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73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

0 대한민국

이용자는 아래의 조건을 따르는 경우에 한하여 자유롭게

l 이 저작물을 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 및 방송할 수 있습니다.

다음과 같은 조건을 따라야 합니다:

저작자표시. 귀하는 원저작자를 표시하여야 합니다.

비영리. 귀하는 이 저작물을 영리 목적으로 이용할 수 없습니다.

변경금지. 귀하는 이 저작물을 개작, 변형 또는 가공할 수 없습니다.

l 귀하는, 이 저작물의 재이용이나 배포의 경우, 이 저작물에 적용된 이용허락조건


을 명확하게 나타내어야 합니다.
l 저작권자로부터 별도의 허가를 받으면 이러한 조건들은 적용되지 않습니다.

저작권법에 따른 이용자의 권리는 위의 내용에 의하여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이것은 이용허락규약(Legal Code)을 이해하기 쉽게 요약한 것입니다.

Disclaimer




이 석 사 학 위 논 문






초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와


발표불안간의 관계에서



사회적 유능감의 조절효과







계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사 상 담 심 리 전 공





의 김 연 주




지도교수 정 현 희

2
0
1
0

6 2 0 1 0 년 6 월

초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와
발표불안간의 관계에서
사회적 유능감의 조절효과

지도교수 정 현 희

이 논문을 석사학위 논문으로 제출함

2 0 1 0 년 6 월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상 담 심 리 전 공

김 연 주
김연주의 석사학위 논문을 인준함

주 심 엄 우 용

부 심 최 명 숙

부 심 정 현 희

계 명 대 학 교 교 육 대 학 원

2 0 1 0 년 6 월
목 차

Ⅰ.서 론·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

1.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
2.연구문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

Ⅱ.이론적 배경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

1.부모의 양육태도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
2.사회적 유능감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8

3.발표불안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4

4.부모의 양육태도와 사회적 유능감 및 발표불안간의 관계 ·


··
··
··
··
··
··
··
··18
Ⅲ.연구방법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1

1.연구대상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1

2.측정도구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1
3.연구절차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4

4.자료처리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4

Ⅳ.연구결과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5
1.부모의 양육태도와 사회적 유능감 및 발표불안간의 관계 ·
··
··
··
··
··
··
··
··
··25

2.초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수용-거부적 양육태도와 발표불안간의 관계

에 대한 사회적 유능감의 조절효과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7
3.초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자율-통제적 양육태도와 발표불안간의 관계

에 대한 사회적 유능감의 조절효과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1

4.초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과잉-비과잉적 양육태도와 발표불안간의 관


계에 대한 사회적 유능감의 조절효과 ·
··
··
··
··
··
··
··
··
··
··
··
··
··
··
··
··
··
··
··
··
··
··
··
··
··
··35

Ⅴ.논 의·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9

Ⅵ.요약 및 결론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4

i
참고문헌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7

부 록·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4
영문초록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2

국문초록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4

i
i
표 목 차

<표 Ⅲ-1> 연구대상의 학년별 및 성별 분포 ·


··
··
··
··
··
··
··
··
··
·
··
··
··
··
··
··
·
··
··
··
··
··
··
··
·
··
·21

<표 Ⅲ-2> 부모양육태도 척도의 하위요인과 문항 구성 ·


··
··
··
··
··
··
··
··
··
··
··
··
··
·
··
·22
<표 Ⅲ-3> 사회적 유능감 척도의 하위요인과 문항 구성 ·
··
··
··
··
··
··
··
··
··
··
··
··
·
··
·23

<표 Ⅲ-4> 발표불안 척도의 하위요인과 문항 구성 ·


··
·
··
··
··
··
··
··
··
··
·
··
··
··
··
··
··
··
·
··
·23

<표 Ⅳ-1> 부모의 양육태도와 사회적 유능감 그리고 발표불안간 상관관계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5

<표 Ⅳ-2> 수용-거부적 양육태도와 발표불안간의 관계에 대한 사회적 유

능감의 조절효과 분석 결과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8
<표 Ⅳ-3> 자율-통제적 양육태도와 발표불안간의 관계에 대한 사회적 유

능감의 조절효과 분석 결과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2

<표 Ⅳ-4> 과잉-비과잉적 양육태도와 발표불안간의 관계에 대한 사회적


유능감의 조절효과 분석 결과 ·
··
··
··
··
··
··
··
··
··
··
··
··
··
··
··
··
··
··
··
··
··
··
··
··
··
··
··36

i
ii
그 림 목 차

[
그림 Ⅳ-1]수용-거부적 양육태도와 발표불안간의 관계에 대한 사교성의

조절효과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0
[
그림 Ⅳ-2]자율-통제적 양육태도와 발표불안간의 관계에 대한 사교성의

조절효과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4

[
그림 Ⅳ-3]과잉-비과잉적 양육태도와 발표불안간의 관계에 대한 대인적
응성의 조절효과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8

i
v
Ⅰ.서 론

1.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인간은 말을 함으로써 상호간에 의사소통을 하고 자신의 생각을 표현하


는 사회적 동물이다.친밀감을 느끼는 사람들과의 부담 없는 만남도 있지
만 공식적인 자리나 대중의 앞에 서서 자신의 생각을 말해야 하는 경우
대부분의 사람들은 긴장하게 되고 약간의 불안감 또한 느끼게 된다.이는
학교 현장에서도 마찬가지다.자신의 생각을 당당하고 분명하게 표현하기
를 원하는 요즘과 같은 시대에 적지 않은 학생들이 발표를 제대로 하지
못하여 수업 장면에서 힘들어한다.교사가 자신을 지목할까봐 긴장하며 교
사의 시선을 피하는 학생도 있고 자신의 미숙한 발표로 인하여 친구들의
조롱거리가 되어 놀림을 받지 않을까 하는 두려움에 사로잡혀 알고 있으
면서도 발표를 하지 않는 학생도 있다.또한 자신 없는 작은 소리로 중얼
거리거나,얼굴이 빨개지며 목소리가 떨리는 등 의사 전달을 제대로 하지
못하는 경우도 많다.이것이 바로 발표불안이다.
발표불안은 많은 수의 청중들 앞에서 발표하는 상황,즉 개인이 많은 수
의 타인에게 관심의 초점이 되는 공식적 혹은 비공식적 상황에서 타인의
평가가 예상되거나 실제적으로 평가가 이루어질 때 불안을 나타내는 부적
응적인 인지적,생리적,행동적 반응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Fremouw &
Br
eit
ens
tei
n,1990)
.학생들은 학교 장면에서 매일 수차례 발표불안을 경험
하게 된다.초등학교 교사들은 학기 초가 되면 학생들에게 학습훈련을 시키
는데 이때 빠지지 않는 것이 바로 발표훈련이다.그러나 많은 수의 교사들
이 학생들이 왜 발표에 두려움을 갖고 있는지 그 원인을 이해하지 못하고
체계적이며 합리적으로 발표훈련을 시키지 못하여 결과적으로 실패하는 경
우가 많다.
발표불안으로 인해 야기되는 문제점은 다양한데 학생들의 학업 성취뿐만

-1-
아니라 대인관계에서도 부정적인 결과를 초래한다.Leone
과 Gumaer
(1979)
는 발표불안인 아동들이 대인관계에서 높은 불안을 경험하게 되며 자신이
속한 집단에서나 친구들로부터 인정과 긍정적인 강화를 받는 것이 어렵다
고 하였다.수업장면에서 발표불안을 느낀 학생은 수업 시간에 발표를 하고
자 하지 않고 점점 더 위축되며 제대로 된 발표를 하지 못하여 수업에 소
극적으로 임하는 모습을 보게 된다.또한,발표를 제대로 하지 못하는 학생
을 보게 된 다른 학생들은 그 학생에 대해 수업의 흐름을 끊는 친구,자신
보다 학습 능력이 떨어지는 친구로 인식하게 된다.
발표불안의 원인은 유아기에 어머니 또는 대리자와의 관계 속에서 형성
되기 시작하는 것으로 비교적 어렸을 때 형성되고 지속되는 경향이 있다.
또한 개인의 욕구와 동기가 관련되는 것으로,유전적 기질,가정과 학교,사
회 환경과도 관련이 있다(
장윤경,2001)
.흔히 발표라 하면 학교나 유치원에
입학한 후부터 시작하는 것으로 생각할 수 있지만 가장 먼저 자신의 생각
을 다른 사람 앞에서 표현하는 것은 부모와의 대화가 될 것이다.부모와의
대화가 잘 이루어지면 타인과의 대화에서 성공할 수 있을 것이지만 제대로
진행되지 못한다면 타인과의 대화나 타인 앞에서의 발표는 아이를 불안하
게 만들 수 있다.
부모의 양육태도에 관련된 연구결과에 의하면 부모로부터 학대나 부정적
인 양육태도를 경험한 아동들이 높은 대인불안을 보인다고 하였다(
이수옥,
2007)
.이를 통해 부모의 부정적인 양육태도는 아동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끼친다는 것을 알 수 있다.또한 윤선숙(
2005)
과 장혜인(
2003)
도 부모의 양
육태도가 대인불안 및 사회불안과 관련이 있다고 보고하였는데 이는 부모
의 양육태도가 발표불안에 영향을 끼칠 수 있음을 시사한다.
그러나 현재 발표불안에 대해 우리나라에서 이루어진 연구들을 살펴보면
주로 한정적인 인지 변인들 간의 관계를 알아보거나 발표불안을 감소시키
기 위해 프로그램을 구안,혹은 구안된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효과를 검증하
는 연구에 편중되어 있는 실정이다.인지 변인들 간의 연구로는 발표불안과
자기효능감(
김복환,최해림,2003;임지연,이영호,최영안,2004)
,자아개념
(
권용숙,2005)
,역기능적 사고,부정적인 자동적 사고(
임지연 등,2004)
,비

-2-
합리적 신념(
김복환,최해림,2003;박애신,2005)
,학업성적(
남은경,2007;
임봉순,1991)등의 관계를 밝히는 연구들이 있다.또한 집단상담 프로그램
(
조성연,2003)
,자기표현훈련(
백정숙,2003;황혜숙,2006)등 다양한 발표불
안 감소 훈련을 실시하여 효과를 증명하고 있는 연구들이 주류를 이룬다.
그동안의 선행 연구들은 여러 인지 변인들이 발표불안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시사해 주고 있으나 변인들이 한정적이며 아동의 발표불안이 어떤
환경 속에서 발달,유지되고 있는지에 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부모와의 관계는 비단 발표불안에만 영향을 끼치는 것은 아니다.아이들
은 가정에서 사회공동체와의 상호작용 하는 방법을 최초로 경험하게 되며
이때 부모와 형제,자매간의 관계를 통하여 사회성을 발달시켜 나간다.다
른 사람과의 원만한 관계를 유지해 나가며 자신이 목적한 바를 이룰 수 있
는 능력은 아동들이 유능한 사회의 구성원으로 성장하는데 반드시 요구된
다고 할 수 있으며 이러한 능력을 사회적 유능감이라 정의할 수 있다.부모
가 어떤 방법과 태도로 자녀를 양육하느냐에 따라 자녀의 사회성 습득 유
무나 그 정도는 차이가 난다고 볼 수 있다.이미 많은 연구들을 통하여 아
동의 사회적 유능감의 발달에 부모의 양육 태도가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
타났다(
박범실,1987;이진숙,한지현,2004;이희영,최태진,2008;최정미,
2002)
.
사회적 유능감이 부족한 아동은 그렇지 않은 아동에 비해 공동체 생활에
서 각종 어려움을 겪을 가능성이 많다.Kat
z와 Mc
Cle
llan(
1997)
은 사회적
유능감이 부족한 아동의 경우 사회활동 시 필요한 다양한 사회적 기술을
습득하는데 어려움을 겪게 되고 타인으로부터 거부,적의,당황 등의 부정
적인 경험을 하게 되어 문제행동을 일으키게 된다고 한다.또한 부끄러움,
위축,공격성,외로움 등을 겪을 가능성이 많다.따라서 사회적 유능감이 부
족한 아동의 경우 각종 사회불안을 경험하게 되며 사회불안의 일종인 발표
불안도 경험할 것으로 생각이 된다.그러나 사회적 유능감과 불안과의 관계
에 대한 연구는 극히 미미하고 사회적 유능감의 조절효과를 알아보고자 한
선행연구도 찾아보기 힘들다.또한 사회적 유능감에 대한 대부분의 연구들
이 유아를 대상으로 하고 있으며 아동을 대상으로 한 연구(
최정미,2002;

-3-
황경혜,2009)
는 극히 일부이다.그리고 사회적 유능감에 대한 국내의 연구
는 인지능력이나 개인적 특성과 사회적 유능감과의 관계(
강혜연,2010)
,부
모의 양육태도와 사회적 유능감과의 관계(
김명혜,2006;김미화,1997;황경
혜,2009)
,사회적 유능감을 증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 구성(
이태영,2000)
,
프로그램의 효과(
오윤주,2009;이태영,2000)등을 다룬 연구들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이상의 연구결과들을 종합할 때 부모의 양육태도와 사회적 유능감,발표
불안간에는 유의한 관련이 있으며 사회적 유능감이 부족할 때 부정적 결과
를 초래하므로 사회적 유능감은 사회불안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가정할
수 있다.따라서 본 연구는 발표불안이 형성되고 유지,발전되는 과정에서
많은 영향력을 끼칠 환경적 변인으로 아동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를 설
정하고,사회불안에 영향을 끼칠 것으로 예상되는 사회적 유능감이 부모의
양육태도와 발표불안간의 관계에 있어 조절효과로 작용할 것인지 연구를
통해 확인해 보고자 한다.

2.연구문제

본 연구는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초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와


발표불안간의 관계에서 사회적 유능감의 조절효과를 알아보는데 그 목적
이 있다.이를 위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초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수용-거부적 양육태도와 발표불


안간의 관계에 대한 사회적 유능감의 조절효과는 어떠한가?
연구문제 2.초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자율-통제적 양육태도와 발표불
안간의 관계에 대한 사회적 유능감의 조절효과는 어떠한가?
연구문제 3.초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과잉-비과잉적 양육태도와 발표불
안간의 관계에 대한 사회적 유능감의 조절효과는 어떠한가?

-4-
Ⅱ.이론적 배경

1.부모의 양육태도

가.양육태도의 개념
양육태도란 부모나 양육자가 자녀를 양육함에 있어서 보편적으로 나타내
는 태도나 행동으로 아동의 인성과 행동은 부모의 양육태도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고 할 수 있다.남상인(
1983)
은 양육태도란 부모 또는 양육자가 자녀
들을 양육함에 있어 자녀의 훈육,생활훈련,전반적인 자녀의 행위에 대한
부모의 태도 등 양육자가 자녀에게 전반적 또는 보편적으로 나타내는 태도
및 행동을 말하며 자녀의 지적․정의적 특성에 크게 영향을 주는 것이라고
하였다.정원식(
1990)
은 양육태도를 가정에서의 인간관계가 원만하고 바람
직하게 조성되도록 노력하는 부모의 전체적인 태도라고 정의하였다.여기에
는 부모의 가치,신념,믿음,행동의 목적과 평가도 포함된다고 하였다.오
성심,이종승(
1982)
은 양육태도를 부모 혹은 부모를 대신하는 보호자가 자
녀를 양육할 때 일반적으로 나타내게 되는 내․외적인 태도나 행동이라고
하였다.장현영(
2003)
은 양육태도를 하나의 문화양식으로 보고 부모가 자녀
의 성장 발달을 기르고 가르치는 태도이자 행동에 대한 경향성과 반응양식
이라고 하였다.
이상의 양육태도에 대한 여러 학자의 정의를 종합해 보면,양육태도는 아
동의 지적․정의적 특성,행동적인 특성 및 태도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
으로 보편적이고 지속적으로 나타내는 행동이라고 할 수 있다.

