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114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

0 대한민국

이용자는 아래의 조건을 따르는 경우에 한하여 자유롭게

l 이 저작물을 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 및 방송할 수 있습니다.

다음과 같은 조건을 따라야 합니다:

저작자표시. 귀하는 원저작자를 표시하여야 합니다.

비영리. 귀하는 이 저작물을 영리 목적으로 이용할 수 없습니다.

변경금지. 귀하는 이 저작물을 개작, 변형 또는 가공할 수 없습니다.

l 귀하는, 이 저작물의 재이용이나 배포의 경우, 이 저작물에 적용된 이용허락조건


을 명확하게 나타내어야 합니다.
l 저작권자로부터 별도의 허가를 받으면 이러한 조건들은 적용되지 않습니다.

저작권법에 따른 이용자의 권리는 위의 내용에 의하여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이것은 이용허락규약(Legal Code)을 이해하기 쉽게 요약한 것입니다.

Disclaimer
공학박사 학위논문

천장 공조기류 환경에서
화재감지기 응답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esponse Characteristics of Fire Detector


in Ceiling Air Conditioning Environment

2019년 2월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에너지환경대학원
에너지안전공학과

최 문 수
천장 공조기류 환경에서 화재감지기
응답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esponse Characteristics of Fire Detector
in Ceiling Air Conditioning Environment

지도교수 이근오

이 논문을 공학박사 학위논문으로 제출함


2019년 2월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에너지환경대학원
에너지안전공학과

최 문 수

최문수의 공학박사 학위논문을 인준함


2019년 2월

심사위원장 이 수 경 (인)

심사위원 이 근 오 (인)

심사위원 박 달 재 (인)

심사위원 이 영 순 (인)

심사위원 하 동 명 (인)
요 약

제 목 : 천장 공조기류 환경에서 화재감지기 응답특성에 관한 연구

천장 공조설비는 쾌적한 환경을 위해 기류를 발생하게 되는데 그 실내공간


에서 화재가 발생하였을 때 문제가 발생한다. 천장 공조기류가 화재로 인해
생성되는 천장제트기류와 충돌하여 연소생성물이 희석됨에 따라 그 속도, 방
향 및 온도가 변화되고 화재감지기 응답시간을 지연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논문에서는 화재를 조기에 감지하는 것을 목적에 두고 천장 공조기류 환
경에서 화재감지기의 응답특성을 실 규모의 화재실험과 화재모델링을 통해 규
명하고자 하였으며, 이에 대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실 규모의 화재실험에 따르면, n-Heptane 화원에서 차동식 열감지기는 천장
공조 디퓨저 기류가 없는 경우에 비해 약 5 m/s의 기류가 있는 경우에 응답
시간이 평균 약 23.5 % 지연되었다. 면심지 화원에서 광전식 연기감지기는 천
장 공조 디퓨저에서 기류가 없는 경우에 비해 약 5 m/s의 기류가 있는 경우에
응답 시간이 평균 약 85.8 % 늦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천장형 에어컨
토출 기류에서는 기류가 없는 경우에 비해 기류를 8.5 m/s로 설정한 경우 열
감지기는 n-Heptane 화원에서 약 38.5 %, 연기감지기는 면심지 화원에서 약
120.8 % 만큼 응답이 늦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화재모델링을 수행한 결과, n-Heptane 화재에서는 기류의 영향에 따른 열감
지기 평균 응답지연율이 12 %로 나타났고, 우레탄폼 화재에서는 연기감지기
평균 응답지연율이 약 90.9 %로 높게 나타났다. 화재감지기는 천장 공조기류
가 천장면을 따라 흐를 때에는 천장공조 토출구로부터 1.0 m 까지는 영향을
크게 받으나 1.5 m 부터는 영향을 적게 받으므로 토출구로부터 1.5 m 이상
이격시켜야 할 것으로 판단되나, 천장 공조기류가 하방향 45°이상일 때에는
토출구 가까이 설치하여도 무방한 것으로 나타났다.
천장 공조기류가 형성될 수 있는 공간에서는 감지기 응답 지연을 보상하여
화재를 적정한 시간 내에 감지하기 위해 아날로그 감지기 등 감도조정이 가능
한 감지기나 감도가 뛰어난 감지기를 설치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 내용은 천장 공조기류가 형성되는 실내공간에 대한 화재감지 설계
또는 화재감지 관련 안전기준 개정 시에 활용될 수 있다.

중심어 : 천장 공조기류, 천장형 에어컨, 화재감지기, 응답특성, 응답지연

- i -
목 차

요 약·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ⅰ
표 목 차·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ⅲ
그 림 목 차·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ⅴ
사 진 목 차·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ⅵ

Ⅰ. 서 론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
1. 연구 배경 및 목적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
2. 선행연구 고찰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
3. 연구 내용 및 방법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

Ⅱ. 이론적 고찰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7
1. 건물화재 현상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7
2. 화재감지 이론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1
3. 화재시뮬레이션(FDS)에 사용된 모델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7

Ⅲ. 감지기 설치 및 실험 관련 기준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0
1. 화재감지기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0
2. 화재감지기 설치 기준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0
3. 감지기 실험 관련 기준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1

Ⅳ. 화재 실험 및 모델링 방법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3
1. 화재실험 방법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3
2. 화재모델링 방법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2

Ⅴ. 결과 및 고찰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6
1. 화재실험 결과 및 고찰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6
2. 화재모델링 결과 및 고찰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9

Ⅵ. 결 론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91

참고 문헌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93
부 록·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98
A bstra ct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02
감사의 글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04

- ii -
List of Tables

Table 2.1 RTI of fixed temperature type heat detector ·


··
··
··
··
··
··
··
··
··
··
··
··
··
··
··
··
··15
Table 2.2 RTI of rate-of-rise type heat detector ·
··
··
··
··
··
··
··
··
··
··
··
··
··
··
··
··
··
··
··
··
··
··
·16
Table 3.1 Types of detectors by attachment height ·
··
··
··
··
··
··
··
··
··
··
··
··
··
··
··
··
··
··
··
··
·21
Table 3.2 Coverage area of spot type heat detectors by attachment height
and building structure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3
Table 3.3 Coverage area of distributed-type heat detectors by attachment
height and building structure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4
Table 3.4 Coverage area of spot type smoke detectors by attachment height ·
··
··
··
··
··
·24
Table 3.5 Temperature ranges and colors of heat detectors ·
··
··
··
··
··
··
··
··
··
··
··
··
·30
Table 3.6 Black and white newspapers for paper fire ·
··
··
··
··
··
··
··
··
··
··
··
··
·
··
··
··
··
··
··40
Table 3.7 Smoke concentration by type of smoke detector ·
··
··
··
··
··
··
··
··
··
··
··
··
··
·41
Table 3.8 Heating temperature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2
Table 4.1 Specification of ceiling type air conditioner ·
··
··
··
··
··
··
··
··
··
··
··
··
··
··
··
··
··
··
·47
Table 4.2 Air flow velocities formed by ceiling type air conditioner at positions
of fire detectors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8
Table 4.3 Velocities when air flow is adjusted in direction to the ceiling face horizontally ·
·49
Table 4.4 Velocities of each step measured at the register ·
··
··
··
··
··
··
··
··
··
··
··
··
·49
Table 4.5 Velocities by distance from register in each downward angle ·
··
··50
Table 4.6 Input conditions for model of n-Heptane and heat detector ·
··
··
·54
Table 4.7 Input conditions for model of urethane foam and smoke detector ·
··
··55
Table 5.1 Response time of heat detectors by diffuser air flow velocity(n-Heptane) ·
··
··
·56
Table 5.2 Respone time delay by distance from diffuser and airflow velocity(n-Heptane) ·
··58
Table 5.3 Response time of smoke detectors by diffuser air flow velocity(n-Heptane) ·
··
·58
Table 5.4 Response time of heat detectors by diffuser air flow velocity(Cotton wicks) ·
··
·59
Table 5.5 Response time of smoke detectors by diffuser air flow velocity(Cotton wicks) ·
··60
Table 5.6 Response time delay by distance from diffuser and airflow velocity(Cotton wicks) ·
··
··61
Table 5.7 Response time of heat detectors by flow velocity of air conditioner(n-Heptane) ·
··
·63
Table 5.8 Response time delay by distance from register and air flow velocity(n-Heptane) ·
··
··
··65
Table 5.9 Response time of smoke detectors by flow velocity of air conditioner(Cotton wicks) ·
··
··66
Table 5.10 Response time delay by distance from register and air flow velocity(Cotton wicks) ·
·67
Table 5.11 Behavior of air flow by lapse of time at 0 m/s of air conditioning flow ·
·69

- iii -
Table 5.12 Behavior of air flow by lapse of time at 8.5 m/s of air conditioning flow ·
··70
Table 5.13 Response time delay of heat detector according to air conditioning flow velocity ·
·71
Table 5.14 Temperature compensation for response time delay when airflow is formed ·
··73
Table 5.15 Behavior of air flow by lapse of time at 0 m/s of air conditioning flow ·
··
··74
Table 5.16 Behavior of air flow by lapse of time at 8.5 m/s of air conditioning flow ·
··75
Table 5.17 Response time delay of smoke detector according to air conditioning flow velocity ·
··76
Table 5.18 Smoke concentration compensation(8 %/m) for response time delay when air
current is formed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77
Table 5.19 Smoke concentration compensation(7 %/m) for response time delay when air
current is formed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79
Table 5.20 Response time delay of heat detector by installation direction, separation
distance and air flow velocity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81
Table 5.21 Response time delay of smoke detector by installation direction, separation
distance and air flow velocity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83
Table 5.22 Response time delay of heat detectors installed in the register direction ·
··
·84
Table 5.23 Response time delay of heat detectors installed diagonally ·
··
··
··
·84
Table 5.24 Response time delay of smoke detectors installed in register direction ·
··85
Table 5.25 Response time delay of smoke detectors installed diagonally ·
··
··85
Table 5.26 Response time delay of heat detector by air flow velocity in a diagonal
fire source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86
Table 5.27 Response time delay of smoke detector by air flow velocity in a diagonal
fire source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87
Table 5.28 Response time delay of heat detectors by air conditioning flow velocity ·
··
·88
Table 5.29 Response time delay of smoke detectors by air conditioning flow velocity ·
··
··
·90

- iv -
List of Figures

Fig. 1.2 Research flow chart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
Fig. 2.1 Fire plume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8
Fig. 2.2 Ceiling jet flow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0
Fig. 2.3 Heat transfer to detector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1
Fig. 3.1 Installation spacing of heat detector ·
··
··
··
··
··
··
··
··
··
··
··
··
··
··
··
··
··
··
··
··
··
··
··
··
··
··
·28
Fig. 3.2 Lay out of fire test of spot-type heat detector ·
··
··
··
··
··
··
··
··
··
··
··
··
··
··
··
··29
Fig. 3.3 Arrangement of wooden cribs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2
Fig. 3.4 Wood arrangement on hot plate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3
Fig. 3.5 Arrangement of cotton wicks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3
Fig. 3.6 Arrangement of resistance wire for ignition ·
··
··
··
··
··
··
··
··
··
··
··
··
··
··
··
··
··
··
··
·35
Fig. 3.7 Growth rate of smoke concentration by smoldering ·
··
··
··
··
··
··
··
··
··
··
··
··
·42
Fig. 4.1 Layout of fire test room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4
Fig. 4.2 Arrangement of fire detector and fuel ·
··
··
··
··
··
··
··
··
··
··
··
··
··
··
··
··
··
··
··
··
··
··
··
··
·51
Fig. 4.3 n-Heptane and heat detector model diagram in PyroSim ·
··
··
··
··
··
··
··
··54
Fig. 4.4 Urethane foam and smoke detector model diagram in PyroSim ·
··
··
·55
Fig. 5.1 Comparison of response time of heat detectors by diffuser air flow
velocity(n-Heptane)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7
Fig. 5.2 Comparison of response time of smoke detectors by diffuser air flow
velocity(Cotton wicks)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0
Fig. 5.3 Comparison of response time of heat detectors by air conditioning
velocity(n-Heptane)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3
Fig. 5.4 Comparison of response time of smoke detectors by air conditioning
velocity(Cotton wicks)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6
Fig. 5.5 Comparison of response time of heat detectors according to modeling result ·
··
·72
Fig. 5.6 Comparison of response time of heat detectors according to compensation
modeling result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72
Fig. 5.7 Comparison of response time of smoke detectors according to modeling result ·
··
·77
Fig. 5.8 Comparison of response time of smoke detectors according to compensation(8 %/m)
modeling result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78
Fig. 5.9 Comparison of response time of smoke detectors according to compensation(7 %/m)
modeling result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80

- v -
List of Photos

Photo 4.1 Heat detector and smoke detector for experiment ·


··
··
··
··
··
··
··
··
··
··
··
··43
Photo 4.2 n-Heptane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5
Photo 4.3 Cotton wick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5
Photo 4.4 Installation of ceiling ventilation diffuser and detectors ·
··
··
··
··
··
··
··
·45
Photo 4.5 Analogue type heat detector and smoke detector for experiment ·
··
··
·46
Photo 4.6 n-Heptane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6
Photo 4.7 Cotton wick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7
Photo 4.8 Fire detectors and fuel installed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1
Photo 5.1 n-Heptane fire test progress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4
Photo 5.2 Cotton wick fire test progress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7

