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79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

0 대한민국

이용자는 아래의 조건을 따르는 경우에 한하여 자유롭게

l 이 저작물을 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 및 방송할 수 있습니다.

다음과 같은 조건을 따라야 합니다:

저작자표시. 귀하는 원저작자를 표시하여야 합니다.

비영리. 귀하는 이 저작물을 영리 목적으로 이용할 수 없습니다.

변경금지. 귀하는 이 저작물을 개작, 변형 또는 가공할 수 없습니다.

l 귀하는, 이 저작물의 재이용이나 배포의 경우, 이 저작물에 적용된 이용허락조건


을 명확하게 나타내어야 합니다.
l 저작권자로부터 별도의 허가를 받으면 이러한 조건들은 적용되지 않습니다.

저작권법에 따른 이용자의 권리는 위의 내용에 의하여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이것은 이용허락규약(Legal Code)을 이해하기 쉽게 요약한 것입니다.

Disclaimer





석 사 학 위 논 문





도니제티 오페라 「샤무니의 린다」 연구

린 - 아리아와 이중창 중심으로 -


계 명 대 학 교 대 학 원
음 악 학 과

배 제 선


지도교수 박 옥 련

2
0
1
1

1
2 2011년 12월

도니제티 오페라 「샤무니의 린다」 연구
- 아리아와 이중창 중심으로 -

지도교수 박 옥 련

이 논문을 석사학위 논문으로 제출함

2011년 12월

계 명 대 학 교 대 학 원
음 악 학 과

배 제 선
배제선의 석사학위 논문을 인준함

주 심 이 영 기

부 심 박 옥 련

부 심 김 승 철

계 명 대 학 교 대 학 원

2011년 12월
목 차

1. 서론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
1.1 연구 목적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
1.2 연구 범위와 방법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
2. 본론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
2.1 이론적 배경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
2.1.1 19세기 전반의 이탈리아 오페라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
2.1.2 도니제티의 생애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
2.1.3 도니제티의 작품 세계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7
2.2 오페라 「샤무니의 린다」 분석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2
2.2.1 작곡 배경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2
2.2.2 오페라의 내용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3
2.2.3 린다의 아리아 분석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7
2.2.4 린다와 카를로의 이중창 분석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1
2.3 연구 결과의 종합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0
3. 결론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3
참고문헌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6
영문초록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7
국문초록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70

i
<표 목 차>

1. 도니제티의 작품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8
2. <내 마음의 빛; O Luce di quest'anima>의 형식 ·
··
··
··
··
·
··
··
··
··
··
··
··
·
··
··
·
··
··
·
··21
3. <그대를 만난 날부터; Da quel dì che t'incontrai>의 형식 ·
··
··
··
··
··
··
··42

ii
(악 보 목 차)

1. 린다의 아리아 1 ~ 14마디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1
2. 린다의 아리아 15 ~ 30마디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3
3. 린다의 아리아 31 ~ 39마디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4
4. 린다의 아리아 40 ~ 47마디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5
5. 린다의 아리아 48 ~ 55마디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6
6. 린다의 아리아 56 ~ 67마디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6
7. 린다의 아리아 68 ~ 99마디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8
8. 린다의 아리아 100 ~ 125마디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0
9. 린다와 카를로의 이중창 1 ~ 9마디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3
10. 린다와 카를로의 이중창 10 ~ 50마디 ·
··
··
··
··
··
··
··
··
··
·
···
··
··
··
··
··
··
·
···
··
··
··
··
··
··
··
··44
11. 린다와 카를로의 이중창 51 ~ 69마디 ·
··
··
··
··
··
··
··
··
··
·
···
··
··
··
··
··
··
·
···
··
··
··
··
··
··
··
··46
12. 린다와 카를로의 이중창 70 ~ 79마디 ·
··
··
··
··
··
··
··
··
··
·
···
··
··
··
··
··
··
·
···
··
··
··
··
··
··
··
··48
13. 린다와 카를로의 이중창 80 ~ 98마디 ·
··
··
··
··
··
··
··
··
··
·
···
··
··
··
··
··
··
·
···
··
··
··
··
··
··
··
··49
14. 린다와 카를로의 이중창 99 ~ 112마디 ·
··
··
··
··
··
··
··
··
·
···
··
··
··
··
··
··
·
···
··
··
··
··
··
··
··
··51
15. 린다와 카를로의 이중창 113 ~ 125마디 ·
··
··
··
··
··
··
··
·
···
··
··
··
··
··
··
·
···
··
··
··
··
··
··
··
··52
16. 린다와 카를로의 이중창 126 ~ 145마디 ·
··
··
··
··
··
··
··
·
···
··
··
··
··
··
··
·
···
··
··
··
··
··
··
··
··53
17. 린다와 카를로의 이중창 146 ~ 165마디 ·
··
··
··
··
··
··
··
·
···
··
··
··
··
··
··
·
···
··
··
··
··
··
··
··
··55
18. 린다와 카를로의 이중창 166 ~ 180마디 ·
··
··
··
··
··
··
··
·
···
··
··
··
··
··
··
·
···
··
··
··
··
··
··
··
··56
19. 린다와 카를로의 이중창 181 ~ 199마디 ·
··
··
··
··
··
··
··
·
···
··
··
··
··
··
··
·
···
··
··
··
··
··
··
··
··58
20. 린다와 카를로의 이중창 200 ~ 214마디 ·
··
··
··
··
··
··
··
·
···
··
··
··
··
··
··
·
···
··
··
··
··
··
··
··
··59

iii
1. 서 론

1.1 연구 목적

19세기 이탈리아는 오페라의 전성기라고 불려진다. 그 중 19세기 낭만주


의 오페라의 삼총사라고 알려진 롯시니, 도니제티, 벨리니는 이탈리아 오
페라를 이끌고 나간 주요 인물들이다. 그 중 도니제티는 70여편의 오페라
와 더불어 오라토리오, 칸타타, 실내악곡, 교회음악, 100여곡의 노래, 몇
몇 교향곡을 작곡하였다1).
몇몇 사람들은 도니제티가 롯시니와 베르디의 그늘에 가려 있다고는 하
지만 사실상 그는 두 사람의 가교 역활을 했다. 도니제티는 롯시니와 같이
벨칸토2)를 중시했고, 또 베르디와 같이 음악은 극을 보강하는 역할을 해야
한다는 믿음을 가졌다. 하지만 그는 개혁가이기도 했다. 그는 크레셴도3),
이중아리아, 피날레 아리아와 같이 롯시니가 과도하게 사용했던 것들을 과
감히 없앴다. 그리고 전통적으로 레치타티보와 아리아를 분리시켜왔던 것
을 거부하고 지속적으로 이어지는 음악을 만들었다. 무엇보다도 그는 장인
정신을 가지고 열심히 노력해서 훌륭한 선율들을 썼다4). 이러한 노력들이
도니제티의 벨칸토 오페라 작품들의 특별함을 말해준다.
본 연구의 소재는 19세기 낭만주의 오페라의 대표 작곡가라 할 수 있는 도
니제티의 오페라 「안나 볼레나; Anna Bolena, 1536」, 「사랑의 묘약;
L'Elisir d'amore, 1832」, 「람메르무어의 루치아; Lucia di Lammermoor,
1835」 등 그 외 소프라노 아리아 <내 마음의 빛; O Luce di quest'anima>

1) 민은기, 오지희, 이희경(DONALD J. GROUT, CLAUDE V. PALISCA, J. PETER BURKHOLDER) 그라우트 서


양음악사 (서울: 이엔비플러스, 2007) 116.
2) 아름다운 노래라는 뜻. 18세기에 이탈리아에서 성립. 극적 표현이나 낭만적인 서정보다도 음의 아
름다움, 얼룩이 없는 부드러운 울림이나 원활한 발성에 중점이 두어진다. 비르투오소(예술의 기술
이 뛰어난 사람)적 요소의 극단적인 과시나 그런 것들이 원인이 된 글룩이나 바그너 등의 반동이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벨칸토는 고도의 창법으로 알려져 있다.
3) 점점 세게 연주하기.
4) 황윤희(Alan Riding) 오페라의 세계 (서울: 21세기 북스, 2009) 149.

- 1 -
로 잘 알려진 오페라 「샤무니의 린다; Linda di chamounix, 1842」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에서 아직 연주 된 적이 없는 오페라 「샤무니의 린
다」 중 린다의 아리아 <내 마음의 빛; O Luce di quest'anima>과 린다와
오페라의 남자 주인공인 카를로의 이중창 <그대를 만난 날부터; Da quel
dì che t'incontrai>의 올바른 연주 해석 방법을 제시하는 것이다.

1.2 연구 범위와 방법

본 연구에서는 도니제티의 생애 작품 중 후기에 속하는 오페라 「샤무니


의 린다」를 연구의 소재로 하여 연구한다. 또한 도니제티가 활동했던 시대
인 19세기 낭만 오페라의 이론적 배경과 도니제티의 생애 그리고 그의 작
품 세계에 대해 알아봄으로써 당시의 시대 상황과 배경지식을 알고자 한
다.
연구의 실제에서는 오페라 「샤무니의 린다」의 작품의 전반적인 내용에
대한 검토를 한다. 이후 오페라의 여자 주인공인 린다의 아리아 <내 마음
의 빛; O Luce di quest'anima>과 린다와 오페라의 남자 주인공인 카를로
의 이중창 <그대를 만난 날부터; Da quel dì che t'incontrai> 의 가사 내
용과 조성의 흐름, 화성, 선율, 빠르기와 셈여림의 변화를 중심으로 찾아
등장인물의 심리 변화와 어떻게 관련되어 있는지 찾아 볼 것이다. 악보는
Ricordi opera vocal score series 로 분석한다.
본 연구를 통하여서 많은 연주자들이 오페라 「샤무니의 린다」에 대하여
깊이 이해하고 린다의 아리아 <내 마음의 빛; O Luce di quest'anima>과
린다와 오페라의 남자 주인공인 카를로의 이중창 <그대를 만난 날부터; Da
quel dì che t'incontrai>를 연주 할 때 작곡가의 의도에 충실한 표현을
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한다.

- 2 -
2. 본 론

2.1 이론적 배경

2.1.1 19세기 전반의 이탈리아 오페라

2.1.1.1 시대적 배경
오페라의 탄생 이래 이탈리아에는 적지 않은 기복이 있었으며, 19세기
이전만 해도 표면상으로는 화려했지만 그 내용은 저조한 편이었다. 그러나
19세기에 이르러 주목할 만한 작곡가들이 나타나 이탈리아 오페라의 나아
갈 방향을 제시하는 등 많은 명작들을 남겼다. 이때 자본주의의 성장과 근
대국가의 성립에서 야기되는 여러 나라의 국민적인 사조(思潮) 등은 오페
라에 많은 영향을 주었다. 그리하여 이는 국민문학과 음악을 결부시키는데
좋은 계기가 되었다. 즉 낭만적인 동경을 꿈꾸던 당시의 사고방식이 오페
라에 있어서 꿈의 세계를 그리는데 아주 적절했던 것이다. 그러므로 이때
여러 나라에서는 오페라 붐이 일어나고 있었다5). 낭만주의자들은 자신들이
추구하는 ‘
본질의 것’
,‘신적인 것’
은 이성이 아닌 감정을 통해서 도달할 수
있는 것이고, 이 세계는 오로지 예술 작품만을 통해서 펼쳐질 수 있다고 보
았다. 때문에 예술가들의 자유로운 상상력은 제한 받아서는 안 되며, 그들은
자유로운 상상력이 신의 세계를 예감할 수 있다고 주장하였다6). 낭만주의7)
초점은 ‘
인간’이었다. 이 시대의 모든 예술과 음악은 인간의 내적 본성, 감
정을 중요시 하는 것이다. 고전주의는 사회, 문화, 음악의 다양함을 하나의
양식의 지배하에 둔다고 표현 할 수 있다. 하지만 낭만주의는 양식, 형식,
규범과 전통적인 것에 대해 반항을 하며 독창성에 대한 끊임없는 추구와 개

5) 이성삼, 세계 명작 오페라 해설 (서울: 세광음악출판사, 1992) 34.


