과 관용표현의 중간에 위치한다
고 할 수 있다. 연어 구성에서 선택의 중심이 되는 것을 연어핵이라 불렀고 그에
의하여 선택되는 것을 연어변이라 불렀다.

- 9 -
한송화⦁강현화(2004)는 한국어 교육에 적용시킬지에 관해서 중점적으로 논의하
며 연어는 함께 등장하는 어휘들의 공기, 또는 통계상 일정한 수준 이상으로 같이
당장할 가능성이 더욱 큰 어휘들의 결합이라고 할 수 있다.
임근석⦁임홍빈(2005)은 연어란 둘 또는 구 이상의 어휘소들 간에 전형적인 결
합으로 이루어지는 공기 관계가 성립될 때 이들 어휘소의 연쇄를 뜻하는 것으로 정
의하였다. 중심적인 역할을 하는 어휘소를 연어핵이라 하고 부수적인 역할을 하는
어휘소를 연어변이라 할 때 연어핵과 연어변은 하나의 단위처럼 행동하는 단위적인
특성을 가진다.
임근석(2006) 은 연어란 어휘요소와 어휘요소, 또는 어휘요소와 문법요소 간의
밀접한 동사적 공기 구성으로, 선택의 주체( 연어핵)인 어휘요소가 선택의 대상인
어휘요소 혹은 문법요소(연어변인) 를 제약적으로 요구하는 구성이다.
이승연⦁최은지(2007)는 한국어 교육적 측면에서 연어란 어느 특정한 맥락에서
하나의 어휘적 요소가 다른 선행이나 후행이 되는 어휘를 요구하는 관계이며, 두
어휘가 의미적⦁ 통사적 결합 관계를 이루면서 어휘적으로 선택한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고 정의하였다. 연어 관계란 문법적 관계를 이루는 두 언어 요소 사이의 선택
관계라고 정리하였다. 이때 선택이란 일차적으로는 의미적 선택을 전제로 하며, 2
차적으로는 어휘적 선택을 전제한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에서 여러 연구자들의 논의를 살펴본 결과 연어의 개념이 다양하게 제시
되어 있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한국어 교육에 있어 중국인 학습자
를 위한 연어의 범주를 설정할 필요가 있다고 보았다. 그 가운데 비록 차이점이 존
재하나 공통적으로 제시된 내용은 제한적 결합, 공기 관계와 결합하는 어휘가 지닌
의미의 투명성 등을 볼 수 있다. 따라서 연어는 ‘두 개의 어휘소가 필요에 의해 선
택된 관계이자 높은 의미의 결합이란 투명성을 지니고 하나의 의미 단위로 구성된
관계’ 라고 볼 수 있다.

2.2. 연어의 유형

연구를 살펴보면 앞서 여러 연구자들에 의해 연어의 정의가 상이하다는 점을 발


견할 수 있었다. 즉 연어의 개념을 어떻게 정의하고 또한 어떠한 목적과 관점에서
연어에 접근하느냐에 따라 연어의 범위와 유형이 달라질 수 있는 것이다.
한국어 연어의 유형에 관한 연구는 이희자(1994), 김진해(2000), 문금현
(2002), 임근석(2003)등의 연구를 통해 살펴 볼 수 있다. 다음은 각 학자들이 진
행한 연구 내용을 살펴보고 이에 따른 연어의 유형을 검토해 보고자 한다.

- 10 -
이희자(1994) 에 따르면 연어가 생겨난 원인에 따라 ‘의미적 연어’, ‘ 형태적 연
어’, ‘ 통사적 연어’ 세 가지로 나누어질 수 있다. 이러한 분류는 한국어 관용구의 특
성을 밝혀낼 수 있을 뿐더러 더욱 나아가 각 관용구의 특성에 대한 올바른 기술을
통하여 한국어의 특수한 어휘 결합에 대한 보다 더욱 깊은 이해를 할 수 있다고 본
다. 그 내용은 다음 < 표 1> 과 같이 정리하였다.

< 표 1> 이희자(1994) 에 의한 연어 유형


연어 유형 예시
앞의 단어가 뜻이 바뀌어 이루게 되다. 뒤가 끌리다
의미적 연어 뒤의 단어가 전의되어 쓰이다. 애가 서다
앞⦁뒤 단어 모두가 전의되어 쓰이다. 입이 무겁다
침을 뱉다, 코를 풀다, 소
용언으로 인한 선택 제약
변을 보다, 반지를 끼다,
가위(에) 눌리다, 나밭
체언으로 인한 선택 제약
(을) 붙다,
통사적 연어
불티 나게 팔리다, 입에
부사어로 인한 선택 제약
침이 마르도록 칭찬하다
결코 ~ -ᄅ 수 없다, 단
통사적 공기 관계에 있는 말들
지 ~ -ᄅ뿐이다.
특정 명사와 조사가 늘 붙어서
~ 김에, ~ 등쌀에.
사용되는 어절의 쓰임
활용꼴이 매우 제한적인 일련의 용언 ~에 따라(서)/따르기/ 따
들이 조사 [ 에]나 [로] 등으로 표현되 르면( 따른다면)/따르지/따
는 부사어와 늘 붙어서만 쓰이는데 이 른(따르는), ~에 관한/관
형태적 연어
때 이들의 관계를 일컽는다 하여.
-ᄅ 것 같다. -ᄂ 것이
관형어미 수반 관용구 용언
다, -ᄅ 수 없다.
-나 보다, -ᄂ/는가 보
관형어미 수반 관용구 용언
다. -ᄅ까 보다.

김진해(2000) 는 연어를 형태⦁통사적 연어와 어휘적 연어로 나누어 분류하였다.


‘어휘적 연어’ 라고 하는 것은 연어의  구성 요소에서 한 어휘의 어휘 개념 구조에
공기할 수 있는 어휘가 내재적으로 명세되는지 여부에 따라 대체적으로 전제적 연
어와 관습적 연어로 분류하였다. ‘형태⦁ 통사적’ 연어란 형태적으로 제한되어 있는
형태가 통사적인 구나 절 범주를 이끌어가는 문법 표지와 결합하는 구성이라고 정
의하였다. 형태⦁ 통사적 연어는 크게 부사에 의한 의존 명사에 따른 형태⦁ 통사적

- 11 -
연어, 형태⦁ 통사적 연어, 보문 동사에 따른 형태⦁ 통사적 연어 3가지로 나눠서 분
류하였으며 그 내용은 다음 < 표 2>와 같다.

< 표 2> 김진해(2000) 에 의한 연어 유형


용언에 따라 전제적 연어
부사에 따라 전제적 연어
전제적 연어
단위명사에 따라 연어
어휘적 연어 체언에 따라 제약적 연어
관습적 연어 준-제약적 연어
관습적 연어 ‘ 수식어+피수식어’형 관습적 연어
‘ 체언-( 의) 체언’ 형 관습적 연어
부정 극어에 따라 연어
부사에 따라 형태⦁통사적 연어
양태 부사에 따라 연어
형태⦁통사적 연어
의존 명사에 따라 형태 통사적 연어
보문 동사에 따라 형태⦁통사적 연어

문금현(2002)에서는 연어는 의미적인 결합에 의하여 어휘적 연어와 문법적 연어


로 나누어 분류하였다. 어휘적 연어란 부사, 형용사, 명사, 동사 등 내용어들끼리 긴
밀한 공기 관계를 형성하는 구조를 가리킨다. 문법적 연어란 구성의 중심 단위가
어휘소뿐만 아니라 문법소도 포괄되며 어휘소가 반드시 2개일 필요는 없다는 것을
정의하였으며 그 내용은 다음 < 표 3>과 같이 정리하였다.

< 표 3> 문금현(2002) 에 의한 연어 유형


주술관계 연어 눈이 부시다
목술관계 연어 멱을 감다
[체언+ 관형격조사+체언]형 우연의 일치
어휘적 연어
[ 부사+용언]형 누누이 강조하다
수식관계
[ 부사어+용언] 형 타성에 젖다
[용언+ 관형형어미+체언]형 막다른 골목
~에도 불구하고, ~ 는 바람에, 비록 ~ 일지라도, 결코 ~ᄅ 수 없다,
만약에 ~면, 설마 ~ᄅ까, 아무리 ~ 아도, 하마터면 ~ᄅ 뻔하다,
문법적 연어
왜냐하면 ~하기 때문이다, 단지 ~ᄅ 뿐이다, 차마 ~ᄅ 수 없다,
반드시 ~야 한다, 등

임근석(2006) 은 광의의 연어를 협의의 연어와 공기어로 나눴고 협의의 연어는


‘ 연어’를 가리킨다. 협의 연어를 어휘적 연어와 문법적 연어로 나누었다. 문법적 연
어와 어휘적 연어는 연어핵과 연어변이 그 어휘적 특성의 차이가 있을 뿐만 아니라

- 12 -
문법적 연어는 어휘적 연어에 비해 구성 요소 간의 강한 인접성을 갖는다. 그리고
어휘적 연어와 문법적 연어는 연어핵이 연어변을 선택한다고 할 때, 선택 가능한
후보들의 집합은 열려 있다. 문법적 연어는 문법적 연어 구성 전체가 하나의 문법
소적 기능을 수행하는 것 외에도 연어변에 의해 연어핵의 문법적 기능이 제한되는
경우도 있으며 그 내용은 다음 < 표 4> 와 같이 정리하였다.

< 표 4> 임근석(2006) 에 의한 연어 유형

주술관계
목술관계

부사어- 서술어 관계 연어
의 어휘적 연어
‘ 용언+관형사형어미’ 형
협의의 연어
의 수식 관계 연어 ‘체언+ 관형격조사’형
연 ‘ 부사+용언’ 형
조사적 연어
어 문법적 연어
어미적 연어
공기어

위에 제시한 것과 같이 연어의 유형은 학자에 따라 분류 기준 및 방법이 모두 차


이가 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한국어 연
어 교육의 목적에  있어서 문금현(2002) 에서의 분류가 더 적절하다고 생각된다.
선행연구에 따라 많은 한국어 교육용 연어 목록 중 어휘적 연어 하류의 주술 관계
와 목술 관계가 큰 비율을 보유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게다가 연어 사용
오류에 관한 연구 중에는 가장 많이 나타나는 조사 매칭과 사용의 오류를 덜기 위
해 주격 조사인 ‘ 이/가’ 및 목적격 조사인 ‘을/를’ 의 매칭을 활용할 수 있는 주술이
나 목술 관계를 가지는 연어에 관한 교육 방안 연구를 통해 명시적으로 한국어 사
용의 정확성을 높일 수 있다. 한국어 통사 구조에 관한 지식이 부족한 중국인 한국
어 학습자들을 상대로 연어를 활용해서 어휘 교육과 정확한 한국어 조사 사용에 관
한 문법 교육이 동시에 진행됨으로 주술⦁ 목술 관계 연어는 교육적인 면에서 효과
적이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주술⦁ 목술 관계 연어의 연구를 중심으로 검토하고 한
다.

2.3. 연어 교육에서 신체관련 연어의 중요성

연어는 모국어 화자들에게 있어 일상생활에서 쉽게 소통이 가능하나 외국인 학습


자들의 경우 모국어의 영향을 받기 때문에 이는 결코 쉬운 일이라 할 수 없다. 따

- 13 -
라서 연어와 관련 된 교수 방안은 연어 지식의 체계적인 내재화에 매우 큰 도움이
된다 할 수 있다. 또한 학습자들에게도 마찬가지로 이러한 교육을 통해 스스로 연
어 지식 습득 방향에 있어 구체적인 전략을 세울 수 있도록 있다. 신체관련 연어는
인간 사회의 교류 과정에 있어 가장 친근하며 높은 빈도로 사용되고 있어 매우 강
한 기초 학습의 성격을 지닌다.
한송화⦁강현화(2004)는 Jimmie Hill Teaching collocation에서 연어 교육의
중요성에 대해 다음과 같이 정리하였다.

① 어휘부의 구성은 임의적이지 않다. 즉 어휘가 결합되는 방식이 자의적이지 않


다는 것이다. 예를 들면 ‘ 마시다’라고 하면 모든 명사가 그의 목적어의 구실을 할
수 있는 것이 아니다.
② 연어를 공부하면서 학습자는 다른 예측 가능한 형식을 찾아내도록 권장을 받
을 수 있다.
③ 말하기, 듣기, 쓰기, 읽기 내용의 70% 정도가 모두 고정된 표현들이다.
④ 효과적인 입력이 효과적인 검색 결과를 낳는다. 실제로는 거의 모든 모어 화
자가 많은 연어를 기억에 두고 있다.
⑤ 연어는 사람들로 하여금 더욱 빠르고 효과적으로 서로 의사소통을 할 수 있게
하는 역학을 한다.
⑥ 복잡한 생각이 간단한 어휘적 연어로 빠르게 실현되기도 한다.
⑦ 연어는 사고를 쉽게 만들 수 있다.
⑧ S. Krashen1 )에 따르면, 습득이라고 하는 것이 궁극적으로 입력의 질과 양에
기대된다.
⑨ 덩어리로 발음과 같이 연습하면 억양과 강세가 더울 좋아질 것이다.

신체어휘에 관련된 상태나 행동 등 직접적으로 표현할 뿐만 아니라, 파생되는 인


식이나 작용, 감각 등에 관한 추상적인 표현들이 매우 광범위하다고 할 수 있다. 다
시 말해, 신체어휘는 사람들의 정신적인 내면세계 및 일상생활과 굉장히 밀접한 관
계를 맺는 기본적인 어휘로서 작용하며, 실제적인 언어생활에서 신체어휘는 형태적
인 변화에 비하여 의미적인 변화가 더욱 활발하다. 생활 속에서 여러 가지 의미형
성과 더불어 은유, 비유, 환유 등을 통해 풍부하고 생생한 표현에도 두루 활용된다.
이처럼 특성에 의하여 신체부위 명칭에 용언, 체언 등을 붙여 어떠한 상태 혹은 상
황 등을 묘사하는 신체와 관련된 연어 표현들의 양상도 비교적으로 풍부하고 다양

1) S. Krashen(1985) . The input hypothesis. London: Longman.

- 14 -
한 편이다.
그렇지만 앞에서도 언급한 바와 같이, 연어의 표현은 그 언어를 이용하는 사람들
의 문화, 역사, 관습 및 사고방식 등이 축적되어 형성된다. 비슷한 신체부위를 나타
내는 어휘라도, 비슷한 감정이나 생각을 묘사하더라도 언어마다 신체관련 연어의
구성, 즉 신체관련 어휘들 사이의 공기 양상이나 드러나는 의미가 상당히 상이한
경우가 흔하다. 특히 한국어 화자에게는 지나치게 간단하고 당연한 연어 표현인데
외국인 학습자에게는 이해하기 어렵거나 잘 못 사용할 수도 있기 때문에 주의를 기
울여서 학습할 필요가 있다.
각국의 사람들은 대부분 동일한 신체 구조를 지니고 있으며 이러한 신체 구조는
모두 동일한 기능을 행하고 있지만 신체에 따른 어휘의 표현은 자국 문화의 영향을
받아 언어 사용에 있어 각국의 차이점을 존재한다. 따라서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
육은 신체를 기본 어휘로 삼아 정확히 습득 대상이 될 필요가 있다. 신체와 관련된
연어 표현은 사람의 외적인 생김새를 표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람의 생각, 느
낌, 감정 등과 같은 내면적인 부분에 대한 표현 역시 생생하게 전달할 수 있기 때
문에 외국인 학습자들에게 친근감을 가져다 줄 뿐만 아니라 학습자의 흥미와 관심
을 적극적으로 유발할 수 있다.

- 15 -
3. 신체관련 연어 목록 추출

효과적인 한국어 연어 교육을 위해 교재는 교수⦁ 학습에 있어 가장 기본적이면서


도 중요한 가치를 지니고 있기 때문에 중요한 학습 자료이자 학습자와 교수자 모두
에게 중요한 도구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현재 이루어지고 있는 한국어 교육은 주
로 교재를 통한 교육 과정이 진행되기 때문에 교재 분석은 한국어 학습자가 한국어
를 학습하는데 지대한 영향을 미치며 연구자에게도 향후 연어 교육의 나아가야 할
방향을 고려하는 데 중요한 지침이 된다. 따라서 한국어 교재 분석을 통해 그 속에
제시되어 있는 신체관련 주술⦁목술 관계에 따른 연어를 살펴볼 필요가 있다.
신체 어휘의 범위 및 대상에 대해 연구자의 주안점에 따라 견해가 다소 차이가
있기는 하지만 대체로 기본적인 신체 부위 관련 어휘 및 신체 내부적인 기관 관련 
어휘, 신체 분비물 혹은 배설물과 관련된 어휘, 그리고 신체에서 생겨난 현상과 작
용 관련 어휘로 나누어 볼 수가 있다. 본고에서는 대상 자료로 하는 『한국어 연어
사전』의 신체부위 관련 어휘, 신체 내부 기관 관련  어휘에 관한 표제어 목록을
검토해 본 결과, ‘ 가슴, 고개, 귀, 눈, 마음, 머리, 목, 몸, 배, 살, 손가락, 어깨, 얼
굴, 입, 코, 팔, 허리’로 총 17개의 신체와 관련된 어휘를 추출하여 정리하였다.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신체와 관련 연어를 선정하기 위해 사전의 『한국어 연어
사전』의 구성을 분석할 필요가 있다. 『한국어 연어사전』은 『연어사전』 및 별
책 부록인『연어목록』으로 구성되고 있으며,『연어사전』은 ‘표제어, 품사, 뜻풀이
( 해석), 영어대역어, 선행어 및 후행어, 예시, 유의어, 반의어, 줄임말, 상관어, 상위
어, 하위어, 자매어, 파생어 및 합성어, 참고, 세는 말, 부표제어’ 로 순차적으로 배열
되어 대표적인 예시 문장도 같이 제시되고 있다. 연어의 수량과 다양성외에도 『한
국어 연어사전』은 한국어 어휘를 교수하거나 학습하는 데에 도와주는 목적으로 연
어의 개념을 상대적으로 광범위하게 설정하는 점을 감안해도 본 논문의 연어 개념
에 대한 주안점 및 연구의 목적에 가장 잘 부합하는 참고 자료라고 할 수 있다.
1단계는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신체관련 연어 목록을 선정하였다. 1차 연어 목록
은 먼저 다섯 종류의 한국어 교재를 대상으로 총 937개를 추출하였으며, 2차 목록
은 「한국어 연어 사전」에서 중복된 부분을 포함한 총 356개의 연어를 추출하였
다. 이는 한국어 연어 선정을 위한 필자의 편의를 최대한 넣지 않고 한국어 교육에
중점을 두었음을 나타낸다. 3차 연어 선정은 선행 연구인 문금현(2002) 과 허영임
(2010) 이 진행한 연구에 따라 추출된 연어 목록 중 신체 관련 연어 29개가 추가
되었고 최종 목록 385개가 선정되었다.
2단계에서는 난이도를 고려하여 1차적으로 선정한 신체관련 연어 목록은 김중섭

- 16 -
(2017) 외「국제 통용 한국어 표준교육 과정 적용 연구」에 수록된 어휘 등급화 평
가 목록을 참고삼아 연어를 구성하는 연어변과 연어핵에 각각의 등급을 매겼다. 또
한 「국제 통용 한국어 표준교육 과정 적용 연구」에 따라 어휘를 모두 1~6급으로
분류하였다. 2차 분류의 경우 의미적 대응 표현은 ‘완전일치’, ‘부분일치’, ‘ 불일치’
등과 같은 유형으로 구분하고 등급 유지, 1급상승, 2급상승 등으로 등급의 변화를
진행하였다.
3단계는 사용 빈도를 고려하여「21세기 세종계획」형태 분석 말뭉치에서 출현
빈도가 20이상인 연어의 경우, 해당 등급을 그대로 남기고 20미만인 연어의 경우
에는 다음 등급으로 등급 조정을 진행해 최종적으로 초급(1,2급), 중급(3,4급), 고
급(5,6급) 으로 등급화를 진행하였다.

3.1. 한국어 교재에 수록된 신체관련 연어 목록

다음 <표 5> 와 같이 서울대학교 언어교육원에서 출판된『서울대한국어』, 연세대


학교 언어연구교육원에 출판된『연세한국어』, 경희대학교 언어연구교육관에 출판
된『경희한국어』및 중국 국내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는 한국어 교재인『대학
한국어』《大學韓國語》, 『한국어(수정판) 』《韓國語(修正版) 》등과 같은 참고 자
료를 통해 여기에 제시된 신체관련 주술⦁목술 관계의 연어를 각각 제시하였다.

<표 5> 본고에서 분석한 교재


교재명 단계 출판사 출판년도
1A, 1B, 2A, 2B, 3A, 3B, 서울대학교
「서울대한국어」 2013년
4A, 4B, 5A, 5B, 6A, 6B 언어교육원
연세대학교
「연세한국어」 1~6 2013년
출판부
초급1, 2 중급 1 ,2 경희대학교
「경희한국어」 2020년
고급 1,2 출판문화원
「대학한국어」
1~6 民族出版社 2014년
《大學韓國語》
「한국어(수정판) 」
1~4 北京大學出版社 2004년
《韓國語(修正版) 》

- 17 -
3.1.1. 한국 국내 교재에 수록된 신체관련 연어 목록

3.1.1.1. 서울대학교「서울대한국어」

「서울대한국어」는 서울대학교 언어교육원에서 출판된 정규 과정용 한국어 교재


로서 한국어 성인 학습자를 위한 의사소통 능력을 키우고자 하는 목적에 유용하도
록 구성되었다. 이 교재는 모두 6급으로 구분되어 있으며 각 급은 A, B 상하로 나
눠 1,2는 초급, 3,4는 중급, 5,6은 고급 사용자를 대상으로 한 총 12권으로 구성되
어 있다. 초급은 가장 기본적인 의사소통 능력 향상을 위해 구성되어 있으며 중급
은 한국의 사회생활을 위한 한국어 의사소통 능력을 함양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
다. 또한 고급은 다양한 사회적 영역과 관련된 보다 심화된 주제에 대해 의사소통
하고 전문 분야에서의 연구 혹은 업무 수행에 필요한 언어 기능을 익힐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다음은 ‘「서울대한국어」( 서울대학교, 2013)’ 에 제시된 신체관련
주술⦁목술 관계 연어이며 그 내용은 다음 <표 6> 과 같다.

<표 6> 「서울대한국어」에서 수출된 신체관련 연어


신체부위 연어 개수
가슴이 터지다, 가슴이 뛰다, 가슴이 저리다, 가슴이 두근거리
가슴 다, 가슴이 벅차다, 가슴이 넓다, 가슴이 뭉클하다, 가슴을 치 9
다, 가슴을 펴다
고개를 젖히다, 고개를 돌리다, 고개를 끄덕이다, 고개를 숙이
고개 5
다, 고개를 흔들다
귀 귀를 기울이다 1
눈이 아프다, 눈이 날카롭다, 눈이 예쁘다, 눈이 맑다, 눈이 부
눈 8
시다, 눈이 동그랗다, 눈을 감다, 눈을 흘기다
다리가 굵다, 다리가 짧다, 다리가 아프다, 다리가 부러지다,
다리 다리가 저리다, 다리가 가늘다, 다리를 부러뜨리다, 다리를 다 10
치다, 다리를 떨다, 다리를 모으다
마음이 복잡하다, 마음이 조마조마하다, 마음이 허무하다, 마음
이 기쁘다, 마음이 설레다, 마음이 따뜻하다, 마음이 편하다,
마음이 불편하다, 마음이 답답하다, 마음이 급하다, 마음이 아
마음 27
프다, 마음이 강하다, 마음이 초조하다, 마음이 떨리다, 마음이
허전하다, 마음이 통하다, 마음이 생기다, 마음이 불안하다, 마
음이 따뜻하다, 마음을 붙이다, 마음을 정하다, 마음을 사로잡

- 18 -
다, 마음을 먹다, 마음을 집중하다, 마음을 조이다, 마음을 안
정시키다, 마음을 비우다
머리가 크다, 머리가 부스스하다, 머리가 똑똑하다, 머리가 아
프다, 머리가 길다, 머리가 좋다, 머리가 짧다, 머리가 굵다, 머
머리 16
리를 만지다, 머리를 묶다, 머리를 쓰다듬다, 머리를 땋다, 머
리를 쓰다, 머리를 흔들다, 머리를 감다, 머리를 나풀거리다
목 목이 굵다, 목이 마르다, 목이 짧다, 목이 붓다 4
몸이 날씬하다, 몸이 가뿐하다, 몸이 아프다, 몸이 뜨겁다, 몸
이 약하다, 몸이 건강하다, 몸이 불편하다, 몸이 가볍다, 몸이
몸 15
차갑다, 몸이 무겁다, 몸이 쑤시다, 몸이 피곤하다, 몸을 떨다,
몸을 담다, 몸을 움직이다
무릎 무릎을 다치다, 무릎을 치다 2
발 발을 구르다 1
배가 나오다, 배가 아프다, 배가 부르다, 배가 고프다, 배를 문
배 7
지르다, 배를 쓰다듬다, 배를 잡다
살 살이 찌다, 살을 빼다 2
손이 닿다, 손이 아프다, 손을 내밀다, 손을 씻다, 손을 잡다,
손 6
손을 흔들다
손톱 손톱을 물어뜯다 1
손가락을 까딱하다, 손가락을 빨다, 손가락을 꼽다, 손가락을
손가락 4
펴다
이마 이마가 넓다 1
어깨 어깨가 넓다, 어깨를 떨다 2
얼굴이 그립다, 얼굴이 뜨겁다, 얼굴이 화끈거리다, 얼굴이 갸
름하다, 얼굴이 달아오르다, 얼굴이 빨개지다, 얼굴이 질리다,
얼굴 15
얼굴이 해쓱하다, 얼굴이 곱다, 얼굴이 둥글다, 얼굴이 밝다,
얼굴이 타다, 얼굴을 내밀다, 얼굴을 보다, 얼굴을 만지다
입 입이 가볍다, 입이 무겁다, 입을 벌리다 3
입술 입술이 얇다, 입술이 도톰하다, 입술을 깨물다 3
코 코가 오뚝하다, 코가 납작하다, 코를 찌르다 3
턱 턱이 길다, 턱이 뾰족하다 2
허리 허리가 약하다, 허리가 아프다, 허리를 구부리다 3
혀 혀를 차다 1
총 151

「서울대한국어」에 제시된 신체관련 연어 총 151개로 ‘귀, 고개, 가슴, 다리, 눈,


머리, 목, 몸, 마음, 배, 발, 손, 살, 손가락, 손톱, 입술, 어깨, 입, 이마, 얼굴, 허리,

- 19 -
턱, 코.’ 등 23개의 신체와 관련된 연어가 제시되어 있다. 초급 부분에서는 ‘배가
아프다, 다리가 아프다, 머리가 아프다’ 등과 같은 신체 증세에 관한 연어가 많이
등장하고 ‘ 머리가 크다, 얼굴이 둥글다, 목이 굵다’ 등과 같은 사람의 외모 묘사에
관한 연어가 수록되어 있다. 중급 부분에서는 ‘눈을 감다, 손을 잡다’와 같이 사람
의 몸짓과 행위를 묘사하는 연어가 제시되어 있으며 ‘마음을 먹다, 입이 가볍다(무
겁다)’등과 같은 함축적인 의미를 지니고 있는 연어가 제시되어 있다. 마지막으로
고급 부분에서는 ‘ 마음이 조마조마하다, 마음이 설레다, 마음이 복잡하다, 마음이
초조하다’ 등과 같이 마음과 관련된 기분을 설명하는 연어가 보충되어 있으며 ‘배를
쓰다듬다, 얼굴이 달아오르다’ 등과 같은 고급 어휘도 상당수 수록되어 있다.

3.1.1.2. 연세대학교「연세한국어」

「연세한국어」는 외국인 학습자들에게 있어 매우 광범하게 사용되고 있는 교재이


다. 현재 중국인 학습자들에게 한국에 있는 학습자들뿐만 아니라 중국 국내의 학습
자들도 중국어로 번역된 「연세한국어」를 통해 한국어를 학습하고 있다. 「연세한
국어」는 총 6권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모두 1-6급으로 구분되어 있다. 외국인 학
습자들을 위한 한국어 학습 교재, 한국어를 처음 배우는 학습자들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고 초, 중, 고급 단계의 책으로 필수 어휘와 문법, 문화와
사고방식을 소개하기 때문에 한국에 대한 이해를 넓히고자 한다. 다음은 ‘「연세한
국어」( 연세대학교, 2013)’ 에서 제시된 신체 관련 주술⦁ 목술 관계 연어이며 그 내
용은 다음 < 표 7> 과 같다.

