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358

연구보고서

이동식 사다리
안전작업기준 및 안전모델 제시에
관한 연구

김대영 · 임형철 · 정지현


제출문 ‥‥ i

제 출 문

산업안전보건연구원장 귀하

본 보고서를 “이동식사다리 안전작업기준 및 안전모


델 제시에 관한 연구”의 최종보고서로 제출합니다.

2019년 10월

연구기관 : 경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연구기간 : 2019.06.01. ∼2019.10.31.
연구책임자 : 김대영 (경남대학교 건축학부 교수)
공동연구원 : 임형철 (창원대학교 건축학부 교수)
공동연구원 : 정지현 (동아대학교 건축공학과 교수)
연구보조원 : 이동헌 (창원대학교 건축학부)
연구보조원 : 김한얼 (창원대학교 건축학부)
요약문 ‥‥ i

요 약 문
연구기간 2019년 06월 01일 ~ 2019년 10월 31일

핵심단어 이동식사다리, 안전작업기준, 안전모델

연구과제명 이동식사다리 안전작업기준 및 안전모델 제시에 관한 연구

1. 연구배경
이동식 사다리는 산업안전보건법(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24조)
상에서 이동통로로 규정되어 작업발판으로서의 사용이 규제됨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의 산업현장에서는 편리성 및 이동식 사다리가 작업발판이라는 잘못된 인식
으로 광범위하게 사용됨에 따라 이와 관련된 재해도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안전보건공단의 재해조사의견서(2009년∼2019년 2월)에 의하면 이동식 사다리
관련 사망재해사고가 280건이 발생하였는데, 건설업 및 설비업 등 건설 관련업
재해가 61%를 차지하고 있어 해당 업종에서의 재해예방조치가 우선되어야 할
필요성이 있다. 이동식 사다리 종류별로 살펴보면 발붙임 사다리에 의한 재해가
63.6%, 보통(일자형) 및 신축형 사다리는 24.7%의 재해율을 나타내고 있다.
이동식 사다리는 사고사망 단일 기인물 중 1위로, 「사망사고 절반 줄이기
(‘17년 964명 → ’22년 505명)」달성을 위해서는 이동식 사다리에 의한 사망
사고 예방이 필수적인 상황이다. 고용노동부는 「이동식 사다리 안전작업지침
개선방안」지침을 시달하여 이동식 사다리의 재해를 예방하고자 하였으나,
홍보·계도기간의 부족, 대체품 미비, 현장의 지속적인 이동식 사다리 사용과 혼란
등으로 국민청원 뿐 아니라 각계에서 이에 대한 개선방안 마련의 필요성이 제기
요약문 ‥‥ ii

되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이동식 사다리에 대한 추가적인 현장 실태조사 및 의견
수렴 등을 통해 이동식 사다리 안전작업기준 및 안전모델을 제시하여 현장
적용성이 높고 효율적인 이동식 사다리 개선방안을 마련하였다.
2. 주요 연구내용
국내·외의 문헌 및 제도분석을 수행하여 현재 이동식 사다리 관련 규정을
검토하였고, 특히 해외 이동식 사다리 관련 안전기준 및 인증기준을 수집·분석
하여 국내의 이동식 사다리 작업 안전수칙 단계별 준수사항을 제시하였다.
현장 실태조사 및 의견수렴을 위해 「이동식 사다리 안전작업지침 개선방안
(2019.03.18.)」지침에 대한 현장 적용성 및 개선방안에 대한 사항을 현장 실무자
설문조사 및 심층 인터뷰를 통해 수집하였고, 이와 더불어 안전보건공단의 재해
조사의견서를 분석하여 이동식 사다리 작업안전기준(안)의 근거를 마련하였다.
재해조사의견서를 분석한 결과, 이동식 사다리의 흔들림 방지를 위한 안전
부속품 설치가 필요하며, 작업상태유지의 안전성을 보장하기 위한 작업발판 및
디딤대 폭의 확대가 요구되었다. 개인보호장비 착용 의무화 및 이동식 사다리 중
발붙임 사다리 사용에 대한 규제 강화가 필요하고, 작업높이 2m~3.5m 이하 구간
에서 사고가 가장 많이 발생되어 안전난간이나 안전대 걸이 등과 같은 재해
방지조치가 필요하다. 발붙임 사다리의 경우 작업높이 2m 이하 구간에서도 다른
사다리에 비해 재해 발생율이 높아 이 높이에서도 안전에 대한 대비와 인식개선이
필요하다.
건설현장방문을 통한 심층 인터뷰 내용을 종합해 보면, 대형 건설사의 경우
고용노동부가 제시한 지침에 긍정적이고 준수 실태가 높았으나, 중소 건설사
및 건물 관리업의 경우 준수 실태가 상당히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보통 사다리
및 신축형 사다리를 사용할 수 있는 예외기준, 발붙임 사다리의 3.5m 이상
작업에 대한 작업기준, 안전부속품 일체화 제품 개발, 작업발판 폭의 확대에 대한
요약문 ‥‥ iii

의견이 도출되었다.
사다리 제조업체의 경우 이동식 사다리의 가격인상에 대한 대책, 제품 인증
기준 마련에 대한 요구가 가장 중요한 의견으로 제시되었다.
재해조사의견서의 분석결과, 현장 의견 내용을 근거로 하여 안전난간 설치,
작업발판 및 디딤대 폭 확대, 전도방지지지대 및 미끄럼 방지대 부착, 버팀대
높이조절 등이 가능한 해외의 이동식 사다리 제품군을 조사·발굴하여 향후 국내
실정에 적합한 이동식 사다리 안전모델 개발 방향을 제시하였다.
현장 실태조사, 이해관계자 의견수렴, 재해조사의견서를 분석하여 이동식 사다리
안전작업기준(안)을 제시하고 이를 제도 개선(안)에 반영하였다. 산업안전보건
기준에 관한 규칙, 발주자의 안전보건관리 매뉴얼, KOSHA GUIDE에 이와 관련된
사항을 개선 방향으로 제시하였다.
3. 연구 활용방안
이상과 같은 이동식 사다리의 안전작업기준과 안전모델의 현업사용, 규정 및
가이드의 개정 이행이 시행된다면, 조사된 이동식 사다리 관련 재해통계의 재해
다발 요인을 사전에 인지하고, 작업자, 관리자, 감독관, 발주자 등이 재해저감을
위한 공동의 노력을 이행하는 기준이 될 것이다.
아울러, 본 연구용역에서 도출한 재해의견조사서의 이동식 사다리 재해양상
분석 결과, 현장의 이동식 사다리 실태조사 결과 등을 토대로 하여 2020년 상반기에
학회 논문집에 게재할 예정이다.
4. 연락처
- 연구책임자 : 경남대학교 건축학부 교수 김대영
- 연구상대역 : 산업안전보건연구원 산업안전연구실 이성주, 정성춘, 황종문
▪ ☎ 052) 703. 0845(연구상대역 전화)
▪ E-mail bm0722@kosha.or.kr(연구상대역 이메일)
차례 ‥‥ i

차례
I. 서 론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
1. 연구배경 및 목적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
2. 연구방법 및 범위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

II. 이동식 사다리 관련 선행연구 고찰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5
1. 국내외 선행연구 및 문헌분석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5
2. 국내외 안전기준 및 인증기준 분석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6
3. 국내 이동식 사다리 관련 제도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70
4. 소결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76

III. 이동식 사다리 실태조사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79
1. 국내 제품 사용실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79
2. 재해조사의견서 분석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87
3. 설문조사 및 인터뷰 분석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12
4.. 국민청원 등 각계요청사항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36
5. 소결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41

IV. 이동식 사다리 안전작업기준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43
1. 재해조사의견서 분석결과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43
2. 설문조사 및 인터뷰 분석결과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49
3. 안전작업기준 제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53
4. 소결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57
차례 ‥‥ ii

V. 이동식 사다리 안전수칙 단계별 준수사항 ·


··
··
··
··
··
··
··
··
··
··
··
··
··
··
··
··
··
··
··
··
··
··
··
··
··159
1. 해외사례 분석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59
2. 단계별 준수사항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96
3. 안전작업 체크리스트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02
4. 소결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05

VI. 이동식 사다리 대체품 개선모델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11
1. 사다리생산업체 의견수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11
2. 이동식 사다리 대체 제품군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14
3 이동식 사다리 대체품 개선모델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32
4. 소결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40

VII. 이동식 사다리 법령 개정방안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41
1.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41
2. 발주자의 안전보건관리 매뉴얼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44
3. KOSHA Guide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45
4. 소결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47

VIII. 이해관계자 간담회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48
1. 이해관계자 간담회 내용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48
2. 소결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53

Ⅸ. 결론 및 활용방안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55
차례 ‥‥ iii

참고문헌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61

Abstract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65

부록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69
[부록 1] 설문지 및 인터뷰 양식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70
[부록 2] 재해조사의견서 통계처리 내용(샘플) ·
··
··
··
··
··
··
··
··
··
··
··
··
··
··
··
··
··
··
··
··
··
··280
[부록 3] 해외 사다리 안전기준 및 매뉴얼 ·
··
··
··
··
··
··
··
··
··
··
··
··
··
··
··
··
··
··
··
··
··
··
··
··
··290
[부록 4] KOSHA GUIDE 개정안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23
차례 ‥‥ iv

표차례
<표 1-1> 업종별 재해빈도(재해조사의견서, 안전보건공단) ·
··
··
··
··
··
··
··
··
··
··
··
··
··
··1
<표 1-2> 연구의 세부목표 및 주요내용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1
<표 2-1> 관련 선행연구 분석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1
<표 2-2> 국내ㆍ외 사다리 표준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6
<표 2-3> KS G 3701 알루미늄 합금제 사다리 ·
··
··
··
··
··
··
··
··
··
··
··
··
··
··
··
··
··
··
··
··
··
··
··27
<표 2-4> 취급 및 유지관리 사항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8
<표 2-5> 휴대용 사다리 유형별 세부내용 ·
··
··
··
··
··
··
··
··
··
··
··
··
··
··
··
··
··
··
··
··
··
··
··
··
··
··
·30
<표 2-6> 주택용 사다리 유형별 안전기준 ·
··
··
··
··
··
··
··
··
··
··
··
··
··
··
··
··
··
··
··
··
··
··
··
··
··
··
·33
<표 2-7> 주택용 사다리 안전기준 (공통사항) ·
··
··
··
··
··
··
··
··
··
··
··
··
··
··
··
··
··
··
··
··
··
··
··
·34
<표 2-8> JIS S 1121의 휴대용 사다리 유형별 세부내용 ·
··
··
··
··
··
··
··
··
··
··
··
··
··
··
··37
<표 2-9> 사다리 안전기준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9
<표 2-10> OSHA 1926. 1053의 휴대용 사다리 유형별 세부내용 ·
··
··
··
··
··
··
··
··
·41
<표 2-11> 사다리 유형별 사용조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3
<표 2-12> ANSI-ASC A14.2 사다리 개념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4
<표 2-13> 사다리종류ㆍ유형별 최대길이 ·
··
··
··
··
··
··
··
··
··
··
··
··
··
··
··
··
··
··
··
··
··
··
··
··
··
··
··47
<표 2-14> Ladder Size, Working Length, and Height (feet) ·
··
··
··
··
··
··
··
··
··
··
··
··49
<표 2-15> 사다리 사용 시 유의사항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0
<표 2-16> 사다리 유지관리 사항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3
<표 2-17> Proper Selection, Inspection & Use Storage ·
··
··
··
··
··
··
··
··
··
··
··
··
··
··
··
··55
<표 2-18> Proper use-Additional Text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6
<표 2-19> 자립형 사다리 설치 및 사용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7
<표 2-20> 비자립형 사다리 설치 및 사용 ·
··
··
··
··
··
··
··
··
··
··
··
··
··
··
··
··
··
··
··
··
··
··
··
··
··
··
·58
차례 ‥‥ v

<표 2-21> BS EN 131의 사다리 종류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9
<표 2-22> 사다리에 대한 안전표시 및 최소 기본 요구사항 (공통) ·
··
··
··
··
··
··64
<표 2-23> 사다리에 대한 안전표시 및 최소 기본 요구사항
(leaning ladders)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7
<표 2-24> 사다리에 대한 안전표시 및 최소 기본 요구사항
(standing ladders)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8
<표 2-25> 국내외 이동식 사다리 표준 비교분석 ·
··
··
··
··
··
··
··
··
··
··
··
··
··
··
··
··
··
··
··
··
··69
<표 2-26> 정부 정책방향 기본요지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78
<표 3-1> 중소기업 면담리스트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33
<표 3-2> 건물 관리업 면담리스트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35
<표 4-1> 이동식 사다리 사고경위별 재해빈도 ·
··
··
··
··
··
··
··
··
··
··
··
··
··
··
··
··
··
··
··
··
··147
<표 4-2> 이동식 사다리 형태별 재해빈도 ·
··
··
··
··
··
··
··
··
··
··
··
··
··
··
··
··
··
··
··
··
··
··
··
··
·148
<표 4-3> 이동식 사다리 추락높이별 재해빈도 ·
··
··
··
··
··
··
··
··
··
··
··
··
··
··
··
··
··
··
··
··
··148
<표 5-1> 이동식 사다리별 사용 점검사항 ·
··
··
··
··
··
··
··
··
··
··
··
··
··
··
··
··
··
··
··
··
··
··
··
··
·169
<표 5-2> 이해관계자의 의무사항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71
<표 5-3> 안전한 작업을 위한 계층구조 ·
··
··
··
··
··
··
··
··
··
··
··
··
··
··
··
··
··
··
··
··
··
··
··
··
··
··
·173
<표 5-4> 리스크 평가 템플릿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74
<표 5-5> User Guide (SㆍTㆍEㆍP)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76
<표 5-6> User Guide (단계별 관리방법) ·
··
··
··
··
··
··
··
··
··
··
··
··
··
··
··
··
··
··
··
··
··
··
··
··
··178
<표 5-7> Falls Campaign의 3 Step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80
<표 5-8> 추락 재해예방 자료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81
<표 5-9> National Campaign to Prevent Falls in Construction 주요내용 ·182
<표 5-10> 사다리 안전 사용 지침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85
<표 5-11> Portable Ladder Safety (QuickCard) ·
··
··
··
··
··
··
··
··
··
··
··
··
··
··
··
··
··
··
··
··
··187
<표 5-12> 이동식 사다리에 대한 PLANㆍPROVIDEㆍTRAIN ·
··
··
··
··
··
··
··
··
··
··188
<표 5-13> 사다리 사망재해 현황 (2013년~17년) ·
··
··
··
··
··
··
··
··
··
··
··
··
··
··
··
··
··
··190
차례 ‥‥ vi

<표 5-14> 사다리에서의 추락 원인 및 방지대책 (권장사항) ·


··
··
··
··
··
··
··
··
··
··190
<표 5-15> 사다리 사용 시 유의 사항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90
<표 5-16> 사다리로 인한 사고 원인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94
<표 5-17> 사다리 사용 단계별 준수사항 5개국 비교 (공통) ·
··
··
··
··
··
··
··
··
··
··197
<표 5-18> 설치유형별 사다리 설치 및 사용 시 준수사항 ·
··
··
··
··
··
··
··
··
··
··
··
··201
<표 5-19> 이동식 사다리 단계별 체크리스트 ·
··
··
··
··
··
··
··
··
··
··
··
··
··
··
··
··
··
··
··
··
··
··202
<표 5-20> 국내ㆍ외 사다리표준별 비교 ·
··
··
··
··
··
··
··
··
··
··
··
··
··
··
··
··
··
··
··
··
··
··
··
··
··
·208
<표 6-1> 고소작업대 대체 제품군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15
<표 6-2> 발붙임 사다리(A형) 대체 제품군 ·
··
··
··
··
··
··
··
··
··
··
··
··
··
··
··
··
··
··
··
··
··
··
··
··
··217
<표 6-3> 기타 사다리 대체 제품군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21
<표 6-4> 사다리 부속(Guardians) 제품군 ·
··
··
··
··
··
··
··
··
··
··
··
··
··
··
··
··
··
··
··
··
··
··
··
··
··
·225
<표 6-5> 안전대 걸이 대체품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28
<표 6-6> 일본 가설공업회 관련 인증품목의 종류 및 인증현황 ·
··
··
··
··
··
··
··
·234
<표 7-1>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개정안 ·
··
··
··
··
··
··
··
··
··
··
··
··
··
··
··
··
··
··
··241
차례 ‥‥ vii

그림차례
<그림 1-1> 연구개발목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
<그림 1-2> 연구방법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7
<그림 1-3> 연구 주요내용 및 방법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8
<그림 1-4> 제안서상 연구방법 및 연구내용 ·
··
··
··
··
··
··
··
··
··
··
··
··
··
··
··
··
··
··
··
··
··
··
··
··
·12
<그림 1-5> 변경된 연구방법 및 연구내용 ·
··
··
··
··
··
··
··
··
··
··
··
··
··
··
··
··
··
··
··
··
··
··
··
··
··
··
·13
<그림 2-1> 사업장규모별 사다리재해현황 ·
··
··
··
··
··
··
··
··
··
··
··
··
··
··
··
··
··
··
··
··
··
··
··
··
··
·15
<그림 2-2> 사다리재해의 직업별 발생현황 ·
··
··
··
··
··
··
··
··
··
··
··
··
··
··
··
··
··
··
··
··
··
··
··
··
··
·17
<그림 2-3> 사다리재해의 작업내용별 발생현황 ·
··
··
··
··
··
··
··
··
··
··
··
··
··
··
··
··
··
··
··
··
··
··18
<그림 2-4> 추락높이별 사다리재해 내용 ·
··
··
··
··
··
··
··
··
··
··
··
··
··
··
··
··
··
··
··
··
··
··
··
··
··
··
··19
<그림 2-5> KS G 3701의 사다리 종류별 도해 ·
··
··
··
··
··
··
··
··
··
··
··
··
··
··
··
··
··
··
··
··
··
··
··27
<그림 2-6> 휴대용 사다리 유형별 도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1
<그림 2-7> JIS S 1121의 사다리 유형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8
<그림 2-8> OHSA 1926.1053의 휴대용 사다리 유형 ·
··
··
··
··
··
··
··
··
··
··
··
··
··
··
··
··
··
··
·41
<그림 2-9> ANSI-ASC A14.2 사다리 종류(예) ·
··
··
··
··
··
··
··
··
··
··
··
··
··
··
··
··
··
··
··
··
··
··
··45
<그림 2-10> 사다리 관련 라벨 예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4
<그림 2-11> BS EN 131 사다리 유형별 도해 ·
··
··
··
··
··
··
··
··
··
··
··
··
··
··
··
··
··
··
··
··
··
··
··
·61
<그림 2-11> ISO 3864-1에 의한 기본 안전표지 ·
··
··
··
··
··
··
··
··
··
··
··
··
··
··
··
··
··
··
··
··
··63
<그림 2-12> 문헌 및 제도고찰의 시사점 ·
··
··
··
··
··
··
··
··
··
··
··
··
··
··
··
··
··
··
··
··
··
··
··
··
··
··
··76
<그림 3-1> 이동식 사다리 대안 사례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79
<그림 3-2> 이동식사다리 재해분류체계 ·
··
··
··
··
··
··
··
··
··
··
··
··
··
··
··
··
··
··
··
··
··
··
··
··
··
··
··
··88
<그림 3-3> 업종별 재해양상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90
<그림 3-4> 건설업 A형 사다리 사용실태 ·
··
··
··
··
··
··
··
··
··
··
··
··
··
··
··
··
··
··
··
··
··
··
··
··
··
··
··90
차례 ‥‥ viii

<그림 3-5> 업종별 재해건수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91
<그림 3-6> 업종별 재해 사다리 유형(상대비중) ·
··
··
··
··
··
··
··
··
··
··
··
··
··
··
··
··
··
··
··
··
··
·92
<그림 3-7> 일자형 사다리의 불가피한 사용 재해사례 ·
··
··
··
··
··
··
··
··
··
··
··
··
··
··
··
··
·92
<그림 3-8> 업종별 일자형사다리 사용실태 ·
··
··
··
··
··
··
··
··
··
··
··
··
··
··
··
··
··
··
··
··
··
··
··
··
··
·93
<그림 3-9> 업종별 재해 사고부위(상대비중) ·
··
··
··
··
··
··
··
··
··
··
··
··
··
··
··
··
··
··
··
··
··
··
··
··94
<그림 3-10> 업종별 재해자 사고부위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94
<그림 3-11> 업종별 재해경위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95
<그림 3-12> 업종별 사다리높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96
<그림 3-13> 3.5미터이상 사다리 사용사례 ·
··
··
··
··
··
··
··
··
··
··
··
··
··
··
··
··
··
··
··
··
··
··
··
··
··
··97
<그림 3-14> 업종별 사다리높이(상대비중) ·
··
··
··
··
··
··
··
··
··
··
··
··
··
··
··
··
··
··
··
··
··
··
··
··
··
··97
<그림 3-15> 업종별 재해자 근무경력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98
<그림 3-16> 사다리 형태별 사용업종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99
<그림 3-17> 사다리 형태별 사고부위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00
<그림 3-18> 사다리 형태별 재해경위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01
<그림 3-19> 사다리 형태별 재해발생 높이 ·
··
··
··
··
··
··
··
··
··
··
··
··
··
··
··
··
··
··
··
··
··
··
··
··
·102
<그림 3-20> 사다리 형태별 재해자 근무경력 ·
··
··
··
··
··
··
··
··
··
··
··
··
··
··
··
··
··
··
··
··
··
··
·103
<그림 3-21> 재해조사보고서 용어노출 빈도수 ·
··
··
··
··
··
··
··
··
··
··
··
··
··
··
··
··
··
··
··
··
··
··104
<그림 3-22> 워드클라우드 (사다리, 추락 포함) ·
··
··
··
··
··
··
··
··
··
··
··
··
··
··
··
··
··
··
··
··
··105
<그림 3-23> 재해조사의견서 용어노출 빈도수 ·
··
··
··
··
··
··
··
··
··
··
··
··
··
··
··
··
··
··
··
··
··
··106
<그림 3-24> 재해조사의견서 워드클라우드 ·
··
··
··
··
··
··
··
··
··
··
··
··
··
··
··
··
··
··
··
··
··
··
··
··
·107
<그림 5-1> Ladder Safety App 구성체계 ·
··
··
··
··
··
··
··
··
··
··
··
··
··
··
··
··
··
··
··
··
··
··
··
··
··
··
·160
<그림 5-2> 사다리 각도 표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61
<그림 5-3> 사다리 선택 과정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62
<그림 5-4> 신축형 사다리 점검사항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63
<그림 5-5> 발붙임 사다리 점검사항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63
<그림 5-6> 신축형 사다리 설치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64
차례 ‥‥ ix

<그림 5-7> 발붙임형 사다리 설치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64
<그림 5-8> 신축형 사다리 사용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65
<그림 5-9> 발붙임 사다리 사용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66
<그림 5-10> 신축형 사다리 액세서리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67
<그림 5-11> Ladder Association App. 구성체계 ·
··
··
··
··
··
··
··
··
··
··
··
··
··
··
··
··
··
··
··
··
··168
<그림 5-12> 국내외 사다리 관련 표준 및 지침 ·
··
··
··
··
··
··
··
··
··
··
··
··
··
··
··
··
··
··
··
··
··207
<그림 6-1> 일본 가설공업회 인증품 사례 ·
··
··
··
··
··
··
··
··
··
··
··
··
··
··
··
··
··
··
··
··
··
··
··
··
··
·234
<그림 7-1> 안전대 부착설비 앵커 링 예 ·
··
··
··
··
··
··
··
··
··
··
··
··
··
··
··
··
··
··
··
··
··
··
··
··
··
··
·246
<그림 8-1> 이해관계자 간담회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50
Ⅰ. 서론 ‥‥ 1

Ⅰ. 서 론
1. 연구배경 및 목적

1) 연구배경 및 필요성

이동식 사다리는 산업안전보건법(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24조)


상에서 이동통로로 규정되어 작업발판으로서의 사용이 규제됨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의 산업현장에서는 편리성 및 이동식 사다리가 작업발판이라는 잘못된
인식으로 광범위하게 사용됨에 따라 이와 관련된 재해도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안전보건공단의 재해조사의견서(2009년∼2019년 2월)에 의하면 이동식 사다리
관련 사망재해사고가 280건이 발생하였는데. 건설업 및 설비업 등 건설 관련업
재해가 61%를 차지하고 있어 해당 업종에서의 재해예방조치가 우선되어야 할
필요성이 있다. 또한, 이동식 사다리는 사고사망 단일 기인물 중 1위로, 「사망
사고 절반 줄이기(‘17년 964명 → ’22년 505명)」달성을 위해서는 이동식 사다
리에 의한 사망사고 예방이 필수적인 상황이다.
<표 1-1> 업종별 재해빈도(재해조사의견서, 안전보건공단)

구분 건설 설비 전기 통신 기타 건설관리업 관리 조경 기 합계
업 업 업 업 도장 금속 인테
리어 철거 업 업 타
빈도(건) 67 35 17 12 19 15 3 3 19 5 85 280
비중(%) 23.9 12.5 6.1 4.3 6.8 5.4 1.0 1.0 6.8 1.8 30.4 100
1. 서론 ‥‥ 2

사고 원인을 분석해보면 이동식 사다리를 작업발판 설치가 곤란한 장소에서나


또는 적은 비용으로 신속한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무리하게 사용하면서도 전도
방지조치 및 미끌림 방지조치를 하지 않은 또는 훼손된 이동식 사다리를 사용
하는 등 적합한 사다리 사용 안전조치가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에서 상당수의
사고가 발생하였음을 알 수 있다.
하지만 현장에서는 재해·사망 발생률이 높고, 이동식 사다리는 통로로만 사용
할 수 있는 법령 규정에도 불구하고, 이동식 사다리를 현장 작업에 지속적으로
사용하고 있다.
이에 고용노동부 및 안전보건공단은 2019년 3월부터 안전상의 이유로 공사·
작업 용도의 이동식 사다리 사용을 금지하는 내용을 담은 「이동식 사다리 안전
작업지침 개선방안」을 시달하여 이동식 사다리에 대한 인식제고와 이동식
사다리에 의한 사망사고를 예방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이와 관련하여 공동주택
관리현장과 대한주택관리사협회, 사다리 생산업체 등 각계에서는 제시된 개선
방안이 현장 적용성이 미흡하다는 등의 반대의견을 제시하였다. 대한주택관리사
협회는 고용부에서 진행된 ‘2019 민관협력 안전보건 거버넌스 제1차 책임자
간담회’에 참여해 공사·작업 용도의 이동식 사다리 사용에 대한 현장의 의견을
전달하고 대책 마련을 촉구하고 있다.
건설현장, 협회, 사다리 생산업체 등 각계의 현장 의견을 수렴하고 추가적인
현장 Needs를 도출하여, 이를 현재의 이동식 사다리 개선방안에 반영하는 등
현장 적용성이 우수하고 실효성이 있는 정부의 지침 제시가 필요한 시점이다.
따라서 본 과제는 국내·외 이동식 사다리 관련 문헌고찰, 법령검토 그리고
현장실태조사를 통하여, 이동식 사다리를 사용하는 작업에 대한 안전작업기준과
안전모델을 제시하고자 한다. 또한, 해외 이동식 사다리 제품군을 조사·발굴하여
국내에 적용 가능한 이동식 사다리의 대체품을 제안하고, 이동식 사다리의 법령
개정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Ⅰ. 서론 ‥‥ 3

2) 연구 목적

이동식 사다리는 법령에 통로로 규정되어있으나 사업주, 근로자, 안전관리자,


안전보건관리책임자, 재해예방 전문지도기관, 안전보건관리기관 종사자까지도 작업
발판으로 잘 못 인식하고 있다. 따라서 고용노동부는 2019. 03. 18. 「이동식 사다리
안전작업지침 개선방안」을 제시하고, 보통(일자형) 사다리, 신축형 사다리, 일자
형으로 펼쳐지는 발붙임 겸용 사다리는 오르내리는 이동통로로만 사용하도록
조치하고, 「산업안전보건업무담당 근로감독관 집무규정」에 따라 3개월의 계도
기간 운영 후 2019. 07. 01.부터 사용을 금지하도록 하였다. KOSHA GUIDE
C-58-2012 「사다리 안전보건작업 지침」은 상위법에 위배되어 2019. 02. 25.
건설안전분야 안전보건기술지침 기준제정위원회에서 폐지에 대한 심의·의결이
통과되었다.
하지만 고용노동부의 이동식 사다리 사용금지 지침으로 현재까지 각종 산업
현장에서 많은 민원이 제기되고 있고, 국민청원까지 올라오는 등 개선이 요구
되고 있다. 따라서 이동식 사다리를 사용하는 작업에 대한 조속한 안전작업기준과
안전모델의 제시, 이를 뒷받침할 수 있는 법령이나 가이드의 제시, 이동식 사다리
대체품의 제안 등이 그 어느 때보다 필요한 시점이다.
이에 본 과제는 다음과 같은 연구목표를 수행하고자 한다.
○ 국내·외 이동식 사다리 관련 문헌고찰
- 국내 이동식 사다리 관련 법령 검토 및 개선방안
- 해외 이동식 사다리 관련 안전기준 및 매뉴얼 검토
○ 국내 이동식 사다리 사용실태 조사
- 정부 추진안에 대한 현장 적용성 검토
- 사다리 생산업체 및 실무자 의견수렴
1. 서론 ‥‥ 4

○ 이동식 사다리 안전작업기준 개선(안) 제시


- 이동식 사다리 작업높이에 대한 안전작업기준 마련
- 이동식 사다리 재해 관련 특성군 분석
○ 사고예방을 위한 안전모델 발굴
- 해외 안전모델 사례 발굴 및 분석
- 설치, 사용, 점검 등에 대한 단계별 준수사항 제시

<그림 1-1> 연구개발목표


Ⅰ. 서론 ‥‥ 5

2. 연구 방법 및 범위

1) 연구 방법

본 과제를 수행하기 위한 연구방법의 큰 프레임은 ① 정부와 고용노동부에서


제시한 간담회 자료 및 개선방안을 큰 틀로 하여 연구방향을 설정하고, ② 이해
관계자 면담 및 인터뷰를 통해 업종별·공종별 문제점 및 개선방안을 도출함과
동시에, ③ 안전보건공단으로부터 이동식 사다리 관련 재해조사의견서를 수집
하고 재해사례 분석을 통한 이동식 사다리 재해 특성군을 도출하여 이동식 사다리
의 높이, 작업종류, 작업공간 등 세부기준을 도출하며, ④ 국내·외 이동식 사다
리 및 작업대의 다양한 제품군 발굴과 매뉴얼을 조사하고자 한다. 최종적으
로 ⑤ 전문가 회의 또는 공청회를 통해 제시된 이동식 사다리 안전작업기준 개선
(안)과 안전모델에 대한 적정성을 검토하여 법령 및 가이드 개정(안)을 제시한
다.
본 과제를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법은 다음과 같다.
○ 국내․외 안전관리자 업무 관련 선행연구 및 문헌고찰
- 국내외 문헌 및 인터넷을 통한 조사
- 이동식 사다리 관련 법령 및 제도조사
- 국내외 매뉴얼 및 가이드 등 현황조사
○ 이동식 사다리 사용실태 조사
- 국내 사다리 제품군 현황조사
- 안전보건공단 재해조사의견서를 활용한 재해발생양상 사례 분석
- 이해관계자* 설문조사 및 심층 인터뷰
1. 서론 ‥‥ 6

* 건설현장 실무자, 제작사, 건물 관리업 실무자 등


○ 이동식 사다리 안전작업기준 제시
- 고용노동부 지침의 현장 적용성 및 개선방안을 도출하여 안전작업기준(안)
제시
- 제도 관련 법령 내용*을 검토하여 제정 또는 수정·보완
* 법, 고시, KOSHA Guide 등
○ 이동식 사다리 안전모델 제시
- 국내외 사다리 및 작업대 관련 다양한 제품군 발굴
- 이동식 사다리 대체품 개선모델(안) 제시
- 안전대 부착설비 대체품(안) 제시
○ 도출된 이동식 사다리 안전작업기준 개선(안) 및 안전모델에 대한 이해관계자
간담회를 통한 적정성 검증
- 안전작업기준 및 안전모델 최적안 도출을 위한 이해관계자 감담회 개최
○ 연구 개시(시작)회의 이후 연구일정 및 방법 관리 등 효율적인 추진을 위해
수시 연구현황 점검회의 개최
- 연구용역에 대한 중간심의, 최종심의와 더불어 매월 진도점검회의 실시
Ⅰ. 서론 ‥‥ 7

<그림 1-2> 연구방법

2) 연구 범위

본 과제는 「이동식 사다리 안전작업기준 및 안전모델 제시에 관한 연구」


RFP에 의거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내용과 범위를 수행하고자 한다.
(1) 국내․외 문헌고찰
○ 이동식 사다리 관련 안전인증제도, 안전작업지침 및 업체 매뉴얼
국내·외 안전장치가 부착된 제품, 별도 안전장치 및 대체품(이동식 작업대 등)에
대한 안전인증제도 여부를 파악하고 안전작업지침 및 업체 매뉴얼을 조사한다.
1. 서론 ‥‥ 8

<그림 1-3> 연구 주요내용 및 방법

○ 업종별 이동식 사다리 사용 작업 관련 재해


안전보건공단의 이동식 사다리 관련 재해조사의견서를 수집·분석하여 사례
분석을 통한 특성군을 분류하며 본 과제를 수행하는 데 주요 데이터로 활용한다.
(2) 이동식 사다리 사용실태 파악
○ 이동식 사다리 업종별·공종별 사용 문제점
안전보건공단 연구상대역과 협의하여 이동식 사다리를 주로 사용하는 해당
협회를 선정하여 전문가 면담을 통해 사용 문제점을 파악한다.
Ⅰ. 서론 ‥‥ 9

○ 이동식 사다리 사용 문제점 및 Needs


국민청원 및 각계 개선방안 요청사항을 분석하여 문제점 및 Needs를 도출한다.
(3) 이동식 사다리 작업에 대한 안전작업기준 개선(안)
○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고시 그리고 KOSHA guide에 대한 수정·
보완(안) 제시
○ 이동식 사다리 관련 작업방법, 사용기준 및 관리사항 등 사용단계별 준수사항
안전보건공단의 이동식 사다리 관련 재해조사의견서를 수집·분석하여 사례
분석을 통한 특성군 분류를 수행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이동식 사다리 사용
높이, 작업종류, 작업공간 등에 대한 세부기준을 제시한다.
○ 말비계의 정의, 사용기준 및 작업방법
이동식 사다리 안전작업지침 개선방안 및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24조와 제67조를 기준으로 하고, 현재까지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방향을
파악하여 이에 따른 말비계의 정의, 이동식 사다리 작업과 구분 여부, 사용기준
및 작업방법을 제시한다.
○ 안전작업기준 개선(안)에 대한 면담·설문조사
안전보건공단 연구상대역과 협의하여 대상을 선정하고 관련 기관의 도움을
받아 이해관계자와 안전작업기준 개선(안)에 대한 면담 및 설문조사를 수행한다.
1. 서론 ‥‥ 10

(4) 사고예방을 위한 업종별·공종별 안전모델


○ 안전장치를 부착하여 개량된 이동식 사다리, 작업대 사용사례 등 다양한
제품군 발굴
○ 이동식 사다리 올바른 사용을 위한 사용단계별 매뉴얼 작성
○ 안전모델에 대한 면담·설문조사
안전보건공단 연구상대역과 협의하여 대상을 선정하고 관련 기관의 도움을
받아 이해관계자와 안전모델(안)에 대한 면담 및 설문조사를 수행한다.
(5) 연구결과에 대한 적정성 검토 및 제언
○ 정책에 반영될 수 있도록 전문가회의 또는 공청회 등을 통한 검증
Ⅰ. 서론 ‥‥ 11

<표 1-2> 연구의 세부목표 및 주요내용

세부목표 주요연구내용 주요성과물


- 국내외 이동식 사다리 관련 문헌조사 - 제품,
안전장치가 부착된
별도 안전장치
- 이동식 사다리 사용 작업 관련 재해조사 및 대체품에
이동식 의견서를 수집·분석하여 재해 특성군 안전인증제도, 대한 안전
사다리 도출
사용실태 - 특성군 분석을 통한 이동식 사다리 작업지침 매뉴얼 파악
및 업체
파악 업종별·공종별 사용 문제점 도출
- 국민청원 및 각계 개선방안 요청사항 - 재해 특성군 분석을
통한 문제점 및 개선
파악 방안 도출
- 고용노동부, 안전보건공단 등 관계법령 - 산업안전보건기준에
및 자료 조사 관한 규칙, 고시,
- 특성군 분석을 통한 이동식 사다리 사용 KOSHA GUIDE
안전작업기준 높이, 사용제품 종류, 사용장소 등에 대한 수정·보완
개선(안) 세부기준 분류 - 이동식 사다리 관련
제시 - 말비계의 정의, 사용기준 및 작업방법 조사 작업방법, 사용기준
- 개선(안)에 대한 이해관계자 면담을 통한 및 관리사항 등 사용
의견수렴 단계별 준수사항 도출
- 국내외 안전장치를 부착하여 개량된
안전모델 이동식 사다리, 작업대 사용사례 등 조사 - 다양한 제품군 발굴
제시 - 이동식 사다리 사용 단계별 매뉴얼 작성 - 관련 매뉴얼 작성
- 안전모델에 관계전문가 의견 수렴
적정성 검토 - 안전작업기준 개선(안) 및 안전모델에 - 정책 반영 여부 검증
및 제언 대한 전문가 회의 또는 공청회 개최
1. 서론 ‥‥ 12

앞에서 언급된 본 연구과제의 연구방법 및 제안내용을 요약하여 정리하면


다음의 <그림 1-4>와 같은 연구방법과 연구내용을 수행할 것을 제안하였다.

<그림 1-4> 제안서상 연구방법 및 연구내용

하지만 연구개시회의 및 진도점검회의를 거치면서 기존의 RFP에서 세부


연구내용이 다소 변경되었으며, 다음의 <그림 1-5>에서 밑줄 친 내용이 변경된
사항이다.
가장 핵심적인 변경사항은 ① 안전작업기준은 이동식 사다리 작업 높이에
대한 안전기준으로 마련하고, ② 실태조사는 정부의 추진안에 대한 현장
적용성을 이동식 사다리 생산업체 및 현장 실무자들을 통해 검토하고 이에
대한 의견수렴을 수행하며, ③ 안전모델은 해외사례를 통해 설치, 사용, 점검
Ⅰ. 서론 ‥‥ 13

등에 대한 단계별 준수사항을 제시하고, ④ 이동식 사다리를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제품군을 발굴하는 것이다. 특히 많은 관계자들의 의견을 수렴할 뿐 아니
라 현실을 반영한 다양한 의견을 연구과제에서 제안하도록 한다.

<그림 1-5> 변경된 연구방법 및 연구내용


II. 이동식 사다리 관련 선행연구 고찰 ‥‥ 15

Ⅱ. 이동식 사다리 관련 선행연구 고찰


1. 국내외 선행연구 및 문헌분석

1) 국내 선행연구 및 문헌고찰

강경식(2017)은 사다리 관련 사망재해 현황을 파악하고, 그 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2005년~2014년간 발생한 전체 사망재해자 11,102명 중 사다리와 관련된
사망재해자 349명을 대상으로 유형별로 사망재해 현황을 분석하였다.1)
(1) 사업장 규모별 현황

<그림 2-1> 사업장규모별 사다리재해현황

1) 강경식 외, 산업현장 사다리 관련 사망재해 분석 및 추락재해 예방대책에


관한 연구, 2017, 대한안전경영과학회
II. 이동식 사다리 관련 선행연구 고찰 ‥‥ 16

사업장 규모별 사다리 사망재해는 전체 사다리 사망재해 중 30인 미만 사업장이


244명(69.9%), 30인~50인 미만 사업장 20명(5.7%), 50인~300인 미만 사업장 60명
(5.7%), 300인 이상 사업장에서 25명으로 나타났다. 중규모 및 대규모 사업장과
비교해 30인 미만 소규모 사업장에서 사망재해자수가 현저히 많음을 확인할 수
있다.
(2) 연령별 재해현황
연령별 재해현황은 50세~59세에서 138명(39.5%), 60세 이상에서 103명
(29.5%)이 발생하여, 50세 이상 고령자의 사망자수가 241명(69%)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와 같은 분석은 대부분의 산업현장 근로인력이 50대 이상으로 구성
되어 있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 따라서 전체 사다리 사망재해의 약 91% 정도를
차지하고 있는 40대~70대를 대상으로 집중 안전관리가 필요하다.
(3) 고용형태별
고용형태별 사다리 사망재해 현황은 상용근로자의 사망재해자가 137명
(39.3%)을 차지하였고, 일용근로자의 사망재해자가 130명(37.2%)을 차지하였다.
반면 임시근로자와 시간제 근로자의 사망재해자 비율이 15%, 6.3%로 적게 나타
났다. 따라서 상용직과 일용근로자에 대한 집중적인 안전관리가 필요함을 알 수
있다.
(4) 직업별 재해현황
직업별 사다리 사망재해 현황은 기능원 관련 기능종사자가 228명(65.3%)으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단순노무자의 사망자가 67건(19.2%), 장치기계 조립
종사자의 사망자가 28명(8.0%) 등의 순으로 발생하였다. 따라서 사다리사망자의
92.5%를 차지하는 건설업 및 제조업 분야 기능종사자에 대한 안전관리를
집중적으로 실시하여야 한다.
II. 이동식 사다리 관련 선행연구 고찰 ‥‥ 17

<그림 2-2> 사다리재해의 직업별 발생현황

(5) 작업내용별
사다리 사망재해를 작업내용별로 살펴보면, 건설관련 작업 중 기계기구, 설비
설치작업의 사망자가 103명(29.5%)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기타 건설관련
작업이 76명(21.8%), 물체연결, 조립, 설치, 해체작업이 73명(20.9%) 등의 순서로
발생하여, 건설관련업의 재해가 가장 많다는 것을 알 수 있다.
II. 이동식 사다리 관련 선행연구 고찰 ‥‥ 18

<그림 2-3> 사다리재해의 작업내용별 발생현황

이와 같은 결과는 작업발판 설치가 곤란한 장소에서 이루어지는 작업이나


단기간 작업에서 효율성을 고려한 무리한 사다리 작업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단기간 작업에 대한 안전한 작업발판 설치와 사다리 작업에
대한 안전수칙 준수 및 안전대 부착설비 설치 등 추가적인 안전관리를 수행
하여야 한다.
(6) 상해부위별
사다리 사망재해의 상해부위별 사망자는 머리 상해로 인한 사망자가 286명
(81.9%)으로 사다리 사망재해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추락사고의 특성상 머리부터 바닥에 부딪힐 가능성이 높기 때문으로 판단되며
신체구조상 신체부위 중 머리가 상해에 대해서 취약하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
된다. 따라서 사다리 작업 시 머리가 바닥에 직접적으로 부딪치지 않도록 작업
방법 및 안전시설 개선에 대한 대책이 필요하며 안전모에 대한 착용 관리 및
안전성 확보에 대한 안전관리를 집중적으로 관리하여야 한다.
II. 이동식 사다리 관련 선행연구 고찰 ‥‥ 19

(7) 추락높이별
추락높이별 사다리 사망재해 현황은 3m 이상 ~ 5m 미만 추락재해 사망자가
109명(31.2%)으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2m 이상 ~ 3m 미만 추락재해 사망자가
81명(23.2%), 2m 미만 추락재해 사망자가 63명(18.1%) 등의 순으로 발생하였다.
사다리 추락재해 사망자 중 253명(72.5%)이 5m 미만에서 발생하였다. 따라서
5m 미만의 사다리 작업에 대한 안전관리를 집중적으로 실시해야 하며 고소작업이
아닌 2m 미만 작업에서의 사망자수도 위험도와 무관하게 높은 비중을 차지
하므로 이에 대한 안전관리도 병행하여야 함을 알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사다리에서의 사망재해 현황을 각 유형별로 재해발생비율이 높게
나타나는 상위 구간을 분석한 결과를 살펴보면, 사업장 규모에서는 30인 미만,
연령 50세~59세, 직업은 기능원 관련 기능종사자, 고용형태는 상용근로자, 작업
내용으로는 기계기구, 설비설치작업, 상해부위로는 머리, 추락높이로는 3m 이상
~ 5m 미만의 높이에서 추락하여 사망한 재해자가 가장 많았다.

<그림 2-4> 추락높이별 사다리재해 내용


II. 이동식 사다리 관련 선행연구 고찰 ‥‥ 20

송창섭(2013)에서는 사다리 관련 사망재해를 줄이기 위해서는 30인 미만의


소규모 사업장을 대상으로 높이 5m 미만에서 기계기구, 설비를 설치하는
50~60대의 중․고령 기능종사자를 중심으로 집중적인 안전관리를 수행하여야
하며, 사다리에 대한 안전교육 및 안전시설 점검 등 대책을 마련하여야 한다.2)
특히, 사다리 재해의 주요 원인은 추락에 의한 것이기 때문에 사다리(A형 사다리)를
이용한 작업발판 사용을 금지하고 전도방지 시설이 부착되고 답단이 있고 상부
에는 안전난간이 있는 구조의 사다리를 사용하는 등의 안전기준을 강화해야 할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특히, 이 연구에서는 추락재해사례를 토대로 사다리 사용의
문제점을 제시하고 개선방안을 도출하였다.
사다리 관련 안전과 재해예방에 대한 기존 연구는 다음과 같으며, 추락사고에
의한 재해예방과 안전에 관한 연구 중 사다리 재해가 포함된 연구와 사다리의
안전과 재해예방에 관한 연구가 조사되었다.
이준희와 김호영(2018)은 건설현장의 추락사고에 대한 범위를 가설 기자재에
기인한 사고 사례를 위주로 분석하였으며, 이중 사다리 재해도 주요 문제점으로
제시하고 개선요구사항을 도출하였다.
문진(2019)의 연구에서는 부상재해 발생형태 중심으로 빅데이터 분석을 통하여
양상을 도출하였으며, 심현황(2017)은 산업현장 전반의 사다리 관련 재해, 김형석
(2009)은 제조업에서의 사다리 관련 재해의 원인을 조사하여 위험작업을 도출
하고 설문조사/안전모델을 제시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기존 연구사례를 토대로 연구방향과 연구방법을 모색
하였으며 업종별, 공종별 재해양상분석을 통한 특성군 분석의 필요성, 사망뿐
아니라 부상재해를 동시에 분석하여야 하는 필요성, 사다리 관련 규정과 제도의
개선방향과 작업의 개선모델의 발굴 등의 필요성을 인식하였다.

2) 송창섭 외, 건설현장 사다리에서 추락재해 예방을 위한 개선방안, 2013 대한


안전경영과학회 학술대회
II. 이동식 사다리 관련 선행연구 고찰 ‥‥ 21

<표 2-1> 관련 선행연구 분석

분류 저자 주요내용
이준희 가설기자재 사고 사례를 통한 사용 시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2018) - 가설기자재 사용하는 근로자를 대상으로 사고 사례를
분석, 문제점을 도출하여 개선방안을 제시
추락 송창섭 건설현장 사다리에서 추락재해 예방을 위한 개선방안
관련 외 3인 - 추락재해사례 분석을 토대로 사다리 사용의 문제점을
연구 (2013) 도출하고 사다리 사용 시 개선방안을 제시
(사다리 김호영 건설현장에서 추락사고 저감에 관한 연구
재해 (2012) - 안전시설물 설치 및 작업발판 문제점을 논의 및
포함) 근로자의 추락재해 예방을 위해 안전대책을 제시
정성윤 건설현장의 추락사고 안전관리시스템 개발 방안 연구
(2012) - 건설현장에서 주로 발생하는 추락사고를 대상으로
안전관리시스템 개발에 관한 방안 제시
강경식 사다리 관련 사망재해 현황 파악 및 분석
외 - 사다리 관련 사망재해 현황을 사업장 규모별, 연령별,
(2017) 고용형태별, 직업별, 작업내용별, 상해부위별로 분석
빅데이터 분석기법을 활용한 건설현장 안전사고 분석
문진 적용 (부상재해 사례의 발생형태 중심으로)
(2019) - 사망재해 분석이 아닌 부상재해 사례를 중점으로
사다리 빅데이터 분석
관련 심현황 산업현장 사다리 관련 사망재해 분석 및 추락재해
연구 외 1인 예방대책에 관한 연구
(2017) - 사다리 관련 사망재해를 대상으로 재해특성을 분류
하여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안전관리 대책 제시
윤간우 농업인의 사다리 추락 손상 원인 분석
외 2인 - 사다리 추락의 주요 원인을 3가지 요인으로 분석
(2015)
II. 이동식 사다리 관련 선행연구 고찰 ‥‥ 22

이동식 사다리를 중심으로 한 제조업에서의 추락재해


김형석 예방대책 연구
외 3인 - 추락재해원인을 심층분석하여 추락 유발 3대 위험작업을
(2009)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 안전모델을 제시함과 추락
예방을 위한 실용적 제안
2) 해외 선행연구 및 문헌고찰

사다리 관련 안전 규정, 지침 등의 국외 표준을 조사한 결과는 아래와 같으며,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 유형별 정의
○ 요구 성능 및 검사항목
○ 위험요소 (추락 등의 재해 위험성)
○ 작업내용에 적합한 사다리 선택법
○ 안전한 작업을 위한 설계, 설치 및 시공에 관한 사항
○ 작업 전․후 검토사항
○ 교육내용 등
(1)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dministration : OSHA
OHSA는 사다리를 사용한 작업 시 안전기준 및 추락 저감을 위한 지침 등이
있다. 특히 이동식 사다리 유형별(Extension Ladders, Stepladders, Tripod
Orchard Ladders) FactSheet(2013)에 Plan(작업 전 검토사항), Provide(5가지
등급별 작업유형) 및 Train(근로자 교육)의 3단계 유의사항을 제시하고 있다.
II. 이동식 사다리 관련 선행연구 고찰 ‥‥ 23

Standard Title
OHSA 1926.1053 Stairways and Ladders
CFR 29
OHSA 3150-2002 A Guide to Scaffold Use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OHSA Stairways and Ladders A Guide to OSHA Rules
3124-12R-2003
OHSA OHSA FactSheet - Reducing Falls
FS-3660-2013 in Construction : Safe Use of
Extension Ladders
OHSA OHSA FactSheet - Reducing Falls
FS-3662-2013 in Construction : Safe Use of
Stepladders
OHSA FactSheet - Safe Use of
OHSA Tripod Orchard Ladders
FS-3728-2014 OHSA Quick Care - Protecting
Workers from Tripod Orchard
Ladder Injuries
OHSA Falling Off Ladders Can Kill : Use Them Safely
3625-04R-2018
(2) Health and Safety Executive : HSE
HSE는 Working at height(2014)에 이동식 사다리를 이용한 작업이 추락의
주요 원인임을 명시하고 있으며, 고소작업 시 안전관리 사항을 정하고 있다.
또한, Safe use of ladders and stepladders(2014)에 이동식 사다리는 안전ㆍ
보건을 위하여 위험도가 낮고 단기간 작업이어야 하며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경우에만 적합함을 명시하고 있다. 이때 기간보다는 위험도를 우선적으로 고려
해야 하며, 30분 이상 작업 시에는 대체 장비를 고려하도록 하고 있다.
II. 이동식 사다리 관련 선행연구 고찰 ‥‥ 24

Title
Working at height : 2014
Safe use of ladders and stepladders -
A brief guide : 2014

(3) 기타 국가별 표준
국가별 이동식 사다리 관련 규정을 조사한 결과, 대다수의 국가에서 이동식
사다리 사용에 대한 안전관리 사항을 규정하고 있으며, 특히 독일, 호주는 건설
현장에서의 설계, 시공 및 설치에 관한 내용을 정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Standard Title Country


Australia
AS/NZS 1892.5:2000 Portable
care
ladders Selection, safe use and and New
Zealand
GB 12142:2007 Safety
ladders
requirements for portable metal China
JIS S 1121:2013 Aluminium ladder and stepladder Japan
BS EN 131-1:2015 Ladders. Terms, types, functional sizes UK
ANSI-ASC Ladders. Portable Metal - Safety US
14.2:2017 Requirements
CSA Z11-18:2018 Portable ladders Canada
DIN 4567-3:2018 Ladders for special professional use
- Part 3 : Ladders for building sites Germany
Fixed platforms, walkways, stairways
AS 1657:2018 and ladders Australia
- Design, construction and installation
II. 이동식 사다리 관련 선행연구 고찰 ‥‥ 25

(4) 관련 협회
ALI(American Ladder Institute)는 안전한 이동식 사다리 사용을 촉진하기
위해 ANSI에서 승인한 비영리 단체이다. 아래와 같이 교육, OHSA, ANSI 등
관련 기관 정보 제공 등의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Ladder association(UK)은 HSE와의 협력을 통해 안전한 작업을 위한 지침
및 정보 등을 제공한다. HSE 등의 관련 규정 및 사고 사례를 활용하여 교육의
필요성 및 중요성을 강조하며, 이동식 사다리 작업에 필요한 역량을 교육 과정의
이수(LadderCard 발급-5년간 유효)를 통해 입증하도록 하고 있다.

https://www.americanladderinstitute.org https://ladderassociation.org.uk/

본 연구에서는 국내ㆍ외 관련 지침, 규정 등의 비교ㆍ분석을 통해 이동식


사다리 작업 시 재해위험을 저감할 수 있는 안전작업지침, 매뉴얼 및 안전모델
구축 시 활용하고자 한다.
II. 이동식 사다리 관련 선행연구 고찰 ‥‥ 26

2. 국내ㆍ외 안전 및 인증기준 분석

본 장에서는 <표 2-2>와 같이 국내외 이동식 사다리 관련 표준을 조사하여


이동식 사다리 유형별 특성 및 안전기준 등을 비교ㆍ분석하고자 한다.
<표 2-2> 국내ㆍ외 사다리 표준
국가 주관기관 표 준 명 구분
국가기술표준원 공급자적합성확인안전기준 부속서 13 휴대용 사다리 강제
한국 안전보건공단인증원 안전인증 S마크 임의
한국표준협회 KS G 3701 알루미늄 합금제 사다리 임의
일본 일본공업표준위원회 JIS S 1121 알루미늄 합금제 사다리 및 발붙임 사다리 임의
미국연방직업안전ㆍ OSHA 1926.1053 Ladders 임의
미국 보건국
미국표준협회 ANSI-ASC A14.2 Portable Metal - Safety 임의
Requirements
유럽 유럽연합위원회 BS EN 131-1, 3 임의
1) 국내

국내 사다리에 대한 안전기준은 한국표준협회의 「KS G 3701 알루미늄 합금제


사다리」및 국가기술표준원의「공급자적합성확인 안전기준 부속서 13(휴대용
사다리)」로 구분된다.
(1) KS G 3701:2014 알루미늄 합금제 사다리
본 표준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알루미늄 합금제로 높이 3.5m 이하의 발붙임
사다리와 최대 길이 12m 이하의 인력 운반이 가능한 사다리에 대하여 규정하고
있다. 도배용 (우마형 사다리라고도 함.)ㆍ원예용ㆍ소방용ㆍ광산용ㆍ선로용ㆍ
차량용 등 특수한 용도에 사용되는 사다리는 적용에서 제외되어 있다.
II. 이동식 사다리 관련 선행연구 고찰 ‥‥ 27

<표 2-3> KS G 3701 알루미늄 합금제 사다리


유형 호칭 개념 기준
전용 A ㆍ발붙임 사다리 전용인 것
ㆍ발붙임 사다리와 사다리로 겸용할 수 있는 것
발붙임 겸용 B ㆍ4개의 버팀대를 갖는 것 최대 높이
사다리 전용 신축형 A1 ㆍ신축 구조 / 사다리로 겸용할 수 없는 것 3.5m 이하
겸용 신축형 B1 ㆍ신축 구조 / 사다리로 겸용할 수 있는 것.
보통 사다리 C ㆍ길이가 조정되지 않는 것 최대 길이
신축형 사다리 D ㆍ신축 구조/ 로프로 길이를 조정할 수 있는 것 12m 이하
※ 특수용도 사다리(도배용ㆍ원예용ㆍ소방용ㆍ광산용ㆍ선로용 등) 제외

알루미늄 합금제 사다리 유형별 도해는 <그림 2-5>와 같다.

