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133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

0 대한민국

이용자는 아래의 조건을 따르는 경우에 한하여 자유롭게

l 이 저작물을 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 및 방송할 수 있습니다.

다음과 같은 조건을 따라야 합니다:

저작자표시. 귀하는 원저작자를 표시하여야 합니다.

비영리. 귀하는 이 저작물을 영리 목적으로 이용할 수 없습니다.

변경금지. 귀하는 이 저작물을 개작, 변형 또는 가공할 수 없습니다.

l 귀하는, 이 저작물의 재이용이나 배포의 경우, 이 저작물에 적용된 이용허락조건


을 명확하게 나타내어야 합니다.
l 저작권자로부터 별도의 허가를 받으면 이러한 조건들은 적용되지 않습니다.

저작권법에 따른 이용자의 권리는 위의 내용에 의하여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이것은 이용허락규약(Legal Code)을 이해하기 쉽게 요약한 것입니다.

Disclaimer
[UCI]I804:null-200000203073

디자인學碩士學位論文

노인요양시설의 기능유형별
공간구성 및 구조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patial Composition and Configuration


Characteristics for the Functional Types of Nursing Home

仁濟大學校 大學院

U디자인學科 실내디자인學 專攻

尹 昭 姬

指導敎授 金 碩 泰
노인요양시설의 기능유형별
공간구성 및 구조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patial Composition and Configuration


Characteristics for the Functional Types of Nursing Home

仁濟大學校 大學院

U디자인學科 실내디자인學 專攻

尹 昭 姬

이 論文을 디자인學碩士論文으로 提出함

指導敎授 金 碩 泰

2015年 2月
尹昭姬의 디자인學碩士學位論文을 提出함.

委員長 吳 燦 玉 印

委 員 白 智 媛 印

委 員 金 碩 泰 印

仁濟大學校 大學院

2014年 12月
목차

국문초록.......................................................................................................................ⅰ
ABSTRACT...............................................................................................................ⅳ

제 1 장 서론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01
1.2. 연구의 방법 및 범위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03
1.2.1. 연구 방법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03
1.2.2. 연구 범위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04
1.3. 연구의 구성 및 흐름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05

제 2 장 이론적 고찰
2.1. 노인과 노령화사회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06
2.1.1. 노인의 정의와 환경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06
2.1.2. 노인의 특성을 고려한 실내 환경계획 ·
··
··
··
··
··
··
··
··
··
··
··
··
··
··
··
··
··
··
··
··
··
··
··
··08
2.1.3. 현대사회의 노인문제와 노인복지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1
2.2.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6
2.2.1.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의 개념 및 목적 ·
··
··
··
··
··
··
··
··
··
··
··
··
··
··
··
··
··
··
··
··
··
··
··16
2.2.2.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와 국제적 동향 ·
··
··
··
··
··
··
··
··
··
··
··
··
··
··
··
··
··
··
··
··
··
··
··
··17
2.3. 노인요양시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9
2.3.1. 노인요양시설의 개념 및 분류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9
2.3.2. 노인요양시설의 시설현황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1
2.3.3. 노인요양시설 시설기준 및 설비기준 ·
··
··
··
··
··
··
··
··
··
··
··
··
··
··
··
··
··
··
··
··
··
··
··
··
··22
2.3.4. 국외 노인요양시설의 환경적 특성 ·
··
··
··
··
··
··
··
··
··
··
··
··
··
··
··
··
··
··
··
··
··
··
··
··
··
··
··24
2.4. 노인요양시설과 공간구조이론(Space Syntax) ·
··
··
··
··
··
··
··
··
··
··
··
··
··
··
··
··
··
··
··
··
··
·27
2.4.1. 공간구조이론(Space Syntax)과 연구에의 적용 ·
··
··
··
··
··
··
··
··
··
··
··
··
··
··
··27
2.4.2. 노인요양시설의 연구동향과 본 연구의 차별성 ·
··
··
··
··
··
··
··
··
··
··
··
··
··
··
··
··
·28
제 3 장 조사대상시설의 현황 및 공간구성요소 분류
3.1. 조사대상시설의 일반현황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0
3.1.1. 조사대상시설의 선정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0
3.1.2. 조사대상시설의 개요 및 현황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1
3.2. 노인요양시설의 공간구성 및 구조분류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1
3.2.1. 기능에 따른 공간구성요소 분류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1
3.2.2. 복도형태에 따른 공간구조유형 분류 ·
··
··
··
··
··
··
··
··
··
··
··
··
··
··
··
··
··
··
··
··
··
··
··
··
··46

제 4 장 노인요양시설의 공간구성 및 구조특성


4.1. 노인요양시설 공간구성의 연결관계 분석 ·
··
··
··
··
··
··
··
··
··
··
··
··
··
··
··
··
··
··
··
··
··
··
··
··
··
··
··47
4.1.1. 분석개요 및 방법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7
4.1.2. 공간구성의 연결관계 분석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9
4.1.3. 소결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8
4.2. 노인요양시설 공간구조의 정량적 분석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9
4.2.1. 분석개요 및 방법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9
4.2.2. 공간구조의 정량적 분석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70
4.2.3. 소결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84
4.3. 복도유형에 따른 연결관계 및 공간구조 특성 ·
··
··
··
··
··
··
··
··
··
··
··
··
··
··
··
··
··
··
··
··
··
··
··87
4.4. 장기요양보험제도의 도입에 따른 공간구조 변화 ·
··
··
··
··
··
··
··
··
··
··
··
··
··
··
··
··
··
··
··
··
·89
4.4.1. 분석개요 및 목적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89
4.4.2. 조사대상시설의 현황 및 방법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90
4.4.3. 공간위상도(J-Graph)를 통한 공간구성의 연결관계 변화 ·
··
··
··
··
··
··
·91
4.4.4. Space Syntax를 통한 공간구조의 변화 ·
··
··
··
··
··
··
··
··
··
··
··
··
··
··
··
··
··
··
··
··
··
·98
4.4.5. 소결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05
4.4.6. 건축적 제언 및 변화추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06

제 5 장 결론 및 제언
5.1. 요약 및 결론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08
5.2. 제언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10

참고문헌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11
표 목차

[표 2-1] 노인의 정의 7
[표 2-2] 노인의 특성과 실내 생활환경 10
[표 2-3] 노인들이 겪는 사회적 노인문제 11
[표 2-4] 노인문제 발생원인 12
[표 2-5] 65세 이상 건강보험 노인의료비 현황 13
[표 2-6] 독거노인 추이 14
[표 2-7] 노인복지의 기능과 원칙 15
[표 2-8] 기존 노인복지서비스 체계와 장기요양보험제도의 차이 16
[표 2-9] 미국 노인복지서비스의 종류 및 특징 17
[표 2-10] 일본 골드플랜과 신골드플랜의 주요 내용 18
[표 2-11] 노인복지시설의 종류 20
[표 2-12] 노인요양시설 현황 21
[표 2-13] 노인요양시설 시설기준 22
[표 2-14] 노인의료복지시설의 시설 및 인력기준 주요변동사항 23
[표 2-15] 미국 노인복지시설의 종류 24
[표 2-16] 일본 노인복지시설의 종류 25
[표 2-17] 국가별 노인요양시설 시설기준 비교 26
[표 2-18] 노인요양시설 선행연구 29

[표 3-1] 조사대상 노인요양시설 일반현황 30


[표 3-2] A시설의 평면 및 시설현황 31
[표 3-3] B시설의 평면 및 시설현황 32
[표 3-4] C시설의 평면 및 시설현황 33
[표 3-5] D시설의 평면 및 시설현황 34
[표 3-6] E시설의 평면 및 시설현황 35
[표 3-7] F시설의 평면 및 시설현황 36
[표 3-8] G시설의 평면 및 시설현황 37
[표 3-9] H시설의 평면 및 시설현황 38
[표 3-10] I시설의 평면 및 시설현황 39
[표 3-11] J시설의 평면 및 시설현황 40
[표 3-12] 기능에 따른 노인요양시설의 실내공간 분류방식 42
[표 3-13] 기능별 공간구성 분류 44
[표 3-14] 복도형태에 따른 노인요양시설 유형 46

[표 4-1] 공간위상도(J-Graph)의 유형 47
[표 4-2] A시설 기능별 최대공간깊이 49
[표 4-3] B시설 기능별 최대공간깊이 51
[표 4-4] C시설 기능별 최대공간깊이 53
[표 4-5] D시설 기능별 최대공간깊이 55
[표 4-6] E시설 기능별 최대공간깊이 58
[표 4-7] F시설 기능별 최대공간깊이 60
[표 4-8] G시설 기능별 최대공간깊이 61
[표 4-9] H시설 기능별 최대공간깊이 62
[표 4-10] I시설 기능별 최대공간깊이 65
[표 4-11] J시설 기능별 최대공간깊이 67
[표 4-12] 공간구문론(Space Syntax)의 지표 69
[표 4-13] A시설의 정량적 분석결과 71
[표 4-14] B시설의 정량적 분석결과 72
[표 4-15] C시설의 정량적 분석결과 73
[표 4-16] D시설의 정량적 분석결과 74
[표 4-17] E시설의 정량적 분석결과 76
[표 4-18] F시설의 정량적 분석결과 77
[표 4-19] G시설의 정량적 분석결과 79
[표 4-20] H시설의 정량적 분석결과 80
[표 4-21] I시설의 정량적 분석결과 81
[표 4-22] J시설의 정량적 분석결과 83
[표 4-23] 각 시설의 기능별 연결도 평균 84
[표 4-24] 각 시설의 기능별 통제도 평균 85
[표 4-25] 각 시설의 기능별 전체통합도 평균 86
[표 4-26] 조사대상 노인요양시설 일반현황 90
[표 4-27] A시설 최대공간깊이 및 기능별 최대공간깊이 비교 91
[표 4-28] B시설 최대공간깊이 및 기능별 최대공간깊이 비교 92
[표 4-29] C시설 최대공간깊이 및 기능별 최대공간깊이 비교 93
[표 4-30] D시설 최대공간깊이 및 기능별 최대공간깊이 비교 94
[표 4-31] E시설 최대공간깊이 및 기능별 최대공간깊이 비교 96
[표 4-32] 조사대상시설의 전·후 연결도 비교 98
[표 4-33] 조사대상시설의 전·후 통제도 비교 99
[표 4-34] 조사대상시설의 전·후 전체통합도 비교 101
[표 4-35] 조사대상시설의 전·후 명료도 비교 104
그림 목차

[그림 1-1] 연구 흐름도 5

[그림 4-1] 공간위상도 작성방법 48


[그림 4-2] A시설의 공간위상도(J-Graph) 49
[그림 4-3] B시설의 공간위상도(J-Graph) 51
[그림 4-4] C시설의 공간위상도(J-Graph) 53
[그림 4-5] D시설의 공간위상도(J-Graph) 55
[그림 4-6] E시설의 공간위상도(J-Graph) 57
[그림 4-7] F시설의 공간위상도(J-Graph) 59
[그림 4-8] G시설의 공간위상도(J-Graph) 61
[그림 4-9] H시설의 공간위상도(J-Graph) 62
[그림 4-10] I시설의 공간위상도(J-Graph) 64
[그림 4-11] J시설의 공간위상도(J-Graph) 66
[그림 4-12] Space Syntax 분석방법 69
[그림 4-13] A시설의 연결도 분석 70
[그림 4-14] A시설의 통제도 분석 70
[그림 4-15] A시설의 통합도 분석 70
[그림 4-16] B시설의 연결도 분석 71
[그림 4-17] B시설의 통제도 분석 71
[그림 4-18] B시설의 통합도 분석 71
[그림 4-19] C시설의 연결도 분석 72
[그림 4-20] C시설의 통제도 분석 72
[그림 4-21] C시설의 통합도 분석 72
[그림 4-22] D시설의 연결도 분석 74
[그림 4-23] D시설의 통제도 분석 74
[그림 4-24] D시설의 통합도 분석 74
[그림 4-25] E시설의 연결도 분석 75
[그림 4-26] E시설의 통제도 분석 75
[그림 4-27] E시설의 통합도 분석 75
[그림 4-28] F시설의 연결도 분석 77
[그림 4-29] F시설의 통제도 분석 77
[그림 4-30] F시설의 통합도 분석 77
[그림 4-31] G시설의 연결도 분석 78
[그림 4-32] G시설의 통제도 분석 78
[그림 4-33] G시설의 통합도 분석 78
[그림 4-34] H시설의 연결도 분석 79
[그림 4-35] H시설의 통제도 분석 79
[그림 4-36] H시설의 통합도 분석 79
[그림 4-37] I시설의 연결도 분석 81
[그림 4-38] I시설의 통제도 분석 81
[그림 4-39] I시설의 통합도 분석 81
[그림 4-40] J시설의 연결도 분석 82
[그림 4-41] J시설의 통제도 분석 82
[그림 4-42] J시설의 통합도 분석 82
[그림 4-43] 복도유형별 기능의 배치관계 87
국문 초록

한국은 지난 수십년간 경제발전과 의학의 발달, 평균수명의 연장을 말미암아 세계적으로


유례없는 급격한 노령화 속도를 보이고 있으며, 노인인구 및 노인성 장애 출연율도 동시에
증가하고 있다. 2000년대에 노령화사회로 진입한 한국은 2018년에 노령사회로, 2026년에는
초노령사회에 도달할 것으로 예상된다. 2030년 노인인구비는 전체인구의 23.1%에 이를 것
이며, 인구의 노령화는 특히 노인성 질환의 이환으로 장기요양보호(Long term care)의 문
제를 야기 시킬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이에 따라 정부는 빠른 속도로 증가하고 있는 노령
인구에게 보다 체계적인 복지서비스 제공 및 예상되는 노인의료문제와 복지문제에 대비하
여 ’08년 7월부터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를 실시하였다.
다양한 이점을 갖춘 장기요양서비스 및 시설에 대한 요구는 노인인구와 함께 지속적으
로 증가할 것이며, 노인의 특성을 고려하여 장기요양보험제도에 적합한 서비스와 시설의
장기적인 시스템을 구축해야 할 것이다.
하지만 현재 건축된 노인요양시설은 노인의 노화에 따른 특성을 고려해 계획적으로 건
축되었기보다는 국고지원기준을 충족하기 위해 기초부터 노인의 특성에 맞춘 전문적인 설
계가 아닌 기존시설의 단순용도변경, 필요에 의한 무분별한 증축, 일괄 개축 등을 통하여
운영되고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양적 증가와 시설기준 충족에 치중된 노인요양시설은
주 이용자인 노인의 특성과 다양한 요구에 부응하지 못하고 있으며, 노인의 특성을 충분히
고려하지 않은 노인요양시설의 건축계획은 인지기능이 저하된 노인의 공간인지상실 문제
를 유발하고 나아가 상당한 생활스트레스 발생의 요인이 된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공간구문론을 바탕으로 현재 건축된 노인요양시설의 공간구성
및 구조특성을 분석하고, 시설의 현황과 제도의 도입에 따른 노인요양시설의 변화추이를
알아보는 것이다. 또한 노인요양시설의 변화양상을 바탕으로 향후 노인요양시설 계획시 효
율적인 위계적 공간구조를 제시하는 것이다.
연구범위는 노인복지법에 제31조에 의거 노인요양시설로 지정되어있고 노인장기요양보
험의 지원을 받는 국내 노인요양시설 10곳을 대상으로 공간위상도(J-Graph)의 작성과
Space Syntax 이론을 바탕으로, 시설을 하나의 단위공간인 볼록공간(Convex Map)으로 분
할하여 구조특성을 도출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절차를 거쳐 진행되었다.
1단계, 연구의 진행을 위하여 문헌고찰을 통해 노인의 기본 개념 및 노인복지법이 정하
는 시설기준을 살펴보고 이에 수반되는 기능요소들을 파악하였다.
2단계, 노인요양시설의 공간 간의 연결관계와 구조를 파악하기 위하여 공간위상도

- i -
(J-Graph)로 도식화하고 연결관계와 공간깊이를 분석하였다.
3단계, 공간간의 연결관계를 정량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공간구문론(space syntax)을 이용
하여 지표를 도출하고 이를 바탕으로 공간의 특성을 파악하였다.
4단계, 조사대상시설의 공간구성 및 구조분석을 통해 제도의 도입이 시설에 끼친 영향과
변화추이를 도출하고 비교를 통해 적합한 공간적 개선안을 제안하였다.
이를 통한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 노인의 특성은 크게 신체적·심리적·사회적 특성의 3가지로 나눌 수 있었으


며, 노인요양시설은 노인이 남은 생을 보내는 곳으로서 노인의 특성을 배려한 디자인이 요
구된다고 할 수 있다. 노인요양시설의 공간구성 분류는 크게 기능과 복도형태에 따라 2가
지로 분류할 수 있다. 기능에 따른 공간구성 분류는 거주공간, 간호공간, 관리공간, 공용공
간, 이동지원공간의 다섯 가지로 나눌 수 있었으며, 복도형태에 따른 공간구성 분류는 편
복도형, 중복도형, 확대복도형, 회랑형, 그룹형, 연결형, 순환형으로 나눌 수 있었다.

두 번째, 복도를 중심으로 소요실의 각 부분들을 연결하는 기능을 보았을 때 복도의 유


형이 시설구성과 소요실의 활용도에 많은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으며, 복도의 형태와 기
능의 배분에 따라 전체공간의 깊이와 동선의 효율성을 조절할 수 있음이 파악되었다. 더불
어 배회로를 따로 두지 않아도 복도의 형태에 의해 배회로의 기능을 겸하기도 하며 중복
도형은 공간깊이가 얕아지는 장점이 있으나, 프라이버시의 문제가 생기므로 완충공간의 계
획이 필수적임을 알 수 있었다.

세 번째, 노인요양시설에서는 간호공간이 높은 통제의 기능을 담당해야 한다고 할 수 있


는데 이는 요양서비스 제공을 원활하게 하기 이해서이며, 노인들의 케어에 유리한 공간구
조를 갖기 위함이다. 그러나 대부분의 시설에서 이동지원공간이 가장 높은 통제도를 보이
고 있었으며, 이는 관리자의 측면에서 볼 때 간호공간의 주변공간 통제력이 낮아 어려움이
따를 것으로 판단되며 관리자의 동선효율성과 신속한 서비스 제공을 위해 간호공간의 통
제성을 높여야 할 것으로 파악되었다.

네 번째, 증·개축을 실시한 시설의 변화추이와 기능별 통합도를 분석해 보았을 때, 간


호공간의 위계상의 중요도가 높아지는 경향을 보이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증·
개축 및 개·보수의 대부분의 이유가 장기요양보험법의 시설기준을 충족하기 위함이며, 노

- ii -
인요양시설의 특성상 주 사용자인 노인이 거동이 불편하다는 점과 중증환자의 경우 타인
의 도움 없이는 일상생활이 불가능하다는 것을 미루어 보았을 때 요양보호사나 관리자의
동선과 기능, 공간구성이 시설 내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노
인요양시설은 복도의 통행부하와 기능 및 중요성이 높으므로 관리자와 이용자 간의 신속
한 서비스 및 조치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공간계획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되며, 간
호공간을 복도의 중심부에 두었을 때 노인케어에 유리한 공간구조를 형성시킬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노인요양시설의 무분별한 증·개축은 전체적인 공간깊이를 깊
어지게 하며, 공간의 효율성을 낮추는 결과를 보이므로 증·개축 후의 구조적 변화를 사전
에 예측하여 공간계획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결과로 대부분의 시설의 공간깊이가 깊어지고 연결도, 통제도, 전체통합도에 이르는 모


든 지표가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는데 이는 노인의 특성을 충분히 고려하지 않은 건축계획
의 결과로서, 노인요양시설은 체계적인 요양서비스 제공과 가족의 부담을 덜어주고 노후
삶의 질을 증진시킬 수 있도록 서비스를 제공하는 곳이라는 취지에 한계가 따르고 있다.
또한 노인요양시설의 수요는 앞으로 꾸준히 증가할 것이며 시설의 질적 향상과 인지기능
이 저하된 노인이 주 이용자인 시설임을 미루어 보았을 때, 제도와 정책에 관한 연구와 더
불어 독자적인 시설기준 마련이 시급하다고 사료된다.
앞으로 노인특성을 고려한 노인요양시설의 구체적 기준과 대책마련이 시급한 실정이며
장기요양보험법의 개정기준에 따라 기존 건축의 증·개축 및 개·보수가 계속될 전망이다.
그러므로 변화하는 사회의 요구에 맞추어 제도의 보완과 더불어 요양시설의 변환 및
증·개축 및 개·보수시 설치기준에 대한 구체적인 대안이 수립되어야 할 것이다.
이러한 건축계획적 연구와 사회과학적 연구가 지속적으로 상호협력하여 안락한 여생을
위한 인프라로서의 노인요양시설이 구축될 수 있도록 노인의 특성에 적합한 노인주거공간
과 시설에 대한 체계적인 요양·관리 시스템이 구축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본 연구자가 분석한 기능유형별 노인요양시설의 공간구성 및 구조의 분석과 현
황파악을 통하여 보다 노인 삶의 질적 향상에 기여하기를 기대해본다.

(주제어) 노령화, 노인복지, 노인요양시설, 장기요양보험제도, 공간구문론

- iii -
ABSTRACT

A Study on the Spatial Composition and Configuration


Characteristics for the Functional Types of Nursing Home

Yoon, So Hee
(Advisor: Prof. Kim, Suk Tae)
Department of U-Design, The Graduate School,
Inje University

The speed of population aging in South Korea is unprecedented in human


history due to economic growth, advances in modern medicine, a prolonged
average life span and an extremely low birth rate in South Korea over the past
several decades, and the population of old people and the prevalence of
age-associated disorder have increased at the same time. South Korea has entered
aging society since 2000, expected to be aged society in 2018 and super-aged
society in 2026. In 2030, South Korea's aged population ratio will reach to 23.1%,
and population aging is expected to cause problems in long-term care, notably
resulting from morbidity of geriatric diseases. Hence, the government has
conducted the National Long-Term Care Insurance since July of 2008 to provide
elderly population with more systematic welfare service, and prepare for expected
medical and welfare problems of the elderly.
In this context, a demand for facilities and long-term care service with various
benefits will consistently increase with rising elderly population, which requires to
establish long-term system for service and facilities appropriate for the National
Long-Term Care Insurance,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elderly.

- iv -
Nevertheless, the majority of the existing elderly nursing homes, so far from
being constructed systematically considering the aging characteristics of the
elderly, are being operated through building-use changes, imprudent extension, and
reconstruction of existing facilities only to meet the criteria of government
subsidies, not by specialized systematic design adjusted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elderly from the beginning. The elderly nursing home bent solely upon
construction for an increase in quantity and facility standards does not fulfill a
diversity of demands from the elderly, main users of the facility. Since
construction plans for the elderly nursing home did not fully consider the
characteristics of the elderly, it causes problems related to loss of spatial
cognition, and significantly contributes to life stress in the elderly who suffer a
decline in cognitive functions.
Hence, this research aims to analyze spatial organization and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existing elderly nursing homes based on spatial syntax, and
investigate trends of the elderly nursing home according to the current status of
facilities and the introduction of system. Furthermore, based on the trends of
elderly nursing home, the research also aims to suggest effective hierarchical
space structure in planning a future elderly nursing home.
As for a research scope, the study targeted a total of ten care facilities for the
elderly located in South Korea which are being supported by Act on Long-Term
Care Insurance for the Aged after being registered as care facilities for the aged
in accordance with Article 31 of Welfare of the Aged Act and, as referring to the
Space Syntax theory and as drawing up J-Graph, the study divided the facility into
a convex map which is a single unit space and extracted structural characteristics.
The study proceeded with its investigation as follows.
Step 1, In this research, literature review examined facility standards
prescribed in the basic concept of the elderly and the Welfare Law of the Aged to
identify functional factors involved.
Step 2, To identify the structure of elderly nursing home and the connection
relation of it between spaces, spatial phase map (J-Graph) was displayed in
diagram, and connection relation and spatial depth were analyzed.

- v -
Step 3, To analyze connection relation between spaces quantitatively, indicators
were derived by using spatial syntax to identify spatial characteristics.
Step 4, Analytic comparison on spatial organization and structure in the
facilities derived the effect of introduced system on facilities and trends of them
to provide appropriate measures for spatial improvement.
Findings of the research are summarized as below.

First, The characteristics of the elderly are broadly divided into the 3 following
characteristics: physical, psychological, and social characteristics, and the elderly
nursing home refers to a place where the elderly spend the rest of their life,
which requires design considerat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m.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the elderly nursing home are broadly divided into
the 2 factors in terms of its function and type of passage. In accordance with
function, spatial organization can be divided into the 5 following spaces: dwelling
space, nursing space, managing space, common use space, and mobility aid space;
while in accordance with type of passage, spatial organization can be divided into
the 7 following types: gallery type, central type, extensive types, corridor type,
group type, linked type, and circular type.

Second, When it comes to functions that connect each part of space


requirement with the passage at the center, the type of passage much affects
facility composition and space requirement, and depth of the whole space and
efficiency of the flow of human traffic can be controlled depending on the shape
of passage and distribution of function. Together with this, notwithstanding no
space for loitering, the shape of passage also serves as a function of loitering
space. Although the central type has advantages that spatial depth becomes
shallower, it causes privacy-related problems, which requires buffer zone.

Third, In the elderly nursing home, a function of high control is required for
nursing space to provide amicable nursing service and spatial structure favorable
to the care for the elderly. However, the majority of facilities showed highest

- vi -
control value in mobility aid space, which indicates low control on the surrounding
space of nursing space causes difficulty from a perspective of managers. To
provide efficiency in the flow of human traffic and rapid service of managers, a
prerequisite is enhanced control of nursing space.

Fourth, When it comes to analyzed trends of extended or renovated facilities


and integration by function, the importance of nursing space has increased in
terms of hierarchy. This indicates that the majority of reasons for extension or
renovation and maintenance or repair aimed to meet facility standards of the
Long-Term Care Insurance for the Aged, and the flow of human traffic and
function of geriatric care workers and managers, and spatial organization serve as
a crucial role in facilities,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elderly nursing
home, where the elderly are not able to move about freely, and critically-ill
patients cannot perform daily life without assistance of care workers. Further, the
elderly nursing home requires spatial plans to enable rapid, amicable service or
measures between managers and users as the passage load, function, and
importance of the passage are high in the elderly nursing home, and nursing home
located at the center of passage can form spatial organization favorable to the
care for the elderly. Furthermore, as indiscriminate extension and renovation of
the elderly nursing home will lead to deep spatial depth overall, and lowered
efficiency in space, spatial plan should be conducted with prior estimation on
structural change after extension or renovation of the facilities.

In conclusion, spatial depth is deepened and all indicators that convert


connectivity, control value, and overall integration in the majority of facilities,
which is resulting from the construction plan not fully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elderly, not satisfying the purpose of the elderly nursing
home that provides systematic nursing service, lessens burden of their family, and
promotes the quality of life in their later years. Further, as the demand of the
elderly nursing home will steadily increase in future, a prerequisite is to improve
facilities qualitatively, and prepare independent environment facility standard

- vii -
together with research on system and policy, considering the facilities of the
elderly who suffer a decline in cognitive functions.
In future, specific standards and countermeasures for the elderly nursing home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elderly will be urgently required, and
extension or renovation and maintenance or repair on the existing structures will
continue in accordance with the revised standard of the Act on Long-Term Care
Insurance for the Aged.
Thus, supplementary system and concrete countermeasures should be
established to meet changing requirement from society and standard of
establishment of the elderly nursing home in case that it is converted, extended,
renovated or repaired.
For this, research on architectural plan and social science should be mutually
collaborated in a consistent manner to establish systematic nursing and
management system on dwelling space and facilities for the elderly appropriate for
the characteristics of them so that the elderly nursing home can be constructed as
infrastructure for the comfort for the rest of their life.
Consequently, spatial space and structure of the elderly nursing home analyzed
by function type, and the current status identified of it will contribute to more
qualitative improvement in the life of the elderly.

[Keywords]
Aging, Welfare for the Elderly, Elderly Nursing Home, Long-Term Care
Insurance, Spatial Syntax

- viii -
제 1 장. 서 론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한국은 지난 수십년간 경제발전과 의학의 발달, 평균수명의 연장을 말미암아 세계적으로

유례없는 급격한 노령화 속도를 보이고 있으며 이에 따라 노인인구 및 노인성 장애출연율

이 증가하고 있다. 2000년대에 노령화사회로 진입한 한국은 2018년에 노령사회로, 2026년

에는 초노령사회에 도달할 것으로 예상된다. 2030년 노인인구비는 전체인구의 23.1%에

이를 것이라는 전망과 함께 인구의 노령화는 특히 노인성 질환의 이환으로 장기요양보호

(long-term care)에 대한 필요성과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또한 전통적으로 가족보호에

의존하던 노인수발이 여성의 사회진출, 핵가족화 등의 동향으로 가족구조를 변화시켰고,

노인단독가구가 증가하고 가족 내의 노인부양기능이 약화되면서 현실적으로 노인수발이

어려워지고 있다.