< 표 7> 「연세한국어」에서 수출된 신체관련 연어


신체부위 연어 개수
가슴 가슴이 벅차다, 가슴이 아프다, 가슴이 막히다 3
고개 고개를 돌리다, 고개를 끄덕이다 2
근육 근육이 생기다, 근육이 풀리다 2
귀 귀가 밝다, 귀가 붓다, 귀를 기울이다 3
눈이 크다, 눈이 푸르다, 눈이 작다, 눈이 가다, 눈이 나쁘다,
눈이 아프다, 눈이 무섭다, 눈이 따갑다, 눈이 붓다, 눈이 둥그
눈 18
레지다, 눈이 찢어지다, 눈을 의심하다, 눈을 감다, 눈을 돌리
다, 눈을 뜨다, 눈을 움직이다, 눈을 찌르다, 눈을 떼다
다리가 붓다, 다리가 아프다, 다리를 펴다, 다리를 다치다, 다
다리 5
리를 흔들다

- 20 -
마음이 맑다, 마음이 시원하다, 마음이 약하다, 마음이 아프다,
마음이 편안하다, 마음이 따뜻하다, 마음이 편하다, 마음이 가
다, 마음이 불편하다, 마음이 차분하다, 마음이 넓다, 마음이
답답하다, 마음이 없다, 마음이 있다, 마음이 급하다, 마음이
마음 순수하다, 마음이 상쾌하다, 마음이 좋다, 마음이 바쁘다, 마음 35
을 모르다, 마음을 흔들다, 마음을 놓다, 마음을 풀다, 마음을
이해하다, 마음을 잡다, 마음을 열다, 마음을 먹다, 마음을 쓰
다, 마음을 사다, 마음을 알다, 마음을 전하다, 마음을 가지다,
마음을 졸이다, 마음을 담다, 마음이 사라지다
머리가 크다, 머리가 세다, 머리가 길다, 머리가 빠지다, 머리
가 좋다, 머리가 짧다, 머리가 아프다, 머리가 무겁다, 머리가
머리 검다, 머리를 파마하다, 머리를 하다, 머리를 자르다, 머리를 17
식히다, 머리를 만지다, 머리를 쓰다듬다, 머리를 다듬다, 머리
를 감다
머리카락 머리카락이 빠지다 1
무릎 무릎을 안다 1
목 목이 굵다, 목이 마르다, 목이 붓다, 목이 쉬다, 목이 아프다 5
몸이 피곤하다, 몸이 피로하다, 몸이 안 좋다, 몸이 둔하다, 몸
이 상쾌하다, 몸이 아프다, 몸이 건강하다, 몸이 가볍다, 몸이
몸 불편하다, 몸이 약하다, 몸이 무겁다, 몸을 펴다, 몸을 닦다, 몸 18
을 돌리다, 몸을 움직이다, 몸을 일으키다, 몸을 팔다, 몸을 단
련하다
발 발이 아프다, 발을 씻다, 발을 밟다 3
배 배가 아프다, 배가 부르다, 배가 나오다, 배가 고프다 4
뼈 뼈가 부러지다 1
살 살이 빠지다, 살이 찌다, 살을 빼다 3
손이 닿다, 손이 가다, 손이 크다, 손이 길다, 손이 빨개지다,
손을 짚다, 손을 잡다, 손을 꼽다, 손을 내려놓다, 손을 이끌다,
손 17
손을 들다, 손을 움직이다, 손을 대다, 손을 쓰다, 손을 씻다,
손을 거치다, 손을 닦다
손가락 손가락을 담그다, 손가락을 까딱하다, 손가락을 움직이다 3
어깨 어깨가 무겁다, 어깨를 치다, 어깨를 움직이다 3
이 이가 아프다, 이가 빠지다, 이를 교정하다, 이가 썩다 4
엉덩이 엉덩이가 작다 1
얼굴이 되다, 얼굴이 잘생기다, 얼굴이 하얗다, 얼굴이 타다,
얼굴 12
얼굴이 예쁘다, 얼굴이 빨개지다, 얼굴이 새까맣다, 얼굴이 작

- 21 -
다, 얼굴이 어둡다, 얼굴을 쳐다보다, 얼굴을 가리다, 얼굴을
보다
입이 벌어지다, 입이 닳다, 입이 비뚤다, 입을 벌리다, 입을 열
입 5

입술 입술을 다물다 1
코 코가 막히다, 코를 풀다 2
턱 턱을 치켜들다 1
팔 팔이 아프다, 팔을 다치다, 팔을 들다, 팔을 벌리다 4
허리 허리가 아프다, 허리가 약하다 2
총 176

「연세한국어」에 제시된 신체관련 연어 총 176개는 ‘ 근육, 귀, 가슴, 다리, 눈, 무


릎, 머리, 목, 몸, 마음, 머리카락, 뼈, 배, 발, 손, 살, 손가락, 엉덩이, 입술, 어깨,
입, 이마, 얼굴, 허리, 턱, 코, 팔’ 등 27개의 신체와 관련 연어를 제시되어 있다. 초
급 단계에서는 주로 ‘ 배가 아프다, 머리가 아프다, 목이 붓다’ 등과 같이 병원 방문
시 간단히 증세를 표현하거나 ‘ 눈이 작다( 크다), 머리가 길다( 짧다)’ 등과 같이 사람
의 외모를 묘사하는 방법이 제시되어 있을 뿐이지만, 중급 부분에서는 ‘입을 다물
다, 다리를 펴다, 코를 풀다’ 등과 같이 신체 행위를 간단히 묘사할 수 있는 표현들
이 제시되어 있다. 마지막으로 고급 부분에서는 ‘ 머리를 끄덕이다, 손가락을 까딱하
다’ 등과 같이 비교적인 어려운 표현의 단어로 이루어진 연어가 제시되어 있다.

3.1.1.3. 경희대학교 「경희한국어」

「경희한국어」는 경희대학교에서 출판된 교재이며 한국어 성인 학습자를 위해


한국 문화를 보다 쉽고 재미있게 배울 수 있도록 노력해 온 교수 학습 전문가 여러
명의 노력이 모여 편찬된 교재이다. 본 연구에서 다루고자 하는 교재는 각 기능별
로 「문법」, 「듣고 말하기」, 「읽고 쓰기」등 모두 셋 가지 부분으로 구분되어
있으며 각각 초급1과 초급2, 중급1과 중급2, 고급1과 고급2 등 모두 18권으로 이
루어져 있다. 이 교재의 장점으로는 한 번에 표현을 보다 정확하면서도 쉽고 빠르
게 학습할 수 있도록 한다는 점이다. 다음은 ‘「경희한국어」( 경희대학교)’ 에 제시
된 신체관련 주술⦁ 목술 관계 연어이며 다음 <표 8> 과 같다.

< 표 8> 「경희한국어」에서 수출된 신체관련 연어


신체부위 연어 개수
가슴 가슴을 펴다, 가슴을 울리다 2

- 22 -
고개 고개를 숙이다 1
귀 귀가 닳다, 귀를 기울이다 2
근육 근육이 튼튼해지다, 근육을 강화시키다 2
눈이 나쁘다, 눈이 예쁘다, 눈이 붓다, 눈이 충혈되다, 눈이 크
다, 눈이 빠지다, 눈이 아프다, 눈이 나쁘다, 눈이 빨갛다, 눈이
눈 18
작다, 눈이 불편하다, 눈이 멀다, 눈을 떼다, 눈을 쳐다보다, 눈
을 반짝거리다, 눈을 감다, 눈을 붙이다, 눈을 뜨다
다리가 부러지다, 다리가 붓다, 다리가 아프다, 다리를 올려놓
다리 7
다, 다리를 다치다, 다리를 꼬다, 다리를 뻗다
마음이 편안하다, 마음이 답답하다, 마음이 넓다, 마음이 조마
조마하다, 마음이 흥분되다, 마음이 가라앉다, 마음이 아프다,
마음이 행복하다, 마음이 변하다, 마음이 놓이다, 마음이 들뜨
다, 마음이 차분하다, 마음이 따뜻하다, 마음이 편하다, 마음이
들뜨다, 마음이 홀가분하다, 마음이 크다, 마음이 안정되다, 마
음이 바뀌다, 마음이 불편하다, 마음이 뿌듯하다, 마음이 담기
마음 45
다, 마음이 급하다, 마음을 안정시키다, 마음을 먹다, 마음을 터
놓다, 마음을 놓다, 마음을 가라앉히다, 마음을 다잡다, 마음을
울리다, 마음을 모으다, 마음을 비우다, 마음을 전하다, 마음을
졸이다, 마음을 풀다, 마음을 사로잡다, 마음을 감추다, 마음을
울리다, 마음을 가지다, 마음을 위로하다, 마음을 빼앗기다, 마
음을 움직이다, 마음을 알다, 마음을 진정하다, 마음을 트다
머리가 맑아지다, 머리가 아프다, 머리가 짧다, 머리가 길다, 머
리가 복잡하다, 머리가 상하다, 머리를 자르다, 머리를 감다, 머
머리 16
리를 식히다, 머리를 말리다, 머리를 염색하다, 머리를 끄덕이
다, 머리를 굴리다, 머리를 묶다, 머리를 깎다, 머리를 하다
머리카락이 빠지다, 머리카락이 상하다, 머리카락이 끼다, 머리
머리카락 4
카락을 빼다
목이 붓다, 목이 아프다, 목이 쉬다, 목이 길다, 목이 터지다,
목 7
목이 마르다, 목이 뻐근하다
몸이 뻐근하다, 몸이 좋다, 몸이 무겁다, 몸이 떨리다, 몸이 부
서지다, 몸이 아프다, 몸이 피곤하다, 몸이 불편하다, 몸이 튼튼
몸 16
하다, 몸이 나른하다, 몸이 가볍다, 몸을 일으키다, 몸을 떨다,
몸을 회복하다, 몸을 두다, 몸을 움직이다
발이 작다, 발이 편하다, 발이 불편하다, 발이 아프다, 발을 구
발 6
르다, 발을 올리다

- 23 -
배가 아프다, 배가 고프다, 배가 부르다, 배가 터지다, 배를 잡
배 5

살 살이 빠지다, 살을 빼다 2
심장 심장이 멎다 1
손이 트다, 손이 아름답다, 손이 크다, 손이 차갑다, 손이 곱다,
손 손이 작다, 손을 내밀다, 손을 베이다, 손을 씻다, 손을 다치다, 14
손을 잡다, 손을 흔들다, 손을 움직이다, 손을 대다
손가락 손가락이 아프다, 손가락이 붓다, 손가락을 깨물다 3
손목 손목이 저리다 1
손등 손등을 다치다 1
이 이가 아프다, 이를 닦다, 이를 뽑다 3
이마 이마를 다치다 1
어깨가 아프다, 어깨가 무겁다, 어깨가 뻐근하다, 어깨를 두드
어깨 4
리다
얼굴이 둥글다, 얼굴이 빨갛다, 얼굴이 붓다, 얼굴이 청백하다,
얼굴 얼굴이 좋다, 얼굴이 화끈거리다, 얼굴이 타다, 얼굴이 작다, 얼 11
굴을 보다, 얼굴을 쳐다보다, 얼굴을 찌푸리다
입 입이 벌어지다, 입을 헹구다, 입을 가리다, 입을 다물다 4
입술 입술이 타다, 입술이 붓다 2
코 코가 예쁘다, 코가 높다, 코가 낮다, 코를 풀다 4
팔 팔을 벌리다, 팔을 뻗다 2
허리가 불편하다, 허리가 아프다, 허리가 삐끗하다, 허리를 펴
허리 5
다, 허리를 다치다
혀 혀를 내두르다 1
총 190

「경희한국어」에 제시된 신체관련 연어 총 190개는 ‘ 귀, 근육, 고개, 다리, 눈, 머


리, 머리카락, 목, 몸, 마음, 배, 발, 손, 살, 손가락, 어깨, 입, 이, 얼굴, 팔, 허리, 혀
코.’ 등 22개 신체와 관련 연어가 제시되어 있다. 초급 단계에서는 주로 ‘배가 아프
다, 머리가 아프다, 목이 붓다’ 등과 같이 병원 방문 시 증세를 간단하게 말할 수
있으며 ‘ 눈이 작다( 크다), 머리가 길다(짧다)’ 등과 같이 사람의 외모를 표현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중급 부분에 들어가면 ‘ 입을 다물다, 다리를 펴다, 코
를 풀다’ 등과 같이 신체와 관련해 간단한 행동을 표현할 수 있으며 마지막으로 고
급 부분에서는 ‘머리를 끄덕이다, 손가락을 까닥하다’ 등과 같은 표현이 가능하다.

- 24 -
3.1.2. 중국 국내 교재에 수록된 신체관련 연어 목록

3.1.2.1.「대학한국어」《大學韓國語》

베이징대학 출판사에 출판된 「대학한국어」《大學韓國語》는 주로 산동성 내 한


국어 학과가 개설된 청도대학과 청도농업대학교 등에서 한국어 전공 학습자를 위해
개발된 교재이다. 중국 베이징대학교, 산동대학교, 베이징외국어대학교 및 한국 성
균관 대학교 등 여러 한중 학교가 함께 참여해 집필되었다. 이 교재는 총 6권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1-4권 각 원마다 18과를 포함하고 있으며 5-6권의 경우 각 권
마다 12과를 포함하고 있다. 문법 강의 부분에서는 문법에 대해 보다 자세한 설명
이 추가되어 있으며 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 등과 같은 방면에서도 균형적인 연습
문제가 분포되어 있다. 다음은 ‘ 「대학한국어」《大學韓國語》(베이징대학교 출판
사, 2013)’ 에 제시된 신체관련 주술⦁목술 관계 연어이며 그 내용은 다음 <표 9>
와 같이 정리하였다.

<표 9> 「대학한국어」《大學韓國語》에서 수출된 신체관련 연어


신체부위 연어 개수
가슴이 뿌듯하다, 가슴이 뜨끔하다, 가슴이 설레다, 가슴이 부
풀다, 가슴이 벅차다, 가슴이 풍만하다, 가슴이 내려앉다, 가슴
가슴 11
이 뻐개지다, 가슴이 철렁하다, 가슴이 울렁거리다, 가슴을 펴

고개를 돌리다, 고개를 숙이다, 고개를 끄덕이다, 고개를 갸웃
고개 7
거리다, 고개를 들다, 고개를 흔들다, 고개를 쳐들다
귀 귀가 크다, 귀가 뜨이다, 귀가 솔깃하다, 귀를 기울이다 4
근육 근육이 수축되다 1
눈이 맑다, 눈이 있다, 눈이 휘둥그레지다, 눈이 나쁘다, 눈이
붓다, 눈이 높다, 눈이 말똥말똥하다, 눈이 둥그레지다, 눈이 뜨
이다, 눈이 크다, 눈이 부리부리하다, 눈이 부시다, 눈이 마주치
눈 다, 눈이 아프다, 눈이 피곤하다, 눈이 예쁘다, 눈이 어둡다, 눈 29
이 밝다, 눈을 피하다, 눈을 비비다, 눈을 떨구다, 눈을 들다,
눈을 떼다, 눈을 감다, 눈을 가리다, 눈을 깜박거리다, 눈을 뜨
다, 눈을 반짝이다, 눈을 치켜뜨다
다리가 아프다, 다리가 굽다, 다리가 부러지다, 다리를 주무르
다리 다, 다리를 움직이다, 다리를 모으다, 다리를 절다, 다리를 안 10
다, 다리를 놓다, 다리를 다치다

- 25 -
무릎 무릎을 치다, 무릎을 꿇다 2
마음이 없다, 마음이 담기다, 마음이 놓이다, 마음이 깨끗하다,
마음이 편안하다, 마음이 고맙다, 마음이 졸이다, 마음이 간절
하다, 마음이 여리다, 마음이 쏠리다, 마음이 편하다, 마음이 약
하다, 마음이 건강하다, 마음이 화끈해지다, 마음이 초조하다,
마음이 불편하다, 마음이 아프다, 마음이 착하다, 마음이 좋다,
마음이 설레다, 마음이 있다, 마음이 넓다, 마음이 급하다, 마음
이 따뜻하다, 마음이 가난하다, 마음이 가라앉다, 마음이 언짢
마음 다, 마음이 곱다, 마음이 아름답다, 마음이 무겁다, 마음이 가볍 55
다, 마음이 통하다, 마음이 생기다, 마음이 내키다, 마음을 쓰
다, 마음을 녹이다, 마음을 사로잡다, 마음을 졸이다, 마음을 표
현하다, 마음을 확인하다, 마음을 합하다, 마음을 씻다, 마음을
풀다, 마음을 가라앉히다, 마음을 이해하다, 마음을 먹다, 마음
을 다치다, 마음을 붙이다, 마음을 태우다, 마음을 바치다, 마음
을 담다, 마음을 열다, 마음을 놓다, 마음을 흔들다, 마음을 잡

머리가 길다, 머리가 똑똑하다, 머리가 총명하다, 머리가 아프
다, 머리가 검다, 머리가 나쁘다, 머리가 작다, 머리가 좋다, 머
리를 빗다, 머리를 풀다, 머리를 들다, 머리를 감싸다, 머리를
머리 손질하다, 머리를 염색하다, 머리를 하다, 머리를 들이밀다, 머 26
리를 겨누다, 머리를 치다, 머리를 세우다, 머리를 감다, 머리를
끄덕이다, 머리를 숙이다, 머리를 긁다, 머리를 자르다, 머리를
때리다, 머리를 내밀다
머리카락 머리카락이 굵다 1
목이 아프다, 목이 마르다, 목이 길다, 목이 메다, 목이 쉬다,
목 6
목이 붓다
몸이 좋다, 몸이 무너지다, 몸이 아프다, 몸이 불편하다, 몸이
나른하다, 몸이 크다, 몸이 늘어지다, 몸이 둔하다, 몸이 약하
다, 몸이 기울어지다, 몸이 마르다, 몸이 불어나다, 몸이 기우뚱
몸 하다, 몸이 화끈해지다, 몸이 편안하다, 몸이 건강하다, 몸이 무 38
겁다, 몸을 휘청거리다, 몸을 맡기다, 몸을 다치다, 몸을 담그
다, 몸을 떠나다, 몸을 가꾸다, 몸을 실다, 몸을 두다, 몸을 씻
다, 몸을 움직이다, 몸을 회복하다, 몸을 가누다, 몸을 굽히다,

- 26 -
몸을 떨다, 몸을 일으키다, 몸을 뒤집다, 몸을 가리다, 몸을 웅
크리다, 몸을 대다, 몸을 도사리다, 몸을 비틀다
배가 아프다, 배가 나오다, 배가 고프다, 배가 부르다, 배를 쓰
배 6
다듬다, 배를 곯리다
발 발이 크다, 발이 넓다, 발을 내딛다, 발을 구르다 4
살 살이 찌다, 살이 빠지다, 살을 빼다 3
손이 있다, 손이 떨리다, 손이 크다, 손이 닿다, 손이 없다, 손
을 대다, 손을 맞잡다, 손을 뻗치다, 손을 떼다, 손을 접다, 손
손 18
을 씻다, 손을 잡다, 손을 쓰다, 손을 뽑다, 손을 놓다, 손을 놀
리다, 손을 뻗다, 손을 내밀다
손가락이 베이다, 손가락을 펴다, 손가락을 사용하다, 손가락을
손가락 4
쓰다
어깨가 무겁다, 어깨가 아프다, 어깨가 처지다, 어깨가 가볍다,
어깨 7
어깨를 밀다, 어깨를 문지르다, 어깨를 으쓱거리다
얼굴이 반반하다, 얼굴이 일그러지다, 얼굴이 빨개지다, 얼굴이
밝다, 얼굴이 뜨겁다, 얼굴이 붉어지다, 얼굴이 창백해지다, 얼
굴이 곱다, 얼굴이 예쁘다, 얼굴이 못생기다, 얼굴이 어둡다, 얼
얼굴 굴이 갸름하다, 얼굴이 풀리다, 얼굴이 달아오르다, 얼굴이 붓 24
다, 얼굴이 트다, 얼굴이 까매지다, 얼굴을 향하다, 얼굴을 쳐다
보다, 얼굴을 돌리다, 얼굴을 내놓다, 얼굴을 찡그리다, 얼굴을
들다, 얼굴을 익히다
이마 이마가 넓다 1
입이 궁금하다, 입이 벌어지다, 입이 가볍다, 입이 무겁다, 입이
입 짧다, 입을 열다, 입을 틀어막다, 입을 닦다, 입을 대다, 입을 11
삐죽 내밀다, 입을 다물다
코가 예쁘다, 코가 납작해지다, 코를 찌르다, 코를 벌름거리다,
코 7
코를 다치다, 코를 만지다, 코를 풀다
턱 턱을 당기다 1
팔이 아프다, 팔이 붓다, 팔을 걷어붙이다, 팔을 흔들다, 팔을
팔 7
올리다, 팔을 굽히다, 팔을 다치다
허리가 아프다, 허리가 굵다, 허리가 가늘다, 허리를 굽히다, 허
허리 7
리를 숙이다, 허리를 구부리다, 허리를 펴다
총 290

「대학한국어」《大學韓國語》에 제시된 신체관련 연어 총 290개로 ‘ 근육, 귀, 고


개, 가슴, 다리, 눈, 머리, 머리카락, 목, 몸, 마음, 배, 발, 손, 살, 손가락, 어깨, 입,

- 27 -
이마, 얼굴, 허리, 코, 팔’ 등과 관련 등 23개의 신체와 관련 연어를 제시되어 있다.
< 표 9>을 살펴보면 신체와 관련 된 연어의 수가 다른 교재에 비해 많이 수록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초급 부분에서는 한국에서 사용되고 있는 교재처럼 ‘배가 아프
다, 눈이 나쁘다, 이가 아프다’등과 같이 신체의 증세와 관련된 어휘가 등장하지만
‘ 머리를 자르다, 머리를 염색하다, 머리를 손질하다’ 등과 같이 미용실에서 자주 사
용되는 연어 표현 등도 많이 등장하고 있다. 또한 ‘마음이 설레다, 마음이 언짢다,
마음이 약하다’ 등과 같이 마음과 관련된 연어도 상당수 제시되어 있으며 ‘눈을 감
다, 허리를 굽히다, 머리를 감다’ 등과 같이 행동과 관련된 연어도 상당수 제시되어
있다. 마지막으로 고급 부분에서는 ‘눈물을 떨구다, 얼굴을 움켜쥐다, 코를 벌름거
리다’ 와 ‘ 떨구나, 움키다, 벌름거리다’ 등과 같이 보통 한국어 교재에서 찾아보기 힘
든 어휘가 상당수 등장한다.

3.1.2.2. 「한국어(수정판) 」《韓國語(修正版) 》

「한국어( 수정판) 」《韓國語(修正版) 》은 중국 베이징대학교 조선 문화 연구소와


한국 국립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가 함께 제작에 참여한 교재이며 한국인, 조
선족, 한족 학자들에 의해 작성한 교재이다. 이 교재는 중국인 한국어 전공자 및 자
습자를 대상으로 모두 4권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1권에는 모두 25과가 포함되고
2-4권은 각각 15과가 포함되어 있다. 현재 중국 내 한국어 학과를 개설하는 북경
대학교, 상하이외국어대학교, 시안외국어대학교 등 ‘ 한국어 청독’ 수업에서 광범하
게 사용하고 있다. 다음은 ‘「한국어( 수정판)」( 민족출판사, 2013)’ 에 제시된 신체
관련 주술⦁목술 관계 연어이며 그 내용은 다음 < 표 10>과 같다.

< 표 10> 「한국어( 수정판)」《韓國語( 修正版)》에서 수출된 신체관련 연어


신체부위 연어 개수
가슴이 뛰다, 가슴이 뿌듯하다, 가슴이 내려앉다, 가슴이 서늘
가슴 4
하다
귀 귀가 뜨이다, 귀를 기울이다 2
고개 고개를 젓다 1
눈이 어지럽다, 눈이 상하다, 눈이 멀다, 눈을 풀다, 눈을 뜨다,
눈 8
눈을 주다, 눈을 감다, 눈을 돌리다
다리 다리가 아프다, 다리를 다치다, 다리를 펴다, 다리를 풀다 4
마음이 풀리다, 마음이 불안하다, 마음이 뜨다, 마음이 젊다, 마
음이 긴장되다, 마음이 건강하다, 마음이 가뿐하다, 마음이 건

- 28 -
강하다, 마음이 깨끗하다, 마음이 교요하다, 마음이 흐뭇하다,
마음이 조마조마하다, 마음이 편하다, 마음이 착하다, 마음이
곱다, 마음이 생기다, 마음이 놓이다, 마음이 담기다, 마음이 쓰
이다, 마음이 가볍다, 마음이 상하다, 마음이 약하다, 마음이 넉
마음 38
넉하다, 마음이 크다, 마음이 수려하다, 마음을 터놓다, 마음을
헤아리다, 마음을 사다, 마음을 먹다, 마음을 주다, 마음을 가라
앉히다, 마음을 놓다, 마음을 표현하다, 마음을 가지다, 마음을
버리다, 마음을 전하다, 마음을 알다, 마음을 바치다,
머리가 돌아가다, 머리가 총명하다, 머리가 아프다, 머리가 비
상하다, 머리가 뻐근하다, 머리를 다듬다, 머리를 이발하다, 머
머리 리가 어지럽다, 머리를 쓰다듬다, 머리를 깎다, 머리를 하다, 머 17
리를 자르다, 머리를 감다, 머리를 헹구다, 머리를 손질하다, 머
리를 쓰다, 머리를 빗다
목 목이 붓다, 목이 타다, 목이 마르다, 목이 아프다 4
몸이 타다, 몸이 튼튼하다, 몸이 건강하다, 몸이 아프다, 몸이
허약하다, 몸이 불편하다, 몸이 움츠러들다, 몸이 늙다, 몸이 좋
몸 다, 몸이 나빠지다, 몸이 뻐근하다, 몸이 떨리다, 몸을 던지다, 19
몸을 단련하다, 몸을 담그다, 몸을 두다, 몸을 바치다, 몸을 가
꾸다, 몸을 가누다
발 발을 담그다 1
배 배가 고프다, 배가 아프다, 배가 부르다, 배를 내밀다 4
살 살을 빼다 1
손을 다치다, 손을 대다, 손을 잡다, 손을 꼽다, 손을 씻다, 손
손 7
을 떼다, 손을 쉬다
손가락 손가락을 떨다 1
얼굴이 예쁘다, 얼굴이 곱다, 얼굴이 붉어지다, 얼굴이 빨개지
얼굴 다, 얼굴이 하얗다, 얼굴이 크다, 얼굴이 타다, 얼굴을 붉히다, 10
얼굴을 풀다, 얼굴을 보다
어깨 어깨를 치다 1
입 입을 다물다, 입을 벌리다 2
코 코가 높다 1
팔 팔이 뻐근하다 1
허리 허리가 아프다, 허리가 뻐근하다, 허리를 펴다, 허리를 숙이다 4
총 130

「한국어( 수정판) 」《韓國語(修正版) 》에 제시된 신체관련 연어 총 130개는 ‘ 귀,


고개, 가슴, 다리, 눈, 머리, 목, 몸, 마음, 배, 발, 손, 살, 손가락, 어깨, 입, 얼굴, 허

- 29 -
리, 팔, 코’ 등 23개 신체관련 연어를 제시하였다. 제1권에서는 ‘ 얼굴이 붉다, 얼굴
이 크다, 얼굴이 예쁘다’ 등 사람의 외모를 묘사하는 연어가 제시되어 있으며 병원
방문 시 신체 상황을 묘사하는 ‘머리가 아프다, 배가 아프다’ 등처럼 증세 묘사가
가능한 표현들이 제시되어 있다. 제2권에서는 ‘눈을 뜨다, 허리를 숙이다, 가슴이
뛰다’ 등과 같이 행동과 관련된 연어가 제시되어 있으며 신체와 관련된 ‘몸이 떨리
다, 몸을 단련하다, 몸이 허약하다’ 등과 같은 연어 또한 상당수 제시되어 있다. 제
3권에서는 ‘ 마음을 헤아리다, 마음이 놓이다, 마음을 터놓다’ 등과 같이 마음과 관
련된 어휘가 상당수 제시되어 있으며 제4권에서는 ‘고개를 가로젓다, 몸이 움츠러
들다, (팔) 허리가 뻐근하다’ 등과 같은 연어도 제시되어 있다.

3.2. 선행연구에서 추출된 신체관련 연어

3.2.1. 문금현(2002) 에서 추출된 신체관련 연어

연어 목록 선정 연구는 지금까지 상당 부분 잘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신체 관련 연어 목록을 선정하기 위해서는 선행 연구에 언급했던 연
어를 검토할 필요가 있다. 다음으로는 문금현(2002) 과 허영임(2010)이 제기한 다
양한 방법을 통해 추출된 신체관련 연어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문금현(2002)은 외국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한국어 연어 목록 선정을 위해 기
존의 서울대, 선문대, 연세대 등 3개 한국어 교육기관에는 사용되고 있는 교재를
기반으로 추출된 연어 목록을 분석하고 시, 수필, 소설, 사전, 신문 등과 같은 문어
텍스트와 토크쇼, TV 드라마 대본 및 일상대화에서 이루어지는 구어 텍스트 등에
서 빈도가 비교적 높은 연어를 대상으로 최종적인 대표 목록을 선정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한국어 구어와 문어의 모습을 생생하게 접하게 되면서 외국인 학습자
들은 보다 쉽게 의사소통을 풀어갈 수 있다. 추출된 연어 목록 중 신체관련 연어는
다음 < 표 11> 과 같다.

< 표 11> 문금현(2002) 에 의한 신체관련 연어


신체부위 연어 개수
귀 귀가 뜨이다, 귀를 기울이다 2
눈 눈이 부시다, 눈을 뜨다, 눈을 흘기다, 눈을 감다 4
머리 머리를 감다, 머리를 빗다, 머리를 깎다 3
목 목이 타다, 목이 마르다, 목이 메다, 목을 빼다 4
몸 몸이 달다, 몸을 사리다, 몸을 가누다 3
무릎 무릎을 꿇다, 무릎을 베다 2

- 30 -
배 배가 부르다, 배가 고프다 2
살 살이 찌다, 살이 빠지다 2
손뼉 손뼉을 치다 1
얼굴 얼굴을 붉히다 1
이 이를 닦다 1
입 입을 다물다 1
코 코를 풀다, 코를 골다 2
혀 혀를 차다 1
총 29

문금현(2002)이 진행한 연구에 따라, 학습 등급별 분류를 통해 난이도와 사용빈


도를 고려한 주술 관계 및 목술 관계 연어는 총 661개이며, 그 중 신체관련 연어는
총 29개로 전체의 약 4.4%를 차지하고 있다. 문금현(2002)의 연구에서 추출된 목
록은 문어 텍스트와 구어 텍스트의 내용을 포함하기 때문에 실제 일상생활에서 실
용성이 상당히 높다고 할 수 있다.

3.2.2. 허영임(2010) 에서 추출된 신체관련 연어

허영임(2010)은 한국어의 교육적 목적에 중점을 둔 한국어 연어 사전을 기반으


로 조남호(2002) 의 한국어 학습용 어휘에 포함되는 명사를 연어핵 대상으로 삼았
다. 또한 연어변은 의미에 따라 확대적인 의미로 사용된 연어로 추출되었으며, 21
세기 세종 계획에 형태 분석 말뭉치를 통해 연어의 빈도를 확인한 후, 5회 이하의
빈도로 나타나는 연어를 제외시켜 최종 A, B, C 등급별로 최종적인 연어 목록을
선정하였다. 추출된 연어 목록 중 신체관련 연어는 다음 < 표 12>와 같다.