나.양육태도의 유형
처음으로 부모의 양육태도를 이론화한 사람은 Symonds
(1949:유민임,
2005에서 재인용)
로 그는 부모의 양육태도를 수용-거부,지배-복종의 두 차
원으로 분류하였고 수용에는 간섭형과 불안형,거부에는 소극적 거부형과

-5-
적극적 거부형,지배에는 기대형과 엄격형으로,복종에는 맹종형과 익애형
으로 분류하였다.그러나 양육태도를 체계화했다는 점에서는 인정을 받지만
양육태도를 부정적으로만 설명하였고 건전한 태도에 대해서는 설명하지 않
아 부모의 양육태도의 규준으로 삼기에는 문제가 있다(
유민임,2005)
.
Schae
fer
(1959:신미숙,2008에서 재인용)
는 신생아기부터 초기청년기에
이르는 동안의 발달과 부모의 양육태도를 함께 연구하여 애정-거부,자율-
통제의 두 개의 양극적인 차원으로 제안하였다.그가 제시한 양육태도는 다
음과 같다.
애정적-자율적인 부모는 자녀의 의견을 존중하고 민주적이며 협동적인
양육을 하며 애정적-통제적 부모는 애정을 많이 주나 행동에 많은 제약을
주는 태도이다.자율적-거부적 부모는 자녀를 애정적으로 수용하지 못하고
거부하면서 자녀에게 간섭을 하지 않으나 또한 방임을 한다.통제적-거부
적인 부모는 자녀에게 강압적이며 자녀의 행동을 처벌하는 등 독재적인 양
육태도를 보인다.
애정적-자율적인 부모의 아동은 능동적,외향적이고 독립적이며 사회적
응을 자신 있게 하고,타인에 대해 적대감이 없는 가장 바람직한 민주형의
부모양육태도라고 할 수 있다.애정적-통제적 양육태도에서 자란 아동은
애정적-자율적 양육태도 하에서 자란 아동에 비하여 더욱 의존적이고 사교
성,창의성이 적은 편이며,인내심이 있어서 상상적인 적대감정을 품는다.
자율적-거부적 양육태도에서 자란 아동은 일반적으로 공격적이고 자신의
행동 조절을 못하게 된다고 한다.
Ba
umr
ind(
199
1)는 부모의 양육태도를 권위주의적인(
aut
hor
it
ari
an)유형,권위
있는 또는 민주적인(
aut
hor
it
ati
ve)유형,허용-익애적인(
per
mis
sive
-indul
gent
)
유형으로 구분하였다.김명혜(
2006)
에 따르면 권위주의적인 유형의 부모는
독재적인 부모로 절대적 기준에 따라 자녀의 행동을 통제하고 자녀에게 애
정이 적으며 자녀는 낮은 수준의 독립성과 사회적 책임감을 가진다.권위적
인 유형의 부모는 자녀에게 애정을 가지고 대하고 자녀의 의견을 존중하면
서 엄격한 통제 방식을 사용하기도 한다.이 유형이 가장 적정한 양육방식
으로 인식되고 있다.허용적인 유형의 부모는 자녀의 충동과 행동에 대해

-6-
수용적이고 긍정적으로 반응하는 반면 지나치게 애정만을 강조하며 통제나
처벌은 거의 하지 않는다.그러므로 이러한 양육방식을 받은 자녀들은 미성
숙하고 독립성과 사회적 책임감이 부족하다.
Par
ker
,Tupl
ing과 Br
own(
1979
)은 부모의 양육태도에 대한 여러 요인들을
분석한 연구들을 종합하여 부모의 양육태도를 돌봄과 통제로 제시하였다.
돌봄 차원이 높은 것은 정서적으로 따뜻하게 돌봐주는 양육태도를 말하며,
돌봄 차원이 낮은 것은 자녀에게 냉담함과 무관심인 부모의 양육태도를 가
리킨다.통제 차원이 낮은 것은 독립심과 자율성을 키워주는 양육태도를 말
하며,통제 차원이 높은 것은 의존심이 높은 자녀를 키우는 양육태도를 가
리킨다.
이 유형에서 돌봄과 통제를 각각의 축으로 보면 높은 돌봄-높은 통제,높
은 돌봄-낮은 통제,낮은 돌봄-높은 통제,낮은 돌봄-낮은 통제,이렇게 4
가지 유형으로 나타낼 수 있다.가장 바람직한 부모의 양육태도는 높은 돌
봄과 낮은 통제로 정서적으로는 따뜻한 공감을 보이면서,자녀의 독립심과
자율성을 키워주는 양육태도를 뜻한다.
부모의 양육태도에 대한 국내 연구를 살펴보면 정원식(
1990)
은 가정의 심
리적 과정을 대칭적 입장에서 수용-거부,자율-통제,보호-방임,성취-안일,
개방-폐쇄로 구분하였고 김기정(
1984)
은 수용-거부,자율-통제,성취압력
(
과잉-비과잉)
으로 구분하였다.한종혜(
1996)
는 애정(
수용)
-적대(
거부)
,민주
(
자율)
-권위(
통제)
의 2개 차원으로 구분하였다.오성심,이종승(
1982)
은 애
정-적대,자율-통제,성취-비성취,합리-비합리의 네 가지 차원으로 분류하
였다.박성연,이숙(
1990)
은 합리적인 지도,애정,권위주의적 통제,과보호,
성취,적극적인 참여,일관성 있는 규제의 일곱 가지 요인을 추출하였다.정
미라,이희선,배소연,최미경,조윤정(
2003)
은 양육태도를 민주적,강압적,
방임적 양육태도로 분류하여 연구하였다.
부모의 양육태도를 측정하는 방법은 보통 두 가지인데 한 가지는 부모
스스로가 자신의 양육태도를 인식하는 정도를 측정하는 것이고,다른 한 가
지는 자녀가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를 측정하는 것이다.부모 스스로가 인
식한 양육태도와 자녀가 지각한 양육태도는 일치하지 않을 수 있고 실제로

-7-
부모가 인식한 양육태도보다 자녀가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가 자녀에게
직접적인 영향을 주며 부모와 자녀 관계의 질도 결정한다고 할 수 있다.자
녀가 지각하고 있는 부모의 양육태도가 자녀의 정의적 측면에 보다 많은
영향을 준다고 보고한 김기정(
1984)
의 연구 결과가 이를 뒷받침한다고 할
수 있겠다.
여러 학자와 연구자들이 양육태도의 유형을 구분하였으나 부모들의 양육
태도가 어느 한 유형으로 고정되기보다는 여러 유형들이 섞여 있으며 단지
좀 더 많은 부분을 차지하는 유형으로 아동들이 지각할 것으로 생각된다.

2.사회적 유능감

가.사회적 유능감의 개념
사회적 유능감(
soc
ialc
ompe
tenc
e)은 아동을 둘러싼 사회적 환경에 잘 적
응하여 사회에서 요구하는 유능한 사회구성원이 되고 또한 개인이 사회적
으로 목적하는 바를 달성하는데 매우 중요한 요소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사회적 유능감은 사회,문화적인 배경에 따라 다르게 정의되는 개
념으로 시대와 문화,연구자들의 견해,연구 방법에 따라 다양하게 정의될
수 있다.그 이유는 아동이 발달함에 따라 인지적,정서적 기술이 달라지고
아동이 적응해야 하는 사회구조가 변화하며,규준과 가치가 시대와 문화마
다 다양하기 때문이다.따라서 연구자가 어떤 관점으로 사회적 유능감을 정
의하였는지에 대해 알아 볼 필요가 있다.
O'
Mal
ley(
1977)
는 사회적 유능감을 세 가지 관점으로 보았다.그가 말한
관점 중 첫 번째는 진화론적 관점으로,인간은 환경마다 가지고 있는 상황
이 개별적이고 다양하기 때문에 생존을 위해서는 그 상황에 적절한 행동을
형성하고 발달시켜 나가는 동시에 환경에 적응하는 능력을 발달시켜 나간
다고 보았다.두 번째는 인성구조적 관점으로,사회적 유능감은 개인의 특
징이나 성향을 나타내는 것이므로 긍정적인 사람은 사회적으로 유능하고
부정적인 사람은 사회적 유능성이 미흡하다고 보는 관점이다. Kohn과

-8-
Ros
eman(
1972)
은 관심과 호기심,단호함,교사의 요구나 제안을 수용하는
것 등을 긍정적인 속성으로,관심의 결여,위축,기회로부터 회피,교사에게
반항하는 것 등을 부정적인 속성으로 보았다.O'
Mal
ley(
1977)
가 제시한 사
회적 유능감 중 세 번째는 사회적 상호작용의 관점으로,이는 사회적 유능
감은 타인과의 사회적 상호작용에서 대인관계의 목적을 달성하게 하는 능
력으로 보는 관점이다.사회적 유능감에는 타인의 역할을 수용할 수 있는
능력,다양한 상황에서의 적합한 기술을 습득할 수 있는 능력,효과적인 대
인관계를 위하여 자원을 활용하는 능력 등이 포함되는데 이주리(
2002)
의 연
구에서는 사회적 상호작용의 관점을 지지하였다.
우리나라에서 사회적 유능감은 사회적 능력(
박범실,1987)
,사회적 역량
(
정영숙,1992)등으로 다양하게 번역되어 왔지만 본질적인 의미는 별다른
차이가 없다.김현주(
2004)
는 사회적 유능감을 사회적 맥락에서 사회적 인
식과 이해,사회적 상호작용의 기술,개인의 목표를 성취하는 능력의 질,타
인과의 특별한 관계를 유지하는 능력,그리고 타인의 역할을 수용하는 능력
이라고 보았다.이영석,이은주(
2007)
는 사회적 유능감을 개인이 살아가면서
요구되는 개별적인 사회적 기술로 인지적이고 정서적인 영역까지 포괄하는
능력이라고 보았다.대체로 사회적 유능감은 개인이 사회의 구성원으로 살
아가는데 필요한 능력으로 개인의 내적인 능력과 주변 환경과의 상호작용
을 통해 타인과의 좋은 관계를 유지하며 자신이 목적한 바를 성취하는 능
력으로 정의내릴 수 있겠다.

나.사회적 유능감의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사회적 유능감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성별,연령,부모와 형
제 관계,또래 관계,교사 관계,교실 환경 등을 들 수 있는데,이러한 요인
들을 크게 가정 환경 요인과 또래 관계 요인,교육적 환경 요인으로 나누어
설명할 수 있다.

1)가정 환경 요인
가정은 인간이 사회적인 동물로 성장해 가는데 있어서 가장 기본적이고

-9-
중요한 요인이다.부모와 형제,자매는 사람들의 성격이나 가치관 형성에
많은 영향을 미친다.
Lamb,Hwang,Br
oge
rg와 Br
ooks
tei
n(1988)
은 부모가 어떤 양육태도를
가지고 아이들을 대하는지에 따라 아이들의 사회성 발달이 달라진다고 하
였다.
김광웅,이인수(
1998)
는 자녀 양육에 대하여 전통적 관념이 달라져 아버
지의 역할이 새롭게 조명되고 있다고 주장하였다.이 연구에서 아버지의 자
녀 양육과 유아의 사회,정서적 능력과의 관계를 조사한 결과 아버지가 자
녀와 함께 여가 시간을 많이 보내고 생활지도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할 경우,
자녀는 성취동기가 강하며 다른 사람과의 협력도 원만하고 대인관계에서
발생할 수 있는 사회,정서적인 다양한 갈등상황도 잘 극복해 낸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박범실(
1987)
은 어머니가 합리적으로 지도하고 자녀의 행동에 한계를 정
해주며 일관성 있는 자녀양육을 할 때 자녀의 사회적 유능감이 높게 나타
났음을 보고하였다.또한 황혜순(
2007)
의 결과도 어머니의 양육태도가 자녀
의 사회적 유능감에 영향을 미침을 뒷받침하고 있다.

2)또래 관계 요인
유아의 경우 가정을 떠나 새롭게 사회적 유능감을 형성하게 되는 곳은
바로 유아교육기관이다.이곳에서 유아들은 부모와 형제,자매가 아닌 또래
관계를 통하여 사회적 유능감을 형성하게 된다.
또래와의 관계는 성숙한 사회인으로 성장하는데 필요한 다양한 사회적
기술들을 습득하도록 해준다.그러나 또래로부터 거부되었을 때는 사회적
기술을 발달시킬 기회가 감소하게 되고,이후 반사회적인 행동문제,학업에
서의 실패,심리적 부적응의 문제 등을 경험하게 될 가능성이 커진다(
이태
영,2000)
.
실제로 아동은 어머니와 상호 작용하는 경우보다 또래와의 상호작용이
더 능동적으로 이루어졌으며 이는 아동의 도덕추론 발달에 긍정적인 영향
을 준다고 하였다(
Kruger
,1992)
.

-10-
Got
tman(
1983)
은 3-9세의 유아를 대상으로 연구한 결과 유아가 또래집단
과 사이좋게 지내는 정도에 따라 친구관계와 사회생활을 영위하는 능력이
차이를 보인다고 하였다.

3)교육적 환경 요인
유아가 사회적 상호작용을 처음 경험했던 곳이 가정이라면 유아가 점점
성장함에 따라 사회적 환경은 사회집단으로 점차 확대되어간다.아동의 사
회적 유능감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로는 교사,물리적 환경,프로그램 등을
들 수 있다.
교사들은 아동이 사회적 기술을 향상할 수 있도록 교실의 인적,물적 환
경을 구성해야 하며 아동이 타인을 존중하길 원한다면,교사가 먼저 타인을
존중하는 모습을 보여 아동들의 모델이 되어야 한다(
Kuyke
ndal
l,1993)
.
Kat
z와 Mc
Cle
llan(
1997)
은 교사들이 프로그램을 계획하고 환경을 배열하
는 방법은 사회적 기술을 연습하고 정교하게 하는 것뿐만 아니라 유아들이
새로운 사회적 지식과 이해를 얻을 수 있는 기회에 영향을 준다고 주장했
다.
아동들이 매일매일,오랜 시간을 함께하는 대상이며 아동들의 사회성 발
달에 필요한 프로그램을 구성하여 교육하는 주체가 바로 교사이므로 아동
의 사회적 유능감을 발달시키는데 교사의 역할이 실로 크다고 할 수 있겠
다.
각종 사회적 덕목을 잠재적 교육과정으로 지도할 것이 아니라,인적․물
리적 환경을 충분히 활용하면서 의도적인 활동계획 속에 프로그램화함으로
써 사회적 유능감 발달 교육효과를 가시화 할 수 있을 것이다(
이태영,
2000)
.

다.사회적 유능감의 측정 방법
사회적 유능감을 측정하는 방법은 다양하다.또래에 의해서 평가가 이루
어지는 사회 측정법,교사나 부모에 의한 평가법,자연적인 상황 또는 짜여
진 상황에서 일어나는 행동 관찰법,자기 보고서 등의 다양한 방법이 있다.

-11-
사회 측정법은 사회적 유능감을 초등학교 아동들의 발달 과정상 매우 중
요한 또래 관계의 결과로 정의를 내려 집단 안의 다른 아동이 평가하게 하
는 것이다.사회 측정법은 학급의 출석부를 사용하여 각 아동의 이름 옆에
Li
ker
t척도를 만들어 아동이 좋아하거나 싫어하는 정도를 표시하게 하는
또래 평정법과 한 집단의 아동들에게 집단 안에서 자신이 좋아하거나 싫어
하는 아동을 직접 지명하게 하는 또래 지명법으로 나눌 수 있다.또래 평정
법의 경우 평가 결과를 신뢰할 수 있으며 또래 지명법이 가지는 윤리적인
문제를 최소화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그러나 집단 안의 모든 구성원을
평정해야 하므로 실시가 번거롭다는 단점도 있다.반면 또래 지명법은 사회
적 유능감이 있는 아동과 없는 아동을 분류하는 것만 가능하고 결손이 있
는 영역을 알려주지 못한다는 단점이 있다.그러나 집단 안에서의 아동들의
사회적 위치를 잘 파악할 수 있으며 또래관계에 문제가 있는 아동을 진단
해내는데 중요한 자료가 된다.
교사나 부모는 아동과 비교적 긴 시간을 함께하며 아동의 행동을 관찰할
수 있어 아동의 사회적 유능감을 평가하는데 유용하다.교사나 부모에 의한
평가는 행동이 나타난 전후 맥락을 모두 고려할 수 있고 아동의 행동을 지
속적으로 관찰할 수 있다.그러나 아동 자신이나 다른 아동들의 판단과 다
를 수 있으며 후광 효과를 무시할 수 없고 아동들의 가치와 교사나 부모가
생각하는 가치가 다를 수 있다.
행동 관찰법은 연구자가 아동의 행동을 직접 관찰하여 측정하는 방법이
다.아동의 행동에 대한 객관적 자료를 얻을 수 있는 방법이지만 사회적으
로 유능한 행동을 어떻게 규명할 것인지가 명확하지 않으며 관찰할 수 있
는 상황이 제한되어 있다.
자기보고식 방법은 아동이 스스로를 평가하는 방법이다.이 방법의 결과
는 타인의 측정 결과와 일치하지 않을 수 있지만 타인의 시각보다 자신의
시각이 아동들의 말과 행동,생각에 더 큰 영향을 미칠 것이므로 의미있는
측정 방법이 될 것이다.

