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123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

0 대한민국

이용자는 아래의 조건을 따르는 경우에 한하여 자유롭게

l 이 저작물을 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 및 방송할 수 있습니다.

다음과 같은 조건을 따라야 합니다:

저작자표시. 귀하는 원저작자를 표시하여야 합니다.

비영리. 귀하는 이 저작물을 영리 목적으로 이용할 수 없습니다.

변경금지. 귀하는 이 저작물을 개작, 변형 또는 가공할 수 없습니다.

l 귀하는, 이 저작물의 재이용이나 배포의 경우, 이 저작물에 적용된 이용허락조건


을 명확하게 나타내어야 합니다.
l 저작권자로부터 별도의 허가를 받으면 이러한 조건들은 적용되지 않습니다.

저작권법에 따른 이용자의 권리는 위의 내용에 의하여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이것은 이용허락규약(Legal Code)을 이해하기 쉽게 요약한 것입니다.

Disclaimer
국 문 초 록

환경오염 및 지구온난화가 급격하게 진행됨에 따라 전 세계적으로 환경문


제에 대한 관심이 날로 증가하고 있다. ‘녹색 소비자’라는 신조어가 생길
정도로 이제는 일반 소비자들도 자신이 선택하는 상품 또는 서비스가 조금이
라도 더 환경 친화적이기를 바라면서 상품 등을 선택한다. 이러한 소비자들
이 한눈에 쉽게 상품에 대한 환경정보를 알아볼 수 있도록 상품에 부착하는
로고 등의 표시(예를 들어 재활용표시, 참치 캔의 돌고래안전표시, 자동차 연
비효율라벨)가 환경라벨링의 간단한 예다.
환경라벨링은 일반적으로 ‘소비자들에게 라벨이 부착된 상품이 유사한
상품보다 더 환경 친화적이라는 것을 알리고 환경친화적인 상품을 구매하도
록 유도하는 각종 라벨링을 의미하는 것’으로 정의된다. 그러나 환경라벨링
은 언제나 긍정적인 내용만을 담는 것이 아니라 상품의 취급에 특별한 주의
가 요구되는 경우 부정적인 내용을 담을 수도 있고 단순한 정보를 전달하기
위해 중립적인 내용을 담을 수도 있다. 환경라벨링은 바라보는 관점에 따라,
추구하는 목적에 따라 다양하게 정의되고 유형 분류될 수 있다. 논문은 이에
대해 자세히 다루고 논문의 목적에 맞도록 TBT협정의 구성에 따른 정의 및
유형분류를 한다.
환경라벨링은 언제나 긍정적인 영향만을 미치는 것은 아니다. 기술이 급
속히 발전됨에 따라 수입국에서 요구하는 환경요건을 외국의 상품(주로 개도
국으로부터 유래하는 상품 또는 규모가 작은 생산자의 상품)이 기술적·재정
적 어려움으로 인해 만족시키지 못하는 경우에는 수입국의 시장으로 진입하
는 것 자체가 어려워진다. 즉, 환경라벨링은 처음의 취지와는 달리 수입국이
자국 생산의 경쟁력을 유지하기 위한 보호무역의 수단으로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 또한, 환경라벨링이라는 이름하에 상품의 특성과 무관한 공정 및 생산
방법(non-product-related PPMs : npr-PPMs)에 대한 요건을 규정하고 그것을
따르지 않은 외국의 상품에 대해서 수입제한을 하는 경우가 있다. 결론부터
말하자면 이러한 npr-PPMs는 TBT협정에서 허용하는 기술규정 및 표준의 형
태가 아니다. Npr-PPMs는 상품의 동종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기준이 될

- i -
수 없기 때문에 npr-PPMs에 근거한 차별을 허용한다면 내국민대우원칙과 최
혜국대우원칙을 위반을 용인한다는 비정상적인 결과를 가져온다. 결국 TBT
협정도 그것이 규율할 수 있는 특정 범위의 환경라벨링이 있는 것이다. 이에
대해서는 제5장에서 자세히 다루었다.
이 논문은 이러한 환경라벨링을 WTO 체제 내에서 어떻게 규율할 수 있
을까라는 질문에서 출발했다. 특히, 라벨링을 기술규정 또는 표준의 한 모습
으로 명시하며 추구할 수 있는 정당한 목적으로 ‘환경의 보호’를 예시하고
있는 TBT협정 하에서 환경라벨링은 어떻게 규율되고 어떤 특수한 법적 쟁점
이 있을지를 알아보는 것이 논문의 목적이다. 그리고 WTO 법체계가 환경라
벨링이 지나치게 무역기술장벽으로 작용하는 것을 규제하되, 인류 전체의 공
동의 관심사인 환경의 보호 문제도 동시에 고려해야할 것이다. 무역과 환경
의 이상적인 조화는 앞으로도 계속 남아있을 숙제다.

- ii -
주 요 목 차

제 1 장 서론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
제2절 연구의 범위 및 방법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

제 2 장 환경라벨링의 의의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7
제1절 환경라벨링의 목적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7
제2절 환경라벨링의 정의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9
제3절 환경라벨링의 유형 분류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4

제 3 장 TBT협정의 라벨링 규율체계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9
제1절 서론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9
제2절 TBT협정의 법적 구조 및 규정의 개관 ·
·
···
··
··
··
··
··
··
··
··
··
··
··
··
··
··
··
··
··
··
··
··
··
··
··24

제 4 장 정부주도의 강제적 환경라벨링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1
제1절 서론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1
제2절 강제적 환경라벨링의 시행 모습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2
제3절 미국 및 한국의 자동차 연비효율 라벨링 제도 ·
··
··
··
··
··
··
··
··
··
··
··
··
··
··
··
··
··
·47
제4절 자동차 라벨링 제도를 통한 TBT협정상의 강제적 라벨링 요건의
특수 문제 검토..............................................................................................51

제 5 장 정부주도의 자발적 환경라벨링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9
제1절 서론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9
제2절 정부주도 자발적 환경라벨링의 사례 ·
··
··
··
··
··
··
··
··
··
··
··
··
··
··
··
··
··
··
··
··
··
··
··
··
··
··
·71
제3절 TBT협정과 PPMs의 문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74
제4절 소결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83

제 6 장 민간주도의 자발적 환경라벨링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86

- iii -
제1절 서론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86
제2절 민간주도 자발적 환경라벨링 사례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87
제3절 TBT 부속서 3 - 모범관행규약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90

제 7 장 결론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94

- iv -
세 부 목 차

제 1 장 서론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
제2절 연구의 범위 및 방법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
I. 연구의 범위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
II. 연구의 방법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

제 2 장 환경라벨링의 의의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7
제1절 환경라벨링의 목적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7
제2절 환경라벨링의 정의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9
I. 서론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9
II. 주요 국제기구의 정의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0
1. OECD의 정의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0
2. UNCTAD의 정의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1
3. GATT 사무국의 정의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1
III. 소결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2
제3절 환경라벨링의 유형 분류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4
I. 서론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4
II. 주요 국제기구의 분류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4
1. OECD와 UNCTAD의 분류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4
2. ISO의 분류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5
III. WTO 체제 내에서의 분류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6
1. EU가 CTE에 제출한 제안서에 따른 분류 ·
·
··
··
··
··
··
·
··
··
··
··
·
··
··
·
··
··
··
··
··
··
·
·16
2. WTO TBT 협정의 체계에 따른 분류 ·
··
··
··
··
··
··
··
··
··
··
··
··
··
··
··
··
··
··
··
··
··
··
··
··16
IV. 소결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8

제 3 장 TBT협정의 라벨링 규율체계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9
제1절 서론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9

- v -
I. TBT 협정의 목적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0
II. 다른 WTO 협정과의 관계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1
1. TBT 협정과 GATT의 관계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1
2. TBT 협정과 SPS의 관계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2
제2절 TBT협정의 법적 구조 및 규정의 개관 ·
·
···
··
··
··
··
··
··
··
··
··
··
··
··
··
··
··
··
··
··
··
··
··
··
··24
I. 기술규정(Technical Regulation)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4
1. 정의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4
2. 필요성 요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4
3. 국제표준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7
4. 제2.5조와 입증책임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9
II. 표준(Standard)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0
1. 정의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0
2. 부속서3 - 모범관행규약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1
1) 모범관행규약의 의의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1
2) 모범관행규약상의 의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3
III. 적합판정절차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4
1. 의의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4
2. 적합판정절차 장의 구조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5
3. 적합판정절차 관련 의무의 내용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6
1) 비차별을 위한 절차적 보호장치 ·
·
···
··
··
··
··
··
··
··
··
··
··
··
··
··
··
··
··
··
··
··
··
··
··
··36
(1) 제5.1조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6
① 비차별 원칙의 내포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6
② 필요성 원칙의 준수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7
(2) 제5.2조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8
2) 국제표준기관의 지침․권고의 사용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9
IV. PPMs의 문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9

제 4 장 정부주도의 강제적 환경라벨링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1
제1절 서론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1

- vi -
제2절 강제적 환경라벨링의 시행 모습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2
I. 부정적 내용물 환경라벨링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2
1. 미국의 청정대기법상의 라벨링 제도 ·
··
··
··
··
··
··
··
··
··
··
··
··
··
··
··
··
··
··
··
··
··
··
··
··42
2. EU의 GMOs 환경라벨링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3
II. 긍정적 내용물 환경라벨링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4
III. 중립적 내용물 환경라벨링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5
제3절 미국 및 한국의 자동차 연비효율 라벨링 제도 ·
··
··
··
··
··
··
··
··
··
··
··
··
··
··
··
··
··
·47
I. 미국의 Fuel Economy Label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7
II. 한국의 자동차 연비효율 라벨링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8
제4절 자동차 라벨링 제도를 통한 TBT협정상의 강제적 라벨링 요건의 특수
문제 검토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1
I. TBT협정 제2조와 자동차 라벨링제도 ·
··
··
··
··
··
··
··
··
··
··
··
··
··
··
··
··
··
··
··
··
··
··
··
··
··
··
··51
II. 필요성 평가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3
1. 필요성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3
1) US-Section337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4
2) Korea-Beef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5
3) EC-Asbestos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6
2. 목적의 정당성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6
1) 정당한 목적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7
2) TBT 협정의 정당한 목적 : 환경의 보호 ·
·
··
··
··
··
··
··
··
··
··
··
··
··
··
·
··
··
·
··
·58
3) 자동차 라벨링의 목적의 정당성 ·
··
··
··
··
··
··
··
··
··
··
··
··
··
··
··
··
··
··
··
··
··
··
··
··
··58
3. 위험평가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9
4. 소결 : 자동차라벨링의 필요성 분석 ·
··
··
··
··
··
··
··
··
··
··
··
··
··
··
··
··
··
··
··
··
··
··
··
··
·60
III. 입증책임 및 필요성의 추정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2
1. 제2.4조와 제2.5조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2
2. 정당한 목적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3
3. 비효과적이거나 부적절한 수단 및 입증책임 ·
·
···
··
··
··
··
··
··
··
··
··
··
··
··
··
··
··64
4. 자동차 라벨링과 국제표준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5
5. EC-Sardines 사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6

- vii -
제 5 장 정부주도의 자발적 환경라벨링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9
제1절 서론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9
제2절 정부주도 자발적 환경라벨링의 사례 ·
··
··
··
··
··
··
··
··
··
··
··
··
··
··
··
··
··
··
··
··
··
··
··
··
··
··
·71
I. 독일의 Blue Angel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71
II. 캐나다의 Environmental Choice Logo ·
··
··
··
··
··
··
··
··
··
··
··
··
··
··
··
··
··
··
··
·
···
·
···
·
···
·
·72
제3절 TBT협정과 PPMs의 문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74
I. 문제의 소재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74
1. PPMs 및 npr-PPMs의 정의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74
2. 논의의 배경과 내용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75
1) PPMs 관련 일반 논의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75
2) Npr-PPM의 문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76
(1) Npr-PPMs는 TBT협정의 PPM에 포함되지 않는다는 견해 77
(2) Npr-PPMs도 TBT협정의 PPMs에 포함된다는 견해 ·
··
··
··
··
··78
II. 환경라벨링과 PPMs의 연계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79
1. 서론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79
2. 단일속성 환경라벨링 제도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79
1) 의의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79
2) PPMs 관련 분석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80
3. 다중속성 환경라벨링 제도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81
1) 의의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81
2) PPMs 관련 분석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81
제4절 소결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83

제 6 장 민간주도의 자발적 환경라벨링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86
제1절 서론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86
제2절 민간주도 자발적 환경라벨링 사례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87
I. 미국의 Green Seal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87
II. 미국의 SCS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88

- viii -
제3절 TBT 부속서 3 - 모범관행규약상 의무의 해석 문제 ·
··
··
··
··
··
··
··
··
··
··
··
··
··90
I. 국제무역에 대한 불필요한 장애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90
II. 국제표준에의 조화에 대한 예외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92

제 7 장 결론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94

- ix -
그림 / 표 목차

그림 1. 연도별 기술규제 통보문 건수 (1995년~2010년) ·


··
··
··
··
··
··
··
··
··
··
··
··
··
··
··
··
··
··
··
··2

표 1. TBT 통보의 목적별 분류 (2010년)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

- x -
제 1 장 서론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환경오염과 지구온난화가 심각해져 감에 따라 WTO 회원국들은 환경 문


제데 대한 경각심을 갖고 환경을 보호하기 위한 각종의 조치들을 시행하고
있다. 무역의 자유화 및 세계화를 지향하는 WTO 체제에 따라 전통적인 무
역장벽인 관세나 수입수량제한 등은 감축 또는 철폐되어 가고 있는데, 그러
한 추세와 맞물려 기술규정 , 표준 및 적합성평가절차 등과 같은 기술관련
무역장벽 , 특히 그 중에서도 환경보호 목적을 내세운 기술장벽은 점점 높아
져가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무역기술장벽은 국가들이 자국의 기술적 우위성을 이용
하여 자국생산을 보호하는데 이용되고 있다. 무역기술장벽은 ① 국가 경제규
모나 발전정도와 관계없이 모든 국가에서 활용되고 있고 ② 대부분의 무역
상품에 적용되며 ③ 기술발전에 따라 역동적으로 빠르게 변화한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WTO 회원국들은 TBT 협정 제 10조 제 6항에 의하여 새로운 기술규정 ,
표준 , 적합판정절차 등을 TBT 위원회에 통보할 의무를 진다 . 아래의 [그림
1]을 보면 1995년과 2004년 사이 증감을 반복하던 통보건수가 771건의 통
보가 있었던 2005년부터 급격한 증가세를 보였고 2009년에는 1,490건 ,
2010년에는 1,419건을 기록하여 5년 사이 2배 가까이 증가하였음을 알 수
있다.

- 1 -
그림 1. 연도별 기술규제 통보문 건수 (1995년~2010년)
출처: Sixteenth Annual Review of the Implementation and Operation of the
TBT Agreement, Note by the Secretariat, G/TBT/29, 8 March 2011.

아래의 [표1]은 2010년에 통보된 전체 1,419개의 기술규제 통보를 목적


별로 나타내고 있다. ‘인간의 건강 또는 안전의 보호’를 목적으로 하는 통보
수가 886건으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했고, ‘기만적 관행의 방지 및 소비자
보호’가 264건으로 그 뒤를 이었으며 ‘환경보호’가 183건으로 네 번째로 많
은 비중을 차지했다. 이는 환경보호 목적의 기술규제 통보수가 88건에 불과
했던 2005년과 비교하여 2배가 넘는 기록이다.

- 2 -
표 1. TBT 통보의 목적별 분류 (2010년)
출처: G/TBT/29, 8 March 2011.

환경보호를 목적으로 취해지는 조치는 국가마다 다양한 형태로 나타난


다. 수입국에서 자국생산에 대해 부과하는 환경요건을 동일하게 부과하지
않은 국가로부터 해당 상품의 수입을 금지하는 조치를 취할 수 있다. 혹은
자국생산에 특정 환경요건을 부과한 결과 상승한 생산원가로 인하여 자국
상품의 경쟁력이 하락할 것을 우려하여 동종의 수입품에 대하여 국경세 조
정을 하는 방법을 취할 수도 있다. 최근에 주목받는 환경보호 목적의 조치
에는 환경라벨링 제도가 있다.
각종 환경라벨링이 증가하면서 무역에 끼치는 영향이 증가함에 따라
WTO 체제 내에서 환경라벨링은 어떠한 지위에 있고 어떠한 규정의 적용을
받는지에 대한 법적 검토가 필요하다. TBT협정의 기술규정 및 표준에 대
한 정의규정은 명시적으로 ‘ 상표부착요건 ’ 또는 라벨링요건을 포함하는 문
서일 수 있음을 규정한다 . 이에 따라 이 논문은 라벨링제도 중에서 환경라
벨링의 유형을 살펴보고 TBT협정의 적용상 제기되는 법적 쟁점을 검토하

- 3 -
는 것을 목적으로 할 것이다.

- 4 -
제2절 연구의 범위 및 방법

I. 연구의 범위

TBT협정 부속서 1의 기술규정 및 표준에 대한 정의는 이들 문서가 라벨


링 요건을 규정할 수 있음을 명시하고 있다. 라벨링 중에는 식품의 영양정보
를 담는 라벨링이 있을 수도 있고 특정의 노동기준에 부합하는 방식으로 생산
되었다는 라벨링이 있을 수도 있다. 이처럼 라벨링은 환경뿐만 아니라 사회적
라벨링 등 다양하게 존재하나, 이 논문에서는 환경과 관련된 정보를 담는 환
경라벨링만을 논의의 대상으로 삼을 것이다.
WTO법 혹은 국제경제법과 일반국제법을 나누어 본다면, 환경라벨링은 양
쪽 모두에서 논의가 될 수 있다. 수입국이 다른 국가로부터 오는 상품이 자국
으로 들어오는 과정에서 자국의 환경관련 기술규정 또는 표준을 준수할 것을
요구하고 그 요건을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시장접근을 봉쇄하는 경우 수
입국은 자국의 조치를 외국에 강요함으로써 외국의 주권을 침해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는 일반국제법의 영역에서 논의될 수 있을 것이
다.1) WTO법 내에서도 TBT협정 외에 SPS협정과 GATT에 의해서도 규율
될 수 있다. 그러나 이 논문은 TBT협정과 다른 WTO의 협정들과의 관계를
설명하는 외에는 논의를 TBT협정으로만 한정하기로 한다.

II. 연구의 방법

환경라벨링에 관한 TBT협정상의 법적쟁점을 논하기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환경라벨링에 대한 정의가 제시되어야 한다. 제2장은 여러 국제법 주체가 내리
는 환경라벨링의 정의와 다양한 관점에서의 유형분류에 대해서 살펴본 후 이
논문의 논의를 위해서 사용할 정의와 유형분류를 구성해보도록 한다.

1) Appleton, Environmental Labelling Programmes: International Trade law Implications, Kluwer


Law International, 1997, pp.29-39 참조.

- 5 -
제3장은 환경라벨링에 대한 구체적인 유형별 논의로 들어가기 전에 TBT협정
의 규정들 중에서 특별히 환경라벨링과 밀접한 관계를 갖는 주요 규정들을 개관하
도록 한다. 가장 핵심이 되는 ‘기술규정’, ‘표준’ 그리고 이들에 부합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적합판정절차’에 적용되는 TBT협정의 규정 중에서 특히 환경라벨
링과 연관이 되거나 최근 논의의 대상이 되는 규정들만 살펴보도록 한다.
제4장 내지 제6장은 각각 정부주도 강제적 환경라벨링, 정부주도 자발적 환경
라벨링 그리고 민간주도 자발적 환경라벨링에 관한 구체적인 논의를 전개한다. 각
장에서는 해당 환경라벨링의 실제 모습을 사례로 먼저 살펴보고 각 유형과 가장
관련이 깊은 법적 쟁점을 선별하여 미리 제시한 사례와 연계하여 보다 심도 있는
법적 검토를 진행하도록 한다.

- 6 -
제 2 장 환경라벨링의 의의

제1절 환경라벨링의 목적

환경을 보호하고자 하는 환경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국가들은 수입금지


또는 제한, 상품 내용물, 성능, 포장, 폐기물 관리 및 재활용, 요금 및 세금,
시험·검사·인증 등에 대하여 요건을 설정할 수 있다. 이를 환경요건이라고
하는데 환경라벨링을 포함하는 라벨링 요건 역시 환경요건의 일종이다.2)
OECD는 환경라벨링의 목적으로 (i) 라벨이 부착된 상품의 판매 또는 이미
지 개선, (ii) 소비자의 인식 제고, (iii) 정확한 정보의 제공, (iv) 생산자가
상품의 환경 영향을 고려하도록 장려, 그리고 가장 최종적으로 (v) 환경보
호의 다섯 가지를 제시했다.3) 즉, 환경라벨링은 소비자가 쉽게 알아볼 수 있
는 심볼을 이용하여 상품이 믿을 수 있는 전문가 집단에 의해 환경 친화적
인 것으로 승인되었다는 것을 알려주기 때문에 라벨이 부착된 상품의 판매
또는 이미지 개선에 영향을 미친다. 또한 환경을 덜 파괴하는 상품에 대한
소비자의 인식을 제고하고 일명 ‘녹색 소비자’로 하여금 환경정보의 제공
을 통한 구매결정을 하도록 돕는다면 결과적으로 생산자들로 하여금 상품개
발 절차 자체를 바꾸고 더욱 환경 친화적인 절차로 전환하도록 장려하게 될
것이다.4) 이러한 목적들은 구체적인 환경라벨링 제도의 구성과 모습에 따라
경제적인 도구로서의 역할이 강조될 수도 있고 소비자에 대한 정보제공이라
는 역할이 강조될 수도 있다.5)
이러한 설명은 시장 메커니즘을 이용한 논리구성으로서, 자발적 라벨링
의 목적으로 적당하다. 그러나 아래에서 볼 유형분류에 따르면 강제적 라벨
링은 시장 메커니즘을 이용한 것이 아니라 일정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국가가 강제적으로 시행하는 조치이기 때문에 위에서 제시한 논리에 따른

2) WTO, WTO E-learning: Trade and Environment, March 2011, p.81.


3) OECD, Environmental Labelling in OECD Countries, 1991, pp.12-13.
4) Subedi, “Balancing International Trade with Environmental Protection: International Legal
Aspects of Eco-labels”, Brooklyn Journal of International Law, vol. 25, 1999, p.375.
5) OECD, supra note 3, p. 13.

- 7 -
구체적인 목적을 동일하게 갖는다고 할 수는 없을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
고 환경라벨링에 대한 정의나 유형분류와 무관하게 모든 환경라벨링에 공통
적인 궁극적 목적은 환경보호라고 보아야 한다.

- 8 -
제2절 환경라벨링의 정의

I. 서론

환경라벨링의 정의 및 다양한 환경라벨링 제도의 유형 분류에 대해서는


통일된 견해가 존재하지 않는다. 환경라벨링은 일반적으로 “소비자들에게
라벨이 부착된 상품이 유사한 상품보다 더 환경 친화적이라는 것을 알리고
환경친화적인 상품을 구매하도록 유도하는 각종 라벨링을 의미하는 것 ” 으
로 정의된다.6) 물론 , 이러한 정의도 틀린 것은 아니다. 그러나 환경라벨링은
어떠한 상품이 환경 친화적이라는 긍정적인 정보뿐만 아니라 제품의 생산
단계에서 유해물질이나 독성물질이 사용되었다는 정보 , 또는 환경에 유해한
생산방식을 사용하였다는 부정적인 정보 7)를 담기도 하고 긍정적이든 부정
적이든 제품의 환경적 성과, 즉 중립적인 정보 8)를 포함시키기도 한다. 또한,
라벨링은 반드시 소비자의 선택을 환경 친화적인 방향으로 유도하는 것만이
목적이 아니다. 위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환경라벨링은 최종적으로 환경보
호목적을 가지고 있으며 소비자로 하여금 라벨부착 상품을 구매하도록 유도
하는 것은 중간 목적 또는 수단에 불과할 수도 있다.
이처럼 환경라벨링을 어떻게 보느냐에 따라 그 개념의 폭이 넓을 수도
있고 좁을 수도 있으며 그에 따라 정의도 달라질 수 있다. 그리고 어느 시
각과 목적에서 논의하느냐에 따라서도 달리 정의할 수 있다. 이는 환경라벨
링의 범위가 매우 광범위하며 그 한계도 명확하지 않기 때문에 일어나는 현
상인데, 환경라벨링에 대해 논의하는 국제기구들 역시 서로 다른 정의를 제
시하고 있다. 환경라벨링에 대한 논의는 주로 OECD와 UNCTAD를 중심으
로 이루어지다가 GATT에 이어 최근에는 WTO 체제 내에서도 논의가 활발

6) 윤창인, 이재협, 『유럽지역 주요 환경라벨제도 분석 및 수출에 대한 시사점』, 대외경제정책


연구원, 2005, 34면.
7) 예를 들어, 미국의 「1990년 개정 청정대기법(Clean Air Act)」은 '오존층파괴물질에관한몬트
리올의정서'상 오존층 파괴물질을 포함하는 제품에 그러한 정보를 명시하는 경고라벨을 부착
하도록 한다.
8) 예를 들어, 에너지효율성 혹은 연비효율성을 표시하는 것이다.

- 9 -
히 이루어지고 있다. 이하에서는 각 국제기구에서 제시한 정의를 살펴보고
이 논문의 목적에 맞는 정의를 구성해보도록 한다.

II. 주요 국제기구의 정의

1. OECD의 정의

1991년 OECD는 환경라벨링을 “기능 및 경쟁적인 면에서 유사한 상품과


비교하여 더욱 환경 친화적인 것으로 인증된 상품에 대하여 소비자에게 정
보를 제공하고 그로 인하여 환경친화적인 상품의 소비를 촉진하기 위하여
사적기관 또는 공적기관에 의하여 자발적으로 수여되는 라벨링 제도”라고
정의하였다.9) OECD는 상품의 생산, 유통, 사용 및 폐기에 드는 환경비용을
평가한다면 각 상품이 환경에 미치는 영향이 다를 것이라고 전제를 한 후,
라벨은 각 상품의 환경 품질에 대한 전체적인 평가를 통해 동일 범주 내의
다른 상품과 비교한 상대적인 평가 결과를 나타내는 것이라고 보았다.10) 그
리하여 OECD는 환경라벨링을 ‘전과정라벨(life-cycle labels)'11), '단일속성
라벨(single issue labels)'12) 및 '부정적내용물라벨(negative labels)'13)의 세 가

9) OECD, supra note 3, 1991, p.12.


10) Ibid.
11) 전과정라벨은 상품의 전과정(생산, 사용 및 폐기)에서의 환경영향을 평가하여 라벨이 부착된
상품이 유사경쟁상품보다 환경 친화적이라는 것을 인증한다. Ibid. 전과정 분석 또는 "요람
에서 무덤까지" 접근에 근거한 특정한 환경라벨링 제도를 에코라벨링(eco-labels)이라고 하
는데, 전과정라벨과 동일한 것으로 이해된다. 일반적으로 에코라벨링은 한 상품 카테고리
중에서 소수의 상품(5~30%)만이 기준을 만족할 수 있도록 설정되어 있다. 에코라벨링의 예
로는 독일의 Blue Angel(전열기구, 복사기계, 제지류 등 다양한 상품군을 대상으로 한다), 일
본의 Eco Mark(문구류를 포함한 약 69개의 상품 카테고리를 대상으로 한다), 덴마크의
Nordic Swan(두루마리휴지, 페이퍼타올, 세제 등을 대상으로 한다) 등이 있다. 최근에는 한
국, 중국, 대만, 인도, 브라질 등 많은 국가들이 에코라벨링 제도를 도입하여 시행하고 있다.
WTO, supra note 2, p.101. 한편, 환경라벨제도는 제품의 다양한 환경적 측면을 고려하기 때
문에 다중속성(multi-issue)환경라벨이라고도 한다. 윤창인, 이재협, 앞의 주 6, p.36.
12) OECD, supra note 3, p.12. 단일속성라벨이란 특정 환경영향단계에서의 제품속성을 표시하
는 라벨이며 상품의 한 가지 특성만을 기술한다. 예컨대 에너지절약마크, 재활용마크, 돌고
래안전마크 등이다.

- 10 -
지 유형으로 구분했지만 단일속성라벨 및 부정적라벨은 환경라벨링의 정의
에서 배제14)하고 오로지 전과정라벨만을 환경라벨링으로 보았다.