따라서 노화와 노인에 관한 제반문제들이 개인과 가족의 차원을 넘어 국가적 차원에서

다루어져야 하는 사회문제로 고조되면서, 정부는 빠른 속도로 증가하고 있는 노령인구에게

보다 체계적인 복지서비스를 제공하고 노인의료문제에 대처하기 위해 2008년 7월부터 노

인장기요양보험제도를 시행하였다. 다양한 이점을 갖춘 장기요양서비스 및 시설에 대한

요구는 노인인구와 함께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이며, 장기요양보호에 대한 요구는 노인의

특성을 고려한 부양서비스 및 시설에 대한 수요증가로 이어지고 있다. 또한 서비스대상의

보편화, 시설의 급증에 따라 정부와 지방단체는 노인복지법으로 노인요양시설에 제반되는

제도적 장치를 규정하고 요양수가를 적용 및 지원하고 있다.

제도가 시행됨에 따라 노인요양시설은 급격한 양적 증가를 보이고 있으며 질적으로도

노인의 신체적 특성과 요양서비스 제공에 적합한 시설구성을 갖춘 노인요양시설의 필요성

이 제기되고 있다. 노인요양시설은 노인이 건강하고 자립적인 생활을 보장하기 위한 질적

인프라가 보장되어야 하며, 노인들에게 전반적인 생활지원 및 요양서비스를 제공하는 곳이

므로 노인의 특성에 적합한 시설환경 구축이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 1 -
향후 시설에 대한 많은 수요가 예상됨에 따라 장기요양보험제도의 실시와 요양시설의

연차별 확충 계획을 수립하고, 그에 따른 시설기준 및 제도적 장치를 설치하여 노후세대의

건강증진 및 생활안정을 도모하고 있으나 단기간에 많은 수의 시설공급 및 수요를 충족시

키기 위해 노인복지와 관련된 서비스와 시설의 기준을 점차적으로 완화하고 있다. 이는

노인의 특성을 충분히 고려하지 않은 건축계획으로 이어질 수 있으며, 나아가 시설의 질

저하와 제도의 부실함을 드러낼 가능성이 크다. 또한 노령화를 먼저 겪어온 선진국들과

비교했을 때, 한국의 노인복지법은 시설기준과 설비기준에 최소한의 지침만 제시하고 있으

며 노인의 특성과 생활환경을 고려한 대책은 제대로 마련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노인은 신체적·정서적·심리적으로 노화현상으로 쇠약한 상태로 변화하는 시기에 있

으므로 노인의 특성을 고려하여 다양한 측면에서 그들의 삶을 윤택하게 영위할 수 있는

기반을 만들어 주는 것이 중요하다. 하지만 현재 건축된 노인요양시설은 노인의 노화에

따른 특성을 고려해 계획적으로 건축되었기보다는 국고지원기준을 충족하기 위해 기초부

터 노인의 특성에 맞춘 전문적인 설계가 아닌 기존시설의 단순용도변경, 일괄 개축 등을

통하여 운영되고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또한 노인복지시스템의 재정비에 따라 2008년부

터 시행된 장기요양보험제도와 노인요양시설에 관한 국내 연구는 초기단계라 할 수 있으

며, 시설에 대한 논의는 주로 사회·과학적 분야, 사회복지 분야, 노인전문 관련분야에서

시설의 수요예측이나 노인의 인구증가에 따른 사회문제 해결방안에 집중되어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정부의 제도시행과 더불어 장기요양서비스 및 시설에 대한 요구가 노인의 인구증가와

함께 증가할 것이라는 것을 미루어 보았을 때, 사회복지 분야의 연구와 국내 실정에 적합한

건축계획적 측면의 체계적인 연구가 복합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노인요양시설의 공간구조에 관한 연구로서, 현재 건축된 노인요양시설

의 공간구성 및 구조특성에 관한 사례분석을 통해 장기요양보험제도가 도입된 6년이 지난

현재 노인요양시설의 현황과 공간구조특성을 파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 2 -
1.2. 연구의 방법 및 범위

1.2.1. 연구 방법

노인요양시설은 노후세대의 건강증진 및 생활안정을 도모함을 목적으로 하며 한번 입소

하게 되면 여생 대부분의 시간을 시설 내에서 보내므로 노인의 특성과 다양한 신체적 활동

에 적합하도록 계획되어져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현 노인요양시설의 기능유형별 공간

구성 및 구조특성분석을 통하여, 보다 효율적인 노인요양시설의 시설환경 구축을 위한

방안을 찾아본다. 본 연구의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 번째, 문헌고찰의 단계로서, 노인의 정의 및 특성, 노인특성에 대한 기본지식을 바탕으

로 노인문제와 노인복지제도, 국내·외의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와 국제적 동향을 알아본

다. 노인요양시설의 개념 및 분류, 시설기준을 정리하여 환경적 특성을 도출하고 본 연구의

이론적 바탕이 되는 공간구문론을 살펴본다. 또한 사회·문화적 분야, 건축계획분야의 두

가지 관점에서 바라본 선행연구 분석을 통하여 노인요양시설의 연구동향을 분석하고 기존

연구들과의 연구 차별성을 도출한다.

두 번째, 현장조사의 단계로서, 현재 노인복지법에 의해 노인장기요양시설로 지정되어

있고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의 지원을 받는 곳을 대상으로 현장답사를 통해 문제점과 개선

사항을 파악하고 도면을 수집한다. 이를 바탕으로 시설의 건축현황을 정리하고 시설에

수반되는 기능요소를 파악하여 기능유형에 따라 공간구성을 분류한다.

세 번째, 연구 분석의 단계로서, 노인요양시설의 공간구성 및 구조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공간위상도(J-Graph)를 작성하여 공간간의 연결관계 및 공간깊이를 분석한다. 더불어 공간

위상도의 직관적 평가를 보완하기 위한 정량적 분석, Space Syntax를 적용하여 공간구조특

징을 도출하고 제도의 도입에 따른 노인요양시설의 변화추이를 알아본다.

네 번째, 분석의 내용을 종합·정리하여 얻어진 결과로 노인요양시설의 적합한 위계적

공간구성 및 구조적 특징을 제언한다.

- 3 -
1.2.2. 연구 범위

본 연구의 조사대상시설은 노인복지법에 제31조에 의거 노인요양시설로 지정되어있고

노인장기요양보험의 지원을 받는 국내 노인요양시설 10곳을 대상으로 선정하였으며, 건축

연면적이 1000㎡이상의 중규모 시설이며, 입소정원 40인 이상의 시설을 대상으로 하였다.

10곳의 시설에 대한 공간위상도(J-Graph)의 작성과 Space Syntax 이론을 바탕으로, 시설

을 하나의 단위공간인 볼록공간(Convex Map)으로 분할하여 구조특성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방법론인 Space Syntax는 공간의 배열 관계를 밝히는 일련의 기술로, 시각적으

로 막힘이 없는 공간을 독립된 하나의 요소, 즉 단위공간으로 간주하며 각 요소들 간의

연결관계를 정량적으로 분석하는 방법론 중의 하나이다.1)

Space Syntax 방법론은 시설의 규모나 면의 수, 면적과 관계없이 시각적으로 차단이

발생하지 않는 볼록공간을 하나의 기본단위공간으로 간주하며, 공간깊이(Depth)라는 수치

적 측면에서 해석함을 의미한다.2)

또한 본 연구의 조사대상시설 분석범위는 내부공간으로 한정하였다. 이는 노인요양시설

의 이용대상자가 주로 노인장기요양보험의 혜택을 받는 치매·뇌혈관성 질환 등 노인성

질병을 가진 자로서 대부분의 노인이 일상생활에 있어 타인의 도움을 요한다는 점과 증상

이 중한 경우에는 거동이 전혀 불가능하므로 주로 실내에서 생활하기 때문이다.

노인은 주로 요양실 내에서 생활하며 공급 및 관리, 간호공간은 노인이 직접적으로 이용

하지 않는 부분에 해당되지만 지원의 용이성과 관리자의 동선은 노인요양시설의 서비스

제공에 있어 상당한 영향을 미치므로 실내공간 전체를 분석범위에 포함하였다.

또한 요양시설 특성상 기준층이 반복되는 시설의 경우에는, 하나의 기준층을 대표하여

분석하였다.

1) 김영욱, 서울 북촌의 공간구조 분석을 위한 방법론 연구,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제20호, 2004
2) 이행우, 노인전문병원 평면구조의 위계에 관한 연구, 인제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9

- 4 -
1.3. 연구의 구성 및 흐름
본 연구의 구성과 방법, 흐름을 정리하면 다음 [그림 1-1]과 같다.

[그림 1-1] 연구 흐름도

- 5 -
제 2 장. 이론적 고찰

2.1. 노인과 노령화사회

2.1.1. 노인의 정의와 환경

'노인'의 사전적 의미는 '나이가 들어 늙은 사람'을 뜻하며, 우리나라 노인복지에서는

일반적으로 국제노년학회와 Breen의 정의를 주로 인용하고 있다.

노인은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생물학적 노화로 인해 신체의 기능이 퇴행하며, 각 기관의

조정능력이 쇠퇴하게 되므로 육체적인 변화가 오게 되고 이와 동시에 심리적인 변화를

수반하게 된다. 또한 은퇴와 재취업 등 사회활동의 축소 내지 변화, 그리고 가정 및 사회

내에서 위치와 역할의 변화를 동반한다.3)

우선 1951년 국제노년학회에서는 노인이란 생리적·행동적·심리적·사회적으로 노화

과정의 변화가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사람이라 규정하고 있으며, 노인을 첫 번째, 환경변화

에 다양하게 적응할 수 있는 조직기능이 감퇴되고 있는 사람, 두 번째, 생체의 자체 통합능

력이 감퇴되고 있는 사람, 세 번째, 인체의 기관, 조직, 기능에 쇠퇴 현상이 일어나는 시기에

있는 사람, 네 번째, 생체의 적응능력이 원활하게 되지 않는 사람, 다섯 번째, 조직의 예비능

력이 감퇴되어 환경변화에 부적응이 나타나는 사람의 다섯 가지 특징을 가진 사람으로

정의하고 있다.

또한 브린(L_Breen, 1960)은 노인을 생리·육체적으로 변화기에 있는 사람, 심리적인

면에서 성격이나 정신기능이 감퇴되고 있는 사람, 사회적 변화에 따라 사회적 관계가 축소

되는 사람으로 보고 있다.4)

이러한 정의를 바탕으로 우리나라의 다양한 지자체 기관들도 법에 의해 노인연령을 규정

하고 있으며, 대표적인 분류에 따라 노인의 정의를 정리한 것은 [표 2-1]과 같다.

3) 김익균, 김인수, 이형진, 정용민, 최윤신, 노인복지론, 교문사, 2008, p.3


4) 고재욱, 박영란, 이동열, 노인복지시설관리론, 한진, 2011, p.10

- 6 -
[표 2-1] 노인의 정의

법 연령구분 및 정의

노인복지법
65세 이상
(제28조, 33조의 2)

기초노령연금법 65세 이상

국민연금법 (제61조) 노령연금 수급권자를 60세가 된 때로 봄.

고용상 연령차별금지 및
노령자 고용촉진에 관한 노령자는 55세 이상, 준 노령자는 50세 이상 55세 미만인자
법률 시행령 (제2조)

65세 이상의 노인 또는 65세 미만의 자로서,


노인장기요양보험법
치매·뇌혈관성 질환 등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노인성 질병을 가진 자

노인복지관 60세 이상 출입가능

위와 같은 정의를 살펴보면 노인은 65세 이상의 사람으로 생리적·신체적인 부분의 퇴행

과 함께 심리적인 변화가 일어나고, 개인의 일상생활 유지능력과 사회적 역할에 있어서

전반적인 기능이 약화되고 있는 사람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노인요양시설에 거주하는 노인들은 젊은 사람에 비해 신체적·사회적·정신적 능력이

저하된 경우가 대부분이며, 환경에 대한 조절능력 저하로 인해 주위환경으로부터의 자극에

영향을 많이 받는다.

따라서 노인요양시설의 환경은 노인의 잔존 능력에 적합하고 노인의 특성에 대응할 수

있도록 계획되어져야 한다고 할 수 있다.5)

5) 김대년, 윤영선, 변혜령, 정미렴, 노인요양시설의 건축·실내환경 디자인, 교문사, 2010, p.3

- 7 -
2.1.2. 노인의 특성을 고려한 실내 환경계획

노인의 정의를 미루어 볼 때, 노인의 특성은 크게 신체적 특성·심리적 특성·사회적

특성의 3가지로 나누어 볼 수 있다.

1) 신체적 특성

노인은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신체를 구성하고 있는 세포조직의 재생능력이 퇴화되어

신체적·생리적인 변화가 오게 된다.6) 이는 신체의 전반적인 기능저하를 뜻하며 여러 가지

질병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노화로 인한 신체적인 변화에는 외견상의 변화나 소화기, 신경

계, 순환기 계통의 기능퇴화와 피부의 탄력성 상실, 피하지방의 감소 등을 들 수 있다.7)

즉 시력의 저하, 청력의 약화, 인지능력의 감소 등의 감각기능이 감퇴되어 공간사용에

있어 이동성의 저하를 초래하며,8) 신체적 기능퇴행은 노인들로 하여금 쉽게 피로를 느끼게

하고 나아가 사회적 대인관계 형성에도 어려움을 겪게 한다. 또한 골다공증으로 인한 골절

상과 관절염 등의 골격계 질환이 증가하고 자극에 대한 반응이 늦어지면서 스트레스와

외상에 대비하여 실내공간을 계획해야 한다. 노인요양시설은 노인의 신체적 변화에 따라

낙상 등의 안전사고가 발생할 확률이 높은 장소이며, 작은 사고에도 큰 부상을 입기 쉬우므

로 이를 방지할 수 있는 환경이 제공되어야 한다.9)

2) 심리적 특성

에릭슨(Erikson, 1959)은 노년기의 심리·사회적 위기를 통합 대 절망으로 표현하였는데

통합이란 현실의 자신과 자신이 지금까지 맞이했던 모든 사건과 상황들이 자신의 삶이라는

것, 그리고 그것이 바로 현재의 자신이라는 것으로 긍정하며 죽음도 이런 사건의 일부로

인식함으로써 자신의 과거와 현재의 상황을 자기 내부로 통합할 수 있는 긍정적 능력과

심리적 상태를 뜻한다.10)

6) 김익균, 김인수, 이형진, 정용민, 최윤신, 노인복지론, 교문사, 2008, p.3


7) 고재욱, 박영란, 이동열, 노인복지시설관리론, 한진, 2011, p.12
8) 이행우, 노인전문병원 평면구조위계에 관한 연구, 인제대학교 석사학위논문
9) 김대년, 윤영선, 변혜령, 정미렴, 노인요양시설의 건축·실내 환경 디자인, 교문사, p.7

- 8 -
노인은 여러 신체적인 변화와 동시에 감각 및 지각기능, 정신기능에도 변화가 오게 되며

이로 인하여 노인 특유의 심리적 특성을 지니게 된다. 감각기관의 쇠퇴는 이해력과 반응하

는 속도를 늦어지게 하며 더불어 문제해결 능력이 감소하게 되고 기억력도 감퇴하게 된다.

따라서 인지의 범위가 일반인보다 좁기 때문에 공간계획에 있어서 명료하고 짧은 동선과

공간구성이 필요하다.11)

노인의 대표적 인지적 변화로는 지능, 주의력, 인지기능, 기억력의 저하와 치매를 들

수 있다. 치매노인에게 있어서 생활환경은 거주공간을 포괄하는 것보다 더 큰 의미의 치료

자원으로서 작용하며, 노인의 인지적 변화를 고려한 단순하고 명료한 시스템 사용이 요구

된다.12) 또한 신체적 기능의 감퇴로 인한 은퇴로 생활이 빈곤해지기 쉬우므로, 사회·심리

적으로 고립과 소외를 경험하게 되고 이러한 변화들에 대한 적응 능력 역시 저하되면서

욕구불만이 쌓여 이에 반응하는 노인특유의 성향이 생성된다고 할 수 있다.

3) 사회적 특성

노인의 대표적인 사회적 특성으로는 지위와 역할의 변화를 들 수 있는데, 은퇴로 인해

직업역할의 축소 또는 상실, 가정 내 역할이 축소되며 배우자 상실로 인한 역할의 변화에

이르기까지 노인의 행동반경이 위축되고 대인관계가 단절되어 사회적 고독감, 허무감, 역

할 상실감에 쉽게 빠질 수 있다.13) 의료기술의 발달, 경제와 기술의 발전, 대중교육의 확장

및 도시화라는 현대화 요인들은 노인의 지위를 저하시키고 특히 경쟁시장에서 노동력의

노후화로 인해 일상적으로 수행해오던 역할을 상실하게 만든다.

노인은 앞서 언급한 다양한 사회적 변화와 위치에 적응하지 못하고 심리적으로 위축되거

나 우울증에 걸리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므로, 노인의 실내 환경은 지역사회로의 개방과

교류확대를 위한 서비스와 공간을 제공함과 동시에 가족적 분위기 조성 및 여가활동 장소

를 제공하는 방법으로 사회적 관계가 활성화 될 수 있도록 계획해야 한다.14)

10) 고재욱, 박영란, 이동열, 노인복지시설관리론, 한진, 2011, p.12


11) 이행우, 노인전문병원 평면구조 위계에 관한 연구, 인제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9
12) 김대년, 윤영선, 변혜령, 정미렴, 전계서, p.18
13) 서혜경, 고령화사회의 의미와 의식, 한국건축학회 특집호, '고령화사회의 노인시설'
14) 김대년, 윤영선, 변혜령, 정미렴, 노인요양시설의 건축·실내환경 디자인, 교문사, p.18

- 9 -
따라서 노인의 생활환경을 계획할 때에는 노인의 신체적·심리적·사회적 변화에 대한

기본 개념과 함께 변화하는 노인 세대의 새로운 패러다임이나 경향을 파악해야하며, 앞서

언급하였던 노인의 신체적·심리적·사회적 특성을 바탕으로 노인 생활환경을 계획할 때

고려해야할 요소는 [표 2-2]와 같다.

[표 2-2] 노인의 특성과 실내 생활환경

구분 내용 생활환경

세포조직의 재생능력 퇴화 변화된 신체를 고려한 환경조성

신체적 인지능력의 감소 시안성 높은 안내표식 시스템


특성 골격/근육 질환 증가 낙상사고 및 안전사고의 대비

자극에 대한 늦은 반응 단순하고 명료한 분위기 조성

문제해결능력 감소 및 기억력 감퇴 개인과 관련된 애장품 배치


심리적
치매의 발생 거주공간 이상의 치료공간 구성
특성
고립과 소외의 경험 여가 프로그램의 증가와 사회적 관계 활성화

역할의 상실 및 지위의 저하 개방과 교류확대를 위한 공간제공


사회적
은퇴로 인한 직업역할 축소 재택 서비스 및 교육기회의 제공
특성
배우자의 상실 또래활동을 위한 서비스 제공 및 가족적 분위기 형성

- 10 -
2.1.3. 현대사회의 노인문제와 노인복지

노인문제란 '노인을 위한 사회적 성격을 갖는 문제'를 일컫는다.15)

노인의 문제는 순차적으로 각각 오는 것이 아니라 두 가지 이상이 겹쳐서 복합적으로

진행되므로 노인의 고통은 더욱 가중되고 있으며, 통계청에 따른 노인들이 겪는 문제16)는

다음 [표 2-3]과 같다.

[표 2-3] 노인들이 겪는 사회적 노인문제 (60세 이상, 복수응답, %)

구분 65세-69세 70세-79세 80세 이상

건강 문제 67.3 71.6 76.4

경제적 어려움 61.5 60.5 57.6


경제문제
무직업 고용불안정 11.2 5.8 2.5

소일거리 없음 17.5 14.1 12.1

외로움·소외감 14.6 19.7 29.5


소외문제
가족의 푸대접 1.0 1.1 0.8

사회 경로의식 약화 8.9 6.0 4.7

일상생활 도움 서비스 부족 4.6 4.8 6.0


자원부족
노인복지시설의 부족 13.4 12.5 11.2

기타 0.8 1.5 0.9

다양하고 복합한 노인문제 중, 노인들이 겪는 가장 어려운 노인문제는 건강문제, 경제적

문제가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다.

평균수명의 연장과 유례없이 급격한 한국의 노령화 속도에 관한 통계자료는 곳곳에서

심각성을 알리고 있으며, 다가올 노령사회에 대해 오랜 기간 대비해 온 선진국과는 달리

우리나라의 경우 노령사회의 준비가 그만큼 시급하다는 것을 의미하기도 한다.

노령사회 진입의 길목에 서 있는 오늘날, 우리 사회에서 노인인구의 급증과 더불어 핵가

족화 현상과 그로 비롯된 사회구조의 변화, 경제적 불안정, 건강보호의 문제, 조기정년제,

역할 상실, 고독감, 그리고 가족관계의 문제 등은 노인 스스로나 그들 가족의 힘만으로는

해결할 수 없는 우리나라가 해결해야 할 명백한 사회문제이다.17)

15) 김익균, 김인수, 이형진, 정용민, 최윤신, 노인복지론, 교문사, 2008, p.43
16) 통계청, 2009년 사회조사
17) 김형수, 고령화사회의 노인문제: 전망과 대책, 현상과 인식

- 11 -
우리나라의 노인복지 정책은 '선 가정복지 후 국가복지'라는 정부책임회피의 원칙에서

조금씩 벗어나 노령사회의 적극적인 대응을 위해 대통령 자문하 고령화 및 미래사회위원회

를 설치하는 등의 많은 노력을 해왔다.

노인문제가 발생할 때에는 여러 가지 요인이 동시다발적으로 작용하지만, 크게 직접적

요인, 사회적 요인, 문화적 요인이 크게 영향을 미친다.18)

요인에 따른 구분과 발생원인은 다음 [표 2-4]와 같다.

[표 2-4] 노인문제 발생원인

구분 발생원인
인구증가 현대의학 발달로 인한 사망률 감소
직접적 요인 평균수명의 연장 경제성장과 더불어 생활수준 개선 및 보건의료의 발달
노령화 사회 65세 이상 인구 비중 7%의 노령화 사회 진입
사회적 요인 핵가족화 가족형태의 붕괴와 부부와 자녀중심의 핵가족위주로 변화
문화적 요인 산업화에 따른 도시화 경제발전에 따른 산업구조 변화와 도시의 인구편중 현장

노인문제의 해결은 이제 더 이상 개인의 몫이 아닌, 정책 및 제도와 복지서비스 등을

통하여 노인이 하나의 독립된 인간으로서 기본적 욕구와 문화적 생활을 유지할 수 있도록

사회가 원조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노인문제를 노인의 건강과 노인부양의 두 가지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1) 노인의 건강문제

노년기는 생물학적 능력이 점진적으로 소실되고 노화로 인하여 건강이 악화되면서 각종

질병에 시달리고 있으며, 이러한 질병은 보통 만성적·퇴행성 질환의 종류가 많고 대개의

경우 합병증을 유발한다. 65세 이상 노인의 95%가 한 가지 이상의 만성질환을 가지고 있으

며 30%는 세 가지 이상의 만성질환을 가지고 있다고 밝혔다.(대한가정의학회, 1996)

즉 노인성 질환은 그 상병구조가 퇴행성 만성질환이라는 특성이 있으며, 노인의 5대

사인이 불의에 의한 사고를 제외하고는 모두 순환기계(뇌혈관 질환, 심장병, 고혈압성 질환)

와 암으로 구성되어 있다는 점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19)이는 질병의 궁극적 치료가 어렵다

는 것이며, 포괄적이고 의학적인 관리가 요구되는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20)

18) 김익균, 고승덕, 이용환, 이현기, 장세철, 노인복지론, 2002


19) 김익균, 김인수, 이형진, 정용민, 최윤신, 상계서, p.195

- 12 -
노인성 질환의 대부분 특징은 진행정도가 느리고 회복이 어려운 관계로 과다한 의료비

지출을 발생하게 하며, 노인의 부담감을 배가시켜 생활을 더욱 어렵게 하고 있다.

급속한 노령화로 인해 치매, 중풍 등 장기요양서비스가 필요한 노인이 계속적으로 증가

하고 있으며 요양보호노인을 65세 이상 노인의 12.1%로 보았을 때, 2020년 기준 95만 명으

로 예측되고 있다.21)

다음 [표 2-5]22)는 노인의 건강문제와 함께 수반되는 노인의료비의 부담이 노인인구의

증가와 함께 꾸준히 커지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특히 노인의료비 부분에서 간병비는 건강보험에서 지급되지 않기 때문에 요양보호가

필수적인 노인에게는 수발과 보호의 문제가 심각한 노인문제로 손꼽히고 있다.

[표 2-5] 65세 이상 건강보험 노인의료비 현황 (단위: 억원, %, %p)

전년대비
2003년 2004년 2005년 2006년 2007년 2008년
증감율
전체의료비(A) 205,336 223,559 247,968 285,580 322,590 350,366 8.6%
노인의료비(B) 43,723 51,097 60,556 73,931 90,813 104,904 15.5%
비율(B/AX100) 21.3 22.9 24.4 25.9 28.2 29,9 1.7%

또한 노인들은 의료보험이 있더라도 병원진료비와 입원비의 20-50%가 본인부담이므로

노인건강문제와 더불어 고액의 의료비 부담도 노인에게 커다란 재정문제가 되고 있다.23)

신체적 노화에 따른 건강문제는 노인들의 수입부족으로 인해 그에 맞는 대응을 어렵게

하고 있다. 젊은 세대에 비해 질병 발생률이 2-3배 이상 높고 만성적 질병과 합병증도

빈번하여 치료를 위한 많은 의료비가 요구되므로, 노인질병의 경우 의료보험의 제도적

지원 없이는 개인적인 의료비 부담이 사실상 매우 부담스러운 문제이다.

노인건강은 노화로 인해 약화되는 것이 사실이지만 예방에 집중하여 오랫동안 건강을

유지하고 노화 속도를 지연시켜 신체적·기능적으로 활발한 노후생활을 영위할 수 있다는

전제 아래, 노인의 건강보호문제는 노년기 행복을 위해서 가지는 의미가 크다고 할 수

있다.

20) 전국 대학보건관리 학교교육협의회, 생활과 건강증진, 계축문화사, 2007, p.297


21) 고재욱, 박영란, 이동열, 노인복지시설관리론, 한진, 2011, p.24
22) 건강보험심사평가원, ⌜2003년 건강보험심사평가통계연보⌟, ⌜2004년 건강보험심사통계지표⌟,
⌜2005~2007년 건강보험통계지표⌟,⌜2008년 진료비 통계지표⌟
23) 고재욱, 박영란, 이동열, 상계서, p.24

- 13 -
(2) 노인부양

현대사회의 개인주의적 가치관의 확산, 핵가족화 현상, 여성의 사회진출이 늘어남에 따

라 자녀양육부터 노인부양에 이르는 가족 자체의 가족 내 부양기능이 점점 약화되고 있다.

젊은 연령층의 도시유출, 독거노인 증가로 농어촌 지역이 도시지역에 비해 노령인구와

노인단독가구의 비율이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으며, 독거노인의 추이와 독거노인 증가율은

다음 [표 2-6]24)과 같다.

[표 2-6] 독거노인 추이 (단위: 천 명, %)

구분 1990년 1995년 2006년 2007년 2008년 2009년 2010년

독거노인 수 193 349 833 882 933 987 1,044

전체노인 수 2,162 2,640 4,586 4,810 5,016 5,193 5,357

독거노인비율 8.9 13.2 18.2 18.3 18.6 19 19.5

65세 이상 인구 중, 독거노인비율은 1990년 8.9%에서 2010년 19.5%로 꾸준히 높아지고

있으며 20년 동안 두 배 이상 증가하였다. 이는 65세 이상 인구증가보다 노인단독가구가

빠른 속도로 증가하는데 기인한다.25) 또한 한 나라의 노인 부양의 지수를 나타내는 노년부

양비는 노인인구를 생산연령인구로 나눈 값으로 노령화 사회에서 변화하는 생산가능비를

보기위한 하나의 척도로 사용되고 있다. 1985년부터 2000년까지 국민 전체의 의료비는

평균 20배 정도 증가하였으나, 65세 이상 인구 의료비는 76배가 증가했다.

노인인구의 증가로 인한 인구구조의 변화는 노인층을 부양하기 위한 젊은 세대계층의

부담이 늘어나고 있음을 의미한다. 이러한 이유로 노인은 점차적으로 쓸쓸하고 외로운

존재가 되어가며, 사회가 어느 정도 그들을 보살필 책임의식을 지녀야 한다는 것이다.

위와 같은 수치는 우리나라의 저출산과 노령화가 얼마나 심각한지를 말해주는 것으로,

100세 시대·노령화 시대와 정면으로 충돌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사회적 동향에

따라 다방면의 연구자 및 연구기관에서 노인복지의 개념을 넘어선 노인을 위한 기능과

원칙을 규정·선포하고 있는데, 그 내용을 정리하면 다음 [표 2-7]과 같다.