6) 박아영, “G. Donizetti의 오페라 「Lucia di Lammermoor」의 Lucia Aria 연구: Lucia 심리에 따른
음악어법 연구,” 석사학위논문, 울산대학교, 2009, 3.
7) 감정적이고 주관적인 동시에 정서가 풍부함을 뜻함.

- 3 -
인의 감정이나 정서를 극적인 방법으로 표현하는데 있었다8).
오페라는 낭만파 시대의 모든 형태의 음악을 하나로 통합시키는 데 결정
적인 기회를 제공했으며 문학적(시, 대사), 연극적(구성, 연기), 미술적
(무대장치, 의상), 무용적 요소와 음악이 결합된 종합 예술이다. 낭만파
시대의 모든 오페라는 서사적인 주제나 초자연주의, 미스터리, 정열에 관
한 표현을 위주로 하여 사치스런 성격을 띈다. 18세기의 오페라는 폐쇄형
식에서의 다양성을 지닌 이탈리아의 오페라에 의해 지배당하는 경향을 보
였으나 19세기에는 이탈리아, 프랑스, 독일이 각국의 특성에 맞는 고유 양
식을 유지해 나갔다.
먼저 이탈리아 오페라는 연속적인 줄거리가 없는 일련의 레치타티보, 아
리아, 듀엣, 합창의 나폴리의 양식9)을 유지한다. 레치타티보와 아리아는
대중적인 벨칸토 양식과 기교에 중점을 둔 폐쇄형식으로서 여전히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었다. 성악과 기악에 있어서 균형이 잘 이루어지긴 하
였으나 기악은 동등한 위치가 아닌 여전히 반주로서의 기능이 강했던 것이
사실이다. 이탈리아 오페라의 다른 특성으로는 베리스모10)라는 사실주의를
들 수 있는데 이는 음악의 흐름이나 작곡기법에 한정하지 않고 오페라 대
본이 일상생활을 묘사하는 것을 말한다.
프랑스 오페라는 19세기 그랜드 오페라와 희가극의 두 가지 형식이 하나
로 통합되었다. 이탈리아 양식에서는 찾아 볼 수 없는 극적인 줄거리와 음
악의 통합 형태가 존재하였으며 멜로디의 서정성을 더욱 강조하고 기교면
에서는 약세를 보였다. 또한, 프랑스 오페라는 음악이나 극적인 성격에서
는 좀 더 절제된 양상을 보인다.
독일 오페라는 낭만 오페라와 악극이라는 두 가지 양식으로 나눌 수 있

8) 김진상, 음악사의 이해 (서울: 벨로체, 2002) 27.


9) 18세기에 나폴리에서 발생하여 그 지역에서 발전된 양식. 로마 오페라의 영향을 받아 풍요하고 섬
세한 음색을 나타내는 오케스트라와 벨칸토 발성법을 사용한다. 대표적 작곡가들로서는 A.스카를
랏티, 페르골레지, 제로, 프로벤짜레 등이 있다.
10) 영어로 verism. 가극, 음악, 회화에서 현실주의 19세기 후반 이탈리아 오페라에 일었던 운동으로
현실의 사건을 취급한 대본을 말하며, 작품으로는 마스카니의 <까발레리아 루스티카나(Cavalleria
rusticana)>(1890), 레온 카발로의 <팔리앗치(Pagliacci)>(1892)등이 대표적인 작품이며, 푸치니
의 <라보엠(La Bohem)>(1896)이 변형된 베리스모이다.

- 4 -
으며 악극은 바그너에 의해 창안되고 발전되었다. 낭만 오페라에서 그 줄
거리는 초자연적인 힘이나 신비스런 자연을 주제로 하는 전설이나 민담에
기초를 두는데 이는 극적인 표현을 강화시키는 역할을 한다11).

2.1.1.2 벨칸토 오페라


벨칸토(Bel Canto)는 17세기 중엽 이탈리아의 단순하고 서정적인 창법을
말하며, 또한 18세기에서 19세기 초 이탈리아의 화려하고 아름다운 목소리
에 의한 창법을 가리킨다. 벨칸토의 가창은 목소리가 자유롭지 않으면 불
가능하다. 목소리가 충분히 자유로우면 그것은 넓은 음역에 걸쳐 참으로
공명된 소리가 되어 나타난다. 또 최강음에서 최약음까지 완전히 컨트롤
할 수가 있고, 편하고 탄력있게 연주 할 수가 있다. 벨칸토 가창의 이상은
목소리를 완벽하게 구사한다는 위와 같은 특징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들
특징은 정말로 아름다운 음에는 없어서는 안 될 요소이다12).
벨칸토 오페라의 역사를 살펴보면 후기 르네상스에서 바로크 시대로 전환
하는 시점에 이탈리아에서 성악의 황금시대가 열렸다. 1600년경에 오페라가
창안되자 가수들은 교회음악에서 제한적으로 주어졌던 발성의 한계를 벗어나
성악적인 테크닉을 마음껏 발휘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지게 되었다. 교회는 과
도한 기교를 거부했으며, 비르투오소(virtuoso)13)등의 자유로운 표현을 용납
하지 않았기에 세속적인 극장의 분위기는 그들의 연주에 다시없는 좋은 환경
이 되어 주었으며, 명가수들도 이 새로운 처지에 눈부시게 호응하여 나아갔
다. 당시 서정적인 음악극이 탄생한 것은 어느 한 무리의 상류 지식 계급 사
람들의 손에 의해서였다. 이들이 고대 그리스의 연극을 한 번 부활시켜 보자
고 기획한 시도에서 태어났던 것이다. ‘ 14)라고 불리던 이
카메라타(Camerata)’
모임에서 시도한 것은 ‘
다프네와 아폴로’라는 신화에 곡을 넣는 것이었다.

11) 김진상 244-245.


12) 대한음악저작연구회 (Cornelius L. Reid) 벨칸토 발성법 (서울: 삼호 출판사, 1993) 25.
13) 예술의 기교가 뛰어난 사람.
14) 1580년경부터 피렌체의 바르디 가에 모여 새로운 음악형식의 가능성에 대해 논의했던 문학가, 음
악가의 그룹. 그들은 고대 그리스의 음악, 특히 그리스 비극을 연구하여 그것을 바탕으로 새로운
형식이나 양식을 만들어 내고자 했다.

- 5 -
음악극에서 합창을 극의 흐름에 맞게 넣어 부수적으로 쓰고 그 대신 몇 명의
등장인물을 내세워 드라마의 논리적인 전개를 확실하게 하였다. 카메라타는
극음악에 필요한 사고나 감정을 표현하기 위해 유연한 리듬과 불규칙한 악구
를 가진 낭송조의 선율을 제시하였다. 그 선율은 단순하지만 때때로 감정적
인 표현이 필요할 때는 화려한 음악적 장식을 할 수 있었다15). 많은 사람들
은 이에 열광하게 되었고 모노디(Monody)16)로 발전하게 된다. 이후 모노디는
다 카포 아리아(da copo aria)17)의 도입으로 한 단계 발전되었으며 이 후 다
카포 아리아의 연주에 가수의 어느 정도 자유가 인정되면서 즉흥적인 장식
음, 기교적인 콜로라투라(coloratura)18)의 사용, 카덴짜(cadenza)19)의 확대
를 통해 매우 화려하게 장식하여 불렀다. 이렇게 되면서 처음 오페라를 창시
하였던 카메레타의 이상은 무너지게 되었고 오페라는 타락하여 갔다. 반면에
가수들에게는 더 좋은 목소리와, 기교, 호흡, 발성법이 요구되었기 때문에
가창예술은 발달하게 되었다. 그러나 이 창법은 1720년에서 1790년 사이의
카스트라토20)가 소멸됨에 따라 쇠퇴하기 시작하였다.
그러다가 19세기 초에 롯시니가 이탈리아 고유의 창법으로의 회기를 주
창함에 따라 도니제티와 벨리니가 뒤이어 그를 따르게 되었다. 그럼으로써
벨칸토 오페라를 독특한 스타일과 어법으로 발전시켰다. 이 양식은 21세기
에 이르러서도 그 영향력을 계속 미쳐오고 있다.

2.1.2 도니제티의 생애

70여편의 오페라를 남긴 도니제티(Domenico Gaetano Maria Donizetti)는


1797년 베르가모에서 태어났다. 1806년 그는 산타 마리아 아지오레 성당에

15) 박아영 5.
16) 폴리포니 형태에 반항하여 처음으로 제창한 독창형태의 다선율.
17) 17세기 중엽에서 18세기 중엽에 걸쳐 발달한 아리아의 형식으로 ‘
A-B-A’
의 세도막 형식을 가진 다.
18) 벨칸토 오페라에서 자주 사용되던 선율과 그 형식을 일컫는 말. 빠른 템포로 많은 꾸밈음이나 트
릴이 넘치는 화려한 선율.
19) 마침 앞에 삽입되며 주자의 테크닉을 최대한 발휘할 수 있도록 하기위한 화려하고 자유로운 무반
주 부분.
20) 여성 음역인 소프라노 또는 코트랄로 성부를 노래하는 남성 가수. 넓은 음역, 유연성, 힘을 지닌
이들의 소리는 사춘기 전에 거세를 함으로써 얻었다.

- 6 -
서 마이어(Johann Simon Mayr)로부터 음악을 배웠고 마이어의 도움으로
1814년 볼로냐의 음악원에 입학, 마테이 신부 (Padre Stanlislao Mattei)
한테 음악을 공부하였다. 그러나 그를 법률가로 키우려던 부친과의 불화로
군에 입대하였지만, 군대 안에서도 시간을 내어 오페라 작곡에 힘썼다.
1823년 제대 후, 오페라 작곡가로 입신하여 이탈리아 각지에서 해마다 새
작품을 발표하여 점차 작곡가로써의 지위를 굳혀 나갔다. 1830년대로 들어
오게 되면서 그의 작곡 기법은 원숙하게 되었고, 오페라 부파로는 <사랑의
묘약(1832)>, <연대의 딸(1840)>, <돈 파스콸레(1843)> 등을 내놓았고, 한
편 오페라 세리아로는 <루크레치아 보르지아(1834)>, <람메르무어의 루치
아(1835)> 등을 남겼다. 빈이나 파리에서도 활약했지만 1845년경부터 신경
성 마비로 고향인 베르가모로 돌아와 1848년 4월 8일 50세로 세상을 떠났
다. 도니제티 오페라의 특징은 가수의 아름다운 소리를 어떻게 발휘하느냐
하는 방법의 탐구에 있다.

2.1.3 도니제티의 작품세계

도니제티의 작품 경향을 관현악 기법으로 보았을 때 초기 작품은 롯시니


의 영향을 받아 보다 더 선율을 중심으로 효과적인 장면을 중시했으나 관
현악 반주 보다는 가수의 장점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도록 작곡하였다. 그
렇기 때문에 관현악 기법이 뛰어난 롯시니에 비해 도니제티의 작품에서는
관현악적 특징이 부족한 경향이 있었다. 그러나 원숙기를 맞이하면서부터
는 제재의 폭을 넓힘과 동시에 극장 효과를 고려하고 화려한 성부에 효과
적인 관현악을 배치하여 청중을 열광시켰다21).
또한 성악적 기법으로 보았을 때 도니제티는 19세기 낭만주의적 요소에
서 레치타티보를 즐겨 사용했다. 도니제티의 음악은 롯시니의 음악처럼 화
려하지도 않고 또 베르디의 음악처럼 진지함과 성실함을 보여주는 것은 아
니지만 큰 장면을 효과적으로 연출했다. 표현적인 음악을 즐겨 썼지만, 장

21) 박세원, 음악대사전 (서울: 세광음악출판사, 1987) 228.

- 7 -
면에서 극적이거나 유머스러운 요소를 연출했으며 반음계적인 화음은 사용
하지 않았다.
앙상블에서는 병행 3도나 6도가 종종 나오며 많은 선율이 사실상 스케일
패턴에 기초를 두고 있다. 「람메르무어의 루치아」의 3막의 광란의 장면과
2막의 유명한 6중창은 도니제티 음악의 대표적인 예이다. 스폰티니나 롯시
니처럼 종종 두 명의 가수나 합창, 혹은 앙상블에 의해 옥타브나 단음으로
된 두드러진 선율을 노래하게 했다.