-12-
라.사회적 유능감의 구성 요인
사회적 유능감의 구성 요인은 학자마다 조금씩 다르다.Mc
Cabe
(1998)

사회적 기술과 정서의 인식,행동에 대한 사회적 규범에 대한 지식,연령에
적합한 언어발달을 구성 요인으로 보았다.Kat
z와 Mc
Cle
llan(
1997)
은 사회
적 지식 및 이해,사회적 태도나 성향,사회적 기술,정서조절 능력을 구성
요인으로 보았다.그리고 국내 연구자인 이태영(
2000)
은 사회적 지식,사회
적 태도,사회적 기술,정서조절 능력을 구성 요인으로 보았다.
사회적 지식은 아동의 경험을 통하여 얻어지는 지식으로 부모,교사,또
래,서적 등을 통하여 얻게 된다.사회적 지식을 통하여 아동들은 또래들과
상호작용을 하며 또래 문화를 이해하고 또래 집단 속에서 사회적 유능감을
발달시켜 갈 수 있다.
사회적 태도는 다양한 종류의 상황에서 얻게 되는 경험에 반응하는 행동으로
지속적이고 독특한 행동이나 성향이라 할 수 있다.Kat
z와 Mc
Cle
llan(
1997)

학습욕구와 호기심,애착 행동 등의 선천적 성향과 협동,책임감,감정 이입
능력 등의 후천적인 성향이 있다고 하였다.비슷한 경험이 반복되고 아동들
이 표현할 기회가 충분히 주어진다면 후천적인 성향은 강화될 수 있다.
사회적 기술은 타인과의 협동,나누기,돕기,차례 지키기,교환하기 등을
통하여 사회적 환경을 조절할 수 있는 능력이다.친구를 사귀는 기술,놀이
활동에 참여하여 지속시키는 기술,협동하는 기술,갈등을 합리적으로 해결
하는 기술 등을 통하여 또래 관계를 잘 이끌어가며 또래들과의 상호작용을
경험하고 사회의 구성원으로서의 요구되는 기술을 습득하게 된다.
정서조절 능력은 자신의 감정을 아동이 속한 사회가 기대하고 요구하는
정서 상태로 조절하는 능력이다.자신의 감정을 잘 파악하고 알맞은 표정,
행동을 상황에 따라 나타낼 수 있는 능력이며 자신의 감정을 상황에 맞게
변화시킬 수 있는 능력이다.그리고 다른 사람의 감정에 알맞게 대처할 수
있는 능력이다.

-13-
3.발표불안

가.발표불안의 개념
발표의 사전적 의미는 ‘
어떤 사실이나 결과 따위를 세상에 널리 드러내어
알림’
이다.우리들은 흔히 발표라 하면 말로써만 이루어진다고 생각한다.그
러나 말 뿐만 아니라 몸짓까지도 발표의 수단이 되며 말과 몸짓을 사용해
서 자신의 생각이나 느낌을 다른 사람에게 표현하는 과정이 바로 발표라고
할 수 있다.
학교와 가정,사회생활을 하며 우리는 발표의 기회를 많이 갖게 된다.그
런데 발표 상황에서 다양한 불안을 경험하는 사람들이 많다.즉,발표불안
을 경험하는 사람들이 많다.
발표불안은 사회불안의 일종이다.사회불안의 임상적 양상인 사회공포증
은 다른 사람들과 상호작용 하는 사회적 상황을 두려워하고 회피하는 공포
증의 한 유형이다(
권석만,2003)
.이러한 불안을 경험한 사람들은 그러한 상
황을 회피하거나 극심한 고통을 겪으면서 상황을 견디게 된다.이들은 사회
적 상황이나 많은 사람들 앞에서 의견을 제시하고 발표하는 등의 활동에서
당황하게 될 것을 걱정하고 다른 사람들에게 어리석고 불안한 모습으로 보
이는 것을 두려워한다(
문혜신,2001)
.따라서 대인 관계나 발표 상황에서의
어려움뿐만 아니라 일상생활 전반에 걸쳐 여러 가지 부적응을 경험하게 된
다.사회공포증의 경우는 임상적 수준이므로 일상생활에서 겪게 되는 크고
작은 어려움 즉 이 연구에서 살펴보고자 하는 발표불안의 경우 사회불안의
일종으로 보면 될 것이다.이시형(
2000)
은 대중 앞 발표가 사회불안을 유발
하는 상황 중에서 가장 흔하다고 보고하였다.
발표불안은 학자에 따라 다양한 용어로 사용되고 있다.침묵(
ret
ice
nce
),사회
적 침묵(
soc
ialr
eti
cenc
e),사회적 의사소통 불안(
soc
ialc
ommuni
cat
ivea
nxi
ety)
,
부끄러움(
shyne
ss)
,대화에서의 비자발성(
unwi
ll
ingne
sst
ocommuni
cat
e),
의사소통 염려(
communi
cat
ion appr
ehe
nsi
on)
,청중불안(
audi
enc
e anxi
ety)
등의 용어로 정의되며(
김수정,2008)발표 상황인 타인과의 대화에서 실제

-14-
로 느껴지는 불안과 두려움도 모두 포함된다고 할 수 있다.
임만택(
1994)
은 발표자가 수업이나 발표장면에서 질문에 대답하거나 의문
나는 점을 질문하는 등 자신의 의사를 발표할 때 느끼는 염려,긴장,고민
과 같은 인지적,행동적,정서적 반응을 발표불안이라고 하였다.유태영
(
2001)
은 자신의 생각이나 느낌을 음성언어를 통해 드러내거나 남에게 전달
할 때의 염려,긴장,고민,떨림,위기감 같은 불안이 발표불안으로 개인이
발표라는 특정상황이나 사태에 대해 부정적인 예감과 염려 때문에 비롯되
는 개인의 내적 상태라고 하였다.
발표불안의 다양한 정의와 관련하여 두 가지 측면에서 의미를 찾아볼 수
있는데 바로 특정 상황에서만 나타나는 상태불안(
stat
e anxi
ety)
과 개인이
처한 주변 상황보다는 그것을 받아들이는 개인의 특성,특히 인성적 특성
때문에 나타나는 특성불안(
trai
tanxi
ety)
이다.Sc
hle
nke
r와 Le
ary(
1982)

상태불안적 측면을 강조하여 발표불안이란 대중들 앞에서의 사회적 상황에
서 대중들의 평가가 예상되거나 실제로 평가가 이루어지는 데서 오는 일종
의 사회적 불안이며,대중의 크기가 크거나 비판적이거나 권위적인 위치에
있는 사람들일 경우에 그렇지 않은 사람들 앞에서보다 불안을 더 크게 느
낀다고 하였다.
반면 Cl
evenger
(1959:김수정,2008에서 재인용)
는 특성불안적 측면에서
발표불안을 보았으며 그는 개인이 가진 일반적인 특성에 따라 발표불안의
수준이 결정된다고 하였다.다시 말하면 불안은 같은 상황일지라도 개인이
크게 받아들여 불안을 더 느낄 수도 있고 덜 느낄 수도 있으며 느끼지 않
을 수도 있는 것은 개인의 성격 특성으로 부모의 양육 방식이나 개인의 느
낌 등에 영향을 받는다는 것이다.성격적인 측면으로는 사회적 인정에 대한
욕구,타인 지향성,수줍음을 타는 정도 등이 강조되고 있다.
그렇지만 특정 상황이나 개인의 성격 때문에 발표불안을 느낀다고 단정
하기에는 무리가 있으므로 어느 한 측면에만 국한시키지 말고 상태불안과
특성불안을 모두 고려해야 할 것 같다.
임지연 등(
2004)
은 발표불안의 원인으로 조건화에 의한 학습된 결과,잘
못된 인지적 해석,사회적 행동기술의 부족 등을 들고 있다.조건화에 의한

-15-
학습된 결과라는 입장에서 불안은 원래 중성자극이었던 부정적인 결과와
연합하여 조건화되었기 때문에 생긴 것으로 본다.발표 시 친구들의 비웃음
을 샀다거나 교사로부터 부정적인 평가를 받았을 경우,그 후로는 발표상황
을 회피하게 된다는 것이다.
잘못된 인지적 해석 때문에 불안이 생긴다는 입장에서는 자신과 불안 유
발상황에 대하여 비합리적인 해석과 평가를 하거나 축소된 조망을 갖고 불
안 유발상황을 바라보기 때문에 불안이 발생한다고 본다.즉,사회적 불안
이 높은 사람은 낮은 사람에 비해 자신의 긍정적인 면이나 발표능력을 과
소평가하는 경향이 있고 자신의 부정적인 면을 과대평가하는 것이다.
사회적 행동기술의 부족이 불안의 원인으로 보는 입장에서는 발표상황에
적용할 수 있는 사회적 기술이 부족하거나 실제로 발표할 기회를 충분히
갖지 못해서 발표행동을 연습할 기회가 적었기 때문에 불안이 생성되었다
고 본다.우리나라의 경우 문화적인 영향으로 자신의 생각이나 감정을 표현
하는 일이 별로 없는 환경에서 자라면서 자기표현 방법을 배울 기회를 갖
지 못한 반면,부모로부터 부적절한 행동을 배워온 것이 불안의 원인이 된
다고 할 수 있겠다.이 세 가지의 원인들은 독립적으로 발표불안을 야기 시
키는 것이라기보다는 상호간에 영향을 미친다고 보여 진다.
임만택(
1994)
은 발표 불안의 원인을 세 가지로 보았다.첫째,비자기표현
적 행동이 학습을 통해 강화되거나,자기표현에 대한 처벌과 같은 부정적인
결과와 연합하여 조건화된 것이다.둘째,개인이 타인의 관심이 되는 상황
에서 비현실적인 기준,수행에 따른 잘못된 지각,타인의 평가에 대한 부정
적 지각,부정적 자아평가와 같은 비합리적 사고나 신념을 가지게 된 까닭
이다.셋째,눈의 응시 각도,음성의 크기,억양의 변화,손의 처리,용어의
선택,질문의 처리,발표 자세,용모,사전 준비 등과 같은 발표와 관련된
기술이나 요령이 부족할 때 불안을 느낀다고 주장하였다.
이상의 연구에 근거하여 발표불안의 의미를 정리해 보면 발표불안은 다
수의 청중들 속에서 발표하는 상황,즉 개인이 다수의 타인에게 관심의 초
점이 되는 공식적,비공식적 상황에서 타인의 평가가 예상되거나 발표를 잘
해야만 된다는 강한 자기의식 때문에 심한 긴장과 초조,걱정,떨림의 심리

-16-
상태로 인해 자신이 준비한 것을 소신 있게 발표하지 못하는 불안 상태라
할 수 있다.또한 아동의 어릴 때의 부모와의 관계,발표와 관련된 부정적
이고 비합리적인 신념 및 인지적 오류,학습에 의해 조건화된 발표 기술 및
발표 요령의 부족 등이 원인으로 나타난다.

나.발표불안의 특성
Wi
lbur
(1981)
는 모든 인구의 40%가 대중 앞에서 발표를 할 때 불안을
느낀다는 연구 결과를 보고하였고,정호남(
1998)
은 ‘
발표에 어려움을 겪는
아동들의 유형연구’
에서 전학년 아동 거의가 발표불안을 겪고 있다고 보고
하고 있다.아동들은 발표불안의 상태를 쑥스럽다,떨린다,부끄럽다,두근
거린다,기운이 빠진다,목소리가 작아진다,갑자기 할 말이 생각나지 않는
다 등으로 표현하고 있고 아동들이 발표를 꺼리는 요인 중의 하나가 발표
불안에서 오는 심리적 이유라고 하였다.
임만택(
1994)
은 발표불안을 가진 사람들의 여러 가지 증상을 기술적 특성
과 임상적 특성으로 나누어 분류하였다.기술적 특성으로는 불안정,사회적
접촉 기피나 방관적 태도,책임 회피,논리적 사고 장애,순종적,낮은 우월
성과 같은 특성을 들고 있다.불안정성은 발표하는 것을 두려워하며 긴장과
신경과민 성향이 나타나고 다른 사람들의 평가에 지나치게 긴장하거나 신
경을 씀으로써 자신의 의사를 솔직하게 발표하지 못하고 발표를 기피,방관
적 태도를 지니게 된다.논리적 사고 장애에서는 발표상황에서 불안에 압도
될 경우 기억했던 것조차 잊어버리거나 논리적 사고에 장애를 느낌으로써
조리 있게 자신의 의사를 표현하지 못한다.또 다른 사람들의 좋은 평가를
받으려는 동기가 강하기 때문에 더 부끄러움을 느끼고 더 심한 불안을 느
끼면 적극적인 발표를 하지 못한다.
임상적 특성으로는 우울 경향,편집 경향,신경질 경향 등이 있다.Lamb
(
1968:권용숙,2005에서 재인용)
은 발표불안이 높은 사람은 낮은 자아존중
감을 갖게 되는데 높은 자아존중감을 가진 사람보다 우울 경향이 높으며
불안은 피로나 신경쇠약 또는 우울증을 일으키기도 한다고 하였다.다른 사

-17-
람들로부터 인정을 받으려는 욕구가 강한 사람은 모든 일을 완벽하게 하려
는 경향이 많다.신삼순(
2005)
은 완벽 추구가 지나치면 편집 경향을 보이게
된다고 하였다.따라서 발표불안은 아동의 정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침으
로써 자신을 긍정적으로 평가하지 못하게 한다.
또한 발표불안의 특성은 생리적,행동적,인지적 측면으로 분류하여 설명
할 수 있다.생리적 특성은 땀을 많이 흘리고,얼굴이 붉어지며 심장박동이
심해지게 되어 심한 경우에 마비 등의 반응이다.행동적 특성은 목소리가
떨리고 말과 행동이 머뭇거리면서 타인과의 시선 접촉을 피하는 것이다.인
지적 측면은 발표불안을 느끼는 아동이 자신의 능력을 과소평가하고 다른
사람들이 자신을 부정적으로 평가할 것이라는 두려움과 자신이 다른 사람
에게 어떻게 보일 것인가에 대한 두려움이다.
위와 같은 발표불안의 특성으로 볼 때 발표불안은 학습 활동의 장애요인
이 될 뿐만 아니라 대인관계 형성에도 문제가 생길 수 있으며 심할 경우
다양한 임상적 경향성들을 나타내므로 가급적 초기에 발견하고 극복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4.부모의 양육태도와 사회적 유능감 및 발표불안간의 관계

자녀의 사회적 유능감은 부모의 양육태도에 많은 영향을 받는다.이는 여


러 선행 연구들을 통하여도 확인할 수 있다.김화란(
2001)
은 부모의 사회적
유능감이 아동의 사회적 유능감에 영향을 미침을 밝혔으며 황경혜(
2009)

부모의 양육태도가 애정적일수록 아동의 사회적 유능감이 높다고 보고하였
다.ADHD 아동들 또한 사회적 유능감 함양에 있어서 어머니의 역할이 중
요하였다(
황혜순,2007)
.이 외에도 부모 혹은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자녀의
사회적 유능감의 관계에 대한 연구에서 대체로 이 둘 사이에는 유의한 관
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김재희,박경란,1998;박범실,1987;황경혜,
2009)
.
이찬숙,현은자(
2008)
는 사회적 유능감과 부모의 양육태도 및 문제행동간