- vi -
Ⅰ. 서 론

1. 연구 배경 및 목적
소방청에서 발표한 통계자료[1]에 의하면 최근 6년간(2012년∼2017년) 연평
균 화재는 43,057건, 사망자는 300명이 발생하였고, 이 중 주택화재는 연평균
7,820건, 사망자 149명이 발생하여 그 비중은 전체 건수의 18 %, 전체 사망자
의 50 %로 나타나 상대적으로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주택화재 시간대별
사망자는 0∼6시에 295명으로 가장 많은 사망자가 발생하였다. 화재발생률은
심야 취약시간인 0∼6시(15.9 %)의 경우 낮 시간대인 12∼18시(33.7 %)의 절반
에 불과하지만, 사망자 발생비율은 33.0 %(295명)로 낮 시간대보다 12.3 %(110
명)가 더 높았다[1]. 이와 같이 사람이 거주하는 주택 등에서 화재가 발생하면
인명피해 발생 확률이 매우 높아 화재의 조기감지가 매우 필요한 실정이다.
이런 이유로 2012년 2월 5일부터 시행된 소방시설 설치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 제8조에 따라 주택의 경우 2017년 2월 4일까지 주택용 기초소방시
설을 의무적으로 설치하도록 하였다[2]. 이에 최근까지 단독경보형 연기 및 열
감지기가 주택에 설치되어 보급률이 증가되고 있는 현실이다.
한편, 최근 잦은 여름철 폭염과 생활수준 향상에 따라 우리나라 주택에 설
치된 에어컨 보급률은 2016년에 이미 80 %을 넘어섰고 계속 높아지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3]. 특히 천장형 에어컨은 지난 1996년에 우리나라에 최초로 보급
된 이후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최근 신축되는 아파트에는 거의 필수적으로
설치되는 등 그 비중이 갈수록 높아지고 있다. 이렇게 건축물 실내에는 에어
컨을 비롯한 공기조화설비, 환기설비 등 인위적인 기류변화를 발생시키는 설
비가 확대되고 있다.
화재는 점화원에 의해 가연물이 착화된 후 건축물에 내장된 다양한 재료로
연소가 확대되어 화재 성상이 매우 복잡하면서도 빠르게 성장 단계를 거쳐 플
래시 오버에 도달하게 된다. 따라서 화재가 통제 불가능 단계로 확산되기 전
에 빠르고 정확하게 화재를 감지하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4].
화재감지기는 자동화재탐지설비의 핵심적인 구성요소로서 화재 초기에 발생
하는 화재생성물을 자동으로 탐지하여 그 발생사실을 신호로 수신반에 보내어
화재 경보를 발생시켜 사람들의 초기 진압 및 피난을 도와주는 중요한 설비이
다. 화재가 발생하였을 때 감지기의 빠른 응답은 인명 및 재산을 화재로부터

- 1 -
보호하는데 필수적이다[5]. 화재감지기는 감지하는 대상에 따라 열감지기, 연
기감지기 그리고 불꽃감지기로 대별되는데, 이 중 연기감지기가 화재 시 인명
피해의 대부분을 발생시키는 연기를 화재초기에 감지하여 거주자 및 관리자에
게 통보함으로써 빠른 피난 및 신속한 소화활동을 도모할 수 있기 때문에 많
이 사용되고 있다[6,7].
쾌적한 환경을 위해 기류를 발생시키는 에어컨과 같은 공조설비가 천장 기
류를 형성하는 실내공간에서 화재가 발생하였을 때 문제가 발생한다. 왜냐하
면 화재가 발생하면 연소생성물인 열, 연기, 불꽃 등을 조기에 감지하여야 하
는데 화재로 인한 기류와 설비에 의한 기류가 서로 충돌하거나 간섭하게 되어
기류 속도, 기류 형태, 기류 온도에 많은 변화를 준다. 이러한 문제점은 천장
공조설비와 화재감지기가 가까이 설치된 경우에 크게 나타날 수 있으며, 감지
기 응답시간에 많은 영향을 주어 화재 감지가 늦어지거나 감지하지 못할 수도
있다[8].
본 논문은 천장공조 기류가 화재감지기 응답에 미치는 영향을 화재실험과
모델링을 통해 분석하고 고찰한 연구 내용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천장 공조
기류가 형성된 실내공간에서 발생된 화재를 조기에 감지하여 인명과 재산 피
해를 예방하는 것을 목적에 두고, 연구 결과물이 각종 화재감지 관련 안전기
준을 개정하거나 화재예방대책을 수립할 때 기초자료로 활용되는데 있다.

2. 선행연구 고찰
이복영과 이병곤[9]은 기류 순환이 연기농도와 감지기 작동에 미치는 영향
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복영 등[10]은 공기유동이 감지기 응답특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를
통해 기류 순환이 있는 실내에서는 열감지기 응답이 매우 늦어짐을 보고하였
다 .
이복영 등[11]은 공조설비에 의한 화재감지기 응답특성에 관한 연구를 통해
공조설비에 의해 실내공기가 순환되는 경우 화재감지 지연을 초래하므로 이를
보상하기 위한 새로운 감지방식의 화재감지장치 개발이 필요하다고 보고하였
다. 또한, 이복영[12]은 조기화재감지용 공기흡입형 광전식 연기감지기 감지장
치 개발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최문수[13]는 화재감지기와 스프링클러헤드의 응답특성을 비교하는 실험연
구를 통해 스프링클러헤드 보다는 연기감지기나 차동식감지기가 화재를 조기

- 2 -
에 감지하고 인명피해를 줄일 수 있기 때문에 스프링클러가 설치된 장소에도
화재감지기를 설치하는 것이 적합하다고 보고하였다.
박동하[14]는 성능위주설계를 위한 자동화재감지기의 적정배치에 관한 공학
적 연구를 통해 법규 중심의 사양위주 설계로 화재감지기를 배치하고 있는데
복잡하고 고층화된 새로운 건축물이 생겨나고 있어 화재감지기의 적정배치를
통해 보다 합리적이고 효율성을 도모하기 위해 성능위주설계가 필요하다고 보
고하였다 .
이종화[15]는 연기감지기의 광복합식 챔버에 관한 연구에서 연기 희석은 감
지기가 설치된 위치에서 감지될 수 있는 연기 농도의 감소를 뜻하며, 이 희석
은 공기 순환율이 높은 강제 환기시스템이 가장 높은 영향을 준다고 주장하였
다. 또한, 화재 초기에는 연기 생성이 매우 적고, 화염이 약해 연기감지기에
도달하지 못하며 게다가 고속기류가 흡기구로 들어와 배기구로 흘러 나가면서
실내에 특정 형태의 공기유동 양상을 형성한다고 했다. 이러한 기류유동 패턴
은 연기가 감지기까지 도달을 어렵게 하며, 최악의 경우에는 기류유동 경로
에 있는 감지기로 연기가 유입되는 것 까지 방해할 수 있을 것이라고 했다.
화재규모가 작을수록, 공기 흐름이 클수록 영향이 더 커진다는 사실은 분명하
며 적용 사례에 따라서는 연기감지기의 배치 분석결과에 뒷받침하기 위하여
다양한 조건 하에 실내 유동공기의 속도 특성을 관찰하거나 혹은 소규모 연기
시험을 수행하기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고 했다.
최문수 등[16]은 천장으로부터 이격 거리에 따른 화재감지기 감도성능 변화
실험연구에서 화재로 인해 발생되는 천장제트류에 의해 모든 화재감지기는 천
장에 부착된 경우 가장 빠른 응답을 보인다고 보고하였으며, 천장으로부터 이
격된 거리가 멀어질수록 순차적으로 응답특성이 느려지는 것으로 나타나므로,
현행 NFSC 203 및 NFPA 72에서 규정한 대로 감지기는 천장 또는 반자에 설치
하는 것이 화재를 조기에 감지하여 인명 및 재산피해를 감소시키는 감지기 고
유기능을 위해서 바람직하다고 발표하였다.
박희원[17]은 연기 및 열감지기 장치특성에 관한 실험 및 수치적 연구에서
국내 정온식 열감지기 3종류에 대한 작동개시온도와 감지기 반응시간지수
(RTI)를 측정한 결과 동일 공칭작동온도를 갖는 감지기들일지라도 실제작동개
시온도는 센서 종류에 따라 크게 차이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종철 등[18]은 온도변화에 따른 감지기 동작특성 및 화재 적응성에 대하
여 연구하여 화재감지기 설치 기준을 환경 및 적응성에 따라 명확히 구분하여

- 3 -
정해야 한다고 하였다.
Cooper 등[19]은 고감도 연기감지기의 최적화된 흡입위치에 관한 연구를 통
해 일반 연기감지기와 고감도 연기감지기에 대한 훈소화재 실험을 수행하여
감지성능을 비교 분석하였다.
Meacham과 Motevalli[20]는 여러 가지 가연물에 대한 소규모(Small scale) 시
험을 통해 얻은 연기관련 정보를 활용해 산란광식 감지기의 응답 모델링에 대
한 보고하였다.
Nam[21,22]은 프로판버너를 이용한 플런지시험에서 RTI값을 계산하고 시뮬
레이션을 이용하여 화원의 중심에서 감지기까지의 거리별 온도분포를 그래프
로 나타내었으며,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열감지기의 신속한 응답성능은 감지기
간의 설치거리와 천장의 높이에 따라 설치해야 한다고 보고하였다.
Kong 등[23]은 화재로부터 발생되는 열 및 연기를 감지하는 감지기의 작동
에 대해 FDS 코드와 구조계산을 바탕으로 화재감지 모델링을 통하여 감지기
의 최적 설치거리를 제시하였다 .
미국 National Fire Alarm and Signaling Code Handbook[24]은 스포트형 연
기감지기 응답 예측을 위해서 감지기에서의 천장제트류 속도가 감지기에서의
임계속도 0.15 m/s를 초과해야 한다고 보고하였다. 여기서 두 가지 경우로 검
토가 요구되는데, 첫 번째는 HVAC(Heating, Ventilation, and Air conditioning,
공조)설비 급기가 천장제트 기류에 작용하는 경우이며, 두 번째는 HVAC 설비
배기가 천장제트 기류에 작용하는 경우이다. 첫 번째 경우에서 천장 급기측
기류는 천장제트류에 대해 방향을 전환하거나, 방해하거나, 희석시켜 감지 응
답의 지연을 초래한다. 이 영향은 HVAC설비에 의해서 생기는 속도와 화재에
의해서 생기는 속도를 대비하는 1차원 벡터해석을 이용하여 추산할 수 있다.
HVAC 급기 레지스터에 의해서 생기는 속도 프로파일은 레지스터와 그것에서
급기 되는 유동체적의 설계로 결정된다. 화재로 인해 생기는 감지기에서의 속
도는 천장제트 흐름의 결과이다. 연기감지기에서 결과적 유동속도를 추정하기
위해서, 천장 급기측 유동속도는 레지스터 설계, 유동체적 및 급기 레지스터까
지 거리의 함수로서 결정되며, 천장제트 현상으로 생기는 속도는 화재플룸까
지 거리의 함수로서 계산되니 최악의 상황 조건은 감지기 위치가 천장제트 흐
름이 HVAC 급기 레지스터로부터의 흐름에 정반대 방향인 경우라고 하였다.
두 번째 경우는 HVAC 배기측이 구획실의 낮은 높이로부터 공기를 당겨 올
려 HVAC 배기측에 가까운 천장제트의 연기밀도를 희석시킨다. 이 경우는 평

- 4 -
가가 훨씬 더 까다로운데, 이는 천장형 HVAC 배기측으로의 흐름이 언제 감지
기 응답에 악영향을 미치는 정도까지 천장제트의 농도 프로파일을 왜곡시킬지
결정하는 유동체적분석(Flow volume analysis)을 의미하기 때문이라고 설명하
였다.
지금까지 살펴본 바와 같이 실내 기류와 화재감지기 간의 상관관계에 관한
선행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그러나 천장 공조기류가 발생하는 환경에서 화재
감지기를 어떻게 설계해야 하는 지를 구체적인 근거를 가지고 제시해주는 연
구는 찾아 볼 수 없다.
따라서 선행 연구를 참고로 하여 화재 실험과 화재 모델링을 통해 강한 천
장 공조기류가 있는 공간에서 화재를 조기에 감지하여 빠른 화재경보를 하는
데 도움이 되고자 본 연구를 진행하게 되었다.

3. 연구 내용 및 방법
본 연구는 천장 공조기류가 발생하고 있는 실내공간에서 화재가 발생하였을
때 화재감지기가 어떤 영향을 받는 지에 대하여 이론적으로 고찰하고, 화재실
험과 화재모델링을 통해 현상을 분석하고 결론을 내리는 내용과 방법으로 진
행되었다.
첫 번째, 화재감지에 대한 기본원리와 기류가 순환하는 환경에서 화재감지
기 응답특성에 대한 연구자료를 이론적으로 고찰하기 위하여 국내외 관련 선
행연구 문헌을 조사하였다. 화재발생부터 화재감지까지 화재의 성장, 화재감지
이론과 화재감지기 및 설치기준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또한, 기류 관련 국내
및 미국 기준에 대하여도 조사하였다.
두 번째, 국제표준규격(ISO), 미국 UL 및 우리나라 화재감지기 인증기준 등
관련 실험방법을 조사, 분석하고 새로운 실험방법을 정립한 후 실험을 진행하
였다. 해당 실험을 통해 도출된 결과를 분석하고 고찰하였다.
세 번째, 이론적 고찰과 화재실험 내용을 바탕으로 화재모델링을 수행하였
다. 화재역학 전산 프로그램인 FDS(Fire Dynamics Simulator)를 이용하였고, 인
위적 천장 기류가 형성된 실내 공간에서 다양한 시나리오에 대한 모델링을 통
해 화재감지기의 응답특성 변화를 모사하여 보았다.
네 번째, 화재실험과 화재모델링을 통해 천장 공조기류가 있는 실내장소에
서의 조기 화재감지를 위해 필요한 설계 개선을 위한 결론을 도출하였다.

- 5 -
절 차 수행 내용

- 연구배경 및 화재통계 등 연구 필요성


- 선행연구 문헌 조사
이론고찰
- 화재발생 및 성장 이론 고찰
- 화재감지 이론 및 기류 관련 기준 조사

- 화재실험 규격 조사(ISO, 미국 UL)


화재실험 - 실험방법 정립
- 화재실험 수행 및 결과 고찰

- 화재시뮬레이션(FDS) 개요
화재모델링 - 화재 시나리오 수립
- 모델링 수행 및 결과 고찰

- 화재실험 및 화재모델링 결과를 통해 결론 도출


결 론
- 결론에 따라 화재감지설계 개선안 제시

Fig. 1.2 Research flow chart.