<표 1> 도니제티의 작품22)

년도 제목 유형 막 초연
피그말리오네 단막 베르가모 도니제티 극장
1816 1
(Il Pigmalione) 오페라 1816.10.13.
보르고냐의 엔리코 베니스 산 루카 극장
semiseria 2
(Enrico di Borgogna) 1818.11.14.
1818
베니스 산 루카 극장
우나 폴리아 (Una Follia) farsa 1
1818.12.15.
리보니아의 목수 베니스 사무엘레 극장
1819 buffa 2
(Il Falegname di Livonia) 1819.12.26.
카니발 시즌동안
1820- 별장에서의 결혼
buffa 2 만투아 베키노 극장
1821 (Le nozze in villa)
1820-1821
그라나다의 조라이다 로마 아르젠티나 극장
seria 2
(Zoraida di Granata) 1822.1.28.
나폴리 누오보 극장
집시 여인 (La Zingara) seria 2
1822.5.12.
1822
익명의 편지 나폴리 폰도 극장
farsa 1
(La Lettera anonima) 1822.6.29.
키아라와 세라피나 밀라노 스칼라 극장
semiseria 2
(Chiara e Serafina) 1822.10.26.
알프레드 대왕 나폴리 산 카를로 극장
1823 seria 2
(Alfredo il Grande) 1823.7.2.

22) 심현옥, “벨칸토 오페라에 관한 연구: G. Rossini, G. Donizetti, V. Bellini를 중심으로,” 석


사학위논문, 한서대학교, 2009, 23.

- 8 -
멋진 사기 나폴리 누오보 극장
buffa 2
(Il fortunato inganno) 1823.9.3.
당혹스런 가정교사 로마 발레 극장
buffa 2
(L'ajo nell'imbarazzo) 1824.2.4.
1824
리버풀의 에밀리아 나폴리 누오보 극장
semiseria 2
(Emilia di Liverpool) 1824.7.28.
그라나다의 알라오르 팔레르모 카롤리노 극장
seria 2
(Alahor in Granata) 1826.1.1.
나폴리 산 카를로 극장
1826 엘비다 (Elvida) seria 1
1826.7.6.
베르지의 가브리엘 나폴리 산 카를로 극장
seria 3
(Gabriella di Vergy) 1869.11.29.
올리보와 파스콸레 로마 발레 극장
buffa 2
(Olivo e Pasquale) 1827.1.7.
2시간 속의 8개월 나폴리 누오보 극장
romantica 3
1827 (Otto mesi in due ore) 1827.5.13.
자르담의 시장
나폴리 폰도 극장
(Le borgomastro di buffa 2
1827.8.19.
Saardam)
연극적인 조화와 부조화
1821- 나폴리 누오보 극장
(Le Convenienze ed farsa 2
1831 1827.11.21.
inconvenienze teatrali)
로마의 추방자 나폴리 산 카를로 극장
seria 2
(L'Esule di Roma) 1828.1.1.
골콘다의 여왕 알리나 제노바 카를로 펠리체
(Alina, regina di semiseria 2 극장
1828 Golconda) 1828.5.12.
칼레의 잔니 나폴리 폰도 극장
semiseria 3
(Gianni di Calais) 1828.8.2.
사순절 전이 마지막 목요일 나폴리 폰도 극장
farsa 1
(Il Giovedi grasso) 1828.8월
나폴리 산 카를로 극장
추방자 (Il Paria) seria 2
1829.1.12.
1829 케닐워스의 성
나폴리 산 카를로 극장
(Il castello di seria 3
1829.7.6.
Kenilworth)
1830 고의의 미치광이 farsa 1 나폴리 폰도 극장

- 9 -
(I Pazzi per progetto) 1830.2.6.
azione
대홍수 나폴리 산 카를로 극장
tragica-sa 3
(Il diluvio universale) 1830.2.28.
cra
1830 람베르타치의 이멜다 나폴리 산 카를로 극장
seria 2
(Imelda de'Lambertazzi) 1830.9.5.
안나 볼레나 밀라노 카르카노 극장
seria 2
(Anna Bolena) 1830.12.26.
파리의 잔니 밀라노 스칼라 극장
comica 2
(Gianni di Parigi) 1839.9.10.
푸아의 프란체스카 나폴리 산 카를로 극장
1831 semiseria 1
(Francesca di Foix) 1831.5.30.
여류 소설가와 검은 옷의 남자 나폴리 폰도 극장
buffa 1
(La Romanziera e l'uomo nero) 1831.6.18.
나폴리 산 카를로 극장
파우스타 (Fausta) seria 2
1832.1.12.
파리의 백작 우고 밀라노 스칼라 극장
seria 2
(Ugo, Conte di Pargi) 1832.3.13.
1832
사랑의 묘약 밀라노 카노비아나 극장
comica 2
(L'elisir d'amore) 1832.5.12.
카스틜뤼아의 산치아 나폴리 산 카를로 극장
seria 2
(Sancia di Castiglia) 1832.11.4.
산 도밍고 섬의 광인
로마 발레 극장
(Il furioso all'isola di San semiseria 3
1833.1.2.
Domingo)
플로렌스 페르골라 극장
파리지나 (Parisina) seria 3
1833 1833.3.17.
토스콰토 타소 로마 발레 극장
semiseria 3
(Torquato Tasso) 1833.9.9.
루크레치아 보르지아 밀라노 스칼라 극장
seria 2
(Lucrecia Borgia) 1833.12.26.
영국의 로즈몬다 플로렌스 페르골라 극장
seria 2
(Rosmonda d'Inghilterra) 1834.2.27.
나폴리 산 카를로 극장
마리아 스투아르다
1834 seria 3 「부온델몬테」라는 제목으로
(Maria Stuarda)
1834.10.18.
베르지의 젬마 seria 2 밀라노 스칼라 극장

- 10 -
(Gemma di Vergy) 1824.12.26.
마리노 팔리에로 파리 이탈리앙 극장
seria 3
(Marino Fariero) 1835.3.12.
1835
람메르무어의 루치아 나폴리 산 카를로 극장
seria 3
(Lucia di Lammermoor) 1835.9.26.
베니스 페니체 극장
벨리사리오 (Belisario) seria 3
1836.2.4.
밤의 종 나폴리 누오보 극장
farsa 1
(Il Campanello di notte) 1836.6.1.
1836
나폴리 누오보 극장
베틀리 (Betly) giocoso 2
1836.8.24.
칼레의 포위 나폴리 산 카를로 극장
seria 3
(L'Assedio di Calais) 1836.11.19.
피아 데 톨로메이 베니스 아폴로 극장
seria 2
(Pia de'Tolomei) 1837.2.18.
1837
로베르토 데브뤼 나폴리 산 카를로 극장
seria 3
(Roberto Devereux) 1837.10.29.
루덴즈의 마리아 베니스 페니체 극장
seria 3
(Maria de Rudenz) 1838.1.30.
1838
나폴리 산 카를로 극장
폴리우토 (Poliuto) seria 3
1848.11.30.
grand 파리 오페라
순교자 (Les Martyrs) 4
opera 1840.4.10.
1839
알바 공작 grand 로마 아폴로 극장
4
(Le Duca d'Alba) opera 1882.3.22.
연대의 딸 파리 오페라 코미크
comique 2
(La Fille du regiment) 1840.2.11.
1840
grand 파리 오페라
파보리타(La Favorite) 4
opera 1840.12.2.
로마 아폴로 극장
아델리아 (Adelia) seria 3
1841.2.11.
파리 오페라 코미크
1841 리타 (Rita) comique 1
1860.5.7.
마리아 파딜라 밀라노 스칼라 극장
seria 3
(Maria Padilla) 1841.12.26.
샤무니의 린다 비엔나 케른트나토
1842 semiseria 3
(Linda di chamounix) 1842.5.19.
1843 돈 파스콸레 buffa 3 파리 이탈리앙 극장

- 11 -
(Don Pasquale) 1843.1.3.
비엔나 케른트네르토르
로앙 가의 마리아
seria 3 극장
(Maria di Rohan)
1843.6.5.
1843 포르투갈의 왕 돈
세바스티앙 grand 파리 오페라
5
(Don Sébastien, Roi de opera 1843.11.13.
Portugal)
카테리나 코르나로 나폴리 산 카를로 극장
1844 seria 2
(Caterina Cornaro) 1844.1.12.
1843 나를 잊지마오 런던 헬리 우드홀
comique 3
(미완성) (Ne M'oubliez pas) 1979.1월

2.2 오페라 「샤무니의 린다」 분석

2.2.1 작곡 배경

1841년 12월 「마리아 파딜라(Maria Padilla, 1841)」의 초연 뒤 도니제티


는 밀라노에 남아 친구 안드레아와 주제피나의 집에서 묵었다. 스칼라 극장
을 위해 「마리아 파딜라」의 작곡을 의뢰했던 감독 바르톨로메이 메렐리는
역시 그의 책임 하에 있던 비엔나의 케른트나토 극장에서 공연할 오페라를
도니제티에게 청탁했다. 아돌프-필립 당네리(Adolphe-Philippe d'Enney)와
귀스타브 르무안(Gustav Lemoine)이 공동으로 쓴 희곡 「신의 은총(La
grace de Dieu)」을 토대로 각색한 가에타노 롯시(Gaetano Rossi)의 대본으
로 도니제티는 「샤무니의 린다」를 작곡하기 시작하여 3월 초 경에 완성해
스코어를 비엔나에 보냈다.
1842년 5월 17일 초연한 「샤무니의 린다」는 초연으로부터 17회동안 극장
이 만원사태에 이르렀고, 초연 뒤, 황후 마리아 캐롤리나는 오스트리아의
황후가 오페라「린다」의 공연을 기념해 1842년 5월 19일 저녁 ‘
도니제티에
게’
라고 손수 수놓은 스카프를 작곡가에게 하사했다. 6월 들어, 도니제티는

- 12 -
한때 모차르트가 맡았던 오스트리아의 궁정 작곡가로 임명됐다.23)
또한, 프랑스 남동부의 스위스, 이탈리아 접경지역과 가까운 산악지대에
위치한 샤무니는 몽블랑 관광의 출발지로 유명하다. 전통적인 스키 휴양지
이기도 하며 1924년 제1회 동계올림픽이 샤무니에서 개최되어 더욱 널리
알려졌다. 도니제티 만년의 명작으로 꼽히는 「샤무니의 린다」에서는
chamonix’
‘ 를 ‘
chamounix’
라고 다르게 표시되어 마치 가상의 지역처럼 보이
지만 전체적인 줄거리로 볼 때 당시만 해도 벽촌에 가까웠던 샤무니를 지
칭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샤무니의 린다」의 연주 이후 그는 오스트리아 궁정 악장으로 임명되었
다. 그는 이 오페라를 1842년 5월 9일 비엔나 케른트나토 극장에서 초연하
였다.

2.2.2 오페라의 내용24)

<제 1 막>
이른 아침, 샤무니 마을 청년들이 파리로 떠나기 위해 준비하고 있다.
겨울철에는 할 일이 없기 때문에 파리로 가서 돈을 벌려고 떠나는 것이다.
먼 길을 떠날 안토니오(Antonio)는 가족 걱정이 태산 같다. 소작 계약이
끝났지만 지주가 재계약을 해주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늙은 어머니는 병
환중에 있다. 딸 린다(Linda)는 집에 남아 있도록 했지만 다 큰 처녀라서
무슨 일이나 생기지 않을까 걱정이다. 지주의 재산관리인이 안토니오를 찾
아와 후작이 소작을 재계약할지 모른다는 소식을 전한다. 다만 후작이 린
다의 후견인이 된다면 재계약을 고려하겠다는 것이다. 후작은 예쁜 린다에
게 은근히 흑심을 품고 있다. 후견인이 되면 린다의 결혼문제에 관여할 수
있다. 소작 문제와 린다 문제를 협의하기 위해 후작이 안토니오의 집에 찾
아온다. 속셈은 린다를 만나기 위한 것이다. 안토니오는 린다가 성당에 갔
다고 둘러댄다. 실은 어젯밤 늦게까지 일하느라고 고단해서 자고 있다. 후

23) 김신환(Charles Osborne) 벨 칸토 오페라 (서울: 음악춘추사, 1998) 308-309.