발붙임 전용 사다리 발붙임 겸용 사다리 발붙임 전용 신축형 발붙임 겸용 신축형

2줄 3줄
보통 사다리
신축형 사다리

<그림 2-5> KS G 3701의 사다리 종류별 도해


II. 이동식 사다리 관련 선행연구 고찰 ‥‥ 28

본 표준은 사다리 유형별 요구 품질 및 성능, 구조 및 시험방법에 대해


<표 2-4>와 같이 사다리 사용 전ㆍ중ㆍ후의 최소화 방안만을 제안하고 있다.
<표 2-4> 취급 및 유지관리 사항
No. 내용 비고
1 발붙임 사다리를 사다리로 사용할 때는 안쪽 면을 사용하지 말 것
2 사다리를 사용할 때 또는 발붙임 사다리를 사다리로 사용할
때에는 약 75°의 경사를 가질 것
3 발판면까지의 버팀대의 길이가 800 mm를 넘는 것에서는 발판의
위에 서지 말 것. 다만, 위틀이 붙은 것은 제외
4 사용면이 정해져 있는 사다리는 반대면을 사용하지 말 것
5 사용 중 신축형 사다리의 윗사다리를 들어올리지 말 것
발붙임 겸용 신축형 사다리를 사다리로서 최대 길이로 사용할
6 경우, 중첩 부분이 최소한 2개의 디딤대 간격은 되어야 한다는
표시를 하여야 함
7 사용 전에는 제품 각 부분을 점검할 것
8 멈춤쇠가 있는 제품은 확실히 고정시킬 것
9 무른 지면 등에서 사용할 때는 버팀대의 아래에 덧대기판 등을
두고 안정된 상태 인지를 확인한 후 사용할 것
10 중간 연결용이나 수평으로 놓고 사용하지 말 것
11 배전선 등 주위에 위험물이 없는지 확인하여 사용할 것
12 승강면을 뒤로 하고 오르내리지 말 것
13 사용 중 승강면에서 몸을 내밀지 말 것
14 높이 또는 길이가 부족한 경우 다리를 연결시키거나 받침대 등의
위에 놓은 상태 에서 사용하지 말 것
15 신축형 사다리는 접어서 사용할 것
16 질질 끌거나 던지거나 난폭하게 다루지 말 것
17 한 사람 이상 올라타지 말 것.
18 비를 맞게 하지 말 것
19 사용 중 발붙임 신축형 사다리의 윗사다리 고정 기구를 잡아
당기지 말 것
II. 이동식 사다리 관련 선행연구 고찰 ‥‥ 29

(2) 공급자적합성확인 안전기준 부속서 13(휴대용 사다리) 개정(안)3)


본 개정(안)은 산업용 및 건설현장에서 가정용 휴대용 사다리 사용으로 안전
사고가 발생하는 사례가 있어, 휴대용 사다리의 안전기준 적용범위를 가정용으로
명시하였다.
또한, 국제기준을 반영하여 휴대용 사다리의 재질, 크기 및 성능시험 기준을
개정하였으며 소형화, 경량화되고 있는 가정용 사다리의 소비 동향을 반영하여
스텝 스툴에 대한 안전기준을 신설4)하였다.
개정(안)은 휴대용 사다리를 주택용ㆍ도배용ㆍ원예용 사다리 및 스텝 스툴로
분류하고 있다. 이 중 주택용 사다리의 경우, 발붙임 사다리 및 사다리로 구분
하고 있다.
발붙임 사다리는 “4개의 버팀대를 가지고 지면으로부터 스스로 설 수 있는
구조”로 발판에 올라설 수 있는 것은 발붙임 전용사다리(A형)이 유일하다.
사다리는 “지면으로부터 스스로 설 수 없으며 기대어 세워놓고 높은 곳으로
올라갈 때 사용하는 것”으로 승강용으로만 사용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길이 조절
가능여부로 보통ㆍ신축형 사다리로 구분한다.
세부내용 <표 2-5>와 같으며, 일반인이 휴대하여 이동 및 설치가 가능하고
일반 가정에서 간단한 작업에 사용 가능한 휴대용 사다리의 최대길이 및 높이를
규정하고 있다.

3) 공급자적합성확인 안전기준 부속서 13(휴대용 사다리) 안전기준 부속서 전부 개정


(안) 행정예고 (2019년 6월 18일)의 내용을 정리하였음
4) 기존 3부 구성(주택용ㆍ도배용ㆍ원예용 사다리)에 6가지 유형의 스텝 스툴(고정형
ㆍ접이형ㆍ계단형ㆍ개폐형ㆍ견인형ㆍ돔형 스탭 스툴)을 신설하여 4부로 구성.
II. 이동식 사다리 관련 선행연구 고찰 ‥‥ 30

<표 2-5> 휴대용 사다리 유형별 세부내용


유형 개념 기준
발판에
전용 A ㆍ발붙임 사다리만으로 사용됨 올라설 수
있음
발붙임 겸용 B ㆍ사용자가 구조를 변경하여 사다리로
최대높이
사다리 전용 사용할 수 있도록 설계한 것
ㆍ발붙임 전용 사다리 버팀대를 사용자가 발판에 2,000mm
주택 (step A1
용 ladder) 신축형 원하는 작업높이로 신장시킨 후 사용 올라설 수 이하
사다 겸용 ㆍ발붙임전용 신축형사다리를 사용자가 없음
리 신축형 B1 구조 변경하여 사다리로 사용할 수 있도록
설계한 것
사다리 보통 C ㆍ길이 조절 불가능 승강용으로 최대길이
(ladde ㆍ로프를 이용하여 버팀대를 사용자가 사용 10,000mm
r) 신축형 D 원하는 작업 높이로 신장시킨 후 사용 가능 이하
ㆍ주택에서 도배, 페인트, 청소 등의 간단한 작업을
할 때사용
도배용 사다리 ㆍ금속 재질의 4개의 버팀대와 디딤대, 발판 등의최대높이
(scaffolding E 구조를 가짐
ㆍ승강면에 대한 발판의 폭이 500mm 이상이고 1,200mm
stepladders) 발판까지 수직 높이가 1200mm 이하의 구조인 것 이하
ㆍ승강면에 대한 발판의 폭 및 버팀대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것
ㆍ주택 외부에서 조경 작업 시 사용
원예용 사다리 ㆍ전방 버팀대, 후방 버팀대, 발판, 디딤대 등 주요최대높이
(tripod F 부위가 금속으로 이루어진 사다리로 3발 형태의 것 3,000mm
stepladders) ㆍ올라설 수 있는 발판 또는 올라설 수 있는 최상단 이하
디딤대까지의 수직 높이가 3000mm 이하인 사다리
스텝 스툴 ㆍ 가정에서 사용하고 발판, 디딤대, 버팀대 등의 주요최대높이
(step stool) A~F부위가 금속 또는 플라스틱 소재로 구성되어 있는 1,000mm
(고정형 ~ 돔형) 최대 사용 하중 150 kg 이하의 스텝 스툴 이하
※ 관절형ㆍ안테나ㆍ모바일 사다리 등 제외
II. 이동식 사다리 관련 선행연구 고찰 ‥‥ 31

휴대용 사다리 유형별 도해는 <그림 2-6>과 같다.

발붙임 전용 사다리 예 발붙임 겸용 사다리 예 발붙임 전용ㆍ신축형사다리예


(발판에 올라설 수 있는 것)(발판에 올라설 수 없는 것)(발판에 올라설 수 없는 것)

보통 사다리 2단 3단
신축형 사다리

도배용 사다리 원예용 사다리 접이형 스텝 스툴


<그림 2-6> 휴대용 사다리 유형별 도해
II. 이동식 사다리 관련 선행연구 고찰 ‥‥ 32

<표 2-6>은 주택용 사다리 유형별 안전기준이며, 공통사항은 <표 2-7>과


같다.
발붙임 사다리는 발판 사용, 발판까지 수직높이 및 최대 사용높이 등 11가지,
사다리는 8가지의 공통사항이 있다.
또한, 사용 전 검검, 지정된 각도 준수, 감전 주의 및 승강면ㆍ버팀대ㆍ받침대
사용 관련 사항은 주택용 사다리 유형별 공통사항으로 규정되어 있다.
II. 이동식 사다리 관련 선행연구 고찰 ‥‥ 33

<표 2-6> 주택용 사다리 유형별 안전기준

No. 내용 발붙임
전용
사다리
겸용
사다리
전용 신축형 겸용 신축형 보통 신축형
ㆍ발판에 올라설 수 없는 것의 경우 “발판에 올라 서지 마시오”
1 등의 주의
ㆍ발판에 올라설 수 있는 것의 경우 “발판 위에서 발돋움 ● ● ● ●

또는 한쪽발로 서지 마시오” 등의 주의
2 발판까지 수직 높이가 800mm를 초과하는 경우 “발판에 올라
서지 마시오” 등의 주의 (단, 위틀이 부착된 것은 제외한다.) ● ● ● ●

3 최대 사용 높이 2000 mm를 초과하는 높이를 가진 것의 경우


그 이상의 디딤대에는 “이 디딤대는 사용하지 마시오” 등의 주의 ● ● ● ●

4 “사용 전에는 제품 각 부분을 충분히 점검하시오” 등의 주의 ● ● ● ● ● ●

5 “고정 기구의 고정 상태를 확인하시오” 등의 주의 ● ● ● ●

6 “지정된 사용 각도를 준수하여 사용하시오” 등의 주의 및


사용 각도와 설치 방법 ● ● ● ● ● ●

7 “감전에 주의하시오” 등의 주의 ● ● ● ● ● ●

8 “승강면을 뒤로하고 오르내리지 마시오” 등의 주의 ● ● ● ● ● ●

9 “승강면에 대하여 좌우로 쓰러지기 쉬운 구조임” 등의 주의 ● ● ● ● ● ●

10 “버팀대를 연장하거나 받침대 등을 놓은 상태에서 사용하지


마시오” 등의 주의 ● ● ● ● ● ●

11 “회전부 등에 손이 끼이지 않도록 주의하시오” 등의 주의 ● ●

12 “승강면을 뒤집어 사용하지 마시오” 등의 주의 ● ● ●

13 “사용 중 윗사다리 고정 기구를 잡아당기지 마시오” 등의 주의 ●

14 최대 길이의 사다리로 사용 시 “버팀대 겹침 부위는 최소


디딤대 2개 이상 간격으로 하시오” 등의 주의 ●

15 “중간연결용/수평으로 사용하지 마시오” 등의 주의 ● ●

16 “사용
등의 주의
중 신축형 사다리의 윗사다리를 들어올리지 마시오” ●

17 최대 길이의 사다리로 사용 시 “버팀대 겹침 부위는 최소


디딤대 2개 이상 간격으로 하시오” 등의 주의 ●
II. 이동식 사다리 관련 선행연구 고찰 ‥‥ 34

<표 2-7> 주택용 사다리 안전기준 (공통사항)


No. 내용 비고
1 표시 및 취급설명서를 반드시 숙지하고 내용에 따를 것
2 사용설명서는 읽은 후 잘 보관할 것
3 사용 시에는 제품이 안정된 상태임을 확인할 것
4 2m 이상의 높은 곳에서 작업할 경우 안전모 및 안전벨트를 착용할 것
5 정해진 제품 용도 이외의 용도로 사용하지 말 것
6 사다리 형태로 사용할 경우 반드시 성인 보조자가 사다리를 지지할 것
7 본체에 표시된 최대 사용 하중 범위 내에서 사용할 것
8 제품을 가공하거나 개조하지 말 것
9 사용설명서·경고라벨내용을 이해할 수 없는 사람은 사용금지할 것
10 첨부된 표시,사용,경고라벨이 사라지거나 읽을 수 없게 된 제품 사용금지
11 사용 전 제품에 이상이 없는지 확인할 것
12 변형된 제품은 사용하지 말 것
13 운반 시에는 바닥에 끌거나 던지거나 난폭하게 취급하지 말 것
14 신축형 사다리는 신장하지 않은 상태로 조절 후 이동할 것
15 설치 또는 운반 시에는 배전선 및 전신주에 주의할 것
16 제품이 안정되지 않는 장소나 미끄러지기 쉬운 장소에는 설치하지 말 것
17 신축형 사다리의 경우 부드러운 지면에서는 절대로 사용하지 말 것
18 버팀대 길이나 발판의 너비를 조절할 수 있는 경우 그 조작 방법
19 발판 또는 디딤대가 수평을 이루지 못하는 장소에는 설치하지 말 것.
버팀대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은 발판/디딤대가 수평이 되도록 할 것
20 신축 다리를 무리한 힘으로 조작하지 말 것
21 버팀대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경우 모든 신축 다리를 단단히 고정할 것
22 사람이 드나드는 출입구 또는 문 앞에는 설치하지 말 것
23 비가 오거나 바람이 강한 장소에는 설치하지 말 것
24 발밑 또는 주위가 잘 안 보이는 어두운 곳에는 설치하지 말 것
25 위험한 것이 있는 장소 / 머리 위에 장애물이 있는 장소에는 설치금지
26 모든 고정 기구 및 장치를 확실히 고정할 것
27 신축형사다리는 로프에서 손을 떼기 전에 고정기구 고정상태임을 확인할 것
28 가동부, 회전부 등에 손이 끼이지 않도록 주의할 것
29 신축형사다리를 늘이거나 줄일 때 버팀대/디딤대를 들거나 다리 걸지 말 것
30 제품을 받침대 또는 상자 위에 얹어놓고 사용하지 말 것
II. 이동식 사다리 관련 선행연구 고찰 ‥‥ 35

No. 내용 비고
31 발붙임 겸용 사다리를 사다리 형태로 사용할 경우 및 사용면이 정해져 있는
사다리의 경우 이면을 사용하지 말 것
32 지정된 경사 각도로 사용할 것
33 사다리를 지붕에 기대어 세워 놓는 경우 사다리와 건물의 접점은 위에서
2단 또는 3 단 정도가 되는 것이 이상적임
발붙임 겸용 사다리를 사다리 형태로 건물 지붕 등에 기대어 세워 놓는 경우,
34 발붙임 겸용 사다리와 건물의 접점은 최상단과 그 아래 디딤대 사이에
오는 것이 이상적임
35 발붙임 겸용 사다리를 사다리 형태로 건물 벽에 기대어 세워 놓았을 경우
위에서 3단 이상의 디딤대에는 오르지 말 것
36 사다리를 수평으로 하여 사용하지 말 것
37 신축형 사다리는 윗사다리를 고정하지 말 것
38 신축형 사다리는 윗사다리를 들어올리지 말 것
39 사용 중 제품 주변에 위험한 물건을 두지 말 것
40 다리로 사용 시 건물대들보나 벽 부분에 끝부분을 기대어 세워 놓지 말 것
41 접은 채로 건물, 나무의 줄기나 가지, 담 등에 기대거나 수평으로 사용금지
42 전주, 나무 등 둥근 것에는 기대어 세워 놓지 말 것
43 발판에 올라설 수 없는 것인 경우 “발판에 오르는 것을 금지함”이라는 내용
44 발판에 올라설 수 있는 것인 경우 “발판 가장자리에 올라서거나 발판 위에서
발돋움하거나 한쪽 발로 서지 말 것”이라는 내용
45 올라설 수 없는 디딤대인 경우 “오르지 말 것”이라는 내용
46 동시에 2명 이상 오르지 말 것
47 제품 뒷면으로 오르내리지 말 것
48 제품에서 신체를 내밀지 말 것
49 신체의 안정 상태를 유지할 수 없는 짐을 들고 오르내리지 말 것
50 위틀에 기대거나 오르지 말 것
51 사용 중에 벽 또는 물건을 무리하게 누르거나 당기지 말 것
52 2개 제품 사이에 판을 걸쳐 사용하지 말 것
53 오르내릴 때 충분히 주의하여 차분히 행동할 것
54 제품 중간에서 뛰어내리지 말 것
55 사다리와 지붕 사이를 건너갈 때 사다리가 어긋나지 않도록 주의할 것
56 사다리와 건물의 접점보다 위쪽에 있는 디딤대/버팀대에 체중을 싣지 말 것
57 지붕 위에서 사다리를 이동하지 말 것
58 비를 맞도록 보관하지 말 것
II. 이동식 사다리 관련 선행연구 고찰 ‥‥ 36

(3) 국내 말비계 안전기준


① 말비계의 종류 [산업안전보건기준에관한규칙 제67조에 의한 말비계의 종류]
말비계는 사다리 정상부에 작업발판이 놓여 있고, 그 작업발판 아래에서
두개 사다리의 4개 지주부재가 작업발판 및 작업발판 상부의 하중을 지지하는
구조로서, 사다리 최상부의 작업발판이 사다리 지주부재 안쪽에 설치되어 있더
라도 작업발판 하부에 작업발판을 지지하는 충분한 강도의 수평강재가 지주부재와
용접 등에 의해 일체형으로 되어 있어 작업발판이 붕괴 등의 우려가 없는 것을
말한다.
상기에 해당되면 작업발판의 일종인 말비계에 해당되나, 그 외 제품은 사다리
로서 이동통로로만 사용이 가능하며, 핀이나 고리 등으로 작업발판 하중을 지주
부재에 전달하거나, 작업발판을 지주부재에 직접 고정시킨 구조는 최상부 디딤대를
확장하여 작업발판 형태로 만든 사다리에 해당(작업발판 위 작업 시 붕괴 우려)
된다.
② 사다리와 말비계 구분
지주부재 안쪽에 위치한 발판 하부에 발판을 지지하는 수평 강재 없을 경우,
말비계가 아닌 사다리에 해당된다.
사다리가 한쪽에만 있고 다른 쪽은 지지대 형태인 사다리(발판은 이동 편의를
위해 디딤대를 넓게 확장한 것에 불과하며 작업발판이 될 수 없음)는 사다리에
해당된다.
③ 일반적인 작업발판
일반적인 작업발판은 사다리에 해당되지 않지만, 추락위험이 있다면 산업안전
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43조에 의한 추락 위험 예방 조치가 필요하다.
단, 말비계는 작업발판으로 사용 가능하다.
II. 이동식 사다리 관련 선행연구 고찰 ‥‥ 37

2) 일본

일본의 JIS S 1121은 1976년에 제정되어 3번의 개정이 이루어졌으며 주로


일반용 알루미늄 합금제 발붙임 사다리 및 인력운반이 가능한 사다리에 대해
규정한다.
발붙임 사다리는 자립구조이며 승강 및 고소작업 시 사용하는 것으로 발붙
임 전용ㆍ겸용사다리, 도배용 사다리 및 원예용 사다리가 해당된다.
사다리는 자립할 수 없으며 기대어 세워놓고 높은 곳으로 올라갈 때 사용하
는 것으로 보통ㆍ신축형 사다리로 구분된다. 세부 내용은 <표 2-8>과 같다.
<표 2-8> JIS S 1121의 휴대용 사다리 유형별 세부내용

유형 개념 기준
최상단
발붙임 전용 A 사다리 겸용 불가능 ㆍ발판, 버팀대, 디딤대, 디딤대까지
고정장치 미끌림 방지 수직높이
사다리 겸용 B 사다리 겸용 가능 기구 등으로 구성
2,000mm 미만
보통 사다리 C 길이 조정 불가능 ㆍ버팀대, 디딤대, 윗 최대길이
신축형 사다리 D 신축구조로 길이 조정 모서리기구, 미끌림 방지 10,000mm
가능 기구 등으로 구성
ㆍ발판, 4개 버팀대, 디딤대, 고정장치 미끌림 발판까지의
도배용 사다리 E 방지기구 등으로 구성됨 수직 높이
ㆍ주로 발판에 올라서서 실시하는 작업 시 사용 1,000mm 미만
최상단
ㆍ전면 버팀대, 후면 버팀대, 디딤대, 고정기구, 디딤대까지
원예용 사다리 F 스파이크로 구성됨 수직높이
ㆍ버팀대 3개이고 주로 조경작업 시 사용하는 것 3,000mm 미만
II. 이동식 사다리 관련 선행연구 고찰 ‥‥ 38

유형별 도해는 다음의 <그림 2-7>과 같다.

발붙임 전용 사다리 발붙임 겸용 사다리 보통 사다리

2단 3단 도배용 사다리 원예용 사다리


신축형 사다리
<그림 2-7> JIS S 1121의 사다리 유형
II. 이동식 사다리 관련 선행연구 고찰 ‥‥ 39

<표 2-9> 사다리 안전기준


No. 내용 비고
1 표시 및 취급 설명서는 반드시 숙지하고 내용에 따를 것
2 취급설명서는 읽은 후 잘 보관할 것, 단 다음 각 항을 제품에 쉽게 사라지지
않는 방법으로 표시한 경우 이 항은 생략해도 좋다
3 사용 시에는 제품이 안정된 상태임을 확인할 것
4 “승강면에 대하여 좌우방향으로 쓰러지기 쉬운 구조임”이라는 내용
5 2m이상 높은 곳에서 작업할 경우 헬멧 및 안전벨트를 착용할 것
6 정해진 제품 용도 이외의 용도로 사용하지 말 것
7 사다리 형태로 사용할 경우 반드시 성인 보조자가 사다리 지지할 것
8 본체에 표시된 사용 질량 범위 내에서 사용할 것
9 제품을 가공하거나 개조하지 말 것
10 취급설명서 경고라벨의 내용을 이해할 수 없는 사람은 사용금지할 것
11 첨부된 라벨이 사라지거나 읽을 수 없게 돈 제품은 사용하지 말 것
12 사용 전 제품에 이상이 없는지 확인할 것
13 변형된 제품은 사용하지 말 것
14 운반 시에는 질질 끌거나 던지거나 난폭하게 취급하지 말 것
15 신축형 사다리는 크기를 줄인 후 이동시킬 것
16 설치 또는 운반 시에는 배전선에 주의할 것
17 제품이 안정되지 않는 장소나 미끄러지기 쉬운 장소에는 설치금지
18 신축형 사다리의 경우 부드러운 지면에서는 절대로 사용하지 말 것
19 버팀대 길아니 발판의 폭을 조정할 수 있는 경우 그 조작 방법
20 발판 또는 디딤대가 수평을 이루지 못하는 장소에 설치하지 말 것 버팀대
길이를 조정할 수 있는 것은 수평이 되도록 신축다리의 길이를 조정할 것
21 삼각 발붙임 사다리의 후면 버팀대를 승강면 중심에서 벗어나도록 설치금지
22 신축다리를 무리한 힘으로 조작하지 말 것
23 버팀대의 길이를 조정할 수 있는 것인 경우 모든 신축다리를 단단히 고정
24 사람이 드나드는 출입구 또는 문 앞에는 설치하지 말 것
25 비가 오거나 바람이 강한 장소에는 설치하지 말 것
26 발 밑 또는 주위가 잘 보이는 어두운 곳에는 설치하지 말 것
27 위험한 것이 있는 장소/머리 위에 장애물이 있는 장소에는 설치하지 말 것
28 모든 고정장치를 확실히 고정할 것
29 신축형 사다리는 로프에서 손을 떼기 전에 고정장치 고정상태임을 확인할 것
30 가동부, 회전부 등에 손이 끼이지 않도록 주의할 것
31 신축형사다리를 펴거나 줄일 때는 버팀대/디딤대를 들거나 다리를 걸지 말 것
32 제품을 받침대 또는 상자 위에 얹어놓고 사용하지 말 것
33 겸용 발붙임 사다리를 사다리 형태로 사용할 경우 또는 사용면이 정해져 있
는 사다리의 경우 이면을 사용하지 말 것
34 지정된 사용각도로 사용할 것
II. 이동식 사다리 관련 선행연구 고찰 ‥‥ 40

No. 내용 비고
35 사다리를 지붕에 기대어 세워 놓는 경우 사다리와 건물의 접점은 위에서
2단째, 3단째 정도가 되는 것이 이상적이라는 것
36 겸용 발붙임 사다리를 사다리 형태로 건물 지붕 등에 기대어 세워 놓는 경우,
사다리와 건물의 접점은 최상단과 2단째 디딤대 사이에 오게할 것
37 겸용 발붙임 사다리를 사다리 형태로 건물 벽에 기대어 세워 놓았을 경우
사다리의 위에서 3단째 이상의 디딤대에는 오르지 말 것
38 사다리를 수평으로 하여 사용하지 말 것
39 신축형 사다리의 경우 상부 사다리를 고정하지 말 것
40 신축형 사다리의 경우 상부 사다리를 들어올리지 말 것
41 사용 중 제품 주변에 위험한 물건을 두지 말 것
42 사다리 형태로 사용할 경우 건물의 대들보나 튀어나온 벽 부분에 사다리
끝 부분을 기대어 세워 놓지 말 것
43 제품은 접은 채로 건물, 나무, 담 등에 기대어 놓거나 수평사용하지 말 것
44 전주, 나무 등 둥근 것에는 기대어 세워 놓지 말 것
45 발판에 올라갈 수 없는 것인 경우 “발판에 오르는 것을 금지함”이라는 내용
46 발판에 올라갈 수 있는 것인 경우 “발판 끝에 오르거나 발판 위에서 발돋움
하거나 한쪽 발로 서지 말 것”이라는 내용
47 올라갈 수 없는 디딤대인 경우 “오르지 말 것”이라는 내용
48 디딤대 사다리의 경우 “오르지 말 것”이라는 내용
49 동시에 2명 이상 오르지 말 것
50 제품 뒷면에서 오르지 말 것
51 제품에서 신체를 내밀지 말 것
52 신체의 안정 상태를 유지할 수 없는 짐을 들고 오르내리지 말 것
53 상부 프레임에 기대거나 오르지 말 것
54 디딤대 사다리 이외의 발판에 오를 수 있는 것인 경우 “발판 위에서 이동하지
말 것”이라는 내용
55 사용 중에 벽 또는 물건을 무리하게 누르거나 당기지 말 것
56 2개 제품 사이에 판을 걸쳐 사용하지 말 것
57 오르내릴 때 충분히 주의하여 차분히 행동할 것
58 제품 중간에서 뛰어내리지 말 것
59 사다리와 지붕 사이를 건너갈 때 사다리가 어긋나지 않도록 주의할 것
60 사다리와 건물의 접점보다 위쪽에 있는 디딤대/버팀대에 체중을 싣지 말 것
61 지붕 위에서 사다리를 이동하지 말 것
62 비를 맞도록 보관하지 말 것
II. 이동식 사다리 관련 선행연구 고찰 ‥‥ 41

3) 미국

미국은 OSHA, ANSI에서 국가표준을 정하고 있다. 또한, 건설현장에서 사다리로


인한 재해의 대다수가 추락의 형태로 나타나 사다리 관련 규정ㆍ지침ㆍ매뉴얼
등이 추락 재해예방의 범주에 포함되어 있다.
(1) OSHA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dministration)
<표 2-10> OSHA 1926. 1053의 휴대용 사다리 유형별 세부내용
유형 정의
ㆍ휴대용ㆍ자립형ㆍA형 사다리
stepladder 발붙임
사다리
ㆍ전면 버팀대 2개, 후면 버팀대 2개를 갖춤
ㆍ일반적으로 전면 버팀대와 후면 버팀대 사이에 디딤대
설치
Portable Extension 신축형 ㆍ휴대용, 길이 조절 가능
ladders Ladder 사다리 ㆍ비자립형으로 하중을 견딜 수 있는 구조 필요
Straight 일자형 ㆍ길이 조절 불가
Ladder 사다리 ㆍ한섹션으로 구성된 사다리
Combination 조합형 ㆍ여러 유형의 사다리로 활용 가능
ladder 사다리

stepladder Extension Ladder Straight Ladder Combination ladder


발붙임 사다리 신축형 사다리 보통 사다리 조합형 사다리
<그림 2-8> OHSA 1926. 1053의 휴대용 사다리 유형
II. 이동식 사다리 관련 선행연구 고찰 ‥‥ 42

OSHA 1926. 1053 - Ladders는 일반 요구사항(General Requirements),


휴대용 사다리(Portable Ladders), 고정 사다리(Fixed Ladders) 및 모바일 사다리
(Mobile Ladder Stands and Mobile Ladder Stand Platform)의 4가지로 구성5)
되어있다.
이 중 휴대용 사다리의 종류는 <표 2-10>과 같이 Stepladder(발붙임형),
Extension(신축형), Straight(보통(일자형)) 및 Combination(조합형)으로 정하고
있다. 유형별 도해는 앞의 <그림 2-8>과 같다.
(2) ANSI (American National Standards Institute)
ANSI-ASC A14.2;2017 American National Standard for Ladders —
Portable Metal - Safety Requirements는 다양한 유형과 스타일의 휴대용 금속
사다리의 안전한 구성, 설계, 테스트, 관리 및 사용에 관한 규칙을 정하고 있다.
Ladder Type6)을 <표 2-11>과 같이 5가지로 정하고 있으며, 사용자는
working load7), duty rating8), 요구되는 길이 및 사용빈도 등을 고려하고 과부
하가 걸리지 않도록 해야 있다. Ladder Type에 따라 375lb~200lb로 구분되며
사용자에 따라 전문가용, 산업용, 상업용 및 가정용으로 구분된다.

5)https://www.grainger.com/know-how/safety/working-at-heights/ladders-scaffoldin
g/kh-are-your-ladders-code-osha-ladder-requirements
6) ladder type - 작업 부하를 식별하는 명칭
7) working load - 사다리 사용자, 재료 및 도구의 무게를 포함한 최대 적용 하중
8) duty rating - 사다리 유형 및 설계 특징을 포함하되 이에 국한되지 않는 요인의
조합으로, 서비스 기능을 의미
II. 이동식 사다리 관련 선행연구 고찰 ‥‥ 43

<표 2-11>사다리 유형별 사용조건

Portable
Ladder
Categories
Ladder Type ⅠAA Type ⅠA Type Ⅰ Type Ⅱ Type Ⅲ
type
Working load 375lb (170kg)300lb (136kg)250lb (113kg)225lb (102kg) 200lb (90kg)
초중량 초중량 중부하용 중형 경량
Use 전문가용사다 산업용사다리 산업용사다리 상업용사다리 가정용사다리

그림출처
https://www.grainger.com/know-how/safety/working-at-heights/ladders-scaffolding/kh-are-your-ladders-code-osha-ladder-requireme
nts

ANSI의 휴대용 사다리(Portable Ladder)의 의미는 쉽게 이동하거나 운반할


수 있는 사다리로 발판, 디딤대, 클리트 또는 후면 브레이스로 연결된 버팀대로
구성된 사다리를 의미한다.
또한 사다리 유형별로 자립형(self-supporting portable ladder), 비자립형
(non-self-supporting portable ladder)로 구분하고 있다. 유형별 개념은 앞서
언급된 표준들과 크게 상이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세부내용은 <표 2-12>
와 같으며 유형별 도해는 <그림 2-9>와 같다.
II. 이동식 사다리 관련 선행연구 고찰 ‥‥ 44

<표 2-12> ANSI-ASC A14.2 사다리 개념


유형 정의
발붙임 ·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자립형 휴대용 사다리.
Stepladders 겸용 · 디딤대와 경첩 베이스가 있음
사다리
보통 · 길이 조절이 불가능한 자립형 휴대용 사다리
Single Ladders 사다리 · 한 섹션으로 구성
·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자립형 휴대용 사다리.
Extension 신축형 · 가이드나 브라켓 또는 동등한 것으로 이동하는
Ladders 사다리 두 개 이상의 섹션으로 구성되어 길이 조절
가능
가대 · 길이 조절이 불가능한 자립형 휴대용 사다리
Trestle ladders 사다리 · 2개의 섹션으로 구성되어있고, 두 사람이 동시에
오를 수 있도록 설계
신축형 · 길이 조절이 가능한 자립형 휴대용 사다리.
Extension 가대 · 사다리를 고정할 수 있는 적절한 방법으로는
Trestle Ladders 사다리 사다리 베이스와 수직으로 조절 가능한 확장
섹션이 있음
Platform 발붙임 · 사이즈가 고정된 자립형 휴대용 사다리
전용 · 가장 높은 스탠딩 레벨이 가능한 플랫폼을 가
Ladders 사다리 지고 있음
Combination 조합형 · 다양한 유형으로 사용 가능한 사다리 휴대용
Ladders 사다리 사다리 - 발붙임 · 보통 · 확장형 · 가대 · 계단형 사다리
·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고정식 관절 조인트가 있는
Articulated 관절형 휴대용 사다리
Ladders 사다리 · 보통, 신축형 사다리와 같은 여러 모드로 설정
가능
II. 이동식 사다리 관련 선행연구 고찰 ‥‥ 45

stepladder Single Ladder Extension Ladder Trestle ladder

Extension Trestle Platform Ladders Combination ladder Articulated ladder


ladder
<그림 2-9> ANSI-ASC A14.2 사다리 종류(예)

사다리의 크기는 <표 2-13>에서 정한 한도 이내에 있어야 한다. 세부내용은


다음과 같다.
발붙임 사다리의 크기는 상단 발판과 벌어짐 방지기구를 포함하여 전방
버팀대의 앞쪽 가장자리를 따라 측정하며, 허용오차는 ±1/2인치이다.
보통 사다리의 크기는 foot 또는 end cap을 제외한 버팀대 전체 길이로 허용
오차는 ±1/2인치 이다.
신축형 사다리는 풋 또는 엔드 캡을 제외한 버팀대를 따라 측정된 각 섹션의
한쪽 버팀대 길이를 합하여 지정한다. 허용오차는 ±3인치이다. 신축형 사다리는
섹션의 총 길이와 최대 연장 길이 또는 최대 작업 길이를 모두 나타내도록
표시해야 한다.
II. 이동식 사다리 관련 선행연구 고찰 ‥‥ 46

가대 사다리는 풋 또는 슈를 포함하여 앞쪽 가장자리를 따라 측정된 버팀대


길이로 크기를 지정한다. 신축형 가대 사다리는 슈를 포함하여 측면 레일의 앞쪽
가장자리를 따라 트레슬 사다리 베이스의 길이로 지정한다.
플랫폼 사다리의 크기는 플랫폼 상단에서 풋이나 슈를 포함하여 사다리의
바닥까지 전면 측면 레일의 전면 가장자리의 길이에 따라 결정되며 ±1/2인치
허용오차는 다음과 같이 제한 범위 내에 있어야 한다.
조합형 사다리를 자체 지지 사다리로 사용할 경우, 크기는 발바닥에서 상단
발판의 맨 위까지 또는 상단 발판을 사용하지 않을 때 전면 버팀대의 앞쪽
가장자리를 따라 측정된 사다리의 길이로 지정되며, 허용 오차는 ±1/2인치이다.
조합형 사다리를 확장 사다리로 사용할 때, 최대 연장 길이는 3ft(0.91m) 미만의
발붙임 사다리 길이의 최소 두 배가 되어야 합니다. 발붙임 사다리 길이와
최대 신축형 사다리 길이는 라벨에 표시된 크기의 ±1/2인치 이내이어야 한다.
관절형 사다리의 크기는 사다리를 발붙임 사다리 모드에서 사용할 때 크기는
foot에서 경첩의 피벗 핀 중앙까지 전면 측면 버팀대 앞쪽 가장자리를 따라
측정한 사다리의 길이로 지정되며, 허용 오차는 ±1/2인치이다.
II. 이동식 사다리 관련 선행연구 고찰 ‥‥ 47

<표 2-13> 사다리종류ㆍ유형별 최대길이

종류 Special Extra Heavy Medium


Duty Heavy Duty Duty Light Duty
유형 (Type Duty (Type Ⅰ) (Type Ⅱ) (Type Ⅲ)
ⅠAA) (Type ⅠA)
Stepladder 3~12ft 3~20ft 3~20ft 3~12ft 3~6ft
(1.0~m) (1.0~6.1m) (1.0~6.1m) (1.0~3.7m) (1.0~1.8m)
Single Ladder 16ft(4.8m)
이하 30ft 이하 30ft 이하 24ft 이하 16ft 이하
(9.1m) (9.1m) (7.3m) (4.8m)
Extension 2단 32ft(9.7m)
이하 60ft 이하 60ft 이하 48ft 이하 32ft 이하
(18.2m) (18.2m) (14.6m) (9.7m)
Ladder
(각 버팀대의 합) 3단 36ft 이하 72ft 이하 72ft 이하 60ft 이하 -
(11.0m) (22.0m) (22.0m) (18.2m)
3~12ft 3~20ft 3~20ft 3~12ft 3~6ft
Trestle Ladder (1.0~3.7m) (1.0~6.1m) (1.0~6.1m) (1.0~3.7m) (1.0~1.8m)
Extension Trestle - 6~20ft 6~20ft 6~12ft
Ladder (1.8~6.1m) (1.8~6.1m) (1.8~3.7m) -
2~8ft 2~18ft 2~18ft 2~10ft 2~4ft
Platform Ladder (0.6~2.4m) (0.6~5.5m) (0.6~5.5m) (0.6~3.0m) (0.6~1.2m)
최소 4ft 이하 4ft 이하 4ft 이하 4ft 이하 4ft 이하
Combination (1.2m) (1.2m) (1.2m) (1.2m) (1.2m)
Ladder 최대 10ft 이하 10ft 이하 10ft 이하 10ft 이하 6ft 이하
(3.0m) (3.0m) (3.0m) (3.0m) (1.0m)
3~15ft 3~15ft 3~12ft 3~6ft
Articulated Ladder - (1.0~4.6m) (1.0~4.6m) (1.0~3.7m) (1.0~1.8m)
안전기준은 General, Selection, Rules for Ladder Use 및 Care로 구성되어
있으며, 세부내용은 다음과 같다.
II. 이동식 사다리 관련 선행연구 고찰 ‥‥ 48

가. 일반사항
① 사다리의 유용성 및 안전성을 극대화하고 불필요한 손상을 제거하기
위해 사용자는 사다리 사용 및 관리시 안전한 방법을 적용해야 한다.
② 안전을 보장하고 사고 가능성을 줄이려면 사다리의 올바른 선택이 중요
하다.
③ 사다리로 인한 추락은 급한 동작, 갑작스러운 움직임, 사용 중 주의력 부족,
사다리의 상태 (낡거나 손상된), 사용자의 나이 또는 신체 상태 및 착용한
신발 등에 의해 발생한다. 사용자의 과도한 체중이나 체형보다는 사용자가
사다리에서 불안정한 자세를 취할 시 발생 가능성이 높다.
④ 사다리를 장기간 안전하게 사용하기 위해서는 정기적인 서비스 관리 및
유지보수가 필요하다.
⑤ 본 표준은 주로 발붙임 사다리 및 신축형 사다리에 대해 설명하고 있으나,
원칙은 모든 자립형 및 비자립형 휴대용 사다리에 적용된다.
나. 사다리 선정
① 사다리 선정
본 표준에서는 휴대용 사다리는 한 사람이 사용하도록 하며, 사다리를 구매
하거나 사용 시에는 앞서 언급된 <표 2-15>의 기준을 준수하도록 하고 있다.
신축형 사다리의 적정 크기를 선택하려면 상단 지지점까지의 수직 높이 또는
표고에 대한 지식이 필요하다. 상부 지지대가 지붕 처마인 경우, 이 지점 너머에
필요한 1~3ft(3.0~9.1m) 확장을 허용하려면 추가 작업 길이가 필요하다.
사다리가 연장되면 실제 치수가 변경되지만, 가장 높은 스탠딩 레벨도 고려
되어야 한다.
II. 이동식 사다리 관련 선행연구 고찰 ‥‥ 49

<표 2-14> Ladder Size, Working Length, and Height (feet)

Height to Roof
신축형 사다리 Maximum Height to Top Eave with
길이 Working Length Support on Wall 1-to 3-Foot
Extension
16 13 To 12-1/2 9-1/2-11-1/2
20 17 12-1/2-16-1/2 13-1/2-15-1/2
24 21 16-1/2-20 17-19
28 25 20-24 21-23
32 29 24-28 25-27
36 32 28-32 29-31
40 35
* Extend ladder approximately three feet above roof for access.
32-35 32-34
② 자립형 사다리 vs. 비자립형 사다리
자립형 사다리와 비자립형 사다리 중에서 선택 시 고려사항은 하단 및 상단
지지 조건이다.
발붙임 사다리는 4개의 버팀대를 수평으로 지지해야 한다. 이 조건이 충족되지
않고, 상단을 고정하거나 묶어 안전성을 높일 수 있는 경우는 신축형 사다리가
더 나은 선택일 수 있다.
다) 사다리 사용
사다리를 사용함에 있어 일반적인 사항(지침 준수)과 설치위치, 승하강, 상하부
지지, 위험요소(전기적 위험 등), 출입구 및 부적절한 사항 등과 같은 공통적인
사항을 포함하고 있다.
또한, 경사각, 상단지지 및 상부접근 등의 사항은 비자립형 사다리의 특성을
반영하고 있으며, 본 표준에서 정하는 내용뿐만 아니라 제조업체의 권장사항에
대하여 준수하도록 하고 있다.
항목별 주요내용은 <표 2-15>와 같다.
II. 이동식 사다리 관련 선행연구 고찰 ‥‥ 50

<표 2-15> 사다리 사용 시 유의사항


구분 내용
ㆍ사용자는 사다리에 명시된 경고 및 지침을 따라야 함
ㆍ안전한 사다리 사용에 대한 추가 지침은 www.laddersafetytraining.org (또는 제
조업체가 식별한 대체사이트)를 참조하도록 함
(1) 사다리는 한 사람 이상을 지원하도록 설계되지 않은 한 번에 한 사람 이상
올라가지 않아야 함
사용 (2) 자립형 사다리는 보통 사다리 또는 부분적으로 닫힌 상태(접은 상태)로 사용
해서는 안 됨
(3) 특별히 설계되지 않은 한, 자립형 사다리의 상단지지점(top support point)으로
올라가지 않아야 함
(4) 자립형 계단 사다리로 사용되는 복합 사다리는 뒷부분에 올라가지 않아야 함
(5) ladder jack system 두 사람 이상이 사용해서는 안 됨
다음의 경우 사용자는 밟거나 설 수 없음
(1) 사다리 상부 발판 및 상부 디딤대
승강 및 (2) 제조업체가 해당 목적으로 설계하고 권장하지 않는 한 자립식 사다리의 후면
작업 위치 braces 설치
(3) 신축형 사다리 및 신축형 가대 사다리 상단 디딤대가 34인치 미만일 때
(4) 조합형 사다리가 자립형 사다리로 사용될 때 최상단 발판 및 디딤대
ㆍ비자립형 휴대용 사다리는 미끄러짐, 사다리의 강도 및 작업자의 균형에 대한
최적의 저항을 위하여 수평에서 75-1/2°의 경사각을 유지해야 함
경사각 ㆍ사다리 설치 시 적정 각도 유지를 위하여 사다리 전체길이의 4분의 1을 벽 또는
다른 수직표면으로부터 배치
ㆍ발판 표면이 수평이 되도록 함
ㆍ사다리는 단단하고 수평인 지면에 단단히 고정되어야함
ㆍ고르지 않은 표면에서 사다리 레벨러를 사용할 수 있음
하부 ㆍ미끌림 방지에 필요한 경우, shoes, spurs, spikes 등과 유사한 장치를 설치
지지 ㆍ미끌림 방지를 위한 적절한 조치가 없는 한 얼음, 눈 또는 미끄러운 표면에서 사
다리를 사용해서는 안 됨
ㆍ높이를 추가하기 위해 박스, 통 또는 기타 불안정한 지면에 사다리 설치금지
상단 ㆍ비자립형 사다리 상단에는 단일 지지대 부착 장치가 없는 한 두 개의 버팀대가
지지 만큼 충분히 커야 함 합니다. 이러한 부착물은 하중을 받는 사다리를 지탱할 수 있을
동일하게 지지되어야
적재 ㆍ휴대용 사다리에 과도한 적재를 하지 않아야 함
ㆍ사다리가 제대로 고정되어 있지 않으면 사용자는 절대 밀거나 당기지 않도록 함
II. 이동식 사다리 관련 선행연구 고찰 ‥‥ 51

구분 내용
ㆍ사다리를 승하강용으로 사용하는 경우, 사용자는 사다리를 단단히 고정시키고
사다리 정면을 향하도록 함
승하강 한 사다리에서구조물에
ㆍ사다리가 묶여 있지(고정되어 있지) 않으면 사용자는 측면에서 사다리로,
다른 사다리로 올라가지 않아야 함
ㆍ부러지거나 구부러진 사다리, 결함 있는 사다리에는 올라가지 않아야 함
ㆍ사용자는 전기 회로가있는 지역에서 사다리를 사용할 때 적절한 안전 조치
전기적 이러한 예방 조치는 감전이나 단락을 방지하기 위해 통전되고 비절연 회로나 도체
위험 와의 접촉을 방지해야함
ㆍ해당 용도로 특별히 설계되지 않은 한 전력선에서 멀리 떨어져야 함
전기 도체가 될 수 있는 도구를 사용할 때와 같은 예방 조치를 취해야 함
부적절한 ㆍ제조업체가 특별히 그러한 사용을 권장하지 않는 한 사다리를 발판, 자재 호이스트,
사용 버팀대, 경사면 등의 의도하지 않은 다른 용도로 사용하지 않도록 함
ㆍ특별히 설계되지 않은 경우, 사다리를 비계 등의 위에 세우지 말 것
ㆍ비자립 사다리의 상부에서 승하차 시 상단은 지지점보다 약 3ft(1m) 연장
상부 ㆍ사다리는 사용자가 상부로 올라가지 전에 미끄러지지 않도록 고정해야함
접근 ㆍ사다리가 옆으로 넘어지거나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사용자는 승하강
시 주의해야 함
ㆍ사다리와
고정 ㆍ특별히 고안되지 사다리를 묶어서 길이를 연장해서는 안됨
않은 한 사다리를 다른 수단으로 길이를 늘려서는 안됨
출입구 사다리를 배치하여서는 안됨 둘 수 없을 경우에는 사다리 쪽으로 향하는 문 앞에
ㆍ문을 잠그거나 보조인원을
ㆍ확장 사다리의 조정은 사용자가 사다리의 바닥에 서있을 때만 이루어져야
하며, 따라서 잠금 장치가 제대로 맞물리면 사용자가 관찰할 수 있음
신축형 ㆍ사용자는 로프가 도르래에서 올바르게 추적되고 있는지 확인해야 함
사다리 사다리 ㆍ사다리 상단 (또는 잠금 장치 위의 모든 레벨)에서 신축형 사다리를 조정
설정 하는 것은 위험한 행위이며 시도해서도 안 됨
및 조정 ㆍ사다리 위에 서 있는 사람은 조정할 수 없음.
ㆍ사다리는 상부 및 하부 사다리 지지점이 모두 단단한 지지면 고정
발붙임 사용자는 스프레더(벌어짐 방지기구)가 잠겨 있고 모든 발이 단단한 수평
사다리 지지대 표면에 닿아 사다리가 완전히 열렸는지 확인해야 함
ㆍ연장 사다리는 렁 잠금 장치를 사용하여 윗 사다리(fly section)이 하단 아랫 사다리
(base section) 위에 있고 바닥 섹션에 놓이도록 항상 세워야 함.
신축형 ㆍ신축형 사다리의 윗 사다리 상단이 사다리의 하단이 되고 아랫사다리의 하단이
사다리 사다리의 상단이 되는 역 위치에서는 절대 사용해서는 안 됨
설치 ㆍ신축형 사다리가 이전에 단일 사다리로 사용 된 경우, 섹션을 올바르게 재조립하고
추가사용 전에 인터로킹 가이드 또는 브래킷이 섹션 사이에 올바르게 맞물리도록
주의를 기울여야 함
II. 이동식 사다리 관련 선행연구 고찰 ‥‥ 52

라. 사다리 유지관리 사항
본 표준에서는 사다리 유지관리 사항으로 점검방법, 손상된 사다리에 대한
조치사항, 취급방법, 운송ㆍ보관상의 주의사항 및 유지보수의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
사다리에 대한 올바른 유지관리는 사고로 이어질 수 있는 부분을 사전에
차단할 수 있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하다 할 것이다.
사다리의 주요 부재(디딤대, 발판, 버팀대, 잠금장치, 미끄럼 방지 장치 등)의
결함, 강도저하, 불충분한 점검 등으로 인한 사고는 전도, 미끄러짐, 추락 등의
형태로 나타나므로 사용 전 조치만큼 철저해야 한다.
본 표준에서는 점검사항을 화재, 부식, 미끄러짐, 전도 등으로 구분하여 구체적
으로 명시하고 있으며, 사다리의 이동(운송) 중의 발생 가능한 문제점에 대한
사항이 반영되어 있다.
또한, 손상된 사다리에 대한 처리 및 유지보수 방법, 보관 시 유의사항에
대해서도 명시하고 있다는 점이 앞서 언급된 표준들과 비교하여 체계적이라
판단된다.
II. 이동식 사다리 관련 선행연구 고찰 ‥‥ 53

<표 2-16> 사다리 유지관리 사항


구분 내용
ㆍ사다리를 구매, 수령 및 배달 시에는 철저한 점검이 이루어져야 함
ㆍ사다리의 디딤대, 발판, 버팀대 및 부품 등을 주기적으로 또는 매우 바람직하게는
사용하기 전 매번 점검하도록 함
ㆍ구조적 손상 또는 기타 유해한 결함이 발견 된 경우, 사다리는 서비스를 중단하고
유능한 기술자가 폐기 또는 수리하도록 함.
전도 및 ㆍ사다리의 버팀대 찌그러짐이나 굽힘 또는 과도하게 움푹 들어간
기타 충격 디딤대가
ㆍ모든
있는지 검사하도록 함
디딤대, 발판 및 버팀대의 연결과 리벳 (전단 용) 및 기타 모든
점검 피해 구성품을 점검해야 함
ㆍ화재와 같이 과도한
화재 노출 사다리는 육안으로 손상이 열에 노출되면 강도가 저하될 수 있으므로 노출된
없는지 검사하고 변형 및 강도특성시험
부식성물 사다리에 특정 물질(산 또는 알카리성 물질)로 인한 화학적 부식 및 강도
질 저하가 발생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 전 제조사 문의
윤활제 사다리에는 기름, 윤활제 등과 같은 미끄러운 물질 제거
로프 및 로프, 케이블 및 도르래를 자주 점검하고 올바르게 작동하는지 점검하고
도르래 마모 또는 결함이 있는 경우 교체
손상된 ㆍ파손되거나 구부러진 사다리는 유능한 기술자가 수리하거나 사용하지 못하도록
사다리 표시하여 사용을 중단하도록 함
ㆍ결함이 있는 버팀대는 수리하지 않도록 함
적절한 ㆍ사다리는 다른 공구와 마찬가지로 조심해서 다루어야 하며, 떨어뜨리거나 찌그러
취급 뜨리거나 오용하지 않도록 함
ㆍ설계목적과 다른 변형을 하지 않도록 함
ㆍ차량으로 운반되는 사다리는 적정한 방법으로 고정되어야 함
ㆍ차량 길이 이상의 사다리의 돌출은 제한되어야 함
운송 ㆍ사다리 양 끝단이 닿는 부분은 나무 또는 고무 재질로 하여 마찰과 도로 충격의
영향을 최소화함
ㆍ사다리를 고정하면 도로의 충격으로 인한 피해가 크게 줄어듬
보관 ㆍ사다리는 처짐을 방지하도록 설계된 선반에 보관해야 함
ㆍ사다리를 보관하는 동안 재료를 적재하여서는 안됨
ㆍ올바른 사다리 유지보수는 사다리의 안전한 상태를 보장함.
ㆍ금속품, 액세서리는 자주 점검하고 적절한 작동 상태를 유지하도록 함
ㆍ모든 피벗 연결부와 윗사다리 고정기구 표면은 자주 윤활해야 함
유지관리 ㆍ사다리를 사용하기 전에 모든 볼트와 리벳이 제 위치에 고정되어 있는지 확인하고
탈락되었거나, 발판(또는 디딤판) 및 버팀대 사이의 조인트가 견고하지 않을 경우,
사다리를 사용해서는 안됨.
ㆍ미끄럼 방지 기구 등이 과도하게 마모된 사다리는 수리 완료까지 사용을 중단
II. 이동식 사다리 관련 선행연구 고찰 ‥‥ 54

마. 사다리 표시 사항
본 표준의 부록에는 <그림 2-10>과 같이 적정한 사다리 사용 등에 관한
label이 예시되어 있다. 그 종류는 매우 다양하며 제품에 대한 10가지 사항
(NOTICE 참고), 경고ㆍ주의사항 및 사다리 종류별 점검ㆍ설치ㆍ사용ㆍ유지관리
등에 대한 사항 등을 포함하고 있다.
작업 전 반드시 사다리에 마킹된 라벨을 확인하고 임의 변경 없이 준수하도록
하고 있다.

경고 제품정보 선택, 점검, 설치에 관한 확인 사항


<그림 2-10> 사다리 관련 라벨 예

<표 2-17> ~ <표 2-20>은 라벨에 표기된 사항을 정리한 것으로 대부분의
내용은 앞서 언급된 사다리 사용 시 유의사항 및 유지관리 사항과 매우 유사하다.
II. 이동식 사다리 관련 선행연구 고찰 ‥‥ 55

<표 2-17> Proper Selection, Inspection & Use Storage


Articulat
ed&
Stepladde Single & Extensio Combinat
구분 내용
r Extension
Trestle n
Trestle ion
Platform Articulat
ed
Extendab
le
사다리 크기, 유형, 작업하중 및
1 사다리 관련 정보는 NOTICE ● ● ● ● ● ● ●
라벨을 참조하십시오.
Proper 사용자, 공구 및 재료의 무게는
Selection
2
작업하중을 초과해서는 안됩니다. ● ● ● ● ● ● ●

전기를 사용하거나 다루어야 할


3 때는 유리섬유 또는 나무 사다리를 ● ● ● ● ● ● ●
사용하십시오.
사용 전 반드시 점검 하십시오
부품이 없거나 느슨하고, 손상
1
되었거나 작동하지 않는 사다리는 ● ● ● ● ● ● ●

사용하지 마십시오.
잠금장치가 제대로 작동하는지
2
확인하십시오. ● ● ● ● ● ● ●

Inspection
심하게 마모된 벌어짐 방지기구와
3 읽을 수 없는 라벨은 교체하십 ● ● ● ● ● ● ●
시오.
부품에 대해서는 제조업체에
4
문의하십시오 ● ● ● ● ● ● ●

사다리를 깨끗하고 미끄러운


5
물질이 없도록 유지하십시오. ● ● ● ● ● ● ●

운송 시 차량 지지점에서 과도한
1 마모나 적재를 피하기 위해 ● ● ● ● ● ● ●

transport 사다리를 고정하십시오.


and storage
안전하지 않은 자재, 충격 또는
2 부식 손상으로부터 보호된 곳에 ● ● ● ● ● ● ●
사다리를 보관하십시오,
II. 이동식 사다리 관련 선행연구 고찰 ‥‥ 56

<표 2-18> Proper Use-Additional Text


Single & Trestle Extension Combination Platfor Articulated
Stepladder Extension &
구분 내용
Trestle m Articulated
Extendable
나이, 건강, 알코올 또는 약물에
1 의해 판단 또는 균형이 감소된 ● ● ●
경우 사다리 사용하지 마십시오.
ㆍ사다리를 향하고 오르내릴
때 양손을 사용하십시오.
2
ㆍ깨끗한 미끄럼 방지 작업화를 ● ● ●

착용하십시오.
사다리에서 작업하는 동안
3
3개의 접점을 유지하십시오 ● ●

버팀대 사이에 몸을 중앙에


PROPE
4
유지하십시오, ● ● ●

R USE 사다리 위에서 연장, 후진 또는


-
5
이동하지 마십시오 ● ●

6 밀거나 당길 때 주의하십시오.
General ● ● ●

7 측면에서 승하강하지 마십시오. ● ● ●

ㆍ지붕 접근 시 바닥에서
움직일 수 있으므로 사다리를
8
위로 밀거나 기대지 마십시오. ●

ㆍ최상단 디딤대 밟지 마시오.