-18-
의 관계를 연구한 결과 사회적 유능감과 부모의 양육태도가 유아의 문제행
동과 상관이 높은 것으로 보고하였으며,부모의 양육태도가 의존적일수록
내재화 문제행동이 높게 나타나며 거부적인 양육태도도 문제행동을 야기한
다고 보고하였다.고인숙,이정숙(
2008)
의 연구에서도 사회적 유능감이 낮은
유아가 문제행동을 많이 보였다.부모의 양육태도가 애정적이지 못하고 적
대적일 경우와 합리적이지 못할 경우 자녀의 주의력 결핍이나 과잉행동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친다(
노진숙,2009)
.반면 부모의 양육태도가 긍정적일수
록 아동이 학교생활에 적응을 잘 하였다(
정은하,2006)
.
부모의 양육태도와 여러 인지 변인들 간의 연구들을 보면 부모의 양육태
도가 자율적일수록 자녀의 도덕성 발달단계가 높으며(
김미향,2000)부모의
양육태도를 긍정적으로 지각하는 아동일 경우 비합리적 신념이 낮다고 보
고하였다(
권미화,2006;황애현,2002)
.자녀가 부모의 양육태도를 긍정적으
로 지각할 때 청소년의 자기효능감이 높게 나타났으며(
노호은,2000)
,자아
탄력성 또한 높았다(
권은경,2008)
.부모의 양육태도가 자아개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허임경(
2000)
의 연구도 위의 연구들과 맥락을 같이한다.
부모의 양육태도와 자녀의 발표불안간의 관계에 대한 연구에서는 부모의
양육태도가 발표불안을 부분적으로 설명하는 변인이 되며 어머니 돌봄과
어머니 통제가 발표불안을 설명하는 변인이라고 하였고(
김수정,2008)
,부모
의 양육태도가 개방적이고 수용적 양육태도로 지각될수록 자녀가 발표불안
을 적게 느끼고 있다는 보고가 있다(
양미숙,2006)
.윤선숙(
2005)
은 어머니
의 통제적 양육행동이 간접적으로 사회불안에 영향을 미친다고 하였다.안
경미(
2007)
는 간섭보다는 존중하는 태도를 취하는 것이 자녀의 불안 수준을
낮추고 높은 자기효능감을 갖게 하나,부모로부터의 간섭은 타인의 평가에
두려움을 느끼고 항상 좋은 인상을 주어야 한다는 압력이 스트레스로 작용
하여 일반적인 상황에서 두려움으로 발전할 수 있다고 하였다.이수옥
(
2007)
에 의하면 부모로부터 학대나 부정적인 양육태도를 경험한 아동의 경
우 높은 대인불안을 보인다고 하여 부모의 양육태도가 발표불안에 영향을
끼칠 가능성이 많다고 보여진다.
부모의 양육태도와 자녀의 사회적 유능감 간의 관계에 대한 선행연구들

-19-
은 주로 유아기 아동을 대상으로 하고 있으나 이진숙,한지현(
2004)
,정미
라,원유미(
2001)등의 연구에서 부모의 양육태도와 자녀의 사회적 유능감
간의 관계가 자녀의 연령이나 발달 단계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을 보여주
고 있다.
이상의 연구 결과들을 볼 때 부모의 양육태도와 자녀의 사회적 유능감
간에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으며 부모의 양육태도와 발표불안 간에도 유
의한 상관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다.사회적 유능감과 발표불안과의 관계나
사회적 유능감을 조절효과로 한 연구는 찾아보기 어렵다.그러나 사회적 유
능감은 여러 가지 문제행동을 감소시키고 아동들이 긍정적으로 사회생활을
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생
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가 발표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사회적
유능감이 조절효과로 작용할 것으로 예상하고 확인해 보고자 한다.

-20-
Ⅲ.연구방법

1.연구대상

본 연구의 대상은 대구광역시 달서구에 소재하고 있는 D,S초등학교 5,


6학년 12개 학급 총 361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통하여 조사하였다.연구대
상의 학년별 및 성별 분포는 <표 Ⅲ-1>과 같다.

<표 Ⅲ-1> 연구대상의 학년별 및 성별 분포 단위:명(


%)

성별
전체
남자 여자

5학년 89(
24.
7) 8
0(22
.2) 169(
46.
8)
학년
6학년 101(
28.
0) 9
1(25
.2) 192(
53.
2)

전체 190(
52.
6) 171(
47.
4) 361
(100
.0)

2.측정도구

가.부모양육태도 척도
부모-자녀간의 심리적 관계 즉,초등학생에 의해 지각된 부모의 양육태
도를 측정하기 위해 김기정(
1984)
이 제작한 부모의 양육태도 척도를 사용하
였다.이 척도는 각 문항마다 아버지와 어머니의 태도를 구분하여 반응하도
록 준비하여 부모간의 태도 불일치 정도를 추가하였으나 본 연구에서는 따
로 묻지 않았다.이 척도는 총 33개 문항으로 되어 있고,하위요인으로 수
용-거부,자율-통제,성취기대의 세 태도영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문항 범
주는 ‘
매우 그렇다’
는 4점,‘
약간 그렇다’
는 3점,‘
약간 아니다’
는 2점,‘
전혀
아니다’
는 1점으로 계산한다.점수가 높을수록 수용적이고 자율적이며 성취

-21-
에 큰 기대를 하는 것을 나타낸다.척도의 내용은 <부록 1>에 제시하였고,
부모양육태도의 하위요인 별 문항구성과 Cr
onbac
h's α 계수는 <표 Ⅲ-2>
과 같다.

<표 Ⅲ-2> 부모양육태도 척도의 하위요인과 문항 구성

하위요인 문항번호 문항수 Cr


onba
c sα
h'

* *
수용-거부 1,4
,7,10,13
,16,19,22
,25,28,3
1 1
1 .
82
* * * * * * * * *
자율-통제 2,5,6,8,1
1,14
,17,23,2
6,29,32 1
1 .
87
과잉-비과잉 *
3,9,1
2,15,20,2
1,24,27,3
0,33 1
1 .
83
(성취기대)
전체 3
3 .
89
*표 문항은 역산 처리 문항임.

나.사회적 유능감 척도
아동의 사회적 유능감은 박금옥(
1998)
이 개발한 청소년용 사회적 능력 척
도를 초등학생들에게 맞도록 수정․보완한 왕정희(
2001)
의 척도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이 척도는 사교성,대인적응성,사회참여도,주도성 및 인기도
의 5가지 하위 영역으로 구성되어 있는 자기보고식 검사로 50문항으로 이
루어져 있다.각 문항은 Li
ker
t4단계 평정척도로 되어 있어 긍정 질문 문
항에서 ‘
매우 그렇다’
는 4점,‘
약간 그렇다’
는 3점,‘
약간 아니다’
는 2점,‘

혀 아니다’
는 1점으로 계산한다.각 척도에 대한 점수가 높을수록 사회적
유능감이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척도의 내용은 <부록 2>에 제시하였고,
사회적 유능감 척도의 하위요인 별 문항구성과 Cr
onbac
h's α 계수는 <표
Ⅲ-3>과 같다.

-22-
<표 Ⅲ-3> 사회적 유능감 척도의 하위요인과 문항 구성

하위요인 문항번호 문항수 Cr


onbac
h'sα
사교성 1,2
,3,4
,5,6
,7,8
,9,1
0 10 .
89
대인적응성 11,12
,13,14,15
,16,17,18
,19,20 10 .
90
사회참여도 21,22
,23,24,25
,26,27,28
,29,30 10 .
93
주도성 31,32
,33,34,35
,36,37,38
,39,40 10 .
82
인기도 41,42
,43,44,45
,46,47,48
,49,50 10 .
87
전체 50 .
94

다.발표불안 척도
본 연구에서는 임봉순(
1991)
의 발표불안 척도,김혁곤(
1992)
의 사회적 불
안 척도를 임만택(
1994)
이 초등학교 수준으로 번안한 발표불안 척도를 사용
하고자 한다.이 척도는 자아평가 불안 10문항,자아존중감 7문항,사회적
기술 7문항,발표불안 증상 6문항으로 총 30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각 문
항에 대한 응답은 Li
ker
t식 5점 척도를 사용하여 ‘
전혀 그렇지 않다’
에 1점,

대체로 그렇지 않다’
에 2점,‘
그렇다’
에 3점,‘
자주 그렇다’
에 4점,‘
항상 그
렇다’
에 5점을 부여하였고,역산 문항은 없다.점수가 높으면 발표불안이 높
고 낮으면 발표불안이 낮다.발표불안 척도의 내용은 <부록 3>에 제시하였
고,발표불안 척도의 하위요인 별 문항구성과 Cr
onbac
h's α 계수는 <표Ⅲ
-4>과 같다.

<표 Ⅲ-4> 발표불안 척도의 하위요인과 문항 구성

하위요인 문항번호 문항수 Cr


onbac
h'sα
자아평가불안 1,2,3,4,5,6,7,8,9,10 1
0 .
87
자아존중감 11,12,13
,14,15,16
,17 7 .
83
사회적 기술 18,19,20
,21,22,23
,24 7 .
85
발표불안증상 25,2
6,27,28,2
9,30 6 .
79
전체 3
0 .
90

-23-
3.연구절차

본 연구를 위한 자료 수집을 위해 대구광역시 달서구에 소재하는 D,S초


등학교 5,6학년 남․여 학생 361명을 대상으로 2010년 3월 17일부터 3월
20일까지 설문지를 배부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본 연구는 자기보고식
검사로 이루어져 있으며 검사에 소요된 시간은 약 30분 정도였다.검사의
실시는 본 연구자가 각 학급 담임교사에게 의뢰하여 학생들에게 설문지 작
성에 대한 유의사항을 설명한 후 진행되었다.배부된 설문지는 전체 377부
였으며 회수된 설문지 가운데 불성실한 응답을 보였거나,미완성 문항이 포
함된 16부를 분석에서 제외하였다.이 연구에서 최종적으로 사용한 설문지
는 361부로써 배부된 설문지의 96%에 해당한다.

4.자료처리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와 사회적 유능감 및


발표불안의 관계를 분석하였다.이를 위해 수집된 자료는 SPSS 통계 프로
그램을 사용하여 자료를 처리하였다.
첫째,각 척도의 신뢰도를 검증하기 위해 Cr sα값을 구하였다.
onbach'
둘째,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한 기초 자료로서 평균 및 표준편차,최솟
값,최댓값을 기술통계를 이용하여 구하였다.
셋째,초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와 사회적 유능감 및 발표불안
간의 관련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Pe
ars
on의 적률상관 계수를 분석하였다.
넷째,본 연구에서 예언변수로 설정된 초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
도가 발표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사회적 유능감의 조절효과를 알
아보기 위하여 위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이를 위해 부모의 양육
태도와 사회적 유능감 하위변인 값을 센터링(
변수 값 - 평균)
처리하여 독
립변수로 사용하였으며,조절회귀를 살펴보기 위해서는 부모의 양육태도
하위변인 편차값과 사회적 유능감 하위변인 편차값을 곱하여 조절회귀 독
립변수로 사용하였다.

-24-
Ⅳ.연구결과

1.부모의 양육태도와 사회적 유능감 및 발표불안간의 관계

초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와 사회적 유능감 그리고 발표불안간


상관을 살펴보기 위하여 Pe
arson의 이변량 상관 분석을 실시하였다.부모
의 양육태도,사회적 유능감 및 발표불안과 그 하위요인들과의 관계를 알아
보았으며 그 결과는 <표 Ⅳ-1>에 제시하였다.

<표 Ⅳ-1> 부모의 양육태도와 사회적 유능감 그리고 발표불안간 상관관계

① ② ③ ④ ⑤ ⑥ ⑦ ⑧ ⑨ ⑩ ⑪ ⑫

① 1
**
*
② .
374 1
***
③ .
053 .
524 1
* ** **
④ -.
158 -.
216 -.
223 1
**
* *** ** ***
⑤ -.
258 -.
352 -.
239 .
750 1
** ** * *** ***
⑥ -.
237 -.
248 -.
172 .
778 .
746 1
** ** * *** *** ***
⑦ -.
225 -.
247 -.
174 .
764 .
716 .
824 1
*** * *** *** *** ***
⑧ .
382 .
129 .
066 -.
365 -.
325 -.
401 -.
407 1
*** ** * *** ** ** ***
⑨ .
442 .
272 .
005 -.
165 -.
262 -.
229 -.
233 .
477 1
*** * ** *** *** *** *** ***
⑩ .
338 .
105 .
001 -.
280 -.
272 -.
374 -.
336 .
560 .
340 1
*** * *** ** *** *** *** *** ***
⑪ .
323 .
143 -.
007 -.
315 -.
261 -.
352 -.
322 .
498 .
451 .
539 1
*** * ** ** *** *** *** *** *** ***
⑫ .
349 .
164 -.
021 -.
257 -.
244 -.
297 -.
273 .
532 .
512 .
523 .
664 1

M 65.
93 70
.61 49
.98 2
1.69 14.
13 13
.47 1
0.94 2
9.46 2
8.99 33
.28 2
7.48 25
.54

SD 9
.55 9
.71 8.
55 9.
29 6.
21 6.
16 5.
30 6.
20 5.
81 6.
26 7.
53 6.
59

① 수용-거부 ② 자율-통제 ③ 과잉-비과잉 ④ 자아평가불안 ⑤ 자아존중감 ⑥ 사회적기술


⑦ 발표불안증상 ⑧ 사교성 ⑨ 대인적응성 ⑩ 사회참여도 ⑪ 주도성 ⑫ 인기도
* ** ***
p< .
05. p< .
01. p< .
001.

-25-
먼저 부모의 양육태도와 발표불안과의 상관을 살펴보면 수용-거부와 자
아평가불안,수용-거부와 자아존중감,수용-거부와 사회적기술,수용-거부
와 발표불안증상 등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부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
타났으며,자율-통제와 자아평가불안,자율-통제와 자아존중감,자율-통제
와 사회적기술,자율-통제와 발표불안증상 등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부
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계속해서 과잉-비과잉과 자아평가불안,
과잉-비과잉과 자아존중감,과잉-비과잉과 사회적기술,과잉-비과잉과 발표
불안증상 등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부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사회적 유능감과 발표불안과의 상관을 살펴보면 사교성과 자아
평가불안,사교성과 자아존중감,사교성과 사회적기술,사교성과 발표불안증
상 등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부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대인
적응성과 자아평가불안,대인적응성과 자아존중감,대인적응성과 사회적기
술,대인적응성과 발표불안증상 등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부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그리고 사회참여도와 자아평가불안,사회참여도와
자아존중감,사회참여도와 사회적기술,사회참여도와 발표불안증상 등에서
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부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주도성과 자아
평가불안,주도성과 자아존중감,주도성과 사회적기술,주도성과 발표불안증
상 등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부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마지막
으로 인기도와 자아평가불안,인기도와 자아존중감,인기도와 사회적기술,
인기도와 발표불안증상 등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부적 상관이 있는 것
으로 나타났다.
한편 부모의 양육태도와 사회적 유능감과의 상관을 살펴보면 수용-거부
와 사교성,수용-거부와 대인적응성,수용-거부와 사회참여도,수용-거부와
주도성,수용-거부와 인기도 등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
는 것으로 나타났으며,자율-통제와 사교성,자율-통제와 대인적응성,자율
-통제와 사회참여도,자율-통제와 주도성,자율-통제와 인기도 등에서는 통
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한편 과잉-비과잉과
사교성,과잉-비과잉과 대인적응성,과잉-비과잉과 사회참여도,과잉-비과
잉과 주도성,과잉-비과잉과 인기도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이 없는

-26-
것으로 나타났다.

2.초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수용-거부적 양육태도와 발표


불안간의 관계에 대한 사회적 유능감의 조절효과

초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와 발표불안과의 관계에 대한 사회적


유능감의 조절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위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초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 하위변인과 사회적 유능감
하위변인 값을 센터링(
변수 값 - 평균)
처리하여 독립변수로 사용하였으며,
조절회귀를 살펴보기 위해서는 부모의 양육태도 하위변인 센터링 값과 사
회적 유능감 하위변인 센터링 값을 곱하여 조절회귀 독립변수로 사용하였
고 결과는 <표 Ⅳ-2>에 제시하였다.