24) Daum blog, 2007. 7. 4 <http://blog.daum.net/johnkchung>

- 13 -
작은 소작을 재계약 해 주겠다고 약속하고 그 대신 린다가 후작의 성에 들
어와서 교육도 받으면서 같이 지내야 한다고 내건다. 말하자면 자기 관리
아래 두겠다는 것이다. 아버지 안토니오는 나중에 결정하자고 하면서 파리
로 떠난다.
잠에서 깨어난 린다는 오늘도 파리에서 왔다는 젊은 청년 카를로(Carlo)
와 만나기로 하여 서둘러 집을 나선다. 카를로는 화가로서 마을에 머무르
고 있다. 린다는 길에서 고아처럼 살고 있는 피에로토(Pierotto)를 만난
다. 피에로토도 다른 마을 청년들과 함께 파리로 갈 채비를 하고 있다. 돈
을 벌어서 음악 공부를 하겠다는 생각이다. 피에로토는 노래도 잘 부르지
만 작곡도 한다. 피에로토는 새로 작곡한 노래라고 하면서 돈을 벌려고 도
시로 떠났던 어떤 처녀가 도시에서 불행한 사랑을 겪은 후 허무하게 집에
돌아와 보니 늙으신 어머니가 세상을 떠났다는 내용의 노래를 불러준다.
린다는 이 노래를 듣고 어쩐지 마음이 걸린다. 잠시 후 린다가 자기를 기
다리고 있는 카를로를 만난다. 카를로는 후작이 린다에게 흑심을 품고 있
는 것을 알고 있다. 그래서 린다를 보호해주기 위해 마을에 남고 싶지만
파리로 가서 돈을 벌어야 하기 때문에 그럴 형편이 아니라면서 함께 파리
로 가자고 제안한다. 그러면 후작의 손길에서 벗어날 수 있을 것이라는 생
각에서였다. 실은 카를로는 후작의 아들이다. 하지만 린다에게는 그런 내
색을 하지 않는다. 린다는 파리로 떠날 결심을 한다.

<제 2 막>
카를로도 린다와 함께 파리에 왔다. 카를로는 자기의 신분을 밝히면서
두 사람이 결혼할 때까지 아무걱정 없도록 돌봐 주겠다고 약속한다. 린다
는 카를로가 자기를 사랑하고 있는 것을 확신하고 카를로의 호의를 받아들
인다. 이제 린다는 호화로운 아파트에서 살고 있다. 그렇지만 고향 마을의
어머니가 어떻게 지내시는지 아무런 소식을 듣지 못해서 무척 근심하고 있
다. 마침 문 밖에서 누가 노래를 부르는 소리가 들린다. 피에로토였다. 린
다는 반가운 마음에 피에로토를 집으로 들어오라고 한다. 린다는 피에로토
에게 카를로와 약혼한 사실을 얘기해 준다. 피에로토는 후작이 이 사실을

- 14 -
알고 있느냐고 묻는다. 린다는 아직까지는 비밀로 하고 있다고 설명해 준
다. 피에로토는 약혼을 축하한다는 의미에서 아름다운 노래를 불러준 후
떠난다. 마침 후작이 어떻게 알았는지 파리의 린다를 찾아온다. 후작은 린
다의 거처를 알아내기 위해 벌써 며칠 전부터 파리에 머물고 있었다. 후작
은 린다가 어느 부잣집 아들과 사랑하는 사이인줄 알고 자기가 더 좋은 아
파트에 생활비도 넉넉히 줄 테니 어서 이곳을 떠나 자기와 함께 가자고 말
한다. 모욕을 당했다고 생각한 린다는 후작에게 당장 나가달라고 말한다.
린다가 자리를 비운 사이에 카를로가 들어온다. 카를로는 풀이 죽어있다.
어머니인 후작부인이 자기가 린다와 약혼한 사실을 알고서는 가난한 소작
인의 딸과는 절대로 결혼시킬 수 없다고 난리도 아니기 때문이다. 더구나
후작부인은 아들 카를로를 위해 이미 적당한 혼처를 주선해 놓았다는 것이
며 만일 아들 카를로가 린다와 결혼하겠다고 계속 주장한다면 린다를 감옥
에 보내겠다고 위협까지 했다. 때문에 이 일을 어찌 해야 할지 몹시 걱정
하고 있다. 잠시 후 린다가 들어온다. 하지만 카를로는 린다에게 차마 그
런 얘기를 하지 못한다. 린다는 카를로의 행동이 이상하지만 아무 말도 없
으므로 더 이상 묻지 않는다.
저 먼 고향마을에서 린다의 아버지 안토니오가 카를로를 만나기 위해 파
리의 아파트를 찾아온다. 마음 나쁜 후작이 린다가 마을을 떠나 도망간 것
을 알고는 린다의 아버지와 소작에 대한 재계약을 해 주지 않자 살길이 막
막해진 안토니오는 후작의 아들이라도 만나 통사정을 해보려고 카를로를
찾아 온 것이다. 안토니오는 카를로와 그와 함께 있는 귀부인에게 제발 소
작을 재계약 할 수 있도록 도와달라고 간청한다. 안토니오는 그 귀부인이
린다인 줄은 전혀 알지 못한다. 이런 설명을 들은 린다는 마음이 괴로워서
안토니오에게 돈을 얼마쯤 주며 나중에 다시 만나자고 한다. 안토니오는
귀부인의 호의에 감사하며 눈물을 흘리면서 고향에 아내와 딸을 두고 돈이
라도 벌려고 파리에 왔는데 딸은 어디로 사라져서 죽었는지 살았는지 알지
못하며 아내는 딸이 가출하자 화병이 도져서 앓아누워 있다는 말을 해준
다. 이 말을 들은 린다는 도저히 참을 수 없어서 자기가 바로 그 린다라고
밝히면서 아버지 안토니오에게 용서를 빈다. 사랑하는 딸이 귀족의 정부

- 15 -
노릇을 하고 있는데 충격을 받은 안토니오는 잠시 후 정신을 차리고 린다
에게 자기는 당신을 용서해 줄 아무 권한도 없으며 더구나 당신이 누구인
지 알지 못한다고 잘라 말한다. 이 때 피에로토가 뛰어 들어와 카를로가
다른 여자와 결혼한다는 소식을 전한다. 이 말을 들은 안토니오는 견딜 수
없어서 린다를 저주하며 떠난다. 린다는 이제 제정신이 아니다. 피에로토
가 그런 린다를 부축하여 데리고 나간다.

<제 3 막>
샤무니의 봄이다. 지난겨울 파리로 떠났던 마을 청년들이 돈을 벌어서
돌아온다. 마을에서는 잔치가 벌어진다. 다만 린다와 피에로토만이 보이지
않는다. 잔치가 한창일 때에 카를로가 마을로 찾아온다. 카를로는 자기 어
머니가 다른 여자와 결혼 시키려고 온갖 압박을 했음에도 불구하고 끝내
마음을 굽히지 않았다. 결국 카를로의 어머니인 후작부인은 아들 카를로와
소작인의 딸 린다와의 결혼을 허락한다. 카를로는 이 같은 기쁜 소식을 곧
바로 전하려고 기쁜 마음으로 린다를 찾아온 것이다. 카를로는 마을 사람
들에게 린다와 결혼하기 위해, 그리고 안토니오 집안의 명예를 회복시켜
주려고 왔다고 설명한다. 마을 사람들은 린다가 돌아오지 않았으며 린다
가족에게 있어서 린다는 이미 죽은 사람으로 친다는 말을 한다. 카를로는
린다가 어디에 있든지 세상 끝까지 찾아가겠다고 다짐한다. 언덕 너머로
두 사람의 모습이 보인다. 마을 사람들은 처음에 누구인 줄 몰랐으나 피리
소리를 듣고서야 그들이 피에로토와 린다인 것을 알아본다. 린다는 아직도
제정신이 아니다. 안토니오와 맛달레나(린다의 어머니)가 린다를 알아보고
달려가지만 린다는 아무도 알아보지 못한다. 린다가 마을로 돌아왔다는 소
리를 듣고 카를로가 달려온다. 역시 카를로를 알아보지 못한다. 피에로토
는 옛날에 카를로와 린다가 만나면서 불렀던 노래를 다시 들려주면 혹시
기억이 되살아날지 모른다고 제안한다. 피에로토가 옛 노래를 부르자 린다
가 카를로를 알아보며 감격의 눈물을 흘린다. 마을 사람들이 두 사람의 결
혼을 축하한다.

- 16 -
2.2.3 린다의 아리아 분석

이 곡은 1막에 나오는 린다의 아리아이다. 린다가 파리에서 왔다는 무명화


가인 젊은 청년 카를로를 만나러 가는 장면에서 부르는 곡이다. 린다는 카를
로를 사랑하고 있으며 그는 ‘
나의 마음의 빛과 같다’
,그리고 ‘
그를 위해서’

고 노래하는 장면이다. 이 아리아는 선행 아리아 없이 레치타티보가 나오는
구조를 지니며 연주자에게는 화려하고 단련된 테크닉을 요구하는 곡이다.

2.2.3.1 가사 분석25)
Ah! tardai troppo, e al nostro
늦다/ 너무많이/ 우리의
아아, 너무 늦었다. 그 때문에,

Favorito convegno io non trovai


마음에 드는/ 모임/ 나/ 만나다
그분과 만날 곳을 잊어버렸어요.

Il mio diletto Carlo; e chi sa mai


나의/가장 사랑하는/ 누군가/ 결코~않다
사랑스러운 카를로

Quanto egli avrà sofferto!


얼만큼의/ 그/ 고통받는
얼마나 고통스러웠는지

Ma non al par di me!


하지만/ ~의/나에게
하지만 나 정도는 아니라고 생각해요.

25) 아름출판사 편집부, 오페라 아리아 명곡집 2 (서울: 아름출판사, 2003) 156.

- 17 -
Pegno d'amore
증거/ 사랑
사랑의 표시로

Questi fior mi lasciò!


이 사람/ 꽃/나를/남겨두다
이 꽃은 남기셨군요.

tenero core!
부드러운/마음
정다운 마음

E per quel core io l'amo.


그/ 마음/나/ 사랑
그 마음을 나는 사랑하고 있어요.

Unico di lui bene


유일의/ 그는/ 잘
마음 이외에, 그는 아무것도 갖고 있지 않아요.

Poveri entrambi siamo,


가난한/ 모두/ ~이다
우리들은 가난합니다.

Viviam d'amor, di speme:


살고있다/ 사랑/ 희망
우리들은 사랑과 희망으로 살고 있습니다.

- 18 -
Pittore ignoto ancora
화가/ 무명/ 지금도
지금 그는 무명화가죠.

Egli s'innalzerà coi suoi talemti


그/ 상승시키다/ 그의/ 재능
하지만 재능이 뛰어납니다.

Sarò sua sposa allora,


신부/ 그때
그래서 나는 그의 아내로,

Oh noi contenti!
우리는/행복한
아아, 행복해!

O luce quest'anima
빛/ 이/ 마음
오오, 이 마음의 빛이여

Delizia, amore e vita


기쁨/ 사랑/ 생명
기쁨, 사랑과 생명

La nostra sorte unita


우리들의/ 일치
우리들의 운명은 천국에서도

- 19 -
In terra, in ciel sarà.
현세/ ~에/천국/ ~이다
현세와 같은 모양으로 맺어질 것이다.

Deh vieni a me, riposati


오!/ 나에게/ 휴식
당신을 사랑하고 있어, 나에게로 와요.

Su quessto cor che t'ama


~위에/ 이/ 마음
당신을 사랑하고 있는 이 마음에 쉬세요.

Che te sospira e brama


너를/기다리다/ 열망
이 마음은 당신의 열망을 원하고 있어요.

Che per te sol vivrà.


~을위해/ 살다
당신을 위해서 살겠어요.

2.2.3.2 형식 분석
<내 마음의 빛; O Luce di quest'anima>은 총 125마디로 구성되어 있다.
처음 A부분은 G Major 조성에 4/4박자의 Moderato로 시작된다. 이후 G
Major → C Major로 5도권 으로 조바꿈이 진행된다. 노래 전체에 minor조
성을 볼 수 없기 때문에 전체적인 아리아 자체는 경쾌하고 밝은 느낌으로
진행된다. 속도는 Moderato → Andante → Allegretto를 사용함으로 사랑
에 빠진 린다의 마음을 잘 표현한다.