2. UNCTAD의 정의

1993년 UNCTAD는 환경라벨링이란 “라벨이 부착된 상품이 동일한 범주


의 다른 상품보다 상대적으로 더 환경 친화적이라는 것을 소비자에게 알리
기 위하여 라벨을 사용하는 제도”라고 정의하였다.15) 정부 또는 사적인 기
관으로부터 기업의 자발적인 신청자에게 부여되는 환경라벨링은 법적 구속
력이 있는 요건이나 금지를 창설하지 않기 때문에 환경보호정책을 위한 시
장지향적인(market-oriented) 도구로 여겨진다.16)
UNCTAD 역시 OECD와 마찬가지로 환경라벨을 ‘전과정라벨’, ‘단일속성
라벨’ 및 ‘부정적라벨’로 구분하고 오직 전과정라벨만을 환경라벨로 정의하
고 연구의 대상으로 삼았다. 더 나아가 ‘환경라벨링’과 ‘에코라벨링’을 동일
시하여 전과정라벨링을 지칭하는 동의어로 사용하였다.17)

3. GATT 사무국의 정의

WTO의 설립 이전 GATT 사무국은 1992년에 환경라벨링을 “소비자들에


게 상품에 관한 환경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사설기관 또는 공공기관에 의
하여 자발적인 라벨을 부여하는 제도”로 정의하였다.18) GATT 사무국은 환
경정보를 환경친화성에 국한시키지 않는 등 넓은 개념정의를 통해 단일속성

13) OECD, supra note 3, p.12. 부정적 라벨은 어떠한 상품이 건강에 해롭다거나 인화성이 있다
는 등의 상품과 수반되는 건강 또는 안전에 대한 경고를 나타낸다.
14) Ibid.
15) Jha, et al., Ecolabelling and International Trade, UNCTAD Discussion Papers, No.70, Oct.
1993, p.1.
16) Ibid.
17) Ibid.
18) GATT, Packaging and Labelling Requirements, Note by the Secretariat, TRE/W/3, (Sept. 29,
1992), para.22.

- 11 -
라벨과 부정적라벨을 환경라벨링의 정의에 포함시키며 OECD와 UNCTAD와
는 다른 접근방식을 취했는데, 이는 사무국이 라벨링 제도가 무역을 저해하
는지 여부에 관심을 가지고 환경에 영향을 미치는 모든 라벨링 제도를 연구
하기 위하여 넓은 정의를 채택한 것으로 보인다.19)
93년에는 GATT 사무국은 ‘환경라벨링’과 ‘에코라벨링’을 구분하여 모든
종류의 환경라벨링제도를 지칭하는 상위 개념으로서 ‘환경라벨링’을 사용하
고 전과정 분석에 기초하여 부여된 라벨을 지칭하기 위하여 ‘에코라벨링’을
사용함으로써 두 개념을 구분하였다.20)

III. 소결

이상 환경라벨링에 대한 개념정의를 살펴보았다 . OECD 및 UNCTAD는


환경라벨링을 “ 기능 및 경쟁적인 면에서 유사한 상품과 비교하여 더욱 환경
친화적인 것으로 인증된 상품에 대하여 소비자에게 정보를 제공하고 그로
인하여 환경 친화적인 상품의 소비를 촉진하기 위하여 사적기관 또는 공적
기관에 의하여 자발적으로 부여되는 라벨링 제도” 라고 정의한다 . 그러면서
상품의 생산, 사용 및 폐기의 전과정에서의 환경영향을 평가하여 라벨을 부
여하는 전과정라벨만을 환경라벨링으로 본다. 이러한 OECD 및 UNCTAD의
좁은 해석에 반하여, GATT 사무국은 “ 소비자들에게 상품에 관한 환경정보
를 제공하기 위하여 사설기관 또는 공공기관에 의하여 자발적인 라벨을 부
여하는 제도 ”로 넓게 정의했다 .
이러한 차이는 각 기구의 성격의 차이 및 그로 인한 환경라벨링 관련 논
의의 방향이 다르기 때문에 생긴다. 즉, OECD 및 UNCTAD는 회원국의 경
제개발 및 협력을 그 목적으로 삼는 반면, GATT/WTO는 상품의 생산과 무
역을 확대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OECD는 각 회원국 정부가 실효적이며 경
제적으로 효율적인 환경정책을 개발할 수 있도록 각종 정보 및 통계를 제공
하는 등 분석적 기초를 제공하지만 WTO는 “각 회원국이 경제발전의 상이

19) Appleton, supra note 1, pp. 2-3.


20) GATT, supra note 18, p.1.

- 12 -
한 수준에서 각 각의 필요와 관심에 일치하는 방법으로 환경을 보호하고 보
존하면서…상품의 생산과 무역을 확대하고자”21)하므로 환경라벨링제도가 무
역을 제한하는 새로운 장벽이 되지 않는지에 대해 더욱 관심을 가진다. 따
라서 궁극적으로 환경라벨링이 환경보호라는 공통된 목적을 가지고 있다고
하더라도 각 기구의 접근방식이 다를 수밖에 없는 것으로 보인다.
이 논문은 환경라벨링이라는 명칭 하에 새로운 무역에 대한 장벽을 형성
하는 문제가 WTO TBT협정에 의해 어떻게 규율되는지, 그리고 최근 논의
되는 다양한 측면의 쟁점들을 풀어나가려는 목적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가
장 넓은 관점에서 환경라벨링을 바라보고자 한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의 환
경라벨링이라 함은, 자발적으로 또는 강제적으로, 사적기관 또는 공적기관이
소비자에게 환경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수여하는 것으로 정의함으로써, 오
로지 환경 친화적인 제품만을 대상으로 수여하는 것도 아니고 또한 그러한
상품의 소비를 촉진하기 위한 것에 국한되는 것도 아닌 모든 환경라벨링을
아우르는 가장 넓은 개념으로 정의하고자 한다.

21) WTO설립을위한마라케쉬최종의정서 전문.

- 13 -
제3절 환경라벨링의 유형 분류

I. 서론

환경라벨링에 대하여 논의하는 국제기구에서 내린 환경라벨링의 정의를


통해 보았듯이, 각각은 고유의 관심사 및 논의방향에 따라 서로 다른 결론
을 내리고 연구의 범위를 확정한다. 다양한 형태로 존재하는 환경라벨링의
분류 및 유형화 역시 논의하는 주체에 따라 다른 모습으로 이루어진다. 그
안에서도 환경라벨링은 라벨링의 설계와 이행모습에 따라서도 다양하게 분
류된다. 아래에서는 다양한 분류방법을 살펴보고 이 논문에서의 논의를 위
하여 필요한 분류방법을 구성해보고자 한다.

II. 주요 국제기구의 분류

1. OECD와 UNCTAD의 분류

앞서 이미 살펴보았듯이, OECD와 UNCTAD는 환경라벨링을 크게 세 유


형으로 분류하여 ‘전과정라벨링’, ‘단일속성라벨링’ 및 ‘부정적라벨
링’을 구분하고 단일속성라벨링과 부정적라벨링은 정의 및 연구의 범위에
서 제외시켰다. OECD는 1994년의 연구를 통해 환경라벨링 제도를 세 그룹
으로 나누면서 에코라벨(전과정라벨), 단일속성 자발적라벨 및 단일속성 강
제적라벨(부정적라벨)을 제시하였다.22) 이로써 93년 GATT사무국의 정의 및
분류와 마찬가지로 OECD 역시 환경라벨링과 에코라벨링을 상이한 개념으로
구분 지으면서 환경라벨링은 환경정보를 제공하는 전체집합으로서의 라벨을
지칭하는 개념으로, 그리고 에코라벨링은 그 중에서 전과정 분석에 근거하
여 부여된 환경라벨을 특정적으로 지칭하는 개념으로 사용하게 되었다.23)

22) OECD, Life-Cycle Management and Trade, 1994, p.42.

- 14 -
그러나 결과적으로 분류 면에서는 1991년의 연구와 차이가 없는 것으로 보인
다.

2. ISO의 분류

국제표준화기구(International Standards Organization : ISO)는 환경라벨


링에 대한 별도의 정의는 마련하지 않은 채, 14000 시리즈를 통해 기관들이
자신의 활동이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더욱 용이하게 관리하고 건전한 환경경
영을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환경경영체제에 대한 표준만을 제공한다.24)
14000 시리즈는 환경경영이 올바르게 이행되고 유지되는지를 평가하기 위한
중요한 도구인 환경 감사 및 관련 조사에 대한 표준, 기관의 환경적 성과의
평가방법에 관한 표준 등을 제공하며 이 중에서 구체적으로 ISO 14020 시리
즈는 환경라벨링 및 환경선언과 관련된다.25)
ISO는 환경라벨링을 Type I(ISO 14024), Type II(ISO 14021) 그리고
Type III(14025)의 세 가지로 나누고 각 유형별 환경라벨제도가 갖추어야
할 요건을 규정하고 있다. ISO 14024의 Type I 환경라벨링은 기업의 자발적
신청에 의하여 제품의 제조․ 유통․ 사용․ 폐기의 전과정에 걸친 환경영향을 제
3자인 인증기관이 평가하여 친환경제품임을 인증하는 라벨링인 환경표지제도
를 의미한다. 전과정 평가에 기반 한 Type I 라벨링은 에코라벨링으로도 불
리며 제품의 다양한 환경적 측면을 고려하기 때문에 다중속성라벨링에 해당
한다.26) ISO 14021의 Type II 환경라벨링은 제3자의 검증 없이 생산자, 수
입자, 배급자, 소매업자 또는 자기주장으로부터 이익을 얻는 자가 스스로 제
품이 환경 친화적임을 표시하는 라벨, 표시, 기호 등의 자기선언 환경주장을
의미한다.27) ISO 14025의 Type III 라벨링은 ISO의 전과정 평가에 기초하여 제
품의 환경영향을 공개하는 라벨링으로서 환경친화성 여부에 대한 가치판단

23) Appleton, supra note 1, p.3.


24) ISO, Environmental Management-The ISO 14000 Family of International Standards, 2009, p.6.
25) Ibid., pp.5-6.
26) “세계 각국 환경보호 목적 라벨링 시행현황”, 환경부, 2003, 1면.
27) Ibid., p.6.

- 15 -
없이 수치화된 정보를 자발적으로 선언․ 공개하는 형태의 라벨링이다. Type
III 환경라벨링은 공개된 정보의 정확성에 대하여 제3자의 검증을 받는다.28)
ISO 14020 시리즈는 자발적 라벨링에 대한 표준만을 제공하고 있다. 환
경라벨링이 제3의 인증기관이 평가하여 부여되는 것인지에 따라 Type I 과
Type II, III가 구분되며, 기업이 제시하는 환경정보가 제3자의 검증을 거치
는지 여부에 따라 Type II와 Type III가 다시 구분된다. ISO는 정부가 주도
하여 강제적으로 라벨 부착을 의무화하는 강제적 라벨링에 대해서는 아무런
언급을 하고 있지 않다. OECD, UNCTAD 및 GATT 사무국에서 정의한 ‘에
코라벨링’은 ISO 14024의 Type I 환경라벨링에 해당된다.

III. WTO 체제 내에서의 분류

1. EU가 CTE에 제출한 제안서에 따른 분류

EU는 WTO 무역환경위원회(Committee on Trade and Environment :


CTE)에 제출한 제안서를 통해 환경라벨링을 법적 지위에 따라 강제적 또는
자발적 라벨링으로, 규율주체에 따라 정부 또는 비정부 라벨링으로, 라벨링
기준의 검토제도에 따라 고정적라벨링 또는 진화적라벨링으로
(static/evolutionary), 지리적 범위에 따라 국제적, 지역적, 국내적 라벨링으
로, 그리고 제품특성과 공정 및 생산방식(Process and Production Methods :
PPMs)과의 관련에 따른 제품관련 PPMs 와 제품무관련 PPMs라벨링으로 구
분하였다.29)

2. WTO TBT 협정의 체계에 따른 분류

28) Ibid., p.4.


29) Labelling for Environmental Purposes - Submission by the European Communities under
Paragraph 32(iii), WTO Document, WT/CTE/W/225, (6 March 2003), p.3, para.18.

- 16 -
TBT협정은 적용범위가 넓으며 라벨링 요건에 적용됨을 명시하고 있기 때
문에 환경라벨링과 가장 밀접한 관련성을 가지는 중요한 WTO 규범이다.30)
TBT협정 전문31)에서는 “인간, 동식물의 생명 및 건강, 환경을 보호하기 위해
또는 기만적 관행을 방지하기 위하여” 필요한 조치로써 “포장, 마크 및 라벨
링 요건을 포함한 기술규정(technical regulation)과 표준(standard) 그리고
기술규정 및 표준에의 적합 여부를 판정하는 절차”32)를 실시할 수 있음을 밝
히고 있다.
TBT 협정의 목적상 적용될 용어에 대한 정의를 내리고 있는 부속서 1은
기술규정33)과 표준34)이 각각 라벨링 요건을 포함하거나 전적으로 다루는 문
서임을 명시적으로 밝히면서, 기술규정은 그 준수가 강제적인 것으로, 그리고

30) Appleton, supra note 1, p.91.


31) TBT Agreement, Preamble para.6:
“Recognizing that no country should be prevented from taking measures
necessary to ensure the quality of its exports, or for the protection of
human, animal or plant life or health, of the environment, or for the
prevention of deceptive practices, at the levels it considers appropriate,
subject to the requirement that they are not applied in a manner which
would constitute a means of arbitrary or unjustifiable discrimination
between countries where the same conditions prevail or a disguised
restriction on international trade, and are otherwise in accordance with the
provisions of this Agreement” [emphasis added].
32) TBT Agreement, Preamble para.5:
“Desiring however to ensure that technical regulations and standards,
including packaging, marking and labelling requirements, and procedures
for assessment of conformity with technical regulations and standards do
not create unnecessary obstacles to international trade” [emphasis added]
33) TBT Agreement, Annex 1.1 :
"Document which lays down product characteristics or their related
processes and production methods, including the applicable administrative
provision, with which compliance is mandatory. It may also include or deal
exclusively with terminology, symbols, packaging, marking or labelling
requirements as they apply to a product, process or production method."
34) TBT Agreement, Annex 1.2 :
"Document approved by a recognized body, that provides, for common and
repeated use, rules, guidelines or characteristics for products or related
processes and production methods, with which compliance is not
mandatory. It may also include or deal exclusively with terminology,
symbols, packaging, marking or labelling requirements as they apply to a
product, process or production method."

- 17 -
표준은 준수가 강제적이지 않은 것으로 정의하고 있다. 즉, TBT 협정의 규율
대상인 환경라벨링은 강제적 환경라벨링과 강제적이지 않은, 즉, 자발적인 환
경라벨링으로 나뉜다. 그런데, 성질상 강제적 환경라벨링은 중앙정부 또는 지
방정부 등 정부가 준비·채택·집행하는 경우만을 상정할 수 있으므로 정부 주
도 강제적 환경라벨링만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보아야 한다. 이와는 달리 자발
적 라벨링은 정부주도 자발적 라벨링과 민간주도 자발적라벨링 모두 아우르
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요컨대, TBT 협정의 규율방식에 따르면 환경라벨링은
정부주도의 강제적라벨링, 정부주도의 자발적라벨링, 그리고 민간주도의 자발
적라벨링의 세 유형으로 분류할 수 있다.

IV. 소결

이상 환경라벨링의 다양한 분류방식을 살펴보았다. OECD와 UNCTAD는


전과정라벨링, 단일속성라벨링, 부정적라벨링으로 분류하고 ISO는 Type I,
Type II, Type III의 라벨링으로 분류한다. ISO의 분류는 자발적라벨링만을 대
상으로 하고 있다는 점에서 강제적 라벨링도 단일속성라벨링 또는 부정적라
벨링으로 포섭할 수 있는 OECD와 UNCTAD의 분류방식과 비교된다.
OECD와 UNCTAD의 분류에 의해서도 모든 환경라벨링이 무리 없이 유형
화될 수 있다고 하더라도, 이 논문은 WTO의 법체계의 틀 내에서 환경라벨링
의 규율되는 모습을 TBT 협정이라는 특정 목적을 가진 협정과 연관하여 살
펴보고자 하므로, TBT 협정의 체계에 따라 서술하고자 한다. 따라서 여러 분
류가능성에도 불구하고 이 논문의 목적상 환경라벨링은 앞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정부주도의 강제적환경라벨링, 정부주도의 자발적환경라벨링, 그리고 민
간주도의 자발적환경라벨링으로 분류하기로 한다.

- 18 -
제 3 장 TBT협정의 라벨링 규율체계

제1절 서론

WTO 법체계 내에서 무역에 대한 보호조치는 협상을 통해야 하며 GATT


제XI조35)에 비추어 관세의 형태로만 시행이 가능하다. 수입상품이 관세를 지
불한 후에는, 국내상품과 동일시되어야 하며 국내상품에 대해 적용되는 법이
동일하게 적용되어야 한다. 즉, 수입국은 자국생산을 보호하기 위하여 관세
양허를 무의미하게 만드는 차별적인 국내조치를 도입할 수 없다.36)
그런데 1947년 GATT의 출범 이후 계속된 관세인하로 인하여 관세를 통
한 국내산업의 보호가 어려워지자, WTO 회원국들은 대신 비관세장벽을 통
한 보호를 도모하게 되었다.37) 특히, 기술무역장벽이 관세인하의 효과를 상
쇄시키는 비관세 장벽 중 특히 중요한 존재로 인식되면서 도쿄라운드에서 집
중적인 노력의 결과 라운드 막바지인 1979년 표준규약(Standard Code)으로
불린 복수국간 협정인 '무역상기술장벽협정'(Agreement on Technical
Barriers to Trade)38)을 탄생시켰다. 그 후, 이 협정은 우루과이라운드를 거
치면서 수정·강화되어 우루과이협상의 타결로 1995년 1월 1일 다자간 협정
으로서의 TBT 협정으로 발효되었다.39)
최근에 TBT 협정과 관련하여 가장 쟁점이 되고 있는 것은 라벨링 문제
이며, 그 중에서 특히 환경라벨링에 대한 논의가 증가하고 있다. TBT 협정
의 법적 틀 내에서 환경라벨링 문제를 다루기 위하여 이하에서는 TBT 협정
의 목적, 다른 WTO 협정과의 관계, 적용범위를 중심으로 개관하기로 한다.
더 나아가 세부적인 논의가 필요하다고 생각되는 쟁점은 이하의 장에서 환경
라벨링의 분류에 따른 구체적 사례를 제시하면서 가장 관련성이 큰 부분에서

35) GATT 제XI조는 수량제한을 금지하고 있다.


36) Matsushita, et al., The World Trade Organization: Law, Practice, and Policy, Oxford
University Press, 2006, p.478.
37) 이재형 외 16인, 『국제경제법』, 박영사, 2006, p.288-289.
38) Tokyo Round Agreement on Technical Barriers to Trade, BISD 26th Supp., 1980, 8.
39) 이재형 외 16인, 앞의 책, pp.290-291

- 19 -
자세히 논하도록 한다.

I. TBT 협정의 목적

TBT협정의 가장 주된 목적은 국내 조치로서의 기술장벽의 설정을 통한


보호무역의 방지라고 할 수 있다. 다시 표현하면, 국내조치를 발동할 수 있
는 회원국의 주권 행사와 국제무역 공동체에서의 의무 간의 균형을 유지하는
것이 일차적인 관심사이자 목적이다.40) WTO 회원국들은 정당한 목적41)을
위하여 자신이 적절하다고 생각하는 수준의 국내조치를 취할 수 있는 것이
원칙이다. 이러한 주권을 TBT 협정의 전문42) 제6문이 확인하고 있다. 회원
국은 정당한 목적을 위해 조치를 취할 수 있으며, 그러한 조치가 자의적이거
나 부당한 차별 또는 국제무역에 대한 위장된 제한을 구성하지 않는 한 적법
한 것으로 인정된다고 규정한다.
국가들의 조치가 보호주의적인 의도가 없더라도 각 국가의 규정간의 부조
화, 기술규정/표준의 작은 차이로 인하여 결과적으로 무역에 장애가 발생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43), GATT 시절에는 이러한 국가들의 조치를 비관세장
벽에 대한 일반적 규정으로만 규율하고 있었을 뿐, 기술장벽만을 다룬 특별
규정을 두지 않았다. 그리고 또한 사적행위자(private actors)들의 행위는 규
율할 방법이 없었다. WTO의 출범과 함께 발효한 TBT 협정은 국가들이 정

40) Koul, Guide to the WTO and GATT: Economics, Law and Politics, Kluwer Law
International, 2005, p.417.
41) TBT 협정 제2.2조는 정당한 목적에 해당하는 국가안보, 기만적 관행의 방지, 인간의 건강
또는 안전의 보호, 동식물의 생명 또는 건강의 보호, 환경보호 등을 예시하고 있다. 이에 대
해서는 아래에서 다시 설명한다.
42) TBT 협정 자체에는 전문(Preamble)이라는 말이 나타나있지 않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상소기
관은 US-Shrimp, WT/DS58/AB/R 및 EC-Tariff Preferences, WT/DS246/AB/R에서 TBT 협정의
서문을 "전문"으로 지칭한 바 있다. 또한 서문의 문장들이 WTO 회원국들의 공동의 고려사
항과 공통의 원칙들을 담고 있으며 TBT 협정의 목적과 목표를 명시하고 있다는 점에서 국
제법의 '전문'을 형성한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Wolfrum, et al, WTO – Technical Barriers
and SPS Measures, Max Planck Commentaries on World Trade Law, vol. 3, Max Planck
Institute for Comparative Public Law and International Law, 2007 pp.168-169.
43) Koul, supra note 40, p.417.

- 20 -
당한 목적을 위해 기술규정 또는 표준을 채택하는 것을 인정하는 바탕 위에
자의적이거나 부당한 조치가 되지 않도록 보장하며(제6문) 국제무역에 불필
요한 장애가 되지 않도록 규율(제5문)할 목적을 가진다. 그리고 제3조를 통
하여 비정부기관도 규율대상으로 포함시켜 준수하여야 할 의무와 중앙정부의
책임을 규율하고 있다. 또한 TBT 협정은 국제규범과 다른 표준의 제정, 상품
의 성능이 아닌 디자인을 기준으로 한 표준의 제정, 국내상품과 수입상품간의
상이한 검사 및 인증시스템의 적용, 수입상품에 대해 수출국이 시행한 검사
및 인증 결과의 불인정, 투명성 부재 등의 문제를 다루기 위해 구성 된 바44),
이들 문제에 대한 규정을 마련하고 있다. 이로써 무역의 원활한 흐름이 가능
하게 되고, 결국 "further the objectives of GATT 1994"라는 표현을 통해 제2
문이 제시하는 GATT 1994와 TBT 협정의 공통의 목적, 즉 자유롭고 예측 가
능한 국제무역을 통해 회원국과 그 국민들의 복지를 향상시킨다는 목적이 가
능하게 되는 것이다.

II. 다른 WTO 협정과의 관계

하나의 사실관계는 원칙적으로 GATT 또는 TBT 또는 SPS의 규율 범위에


포섭될 수 있다. 각 협정이 동일한 내용을 담고 있다면 이들을 구분할 필요가
없겠지만, 세 협정들은 하나의 사실관계에 대해서 상이한 평가 방법을 취하기
때문에 어느 협정이 우선하는지를 분명히 하는 것이 중요하다.45)

1. TBT 협정과 GATT의 관계

TBT 협정은 GATT와의 관계를 명시하고 있지 않다. 두 협정의 관계는


GATT와 그 외의 상품무역 협정과의 관계에 대한 ‘부속서 1가에 대한 일반

44) Ibid.., p.422.


45) Matsushita, et al., supra note 36, p.481.

- 21 -
주해’46)에 나타나있다. 주해에 의하면 TBT 협정의 관계에 대해서는 여러
DSB의 결정에서도 언급되었다. EC-Asbestos47)의 상소기구는 "TBT 협정이
GATT 1994의 목적을 증진시키기 위해 구성되었다 하더라도 한정된 종류의
조치에만 적용되는 특별한 법적 제도를 통해서 이루어진다. 이러한 조치들에
대하여 TBT 협정은 회원국들에게 GATT 1994가 부과하는 의무와는 다른,
추가적인 의무를 부과한다."고 판시하였다. 따라서 상소기구는 하나의 조치가
기술규정의 형태로서 TBT 협정과 GATT에 동시에 해당된다면 TBT 협정에
따라 검토되어야 하며 패널이 한 바와 같이 GATT 규정에 비추어 검토할 것
은 아니라고 판시하였다.48)

2. TBT 협정과 SPS의 관계

GATT와의 관계와는 달리 SPS와의 관계에 대해서는 TBT 협정 제1.5조


에서 명확히 규정하고 있다.49) SPS 협정 제1.4조는 다시 한 번 두 협정의 관
계를 명확히 한다.50) 문제의 조치가 기술규정으로서 전적으로 위생 및 검역

46) General interpretative note to Annex 1A :


“In the event of conflict between a provision of the General Agreement
on Tariffs and Trade 1994 and a provision of another agreement in Annex
1A to the Agreement Establishing the World Trade Organization(referred
to in the agreements in Annex 1A as the "WTO Agreement"), the
provision of the other agreement shall prevail to the extent of the
conflict.”
47) Appellate Body Report, European Communities- Measures Affecting Asbestos and
Asbestos-containing Products ("EC-Asbestos"), WT/DS135/AB/R12, adopted March 2001.
48) Ibid., para 77. EC-Sardines의 패널보고서(Panel Report, European Communities - Trade
Description of Sardines ("EC-Sardines"), WT/DS231/R, adopted 29 May 2002.) paras
7.14-7.16.에서는 TBT 협정이 "특정적으로 그리고 상세하게" 기술규정에 대해 규율하므로
문제의 조치가 기술규정이라면 TBT 협정이 GATT에 우선해야 한다고 언급하였고 상소기관
은 패널의 입장을 지지하며 TBT협정의 위반만을 검토(para 171이하)하여 사건을 해결했다.
49) TBT Agreement Art.1.5 :
“The provisions of this Agreement do not apply to sanitary and
phytosanitary meaures as defined in Annex A of the Agreement on the
Application on Sanitary and Phytosanitary Measures.”
50) SPS Agreement Art.1.4 :
“Nothing in this Agreement shall affect the rights of Members under the
Agreement on Technical Barriers to Trade with respect to measures not

- 22 -
에 대해 다루고 있다면 SPS에 의해 규율될 사항으로서 자동적으로 TBT의
규율 대상에서 제외된다. 즉, 조치의 목적이 전염병과 질병, 음식물로 인한
위험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목적인지에 따라 TBT협정과 SPS협정의 적용여
부가 갈리게 된다.51)
EC-Hormones52) 사건에서 미국과 캐나다는 문제의 조치가 TBT 협정에
위반된다고 주장하였으나, 패널은 TBT 협정의 제1.5조를 들어 문제의 조치
가 SPS 조치인 이상 TBT협정은 동 분쟁에서 적용의 여지가 없다고 판시하
였다.
따라서 조치의 목적에 따라 SPS가 적용되는 경우 TBT나 GATT 보다
SPS협정이 우선 적용되고, SPS 적용대상이 아니어서 TBT 협정이 적용되는
경우 TBT 협정이 GATT에 우선해서 적용이 된다.

within the scope of this Agreement. ”


51) Koul, supra note 40, p.436. 이는 다시 말해 SPS 협정이 TBT협정에 대한 특별법(lex
specialis)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Wolfrum, et al, supra note 42, p.185. SPS협정이 TBT
협정에 대하여 "특별법적 지위"에 있다는 것을 인정하면서도 조약법에관한비엔나조약에서
의 lex specialis와는 동일한 개념은 아니라는 견해에 대해서는 Matsushita, supra note 36,
p.483 각주21 참조.
52) Panel Report, European Communities- Measures Concerning Meat and Meat Products
("EC-Hormones" (US), WT/DS26/R/USA, adopted August 1997, paras 8.29, 8.32.

- 23 -
제2절 TBT협정의 법적 구조 및 규정의 개관

I. 기술규정(Technical Regulation)

1. 정의

기술규정의 정의는 TBT협정의 부속서 1.1에서 내리고 있는데 내용은


다음과 같다:

“적용 가능한 행정규정을 포함하여 상품의 특성 또는


관련 공정 및 생산방법이 규정되어 있으며 그 준수가
강제적인 문서. 이는 또한 상품, 공정 및 생산방법에
적용되는 용어, 기호, 포장, 표시, 또는 상표 부착 요
건을 포함하거나 전적으로 이들만을 취급할 수 있다.”

EC-Asbestos와 EC-Sardines에 대한 상소기관의 보고서는 부속서 1.1에


서 제시하는 ‘기술규정’에 대한 정의가 세 가지의 핵심적 요소에 기초하고 있
다고 설명한다.53) 첫째, 문제의 상품을 식별할 수 있어야 한다. 그러나 문서
에 명시적으로 나타나야 하는 것은 아니다. 둘째, 식별된 상품에 적용되는 문
서는 상품의 특성을 한 가지 이상 규정하고 있어야 한다. 셋째, 문서에 나타
나있는 상품의 특성 등에 대한 준수가 강제적이어야 한다. 이 논문의 관심사
인 환경라벨링 중 그에 대한 준수가 강제적인 것은 기술규정에 해당된다.

2. 필요성 요건

53) Appellate Body Report, EC-Asbestos paras 66-70; Appellate Body Report, EC-Sardines para
176.