- 6 -
Ⅱ. 이론적 고찰

본 장에서는 건물화재의 일반적인 현상, 화재감지기 응답 예측, 화재시뮬레


이션(FDS)에 사용되는 모델들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1. 건물화재 현상
가. 화재의 일반적 경과
일반적으로 전기스파크 등의 열원에 의해 가열물질이 착화됨으로 화재가 시
작되며, 건축물 재료의 성질과 설치 구조에 따라 화재 전파속도는 좌우된다.
거실, 사무실, 교실 등과 같은 다소 크기가 한정된 구획 공간에서 화재확산
이 급속한 원인은 연소생성물에 의한 열 축적이다. 이 열 축적으로 인해 실내
에 존재하는 다른 가연물질로 계속 연소되어 결국 그 실은 고열의 상태까지
이르게 된다.
화재의 출화단계는 철근콘크리트 구조 등의 내화구조 건축물에서 화재가 발
생하면 소규모인 화재 발생원을 중심으로 점차적으로 연소 확대가 진행되면서
연기가 실내에 전체적으로 가득 차게 되는데 이를 화재성장기라고 한다. 이때
실내 온도는 매우 낮고, 화재실 또는 인접실로부터 피난이 가능한 시기이다.
이 단계의 진행 시간은 화재 발생원, 착화된 물질의 종류에 따라서 일정하지
않다. 휘발성 물질의 누출에 의하여 발화한 경우는 그 시간은 매우 짧으나, 매
트리스 등에 담배불로 인해 착화되는 경우에는 수 시간이 걸리기도 한다. 이
시간이 지나게 되면 화염이 벽이나 커튼 등을 연소시키며 수직으로 이동하고
천장 등의 연소를 통해 수평으로 확대된다. 계속해서 일정시간이 지나면 화재
실의 가연물 전체가 급격한 연소를 일으키고 온도가 급상승하는 플래시오버
(Flash over) 현상이 발생한다.
일반적 내화건축물에서는 난연 또는 불연 내장재의 사용을 권장함으로서 플
래시오버까지의 시간을 최대한 연장하여 피난 및 소화 활동에 필요한 시간을
갖도록 하고 있다. 플래시오버 이후 실내에는 화염이 충만하고 모든 가연물이
연소를 계속하며 결국에는 가연물의 대부분이 타버리고 화세도 쇠약해지기 시
작하면 온도도 점점 하강하기 시작한다. 이 시점은 온도가 매우 높아 구획벽
의 관통, 구조물의 붕괴, 또는 인접 건물로 복사열을 방출하는 등의 주변으로
화재전파를 가능하게 하며, 이 기간의 길이는 창문의 크기나 실내의 가연물량
등에 의하여 결정된다. 이 단계 이후로는 완전 소화되지 않은 숯 더미가 바닥
에 쌓이고 방치할 경우 그 부근에서 상당한 시간 동안 고온이 계속되기 때문

- 7 -
에 실의 온도는 200∼300 ℃의 높은 온도를 유지한다[25,26]. 건물옥내 화재
진행은 성장기, 최성기, 감쇠기로 나눌 수 있다.

나. 화재 플룸(Fire plume)
화재 플룸(Fire plume)은 Fig. 2.1과 같이 화재로부터 생기는 화염과 열기류
기둥이며, 뜨거운 화재생성물이 부력에 의해 연료의 상부로 올라가는 것을 말
한다. 부력은 중력에 의해 생기는 에너지로 연소생성물을 이동시키는 힘으로
작용하며, 밀도와 밀접한 연관성을 갖고 중력과는 반대방향의 힘이다[27]. 온
도차가 밀도차를, 밀도차가 부력을 생성시켜 유체 내의 상승력인 에너지를 얻
게 된다.

Fig. 2.1 Fire plume[28].

화재시 가스온도는 화재 플룸의 공기온도보다 높아 상승력이 생겨 상승기류


를 형성하며, 플룸가스가 냉각되면 부력은 0이 되고 플룸의 상승은 정지한다.
즉, 뜨거운 연소생성물은 냉각되어 밀도가 같게 되면 하강하게 된다. 화재플룸
은 격렬하게 연소하는 폭발의 경우는 Fire Ball 형태로 나타나기도 한다.
화재 플룸은 다양한 분야에 응용되는데 거실 제연 시 발연량은 청결층 상부
까지의 화재플룸의 높이를 말하며, 감지기, 스프링클러헤드 적응성을 해석할
때도 활용된다.

- 8 -
화재 플룸은 주위 공기를 유입하면서 상승해 공간 상부에 연소 생성가스와
공기의 혼합기층을 만든다. 더운 상승기류가 상승함에 따라 주위의 차가운
공기가 화재 플룸 내로 유입되는 것을 인입(Entrainment)이라 한다. 인입되는
공기에 의해 연소생성물이 상승, 희석되어 온도가 저하되고 유량은 증대된다.
이 상승기류의 연소가스와 주변공기 등의 혼합기체가 초기화재 단계에서 연기
가 된다.
부력은 플룸 유체를 상부로 올라가게 하고 상대적으로 차가운 유체의 끝부
분이 낮은 속도로 밑으로 내려오도록 한다. 이것이 와류를 초래하게 되고 와
류는 회전하기도 하고 플룸의 끝을 따라 상승하기도 한다. 와류의 생성주기는
10 ㎝정도의 화재는 1초당 5회 정도 와류를 벗어나지만 100 m되는 커다란 야
생지 화재에서는 매 10초 정도마다 소용돌이를 만들어 낸다[29].
화재플룸은 연속화염영역, 간헐화염영역, 부력플룸영역으로 구분할 수 있다.
연속화염영역은 연료 바로 상부의 영역으로 화염이 지속 존재하고 연소가스
의 유동을 빠르게 해주는 곳이며, 간헐화염영역은 화염이 있다가 없다가 하는
영역으로 유속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곳이다. 부력플룸영역은 불꽃이 없는 화
염영역 상층부의 열기류 영역으로 화염으로부터 높이에 따라 유속과 온도가
감소되는 곳이다. 화염은 연료층에서 가까운 곳인 연속화염영역과 간헐화염영
역에 존재하며 서로 연결된 형태이다.

다. 천장제트 흐름(Ceiling jet flow)


화재로 발생한 고온의 열과 연기는 밀도차로 생기는 부력으로 인해 천장으
로 수직 상승하면서 동시에 수평으로 이동하게 되는데 이동하는 속도는 0.3∼
1.0 m/s 정도가 된다[30,31].
화염으로부터 위로 높게 올라갈수록 플룸의 온도는 저하되고 공기는 차가워
져 운동에너지가 감소되는데 화염 에너지의 약 75 %가 손실 된다[32].
천장이 높은 실내에서 운동에너지는 매우 크게 손실되지만, 천장이 낮은 실
내에서는 Fig. 2.2와 같이 부력의 힘으로 플룸은 천장에 이르고 그 열기류는 천
장면을 따라 수평으로 빠르게 흐르는 제트 흐름이 된다. 이 제트 흐름은 화재
초기에는 실내 공기보다 가벼워진 상태에서 천장면에 닿게 되면 반력에 의해
다시 아래로 내려오게 되는데 연속적인 플룸 부력과 운동에너지를 받게 되면
기류가 빠르게 형성되어 제트 흐름이 유지 된다[31].
이와 같이 수직방향으로 화재 플룸이 상승하다가 천장에 이르면 열기류가
천장면을 따라 천장제트 흐름으로 전환되고 이 고온의 연소생성물이 천장에
설치된 화재감지기로 이동하여 감지기를 작동시킨다.

- 9 -
Fig. 2.2 Ceiling jet flow[33].

천장제트 흐름으로 인해 연소하고 있는 연료의 직상부로 상승한 고온가스가


천장표면에 부딪쳐 흐름이 변화되고, 화재 위치로부터 멀리 떨어진 지역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천장면 아래에 설치된 화재감지기를 작동하게 하는
것이다.
천장제트 흐름은 화재초기에만 형성되는데, 천장제트 흐름의 폭은 화원에서
부터 천장까지 높이의 5∼12 %로 형성되고, 그 흐름의 최고 온도와 속도는
화원에서 천장까지 높이의 1∼2 % 범위에서 생긴다. 천장이 낮은 경우 화재감
지기가 천장으로부터 전체 높이의 12 %보다 크게 떨어지게 되면 천장제트 흐
름의 밖에 놓이게 되어 작동시간이 지연될 수 있다. 이에 열감지기와 유사한
응답특성을 갖는 스프링클러헤드의 경우는 천장면으로부터 0.3 m 이내에 설치
하도록 스프링클러 소화설비 화재안전기준에서 정하고 있다[34].
Heskestad[35]의 실험에 의하면 천장의 높이가 12 m 이하에서는 수평으로
이동되는 5 m 거리에서 50 ℃의 온도가 내려간다면 천장제트 흐름이 유지되
지 않는다. 열방출율이 Wall fire에서는 2배가 되고 Corner fire에서는 4배가
된다. Corner fire에서 천장제트 흐름이 형성되기 위해서는 1.472 MW의 열 유
속이 필요한 것으로 보고되었다[36].

- 10 -
2. 화재감지 이론
가. 열전달 메카니즘
화재플룸과 천장제트 흐름 모델을 활용하여 감지기에 흐르는 화재가스의 온
도와 속도를 평가할 수 있다. Fig. 2.3은 천장에 설치된 열감지기와 그 주변에
서 발생하는 열전달 메카니즘을 나타낸 것이다. 열전달의 3대 메커니즘은 전
도, 대류, 복사이고 감지기로의 총열전달률은 다음 관계식 (1)로 정리된다[36].

        
 (kW) (1)
   

여기서,  = 전도 열전달률


  = 대류 열전달률

   = 복사 열전달률

Fig. 2.3 Heat transfer to detector[37].

화재성장의 초기단계에서 복사열전달은 무시될 수 있다. 또한 대부분의 열


감지 소자들은 그 감지기의 나머지로부터 열적으로 격리되어 있다. 이러한 경
우에 전도에 의해 열감지소자에서 감지기의 다른 부분과 천장으로 잃어버린
열은 미미하여 대류열전달에 비교해서 무시될 수가 있다. 따라서 감지기까지
총 열전달율은 다음 식 (2)로 표현할 수 있다.

       (kW)
  (2)
 

여기서  : 총 열전달률 (kW)


  : 대류 열전달률 (kW)

h : 대류열전달계수 (kW/㎡·℃)

- 11 -
A : 가열대상 면적 (㎡)

T g
: 감지기의 가열 기체의 온도 (℃)

T d
: 감지기의 온도 (℃)

나. 열감지기 응답 예측
감지기 반응시간지수는 시간상수  로 표현된다. Heskestad와 Smith[35]는 특
정 감지기 소자로 이동하는 대류 열전달을 설명하기 위해 감지기의 질량, 면
적 및 비열의 함수인 시간상수를 제안하였다.

   (s) (3)

여기에서
 : 감지기 소자 질량 (g)
 : 감지기 소자의 비열 (kJ/kg․℃)
 : 대류열전달계수 (kW/㎡·℃)
 : 가열대상면적 (㎡)

감지소자의 질량이 증가하면  도 함께 증가하고,  가 커지면 해당 소자의


가열속도가 느려진다. 대류열전달계수  는 감지기의 감지 소자에 흐르는 기체
의 유속 및 감지기 소자의 형태에 대한 함수이다[39]. 어떤 감지기에 대하여
기체의 유속이 일정하다면 대류열전달계수  도 일정하다. 주어진 감지기에 대
해 대류열전달계수  및 시간상수  는 감지기를 통과하는 기체 유속의 제곱
근에 근사적으로 비례한다[40]. 특정 감지기에 대해 시간상수  와 기류속도 μ
를 이용하여 반응시간지수(RTI)를 표현할 수 있다.

  
 (4)

Heskestad와 Smith[35]는 FMRC에서 시험장치를 개발해 스프링클러헤드의


RTI를 구했다. 플런지 시험(Plunge test)이라 불리는 이 시험은 플런지 터널
(Plunge tunnel)이라는 장치를 이용하여 고온가스의 유동 속으로 스프링클러
헤드를 갑자기 집어넣는다. 해당 기체의 온도 및 속도는 알고 있으며 시험 중
일정하다. 이 때 감지기 온도변화에 대한 방정식은 식 (5)와 같다.
  
       (5)
 
여기에서

- 12 -
 : 감지기 가열 기류 온도 (℃)]
 : 시간  에서의 감지기 온도 (℃)

식 (5)의 변수를 이항하면 식 (6)과 같다.


 
     (6)
     

식 (6)를 적분하면 식 (7)와 같다.



 ln       (7)

여기에서 적분범위는 t = 0일 때   , 시간 t일 때   이므로 식 (7)에 이 적분


범위를 적용하면 식 (8)과 같다.

ln      ln        (8)

식 (8)에 지수를 취하면 식 (9)와 같이 정리된다.





        (9)

식 (9)에 (-)를 취하고 양변에 (    )를 취하면 식(10)과 같다.





                   (10)

식 (10)은 최종적으로 식 (11)과 같이 정리된다.





             (11)
여기에서
 :  =0일 때 감지기의 주위온도 또는 초기 온도 [℃]

식 (11)을 정리하면 식 (12)와 같다.



  (12)
ln        
 

플런지 시험에서 해당 감지기의 반응시간  를 측정함으로써 시험속도  에


서  를 계산할 수 있다. 이 계산은   및  를 감지기 반응온도[℃] 및 반응시

- 13 -
간[s]으로 치환하여 수행할 수 있다.

감지기의 감도는 식 (13)으로 표현할 수 있다.



       (13)
ln         

이 방정식을 반응시간지수로 표현하면 식 (14)와 같다.