- 20 -
<표 2> <내 마음의 빛; O Luce di quest'anima>의 형식

구분 마디 조성 박자 빠르기
a(1 - 14) G Major Moderato
A 4/4
b(15 - 30) G major→C Major Andante
c(31 - 73)
B c'(74 - 100) C Major 3/4 Allegretto
d(101 - 125)

노래의 처음은 G Major로 시작하며 (악보 1)의 2마디의 반주형태를 살펴


보면 D → F# → A를 사용함으로써 G Major의 딸린화음의 구성음을 사용하
였다. 4마디에 D → C# → C → B로 반음계적 하향진행으로 가사가 나오기
전 긴장감을 더해준다. 잦은 감화음의 사용으로 Major 노래임에도 불구하
고 조금의 무겁고 어두운 느낌을 줌으로써 린다가 카를로를 만나지 못한
안타까운 심경을 표현하였다. 9마디에 나오는 반주의 지속음을 통하여 연
주자가 자유롭게 레치타티보를 노래할 수 있게 도와준다.

(악보 1) 린다의 아리아 1 ~ 14마디

G: Ⅰ ⅶ 6 ⅵ6 Ⅴ7 Ⅴ5 Ⅰ Ⅴ7

ⅠⅤ7/ⅣⅣ ⅱ° Ⅰ4

/Ⅴ7 Ⅴ7Ⅰ Ⅴ7 Ⅰ -

- 21 -
Ⅰ - -

Ⅴ7
Ⅰ /ⅱ

(악보 2)를 보게 되면 ♩♩♩♩ ♩♩♩♩리듬이 모티브로 사용되고 있으


면서 빠르기 또한 Moderato에서 Andante로 바뀌면서 린다의 심경에 변화가
생긴다. ‘
Pegno d'amore(사랑의 표시로)’
라고 노래하면서 카를로를 만나지
못했지만 그가 남기고 간 꽃을 통하여 카를로의 마음을 느끼게 된다. 그리
고 노래가 21마디에서 C Major로 바뀌면서 사랑에 빠진 린다가 가난한 무명
화가인 카를로에 대한 행복한 마음을 밝게 표현하고 있다. 특히 24마디에
도약을 사용하면서 사랑이라는 단어를 강조해 주었고, accel과 rallentando
를 사용해 줌으로 린다의 마음을 빠르고 느림을 통해 표현해 주었다.

- 22 -
(악보 2) 린다의 아리아 15 ~ 30마디

Ⅴ7 Ⅴ7
ⅱ /ⅱ ⅱ /ⅱ ⅱ Ⅴ7

Ⅴ7
Ⅰ /ⅵ C:Ⅰ

Ⅴ7 Ⅰ Ⅴ7

Ⅰ Ⅰ6 ⅱ6 Ⅴ2 Ⅰ6 Ⅳ

- 23 -
Ⅰ4 Ⅴ Ⅰ

(악보 3)에서는 ♩♩ ♩♩ ♩♩의 리듬을 B부분 전체의 모티브로 사용하


였다. 그리고 B부분으로 들어오게 되면서 Andante → Allegretto로 바뀌며
사랑에 빠져 설레는 린다의 마음을 표현하였다. 31마디의 피아노 반주를
통하여 주제선율을 미리 보여주었고 계속 나오게 되는 스타카토를 사용함
으로 반주에서 부터 사랑을 통하여 두근거리는 마음을 표현하였다.

(악보 3) 린다의 아리아 31 ~ 39마디

C: Ⅰ - ⅱ6 Ⅴ7 Ⅰ

Ⅰ ⅱ 6 Ⅴ7 Ⅰ

40, 41마디는 주제선율이 등장함으로 (악보 4)는 시작된다. 반주부에서


는 비교적 단순한 화성으로 가볍고 경쾌한 아리아를 뒷받침 해준다. 그리
고 44, 45마디를 보게 되면 crescendo에서 도약으로 이어지며 감화음인 변

- 24 -
성화음26)을 사용해주게 되는데 이것은 린다가 카를로와 자신의 운명이 함
께 한다는 것을 강조하고 있다. 역시나 멜로디에서 스타카토를 사용하여
린다의 마음을 표현하고 있다.

(악보 4) 린다의 아리아 40 ~ 47마디


주제 선율↴

Ⅰ ⅱ6 Ⅴ7 Ⅰ

Ⅰ6 ⅱ 6 Ⅴ7 Ⅰ

48마디에 주제선율의 역행으로 발전된 선율을 보여준다. 48 ~ 55마디까


지 반주의 베이스 부분에서는 지속음이 계속해서 등장한다. 지속음의 등장
에도 불구하고 화성에는 계속해서 변화를 준다. 그리고 48마디, 50마디,
52마디, 54마디의 멜로디 첫 음정인 B → C → D → E로 한 음정씩 상승되
면서 클라이 막스로 향한다. 그리고 54마디의 부감7화음을 사용함으로 위
종지27)적 해결을 하였다.

26) 변성화음 또는 차용화음(borrowed chord)이라 불리고 단어 뜻 그대로 장조에서는 단조성을, 단


조에서는 장조성을 빌리는 것을 말한다.
27) 거짓마침.

- 25 -
(악보 5) 린다의 아리아 48 ~ 55마디

ⅶ 7
Ⅴ /Ⅴ7 Ⅴ7

ⅶ 7
- Ⅰ4 /ⅶ Ⅴ7

56, 57마디에서는 다시 주제선율이 등장한다. 하지만 처음 주제와 다르


게 꾸밈음을 사용하여 떨리는 마음을 더욱 표현하였다. 그리고 62마디
legato를 사용함으로써 스타카토로 인해 가벼워 보일 수 있는 마음에 진실
성을 부여해 주었다. 65마디에서 반주부는 수직화음으로 끝나게 되며 멜로
디에는 늘임표를 볼 수 있는데 보통 연주 할 때에는 연주자에게 멜로디를
맡겨두기도 한다.

(악보 6) 린다의 아리아 56 ~ 67마디

Ⅰ ⅱ6 Ⅴ7 Ⅰ

- 26 -
Ⅰ Ⅰ64 Ⅴ7 Ⅰ

Ⅰ64
ⅶ 7
Ⅴ7 Ⅰ Ⅴ7Ⅰ /ⅱ Ⅴ7

66 ~ 71마디를 보게 되면 반주부 윗 선율에서 상향진행과 하향진행을 반


복적으로 볼 수 있는데 카를로를 향한 린다의 마음을 표현하고 있다. 72,
73마디에서는 반주부가 나오지 않기 때문에 연주자의 역량을 자유스럽게
발휘할 수 있도록 해두었다. 74마디부터는 c'부분으로 (악보 7)에서는 c
부분과 똑같이 표기되어 있지만 조안 서덜랜드(Joan Sutherland)의 악보에
는 c 부분을 멜리즈마28) 선율로 변형하여 표기해 두어 벨칸토 창법의 화려
함을 보여주고 있다. 99마디에서는 기악적인 카덴짜를 사용하여 이 부분
또한 벨칸토 창법의 화려함을 역시나 보여주고 있다.

28) 성악곡에서 가사의 한 음절에 많은 음표를 장식적으로 달아 표정을 풍부하게 하는 기법이다.

- 27 -
(악보 7) 린다의 아리아 68 ~ 99마디


Ⅰ Ⅴ7Ⅰ /ⅱ Ⅴ7 Ⅰ Ⅴ7

Ⅰ ⅱ6

Ⅴ7 Ⅰ Ⅰ6 ⅱ 6

ⅶ 7
Ⅴ7 Ⅰ Ⅴ /Ⅴ7

- 28 -
- Ⅴ7 - Ⅰ64

ⅶ 7
/ⅶ Ⅴ7 Ⅰ ⅱ6

Ⅴ7 Ⅰ - -
기악적 카덴짜↴

Ⅴ7 Ⅰ - Ⅴ7

- 29 -
104 ~ 106마디에서는 G → G# → A → B → C로 멜로디가 상향진행하며
한 옥타브 아래 C음으로 도약을 통하여 카를로와 함께 살겠다는 린다의 마
음을 강하게 보여주고 있다. 또한 108 ~ 114마디에서도 계속해서 나오는
상향진행과 옥타브로 떨어지는 멜로디를 통하여서 린다의 마음이 확고하다
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마지막 124, 125마디에서 강박의 수직화음으로 곡
이 마무리된다.

(악보 8) 린다의 아리아 100 ~ 125마디

Ⅴ65
6
Ⅰ Ⅰ Ⅴ5

Ⅴ4
Ⅰ6 /Ⅳ Ⅳ Ⅰ4 Ⅴ

Ⅴ65 -43 -65


6
Ⅴ65 -7 - 5
6
Ⅰ Ⅰ -6 - 4

- 30 -
Ⅴ+ 6
Ⅰ /Ⅳ Ⅳ Ⅰ4 Ⅴ

ⅠⅤ Ⅰ Ⅴ ⅠⅤ Ⅴ7

Ⅰ Ⅴ7 Ⅰ Ⅴ7 Ⅰ Ⅴ7 Ⅰ -

2.2.4 린다와 카를로의 이중창 분석

이 곡은 1막에 나오는 곡으로 린다와 카를로의 이중창이다. 매혹적이기도


한 이곡은 특히 알레그로 모데라토의 카발레타 ‘
A consolarmi affrettisi’

카를로가 먼저 노래하면 린다가 반복하는 경쾌한 테마는 제 2, 3막에 나오
는 린다의 미친 장면과 그녀가 제정신으로 회복되기를 노래하는 끝 부분

- 31 -
등, 전 오페라에서 세 번이나 더 듣게 된다.

2.2.4.1 가사 분석
(Linda)
Non so: Quella canzon m'intenerisce
~은 아니다/그/ 노래/ 부드러움
난 몰라: 부드러운 그 노래

e mi rattrista. Ho anch'io una madre,


나를/슬프게 하다/ ~도 어머니
그것은 나를 슬프게 만드네. 나도 엄마가 있고

e forse... E Carlo... Andrò domani


아마도 갈것이다/내일
아마도 카를로겠지... 내일은 갈것이다.

io prima ad aspettarlo...
나/전에/ 기다리다
나를 기다리겠지...

Oggi... pazienza...
오늘/ 인내
오늘은 인내...

(Carlo)
Linda!... Linda!...
린다!... 린다!...

- 32 -
(Linda)
Ah! Carlo!
아! 카를로!

(Carlo)
Sei... tu sola?
~이다/ 혼자
혼자세요?

(Linda)
Si, e gemeva
슬퍼한다
네, 당신없이는

di passar un giorno intero di te priva.


변하다/ 날/ 전부의/ 잃어버리다
하루를 견딜 수가 없어요.

(Carlo)
Io non poteva
나/ 하지못한다
나에게 고통이 너무 커서

sopportar dolor si fiero


참다/ 고통/ 잔인한
감당할 수 없습니다.

- 33 -
(Linda)
Non trovarti!
찾다
당신을 찾지 못했어요!

(Carlo)
Non vederti
보다
당신을 알지못한

era un di d'orror per me.


기원/ 공포/ 나에게
그 시간은 나에게 공포의 날 이었습니다. 알아주세요.

Da quel di che t'incontrai


~로부터/ 만나다
난 당신을 만난 그날부터

ad amar, quel dì imparai.


사랑/ 그/ 배우다
당신에게 사랑을 배웠습니다.

a que'pini... all'istes s'ora,


소나무/ 동일한/ 시간
똑같은 소나무에서

ogni giorno t'aspettava;


날/ 기다리다
매일 당신을 기다리고;

- 34 -
puro amor te là guidava,
순수한/사랑/ 안내하다
나를 순수한 사랑으로 이끕니다,

s'intendeano i nostri cor.


이해하다/ 우리의/마음
우리의 마음을 이해합니다.

E l'amarti il mio destino:


사랑하는/ 운명
나의 운명을 사랑합니다:

la mia gioia è a te vicino,


나의/ 기쁨/ 가까운
나의 기쁨은 당신에게로 가까이 갑니다.

tutto scordo a un tuo sorriso,


모든/ 잊지/ 너의/ 미소
당신의 미소를 잊을 수 없습니다,

tutto in te mi dona amor.


제공/ 사랑
당신의 모든 것이 나에게 사랑스럽습니다.