24) 통계청, 장래인구추계, 2006


25) 고재욱, 박영란, 이동열, 노인복지시설관리론, 한진, 2011, p.25

- 14 -
[표 2-7] 노인복지의 기능과 원칙

연구자 및 연구기관 기능과 원칙


Ÿ 의료 및 정신의학적 서비스
Ÿ 적당한 주택
Kaplan, J
Ÿ 정서적 안정과 사회적 유용성을 위한 기회
노인을 위한
Ÿ 퇴직 후의 재정적 보장
사회적 대책
Ÿ 만성병 노인의 시설보호
(Social Program)26)
Ÿ 노동에 맞는 취업 기회 부여
Ÿ 창조적 활동의 기회 및 여가선용의 지도
Ÿ 직업대책
Shenfield, B.E. Ÿ 연금제도
사회적 정책 Ÿ 주택대책
(Social Policy) 27) Ÿ 의료서비스
Ÿ 수용보호 및 재택노인의 복지서비스
Ÿ 경제적 안정
Ÿ 직업적 안정
오카무라 Ÿ 가족관계의 안정과 주택의 보장
노인의 사회생활상 Ÿ 의료와 건강의 보장
기본적 욕구 Ÿ 교육의 기회
Ÿ 사회적 협동의 기회
Ÿ 문화/오락의 기회
Ÿ 첫째, 노인은 가정에서 전통의 미덕을 살려 자손의 극진한 봉양을 받아야 하며, 지역사회와
국가는 이를 도와야 한다.
Ÿ 둘째, 노인은 의·식·주에 있어서 충족되고 안락한 생활을 즐길 수 있어야 한다.
우리나라 경로헌장28)
Ÿ 셋째, 노인은 심신의 안정과 건강을 누릴 수 있어야 한다.
(1982년 선포)
Ÿ 넷째, 노인은 자신의 능력에 따라 사회활동에 참여할 수 있어야 한다.
Ÿ 다섯째, 노인은 취미·오락을 비롯한 문화생활과 노후생활에 필요한 지식을 얻는 기회를 가져
야 한다.
Ÿ 의·식·주 등 기본적인 생활의 보장 원칙
Ÿ 심신의 안정 및 건강유지와 의료보장의 원칙
Ÿ 능력에 따른 재취업과 사회참여의 원칙
Ÿ 취미·오락 등 문화생활 향유의 원칙
노인복지지침 Ÿ 노후생활선택의 자유와 독립·자존 및 거택보호의 원칙
기본 10대 원칙29) Ÿ 급격한 사회변동에 적응할 수 있도록 새로운 지식획득의 기회 제공의 원칙
Ÿ 노인양육에 대한 가족과 지역사회 및 국가책임의 원칙
Ÿ 노후생활에 대한 자기책임과 자립자조의 원칙
Ÿ 노인복지정책 수립에 있어서의 현실성과 우선순위의 원칙
Ÿ 인간의 존엄에 상응하는 노후생활보장 원칙
Ÿ 독립 (Independence)
국제연합(UN)
Ÿ 참여 (Participation)
노인을 위한 유엔원칙 30)
Ÿ 보호 (Care)
(United Nations Principles
Ÿ 자아완성 (Self-Fulfillment)
for Order Persons)
Ÿ 존엄 (Dignity)

26) Jerome Kaplan, A Social Programs for Older People(Meneapolis: The Lund Press, Inc., 1953), p.5
27) Barbara E. Shenfield, Social Policies for Old Age, 1957
28) 1982년 제정된 경로헌장은 국민교육헌장, 어린이헌장 다음의 세 번째 헌장으로 세계 최초의 경로헌장
29) 김익균, 김인수, 이형진, 정용민, 최윤신, 노인복지론, 교문사, 2008, p.50
30) UN에서는 전 세계적인 인구의 노령화 현상에 대응하여 1982년 7월 26부터 6일 동안 오스트리아 비엔나
에서 노령화 세계총회를 개최하여 [노령화 관련 국제행동계획]을 채택하였고, 1991년 12월 16일 유엔총
회에서 [노인을 위한 유엔원칙]을 설정하였다. 또한, UN은 1999년을 '세계 노인의 해'로 정하여 우리나라
에서는 세계노인의 해 조직위원회를 설치하여 각종 기념사업을 실시하였으며 보건복지부에서는 노인복지
중장기대책을 추진하였다. 이는 노령화 관련 국제행동계획(International Plan of Action on Aging)과 함
께 발표되었는데, 노령화 관련 국제행동계획은 노령화, 노인문제 관련 정책과 사업의 수립 및 지침을 위한
최초의 국제적인 도구이다.

- 15 -
2.2.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

2.2.1.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의 개념 및 목적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란 고령이나 노인성 질병 등의 사유로 일상생활을 혼자 수행하기

어려운 대상자에게 요양시설이나 재가요양기관을 통해 신체활동 또는 가사활동 지원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회보험제도이다.

우리사회의 노인복지와 케어는 2008년 7월부터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가 시행됨에 따라

다양한 변동이 일어났다. 건강보험에 장기요양보험료가 신설되어 노인장기요양보험의 재

원으로 사용되면서 사회적 방식으로 노인부양의 비용을 해결하려고 한 것이 제도개혁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다.31) 앞서 언급하였던 여러 가지 노인문제 중 노인부양의 문제를

의료부담으로부터 분리하고자 시행된 것이 노인장기요양보험법의 시작이다. 이는 노인세

대의 건강증진 및 생활안정을 도모하고 그 가족의 부담을 덜어줌으로써 국민의 삶의 질을

향상하도록 함을 목적으로 시행하고 있으며 나아가 노인의 장기요양문제가 이제 더 이상

개인이나 가계의 부담으로 머물지 않고, 사회보험 및 조세방식으로 이에 대한 사회적·국

가적 책무를 수행하는 제도이다. 또한 국민건강보험제도와의 차이를 두어 노인장기요양보

험은 노령이나 노인성 질병 등으로 인하여 혼자의 힘으로 일상생활을 영위하기 어려운

대상자에게 요양시설 및 재가기관을 통해 신체활동 또는 가사지원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장기요양보험제도는 다음 [표 2-8]과 같이 기존 노인복지서비스 체계와의 차별화를

통해 제도운영의 효율성을 꾀하고 있다.

[표 2-8] 기존 노인복지서비스 체계와 장기요양보험제도의 차이

구분 장기요양보험제도 기존 노인복지서비스 체계
관련법 노인장기요양보험법 노인복지법
보편적 제도 선택적 제도(특정대상 한정)
서비스대상 -장기요양이 필요한 65세 이상 노인 및 치매 등 -국민기초생활보장 수급자를 포함한
노인성 질병을 가진 65세 미만자 저소득층 위주
서비스선택 선택에 의한 서비스 제공 지방자치단체장의 판단(공급자 위주)
장기요양보험료+국가 및 지방자치단체 부담+
재원 정부 및 지방자치단체의 부담
이용자 본인 부담

31) 이선옥·조혜숙·길경복, 노인요양시설의 질 관리와 평가, 에피스테메, 2011, p.21

- 16 -
2.2.2.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의 국제적 동향

일찍이 노령화를 지내온 국가들은 노인들의 의료 및 요양서비스가 체계적으로 제공될

수 있도록 장기요양서비스의 기능과 시설에 대한 구체적 기준안을 계속적으로 재정립 및

보완하며 다각적인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풍부한 자본 및 체계적인 정책으로 발달되어

있는 미국의 노인복지와 일본의 개호보험(介護保險)을 롤모델로 우리나라의 장기요양보험

제도가 생겨난 점 등을 들어 미국과 일본의 노인복지제도32)와 그 특징을 알아보았다.

(1) 미국

미국 노인복지제도는 중앙정부와 주정부의 협력과 보조에 의해 서비스정책을 펴나가고

있으며, 시설단위 서비스·시설관련 서비스·비시설 서비스 등의 3가지의 구조를 취하고

있다. 서비스 영역은 시설수용에서부터 가정건강보호까지 확대되어 있다.

미국 노인복지 서비스의 종류 및 특징은 다음 [표 2-9]33)와 같다.

[표 2-9] 미국 노인복지서비스의 종류 및 특징

구분 특징

시설단위
의료의 정도에 따라 병원, 요양원, 양로원 은퇴마을과 의탁주거시설 등이 있다.
서비스

시설에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지만 그 서비스를 받기 위해 시설에 입주할 필요가 없으며


시설관련
일반 서비스, 특수클리닉, 건강회복서비스, 탁아 서비스, 진단 서비스, 식이요법 자문, 치과
서비스
서비스, 심리사회 서비스, 언어요법, 신체요법 등이 있다.

비시설 개인의 집에서 제공되는 보호서비스 중심으로 시설이나 시설에 관련된 곳에서 제공되는 서비스를
서비스 집에 있는 노인들에게 제공하는 서비스 형태이다.

(2) 일본

일본은 우리나라와 동일하게 인구구조의 변화, 전통적인 가족노인부양에서 국가에게로

의 이양, 산업화, 가족구조의 변화, 여성의 사회적 진출 등의 사회적 동향으로 이미 오래전

부터 노령화 사회를 경험하였으며 그에 따라 노령자 복지와 정책을 펼쳐왔다.

32) 노인복지제도란 부양의 한계와 복지환경에 대한 중요성이 제기됨으로써 국가적 차원에서 보장하는 국민
들의 노후 삶의 질 증진을 목적으로 하는 일종의 사회보험제도이다.
33) 송성진, 북미지역의 노인시설 유형과 실태, 대한건축학회, 42(2), 1998.2

- 17 -
노령화의 전반적인 이유가 유사하며 동양적 의식의 구조가 비슷하다는 점, 일본의 개호

보험(介護保險)을 롤모델로 우리나라의 장기요양보험제도가 생겨난 점 등을 들어 일본의

노인요양시설의 변화를 살펴보면 우리나라의 향후 제도 변천에 따른 시설의 변화를 예측하

는 데 큰 시사점을 제시해 줄 것이다.

일본은 노령인구의 지속적인 증가로 2025년 노령인구비율이 최고조에 이를 것으로 전망

하고 있으며, 오래전부터 복지차원에서 다각적인 연구 및 지원체제를 구축해왔다.

또한 재가복지와 시설복지의 두 축을 동시에 아우르는 '골드플랜'과 '신골드플랜'의 수립

으로 개호보험을 보완하고 있으며, 주요 내용은 다음 [표 2-10]과 같다.34)

[표 2-10] 일본 골드플랜과 신골드플랜의 주요 내용

구분 내용

'재택복지의 추진 10개년 사업'과 '시설대책추진 10개년 사업'으로 재가복지와 시설복지의


골드플랜
두 축을 동시에 정비하는 것으로, '주택개조'에 대한 지원이 활발히 제기되었다.

·1994년 12월에 골드플랜의 목표치를 높인 신골드플랜 발표


신골드플랜 ·개호를 위한 공급시스템 도입, 선택적 서비스제공, 경쟁시스템 도입, 국민 전체가 개호비
용을 부담하는 시스템, 시설재택을 통한 공평한 비용부담 등이 그 내용이다.

일본의 노인복지의 변천과정을 제도를 중심으로 살펴본 결과, 노인시설에 끼친 영향은

다음과 같다.

첫 번째, 급속히 증가하는 노인인구와 1989년 골드플랜이 시행된 이후 일본의 노인요양

시설은 급속한 증가를 보였다.35) 또한 이는 요양시설 뿐만 아니라 노인복지센터, 노인주간

개호시설 등의 재가보호시설 증가도 1980년대 이후 급격히 증가했는데, 이 또한 골드플랜

의 영향이라 할 수 있다.

두 번째, 개호보험이 시행되고 재가보호시설의 기능이 강화되었다.

대부분의 노인들은 자신이 살던 집과 혹은 가까운 동네에서 필요한 서비스를 받는 'aging

in place'를 원하므로 재가보호 서비스의 종류도 늘어나고, 기능을 확대시켜 중증 이상의

노인도 이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일본의 경우 재가서비스 이용인원이 시설서비스의 이용인원의 3배 가량으로 매우 높게

나타난다.

34) 김석준, 고령사회와 노인장기요양시설, 한국학술정보, 2009.4, p.110 재정리


35) 김석준, 전계서, p.111

- 18 -
2.3. 노인요양시설

2.3.1. 노인요양시설의 개념 및 분류

노인복지법 제 34조에 의거 노인요양시설은 '치매·중풍 등 노인성질환 등으로 심신에

상당한 장애가 발생하여 도움을 필요로 하는 노인을 입소시켜 급식·요양과 그밖에 일상생

활에 필요한 편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하는 시설'로 정의하고 있다.

의료서비스를 제공하는 노인요양병원과는 다르게 의료서비스를 제공하지 않는다는 점

에서 의료시설과는 구분되며, 노인요양시설은 노인복지시설의 분류에 의해 노인의료복지

시설에 해당된다. 노인요양병원과의 연계성을 가지고 있지만 다른 의미의 노인의료시설이

다.36) 적용되는 보험 또한 노인요양병원은 건강보험이 적용되며, 노인요양시설은 노인장기

요양보험이 적용된다.

'08년 4월 노인복지법의 개정으로 기존의 노인의료복지시설이었던 노인요양시설, 실

비·무료·유료 노인요양시설의 구분이 없어지고 모두 노인요양시설로 통합되었으며, 노

인요양시설과 노인전문요양시설이 통합되었다.

노인복지법상 노인복지시설은 크게 노인주거 복지시설, 노인의료 복지시설, 노인여가

복지시설, 재가노인 복지시설, 노인보호 전문기관으로 나뉘며 노인요양시설은 노인의료

복지시설에 속한다.

노인복지시설의 종류는 다음 [표 2-11]과 같다.

36) 송효주, 최상헌, 노인특성을 고려한 노인요양시설 치유환경평가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 학술


발표대회논문집 제11권 1호 통권 19호, 2009.05

- 19 -
[표 2-11] 노인복지시설의 종류(노인복지법 제31조)

종류 시설 설치목적 변경 후
노인을 입소시켜 급식과 그밖에 일상생활에 필요한 편 ○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로서 일상생활
양로시설
의제공 에 지장이 없는 자
가. [국민기초생활보장법] 제 2조에 따른 수급권자(이하
노인들에게 가정과 같은 주거여건과 급식 등
“기초수급권자”라 한다)로서 65세 이상의자
그밖에 일상생활에 필요한 편의제공
나. 부양의무자로부터 적절한 부양을 받지 못하는 65세
이상의 자
다. 본인 및 본인과 생계를 같이 하고 있는 부양의무자의
노인 월소득을 합산한 금액을 가구원 수로 나누어 얻은 1인당
노인공동
주거 월평균 소득액이 통계청장이 통계법 제 17조 제 3항에 따
생활가정
복지 라 고시하는 전년도의 도시근로자가구 월평균 소득액 이
시설 하인 자
라. 입소자로부터 입소비용의 전부를 수납하여 운영하는
양로시설 또는 노인공동생활가정의 경우는 60세 이상의

노인에게 주거시설을 분양 또는 임대하여 주거의 편 단독취사 등 독립된 주거생활을 하는데 지장이 없는 60
노인
의·생활지도·상담 및 안전관리 등 일상생활에 필요한 세 이상의 자
복지주택
편의제공
치매·중풍 등 노인성 질환 등으로 심신에 상당한 장애 ○ 노인성질환 등으로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
노인
가 발생하여 도움을 필요로 하는 노인을 입소시켜 급 는자
요양시설
식·요양과 그밖에 일상생활에 필요한 편의제공 가. [노인장기요양보험법] 제15조에 따른 장기요양급여
노인 수급자
치매·중풍 등 노인성 질환 등으로 심신에 상당한 장애
의료 나. 기초수급권자로서 65세 이상의 자
가 발생하여 도움을 필요로 하는 노인에게 가정과 같은
복지 노인요양 다. 부양의무자로부터 적절한 부양을 받지 못하는 65세
주거여건과 급식·요양, 그밖에 일상생활에 필요한 편
시설 공동생활 이상의 자
의제공
가정 라. 입소자로부터 입소비용의 전부를 수납하여 운영하는
노인요양시설 또는 노인요양공동생활가정의 경우는 60
세 이상의 자
노인의 교양·취미생활 및 사회참여활동 등에 대한 각 60세 이상의 자
종 정보와 서비스를 제공하고, 건강증진 및 질병예방과
노인복지관
소득보장·재가복지 등 노인의 복지증진에 필요한 서비
스 제공
노인
여가 지역노인들이 자율적으로 친목도모·취미활동·공동 65세 이상의 자
복지 경로당 작업장 운영 및 각종 정보교환과 기타 여가활동을 할 수
시설 있도록 하는 장소제공
노인들의 사회활동 참여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건전 60세 이상의 자
노인교실 한 취미생활·노인건강유지·소득보장 기타 일상생활
과 관련한 학습프로그램 제공
가정에서 일상생활을 영위하고 있는 노인으로서 신체 ○ 장기요양수급자나 심신이 허약하거나 장애가 있는 65
방문요양 적·정신적 장애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노인에게 필요 세 이상의 자로서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자
서비스 한 각종 편의를 제공하여 지역사회 내에서 건전하고 안 가. 방문요양서비스: 가정에서 보호가 필요한 자
정된 노후를 영위하도록 하는 서비스 나. 주·야간보호서비스: 주간 또는 야간동안의 보호가
필요한 자
부득이한 사유로 가족의 보호를 받을 수 없는 심신이 허
다. 단기보호 서비스: 단기간의 보호가 필요한 자
약한 노인과 장애노인을 주간 또는 야간동안 보호시설
주·야간 보 라. 방문목욕서비스: 가정에서의 목욕이 필요한 자
에 입소시켜 필요한 각종 편의를 제공하여 이들의 생활
호서비스 마. 재가노인지원서비스: 가목부터 라목까지의 서비스
재가 안정과 심신기능의 유지·향상을 도모하고, 그 가족의
이외의 서비스로서 상담·교육 및 각종 서비스가 필요한
노인 신체적·정신적 부담을 덜어주기 위한 서비스

복지
부득이한 사유로 가족의 보호를 받을 수 없어 일시적으
시설
단기보호 로 보호가 필요한 심신이 허약한 노인과 장애노인을 보
서비스 호시설에 단기간 입소시켜 보호함으로써 노인 및 노인
가정의 복지증진을 도모하기 위한 서비스
방문목욕 목욕 장비를 갖추고 재가노인을 방문하여 목욕을 제공
서비스 하는 서비스
재가노인 그밖에 재가노인에게 제공하는 서비스로서 상담·교육
지원서비스 및 각종 서비스
노인 시·도지사가 노인보호 전문기관을 지정·운영, 노인 노인학대행위자에 대한 상담 및 교육, 학대받은 노인의
보호 노인보호 학대 신고, 상담, 보호, 예방 및 홍보, 24시간 신고·상 발견·상담·보호 등 노인학대 예방 및 방지를 위한 홍보
전문 전문기관 담용 긴급전화 (1577-1389) 운영
기관

- 20 -
2.3.2. 노인요양시설의 시설현황

급속도로 진행되는 노령화의 사회적 동향에 따라 노인요양시설은 계속적인 증가추이를

보일 것으로 예상되며,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의 도입에 따라 시설에 대한 수요와 공급

또한 늘어날 것이다. 이는 다시 말해 노인부양에 대한 책임이 가족에서 사회·국가적인

차원으로 인식전환의 결과이자 노인복지법의 개편 및 제도의 영향도 큰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시설의 유형, 공간구성 및 구조의 변화가 불가피하게 이루어질 것이며 다양한

시설과 종류의 복합화와 그 기능의 세분화로 상당부분 변화양상을 보일 것이라 사료된다.

보건복지가족부의 통계발표에 의하면 2009년 5월말 기준, 전국 노인요양시설은 2,016개

소, 정원은 76,216명으로 2008년 7월, 1,271개소, 정원 56,140명으로 급여를 시작하였으며

제도시행 이후에도 노인요양시설은 계속 증가추세를 보이고 있다고 밝혔다.

[표 2-12] 노인요양시설 현황

구분 시설 수 정원 현원

'08. 6 1,271 56,140 42,609

'08. 7 1,395 58,425 46,114

'08. 8 1,471 62,915 51,029

'08. 9 1,530 64,671 52,228

'08.10 1,579 66,168 53,610

'08.11 1,649 67,183 55,224

'08.12 1,717 68,581 56,370

'09. 1 1,761 69,582 57,056

'09. 2 1,816 71,006 58,092

'09. 3 1,875 72,163 61,652

'09. 4 1,948 74,310 62,514

'09. 5 2,016 76,216 62,677


2009년 5월말 기준(단위: 개소, 명)

- 21 -
2.3.3. 노인요양시설 시설기준 및 설비기준

(1) 시설기준

노인의 건강하고 자립적인 생활과 최소한의 질적 보장을 위해 노인요양시설의 시설기준

이 법에 설치되어 있으며, 그 기준은 최소한의 거주생활과 시설운영비 등의 경제적·유지

관리 측면까지 적합해야 한다. 요양대상의 보편화와 노인요양시설 급증현상 및 수요의

증가로 인한 필요서비스 및 프로그램의 종류와 질이 증가함에 따라 시설의 인프라 확충은

제도도입을 위한 전제사항이므로, 정부와 지방자치단체는 노인복지법으로 시설에 제반되

는 제도적 장치를 규정하고 요양수가를 지원하고 있다.

[표 2-13] 노인요양시설 시설기준

내용
구분 입소자 입소자
30인 이상 10인-30인
침실 ○ ○
사무실 ○
요양보호자실 ○ ○
자원봉사자실 ○
의료 및 간호사실, 물리(작업)치료실, 프로그램실, 식당 및 조리실, 비상
○ ○
재해대비시설, 화장실
세면장 및 목욕실 ○

세탁장 및 세탁물 건조장 ○
※시설기준 상세요건
1. 세탁물 위탁처리시: 세탁장 및 세탁물건조장을 두지 않을 수도 있음.
2. 의료기관의 일부를 시설로 신고시: 물리(작업)치료실, 조리실, 세탁장 및 세탁물 건조장 공동사용가능

제도도입의 영향으로 시설의 운영과 시설 내의 공간구조와 공간구성이 상당부분 바뀌었

으며 나아가 시설의 복합화 및 가속화, 서비스 제공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시설기준의

내용은 상황과 시기에 따라 계속적으로 개정될 것이다.

(2) 설비기준

일반적으로 노인요양시설은 시설기준 및 시설설비와 방침에 관한 필요최소기준을 충족

시키고 지역의 특성과 환경과 문화, 기존 시설간의 연계 등을 고려해 각 시설의 특성에

대응하도록 융통성 있는 거주환경을 구축하고 있다. 그러나 제도의 도입에 따라 시설기준

- 22 -
과 직원배치기준의 전면적인 변동이 있었는데, 이는 노인주거생활의 질적 지표의 요소로서

큰 의미를 갖는다. 하지만 이 기준은 인체공학적 측면에서 휠체어와 의료보조기, 침대 등

부피가 큰 기구의 이동이 잦은 시설임을 감안했을 때, 노인의 장애정도와 성격, 행동특성을

고려한 차별화된 독자적인 환경시설기준 마련이 시급하다고 할 수 있다.

[표 2-14] 노인의료복지시설의 시설 및 인력기준 주요변동사항 (08.04.04 개정)

구분 변경 전 변경 후
노인요양시설: 입소정원 1명당 연면적
23.6㎡ 이상의 공간 확보
시설면적 해당없음
노인요양공동생활가정: 입소정원 1명당
연면적 20.5㎡ 이상 공간확보
전 시설 공히 1인당 침실면적 6.6㎡ 확보
무료 및 실비노인요양시설의 경우 1인당 5㎡,
※화장실이 개별 침실마다 설치되어 있는
거실(침실) 전문요양시설의 경우 1인당 6.6㎡ 확보
경우에는 화장실 면적까지 포함
면적
시설유형에 따라 합숙침실 1실 정원을 4~6명
합숙침실 1실 정원은 4명 이하
으로 규정
노인요양시설: 입소자 10인 이상
노인요양시설: 입소정원 하한선이 없음
시설정원 노인요양공동생활가정: 입소정원 5명이
(운영규정 5인 이상)
상 9명 이하
노인요양시설: 입소자 2.5명당 1명
요양보호사 시설유형에 따라 입소자 7명당 1명, 5명당 1명,
노인요양공동생활가정: 입소자 3명당 1
배치 3명당 1명으로 규정

간접서비스
간접서비스 인력 고정배치 간접서비스 인력배치는 필요 수로 규정
인력

장기요양보험제도가 활성화 되면서 08년 4월 이전에 설치·신고 된 시설은 5년 이내로

개정법과 규정에 적합하게 시설을 바꾸어야 함을 원칙으로 하고 있으며, 제도의 도입 전에

설치·신고 된 요양시설이 기준을 갖춘 경우 변경신고를 해야 노인요양시설로 인정되어

전문요양 수가가 적용된다.

- 23 -
2.3.4. 국외 노인요양시설의 환경적 특성

우리나라보다 먼저 노령화를 경험한 국가들은 노인들의 신체적·질병적 특징에 따라

의료와 요양서비스가 연계되어 보다 포괄적으로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도록 기능과 시설을

재정립·체계화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1) 미국

미국의 노인복지시설은 노인들의 생활기능수행 정도에 따라 노인복지시설을 분류하는

데, 노인요양시설은 의존공간에 속하며 시설의 수는 감소하고 규모는 커지는 경향을 보이

고 있다. 이는 미국의 노인들이 병원이나 노인요양시설보다 자신의 집에서 'home health

care'를 받기 원하기 때문이다.

미국의 노인복지시설의 종류는 다음 [표 2-15]와 같다.

[표 2-15] 미국 노인복지시설의 종류

구분 내용

자신의 주택, 악세사리 아파트, 인거형 주택, 주택의 공동사용, 독립주거시설, 노인전용주택단
독립생활
지, 은퇴호텔

생활지원 집합주택, 그룹홈, 보조공동주택, 생활지원주택, 입주시설, Foster care, Adult Family
서비스 Homes, 거주지 보호시설

의존공간 요양원, 도시형 유료양로원

복합공간 연속보호은퇴주거단지

미국의 노인복지정책과 복지시설을 토대로 본 미국 노인복지 서비스에 대한 특성은

첫 번째, 노인의 일상생활 수행능력과 결정에 따라 시설에 대한 선택권이 높아 본인이

원하는 시설을 선택할 수 있는 폭이 넓다.

두 번째, 노인에게 적합한 환경제공을 위한 일환으로 기존 주거공간의 개조 및 시설

선택에 관한 정보제공, 실질적 상담서비스 제공 등은 노후생활을 적극적으로 지원해주기

위한 체계적인 시스템이 구비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세 번째, 정부의 책임에서 지역보호사회나 민간의 영역으로 노인부양의 책임이 이양되면

서, 보다 경쟁력 높고 지역사회와 연계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24 -
(2) 일본

일본의 노인복지는 크게 시설계 서비스와 재택계 서비스로 분류할 수 있으며 노인복지시

설은 1990년대에 들어서 개실화, 개실 유니트, 개별 케어 등의 공간구성이 시도되었다.

이러한 과정을 거치며 시설계의 특별양호노인홈37)은 2004년부터 소규모 생활단위형 개실

유니트 케어가 운영되면서 노인요양시설은 전환점을 맞았으며, 이후 시설규정이 더욱 체계

화 되었다.

일본 노인복지시설의 분류 및 특징은 다음 [표 2-16]38)과 같다.

[표 2-16] 일본 노인복지시설의 종류

구분 내용
특별양호노인홈 뚜렷한 장해로 상시 개호가 필요한 자를 대상으로 일상생활에 필요한 서비스 제공

설 개호노인보건시설 간호나 의료적 관리 하에 개호, 기능훈련, 의료를 포함하여 일상생활상 필요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설

개호요양형 의료시설 주로 장기요양을 필요로 하는 환자를 입소시켜 간호와 개호를 제공

고령자그룹홈 치매성 노인이 가정적 환경에서 공동생활을 할 수 있도록 생활상의 서비스 제공

양호노인홈 신체 또는 환경, 경제적 이유로 집에서 생활이 곤란한 자를 입소시켜 일상생활상 필요한 서비스 제공

유료노인홈 다양한 요구를 가진 노인이 스스로 선택하여 입소·생활하는 시설로 민간이 주체가 되어 설치·운영

재 케어하우스 신체기능저하 또는 노령 등으로 인해 독립생활이 불가한 노인을 저렴한 요금으로 이용할 수 있는 시설


택 개인사정 등으로 가족과 동거가 곤란한 자를 대상으로 하며, 저렴한 요금으로 이용할 수 있는 시설 (급식
계 경비노인홈
서비스의 유무에 따라 A형과 B형으로 나뉨)

생활지원하우스 독립해서 생활하기에 불안함을 느끼는 자를 대상으로, 상담 및 긴급시 대응서비스 제공

실버하우징 집단적으로 건설·공급되는 고령자전용 임대주택으로 설비나 사양을 갖추고 생활보조원을 배치

고령자임대주택 고령자의 신체기능에 대응한 건축사양, 설비, 긴급시 대응의 서비스 제공

일본의 노인복지시설을 살펴본 결과, 다음과 같은 특징을 도출할 수 있었다.

첫 번째, 2003년부터 개실 유니트 케어를 행하고 있는 소규모 생활단위형 특별요양 노인

홈이 제도화 되면서 규모가 작고 다양한 기능을 갖는 시설이 적극적으로 도입되고 있다.39)

두 번째, 초창기 일본 요양시설의 모습은 그 모델을 병원의 병동에서 가져왔으며 차츰

요양환경에 대한 요구와 변화를 그룹으로 나누고 기능을 세분화 시키며, 주거시설의 형태

와 비슷하게 요양시설을 만들어 요양시설의 개념이 주거의 개념으로 이동하고 있다.