<표 12> 허영임(2010)에 의한 신체관련 연어


신체부위 연어 개수
가슴이 내려앉다, 가슴이 뜨끔하다, 가슴을 쥐어뜯다, 가슴을
가슴 5
울리다, 가슴을 졸이다
고개 고개를 돌리다, 고개를 들다 2
귀 귀가 어둡다 1
눈 눈이 어둡다, 눈이 시리다, 눈이 밝다 3
마음이 쓰이다, 마음이 가볍다, 마음이 무겁다, 마음이 풀리다,
마음 마음이 내키다, 마음이 넓다, 마음이 통하다, 마음을 먹다, 마음 17
을 풀다, 마음을 다잡다, 마음을 졸이다, 마음을 끌다, 마음을

- 31 -
가라앉히다, 마음을 끌다, 마음을 붙이다, 마음을 쓰다, 마음을
열다
머리가 벗겨지다, 머리가 돌다, 머리를 묶다, 머리를 싸매다, 머
머리 리를 굴리다, 머리를 쓰다, 머리를 풀다, 머리를 젓다, 머리를 10
기르다, 머리를 깎다
목 목이 마르다, 목이 메다, 목이 타다, 목이 터지다, 목을 매다 5
몸 몸을 던지다, 몸을 팔다 2
살 살이 붙다, 살이 오르다, 살이 빠지다, 살을 빼다 4
어깨 어깨가 늘어나다, 어깨가 처지다, 어깨를 펴다 3
얼굴 얼굴이 피다, 얼굴을 붉히다 2
코 코를 풀다, 코를 박다 2
허리 허리를 펴다 1
총 57

허영임(2010)의 연구에 따르면, 등급화 된 연어 목록은 총 799개로 그 중 A 등


급 연어는 337개, B등급 연어는 244개, C등급 연어는 218개로 나타났다. 이 중
신체관련 연어는 약 7.1%인 57개를 차지하고 있다. 해당 연구에서는 한국어를 학
습하는 외국인 학습자의 연어 사용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교육용 한국어 연어를
선정하였다. 하지만 이 연구에서 한국어 학습용 어휘에 포함되지 않는 체언을 제외
시켰기 때문에 그 한계점이 존재한다 볼 수 있다.

3.3. 중국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신체관련 연어 목록 선정

먼저 한국어 교육에서 어휘 교육은 문법 혹은 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와 같은


기능 교육에 비해 소홀히 다루어져 왔다. 단순히 어휘가 지니고 있는 개별적인 의
미만을 이해하고 그것을 암기하는 식의 교육으로는 학습자들이 한국어 어휘를 습득
하여 자신의 것으로 내재화시키는 데 한계가 있음이 분명하다. 그러므로 어휘의 의
미를 설명할 시에는 사전적 의미뿐만 아니라 그 어휘와 결합 관계에 있는 어휘까지
도 함께 제시함으로써 하나의 덩어리로 가르치는 것이 학습자들이 어휘의 의미를
구체적으로 이해하고 실질적인 의사소통 상황 하에서도 자연스럽게 어휘를 사용하
는 데 효과적이기 때문에 학습자들에게 연어 교육의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본 연구에서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교육을 위해 주술⦁ 목술 관계의 연어
목록을 선정한 과정을 구체적으로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1차 연어 목록은 먼저 다섯 종류의 한국어 교재 서울대학교 언어교육원에서 출판
된『서울대한국어』, 연세대학교 언어연구교육원에 출판된『연세한국어』, 경희대학

- 32 -
교 언어연구교육관에 출판된『경희한국어』및 중국 국내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는 한국어 교재인『대학한국어』《大學韓國語》, 『한국어(수정판) 』《韓國語(修
正版) 》을 대상으로 총 937개를 추출하였다.
2차 목록은「한국어 연어 사전」에서 중복된 부분을 포함한 총 356개의 연어를
추출하였다.
3차 연어 선정은 선행 연구인 문금현(2002) 과 허영임(2010)이 진행한 연구에
따라 추출된 연어 목록 중 신체 관련 연어 총 29개가 추가되었고 최종 목록이 선
정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어 연어와 중국어 간 표현의 특징과 차이점을 찾고자 하며
3.1에서 언급한 바 있던 한국 및 중국에서 사용되고 있는 교재에 수록된 신체관련
주술⦁목술 관계의 연어를 바탕으로 삼았으며 필자의 주관적 판단을 배제하기 위해
「한국어교육을 위한 한국어 연어 사전」에 수록된 연어를 참고하고자 한다. 하지
만 '몸을 팔다'와 같이 학습자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는 연어는 목록 선정에
서 제외하였다. 이렇게 추출된 신체 관련 연어는 다음 < 표 13>과 같다.

< 표 13> 중국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신체 관련 연어 목록


신체부위 연어 개수
가슴이 넓다, 가슴이 두근거리다, 가슴이 내려앉다, 가슴이 풍
만하다, 가슴이 뛰다, 가슴이 뜨끔하다, 가슴이 아프다, 가슴이
가슴 저리다, 가슴이 서늘하다, 가슴이 막히다, 가슴이 뭉클하다, 가 19
슴이 벅차다, 가슴이 설레다, 가슴이 뿌듯하다, 가슴을 치다, 가
슴을 펴다, 가슴을 쥐어뜯다, 가슴을 울리다, 가슴을 졸이다
고개를 숙이다, 고개를 젖히다, 고개를 끄덕이다, 고개를 흔들
고개 6
다, 고개를 돌리다, 고개를 들다
근육 근육을 강화시키다, 근육이 풀리다 2
귀가 솔깃하다, 귀가 밝다, 귀가 뜨이다, 귀가 어둡다, 귀를 기
귀 5
울이다
눈이 충혈되다, 눈이 시리다, 눈이 가볍다, 눈이 무겁다, 눈이
푸르다, 눈이 부시다, 눈이 붓다, 눈이 예쁘다, 눈이 마주치다,
눈이 있다, 눈이 무섭다, 눈이 돌다, 눈이 작다, 눈이 크다, 눈
이 나쁘다, 눈이 밝다, 눈이 맑다, 눈이 아프다, 눈이 높다, 눈
눈 37
이 멀다, 눈이 어둡다, 눈이 가다, 눈을 가리다, 눈을 깜박이다,
눈을 감다, 눈을 반짝거리다, 눈을 깜박하다, 눈을 뜨다, 눈을
붙이다, 눈을 비비다, 눈을 흘기다, 눈을 주다, 눈을 의심하다,
눈을 피하다, 눈을 들다, 눈을 돌리다, 눈을 떼다

- 33 -
다리가 부러지다, 다기가 굵다, 다리가 짧다, 다리가 가늘다, 다
다리 리가 아프다, 다리를 꼬다, 다리를 뻗다, 다리를 다치다, 다리를 12
움직이다, 다리를 안다, 다리를 펴다, 다리를 떨다
마음이 사라지다, 마음이 기쁘다, 마음이 강하다, 마음이 내키
다, 마음이 담기다, 마음이 편안하다, 마음이 바쁘다, 마음이 없
다, 마음이 있다, 마음이 상쾌하다, 마음이 놓이다, 마음이 고맙
다, 마음이 가라앉다, 마음이 건강하다, 마음이 가난하다, 마음
이 복잡하다, 마음이 곱다, 마음이 착하다, 마음이 차분하다, 마
음이 순수하다, 마음이 맑다, 마음이 넓다, 마음이 따뜻하다, 마
음이 좋다, 마음이 가볍다, 마음이 간절하다, 마음이 불편하다,
마음이 급하다, 마음이 답답하다, 마음이 무겁다, 마음이 불안
하다, 마음이 생기다, 마음이 쓰이다, 마음이 아프다, 마음이 통
마음 68
하다, 마음이 편하다, 마음이 풀리다, 마음이 가다, 마음이 시원
하다, 마음이 홀가분하다, 마음이 바뀌다, 마음을 움직이다, 마
음을 가라앉히다, 마음을 알다, 마음을 다잡다, 마음을 진정하
다, 마음을 모르다, 마음을 전하다, 마음을 열다, 마음을 잡다,
마음을 졸이다, 마음을 주다, 마음을 다치다, 마음을 풀다, 마음
을 쓰다, 마음을 표현하다, 마음을 붙이다, 마음을 사로잡다, 마
음을 담다, 마음을 가지다, 마음을 버리다, 마음을 비우다, 마음
을 사다, 마음을 이해하다, 마음을 정하다, 마음을 먹다, 마음을
놓다, 마음을 끌다
머리가 길다, 머리가 벗겨지다, 머리가 비다, 머리가 빠지다, 머
리가 좋다, 머리가 짧다, 머리가 세다, 머리가 돌다, 머리가 검
다, 머리가 무겁다, 머리가 아프다, 머리가 어지럽다, 머리가 작
다, 머리가 똑똑하다, 머리가 크다, 머리가 굵다, 머리가 돌아가
다, 머리가 나쁘다, 머리가 맑아지다, 머리가 복잡하다, 머리를
기르다, 머리를 염색하다, 머리를 자르다, 머리를 파마하다, 머
머리 49
리를 싸매다, 머리를 풀다, 머리를 하다, 머리를 굴리다, 머리를
말리다, 머리를 치다, 머리를 세우다, 머리를 가로젓다, 머리를
긁다, 머리를 끄덕이다, 머리를 내밀다, 머리를 들다, 머리를 때
리다, 머리를 만지다, 머리를 묶다, 머리를 숙이다, 머리를 식히
다, 머리를 젓다, 머리를 헹구다, 머리를 쓰다, 머리를 감다, 머
리를 흔들다, 머리를 깎다, 머리를 빗다, 머리를 손질하다

- 34 -
머리카락이 끼다, 머리카락이 빠지다, 머리카락이 굵다, 머리카
머리카락 4
락을 빼다
목이 쉬다, 목이 터지다, 목이 메다, 목이 붓다, 목이 아프다,
목 목이 타다, 목이 마르다, 목이 짧다, 목이 굵다, 목이 길다, 목 12
을 매다, 목을 빼다
몸이 튼튼하다, 몸이 허약하다, 몸이 떨리다, 몸이 차갑다, 몸이
달다, 몸이 무겁다, 몸이 좋다, 몸이 피곤하다, 몸이 건강하다,
몸이 나빠지다, 몸이 나른하다, 몸이 마르다, 몸이 불편하다, 몸

이 뜨겁다, 몸이 쑤시다, 몸이 아프다, 몸이 약하다, 몸이 가볍
35
다, 몸이 크다, 몸을 두다, 몸을 다치다, 몸을 사리다, 몸을 가
리다, 몸을 가누다, 몸을 가꾸다, 몸을 던지다, 몸을 돌리다, 몸
을 담그다, 몸을 떨다, 몸을 닦다, 몸을 씻다, 몸을 움직이다,
몸을 일으키다, 몸을 회복하다, 몸을 담다
무릎을 베다, 무릎을 안다, 무릎을 꿇다, 무릎을 치다, 무릎을
무릎 5
다치다
발 발이 크다, 발이 작다, 발이 아프다, 발을 씻다, 발을 담그다 5
배가 거북하다, 배가 부르다, 배가 아프다, 배가 고프다, 배가
배 7
나오다, 배를 잡다, 배를 곯리다
살 살이 찌다, 살이 빠지다, 살이 오르다, 살이 붙다, 살을 빼다 5
손이 아프다, 손이 있다, 손이 없다, 손이 트다, 손이 곱다, 손
이 작다, 손이 떨리다, 손이 가다, 손이 크다, 손이 차갑다, 손
손 을 쉬다, 손을 들다, 손을 쓰다, 손을 내밀다, 손을 베이다, 손 22
을 대다, 손을 놓다, 손을 닦다, 손을 씻다, 손을 잡다, 손을 흔
들다, 손을 다치다
손가락이 붓다, 손가락이 아프다, 손가락을 사용하다, 손가락을
손가락 빨다, 손가락을 움직이다, 손가락을 펴다, 손가락을 꼽다, 손가 8
락을 쓰다
손뼉 손뼉을 치다 1
어깨가 처지다, 어깨가 아프다, 어깨가 넓다, 어깨가 무겁다, 어
어깨 깨가 늘어나다, 어깨를 떨다, 어깨를 떠밀다, 어깨를 치다, 어깨 9
를 펴다
얼굴이 그립다, 얼굴이 피다, 얼굴이 뜨겁다, 얼굴이 잘생기다,
얼굴이 좋다, 얼굴이 작다, 얼굴이 붓다, 얼굴이 풀리다, 얼굴이
얼굴 32
어둡다, 얼굴이 갸름하다, 얼굴이 둥글다, 얼굴이 붉어지다, 얼
굴이 빨개지다, 얼굴이 예쁘다, 얼굴이 창백해지다, 얼굴이 하

- 35 -
얗다, 얼굴이 곱다, 얼굴이 밝다, 얼굴이 화끈거리다, 얼굴이 질
리다, 얼굴이 타다, 얼굴을 들다, 얼굴을 향하다, 얼굴을 붉히
다, 얼굴을 쳐다보다, 얼굴을 풀다, 얼굴을 가리다, 얼굴을 찡그
리다, 얼굴을 찌푸리다, 얼굴을 익히다, 얼굴을 보다, 얼굴을 내
밀다
이가 빠지다, 이가 아프다, 이가 썩다, 이를 교정하다, 이를 닦
이 6
다, 이를 뽑다
이마 이마가 넓다, 이마를 다치다 2
입이 가볍다, 입이 벌어지다, 입이 무겁다, 입이 짧다, 입을 열
입 9
다, 입을 내밀다, 입을 다물다, 입을 가리다, 입을 벌리다
코가 낮다, 코가 높다, 코가 납작하다, 코가 오뚝하다, 코가 막
코 히다, 코를 벌름거리다, 코를 만지다, 코를 풀다, 코를 찌르다, 11
코를 골다, 코를 박다
팔 팔을 뻗다, 팔을 흔들다, 팔을 걷어붙이다, 팔을 다치다 4
허리가 아프다, 허리가 약하다, 허리가 굵다, 허리가 가늘다, 허
허리 8
리를 굽히다, 허리를 구부리다, 허리를 숙이다, 허리를 펴다
혀 혀를 내두르다, 혀를 차다 2
총 385

3.4. 추출된 신체관련 연어 목록의 등급화

앞서 다루었던 내용을 토대로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신체관련 연어는 총 385개


가 선정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번 장에서는 선정된 연어의 등급화를 위한 기준을
마련하고 신체관련 연어를 중국인 학습자의 한국어 수준에 따라 초급, 중급, 고급
등 3단계로 등급화 하고자 한다.
난이도를 고려하여 1차적으로 선정한 신체관련 연어 목록은 김중섭(2017)외「국
제 통용 한국어 표준교육 과정 적용 연구」에 수록된 어휘 등급화 평가 목록을 참
고삼아 연어를 구성하는 연어변과 연어핵에 각각의 등급을 매겼다. 또한 「국제 통
용 한국어 표준교육 과정 적용 연구」에 따라 어휘를 모두 1~6급으로 분류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1급(1급+1급), 2급(1급+1급, 1급+2급), 3급(1급+3급, 2급+3급,
3급+3급), 4급(1급+4급, 2급+4급,), 5급(1급+5급, 2급+5급, 3급+5급), 6급(1
급+6급, 2급+6급, 3급+6급)으로 등급화를 진행했다. 2차 분류의 경우 의미적 대
응 표현은 ‘완전일치’, ‘ 부분일치’, ‘ 불일치’등과 같은 유형으로 구분하고 등급 유지,
1급상승, 2급상승 등으로 등급의 변화를 진행하였다.
사용 빈도를 고려하여「21세기 세종계획」형태 분석 말뭉치에서 출현 빈도가 20

- 36 -
이상인 연어의 경우, 해당 등급을 그대로 남기고 20미만인 연어의 경우에는 다음
등급으로 등급 조정을 진행해 최종적으로 초급(1,2급), 중급(3,4급), 고급(5,6급)
으로 등급화를 진행하였다.

3.4.1. 난이도 분석

연어는 ‘두 개의 어휘소가 필요에 의해 선택된 관계이자 높은 의미의 결합이란


투명성을 지니고 하나의 의미 단위로 구성된 관계’라고 볼 수 있다. 즉 연어 구성
요소의 난이도와 연어가 지니고 있는 의미 난이도와 연관되어 있다. 따라서 본 연
구는 1차적으로 선정한 신체관련 연어 목록은 김중섭(2017) 외 「국제 통용 한국어
표준교육 과정 적용 연구」에 수록된 어휘 등급화 평가 목록을 참고삼아 연어를 구
성하는 연어변과 연어핵에 각각의 등급을 매겼다. 또한「국제 통용 한국어 표준교
육 과정 적용 연구」에 따라 어휘를 모두 1~6급으로 분류하였다. 2차 분류의 경우
의미적 대응 표현은 ‘완전일치’, ‘ 부분일치’, ‘불일치’ 등과 같은 유형으로 구분하고
등급 유지, 1급상승, 2급상승 등으로 등급의 변화를 진행했다.

3.4.1.1. 연어 구성 요소의 난이도

신체관련 연어에 속하는 주어( 목적어)를 중심으로 한 신체 관련어휘는 연어변을


선정하고 연어핵은 모두 한국어 교육용 어휘에 속한다. 그러나 연어핵과 결합하는
연어변은 용언의 기본적인 의미를 제외한 확대적 의미로 사용되기 때문에 한국어
교육용 어휘에 속하지 않는 연어변도 존재한다. 게다가 중급 학습자에게 고급 어휘
로 구성된 연어를 교육하게 될 경우 부담을 안겨 줄 수도 있다. 따라서 초급 연어
는 연어핵과 연어변이 모두 초급인 경우에만 해당한다. 이러한 문제로 인해 연어는
연어핵과 연어변의 등급에 따라 분류 기준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김중섭 외
(2017) 여러 학자들은 「국제 통용 한국어 표준교육 과정 적용 연구」에 따라 연
어핵인 ‘눈, 다리, 마음, 머리, 목, 몸, 발 ,배, 손, 얼굴, 입, 코, 팔’ 등과 같은 어휘
는 1급 어휘에 속하며 ‘가슴, 고개, 무릎, 살, 손가락, 머리카락, 어깨, 이, 이마, 허
리, 혀’ 등과 같은 어휘는 2급 어휘에 속하며 ‘손뼉, 근육’은 3급 어휘에 속한다고
여겼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1차적으로 선정한 신체관련 연어 목록은 김중섭 외(2017)
「국제 통용 한국어 표준교육 과정 적용 연구」에 수록된 어휘 등급화 평가 목록을
참고삼아 연어를 이루는 연어변과 연어핵의 등급을 매겼다. 하지만 「국제 통용 한
국어 표준교육 과정 적용 연구」에 수록되지 않은 어휘도 존재하기 때문에 연어가

- 37 -
등장하는 교재의 급수를 참고했으며, 다음 <표 14> 에서와 같이 두 가지 등급 중
높은 등급으로 조정했다.

< 표 14> 1차적 신체관련 연어 등급화 기준


연어 등급 1급 2급 3급 4급 5급 6급
연어핵 등급 1 1 2 1 2 3 1 2 1 2 1 2
연어변 등급 1 2 1 3 3 3 4 4 5 5 6 6

3.4.1.2. 한⦁중 신체에 관한 연어 간 의미 대조 분석

본 논문에서는 신체관련 연어 난이도를 분석하기 위해 의미적인 시각에서 이를


다루어 보고자 한다. 한국어 연어와 중국어 대응 양상에 관한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많은 연구자들은 한국어 연어를 중국어로 옮기고 번역할 때 그 번역 기준이 명확하
게 제시하지 않고 연구자 개인의 주관적인 생각을 첨가하는 경우가 많은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피하려고 본 연구에서 한국어 신체 관련 연어를 중
국어로 번역할 때 두 가지 원칙을 준수하였다. 첫째, 중국어 대응 표현의 전체적인
의미를 보유하며 번역한다. 예를 들어, ‘어깨가 무겁다’ 에서의 ‘ 어깨’는 중국어 ‘肩
膀’ 으로 대응되며 ‘ 무겁다’는 ‘ 重’으로 대응이 가능하나, 중국어의 표현 중 ‘ 肩膀重’
이라는 표현이 존재하지 않음에 따라 ‘担子重’ 로 번역한다. 둘째, 연어의 구성 요소
의 기본적인 의미를 중요시하며 번역한다. 예를 들어, ‘ 손이 크다’ 와 같은 경우, ‘씀
씀이가 후하고 크다’라는 의미를 지니고 있으나 연어의 구성 요소의 기본적인 의미
를 중요시 한 번역 원칙에 따라 손은 ‘ 사람의 팔목 끝에 달린 부분’ 으로 번역하고
‘ 크다’의 경우 ‘사람이나 사물의 외형적 길이, 넓이, 높이, 부피 따위가 보통 정도를
넘다’ 라는 의미로 번역하여 ‘ 손이 크다’는 ‘ 손의 사이즈가 일반적인 수준을 넘다’라
는 의미로 번역한다. 이 두 가지 원칙을 감안하면서 한국어 연어를 중국어로 번역
할 때 연구자 개인의 주관적인 영향을 최대한 감소시키려고 노력하였다. 이유는 중
국어 대응형의 객관성을 보장하는 것은 한국어 연어의 중국어 대응 양상을 살펴볼
수 있는 기본적인 요건이라고 보기 때문이다. 따라서 필자가 이 두 가지 원칙을 준
수하여 번역하였다. 연구자의 주관적 판단의 영향을 최대한 없애도록 하고 연구 결
과의 객관성과 신뢰성을 최대한 보장할 수 있게 한다. 그리고 중국어 대응 표현을
번역하는 데 주로 『표준국어대사전』2) 및 각종 인터넷 어학 사전이나 자료, 그리
고 중국에서 간행된 중국어 연어 사전인 『現代漢語搭配詞典』3), 『現代漢語實詞搭

2) 국립국어원에 서 편찬한 대한민국 표준어가 등재 된 국어사전이다 . 국가 기관이라는 위상 덕분에 표준국어 대사


전과 그에 따른 맞춤법 해석·용례가 한국어의 표준어로 사실상 공인 받았다.

- 38 -
配詞典』4), 『新華字典』5) , 『現代漢語詞典』6) 등을 함께 참고해서 진행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해서 다시 "BBC語料庫"7) 사이트에서 서비스로 제공하고 있는 대형
말뭉치 자료를 활용해서 이러한 중국어 대응 표현이 실제 중국의 일상생활에서 사
용되는지를 확인하고 검토하였다.
한국어의 주술 관계 연어는 주어와 서술어로 이루어지는 구성이며 한국어 목술
관계연어는 목적어와 서술어로 이루어지는 구성을 가리킨다. 따라서 의미적 대응
양상 분석을 주술 관계 연어와 목술 관계 연어로 나눠서 고찰해 보고자 한다.
왕춘예(2011) 에 따르면, 신체에 관한 연어와 중국어 대응 표현은 구성 요소의
기본적 의미에 따라 ‘완전일치’, ‘부분일치’, ‘불일치’ 등 셋 가지로 나눌 수 있다.
다음에 한국어 신체 관련 연어를 중국어와 대조하여 ‘완전일치’, ‘부분일치’, ‘불일
치’ 등 셋 가지 유형에 따라 분류를 진행하고자 한다.

1) 완전일치 유형

이제 한국어 신체 관련 연어와 중국어 ‘ 완전일치 유형’의 대응 표현에 대해 살펴


보도록 하다. ‘ 완전일치’ 유형이란, 한국어 신체관련 연어와 중국어 대응 표현의 구
성 방식과 표현 방식이 동일한 것을 가리킨다. 이러한 대응 유형에 놓인 신체관련
연어는 총 194개이다.
우선 한국어 주술 관계 연어와 대응되며 의미적으로 ‘완전일치’ 를 나타내는 중국
어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1) 가슴이 풍망하다 ⇒ 胸部丰满


[ 주] 가슴: 배와 목 사이의 앞부분.
胸部: 自颈至腰部的人体上半部躯干。(목부터 허리까지 신체 상반부)
[ 술] 풍망하다: 몸에 살이 탐스럽게 많다.
丰满: (身体或身体一部分) 胖的均匀好看。( 신체 혹은 신체의 일부분 살이

3) 최초의 현대 중국어 실사 매칭 법칙을 묘사한 참고서이 다. 전체 약 8 ,000여 개의 동사, 형용사, 명사를 선택


하고 주음, 어성, 석 의, 배합 법칙을 부 가한다.
4) 한어대사전출판사에서 출 판되었다. 내용은 전문, 범례, 사목필화 검자표, 사전 본문 등을 포함되어 있다.
5) 중국 최초의 규범적인 국어사전이다. 사전은 규범성, 과학성과 실용성을 주요 특징으로 사 회주의 문화 건설에
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면서 많은 독 자들의 환영을 많이 받았으 며 국내외 모두 매우 높은 명성을 얻었다.
6) 중국 최초 의 현 대 한 어 사 전으로, 최초의 이름은 『伍记小字 典』《오기소사전》 이다. 중 국 성 립 후 출판 된
첫 번째 백화석의, 백화를 예로든 사전. 현재 까지 가장 영향력 있고 권위 있 는 소형 중국어 사전으로 소형 중
국어 국어사 전의 전범으로 꼽힌다.
7) 북경 언어대학의 빅데이터 및 언어교육 언어 연구소가 개발한 BCC의 중국 어 어 료소는 총 글자수 약 150억
자로, 여기에는 신문 20억, 문학 30억, 위에보 30억, 과학 기술 30억, 종합 10억과 고대 중국어 20억 등 많은
분야를 포함 되어 있다.

- 39 -
골고루 쪄서 보기 좋다)

예시(1) 과 같이 한국어 연어 ‘ 가슴이 풍만하다’ 와 중국어 대응 표현인 ‘ 胸部丰满’


은 모두 ‘가슴 부분에 살이 탐스럽게 많다(胸部胖的均匀好看)’라는 의미를 지니고
있다. 또한 ‘가슴’ 과 ‘ 胸部’는 모두 ‘ 배와 목 사이의 앞부분’을 가리키며 ‘ 풍만하다’
와 ‘丰满’ 은 모두 ‘몸에 살이 탐스럽게 많다’ 라는 동일한 상태를 나타내는 형용사이
다. 따라서 이들이 ‘완전일치’ 유형에 속한다.

(2) 다리가 굵다 ⇒ 腿粗
[ 주] 다리: 사람이나 동물의 몸통 아래 붙어 있는 신체의 부분.
腿: 人和动物用来支持躯体和行走的部分。 (사람과 동물은 몸채와 걷는
부분을 지지하는 데 쓴다)
[ 술] 굵다: 물체의 지름이 보통의 경우를 넘어 길다.
粗: 长条东西直径大的。 ( 기다린 물건의 직경이 큰 것이다)

예시(2)와 같이 한국어 연어 ‘ 다리가 굵다’의 중국어 대응 표현인 ‘ 腿粗’는 ‘다리


의 지름이 보통의 경우보다 크다( 腿的直径比一般粗)’ 라는 의미를 지니고 있다. 또한
‘ 다리’와 ‘ 腿’ 는 모두 ‘ 사람이나 동물의 신체 아래의 일부분’을 가리키며 ‘ 굵다’와
‘ 粗’는 모두 ‘물체의 지름이 보통의 경우보다 길다’ 라는 동일한 상태를 나타내는 형
용사이다. 따라서 이들이 ‘완전일치’ 유형에 속한다.

다음으로는 한국어 목술 관계 연어와 대응되는 의미적으로 ‘완전일치’ 에 해당하는


중국어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3) 마음을 놓다 ⇒ 放心
[ 목] 마음: 감정이나 의지, 생각 따위를 느끼거나 일으키는 작용이나 태도.
心: 习惯指至思想的器官和思想情况,感情等。(습관적으로 사상의 기관
과 생각 ,감정을 가리키다.)
[ 술] 놓다: 걱정이나 근심, 긴장 따위를 잊거나 풀어 없애다.
放: 解除约束, 使自由。 (구속을 해제하여 자유롭게 하다)

예시(3) 과 같이 한국어 연어 ‘ 마음을 놓다’ 와 중국어 대응 표현인 ‘放心’ 은 모두


‘ 안심하다(安心)’라는 의미를 지니고 있다. 또한 ‘마음’ 과 ‘心’ 은 모두 ‘ 사람의 생각
과 감정’을 가리키며 ‘ 놓다’와 ‘ 放’은 모두 ‘ 자유롭게 풀어 없애다’라는 동일한 동작

- 40 -
을 나타내는 동사이다. 따라서 이들이 ‘완전일치’ 유형에 속한다.

(4) 입을 열다 ⇒ 张口
[ 목] 입: 음식이나 먹이를 섭취하며, 소리를 내는 기관이다.
口: 人和动物吃东西和发声的器官。(사람과 동물은 음식을 먹고 소리를
내는 기관을)
[술] 열다: 닫히거나 잠긴 것을 트거나 벗기다.
张: 原来闭合的的东西张开,打开。( 월래 닫힌 것을 열리다)

예시(4) 와 같이 한국어 연어 ‘입을 열다’ 의 중국어 대응 표현인 ‘张口’ 는 모두‘닫


힌 입을 트다(闭合的嘴张开)’라는 의미를 나타내며 ‘ 입’ 과 ‘ 头’는 모두 ‘음식이나 먹
이를 섭취하며 소리를 내는 기관’을 가리킨다. 또한 ‘열다’ 와 ‘张’ 은 모두 ‘닫히거나
잠긴 것을 트거나 벗기다’ 라는 동일한 동작을 나타내는 동사이다. 따라서 이들이
‘ 완전일치’ 유형에 속한다.