  

   (14)
ln        

Alpert[38]는 발화장소의 높이와 감지기의 거리비에 따른 방정식을 이용하여


정상상태 화재에 대해 천장 분출에서 연소가스의 온도와 속도를 열방출률과
위치의 함수로 제시했다[41].

  

     (℃) (15)

여기에서,   

  

      (℃) (16)
 
여기에서,  ≤ 

  
  (m/s) (17)

여기에서,   



     (m/s) (18)

여기에서,  ≤ 
 = 천장 부근 연소가스 온도의 최대값(℃)
 = 주위 온도 (℃)
 = 화재의 총 열방출률(kW)

 = 불기둥 축으로부터 방사상 거리(m)
 = 발화장소 위의 높이(m)
 = 천장부근 연소가스속도의 최대값 (m/s)

- 14 -
이 모델은 발화원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한 지점에서 연소가스의 온도 및 속도
가 화재의 순간 열방출률과 관련되어 있다는 가정을 전제로 하고 있고, 이러한
전제에서는 화재발생위치로부터 감지기까지 연소가스가 이동하는데 걸리는 시간
을 무시하고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상관성은 대류 열전달률 뿐만 아니라 총 열
방출률에 따라 결정되기 때문에 상관성 도출을 위해 사용한 시험 수치에 비해
대류 분율에 차이가 있을 경우 오차가 발생하게 된다[14]. 기체의 온도 및 속도
가 일정할 경우 기본 열전달 방정식의 해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41, 42].

    
   (17)
 

     

    (18)


              exp   ℃ (19)

 
             exp   ℃ (20)


기체 온도 및 유속이 상수에 가까운 천장 제트 동반성 화재에 대한 열감지


기 응답은 식 (20)을 이용해 모델링할 수 있다. FM Global에서 규정하고 있는
플런지 터널(Plunge tunnel)을 이용하여 국내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정
온식 감지기와 차동식 감지기를 가지고 플런지 터널에 투입한 다음 플런지 터
널 공기속도, 기류온도 등을 측정하고 이를 통하여 국내 화재감지기의 RTI값
을 제시하였는데, 제시된 RTI는 Table 2.1 및 Table 2.2와 같다[43].

Table 2.1 RTI of fixed temperature type heat detector[43]

반도체식 바이메탈식
Sample
No.
A B C D E F G

1 12 8 16 28 701 147 263

2 12 8 20 24 454 171 215

3 12 8 20 24 613 167 199

4 12 8 16 24 490 155 231

5 12 8 16 24 573 179 227

평균 12 8 17.6 24.8 566.2 163.8 227

- 15 -
Table 2.2 RTI of rate-of-rise type heat detector[43]

Sample 반도체식 다이아프램식


No. A′ B′ C′ D′ E′

1 258 194 86 126 90

2 213 176 72 126 150

3 206 194 90 178 104

4 178 203 74 122 119

5 170 192 78 103 100

평균 205 191.8 80 131 112.6

Alpert[38]는 천장 제트 두께가 천장과 연료사이 높이의 약 5∼12 %가 된다


고 보고하였다. 사용자들은 이 범위 내에 있지 않은 감지기 메카니즘을 모델
링할 때에는 주의해야 한다.
이 연구에서는 정상상태 화재와 가까운 천장 제트형 화재의 대표적인 화재
로 n-Heptane pool화재를 발생시키고 감지기 응답시간을 측정하였다. 또한 상
기 식들을 이용하여 기존 연구에서 얻어진 RTI값과 변수들을 이용하여 기류변
화에 따른 영향을 분석하였다.

다. 연기감지기 응답예측
연기 특성은 가연물 조성, 연소 형태(훈소 또는 화염), 그리고 주변공기 혼
합(희석)량의 함수이다. 이들 요인은 입자크기, 분포, 조성, 농도, 굴절지수
(Refractive index) 등과 같은 연소생성물의 특성 결정에 중요하다[44].
산란광, 광투과, 광흡수, 또는 이온전류 감소를 통해서 감지하는 연기감지기
는 입자를 감지하는 감지기라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입자 농도, 크기, 색깔, 크
기 분포 등이 감지 기술에 다르게 영향을 미친다.
일반적으로, 통풍이 잘 이루어지는 강한 불꽃화재는 지름 1 ㎛ 이하 미립자
들이 비교적 큰 비율을 차지하는 연기를 발생하는 반면에 훈소 화재는 대부분
이 ㎛ 단위를 초과하는 큰 미립자들로 이루어진 연기를 발생한다.
연기는 차가워지므로 비교적 작은 입자들이 뭉쳐서 성숙해지면서 비교적 큰
입자를 형성하여 화원에서 멀어져 간다. 모든 연기감지는 연기를 화재 위치에
서 감지기로 이송하는 플룸 및 천장제트 흐름에 의존한다. 시간 및 화원까지
거리에 따라 생기는 연기특성의 변화와 화원에서 감지기까지 연기 이동시간의

- 16 -
변화를 포함하여, 이동시간 동안과 관련한 각종 사항들이 고려되어야 한다.
훈소화재에서, 열에너지는 연기입자를 연기 센서로 이송하는 힘을 준다. 그
러나 연기감지 상황 에서는 대개 열방출량이 적으므로 화재성장속도가 느리
다. 따라서 저에너지 화재를 고려할 때 HVAC 설비의 주변 공기흐름과 같은
요인들, 건물의 난방, 그리고 건물의 냉방이 연기센서로의 연기입자 이송에 주
요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연기 희석은 감지기에 도달하는 연기 중 단위공기부피당 연기 양을 감소시
킨다. 희석은 플룸 또는 천장제트 내로 공기의 유입에 의해서나 HVAC 설비의
영향에 의해서 발생한다.
연기발생량과 플룸 속도가 낮은 경우, 환기율이 높은 강제 환기설비가 가장
큰 영향을 주는데, 화재발달 초기단계에서 그 영향이 가장 크다. 공급측 환기
구와 귀환측 환기구의 공기흐름을 통해서 구획실 안에서 지정된 공기이동패턴
을 만들 수 있으므로 이들 경로 바깥에 있는 감지기로부터 연기를 멀리하거나
직접 공기흐름 경로에 있는 감지기로 연기가 들어갈 수 없게 한다[45].
연기감지기 위치설정에 미치는 연기 희석이나 기류의 영향을 추정하는 정량적
인 방법은 아직 없다. 그러므로 이들 요인은 정성적으로 고찰된다.
스포트형 연기감지기는 감지되기 위해서 연기가 감지챔버로 들어가야 한다.
감지챔버로 연기가 유입되려면, 방충망, 검지실, 천장에 관한 감지기 위치 등,
여러 가지 영향을 받을 수 있으므로, 연기감지기 응답을 추정하려고 할 때는
연기가 감지챔버로 들어가기 위한 요인들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연기감지기의 임계속도는 연기유입 지연으로 인한 큰 시간지연 없이 경보를
발하기 위해서 감지챔버로 들어가기 위해 필요한 연기 최저속도를 가리킨다.
경보는 임계속도 값 보다 낮은 속도에서 발생할 수 있지만 응답이 지연되거나
정상적으로 필요한 연기농도보다 더 높은 농도가 필요할 수 있다.
Brozovski[46]에 따르면, 하나의 특정한 연구에서 실험대상이 된 이온화식
감지기에서 임계속도가 약 0.15 m/s이었다. 속도가 이 임계속도 미만으로 떨어
지면, 경보 조건이 되기 전의 감지기 바깥 연기 농도는, 속도가 임계값을 넘을
때의 연기농도와 비교해서, 급격히 상승하였다. 실대규모 화염화재 시험 시에
이온화식 및 광전식 감지기의 경보 작동시간에 측정된 속도는 일반적으로 이
임계속도 값 미만을 유지하여 평균값은 0.13 m/s이며, 표준편차는 0.07 m/s인
것으로 밝혀졌다[47].

3. 화재시뮬레이션(FDS)에 사용된 모델
화재현상 모델링을 위해선 연소뿐만 아니라 열과 연기의 움직임에 대한 수

- 17 -
치적 계산이 요구된다.
FDS에서 화재로 인한 열과 연기 거동을 해석하기 위해 난류모델, 혼합분율
연소모델, 복사모델, 그리고 가시도모델을 사용하고 있다[48].
가. 난류모델
전산유체역학(CFD)을 이용하여 나비에 스토크스(Navier-Stokes) 방정식을 완
전하게 해석하는 것은 사실상 현재시점에서는 불가능하며, 물리적 고찰과 수
학적 모델를 통한 해석이 뒤따라야 한다. 전산유체역학(CFD)에서 난류를 시뮬
레이션하는데 사용되는 수치해석 기법에는 RANS(Reynold-Averaged
Navier-Stokes, 시간평균 해석법), LES(Large Eddy Simulation, 대와동 모사법)
및 DNS(Direct Numerical Simulation, 직접수치 모사법)가 있다[49].
RANS는 레이놀즈(Reynolds) 수를 평균값으로 가정하여 나비에 스토크스
(Navier-Stokes) 이론을 다룬 식으로, 시간을 평균값으로 계산한다[49]. 즉, 레
이놀즈(Reynolds) 수를 이용해 미세하게 요동치는 변수를 시간에 대한 평균적
인 부분과, 변화하는 부분으로 분리하여 평균적인 것을 일단 계산하고 비선형
적으로 변화하는 부분은 난류모델을 이용하여 따로 계산하여 시뮬레이션의 복
잡성을 줄여 계산효율을 제고하는 기법이다.
LES는 RANS와 다르게 간단한 부분은 크게 잘라서 계산하고, 계산하기에 너
무 복잡한 부분은 따로 분리해서 난류모델을 이용해서 계산하는 기법이다. 예
로, 에어포일 주위의 점성이 작용하는 경계층 영역은 난류모델을 이용하고 그
위쪽의 자유유동은 비점성으로 간주할 수 있는 간단한 부분이니 정확히 계산
으로 가능하다.
DNS는 큰 규모의 난류뿐만 아니라 작은 규모의 난류까지도 직접 계산하는
방식으로 난류모델 없이 계산하기 때문에 장시간이 걸린다[50]. FDS는 난류모
델 중에서 LES와 DNS 기법만을 사용한다[51]. 액체 유동은 거의 모든 경우에
비압축성 유동(Incompressible flow)으로 간주하고, 충분히 Mach 수가 작은 기
체의 유동도 비압축성 유체와 같이 거동한다고 가정한다[49]. 따라서 FDS는
Mach 수를 충분히 낮게 가정하여 Navier-Stokes 방정식을 비압축성 유동에 한
정시킨다[54]. 뉴턴유체에서의 질량, 운동량 및 에너지의 보존법칙은 FDS에서
도 기본적인 보존방정식으로 적용된다[32].

나. 연소모델
FDS에서 사용하는 혼합분율 연소모델은 원료와 연소 생성물을 최초 및 최
종 결과의 반응식만으로 수식화할 뿐 많은 중간과정과 여러 가지 중간 종들이
수반될 수 있는 실제 반응경로를 보여주지는 못하고 이러한 총괄적이고 전체

- 18 -
적인 반응은 단지 상태만을 이용하고, 중간과정을 고려하지 않는 열역학적 시
스템과 유사하다[66].
이론계산, 즉 화학양론적 계산(Stoichiometric calculation)은 혼합물 내의 각
각의 요소에 대하여 원자의 평형을 취함으로써 이루어진다[49]. 그리고 이론공
기량은 생성물에 해리(Dissociation)를 전혀 일으키지 않으면서 연료를 완전연
소 시키는데 필요한 이론적인 공기량이다[66].
혼합분율 연소모델은 혼합된 가스의 전체 질량에서 각각의 가스종당 질량의
비율로 정의를 내릴 수 있다[52]. 연소 시에 생성된 연기의 분율은 원료와 산
소 및 연소 생성물의 비율로 나타내며, 각각의 비율은 0∼1로 나타난다[66].
FDS를 활용한 화재 수치계산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데, 이들 연구 중
에는 혼합분율 연소모델을 적용한 FDS의 신뢰도를 충분히 검증하지 않고 화
재의 수치계산에 적용하는 사례도 많다. FDS를 활용한 화재수치 계산에서 좀
더 신뢰할 수 있는 결과를 얻기 위해서는 FDS에 채택되어 있는 연소모델이
화염의 기본 연소특성에 대해 어떠한 예측 성능을 보이는 지 구체적으로 검토
할 필요가 있다[53].

다. 복사모델
에너지 전달은 대류, 전도 또는 복사의 형태로 구분된다. 대류 형태에 의한
열전달은 기본적으로 에너지보존의 법칙에 따라 표현이 가능하다. 그러나 전
도나 복사에 의한 열전달은 경계면에서 흡수와 방출의 상호작용에 의한 것이
므로, 복사열의 흡수 및 방출을 모두 계산으로 해석하는 것은 한계가 있다. 따
라서 FDS에서는 기본적으로 완전 복사체 또는 흑체에 적용하는 모델을 설정
하여 활용한다[49].

- 19 -
Ⅲ. 감지기 설치 및 실험 관련 기준

1. 화재감지기
화재안전 목표에는 인명 및 재산 보호, 사업운영의 지속성, 역사적 가치 보
존 그리고 환경 보호가 포함된다[55]. 자동화재탐지설비 구성요소의 하나인 화
재감지기는 화재생성물인 열, 연기, 불꽃 등을 센서에 의해 감지하여 수신반으
로 신호를 전송하여 관계자 및 거주자에게 화재사실의 통보 및 연동 설비를
작동시키기 위한 신호발생 센서이다[56].
화재감지기는 화재가 발전함에 따라 생기는 생성물을 감지하여 화재사실을
알려준다. 화재의 발전 단계는 초기인 열분해 단계, 연기를 발생시키는 단계,
화염을 발생시키는 단계, 열을 발생하여 축적시키는 단계로 분류할 수 있다.
화재감지기는 인명 및 재산보호를 위한 센서로서 화재발전 단계 중 초기 단계
에서 생기는 연기, 열 등 생성물을 감지할 수 있어야 가장 효과적이다[57].
지금까지 우리나라에서 설치되는 화재감지기는 화재 발전단계에 따라 열감
지, 연기감지, 불꽃감지 등으로 구분하여 사용되고 있다. 열분해 단계에서는
연기감지기, 불꽃이 발생하는 단계에서는 불꽃감지기, 열이 축적하는 단계에선
열감지기가 사용되는 것이다. 현재 건축물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감지
기는 열감지기이며, 화재의 조기감지를 위해서는 연기감지기 사용이 바람직하
다. 본 연구에서 천장 공조기류의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실시한 화재실험과
화재모델링에 건물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열감지기와 조기감지에 효과
적인 연기감지기를 사용하였다.