- 24 -
WTO 법의 근간을 이루는 원칙들 중 가장 중요한 원칙은 양대 비차별원
칙으로 불리는 최혜국대우원칙과 내국민대우원칙이다. 회원국이 무역에 영향
을 미칠 가능성이 있는 국내조치를 취하는 경우, 영향을 받을 모든 상품에 대
하여 원산지와 상관없이 비차별적인 방식으로 이행해야 한다.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WTO 회원국은 정당한 목적을 위하여 기술장벽이라는 일방적인
조치를 취할 주권적 권리를 갖지만, 비차별원칙을 준수하여야 하며, TBT협정
제2.1조에서 이를 명시하고 있다.54) 국내생산이 없어서 수입상품과 국내 상
품을 차별할 여지가 없는 경우라도 회원국은 당연히 최혜국대우원칙을 준수
하여야 한다.
그런데, 기술규정이 국제무역에 대한 불필요한 장벽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비록 원산지에 따른 상품 간 차별이 없다고 하더라도 TBT 협정의 위반이 된
다. TBT 협정 제2.2조는 기술규정의 채택 및 적용 등이 "국제무역에 불필요한
장애"를 초래하지 않을 것과 "정당한 목적 수행에 필요 이상으로 무역을 규제
하지 아니"할 것을 요구한다.55) 그리고 그것은 국내생산의 존재 여부와 무관하
게 요구되는 것이다.56)
기술규정은 제2문의 ‘이러한 목적’, 즉, 국제무역에 불필요한 장애의 초래
를 방지할 목적을 위해 두 개의 조건을 만족하여야 한다. 첫째로는 ‘목적이

54) TBT Agreement Art.2.1 :


“Members shall ensure that in respect of technical regulations, products
imported from the territory of any Member shall be accorded treatment
no less favourable than that accorded to like products of notional origin
and to like products originating in any other country.”
55) TBT Agreement Art.2.2 :
“Members shall ensure that technical regulations are not prepared,
adopted or applied with a view to or with the effect of creating
unnecessary obstacles to international trade. For this purpose, technical
regulations shall not be more trade-restrictive than necessary to fulfil a
legitimate objective, taking account of the risks non-fulfillment would
create. Such legitimate objectives are, inter alia: national security
requirements; the prevention of deceptive practices; protection of human
health or safety, animal or plant life or health, or the environment. In
assessing such risks, relevant elements of consideration are, inter alia:
available scientific and technical information, related processing technology
or intended end-uses of products.”
56) Matsushita, et al., supra note 36, p.486.

- 25 -
정당할 것’이고, 둘째로는 ‘기술규정이 필요 이상으로 무역을 규제하지 아니할
것’57)인데, 무엇이 정당한 목적인지는 제3문에 예시58)하고 있으므로 무엇이
‘불필요’한 장애를 구성하는지를 알아야 한다. 우선, 필요(necessary)라는 단
어의 의미를 명확히 하여야 한다.
아직 TBT협정상의 ‘필요성’의 의미를 분석한 GATT/WTO 판결은 존재하
지 않는다. 다만, GATT 제XX조(b) 및 (d)59)의 ‘필요한’의 의미는 GATT의
여러 판례에서의 정의를 통해 확립되었다.60) US-Section 337 사건에서 패
널은 "만일 합리적으로 이용이 가능하며 다른 GATT 조항들에 위반되지 않
는 대체적 방안이 있다면"61) 기존의 조치는 제XX조(d)의 ‘필요한’ 조치가 될
수 없다는 결론을 내렸다. 또한 "다른 GATT 조항에 위반되지 않는 대체적
조치가 없다면, 회원국은 합리적으로 이용 가능한 여러 조치들 중에서 GATT
규정에 가장 덜 위반되는 조치를 선택하여야 한다"고 하였다.62) 동 패널의
제XX조(d)의 ‘필요성’에 대한 해석은 Thailand-Cigarettes 사건63)에서 제XX
조(b)의 해석에도 원용되었다. 따라서 "태국이 자국의 보건정책 목적을 위하
여 합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조치들 중에서 GATT의 규정에 부합하는 대
체적 조치가 없거나 더 적게 위반하는 대체 조치가 없는 경우에만" 태국이

57) Appleton, supra note 1, p.112.


58) 제2.2조는 기술규정의 형태로 무역에 대한 장애물을 형성하는 것을 정당화할 수 있는 정당
한 목적을 제시하고 있다. 제3문은 국가안보상 요건, 기만적 관행의 방지, 인간의 건강 또는
안전, 동식물의 생명 또는 건강의 보호, 그리고 환경보호를 나열하고 있으나, 앞에 사용된
"inter alia"로부터 이 조항의 정당한 목적은 예시일 뿐 여기에 명시된 사항에 국한되지 않
는다고 해석된다. Van den Bossche, “WTO Rules on Technical Barriers to Trade”,
Maastricht Faculty of Law Working Paper, 2005/6, p.17.
59) GATT 1994 제20조(b)의 “인간, 동물 또는 식물이ㅡ 생명 또는 건강을 보호하기 위하여 필
요한 조치” 그리고 (d)의 “통관의 시행, 제2조 제4항 및 제17조 하에서 운영되는 독점의
시행, 특허권‧상표권‧저작권의 보호, 그리고 기만적 관행의 방지와 관련된 법률 또는 규정을
포함하여 이 협정의 규정에 불합치 되지 아니하는 법률 또는 규정의 준수를 확보하기 위하
여 필요한 조치“가 동일한 여건이 지배적인 국가 간에 자의적이거나 정당화할 수 없는 차
별의 수단을 구성하거나 국제무역에 대한 위장된 제한을 구성하는 방식으로 적용되지 아니
한다면 GATT 1994의 어떠한 규정에 대해서도 일반적 예외가 될 수 있음을 규정하고 있다.
60) Appleton, supra note 1, p.111.
61) GATT Panel Report, United States-Section 337 of the Tariff Act of 1930 ("US-Section
337"), BISD 36S/345, adopted Nov.7, 1989, para.5.26.
62) Ibid.
63) GATT Panel Report, Thailand-Restrictions on Importation of and Internal Taxes on
Cigarettes ("Thailand-Cigarettes"), BISD 37S/200, adopted Nov. 7, 1990.

- 26 -
선택한 조치는 제XX조(b)의 ’필요한‘ 조치가 될 수 있다고 하였다.64) 그리
고 비록 채택되지는 않았으나, US-Tuna/Dolphin II 사건65)의 패널 역시 위
사건들의 패널들과 견해를 같이 하였다.66)
TBT협정의 태도는 정당한 목적을 위하여 무역장벽이 형성되는 것은 당연
한 것으로 전제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그러한 장벽이 정당한 목적의 달성을
위해 필요한 정도 내로 한정된다면 정당화되나, 그것이 필요한 정도를 넘어서
는 경우에는 정당화가 될 수 없는 것이 원칙이다. 그렇다면, 기술규정이 정당
한 목적의 달성을 위해 가져오는 무역 제한적 효과가 일정한 정도를 넘은 경
우, 언제나 정당화될 수 없는 것으로 보아야 하는가? 이에 대한 구체적인 논
의는 다음 장에서 사례와 함께 검토하도록 한다.

3. 국제표준

TBT협정 제2.4조의 원문은 다음과 같다:

“기술 규정이 요구되고 관련 국제 표준이 존재하거나


그 완성이 임박한 경우, 회원국은 예를 들어 근본적인
기후적 또는 지리적 요소나 근본적인 기술문제 때문에
그러한 국제 표준 또는 국제 표준의 관련 부분이 추구
된 정당한 목적을 달성하는 데 비효과적이거나 부적절
한 수단일 경우를 제외하고는 이러한 국제 표준 또는
관련 부분을 자기 나라의 기술 규정의 기초로서 사용한
다.”

64) Ibid., para.75.


65) GATT Panel Report, United States-Restrictions on Imports of Tuna ("US-Tuna/Dolphin II"),
unadopted.
66) 이인규, “미국-참치수입제한사건 II”, 『통상법률』, 통권 제3호(1995. 6), 166면.

- 27 -
TBT협정은 회원국들이 기술규정을 도입하려고 하는 경우 존재하거나 완
성이 임박한 관련 국제표준을 사용하도록 하여 기술규정과 표준67)을 국제표
준을 기준으로 하여 조화시킬 것을 규정한다. 국가들의 일방적인 표준의 제정
은 국제무역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으나,68) 이렇게 국제표준을 중심으
로 하여 조화가 이루어지면 국가마다 상이한 요건을 만족시켜야 하는 어려움
으로 나타나는 무역기술장벽의 무역제한적 효과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국가들의 국내 기술규정 및 표준을 조화시키는 것은 국제무역을 크
게 원활하게 해준다. 회원국들의 국내 기술규정 및 표준을 국제표준에 일치시
키면 수출업자들이 서로 다른 수입시장의 다양한 조건에 부합하기 위하여 시
간 및 노력을 낭비할 필요가 없고 무역에 대한 기술장벽의 무역 제한적 효과
를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국제무역을 용이하게 해준다.69) 국제표준의 중요성
은 TBT협정의 전문에도 표현되어있는데, 국제표준이 생산의 효율성을 개선하
고 국제무역의 흐름을 원활하게 해줄 뿐만 아니라, 선진국으로부터 개도국으
로의 기술이전에 기여를 하기 때문에 더욱 그 중요성이 인정된다.70)
그렇다면, TBT협정이 말하는 ‘조화’는 무엇인가. 조화란, 기존에 국가들이
각자의 요건을 설정하던 동일 분야에 대해 여러 국가가 동일한 표준을 도입
하는 것으로 정의될 수 있을 것이다. 조화는, 완전히 새로운 표준의 제정이
될 수도 있고, 가장 합리적인 표준의 구성 또는 채택 과정에서 가장 영향력이
있는 참가국의 표준을 채택하는 것일 수도 있다.71) 조화는 TBT협정의 중심
으로서, 네 가지 요소로 구성되는데, (i) 회원국의 TBT 조치의 기초로서 국

67) TBT Agreement Annex 3 para F :


“Where international standards exist or their completion is imminent,
the standardizing body shall use them, or the relevant parts of them, as
a basis for the standards it develops, except where such international
standards or relevant parts would be ineffective or inappropriate, for
instance, because of an insufficient level of protection or fundamental
climatic or geographical factors or fundamental technological
problems.”
68) Matsushita, et al., supra note 36, p.487.
69) 국내에서의 적합판정절차를 조화시키는 것 역시 마찬가지로 국제무역을 용이하게 한다.
Van den Bossche, et al., supra note 58, p.18.
70) Wolfrum, et al, supra note 42, p.221.
71) Ibid.

- 28 -
제 표준의 사용, (ii) 무역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는 기술 규정의 정당화, (iii)
제2.5조 하의 입증 책임의 완화, 그리고 (iv) 국제 표준화 기구에의 참여72)
등이다.
그러나 TBT협정은 국제표준에 대한 정의를 내리고 있지 않으며, 회원국
들의 기술규정이 어떠한 국제기구의 표준에 기초하여야 하는지에 대해서는
함구하고 있다. 단지 부속서 1.4에서 국제기관 또는 체제를 “회원 지위가 적
어도 모든 회원국의 관련 기관에게 개방되어 있는 기관 또는 체제”로 넓게
정의할 뿐이다. 그런데 부속서 1.2의 주석은 “국제표준 공동체에 의하여 준비
된 표준은 컨센서스에 기초한다. 이 협정은 컨센서스에 기초하지 아니한 문서
도 대상으로 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따라서 부속서1을 통해 국제표준화기구
의 정의는 넓으며73) WTO 회원국들은 기술규정이 국제표준에 부합하는지 여
부를 고려할 때 광범위한 국제표준을 참고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74)

4. 제2.5조와 입증책임

TBT협정 제2.5조는 무역제한적인 기술규정을 도입하는 회원국으로 하여금


정보를 의무적으로 제공하도록 하는 강제적인 요건을 규정하고 있다.75) 그런데

72) Ibid.
73) SPS협정은 부속서 A:3 (1)에서는 식품안전의 경우 국제식품규격위원회에 의해 수립된 표준
지침 및 권고; (2)에서는 동물위생 및 동물성전염병의 경우 국제수역사무국의 후원 하에 대
발된 표준, 지침 및 권고; (3) 식물위생의 경우 국제식물보호협약의 틀 내에서 운영되는 지
역기구와의 협조와 국제식물보호협약 사무국의 후원하에 개발된 국제표준, 지침 및 권고,
그리고 (4) 위의 기구의 대상이 아닌 사항의 경우 모든 회원국에게 가입이 개방된 다른 관
련국제기구에 의해 공표된 적절한 표준, 지침 및 권고로서 위원회에 의해 확인된 국제기준
에 근거하여 SPS조치를 취할 것을 규정하고 있다. 이와는 달리 TBT협정은 표준화 기관들을
이름으로 언급하지 않고 부속서1에서 ISO에 대한 간접적인 언급을 할 뿐이다.
74) Appleton, supra note 1, P.119.
75) The TBT Agreement Art. 2.5 sentence 1:
"A Member preparing, adopting or applying a technical regulation which
may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rade of other Members shall, upon the
request of another Member, explain the justification for that technical
regulation in terms of the provisions of paragraphs 2 to 4."
적합판정기준에 대해서는 이러한 의무를 부여하지 않는 것과 비교된다. Wolfrum,
et al, supra note 42, p.226.

- 29 -
두 가지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는 국제무역에 대한 불필요한 장애를 구성하지
않는 것으로 추정된다. 첫째, 기술규정은 제2.2조에서 명시하는 정당한 목적을
위하여 준비, 채택 또는 도입되어야 하며, 둘째, 기술규정은 관련 국제표준에
합치(근거하는 것만으로는 부족하다) 하여야 한다.76) 즉, 기술규정이 명백히
제2.2조의 정당한 목적 중 하나를 위해 준비, 채택 또는 적용되고 관련 국제
표준을 따른 경우에는 언제나 이러한 기술규정은 필요성 요건을 모두 만족하
는 것으로, 다시 말해 정당한 목적의 달성을 위해 국제무역에 필요 이상의 장
애를 초래하지 않는다고 추정이 되나, 반박이 가능하다.77)
그러나 입증책임이 전환되지는 않는다고 본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논의는
다음 장에서 하기로 한다.

II. 표준(Standard)

1. 정의

국내표준78)은 기술규정과 비슷한 역할을 수행하나, 표준의 합치 여부는


시장접근이 허용되기 위한 필수적인 전제조건이 아니다.79) 표준의 정의는
부속서 1.2에서 내리고 있다:

“규격, 지침 또는 상품의 특성 또는 관련 공정 및 생산
방법을 공통적이고 반복적인 사용을 위하여 규정하는
문서로서, 인정된 기관에 의하여 승인되고 그 준수가

76) TBT Agreement Art. 2.5 sentence 2:


“Whenever a technical regulation is prepared, adopted or applied for one
of the legitimate objectives explicitly mentioned in paragraph 2, and is in
accordance with relevant international standards, it shall be rebuttably
presumed not to create an unnecessary obstacle to international trade."
77) Matsushita, et al., supra note 36, p.491.
78) 국제표준과 구분하기 위해 국내표준이라고 하였으나 이하에서는 ‘표준’이라고 함.
79) Matsushita, et al., supra note 36, p.499.

- 30 -
강제적이 아닌 문서. 이는 또한 상품, 공정 또는 생산방
법에 적용되는 용어, 기호, 포장, 표시 또는 상표 부착
요건을 포함하거나 전적으로 이들만을 취급할 수 있다.”

정의에 따르면 기술규정과는 달리 표준은 그에 대한 준수가 강제적이지


않다. 기술규정과 마찬가지로 표준의 정의는 명시적으로 라벨링을 규율대상으
로 삼고 있으며, 따라서 환경라벨링 중 자발적라벨링은 표준의 정의에 포섭된
다. 표준은 비록 강제적이지 않으나 사실상(de facto) 많은 경우 시장접근에
대한 장벽으로 작용한다. 그러나 규율의 필요성이 큼에도 불구하고 표준이 정
부기관에 의해서만 제정되는 것이 아니라 순수한 사적 기업에 의해서도 채택
및 적용이 되기 때문에 기술규정의 조항들을 그대로 표준에 적용할 수는 없
다. 따라서 제4조와 부속서3의 표준의 준비, 채택 및 적용에 관한 모범관행규
약(이하 모범관행규약이라고 한다)은 서로를 보완하면서 이러한 상황을 규율
하도록 규정이 마련되었다. 부속서3은 여러 면에서 기술규정 관련 TBT협정의
규정들을 반복하건 그에 비추어 표준기관이 운영을 함에 있어서 필요한 법적
틀을 종합적으로 마련하는 한편, 제4조는 WTO 회원국들이 어떻게, 그리고 어
느 범위까지 자국 영토에서 모범관행규약을 이행할지를 제시한다.80)

2. 부속서3 - 모범관행규약

1) 모범관행규약의 의의

표준의 준비, 채택 및 적용에 관한 TBT협정 제4조는 제1항에서 모든 회


원국에게 동 협정의 부속서3으로 마련된 모범관행규약에 따른 의무를 부여한
다. 회원국들은 자국의 중앙 정부81) 표준화 기구82)가 모범관행규약을 수락하

80) Wolfrum, et al, supra note 42, p.246.


81) TBT협정 부속서1.6 중앙 정부기관: 중앙 정부, 그 부처 또는 당해 활동에 대하여 중앙 정부
의 통제를 받는 모든 기관

- 31 -
고 준수할 것을 보장하며83) 자국 영토 내의 지방정부84)와 비정부85) 표준기
관 그리고 지역 표준기구가 모범관행규약을 수락하고 준수하도록 가능한 합
리적인 조치를 취한다86)고 규정한다.
자발적라벨링에 적용될 수 있는 TBT협정상의 의무는 대부분 모범관행규약
에 포함되어있다. 자발적 환경라벨링이 모범관행규약의 적용을 받을지는 그
제도를 적용하는 기관이 모범관행규약의 의미상 표준기관인지 그리고 표준기
관이 규약을 수락하였는지에 달려있다.87) 우선, 부속서3.B는 중앙 정부기관,
지방 정부기관 또는 비정부 기관을 불문하고 WTO 회원국의 영토 안에 있는
표준기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회원이 WTO회원인 정부 지역표준기관, 그리
고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회원이 WTO 회원국의 영토 안에 존재하는 경우의
모든 비정부 지역 표준기관을 ‘표준기관’이라고 정의를 내리고 있다.88) 이
정의가 완전해지기 위해서는 부속서1의 ‘중앙 정부기관’, ‘지방 정부기
관’ 및 ‘비정부기관’에 대한 정의 그리고 더 나아가 ISO/IEC Guide 289)의
‘기관’의 정의를 추가적으로 참고하여야 한다. 그런데, TBT협정에서 제시
하는 정의는 매우 넓고, 이 기관들이 부속서1.2(표준의 정의)에서 표준을 승인

82) TBT협정 부속서3.B에서 정의.


83) TBT협정 제4.1조 제1문.
84) TBT협정 부속서1.7 지방 정부기관:
“중앙 정부 이외의 정부(예: 주, 도, 시 등), 그 부처 또는 당해 활동에 대
하여 이러한 정부의 통제를 받는 모든 기관”
85) TBT협정 부속서1.8 비정부기관:
“기술규정을 시행할 법적 권한을 가진 비정부기관을 포함하여 중앙 정부
기관 또는 지방 정부기관 이외의 기관”
86) TBT협정 제4.1조 제2문.
87) Appleton, supra note 1, p.123.
88) The TBT Agreement Annex 3.B:
“This Code is open to acceptance by any standardizing body within the
territory of a Member of the WTO, whether a central government body, a
local government body, or a non-governmental body; to any governmental
regional standardizing body one or more members of which are Members
of the WTO; and to any non-governmental regional standardizing body
one or more members of which are situated within the territory of a
Member of the WTO (referred to in this Code collectively as
"standardizing bodies" and individually as "the standardizing body:)."
89) ISO/IEC Guide 2: General Terms and Their Definitions Concerning Standardization and
Related Activities (1991).

- 32 -
하는 '인정된 기관'90)이라면, 이 기관들이 승인하는 수많은 문서에 포함되는
다수의 자발적 환경라벨링은 동 규약의 적용을 받게 된다. 제4조에서 회원국
들의 중앙정부 표준기관은 규약을 수락하고 준수해야 하므로 국가 표준기관
에 의해 운영되는 자발적라벨링 제도들은 규약의 적용 대상이 된다. 또한, 기
타 정부 부처의 표준의 적용도 중앙정부의 통제를 받는 경우에는 중앙정부기
관의 행위가 되므로91) 그 부처가 집행하는 자발적 환경라벨링도 규약의 적용
을 받게 된다. 즉, 모범관행규약은 중앙정부기관이 승인하는 자발적 환경라벨
링을 대체로 규율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92)
반면에, 지방 및 비정부 표준기관은 반드시 모범관행규약 상의 의무를 수
락해야 하는 것은 아니므로 이들이 운영하는 자발적 환경라벨링 제도는 사안
별로 규약의 적용 여부를 살펴봐야 할 것이다. 그러나 제4.1조에서 명시하는
바에 따르면 중앙 정부기관은 지방 및 비정부 표준기과들이 규약을 수락하고
준수할 것을 보장해야 하므로 결과적으로는 이들 표준기관이 운영하는 자발
적 환경라벨링 역시 대부분 모범관행규약 상의 의무의 적용을 받고 그에 합
치할 것이 예상된다.93) 즉, 결론적으로는 자발적 환경라벨링은 그것이 정부
주도로 이행되어지든 민간 주도로 이행되어지든 모두 모범관행규약상의 의무
를 준수해야 하는 것이다.

2) 모범관행규약상의 의무

모범관행규약을 수락하는 표준기관은 D항부터 Q항까지의 의무를 진다. 그


중에서 특히 D항은 WTO 회원국의 표준기관이 표준을 준비, 채택 및 적용을
할 때 WTO 회원국 영토의 상품에 대하여 자국의 동종상품 그리고 다른 모
든 국가의 동종 상품에 부여하는 대우보다 불리하지 않은 대우를 하여야 한
다. 여기서 “자국의 동종 상품 그리고 다른 모든 국가의 동종상품”이라고 함

90) TBT협정의 ‘표준’에 대한 정의는 ‘인정된‘ 기관이 승인한 문서를 언급하나, TBT협정
또는 ISO/IEC Guide 2 그 어디서도 ’인정된‘을 정의하고 있지 않다. TBT협정에 의해 인정
된 ‘기구’를 지칭할 수도 있다는 견해에 대해서는 Appleton, p.123, footnote 173.
91) TBT협정 부속서1.6.
92) Appleton, supra note 1, p.124.
93) Ibid.

- 33 -
으로써 국내생산이 존재하는지와 무관하게 표준이 채택, 적용될 수 있으며,
그 경우 외국 상품에 적용될 수 있는 모든 표준은 모범관행규약상의 제반 의
무를 존중해야 한다는 것을 표현했다고 할 수 있다.94) D항은 기술규정에 적
용되는 제2.1조와 동일하게 규정되어있다.95)
E항은 기술규정과 마찬가지로 표준 역시 필요성 원칙의 적용을 받는다는
것을 명시하고 있고, F항은 제2.4조와 거의 동일한 표현으로써 국제표준에
입각할 것을 규정하고 있다. 이 외에도 조화를 위한 규정 및 투명성을 보장하
기 위한 규정이 모범관행규약 G항부터 P항까지에 나타나있다. 이 조항들은
기술규정의 조항들과 매우 흡사하면서도 특히 필요성 요건 및 국제표준 조화
의 예외와 관련하여 차이점을 보인다. 구체적인 논의는 제6장에서 자발적 환
경라벨링 논의와 함께 하도록 한다.

III. 적합판정절차

1. 의의

기술규정과 표준에 공통적으로 적용되는 제5조 내지 제9조의 규정들은 적


합판정절차와 관련된 의무들을 규정하고 있다. ‘기술규정 또는 표준의 관련요
건이 충족되었는지를 결정하기 위하여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사용되는 모
든 절차’96)를 의미하는 적합판정절차는 특히 ‘표본 추출, 시험 및 검사, 평가,
검증 및 적합 보증, 등록, 인증과 승인, 그리고 이들의 결합을 포함’한다.97)

94) Matsushita, et al., supra note 36, p.500.


95) Wolfrum, et al, supra note 42, p.249.
96) TBT Agreement Annex 1.3 :
“Any procedure used, directly or indirectly, to determine that relevant
requirements in technical regulations or standards are fulfilled.”
97) TBT Agreement Annex 1.3 Explanatory note :
“Conformity assessment procedures include, inter alia, procedures for
sampling, testing and inspection; evaluation, verification and assurance of
conformity; registration, accreditation and approval as well as their
combinations.”

- 34 -
TBT 협정의 규율 범위에 포섭되는 환경라벨링 제도는 그것이 기술규정 또는
표준에의 부합여부를 검증 또는 평가하기 위한 수단을 제공하는 한 적합판정
절차 관련 의무를 준수하여야 한다.98)
TBT협정이 적합판정절차에 대한 규정을 두는 이유는 적합판정절차가 기
술규정과 표준에 더하여 세 번째의 무역 기술장벽을 구성하는 것으로 보기
때문이다. 수출국에서 이미 한 차례 기술규정 및 표준에 부합하는 상품이라고
판정이 되 경우임에도 불구하고 수입국의 주무당국이 자국 시장으로 진입하
는 외국 상품이 자국의 표준과 합치하는지를 재차 확인하려고 들 경우, 중복
되는 판정 절차에 드는 비용과 시간은 관련 상품이 수입국의 시장으로 진입
하는데 장벽이 된다.99) 이러한 무역제한적 효과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TBT협
정은 제5조 및 제7조, 제8조를 규정하여 적합판정절차에 대한 일반적인 가이
드라인을 제시하고 있다.100)

2. 적합판정절차 장의 구조

적합판정절차에 관한 제5조 내지 제9조의 규정들은, 기술규정 및 표준의


경우와 비슷하게 그 규율대상을 기준으로 한 순서대로 규정되어 있다. 제5조
및 제6조는 중앙정부기관의 적합판정절차 관련 의무를 규정하고 있고 제7조
내지 제9조는 지방정부기관(제7조), 비정부기관(제8조), 그리고 국제 및 지역
(제9조) 적합판정기관들이 제5조 및 제6조의 의무를 준수하도록 보장하기 위
해 "가능한 합리적 조치를 취"할 것을 회원국들의 의무로서 규정하고 있다.
비록 제7조 내지 제9조는 강제적으로 준수하여야 할 규정들은 아니지만, 이
들은 제5조와 제6조의 의무가 최대한 광범위하게 적용될 수 있도록 하고자
하는 회원국들의 의도를 나타낸다.101) 회원국들은 자기나라 영토 내의 지방
정부기관, 비정부기과, 국제 및 지역적 기관들이 제5조 및 제6조의 규정과 일
치하지 아니하는 방법으로 행동하는 것을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요구하거

98) Appleton, supra note 1, p.133.


99) Wolfrum, et al, supra note 42, p.193.
100) Wolfrum, et al, supra note 42, p.264.
101) Appleton, supra note 1, p.133 footnote 223.

- 35 -
나 장려하는 효과를 갖는 조치를 취하지 아니할 의무를 진다.102)

3. 적합판정절차 관련 의무의 내용

제5조는 중앙정부기관에 의한 적합판정절차에 적용되기 위한 지침을 마련


하고 있고 제7조, 제8조 그리고 제9조의 지방정부기관, 비정부기관 및 국제적
및 지역적 체제의 적합판정기관은 제5조의 규정을 준수하여야 한다. 결국 적
합판정절차의 핵심은 제5조에 규정되어있다고 할 수 있다.
제5조는 적합판정절차가 무역에 대한 불필요한 장애가 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TBT협정의 두 핵심사항이 반영되어있다. 하나는 제5조가 적합판정절차
가 차별적 효과를 발생시키지 않도록 보장하기 위한 절차적 보호장치를 마련
하고 있다는 것이고, 둘째는 적합판정절차의 조화는 국제 표준기관이 발표한
관련 지침이나 권고사항의 광범위한 사용을 통해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이다.

1) 비차별을 위한 절차적 보호장치

적합판정절차가 차별적 효과를 초래하지 않도록 제5.1조 및 제5.2조에서


절차적 보호장치를 마련하고 있다. 제5.1조는 WTO협정의 양대 비차별 원칙인
최혜국대우원칙과 내국민대우원칙을 담고 있으며, 적합판정절차의 준비, 채택
및 적용 과정에서 필요성원칙을 준수할 것을 명시하고 있다. 또한 제5.2조는
제5.1조가 올바로 이행될 수 있기 위해 회원국들이 준수하여야 할 사항들을
규정하고 있다.

(1) 제5.1조

① 비차별 원칙의 내포
우선, 제5.1.1조는 최혜국대우원칙과 내국민대우원칙을 규정하면서도 특이

102) TBT협정 제7.4조, 제8.1조, 제9.2조 참조.