사다리를 선반, 장비를 올려
9
두거나 호이스트로 사용금지 ●

사다리에는 한 사람만 있어야


10
합니다. ● ● ●

가능하면 다른 사람에게 사다리를


11
붙잡게 하십시오. ● ● ●

Stepladd 사다리에 서 있는 동안 걷거나


er
1
이동하지 마십시오. ● ●

mode 사다리의 어느 부분에도 앉지


2
마십시오. ● ●
II. 이동식 사다리 관련 선행연구 고찰 ‥‥ 57

<표 2-19> 자립형 사다리 설치 및 사용


Articulated
No. 내용 Single & Extension &
Stepladder Extension Trestle Trestle Combination Platform Articulated
Extendable
연령, 건강, 알코올 또는 약물에
1 의해 판단 또는 균형이 감소 된 ● ● ● ●
경우 사다리를 사용하지 마십시오.
2 사다리 승하강시 양손을 사용 ● ● ● ●
3 작업하는 동안 3개의 접점을 유지 ● ● ● ●

4 사다리 위에 서있는 동안 걷거나


이동하지 마십시오. ● ● ● ●

사다리의 앞발판에만 서십시오. ●


5 사다리의 앞발판 또는 플랫폼에만
서십시오, ●

사다리가 기울어지지 않도록 고정


6 하지 않으면 사다리를 측면에서 ● ● ● ●
오르거나 내리지 마십시오.
7 깨끗하고 미끄러지지 않는 작업화를
착용하십시오. ● ● ● ●

8 사다리에 전선이 닿지 않도록


하십시오. ● ● ● ●

한 사람이 동시에 각 측면에서


9 사용하도록 설계되었습니다. 각 ● ●
측면의 작업하중을 초과하지 마십시오.
10 사다리의 어떤 부분에도 앉지
마십시오 ● ●

11 확장 구역에는 한 사람만 허용
됩니다. ●

12 연장 섹션 사용 시 안정성을 위하여
guy lines을 부착하십시오. ●

13 몸을 버팀대 사이 중앙에 위치 ● ●

14 단단한 바닥에 사다리를 고정하십시오 ● ●

15 두 개의 디딤대 위에 서 있지
마십시오 ● ●

16 상단 경첩을 고정하십시오, ●
17 벌어짐 방지기구를 확인 하십시오 ●
18 옆으로 밀거나 당기는 경우 주의 ●
19 모든 경첩 및 잠금 탭 확인 `●
II. 이동식 사다리 관련 선행연구 고찰 ‥‥ 58

<표 2-20> 비자립형 사다리 설치 및 사용


Articulated
No. 내용 Single & Extension &
Stepladder Extension Trestle Trestle Combination Platform Articulated
Extendable
1 사다리에 전선이 닿지 않도록
하십시오, ● ● ●

사다리를 원상태로 만든 후
2 들어 올리거나 이동하도록 ● ● ●

합니다.
3 지상에만 사다리를 올리고
내립니다 ● ● ●

4 단단하고 평평한 표면에


사다리를 설치하십시오, ● ● ●

5 움직임이 없도록 미끄러운 표면


에서 사용하지 마십시오, ● ● ●

상단 또는 지붕에 접근하려면
ㆍ상단지지대 위로 약 3ft 연장 ● ● ●
6 ㆍ최대로 움직임 억제 ● ●

ㆍ안전한 힌지 and/or 잠금 탭 ●

75도 각도 설정
ㆍ사다리 버팀대에 발을 놓음 ● ● ●

7 ㆍ직립 ● ● ●

ㆍ어깨 높이에서 사다리의 버


팀대를 잡고 각도 조정 ● ● ●
II. 이동식 사다리 관련 선행연구 고찰 ‥‥ 59

4) 유럽

BS EN 131 시리즈는 유럽연합집합위원회(European Commission)와 유럽자유


무역연합체(European Free Trade Association)가 유럽표준화위원회(CEN :
European Committee for Standardization)에 위임하여 작성된 것이다.
각 시리즈별로 용어, 기능, 요구사항, 시험, 표시, 사용자 지침 및 사다리
종류별 요구사항을 규정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BS EN 131-1, 3(2018)을
중심으로 사다리의 종류 및 요구사항을 정리하고자 한다.
<표 2-21>은 사다리의 종류별 개념이며, <그림 2-11>은 종류별 도해를
정리한 것이다.
<표 2-21> BS EN 131의 사다리 종류

유형 개념
ladder ㆍ올라가거나 내려갈 수 있는 발판 또는 디딤대를
포함하는 장치
portable ladder
ㆍ손으로 운반 및 설치가 가능한 사다리
mobile ladderㆍ모바일 지원으로 각 운영 장소로 가져 오는 사다리
One-piece
leaning rung ㆍ한 부분으로만 구성된 기대는 사다리
leaning ladders
rung Sectional ㆍ연결 장치를 통해 함께 장착할 수 있는 몇 개의
ladder ladders 섹션으로 구성된 경사 사다리
extendi push-u
ng p ㆍ상부가 손으로 연장되는 신축형 사다리
ladder
II. 이동식 사다리 관련 선행연구 고찰 ‥‥ 60

rope- ㆍ로프나 체인, 스트랩 또는 케이블과 같은 다른 방법


operate 으로 상부가 연장되는 신축형 사다리
d
standing rung ladder ㆍ일방적으로 또는 양방향으로 상승할 수 있는 투피스
자체 지지 rung ladder
combi- Two-piece ㆍ여러 부분의 가로대 사다리, 신축형 사다리, 보통
사다리 또는 상단에 신축형 사다리가 있는 사다리로
nation
ladder Three-piece 사용할가능
수 있으며, 일부는 One-piece leaning로 사용
leaning step ㆍ하나 또는 여러 부분으로 구성된 자체 지지대가
ladder 없는 계단식 사다리
ㆍ일방향 또는 양방향으로 상승할 수 있는 두 개의 다리로
step standing step 자체 지지가 가능한 계단식 사다리, 플랫폼이 있거나
ladder ladder 없으며 손/무릎 레일이 있거나 없으며 플랫폼은
발판으로 간주됨
standing rung
and step ㆍ버팀대 섹션과 발판 섹션으로 구성된 스탠딩 사다리
ladder
II. 이동식 사다리 관련 선행연구 고찰 ‥‥ 61

One-piece leaning rung push-up rope-operated


Sectional ladders
ladders extending ladder

Two-piece combination Three-piece combination


standing rung ladder ladder ladder leaning step ladder
combination ladder

standing step ladder

<그림 2-11> BS EN 131 사다리 유형별 도해

(1) 사다리 점검사항


사다리 점검사항은 다음과 같으며, 점검 중 하나라도 완전히 만족하지 못한
다면 사다리 사용을 금지해야 한다. 또한, 특수 사다리의 경우 제조업체가 식별한
추가 항목을 고려해야 한다.
가. 발판 및 버팀대 형태가 변형되었거나 부식되었는지 확인
II. 이동식 사다리 관련 선행연구 고찰 ‥‥ 62

나. 고정 장치 (일반적으로 리벳, 나사 또는 볼트)가 없거나 느슨하거나 부식


되었는지 확인
다. 디딤대 및 발판의 누락, 헐거움, 과도한 마모, 부식 또는 손상 여부 확인
라. 전면과 후면 사이 경첩의 손상, 조임상태, 부식여부 확인
마. 잠금 장치가 수평으로 유지되고 후면 레일과 코너 브레이스 누락, 구부러
짐, 조임상태, 부식 및 손상여부 확인
바. 사다리 미끄러짐 방지기구 / 엔드 캡이 없거나 느슨하거나 과도하게 마
모되거나 부식되거나 손상되지 않았는지 점검
사. 사다리 전체에 오염 물질 (예 : 먼지, 진흙, 페인트, 기름 또는 그리스)
유무 확인
아. 잠금 장치가 장착 된 경우, 손상되거나 부식되지 않고 올바르게 작동하는지
점검
차. 플랫폼이 장착 된 경우, 누락 된 부품이나 고정 장치 탈락 유무, 손상 및
부식여부 확인
사다리 결함에 대한 수리는 유자격자(제조업체의 교육에 의해 수행 능력을
가진 자)가 수행해야 하며 제조업체의 지시를 따르도록 한다. 부품 수리 및
교체 시에는 필요한 경우, 제조업체 문의하도록 한다.
(2) 사다리 안전표시 최소 기본 요구사항
사다리 설치 사용상의 유의사항은 다른 표준과 내용에는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항목별로 symbol을 표기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이해도를
높인다는 측면에서 차이점을 찾을 수 있다.
Symbol은 <그림 2-12>와 같이 ISO의 규정을 따르도록 하며 형식에 따라
각각의 의미를 가지고 있다.
II. 이동식 사다리 관련 선행연구 고찰 ‥‥ 63

<그림 2-12> ISO 3864-1에 의한 기본 안전표지

Symbol 표기의 목적은 사다리로 인한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사다리 사용자


에게 필요한 것과 사다리의 안전한 사용을 위해 허용되지 않는 것에 대해 사용자
에게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필요함"은 녹색의 √로 표시되고 "허용되지 않음"은
빨간색 ×로 표시된다.
<표 2-22>는 앞서 사다리로 인한 사고원인에 기초하여 사다리에 공통적으로
적용되는 대한 안전표지 및 최소 기본 요구사항을 정리한 것으로 점검, 설치,
사용에 관한 사항을 포함하고 있다.
<표 2-23>, <표 2-24>은 각각 leaning ladders와 standing ladders의 요구
사항을 정리한 것이다.
II. 이동식 사다리 관련 선행연구 고찰 ‥‥ 64

<표 2-22> 사다리에 대한 안전표시 및 최소 기본 요구사항 (공통)


No. Item/Text symbol
1 ㆍ경고, 추락에 주의하십시오.

2 ㆍ사용설명서 및 브로슈어 등을 참고 하십시오


ㆍ사용 전 사다리 손상 여부 및 사용하기에
3 안전한지 확인 하십시오.
ㆍ손상된 사다리를 사용하지 마십시오.
4 ㆍ 최대 하중을 확인하십시오.

5 ㆍ수평이 맞지 않거나 연약한 바닥에서


사다리를 사용하지 마십시오.
6 ㆍ무리하고 과도한 행동을 삼가하십시오.

7 ㆍ오염된 땅에 사다리를 설치하지 마십시오.

8 ㆍ최대 사용자(1명)를 준수하십시오.

9 ㆍ사다리를 등지고 승하강하지 마십시오.


II. 이동식 사다리 관련 선행연구 고찰 ‥‥ 65

No. Item/Text symbol


ㆍ승하강 시 사다리를 단단히 잡으십시오.
10 ㆍ사다리에서 작업하는 동안 손잡을 곳을 유지하거나
불가능한 경우 추가 안전 예방조치를 취하십시오.
11 ㆍ사다리 옆으로 하중을 가하는 작업을 삼가십시오
(예 : 측면 드릴링 등)
12 ㆍ사다리를 사용하는 동안 무겁거나 다루기 어려운
장비를 운반하지 마십시오.
13 ㆍ사다리 승하강시 부적합한 신발을 착용하지 마십시오.
ㆍ몸에 무리가 있을 경우에는 사다리를 사용하지
마십시오.
14 ㆍ약물, 알코올 투여 시 사다리 사용이 안전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ㆍ경고, 전기 위험 작업 구역에서 가공선 또는
기타 노출된 전기 장비와 같은 전기 위험을 식별
15 하고 전기 위험이 발생 할 경우 사다리를 사용
하지 마십시오.
16 ㆍ사다리를 다리로 사용하지 마십시오.

17 ㆍ스태빌라이저를 사용 전 사다리에 고정해야하는


경우에는 사용자 지침을 확인하십시오.
II. 이동식 사다리 관련 선행연구 고찰 ‥‥ 66

No. Item/Text symbol


18 ㆍ가정용 사다리
19 ㆍ산업용(전문가용)
20 ㆍ정기적인 휴식없이 장시간 사다리에서 작업하지
마십시오.
21 ㆍ운반 시 사다리 손상을 방지하십시오.
22 ㆍ사다리가 해당 작업에 적합한지 확인하십시오.
23 ㆍ오염(예: 젖은 페인트, 진흙, 기름 또는 눈 등)된
사다리를 사용하지 마십시오.
24 ㆍ 악천후에는 사다리를 외부에서 사용하지 마십시오.
25 ㆍ전문적인 사용을 위해서는 사용 국가의 법률에
따라 위험 평가를 수행해야 합니다.
ㆍ사다리 설치 시 사다리와의 충돌 위험을 고려
26 하십시오.
ㆍ출입구 근처에서 사다리 작업 시에는 반드시
문을 고정하십시오.
27 ㆍ불가피한 전기 작업 시에는 비전도성 사다리를
사용하십시오.
28 ㆍ사다리 디자인을 수정하지 마십시오.
29 ㆍ 사다리 위에 있는 동안 사다리를 움직이지
마십시오.
30 ㆍ실외 사용 시 바람에 주의하십시오.
II. 이동식 사다리 관련 선행연구 고찰 ‥‥ 67

<표 2-23> 사다리에 대한 안전표시 및 최소 기본 요구사항


(leaning ladders)
Item/Text symbol
ㆍ사다리는 올바른 각도로 사용하십시오.

ㆍ계단이 수평으로 놓여있는 계단이 있는 사다리를


사용해야합니다.

ㆍ더 높은 레벨에 접근하기 위해 사용되는 사다리는


상단 지지점 위로 1m 이상 연장되고 필요한 경우
고정되어야합니다.

ㆍ사다리 설계로 인해 필요한 경우에만 지시 된 방


향으로 사다리를 사용하십시오.

ㆍ부적합한 표면에 사다리를 기대지 마십시오.


ㆍ사다리 최상단에서 움직이지 마십시오.
ㆍ사다리 상단 3개의 디딤대 위에 서 있지 마십시오.
II. 이동식 사다리 관련 선행연구 고찰 ‥‥ 68

<표 2-24> 사다리에 대한 안전표시 및 최소 기본 요구사항


(standing ladders)
Item/Text symbol
ㆍ사다리의 측면을 다른 표면으로 밟지 마십시오.

ㆍ사용하기 전에 사다리를 완전히 여십시오.

ㆍ구속 장치를 연결한 상태에서 사다리를 사용하십시오.


ㆍ사다리를 완전히 펴지 않고 접은 상태로 사용해서는
안됩니다.

ㆍ발붙임 사다리의 2단 디딤대에 서 있지 마십시오.

ㆍ발붙임 사다리 해당 표면에 명확하게 표시되어야 합니


다. (사다리 설계로 인해 필요한 경우에만)

본 장에서 국내외 이동식 사다리 표준을 살펴 본 결과, 한국과 일본은 기준을


특별한 분류체계 없이 나열하는 방식으로 내용과 형식이 매우 유사하였으며,
내용면에서도 다른 국가에 비해 포괄적으로 서술하고 있다.
그에 비해 미국은 매우 구체적으로 준수사항을 명시하고 있다.
사다리 종류별, 설치 특성별(자립형 vs. 비자립형) 및 작업 단계별로 “해야
II. 이동식 사다리 관련 선행연구 고찰 ‥‥ 69

할 것”과 “하지 말아야 할 것”에 대한 기준을 명확히 제시함으로써 재해예방에


기여하는 측면이 있다 판단된다.
또한, 각각의 표준을 대신할 수 있을 정도의 라벨을 제작하여 사다리에 마킹
하도록 함으로써 사다리 점검, 설치, 사용 등에 있어 유용성을 높이고 있었다.
유럽은 미국의 방식과 유사하며 특히 기준별 symbol을 통하여 이해도를
높이는 방식을 취하고 있다. 국내에도 이러한 Symbol을 사용하고는 있으나
그 개수가 해외와 비교해 볼 때 부족한 실정이다. 국내의 경우에도 보다 강화
된 규정을 통해 현장의 안전표지 의무화를 확대할 필요가 있다.
<표 2-25> 국내외 이동식 사다리 표준 비교분석
국가 비교분석
- 기준을 특별한 분류체계 없이 나열하는 방식으로 내용과
한국, 일본 형식이 매우 유사
- 내용면에서도 다른 국가에 비해 포괄적으로 서술
- 매우 구체적으로 준수사항을 명시
- 사다리 종류별, 설치 특성별(자립형 vs. 비자립형) 및 작업
단계별로 “해야 할 것”과 “하지 말아야 할 것”에 대한
미국 기준을 명확히 제시
- 표준을 대신할 수 있을 정도의 라벨을 제작하여 사다리에
마킹하도록 함으로써 사다리 점검, 설치, 사용 등에 있어
유용성을 높이
유럽 - 미국의 방식과 유사
- 기준별 symbol을 통하여 이해도를 높이는 방식
본 절의 조사결과는 Ⅴ장 1절의 해외분석 사례와 접목하여 이동식 사다리
단계별 준수사항을 도출하여 안전모델 제안 시 활용하고자 한다.
II. 이동식 사다리 관련 선행연구 고찰 ‥‥ 70

3. 국내 사다리 관련 제도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고용노동부령 제251호 일부개정 2019.04.19.)


에서는 제24조 사다리식 통로 등의 구조와 제67조 말비계가 본 과제에 해당되
는 법령이다.
제3장 통로
제24조(사다리식 통로 등의 구조)
① 사업주는 사다리식 통로 등을 설치하는 경우 다음 각 호의 사항을 준수
하여야 한다.
1. 견고한 구조로 할 것
2. 심한 손상·부식 등이 없는 재료를 사용할 것
3. 발판의 간격은 일정하게 할 것
4. 발판과 벽과의 사이는 15센티미터 이상의 간격을 유지할 것
5. 폭은 30센티미터 이상으로 할 것
6. 사다리가 넘어지거나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조치를 할 것
7. 사다리의 상단은 걸쳐놓은 지점으로부터 60센티미터 이상 올라가도록 할 것
8. 사다리식 통로의 길이가 10미터 이상인 경우에는 5미터 이내마다 계단참을
설치할 것
9. 사다리식 통로의 기울기는 75도 이하로 할 것. 다만, 고정식 사다리식
통로의 기울기는 90도 이하로 하고, 그 높이가 7미터 이상인 경우에는 바닥
으로부터 높이가 2.5미터 되는 지점부터 등받이울을 설치할 것
10. 접이식 사다리 기둥은 사용 시 접혀지거나 펼쳐지지 않도록 철물 등을
사용하여 견고하게 조치할 것
② 잠함(潛函) 내 사다리식 통로와 건조·수리 중인 선박의 구명줄이 설치된
사다리식 통로(건조·수리작업을 위하여 임시로 설치한 사다리식 통로는
제외한다)에 대해서는 제1항제5호부터 제10호까지의 규정을 적용하지 아니
한다.
II. 이동식 사다리 관련 선행연구 고찰 ‥‥ 71

제7장 비계
제5절 말비계 및 이동식비계
제67조(말비계)
사업주는 말비계를 조립하여 사용하는 경우에 다음 각 호의 사항을 준수하
여야 한다.
1. 지주부재(支柱部材)의 하단에는 미끄럼 방지장치를 하고, 근로자가 양측
끝부분에 올라서서 작업하지 않도록 할 것
2. 지주부재와 수평면의 기울기를 75도 이하로 하고, 지주부재와 지주부재
사이를 고정시키는 보조부재를 설치할 것
3. 말비계의 높이가 2미터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작업발판의 폭을 40센티미터
이상으로 할 것
상기의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에 의거하여 사다리는 통로로 규정되
어져 있으며 작업발판으로 사용되어질 수 없는 법적 근거를 제시하고 있다.
(3) 정부 사다리 관련 사망사고 예방 추진배경
1. 2018년 12월 : 사망사고 감축 안전보건 거버넌스 간담회 개최 (고용노동부)
◦ 핵심내용 : 사고사망자 절반감축을 위한 이동식 사다리에 의한 사망사고 예방
- 사다리관련 기존 안전 작업방법을 수정 또는 삭제, 현장 관리·감독, 법령
강화 필요성 인식
2. 2019년 1월 : 이동식 사다리 작업발판 용도로 사용 전면금지 공고(고용노동부)
◦ 현장노동자 및 산업종사자들의 반발
- 청와대 청원게시판 2건, 언론사설 및 협회지 기고 등에서 다양한 여론
3. 2019년 2월 : KOSHA GUIDE (C-58-2012) 사다리 안전보건작업 지침 폐지
(안전보건공단)
◦ 2019년 2월25일 관련지침 폐지 : 제1차 건설안전분야 안전보건기술지침
기준제정위원회에서 폐지에 대한 심의·의결이 통과
4. 2019년 3월 : 이동식 사다리 안전작업지침 개선방안 게시(고용노동부)
◦ 일부 이동식 사다리 예외기준 제시
- ⌜산업안전보건업무담당 근로감독관 집무규정⌟에 따라 조치
II. 이동식 사다리 관련 선행연구 고찰 ‥‥ 72

①「사고사망자 절반감축을 위한 이동식 사다리에 의한 사망사고 예방」간담회 개최


2018년 12월 18일 고용노동부 산재사망사고감축TF 주관으로 ‘사망사고 감축
안전보건 거버넌스 간담회’를 개최하였으며, ▲전체 업종 이동식 사다리에 의한
사망사고 예방대책 시행 ▲올바른 이동식 사다리 사용과 적합한 안전발판 사용
유도를 촉구하였다.
② 고용노동부 사다리 및 말비계 관련 질의회신
가. 법령 적용 개요
최근 10년간 사다리로 인하여 38,859명이 다치고, [27,739명(재해자의 71%)이
중상해]근로자 317명이 사망하여 소중한 생명을 잃었다. 이에 그 동안 관행적
으로 묵인 되었던 사다리를 작업발판 용도로 사용하는 경우, 2019년부터 고용
노동부에서는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5천만원 이하의 벌금형 등 형사 처벌을
강력하게 시행할 것을 천명하였다. 사망사고 발생 시 7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억원 이하의 벌금형에 처한다.
사다리는 지게차와 함께 사망사고 1위의 기인물이지만만 가격이 저렴하고
이동이 편하다는 이유 등으로, 사업장에서 작업발판으로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이에 2019년 1월부터 사다리를 작업발판으로 사용할 경우,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5천만원 이하의 벌금형이라는 형사처벌을 받게 된다. 특히, 사망사고가
발생할 경우에는 7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억원 이하의 벌금형에 처해진다. 이와
관련하여 사다리형 작업발판, 말비계 등 작업발판에 대해 반드시 알아두어야
할 사항들을 제시하고 있다.
나. 사다리 작업 시 주의사항
○ 난간 설치와 무관하게 반드시 안전대 착용
II. 이동식 사다리 관련 선행연구 고찰 ‥‥ 73

○ 안전대 부착설비는 말비계가 아닌 다른 구조물에 안전대 부착설비를


설치하여 비계 전도 시에도 추락재해 예방
○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67조 제2호의 지주부재와 수평면의
기울기가 75도 이하 여부 확인 필요
○ 사다리 디딤대 위에서 이동을 멈추지 않는 범위에서 점검 등의 행위를
한다면 사다리를 이용한 업무가 가능할 것이나, 이동을 멈춘 상태에서
행하는 업무는 작업발판을 이용
○ 말비계나 사다리의 S마크 안전인증은 임의 안전인증 기준으로 법적 강제
사항이나 의무사항이 아님
○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의 안전인증 S마크를 받은 사다리형 작업발판에 설
치되어 있는 난간은 산업안전보건법에 의한 안전난간에 해당되지 않음
(작업자는 반드시 안전대를 착용하고 안전대 부착설비에 안전대를 걸고 작업)
○ 사업주는 사다리 대신 (이동식)틀비계나 말비계 같은 안전한 작업발판을
사용토록 조치하여야 함
○ 작업자는 안전모를 착용하고, 안전대를 안전대 부착설비에 걸고 작업해야 함
③ KOSHA GUIDE(C-58-2012) 사다리 안전보건작업 지침
2019년 2월 25일 제1차 건설안전분야 안전보건기술지침 기준제정위원회에서
폐지에 대한 심의·의결이 통과되어 폐지되었다.
II. 이동식 사다리 관련 선행연구 고찰 ‥‥ 74

④ 이동식 사다리 안전작업지침 개선방안(2019.03.18. 고용노동부)


가. 공통사항
보통사다리(일자형 사다리), 신축형 사다리, 일자형으로 펼쳐지는 발붙임 겸용
사다리(A형)는 오르내리는 이동통로로만 사용이 가능하며, 모든 사다리 작업 시
안전모를 착용하여야 한다.
나. 발붙임 사다리(A형, 조경용)
평탄·견고하고 미끄럼이 없는 바닥에 설치하여야 하며, 경작업*, 고소작업대·
비계 등 설치가 어려운 협소한 장소에서 사용하여야 한다.
[* : 손 또는 팔을 가볍게 사용하는 작업으로서 전구교체 작업, 전기·통신 작업,
평탄한 곳의 조경작업 등]
사다리 작업높이가 1.2m 이상 ~ 2m 미만인 경우에는 2인 1조로 작업하고,
최상부 발판에서는 작업을 해서는 안 된다.
사다리 작업높이가 2m 이상 ~ 3.5m 이하인 경우 2인 1조 작업하고, 안전대를
착용하여야 하며, 최상부 및 그 하단 디딤대에서는 작업을 할 수 없다.
사다리 최대길이가 3.5m 초과한 경우에는 작업발판으로 사용할 수 없다.
다. 조치기준
a. 보통 사다리(일자형), 신축형 사다리 등을 작업발판으로 사용
b. 발붙임 사다리(A형, 조경용) 안전작업지침 미준수
c. 모든 사다리에서 안전모를 착용하지 않고 작업 시에는
- 「산업안전보건업무담당 근로감독관 집무규정」에 따라 조치
(3개월간 계도기간 운영, ‘19.07.01.부터 조치)
II. 이동식 사다리 관련 선행연구 고찰 ‥‥ 75

⑤ 국가기술표준원 공고 제2019 - 0175호 (2019. 06. 18)


「전기용품 및 생활용품 안전관리법」제23조제3항에 따른 공급자적합성확인
대상 생활용품(휴대용 사다리)의 안전기준을 개정함에 있어 그 개정 취지와 개
정 내용을 업계 및 국민에게 미리 알려 의견을 듣고자 행정절차법 제46조의 규
정에 따라 다음과 같이 공고(행정 예고)하였다.
가. 개정 취지
휴대용 사다리의 안전기준 적용범위를 가정용으로 제한하고, 크기와 성능을
국제기준에 맞게 조정하며, 소비 동향을 반영하여 스텝 스툴에 대한 안전기준
을 신설하려는 것이다.
나. 주요 내용
가정용 휴대용 사다리를 산업용 및 건설현장에서 사용하다가 안전사고가 발
생하는 사례가 있어, 휴대용 사다리의 안전기준 적용범위를 가정용으로 명시한다.
국제기준을 반영하여 휴대용 사다리의 재질, 크기 및 성능시험 기준을 개정
하며, 소형화, 경량화 되고 있는 가정용 사다리의 소비 동향을 반영하여 스텝
스툴에 대한 안전기준을 신설하고자 한다.
II. 이동식 사다리 관련 선행연구 고찰 ‥‥ 76

4. 소결

이상과 같이, 선행연구, 국내외 규정, 고용노동부 관련 TF추진경과 등을 고


려한 결과 다음과 같은 주요내용을 파악하고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그림 2-13> 문헌 및 제도고찰의 시사점

1) 국내외 선행연구 및 문헌조사 분석 시사점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기존 연구사례를 토대로 연구방향과 연구방법을 모색
하였으며 업종별, 공종별 재해양상분석을 통한 특성군 분석의 필요성, 사망 뿐
아니라 부상재해를 동시에 분석하여야 하는 필요성, 사다리 관련 규정과 제도의
개선방향과 작업의 개선 모델의 발굴 등의 필요성을 인식하였다.
II. 이동식 사다리 관련 선행연구 고찰 ‥‥ 77

2) 국내외 안전기준 및 매뉴얼 분석 시사점


국내 관련 규정은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고용노동부령 제251호 일부
개정 2019.04.19.)에서는 제24조 사다리식 통로 등의 구조와 제67조 말비계가
본 과제에 해당되는 법령으로, 사다리의 작업발판 사용은 원칙적으로 사용이
불가하다.
따라서, 관련 부속규정과 KOSHA GUIDE도 폐지와 조정이 되었으나, 현실적
으로 사용금지/제어를 유일한 재해저감 방법으로 보기 보다는 재해유발요인에
대한 지속적 교육과 매뉴얼 제공 등을 통한 인식도 개선 등의 방법을 병행하여
현장 눈높이에 맞는 사다리 정책 및 작업모델의 발굴이 필요함을 파악하였다.
해외 관련 규정은 현재 폐지된 KOSHA Guide와 크게 다를 바 없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사다리를 통로로 규제하고 있지 않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사다리 종류별
작업 시 작업자세 등 사다리의 안전을 위한 작업자의 자세에 대한 지침을 제공
하고 있다.
사다리 사용 시 안전에 대한 교육 또는 홍보를 통해 보호구 착용, 사다리 고정
등을 당연 시 여기는 인식개선을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다.
사다리 높이에 대한 제한보다는 무게에 대한 제한이 많고, 기본적으로 사다리의
지지 및 고정에 관심이 많은 것으로 조사되어 사다리 관련 안전사고에 대한
접근방식이 국내와 다른 것으로 판단된다.
3) 정부 이동식 사다리 및 추락 관련 재해예방 추진과정에 대한 고찰
사다리 관련 원칙과 KOSHA GUIDE의 폐지 등의 사용금지에 대한 과정과
이에 따른 작업자들의 국민청원 등으로 나타난 한계점 등을 고려하여 본 연구
에서는 이동식 사다리에 대한 재해 특성군 분석을 이행, 재해양상을 파악하여
파악된 위험요인의 인식제고방법과 안전매뉴얼 등을 고찰하여 현장 눈높이에
II. 이동식 사다리 관련 선행연구 고찰 ‥‥ 78

맞는 이동식 사다리 정책 및 작업모델의 발굴이 필요함을 파악하였다. 다음은


정부의 추진정책 방향을 정리한 것이다.
<표 2-26> 정부 정책방향 기본요지
기본 종류 사용금지 예외 기준 준수사항
방향 여부
보통 ① 이동 시 사용가능 안전모 및 안전대
(일자형)
사다리 사용금지 업무
신축형 ② 업무 시 사용금지
사다리 사다리 멈춤
사용 ① 높이 3.5m 초과 사용금지
금지 경작업/비계 높이 2인1조 및 안전모
A형 ② 일부 고소작업대 및 2m 미만
사다리 허용 설치 3.5m높이미만 안전모2인1조,
및 안전대
불가 장소
말비계 지주부재 + 지주부재 안쪽 유 말비계로 간주
구분 발판하부 지지수평강재 유무 무 사다리로 간주
말비계 사용 높이 2m 이상 안전난간 있는 안전난간 설치
고소 가능 안전설비 이용 불가능 시
작업대 안전대 설치
이동식 사다리 관련 선행연구 고찰 결과 정부의 지침과 국내 안전기준은
해외의 안전기준과 접근 방법에 차이가 있다.
결론적으로 국내는 법적 규제 및 이동식 사다리 제품의 안전성에 초점이 맞
추어져 있다면 해외는 이동식 사다리 사용방법과 작업자의 안전규준 수행 관
리에 많은 관심을 보이고 있다.
또한 이동식 사다리와 말비계는 명확히 구분되어 사용될 필요가 있다.
Ⅲ. 이동식 사다리 실태조사 ‥‥ 79

Ⅲ. 이동식 사다리 실태조사


1. 국내 제품 사용실태

1) 말비계 및 이동식 비계
정부에서는 이동식 사다리의 대안으로 다음과 같은 말비계 및 이동식 비계를
제시하고 있다.

<그림 3-1> 이동식 사다리 대안 사례

A형 사다리 대체품으로 제시되나, 설치 및 해체를 위한 시간·인력 필요 등


아래와 같은 한계점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l 설치 시 2~3명 인원 필요 *2019 전반기 기준 대한건설협회 개별직종 노임
단가 비계공 일일단가 22.4만원
l 설치/해체 시 안전사고 발생 가능성 있음
l 비계 자재 적재 및 운반 시 추가 인원 필요
l 높낮이 조절이 어려움
Ⅲ. 이동식 사다리 실태조사 ‥‥ 80

2) 안전작업대 제품

무동력 리프트 비고
• 안전고리 고정장치
• 작업 시 자동 정지 시스템 가동
• 응급상황 시 자동하강장치 작동가능
• 가벼워서픽업트럭으로 자체 이동 가능
• 국내 유사제품 대비 절반 규모 무게
• 최대작업높이가 4.5m, 3.5m로 건축물의
천장고에 따라 제품선택 가능
수직형 고소작업대(Scissor Type) 비고
• 작업높이: 6M ~ 18M
• 조작이 간단
• 배터리 타입의 경우 매연과 소음이
적어 실내작업에 적합
• 디젤 엔진 타입의 경우 강력한 출력
으로 적재중량이 높음
• 공구 및 자재를 작업대 위 적재 가능
직진형 고소작업대(Boom Type) 비고
• 작업높이: 15M ~ 43M
• 최고의 작업높이
• 건물 외벽 및 철골작업 분야 활용성
높음
• 높은 곳에서의 작업을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음
• 작업대의 미세 위치조정이 작업대
위에서 가능
Ⅲ. 이동식 사다리 실태조사 ‥‥ 81

굴절형 고소작업대 비고
(Articulating Type)
• 작업높이: 12M ~ 40M
• 복잡한 장애물 또는 구조물로 인
한 어려운 장소에 적합
• 몸체 및 상부 작업대가 회전함으로써
별도 장비 이동 없이 넓은 반경
작업 가능
• 장소가 협소한 경우 작업반경을
최소화하여 작업효율 극대화 가능
실내형 고소작업대 비고
(Spider Boom Lift)
• 작업 높이: 12M ~ 50M
• 작업 폭: 6M ~ 17M
• 최대적재하중: 120 ~ 400kg
• 폭이 좁아(0.8M ~ 1.6M) 건물 내
진입 및 작업 가능
• 경사면/계단 위에서 작업 가능
(최대경사 35%)
• 작업대가 180도 회전하며 정밀한
위치조정 가능
Ⅲ. 이동식 사다리 실태조사 ‥‥ 82

3) 국내 업체별 이동식 사다리 제품

① A업체 사다리(안전난간용 우마사다리)

② B업체 사다리(각종 사다리)

③ C업체 사다리(각종 사다리)


Ⅲ. 이동식 사다리 실태조사 ‥‥ 83

④ D업체 사다리(각종 사다리)

⑤ E업체 사다리(각종 사다리)


Ⅲ. 이동식 사다리 실태조사 ‥‥ 84

⑥ F업체 사다리(각종 사다리)

⑦ G업체 사다리(각종 사다리)


Ⅲ. 이동식 사다리 실태조사 ‥‥ 85

⑧ H업체 사다리(A/LS사다리)

⑨ I업체 사다리(사다리 대차)

⑩ J업체 사다리(능동형 사다리)


Ⅲ. 이동식 사다리 실태조사 ‥‥ 86

전반적인 국내 이동식 사다리 제품들은 정부의 이동식 사다리 개정안에


맞추어 제품을 개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업체별 제품들을 살펴보더라도
대다수 안전난간, 전도방지 지지대, 미끌림 방지대 등 정부 방침에 적합한 제품
들을 생산하는데 주력하는 것으로 보인다. 다만, 아쉬운 점은 해외사례처럼 안전
부속품을 개발 생산하는 데에는 관심이 전혀 없다는 것이다. 국내에도 미국의
ANSI처럼 안전부속품에 대한 기준 또는 가이드를 제시하여 이동식 사다리
자체에 대한 개발보다는 안전부속품을 기존의 이동식 사다리에 부착하여 사용
하는 등 다양한 방법의 제품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A형 사다리 제품의 경우 발판의 폭이 충분하지 않아 해외의 경우 기존
사다리 발판에 별도로 부착할 수 있는 넓은 발판이 제작·판매되고 있어 이러한
제품 개발에도 국내 사다리 생산업체의 관심도 필요하다.
현재까지는 국내 사다리 제품이 생산업체의 자발적인 개발에 의존하는 경향을
보여왔으나, 향후 정부의 적극적인 주도하에 안전한 이동식 사다리 제품과
사다리 발판에 대한 개발연구이 추진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Ⅲ. 이동식 사다리 실태조사 ‥‥ 87

2. 재해조사의견서 분석

1) 이동식 사다리 재해분류체계

2009년부터 2019년 2월까지의 이동식 사다리와 관련된 사망재해사고 280


건의 재해조사의견서를 분석하여, 이동식 사다리 작업높이의 안전작업기준(안)을
설정하는 데 있어 필요한 신뢰성 있는 근거를 마련하고 재해발생 업종, 원인,
경위 등을 조사하는 등 재해율 높은 이동식 사다리 종류, 업종, 사고 경위 등을
분석하여 이동식 사다리의 재해발생 추세를 파악하고자 한다.
(1) 재해분류체계
재해조사의견서를 분석하는데 있어 사망재해사고의 비교․분석 기준을
정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이동식 사다리 재해분류체계를 설정하였다.
재해조사의견서의 재해정보는 크게 6가지의 대분류로 설정하였다. 재해자의
업종, 경력, 재해발생 시 사고부위, 재해 발생 경위, 재해발생 시 사용했던 이동식
사다리형태 그리고 재해발생 시 추락높이를 중요한 분류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업종별 소분류에는 위생/서비스업, 도장업, 관리업, 철거업, 전기업, 조경업,
인테리어, 금속업, 통신업, 수리업, 설비업, 건설업, 기타 등 13개의 업종군으로
분류하였다. 이때 기타에는 청소업, 운수업, 제조업, 소매업 등을 포함하였다.
경력별 소분류에는 5개의 소분류로 나누었다. 일용직, 경력 5년 이하, 경력
5년에서 10년 미만, 경력 10년 이상, 모름으로 분류하였다.
사고부위별 소분류는 크게 확인 불가, 머리, 흉부 그리고 다수(복합) 원인의
4가지 유형으로 분류하였다.
사고 발생경위별 소분류는 크게 3가지로 분류하였는데, 작업자의 이동식
Ⅲ. 이동식 사다리 실태조사 ‥‥ 88

사다리위에서의 균형상실에 의한 추락사망, 이동식 사다리 자체의 넘어짐에


의한 추락사망, 고정식 사다리의 구조체 접합부위의 파괴로 인한 이탈로 추락
사망(사다리 이탈로 명시)으로 선정하였다.
이동식 사다리 형태별 소분류는 고정식 사다리, 일자형 사다리, 신축형 사다리,
A형 접이식 사다리, 이동식 발판사다리, 사다리차, 고소작업대의 7가지 군으로
분류하였다.
이동식 사다리 형태별 소분류는 고정식 사다리, 일자형 사다리, 신축형 사다리,
A형 접이식 사다리, 이동식 발판사다리, 사다리차, 고소작업대의 7가지 군으로
분류하였다.

<그림 3-2> 이동식 사다리 재해분류체계

이동식 사다리 높이별 소분류는 그 높이 범위를 2m 이하, 2~3.5m, 3.5m


이상으로 정하였다. 여기서 2m의 기준은 안전보건공단의 10년간 이동식 사다리에
의한 추락재해통계자료에 근거하고 있다. 이 통계 결과에는 2m 이상에서 가장
많은 재해사고가 발생되어짐을 확인할 수 있다.
Ⅲ. 이동식 사다리 실태조사 ‥‥ 89

이동식 사다리 높이 분류기준 중 하나인 3.5m는 현재 국내 이동식 사다리


높이의 의무안전인증 허가기준 최대 높이이기 때문에 이를 재해조사의견서
이동식 사다리 높이의 분류기준으로 결정하였다.

2) 이동식 사다리 재해양상 분석

(1) 업종별 재해발생 건수


문헌고찰 단계에서 조사한 내용은 작업내용별 분류로 조사되었으며 건설관련작
업 중 기계 및 설비설치와 해체작업이 전체의 절반 가까이 차지했으며, 기타 건설
관련 작업이 22% 정도의 재해율을 보이고 있었다.
재해조사의견서의 분석에서는 업종별 재해조사로서 건설업, 설비업, 관리업,
도장업, 위생/서비스업, 전기업, 조경업, 인테리어, 철거 등으로 수행하였으며, 각
업종에 대해여 재해사다리 형태를 조사하는 것이 목적이다.
전체적으로 건설업과 설비업이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관리업, 도장업,
위생/서비스업, 전기업, 통신업이 유사한 비율을 보이고 있다.
Ⅲ. 이동식 사다리 실태조사 ‥‥ 90

<그림 3-3> 업종별 재해양상

<그림 3-4> 업종별 재해건수


Ⅲ. 이동식 사다리 실태조사 ‥‥ 91

건설업은 작업여건 상 A형 사다리에 의한 재해가 42건으로 가장 높았으며,


일자형 사다리 재해도 14건으로 높게 나타났다. 이는 건설업에서 A형 사다리의
사용빈도가 높을 수밖에 없으나 바닥 상태나 작업 부위 등이 A형 사다리를
비정상적으로 활용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으며, 또한 이러한 부위에 위험한 일자형
사다리를 활용하여 재해가 발생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림 3-5> 건설업 A형 사다리 사용실태


(출처 : 산업안전보건공단, 재해조사의견서)

특히, 건설업의 특성상 바닥의 상태가 고르지 않거나 평평하지 않을 가능성이


있어서 사다리차나 이동식 비계를 사용하였을 경우에도 재해가 발생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어서, 건설현장의 고소 부위 사다리 사용에 대한 대책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즉, 작업발판 설치가 곤란한 장소에서 이루어지는 작업이나 단기간 작업
에서 효율성을 고려한 무리한 이동식 사다리 작업에서 안전한 작업발판 설치와
이동식 사다리 작업에 대한 안전수칙 준수 및 안전대 걸이시설 설치 등 추가적인
안전관리를 실시하여야 한다.
Ⅲ. 이동식 사다리 실태조사 ‥‥ 92

<그림 3-6> 업종별 재해 사다리 유형(상대비중)

<그림 3-7> 일자형 사다리의 불가피한 사용 재해사례


Ⅲ. 이동식 사다리 실태조사 ‥‥ 93

<그림 3-8> 업종별 일자형 사다리 사용실태

① 업종별 재해자 사고부위


사다리 관련 재해에서 사고부위로 가장 빈도가 높은 것은 머리가 가장 높으며,
다음으로 복합사고에 따른 사고부위 파악이 불명확한 경우이다.
대부분 머리사고 가능성이 높으며, 관리업과 위생/서비스업, 수리업, 통신업은
머리관련 재해가 거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어서, 안전모나 안전대, 안전난간 등과
같은 보호장치의 설치가 필수적임을 알 수 있다.
건설업과 관리업, 통신업, 전기업 등은 전체재해 중 머리부분 부상에 의한 사망이
전체의 70% 이상의 원인을 보이고 있으며, 이는 사다리 작업의 재해저감을 위하여
머리보호가 가장 중요함을 보여주는 내용이다.
특히, 작업 환경상 사다리를 활용할 수밖에 없는 상황에서는 2인 1조로 작업을
시행하여 작업자의 안전 부주의를 예방하고 작업 안전성을 도와주는 조치가 필요함을
파악할 수 있다.
Ⅲ. 이동식 사다리 실태조사 ‥‥ 94

<그림 3-9> 업종별 재해 사고부위(상대비중)

<그림 3-10> 업종별 재해자 사고부위


Ⅲ. 이동식 사다리 실태조사 ‥‥ 95

② 업종별 재해경위
재해경위의 경우 대부분의 업종에서 균형상실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사다리에서 작업에 몰두할 경우 안전한 작업상태유지에 소홀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위험을 인식하지 못한 불균형상태를 초래하게 되어 재해가 발생되는
사례가 가장 많이 발생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사다리라는 도구가 작업대로서 활용되지 않아야 함을 보여주는 지표이
며, 간단한 조치를 위하여 사다리를 설치할 경우에도 사고예방을 위한 미끌림
방지대, 전도 방지대, 2일 1조 작업, 안전대 부착설비 활용 등 안전조치가 필요함을
알 수 있다.

<그림 3-11> 업종별 재해경위

③ 업종별 재해 사다리 높이
재해가 발생한 사다리 높이는 대부분이 3.5미터 이하에서 발생하였으며,
Ⅲ. 이동식 사다리 실태조사 ‥‥ 96

건설업과 설비업, 관리업의 경우는 2미터 이하에서도 사망재해가 30%이상


발생함을 알수 있다.
3.5미터 이상의 재해의 경우, 이러한 사다리재해에 대한 경각심과 인식도가
낮고, 제도적 장치 및 안전계도가 상대적으로 미흡하던 시기의 통계로 판단된다.
따라서, 2미터 미만의 사다리 사용에 있어서도 사망재해가 얼마든지 발생하고
있으므로, 2미터가 넘는 높이에서는 안전대나 안전난간 등과 같은 재해방지
조치가 필수적임을 알 수 있다.

<그림 3-12> 업종별 재해 사다리높이(상대비중)

일반적으로 건설업의 경우 층고가 2.5미터∼3미터 정도가 보통이므로 작업자의


키를 고려한다면 대부분 사다리를 딛고 있는 발의 위치가 2미터 미만에서 작업
이 수행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2미터 미만의 사다리에서도 사망재해가 발생
가능함을 보여주고 있다.
Ⅲ. 이동식 사다리 실태조사 ‥‥ 97

<그림 3-13> 업종별 재해 사다리높이

<그림 3-14> 3.5미터 이상 사다리 사용사례

건설현장에서 사다리를 활용하는 경우는 사다리나 고소작업대 등을 쓸 수


없는 열악한 환경인 경우가 많으므로, 이러한 불안전한 상태에서 사다리를
활용하는 것은 상당히 위험함을 알 수 있다.
Ⅲ. 이동식 사다리 실태조사 ‥‥ 98

④ 업종별 재해자 근무경력


재해자의 근무경력은 업종별로 다양하게 도출되고 있고, 수리업, 통신업,
조경업 등과 같이 특별한 양상을 보이지 않는 업종도 있다.
업종 전반적으로 고령의 경우 재해 발생율이 높게 나타나고, 5년 이하의 초급
기술자의 재해발생가능성이 높음을 보여주고 있고, 특히 일용직의 경우 대부분의
업종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그림 3-15> 업종별 재해자 근무경력

일용직의 경우 업무숙련도가 떨어질 수 있고, 특히 숙련공보다 보조공인


경우가 많아서 작업 미숙 및 경험부족으로 재해발생 가능성이 높을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Ⅲ. 이동식 사다리 실태조사 ‥‥ 99

(2) 사다리 형태별 재해양상 분석


① 사다리 형태별 사용업종
A형 사다리는 다른 사다리에 비하여 전반적으로 재해빈도가 높게 나오고
있으며 이는 운반이나 활용이 간단하여 업종별로 사용빈도와 사용가능성이
높음에 따른 결과로 사료된다. 건설업과 설비업에서 재해가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도출되었으며, 관리업과 도장업, 전기업의 재해사례도 전체 통계수에
비하여 높은 편이다.
특히 건설업의 경우 일자형, A형, 신축형 등 다양한 사다리를 필요에 따라
임의로 많이 사용하여 왔으며, 고정점이 안정되지 않고 평탄하지 않은 부분이
많아 다양한 사다리에 대하여 골고루 재해가 발생되었음을 파악하였다.

<그림 3-16> 사다리 형태별 사용업종


Ⅲ. 이동식 사다리 실태조사 ‥‥ 100

② 사다리 형태별 사고부위


사다리 형태에 따른 사고부위는 사다리의 유형과 상관없이 머리와 복합사고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형태와 사고부위는 특별한 상관성이 없음을 알 수 있다.

<그림 3-17> 사다리 형태별 사고부위

③ 사다리 형태별 재해경위


사다리 형태에 따른 재해경위는 사다리의 종류에 상관없이 균형상실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A형 사다리도 사다리 넘어짐에 의한 사고가 다른 사다리와 비슷한
비율로 나타나고 있어서, 관련재해조사의견서를 참조한 결과 대부분 A형 사다리를
활용한 작업이 어려운 곳에서 안전하지 않은 사용임을 파악하였다.
예를 들면, 계단에서 경사지게 사용하였거나, 벽에 A형사다리의 한쪽면을
기대어 사용하는 등 비정상적인 사용이 다수 확인되었다.
Ⅲ. 이동식 사다리 실태조사 ‥‥ 101

<그림 3-18> 사다리 형태별 재해경위

아울러, 고정식이나 사다리차의 경우, 특성상 사다리 넘어짐 사고는 없으며


사다리차의 경우, 안전난간이나 안전대 등의 조치를 하지 않고 사다리차에서
추락한 경우로 파악되었다.
④ 사다리 형태별 재해발생 높이
사다리 형태별 재해발생은 A형의 경우 2미터∼3.5미터 구간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고 다음으로 2미터 미만에서 높게 나타났다.
일자형과 고정식, 신축형은 모두 3.5미터 이상에서 재해발생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다음으로 2미터∼3.5미터, 2미터의 순서로 나타났다.
A형 사다리의 경우전체 업종에서 사용빈도가 가장 높아서, 전체재해의 85%가
3.5미터 미만에서 나타난 만큼, 다른 사다리에 비하여 낮은 높이의 재해율이
높게 나타났다. 이는 상대적으로 A형 사다리가 작업하기 편하고 안전하다고
Ⅲ. 이동식 사다리 실태조사 ‥‥ 102

여겨 안전인식이 높지 않은 이유로 판단된다.


특히 2미터 이하의 재해율이 전체의 30%가 넘게 나타나 다른 사다리가 10% 미만
으로 나타난 결과에 비하여 상당히 높은 재해율로 도출되었다. 따라서, 작업자가
방심할 수 있는 2미터 미만의 낮은 높이에서도 안전에 대한 대비와 인식개선이
이루어져야 함을 파악하였다.
일자형이나 신축형 등은 상대적으로 3.5미터 이상의 사다리에서 재해율이 높게
나타나 있으며, 이는 사다리에 대한 안전의식이 많이 낮은 시기에 안전관리가
되지 않는 상황에서의 재해로 판단되며, 이러한 고소의 사다리 작업은 최근에는
감소 추세로 판단된다.

<그림 3-19> 사다리 형태별 재해발생 높이


Ⅲ. 이동식 사다리 실태조사 ‥‥ 103

⑤ 사다리 형태별 재해자 근무 경력


A형 사다리로 인한 재해 중 일용직 근로자의 빈도가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10년 이상의 근로자의 빈도가 높았다.
업종별 재해 근무 경력 분포 상 건설업, 설비업, 도장업 순으로 일용직 재해
근로자가 많은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다른 업종에 비해 세 업종의 일용직
근로자 수가 많은 점, 해당 업종의 일용직 근로자의 경우, 작업 내용이 일정하지
않고, 자주 변경되기에 작업 숙련도가 떨어지는 점 때문에 나타나는 현상으로
볼 수 있다.

<그림 3-20> 사다리 형태별 재해자 근무경력


Ⅲ. 이동식 사다리 실태조사 ‥‥ 104

(3) 재해조사의견서 빅데이터 분석


① 개요
가. 대상 : 중대재해보고서 267이건 / 3640페이지
나. 사용 프로그램 : 파이썬 3.7
다. 불용어(빈도가 높지만 일반적 용어로 조사에서 의미가 없다고 생각되는 단어)
- 사다리, 재해, 병원, 사고, 작업, 현장, 추락, 위해, 공사, 발생, 번지, 미터,
정도, 사업, 건물, 건설, 산업, 소재, 상가 등 31건 제외
- 글자수가 한글자로 이루어진 단어들
라. 워드클라우드 - 빈도수가 높은 상위 50개의 키워드 추출하여 작성
마. 방법 : 한글 형태소 분석 추출 후 빈도측정
② 결과
가. 사다리, 추락을 포함한 상위 25단어

<그림 3-21> 재해조사의견서 용어노출 빈도수(사다리, 추락 포함)


Ⅲ. 이동식 사다리 실태조사 ‥‥ 105

('사다리', 62101),('추락', 11284),('높이', 9173),('바닥', 8095),


('설치', 6284),('골절', 5054),('타고', 4549),('이용', 4377),
('신축', 3849),('오전', 3281),('낙상', 3138),('오후', 3044),
('왼쪽', 2802),('다리', 2779),('배관', 2559),('지하', 2554),
('천정', 2491),('공장', 2398),('오른쪽', 2343),('본인', 2336),
('부분', 2289),('청소', 2272),('창고', 2248),('교체', 2179),('부상', 2129),
사다리와 관련한 추락재해 재해조사 보고서인 만큼, 사다리와 추락이라는 용
어가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는 것은 당연하므로 267건의 중대재해보고서 중
사다리의 빈도는 총 62101건으로 나타났고, 추락은 11294건으로 다른 용어에
비하여 큰 차이를 보였다.

<그림 3-22> 워드클라우드 (사다리, 추락 포함)

<그림 3-22>에서 볼 수 있듯이, 사다리의 비중이 상대적으로 너무 크게 차


Ⅲ. 이동식 사다리 실태조사 ‥‥ 106

이가 나서 다른 용어의 빈도비교가 곤란한 단점이 있다.


따라서, 사다리의 추락재해에 대한 보고서 이므로 ‘사다리’와 ‘추락’의 두 단
어를 제외하고 결과를 다시 도출하였으며,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나. 사다리와 추락을 제외한 상위 25단어

<그림 3-23> 재해조사의견서 용어노출 빈도수(사다리, 추락 제외)

('높이', 9173),('바닥', 8095),('설치', 6284),('골절', 5054),('타고', 4549),


('이용',4377),('신축', 3849),('오전', 3281),('낙상', 3138),('오후', 3044),
('왼쪽', 2802),('다리', 2779),('배관', 2559),('지하', 2554),('천정', 2491),
('공장', 2398),('오른쪽', 2343),('본인', 2336),('부분', 2289),('청소', 2272),
('창고', 2248),('교체', 2179),('부상', 2129),('치료', 2111),('아파트', 2084)
재해조사의견서에서 용어로 노출된 빈도수는 높이, 바닥이 월등히 많이 노출
되고 있으며, 설치, 골절 등이 그 다음이며, 지하, 천정, 청소, 아파트 등도 자주
노출된 용어로 파악되었다.
Ⅲ. 이동식 사다리 실태조사 ‥‥ 107

이러한 용어를 참조하여 재해조사의견서를 검토하고 통계분석 하였으며, 그


결과 업종별 높이별 재해원인별 통계를 도출하는 근거로 활용하였다.

<그림 3-24> 워드클라우드(사다리, 추락 제외)

워드클라우드 분석의 결과에서는 재해보고서의 용어노출빈도만을 파악한다.


높이, 설치, 오전, 신축, 지하, 배관, 아파트, 공장, 머리 등이 사고와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파악할 수 있었고, 적용되고 있는 ‘사다리 안전작업지침 개선방안’이
큰 의미가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키워드 분석 작성 참조(파이썬 3.7 프로그램 사용을 위한 코딩)
import pandas as pd
import xlrd, xlwt
#reading file
Ⅲ. 이동식 사다리 실태조사 ‥‥ 108

df = pd.read_excel('list_nan.xlsx')
#select column
dfa = df['재해개요']
#using Twitter (형태소 분석)
from konlpy.tag import Twitter
nlpy = Twitter()
p_list=[]
for i in range(len(df.index)):
pos = nlpy.pos(dfa[i])
p_list.extend(pos)
#saving 'p_list' to text file('new1.txt')
f = open('new1.txt', 'w')
for item in p_list:
f.write("%s\n" % item)
f.close()
#reading the text file('new1.txt')
f = open('new1.txt', 'r')
d1 = f.read()
Ⅲ. 이동식 사다리 실태조사 ‥‥ 109

#불용어 정리1 (일반 용어)


r_words=['사다리','재해','병원','사고','작업','현장','추락','위해',
'공사','발생','번지','미터','정도','사업','건물','건설',
'산업','추락','정도','소재','상기','중']
for i in range(len(r_words)):
d1 = d1.replace(r_words[i],'')
i=i+1
data = d1.split('\n')
#불용어 정리2 (한글자 단어)
data1 = []
for i in data :
if len(i) >=2:
data1.append(i)
# word cloud
import pytagcloud
from collections import Counter
count = Counter(data1)
tag1 = count.most_common(50)
Ⅲ. 이동식 사다리 실태조사 ‥‥ 110

taglist = pytagcloud.make_tags(tag1, maxsize=180)


pytagcloud.create_tag_image(taglist[:50], "w_cloud.jpg", size=(1100,700),
fontname='kor1', rectangular=False)

# key word list -> dataframe


import pandas as pd
import matplotlib.pyplot as plt
tag2 = tag1[:25]
dff = pd.DataFrame(tag2)
import matplotlib
from matplotlib import font_manager, rc
font_location = 'c:/windows/fonts/malgun.ttf'
font_name = font_manager.FontProperties(fname=font_location).get_name()
matplotlib.rc('font', family=font_name)
#keywords counter figure
import numpy as np
dff.plot(kind='bar', stacked=True, figsize=(10,5),
title='keywords counter',legend=False,)
Ⅲ. 이동식 사다리 실태조사 ‥‥ 111

plt.xlabel('주요 단어')
plt.ylabel('빈도수')
x=np.arange(25)
plt.xticks(x,dff[0])
plt.savefig('keywords counter.png',dpi=200)
plt.show()
Ⅲ. 이동식 사다리 실태조사 ‥‥ 112

3. 설문조사 및 인터뷰 분석

설문조사 및 인터뷰는 대기업과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설문지


배포를 통한 설문조사만으로는 충분한 의견수렴이 어렵다고 판단되어, 연구
상대역과의 협의를 통해 현장방문을 통한 실무자들과의 집중 인터뷰를 수행
하였다. 주요 인터뷰 대상자는 현장소장, 안전관리자, 이동식 사다리 사용 협력
업체 책임자, 작업자들이다.
1차 설문지와 인터뷰 항목을 작성하여 2개 현장을 방문한 결과 인터뷰 대상자들
중 특히 협력업체 대상자들이 설문지에 답하는 것을 어려워하여, 설문지를 보다
쉽고 간단하게 재작성하여 심층 인터뷰와 설문조사를 동시에 수행하고자 하였다.
설문 및 인터뷰 내용은 이동식 사다리 관련 법 개정사항에 대한 현장 적용
가능성과 동의여부를 질의함과 동시에 이에 대한 의견을 묻는데 초점을 맞추었으며,
일자형 사다리 사용을 위한 예외기준과 사다리 고정방법 및 안전대 부착설비
설치 방안에 대한 의견을 물어보았다. 자세한 설문 및 인터뷰 내용은 부록에
첨부하였다.