2. 화재감지기 설치 기준
우리나라 감지기 설치기준과 미국의 감지기 설치기준을 비교하면, 결론적으
로는 유사한 개념이지만, 설계의 출발점은 다르다. 미국은 감지기별 설치 간
격을 시험을 통해 확인한 후 등록하게 하고 그 등록 간격을 기초로 배치 설계
를 하도록 되어있다. 반면에 우리나라는 설치 간격이 아닌 감지기 한 개당
포용면적을 정하여 설치하게 하되 세부적으로 감지기 설치 위치에 대하여는
규정하지 않고 있다. 이에 따라 천장이 높은 곳에 감지기를 설치할 경우에는
우리나라는 포용면적을 감소시키거나 감도가 우수한 감지기를 설치하게 하고,
미국은 등록된 간격을 축소시켜 배치 설계를 하도록 하고 있다.
가. 한국의 화재감지기 설치기준
화재감지기는 주위의 환경여건에 민감하게 반응하므로 먼지, 수증기, 난방

- 20 -
등을 고려하여 감지기의 형별, 종별을 선택하고 유지보수관리 등을 감안하여
설치해야 만 비화재보 등으로 인한 혼란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조기에 화재를
발견하여 신뢰성 있는 경보를 발할 수 있게 된다[58].
1) 자동화재탐지설비의 감지기는 Table 3.1과 같이 부착높이에 따른 감지기를 설
치하여야 한다. 다만, 지하층․무창층 등으로서 환기가 잘되지 아니하거나 실내
면적이 40 ㎡ 미만인 장소, 감지기의 부착면과 실내바닥과의 거리가 2.3 m 이
하인 곳으로서 일시적으로 발생한 열․연기 또는 먼지등으로 인하여 화재신호를
발신할 우려가 있는 장소(제5조제2항 본문의 규정에 따른 수신기를 설치한 장
소를 제외한다)에는 불꽃감지기, 정온식감지선형감지기, 분포형감지기, 복합형
감지기, 광전식분리형감지기, 아날로그방식의 감지기, 다신호방식의 감지기, 축
적방식의 감지기 중 적응성 있는 감지기를 설치하여야 한다.

Table 3.1 Types of detectors by attachment height[58]

부착높이 감지기의 종류
차동식 (스포트형, 분포형)
보상식 스포트형
정온식 (스포트형, 감지선형)
이온화식 또는 광전식 (스포트형, 분리형, 공기흡입형)
4m 미만
열복합형
연기복합형
열연기복합형
불꽃감지기
차동식 (스포트형, 분포형)
보상식 스포트형
정온식 (스포트형, 감지선형) 특종 또는 1종
이온화식 1종 또는 2종
4m 이상
광전식(스포트형, 분리형, 공기흡입형) 1종또는 2종 열복합형
8m 미만
연기복합형
열연기복합형
불꽃감지기
차동식 분포형
8m 이상 이온화식 1종 또는 2종
15m 미만 광전식(스포트형, 분리형, 공기흡입형) 1종 또는 2종 연기복합형
불꽃감지기
이온화식 1종
15m 이상
광전식(스포트형, 분리형, 공기흡입형) 1종 연기복합형
20m 미만
불꽃감지기
불꽃감지기
20m 이상
광전식(분리형, 공기흡입형)중 아나로그방식
비고) 1) 감지기별 부착높이 등에 대하여 별도로 형식승인 받은 경우에는
그 성능 인정범위내에서 사용할 수 있다
2) 부착높이 20 m 이상에 설치되는 광전식중 아나로그방식의 감지기는
공칭감지농도 하한값이 감광율 5 %/m 미만인 것으로 한다.

- 21 -
2) 다음 각호의 장소에는 연기감지기를 설치하여야 한다.
다만, 교차회로방식에 따른 감지기가 설치된 장소 또는 제1항 단서 규정에
따른 감지기가 설치된 장소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가) 계단 및 경사로(15 m 미만의 것을 제외한다)
나) 복도(30 m 미만의 것을 제외한다)
다) 엘리베이터권상기실․린넨슈트․파이프덕트 기타 이와 유사한 장소
라) 천장 또는 반자의 높이가 15 m 이상 20 m 미만의 장소
마) 다음 각 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특정소방대상물의 취침·숙박·입원
등 이와 유사한 용도로 사용되는 거실 <신설 2015. 1. 23.>
(1) 공동주택·오피스텔·숙박시설·노유자시설·수련시설
(2) 교육연구시설 중 합숙소
(3) 의료시설, 근린생활시설 중 입원실이 있는 의원·조산원
(4) 교정 및 군사시설
(5) 근린생활시설 중 고시원

3) 감지기는 다음 각호의 기준에 따라 설치하여야 한다.


다만, 교차회로방식에 사용되는 감지기, 급속한 연소확대가 우려되는 장소
에 사용되는 감지기 및 축적기능이 있는 수신기에 연결하여 사용하는 감지
기는 축적기능이 없는 것으로 설치하여야 한다.
가) 감지기(차동식분포형의 것을 제외한다)는 실내로의 공기유입구로부터 1.5
m 이상 떨어진 위치에 설치할 것
나) 감지기는 천장 또는 반자의 옥내에 면하는 부분에 설치할 것
다) 보상식 스포트형감지기는 정온점이 감지기 주위의 평상시 최고온도보다
20 ℃ 이상 높은 것으로 설치할 것
라) 정온식감지기는 주방․보일러실 등으로서 다량의 화기를 취급하는 장소에
설치하되, 공칭작동온도가 최고주위온도보다 20 ℃ 이상 높은 것으로 설
치할 것
마) 차동식스포트형․보상식스포트형 및 정온식스포트형 감지기는 Table 3.2에
따라 부착높이 및 소방대상물에 따라 해당 바닥면적마다 1개 이상을 설치
할 것

- 22 -
Table 3.2 Coverage area of spot type heat detectors by attachment height
and building structure[58]
포용 면적(㎡)
부착높이 및 차동식 보상식 정 온 식
소방대상물의 구분 스포트형 스포트형 스포트형
1종 2종 1종 2종 특종 1종 2종
주요구조부를 내화구조
로 한 소방대상물 또는 90 70 90 70 70 60 20
4 m
그 부분
미만
기타 구조의 소방대상물
50 40 50 40 40 30 15
또는 그 부분
주요구조부를 내화구조
4 m
로 한 소방대상물 또는 45 35 45 35 35 30
이상
그 부분
8 m
기타 구조의 소방대상물
미만 30 25 30 25 25 15
또는 그 부분

바) 스포트형감지기는 45°이상 경사되지 아니하도록 부착할 것


사) 공기관식 차동식분포형감지기는 다음의 기준에 따를 것
(1) 공기관의 노출부분은 감지구역마다 20 m 이상이 되도록 할 것
(2) 공기관과 감지구역의 각변과의 수평거리는 1.5 m 이하가 되도록 하고, 공
기관 상호간의 거리는 6 m(주요 구조부를 내화구조로 한 소방대상물 또
는 그 부분에 있어서는 9 m) 이하가 되도록 할 것
(3) 공기관은 도중에서 분기하지 아니하도록 할 것
(4) 하나의 검출부분에 접속하는 공기관의 길이는 100 m 이하로 할 것
(5) 검출부는 5° 이상 경사되지 아니하도록 부착할 것
(6) 검출부는 바닥으로부터 0.8 m 이상 1.5 m 이하의 위치에 설치할 것
아) 열전대식 차동식분포형감지기는 다음의 기준에 따를 것
(1) 열전대부는 감지구역의 바닥면적 18 ㎡(주요구조부가 내화구조로 된 소방
대상물에 있어서는 22 ㎡)마다 1개 이상으로 할 것. 다만, 바닥면적이 72
㎡(주요구조부가 내화구조로 된 소방대상물에 있어서는 88 ㎡) 이하인 소
방대상물에 있어서는 4개 이상으로 하여야 한다.
(2) 하나의 검출부에 접속하는 열전대부는 20개 이하로 할 것. 다만, 각각의
열전대부에 대한 작동여부를 검출부에서 표시할 수 있는 것(주소형)은 형
식승인 받은 성능인정범위내의 수량으로 설치할 수 있다.
자) 열반도체식 차동식분포형감지기는 다음의 기준에 따를 것
(1) 감지부는 그 부착높이 및 소방대상물에 따라 Table 3.3에 따른 바닥면적
마다 1개 이상으로 할 것. 다만, 바닥면적이 Table 3.3에 따른 면적의 2배

- 23 -
이하인 경우에는 2개(부착높이가 8 m 미만이고, 바닥면적이 Table 3.3에
따른 면적 이하인 경우에는 1개) 이상으로 하여야 한다.

Table 3.3 Coverage area of distributed type heat detectors by attachment


height and building structure[58]
포용 면적(㎡)
부착높이 및 소방대상물의 구분
1종 2종
주요구조부가 내화구조로된 소
65 36
방대상물 또는 그 구분
8 m 미만
기타 구조의 소방대상물 또는
40 23
그 부분
주요구조부가 내화구조로 된 소
50 36
8 m 이상 방대상물 또는 그 부분
15 m 미만 기타 구조의 소방대상물 또는
30 23
그 부분

(2) 하나의 검출기에 접속하는 감지부는 2개 이상 15개 이하가 되도록 할 것.


다만, 각각의 감지부에 대한 작동여부를 검출기에서 표시할 수 있는 것(주
소형)은 형식승인 받은 성능인정범위내의 수량으로 설치할 수 있다.
차) 연기감지기는 다음의 기준에 따라 설치할 것
(1) 감지기의 부착높이에 따라 Table 3.4에 따른 바닥면적마다 1개 이상으로
할 것

Table 3.4 Coverage area of spot type smoke detectors by attachment height[58]
포용 면적(㎡)
부착 높이
1종 및 2종 3종
4 m 미만 150 50

4 m 이상 20 m 미만 75

(2) 감지기는 복도 및 통로에 있어서는 보행거리 30 m(3종에 있어서는 20 m)


마다, 계단 및 경사로에 있어서는 수직거리 15 m(3종에 있어서는 10 m)
마다 1개 이상으로 할 것
(3) 천장 또는 반자가 낮은 실내 또는 좁은 실내에 있어서는 출입구의 가까운
부분에 설치할 것
(4) 천장 또는 반자부근에 배기구가 있는 경우에는 그 부근에 설치할 것
(5) 감지기는 벽 또는 보로부터 0.6 m 이상 떨어진 곳에 설치할 것

- 24 -
카) 열복합형감지기의 설치에 관하여는 제3호 내지 제9호의 규정을, 연기복합
형감지기의 설치에 관하여는 제10호의 규정을, 열연기복합형감지기의 설
치에 관하여는 제5호 및 제10호 나목 내지 마목의 규정을 준용하여 설치
할 것
타) 정온식감지선형 감지기는 다음의 기준에 따라 설치할 것
(1) 보조선이나 고정금구를 사용하여 감지선이 늘어지지 않도록 설치할 것
(2) 단자부와 마감 고정금구와의 설치간격은 10 ㎝ 이내로 설치할 것
(3) 감지선형 감지기의 굴곡반경은 5 ㎝ 이상으로 할 것
(4) 감지기와 감지구역의 각부분과의 수평거리가 내화구조의 경우 1종 4.5 m
이하, 2종 3 m 이하로 할 것. 기타 구조의 경우 1종 3 m 이하, 2종 1 m
이하로 할 것
(5) 케이블트레이에 감지기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케이블트레이 받침대에 마감
금구를 사용하여 설치할 것
(6) 지하구나 창고의 천장 등에 지지물이 적당하지 않는 장소에서는 보조선을
설치하고 그 보조선에 설치할 것
(7) 분전반 내부에 설치하는 경우 접착제를 이용하여 돌기를 바닥에 고정시키
고 그 곳에 감지기를 설치할 것
(8) 그 밖의 설치방법은 형식승인 내용에 따르며 형식승인 사항이 아닌 것은
제조사의 시방(Specification)에 따라 설치할 것
파) 불꽃감지기는 다음의 기준에 따라 설치할 것
(1) 공칭감시거리 및 공칭시야각은 형식승인 내용에 따를 것
(2) 감지기는 공칭감시거리와 공칭시야각을 기준으로 감시구역이 모두 포용될
수 있도록 설치할 것
(3) 감지기는 화재감지를 유효하게 감지할 수 있는 모서리 또는 벽 등에 설치
할 것
(4) 감지기를 천장에 설치하는 경우에는 감지기는 바닥을 향하여 설치할 것
(5) 수분이 많이 발생할 우려가 있는 장소에는 방수형으로 설치할 것
(6) 그 밖의 설치기준은 형식승인 내용에 따르며 형식승인 사항이 아닌 것은
제조사의 시방에 따라 설치할 것
하) 아날로그방식의 감지기는 공칭감지온도범위 및 공칭감지농도범위에 적합
한 장소에, 다신호방식의 감지기는 화재신호를 발신하는 감도에 적합한
장소에 설치할 것. 다만, 이 기준에서 정하지 않는 설치방법에 대하여는
형식승인 사항이나 제조사의 시방에 따라 설치할 수 있다.
거) 광전식분리형감지기는 다음의 기준에 따라 설치할 것

- 25 -
(1) 감지기의 수광면은 햇빛을 직접 받지 않도록 설치할 것
(2) 광축(송광면과 수광면의 중심을 연결한 선)은 나란한 벽으로부터 0.6 m 이
상 이격하여 설치할 것
(3) 감지기의 송광부와 수광부는 설치된 뒷벽으로부터 1 m 이내 위치에 설치
할 것
(4) 광축의 높이는 천장 등(천장의 실내에 면한 부분 또는 상층의 바닥하부면
을 말한다) 높이의 90 % 이상일 것
(5) 감지기의 광축의 길이는 공칭감시거리 범위이내 일 것
(6) 그 밖의 설치기준은 형식승인 내용에 따르며 형식승인 사항이 아닌 것은
제조사의 시방에 따라 설치할 것

4) 상기 다항의 규정에 불구하고 다음 각호 장소에는 각각 광전식 분리형감지


기 또는 불꽂감지기를 설치하거나 광전식 공기흡입형감지기를 설치할 수
있다.
가) 화학공장․격납고․제련소등 : 광전식분리형감지기 또는 불꽃감지기. 이 경우
각 감지기의 공칭감시거리 및 공칭시야각 등 감지기 성능을 고려하여야
한다.
나) 전산실 또는 반도체 공장등 : 광전식공기흡입형감지기. 이 경우 설치장소․
감지면적 및 공기흡입관의 이격거리등은 형식승인 내용에 따르며 형식승
인 사항이 아닌 것은 제조사의 시방에 따라 설치하여야 한다.

