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87

연구보고서

집진공정의 화재폭발 예방 및
개선방안 연구
- 백필터 및 사이클론 집진장치 중심으로 -

한우섭·이근원·서동현·이정석
요약문 ‥‥ i

요 약 문
연구기간 2018년 01월 ~ 2018년 11월

집진장치, 분진, 백필터, 사이클론, 화재폭발, 분진


핵심단어
화염전파, 폭발방호장치

집진공정의 화재폭발 예방 및 개선방안 연구


연구과제명
(백필터 및 사이클론 집진장치 중심으로)

1. 연구배경

집진장치 및 연계 공정에서 분진에 의한 화재폭발사고가 매년 일어나고 있으


며 많은 인명 손실과 재산 피해가 발생하고 있다. 집진공정은 분체 취급 공정의
최종 단계로서 분진의 농도가 항상 폭발범위 내로 존재하며 집진에 필요한 난류
성 기류가 함께 존재하기 때문에 폭발사고 위험성이 높은 특징을 가지고 있다.
또한 집진장치 내부에 필연적으로 존재하는 퇴적분진은 폭발 발생 시에 2차 폭발
의 위험성과 함께 착화원이 될 수 있는 자연발화 위험의 원인이 되고 있기 때문
에 폭발 발생의 예방과 함께 만일의 폭발이 발생하였을 경우의 피해 최소화를 위
한 방호대책이 강구되어야 한다. 그러나 214년도 실시된 작업환경측정 전수조사
결과에 따르면 가연성 분진을 취급, 사용하는 국내 사업장은 31,385개로서 대부분
의 사업장에서 분진 화재폭발 위험에 노출되어 있다. 대부분의 사업장에서는 집
진장치 및 관련 설비를 사용하고 있지만 분진폭발을 예방하기 위한 안전관리가
매우 부족하고 또한 폭발피해를 저감시킬 수 있는 안전 방호장치의 설치, 운영이
거의 없는 실정이다. 이러한 주요 원인은 산안법에서 집진장치 등의 분진 취급
공정에 대한 제도적 규정이 거의 없기 때문이며, 분진폭발 방호장치에 대한 안전
ⅱ....집진공정의 화재폭발 예방 및 개선방안 연구

설비는 사업장이 자율적으로 관리하고 있는 경우가 많다. 분진폭발사고 경험에


관계없이 대부분의 사업장은 제도적 규정이 없는 집진장치의 예방대책과 피해저
감을 위한 방호장치에 대한 관심이 낮기 때문에 집진장치 등에서 반복하여 동종
재해가 발생하고 있는 요인이 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분진 취급 공정 중에서 분진 화재폭발의 발생 빈도가 가장 큰 집
진장치에서의 분진 발화 및 폭발 발생 방지대책과, 만일 화재폭발이 발생하였을
때의 피해 최소화를 위한 방호대책을 제시하고 관련 사업장에서 지속적인 안전
관리를 구축하는데 필요한 제도적 개선안을 제시하였다.

2. 주요 연구 내용

- 연구 결과

최근 10년간의 국내 집진장치의 화재폭발사고 조사 결과, 사고원인별


로는 금속분진, 플라스틱 분진, 목재분진, 곡물분진 순으로 발생빈도
가 높았으며, 또한 사상자 발생은 금속분진에서 58.3 %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집진장치 화재폭발사고의 발생 빈도는 집진장치 자체의 구
조보다 운전방법 및 보수 시의 관리적 요인이 많았기 때문에 사전 예
방대책이 우선되어야 하며, 화재폭발 피해 최소화를 위해서는 집진장
치 특성 및 폭발범위 내의 분진 농도를 전제로 한 방호대책을 함께 실
시해야 한다. 분진 취급설비는 제도적 규정이 없고 대부분의 사업장은
생산공정으로 인식하지 않아 예방 및 방호대책에 소극적인 실정이며
동종재해 및 사망사고 저감을 위해서는 제도적 개선이 시급히 요구된
다. 분진폭발 방호장치를 도입하는 사업장의 비율은 매우 낮지만, 안전
장치를 사용하고 있는 사업장인 경우에도 사용 분진의 폭발특성값을
고려하여 설계된 안전장치는 거의 없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분쇄 및
요약문 ‥‥ iii

연마작업의 발생 분진의 효율적 배출을 위해서는 분진 및 작업 종 류


에 따른 적절한 제어풍속의 관리가 필요하다. 집진장치의 안전확보를
위해 집진 발생장소와 집진장치의 1:1의 원칙, 이종 물질(분진, 가스,
유증기)의 집진계통의 분리, 배관 재질과 강도 그리고 기밀성과 개폐
구조 등의 집진장치의 안전요건이 필요하다. 집진공정의 분진폭발로
인한 공정피해 확대 예방을 위해서는 취급 분진의 폭발특성값을
활용한 사전 예측과 폭발특성에 적합하게 설계된 방폭안전설비의 적용
이 요구된다. 집진장치의 분진화재폭발사고 예방을 위해 산업안전기준
에 관한 규칙의 제232조(폭발 또는 화재 등의 예방)에서 폭발방산구
등의 방호장치가 필요하고, 또한 제239조(위험물 등이 있는 장소에서
화기 등의 사용 금지)에서 산안법 지정 위험물 이외의 가연성고체에
대한 규정이 요구되는 등의 제도개선안을 제안하였다.

- 시사점

집진장치에서의 화재폭발사고 저감을 위해서는 사업장의 안전에 대


한 관심이 필요하지만 집진장치를 생산공정으로 인식하지 않는 경향이
많아 대부분의 사업장은 안전 관리 및 안전장치 설치에 수동적인 실정
이다. 그러므로 매년 반복하여 발생하고 있는 집진장치 동종재해를 저
감시키기 위해서는 가연성 분진 취급 공정 중에서도 사고발생 빈도가
높은 집진장치를 우선적으로 제도권에 포함시켜 관리할 필요가 있다.

3. 연구 활용 방안

- 제언
ⅱ....집진공정의 화재폭발 예방 및 개선방안 연구

화재폭발사고의 발생 빈도가 높고 인명피해 손실이 지속적으로 발생


하고 있는 집진장치의 사고예방은 사업장의 자율적 관리만으로는 해결
하기가 쉽지 않고 구체적인 예방대책 사항에 대한 규정이 필요하므로,
제도권 관리를 통해 매년 반복되어 발생하고 있는 인명피해 방지를 위
한 제도적 개선이 시급히 요구되고 있다.

- 개선 방안

○ 국내 집진장치 화재폭발사고의 원인물질은 금속분진이 가장 많았으


며 인명 및 물적 피해도 가장 높게 나타나고 있다. 그러므로 금속분
진 중에서 사고발생빈도가 높은 물질에 대한 관리 및 위험물질 확
대 등의 검토가 필요하다.

○ 집진장치의 화재폭발사고의 원인은 장치 자체의 구조보다 운전방법


및 안전관리의 사전 예방대책이 부족하고, 피해저감 및 최소화를
위해서는 안전장치 등의 방호대책 미비 등의 관리적 요인이 크게
작용하기 때문에 개선이 요구된다.

○ 집진장치의 화재폭발 예방을 위해, 산업안전보건법 제232조(폭발 또


는 화재 등의 예방) 및 제239조(위험물 등이 있는 장소에서 화기 등
의 사용 금지)의 개정안을 통해 보다 능동적인 사망사고 예방 활동
을 제도적으로 추진할 필요가 있다.

- 활용

○ 국내 학회의 논문게재를 통한 안전기술정보 보급 및 연구결과의


제도개선 활용
○ 안전보건기술지침 개발을 통한 집진장치의 분진 화재폭발사고 방지에
기여

4. 연락처

- 산업안전보건연구원 산업화학연구실 한우섭 부장

- ☎ 042-869-0331

- E-mail : hanpaule@kosha.or.kr
차 례 ‥‥ vii

차 례

요 약 문·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ⅰ

Ⅰ. 서 론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

1. 연구 배경 및 목적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
2. 선행 연구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
3. 연구 내용 및 범위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

Ⅱ. 집진장치 화재폭발사고사례 조사 및 분석 ·
··
··
··
··
··
··
··
··
··
··
··
··
··
··
··
··
··
··
··
··
··
··
··
··
··7

1. 집진장치의 종류 및 구조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7
1) 사이클론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7
2) 백 필터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8
2. 집진장치의 위험성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1
3. 집진장치 화재폭발사고사례 및 주요 원인 ·
··
··
··
··
··
··
··
··
··
··
··
··
··
··
··
··
··
··
··
··12
1) 국내 사고사례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2
2) 국외 사고사례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1
3) 화재폭발사고의 원인 분석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3

Ⅲ. 집진장치의 안전 구조요건의 분석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9
ⅱ....집진공정의 화재폭발 예방 및 개선방안 연구

1. 기본적인 안전 요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9
2. 사이클론의 구조 요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0
3. 백필터의 구조 요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1
4. 집진장치의 구조 요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2
5. 이송 배관의 구조 요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3
1) 기본적인 사항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3
2) 정전기 예방대책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4
3) 배관 계통의 방호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4
6. 국내 사업장의 집진장치 안전관리 현황 및 문제점 ·
··
··
··
··
··
··
··
··
··
··
··
··
·34

Ⅳ. 집진장치의 필수적 안전대책 및 제도개선 ·


··
··
··
··
··
··
··
··
··
··
··
··
··
··
··
··
··
··
··
··
··
··
··
··37

1. 분진의 화재폭발에 대한 방화 및 안전장치 ·


··
··
··
··
··
··
··
··
··
··
··
··
··
··
··
··
··
··
··37
1) 화재폭발에 의한 영향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7
2) 폭발의 전파 및 확대 방지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7
3) 안전장치의 필요성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9
2. 집진장치의 폭발 방호를 위한 안전장치 ·
··
··
··
··
··
··
··
··
··
··
··
··
··
··
··
··
··
··
··
··
··
··40
1) 폭발방산구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0
2) 폭발억제장치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2
3) 화염전파차단장치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2
3. 집진장치 계통에 대한 안전장치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5
1) 착화원 검출 및 제거 장치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5
2) 온도상승 검출장치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6
3) 이물질 검출 및 제거 장치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6
4) 기타 안전장치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7
차 례 ‥‥ ix

4. 화재폭발 발생 후의 피해 최소화 대책 ·
··
··
··
··
··
··
··
··
··
··
··
··
··
··
··
··
··
··
··
··
··
··
··47
1) 자동 소화장치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7
2) 긴급 정지장치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8
5. 집진장치의 화재폭발 예방대책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9
1) 기본적인 예방대책의 방향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9
2) 분진농도 제어 및 불활성화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0
3) 집진장치의 착화원 종류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0
4) 착화원 제거 및 안전대책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1
6. 폭발방호장치 설계를 위한 폭발특성 계산 및 적용 사례 ·
··
··
··
··
··
··
··
··53
1) 폭발피해 확대 예측의 중요성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3
2) 분진폭발 전파 시간의 계산방법 ·
··
··
··
··
··
··
··
··
··
··
··
··
··
··
··
··
··
··
··
··
··
··
··
··
··
··55
3) 폭발사고 피해예측 적용 사례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6
7. 집진장치 화재폭발사고 저감을 위한 제도개선안 ·
··
··
··
··
··
··
··
··
··
··
··
··
··
··
·60

Ⅴ. 결 론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3

1. 주요 결과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3
2. 제도개선 방안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4

참고문헌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7

Abstract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9
ⅱ....집진공정의 화재폭발 예방 및 개선방안 연구

표 차 례

<표 2-1> 최근 국내 집진장치의 화재폭발 사고사례 예 ·


··
··
··
··
··
··
··
··
··
··
··
··
··
··
··
··
··
··
··
··13
<표 2-2> 폭발피해영향 산정 기준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8
<표 3-1> 복수의 분진 발생원에 대한 단일 집진장치 사용 시의 문제점 ·
··
··
··
··
··
··
·29
<표 3-2> 송풍기의 구조 상의 요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2
<표 3-3> 이송 배관의 기본적인 구조 요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3
<표 3-4> 국내 사업장의 집진장치 안전설비 사용 예 ·
··
··
··
··
··
··
··
··
··
··
··
··
··
··
··
··
··
··
··
··
··
··35
<표 4-1> 분체작업에 따른 이송 배관의 풍속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3
<표 4-2> 연마작업에 따른 분진발생조건과 제어풍속 ·
··
··
··
··
··
··
··
··
··
··
··
··
··
··
··
··
··
··
··
··
··
··44
<표 4-3> 소화장치가 필요한 집진장치 사고 형태 및 작동 신호원 ·
··
··
··
··
··
··
··
··
··
··
··48
<표 4-4> 집진장치에서의 주요 착화원의 발생 가능성 여부 ·
··
··
··
··
··
··
··
··
··
··
··
··
··
··
··
··
·52
<표 4-5> 집진장치 분진 화재폭발사고 저감을 위한 제도개선안 ·
··
··
··
··
··
··
··
··
··
··
··
··
··62
차 례 ‥‥ xi

그림차례

[그림 2-1] 사이클론 집진장치의 구조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8
[그림 2-2] 백 필터식 집진장치의 구조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9
[그림 2-3] 집진장치 백 필터의 모습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9
[그림 2-4] 지르코늄 분진폭발이 발생한 집진장치의 개략도 ·
··
··
··
··
··
··
··
··
··
··
··
··
··
··
··
··14
[그림 2-5] 지르코늄 분진폭발이 발생한 작업장의 평면도 ·
··
··
··
··
··
··
··
··
··
··
··
··
··
··
··
··
··
··15
[그림 2-6] 지르코늄 분진폭발 발생 작업장 및 작업자 위치 ·
··
··
··
··
··
··
··
··
··
··
··
··
··
··
··
··16
[그림 2-7] 지르코늄 분진폭발의 피해예측 결과 ·
··
··
··
··
··
··
··
··
··
··
··
··
··
··
··
··
··
··
··
··
··
··
··
··
··
··17
[그림 2-8] 지르코늄 분진폭발에 의한 작업장의 과압 분포 ·
··
··
··
··
··
··
··
··
··
··
··
··
··
··
··
··
··18
[그림 2-9] 지르코늄 분진폭발의 폭발압력 전파 모습 ·
··
··
··
··
··
··
··
··
··
··
··
··
··
··
··
··
··
··
··
··
··
·19
[그림 2-10] 버켓 엘리베이터의 석탄 분진폭발사고 모습 ·
··
··
··
··
··
··
··
··
··
··
··
··
··
··
··
··
··
··
··20
[그림 2-11] 석탄 분진폭발이 발생한 사일로 상부의 집진장치 ·
··
··
··
··
··
··
··
··
··
··
··
··
··
··
·20
[그림 2-12] 목 분진 집진장치에서의 화재폭발사고 개요 ·
··
··
··
··
··
··
··
··
··
··
··
··
··
··
··
··
··
··
··21
[그림 2-13] 옥수수 분진에 의한 화재폭발사고 모습 ·
··
··
··
··
··
··
··
··
··
··
··
··
··
··
··
··
··
··
··
··
··
··
·22
[그림 2-14] 일본 제철소의 유연탄 분진폭발 모습 ·
··
··
··
··
··
··
··
··
··
··
··
··
··
··
··
··
··
··
··
··
··
··
··
··23
[그림 2-15] 국내 집진장치 화재폭발사고의 원인물질 분석 ·
··
··
··
··
··
··
··
··
··
··
··
··
··
··
··
··
··24
[그림 2-16] 집진장치 화재폭발사고 원인물질 별의 발생 부상자 수 ·
··
··
··
··
··
··
··
··
··
··24
[그림 2-17] 집진장치 화재폭발사고 원인물질 별의 사망자 수 ·
··
··
··
··
··
··
··
··
··
··
··
··
··
··
·25
[그림 2-18] 집진장치 화재폭발사고 원인물질 별의 발생 사상자 수 ·
··
··
··
··
··
··
··
··
··
··25
[그림 2-19] 일본에서 발생한 분진폭발사고 원인물질의 분석 ·
··
··
··
··
··
··
··
··
··
··
··
··
··
··
··26
[그림 2-20] 미국에서 발생한 분진폭발사고 원인물질의 분석 ·
··
··
··
··
··
··
··
··
··
··
··
··
··
··
··27
[그림 4-1] 아연 분진폭발에 의한 폭발피해 확대 사례 ·
··
··
··
··
··
··
··
··
··
··
··
··
··
··
··
··
··
··
··
··
·38
[그림 4-2] 집진공정의 기본적인 분진폭발 저감대책 방안 ·
··
··
··
··
··
··
··
··
··
··
··
··
··
··
··
··
··
··40
[그림 4-3] 국외 저장탱크 폭발사고의 주요 원인과 ·
··
··
··
··
··
··
··
··
··
··
··
··
··
··
··
··
··
··
··
··
··
··
··
·41
ⅱ....집진공정의 화재폭발 예방 및 개선방안 연구