1) 대기업

(1) OOO건설
참석자: 김대영, 임형철, 현장소장 OOO, 안전관리자 OOO, 관리감독자 2명,
작업자 등 (총 8명)
Ⅲ. 이동식 사다리 실태조사 ‥‥ 113

소방, 설비분야에서는 장소협소 및 장애물로 인해 일자형 사다리 사용이


불가피하다. 최근 현장 내 일자형 사다리 반입이 허가되지 않고 있지만, 어쩔
수 없는 상황에서는 현장책임자의 허가(작업허가서)를 받고 일부 작업에서
사용되고 있다.
정부에서 제시하는 작업높이에 대하여는 큰 의견이 없다. 다만 안전대에
관련하여 사다리 작업자들이 이를 지킬 수 있는가에 대한 의문은 있다. 개인적인
소견으로는 사용하지 않을 것으로 판단된다. 일단 안전대 걸이를 걸 시설물이
없고, 작업이 한 장소에서 짧게 이루어져서 지속적으로 이동이 요하는 작업이
많다. 그때마다 안전대 걸이를 작업자들이 옮겨 걸도록 하는 것은 어려움이 있다.
건설업의 내장작업에 있어서 작업높이가 대부분 2m 이내이기 때문에 2인 1조
및 안전모 착용이 준수사항에 해당된다. 하지만 내장작업의 경우 안전모의 무게
때문에 목디스크 발생율이 높아 일반적으로 착용하지 않는 경우가 대다수이다.
본 현장의 경우 가능한 사다리 사용보다는 합판으로 작업내부에 바닥을 만들어
작업하는 경우가 많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말비계를 사용한다. 말비계 좌우에
삑삑이 같은 장치를 설치하여 끝단에 설 경우 소리가 울리게 하는 경우도 있다.
고소작업대와 같은 장비는 대다수 렌트하여 사용하나 이동식 사다리를 사용
하는 작업은 대다수 1시간 이내의 단 시간 작업(1시간 이내)이 많아 경제적
으로 부담을 느낀다.
Ⅲ. 이동식 사다리 실태조사 ‥‥ 114

이동식 사다리의 경우 작업 시 수평이동 작업이 많아 옆으로 몸을 기울이다


사고가 많이 발생하며, A형 사다리를 사용하다 말비계를 사용해야 할 경우
시간과 번거로움 때문에 계속 사용하던 이동식 사다리를 사용하다 사고 발생하는
경우도 많다. 결국 작업자가 작업에 맞는 장비를 사용해야 하는데 교체의 귀찮음과
안전사고 인식이 부족하여 사고가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고 의견을 제시하였다.
외부작업의 경우 장소가 협소하여 고소작업대나 스카이 등의 장비를 사용하지
못할 경우 일자형 사다리나 A형 사다리를 사용하는데 이럴 경우 3.5m 이상의
작업이 있다. 이 경우 현장책임자의 작업허가서를 받아 시중에 판매되는 인증
제품은 아니지만 자율인증제품인 KC제품이 3.8m 높이의 A형 사다리도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의견종합)
1. 건설현장의 안전관리자 입장에서는 정부의 제시안은 전반적으로 가능할
것으로 인식하고 있다. 다만, 일자형 사다리 사용은 일부 허용되어야 한다고
판단하고 있다.
2. 건설현장의 작업자 입장에서는 장소협소, 수평이동 불편, 작업 편이성을
이유로 정부의 제시안은 어려움이 있을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3. 일자형 사다리 사용을 위한 예외기준은 본 연구에서 제시한 5가지 중 관리
감독자의 감독 하에 작업 수행의 경우와 안전모 및 안전대 걸이를 착용한
경우 2가지 기준이 어려움이 있을 것으로 조사되었다.
4. 안전대 부착설비 의무화에 대한 개정안은 모든 작업자들이 거부감을 보였다.
Ⅲ. 이동식 사다리 실태조사 ‥‥ 115

(2) OO건설
참석자: 임형철, 김대영, 현장소장 OOO, 안전관리자 OOO, LH 감독관 OOO,
작업자 등 (총 7명)
정부가 제시한 작업높이에 대한 의견은 크게 없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A형 사다리 사용 시 준수사항에서 2인1조 작업은 잘 지켜지지 않을 것으로
생각했다. 작업인력의 증가는 인력수급의 문제점, 관급공사와 민간공사에 따라
달라지겠지만 품셈 및 단가에 의한 공사비 증가가 우려되기 때문이다.
기본적으로 안전모는 문제가 되지 않겠지만 안전대 착용에 대한 우려가 있다.
작업자들이 최근 들어 작업의 편이성을 우선하기 때문에 작업의 불편 때문에
안전대 시설이 확보되더라도 무거운 안전대를 사용하지 않을 것으로 판단된다.
지하실 등 높이가 있고 장소가 협소한 장소에서의 일자형 사다리는 반드시
사용될 수 밖에 없다. 따라서 이에 대한 예외기준을 제시해 줄 필요가 있다.
현재에도 현장책임자에게 작업허가서를 받으면 사용할 수 있다.
일자형 사다리를 사용하기 위하여 관리감독자가 반드시 작업 중 감독을 해야
한다는 것은 무리가 있을 것으로 보이며, 앞서 말한 바와 같이 안전대 사용은
어려울 것으로 판단된다. 굳이 안전대를 사용한다면, 먼저 높이에 대한 기준을
정하고 해당되는 작업에서는 안전대 사용을 의무화하는 방법도 필요하다. 예를
들면, 일반적으로 이동식 사다리 작업높이 2m에서 작업자 키가 160cm라면
적어도 층고 3.5m 이상 작업에서는 반드시 안전대를 설치해야 한다.
일자형 사다리를 사용하기 위한 안전 부속품 개발도 필요하고 안전대 설치를
위한 시설 개발도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층고가 3.5m가 넘는 장소는 거의 지하실 또는 1층 로비 정도로 판단된다.
따라서 이들 상부 벽면 사방면에 안전고리를 설치하고 작업을 수행할 때만
강선 로프를 설치하여 자유롭게 수평이동도 가능하도록 하는 것도 좋은 방법으로
Ⅲ. 이동식 사다리 실태조사 ‥‥ 116

판단된다. 강선로프의 보관은 소화전같은 박스를 설치하여 작업 시 꺼내 부착


하고 사용하면 유지관리에도 도움이 될 것 같다.
의견종합)
1. 건설현장의 안전관리자 입장에서는 정부의 제시안은 전반적으로 가능할
것으로 인식하고 있다. 다만, 일자형 사다리 사용은 일부 허용될 필요가
있다고 판단하고 있다.
2. 건설현장의 작업자 입장에서는 장소협소, 수평이동 불편, 작업 편이성을
이유로 정부의 제시안은 어려움이 있을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3. 일자형 사다리 사용을 위한 예외기준은 본 연구에서 제시한 4가지 중 안전대
걸이를 착용한 경우의 1가지 기준이 어려움이 있을 것으로 조사되었다.
4. 2인 1조 작업은 경제적으로 인력수급면에서 어려움이 따른다. 특히 민간공사
에서는 어려움이 있다.
Ⅲ. 이동식 사다리 실태조사 ‥‥ 117

(3) OO건설
참석자: 김대영, 현장소장 OOO, 안전관리자 OOO, 협력업체 작업자 등 (총 14명)

① 정부 지침에 따른 작업 가능여부
가능) 정부 지침에 의한 현장 작업은 가능하다. 단 A형 사다리에 대한 부속
아웃리거 및 발판 폭이 개선된 제품의 출시가 필요하다.
불가능) 높이 3.5m를 초과하는 작업이 많다. 이동식 사다리 제작 시 작업 높이
(사용 가능 높이)별로 발판폭, 흔들림 강도, 아웃리거 내민 길이 등 재정립 필요)
작업공간에 따라 일자형 사다리 사용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이동식 사다리 무게는 가볍고, 흔들림이 없고 발판 폭이 최소한 250mm 이상
되어야 한다.(최상부는 400mm 이상 필요)
② 안전모, 안전대 걸이, 안전난간 사용 가능여부
가능) 근로자의 의식 개선이 절실히 필요한 부분이며, 건설업 기초안전교육 시
해당 사다리 사고에 대한 사고사례교육이 의무적으로 편성될 필요가 있다.
이동식 사다리 상부 발판 안전난간은 별도의 규정이 있어야 한다.
불가피한 상황(1. 용접작업 등 안전모가 안전작업에 방해되는 경우 2. 안전대
걸이를 사용할 수 없는 경우 3. 안전난간 설치가 제한되는 경우)에 대한 해법
Ⅲ. 이동식 사다리 실태조사 ‥‥ 118

제시가 필요하다.
불가능) 안전대 걸이를 걸 수 없는 구간이 있다. 간혹 체결 구간이 있어도
근로자의 하중을 견딜 수 있는 강도체크가 필요하다.
③ 일자형 사다리 사용금지 여부
가능) 추락위험이 높아 가능한 사용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불가능) TPS, EPS실 같은 경우 좁고 높은 지역의 작업이 진행되어야 하는
경우 사용할 수 밖에 없다.
냉온탱크, 계단실 후레슁 마감 등 협소한 공간에서 필요하다. 이동식 사다리
제작 단계에서 안전성을 고려한 제품이 필요하다. 5m 이상 사용 시 흔들림이
많다.
아웃리거 및 2인 1조 작업이 정착된다면 사고예방이 가능할 것이다.
A형 사다리에 안전장치를 설치하여 일자형 사다리를 대체할 방안이 필요하다.
협소한 공간에서는 전도의 위험이 없으므로 안전대 부착설비착용 시 사용
가능하다고 판단된다.
④ 일자형 사다리 예외기준
[관리감독자 감독 하에 작업]을 제외하고 모두 적용 가능하다. 안전대 부착
설비의 기성품을 개발하고 저렴한 가격에 보급할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다.
모든 항목을 충족해야 사용 가능하도록 관리가 필요하다.
이동식 사다리 작업높이에 따라 작업인원 선정이 필요하다. 예를 들어, 3m
이내에는 2인 1조, 3m 이상인 경우에는 3인 1조
일자형 사다리 사용 시 현재에는 전날 승인을 거쳐 작업허가서를 받아 작업
하고 있다. 하지만 당일 승인도 필요하다.
Ⅲ. 이동식 사다리 실태조사 ‥‥ 119

⑤ A형 사다리 높이기준 및 준수사항


동의) 이를 지키기 위한 지속적인 교육 전파가 필요하다.
높이 기준을 5m 이내, 작업인원은 3인 1조로 강화해도 좋을 듯 하다.
3.5m가 초과하더라도 작업승인을 받으면 사용하도록 할 필요가 있다.
미동의) 2m 미만 작업에는 2인 1조 작업은 개선이 필요하다. 높이 3.5m를
초과하는 작업이 많기 때문에 A형 사다리의 사용 금지는 불합리하다. 이동식
사다리도 높이별로 안전성을 고려한 제품이 필요하다. 안전부속품은 일체형으로
제작될 필요가 있다.
고소작업대 및 고소작업차 사용이 불가능한 3.5m 이상 작업 시 사용금지가
아니라 준수사항 마련이 필요하다.
이동식 사다리 작업높이보다는 설치기준에 중점을 맞추어야 한다.
PS, PD구간의 경우 협소하여 일자형 사다리 사용을 못해 3.5m 이상에도
A형 사다리를 사용할 수 밖에 없다. 3.5m가 초과하더라도 작업승인을 받으면
사용하도록 할 필요가 있다.
⑥ 안전난간 설치 또는 안전대 부착설비설치
가능) 안전난간 및 안전대 부착설비의 저렴한 가격의 보급화가 필요하다.
불가능) 스카이 사용 작업은 대부분 벽체에 근접하여 작업을 진행하기에
안전난간이 필요하지 않으며, 안전난간 설치 작업 시 인력운반이 필요한 경우
안전난간 위로 들어올리면서 낙하 사고발생 가능 및 근로자 근골결계 질환
발생 우려 있다.
스카이 작업 시 뿐아니라 안전난간 설치 기준완화가 필요하다.
안전대 걸이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고소작업대의 경우 안전대 걸이가 오히려 전도의 위험을 가질 수 있어 타당
하지 않다고 생각한다. 따라서 발판사용 시에만 권장할 필요가 있다.
Ⅲ. 이동식 사다리 실태조사 ‥‥ 120

⑦ 강선앵커 안전대 부착설비활용/ 발주자 안전보건관리 매뉴얼 / 비계형태


동의) 보다 견고한 재질로 제작되어 높은 하중도 견딜 수 있어야 한다.
안전대 걸이에서 구명줄 처짐율 + 죔줄 늘어나는 길이 + (사람신장x1/2)를
고려한 안전대 높이 정립이 필요하다.
지게차 등 장비를 이용한 자재 반입의 경우를 고려한 안전대 부착설비폭
결정이 필요하다.
고정형 안전대 걸이가 필요하다.
미동의) 장비를 병행해야 하는 작업은 오히려 비계가 간섭된다. 최소 1인
1.5ton 정도는 버티는 안전대 부착설비 필요하다. 이를 충족할 경우 현장 적용
용의가 있다.
설비, 전기 설치 시에는 어려움이 많아 이에 대한 대책 필요하다. 하지만
필요는 하나 공기에 영향을 줄 우려가 있다.
⑧ 원도급체 장비 대여 및 정부지원
가능) 반드시 필요한 부분이다.
일괄계약으로 임대비용 등 단가를 낮출 수 있을 것으로 보여 원도급체 장비
대여는 좋은 대안인 것 같다. 또한 협력업체의 경우 장비 대여 시 승인서류 및
준비사항이 많다.
불가능) 안전사고 발생 시 책임소재에 문제 발생 소지가 있다.
⑨ 기타
이동식 사다리 작업 중 사고는 내려오는 과정에서 미끄러지며 떨어지는 경
우가 많을 것 같다. 따라서 발판폭이 넓게 제작되어야 한다. 실무자들의 의견수
렴을 통한 실질적인 기준 정립 필요하다.
이동식 사다리 안전장치(아웃리거 등)부터 안전대 걸이까지 일체형 생산이 필
요하다. 안전난간은 필요하나 상황(여건)에 따른 대체안이 필요하다.
Ⅲ. 이동식 사다리 실태조사 ‥‥ 121

의견종합)
1. 정부 지침에 따른 작업 가능여부
안전부속품 개발을 통해 기존 이동식 사다리 제고품의 문제를 해결하고
이동식 사다리의 가격 절감이 필요하다. 따라서, 이동식 사다리 무게는 가볍고,
흔들림이 없고 발판 폭이 최소한 250mm 이상(최상부는 400mm 이상)되는
제품 개발이 필요하다.
높이 3.5m를 초과하는 작업이 많아 작업공간에 따라 일자형 사다리 사용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따라서 작업환경에 따라 작업 승인을 통한 작업이 가능
하여야 한다.
2. 안전모, 안전대 걸이, 안전난간 사용 가능여부
근로자의 의식 개선이 우선시 되어야 한다.
이동식 사다리 상부 발판 안전난간은 별도의 규정이 있어야 한다.
불가피한 상황(1. 용접작업 등 안전모가 안전작업에 방해되는 경우 2. 안전대
걸이를 사용할 수 없는 경우 3. 안전난간 설치가 제한되는 경우)에 대한 해법
제시가 필요하다.
안전대 걸이는 부정적이며, 만일 적용된다 하더라도 강도 등에 대한 기준
제시가 필요하다.
3. 일자형 사다리 사용금지 여부
추락위험이 높아 가능한 사용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지만 좁고 높은 지역의 작업이 진행되어야 하는 경우 사용할 수 밖에 없기
때문에 이동식 사다리 제작 단계에서 안전성을 고려한 제품이 필요하다.
아웃리거 및 2인 1조 작업이 정착된다면 사고예방이 가능할 것이다.
4 일자형 사다리 예외기준
모든 항목을 충족해야 사용 가능하도록 관리가 필요하다.
이동식 사다리 작업높이에 따라 작업인원 선정이 필요하다. 예를 들어, 3m
이내에는 2인 1조, 3m 이상인 경우에는 3인 1조
Ⅲ. 이동식 사다리 실태조사 ‥‥ 122

일자형 사다리 사용 시 현재에는 전날 승인을 거쳐 작업허가서를 받아 작업


하고 있다. 하지만 당일 승인도 필요하다.
5. A형 사다리 높이기준 및 준수사항
높이 기준을 5m 이내, 작업인원은 3인 1조로 강화해도 좋을 듯 하다.
3.5m가 초과하더라도 작업승인을 받으면 사용하도록 할 필요가 있다.
고소작업대 및 고소작업차 사용이 불가능한 3.5m 이상 작업 시 사용금지가
아니라 준수사항 마련을 통한 사용이 가능하도록 조치가 필요하다.
이동식 사다리 작업높이보다는 설치기준에 중점을 맞추어야 한다.
6. 안전난간 설치 또는 안전대 부착설비설치
스카이 작업 시 뿐 아니라 안전난간 설치 기준완화 필요
안전대 걸이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고소작업대의 경우 안전대 걸이가 오히려 전도의 위험을 가질 수 있어 타당
하지 않다고 생각한다. 따라서 발판사용 시에만 권장할 필요가 있다.
7. 강선앵커 안전대 부착설비활용/ 발주자 안전보건관리 매뉴얼 / 비계형태
안전대 걸이에서 구명줄 처짐율 + 죔줄 늘어나는 길이 + (사람신장x1/2)를
고려한 안전대 높이 정립이 필요하다.
지게차 등 장비를 이용한 자재 반입의 경우를 고려한 안전대 부착설비폭
결정이 필요하다. 고정형 안전대 걸이가 필요하다.
장비를 병행해야 하는 작업은 오히려 비계가 간섭된다. 최소 1인 1.5ton
정도는 버티는 안전대 부착설비 필요하다. 이를 충족할 경우 현장 적용 용의 있다.
설비, 전기 설치 시에는 어려움이 많아 이에 대한 대책 필요하다.
8. 원도급체 장비 대여 및 정부지원
반드시 필요한 부분이며, 일괄계약으로 임대비용 등 단가를 낮출 수 있을
것으로 보여 원도급체 장비 대여는 좋은 대안인 것 같다. 또한 협력업체의
경우 장비 대여 시 승인서류 및 준비사항이 많다. 하지만 안전사고 발생 시
책임소재에 문제 발생 소지가 있다.
Ⅲ. 이동식 사다리 실태조사 ‥‥ 123

(4) OO공영
참석자: 김대영, 임형철, 현장소장 OOO, 안전관리자 OOO, 작업반장, 협력업체
작업자 등 (총 7명)

① 정부 지침에 따른 작업 가능여부
협소한 공간 내부에는 말비계, 고소작업대 등은 설치 및 이동이 불가하여
이동식 사다리 작업이 반드시 필요하다.
현장 내 작업자 교육을 하고 있으나, 2인 1조 작업은 공사비 과다지출 및
안전기준 등 규정이 너무 많다.
지하층의 경우 대부분 5m가 넘어 3.5m 규제는 불합리하다. 대형 A형 사다리와
아웃리거 설치 시 3.5m 이상에도 사용 가능하도록 하여야 한다.
② 안전모, 안전대 걸이, 안전난간 사용 가능여부
개인보호구 착용 의무는 가능하나, 안전난간 및 안전대 걸이는 무리다.
안전대 착용을 의무화하고 있으나, 실질적으로 현장 내에서 안전대를 체결하는
경우는 드물다.
Ⅲ. 이동식 사다리 실태조사 ‥‥ 124

③ 일자형 사다리 사용금지 여부


일부 기계실 공사 부분에서는 층고가 높아 신축이나 일자형 사다리를 사용할
수 밖에 없다.
이동식 사다리 기준이 너무 까다로워 작업자 관련 교육도 힘들다.
기계, 소방, 전기는 일자형 사다리는 사용하지 않지만, 좁은 구간은 A형
사다리를 펼치지 않고 벽에 기대어 사용(일자형 사다리와 동일)할 수 있도록
작업승인을 해주는 경우가 많다.
④ 일자형 사다리 예외기준
동의한다.
⑤ A형 사다리 높이기준 및 준수사항
안전에 위배되지 않는 한도에서는 사용이 가능하다고 판단된다.
높이 기준보다는 작업성 및 형평성에 기준을 정해야 한다.
⑥ 안전난간 설치 또는 안전대 부착설비설치
이동이 불편하고, 간단한 이동식 사다리 구조상 난간거치구조가 오히려
나쁘다고 생각된다.
⑦ 강선앵커 안전대 부착설비활용/ 발주자 안전보건관리 매뉴얼 / 비계형태
안전대 부착설비을 건설사가 제공해야 한다.
이동식 사다리 작업의 특성 상 안전대 걸이는 불가능하다.
⑧ 원도급체 장비 대여 및 정부지원
반드시 필요하다. 다만, 장비대여업체와의 불협화음 발생 우려가 있다.
입찰참여업체가 이에 대한 고려를 사전에 하여 입찰금액 조정이 필요하다.
Ⅲ. 이동식 사다리 실태조사 ‥‥ 125

⑨ 기타
공사비나 노무비 등을 고려할 때 이동식 사다리 사용 규제는 어려움이 있다.
의견종합)
1. 협소한 공간 내부에서의 이동식 사다리 작업은 반드시 필요하다. 또한 2인 1조
작업은 공사비 과다지출의 문제가 있으며, 지하층의 경우 대부분 5m가 넘어
3.5m 규제는 불합리하다.
2. 개인보호구 착용은 의무화가 가능하지만, 안전난간 및 안전대 걸이의 의무화는
불가능하다. 만약 의무화되더라도 현장 내에서 안전대 체결은 형식에 그칠
가능성이 높다.
3. 일자형 사다리 예외기준 적용을 통해 사용할 수 있도록 해 줄 필요가 있다.
4. A형 사다리는 높이 기준보다는 작업성 및 형평성에 기준을 정할 필요가 있다.
5. 안전난간 또는 안전대 걸이는 이동이 불편하고, 간단한 이동식 사다리 구조 상
난간거치구조가 오히려 전도를 발생시킬 우려가 있다.
6. 이동식 사다리 작업의 특성 상 안전대 걸이는 불가능하다.
7. 원도급체의 장비 대여 및 정부지원은 반드시 필요는 하나, 입찰금액 조정 등
보다 세부적인 사항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
Ⅲ. 이동식 사다리 실태조사 ‥‥ 126

(5) OO건설
참석자: 김대영, 임형철, 안전관리자 OOO 등 (총 2명)

① 정부 지침에 따른 작업 가능여부
가볍고 이동이 쉬워 편리하기 때문에 이동식 사다리를 계속 사용하는 것이고,
또 그 편리성 때문에 위험성이 증가하는 것이다. 이만큼 편리한 작업발판이
없는 상황에서 일부 사용할 수 있는 여지를 제공한다면 아마도 그대로 위험을
안고 사용하게 된다. 이동식 사다리만큼 편리한 작업발판이 나오지 않는다면 전면
사용중지가 답이고 편리하고 안전한 작업발판 자체의 개발이 필요하다.
2인 1조 작업 시 융통성있게 운용할 필요가 있다.
② 안전모, 안전대 걸이, 안전난간 사용 가능여부
전도위험이 있는 상태에서는 안전난간이 있어도 큰 효용성이 없다. 안전대
사용 또한 이동식 사다리의 잦은 이동으로 인하여 안전대 걸이시설 설치도
적용이 매우 어렵다.
③ 일자형 사다리 사용금지 여부
일자형 사다리를 사용하는 이유는 A형 사다리보다도 더 가볍고 더 이동이
Ⅲ. 이동식 사다리 실태조사 ‥‥ 127

쉽기 때문이다. 이는 과도한 편의 위주의 생각이라 판단된다. 하지만 독립적으로


서 있을 수 없기 때문에 무엇인가에 기대어야 하고 고정할 수 있다는 점이
A형 사다리의 전도 위험성에 대한 대안으로 생각되어 지는 것으로 생각된다.
하지만 실제 현장에서 역시 잦은 이동이 있다며 결속하는 일은 매우 드물고
결속되어지지 않는다면 여전히 미끄러짐에 의한 전도위험은 크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일자형 사다리는 사용이 금지되어야 한다.
관리감독자의 입회하에 유연한 대처가 필요하다.
④ 일자형 사다리 예외기준
예외기준에 따라 일자형 사다리를 유연하게 대처할 필요가 있다.
⑤ A형 사다리 높이기준 및 준수사항
대다수 동의하나 안전대 부착설비설치에 대해서는 다소 의문이 있다.
⑥ 안전난간 설치 또는 안전대 부착설비설치
전도위험이 없다면 안전난간이 설치되야 하지만 전도위험이 크다면 안전
난간은 전도위험을 오히려 가중시키는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 무게중심이 더
높아지고 작업자가 기대는 경우 전도위험이 더 커진다.
안전대 부착설비은 이동식 사다리의 잦은 이동이 있을 경우 설치가 어려워지고
특히 마감작업이 진행된다면 마감재 손상의 이유로 걸이 시설의 설치는 더욱
어려워진다.
⑦ 강선앵커 안전대 부착설비활용/ 발주자 안전보건관리 매뉴얼 / 비계형태
이동식 사다리 작업의 특성 상 안전대 걸이는 불가능하다. 하지만 영구적인
앵커의 설치는 가능할 수도 있다.
Ⅲ. 이동식 사다리 실태조사 ‥‥ 128

⑧ 원도급체 장비 대여 및 정부지원
원도급업체의 입장에서는 과도한 공사비 사용이 우려된다. 따라서 정부의 지원
또는 공사 입찰 시 이에 대한 항목을 별도로 규정해주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⑨ 기타
이동식 사다리 사용금지는 동의하나 이에 대한 충분한 대처방안 제시가 아쉽다.
의견종합)
1. 이동식 사다리만큼 편리한 작업발판이 나오지 않는다면 전면 사용중지가 답
이고 편리하고 안전한 작업발판 자체의 개발이 필요하다. 2인 1조 작업 시
융통성있게 운용할 필요가 있다.
2. 전도위험이 있는 상태에서는 안전난간이 있어도 큰 효용성이 없다. 안전대
사용 또한 이동식 사다리의 잦은 이동으로 인하여 안전대 걸이시설 설치도
적용이 매우 어렵다.
3. 일자형 사다리는 기본적으로 금지하되 관리감독자의 입회하에서는 작업을
허용하는 유연한 대처가 필요하다.
4. 일자형 사다리 사용은 예외기준에 따라 유연하게 대처하는 것에 동의하나
안전대 부착설비설치는 부정적이다.
5. 전도위험이 크다면 안전난간은 전도위험을 오히려 가중시키는 결과를 가져
올 수 있다. 안전대 부착설비은 이동식 사다리의 잦은 이동이 있을 경우
설치가 어려워지고 특히 마감작업이 진행된다면 마감재 손상의 이유로 걸이
시설의 설치는 더욱 어려워진다.
6. 이동식 사다리 작업의 특성 상 안전대 걸이는 불가능하다. 하지만 영구적인
앵커의 설치는 가능할 수도 있다.
7. 원도급체의 장비 대여는 원도급업체의 입장에서는 과도한 공사비 사용이
우려된다.
Ⅲ. 이동식 사다리 실태조사 ‥‥ 129

(6) OO건설
참석자: 김대영, 임형철, 현장소장 OOO, 안전관리자 OOO, 작업반장, 협력업체
작업자 등 (총 9명)

① 정부 지침에 따른 작업 가능여부
안전작업 지침에 따른 작업은 가능할 것이나 근로자의 작업효율에 불만이
많을 것으로 판단되며, 전반적인 작업환경과 근로자의 인건비를 같이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
일자형 사다리 사용 시 상단부 구조물 등에 반드시 고정할 수 있다면 사용
가능하도록 해주는 것이 좋다.
3.5m 이상 작업이 많다. 또한 작업능률의 문제로 인해 시간이 지연되고 노무비
단가 문제와도 결부된다. 따라서 규제 강화보다는 일위대가상의 노무비 산출 등
작업능률에 따른 조정이 우선되어야 한다.
② 안전모, 안전대 걸이, 안전난간 사용 가능여부
안전대 걸이에 대한 근로자 작업에 대한 불편함을 많이 호소하고 있다. 안전
난간과 작업발판이 정확히 되어 있다면 안전대 걸이에 대한 지침은 완화될
필요가 있다.
Ⅲ. 이동식 사다리 실태조사 ‥‥ 130

이동식 사다리의 아웃리거를 펼 수 없는 곳도 있고, 안전대를 걸 수 없는 상황도


있다. 이에 대한 예외기준도 필요하다.
아파트 실내에서 작업 시 안전모를 쓰고 작업하는 게 오히려 작업에 방해가
되는 경우도 있다.
안전대 걸이에 대한 기준이 없을 뿐 아니라 천장 마감부 작업 시 불가능한
상황이 발생될 수 있다.
③ 일자형 사다리 사용금지 여부
전반적인 작업은 이동식 사다리를 사용하지 않고 말비계나 고소작업대, 장비를
사용하여 작업하나, 층고가 높은 협소공간(2m x 2m 이내)과 이동이 많은 전기
공사, 간단한 손보기는 이동식 사다리 사용에 대한 별도 조항의 지침이 필요하다.
고소작업대나 틀비계 등의 가시설을 설치할 수 없는 공간이 많다.
세부적인 매뉴얼의 개발 및 적용이 필요하다.
개구부가 협소하여 일반 비계자재 반출입이 안되는 구간, 빈번하게 위치를
이동해야 하는 작업 등에는 사용할 수 밖에 없다.
④ 일자형 사다리 예외기준
“근로자가 작업 시 시작과 종료 시까지 안전관리자나 관리감독자가 작업공간
내에서 안전에 대한 관리 감독을 하여야 한다.”라는 지침이 필요하다.
일자형 사다리 하부 아우리거 좌우설치 및 상부고정 장치 적용이 필요하다.
이동이 필요한 작업 시 매번 구조물에 완전히 고정하는 것은 어려움이 있다.
⑤ A형 사다리 높이기준 및 준수사항
현장에서는 대부분 이동식 사다리 사용을 지양하고 싶지만 사용할 수 밖에
없다. 따라서 “이동식 사다리 사용 시 관리감독자 입회”라는 지침이 필요하다.
A형 사다리 사용 시 전일 보고 후 관리자 입회하에 작업가능하도록 하면 된다.
Ⅲ. 이동식 사다리 실태조사 ‥‥ 131

아웃리거가 부착되어 있는 기성제품이 개발되었으면 한다.


2인 1조 규정은 업체의 비용절감 차원에서 안 지켜질 것으로 보이며, 관리상의
문제점도 있을 수 있다.
일자형 사다리보다는 오히려 A형 사다리가 더 위험할 수 있기 때문에 3인 1조
작업도 권장하고 싶다.
⑥ 안전난간 설치 또는 안전대 부착설비설치
단순작업과 협소공간에서의 안전대 부착설비설치는 불가능하다.
말비계는 작고 협소하여 2m 높이에서 작업할 경우 무게 중심이 위로 이동하여
난간대를 설치한다해도 근로자와 말비계가 같이 전도될 위험이 있다.
안전대 걸이는 작업의 불편함으로 인해 지켜지지 않을 확률이 높다. 따라서
근로자 개개인의 안전에 대한 의식 전환이 필요하다.
⑦ 강선앵커 안전대 부착설비활용/ 발주자 안전보건관리 매뉴얼 / 비계형태
적용이 불가능할 것으로 판단되며, 2인 1조와 안전대 부착설비사용으로는
재해예방에 한계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안전대 로프길이가 있기 때문에 최소 3m 이상일 때 적용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하자발생 시 빠른 조치를 하여야 하는데 말비계, 고소작업대 등을 갖추고
작업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대공간에서는 사용가능할 것 같으나, 소규모 공간 및 분할된 공간 작업 시
위치 및 거리에 따라 효율성이 떨어질 것으로 보인다.
⑧ 원도급체 장비 대여 및 정부지원
반드시 필요하다. 하지만 관리상의 책임 주체도 애매하고, 비용문제도 발주청
에서 내역에 포함시켜줄 지에 대한 의문도 생긴다. 명확한 정리가 필요하다.
장비렌탈 기간을 충분히 가져야 한다.
Ⅲ. 이동식 사다리 실태조사 ‥‥ 132

공사비 산정이 모호하고, 정산이나 설계변경이 필요해 보이며, 현장에서


악용될 여지가 있다.
⑨ 기타
반드시 관리감독자 입회하에 고소작업을 수행해야 한다면 재해예방에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다소 어려움이 있더라도 이동식 사다리는 현장에서 점차적으로 사용을 줄여
나가고 대체방안을 찾는 것이 재해예방에는 분명히 효과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이동식 사다리는 3.5m 아파트 실내공간에서는 사용할 수 있도록 해주어야 한다.
의견종합)
1. 3.5m 이상 작업이 많다. 또한 작업능률의 문제로 인해 시간이 지연되고
노무비 단가 문제와도 결부된다. 따라서 규제 강화보다는 일위대가상의
노무비 산출 등 작업능률에 따른 조정이 우선되어야 한다.
2. 안전대 걸이에 대한 지침은 완화될 필요가 있다.
3. 층고가 높은 협소공간(2m x 2m 이내)과 이동이 많은 전기공사, 간단한
손보기는 이동식 사다리 사용에 대한 별도 조항의 지침이 필요하며, 세부적인
매뉴얼 개발이 필요하다.
4. 예외기준에 “근로자가 작업 시 시작과 종료 시까지 안전관리자나 관리
감독자가 작업공간 내에서 안전에 대한 관리 감독을 하여야 한다.”라는
지침이 필요하다.
5. A형 사다리 역시 “이동식 사다리 사용 시 관리감도자 입회”라는 지침이
필요하다. 2인 1조 규정은 업체의 비용절감 차원에서 안 지켜질 것으로
판단된다.
6. 말비계는 작고 협소하여 2m 높이에서 작업할 경우 무게 중심이 위로 이동
하여 난간대를 설치한다해도 근로자와 말비계가 같이 전도될 위험이 있다.
Ⅲ. 이동식 사다리 실태조사 ‥‥ 133

또한 안전대 걸이는 작업의 불편함으로 인해 지켜지지 않을 확률이 높다.


따라서 근로자 개개인의 안전에 대한 의식 전환이 필요하다.
7. 안전대 걸이는 적용이 불가능할 것으로 판단되나, 굳이 적용해야 한다면
안전대 로프길이가 있기 때문에 최소 3m 이상일 때 적용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8. 원도급체의 장비 대여는 필요하다. 하지만 관리상의 책임 주체도 애매하고,
비용문제도 발주청에서 내역에 포함시켜줄 지에 대한 의문도 생긴다. 명확한
정리가 필요하다.
9. 반드시 관리감독자 입회하에 고소작업을 수행해야 한다면 재해예방에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다소 어려움이 있더라도 이동식 사다리는 현장에서
점차적으로 사용을 줄여나가고 대체방안을 찾는 것이 재해예방에는 분명히
효과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2) 중소기업

중소기업의 실태조사를 위하여 공사금액 50억 미만의 현장을 선정하여 유·무선


으로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표 3-1> 중소기업 면담리스트
연번 회사명 면담대상 비고
1 보O종합건설(주) 이*식
2 ㈜한O전력 전*세
3 디O종합건설(주) 이*현
4 ㈜포O건설 이*창
5 ㈜포OO종합건설 최*호
6 시OO종합건설(주) 고*국
7 대O건설산업(주) 김*경
8 좋은OO리모델링 김*욱
9 ㈜성O설비 황*호
Ⅲ. 이동식 사다리 실태조사 ‥‥ 134

중소규모의 현장에서는 대다수가 일자형 사다리는 대기업의 건설현장과


마찬가지로 사용하지 않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A형 사다리는 현재까지도 작업에 따라 통제가 거의 되지 않고 있으며, 선임된
안전관리자 없었기 때문에 이에 대한 관리도 소홀할 수 밖에 없는 실정이었다.
외부에서는 스카이 등 고소장비를 사용하고 있는 현장이 많았으나 내부
작업에서는 다양한 이유로 말비계와 함께 A형 사다리를 지속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안전모 착용은 공사금액 10억 미만 현장에서는 미착용하는 작업자들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안전대 착용은 거의 이루어지고 있지 않았고, 2인 1조 작업도
실행이 되지 않는 경우가 대다수였다.
이러한 정부의 이동식 사다리 지침이 이루어지지 않는 원인은 업체의 영세성,
공사비 절감, 작업자들의 의식 수준, 작업인력 수급의 어려움 그리고 관리·통제
체계의 미숙 등이 있었다. 중규모 업체 중에서도 대기업의 건설현장에 투입될
경우 해당 현장의 관리·통제때문에 정부의 지침을 따를 수 밖에 없지만, 소규모
건설현장인 경우 관리·통제가 상대적으로 약하기 때문에 작업 편이성에 따라
정부 지침을 등한시하는 현상이 작업자들에게 발생된다는 의견도 다수 있었다.
하지만 긍정적인 현상은 정부의 이동식 사다리 지침 공지 후 이를 지키려는
회사들의 의식이 고양되고 있는 점이다. 모든 회사들이 정부의 지침을 숙지하고
있었으며 불가피한 작업을 제외하고는 향후 정부 지침을 수행하려는 의지를
보이고 있다. 다만, 작업자들의 의식 개선에 대한 우려와 더불어 이를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 제시를 요구하였다.
3) 건물 관리업

재해조사의견서를 분석한 결과 이동식 사다리 재해가 건물 관리업에서


발생하고 있어 주택관리공단 직원 1명과 5곳의 아파트 관리사무소를 방문하여
인터뷰를 수행하였다.
Ⅲ. 이동식 사다리 실태조사 ‥‥ 135

<표 3-2> 건물 관리업 면담리스트

연번 아파트 면담대상 비고
1 주택OO공단 이*경 사원
2 부산 OOOO아파트 김*진 관리소장
3 창원 OO빌리지아파트 박*석 관리소장
4 진주 OO아파트 문*욱 관리소장
5 창원 OO시티아파트 김*우 관리소장
6 부산 OOOO아파트 최*호 관리소장
아파트 관리사무소의 경우 조명 교체, 수전 교체 등 간단한 유지작업을 수행
하고 있었으며, 그 외 보수작업은 외부 용역업체에게 일임하는 경우가 대다수인
것으로 파악되었다.
아파트 관리사무소에는 안전모가 비치되어 있었으며, 대다수의 작업이 A형
사다리로 이루어지고 있었다. 안전대는 관리사무소에 보관되어 있지 않았다.
관리사무소 직원들은 다소 복잡한 작업에는 2인이 투입되지만 대다수 작업에는
1인이 작업에 투입되는 경우가 많았다. 특히 통계에서 나타난 추락사고 발생
빈도가 높은 조명 교체에도 1인이 A형 사다리를 사용하여 작업하는 경우가
대다수였다.
따라서 건물 관리업에서는 반드시 안전모와 안전대 비치를 의무화할 뿐
아니라 고소작업을 요하는 작업 부위에는 2인 1조 작업과 안전대 부착설비
확보를 의무화할 필요가 있다. 또한 이에 대한 계몽과 관리책임자의 관리의무
강화가 요구된다.
Ⅲ. 이동식 사다리 실태조사 ‥‥ 136

4. 국민청원 등 각계 요청사항

1) 국민청원 조사

이동식 사다리와 관련한 국민청원은 2018년 12월과 2019년 1월 2건이 올라


왔으며, 각각 3,714명, 122명의 청원동의가 이루어진 상태이다.
(1) 2018년 12월 국민청원내용
2019년부터 A형 사다리를 사용하면 법적 제재를 취한다는 것은 과한 정책인
것 같습니다.
청원시작: 2018.12.31.
청원마감: 2019.01.30.
청원동의: 3,714명
청원내용:
수많은 안전정책에도 불구하고 지속·반복적인 재해가 발생하고 있는 것이
현실입니다. 사고예방을 위한 정책의 일환으로 그동안 건설 현장에서 사용할
수 있었던 A형 사다리를 무조건 사용할 수 없게 되었습니다.
추락사고 중 이동식 사다리에서의 추락사고가 지속적으로 발생되는 현상은
맞지만 이동식 사다리 추락 사망사고를 보면 A형 사다리 최상단을 밟고 작업
하다 균형을 잃어 추락하는 것이 대부분이며 이는 비계를 설치하여 작업해야
하는 작업환경에서 4~5m의 A형 사다리 상부에 올라가 작업하다 추락하는
경우가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A형 사다리 대신 알루미늄 작업대에 안전난간을 설치하여 사용하라는 고용
노동부 의견인데 알루미늄 작업대의 경우 발판 폭이 좁아 난간을 설치해도
작업자가 균형을 잃을 경우 추락예방에 아무런 예방책이 될 수 없습니다.
또한 안전난간은 안전인증을 받은 제품만 사용할 수 있는데 과연 알루미늄
Ⅲ. 이동식 사다리 실태조사 ‥‥ 137

작업대 안전난간이 안전인증을 통과할 수 있을까요?


A형 사다리와의 경우 현재까지 전국적으로 하도업체에서 구매한 수량, 공장
에서 생산되어 있는 수량, 판매점에서 보유하고 있는 수량 등 전체 물량을
생각해 보면 어마어마한 금액의 물량입니다. 모든 물량을 폐기해야 하는 건지요?
알루미늄 작업대는 1m 이상 사용 시 안전상의 문제가 있어 1m 이하로 사용
하고 있으며 그이상의 경우는 A형 사다리 미사용 시 비계 구조물을 설치해
야 합니다. 과연 비계구조물 설치비용 및 비계 구조물 설치, 해체, 운반 시
발생될 수 있는 추락, 낙하, 협착 등의 사고는 어떻게 예방할 수 있는지요?
오피스건물 등기구, 스프링쿨러 헤드설치 등의 작업(수량이 어마어마하고 단순
이동, 반복 작업)시 비계 구조물을 얼마나 조립해야 하는지요?
알루미늄 작업대의 무리한 작업으로 이어집니다. 2m, 3m 구분없이 안전인증
없는 난간대만 무의미하게 설치한 상태로...
대형 건설사의 경우 대부분 고소작업대를 이용하고 정말 고소작업대 사용이
불가한 마감공사 진행, 협소한 구간에서만 이동식 사다리 작업을 시행합니
다.
영세업체의 건설현장은 무분별한 이동식 사다리작업 진행이 맞습니다.
사고예방을 위해 이동식 사다리 사용기준을 좀 더 면밀히 수립해야겠습니다. 예
를 들어 3m 이하사용, 최상답단 3단 이하 사용, 2인1조 사용, 전도방지 지지
대 부착 사용 등
(2) 2019년 1월 국민청원내용
A형 사다리 사용금지
청원시작: 2019.01.31.
청원마감: 2019.03.02.
청원동의: 122명
청원내용:
안녕하십니까? 건물 내 전기 관리를 하고 있는 사람입니다.
2019년 1월1일부로 A, H형 등 사다리 사용금지 관련하여,
1. 램프 교체나 부서 표기등을 붙일 때도 비계를 쌓아야하는 실정이 됩니다.
Ⅲ. 이동식 사다리 실태조사 ‥‥ 138

2. 또한 사무실내 책상과 책상사이에 비계를 사용하여 램프 교체를 하여야


하는건데요, 민원발생 시 처리가 안 되는 문제가 발생하는데요.
제안을 올립니다.
1. 이동식 사다리 규격을 바꾸어서 발판으로 사용 가능하게끔 하는 방안
2. 업체나 기업들에게만 뭐라 하지 말고 전체 국민들에게 홍보를 하세요.
항상 무슨 문제발생하면 업체에게만 정책을 내놓고 국민들은 몰라서 난 모르
겠으니까 그냥 빨리만 해줘요 입니다.
안전 때문에 이동식 사다리위에서 작업 금지내용을 전체 뉴스나 공익광고에서
내보내서 홍보를 하세요. 그래야 인지가 되고 생각이 바뀌는 것이 아닌지요?
공사분들은 하청분들만, 원청은 내용은 본인들이 감수하세요 뿐이 안 될 것
같은데요.
(공사비용이 상승 - 작업이 늦어지므로 일정이 늦어지고 인권비와 자재비도
상승요인이 되겠죠.)
(3) 청원내용에 의한 문제 요인
A형 사다리가 대표적인 예이고 1자형 사다리를 포함하여 작업금지령에 의하여
위반 시 사법처리하겠다는 내용으로입니다. 문제가 되는 해당 법령에 의하면
상가의 천정 등 교체 시에도 이동식 사다리 말고 비계 설치하고 작업해야
된다는 내용입니다.
산업안전보건법 상 이동식 사다리는 작업장 이동통로 용도로 사용되어야 하
나, 현장에서 작업발판 용도로 사용하고 있는 사례가 많으며, 이동식 사다리
에서 작업 중 사망함 사례가 최근 10년간 317명에 달합니다.
이에 고용노동부에서는 2019.01.01. 부터는 이동식 사다리를 작업발판 용도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24조 또는 제67조 위반
으로 시정조치 예정입니다.
[노동부 산재사망감축 TF에서 밝히는 요지]
1. 사다리(일자형, H형, A형, 접이식)는 이동하는 통로이며, 작업발판의 역할을
할 수 없다.
2. 작업을 할 때에는 비계, 고소작업대와 같이 안전난간이 있는 안전설비를
Ⅲ. 이동식 사다리 실태조사 ‥‥ 139

이용해야 한다.
3. 2m 이상 높이의 말비계도 안전난간이 있는 것을 사용해야 한다.
4. 2, 3항이 불가능할 경우 안전대(안전줄)를 이용하여 추락을 예방해야 한다.
본 사항은 2019.01.01.부로 감독/지도에 중점사항으로 반영하겠다.

2) 각계 요청사항

(1) 한국경영자총협회
고용부의 지침은 이동식 사다리에서의 작업을 전면금지한 것이 아니며,
추락방지 조치(안전대 착용)가 이뤄진 경우는 A형 사다리에서의 작업이 가능
하다.
단, 안전대를 걸 수 없는 장소(안전대 부착설비가 없는 경우)에서의 작업은
추락방지 조치가 없어 현행 규정상 정부도 명확한 해결방안을 찾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며, 정부는 안전대를 걸 수 없는 경우에 대한 대안으로 2인 1조 작업,
휴대하기 편한 안전대 부착설비 개발ž보급을 고민하고 있다.
이동식 사다리 작업금지가 많은 논란을 발생시킴에 따라, 사업장 정기감독 시
이동식 사다리 작업의 법 위반 여부는 점검하지 않도록 할 계획이다. 따라서
건설현장 해빙기 감독대상에서 이동식 사다리 작업은 점검에서 제외한다.
단, 지청에 고소ž고발이 접수되거나, 사망재해 발생에 따른 감독 시에는 점검이
가능하다.
이동식 사다리 사망사고의 작업위치 높이를 분석하고, 안전한 A형 사다리
개발을 위한 연구용역 추진 여부를 검토하겠다.
A형 사다리에 대한 별도의 안전기준 마련(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개정)을
금년 안에 추진하겠다.
안전대를 걸고 A형 사다리에서 작업하는 경우는 법 위반이 아니다. 안전대를
Ⅲ. 이동식 사다리 실태조사 ‥‥ 140

걸 수 없는 장소에서 A형 사다리 작업을 하는 경우에는 추락방지를 위한 다양한


안전조치(안전교육, 안전모 착용, 2인 1조 작업)를 강구할 필요가 있다.
사업장 감독(고소ž고발 및 사망재해 발생 시 감독은 제외) 시 A형 사다리는
점검대상에서 제외한다.
(2) 업계 및 협회
① 업계
이동식 사다리에 대한 대안없이 규제가 시행되어 많은 혼란이 발생하고 있어
현장에서 준수할 수 있는 대책 마련이 중요하다.
추락방지 조치(안전대 착용)가 이뤄진 경우는 A형 사다리에서의 작업이 가능
하다고 되어있으나, 계단실·조경작업 등 안전대 부착설비를 설치할 수 없는
경우에는 현재의 법을 준수하기 어렵다.
이동식 사다리 높이별 작업방법에 대한 세부기준 마련하여 인식전환이 필요
하다. 작업종류, 작업인원수, 작업시간 및 보호구 착용 상태 등에 대한 세부
기준이 필요하다. 예를 들어 이동식 사다리 높이 80cm이하일 경우에는 경작업으로
2인 1조, 안전모 착용 시 이동식 사다리 사용 가능하다.
이동식 사다리 개발 시 휴대성, 운반성, 경제성이 필수이므로 이를 적극 반영할
필요가 있다. 개선품에 대한 가격 인상이 예상되므로 정부의 구입자금 지원이
필요하다.
② 노동부
현장에서 이동식 사다리 사용이 불가피한 작업조건을 구체적으로 논의하여
이해관계자의 정책 수용성을 높을 수 있는 개선 방안을 마련하겠다.
정부는 안전대를 걸 수 없는 경우에 대한 대안으로 2인 1조 작업, 휴대하기
편한 안전대 부착설비 개발ž보급을 고민하고 있으며, 기존의 안전기준을
Ⅲ. 이동식 사다리 실태조사 ‥‥ 141

검토하여 A형 사다리에 대한 별도의 기준을 마련하겠다. 관련 용역을 통한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개정을 추진할 예정이다.
이동식 사다리 사용 높이에 따른 세부기준 마련을 위한 연구용역을 추진 중
이며, 이동식 사다리, 발판형 사다리, 통로용 사다리 등으로 구분하고 사용높이에
따른 작업방법과 사용기준을 마련할 예정이다.
시제품 개발에 대한 연구용역 발주 시 기존 이동식사디리의 편리성 등을
고려하여 보급화될 수 있도록 적극 반영하겠다. 클린사업을 통한 개선된
이동식 사다리의 구입자금 지원을 검토하겠다.
이동식 사다리 작업안전을 위한 정책제안, 작업안전지침 마련 및 대체용품
개발을 위한 연구용역을 수행하겠다. 이에 우선하여 이동식 사다리의 실태파악
(제조사, 사용자) 및 국내외 관련기준 정보를 수집할 필요가 있다.
5. 소결

국내제품 조사결과 정부지침에 근거하여 안전난간작업발판 제품 개발·생산에만


초점이 맞춰져 있는 상황이다.
하지만 재해조사의견서 분석에서 보면 이동식 사다리제품에 의한 사망재해는
거의 없고 작업자의 작업방법에 의한 재해가 주된 요인이다.
설문조사 및 인터뷰에서도 대기업은 정부의 개선방안에 수긍하는 분위기이나,
중소기업은 조사해봐야겠지만 다소 부정적인 측면이 강하다. 다만, 전반적으로
정부지침 중 일자형 사다리 사용금지, 안전대 부착설비 의무화에는 부정적이다.
또한 안전난간이 설치된 사다리 사용이 오히려 작업자가 균형을 잃었을 때
사다리 전체가 전복될 수 있는 더 큰 사고로 직결될 수 있어 너무 이에 대한
지나친 관심은 적절하지 않다.
결론적으로 이동식 사다리 제품보다는 개정지침을 지키려는 작업자들의
인식전환과 작업방법에 대한 기준 또는 매뉴얼이 필요하다.
IV. 이동식 사다리 안전작업기준(안) ‥‥ 143

Ⅳ. 이동식 사다리 안전작업기준(안)


1. 재해조사의견서 분석결과

1) 이동식 사다리 재해분류체계

최근 10년간의 이동식 사다리와 관련된 사망재해사고 267건의 재해조사


의견서를 분석하여, 이동식 사다리 작업높이의 안전작업기준(안)을 설정하는 데
있어 필요한 신뢰성 있는 근거를 마련하고 재해발생 업종, 원인, 경위 등을
조사하는 등 재해율 높은 이동식 사다리 종류, 업종, 사고 경위 등을 분석하여
이동식 사다리의 재해발생 추세를 파악하고자 한다.
재해조사의견서를 분석하는데 있어 사망재해사고의 비교․분석 기준을
정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이동식 사다리 재해분류체계를 설정하였다.
재해조사의견서의 재해정보는 크게 6가지의 대분류로 설정하였다. 재해자의
업종, 경력, 재해발생 시 사고부위, 재해 발생 경위, 재해발생 시 사용했던 이동식
사다리형태 그리고 재해발생 시 추락높이를 중요한 분류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업종별 소분류에는 건설업, 관리업, 설비업, 통신업 등 13개의 업종군으로 분류
하였고, 경력별 소분류는 5개의 소분류로 사고부위별 소분류는 4가지 유형으로
분류하였다.
사고 발생경위별 소분류는 크게 3가지로 분류하였는데, 작업자의 이동식
사다리위에서의 균형상실에 의한 추락사망, 이동식 사다리 자체의 넘어짐에
의한 추락사망, 고정식 사다리의 구조체 접합부위의 파괴로 인한 이탈로 추락
사망으로 선정하였다.
이동식 사다리형태는 모양 및 기능에 따라 7가지로 분류하였고, 이동식 사다리
높이별 소분류는 그 높이 범위를 2m 이하, 2~3.5m, 3.5m 이상으로 정하였다.
IV. 이동식 사다리 안전작업기준(안) ‥‥ 144

여기서 2m의 기준은 안전보건공단의 10년간 사다리에 의한 추락재해통계자료에


근거하고 있다. 이 통계결과에는 2m 이상에서 가장 많은 재해사고가 발생되어짐을
확인할 수 있다.
2) 이동식 사다리 재해양상 분석

(1) 업종별 재해양상 분석


업종별 재해발생은 건설업과 설비업이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관리업, 도
장업, 위생/서비스업, 전기업, 통신업이 유사한 비율을 보이고 있다.
건설업에서는 A형 사다리의 사용 빈도가 높을 수밖에 없으나 바닥 상태나 작업
부위 등이 A형 사다리를 비정상적으로 활용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으며, 따라서
이러한 부위에 위험한 일자형 사다리를 활용하여 재해가 발생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특히, 건설업의 특성상 바닥의 상태가 고르지 않거나 평평하지 않을 가능성이
있어서 사다리차나 이동식 비계를 사용하였을 경우에도 재해가 발생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어서, 건설현장의 고소부위 이동식 사다리 사용에 대한 대책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즉, 작업발판 설치가 곤란한 장소에서 이루어지는 작업이나 단기간 작업
에서 효율성을 고려한 무리한 이동식 사다리 작업에서 안전한 작업발판 설치와
이동식 사다리 작업에 대한 안전수칙 준수 및 안전대 걸이시설 설치 등 추가적인
안전관리를 실시하여야 한다.
이동식 사다리 관련 재해에서 사고부위로 가장 빈도가 높은 것은 머리가 가장
높게 나타나서 안전모나 안전대, 안전난간 등과 같은 보호장치의 설치가 필수적임을
알 수 있다. 건설업과 관리업, 통신업, 전기업 등은 전체재해중 머리부분 부상에
의한 사망이 전체의 70% 이상의 원인을 보이고 있으며. 이는 이동식 사다리 작업의
재해저감을 위하여 머리보호가 가장 중요함을 보여주는 내용이다.
특히, 작업 환경상 이동식 사다리를 활용할 수밖에 없는 상황에서는 2인 1조로
작업을 시행하여 작업자의 안전부주의를 예방하고 작업안전성을 도와주는 조치가
IV. 이동식 사다리 안전작업기준(안) ‥‥ 145

필요함을 파악할 수 있다.