5) 다음 각호의 장소에는 감지기를 설치하지 아니한다.


가) 천장 또는 반자의 높이가 20 m 이상인 장소. 다만, 제1항 단서 각호의 감
지기로서 부착높이에 따라 적응성이 있는 장소는 제외한다.
나) 헛간 등 외부와 기류가 통하는 장소로서 감지기에 따라 화재발생을 유효
하게 감지할 수 없는 장소
다) 부식성가스가 체류하고 있는 장소
라) 고온도 및 저온도로서 감지기의 기능이 정지되기 쉽거나 감지기의 유지관
리가 어려운 장소
마) 목욕실·욕조나 샤워시설이 있는 화장실·기타 이와 유사한 장소
바) 파이프덕트 등 그 밖의 이와 비슷한 것으로서 2개 층마다 방화구획된 것
이 나 수평단면적이 5 ㎡ 이하인 것
사) 먼지․가루 또는 수증기가 다량으로 체류하는 장소 또는 주방 등 평시에 연
기가 발생하는 장소(연기감지기에 한한다)

- 26 -
아) 프레스공장, 주조공장 등 화재발생의 위험이 적은 장소로서 감지기의 유지
관리가 어려운 장소

6) 지하구 또는 터널에 설치하는 감지기는 제1항 각호의 감지기로서 먼지․습


기 등의 영향을 받지 아니하고 발화지점을 확인할 수 있는 감지기를 설치
하여야 한다.

7) 제1항단서의 규정에도 불구하고 일시적으로 발생한 열․연기 또는 먼지 등으


로 인하여 화재신호를 발신할 우려가 있는 장소에는 그 장소에 적응성 있
는 감지기를 설치할 수 있으며, 연기감지기를 설치할 수 없는 장소에는 별
표에 따라 적용하여 설치할 수 있다.

나. 미국의 화재감지기 설치기준


1) 화재감지에 대한 다음의 요소는 방화구역별로 분석․평가되어야 한다.
- 방화지역의 가연물질의 형태
- 예측가능한 화재시나리오의 형태
- 기타 천장높이, 층화(Stratification), 천장형태, 실내환기 및 온도
2) 설계 변수(Parameter)
가) 천장 높이
천장높이의 증가는 부력의 감소를 가져와 감지시간의 지연을 초래한다. 천
장높이에 따른 설치간격의 감소계수를 적용한다.
나) 층화(Stratification)
실내 공기의 층화현상으로 천장에 부착된 감지기로 열, 연기기류의 전달을
방해하는 요소이다. 층화현상은 연소시 발생한 연기입자를 포함된 공기가
지연연소나 연소물질에 의해 가열되어 주위의 공기보다 낮은 농도가 될 때
발생하고, 그 연기와 주위온도사이 온도차가 없는 수준에 다다를 때까지 상
승한다.
지연화재나 층화현상이 일어날 우려가 있는 장소에서는 감지기를 2단계화
하여 설치한다.
다) 천장의 형태
천장 형태는 감지기 설치개수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감기지 수량에 영향을
준다. 천장 형태는 편평한 천정(경사도가 100 mm/m이하의 평평한 천장)과
경사진 천장(경사도가 100 mm/m이상의 경사도를 가진 뾰족한 천장 또는 차
고형태의 천장)으로 나뉜다.

- 27 -
천장표면의 형태에는 빔(Beam) 구조, Girder 구조, Solid joist 구조, Smooth
구조(천장 하부에 100 mm이상의 돌출된 구조물이 없는)로 나뉜다.

3) 열감지기(Heat detector)
가) 천장 설치의 경우에는 벽으로부터 4인치 이상의 천장에 설치하고, 천장에
서 18 인치 이상 돌출된 파티션이나 모든 벽으로부터 등록된 간격의 1/2
거리 이내에 설치해야 한다. Fig. 3.1과 같이 모든 지점에서 등록된 간격의
0.7배 이내가 되도록 설치해야 한다.

Fig. 3.1 Installation spacing of heat detector[59].

나) 스포트형 열감지기의 평평한 천장에 대한 최대 설치간격은 Fig. 3.2와 같은


Full scale fire test에 의해 결정한다. 실제 설계 시 정사각형의 설계보다
직사각형 또는 원형의 설계가 대부분이며 화재 시 열확산분포모델은 모든
방향으로 확산되는 원형 확산모델로 실제 원형으로 설계 시 등록간격의
0.7 배의 반지름을 작은 원으로 간주하여 설치간격을 결정한다[59].

- 28 -
Fig. 3.2 Lay out of fire test of spot-type heat detector[59].

다) 대부분 정사각형, 원형보다는 직사각형 설계가 주를 이루며 이 경우 한 변


을 작게 하면 다른 긴 변은 감지기의 설치간격을 초과하여도 감지 효용성
손실을 초래하지 않는다(감지면적 고려). 직사각형의 대각선은 원의 직경
을 초과하지 않는다면 하나의 감지기를 설치하여도 무방하다. 직사각형으
로 설계 시 감지기의 실제 경계구역은 작아지므로 효율성이 증가한다.(정
사각형의 경우가 면적이 최대)

4) 연기감지기(Smoke Detector)
가) 연기의 확산과 유동현상을 공학적으로 검토, 그 결과에 따라 감지기 설치
하는데, 연기의 확산과 유동은 천장의 형태, 천장높이, 물질의 연소특성,
연료의 배치, 실의 개구부, HVAC 설비에 영향을 받는다. 천장, 벽으로부터
의 이격거리는 열감지기와 동일하게 적용한다. Beam의 깊이가 12인치이
하, 중심간 간격이 8 피트 이하이면 Beam하부에 설치가 가능하다. 광전
식 분리형의 경우 천정면의 20인치 이내로 천정면과 평행으로 설치하되,
Mirror를 사용하는 경우 감소계수(33 %/개)를 적용한다. Sloped ceiling 구
조의 경우 열감지기와 동일하게 적용한다. Peaked ceiling 구조의 경우
Peak에서 3 피트 이내에 설치한다.

- 29 -
나) 연기감지기의 설치환경에서 공기유동현상은 감지기의 응답특성에 큰 영향
을 미치므로 공기유속이 높은 공간(HVAC)에서는 연기감지기 설계가 복잡
하다.
배기부분에 연기감지기를 설치해도 되지만, 급기부에서의 연기유입은 차폐
되어야 한다. NFPA 90(Standard for the installation of air conditioning and
ventilating systems)[58]에서는 실내용 감지기 사용을 권장하지 않고 Duct용
감지기 적용을 권장하고 있다.
실내 유속이 있는 공간에서는 연기감지기의 설치간격이 감소되어야 하고,
유속과 경계구역 면적은 반비례 관계에 있다.

5) 열 및 연기감지기 설치 온도 조건
연기감지기는 주위 온도가 0 ℃이상 37.7 ℃이하의 환경에서 설치할 수 있
고, 열감지기는 Table 3.5와 같이 주위온도에 따라 설치 가능한 감지기가 분
류된다.

Table 3.5 Temperature ranges and colors of heat detectors[59]

온도등급 온도범위(℃) 천장 최고온도(℃) 색상코드

저온(Low) 39 - 57 28 무색

보통(Ordinary) 58 - 79 47 무색

중간(Intermediate) 80 - 121 69 흰색
고온(High) 122 - 162 111 청색

고고온(Extra high) 163 - 204 152 적색

극고온(Very extra high) 205 - 259 194 녹색

초고온(ultra high) 260 - 302 249 주황색

다. 기류환경에서 화재감지기 설치기준


1) 국내 기준
가) 우리나라 자동화재탐지설비 및 시각경보장치의 화재안전기준(NFSC 203)[60]
제7조 제3항 제2호에서 화재감지기는 천장이나 반자에 부착하여 설치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그 이유는 화재시 발생한 열 및 연기는 밀도 차이에 의한
부력에 의해 천장제트 기류를 형성하면서 흐르기 때문이다[61].
나) 우리나라 자동화재탐지설비 및 시각경보장치 화재안전기준(NFSC 203)[60]
제7조 제3항 제1호에서 “감지기(차동식분포형의 것을 제외한다.)는 실내

- 30 -
로의 공기유입구로부터 1.5 m 이상 떨어진 위치에 설치할 것”으로 규정
하고 있다.
다) 연기감지기는 천장제트기류가 벽 또는 보 가까이 까지는 않을 것으로 보
고 자동화재탐지설비 및 시각경보장치 화재안전기준(NFSC 203) [60] 제7조
제3항 제10호에서 “연기감지기는 벽 또는 보로부터 0.6 m 이상 떨어진
곳에 설치할 것”으로 정하고 있다.
라) 외부 기류가 형성되는 곳은 화재감지기 작동이 어려우므로 설치대상에서
제외시켜 주고 있다.
마) 천장 또는 반자부근에 배기구가 있는 경우에는 그 부근에 연기감지기를
설치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2) 미국 기준
가) 미국 NFPA 72 규격[62]에서 2013년 전에는 화재로 인한 천장제트 열기류
가 온도저하로 인해 형성되기 어려운 벽으로부터 100 mm 이내의 천장부
분에는 감지기를 설치하지 못하도록 규정하고 천장으로부터 100 mm부터
300 mm까지의 벽에는 설치가 가능한 것으로 규정하였으나 2013년 이후
천장에는 어디에나 설치할 수 있고 벽에도 300 mm까지는 설치할 수 있도
록 하고 있다[61].
나) 공조설비 기류 흐름이 연기가 연기감지기로 이동하는 것을 방해하므로 연
기감지기를 공조설비의 급기디퓨저 또는 리턴 통풍구로부터 0.9 m 이상
이격시켜 배치해야 한다.
다) 실내의 공기유속이 약 1.5 m/s를 초과하게 되면 이온화식감지기는 작동특
성에 영향을 받을 수 있기 때문에 광전식감지기, 광전식분리형연기감지기,
공기흡입형연기감지기를 적용할 것을 권장하고 있다[61,62]..

3. 감지기 실험 관련 기준
화재감지기는 Room scale 화재실험을 통해 실제 설치 환경에서 그 화재감
지기의 응답성능을 확인하는 것이 가장 실제적이고 합리적이다. 이와 같은 실
규모의 화재시험 방법은 국제규격인 ISO 기준, 미국 UL기준, 그리고 우리나라
의 감지기 우수품질인증 기술기준이 있다.
가. ISO 7240-9 기준[63]
1) 기준명 : Fire detection and alarm systems - Part 9: Test fires for fire
detectors

- 31 -
2) 시험 환경
시험장 규모는 길이 10 m±1 m, 폭 7 m±1 m, 높이 4 m±0.2 m 로서, 시
험실 주위온도는 15 ℃∼35 ℃, 시험실 상대습도는 25 %∼75 %로 유지해야
한다.

3) 시험 방법
가) 개방 목재화재 시험(TF-1)
(1) 10 ㎜×20 ㎜×250 ㎜ 크기의 건조된 너도밤나무 막대 70개를 Fig. 3.3과
같이 7개 층으로 쌓는다.

Fig. 3.3 Arrangement of wooden cribs[63].

(2) (가)항의 목재 크립(crib) 중앙부에 직경 5 cm의 용기를 놓은 상태에서 용


기에 메탄올을 약 0.5 ㎤ 붓고 점화스파크 장치를 이용하여 메탄올에 점화
시킨다.
(3) 메탄올의 화염에 의해 목재에 점화가 된 시점부터 370초 동안 목재의 연
소상태를 유지하고 370초가 경과된 시점에서 목재연소에서 발생되는 연기
에 의해 시험체의 작동시간을 측정한다.
나) 목재 훈소화재 시험(TF-2)
(1) 75 ㎜×25 ㎜×20 ㎜ 크기의 건조된 너도밤나무 막대 10개를 Fig. 3.4와 같
이 가열판 위에 놓는다.

- 32 -
Fig. 3.4 Wood arrangement on hot plate[63].

(2) 가열판은 220 ㎜ 직경으로 홈이 파인 표면을 가지고 있고, 홈과 홈사이의


거리는 3 ㎜이며, 2 kW의 용량을 가지고 있다.
(3) 가열판에 전원을 인가하여 목재의 연소상태를 840초간 유지하고, 840초가
경과된 시점에서 목재연소에서 발생되는 연기에 의해 작동시간을 측정한
다.
다) 면심지 훈소화재 시험(TF-3)
(1) 길이 약 80 cm, 무게 약 3 g의 면심지 90개를 Fig. 3.5와 같이 링에 고정시
키고 불연 플레이트 약 1 m 위에 매단다[64].