2) 부분일치 유형

한·중 대응 표현이 의미적으로 드러내는 대응 양상을 검토해 보면, 한·중 신체


관한 대응 표현이더라도 ‘부분일치’ 유형은 두 가지 상황이 존재한다. 하나는 연어
의 구성 요소가 같지만 전체적인 의미가 다른 경우이고 다른 하나는 전체적인 의미
가 같지만 일부 구성 요소의 차이가 있다. 이러한 대응 유형에 놓인 신체관련 연어
는 총 151개이다.
전체적으로 동일한 의미를 나타나지만 구성 요소에서 부분적으로 차이가 존재하
는 ‘부분일치’ 유형을 보다 세부적으로 구분하면 주어(목적어) 의 차이를 보이는 표현
과 서술어의 차이를 보이는 표현 등 하위 유형으로 분류가 가능하며 구체적으로 두
가지 경우로 나누어 볼 수 있다. 다음으로 존재하는 유형은 해당 유형에 따라 구분
하여 각각 그에 해당하는 예시를 살펴보고자 한다.
우선 한국어 연어와 중국어 대응 표현의 구성 요소는 동일하나 전체적인 의미가
다른 경우에 관한 예시를 살펴보도록 하겠다. 이는 한국어 연어의 구성 요소를 유
형대로 따를 경우 그 의미의 차이가 나타나는 경우를 가리킨다.

(5) 마음이 넓다 ⇒ 心胸开阔


[주] 마음: 사람의 생각, 감정, 기억.
心胸: 气量胸怀。 ( 마음속으로 생각하다.)

- 41 -
[술] 넓다: 마음 속에 크고 너그럽다.
开阔: ( 思想, 心胸)宽阔。 ( 생각, 마음 너그럽다.)

한국어 연어 ‘ 마음이 넓다’ 와 중국어 대응 표현인 ‘心胸开阔’ 을 살펴보면, ‘ 마음’


과 ‘ 心胸’은 동일한 의미이며 ‘넓다’ 와 ‘开阔’ 도 동일한 의미이다. 하지만 전체적인
의미를 놓고 살펴보면, ‘마음이 넓다’는 ‘이해심이 많다’를 의미하며 ‘ 心胸开阔’은
‘ 思想坦诚接受能力强(마음이 솔직하고 수용력이 강하다)’ 라는 의미를 지니고 있다.
따라서 구성 요소의 의미는 동일하나 전체적인 의미가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마음이 넓다’ 와 ‘心胸宽阔’ 은 서로 구성 요소의 의미가 동일하나 구성 요소
가 합칠 때의 의미가 달라 ‘ 부분일치’유형의 대응 양상에 속한다.

(6) 혀를 차다 ⇒ 咂舌
[ 목] 혀: 입 안 아래쪽에 있는 길고 둥근 살덩어리
舌: 嘴里辨别滋味, 帮助咀嚼和发音的器官。( 입 속으로 맛을 알아보고 씹
고 발음하는 데 도움을 주는 기관)
[ 술] 차다: 혀끝을 입천장 앞쪽에 붙였다가 떼어 소리를 내다.
咂: 舌头与腭接触发声。 (혀와 입천장이 접촉하여 소리를 내다)

한국어 연어 ‘혀를 차다’와 중국어 대응 표현인 ‘咂舌’ 을 살펴보면, ‘혀’ 와 ‘ 舌’은


모두 ‘ 입 안에 아래쪽 살덩어리’ 라는 의미이며 ‘차다’ 와 ‘ 咂’은 모두 ‘ 혀끝을 입천
장 앞쪽에 붙였다가 떼어 소리를 내다’라는 동사이다. 하지만 전체적인 의미에서 살
펴보면, ‘혀를 차다’는 ‘ 마음이 언짢거나 유감의 뜻을 나타내다’라는 의미를 품고 있
으며 ‘咂舌’ 은 ‘ 表示称赞或羡慕(칭찬 혹은 부러움을 표하다)’라는 의미를 담고 있다.
즉 두 표현이 전혀 다른 의미를 지니고 있기 때문에 ‘마음이 넓다’와 ‘ 咂舌’은 서로
구성 요소가 동일하나 의미가 다른 ‘ 부분일치’유형의 대응 양상에 속한다.

다음으로 전체적인 의미를 동일하게 나타내고 있으나 그 중 어느 하나의 구성 요


소가 다른 어휘로 사용되는 경우도 주어( 목적어)와 서술어의 차이에 따라 두 가지
로 나눠 ‘부분일치’ 유형에 속하다.
첫째, 한국어 연어 표현에는 체언의 차이에 따라 한국어 연어와 중국어 대응 표현
의 차이를 일으키는 부분을 살펴보고자 한다. 그 중에서도 두 가지 유형이 존재하
는데 첫째, 구성 요소에서 주어( 목적어)에 대응하는 중국어의 요소는 다른 의미로
나타난다. 둘째, 한국어 연어 표현에서 체언을 생략하고 용언만 유지할 경우 나타나
는 중국어 대응 표현이다.

- 42 -
① 한국어 연어의 구성 요소 중 주어( 목적어) ‘A’의 형태에만 변화가 발생해 중
국어 대응 표현이 ‘A’ 인 형태로 변화가 나타나는 경우이다. 다시 말해, 한국어의 신
체관련 연어의 구성 요소 중 ‘신체부위’ 의 형태 변화가 일어나는 ‘ 부분일치’ 유형에
속한다고 할 수 있다.

(7) 어깨가 무겁다 ⇒ 担子重


[ 주] 어깨: 사람의 몸에서, 목의 아래 끝에서 팔의 위 끝에 이르는 부분이다.
担子: 扁担和挂在两头的东西。 ( 멜대와 양 끝에 달린 물건)
[ 술] 무겁다: 무게가 나가는 정도가 크다.
重: 分量较大。 (분량이 비교적 크다)

한국어 연어 ‘ 어깨가 무겁다’ 의 중국어 대응 표현 ‘担子重’ 는 ‘무거운 책임을 져서


마음에 부담이 크다( 担负的责任重)’ 라는 의미를 지니고 있다. ‘ 무겁다’와 ‘重’ 은 ‘무
게가 비교적으로 크다’는 물건의 형태를 의미를 지니고 있는 형용사지만 ‘ 어깨’는
사람의 신체 일부분을 가리키는 것이며 ‘担子’ 는 ‘멜대와 양 끝에 달린 물건’이라는
의미를 가리킨다. 따라서 모두 ‘ 무겁다’라는 의미를 표현하는데 이 형용사와 연관되
는 대상의 차이가 발생하는 것이다. 따라서 ‘ 어깨가 무겁다’ 와 ‘担子重’ 은 ‘부분일
치’ 유형에 속한다.

(8) 고개를 흔들다 ⇒ 摇头


[ 목] 고개: 목의 뒷등이 되는 부분.
头: 人身体的最上部分或动物身体的最前部分。( 사람 몸의 가장 윗부
분 또는 동물 신체 맨 앞부분)
[ 술] 끄덕이다:고개 따위를 아래위로 가볍게 움직이다.
摇: 摆动。 (흔들다, 흔들거리다, 일렁거리다)

한국어 연어 ‘ 고개를 흔들다’ 의 중국어 대응 표현 ‘摇头’ 는 ‘( 사람이) 어떤 사실을


부정하거나 거절하다(表示否定或者拒绝)’라는 의미를 지니고 있다. ‘ 흔들다’와 ‘ 摇’
는 ‘ 아래위로 가볍게 움직이다’라는 물건의 동작을 의미를 나타내고 있는 동사지만
‘ 고개’와 ‘ 头’는 사람의 신체 일부분을 뜻하는 것으로 위치가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비록 모두 ‘ 흔들다’라는 동작을 표현하고 있으나 이 동사와 연관되는 신체의
위치 차이가 발생하는 것이다. 따라서 ‘ 고개를 흔들다’와 ‘摇头’ 는 ‘ 부분일치’ 유형
에 속한다.

- 43 -
② 한국어 연어 표현에서 주어(목적어) 를 생략하고 용언만 유지하는 경우 중국어
대응 표현이 보다 자연스러운 경우에 해당할 수 있다.

(9) 가슴이 벅차다 ⇒ 心潮澎湃


[ 주] 가슴: 배와 목 사이의 앞부분.
[ 술] 벅차다: 감격, 기쁨, 희망 따위가 넘칠 듯이 가득하다.

한국어 연어 ‘ 가슴이 벅차다’ 의 중국어 대응 표현 ‘心潮澎湃’ 는 모두 ‘ 마음이 몹시


흥분되어 있다( 心情十分激动)’ 라는 의미를 지니고 있다. 대응하는 서술어인 ‘벅차
다’ 와 ‘心潮澎湃’ 는 모두 ‘ 기쁨, 흥분되다’ 라는 의미를 지니고 있으나 주어인 ‘ 가슴’
은 중국어에 대응하는 요소가 없다. 즉, 한국어 연어 표현 중 주어( 목적어)와 서술
어가 중국어 대응 쌍의 구성 요소들 중 어느 하나만 의미를 나타내는 연어의 경우
‘ 부분일치’ 유형에 속한다.

(10) 머리를 식히다 ⇒ 冷静


[ 목] 머리: 사람이나 동물의 목 위의 부분.
[ 술] 식히다: 열의나 생각 따위를 줄이거나 가라앉히다.

한국어 연어 ‘ 머리를 식히다’의 중국어 대응 표현 ‘ 冷静’는 모두 ‘ 긴장을 풀고 마


음을 편안하게 하다( 平心静气,不感情用事)’ 라는 의미를 지니고 있다. 대응 쌍의 서
술어인 ‘식히다’ 와 ‘ 冷静’은 ‘어떤 일에 대한 열의나 생각 따위를 줄이거나 가라앉히
다’ 라는 의미를 지니고 있으나 주어인 ‘머리’ 는 중국어에 대응하는 요소가 없다. 즉,
한국어 연어 표현 중 주어(목적어) 와 서술어가 중국어 대응 표현에는 구성 요소들
중 어느 하나만 의미를 나타나는 연어의 경우 ‘ 부분일치’ 유형에 속한다.

둘째, 한국어 연어 표현에는 용언 차이에 따라 한국어 연어와 중국어 대응 표현


차이를 일으키는 것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는 한국어 연어와 중국어의 대응 구성
요소 중 신체부위에 대한 의미는 변하지 않고 기타 구성 요소에 형태적 변화가 일
어나는 대응 유형이다.

(11) 눈이 멀다 ⇒ 眼瞎
[ 주] 눈: 빛의 자극을 받아 물체를 볼 수 있는 감각 기관.
眼: 人和动物的视觉器官。 ( 사람과 동물의 시각 기관)
[ 술] 멀다: 시력이나 청력 따위를 잃다.

- 44 -
瞎: 眼睛看不见东西。 ( 눈에 물건이 보이자 않는다)

‘눈이 멀다’와 ‘眼瞎’ 은 모두 ‘시력을 잃다(眼睛失明)’ 라는 의미를 지니고 있다.


연어에서 주어 ‘귀’ 와 ‘耳’ 는 ‘ 사람과 동물의 시각 기관’이라는 동일한 의미를 지니
고 있으며 서술어 ‘ 멀다’와 ‘瞎’ 도 ‘ 시력을 잃다’ 라는 의미를 지니고 있다. 즉 연어
의 구성 요소는 동일하나 여기에서 서술어 ‘ 멀다’는 반드시 주어 ‘ 눈’과 결합할 때
만 ‘시력을 잃다’ 라는 의미를 지니게 되는 것이다. 반면 ‘ 瞎’은 그 자체적으로 ‘시력
을 잃다’라는 의미가 포함되어 있다. 즉 주어 ‘ 眼’이 없어도 ‘瞎’ 자체가 독립적인
사용이 가능해 주어 ‘눈’ 과 ‘眼’ 이 동일한 의미이나 서술어에서 ‘멀다’ 와 ‘ 瞎’이라는
차이점이 존재하고 있다. 따라서 ‘ 부분일치’ 유형 속에 포함된다.

(12) 머리를 감다 ⇒ 洗头
[ 목] 머리: 사람이나 동물의 목 위의 부분.
头: 人身体的最上部分或动物身体的最前部分。 (사람 몸의 가장 윗부분
또는 동물 신체 맨 앞부분)
[ 술] 감다: 머리나 몸을 물로 씻다.
洗: 用水去掉污垢。 ( 물로 때를 빼다)

‘머리를 감다’ 의 중국어 대응 표현인 ‘洗头’ 는 모두 ‘머리를 물로 씻다(用水洗头)’


라는 의미를 지니고 있다. ‘머리’ 는 중국어에서 ‘ 头’ 로 대응이 가능하며 ‘ 감다’와
‘ 洗’는 모두 ‘물로 씻다’라는 의미를 담고 있다. 그러나 ‘씻다’ 와 같은 뜻을 가지고
있지만 ‘머리’ 가 앞에 목적어로 올 경우, ‘씻다’ 로 바꿔 사용할 수 있지만 ‘ 감다’ 더
많이 사용한다. 김진해(2000) 에 따르면 선택어란 연어 구성에서 다른 구성 요소를
선택하고 요구하는 지배적 어휘이고, 피선택어는 선택어에 의하여 결합이 요구되는
어휘다. 이에 따라 ‘감다’ 가 선택어이며, ‘머리’ 는 피선택어에 해당한다. 중국어 화자
가 일반적으로 다양한 목적어와 결합할 수 있는 동사 ‘ 씻다’를 먼저 배우고 중국어
에서도 ‘ 머리를 씻다’라는 연어에 영향을 받아서 ‘ 감다’가 아니고 ‘ 씻다’의 동사를
먼저 선택할 것이다. ‘씻다’ 와 ‘감다’ 의 뜻풀이가 같지만 중국어 화자의 선택에 있어
서 차이점이 다르다. 그래서 ‘ 부분일치’ 유형에 해당하다.

3) 불일치 유형

한·중 ‘ 불일치’ 유형의 대응이란 한·중 표현의 전체 의미는 같으나 구절을 구성


하는 모든 요소가 완전히 상이하게 나타나는 대응 유형이다. 즉, 한국어 연어 표현

- 45 -
중 주어(목적어) 와 서술어는 중국어 대응 표현으로 옮길 때 구성 요소들이 전혀 다
른 어휘로 나타난 것을 말한다. 구체적으로는 두 가지 하위 유형으로 나누어 살펴
볼 수 있다. 그 중 하나는 완전히 상이한 어휘 형태로 대응시키는 유형이고, 또 하
나는 구성 요소의 형태가 전혀 다른 유형이다. 이러한 대응 유형에 놓인 신체관련
연어는 총 40개이다.
우선 구성 요소의 형태가 전혀 다른 유형이다. 즉 연어의 주어나 목적어 및 서술
어의 대응 요소가 모두 다른 의미를 지니고 있다.

(13) 얼굴이 질리다 ⇒ 失色


[주] 얼굴: 눈, 코, 입이 있는 머리의 앞면.
色: 脸上表现出的神气, 样子。 (얼굴에 나타난 기색과 모습)
[술] 질리다: 몹시 놀라거나 무서워 얼굴빛이 변하다.
失: 改变常态。 (정성 상태를 바꾸다)

한국어 연어 ‘ 얼굴이 질리다’ 의 중국어 대응 표현 ‘失色’ 은 ‘ 몹시 놀라거나 겁에


질려 얼굴에 핏기가 없다(因受惊或害怕脸色变得苍白)’라는 뜻을 지니고 있으며 ‘얼
굴’ 과 ‘色’(안색) 이 대응하고 ‘질리다’ 는 ‘失’(정성 상태를 바꾸다) 과 대응한다. 즉
얼굴이 질리다’ 의 중국어 대응 표현인 ‘失色’ 은 모두 동일한 의미를 지니고 있으나
각기 대응 요소의 의미가 전혀 달라 ‘불일치’ 유형에 속한다.

(14) 손가락을 빨다 ⇒ 看热闹


[ 목] 손가락: 손끝의 다섯 개로 갈라진 부분.
热闹: 人多欢腾的情景。 (사람이 많아 기뻐 날뛰는 광경.)
[ 술] 빨다: 입 안에 넣고 녹이거나 혀로 핥다.
看: 使视线接触人或物。 (시선이 사람이나 사물에 닿게 하다.)

‘손가락을 빨대’의 중국어 대응 표현인 ‘看热闹’ 는 ‘(사람이) 옆에서 구경만 하다


( 观看热闹的景象)’ 라는 뜻이며, 중국어 표현에서의 ‘手指’ 는 즉 ‘손가락’ 과 ‘ 热闹’의
의미가 전혀 다를 뿐만 아니라 서술어인 ‘ 빨다’와 ‘ 看 ( 시선이 사람이나 사물에 닿
게 하다)’ 역시 그 의미가 전혀 다르다. 따라서 ‘ 看热闹’는 ‘손가락을 빨다’ 와 의미
적으로 동일하나 한국어 연어의 구성 요소와 전혀 동일하지 않는 전혀 다른 형태를
지니고 있어 ‘불일치’ 유형에 속한다.

다음은 전혀 다른 한 어휘 형태로 대응되는 유형이다.

- 46 -
(15) 눈이 어둡다 ⇒ 利欲熏心
[ 주] 눈: 빛의 자극을 받아 물체를 볼 수 있는 감각 기관.
[ 술] 어둡다: 잘 보이지 아니다.

한국어 연어 ‘ 눈이 어둡다’ 를 주술 관계의 중국어로 번역할 경우 ‘ 利欲熏心’라는


사자성어로 가능하다. ‘ 눈이 어둡다’라는 뜻은 ‘ 욕심이 나거나 정신이 팔려 판단력
이 흐리다(贪财图利的欲望迷住了心窍)’라는 의미를 뜻하며 중국어 ‘ 利欲熏心’로 번
역해야 한다. 이 경우 의미는 동일하나 대응되는 요소는 다르게 나타난다. ‘利欲熏
心’ 는 중국어 사자성어로서 전제적으로 볼 필요가 있기 때문에 ‘눈이 어둡다’ 에서
눈은 빛의 자극을 받아 물체를 볼 수 있는 감각 기관을 가리키고 ‘ 어둡다’는 잘 보
이지 않는 다라는 대응쌍을 찾을 수 없기 때문에 ‘불일치’ 유형에 속한다.

(16) 마음을 먹다 ⇒ 决心
[ 목] 마음: 사람이 어떤 일에 대하여 가지는 관심.
[ 술] 먹다: 감정을 품다.

‘마음을 먹다’ 의 중국어 대응 표현인 ‘ 决心’은 ‘ 무엇을 하겠다는 생각을 하다(~完


成任务)’라는 뜻을 나타내며 중국어 표현에서의 ‘心’ 즉, ‘마음’ 과 의미가 전혀 다르
다. 따라서 决心’ 은 ‘마음을 먹다’ 와 의미적으로 동일하나 한국어 연어의 구성 요소
와 전혀 일치하지 않는 완전히 다른 형태를 지닌다.

한⦁중 ‘완전일치’ 유형에 속하는 연어의 경우 전체적인 의미와 대응하는 어휘소


가 동일해 비교적 습득하기 쉬운 편이었다. ‘부분일치’ 유형과 ‘불일치’ 유형에 속하는
연어의 경우 연어의 형태가 아닌 그 의미 그대로 중국어로 번역된 표현과 해석이
어려운 경우가 있다는 것을 볼 수 있었다. 따라서 2차 분류의 경우 의미적 대응 표
현은 ‘ 완전일치’, ‘ 부분일치’, ‘불일치’ 등과 같은 유형으로 구분하고 등급 유지, 1급
상승, 2급상승 등으로 등급의 변화를 진행했다. 구제적인 예시는 다음 <표 15> 와
같다.

< 표 15> 2차적 신체관련 연어 등급화 예시


주어/목적어 1차적 의미적
연어 서술어(등급) 2차적 등급
( 등급) 등급 대응 양상
눈이 푸르다 눈(1급) 푸르다(2급) 2급 완전일치 2급
눈을 흘기다 눈(1급) 흘기다(6급) 6급 부분일치 6급

- 47 -
눈이 어둡다 눈(1급) 어둡다(2급) 2급 불일치 4급
머리가 아프다 머리(1급) 아프다(1급) 1급 완전일치 1급
머리가 비다 머리(1급) 비다(2급) 2급 부분일치 3급
머리가 굵다 머리(1급) 굵다(2급) 2급 불일치 4급
얼굴이 뜨겁다 얼굴(1급) 뜨겁다(1급) 1급 완전일치 1급
얼굴이 그립다 얼굴(1급) 그립다(2급) 2급 부분일치 3급
얼굴이 피다 얼굴(1급) 피다(2급) 2급 불일치 4급
코가 막히다 코(1급) 막히다(2급) 2급 완전일치 2급
코가 높다 코(1급) 높다(1급) 1급 부분일치 2급
코를 골다 코(1급) 골다(4급) 4급 불일치 6급

3.4.2. 사용 빈도 분석

<21세기 세종계획> 에 수록된 현대 문어 중 형태 분석 말뭉치를 토대로 선정된


연어핵을 입력하면 입력한 연어핵이 포함된 어절의 좌우 4어절이 용례로 등장한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21세기 세종계획> 을 기반으로 진행한 형태 분석 말뭉치는 모
두 10,066,703 어절로 어루어져 있어 선정된 신체관련 연어 목록은 총 385개이며
<21세기 세종계획>에 이를 모두 입력한 빈도수는 총 11,418회임에 따라 평균 빈
도수는 29.65회로 나타났다. 하지만 해당 연어가 말뭉치에 출현하지 않는 경우도
있는 반면에 ‘ 귀를 기울이다’가 299회로 가장 많은 빈도수를 보였다. 따라서 3단계
에는 연어 등급화를 실시하기 위해서 <21세기 세종계획>형태 분석 말뭉치에서 출
현 빈도가 20이상인 연어의 경우 등급을 그대로 남기고, 20미만인 연어의 경우에
는 다음 등급으로 등급을 조정했으며 구제적인 예시는 다음 <표 16>과 같다.

< 표 16> 3차적 신체관련 연어 등급화 예시


주어/목적어 2차적
연어 서술어( 등급) 출현 빈도 3차적 등급
(등급) 등급
가슴이 넓다 가슴(2금) 넓다(1급) 3급 3 4급
가슴이 내려앉다 가슴(2금) 내려앉다(4급) 5급 30 5급
가슴이 뜨끔하다 가슴(2금) 뜨끔하다(5급) 5급 15 6급
다리가 굵다 다리(1급) 굵다(2급) 2급 1 3급
다리가 부러지다 다리(1급) 부러지다(3급) 3급 60 3급
다리를 뻗다 다리(1급) 뻗다(4급) 4급 0 5급
몸이 쑤시다 몸(1급) 쑤시다(4급) 4급 8 5급
몸을 가리다 몸(1급) 가리다(3급) 3급 19 4급
몸을 일으키다 몸(1급) 일으키다(4급) 4급 241 4급
어깨가 아프다 어깨(2급) 아프다(1급) 2급 21 2급

- 48 -
어깨를 떠밀다 어깨(2급) 떠밀다(5급) 5급 2 6급
어깨를 떨다 어깨(2급) 떨다(3급) 3급 9 4급

 상기 표에 제시된 예시와 같이, 1차적으로 등급화된 연어는 출현 빈도가 20이상


인 경우 그대로 유지하고 20미안인 경우에는 다음 단계로 조정하였다. 예를 들어,
2차적 연어 등급으로는 초급으로 판정하지만 빈도가 낮을 경우, 초급 학습자에게
교육 시 학습자에게 부담을 줄 수 있다.

3.4.3. 신체관련 연어 등급화 결과

앞서 언급했던 3차례에 걸쳐 추출된 신체관연 연어는 다음과 같이 등급화 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선정한 신체관련 연어 목록은 총 385개로 초급 연어 102개, 중
급 연어 191개, 고급 연어는 92개이다.

< 표 17> 초급 단계 신체관련 연어


신체부위 연어 개수
가슴 가슴이 아프다 1
눈이 있다, 눈이 크다, 눈이 예쁘다, 눈이 작다, 눈이 아프다,
눈 8
눈이 나쁘다, 눈을 뜨다, 눈을 들다
다리가 가늘다, 다리가 아프다, 다리가 짧다, 다리를 다치다,
다리 5
다리를 움직이다
마음이 좋다, 마음이 따뜻하다, 마음이 기쁘다, 마음이 무겁다,
마음이 생기다, 마음이 급하다, 마음이 바쁘다, 마음이 없다,
마음 마음이 있다, 마음이 고맙다, 마음이 아프다, 마음이 시원하다, 20
마음을 알다, 마음을 모르다, 마음을 주다, 마음을 다치다, 마
음을 쓰다, 마음을 움직이다, 마음을 놓다, 마음을 가지다
머리가 똑똑하다, 머리가 크다, 머리가 작다, 머리가 길다, 머
머리 리가 아프다, 머리를 흔들다, 머리를 자르다, 머리를 쓰다, 머 11
리를 하다, 머리를 들다, 머리를 치다
목 목이 짧다, 목이 아프다, 목이 마르다 3
몸이 튼튼하다, 몸이 건강하다, 몸이 아프다, 몸이 약하다, 몸
이 차갑다, 몸이 무겁다, 몸이 좋다, 몸이 피곤하다, 몸이 가볍
몸 17
다, 몸이 마르다, 몸이 불편하다, 몸이 뜨겁다, 몸이 크다, 몸을
움직이다, 몸을 다치다, 몸을 돌리다, 몸을 씻다
무릎 무릎을 다치다 1
발 발이 크다, 발이 작다, 발이 아프다, 발을 씻다 4

- 49 -
배 배가 고프다, 배가 부르다, 배가 나오다, 배가 아프다 4
손이 크다, 손이 아프다, 손이 차갑다, 손을 들다, 손을 다치다,
손 9
손을 잡다, 손을 흔들다, 손을 쓰다, 손을 씻다
손가락이 아프다, 손가락을 쓰다, 손가락을 사용하다, 손가락을
손가락 4
움직이다
어깨 어깨가 아프다 1
얼굴이 좋다, 얼굴이 작다, 얼굴이 예쁘다, 얼굴이 뜨겁다, 얼
얼굴 7
굴이 하얗다, 얼굴을 쳐다보다, 얼굴을 보다
이 이가 아프다 1
이마 이마를 다치다 1
입 입을 열다 1
코 코를 만지다 1
팔 팔을 흔들다, 팔을 다치다 2
허리 허리가 아프다 1
총 102

< 표 18> 중급 단계 신체관련 연어


신체부위 연어 개수
가슴이 넓다, 가슴이 뛰다, 가슴이 막히다, 가슴을 펴다, 가슴을
가슴 6
쥐어뜯다, 가슴을 치다
고개 고개를 들다, 고개를 숙이다, 고개를 끄덕이다 3
근육 근육이 풀리다 1
귀 귀가 어둡다, 귀가 밝다 2
눈이 푸르다, 눈이 붓다, 눈이 가볍다, 눈이 무겁다, 눈이 밝다,
눈이 맑다, 눈이 높다, 눈이 무섭다, 눈이 돌다, 눈이 가다, 눈
눈 이 어둡다, 눈을 붙이다, 눈을 감다, 눈을 반짝거리다, 눈을 깜 22
박하다, 눈을 비비다, 눈을 주다, 눈을 의심하다, 눈을 피하다,
눈을 깜박이다, 눈을 가리다, 눈을 돌리다
다리가 부러지다, 다리가 굵다, 다리를 안다, 다리를 펴다, 다리
다리 5
를 떨다
마음이 사라지다, 마음이 가볍다, 마음이 불편하다, 마음이 가
볍다, 마음이 답답하다, 마음이 불안하다, 마음이 통하다, 마음
이 편하다, 마음이 풀리다, 마음이 가다, 마음이 강하다, 마음이
마음 담기다, 마음이 편안하다, 마음이 놓이다, 마음이 가난하다, 마 33
음이 건강하다, 마음이 복잡하다, 마음이 맑다, 마음이 바뀌다,
마음이 바쁘다, 마음을 잡다, 마음을 전하다, 마음을 열다, 마음
을 풀다, 마음을 사다, 마음을 표현하다, 마음을 붙이다, 마음을

- 50 -
버리다, 마음을 담다, 마음을 정하다, 마음을 이해하다, 마음을
먹다, 마음을 끌다
머리가 복잡하다, 머리가 나쁘다, 머리가 어지럽다, 머리가 비
다, 머리가 좋다, 머리가 짧다, 머리가 돌다, 머리가 검다, 머리
가 돌아가다, 머리가 굵다, 머리가 무겁다, 머리를 내밀다, 머리
머리 를 가로젓다, 머리를 풀다, 머리를 세우다, 머리를 때리다, 머리 28
를 말리다, 머리를 파마하다, 머리를 만지다, 머리를 묶다, 머리
를 숙이다, 머리를 식히다, 머리를 젓다, 머리를 감다, 머리를
깎다, 머리를 빗다, 머리를 기르다, 머리를 염색하다
머리카락 머리카락이 굵다, 머리카락이 빠지다, 머리카락을 빼다 3
목이 굵다, 목이 터지다, 목이 타다, 목이 길다, 목이 붓다, 목
목 7
을 빼다, 목을 매다
몸이 떨리다, 몸이 나빠지다, 몸이 허약하다, 몸을 떨다, 몸을
몸 닦다, 몸을 가리다, 몸을 담그다, 몸을 던지다, 몸을 일으키다, 11
몸을 회복하다, 몸을 두다
무릎 무릎을 치다, 무릎을 안다 2
발 발을 담그다 1
배 배를 잡다 1
살 살이 붙다, 살이 찌다, 살이 빠지다, 살이 오르다, 살을 빼다 5
손이 없다, 손이 있다, 손이 곱다, 손이 떨리다, 손이 작다, 손
손 9
이 가다, 손을 쉬다, 손을 놓다, 손을 닦다
손가락 손가락이 붓다, 손가락을 펴다 2
어깨가 넓다, 어깨가 늘어나다, 어깨가 무겁다, 어깨를 펴다, 어
어깨 6
깨를 떨다, 어깨를 치다
얼굴이 잘생기다, 얼굴이 붓다, 얼굴이 풀리다, 얼굴이 어둡다,
얼굴이 갸름하다, 얼굴이 타다, 얼굴이 피다, 얼굴이 그립다, 얼
얼굴 굴이 곱다, 얼굴이 둥글다, 얼굴이 밝다, 얼굴이 붉어지다, 얼굴 19
이 빨개지다, 얼굴을 들다, 얼굴을 풀다, 얼굴을 가리다, 얼굴을
향하다, 얼굴을 내밀다, 얼굴을 익히다
이 이가 썩다, 이가 빠지다, 이를 뽑다, 이를 닦다 4
이마 이마가 넓다 1
입이 무겁다, 입이 짧다, 입이 벌어지다, 입이 가볍다, 입을 가
입 7
리다, 입을 벌리다, 입을 내밀다
코 코가 낮다, 코가 높다, 코가 막히다, 코를 찌르다, 코를 풀다 5
팔 팔을 뻗다 1