재해경위의 경우 대부분의 업종에서 균형상실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즉,
이동식 사다리에서 작업에 몰두할 경우 안전한 작업상태유지에 소홀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인식하지 못한 불균형상태를 초래하게 되어 재해가 발생되는 사례가
가장 많이 발생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이동식 사다리라는 도구가 작업대로서 활용되지 않아야 함을 보여주는
지표이며, 간단한 조치를 위하여 이동식 사다리를 설치할 경우에도 별도로
고정할 수 있는 안전대나 안전난간과 같은 보호조치가 필요함을 알 수 있다.
재해가 발생한 이동식 사다리 높이는 대부분이 3.5미터 이하에서 발생하였으며,
건설업과 설비업, 관리업의 경우는 2미터 이하에서도 사망재해가 30% 이상
발생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2미터 미만의 이동식 사다리 사용에 있어서도 사망재해가 얼마든지
발생하고 있으므로, 2미터가 넘는 높이에서는 안전대나 안전난간 등과 같은
재해방지조치가 필수적임을 알 수 있다.
일반적으로 건설업의 경우 층고가 2.5미터∼3미터 정도가 보통이므로 작업자의
키를 고려한다면 대부분 이동식 사다리를 딛고 있는 발의 위치가 2미터 미만에서
작업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2미터 미만의 이동식 사다리에서도 사망재해가
발생가능함을 보여주고 있다.
업종 전반적으로 고령의 경우 재해발생율이 높게 나타나고, 5년이하의 초급
기술자의 재해발생가능성이 높음을 보여주고 있고, 특히 일용직의 경우 대부분의
업종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일용직의 경우 업무숙련도가 떨어질 수 있고, 특히 숙련공보다 보조공인
경우가 많아서 작업 미숙 및 경험부족으로 재해발생 가능성이 높을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IV. 이동식 사다리 안전작업기준(안) ‥‥ 146

(2) 형태별 재해양상 분석


A형 사다리는 다른 사다리에 비하여 전반적으로 재해빈도가 높게 나오고
있으며 이는 운반이나 활용이 간단하여 업종별로 사용빈도와 사용가능성이
높음에 따른 결과로 사료된다. 건설업과 설비업에서 재해가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도출되었으며, 관리업과 도장업, 전기업의 재해사례도 전체 통계수에
비하여 높은 편이다.
특히 건설업의 경우 일자형, A형, 신축형 등 다양한 사다리를 필요에 따라
임의로 많이 사용하여 왔으며, 고정점이 안정되지 않고 평탄하지 않은 부분이
많아 다양한 사다리에 대하여 골고루 재해가 발생되었음을 파악하였다.
사다리 형태에 따른 재해경위는 사다리의 종류에 상관없이 균형상실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A형의 경우 2미터∼3.5미터 구간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고
다음으로 2미터 미만에서 높게 나타났다.
일자형과 고정식, 신축형은 모두 3.5미터 이상에서 재해발생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다음으로 2미터∼3.5미터, 2미터의 순서로 나타났다.
A형 사다리의 경우전체 업종에서 사용빈도가 가장 높아서, 전체재해의 85%가
3.5미터 미만에서 나타난 만큼, 다른 사다리에 비하여 낮은 높이의 재해율이
높게 나타났다. 이는 상대적으로 A형 사다리가 작업하기 편하고 안전하다고
여겨 안전인식이 높지 않은 이유로 판단된다.
특히 2미터 이하의 재해율이 전체의 30%가 넘게 나타나 다른 사다리가 10% 미만
으로 나타난 결과에 비하여 상당히 높은 재해율로 도출되었다. 따라서, 작업자가
방심할 수 있는 2미터 미만의 낮은 높이에서도 안전에 대한 대비와 인식개선이
이루어져야 함을 파악하였다.
IV. 이동식 사다리 안전작업기준(안) ‥‥ 147

(3) 재해조사의견서 빅데이터 분석


산업안전보건공단으로부터 입수한 재해조사의견서 267건에 대하여 빅데이터
분석을 시행하였으며, 빈도분석과 워드 클라우드 분석을 시행하였다.
재해조사의견서에서 용어로 노출된 빈도수는 높이, 바닥이 월등히 많이 노출
되고 있으며, 설치, 골절 등이 그 다음이며, 지하, 천정, 청소, 아파트 등도 자주
노출된 용어로 파악되었다.
이러한 용어를 참조하여 재해조사의견서를 검토하고 통계분석 하였으며, 그
결과 업종별 높이별 재해원인별 통계를 도출하는 근거로 활용하였다.
워드클라우드 분석의 결과에서는 재해보고서의 용어노출빈도만을 파악한다.
높이, 설치, 오전, 신축, 지하, 배관, 아파트, 공장, 머리 등이 사고와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파악할 수 있었고, 적용되고 있는 ‘사다리 안전작업지침 개선방안’이
큰 의미가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결론적으로, 재해조사의견서 분석결과 다음과 같은 사항이 안전작업기준(안)
및 이동식 사다리 대체품 개선모델(안)에 반영되어야 한다.
사고부위별로는 머리가 가장 빈도수(70%)가 높게 나타나, 안전모나 안전대
등의 개인보호장비 착용 의무화에 대한 규제가 강화되어야 한다.
재해 발생 경위는 대부분의 업종에서 균형 상실에 의한 추락사고가 가장 높은
비중(73.9%)을 차지하여, 이동식 사다리의 흔들림을 방지하기 위한 안전부속품
설치 및 작업상태유지의 안정성을 보장하기 위한 작업발판 및 디딤대 폭의 확대
조치의 기준이 필요하다.
<표 4-1> 이동식 사다리 사고경위별 재해빈도
구분 균형상실 넘어짐 사다리이탈 N/A 합계
빈도 (건) 207 49 21 3 280
비중 (%) 73.9 17.5 7.5 1.1 100
IV. 이동식 사다리 안전작업기준(안) ‥‥ 148

사다리 형태별로는 발붙임(A형) 사다리가 다른 사다리에 비해 전반적으로


재해빈도(63.6%)가 높게 나오고 있어, 발붙임(A형) 사다리 사용에 대한 규제
및 기준이 마련되어야 한다.
<표 4-2> 이동식 사다리 형태별 재해빈도

구분 A형 일자형 고정식 신축형 N/A 발판사다리 이동식 사다리차 합계


빈도 (건) 178 57 18 12 10 4 1 280
비중 (%) 63.6 20.4 6.4 4.3 3.6 1.4 0.3 100

재해 발생 추락 높이는 발붙임(A형) 사다리의 경우 전체 재해의 44%가


2m~3.5m 이하에서 발생하여 이 구간에서 안전난간이나 안전대 등과 같은 재해
방지조치 필요하며, 건설업과 설비업, 관리업의 경우는 2m 이하에서도 사망재해가
27% 이상 발생하여 다른 사다리의 재해가 10% 미만인 점을 감안할 때 이 높이
에서도 안전에 대한 대비와 인식개선이 필요하므로 이에 대한 기준도 마련될
필요가 있다.
<표 4-3> 이동식 사다리 추락높이별 재해빈도

구분 2m이하 2-3.5m 3.5m이상 N/A 합계


빈도 (건) 76 122 73 9 280
비중 (%) 27.1 43.6 26.1 3.2 100
IV. 이동식 사다리 안전작업기준(안) ‥‥ 149

2. 설문조사 분석결과

정부 개정지침에 따른 현장 작업은 강제적으로 시행한다면 가능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대형 건설사의 경우 규제에 긍정적이고 이에 대한 준수 실태가 높게
나타났으나, 중소 건설사 및 건물 관리업의 경우 규제에 대한 준수 실태가
아직도 상당히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현장의 개선의견은 다음과 같다.

1) 보통(일자형) 사다리 사용금지와 3.5m 이상 이동식 사다리 사용금지

소방 및 설비 분야에서의 작업, TPS 및 EPS실, 냉온탱크, 계단실 후레싱


마감 등 협소한 공간의 작업, 층고가 높은 협소공간(2m x 2m)의 작업 등에서는
일자형 사다리의 사용이 불가피하다.
또한, 협소공간에서의 3.5m 이상 지하층 작업과 외부 작업 등이 현장에서
예상외로 많이 발생되어 일자형 사다리를 못 쓸 경우에는 A형 사다리를 일자형
사다리처럼 벽에 기대어 사용하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일자형 사다리를 사용할 수 있는 예외기준과 협소공간에서의 3.5m
이상 작업에 적용할 수 있는 이동식 사다리 작업기준이 필요하다. 또한, A형
사다리를 일자형 사다리로 사용하는 것을 금지할 필요가 있다.
2) 안전모, 안전난간, 안전대 부착설비의무화

안전모 등 개인보호구 착용의 의무화에는 전반적으로 동의하였다. 다만 내부


마감작업 및 용접 등과 같은 안전모가 작업에 방해되거나 목디스크와 같은
질환을 유발하는 작업에의 경량안전모 지급이 필요하다.
안전난간에 대한 현장 실무자들의 의견은 전도위험이 있는 경우 안전난간은
전도위험을 오히려 가중시키는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는 우려를 표했다. 무게
IV. 이동식 사다리 안전작업기준(안) ‥‥ 150

중심이 더 높아지고 작업자가 기대는 경우 전도위험이 더 커질 수 있다는 의견


이다. 또한, 고소작업대 및 고소작업장비(스카이 등)에서의 안전난간 적용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는 의견이다.
안전대 부착설비의무화는 대다수의 현장 실무자들은 효율성이 없다고 조사
되었다. 이동식 사다리 사용 작업은 단순 작업, 잦은 이동작업, 하자보수작업
등 편리성과 작업성이 제공되어야 하기 때문에 안전대 걸이를 체결하는 것이
어렵다는 것이다. 또한 안전대 걸이의 강도, 폭, 로프길이 등을 만족할 만한
시설 또는 장치도 없을 뿐 아니라 안전대 걸이가 개발되어도 현장 내 작업자들이
이를 실질적으로 활용할 수 있을지에 대한 의문을 표했다.
따라서, 경량 안전모의 개발, 안전난간의 작업높이별 적용기준, 그리고 이동식
사다리 작업에 적합한 안전대 부착설비설비의 개발이 필요하다.
3) A형 사다리 높이기준 및 준수사항

먼저 교육을 통한 작업자들의 안전에 대한 의식개선이 우선되어야 한다.


A형 사다리를 포함한 이동식 사다리의 미끄럼 방지대, 전도 방지 지지대 등
안전부속품의 필요성에 대한 의견이 많았다.
PS, PD 구간 등과 같은 협소공간 작업에는 일자형 사다리조차 사용이 어려워
3.5m 이상 작업에도 A형 사다리를 사용해야 할 경우가 많아 이에 대한 완화
기준이 요구되었다.
2인 1조 작업에 대해서는 대다수 동의하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나, 협력업체의
경우 인력 수급과 인건비 증가에 대한 우려를 표했다. 따라서 2m 미만 작업
에서의 2인 1조 작업은 개선이 필요하다는 의견도 다수 있었다.
따라서, 3.5m 이상 작업에 대한 사용지침이 필요하며, 높이 기준보다는 현장의
작업성 및 형편성에 따른 이동식 사다리 설치기준에 중점을 맞출 필요가 있다.
IV. 이동식 사다리 안전작업기준(안) ‥‥ 151

4) 발주자 안전보건관리 매뉴얼 개선

대다수의 현장 실무자들은 발주자 안전보건관리 매뉴얼에 영구적인 안전대


부착설비 앵커를 설계에 반영하는 것에 동의하였다. 다만 안전대 걸이에서
구명줄 처짐율, 안전블록 죔줄의 늘어나는 길이, 작업자의 신장 및 무게 등을
고려한 안전대 높이 정립이 필요하다는 의견이다. 안전대 걸이는 이를 고려할
때 최소 3m 이상 작업에 적용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영구적인 안전대 부착설비앵커는 층고가 최소 3.5m 이상인 마감재가
없는 벽면에 매입할 필요가 있다.
5) 원도급체 고소작업 장비 대여 및 정부지원
원도급체가 현장 공사기간 동안 일괄계약으로 고소작업 장비를 대여하는
방안에 대하여서는 다양한 의견이 제시되었다. 원도급체의 입장에서는 발주자의
내역 포함 승인 여부에 따른 공사비 증가와 관리주체 및 사고 발생 시 책임
주체의 모호함을 우려했고, 협력업체는 대다수가 이를 적극적으로 반기는 입장
이었다. 협력업체의 경우 대다수가 고소작업 장비를 필요 시 대여하여 사용
하는데 단순작업의 경우 대여비에 대한 부담으로 대여를 회피하는 경우가 많아
이러한 방안을 적용한다면 재해예방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는 의견이다.
따라서, 원도급체의 장비대여 일괄계약 시 보다 저렴한 장비대여비를 보장받을
수 있는 정부의 지침과 장비대여 일괄계약 시 정부 지원 방안을 제시할 필요가
있다.
6) 기타

반드시 관리감독자 입회 하에 고소작업을 수행해야 한다면 재해예방에 도움이


될 것이다.
IV. 이동식 사다리 안전작업기준(안) ‥‥ 152

이동식 사다리의 높이기준 규제보다는 작업 설치기준 및 매뉴얼이 정립되어


진다면 보다 효율적인 재해예방이 이루어질 것이다.
따라서「근로자가 작업 시 시작과 종료 시까지 안전관리자나 관리감독자가
작업공간 내에서 안전에 대한 관리 감독을 하여야 한다.」라는 지침이 필요하다.
또한 작업 매뉴얼의 개발과 보급에 대한 연구도 필요하다.
결론적으로, 현장 설문조사 및 인터뷰 결과 다음과 같은 사항이 안전작업기준
(안) 및 이동식 사다리 대체품 개선모델(안)에 반영되어야 한다.
보통(일자형) 사다리와 신축형 사다리, 발붙임(A형) 사다리를 사용할 수 있는
예외기준 및 협소공간에서의 3.5m 이상 작업에 적용할 수 있는 사다리 작업
기준의 마련이 반영되어야 한다.
이동식 사다리 작업 특성에 부합되는 안전대 부착설비를 정부가 제시할 필요가
있다.
발붙임(A형) 사다리를 포함한 이동식 사다리의 미끄럼 방지대, 전도방지
지지대 등의 안전부속품의 부착이 필요하다.
작업의 안정성을 높이기 위해 작업발판 폭의 확대가 필요하다.
2인 1조 작업에 대하여는 협력업체의 인력수급 및 인건비 증가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있었지만, 대다수 필요성을 인식하고 동의하였기에 이에 대한 기준도
제시될 필요가 있다.
IV. 이동식 사다리 안전작업기준(안) ‥‥ 153

3. 안전작업기준 제시

1) 재해조사의견서 분석결과 반영내용

- 사고부위별로는 머리가 가장 빈도수(70%)가 높게 나타나, 안전모나 안전대


등의 개인보호장비 착용 의무화 규제 강화 필요
- 사다리 형태별로는 발붙임(A형) 사다리가 다른 사다리에 비해 전반적으로
재해빈도(63.6%)가 높게 나오고 있어, 발붙임(A형) 사다리 사용에 대한 규제
강화 필요

- 재해 발생 추락 높이는 발붙임(A형) 사다리의 경우 전체 재해의 44%가


2m~3.5m 이하에서 발생하여 이 구간에서 안전난간이나 안전대 등과 같은
재해방지조치 필요하며, 건설업과 설비업, 관리업의 경우는 2m 이하에서도
사망재해가 27% 이상 발생하여 다른 사다리의 재해가 10% 미만인 점을 감안할
때 이 높이에서도 안전에 대한 대비와 인식 개선이 필요
IV. 이동식 사다리 안전작업기준(안) ‥‥ 154

- 재해 발생 경위는 대부분의 업종에서 균형 상실에 의한 추락사고가 가장 높은


비중(73.9%)을 차지하여, 이동식 사다리의 흔들림을 방지하기 위한 안전부속품
설치 및 작업상태유지의 안정성을 보장하기 위한 작업발판 및 디딤대 폭의
확대 조치 필요

2) 현장 의견수렴 결과 반영내용

- 보통(일자형) 사다리와 신축형 사다리, 발붙임(A형) 사다리를 사용할 수 있는


예외기준 및 협소공간에서의 3.5m 이상 작업에 적용할 수 있는 사다리 작업
기준 필요
- 안전모 등 개인보호구 착용, 안전난간 및 안전대 부착설비 의무화 필요
- 발붙임(A형) 사다리를 포함한 이동식 사다리의 미끄럼 방지대, 전도방지
지지대 등의 안전부속품 부착 필요
- 작업의 안정성을 높이기 위해 작업발판 및 디딤대 폭의 확대 필요
- 이동식 사다리 안전 부속품 추가 및 높이 기준에 따른 제품 인증 기준 필요
3) 안전작업기준(안) 제시

이동식 사다리는 근로자가 작업 시 시작과 종료 시까지 안전관리자나 관리


감독자가 작업공간 내에서 안전에 대한 관리 감독을 하여야 한다.
1. 보통(일자형) 사다리 및 신축형 사다리는 사용을 금지한다.
다만, 불가피한 작업장소에 한하여 안전대 부착설비에 안전대 걸이 후 사용
하는 작업은 일부 허용한다.
IV. 이동식 사다리 안전작업기준(안) ‥‥ 155

2. A형 사다리는 경작업 또는 고소작업대·비계 등의 설치가 어려운 협소한 장


소에서 3.5미터 이내 높이에서만 작업할 것. 높이 3.5m를 초과할 경우 사용
을 금지한다. 다만, 작업계획서를 작성하고 작업지휘자를 지정하여 지휘·감독
하도록 한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3. 말비계와 고소작업대는 높이 2m 이상에서 안전난간 또는 안전대를 반드시
설치하고 사용해야 한다.
4. 상기의 안전작업기준에 해당되지 않으나 이동식 사다리를 사용해야 할 경우
다음의 모든 조건을 충족하여야 한다.
1) 사다리가 완전히 고정될 수 있어야 하며, 사다리 하단부에는 전도방지
지지대 및 미끄럼 방지대가 설치된 사다리를 사용하여야 한다.
단, 전도방지 지지대 및 미끌림 방지대를 펼칠 수 없는 협소한 공간
에서의 작업은 제외한다.
2) 해당 작업에 사용할 사다리가 안전난간 부착 또는 기타 안전시설을 완비
하여 충분히 안전하여야 한다.
단, 안전난간 또는 기타 안전시설을 설치할 수 없는 협소한 공간에서의
작업은 제외한다.
3) 안전모 및 안전대 걸이를 착용하여야 한다.
4) 2인 1조 작업을 하여야 한다.
5. 이동식 사다리 단계별 체크리스트 또는 모바일 앱을 통해 단계별 준수사항을
반드시 점검하여야 한다.
IV. 이동식 사다리 안전작업기준(안) ‥‥ 156

4. 소결

재해조사의견서, 설문조사 및 인터뷰 결과 정부 지침의 이동식 사다리 높이


에는 대다수 의견이 없었다. 2인1조 작업, 안전모 착용 등도 무난한 작업기준이
라고 판단된다.
다만 개구부가 작고 협소하여 비계 및 고소작업대 반입 및 설치가 불가하여
이동식 사다리를 사용하여야 하는 작업들이 현장에 분명히 존재하기 때문에
관리·감독을 강화하여 이동식 사다리 사용을 허용하는 추가 예외기준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장에서 제시하는 안전작업기준(안)을 반영한다면 정부의 지침은 적절한
것으로 판단된다. 다만, 이러한 예외기준을 악용하는 사례가 발생하지 않도록
관련 기관의 지도·점검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또한, 정부의 지침을 뒷받침하기 위하여 현재 가장 많은 의문점으로 제기된
안전대 걸이를 위한 안전대 부착설비에 대한 개발연구는 향후 구체적이고 현실적
으로 반드시 진행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V. 이동식 사다리 안전모델 ‥‥ 157

Ⅴ. 이동식 사다리 안전수칙 단계별 준수사항


이동식 사다리 단계별 준수사항은 국ㆍ내외의 표준 및 지침(Ⅱ장 내용)에
국한하지 않고 실질적으로 사다리 안전관리 실천 사례에 대한 조사결과가 반영
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장에서는 미국 NIOSH (National Institute of Occupational Safety
& Health)가 개발한 Application(이하, App이라 한다.) “Ladder Safety App”과
영국 사다리협회 (The Ladder Association)가 개발한 “Ladder Association
APP”의 구성체계 및 내용을 분석하였다. 또한, 사다리에서의 추락이 지속적으로
발생함에 따라 사고 예방을 위한 각 국의 실천방안을 조사ㆍ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사다리 선택, 점검, 설치, 사용, 유지관리 및 보관까지의 단계별
준수사항을 도출하여 최종적으로 안전모델 (Step-by-Step Diagram)을 제안
하고자 한다.
1. 해외 사례 분석

1) NIOSH Ladder Safety App.

Ladder Safety App.은 ANSI A14. Ladder Safety 표준을 기반으로 하는 사


다리에 관한 최초의 스마트 폰 응용프로그램(App)이다. Home / Measuring
Tool / Ladder Safety 로 구성되어 있으며, 세부사항은 <그림 5-1>과 같다.
Home에서는 App.이 가지는 의의, 사용 시 한계점 및 경고사항을 소개하고
있다.
V. 이동식 사다리 안전모델 ‥‥ 158

<그림 5-1> Ladder Safety App. 구성체계


V. 이동식 사다리 안전모델 ‥‥ 159

Measuring Tool은 비자립형 사다리(일자형ㆍ신축형 사다리)의 사용 전 설치


각도 설정의 중요성을 강조한 것으로 사용자가 최적의 각도로 사다리를 올바르게
배치 할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사다리에서의 추락 방지를 위한
도구로 사용하도록 권장하고 있다.
사다리 각도는 <그림 5-2>와 같이 4가지 유형으로 나타나며 적정 각도로
정하고 있는 75°일 때 녹색으로 표시된다.

Too Steep Too Shallow Great Out of Range


<그림 5-2> 사다리 각도 표시

Ladder Safety는 Decisionㆍ SelectionㆍInspectionㆍSet upㆍProper Use 및


Accessories의 6가지로 구성되어 있다. 각각의 세부 내용은 다음과 같다.
(1) Decision
일자형ㆍ신축형사다리 및 발붙임 사다리 중 작업 소요시간, 사용자재ㆍ도구
및 작업 현장 상황에 따라 결정하도록 한다. 장시간 작업, 사다리를 오르는 동안
과도한 하중, 과도한 작업이 요구된다면 비계 또는 공중 리프트를 사용하는
옵션을 고려하도록 권장하고 있다.
(2) Selection
결정된 사다리를 선택하여 유의사항을 확인한다. 다음으로 작업자, 재료 및
V. 이동식 사다리 안전모델 ‥‥ 160

도구 등을 고려하여 100lbs~400+lbs내에서 하중을 선택하고 전기 노출 여부를


선택하면 권장하는 사다리9)가 나타난다. 사다리 선택 과정은 <그림 5-3>과 같다.

일자형, 신축형 발붙임 사다리 2 (Duty Rating)


사다리 → 3(권장사항 확인)
step 1 (유의사항 숙지) →
<그림 5-3> 사다리 선택 과정

(3) Inspection
작업 전 점검사항으로 작동여부, 라벨ㆍ발판ㆍ버팀대ㆍ디딤대ㆍ연결대ㆍ미끄럼
방지용 모서리 기구 등에 대한 점검사항이 나타난다. 세부내용은 <표 5-4, 5>
와 같다.

9) ANSI의 5가지 유형 중 해당사항 (Ⅱ장의 <표 2- > 참조)


V. 이동식 사다리 안전모델 ‥‥ 161

<그림 5-4> 신축형 사다리 점검사항

<그림 5-5> 발붙임 사다리 점검사항


V. 이동식 사다리 안전모델 ‥‥ 162

(4) Set up
Set up은 점검이 끝난 각 사다리별 설치방법을 제공한다.
<그림 5-6>은 비자립형인 신축형 사다리의 설치방법으로 사다리 상하부
고정 여부 및 고정방법, 각도 측정 방법 및 측정 시 작업자 위치, 잠금장치,
작업위치의 전도체 유무 등을 안내하고 있다.

사다리 하부고정 각도 측정방법 각도 측정 및 측정결과


사다리 각도 설정
측정 시 작업자 위치 4 : 1비율

상부 접점 구조물 구조물 상단에서 사다리 고정장치 고르지 못한 불안전한 사다리 전선 확인


밀착여부 확인 3ft 연장 체결여부 확인 지면 하부 고정 안전조치
<그림 5-6> 신축형 사다리 설치

단단하고 평평한 수평 확인을 하부를 지면에 전기 배선 근처 작업 면에 에절대다른비계나 바닥


지면에 완전히 위하여 디딤대에 단단히 고정 설치 금지 직면하도록 배치 는 곳에 설치 금지있
물체가
펼쳐 고정 정렬
<그림 5-7> 발붙임 사다리 설치
V. 이동식 사다리 안전모델 ‥‥ 163

(5) Proper Use


신축형ㆍ발붙임 사다리의 적정한 사용법은 공통적으로 사다리 또는 작업자가
균형을 잃지 않도록 하는 방안이 중요하다.
세부 내용은 <그림 5-8, 5-9>와 같다.

ㆍ버팀대 사이 중심
승하강시 사다리 유지 사다리를 단단히 잡고 과도한 하중 금지
정면 응시 ㆍ균형을 잃을 수 있는 3개 접점 유지
작 금지

ㆍ사다리는 상부지지
상단 3개의 디딤대에는 점 위로 약 3ft까지
한 사람이 사용 확장
서지 말 것 ㆍ사다리의 상단은 이
동하지 않도록 고정
<그림 5-8> 신축형 사다리 사용
V. 이동식 사다리 안전모델 ‥‥ 164

ㆍ버팀대 사이 중심 유지
ㆍ무게중심이 옆에 있지 않도 최상단에서서지두말것
개 발판에는 사다리에 올라 있는 동안
움직이지 말 것
록 주의

ㆍ공구 또는 재료를 가지고


한 번에 한사람씩 사용 사다리 승강 시 승하강 금지
3개의 접점 유지 ㆍ공구 벨트를 사용하거나
보조인원 배치

사다리 뒷부분에 균형을 유지하려면, 사다리를 닫힌 상태에서 사다리에


올라가지 말 것 잡고 몸을 기울이도록 올라타거나 기대는 것 금지
<그림 5-9> 발붙임 사다리 사용
V. 이동식 사다리 안전모델 ‥‥ 165

(6) Accessories
액세서리는 비자립형 사다리 설치 및 사용시 매우 중요한 요소로 본 App에서는
안전한 사용을 위한 12가지 액세서리를 소개하고 있다.
사다리 높이 조절, 미끄럼 방지, 나무ㆍ장대 또는 건물 모서리에 설치하여
사다리를 지지하거나, 사다리 상하부를 보호하는 등의 기능을 한다.
세부내용은 <그림 5-10>과 같다.

<그림 5-10> 신축형 사다리 액세서리


V. 이동식 사다리 안전모델 ‥‥ 166

2) Ladder Associate App.

영국 The Ladder Association은 HSE의 지원으로 다음과 같은 6개의 영역으로 구성된 App.을 개발하였다.

<그림 5-11> Ladder Association App. 구성체계


V. 이동식 사다리 안전모델 ‥‥ 167

Checklist에서는 일자형ㆍ신축형 및 발붙임사다리의 적정부적정의 사례를 예


시하고 있다. Code of Practices는 4개의 Section의 구성되어 사업주, 작업자 등
의 의무사항, 사다리 사용 시 리스크 관리 및 유의사항을 규정하고 있다. 또한,
News 및 Directory를 통해 관련 정보를 안내하고 있다.
(1) Checklist
일자형ㆍ신축형 및 발붙임사다리의 올바른 사용 및 잘못된 사용에 대한 사
례 제시로 사용 시 주의사항을 안내하고 있다. 세부내용은 <표 5-1>과 같다.
<표 5-1> 이동식 사다리별 사용 점검사항
구분 올바른 사용 잘못된 사용

일자형

신축형
사다리

발붙임
사다리
V. 이동식 사다리 안전모델 ‥‥ 168

(2) Code of Practices


Code of Practices는 휴대용 사다리 및 발붙임 사다리의 안전하고 효과적인
사용에 대한 안내서로 SECTION 1~4로 구성되어 있으며, 세부내용은 아래와
같다.
가) SECTION 1 Foreword by HSE and Introduction
HSE에서는 고소작업으로 인한 추락사고 중 1/4 이상이 사다리에서 발생하
며, 사다리를 안전하고 올바르게 사용하고 계획된 작업에 적합한지 확인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고 하였다. 따라서 HSE는 사다리 협회의 지침에 대한 지원
을 제공하였다. Code of Practices를 통해 사다리를 사용하는 개인 및 조직에
대한 모범 사례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나) SECTION 2 Employer & User Responsibilities
SECTION 2에서는 “The Health & Safety at Work(etc.) ACT, 1974에서 정
한 내용을 바탕으로 한다. <표 5-2>와 같이 employer, employee 및
Construction Industry의 의무사항을 정하고 있다.
V. 이동식 사다리 안전모델 ‥‥ 169

<표 5-2> 이해관계자의 의무사항


구분 내용
사업주(개인, 파트너 관계 또는 회사)는 직원 또는 자영업자에게 제공되는 작업
장비 품목이 관련 법규를 준수하도록 해야 함
사업주는 각 프로젝트에 대해 위험 평가를 수행하여 해당 응용 분야에 가장 적
employer 합한 제품 또는 장비를 식별하고 지정해야 함
작업 장비가 사용하기에 적합하도록 제작해야 함
작업 장비가 적합한 운영 환경에서만 사용되도록 해야 함
작업 장비가 효율적인 상태, 효율적인 작업 순서 및 양호한 수리 상태로 유지되
도록해야 함
다른 사람의 안전 또는 안전을 위험에 빠뜨릴 수 있는 고소작업과 관련된 모든
활동 또는 결함을 보고해야 함
employee 안전하게 사용하는 훈련에 따라 제공된 고소작업용 장비로 작업해야 함
사업주 또는 법적 의무에 따라 제공 한 지침에 따라 작업을 관리하는 사람이
제공하는 고소작업용 장비를 사용해야 함
주계약자를 포함하여 계약자는 직원 (또는 자영업 계약자의 경우 자신)이 사용
하는 모든 작업 장비가 관련 법률을 준수하고 사용되도록 보장할 의무가 있음
각 개별 애플리케이션에 대해 수행 된 리스크 평가의 특정 요구를 충족해야 함
다른 사람이 사용할 수 있는 장비를 사용하는 장비의 유지보수 일정
과 가용성을 결정하기 때문에 장비를 점검하고 유지 보수하는 데 주도적인 역
할을 해야 함
사업주는 안전한 사용을 위한 사용자(작업자) 훈련에 적극적으로 임해야 함
고용 기관과 같은 다른 사람의 행동으로 인해 관련 법규를 준수해야하는 자영
Construction 업자의 의무가 줄어들지는 않으므로 자신의 법적 의무를 충족시키기 위해서는
Industry 당사자 간의 효과적인 조정이 필수
건설 (설계 및 관리) 규정 2007 (CDM)은 현장에서 건강 및 안전문제를 효과적
으로 조정하도록 규정함
장비를 공유할 때는 협력 및 정보교환이 중요하며, 모든 사용자는 다음 사항을
숙지해야 함
- 장비 조정을 담당하는 사람
- 장비 상태의 변화에 ​대해 누가 알려야합니까?
- 장비 사용에 대한 제한.
- 장비를 안전하게 사용하는 방법
V. 이동식 사다리 안전모델 ‥‥ 170

다) SECTION 3 Work at Height Regulations (WAHR)


Section 3에서는 고소작업에 관한 WAHR의 규정을 요약하고 있다. WAHR
은 사다리는 접근과 출구를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일련의 작업이 위험이 낮
고 단기간(30분 이내)인 경우, 사다리가 합법적이라고 명시하고 있다.
또한, 리스크 관리를 통해 모든 사업주, 직원 및 자영업자는 자신이 자격이
없거나 훈련을 받지 않은 경우, 고소작업이나 업무용 장비와 관련하여 조직, 계
획 및 감독을 포함한 어떠한 활동에도 관여하지 않도록 규정하고 있다.
리스크 관리를 위한 조직 및 계획 시 고려사항은 다음과 같다.
▶대지 정보
▶작업 기간
▶일의 성격 (light or heavy)
▶작업 위치
▶추락 위험
▶최대 안전 작동 하중
▶중량물을 들거나 운반 할 필요성
▶반복적으로 하중이 적용 될 필요성
▶장기적으로 하중을 적용 할 필요성
▶전도 작업에 관련된 사람들
▶사용되는 작업 장비 및 기타 구조물
안전한 작업을 위한 계층구조는 <표 5-3>과 같이 5가지로 정하고 있으며,
이를 준수하도록 하고 있다.
V. 이동식 사다리 안전모델 ‥‥ 171

<표 5-3> 안전한 작업을 위한 계층구조


구분 내용
AVOID 고소작업 회피 - 합리적으로 실행 가능한 방안이 있는 경우
PREVENT 올바른 작업 장비를 선택하여 작업자 등의 추락 방지
MITIGATE 작업 높이를 최소화하여 추락 사고 완화
COLLECTIVE 가드 레일, 그물, 에어백을 사용하여 집단 보호
PERSONA 유사한 장비의 안전장치를 사용하여 개인 보호

위와 같이 고소작업 시 고려사항을 검토하고 상세한 리스크 평가를 수행한


다. 평가의 목표는 다음과 같으며, 리스크 평가 템플릿은 <표 5-4>와 같다.
▶ 고소작업 외에 다른 대안이 없다는 것의 확립
▶ 안전하고 실용적인 작업 방법을 허용하는 가장 적합한 작업 장비 식별
▶ 추락을 방지하고 그 결과를 최소화하기 위해 취해야 할 조치 식별
리스크 평가를 통해 사다리가 장비로 선택된 경우, 사용과 관련된 평가를 수
행한다. 세부내용은 다음과 같다.
▶ 비상시 적절한 대피 및 구조 확보
▶ 장비 선택 시 개인보다 집단보호 우선
▶ 출입을 위해 필요한 거리 고려
▶ 추락 거리와 결과를 식별하고 최소화
▶ 사용 기간 및 빈도 고려
▶ 장비의 설치, 사용 및 이동 등으로 인한 추가 위험 유무
▶ 작업의 성격, 예측 가능한 하중에 적합하고 적절한 치수 확보

위와 같은 리스크 관리 사항뿐만 아니라 WHAR은 장비의 검사 및 기록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V. 이동식 사다리 안전모델 ‥‥ 172

<표 5-4> 리스크 평가 템플릿


작업 단계 발생할 수 있는 위험 유형
작업 계획
소규모 작업이라도 합리적인 수준의 안전
성과 효율성으로 수행하려면 일정 수준의
사고와 계획이 필요함.
- 작업을 시작하기 전에 다음 중 일부 또는 관리자 및 계획자에 의한 장비의 한계에
전부를 결정하거나 고려해야 함 대한 인식 부족
1) 어떤 작업을 수행해야하며 시간이 얼마나 부적절한 장비를 사용하여 안전하지 않거
걸립니까? 나 비효율적인 접근 또는 작업 위치 생성
2) 작업을 수행하여 어떤 목표를 달성해야합 장비사용 빈도 증가
니까? 장비를 사용하는 사람이 안전 및 작업 수
3) 능력, 경험 및 잠재 사용자는 적절합니까? 행 효율성의 위험을 증가시키는 경우 사용
4) 이 경험과 능력은 장비를 올바르게 사용 기간이 길어짐
하기 위한 기술요구사항과 일치합니까?
5) 해당 지역에 있을 수 있는 사용자와 다른
사람 모두에게 작업을 수행하면 어떤 영
향이 있습니까?
작업 설정 법률을 준수하지 않으면 작업 일정이 지연
사전 계획에 따라 작업을 설정해야하지만 되고 회사의 이미지가 손상 될 수 있음
수정이 필요할 수 있음 관리가 잘되지 않고 부적절한 상태의 장비
- 안전과 작업의 효율성에 심각한 위험을 사용
피하기 위해 적절한 자격을 갖춘 사람이 장비를 현장으로 조달하는 어려움
수정하도록 하고 고려사항은 다음과 같음 작업에 적합하지 않은 위치 또는 잘못된
1) 작업에 적합한 장비는 적합한 방식을 통 높이에 장비 위치
한 조달되어야 함 좁은 공간에서 장비 취급으로 인한 부상
2) 주변에 있는 작업자 이외의 사람들과의 취급 및 운송 중에 접근 장비 또는 주변
간섭을 피하기 위해 올바르게 설치하고 구조물 손상
배치해야 함 장비의 올바른 배치 및 적절한 기반의 배
3) 장비 위치, 사용 기간, 작업 시간 및 안전 치를 위한 공간 부족.
거리 장비로 인해 다른 사람이 다칠 위험
장비의 무단 사용
보호되지 않은 기계가 작동하는 장소 또는
전기 전도체가 없는 장소와 같이 위험한
장소에 무단으로 장비 배치
V. 이동식 사다리 안전모델 ‥‥ 173

작업 단계 발생할 수 있는 위험 유형
작업 수행 작업 진행 방법에 대한 적절하고 완전한
작업을 수행하는 안전하고 성공적인 결과 지침의 부재
는 다음과 같은 여러 요인의 영향을 받음 사용자의 기술과 능력이 장비의 사용 요구
1) 적절한 관리 통제. 사항에 적합하도록 보장하는 적절한 교육
2) 장비의 올바른 사용 또는 경험 부족
3) 장비의 올바른 설치 및 해체 부적합하거나 무거운 짐을 운반하거나 부
4) 장비가 이동해야하는 빈도를 최소화 과
5) 작업에 적합한 유능한 사람 사용 열악한 설치, 충격 손상 또는 기타 요인으
6) 전동공구를 사용할 때는 적절한 예방 조 로 인한 장비 불안정
치를 취해야 함 부적절한 활동을 수행하거나 적절한 보호
7) 적절한 개인 보호 장비를 올바르게 사용 기능이 없기 때문에 장비에서 추락
장비에서 작업 할 때 도구를 부적절한 방
식이나 위치에서 사용하여 발생한 부상.
낙하 도구 및 기타 품목과 같은 장비에서
작업을 수행하는 동안 다른 사람이 다칠
수 있는 위험.
피로 또는 건강 상태의 결과
정기점검 중에 발견되지 않은 결함으로 인
한 사고는 사용빈도와 관련하여 점검 빈도
에 대한 우려 제기
장비 관리 및 유지 보수 부적절한 검사 및 잠재적 결함의 비효율적
장비의 지속적인 안정성은 다음에 따라 상 인 수리
이함 접근 장비의 부적절한 보관
1) 검사 절차 비효율적 인 유지 보수 작업
2) 장비의 올바른 관리 중요 부품 및 부품의 약화로 이어지는 미
3) 장비의 적절한 유지 보수 확인 마모
4) 부품의 정확한 식별 서로 호환되지 않는 장비 항목 사용
검토 및 평가
성공적인 운영을 위해서는 정기적으로 계 예방이 치료보다 우선되어야 함
획을 전체적으로 검토하고 평가해야 함
V. 이동식 사다리 안전모델 ‥‥ 174

라) SECTION 4 User Guide (STEP)


Section 4는 사다리의 안전한 사용에 관한 것으로 STEP(SiteㆍTaskㆍ
EquipmentㆍPeople) 및 단계별 사다리 관리 방법으로 구성되어 있다.
STEP에 대한 세부내용은 <표 5-5>와 같다.
<표 5-5> User Guide (SㆍTㆍEㆍP)
구분 내용
ㆍ지면은 dry, flat, level, firm, strong의 조건을 만족해야 함

ㆍ사다리는 최대한 작업위치와 근접


Positioning 하여 배치해야 함
Site ㆍ측면에서 작업하지 않도록 함
ㆍ사다리 각도는 70°~75°도로 사용
ㆍ사다리 전체길이의 4분의 1을 벽 또는 다른
수직표면으로 배치할 것
Stabilizing ㆍ사다리를 묶거나 고정시킬 수 있는 방법을 강구해야 함
Protecting ㆍ작업자 이외의 사람을 보호하기 위하여 작업장을 분리하거
other Persons 나 보호 조치를 취해야 함
Weather Conditions ㆍ악천후(비, 강한 바람 및 번개 등)에 대한 작업 지연 고려
ㆍ최대 30 분
Duration of Tasks - 사다리를 사용하여 30분 이상 소요되는 작업 금지
- 30분 이상일 경우, 다른 작업 장비 사용을 고려해야 함
Climbing and ㆍ승하강시 과부하
ㆍ승하강시 방지
Descending Safely ㆍ사다리와 항상 사다리 또는 발판을 향하도록 함
발판을 등지고 하강해서는 안 됨
Task What loads will be ㆍ하중이 사다리 또는 발판의 안정성에 어떤 영향을 줄 수
created by the task and 있을지 고려할 것
how will they affect - 수행 할 작업이 사다리의 안정성이나 사용 중인 단계에
ladders or steps? 어떤 영향을 줄 수 있는지 고려
Can you maintain ㆍ사다리는 지지점 위로 최소 1m 이상 되게
a firm handhold? 하고 지말것
사다리 상단 3개의 디딤대에는 서 있
V. 이동식 사다리 안전모델 ‥‥ 175

구분 내용
ㆍ사다리 선택 시 다음 사항을 고려하여 선택할 것
Class Applications
BS2037/ Heavy Duty 상대적으로 높은 빈도와 번거로운 사
BS1129 & Industrial 용 조건, 운송 및 보관이 이루어지는
Selecting the Class 1 중부하 작업용
Right Class Trade, Light 상대적으로 낮은 빈도와 합리적으로
EN 131 Industrial 양호한 사용 조건, 운송 및 보관이 이
루어지는 중간 정도의 업무용
BS2037/BS1 Domestic 사용 빈도가 낮고 운송 및 보관 조건
129 Class 3 Use 이 좋은 가정용 사다리
Equipment ㆍ사다리 재질에 따라 다음 사항을 고려하여 선택할 것
Selecting the 알루미늄 경량, 이동이 용이하나 감전의 위험
Right Material 이 있는 곳에서는 사용금지
유리섬유 및 목재 감전의 위험이 있는 곳 사용 가능
강철 중량, 이동이 용이하지 않음
Selecting the ㆍ사다리는 작업에 충분한 길이가 확보되어야 함
Right Height - 아상자,높이를
벽돌, 블록 또는 이와 유사한 물건 위에 사다리를 놓
조정해서는 안 됨
Selecting the ㆍ작업별 올바른 유형의 사다리 선택
Right Type
Selecting ㆍ사다리는 다소 간단한 장비이지만 안전하게 작업을 수행할 수
Competent People 있는 유능한 사람을 선택해야 함
to do the Task. - 수단으로
실용적이고 이론적인 지식, 훈련 및 경험을 포함한 다양한
역량을 입증할 수 있어야 함
Selecting the ㆍ작업자의 적합성 여부 확인
Right People to - 신체능력(몸 상태가 좋지 않거나 약물 복용 등)
do the Task. 은 안전한 작업에 영향을 줄 수 있음
Ensuring there ㆍ작업을 수행하기에 충분한 사람들이 있는지 확인
People are Sufficient - 사다리 크기와 무게에 따른 사다리 배치 및 고정
People to do the - 항상 수동 취급 지침을 준수하여 본인이나 타인을 위험에
Task. 빠뜨리는 일이 발생하지 않도록 주의
What Personal ㆍ사다리 작업에 필요한 개인 보호장비(PPE)
Protection 고려
Equipment (PPE) - 평평한 신발 착용
is necessary for - 작업 전 항상 미끄러질 수 있는 진흙, 기름
working on
ladders/steps? 또는 기타 오염 물질을 제거해야 함
V. 이동식 사다리 안전모델 ‥‥ 176

단계별 사다리 관리방법에 관한 사항은 <표 5-6>과 같이 3부분으로 구성되


어 있다.
<표 5-6> User Guide (단계별 관리방법)
구분 내용
ㆍ사전 점검의 목적
- 사다리를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지 여부를 신속하게 설정하는 것
Pre-Use ㆍ사용자는 사다리를 설정하기 전에 사전 사용 점검을 수행해야 함
Checks By - 자주 사용되는 사다리의 경우 하루에 한 번만 수행하면 됨
The User ㆍ사용 전 검사는 시각적이고 기능적인 검사임
- 사용자는 사다리에서 올바른 사용을 방해하는 명백한 결함을 식별 할 수
있어야 함
ㆍ사용 빈도에 따라 설정된 간격으로 심층적인 육안 검사를 수행해야 함
- 자주 사용하는 사다리(매일) : 3개월에 1회
- 가끔씩(주 단위로) 사용되는 사다리 : 최소한 6개월에 1회
- 자주 사용하지 않는 사다리 (매월 초과하는 기간에 사용)
검사 : 12개월마다 1회 검사하여 보관 중에 열화ㆍ손상여부 확인
빈도 ㆍ사업주의 위험평가에서 사다리 상태가 악화 될 수 있는 중대한 위험이
확인 된 경우 중간 검사를 수행해야 함
- 사다리가 부식성 환경과 같은 극한 조건에서 사용, 차량에 부딪힘,
과부하, 강풍에서 날아가거나 떨어질 때와 같은 손상이 발생할 가능
성이 있는 경우, 검사는 반드시 반복되어야함
Detailed ㆍ점검 수행 능력에 대한 평가와 함께 사용자에 대한 교육 정보 및 재교육
Inspections 훈련을 기록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최소한 다음 정보가 포함되어야 함
- 사다리의 식별 표시 및 사다리에 대한 설명
- 점검일
- 검사자(WAHR에서는 유능한 사람이 정기검사를 수행하도록 규정)
검사 - 다음 검사와 관련된 중대한 손상 또는 마모 (유형 및 위치)
기록 - 사다리가 사용 적합 여부에 대한 조치 (예 : 수리 또는 파괴)
- 다음 검사일
ㆍ검사기록은 Ladder Association에서
제공하는 검사상태를 시각적으로 나
타내는 지표
V. 이동식 사다리 안전모델 ‥‥ 177

구분 내용
ㆍ장비의 이동경로 / 크기 및 무게 / 수동 취급 영향 / 제한된 조건에서의 이동
에 대한 실제적 영향을 항상 평가해야 함
ㆍ2.5m 이하의 사다리는 수직으로 편안하게 운반 할 수 있으나, 사용자는 머리
위 장애물을 조심해야 함
ㆍ2.5m 이상은 2명 이상의 인원이 처리하고 조작해야 하며 일반적으로 수평으
Handling, 로 운반되어야 함
Storage & ㆍ통로, 출입구 또는 시야가 방해되는 곳을 통해 사다리 운반 시 주의
Maintenance ㆍ사다리를 옮길 때 발을 딛고, 손이나 음성 신호를 미리 준비하여 정지 또는
방향 변경을 조정해야 함
ㆍ사다리는 제조업체의 지침과 조언에 따라 보관해야하며 장비가 손상되지 않
도록 주의해야 함
ㆍ운반할 때는 사다리를 단단히 고정하고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적절히 지지
해야 함

(3) News ㆍ Directory


News는 사다리 관련 뉴스 및 정보를 제공한다. Directory에서는 Training
Centre, Manufacture, Supplier 및 Associate의 주소, 연락처 및 웹사이트 주소
등을 안내하고 있다.
V. 이동식 사다리 안전모델 ‥‥ 178

3) National Campaign to Prevent Falls in Construction

건설현장에서 사다리로 인한 재해의 대다수가 추락의 형태로 나타남으로써


사다리 관련 규정ㆍ지침ㆍ매뉴얼 등이 추락 재해예방의 범주에 포함되어 있다.
미국의 National Campaign to Prevent Falls in Construction은 CPWR(건설
연구 및 훈련센터), OSHA(산업안전보건국) 및 NIOSH(국립산업안전보건
연구원)가 주도하며 Falls Campaign이라고도 한다.
Falls Campaign은 건설 프로젝트 이해관계자를 대상으로 추락의 위험성에
대한 인식도를 높여 안전관리 및 재해예방을 촉진할 수 있도록 <표 5-3>과
같이 PLAN, PROVIDE 및 TRAIN의 3단계 과정을 준수하도록 하고 있다.

<표 5-7> Falls Campaign의 3 Step


구분 내용
ㆍ사업주는 추락의 위험이 있는 작업 시 안전하게 수행되도록 프
PLAN 로젝트를 계획해야 함.
ahead to get the - 한작업안전장비를
수행 방법, 관련된 작업 및 각 작업을 완료하는 데 필요
job done safely ㆍ사업주는 공사비 결정하는 것으로 시작되어야 함
산정 시 안전 장비를 포함하고 건설현장에서
필요한 모든 장비와 도구를 사용할 수 있도록 계획해야 함
PROVIDE ㆍ사업주는 추락방지 및 작업에 적합한 안전 장비를 제공해야 함
the right equipment
TRAIN ㆍ모든 작업자는 사용하는 장비의 올바른 설정 및 안전한 사용에
everyone to use 대하여 교육 받아야함
the equipment - 사업주는 작업자가 직무 위험을 인식하도록 훈련시켜야함.
safely
V. 이동식 사다리 안전모델 ‥‥ 179

또한, Falls Campaign에 가입된 회원(정부기관, 단체, 기업 등)은


Construction Falls Resources, Ladder Resources 등의 홍보를 통해 재해예방에
주력하고 있다.
<표 5-4>와 같이 FactSheet, Quick Card 및 booklet 등 다양한 형식의 자료를
제공하며, 특히 NIOSH는 App. 개발을 통해 건설현장에 실질적으로 활용하도록
하였다.
<표 5-8> 추락 재해예방 자료

Fall Prevention for Construction Workers


Brochures and reports by MA FACE
www.mass.gov/dph/FACE > Educational materials

Portable Ladder Safety


OSHA FactSheet / OSHA Quick Card
www.osha.gov/Publications/portable_ladder_qc.html

Falling Off Ladders Can Kill: Use Them Safely


OSHA booklet
www.osha.gov/Publications/OSHA3625.pdf

NIOSH Ladder Safety Smartphone App (iPhone, Android)


A guide for ladder selection, inspection, positioning, accessorizing,
and safe use ; measures ladder angle. Available from the App Store
and Google Play.
www.cdc.gov/niosh/updates/upd-06-17-13.html
V. 이동식 사다리 안전모델 ‥‥ 180

<표 5-9> National Campaign to Prevent Falls in Construction의 주요 내용


주관기관 내용
Falling Off Ladders Can Kill : ㆍFalls Campaign의 일환으로 건설현장에서 사다리로 인한 추락을
Use Them Safely 예방하기 위한 올바른 사용법 제시
OSHA 3625-04R-2018
ㆍ휴대용 사다리에서의 추락은 사망과 부상의 주요 원인
Quick Portable Ladder Safety ☞ Portable ladders - step(발붙임형), straight(일자형),
extension(신축형), combination(조합형)
Card OSHA 3246-09N-05 ㆍ16가지 안전조건(16 ways to stay safe on portable ladders)을
OSHA Falls Campaign 포함하고 있음
Reducing Falls in Construction
: Safe Use of Extension ㆍ건설현장에서 사다리로 인한 추락을 예방하기 위하여 사다리를 5가
Fact Ladders OHSA FS-3660-2013 ㆍ이지 조건은 유형으로 구분하여 작업하중별 사용조건을 제시
Sheet Reducing Falls in construction 상이함 사다리 재질별(금속, 목재, 강화 플라스틱)로 내용이
: Safe Use of Stepladders - 사다리 유형별 사용조건(OSH/ANSI)은 금속사다리에 해당
OHSA FS-3662-2013
V. 이동식 사다리 안전모델 ‥‥ 181

주관기관 내용
Prevent Construction Falls
from Roofs, Ladders, and ㆍ통계 자료를 바탕으로 건설현장의 추락으로 인한 재해가 지붕,
Scaffolds 사다리 및 비계에서 발생함을 증명
NIOSH FACE program fact ㆍ각각의 기인물별 원인 및 방지대책(권장사항)을 제공
sheet
ㆍCDC Campaign to Prevent NIOSH Ladder Safety App. ㆍ사다리에서 추락은 건설현장 사망재해의 큰 원인으로 NIOSH
Falls in Construction
ㆍThe National Institute for 에서 최초의 스마트 폰 응용프로그램(App) 개발
Occupational Safety and ㆍNIOSH 안전연구부 - 앱의 경사 표시기 특허 취득
Health Falls Campaign ㆍ사다리 사용 전 설치각도 설정의 중요성 강조
(Ⅴ장 1절 1항 참고) - 시각, 음향 및 진동 신호를 사용하여 적절한 각도 설정 유도

Best practice guidelines for ㆍ위험도↓, 단기간 작업 시 보통 사다


working at height in New 리 및 발붙임 사다리의 점검, 설치,
Zealand 사용에 관한 지침
V. 이동식 사다리 안전모델 ‥‥ 182

주관기관 내용
ㆍWAHR을 준수하도록 위험도↓,
Safe use of ladders and 단기간 작업 시 보통 사다리 및
stepladders A brief guide 발붙임 사다리의 사용 지침을
정하고 있음
Ladder Association App. ㆍLadder Association은 HSE의 지원으로 App. 개발
☞ HSE - 고소작업 중 사다리에 의한 추락사고가 전체의
약 25% 차지
- 사다리를 안전하고 올바르게 사용하고 계획된 작
업에 적합한지 확인 하는 것이 중요
ㆍ6개의 영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특히 Code of Practice에
ㆍWork at Height Regulations Open Guide(4개의 섹션)를 두어 자발적으로 실천하도록 함
(WAHR) - SECTION 1 Foreword by HSE and Introduction
- SECTION 2 Employer & User Responsibilities
- SECTION 3 Work at Height Regulations (WAHR)
(Ⅴ장 1절 2항 참고) - SECTION 4 User Guide(STEP)
V. 이동식 사다리 안전모델 ‥‥ 183

(1) OSHA
가. Falling Off Ladders Can Kill : Use Them Safely
이 지침은 건설현장 사망재해의 주원인은 추락으로 이 중 3분의 1이 사다리에
의한 것이지만 안전한 작업지침을 따르면 예방할 수 있다고 설명하고 있다.
세부내용은 <표 5-6>과 같다.
<표 5-10> 사다리 안전 사용 지침
세부내용
ㆍ작업에 적합한 사다리 사용
ex) 상단 발판에 서지 않고도 작업 영역에 도달 할
수 있도록 사다리가 충분히 높아야 함
ㆍ사다리를 착지 지점으로부터 최소 3ft(1m) 위로
연장하고 고정되어야 할 것
ㆍ사다리 밑부분 고정할 것
ㆍ적절한 신발 착용 할 것
ex) 미끄럼 방지 플랫 슈즈
ㆍ사다리를 안정적이고 평평한 지면에 둘 것
ㆍ표면이 고르지 않은 곳에 두지 말 것

ㆍ작업 시작 전 사다리가 완전히 열려있는지 확인할 것


V. 이동식 사다리 안전모델 ‥‥ 184

세부내용
ㆍ작업구간임을 표시하거나 보조인원을 두어 작업구간을
통행하지 못하도록 할 것

ㆍ사다리 최상단에서 작업 금지

ㆍ항상 사다리와 접촉하는 3개의 지점을 유지할 것

ㆍ사다리를 오를 때는 도구나 재료 등을 들지 않도록 함


ㆍ작업을 위해 사다리에서 몸을 기대지 않도록 할 것
ㆍ항상 사다리 양측 버팀대 사이에 무게 중심을 잡도록
할것
ㆍ출입구 근처 사용금지
ㆍ출입구 근처에서 사다리 작업을 해야 할 경우에는
반드시 문이 잠겨 있어야 함
결함
있는
사다리
사용 ㆍ버팀대가 구부러진 ㆍ디딤대와 버팀대 사이
금지 경우 ㆍ디딤대가 없는 경우 보강 철물이 없거나
손상된 경우
V. 이동식 사다리 안전모델 ‥‥ 185

나. QuickCard
Portable Ladder Safety (QuickCard)는 휴대용 사다리의 점검 및 사용 시의
16가지 유의사항을 정하고 있다. 세부내용은 <표 5-11>과 같다.
<표 5-11> Portable Ladder Safety (QuickCard)
No. 내용 비고
1 사다리의 모든 라벨/표시를 읽고 준수할 것
2 사다리 사용 전 머리 위 전선을 확인하고 전원 근처에서 금속 사다리 또
는 전기 장비를 사용하지 말 것
3 사다리를 사용하기 전에 항상 점검하고 사다리가 손상된 경우 수리 또는
폐기 될 때 까지 작업에서 분리하고 알림표시를 부착할 것
4 사다리 승강 시에는 항상 3점(두 손과 발 또는 두 발과 한 손)을 유지하고
사다리 면을 뒤로 하고 오르내리지 말 것
5 사다리 및 부속품은 설계 목적에 맞게 사용할 것
6 사다리 디딤대, 발판 또는 버팀대 끝에는 미끄러운 물질이 제거 할 것
7 자립현 사다리(예: 발붙임 사다리)를 보통 사다리 또는 부분적으로 닫힌
상태로 사용하지 말 것.
8 사다리의 상단 발판, 디딤대를 계단, 경사로로 사용하지 말 것
9 변위를 방지하기 위해 고정되지 않은 경우 안정적이고 평평한 표면에서만
사다리를 사용할 것
10 높이를 추가하기 위해 박스, 통 또는 기타 불안정한 베이스에 사다리를
올리지 말 것
11 사람 또는 장비가 있는 동안에는 사다리를 이동하지 말 것
12 고소작업에 사용되는 신축형 또는 보통 사다리는 지지점 위로 최소
3ft(1m)되게 하고 사다리 상단에서 3개의 디딤대에는 서 있지 말 것
13 사다리 설치 시 적정 각도 유지를 위하여 사다리 전체길이의 4분의 1을
벽 또는 다른 수직표면으로부터 배치할 것
다른 작업에 의해 이동될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된 사다리를 고정하여 변
14 위를 방지하거나 차량 통행이 사다리에 닿지 않도록 바리케이트를 설치
할것
15 신축형 사다리의 모든 잠금 장치가 올바르게 연결되었는지 확인할 것.
16 사다리의 최대 하중을 초과하지 마십시오. 작업자, 공구 또는 장비의 중량을
고려할 것
V. 이동식 사다리 안전모델 ‥‥ 186

다. FactSheet
OSHA는 FactSheet 등을 통해 신축형 사다리에 대한 Reducing Falls in
Construction : Safe Use of Extension Ladders OHSA FS-3660-2013이 있으며,
발붙임 사다리에 대한 Reducing Falls in construction : Safe Use of
Stepladders OHSA FS-3662-2013이 있다.
FactSheet는 <표 5-8>과 같이 PLAN, PROVIDE 및 TRAIN으로 구성되어
있다.
특히 PROVIDE에서는 공통적으로 건설현장에서 사다리로 인한 추락을 예방
하기 위하여 Ladder Type를 5가지로 구분하여 작업하중별 사용조건을 제시10)
하고 있다. 이 조건은 사다리 재질별(금속, 목재, 강화 플라스틱)로 내용이 상이
하며 표 안의 사항은 금속사다리에 해당된다.
<표 5-12> 이동식 사다리에 대한 PLANㆍPROVIDEㆍTRAIN
구분 내용 비고
정기적으로 안전한 사용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결함의 유무를 육안으로
검사할 것
- 결함은 다음을 포함하지만 이에 국한되지는 않음
PLAN ㆍ구조적 손상, 굴절된 버팀대, 파손 또는 사라진 디딤대/발판/갈고리 및
탈락되거나 손상된 안전장치
ㆍ미끄러지거나 떨어질 수 있는 기름, 먼지 또는 다른 기타 오염 물질
ㆍ가능한 결함을 숨길 수 있는 페인트 또는 스티커(경고 또는 안전 라벨
제외)

10) Source for Types IA, I, II, III: Subpart X—Stairways and Ladders, Appendix
A (American National Standards Institute (ANSI)) 14.1, 14.2, 14.5 of OSHA’s
Construction standards. Source for Type IAA: ANSI 14.1, 14.2, 14.5 (2009),
which are non-mandatory guidelines.
V. 이동식 사다리 안전모델 ‥‥ 187

구분 내용 비고
적절한 부하 용량을 가진 작업에 적합한 발붙임 사다리를 사용할 것
ㆍ최대 의도 하중의 최소 4배를 지탱할 수 있는 사다리 사용
※ ⅠA 금속 또는 플라스틱 사다리는 최대 의도 하중의 최소 3.3배 유지
ㆍ사다리에 부착된 제조업체의 지침과 라벨준수
ㆍ정확한 사다리를 결정하려면, 작업자의 몸무게, 하중 고려
(모든 공구, 재료 및 장비의 중량 포함)
Ladder Type ⅠAA ⅠA Ⅰ Ⅱ Ⅲ
Duty Special Duty Extra Heavy Heavy Duty Medium Light Duty
Rating Duty Duty
Use Rugged 375lb Industrial Industrial
250lb Commercial
225lb Hosehold
Load (170kg) 300lb (136kg) (113kg) (102kg) 200lb (90kg)
사업주는 사다리와 관련된 위험을 인식하고 최소화하도록 다음 사항을 근로자에게
훈련시킬 것
ㆍ손상된 사다리
ㆍ미끄럽거나 불안정한 표면의 사다리
ㆍ잠금 해제된 사다리 안전장치
위험 ㆍ상단 계단 또는 상단 캡에 서 있음
사항 ㆍ정격 하중을 초과하는 사다리 적재
ㆍ교통량이 많은 위치에 있는 사다리
ㆍ외부 사다리 측면 버팀대에 접근
ㆍ전기 배선 / 장비에 가까운 사다리
사다리에 부착된 제조업체의 모든 지침과 라벨을 읽고 실행 할 것
ㆍ사다리를 취급하거나 오르기 전에 오버헤드 전원 라인을 확인 할 것
안전한 ㆍ사다리를
ㆍ승하강시
오르거나 내릴 때 3점 접촉 유지
시선을 사다리에 유지
사용 ㆍ바리케이드를 사용하여 차량들이 사다리에 접근하지 못하도록 함
ㆍ사다리에는 미끄러운 물질이 없도록 함
ㆍ미끄럽지 않은 안정적이고 평평한 표면에만 사다리 위치
ㆍ사다리를 설계한 목적 이외의 용도로 사용하는 것
ex) 발붙임 사다리를 일자형 사다리로 사용하는 것
ㆍ안전장치 잠금이 해제된 사다리를 사용하는 것
ㆍ상단 단계 또는 캡을 단계별로 사용하는 것
불안전 ㆍ박스, 원형통 또는 기타 불안정한 위치에 사다리를 놓는 것
사용 ㆍ사람 또는 장비를 사다리 위에 올려놓고 이동하는 것
ㆍ불투명 코팅으로 사다리를 도장하는 것
ㆍ손상된 사다리를 사용하는 것
ㆍ공구/자재/장비를 디딤대에 남기는 것
ㆍ전원 라인 또는 전기 장비 근처에 금속 계단사다리를 사용하는 것
V. 이동식 사다리 안전모델 ‥‥ 188

(2) NIOSH FACE program fact sheet


Prevent Construction Falls from Roofs, Ladders, and Scaffolds는
<표 5-9>와 같이 통계 자료를 바탕으로 건설현장에서 추락으로 인한 재해가
지붕, 사다리 및 비계에서 발생함을 증명하고 있다.
<표 5-13> 사다리 사망재해 현황 (2013년~17년)
구분 2013 2014 2015 2016 2017 비고
전체(A) 173 165 157 183 156
건설업(B) 77 90 89 104 91
B/A 44.5% 54.5% 56.7% 56.8% 58.3%

또한, 각각의 기인물별 원인 및 방지대책(권장사항)을 제공한다. <표 5-10>


은 사다리에서 발생한 추락의 원인 및 대책(권장사항)을 정리한 것이다.