-27-
<표 Ⅳ-2> 수용-거부적 양육태도와 발표불안간의 관계에 대한 사회적
유능감의 조절효과 분석 결과

발표불안
변 수 1단계 2단계 3단계
B(β) t B(β) t B(β) t
-.
600 ***
-.
149 -.
142
부모수용거부(
A) -4.
55 -1.
06 -1.
00
(
-.23
4) (
-.058) (-.
056)
-1.06 ***
-1.
21 ***
사교성(
B) -4.
22 -4.
63
(
-.269) (
-.308)
.
044 .047
대인적응성(
C) .
174 .
185
(.
010) (.
011)
-.404 -.
432
사회참여도(
D) -1.
64 -1
.71
(
-.103) (
-.111)
-.504 *
-.
436
주도성(
E) -2.
28 -1
.88
(
-.155) (
-.134)
.082 .136
인기도(
F) .
317 .
520
(
.022) (.
036)
-.
060
A×B 26*
-2.
(
-.161)
-.048
A×C -1.
78
(
-.111)
.033
A×D 1.
38
(
.099)
.017
A×E .
557
(
.049)
.010
A×F .
331
(
.028)
상수 60.
24 6
0.24 61.
49

R2 .
055 .
203 .
230

△R² .
055 .
148 .
027
** *** ***
F 20.
73 1
5.07 9
.47

* ** ***
p< .
05. p< .
01. p< .
001
.

-28-
분석결과 1단계로 투입된 수용-거부적 양육태도가 발표불안을 설명하는
설명력을 살펴본 결과 수용-거부적 양육태도가 발표불안을 유의하게 설명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이것은 부모의 양육태도가 수용적일수록 발표불안이
낮다는 것을 의미하며,이 모델의 설명력은 5.
5%이고,F=20.
73(
p〈 .
01)
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2단계에서는 사회적 유능감 하위변인
들을 추가 투입하였고,그 결과 사회적 유능감 하위변인들인 사교성과 주도
성이 발표불안을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설명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이
것은 사교성과 주도성이 높을수록 발표불안의 점수가 낮다는 것을 의미하
며,이 모델의 설명력은 20.
3%였으며,1단계에 비해 14.
8%를 추가 설명하
는 것으로 나타났다.그리고 F=15.
07(
p〈 .
001)
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
으로 나타났다.
한편 마지막으로 투입된 3단계에서는 수용-거부적 양육태도와 사회적 유
능감 하위변인들간의 상호작용을 투입한 결과로서 수용-거부적 양육태도×
사교성의 상호작용항에서 발표불안을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설명하는 것으
로 나타났다.이 모델의 설명력은 23.
0%로 2단계 모델의 설명력보다 2.
7%
를 추가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F=9.
47(
p〈 .
001)
로 통계적으로 유의
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상호작용항의 효과를 구체적으로 살펴보기 위하여 수용-거부적 양
육태도 점수와 사교성 점수의 중앙값을 기준으로 각각 상,하 집단으로 분
류하여 평균의 변화를 살펴보았다.그 결과는 [
그림 Ⅳ-1]
에 제시하였다.

-29-
발 80


안 70

60
수용-거부 상
수용-거부 하
50

40

30
사교성 상 사교성 하

[
그림 Ⅳ-1]수용-거부적 양육태도와 발표불안간의 관계에 대한
사교성의 조절효과

위의 그래프 결과를 살펴보면 수용-거부적 양육태도가 높은 집단과 낮은


집단 모두에서 사교성이 높아짐에 따라 발표불안이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
났다.그래프의 기울기를 살펴보면 수용-거부적 양육태도가 높은 경우 보
다 수용-거부적 태도가 낮은 경우 사교성이 떨어짐에 따라 발표불안이 상
대적으로 높게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이것은 수용-거부적 양육
태도가 높은 집단과 수용-거부적 양육태도가 낮은 집단 모두 사교성에 따
라 초등학생의 발표불안에 영향을 주며 사교성에 따라 발표불안에 영향을
많이 주는 것은 수용-거부적 양육태도가 낮은 집단이다.즉 수용-거부적
양육태도와 발표불안의 관계에 대해 사교성이 조절효과가 있다는 것을 의
미한다.

-30-
3.초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자율-통제적 양육태도와 발표불안간
의 관계에 대한 사회적 유능감의 조절효과

초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 하위변인 중 자율-통제적 양육태


도와 발표불안의 관계에 대한 사회적 유능감의 조절효과를 알아보기 위하
여 위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이를 위해 초등학생이 지각한 부모
의 양육태도 중 자율-통제적 양육태도와 사회적 유능감 하위변인 값을 센
터링(
변수 값 - 평균)
처리하여 독립변수로 사용하였으며,조절회귀를 살펴
보기 위해서는 수용-거부적 태도 센터링 값과 사회적 유능감 하위변인들의
센터링 값을 곱하여 조절회귀 독립변수로 사용하였고 결과는 <표 Ⅳ-3>에
제시하였다.

-31-
<표 Ⅳ-3> 자율-통제적 양육태도와 발표불안간의 관계에 대한 사회적 유
능감의 조절효과 분석 결과

발표불안

변 수 1단계 2단계 3단계

β)
B( t β)
B( t β)
B( t
-.
724 *** -.
596 *** -.
558 ***
부모자율통제(
A) -5.
67 -4.
94 -4
.57
(
-.287
) (
-.236
) (
-.221)
-1.
11 *** -1.
25 ***
사교성(
B) -4.
58 -4
.98
(
-.282
) (
-.317)
.
226 .
249
대인적응성(
C) .
933 1
.00
(
.054) (
.059)
-.
428 * -.
378
사회참여도(
D) -1.
81 -1
.59
(
-.110
) (
-.097)
-.
498 -.
518
주도성(
E) 33**
-2. -2
.20**
(
-.153
) (
-.159)
.
102 .
200
인기도(
F) .
405 .
775
(
.027) (
.054)
-.
062 **
A×B -2
.38
(
-.144)
.
017
A×C .
660
(
.040)
.
037
A×D 1
.53
(
.096)
.
006
A×E .
222
(
.017)
-.
003
A×F -.
139
(
-.010)

상수 60.
24 11
1.81 111.
55

2
R .
082 .
253 .
267

△R² .
082 .
171 .
014

*** *** ***


F 32.
24 19.
94 11
.53

* ** ***
p< .
05. p< .
01. p< .
001
.

-32-
분석결과 1단계로 투입된 자율-통제적 양육태도가 발표불안을 설명하는
설명력을 살펴본 결과 자율-통제적 양육태도가 발표불안을 유의하게 설명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이것은 부모의 양육태도가 자율적일수록 발표불안이
낮다는 것을 의미하며,이 모델의 설명력은 8.
2%이고,F=32.
24(
p〈 .
001)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2단계에서는 사회적 유능감 하위변인
들을 추가 투입하였고,그 결과 사회적 유능감 하위변인들인 사교성과 사회
참여도 그리고 주도성이 발표불안을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설명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이것은 사교성과 사회참여도,주도성의 점수가 높을수록
발표불안의 점수가 낮다는 것을 의미하며,이 모델의 설명력은 25.
3%였으
며,1단계에 비해 17.
1%를 추가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그리고 F=19.
94
(
p〈 .
001)
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마지막으로 투입된 3단계에서는 자율-통제적 양육태도와 사회적 유
능감 하위변인들간의 상호작용을 투입한 결과로서 자율-통제적 양육태도×
사교성의 상호작용항에서 발표불안을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설명하는 것으
로 나타났다.이 모델의 설명력은 26.
7%로 2단계 모델의 설명력보다 1.
4%
를 추가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F=11.
53(
p〈 .
001)
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상호작용항의 효과를 구체적으로 살펴보기 위하여 자율-통제적 양
육태도 점수와 사교성 점수의 중앙값을 기준으로 각각 상,하 집단으로 분
류하여 평균의 변화를 살펴보았다.그 결과는 [
그림 Ⅳ-2]
에 제시하였다.

-33-
발 80


안 70

60
자율-통제 상
자율-통제 하
50

40

30
사교성 상 사교성 하

[
그림 Ⅳ-2]자율-통제적 양육태도와 발표불안간의 관계에 대한
사교성의 조절효과

위의 그래프 결과를 살펴보면 자율-통제적 양육태도가 높은 집단과 낮은


집단 모두에서 사교성이 높아짐에 따라 발표불안이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
났다.그래프의 기울기를 살펴보면 자율-통제적 양육태도가 높은 경우와
자율-통제적 태도가 낮은 경우 모두 사교성이 떨어짐에 따라 발표불안이
비슷하게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이것은 자율-통제적 양육태도가
높은 집단과 자율-통제적 양육태도가 낮은 집단 모두 사교성에 따라 초등
학생의 발표불안에 영향을 준다는 것을 의미한다.즉 자율-통제적 양육태
도와 발표불안의 관계에 대해 사교성이 조절효과가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34-
4.초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과잉-비과잉적 양 육태도와 발표
불안간의 관계에 대한 사회적 유능감의 조절효과

초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 하위변인 중 과잉-비과잉적 양육태


도와 발표불안의 관계에 대한 사회적 유능감의 조절효과를 알아보기 위하
여 위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이를 위해 초등학생이 지각한 부모
의 양육태도 중 과잉-비과잉적 양육태도와 사회적 유능감 하위변인 값을
센터링(
변수 값 - 평균)
처리하여 독립변수로 사용하였으며,조절회귀를 살
펴보기 위해서는 과잉-비과잉적 양육태도 센터링 값과 사회적 유능감 하위
변인들의 센터링 값을 곱하여 조절회귀 독립변수로 사용하였고 결과는 <표
Ⅳ-4>에 제시하였다.

-35-
<표 Ⅳ-4> 과잉-비과잉적 양육태도와 발표불안간의 관계에 대한 사회적
유능감의 조절효과 분석 결과

발표불안

변 수 1단계 2단계 3
단계

β)
B( t β)
B( t β)
B( t
.
647 *** .
704 *** .
732 ***
과잉-비과잉(
A) 4
.39 5.
35 5.
54
(
.226
) (.246) (.256)
-1.21 *** -1.31 ***
사교성(
B) -5.
01 -5.
33
(
-. 307) (
-. 333
)
-.021 .
062
대인적응성(
C) -.
089 .
260
(
-. 005) (.015)
-.405 * -.439 *
사회참여도(
D) -1.
72 -1.
88
(
-. 104) (
-. 112
)
-.502 -.517
주도성(
E) 36**
-2. 28**
-2.
(
-. 154) (
-. 159
)
.
130 .
195
인기도(
F) .
519 .
777
(.035) (.052)
.
058
A×B 1.
92
(.137)
-.077 **
A×C -2.
69
(
-. 157
)
-.028
A×D -.
917
(
-. 066
)
-.008
A×E -.
214
(
-. 020
)
-.006
A×F -.
185
(
-. 015
)
상수 2
7.89 8
5.36 84.
28

R2 .
051 .
261 .
286

△R² .
051 .
210 .
025
*** *** ***
F 1
9.30 2
0.81 12.
68

* ** ***
p< .
05. p< .
01. p< .
001
.

분석결과 1단계로 투입된 과잉-비과잉(


성취기대)
적 양육태도가 발표불안
을 설명하는 설명력을 살펴본 결과 과잉-비과잉적 양육태도가 발표불안을

-36-
유의하게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이것은 부모의 양육태도 중 성취기대
가 작을수록 발표불안이 낮다는 것을 의미하며,이 모델의 설명력은 5.
1%
이고,F=19.
30(
p〈 .
001)
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2단계에
서는 사회적 유능감 하위변인들을 추가 투입하였고,그 결과 사회적 유능감
하위변인들인 사교성과 사회참여도 그리고 주도성이 발표불안을 통계적으
로 유의하게 설명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이것은 사교성과 사회참여도
그리고 주도성의 점수가 높을수록 발표불안의 점수가 낮다는 것을 의미하
며,이 모델의 설명력은 26.
1%였으며,1단계에 비해 21.
0%를 추가 설명하
는 것으로 나타났다.그리고 F=20.
81(
p〈 .
001)
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
로 나타났다.
한편 마지막으로 투입된 3단계에서는 과잉-비과잉적 양육태도와 사회적
유능감 하위변인들간의 상호작용을 투입한 결과로서 과잉-비과잉적 양육태
도×대인적응성의 상호작용항에서 발표불안을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설명하
는 것으로 나타났다.이 모델의 설명력은 28.
6%로 2단계 모델의 설명력보
다 2.
5%를 추가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F=12.
68(
p〈 .
001)
으로 통계
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상호작용항의 효과를 구체적으로 살펴보기 위하여 과잉-비과잉적
양육태도 점수와 대인적응성 점수의 중앙값을 기준으로 각각 상,하 집단으
로 분류하여 평균의 변화를 살펴보았다.그 결과는 [
그림 Ⅳ-3]
에 제시하였
다.

-37-
발 80


안 70

60
과잉-비과잉 상
과잉-비과잉 하
50

40

30
대인적응성 상 대인적응성 하

[
그림 Ⅳ-3]과잉-비과잉적 양육태도와 발표불안간의 관계에 대한
대인적응성의 조절효과

위의 그래프 결과를 살펴보면 과잉-비과잉적 양육태도가 높은 집단과 낮


은 집단 모두에서 대인적응성이 높아짐에 따라 발표불안이 낮아지는 것으
로 나타났다.그래프의 기울기를 살펴보면 과잉-비과잉적 양육태도가 낮은
경우가 높은 경우보다 대인적응성이 떨어짐에 따라 발표불안이 많이 증가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이것은 과잉-비과잉적 양육태도가 높은 집단
과 낮은 집단 모두 대인적응성에 따라 초등학생의 발표불안에 영향을 주며
대인적응성에 따라 초등학생의 발표불안에 영향을 많이 주는 것은 과잉-비
과잉적 양육태도가 낮은 집단이다.즉 과잉-비과잉적 양육태도와 발표불안
의 관계에 대해 대인적응성이 조절효과가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38-
Ⅴ.논 의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초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


와 사회적 유능감 및 발표불안간의 상관관계를 확인하며,부모의 양육태도
가 발표불안에 미치는 영향을 사회적 유능감이 조절하는가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먼저,변인들의 상관관계를 살펴보기 위해 Pe
ars
on의 이변량 상관 분석
을 실시하였다.또,초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수용-거부적 양육태도,자율
-통제적 양육태도,과잉-비과잉적 양육태도가 발표불안에 미치는 영향을
사회적 유능감이 조절하는가를 알아보기 위해 위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실시
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를 연구문제와 관련하여 논의하면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에서는 초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수용-거부적 양육태도와 발
표불안간의 관계에 대한 사회적 유능감의 조절효과를 알아보았다.수용-거
부적 양육태도는 발표불안을 유의하게 설명하고 있으며 부모의 양육태도가
수용적일수록 발표불안이 낮았다.그리고 사회적 유능감의 하위변인들인 사
교성,주도성이 발표불안을 유의하게 설명하였고 이는 사교성과 주도성이
높을수록 발표불안이 낮다는 것을 의미한다.마지막으로 수용-거부적 양육
태도일 때 사회적 유능감의 하위변인인 사교성이 높아짐에 따라 발표불안
이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즉,수용-거부적 양육태도와 발표불안의 관
계에서 사회적 유능감은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회적 유능
감의 하위변인 중 사교성이 조절효과가 있었다.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수용
-거부적 양육태도가 발표불안을 유의하게 설명하고 있으며 수용적인 양육
태도일 때 발표불안을 적게 느끼고 있음을 입증한 양미숙(
2006)
의 연구결과
와 일치한다.그리고 불안,위축 등과 같은 내재화 문제 행동에 부모의 수
용-거부적 양육태도가 유의한 부적 상관관계를 나타낸 이찬숙,현은자
(
2008)
의 연구결과와도 관련이 있다.박점숙(
2003)
과 허임경(
2000)
은 부모의
양육태도가 수용-거부적일 때 아동의 자아개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39-
고 보고하였는데 이는 부모의 양육태도가 수용적일수록 자녀가 자신감을
갖고 긍정적으로 사고하게 되어 긍정적인 자아개념을 형성할 수 있음을 의
미한다.이 결과는 수용적인 양육태도가 아동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본 연구와 맥락을 같이한다고 하겠다.
연구문제 2에서는 초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자율-통제적 양육태도와 발
표불안간의 관계에 대한 사회적 유능감의 조절효과를 알아보았다.자율-통
제적 양육태도는 발표불안을 유의하게 설명하고 있으며 부모의 양육태도가
자율적일수록 발표불안이 낮았다.그리고 사회적 유능감의 하위변인들인 사
교성,사회참여도,주도성이 발표불안을 유의하게 설명하였고 이는 사교성
과 사회참여도,주도성이 높을수록 발표불안이 낮다는 것을 의미한다.마지
막으로 자율-통제적 양육태도일 때 사회적 유능감의 하위변인인 사교성이
높아짐에 따라 발표불안이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즉,자율-통제적 양
육태도와 발표불안의 관계에서 사회적 유능감은 조절효과가 있으며 사회적
유능감의 하위변인 중 사교성이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이는 부
모의 양육태도가 자율적일 때 우울/
불안,위축 등과 같은 내재화 문제 행동
이 적다는 권미경,김혜원,안혜영,이주원(
2004)
의 연구 결과와 관련이 있
다.윤선숙(
2005)
은 어머니의 통제적인 양육행동이 자기개념과 자의식을 매
개로하여 사회불안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를 제시하였는데 이는
자율-통제적 양육태도가 사회불안의 일종인 발표불안에 영향을 미친다는
본 연구결과와 같다고 할 수 있다.손소영(
2004)
이 발표한 거부적이며 통제
적인 부모의 양육태도가 유아의 문제행동을 야기한다는 연구 결과도 본 연
구결과와 어느 정도 관련이 있다.그러나 자율-통제적 양육태도가 발표불
안을 유의하게 설명하지 못한다는 양미숙(
2006)
의 연구결과와 일치하지 않
는데 이는 연구자가 연구한 대상이 중학생이고 아동기와 청소년기의 특성
이 다르므로 다른 결과를 가져왔으리라 생각한다.
연구문제 3에서는 초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과잉-비과잉(
성취기대)