[그림 4-4] 덕트 폐쇄형 분진폭발 차단장치 예 ·


··
··
··
··
··
··
··
··
··
··
··
··
··
··
··
··
··
··
··
··
··
··
··
··
··
··
··45
[그림 4-5] 집진 연계공정의 퇴적분진의 발생 위험성 ·
··
··
··
··
··
··
··
··
··
··
··
··
··
··
··
··
··
··
··
··
··
·54
[그림 4-6] 집진공정 시스템의 폭발피해 확대 개략도 ·
··
··
··
··
··
··
··
··
··
··
··
··
··
··
··
··
··
··
··
··
··
·54
[그림 4-7] 분진폭발 시의 시간-압력 파형 예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6
[그림 4-8] 집진장치의 분진폭발 확대 예측 대상 공정도 ·
··
··
··
··
··
··
··
··
··
··
··
··
··
··
··
··
··
··57
[그림 4-9] 피해예측 대상물질인 목 분진의 입도 특성 ·
··
··
··
··
··
··
··
··
··
··
··
··
··
··
··
··
··
··
··
··
·58
[그림 4-10] 목 분진의 폭발압력상승속도 및 폭발지수 ·
··
··
··
··
··
··
··
··
··
··
··
··
··
··
··
··
··
··
··
··
·58
[그림 4-11] 목 분진의 폭발지수 및 분진화염전파속도 ·
··
··
··
··
··
··
··
··
··
··
··
··
··
··
··
··
··
··
··
··
·59
[그림 4-12] 폭발특성값을 활용한 화염전파속도 계산 결과 ·
··
··
··
··
··
··
··
··
··
··
··
··
··
··
··
··
··60
Ⅰ. 서 론 ‥‥ 1

Ⅰ. 서 론

1. 연구 배경 및 목적

국내 사업장 중에는 분진을 제조하거나 사용하는 공정은 매우 많다. 2014년도


에 실시한 작업환경측정 전수조사 결과에 따르면 분진 종류 중에서 화재폭발 발
생 위험성이 있는 가연성 분진 발생 사업장은 31,385개 사업장으로 밝혀졌다 (공
단 작업환경측정 전수조사 DB, 2014). 이와 같이 작업공정상 가연성 분진이 발생
하는 국내 사업장은 해당 분진을 취급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므로 분진에 의한 화
재폭발 위험성을 대부분 가지고 있다. 집진장치는 대부분 분체 상 원료를 생산
하거나 제품의 성형이나 가공 등에서 발생하는 분진, 분진 작업환경의 정화, 그리
고 유해위험물질을 대기 중으로의 배출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는데, 특
정 업종에 관계 없이 폭넓게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이 집진되어 처리되는 분진
은 최종 공정인 집진장치에서 대부분 수거되어 처리된다. 분체 취급 사업장에서
는 업종 규모에 따라 소형에서 대형 집진장치까지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는데,
집진공정의 주된 특징은 다른 공정이나 장치에 비하여 상시적으로 분진농도가
높다는 점이다. 집진된 분체 특성을 보면 미세 분진인 경우가 많고 공기 기류를
사용한 이송이기 때문에 부유 분진의 발생 빈도가 높으며 더욱이 백필터의 집진
에 의해 분리된 분진이 일정량 이상 퇴적되어 존재하게 된다. 이러한 공정 특성
으로 인해 가연물(분진), 공기(산소)가 상시 존재하게 되며 착화원이 발생하게 되
면 화재폭발로 이어질 가능성이 매우 높다. 또한 집진장치 내부에는 높은 유속을
갖는 공기 흐름으로 인하여 난류성 기류가 형성되기 때문에 격렬한 폭발로 이어
지기 쉽고 이렇게 발생한 분진화염은 연결된 다른 인접 장치로 전파되어 화재폭
발 피해를 확대하는 요인이 되고 있다.
국내 사업장에서의 집진장치 사용은 작업환경측정 전수조사 결과에서 알 수
2 ‥‥ 집진공정의 화재폭발 예방 및 개선방안 연구

있듯이 유해위험물질의 대기배출 방지 목적으로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 그러므로


대부분의 사업장에서는 분진에 의한 화재폭발 위험성에 대한 인식이 부족하기
때문에 사고예방을 위한 안전대책을 고려하는 사업장은 많지 않은 실정이다. 동
종재해 발생이 높은 집진공정의 화재폭발사고 저감을 위해서는 제도적 지원이
필요하지만 산업안전보건법, 고시, 가이드 등을 포함하여 관련 규정이 없는 상황
이다. 이러한 집진장치의 화재폭발사고를 예방하고 피해를 저감시키고 위해서는
사업장의 관심과 노력이 필요하지만, 이러한 안전활동과 안전문화 정착을 위해서
는 우선적으로 제도적인 뒷받침이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집진공정의 화재폭발사고의 원인분석을 통한 저감대책을 제시
하고 제도개선 제안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서 지금까지 국내에서 발생
한 집진공정의 화재폭발사고사례를 조사하고 안전실태 및 원인분석을 실시하였
다. 또한 집진장치의 사고예방 및 피해저감을 위한 집진장치의 안전 구비조건과
사용 시의 안전대책을 검토하였다. 아울러 집진장치에서의 화재폭발 발생 시의
피해확대 예측을 위한 화염전파특성 조사 및 활용 방안도 조사하였다. 이러한 기
술적 안전대책과 함께 제도 개선안을 제시하여 집진공정의 화재폭발사고 예방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2. 선행 연구

사업장의 집진공정에 대한 화재폭발과 관련하여 국내에서 수행된 관련 연구를


살펴보면 선행 연구는 매우 적으며, 이에 관련된 연구로서는 집진배관 내의 분진
발화 및 폭발특성에 대한 연구가 보고되고 있다 (산업안전보건연구원 연구보고
서, 2009). 본 연구에서는 집진공정에 연계된 이송배관에서의 분진폭발 특성 규명
을 위하여 분진농도에 따른 화염전파 특성을 조사하였다. 실규모의 수직배관 내
에서 분진폭발이 발생하여 화염이 전파하는 경우에 있어서 배관의 개폐 유무 및
점화위치의 조건에 따른 분진폭발 거동을 실험적으로 조사하였다. 이를 위해 수
Ⅰ. 서 론 ‥‥ 3

직 배관 내에서 분진폭발 시의 화염전파 현상을 관찰하고 배관의 개폐 조건과


점화 위치에 따라 분진화염의 전파 거동을 실험적으로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수직 배관에서의 분진폭발은 폭발하한농도 근방의 분진농
도 조건에서는 하방전파와 분진화염의 가속 현상이 나타나지 않았는데 이
러한 원인으로는 분진의 자중에 의한 배관 높이에 따라 농도 기울기를 형
성하면서 부유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석송자 분진을 사용한 층류
분진화염전파 실험 결과에 따르면 동일 농도의 조건에서 하방전파에 의한
화염전파속도는 상방 화염전파에 비하여 약 2∼5배의 큰 값을 나타냈으며
이러한 경향은 분진농도가 높을수록 그 비율도 증가하였다. 분진의 하방
화염전파가 증가한다는 실험적 결과로부터 분진폭발이 발생하여 수직배
관을 하방으로 화염이 전파하여 발생하는 경우에는 상방 또는 수평전파의
경우에 비하여 물적 피해의 발생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본 연구결과
로부터 이송배관에서 분진 이송을 위한 기류 속도를 높여야 하는 실제 공
정에서는 하방 화염전파에 의한 피해저감대책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국외에서 수행된 집진장치에 대한 선행 연구 상황을 살펴보면, 집진장치 분진폭
발 예방에 관한 일반적인 안전대책은 NFPA 등(NFPA 654, 68)의 안전코드에 제
시되고 있다. 최근 집진장치에 있어서 분할 펄스 제트 세정 및 여과 압력 강하 등
이 분진배출 농도와 분진 이동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연구가 보고되고 있는데,
지속적인 분할 펄스에 의한 분진 제거방법은 집진장치의 잔류 압력 강하가 감소
하였으며 분진배출이 증가함을 제시하고 있다 (Jianlong, L., 2018). 집진 장치에
서 발생할 수 있는 분진폭발을 평가하기 위하여 분진제거를 위한 펄싱 중에 발생
하는 분진농도를 추정하고 잠재적인 분진폭발압력을 계산하는 방법도 보고되었
다 (Robert Z., 2015). 또한 집진장치 폭발 시의 감압에 미치는 환기 덕트의 영향
에 대한 조사도 이루어지고 있다 (Lunn, G.A, 1998). 대부분의 집진장치 관련 연
구는 집진장치의 성능 등의 구조적인 사항에 대한 연구가 많고 집진장치의 특수
성이 고려된 안전구조 요건이나 개별적 안전사항에 대한 연구는 충분하지 않은
4 ‥‥ 집진공정의 화재폭발 예방 및 개선방안 연구

상황이다. 집진장치 관련의 분진화재폭발 연구는 밀폐공간이나 배관에서의 분진


폭발을 고려한 특정 분진의 폭발특성에 대한 조사가 많으며, 농도, 입경 또는 온
도와 같은 조건이 폭발특성에 미치는 연구가 대부분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3. 연구 내용 및 범위

대부분의 가연성 분진은 산업안전보건법(산안법으로 표기)에 있어서 위험물로


분류되고 있지 않지만, 매년 반복하여 가연성 분진에 의한 화재폭발사고가 일어
나고 있으며 이로 인한 인적 및 물적피해가 적지 않은 실정이다. 현재 산안법에
있어서 가연성 분진은 인화성 고체로서 용어 정의가 되고 있는데, 가연성 고체
중의 극히 일부분이 인화성 고체에 해당되어 실제로 일어나고 있는 대부분의 사
고원인물질인 가연성 분진에 대한 제도적 관리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어서 용어
변경에 대한 제도개선이 검토되고 있다. 이러한 상황을 고려하여 본 연구에서는
편의상 인화성 고체의 용어 대신에 가연성 분진의 용어를 사용하기로 한다. 산안
법에서는 가연성 분진이 존재하는 장소에서는 통풍에 의한 분진제거, 화기 사용
금지, 분진방폭구조의 전기기계기구 사용, 정전기 대책 등의 기본적인 사항에 대
해서만 규정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기존의 제도적 대응 만으로는 실제 사업장
에서 반복하여 발생하고 있는 분진화재폭발 사고사례를 예방하거나 저감시키는
것이 충분하지 않은 실정이다. 이러한 가연성 분진에 의한 화재폭발사고를 저감
시키기 위해서는 특히 집진장치와 같이 분진폭발 발생빈도가 높은 설비의 안전
화, 분진폭발 위험성을 나타내는 분진에 대한 대책, 분진발생 장치의 운전에 대한
안전대책 등을 포함한 종합적인 대책의 검토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분진 취급 공정 중에서 분진 화재폭발의 발생 빈도가 가장 큰
집진장치에서의 분진의 발화 및 폭발 발생 방지대책과, 만일 화재폭발이 발생하
였을 때의 피해 최소화를 위한 방호대책을 제시하고 관련 사업장에서 지속적인
안전관리를 구축하는데 필요한 제도적 개선을 제안하였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Ⅰ. 서 론 ‥‥ 5

달성하기 위한 본 연구에서의 연구내용 및 범위는 다음과 같다.

1. 집진장치의 화재폭발 사고사례 및 원인 분석

2. 안전대책 검토를 위한 안전실태와 및 안전조건 조사

3. 집진장치 운전, 사용 시의 안전관리 및 안전장치 적용 검토를 통한 사망사고


저감 대책 제시

4. 밀폐 배관에서의 발화 위험성, 화염전파특성 조사 및 활용

5. 집진장치 폭발방호대책 검토 및 제도 개선안 제시


Ⅱ. 집진장치 화재폭발사고사례 분석 및 대책 ‥‥ 7

Ⅱ. 집진장치 화재폭발사고사례 분석 및 대책

1. 집진장치의 종류 및 구조

집진장치는 기능이나 용도에 따라 여러 종류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사업장에


서 가연성 분진의 집진을 위해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또한 화재폭발사고
빈도가 높은 사이클론과 백필터 형의 집진장치에 대해서 조사하였다.

1) 사이클론

사이클론 형식의 집진장치는 대표적인 분진의 분리장치로서 원심력식 집진장


치라고도 한다. [그림 2-1]과 같이 집진장치의 상부가 원통형이고 하부가 원추형
구조로 되어 있어 분진을 포함하고 있는 기류는 장치 내벽을 따라 나선형으로 하
강하고 하단에 도달하면 반전하여 중심부의 기류가 상승하여 집진장치 상단 쪽
으로 배출된다. 분진 입자는 원심력에 의해 내벽에 접촉하여 중력에 의해 아래
쪽의 포집 상자에 모인다. 중력식보다 작은 수 μm 정도의 입자도 제거 할 수 있
으며 가동 부분이 없고 설치 및 유지 관리가 저렴하다. 고압 및 고온에서의 사용
이 가능하다는 특징이 있으며 입구의 유속이 느린 경우에는 분진 입자가 입구에
퇴적될 수 있다. 반대로 입구의 유속이 너무 빠르면 압력 손실이 높아져서 포집
상자에서 입자가 재 비산할 수 있다. 사이클론을 같은 모양 그대로 대형화하면
집진 효율이 저하되기 때문에 대량 기류의 처리는 장치의 단순한 대형화가 아닌
소형 사이클론을 2개 이상으로 병렬시켜는 멀티 사이클론으로 사용된다.
사이클론 집진장치의 구조 만을 고려해 보면 사이클론 자체가 분진폭발의 발생
원이 되는 경우는 가능성이 크지 않지만 사이클론 내부에 분진이 존재하므로 불
꽃 등의 착화원이 유입되거나 혼입된 이물질과의 용기 내벽과의 충돌, 회수 용기
8 ‥‥ 집진공정의 화재폭발 예방 및 개선방안 연구

[그림 2-1] 사이클론 집진장치의 구조

내의 분진의 발화, 대전한 분진에 의한 정전기 착화 등에 의한 화재폭발 위험성


의 가능성은 존재한다.