<표 5-14> 사다리에서의 추락 원인 및 방지대책 (권장사항)


원인 권장사항
작업자의 경험 및 교육 부족 ㆍ올바른 사다리 사용법 등 교육 이수할 것
부적절한 사다리 선택 ㆍ작업에 적정한 사다리 선택할 것
사다리의 부적절한 사용 ㆍ정기적으로 점검하고 사용 전 이상 유무를 확인할 것
적정 하중 초과 ㆍ최대 사용 하중 범위 내에서 사용할 것
설치위치(수평면) 미준수 ㆍ평평한 바닥에서 사용할 것
ㆍ가능한 가장 안전한 곳에 위치하고 고정할 것
적정 경사각 미준수 ㆍNIOSH Ladder Safety App을 사용하여 적정 각도
유지할 것
작업면 최상단에서 사다리 ㆍ사다리는 작업면 최상단에서 3ft(1m) 이상 연장할 것
미연장
사다리 접근 방식 불량 ㆍ사다리 면을 뒤로 하고 오르내리지 말 것
ㆍ사다리와 3개의 접촉점 유지
V. 이동식 사다리 안전모델 ‥‥ 189

(3) HSE (Health and Safety Executive)


HSE의 Safe use of ladders and stepladders A brief guide에서는 다음 사항
을 명시하고 있다.
ㆍ 안전보건법상 사다리와 발붙임 사다리의 사용이 금지되지는 않지만, 위험
도가 낮고 단기간 작업에 대해 합리적이고 실용적인 옵션이 될 수 있다
고 명시하고 있다
ㆍ사다리와 발붙임 사다리 사용 시 안전한 작업을 위해 취해야 하는 간단하
고 합리적인 예방책 (사다리가 해당 작업에 적합한 유형의 장비인지 결
정하기 전에 무엇을 해야 하는지에 대한 사항 등)으로, WAHR(Work at
Height Regulations, 2005) 를 준수하기에 충분하다.
ㆍ 지침을 통해 올바른 유형의 사다리를 사용하고 안전하게 사용하는 방법을
숙지하도록 하며, 다르게 명시되지 않은 한 이 지침은 Leaning ladders (비
자립형 사다리) 및 Stepladder(자립형 사다리)발붙임 사다리에 적용되며 두
가지 모두에 유사하게 적용된다.
ㆍ 다음의 사항들을 고려하도록 한다.
▶ 사다리 사용이 허용 가능한지 여부를 결정하는 데 있어 단기간이라는 점이
결정적인 요소는 아니면 우선적으로 위험요소가 고려되어야 함.
▶ 작업 시 한 번에 30분 이상 디딤대나 발판에 있어야 하는 경우, 대체 장비를
고려하는 것이 바람직함.
▶ 사다리를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경우 (예: 사다리가 수평이고 안정적이며,
합리적으로 실행 가능한 경우), 사다리를 고정할 수 있는 경우에만 사용
하도록 함.
V. 이동식 사다리 안전모델 ‥‥ 190

▶ 사다리 사용자는 적절한 훈련을 통해 안전하게 사용하는 방법을 숙지하도록 함.


▶ 사용 전 항상 ‘사전 사용 점검’을 수행하여 명확한 시각적 결함을 찾아
사다리를 안전하게 사용해야 함 (사전 사용 점검은 사용자 교육의 일부가
되어야 함)
▶ 사다리를 사용하기에 적합한 장소(청결하고 단단한 표면, 평평한 지면(전용 수평
조정 장치 사용), 적절한 바리케이트 또는 콘을 사용하여 작업영역을 보호)
인지를 확인하도록 함.
사다리 사용과 관련한 사항은 <표 5-11>과 같다.
<표 5-15> 사다리 사용 시 유의 사항
세부내용
ㆍ사다리에 부착된 제조업체의 라벨을 읽고 위험을 평가합니다.
ㆍ과부하 금지
- 작업 전 작업자 무게, 운반하는 장비 또는 재료 등을 고려합니다.
ㆍ사다리 각도가 75°인지 확인, 1/4의 규칙을 적용 합니다.
ㆍ항상 사다리를 잡도록 하고 승하강시는 사다리 정면을 향합니다.
ㆍ디딤대에 서서 사다리를 옮기거나 연장하려 하지 않습니다.
ㆍ상단 3개의 디딤대에서 작업을 금지합니다.
ㆍ작업 중인 곳보다 최소 1m(경로 3개) 이상 연장되어 있도록 합니다.
ㆍ리프트 트럭, 굴착기 버킷 등과 같은 이동 가능한 물체에는 사다리를 세워서
는 안 됩니다.
ㆍ사용 장비 등을 들고 승차하여서는 안됩니다. (도구 벨트 사용 고려).
ㆍ단열재로 보호되지 않은 경우 모든 가공전력선 (overhead power line) 수평 6m 이내에
설치하지 마십시오.
ㆍ모든 전기 작업에 비전도성 사다리(예: 섬유유리 또는 목재)를 사용합니다.
V. 이동식 사다리 안전모델 ‥‥ 191

ㆍ승하강시 (즉, 손과 두 발을 의미) 3개의 접점을


유지합니다.
적절 부적절
ㆍ손잡이를 유지할 수 없는 경우(예: 못을 박기 시작할 때 못을 쥐기 시작, 나사 조립
등), 추락이나 사고를 예방할 수 있은 다른 조치를 취해야 합니다.
부적절
ㆍ사다리가 미끄러지지 않도록 튼튼한 곳에 고정합니다. (플라스틱
창살 등)

사다리 사용 후 유지관리 및 보관 사항은 다음과 같다.


▶ 제조업체 지침에 따라 유지 관리 및 보관되어야 함.
▶ 결함을 찾기 위한 육안 검사는 ‘사전 사용 점검’과 유사하며, 능력 있는
사람이 사내에서 수행하며 검사결과를 기록해야 함.
☞ 사다리는 비계 시스템의 일부로 7일마다 검사를 받아야 함
▶ 검사 시에는 다음사항을 확인하도록 함
- 비틀림, 구부러짐 또는 찌그러짐 유무
- 균열, 마모, 구부러짐 또는 느슨한 고리가 있습니다
- 용접 조인트 균열, 손상 여부 및 리벳 조임 상태
- 제조사의 지침에 따라 사다리 안정성 기기 및 기타 부속품을 검사
(4) MBIE (Ministry of Business Innovation & Employment)
MBIE는 고소작업에 의한 추락의 50% 이상이 3미터 미만에서 발생하며,
V. 이동식 사다리 안전모델 ‥‥ 192

이 중 약 70%가 사다리와 지붕에서 발생하므로 고소 작업을 적극적으로 관리


하여 사고가 없도록 하는 것을 최우선 선결과제로 판단하였다.
MBIE는 Preventing Falls를 통해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표적 감축 프로
그램을 시작하였다. Best practice guidelines for working at height in New
Zealand(2012)는 이 프로그램의 핵심 요소이다.
일자형ㆍ발붙임 사다리는 추락 방지 기능을 제공하지 않으므로 작업 시
고려해야 할 최종접근 방식이어야 한다고 정하고 있다. 또한, 위험이 적고 단기간
작업에 사용되어야 하고, 미끄럼ㆍ과부하 방지 등의 설치, 사용상의 안전을
위한 Ladder stability devices (LSDs)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이처럼 대부분의 내용이 앞서 서술한 미국, 영국의 사례와 매우 유사하다.
(5) BS EN 131 사다리 사고 원인
본 표준에서는 제시하는 사다리로 인한 사고의 원인은 <표 5-12>와 같다.
주요내용을 살펴보면, 사다리 선택오류, 사다리 자체 결함, 점검 부족, 취급,
설치 및 사용상 부주의에 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사항에 대한 예방 대책으로 사다리 선택ㆍ점검ㆍ설치ㆍ사용 및 유지
관리에 관한 사용자 지침이 사다리 종류별로 개발되었다.
<표 5-16> 사다리로 인한 사고 원인

주원인 내용 비고
1) 사다리의 잘못된 선택 (너무 짧고 부적절한 과제)
2) 사다리의 잘못된 배치 (ex) 비자립형의 잘못 설정된 각도 또
는 자립형 사다리를 완전히 열지 않음)
loss of 3) 벽에서 멀어지는 사다리의 바닥
stability 4) 기울어 진 사다리를 위한 측면 미끄러짐 및 상단 플립
(ex) 닿거나 깨지기 쉬운 상단 접촉면)5) 옆으로 전도
6) 사다리의 상태 (ex) 사다리를 위한 미끄럼 방지 기구가 없음)
7) 보안되지 않은 사다리를 높이에서 내리는 단계
V. 이동식 사다리 안전모델 ‥‥ 193

8) 지상 조건 (ex) 불안정한 연약 지반, 경사진 지상, 미끄러운


표면 또는 오염 된 단단한 표면)
9) 악천후 (ex) 바람이 부는 조건)
10) 사다리와의 충돌 (ex) 차량 또는 문)
from 1)2) 사다리를 작업 위치로 옮기는 단계
handling 3) 사다리를 설치하고 이동
사다리 위로 물건을 운반
1) 부적절한 신발
2) 오염 된 디딤대 또는 발판
slip, trip and 3) 안전하지 않은 사용자 관행 (ex)한 번에 두 개의 디딤대를 오
fall of user 르는 것)
4) 지상 조건 (ex) 불안정한 연약 지반, 경사진 지상, 미끄러운
표면 또는 오염된 단단한 표면)
structural 1) 사다리의 상태 (ex) 손상된 발판, 마모 등)
failure of 2) 사다리에 과부하
ladder 3) 의도하지 않은 사용
electrical 1)전기 작업용 사다리 선택 오류
hazards 2)3) 전기 장치 (ex) 가공 전력선)에 너무 가까운 사다리 배치
전기 장비를 손상시키는 사다리 (ex) 덮개 또는 보호 절연)
V. 이동식 사다리 안전모델 ‥‥ 194

2. 단계별 준수사항

본 절에서는 이동식 사다리 안전모델(안) 제시를 위해 Ⅱ장 2절 국내ㆍ외 안전


및 인증기준 분석 및 Ⅴ장 1절 해외사례 분석의 내용을 종합하여 단계별 준수
사항을 제시하였다.
사다리 종류별ㆍ작업단계별로 제시하고 있는 국가에 비해 한국의 KS, 일본의
JIS의 경우는 기준 없이 나열하는 방식을 택하고 있어 다른 국가의 분류체계에
유사한 내용들을 조합하여 <표 5-13>을 비교분석하여 작성하였다.
도출된 항목 중 중요도가 높고(ex. 모든 국가가 공통적으로 도입하고 있는
사항을 우선적으로 검토) 재해예방에 필수적인 항목(사다리로 인한 재해 발생
빈도ㆍ강도를 저감시킬 수 있는)을 선별하여 단계별 준수사항을 체계화 및
구체화 할 필요가 있다. 또한, <표 5-14>와 같이 설치방법(자립형ㆍ비자립형)
에 따른 특성이 반영되어야 할 것이다.
V. 이동식 사다리 안전모델 ‥‥ 195

<표 5-17> 사다리 사용 단계별 준수사항 5개국 비교 (공통)

내용 각국 비교 비
한국일본미국유럽영국 고
사다리 사용이 허용 가능한지 여부를 결정하는 데 있어 단
1 시간이라는 점이 결정적인 요소는 아니면 우선적으로 위험
요소가 고려되어야 함. (사다리에 부착된 제조업체의 라벨 ● ★
을 읽고 위험을 평가하도록 함)
2 작업 시 한 번에 30분 이상 디딤대나 발판에 있어야 하는
경우, 대체 장비를 고려하는 것이 바람직함. ● ★
사다리 사용자는 적절한 훈련을 통해 안전하게 사용하는
3 방법을 숙지하도록 함 (사업주는 교육을 받도록 할 의무가 ● ● ★
일 있음)
4 표시 및 취급설명서를 반드시 숙지하고 내용 따를 것 ● ● ● ★

● ●
5 사용설명서는 읽은 후 잘 보관할 것

● ●

항 6 사용설명서·경고 라벨의 내용을 이해할 수 없는 사람은 사


용하지 못하도록 할 것 ● ●

7 첨부된 표시, 사용, 경고 라벨이 사라지거나 읽을 수 없게


된 제품은 사용하지 말 것 ● ●

8 사다리를 임의로 가공하거나 개조하지 말 것 ● ●

9 안전한
조함
사다리 사용에 대한 추가 지침은 관련 사이트를 참 ●

10 사다리를

구매, 수령 및 배달 시 철저한 점검이 이루어져야 ●

11 나이, 건강, 알코올 또는 약물에 의해 판단 또는 균형이


감소 된 경우 사다리 사용하지 마십시오. ● ●

1 사용 전 사다리에 이상이 없는지 확인할 것 ● ● ● ● ● ★


2 사다리의 디딤대, 발판, 버팀대 및 부품 등을 주기적으로
또는 매우 바람직하게는 사용하기 전 매번 점검해야 함 ● ●

점검 시 구조적 손상 또는 기타 유해한 결함이 발견 된 경


점 3 우, 사다리는 사용을 중지하고 유능한 기술자가 폐기 또는 ● ●

검 수리해야 함
4 결함이 있는 버팀대는 수리대상이 아님 ●

사다리를 사용하기 전에 모든 볼트와 리벳이 제 위치에 고


5 정되어 있는지 확인하고 탈락되었거나, 발판(또는 디딤판)
및 버팀대 사이의 조인트가 견고하지 않을 경우, 사다리를 ● ●

사용해서는 안 됨
★ Ladder Safety App, 추락방지캠페인의 주요내용임
V. 이동식 사다리 안전모델 ‥‥ 196

내용 각국 비교 비
한국일본미국유럽영국 고
화재와 같이 과도한 열에 노출되면 강도가 저하될 수 있
6 으므로 노출된 사다리는 육안으로 손상이 없는지 검사하 ●
고 변형 및 강도특성을 시험해야 한다.
7 점검 시 의문사항은 제조업체에 문의하도록 함 ● ● ●

8 사다리에 특정 물질(산 또는 알카리성 물질)로 인한 화학


적 부식 및 강도저하 발생 고려 ●

9 부품이 없거나 느슨하고, 손상되었거나 작동하지 않는 사


다리는 사용하지 않도록 함 ● ●

1 문을 잠그거나 보조인원을 둘 수 없을 경우에는 사다리


쪽으로 향하는 문 앞에 사다리를 배치하여서는 안됨 ● ● ●

2 비가 오거나 바람이 강한 장소에는 설치하지 말 것 ● ● ●

3 모든 고정 기구 및 장치를 확실히 고정할 것 ●

4 발밑 또는 주위가 잘 안 보이는 어두운 곳에는 설치하지


말것 ● ●

오염된 지면 -미끄러짐 방지를 위한 적절한 조치가 없는


6 한 얼음, 눈 또는 미끄러운 표면(기름, 윤활제 등) 등 에 ● ● ●

서 사다리를 사용해서는 안됨
7 제품이 안정되지 않는 장소나 미끄러지기 쉬운 장소에는
설 8 설치하지 말 것 ● ●

치 멈춤쇠가 있는 제품은 확실히 고정시킬 것 ● ●

9 사다리는 단단하고 수평인 지면에 단단히 고정되어야함 ● ●

10 고르지 않은 표면에서 사다리 레벨러를 사용할 수 있음 ●

11 높이를 추가하기 위해 박스, 통 또는 기타 불안정한 지면


에 사다리를 설치해서는 안됨 ●

모든 사다리는 해당 용도로 특별히 설계되지 않은 한 전


12 력선에서 멀리 떨어져 작업하고 전기 위험이 발생 시에는 ● ● ●

사다리 사용 금지
13 수평이 맞지 않거나 연약한 바닥에서 사다리를 사용하지
않도록 함 ● ●

14 미끄럼 방지가 필요한 경우, shoes, spurs, spikes 등과 유


사한 장치를 설치 ●
V. 이동식 사다리 안전모델 ‥‥ 197

내용 각국 비교 비
한국일본미국유럽영국 고
1 첨부된 표시, 사용, 경고 라벨이 사라지거나 읽을 수 없게
된 제품은 사용하지 말 것 ● ●

2 변형된 제품은 사용하지 말 것 ● ●


본체에 표시된 최대 사용 하중 범위 내에서 사용할 것
3 (사용 전 작업자, 공구 또는 장비의 중량을 반드시 고려할 ● ● ● ● ● ★
것)
4 성인 보조자가 사다리를 붙잡게 할 것 ● ● ●
5 정해진 제품 용도 이외의 용도로 사용하지 말 것 ● ● ●
6 사용 시에는 제품이 안정된 상태임을 확인할 것 ● ●
7 제품을 받침대 또는 상자 위에 얹어놓고 사용하지 말 것 ● ●
8 배전선 등 주위에 위험물이 없는지 확인하여 사용할 것 ●

사 109 승강면을 뒤로 하고 오르내리지 말 것


사용 중 승강면에서 몸을 내밀지 말 것
● ● ●

용 11 동시에 2명 이상 오르지 말 것(사다리에는 한 사람만)





● ●


12 사용면이 정해져 있는 사다리는 반대면을 사용하지 말 것 ●

13 사다리가 옆으로 넘어지거나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사용자는 승하강시 주의해야 함 ●

14 무른 지면 등에서 사용할 때는 버팀대의 아래에 덧대기판


등을 두고 안정된 상태 인지를 확인한 후 사용할 것 ● ●

15 2개 제품 사이에 판을 걸쳐 사용하지 말 것 ● ●
16 오르내릴 때 충분히 주의하여 차분히 행동할 것 ● ●
17 제품 중간에서 뛰어내리지 말 것 ● ●
18 지붕 위에서 사다리를 이동하지 말 것 ● ●
19 사용 중 제품 주변에 위험한 물건을 두지 말 것 ● ●
20 사다리를 수평으로 뉘어서 사용하지 말 것 ● ● ●

21 신체 안정 상태를 유지할 수 없는 짐을 들고 오르내리지


말것 ● ● ● ● ●

22 사용 중에 벽 또는 물건을 무리하게 누르거나 당기지 말


것 ● ● ●

23 2m이상 높은 곳에서 작업 할 경우 헬멧 및 안전벨트 착


용할 것 ● ●

24 사용자는 전기 회로가 있는 지역에서 사다리를 사용할 때


적절한 안전 조치를 취해야함 ●

25 사다리를 승하강용으로 사용하는 경우, 사용자는 사다리


를 단단히 고정시키고 정면을 향하도록 함 ●
V. 이동식 사다리 안전모델 ‥‥ 198

내용 각국 비교 비
한국일본미국유럽영국 고
26 부러지거나
가지 않아야 함
구부러진 사다리, 결함 있는 사다리에는 올라 ●

27 사다리를 비계 등의 위에 세워 높이를 늘리지 않아야 함 ●

28 리프트 트럭, 굴착기 버킷 등과 같은 이동 가능한 물체에


는 사다리를 세워서는 안 됨 ● ★
29 사다리와 사다리를 묶어서 길이를 연장해서는 안 됨 ●

30 사다리
손) 유지
승강 시에는 항상 3점(두 손과 발 또는 두 발과 한 ● ●

31 버팀대 사이에 몸을 중앙에 유지 ●


32 깨끗한 미끄럼 방지 작업화를 착용 ● ●
33 사다리 위에서 연장, 후진 또는 이동 불가 ●
34 사다리에 서 있는 동안 걷거나 이동 불가 ●
35 사다리의 어느 부분에도 앉을 수 없음 ●
36 사다리를 향하고 오르내릴 때 양손 사용 ● ●

37 스태빌라이저를
사용자 지침 확인
사용 전 사다리에 고정해야하는 경우에는 ●

38 악천후에는 사다리를 외부에서 사용하지 마십시오 ●

1 운반
말것
시에는 바닥에 끌거나 던지거나 난폭하게 취급하지 ● ● ● ●

2 설치 또는 운반 시에는 배전선 및 전신주에 주의할 것 ● ●


이 차량 운반 시 사다리를 고정하면 도로의 충격으로
동 인한 피해가 크게 줄어듬
3 차량
이용 차량 길이 이상의 사다리의 돌출은 제한되어야 함 ●
사다리 양 끝단이 닿는 부분은 나무 또는 고무 재질
로 하여 마찰과 도로 충격의 영향을 최소화함
유 1 유지 액세서리는 자주 점검하고 적절한 작동 상태를
금속품, ●
지 2 모든 피벗 연결부와 고정기구 표면은 자주 윤활해야 함
관 ●

리 3 미끄럼 방지 기구 등이 과도하게 마모된 사다리는 수리


완료까지 사용을 중단하도록 함 ●

1 비를 맞도록 보관하지 말 것 ● ●
보 2 사다리를 보관하는 동안 재료를 적재하여서는 안 됨 ●
관 3 안전하지 않은 자재, 충격 또는 부식 손상으로부터 보호
된 곳에 사다리 보관 ●
V. 이동식 사다리 안전모델 ‥‥ 199

<표 5-18> 설치유형별 사다리 설치 및 사용 시 준수사항

내용 각국 비교 비
한국 일본 미국 유럽 영국 고
1 사다리는 올바른 각도로 설치 및 사용할 것 ● ● ● ●
ㆍ사다리 버팀대에 발을 놓음
2 75도설정각도 ㆍ직립
ㆍ어깨 높이에서 사다리의 버팀대를 잡고 각도 ● ●

조정
비 3 이의 4분의 1을시 벽적정또는각도다른유지를
사다리 설치 위하여 사다리 전체길
수직표면으로부터 배치 ● ● ★
자 상단 또는 ㆍ상단지지대 위로 약 3ft 연장 (사다리 상단에
립 지붕에 서 3개의 디딤대에는 서지 않아야 함) ● ● ● ● ★
형 4 접근하려 ㆍ최대로 움직임 억제 ●

면 ㆍ안전한 힌지 and/or 잠금 탭
5 사다리가 미끄러지지 않도록 튼튼한 곳에 고정함
(다양한 액세서리 이용 가능) ● ● ★
6 부적합한 표면에 사다리를 기대지 말 것
(나무 등 둥근 것에 기대어 세워 놓지 말 것) ● ●

1 디딤대가 수평을 이루지 못하는 장소에는 설치하지 말 것. ● ● ● ●

자 2 사용 전 사다리가 완전히 열리도록 할 것 ● ● ● ●

립 3 사다리 상단 2단 디딤대에 서 있지 마십시오. ● ● ● ●

형 4 접은 채로 건물, 나무의 줄기나 가지, 담 등에 기대어 세우


거나 수평으로 하여 사용하지 말 것 ● ● ● ●

5 완전히
안됨
펴지 않고 접은 상태에서 승강용으로 사용해서는 ● ● ● ●
V. 이동식 사다리 안전모델 ‥‥ 200

3. 안전작업 체크리스트

이동식 사다리 안전작업 체크리스트는 앞서 수행된 재해분석 결과 및 단계별 준수


사항이 반영되어야 한다. 비고의 ★ 별표는 필수사항을 표시한 것이다.
<표 5-19> 이동식 사다리 단계별 체크리스트

내용 점검여부 비
예 아니오 고
사다리 사용이 허용 가능한지 여부를 결정하는 데 있어 단시간이라는
1 점이 결정적인 요소가 아니면 우선적으로 위험요소가 고려되어야 함. ★
(사다리에 부착된 제조업체의 라벨을 읽고 위험을 평가하도록 함)
작업 시 한 번에 30분 이상 디딤대나 발판에 있어야 하는 경우,
일 2 대체 장비를 고려하는 것이 바람직함. ★
반 3 사다리 사용자는 적절한 훈련을 통해 안전하게 사용하는 방법을 ★
사 숙지하도록 함 (사업주는 교육을 받도록 할 의무가 있음)
항 4 표시 및 취급설명서를 반드시 숙지하고 내용 따를 것
첨부된 표시, 사용, 경고 라벨이 사라지거나 읽을 수 없게 된 제품은

5 사용하지 말 것
6 사다리를 임의로 가공하거나 개조하지 말 것
7 사다리를 구매, 수령 및 배달 시 철저한 점검이 이루어져야 함
1 사용 전 사다리에 이상이 없는지 확인할 것 ★
2 사다리의 디딤대, 발판, 버팀대 및 부품 등을 주기적으로 또는 매우
바람직하게는 사용하기 전 매번 점검해야 함
사 3 점검 시 구조적 손상 또는 기타 유해한 결함이 발견 된 경우,
용 사다리는 사용을 중지하고 유능한 기술자가 폐기 또는 수리해야 함
전 사다리를 사용하기 전에 모든 볼트와 리벳이 제 위치에 고정되어
(점 4 있는지 확인하고 탈락되었거나, 발판(또는 디딤판) 및 버팀대 사이의
검) 조인트가 견고하지 않을 경우, 사다리를 사용해서는 안 됨
5 점검 시 의문사항은 제조업체에 문의하도록 함 ★
6 부품이 없거나 느슨하고, 손상되었거나 작동하지 않는 사다리는 사
용하지 않도록 함
★ Ladder Safety App, 추락방지캠페인의 주요내용임
V. 이동식 사다리 안전모델 ‥‥ 201

내용 점검여부 비
예 아니오 고
1 문을 잠그거나 보조인원을 둘 수 없을 경우에는 사다리 쪽으로 ★
향하는 문 앞에 사다리를 배치하여서는 안됨
2 비가 오거나 바람이 강한 장소에는 설치하지 말 것 ★
3 모든 고정 기구 및 장치를 확실히 고정할 것
사 4 발밑 또는 주위가 잘 안 보이는 어두운 곳에는 설치하지 말 것
용 오염된 지면 -미끄러짐 방지를 위한 적절한 조치가 없는 한 얼음,
전 5 눈 또는 미끄러운 표면(기름, 윤활제 등) 등에서 사다리를 사용 ★
(설 해서는 안됨
치) 6 제품이 안정되지 않는 장소나 미끄러지기 쉬운 장소에는 설치하지 말 것
7 멈춤쇠가 있는 제품은 확실히 고정시킬 것
8 사다리는 단단하고 수평인 지면에 단단히 고정되어야 함
9 수평이 맞지 않거나 연약한 바닥에서 사다리를 사용하지 않도록 함.
10 모든 사다리는 해당 용도로 특별히 설계되지 않은 한 전력선에서 ★
멀리 떨어져 작업하고 전기 위험이 발생 시에는 사다리 사용 금지
1 변형된 제품은 사용하지 말 것
2 본체에 표시된 최대 사용 하중 범위 내에서 사용할 것 ★
(사용 전 작업자, 공구 또는 장비의 중량을 반드시 고려할 것)
3 성인 보조자가 사다리를 붙잡게 할 것 ★
4 정해진 제품 용도 이외의 용도로 사용하지 말 것 ★
5 사용 시에는 제품이 안정된 상태임을 확인할 것
6 제품을 받침대 또는 상자 위에 얹어놓고 사용하지 말 것
7 승강면을 뒤로 하고 오르내리지 말 것 ★
사 8 사용 중 승강면에서 몸을 내밀지 말 것 ★
용 9 동시에 2명 이상 오르지 말 것(사다리에는 한 사람만) ★
중 10 사용면이 정해져 있는 사다리는 반대면을 사용하지 말 것
11 사다리가 옆으로 넘어지거나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사용자는 승하강시 주의해야 함
12 무른 지면 등에서 사용할 때는 버팀대의 아래에 덧대기판 등을
두고 안정된 상태 인지를 확인한 후 사용할 것
13 2개 제품 사이에 판을 걸쳐 사용하지 말 것
14 오르내릴 때 충분히 주의하여 차분히 행동할 것
15 제품 중간에서 뛰어내리지 말 것
16 지붕 위에서 사다리를 이동하지 말 것
V. 이동식 사다리 안전모델 ‥‥ 202

내용 점검여부 비
예 아니오 고
17 사용 중 제품 주변에 위험한 물건을 두지 말 것
18 사다리를 수평으로 뉘어서 사용하지 말 것 ★
19 신체 안정 상태를 유지할 수 없는 짐을 들고 오르내리지 말 것 ★
20 사용 중에 벽 또는 물건을 무리하게 누르거나 당기지 말 것 ★
21 2m이상 높은 곳에서 작업 할 경우 헬멧 및 안전벨트 착용할 것
사 22 사다리를 비계 등의 위에 세워 높이를 늘리지 않아야 함

중 23 리프트 트럭, 굴착기 버킷 등과 같은 이동 가능한 물체에는
사다리를 세워서는 안 됨 ★
24 사다리 승강 시에는 항상 3점(두 손과 발 또는 두 발과 한 손) 유지
25 버팀대 사이에 몸을 중앙에 유지
26 깨끗한 미끄럼 방지 작업화를 착용
27 사다리를 향하고 오르내릴 때 양손 사용
28 악천후에는 사다리를 외부에서 사용하지 마십시오

용 1 운반 시에는 바닥에 끌거나 던지거나 난폭하게 취급하지 말 것 ★

(이 2 설치 또는 운반 시에는 배전선 및 전신주에 주의할 것
동)
사 1 금속품, 액세서리는 자주 점검하고 적절한 작동 상태를 유지


(유 2 모든 피벗 연결부와 고정기구 표면은 자주 윤활해야 함

관 3 미끄럼 방지 기구 등이 과도하게 마모된 사다리는 수리 완료까지
사용을 중단하도록 함
리)
사 1 비를 맞도록 보관하지 말 것

후 2 사다리를 보관하는 동안 재료를 적재하여서는 안 됨
(보
관) 3 안전하지 않은 자재, 충격 또는 부식 손상으로부터 보호된 곳에
사다리 보관
V. 이동식 사다리 안전모델 ‥‥ 203

4. 소결

본 장에서는 <그림 5-12>와 같이 Ⅱ장 2절에서 한국(KS G 3701 및 공급자


적합성확인 안전기준부속서 13), 일본(JIS S 1121), 미국(ANSI-ASC A 14.2) 및
유럽(BS EN 131)의 사다리 안전ㆍ인증기준과 Ⅴ장 1절에서 기준을 활용한 해외
사례(추락방지 관련 사항 및 Application)를 분석하여 단계별 준수사항을 제시
하였다.
국내외 사다리 표준 및 사례를 조사ㆍ분석하였는데 그 결과는 <표 5-20>과
같다. 한국과 일본의 안전기준 및 표시사항 등이 매우 유사하였으며, 미국 유럽에
비해 체계성이 다소 떨어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에 비해 미국ㆍ유럽의 경우는
아래의 특성이 도출되었다.
▶ 사다리 상ㆍ하부 지지(고정)조건 및 접근 방법, 작업시간, 적정하중 등 사
다리 유형별ㆍ작업단계별(사용 전(점검)ㆍ중ㆍ후(유지관리)) 지침사항 등
작업 전 사다리 선정 시 고려사항의 중요성 강조
▶ 표준 및 관련 지침 등에 사다리로 인한 재해발생 현황 및 사고원인별 대책
을 수록하여 경각심을 고취시키고 안전기준 준수의 필요성을 강조
▶ 사업주ㆍ사용자(작업자)ㆍ건설현장 등에서 이해관계자별 역할 명시
▶ 경고사항 및 지침의 표시
- 관련 표준 및 지침은 그림, 기호를 활용하여 최대한 이해하기 쉽게 표현
- 사용 전 반드시 확인 (제조업체의 지침과 라벨 포함)하여 준수하도록 함
▶ 관련 협회를 통하여 관련 자료의 배포 및 교육(검사ㆍ사용자)기관의 역할
(유자격자 배출)을 수행하도록 함
▶ App. 개발 - 안전하고 효과적인 사용에 대한 안내서 역할
V. 이동식 사다리 안전모델 ‥‥ 204

위와 같이 국내에서도 이동식 사다리 작업에 대한 규제나 제품 개발보다


는 작업자 작업방법에 대한 기준 또는 매뉴얼 제시를 통한 재해 예방이 우선될
필요성이 있다. 사다리 작업안전 기준 또는 매뉴얼은 본 장에서 소개한 미국의
NIOSH나 영국의 Ladder Asscoiation에서 제공하는 Application과 같이 국내에
적합한 Mobile Application을 개발하고 탑재하여 이동식 사다리를 사용하는
작업자들이 손쉽게 접근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연구개발이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교육프로그램의 개발을 통해 사용자, 작업자 및 점검자 등의 책임과 의무
사항 및 사다리로 인한 재해의 위험성을 이해시키는 방안의 검토가 필요하다
판단된다.
V. 이동식 사다리 안전모델 ‥‥ 205

한국표준협회

KS G 3701

국가기술표준원
공급자적합성확인
안전기준부속서 부록 13
Fact Sheet ㆍQUICKCard
ㆍMeasuring Tool
ㆍLadder Safety 5단계 구성
JIS NIOSH Ladder Safety App. - Decision / Selection / Inspection /
Set up / Proper Use
JIS S 1121
National Campaign to PLANㆍPROVIDE ㆍTRAIN
Prevent Falls in Construction
OSHAㆍANSI
OPEN GUIDE(Section 1~4)
ANSI-ASC A14.2 1. Foreword by HSE and Introduction
Ladder Association App. 2. Employer & User Responsibilities
3. Work at Height Regulations (WAHR)
HSE 4. User Guide(STEP)
- Site / Task / Equipment / People
BS EN 131
ㆍHow do you define short duration?
Work at Height Regulations → And if it’s longer than 30 minutes
for a single task?

<그림 5-12> 국내외 사다리 관련 표준 및 지침


V. 이동식 사다리 안전모델 ‥‥ 206

<표 5-20> 국내ㆍ외 사다리표준별 비교


구분 한국 일본 미국 유럽 비고
KS G ㆍ발붙임 – 최대높이 3.5m이하 ㆍ상단 지지점까지의 수직 높이
3701 ㆍ보통,신축형 –최대길이 12m이하 ㆍ발붙임 - 최대높이 2m 미만 ㆍ자립형 vs. 비자립형
사다리 ㆍ보통, 신축형 - 자립형 : 하단 / ㆍ위험도↓, 단기간 작업(30분)
선정 - 최대길이 10m 미만 비자립형 : 상단 지지조건 ㆍworking load
공급자 ㆍ발붙임 - 최대높이 2m이하
적합성 ㆍ보통,신축형–최대길이 10m이하 ㆍladder type / working load

KS G ㆍ취급 및 유지관리 사항 ㆍ사다리 종류별, 설치 특성별 ㆍ사다리에 대한 안전표시 및


3701 – 공통 19가지 ㆍ안전기준 (자립형 vs. 비자립형) 및 작 최소 기본 요구사항
안전 – 공통 62가지 업 단계별(사용 전ㆍ중ㆍ후) – 공통 30가지
기준 – 발붙임ㆍ보통, 신축형 로아야“해야 할 것”과 “하지 말 – 자립형ㆍ비자립형
공급자 ㆍ안전기준 – 공통 58가지 할 것”에 대한 기준을 ㆍ사다리로 인한 사고 원인 및
적합성 명확히 함 대책 제시
V. 이동식 사다리 안전모델 ‥‥ 207

구분 한국 일본 미국 유럽 비고
ㆍ제품의 호칭(품명) ㆍ사용 전 반드시 사다리에 명시된 ㆍ사다리의 안전한 사용을 위해
ㆍ최대 사용 질량 또는 하중 ㆍ규격번호 및 제품의 호칭법 경고 및 지침을 따라야 함 사용자에게 필요한 것과 허용
되지 않는 것에 대해 지시
ㆍ사다리 유형별 길이 또는 높이 ㆍ최대사용질량 - "필요함"은 녹색 √
ㆍ제조 연월일 또는 그 약호 ㆍ제조년월 또는 그 약호 - "허용되지 않음"은 빨간색 X
ㆍ제조자명 또는 그 약호 ㆍ제조업자명 또는 그 약호
ㆍ수입자명(수입품에 한함.) ㆍ최대길이 및 최소길이
표시 ㆍ주소 및 전화번호 ㆍ최대높이 및 최소높이
ㆍ제조국명 ㆍ발판의 최대폭 및 최소폭
ㆍ제품의 포장방법 ㆍ사용방법, 사용조건 및 사용상
☞ 제품 또는 최소 포장단위마다 의 금지사항 및 주의사항
에는 보기 쉬운 부분에 간단 ☞ 사용자가 이해하기 쉬운 그
히 지워지지 않는 방법으로 림기호를 포함할 것을 요구
표시하도록 함
V. 이동식 사다리 안전모델 ‥‥ 208

구분 한국 일본 미국 유럽 비고
ㆍFalls Campaign
- 사업주는 추락의 위험성에 대한 인식ㆍWork at Height Regulations(WAHR)
도를 높이고 재해예방을 촉진할 수 - 식별할
안전한 작업을 위한 고려사항 :
위험요소 및 작업단계별
추락 있도록 3step을 준수하도록 함 위험성 평가방법
방지 PLAN 안전한 수행을 위한 계획 - 계층구조화 : AVOIDㆍRREVENTㆍ
대책
- -
PROVIDE 안전장비 제공 MITIGATEㆍCOLLECTIVEㆍ
TRAIN 직무위험에 대한 훈련
ㆍ사다리 사망 재해현황 및 사다리에서 - 사업주,PRSONA
의 추락 원인 및 방지대책(권장사항) 공자 등의사용자(작업자)
의무사항을 정함
및 장비 제
을 제공
ㆍhttps://www.americanladderinstitute.org ㆍhttps://ladderassociation.org.uk/

자료
제공
및 - -

교육
VI. 이동식 사다리 대체품 개선모델 ‥‥ 209

Ⅵ. 이동식 사다리 대체품 개선모델


1. 사다리생산업체 의견수렴

1) 사다리생산업체 의견 정리

업체별 제품군 조사를 위한 홈페이지 확인 후 생산업체 리스트를 작성하였고,


유선통화를 통해 16곳의 사다리 생산업체와의 인터뷰를 진행하였고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정부의 이동식 사다리 개정지침이 특정업체를 대상으로 발표된 것에 대한
불만을 가지고 있었으며, 이에 대한 형평성 문제를 제기하였다. 이는 개정지침
설명회에서 발표자료에 특정업체의 제품들이 소개되는 과정에서 문제가 야기된
것으로 보이고, 이미 정부의 개정지침이 전파되기도 전에 소수의 생산업체들이
개정지침에 적합한 이동식 사다리 제품들을 준비해 왔다는 지적도 있다. 이에
대한 정부의 보다 신중한 대처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이동식 사다리의 사용제한을 발표하기 전 사전에 생산업체나 실무자들
에게 홍보하고 충분한 의견수렴을 통해 개정방안과 지침이 발표되어야 하나
일부 소수 생산업체들과의 의견조율 후 결정한 정부 방침에 아쉬움을 가지고 있다.
정부의 추진 방향을 따르려면 이동식 사다리의 전체적인 가격인상이 동반될
수 밖에 없다. 이동식 사다리 생산 시 사다리 자체 가격이 약 10만원 정도였다면,
정부 개정방안에 따른 안전부속품 가격이 추가로 약 20만원 정도가 더 소요되어
전체 가격이 3배 이상 오를 수 있어 이동식 사다리를 사용하는 영세업체의
경제적 부담을 가중시킬 수 있다고 하였다. 또한 이동식 사다리에 안전부속
품을 추가하면 그 무게가 증가하여 이동식 또는 휴대용 사다리라 할 수 없다.
VI. 이동식 사다리 대체품 개선모델 ‥‥ 210

오른 가격만큼 사다리의 내구성이 좋아질 것인가에 대한 의구심도 가지고


있다. 특히 현재 이동식 사다리 시장에 국산 제품뿐 아니라 수입제품도 판매되고
있는데 가격저하를 위하여 또는 가격단가를 맞추기 위하여 기준품질 이하의
해외 제품을 수입할 수 있다. 무분별한 제품 수입을 규제하기 위하여 수입제품에
대한 구체적이고 명확한 규제안이 반드시 마련되길 바라고 있다.
또한 국민청원에서도 언급되었듯이 사다리 생산업체가 현재까지 지속적으로
현장에서 필요로 하고 공급이 요구되어 생산되었던 많은 이동식 사다리 제품의
제고들을 어떻게 해결해 줄 것인가에 대한 고민도 이동식 사다리 관련자 모두에
대한 의견수렴이 부족한 상태에서 개정지침을 발표한 정부의 몫이 되었다.
제품의 인증을 위하여 난간무게기준 100kg, 사다리무게기준 500kg 등 다양한
요구 기준들이 있지만 모호하여 이를 적용하기가 어렵다. 따라서 이동식 사다리의
전도방지 및 무게에 대한 명확한 기준이 제시되어야 한다.
아직까지 다수의 이동식 사다리 생산업체들은 정부의 개정지침에 적합한
새로운 제품군의 개발이나 생산을 기피하며 추이를 살피고 있는 것으로 조사
되었다. 하지만 이 또한 생산업체들 간의 경쟁에 따른 보완상의 문제로 구체적인
내용 언급을 대다수가 기피하는 것으로 생각되었다.
이동식 사다리 생산업체들의 제품군들을 대상으로 하여 정부의 개정지침에
부합되는 또는 실무현장의 현실성을 고려했을 때 필요한 사다리 또는 부속품의
대체 제품군을 조사하여 다음 절에서 그 활용성을 제안하고자 한다.
VI. 이동식 사다리 대체품 개선모델 ‥‥ 211

2. 이동식 사다리 대체 제품군

이동식 사다리의 재해발생 원인을 제어하기 위하여 본 절에서는 이동식


사다리 종류별 대체 제품군과 부속품들을 제안하였다. 본 절에서 제안되는
대체품들은 제품 자체에 대한 정보(제조업체, 제품이름 등)나 성능 등을 명시
하고자 한 것이 아니라 향후 국내의 이동식 사다리 제품들이 지향해야 할 방향을
제시하는데 그 의미가 있음을 분명히 한다.
1) 고소작업대 제품군

고소작업대는 전 세계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제품군으로 정부의 개정


지침에도 가장 적합한 제품군이라 할 수 있다. 고소작업대의 경우 다른 이동식
사다리에 비해 구입비와 유지관리비가 높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지만 안전성에
있어서는 매우 높은 평가를 받고 있다. 고소작업대는 수직․수평이동을 원활히
할 수 있다는 측면과 작업대 자중에 의한 균형감이 높다는 측면에서 현재 많이
사용되는 제품군이라 할 수 있다.
국내 현장에서도 이제는 고소작업에 있어서 이러한 고소작업대를 대여하여
사용하는 경우가 대다수이고, 당연한 것으로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다만 고소작업대의 가장 큰 문제는 그 무게, 크기, 이동성에 있어서 협소한 장소,
이동 시 바닥 장애물이 있는 장소, 작업대 상승 중 상부 장애물(전선줄, 설비
파이프 등)이 있는 장소 그리고 사용은 가능하나 안전성이 확보되지 않는 경사진
장소 등에서는 사용이 제한된다는 것이다.
VI. 이동식 사다리 대체품 개선모델 ‥‥ 212

<표 6-1> 고소작업대 대체 제품군

① 수직형 고소작업대 비고
- 수직 상승
- 국내에서도 현재 사용 중
- 다수 작업자 작업
② 굴절형 고소작업대 비고
- 수직·수평 상승
- 국내에서도 현재 사용 중
- 1인 작업자 작업
③ 수평형 고소작업대 비고
- 수평 이동
- 국내에서도 이미 사용 중
- 1~2인 작업자 작업
④ 무동력 리프트 비고
- 수직 상승
- 국내 도입 필요
- 1인 작업자 작업
VI. 이동식 사다리 대체품 개선모델 ‥‥ 213

결국 현장에서는 상기와 같이 고소작업대 사용이 불가한 고소작업에서는


이동식 사다리를 사용할 수 밖에 없고, 안전지침을 무시한 안일한 작업수행은
안전사고로 이어진다.
본 연구에서 수행한 267여건의 재해조사의견서 분석내용[부록 2]을 참고하여
보면, 협소한 작업장소나 불안전한 장소에서 안전조치를 시행하지 않은 채
신축형 혹은 일자형 사다리를 사용하거나, A형 사다리를 불안정한 상태로
사용한 경우가 다수 발견되었다.
2) A형 사다리 제품군

재해조사의견서를 분석해보면 가장 재해가 많이 발생된 사다리 형태는 A형


사다리이다. 이는 A형 사다리가 크기 면에서 휴대나 이동이 용이하고, 설치나
사용이 편하여 다목적으로 사용되는 활용성 높은 제품이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
된다. 또한 A형 사다리는 일반 대형 또는 할인마트에 가면 누구나 손쉽게 구입할
수 있고 가정용으로도 널리 사용되는 제품이다.
작업자에게 익숙한 제품이고 다목적(위험하지 않은 작업에서부터 위험한
작업까지의 광범위한 목적)으로 자주 사용하였던 제품이기 때문에 오히려
A형 사다리를 사용하는 작업자들은 그 사용에 있어서 안전에 대한 관심이
무뎌져 있다. 또한 A형 사다리를 사용하는 작업들은 장시간의 작업보다는 단시간에
잠시 작업을 수행하는 경우가 많다.
재해조사의견서를 살펴보면 재해발생 업종들이 대다수 관리업, 설비업, 건설업
에서 발생되었다. 특히 관리업이나 설비업에서 발생된 재해는 전등 교체 등
유지․보수 작업에서 많이 발생되었으며, 건설업의 경우는 고소작업대로 작업이
불가한 협소한 장소에서 많이 발생되었다. 이동식 사다리의 재해원인은 작업자가
사다리위에서 작업 시 또는 사다리에서 내려올 때 균형상실에 의한 추락에
기인한 것과, 균형상실 및 작업장소 평활도 문제 등의 이유로 사다리 넘어짐에
의한 추락에 기인한 것으로 크게 분류되어 진다.
VI. 이동식 사다리 대체품 개선모델 ‥‥ 214

다음의 <표 6-2>은 발붙임 사다리(A형)의 대체 제품군을 제안한 것이다.