37) 65세 이상 고령자로 신체상 정신상의 장애가 있어 항상 개호를 필요로 하지만 재택생활이 곤란한 고령자
에 대하여 입욕 및 식사 등의 일상생활부터 기능훈련, 건강관리, 의료 등을 제공해주는 시설이다.
38) 김선태 외, 일본 노인요양시설의 연구형향에서 본 거주환경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주거학회 추계학술발표대회,
2006. 재정리
39) 이현정 외, 일본 유니트케어의 도입배경과 건축적 특징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16(3), 2007

- 25 -
세 번째, 다양한 기능이 공존하는 시설의 복합화가 이루어지고 있다.

요양시설, 재가서비스, 방문서비스 등 복합적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설로 변화하고 있

으며 서비스의 복합화뿐만 아니라, 다양한 종류의 시설이 복합적으로 건립되는 양상을

보인다.

(3) 국가별 시설기준 비교

노인요양시설의 시설기준은 노인들의 요양생활환경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게 되므로

노인의 신체적 특성, 장애정도와 성격을 고려하여 시설계획이 이루어져야한다. 그러나 현

재 한국의 시설기준은 필요 소요실, 전체 시설면적, 요양실(침실) 면적, 1실당 인원수 제한정

도의 기본적 시설기준과 설비기준만을 제시하고 있으며, 구체적인 설계지침이 아직 제대로

갖추어져 있지 못한 실정이다.

[표 2-17] 국가별 노인요양시설 시설기준 비교

구분 한국 미국 일본
입소정원 1명당 연면적 23.6 입소정원 1명당 연면적 53.8 입소정원 1명당
시설면적
㎡ 이상 ㎡ 이상 연면적 34.1㎡이상
1인당 6.6㎡ 이상 특별양호노인홈:
다인실: 1인당 7.2㎡ 이상
요양실 ※화장실이 개별 침실마다 설 1인당 10.65㎡ 이상
1인실: 9.0㎡ 이상
면적 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화장실 유니트형 특별양호노인홈:
실의 최소 길이 3m 이상
면적까지 포함 1인당 13.2㎡이상
특별양호노인홈: 4인 이하
인원수/실 4명 이하 4인 이하 유니트형 특별양호노인홈:
1인 원칙
4-15인: 1인당 1.62㎡,
31-35인: 1인당 1.26㎡, 유니트형 공동생활실:
공용거실 -
61인 이상: 1인당 0.90㎡ 1인당 2㎡ 이상
등으로 차등적용
특별양호노인홈:
식당 - 1인당 0.90㎡ 이상
1인당 3㎡ 이상
편복도: 1.8㎡ 이상,
복도 - -
중복도: 2.7㎡ 이상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노인복지법상 노인요양시설의 요양실에 대한 1인당 면적을 6.6㎡

이상으로 규정하고, 미국(7.2㎡), 일본(10.65㎡)과 비교해 보았을 때 가장 작으며 시설면적

또한 마찬가지이다.

향후 한국 노인요양시설의 시설기준은 노령선진국의 사례 및 특성을 반영하고 노인의

특성을 고려하여 점차적으로 상향조정 되어야 할 것이다.

- 26 -
2.4. 노인요양시설과 공간구조이론(Space Syntax)

2.4.1. 공간구조이론(Space Syntax)과 연구에의 적용

1970년대 초반, University College London의 Bill Hiller와 Julienne Hanson은 개별공간이

가진 개체적 특성보다는 공간조직 전체로서의 경험과 공간 상호간의 위상학적(topological)

관계성에 의해서 공간이 분석되어져야 한다고 주장하며, 이를 정량적으로 묘사할 수 있는

수학적 모델로 공간구문론(Space Syntax)을 제안하였다.40)

공간구문론은 공간구조를 단위공간의 연결관계를 통해 공간구조를 분석하고 공간구조

에 내재되어 있는 사회적 특성을 객관적이고 정량적으로 보여주는 방법론이다.41)

공간구문론의 기초개념을 최초로 제안했던 힐리어(Hiller)는 공간의 구조를 방향전환과

같은 맥락에서 '공간의 깊이(depth)'라는 개념을 설명하고 있다.

공간구문론에서의 공간깊이(depth)는 물리적 거리가 아닌 상대적 개념의 거리로서, 출발

지점에서 임의의 목적 공간까지 도달하기 위해 거쳐야하는 단위공간의 수 또는 방향전환을

의미한다.42)

본 연구는 노인요양시설을 단위공간요소의 볼록공간(Convex Map)으로 분해한 후, 이들

의 상호간 연결관계를 공간위상도(Justified Graph; 이하 J-Graph)를 작성하고, 작성된

J-Graph를 바탕으로 공간구성의 연결관계 및 배치 관계를 분석하였다.

또한 조사대상시설의 기능유형별 공간구조를 분석하기 위하여 공간구문론의 개념을 바

탕으로 한 분석 프로그램(S-Cube2.0 Convex Analyzer)을 통해 각 단위공간들의 연결을

정량화시키는 연결도(Connectivity), 통제도(Control Value), 전체통합도(Integration), 국부

통합도(Local Integration), 공간명료도(Intelligibility) 등의 지표를 산출하여 공간구조의 특

성을 도출하였다.

40) 박진경, 오찬옥, 김석태, 노인요양시설의 공간구조적 위계 및 연결관계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2011.06
41) 김민석, 공간의 가시성에 기반한 ERAM모델, 서울대학교 대학원 건축학과 석사학위논문, 2006.02
42) 최재필, 백승호, 공간구조와 길찾기의 효율성 상관관계분석,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2002

- 27 -
2.4.2. 노인요양시설의 연구동향과 본 연구의 차별성

노인요양시설 관련 연구는 1980년대를 시작으로, 노령화 사회에 접어든 2000년의 전후에

급속히 증가하였다. 또한 시설의 급증과 더불어 노인요양시설에 관련된 연구는 그 분야와

주제가 세분화 되어가고 있으며 건축학, 의료학, 사회학, 간호학, 보건학 등 여러 분야의

전문가들에 의해 다양한 시각과 방법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노인요양시설에 관한 선행연구를 사회·문화적 분야, 건축계획분

야의 두 분류를 통해 다음 [표 2-18]과 같이 그 목적과 내용을 정리하고, 본 연구의 차별성을

도출하였다.

노인요양시설에 관한 선행연구 고찰을 바탕으로, 본 연구의 차별성은 다음과 같다.

첫 번째, 노인요양시설의 공간구성을 기능별로 소요제실을 분류하여 각 기능유형별 특성

을 도출하였다.

두 번째, 노인요양시설의 공간구조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연결관계 및 배치, 공간구성

및 구조로 확장시키며 분석하였다.

세 번째, 분석내용과 장기요양보험제도가 도입된 이후 노인요양시설의 공간구조의 변화

가 있었다는 점을 착안하고, 노인요양시설의 증·개축 전후비교를 통하여 변화추이 비교를

통해 문제점 및 한계점을 도출하고 그에 따른 개선안을 제시하였다.

- 28 -
[표 2-18] 노인요양시설 선행연구

분류 연구자 제목 연구의 목적과 내용 출처


이규환 Ÿ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를 중심으로 구성요소들의 역할 한국지방자치학회보
노인복지서비스 전달체계
이용돈 과 상관관계 분석 제20권 제4호
에 관한 연구
(2008) Ÿ 시범사업지역을 대상으로 실증적 조사분석 통권 제64호
Ÿ 제도도입에 따른 인프라관련 우려 및 대응
김철수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의 보건복지포럼통권
Ÿ 양질의 요양서비스제공을 위한 요양인력 시스템 구축
(2010) 시설 및 인력인프라 개선 제168호
Ÿ 장기요양 인프라 관련 향후 과제 및 개선계획 제시
이제남 Ÿ 설문을 통한 서비스만족도와 생활만족도 차이 분석
노인요양시설 생활만족도 한국정책연구,
김미원 Ÿ 인구통계학적 특성과 생활만족도 분석
와 영향요인과 관한 연구 제11권 제2호
(2011) Ÿ 시설의 특성에 따른 생활만족도 영향요인 분석
사회
문화적 장봉석 노인장기요양보험 시행 이 Ÿ 노인장기요양보험법과 노인복지법의 관계와 목적을 고 전북대학교 법학연구
분야 (2011) 후 노인복지법의 역할에 려하여 수급자 범위, 서비스 내용, 재정문제 고찰 통권 제 32집
관한 소고
Ÿ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 인지여부와 연관되는 요인 검증
권혁창 중·고령자들의 노인장기
Ÿ 65세미만 중·고령자들의 신체적 노후준비와의 관계
신례리 요양보험에 대한 인지여부
고찰 보건사회연구, 32(4)
김진수 와 노후준비간의 관계에
(2012)
Ÿ 노후 취약계층이 정책지식의 부족으로 정보불평등 존
대한 연구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 실 Ÿ 실질적인 한국형 케어매니지먼트 모델 도입방안 모색
김찬우
행에서의 한국형 케어매니 Ÿ 노인장기요양제도의 환경과 관련제도 고찰 보건사회연구, 33(2)
(2013)
지먼트 도입에 관한 고찰 Ÿ 등급 내 대상과 등급외자의 돌봄문제 진단
Ÿ 노인전문요양시설의 프로그램 운영실태 조사
이민아 노인전문요양시설의 프로 한국가정관리학회지,
Ÿ 각 프로그램이 수행되는 공간의 현황 및 이용행태 조사
(2004) 그램 수행공간 계획지침 제23권, 제4호
Ÿ 프로그램 수행공간에 대한 계획지침 및 대안제시
황성일
도심지 노인요양시설의 복 Ÿ 한국, 일본, 미국의 시설기준 비교 대한건축학회
홍선관
합화를 위한 공간구성에 Ÿ 복합화 된 노인요양시설의 공간설정 및 유형분류 학술발표논문집,
김억
(2004)
관한 연구 Ÿ 거실의 유효면적 산출 및 유형별 면적 비교 제24권, 제2호

Ÿ 요양시설의 서비스 프로그램 실에 대한 비교 및 분석


김경민 노인전문요양시설의 치료 대한건축학회
Ÿ 실별 사용실태 비교 및 치료서비스에 관한 공간확보실
정량부 서비스와 공간구성에 관한 학술발표대회논문집,

(2005) 연구 제25권, 제1호
Ÿ 증축된 시설의 증축 전·후 사용실태 분석
권순정 노인전문요양시설 거주단 Ÿ 공용면적비와 요인변수들의 상관관계 분석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한정한 위의 공용면적비에 대한 Ÿ 한국과 일본의 노인요양시설 비교분석 계획계,
(2008) 연구 Ÿ 거주단위형태에 따른 거주단위 공용면적비 분석 제24권, 제2호
건축 한국 노인요양시설의 유 Ÿ 노인요양시설의 일반적 특성과 건축특성비교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변혜령
계획 형, 위치, 주변환경에 따른 Ÿ 요양시설의 위치에 따른 건축특성 비교 계획계,
(2008)
분야 건축특성 비교 Ÿ 대지면적, 연면적, 건축면적과의 비교 제24권, 제11호
노인의 신체 및 행태적 특 Ÿ 거주공간의 요소별 문제점 도출
남경은 한국실내디자인학회
성에 따른 노인요양시설 Ÿ C.M.Deasy가 분류한 8가지 특성을 기준으로 노인행태
최상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거주공간의 개선에 관한 특성도출
(2009) 제11권, 제1호
연구 Ÿ 노인요양시설 거주공간의 개선사항 제안
강신욱
Isovist를 이용한 소규모요
이상화 Ÿ 공간의 특성을 수치적으로 표현 한국주거환경학회,
양시설 공간특성에 관한
신상화 Ÿ 공간별 가시영역을 분석하여 공간개방도 분석 통권 제8권, 제2호
연구
(2010)
공간구문론을 이용한 치매 Ÿ 2개의 샘플 간 Space Syntax 지표분석
조영행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전문요양소의 공간구성 특 Ÿ 각 공간별 동선의 집중과 분산, 공간별 접근성 분석
(2010) 계획계, Vol26, n.07
성 Ÿ 중심공간과 주변공간의 계량화
김진아 서울시 노인종합복지관의 Ÿ 노인종합복지관의 기본개념과 공간구성 특성분석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변대중 공간구조적 연결관계에 관 Ÿ J-Graph를 통한 공간구조특성 및 연결관계 분석 논문집,
(2012) 한 연구 Ÿ 볼록공간도를 이용한 정량적 지표도출 제21권, 제3호

- 29 -
제 3 장. 조사대상시설의 현황 및 공간구성요소 분류

3.1. 조사대상시설의 일반현황

3.1.1. 조사대상시설의 선정

본 연구의 조사대상시설은 노인복지법 제31조에 의거 노인요양시설로 지정되어 있고

노인장기요양보험의 지원을 받는 건축 연면적 1000㎡ 이상의 중규모 시설이며, 입소정원

40인 이상의 국내 노인요양시설 10곳을 대상으로 현장답사와 수집한 도면을 토대로 연구를

진행·분석하였다. 선정근거는 보건복지가족부의 노인요양시설현황을 토대로 면적과 수

용인원을 충족하고 현장답사 후 도면을 제공한 시설에 한해 진행하였으며, 이 중 노인요양

시설로서의 요건이 갖추어지지 않았거나 공간의 규모가 작으면 Space Syntax의 특성상

정확성이 떨어지므로 작은 규모의 시설은 제외하였다. 또한 본 연구는 Space Syntax 연구방

법론을 바탕으로 노인요양시설의 공간구성 및 구조특성, 접근성, 인지성에 관한 사례분석

연구로서, 볼록공간을 단위공간으로 하는 분석방법의 특성으로 평면구성에만 국한하여

분석하므로 양적 측면인 실제공간의 거리, 크기 및 면적은 분석의 변수로 여기지 않는다.


[표 3-1] 조사대상 노인요양시설 일반현황

구분 소재 개원년도 수용인원 시설규모 연면적


A시설 경남 창원시 1997년 136명 지상 3층 3,585㎡

B시설 경남 진주시 2007년 68명 지상 2층 1,983㎡

C시설 경남 의령군 2005년 87명 지상 4층 2,509㎡

D시설 부산 금정구 1998년 46명 지하 1층, 지상 4층 1,402㎡

E시설 부산 금정구 2006년 138명 지하 1층, 지상 4층 4,104㎡

F시설 경남 김해시 2009년 200명 지하 1층, 지상 4층 7,661㎡

G시설 경북 영천시 2008년 50명 지상 2층 2,056㎡

H시설 경북 문경시 2007년 60명 지하 1층, 지상 3층 1,537㎡

I시설 서울 송파구 2004년 90명 지하 2층, 지상 6층 3,115㎡


J시설 경남 진주시 2005년 97명 지하 1층, 지상 3층 2,430㎡
시설 측의 요청에 따라 모든 시설명은 익명처리함

- 30 -
3.1.2. 조사대상시설의 개요 및 현황

노인요양시설에서 수집한 도면과 기본적 건축현황 및 개요는 다음 표를 통하여 자세한

내용을 파악할 수 있다.

[표 3-2] A시설의 평면 및 시설현황

개원년도 1997년

수용인원 136명
A시설
시설규모 지상 3층

연면적 3,585㎡

1층 시설현황 2층 시설현황

3층 시설현황

- 31 -
[표 3-3] B시설의 평면 및 시설현황

개원년도 2007년

수용인원 68명
B시설
시설규모 지상 2층

연면적 1,983㎡

1층 시설현황

2층 시설현황

- 32 -
[표 3-4] C시설의 평면 및 시설현황

개원년도 2005년

수용인원 87명
C시설
시설규모 지상 4층

연면적 2,509㎡

1층 시설현황 2층 시설현황

3층 시설현황 4층 시설현황

- 33 -
[표 3-5] D시설의 평면 및 시설현황

개원년도 1998년

수용인원 46명
D시설
시설규모 지하 1층, 지상 4층

연면적 1,402㎡

지하 1층 시설현황 1층 시설현황

2층 시설현황 3층 시설현황

4층 시설현황

- 34 -
[표 3-6] E시설의 평면 및 시설현황

개원년도 2006년

수용인원 138명
E시설
시설규모 지하 1층, 지상 4층

연면적 4,104㎡

지하 1층 시설현황 1층 시설현황

2층 시설현황 3층 시설현황

4층 시설현황

- 35 -
[표 3-7] F시설의 평면 및 시설현황

개원년도 2009년

수용인원 200명
F시설
시설규모 지하 1층, 지상 4층

연면적 7,661㎡

지하 1층 시설현황 1층 시설현황

2층 시설현황 3층 시설현황

4층 시설현황

- 36 -
[표 3-8] G시설의 평면 및 시설현황

개원년도 2008년

수용인원 50명
G시설
시설규모 지상 2층

연면적 2,056㎡

1층 시설현황

2층 시설현황

- 37 -
[표 3-9] H시설의 평면 및 시설현황

개원년도 2007년

수용인원 60명
H시설
시설규모 지하 1층, 지상 3층

연면적 1,537㎡

지하 1층 시설현황 1층 시설현황

2층 시설현황 3층 시설현황

- 38 -
[표 3-10] I시설의 평면 및 시설현황

개원년도 2004년

수용인원 90명
I시설
시설규모 지하 2층, 지상 6층

연면적 3,115㎡

지하 2층 시설현황 지하 1층 시설현황

1층 시설현황 2-5층 시설현황

6층 시설현황

- 39 -
[표 3-11] J시설의 평면 및 시설현황

개원년도 2005년

수용인원 97명
J시설
시설규모 지하 1층, 지상 3층

연면적 2,430㎡

지하 1층 시설현황 1층 시설현황

2층 시설현황 3층 시설현황

- 40 -
3.2. 노인요양시설의 공간구성 및 구조분류

3.2.1. 기능에 따른 공간구성요소 분류

노인요양시설은 입소한 노인이 여생의 대부분을 보내게 되는 곳이므로 이용자의 거주성

확보와 동시에 효율적인 요양서비스의 제공이 가능하도록 계획되어야 한다. 또한 실내

공간구성과 배치에 따라 실제 시설을 이용하는 노인과 관리자의 생활패턴이 형성된다.

아울러 노인요양시설의 공간구성과 배치는 실제 시설을 이용하는 노인과 관리자의 사회

적 교류, 공동생활, 개인생활, 간호제공 등 다양한 활동으로 구성되는 생활패턴형성에 영향

을 미치므로 노인요양시설은 이용자와 관리자의 행동특성을 모두 고려하여 설계해야 한

다.43) 이를 미루어 볼 때, 노인요양시설은 노인들의 생활만족도 향상과 관리자의 신속하고

효율적인 서비스 제공을 위해 내부공간의 기능적인 구성과 구조가 요구된다고 할 수 있으

며, 세부적인 구성요소와 그 기능을 고려한 환경계획을 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노인요양시설의 기능에 따른 구성과 구조를 파악하기 위해 세부적

공간을 분류하고, 각 기능들 간의 연결관계 및 구조특성을 도출하여 노인요양시설의 위계

적 공간구성44)을 알아보고자 한다.

선행연구들을 살펴 본 결과 노인요양시설의 기능에 따른 실내 환경에 관한 연구는 다방

면에서 활발히 진행되어 왔으며, 연구 분야와 연구목적, 연구자에 따라 조금씩 다르게 나뉘

고 있다.

선행연구의 노인요양시설 기능유형에 따른 공간분류는 다음 [표 3-12]로 정리하였다.

43) 김대년, 윤영선, 변혜령, 정미렴, 노인요양시설의 건축·실내환경 디자인, 교문사, 2010, p.32
44) 위계적 공간구성이라는 의미는 공간에 대한 접근성, 인지성, 공간의 사용방식 등에 따른 공간의 효율적 구
성을 뜻한다.

- 41 -
[표 3-12] 기능에 따른 노인요양시설의 실내공간 분류방식

연구자 제목 분류 출처
요양실(거실), 특별요양실, 화장실, 세면장 및 목욕실, 데이룸, 식
거주단위
당 및 조리실, 생활보조원실
노인요양시설의 한국실내디자인학회
공용휴게실, 오락실, 면회실(상담실), 간호사실, 처치실, 물리치
권순정 위계적 공간구성에 간호단위 논문집 34호,
료실
관한 연구 2002.10
사무실 및 숙직실, 경비실, 창고 및 부속시설, 의무실, 자원봉사자
관리단위
실, 세탁장 및 세탁 물건조장, 조리실
거주공간 요양실, 특별거주실
노인 전문요양시설의 공용공간 오락실, 식당, 화장실, 세면장 및 목욕실, 일광욕실 한국실내디자인학회
이민아
공간구성에 관한 논문집 제13권 1호,
유옥순 의료/간호공간 의무실, 물리치료실, 간호사실 혹은 생활보조원실
연구 2004.02
관리/지원공간 사무실, 주방, 세탁장 및 건조장, 자원봉사자실
거주기능공간 거주실, 특별실, 화장실, 세면장 및 목욕실, 데이룸

최지혜 노인요양시설의 공용기능공간 휴게실, 로비, 오락실, 일광욕실, 면회 및 상담실, 식당 및 조리실 한국의료복지
함욱 거주공간 구성에 간호기능공간 의무실, 간호사실, 물리치료실, 처치실, 소독물실, 생활보조원실 건축학회 10권 1호,
이낙운 관한 연구 2004.03
사무실 및 숙직실, 경비실, 창고 및 부속시설, 자원봉사자실, 세탁
관리지원공간
장 및 세탁물 건조장, 조리실
거주활동 현관, 라운지, 데이코너, 식당, 거주실, 거주실 내 화장실, 발코니,
지원공간 옥상정원, 중정, 데이케어센터

일본 도심형 간호실, 상담실, 미용실, 기능회복훈련실, 특별활동공간, 탈의실,


치료·생활 한국실내디자인학회
윤영선 노인전문요양시설의 공동욕실, 간이세면실, 공동화장실, 주방, 간이부엌, 세탁실, 오
지원공간 논문집 제13권 5호 통
변혜령 환경디자인 특성에 물처리실, 린넨실
권46호, 2004.10
관한 사례연구 운영·관리 안내데스크, 사무실, 원장실, 회의실, 직원실, 직원휴게실, 당직
지원공간 실, 직원식당, 자원봉사자실
이동지원공간 복도, 계단, 엘리베이터, 비상계단

거주기능공간 요양실(침실), 특별요양실, 세면장 및 목욕실, 화장실

노인요양시설의 프로그램실, 일광욕실, 거실, 로비, 강당, 다목적홀, 치유정원, 현 한국실내디자인학회


공용기능공간
전명숙 쾌적성 확보를 위한 관, 복도, 홀, 엘리베이터 홀, 계단실 학술발표대회논문집
최상헌 자연요소 도입에 간호기능공간 간호사실, 각종 치료실 제10권 3호 통권18
관한 연구 호, 2008.10
사무실, 조리실, 세탁장 및 세탁물 건조장, 자원봉사자실, 상담실,
관리기능공간
창고
개인공간 요양실, 특별요양실, 세면장 및 목욕실, 화장실
유니버설디자인
공용공간 엘리베이터, 계단, 배회로, 복도, 식당 한국실내디자인학회
측면에서 본
조민정 학술발표대회논문집
국내 노인요양시설의 준공용공간 간호사실, 린넨실, 물리치료실, 프로그램실
최상헌 제11권 1호 통권19
디자인 체크리스트
사무실, 조리실, 세탁장 및 세탁물건조장, 자원봉사자실, 상담실, 호, 2009.05
개발에 관한 연구 관리공간
창고
주거부분 침실, 화장실, 세면장 및 목욕실
의료부분 의료·간호사실, 요양보호사실, 물리치료실
노인요양시설의 한국콘텐츠학회
유용식 시설구성 현황과 공용부분 프로그램실, 식당·조리실 논문지, Vol.9
개선방안 No.10, 2009
관리부분 사무실, 자원봉사자실, 세탁장 및 세탁물 건조장
복도부분 복도
노인이 주생활을 하며 요양을 하는 곳으로, 요양실과
거주공간
1인 요양실과 같은 특별실
거주 노인이 공동으로 사용하는 공간으로 홀, 거실, 식당, 주방,
공용공간
화장실, 목욕실, 탈의실, 프로그램실 등
노인요양시설의
박진경 한국실내디자인학회
공간구조적 위계 및 거주기능공간, 공용기능공간과 밀접하게 연결되어 거주노인의
오찬옥 논문집 제20권 3호 통
연결관계에 간호·의료공간 생활지원, 각종 치료실을 운영하는 공간으로 물리치료실, 의무
김석태 권86호, 2011.06
관한 연구 실, 간호사실
사무관리: 조리실, 세탁장 및 세탁물건조장, 직원휴게실
관리·지원공간
설비관리: 물탱크실, 기계실, 보일러실, 전기실, 설비실
이동지원공간 계단, 엘리베이터, 복도, 내부경사로

- 42 -
연구자 제목 분류 출처
침실, 화장실, 세면장 및 목욕실, 수납장, 데이룸, 식당, 세탁실
거주공간 생활 및 세탁물 건조장, 욕실, 탈의실, 일광욕실, 정리·작업실, 오락
실, 독서실, 이미용실 등
의료실, 검사실, 치료실, 의사실, X-Ray 촬영실, 물리(작업)치
건강 료실, 프로그램실, 헬스, 운동실 등
간호공간 한국실내디자인학회
국내노인요양시설의 간호 간호사실, 간호대기실, 물품보관실, 의약준비실, 요양보호사
학술발표대회논문집
류혜지 공간디자인 특성에 실, 보건상담실, 휴게실, 강의실, 당직실 등
제15권 1호 통권 30호,
관한 사례연구
사무실, 자원봉사자실, 비상재해 대비실, 회의실, 직원휴게실, 2013.05
관리 강의실 등
관리공간
공급
린넨실, 조리제실(조리실, 식품고), 전기실, 기계실 등

공용공간 - 현관, 방문실, 로비, 복도, 계단, 승강기 등

노인요양시설의 목적에 비추어 볼 때 노인요양시설의 대표적인 서비스는 크게 생활서비

스와 간호서비스로 구분할 수 있다.

여기서 생활서비스는 주거제공 서비스 군을, 간호서비스는 보호와 관리의 개념을 가지는

서비스 군을 뜻한다.

선행연구들의 분류방법을 살펴보면 크게 거주/생활공간, 의료/간호공간, 공용공간, 관리/

운영공간의 4가지로 나뉘며 이들의 관계는 시설의 거주성, 접근성, 인지성, 장소성 등에

따라 상호 유기적인 관계를 맺고 있다.

본 연구는 선행연구들의 일반적 분류방법인 4개 공간으로 분류하는 방법에 이동지원단

위를 추가하여, 노인요양시설의 내부공간을 거주기능단위, 간호기능단위, 공용기능단위,

관리기능단위, 이동지원단위의 5개 공간으로 구분하였다.

노인들은 신체적, 사회적, 심리적으로 퇴행하며 이동능력이 저하되면서 시설 내 안전사

고가 발생할 확률이 높아 다른 공간에 비해 이동지원공간의 중요성이 크다고 할 수 있다.

또한 배회는 치매환자의 공통적인 행동특성이자 걷는 행위로서 운동의 형태로 주장하는

경우도 있으나, 연구자들에 의하면 배회의 공통적인 특성은 단순히 목적을 가지고 이동하

는 것과 달리 공간 내에서 반복적으로 이동한다는 것이다.45)

따라서 본 연구는 이동지원공간을 따로 구분지어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복도, 내부경사

로, 계단을 이동지원공간의 대표적 장소로 분류하였다.

45) 김미정, 이소영, 치매노인을 위한 노인요양시설의 배회공간 특성 분석,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제20


권 6호 통권89호, 2011.

- 43 -
또한 본 연구에서는 기능에 따른 실내공간을 노인의 생활특성과 관점에 국한시키지 않

고, 노인과 관리자에 이르는 두 가지 측면에서 분류하였다.

그 이유는 첫 번째, 노인요양시설은 생활서비스와 간호서비스의 제공이 동시에 이루어지

는 곳이며, 실내공간구성은 이용자뿐만 관리자의 동선과 영역에도 많은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두 번째, 요양보호사 도입의무에 따라 요양보호사의 수는 날로 증가하고 있으며,

노인요양시설에서 관리자의 적극적인 개입이 노인들의 일상생활과 치유활동에 중요한 영

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이러한 실내공간의 기능에 따른 분류는 절대적이라기보다는 공간규모 및 배치, 연결관

계, 내부동선 등 공간구성 상의 제약을 따라 상이해질 수 있으며, 노인들의 성향과 생활방식

및 관리자의 서비스 제공방식에 따라 달라진다. 또한 노인요양시설의 분류기준과 소요제실

이 보다 세부적인 기준과 함께 법적 장치로 제도화 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재구성한 본 연구의 기능에 따른 노인요양시설의 소요제실은 다음

[표 3-13]와 같다.