- 51 -
허리가 약하다, 허리가 가늘다, 허리가 굵다, 허리를 구부리다,
허리 6
허리를 펴다, 허리를 굽히다
혀 혀를 차다 1
총 191

< 표 19> 고급 단계 신체관련 연어


신체부위 연어 개수
가슴이 내려앉다, 가슴이 두근거리다, 가슴이 풍만하다, 가슴이
뜨끔하다, 가슴이 서늘하다, 가슴이 뭉클하다, 가슴이 벅차다,
가슴 12
가슴이 저리다, 가슴이 설레다, 가슴이 뿌듯하다, 가슴을 울리
다, 가슴을 졸이다
고개 고개를 숙이다, 고개를 끄덕이다, 고개를 젖히다 3
근육 근육을 강회시키다 1
귀 귀가 뜨이다, 귀가 솔깃하다, 귀를 기울이다 3
눈이 부시다, 눈이 마주치다, 눈이 충혈되다, 눈이 멀다, 눈을
눈 6
떼다, 눈을 흘기다, 눈이 시리다
다리 다리를 뻗다, 다리를 꼬다 2
마음이 간절하다, 마음이 내키다, 마음이 쓰이다, 마음이 상쾌
하다, 마음이 가라앉다, 마음이 차분하다, 마음이 곱다, 마음이
마음 순수하다, 마음을 홀가분하다, 마음을 가라앉히다, 마음을 졸이 15
다, 마음을 진정하다, 마음을 다잡다, 마음을 사로잡다, 마음을
비우다
머리가 벗겨지다, 머리가 빠지다, 머리가 세다, 머리가 맑아지
머리 다, 머리를 싸매다, 머리를 끄덕이다, 머리를 긁다, 머리를 굴리 10
다, 머리를 헹구다, 머리를 손질하다
머리카락 머리카락이 끼다 1
목 목이 쉬다, 목이 메다 2
몸이 쑤시다, 몸이 달다, 몸이 나른하다, 몸을 가꾸다, 몸을 담
몸 7
다, 몸을 사리다, 몸을 가누다
무릎 무릎을 꿇다, 무릎을 베다 2
배 배가 거북하다, 배를 곯리다 2
손 손이 트다, 손을 내밀다, 손을 베이다, 손을 대다 4
손뼉 손뼉을 치다 1
손가락 손가락을 빨다, 손가락을 꼽다 2
어깨 어깨가 처지다, 어깨를 떠밀다 2
얼굴이 화끈거리다, 얼굴이 창백해지다, 얼굴이 질리다, 얼굴을
얼굴 6
붉히다, 얼굴을 찡그리다, 얼굴을 찌푸리다
이 이를 교정하다 1

- 52 -
입 입을 다물다 1
코가 납작하다, 코가 오뚝하다, 코를 박다, 코를 벌름거리다, 코
코 5
를 골다
팔 팔을 걷어붙이다 1
허리 허리를 숙이다 1
혀 혀를 내두르다 1
총 92

3.5. 신체관련 연어 사용 현황 조사

본 연구에서는 한국어를 학습하는 중국인 학습자들의 신체관련 연어에 대한 사용


현황을 파악하기 위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2021년 5월 15일~5월 19일 사이
에 조사를 진행하였으며 한국 현지에서 한국어 교육을 받은 경험을 지닌 168명의
중국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진행되었으며 성별은 여성과 남성이 각각 118명, 50명
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 중 연령대 분포를 살펴보면, 20대 이상 학습자가 약
71.43%, 20미만 학습자는 약 15.48%를 차지하고 있으며, 한국어능력시험 자격증
을 지니지 않은 학습자는 9명, 나머지는 초급 25명, 중급 60명, 고급 74명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한국어 교육 기관에서 진행하는 정규 교육 과정에서 한국어를
학습하고 있는 학습자 25명, 한국 대학에서 학습을 진행하고 있는 학습자 80명, 한
국 대학 졸업자 15명, 한국 대학원 재학생 34명, 한국 대학원 졸업자 14명 등과
같이 구성된 대상에 대한 설문 조사를 통해 연구를 실시하였다.
 168명의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신체관련 연어의 사용 빈도는 추출된 연
어 목록 중 ‘ 가슴, 고개, 귀, 눈, 다리, 마음, 머리, 목, 몸, 배, 손, 어깨, 얼굴, 입,
코, 허리’등 총 116개를 대상으로 조사가 진행되었으며, 이렇게 선정한 이유는 바
로 선정된 연어의 수량이 많아 모두 다루지 못해 난이도와 빈도를 고려한 것이다.
학습자들이 평소 이와 관련된 연어를 사용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진행하였다. 선
정한 연어의 사용 빈도는 다음 < 표 20> 과 같다.

< 표 20> 신체관련 연어 사용 빈도 조사 결과


사용 빈도 연어 개수
10%미만 6
10%-20% 15
20%-30% 2
30%-40% 4
40%-50% 2

- 53 -
50%-60% 14
60%-70% 14
70%-80% 22
80%-90% 31
90%이상 6

설문조사 결과를 살펴보면, 선정된 신체관련 연어 116개 중 86개는 자주 사용했


으며(50%이상) 자주 사용하지 않는(50%이하) 연어는 30개로 나타났다. 이를 통
해 선정된 연어 목록이 학습자들의 생활에서 매우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음을 예
측할 수 있다.

- 54 -
4. 신체에 관한 연어를 중심으로 교육 방안 연구

4.1.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신체관련 연어 교육 방안 모형 설계

선행연구에 따라 학자들은 대표적인 언급했던 언어 교육 모형 PPP(presentation


– practice - product) 수업 모형과 TTT (task-teach-task) 수업 모형 등이 있
다.
PPP모형8)은 전통적 언어 교수 방법으로 제시(Presentation) - 연습(Practice)
- 발화(Production) 로 절차적으로 구성되어 있다. 우선 한국어 학습자들에게 학습
할 수업 내용을 해당 시간에 제시할 필요가 있다. 구체적인 제시의 방법은 학습의
내용과 교사가 선택한 교수의 방법에 따라 다르다. 그 다음은 제시된 교수 내용을
한국어 학습자들이 정확하게 이해하고 습득할 수 있게금 교사와 더불어 함께 연습
해 보는 단계이다. 연습 단계의 방법도 기계적 문형 연습 (mechanical drill)과 문
장의 의미를 파악하는 유의미 맥락 연습(meaningful drill)이 있다. 이어서 학생들
이 연습한 것을 기반으로 학생들이 자발적으로 발화하고 연습해 보도록 하는 단계
로 의사소통 연습의 단계(communicative drill)라고 한다. 의사소통 연습의 단계는
교사가 주도하는 통제가 많느냐 적느냐에 따라 통제적 연습과 자유적 연습으로 나
뉜다. 의사소통 연습의 단계에서는 보통 학생들이 자신의 말을 발화해 보도록 한다
는 것이 좋다.
박정아(2012) 는 Byrne(1986), Harmer(1996) 등의 학사 연구에 대한 분석을
진행하고 PPP 수업 모형의 절차를 다음과 정리하였다.

< 표 21> PPP 수업 모형의 절차


⦁ 교사가 맥락과 상황을 전제하여 언어 항목을 제시한다.
제시 단계
⦁ 교사가 제시한 문장 유형을 몸으로 실연하거나 교과서 읽기
(presentation)
혹은 테이프 속의 짧은 대화로 나타날 수 있다.
⦁ 학생들이 목표 문장 혹은 대화를 전체적으로 연습하거나 짝
연습 단계 과 함께 반복적으로 연습한다.
(practice) ⦁ 문장 부분 맞추기, 문형 연습, 대화 완성하기, 문장 연결하기
와 같은 연습을 한다.

8) 1869년 Byrne 는 연구되었다.

- 55 -
⦁ 연습 활동을 통하여 배웠던 어휘, 문장을 능숙하게 활용한
생산 단계 다.
(Production) ⦁ 역할극이나 모의(simulation) 활동 같은 의사소통 활동 등을
진행한다.

TTT(task-teach-task)) 모형9)은 과제1-교육-과제2 단계로 구성되어 있다.


TTT 모형에서는 먼저 학습자들이 교사가 주어진 의사소통 과제를 수행하게 되는
데, 이때 학습자의 언어 사용에는 오류가 나타나거나 불완전한 형태로 과제를 완성
하는 양상을 보일 수 있다. 즉, TTT 모형에서는 학습이 진행되기 전에 먼저 과제
가 주어지는 셈인데, 이는 김정숙(2008)에서 제시한 것처럼 이 모형이 학습자들이
언어 수행 능력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전제로 하고 목표 언어를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금 강화하려는 시도에 출발하기 때문이다. 첫 번째 과제 수행한 뒤
에 학습자의 의사소통 능력이 향상되도록 교사에 의한 지도가 이루어진다. 이 교육
의 단계에서는 명시적인 문법 설명과 형태적인 연습이 함께 진행될 수 있고 교육
내용인 목표 문법 항목은 사전에 미리 예습하고 준비될 수도 있고 학습자의 오류로
부터 선정되고 도출될 수도 있다. 이러한 교육 과정이 진행된 후에는 '첫 번째 과제
다시 수행하기' 혹은 '유사한 과제 새로 수행해 보기'의 절차를 진행함으로써 학습
자들이 전보다 의미를 완전하고 효과적으로 전달하게 된다.

< 표 22> TTT 수업 모형의 절차 ( 이준호, 2010)


과제 1 단계
언어적으로 불완전한 의사소통 과제 수행
(Task 1)
교육 단계
오류 수정 중심의 문법 교육
(Teach)
과제 2 단계
완전한 형태의 과제 재수행 혹은 새로운 과제 수행
(Task 2)

< 표21> 과 <표22>를 통해 PPP 교수 방법론과 TTT 교수 방법론을 비교해 보면,


PPP 모형은 언어의 정확성 및 형태 학습에 관심을 가진다면, TTT 모형은 이와 다
르게 유창성 및 언어 사용에 더 집중한다. 의사소통 활동에 중점을 두는 외국어 교
수⦁학습 현장에서는 학습자들이 의사를 전달하기 위해서 자신들이 가지고 있는 언
어적 자원을 동원하도록 한다. 이와 동시에 교사는 이러한 의미의 전달을 관찰하고
지켜보며 학생들의 언어 사용이 잘 이루어지도록 지도한다. TTT 모형은 이처럼 의

9) 1999년에 Thombury는 연구되었 다.

- 56 -
사소통 지향적이며, 의사소통을 위한 언어 사용을 이끌어낸다는 점에서 우수성을
가진다. 다시 말하면, 이 모형에서는 문법이 개별적인 항목으로 교육되는 것이 아니
라 학습자가 표현하고자 하는 내용과 의미를 나타내고, 필요한 언어적 기능을 수행
할 수 있는 도구로 시용되기 때문에, 문법과 기능이 유기적으로 연결되고 통합될
수 있다는 것이다. 또한, 이는 교실에 있는 현재 학습자의 언어 사용 양상과 상관없
이 미리 선정되고 정해 있는 문법 항목이 아닌 학습자의 요구를 반영하고, 학습자
가 경험하고 겪게 되는 의사소통적 어려움에서 출발하여 학습이 진행되기 때문에
그야말로 진정한 학습자 중심의 교육이 이루어진다.
초급 학습자를 위한 신체관련 연어는 제한적이라서 학습적인 부담이 지나치지 않
기 때문에 이를 보다 효과적으로 습득하기 위해 PPP 모형을 적용하고자 한다. 최
명선(2007) 은 초급 학습자의 경우, TTT 수업 모형이 한국어 교육에 활용하기가
어렵다는 점을 지적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초급 학습자를 위한 PPP 모형을
적용하고자 한다. 특히 학습자의 연어에 대한 인지부족으로 인해 먼저 목표 신체관
련 연어를 제시하여 이를 익혀감으로써 차츰 그 사용 능력을 향상시키는 데 초점을
맞추었다. 따라서 Larsen-Freeman.D(1991)는 PPP 모형의 장단점을 보완하여
한국어 교육에서 널리 사용하고 있는 ‘도입 단계(warm up) - 제시 단계
(presentation) - 연습 단계(practice) - 활용 단계(use, communicative
phase) - 마무리 단계(follow up)’ 등의 5단계를 접목시켜 중국인 초급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신체 관련 연어 교육 방안 모형을 제시하고자 한다.

< 표 23> 초급 학습자를 위한 신체관련 연어 수업 모형


신체와 관련된 어휘를 떠올리기를 통해 신체와 관련된 연어를 도입하
도입
여 학습자의 동기를 유발하여 흥미를 느끼도록 한다.
그림 혹은 연어의 의미를 유추하는 방식을 통해 신체 관련 연어를 제
제시
시함으로써 정확한 의미를 설명하며 수업을 진행한다.
주로 파트너 활동, 중한 번역 등과 같은 방식을 통해 학습 목표인 연
어를 반복적으로 학습하고 확정함으로써 학습 내용을 강조하고, 학습
연습 자가 지니고 있는 기존의 연어 지식과 새로 학습한 연어 지식을 비교
해 체계화하는 단계이다. 연습을 통해 교사는 잘못된 부분을 수정하고
이미 학습을 마친 연어는 자신의 것으로 전환시킨다.
의사소통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학습자는 이미 학습한 연어로 대화
활용
를 만들거나 게임 방식을 통해 일생생활 속에서 자유롭게 사용한다.

- 57 -
교사는 전체적인 수업 내용을 마무리한다. 학습 내용을 정리하고 학습
목표를 완성했는지 여부를 점검해 전반적인 수업 내용에 대해 피드백
마무리
을 진행한다. 또한 학습한 내용과 관련된 과제물을 학습자에게 제시한
다.

 또한 중⦁고급 단계에 해당하는 학습자는 연어의 의미를 설명하고 연어를 실제로
사용할 수 있는 다양한 학습을 통해 연어를 익히는 연습을 진행했다. 따라서 기존
의 PPP 모형은 전통적인 방식의 수업 모형으로 학습자들이 스스로 학습을 진행할
능력이 없다는 전제 하에서 실행하는 교수 방법이므로 교사가 주로 새로운 내용으
로 교육하는 활동이 중점인 학습 모형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중・고급
학습자를 위한 교육 방안으로 TTT 모형의 활용을 제시하고자 한다.

<표 24> 중⦁고급 학습자를 위한 신체관련 연어 수업 모형


텍스트를 통해 신체와 관련된 연어를 도입하여 학습자의 동기를 유발
도입
하여 흥미를 느끼도록 한다.
과제를 미리미리 경험하며 준비 가능한 단계로, 학습자들은 먼저 수행
과제1 하는 것은 보통 교사가 제시한 의사소통 과제이다. 이럴 때 나타나는
언어 사용은 불완전한 형태나 오류를 띠게 된다.
학습자들이 형태에 대해 초점을 갖게 하는 단계로서 첫째 단계에서
나타난 오류를 수정하거나 목표 문법 형태에 대한 학습자들의 주의력
집중을 명시적으로 혹은 암시적으로 유도한다. 또한 이 단계에서는 형
교육
태적인 연습 혹은 명시적인 문법 설명이 포함되거나 목표 문법 항목
이 사전에 철저히 준비되기도 하며, 학습자의 오류로부터 제대로 도출
될 수도 있다.
앞서 수행한 과제를 바탕으로 비슷하거나 확장된 내용의 과제를 수행
과제2
해 보다 완전한 뜻 전달에 목표를 둔다.
교사는 전체적인 수업 내용을 마무리한다. 학습 내용을 정리하고 학습
목표를 완성했는지 여부를 점검해 전반적인 수업 내용에 대해 피드백
마무리
을 진행한다. 또한 학습한 내용과 관련된 과제물을 학습자에게 제시한
다.

- 58 -
4.2.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신체관련 연어 등급별의 교육 방안 실제

4.2.1 PPP 모형을 활용한 초급 학습자를 위한 교육 방안

앞서 제시한 PPP 모형을 적용하여 선정된 신체관련 연어를 활용하여 한국어 학


습시간이 200시간 전후의 초급 단계에 속한 중국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교육 학
습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1) 도입 단계

① 신체와 관련된 어휘를 떠올리기


활동지를 작성하는 방식으로 신체별 이용 가능한 신체 표현에 대해 표를 작성한
다. 아래 제시된 활동지 예시는 학습자가 신체와 관련된 어휘를 떠올릴 수 있도록
유발하도록 한다. 활동지 작성 이후 학습자에게 단어 발표 시간을 부여하는 방식을
통해 각각의 신체에 대한 대표적인 단어를 공유하게 한다. 활동이 끝난 이후 이어
서 사전 활용을 통해 해당 단어와 함께 쓰이는 연어 표현의 나머지 구성 요소를 찾
아 작성하게 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학습자는 해당 수업이 지향하는 목표를 자
연스럽게 깨닫게 될 것이며 다음에 도입 될 활동 내용에 좀 더 쉽게 적응할 수 있
게 된다.

<표 25> 신체와 관련된 어휘를 떠올리기 예시

1. 알맞은 신체부위를 찾아 넣어주세요.


⓵ _______ ⓶ _______ ⓷ _______ ⓸ _______ ⓹ _______
⓺ _______ ⓻ _______ ⓼ _______ ⓽ _______ ⓾ _______
(정답: 눈, 귀, 손, 다리, 눈썹, 코, 입, 팔, 발)

- 59 -
2. 다른 신체와 관련 어휘를 써보세요.
⓵ _______ ⓶ _______ ⓷ _______ ⓸ _______ ⓹ _______
(예: 마음, 가슴, 머리, 얼굴, 손가락, 이)
3. 다음 신체와 함께 쓰이는 어휘를 써 봅시다.

손 마음 머리 눈
잡다 쓰다

교사는 수업 진행에 앞서 학습자에게 활동지를 완성시키는 방식을 통해 수업 목


적을 유도하도록 한다. 교사는 해당 활동지를 통해 학습자가 생각해 낼 수 있는 신
체관련 어휘를 예측해 그 중 주로 연어 형태로 사용되는 어휘를 강조할 필요가 있
다. 학습자가 빈칸을 작성할 때 교사는 주어진 어휘와 함께 쓰일 수 있는 여러 어
휘를 함께 사용할 수 있도록 개수와 넓이를 여유 있게 설계해야 한다.

2) 제시 단계

① 그림을 통해 연어 제시하기
신체관련 연어는 대부분 그림을 통해 학습자가 추측할 수 있다. 따라서 의미를
설명하기 위해 교사가 그림을 통한 학습 동기를 유발시키기 위해 그림 및 사진 등
시청각 자료를 적극적으로 제시할 필요가 있다. 박현정(2007)은 초급 중국인 학습
자를 위한 그림 카드 제시할 때 명확한 의미가 전달 가능한 연어를 그림 카드를 이
용해 가르치는 방법을 제시했다. 또한 이를 통해 한국어 연어와 중국어를 비교했을
때 다른 의미가 많기 때문에 학습자들이 이러한 방법을 통해 자연스럽게 연어를 익
힐 수 있다.

머리를 자르다

앞면 뒷면

- 60 -
배가 아프다

앞면 뒤면

손을 흔들다

앞면 뒷면
<그림 1> 그림을 활용해 연어의 의미를 설명하는 예시

위에서 제시한 카드를 살펴보면, 앞면은 그림을 제시하고 있고 뒷면에서는 관련


연어를 제시하고 있다. 어휘를 개별적으로 가르치는 것보다 연어를 가르치는 게 훨
씬 우수한 학습 효과가 나타난다. 한국어 학습자들에게 일상생활에서 자주 접촉하
는 상황과 함께 제시할 경우 진정한 의미의 한국어를 습득하게 될 것이다. 이를 위
해서는 교사가 수업을 진행하기 앞서 시청각 자료를 미리 준비해야 하는 노력이 필
요하다. 학습자가 완전히 숙지할 수 있도록 그림과 함께 연어를 제시하고 반복해서
말하기를 연습한다. 그림 카드 이외에도 인터넷에서 검색한 사진을 보여주며 또 다
른 취미 활동을 소개시켜 줄 경우 연어를 습득하는 학습량을 늘릴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학습자가 연어를 습득했다고 판단이 된 이후 연어 학습을 말하기 활동과 연계
시킨다면 의사소통 능력 향상에 도움이 될 것이다.

② 연어의 의미 유추하기
중국인 학습자는 연어의 의미를 정확히 이해하기 위해 제시한 연어의 뜻풀이를 보
고 스스로 연어의 의미를 추측하고 정확히 이해한다면, 연어 학습에 큰 도움이 될
것이다. 문제에 제시된 연어에 대해 <보기> 에서 대응되는 연어를 골라 교사와 함께
배우는 과정이 진행될 것이다.

- 61 -
< 표 26> 연어의 의미 유추하는 예시

다음 연어의 의미를 추측하고 정확한 뜻풀이를 선택해 보세요.

보기: 배가 부르다, 목이 마르다, 손을 씻다, 마음이 무겁다, 머리를 자르다


1. 물로 손을 깨끗하게 한다. ( )
2. 걱정이 많다. ( )
3. 너무 많이 먹어서 불편하다. ( )
4. 머리를 짧게 하다. ( )
5. 물을 마시고 싶다. ( )
(정답: 손을 씻다, 마음이 무겁다. 배가 부르다. 머리를 자르다, 목이 마르다.)

교사는 수업을 진행 앞서 서전에서 미리 해당 연어의 의미를 검색한다면, 어휘의


입출력에 도움이 될 것이다. 이러한 방식을 통해 신체관련 연어의 의미를 보다 정
확히 파악하는 것은 초급 학습자들의 언어 사용 능력과도 직접적인 연관이 있다.
연어의 뜻풀이를 통해 연어의 의미를 명확하게 이해하는 것은 학습자의 어휘력 향
상에 도움이 될 수 있기 때문에 어휘가 지닌 의미를 활용한 효과적인 연어 교육 방
안이라고 할 수 있다.

3) 연습 단계

① 한국 연어를 중국어로 번역하거나 중국어를 한국어로 번역하기


교사는 학습자들이 신체관련 연어를 정확히 이해하는지에 대한 부분에 초점을 맞
춰 학습자에게 내재화된 연어를 출력하는 단계가 필요하다. 아래의 <보기> 는 제시
된 신체관련 연어를 빈칸에 알맞게 적용하는 활동이다. 문제의 내용에 알맞은 구성
요소를 찾아 문장이나 대화를 완성하는 것은 충분히 가능하다. 텍스트로 제시된 연
어를 알아차리게 하거나 직접 대화 상황 혹은 맥락에 어울리는 연어를 사용해 보는
연습이 필요하다. 다음 예시를 통해 보다 구체적인 내용을 살펴보도록 하다.

< 표 27> 한국어 연어를 중국어로 번역하는 예시


한국어 연어 중국어
눈이 예쁘다
마음이 생기다
머리를 쓰다
몸이 무겁다

- 62 -
손가락을 움직이다
입을 열다
코를 만지다
팔을 흔들다

( 정답: 眼睛漂亮, 起...的心, 用脑, 身子重, 活动手指, 张口, 摸鼻子, 挥动手臂)

② 한국 연어를 중국어로 번역하거나 중국어를 한국어로 번역하기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연어 교육이란 점에서 한국어 연어를 이에 대응하는 중국
어로 번역하는 연습이 필요하다. 이를 통해 연어의 의미를 충분히 이해한 이후 상
황에 맞는 연어를 선택하는 것은 적절한 연어 사용에 도움이 된다.

< 표 28> 중국어를 한국어 연어로 번역하는 예시


중국어 한국어 연어
感谢... 的心
身体消瘦
腿细
睁眼
肚子饱
脸色好
手臂受伤

( 정답: 마음이 고맙다, 몸이 마르다, 다리가 가늘다, 눈을 뜨다, 배가 고프다, 얼굴


이 좋다, 팔을 다치다, )

4) 활용 단계

활용 단계는 습득한 연어를 실제 언어 상황에 적용할 수 있도록 지도를 해주는


단계이다. 이 단계에서는 연어 사용을 쓰기, 읽기, 말하기, 듣기 기능과 연결하여 과
제를 내릴 수 있다. 한편, 이 단계는 종합적이고 통합적인 의사소통 능력을 높이는
데 목표이고 의사소통의 정확성 및 유창성을 함께 살리고 강조해야 한다. 이에 덧
붙여 학생들의 학습 결과에 대하여 교사가 객관적인 피드백을 주고 연어 사용의 정
확성과 유창성을 함께 살리고 강조해야 한다. 뿐만 아니라 학습 결과에 대하여 교
사가 피드백을 주고 연어 학습에 대한 객관적인 평가를 하고 학생들로 하여금 학습
된 내용에 대하여 만족감과 자신감을 같이 느낄 수 있도록 해야 한다.

- 63 -
< 표 29> 연어 활용을 통한 말하기 예시
신체관련 연어를 사용해 친구와 대화를 만들어 보세요.
1. 학생1: 오늘 왜 병원에 갔어요?
학생2: 배가 아파서 병원에 갔어요.
2. 학생1: 수민 씨, 오늘 같이 운동합시다!
학생2: 아니요. 너무 많이 걸어서 다리를 움직일 수 없어요.
3. 학생1: 밥을 먹기 전에 무엇을 해야 해요?
학생2: 손을 씻어야 해요.
4. 학생1: 오늘 만난 남자는 어땠어요?
학생2: 얼굴은 잘생겼지만 몸이 너무 말랐어요.

위에 제시된 예시와 같이 말하기와 결합하는 과제는 연어를 실제 환경과 관련된


상황을 기록하도록 하는 활동이다. 이러한 방식은 학습 내용과 말하기 능력을 연계
하여 표현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활동을 통해 교사는 학습자가 작
성한 문장에 사용한 연어의 정확한 의미를 이해할 수 있는 지에 대해 파악할 수 있
으며 잘못된 부분에 대해서는 바로 수정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방식은 연어의 사
용 능력뿐만 아니라 학습한 문법 및 어휘관련 표현 등이 모두 연습되어 종합적인
언어 능력 향상이 가능하다.

② 게임을 통한 활용
선정한 연어를 재미있게 학습하기 위해 게임 활동을 적용한 연어 교육 활동의 개
발이 필요하다. 게임을 활용한 교수법은 의사소통을 능력을 향상시키고 학습 동기
를 유발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매우 유용한 방법이다. 특히 초급 학습자에게 어려
운 단어가 지닌 의미를 설명하는 방식을 피하고 관심을 끌 수 있으며 수업을 보다
흥미롭게 진행할 수 있다는 장점을 지니고 있다. 김청자(1995)는 게임이 학생들에
게 열정과 즐거움, 흥분을 증가시키며 학습에 있어 능동적으로 새로운 기술과 정보
습득을 도와 동기 유발을 보다 효과적으로 이끌게 한다고 밝힌 바 있다. 또한 게임
은 동기 유발 촉진뿐만 아니라 연습량을 증가시키는 등 학생들의 수행 능력에도 도
움을 가져다주는 효과가 있다.

<표 30> 게임을 통한 신체관련 연어를 활용하는 예시


다음 신체관련 연어를 몸짓을 통해 친구에게 전달해 보세요.
① 가슴이 아프다 ② 눈을 뜨다 ③ 몸이 피곤하다 ④ 손을 씻다
⑤ 얼굴이 뜨겁다 ⑥ 배가 부르다 ⑦ 팔을 흔들다 ⑧ 허리가 아프다

- 64 -
연어를 종합적으로 반복할 때 몸짓과 연기 등을 통해 학습자에게 전달하는 방식
을 통해 연어를 자연스럽게 습득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하지만 게임을 활용하여
연어를 학습하는 것은 단순한 오락만을 의미하지 않다는 점도 고려할 필요가 있다.
교사가 교실 분위기를 활용하여 학습할 연어를 칠판에 적어놓고 학습자에게 몸짓이
나 연기를 통해 전달한다. 이러한 활동은 연어의 유창성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장
점을 지니고 있다.

5) 마무리 단계

마무리 단계에서는 교사와 학습자들은 함께 학습 내용을 정리한다. 교사는 학습


목표인 신체관련 연어의 교육이 정확하게 이수되었는지 여부를 점검하고 수업 후
피드백을 진행한다. 만약 학습자들이 특별히 어려움을 겪은 부분이 있었다면, 이에
대해 다시 한번 언급하고 확인한다. 또한 다음 수업에 학습하게 될 내용에 대해 간
단히 안내하고 적당한 과제를 부과하는 것이 좋다.

4.2.2 TTT 모형을 활용한 중⦁고급 학습자를 위한 교육 방안

한국어 학습시간이 400시간 전후인 중급 학습자와 한국어 학습시간 600시간 전


후인 고급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신체관련 연어 교육은 언어의 정확성 및 형태 학
습을 중심으로 제시한 PPP 모형과 유창성 및 언어 사용에 보다 집중하는 TTT 모
형을 함께 적용하고자 한다.

1) 도입 단계

도입 단계에서는 텍스트를 활용하여 신체관련 연어의 개념의 설명하고 지금까지


학습한 내용 중 신체관련 연어가 무엇인지에 대해 질문한다. 또한 이를 통해 수업
의 목표의 설명하고 학생들의 응답에 따라 수업 목표를 유도하도록 한다.

< 표 31> 텍스트를 활용하여 연어 도입


1. [경기일보, 2019.06.08. 사건 사고 판결, 제주 전 남편 살해' 피의자 고유정
얼굴 노출] 포승줄과 수갑에 묶인 고유정의 오른손엔 흰색 붕대가 감겨 있었고,
얼굴을 가렸던 긴 머리카락은 뒤로 묶었으며, 표정은 담담한 듯 보였다. 앞서 고
유정은 신상정보 공개가 결정된 뒤에도 머리를 푹 숙여 얼굴을 가렸다.