2) 백 필터

백 필터식 집진장치의 개략적인 구조를 [그림 2-2]에 나타냈다. 여러 개로 구


성된 [그림 2-2]와 같은 부직포 주머니 모양의 필터(백 필터)에 분진 입자를 포함
한 공기를 통과시켜 여과하는 방법이 대표적이다. 필터의 재질은 목화, 나일론,
테플론, 유리 섬유 등이 있으나, 집진 배기의 기류가 고온인 경우에는 세라믹 필
터가 사용된다. 백 필터식 집진은 0.01 μm 정도의 매우 작은 분진 입자도 제거
할 수 있으며 집진율이 99 %로 높다. 입자경의 분포를 고려하지 않은 총집진율
(E)은 집진장치 입구의 입자 유량 (Si), 출구 입자 유량(So)로부터 다음 식과 같
이 표시된다. 또한 Sc는 집진장치에서 제거된 분진입자의 양이다.
 
     
 
Ⅱ. 집진장치 화재폭발사고사례 분석 및 대책 ‥‥ 9

[그림 2-2] 백 필터식 집진장치의 구조

[그림 2-3] 집진장치 백 필터의 모습


10 ‥‥ 집진공정의 화재폭발 예방 및 개선방안 연구

입자 유량(S)과 가스의 유량(Q), 그리고 가스 중의 입자농도(C)는 S = QC의 관


계에 있으므로 집진장치 전후의 기체의 누출이나 외기의 유입이 없다는 것을 가
정한다면 입구의 분진입자 농도(Ci), 출구의 분진입자 농도(Co)를 바탕으로 다음
식으로 총집진율(E)을 구할 수 있다.

   


또한 입자경(dp)에 대한 부분 집진율[ΔE(dp)]은 이하 식으로 계산된다.


  
      
  

백 필터식 집진은 필터 자체에 의한 포집보다는 퇴적된 입자에 의한 포집 효과가


크지만, 백 필터의 퇴적분진에 의한 압력손실이 증가하기 때문에 일정 시간 간격
마다 또는 압력손실이 설정한 값에 도달하면 퇴적 분진을 제거할 필요가 있다.
분진 제거 방법은 장치에 기계적 진동을 부여하거나 압축 공기를 펄스 형태로 분
사하는 방법 등이 있다. 시멘트와 카본 블랙의 제조, 제철 및 비철금속 제련 현장
에서는 내열성과 내산성이 우수하지만 물질의 탄성변형이 쉬운 유리섬유 재질의
백 필터가 많이 사용되고 있기 때문에 여과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공기를 유입시
키는 방법이 채택되고 있다. 백 필터식 집진장치에서 분진폭발을 방지하기 위해
서는 중력식과 사이클론 집진장치에서 전 처리를 실시하여 분진농도를 낮추고,
탄산칼슘 등의 불활성 분말의 혼입시키거나 전도성 섬유가 포함된 정전기 방지
필터 재료 등의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마그네슘 분진 또는 알루미늄 분
진은 백 필터에서의 안전한 처리가 곤란하기 때문에 습식 집진장치를 사용하여
처리할 필요가 있다. 또한 백 필터의 경우에는 포집된 분진을 제거하는 과정에
서 부유 분진농도가 발생하여 폭발성분진 농도 분위기가 형성되고 대전된 분진
에 의한 정전기 방전 위험성이 있다. 과거에 일어난 집진장치의 화재폭발 사고사
례에서 발생 빈도가 가장 많은 것은 백 필터 집진장치이므로 이에 대한 중점적인
예방대책이 필요하다.
Ⅱ. 집진장치 화재폭발사고사례 분석 및 대책 ‥‥ 11

2. 집진장치의 위험성

국내 사업장에서는 가연성 분진에 의한 사고가 매년 보고되고 있다. 특히 집진


장치에서의 분진 화재폭발사고 발생 빈도는 다른 장치에 비하여 높게 나타나고
있지만 산안법 상에서 규정된 조항이 없다. 따라서 집진장치에 대한 안전설비 등
의 위험성 대책은 사업장의 자율적 선택에 의해 결정되는 경우가 많으며, 이러한
상황은 사고결과의 책임과 재발방지 대책도 사업장에 의해 결정될 수 밖에 없는
것이 현실이다. 집진공정 및 집진장치는 분체 공정의 최종 단계인 경우가 많지만,
중간 공정의 분진농도 저감을 위해 사용되는 경우에는 중간 처리 단계에 해당된
다. 집진장치에는 이송 배관을 통하여 분체의 공기이송이 이루어지고 있기 때문
에 이송 배관과 상시 연계되어 있다. 그러므로 가연성 분진을 공기 이송하는 과
정에서 화재폭발 발생에 주의해야 한다. 예를 들면, 공기 수송에 동반하여 장치와
배관에서 발생하는 정전기 대전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장치와 배관은 금속 또는
도전성을 갖도록 해야 하며 확실한 접지가 필요하다. 이송 배관 내부의 분진의
퇴적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구부러진 배관 형태와 분기 형태 부분을 가급적 최소
화하는 배관 구성이 필요하며 분진의 퇴적 발생이 예상되는 부분의 점검과 분진
제거가 용이한 구조로 해야 한다.
분체 취급 전체 공정 중에서 집진공정의 특성을 고려하여 화재폭발 위험성을
검토해 보았다. 분진 농도 관점에서 보면 집진장치는 분진농도가 항상 폭발범위
농도에 해당되어 착화원의 존재에 따라 상시 화재폭발 위험성을 가지고 있다. 또
한 분진 회수용기에는 많은 양의 분진이 퇴적되어 있기 때문에 2차 분진폭발의
연료원 제공 요인이 될 수 있으며, 장기간 퇴적된 경우에는 분진 내부의 자연발
화 위험성도 나타날 수 있다. 집진장치의 백필터에 의한 분진 입자의 분리를 위
해서 비교적 빠른 기류가 집진장치 내부에 존재하기 때문에 분진폭발 시의 폭발
강도를 증가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점도 위험요인이 될 수 있다. 더
12 ‥‥ 집진공정의 화재폭발 예방 및 개선방안 연구

욱이 사업장의 경제적 측면에 있어서 집진장치는 제품 부산물의 회수나 폐기 분


진이라는 인식 때문에 안전설비 등의 비용을 투자하는 것을 회피하는 경향도 나
타날 수 있다. 이와 같이 집진장치에서의 화재폭발 발생 위험성은 관련 제도의
미비, 집진장치의 특수성에 따른 설비면 및 관리상의 대응 부족으로 위험성을 증
가시키는 원인이 되고 있다.

3. 집진장치 화재폭발사고사례 및 주요 원인

1) 국내 사고사례

최근 10년간 국내에서 발생한 분진화재폭발 사고사례를 조사하였으며, 집진장


치에서 발생한 분진폭발 사고사례 예를 <표 2-1>에 나타냈다. 사고 원인물질을
보면 마그네슘, 알루미늄, 아연 등의 금속분진, 플라스틱 분진, 목재 분진, 유연탄
등으로 구분된다. 집진장치에서의 사고 내용을 보면 공정작업 중 또는 집진장치
에 대한 점검 과정에서 화재폭발사고가 발생하고 있다. 집진장치를 사용하기 위
해서는 먼저 집진, 회수되는 분진의 화재폭발특성에 대한 정보 확보가 우선적으
로 필요하다. 또한 사용하고 있는 집진장치에서의 잠재 위험요인을 알아야 하며
집진장치의 운전, 보수 및 점검 시의 안전만이 아닌 포집된 분진의 회수 방법에
대한 안전 매뉴얼이 갖추어져 있어야 하며 그러한 안전 매뉴얼에 따라 작업이 이
루어져야 한다. 그러나 사고발생 사업장은 대부분 집진장치의 화재폭발 위험성은
물론 폐기 분진의 화재폭발 특성에 대한 정보를 확보하고 있는 곳이 거의 없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만일 그러한 안전정보를 가지고 있었다면 사고 예방대책의 강
구와 설비에 대한 방호대책을 갖추었을 것이다. 화재폭발사고예방을 위해 사업장
스스로의 책임과 노력이 요구되고 있지만, 이러한 집진장치의 화재폭발사고는 집
진장치의 구조적인 문제가 아닌 운전 방법, 안전설비 미비 등의 관리적 방법이
부적절하기 때문에 반복되어 발생한다는 점을 인식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관점
에서 관련 사업장의 안전의식 고취를 위해 산안법의 제도적 뒷받침이 절실히
Ⅱ. 집진장치 화재폭발사고사례 분석 및 대책 ‥‥ 13

<표 2-1> 최근 국내 집진장치의 화재폭발 사고사례 예


년도 월 발생장치 원인물질 사상자 물적손실 및 기타
2007 9 집진장치 마그네슘 사망 2, 부상 3 공기청소기,집진장치 파괴
2007 11 집진장치 밀가루 - 집진설비 화재
2007 12 집진장치 마그네슘 - 연마기 및 집진 설비 파손
2008 2 집진장치 아연 부상 2 집진설비, 배관 파괴
2008 3 집진장치 알루미늄 부상 11 집진장치실 화재
피혁공장 화재로 인한
2008 3 집진장치 피혁 분진 부상 4
집진장치의 폭발
마그네슘-알루미늄
2010 1 집진장치 - 집진장치 파손 및 제품 전소
합금
알루미늄 코일 산화피막 연마
2010 3 집진장치 알루미늄 사망 1
작업중 퇴적분진의 화재폭발
마그네슘-알루미늄
2010 3 집진장치 사망 2, 부상 1 집진장치 파손 및 건물피해
합금
퇴적 알루미늄 분진의 착화에
2010 6 집진장치 알루미늄 부상 6
따른 화재폭발
아연 분진이 포집된
2011 7 집진장치 아연 사망 1
집진장치에서 폭발
건축자재 생산공장의 집진장치
2012 4 집진장치 목 분진 부상 3
폭발
합판 제조공장의 집진장치
2012 5 집진장치 목 분진 부상 2
화재폭발로 공장 전소
2013 12 집진장치 목 분진 - 목재소 공장의 집진장치 폭발
목재 교구 제조공장의
2014 6 집진장치 목재 분진(톱밥) 부상 4
집진장치의 폭발
화장품용기 제조공장의 집진장치
2015 6 집진장치 플라스틱 부산물 부상 4
폭발
집진장치 화재폭발
2015 7 집진장치 원료 부산물 분진 -
(KCC울산공장)
플라스틱 물질 제조 공장의
2016 4 집진장치 플라스틱 분진 부상 2
집진장치 폭발
비료 원료 제조공장의 집진장치
2016 4 집진장치 비료 원료 분진 부상 2
폭발
2016 5 집진장치 피혁 분진 - 가죽제조공정의 집진 장치 화재
의료용 테이프 생산공정 의
2016 10 집진장치 테이프 원료 부산물 사망 2
집진시설 화재폭발
저장탱크 내부의 집진장치의
2016 10 집진장치 텔레프탈산 사망 1, 부상 4 용접기에 의한 철거작업 중에
폭발
중밀도 섬유보드
2017 5 집진장치 - 집진장치 및 생산설비 소손
분진
14 ‥‥ 집진공정의 화재폭발 예방 및 개선방안 연구

년도 월 발생장치 원인물질 사상자 물적손실 및 기타

항공기 부품 제조공장의
2018 1 집진장치 금속분진 부상 2
집진장치 폭발
페기물 처리공장에서 집진장치가
2018 2 집진장치 페기물 분진 부상 1
폭발
알루미늄 캔 분쇄 공장의
2018 2 집진장치 알루미늄 -
집진장치 화재폭발
집진장치 배관 절단 작업 중에
2018 5 집진장치 지르코늄 부상 6 집진장치 내부의 지르코늄 분진
폭발
석탄 화력발전소에서 버켓
2018 8 집진장치 유연탄 사망 1, 부상 4
엘리베이터 가동 중에 폭발
석탄 화력발전소의 집진장치
2018 10 집진장치 유연탄 사망 1, 부상 4
점검 중에 폭발

요구되고 있다. 최근에 발생한 집진장치의 화재폭발사고사례를 검토하였다.


[그림 2-4]는 2018년 5월에 지르코늄(Zr) 분진폭발이 발생한 집진장치 모습이다.

[그림 2-4] 지르코늄 분진폭발이 발생한 집진장치의 개략도


Ⅱ. 집진장치 화재폭발사고사례 분석 및 대책 ‥‥ 15

구체적인 재해발생 과정은 레이저 용접 흄 제거를 위한 습식 집진장치(Scrubber)


의 증설작업을 위해 집진장치 상부 진공배관을 휴대용 연삭기를 사용하여 절단
하던 중에 연삭 숫돌과 진공 배관의 마찰로 인해 발생한 스파크가 집진장치 내
부에 퇴적된 지르코늄 분진에 착화되어 분진폭발이 발생하였으며 [그림 2-5]의
작업장에 있던 작업자 중에서 중상 2명, 경상 4명의 총 6명의 사상자가 발생하였
다. 폭발과압에 의해 파손된 시설물(유리창문, 출입구 등)등의 사고현장 조사 결
과를 바탕으로 피해예측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폭발 피해평가 모델
은 미국 Trinity Consultants, Inc.의 상업용 코드인 HEXDAM(High Explosive
Explosion Damage Assessment Model)을 사용하였다. 피해 평가 대상은 시설물
과 시설물 내의 부상자의 예측이 가능하며, 이를 위해 건조물 및 작업자가 존재
하는 특정 지점의 압력 레벨을 예측하기 위하여 동압(Dynamic Pressure) 및 과

[그림 2-5] 지르코늄 분진폭발이 발생한 작업장의 평면도


16 ‥‥ 집진공정의 화재폭발 예방 및 개선방안 연구

압(Overpressure)의 곡선을 사용하고 있다. 또한, 건조물의 피해와 인신 상해는


차단 알고리즘에 기초한 방법이 사용되고 있으며, 2차 폭발의 영향, 건조물 차단
이 계산된 후에 결정된다. 지르코늄(Zr)의 연소열(Heat of combustion)은 12.01
kJ/g로서, 이는 단위 질량당 TNT의 연소열(4.602 kJ/g)보다 발열량 약 2.6배가
크기 때문에 폭발위험성이 매우 큰 것을 알 수 있다 (OECD Nuclear Energy
Agency, 2005). 집진장치 스크러버 내부의 Zr 퇴적 분진량은 폭발에 의해 연소되
었기 때문에 폭발한 분진량을 특정하기는 쉽지 않다. Zr의 비중은 6.52 (25 ℃)로
서 액체수은(비중 13.6)의 절반 정도로 무겁기 때문에 분진이 차지하는 부피는 작
으며 또한 폭발이 발생한 집진장치(직경 약 100 cm)의 크기를 고려하면 약 1 kg
정도의 분진이 퇴적되어 있을 가능성이 있다. 본 분진폭발 시뮬레이션에서는 1
kg의 Zr분진이 폭발에 관여한 것으로 가정하였으며, 1 kg의 Zr분진의 연소열에
상당하는 TNT당량으로 환산하여 폭발과압을 평가하였다. [그림 2-6]과 같이 폭
발사고 발생 시의 작업자의 위치는 집진장치 스크러버 배관 절단 작업에 참여한

[그림 2-6] 지르코늄 분진폭발 발생 작업장 및 작업자 위치


Ⅱ. 집진장치 화재폭발사고사례 분석 및 대책 ‥‥ 17

2명을 집진장치 주변에 배치하였으며 4명은 집진기실 밖의 실내에서 작업 중인


것으로 가정하였다. 또한 Zr분진의 폭발사고가 발생한 작업장과 동일한 크기에서
의 폭발사고를 재현하기 위하여 3차원 코딩 및 계산을 위한 mesh를 설정하였다.
작업장 내부에서 Zr분진폭발에 의해 작업자에게 미치는 폭발과압의 크기를 [그림
2-7]에 나타냈다. 폭발피해영향 산정 기준은 <표 2-2>와 같다. 집진장치의 폭원
으로부터 거리에 따라 폭발압력이 감소하고 있으며 집진장치 주변에서 가장 높
은 압력이 작용하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림 2-8]. 작업자 1 및 작업자 2의 배후면
에 위치한 유리창문으로 폭발압력이 배출되어 과압에 의한 부상 피해영향이 감
소된 것으로 판단되며, 실제 사고에서의 부상자와 시뮬레이션에 의한 피해 결과
가 유사하였다. [그림 2-9]에서와 같이 Zr분진폭발에 의해 발생한 폭발압력은 작
업장 내부의 설비 및 작업자에게 영향을 전파하면서 거리에 따라 압력이 감소

[그림 2-7] 지르코늄 분진폭발의 피해예측 결과


18 ‥‥ 집진공정의 화재폭발 예방 및 개선방안 연구

<표 2-2> 폭발피해영향 산정 기준

색(피해구분) 상세 설명
녹색(No Injury & damage) 상해, 손상 없음
미세 상해 및 손상으로, 인체 장기 및 외상 발생 확률이
노랑(Slight Injury & damage) 5% 미만이며, 건물의 손상이 매우 경미하여 간단히 수
리 가능한 정도.
인체 장기 및 외상 발생 확률이 5∼15% 미만
옅은 주황
건물의 일부가 제 기능을 하지 못하여 수리가 요구되는 손
(Moderate Injury& damage Leve I)
상.
인체 장기 및 외상 발생 확률이 15∼30% 미만
진한 주황
건물의 효과적인 사용에 제한, 수리에 큰 비용이 필요한
(Moderate Injury& damage Level II)
손상.
밝은 빨강 인체 장기 및 외상 발생 확률이 30∼75% 미만,
(Sever Injury & damage Level I) 일부 재건축을 요하는 구조물의 커다란 파괴.
진한 빨강 인체 장기 및 외상 발생 확률이 75% 이상.
(Sever Injury & damage Level II) 전체적 재건축을 요하는 구조물의 완전한 파괴.