[표 3-13] 기능별 공간구성 분류

구분 기능구분 소요제실
개인생활 요양실(침실), 침실, 요양실 내 화장실, 세면장 및 목욕실, 수납장 등
거주기능 생활
단위 지원 공용생활 식당, 세탁실 및 세탁물 건조장, 욕실, 일광욕실, 정리/작업실, 오락실, 독서실,
이미용실
건강 의료 의료실, 검사실, 치료실, 의사실, X-ray 촬영실 등
간호기능 관리 회복 물리(작업)치료실, 프로그램실, 헬스, 운동실 등
단위 간호 간호사실, 간호대기실, 물품보관실, 의약준비실 등
간호
지원 요양보호사실, 보건상담실, 휴게실, 강의실, 당직실 등
관리기능 관리 사무실, 자원봉사자실, 비상재해 대비실, 회의실, 직원휴게실 등
단위 공급 린넨실, 조리제실(조리실, 식품고), 전기실, 기계실 등
공용기능
공용 현관, 방문자실, 로비, 승강기, 화장실
단위
이동지원
이동 복도, 경사로, 계단
단위

거주기능의 공간은 노인요양시설에서 노인의 전반적인 생활지원에 관한 서비스를 제공

하는 기능을 하는 곳으로, 단위생활과 공용생활로 나누어 분류하였다. 거주기능단위 공간

에서 단위생활공간은 노인의 사생활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공간이며, 공용생활공간은 노인

- 44 -
들이 요양시설 내에서 다양한 사회활동과 일상생활을 지원해주는 공간으로 나누어 보았다.

간호기능의 공간은 노인의 간호서비스를 제공하는 기능을 하는 곳으로, 노인의 건강관리

를 담당하는 공간과 간호서비스를 지원하는 공간으로 나누었다. 건강관리공간은 노인의

의료와 회복, 건강상태 점검과 유지에 관한 공간과 각종 치료실로 구분하였으며, 간호공간

은 노인 간호를 위한 간호사실을 비롯한 공간이며, 간호지원공간은 간호기능을 담당하는

사람들의 편의를 지원하는 공간으로 분류하였다.

관리기능의 공간은 노인요양시설의 운영과 시스템적인 부분을 지원하는 공간이며, 그

기능을 관리와 공급으로 나누어 분류하였다.

공용기능의 공간은 거주노인과 관리자, 이용자들에 이르는 모든 사람들이 사용하는 공간

으로 현관, 로비를 비롯하여 공용적인 성격이 강한 곳으로 분류하였다.

이동지원단위는 복도, 경사로, 계단으로 노인요양시설 내에서 공간간의 이동을 위한 이

동통로로서 안전사고가 발생할 확률이 높으며, 노인에게는 배회기능의 복도를 포함한 공간

으로 분류하였다. 또한 승강기도 공간 내에서 상하이동시 용이한 이동수단으로 사용되나,

본 연구에서는 승강기가 노인들이 자립적으로 사용하기 불가한 점, 노인들의 생활범위가

실내공간과 요양층 내에서 국한되어 있는 점 등을 고려하여 승강기는 공용공간으로 분류하

였다.

- 45 -
3.2.2. 복도형태에 따른 공간구조유형 분류

복도는 시설의 서비스, 대지의 특성 등에 따라 형태가 결정되는데 건물의 각 실을 연결하

는 복도와, 복도에 인접하여 배치된 소요실의 구성형태에 따라 전체 시설구성이 갖추어진

다. 또한 복도는 시설의 각 공간들을 연결하는 매우 기능적인 역할을 하며, 노인들의 자립적

인 생활과 시설구성의 활용도에 많은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선행연구46)를 바탕으로 복도의 형태에 따른 시설의 유형을 다음 [표 3-14]와 같이

재정리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연구들의 복도유형 분류에 연결형과 순환형을 추가하여

보다 세부적인 복도의 유형을 도출하였다.

이는 첫 번째, 요즘 기존 시설에 증축의 건물을 연결하는 사례가 많아지는 추세임을

감안하였을 때 별관, 특별동을 증축하여 복도를 이용해 연결해 하나의 건물로 만든다는

점, 두 번째, 건축 설계시부터 복도를 통한 배회로를 의도적으로 설치하는 시설이 증가한다

는 점과 비상대피로를 만들어 하나의 복도로 통하지 않고 여러 가지의 복도로 통하게 하여

비상시 신속한 대처하기 위한 점 등을 고려한 결과이다.

[표 3-14] 복도형태에 따른 노인요양시설 유형

편복도형 중복도형 확대복도형 회랑형

복도를 중심으로 복도의 폭이 확대된 형태로


요양실을 복도의 고리형의 복도와 가운데 중
요양실을 양측에 배치하는 복도에서 다양한 사회적 행
한쪽면에 배치 정을 형성하는 형태
형태로 가장 일반적 위유발 가능
그룹형 연결형 순환형 범례

: 거주부분
: 복도부분
복도의 축들이
여러 개의 요양실이 하나의 대칭의 건물을 복도를 중심
서로 연결되어 배회로가 중
그룹을 형성하는 형태 으로 연결한 형태
심이 된 형태

46) 최지혜, 함욱, 이낙운, 노인요양시설의 거주공간 구성에 관한 연구, 한국의료복지건축학회, 10권 1호
2004

- 46 -
제 4 장. 노인요양시설의 공간구성 및 구조특성

4.1. 노인요양시설 공간구성의 연결관계 분석

4.1.1. 분석개요 및 방법

노인의 특성을 충분히 고려하지 않은 노인요양시설의 건축계획은 인지기능이 저하된

노인의 공간인지상실 문제를 유발하며, 노인으로 하여금 상당한 생활스트레스 발생의 요인

이 된다. 따라서 본 4.1.장에서는 노인요양시설 공간구성의 연결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현재

건축된 노인요양시설의 도면분석을 통하여, 기능 유형에 따른 각 시설의 연결관계에 관한

비교 및 분석 후, 노인요양시설의 현황과 공간구조특성을 파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노인

요양시설의 공간 간 연결관계와 구조를 파악하기 위하여, 시설 내의 소요실을 기능별로

분류하여 공간위상도(J-Graph)를 통해 공간깊이를 분석하고 복도의 공간배치와 공간간의

연결에서 도출되는 시설의 특성을 알아보았다.

J-Graph는 공간의 단위공간(node)과 이들을 연결하는 선(link)를 이용하여 각 단위공간들

이 전체공간에서 갖는 공간의 깊이와 연결관계를 배열하고, 이들의 관계를 표시하여 전체

공간의 위계를 파악할 수 있도록 공간을 도식화한 일종의 다이어그램이다.

J-Graph는 [표 4-1]과 같이 도출된 결과에 따라 나무형(tree형)인 작은 잡목형, 키 큰

나무형과 고리형(ring형)인 얕은 고리형, 깊은 고리형의 4가지로 분류47)가 가능하다.

[표 4-1] 공간위상도(J-Graph)의 유형

나무형(tree형) 고리형(ring형)
분류 shallow tree deep tree shallow ring deep ring
(작은 잡목형) (키 큰 나무형) (얕은 고리형) (깊은 고리형)

형태

47) 이행우, 노인전문병원 평면구조의 위계에 관한 연구, 인제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9

- 47 -
J-Graph를 작성할 때에는 주로 출입구 및 승강기, 홀부분부터 시작하는 것이 일반적이나,

본 연구에서는 각 시설의 답사를 통해 이용자들이 직접적으로 상·하이동시 빈번히 이용하

는 곳을 기점으로 깊이를 계산하였다. 또한 노인요양시설의 특성상 기준층이 반복되는

시설은 하나의 기준층을 대표하여 분석하였다. 분석방법은 아래 [그림 4-1]과 같으며 도면

분석 및 볼록공간(Convex Map) 분절 후, 공간위상도를 그려 기능에 따른 공간깊이를 분석

하였다.

[그림 4-1] 공간위상도 작성방법

기능유형별 공간구성에 따른 분류와 소요제실의 범례는 다음과 같다.

범례

A:침실(요양실) B:화장실 C:세면장 및 목욕실,탈의실 D:식당 E:세탁실 및 세탁


거주 △
물 건조장 F:일광욕실 G:이미용실

H:치료실 I:물리치료실,작업치료실,운동치료실 J:프로그램실,휴면실 K:의료


간호 ○ 및 간호실,의무실 L:의약준비실 M:요양보호사실 N:휴게실,준비실,면회실 O:
강당,세미나실,다용도실
P:사무실,원장실,상담실,회의실 Q:자원봉사자실,생활보조원실 R:직원휴게실
관리 □ S:린넨실,오물처리실 T:조리실,식품고,배식준비,간식실 U:전기실,기계실,통
신실,공조실,수위실 ST:창고 KI:주방 EM:비상재해 대비실

공용 ◇ V:현관,방풍실 W:로비 X:승강기 BO:공용화장실 GR:정원 CH:예배실

이동지원 ▷ Y:복도 Z:계단 YO:내부경사로

- 48 -
4.1.2. 공간구성의 연결관계 분석

(1) A시설

1층 / 최대공간깊이: 9 depth

2층 / 최대공간깊이: 6 depth

3층 / 최대공간깊이: 7 depth

[그림 4-2] A시설의 공간위상도(J-Graph)

[표 4-2] A시설 기능별 최대공간깊이

거주기능 간호기능 관리기능 공용기능 이동지원기능


1층 8 depth 5 depth 8 depth 9 depth 9 depth
2층 6 depth 5 depth 4 depth 5 depth 5 depth
3층 7 depth 6 depth 7 depth 6 depth 6 depth
평균 7.7 depth 5.3 depth 6.3 depth 6.7 depth 6.7 depth

- 49 -
A시설은 1층에서는 tree형, 2,3층에서는 ring형의 구조를 보이는 형태로서 관리층인데도

불구하고 관리·공용·이동지원에 이르는 기능에서의 공간깊이가 높은 공간구성을 취하

고 있다. 이 시설은 식당이 1층에 위치하고 있어, 식사시간시 노인들의 이동이 필요하다는

번거로움이 있으며 이용자와 관리자간의 동선이 복잡해질 우려가 있다.

A시설은 1층에서는 중복도형, 2,3층에서는 회랑형으로 복도 가운에 의도적으로 중정을

설치하여 실내채광을 극대화시킨 형태를 보인다. 2층에서는 중정을 이용하여 의도적인

배회로를 설치해 두어 복도의 효율성을 높였다. 또한 복도를 중심으로 가장자리에 요양실

을 배치하고 가운데에 간호공간과 관리공간을 두어 신속한 요양서비스가 제공되도록 공간

을 배치하였다. 이러한 구조는 관리자의 입장에서는 공간깊이가 낮아져 효율적이나, 노인

들의 측면에서는 요양실로 가기위한 방향전환의 수가 많아져 공간인지에 어려움을 초래할

수 있다. 2층에서는 거주공간(6 depth), 간호공간(5 depth), 공용공간(5 depth), 이동지원공간

(5 depth), 관리공간(4 depth)로 거주기능에서의 공간깊이가 가장 깊으며, 3층에서는 거주공

간(7 depth), 관리공간(7 depth)로 높게 나타나고 있다. 회랑형의 구조는 간호기능의 공간에

대한 효율성을 극대화 시킬 수 있으며, 모든 공간으로의 접근성이 높다는 장점이 있어

서비스 제공자의 측면에서는 동선이 짧아질 수 있지만, 공간인지가 낮은 노인들의 입장에

서는 방향전환의 수가 많아 동선이 복잡해 질 수 있는 단점이 있다.

- 50 -
(2) B시설

1층 / 최대공간깊이: 9 depth

2층 / 최대공간깊이: 8 depth

[그림 4-3] B시설의 공간위상도(J-Graph)

[표 4-3] B시설 기능별 최대공간깊이

거주기능 간호기능 관리기능 공용기능 이동지원기능


1층 9 depth · 9 depth 9 depth 8 depth
2층 8 depth 6 depth · 6 depth 6 depth
평균 8.5 depth 6 depth 9 depth 7.5 depth 7 depth

B시설은 중복도형의 형태로 1층과 2층 모두 tree형의 구조를 취하고 있다. 1층 최대공간

깊이 9 depth, 2층 최대공간깊이 8 depth로 B시설은 대체적으로 높은 공간깊이를 보이고

있다. 복도를 중심으로 공간이 양측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증축으로 인해 공간깊이가 더욱

높아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거주공간, 관리공간, 공용공간에서의 공간깊이 9 depth

로 비교적 높은 공간깊이를 보이고 있다.

- 51 -
1층은 입구에서 들어오면 원장실, 사무실 등 관리공간이 배치되어 있고, 복도를 따라

요양실이 배치되어 있는 형태로, 요양실이 가장 공간깊이가 높게 나타나는 것으로 보아

노인들의 동선이 길어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입구 외에 요양실이 배치되어 있는

곳에 출입구를 추가로 설치하여 노인들의 동선이 짧아질 수 있게끔 하는 것이 효율적이라

사료된다. 2층에서는 주로 요양실 및 간호공간이 복도를 따라 배치되어 있는데, 좁은 복도

를 따라 배치된 이러한 형태는 노인들의 프라이버시를 위하여 완충공간에 대한 고려가

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2층 역시 거주공간이 가장 높은 공간깊이(8 depth)를 보이고

있으며, 요양실의 사이사이에 필요 소요제실을 배치한 형태를 보이고 있다. 최대공간깊이

의 평균을 살펴보면 간호공간(6 depth)에서 가장 낮은 공간깊이를 보이고 있으며, 관리공간

(9 depth)에서 가장 높은 공간깊이를 보이고 있다. B시설은 1층에서는 간호공간, 2층에서는

관리공간이 배제되어 있는 평면형태로 이 같은 구조는 층 내에서 기능 수행에 한계가 있으

므로, 이용자와 관리자의 동선효율을 위해 층별로 각 기능별 공간을 적절히 배치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 52 -
(3) C시설

1층 / 최대공간깊이: 4 depth

2,3층 / 최대공간깊이: 6 depth

4층 / 최대공간깊이: 5 depth

[그림 4-4] C시설의 공간위상도(J-Graph)

[표 4-4] C시설 기능별 최대공간깊이

거주기능 간호기능 관리기능 공용기능 이동지원기능


1층 2 depth 3 depth 4 depth 3 depth 3 depth
2,3층 6 depth 4 depth · 3 depth 3 depth
4층 5 depth 2 depth 4 depth · 3 depth
평균 4.3 depth 3 depth 4 depth 3 depth 3 depth

C시설은 tree형의 구조이며 2층과 3층의 기준층의 반복되고 있는 형태로서, 타 시설에

비해 비교적 얕은 공간깊이를 보이고 있다. 1층에서는 주로 서비스 제공에 필요한 소요실들

이 배치되고 있으며, 2층부터 요양실이 배치되어 있는 형태이다. 1층에 주방과 식당이 복도

- 53 -
에 겸해있는 구조이며, C시설과 같은 중복도의 형태에서 흔히 볼 수 있는 평면형태이다.

중복도는 복도에 다양한 기능을 겸할 수 있어서 복도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형태라

할 수 있다. 또한 2층과 3층에는 주로 거주공간이 배치되어 있으며, 간호공간(3 depth)과

관리공간(4 depth)이 밀집하고 있어서 관리자의 동선이 짧아지는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이 같은 내용을 종합하여 볼 때, C시설의 장점은 중복도 형태의 구조로 다양한 기능을

복도에 겸할 수 있어 전체적으로 공간깊이가 낮아질 수 있다는 점과 노인들의 공간 인지에

용이한 형태라 할 수 있다. 주로 중복도의 시설은 복도를 중심으로 요양실을 양측에 배치하

는 가장 일반적인 요양시설 공간구조로, 복도의 폭이 확대될 경우 다양한 사회활동이 가능

하다는 장점이 있다.

- 54 -
(4) D시설

지하 1층 / 최대공간깊이: 8 depth

1층 / 최대공간깊이: 4 depth 2층 / 최대공간깊이: 5 depth

3층 / 최대공간깊이: 3 depth 4층 / 최대공간깊이: 4 depth

[그림 4-5] D시설의 공간위상도(J-Graph)

[표 4-5] D시설 기능별 최대공간깊이

거주기능 간호기능 관리기능 공용기능 이동지원기능


지하1층 3 depth 5 depth 8 depth 7 depth 6 depth
1층 4 depth · · 3 depth 2 depth
2층 5 depth 3 depth 3 depth 5 depth 4 depth
3층 3 depth 2 depth · 3 depth 2 depth
4층 4 depth · · 3 depth 2 depth
평균 3.8 depth 3.3 depth 5.5 depth 4.2 depth 3.2 depth

D시설은 지하1층, 2층에서 ring형 구조, 1,3,4층에서 tree형의 구조를 보이고 있으며 최대

공간깊이는 타시설에 비해 낮다. D시설은 관리기능의 소요실을 최대한 지하층에 배치하고

- 55 -
1층부터 4층까지는 주로 요양실과 요양서비스에 할애한 평면구조를 취하고 있다. 따라서

지하층에서의 거주공간(3 depth)은 낮은 공간깊이를 보이며, 관리공간(8 depth)과 공용공간

(7 depth)에서 공간깊이가 깊어지는 경향을 보인다.

1층부터 3층까지는 거의 비슷한 공간구성이 반복되고 있으며 요양서비스에 필요한 최소

한의 기능 소요실만 배치하고 있다. 이는 관리자의 입장에서는 상·하 이동이 잦아질 수

있는 단점이 있으나, 넓은 복도와 홀을 동시에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동일층

내에 요양실이 타 시설보다 적게 배치되어 있어서 가정적인 분위기와 노인들 간의 사회적

교류가 생성되기에 유리한 구조라 할 수 있다. 2층에는 의무실과 직원실이 배치하여 관리자

의 동선효율성을 도모하였으나 전 층별로 배치되어야 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한

층 내에 기본적인 소요제실이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 관리자의 동선이 길어질 수 있는

단점이 있다.

- 56 -
(5) E시설

지하 1층 / 최대공간깊이: 6 depth

1층 / 최대공간깊이: 6 depth

2층 / 최대공간깊이: 9 depth

3층 / 최대공간깊이: 9 depth

4층 / 최대공간깊이: 6 depth

[그림 4-6] E시설의 공간위상도(J-Graph)

- 57 -
[표 4-6] E시설 기능별 최대공간깊이

거주기능 간호기능 관리기능 공용기능 이동지원기능


지하1층 6 depth 5 depth 5 depth 4 depth 4 depth
1층 5 depth 4 depth 4 depth 6 depth 5 depth
2층 9 depth 4 depth 5 depth 7 depth 8 depth
3층 9 depth 3 depth 5 depth 7 depth 8 depth
4층 · · · 6 depth 6 depth
평균 7.2 depth 4 depth 4.7 depth 6 depth 6.2 depth

E시설은 tree형을 보이고 있는 중복도형 구조로서, 기준층에서의 공간구조는 복도가

식당과 휴게실의 기능을 겸하고 있다. 이 시설은 일반적인 중복도형과는 다르게 확대형

복도의 특성을 함께 지니고 있으며, 복도에 식당과 휴게실의 기능을 겸하여 복도를 기능을

용이하게 하고 노인들의 동선을 줄이기 위한 결과라 볼 수 있다. 이처럼 복도를 넓혀 사용하

였을 때는 노인의 복합적인 활동을 유도할 수 있고, 전체적으로 공간깊이가 얕은 공간구조

를 만들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간호공간(depth=3), 공용공간(depth=3)의 소요실을 복도에 삽입하여, 관리공간

(depth=5)에서는 다소 깊은 경향이 있으나 복도의 유형에 적절하게 기능을 배분하였다고

볼 수 있다. 이 형태는 간호사 스테이션을 따로 두어 공간깊이가 깊은 곳에 설치하지 않고

복도로 드러내어 노인의 케어에 중점을 두었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간호공간(4 depth)의

공간깊이도 낮아지는 결과를 보이고 있다.

- 58 -
(6) F시설

지하 1층 / 최대공간깊이: 3 depth

1층 / 최대공간깊이: 8 depth

2층 / 최대공간깊이: 6 depth

3,4층 / 최대공간깊이: 4 depth

[그림 4-7] F시설의 공간위상도(J-Graph)

- 59 -
[표 4-7] F시설 기능별 최대공간깊이

거주기능 간호기능 관리기능 공용기능 이동지원기능


지하1층 2 depth · 3 depth 1 depth 2 depth
1층 · 8 depth 7 depth 6 depth 8 depth
2층 6 depth 6 depth 4 depth 4 depth 6 depth
3,4층 4 depth 2 depth 2 depth 2 depth 4 depth
평균 4 depth 5.3 depth 3.7 depth 3.2 depth 5 depth

F시설은 tree유형의 연결형 복도형태로 이러한 유형은 공간구조가 하나의 복도를 주 축으로 하는

대칭 형태로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연결형의 유형에서는 복도를 중심으로 거주공간(4 depth)

이 배치되어 있고 그 외의 간호공간(8 depth)·관리공간(7 depth)·이동지원공간(6 depth)·공용공

간(4 depth)의 순으로 공간깊이가 깊어짐을 알 수 있다.

이는 최근(2009년)에 지어진 시설로 노인의 특성을 배려하여 복도로부터 거주공간까지의

동선을 명료하게 공간을 배치한 장점은 있으나, 관리자의 입장에서는 복잡한 방향전환을

초래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연결형의 구조에서는 각 동간에 입구 문의 폐쇄(소방법

에 따른 조치)로 배회로의 기능에 문제가 생길 수 있다는 한계가 있다.

- 60 -
(7) G시설

1층 / 최대공간깊이: 7 depth

2층 / 최대공간깊이: 6 depth

[그림 4-8] G시설의 공간위상도(J-Graph)

[표 4-8] G시설 기능별 최대공간깊이

거주기능 간호기능 관리기능 공용기능 이동지원기능


1층 5 depth 5 depth 7 depth 5 depth 5 depth
2층 6 depth · 4 depth 5 depth 5 depth
평균 5.5 depth 5 depth 5.5 depth 5 depth 5 depth

G시설은 tree유형의 중복도를 중심으로 소요실이 배치되어 있는 시설로 요양시설에서

가장 많이 보이는 형태이다. 관리공간(7 depth)과 간호공간(5 depth)의 소요실이 번갈아가

며 나란히 배치하고 있는 양상을 보인다. 그러나 이 시설은 전체적으로 공간깊이가 깊어지

는 것을 볼 수 있는데, 이는 무분별한 공간구획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라 할 수 있다.

이 시설은 관리공간(7 depth)에서 가장 높은 공간깊이를 보이고 있으며, 이용자와 관리자간

의 동선혼란이 초래될 수 있는 소지가 크다. 이 시설은 요양층에 공동거실을 두어 복도의

기능을 겸하고 있는데, 임의로 구획된 시설은 공용공간의 할애에 치중하지 못하기 때문에

복도 끝에 공용부분을 두어 이용하도록 하고 있다.

- 61 -
(8) H시설

지하 1층 / 최대공간깊이: 4 depth

1층 / 최대공간깊이: 6 depth

2,3층 / 최대공간깊이: 5 depth

[그림 4-9] H시설의 공간위상도(J-Graph)

[표 4-9] H시설 기능별 최대공간깊이

거주기능 간호기능 관리기능 공용기능 이동지원기능


지하1층 · · 2 depth · 1 depth
1층 5 depth 5 depth 6 depth 6 depth 5 depth
2,3층 3 depth 3 depth · 3 depth 2 depth
평균 4 depth 4 depth 4 depth 4.5 depth 4 depth

H시설은 tree형을 보이고 있는 확대복도형으로 안정적이고 명료한 공간깊이를 나타내고

있다. 확대복도형의 특성상 복도의 폭이 넓으므로 복도에 다양한 기능을 배치하여 공간의

효율성을 높인 결과이다. 기준층에서의 복도구조는 배회로를 꾀한 구성의 영향이 크다고

- 62 -
할 수 있으며, 동선은 명료해지나 이용자의 프라이버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거주공간(3

depth)과 공용공간(4 depth)사이의 완충공간에 대한 고려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보인다.

지하 층에서는 최소한의 관리공간을 배치하였으며, 1층은 주로 요양서비스를 보조하기

위한 간호공간(5 depth), 관리공간(6 depth), 공용공간(6 depth)이 위치하고 있다. 2층과 3층

은 요양실과 공용화장실, 샤워실이 배치되어 있으며 그 외의 소요제실은 1층에 모두 밀집

배치한 형태이다. 이러한 형태는 2층과 3층의 요양실 위주의 공간구성으로 노인과 관리자

의 이동동선이 상·하로 영역이 넓어지게 되며, 서비스 제공을 위한 관리자의 동선도 길어

짐을 의미한다. 따라서 프라이버시 유지를 위한 완충공간 고려와 동시에, 원활한 서비스

제공과 노인들의 동선 효율성을 위해 2층과 3층에서의 기능공간을 적절히 배치해야 할

필요가 있다.

- 63 -
(9) I시설

지하 2층 / 최대공간깊이: 4 depth 지하 1층 / 최대공간깊이: 3 depth

1층 / 최대공간깊이: 2 depth

2-5층 / 최대공간깊이: 5 depth

6층 / 최대공간깊이: 3 depth

[그림 4-10] I시설의 공간위상도(J-Graph)

- 64 -
[표 4-10] I시설 기능별 최대공간깊이

거주기능 간호기능 관리기능 공용기능 이동지원기능


지하2층 · · 4 depth 3 depth 3 depth
지하1층 · · 3 depth 3 depth 1 depth
1층 · 1 depth 2 depth 1 depth 2 depth
2-5층 5 depth 1 depth · 3 depth 4 depth
6층 · 3 depth · 2 depth 3 depth
평균 5 depth 1.6 depth 3 depth 2.4 depth 2.6 depth

I시설은 tree형과 6층에서 ring형을 보이고 있는 구조로 간호공간(3 depth)이 복도에 접해

있어 이용자(노인)케어에 바람직한 구조라 할 수 있다. 거주공간(6 depth)이 깊어지는 경향

이 있으나, 복도가 통제성이 강한 공간으로 이용된 형태라 볼 수 있다. 공간의 효율적인

배분을 위해 거주실의 화장실을 중심으로 양쪽으로 요양실이 배치되어 있어 화장실을 공유

하고 있으며, 기준층에서 가운데 간호사 스테이션을 설치하여 노인케어에 유리한 평면의

형태를 보이고 있다. 작업치료실, 운동치료실, 물리치료실 등의 공간을 6층으로 밀집 배치

하여 노인들의 동선이 길어질 수 있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형태의 평면구조는

노인의 동선과 관리자와의 동선을 분리하여 동선효율성을 높일 수 있으며, 복도의 기능을

배회로의 기능까지 확대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I시설은 층별로 기능공간의 부재가

나타나고 있는데, 이러한 형태의 구조는 노인의 동선과 관리자의 동선을 복잡하게 할 수

있으므로 공간의 효율적인 분할로 기능별 소요실을 최대한 층별로 배치하여 신속한 서비스

가 용이하도록 해야할 것으로 보인다.

- 65 -
(10) J시설

지하 1층 / 최대공간깊이: 3 depth

1층 / 최대공간깊이: 3 depth

2층 / 최대공간깊이: 2 depth

3층 / 최대공간깊이: 2 depth

[그림 4-11] J시설의 공간위상도(J-Graph)

- 66 -
[표 4-11] J시설 기능별 최대공간깊이

거주기능 간호기능 관리기능 공용기능 이동지원기능


지하1층 2 depth 3 depth 2 depth 2 depth 2 depth
1층 3 depth 2 depth 2 depth 1 depth 2 depth
2층 2 depth 2 depth 2 depth 2 depth 2 depth
3층 2 depth 2 depth · 2 depth 2 depth
평균 2.2 depth 2.2 depth 2 depth 1.7 depth 2 depth

J시설은 tree형의 전형적인 중복도형으로 복도의 양측에 소요실을 일렬로 배치하여 공간

을 구성하였다. 하지만 이 시설의 경우 거주공간(3 depth)의 접근성과 인지도는 높으나

획일적인 공간구획으로 인하여 전체적인 공간의 효율성은 낮다고 할 수 있다. 이 시설은

좁은 복도 하나로 모든 공간이 지배되는데, 간호공간(3 depth), 관리공간(2 depth), 공용공간

(2 depth), 이동지원공간(2 depth)의 순으로 공간깊이가 깊고, 공간이동시 용이하다는 장점

이 있으나 목적공간으로 이동하기 위한 상·하 이동이 잦다는 점과 공간개방성이 낮아지므

로 노인들의 프라이버시 보장이 어려워지는 한계가 있다.

- 67 -
4.1.3. 소결

이상 노인요양시설 공간구성의 연결관계 분석을 통해 다음과 같은 결과를 정리할 수

있다.

첫 번째, 노인요양시설의 기능별 평균공간깊이를 도출한 결과, 거주공간(5.2depth), 관리

공간(4.7 depth), 이동지원공간(4.4 depth), 공용공간(4.4 depth), 간호공간(3.9 depth)으로

높은 순을 보이고 있으며 거주기능이 가장 높으며, 간호공간이 가장 낮은 평균공간깊이를

보이고 있다. 이는 노인요양시설의 특성상 일렬로 요양실이 배치되어 있는 형태로 인해

거주공간의 공간이 깊어지며, 원활한 요양서비스의 제공을 위한 공간배치의 결과로 보여진

다.