- 65 -
2. [김대억 한벙신걍정신과 한의사님 답변, 2021.03.08, 지식iN, Q&A] 틱은
크게 근육틱과 음성틱으로 나뉘며 근육틱 장애 증상은, 눈을 깜빡이기, 코를 찡
긋, 얼굴을 찡그리기, 어깨를 으쓱대기, 고개를 앞뒤로 끄덕이거나, 목을 비틀대
거나, 배에 힘주고, 다리를 흔들거리는 식으로 나타나난다.
3. [뉴시스, 2018.07.16., 사회, 폭염 속 설조스님 단식 27일째, 급격 쇠약… "아
직 괜찮다"] 스님은 건강을 묻는 말에 가볍게 고개를 끄덕이고는 손으로 휴지
곽을 찾았다... 자원봉사자들과 반갑게 인사를 나눈 한 신자는 먼발치에서 손을
모으고 단식장을 향해 가볍게 허리를 숙이다 순간 손으로 얼굴을 가렸다. 어깨
가 한참 들썩였다. 단식 첫날부터 하루도 빠지지 않고 자리를 지켰다는 자원봉
사자 조윤주(47·여)씨는 "지난 토요일부터 스님의 기력이 급격히 쇠하신 것 같
다"며 "마음이 아프다"고 했다.

다음 주어진 단어와 같이 쓰이는 단어를 써 봅시다.


예시: 마음이 순수하다
① 얼굴__ _________ ② 머리카락___ ________ ③ 머리__ ________
④ 눈__ _________ ⑤ 코__ ___________ ⑥ 얼굴__ ________
⑦ 어깨__ ________ ⑧ 다리__ _________ ⑨ 고개__ ________
⑩ 어깨__ ________ ⑪ 허리__ _________ ⑫ 마음__ ________
⑬ 손__ _________

위에 기재된 내용 중 신체와 관련된 연어는 교사와 학습자가 함께 찾아보고 그


의미를 논의해 볼 수 있다. 한송화⦁강현화(2007) 는 연어 정보를 교실 수업에 활
용하기 위해서는 이에 대한 충분한 연구와 자료가 뒷받침되어야 한다. 즉 연어 정
보를 교사와 학습자에게 제공해 주는 연어 사전이나 공개된 말뭉치가 필수적이다.
또 학습자 스스로 연어의 필요성을 인식하도록 해야 한다. 즉 학습자 스스로가 연
어란 자의적이며 연어의 학습이 어휘력을 늘리는데 효과적임을 알게 해야 한다.

2) 과제1 단계

교사가 학생들에게 첫 번째 과제를 소개하고 신체관련 연어를 활용한 과제를 수


행하도록 한다. 교사는 학생들에게 과제1을 소개하고 학생들을 조를 구성해 문장을
통한 과제를 수행하도록 한다. 조별 활동이 끝난 후 각각의 조별 발표를 진행한다.
다음은 ‘ 눈’ 을 예시로 한 과제1 단계 제시 내용이다.

- 66 -
< 표 32> 과제1 단계 예시
다음 문장을 살펴보고 밑줄 친 부분의 뜻을 추측해 이야기 해 보세요.
1. 햇볕에서 책을 보면 눈이 부시지 않아요?
2. 비록 그는 이미 70이 다 되어가지만, 여전히 눈이 밝다.
3. 민호는 지수와 눈이 마주칠 때마다 가슴이 쿵쿵 뛰었다.
4. 사고로 눈이 멀어서 아무것도 보지 못한다.
5. 그런 일을 하고도 너는 남의 눈이 무섭지 않니?
6. 잠에세 깬 민호는 두 눈을 비비며 시계를 봤다.
7. 그는 내 눈을 피하고 다른 곳을 바라보았다.
8. 그녀는 손으로 눈을 가려서 햇빛을 막았다.
9. 아이는 기차가 다 지나갈 때까지 철도에서 눈을 떼지 않았다.
10. 눈 깜박일 사이에 졸업한 지 10년이 되었다.

문장을 활용해 학습자들은 연어의 의미를 파악할 수 있다, 먼저 신체와 관련 된


부분을 골라 연어 관계가 성립되는 동사 혹은 형용사를 따로 제시한 다음, 전체 구
나 문장으로 확정해 가면서 전반적인 내용을 다시 한번 이해하도록 만든다. 학생들
의 발표가 끝나면, 교사는 긍정적인 피드백을 한 이후, 과제 수행 과정에서 발생한
문제나 오류를 보완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학습자들은 학습 목표를 이해하며 이
후 단계에 접어들게 된다.

3) 교육 단계

이 단계에서는 목표인 신체관련 연어를 학습자에게 교육을 진행한다. 다만 교사


는 우선 학습자가 예문을 통해 스스로 문제를 유추하게 한 이후 이를 정리해 학생
들에게 명시적으로 설명을 진행하거나 한국어에 존재하는 신체관련 연어에 대한 설
명을 추가함으로써 신체관련 연어의 특성을 통해 한국어를 더욱 깊이 이해할 수 있
도록 도와야 한다. 다음은 ‘ 눈’을 예시로 한 교육 단계 제시 내용이다.

<표 33> 교육 단계 예시
▶ 연어 제시 :
1. 눈이 부시다 2. 눈이 밝다 3. 눈이 마주치다 4. 눈이 멀다
5. 눈이 무겁다 6. 눈을 비비다 7. 눈을 떼다 8. 눈을 가리다
9. 눈을 흘기다 10. 눈을 깜박이다

- 67 -
▶ 연어 의미 제시
1. 눈이 부시다: ( 눈이) 빛살이 세거나 빛깔이 강렬하여 마주 바라보기가 어렵
다.
2. 눈이 밝다: 시각적 능력이 뛰어나다.
3. 눈이 마주치다: 눈길이 서로 닿다.
4. 눈이 멀다: 시력을 잃다.
5. 눈이 무겁다: (어떤 사람이 다른 사람의) 시선을 두려워하다.
6. 눈을 비비다: 눈을 맞대어 문지르다.
7. 눈을 떼다: 눈여겨 지켜보던 것을 그만두다.
8. 눈을 가리다: 보이지 못하도록 막히다.
9. 눈을 흘기다: ( 사람이) 원망하거나 나무라는 뜻으로 눈을 옆으로 노려 뜨다.
10. 눈을 깜짝하다: 눈이 살짝 감겼다 뜨이다.
▶ 위에 제시된 신체관련 연어와 대응되는 중국어 표현을 비교하고 그 의미를
다시 설명한다.
1. 耀眼(눈이 부시다) 2. 视力好 ( 눈이 밝다) 3. 对视 (눈이 마주치다)
4. 眼瞎 (눈이 멀다) 5. 眼皮重 ( 눈이 무겁다) 6. 揉眼 (눈을 비비다)
7. 转移视线 (눈을 떼다) 8. 捂眼 ( 눈을 가리다) 9. 白眼( 눈을 흘기다)
10. 眨眼 (눈을 깜짝하다)

교사는 수업을 진행 앞서 서전에서 미리 해당 연어의 의미, 대응되는 중국어 표


현을 검색한다면, 어휘의 입출력에 도움이 될 것이다. 이러한 방식을 통해 신체관련
연어의 의미를 보다 정확히 파악하는 것은 학습자들의 언어 사용 능력과도 직접적
인 연관이 있다.

4) 과제2 단계

교사는 과제1과 유사한 과제를 제시하고 학생들에게 이를 수행토록 한다. 신문이


나 책에서 추출된 텍스트를 활용해 ‘ 눈’과 관련 된 연어의 의미를 설명하고 반복된
과제 수행을 통해 보다 정확한 학습 목표 도달이 가능하다. 또한 교사는 이러한 과
정을 관찰하면서 학습자들의 오류를 수정하고 해당하는 피드백을 진행한다.

< 표 34> 과제2 단계 예시


1. [ 매일 경재, 2002.09.04., 속보, ‘수해지역 전염병 비상’ ] 이 들 대부분은

- 68 -
피부가 붉게 변하고 발진이 생기는가 하면 눈이 충혈되고 눈곱이 생기는 증세를
호소하고 있다.
2. [ 한국경제, 2004.06.16., 속보, "결혼은 선택일뿐" 63.5% ‥ 30대 미혼남녀 "
적령기 없다"] 여성은 "결혼에 대한 확신부족"(28.9%), " 이상형을 못 만나서
"(17.7%),"눈이 높아서"(8.7%)등의 이유가 많았다.
3. [ 매경이코노미, 2002년 06월 07일, TV 연예홈, “ 중년의 적 녹내장” ] 일반
적인 녹내장의 자각증상에는 시력이 저하된 것 같은 느낌, 두통, 불빛을 보면 그
주위에 무지개 비슷한 것이 보이는 상태, 눈이 무겁고 피곤함, 오심 및 구토증세
등이 있다.
4. [ 뉴스인사이드, 2017년03월16일, 연예, 빛나라 은수' 김빛나, 이영은 음식에
소금 팍팍… 임채무 앞에서 일부러 '불쌍한 척'] 이날 박하나는 오은수가 얄미워
견딜 수가 없었다. 시아버지에게도 즙을 갈아주고 안마를 해주는 등 살갑게 구
는 모습이 얄미웠던 것. 박하나는 그 모습을 보며 눈을 흘기다 주방에 들어갔다.
5. [ 정광 외, 2001년, 대학회상기, 도서출판 월인.] 눈이 시리게 파란 하늘과 가
슴 떨리게 하는 붉은 단풍이 온통 눈에 가득한 가을입니다. 이 아름다운 계절에
선생님께 가장 소중한 인사를 드리고 싶습니다.
6. [ 우리교육, 1994년, 우리교육 중등용 94/10, 우리교육 편집부]신장이 나쁜
경우는 처음에는 눈이 붓다가 더 악화되면 발이 붓게 된다.
7. [ 박경리, 1993년, 토지4, 솔출판사] 신문에 눈을 주다가 길상이 묻는다.
8. [ 박경리, 1993년, 토지4, 솔출판사] 계집아이는 우산을 두드리는 빗소리에
눈을 들다가 어른의 구둣발을 보고 차츰차츰 고개를 치올린다.

이 과제는 두 차례로 나눠서 진행하고자 한다. 우선 전체적인 내용을 읽은 이후


내용을 파악하고 해당 내용에 포함되는 연어 표현에 중점을 두고 읽도록 한다. 한
송화⦁강현화(2007)는 문학 텍스트의 경우 소설가가 자신만의 단어 조합을 자유롭
게 만들어내기도 하고 일반인의 기대에서 완전히 벗어난 단어 조합을 만들기도 한
다. 반면 경제와 관련된 보고서나 신문기사, 텔레비전 뉴스에서 고정적인 구절은 그
텍스트의 대표적인 특성을 나타내며, 이들은 소설과 같은 자료에서 추출한 것보다
외국어 학습에 응용하는 데 더 장점을 가진다.

5) 마무리 단계

마무리 단계에서는 교사와 학습자들은 함께 학습 내용을 정리한다. 교사는 학습


목표인 신체관련 연어의 교육이 정확하게 이수되었는지 여부를 점검하고 수업 후

- 69 -
피드백을 진행한다. 또한 다음 수업에 학습하게 될 내용에 대해 간단히 안내하고
적당한 과제를 부과하는 것이 좋다.

4.3. 신체관련 연어의 교수⦁ 학습 방안 검증 결과

앞서 제시한 교육 방안의 실용성과 효율성 검증을 위한 1차 설문조사 대상으로는


경희대학교 국제교육원에서 한국어를 학습하는 중급반 중국인 학습자 6명과 고급반
학습자 6명을 대상으로 실험을 진행하였다. 설문 대상자의 구성을 살펴보면, 여성
과 남성이 각각 8명과 4명, 한국 내 거주 시간 12개월 이상, 연령의 경우 19
세~25세까지로 구성되어 있다. 하지만 코로나 펜데믹 상황으로 인해 직접 교실에
서 수업을 진행하기 어려워 2021년 6월 11일과 6월 14일에 온라인 방식으로 이
를 대체했다. 또한 수업의 신뢰도를 검증하기 위해 실험 대상 12명에 대한 사전 평
가를 실시하였다. 수업은 ‘도입-과제1-교육-과제2-마무리’ 등 총 5단계의 과정을
거쳤다. 수업은 2교시, 각각 50분으로 이루어졌으며 수업의 목표 및 내용은 아래와
같이 정리하였다.

< 표 35> 실험 교시 및 내용

학습 대상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 중급 6명, 고급 6명


‘ 머리’와 관련 된 연어를 학습하여 중국어 대응 표현과 차이
학습 목표
점을 정확하게 이해한다.
1교시 머리가 비다, 머리가 돌다, 머리가 세다, 머리가 어지럽다,
목표 연어 머리가 굵다, 머리가 무겁다, 머리를 끄덕이다, 머리를
식히다, 머리를 감다, 머리를 깎다, 머리를 손질하다,
‘ 눈’과 관련 된 연어를 학습하여 중국어 대응 표현과 차이점
학습 목표
을 정확하게 이해한다.
2교시 눈이 부시다, 눈이 마주치다, 눈이 무섭다, 눈이 빠지다,
목표 연어 눈이 높다, 눈이 가다, 눈을 붙이다, 눈을 피하다, 눈을 감다,
눈을 주다, 눈을 떼다, 눈을 흘기다

실험을 위한 수업이 끝난 이후에는 교육 방안이 효과적이었는지 여부에 대한 조


사를 다시 진행했다. 사전 및 사후 평가를 위한 신체관련 문항은 총 20개 문항으로
구성하였다. 다음은 참여한 학생별 정답 결과를 분석한 것이다.

- 70 -
<그림 2> 사전 사후 실험의 장답률

< 그림 2>에서 알 수 있듯, 2교시를 모두 마친 후에 실험을 통해 신체 관련연어


를 활용한 교육 방안이 학습자의 연어 학습에 어떠한 영향을 가져다 줄 수 있는지
에 대해 충분히 알아볼 수 있다. 사후 및 사전 조사를 비교해 보면, 정답률 42.1퍼
센트가 85퍼센트로 증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본 연구에서 제안한 교육 방
안의 효과성을 입증한 것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제시한 교육 방안을
통해 중국인 학습자들이 신체관련 연어를 더욱 깊게 이해하게 되고 연어의 개념,
표현 등에 대해 보다 정확하게 파악하며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 71 -
5. 결론

지금까지 한국어 교육에서 연어 교육은 수많은 연구를 통해 그 교육적인 가치와


영향력을 인정 받아왔다. 따라서 한국어로 능숙하게 의사소통을 진행하며 자신의
생각과 감정을 보다 정확하게 표현하기 위해서 연어 교육은 필수적인 부분이다. 신
체관련 연어는 각 나라의 사람들과 밀접한 연관성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과거부터
지금까지 줄곧 사용되어 왔다. 따라서 외국어로서 한국어를 학습하는 학습자들에게
연어는 매우 중요한 학습 대상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한국어를 학습하는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신체관련 연어 교육 방안을
설계에 관한 연구이다. 지금까지 이루어진 연구들을 살펴보면, 신체관련 한국어 연
어와 중국어 대응 어휘에 따라 신체관련 연어 교육 방안을 계획할 필요성이 엿보인
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어 교육에 중점을 두고 한국어 교육 기관에서 출판된 교재
와 중국 국내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는 교재에 수록된 신체 관련 연어 가운데
「한국어교육을 위한 한국어 연어 사전」을 통해 총 385개의 연어를 정리하여 학
습자별로 교육 방안을 마련하였다. 이러한 내용들은 다음 각 장에서 연구 각각 구
체적으로 제시하고자 한다.
제1장에서는 본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을 제시하고 연어 교육과 연어 목록 선정,
그리고 한국어 신체관련 연어와 관련된 선행 연구들을 살펴봄으로써 이를 바탕으로
존재하는 문제점들을 찾아내 연어 교육의 대상과 더불어 해결 방법을 제시하였다.
선행 연구의 의미와 한계성을 검토한 후, 구체적인 신체 관련 연어 교육 방안이 존
재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제2장에서는 한국어 연어의 정의, 유형에 대한 선행연구들을 정리함으로써 연어
에 대한 정의와 그 유형을 제시하였다. 연구자에 따라 설정 기준이 상이한 까닭에
이를 바탕으로 본 논문에서는 한국어 교육에 있어 연어의 개념 및 분류 기준을 정
하였다. 이와 더불어 연어 교육에서 신체관련 연어의 중요성도 밝혔다.
제3장에서는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신체와 관련된 연어 선정의 기초 자료인 김하
수 등(2007) 의 『한국어 교육을 위한 한국어 연어 사전』과 부록인『한국어 연어
목록』을 바탕으로 한국어 신체관련 연어를 제시하고 서울대학교 언어교육원에서
출판된『서울대한국어』, 연세대학교 언어연구교육원에 출판된『연세한국어』, 경희
대학교 언어연구교육관에 출판된『경희한국어』및 중국 국내에서 광범위하게 사용
되고 있는 한국어 교재인『한국어(수정판) 』《韓國語(修正版) 》,『대학한국어』
《大學韓國語》등과 같은 참고 자료를 통해 신체관련 주술⦁ 목술 관계 추출하였다.
교재들의 공통점은 연어를 따로 제시하지 않고 본문 혹은 연습 문제, 그리고 기타

- 72 -
문법 설명 부분에서 산발적으로 제시되고 있다는 점이다. 또한 양적인 면에서도 그
수가 너무 적어 다소 아쉬운 점이 느껴지는 게 사실이다. 따라서 신체관련 연어를
학습하기 위해서는 수업 시 교사의 연어에 대한 강조와 교재를 개발함에 있어 연어
의 제시 분량과 예시를 다양하게 만들어 제공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는 선행연
구인 문금현(2002)과 허영임(2010)의 연구에 따라 추출된 연어 목록 중 신체관련
연어를 추가하여 총 385개의 연어를 추출하였다.
추출된 연어 목록은「국제 통용 한국어 표준교육 과정 적용 연구」, 한국어와 중
국어의 의미 대응 양상, <21세기 세종계획>에 등장하는 말뭉치를 통해 학습자의
수준에 따라 초급, 중급, 고급으로 등급화를 시켰다. 마지막으로 설문조사를 거쳐
중국인 학습자들의 신체관련 연어 사용 빈도 상황을 파악하였다. 한국과 중국에서
사용되고 있는 한국어 교재를 대상으로 신체관련 연어가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
에 있어 널리 사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한국어 어휘 교육에서 연어
교육은 매우 큰 역할을 한다고 할 수 있다.
제4장에는 초급 학습자의 경우 한국어 수준이 낮아 신체관련 연어에 대해 답하기
어려운 부분을 충분히 예측 가능하기에 PPP 모형이 좀 더 적합하며 중・고급 학습
자의 경우 언어 사용에 보다 집중하는 TTT 모형을 활용한 교수⦁ 학습 방안이 적
합하다. 교육 방안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각각 중국인 한국어 중급 학습자 6명,
고급 학습자 6명을 대상으로 2차 수업을 진행하였다. 수업을 진행하기 앞서 신체관
련 연어 사전 조사를 통해 학습자들의 정답률을 확인했으며, 수업을 마친 이후 재
조사를 진행하였다. 정답률은 2차 수업을 통해 크게 증가하여 이 교육 방안의 효과
를 충분히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교재에 수록된 신체 관련 주술⦁ 목술 관계 연어로만 선정하였으나
충분히 다루지 못한 부분도 매우 많다. 또한 연어 목록을 선정할 당시 주로 대학
기관에서 사용되고 있는 교재를 대상으로 교재 편찬자의 생각이 상당 부분 반영되
기 때문에, 각 교재에 제시된 연어는 각기 상당히 많은 차이를 나타내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게다가 본 논문은 경희대학교 국제교육원에서 한국어를 학습하고 있는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연어 교육 방안에 대한 설계임에 따라 그 한계성도 분명히
존재한다. 한국어 연어와 중국어 대응 양상을 살펴봤을 때, 주관적인 부분은 최대한
피하고자 노력했으나 보다 사실적인 객관성을 확보하기에는 다소 주관적 취향의 개
입이 존재했다. 이는 향후 지속적이며 보다 심층적인 연구를 통해 다루어져야 할
부분일 것이다.

- 73 -
< 참고문헌>

< 논문>
강서영(2007), 중국어권 한국어 학습자의 어휘적 연어 사용 연구,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강현화(1997), [ 체언+용언] 꼴의 연어 구성에 대한 연구, 사전편찬학 연구 8권1
호, 191-224쪽.
강현화⦁한송화(2004), 연어를 이용한 어휘 교육 방안 연구, 한국어 교육 15권3
호, 293-316쪽.
강현화(2008), 한국어교육을 위한 연어의 유형에 대한 고찰: 기초어휘의 연어 관계
를 중심으로, 응용 언어학 24권3호, 197-217쪽
기단봉(2010), 중국어권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연어 대조 연구 : 목술관계 연어를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민혜(2014), 한국어 학습자의 의사소통 능력 향상을 위한 연어 교육 방안, 경인
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병욱(2003), 중국인 초급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연어 교육 방안 연구 : '체언+
용언'형을 중심으로, 계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원경(2010),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연어 교육 방안, 漢城語文學 29호,
211-231쪽.
김은수(2014), 다문화 초등학생을 위한 한국어 교육용 연어 선정과 학습방법 연구
-[ 체언+용언] 형을 중심으로-,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석사학위논
문.
김진해(2000), 國語 連語 硏究, 경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김청자(1995), 동기 유발에 관한 다양한 전략 효과, 敎育硏究 13호, 107-132쪽.
란첨(2013), 한⦁중 연어의 구성⦁ 의미 대조 연구: ‘ 마음/心’관련 표현을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류정민(2012), 한국어 초급 어휘 교육을 위한 연어 선정 연구 - 체언+용언 형을
중심으로-, 동아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문금현(2002), 한국어 교육을 위한 연어( 連語) 학습 방안, 국어교육 109호,
217-250쪽.
박숙영(2005), 한국어 어휘교육을 위한 연어 활용 방안 연구, 한국외국어대학교 대
학원, 석사학위논문.
박현정(2007),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교수⦁ 학습 방안, 부산대학교 대학원,

- 74 -
석사학위논문.
박혜인(2016), 한국어 어휘 교육을 위한 ‘신체명사+ 용언’형 연어 선정 연구, 울산
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석아남(2013), 한국어 연어와 중국어에서의 대응 양상 연구: 주술, 목술 관계 연어
를 중심으로, 숭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신자영(2005), 한국어 연어의 다국어 대조 연구, 이중언어학 28호, 185-203쪽.
안재경(2012), 한국어 어휘능력 향상을 위한 연어 교육 연구: 영어권 학습자를 대
상,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안정은(2010), 한국어 연어 교육 연구, 충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양수영(2008), 중·고급 학습자의 어휘적 연어 능력과 한국어 숙달도의 상관관계
연구,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양영희(1995), 관용표현의 의미 구현 양상, 국어학 26호, 171-200쪽.
왕시엔(2019),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다의어 교육 방안 연구- 신체어 ‘ 눈’
의 연어 표현을 중심으로, 안동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왕유가(2019), 한중 연어 사전 편찬을 위한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
문.
왕춘예(2011), 韓國語 連語의 中國語 對應樣相 硏究 : 身體語 關聯 連語를 中心으
로, 중안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왕효휘(2012), 한국어 연어의 중국어 대응 양상 연구, 숭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
위논문.
유연(2011), 중국인 학습자의 연어 사용 오류에 대한 연구, 인천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동혁(1998), 국어의 연어적 의미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동혁(2004), 국어 연어관계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이목자(2013), 오류 분석을 통한 한국어 연어 교육 연구: 중국인 학습자를 중심으
로, 한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숙진(2017), 한국어 교육을 위한 ‘ 체언+용언’형 연어 연구, 강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이승연⦁최은지(2007), 한국어 학습자의 어휘적 연어 사용 연구, 이중언어학 34호,
299-321쪽.
이준호(2010), TTT 모형을 활용한 추측 표현 교육 연구 -“- 는 것 같다”, “-나
보다”, “-는 모양이다” 를 중심으로, 이중언어학 44호, 247-273쪽.
이희자(1994), 현대 국어 관용구의 결합 관계 고찰, 한국정보과학회 언어공학연구
회 학술발표 논문집 10호, 333-352쪽.

- 75 -
임건동(2018), 한국어 학습자 연어 오류 양상에 따른 교육 방안 모색 –중국인 한
국어 중급 학습자의 ‘ 체언+용언’을 중심으로-, 중앙 대학교 대학원, 석사학
위논문.
임근석(2002), 현대 국어의 어휘적 연어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임근석(2005), 문법적 연어의 개념 정립을 위하여, 형태론 7권2호, 277-301쪽.
임근석(2006), 한국어 연어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임홍빈⦁임근석(2004), 21세기 세종계획 전자사전구축분과 연어사전의 정보구조와
기술내용, 한국사전학회, 150 -169쪽.
장옥경(2011), 초급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체언+용언’ 형 연어 목록 선정 연구, 경
희대학교 교육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정숙향(2007), 오류 분석을 통한 연어 교수 연구: 중국인 학습자를 중심으로, 이화
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정인경(2012), 초급 학습자를 위한 연어 교육 방안 연구 -‘ 체언+용언’ 형을 중심으
로 -, 선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진정정(2016), 중국인을 위한 문화 주제 중심 한국어 어휘적 연어 교육 연구, 경희
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허영임(2010), 한국어 교육용 연어 선정 연구 -[ 체언+ 용언] 형을 중심으로, 고려
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허영화(2009),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주제 중심 연어 교육 방안. 상명대학교 대학
원, 석사학위논문.
HUMENG(2012), 한국어 연어의 중국어 대응 양상 연구: 신체어휘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홍종선 등(2000), 한국어 연어 정보의 분석⦁응용에 관한 연구, 한국어학 11호,
73-158쪽.
황려명⦁박덕유(2019),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 중 ‘체언+용언’ 형 연어 대응 양
상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9권4호, 885-905쪽.
Firth, J. R.(1957), Modes on meaning. 「Papers in linguistics」, Oxford
University Press
Hill, J.(2000), Revising priorities: From grammatical failuer to collocational
success.
Lewis, M(2000), 「Teaching collocation: Further developments in the
Lexical Approach」, Language T eaching Publications.
曹慶雲(2015), 韓國語連語在漢語中的相對關系研究 —以“眼”相關的連語為中心— , 中
國海洋大學, 碩士學位論文.

- 76 -
單明圓(2015), 基於錯誤分析的韓國語中級學習者連語習得情況研究, 廣東外語外貿大
學,碩士學位論文.
高雅潔(2017), 針對韓國學習者的韓國連語教育方案研究 ― 以‘ 體言+用言’型為中心,
曲阜師範大學,碩士學位論文.
徐麗娜(2018), 韓中著脫連語對比研究,延邊大學,碩士學位論文.
楊慧(2016), 韓國語連語教育研究, 湖南師範大學,碩士學位論文.

< 단행본>
김중섭(2014),「한국어 교육의 이해」, 하우.
김중섭(2017), 「국제 통용 한국어 교육표준 모형 개발」, 국립국어원.
김하수 외(2007),「한국어교육을 위한 한국어 연어 사전」, 커뮤니케이션북스.
원미지(2019),「한국어 어휘 교육 연구의 방법과 실제」, 한국문화사.
조현용(2000),「한국어 어휘교육 연구」, 박이정.
황경수(2006),「한국어교육의 이해」, 청운.
盧英順(2007) ,『現代漢語詞匯學』,復旦大學出版社

< 사전>
국어국립연구원(1999), 「표준국어대사전」, 두산동아
梅家駒(1999) ,『現代漢語搭配辭典』, 漢語大詞典出版社
呂叔湘,丁聲樹等(2016) ,『現代漢語詞典』,商務印書館
魏建功(2020) ,『新華字典』,商務印書館,
張壽康(1999) ,『現代漢語實詞搭配詞典』,商務印書館出版

< 웹 사이드>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https://stdict.korean.go.kr/main/main.do
네이버 사전 https://dict.naver.com
BBC語料庫 http://bcc.blcu.edu.cn

< 교재>
경희대학교(2020),「경희한국어: 문법」초급1~고급2, 경희대학교 출판문화판.
서울대학교(2013),「서울대 한국어」1A~6B, 서울대학교 언어교육원.
연세대학교(2013),「연세 한국어」1-1~6-2, 연세대학교 한국어학당.
牛林傑⦁樸性泰(2014),《大學韓國語》1 ~6, 北京大學出版社.
北京朝鮮文化研究所(2004),《韓國語(修正版) 》1~4, 民族出版社.