[그림 2-8] 지르코늄 분진폭발에 의한 작업장의 과압 분포


Ⅱ. 집진장치 화재폭발사고사례 분석 및 대책 ‥‥ 19

[그림 2-9] 지르코늄 분진폭발의 폭발압력 전파 모습

하는 것을 볼 수 있다. 본 지르코늄 분진폭발사고에서는 집진장치 상부의 덮개


강판이 완전히 분리될 정도로 집진장치 내부의 폭발압력은 매우 높았던 것으로
추정된다. 분진취급 공정에서는 설비 내부의 분진폭발 과압을 저감시키고 장치
파열에 의한 화염 및 과압의 분출을 예방하기 위해서 폭발방산구, 폭발압력저감
장치, 분진화염 역화방지장치 등의 분진폭발 안전설비를 반드시 사용해야 하며
이를 위한 제도적 개선도 필요하다.
2018년 8월에는 석탄 열병합 발전소의 버켓 엘리베이터에서 유연탄에 의한 폭발
사고가 발생하여 사망 1명 및 부상 4명이 발생하였으며 [그림 2-10], 사고조사 결
과 자연발화에 의한 사고로 추정되었다. 2018년10월에는 여수산업단지에 위치한
화력발전소에서 석탄저장 사일로에 인접한 집진장치의 필터 교체 작업 중에 화
재폭발사고가 일어나 사망 1명 및 부상 4명이 발생하였다 [그림 2-11]. 본 사고
의 조사결과에 따르면 유연탄 폭발사고 당시에 사고 현장에 그라인딩이나 용접
작업 등 발화원이 되는 불꽃 발생작업이 없었던 것으로 밝혀졌다. 폭발사고 직접
원인은 필터를 교체하기 위해 점검구를 열고 석탄 분진을 제거하는 과정에서 사
고가 발생하였다. 집진장치 내의 유연탄 분진이 산화반응에 의한 자기발열이 진
행되고 있는 과정에서 공기가 유입되면서 연소가 촉진되었을 것으로 추정되었다.
20 ‥‥ 집진공정의 화재폭발 예방 및 개선방안 연구

[그림 2-10] 버켓 엘리베이터의 석탄 분진폭발사고 모습

[그림 2-11] 석탄 분진폭발이 발생한 사일로 상부의 집진장치


Ⅱ. 집진장치 화재폭발사고사례 분석 및 대책 ‥‥ 21

2012년 4월에는 마루판 절단 후 발생하는 목분(톱밥)을 포집되는 집진장치의 백


필터에서 화재폭발이 발생하고 이송 배관을 통한 화염 전파에 의해 사일로(Silo)
에서 2차 화재가 발생 하였으며 전파된 화염에 의해 3명이 부상을 입었다 [그림
2-12].

[그림 2-12] 목 분진 집진장치에서의 화재폭발사고 개요

2) 국외 사고사례

2018년 5월에 미국 위스콘신 주의 캠브리아(Cambria)에 소재한 제분공장에서


옥수수 분진에 의한 분진폭발이 발생하여 사망 5 명, 부상 14 명이 발생하였다
[그림 2-13]. CSB의 사고조사 결과, 옥수수 분진이 사고원인물질이며 설비 내부
의 가연성 퇴적 곡물분진에 의한 화재폭발로 알려졌다. 미국 OSHA는 폭발사고
의 원인이 시설 전체에 걸쳐서 가연성 옥수수 곡물분진의 누출과 퇴적에 의한 화
재폭발의 예방의무와 점화원 방지를 위한 장비 유지관리 책임을 물어 1,837,861달
러(약 20억원)의 벌금을 부가하고 옥수수 분쇄-집진장치의 안전한 운영 시스템을
구축하도록 행정 명령을 내렸다.
22 ‥‥ 집진공정의 화재폭발 예방 및 개선방안 연구

[그림 2-13] 옥수수 분진에 의한 화재폭발사고 모습

2017년11월에 인도 국영의 화력발전소(NTPC)에서 석탄 분진폭발사고가 발생하


여 45명의 사망자와 80명의 부상자가 발생하였으며 부상자는 대부분 심각한 화
상을 입었다. 또한 2014년 9월에는 일본 제철소의 석탄 사일로에서 분진폭발이
발생하여 부상자 15명이 발생하였다. [그림 2-14]는 일본 제철소의 유연탄 분진
폭발 모습으로 폭발에 의한 폭풍압으로 석탄 사일로와 주변 건물의 지붕과 벽면
및 유리창이 파손되었다. 본 폭발사고에 대한 원인규명을 위한 사고조사가 이루
어졌으며 석탄 사일로 내의 자기발열 위험성 여부를 위해 70 ℃의 온도 조건에
서 4일 동안 단열 축열시험을 실시하였다. 시험을 통하여 유연탄의 자연발화에
의한 화재폭발 위험성이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 이와 같은 시험결과를 통해서 화
재폭발사고의 직접원인은 사일로 내의 석탄에 의한 자연발화 또는 사일로 내에
고온의 석탄 연소입자의 혼입에 의한 자기 발열로 추정되었다.
Ⅱ. 집진장치 화재폭발사고사례 분석 및 대책 ‥‥ 23

[그림 2-14] 일본 제철소의 유연탄 분진폭발 모습

3) 화재폭발사고의 원인 분석

최근 10년간 국내 집진장치에서 발생한 분진 화재폭발사고를 조사한 결과 27


건의 사고에 대하여 원인물질을 분석하였다 [그림 2-15]. 금속분진, 플라스틱 분
진, 목재분진, 곡물분진 순으로 발생 빈도가 높았다. 집진장치에서 발생한 화재
폭발사고 원인물질 별의 발생 부상자 수, 사망자 수, 전체 사상자수를 조사하였으
며 그 결과를 각각 [그림 2-16]∼[그림 2-18]에 제시하였다. 집진공정에서의 사상
자 수는 금속분진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집진공정에서의 화재폭발 예방을 위
하여 습식 집진장치를 도입하는 경우가 있지만, 금속분진은 수분과 반응하여 발
열 또는 산소의 발생이 일어나는 경우가 있어 최소착화에너지를 감소시키는 요
인이 되며 그로 인한 화재폭발 위험성이 증가할 수 있다. [그림 2-18]은 일본 노
동안전위생종합연구소(JNIOSH)가 1987∼2003년 동안에 발생한 분진폭발 사고사
례를 조사한 87건에 대하여 사고원인 물질별 분석한 결과이다. 국내의 물질별 사
24 ‥‥ 집진공정의 화재폭발 예방 및 개선방안 연구

[그림 2-15] 국내 집진장치 화재폭발사고의 원인물질 분석

[그림 2-16] 집진장치 화재폭발사고 원인물질 별의 발생 부상자 수


Ⅱ. 집진장치 화재폭발사고사례 분석 및 대책 ‥‥ 25

[그림 2-17] 집진장치 화재폭발사고 원인물질 별의 사망자 수

[그림 2-18] 집진장치 화재폭발사고 원인물질 별의 발생 사상자 수


26 ‥‥ 집진공정의 화재폭발 예방 및 개선방안 연구

[그림 2-19] 일본에서 발생한 분진폭발사고 원인물질의 분석

고 경향과 거의 유사하게 금속분진, 목재분진, 플라스틱 분진, 곡물분진 순으로


발생 빈도가 높았다. 일본의 산업구조가 국내와 유사하고 특히 최근의 전자산업
등의 발전으로 금속분진에 대한 수요량이 증가하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미국 화학물질사고조사국(CSB ; US Chemical Safety and Hazard Investigation
Board)이 1980∼2005년 동안에 발생한 미국의 분진폭발사고사례 총 281건에 대
하여 사고원인 물질별로 분석한 결과를 [그림 2-19]에 나타냈다. 미국의 경우에
는 국내 및 일본과 다르게 연료원으로 많이 사용되는 석탄과 식료품에 의한 화재
폭발사고 발생 빈도가 높았다. 그 다음으로는 금속분진, 플라스틱 분진, 목재 분
진의 순으로 높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분진폭발 원인물질의 종류별 경향은
해당 국가의 산업구조를 대변하고 있으므로 국가마다 다르게 나올 수 있으며, 또
한 동일 국가라도 산업구조의 변화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에 유의할 필요가 있
다.
Ⅱ. 집진장치 화재폭발사고사례 분석 및 대책 ‥‥ 27

[그림 2-20] 미국에서 발생한 분진폭발사고 원인물질의 분석


Ⅲ. 집진장치의 안전 구조 요건의 조사 ‥‥ 29

Ⅲ. 집진장치의 안전 구조요건의 조사

1. 기본적인 안전 요건

분진의 발생원이 2개소 이상인 경우에는 집진장치의 계통을 검토할 필요가 있


다. 2개 이상의 분진 발생원에서 나오는 분진을 단일 집진장치에서 집진할 때에
는 <표 3-1>과 같은 위험요인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발생원 마다 개별적으로 집
진하는 것이 중요하다. 집진 계통이 증가하면 보다 큰 흡인력이 요구되며 이에
따른 기류의 강도가 증가하고 설비 계통이 복잡해지기 때문에 위치에 따라 기류
불균일성이 발생하여 퇴적분진의 형성 가능성도 높아진다. 이러한 집진장치의 계
통의 복잡성은 폭발 시의 피해확대 요인이 될 뿐만 아니라 분진 제거 등의 보수

<표 3-1> 복수의 분진 발생원에 대한 단일 집진장치 사용 시의 문제점


1. 각각의 집진 계통에 동일한 흡인력 확보가 곤란하고
과대 풍속 계통과 분진 체류 계통 발생 가능성 높음.
이종 분진을 집진하는 경우는 문제점이 보다 증가.

2. 이종 분진의 혼합에 의한 발화 위험성이 증가하고


복수의 발생 개소 분진혼합물의 위험성평가가 어려워짐.
에 대한 단일 집진
방식의 문제점 3. 집진 계통에서 폭발 발생 시에 전체 계통으로의 피해
확대 위험이 증가.

4. 이송 배관의 설치가 복잡해져 점검 및 보수 작업이


어려워짐
30 ‥‥ 집진공정의 화재폭발 예방 및 개선방안 연구

작업도 곤란하게 만드는 요인이 된다. 그러므로 기본적으로 분진발생 개소와 집


진장치는 1:1의 대응으로 설치하여 사용해야 한다. 만일 2개 이상의 발생원 분진
을 1개의 집진장치로 집진해야 되는 경우에는 집진 개소를 최소화하고 집진성능
을 고려하여 안전한 집진이 가능하도록 설계를 재검토해야 한다. 집진배관을 분
기하는 경우에 집진성능의 저하 및 퇴적분진의 증가로 이어지기 때문에 주의해
야 한다. 또한 발생원이 서로 다른 분진과 가스 및 유증기를 동일 집진장치를 사
용하여 처리하는 경우에는 농도의 변동이 발화 및 폭발 위험성을 증가시키므로
피해야 한다. 분진의 접축, 분리에 따른 대전방지를 위해서는 분진 접촉 부위를
도전성 재질로 변경하거나 내벽을 도전성 도료를 사용한다. 집진계통은 분진의
누출이나 공기의 유입을 방지하기 위한 충분한 기밀성이 유지되어야 하며 집진
장치 내부에서 폭발발생 가능성이 있는 경우에는 내압방폭구조로 하던가 또는
폭발방산구를 설치한다.

2. 사이클론의 구조 요건

사이클론 내의 분진폭발 발생을 방지하기 위한 구조 요건으로는 먼저 분진 유


동에 따른 대전을 억제하기 위하여 사이클론 용기는 도전성이 좋은 금속재질을
사용하고 적용하기 쉬운 접지 단자를 우선적으로 설치한다. 시스템 외부에서 공
기의 유입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배관 및 집진용기와의 접속부, 점검구, 포집 분진
회수구 등의 설치 부분을 분진 유입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로 한다. 누출이 발생
하면 사이클론 성능이 저하하는 것만이 아닌 국부적으로 기류속도가 증가하기
때문에 정전기의 발생을 증가시키는 원인이 될 수 있다. 정전기는 분체 취급 공
정의 주요 점화원이 되기 때문에 화재폭발 예방을 위해서는 정전압이 증가하지
않도록 상시적 모니터링을 통해 감시하고 도전성 재료 또는 제전설비를 사용하
여 정전기 발생을 억제하도록 해야 한다. 또한 고속으로 운동하는 분진입자와의
충돌로 인해 사이클론 용기 내부의 벽면이 마모될 수 있으므로 이러한 점을 고려
Ⅲ. 집진장치의 안전 구조 요건의 조사 ‥‥ 31

하여 재질을 선정하고 정기적인 내부 점검이 가능하도록 점검구를 설치한다.