- 36 -
하게 ‘자기나라 원산의 동종 상품 또는 그 밖의 국가를 원산지로 하는 동종
상품의 생산자에게 부여되는 것보다 불리하지 아니한 조건으로 접근할 수 있
도록 준비, 채택 및 적용된다’고 함으로써, GATT 제I조와 제III조와 달리 각
원칙의 적용 범위를 ‘접근103)의 부여’에만 한정한 것인가라는 의문을 불러일
으킨다.104) 제5.1조의 해석에 관한 GATT/WTO의 분쟁해결 사례는 존재하지
않으나, EC-Asbestos 사건에서 상소기관은 ‘TBT협정이 1994년도 GATT의
목적을 증진’하는 목적을 가지고 있으나, 한정된 유형의 조치에만 적용되는
특별한 법적 체계이기 때문에 TBT협정은 GATT1994의 의무와 다른, 또는
그에 부가하여 회원국에게 의무를 부과할 수 있다고 판시한 바 있다.105)
이러한 판시내용에 비추어 최혜국대우원칙 및 내국민대우원칙의 적용 시
에도 TBT협정의 특수성에 기하여 독자적인 적용범위를 설정하는 것이 가능
하다고 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TBT협정의 특수성에도 불구하고
GATT 규정들을 존중하여야 하며, 특히 WTO협정의 핵심을 이루는 두 원칙
에 대해서는 GATT 제I조 제2항 내지 제4항, 제XX조, 제XXI조, 제XXIV조 등
협정에 명시된 예외만 한정적으로 허용된다고 해석하는 것이 옳을 것이라는
관점에서 보면 이 원칙들의 적용범위를 특수한 경우에만 적용되는 것으로 한
정하는 것은 무리일 것으로 보인다.106)

② 필요성 원칙의 준수
제5.1.2조는 회원국들이 자국 상품을 보호하기 위한 방편으로 적합판정절
차를 남용하지 않을 의무를 규정한다. 이 규정은 적합판정절차가 ‘국제 무역
에 불필요한 장애를 초래하거나 그러한 효과를 갖도록 준비, 채택 또는 적용
되지 아니’할 것을 규정한다. 따라서 적합판정절차는 외국 상품이라는 이유로
달리 적용될 수 없으며 자국 상품에 적용된 것보다 엄격하게 적용될 수 없다.

103) 제5.1.1조 제2문은 ‘접근’을 설명하는데 다음과 같이 규정한다 :


“이러한 접근에는 이 절차에 의하여 예견되는 경우 시설현장에서 적합판
정 행위를 하고 이 제도의 표시를 획득할 수 있는 가능성을 포함하여, 절
차 규칙에 따라 적합판정을 받을 수 있는 공급자의 권리가 포함된다.”
104) Wolfrum, et al, supra note 42, p.265.
105) Appellate Body Report, EC-Asbestos, para.80.
106) Wolfrum, et al, supra note 42, p.265.

- 37 -
그러나 제5.1.2조 제2문은 "수입 회원국에게 상품이 적용 가능한 기술규정
또는 표준에 일치하고 있다는 적절한 확신을 주는데 필요한 이상으로 적합판
정 절차가 엄격하거나 엄격하게 적용되지 아니 하여야"한다고 규정함으로써
회원국에게는 의무이행의 수준을 조절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하고 있다. 적합
판정절차는 무역에 대한 불필요한 장애를 초래하도록 사용될 수 없으나, 만약
다른 회원국에서 수입되는 상품이 ‘적절한 확신’을 주지 못하는 경우에는 자
국 또는 제3국에게 적용한 적합판정절차보다 엄격한 절차의 적용을 할 수 있
다.107)

(2) 제5.2조

제5.2조는 적합판정절차의 진행 중에 투명성, 효율성, 공정성 및 비밀성이


지켜지도록 보장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적합판정절차는 가능한 한 신
속히, 다른 회원국의 영토를 원산지로 하는 상품에 대하여 국내산 동종 상품
보다 불리하지 아니한 순서로 실시되고 완료되어야 하며108) 그 표준 처리기
간은 공표되거나 요청이 있을 경우 그 신청자에게 예상 처리 기간을 통보하
여야 한다.109) 적합판정절차는 공정하게 수행되어야 하기 때문에 정보요건은
적합여부를 판정하고 수수료를 산정하는 데 필요한 범위에 한정되어야 하
며,110) 적합판정절차로부터 발생하거나 이와 관련하여 제출된 다른 회원국의
영토를 원산지로 하는 상품에 관한 정보의 비밀성은 국내 상품의 경우와 동
일하게 정당한 상업적 이익이 보호되는 방법으로 존중되어야 한다.111) 적합
판정절차에 사용되는 시설의 위치와 표본의 선정은 불필요한 불편을 초래하
지 아니하여야 하며,112) 적합판정 이후 상품의 명세가 변경된 경우 변경된
상품에 대한 적합판정절차는 필요한 정도에 한정되어야 한다.113)
투명성에 대한 요구는 적합판정절차의 운영과 관련한 이의신청을 검토하

107) Wolfrum, et al, supra note 42, p.267.


108) TBT협정 제5.2.1조.
109) TBT협정 제5.2.2조.
110) TBT협정 제5.2.3조.
111) TBT협정 제5.2.4조.
112) TBT협정 제5.2.6조.
113) TBT협정 제5.2.7조.

- 38 -
고 시정조치를 취할 수 있는 절차를 둘 것을 의무화 한다.114)

2) 국제표준기관의 지침․권고의 사용

투명하고 공공성을 지닌 국제 표준은 무역에 대한 장애라는 위험을 감소


시키기 때문에 제5.4조의 목표는 회원국이 가능한 경우에는 언제나 국제 지
침 및 권고를 사용할 것을 보장하는 것이다.115) 상품이 기술규정 또는 표준
과 일치한다는 명확한 보증이 요구되는 경우, 국제표준기관이 발표한 관련 지
침이나 권고사항이 존재하거나 그 완성이 임박한 경우에는 일정한 경우를 제
외하고는 적합판정절차의 근거로서 그러한 지침이나 권고사항 또는 그 관련
부분을 사용하여야 하는데, 이렇게 함으로써 결과적으로 무역이 보다 원활해
진다. 회원국들은 국제표준을 사용할 뿐만 아니라 적합판정절차를 가능한 한
광범위하게 조화시키기 위하여 국제표준기관이 지침과 권고사항을 준비하는
데 참여하는 등 충분한 역할을 다 할 것이 요구된다.116)
만약 국제표준기관에 의한 관련 지침이나 권고사항이 존재하지 아니하거
나 제안된 적합판정절차의 기술적 내용이 국제표준기관이 발표한 관련 지침
및 권고사항과 일치하지 아니하는 경우, 그리고 적합판정절차가 다른 회원국
의 무역에 중대한 영향을 미칠 경우 회원국은 적합판정절차에 대한 사전 통
보를 통해 조화를 이룰 수 있다.117)

IV. PPMs의 문제

위에서 본 바와 같이, 강제적 환경라벨링에 관한 기술요건들은 TBT협정

114) TBT협정 제5.2.8조.


115) Wolfrum, et al, supra note 42, p.271.
116) TBT협정 제5.5조.
117) TBT협정 제5.6조 참조. 다만, 제5.6.1조 및 제5.6.2조는 적합판정절차의 도입 및 적용에 대
한 간행물 공표 및 사무국에의 통보가 ‘적절한 초기 단계’(‘at an early appropriate
stage')에이루어질 것을 규정하고 있다. 이것을 Wolfrum, et al, supra note 42, p.264는 ’
사전‘(’ex ante') 통보로 해석하고 있다.

- 39 -
의 기술규정에 해당될 수 있고, 자발적 환경라벨링을 구성하는 표준들은
TBT협정의 표준에 해당될 수 있다. 강제적 환경라벨링이 언제나 기술규정에,
그리고 자발적 환경라벨링이 언제나 표준에 해당된다고 단정하지 않고 “될
수 있다”고 표현하는 이유는, 상품과 관련되지 않는 공정 및 생산방법
(process or production methods : PPMs)은 일견 TBT협정의 규율 범위 밖
에 있는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118)
이러한 의문이 제기되는 이유는 부속서 1.1 및 1.2에 규정된 기술규정 및
표준의 정의의 첫 문장에는 ‘관련’공정 및 생산방법을 명시119)하고 있으나,
두 번째 문장120)에는 그 단어가 없기 때문이다. 이러한 문장 구성은 상품의
특성과 ‘관련’되지 않는 PPMs(non-product-related PPMs : npr-PPMs)을
포함하는 라벨링 요건이 TBT협정의 규율 대상인 기술규정 또는 표준이 될
수 있는지에 대한 논쟁을 불러일으킨다.121) Npr-PPMs가 TBT의 적용을 받
을지의 여부는 상품의 전과정 평가에 근거한 환경라벨링을 포함하는 기술규
정 및 표준이 TBT의 적용대상이 되는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기준이 된다.
아래에서 보는 자발적 환경라벨링의 장에서 다룰 사례들은 대개 상품의
전과정 평가에 근거한 표준들이다. 정부가 주도하는 첫 환경 관련 자발적 인
증제도인 독일의 Blue Angel도 전과정평가에 기초한 것이었고, 그 뒤를 이은
수많은 정부주도 및 민간주도 자발적라벨링들 역시 전과정평가에 기초한 에
코라벨링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자발적 라벨링의 논의의 앞머리에서 언급하
기 위해 PPM에 대한 구체적인 문제제기 및 논의는 정부주도의 자발적 환경
라벨링을 다루는 제5장에서 하기로 한다.

118) Appleton, supra note 1, p.92.


119) TBT협정 부속서 1.1의 기술규정 정의의 해당 부분은 “Document which lays down product
characteristics or their related processes and production methods”로 표현되어 있고, 부속
서 1.2의 표준의 정의에서 해당부분은 “Document approved by a recognized body, that
provides, for common and repeated use, rules, guidelines or characteristics for products or
related processes and production methods”로 표현되어 있다.
120) 두 정의는 두 번째 문장을 동일하게 규정하고 있는데 원문은 다음과 같다:
“It may also include or deal exclusively with terminology, symbols,
packaging, marking or labelling requirements as they apply to a product,
process or production method.”
121) Appleton, supra note 1, p.93.

- 40 -
제 4 장 정부주도의 강제적 환경라벨링

제1절 서론

TBT협정 안에서의 환경라벨링 논의를 위해서 라벨링 제도를 위와 같이


분류한 세 유형 중에서, 강제적으로 시행되는 환경라벨링은 그 특성상 중앙정
부이든 지방정부이든 정부에 의해서 집행될 수밖에 없다는 것을 이미 보았다.
따라서 강제적 환경라벨링은 언제나 정부주도가 되므로 간단히 강제적 환경
라벨링, 또는 강제적 라벨링이라고 하기로 한다. 강제적 환경라벨링이란 생산
자가 제품의 판매 이전에 환경적 정보를 표시하는 라벨을 부착할 것을 정부
가 강제하는 프로그램을 말한다. 이는 라벨에 표시되는 환경정보가 부정적,
긍정적, 혹은 중립적인지에 따라 다시 세 가지의 세부유형으로 분류될 수 있
다.
아래에서는 강제적 환경라벨링의 세부유형 및 각 세부유형별 환경라벨링
시행 사례를 간단히 검토하고 특히 한국과 미국의 자동차 연비효율 라벨링을
자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또한 정부주도 강제적라벨링의 법적 쟁점을 검토할
것인데, 기술규정의 개괄적인 내용은 앞 장에서 이미 보았으므로 이 장에서는
TBT협정의 독특한 필요성 평가와 국제표준의 사용에 따른 필요성의 추정 및
미사용에 따른 입증책임 전환여부에 관한 문제를 논하도록 한다.

- 41 -
제2절 강제적 환경라벨링의 시행 모습

I. 부정적 내용물 환경라벨링

정부가 환경에 유해한 성분을 포함하거나 그러한 물질 또는 방식을 사용


하여 생산된 모든 제품에 대하여 라벨링을 강제적으로 부여받도록 하는 라벨
링 제도가 있는데, 그것이 부정적 내용물 환경라벨링이다. 이처럼 부정적 내
용을 알리는 라벨링을 부착하도록 하는 제도의 일차적인 목적은 특정 상품이
환경 또는 인간의 건강에 미칠 수 있는 부정적인 영향에 대하여 소비자에게
경고를 하는 것이다. 이에 더하여 부정적라벨링은 강제적인 ‘부정적 광고’
의 형태를 띠는데, 이러한 광고를 통해 생산자에게는 보다 환경 친화적인 원
료 또는 생산공정을 사용하도록 유도하는 효과도 가질 수 있다.122) 부정적 내
용물 환경라벨링의 예로 미국의 「1990년 개정 청정대기법(Clean Air Act of
1990)」상의 라벨링 및 EU의 GMO라벨링을 들 수 있다.

1. 미국의 청정대기법상의 라벨링 제도

미국의 연방 청정대기법은 성층권의 오존층을 파괴하는 것으로 알려진 염화


불화탄소(chlorofluorocarbons:CFCs)나 수소염화불화탄소(hydrochlorofluorocarbons;
HCFCs)와 같은 특정 화학물질을 포함하거나 그러한 화학물질을 사용하여 생
산된 모든 제품에 라벨을 부착할 것을 의무화하고 있다.123) 라벨에는 “주의:
(생산자)가 생산한 이 제품은 성층권의 오존을 파괴하여 공중보건 및 환경을
해치는 물질인 (물질)을 포함한다.”라는 경고 문구를 포함하여야 한다.124)
미국은 이 ‘오존 파괴 경고’ 라벨링 법의 시행을 통해 ‘오존층을 파괴시키

122) Staffin, “Trade Barrier or Trade Boon? A Critical Evaluation of Environmental Labeling
and its Role in the ‘Greening’ of World Trade”, Columbia Journal of Environmental
Law, vol. 21, 1996, p.211.
123) Clean Air Act, s 611, 42 U.S.C. s 7671j (Supp. II. 1990),
124) Staffin, supra note 122, pp.211-212.

- 42 -
는 물질에 대한 몬트리올 의정서(몬트리올 의정서)’상의 의무를 이행하려는
목적도 있었다.125) 그 후 몬트리올 의정서가 여러 차례 개정이 되고 보다 엄
격한 규제와 빠른 감축을 규정하게 되었다. 그로 인하여 미국이 몬트리올 의
정서의 감축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오존층 파괴 경고라벨을 사용한다는 목표
는 더 이상 상정할 수 없게 되었지만, 비협조적인 비당사국으로부터 규제물질
의 수출입 금지를 용이하게 집행할 수 있게 하는 도구로는 여전히 기능을 한
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126)

2. EU의 GMOs 환경라벨링

유전자변형생물체(Genetically Modified Organisms: GMOs)는 유전자가


자연조합이나 교배에 의해서 자연적으로 발생하지 않고 변형된 생물체로 정
의된다. GMOs는 유전자 재조합기술의 산물이며, 선택된 우수한 개별 유전자
를 하나의 생물체로부터 다른 생물체 또는 이종(異種)의 생물체에 이전시키
는 기술을 의미한다.127) 유럽연합은 GMOs가 인간 및 환경에 미칠 수 있는
장기적이며 잠재적인 위험에 대해 사전예방원칙(precautionary principle)에
따라 대응한다는 입장을 갖고 있다. 이에 따라 GMOs에 대해 강한 규제 장치
를 갖추고 있으며, 허가도 상당한 기간의 심사를 거쳐 조심스럽게 부여하고
있다.128)
EU는 1990년부터 GMOs 관련 규정을 마련하여 지난 10년 동안 이를 확
대하고 강화해왔다. 1990년의 EC 지침 90/220/EEC는129) GMOs의 환경 방
출에 관한 승인 등을 규정하고 있었는데, 2001년 개정 지침130)은 더욱

125) 몬트리올 의정서의 당사국들은 오존을 파괴하는 물질의 국내 생산 및 소비를 점진적으로


감축해 나가기로 합의하였다. 의정서는 또한 회원국에게 의정서상의 점진적인 감축요건을
지키지 않는 비서명국으로부터 규제물질 및 규제물질을 포함하는 상품의 수입 및 수출 금
지를 할 권한을 부여하고 있다.
126) Staffin, supra note 122, p.214.
127) Blaustein, "Splitting Genes: The Future of Genetically Modified Organisms in the Wake of
the WTO/Cartagena Standoff", Penn State Environmental Law Review, 2008, p.371.
128) 김찬우, 『21세기 환경외교』, 상상커뮤니케이션, 2006, 132면.
129) Council Directive 90/220/EEC of 23 April 1990 on the deliberate release into the
environment of genetically modified organisms.

- 43 -
GMOs의 환경방출시 위해성 평가를 엄격하게 규정하고 있으며, 방출 후 환경
영향 모니터링, 일반인에 대한 정보공개 등을 요구하고 있다. 또한 GMOs의
추적가능성(traceability) 및 라벨링에 대한 일반원칙도 규정하고 있다. 그에
따라 모든 상업적 유통단계에서 GMOs를 포함하는 제품에는 GMOs가 존재한
다는 점을 명시하는 라벨링을 부착할 의무를 지게 되었다. 따라서 GMOs로부
터 생산되거나 혹은 이를 포함하거나 이로 이루어진 모든 식품과 사료는 라
벨링 대상에 포함된다. 이는 GMOs 라벨링을 자발적 제도를 시행하는 미국과
대조된다.
그러나 GMOs의 존재를 표시하는 강제적 라벨링은 이미 1997년에 시행되
었다.131) 97년 규정 중에서 GM부분을 대체한 2003년 GM 식품과 사료에 대
한 규정132) 그리고 GMOs의 추적가능성과 라벨링에 관한 규정133)을 통해
EU는 GMOs 및 GMOs 제품에 대해 종합적인 관리시스템을 구축하였다.134)
새로운 시스템은 GMOs라벨을 모든 GM식품에 부착할 것을 요구하며, GMOs
로 만들었으나 유전적으로 변형된 형질이 포함되어 있지 않는 식품에도 라벨
을 부착하도록 하고 있다.135) 또한 라벨 부착 대상이 확대되어 이전에는 해
당되지 않던 모든 GM 사료에도 GMOs 라벨을 부착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II. 긍정적 내용물 환경라벨링

130) Council Directive 2001/18/EC of the European Parliament and of the Council of 12 March
2001 on the deliberate release into the environment of genetically modified organisms and
repealing Coumcil Directive 90/220/EEC-Commission Declaration.
131) Commission Directive 97/35/EC of 18 June 1997 adapting to technical progress for the
second time Council Directive 90/220/EEC on the deliberate release into the environment
of genetically modified organisms, Art. 2(2).
132) Regulation (EC) No 1829/2003 of the European Parliament and of the Council of 22
September 2003 on genetically modified food and feed.
133) Regulation (EC) No 1830/2003 of the European Parliament and of the Council of 22
September 2003 concerning the traceability and labelling of genetically modified organisms
and the traceability of food and feed products produced from genetically modified
organisms and amending Directive 2001/18/EC.
134) 김찬우, 앞의 주 128, 132면.
135) GMOs라벨은 “This product contains genetically modified organisms" 또는 ”This product
is produced from genetically modified (name of organism)"으로 표기된다.

- 44 -
이 유형의 라벨링은 ‘재활용가능’, ‘생분해가능’ 또는 ‘오존 친화
적’ 등의 제품에 대한 긍정적인 환경적 내용을 담는 라벨링 제도다.136) 미국
정부가 시행하는 국제돌고래보전법상의 ‘돌고래안전’ 라벨링이 대표적인 긍
정적 내용물 환경라벨이다.
태평양동부적도 부근에 사는 돌고래는 참치 떼 위를 헤엄쳐 다니는 습성이
있기 때문에 그 지역에서 조업을 하는 참치 잡이 어선들은 돌고래를 발견하면
그 주위에 유자망(purse-seine net)을 쳐서 참치를 잡았는데, 그 과정에서 돌
고래도 함께 잡혀 죽는 현상이 빈번했고, 그러한 참치 잡이 방식으로 죽는 돌
고래가 증가하였다. 이러한 돌고래의 사망률을 줄이기 위해 미국 정부는 1990
년 돌고래보호소비자정보법(Dolphin Protection Consumer Information Act:
DPCIA)을 제정하여 참치제품에 부착할 ‘돌고래안전’라벨에 대한 요건을 규정
했다.137) 참치 제품이 이 ‘돌고래안전’ 라벨을 부착할 수 있기 위해서는 참치
제품에 사용된 참치가 돌고래에게 해롭지 않은 방식으로 잡혔어야 한다. 이
제도는 처음에는 자발적인 제도였으나 그 후 1992년 국제돌고래보존법
(International Dolphin Conservation Act: IDCA)을 제정하여 1994년 5월 이
후 미국에서 판매되는 모든 참치제품에는 ‘돌고래안전’라벨을 부착할 것을 의
무화하였다.138)

III. 중립적 내용물 환경라벨링

이 유형의 라벨링 프로그램 하에서는 특정 제품과 관련하여 정부가 중요하


다고 판단하는 정보를 소비자에게 공개하기 위해 라벨을 부착하여야 한다. 이
러한 정보는 제품에 대한 부정적인 정보를 공개하는 것일 수도 있으나, 반드
시 그런 것은 아니다.139) 즉, 제품의 환경적인 특성이 긍정적이든 부정적이든
그 정보를 라벨에 포함시킬 것을 강제하는 제도이다. 에너지 효율성 혹은 연

136) Okubo, "Environmental Labeling Programs and the GATT/WTO Regime", Georgetown
International Environmental Law Review, 1999, p.604.
137) 16 U.S.C. §1385 (1994).
138) 16 U.S.C. §1417 (1994)
139) Staffin, supra note 122, p.214.

- 45 -
비 효율성을 표시하는 라벨이 주로 중립적 내용물 환경라벨링의 좋은 예다.
아래에서는 미국 및 한국의 자동차 연비효율 라벨링제도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 46 -
제3절 미국 및 한국의 자동차 연비효율 라벨링 제도

I. 미국의 Fuel Economy Label

1975년 에너지정책및보존법(Energy Policy and Conservation Act:


EPCA)을 근거법률로 하여 처음 시행된 정부주도의 기업평균연비(Corporate
Average Fuel Economy: CAFE) 기준의 목적은 승용차와 경트럭140)의 연료
효율을 증가시킴으로써 에너지 소비를 감소시키는 것이다. 미국 교통부 산하
기관인 국립고속도로안전청(National Highway Traffic Safety
Administration: NHTSA)이 CAFE 제도를 집행하고 환경보호국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EPA)이 연비에 대한 데이터를 제공한
다. 즉, NHTSA가 미국에서 판매되는 승용차와 경트럭에 적용될 연비기준을
마련한다면, EPA는 각 생산자에 적용될 평균연비를 계산한다.141) 미국의 자
동차제조사 또는 수입자는 매년 미국 내에서 신규로 판매하는 승용차와 경트
럭에 대해 CAFE기준연비(기업별 판매대수가중 조화평균연비)를 만족해야 하
며 각 제조사의 CAFE연비가 CAFE기준을 미달하는 경우에는 벌금이 부과된
다.142)
CAFE제도를 탄생시킨 EPCA는 EPA에게 시가지 및 고속도로 주행에 대
한 갤런당 마일을 개산하여 신규 제작 또는 수입되는 승용차와 경트럭(차량
총중량 8,500파운드 미만의 픽업트럭, 밴, SPV: Special Purpose Vehicles)
의 차량측면윈도에 라벨을 부착하도록 하고 있다. 2011년부터는 대형 SUV와
밴을 포함하는 MDPV(Medium Duty Passenger Vehicles)에 대해서도 연비라벨

140) 중형 및 대형자동차들에 대한 연비효율기준은 아직까지 마련된 바가 없다. 다만, EPA와


NHTSA는 2010년에 처음으로 중형 및 대형자동차의 연료효율을 향상시키고 온실가스를 줄
이기 위한 첫 번째 제도를 발표하였다. EPA regulatory announcement, Document
EPA-420-F-10-901, October 2010.
141) <http://www.nhtsa.gov/fuel-economy> accessed on Nov. 26, 2010.
142) 반면, CAFE연비가 CAFE기준을 초과달성하는 경우에는 해당부분만큼의 크레디트를 받아서
모델연도 3년 전후의 미달분을 상쇄하는 데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CAFE제도의 실시로
미국 내 자동차의 평균연비는 실시 당시에 비해 비약적으로 개선되어 1975년도 대비 1990
년도에 65%가 개선되었다.

- 47 -
이 적용된다. 자동차의 연료효율에 관하여 규정하고 있는 미국연방규정집
(Code of Federal Regulations: CFR) 40 C.F.R. Part 600 Subpart D는 자동차
의 라벨링에 관해 규정하고 있다. 이 규정은 자동차를 판매를 위해 제공하기
전에 생산자는 연비라벨을 부착하여야 한다는 규정을 두고 있다.143)
EPA는 위 제도들을 통해 추구하는 목적을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연료
효율을 높이는 것은 수입원유의 의존도를 낮추고 국가의 에너지 안보를 확보
할 수 있으며 미래 세대를 위하여 화석연료를 보존 할 수 있다. 승용차는 미
국의 이산화탄소 발생량의 20%를 차지하므로 연료효율을 높이면 온실가스의
배출을 줄일 수 있다. 마지막으로, 자동차가 갤런 당 운행할 수 있는 거리가
길어질수록 소비자는 연료비를 절감할 수 있다.”144)

II. 한국의 자동차 연비효율 라벨링

우리나라에서는 에너지의 수급을 안정시키고 에너지의 합리적이고 효율적


인 이용을 증진하며 에너지 소비로 인한 환경피해를 줄임으로써 국민경제의
건전한 발전 및 국민복지의 증진과 지구온난화의 최소화에 이바지하기 위한
목적145)으로「에너지이용합리화법」이 제정되었다. 법 제15조 제1항은 지식
경제부장관이 자동차146)의 에너지의 소비효율 또는 사용량의 표시 및 에너지
의 소비효율 등급기준 및 등급표시를 고시하도록 하였고, 제조업자 또는 수
입업자는 지식경제부장관이 지정하는 시험기관에서 자동차에너지 사용량을

143) 40 C.F.R. §600.306(a).


144) EPA's Fuel Economy and Emissions Programs, EPA Document EPA420-F-04-053, (Oct.
2004). <http://www.epa.gov/fueleconomy/420f04053.htm#label>, accessed on Nov. 26, 2010.
145) 에너지이용합리화법 제1조.
146) 법 제15조 제1항은 다음과 같다:
“지식경제부장관은 에너지이용 합리화를 위하여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널리 보급되어 있고 상당량의 에너지를 소비하는
에너지사용기자재로서 지식경제부령으로 정하는 기자재(이하 "효율관
리기자재"라 한다)에 대하여 다음 각 호의 사항을 정하여 고시하여야
한다.“
그런데 에너지이용합리화법시행규칙 제7조 제6호는 법 제15조제1항에 따른 효율관리기자
재로 “자동차”를 규정하고 있다.

- 48 -
측정 받아 에너지소비효율등급 또는 에너지소비효율을 해당 자동차에 표시하
여야 한다고 함에 따라 「자동차의에너지소비효율및등급표시에관한규정」147)
이 마련되었다.
동 제도에서는, 국내에서 신규제작 또는 수입되는 승용자동차148)에 대하
여, 산업자원부가 지정하는 연비측정시험기관149)에서 에너지소비효율(연비)을
측정 받아, 그 연비 및 연비등급을 차량에 부착하도록 의무화하고 있다. 또
한, 국내에서 신규제작 또는 수입되는 소형이하 승합 및 화물자동차에 대해
서는 산업자원부가 지정하는 연비측정시험기관에서 에너지소비효율(연비)을
측정 받아, 그 연비를 차량에 부착하도록 의무화하고 있다.
측정된 에너지소비효율 및 연비등급(화물자동차의 경우는 에너지소비효
율 )은 , 당해자동차 후면 또는 측면에 소비자가 쉽게 인식할 수 있도록 잘
보이는 장소에 명확한 방법으로 표시하여야 하며(경형 자동차는 2열 좌석의
운전석 측 유리창에 부착하여야 하며, 자동차의 구조상 불가할 경우 운전석
측 측면 유리창에 부착할 수 있다)150), 이를 이행하지 않을 경우에는 에너지
관리공단이사장이 지식경제부장관에게 그 사실을 보고하여 필요한 조치를 취
할 것을 요청할 수 있도록 규정하고 있다.151) 이외에, 신문 또는 잡지, 제품
안내서 등에 광고 시에는 에너지소비효율 및 효율등급을 표시하도록 의무화

147) 「자동차의에너지소비효율및등급표시에관한규정」<개정 2009. 12. 2> (지식경제부 고시


제2009 -292호). 에너지이용합리화법 제15조, 제16조 및 제17조의 규정에 의한 자동차에
대한 에너지소비효율 측정·표시, 평균에너지소비효율 및 소비효율에 따른 등급표시 등에
관한 사항을 규정할 목적으로 고시되었다. 최초의 고시는 1989. 4. 17 제정된 동력자원부
고시 제1989 - 20호다.
148) 연비(및 등급) 표시는, 국내에서 제작되거나 수입되어 국내에 판매되는 휘발유, LPG, 경유
및 전기 등 휘발유 대체연료를 사용하는 자동차관리법 제3조 및 동법 시행규칙 제2조 별
표 1의 규정에 의한 승용자동차(일반형, 승용겸화물형, 다목적형, 기타형) 및 15인승 이하
의 특수형을 제외한 승합자동차(밴형 화물자동차 포함)와 특수용도형을 제외한 경형 및
소형의 화물자동차에 적용한다. 다만, 차량 총 중량이 3.5톤 미만이어야 한다. (고시 제2조
제1항)
149) 연비측정시험기관은 '96년 이전에는 국립환경연구원 자동차공해연구소만이 지정되어 있었
으나, '97년 1월 1일부터는 시험기관을 확대하여 한국에너지기술연구소, 자동차성능시험연
구소, 자동차부품연구원에서도 측정이 가능하도록 복수 지정하였는데, 현재는 한국에너지
기술연구원, 자동차부품연구원 그리고 한국석유관리원에서 측정하도록 지정되어있다. (고시
제6조)
150) 고시 제10조 제6항.
151) 고시 제12조 제3항.