<표 6-2> 발붙임 사다리(A형) 대체 제품군

① Platform Ladder 비고

¡ 장점
몸을 기댈수 있는 플랫폼(윗틀)
부착하여 몸의 균형을 유지
¡ 사용작업
간단한 내부작업
¡ 사용국가
- 유럽, 일본
¡ 시사점
일본이나 유럽의 경우 최상부
한쪽 편에 플랫폼을 설치하여
몸을 보호할 수 있는 제품의
사용을 권장

② Wide Top Steps 비고


¡ 장점
최상단의 디딤대 폭을 넓혀
안정적인 작업자세 유지
¡ 사용작업
- 간단한 내부작업
¡ 사용국가
- 유럽
VI. 이동식 사다리 대체품 개선모델 ‥‥ 215

¡ 시사점
유럽의 경우 최상단 작업발판
폭을 넓혀 사용할 수 있는
제품의 사용을 권장

③ Step Ladder I 비고
¡ 장점
- 전도방지 지지대(아웃리거) 설치
- 한쪽면을수직으로세워사용가능
- 버팀대의 높이 조절이 가능(한쪽)
- 바퀴가 부착되어 운반 용이
¡ 사용작업
- 간단한 내외부 고소작업
- 벽면, 문틀주변 등 보통
사다리(일자형) 사용대체
- 계단실 등 단차가 발생하는
장소의 작업
¡ 사용국가
(Boost-Little Giant) - 미국
④ Step Ladder II 비고
¡ 장점
- 전도방지 지지대(아웃리거) 설치
- 디딤대 폭 확대
- 한쪽 면을 수직으로 세워 사용
가능
- 일자형으로 펼침 가능
VI. 이동식 사다리 대체품 개선모델 ‥‥ 216

- 외부작업용으로 견고하게 제작
사용작업
- 3.5m초과 작업
- 벽면, 문틀주변 등 보통
사다리(일자형) 대체
¡ 사용국가
- 미국

⑤ Step Ladder III 비고


¡ 장점
- 전도방지 지지대(아웃리거) 설치
- 한쪽면을수직으로세워사용가능
- 버팀대의 높이 조절이 가능(양쪽)
- 말비계 대용(전용발판 사용)
¡ 사용작업
- 간단한 내외부 고소작업
- 벽면, 문틀 주변 등 보통
사다리(일자형) 사용대체
- 계단실 등 단차가 발생하는
장소의 작업
¡ 사용국가
- 미국
VI. 이동식 사다리 대체품 개선모델 ‥‥ 217

⑥ Safety Platform Step Ladder 비고


¡ 장점
안전모델1의 플랫폼 보다
안전난간 형태에 가까워
작업자를 안전하게 보호
¡ 사용작업
- 간단한 내외부 고소작업
- 3.5m초과 작업
¡ 사용국가
- 호주
¡ 시사점
휴대가 불편하고 사용자의
주의가 필요함(플랫폼에 기댈
경우 위험)
⑦ Safety Step 비고
¡ 장점
- 건설현장뿐 아니라 가정용으로
사용이 가능한 안전난간이
설치되어있고 가벼워 이동이
용이한 심플한 디자인의 제품
- 단순하고 이동이 잦은 작업에
용이
¡ 사용국가
- 미국
VI. 이동식 사다리 대체품 개선모델 ‥‥ 218

3) 기타 사다리 제품군

정부의 이동식 사다리 개정지침에 의하면 보통(일자형) 사다리 및 신축형


사다리는 사용을 금지하고 있다. 다만 예외 기준으로 사다리에서 이동 시 업무가
가능할 경우 안전모와 안전대를 설치한 조건에서는 사용이 가능하다.
하지만 작업공간이 협소하여 고소작업대를 사용할 수 없고, 작업장소 상․하부에
장애물이 있어 비계를 설치할 수 없으며, A형 사다리를 사용할 수 없는 높이에서
작업을 해야 할 작업(협소한 장소, 벽체밀착작업 등 A형 사다리 활용이 어려운
경우)에서는 보통 사다리나 신축형 사다리를 사용할 수 밖에 없는 경우가 현장
에서는 현실적으로 생겨날 수 밖에 없다.
따라서 현장의 현실성을 고려한다면 보통 사다리의 사용을 허용할 수 있는
예외 기준을 제시해 줄 필요성이 있다. 해외의 제품군들을 조사해 보면 보통
사다리의 경우 사다리 넘어짐을 예방하는 측면에서의 접근이 많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래서 보통 사다리 최상단에서 사다리가 구조체에 고정되는 것과
최하단에서 사다리가 지면에 고정되는 것에 제품 개발의 초점이 맞추어져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표 6-3> 기타 사다리 대체 제품군

① 일자형 사다리(조절형) 비고
사다리를 조절형으로 어느 정도 각도의 굽
힘이 가능하도록 하여 구조물의 최상단의
모양에 따라 사다리를 굽혀 견고히 고정․
지지되도록 하여 사다리 상부의 고정을 강
조한 제품
VI. 이동식 사다리 대체품 개선모델 ‥‥ 219

② 일자형 사다리(안전시설) 비고

사다리 하단부에 전도방지 지지대와 밀림


방지대를 설치하여 사다리 하부의 고정을
강조한 제품

③ 일자형·신축형 복합사다리 비고
보통 사다리와 신축형 사다리를 A형 사다리
로 변형시킨 것으로, A형 사다리 제품군의
높이 제한을 해결하기 위해 개발된 제품
④ 계단형 사다리 비고
계단형 일자형 사다리 형태로서 옆에 계단
난간이 있고 디딤판이 계단처럼 넓게 만들
어져 오르내림이 용이하며, 오르내림 시 옆
계단난간에 의해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제품
⑤ 안전난간 작업대 I 비고
A형 사다리 형태에 넓은 작업대와 안전난간
을 부착한 제품
한쪽 면 또는 양쪽 면 모두에 안전난간을
설치할 수 있는 제품으로, 협소한 장소에서
는 다소 사용이 제한될 수 있다는 단점
VI. 이동식 사다리 대체품 개선모델 ‥‥ 220

⑥ 안전난간 작업대 II 비고
보통 사다리 사이에 수평 난간과 작업대를
부착하여 개발된 국내 제품으로 틀비계에
비해 설치, 해체, 사용이 용이한 제품
폭이 좁은 공간에서 안전하게 사용 가능
⑦ Working Station 비고
해외에서 마트 등에서 일인용 작업대로 많
이 사용. 구성요인으로 넓은 작업대, 안전난
간, 계단형 디딤대 등 A형 사다리라기보다
는 틀비계에 가까운 모양이나 무게, 크기에
서는 A형 사다리와는 다소 차이가 있을 수
있지만 중․장기적인 측면에서 이러한 일인
작업대의 제품 개발 필요
⑧ Stilts
일반 천장높이의 작업 시 작업자의 다리에
직접 설치하여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웨어
러블(Wearable) 제품
수평이동을 원하는 만큼 할 수 있고 장비
설치, 해체 등의 작업이 없어 향후 국내에서
도 적용 가능한 제품
VI. 이동식 사다리 대체품 개선모델 ‥‥ 221

4) 사다리 부속(Guardians) 제품군

앞서 언급한 바와 마찬가지로 해외의 경우 사다리의 고정에 필요하거나 안전


및 편리성을 위한 사다리 부속 제품군 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국내 생산업체와의 인터뷰를 통해 정부의 이동식 사다리 개정지침에 대한
몇 가지 문제점들이 도출되었는데, 이 중 정부의 지침에 따르면 사다리 자중의
증가로 인해 휴대와 이동이 힘들다는 것, 일자형 사다리 사용 금지는 쉽지
않다는 것, 안전부속품의 추가로 사다리 가격이 인상된다는 것이다.
해외에서는 사다리에 대한 사용 금지 등의 규제보다는 사다리 작업 시
사다리의 고정, 이탈 및 전복 방지 등에 대한 대책 마련에 집중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먼저 해외에서는 안전부속품을 사다리에 부착하여 생산․판매하기보다는
안전부속물을 별도로 제작하여 기존의 사다리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판매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작업자들이 업종별․공종별․작업별․작업환경별로
그 필요에 맞게 안전부속물을 별도 구매하여 사용하도록 하고 있다.
다음의 <표 6-4>는 해외에서 생산․판매되고 있는 Guardians라고 부르는
안전 부속 제품군을 제안한 것이다.
사다리 부속제품 ①은 국내에서 생산되는 사다리의 전도방지 지지대 및
밀림 방지대 역할을 하는 부속품을 일자형 사다리에 부착할 수 있도록 별도로
개발한 제품이다.
VI. 이동식 사다리 대체품 개선모델 ‥‥ 222

<표 6-4> 사다리 부속(Guardians) 제품군

① 전도방지 및 미끌림 방지대 비고

일자형 사다리에 전도방지 지지대 및


미끌림 방지대 역할을 하는 부속품을
탈·부착할 수 있도록 개발된 부속품

② 상하 높이조절대 비고

모든 종류의 이동식 사다리 사용 시


지반이 평활하지 못한 경우 사다리에
부착하여 좌․우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개발된 부속품

③ 고정벨트 비고
일자형 사다리 사용 시 구조물 상부
에 벨트 장치를 이용하여 사다리를
고정하기 위한 부속품
고정철물을 구조물 상부에 조여 고정
하고 고정철물에 벨트를 연결하여 사
다리 고정
VI. 이동식 사다리 대체품 개선모델 ‥‥ 223

④ 고정걸이 비고

고정철물을 그림과 같이 사다리 발판


에 걸어 파라펫 등에 걸쳐 사다리를
고정하는 방법으로 사용되는 부속품

⑤ 작업발판 비고

모든 종류의 이동식 사다리 작업 시


사다리의 디딤판이 좁아 발생될 수
있는 안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하여 넓
은 작업발판을 별도로 탈·부착하여
균형 상실을 방지할 수 있도록 고안
된 부속품

⑥ 이동바퀴 비고

무거운 사다리를 작업자가 보다 쉽게


운반할 수 있도록 사다리에 부착할
수 있는 별도의 바퀴장치 부속품
VI. 이동식 사다리 대체품 개선모델 ‥‥ 224

⑦ 코너 고정대 비고

구조물의 코너에 사다리를 사용하여


작업할 경우 사다리에 부착하여 사용
하는 코너 고정 부속품

5) 안전대 부착설비대체품(안)

정부의 이동식 사다리 개정지침에서 강조하고 있는 것은 위험 작업높이에서


작업 시 안전모 및 안전대 착용의 의무화이다.
안전대란 몸에 착용하는 벨트를 말하며 안전줄을 벨트의 철물고리에 연결하여
추락 시 몸을 잡아주는 장비를 말한다. 때문에 안전대에 연결한 구명줄을 걸어줄
안전대 부착설비이 필요하다.
현재 추락방지규정에는 안전대의 안전줄을 작업대가 아닌 다른 구조물에
연결하여야 한다고 명시하고 있다. 즉 사다리를 사용한 작업 시에도 위험 작업
높이 이상일 경우 안전대의 안전줄을 다른 구조물에 연결할 수 있어야 한다.
하지만 수평․수직이동이 빈번한 사다리 작업의 특성상 현장 어느 한 곳에
안전대 걸이를 설치하기가 어렵다. 건축물에 마감재가 시공되지 않은 지하실,
기계실, 전기실 등과 같은 장소에는 안전대 부착설비링을 시공 시 미리 설치해
안전대 걸이로 활용할 수 있지만, 건축물에 있어 마감재가 이미 시공되어진
내부공간에서는 구조물에 매입된 안전대 부착설비링 등이 마감재로 가려져
전기․배관작업 등의 유지․보수 작업과 같은 단시간 작업의 경우에는 활용이
어려운 실정이다. 이런 이유로 해외 제품군에서도 안전대 부착설비과 관련된
VI. 이동식 사다리 대체품 개선모델 ‥‥ 225

제품은 찾아보기 어렵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다음의 <표 6-5>와 같은 안전대 부착설비 대체품
개발을 제안하고자 한다.
<표 6-5> 안전대 걸이 대체품

① 레일형 비고
¡ 장점 :
사다리와 일체형
¡ 단점 :
일자형 및 고정형 사다리만 적용
가능
사다리 완전 고정 필요
② 가설비계형 비고
¡ 장점 :
마감재 훼손 없음
장애물이 없고 광범위한 내부작업
가능
¡ 단점 :
운반·설치·해체 시간 소요
③ Davit Entry System 비고
○ 장점 :
3.5 ~ 8m 높이 조절 가능
○ 단점 :
이동성 및 공간성 제한
VI. 이동식 사다리 대체품 개선모델 ‥‥ 226

④ Tripod Kit Winch 비고


○ 장점 :
17 ~ 28m 높이 조절 가능
○ 단점:
이동성 및 공간성 제한
⑤ 행거형 비고

○ 강관기둥을 양쪽으로 세우고, 각


기둥의 바닥판의 폭을 넓게 하여
전도 방지
○ 이때, 바닥판은 마감재 손상을 방지
하기 위해 보호판 부착
○ 강관보를 양쪽 강관기둥의 보 연결
고리에 끼워 사용. 설치해체가 용이
하도록(맨 아래 사진 빨간 점선
안) 체결
○ 최종적인 형태는 옷걸이용 행거의
형태를 가짐. (가운데 사진)
VI. 이동식 사다리 대체품 개선모델 ‥‥ 227

⑥ 앵커 링(마감재 없는 경우) 비고
○ 층고 3.5m 이상에서 벽면 상부에
앵커링을 미리 매입하여 설치
(맨 위 사진 점선 안)
○ 철골공사에 사용되는 수평 구명
줄을 응용하여 작업 시 앵커링에
수평 구명줄을 연결하여 작업
○ 사용 후에는 수평 구명줄을 탈착
하여 별도로 보관함에 넣어 보관
○ 유지·보수 시 고소작업이 필요한
장소를 사전에 선정하여 앵커링
을 매입해 놓고 안전대 부착설비
로 활용 가능
⑦ 앵커 링(마감재 있는 경우) 비고
○ 건축물 내부 유지․보수 작업 등의
천장 안전대 부착설비(왼쪽 사진)
○ 내부 마감재의 파손이나 손실이
발생되지 않고, 안전대 부착설비
의 설치․해체 용이
○ 영구적인 안전대 부착설비 앵커
링 설치 아랫부분의 마감재에 개구
부를 만들어 작업 시 오픈하여 앵
커 링에 안전줄을 연결하고, 작업
완료 시 개구부를 닫아놓는 방안
(오른쪽 사진)
VI. 이동식 사다리 대체품 개선모델 ‥‥ 228

⑧ 안전부속물(Anchor) 비고

○ 미국 Guardian Fall Protection


○ 배관설비 및 보에 고정

⑨ 안전부속물(Strap) 비고

○ 미국 Guardian Fall Protection


○ 배관설비 및 보 등에 감아 고정
VI. 이동식 사다리 대체품 개선모델 ‥‥ 229

3. 이동식 사다리 대체품 개선모델

본 연구과제에서는 재해조사의견서 분석을 통해 발붙임 사다리의 규제 강화의


필요성과 추락높이에 근거한 재해예방조치 필요성, 그리고 개인보호장비 사용의
의무화 필요성을 도출하였다.
현장 의견수렴을 통해서는 발붙임(A형) 사다리를 포함한 이동식 사다리의
미끌림 방지대, 전도방지 지지대 등의 안전부속품의 부착 필요성, 작업의
안정성을 높이기 위해 작업발판 및 디딤대 폭의 확대 필요성, 작업자를 보호할
수 있는 안전난간의 부착 필요성, 마지막으로 이동식 사다리 작업 특성에 부합
되는 안전대 부착설비의 정부 제시 필요성이 도출되었다.
이러한 재해조사의견서 및 현장 의견수렴 결과를 근거로 하여 이동식 사다리
국내외 대체품 조사 및 발굴을 통해 몇 가지 이동식 사다리 개선모델들을
국가별 해외 제품을 사례로 제시하였다. 제시된 개선모델들이 향후 국내에서
개발·보급되어져 이동식 사다리에 의한 추락재해 예방에 도움이 되길 바란다.
이동식 사다리 대체품 개선모델 개발에 반영할 해외 사례에서 일본형
사다리와 유럽형 사다리는 안전난간과 작업발판 폭 확대에 대한 방향을
제시하며, 미국형 사다리는 전도방지 및 미끌림 방지대에 대한 방향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VI. 이동식 사다리 대체품 개선모델 ‥‥ 230

1) 일본형 사다리(Japanese Step Ladder)

­ 유럽형과 유사한 형태를 보이고 있어, 일본과 유럽의 Step Ladder는 이와


유사한 방향의 Platform Ladder로 개발되고 있는 추세로 판단됨.
­ 이동식 사다리 대체품 중 A형 사다리 대체 제품군 ⑥ Safety Platform
Step Ladder는 작업자의 무게중심에 의한 사다리 전도가 우려되어 반드
시 올바른 작업자세를 요하는 단점을 본 제품은 보완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됨.
­ 본 제품을 사용하여 작업 시 작업자는 반드시 안전난간을 정면에 두고
작업하여야 함.
­ 본 제품에 전도방지 지지대와 미끌림 방지대를 추가로 부착하여 개선
모델로 제시하고자 함.
(1) 접이식 사다리 관련 일본 가설공업회 인정(인증)품목 현황
일반적으로 2미터 이상의 강제 사다리도 제조되고 있으나, 이를 사용해서 천
정판 위에서 작업을 할 경우 추락방호조치가 더 필요하기 때문에 인증기준에서
는 대상 외로 하고 있다.
VI. 이동식 사다리 대체품 개선모델 ‥‥ 231

<표 6-6> 일본 가설공업회 관련 인증품목의 종류 및 인증현황

(2) 접이식 사다리 관련 가설공업회 인정(인증)품목 현황

<그림 6-1> 일본 가설공업회 인증품 사례


VI. 이동식 사다리 대체품 개선모델 ‥‥ 232

(3) 사다리 관련 일본 내 인증규격의 종류


○ 가설공업회 인정제도
- 일본 가설공업회에서 자체적으로 운영하는 인증제도로서, 협회에서 정한 인정
기준에 사다리 품목이 포함되어 있음
- 재료의 종류에 따라 강제 사다리와 알루미늄 합금제 사다리로 품목을 구분
인정기준에서 정하고 있지 않은 형식의 사다리 또는 경작업용 작업대 (사다리와
작업대가 결합된 형태)는 단품승인제도※를 통해 인증 진행
※ 가설기재인정기준의 적용을 받지 않는 개별 가설기자재에 대해 설치 목적·
장소·설치 방법을 검토하여 충분한 안전성을 지니고 있음을 확인하고 승인하는
제도(가설공업회 자체적으로 운영)
○ 일본공업규격(JIS)
- JIS S 1121※(알루미늄 합금 사다리와 휴대용 사다리)에서 사다리에 대한
규격을 정하고 있음
- 사다리 및 계단의 형상에 따라 6 종류(A~F), 최대사용중량에 따라 두 종류로 구분
- 대상 : 사다리, 접이식 사다리
VI. 이동식 사다리 대체품 개선모델 ‥‥ 233

2) 유럽형 사다리

① Wide Top Step

② Platform Ladder ③ Safety Step

­ 유럽형 사다리도 역시 작업발판 폭이 넓어지고 안전난간이 한쪽 면에 설치


되어지는 Platform Ladder 제품이 다양하게 개발되어지고 있음.
­ 특히 ①과 ② 제품과 같이 최상부 작업발판 폭이 넓어진 제품이 많음.
­ 일본형 사다리와 마찬가지로 전도방지 지지대와 미끌림 방지대를 추가
부착한 제품을 개선모델로 제시하고자 함.
VI. 이동식 사다리 대체품 개선모델 ‥‥ 234

3) 미국형 사다리

­ 미국형 사다리는 A형 사다리의 한쪽면을 수직으로 세워 벽면 작업 시 용이


하도록 하고, 때로는 일자형으로 펼쳐 사용할 수도 있는 복합 사다리 개발을
진행하고 있음.
­ 전도방지 지지대와 미끌림 방지대를 부착한 다양한 이동식 사다리들이
판매되고 있음.
­ 일본형 및 유럽형과 마찬가지로 Platform Ladder 제품도 다양함.
VI. 이동식 사다리 대체품 개선모델 ‥‥ 235

4) 한국형 사다리

­ 한국형 사다리는 밀림방지장치(SSL) 및 전도방지장치(FSL)가 부착되어있음.


­ 디딤판에는 논 슬립 테이프가 부착되어져 신발 바닥에 묻은 이물질로 인한
미끄러짐 방지 기능 제공
­ 밀림방지장치는 굴곡지형 수평 유지 기능 확보
­ 전도방지장치는 좌/우 전도방지 기능 및 굴곡지형 수평 유지 기능 확보
­ 아웃트리거 펼침 각 조절 핀은 바닥지형에 따라 사다리 버팀대(기둥)보다
아래로 펼칠 수 있는 기능 확보
VI. 이동식 사다리 대체품 개선모델 ‥‥ 236

4) 최종 개선모델(안)
VI. 이동식 사다리 대체품 개선모델 ‥‥ 237

본 최종 개선모델(안)에 있어서 보통(일자형) 사다리, 발붙임 사다리, 안전작업


부속장치에 대한 안전작업기준(안)을 해외사례 및 인증기준을 고려하여 제안
하고자 한다.
(1) 보통(일자형) 사다리
일자형 사다리 2개 버팀대와 바닥 밀착지점은 작업자 등반 시 무게중심이
앞쪽으로 이동할 때 뒤로 미끄러지지 않도록 한다.

작업높이 안전작업기준(안)
(바닥∼최상부 발판)
­ 안전모 착용
­ 논 슬립 아웃트리거 또는 논 슬립 방지 턱 설치
3.5m 이하 (논 슬립 방지장치 미설치 시 2인 1조 작업)
­ 안전대 착용
­ 작업계획서 작성 / 관리감독 배치
­ 안전모 착용
3.5m 이상 ­ 논 슬립 아웃트리거 또는 논 슬립 방지 턱 설치
(논 슬립 방지장치 미설치 시 3인 1조 작업)
­ 안전대 착용
VI. 이동식 사다리 대체품 개선모델 ‥‥ 238

(2) 발붙임 사다리


A형 사다리 바닥 안전 지지면적을 규정하여 상부 무게중심 좌/우 쏠림 현상
에도 넘어지지 않도록 한다.

작업높이 안전작업기준(안)
(바닥∼최상부 발판)
­ 안전모 착용
1.2m 미만 ­ 바닥 지지면적 0.9m 이상 (0.9m 이하 2인1조 작업)
­ 안전모 착용
1.2m ∼ 2m 미만 ­ 바닥 지지면적 1.4m 이상 (1.4m 이하 2인1조 작업)
­ 최상부 발판에서 작업금지
­ 안전모 착용

2m ∼ 3.5m 이하 ­­ 바닥 지지면적 2.3m 이상(필수)


최상부 발판에서 작업금지 + 그 하단 디딤대 작업금지
­ 2인1조 작업 및 안전대 착용
­ 작업계획서 작성 / 관리 감독자 배치
­ 안전모 착용
3.5m 이상 ­ 바닥 지지면적 3m 이상(필수)
­ 최상부 발판에서 작업금지 + 그 하단 디딤대 작업금지
­ 3인1조 작업 및 안전대 착용
VI. 이동식 사다리 대체품 개선모델 ‥‥ 239

(3) 안전작업 부속장치


안전한 사다리 작업을 위한 부속장치로 사다리가 넘어지지 않고 미끄러지지
않도록 설계되어야 하며, 탈·부착이 가능하여야 한다.
① 전도 방지 및 논 슬립 아웃트리거
­ 100kg 하중에도 변형이 없어야 한다. (1분간 최대 휨 량 3mm 이내 권장)
­ 모든 바닥 환경에 맞춰 견고하게 사다리를 지지할 수 있어야 한다.
· 지지면적이 좁은 지형 / 산업자재 적재물 등 돌출 지형
· 불규칙 바닥 함몰 지형 / 평탄한 바닥지형 등
­ 사다리 지지대는 바닥 지지점에 밀착된 상태에서 이격거리가 10mm 이내로
권장한다.
­ 에폭시 또는 얼음 등 바닥 재질에 상관없이 미끄러지지 않아야 한다.
② 논 슬립 방지 턱
­ 100kg 하중에도 미끄러지지 않도록 앵카 등으로 고정되어야 한다.
­ 일자형 사다리 2개 버팀대가 동시에 괴일 수 있는 길이를 권장한다.
­ 턱의 크기는 10cm*10cm 이상을 권장한다.
상기의 이동식 사다리 및 안전작업 부속장치의 안전작업기준(안)은 본 연구
과제에서 제안하고자 하는 기준(안)일 뿐이며, 향후 추진되어야 할 이동식 사다
리의 개발 방향에 대한 가이드를 제시하는 것뿐임을 분명히 하고자 한다.
VI. 이동식 사다리 대체품 개선모델 ‥‥ 240

4. 소결

국내·외 제품의 가장 큰 차이점은 첫째, 안전부속품(악세사리)이 사다리 일체형


으로 판매되는지와 안전부속품을 별도로 판매하여 필요 시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판매하는지에 있다. 미국의 경우 ANSI에서는 안전부속품에 대한 규정이 별도로
제시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둘째, 국내는 사다리의 전도방지 지지대 또는
밀림 방지대 등이 사용되어지나 해외의 경우는 이보다는 사다리를 구조물에
벨트나 고정철물을 활용해서 고정시키는 것에 더 많은 관심을 보이고 있다.
따라서 국내에서도 안전부속품 개발에 보다 많은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으며.
이러한 악세사리 개발은 안전부속품이 일체화된 이동식 사다리의 무게 증가,
협소한 장소에서 사용이 불편한 사다리 크기, 이미 생산된 안전부속품이 없는
제고 사다리 제품의 활용성 등 사다리 생산업체가 제기한 많은 문제점들을
해결해 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본 장에서는 안전대 부착설비에 대해 일부 방안을 제시하였으나, 이에 대한
정부의 구체적이고 현실적인 추가 개발연구가 필요하다.
VII. 이동식 사다리 법령 개정방안 ‥‥ 241

Ⅶ. 이동식 사다리 법령 개정방안


1.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이동식 사다리를 작업발판으로 사용하기 위한 근거를 마련하고자 「산업안전


보건기준에 관한 규칙」제24조 3항, 4항을 신설하였다.
본 연구과제에서 제시한 이동식 사다리 안전작업지침(안)의 내용을 준용하되,
층고가 높고 협소한 장소, 일자형 및 조경용 사다리 사용작업 등을 고려하여
3.5미터 초과 작업에 대한 조건부 허용 근거를 마련하고자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상 제38조 제1항 제14호를 신설하였다.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표 7-1>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개정안

개정 전 개정 후
제24조(사다리식 통로 등의 구조)
제3장 통로 제3장 통로

① 사업주는 사다리식 통로 등을 설치 제24조(사다리식 통로 등의 구조 및

하는 경우 다음 각 호의 사항을 준수 안전조치)

하여야 한다. ①~② 현행과 같음


1. 견고한 구조로 할 것
2. 심한 손상ㆍ부식 등이 없는 재료를 <신설>

사용할 것 ③ 사업주는 이동식사다리를 사용하는

3. 발판의 간격은 일정하게 할 것 경우 다음 사항을 점검하도록 하여야

4. 발판과 벽과의 사이는 15센티미터 한다.

이상의 간격을 유지할 것 1. 사용 전 변형 및 작동 상태 등을


VII. 이동식 사다리 법령 개정방안 ‥‥ 242

점검하여 이상이 발견되면 즉시 수리


하거나 그 밖에 필요한 조치를 할 것
5. 폭은 30센티미터 이상으로 할 것 2. 평탄, 견고하고 미끄럼이 없는 바닥에
6. 사다리가 넘어지거나 미끄러지는 설치하고 그렇지 못한 경우에는 흔들림이
것을 방지하기 위한 조치를 할 것 없도록 고정할 것
7. 사다리의 상단은 걸쳐놓은 지점
으로부터 60센티미터 이상 올라가도록 3. 사다리 제조사가 정하여 표시한 최대

할것 사용하중 범위 내에서만 사용할 것

8. 사다리식 통로의 길이가 10미터 ④ 사업주는 이동식 사다리를 사용하는

이상인 경우에는 5미터 이내마다 경우에 다음 안전조치 사항을 준수

계단참을 설치할 것 하도록 하여야 한다.

9. 사다리식 통로의 기울기는 75도 1. 이동식 사다리 사용 시에는 반드시

이하로 할 것. 다만, 고정식 사다리식 안전모를 착용한 후 작업할 것

통로의 기울기는 90도 이하로 하고, 2. 보통(일자형) 사다리 및 신축형

그 높이가 7미터 이상인 경우에는 (연장형) 사다리는 오르내리는 통로

바닥으로부터 높이가 2.5미터 되는 로만 사용할 것. 다만, 불가피한 작업


지점부터 등받이울을 설치할 것 장소에 한하여 안전대 부착설비에
10. 접이식 사다리 기둥은 사용 시 안전대 걸이 후 사용하는 작업은 일부
접혀지거나 펼쳐지지 않도록 철물 허용
등을 사용하여 견고하게 조치할 것 3. 발붙임 사다리는 경작업 또는 고소
② 잠함(潛函) 내 사다리식 통로와 작업대·비계 등의 설치가 어려운 협소한
건조ㆍ수리 중인 선박의 구명줄이 장소에서 3.5미터 이내 높이에서만
설치된 사다리식 통로(건조ㆍ수리작업 작업할 것.
을 위하여 임시로 설치한 사다리식 다만, 작업계획서를 작성하고 작업
통로는 제외한다)에 대해서는 제1항 지휘자를 지정하여 지휘·감독하도록
제5호부터 제10호까지의 규정을 적용 한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하지 아니한다. 4. 발붙임 사다리 작업높이가 2미터
이상인 경우에는 안전대 부착설비 설치
및 안전대 걸이 후 작업할 것
VII. 이동식 사다리 법령 개정방안 ‥‥ 243

제38조(사전조사 및 작업계획서의 작
성 등) ① 사업주는 다음 각 호의 작
제38조(사전조사 및 작업계획서의 작성 업을 하는 경우 근로자의 위험을 방지
등) ① 사업주는 다음 각 호의 작업 하기 위하여 별표4에 따라 해당 작업,
을 하는 경우 근로자의 위험을 방지하 작업장의 지형·지반 및 지층 상태 등에
기 위하여 별표4에 따라 해당 작업, 대한 사전조사를 하고 그 결과를 기
작업장의 지형·지반 및 지층 상태 록·보존하여야 하며, 조사결과를 고려
등에 대한 사전조사를 하고 그 결과 하여 별표4의 구분에 따른 사항을 포
를 기록·보존하여야 하며, 조사결과 함한 작업계획서를 작성하고 그 계획
를 고려하여 별표4의 구분에 따른 사항 에 따라 작업을 하도록 하여야 한다.
을 포함한 작업계획서를 작성하고 그 1∼13. (생략)
계획에 따라 작업을 하도록 하여야 <신 설>
한다. 14. 이동식 사다리 작업 시 작업높이(바
1∼13. (생략) 닥에서 발을 딛는 디딤대 상부면까지
의 수직높이)가 3.5미터를 초과하는 작

VII. 이동식 사다리 법령 개정방안 ‥‥ 244

2. 발주자의 안전보건관리 매뉴얼

층고가 3.5m 이상인 지하층, 1층 로비 등과 유지보수를 위한 고소작업 장소의


벽면이나 천장에 안전대 부착설비를 위한 앵커를 매입하기 위하여 「발주자의
안전보건관리 매뉴얼」상 「III. 건설사업 단계별 안전보건대장 작성방법」의 내용에
다음과 같은 사항의 삽입이 필요하다.
1) 기본안전보건대장

(1) 주요 유해·위험요인과 위험성 감소대책 수립을 위한 설계조건


① 유해·위험요인 발굴 : 시공 시 고소작업이 필요한 공간 및 시공 후 유지·보수
등의 관리를 위한 고소작업이 필요한 장소를 발굴
- 위험성 감소대책 수립 조건 : 고소작업 시 사용할 안전대 부착설비용 앵커
② 링을 벽이나 천장에 매입할 수 있도록 설계하여 설계도면에 반영
2) 설계안전보건대장

(1) 주요 유해위험요인 및 위험성 감소대책에 대한 위험성 평가


설계단계의 위험성 평가 결과(반영한 설계도서 표시)
3) 부록

(1) 공종별 유해·위험요인


① 고소작업 공종별 유해·위험요인 삽입
② 향후 유지·보수에 관련된 작업별 유해·위험요인 삽입
VII. 이동식 사다리 법령 개정방안 ‥‥ 245

3. KOSHA GUIDE C-58-2012

「사다리 안전보건작업 지침」은 기본적인 내용은 유지하되 다음과 같은 사항을


추가할 필요가 있다. 개정(안)은 본 연구용역보고서의 [부록 4]에 첨부하였다.
1) 사다리 작업 안전기준(안)

이동식 사다리는 근로자가 작업 시 시작과 종료 시까지 안전관리자나 관리


감독자가 작업공간 내에서 안전에 대한 관리 감독을 하여야 한다.
1. 보통(일자형) 사다리 및 신축형 사다리는 사용을 금지한다.
단, 이동 시 작업이 가능할 경우 안전모와 안전대를 착용한 상태에서 2인 1조로
작업이 가능하다.
2. A형 사다리는 높이 3.5m를 초과할 경우 사용을 금지한다. 단, 다음의 경우
일부 사용을 허용한다.
1) 높이 1.2m 미만이고 안전모를 착용할 경우
2) 경작업에 해당되고. 비계 및 고소작업대 설치 불가 장소일 경우
① 경작업이라 함은 손 또는 팔을 가볍게 사용하는 작업으로서 전구교체
작업, 전기·통신 작업, 평탄한 곳의 조경작업 등을 말한다.
② 높이 1.2~2m 미만이고 2인 1조 및 안전모를 착용한 경우
③ 높이 2~3.5m 미만이고 2인 1조 및 안전모 및 안전대 걸이를 착용한
경우
3. 상기의 안전작업기준에 해당되지 않으나 이동식 사다리를 사용해야 할 경우
다음의 모든 조건을 충족하여야 한다.
VII. 이동식 사다리 법령 개정방안 ‥‥ 246

1) 현장총괄책임자 또는 안전관리자로부터 해당 작업에서의 A형 사다리


사용을 승인받고 작업허가서를 발부받아야 한다.
2) 사다리가 완전히 고정될 수 있어야 하며, 사다리 하단부에는 전도방지
지지대 및 미끄럼 방지대가 설치된 사다리를 사용하여야 한다.
단, 전도방지 지지대 및 미끌림 방지대를 펼칠 수 없는 협소한 공간
에서의 작업은 제외한다.
3) 해당 작업에 사용할 사다리가 안전난간 부착 또는 기타 안전시설을 완비
하여 충분히 안전하여야 한다.
단, 안전난간 또는 기타 안전시설을 설치할 수 없는 협소한 공간에서의
작업은 제외한다.
4) 안전모 및 안전대 걸이를 착용하여야 한다.
5) 2인 1조 작업을 하여야 한다.
4. 이동식 사다리 단계별 체크리스트 또는 모바일 앱을 통해 단계별 준수사항을
반드시 점검하여야 한다.
2) 안전대 부착설비 사항

안전대 부착설비에 관련한 앵커 도면 등을 제시한다.

상세도 (철근 보강)

<그림 7-1> 안전대 부착설비 앵커 링 예


VII. 이동식 사다리 법령 개정방안 ‥‥ 247

3) 이동식 사다리 단계별 준수사항

본 연구에서 제시한 이동식 사다리 단계별 체크리스트를 삽입하여 활용토록


한다.
4) Mobile Application 매뉴얼

향후 연구개발의 필요성이 있는 국내형 Mobile Application의 사용 매뉴얼을


삽입하여 활용토록 한다.

3. 소결

본 장에서는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발주자 안전보건관리 매뉴얼


그리고 KOSHA GUIDE 개정안에 대하여 제시하였다. 아직 제안단계에 불과
하지만 이러한 개정안이 향후 법령개정에 반영되어 이동식 사다리의 사망사고
절감에 도움이 되었으면 한다.
VIII. 이해관계자 간담회 ‥‥ 248

Ⅷ. 이해관계자 간담회
본 연구에 대한 연구내용을 전달하고 이해관계자 및 전문가의 의견을 수렴
하여 최선의 연구수행 결과를 도출하고자 다음과 같이 간담회를 개최하였다.
1. 이해관계자 간담회 내용

이해관계자 간담회는 고용노동부, 안전보건공단, 관련 협회, 제조업체, 관련


전문가와 함께 연구진의 연구수행 결과 보고 후 이에 대한 토의로 진행되었다.
일시: 2019년 10월 11일 (금요일) 14:00∼17:00
장소: 안전보건공단 서울지역본부 회의실
참석자: 총 17명

<그림 8-1> 이해관계자 간담회


VIII. 이해관계자 간담회 ‥‥ 249

1) 제조업체 의견

이동식 사다리 제조업체의 경우 본 연구수행 결과에 대하여는 의견이 없었


으나 사다리 인증기준, 사다리 기준서 마련 등에 대한 요구가 있었다.
(1) A업체
이동식 사다리의 재해는 인적 원인에 의한 균형 상실이 대다수라고 판단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정부가 이동식 사다리와 관련된 사다리 규격집
이나 사다리 작업 기준서를 마련하여 보급할 필요가 있다.
향후 이동식 사다리의 재해 예방을 위해 국내 발붙임 사다리의 개발 방향이
발붙임 겸용(복합성) 사다리와 발붙임 전용(단일성) 사다리 중 발붙임 전용
사다리가 주요 개발 방향이 될 필요가 있다.
(2) B업체
이동식 사다리의 개정지침에 따라 2m에서 3.5m 사이의 작업에 사용될 이동식
사다리의 인증기준 마련을 통한 인증마크 지정 현재 가장 필요하다. 특히 안전
부속품 부착에 따른 무게기준의 변화에 따른 인증기준 마련이 필요하다. 현재
이 구간의 이동식 사다리를 제조·판매 시 현장이나 업체에서 인증획득 여부를
확인하는데 현재에는 이러한 인증기준이 없어 판매가 어려울 때도 있다.
(3) C업체
안전을 위해 하지 못하게 하면 현장은 안 하는 게 아니라 기준 위반을 해서
한다. 따라서 안전 담당자는 못하게 규제하는 것이 아니라 안전한 방법을 제시
해야 한다.
사다리에서 안전은 사다리가 넘어지지 않고 미끄러지지 않도록 하면 대부분
예방이 가능하다. 사다리 Type별 사고 원인을 분석하여 안전모델 방향을 제시
하면 다음과 같다.
VIII. 이해관계자 간담회 ‥‥ 250

□ A형 사다리 : 좌/우 넘어짐 사고(앞/뒤 넘어짐 사고 없음)


A형 사다리의 구조상 바닥지지면 기준 앞/뒤 폭 대비 좌/우 폭이 약 30%
수준으로 지지면이 좁은 방향으로 넘어진다.
- 사용자 부주의
  · 사용자가 사다리 상부에서 무게중심을 좌/우 쏠림 현상 발생 시 넘어짐
· 사용자가 사다리 디딤대 위에서 장시간(약 30분 이상) 작업할 때 발의
피로도가 높아지면서 발을 헛딛는 순간 중심이 무너져 넘어짐
  · 무거운 작업도구를 손에 들고 등반할 때 몸의 중심이 무너져 넘어짐
- 부적절한 작업 환경
  · 굴곡지면에서 4개의 사다리 버팀대가 바닥지면에 밀착되지 않고 일부가
지면에서 떨어져 있을 때 균형을 잃고 좌/우 넘어짐
  · 미세하게 기울기가 있는 지형에서 사다리 좌/우 측면 작업할 때 넘어짐

[A형 사다리 안전모델 제시]


사다리 하부 지지면적을  현재 사다리 기준대비 2배 이상 높이고, 동시에 높고
낮은 바닥지형 과 경사지형에서도 능동적으로 사다리 수평을 유지해 주는
사다리 부속장치 체결로 떨어짐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 H형 사다리(일자) : 사다리가 뒤로 미끄러지면서 떨어짐 사고
H형 사다리는 구조상 2개의 버팀대가 바닥지면에 밀착되고 구조물(건물 벽,
전봇대 등)에 기대어 사용하므로 버팀대와 바닥지면의 마찰력으로 기립 되어있는
상태이다. 사용자가 디딤대를 밟고 올라갈수록 버팀대와 바닥지면의 마찰력이
떨어져 사다리가 뒤로 미끄러져 사용자가 바닥으로 떨어지는 사고이다.
VIII. 이해관계자 간담회 ‥‥ 251

- 사용자 부주의 
· H형 사다리는 바닥지형과 재질(마찰계수차이)에 따라 위험성 평가가 달라짐
· 바닥이 미끄러운 빙판, 철판, 에폭시, 타일, 대리석 등의 재질에서 사용 중
미끄러짐
  · 경사면 바닥에서 사용 중 미끄러짐
  
[H형 사다리 안전모델 제시]
사다리가 벽에 기대는 방향으로 하부 지지면적을 높이고, 사다리 승강 시 바닥
지면이 빙판이라도 마찰계수는 상시 100% 유지하여 미끄러지지 않도록 하며,
높고 낮은 불규칙 바닥지형에서도 능동적으로 지형에 맞춰 고정되는 사다리
부속장치를 체결한다.
2) 협회 의견

협회는 본 연구수행 결과에 현장 적용성에 대한 의견을 제시하여 반영하고자


하였다.
(1) 전기공사협회
현재 현장에서는 예전 방식 그대로 작업이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동식 사다리 관련 재해에 있어서 가장 큰 원인은 전도 재해라고 판단되며,
이의 개선에 초점을 맞추어 안전부속물을 통한 전도 방지를 해결할 필요가 있다.
(2) 대한전문건설협회
현재 산업안전보건관리비에서는 사다리 구매 등의 비목으로 사용이 허가되지
않는다. 따라서, 이동식 사다리를 사용하는 영세한 업체들이 안전부속물이 부착된
이동식 사다리를 구매할 수 있도록 산업안전보건관리비의 사다리 사용 가능
비목을 신설할 필요가 있다.
VIII. 이해관계자 간담회 ‥‥ 252

또한 2인 1조 작업의 경우 영세한 업체의 경우 인력수급 문제 및 인건비


상승으로 인한 공사비 상승 등을 고려하여 1인 1조 작업 가능과 2인 1조 작업
가능에 대한 작업 위험도에 따른 작업기준 마련이 필요하다.
(3) 대한주택관리사협회
이동식 사다리의 사고는 인적 과실이 크다. 따라서 작업자들에 대한 지속적인
교육과 인식 개선이 필요하다. 사업주의 인식 개선을 위한 강화 역시 필요하고,
이에 대한 기준 제시가 필요하다.
본 연구수행 결과 중 안전대 부착설비와 같은 경우 사후에 설치하기 힘든
부분이 있다. 따라서 건축법 기준 등에 포함하여 건물 시공단계에서부터 유지·
보수 작업까지 필요한 작업 및 공정을 찾아 단계적으로 안전대 부착설비를
사전에 설치하도록 가이드를 제시할 필요가 있다.
(4) 한국정보통신공사협회
이동식 사다리 개정안에 있어서 2m 이상 작업에 안전대 걸이를 착용하라고
되어져 있는데 정보통신업의 경우 통신주, 전주 작업에 많고 특히 U자 걸이
안전대를 많이 사용한다. 따라서, 개정안에 이에 대한 반영이 필요하다.
정보통신업에 있어서 이동식 사다리제품에 모서리 부분 절연체 부착이
반드시 있어야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사다리 제조업체에서 이에 대한 반영이
필요하다.
안전부속품을 부착하게 되면 사다리의 가격 상승이 발생된다. 산업안전보건
관리비에서 사다리 구매를 허용할 필요가 있다.
2인 1조 작업에 있어서 인건비 상승이 큰 문제로 이야기되고 있다. 따라서
2인 1조 작업기준의 완화가 필요하다.
VIII. 이해관계자 간담회 ‥‥ 253

3) 고용노동부 및 안전보건공단 의견

사다리 인증기준을 정부 중심으로 마련되어 보급되면, 그 인증기준을 제외한


모든 사다리가 불법이 되어 오히려 혼란만 가중될 염려가 있어 신중한 검토가
필요하다. 국내와 일본의 인증기준도 대다수 2m로 되어져 있어, 정부가 인증
기준을 정하는 것보다 안전보건공단에서 이에 대한 검토를 통해 권장 사항을
제시하는 것을 검토해 볼 필요가 있다. 추후 이에 대한 정부 기관들의 논의할
필요가 있다.

2. 소결

이해관계자 간담회를 수행한 결과, 본 연구에서 제시한 결과물인 이동식


사다리 작업안전기준(안), 대체품 개선모델(안) 그리고 제도 개선(안)에 대한
추가적 반영사항은 거의 없었다.
하지만, 향후 다음과 같은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 이동식 사다리 개정지침에 근거한 사다리 인증기준(인증마크) 마련
­ 이동식 사다리 작업 기준서 및 제품 규격서 마련
­ 이동식 사다리 전도방지 및 미끌림 방지 안전부속품 개발 시급
­ 산업안전보건관리비의 이동식 사다리 구매 허용 규정 마련
­ 2인 1조 작업의 작업 위험도 및 높이에 따른 완화기준 마련
­ 사업주 및 작업자 인식개선 교육 및 책임강화 규정 마련
이동식 사다리의 인증기준과 관련하여서는 향후 정부 기관 간의 구체적이고
현실성있는 논의가 진행되어져야 할 필요가 있다.
IX. 결론 및 활용방안 ‥‥ 255

Ⅸ. 결론 및 활용방안
고용노동부의 「이동식 사다리 안전작업지침 개선방안」지침 시달 전 2018년
6월 기준 이동식 사다리 재해 현황과 시달 후 2019년 6월 기준 재해 현황을
살펴보면, 사고부상자는 전년 대비 488명(19.6%) 감소하였고, 사고사망자는
전년 대비 14명(31.8%) 감소하였음을 알 수 있다. 이는 정부의 이동식 사다리 개선
방안 지침이 효율성이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표 9-1> 이동식 사다리 재해현황

구분 합계 이동식 사다리 고정식 사다리 기타


2019년 6월 1,997(30) 1,912(27) 16(2) 69(1)
2018년 6월 2,485(44) 2,286(42) 23(1) 176(1)
본 연구에서는 정부의 「이동식 사다리 안전작업지침 개선방안」을 근거로
하여 이동식 사다리의 개선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현장 실태조사 및 의견수렴을 통해 이동식 사다리의 문제점과 Needs를 파악
하여 개선방안을 도출하였고, 해외 안전(인증)기준 사례분석을 통해 향후 국내
이동식 사다리 관련 정책 및 관련 기관들의 역할 방향을 제시하였다. 최종적으
로 이동식 사다리 및 안전대 부착설비 대체품 개선모델(안)과 이를 반영할 수
있는 제도 개선(안)을 제시하였다.
IX. 결론 및 활용방안 ‥‥ 256

1. 현장 실태조사 및 의견수렴

재해조사의견서 분석 및 현장 의견수렴의 주요 내용을 반영하여 이동식 사


다리 안전작업기준(안)을 제시하였고, 이동식 사다리 대체품 개선모델(안) 개발
에 필요한 사항을 도출하였다.
1) 재해조사의견서 분석

­ 건설업 및 설비업에서의 이동식 사다리 관련 재해예방 조치 우선 필요


­ 이동식 사다리의 흔들림을 방지하기 위한 안전부속품 설치 및 작업상태유지의
안정성을 보장하기 위한 작업발판 및 디딤대 폭의 확대 조치 필요
­ 안전모나 안전대 등의 개인보호장비 착용 의무화 규제 강화 필요
­ 발붙임(A형) 사다리 사용에 대한 규제 강화 필요
­ 재해 발생 추락 높이는 발붙임(A형) 사다리의 경우 전체 재해의 44%가
2m~3.5m 이하에서 발생하여 이 구간에서 안전난간이나 안전대 등과 같은
재해방지조치 필요하며, 건설업과 설비업, 관리업의 경우는 2m 이하에서도
사망 재해가 27% 이상 발생하여 다른 사다리의 재해가 10% 미만인 점을 감안할
때 이 높이에서도 안전에 대한 대비와 인식 개선이 필요
2) 현장방문 및 의견수렴

­ 대형 건설사의 경우 규제에 긍정적이고 준수 실태가 높았으나, 중소 건설사


및 건물 관리업의 경우 준수 실태가 아직도 상당히 낮은 실정
­ 보통(일자형) 사다리와 신축형 사다리, 발붙임(A형) 사다리를 사용할 수 있는
예외기준 및 협소공간에서의 3.5m 이상 작업에 적용할 수 있는 사다리 작업
기준 마련 필요
IX. 결론 및 활용방안 ‥‥ 257

­ 발붙임(A형) 사다리를 포함한 이동식 사다리의 미끄럼 방지대, 전도방지 지지대


등의 안전부속품 일체화 제품 개발 및 시판 필요
­ 작업의 안정성을 높이기 위해 작업발판 폭의 확대 필요
­ 이동식 사다리의 가격 인상이 동반될 경우 영세업체의 경제적 부담 절감방안
­ 수입제품에 대한 구체적이고 명확한 규제안 마련 필요
­ 이동식 사다리 안전부속품 추가에 따른 제품 인증 기준(특히 무게) 필요

2. 해외 안전(인증)기준 사례분석

한국(KS G 3701 및 공급자적합성 확인 안전기준부속서 13), 일본(JIS S 1121),


미국(ANSI-ASC A 14.2) 및 유럽(BS EN 131)의 사다리 안전ㆍ인증기준과 해외
사례(추락방지 관련 사항 및 Application)를 분석하여 이동식 사다리 안전수칙
단계별 준수사항을 제시하였다.
미국ㆍ유럽의 경우 한국과 일본과 비교하여 다음과 같은 특성이 도출되었다.
­ 사다리 상ㆍ하부 지지(고정)조건 및 접근 방법, 작업시간, 적정하중 등 사다
리 유형별ㆍ작업단계별(사용 전(점검)ㆍ중ㆍ후(유지관리)) 지침사항 등 작업
전 사다리 선정 시 고려사항의 중요성 강조
­ 표준 및 관련 지침 등에 사다리로 인한 재해발생 현황 및 사고원인별 대책
을 수록하여 경각심을 고취시키고 안전기준 준수의 필요성을 강조
­ 사업주ㆍ사용자(작업자)ㆍ건설현장 등에서 이해관계자별 역할 명시
­ 경고사항 및 지침의 표시를 최대한 이해하기 쉽게 표현
- 사용 전 반드시 확인 (제조업체의 지침과 라벨 포함)하여 준수하도록 함
­ 관련 협회를 통하여 관련 자료의 배포 및 교육(검사ㆍ사용자)기관의 역할
(유자격자 배출)을 수행하도록 함
­ App. 개발 - 안전하고 효과적인 사용에 대한 안내서 역할
IX. 결론 및 활용방안 ‥‥ 258

국내에서도 이동식 사다리 작업에 대한 규제나 제품 개발보다는 작업자 작


업방법에 대한 기준 또는 매뉴얼 제시, 그리고 이를 활용한 교육강화 및 인재육
성을 통한 재해 예방이 우선될 필요성이 있다.
사업주 책무 협회 책무 교육/홍보체계 전문가 육성
한국/일본 ● ● ● ●
미국/유럽 △ X △ X
●: Strong △: Medium X: Weak

사다리 작업안전 기준 또는 매뉴얼은 미국의 NIOSH나 영국의 Ladder


Asscoiation에서 제공하는 Application과 같이 국내에 적합한 Mobile
Application을 개발하고 탑재하여 이동식 사다리를 사용하는 작업자들이 손쉽게
접근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향후 연구개발이 필요하다. 또한, 교육프로그램의
개발을 통해 사용자, 작업자 및 점검자 등의 책임과 의무사항 및 사다리로 인한
재해의 위험성을 이해시키는 방안의 검토가 필요하다.

3. 이동식 사다리 대체품 개선모델(안)

이동식 사다리 안전작업기준(안)과 현장 의견수렴 내용에 부합되는 해외 이


동식 사다리 사용사례를 발굴하여 최종적인 이동식 사다리 대체품 개선모델
(안)의 개발 방향을 제시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해외의 안전대 부착설비
대체품 및 개발안을 추가로 제시하였으나, 이에 대한 정부의 구체적이고 현실
적인 추가 개발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과제에서 제시하는 이동식 사다리 대체품 개선모델(안)은 재해조사의
견서 분석을 통해 제시된 발붙임 사다리의 규제 강화의 필요성, 추락높이에 근
거한 재해예방조치 필요성, 그리고 개인보호장비 사용의 의무화 필요성을 고려
하였다.
IX. 결론 및 활용방안 ‥‥ 259

현장 의견수렴을 통해서는 발붙임(A형) 사다리를 포함한 이동식 사다리의


미끌림 방지대, 전도방지 지지대 등의 안전부속품의 부착 필요성, 작업의
안정성을 높이기 위해 작업발판 및 디딤대 폭의 확대 필요성, 작업자를 보호할
수 있는 안전난간의 부착 필요성을 반영하였다.

4. 이동식 사다리 제도 개선(안)

본 연구과제서는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발주자 안전보건관리 매뉴


얼 그리고 KOSHA GUIDE 개정안에 대하여 제시하였다. 아직 제안단계에 불과
하지만 이러한 개정안이 향후 법령개정에 반영되어 이동식 사다리의 사망사고
절감에 도움이 되었으면 한다.
1)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개선(안)

­ 이동식 사다리를 작업발판으로 사용하기 위한 근거 마련(제3장 제24조 제3항


제4항 신설)
­ 「이동식 사다리 안전작업지침」의 내용을 준용하되, 층고가 높고 협소한 장소,
일자형 및 조경용 사다리 사용작업 등을 고려하여 3.5m 초과 작업에 대한
조건부 허용 근거 마련(제38조 제1항 제14호 신설)
2) 발주자의 안전보건관리 매뉴얼 개선(안)

"건설사업 단계별 안전보건대장 작성방법”에서 고소작업 공종별 유해·위험


요인을 발굴하고, 고소작업 시 사용할 안전대 부착설비용 앵커 링을 설계도면에
반영하여, 설계단계에서부터 위험성을 평가하기 위한 근거 마련(기본안전보건
대장, 설계안전보건대장, 부록 내용 개선)
IX. 결론 및 활용방안 ‥‥ 260

3) KOSHA GUIDE 개선(안)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에서 개정된 "이동식 사다리 작업 안전기준


(안)"을 제시하고, "이동식 사다리 안전수칙 단계별 준수사항”과 이를 적용한
"모바입 앱 " 매뉴얼을 제공함으로써 이동식 사다리의 안전작업 수행을 위한
지침 마련

이상의 연구수행 결과를 바탕으로 이해관계자 간담회를 수행한 결과, 정부


및 관련 기관이 향후 추진해야 할 다음과 같은 개선방안이 도출되었다.
­ 이동식 사다리 개정지침에 근거한 사다리 인증기준(인증마크) 마련
- 안전부속물 및 안전대 부착설비 기준 마련
­ 이동식 사다리 작업 기준서 및 제품 규격서 마련
­ 산업안전보건관리비의 이동식 사다리 구매 허용 규정 마련
­ 2인 1조 작업의 작업 위험도 및 높이에 따른 완화기준 마련
­ 사업주 및 작업자 인식개선 교육 및 책임강화 규정 마련
­ 교육 Application 개발 보급 등
이동식 사다리의 재해 예방을 위해서는 장기적인 계획하에 각계의 현장 의견
수렴을 통한 단계적인 개선이 필요하지만, 이는 정부의 노력만으로 달성될 수
없다. 정부의 현실적이고 현장 적용성이 높은 개선방안이 제시되고, 이를 근간
으로 한 관련 협회들의 교육과 홍보 등이 수반되며, 제조업체들의 안전이 보장
된 이동식 사다리의 제조·판매가 가능해져야 한다. 무엇보다도 이를 사용하는
사업주와 작업자들의 인식 개선이 반드시 필요하다. 이러한 모든 이해관계자들
지원과 노력이 연계되어질 때 이동식 사다리의 재해는 절감되어질 수 있을 것
이라 판단된다.
참고문헌 ‥‥ 261

참고문헌
1) 학술지 논문
1. 이준희, 가설기자재 사고 사례를 통한 사용 시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중앙대학교 건설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8.02
2. 송창섭외3인, 건설현장 사다리에서 추락재해 예방을 위한 개선방안, 대한
안전경영과학회 춘계학술대회, 한국안전학회지 제1호 pp225-234, 2013
3. 조동제, 사업장 안전보건관리 유형별 산업재해발생현황비교, 한국산업안전
보건학회지 제28권 제3호, 2018.09
4. 김호영, 건설현장에서 추락사고 저감에 관한 연구, 경기대학교 건설·산업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12
5. 정성윤, 건설현장의 추락사고 안전관리시스템 개발 방안 연구, 한국정보
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제39권 제2호, 2012
6. 윤간우외2인, 농업인의 사다리 추락 손상 원인 분석, 대한직업환경의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11호 pp241-242, 2015
7. 문진, 빅 데이터 분석기법을 활용한 건설현장 안전사고 분석 적용(부상재해
사례의 발생형태 중심으로), 서울시립대학교 국제도시과학대학원, 2019.02
8. 심현황외1인, 산업현장 사다리 관련 사망재해 분석 및 추락재해 예방대책에
관한 연구, 대한안전경영과학회지 제19권 제4호, 2017.12
9. 손창백외1인, 건설회사의 안전관리수준 비교연구, 산업안전학회지 제17권
제4호, 2002.05
10. 김형석외4인, 이동식 사다리를 중심으로 한 제조업에서의 추락재해 예방대
연구, 한국안전학회지 제24권 제6호, 2009.11.13.
참고문헌 ‥‥ 262

11. 고용노동부, 사고재발 방지를 위한 현장 안전관리 실태조사, 고용노동부,


2013.12.10.
12. 한국경제연구원, 산업재해예방 실효성제고를 위한 사업장 안전관련 규제
합리화 과제, 한국경제연구원, 2016.12.15.
13. 강경식 외 1인, 산업현장 사다리 관련 사망재해 분석 및 추락재해 예방대책에
관한 연구, 대한안전경영과학회 논문집, 제19권 4호, 2017.12.
2) 단행본 (From JJH 201909)
1. 2018 BS EN 131-1 Ladder-Part 1 Terms, types, function size
2. 2018 BS EN 131-2 Ladder-Part 3 Marking and user instructions
3. 2017 ANSI-ASC A 14.2 American National Standard for Ladders
- Portable Metal – Safety Requirements
4. 2013 JIS S 1121 Aluminium ladder and stepladder
5. 2014 KS G 3701 알루미늄 합금제 사다리.
6. 2019 공급자적합성확인 안전기준 부속서 13(휴대용 사다리)
3) 참조문서
1. 안전보건경영시스템(KOSHA-MS) 인증업무 처리규칙 (안전보건공단)
2. KOSHA 18001에서 KOSHA-MS로 인증규칙 개정 자료 (안전보건공단)
3. 안전보건경영시스템(KOSHA-MS) 인증기준 설명자료 (안전보건공단)
4. 산업안전보건법 (법제처)
참고문헌 ‥‥ 263

4) 매뉴얼 / 규정집

1. 안전보건공단(사업자료-전문기술-제조업 등 안전보건경영시스템)
http://www.kosha.or.kr/kosha/data/18001_l.do
2. 법제처
http://www.moleg.go.kr/
3. 국토교통부, 국가건설기준 표준시방서 비계, 2016.6.
4. 국토연구원, 안전사회 실현을 위한 건설안전관리 개선방안 연구, 2014.9.
5. 산업안전보건법,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2018.8.
6. KOSHA Guide C-33-2016, 달비계 안전작업지침, 2016.
7. 고용노동부고시 제2012-92호, 가설공사 표준작업지침.
8. 가설공사표준시방서, 비계 및 작업발판, 2016.
9. Province of Alberta, OCCUPATIONAL HEALTH AND SAFETY
CODE, Alberta Regulation 87/2009, Canada.
10. Lyon Equipment Limited, For the Health and Safety Executive,
Industrial rope access – Investigation into items of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2001, HSE, UK
11. WorkSafe NewZealand Government, Scaffolding in New Zealand, 2018,
New Zealand
12. ACT Parliamentary Counsel, Scaffolding and Lifts Regulation, 2009,
Australia
Abstract ‥‥ 265

Abstract
A Study on Developing Safety Work Standards
and Safety Model for Portable Ladder
Kim Daeyoung, Lim Hyoung Chul, Jeong Ji Hyeon, Lee Dong Heon, Kim Han Earl
1. Backgrounds
Even though Occupation Safety and Health Acts(Industrial Safety and
Health Regulation Clause 24) defines that portable ladder is not a working
platform and it is a transfer port, most industrial sites keep using portable
ladders for work platform due to its’ usabilities and convenience for short
term job tasks. Also most workers and managers have misinterpreted that
portable ladders is a working platform. For these reasons, accident fatalities
occur continuously on industrial sites.
With the Accident Investigation Report(2009∼2019.02) from the Korea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gency, 280 cases of accident fatality
caused by portable ladder have occurred. Accident Fatality on construction
industry holds a high rank with 61%, and fatality on step ladder shows
63.6%. Thus, reinforcement of regulation is needed to reduce the accident
fatalities on construction industry and on step ladder.
Hence portable ladder is ranked first on causative equipment for accident
Abstract ‥‥ 266

fatalities, it must be managed with reinforcement of regulation to reduce


fatality rate.
The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sets up 「a work guideline for
the portable ladder」 on march in 2019. However, lack of information
activities and public comment period for the proposed guideline intensifies
the confusion to users and makes the users violate the guideline. Thus, an
extensive discussion on the issues of mutual concern is needed.
This study provides safety work standards and safety model for portable
ladder by soliciting supplementary opinions from the persons concerned and
all levels of society including construction sites, building maintenance
companies, potable ladder manufacturers.