- 77 -
<부 록>

< 부록 1> 한국어 주술 관계 연어와 이에 대응하는 중국어 표현

한국어 연어 중국어 대응 표현 의미적 대응 양상


가슴이 아프다 胸痛 완전일치
가슴이 풍만하다 胸部丰满 완전일치
가슴이 저리다 心口刺痛 완전일치
가슴이 뛰다 心跳 완전일치
가슴이 막히다 胸闷 완전일치
근육이 풀리다 放松肌肉 완전일치
귀가 밝다 耳朵尖 완전일치
귀가 뜨이다 竖起耳朵 완전일치
눈이 붓다 眼睛肿 완전일치
눈이 크다 眼睛大 완전일치
눈이 작다 眼睛小 완전일치
눈이 돌다 眼睛打转 완전일치
눈이 나쁘다 眼睛不好 완전일치
눈이 푸르다 蓝色的眼睛 완전일치
눈이 예쁘다 眼睛漂亮 완전일치
눈이 충혈되다 眼睛充血 완전일치
눈이 아프다 眼睛疼 완전일치
눈이 맑다 眼睛清澈 완전일치
눈이 밝다 眼睛雪亮 완전일치
다리가 굵다 腿粗 완전일치
다리가 짧다 腿短 완전일치
다리가 가늘다 腿细 완전일치
다리가 아프다 腿疼 완전일치
다리가 부러지다 腿折断 완전일치
마음이 급하다 心急 완전일치
마음이 생기다 起...的心 완전일치
마음이 아프다 心痛 완전일치
마음이 없다 无心 완전일치
마음이 있다 有心 완전일치
마음이 놓이다 放心 완전일치
마음이 고맙다 感谢...的心 완전일치
머리가 아프다 头疼 완전일치
머리가 어지럽다 头晕 완전일치
머리가 작다 头小 완전일치
머리가 똑똑하다 脑子聪明 완전일치

- 78 -
머리가 벗겨지다 头秃 완전일치
머리카락이 굵다 头发粗 완전일치
머리카락이 끼다 夹头发 완전일치
목이 짧다 脖子短 완전일치
목이 길다 脖子长 완전일치
목이 마르다 嗓子干 완전일치
목이 아프다 嗓子疼 완전일치
목이 붓다 嗓子肿 완전일치
목이 굵다 嗓子肿 완전일치
목이 터지다 嗓子炸了 완전일치
몸이 나른하다 身子没劲 완전일치
몸이 피곤하다 身体疲倦 완전일치
몸이 좋다 身体好 완전일치
몸이 건강하다 身体健康 완전일치
몸이 아프다 身体疼痛 완전일치
몸이 튼튼하다 身体结实 완전일치
몸이 나빠지다 身体越来越差 완전일치
몸이 마르다 身子消瘦 완전일치
몸이 불편하다 身体不舒服 완전일치
몸이 뜨겁다 身子发烫 완전일치
몸이 차갑다 身子冷 완전일치
몸이 쑤시다 身体刺痛 완전일치
몸이 약하다 身体虚脱 완전일치
몸이 가볍다 身子轻 완전일치
몸이 무겁다 身子重 완전일치
몸이 허약하다 身体虚脱 완전일치
몸이 떨리다 身体发抖 완전일치
발이 크다 脚大 완전일치
발이 아프다 脚疼 완전일치
발이 작다 脚小 완전일치
배가 나오다 肚子突起 완전일치
배가 아프다 肚子疼 완전일치
배가 고프다 肚子饱 완전일치
배가 부르다 肚子饿 완전일치
살이 빠지다 掉肉 완전일치
손이 차갑다 手凉 완전일치
손이 곱다 手好看 완전일치
손이 떨리다 手抖 완전일치
손이 아프다 手疼 완전일치
손이 트다 手皴 완전일치
손가락이 붓다 手指肿 완전일치
손가락이 아프다 手指疼 완전일치

- 79 -
어깨가 넓다 肩膀宽 완전일치
어깨가 아프다 肩膀疼 완전일치
어깨가 늘어나다 肩膀变宽 완전일치
얼굴이 곱다 脸蛋漂亮 완전일치
얼굴이 빨개지다 脸变红 완전일치
얼굴이 붓다 脸肿 완전일치
얼굴이 갸름하다 脸略长 완전일치
얼굴이 예쁘다 脸蛋漂亮 완전일치
얼굴이 하얗다 脸白 완전일치
얼굴이 창백해지다 脸变得苍白 완전일치
얼굴이 등글다 脸蛋圆 완전일치
얼굴이 붉어지다 脸变红 완전일치
얼굴이 타다 脸被晒 완전일치
얼굴이 뜨겁다 脸发烫 완전일치
얼굴이 작다 脸小 완전일치
이마가 넓다 额头宽 완전일치
이가 빠지다 掉牙 완전일치
이가 아프다 牙疼 완전일치
입이 벌이지다 张大嘴 완전일치
코가 납작하다 鼻子扁平 완전일치
코가 막히다 鼻塞 완전일치
코가 오뚝하다 鼻子突起 완전일치
허리가 굵다 腰粗 완전일치
허리가 아프다 腰疼 완전일치
허리가 가늘다 腰细 완전일치
가슴이 두근거리다 心里七上八下 부분일치
가슴이 설레다 心动 부분일치
가슴이 넓다 心胸开阔 부분일치
가슴이 내려앉다 心里一沉 부분일치
가슴이 뜨끔하다 心里一紧 부분일치
가슴이 서늘하다 心惊胆颤 부분일치
가슴이 뿌듯하다 激动不已 부분일치
가슴이 뭉클하다 心里满当当 부분일치
가슴이 벅차다 心潮澎湃 부분일치
귀가 솔깃하다 竖起耳朵 부분일치
귀가 어둡다 耳聋 부분일치
눈이 부시다 耀眼 부분일치
눈이 멀다 眼瞎 부분일치
눈이 마주치다 对视 부분일치
눈이 있다 有眼色 부분일치
눈이 높다 眼光高 부분일치
눈이 가볍다 眼皮轻 부분일치

- 80 -
눈이 무겁다 眼皮重 부분일치
마음이 가난하다 内心贫穷 부분일치
마음이 곱다 心地善良 부분일치
마음이 복잡하다 心情复杂 부분일치
마음이 따뜻하다 心里温暖 부분일치
마음이 넓다 心胸开阔 부분일치
마음이 좋다 心情好 부분일치
마음이 간절하다 心切 부분일치
마음이 불편하다 心里不舒服 부분일치
마음이 답답하다 心里憋闷 부분일치
마음이 불안하다 心里忐忑 부분일치
마음이 통하다 心意相通 부분일치
마음이 편하다 心里舒服 부분일치
마음이 풀리다 疏解心情 부분일치
마음이 편안하다 心安 부분일치
마음이 강하다 内心坚强 부분일치
마음이 순수하다 单纯 부분일치
마음이 착하다 心地善良 부분일치
마음이 맑다 心灵纯净 부분일치
마음이 바쁘다 着急 부분일치
마음이 사라지다 ....的情绪消失 부분일치
마음이 시원하다 心情舒畅 부분일치
마음이 상쾌하다 心里自在 부분일치
마음이 차분하다 心平气和 부분일치
마음이 건강하다 心理健康 부분일치
마음이 담기다 包含...之情 부분일치
마음이 가라앉다 心情平静 부분일치
마음이 기쁘다 心里美滋滋 부분일치
마음이 무겁다 内心沉重 부분일치
마음이 가볍다 内心轻松 부분일치
마음이 홀가분하다 心情轻松 부분일치
마음이 바뀌다 改变想法 부분일치
머리가 돌다 精神失常 부분일치
머리가 크다 头大 부분일치
머리가 무겁다 头脑发木 부분일치
머리가 나쁘다 脑子笨 부분일치
머리가 맑아지다 思维清晰 부분일치
머리가 길다 头发长 부분일치
머리가 검다 头发黑 부분일치
머리가 세다 头发变白 부분일치
머리가 비다 大脑空白 부분일치
머리가 좋다 头脑聪明 부분일치

- 81 -
머리가 짧다 头发短 부분일치
머리가 복잡하다 头脑复杂 부분일치
머리카락이 빠지다 掉头发 부분일치
목이 쉬다 嗓子哑 부분일치
목이 메다 哽咽 부분일치
몸이 크다 身材魁梧 부분일치
몸이 달다 身体发烫 부분일치
배가 거북하다 肚子胀 부분일치
살이 찌다 长肉 부분일치
살이 오르다 长肉 부분일치
살이 붙다 长肉 부분일치
손이 크다 手大 부분일치
손이 있다 手够用 부분일치
손이 없다 手不够用 부분일치
어깨가 무겁다 担子重 부분일치
얼굴이 좋다 脸色好 부분일치
얼굴이 풀리다 表情放松 부분일치
얼굴이 어둡다 脸色暗沉 부분일치
얼굴이 그립다 想念 부분일치
얼굴이 밝다 表情明朗 부분일치
얼굴이 화끈거리다 脸上火辣辣 부분일치
얼굴이 잘생기다 长得帅 부분일치
이가 썩다 牙坏了 부분일치
입이 무겁다 嘴严 부분일치
입이 가볍다 嘴松 부분일치
코가 높다 眼光高 부분일치
코가 낮다 眼光低 부분일치
허리가 약하다 腰不好 부분일치
눈이 어둡다 利欲熏心 불일치
눈이 무섭다 人言可畏 불일치
눈이 가다 吸引目光 불일치
눈이 시리다 不满意 불일치
마음이 쓰이다 挂念 불일치
마음이 가다 关心 불일치
마음이 내키다 满足 불일치
머리가 빠지다 掉头发 불일치
머리가 굵다 长大成人 불일치
머리가 돌아가다 反应快 불일치
목이 타다 嗓子干 불일치
손이 작다 抠门 불일치
손이 가다 费力气 불일치
어깨가 처지다 垂头丧气 불일치

- 82 -
얼굴이 질리다 失色 불일치
얼굴이 피다 气色好 불일치
입이 짧다 挑食 불일치

- 83 -
< 부록 2> 한국어 목술 관계 연어와 이에 대응하는 중국어 표현

한국어 연어 중국어 대응 표현 의미적 대응 양상


가슴을 쥐어뜯다 揪心 완전일치
근육을 강화시키다 增强肌肉 완전일치
눈을 들다 抬眼 완전일치
눈을 깜박이다 眨眼 완전일치
눈을 깜박하다 眨眼 완전일치
눈을 뜨다 睁眼 완전일치
눈을 가리다 捂眼 완전일치
눈을 비비다 揉眼 완전일치
눈을 의심하다 怀疑...的眼睛 완전일치
눈을 반짝거리다 眨眼 완전일치
다리를 펴다 伸腿 완전일치
다리를 떨다 抖腿 완전일치
다리를 움직이다 动腿 완전일치
다리를 다치다 腿受伤 완전일치
다리를 안다 抱腿 완전일치
다리를 뻗다 伸腿 완전일치
마음을 놓다 放心 완전일치
마음을 주다 把心交给... 완전일치
마음을 쓰다 用心 완전일치
마음을 담다 怀着...的心 완전일치
마음을 움직이다 动心 완전일치
마음을 가지다 带着...的心 완전일치
마음을 다치다 伤心 완전일치
머리를 때리다 打头 완전일치
머리를 젓다 摇头 완전일치
머리를 흔들다 摇头 완전일치
머리를 빗다 梳头 완전일치
머리를 치다 敲头 완전일치
머리를 염색하다 染头 완전일치
머리를 파마하다 烫头 완전일치
머리를 하다 做头 완전일치
머리를 가로젓다 摇头 완전일치
머리를 세우다 昂首 완전일치
머리를 내밀다 探头 완전일치
머리를 들다 抬头 완전일치
머리를 만지다 摸头 완전일치
머리를 묶다 扎头 완전일치
머리를 숙이다 低头 완전일치
머리를 긁다 挠头 완전일치

- 84 -
머리를 자르다 剪头 완전일치
머리카락을 빼다 拔头发 완전일치
몸을 다치다 身体受伤 완전일치
몸을 떨다 身子发抖 완전일치
몸을 돌리다 转身 완전일치
몸을 가누다 控制身体 완전일치
몸을 움직이다 活动身体 완전일치
몸을 회복하다 身体恢复 완전일치
몸을 두다 置身于... 완전일치
몸을 담그다 身体浸泡在... 완전일치
몸을 일으키다 起身 완전일치
몸을 가리다 遮住身体 완전일치
무릎을 다치다 膝盖受伤 완전일치
무릎을 안다 抱膝 완전일치
무릎을 베다 枕着膝盖 완전일치
발을 담그다 泡脚 완전일치
발을 씻다 洗脚 완전일치
손을 베이다 手被割伤 완전일치
손을 씻다 洗手 완전일치
손을 닦다 擦手 완전일치
손을 잡다 拉手 완전일치
손을 흔들다 挥手 완전일치
손을 다치다 手受伤 완전일치
손을 들다 举手 완전일치
손을 쉬다 住手 완전일치
손가락을 쓰다 用手指 완전일치
손가락을 펴다 展开手指 완전일치
손가락을 사용하다 用手指 완전일치
손가락을 움직이다 活动手指 완전일치
어깨를 떠밀다 用力推...的肩膀 완전일치
어깨를 펴다 张开肩膀 완전일치
어깨를 치다 拍肩膀 완전일치
어깨를 떨다 肩膀发抖 완전일치
얼굴을 붉히다 涨红脸 완전일치
얼굴을 쳐다보다 仰视...的脸 완전일치
얼굴을 내밀다 露脸 완전일치
얼굴을 가리다 遮脸 완전일치
얼굴을 익히다 脸熟 완전일치
이를 교정하다 矫正牙齿 완전일치
이를 닦다 刷牙 완전일치
이를 뽑다 拔牙 완전일치
이마를 다치다 额头受伤 완전일치

- 85 -
입을 열다 张口 완전일치
입을 벌리다 张开嘴 완전일치
입을 가리다 捂嘴 완전일치
입을 내밀다 撅嘴 완전일치
코를 만지다 摸鼻子 완전일치
코를 벌름거리다 抽鼻子 완전일치
팔을 흔들다 挥动手臂 완전일치
팔을 다치다 手臂受伤 완전일치
팔을 뻗다 伸出手臂 완전일치
허리를 굽히다 弯腰 완전일치
허리를 구부리다 弯腰 완전일치
무릎을 치다 拍大腿 부분일치
가슴을 펴다 挺胸 부분일치
가슴을 울리다 动人心弦 부분일치
가슴을 졸이다 提心吊胆 부분일치
고개를 숙이다 低头 부분일치
고개를 끄덕이다 点头 부분일치
고개를 흔들다 摇头 부분일치
고개를 들다 抬头 부분일치
고개를 돌리다 回头 부분일치
고개를 젖히다 仰面 부분일치
다리를 꼬다 翘腿 부분일치
눈을 주다 递眼色 부분일치
눈을 피하다 避开视线 부분일치
눈을 감다 闭眼 부분일치
눈을 흘기다 白眼 부분일치
마음을 진정하다 平复心情 부분일치
마음을 붙이다 贴心 부분일치
마음을 끌다 吸引 부분일치
마음을 이해하다 理解心情 부분일치
마음을 전하다 转达心意 부분일치
마음을 열다 敞开心扉 부분일치
마음을 정하다 打主意 부분일치
마음을 잡다 下定决心 부분일치
마음을 모르다 不明白心意 부분일치
마음을 사다 收买人心 부분일치
마음을 표현하다 表达心意 부분일치
마음을 사로잡다 抓住人心 부분일치
마음을 가라앉히다 心情平静 부분일치
마음을 졸이다 提心吊胆 부분일치
마음을 알다 明白心意 부분일치
마음을 비우다 去除杂念 부분일치

- 86 -
마음을 풀다 放松情绪 부분일치
마음을 버리다 释怀 부분일치
머리를 식히다 头脑冷静 부분일치
머리를 쓰다 用脑 부분일치
머리를 말리다 弄干头发 부분일치
머리를 헹구다 冲洗头发 부분일치
머리를 끄덕이다 点头 부분일치
머리를 감다 洗头 부분일치
머리를 손질하다 整理头发 부분일치
머리를 풀다 解开头发 부분일치
머리를 깎다 剪头 부분일치
목을 빼다 翘首 부분일치
몸을 담다 投身 부분일치
몸을 던지다 投身 부분일치
몸을 씻다 洗澡 부분일치
몸을 닦다 擦身子 부분일치
몸을 가꾸다 打扮 부분일치
무릎을 꿇다 跪下 부분일치
배를 곯리다 肚子饿 부분일치
손을 쓰다 采取措施 부분일치
손을 대다 动手 부분일치
손을 내밀다 伸手 부분일치
얼굴을 찡그리다 皱眉头 부분일치
얼굴을 풀다 表情放松 부분일치
얼굴을 들다 抬起头 부분일치
얼굴을 향하다 迎面 부분일치
얼굴을 보다 顾脸面 부분일치
입을 다물다 闭嘴 부분일치
코를 찌르다 刺鼻 부분일치
허리를 펴다 直起腰杆 부분일치
허리를 숙이다 弯腰 부분일치
혀를 차다 咂舌 부분일치
혀를 내두르다 吐舌头 부분일치
가슴을 치다 捶胸顿足 불일치
귀를 기울이다 洗耳恭听 불일치
눈을 돌리다 不关心 불일치
눈을 붙이다 打盹儿 불일치
눈을 떼다 转移视线 불일치
마음을 먹다 决心 불일치
마음을 다잡다 集中精力 불일치
머리를 굴리다 动脑筋 불일치
머리를 싸매다 全神贯注 불일치

- 87 -
머리를 기르다 留发 불일치
목을 매다 竭尽全力 불일치
몸을 사리다 缩脖子 불일치
배를 잡다 捧腹大笑 불일치
살을 빼다 减肥 불일치
손을 놓다 半途而废 불일치
손가락을 빨다 看热闹 불일치
손가락을 꼽다 翘首以待 불일치
손뼉을 치다 赞成 불일치
얼굴을 찌푸리다 愁眉苦脸 불일치
팔을 걷어붙이다 挺身而出 불일치
코를 풀다 擤鼻涕 불일치
코를 박다 低头 불일치
코를 골다 打呼噜 불일치

- 88 -
< 부록 3> 신체관련 연어 등급화 결과

연어 연어 연어
주어/목적어
연어 서술어( 등급) 1차 2차 3차
( 등급)
등급 등급 등급
가슴이 넓다 가슴(2급) 넓다(1급) 2급 3급 4급
가슴이 내려앉다 가슴(2급) 내려앉다(4급) 4급 5급 5급
가슴이 두근거리다 가슴(2급) 두근거리다(5급) 5급 6급 6급
가슴이 풍만하다 가슴(2급) 풍만하다(5급) 5급 5급 6급
가슴이 뛰다 가슴(2급) 뛰다(3급) 3급 3급 4급
가슴이 뜨끔하다 가슴(2급) 뜨끔하다(5급) 5급 6급 6급
가슴이 아프다 가슴(2급) 아프다(1급) 2급 2급 2급
가슴이 저리다 가슴(2급) 저리다(5급) 5급 5급 6급
가슴이 서늘하다 가슴(2급) 서늘하다(4급) 4급 5급 6급
가슴이 막히다 가슴(2급) 막히다(2급) 2급 2급 3급
가슴이 뭉클하다 가슴(2급) 뭉클하다(5급) 5급 6급 6급
가슴이 벅차다 가슴(2급) 벅차다(5급) 5급 6급 6급
가슴이 설레다 가슴(2급) 설레다(4급) 4급 5급 5급
가슴이 뿌듯하다 가슴(2급) 뿌듯하다(5급) 5급 6급 6급
가슴을 치다 가슴(2급) 치다(1급) 2급 4급 4급
가슴을 펴다 가슴(2급) 펴다(2급) 2급 3급 4급
가슴을 쥐어뜯다 가슴(2급) 쥐어뜯다(4급) 4급 4급 4급
가슴을 울리다 가슴(2급) 울리다(3급) 3급 4급 5급
가슴을 졸이다 가슴(2급) 졸리다(5급) 5급 6급 6급
고개를 숙이다 고개(2급) 숙이다(4급) 4급 5급 5급
고개를 젖히다 고개(2급) 젖히다(6급) 6급 6급 6급
고개를 끄덕이다 고개(2급) 끄덕이다(4급) 4급 5급 6급
고개를 흔들다 고개(2급) 흔들다(2급) 2급 3급 3급
고개를 돌리다 고개(2급) 돌리다(2급) 2급 3급 3급
고개를 들다 고개(2급) 들다(1급) 2급 3급 4급
근육을 강화시키다 근육(3급) 강화시키다(5급) 5급 5급 5급
근육이 풀리다 근육(3급) 풀리다(3급) 3급 3급 4급
귀가 솔깃하다 귀(1급) 솔깃하다(6급) 6급 6급 6급
귀가 밝다 귀(1급) 밝다(2급) 2급 2급 3급
귀가 뜨이다 귀(1급) 뜨이다(6급) 6급 6급 6급
귀가 어둡다 귀(1급) 어둡다(2급) 2급 3급 4급
귀를 기울이다 귀(1급) 기울이다(4급) 4급 6급 6급
눈이 시리다 눈(1급) 시리다(5급) 5급 6급 6급
눈이 가볍다 눈(1급) 가볍다(1급) 1급 2급 3급
눈이 무겁다 눈(1급) 무겁다(1급) 1급 2급 3급
눈이 푸르다 눈(1급) 푸르다(2급) 2급 2급 3급
눈이 부시다 눈(1급) 부시다(5급) 5급 6급 6급

- 89 -
눈이 붓다 눈(1급) 붓다(3급) 3급 3급 4급
눈이 예쁘다 눈(1급) 예쁘다(1급) 1급 1급 2급
눈이 마주치다 눈(1급) 마주치다(4급) 4급 5급 5급
눈이 있다 눈(1급) 있다(1급) 1급 2급 2급
눈이 무섭다 눈(1급) 무섭다(2급) 2급 4급 4급
눈이 돌다 눈(1급) 돌다(2급) 2급 2급 3급
눈이 멀다 눈(1급) 멀다(6급) 6급 6급 6급
눈이 크다 눈(1급) 크다(1급) 1급 1급 2급
눈이 작다 눈(1급) 작다(1급) 1급 1급 2급
눈이 나쁘다 눈(1급) 나쁘다(1급) 1급 1급 2급
눈이 밝다 눈(1급) 밝다(2급) 2급 2급 3급
눈이 어둡다 눈(1급) 어둡다(2급) 2급 4급 4급
눈이 맑다 눈(1급) 맑다(1급) 1급 2급 3급
눈이 아프다 눈(1급) 아프다(1급) 1급 1급 2급
눈이 높다 눈(1급) 높다(1급) 1급 2급 3급
눈이 가다 눈(1급) 가다(1급) 1급 3급 4급
눈이 충혈되다 눈(1급) 충혈되다(5급) 5급 5급 5급
눈을 붙이다 눈(1급) 붙이다(2급) 2급 4급 4급
눈을 깜박하다 눈(1급) 깜박하다(4급) 4급 4급 4급
눈을 뜨다 눈(1급) 뜨다(2급) 2급 2급 2급
눈을 비비다 눈(1급) 비비다(3급) 3급 3급 3급
눈을 흘기다 눈(1급) 흘기다(6급) 6급 6급 6급
눈을 주다 눈(1급) 주다(1급) 1급 2급 3급
눈을 의심하다 눈(1급) 의심하다(4급) 4급 4급 4급
눈을 피하다 눈(1급) 피하다(3급) 3급 4급 4급
눈을 들다 눈(1급) 들다(1급) 1급 1급 2급
눈을 돌리다 눈(1급) 돌리다(2급) 2급 4급 4급
눈을 떼다 눈(1급) 떼다(4급) 4급 6급 6급
눈을 감다 눈(1급) 감다(2급) 2급 3급 3급
눈을 가리다 눈(1급) 가리다(3급) 3급 3급 3급
눈을 깜박이다 눈(1급) 깜박이다(4급) 4급 4급 4급
눈을 반짝거리다 눈(1급) 반짝거리다(4급) 4급 4급 4급
다리가 가늘다 다리(1급) 가늘다(2급) 2급 2급 2급
다리가 아프다 다리(1급) 아프다(1급) 1급 1급 1급
다리가 굵다 다리(1급) 굵다(2급) 2급 2급 3급
다리가 짧다 다리(1급) 짧다(2급) 2급 2급 2급
다리가 부러지다 다리(1급) 부러지다(3급) 3급 3급 3급
다리를 뻗다 다리(1급) 뻗다(4급) 4급 4급 5급
다리를 꼬다 다리(1급) 꼬다(5급) 5급 6급 6급
다리를 다치다 다리(1급) 다치다(2급) 2급 2급 2급
다리를 움직이다 다리(1급) 움직이다(2급) 2급 2급 2급
다리를 안다 다리(1급) 안다(2급) 2급 2급 3급

- 90 -
다리를 펴다 다리(1급) 펴다(2급) 2급 2급 3급
다리를 떨다 다리(1급) 떨다(3급) 3급 3급 4급
마음이 사라지다 마음(1급) 사라지다(3급) 3급 4급 4급
마음이 기쁘다 마음(1급) 기쁘다(1급) 1급 2급 2급
마음이 넓다 마음(1급) 넓다(1급) 1급 2급 3급
마음이 따뜻하다 마음(1급) 따뜻하다(1급) 1급 2급 2급
마음이 좋다 마음(1급) 좋다(1급) 1급 2급 2급
마음이 가볍다 마음(1급) 가볍다(1급) 1급 2급 3급
마음이 간절하다 마음(1급) 간절하다(4급) 4급 5급 5급
마음이 불편하다 마음(1급) 불편하다(2급) 2급 3급 3급
마음이 급하다 마음(1급) 급하다(2급) 2급 2급 2급
마음이 답답하다 마음(1급) 답답하다(2급) 2급 3급 3급
마음이 무겁다 마음(1급) 무겁다(1급) 1급 2급 2급
마음이 불안하다 마음(1급) 불안하다(2급) 2급 3급 3급
마음이 생기다 마음(1급) 생기다(2급) 2급 2급 2급
마음이 쓰이다 마음(1급) 쓰이다(3급) 3급 5급 5급
마음이 아프다 마음(1급) 아프다(1급) 1급 1급 1급
마음이 통하다 마음(1급) 통하다(3급) 3급 4급 4급
마음이 편하다 마음(1급) 편하다(2급) 2급 3급 3급
마음이 풀리다 마음(1급) 풀리다(3급) 3급 4급 4급
마음이 가다 마음(1급) 가다(1급) 1급 3급 4급
마음이 강하다 마음(1급) 강하다(2급) 2급 3급 3급
마음이 내키다 마음(1급) 내키다(6급) 6급 6급 6급
마음이 담기다 마음(1급) 담기다(3급) 3급 4급 4급
마음이 편안하다 마음(1급) 편안하다(2급) 2급 3급 3급
마음이 바쁘다 마음(1급) 바쁘다(1급) 1급 2급 2급
마음이 없다 마음(1급) 없다(1급) 1급 1급 1급
마음이 있다 마음(1급) 있다(1급) 1급 1급 1급
마음이 상쾌하다 마음(1급) 상쾌하다(4급) 4급 5급 5급
마음이 놓이다 마음(1급) 놓이다(3급) 3급 3급 3급
마음이 고맙다 마음(1급) 고맙다(1급) 1급 1급 2급
마음이 가라앉다 마음(1급) 가라앉다(4급) 4급 5급 5급
마음이 건강하다 마음(1급) 건강하다(2급) 2급 3급 3급
마음이 가난하다 마음(1급) 가난하다(3급) 3급 4급 4급
마음이 복잡하다 마음(1급) 복잡하다(2급) 2급 3급 3급
마음이 곱다 마음(1급) 곱다(3급) 4급 5급 5급
마음이 착하다 마음(1급) 착하다(2급) 2급 3급 3급
마음이 차분하다 마음(1급) 차분하다(5급) 5급 6급 6급
마음이 순수하다 마음(1급) 순수하다(4급) 4급 5급 6급
마음이 맑다 마음(1급) 맑다(1급) 1급 2급 3급
마음이 시원하다 마음(1급) 시원하다(1급) 1급 2급 2급
마음이 바뀌다 마음(1급) 바뀌다(2급) 2급 3급 3급

- 91 -
마음이 홀가분하다 마음(1급) 홀가분하다(6급) 6급 6급 6급
마음을 가라앉히다 마음(1급) 가라앉히다(6급) 6급 6급 6급
마음을 움직이다 마음(1급) 움직이다(2급) 2급 2급 2급
마음을 알다 마음(1급) 알다(1급) 1급 2급 2급
마음을 다잡다 마음(1급) 다잡다(4급) 4급 6급 6급
마음을 진정하다 마음(1급) 진정하다(4급) 4급 5급 5급
마음을 모르다 마음(1급) 모르다(1급) 1급 2급 2급
마음을 전하다 마음(1급) 전하다(2급) 2급 3급 4급
마음을 열다 마음(1급) 열다(1급) 1급 2급 3급
마음을 잡다 마음(1급) 잡다(2급) 2급 3급 4급
마음을 졸이다 마음(1급) 졸이다(5급) 5급 6급 6급
마음을 주다 마음(1급) 주다(1급) 1급 1급 2급
마음을 다치다 마음(1급) 다치다(2급) 2급 2급 2급
마음을 풀다 마음(1급) 풀다(2급) 2급 3급 4급
마음을 쓰다 마음(1급) 쓰다(1급) 1급 1급 2급
마음을 표현하다 마음(1급) 표현하다(3급) 3급 4급 4급
마음을 붙이다 마음(1급) 붙이다(2급) 2급 3급 4급
마음을 사로잡다 마음(1급) 사로잡다(4급) 4급 5급 5급
마음을 담다 마음(1급) 담다(3급) 3급 3급 4급
마음을 가지다 마음(1급) 가지다(1급) 1급 1급 1급
마음을 버리다 마음(1급) 버리다(2급) 2급 3급 3급
마음을 비우다 마음(1급) 비우다(4급) 4급 5급 5급
마음을 사다 마음(1급) 사다(1급) 1급 2급 3급
마음을 이해하다 마음(1급) 이해하다(2급) 2급 3급 3급
마음을 정하다 마음(1급) 정하다(2급) 2급 3급 3급
마음을 먹다 마음(1급) 먹다(1급) 3급 4급 4급
마음을 놓다 마음(1급) 놓다(2급) 2급 2급 2급
마음을 끌다 마음(1급) 끌다(3급) 3급 4급 4급
머리가 길다 머리(1급) 길다(1급) 1급 2급 2급
머리가 벗겨지다 머리(1급) 벗겨지다(4급) 4급 4급 5급
머리가 비다 머리(1급) 비다(2급) 2급 3급 4급
머리가 빠지다 머리(1급) 빠지다(3급) 3급 5급 5급
머리가 좋다 머리(1급) 좋다(1급) 1급 2급 3급
머리가 짧다 머리(1급) 짧다(2급) 2급 3급 3급
머리가 세다 머리(1급) 세다(5급) 5급 6급 6급
머리가 돌다 머리(1급) 돌다(2급) 2급 3급 4급
머리가 검다 머리(1급) 검다(3급) 3급 4급 4급
머리가 무겁다 머리(1급) 무겁다(1급) 1급 2급 3급
머리가 아프다 머리(1급) 아프다(1급) 1급 1급 1급
머리가 어지럽다 머리(1급) 어지럽다(3급) 3급 3급 3급
머리가 작다 머리(1급) 작다(1급) 1급 1급 2급
머리가 똑똑하다 머리(1급) 똑똑하다(2급) 2급 2급 2급