양육태도와 발표불안간의 관계에 대한 사회적 유능감의 조절효과를 알아보
았다.과잉-비과잉적 양육태도는 발표불안을 유의하게 설명하고 있으며 부
모의 성취기대가 작을수록 발표불안이 낮았다.그리고 사회적 유능감의 하

-40-
위변인들인 사교성,사회참여도,주도성이 발표불안을 유의하게 설명하였고
이는 사교성과 사회참여도,주도성이 높을수록 발표불안이 낮다는 것을 의
미한다.마지막으로 과잉-비과잉적 양육태도일 때 사회적 유능감의 하위변
인인 대인적응성이 높아짐에 따라 발표불안이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과잉-비과잉적 양육태도와 발표불안의 관계에서 사회적 유능감은 조절
효과가 있으며 사회적 유능감의 하위변인 중 대인적응성이 조절효과가 있
는 것으로 나타났다.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부모의 과잉기대가 사회불안 수
준을 높이는 것으로 보고한 송영희(
2006)
의 연구 결과와 일치한다.이는 부
모가 아동의 능력을 고려하지 않고 지나치게 높은 기대를 하며 지적 성공
을 강요하는 것으로 자녀가 지각할 때 자녀의 사회불안 수준이 높아진다는
것이다.또한 송영희(
2006)
는 사회불안이 높은 아동들이 친구들로부터 사회
적 지지와 수용을 덜 받음으로 인하여 친구관계의 질이 좋지 못하다고 보
고하였는데 이는 또래들과의 관계가 좋을 경우 사회불안 수준이 낮다는 의
미로 받아들여도 될 것이다.이는 대인적응성이 높아짐에 따라 발표불안이
낮아진다는 본 연구 결과와 일치한다고 볼 수 있다.그러나 과잉-비과잉
양육태도가 자아존중감의 하위변인인 자기주장과 불안에 유의한 영향을 미
치지 못한다는 김경희(
2006)
의 연구와는 결과가 일치하지 않는다.이는 김
경희(
2006)
의 경우 중학생을 대상으로 하였고 종속변인이 자아존중감인 반
면 본 연구는 발표불안이므로 변인의 종류에 따라 다른 결과가 도출된 것
이라 여겨진다.
이상과 같은 결과는 부모의 양육태도와 발표불안 간에 유의한 상관이 있
다고 제시한 김수정(
2008)
,박정애(
2005)
의 연구와 일치한다.그리고 부모의
양육태도가 대인불안 및 사회불안과 관련이 있다고 제시한 윤선숙(
2005)
,
장혜인(
2003)
의 연구결과와도 일치한다.또한 김유선(
2007)
은 어머니-자녀
간 의사소통유형이 비난형일 때 발표불안이 높아지며 자아존중감이 감소하
는 연구결과를 발표하였는데 이는 부정적인 양육태도일 때 발표불안이 높
아지는 본 연구결과와 관련이 있다.김명혜(
2006)
는 어머니의 양육태도는
아동의 사회적 유능감에 영향을 미치고 있으나 하위 변인이나 집단별로 정
적인 영향을 미치기도 하고 부적인 영향을 미쳐 일관성이 있지는 않으며

-41-
양육태도가 부모신념과 아동의 사회적 유능감을 매개한다는 결과를 발표하
였다.최영숙,김정민(
2008)
은 비합리적 신념이 높을수록,사회적 지지가 낮
을수록 사회불안이 높다고 발표하여 사회적 유능감이 발표불안과 유의한
관계가 있음을 나타낸 본 연구와 맥락을 같이한다고 하겠다.이찬숙,현은
자(
2008)
는 사회적 유능감과 문제행동과의 관계를 알아본 연구에서 사회적
유능감이 높을수록 불안/
우울,위축과 같은 내재화 문제가 낮은 것으로 발
표하였고,고인숙,이정숙(
2008)
은 문제행동을 많이 보이는 유아의 경우 정
서를 조절하는 능력이나 또래관계에서의 기술 및 사회적 규범을 알고 지키
는 수준이 낮다고 보고하여 사회적 유능감이 발표불안과 같은 사회불안과
유의한 관계가 있다는 본 연구와 맥락을 같이한다.또한 사회적 유능감을
높게 지각할수록 학교에서의 생활에서 자신감을 갖게 되어 학교 적응을 잘
한다는 강수령,이경님(
2001)
의 연구 결과는 사회적 유능감이 학교 적응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의미하며 이는 사회적 유능감이 사회불안
수준을 낮추어 준다는 본 연구결과와도 관련이 있다.사회적 유능감의 조절
효과를 연구한 선행연구가 없으나 다른 여러 연구들을 통하여 사회적 유능
감이 조절효과를 가짐을 유추할 수 있다.
이상의 논의를 종합해 볼 때 초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가 수용
적,자율적,비과잉적일 때 발표불안 정도가 낮음을 알 수 있다.그리고 부
모의 수용-거부적 양육태도 및 자율-통제적 양육태도가 발표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사회적 유능감의 하위요인인 사교성이 그 영향력을 완화
시킴으로써 조절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또 부모의 과잉-비과잉적 양육
태도가 발표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사회적 유능감의 하위요인인
대인적응성이 그 영향력을 완화시킴으로써 조절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학교현장에서는 부모의 양육태도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발표불안의 문제를 예방하거나 완화시키기 위하여 학생들의 사교
성과 대인적응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을 연구해야 할 것이다.부모는
수용적이고 자율적이며 과도하지 않은 성취기대로 자녀들을 양육해야 할
것이며 부모와 교사는 학생들이 사회적으로 유능하며 또래와의 상호작용에
서 협동적이고 또래들과 친밀한 관계를 유지하여 사교성과 대인적응성을

-42-
길러 발표불안과 같은 사회불안을 잘 이겨낼 수 있도록 적절한 도움을 주
어야 할 것이다.

-43-
Ⅵ.요약 및 결론

본 연구는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초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와


발표불안,사회적 유능감 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며 부모의 양육태도와 발
표불안 간의 관계에 대한 사회적 유능감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를 위해 대구광역시 달서구에 소재하는 D,S초등학교 5,6학년 12개
학급 남․여 학생 36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SPSS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조사대상자들의 성별,학년별 분포를 알
아보기 위하여 빈도분석을 실시하였고,각 척도의 신뢰도를 검증하기 위하
여 Cr
onbac
h'sα 계수를 산출하였다.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한 기초 자료
로서 평균 및 표준편차,최솟값,최댓값을 기술통계를 이용하여 구하였다.
또,변인들의 상관관계를 살펴보기 위하여 Pe
ars
on의 적률상관 계수를 분
석하였다.그리고 부모의 양육태도가 발표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사회적 유능감의 조절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위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실시
하였다.이를 위해 부모의 양육태도와 사회적 유능감 하위변인 값을 센터링
처리하여 독립변수로 사용하였으며,조절회귀를 살펴보기 위하여 부모의 양
육태도 하위변인 편차값과 사회적 유능감의 하위변인 편차값을 편차 값을
곱하여 조절회귀 독립변수로 사용하였다.
이상과 같은 절차와 방법으로 본 연구를 통해 밝혀진 초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와 발표불안 간의 관계에서 사회적 유능감의 조절효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부모의 양육태도는 초등학생의 발표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부모의 수용-거부적 양육태도가 발표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
서 사교성은 부모의 양육태도와 상호작용 하여 부정적인 영향력을 완화시
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부모의 자율-통제적 양육태도가 발표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
서 사교성은 부모의 양육태도와 상호작용 하여 부정적인 영향력을 완화시

-44-
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부모의 과잉-비과잉적 양육태도가 발표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
에서 대인적응성은 부모의 양육태도와 상호작용 하여 부정적인 영향력을
완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와 이에 대한 논의를 바탕으로 결론을 내리면 다음과 같다.
첫째,부모의 수용-거부적 양육태도가 발표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사교성이 그 영향력을 완화시킴으로써 사회적 유능감의 조절효과가 있다.
둘째,부모의 자율-통제적 양육태도가 발표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사교성이 그 영향력을 완화시킴으로써 사회적 유능감의 조절효과가 있다.
셋째,부모의 과잉-비과잉적 양육태도가 발표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
에서 대인적응성이 그 영향력을 완화시킴으로써 사회적 유능감의 조절효과
가 있다.
이러한 결론은 사회적 유능감의 형성이 발표불안을 경험하고 있는 학생
들을 도울 수 있는 방안이 될 수 있다는 것을 말해준다.부모의 양육태도와
발표불안이 유의한 상관관계를 갖고 있으나 학생들의 사회적 유능감을 높
여주면 부모의 양육태도가 발표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 대한 조절효
과가 발휘되어 그 영향력을 완화시켜 줄 것이다.따라서 학교현장에서는 부
모의 양육태도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발표불안을 예방하고 발표불안의 정
도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사회적 유능감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데
관심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끝으로 결론에 비추어 본 연구의 제한점을 제시하고 후속연구를 위한 제
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본 연구의 제한점은 연구 대상의 대표성 문제이다.대구광역시 달
서구에 소재하고 있는 초등학교만을 대상으로 하여 연구가 실시되었으므로
추후 연구에서는 대규모 표집을 통해 일반화 범위를 넓히고 성별,연령별,
학교급별 차이를 규명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둘째,본 연구에서 측정변인들에 대한 자료는 자기보고식 설문조사를 통
해 수집하였으므로 후속연구에서는 면접,행동관찰,부모 보고식 검사,교사
보고식 검사 등 다양한 방법으로 보다 객관적인 자료를 수집할 필요가 있

-45-
다.
셋째,사회적 유능감 형성의 결정적 시기가 유아기다 보니 선행하는 대부
분의 연구들이 유아를 대상으로 이루어졌다.초등학생 시절은 사회적 유능
감 형성의 연장선상에 있으므로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들이 필요하
다.
넷째,사회적 유능감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에 대한 연구가 주류를
이루고 사회적 유능감을 조절효과로 연구한 사례가 드물어 이 연구 결과로
만 효과를 단정 짓기에는 무리가 있다.사회적 유능감이 다른 변인들에 어
떠한 영향을 주는지 사회적 유능감의 조절효과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46-
참 고 문 헌

강수령,이경님(
2001)
.아동의 또래괴롭힘,사회적 유능감과 학교적응의 관
계.동아교육논총,27,161-179.
강혜연(
2010)
.유아의 지적능력과 사회적 유능감과의 관계.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고인숙,이정숙(
2008)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 및 정서지능이 문제행동에 미
치는 영향.한국아동심리치료학회지,3(
1),93-111.
권미경,김혜원,안혜영,이주원(
2004)
.학령기 아동이 지각하는 어머니의 양
육태도와 아동의 문제행동.아동간호학회지,11(
1),132-141.
권미화(
2006)
.아동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와 비합리적인 신념과의 관
계.석사학위논문,공주대학교.
권석만(
2003)
.현대 이상심리학.서울:학지사.
권용숙(
2005)
.발표불안과 자아개념간의 관련성 연구.석사학위논문,춘천
교육대학교.
권은경(
2008)
.아동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와 자아탄력성과의 관계.
석사학위논문,대구교육대학교.
김경희(
2006)
.상담심리 측면에서 부모의 양육태도가 자녀의 자아존중감
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석사학위논문,중부대학교.
김광웅,이인수(
1998)
.아버지의 양육참여도와 유아의 사회․정서적 능력.
아동학회지,19(
2),65-78.
김기정(
1984)
.학업성취와 지각된 양육태도가 자아개념에 미치는 영향.
박사학위논문,중앙대학교.
김명혜(
2006)
.한국과 캐나다 거주 어머니들의 부모신념,양육태도 및 아
동의 사회적 유능감.박사학위논문,숙명여자대학교.
김미향(
2000)
.아동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와 아동의 도덕성 발달과의
관계 연구.석사학위논문,목포대학교.
김미화(
1997)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변인 연구.

-47-
박사학위논문,건국대학교.
김복환,최해림(
2003)
.초등학생의 자의식,자기 효능감 및 비합리적 신념과
발표불안과의 관계.한국심리학회지:상담 및 심리치료,15(
3),5
81-59
3.
김수정(
2008)
.초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 및 자의식과 발표불안의
관계.석사학위논문,경인교육대학교.
김유선(
2007)
.어머니-자녀간 의사소통 유형과 아동의 자아존중감 및 불
안과의 관계.석사학위논문,충남대학교.
김재희,박경란(
1998)
.취업모의 양육행동과 유아의 사회적 능력간의 관계.
한국영유아보육학,15,295-319.
김혁곤(
1992)
.대인관계불안 감소를 위한 집단상담의 효과.한국대학상담연
구,3(
1),75-96.
김현주(
2004)
.자녀와 부모를 위한 상담 및 생활지도.서울:상조사.
김화란(
2001)
.부모의 사회적 유능감이 아동의 사회적 유능감에 미치는
영향.석사학위논문,숙명여자대학교.
남상인(
1983)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자녀의 인지양식과의 관계.석사학위
논문,서울대학교.
남은경(
2007)
.초등학생의 발표불안과 자기효능감 및 학업성취도의 관계.
석사학위논문,충남대학교.
노진숙(
2009)
.부모의 양육태도와 의사소통이 초등학생의 주의력결핍 및
과잉행동에 미치는 영향.석사학위논문,경성대학교.
노호은(
2000)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와 자기효능감 간의 관계.
석사학위논문,연세대학교.
문혜신(
2001)
.또래의 괴롭힘이 청소년기 사회 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기제.
박사학위논문,연세대학교.
박금옥(
1998)
.청소년들의 자기조정 학습방안 정도와 학업성취 및 사회적
능력 연구.석사학위논문,동아대학교.
박범실(
1987)
.아동의 사회적 능력과 그 관련변인에 관한 연구.석사학위
논문,이화여자대학교.
박성연,이숙(
1990)
.어머니의 양육태도척도 표준화를 위한 예비연구.대한

-48-
가정학회지,28(
1),143-145.
박애신(
2005)
.중학생의 비합리적 신념,자기존중감과 발표불안과의 관계.
석사학위논문,공주대학교.
박점숙(
2003)
.부모의 양육태도가 아동 및 청소년의 자아개념에 미치는
영향.석사학위논문,성신여자대학교.
박정애(
2005)
.부모의 양육태도,아동의 성격유형 및 발표불안의 관계.석
사학위논문,충북대학교.
백정숙(
2003)
.자기표현훈련이 초등학생의 발표불안 감소 및 수줍음 극복
에 미치는 효과.석사학위논문,강원대학교.
손소영(
2004)
.취학 전 아동의 내재화․외현화 문제행동에 따른 기질 특
성과 부모 양육태도의 차이.석사학위논문,성신여자대학교.
송영희(
2006)
.부모의 양육태도 및 아동의 사회불안과 친구관계의 질.석
사학위논문,숙명여자대학교.
신미숙(
2008)
.초등학생의 용서심리와 부모의 양육태도 및 학교생활 적응
과의 관계.박사학위논문,전북대학교.
신삼순(
2005)
.스트레스 대처훈련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발표 불안과 발
표행동에 미치는 효과.석사학위논문,청주교육대학교.
안경미(
2007)
.아동의 지각된 부모양육태도와 자기효능감 및 사회불안 간
의 관계.석사학위논문,삼육대학교.
양미숙(
2006)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 및 비합리적 신념과 발
표불안의 관계.석사학위논문,전주대학교.
오성심,이종승(
1982)
.부모의 양육방식에 대한 아동의 지각과 정의적 특성
과의 관계.행동과학연구노우트,11(
1),24-56.
오윤주(
2009)
.그림책을 활용한 독서치료 프로그램이 유아의 사회적 유능
감 향상에 미치는 효과.석사학위논문,부경대학교.
왕정희(
2001)
.초등학생의 정서지능과 사회적 능력 및 대인문제해결력과
의 관계.석사학위논문,부산대학교.
유민임(
2005)
.유아 개인변인 및 어머니 양육태도와 대인문제 해결력과의
인과관계.박사학위논문,대구대학교.