La mia vita in questo eliso


생명/ 이/ 행복
당신과 내 인생을 함께 할 수 있어

- 35 -
passar teco io possa ognor.
패스/너와함께/ 수/ 항상
항상 행복합니다.

(Linda)
Chi tel vieta?
전화번호/금지
연락하면 안되나요?

(Carlo)
Un dì, lo spero; ma per or...
희망/ 그러나
난 지금은, 그랬으면 좋겠어요...

(Linda)
Fatal mistero!
치명적인/미스테리
왜 그런건지 알 수 없네요!

(Carlo)
Che a serbar costretto io sono.
지키다/ 강요된/ 나
나는 계속 부탁드려요.

(Linda)
Son più misera di te.
보다많이/불행/ 너
나는 당신보다 불행해요.

- 36 -
A mia madre un sol finora
나의/어머니/ 지금까지
지금까지 나의 어머니에게

non celai de'pensier miei:


숨기다/ 생각/ 나의
나의 생각을 숨겼어요:

e un segreto or ho per lei,


비밀의/ ~통해/그녀
귀여운 그녀를 위해 나는

cui più cara sembro ognor,


보다많이/귀여움/~같이 보이다/언제나
비밀을 가지고 있어요,

alla quale tu involasti


무슨/ 훔치다
당신은 나의 마음의

tanta parte del mio cor.


많이/ 부분/ 마음
많은 부분을 훔쳐갔어요.

Anche allor che della sera


어떤/ 그때/ ~의/저녁에
그 날 저녁

- 37 -
io la seguo alla preghiera,
뒤따르다/ 기도
나의 기도를 따라주세요,

col suo nome un altro nome


~와함께/이름/ 다른
나의 입술에는 그의 이름과

sul mio labbro viene ancor.


나의/입술/ 입니다
다른 이름이 있어요.

Dio che legge nel cor mio


신/ 법/ 마음/나의
하나님은 내 마음에

sa che puro è il mio fervor.


순수함/ 나의/ 철
순수함과 강함을 알고 있어요.

(Carlo)
Ah! che un angelo tu sei!
천사/ ~다
아! 당신은 천사에요!

Ei t'udrà.
그리고/들었다.
당신은 들었나요.

- 38 -
(Linda)
Lo bramo e spero.
열망/ 희망
열망과 희망.

Io rispetto il tuo mistero,


존중/ 너의/비밀
나는 당신의 비밀은 존중하며,

ma mi costa.
그러나/위안
그러나 그것은 나의 위안.

(Carlo)
E quanto a me!
얼만큼/ 나를
그리고 날 위해!

(Linda e Carlo)
Quel dover celar nel core
~해야한다/숨기다/ 마음
내 마음을 숨겨야 해요

un sì forte e dolce affetto,


강한/ 부드러운/애정
강하고 부드러운 애정,

- 39 -
lungi star dal caro oggetto
멀리/스타/ 합창/ 대상
지금은 사랑하는 한명의 스타

de' più teneri desir,


더크게/잡다/열망하다
가장 부드러운 욕망,

è il più barbaro dolore


잔인한/ 고통
사랑하는 사람의 고통은

che un amante può soffrir.


애인/ 고통을 격다
가장 잔인한 것이에요.

(Linda)
Dimmi: e quando tal mistero cesserà?
수수께끼/ 끝내다
말해봐요: 언제 이 수수께끼가 끝나나요?

(Carlo)
Presto.
빠른
곧.

- 40 -
(Linda)
Fia vero?
사실
그게 사실인가요?

(Linda e Carlo)
A consolarmi affrettisi,
기쁘게하다/ 서두르다
그 기쁜날을 서둘러요,

tal giorno desiato!


날,일/ 대망의
그날을 간절히 바랬어요!

Innanzi al cielo, agli uomini


앞으로/ 하늘/ 사람
하늘, 사람들 앞에서도

tua sposa, tuo sposo diverrò.


너의/ 신부/ 신랑/ 될
당신의 아내, 당신의 남편이 될꺼에요.

E allor non più dividersi:


그때/ 나누다
그리고 더 이상 나눌:

col mio tesoro a lato,


나의/ 보물/ 곁에
한쪽에 나의 아이와,

- 41 -
di puro amor fra l'estasi,
순수한/사랑/사이에/황홀한
순수한 사랑의 절정 사이에

in ciel mi troverò.
천국/ 찾다
나는 천국에 있을 꺼에요.

2.2.4.2 형식 분석
<그대를 만난 날부터; Da quel dì che t'incontrai>는 총 214마디로 구
성되어 있다. 시작은 g minor조성에 4/4박자 Moderato로 시작된다. 하지만
심리변화에 따라 극의 역할에 따라 조성과 박자, 빠르기의 변화를 볼 수
있다. 특히나 이 곡에서는 전조와 변성 ․ 부속화음의 연속사용과 부감7, 부
반감7, 증6화음, 이탈리안6 등이 많이 사용되었다. 이 곡은 크게 4부분으
로 나눌 수 있으며 세부적으로는 10부분으로 나눌 수 있다.

<표 3> <그대를 만난 날부터; Da quel dì che t'incontrai> 의 형식

구분 마디 조성 박자 빠르기
a(1-9) g minor 4/4 Moderato
A G Major → A Major →
b(10-50) 6/8 Vivace
g minor → B♭ Major
c(51-80) B♭ Major
2/4 Andante
B c'(81-112) B♭ Major → g minor
d(113-125) G Major 4/4 Moderato
e(126-146)
Moderato
C e'(147-166) G Major 4/4
f(167-179) Allegro
g(180-200)
D G Major 4/4 Allegro
h(201-214)

이 중창곡의 도입 부분은 g minor의 조성으로 레치타티보의 자유로운 표


현을 위해 첫 마디 첫 박에 수직화음이 등장한 뒤 반주부 없이 노래가 진

- 42 -
난 몰라: 부드러운 그 노래 그것은 나
행된다. 피에로토의 노래를 들은 후 ‘
를 슬프게 만드네(Non so: quella canzon m'intenerisce)’
라고 말하며 곡은
시작된다. 그리고 7, 8마디에 반주부 알토파트에서 반음계적 진행을 보이
며 오늘은 인내하겠다는 린다의 마음의 의지를 보여준다.

(악보 9) 린다와 카를로의 이중창 1 ~ 9마디

g: Ⅴ


ⅰ /Ⅵ

Ⅵ -5♮ ⅳ It.6

10마디부터 시작하게 되는 ‘
b’
부분은 ♩♩♩ ♩♩♩을 모티브로 삼고 있
고 (악보 9)는 gm로 시작했지만 (악보 10)에서는 gm의 같은 으뜸조인 GM로
이동하여 작곡하였다. GM에서 28마디 잠시 AM로 이동하였다가 32마디에서 처
음 레치타티보의 조성인 gm로 돌아간다. 이후 ‘
c’
부분의 조성을 미리 알리는
듯 45마디 B♭M가 등장한다. 10마디 반주부에 스타카토를 사용함에 따라 린다

- 43 -
와 카를로가 만나 설레는 마음을 표현하였다. 28마디에서부터 50마디까지 부
감7화음과 부반감7화음이 계속 등장하게 된다. 그리고 34마디에서부터 40마
디 반주부 소프라노 파트에서 E♭ → D → C → C로 카를로가 ‘

린다가 없는
세상은 고통이 크다’
고 노래하는 부분을 반음계적 하향진행으로 보여준다.

(악보 10) 린다와 카를로의 이중창 10 ~ 50마디

G: Ⅴ - - -

Ⅰ34 - - - Ⅴ

Ⅴ Ⅴ7 - Ⅰ64 -

- - Ⅴ A:ⅶ 3

- 44 -
4
- Ⅰ6 g: ⅶ 3

ⅰ64
Ⅴ3
- - /Ⅴ

B♭:Ⅴ 5
6
- -

- 45 -
ⅶ Ⅴ


(악보 11)은 B M의 2/4박자로 빠르기는 Andantino로 시작된다. 카를로의
사랑고백 부분으로 16분 음표와 32분 음표, 그리고 스타카토를 사용함으로
카를로의 마음을 표현하였다. 67마디에서부터 69마디까지 부속화음 5도권
진행을 연속적으로 사용하여 린다의 미소를 잊을 수 없고 그녀의 모든 것
이 사랑스럽다는 가사를 표현해 주었고 67, 68마디의 반주부의 알토, 테
너, 베이스 성부에서 반음계적 하향구조를 보여준다.

(악보 11) 린다와 카를로의 이중창 51 ~ 69마디

B♭: Ⅰ
ⅶ 7
- Ⅳ Ⅰ /ⅶ Ⅴ7

Ⅴ7
Ⅴ7 Ⅰ - Ⅳ Ⅰ /ⅲ

- 46 -
- ⅲ ⅱ ⅱ Ⅴ7 ⅱ ⅱ

Ⅴ - Ⅰ64 Ⅴ7

6
Ⅴ4/C Ⅴ6/F Ⅴ4/B
♭ Ⅴ7
Ⅴ /G Ⅰ6 /ⅱ

(악보 12)에서는 린다와 카를로의 주고받는 대사를 볼 수 있는데 이 부


분을 다르게 보면 멜로디와 반주가 주고받고 있다고 생각 할 수 있다. 앞
부분의 카를로의 노래에 사용되었던 16분 음표와 32분 음표가 이곳에서는
린다와 카를로의 격정적인 대화를 더 부각시켜 준다고 볼 수 있다.

- 47 -
(악보 12) 린다와 카를로의 이중창 70 ~ 79마디

ⅱ6 - Ⅴ7 Ⅰ

Ⅴ6 Ⅴ4
/Ⅴ Ⅴ /Ⅴ

Ⅴ Ⅰ6♭ Ⅴ Ⅰ6♭ Ⅴ

(악보 13)에서는 린다의 노래가 나온다. 조성은 앞의 노래와 같이 B♭M로


진행된다. 이곡의 96마디에서부터 98마디까지 (악보 12)에 카를로의 노래
에서 사용했던 부속화음의 5도권 연속사용을 볼 수 있으며, 96, 97마디에

- 48 -
서 반주부의 알토, 테너, 베이스 파트들의 반음계적 하향진행을 볼 수 있
다. 이 부분 또한 16분 음표와 32분 음표를 적절하게 사용하여 린다의 마
음을 표현하였다.

(악보 13) 린다와 카를로의 이중창 80 ~ 98마디

ⅶ 7
Ⅰ Ⅳ Ⅰ /ⅶ Ⅴ7

Ⅴ7
Ⅴ7 Ⅰ - Ⅳ Ⅰ /ⅲ

- ⅲ ⅱ ⅱ Ⅴ7 ⅱ ⅱ

- 49 -
Ⅴ - Ⅰ6 Ⅴ7

Ⅴ6/G
4
Ⅴ6/F
4 ♭ Ⅴ7
Ⅴ /C Ⅴ /B Ⅰ6 /ⅱ

(악보 14)는 린다와 카를로의 주고받는 노래가 나오는데 B♭M에서 gm로


108마디에서 조성이 바뀌게 된다. 린다와 카를로가 노래를 주고받는 동안
반주부에서는 64분 음표와 트릴이 등장하게 되는데 린다와 카를로의 서로
를 향한 열정과 사랑을 표현해 주고 있다. 그리고 109마디 카를로의 노래
부터는 32분 음표와 트릴, 악센트의 사용으로 자신을 위해 비밀을 지켜주
겠다는 린다를 향한 마음을 강하게 표현하고 있다.

- 50 -
(악보 14) 린다와 카를로의 이중창 99 ~ 112마디

ⅱ Ⅰ6 - Ⅴ7

-53
5
Ⅰ - -6 ⅱ -3 Ⅴ6 Ⅴ7

Ⅰ Ⅰ6 gm:Ⅴ ⅰ It.6

- 51 -
Ⅴ ⅰ4 Ⅴ ⅰ4 Ⅴ -

(악보 15)는 GM의 4/4박자 Moderato로 시작한다. 이 부분은 린다와 카를


로의 중창 부분으로 서로를 향한 마음을 붓점을 사용하여 노래하고 있다.