- 49 -
하고 있다.152)

152) 법 제 15조 제4항, 시행규칙 제10조.

- 50 -
제4절 자동차 라벨링 제도를 통한 TBT협정상의 강제적
라벨링 요건의 특수 문제 검토

I. TBT협정 제2조와 자동차 라벨링제도

현대 사회에서 생산되는 제품들은 그 제품의 특성 그리고 생산 방식과 관


련하여 생명 또는 건강의 보호, 환경의 보호, 기만적 관행의 방지 또는 제품
의 품질의 보장을 목적으로 하는 여러 조건들을 만족시켜야 하는 경우가 많
은데, 이러한 조건들은 무역의 장벽이 될 뿐만 아니라, 어떠한 제품이 일정한
조건을 만족시키는지를 검증하기 위해 마련된 절차는 무역을 왜곡시킬 위험
을 안고 있다는 것을 이미 보았다. 이러한 ‘무역에 대한 기술장벽’이 구체적으
로 “국제 무역에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위생 및 식
물위생조치”153)에 해당한다면 SPS협정의 적용을 받지만, 그 외의 보다 일반
적인 기술장벽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TBT협정의 적용을 받는다.154)
TBT협정은 기술규정, 표준 그리고 적합판정절차에 적용된다. 그리고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강제적 환경라벨링은 TBT협정 제2조의 기술규정의 범주
에 해당된다. 자동차 라벨링은 자동차의 연비라는 ‘상품의 특성이 규정되어
있으며 그 준수가 강제적인 문서’라는 점에서 강제적 환경라벨링이며 기술규

153) SPS협정 제1.1조.


154) TBT협정과 기타의 WTO협정 간의 중복을 피하기 위해 TBT협정은 두 개의 WTO협정에 대
해서 보충적으로 적용된다. 그 중 하나는 SPS협정인데, SPS협정과 TBT협정의 적용범위가
서로 중복되지 않는다는 점은 TBT협정 제1.5조에서 명시하고 있다. TBT협정 제1.5조의 원
문은 다음과 같다:
“The provisions of this Agreement do not apply to sanitary and
phytosanitary measures as defined in Annex A of the Agreement on the
Application of Sanitary and Phytosanitary Measures."
두 번째는 정부조달에 관한 협정인데, TBT협정과 정부조달에 관한 협정의 적용 순서는
TBT협정 제1.4조에 명시되어 있다. TBT협정 제1.4조의 원문은 다음과 같다:
“Purchasing specifications prepared by governmental bodies for
production or consumption requirements of governmental bodies are not
subject to the provisions of this Agreement but are addressed in the
Agreement on Government Procurement, according to its coverage."

- 51 -
정에 해당한다. 기술규정의 정의는 TBT협정의 부속서 1.1에서 내리고 있
다.155) 제2조가 명시하는 여러 요건들 중에서 자동차 라벨링과 관련하여
제2.2조가 요구하는 필요성 요건(necessity requirement)을 검토하고자 한다.
제2.2조는 또한 기술규정의 형태로 무역장벽을 형성하는 것을 정당화할 수 있
는 ‘정당한 목적’156)을 요구하면서 정당한 목적이라고 하더라도 그 목적의
수행으로써 필요 이상으로 무역을 규제하지 아니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그리
고 필요한 조치로 ‘정당화’된 기술규정으로서 현재 인정된다 하더라도 그
“기술규정의 채택을 야기한 상황 또는 목적이 더 이상 존재하지 아니하거나,
변화된 상황 또는 목적이 무역에 덜 제한적인 방법으로 처리될 수 있을 경우
에는 유지되어서는 아니”된다고 규정한다.157)
또한, TBT협정 제2.4조는 “기술 규정이 요구되고 관련 국제표준이 존재하
거나 그 완성이 임박한 경우”에 회원국은 “국제표준이 추구된 정당한 목적을
달성하는데 비효과적이거나 부적절한 수단일 경우를 제외”하고는 그 국제표
준을 자국의 기술규정의 기초로 사용하여야 한다고 규정한다. 그런데 제2.5조
는 만약 기술규정이 명백히 제2.2조에 언급된 정당한 목적중 하나를 위해 준
비, 채택 또는 적용되고 관련 국제표준을 “따른” 경우에는 언제나 이러한 기
술규정은 국제무역에 불필요한 장애를 초래하지 않는다고 추정되나 반박이
가능하다고 규정한다. 자동차 라벨링에 국제표준이 존재하는지, 그리고 존재
한다면 그것을 따른 라벨링에 대해서는 입증책임이 전환되는지에 대한 의문
이 생긴다. 자동차 라벨링에 대한 국제표준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의 법적 판
단도 함께 검토해보도록 한다.

155) TBT협정 부속서 1.1, supra note 33.


156) 제2.2조는 정당한 목적의 몇 가지 예로 안보상 요건, 기만적 관행의 방지, 인간의 건강 또
는 안전, 동물 또는 식물의 생명 또는 건강, 환경의 보호 등을 제시하고 있다. 제2.2조 세
번째 문장의 원문은 다음과 같다:
“Such legitimate objectives are, inter alia: national security requirements;
the prevention of deceptive practices; protection of human health or
safety, animal or plant life or health, or the environment."
정당한 목적을 나열하기 전에 사용한 “inter alia"로부터 이 조항의 정당한 목적은 예시일
뿐, 여기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Peter Van den Bossche, et al, "WTO Rules
on Technical Barriers to Trade", Maastricht Faculty of Law Working Paper 2005/6, (Oct.
2005), p.17.)
157) TBT협정 제2.3조.

- 52 -
II. 필요성 평가

TBT협정 제2.2조는 다음과 같다:

“회원국은 국제무역에 불필요한 장애를 초래할 목적


으로 또는 그러한 효과를 갖도록 기술규정을 준비,
채택 또는 적용하지 아니할 것을 보장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기술규정은 비준수에 의해 야기될 위
험을 고려하여, 정당한 목적수행에 필요한 이상으로
무역을 규제하지 아니하여야 한다. 이러한 정당한 목
적은 특히 국가안보상 요건, 기만적 관행의 방지, 인
간의 건강 또는 안전, 동물 또는 식물의 생명 또는
건강, 또는 환경의 보호이다. 이러한 위험평가시 고
려할 관련 요소는 특히 이용가능한 과학적 및 기술적
정보, 관련처리기술 또는 상품의 의도된 최종 용도이
다.”158)

따라서 기술규정을 준비, 채택 및 적용함에 있어서 회원국들은 정당한 목


적을 추구하여야 하며 정당한 목적을 수행하기 위해 기술규정은 필요 이상으
로 무역제한적이어서는 안 된다. 또한 회원국은 어떠한 규정의 무역제한적 효
과를 평가할 때 정당한 목적의 비준수에 의해 야기되는 위험을 함께 고려하
여야 한다.

1. 필요성

제2.2조는 TBT 조치의 ‘필요성’과 관련하여 두 개의 요소를 포함하고 있

158) TBT협정 제2.2조의 원문은 supra note 55 참조.

- 53 -
다. 하나는 기술규정은 국제무역에 대한 불필요한 장애를 형성할 목적으로 또
는 그러한 효과를 가지도록 준비, 채택 또는 적용되어서는 안 된다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기술규정은 정당한 목적을 수행하기 위해 필요 이상으로 무역제
한적이어서는 안 된다는 것이다. 두 번째 요소가 무엇이 무역에 대한 ‘불필요’
한 장애가 되는지에 대해 말해주고 있다. 만약 어떠한 조치가 어떠한 정당한
목적의 수행에 필요이상으로 무역제한적이라면 그러한 조치는 자동적으로 무
역에 대한 ‘불필요’한 장애가 될 것이고 그 결과 제2.2조에 위반되는 조치
가 될 것이다.159)
사실, TBT협정상의 ‘필요성’의 의미를 조명한 GATT/WTO 판례는 아직
없다. 따라서 GATT의 여러 판례에서의 정의를 통해 확립된 GATT 제XX조(b)
및 (d)160)의 ‘필요성’의 의미를 참고할 수밖에 없다.

1) US-Section337161)

US-Section 337 사건에서 GATT 패널은 ‘만일 합리적으로 이용이 가능하


며 다른 GATT 조항들에 위반되지 않는 대체적 방안이 있다면’162) 기존의
조치는 제XX조(d)의 ‘필요한’ 조치가 될 수 없다는 결론을 내렸다. 또한
‘다른 GATT 조항에 위반되지 않는 대체적 조치가 없다면, 회원국은 합리적
으로 이용 가능한 여러 조치들 중에서 GATT 규정에 가장 덜 위반되는 조치
를 선택하여야 한다’고 하였다.163) 이 사건과 마찬가지로 최소 무역제한적인

159) Wolfrum, et al, supra note 42, p.218.


160) GATT 1994 제20조(b)의 “인간, 동물 또는 식물이ㅡ 생명 또는 건강을 보호하기 위하여
필요한 조치” 그리고 (d)의 “통관의 시행, 제2조 제4항 및 제17조 하에서 운영되는 독점
의 시행, 특허권‧상표권‧저작권의 보호, 그리고 기만적 관행의 방지와 관련된 법률 또는 규
정을 포함하여 이 협정의 규정에 불합치 되지 아니하는 법률 또는 규정의 준수를 확보하
기 위하여 필요한 조치“가 동일한 여건이 지배적인 국가 간에 자의적이거나 정당화할 수
없는 차별의 수단을 구성하거나 국제무역에 대한 위장된 제한을 구성하는 방식으로 적용
되지 아니한다면 GATT 1994의 어떠한 규정에 대해서도 일반적 예외가 될 수 있음을 규정
하고 있다.
161) GATT Panel Report, United States-Section 337 of the Tariff Act of 1930 ("US-Section
337"), adopted Nov.7, 1989, BISD 36S/345,
162) Ibid., para.5.26.
163) Ibid.

- 54 -
조치를 적용하여야 한다는 요건은 Thailand-Cigarettes164) 사건에서도 그대로
원용되었다.165)
GATT 패널의 필요성 심사에 대한 해석에 이용된 ‘최소 무역제한적 접근’
은 무역 이외의 사회적인 가치에 대해 적절한 고려를 하지 않는다는 비판을
받았다.166) GATT 패널의 제XX조(b)와 (d)의 필요성 요건에 대한 이러한 해석
은 WTO로 넘어오면서 ‘최소 무역제한적’인 것으로부터 ‘덜 무역제한적’
인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발전한 것으로 보인다.167) 이러한 해석의 변화는 일
련의 요소들의 비교형량(weighing and balancing) 절차를 의미하는 비례성 심
사에 의해 뒷받침이 되었기 때문에 가능한 것이었다.168)

2) Korea-Beef169)

필요성의 의미를 엄격하게 해석하였던 위 패널의 입장은 2001년


Korea-Beef 사건에서 재확인되었으나 전통적인 필요성 심사에 새로운 요소를
추가하였다.170)
Korea-Beef 사건에서 상소기관은 필요성 심사를 두 경우로 나누었다. 첫
번째는 조치가 이용 가능한 유일한 것이어서 필수불가결한 것으로 주장될 수
있는 경우이고 두 번째는 비록 이용가능한 다른 조치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GATT 제XX조의 ‘필요’한 조치로서 정당화할 수 있는 경우다.171) 상소기관
은 ‘필요’의 의미는 ‘필수불가결’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고 ‘필수불가

164) GATT Panel Report, Thailand-Restrictions on Importation of and Internal Taxes on


Cigarettes ("Thailand-Cigarettes"), BISD 37S/200, adopted Nov. 7, 1990.
165) GATT Panel Report, Thailand-Cigarettes, para.74.
166) Bernasconi-Osterwalder, et al., Environment and Trade: A Guide to WTO Jurisprudence,
The Center for International Environmental Law, 2006, p.149.
167) WT/CTE/W/203, para.42.
168) Wolfrum, et al, supra note 42, p.218.
169) Panel Report, Korea – Measures Affecting Imports of Fresh, Chilled and Frozen Beef,
WT/DS161/R, WT/DS169/R, adopted on July 31, 2000; Appellate Body Report, Korea –
Measures Affecting Imports of Fresh, Chilled and Frozen Beef, WT/DS161/AB/R,
WT/DS/169/AB/R, adopted on Jan. 10, 2001.
170) Bernasconi-Osterwalder, et al, supra note 166, p.149.
171) WT/CTE/W/203, para.41.

- 55 -
결’과 단순한 ‘기여’를 양 끝으로 하는 스펙트럼에서 ‘필수불가결’ 쪽
에 상당히 가까이 위치한 것으로 해석 하면서172) 필요성 심사의 두 번째 경
우, 즉 필수불가결하지는 않으나 필요한 것인지에 대한 판단은 형량 절차를
거쳐야 한다고 하였다. 형량을 하여야 할 일련의 요소들 중에는 (i) 조치가 문
제의 규정의 시행에 기여하는 정도, (ii) 규정에 의해 보호되는 공통의 이익
또는 가치의 중요성, 그리고 (iii) 규정이 수입 또는 수출에 미치는 영향이 포
함된다.173)

3) EC-Asbestos

EC-Asbestos 사건은 ‘비교형량 절차’를 더욱 발전시켰다. EC-Asbestos


의 상소기관은 ‘보호되는 공통의 가치‘의 중요성을 재확인하면서, 추구되는 공
통의 가치가 필수적이거나 중요할수록 그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필요한
조치로 받아들여지기가 쉬울 것이라고 판시했다.174) 즉, 이 사건에서 쟁점이
되었던 인간의 생명과 건강의 보호는 ‘가장 높은 수준의 필수성과 중요성’
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필요성 원칙을 충족하기가 더욱 쉬워진다고 하였
다.175)
이 사건에 대한 상소기관의 판단은 조치로써 추구하는 가치의 중요도에
따라 필요성 심사의 검토 수준이 다를 수 있음을 암시하는 것으로 판단된
다.176) 자동차 라벨링의 경우에는 라벨링의 적용으로써 추구하는 목적이 무엇
이고 그것이 정당한지가 확정되어야 목적의 중요성을 판단하여 라벨링의 필
요성 여부가 결정될 것이다.

2. 목적의 정당성

172) Appellate Body Report, Korea-Beef, para.161.


173) Ibid., para.164.
174) Appellate Body Report, EC-Asbestos, para. 172.
175) Ibid., para.172.
176) WT/CTE/W/203, para.43.

- 56 -
1) 정당한 목적

TBT협정 제2.2조는 기술규정이 무역에 대한 장벽을 형성할 수밖에 없다


는 것을 인정한다. 그러나 그것이 정당한 목적을 위한 경우라면, 장벽이 불필
요한 장애가 아닌 한 정당화된다.177) 제2.2조는 정당한 목적으로 국가안보상
요건, 기만적 관행의 방지, 인간의 건강 또는 안전 및 동물 또는 식물의 생명
또는 건강의 보호, 그리고 환경의 보호를 예시178)하고 있다. 따라서 다른 불
특정의 사유들도 정당한 목적이 될 수 있는 여지가 있다.
그러나 구체적으로 어떠한 기타 사유들이 정당한 목적으로 인정될지에 대
해서는 아직 판례가 존재하지 않는다. 심지어는 과연 WTO 분쟁해결기구에
회원국들의 조치가 정당한 목적을 지닌 것인지를 판단할 권한이 있는지 부터
가 논쟁의 대상이 되고 있다.179) EC-Sardines 사건의 패널은 자신들에게 EC의
기술규정이 달성하려는 목적이 정당한지에 대한 판단을 할 의무가 있다고 하
였다. 그러나 EC의 기술규정이 시장의 투명성 보호, 소비자 보호 및 공정경쟁
이라는 목적을 추구함으로서 제2.2조에 명시되지 않은 목적을 추구했음에도
불구하고 원고인 페루가 그 목적의 정당성을 추궁하지 않았기 때문에 패널은
그에 대한 판단을 하지 않았다.180) 또한 EC-Sardines 사건에서 상소기관은
TBT협정에 명시된 목적 이외의 목적도 정당한 것으로 고려될 수 있다는 것을
전제로,181)‘문제된 조치의 목적이 정당한 것인가부터 검토하여 결정하여야
할 것’182)이라고 함으로써 명시되지 않은 목적이 정당한 것인지를 판달 할
권한이 분쟁해결기구에 있을 수 있다고 한 패널의 입장에 찬성한다. 상소기관
의 위와 같은 표현이 어떠한 실무상 의미를 갖게 될지는 앞으로의 WTO 판례
법에 따라 결정되어야 할 것이다.183)

177) Van den Bossche, et al., supra note 58, p.17.


178) TBT협정 제2.2조 원문의 ‘inter alia’로부터 정당한 목적이 이 조항에 명시된 사유들로
한정되지 않는다고 해석된다.
179) Bernasconi-Osterwalder, et al, supra note 166, p.157.
180) Panel Report, EC-Sardines, para.7.122.
181) Bernasconi-Osterwalder, et al, supra note 166, p.157.
182) Appellate Body Report, EC-Sardines, para 286.
183) Bernasconi-Osterwalder, et al, supra note 166, p.157.

- 57 -
2) TBT 협정의 정당한 목적 : 환경의 보호

사실, TBT협정 제2.2조의 ‘환경의 보호’는 GATT 제XX조와 SPS협정의


부속서1.1에는 명시되지 않은 TBT협정 특유의 사유다.184) SPS협정은 특정적으
로 병해충 등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위험으로부터 동물 또는 식물의 생명 또
는 건강 보호, 식품 등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위험으로부터 인간 또는 동물의
생명 또는 건강의 보호를 목적으로 취하는 조치를 SPS 조치로 정의하고 있
다.185) 또한 GATT 제XX조는 회원국이 GATT의 일반적인 의무로부터 면제될
수 있는, 다시 말해 GATT 규정에 위반되는 조치를 정당화해주는 특정한 상
황을 허용하는 예외적인 규정으로서 회원국의 조치는 제XX조에 열거된 사유
에 속해야 한다. 즉, GATT 제XX조의 각 항의 사유들은 한정적으로 열거된
것으로서, 환경보호를 목적으로 하는 조치는 (b)항의 인간 및 동식물의 생명
또는 건강의 보호를 위하여 필요한 조치에 포함되거나 (g)항의 고갈될 수 있
는 천연자원의 보존에 관한 조치에 포함되지 않는 한 정당화될 수 없을 것이
다. 이렇게 본다면, TBT협정에서 환경의 보호를 정당한 목적으로서 예시한
것은 기술규정이 환경보호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필요 이상으로 무역을 제
한하지 않는다면 협정에 합치하는 조치가 될 가능성이 커진다는 점에서 중요
한 의미가 있다고 본다.

3) 자동차 라벨링의 목적의 정당성

자동차 라벨링을 시행하는 일차적인 목적은 연료의 소비를 줄이고 이산화

184) GATT 제XX조는 (b)항에서 인간, 동물 또는 식물의 생명 또는 건강을 보호하는 것을 협정


위반에 대한 정당화 사유로 명시하고 있을 뿐, 환경의 보호는 그 사유가 아니다. 또한 (g)
항은 고갈될 수 있는 천연자원의 보존을 명시하고 있고, US-Gasoline의 패널에 의해 깨끗
한 공기(clean air)가 고갈될 수 있는 천연자원으로서 인정되었지만, 넓은 의미의 환경과 동
일한 것은 아니다. SPS협정도 부속서 1.1에서 SPS 조치를 동물 또는 식물의 생명 또는 건
강을 보호하기 위해 취해지는 조치로 정의함으로서 환경의 보호를 명시하고 있지 않다.
185) SPS협정 부속서 1.1 참조.

- 58 -
탄소의 배출량을 감소시켜 환경을 보호하는 것이다. 그런데, 환경을 보호하는
이유는 그것이 인간에게 직·간접적으로 지속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라고
볼 수 있다. 따라서 결국 자동차 라벨링은 환경의 보호와 함께 또는 적어도
부차적으로 인간의 생명 또는 건강을 보호하는 목적도 가지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어떠한 조치가 추구하는 공동의 이익 또는 가치가 중요하고 긴요할수록
그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마련된 조치가 ‘필요한’ 것으로 받아들여지
기 용이할 것인데,186) 어떠한 조치를 통해 추구하는 목적이 인간의 생명과 건
강의 보전이라면 그 추구되는 가치는 최고로 중요하고 긴요한 것이다.187) 즉,
자동차 라벨링은 최고로 중요하고 긴요한 목적을 위해 시행되는 제도다.
자동차 라벨링의 이러한 정당한 목적의 수행에 필요한 것이었는지를 평가
하기 위하여 그 정당한 목적의 비준수에 의해 야기될 위험을 고려하여야 한
다.188) 이러한 위험평가시 고려할 관련 요소는 특히 이용가능한 과학적 및 기
술적 정보, 관련 처리기술 또는 상품의 의도된 최종 용도이다.189)

3. 위험평가

구체적인 사안에서 추구하는 목적의 경중에 따라 필요성에 대한 평가는


달라질 수박에 없다. 제2문에서 “비준수에 의해 야기될 위험을 고려”할 것을
요구하는 것에서도 알 수 있듯이, 단순히 소비자의 기호를 맞추기 위한, 또는
기만적 관행의 방지라는 목적의 기술규정의 비준수에 의하여 야기되는 위험
과 인간의 건강 또는 안전이라는 목적을 가진 기술규정의 비준수로 인한 위
험은 동일하게 평가될 수 없을 것이다.190) 어떠한 기술규정의 목적이 더욱 높
은 가치를 보존하기 위한 것이라면, 동일하게 정당한 목적이라고 하더라도 다
른 낮은 가치를 보존하기 위한 기술규정보다 비준수의 위험이 클 것이다. 정
당한 목적을 수행하기 위한 기술규정이 유일한 조치가 아니거나 여러 대안들

186) Appellate Body Report, Korea–Beef, para.162.


187) Appellate Body Report, EC-Asbestos, para.172
188) TBT협정 제2.2조 제2문.
189) TBT협정 제2.2조 제4문.
190) Van den Bossche, et al., supra note 58, p.18.

- 59 -
중 가장 적게 무역을 제한하는 조치가 아니라고 하더라도, 무역 제한적인 효
과보다 그 특정 기술규정에 의해서 정당한 목적을 수행하지 아니하는 경우
발생할 위험이 더욱 크다고 평가된다면 그 기술규정은 필요한 것으로 인정될
수밖에 없을 것이다.
위에서 본 바와 같이 만약 자동차 라벨링을 환경의 보호와 함께 또는 적
어도 부차적으로 인간의 생명 또는 건강을 보호하는 목적도 가지고 있는, 최
고로 중요하고 긴요한 목적을 위해 시행되는 제도라고 본다면 라벨링을 준수
하지 않음으로써 발생할 위험은 궁극적으로는 인간의 생명 또는 건강에 대한
위해를 끼치는 것이 될 것이다. 그렇다면, 자동차 라벨링이 무역에 대해 끼칠
잠재적인 제한적 효과보다 라벨링을 시행하지 않고 그것이 추구하는 정당한
목적을 준수하지 않아서 발생하는 위험이 더욱 클 것이라고 평가할 수 있을
것이다.

4. 소결 : 자동차라벨링의 필요성 분석

오늘날까지 TBT협정의 필요성의 평가에 대한 판례는 존재하지 않는다.


그러나 GATT 제XX조 (b)항 및 (d)항의 필요성 평가에 대한 판례에 비추어
TBT협정의 필요성 평가 역시 형량(weighing and balancing) 절차를 거칠 것
이라고 추론할 수 있다.191) 따라서, Korea-Beef 사건에서 제시한 판단요소에
비추어 (i) 기술규정이 정당한 목적의 수행에 기여하는 정도, (ii) 정당한 목적
에 의해 보호되는 공통의 이익 또는 가치의 중요성, 그리고 (iii) 기술규정이
수입 또는 수출에 미치는 영향의 형량을 통해 개별 기술규정의 필요성을 심
사할 수 있을 것이다.
미국의 환경보호청은 “연료효율을 높이는 것은 수입원유의 의존도를 낮
추고 국가의 에너지 안보를 확보할 수 있으며 미래 세대를 위하여 화석연료
를 보존 할 수 있다. 승용차는 미국의 이산화탄소 발생량의 20%를 차지하므
로 연료효율을 높이면 온실가스의 배출을 줄일 수 있다. 마지막으로, 자동차
가 갤런당 운행할 수 있는 거리가 길어질수록 소비자는 연료비를 절감할 수

191) Ibid.

- 60 -
있다.”192)라고 하면서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연방정부가 연료효율
라벨링을 시행한다고 밝히고 있다.
따라서 자동차 라벨링이 연료의 소비를 줄이고 이산화탄소의 배출량을
감소시켜 환경을 보호하기 위한 제도이며 더 나아가 인간의 생명 및 건강
을 보호하기 위한 제도라고 한다면 (i) 자동차의 연비효율에 대한 정보를 명
시한 라벨의 부착을 강제하는 한국과 미국의 기술규정은 자동차 생산자들
로 하여금 기술 혁신을 통해 보다 친환경적인 자동차를 생산하도록 장려하
는 원동력이 될 것이고 소비자들에게는 선택의 기초가 되는 정보를 제공함
으로써 녹색소비가 가능하도록 하고 소비자들의 그러한 선택이 재차 생산
자들을 자극하는 요인이 되므로 환경을 보호한다는 목적의 달성에 직접적
인 기여가 있다고 판단된다.
또한 (ii) 자동차 라벨링은 환경의 보호와 함께 또는 적어도 부차적으로
인간의 생명 또는 건강을 보호하는 목적도 가지고 있다고 할 수 있는데,
EC-Asbestos의 상소기관이 판시했듯이 추구하는 목적이 인간의 생명과 건
강의 보전이라면 그 추구되는 가치는 최고로 중요하고 긴요한 것이다. 마지
막으로 (iii) 자동차 라벨링을 강제적으로 요구하는 우리나라와 같은 경우에
는 이러한 제도가 없는 국가로부터 수입하는 자동차에 대해서 우리나라의
기술규정에 부합하도록 조치를 취함으로써 시간과 비용이 소모되는 등 무
역에 차질을 가져올 수 있으며 , 제도를 가지고 있는 국가로부터 수입하는
자동차라고 하더라도 우리나라가 수출국의 라벨링을 우리나라의 것과 동일
한 것으로 인정하는 등의 합의가 없다면 이것 역시 재차 검사를 통한 라벨
링 요건에의 부합 여부를 판단해야 한다는 점에서 무역 제한적인 효과를
가져온다.
그런데, 어떠한 조치가 추구하는 공동의 이익 또는 가치가 궁극적으로 인
간의 생명 또는 건강의 보호라는 중요하고 긴요한 가치라면 그러한 기술규정
을 준수하지 않음으로써 발생하는 위험이 위에서 본 무역제한적인 효과보다
크다고 보이며, TBT협정에서 말하는 ‘불필요한 장애’가 되지 않고 ‘필요
한 이상으로 무역을 규제’하지 않는다고 판단된다. 특히나 공동의 이익 또

192) EPA's Fuel Economy and Emissions Programs, EPA Document EPA420-F-04-053, (Oct.
2004). <http://www.epa.gov/fueleconomy/420f04053.htm#label>, accessed on Nov. 26, 2010.

- 61 -
는 가치가 이처럼 긴요한 것이라면 필요성을 인정하기가 더욱 용이하다193)고
볼 때는 더더욱 그렇다.

III. 입증책임 및 필요성의 추정

1. 제2.4조와 제2.5조

TBT협정 제2.4조는 “기술규정이 요구되고 관련 국제표준이 존재하거나


그 완성이 임박한 경우, 회원국은 예를 들어 근본적인 기후적 또는 지리적
요소나 근본적인 기술문제 때문에 그러한 국제표준 또는 국제표준의 관련부
분이 추구된 정당한 목적을 달성하는 데 비효과적이거나 부적절한 수단일 경
우를 제외하고는 이러한 국제표준 또는 관련부분을 자국의 기술규정의 기초
로서 사용하여야 한다”고 규정한다.194) 따라서 근본적인 기후적 또는 지리
적 요소나 근본적인 기술문제로 인한 예외적인 상황에서는 국제표준의 사용
에 대한 예외가 허용되나, 회원국은 원칙적으로 국제표준을 사용할 의무를
진다.
그런데, 만약 “기술규정이 명백히 제2.2조에 언급된 정당한 목적중의 하
나를 위해 준비, 채택 또는 적용되고 동시에 관련 국제표준을 따른 경우에는
언제나 이러한 기술규정은 국제무역에 불필요한 장애를 초래하지 않는다고

193) Appellate Body Report, Korea–Beef, para.162.


194) TBT 협정 제2.4조의 원문은 다음과 같다 :
“Where technical regulations are required and relevant international
standards exist or their completion is imminent, Members shall use them,
or the relevant parts of them, as a basis for their technical regulations
except when such international standards or relevant parts would be an
ineffective or inappropriate means for the fulfillment of the legitimate
objectives pursued, for instance because of fundamental climatic or
geographical factors of fundamental technological problems."(emphasis
added).
원문의 “use ... as a basis”는 “기초로서 사용”으로 해석된다.
<http://www.mofat.go.kr/economic/multiplenormal/wto/index7.jsp?TabMenu=TabMenu4>,
2011년 6월 28일 검색.