3. 백필터의 구조 요건

집진장치는 분진을 포함하는 혼합기에서 분진입자를 분리하기 위해 사용되는


데, 집진장치의 구성 요건 중에서 백필터는 분진이 함유된 기체를 여러 개의 여
과재를 통과시키면서 분진을 분리하는 역할을 한다. 백필터는 초기 단계에서 여
과재 단독에 의한 분진 분리가 이루어지지만 시간이 지남에 따라 필터 표면의
분진층에 의한 여과현상이 더해져서 보다 효율적인 분진 포집이 가능해진다. 반
면에 백필터의 고유 위험성으로서는 강제적인 분진 제거에 의해 낙하하면서 발
생하는 부유 분진의 발생이라 할 수 있다. 사업장에서는 집진기 가동 중에 백필
터의 분진을 제거하는 방법으로서 도구를 사용하여 충격, 진동에 의해 분리시키
거나 또는 고압의 공기를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작업은 집진장치 사용에 있어서
필수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데, 분진이 백필터와 접촉, 분리를 반복하게 되면 정
전기가 발생하여 분진이 백필터에 흡착하고, 만일 백필터가 대전방지 재질이 아
닌 경우에는 정전기의 발생은 증가한다. 정전기의 발생은 집진효과를 높이는 요
인으로 작용할 수는 있지만 위험요인으로도 작용한다. 폭발성 부유 분진이 형성
되고 또한 대전된 분진이 필터에 포집되어 이것이 자유 낙하 또는 필터에서 분리
되면서 정전기 방전이 발생하면 분진운에 대한 착화원으로 작용할 수 있다. 이러
한 정전기에 의한 분진의 화재폭발사고사례는 국내외에서 다수 보고되고 있다.
이러한 위험을 회피하기 위해서는 분진에 대전된 정전기를 백필터를 경유하여
제거하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며, 정전압의 수준을 상시 감시하여 일정 수준 이상
이 되지 않도록 관리하는 등의 예방대책이 필요하다. 이 경우에 백필터 또는 백
필터에 부속된 금속제 링 등이 접지되지 않고 절연상태에 있으면 정전기 방전이
일어나기 쉽다는 점에도 유의할 필요가 있다. 백필터에 사용되는 천은 도전성 섬
유를 혼입하여 가공한 도전성 재료를 사용해야 한다.
32 ‥‥ 집진공정의 화재폭발 예방 및 개선방안 연구

4. 집진장치의 구조 요건

송풍기는 집진계통의 운전 중에는 상시 고속회전하는 부분을 가지고 있으며


마모, 헐거움 등의 기계적 손상이 일어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송풍 효율을 높이
기 위하여 회전 날개와 케이싱의 간격을 작게 하여 설계를 한다. 송풍기의 구조
부분에 이상이 발생하면, 풍속의 저하 및 분진의 퇴적, 금속부분의 접촉에 의한
불꽃 발생, 진동 등의 발생원인이 되므로 집진장치의 분진폭발 발생에 있어서 직
간접적인 원인이 된다. 송풍기에서의 분진폭발 방지 만이 아닌 집진장치 계통의
안전한 운전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표 3-2>와 같은 구조 상의 요건이 필요하다.

<표 3-2> 송풍기의 구조 상의 요건

송풍기의 부위 구조 요건 상세

구동원 1. 집진 계통 외부에 설치

2. 분진을 포함하는 기류 내에 설치하고 견고하게 통합

회전축과 3. 부진 접촉에 의한 마모로 인한 편심, 휘어짐이 없는


구동축 재질 및 구조로 함

4. 분진의 부착, 퇴적을 점검할 수 있는 점검구를 설치

케이싱 5. 마모 성능이 있는 재질을 사용

6. 온도저하에 결로, 고착 방지를 위해 보온 대책 강구

7. 송풍기는 내압방폭구조 제품 또는 폭발방산구를 설치


기타
8. 접촉에 의한 불꽃 발생 방지를 위해 회전 날개는 알루
미늄 재질 및 케이싱은 동 재질로 함
Ⅲ. 집진장치의 안전 구조 요건의 조사 ‥‥ 33

5. 이송 배관의 구조 요건

1) 기본적인 사항

이송 배관의 위험요인은 크게 나누면 분진의 유동에 동반하는 정전기 대전과


분진의 퇴적이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사전에 구조적인 대책이 필요하며 집
진 계통에서 폭발이 발생하였을 경우를 대비한 설계 구조가 요구된다. 이송 배관
의 기본적인 구조 요건은 <표 3-3>과 같다. 특히 이송배관은 내부의 분진 제거
가 용이한 구조로 해야 하며 배관의 길이를 최소화시키고 퇴적분진의 발생이 쉽
게 이루어지지 않도록 설계해야 한다.

<표 3-3> 이송 배관의 기본적인 구조 요건

항목 세부 사항

1. 배관계의 단면은 원형으로 하고 누출 방지 구조로 한다.


형상 및 치수
2. 적절한 풍속이 얻어지는 관경으로 하고 풍속은 5∼30
m/s로 한다.

1. 점검구의 설치 및 부분적인 교환이 용이한 구조로 한다.

2. 배관의 곡면 및 이음 부분을 최소화 한다.

3. 배관 내부 면은 편평하게 하고 가스켓 이음부의 단차가


구성 요건 없도록 한다.

4. 퇴적분진의 발생 방지를 위해 굴곡부가 없도록 한다.

5. 배관계에 분기를 설치해야 하는 경우에는 미사용 분기를


차단할 수 있은 구조로 한다.
34 ‥‥ 집진공정의 화재폭발 예방 및 개선방안 연구

2) 정전기 예방대책

배관 내부를 분진이 이송되는 경우에는 유속이 증가하면 정전기의 발생량도


높아지므로 사용 공정에서의 정전압 발생 크기를 사전에 조사해 두는 것이 필요
하다. 정전압의 발생 크기는 유속만이 아닌 분진 종류 및 분체특성에 따라 달라
지므로 사용 분진에 대한 정전압을 유속변화에 따라 조사하는 것이 요구된다.
배관 시스템은 금속 등의 도전성 재료를 사용하고 절연물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정전기 대책을 실시한다. 배관 계통은 사용하기 쉽게 확실한 접지 단자를 설치
하고 접지 단자에는 용도를 나타내는 표지를 한다. 가스켓을 사용하여 배관을 서
로 접속하는 장소에서는 본딩에 의한 배관 간의 도전성이 확실하도록 설치한다.

3) 배관 계통의 방호

분진 발생 장소로부터 연소 분진 등이 혼입될 위험이 있는 경우에는 배관 계통


에 들어오기 전에 제거할 수 있는 차단판 또는 후드 등을 설치한다. 집진장치 내
에서 발생한 폭발이 배관 계통에 들어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집진장치와의
사이에 역류방지장치를 설치한다. 집진장치에서의 폭발이 전파해 오는 것을 포함
하여 배관 내부에서의 폭발에 대비하여 배관을 견고하게 설치하고 고정할 필요
가 있다. 배관 상호간의 접속을 느슨하게 하여 폭발이 발생하였을 때의 압력을
방산시키는 방법은 배관 내의 분진이 분출, 비산하여 2차 분진폭발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피해야 한다.

6. 국내 사업장의 집진장치 안전관리 현황 및 문제점

국내 사업장에서 집진장치 및 관련 설비에 대한 안전설비 사용 예를 <표 3-4>


에 나타냈다. 조사된 사업장은 대부분 국내 대기업으로서 집진장치, 사일로 등을
중심으로 어떠한 안전설비가 적용되어 있으며, 설치된 안전장치는 취급 분진의
Ⅲ. 집진장치의 안전 구조 요건의 조사 ‥‥ 35

폭발특성을 고려하여 적합하게 설계되었는지를 검토하였다.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폭발방산구(Explosion panel)는 상대적으로 저렴하기 때문에 초기 도입의
부담이 적지만, 집진장치가 실내에 설치된 경우에는 무화염방산구(Flameless
vent)가 필수적으로 사용되어야 하지만 설치 비용은 높은 편이다. 국내 집진장치
관련 산안법의 제도 현황을 보면 집진장치 등의 분진 취급 설비에 대한 제도적
규정이 거의 없는 상황이다. 이러한 현실을 반영하듯이 집진장치 등의 분진폭발
위험장치에 대한 안전설비는 사업장이 자율적으로 관리하고 있다.

<표 3-4> 국내 사업장의 집진장치 안전설비 사용 예

사업장 구분 안전장치 설치 장비

A Flameless Vent, Isolation Valve 집진장치, 호퍼

B Flameless Vent 집진장치

Suppression, Explosion Panel,


C Isolation Valve 집진장치, 호퍼, 믹서

D Explosion Panel, Flameless Vent 사이클론, 건조기

사일로, 집진장치,
E Explosion Panel 건조기
Explosion Panel, Flameless Vent,
F 집진장치
Isolation Valve

G Explosion Panel, Isolation Valve 집진장치

H Flameless Vent, Isolation Valve 건조기

I Explosion Panel, Isolation Valve 집진장치

J Flameless Vent, Isolation Valve 집진장치


36 ‥‥ 집진공정의 화재폭발 예방 및 개선방안 연구

중소규모 사업장이나 대기업이라도 분진폭발사고 경험이 없는 사업장의 경우에


는 관련 법규가 없다는 사유로 집진장치 관련 안전장치를 대부분 고려하고 있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진폭발사고 경험이 있는 사업장이라도 최소한의 안전확
보를 위한 폭발방산구의 설치필요에 대한 인식은 가지고 있지만, 폭발방산구의
설치로 이어지는 경우는 많지가 않았다. 대기업의 사례에서와 같이 폭발방산구
등의 안전장치가 설치된 사업장의 경우는 최초 플랜트 설비 도입 시에 외국 라이
센스 등의 턴키로 일괄 설치된 경우가 많은 것으로 추정된다.
폭발방산구가 설치된 사업장에서는 비용절감을 위해 폭발특성값(Pmax, Kst)을 사
용한 설계를 생략한 경우가 많았고 이러한 경우에는 실제 폭발사고 시에 피해저
감을 위한 효과적인 대응이 어려운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폭발방산구 도입 시에
사용 분진에 맞게 적정 설계되었더라도 취급 분진 종류가 변경되었음에도 그대
로 사용하는 경우도 있다. 실내 설치된 집진장치의 폭발방산구는 무화염 폭발방
산구를 사용해야 하지만 일반용이 대부분이며, 이러한 폭발방호장치는 산안법 미
규정 안전장치이므로 장치 작동구조, 유지보수 등의 안전관리가 미비하고 설비
구조변경 시에 성능 훼손 또는 제거하여 사용하는 사례가 많았다.
Ⅳ. 집진장치의 필수적 안전대책 및 제도개선 ‥‥ 37

Ⅳ. 집진장치의 필수적 안전대책 및 제도개선

1. 분진의 화재폭발에 대한 방화 및 안전장치

1) 화재폭발에 의한 영향

집진장치와 같은 밀폐 공간에서 폭발이 발생하면 분진의 종류, 농도, 입경 등에


따라 다르지만 약 5∼10 bar의 급격한 압력이 발생한다. 만일 집진장치의 설계압
력이 이러한 폭발압력보다 작은 경우라면 장치가 파괴되어 파편이 비산되고 고
온의 연소생성물과 분진화염이 분출되면서 폭풍압이 발생한다. 또한 미연소된 분
진 또는 내부 퇴적분진이 비산되어 함께 분출되거나 하는 경우에는 장치 외부에
서 2차 분진폭발이 발생할 수도 있다. 집진장치에 이러한 화재폭발 상황을 고려
하지 않는다면 파괴된 장치의 비산물이나 화염 분출로 인해 집진장치 주변의 작
업자에게 상해를 입히거나 또는 집진장치가 설치된 건물 내부의 장치류에 손상
을 주면서 화재를 동반하기도 한다. 이러한 상황은 국내에서 발생한 집진장치 화
재폭발사고 현장에서 쉽게 볼 수 있는 것으로서 안전설비가 갖추어져 있지 않은
집진장치는 대부분 이러한 위험성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높은 폭발압력에 견딜
수 있는 집진장치를 만드는 것은 비용 측면에서 매우 고가이기 때문에 실제로 사
용되지는 않고 있다. 이러한 상황을 고려하면 집진장치는 내부의 화재폭발에 의
한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서 방호대책을 반드시 갖추어야 할 필요성이 발생하게
된다.

2) 폭발의 전파 및 확대 방지

집진장치는 단독으로 사용되는 경우는 거의 없으며 분진의 발생원인 생산, 가


38 ‥‥ 집진공정의 화재폭발 예방 및 개선방안 연구

공장치, 이송 배관, 송풍기 등과 대부분 공간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때로는 버


켓 엘리베이터나 벨트 컨베이어 등과 연결되는 경우도 있다. 그러므로 집진장치
에서 발생한 화재폭발이 이송 배관을 파괴하면서 분진 발생원이 되는 공정까지
전파하여 피해를 확대하기도 한다. 집진 계통 내의 어떤 지점에서 발생한 폭발이
집진장치 시스템 전체에 전파하여 폭발 발생 지점에서 멀리 떨어진 설비에까지
큰 피해를 발생시키기도 한다. 2011년 7월, 국내에서 발생한 아연 분진폭발사고
[그림 4-1]는 볼밀작업장에서 볼밀기계 가동 중에 아연 분진이 포집된 집진장치
에서 분진 폭발이 발생하여 이송배관, 사이클론, 볼밀 장치에까지 폭발화염이 전
파되었고 인근에서 집진장치 육안점검 중이던 작업자가 폭발화염에 사망한 사례

[그림 4-1] 아연 분진폭발에 의한 폭발피해 확대 사례


Ⅳ. 집진장치의 필수적 안전대책 및 제도개선 ‥‥ 39

로서 집진 계통의 폭발확대 방지대책이 필요하다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집


진장치 내부는 항상 포집된 분진이 퇴적되어 있기 때문에 폭발로 인해 집진장치
가 파손되면 퇴적분진이 비산, 유출되어 장치 밖에서 2차적인 분진폭발을 일으키
게 된다. 집진장치가 실내에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장치 외부 표면이나 실내
바닥에 분진이 퇴적되어 있거나 회수된 분진 전체를 실내의 일부 지역에 저장하
고 있는 경우에는 보다 큰 2차 폭발의 원인이 될 수 있다. 그러므로 실내에 집진
장치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라면, 폭발이 발생하더라도 화염은 방출되지 않으며
과압 만이 배출되는 안전설비의 사용이 필요하다.

3) 안전장치의 필요성

공기를 이송용 기체로서 가연성 분진을 집진하고 있는 집진 공정에서는 폭발


의 3요소 중에서 가연물과 산소는 상시 존재하게 되므로 여기에 착화원이 발생하
게 되면 폭발로 발전하게 된다. 또한 집진공정에서는 분진농도를 폭발범위 밖으
로 유지하는 것이 쉽지 않고 질소 퍼지를 사용하여 시스템 내부의 산소농도를 제
어하는 방법은 경제적인 측면과 설비 운영 관점에서 쉽게 적용하기가 곤란하다.
그러므로 착화원의 제거나 관리가 확실히 이루어지지 못하면 분진의 발화 또는
폭발의 발생으로 이어진다는 전제 하에 안전대책을 강구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
는 [그림 4-2]와 같이 화재폭발의 발생을 상정하고 발생 피해를 최소한으로 억제
하기 위한 방호대책을 함께 고려해야 하지만, 최우선 순위로서 고려해야 할 사항
은 사고 예방대책이다. 그러므로 사고 예방대책을 실시하지 않고 폭발 방호대책
에만 중점을 두는 것은 피해야 한다. 폭발 방호대책은 예상치 못한 화재폭발사고
시의 장비의 손상 및 인명피해를 방지하기 위한 것이므로 정상운전 조건에서는
사용되지는 않지만 기능이 요구되는 필요 상황에 대응할 수 있도록 정기적인 보
수 및 점검이 필요하다. 집진 계통에 사용되고 있는 방호장치로는 일반적으로 많
이 사용되는 폭발방산구와 폭발억제장치, 화염전파차단장치 등이 있으며 이러한
기본적인 방호장치의 설치에 의해 효율적인 폭발피해 저감이 가능하지만 국내에
40 ‥‥ 집진공정의 화재폭발 예방 및 개선방안 연구

는 명확한 제도적 규정은 없다.