-49-
유태영(
2001)
.자기표현프로그램이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의 대인불안 및
발표불안에 미치는 영향.석사학위논문,충북대학교.
윤선숙(
2005)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양육행동과 자기개념,자의식 및 사
회불안의 관계.석사학위논문,서강대학교.
이수옥(
2007)
.지각된 부모의 양육태도,내외통제성 및 대인불안의 관계.
석사학위논문,서강대학교.
이시형(
2000)
.대인공포증의 치료.서울:풀잎.
이영석,이은주(
2007)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유아,부모,
교사 관련 변인 탐색 연구.미래유아교육학회지,14(
1),255-277.
이주리(
2002)
.또래와의 동작활동이 유아의 사회적 놀이행동 및 사회적
유능감에 미치는 영향.석사학위논문,원광대학교.
이진숙,한지현(
2004)
.어머니의 부모 효능감과 양육행동이 유아의 사회적
능력에 미치는 영향.한국가정관리학회지,22(
6),63-73.
이찬숙,현은자(
2008)
.유아의 기질,사회적 유능감,감성지능,도덕성 및 부
모양육태도와 유아의 문제행동간의 관계.아동학회지,29(
3),223-238.
이태영(
2000)
.유아를 위한 사회적 유능감 증진 프로그램의 구성 및 효과
검증.박사학위논문,서울여자대학교.
이희영,최태진(
2008)
.부모의 양육태도와 아동의 사회적 유능감 및 개인주
의-집단주의 성향의 관계.동북아 문화연구,16,371-391.
임만택(
1994)
.국민학생의 발표불안 감소를 위한 집단상담의 효과.석사
학위논문,순천대학교.
임봉순(
1991)
.발표불안과 학업성취 및 성격특성과의 관계분석.석사학위
논문,경북대학교.
임지연,이영호,최영안(
2004)
.역기능적 신념 및 부정적인 자동적 사고와
사회적 자기 효능감이 발표불안에 미치는 영향.한국심리학회지:임상,
23(
3),595-609.
장윤경(
2001)
.초등학생의 말하기 불안에 관한 연구.석사학위논문,한국
교원대학교.
장현영(
2003)
.자녀가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가 아동의 정서지능에 미치

-50-
는 영향에 관한 연구.석사학위논문,조선대학교.
장혜인(
2003)
.지각된 부모의 양육행동이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석사
학위논문,연세대학교.
정미라,원유미(
2001)
.부모의 양육태도 및 의사결정유형과 아동․청소년 자
녀의 사회적 능력과의 관계.초등교육연구,16(
1),157-178.
정미라,이희선,배소연,최미경,조윤정(
2003)
.자녀양육과 부모역할.서울:
현학사.
정영숙(
1992)
.가족의 사회심리적 환경과 아동의 사회적 역량과의 관계.
석사학위논문,숙명여자대학교.
정원식(
1990)
.교육 환경론.서울:교육출판사.
정은하(
2006)
.아동이 지각한 교사 행동과 부모 양육태도가 학교생활 적
응에 미치는 영향.석사학위논문,아주대학교.
정호남(
1998)
.발표에 어려움을 겪는 아동들의 유형연구.석사학위논문,
숙명여자대학교.
조성연(
2003)
.발표불안 집단상담 프로그램 계발 및 효과.박사학위논문,
홍익대학교.
최영숙,김정민(
2008)
.비합리적 신념과 사회적 지지가 청소년의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한국가정관리학회지,26(
2),103-114.
최정미(
2002)
.아동의 사회적 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어머니 관련 변인에 관
한 연구.아동학회지,23(
3),205-216.
한종혜(
1996)
.아동의 사회적 관계망에 따른 역량과 지각 및 자아존중감.
박사학위논문,경희대학교.
허임경(
2000)
.아동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와 자아개념과의 관계.석
사학위논문,전북대학교.
황경혜(
2009)
.부모양육태도와 아동의 사회적 유능감의 관계:기질에 따
른 차이.석사학위논문,부경대학교.
황애현(
2002)
.초등학교 아동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와 비합리적 신념
과의 관계.석사학위논문,인천교육대학교.
황혜숙(
2006)
.자기표현훈련이 농어촌지역 초등학생의 발표불안 및 자기

-51-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석사학위논문,여수대학교.
황혜순(
2007)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주의력결핍 과잉행동 아동의 사회적
유능감 및 자기 유능감 간의 관계.석사학위논문,성균관대학교.
Baumr
ind,D.(
1991)
.The i
nfl
uenc
e ofpar
ent
ing st
yle on a adol
esc
ent
c
ompe
tenc
eands
ubs
tanc
e.Jour
nalofEar
lyAdol
esc
enc
e,11,56-95.
Fr
emouw,W.J
.,& Br
eit
enst
ein,J
.L.(
1990)
.Spe
ech anxi
ety.I
n H.
Le
ite
nbe
rg(
Ed.
),Handbook ofs
oci
aland eval
uat
ion anxi
ety(
pp.
455-474)
.Ne
w Yor
k:Pl
enum Pr
ess
.
Got
tman,J
.M.(
1983)
.How c
hil
dre
n be
comef
riends:Wi
th comme
ntar
y
by Wi
ll
iam G.Gr
azi
ano.Monogr
aphsoft
heSoc
iet
yforRes
ear
chi
n
Chi
ldDevel
opment
,48(
3),1-86.
Kat
z,L.G.
,& Mc
Clel
lan,D.E.(
1997)
.Fos
ter
ing c
hil
dren'
ssoc
ial
c
ompet
enc
e: The t
eac
her
'sr
ole. Vol
. 8, NAEYC Res
ear
ch i
nto
Pr
act
iceSe
rie
s.
Kohn,M.
,& Ros
eman,B.L.(
1972)
.A s
oci
alc
ompe
tenc
e sc
ale and
s
ympt
om c
hec
kli
st f
or t
he pr
esc
hool c
hil
d. Devel
opment
al
Ps
ychol
ogy,6(
3),430-444.
Kr
uge
r,A.C.(
1992)
.The e
ffe
ctofpe
er and adul
t-chi
ldt
ransduct
ive
di
scus
sions on mor
alr
easoni
ng.Mer
ril
lPal
mer Quar
ter
ly,38(
2),
191-211.
Kuyke
ndal
l,J
.(1993)
."Pl
eas
e","
thank you"
,"you'
rewe
lcome
":Te
ache
r
l
anguagec
an posi
ti
vel
yimpac
tpr
osoc
ialde
vel
opme
nt.DayCar
eand
Ear
lyEduc
ati
on,21(
2),30-32.
Lamb,M.E.
,Hwang,C.P.
,Br
oge
rg,A.
,& Br
ooks
tei
n,F.L.(
1988)
.
The e
ffe
cts of out
-of
-home car
e on t
he deve
lopment of soci
al
c
ompe
tenc
e i
n Swe
den: A l
ongi
tudi
nal s
tudy. Ear
ly Chi
ldhood
Res
ear
chQuar
ter
ly,3(
4),379-402.
Le
one
,S.D.
,& Gumae
r,J
.(1979)
.Gr
oup as
ser
tivenes
str
aini
ng ofs
hy
c
hil
dre
n.TheSc
hoolCouns
elor
,27(
2),134-141.

-52-
Mc
Cabe
, P. C. (
1998)
. Ef
f
icac
y of t
he enhanc
e s
oci
al c
ompet
enc
e
pr
ogr
am wi
tht
ypi
caland l
anguage-del
ayed c
hil
dren.Unpubl
ishe
d
Doc
tor
alDi
sse
rtat
ion,Hof
str
aUni
ver
sit
y,He
mps
tead,Ne
w Yor
k.
O'
Mal
ley, J
. M. (
1977)
. Re
sear
ch pe
rspe
cti
ve on s
oci
al c
ompe
tenc
e.
Mer
ril
lPal
merQuar
ter
ly,23(
11)
,29-44.
Par
ker
,G.
,Tupl
ing,H.
,& Br
own,L.B.(
1979)
.A par
ent
albondi
ng
i
nst
rume
nt.Br
iti
shJour
nalofMedi
calPs
ychol
ogy,52,1-10.
Sc
hle
nke
r, B. R.
, & Le
ary, M. R. (
1982)
. Soc
ial anxi
ety and
s
elf
-pr
ese
ntat
ion: A c
onc
ept
ual
izat
ion and mode
l. Ps
ychol
ogi
cal
Bul
let
in,92(
3),641-669.
Wi
lbur
,L.P.(
1981)
.St
and up,s
peakup,ors
hutup:A pr
act
icalgui
de
t
opubl
ics
peaki
ng.Ne
w Yor
k:De
mbne
rBooks
.

-53-
<부 록>

<부록 1> 자녀가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 척도

<부록 2> 사회적 유능감 척도

<부록 3> 발표불안 척도

-54-
설 문 지

이 질문지는 여러분들이 부모님과 자기 자신에 대하여 어떤 느낌


이나 생각을 갖고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만들어졌습니다.

여러분이 대답한 내용은 절대 비밀이 지켜질 것이며 오직 연구의


목적으로만 사용됩니다. 또한 각 문항에는 맞고 틀리는 정답이 있
는 것이 아니므로 여러분은 자신의 평소 느낌이나 생각을 있는 그
대로 솔직하게 질문지에 표시하면 됩니다.

한 문항이라도 답을 하지 않은 설문지는 사용할 수가 없습니다.


애써 답해준 설문지가 잘 사용될 수 있도록 한 문제도 빠짐없이
솔직하고 성실하게 답해 주시기 바랍니다.

2010년 3월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상담심리 전공


김연주

※ 다음 문항 해당란에 V표 하세요.

1.성별: ① 남 ( ) ② 여 ( )

2.학년: ① 5학년 ( ) ② 6학년 ( )

-55-
■ 자녀가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 척도

다음 문항들은 아버지와 어머니가 여러분에게 나타냈던 행동이나 태도에 대


한 기술입니다. 어린 시절부터 지금까지 여러분의 기억을 되살려서, 각 문항에
답해 주세요. 아버지와 어머니를 구분하여 각각 표시해 주십시오.
만약 아버지나 어머니 중 한 분이 안 계시면 계신 분만 표시하면 됩니다. (V표)

정도
문 항 부모님
구분 전혀 약간 약간 매우
아니다 아니다 그렇다 그렇다
1. 우리 아버지(어머니)는 나와 가깝게 지내 아버지 ① ② ③ ④
는 친구들을 거의 알고 계신다. 어머니 ① ② ③ ④
2. 나는 집안에 있는 물건을 함부로 만지면 아버지 ① ② ③ ④
아버지(어머니)로부터 야단을 맞는다. 어머니 ① ② ③ ④
3. 우리 아버지(어머니)는 내가 훌륭한 사람이 아버지 ① ② ③ ④
되기만을 바라신다. 어머니 ① ② ③ ④
4. 우리 아버지(어머니)와 나는 마음이 잘 아버지 ① ② ③ ④
통한다. 어머니 ① ② ③ ④
5. 우리 아버지(어머니)는 내가 친구들과 잠 아버지 ① ② ③ ④
깐만 만나도 야단치시면서 공부만 하라고
하신다. 어머니 ① ② ③ ④
6. 우리 아버지(어머니)는 내가 조금이라도 아버지 ① ② ③ ④
실수하는 것을 용서하지 않으려고 하신다. 어머니 ① ② ③ ④
7. 나는 나의 아버지(어머니)께서 원하시는 아버지 ① ② ③ ④
이성과만 교제할 것이다. 어머니 ① ② ③ ④
8. 나는 조금만 일이라도 아버지(어머니)가 아버지 ① ② ③ ④
하라는 대로 안하면 크게 야단을 맞는다. 어머니 ① ② ③ ④
9. 나는 학교 성적이 조금만 떨어져도 아버지 아버지 ① ② ③ ④
(어머니)로부터 심한 꾸중이나 벌을 받는다. 어머니 ① ② ③ ④
10. 우리 아버지(어머니)는 나와 이야기 할 아버지 ① ② ③ ④
때에 나의 마음이나 생각을 이해하려고 하
신다. 어머니 ① ② ③ ④
11. 우리 아버지(어머니)는 내가 할 수 있 아버지 ① ② ③ ④
는 일까지 “이렇게 해라.” 하신다. 어머니 ① ② ③ ④
12. 우리 아버지(어머니)는 내가 학교에서 아버지 ① ② ③ ④
성적을 잘 받아야 만족 해 하신다. 어머니 ① ② ③ ④
13. 우리 아버지(어머니)는 나에게 어려운 아버지 ① ② ③ ④
일이나 근심이 있어 보이면 그 까닭을 알고
싶어 하신다. 어머니 ① ② ③ ④
14. 우리 아버지(어머니)는 내가 하고 싶어 아버지 ① ② ③ ④
하는 일이 나쁜 일이 아니면 허락해 주신다. 어머니 ① ② ③ ④
15. 우리 아버지(어머니)는 나에게 다음에는 아버지 ① ② ③ ④
꼭 누구보다 더 좋은 성적을 얻어야 된다는
말씀을 하신다. 어머니 ① ② ③ ④

-56-
정도
부모님
문 항 구분 전혀 약간 약간 매우
아니다 아니다 그렇다 그렇다
16. 우리 아버지(어머니)는 내가 이야기 하 아버지 ① ② ③ ④
면 나의 마음속이나 느낌까지 알아차리신
다. 어머니 ① ② ③ ④
17. 우리 집에서는 아버지(어머니) 말씀이 아버지 ① ② ③ ④
라면 무조건 따라야 한다. 어머니 ① ② ③ ④
18. 우리 아버지(어머니)는 오직 공부밖에 아버지 ① ② ③ ④
모르신다. 어머니 ① ② ③ ④
19. 우리 아버지(어머니)는 내가 무엇을 물 아버지 ① ② ③ ④
어보면 귀찮아도 대답을 잘해주신다. 어머니 ① ② ③ ④
20. 우리 아버지(어머니)는 잔소리가 많으 아버지 ① ② ③ ④
신 편이다. 어머니 ① ② ③ ④
21. 우리 아버지(어머니)는 나에게 “걱정 아버지 ① ② ③ ④
말아라. 힘내라.” 하는 말을 잘 하신다. 어머니 ① ② ③ ④
22. 우리 아버지(어머니)가 나에 대해서 가 아버지 ① ② ③ ④
장 관심을 갖는 것은 나의 학교 성적이다. 어머니 ① ② ③ ④
23. 내가 하는 일이 옳더라도 아버지(어머 아버지 ① ② ③ ④
니)의 마음에 들지 않으면 못하게 하신다. 어머니 ① ② ③ ④
24. 우리 아버지(어머니)는 내가 공부말고 아버지 ① ② ③ ④
다른 것을 하고 있으면 금방 화난 얼굴을
하신다. 어머니 ① ② ③ ④
25. 우리 아버지(어머니)와 이야기하면 아 아버지 ① ② ③ ④
버지(어머니)는 내 말뜻을 얼른 이해하시지
못한다. 어머니 ① ② ③ ④
26. 우리 아버지(어머니)는 어떤 일이든지 아버지 ① ② ③ ④
나에게 강제로 시키는 법은 없다. 어머니 ① ② ③ ④
27. 우리 아버지(어머니)는 나의 공부에 대 아버지 ① ② ③ ④
해서 걱정을 많이 하신다. 어머니 ① ② ③ ④
28. 우리 아버지(어머니)는 내가 공부를 어 아버지 ① ② ③ ④
떻게 하고 있는 잘 알고 계신다. 어머니 ① ② ③ ④
29. 우리집에서 내 마음대로 할 수 있는 것 아버지 ① ② ③ ④
은 거의 없다. 어머니 ① ② ③ ④
30. 나는 아버지(어머니)로부터 “너만은 꼭 아버지 ① ② ③ ④
성공해야 된다.”는 말을 들을 때가 있다. 어머니 ① ② ③ ④
31. 아버지(어머니)는 내가 심부름을 잘못 아버지 ① ② ③ ④
했을 때에도 꾸짖기보다는 애썼다고 용기를
북돋워 주시곤 한다. 어머니 ① ② ③ ④
32. 우리 아버지(어머니)는 나에 관한 일도 아버지 ① ② ③ ④
어머니 마음대로 정하여 버리신다. 어머니 ① ② ③ ④
33. 우리 아버지(어머니)는 내가 좋은 학교에 아버지 ① ② ③ ④
가기만을 바라신다. 어머니 ① ② ③ ④