(악보 15) 린다와 카를로의 이중창 113 ~ 125마디

G:Ⅰ - Ⅴ7

Ⅰ Ⅳ Ⅰ6 Ⅴ7 Ⅰ

- 52 -
Ⅴ Ⅴ
ⅲ /ⅲ ⅲ /ⅲ Ⅴ43 Ⅴ

(악보 16)은 계속해서 GM의 Moderato로 진행해 나간다. 카를로의 노래이


며 주제 멜로디가 등장하는 부분이다. 기쁜날을 기대하며 노래하는 부분으
로 셋잇단음표의 사용과 스타카토, 붓점, 악센트 등을 사용하여 밝게 표현
하였다.

(악보 16) 린다와 카를로의 이중창 126 ~ 145마디

Ⅰ - Ⅳ Ⅰ Ⅴ -7

Ⅰ - Ⅳ Ⅰ Ⅴ

- 53 -
Ⅰ64 Ⅴ7 Ⅰ Ⅳ Ⅰ -6
Ⅴ Ⅴ7
Ⅰ Ⅴ /ⅲ ⅲ /ⅲ

ⅵ Ⅴ43
Ⅴ7
/FⅤ/B Ⅴ

ⅲ Ⅰ Ⅳ Ⅰ Ⅳ

6
Ⅰ Ⅳ Ⅰ4 Ⅴ7 Ⅰ Ⅳ Ⅰ64

(악보 17)은 린다의 노래로 (악보 16)에서 카를로의 노래에 나왔던 주제


멜로디가 또 다시 등장한다. 린다 역시 기쁜날을 기대하며 노래하고 셋잇
단음표와 붓점, 스타카토, 악센트를 사용하여 기쁜날을 표현하였다. 그리
고 153마디부터 158마디까지 상향진행을 볼 수 있는데 당신의 아내가 되
고, 아이를 향한 사랑의 절정을 보여주며 158마디에서는 늘임표로 절정을
보여 주기도 한다.

- 54 -
(악보 17) 린다와 카를로의 이중창 146 ~ 165마디

Ⅴ Ⅰ Ⅳ Ⅰ Ⅴ7

Ⅰ Ⅳ Ⅰ Ⅴ7

Ⅰ64 Ⅴ7 Ⅰ
Ⅴ7 Ⅴ7
Ⅰ Ⅴ7 /ⅲ ⅲ /ⅲ

ⅲ ⅵ Ⅴ43
Ⅴ7
/FⅤ/B Ⅴ

Ⅰ Ⅳ Ⅰ Ⅳ

- 55 -
6 6
Ⅰ Ⅳ Ⅰ4 Ⅴ Ⅰ Ⅳ Ⅰ4

(악보 18)의 166마디에서는 화려한 카덴짜를 보여주는데 벨칸토 오페라


의 특징으로 볼 수 있다. 167마디에서는 ‘
f’부분으로 넘어가게 되면서
Allegro로 빠르기가 변하게 된다. 린다와 카를로는 빨라진 박자를 통해 서
로의 비밀에 끝을 묻고 답하게 되는 내용의 가사를 더욱 잘 표현해 준다.

(악보 18) 린다와 카를로의 이중창 166 ~ 180마디

Ⅴ Ⅰ -

ⅱ - Ⅴ -7 Ⅰ - -

- 56 -
Ⅴ6 Ⅴ6
ⅱ - Ⅴ -7 Ⅰ Ⅰ6 Ⅳ /ⅤⅤ /ⅵⅵ Ⅳ6

ⅶ ⅱ 2 Ⅴ ⅱ 2 Ⅴ ⅱ 2  Ⅴ Ⅴ7

(악보 19)에서는 다시 한 번 주제선율이 등장하게 된다. 이번 중창의 가


장 아름다운 부분이라고 말할 수 있는 곳이다. 린다와 카를로가 기쁨으로
부르는 노래이자 서로의 사랑을 표현하는 노래로 셋잇단음표와 붓점, 스타
카토로 표현하였다. 또한 187마디에서부터 192마디에 이르는 상향 진행하
는 멜로디 부분은 절정에 이르면서 늘임표로 이어질 때 극에 달한 기쁨을
볼 수 있다.

- 57 -
(악보 19) 린다와 카를로의 이중창 181 ~ 199마디

Ⅰ -6 Ⅰ -6 Ⅳ Ⅴ7 -7 Ⅰ -6 Ⅰ -6

Ⅰ -6 Ⅰ -6 Ⅳ Ⅰ Ⅴ Ⅰ

6
Ⅳ64 Ⅰ
Ⅴ7 Ⅴ7
Ⅴ Ⅰ 4 Ⅴ7 Ⅰ /ⅲ ⅲ /ⅲ

ⅲ ⅵ Ⅴ43 Ⅰ
Ⅴ7 Ⅴ7
Ⅳ Ⅰ Ⅳ /F /B♭Ⅴ7

- 58 -
Ⅰ Ⅳ Ⅰ Ⅴ7 Ⅰ Ⅳ Ⅴ

(악보 20)에서는 ‘
나는 천국에 있을 꺼에요.(in ciel mi troverò )’
라고
노래하는 부분으로 멜로디에 2분음표를 사용함으로써 빠르게 진행해 절정
으로 닿은 모습을 보여준다. 208마디에서는 악보에는 쓰여져 있지 않지만
연주자의 능력에 따라 화려한 테크닉을 넣어 부르기도 한다. 213, 214마디
에서는 수직의 강박화음으로 노래의 끝을 맺게 된다.

(악보 20) 린다와 카를로의 이중창 200 ~ 214마디

Ⅴ7 Ⅴ7
Ⅴ Ⅰ /ⅵ Ⅰ /ⅵ Ⅰ Ⅴ Ⅰ Ⅴ

ⅶ 7
Ⅰ Ⅴ Ⅰ Ⅴ /Ⅴ - Ⅰ64

- 59 -
Ⅴ Ⅰ Ⅴ7

Ⅰ Ⅴ7 Ⅰ -

2.3 연구 결과의 종합

도니제티의 오페라 「샤무니의 린다(Linda di chamounix)」 중 린다의 아


리아 <내 마음의 빛; O Luce di quest'anima>과 린다와 카를로의 이중창
<그대를 만난 날부터; Da quel dì che t'incontrai>의 조성의 변화, 화성,
선율, 빠르기를 중심으로 연구한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 정리될 수 있
다.
첫 번째 곡 <내 마음의 빛; O Luce di quest'anima>에서 조성은, G
Major로 시작한다. 악곡 전반적으로는 장조성의 화성이 지배적이지만, 시
작 부분에는 잦은 감화음이 사용되어 곡의 분위기가 흐리고 어둡다. 그러
나 감화음은 근본적으로, 근음이 생략된 딸린7화음으로 분류되기에 단조성
의 화성과는 상당한 차이를 나타내며, 음악분석적인 입장에서 볼 때, 정착
하거나 안주하지 못하고 떠도는 낭만파의 전형적인 음악적 산물들 가운데

- 60 -
하나가 된다. 이 장면에서는 보다 구체적으로, 연인 카를로를 만나러 가기
전의 불안한 여주인공의 심리가 장조 조성에 기초한 감화음적 울림들로 가
시화되고 있다. 이후 30마디부터 악곡 진행은 C Major로 바뀌고, 동시에 감
화음의 사용도 줄어들며, 보다 단순한 화성이 주를 이룬다. 여기서 악곡은
린다의 심리 상태를 잘 반영하고 있는데, 우선 곡의 분위기가 C Major로 바
뀌고, 박자는 4/4에서 3/4으로, 빠르기 또한 Moderato에서 Allegretto로 가
속된다. 따라서 린다의 심리 상태는 보다 편안해지고, 동시에 행복감이 고
조되는 장면이다. 창작자는 이것을 조성과, 박자 그리고 빠르기에서의 변
화와 대조를 통해 표현하려고 시도한다. 아울러 작곡가는 지속음의 잦은
사용을 통하여 레치타티보에 자유로움을 더해 주고, 감화음과 변성화음을
배치함으로써, 여주인공의 다소 조바심 속에서도 카를로가 자기와 함께 해
줄 것이라는 강한 희망과 긍정을 갖는다는 것을 암시하고 있다. 한편, 가
창선율에는 스타카토, 8분 음표, 16분 음표가 주로 사용되어 린다의 심리
상태, 곧 설레는 마음과 조바심이 이미 표면에 잘 드러나고 있다. 악곡의
주제가 되는 선율이 반복되는 74번째 마디부터는 일반적으로 성악가들이
전통을 따라 기보된 악보와 다소 상이한 선율을 노래함으로써, 벨칸토 창
법의 화려함을 보여준다. 이것은 글룩의 오페라개혁 이전의 전통들이 그
이후에도 다소 남아있는 흔적으로 이해된다. 왜냐하면, 성악가들은 거의
예외 없이 자신이 가진 목소리를 악기로써 극의 줄거리와 무관하게 발산하
는 화려함을 나타내려는 본능을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심리는 악곡이 허
용하는 여유로운 부분에서 가시화되기 때문이다.
두 번째 분석곡인 린다와 카를로의 이중창<그대를 만난 날부터; Da quel
dì che t'incontrai>에서는 무엇보다 잦은 조성, 박자, 빠르기의 변화가
극적인 효과를 고조시킨다. 먼저 g minor로 시작되는 린다의 독백 부분에
세코 레치타티보가 등장하는데, 반주부에서 각 마디의 첫 박에 지속되는
수직적 화음이 주어질 뿐, 더 이상의 동반 음악이 없기 때문에 가창자는
자신의 말하듯 한 노래 속에서 보다 큰 표현적 자유를 가진다. 피에로토의
슬픈 노래를 들은 후, 그 노래 속의 주인공과 비슷해 보이는 자신의 처지
때문에 불안과 더불어 슬퍼하고 있다. 그 이후 린다와 카를로가 서로를 애

- 61 -
타게 찾아다닌 후에 이루어지는 만남의 기쁨은 조성의 잦은 변화(G Major
→A Major→g minor→B♭ Major)를 통해 보다 극적인 장면이 된다. 계속되
는 조성 변화는 G Major가 시작되는 부분부터 이중창이 끝나는 부분까지
린다와 카를로의 서로를 향한 사랑의 고백과 나란히 계속된다. 조성의 변
화는 박자 및 템포의 변화에 자극제가 되고, 이 두 요소는 악곡에서 하나
의 형식적 대응을 이룬다. 박자는 4/4 → 6/8 → 2/4 → 4/4 로 진행하고,
템포는 Moderato → Vivace → Andante → Moderato → Allegro로 큰 변화
를 경험한다. 한편, 붓점이 많은 리듬 형태들은 린다와 카를로의 서로를
향한 내면적인 동요와 고조되는 사랑을 암시한다. 이처럼 박자와 템포의
잦은 변화는 상황의 변화와 직결된 린다와 카를로의 심리 상태를 나타내
고, 최종적으로 나타나는 4/4박자와 Allegro에서 오페라 장르에 오래 전부
터 존재하며, 특히 낭만 오페라에서 하나의 고정 형식이 된 ‘사랑의 이중
창’이 연출 되는데, 그 가운데에서도 백미가 되는 사랑의 고백부분에서
이 최종 박자와 템포는 가장 적절하고, 효과적인 조치로 설득력을 갖는다.
이상과 같은 린다의 아리아, 그리고 린다와 카를로가 부르는 사랑의 이
중창의 분석을 통해 드러난 것은 무엇보다, 주인공의 심리상태에 따라, 조
성, 템포, 박자 등이 적절하고, 민감한 변화를 나타낸다는 점이다. 다음으
로 나타나는 일관성은 두 곡이 밝은 분위기로 전환될 때 스타카토와 붓점,
선율의 도약, 단조에서 장조로의 조성변화가 동반된다는 점이다.