[그림 4-2] 집진공정의 기본적인 분진폭발 저감대책 방안

2. 집진장치의 폭발 방호를 위한 안전장치

1) 폭발방산구

폭발방산구는 집진장치를 포함한 연계 설비와 저장 사일로 내에서 폭발이 발


생하였을 때에 취급 분진의 폭발특성에 적합하게 계산하여 설계된 방산구 유효
면적을 설정 압력에서 개방하여 장치 및 설비의 파손을 폭발과압으로부터 방지
하기 위한 패널 형식의 방폭기기이다. [그림 4-3]과 같이 분진폭발이 발생하면
폭발방산구는 미리 설정된 압력에서 순간적으로 파열되면서 완전히 개방되고 장
치 내부의 압력을 안전한 수준으로 감압시켜 장치의 파손을 방지한다. 폭발방산
구의 면적을 알기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취급 분진의 폭발특성자료(폭발압력상승
속도, 폭발지수 등)를 시험을 통해 확보하고 NFPA 68 또는 VDI 3673에 의한 폭
발압력 방산 설비 기술지침 등을 사용하여 정확한 방출면적 계산이 필요하다.
폭발방산구의 무게는 12 kg/m2를 넘지 않도록 권장되고 있는데, 경첩 도어식 폭
Ⅳ. 집진장치의 필수적 안전대책 및 제도개선 ‥‥ 41

[그림 4-3] 폭발방산구에 의한 폭압의 진행 과정

2
발방산구의 경우에는 가동부분의 무게가 1 m 당 12 kg을 초과하는 무거운 구조
에서는 개구 응답속도가 느리고 개방되더라도 자중에 의해 다시 닫힐 가능성이
이 있기 때문에 사용해서는 않 된다. 장치의 밀폐성이 요구되는 조건에서 일반적
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 파열판 방식의 폭발방산구는 두께가 얇고 무게가 가볍
기 때문에 폭발압력에 대한 응답속도가 빠르고 일단 개방이 되면 다시 폐쇄될 가
능성이 없는 비 폐쇄형 방식으로서 안전성 측면에서는 가장 우수하다고 할 수 있
다. 폭발방산구의 설계 시에 있어서 주의해야 할 사항으로는 취급 분진의 폭발특
성을 반영해야만 효과적인 폭발피해 저감이 가능하다는 점이다. 폭발방산구의 설
계압력 설정에 있어서 취급 분진의 폭발특성 자료를 사용하지 않고 임의적으로
설정하는 경우에는 작동 시에 설비의 파손 위험이나 정상작업 중에 폭발방산구
의 파손으로 인한 공정 이상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42 ‥‥ 집진공정의 화재폭발 예방 및 개선방안 연구

2) 폭발억제장치

분진폭발이 발생하면 화염이 전파하게 되는 초기 화염전파속도는 약 10 m/s이


하이며 밀폐공간 조건, 농도, 기류 등의 조건에 따라 다르지만 분진폭발화염은 가
속하게 된다. 그러므로 폭발 발생 시점의 압력파를 감지하여 소화제를 분사함으
로써 폭발에 의한 연소반응을 저감시켜 폭발화염의 진행을 방해함으로써 분진
폭발이 파괴적인 압력까지 도달하는 것을 예방할 수가 있다. 분진폭발방산구가
수동적인 방폭대책이라고 한다면, 폭발억제장치는 보다 적극적인 능동형 방폭대
책이다. 폭발억제장치 시스템을 주요 요소는 압력센서 및 압력변환기, 질소가 봉
입된 탱크, 컨트롤러, 로컬 제어 박스로 구성되어 있다. 센서가 폭발을 감지하면
장치 본체에 설치된 질소 봉입 탱크가 즉시 작동되어 질소 가스를 분사하여 연소
억제를 통하여 장치 등의 파손을 방지하고 그 다음에는 이송배관에 설치된 질소
탱크의 분사에 의해 배관을 통한 화염전파를 저지한다. 폭발방산구를 이용한 수
동적인 폭발 대책과 비교하면 일반적으로 폭발억제장치는 장치나 용기의 폭발압
력 상승이 억제되므로 장치에 대한 영향을 대폭 완화시키는 기능을 갖는다. 또한
사용되는 소화제로서 인체에 무해한 탄산수소나트륨이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농
산물이나 식품가공 사업장의 장치나 설비에 적용이 가능하다는 장점도 있다.

3) 화염전파차단장치

집진장치 내부에서 폭발이 발생하면 분진운이 존재하는 모든 연결된 장치에


화염이 전파하고 피해가 확대될 위험성이 있다. 이와 같이 시스템 전체로의 피해
확대를 방지하기 위한 대책 중에서 대표적인 것이 화염전파차단장치이다. 화염전
파차단장치는 장치 간의 이송 배관에 설치하며 화염전파를 물리적으로 차단하는
방법으로서 폭발발생을 압력상승이나 화염의 검출로 감지하고 전파화염이 도달
하기 전에 응답속도 8 ms 이하의 고속으로 밸브를 차단한다. 폭발의 검출에서부
터 차단 밸브가 작동하기까지 허용되는 시간은 화염전파속도와 폭발원부터 밸브
Ⅳ. 집진장치의 필수적 안전대책 및 제도개선 ‥‥ 43

까지의 거리에 의해 정해진다. 그러므로 배관 내의 화염전파속도(Vd)는, 이송 기


류의 속도(Va), 분진의 화염전파속도(Vf)로 가정한 경우에 이하 식으로 표현된다.

    

분진의 화염전파속도(Vf)는 분진 고유의 특성값으로서 폭발특성값을 활용하여 계


산할 수 있다. 분진의 화염전파속도(Vf)가 이송 기류의 속도(Va)보다 큰 경우에는
화염이 이송기류 방향과 반대로 전파할 수 있게 되어 분진의 발생원까지 화염이
확대될 위험성이 있다. 분체 이송작업에서 분진 종류별의 풍속(기류 속도)를 <표
4-1>에 나타냈다. 분진 비중에 따라 이송 배관의 풍속이 달라지는데, 알루미늄
분진의 경우는 작은 비중이면서 화염전파속도(Vf)가 빠르기 때문에 풍속(Va)이 Vf
보다 작아 역화 위험이 있음에 주의할 필요가 있다.
연마작업에 따른 분진발생 조건과 제어풍속의 예를 <표 4-2>에 나타냈다. 작업
종류에 따라 기류속도와 입자 비산속도가 달라지는데, 발생 입자의 평균입경이나

<표 4-1> 분체작업에 따른 이송 배관의 풍속


44 ‥‥ 집진공정의 화재폭발 예방 및 개선방안 연구

비중이 증가하면 요구되는 제어 풍속은 변하게 된다. 예를 들면 액면에서 발생


하는 증기나 흄은 매우 작은 입자이고 비중이 작기 때문에 제어 풍속은 작다. 반
면에 그라인더 작업이나 분쇄작업에서 발생하는 입경은 상대적으로 크고 무겁기
때문에 보다 높은 제어 풍속이 필요하다. 그러므로 분진발생조건은 제어풍속의
변화를 초래하고 이러한 제어풍속은 화염전파속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이 된다.

<표 4-2> 연마작업에 따른 분진발생조건과 제어풍속

덕트 폐쇄형 분진폭발 차단장치 예를 [그림 4-4]에 나타냈다. Flap(날개)식 분진


폭발 차단장치 및 단방향 작동형(체크밸브 형) 차단장치는 기류 상태가 없는 무
풍 조건에서는 밸브 또는 차단판 본체가 열린 상태이며 정상적인 운전 중에도 분
진을 포함한 기류는 밸브 주위 또는 배관을 통해서 흐른다. 만일 폭발이 발생하
면 폭발압력에 의해 밸브 또는 차단판 본체는 실링부에 밀착되면서 차단 상태가
유지되며 폭발화염과 압력이 전파되는 것을 방지한다. 양방향 작동형 차단장치의
경우, 무풍 상태에서 밸브는 기류가 흘러오는 방향으로 닫힌 상태이지만 차단 상
태가 되지는 않는다. 정상운전 시에는 분진을 포함한 기류 흐름에 따라 밸브가
밀리면서 배관이 일부 개방된다. 폭발이 발생하면 압력에 의해 밸브는 실링부에
Ⅳ. 집진장치의 필수적 안전대책 및 제도개선 ‥‥ 45

밀착되는 동시에 차단 상태가 유지되면서 폭발화염과 압력이 전파되는 것을 방


지한다.

[그림 4-4] 덕트 폐쇄형 분진폭발 차단장치 예

3. 집진장치 계통에 대한 안전장치

1) 착화원 검출 및 제거 장치

집진 시스템에 착화된 분진이 유입될 가능성이 있거나 금속 재질 구조의 부품


의 접촉 및 마찰에 의해 불꽃이 발생할 위험이 있는 경우, 또는 퇴적분진에 의한
자연발화 위험이 있는 경우에는 장치 내의 부유 분진의 농도 조건의 변화에 따라
화재폭발사고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 이러한 화재폭발 발생 요인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착화원이 시스템 내를 이동하는 배관의 도중 또는 불꽃을 발생하는 설
46 ‥‥ 집진공정의 화재폭발 예방 및 개선방안 연구

비에서 착화원을 검출하고 시스템의 운전 정지, 장치 간의 차단, 불활성 가스의


산포 등의 대응이 자동적으로 실시되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착화원의 검출을 위해서는 광 센서에 의한 광학적 방법이 주로 사용되는데, 적용
시에는 주의가 필요하다. 착화원의 발광은 조건에 따라서는 미약하기 때문에 이
러한 약한 발광도 검출할 수 있어야 하며, 센서 수광부에 분진이 부착하여 빛의
투과를 감소시키는 문제점에 대한 기술적 검토도 요구된다.

2) 온도상승 검출장치

분진이 상온보다 높은 온도에서 집진장치에 유입되는 경우와 퇴적상태에서 발


열이 일어나기 쉬운 가연성 분진은 집진장치 내에 설치된 전기기기에 의한 발열
과 기계기구의 회전축 등의 마찰에 의해 분진 온도가 상승할 위험성이 있다. 이
러한 위험요인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자연발화 위험성을 사전에 예방하기 위해서
적절한 위치에 온도상승을 검출하기 위한 측정장치를 설치할 필요가 있다. 또한
온도상승 검출장치로부터의 출력 신호는 소화장치와 긴급 정지장치의 작동용 신
호로서 활용할 수도 있다.

3) 이물질 검출 및 제거 장치

금속 조각이나 나사 등의 이물질이 집진 계통에 혼입되면 장치 내면과의 충돌


로 불꽃이 발생하기도 하며, 송풍기의 회전 날개와 하우징의 사이에 들어가 마찰
불꽃이 발생하여 착화원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으므로 이러한 위험요인에 대한
예방 대책이 요구된다.
이물질의 검출과 제거장치는 집진장치에 유입되기 전에 이루어져야 하므로 검출
장치는 집진장치의 전 단계에 설치하는 안전장치라고 할 수 있다. 국내 사업장에
서의 사용 실태를 살펴보면 이물질 검출장치가 벨트 컨베이어 등에 적용된 경우
가 많다. 그러나 실제 집진 계통에 유입된 이물질의 검출과 제거는 쉽지 않기 때
Ⅳ. 집진장치의 필수적 안전대책 및 제도개선 ‥‥ 47

문에 집진 계통에 들어오기 전 단계에서 적용되어야 한다. 이물질의 형상이나 비


중이 집진 대상이 되는 분진과 명확히 다른 경우에는 금속 격자를 통과시키도록
하여 제거하거나 이송 배관 도중에 트랩을 설치하여 제거하는 방법을 적용할 수
도 있다. 또한 금속 이물질의 경우에는 금속 탐지기의 사용이 가능하다.

4) 기타 안전장치

집진장치 등에 사용되는 안전장치 중에서는 장치의 운전상태를 관찰하고 이상


을 감지할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것이 있다. 이러한 안전장치 예로서 퇴적분진
의 퇴적량을 감시할 목적으로 사용되는 분진 퇴적량 레벨계, 집진장치의 백필터
의 막힘 정도에 따른 기능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차압계, 송풍기의 회전 상태 이
상을 검출하기 위한 회전계, 풍속 및 풍량을 모니터링하는 풍량 계측기 등이 있
다. 이러한 안전장치는 집진 시스템에서 자연 발화, 화재폭발 등에 대한 직접적인
방호대책은 아니지만 공정의 여러 가지 변수를 계측하여 감시함으로써 공정의
이상 상태와 트러블 발생에 대한 정보를 제공해 주는 역할을 기대할 수 있다. 이
러한 공정의 이상과 장치의 고장 등의 발생이 발전하여 자연 발화 및 화재폭발의
원인으로 작용하는 사고사례가 많다는 사실을 고려하면 집진장치의 화재폭발 예
방을 위해서 적극적인 활용이 필요하다.

4. 화재폭발 발생 후의 피해 최소화 대책

1) 자동 소화장치

자동 소화장치는 집진장치 또는 집진 계통에서 발생한 폭발에 대해서는 효과


가 적지만 화재폭발 발생 후의 피해 확대를 억제하기 위한 수단으로는 유효하다.
집진장치에서 소화장치가 필요한 집진장치의 사고 형태와 소화장치를 가동시키
기 위한 신호원의 종류를 <표 4-3>에 나타났다. 소화장치가 필요하게 되는 시점
48 ‥‥ 집진공정의 화재폭발 예방 및 개선방안 연구

은 이상 사태의 발생과 공정 위험의 발생으로 긴급성이 요구되는 경우이다. 소화


장치는 이상이 검출되었을 때에 즉시 자동적으로 작동하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
다. 소화장치의 작동은 <표 4-3>의 신호원이 발생하면 즉시 실행되도록 해야 하
며, 특히 주의해야 할 사항은 소화제의 사용에 의해 연소 중의 분진이 공기 중에
부유되거나 소화제로서 물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분진과의 반응성이 없는 지를
사전에 확인해 두어야 한다. 예를 들면 알루미늄, 마그네슘 등의 분진은 화염온도
가 높기 때문에 소화장치 사용 시에 분무수를 직접 사용하면 물 분해를 촉진시키
며 수소가스가 발생하기 때문에 화염의 발달을 촉진시킬 수가 있다. 또한 퇴적분
진의 화재나 연소분진이 물 분사에 의한 압력으로 공기 중에 재 부유 되거나 기
류속도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2차폭발 위험이나 화염가속 등의 화재폭발 위험성
을 증가시키는 경우도 있다.