-57-
■ 사회적 유능감 척도

다음의 각 문항은 여러분이 평소에 어떤 생각이나 태도를 가지고 있


는지를 알아보려는 질문입니다. 자신과 비슷하다고 생각되는 곳을 선택
하여 표시하세요. (V표)

정도
문 항 전혀 약간 약간 매우
아니다 아니다 그렇다 그렇다
1. 나는 처음 만나는 사람들에게 친절하게 대한다. ① ② ③ ④
2. 나는 친구들에게 다정하게 대한다. ① ② ③ ④
3. 나는 친구를 쉽게 잘 사귄다. ① ② ③ ④
4. 나는 처음 보는 친구들과도 잘 사귄다. ① ② ③ ④
5. 나는 여러 사람 앞에서 수줍어하지 않는다. ① ② ③ ④
6. 나는 새로운 모임에서 사람들에게 상냥하게 대한다. ① ② ③ ④
7. 나는 다른 친구들과 잘 어울린다. ① ② ③ ④
8. 나는 이웃 사람들과도 잘 사귄다. ① ② ③ ④
9. 나는 낯선 사람과도 쉽게 친해진다. ① ② ③ ④
10. 나는 누구에게나 말을 잘 건넨다. ① ② ③ ④
11. 나는 친구들과 말을 할 때 상대방을 존중해 준다. ① ② ③ ④
12. 나는 친구들에게 양보를 잘한다. ① ② ③ ④
13. 나는 친구들과 놀 때 다투지 않고 잘 논다. ① ② ③ ④
14. 나는 기분이 나빠도 친구에게 신경질을 부리지
① ② ③ ④
않는다.
15. 나는 친구의 마음을 상하게 하는 말을 하지 않
① ② ③ ④
는다.
16. 나는 나의 입장보다는 친구의 입장을 더 생각
① ② ③ ④
해 준다.
17. 나는 주위 사람들이 충고해 주면 고맙게 생각한다. ① ② ③ ④
18. 나는 사소한 일로 다른 사람들과 다투지 않는다. ① ② ③ ④
19. 나는 친구의 기분을 잘 파악한다. ① ② ③ ④
20. 나는 친구들과 심한 말다툼은 하지 않는다. ① ② ③ ④
21. 나는 친구들과 함께 활동하는 것을 좋아한다. ① ② ③ ④
22. 나는 여러 사람들과 함께 어떤 활동을 하는 것
① ② ③ ④
을 좋아한다.
23. 나는 여러 명과 어울려 노는 것을 좋아한다. ① ② ③ ④
24. 나는 친구를 좋아하고 함께 활동에 참여한다. ① ② ③ ④
25. 나는 친구들과의 모임에 자주 참석한다. ① ② ③ ④

-58-
정도
문 항 전혀 약간 약간 매우
아니다 아니다 그렇다 그렇다
26. 나는 친구들과 함께 행동할 때가 자주 있다. ① ② ③ ④

27. 나는 단체 활동에 참여하는 것을 좋아한다. ① ② ③ ④


28. 나는 시간이 나면 친구들과 재미있는 놀이를 한다. ① ② ③ ④
29. 나는 친구들과의 게임에 잘 참여한다. ① ② ③ ④
30. 나는 친구들이 하는 운동이나 놀이에 잘 참여한다. ① ② ③ ④
31. 나는 친구들의 어려운 문제를 잘 해결해 준다. ① ② ③ ④
32. 나는 친구들과의 모임을 잘 이끌어 나간다. ① ② ③ ④
33. 나는 친구들과 놀 때 놀이를 앞에서 이끌어 나
① ② ③ ④
간다.
34. 친구들은 내가 하자는 대로 잘 따른다. ① ② ③ ④
35. 친구들이 내 의견에 반대하면 잘 설득시킨다. ① ② ③ ④
36. 나는 자신 있게 새로운 활동을 앞장서서 이끌어
① ② ③ ④
나간다.
37. 나는 게임을 할 때 놀이를 잘 진행해 나간다. ① ② ③ ④
38. 나는 어려운 일도 내 나름대로 잘 처리한다. ① ② ③ ④
39. 나는 새로운 일을 자신 있게 시도한다. ① ② ③ ④
40. 나는 모임에서 진행을 자주 맡는다. ① ② ③ ④
41. 나는 친구들 모임에서 대표로 뽑힐 때가 있다. ① ② ③ ④
42. 나는 소풍가면 친구들에게 인기가 있다. ① ② ③ ④
43. 나는 학급에서 친구들을 곧잘 웃긴다. ① ② ③ ④
44. 친구들이 나를 잘 따른다. ① ② ③ ④
45. 나는 모임에서 분위기를 잘 살려서 친구들이 좋
① ② ③ ④
아한다.
46. 다른 사람들이 나를 좋아한다. ① ② ③ ④
47. 나는 주위 사람들에게 호감을 주고 인기가 있다. ① ② ③ ④
48. 나는 선생님에게 인정을 받고 인기가 있다. ① ② ③ ④
49. 나는 어떤 모임에서도 인기가 있는 편이다. ① ② ③ ④
50. 친구들은 나하고 친하게 지내고 싶어 한다. ① ② ③ ④

-59-
■ 발표불안 척도

사람들은 발표회와 같은 공식적인 자리에서 여러 사람들 앞에서 자신의 의


견을 발표하게 되면 여러 사람들의 시선을 의식하여 긴장을 하게 되어 자신이
하고자 했던 말들을 제대로 못하게 되는 경우가 많다고 합니다. 여러분들도 평
소 학급에서 수업 중 발표를 할 때 비슷한 경험을 한 적이 있을 것입니다.
다음의 각 문항은 여러분이 수업 중 발표를 할 때 드는 생각과 행동을 알아
보기 위한 검사입니다. 자신과 가장 가깝다고 생각되는 곳에 표시하세요. (V표)

정도
문 항 전혀 대체로
자주 항상
그렇지 그렇지 그렇다 그렇다 그렇다
않다 않다
1. 선생님과 친구들 앞에서 발표를 잘 못 할까봐
① ② ③ ④ ⑤
걱정이 된다.

2. 발표할 때 할 말을 잊어버릴까 봐 걱정이 된다. ① ② ③ ④ ⑤

3. 나의 발표를 선생님과 친구들이 어떻게 생각할


까 걱정된다. ① ② ③ ④ ⑤

4. 선생님께서 내게 질문하시려고 할 때 가슴이 뛴다. ① ② ③ ④ ⑤

5. 잘 못 발표한 경험을 쉽게 잊어버리지 못한다. ① ② ③ ④ ⑤

6. 발표하는 동안 긴장이 되어 마음을 안정시키기


① ② ③ ④ ⑤
어렵다.
7. 발표하는 도중 선생님이나 친구들이 비웃으면
어쩌나 하고 걱정된다. ① ② ③ ④ ⑤

8. 발표하고 난 후 내가 무슨 말을 했는지 생각이 ① ② ③ ④ ⑤


나지 않는다.
9. 공부 시간에 모르는 것이 있어도 불안해서 질문 ① ② ③ ④ ⑤
을 하지 못한다.

10. 선생님이 나한테 질문을 안 했으면 좋겠다. ① ② ③ ④ ⑤

11. 내가 다른 사람이었으면 하고 원할 때가 있다. ① ② ③ ④ ⑤


12. 다른 사람이 나의 결점을 알고 있지 않을까
걱정을 한다. ① ② ③ ④ ⑤
13. 나는 꼭 하고 싶은 일을 못할 것 같아 걱정이
된다. ① ② ③ ④ ⑤
14. 나는 어떤 일이 잘 안될 때는 내 자신을 비난하 ① ② ③ ④ ⑤
는 경향이 있다.
15. 다른 사람이 나에게 좋은 말을 하더라도 그것 ① ② ③ ④ ⑤
을 좋지 않게 생각한다.

-60-
정도
문 항 전혀 대체로 항상
그렇지 그렇지 그렇다 자주 그렇다
않다 않다 그렇다

16. 내가 할 수 있는 일이라도 남들이 보고 있을 때


① ② ③ ④ ⑤
는 잘 안 된다.

17. 나는 어떤 일을 할 때 성공하기 보다는 실패할


① ② ③ ④ ⑤
것 같은 생각이 더 든다.

18. 발표할 차례가 오면 무슨 말을 해야 할지 몰라


① ② ③ ④ ⑤
마음이 편치 않다.

19. 발표 할 때 내 생각이나 주장을 말하기 어렵다. ① ② ③ ④ ⑤

20. 친구들 보다 말하는 요령이 상당히 부족하다. ① ② ③ ④ ⑤

21. 화나는 일이 있으면 그것을 친구에게 솔직하게


① ② ③ ④ ⑤
말하지 않는다.

22. 발표하기 위해 일어서면 공연히 떨리고 당황한다. ① ② ③ ④ ⑤

23. 5년 동안 별로 발표해 본 경험이 없다. ① ② ③ ④ ⑤

24. 발표할 때 몸가짐, 시선, 얼굴표정, 손 등을 어


① ② ③ ④ ⑤
떻게 해야 할지 모른다.

25. 발표를 하게 되면 나도 모르게 몸과 마음이 굳


① ② ③ ④ ⑤
어진다.
26. 발표를 하게 되면 목소리가 작아지고 손, 발이
① ② ③ ④ ⑤
떨린다.

27. 발표 도중 당황해서 차례에 맞게 말을 못한다. ① ② ③ ④ ⑤

28. 발표할 때 선생님이나 친구들이 나만을 유심히


① ② ③ ④ ⑤
쳐다보는 것 같아 신경이 곤두선다.

29. 발표할 때 다른 친구보다 얼굴이 더 붉어지는 것


① ② ③ ④ ⑤
같다.

30. 발표하는 동안 가슴이 두근거리는 것 같다. ① ② ③ ④ ⑤

-61-
TheModer
ati
ng Ef
fectofSoci
alCompet
enceont
heRel
ati
on
Bet
ween Per
cei
ved Par
ent
s'Rear
ing At
tit
udeand
Present
ati
on Anxi
etyi
n El
ement
ary SchoolChi
ldren
Ki
m,Ye
onJ
u
De
part
mentofCounsel
ingPsychol
ogy
Gr
aduat
eSchoolofEducat
ion

Ke
imyungUni
ver
sit
y

(
Supe
rvi
sedbyPr
ofe
ssorChung,HyunHe
e)

(Abstract)

Thepur
pos
eoft
hisr
ese
arc
hwast
oinves
tigat
ethemode
rat
ing e
ffe
ct

ofs
oci
alcompe
tenceon t
her
elat
ion be
twe
en pe
rcei
ved par
ent
s'r
ear
ing

at
ti
tude and pr
ese
ntat
ion anxi
etyi
n el
eme
ntar
y sc
hoolc
hil
dre
n.The

s
ubj
ect
s oft
his st
udy we
re 361 boys and gi
rl
sint
he f
if
th and si
xth

gr
ade
s at
tendi
ng D and S el
eme
ntar
ysc
hool
sloc
ate
din Dal
seo-gu,

Dae
gu.The i
nst
rume
nts use
dfor t
hiss
tudy we
re Par
ent
s' Re
ari
ng

At
ti
tudeSc
ale
,Soc
ialCompe
tenc
eScal
e,andPr
ese
ntat
ionAnxi
etySc
ale
.

The col
lect
ed dat
a was anal
yze
d by t
he SPSS st
ati
sti
cal pr
ogr
am.

Fr
eque
ncy anal
yses we
rec
onduc
tedt
ofi
nd outdi
str
ibut
ion by ge
nder

and gr
ade of s
tude
nts,and Cr
onbac
h's α was c
alc
ulat
edt
o ver
ify

r
eli
abi
li
ty.I
n addi
ti
on,Pe
ars
on pr
oduc
tmome
ntc
orr
elat
ion anal
ysi
swas

us
edt
ofi
nd t
he c
orr
elat
ion be
twe
en var
iabl
es,and mul
ti
pler
egr
ess
ion

-62-
anal
ysi
s was c
onduc
ted t
ofi
nd out t
he mode
rat
ing e
ffe
ct of soci
al

c
ompe
tenc
e whe
n par
ent
s' r
ear
ing at
ti
tude has an i
mpac
t on

pr
ese
ntat
ion anxi
ety.The r
esul
ts oft
he s
tudy we
re as f
oll
ows
.Fi
rst
,

par
ent
s'r
ear
ing at
ti
tude i
nfl
uenc
ed pr
ese
ntat
ion anxi
ety.Sec
ond,s
oci
al

c
ompe
tenc
e had a mode
rat
ing e
ffe
ctwhen par
ent
s'ac
cept
anc
e-r
eje
cti
on

r
ear
ing at
ti
tude had an e
ffec
t on pr
ese
ntat
ion anxi
ety.Thi
rd,soci
al

c
ompe
tenc
eshowe
damode
rat
ing e
ffe
ctwhe
npar
ent
s'aut
onomy-c
ont
rol

r
ear
ing at
ti
tude af
fect
ed pr
ese
ntat
ion anxi
ety.Four
th,s
oci
alc
ompe
tenc
e

had a mode
rat
ing e
ffe
ctwhen par
ent
s'ove
r-non-ove
rre
ari
ng at
ti
tude

i
nfl
uenc
ed pr
ese
ntat
ion anxi
ety.The
se r
esul
ts sugge
stt
hat ef
for
tst
o

i
mpr
ove s
oci
al c
ompet
enc
e ar
e ne
ede
d t
o pr
eve
nt and r
educ
e

pr
ese
ntat
ionanxi
etyr
elat
edt
opar
ent
s'r
ear
ingat
ti
tude
.

-63-
초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와 발표불안간의
관계에서 사회적 유능감의 조절효과
김 연 주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상담심리전공
(
지도교수 정 현 희)

(초록)

본 연구는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초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와

발표불안간의 관계에 대한 사회적 유능감의 조절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대구광역시 달서구에 소재하는 D,S초등학교 5,6학년

남․녀 학생 361명이다.사용한 측정도구는 부모양육태도 척도,사회적 유

능감 척도,발표불안 척도이다.수집된 자료는 SPSS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

하여 분석하였다.조사대상자들의 성별,학년별 분포를 알아보기 위하여 빈

도분석을 실시하였고,각 척도의 신뢰도를 검증하기 위하여 Cr


onbac
h'sα

계수를 산출하였다.또 변인들의 상관관계를 살펴보기 위하여 Pear


son의

적률상관분석을 실시하였고,부모의 양육태도가 발표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사회적 유능감의 조절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위계적 중다회귀분

석을 실시하였다.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첫째,부모의 양육태도는 초

등학생의 발표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둘째,부모의 수용-

거부적 양육태도가 발표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사회적 유능감은

-64-
조절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셋째,부모의 자율-통제적 양육태도가

발표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사회적 유능감은 조절 효과가 있는 것

으로 나타났다.넷째,부모의 과잉-비과잉적 양육태도가 발표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사회적 유능감은 조절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오늘날의 학교 현장에서 부모의 양육태도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발표불안을 예방하고 발표불안의 정도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사회

적 유능감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데 관심과 노력이 필요함을 시

사해 준다.

-65-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