Fig. 3.5 Arrangement of cotton wicks[63].

- 33 -
(2) 각 심지의 아래 쪽 끝에서 연속적으로 훈소하도록 점화기로 점화시키고,
불이 붙은 경우에는 즉시 끄도록 한다.
(3) 모든 면심지가 훈소하기 시작할 때부터 시험이 시작된 것으로 하며 면심
지가 훈소상태를 750초간 유지하고, 750초가 경과된 시점에서 면심지에서
발생되는 연기에 의해 시험체의 작동시간을 측정한다[64].
라) 가연성 플라스틱(폴리우레탄) 화재 시험(TF-4)
(1) 난연제가 첨가되지 않은 약 20 kg/㎥의 밀도를 갖는 연질 폴리우레탄 폼,
약 50 cm×50 cm×20 cm의 매트 3장을 모서리가 위로 접혀진 알루미늄
호일 위에 깔고 다른 매트 상부에 매트를 쌓는다.
(2) 폴리우레탄 매트 모서리에 점화기로 점화시킨다.
(3) 폴리우레탄 매트가 연소하기 시작할 때부터 시험이 시작된 것으로 하며
매트의 연소상태를 180초간 유지하고, 180초가 경과된 시점에서 매트에서
발생되는 연기에 의해 시험체의 작동 시간을 측정한다.
마) 가연성 액체(n-Heptane) 화재 시험(TF-5)
(1) n-Heptane(순도 99 %)에 톨루엔(순도 99 %) 3 % 혼합한 혼합물 650 g를
크기 33 cm×33 cm×5 cm의 정사각형 강철 용기에 붓는다.
(2) 점화스파크로 점화시킨 후 n-Heptane 연소상태를 240초간 유지하고, 240
초가 경과된 시점에서 n-Heptane 연소에서 발생되는 연기에 의해 시험체
의 작동 시간을 측정한다.
바) 알코올화재 시험(TF-6)
(1) 10 %의 변성제 불순물이 혼합된 최소 90 %의 에탄올에 메틸을 혼합한 메
틸화 알콜 2.5 L를 크기 43.5 cm×43.5 cm×5 cm의 정사각형 강철 용기
에 붓는다.
(2) 점화 스파크로 점화시킨 후 알코올 연소상태를 450초간 유지하고, 450초가
경과된 시점에서 시험체의 응답 시간을 측정한다.
사) 훈소 면화재 시험(TF-9)
(1) 크기 50 cm×100 cm이고 540 g/㎡의 밀도를 갖는 면 100 %인 수건을 Fig.
3.6과 같이 3번 접어서 직사각형 형태로 만들어 모서리가 위로 접혀진 알
루미늄 호일 위에 놓는다.

- 34 -
1 첫 번째 접는 부위
2 두 번째 접는 부위
3 세 번째 접는 부위
4 점화용 저항선

Fig. 3.6 Arrangement of resistance wire for ignition[63].

(2) 저항선을 20 V/5 A의 전원공급기에 연결하고 시험 시작과 동시에 전원공


급기에 전원을 30초 동안 투입한다.
(3) 저항선에 의해 면이 훈소되는 상태를 30초간 유지하고 30초가 경과된 시
점에서 면의 훈소에 의해 발생되는 연기에 의해 시험체의 응답 시간을 측
정한다.

나. UL 기준 [65]
1) 화재시험 조건
연기감지기는 정한 위치에 설치되어 4종류의 제어된 시험 화재에 노출될 때
연속(지속적이거나 펄스 형태의) 경보를 발생한다. 최초 연기 유입과 함께 경
보 펄스를 발생하는 비펄스 경보를 가진 감지기에 대해, 연속 경보는 최소 5
초 이상 연속(비펄스식) 되어야 한다. 불꽃화재시험에서 반응시간은 4분을 넘
지 않아야 한다. 모든 가연성 물질은 명시된 바와 같은 장치를 이용하여 점화
되어야 한다. 모든 가연성 물질을 담은 용기 밑 부분은 바닥으로부터 0.9 m
위에 있어야 한다. 종이 및 나무 불티는 모두 시험 전에 최소 48시간 동안
23±2 ℃의 온도, 50±5 %의 상대습도에서 미리 양생되어야 한다.
미리 조정된 경보 환경을 가진 감지기를 이용하는 대신에, 시험시도 과정에
서 감지기 감도의 아날로그 출력(전기 측정)을 제공하기 위한 장치를 구비한
감지기를 이용할 수도 있다. 그런 다음, 감지기는 전기적으로 판독된 것을 감
광 측정치로 변환하기 위해 기록된 아날로그 출력을 가진 연기 박스 안에서
감도 시험을 거친다. 재조정 후에 반복 시험을 수행하지 않고도 이러한 배열
을 이용하여 최소 생산 감도 환경을 얻을 수 있다. 이 방법은 훈소 연기 시험
을 위해 이용할 수도 있다.

- 35 -
가) 종이화재 시험
다음 물질 및 절차는 종이 화재 시험에 사용된다. 시험 장치의 수치 및 위
치는 참고를 위한 것이다. 수치 및 위치는 적정 증가율을 얻을 수 있는 한
변경될 수 있다.
(1) 화원
신문(흑백만 가능)을 (6∼10) mm 너비, (25.4∼102) mm 길이, 총 무게 42.6
g의 긴 조각으로 자른다. 자른 종이를 임시적으로 평평한 판으로 덮인 바
닥을 가진 리셉터클((나) 참조)에 넣는다. 종이 내용물이 리셉터클의 맨 위
쪽과 같은 높이가 될 때까지, 리셉터클은 주기적으로 막는다. 그런 다음,
종이는 레벨이 리셉터클의 맨 위쪽 모서리 아래로 101.6 mm가 될 때까지,
손이나 직경 25.4 mm 봉으로 막는다. 직경이 직경 25.4 mm인 구멍은 종
이 꼭대기로부터 바닥까지 중앙을 관통하여 형성된다. 임시 바닥판을 제
거하고 조립품은 바닥으로부터 0.9 m 위에 있는 127 mm 직경의 고리 지
지대위에 장착된다[66].
(2) 리셉터클
0.8 mm 두께의 박판으로 형성되며, 직경이 102 mm, 높이가 0.3 m이고, 솔
기에 에어 갭이 없도록 바닥에서 152 mm 직사각형의 지지 플랜지와 연결
된다.
(3) 점화원
점화기의 프로브 팁은 리셉터클의 바닥 중앙 부분에 놓고 최대 5초까지 아
크가 유지된다.
(4) 연기농도 증가 예상도
(가) 화염 누출(Flame breakthrough)는 1∼3분 사이에 일어난다.
(나) 제1차 원리 피크는 1 ∼ 3분 사이에 일어난다.
(다) 연기는 천장 감지기 위치에서 64.4∼78.1 %/m 에서, 각 측벽 위치에서는
54.8 ∼ 78.1 %/m 에서 최고값을 가진다.
(라) 천장 감지기 위치에서 12.56 %/m 이상이 20∼40초 동안 지속되며, 측벽
감지기 위치에서는 29.26 %/m 이상이 10∼30초 동안 지속된다.
(마) 제2차 피크는 어떤 감지기의 위치에서도 36.7 %/m 을 초과하지 않는다.
(바) 시험 시간은 4분이다.
나) 목재화재 시험
다음의 물질 및 절차는 목재 화재 시험을 위해 사용된다. 시험 장치의 수
치 및 위치는 참고를 위한 것이다. 수치 및 위치는 적정 증가율을 얻을 수
있는 한 변경될 수 있다.

- 36 -
(1) 화원
인공건조 퍼 스트립(fir strip)으로 이루어진 3층 구조의 나무 불티로, 각 스
트립은 단면이 19.1 mm 직사각형이며, 길이가 152 mm로 각 층에 6개의
스트립이 포함되어 있다. 나무 스트립은 직각으로 인접한 층과 못이나 스
테이플로 연결된다. 나무 불티의 전체적인 치수는 (152×152×64) mm이
다. 불티는 시험실 바닥으로부터 0.9 mm 위에 있는 127 mm 직경의 링
지지대 상에서 지지된다.
(2) 촉진제
나무 불티는 변성물로서 5 %의 메타놀이 첨가된 190 프루프(95 %) 에탄올
로 이루어진 변성된 알코올 4 ㎖를 태워 점화된다. 알코올은 직경 38 mm,
깊이 25.4 mm의 금속 용기에 놓여지며, 그 금속 용기의 바닥은 나무 불티
의 바닥으로부터 89 mm 아래에 있으며 중앙에 위치하여, 화염이 나무 불
티의 맨 위쪽을 통해 누출되지 않도록 한다. 용기는 6.4 mm 하드웨어 천
(cloth)에 의해 지지된다. 알코올은 점화하기 전 30초 이후에 용기에 넣는
다.
(3) 점화원
점화는 알코올에 있는 프로브에 의해 행해진다. 점화기의 프로브 팁은 양
쪽을 아크하지 않고 가능한 용기 립에 가까이 위치하도록 한다.
(4) 연기농도 증가 예상도
(가) 연기 증가는 천장 감지기 위치에서는 80∼120초에 시작되며, 각 측벽 감
지기 위치에서는 60 ∼ 120초에 시작된다.
(나) 모든 감지기 위치에서 12.56 %/m이 최소 60 초 동안 지속된다.
(다) 최대 감쇄는 천장 감지기 위치에서는 45.8 %/m을, 각 측벽 감지기 위치에
서는 66.2 %/m을 초과하지 않아야 한다.
(라) 화염 누출은 150 ∼ 190 초 사이에 일어난다.
(마) 시험 시간은 4분이다.
(바) 더글라스 퍼, S4(모든 면이 부드러움), 매듭이나 구멍이 없음, 무게 - 3.05
m당 0.48∼0.6 kg
다) 인화성액체 화재시험
다음의 물질 및 절차는 가솔린 화재시험에 사용된다. 시험 장치의 수치 및
위치는 참고를 위한 것이다. 수치 및 위치는 적정 증가율을 얻을 수 있는 한
변경될 수 있다.
(1) 화원
한계값 내에서 곡선을 형성할 수 있을 정도의 충분한 양의 25 % 톨루엔과

- 37 -
75 % 헵탄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며, 금속 리셉터클 내에서 연소된다.
(2) 리셉터클
0.635 mm 스테인리스 강판으로 구성되며, 직경 158 mm, 깊이 32 mm이며,
바닥은 12.7 mm의 반지름으로 둥근 형태이다. 시험실로부터 0.9 m 위에
위치하며, 중앙에 링 지지대가 있다. 액체를 점화 30초 전에 리셉터클 내
에 붓는다.
(3) 점화원
점화기의 프로브 팁은 팬의 립 위에 위치하고 팬 안으로 연장되지 않게 위
치된다. 따라서, 액체 위의 증기에 점화가 된다.
(4) 연기농도 증가 예상도 - 이 시험을 위해, 다음의 조건이 적용된다.
(가) 최대 감쇄는 천장 감지기 위치에서는 36.7 %/m 또는 각 측벽 감지기 위
치에서 54.8 %/m을 초과하지 않는다.
(나) 시험 시간은 4분이다

2) 화재시험 방법
화재시험은 편평한 천장을 가지고 물리적인 장해물이 없는 10.9 m×6.7
m×3.1 m의 공간에서 수행된다. 시험실에서 공기 이동은 최소로 한다. 가연
물의 베이스에서 천장까지의 거리는 2.1 m이다. 시험실에는 연기제거장치가
제공된다. 열기, 습도 및 공기 조화는 필요한 경우 실내 환경을 유지하기 위해
제공된다. 명시된 수치는 참고를 위한 것이며 적정 증가율을 얻을 수 있는
한 변경될 수 있다. 시험은 주위온도 (20∼27) ℃ 및 상대습도 50±10 %에서
수행한다. 각각 최소 생산감도로 조절된 감지기 시험체는 기준에서 명시된 요
구조건에 따라 전원으로부터 통전된다.
감지기는 설치 베이스를 가진 플러시에 설치된다. 벽 설치형 감지기는 제조
자 설치지침이 특정 설치 배열을 나타내거나 설치 위치가 분명한 경우를 제외
하고는 인입 연기 흐름에 대해 연기 도입 최소 우호적 위치에 설치된다. 천장
설치형 감지기는 한 표본의 최소 우호적 위치가 인입 연기 흐름을 마주보고
나머지 표본은 각각 120°및 240°회전하도록 설치된다. 천장 설치형인 경우,
3개의 감지기를 천장 패널 상에서 시험한다. 벽 설치형인 경우, 2개의 감지기
를 각 측벽에서 시험한다. 벽 및 천장 겸용형인 경우, 3개는 천장에서, 2개는
각 측벽에서 시험한다.
모든 감지기 시험체는 각 가연성 물질의 화재시험에 반응해야 한다. 시험
시간은 점화시에 시작된다. 각 감지기 위치에서 연기 감쇄 레벨은 천장 및 각
측벽에 직접 설치되었으며 1.5 m 이격된 전지-광-빔 조립부에 의해 감시된다.

- 38 -
복합형 연기 감지기에는 시험하는 동안 각 동작 원리를 감시하는 장치가 제공
된다.
각 원리는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화재시험 중 적어도 하나 또는 훈소
연기시험에 대응하여 작동해야 한다. 각 시험화재의 수용도를 결정하기 위해
서, 각 화재시험에 명시된 연기농도 증가 예상도 곡선은 가연성 기기를 위한
것이다. MIC(이온측정챔버)는 목재 및 종이 화재에 대해, 각 감지기 위치에서
각 시도 동안에 가연성 입자의 상대적 증가를 측정하기 위해 이용된다. MIC는
조절 진공 펌프에 의해 분당 25±5 L의 비율로 챔버에 유입된 공기에 대해
이온화 원리를 이용하여 측정한다.