- 92 -
머리가 크다 머리(1급) 크다(1급) 1급 2급 2급
머리가 굵다 머리(1급) 굵다(2급) 2급 4급 4급
머리가 돌아가다 머리(1급) 돌아가다(1급) 1급 3급 3급
머리가 나쁘다 머리(1급) 나쁘다(1급) 1급 2급 3급
머리가 맑아지다 머리(1급) 맑아지다(4급) 4급 5급 5급
머리가 복잡하다 머리(1급) 복잡하다(2급) 2급 3급 3급
머리를 파마하다 머리(1급) 파마하다(3급) 3급 3급 3급
머리를 싸매다 머리(1급) 싸매다(4급) 4급 6급 6급
머리를 풀다 머리(1급) 풀다(2급) 2급 3급 4급
머리를 하다 머리(1급) 하다(2급) 2급 2급 2급
머리를 끄덕이다 머리(1급) 끄덕이다(4급) 4급 5급 5급
머리를 긁다 머리(1급) 긁다(4급) 4급 4급 5급
머리를 내밀다 머리(1급) 내밀다(4급) 4급 4급 4급
머리를 들다 머리(1급) 들다(1급) 1급 1급 2급
머리를 가로젓다 머리(1급) 가로젓다(4급) 4급 4급 4급
머리를 굴리다 머리(1급) 굴리다(6급) 6급 6급 6급
머리를 말리다 머리(1급) 말리다(3급) 3급 4급 4급
머리를 치다 머리(1급) 치다(1급) 1급 1급 2급
머리를 세우다 머리(1급) 세우다(2급) 2급 2급 3급
머리를 때리다 머리(1급) 때리다(4급) 4급 4급 4급
머리를 만지다 머리(1급) 만지다(2급) 2급 2급 3급
머리를 묶다 머리(1급) 묶다(3급) 3급 3급 4급
머리를 숙이다 머리(1급) 숙이다(4급) 4급 4급 4급
머리를 식히다 머리(1급) 식히다(3급) 3급 4급 4급
머리를 젓다 머리(1급) 젓다(3급) 3급 3급 4급
머리를 헹구다 머리(1급) 헹구다(6급) 6급 6급 6급
머리를 쓰다 머리(1급) 쓰다(1급) 1급 2급 2급
머리를 감다 머리(1급) 감다(2급) 2급 3급 4급
머리를 흔들다 머리(1급) 흔들다(2급) 2급 2급 2급
머리를 깎다 머리(1급) 깎다(2급) 2급 3급 4급
머리를 빗다 머리(1급) 빗다(3급) 3급 3급 4급
머리를 손질하다 머리(1급) 손질하다(4급) 4급 5급 5급
머리를 염색하다 머리(1급) 염색하다(4급) 4급 4급 4급
머리를 자르다 머리(1급) 자르다(2급) 2급 2급 2급
머리를 기르다 머리(1급) 기르다(2급) 2급 4급 4급
머리카락이 굵다 머리카락(2급) 굵다(2급) 2급 2급 3급
머리카락이 빠지다 머리카락(2급) 빠지다(3급) 3급 4급 4급
머리카락이 끼다 머리카락(2급) 끼다(4급) 4급 4급 5급
머리카락을 빼다 머리카락(2급) 빼다(2급) 2급 2급 3급
목이 쉬다 목(1급) 쉬다(3급) 3급 4급 5급
목이 터지다 목(1급) 터지다(4급) 4급 4급 4급
목이 메다 목(1급) 메다(5급) 5급 6급 6급

- 93 -
목이 아프다 목(1급) 아프다(1급) 1급 1급 2급
목이 타다 목(1급) 타다(1급) 1급 3급 4급
목이 마르다 목(1급) 마르다(2급) 2급 2급 2급
목이 짧다 목(1급) 짧다(2급) 2급 2급 2급
목이 굵다 목(1급) 굵다(2급) 2급 2급 3급
목이 길다 목(1급) 길다(3급) 3급 3급 3급
목이 붓다 목(1급) 붓다(3급) 3급 3급 3급
목을 빼다 목(1급) 빼다(2급) 2급 3급 4급
목을 매다 목(1급) 매다(2급) 2급 4급 4급
몸이 허약하다 몸(1급) 허약하다(4급) 4급 4급 4급
몸이 떨리다 몸(1급) 떨리다(3급) 3급 3급 4급
몸이 차갑다 몸(1급) 차갑다(2급) 2급 2급 2급
몸이 달다 몸(1급) 달다(5급) 5급 6급 6급
몸이 무겁다 몸(1급) 무겁다(1급) 1급 1급 2급
몸이 좋다 몸(1급) 좋다(1급) 1급 1급 2급
몸이 피곤하다 몸(1급) 피곤하다(1급) 1급 1급 1급
몸이 건강하다 몸(1급) 건강하다(2급) 2급 2급 2급
몸이 나빠지다 몸(1급) 나빠지다(3급) 3급 3급 4급
몸이 나른하다 몸(1급) 나른하다(6급) 6급 6급 6급
몸이 마르다 몸(1급) 마르다(2급) 2급 2급 2급
몸이 불편하다 몸(1급) 불편하다(2급) 2급 2급 2급
몸이 뜨겁다 몸(1급) 뜨겁다(2급) 2급 2급 2급
몸이 쑤시다 몸(1급) 쑤시다(4급) 4급 4급 5급
몸이 아프다 몸(1급) 아프다(1급) 1급 1급 2급
몸이 약하다 몸(1급) 약하다(2급) 2급 2급 2급
몸이 가볍다 몸(1급) 가볍다(1급) 1급 1급 2급
몸이 크다 몸(1급) 크다(1급) 1급 2급 2급
몸이 튼튼하다 몸(1급) 튼튼하다(2급) 2급 2급 2급
몸을 다치다 몸(1급) 다치다(2급) 2급 2급 2급
몸을 사리다 몸(1급) 사리다(5급) 5급 6급 6급
몸을 가리다 몸(1급) 가리다(3급) 3급 3급 4급
몸을 가누다 몸(1급) 가누다(6급) 6급 6급 6급
몸을 가꾸다 몸(1급) 가꾸다(3급) 3급 4급 5급
몸을 던지다 몸(1급) 던지다(2급) 2급 3급 4급
몸을 돌리다 몸(1급) 돌리다(2급) 2급 2급 2급
몸을 담그다 몸(1급) 담그다(3급) 3급 3급 4급
몸을 떨다 몸(1급) 떨다(3급) 3급 3급 4급
몸을 닦다 몸(1급) 닦다(2급) 2급 3급 4급
몸을 씻다 몸(1급) 씻다(1급) 1급 2급 2급
몸을 움직이다 몸(1급) 움직이다(2급) 2급 2급 2급
몸을 일으키다 몸(1급) 일으키다(4급) 4급 4급 4급
몸을 회복하다 몸(1급) 회복하다(3급) 3급 3급 4급

- 94 -
몸을 담다 몸(1급) 담다(4급) 4급 5급 5급
몸을 두다 몸(1급) 두다(2급) 2급 2급 3급
무릎을 안다 무릎(2급) 안다(2급) 2급 2급 3급
무릎을 꿇다 무릎(2급) 꿇다(4급) 4급 5급 6급
무릎을 치다 무릎(2급) 치다(1급) 1급 2급 3급
무릎을 다치다 무릎(2급) 다치다(2급) 2급 2급 2급
무릎을 베다 무릎(2급) 베다(5급) 5급 5급 6급
발이 작다 발(1급) 작다(1급) 1급 1급 2급
발이 아프다 발(1급) 아프다(1급) 1급 1급 2급
발이 크다 발(1급) 크다(1급) 1급 1급 2급
발을 담그다 발(1급) 담그다(3급) 3급 3급 4급
발을 씻다 발(1급) 씻다(1급) 1급 1급 2급
배가 부르다 배(1급) 부르다(2급) 2급 2급 2급
배가 아프다 배(1급) 아프다(1급) 1급 1급 1급
배가 고프다 배(1급) 고프다(1급) 1급 1급 1급
배가 나오다 배(1급) 나오다(1급) 1급 1급 2급
배가 거북하다 배(1급) 거북하다(6급) 6급 6급 6급
배를 곯리다 배(1급) 곯리다(5급) 5급 6급 6급
배를 잡다 배(1급) 잡다(2급) 2급 4급 4급
살이 빠지다 살(2급) 빠지다(3급) 3급 3급 4급
살이 오르다 살(2급) 오르다(2급) 2급 3급 4급
살이 붙다 살(2급) 붙다(2급) 2급 3급 4급
살이 찌다 살(2급) 찌다(2급) 2급 3급 4급
살을 빼다 살(2급) 빼다(2급) 2급 4급 4급
손이 있다 손(1급) 있다(1급) 1급 2급 3급
손이 없다 손(1급) 없다(1급) 1급 2급 3급
손이 트다 손(1급) 트다(6급) 6급 6급 6급
손이 곱다 손(1급) 곱다(3급) 3급 3급 4급
손이 작다 손(1급) 작다(1급) 1급 3급 3급
손이 떨리다 손(1급) 떨리다(3급) 3급 3급 3급
손이 가다 손(1급) 가다(1급) 1급 3급 4급
손이 크다 손(1급) 크다(1급) 1급 2급 2급
손이 차갑다 손(1급) 차갑다(2급) 2급 2급 2급
손이 아프다 손(1급) 아프다(1급) 1급 1급 2급
손을 들다 손(1급) 들다(1급) 1급 1급 2급
손을 쓰다 손(1급) 쓰다(1급) 1급 2급 2급
손을 내밀다 손(1급) 내밀다(4급) 4급 5급 5급
손을 베이다 손(1급) 베이다(5급) 5급 5급 6급
손을 대다 손(1급) 대다(6급) 6급 6급 6급
손을 놓다 손(1급) 놓다(2급) 2급 4급 4급
손을 닦다 손(1급) 닦다(2급) 2급 2급 3급
손을 씻다 손(1급) 씻다(1급) 1급 1급 2급

- 95 -
손을 잡다 손(1급) 잡다(2급) 2급 2급 2급
손을 흔들다 손(1급) 흔들다(2급) 2급 2급 2급
손을 다치다 손(1급) 다치다(2급) 2급 2급 2급
손을 쉬다 손(1급) 쉬다(3급) 3급 3급 3급
손가락이 아프다 손가락(2급) 아프다(1급) 2급 2급 2급
손가락이 붓다 손가락(2급) 붓다(3급) 3급 3급 3급
손가락을 빨다 손가락(2급) 빨다(3급) 3급 5급 6급
손가락을 움직이다 손가락(2급) 움직이다(1급) 2급 2급 2급
손가락을 펴다 손가락(2급) 펴다(2급) 2급 2급 3급
손가락을 꼽다 손가락(2급) 꼽다(4급) 4급 6급 6급
손가락을 쓰다 손가락(2급) 쓰다(1급) 2급 2급 2급
손가락을 사용하다 손가락(2급) 사용하다(1급) 2급 2급 2급
손뼉을 치다 손뼉(3급) 치다(1급) 3급 5급 5급
어깨가 넓다 어깨(2급) 넓다(1급) 2급 2급 3급
어깨가 아프다 어깨(2급) 아프다(1급) 2급 2급 2급
어깨가 늘어나다 어깨(2급) 늘어나다(3급) 3급 3급 4급
어깨가 무겁다 어깨(2급) 무겁다(1급) 2급 3급 4급
어깨가 처지다 어깨(2급) 처지다(6급) 6급 6급 6급
어깨를 치다 어깨(2급) 치다(2급) 2급 2급 3급
어깨를 펴다 어깨(2급) 펴다(2급) 2급 2급 3급
어깨를 떠밀다 어깨(2급) 떠밀다(5급) 5급 5급 6급
어깨를 떨다 어깨(2급) 떨다(3급) 3급 3급 4급
얼굴이 뜨겁다 얼굴(1급) 뜨겁다(2급) 2급 2급 2급
얼굴이 잘생기다 얼굴(1급) 잘생기다(2급) 2급 3급 3급
얼굴이 좋다 얼굴(1급) 좋다(1급) 1급 2급 2급
얼굴이 작다 얼굴(1급) 작다(1급) 1급 1급 2급
얼굴이 붓다 얼굴(1급) 붓다(3급) 3급 3급 4급
얼굴이 풀리다 얼굴(1급) 풀리다(3급) 3급 4급 4급
얼굴이 어둡다 얼굴(1급) 어둡다(2급) 2급 3급 4급
얼굴이 갸름하다 얼굴(1급) 갸름하다(4급) 4급 4급 4급
얼굴이 둥글다 얼굴(1급) 둥글다(3급) 3급 3급 3급
얼굴이 붉어지다 얼굴(1급) 붉어지다(4급) 4급 4급 4급
얼굴이 빨개지다 얼굴(1급) 빨개지다(3급) 3급 3급 3급
얼굴이 예쁘다 얼굴(1급) 예쁘다(1급) 1급 1급 1급
얼굴이 하얗다 얼굴(1급) 하얗다(2급) 2급 2급 2급
얼굴이 창백해지다 얼굴(1급) 창백해지다(6급) 6급 6급 6급
얼굴이 곱다 얼굴(1급) 곱다(3급) 3급 3급 4급
얼굴이 밝다 얼굴(1급) 밝다(2급) 2급 3급 4급
얼굴이 질리다 얼굴(1급) 질리다(5급) 5급 6급 6급
얼굴이 화끈거리다 얼굴(1급) 화끈거리다(5급) 5급 6급 6급
얼굴이 타다 얼굴(1급) 타다(1급) 1급 1급 3급
얼굴이 피다 얼굴(1급) 피다(2급) 2급 4급 4급

- 96 -
얼굴이 그립다 얼굴(1급) 그립다(2급) 2급 3급 4급
얼굴을 붉히다 얼굴(1급) 붉히다(5급) 5급 5급 6급
얼굴을 쳐다보다 얼굴(1급) 쳐다보다(2급) 2급 2급 2급
얼굴을 풀다 얼굴(1급) 풀다(2급) 2급 3급 4급
얼굴을 가리다 얼굴(1급) 가리다(3급) 3급 3급 3급
얼굴을 찡그리다 얼굴(1급) 찡그리다(4급) 4급 5급 5급
얼굴을 찌푸리다 얼굴(1급) 찌푸리다(4급) 4급 6급 6급
얼굴을 익히다 얼굴(1급) 익히다(3급) 3급 3급 4급
얼굴을 보다 얼굴(1급) 보다(1급) 1급 2급 2급
얼굴을 내밀다 얼굴(1급) 내밀다(4급) 4급 4급 4급
얼굴을 향하다 얼굴(1급) 향하다(3급) 3급 4급 4급
얼굴을 들다 얼굴(1급) 들다(1급) 1급 2급 3급
이가 썩다 이(2급) 썩다(3급) 3급 4급 4급
이가 아프다 이(2급) 아프다(1급) 2급 2급 2급
이가 빠지다 이(2급) 빠지다(3급) 3급 3급 3급
이를 교정하다 이(2급) 교정하다(6급) 6급 6급 6급
이를 닦다 이(2급) 닦다(2급) 2급 2급 3급
이를 뽑다 이(2급) 뽑다(2급) 2급 2급 3급
이마가 넓다 이마(2급) 넓다(1급) 2급 2급 3급
이마를 다치다 이마(2급) 다치다(2급) 2급 2급 2급
입이 벌어지다 입(1급) 벌어지다(4급) 4급 4급 4급
입이 가볍다 입(1급) 가볍다(1급) 1급 2급 3급
입이 짧다 입(1급) 짧다(2급) 2급 4급 4급
입이 무겁다 입(1급) 무겁다(1급) 1급 2급 3급
입을 내밀다 입(1급) 내밀다(4급) 4급 4급 4급
입을 열다 입(1급) 열다(1급) 1급 1급 2급
입을 가리다 입(1급) 가리다(3급) 3급 3급 3급
입을 벌리다 입(1급) 벌리다(4급) 4급 4급 4급
입을 다물다 입(1급) 다물다(4급) 4급 5급 5급
코가 오뚝하다 코(1급) 오뚝하다(4급) 4급 4급 5급
코가 납작하다 코(1급) 납작하다(5급) 5급 5급 6급
코가 높다 코(1급) 높다(1급) 1급 2급 3급
코가 낮다 코(1급) 낮다(2급) 2급 3급 4급
코가 막히다 코(1급) 막히다(2급) 2급 2급 3급
코를 골다 코(1급) 골다(4급) 4급 6급 6급
코를 박다 코(1급) 박다(4급) 4급 6급 6급
코를 벌름거리다 코(1급) 벌름거리다(5급) 5급 5급 5급
코를 찌르다 코(1급) 찌르다(3급) 3급 4급 4급
코를 만지다 코(1급) 만지다(2급) 2급 2급 2급
코를 풀다 코(1급) 풀다(2급) 2급 4급 4급
팔을 다치다 팔(1급) 다치다(2급) 2급 2급 2급
팔을 흔들다 팔(1급) 흔들다(2급) 2급 2급 2급

- 97 -
팔을 걷어붙이다 팔(1급) 걷어붙이다(5급) 5급 6급 6급
팔을 뻗다 팔(1급) 뻗다(4급) 4급 4급 4급
허리가 가늘다 허리(2급) 가늘다(2급) 2급 2급 3급
허리가 굵다 허리(2급) 굵다(2급) 2급 2급 3급
허리가 아프다 허리(2급) 아프다(1급) 2급 2급 2급
허리가 약하다 허리(2급) 약하다(2급) 2급 3급 3급
허리를 펴다 허리(2급) 펴다(2급) 2급 3급 4급
허리를 굽히다 허리(2급) 굽히다(4급) 4급 4급 4급
허리를 구부리다 허리(2급) 구부리다(4급) 4급 4급 4급
허리를 숙이다 허리(2급) 숙이다(4급) 4급 5급 5급
혀를 차다 혀(2급) 차다(2급) 2급 3급 4급
혀를 내두르다 혀(2급) 내두르다(5급) 5급 6급 6급

- 98 -
< 부록 4> 신체관련 연어 사용 빈도 조사

안녕하십니까! 저희는 현재 '신체에 관한 연어 사용 빈도'에 대한 조사를 진


행하고 있습니다. 연구 대상은 현재 한국에서 한국어를 배우고 있는 중국 국적
의 학생으로 여러분의 도움이 절실한 상황입니다. 약 10분 정도의 시간이 소요
될 것으로 예상되며, 여러분께서 답해주신 설문 내용은 절대로 외부로 유출되
지 않을 것입니다. 여러분의 협조와 지지를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2021년 6월
경희대학교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한국어학 전공
ZHI LIUYUAN

1. 당신의 성별은
① 남 ② 여

2. 당신의 연령대는
① 20세 미만 ② 20-29세 ③ 30-39세 ④ 40세 이상

3. 당신의 현재 학력은
① 어학당 재학 ② 대학 본과 재학 ③ 대학원 재학

4. 당신의 TOPIK 성적은


① 없음 ② 초급 ③ 중급 ④ 고급

당신이 일상생활에서 사용하는 신체 관련 연어를 고르십시오


5. ‘가슴’ 과 관련한 연어
① 가슴이 아프다 ② 가슴이 두근거리다 ③ 가슴이 막히다 ④ 가슴이 뛰다
⑤ 가슴을 졸이다 ⑥ 가슴을 울리다 ⑦ 가슴을 펴다 ⑧ 가슴을 치다

6. ‘고개’ 와 관련한 연어
① 고개를 숙이다 ② 고개를 젖히다 ③ 고개를 흔들다 ④ 고개를 돌리다
⑤ 고개를 들다 ⑥ 고개를 끄덕이다

- 99 -
7. ‘귀’ 와 과 관련한 연어
① 귀가 솔깃하다 ② 귀가 밝다 ③ 귀가 뜨이다 ④ 귀가 어둡다 ⑤ 귀를 기울이다

8. ‘눈’ 과 관련한 연어
① 눈이 예쁘다 ② 눈이 부시다 ③ 눈이 마주치다 ④ 눈이 가볍다 ⑤ 눈이 나쁘다
⑥ 눈을 의심하다 ⑦ 눈을 피하다 ⑧ 눈을 뜨다 ⑨ 눈을 깜박하다 ⑩ 눈을 흘기다

9. ‘다리’ 와 관련한 연어
① 다리가 가늘다 ② 다리가 아프다 ③ 다리가 굵다 ④ 다리를 안다
⑤ 다리를 떨다 ⑥ 다리를 움직이다

10. ‘ 마음’과 관련한 연어


① 마음이 급하다 ② 마음이 착하다 ③ 마음이 통하다 ④ 마음이 기쁘다
⑤ 마음이 강하다 ⑥ 마음을 가지다 ⑦ 마음을 비우다 ⑧ 마음을 풀다
⑨ 마음을 벗겨지다 ⑩ 마음을 졸이다

11. ‘ 머리’와 관련한 연어


① 머리가 짧다 ② 머리가 똑똑하다 ③ 머리가 어지럽다 ④ 머리가 돌아가다
⑤ 머리가 맑아지다 ⑥ 머리를 만지다 ⑦ 머리를 자르다 ⑧ 머리를 숙이다
⑨ 머리를 굵다 ⑩ 머리를 식히다

12. ‘ 목’과 관련한 연어


① 목이 마르다 ② 목이 타다 ③ 목이 쉬다 ④ 목이 터지다 ⑤ 목을 빼다
⑥ 목을 매다

13. ‘ 몸’과 관련한 연어


① 몸이 튼튼하다 ② 몸이 마르다 ③ 몸이 허약하다 ④ 몸이 나빠지다
⑤ 몸이 쑤시다 ⑥ 몸을 담그다 ⑦ 몸을 움직이다 ⑧ 몸을 가리다
⑨ 몸을 일으키다 ⑩ 몸을 가누다

14. ‘ 배’와 관련한 연어


① 배가 부르다 ② 배가 아프다 ③ 배가 고프다 ④ 배를 곯리다 ⑤ 배를 잡다

15. ‘ 손’과 관련한 연어

- 100 -
① 손이 크다 ② 손이 있다 ③ 손이 차갑다 ④ 손이 떨리다 ⑤ 손을 대다
⑥ 손을 씻다 ⑦ 손을 내밀다 ⑧ 손을 잡다

16. ‘ 어깨’와 관련한 연어


① 어깨가 아프다 ② 어깨가 무겁다 ③ 어깨가 처지다 ④ 어깨를 떠밀다
⑤ 어깨를 펴다 ⑥ 어깨를 치다

17. ‘ 얼굴’과 관련한 연어


① 얼굴이 잘생기다 ② 얼굴이 갸름하다 ③ 얼굴이 밝다 ④ 얼굴이 창백해지다
⑤ 얼굴을 익히다 ⑥ 얼굴을 쳐다보다 ⑦ 얼굴을 내밀다 ⑧ 얼굴을 가리다

18. ‘ 입’과 관련한 연어


① 입이 짧다 ② 입이 무겁다 ③ 입이 벌어지다 ④ 입을 가리다 ⑤ 입을 다물다
⑥ 입을 내밀다

19. ‘ 코’와 관련한 연어


① 코가 높다 ② 코가 막히다 ③ 코가 납작하다 ④ 코를 풀다 ⑤ 코를 골다
⑥ 코를 벌름거리다

20. ‘ 허리’와 관련한 연어


① 허리가 가늘다 ② 허리가 약하다 ③ 허리가 굵다 ④ 허리를 숙이다
⑤ 허리를 구부리다

- 101 -
< 부록 5> 효과적인 신체관련 연어 교육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설문조사

안녕하십니까?
본 설문은 중국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신체관련 연어의 효과적인 교육 방
안을 모색하기 위한 조사입니다. 설문 결과는 연구 목적으로만 사용될 것임을
약속드리며 무엇보다 본 연구에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 바쁘신 가운에 설문
조사에 응해 주셔서 진심으로 감사를 드립니다. 모든 질문에 여러분의 솔직한
의견을 답해 주시기 바랍니다.
2021년 6월
경희대학교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한국어학 전공
ZHI LIUYUAN

1. 성별 ① 남 ② 여

2. 연령:

3. 한국어 능력시험(TOPIK) 등급
① 초급 (1-2급) ② 중급(3-4급) ③ 고급(5-6) 급

4. 한국에서 한국어를 학습한 기간은 얼마나 됩니까?


① 6개월 미만 ② 6개월~1년미만 ③ 1년~ 2년 미만 ④ 기타 _____

알맞은 답을 골라서 가장 자연스러운 문장을 만들어 보세요.


1. 그녀는 __( 이/가) 짧아 음식을 조금 먹다가 그만둔다.
① 머리 ② 손 ③ 목 ④ 입

2. 수지 씨는 얼굴은 밉지만 ____(이/가) 참 착해요.


① 가슴 ② 마음 ③ 눈 ④ 머리

3. 아이들은 여름 방학을 __( 이/가) 빠지게 기다렸다.


① 허리 ② 살 ③ 눈 ④ 마음

4. 너 정말 ____(이/가) 크다. 비싸기만 하고 쓸데없는 것을 이렇게 많이 사다니.

- 102 -
① 머리 ② 눈 ③ 얼굴 ④ 손

5. 선생님이 위급한 환자에게 빨리 ____(을/를) 썼다


① 손 ② 머리 ③ 몸 ④ 마음

6. 전등이 비춰 조금 눈이 ______.
① 멀다 ② 높다 ③ 부시다 ④ 어둡다

7. 음악을 들면서 머리를 ______.


① 감다 ② 말리다 ③ 기르다 ④ 식히다

8. 피곤할 텐데 잠시 눈을 _____도록 하세요.


① 피하 ② 붙이 ③ 가리 ④ 반짝거리

9. 술에 취한 후에 나의 머리는 텅 ______.
① 비었다 ② 좋았다 ③ 나빴다 ④ 세었다

10. 눈만 _______( 아/어/야)도 얼굴을 돌리며 부끄러워했다.


① 뜨다 ② 마주치다 ③ 흘기다 ④ 의심하다

11. 민준 씨는 문 뒤에 숨어 창의 커튼으로 몸을 ______.


① 가렸다 ② 던졌다 ③ 다쳤다 ④ 담았다

12. 그는 갑작스런 사고로 _______.


① 눈이 멀었다 ② 어깨가 처졌다 ③ 가슴이 막히다 ④ 머리가 벗겨지다

13. 나는 그에게 ______(아/어/여) 악수를 청했다.


① 눈을 돌리다 ② 손을 내밀다 ③ 가슴을 펴다 ④ 고개를 들다

14. 부모님의 가르침을 ______ 듣다.


① 귀가 밝아 ② 귀를 기울여 ③ 입이 무거워 ④ 입을 다물어

15. _______ 면 쉽게 해결될 일을 뭘 그리 고민하니?


① 머리를 끄덕이다 ② 머리를 세우다 ③ 머리를 만지다 ④ 머리를 굴리다

- 103 -
자연스러운 문장이 되도록 (보기) 와 같이 각각의 요소에서 하나씩 골라 문장을 만
들어 보세요.
보기:
그는 겨우 30살인데 머리가 다 빠졌다.

① 머리 ① 이/가 ① 마주치다
② 눈 ② 을/를 ② 빠졌다
③ 가슴 ③ 뿌듯하다

16. 그 사람이 물질에 __________.


① 마음 ① 이/가 ① 무겁다
② 눈 ② 을/를 ② 다잡다
③ 손 ③ 어둡다

17. 나는 찬물에 ____ 고 나서 감기에 걸렸다.

① 머리 ① 이/가 ① 주다
② 손 ② 을/를 ② 감다
③ 얼굴 ③ 닦다

18. 그녀는 내 말을 이해한다는 듯이 __________.


① 눈 ① 이/가 ① 기울이다
② 귀 ② 을/를 ② 끄덕이다
③ 머리 ③ 피하다

19. 많은 사람들의 위로는 그의 ____________게 하였다.


① 가슴 ① 이/ 가 ① 가라앉다
② 어깨 ② 을/ 를 ② 내려앉다
③ 마음 ③ 무겁다

20. 왕자는 _________( 아/어/여) 공주에게 절을 하였다.


① 허리 ① 이/가 ① 표현하다
② 목 ② 을/를 ② 숙이다
③ 머리 ③ 흔들다

- 104 -
<ABSTRACT>

Educational Program for Chinese Learners to Study on C ollocation Related


to Body

ZHI LIUYUAN
Department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Graduate School of Ky ung Hee University

In this study, based on the Korean and Chinese representative Korean


language textbooks and the Korean collocation dictionaries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the "body"-related collocation is extracted, and the
vocabulary in K orea and China-specific Korean language textbooks are
selected by considering frequency and difficulty. It is hoped that it will be
helpful enough to learn Korean collocation as an educational method for
proper use of Korean for Chinese learners who are learning Korean.
Chapter 1 presents the purpose and necessity of the study, selects
Korean collocation lists, collocation education methods, and prior studies
related to Korean body collocation to identify existing problems and
provide solutions.
Chapter 2 presents the definition and type of collocation by organizing
prior studies of features such as the concept and type of collocation in
Korean. It also reveals the importance of body-related collocation in
collocation education.
Chapter 3 selected body-related collocations for Chinese learners. The
first collocation list was first extracted from a total of 937 Korean
textbooks, and the second list was extracted from the Korean Collocation
Dictionary with a total of 356 collocation, including overlapping parts. This
indicates that the focus on Korean language education was placed on the
selection of Korean collocations, not on the convenience of the author. The
third collocation selection was followed by prior studies conducted by
Moon Geum-hyun (2002) and Heo Young-im (2010), adding 29

- 105 -
body-related collocation from the extracted collocation list, and 385 final
lists were selected. The extracted collocation list is classified as
elementary, middle, and advanced according to collocation components, the
semantic correspondence between Korean and Chinese, and the frequency
of use shown in the "21st Century Sejong Plan". Finally, According to the
survey results, 86 of the 116 body-related collocations selected were
frequently used (50%) and 30 were not frequently used (50% or less).
Chapter 4 will present efficient education plans based on how physical
collocation education is being conducted for beginners and middle and
advanced learners using PPP and TTT professor learning models according
to learners' grades, as well as how collocation education is currently being
realized in Korean classrooms.
Chapter 5 summarizes the findings and ex plores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This study hopes that it will be helpful enough to learn Korean
collocation as an educational method for proper use of Korean for Chinese
learners who are learning Korean.

Key words
Collocation, Collocation Related to Body, R esponse aspect, Educational
Program, C hinese learners.

- 106 -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