두 번째, 동일 층 내에 기능공간들의 부재는 요양 서비스 제공에 있어 신속한 대처가

어렵다는 한계가 있으므로, 이용자와 관리자의 동선효율성을 위해 층별로 각 기능별 공간

을 적절히 배치해야 한다.

세 번째, 평면형태에 있어 복도에 다양한 기능을 복도에 겸하게 될 경우, 전체적으로

공간깊이가 낮아질 수 있으며 노인들의 공간 인지도가 높아질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를 활용하여 복도에 다양한 사회활동이 가능할 수 있는 공간 배치시 전체적인 공간깊이

가 낮아짐과 동시에 동선의 효율성을 확보할 수 있다.

네 번째, 무분별하게 획일화된 공간구획은 공간깊이를 높게 하는 요인이 되며, 임의로

구획된 시설은 공용공간의 할애에 치중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노인요양시설

계획시 요양서비스 제공과 노인의 안락한 생활보장을 위해 노인의 특성과 관리자의 업무효

율을 동시에 고려해야 한다고 판단된다.

다섯 번째, 확대복도형의 특성상, 복도의 폭이 넓으므로 복도에 다양한 기능을 배치하여

공간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으므로 동선이 명료해지는 장점이 있으나, 거주공간과 공용공

간 사이의 완충공간에 대한 고려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보인다.

- 68 -
4.2. 노인요양시설 공간구조의 정량적 분석

4.2.1. 분석개요 및 방법

Space Syntax 방법론은 공간 위계상의 구조를 보다 더 객관적이고 정량적으로 분석하는

방법으로, 오로지 단위공간간의 연결관계만을 분석해내는 가치중립적 이론이다. 또한 정량

적 지표산출을 기본으로 하므로 J-Graph에서 볼 수 있었던 배치관계를 세부적인 지표로

도출할 수 있으므로 공간위상도의 직관적 평가를 보완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Space Syntax를 이용한 분석에서 얻을 수 있는 지표는 다음 [표 4-12]과 같다.

[표 4-12] 공간구문론(Space Syntax)의 지표

구분 내용
연결도 - 임의의 노드에서 바로 이웃한 노드로 이동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의미
(Connectivity) - 직접적으로 연결된 주변공간과의 관계성만을 나타내는 지표
- 임의의 노드에 직접적으로 연결된 주변노드들과 그 주변 노드들에 영향을 미치는 공간들까지 포함
통제도 하여 표현
(Control Value) - 통제도가 높은 노드는 주변 노드에 의하여 보다 많은 통제를 받으며, 동시에 주변 노드를 보다
많이 통제한다는 것을 의미
전체통합도 - 임의의 단위공간에서 다른 노드까지의 연결관계의 상대적 깊이의 정도를 나타내는 지표
(Integration) - 통합도가 높을수록 다른 공간으로의 접근이 쉽다는 것을 의미
국부통합도
(Local - 인간이 공간의 깊이를 인지하는 한계를 일정 깊이로 제한한 지표
Integration)
- 인간이 분석대상 공간 내에 있을 때 얼마나 공간의 구조를 명확히 인지하고 파악할 수 있는가에
공간명료도
대한 지표
(Intelligibility)
- 지역적인 변수와 광역적인 변수의 상관관계가 얼마나 되는가를 파악

Space Syntax의 기본 공간단위인 볼록공간(Convex map)으로 공간을 분절하고, S3

Convex Analyze48)를 이용해 연결도, 통제도, 통합도를 도출하여 공간구조를 파악하였다.

[그림 4-12] Space Syntax 분석방법

48) 서울대학교 도시건축공간분석연구실에서 개발한 공간분석 소프트웨어로, 기존에 이용된 Axman의 단점


을 보안한 분석프로그램이다.

- 69 -
4.2.2. 공간구조의 정량적 분석

(1) A시설

[그림 4-13] A시설의 연결도 분석 [그림 4-14] A시설의 통제도 분석 [그림 4-15] A시설의 통합도 분석

[그림 4-13]은 A시설의 연결도를 표현한 다이어그램으로 검은색에 가까울수록 높은 값을

가진다. 이 시설은 복도에 의해 모든 소요실 간의 연결관계을 보이고 있으며, 이동지원공간

(Conn=5.17) > 거주공간(Conn=1.54) = 간호공간(Conn=1.54) > 공용공간(Conn=1.20) > 관리공

간(Conn=1.07) 순으로 높은 값을 나타낸다. A시설의 경우 복도가 층내에서 두 개로 나뉘어

지는데 특히 한쪽의 복도 연결도가 높게 나타나고 있으며, 공간 이용률이 높아 혼잡이

예상된다. 이 같은 경우 나머지 한 쪽의 복도의 효율성을 높이려면 복도의 가운데에 통로로

사용할 수 있는 공간을 두어 동선을 분리시킬 필요가 있다.

[그림 4-14]는 A시설의 통제도를 표현한 다이어그램으로 통제도의 값이 이동지원공간

(CV=2.92) > 간호공간(CV=0.72) > 거주공간(CV=0.64) > 공용공간(CV=0.35) > 관리공간

(CV=0.25)의 순으로 높게 분석 되었다. A시설은 요양층 내에서 복도의 한 가운데에 간호스

테이션이 설치되어 있어, 이동지원공간 다음으로 간호공간의 통제도 값이 높은 것으로

보인다.

[그림 4-15]는 A시설의 통합도를 분석한 다이어그램으로 이동지원공간(Int=1.53) > 간호

공간(Int=1.35) > 관리공간(Int=1.09) > 공용공간(Int=1.05) > 거주공간(Int=1.04)의 순으로 높은

값을 보이고 있다. 거주공간의 경우 접근성이 떨어져 노인의 공간인지에 문제가 되리라

판단된다.

- 70 -
[표 4-13] A시설의 정량적 분석결과

구분 연결도(Connectivity) 통제도(Control Value) 전체통합도(Integration)


거주기능 1.54 0.64 1.04
간호기능 1.54 0.72 1.35
관리기능 1.07 0.25 1.09
공용기능 1.20 0.35 1.05
이동지원기능 5.17 2.92 1.53

(2) B시설

[그림 4-16] B시설의 연결도 분석 [그림 4-17] B시설의 통제도 분석 [그림 4-18] B시설의 통합도 분석

[그림 4-16]은 B시설의 연결도를 표현한 다이어그램으로, 이동지원공간(Conn=5.48) > 관

리공간(Conn=1.71) > 거주공간(Conn=1.69) > 간호공간(Conn=1.20) > 공용공간(Conn=1.18)의

순으로 높은 값을 보이고 있으며, B시설의 경우 층 내에서 요양서비스 제공이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관리기능의 공간들을 층별로 배치한 영향이 큰 것으로 보인다. 또한

2층의 경우 공간깊이가 깊은 요양실로 들어가기 위한 복도의 연결도가 낮아 공간이동시

불편을 야기할 것이라 보인다.

[그림 4-17]은 B시설의 통제도를 표현한 다이어그램으로, 이동지원공간(CV=2.78) > 거주

공간(CV=0.89) > 관리공간(CV=0.58) > 공용공간(CV=0.30) > 간호공간(CV=0.16)의 순으로

높은 값을 보이고 있으며 간호공간의 통제도 값을 미루어 보았을 때, 주변공간 통제에

관련하여 문제를 초래할 것이라 판단된다.

[그림 4-18]은 B시설의 통합도를 표현한 다이어그램으로, 간호공간(Int=1.24) > 이동지원

공간(Int=1.23) > 관리공간(Int=0.96) = 공용공간(Int=0.96) > 거주공간(Int=0.89)의 순으로 높은

값을 보이고 있다.

- 71 -
앞서 보았던 통제도와는 반대로 간호공간에서 가장 높은 값을 보이고 있는데, 이는 간호

공간의 통제성은 떨어지지만 접근성은 높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간호공간에서 다른 공간으로의 접근은 쉬우나, 공간의 통제성은 낮으므로 간호공간의

재배치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다른 동의 건물을 이어주는 통로의 역할로 식당

과 주방이 설치되어 있는데, 이는 노인의 동선을 짧게 하려는 계획으로 보여지나 복도의

역할로는 한계가 따른다고 할 수 있다.

[표 4-14] B시설의 정량적 분석결과

구분 연결도(Connectivity) 통제도(Control Value) 전체통합도(Integration)


거주기능 1.69 0.89 0.89
간호기능 1.20 0.16 1.24
관리기능 1.71 0.58 0.96
공용기능 1.18 0.30 0.96
이동지원기능 5.48 2.78 1.23

(3) C시설

[그림 4-19] C시설의 연결도 분석 [그림 4-20] C시설의 통제도 분석 [그림 4-21] C시설의 통합도 분석

[그림 4-19]는 C시설의 연결도를 표현한 다이어그램으로, 이동지원공간(Conn=4.24) >

거주공간(Conn=2.03) > 관리공간(Conn=1.83) > 간호공간(Conn=1.67) > 공용공간(Conn=1.00)

의 순으로 높은 값을 보이고 있다.

C시설의 경우 복도와 홀에 의해 소요실 간의 연결도가 높게 나타나며, 요양실의 규칙적인

배치구조가 거주공간의 연결도를 높인 요인이라 판단된다.

- 72 -
[그림 4-20]은 C시설의 통제도를 표현한 다이어그램으로, 이동지원공간(CV=2.65) > 관리

공간(CV=0.98) > 거주공간(CV=0.67) > 간호공간(CV=0.39) > 공용공간(CV=0.14)의 순으로

높은 값을 보이고 있으며, 간호공간의 통제정도가 낮아 노인케어에 어려움이 따를 것이라

판단된다.

[그림 4-21]은 C시설의 통합도를 표현한 다이어그램으로, 이동지원공간(Int=1.61) > 간호

공간(Int=1.54) > 거주공간(Int=1.37) > 공용공간(Int=1.15) > 관리공간(Int=0.95)의 순으로 높은

값을 보이고 있다.

C시설의 경우 연결도, 통제도, 통합도의 모든 지표에서 이동지원공간의 값이 가장 높게

나타나고 있는데 중복도 형태의 시설은 복도가 전체 공간을 지배하므로 이 같은 결과를

보인다. 따라서 중복도 시설의 경우, 복도에 기능별 공간요소를 효율적으로 배치함으로서

전체 공간구조의 위계를 높일 수 있다.

[표 4-15] C시설의 정량적 분석결과

구분 연결도(Connectivity) 통제도(Control Value) 전체통합도(Integration)


거주기능 2.03 0.67 1.37
간호기능 1.67 0.39 1.54
관리기능 1.83 0.98 0.95
공용기능 1.00 0.14 1.15
이동지원기능 4.24 2.65 1.61

(4) D시설

[그림 4-22]는 D시설의 연결도를 표현한 다이어그램으로, 이동지원공간(Conn=3.34) >

거주공간(Conn=1.60) > 공용공간(Conn=1.25) > 간호공간(Conn=1.00) = 관리공간(Conn=1.00)

의 순으로 높은 값을 나타내고 있다. D시설의 경우 전체공간이 가운데 홀과 복도로 인해

전체공간이 구성되고 있으며 규칙성 있는 배치구조가 층별로 반복되고 있다. 층 내에서

복도와 요양실이 전체 공간의 절반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형태로, 이동지원공간과 거주공간

의 연결도가 높은 값을 보이고 있다.

[그림 4-23]은 D시설의 통제도를 표현한 다이어그램으로, 이동지원공간(CV=2.02) > 거주

공간(CV=0.74) > 관리공간(CV=0.47) > 간호공간(CV=0.40) > 공용공간(CV=0.38)의 높은 순을

- 73 -
보이고 있다. 이는 전체공간이 복도와 요양실에 의해 지배되고 있으며, 비교적 통제도가

높아야 할 간호공간의 통제성이 낮게 나타나므로 통제에 한계가 따르리라 보인다.

[그림 4-24]는 D시설의 통합도를 표현한 다이어그램으로, 이동지원공간(Int=1.76) > 간호

공간(Int=1.17) > 공용공간(Int=1.14) > 거주공간(Int=1.05) > 관리공간(Int=1.02)의 순으로 높은

값을 나타내고 있으며 앞서 본 시설과 마찬가지로 간호공간의 통제성이 떨어지지만 접근성

은 쉬운 공간형태를 보이고 있다.

[그림 4-22] D시설의 연결도 분석 [그림 4-23] D시설의 통제도 분석 [그림 4-24] D시설의 통합도 분석

[표 4-16] D시설의 정량적 분석결과

구분 연결도(Connectivity) 통제도(Control Value) 전체통합도(Integration)


거주기능 1.60 0.74 1.05
간호기능 1.00 0.40 1.17
관리기능 1.00 0.47 1.02
공용기능 1.25 0.38 1.14
이동지원기능 3.34 2.02 1.76

- 74 -
(5) E시설

[그림 4-25] E시설의 연결도 분석 [그림 4-26] E시설의 통제도 분석 [그림 4-27] E시설의 통합도 분석

[그림 4-25]는 E시설의 연결도를 표현한 다이어그램으로, 이동지원공간(Conn=3.94) > 간

호공간(Conn=2.75) > 공용공간(Conn=1.44) > 거주공간(Conn=1.43) > 관리공간(Conn=1.15)의

순으로 높은 값을 보이고 있다. 이 시설의 경우 복도가 전체 구조를 지배하고 있는 형태인

데, 복도의 공간 이용률이 높아 노인과 관리자와의 혼잡이 예상된다.

[그림 4-26]은 E시설의 통제도를 표현한 다이어그램으로, 이동지원공간(CV=2.22) > 간호

공간(CV=1.36) > 거주공간(CV=0.66) > 공용공간(CV=0.62) > 관리공간(CV=0.42)의 순으로

높은 값을 보이고 있으며 간호공간의 통제도가 타 시설보다 높아 노인들의 케어에 유리한

구조라 할 수 있다. E시설의 간호공간 통제도가 높은 것은 1인 1실의 유닛형태의 요양실을

함께 운영하는 요인 때문이라 사료된다. 타 시설보다 간호공간의 소요실 수가 많으며, 유닛

형태의 요양실을 운영하기 위해서는 그만큼의 필요시설도 많아지기 때문이다.

[그림 4-27]은 E시설의 통합도를 표현한 다이어그램으로, 이동지원공간(Int=1.11) > 간호

공간(Int=0.99) > 거주공간(Int=0.92) > 공용공간(Int=0.91) > 관리공간(Int=0.89)의 순으로 높은

값을 보이고 있다. 이 시설은 타 시설에 비해 절대적인 수치는 낮지만, 각 기능별 공간간의

- 75 -
배치가 용이한 구조를 취하고 있어 전체적으로 공간 간의 접근성이 유리한 형태라 보여진

다.

[표 4-17] E시설의 정량적 분석결과

구분 연결도(Connectivity) 통제도(Control Value) 전체통합도(Integration)


거주기능 1.43 0.66 0.92
간호기능 2.75 1.36 0.99
관리기능 1.15 0.42 0.89
공용기능 1.44 0.62 0.91
이동지원기능 3.94 2.22 1.11

(6) F시설

[그림 4-28]은 F시설의 연결도를 표현한 다이어그램으로, 이동지원공간(Conn=2.30) > 간

호공간(Conn=2.29) > 관리공간(Conn=2.22) > 공용공간(Conn=2.19) > 거주공간(Conn=1.69)의

순으로 높게 나타나고 있으며, F시설은 복도를 통해 두 개의 시설동을 연결한 형태로 타

시설보다 연결도가 높다. 이 같은 연결형의 복도형태는 직접적으로 연결된 주변공간과의

연결관계가 더욱 높은 값을 나타낸다. 그러나 복도에 의한 공간지배도가 크기 때문에 동선

의 혼잡이 예상된다.[그림 4-29]는 F시설의 통제도를 표현한 다이어그램으로, 이동지원공

간(CV=1.22) > 공용공간(CV=1.11) > 간호공간(CV=1.09) > 관리공간(CV=1.05) > 거주공간

(CV=0.75)의 순으로 높은 값을 나타내고 있으며, 공용기능 공간의 통제도가 높아 통제에

있어 무리가 따를 것으로 보인다.

[그림 4-30]은 F시설의 통합도를 표현한 다이어그램으로, 거주공간(Int=1.26) > 이동지원

공간(Int=1.23) > 간호공간(Int=1.22) > 관리공간(Int=1.21) = 공용공간(Int=1321)의 순으로 높

은 값을 나타내고 있다. 연결형의 구조에서 복도를 중심으로 요양실이 양측으로 규칙적인

형태로 배치되어 있을 경우, 거주공간의 접근성이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복도를 따라서 간호공간의 통합도도 미미한 차이로 높은 값을 보이고 있어, 간호공

간으로의 접근성이 높을 것이라 판단된다. 따라서 요양서비스의 신속한 제공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노인의 입장에서는 요양실로의 접근성이 높아 공간인지에 유리한 형태라 할

수 있다.

- 76 -
[그림 4-28] F시설의 연결도 분석 [그림 4-29] F시설의 통제도 분석 [그림 4-30] F시설의 통합도 분석

[표 4-18] F시설의 정량적 분석결과

구분 연결도(Connectivity) 통제도(Control Value) 전체통합도(Integration)


거주기능 1.69 0.75 1.26
간호기능 2.29 1.09 1.22
관리기능 2.22 1.05 1.21
공용기능 2.19 1.11 1.21
이동지원기능 2.30 1.22 1.23

(7) G시설

[그림 4-31]은 G시설의 연결도를 표현한 다이어그램으로, 이동지원공간(Conn=2.56) >

간호공간(Conn=2.05) > 거주공간(Conn=2.01) > 관리공간(Conn=1.99) > 공용공간(Conn=1.96)

의 순으로 높은 값을 나타내고 있다.

G시설의 경우 복도가 다양한 기능이 중첩하는 곳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동선의 혼잡을

- 77 -
초래할 가능성이 있다.

[그림 4-32]는 G시설의 통제도를 표현한 다이어그램으로, 이동지원공간(CV=0.95) > 관리

공간(CV=0.92) > 공용공간(CV=0.86) > 거주공간(CV=0.84) > 간호공간(CV=0.77)의 순으로

높은 값을 보이고 있으며, 간호공간의 통제도가 낮아 주변공간 통제에 어려움이 따를 것이

라 판단된다.

[그림 4-33]은 G시설의 통합도를 표현한 다이어그램으로, 이동지원공간(Int=1.01) > 관리

공간(Int=0.92) > 공용공간(Int=0.86) > 거주공간(Int=0.84) > 간호공간(Int=0.77)의 순으로 높은

값을 나타내고 있다.

노인요양시설에서는 주로 노인과 요양보호사를 위한 거주기능공간과 간호기능의 접근

성이 높아야 원활한 서비스 제공이 가능하므로, 공간의 재배치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그림 4-31] G시설의 연결도 분석 [그림 4-32] G시설의 통제도 분석 [그림 4-33] G시설의 통합도 분석

- 78 -
[표 4-19] G시설의 정량적 분석결과

구분 연결도(Connectivity) 통제도(Control Value) 전체통합도(Integration)


거주기능 2.01 0.84 0.84
간호기능 2.05 0.77 0.77
관리기능 1.99 0.92 0.92
공용기능 1.96 0.86 0.86
이동지원기능 2.56 0.95 1.01

(8) H시설

[그림 4-34] H시설의 연결도 분석 [그림 4-35] H시설의 통제도 분석 [그림 4-36] H시설의 통합도 분석

[그림 4-34]는 H시설의 연결도를 표현한 다이어그램으로, 이동지원공간(Conn=1.95)>관

리공간(Conn=1.92) > 거주공간(Conn=1.70) > 공용공간(Conn=1.54) > 간호공간(Conn=1.48)의

순으로 높은 값을 보이고 있다. 1층에서는 복도를 이어주는 가운데 홀이 복도의 완충공간을

하여 동선의 혼잡함을 낮출 수 있지만, 2층과 3층의 기준층에서는 중복도에서 노인과 관리

자 간의 동선이 충돌하여 혼잡함이 예상된다.

[그림 4-35]는 H시설의 통제도를 표현한 다이어그램으로, 거주공간(CV=1.20) > 이동지원

공간(CV=1.16) > 공용공간(CV=1.12) > 간호공간(CV=1.08) > 관리공간(CV=0.96)의 순으로

높은 값을 보이고 있으며, 이 시설의 경우 간호공간의 통제성이 낮고 거주공간의 통제성이

- 79 -
크므로 요양실의 배치에 따라 전체 공간위계가 지배되지만, 노인케어에는 문제가 야기될

것이라 판단된다.

[그림 4-36]은 H시설의 통합도를 표현한 다이어그램으로, 거주공간(Int=1.20) > 이동지원

공간(Int=1.16) > 공용공간(Int=1.12) > 간호공간(Int=1.08) > 관리공간(Int=0.96)의 순으로 높은

값을 나타내고 있다.

거주공간의 통합도가 높은 공간구조는 노인들로 하여금 공간인지를 높일 수 있으며,

특히 이 시설은 기준층에서의 통합도가 높아 전체 공간으로의 접근성이 높아 공간인지에

유리한 형태라 할 수 있다.

[표 4-20] H시설의 정량적 분석결과

구분 연결도(Connectivity) 통제도(Control Value) 전체통합도(Integration)


거주기능 1.70 1.20 1.20
간호기능 1.48 1.08 1.08
관리기능 1.92 0.96 0.96
공용기능 1.54 1.12 1.12
이동지원기능 1.95 1.16 1.16

(9) I시설

[그림 4-37]은 I시설의 연결도를 표현한 다이어그램으로, 거주공간(Conn=2.24) > 간호공

간(Conn=2.02) > 이동지원공간(Conn=1.98) > 관리공간(Conn=1.93) > 공용공간(Conn=1.86)의

순으로 높은 값을 나타내고 있다. 대체적으로 이동지원공간이 연결도의 값이 높은 것을

앞서 미루어 보았을 때, I시설은 복도보다도 거주공간과 간호공간을 중심으로 공간이 배치

되어 서로 연결된 구조라 할 수 있다.

[그림 4-38]은 I시설의 통제도를 표현한 다이어그램으로, 거주공간(CV=1.81) > 관리공간

(CV=1.39) > 이동지원공간(CV=1.01) > 간호공간(CV=0.88) = 공용공간(CV=0.88)의 순으로

높은 값을 보이고 있다. 앞서 살펴보았던 연결도와 마찬가지로 전체 공간의 통제가 주로

거주공간과 관리공간에 의해 이루어지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간호공간의 통제성을

낮추는 결과를 가져오므로, 주변공간 통제가 강한 성격을 지녀야하는 간호기능공간의 통제

성을 높일 필요가 있다고 사료된다.

- 80 -
[그림 4-39]는 I시설의 통합도를 표현한 다이어그램으로, 간호공간(Int=1.29) > 거주공간

(Int=1.27) > 공용공간(Int=1.23) > 이동지원공간(Int=1.22) > 관리공간(Int=1.02)의 순으로 높은

값을 보이고 있다.

[그림 4-37] I시설의 연결도 분석 [그림 4-38] I시설의 통제도 분석 [그림 4-39] I시설의 통합도 분석

[표 4-21] I시설의 정량적 분석결과

구분 연결도(Connectivity) 통제도(Control Value) 전체통합도(Integration)


거주기능 2.24 1.81 1.27
간호기능 2.02 0.88 1.29
관리기능 1.93 1.39 1.02
공용기능 1.86 0.88 1.23
이동지원기능 1.98 1.01 1.22

- 81 -
(10) J시설

[그림 4-40] J시설의 연결도 분석 [그림 4-41] J시설의 통제도 분석 [그림 4-42] J시설의 통합도 분석

[그림 4-40]은 J시설의 연결도를 표현한 다이어그램으로, 이동지원공간(Conn=1.88) > 관

리공간(Conn=1.64) > 거주공간(Conn=1.52) > 공용공간(Conn=1.29) > 간호공간(Conn=1.23)의

순으로 높은 값을 보이고 있다. J시설은 복도를 중심으로 양측에 요양실이 일렬로 배치되어

있는 형태를 보이므로 이동지원의 연결도가 높은 값을 보이고 있다.

[그림 4-41]은 J시설의 통제도를 표현한 다이어그램으로, 이동지원공간(CV=0.96) > 관리

공간(CV=0.68) > 공용공간(CV=0.67) > 거주공간(CV=0.60) > 간호공간(CV=0.34)의 순으로

높은 값을 보이고 있으며, 앞서 살펴 보았던 연결도와 마찬가지로 이동지원공간과 관리공

간의 값이 높게 나타나고 있다. J시설은 복도를 중심으로 전체 공간구조와 위계가 정립되어

있다는 것을 미루어 알 수 있다.

[그림 4-42]는 J시설의 통합도를 표현한 다이어그램으로, 이동지원공간(Int=1.49) > 거주

- 82 -
공간(Int=1.40) > 공용공간(Int=1.39) > 관리공간(Int=1.38) > 간호공간(Int=1.33)의 순으로 높은

값을 보이고 있다. J시설은 복도와 요양실의 접근성과 인지가 좋으며 간호공간의 접근성이

낮으므로 요양서비스의 신속한 제공과 관리자의 동선효율성을 위해 간호공간의 접근성을

높일 필요가 있을 것이라 보여진다.

[표 4-22] J시설의 정량적 분석결과

구분 연결도(Connectivity) 통제도(Control Value) 전체통합도(Integration)


거주기능 1.52 0.60 1.40
간호기능 1.23 0.34 1.33
관리기능 1.64 0.68 1.38
공용기능 1.29 0.67 1.39
이동지원기능 1.88 0.96 1.49

- 83 -
4.2.3. 소결

(1) 연결도(Connectivity) 분석

I시설을 제외한 9곳의 시설에서 이동지원공간의 연결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는 복도

가 노인요양시설의 전체 공간구조 상에서 각 기능공간들을 연결하고 있으며, 복도의 유형

에 따라 전체 공간깊이와 지표에 많은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노인요양시설에서 복도는 노인과 관리자 모두에게 공간 이용률이 높은 곳으로 혼잡

이 예상되므로 동선을 분리시키게 되면, 복도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을 것이다.

I시설의 경우 거주공간의 연결도가 가장 높게 나타나는데, 요양실의 배치에 따라 위계구

조가 형성되는 경우 이 같은 결과를 보인다. 또한 연결도가 높은 시설은 중복도 형태의

영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표 4-23] 각 시설의 기능별 연결도 평균

시설 거주공간 간호공간 관리공간 공용공간 배회공간


A 1.54 1.54 1.07 1.20 5.17
B 1.69 1.20 1.71 1.18 5.48
C 2.03 1.67 1.83 1.00 4.24
D 1.60 1.00 1.00 1.25 3.34
E 1.43 2.75 1.15 1.44 3.94
F 1.69 2.29 2.22 2.19 2.30
G 2.01 2.05 1.99 1.96 2.56
H 1.70 1.48 1.92 1.54 1.95
I 2.24 2.02 1.93 1.86 1.98
J 1.52 1.23 1.64 1.29 1.88
평균 1.74 1.72 1.64 1.49 3.28

- 84 -
(2) 통제도(Control Value) 분석

통제도는 특정 단위공간이 주변의 공간들에게 미치는 영향력을 나타내는 지표로서, 이웃

한 단위공간에서 특정 공간으로 접근할 수 있는가에 대한 수치를 의미하는데 노인요양시설

에서는 간호기능공간이 높은 통제도 값을 보여야 한다고 할 수 있다.

이는 노인요양시설에서 요양서비스 제공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서이며, 노인들의 케어에

유리한 공간구조를 갖기 위함이다.

10곳의 통제도를 살펴보면 H, I시설을 제외한 8개의 시설에서 이동지원공간이 가장 높은

통제도를 보이고 있다. 이는 관리자의 측면에서 볼 때, 간호공간의 주변공간 통제력이 낮아

어려움이 따를 것으로 판단되며 관리자의 동선효율성과 신속한 대처를 위해 간호기능공간

의 통제도를 높여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H, I시설은 거주공간에서 가장 높은 통제도 값을

보이고 있으며 이는 요양실의 공간배치의 영향이라 보여진다.

[표 4-24] 각 시설의 기능별 통제도 평균

시설 거주공간 간호공간 관리공간 공용공간 이동지원공간


A 0.64 0.72 0.25 0.35 2.92
B 0.89 0.16 0.58 0.30 2.78
C 0.67 0.39 0.98 0.14 2.65
D 0.74 0.40 0.47 0.38 2.02
E 0.66 1.36 0.42 0.62 2.22
F 0.84 1.09 1.05 1.11 1.22
G 0.84 0.77 0.92 0.86 0.95
H 1.20 1.08 0.96 1.12 1.16
I 1.81 0.88 1.39 0.88 1.01
J 0.60 0.34 0.96 0.67 0.96
평균 0.88 0.71 0.79 0.64 1.78

- 85 -
(3) 전체통합도(Integration) 분석

통합도가 높을수록 다른 공간으로의 접근이 쉽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의 조사대상

시설은 A,C,D,E,G 시설은 이동지원공간, B시설은 간호공간, F,H,I 시설은 거주공간이 각각

높은 통합도의 값을 보이고 있다. 앞서 언급하였듯이, 노인요양시설에서 이동지원공간,

즉 복도의 유형과 패턴에 의한 공간구조의 영향은 상당한 것으로 보이며 통합도가 높을수

록 공간인지가 유리해지므로, 노인들에게는 이동지원공간과 거주공간의 통합도가 높아야

할 것이며, 관리자의 입장에서는 간호기능의 통합도가 높으면 서비스 제공에 더욱 유리한

공간구성이 될 것이다.