- 62 -
추정되나 반박이 가능하다”.195) 고쳐 말하면 제2.5조의 두 요건, 즉 (i) 기술
규정이 제2.2조에서 정당한 목적으로 명시하는 목적중 하나를 달성하기 위한
것이고 동시에 (ii) 관련 국제표준을 따른 경우에는 그 기술규정은 무역을 제
한하는 효과를 수반하더라도 필요성의 심사로부터 면제되는 효과가 있게 된
다.196)
환경을 보호하려는 목적을 지닌 강제적 환경라벨링이 국제환경 또는 라벨
링 기준에 기초한 경우, 이 조항에 의해서 국제무역에 불필요한 장애를 구성
하지 않는다고 추정될 것이며 다른 국가가 그 라벨링의 필요성을 문제 삼기
가 쉽지 않을 것이다. 지금까지 기록된 사건 중에서는 그 추정을 깨뜨린 사건
은 하나도 없다.197)

2. 정당한 목적

제 2.5조는 명시적으로 "제2.2조에 언급된 정당한 목적"임을 밝히고 있다.


그러나 제2.4조는 단순히 ‘정당한 목적’만을 규정하고 있다. 이에 대하여
EC-Sardines의 패널은 제2.4조의 ‘정당한 목적’은 제2.2조와 함께 해석되어
야 한다고 판시198)하였다. 상소기관은 이러한 패널의 해석에 동의하면서 더
나아가 제2.4조의 후반은 기술규정의 목적이 정당한지에 대한 검사와 판단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점에도 동조한다고 하였다.199)

195) TBT협정 제2.5조 제2문. 원문은 다음과 같다 :


"Whenever a technical regulation is prepared, adopted or applied for one
of the legitimate objectives explicitly mentioned in paragraph 2, and is in
accordance with relevant international standards, it shall be rebuttably
presumed not to create an unnecessary obstacle to international
trade."(emphasis added).
원문의 “in accordance with relevant international standards"는 "관련 국제표준을
따른 경우”로 해석된다.
<http://www.mofat.go.kr/economic/multiplenormal/wto/index7.jsp?TabMenu=Tab
Menu4>, 2011년 6월 28일 검색.
196) Van den Bossche, et al., supra note 58, pp.20-21.
197) Matsushita et al., supra note 36, 2006, p.491.
198) Panel Report, EC-Sardines, para.7.118.
199) Appellate Body Report, EC-Sardines, para.286.

- 63 -
이미 검토한 바와 같이, 자동차 라벨링의 일차적인 목적은 연료의 소비를
줄이고 이산화탄소의 배출량을 감소시켜 환경을 보호하는 것이며 ‘불필요한
장애’가 되지 않고 ‘필요한 이상으로 무역을 규제’하지 않는 조치로 판단
된다.

3. 비효과적이거나 부적절한 수단 및 입증책임

제2.4조 후반에서 제시하는 ‘비효과적이거나 부적절한 수단’의 의미가 확


정되어야 어떠한 경우에 국제표준을 사용해야 할 의무로부터 면제되는지 알
수 있을 것이다. ‘효과성’의 문제와 ‘적절성’의 문제는 서로 매우 가까운 개념
이지만 다른 성질은 가진다. 제2.4조의 문맥에서 비효과적이라는 것은 추구된
정당한 목적을 달성할 기능을 지니지 않았음을 의미하는 것이고, 부적절하다
는 것은 추구된 정당한 목적을 수행하는데 특별히 적합하지 않음을 의미하는
것이다.200)
EC-Sardines의 패널은 원고에게는 원고가 주장하는 피고의 위반사항을 증
명할 책임이 있고, 예외에 해당함을 주장하는 측은 요건이 만족되었음을 입증
해야 하므로 EC에게 기술규정이 비효과적이며 부적절하다는 것을 입증할 책
임이 있다고 판시하였다.201) 또한 원고의 위치에서는 피고의 기술규정이 어떠
한 ‘정당한 목적’을 추구하는지 구분하기 힘들 것이고 국제표준이 피고의
특수한 상황에서 부적절한지를 설명할 자료가 존재하지 않으므로 자신의 기
술규정에 대한 정보를 가진 피고가 요건 만족을 입증하는 것이 옳다고 판시
하였다.202)
그러나 상소기관은 제2.5조203)에 근거하여 원고가 피고에 대한 요청으로
기술규정에 관련된 정보를 수집할 수 있으므로 충분히 문제의 기술규정의 효

200) Panel Report, EC-Sardines, para.7.116.


201) Ibid., para.7.50.
202) Ibid., para.7.51.
203) TBT협정 제2.5조 제1문 :
다른 회원국의 무역에 중대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기술규정을 준비, 채택
또는 적용하는 회원국은 다른 회원국의 요청이 있을 경우 제2항부터 제4항
까지의 규정에 따라 해당 기술규정의 정당성을 설명한다.

- 64 -
과성과 적절성을 입증할 수 있다고 하였다.204) 또한 각 회원국은 제10.1조205)
에서 규정하는 문의처를 설치하여야 하므로 이를 통해 필요한 자료를 수집할
수 있을 것을 근거로 들었다.206)
따라서 상소기관은 EC가 자신의 기술규정을 통하여 추구하는 정당한 목적
을 달성하기 위하여 국제표준인 CodexStan94가 ‘비효과적이고 부적절’한 수
단이라는 것을 입증해야 할 책임을 진다고 판시한 패널의 결정을 뒤집고 원
고인 페루에게 CodexStan94가 정당한 목적의 달성에 효과적이고 적절한 수단
이라는 것을 입증할 책임이 있다고 결론을 내렸다.207) 즉, 예외 사유를 입증
하는 경우에도 입증책임은 전환되지 않는다.

4. 자동차 라벨링과 국제표준

한국 및 미국의 자동차 라벨링이 규제하는 연비효율과 관련한 국제표준이


존재한다면, 한국과 미국은 그러한 국제표준 또는 관련부분을 자기나라의 기
술규정의 기초로서 사용하여야 한다. 또한, 만약 그 국제표준을 단순히 ‘기
초로서 사용(use as a basis)’하지 않고 그에 ‘따른(in accordance with)’ 경
우에는 자동차 라벨링의 시행 목적은 환경의 보호라는 정당한 목적을 위한
것이므로 언제나 국제무역에 불필요한 장애를 초래하지 않는다고 추정될 것
이다. 물론, 근본적인 기후적 또는 지리적 요소나 근본적인 기술문제 때문에
그러한 국제표준 또는 국제표준의 관련부분이 추구된 정당한 목적을 달성하
는데 비효과적이거나 부적절한 수단이라는 점이 입증이 된다면(분쟁해결절차
에서는 국제표준이 효과적이거나 적절한 수단이라는 점을 원고가 입증해야
한다) 국제표준의 사용으로부터 면제된다.
그런데, 현재 자동차 라벨링에 관한 국제표준은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204) Appellate Body Report, EC-Sardines, para.277.


205) TBT협정 제10.1조 :
각 회원국은 다른 회원국 및 다른 회원국내의 이해당사자로부터의 모든 합
리적인 문의에 응답할 수 있고 아래에 관한 문서를 제공할 수 있는 하나의
문의처가 존재하도록 보장한다.
206) Appellate Body Report, EC-Sardines, para.279.
207) Ibid., para.282.

- 65 -
기술규정이 요구되고 관련 국제표준이 존재하거나 그 완성이 임박한 경우에
적용되는 TBT협정 제2.4조는 적용될 수 없으므로 한국 및 미국은 국제표준
또는 관련부분을 자기나라의 기술규정의 기초로서 사용할 의무를 부담하지
않는다. 또한, 관련 국제표준을 따른 경우에만 적용되는 제2.5조 역시 자동차
라벨링의 경우에는 관련이 없게 된다. 그렇다고 두 국가가 자동자 라벨링이라
는 기술규정의 도입에 아무런 제한을 받지 않는 것은 아니다. 이들은 자동차
라벨링과 관련하여 어떤 회원국의 영토로부터 수입되는 자동차가 자기나라
원산의 자동차 및 그 밖의 국가를 원산지로 하는 자동차보다 불리한 취급을
받지 아니하도록 보장할 의무, 즉, 최혜국대우원칙 및 내국민대우원칙 등의
기본적인 의무의 적용을 받으며 국제무역에 불필요한 장애를 초래할 목적으
로 또는 그러한 효과를 갖도록 기술규정을 준비, 채택 또는 적용하지 아니할
의무를 진다. 그리고 환경의 보호가 그 목적이라고 하더라도 그러한 정당한
목적수행에 필요한 이상으로 무역을 규제하지 아니하여야 할 의무도 지는 것
이다.

5. EC-Sardines208) 사건

EC-Sardines 사건의 패널과 상소기구 보고서는 기술규정이 국제표준에 기


초하도록 하는 TBT협정 제2.4조의 요건이 얼마나 중요하고도 논쟁이 되는
부분인지 잘 보여준다.209) 이 사건에서는 EC의 기술규정210)이 ‘Codex Stan
94’라는 표준에 기초하였는지가 문제되었다.
우선,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국제식품규격위원회(Codex Alimentarius

208) Panel Report, European Communities – Trade Description of Sardines (“EC-Sardines"),


WT/DS231/R, adopted 29 May 2002 and Appellate Body Report, European Communities -
Trade Description of Sardines ("EC-Sardines"), WT/DS231/AB/R, adopted 26 September
2002.
209) Van den Bossche, et al., supra note 58, p.19.
210) EC 규정 (EEC) 2136/89는 정어리를 보존식품으로 만들어서 판매하는 경우에 “Sardina
pilchardus Walbaum"이라는 특정한 종을 사용할 것과 밀폐된 용기를 사용할 것, 그리고 적
절하게 용기를 소독할 것 등을 규정하고 있다. 패널은 이러한 EC 규정을 기술규정으로 보
았다. Panel Report, EC-Sardines, para. 7.35.

- 66 -
Commission)라는 국제 기구가 마련한 ‘Codex Stan 94'라는 표준이 TBT협정
제2.4조에서 말하는 ’관련’ 국제표준에 해당하는지 살펴보았다. EC의 기술
규정에서 규율하는 정어리와 Codex Stan 94에서 표준을 마련한 정어리는 동
일하며 제품의 특성에 관한 서로 비슷한 요건을 마련하고 있기 때문에
Codex Stan 94는 EC의 기술규정과 ‘관련’이 있는 국제표준이라고 하였
다.211)
다음으로, EC의 기술규정이 Codex Stan 94에 ‘기초’하였는지를 살펴보
았다. ‘기초한다(base on)’는 것은 ‘일치시킨다(conform to)’와 동일한
의미가 아니다.212) ‘기초(basis)’는 ‘어떠한 것의 가장 주된 구성부분이나
지식 체계의 기초적인 원칙 또는 이론’을 의미하며, ‘사용(use)’한다는 것
은 ‘주어진 목적에 맞게 적용 또는 도입’한다는 의미다.213) 그러나 패널은,
EC는 정어리 보존식품을 규율하는 기술규정의 목적에 맞게 Codex Stan 94를
기술규정의 주된 구성부분이나 기초적인 원칙으로 적용하거나 도입하지 않았
으므로 TBT협정 제2.4조에 위반했다는 결론을 내렸다.214) 상소기구는 이 부
분에서 Codex Stan 94와 EC의 기술규정 간에 서로 배치되는 점은 없는지를
분석하였고 패널과 동일한 결론을 내렸다.215)
또한 EC의 기술규정이 TBT협정 제2.4조의 예외에 해당하는지를 검토하기
위하여 먼저 EC의 기술규정의 목적이 정당한지, 그리고 Codex Stan 94가 부
적절하거나 비효과적인 것인지를 보았다. EC의 기술규정은 시장 투명성, 소
비자보호 및 공정한 경쟁 등을 목적으로 하고 있으나, 이러한 목적들은 제2.2
조의 예시에 비추어 정당하다고 보기 어려운 것이나, 상대방인 페루가 위 목
적을 정당하다고 인정한 이상 소송경제상 다루지 아니하였다.216) 그러나
Codex Stan 94가 부적절하거나 비효과적인지에 대해서 상소기구는 Codex
Stan 94가 부적절하거나 비효과적이라는 점을 EC가 입증하여야 한다고 결정
한 패널의 판단을 뒤집고 상대방인 페루에게 Codex Stan 94가 적절하며 효

211) Panel Report, EC-Sardines, para. 7.70.


212) Panel Report, EC-Hormones, para. 7.110.
213) Panel Report, EC-Sardines, para. 7.110.
214) Ibid., para. 7.112.
215) Appellate Body Report, EC-Sardines, para. 258.
216) Panel Report, EC-Sardines, para. 7.122.

- 67 -
과적이라는 점에 대한 입증책임이 있음을 판시하였다.217) 그리고 페루는 그
입증을 성공적으로 하였기 때문에 EC의 기술규정은 관련 국제표준인 Codex
Stan 94에 기초하지 않은 조치라고 결론을 내렸다.218)

217) Appellate Body Report, EC-Sardines, para.289.


218) Ibid., para. 291.

- 68 -
제 5 장 정부주도의 자발적 환경라벨링

제1절 서론

자발적 환경라벨링의 시행에는 매우 다양한 활동들이 동시에 진행된다. 제


도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자금지원이 있어야 하고 연구를 수행하여
야 하며 각종 라벨링 관련 기준들이 개발되어야 한다. 또한, 라벨을 수여하고
광고를 하며 라벨을 수여받은 상품이 지속적으로 라벨링 제도의 기준에 부합
하는지 모니터링이 이루어져야 한다. 라벨에 대한 공적 교육도 함께 이루어지
기도 한다.219)
이 수 많은 요소들이 전적으로 중앙정부에 의해 구성되고 관리되는 경우
도 있고 이와는 반대로 오로지 민간의 비영리단체에 의해 제도 전체가 집행
되는 경우도 있다. 또한 정부와 민간이 합동하여 민간단체가 라벨링 수여권한
을 갖도록 하는 등의 형태로 운영되기도 하는데, 어떠한 경우에는 정부의 참
여도가 낮고 민간 표준기관이 라벨을 수여할 상품군과 수여 기준을 결정하고
라벨의 사용에 관한 계약을 생산자와 체결하는 보다 적극적인 역할을 수행하
기도 한다.220) 이 논문에서는 ‘정부주도’의 자발적 환경라벨링은 오로지
(중앙)정부에 의해서만 만들어지고 집행되는 라벨링 제도뿐만 아니라 정부가
민간 기관 또는 단체와 협동하는 방식으로 운영되는 라벨링 제도도 포함하는
개념으로 보고자 한다.221)
민간과 협동을 하지만 중앙정부에 의해 모든 활동이 통제되는 예로 독일
의 Blue Angel이 있으며 정부와 민간의 합동 형태로 수행되지만 일정부분이
계약에 의해 민간에게 위임되는 방식의 예로 캐나다의 Environmental Choice
EcoLogo(EcoLogo)가 있다.222) 이 두 제도를 통해 정부주도의 자발적 환경라벨

219) Gesser, “Canada’s Environmental Choice Program: A Model for a ‘Trade-Friendly’


Eco-labeling Scheme”, Harvard International Law Journal, vol. 39, 1998, p.505.
220) OECD, supra note 3, p.31.
221) 따라서, 다음 장에서 검토하는 민간주도의 자발적 환경라벨링은 오로지 순수한 사적 단체
기타 비정부기관만이 참여하여 운영되는 라벨링으로 한정된다.
222) Ibid.,

- 69 -
링이 실제로 시행되는 모습은 어떤지 개관한 후, 이러한 라벨링 제도의 시행
및 그에 대한 TBT협정의 적용 과정에서 대두되는 문제들을 중심으로 구체적
인 논의를 하도록 한다.

- 70 -
제2절 정부주도 자발적 환경라벨링의 사례

I. 독일의 Blue Angel

1977년부터 시행 된 독일의 Blue Angel 제도는 정부가 주도하는 첫 인증


제도로서 동종의 에코라벨링 제도의 선구자로 불린다. Blue Angel은 정부가
주도하여 민간부문 및 비정부기관과 협력하여 운영하는 자발적인 환경라벨링
제도다. 누구든지 Blue Angel 라벨을 수여받을만한 상품군을 추천할 수 있는
데, 신청서가 제출되면 세 개의 기관이 라벨 수여 과정에 참여한다. 첫 번째
기관은 독일 정부의 환경보호당국인 연방환경청(Federal Environment Agency)
이고 둘째는 환경 및 과학 단체, 소비자 단체, 산업 및 무역 연합 그리고 미
디어 등 다양한 분야에서 모인 11명으로 구성된 비정부 환경라벨배심원단
(Environmental Label Jury)223) 그리고 셋째는 140개의 민간부문 협회의 회원
들로 구성된 비영리 과학단체인 품질보장 및 라벨링 연구원(Institute for
Quality Assurance and Labeling)이다.224)
Blue Angel 라벨을 수여받기 위해서는 4단계의 절차를 거쳐야 한다. 제일
먼저 연방환경청이 상품군에 대한 제안을 검토한 후 환경라벨 배심원단에게
넘기면 배심원단은 더 조사가 필요한 상품군이 있는지 결정한다. 이 검토 단
계를 통과한 상품군은 연방환경청에 의해 ‘요람에서 무덤까지’의 분석 대
상이 되고 상품 수명의 각 단계에서 중요한 환경영향이 평가된다.225) 이것이
첫 번째 단계다.
두 번째 단계에서는 연방환경청이 준비한 전과정 보고서를 품질보장 및
라벨링 연구소에 제출하여 한계기준을 설정하기 위한 전문가 공청회를 갖는
다. 전과정 보고서와 한계기준이 배심원단에게 보내지면 세 번째 단계로서 배
심원단이 연방환영청과 연구소의 보고서를 검토하여 당해 상품에 Blue Angel

223) 배심원이 참여하는 라벨링 프로그램은 최종적인 의사결정 권한이 배심원에게 있는지 또는
정부에게 있는지에 따라서 구분된다. 독일의 Blue Angel은 흔하지 않은 경우로서, 배심원에
게 상품군의 결정 및 기준 설정에 대한 절대적인 권한이 있다.
224) Subedi, supra note 4, pp.377-378.
225) Ibid., p.378.

- 71 -
라벨을 수여함으로써 환경 친화적인 상품이라는 것을 표시하도록 할 것인지
여부를 결정한다. 이 과정이 모두 끝나면 마지막 네 번째 단계로서 연구소가
생산자들과 계약서를 작성하고 라벨을 수여한다.226)
Blue Angel 라벨의 목적은 기업들이 기술혁신을 통하여 보다 환경 친화적
인 상품을 생산하도록 장려하여 환경오염을 줄이는 것이다. 그 근저에는 ‘녹
색’ 소비자들이 더 많은 돈을 지불하고서도 환경적으로 온건한 상품을 구매
할 것이라는 믿음이 존재한다.

II. 캐나다의 Environmental Choice Logo

캐나다의 환경라벨링 제도인 Environmental Choice Program(ECP)은 1988


년에 도입되었다. 당시 캐나다 국민들은 환경 친화적인 상품을 구매하기 위해
최대 10%까지 돈을 더 지불할 의향이 있다는 조사결과가 있었으나, 소비자에
게 상품의 환경정보를 제공하는 적절한 수단이 없었기 때문에 환경 친화적인
상품에 인증표시인 EcoLogo를 부착하는 제도가 탄생하게 되었다.227)
ECP는 정부와 민간이 합동으로 운영하는 제도다. 1995년부터 과학에 근거
한 환경컨설턴트 그룹인 TerraChoice가 고객에게 환경 친화적인 전략을 수립
할 수 있도록 제도에 참여, 전체 프로그램을 관리하고 있다.228) 이처럼 제3자
인 독립기관이 상품의 생산, 사용, 폐기 등 전과정(life-cycle)에 대한 과학적인
검증을 통해 환경 친화적인 것으로 인정된 상품에 라벨을 수여한다는 점에서
EcoLogo는 ISO의 분류 체계상 Type I 에코라벨로 분류된다.229)
어떤 회사가 자사의 상품 또는 서비스가 EcoLogo를 수여받을 자격이 있
다고 생각하면 TerraChoice에 신청서를 제출할 수 있다. 이 때 상품 등에 대
한 상세 설명, 생산 위치, 관련 생산·공정·배송 정보, 마케팅 정보 등을 제공
하면 TerraChoice는 2주 이내에 신청인에게 타임테이블과 검증절차에 소요되

226) Ibid.
227) OECD, supra note 3, p.49.
228) http://www.environmentalchoice.com/en/abouttheprogram/, 2011.6.2 검색.
229) http://www.environmentalchoice.com/en/, 2011.6.2 검색.

- 72 -
는 대략적인 비용을 제시한다. 검증이 완료되기 위해서 상품의 성질, 생산의
위치, 제출된 정보의 정확성 등에 따라 짧게는 3주에서 길게는 6개월까지 소
요될 수 있다. 검증절차가 완료되고 상품 등이 그 기준에 부합하는 것으로 최
종 결정되면, 생산자는 TerraChoice와 라이선스 계약을 체결할 수 있다. 계약
은 매년 갱신되며, 모니터링 제도를 통해 EcoLogo 부착 상품이 계속적으로
기준에 부합하는지 감시되나, 일시적으로 상품이 기준에 미달하게 되더라도
생산자가 가까운 미래에 다시 기준에 부합할 수 있도록 조치를 취할 것이라
는 증거가 제공되면 라벨은 유지될 수 있다.230)
EcoLogo 제도는 한 상품군 내의 전체 상품 중 오로지 20% 정도만이
EcoLogo를 부착할 수 있도록 기준을 설정함으로써 생산자들로 하여금 보다
환경에 대한 책임을 느끼고 혁신을 이룰 수 있도록 장려한다. 기존의 기준에
부합하는 상품이 늘어나게 되면 ECP는 20% 한계선을 유지하기 위해 인증을
부여하기 위한 기준을 상향 조정함으로써 생산자들이 계속적으로 혁신을 이
루는 노력을 경주하도록 한다.231)

230) Gesser, supra note 218, pp.509-510.


231) Ibid., p.508.

- 73 -
제3절 TBT협정과 PPMs의 문제

I. 문제의 소재

1. PPMs 및 npr-PPMs의 정의

PPMs는 ‘processes and production methods’의 약어로서, 공정 및 생산


방식을 일컫는데, 이는 어떤 상품의 제조 또는 생산이 이루어지거나 자연 산
물을 채취하거나 포획하는 방법과 기술을 의미한다.232) 무역과 관련해서는
PPMs는 두 개로 분류되는데, 하나는 상품관련 PPMs(product-related PPMs :
pr-PPMs)이고 다른 하나는 상품 무관련 PPMs(product-non-related PPMs :
npr-PPMs)다. PPMs의 정의는 내려진 바 없다. 다만, 우루과이 라운드 당시
TBT협정 협상 과정에서 미국이 ‘PPM 표준’(‘PPM Standard’)의 정의를
제안한 바 있으나,233) 합의가 이루어지거나 TBT협정의 최종본에는 반영되지
않았다.
Pr-PPMs 조치는 상품의 품질, 안전성 및 기능을 보장하기 위해 적용된
다. 보통의 경우 pr-PPMs는 최종 상품에서 직접적으로 탐지가 가능하다. 따
라서 pr-PPMs 조치들은 환경 또는 사용자/소비자를 상품 그 자체 또는 그
상품에 포함된 물질에 의해 발생하는 잠재적인 피해로부터 보호하는 것을 목
표로 한다.234) 최종 상품에서 직접 탐지가 가능한 pr-PPMs의 예로는 특정 농
약을 사용하여 재배된 과일에 잔류 농약이 탐지되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언

232) Wolfrum, et al, supra note 42, p.195.


233) “PPM Standard (or PPM provision within a product or process standard):
Standard or provision that specifies the process or production method to
be employed in one or more stages in the design, manufacture, delivery,
installation, treatment, or utilization of equipment, structures or products
or that specifies methods or conditions in accordance with which a product
is to be grown or raised...“ TBT/W/108/Add.1 참조.
234) Bernasconi-Osterwalder, et al, supra note 179, p.204.

- 74 -
제나 pr-PPMs가 최종 상품에서 직접적으로 탐지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경
우에도 PPMs에 의해 요구되는 특정 공정이 최종 상품에 영향을 미칠 것을 목
적으로 하기 때문에 여전히 상품과 관련이 있는 생산 및 공정 방식이 된
다.235) 예를 들면, 우유의 저온살균 또는 고기의 도축에 관한 정확하고 엄격
한 위생기준을 도입하는 식품위생 조치들은 최종 상품의 건강한 품질을 보장
할 목적으로 시행되나 반드시 적용된 위생기준이 최종상품에서 탐지되는 것
은 아니다.
반면에 npr-PPMs 조치들은 상품 자체보다는 상품을 생산하거나 수확하
는 특정 방식에 의해서 발생하는 위험을 피하거나 최소화하기 위해 취해지는
조치들이다.236) 즉, npr-PPMs는 주로 노동기준 또는 인권 등의 사회적 목표나
환경 관련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것들이며 상품의 소비자는 염두에 두지 않
을 수도 있다.237) 이러한 npr-PPMs는 최종 상품에서 탐지되지 않는다. 보다
구체적인 예로 바다 거북이를 해치지 않는 장치가 장착된 선박으로 수확한
새우와 그러한 장비를 갖추지 않은 선박으로 수확한 새우는 품질, 식품으로서
의 가치, 영양 내지 맛에서 차이가 없고 유일한 차이는 생산 방식에 있으며,
이는 상품과 무관한 것이다.

2. 논의의 배경과 내용

1) PPMs 관련 일반 논의

PPMs는 상품 무관련 PPMs가 아니더라도 그 자체로서도 논쟁의 대상이


다. 첫째, PPMs는 특정 방식으로 생산된 상품의 수입만을 허용함으로써 수입
국은 다른 국가로부터 오는 상품의 시장 접근을 어렵게 할 수 있다.238) 수입
국이 요구하는 생산 방식을 갖추지 않은 수출국으로서는 수입국의 요건에 부

235) Ibid.
236) Ibid.
237) Wolfrum, et al, supra note 42, p.195.
238) Bernasconi-Osterwalder, et al, supra note 179, p.204.

- 75 -
합하도록 자신들의 PPMs를 조정해야 하는데, 선진국의 엄격한 생산기준에 맞
춰야 하는데서 오는 재정적·기술적 어려움은 특히 개도국 생산자나 소규모
생산자들에게 특히 큰 부담이 된다.239)
둘째, 위와 같이 수입국이 다른 국가의 생산방식을 이유로 상품의 수입을
제한하는 경우, 수입국은 자국의 PPMs를 역외로 적용을 하려는 것으로서 수
입국가의 주권에 영향을 미치게 되는 문제가 있다.240) 나라마다 추구하는 가
치가 다르고 도덕적·문화적 기반이 다르기 때문에 그러한 가치를 보존하기
위한 PPMs 역시 나라마다 달리 도입될 수밖에 없음에도 불구하고, 수입국이
자국의 PPMs 관련 규정을 타국에도 강요하는 것은 결과적으로 그 타국의 주
권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논리다.241) 이러한 문제는 자국의 기준을 역외로
적용하려는 국가가 특정 상품의 주요 시장일 경우에 더욱 심각해진다.242)
이에 대해서는 수입국이 수출국 내에서 특정 PPMs가 시행되도록 요구하
는 것이 아니라 자국으로 들어오는 상품을 규제할 뿐이라는 반론이 있다. 이
반론에 대한 근거로 1992년의 리우환경회의243) 에서 선언한 지속가능한 개발
에 관한 원칙(제4원칙)을 들면서 목표를 이루기 위해서는 PPMs에 근거한 환
경관련 무역 조치의 적절한 이용이 하나의 방법이라고 한다.244)
마지막으로 형평의 문제가 발생한다. PPMs 관련 조치가 주로 경제력이
있는 선진의 수입국에서 이루어지고 그들 시장에 진입하는데 어려움에 직면
하는 상품들은 주로 개도국에서 유래하는 상품들이기 때문이다.245)

2) Npr-PPM의 문제

239) Appleton, “Environmental Labelling Schemes Revisited: WTO Law and Developing Country
Implications”, in Sampson G. and Chambers W.(eds), Trade, Environment, and the
Millennium, (Tokyo: United Nations University Press, 2002), p.204.
240) Bernasconi-Osterwalder, et al, supra note 179, p.204.
241) Appleton, supra note 238, p.236; 윤창인, 이재협, 앞의 주 6, p.46.
242) Appleton, supra note 238, p.240.
243) 정식 명칭은 환경 및 개발에 관한 국제 연합 회의(UNCED, United Nations Conference on
Environment and Development)다.
244) Bernasconi-Osterwalder, et al, supra note 179,
245) Ibid.