<표 4-3> 소화장치가 필요한 집진장치 사고 형태 및 작동 신호원

항 목 상세

1. 퇴적분진의 온도가 상승한 경우의 발화 방지


소화장치가 필요한 2. 화재 및 훈소 분진이 발생한 경우의 소화
집진장치 사고형태 3. 폭발이 발생한 후의 화재 발생 방지
4. 폭발이 발생한 후의 퇴적분진의 부유

1. 집진장치 내의 퇴적분진의 온도 상승
소화장치의 작동 2. 집진장치 내의 화재 또는 연소 분진의 발생
신호원 (광 센서에 의한 검출)
3. 폭발방산구의 작동 신호 (벤트 커버의 변위 검출 등)

2) 긴급 정지장치

집진장치의 운전 중에 자연발화의 발생이 검출되거나 또는 화재, 폭발 위험성


Ⅳ. 집진장치의 필수적 안전대책 및 제도개선 ‥‥ 49

이 예상되는 경우, 또한 화재폭발이 발생한 후에 피해 경감을 위해 필요한 경우


에는 집진장치의 운전을 긴급히 정지해야만 한다. 운전의 정지가 긴급을 요하는
지의 여부는 각각의 이상 사태의 상황에 따라 판단해야 하지만 공정의 변수가 설
정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자동적으로 운전 정지가 되도록 인터록을 설정하
고 인위적인 조작이 없는 한 운전 정지가 지속되도록 설정해야 한다. 긴급 정지
장치의 대상은 일반적으로 분진 발생장치와 송풍기가 여기에 해당되며 분진 발
생과 시스템 전체에 확대를 방지하는 것이 피해 경감으로 이어진다. 또한 주의해
야 할 사항으로서, 장치의 운전 정지가 단순히 장치의 전원을 차단하는 것 만을
의미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집진장치의 운전 정지와 동시에 장치 내에 불활성
가스를 분사하는 경우에는 가스 분사용 전자밸브를 가동시키기 위한 전원 조작
을 포함하여 검토해야 한다.

5. 집진장치의 화재폭발 예방대책

1) 기본적인 예방대책의 방향

집진장치의 화재폭발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집진장치의 공정 특성을 충분히 인


식하고 그에 따른 안전대책이 필요하다. 집진장치를 사용하는 경우에 취급 분진
의 위험성 만이 아닌 집진장치 자체의 위험성과 분쇄기, 건조기, 사일로 등의 연
계 공정으로부터의 화재폭발 피해 확대의 위험성도 함께 고려하여 검토해야 한
다. 집진장치를 2대 이상 운용하는 경우에 각각의 집진장치에 대한 대응은 집진
장치 종류와 운전방식, 포집할 분진의 종류, 발생 분진량, 집진의 목적 등에 따라
달라진다. 과거에 발생한 사고사례의 교훈과 지식을 활용하여야 하며, 반드시 취
급 분진의 폭발특성시험을 통하여 안전성을 확인하고 폭발방산구 등의 안전설비
설계 시에는 시험결과 값을 적용하여 최소한의 비용으로 필요한 설비의 안전을
확보해야 한다.
50 ‥‥ 집진공정의 화재폭발 예방 및 개선방안 연구

2) 분진농도 제어 및 불활성화

집진장치는 구조 특성상 내부의 부유 분진운 형성을 피할 수가 없으므로 운전


조건에서 분진농도를 폭발범위 밖으로 유지하는 것은 쉽지 않다. 또한 집진장치
에서는 분진의 분리를 위해 항상 일정 속도의 기류가 흐르기 때문에 분진을 포집
한 후의 공기는 대기 중으로 방출되므로 불활성가스를 이송용 공기에 혼입하는
공기의 불활성화 방법은 경제적 관점에서 실용성이 적다. 그러므로 집진장치의
화재폭발 예방을 위한 방법으로서 분진 농도의 제어에 의존하는 방법은 현실성
이 부족하므로 가급적 분진농도가 폭발범위 내에 있다는 조건을 기본으로 하여
예방대책을 강구할 필요가 있다.

3) 집진장치의 착화원 종류

분진폭발이 발생하기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연소의 3요소가 충족이 되어야 한


다. 가연성 분진이 발생하는 작업장소에서는 공기가 항상 존재하므로 폭발을 예
방하기 위한 대책으로서는 폭발범위 내의 농도 형성을 만들지 않거나, 아니면 착
화원을 제거하는 방법 중에서 선택해야 된다. 그러나 비정상적인 작업 실시를 포
함하여 분진운의 형성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하는 방법은 쉽지 않으며 또한 기류
에 의해 퇴적분진이 부유 분진으로 발전할 수도 있으므로 폭발성 농도의 분진운
형성 위험성이 없다고 할 수 없다. 가연성 분진을 취급하는 장치에서도 내부에
형성된 분진운의 농도를 폭발범위 밖으로 유지하는 것은 실제 운전 조건에서는
어렵기 때문에 장치 내부의 분위기를 불활성화하는 방법을 제외하면 착화원의
발생은 폭발로 이어질 위험이 매우 높다. 그러므로 집진장치에서는 작업장소 및
장치내부의 조건에 관계없이 분진폭발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착화원의 제거
가 특히 중요한 사항이라 할 수 있다. 착화원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각각의 공정, 장치에 대해서 가연성분진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작업장소 또는
장치의 범위를 명확히 조사하고 그 범위 내에 있는 착화원이 될 수 있는 위험요
Ⅳ. 집진장치의 필수적 안전대책 및 제도개선 ‥‥ 51

인을 제거하는 것이 중요하다.
집진장치에서 착화원이 될 수 있는 위험요인은 불꽃이나 아크를 발생시키는 기
계기구류, 장치의 운전 및 사용에 따른 과열, 기계적 마찰에 의한 고온열, 충격에
의해 불꽃을 발생하는 공구류, 장치 내부의 회전부분과 벽면과의 충돌 및 마찰,
금속류 등의 이물질 혼입에 의한 충돌 또는 마찰, 정전기 방전, 퇴적분진의 자연
발화, 화기 등과 다양하다. 작업 방법이나 장치의 운전 및 사용방법에 따라서는
상기 이외에도 새로운 유형의 착화원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충분한 검토가 요구
된다.

4) 착화원 제거 및 안전대책

백필터식 및 사이클론 집진장치에 있어서 발생할 수 있는 주요 착화원의 발생


가능성을 <표 4-4>에 나타냈다. 집진장치에서 발생 가능한 주요 착화원 중에서,
정전기 방전 불꽃과 전기기구 설치에 따른 불꽃 또는 과열 등의 착화원은 사이클
론 집진장치에 비하여 백필터식 집진장치에서 높게 나타나고 있다. 반면에 회전
축의 과열 및 회전날개의 접촉의 경우에는 일반적인 백필터식 및 사이클론 집진
장치에는 사용되지 않으므로 이와 관련된 착화원 발생 가능성은 낮다고 할 수 있
다. 그러나 방폭모터를 설치하는 경우를 제외하고, 계측이나 제어용 기기 센서류
를 집진장치에 삽입하거나 시스템 내에 전기모터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불꽃이나
과열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착화원 발생 가능성은 높다. 집진장치는 구조상 내부
에 분진이 퇴적되기 쉽고 만일 고온 환경에 장시간 분진이 퇴적되어 있는 경우에
는 산화, 분해, 미생물발효 등에 의한 발열 위험성이 있으며 축열상태가 지속되면
자연발화가 일어나며 화재폭발로 이어지는 사고사례가 많이 보고되고 있다. 이러
한 위험성은 분진의 초기온도가 높지 않은 경우에도 일어날 수 있으므로 취급 분
진의 반응성을 열분석 등을 통해 확인하는 것이 중요하다. 퇴적분진의 자연발화
온도는 퇴적시간이 길어질수록 낮아지는 경향이 있으므로 분진의 종류, 퇴적층의
두께에 크게 영향을 받기 때문에 주의할 필요가 있다. 자연발화의 기본적인 예
52 ‥‥ 집진공정의 화재폭발 예방 및 개선방안 연구

방은 분진이 장기간 퇴적되어 있지 않도록 하는 것이며 집진장치 내에 기류가 도


달하지 않는 장소나 분진이 퇴적하기 쉬운 부분이 없도록 설계 시에 고려되어야
한다.
<표 4-4> 집진장치에서의 주요 착화원의 발생 가능성 여부

백필터식 사이클론
착화원
집진장치 집진장치

분진 제거, 분진 분리시의 정전기 방전 불꽃


높음 낮음
(제전설비가 없는 경우)

분진 제거 용도의 전기기구의 불꽃 또는
높음 낮음
과열 (전기기구를 설치한 경우)

고온물, 착화분진의 혼입 높음 높음

금속 물질의 혼입 높음 높음

퇴적분진의 자연발화 높음 높음

회수분진 배출용 기기의 과열 또는 및 마찰 높음 높음

보수작업에 따른 용접 등의 화기 높음 높음

보수작업 시의 착화원 발생 가능한


높음 높음
기계기구 사용

회전축의 과열, 회전날개의 접촉 낮음 낮음


Ⅳ. 집진장치의 필수적 안전대책 및 제도개선 ‥‥ 53

전기모터의 불꽃, 과열
낮음 낮음
(시스템 내에 설치한 경우)

6. 폭발방호장치 설계를 위한 폭발특성 계산 및 적용 사례

1) 폭발피해 확대 예측의 중요성

분체 취급 공정은 집진장치를 포함하여 호퍼, 버켓 엘리베이터, 사일로, 벨트


컨베이어 등의 장치가 서로 연결되어 있다. [그림 4-5]와 같이 각각의 설비에는
분진이 퇴적될 수 있는 원인이 많이 존재하는데, 장치의 배출 불량이나 장치 내
의 분진 고착 등의 분진 트러블의 발생은 분진의 흐름성이나 점도 등과 같은 물
리적, 화학적 요인이 복잡하게 영향을 준다. 또한 분진의 배출성의 저하 및 고착
성은 퇴적분진량을 발생시키는 요인이 되고 있다. 그러므로 [그림 4-6]에서와 같
이 분체공정의 특정 설비에서 발생한 화재폭발은 연계된 설비로 화재폭발 피해
를 확대시킬 가능성이 높다. 분진폭발 안전장치는 이러한 폭발 확대 피해를 저감
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안전장치가 가지고 있는 기능을 효과적으로 적용하여 사
54 ‥‥ 집진공정의 화재폭발 예방 및 개선방안 연구

[그림 4-5] 집진 연계공정의 퇴적분진의 발생 위험성

[그림 4-6] 집진공정 시스템의 폭발피해 확대 개략도

용하기 위해서는 취급 분진에 대한 정확한 폭발특성값을 확보해야 한다. 이러한


Ⅳ. 집진장치의 필수적 안전대책 및 제도개선 ‥‥ 55

분진 고유의 위험성 정보를 바탕으로 위험성을 예측하여 안전장치 설계 또는 작


동값의 설정에 적용함으로써 장치의 기능을 정확하고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
게 된다. 예를 들면 [그림 4-6]의 집진장치에서 발생한 화재폭발 화염이 버킷 컨
베이어로까지 확대되지 않도록 화염차단장치를 설치하는 경우를 생각해 볼 수
있다. 이 때 중요한 정보는 집진장치에서 폭발 발생 시에 버킷 컨베이어까지 피
해 확대되는 걸리는 소요 시간이며, 이러한 자료를 바탕으로 필요한 안전장치의
요구조건을 검토하는 것이 가능해 진다.

2) 분진폭발 전파 시간의 계산방법

분진폭발에 의한 발생된 에너지는 압력, 빛, 온도 상승 등으로 방출되는데 화염


의 전파는 물리적인 압력 충격파를 발생시키며 인체나 구조물에 큰 피해를 준다.
폭발압력은 화염전파에 의해 발생되므로 화염전파속도의 추정은 폭발압력의 피
해만이 아니고 분진폭발의 특징인 2차 화재폭발의 예측을 가능하게 해 준다. [그
림 4-7]은 분진폭발 시의 압력-시간 파형 예를 나타낸 것이다. 최대폭발압력(Pm)
은 착화원 만을 사용하였을 때의 압력상승을 보정한 값이며 최대압력상승속도
([dP/dt]m)는 폭발압력에 따른 상승곡선의 최대기울기이다. 또한 Pm 및 [dP/dt]m
는 폭발강도를 표현하는 물리적 특성값으로서 분진농도에 크게 영향을 받는다.
또한 tc는 분진의 연소시간으로서 착화와 함께 폭발압력이 최대가 될 때까지의
시간(Time to peak pressure)을 의미한다. 밀폐용기에서 분진이 착화되어 화염이
전파하면 폭발압력이 발생하는데 최대폭발압력(Peak pressure, Pm)은 화염이 용
기의 벽면에 도달하는 지점에서 발생한다. 분진 화염면(Flame front)이 밀폐 용기
의 벽면에 접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화염도달시간(Flame arrival time, tw)이라
고 하였을 때, tc는 tw와 거의 비례한다고 볼 수 있다.
구형 폭발용기의 반경을 r(m)이라고 하는 경우, 분진폭발로 인한 화염전파속도
56 ‥‥ 집진공정의 화재폭발 예방 및 개선방안 연구

[그림 4-7] 분진폭발 시의 시간-압력 파형 예

(Flame velocity, Vf)는 Vf = r / tw 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단, 용기의 반경에 대


한 분진화염 전파 시의 화염두께(Flame thickness)는 고려하지 않았다. 구형용기
의 반경(r)은 체적(V)의 3제곱근(V1/3)에 비례한다. 또한 화염면이 용기 벽에 도달
하여 연소 종료와 함께 압력이 최대가 되는 시점에서 tw는 최대폭발압력(Pm)과
최대압력상승속도 (dP/dt)m의 비율에 근사하며 tw = Pm / [(dP/dt)]m와 같이 표현
할 수 있으므로, Vf는 Vf = V1/3⋅[(dP/dt)m / Pm]와 같이 된다.