거주공간에서의 통합도가 높다는 것은 주 생활공간이 요양실인 노인에게는 다른 특정공

간까지의 접근이 쉽다는 것을 의미하며, 간호공간에서의 통합도가 높다는 것은 신속한

요양서비스 제공에 유리한 공간구조특성을 지닌다고 할 수 있다.

[표 4-25] 각 시설의 기능별 전체통합도 평균

시설 거주공간 간호공간 관리공간 공용공간 이동지원공간


A 1.04 0.35 1.09 1.05 1.53
B 0.89 1.24 0.96 0.96 1.23
C 1.37 1.54 0.95 1.15 1.61
D 1.05 1.17 1.02 1.14 1.76
E 0.92 0.99 0.89 0.91 1.11
F 0.75 1.09 1.05 1.11 1.22
G 0.84 0.77 0.92 0.86 0.95
H 1.20 1.08 0.96 1.12 1.16
I 1.81 0.88 1.39 0.88 1.01
J 0.60 0.34 0.68 0.67 0.96
평균 1.04 0.94 0.99 0.98 1.25

- 86 -
4.3. 복도유형에 따른 연결관계 및 공간구조 특성

선행연구에서 일반적으로 편복도형, 중복도형, 확대복도형, 회랑형, 그룹형으로 복도유

형을 나눈바 있으나, 본 연구에서는 연결형과 순환형의 유형을 추가하였다.

6개의 사례를 대상으로 복도유형을 구분하였을 때, 연결형, 중복도형, 확대복도형, 순환

형의 네 가지 유형에 포함되며, 연결형태는 다음 [그림4-43]과 같이 모식화 시킬 수 있다.

연결형 중복도형

확대복도형 순환형

[그림 4-43] 복도유형별 기능의 배치관계

연결형 구조는 이동지원기능의 공간깊이가 깊어지는 경향을 보이며, 이동지원기능 공간

에서부터 거주기능 공간까지 동선을 명료하게 한다는 이점이 있으나, 관리자의 입장에서는

복잡한 방향전환을 유발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소방법에 따른 조치로 문을 폐쇄하

게 되면 노인의 배회기능에 문제가 생길 수 있다는 문제가 있다.

연결형 복도를 가진 형태는 이동지원공간의 연결도와 통제도가 높게 나타나고 있으며

거주공간의 통합도는 상대적으로 낮다는 것을 미루어 보았을 때, 복도에 의해 시설의 통제

는 용이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각 동의 거주공간은 독립적으로 운영되는 형태로 볼 수

있다.

- 87 -
중복도형은 분석대상 시설에서 가장 많이 보이고 있는 복도형태로, 복도를 중심으로

여러 기능이 명확한 공간적 구분 없이 함께 배치되어 노인과 관리자와의 동선이 혼재될

수 있다. 또한 복도에 간호스테이션이 배치되었을 때는 이동지원공간보다 간호공간의 통제

도가 높아지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이는 복도의 활용으로 배회의 기능뿐만 아니라, 간호기능

의 역할을 대신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더불어 중복도형은 이동지원공간에서

가장 높은 통합도를 보이고 있었는데, 이는 복도를 중심으로 전체공간의 위계질서가 이루

어지고 있음을 보여주는 부분이다.

확대복도형은 다른 시설에 비해 공간깊이가 낮게 나타났으며, 이는 복도의 폭이 넓어

복도에 다양한 기능을 겸할 수 있는 특성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또한 거주공간의 연결도와

통제도가 가장 높은 점을 미루어 보았을 때, 확대복도형은 거주공간이 전체공간의 위계를

지배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또한 최대공간깊이가 낮아 동선은 명료해지지만 이용자의

프라이버시를 유지시키기 위해서는 거주공간과 공용공간 사이의 완충공간에 대한 고려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보인다.

순환형은 거주공간을 제외한 모든 기능공간이 복도를 중심으로 배치되어 있는 형태를

보이며, 따라서 거주공간의 공간깊이가 깊어질 수 있는 단점이 있으나 노인의 동선과 관리

자와의 동선을 분리할 수 있다. 그러므로 순환형 복도의 장점을 살려 복도를 배회로의

기능으로 확대시킬 수 있다는 점과 비상시 대피가 용이하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통제도도

거주기능에서 가장 높게 나타나고 있으므로, 순환형의 복도형태도 주로 거주공간을 중심으

로 공간의 위계가 결정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 88 -
4.4. 장기요양보험제도의 도입에 따른 공간구조 변화

4.4.1. 분석개요 및 목적

인구노령화가 가속화 될수록 노인인구 증가로 인해 선진사회에서 볼 수 있었던 노인문제

들이 우리나라에서도 야기되고 있다. 이러한 제반 문제들이 개인과 가족의 차원을 넘어

국가적 차원에서 다루어져야 하는 사회문제로 화두 되었으며, 이와 더불어 장기요양보호에

대한 요구는 노인의 특성을 고려한 부양서비스 및 시설에 대한 수요로 이어지고 있다.

정부는 빠른 속도로 증가하고 있는 노령인구에게 보다 체계적인 복지서비스를 제공하고,

노인 의료문제에 대처하기 위해 2008년 7월부터 '노인장기요양보험법'이 시행하고 있다.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를 시행하면서 노인복지법은 노인요양시설에 대한 최소의 시설기

준과 설치기준을 제시하고 상황에 맞게 그 법을 개정하고 있으며, 이 기준을 충족시킬

경우 그에 따른 요양수가를 적용하고 있다. 그 과정에서 기존의 노인요양시설은 제도의

적용을 위해 증·개축 및 개·보수 등을 실시하였으며, 시설 내의 공간구성과 구조가 상당

부분 바뀌었다.

따라서 본 4.4장에서는 노인요양시설의 공간구성의 전·후를 비교하여 노인장기요양보

험법의 도입에 따른 공간구성 및 구조특성에 관한 변화추이를 살펴보았다.

- 89 -
4.4.2. 조사대상시설의 현황 및 방법

본 연구의 조사대상시설은 총 10곳의 노인요양시설 중 장기요양보험제도의 도입 전에

설치·신고 되었다가 제도가 도입된 후 기준 및 면적 충족, 수용인원 증원 등 장기요양보험

법이 규정하는 시설기준에 따른 증·개축 및 개·보수가 진행된 5곳을 대상으로 전·후

시설비교가 가능한 도면을 제공받아 진행하였으며, 다음 순서에 따른 도면분석을 통해

변화추이를 알아보았다.

첫 번째, 노인요양시설의 공간 간의 연결관계와 공간구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시설내의

소요실을 공간위상도(J-Graph)를 통해 공간깊이를 분석하여 증·개축 및 개·보수에 따른

공간깊이의 변화, 배치 및 구조의 변화 등을 도출하였다.

두 번째, 앞서 도출한 공간깊이를 바탕으로 공간구조를 보다 정량적으로 분석하기 위하

여 공간구문론(Space Syntax)의 이론을 바탕으로 하는 S3 Convex Analyzer v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지표를 도출하였다.

세 번째, 최종적으로 조사대상시설의 공간구성 및 구조분석을 통해 제도의 도입이 시설

에 끼친 영향과 변화추이를 종합하여 문제점을 도출하고, 그에 따른 적합한 공간적 개선안

을 제안하였다. 분석범위는 주 노인들의 활동범위인 내부공간으로 한정하였다.

본 연구의 조사대상시설의 현황과 건축변경 사유는 다음 [표 4-26]과 같다.

[표 4-26] 조사대상 노인요양시설 일반현황

구분 소재 개원년도 건축변경년도 건축변경사유 연면적

A시설 경남 창원시 1997년 2009년 12월 개실증가를 위한 증축 3,585㎡

B시설 경남 진주시 2007년 2009년 3월 시설기준충족, 개실증가 1,983㎡

C시설 경남 의령군 2005년 2007년 12월 시설기준충족, 수용인원증가 2,509㎡

D시설 부산 금정구 1998년 2009년 7월 시설기준에 따른 개·보수 1,402㎡

개실 및 수용인원
E시설 부산 금정구 2006년 2013년 3월 4,104㎡
증가를 위한 증축
시설 측의 요청에 따라 모든 시설명은 익명처리함

- 90 -
4.4.3. 공간위상도(J-Graph)를 통한 공간구성의 연결관계 변화

(1) A시설

A시설은 증축을 하면서 주 출입구를 변경하고 계단과 엘리베이터를 층별로 각각 하나씩

추가하였으며 시설기준에 맞추어 원래 있던 직원 휴게실과 의무실을 요양보호사실로 바꾸

고, 자원봉사자실을 이·미용실로 변경하였다. 노인요양시설의 시설기준에는 자원봉사자

실이 명시되어 있지만, 자원봉사자의 수가 감소하고 근래에는 요양보호사 도입제도가 생김

으로서 자원봉사자실이 사라지고 있으며 그 자리에 시설기준충족을 위한 이·미용실, 린넨

실, 요양보호사실이 생기고 있는 추세이다. 또한 A시설 같은 경우 부수적인 기능을 증축동

으로 옮겨가면서 인원 증원을 위해 그 자리를 요양실로 변경하였다.

[표 4-27] A시설 최대공간깊이 및 기능별 최대공간깊이 비교

최대공간깊이
전 후
1층 8 depth 9 depth
2층 6 depth 6 depth
3층 5 depth 7 depth
평균 6.3 depth 7.3 depth
A 기능별 최대공간깊이 (unit: depth)
전 후
거주 간호 관리 공용 이동 거주 간호 관리 공용 이동
1층 6 · 8 7 8 8 5 8 9 9
2층 4 6 3 6 5 6 5 4 5 5
3층 5 5 3 4 3 7 6 7 6 6
평균 5 5.5 4.7 5.7 5.3 7.7 5.3 6.3 6.7 6.7

1층에는 세탁실과 탈의실이 생기면서 거주공간의 깊이가 2 depth 깊어지고, 요양보호사

실이 만들어지면서 간호기능의 깊이가 생겼다. 공용공간에서는 찜질방과 엘리베이터를

새롭게 만들면서 공간깊이가 2 depth 증가했다. 또한 증축면적을 본래 시설과 복도로 연결

시키면서 이동지원공간의 공간깊이가 1 depth 증가하였다.

2층에는 자원봉사자실이 피복실로 바뀌고 증축면적에 프로그램실, 간호사실, 린넨실,

직원숙소, 요양보호사실, 요양실 7개를 새로이 만들어 시설기준을 충족시키도록 하였다.

요양실의 증가로 거주공간의 깊이가 4 depth에서 6 depth로 깊어졌고 요양보호사실이 위치

- 91 -
를 바꾸면서 간호공간의 깊이가 1 depth 작아졌다. 증축동에 린넨실이 생기면서 관리공간

의 깊이가 1 depth 깊어졌으며, 공용공간의 경우 공용화장실의 위치에 따라 깊이가 좌우되

는데 공용화장실의 위치가 변함에 따라 공간깊이가 줄어들었다.

3층에서는 모든 기능공간의 깊이가 깊어졌는데 증축면적을 이어주는 복도에 의한 영향

이 크다. 증축면적에 요양실의 증가, 의무실 설치, 창고설치, 공용화장실 증가, 복도가 만들

어짐으로 인해 이동지원공간의 공간깊이가 깊어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2) B시설

B시설은 건축변경 후 전 층에서 기능공간의 깊이가 깊어졌는데 증축면적을 이어주는

복도에 의한 영향이 크다. 증축면적에 요양실의 증가, 의무실 설치, 창고설치, 공용화장실

증가, 복도가 만들어짐으로 인해 이동지원공간의 공간깊이가 깊어졌다. B시설은 A시설과

마찬가지로 증축동을 만들어 기존동과 복도로 연결시키는 구조를 취하고 있다. 이 시설의

경우 최대 공간깊이가 2배정도 증가하고 있는데, 이 역시 증축면적을 이어주는 복도에

의한 영향이 크다고 볼 수 있다. 또한 복도가 일자형이 아닌 대각선의 구도로 비교적 많은

단위공간으로 분절된 것이 공간깊이를 깊어지게 한 가장 큰 요인이라고 할 수 있다.

[표 4-28] B시설 최대공간깊이 및 기능별 최대공간깊이 비교

최대공간깊이
전 후
1층 5 depth 9 depth
2층 4 depth 8 depth
평균 4.5 depth 8.5 depth
B 기능별 최대공간깊이 (unit: depth)
전 후
거주 간호 관리 공용 이동 거주 간호 관리 공용 이동
1층 5 3 4 4 4 9 · 9 9 8
2층 4 3 · 3 2 8 6 · 6 6
평균 4.5 3 4 3.5 3 8.5 6 9 7.5 7

1층에서는 증축 전 시설에 있던 물리치료실이 사라지고, 요양실로 바뀌었다. 그리고 물리

치료실은 2층으로 옮겨지면서 2층에는 프로그램실, 물리치료실, 일광욕실, 욕실, 요양실

4개, 특별실, 정원, 물리치료실을 추가하여 시설기준에 충족을 위해 상당부분 소요실이

- 92 -
새로이 생긴 것을 알 수 있다. B시설에서 공간깊이가 깊어진 것은 본래 있던 시설과 동등한

면적의 크기를 신축하면서 상당한 개실의 증가가 일어났고 일자형 배치가 아닌 구조의

영향이 컸다고 할 수 있다. B시설의 특이점은 증축하면서 일광욕실을 만들었다는 것인데

이는 노인요양시설의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자연의 도입을 통해 외부활동의 간접체험으로

노인들로 하여금 긍정적 효과를 유도하고 있다. 이와 더불어 외부정원이나 발코니도 생겨

나고 있는데 이는 휴식공간과 더불어 세탁물이 많은 요양시설에서 세탁건조장의 역할을

동시에 수행하고 있다.

(3) C시설

C시설은 각 층마다 증축면적을 늘리긴 했지만, 타 시설에 비해 비교적 적은 면적이었으며

한 층을 높이는 증축을 한 사례이다. 증축으로 1층에 창고, 휴게실 겸 상담실이 생겼으며

공용화장실이 하나 없어지면서 공용공간의 깊이가 줄어들었다. 2,3층에서는 복지사실을

요양실로 바꾸면서 거주공간의 깊이가 깊어졌다.

[표 4-29] C시설 최대공간깊이 및 기능별 최대공간깊이 비교

최대공간깊이
전 후
1층 5 depth 4 depth
2,3층 4 depth 6 depth
4층 · 5 depth
평균 4.5 depth 5 depth

C 기능별 최대공간깊이 (unit: depth)


전 후
거주 간호 관리 공용 이동 거주 간호 관리 공용 이동
1층 2 3 5 4 3 2 3 4 3 3
2,3층 4 3 4 3 3 6 4 · 3 3
4층 · · · · · 5 2 4 · 3
평균 3 3 4.5 3.5 3 4.3 3 4 3 3

C시설에서는 각 층마다 간호공간인 의무실이 새로이 설치되었는데, 이는 제도가 도입되

고 난 후 서류업무가 증가함에 따라 사무실, 관리실 이외에도 요양보호사들이 즉각적으로

컴퓨터 서류업무를 볼 수 있는 공간인 의무실이 필요로 하게 되었으며, 타 시설에서도

- 93 -
이러한 경향을 볼 수 있었다. 또한 C시설은 복도의 확장을 통해 복도에 프로그램실, 식사실

을 배치하고 노인들의 활동반경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제공받는 케어서비스를 한 층에서

해결할 수 있도록 공간구성을 변화시켰다.

C시설의 경우 복도에 식사실, 휴게실, 프로그램실을 겸하여 다양한 사교공간의 역할을

하며, 시설기준에 치중하여 일괄적인 소요실의 배분에 의한 구획이 아닌 복도를 다용도의

공간으로 활용했을 때 공간깊이가 얕아지는 결과를 도출할 수 있으므로 계획단계에서 이를

적극 반영하게 되면 좁은 면적내의 시설을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4) D시설

D시설의 경우 증축의 사례가 아닌, 제도가 도입되고 난 후에 시설기준에 맞추어 동일

면적 내에서 실의 재분배와 기능별 면적의 조정으로 지하층에서만 공간깊이가 깊어지고

있으며 4층은 동일, 나머지 층에서는 모두 공간깊이가 얕아지고 있다.

[표 4-30] D시설 최대공간깊이 및 기능별 최대공간깊이 비교

최대공간깊이
전 후
지하 1층 5 depth 8 depth
1층 6 depth 4 depth
2층 6 depth 5 depth
3층 4 depth 3 depth
4층 4 depth 4 depth
평균 5 depth 4.8 depth
D 기능별 최대공간깊이 (unit: depth)
전 후
거주 간호 관리 공용 이동 거주 간호 관리 공용 이동
지하 1층 3 4 5 4 3 3 5 8 7 6
1층 6 3 6 4 3 4 · · 3 2
2층 6 · 4 3 2 5 3 3 5 4
3층 4 · 3 2 2 3 2 · 3 2
4층 4 · · 3 2 4 · · 3 2
평균 4 3.5 · 3.2 2.4 3.8 3.3 5.5 4.2 3.2

지하층의 경우 관리, 공용, 이동지원공간에서 공간깊이가 3 depth씩 증가하고 있는데,

이는 창고가 없어지고 다용도실이 배치되었으며 물탱크실, 문서고, 상담실을 배치한 영향

- 94 -
이 크다. 강당의 입구에 있던 창고와 자원봉사자실이 강당을 거쳐야 들어갈 수 있는 구조로

바뀌면서 간호공간과 관리공간의 공간깊이가 깊어지는 결과가 나타났다. 또한 실의 재배치

와 더불어 복도가 만들어지게 되었는데 복도를 거쳐 다른 공간으로 이동할 수 있는 기능공

간이 늘어나면서 이동지원공간의 깊이도 깊어지게 되었다.

1층은 모든 기능공간에서의 깊이가 얕아졌는데 이는 간호공간을 생활층인 2층과 3층으

로 모두 이동하여 1층의 간호공간이 없어졌다는 점과 관리공간인 사무실과 상담실, 직원실

이 없어진 영향이 크다. 그 자리에 거주기능의 목욕장과 탈의실, 세탁실이 새로이 생기고

여섯 개의 요양실이 있었던 전과 비교해 보았을 때, 4인실 체제로 바뀌면서 실이 커지고

4개로 축소되었기 때문에 요양실의 재배치가 전체공간의 깊이를 좌우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2층에는 간호공간인 의무실이 생기고 창고가 없어지면서 관리공간의 공간깊이가 1

depth 줄어들었다. 공용공간의 경우 공용화장실의 위치변경으로 2 depth 증가하였다.

3층은 이전에는 침대실이라는 공간이 있었으며, 이 공간을 요양실과 목욕실로 바꾸고

옥상 휴게공간이었던 곳을 프로그램실로 바꾸면서 간호공간의 공간깊이가 2 depth 증가하

였다. 그리고 직원실과 거실, 요양실이었던 공간을 4인실의 요양실 3개로 전면 수정하였다.

공용공간은 공용화장실이 하나 더 생기면서 깊이가 깊어졌다. 4층은 방 2개와 거실이 있었

는데, 이 공간은 실명 변경과 거실에 있는 공용화장실의 부분공사만 진행되었기 때문에

공간깊이의 변화는 나타나지 않았다.

D시설은 타 시설과는 달리 동일 면적 내에서 장기요양보험법이 제시하는 기준에 적합한

개·보수를 통하여 장기요양기관으로 인정되었고, 증축면적이 없는 D시설 같은 경우에는

요양실의 면적 변화와 실의 전면적인 재배치가 전체 공간구성과 공간구조의 깊이에 가장

크게 작용했다고 할 수 있다.

(5) E시설

E시설은 원래 있던 본관시설에 신관을 증축하여 2,3,4층을 연결통로인 복도로 이은 형태

의 구조이다.

2008년 7월 장기요양서비스를 실시함으로서 수용인원의 개정법 적용으로 100명에서 90

- 95 -
명으로 감소하였다. 이에 수용인원 증가를 위해 신관을 증축하였으며, 이 시설의 특이점은

신관을 유니트 케어를 시행하고 있는 일본의 요양시설에서 공간을 가져와 준공하였다.

지하 1층에 있는 1유닛과 2유닛이 각각 1,2인실과 3인실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1층부터

3층까지 모든 층에서 요양실을 1인실로 구성하였으며 4층에는 방문객을 위한 방문객 숙소

와 직원숙소, 체력단련실을 두어 타 시설과의 차이점을 꾀하였다.

[표 4-31] E시설 최대공간깊이 및 기능별 최대공간깊이 비교

최대공간깊이
전 후
지하 1층 5 depth 8 depth
1층 6 depth 4 depth
2층 6 depth 5 depth
3층 4 depth 3 depth
4층 4 depth 4 depth
평균 5 depth 4.8 depth
E 기능별 최대공간깊이
전 후
거주 간호 관리 공용 이동 거주 간호 관리 공용 이동
지하 1층 3 4 5 4 3 3 5 8 7 6
1층 6 3 6 4 3 4 · · 3 2
2층 6 · 4 3 2 5 3 3 5 4
3층 4 · 3 2 2 3 2 · 3 2
4층 4 · · 3 2 4 · · 3 2
평균 4 3.5 · 3.2 2.4 3.8 3.3 5.5 4.2 3.2

기존 시설의 지하 1층에 있던 원장실과 사무실을 신관으로 옮기고 직원휴게실과 창고로

대신하였으며 신관을 증축하면서 지하층에 유닛, 물리치료실, 간호사실, 프로그램실, 면회

및 휴게공간, 목욕탕, 세탁실, 린넨실, 직원휴게공간, 탈의실, 일광욕 공간을 배치하였다.

2층부터는 생활실과 목욕탕 탈의실, 직원탈의실 및 면회 및 휴게공간으로 4층까지 기준층

이 반복되었다.

본관에 있던 사무실과 원장실이 신관으로 옮겨가면서 신관 1층에서는 주로 관리기능이

배치되어 있다.

2층과 3층에서 최대공간깊이가 각각 4 depth, 5 depth씩 깊어지는데 이는 연결통로와

복도의 영향이 크며, 공용화장실의 위치와 복도의 확장으로 공용공간과 이동지원공간이

- 96 -
깊어지는 양상을 볼 수 있었다. 본관 시설에서는 원래 4층이 요양층으로 사용되었지만

신축공사를 통해 직원과 방문객을 위한 공간으로 바뀌면서 거주, 간호, 관리 공간이 없어지

고 직원과 가족을 위한 공간이 마련되었다. 이를 통하여 요양시설의 새로운 공간적 전환을

볼 수 있었는데, 노인요양시설에서 공간계획시 노인의 입장과 케어에 집중함과 동시에

관리자를 넘어 노인의 가족까지도 고려한 건축계획으로 더욱 윤택한 생활서비스 제공과

질적 향상을 위한 공간적인 시도라고 보여진다.

- 97 -
4.4.4. Space Syntax를 통한 공간구조의 변화

(1) 연결도(Connectivity)

연결도는 임의의 노드에서 바로 이웃한 노드로 이동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의미하는

지표로서, 다른 노드로의 이동가능성을 나타낸다. 조사대상 시설의 연결도의 전·후 비교

표는 다음과 같다.

[표 4-32] 조사대상시설의 전·후 연결도 비교

전 후
거주공간 1.61 1.54
간호공간 2.08 1.54
관리공간 1.16 1.07
A
공용공간 1.29 1.20
이동지원공간 5.44 5.17
평균 2.32 2.10
거주공간 1.78 1.69
간호공간 1.50 1.20
관리공간 1.40 1.71
B
공용공간 1.17 1.18
이동지원공간 5.58 5.48
평균 2.29 2.25
거주공간 2.47 2.03
간호공간 1.25 1.67
관리공간 1.38 1.83
C
공용공간 1.40 1.00
이동지원공간 4.25 4.24
평균 2.15 2.15
거주공간 1.58 1.60
간호공간 3.00 1.00
관리공간 1.11 1.00
D
공용공간 2.83 1.25
이동지원공간 2.84 3.34
평균 2.27 1.64
거주공간 1.89 1.43
간호공간 3.38 2.75
관리공간 1.15 1.15
E
공용공간 1.10 1.44
이동지원공간 3.91 3.94
평균 2.29 2.14
전체평균 2.26 2.05

- 98 -
조사시설의 연결도 변화추이를 살펴보면 C시설은 제외한 모든 시설에서 연결도가 감소
한다. 이는 복도의 단위공간이 증가하고 많은 소요실을 구획하다 보니 연결도가 전체적으
로 감소하는 것이다. C시설은 비교적 작은 면적을 증축하여 전체 공간구조의 연결도에는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또한 이동지원공간에서의 연결도가 가장 높은 값을 보이는데, 전체 연결도를 좌우하는
것은 복도와 승강기, 내부 경사로 등의 이동지원공간임을 알 수 있었다. 앞서 언급했듯이
복도는 노인요양시설에서 배회로의 용도로도 활용되기 때문에 시설 증·개축시 이동지원
공간의 소요실 간 연결도를 고려한 건축계획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2) 통제도(Control Value)

[표 4-33] 조사대상시설의 전·후 통제도 비교


전 후
거주공간 0.66 0.64
간호공간 1.08 0.72
관리공간 0.25 0.25
A
공용공간 0.33 0.35
이동지원공간 2.91 2.92
평균 1.05 0.98
거주공간 0.98 0.89
간호공간 0.17 0.16
관리공간 0.37 0.58
B
공용공간 0.35 0.30
이동지원공간 3.05 2.78
평균 0.98 0.94
거주공간 0.82 0.67
간호공간 0.34 0.39
관리공간 0.64 0.98
C
공용공간 0.53 0.14
이동지원공간 2.34 2.65
평균 0.93 0.97
거주공간 0.65 0.74
간호공간 0.75 0.40
관리공간 0.40 0.47
D
공용공간 1.38 0.38
이동지원공간 1.62 2.02
평균 0.96 0.80
거주공간 0.83 0.66
간호공간 1.65 1.36
관리공간 0.40 0.42
E
공용공간 0.27 0.62
이동지원공간 2.19 2.22
평균 1.07 1.06
전체평균 0.99 0.95

- 99 -
통제도가 높다는 것은 주변공간에 의하여 보다 많은 통제를 받으며 동시에 공간을 보다

많이 통제하고 제어하는 성격을 가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조사대상시설의 통제도의 전·후

비교표는 다음과 같다.

조사시설의 통제도 변화추이를 살펴보면 연결도와 마찬가지로 C시설을 제외한 모든 시

설에서 통제도가 감소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조사대상시설에서 이동지원공간의 통제도가 가장 높으며, 이동지원공간을 제외한 기능

공간을 살펴보면 A시설은 간호공간, B시설은 거주공간, C시설은 거주공간에서 관리공간으

로, D시설은 공용공간에서 거주공간으로, E시설은 간호공간에서 통제도가 높다.

A시설은 타 시설과 비교해 보았을 때 층별로 요양보호사실과 의무실이 있으며, 물리치료

실이 각 요양층마다 배치되어 있는 것이 통제도의 값에 많은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B시설은 증축의 목적이 수용인원 증가에 있었기 때문에 개실이 2배 가까이 증가했고,

복도를 기준으로 양 옆으로 요양실이 배치되어 있으므로 이를 미루어 보았을 때, B시설은

복도와 요양실에 의해서 전체 공간의 위계를 결정한다고 할 수 있다.

C시설은 증축 전에는 거주공간, 후에는 간호공간이 높은 값을 보이고 있으며 거주공간과

공용공간에서는 값이 감소하며, 간호, 관리, 이동지원공간에서는 증가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이는 C시설이 증축을 할 때, 개실의 증가보다는 시설기준을 충족시키기 위해 간호공

간과 관리공간 등을 재구성한 것이 통제도에 크게 영향을 미쳤다고 보여진다.

D시설은 증축을 하기 전과 후의 가장 두드러지는 차이는 개정법 기준에 맞추어 요양실의

배치와 면적을 전면 수정하였으며, 전체 공간 중에서 요양실이 차지하는 면적이 가장 큰

것이 통제도의 값에 영향을 미쳤다고 사료된다.

E시설은 전·후 비교를 통해 전체 평균 통제도는 감소했지만 이동지원기능을 제외한

간호공간의 통제도의 값이 가장 높은 것을 미루어 보았을 때, 지하의 강당, 물리치료실,

복도공간에 휴게실과 면회실의 기능을 겸한 영향이 크다고 할 수 있다. 이동지원공간인

복도를 간호공간과의 공유로 인해 간호공간의 통제도 값이 높아졌다고 할 수 있다.

기능별 통제도와 변화추이를 분석해보면 각 시설의 소요실 배치와 실의 유무 중에 어느

기능에 중심을 두었는지 파악할 수 있다. 증·개축시에 개실의 증가에 치중했다면 거주공간의

- 100 -
통제도가 높아지고, 시설기준을 충족시키기 위해 어떤 기능의 소요실을 재배치했는지에

따라 지표의 값이 달라진다. 또한 이동지원공간의 통제도가 가장 높은 것을 미루어 보았을

때 복도의 형태와 그에 따른 소요실의 배치가 통제도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3) 전체통합도(Integration)

특정 공간의 전체통합도가 크다는 것은 조사대상 건물 내에서 다른 모든 공간으로의

접근성이 크다는 것을 의미하는데, 일반적으로 전체통합도가 0.4-0.6인 경우는 공간의 상호

분리되어 있는 분리성이 강하고, 1보다 크면 공간들이 서로 통합되어 있는 통합성이 크다고

할 수 있다.