- 76 -
PPMs의 문제는 특히 상품 무관련 PPMs와 관련하여 더욱 논쟁이 된다.
WTO법학자 사이에서 상품 관련 PPMs가 부속서 1.1 및 1.2에서 정의하는 기
술규정 및 표준에 해당한다는 점은 논쟁의 대상이 아니다.246) Npr-PPMs에 대
한 논쟁이 발생하는 이유는 부속서1의 정의가 다양한 해석이 가능하도록 규
정되었기 때문이다. 부속서 1.1 제1문은 기술규정을 “상품의 특성 또는 관련
공정 및 생산방법”247)이 규정되어 있으며 그 준수가 강제적인 문서, 부속서
1.2 제1문은 표준을 “상품 또는 관련 공정 및 생산방법”248)이 규정되어 있
는 준수가 강제적이지 않은 문서로 규정하면서 동시에 각 규정의 제2문은
“상품, 공정 또는 생산방법”249)으로만 규정하고 있다. 아래에서는 이 규정
들을 둘러싼 해석상 대립을 보도록 한다.

(1) Npr-PPMs는 TBT협정의 PPM에 포함되지 않는다는 견해

Npr-PPMs는 정의규정의 PPMs에 포함되지 않는다고 해석하는 견해는 위


정의규정의 제2문에서 ‘관련’공정일 것을 명시하지 않은 이유는 제2문이 제1
문에 종속된 문장이므로 당연히 ‘관련’공정인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기 때
문이라고 한다.250)
또한, TBT협정의 협상기록251)은 npr-PPMs가 TBT협정에 의해 규율되도록
할 의도가 회원국들에게 없었음을 분명히 보여준다. WTO TBT협정 이전에
Tokyo Code는 PPMs를 규율하지 않았으나 우루과이 라운드 협상에서 포함할
것을 합의했다. 그러나 다수의 국가들은 PPMs를 포함시키되, 오직 상품 관련
PPMs만을 포함시키는 것임을 명백히 했다. 그 후 협상 종료 직전의 법적 검
토 단계에서 멕시코가 기술규정 및 표준의 정의에 도입된 PPMs의 범위를 명
확히 하고자 “product characteristics or process and production methods”를

246) Wolfrum, et al, supra note 42, p.196.


247) TBT협정 부속서1.1의 해당 부분 원문은 “product characteristics or their related processes
and production methods”로 규정되어 있다.
248) TBT협정 부속서 1.2의 해당 부분의 원문은 “products or related processes and production
methods”로 규정되어 있다.
249) TBT협정 부속서 1.1 및 1.2의 해당 부분의 원문은 “a product, process or production
method”로 규정되어 있다.
250) Wolfrum, et al, supra note 42, p.196.
251) G/TBT/W/11, 29 Aug.1995, paras 146-147.

- 77 -
“product characteristics or related processes and production methods”로 변
경할 것을 제안하였고 그 제안이 받아들여졌다. 그러나 그 후 기술규정의 정
의는 멕시코의 제안대로 변경 되었으나 때가 너무 뒤늦은 탓에 표준의 정의
에는 변경사항을 반영하지 않았다.252)
아직까지도 npr-PPMs의 규율여부에 대한 확정적인 결정은 존재하지 않
는다. 그러나 TBT 위원회와 CTE(Council on Trade and Environment, 무역
환경위원회)에서의 논의 결과 비록 회원국들 간 컨센서스는 이루지는 않았으
나 TBT협정은 npr-PPMs 문제를 규율하지 않는다는 지배적인 의견이 확립되
었다고 본다.253)

(2) Npr-PPMs도 TBT협정의 PPMs에 포함된다는 견해

Npr-PPMs가 TBT협정의 PPMs에 포함된다고 해석하는 견해는 제2문의


‘또한’이 정의를 확대하여 TBT협정의 적용범위를 확대하는 기능을 가지는
것으로 주장한다.254)
이 견해는 만약 TBT협정이 npr-PPMs를 규율하지 않는다면 npr-PPMs
를 규정한 기술규정 또는 표준은 GATT의 적용을 받게 될 것인데, 보다 투명
한 조치인 pr-PPMs를 규율하면서 검토를 요하는 문제의 npr-PPMs은 그
적용범위 밖에 두는 것은 GATT보다 구체적이고 엄격한 규율을 하려는 TBT
협정의 취지와 맞지 않는다고 한다.255) TBT협정의 원칙과 의무들이 GATT에
서도 존재하거나 논리적으로 구성이 가능하다고 하더라도, GATT는 TBT협정
제2.2조와 같이 비차별적인 조치라 하더라도 동시에 덜 무역제한적이어야 한
다는 요건을 명시하고 있지 않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고 한다.256)

252) Joshi, “Are Eco-Labels Consistent with World Trade Organization Agreements?”, Journal
of World Trade, vol. 38, No. 1, 2004, p.74-75 참조.
253) Joshi, supra note 251, pp.81-85.
254) Wolfrum, et al, supra note 42, p.196.
255) Vranes, Trade and the Environment: Fundamental Issues in International Law, WTO Law,
and Legal Theory, Oxford University Press, 2009, p.339.
256) Ibid., p.340.

- 78 -
II. 환경라벨링과 PPMs의 연계

1. 서론

환경라벨링이 언제나 PPMs에 기초하는 것은 아니지만, 무역과 관련한 논


의에서 TBT협정의 PPMs에 npr-PPMs의 포함여부의 문제는 환경라벨링과
연계되어 주로 논의된다. 라벨링은 노동기준과 같은 넓은 범주의 논의를 담을
수도 있고 SPS에 의해 규율되는 경우도 있지만 유난히 GATT와 TBT의 규율
을 받는 환경라벨링의 문제에 논의가 집중되어온 것은257) 환경을 보호하기 위
한 목적으로 시행되는 PPMs 조치들이 증가하고 있기 때문일 것이다.
환경라벨링은 소비자, 소매업자, 정부기관 및 기타 이해 관계자들에게 라
벨이 부착된 상품 및 서비스의 환경적 특성 및 환경 영향에 대한 정보를 제
공하는데, 주로 상품이 생산된 방식에 관한 정보를 제공한다. 따라서 최종 상
품에 영향을 미치지 아니하는 특정한 생산방식을 이용하여 생산된 상품에만
라벨링을 부착하도록 하는 경우의 환경라벨링은 PPMs의 논의, 그 중에서 특
히 npr-PPMs 관련 논의와 밀접하게 연결된다.258)
환경라벨링은 논문의 초반259)에서 살펴보았듯이 다양한 기준으로 정의되고
분류될 수 있다. 이 부분에서는 PPMs 및 npr-PPMs의 문제를 용이하게 논의
하기 위해서 단일속성 환경라벨링과 다중속성 환경라벨링으로 분류하여 각각
의 경우와 PPMs의 문제를 연계하여 검토하도록 한다.

2. 단일속성 환경라벨링 제도

1) 의의

257) Ibid., pp.342-343.


258) Bernasconi-Osterwalder, et al, supra note 179, p.206.
259) 제2장 제2절 II. 주요국제기구의 정의 참조.

- 79 -
단일속성 환경라벨링은 특정 환경영향단계에서의 제품속성을 표시하는 라
벨이며 상품의 한 가지 특성만을 기술한다.260) 이들은 강제적 라벨링일 수도
있고 자발적라벨링일 수도 있다. 이 논문의 제4장에서 소개한 오존층파괴물질
을 포함하거나 그러한 물질을 사용하여 생산된 모든 제품에 오존파괴경고를
부착하여야 하는 미국 청정대기법상의 라벨링 제도, GMOs를 포함하는 제품
에는 GMO가 존재한다는 점을 명시하는 EU의 GMO환경라벨링, 돌고래에 해
롭지 않은 방식으로 잡은 참치로 생산한 참치캔에 부착하는 미국의 돌고래안
전라벨 그리고 에너지 소비효율을 표시하여야 하는 한국과 미국의 자동차 라
벨 등은 강제적 단일속성 환경라벨링에 속한다.

2) PPMs 관련 분석

다양하게 존재하는 단일속성 환경라벨링 중 PPMs가 문제로서 거론되는


경우는 대부분 npr-PPMs가 요구되는 경우일 것이다. 새우를 수확하는 방식
또는 참치를 포획하는 방식은 새우 및 참치의 동종성을 해치지 않으며 품질,
식품으로서의 가치, 영양 내지 맛에서 차이가 없고 오로지 생산방식에서만 차
이가 있다. 따라서 npr-PPMs에 해당한다.
대다수의 회원국들 및 학자들은 npr-PPMs는 TBT협정 부속서 1의
PPMs에 해당되지 않는다고 본다. 그러나 아직 확립된 견해는 존재하지 않으
므로 두 경우 모두에 비추어 살펴보도록 한다. 우선, 만약 npr-PPMs가 TBT
협정 부속서1의 PPMs에 해당된다고 본다면 npr-PPMs를 규정하는 기술규정
또는 표준은 TBT협정의 규율을 받을 것이다. 그렇다고 한다면 GATT보다
엄격한 TBT협정상의 요건에 부합하여야 할 것이다. 그러나 만약 npr-PPMs
는 TBT협정상의 PPMs에 해당하지 않는다고 해석한다면 TBT협정의 적용대상
이 되지 않을 것이고 협정간의 적용순서261)에 따라 GATT의 규율을 받게 될
것이다. 그러나 후자의 경우에는 앞에서 이미 본 바와 같이 논란의 대상이 되
는 npr-PPMs가 더욱 구체적이고 엄격한 요건을 담고 있는 TBT협정이 아닌

260) OECD, supra note 3, P.12.


261) 제3장 제3절 I. TBT협정과 GATT의 관계 참조.

- 80 -
GATT의 적용을 받게 된다는 문제가 발생한다.

3. 다중속성 환경라벨링 제도

1) 의의

상품의 생산, 사용 및 폐기 단계의 전 과정에서의 환경영향을 평가하여 라


벨이 부착된 상품이 유사경쟁상품보다 환경 친화적이라는 것을 인증하는 라
벨을 전과정라벨이라하는데,262) 제품의 다양한 환경적 측면을 고려하기 때문
에 다중속성 환경라벨링이라고도 한다.263)
OECD가 1991년의 연구에서 환경라벨링을 전과정라벨링, 단일속성라벨링
그리고 부정적내용물 라벨링으로 구분한 후 오로지 전과정라벨링만을 환경라
벨링으로 본 점,264) UNCTAD 역시 OECD와 마찬가지로 보았지만 더 나아가
전과정 라벨링인 에코라벨링을 환령라벨링의 동의어로 사용한 점,265) 그리고
GATT 사무국이 환경라벨링과 에코라벨링을 구분하여 모든 환경라벨링 제도
를 지칭하는 상위 개념으로서 ‘환경라벨링’을 사용하고 그 중에서 별도로
전과정 분석에 기초한 라벨링을 지칭하는 개념으로서 ‘에코라벨링’을 사용
한 점266) 등에 미루어 보아 다중속성라벨링은 환경라벨링 제도에서 매우 큰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고 보아도 무방하다. 실제로, 대부분의 환경라벨링은 제
품의 어떤 한 단계에서의 환경적 측면보다 더욱 큰 환경개선효과를 위해 다
중속성라벨의 형태를 지닌다.267)

2) PPMs 관련 분석

262) OECD, supra note 3, p.12.


263) 윤창인, 이재협, 앞의 주 6, p.36.
264) OECD, supra note 3, p.12.
265) Jha, et al. supra note 15, p.1.
266) GATT, Packaging and Labelling Requirements, Note by the Secretariat, TRE/W/12, p.1.
267) 윤창인, 이재협, 앞의 주 6, p.46.

- 81 -
공교롭게도 이 장의 앞에서 소개한 독일의 Blue Angel 라벨과 캐나다의
EcoLogo는 모두 전과정평가에 기초한 다중속성 환경라벨링이다. 다중속성라
벨링은 상품의 생산, 사용 및 폐기 단계의 전 과정을 고려하기 때문에 상품의
환경영향을 평가하기가 까다롭지만, 상품의 전체적인 환경영향에 대한 완전한
그림을 제시하기 때문에 더욱 신뢰를 얻는다.268) 그러나 특히 생산 단계에서
의 환경영향에 관하여 기술하는 기술규정 또는 표준은 PPMs의 문제에 직면하
게 된다.
생산과정에서 발생하는 온실가스 발생량을 규제하거나 지속가능한 형태로
관리되는 재료를 사용할 것 등을 규제하는 경우 등 생산 단계에 대한 요건을
기술하는 기술규정 및 표준은 대개 상품과 관련이 없는 PPMs일 것이다. 다
중속성 환경라벨링도 단일속성 환경라벨링에 대한 분석이 그대로 적용될 것
이다. Npr-PPMs가 일반적으로 TBT협정의 PPMs에 포섭되지 않는다고 보기
때문에, 그러한 분위기 속에서는 전과정평가에 기초를 두고 있는 수많은 에코
라벨링 제도들은 TBT협정의 규율범위 밖에 있는 것으로 보인다.

268) Gesser, supra note 218, p.506.

- 82 -
제4절 소결

PPMs는 무역과 환경에 관한 논쟁에서 가장 논란이 많은 주제에 해당한


다. 가장 핵심이 되는 문제는 생산 공정에 근거한 무역 조치의 적용이 적절한
가, 그리고 특히 npr-PPMs가 TBT협정의 규율범위 내에 있는가가 될 것이
다. 많은 환경보호주의자들은 WTO가 무역에 영향을 미치는 PPMs를 금지하
기 때문에 WTO의 무역 제도는 환경보호와 역행한다고 설파한다.269)
그러나 국제무역법은 PPMs 자체를 금지하지 않는다. US-Shrimp/Turtle
사건은 PPMs가 환경 목적을 지닌 정책을 수행하기 위한 적절한 도구가 될
수 있음을 인정하고 있다. 다만 문제가 되는 것은 환경관련 PPMs 조치들이
이면으로는 자국 상품 및 자국 시장을 보호하려는 목적에서 위장된 장벽을
세우기 때문이다. 자국 생산에 대해 PPMs 조치를 부과하고 그 결과 발생하
는 높은 생산비용으로 인한 경쟁력 상실을 우려해 외국 상품이 자국 시장으
로 들어오는 단계에서 역시 PPMs 요건을 만족시킬 것을 요구하는 경우, 그
러한 PPMs 요건을 가지고 있지 않은 국가에서 유래하는 상품들 그리고 그러
한 요건들을 만족시키기에 역부족인 국가에서 유래하는 상품들은 수입국의
시장에 진입하는데 지나치게 높은 장벽을 실감하게 된다.
결론은 npr-PPMs가 TBT협정 부속서 1.1 및 1.2에서 말하는 PPMs에 해
당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그 첫 번째 이유는 조문 해석의 결과 npr-PPMs를
포함시킬 수 없다는 결론이 도출되기 때문이다. TBT협정 부속서1.1 및 1.2
를 해석함에 있어서 그 문맥에 부여되는 통상적 의미에 따라 성실하게 해석
하고270) 문맥과 함께 부속서 규정의 해석 또는 그 규정의 적용에 관한 회원국
간의 추후 합의와 그 해석에 관한 회원국들의 합의를 확정하는 규정 적용에
대한 추후의 관행271)을 참작하여야 한다. 그런데, 아직 회원국들 간에는 정의

269) Charnovitz, “The Law of Environmental PPMs in the WTO: Debunking the Myth of
Illegality”, Yale Journal of International Law, vol. 27, No. 1, 2002, p.60.
270) 조약법에관한비엔나협약 제31조 제1항 :
“조약은 조약문의 문맥 및 조약의 대상과 목적으로 보아 그 조약의 문맥
에 부여되는 통상적 의미
에 따라 성실하게 해석되어야 한다.”
271) 조약법에관한비엔나협약 제31조 제3항(a) 및 (b) :
“문맥과 함께 다음의 것이 참작되어야 한다.
(a) 조약의 해석 또는 그 조

- 83 -
조항의 해석에 관한 합의가 존재하지 않으며 국가마다 적용상 차이를 보이고
있어 관행이 형성되었다고도 할 수 없다. 따라서 그 의미를 결정하기 위하여
보충적으로 조약의 교섭기록 및 그 체결시의 사정을 참고할 수밖에 없는
데,272) 위에서 이미 본 바와 같이 국가들은 멕시코가 PPMs를 제품과 관련한
것으로 한정하자는 제안에 반대를 한 것이 아니라 단지 협상 막바지에 굳이
문언을 변경하지 않는 것뿐이다.
또 하나의 근거는 만약 npr-PPMs를 WTO협정 내에서 적법한 것으로 받
아들인다면, TBT협정의 적용범위 뿐만 아니라 WTO 내에서 확립된 ‘동종
상품’에 대한 원칙을 수정하는 결과에 이르게 된다는 점이다.273) GATT/WTO
의 분쟁해결기구는 상품의 물리적 특성, 관세 분류, 최종용도 그리고 상품의
특성에 관한 소비자의 기호를 동종성 판단의 기준으로 삼아왔다. 즉, 상품의
동종성의 판단은 상품의 특성에 따라 판단되는 것이며 그와 무관한 것을 기
초로 상품 간에 차별을 한다면 동일한 상품에 대한 차별 취급으로서 최혜국
대우원칙 및/또는 내국민대우원칙에 대한 위반을 구성하게 된다.274)
만약 npr-PPMs가 기술규정 및 표준의 정의에 포함된다고 하면 WTO 회
원국들은 정당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필요 이상으로 무역을 규제하거나 국
제무역에 불필요한 장애를 구성하지 않는 이상 npr-PPMs에 근거한 조치를
취할 수 있게 될 것이다. 그런데 npr-PPMs가 상품의 동종성을 부정할 수 있
는 근거가 되지 않는 이상 TBT협정은 동종상품에 대한 차별취급을 허용하게
되는 상황이 발생하게 되고 결국 TBT협정 제2.1조의 위반을 스스로 용인하
는 받아들일 수 없는 결과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npr-PPMs는 기술규정 및 표준의 정의에 포함될 수 없으며 TBT

약규정의 적용에 관한 당사국간의 추후의 합의
(b) 조약의 해석에 관한 당


사국의 합의를 확정하는 그 조약 적용에 있어서의 추후의 관행”
272) 조약법에관한비엔나협약 제32조 :
“제31조의 적용으로부터 나오는 의미를 확인하기 위하여 또는 제31조에
따라 해석하면 다음과 같이 
되는 경우에 그 의미를 결정하기 위하여 조약
의 교섭 기록 및 그 체결시의 사정을 포함한 해석의 보충
적 수단에 의존
할 수 있다.
(a) 의미가 모호해지거나 또는 애매하게 되는 경우 또는
(b) 명
백히 불투명하거나 또는 불합리한 결과를 초래하는 경우”
273) Joshi, supra note 251, p.85.
274) 이에 대한 최초의 사건으로서 GATT의 벨기에-가족수당 사건이 있다.

- 84 -
협정의 적용을 받을 수 없게 된다. 결국 회원국들의 환경보호에 대한 관심이
높아져감에 따라(또는 위장된 무역장벽의 필요성이 증가함에 따라) 환경관련
npr-PPMs조치가 증가하고 있다고 해도 TBT협정의 규율을 받을 수 없다면
GATT상의 일반규정의 적용을 받을 수밖에 없다는 결론이 도출된다. 결국,
이 장에서 소개한 정부주도 자발적라벨링인 독일의 Blue Angel 라벨링제도와
캐나다의 EcoLogo 제도, 그리고 다수의 민간 주도 에코라벨링 제도들은 상품
무관련 PPMs를 기초로 라벨링을 부여하는 제도들이기 때문에 TBT협정의 적
용을 받을 수 없다. 이를 불합리하다고 주장하는 견해도 존재하지만275) 이는
TBT협정의 해석 가능한 범위를 넘어서는 해석을 함으로써 해결하여서는 안
되며 필요하다면 협정의 개정으로 해결해야 할 문제일 것이다.

275) Vranes, supra note 254, Chapter 3 참조.

- 85 -
제 6 장 민간주도의 자발적 환경라벨링

제1절 서론

기본적으로 WTO법은 회원국 중앙정부의 활동을 규율한다. 그런데, TBT


협정 제3조는 지방정부기관 및 비정부기관에 의한 기술규정의 준비, 채택 및
적용에 관하여, 그리고 제4조는 중앙정부뿐만 아닌 지방정부 및 비정부기관
에 의한 표준의 준비, 채택 및 적용에 관하여 규정하고 있다. 제3조는 회원국
이 지방정부기관 및 비정부기관이 제2조의 규정을 준수하도록 보장하기 위하
여 가능한 합리적인 조치를 취할 것을 의무화하고 있다. TBT협정은 이러한
방법을 통하여 중앙정부기관의 활동뿐만 아니라 지방정부 및 비정부기관의
행위도 규율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있다.276)
이 장에서 논의할 민간주도의 자발적 환경라벨링 제도는 표준의 일종으로
서 TBT협정이 말하는 비정부기관인 표준기관에 의해 준비, 채택 및 적용되
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에서는 민간주도 자발적 환경라벨링의 사례로 미국의
Green Seal과 SCS에서 운영하는 제도들을 소개할 것인데, 이들은 모두 상품
의 제조자 또는 생산자들로부터 독립적인 지위에 있는 제3자 인증기관에서
상품의 환경 영향에 대한 객관적인 과학적 평가 및 검증을 거친 후 인증을
해주는 제도들이다. 이처럼 제3자 인증이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객관적인 판단
을 거치지 않는 자기주장성 라벨링보다 상대적으로 편향되지 않기 때문에 더
많은 신뢰를 얻는다는 장점이 있다.277) 이 제도들에 TBT협정의 모범관행규약
이 적용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의문점을 중심으로 논의를 플어가도록 한다.

276) Bartenhagen, “The Intersection of Trade and the Environment: An Examination of the
Impact of the TBT Agreement on Ecolabeling Programs”, Virginia Environmental Law
Journal, vol. 17, 1997, p.72.
277) Ibid.,pp.58-59.

- 86 -
제2절 민간주도 자발적 환경라벨링 사례

I. 미국의 Green Seal

미국은 정부가 주도하여 시행하는 자발적 환경라벨링 제도를 가지지 않은


몇 안 되는 선진국 중 하나다. 그러나 민간이 운영하는 다중속성 라벨링으로
서 규모가 크고 활성화되어있는 두 개의 제도가 존재하는데 하나가 ‘Green
Seal’이고 다른 하나가 Scientific Certification System(SCS)의
‘Environmental Report Card’다.278) Green Seal은 독립적인 비영리단체에
의해 1989년에 시작되었다. 이 제도 역시 소비자들이 환경 친화적인 상품을
구매하도록 장려함으로써 그 경제적 효과를 누리고자 하는 생산자들로 하여
금 보다 환경적으로 온건한 상품과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하는 것이 목적이
다.279)
Green Seal의 표준 설정 절차는 정부주도 라벨링제도의 경우와 매우 흡사
하다. 산업계, 소비자 및 환경단체를 포함하여 그 누구로부터도 새로운 상품
군에 대한 제안을 받는다. 새로운 상품군을 승인하면, 그 상품군 내의 상품들
의 전과정 중에서 가장 중요한 환경 영향을 구분하여 관련 기준을 마련한다.
이 평가 과정은 다른 선진국들이 행하는 전과정평가(Life-cycle
Assessment)와 비슷하지만 Green Seal은 ‘환경영향평가’라고 부른다. 주요
환경 영향을 구별해 내고 평가 기준을 마련하는 과정에서 산업계, 정부, 학계
및 환경단체의 대표들로 구성된 자문단(advisory panel)의 의견을 물을 수 있
다. 기준이 마련되면 Green Seal은 그것을 대표들에게 송부한 후 여론을 통
해 기준에 대한 비판과 의견을 수렴한다. 그 후, 필요한 경우 기준을 수정하
여 확정한다.280)
Green Seal은 공중에 대한 신뢰도를 높이기 위하여 상품 시험 및 공장 검
사 기관으로서 산업계와 소비자단체 모두에게 좋은 평가를 받고 있는

278) Staffin, supra note 122, p.231.


279) Ibid.
280) Ibid., pp.231-232.

- 87 -
Underwriter Laboratories와 협력한다. 또한 독립 신분의 과학자 기타 전문가
로 구성된 ‘환경표준위원회’(‘Environmental Standards Council’)을 설치하여
Green Seal의 기술적 결정에 대해 불복하는 생산자 등에 대한 재평가를 하는
기관으로 기능하도록 함으로써 다시 한 번 대외적 신뢰도를 향상시킨다.281)

II. 미국의 SCS

1990년에 설립된 미국의 SCS(Scientific Certification Systems)는 Green


Seal과 같은 제3자 인증기관으로서 여러 종류의 라벨링 제도를 운영한다. 그
중 하나는 1994년부터 시행된 Eco-Profile로서, 세계 최초로 기업들의 환경성
자기주장의 신뢰성을 평가·검증하고 그에 대한 인증을 하는 제도다.282) 다른
하나는 다중속성 라벨링 제도인 SCS Environmental Report Card(환경성적표지
제도)다. 즉, SCS는 ‘단일속성’과 ‘다중속성’ 모두에 대한 인증제도를 운
영한다.283)
Eco-Profile은 식품, 농산물, 임산물, 공산품, 에너지 등을 포괄적으로 인
증 대상으로 삼고 있으며, 그 중 공산품에 대해서는 무독성, 생분해성, 재활
용성, 유기성, no-포름알데히드, no-오존층파괴, 실내공기관리, 전과정 평가
등 11가지 유형의 친환경적 자기주장성의 신뢰성을 검증하고 그에 대한 인증
을 부여한다.284) 환경성 주장에 대하여 라벨을 부여하는 Eco-Profile 제도는
일정한 상품군 내의 상품들에 대한 전과정 평가를 수행하는 대부분의 인증
제도들과는 달리 개별 상품의 환경영향을 평가한다는 점에 특이점이 있다.285)
SCS의 다중속성 라벨링 제도인 Environmental Report Card는 상품의 자
원소비, 에너지 소비, 공중 및 수중 배출 및 고체 폐기물의 생성을 분석하여
해당 정보를 바 그래프 라벨로 표시한다.286)

281) Ibid., p.232.


282) Okubo, supra note 136, p.608
283) Bartenhagen, supra note 275, p.59.
284) http://www.ten-info.com/sub_modules/tei/standardview.asp?dir=2&num=858, 2011.6.4. 검색.
285) Okubo, supra note 136, p.608.
286) Bartenhagen, supra note 275, p.59.

- 88 -
상품에 대한 특정 주장의 진위 여부를 가리기 위한 긴 서류 작업 끝에
SCS는 해당 상품의 환경적 기여를 표시하는 공인 인증 마크를 부여한다. 인
증은 1년 동안 유효하며, 1년 후 재평가를 통해 여전히 기준에 부합한다는 결
과가 나오면 갱신된다.287)

287) Ibid.

- 89 -
제3절 TBT 부속서 3 - 모범관행규약상 의무의 해석
문제

앞에서 본 바와 같이, 표준을 준비, 채택 및 적용하는 모든 표준기관은 부


속서3인 모범관행규약을 수락하고 준수하여야 한다. 비정부기관인 표준기관
이 주도하여 시행되는 자발적 환경라벨링 제도 역시 TBT협정 제4.1조의 적
용을 받아 부속서3인 모범 관행규약의 의무에 합치하여야 한다. 보다 정확히
말해서, 비정부기관인 표준기관이 모범관행규약을 수락하고 준수하도록 중앙
정부기관이 가능한 합리적인 조치를 취해야 한다.288) 그러나 모범관행규약의
특유의 표현 때문에 규약상의 의무의 의미 및 그 적용범위를 둘러싼 논의가
있다.
TBT협정 제4.1조에서 표준에 대해서는 부속서3의 모범관행규약이 적용되
도록 규정을 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표준에 해당하는 자발적 환경라벨링 제
도에 TBT협정을 적용하는 것을 둘러싼 어려움이 있다. 그 어려움은 두 부류
로 나타나는데, 하나는 이미 본 바와 같이 중앙정부기관에 의한 표준이 아닌
경우 모범관행규약의 수락 여부가 강제적이지 않다는 데서 기인하는 문제다.
다른 하나는 모범관행규약상의 실제 의무와 관련한 문제다.289) 후자의 경우는
부속서3의 실체적 규정(D항 이하)에 존재하는 의무가 기술규정에 적용되는
TBT협정의 조문들과 비슷하게 규정되었으나 동시에 차이를 보이면서 그 해석
을 둘러싸고 발생하는 문제다. 이하에서는 부속서3 E항에서 제시하는 필요성
요건과 조화의 예외가 어떠한 차이점을 보이고 어떤 해석이 제기되고 있는지
살펴보기로 한다.

I. 국제무역에 대한 불필요한 장애

모범관행규약 E항은 “표준기관은 표준이 국제무역에 대한 불필요한 장애

288) TBT협정 제4.1조 제2문 참조..


289) Appleton, supra note 1, p.126.