2. Major Research Contents


Firstly, we conducted literature review and regulations at home and
abroad. Especially this study focused on safety standards and approval
standards for portable ladder at abroad to develop a domestic safety work
guide based on portable ladder work process.
Site research and feedback with workers’ survey and interview were
conducted to define field application and implementation improvement plan
about 「a work guideline for the portable ladder」of The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With the results of site research and feedback, and
based on 「a work guideline for the portable ladder」of The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this study suggested a safety work standard for
portable ladder.
Abstract ‥‥ 267

After analysing the Accident Investigation Report, the study found several
necessities of installing safety accessary to prevent ladder rocking,
expanding width of work platform and ladder step, strengthening the
mandatory use of personal safety protection equipment, strengthening the
rule for using step ladder, and installing safety fence or wearing safety belt
at the work height between 2m and 3.5m.
With the site survey and interview, large sized construction companies
well followed 「a work guideline for the portable ladder」of The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while small sized construction companies and
building maintenance companies did not follow it well. The site workers
with portable ladder needed exclusion rules criteria for using flat ladder and
extension ladder, and using step ladder at over 3.5m. In addition they
needed portable ladder productions with safety accessary and expanding
width of work platform.
In the case of ladder manufacturers, the most important opinion was the
demand for measures to raise the price of the portable ladder and to prepare
the product certification criteria.
Investigating and extracting overseas portable ladder products, this study
suggested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portable ladder safety model suitable
for domestic situation in the future. The portable ladder safety model has
safety fence, expanding width of work platform, safety device against
overturning and sliding, and telescoping leg. This study also suggested
several amendments to the Act related to portable ladder.
Abstract ‥‥ 268

3. Research Application
If the above-mentioned revision of the safety work standards of the
portable ladder and the actual use of the safety model, regulations, and
guides are implemented, the workers, managers, supervisors, and orderers
should be aware of the causes of accidents in the portable ladder-related
disaster statistics. It will be a standard for implementing efforts to reduce
disasters.
In addition, the research papers will be published in the first half of 2020,
based on the results of the portable ladder disaster pattern analysis and the
results of the mobile ladder survey on the site.
Keyword : Portable Ladder, Step Ladder, Safety Step Ladder Model,
Safety Work Guide for Portable Ladder
부록 ‥‥ 269

부록
[부록 1] 설문지 및 인터뷰 양식

[부록 2] 재해조사의견서 통계처리 내용 샘플

[부록 3] 해외 사다리 안전기준 및 매뉴얼 원본

[부록 4] KOSHA GUIDE 개정(안)


부록 ‥‥ 270

[부록 1] 설문지 및 인터뷰 양식

Ⅰ. 설문지 양식
이동식 사다리 안전작업기준 및 안전모델 제시를 위한 설문조사서
(건설현장용)
안녕하십니까? 귀 사(하)의 건승과 번창을 기원합니다.
안전보건공단 산업안전보건연구원은 이동식 사다리를 사용하는 작업에
대한 안전작업기준 및 안전모델 개발을 통해 재해예방에 기여하고자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본 조사의 답변내용 및 개인정보는 통계법에 따라 특정 개인의 특성이
노출되지 않습니다. 오직 연구를 위한 자료로만 사용할 것임을 약속드리며,
귀하의 성실하고 신뢰성 있는 응답을 부탁드립니다.
본 설문은 안전보건공단 안전보건연구원에서 의뢰하여 경남대학교 산학협력단에서
수행 중인 연구과제의 일부입니다.
부록 ‥‥ 271

응답자 일반사항

현 장
□ 종합건설업 ①토목건축공사업 ②건축공사업 ③ 조경공사업
보유면허 □ 전문건설업 (직접기재 ex) 실내건축공사업 - )
□ 전기통신공사업 □ 소방공사업
□ 기타 (직접기재 : )
□ 공동주택 □ 주택 □ 상가ㆍ오피스 □ 교육시설
공사종류 □ 종교시설 □ 의료시설 □ 문화 및 집회시설
□ 기타 (직접기재 : )
공사비 □ 3억 미만 □ 3~20억 □ 20~50억 □ 50~120억
□ 120~800억 □ 800~2000억 □ 2000억 이상
안전관리 □ 안전관리자 선임 □ 현장대리인(소장) □ 재해예방기관 위탁
□ 없음
재해발생) □ 사망재해( 건/ 명) □ 일반재해( 건/ 명) □ 무재해
(모두기재
설문 작성자
주요
직 위 업무분야 년 개월
근무경력
주요 □□ 현장책임 □ 안전관리 □ 건설사업관리 □ 공무
업무분야 □ 시공 (주요 작업공종 -
기타 (
)
)
부록 ‥‥ 272

Ⅱ 이동식 사다리 관련 법 개정 사항에 대한 인식도

■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고용노동부령 제251호)에서는 이동식사다리


는 이동통로로 정의되어 작업을 전면 금지하고 있으나, 2019년 3월 18일
‘이동식 사다리 안전작업지침 개선방안’을 통하여 아래와 같이 예외기준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다음 질문에 답하여 주십시오.
기본방향 종류 사용금지여부 예외 기준 준수사항
보통(일자형) ① 이동 시 업무 사용가능 안전모 및 안전대
및신축형 사용금지
사다리 ② 업무 시 멈춤 사용금지
사다리 ① 높이 3.5m 초과 사용금지
사용금지 경작업/비계 및 높이 2m 2인1조 및 안전모
A형사다리 ② 일부허용 고소작업대 설치 미만
높이 3.5m 2인1조, 안전모 및
불가 장소 미만 안전대
말비계 지주부 + 지주부재 안쪽 발판하부 유 말비계로 간주
구분 지지수평강재 유무 무 사다리로 간주
말비계 안전난간
사용가능 높이 2m 이상 안전난간 있는 안전설비 이용 불가능 시 안전대 설치
고소작업대 설치
A형 ㆍ평탕 견고하고 미끄럼이 없는 바닥에 설치
사다리 ㆍ경작업*, 고소작업대․비계 등의 설치가 어려운 협소한 장소에서 사용
사용 시 * 손또는 팔을 가볍게 사용하는 작업으로서 전구교체 작업, 전기ㆍ통신 작업, 평탄한
곳의 조경작업 등
주의사항 ㆍ사다리 구조 등 그 외 안전보건조치는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준수
1. 이동식사다리를 활용한 귀 현장의 작업이 상기 지침에 따라 작업이 가능하다고 생각하십니
까?
① 가능 ② 불가능(개선필요)

의견) 현 개정안에 대한 어떤 사항이든 자유롭게 기술바랍니다.


부록 ‥‥ 273

2. 기본적으로 안전모, 안전대 걸이, 안전난간 사용을 촉구하고 있습니다. 상기 지침에 따라 작


업이 가능하다고 생각하십니까?
① 가능 ② 불가능(개선필요)

의견) 현 개정안에 대한 어떤 사항이든 자유롭게 기술바랍니다.

3.보통(일자형) 사다리 및 신축형 사다리는 기본적으로 사용을 금지하고 있습니다. 이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① 가능 ② 불가능(개선필요)

의견) 일자형 및 신축형 사다리 금지에 대한 어떤 사항이든 자유롭게 기술바랍니다. (특히 소


방, 기계, 설비 등 일부 공종에서는 일자형 사다리 사용을 희망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부록 ‥‥ 274

3.1 보통(일자형)
사다리 또는 신축형 사다리의 현장사용이 가능하도록 다음
과 같은 예외기준을 제시하고자 합니다. 현장 적용가능여부를 √해 주십시오.
구분 적용가능여부
가능 불가능
보통(일자형) 사다리 또는 신축형 사다리는 다음과 같은 경우를 모두 충족할 시 사용
가능하다.
① 고소작업대, 비계, A형 사다리, 사다리차 등을 사용할 수 없는 작
업에 해당될 경우
② 현장총괄책임자 또는 안전관리자가 해당 작업에서의 보통(일자형)
사다리 또는 신축형 사다리 사용을 인정한 경우(작업허가서 발급)
③ 관리감독자의 감독 하에 작업을 수행할 경우
④ 사다리 상단부에는 고정벨트, 고정철물 등의 부속물을 이용하여 사
다리를 구조물에 완전히 고정하고 사다리 하단부에는 전도방지 지지
대 및 밀림방지 지지대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 또는 현장총괄책임자
또는 안전관리자가 해당 작업에 사용할 사다리가 안전난간 부착 및
기타 안전시설 완비로 충분히 안전하다고 인정한 경우
⑤ 안전모 및 안전대 걸이를 착용한 경우

의견) 추가하고 싶은 의견이 있으시면 자유롭게 기술바랍니다.


부록 ‥‥ 275

4. A 형 사다리에 대한 질문입니다.
형 사다리는 높이 3.5m 초과 시 사용금지에 동의하십니까?
4.1 A
① 동의 ② 미동의(개선필요)

형 사다리 사용 예외기준으로 높이 2m 미만과 3.5m 미만을 잡고 있습니다. 이에 대해


4.2. A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① 가능 ② 불가능(개선필요)

4.3 높이 2m 미만의 작업에 관한 사항입니다.


4.2.1 현장 적용성을 고려할 때 2인 1조 작업에 동의하십니까?
① 동의 ② 미동의(개선필요)

4.2.2 현장 적용성을 고려할 때 안전모 착용에 동의하십니까?


① 동의 ② 미동의(개선필요)

4.4 높이 3.5m 미만의 작업에 관한 사항입니다.


4.3.1 현장 적용성을 고려할 때 2인 1조 작업에 동의하십니까?
① 동의 ② 미동의(개선필요)

4.3.2 현장 적용성을 고려할 때 안전모 착용 및 안전대 걸이 설치에 동의하십니까?


(안전모 착용) ① 동의 ② 미동의(개선필요)
(안전대 걸이 설치) ① 동의 ② 미동의(개선필요)

의견) A형 사다리 높이기준 및 준수사항에 대한 어떤 것이든 자유롭게 기술바랍니다.


부록 ‥‥ 276

5.말비계 및 고소작업대(스카이 포함)는 높이 2m 이상일 경우 안전난간이 설치되어야 하며,


안전난간 설치가 어려울 경우 안전대 걸이를 설치해야 합니다. 이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십니
까?
① 가능 ② 불가능(개선필요)

의견)

6.건설현장에서 안전대 걸이 설치 및 착용이 가장 현장 적용성이 어렵다는 의견이 있습니


다. 이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① 가능 ② 불가능(개선필요)

6.1안전대 걸이를 지하실, 1층 로비 등 층고가 3.5m 이상인 장소에는 천정이나 벽에 영구적


인 안전대 걸이용 앵커를 시공 시 설치하고, 해당 층 내에 소화전처럼 박스에 강선을 비치하
여, 작업 시 강선을 앵커에 연결해 안전대 걸이로 활용하고자 합니다. 이에 대해 어떻게 생
각하십니까?
① 가능 ② 불가능(개선필요)

이러한 안전대 걸이용 앵커 시공을 발주자의 안전보건관리 매뉴얼에 추가하고자 합니다.


6.2
이에 대해 동의하십니까?
① 동의 ② 미동의(개선필요)

내부 작업을 위해 실내에 비계 형태로 간단하게 설치 해체가 가능한 시설을 활용해 안


6.2
전대 걸이로 사용하고자 합니다. 이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① 가능 ② 불가능(개선필요)
부록 ‥‥ 277

예시)

의견) 안전대 걸이에 대한 어떤 사항이든 자유롭게 기술바랍니다.

7.대다수의 공종에서 이동식 사다리는 단 시간 사용하는 작업에 많이 사용됩니다. 그리고 고


소작업대나 스카이 등을 렌트해서 사용하는 경우가 대다수입니다. 이런 이유로 단 시간 사용
하는데 장비를 렌트하는데 경제적 부담을 느끼는 것으로 조사되었습니다. 따라서 각 현장마
다 시공기간 동안 또는 필요한 일부기간 원도급체에서 장비를 일괄적으로 대여하여 사용하
도록 하고 이를 공사비에 포함시키거나 정부지원사업으로 지원하고자 합니다. 이에 대해 어
떻게 생각하십니까?
① 가능 ② 불가능(개선필요)

의견)

8. 기타 이동식 사다리에 대한 귀하의 의견이 있으시면 편하게 작성 부탁드립니다.


부록 ‥‥ 278

Ⅱ. 인터뷰 양식
인터뷰 문항
<정부 이동식 사다리 개정지침 요약>
기본방향 종류 사용금지여부 예외 기준 준수사항
보통(일자형)
및신축형 사용금지 ①② 이동 시 업무 사용가능 안전모 및 안전대
업무 시 멈춤 사용금지
사다리
사다리 ① 높이 3.5m 초과 사용금지
사용금지 높이 2m 2인1조 및 안전모
경작업/비계
A형사다리 ② 일부허용 고소작업대 설치 미만 및
불가 장소 높이 3.5m 2인1조, 안전모 및
미만 안전대
말비계 지주부재 + 지주부재 안쪽 발판하부 유 말비계로 간주
구분 지지수평강재 유무 무 사다리로 간주
말비계 사용가능 높이 2m 이상 안전난간 있는 안전설비 이용 안전난간 설치 불가능
고소작업대 시 안전대 설치
A형 ㆍ평탕 견고하고 미끄럼이 없는 바닥에 설치
사다리 ㆍ경작업*, 고소작업대․비계 등의 설치가 어려운 협소한 장소에서 사용
사용 시 * 손 또는 팔을 가볍게 사용하는 작업으로서 전구교체 작업, 전기ㆍ통신
주의사항 작업, 평탄한 곳의 조경작업 등
ㆍ사다리 구조 등 그 외 안전보건조치는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준수
상기와 같은 이동식 사다리 개정지침에 근거하여 현재 사다리 사용이 제한되었습니다. 정부
의 개정지침의 내용은 다음과 같이 정리되어집니다.
a. 보통 사다리(일자형), 신축형 사다리 등을 작업발판으로 사용 금지
b. 발붙임 사다리(A형, 조경용) 안전작업지침(높이, 팀 구성, 안전모 및 안전대) 준수
c. 2m 이상 시 안전난간 또는 안전대 설치

1. 귀하는 정부의 개정지침에 대하여 사전에 알고 계셨습니까?


1.1 정보 경로는?
1.2 이에 대한 대책(준비)을 고민하셨습니까?

2. 귀하는 정부의 개정지침에 동의하십니까?


2.1 가장 큰 문제점은?
2.2 반드시 개선되어야 할 점은?
부록 ‥‥ 279

3. 귀하는 보통(일자형) 사다리 및 신축형 사다리 사용 금지에 동의하십니까?

4. 귀하는 정부가 제시한 사다리 높이기준에 대하여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4.1 2m vs. 3.5m vs. 기타?
4.2 최상답단 3단 이하 사용 vs. 최상단 작업금지

5. 귀하는 A형 사다리 사용 시 2인1조로 작업해야 한다는 것에 동의하십니까?

6. 귀하는 말비계 사용 시에도 2m 이상일 때 안전난간 또는 안전대 사용에 동의하십니까?


6.1 안전난간 vs. 안전대

7. 귀하는 안전대 설치시설이 개발되어진다면 사용하실 의향이 있으십니까?


7.1 안전대 설치시설에서 가장 중요하게 요구되는 것은?
(설치․해체 vs. 높이 조절 vs. 경량 vs. 수평이동 vs. 안전성 vs. 경제성 vs. 운반성)

8. 정부의 개정지침을 준수하기 위해서 귀하가 현재 가장 고민스러운 사항은?

9. 다음에 있어 재해 발생 예방을 위한 귀하의 생각을 말해주시길 바랍니다.


[건설업]
사업주 - 원도급 - 하도급 - 전문업
[관리업]
건축주(입주자) - 관리책임자 - 관리자
[조경 및 유지 보수업]
사업주(사용자, 건축주) - 전문업 - 실무자

10. 의견이 있으시면 말씀해주시길 바랍니다.


부록 ‥‥ 280

[부록 2] 재해조사의견서 통계처리 내용(샘플)


2019.01.10 사망유무 사망

2018.10.30.(금) 10:10경 **휴먼아파트 지하 물탱크 내부에서 **환경개발 대표와 작업자


3명이 물탱크 물세척 작업 중, **환경개발 소속 재해자(왕**, 71세)가 물탱크 내부 사다
- 재해개요
리식 통로에서 수중펌프 호스를 사다리에 고정시키는 작업을 하면서 떨어져, 병원으로
이송·치료 중 2018.12.13.(목)에 사망한 재해임

- 사다리 재해 발생원인
업종 경력 사고부위 경위 사다리형태 높이
위생업/
● 고정식 ● 2M이하
서비스
도장업
일용직
머리 ● 균형상실 ●
일자형 2~3.5M

관리업 신축형
철거업 A형
전기업 5년이하 이동식
조경업 흉부 발판사다리
인테리어 사다리 사다리차
5~10년
금속업
통신업 다수
넘어짐
3.5M이상 ●
수리업 10년이상 ●
고소작업대
설비업 사다리
건설업 모름 이탈
모름
기타

- 재해 사진 및 재해자 작업 방법

물탱크 내부진입 개구부 사다리에서 재해자 작업모습


물탱크 내부 고정식 사다리
(추정)

**환경개발 대표와 동료근로자(허**)의 증언에 따르면 재해자는 펌스 호스를 물탱크 내부 사다리에 고


정하기 위해 사다리 약 3.5M 지점에 서서 펌프호스 3개를 작업 시 1M~1.5M 정도 물탱크 내부로 삽
입 시켰으며, 호스를 사다리 발판 사이에 끼울 경우 펌프 작업 완료 후 물탱크 상부에서 호스를 쉽게
잡아 당겨 제거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추정
부록 ‥‥ 281

2019.02.21 사망유무 사망

2018. 8. 22. 08 : 09분경, 파주시 소재 **가구의 도장반장인 재해자가 다음날 예보된 태


풍에 대비하여 도장실 외벽에 설치된 차광막을 철거하고자 2층 옥상으로 이동하여 철
- 재해개요 거작업을 완료한 후 별도로 바닥에 방치된 철재사다리를 근처 차양막 안으로 세워놓
기 위해 동료작업자와 함께 사다리를 옮기던 중 물기로 인해 미끄러운 바닥에 넘어지
며 머리를 부딪쳐 병원 후송 후 치료 중 2018년 12월 18일에 사망한 재해임.

- 사다리 재해 발생원인
업종 경력 사고부위 경위 사다리형태 높이
위생업/ 고정식 2M이하 ●
서비스
일용직
● 일자형 ● 2~3.5M
도장업
관리업
머리
균형상실 ● 신축형
철거업 A형
전기업 5년이하 이동식
조경업 흉부 발판사다리
인테리어 사다리 사다리차
5~10년
금속업 넘어짐
3.5M이상
통신업 다수
수리업 10년이상
고소작업대
설비업 사다리
건설업
모름 ● 모름 이탈
기타 ●
- 재해 사진 및 재해자 작업 방법

사고현장 바닥 전경 바닥에 방치된 철재사다리 재해 발생 상황도

파주시 소재 **가구의 재해는 방수포로 시공된 옥상 바닥에서 강우로 인해 미끄러질 위험이 높았던
상태에서 중량의 철재 사다리를 이동 하던 중 발생 된 재해로 물기제거 등이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
로 작업하다 발생 된 재해로 판단 됨.
부록 ‥‥ 282

2019.01.15 사망유무 사망

2018년 12월 24일(월) 10:00경 인천 중구 운남동 소재한 근린생활시설 및 다세대주택 2


층과 3층 사이 계단참에서 **도장공사 소속 근로자인 박**(만66세, 남, 도장공)이 계단
- 재해개요 실 천장 도장작업을 위한 보양작업 중(도장 미실시 부위 오염방지를 위한 비닐덮기
등) 벽체 상단 비닐붙이기 작업을 위해 설치한 이동식사다리(A형)에서 몸의 중심을 잃

고 바닥으로 떨어져(H 1,950mm) 치료 중 사망한 재해임.

- 사다리 재해 발생원인
업종 경력 사고부위 경위 사다리형태 높이
위생업/ 고정식 2M이하
서비스
● 일용직 ● ● 일자형 2~3.5M ●
도장업
관리업
머리
균형상실 ● 신축형
철거업 A형 ●
전기업 5년이하 이동식
조경업 흉부 발판사다리
인테리어 사다리 사다리차
5~10년
금속업 넘어짐
3.5M이상
통신업 다수
수리업 10년이상
고소작업대
설비업 사다리
건설업 모름 이탈
모름
기타

- 재해 사진 및 재해자 작업 방법

사고현장 전경 재해발생 위치(추락지점) 재해 발생 상황도


2018.12.24. 8:00경 대표, 피재자 박**, 동료작업자 오**(여) 3명은 당일 현장에 출근하여 작업을 준비함.
8:10분경 대표는 1층에서 자재정리를 하였으며, 피재자와 동료작업자는 보양작업 위치를 확인하고 보
양작업을 시작함.
※ 피재자는 계단실의 벽을 비닐로 붙이는 보양작업을 진행하였으며, 동료작업자는 1층부터 핸드레일
을 비닐로 감싸는 보양작업을 진행함.
10:00경 피재자는 2층과 3층 사이 계단참의 보양작업을 위해 이동식사다리 위에서 접착재가 붙은 보
양용 비닐을 벽체에 붙이던 중 추락함.
부록 ‥‥ 283

2018.01.24 사망유무 사망


2018년 1월 13일(토) 12시40분경 *스크린 프 소속 근로자 피재자 이**(남, 58세)은
번 골
A형 이동식 사다리를 이용하여 스크린 프 실내5 방 내 설치된 빔프로젝터
- 재해개요
필터 분리작업 중 사다리(높이:1.67m) 넘어짐에 의해 바닥으로 떨어지면서
(높이:3.2m)
머리가 부딪혀 병원 이송 및 치료 중 2018년 1월 20일(토) 16시 20분경 사망한 재해임.

- 사다리 재해 발생원인
업종 경력 사고부위 경위 사다리형태 높이
위생업/ 고정식 2M이하 ●
서비스
도장업
일용직
머리 ● 균형상실 ●
일자형 2~3.5M

관리업 신축형
철거업 A형 ●
전기업 5년이하 ● 이동식
조경업 흉부 발판사다리
인테리어 사다리 사다리차
5~10년
금속업 넘어짐
3.5M이상
통신업 다수
수리업 10년이상
고소작업대
설비업 사다리
건설업 모름 이탈
모름
기타 ●
- 재해 사진 및 재해자 작업 방법

사고현장 전경 및 작업
추정 높이 재해발생 전 작업 상황도 재해발생 상황도
번 들어가 에러메세지를 확인 후 필터세척 작
2018년 1월 13일(토) 12시40분경 피재자가 실내5 방으로
업이 필요하다고 판단하고 A형 이동식사다리를 이용하여 빔프로젝터에서 필터분리 중 사다리 넘어짐
(전도)에 의해 바닥으로 떨어져 머리와 엉덩이를 부딪힘. 진술 및 빔프로젝터의 필터위치 조사 결과에
의하면, 필터는 빔프로젝터의 옆쪽(벽면방향)에 위치하고 있었고, 골프백이 놓여진 장소를 피해 사다
리를 벽면에 붙이지 못하고 설치하여 피재자가 필터 분리작업을 사다리 정면에서 작업하지 못하고
사다리 측면에서 몸을 한쪽으로 기울여 작업을 하던 중 사다리 넘어짐(전도)에 의해 떨어졌을 가능성
이 있음.
부록 ‥‥ 284

2018.12.10 사망유무 사망

북 경산시 소재 탈수설비 설치 현장에서


2018.12.09.(일) 13:53분경 경
직영 근로자인 재해자(남, 43세, 용접공)가 철구조물 상부 바닥판에 설치한 이동식 사
다리(A형) 위에서 탈수기 룸(Room) 지붕 구조물의 용접작업 후 사다리에서 내려오려던
- 재해개요

순간 몸의 중심을 잃고 약 6미터 아래 지면으로 추락함.

- 사다리 재해 발생원인
업종 경력 사고부위 경위 사다리형태 높이
위생업/ 고정식 2M이하
서비스
일용직 ● ● 일자형 2~3.5M
도장업
관리업
머리
균형상실 ● 신축형
철거업 A형 ●
전기업 5년이하 이동식
조경업 흉부 발판사다리
인테리어 사다리 사다리차
금속업 ● 5~10년
넘어짐
3.5M이상 ●
통신업 다수
수리업 10년이상
고소작업대
설비업 사다리
건설업 모름 이탈
모름
기타

- 재해 사진 및 재해자 작업 방법

사고현장 전경 재해 발생 전 작업 상황도
재해발생 상황도
또는 이동 중 몸의 중심을
2018.12.09.(일) 13:53분경근로자가 철구조물 상부 바닥판 위에서 용접작업
잃거 나 예상하지 못한 돌발 상황 발생 등으로 아래로 떨어질 경우에 대비한 안전 조치가 없는 상태
에서, 안전대 미착용 상태로 작업발판이 아닌 이동식 사다리 위에서 용접 작업을 하던 재해자가,
작업 후 사다리에서 내려오기 위해 한 쪽 다리를 사다리에서 떼는 순간 이동식 사다리의 흔들림 또
는 몸의 중심을 잃는 등의 원인으로 약 6m 아래 지면으로 떨어지면서 재해가 발생한 것으로 추정됨.
부록 ‥‥ 285

2018.12.10 사망유무 사망

산시 중구 소재 **르망 울산 중구점 인테리어 공사 현장에


2018.10.28.(일) 11:41분경 울
서 ㈜**기획 소속 피재자(정**, 남, 54세)가 **르망 울산 중구점 건물 2층 발코니 하부
전등 교체작업을 위해 이동식 사다리(A형) 위에서 작업을 하던 중, 사다리가 넘어지면
- 재해개요

서 높이 2.9m 아래 바닥(석재타일)으로 떨어져 병원으로 후송·치료 중 사망한 재해임.

- 사다리 재해 발생원인
업종 경력 사고부위 경위 사다리형태 높이
위생업/ 고정식 2M이하
서비스
일용직
● 일자형 2~3.5M ●
도장업
관리업
머리
균형상실 ● 신축형
철거업 A형 ●
전기업 5년이하 이동식
조경업 흉부 발판사다리
인테리어 ● 5~10년
사다리 사다리차
금속업 넘어짐
3.5M이상
통신업 다수
수리업 10년이상
고소작업대
설비업 사다리
건설업
모름 ● 모름 이탈
기타

- 재해 사진 및 재해자 작업 방법

사고현장 전경 재해발생 상황도


재해발생 위치(추락지점)


2018.10.28.(일) 피재자는 아 트리거 설치가 곤란한 협소한 장소에서 전등 교체작업을 하기 위해 이동
식 사다리(A형) 위에서 불안전한 상태에서 무리하게 양손 작업을 하던 중 몸의 중심을 잃고 사다리와
같이 넘어져 타일 바닥으로 떨어진 것으로 추정 됨.
부록 ‥‥ 286

2018.11.08 사망유무 사망

산청군 삼장면 홍계리 **마을 소재 하천에서 일용직인


2018년 11월 5일(월) 16:40분경
재해자 최**(만68세,남)이 동료직원의 칡넝쿨 제거작업을 돕기 위해 하천 제방에 설치
- 재해개요 된 고정식 사다리를 이용하여 제방 아래로 내려가던 중 사다리 고정부가 이탈되어 사
다리와 함께 제방 아래(높이≒3.2m)로 떨어지면서 하천 바닥의 돌에 머리가 부딪쳐 두
부손상으로 병원에서 치료 중 당 일 17:56분에 사망한 재해임

- 사다리 재해 발생원인
업종 경력 사고부위 경위 사다리형태 높이
위생업/ 고정식 ● 2M이하
서비스
도장업
일용직 ● 머리 ● 일자형 2~3.5M ●
균형상실
관리업 신축형
철거업 A형
전기업 5년이하 이동식
조경업 흉부 발판사다리
인테리어 ● 5~10년
사다리 사다리차
금속업 넘어짐
3.5M이상
통신업 다수
수리업 10년이상
고소작업대
설비업
건설업 모름
사다리
이탈

모름
기타

- 재해 사진 및 재해자 작업 방법

사고현장 전경
제방에 설치된 고정식 사다리 재해발생 상황도

최**은 하천 상류쪽 일을 마치고 자신의 차량으로 이동하면서 자 신보다


2018년 11월 5일(월) 재해자
약 10분 먼저 내려간 동료작업자 옥**이 제방 위에 설치된 간이 정자 주변 칡넝쿨 제거작업을 하고
있는 것을 보고 차를 도로가에 세운 후, 제방 아래쪽에서 칡넝쿨 제거작업을 돕기 위해 사고지점으로
이동하여 제방 아래로 내려가던 중 사다리 버팀대가 고정부에서 이탈되어, 사다리와 함께 제방 아래
(높이≒3.2m)로 떨어지며 머리를 하천 바닥 돌에 부딪쳐 두부손상으로 병원에서 치료 중 사망한 것으
로 추정됨
부록 ‥‥ 287

2018.07.27 사망유무 사망

‘18. 7. 13.(금) 11:50분경 경남 창원시 진해구 소재 ㈜**조경이 시공하는 **컨트리클럽


골프장 내 인공폭포 철거공사 현장에서 피재자(조경공, 만55세)가 사다리에서 분진망
- 재해개요 설치용 가설울타리를 설치하던 중 높이 3m에서 사다리와 함께 넘어지면서 가설울타리
의 2단 띠장(강관 되
파이프)에 흉부를 부딪쳐 병원으로 이송 어 치료 중 18.7.27.(금)
14:06분경 사망한 재해임

- 사다리 재해 발생원인
업종 경력 사고부위 경위 사다리형태 높이
위생업/ 고정식 2M이하
서비스
도장업
일용직 ● 머리 ● 일자형 ● 2~3.5M ●
균형상실
관리업 신축형
철거업 A형
전기업 5년이하 이동식
조경업 ● 흉부 발판사다리
사다리차
인테리어
금속업
5~10년
사다리
넘어짐

3.5M이상
통신업 다수
수리업 10년이상
고소작업대
설비업 사다리
건설업 모름 이탈
모름
기타

- 재해 사진 및 재해자 작업 방법

사고현장 전경 재해발생 위치(추락지점)


재해발생 상황도

‘18. 7. 13.(금) 재해 당시 사다리는 인공폭포에서 골프코스 안쪽방향으로 경사가 있는 지형 위에 설치


되었음. 피재자는 동료작업자가 사다리를 잡아주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 분진망 설치용 가설울타리의
4단 띠장 설치작업을 하던 중, 경사 위치에 설치되었고 별도의 전도방지조치가 없는 사다리가 넘어지
면서 떨어진 것으로 판단됨.
부록 ‥‥ 288

2018.03.20 사망유무 사망

2017.05.18(목) 09:55분경 경남 진주시 평거동 소재 ㈜**가 시공하는 **유통 *마트 서진


주점 인테리어공사 현장에서 ㈜**플랜 소속 피재자(금속공, 남, 52세)가 지상1층 농산물
코너 천장 삼각형 등박스 설치 작업을 위해 A형 사다리에 올라서서 경량천장틀(M-bar)
에 팔을 기댄 채 사각파이프 설치 중 경량천장틀 고정부가 탈락되면서 몸의 중심을
- 재해개요

잃고 A형 사다리와 함께 약 2.2m 아래 바닥으로 넘어져 병원 이송 후 치료 중


‘17.12.14(목) 12:50분경 사망한 재해임.
- 사다리 재해 발생원인
업종 경력 사고부위 경위 사다리형태 높이
위생업/ 고정식 2M이하
서비스
일용직 ● ● 일자형 2~3.5M ●
도장업
관리업
머리
균형상실 ● 신축형 ●
철거업 A형
전기업 5년이하 이동식
조경업 흉부 발판사다리
인테리어 사다리 사다리차
금속업 ● 5~10년
넘어짐
3.5M이상
통신업 다수
수리업 10년이상
고소작업대
설비업 사다리
건설업 모름 이탈
모름
기타

- 재해 사진 및 재해자 작업 방법

사고현장 전경 재해발생 상황도


피해자 작업위치

2017.05.18.(목) 피해자가 작업 시 사용한 A형 사다리는 미끄 럼방지 및 전도방지장치가 설치 되었고,


피재자는 안전모를 착용한 상태로 사다리 위에서 피재자가 M- bar에 몸을 기대고 작업 중 고정부가
탈락 되면서 A형 사다리와 함께 넘어져 사고발생사다리 주용도(승강시설) 외에 천장작업(운반, 설치,
용접 등)용으로 사용을 금지하여 야 하나 작업 중 사고발생
부록 ‥‥ 289

2018.04.06 사망유무 사망

연초면 소재 **(주) 작업장 내 금장 테크 소속 피


2018. 4. 2(월) 15:00분경 경남 거제시
재자 문**이 보온완료된 화력발전소용 부품 덕트의 추가적인 보 온작업(수정)을 수행하
- 재해개요 기 위해 이동식 발판사다리(높이:3m)를 이용하여 보온작 업 중 발판사다리와 함께 넘
어지면서 바닥에 머리를 부딪쳐 병원 후송 후 치 료 중 2018. 4. 5(목) 00:49분경 사망
한 재해임.

- 사다리 재해 발생원인
업종 경력 사고부위 경위 사다리형태 높이
위생업/ 고정식 2M이하
서비스
도장업
일용직
머리 ● 일자형 2~3.5M ●
균형상실
관리업 신축형
철거업 A형
전기업 5년이하 ● 이동식

조경업 흉부 발판사다리
사다리차
인테리어
금속업 ● 5~10년
사다리
넘어짐

3.5M이상
통신업 다수
수리업 10년이상
고소작업대
설비업 사다리
건설업 모름 이탈
모름
기타

- 재해 사진 및 재해자 작업 방법

사고현장 전경
재해발생 상황도
재해발생 위치(추락지점)

2018. 4. 2(월) 재해자는 안전모를 착용하지 않고 이동식 발판사다리 최상부 발판 에서 덕트보온작업



을 하던 중 바 고정장치인 쐐기를 설치하지 않은 상태에서 사다리가 움직이다가 정반 끝(높
퀴가 이탈되면서 사다리가 무게중심을 잃고 넘어져 작업 중이던 재해자도 바닥으로
이:50mm)에서 바
함께 넘어지면서 콘크리트 바닥에 머리를 부딪쳐 사망한 것으로 추정됨.
부록 ‥‥ 290

[부록 3] 해외 사다리 안전기준 및 매뉴얼


부록 ‥‥ 291
부록 ‥‥ 292
부록 ‥‥ 293
부록 ‥‥ 294
부록 ‥‥ 295
부록 ‥‥ 296
부록 ‥‥ 297
부록 ‥‥ 298
부록 ‥‥ 299
부록 ‥‥ 300
부록 ‥‥ 301
부록 ‥‥ 302
부록 ‥‥ 303
부록 ‥‥ 304
부록 ‥‥ 305
부록 ‥‥ 306
부록 ‥‥ 307
부록 ‥‥ 308
부록 ‥‥ 309
부록 ‥‥ 310
부록 ‥‥ 311
부록 ‥‥ 312
부록 ‥‥ 313
부록 ‥‥ 314
부록 ‥‥ 315
부록 ‥‥ 316
부록 ‥‥ 317
부록 ‥‥ 318
부록 ‥‥ 319
부록 ‥‥ 320
부록 ‥‥ 321
부록 ‥‥ 322
부록 ‥‥ 323

[부록 4] KOSHA GUIDE 개정(안)

사다리 안전보건작업 지침
1. 목적

이 지침은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이하 “안전보건규칙”이라 한


다)에 따라 산업현장에서 사다리 작업 시 준수하여야 할 안전보건작업 지침
을 정함을 목적으로 한다.

2. 적용범위

이 지침은 산업현장에서 사용하고 있는 사다리 작업에 대하여 적용한다.

3. 정의

(1) 이 지침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정의는 다음과 같다.

(가) “보통(일자형) 사다리”라 함은 이동식 사다리의 한 종류로서 전체적인


형상이 일자 형태로 되어있고 지붕, 벽 등 구조물에 기대어 사용하는 사
다리를 말한다.

(나) “신축형(연장형) 사다리”라 함은 이동식 사다리의 한 종류로서 전체적


인 형상이 일자 형태로 되어있고, 사다리의 기둥을 원하는 높이로 신장
부록 ‥‥ 324

시킨 후 지붕, 벽 등 구조물에 기대어 사용하는 사다리를 말한다.

(다) “발붙임 사다리”라 함은 이동식 사다리의 한 종류로서 전체적인 형상이


A자 형태로 되어있고 힌지(Hinge)에 의하여 사다리 기둥의 각도를 일
정한 범위에서 조절하면서 사용하는 사다리를 말한다.

(라) “조경용 사다리”라 함은 사다리 기둥이 전방 기둥, 후방 버팀대로 구성


된 3발의 형태로 설계된 것을 말하며, 주로 조경 작업시 사용하는 사다
리를 말한다.

(마) “고정식 사다리”라 함은 철, 콘크리트 구조물 등에 설치하여 주로 상하


부간 이동통로로 사용하는 사다리를 말한다.

(바) “잠금장치”라 함은 계단식 사다리에서 사다리 기둥의 각도가 일정한 범


위를 초과 하지 않도록 구속하는 안전장치를 말한다.

(사) “미끄럼 방지장치”라 함은 기대는 사다리 또는 계단식 사다리 하부에


마찰력이 큰 부재를 부착하여 사다리의 미끄러짐에 의한 전도를 방
지하기 위하여 설치한 안전장치를 말한다.

(아) “전도방지용 지지대”라 함은 기대는 사다리 또는 계단식 사다리 하부


에 버팀대를 부착하여 사다리의 넘어짐을 방지하기 위한 안전장치를
말한다.

(자) “사다리 기둥”이라 함은 사다리의 전체적인 형상을 유지하면서 사다


리 발판이 부착되어 있는 수직부재를 말한다.
부록 ‥‥ 325

(차) “사다리 발판”이라 함은 일정한 간격으로 사다리 기둥에 부착되어


상하부로 이동시 발을 디딜 수 있는 수평부재를 말한다.

(카) “등받이 울”이라 함은 고정식 사다리에서 상하부간 이동시 추락을


방지하기 위하여 사다리 외측에 근로자의 신체를 기댈 수 있도록 설치
한 구조물을 말한다.

(2) 그 밖의 용어의 정의는 이 지침에서 특별한 규정이 있는 경우를 제외


하고는 산업안전보건법, 같은 법 시행령, 시행규칙, 안전보건규칙 및
관련 고시에서 정하는 바에 따른다.

4. 사다리 작업 안전기준

4.1 일반사항

(1) 모든 사다리 사용 시 안전모(턱끈 조임)를 착용하고 작업높이가 2m이상


인 경우는 안전대 착용 및 걸이를 하여야 한다.

(2) 사다리는 작업장소의 상․하부 간 이동, 경작업*, 고소작업대·비계 등의 설


치가 곤란한 장소에서만 사용하여야 한다.
* 경작업 : 손 또는 팔을 가볍게 사용하는 단시간 작업

(3) 사용전·후 사다리 기둥, 사다리 발판 등 주요 구조부와 외관의 이상유


무에 대한 사전점검을 실시하여 결함이 발견된 사다리는 즉시 수리하
거나 그 밖에 필요한 조치를 하여야 한다.
부록 ‥‥ 326

(4) 사다리 또는 작업장 주변에 진흙, 기름 등 미끄러짐에 의한 전도, 추락


재해를 유발할 수 있는 물질이 있는지 점검한 후 상기 물질을 제거하
고 사용하여야 한다.

(5) 사다리에서 자재, 설비 등 10 ㎏f 이상의 중량물을 취급하거나 운반해서


는 아니 된다.

(6) 사다리는 일정한 제작 및 시험기준에 적합한 제품을 사용하고, 사용 시


의 하중이 제작시의 최대 설계하중을 초과하여서는 아니된다.

(7) 사다리는 보행자 통행로, 차량 도로, 문이 열리는 곳 등 사다리와 충


돌 가능성이 있는 장소에 설치하여서는 아니 된다. 부득이한 경우에는
사다리 주위에 방호울을 설치하거나 감시자를 배치하여야 한다.

(8) 사다리에서 이동하거나 작업할 경우에는 <그림3>과 같이 3점 접촉(두


다리와 한 손 또는 두 손과 한 다리 등)상태를 유지하여야 한다.

× × ○
<그림 1> 2점 접촉 <그림 2> 2점 접촉 <그림 3> 3점 접촉
부록 ‥‥ 327

(9) 사다리에서의 작업시간은 경작업에 한하여 30분 이하로 하여야 한다.


30분 이상의 작업시간이 소요될 경우에는 충분한 휴식 후에 작업하여야
한다.

(10) 사다리 작업장소 주위에 있는 전선, 전기설비 등의 유무 및 상태를 점


검하고 감전위험이 있는 경우에는 부도체 재질의 사다리를 사용하여야
한다.

(11) 음주 및 약물복용으로 몸의 중심을 잃기 쉬운 상태에서는 사다리 작업을


금지하여야 한다.

(12) 사다리에서 이동하거나 작업할 경우에 사다리를 마주 본 상태에서 몸


의 중심이 사다리 기둥을 벗어나지 말아야 한다.

(13) 사다리에서 이동하거나 작업할 경우에 안전모(턱끈 조임) 등 개인보호


구를 착용하여야 한다.

4.2 이동식 사다리

4.2.1 공통사항

(1) 알루미늄 이동식 사다리의 제작 및 시험기준은 이 지침에서 특별히 규


정하고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한국산업규격 KS G 3701(알루미늄
합금제 사다리)의 기준을 적용한다.
부록 ‥‥ 328

(2) 이동식 사다리의 발판은 평행하고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된 제품을 사


용하여야 한다.

(3) 이동식 사다리 발판의 수직간격은 25 ㎝ ~ 35 ㎝ 사이, 사다리 폭은


30 ㎝ 이상, 디딤대 폭은 5㎝이상으로 제작된 사다리를 사용하여야 하
며, 최상단 발판은 사용하여서는 아니 된다.

(4) 이동식 사다리의 길이가 3.5m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작업계획서 작성


및 관리감독자의 지시하에 작업하여야 한며, 높이별 사용기준은 아래의
표와 같다
작업높이
사용기준
(발을 딛는 디딤대의 수직높이)

1.2m 미만 안전모 착용

안전모 착용
1.2m 이상 ~ 2m 미만 2인1조 작업
최상부 발판에서 작업금지
안전모, 안전대 착용
2m ~ 3.5m 이하 2인1조 작업
최상부 발판 및 그 하단 디딤대 작업금지
작업발판으로 사용금지
3.5m 초과 (단, 작업계획서 작성하고 그 계획에 따라
작업을 관리감독자가 지휘할 경우 예외)

(5) 이동식 사다리는 평탄·견고하고 미끄럼이 없는 지반과 바닥에 설치가


필요하며, 그렇지 못할 경우에는 고정 또는 전도방지용 지지대 설치 등
부록 ‥‥ 329

을 설치하여 사다리가 기울어지거나 넘어짐에 의한 추락재해를 방지


하여야 한다.

(6) 사다리 기둥의 하부에 마찰력이 큰 재질의 미끄러짐 방지장치가 설치


된 사다리를 사용하여야 한다.

(7) 사다리는 발판에 근로자의 미끄러짐, 전도 등에 의한 추락위험을 방지


하기 위하여 물결모양 등의 표면처리가 된 것을 사용하여야 한다.

(8) 작업장소의 높이에 적정한 사다리를 사용하고, 추가적인 높이를 확보하


기 위한 벽돌, 박스 등의 사용을 금지하여야 한다.

(9) 이동식 사다리를 수평으로 눕혀서 사용하거나 발붙임 사다리를 펼치거


나 기대어 사용하는 것을 금지하여야 한다.

(10) 이동식 사다리의 전도, 미끄러짐에 의한 근로자의 추락위험이 있을


때에는 보조자로 하여금 사다리를 잡아 균형을 유지한 상태에서
작업하여야 한다.

4.2.2 보통(일자형) 사다리

(1) 보통 사다리의 설치각도는 <그림4>와 같이 수평면에 대하여 75도 이


하를 유지하고, 사다리 높이의 1/4 길이의 수평거리를 유지하도록 설치
하여야 한다.
부록 ‥‥ 330

°
75

<그림 4> 기대는 사다리의 안전한 설치 각도


(2) 경사지에서 기대는 사다리를 사용할 경우에는 <그림 5>와 같이 측면 경
사각은 16 도 이하로 하여 견고한 수평조절장치를 설치하고, 후면 경사각
은 6 도 이하로 설치하되 상기 경사각을 초과하는 경우 기대는 사다리
사용을 금지하여야 한다.

수평조절장치

<그림 5> 기대는 사다리의 측면 및 후면 경사각


부록 ‥‥ 331

(3) 보통 사다리 하부에 설치하는 수평조절장치는 작업 중 상부의 하중을


충분히 지지할 수 있도록 철재, 목재 등으로 견고하게 설치하여야 한
다.

(4) 작업장소의 상하부간 이동을 위하여 기대는 사다리를 사용할 경우 사다


리의 상단은 걸쳐놓은 지점으로부터 60 ㎝ 이상 또는 사다리 발판 3개
이상을 연장하여 설치하여야 한다.

(5) 보통 사다리의 미끄러짐, 전도 등으로 추락위험이 있는 경우에는 사다


리의 상부 또는 하부를 고정시켜야 한다.

4.2.3 발붙임 사다리

(1) 발붙임 사다리에서 이동하거나 작업 할 경우에는 손, 발, 무릎 등 신


체의 일부를 사용하여 3점 접촉 상태를 유지하여야 한다.

(2) 발붙임 사다리는 <그림 7>과 같이 상부 3개 발판으로부터 최상부 발판


에서는 작업을 금지하여야 한다.

× ○
<그림 6> 사다리 상부 작업 <그림 7> 상부발판 3개 이상 유지
부록 ‥‥ 332

(3) 발붙임 사다리를 사용할 경우 사다리 기둥의 벌어짐에 의한 추락재해


를 예방하기 위하여 잠금장치를 설치한 상태에서 작업하여야 한다.

(4) 작업장에서 지붕으로 이동할 경우 계단식 사다리는 사용을 금지하여야


한다.

(5) 발붙임 사다리 측면에서의 작업은 사다리 전도에 의한 추락위험이 있으


므로 <그림 9>와 같이 사다리 정면에서 작업하여야 한다.

× ○
<그림 8> 사다리 측면에서 작업 <그림 9> 사다리 정면에서 작업
4.3 고정식 사다리

(1) 고정식 사다리의 설치 및 시험기준은 이 지침에서 특별히 규정하고 있


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한국산업규격 KS B ISO 14122-4(고정 사다
리)의 기준을 적용한다.

(2) 고정식 사다리를 높이 10 m 이상으로 설치할 경우에는 <그림 10>


부록 ‥‥ 333

과 같이 5 m 이내마다 계단참을 설치하여야 한다.

10 5 m
m

5 m

5 m

<그림 10> 고정식 사다리의 설치 높이

(3) 고정식 사다리는 <그림11>과 같이 최소 4개의 고정점에 의하여지지


되도록 설치하고, 사다리 기둥 한 곳 당 3 KN의 하중에 견딜 수 있도
록 견고하게 설치하여야 한다.

1. 사다리 발판
2. 사다리 기 둥
3. 사다리 고정구
4. 사다리 고정점
5. 구조물

<그림 11> 고정식 사다리의 고정점과 시험하중

(4) 사다리 발판은 평행하고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여야 한다. 그리고 사다리
발판의 수직간격은 25 ㎝ ~ 35 ㎝ 사이로 설치하고, 사다리 폭은
부록 ‥‥ 334

30 ㎝ 이상으로 설치하여야 한다.

(5) 고정식 사다리는 수평면에 대하여 90도 이하로 설치하고, 사다리 기둥은
상부지점으로부터 60 ㎝ 이상 연장하여 설치하여야 한다.

(6) 고정식 사다리와 구조물의 간격은 15 ㎝ 이상으로 설치하여야 한다.

(7) 고정식 사다리는 사다리 기둥의 높이가 7 m 이상일 경우에 등받이


울을 설치하여야 한다.

(8) 철탑, 굴뚝, 타워크레인 등에 설치하는 고정식 사다리는 각각의 설계도


서 및 안전기준에 적합하게 설치하여야 한다.

(9) 고정식 사다리 설치 후 사다리 기둥, 발판, 고정구, 고정점 등 사다리의


상태를 수시로 점검하여야 한다.

(10) 고정식 사다리의 등받이 울은 <그림 12>를 참조하고 다음 사항을 준


수하여 설치하여야 한다.
(가) 등받이 울은 지상으로부터 2.5 m 되는 지점부터 설치
(나) 등받이 울의 지름은 65 ㎝ ~ 80 ㎝ 사이로 설치
(다) 등받이 울은 상부지점으로부터 1.1 m 이상 연장하여 설치
(라) 등받이 울의 수평부재는 1.5 m 이하 간격으로 설치
(마) 등받이 울의 수직부재는 30 ㎝ 이하 간격으로 설치
(바) 등받이 울은 최외측에서 1 KN 의 수직하중에 10 ㎜ 이하로 변형
되도록 견고하게 설치
부록 ‥‥ 335

1.1 m

등받이 울
수직부재
등받이 울 수평부재

2.5 m

<그림 12> 등받이 울 입체도


부록 ‥‥ 336

4. 이동식 사다리 단계별 Check List

(1) 이동식 사다리로 작업 수행 시 다음과 같은 안전작업 체크리스트를 활용


하여 각 단계별 점검 사항을 확인하여야 한다.

(2) 비고의 별표(★)는 중요착안사항을 표시한 것이다.

내용 점검여부 비고
예 아니오
사다리 사용이 허용 가능한지 여부를 결정하는 데 있어 단시간이라는 점이
1
일 결정적인 요소가 아니면 우선적으로 위험요소가 고려되어야 함.(사다리에 ★
반 2 부착된 제조업체의 라벨을 읽고 위험을 평가하도록 함)
작업 시 한 번에 30분 이상 디딤대나 발판에 있어야 하는 경우, 대체 ★
사 장비를 고려하는 것이 바람직함.
항 3 사다리 사용자는 적절한 훈련을 통해 안전하게 사용하는 방법을 숙지 ★
하도록 함 (사업주는 교육을 받도록 할 의무가 있음)
4 표시 및 취급설명서를 반드시 숙지하고 내용 따를 것 ★
5 첨부된 표시, 사용, 경고 라벨이 사라지거나 읽을 수 없게 된 제품은 사
용하지 말 것
6 사다리를 임의로 가공하거나 개조하지 말 것
7 사다리를 구매, 수령 및 배달 시 철저한 점검이 이루어져야 함
8 사용 전 사다리에 이상이 없는지 확인할 것 ★
사 9 사다리의 디딤대, 발판, 버팀대 및 부품 등을 주기적으로 또는 매우 바
용 람직하게는 사용하기 전 매번 점검해야 함
전 10 점검 시 구조적 손상 또는 기타 유해한 결함이 발견 된 경우, 사다
리는 사용을 중지하고 유능한 기술자가 폐기 또는 수리해야 함
사다리를 사용하기 전에 모든 볼트와 리벳이 제 위치에 고정되어 있
11 는지 확인하고 탈락되었거나, 발판(또는 디딤판) 및 버팀대 사이의 조인
트가 견고하지 않을 경우, 사다리를 사용해서는 안 됨
12 점검 시 의문사항은 제조업체에 문의하도록 함 ★
13 부품이 없거나 느슨하고, 손상되었거나 작동하지 않는 사다리는 사용하
지 않도록 함
부록 ‥‥ 337

내용 점검여부 비
예 아니오 고
14 문을 잠그거나 보조인원을 둘 수 없을 경우에는 사다리 쪽으로 향하는 문 앞에
사다리를 배치하여서는 안됨 ★
15 비가 오거나 바람이 강한 장소에는 설치하지 말 것 ★
16 모든 고정 기구 및 장치를 확실히 고정할 것
17 발밑 또는 주위가 잘 안 보이는 어두운 곳에는 설치하지 말 것

용 18 오염된 지면 -미끄러짐 방지를 위한 적절한 조치가 없는 한 얼음, 눈 또는 미끄
러운 표면(기름, 윤활제 등) 등에서 사다리를 사용해서는 안됨 ★
전 19 제품이 안정되지 않는 장소나 미끄러지기 쉬운 장소에는 설치하지 말 것
20 멈춤쇠가 있는 제품은 확실히 고정시킬 것
21 사다리는 단단하고 수평인 지면에 단단히 고정되어야 함
22 수평이 맞지 않거나 연약한 바닥에서 사다리를 사용하지 않도록 함.
23 모든 사다리는 해당 용도로 특별히 설계되지 않은 한 전력선에서 멀리 떨어져
작업하고 전기 위험이 발생 시에는 사다리 사용 금지 ★
24 변형된 제품은 사용하지 말 것
25 본체에 표시된 최대 사용 하중 범위 내에서 사용할 것
(사용 전 작업자, 공구 또는 장비의 중량을 반드시 고려할 것) ★
26 성인 보조자가 사다리를 붙잡게 할 것 ★
27 정해진 제품 용도 이외의 용도로 사용하지 말 것 ★
28 사용 시에는 제품이 안정된 상태임을 확인할 것
29 제품을 받침대 또는 상자 위에 얹어놓고 사용하지 말 것
30 승강면을 뒤로 하고 오르내리지 말 것 ★
사 31 사용 중 승강면에서 몸을 내밀지 말 것 ★
용 32 동시에 2명 이상 오르지 말 것(사다리에는 한 사람만) ★

33 사용면이 정해져 있는 사다리는 반대면을 사용하지 말 것
34 사다리가 옆으로 넘어지거나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사용자는 승하강
시 주의해야 함
35 무른 지면 등에서 사용할 때는 버팀대의 아래에 덧대기판 등을 두고 안정된 상
태 인지를 확인한 후 사용할 것
36 2개 제품 사이에 판을 걸쳐 사용하지 말 것
37 오르내릴 때 충분히 주의하여 차분히 행동할 것
38 제품 중간에서 뛰어내리지 말 것
39 지붕 위에서 사다리를 이동하지 말 것
부록 ‥‥ 338

내용 점검여부 비고
예 아니오
40 사용 중 제품 주변에 위험한 물건을 두지 말 것
41 사다리를 수평으로 뉘어서 사용하지 말 것 ★
42 신체 안정 상태를 유지할 수 없는 짐을 들고 오르내리지 말 것 ★
43 사용 중에 벽 또는 물건을 무리하게 누르거나 당기지 말 것 ★
사 44 2m이상 높은 곳에서 작업 할 경우 헬멧 및 안전벨트 착용할 것
용 45 사다리를 비계 등의 위에 세워 높이를 늘리지 않아야 함
중 리프트 트럭, 굴착기 버킷 등과 같은 이동 가능한 물체에는 사다리를
46 세워서는 안 됨 ★
47 사다리 승강 시에는 항상 3점(두 손과 발 또는 두 발과 한 손) 유지
48 버팀대 사이에 몸을 중앙에 유지
49 깨끗한 미끄럼 방지 작업화를 착용
50 사다리를 향하고 오르내릴 때 양손 사용
51 악천후에는 사다리를 외부에서 사용하지 마십시오
52 운반 시에는 바닥에 끌거나 던지거나 난폭하게 취급하지 말 것 ★
53 설치 또는 운반 시에는 배전선 및 전신주에 주의할 것
사 54 금속품, 액세서리는 자주 점검하고 적절한 작동 상태를 유지

후 55 모든 피벗 연결부와 고정기구 표면은 자주 윤활해야 함
56 미끄럼 방지 기구 등이 과도하게 마모된 사다리는 수리 완료까지 사용을
중단하도록 함
57 비를 맞도록 보관하지 말 것
58 사다리를 보관하는 동안 재료를 적재하여서는 안 됨
59 안전하지 않은 자재, 충격 또는 부식 손상으로부터 보호된 곳에 사다리
보관
<<연 구 진>>

연 구 기 관 : 경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연구책임자 : 김대영 (경남대학교 건축학부 교수)


공동연구원 : 임형철 (창원대학교 건축학부 교수)
공동연구원 : 정지현 (동아대학교 건축공학과 조교수)
연구보조원 : 이동헌 (창원대학교 건축학부)
연구보조원 : 김한얼 (창원대학교 건축학부)
연구상대역 : 정성춘 (산업안전공단 산업안전연구실)
황종문 (산업안전공단 산업안전연구실)
<<연 구 기 간>>
2019. 6 ~ 2019. 10

본 연구는 산업안전보건연구원의 2019년도 위탁연구 용역사업에 의한


것임
본 연구보고서의 내용은 연구책임자의 개인적 견해
이며, 우리 연구원의 공식견해와 다를 수도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산업안전보건연구원장

이동식사다리 안전작업기준 및 안전모델제시에 관한 연구


2019-연구원-1495

발 행 일 : 2019년 10월 31일


발 행 인 : 산업안전보건연구원 원장 고재철
연구책임자 : 김대영
발 행 처 : 안전보건공단 산업안전보건연구원
주 소 : (44429) 울산광역시 중구 종가로 400
전 화 : (052) 703-0845
F A X : (052) 703-0334
Homepage : http://oshri.kosha.or.kr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