[표 4-34] 조사대상시설의 전·후 전체통합도 비교


전 후
거주공간 1.15 1.04
간호공간 1.39 1.35
관리공간 1.18 1.09
A
공용공간 1.15 1.05
이동지원공간 1.78 1.53
평균 1.33 1.21
거주공간 1.38 0.89
간호공간 1.84 1.24
관리공간 1.40 0.96
B
공용공간 1.11 0.96
이동지원공간 2.35 1.23
평균 1.62 1.06
거주공간 1.65 1.37
간호공간 1.50 1.54
관리공간 1.04 0.95
C
공용공간 1.25 1.15
이동지원공간 2.05 1.61
평균 1.50 1.32
거주공간 0.83 1.05
간호공간 0.98 1.17
관리공간 0.89 1.02
D
공용공간 1.20 1.14
이동지원공간 1.28 1.76
평균 1.04 1.23
거주공간 1.21 0.92
간호공간 1.66 0.99
관리공간 0.96 0.89
E
공용공간 1.03 0.91
이동지원공간 1.66 1.11
평균 1.30 0.96
전체평균 1.35 1.15

- 101 -
조사시설의 전체통합도를 살펴보면 D시설을 제외한 모든 시설에서 통합도가 감소하였

다. A시설의 통합도는 증축 전은 이동지원>간호>관리>거주=공용공간의 순, 후에는 이동지

원>간호>관리>공용>거주공간의 순으로 높다. 이는 앞서 통제도 분석에서 언급하였듯이

A시설이 1997년에 설치·신고되어 장기요양보험법의 적용을 하면서 가운데 중정과 홀을

중심으로 간호공간과 관리공간, 공용공간을 복도의 중앙부분으로 집중시키고 건물외곽부

분에 요양실을 배치한 영향이 크다.

B시설은 증축 전은 이동지원>간호>관리>거주>공용공간의 순, 후에는 간호>이동지원>관

리=공용>거주공간의 순으로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이를 미루어 보았을 때, 증축시 간호공간

의 접근성을 염두에 두고 증축을 했다는 것을 알 수 있는데 노인에게 원활한 요양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물리치료실, 프로그램실을 거주층으로 이동하면서 간호공간의 통합도가

높아진 것으로 파악된다.

C시설의 통합도는 증축 전에 이동지원>거주>간호>공용>관리공간의 순, 후에는 이동지

원>간호>거주>공용>관리공간의 순으로 높다. 이는 간호공간과 이동지원공간의 기능을 요

양층 내에서 해결하려고 하였다는 증축의 이유에서 그 원인을 찾을 수 있으며, 층별로

의무실이 생긴 것에 그 영향을 받았다고 사료된다.

D시설의 통합도는 다섯 개의 시설 중 유일하게 전 후의 통합도 값이 증가한 곳이다.

개·보수 전에는 이동지원>공용>간호>관리>거주공간의 순, 후에는 이동지원>간호>공용>

거주>관리공간의 순으로 높다. D공간의 간호공간의 통합도가 높아진 것은 강당의 재배치

와 의무실과 프로그램실이 생긴 것이 간호공간의 통합도에 영향을 미쳤다고 분석된다.

E시설의 통합도는 증축 전에는 이동지원=간호>거주>공용>관리공간의 순, 신관 증축 후

에는 이동지원>간호>거주>공용>관리공간의 순으로 통합도가 높으며 기능에 따른 지표의

순서는 바뀌지 않았지만 전체통합도의 평균지표는 감소하였다. 이는 신관 증축 후 복도를

연결하여 통로를 만들면서 증축 전 이동지원공간과 간호공간의 통합도가 같은 것과 비교했

을 때, 이동지원공간의 통합도가 간호공간보다 높은 통합도를 가지게 한 것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기능별 전체통합도의 증·개축 전·후의 변화추이와 통합도 순을 분석해 보았을 때,

- 102 -
간호공간의 공간 위계상의 중요도가 높아지는 경향을 보이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증·개축 및 개·보수의 대부분의 이유가 장기요양보험법의 시설기준을 충족하기

위함이며 노인요양시설의 특성상 주 사용자인 노인이 거동이 불편하다는 점과 중증환자의

경우 타인의 도움 없이는 일상생활이 불가능하다는 것을 미루어보았을 때, 요양보호사나

관리자의 동선과 기능, 공간구성도 시설 내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할 수 있다.

또한 거주공간과 이동지원공간의 공간깊이가 깊어지는 것을 알 수 있었는데, 개실의

증가와 증축으로 인한 복도변화가 그 요인이라 사료된다. 이는 노인이 생활하는데 있어

시설 내에서 노인의 인지도를 낮출 수 있으며, 직원들의 업무수행에 있어서 독립적으로

업무수행을 담당하는 기능의 실은 생겼으나 사용자와 관리자 간의 동선이 충돌하여 복잡함

을 초래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

(4) 명료도(Intelligibility)

명료도는 국부적 공간에서 전체 공간의 인지도를 알아보기 위한 지표로 전체통합도와

국부통합도의 상관관계로 정의되며, 피어슨 상관계수로 측정한다. 상관계수가 크면 명료도

가 높아 공간 안에서 전체공간의 구조를 인지하기 쉬워지며, 반대로 작아지면 명료도가

낮아져 전체공간의 구조를 파악하기 힘들어 공간인지와 길찾기가 어려워짐을 의미한다.

이는 J-Graph를 통해 분석한 공간깊이와 정량적 분석의 연결도, 통제도, 통합도의 결과를

보완하고 공간의 개선정도를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조사대상 시설의 공간구성 및 배치

변화와 동선체계를 평가하는 중요한 인자이다.

각 시설의 증·개축 및 개·보수 전·후의 명료도 변화는 표4-35와 같다.

조사대상 시설의 명료도를 파악하였을 때, D시설을 제외한 모든 시설에서 명료도가 낮아

졌다. D시설은 동일 면적 내에서 제도의 도입에 따른 기준충족을 위해 이전의 시설구조를

개·보수 한 시설로서 오히려 명료도가 높아졌다.

또한 대부분의 증축시설에서 요양층을 제외한 층(주로 지하 1층과 지상 1층)의 명료도가

급격히 낮아지는데, 이 층은 노인의 주 생활층이 아닌 관리자와 부대시설이 있는 층으로

관리자와 방문자의 공간인지와 동선체계는 비효율적으로 변화되었다는 것을 나타낸다.

- 103 -
이를 통하여 제도의 도입에 따라 부대기능을 담당하는 필수 소요실의 설치도 중요하지만,

원활한 시설 관리시스템 구축과 서비스 제공 및 관리자의 업무수행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관리층과 부대시설의 합리적인 공간구성도 증·개축 및 개·보수시 고려해야할 요소임을

알 수 있었다.

[표 4-35] 조사대상시설의 전·후 명료도 비교

전 후
거주공간 1.15 1.04
간호공간 1.39 1.35
관리공간 1.18 1.09
A
공용공간 1.15 1.05
이동지원공간 1.78 1.53
평균 1.33 1.21
거주공간 1.38 0.89
간호공간 1.84 1.24
관리공간 1.40 0.96
B
공용공간 1.11 0.96
이동지원공간 2.35 1.23
평균 1.62 1.06
거주공간 1.65 1.37
간호공간 1.50 1.54
관리공간 1.04 0.95
C
공용공간 1.25 1.15
이동지원공간 2.05 1.61
평균 1.50 1.32
거주공간 0.83 1.05
간호공간 0.98 1.17
관리공간 0.89 1.02
D
공용공간 1.20 1.14
이동지원공간 1.28 1.76
평균 1.04 1.23
거주공간 1.21 0.92
간호공간 1.66 0.99
관리공간 0.96 0.89
E
공용공간 1.03 0.91
이동지원공간 1.66 1.11
평균 1.30 0.96
전체평균 1.35 1.15

- 104 -
4.4.5. 소결

공간위상도를 바탕으로 산출한 각 시설의 전·후 층별 최대공간깊이와 기능별 최대공간

깊이는 개·보수를 한 D시설을 제외한 모든 증축시설에서 최대공간깊이가 깊어지고 있으

며, 이는 복도의 영향이 크다고 할 수 있다. 증축으로 인해 브릿지나 복도를 이용해 본래

시설과 신축 시설을 연결시키고 있어 신축시설의 공간깊이만큼 전체의 공간깊이가 함께

높아지는 것이다. J-Graph를 통한 공간의 위계구조를 종합해 보았을 때 제도의 도입 전에는

시설의 주어진 면적 내에서 제공되는 서비스에 대한 최소한의 필요공간을 배치하고 시설을

운영했다면, 제도의 도입 후에는 시설기준이 정립되고 기준 충족을 위해서 층별, 기능별로

공간간의 연결관계와 구조가 완전히 바뀌었으며 요양실의 인원수 제한과 1인당 연면적에

지배를 많이 받는 것으로 보여진다. 또한 동일 면적 내에서 기준에 적합한 제반소요실의

충족과 기준에 부합해야 하기 때문에 수용인원 증가를 위해서 증축을 하거나 별관을 신축

한 시설이 증가하고 있다. 위의 분석을 토대로 증·개축 및 개·보수 후 최대공간깊이와

기능별 공간깊이가 깊어지거나 낮아지는 결과를 보이고 있다. 이는 노인요양시설의 제도기

준 충족 후 공간깊이가 모두 깊어지는 것은 아니며, D시설과 같이 증·개축시 입구의 위치

를 바꿈으로써 깊이가 줄어드는 경우도 볼 수 있었다. 증·개축 및 개·보수시에 입구의

위치, 복도의 유형, 실의 배치는 공간의 구성, 공간깊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임을 파악할

수 있었다. 대부분의 노인요양시설의 공간구성 계획시 노인의 특성과 동선을 우선시하지

만, 실질적으로 시설에서 생활하는 노인과 보호사의 동선을 모두 고려해야하며 상황에

따라서는 요양보호사나 관리자의 빠른 서비스 제공과 대처를 위해 공간구성이 바뀌기도

한다는 것을 관리자와의 면담을 통해서 알 수 있었다. 또한 Space Syntax의 정량적 분석을

통해 연결도, 통제도, 전체통합도의 변화추이와 각 기능공간간의 관계를 살펴보았을 때

대부분의 시설에서 기능별 공간깊이가 깊어졌다는 점, 증·개축 및 개·보수 후 연결도와

통제도, 통합도의 값이 낮아지고 있는 점을 미루어 보았을 때, 보다 체계적인 시설·설치기

준 마련이 시급하며 앞으로 계속적으로 증가할 노인요양시설 계획시 노인들의 특성과 동

선, 관리자의 원활한 서비스 제공을 위한 공간구성이 요해진다고 사료된다.

- 105 -
4.4.6. 건축적 제언 및 변화추이

위의 분석을 통해 제도의 도입 후 노인요양시설의 공간효율성 향상을 위해 다음과 같은

몇 가지 건축적 제언이 가능하다.

1) 노인요양시설의 새로운 패러다임인 자연도입으로 외부정원과 발코니가 생겨나고, 이

는 휴식공간과 더불어 세탁물이 많은 요양시설에서 세탁건조장 등의 역할을 동시수행 할

수 있다.

2) 복도에 식사실, 휴게실, 프로그램실 등의 기능을 겸하여 다양한 사교공간의 기능을

구비할 수 있으며, 이는 공간깊이가 얕아지는 결과를 도출할 수 있다.

3) 제도의 도입에 따라 요양보호사의 서류업무가 증가하고 있으며, 요양시설내의 모든

활동을 문서화해야 하는 의무에 따라 별도의 공간인 의무실을 배치했을 때 관리공간의

효율성을 얻을 수 있다.

4) 증축으로 인해 브릿지나 복도, 연결통로를 이용해 본래 시설과 증축시설을 연결시킴으

로써 전체공간깊이의 평균이 높아지고 있다. 따라서 증축시 하나의 연결통로가 아닌 다양

한 연결통로의 분산방법을 고려해 설계한다면 공간깊이가 깊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이용자의

동선을 줄이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또한 분석결과, 다음과 같은 변화추이를 알 수 있었다.

1) E시설이 경우 신관 증축시 일본의 노인요양시설의 공간구조를 그대로 가져와 전 실

1인실(유닛형태)을 운영하고 있었는데 이는 거주공간의 통제도와 연결도의 증가를 가져왔

다. 하지만 아직 우리나라에서 이러한 공간을 관리하기에는 보호사의 인력부족의 한계가

있으며, 외국 선진사례의 공간뿐만 아니라 운영체제, 관리에 이르는 다각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2) 제도의 도입으로 인해 시설기준에 따라 요양시설의 공간구성과 구조는 바뀌고 있으며,

요양실의 인원수 제한과 1인당 연면적이 전체 공간구조와 구성에 있어 가장 큰 영향요인으

로 분석되었다. 동일 면적 내에서 기준에 적합한 제반 소요실의 충족과 기준에 따라 증원을

- 106 -
위해서 증축 및 별관동 신축을 하는 시설이 증가하고 있다.

3) 시설의 연결도와 통제도를 전·후 비교해 보았을 때 이동지원공간의 지표가 가장

높았으며, 시설의 연결도와 통제도를 좌우하는 것은 복도임을 알 수 있었다. 복도의 모양과

그에 따른 소요실의 배치가 통제도에 영향을 끼치며 증·개축시 개실의 증가에 치중했다면

거주공간의 통제도가 높아짐을 알 수 있었다.

4) 기능별 전체통합도의 전·후 비교를 통하여 간호공간의 통합도가 높아지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이는 시설기준 충족과 더불어 주 사용자인 노인과 요양보호사의 간호지원에

도 동선의 중요성을 싣고 있는 결과라 사료된다. 요양시설은 노인에게 일상에 필요한 서비

스를 제공하는 곳임을 미루어 보았을 때, 요양사의 신속한 서비스제공과 대처가 중요하다

고 할 수 있다.

5) 명료도 분석결과 증·개축 및 개·보수 후 D시설을 제외한 4곳의 명료도가 낮아지는

것을 볼 수 있었으며, 노인의 주 생활층이 아닌 관리자와 부대시설이 있는 층의 공간인지와

동선체계의 효율성이 낮아지는 결과를 보였다. 이는 제도의 도입에 따라 필수시설의 설치

도 중요하나 원활한 관리시스템을 위해 관리층 및 부대시설 층의 공간구성도 요양시설

계획시 고려해야할 요소라고 할 수 있다.

6) 최근 5년 이내에 신축된 노인요양시설을 제외한 대부분의 노인요양시설은 시대와

상황, 건물의 노후화, 정원변경, 시설전환 등의 다양한 이유로 건축변경을 실시하였으며,

시설에 가장 크게 작용한 법적 기준은 1실 최대인원이 6명에서 4명으로 제한되었다는 점과

시설면적(1인당 연면적 23.6㎡) 기준충족에 관한 기준변동사항이 가장 큰 요인으로 작용하

였다.

- 107 -
제 5 장. 결론 및 제언

5.1. 요약 및 결론

노인요양시설은 체계적인 요양서비스 제공과 가족의 부담을 덜어준다는 취지에서 노후

삶의 질을 증진시킬 수 있도록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설이다. 그러므로 주사용자인 노인의

인지기능과 특성을 고려하여 생활공간 내에서 환경적 스트레스 발생 요인을 최소로 하여야

하며, 제도의 도입에 따른 공간구조의 변화 시에 다양한 요소를 고려해야한다. 또한 노인요

양시설의 수요는 앞으로 꾸준히 증가할 것이며 시설의 질적 향상과 인지기능이 저하된

노인이 주 이용자인 시설임을 미루어 보았을 때, 제도와 정책에 관한 연구와 더불어 건축계

획 분야의 상호협력을 통해 독자적인 환경시설기준 마련이 시급하다고 사료된다.

본 연구의 목적은 공간구문론을 토대로 현재 건축된 노인요양시설의 기능별 연결관계와

구조를 분석하고 현재 운영되고 있는 노인요양시설의 현황과 공간구조특성을 파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국내·외 노인복지문제와 보험제도와 노인요양시설의 환경적 특성을

알아보고, 노인요양시설의 선행연구들을 바탕으로 기능유형별, 복도유형별 공간구성을 분

류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조사대상시설 10곳을 대상으로 도면을 수집하여 공간

구성 및 구조특성을 분석하였다. 또한 장기요양보험제도가 도입되는 과정에서 건축변경을

실시한 5곳의 시설을 대상으로 제도가 시설에 미치는 영향과 변화추이를 알아보았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 평균공간깊이 분석결과 거주공간이 가장 높았으며, 간호기능이 가장 낮은 값을

보이고 있었다. 이는 노인요양시설의 특성상 일렬로 요양실이 배치되어 있는 구조형태의

영향으로 거주공간의 평균깊이가 깊게 나타나며, 간호공간의 평균깊이가 낮은 것은 노인요

양시설의 공간계획시 노인의 측면만을 고려한 공간계획이 아닌 관리자의 동선과 신속한

서비스 제공을 위한 공간구성이라 파악된다.

- 108 -
두 번째, 평면형태에 있어 복도에 다양한 기능을 복도에 겸하게 될 경우, 전체적으로

공간깊이가 낮아질 수 있으며 노인들의 공간인지가 유리해진다는 장점이 있다. 이를 활용

하여 복도에 다양한 사회활동이 가능한 기능공간 배치시, 전체적인 공간깊이가 낮아짐과

동시에 동선의 효율성을 확보할 수 있는데 주로 중복도의 형태에서 나타났다.

세 번째, 노인요양시설에 있어 복도의 유형에 따라 전체 공간깊이와 지표에 많은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복도는 노인과 관리자 모두에게 공간이용률이 높은 곳으로 혼잡

이 초래될 수 있으므로 동선을 분리시켜 복도의 효율성을 높일 필요가 있을 것이라 보여진

다.

네 번째, 제도의 도입이 시설에 미친 영향과 변화추이를 살펴보았을 때, 제도의 도입되면

서 노인요양시설의 시설기준이 정립되고 시설증원, 시설의 노후화, 기준충족 등 장기요양

보험제도의 요양수가 적용을 위해 제도 도입 전에 설치·신고된 시설은 증·개축 등의

건축변경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 기능유형별 공간깊이가 깊어지고 명료도가 낮아지는

결과를 보였다. 이를 미루어 보았을 때, 보다 체계적인 시설기준 마련이 시급하다고 사료되

며 앞으로 계속적으로 증가할 노인요양시설 공간계획시 노인의 특성과 동선, 관리자의

업무효율성을 위한 공간구성이 요해진다고 할 수 있다.

다섯 번째, 제도가 도입되고 노인요양시설 변화추이에 가장 많은 영향을 끼친 요인은

1실 최대인원이 6명에서 4명으로 제한되고, 시설면적 1인당 연면적 23.6㎡ 기준충족에 관한

변동사항이 가장 큰 요인으로 작용했다. 또한 건축변경 전·후 비교분석을 통해 간호공간

의 통합도가 높아지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이는 시설기준 충족과 동시에 관리자의 간호지

원에 있어서 동선효율성을 고려한 결과라 사료된다.

- 109 -
5.2. 제언

본 연구는 이상의 결론을 바탕으로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노인요양시설의 기능유형별 공간구성 분류에 따라 공간위계상의 공간구성

및 구조특성을 분석하였다. 분석범위는 노인요양시설을 사용하는 주 이용자인 노인과 관리

자 및 이용자의 측면에서 공간구성의 특성, 접근성 및 통제성, 공간인지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Space Syntax의 이론특성상 실제 거리와 면적을 고려하지 않고 각 요소들

간의 연결관계를 정량적 분석과 평면구성 및 구조에만 국한하여 접근한 것이 본 연구의

한계점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추후 연구에서는 공간구성 및 구조에서 나타나는 관계뿐만 아니라 물리적인 요소

를 고려한 면적과 면적비 배분의 연구와 함께 인지능력이 저하된 노인이 생활하는 공간임

을 감안하여 3차원적 공간에서의 노인의 공간 인지성 평가 등 다각도의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앞서 서론에 언급하였듯이 노인요양시설에 대한 국내 실정에 맞는 건축 계획적 측면과

사회 과학적 측면의 복합적인 연구가 체계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노인요양보

험제도가 노인요양시설에 끼친 파급력은 실로 대단하다고 할 수 있으며, 계속적인 현황파

악과 만족도 조사, 수요 및 공급량 추이 분석 등을 통해 급속도로 진행되는 노령화 속도에

발맞추어 노인의 안락한 여생을 위한 인프라로서의 질 높은 노인요양시설이 구축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 본 연구자가 분석한 기능유형별 노인요양시설의 공간구성 및 구조

의 분석과 현황파악을 통하여 보다 노인 삶의 질적향상에 기여하기를 기대해본다.

- 110 -
참고문헌

단행본

§ 고재욱, 박영란, 이동열, 노인복지시설관리론, 한진, 2011

§ 김대년, 윤영선, 변혜령, 정미렴, 노인요양시설의 건축·실내환경 디자인, 교문사

§ 김익균, 김인수, 이형진, 정용민, 최윤신, 노인복지론, 교문사, 2008

§ 이선옥·조혜숙·길경복, 노인요양시설의 질 관리와 평가, 에피스테메, 2011

§ 전국대학보건관리학교교육협의회, 생활과 건강증진, 계축문화사

학위논문

§ 이행우, 노인전문병원 평면구조위계에 관한 연구, 인제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9

§ 김민석, 공간의 가시성에 기반한 ERAM모델, 서울대학교 대학원 건축학과 석사학위논

문, 2006

학회논문 및 보고서

§ 건강보험심사평가원, ⌜2003년 건강보험심사평가통계연보⌟, ⌜2004년 건강보험심사

통계지표⌟,⌜2005~2007년 건강보험통계지표⌟,⌜2008년 진료비 통계지표⌟

§ 김미정, 이소영, 치매노인을 위한 노인요양시설의 배회공간 특성 분석, 한국실내디자

인학회논문집 제20권 6호 통권89호, 2011

§ 김석준, 고령사회와 노인장기요양시설, 한국학술정보, 2009

§ 김선태 외, 일본 노인요양시설의 연구형향에서 본 거주환경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주

거학회 추계학술발표대회

§ 김형수, 고령화사회의 노인문제: 전망과 대책, 현상과 인식

§ 박진경, 오찬옥, 김석태, 노인요양시설의 공간구조적 위계 및 연결관계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2011

- 111 -
§ 서혜경, 고령화사회의 의미와 의식, 한국건축학회 특집호, '고령화사회의 노인시설'

§ 송성진, 북미지역의 노인시설 유형과 실태, 대한건축학회, 42(2), 1998

§ 송효주, 최상헌, 노인특성을 고려한 노인요양시설 치유환경평가에 관한 연구, 한국실

내디자인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제11권 1호 통권 19호, 2009

§ 이현정 외, 일본 유니트케어의 도입배경과 건축적 특징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16(3), 2007

§ 최재필, 백승호, 공간구조와 길찾기의 효율성 상관관계분석,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

계, 2002

§ 최지혜, 함욱, 이낙운, 노인요양시설의 거주공간 구성에 관한 연구, 한국의료복지건축

학회, 10권 1호 2004

§ 통계청, 2009년 사회조사

§ 통계청, 장래인구추계, 2006

§ 통계청, 인구주택 총조사 보고서

§ Jerome Kaplan, A Social Programs for Older People(Meneapolis: The Lund Press, Inc.,

1953)

§ Barbara E. Shenfield, Social Policies for Old Age, 1957

- 112 -
감사의 글
스무 살이 신기했던 대학생이 되고 길다면 길고 짧다면 짧은 6년의 시간이 흘렀습니다.

4년의 학부생활을 마치고 계속해서 학업의 길을 걷고자 꿈을 품고 도전했던 그 때가 엊그제

같은데 아직도 믿기지 않는 마음으로 어느덧 석사학위를 마무리하며 지금의 시간이 있기까

지 도움을 주신 많은 분들께 감사의 마음을 전하고자 합니다.

우선 모든 면으로 많이 부족한 저에게 좋은 결과보다 원하는 것을 이루기 위한 배움의

자세와 과정의 가치를 가르쳐주신 저의 은사님이자 늘 존경하는 우리 교수님, 김석태 교수

님께 말로는 다하지 못할 감사의 마음을 전하고 싶습니다. 앞으로도 교수님의 열정을 본받

아 노력하는 모습으로 보답하며 초심을 잃지 않도록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저의 논문을 너그럽게 지도해 주시며 학문에 대해 많은 깨달음을 주신 오찬옥 교수님과

학부시절부터 새로운 시각으로 생각할 수 있는 마음을 가르쳐 주신 백지원 교수님께도

감사드립니다. 그리고 항상 예쁘게 봐 주시고 마음으로 따뜻하게 생각해주시는 박혜경

교수님과 아빠의 미소로 응원해주시며 파이팅 넘치는 모습이 멋지신 손광호 교수님께도

이 글을 빌려 마음을 다해 감사드린다는 말을 전하고 싶습니다.

저의 든든한 조력자이자 좋은 환경에서 공부할 수 있도록 노력해 주시는 최현정 선생님

그리고 항상 격려하고 응원해주신 디자인 학부의 미녀군단 선생님들 홍 선생님, 혜진 선생

님, 현하 선생님, 가영 선생님, 수진 선생님, 효진 선생님, 수영 선생님, 상영 선생님께도

감사드립니다.

돌이켜보니 논문을 쓰는 시간동안 학문적으로 그리고 마음으로 정말 많은 도움을 받았습

니다. 논문이 완성되기까지 바쁜 시간 와중에도 열정적인 도움과 조언을 아끼지 않으셨던

행우 오빠, 항상 먼저 챙겨주시는 승언이 오빠와 VR 연구실 오빠들, 늘 함께하고 도와주며

힘이 되어 주었던 승영이 언니, 2년동안 함께 연구실에서 동거동락하며 보낸 민규 오빠,

웃는 얼굴이 예쁜 앞으로도 함께할 민지 언니, 항상 내 편이 되어주는 지영이 언니, 그리고

논문이 완성되기까지 언제나 적극적으로 도와주고 곁을 지켜줬던 사랑하는 동생들 연성이,

선미, 희영이, 수미, 해수에게도 글로서나마 감사하다는 말을 전하고 싶습니다.

- 113 -
이제는 서로를 응원해주며 10년 전 매일같이 보던 그때가 그리운 소중한 내 친구들 홍미,

희륜이, 수휘, 윤주, 아름이, 서로가 바빠 자주 보지 못하지만 항상 믿어주고 마음으로 응원

해줘서 감사하고, 지금처럼 각자의 자리에서 최선을 다하길 바래봅니다.

언제나 같이하면 좋은 오랜 나의 인연들 애란이 언니, 지혜, 표민이에게도 바쁠 때 함께였

던 그 때를 생각하며 감사의 마음을 전합니다. 그리고 늘 마음으로 힘이 되어주는 나의

동기들, 따뜻하게 챙겨주는 양원이 오빠, 철옥이 오빠, 항상 부족한 동생을 응원해 주는

지홍이 오빠, 여송이 오빠, 상호 오빠, 지연이 언니에게도 감사의 마음을 전합니다.

제가 태어나고 논문을 마무리하는 오늘이 있을 수 있도록 물심양면으로 도와주시고 늘

저에 대한 무한한 믿음과 격려를 보내주신 우리 윤성기 할아버지, 노필란 할머니, 최가대자

할머니께 가슴 깊이 감사드리며 오래도록 건강하시길 진심으로 기도합니다. 그리고 첫

조카라고 아직도 어린 저의 모습을 떠올리며 늘 예뻐해 주시는 미숙이 고모, 큰 고모부,

숙현이 고모, 둘째 고모부, 태경이 고모, 막내 고모부, 상정이 삼촌, 숙모, 형숙이 이모,

큰 이모부, 성임이 이모, 막내 이모부, 수자 이모, 큰 아빠 항상 고맙고 보고 싶고 그 믿음에

지지 않도록 더 열심히하는 조카가 되겠습니다.

마지막으로 큰 딸에 대한 확고한 믿음과 넘치는 사랑으로 밀어주시고 우리가족을 지켜주

는 저의 넓은 하늘이자 든든한 우리아빠, 헌신에 가까운 사랑과 노력으로 행복의 의미를

깨달을 수 있을 만큼 우리 가족을 위해 애쓰는, 저에게는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여자

우리엄마, 바쁘다는 이유로 많은 시간 함께 하지 못하지만 언니 말 잘 듣고 착하고 예쁜

내 동생과 쪼꼬, 사랑하는 우리 가족에게 정말 많이 감사하다고 전하고 싶습니다. 논문이

잘 마무리 될 수 있었던 이유이자, 사랑받는 사람으로 성장할 수 있게 해주셔서 오래도록

감사해도 모자란 마음을 전합니다.

논문이 완성되기까지 도움을 주신 많은 분들께 다시 한 번 감사의 말씀을 전하며 이

논문을 드립니다.

2015년 1월 9일

윤 소 희

- 114 -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