- 90 -
를 초래할 목적으로 또는 그러한 효과를 가지도록 준비, 채택 또는 적용되어
서는 안 된다”고 규정하고 있다.290) TBT협정 제2.2조는 위 E항의 규정 내용
에 더하여 무엇이 국제무역에 대한 불필요한 장애를 구성하는지를 명확하게
해주는 세 개의 문장이 추가적으로 규정되어있다.291) 여기서 제기되는 의문
은, 모범관행규약에서 나머지 문장들을 제외시킨 것이 ‘국제무역에 대한 불
필요한 장애’의 정의를 변경 시키는가라는 점이다.
한 저자는 부속서3 E항에도 제2.2조의 문장들이 그대로 적용되어 동일하
게 해석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292) 다른 저자는 문언상의 차이가 ‘불필요한
장애’에 다른 의미를 부여하거나 그러한 장애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하는데
실질적인 차이를 가져와서는 안 된다고 하면서 다만, 기술규정의 경우에 비하
여 표준의 마련에 유연성 내지 자유가 더 허용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을
것이라고 한다.293) 즉, 어느 견해에 의하든 제2.2조의 나머지 문장에 상응하는
문장이 부속서3 E항에 명시적으로 존재하지 않는 것만으로는 실질적으로 큰
차이를 야기하지 않는 것으로 해석된다.
E항의 ‘불필요한 장애’와 제2.2조의 해석이 결과적으로 다르지 않다는 것
을 뒷받침하는 다른 논거는 ‘necessary'를 해석하는 GATT의 관행에서 찾을
수 있다. 앞에서 본 바와 같이, TBT협정상의 ’필요성‘을 해석한 GATT/WTO
판결은 존재하지 않으나, GATT 제XX조 (b) 및 (d)의 ’필요한‘의 의미는
GATT의 여러 판례에서 정의가 확립되었다. 어떠한 조치가 필요한 것이 되려
면 합리적으로 이용이 가능하며 다른 GATT 규정에 위반되지 않는 대체적

290) The TBT Agreement Annex 3.E: The standardizing body shall ensure that standards are
not prepared, adopted or applied with a view to, or with the effect of, creating
unnecessary obstacles to international trade.
291) TBT협정 제2.2조에서 동일하게 규정하고 있는 부속서3 E항을 제외한 나머지 문장의 원문
은 다음과 같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기술 규정은 비준수에 의해 야기될 위험을 고려
하여, 정당한 목적 수행에 필요한 이상으로 무역을 규제하지 아니하여야 한다. 이러한 정
당한 목적은 특히 국가안보상 요건, 기만적 관행의 방지, 인간의 건강 또는 안전, 동물 또
는 식물의 생명 또는 건강, 또는 환경의 보호이다. 이러한 위험 평가 시 고려할 관련 요
소는 특히 이용가능한 과학적 및 기술적 정보, 관련 처리기술 또는 상품의 의도된 최종
용도이다.
292) Tietje, Voluntary Eco-Labelling Programmes and Questions of State Responsibility in the
WTO/GATT Legal System, Journal of World Trade vol. 29, 1995, p.141.
293) Wolfrum, et al, supra note 42, p.249.

- 91 -
방안이 없어야 하고, 다른 GATT 규정에 위반되지 않는 대체적 조치가 없다
면 합리적으로 이용 가능한 여러 조치들 중 GATT 규정에 가장 덜 위반되는
조치를 선택하여야 한다.294) 만약 부속서3을 마련할 당시 이러한 확립된 의미
를 원용할 수 없도록 하는 것이 당사국들의 의도였다면 규약의 E항에 별도의
정의를 마련하였을 것이라는 주장이 설득력 있다.295)

II. 국제표준에의 조화에 대한 예외

부속서3 F항은 관련 국제표준의 사용에 관한 제2.4조를 재구성하여 규정


하고 있다. 제2.4조는 기술규정을 관련 국제표준 또는 관련 부분에 조화시킬
것을 의무화하면서 “근본적인 기후적 또는 지리적 요소나 근본적인 기술문제
때문에 국제표준 또는 국제표준의 관련 부분이 추구된 정당한 목적을 달성하
는 데 비효과적이거나 부적절한 수단일 경우”에는 예외적으로 그 의무로부
터 면제되도록 규정하고 있다.296) 이와는 달리 F항은 명시적으로 제2.4조의
사유에 더하여 ‘보호수준이 불충분’한 경우를 조화의 예외 사유를 추가적
으로 규정하고 있다.297) 제2.4조나 F항은 적용 가능한 예외사유를 한정적으로
열거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규약에 예외사유에 대한 다른 예시를 새롭게
포함시킨 것이 과연 어떠한 의미가 있는 것인지 의문이 든다.298)

294) GATT 제XX조 (d)의 필요성에 대한 정의를 내린 판례로 GATT Panel Report, US-Section
337, para.5.26. GATT Panel Report, Thailand-Cigarettes 에서는 이러한 패널의 해석을
GATT 제XX조 (b)의 해석에 원용하였다. 비록 채택되지는 않았으나, GATT Panel Report,
US-Tuna/Dolphin II에서 역시 필요성의 정의가 원용되었다.
295) Appleton, supra note 1, p.127, footnote 199.
296) TBT협정 제2.4조의 원문은 이러한 의무로부터 면제될 수 있는 경우로서 “fundamental
climatic or geographical factors or fundamental technological problems"만을 예로 들고
있다.
297) 부속서3 F항의 원문은 다음과 같다:
Where international standards exist or their completion is imminent, the
standardizing body shall use them, or the relevant parts of them, as a
basis for the standards it develops, except where such international
standards or relevant parts would be ineffective or inappropriate, for
instance, because of an insufficient level of protection or fundamental
climatic or geographical factors or fundamental technological problems.
298) Appleton, supra note 1, p.130.

- 92 -
여기에는 두 개의 쟁점이 있다. 하나는, 규약에서 새롭게 규정한 ‘불충분한
보호수준’이라는 예외사유가 거꾸로 기술규정에 관한 제2.4조에도 준용되는
가의 문제다. 이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답이 제시된 바가 없다.299) 다른 하나
는, 과연 패널이 제14.2조300)에서 규정하는 ‘기술전문가단’의 자문을 거친
다 하더라도 국제표준의 보호수준이 불충분하다는 결론을 내린 표준기관의
결정을 어느 한도까지 번복하거나 무효화할 것인가의 문제다. F항의 문언이
‘비효과적이거나 부적절’ 및 ‘불충분’ 등의 용어로 이루어졌다는 점에
비추어 보면 표준기관에게 적절한 보호수준을 결정할 상당한 재량이 주어져
있다는 것이 추론된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면, 이 의문 역시 쉽게 답이 내려
지지 않는다. 표준의 자발적인 속성이 보호수준을 모호하게 한다는 점도 여기
에 한 몫 한다.301)
두 번째 쟁점은 WTO의 분쟁해결기구들이 어느 한도까지 표준기관의 결
정에 따를 것인가 그리고 언제 표준기관이 재량에 의해 내린 결정을 자신들
의 판결로 번복할 것인가라는 보다 큰 문제의 일부라고 할 수 있다. 이것이
분명해지기 위해서는 표준기관들이 스스로의 결정에 의해 부적절하다고 판단
한 국제환경표준에 따르지 않을 재량을 행사하고 그 관행이 축적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관행이 쌓여야 WTO의 분쟁해결기구들이 불충분한 보호수준인
가에 대한 표준기관들의 재량에 따른 결과를 받아들일 것인지, 기술전문가단
의 판단에 따를 것인지 또는 자신들의 의견으로 대체할 것인지 분명해질 것
이다.302)

299) Ibid.
300) TBT Agreement Art.14.2:
At the request of a party to a dispute, or at its own initiative, a panel
may establish a technical expert group to assist in questions of a technical
nature, requiring detailed consideration by experts.
301) Appleton, supra note 1, p.130.
302) Appleton, supra note 1, p.131.

- 93 -
제 7 장 결론

OECD는 환경라벨링의 목적 및 기능으로 라벨부착 상품의 판매 증진 또는


이미지 개선, 소비자의 환경인식 제고, 소비자에게 상품의 환경영향에 대한
정확한 정보의 제공, 상품의 환경 영향을 고려하도록 생산자 장려, 그리고 가
장 중요한 환경보호의 다섯 가지 목적을 제시했다. 환경라벨링의 순기능만 본
다면, 환경 친화적인 것으로 평가된 상품에 알아보기 쉬운 심볼 또는 로고를
부착하여 소비자로 하여금 녹색소비를 가능하게 하고 경쟁에서 도태될까 우
려하는 생산자들을 자극하여 환경적으로 혁신을 이룩하게 함으로써 환경보호
목적을 이룰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환경라벨링이 겉으로 보이는 것과 같이 오로지 지구 온난화를 늦
추기 위하여, 쓰레기를 줄이기 위하여, 생명을 살리기 위하여 이용되는 것은
아니다. 환경보호 목적을 내세워 이면으로는 국내적으로 이미 시행하고 있는
환경관련 기술규정 및 표준들로 인하여 상품의 개발 및 생산에 추가적인 자
금을 투입하게 된 자국 생산 상품들이 국제시장에서 경쟁력을 잃어가는 것
으로부터 보호하고자 일종의 위장된 장벽으로 쓰이는 것이 현실이다. 환경라
벨링을 포함하는 환경요건은 그 자체로서 문제가 되는 것이 아니라, 자국 영
토로 들어오는 수입상품에 대하여 자국의 법을 역외 적용함으로써 수출국의
주권에 영향을 미치게 되고 경우에 따라 침해를 하게 되는 것에 문제가 있다.
또한, 나라마다 다른 문화적인 인식 및 가치관에 따라 달리 설정하는 각종 환
경라벨링에 부합하기 위하여 수출국이 별도의 생산라인을 마련하여야 한다거
나 기존과 다른 방식을 택하여야 하는데서 오는 기술적 및 재정적 부담도 무
시할 수 없다. 특히나 자국의 환경라벨링을 강요하는 수입국이 거대 시장이거
나 수출국의 주요 시장일 경우에는 시장접근 자체가 봉쇄되므로 무역에 지나
치게 큰 장애를 가져오게 된다.
이와 같이 환경라벨링이 무역기술장벽을 형성하는 경우를 위해 규정된 것
이 TBT협정이다. TBT협정은 국내조치인 환경요건과 같은 기술장벽의 설정
을 통한 보호무역의 방지가 주된 목적이라고 할 수 있다. 원칙적으로는 각
WTO 회원국은 주권국가로서 환경의 보호를 위한 국내 정책을 수립하고 조

- 94 -
치를 취할 수 있다. 그러나 그러한 조치가 자의적이고 부당한 차별이나 국제
무역에 대한 위장된 제한을 구성하는 경우에는 제한이 가해지게 된다. 언제나
TBT 협정만이 적용되는 것이 아니라 만약 조치의 목적이 보다 구체적으로
그리고 전적으로 전염병과 질병, 음식물로 인한 위험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위생 및 검역에 관한 조치라면 SPS협정의 적용을 받아 그 규율을 받게 될
것이고, 그 외 국가보안요건, 기만적 관행의 방지, 환경의 보호 등의 목적을
위한 것이라면 TBT협정의 적용을 받을 것이다. 그리고 만약 이 두 협정 모두
의 적용을 받지 않게 된다면 가장 일반적인 규정을 담고 있는 GATT의 규율
을 받게 된다.
그렇다면 언제 환경라벨링은 TBT의 규율범위에 포섭되는 것인가. TBT협
정이 기술규정 및 표준이 추구할 수 있는 정당한 목적으로 환경의 보호를 규
정하고 있고 라벨링의 형태를 띨 수 있는 것으로 규정하고 있더라도 모든 환
경보호목적 라벨링이 TBT협정의 적용대상이 되는 것은 아니다. 대개 정부주
도든 민간주도든 자발적라벨링의 경우가 논란의 중심에 서게 된다. 언제나 그
런 것은 아니지만, 자발적 라벨링은 상품의 전과정에서의 영향평가를 거쳐서
환경적으로 친화적이라는 검증을 받은 상품들에 대해서 라벨을 부착하는 형
태를 취하는게 보통이다. 제 5장에서 정부주도 자발적 환경라벨링의 사례로서
소개한 독일의 Blue Angel라벨과 캐나다의 EcoLogo는 상품 자체의 특성과 관
련되기 보다는 생산 공정이나 상품의 사용단계 그리고 폐기에 이르기까지 전
과정에서 발생하는 환경에 대한 각종 영향을 평가하고 라벨을 수여한다. 제6
장에서 본 미국의 GreenSeal이나 SCS가 운영하는 환경성적표지 등 역시 상품
의 ‘요람에서 무덤까지’ 전과정에서의 환경영향을 평가한다.
완성된 상품의 최종 모습에서는 이러한 공정 및 생산방식을 찾아볼 수 없
다. 이러한 npr-PPMs에 기초한 표준들은 TBT협정의 규율을 받지 않는다.
견해가 대립하지만, TBT협정의 해석으로는 npr-PPMs를 포함시킬 수 있는
해석이 도출되지 않는다. 뿐만 아니라 만약 TBT협정이 npr-PPMs에 근거한
국가들이 환경정책을 허용한다면 지금까지 쌓아온 상품의 동종성 판단에 대
한 기준이 흔들리게 되고 결국 스스로 내국민대우 및 최혜국대우를 위반하게
하는 결과가 발생한다. 결국 결론은 TBT협정은 환경라벨링 중에서 SPS의 적

- 95 -
용을 받는 라벨링을 제외하고, 또 그 중에서도 제품의 특성과 관련한 기술규
정 및 표준만을 일컫는다고 해야한다.
그렇다면, 제4장에서 본 정부주도의 강제적 환경라벨링의 경우에는 다시
그 범위가 좁아지게 된다. 앞에서 논의할 때에는 특별한 언급을 하지 않았으
나, npr-PPMs에 대한 TBT의 적용가능성이 없어지게 됨에 따라 자동차라벨
링, GMOs 라벨링, 재활용가능 표지, 돌고래안전 라벨 등의 TBT적용 가능성
도 재검토 되어야 한다. 무엇이 상품의 특성과 관련된 것인지 또는 관련되지
않은 것인지를 구별하는 것은 생각만큼 쉽지 않다. 과일에서 잔류농약이 검출
되는 것은 명확하게 생산 방식이 최종상품에 영향을 미치는 예라고 할 수 있
다. GMOs로부터 생산되거나 이를 포함하거나 이로 이루어진 모든 식품과 사
료에 GMOs 정보를 부착해야 하는 EU의 강제적 라벨링으로서의 GMOs라벨
링은 상품의 최종 특성과 관련되는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위 예들 중에서 가
장 명확하게 돌고래안전 라벨은 참치 캔에 들어있는 참치고기의 특성과 아무
런 관련이 없는 것으로서 npr-PPMs의 전형적인 예다. 따라서 돌고래안전 라
벨은 그 취지가 환경을 보전하고자 하는 것임에도 불구하고 TBT협정의 적용
을 받지 않는다고 보는 것이 옳다.
TBT협정은 다른 협정과 비교되는 독특한 특징을 가지고 있다. GATT와
는 달리, TBT협정에서는 비록 기술규정, 표준, 적합판정절차 등이 내국민대
우와 최혜국대우에 위반되지 않은 비차별적인 조치이더라도 그에 더하여 국
제무역에 불필요한 장애를 초래하거나 그러한 효과를 갖도록 해서는 안 되고
환경보호라는 정당한 목적을 수행함에도 필요한 이상으로 무역을 규제하지
않아야 한다. 정당한 목적의 비준수에 의하여 발생하는 위험을 고려하여 필요
성 여부를 판단하도록 규정하고 있으므로 정당한 목적의 비준수의 위험이 매
우 큰데도 불구하고 무역의 효율성과 효과성만을 강조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
서 TBT협정은 무역과 환경을 적절히 고려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물론, TBT협정이 무역장벽을 최소화하려는 목적을 완벽하게 수행하는 것
은 아니다. 애초에 모든 무역장벽을 금지하는 것은 아니며 정당한 목적의 수
행을 위하여 필요한 정도의 장벽은 설정할 수 있도록 여지를 두고 있다. 그
여지가 오히려 국제무역의 위해가 되지 않게 하기 위해서는 꾸준히 국제표준

- 96 -
의 마련에 힘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통일된 국제표준에 기초하여 기술규정
등의 조화가 이루어진다면 나라마다 다른 기술규정 등을 만족하기 위하여 필
요 없는 자원을 낭비하지 않아도 되고 시장접근에 대한 장벽도 낮아질 것이
다. 그러나 국제표준이 짧은 시간에 만들어지는 것은 아니다. 그렇기 때문에
국제표준이 없는 상황에서는 공동의 환경적 가치 및 이익을 공유하는 국가들
끼리 서로 상대방 국가의 기술규정 등을 상호 인정하는 MOU를 체결하는 방
법을 적극 활용하는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이에 더하여 자기나라에서
사용하는 국내적인 환경라벨링 조치에 대하여 TBT위원회에 통보를 하고 관련
정보를 투명하게 제공하는 것을 보장하여야 할 것이다.

- 97 -
참 고 문 헌

I. 국내문헌

1. 단행본

김찬우, 『21세기 환경외교』, 상상커뮤니케이션, 2006.


박노형, 『WTO 및 주요 구각의 라벨링 관련 법제도 분석과 향후 한국의 대
응방안에 관한연구』, 고려대학교 통상법연구센터, 2002.
장용준, 남호선, 『최근 WTO 회원국들의 TBT 동향과 정책시사점』, 대외경
제정책연구원, 2010.
윤창인, 『기후변화 대응조치와 국제무역규범 연계에 대한 논의 동향』, 대외
경제정책연구원, 2008.
이재형 외 16인, 『국제경제법』, 박영사, 2006.

2. 논문

성백웅, 송송이, “최근 주요국 기술규제 동향 및 시사점”, 『Trade Focus』,


한국무역협회, 제10권 제2호(2011.1).
윤창인, 이재협, “유럽지역 주요 환경라벨제도 분석 및 수출에 대한 시사점”,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05.
이광은, “국내환경마크제도와 WTO/GATT 체제”, 『통상법률』, 통권 제29호
(1999.10).

- 99 -
이성형, “환경마크제도와 WTO 규범의 양립성에 관한 연구”, 『경성법학』,
제17권 제2호(2008.12).
이은섭, 박은진, “WTO체제하의 환경라벨링 제도를 통한 무역과 환경의 조
화”, 『통상법률』, 통권 제77호(2007.10).
이인규, “미국-참치수입제한사건 II”, 『통상법률』, 통권 제3호(1995. 6).
전정기, 이성형, “WTO체제하에서 환경보호를 목적으로 한 무역규제의 허용
범위에 관한 고찰”, 『통상법률』, 통권 제73호(2007.2).

II. 외국문헌

1. 단행본

Appleton, A., Environmental Labelling Programmes: International Trade


Law Implications, Kluwer Law International, 1997.
Baughen, S., International Trade and the Protection of the Environment.,
Routledge-Cavendish, 2007.
Bernasconi-Osterwalder, N., et al, Environment and Trade: A Guide to
WTO Jurisprudence, The Center for International
Environmental Law, 2006.
Koul, A., Guide to the WTO and GATT: Economics, Law and Politics,
Kluwer Law International, 2005.
Matsushita, M., et al, The World Trade Organization: Law, Practice, and
Policy, Oxford University Press, 2006.
Sands, P., Principles of International Environmental Law,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3.

- 100 -
Vranes, E., Trade and the Environment: Fundamental Issues in
International Law, WTO Law, and Legal Theory, Oxford
University Press, 2009.
Wolfrum R., et al, WTO – Technical Barriers and SPS Measures, Max
Planck Commentaries on World Trade Law, vol. 3, Max Planck
Institute for Comparative Public Law and International Law,
2007.

2. 논문

Appleton, A., “Environmental Labelling Schemes Revisited: WTO Law and


Developing Country Implications”, in Sampson G. and Chambers
W.(eds), Trade, Environment, and the Millennium, (Tokyo:
United Nations University Press, 2002).
Bartenhagen, E., “The Intersection of Trade and the Environment: An
Examination of the Impact of the TBT Agreement on
Ecolabeling Programs”, Virginia Environmental Law Journal, vol.
17, 1997.
Blaustein, S., "Splitting Genes: The Future of Genetically Modified
Organisms in the Wake of the WTO/Cartagena Standoff", Penn
State Environmental Law Review, vol.16, 2008.
Charnovitz, S., “The Law of Environmental PPMs in the WTO: Debunking
the Myth of Illegality”, Yale Journal of International Law, vol.
27, No. 1, 2002.
Donald, J., “Domestic Regulation, International Standards, and Technical
Barriers to Trade”, World Trade Review, vol. 4, No. 2, 2005.
Emslie, J., “Labeling Programs as a Reasonably Available Least

- 101 -
Restrictive Trade Measure Under Article XX’s Nexus
Requirement”, Brooklyn Journal of International Law, vol. 30,
2005.
Gaines, S., “Processes and Production Methods: How to Produce Sound
Policy For Environmental PPM-based Trade Measures?”,
Columbia Journal of Environmental Law, vol. 27, 2002.
Gesser, A., “Canada’s Environmental Choice Program: A Model for a
‘Trade-Friendly’ Eco-labeling Scheme”, Harvard International
Law Journal, vol. 39, 1998.
Joshi, M., “Are Eco-Labels Consistent with World Trade Organization
Agreements?”, Journal of World Trade, vol. 38, No. 1, 2004.
Okubo, A., “Environmental Labeling Programs and the GATT/WTO
Regime”, Georgetown International Environmental Law Review,
vol. 11, 1999.
Staffin, E., “Trade Barrier or Trade Boon? A Critical Evaluation of
Environmental Labeling and its Role in the ‘Greening’ of World
Trade”, Columbia Journal of Environmental Law, vol. 21, 1996.
Subedi, S., “Balancing International Trade with Environmental Protection:
International Legal Aspects of Eco-labels”, Brooklyn Journal of
International Law, vol. 25, 1999.
Tietje, C., “Voluntary Eco-Labelling Programmes and Questions of State
Responsibility in the WTO/GATT Legal System”, Journal of
World Trade, vol. 29, No.5, 1995.

III. 기타자료

ISO, ISO/IEC Guide 2: General Terms and Their Definitions Concerning

- 102 -
Standardization and Related Activities, 1991.
OECD, Environmental Labelling in OECD Countries, 1991.
Jha, et al. Ecolabelling and International Trade, UNCTAD Discussion
Papers, No.70, Oct. 1993.
“세계 각국 환경보호 목적 라벨링 시행현황”, 환경부, 2003
Van den Bossche, P., et al., “WTO Rules on Technical Barriers to Trade”,
Maastricht Faculty of Law Working Paper, 2005/6.
WTO, WTO E-Learning: Trade and Environment, March 2011.

IV. 인터넷 자료

EPA, EPA's Fuel Economy and Emissions Programs, EPA Document,


E P A - 4 2 0 - F - 0 4 - 0 5 3 , ( O c t . 2 0 0 4 ) .
<http://www.epa.gov/fueleconomy/420f04053.htm#label>
EPA, NHTSA, EPA regulatory announcement, Document EPA-420-F-10-901,
(Oct. 2010). <http://www.nhtsa.gov/fuel-economy>
http://www.environmentalchoice.com
http://www.epa.gov/fueleconomy
http://www.nhtsa.gov/fuel-economy
http://www.ten-info.com
http://www.terrachoice.com

V. EU 문서

Council Directive 90/220/EEC of 23 April 1990 on the deliberate release


into the environment of genetically modified organisms.

- 103 -
Commission Directive 97/35/EC of 18 June 1997 adapting to technical
progress for the second time Council Directive 90/220/EEC on
the deliberate release into the environment of genetically
modified organisms, Art. 2(2).
Council Directive 2001/18/EC of the European Parliament and of the
Council of 12 March 2001 on the deliberate release into the
environment of genetically modified organisms and repealing
Council Directive 90/220/EEC-Commission Declaration.
Regulation (EC) No 1829/2003 of the European Parliament and of the
Council of 22 September 2003 on genetically modified food
and feed.
Regulation (EC) No 1830/2003 of the European Parliament and of the
Council of 22 September 2003 concerning the traceability and
labelling of genetically modified organisms and the traceability
of food and feed products produced from genetically modified

organisms and amending Directive 2001/18/EC.

VI. GATT/WTO 문서

1. GATT 문서

Panel Report, Belgian Family Allowances, BISD 1S/59, adopted on Nov.


7, 1952.
Panel Report, Canada – Measures Affecting the Sale of Gold Coins,
L/5863, adopted on Sept. 17, 1985.

- 104 -
Panel Report, United States-Section 337 of the Tariff Act of 1930.
BISD 36S/345, adopted on Nov.7, 1989.
GATT, Processes and Production Methods, Draft Proposal by the United
States, Suggested Definitions Related to Processes and
Production Methods(PPMs), TBT/W/108/Add.1, Jan. 31, 1989.
Panel Report, Thailand-Restrictions on Importation of and Internal Taxes
on Cigarettes, BISD 37S/200, adopted on Nov. 7, 1990.
Panel Report, United States – Measures Affecting Alcoholic and Malt
Beverages, DS23/R – 39S/206, adopted on June 19, 1992.
GATT, Packaging and Labelling Requirements, Note by the Secretariat,
TRE/W/12, June 14, 1993.
Panel Report, United States-Restrictions on Imports of Tuna, unadopted.

2. WTO 문서

WTO, Negotiating History of the Coverage of the Agreement on


Technical Barriers to Trade with Regard to Labelling
Requirements, Voluntary Standards, and Processes and
Production Methods Unrelated to Product Characteristics, Note
by the Secretariat, G/TBT/W/11, Aug. 29, 1995.
Panel Report, European Communities- Measures Concerning Meat and
Meat Products, WT/DS26/R/USA, adopted on Aug. 1997.
Appellate Body Report, United States – Import Prohibition of Certain
Shrimp and Shrimp Products, WT/DS58/AB/R, adopted on
Nov. 6, 1998.
Panel Report, Korea – Measures Affecting Imports of Fresh, Chilled and
Frozen Beef, WT/DS161/R, WT/DS169/R, adopted on Jul. 31,

- 105 -
2000.
Appellate Body Report, Korea – Measures Affecting Imports of Fresh,
Chilled and Frozen Beef, WT/DS161/AB/R, WT/DS/169/AB/R,
adopted on Jan. 10, 2001.
Appellate Body Report, European Communities- Measures Affecting
Asbestos and Asbestos-containing Products,
WT/DS135/AB/R12, adopted on Mar. 2001.
WTO, GATT/WTO Dispute Settlement Practice Relating to GATT Article XX,
Paragraphs (b), (d) and (g), Note by the Secretariat,
WT/CTE/W/203, Mar. 8, 2002.
Panel Report, European Communities - Trade Description of Sardines,
WT/DS231/R, adopted on May 29, 2002.
Appellate Body Report, European Communities – Trade Description of
Sardines, WT/DS231/AB/R, adopted on Sept. 26, 2002.
Panel Report, European Communities – Trade Description of Sardines,
WT/DS231/R, adopted on Oct. 23, 2002.
WTO, Sixteenth Annual Review of the Implementation and Operation of
the TBT Agreement, Note by the Secretariat, G/TBT/29, Mar.
8, 2011.

- 106 -
Environmental Labelling Schemes and the TBT
Agreement
: with Special Reference to the Schemes of WTO Members

Lee, Mina
Graduate School of Korea University
Department of Law

As a response to the acceleration of environmental pollution and


global warming, ways to deal with environmental problems has become
the center of world-wide attention. The so-called “green consumers”
make their choice when purchasing a product or service, hoping that what
they have chosen is more environmentally friendly than others. When these
environmentally alert customers make such choices, they refer to the logo
attached to the product to obtain its environment-related information. The
various recycling marks, dolphin-safe labels and the fuel-economy labels are
a few examples of environmental labels.
Environmental labelling is usually defined as ‘the use of labels in
order to inform consumers that a labelled product is environmentally
more friendly relative to other products in the same category’. But
environmental labels not only contain positive information relating to the
environmental impact of the product or service but also negative
information, and at times neutral information to convey simple facts.

- 107 -
Environmental labels can be variously defined and categorized according
to the view on such labels or to the purpose pursued by them. This
dissertation deals with the definition and categorization of environmental
labels in detail, and further establishes a definition for environmental
labels and seeks the best way to categorize them to suit this paper’s
purpose.
Environmental labelling schemes do not always have positive effects
on international trade. As technology rapidly develops, it becomes harder
for products coming from developing countries or produced by
small-scale producers to enter into the market of developed importing
countries that impose strict environmental requirements, due to the lack
of technological and financial capacities and resources. Unlike the initial
purpose of environmental labelling schemes, which was to protect the
environment, these schemes have become a useful instrument that can be
used by importing countries with protectionist intents to maintain the
competitiveness of their domestic production. Also, at times, WTO
Members lay down requirements on process and production methods that
are not related to the product’s characteristics (non-product-related
PPMs : npr-PPMs), and impose import restrictions on foreign products
that do not meet the criteria. Such npr-PPMs are not a legitimate form
of technical regulations and standards that the TBT Agreement allows for
Members to adopt. Because npr-PPMs are not a criterion that can affect
the likeness of products, discrimination based on npr-PPMs would lead
to the abnormal result of allowing the violation of the national treatment
and most-favoured-nation treatment principles. Thus, the TBT
Agreement can regulate only a certain portion of the whole existing
environmental labelling schemes. Chapter 5 addresses this issue in further
detail.
This dissertation starts off from the question, “how can such

- 108 -
environmental labelling schemes be regulated under the WTO regime?”.
Because the TBT Agreement explicitly provides labelling requirements as
a form of technical regulation or standard, and the ‘protection of the
environment’ as an example of the legitimate objectives that can be
pursued, the dissertation focuses on finding out what special legal issues
can arise and how environmental labelling schemes can be regulated
under the TBT Agreement.

- 109 -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