- 62 -
3. 결 론

도니제티는 1824 ~ 50년 사이에 가장 왕성한 활동을 했던 작곡가들 중


한사람으로써 약 70여 편에 이르는 오페라와 오라토리오, 칸타타, 실내악
곡, 교회음악, 100여곡의 가곡, 그리고 몇 편의 교향곡을 작곡하였다. 그
는 인물의 민감한 심리상태를 잘 표현했고, 그의 오페라에서는 감상성과
희극적 요소가 자주 혼합되어 나타난다. 그는 종지를 아껴, 하나의 중요한
장면이 끝날 때까지 극적인 김장감을 유지하기도 한다. 특히나 도니제티의
오페라 「샤무니의 린다; Linda di chamounix, 1842」에는 이탈리아 오페라
의 전통적 형식을 회복하면서도 그것을 부정하는 역설적인 구조도 또한 나
타내고 있다. 가령, 몇몇 아리아는 카발레타로 변형되었으며, 카발레타는
선행 아리아 없이 나타나기도 한다.
이 연구에서는 낭만 오페라의 특징을 지닌 「샤무니의 린다; Linda di
chamounix, 1842」의 전반적인 내용을 검토하고, 1막에 나오는 린다의 아리
아 <내 마음의 빛; O Luce di quest'anima>과 린다와 카를로의 이중창 <그
대를 만난 날부터; Da quel dì che t'incontrai>의 조성의 변화, 화성, 선
율, 빠르기, 셈여림의 변화가 고찰되었다.
먼저 낭만주의 오페라인 「샤무니의 린다; Linda di chamounix, 1842」의
이해를 돕기 위해 19세기 낭만 오페라와 그 시절 유행했던 벨칸토 오페라
에 대해 먼저 정리하였다. 19세기 낭만주의의 초점은 ‘
인간’
이었으며 모든
예술과 음악은 인간의 내적 본성, 감성을 중요시 했다. 낭만주의의 지향점
은 양식, 형식, 규범과 전통적인 것에 대해 반발하며 독창성에 대한 끊임
없는 추구와 개인의 감성이나 정서를 극적인 방법으로 표현하는데 있다.
18세기에 이탈리아 오페라들에 지배당하던 현상들이 19세기 들어서 각국의
특성에 맞는 오페라들이 양산되었다. 즉흥적인 장식은, 기교적인 콜로라투
라의 사용, 카덴차의 확대를 통해 매우 화려하게 부르는 창법인 벨칸토는
가수들에게 더 좋은 목소리와 기교, 호흡, 발성법을 요구하였다. 그렇지만
1720 ~ 1750년 사이에 일반적이었던 카스트라토가 점점 소멸해 감에 따라

- 63 -
벨칸토는 잠시 쇠퇴하기도 한다. 그러다 19세기 초 롯시니, 도니제티, 벨
리니로 인해 21세기까지 벨칸토 오페라와 그 창법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
다음으로 1막에 나오는 린다의 아리아 <내 마음의 빛; O Luce di
quest'anima>, 그리고 린다와 카를로의 이중창 <그대를 만난 날부터; Da
quel dì che t'incontrai>를 음악적으로 분석, 정리하였다:
린다의 아리아 <내 마음의 빛; O Luce di quest'anima>에서 시작 부분에
등장하는 잦은 감화음은 장조 악곡 속에 나타나는 무겁고 어두운 분위기로
서, 여기에 린다와 카를로가 서로 번민하며 만나지 못하는 애타는 심정이
묘사되고 있다. 또한 스타카토의 사용과 함께 템포가 Andante에서
Allegretto로 바뀌면서 사랑의 염려 속에 있는 린다의 마음이 표현되고 있
다. 선율은 종종 나타나는 도약과 상승을 통하여 사랑하는 심정의 고조와
절정으로 향한다. 아리아에 등장하는 기악적이고 화려한 카덴차는 벨칸토
오페라의 면모를 보여주고 있다.
린다와 카를로의 이중창 <그대를 만난 날부터; Da quel dì che t'incontrai>
에서는 심리변화와 상황에 따라 조성과 박자, 빠르기의 변화, 그리고 전조
와 변성화음, 부속화음의 연속적인 사용과 부감7, 부반감7, 증6화음, 이탈
리안6 등이 사용된다. 피에로토의 노래를 들은 후 시작하는 첫 부분에서는
슬픈 노래의 내용에 걸맞은 린다의 심정이 단조에 실려 Moderato의 빠르기
로 토로된다. 린다와 카를로가 서로 애타게 찾는 부분은 장조와 단조가 혼
합되어 나타나며, 선율상의 스타카토는 서로를 향한 설레는 마음을 표현한
다. 이후 어머니를 생각하며 부르는 린다의 노래 부분에서는 부속화음이 5
도권을 기준으로 사용된다. 린다와 카를로가 서로의 마음을 나누며 부르는
마지막 노래에서는 붓점과 스타카토, 악센트가 사용되어 두 사람 사이의
사랑을 극적으로 적절히 묘사된다.
「샤무니의 린다; Linda di chamounix, 1842」의 1막에 나오는 린다의 아
리아 <내 마음의 빛; O Luce di quest'anima>과 린다와 카를로의 이중창
<그대를 만난 날부터; Da quel dì che t'incontrai>에는 극적인 상황, 조
성, 박자, 빠르기와 스타카토, 악센트, 그리고 여러 가지 부속화음, 기악
적 카덴차가 사용되었으며, 이 요소들이 곡의 분위기를 조성하고 지배한

- 64 -
다. 또한 이중창의 주요 멜로디는 총 세 번 등장하여 오페라에 하나의 통
일감을 준다.
「샤무니의 린다; Linda di chamounix, 1842」의 아리아와 중창을 연구하
는 성악가들에게 이 연구는, 주인공의 심리 변화에 따른 음악의 반응과 동
반을 이해하게 함으로써 그들의 연주에 다소나마 도움을 주는 자료가 되기
를 기대한다.

- 65 -
참 고 문 헌

강만희. 간추린 19세기 낭만 음악사. 대전: 예광, 2005.


김신환(Osborne, Charles) 벨칸토 오페라. 서울: 음악춘추사, 1998.
김진상. 음악사의 이해. 서울: 벨로체, 2002.
김혜정. 시대별로 본 오페라. 서울: 도솔 출판사, 2006.
대한음악저작연구회(Reid, Cornelius L) 벨칸토발성법. 서울: 삼호출판사,
1993.
민은기, 오지희, 이희경(GROUT, DONALD J., PALISCA, CLAUDE V., BURKHOLDER,
J. PETER) 그라우트 서양음악사. 서울: 이앤비플러스, 2007.
박세원. 표준음악사전. 서울: 세광음악출판사, 1987.
박아영. "G. Donizetti의 오페라 「Lucia di Lammermoor」의 Lucia Aria 연
구: Lucia 심리에 따른 음악어법 연구." 석사학위논문. 울산대학교,
2009.
심현옥. "벨칸토 오페라에 관한 연구: G. Rossini, G. Donizetti, V.
Bellini를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한서대학교, 2009.
아름출판사 편집부. 오페라 아리아 명곡집 2. 서울: 아름출판사, 2003.
이성삼. 세계 명작 오페라 해설. 서울: 세광음악출판사, 1992.
황윤희 (Riding, Alan) 오페라의 세계. 서울: 21세기 북스, 2009.

Cassaro, James P. Gaetano Donizetti. NY: Routledge, 2007.


Osborne, Charles. Bel Canto Operas of Rossini, Donizetti, and Bellin.
West Yorkshire: Amadeus Press, 2003.
Patchett, Ann. Bel Canto. NY: HarperCollins Pu, 2005.

Daum blog. 2007. 7. 4 <http://blog.daum.net.johnkchung>

- 66 -
An Analytical Study on the Donizetti Opera
「Linda di Chamounix」
- Focused on the Interpretation of
Linda Aria and the Duet -

Bae, Je-sun
Department of Music
Graduate School
Keimyung University
(Supervised by Professor Park, Ok-ryeon)

(A
bstrac
t)

When Romanticism began to flourish in the 19th century, a large

number of composers such as Rossini, Donizetti, Bellini started to

appear on the opera scene. Among them, Donizetti, who wrote about 70

pieces, had features that both Rossini and Bellini also retained.

In this paper, we studied the Donizetti opera 「Linda di chamounix」,

focusing exclusively on one of the soprano arias named <O luce di

quest'anima> sung by Linda, the leading lady, and also one of the

duets <Da quel di che t'incontrai> sung by Linda and Carlo, the hero

of the opera. The first song <O luce di quest'anima> is what Linda

sings when she wakes up and goes to meet the unknown painter Carlo

who has come from Paris. While part A is in G Major and 4/4 rhythm,

- 67 -
part B is in C Major and 3/4 rhythm, and the song displays a

thrilling feeling that she feels when going to see her lover, using

staccato and grace notes.

The second song <Da quell di che t'incontrai> is a duet for Linda

and Carlo when the two met each other. Anxious feelings for one

another are presented in the song, along with a strong sense of love

and caring. There are numerous changes in the tonality, rhythm and

tempo, and in the major part of the song starting with ‘A consolarmi

affrettisi’, there build up loving emotions by using a variety of

techniques including staccato, accent and dotted notes.

In the process of the study, I have obtained ideas of the 19th

Century’s romanticism opera, the bel canto opera and the composer

Donizetti. Analyzing the two songs <O luce di quest'anima> and <Da

quel di che t'incontrai>, the study also allowed me to understand how

one establishes correlations between the melodies and the emotions

that characters of an opera go through. Although it was difficult to

collect materials on 「Linda di chamounix」 which were comparatively

- 68 -
few in number, I hope the paper will serve a role to some degree for

many performing artists to be able to understand songs and give

better performances on the stage.

- 69 -
도니제티의 오페라 「샤무니의 린다」 연구
- 아리아와 이중창 중심으로 -

배 제 선
계명대학교 대학원
음 악 학 과
(지도교수 박 옥 련)

(초록)

19세기 낭만주의 음악이 시작되며 오페라는 롯시니, 도니제티, 벨리니

등 많은 작곡가들이 등장하게 된다. 그 중 도니제티는 70여편의 오페라를

작곡한 작곡가로써 롯시니와 벨리니의 특징을 지니고 있는 작곡가이다.

본 연구는 도니제티의 70여편에 이르는 작품 중 「샤무니의 린다; Linda

di chamounix, 1842」에 나오는 여자 주인공인 린다의 아리아 <내 마음의

빛; O Luce di quest'anima>과 린다와 오페라의 남자 주인공인 카를로의

이중창 <그대를 만난 날부터; Da quel dì che t'incontrai>의 연구를 다루

어 보았다. 먼저 첫 번째 곡인 린다의 아리아 <내 마음의 빛; O Luce di

quest'anima>은 린다가 잠에서 깨어나 파리에서 왔다는 무명 화가인 카를

로를 만나러 가는 장면에서 부르는 곡으로 A부분은 4/4박자의 G Major의

조성으로 B부분은 3/4박자의 C Major의 조성으로 되어있으며 사랑하는 사

람을 만나러 가는 설레임을 스타카토와 꾸밈음을 사용하여 표현하고 있다.

- 70 -
두 번째 곡은 린다와 오페라의 남자 주인공인 카를로의 이중창<그대를

만난 날부터; Da quel dì che t'incontrai>로 린다와 카를로가 만나서 부

르게 되는 중창곡이다. 서로를 애타게 찾고, 생각하고 사랑하는 감정들을

노래로 풀어 놓았다. 조성과 박자, 빠르기의 변화가 많으며 이 곡의 중요

부분인 ‘A consolarmi affrettisi’라고 노래하는 부분에서는 린다의 아

리아에서 나왔던 스타카토의 사용과 더불어 악센트, 붓점을 사용하여 서로

를 향한 마음을 보여준다.

이 연구를 통해 도니제티의 「샤무니의 린다; Linda di chamounix, 1842」

란 오페라를 조사하면서 19세기 낭만주의 오페라와 벨칸토 오페라, 그리고

도니제티란 인물에 대해 알 수 있었다. 또한 연구 주제이기도 한 <내 마음

의 빛; O Luce di quest'anima>, <그대를 만난 날부터; Da quel dì che

t'incontrai>의 분석을 하며 작곡가의 작곡 의도와 오페라의 인물들의 감

정, 상황들과의 멜로디와 반주부의 연관성을 알게 되었다. 비록 「샤무니의

린다; Linda di chamounix, 1842」에 관한 자료가 너무 적어 수집하는데 어

려움을 겪었지만 내가 이 오페라의 아리아인 <내 마음의 빛; O Luce di

quest'anima>을 접하고 연구 주제로 삼은 것과 같이 이 연구를 통하여 많

은 연주자들이 올바른 곡 이해를 통하여 보다 좋은 연주를 하게 되는 계기

- 71 -
가 되길 바란다.

- 72 -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