3) 폭발사고 피해예측 적용 사례

집진장치의 분진폭발사고에 따른 폭발피해 확대를 예측하기 위한 대상 공정


개요를 [그림 4-8]에 나타냈다. 집진장치에서 1차 폭발이 발생하고 25 m의 길이
를 갖는 이송 배관을 통하여 분진폭발화염이 전파하는 경우에 사일로까지 폭발
피해가 확대되기까지의 소요 시간을 예측하였다. 이러한 예측 시간은 분진 농도
에 따라 달라지면 또한 기류 속도를 고려하는 경우에는 실제 전파속도가 변할 수
Ⅳ. 집진장치의 필수적 안전대책 및 제도개선 ‥‥ 57

[그림 4-8] 집진장치의 분진폭발 확대 예측 대상 공정도

있다. 본 피해 예측 평가를 통해 폭발 방호에 필요한 시간을 알 수가 있으며 여기


에 충족되는 안전장치의 선정과 상세 설정에 요구되는 자료를 확보할 수 있다.
[그림 4-9]와 같은 분체특성(평균입경 83.76 μm)을 가지고 있는 목 분진(Wood
dust)을 대상으로 폭발압력상승속도 및 폭발지수를 실험적으로 조사한 결과를
[그림 4-10]에 나타냈다. 또한 [그림 4-11]은 목 분진의 폭발지수 및 분진화염전
파속도를 계산한 결과이다. 목 분진은 농도 1250 g/m3에서 폭발지수(Kst)가 101.5
[m·bar/s]이며 최대화염전파속도의 계산값은 15.4 m/s의 값이 얻어졌다. 예를
들면 집진장치에서 목 분진 저장용 사일로까지의 거리가 25 m인 경우에, 농도
3
1250 g/m 의 목 분진의 폭발화염이 집진장치에서 사일로까지 전파하는데 필요한
시간은 1.62 s가 된다. 목 분진의 농도가 1250 g/m3보다 증가하거나 감소하는 경
우에는 화염전파 소요 시간이 증가할 수 있으며 이송기류 조건에 의해 소요시간
이 달라질 수 있다.
58 ‥‥ 집진공정의 화재폭발 예방 및 개선방안 연구

[그림 4-9] 피해예측 대상물질인 목 분진의 입도 특성

[그림 4-10] 목 분진의 폭발압력상승속도 및 폭발지수


Ⅳ. 집진장치의 필수적 안전대책 및 제도개선 ‥‥ 59

[그림 4-11] 목 분진의 폭발지수 및 분진화염전파속도

[그림 4-12]는 평균입경 16 μm 및 32 μm의 알루미늄 분진에서의 분진화염전파속


도를 계산한 결과이다. 평균입경 16 μm의 알루미늄의 경우는 1500 g/m3의 농도
에서 최대폭발압력이 9.8 bar이며, 최대 화염전파속도의 계산 결과 55 m/s의 값
이 얻어졌다. 그러므로 집진장치에서 쇼트기까지의 거리(25 m)를 분진폭발 화염
이 전파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은 0.45 s이다. 만일 이송 배관 내의 기류속도가 존
재하는 경우는 화염전파속도에 기류속도를 합한 값이 된다.
60 ‥‥ 집진공정의 화재폭발 예방 및 개선방안 연구

[그림 4-12] 폭발특성값을 활용한 화염전파속도 계산 결과

7. 집진장치 화재폭발사고 저감을 위한 제도개선안

본 연구를 통해 집진장치의 화재폭발사고사례 및 위험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집진장치 중에서 사고사례가 많이 발생하고 있는 백필터식 및 사이클론 집진기
는 공정 특성상 상시 분진운이 존재하고 있다. 또한 공정이송을 위해 불활성가스
퍼지를 사용하는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면 대부분 이송용 유체로서 공기를 사용
Ⅳ. 집진장치의 필수적 안전대책 및 제도개선 ‥‥ 61

하고 있기 때문에 산화제의 공급은 상시 이루어지고 있다. 따라서 착화원이 발생


하는 경우에는 분진폭발 위험성으로 이어질 수 있으며, 이러한 분진화염이 집진
장치와 연결된 공정 장치 내부에 퇴적되어 있거나 유동성을 가지는 부유 분진에
전이되면 화재폭발 피해가 크게 확대되어 나타날 수도 있다. 사업장의 관점에서
보면 집진공정은 제품 생산 라인에서 발생하는 부산물, 폐기물 등과 같이 생산성
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것이 대부분이기 때문에 안전설비에 대한 투자를 생략하거
나 중요성을 인식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집진장치의 화재폭발로 인해
전체 공정의 물적 또는 인적피해가 매년 반복되어 발생하고 있는 사고를 저감시
키기 위해서는 제도적 지원이 시급히 요구되고 있다. 또한 집진장치의 화재폭발
예방을 위한 접근 방법은 우선적으로 사고발생 가능성을 줄이기 위한 점화원 대
책을 중심으로 실시해야 하지만, 예방대책이 실패하였을 경우의 피해최소화 방안
을 강구하는 것이 전제가 되어야 한다. 집진장치의 화재폭발사고 시에 폭발과압
에 의한 피해를 저감시키기 위한 방법 중에서, 최소한의 비용으로 일정 크기의
효과를 얻을 수 있는 폭발방산구의 도입이 필요하다. 폭발방산구는 가장 저렴한
분진폭발 방호장치로서 제도 도입 시의 사업장의 부담을 최소할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집진장치 화재폭발사고의 예방 및 피해저감대책을 위해 필요한 산안법
의 관련조항을 검토하였으며, 그 결과 <표 4-5>와 같이 제232조(폭발 또는 화재
등의 예방) 및 제239조(위험물 등이 있는 장소에서 화기 등의 사용 금지)의 개정
안을 제안하였다.
62 ‥‥ 집진공정의 화재폭발 예방 및 개선방안 연구

<표 4-5> 집진장치 분진 화재폭발사고 저감을 위한 제도개선안


산업안전기준에 관한 산업안전기준에 관한
개정 사유
규칙 규칙(개정안)
제2절 화기등의 관리 제2절 화기등의 관리
가연성의 분진이
제232조(폭발 또는 화재 등의 제232조(폭발 또는 화재 등의 예
발생하는 공정에
예방) ① 사업주는 인화성 액 방) ① 사업주는 인화성 액체의
서는 분진, 공기가
체의 증기, 인화가스 또는 인 증기, 인화가스 또는 가연성 고
상시 존재하고 완
화성 고체가 존재하여 폭발이 체가 존재하여 폭발이나 화재가
전한 점화원 관리
나 화재가 발생할 우려가 있 발생할 우려가 있는 장소에서
가 쉽지 않아 피해
는 장소에서 해당 증기・가스 해당 증기・가스 또는 분진에 의
저감을 위한 최소
또는 분진에 의한 폭발 또는 한 폭발 또는 화재를 예방하기
한의 안전장치로
화재를 예방하기 위하여 통 위하여 통풍・환기 및 분진 제거,
서 폭발방산구 등
풍・환기 및 분진 제거 등의 조 폭발방산구 등의 조치를 하여야
의 방호장치가 필
치를 하여야 한다. 한다.
요함
제239조(위험물 등이 있는 장소
제239조(위험물 등이 있는 장 국내의 화재폭발
에서 화기 등의 사용 금지)
소에서 화기 등의 사용 금지) 사고 원인물질은
사업주는 위험물 및 가연성 고
사업주는 위험물이 있어 폭발 산안법 지정 위험
체 등이 존재하여 폭발이나 화
이나 화재가 발생할 우려가 물 이외의 가연성
재가 발생할 우려가 있는 장소
있는 장소 또는 그 상부에서 고체(금속, 플라스
또는 그 상부에서 불꽃이나 아
불꽃이나 아크를 발생하거나 틱, 곡물 및 식료
크를 발생하거나 고온으로 될
고온으로 될 우려가 있는 화 품 분진, 석탄 등)
우려가 있는 화기ㆍ기계ㆍ기구
기ㆍ기계ㆍ기구 및 공구 등을 에 의한 사고사례
및 공구 등을 사용해서는 아니
사용해서는 아니 된다. 가 증가하여 이에
된다.
대한 대책이 필요
Ⅵ. 결 론 ‥‥ 63

Ⅵ. 결 론

1. 주요 결과

본 연구에서는 집진공정의 화재폭발사고의 원인분석과 문제점을 검토하고 동


종재해 예방을 위한 사고방지대책과 제도개선안의 제시를 위해 수행되었다. 이러
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집진장치의 화재폭발사고 저감을 위한 구체적인
착화원 대책과 집진장치의 방폭대책을 제안하여 피해 최소화를 위한 방호대책을
제시하였으며, 국내 관련 사업장의 효율적이며 지속적인 안전관리 구축에 필요한
제도개선안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이하의 결과를 얻었다.

1) 최근 10년간의 국내 집진장치 화재폭발사고를 조사한 결과, 사고원인


물질별로는 금속분진, 플라스틱 분진, 목재분진, 곡물분진 순으로 발생
빈도가 높았으며, 또한 사상자 발생은 금속분진에서 58.3 %로 가장 높
게 나타났다.

2) 집진장치 화재폭발사고의 발생 빈도는 집진장치 자체의 구조보다 운전방법


및 보수 시의 관리적 요인이 많았기 때문에 사전 예방대책이 우선되어야
하며, 화재폭발 피해 최소화를 위해서는 집진장치 특성과 폭발범위 내의
분진 농도를 전제로 한 방호대책을 함께 실시해야 한다.

3) 분진 취급설비는 제도적 규정이 없고 대부분의 사업장은 생산공정으로 인


식하지 않아 예방대책과 방호대책에 소극적인 실정이며 동종재해 및 사고
사망 저감을 위해서는 제도적 개선이 시급히 요구된다.
64 ‥‥ 집진공정의 화재폭발 예방 및 개선방안 연구

4) 분진폭발 방호장치를 도입하는 사업장의 비율은 매우 낮지만, 특히 사용 분


진의 폭발특성값을 고려하여 설계된 안전장치는 거의 없는 것으로 조사되
었다.

5) 분쇄 및 연마작업의 발생 분진을 효율적 배출을 위해서는 분진 및 작업 종


류에 따른 적절한 제어풍속의 관리가 필요하다.

6) 집진장치의 안전확보를 위해, 집진 발생장소와 집진장치의 1:1의 원칙, 이


종 물질(분진, 가스, 유증기)의 집진계통의 분리, 배관 재질과 강도 그리고
기밀성과 개폐구조 등의 집진장치 안전요건이 필요하다.

7) 집진공정의 분진폭발로 인한 공정 피해확대 예방을 위해서는 취급 분진의


폭발특성값을 활용한 사전 예측과 폭발특성에 적합하게 설계된 방폭안전설
비의 적용이 요구된다.

2. 제도 개선 방안

집진장치에서의 화재폭발사고가 매년 반복하여 발생하고 있지만 산안법에서는


집진장치 등의 분진취급 설비에 대한 제도적 규정이 없기 때문에 집진장치의 안
전확보는 사업장이 자율적으로 관리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대부분의 사업
장에서는 사고 발생률이 높은 집진장치에 대한 안전대책이 매우 미흡하였고 분
진폭발사고 경험이 있는 사업장에서도 최소한의 안전확보를 위한 폭발방산구 설
치 등의 안전대책으로 이어지는 경우는 적은 실정이다. 이러한 가장 큰 원인은
집진장치 등의 가연성 분진 취급 공정에 대한 제도적 관리가 매우 미비하기 때문
이다. 이와 같이 매년 반복되어 발생하고 있는 동종재해 및 인적 손실을 저감시
키기 위해서, 산업안전보건법 제232조(폭발 또는 화재 등의 예방)에서 최소한의
Ⅵ. 결 론 ‥‥ 65

안전장치로서 폭발방산구 등의 방호장치를 규정하고, 또한 제239조(위험물 등이


있는 장소에서 화기 등의 사용 금지)에서 산안법 지정 위험물 이외의 가연성 고
체의 사고사례에 대한 대책의 필요성 등의 개정안을 제안하였다.
참고문헌 ‥‥ 67

참고문헌

한국안전보건공단, 작업환경측정 전수조사 DB, (2014).


한우섭 등, 집진배관 내에서의 분진의 발화특성 및 폭발방지 연구, 산업안전
보건연구원 연구보고서, 2009.
한우섭 등, HDPE 분말의 화재폭발 위험성평가보고서, 2013-연구원-1397, 한국산
업안전보건공단 산업안전보건연구원 (2013).
NPFA 654 : Standard for the Prevention of Fire and Dust Explosions from
the Manufacturing, Processing, and Handling of Combustible Particulate
Solids (2017).
NFPA 68 : Standard on Explosion Protection by Deflagration Venting (2010).
Jianlong, L., et al.,, “Strategy and Consequence of Intermittent Segmented
Pulse-jet Cleaning for Long-box-shaped Filter Dust Collector”, J. Powder
Technology, 340, 2018:311-320
Robert, Z., “Dust collector explosions: A quantitative Hazard Evaluation
Method”, J. Loss Prev. in the Process Ind., 36, 2015:258-265
Lunn, G.A et al., “Effects of Vent Ducts on the Reduced Pressures from
Explosions in Dust Collectors”, J. Loss Prev. in the Process Ind., 11-2,
1998:109-121
Eckhoff, R. K., "Dust Explosions in the Process Industries-3rd ed.", Gulf
Professional Publishing, 2003;340-341
OECD Nuclear Energy Agency, Chemical Thermodynamics of Zirconium,
Vol.8, Elsevier (2005)
VDI-Standard: VDI 3673 Pressure release of dust explosions (2002)
Abstract ‥‥ 69

Abstract

Study on Prevention and Improvement of Fires and Explosions


in Dust Collection Process

(Focused on Bag-filter and Cyclone)

Ou-Sup HAN

Chemicals Safety & Health Research Center,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Research Institute, KOSHA
30, Expo-ro 339beon-gil, Yuseong-gu, Daejeon, 34122, Korea

Objectives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 the prevention and


causes of the dust fire and explosion accident in the dust collecting process.
For reducing the accident deaths by dust fire and explosion in dust collectors,
we proposed the legal improvement measures related to industrial safety and
health Act.
Methods : We investigated the accident cases of the fire and explosion in the
dust collector and analyzed the cause of accidents. In addition, the safety
situation of the workplace and the safety condition of the dust collector were
investigated in order to review the safety measures. The safety management and
the application of the explosion protection device in the use of the dust collecting
device were examined and reviewed the measures for reducing the accident
death. We have presented the characteristics of ignition and flame propagation
70 ‥‥ 집진공정의 화재폭발 예방 및 개선방안 연구

and the damage prediction methods in closed piping for the evaluation of the
damage assessment indicators in dust fire and explosion accidents. From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proposed the legal improvemt measures related to the
dust collecting process.
Results : As a result of the fire and explosion accident investigation of the
domestic dust collector in recent 10 years, the occurrence frequency of dust
explosion accidents was higher in the order of metal, plastic, wood, and grain
dust. For the occurrence ratio of casualties caused by dust explosion of dust
collector was highest (58.3 %) in metal dust. Because the fire and explosion
accidensts in dust collecting system occurred more prequently in operation
method and safety management factors than the structure of the dust collector
itself, prevention measures should be considered as priority. In order to
minimize the fire and explosion damage, protection measures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dust collector and the dust concentration within the
explosion range should be carried out. The proportion of workplace using dust
explosion protection devices was very low and it is found that there is not
almost the safety device designed considering the explosion characteristic
value of treated dust even if workplace uses the safety devices. In order to
maintain the safety of the dust collecting system, it is necessary that the
safety requirements of the dust collecting device, such as one-to-one principle
of dust generation place and dust collector, separation of dust collection system
of dissimilar materials (dust, gas, and vapor), material and strength of duct,
opening and closing structure, are satisfied. In order to prevent the process
damage caused by the dust explosion in the dust collection process,
it should be designed that explosion-proof safety equipment using the
explosive characteristics of handling dust.
Abstract ‥‥ 71

Conclusions : In this study, fire and explosion accidents in the dust collecting
process of domestic workplace were investigated and the causes and problems
of the accidents were analyzed. In order to reduce the occurrence of the same
kind of fire and explosion accidents that occurs repeatedly in dust collecting
system, it is important that the workplace should be concerned with the safety
management of dust collectors and the installation of explosion-proof devices.
Therefore it is required that dust collecting system with high accident risk in
the process of handling combustible dust should be managed in the legal
system. Also, the legal improvement measures related to explosion vent and
flammable solids not included in dangerous materials were proposed.

Key Words : Dust collector, Bag-filter, Cyclone, Fire and explosion, Dust
flame propagation, Explosion protection device
<<연 구 진>>

연 구 기 관 : 안전보건공단 산업안전보건연구원

연구책임자 : 한 우 섭 (부 장, 산업화학연구실)
연 구 원 : 이 근 원 (소 장, 산업화학연구실)
서 동 현 (연구위원, 산업화학연구실)
이 정 석 (연 구 원, 산업화학연구실)

<<연 구 기 간>>
2018. 1. 1 ∼ 2018. 11. 30
본 연구보고서의 내용은 연구책임자의 개인적 견해
이며, 우리 연구원의 공식견해와 다를 수도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산업안전보건연구원장

집진공정의 화재폭발 예방 및 개선방안 연구


-백필터 및 사이클론 집진장치 중심으로-

2018-연구원-915

발 행 일 : 2018년 11월 30일


발 행 인 : 산업안전보건연구원장 직무대리 이 관 형
연구책임자 : 산업화학연구실 부장 한 우 섭
발 행 처 : 안전보건공단 산업안전보건연구원
주 소 : (44429) 울산광역시 중구 종가로 400
전 화 : (042) 869-0331
F A X : (042) 869-9002
Homepage : http://oshri.kosha.or.kr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