다. 우리나라의 감지기 우수품질인증 기술기준(소방청고시 제2016-33호)[67] 및


감지기의 우수품질인증 시험세칙[68]

1) 시험 방법(기술기준) [67]

가) 연기감지기의 화재시험실은 11 m(가로)×6.7 m(세로)×3 m(높이)의 크기로


배출구, 공기유입구 등을 설치하여야 한다.
나) 연기감지기는 화재시험실 내에서 다음 각 호의 시험을 하는 경우 4분 이내
에 화재신호를 발신하여야 한다.
(1) 42.6 g의 세절된 신문지를 용기에 담아 감지기로부터 5.4 m 떨어진 지점에서
연소하는 경우
(2) 가로 및 세로가 19.1 mm이고, 길이가 152 mm인 전나무 각목 18개를 변성알
코올을 사용하여 감지기로부터 5.4 m 떨어진 지점에서 연소하는 경우
(3) 인화성액체(톨루엔 25 %, n-Heptane 75 %) 20 mL를 감지기로부터 5.4 m 떨
어진 지점에서 연소하는 경우

2) 화재시험 세칙 [68]
시료는 감도시험의 방향 감도시험에서 확인된 최소감도위치 상태로 설치하
여 시험한다.
가) 종이화재 시험세칙
(1) 시험 전 주위온도 (23±2) ℃, 상대습도 (50±5) %인 조건에서 최소 48시간
동안 방치한 흑백신문지를 Table 3.6과 같이 긴 조각으로 세절한다.

- 39 -
Table 3.6 Black and white newspapers for paper fire[68]

구 분 넓 이 길 이 무 게

규 격 (6∼10) mm (25.4∼102) mm (42.6±2) g

(2) 종이화재시험연소로는 지름 102 mm, 높이 0.3 m, 두께 0.40 mm인 철판으


로 된 원통형 용기를 사용한다.
(3) 종이 내용물이 시험용기의 위쪽에 가득 찰 때까지 눌러 담는다.
(4) 종이를 시험용기 맨 위쪽 모서리에서 102 mm 아래 위치까지 눌러 담은
후, 손이나 직경 25.4 mm인 봉을 사용하여 직경 25.4 mm인 구멍이 종이
내용물의 위에서 아래까지 중앙을 관통하도록 한다.
(5) 종이 내용물을 포함한 시험용기를 바닥으로부터 0.9 m 위에 있는 127 mm
직경의 지지대 위에 위치시킨다.
(6) 점화기의 아크발생 접촉기(프로브 팁)를 시험용기의 바닥 중앙 부분에 놓
고 최대 5초간 아크를 유지 한다.
(7) 종이 내용물이 점화된 후, 감지기는 4분 이내에 화재신호를 발신하여야 한
다.
나) 목재화재 시험세칙
(1) 건조된 가로 19.1 mm, 세로 19.1 mm, 길이 152 mm의 전나무 목재를 각층
에 6개씩 배치하며 3층의 구조로 쌓는다. 각 층간의 목재는 서로 직각이
되도록 한다.
(2) (1)의 목재모형을 바닥으로부터 0.9 m 위에 있는 127 mm 직경의 지지대
위에 위치시킨다.
(3) 변성알코올(에탄올 95 %, 메탄 5 %) 4 mL를 직경 38 mm, 깊이 25.4 mm
인 금속용기에 넣고 목재모형의 바닥면으로부터 89 mm 아래에 위치하도
록 배치한다.
(4) 점화기의 아크발생 접촉기(프로브 팁)를 금속용기의 가장자리에 접근시켜
점화시킨다.
(5) 목재모형이 점화 후 감지기는 4분 이내에 화재신호를 발신하여야 한다.
(6) 화염이 목재모형의 최상부 위로 올라오지 않도록 한다.
다) 인화성액체화재 시험세칙
(1) 시험용기는 두께 0.635 mm 스테인리스 판으로, 상부 직경 158 mm, 깊이
32 mm, 바닥 직경 70.8 mm의 둥근 형태이다.

- 40 -
(2) 시험용기는 바닥으로부터 0.9 m 위에 있는 지지대 위에 위치시킨다.
(3) 25 % 톨루엔과 75 % 헵탄을 혼합한 20 mL 용액을 시험용기에 넣고, 점화
기의 아크발생 접촉기(프로브 팁)를 금속용기의 가장자리에 접근시켜 점화
시킨다.
(4) 인화성액체가 점화된 후 감지기는 4분 이내에 화재신호를 발신하여야 한
다.

3) 훈소시험방법(감지기의 우수품질인증 기술기준 제18조 훈소시험) [67]

가) 연기감지기는 화재시험실 내에서 소나무 막대기를 발열판 위에 설치하고 감


지기로부터 5.4 m 떨어진 지점에서 훈소하는 경우 광감율 29.26 %/m 미만에
서 화재신호를 발신하여야 한다.
나) 감지기는 다음 각 호의 연기농도 미만에서 화재신호를 발신하지 아니하여야
한다.
(1) 이온화식감지기의 경우 「감지기의 형식승인 및 제품검사의 기술기준」제18
조제2항에 해당하는 종별에 따라 부작동시험의 연기농도에 대응하는 전리변
화율로 시험할 것
(2) 광전식감지기(분리형광전식감지기 제외)의 경우 「감지기의 형식승인 및 제품
검사의 기술기준」제18조제2항에 해당하는 종별에 따라 부작동시험의 연기농
도에 대응하는 감광율로 시험할 것

4) 훈소시험 세칙(감지기의 우수품질인증 시험세칙 제18조)


가) 3) 훈소시험방법 제①항의 시험은 감도시험의 방향감도시험에서 확인된
최소감도위치 상태에서 시험한다.
나) 3) 훈소시험방법 제②항의 시험은 감도시험의 방향감도시험에서 확인된 최
대감도위치 상태에서 시험한다. 이 경우 Table 3.7과 같이 형식승인시 확
인된 종별에 따른 연기농도에서 시험한다.

Table 3.7 Smoke concentration by type of smoke detector[68]

품목 종별 연기농도 비고

1종 2.5 %/m
광전식스포트형감지기 감광율
2종 5 %/m
1종 0.12
이온화식스포트형감지기 전리전류변화율
2종 0.16

- 41 -
다) 시험에 사용되는 목재는 76.2 mm×19.1 mm×25.4 mm 크기의 소나무를
사용하며, 시험전 공기 순환 오븐에 넣어 (52±2) ℃에서 최소 48시간 동
안 방치 후 목재 무게가 (16±2) g인 것을 사용한다.
라) 열판의 규격은 직경 216 mm, 두께 6.4 mm의 강판으로 220 V, 1 550 W인
것을 사용한다. 이 경우 열판 위 면이 바닥으로부터 200 mm에 위치하도
록 한다.
마) 열판 안에 톱니바퀴 형태로 10개의 소나무 막대를 36°이격되도록 배치한다.
바) 열판의 가열온도는 Table 3.8에 따른다.

Table 3.8 Heating temperature[68]

시간(분) 열판 온도

0 (23±2) ℃

0 ~ 3 분당 (60.7±3) ℃로 205 ℃까지 증가

3분 이상 분당 (3.2±0.1) ℃로 증가

사) 훈소증가율은 Fig. 3.7과 같이 1.5 m 광빔 길이로 측정하는 경우 분당 5 %


감쇄를 초과하지 않아야 한다.

Fig. 3.7 Growth rate of smoke concentration by smoldering[68].

- 42 -
Ⅳ. 화재 실험 및 모델링 방법

1. 화재실험 방법
가. 천장 디퓨저 기류 환경
1) 실험장 환경
실험은 10 m(W)×7 m(L)×3 m(H) 크기의 실험장에서 실시하였으며, 실험시
주위 온도는 (20∼21) ℃, 상대 습도는 (47∼52) %를 유지하였다.

2) 화재감지기
화재감지기는 Photo 4.1과 같이 열감지기로는 화재로 인한 급격한 온도상승
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차동식감지기 12개를, 연기감지기로는 빛의 산란특성에
반응하며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 광전식감지기 12개를 각각 실험에
이용하였다.
차동식 감지기는 다이아프램식으로 스포트형, DC 24V, 2종, 보통형, 재용형, 비
방수형이며, 광전식감지기는 스포트형, DC 24V, 2종, 보통형, 재용형, 비방수형, 비축
적의 형식을 가지고 있었다.

Photo 4.1 Heat detector and smoke detector for experiment.

3) 화원
실험화원으로 n-Heptane은 33 cm×33 cm 팬(pan)에 1.5 L, 면심지는 시험
용 면심지 90개를 사용하였다.

- 43 -
4) 디퓨저 토출기류 조건
디퓨저에서 토출되는 기류 속도는 보통 건물에 설치된 중앙냉난방 설비의
최대 기류속도를 감안하여 약 5 m/s로 설정하였다.

5) 감지기 및 화원 설치
감지기 설치는 화원을 중심으로 반지름이 1 m인 동심원, 반지름이 1.5 m인
동심원, 반지름이 2 m 인 동심원 상의 반자에 설치하였으며, 감지기 번호는
화원을 기준으로 근방은 디퓨저 가까이로부터 1, 2, 3번, 좌측은 디퓨저 가까
이로부터 4, 5, 6번, 원방은 디퓨저 가까이로부터 7, 8, 9번, 우측은 디퓨저 가
까이로부터 10, 11, 12번으로 정하였다.
화원은 천장공조 디퓨저가 설치된 천장 위치의 수직 바닥으로부터 수평거리
로 n-Heptane은 5 m, 면심지는 3 m 떨어진 바닥에 설치하였다. 화재감지기
및 화원은 Fig. 4.1의 실험 배치도와 같이 구성하였다.

Fig. 4.1 Layout of fire test room.

n-Heptane 및 면심지 화원은 Photo 4.2 및 Photo 4.3과 같고 실제 화재감지


기와 디퓨저가 설치된 모습은 Photo 4.4와 같다.

- 44 -
Photo 4.2 n-Heptane. Photo 4.3 Cotton wick.

Photo 4.4 Installation of ceiling ventilation diffuser and detectors.

나. 천장형 에어컨 기류 환경
1) 실험실
실험은 10 m(W)×7 m(L)×3 m(H) 크기의 실험장에서 실시하였으며, 실험
시 주위 온도는 (20∼22) ℃, 상대습도는 (48∼52) %를 유지하였다.

2) 화재감지기
천장형 에어컨 기류와 화재감지기의 작동에 관한 응답특성 분석을 위한 실
험에 사용된 감지기는 Photo 4.5와 같이 열감지기로는 정온식 아날로그식 감지
기를, 연기감지기로는 광전식 아날로그식 감지기를 각각 16개씩을 천장에 설
치하였다.
정온식 아날로그식 감지기의 형식은 스포트형으로 DC 24V, 아날로그식, 보
통형, 재용형, 비방수형으로 공칭감지온도 (30∼90) ℃ 이며, 광전식 아날로그
식 감지기의 형식은 스포트형으로 DC 24V, 아날로그식, 보통형, 재용형, 비방
수형, 비축적형이며 공칭감지농도 (3∼15) %/m 이었다.

- 45 -
Photo 4.5 Analogue type heat detector and smoke
detector for experiment.

3) 화원(가연물)
실험에 사용한 가연물은 ISO 7240-9에서 규정하고 있는 화원의 일부를 이용
하였다. 열감지기 응답특성 분석용으로 Photo 4.6과 같은 n-Heptane을, 연기감
지기 응답특성 분석용으로 Photo 4.7과 같은 훈소용 면심지(Cotton)을 이용하였
다. n-Heptane의 경우는 순도 99 %의 n-Heptane 97 %에 순도 99 %의 톨루엔
을 3 % 섞은 혼합물 650 g을 Fig. 4.8과 같이 33 cm(가로) × 33 cm(세로) ×
5 cm(깊이)의 정방형 강철트레이에 붓고 점화봉으로 점화시킨 다음 열감지기
의 작동 시간을 측정하였다[61]. 면심지의 경우 길이 약 80 cm, 무게 약 3 g의
면심지 90개를 Fig. 4.9와 같이 링에 고정시키고 불연 플레이트 1 m 위에 매
단다. 그리고 각 심지의 아래 쪽 끝에서 연속적으로 훈소하도록 점화기로 점
화시켰다[61].
화원의 위치는 천장에 설치된 에어컨의 중심부로부터 3.5 m 떨어진 곳의 수
직바닥이고, 감지기 작동시간은 화원을 점화시킨 순간부터 측정하였으며 면심
지의 경우는 모든 면심지가 훈소를 시작한 순간부터 측정하였다.

Photo 4.6 n-Heptane.

- 46 -
Photo 4.7 Cotton wick.

4) 천장형 에어컨
가) 사양
실험에서 기류 발생 용도로 사용된 천장형 에어컨은 천장 판넬 내부에 수납
된 형태의 에어컨으로 최근에 학교 교실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고, 최근 시공
된 아파트나 전산실에서도 설치되고 있다. 4 way 방식의 일반적인 사양은
Table 4.1과 같다.

Table 4.1 Specification of ceiling type air conditioner

구분 사 양

냉방면적 119 ㎡
형 태 천장 카세트형
방 식 4 way
냉방능력 13,000 W
소비전력 4,350 W
본체 (840×288×840) mm
크기 판넬 (950×30×950) mm
실외기 (930×1,135×375) mm
중앙 천장에 설치할 경우 4면, 상황에 따라 3면 혹은
4 way 풍량
4면으로 바람 방향을 조절 가능
다단계 풍량조절, 이중 단열 실내기 캐비넷, 항균필터,
기타
항균 냉각기, 공간 절약형

- 47 -
나) 기류 측정
(1) 45°하방향
천장형 에어컨의 기류를 하방향으로 약 45°로 조절한 후 감지기로 기류가
유입되는 부근에서 측정하였다. 천장에 설치된 각 감지기에서 측정한 기류 속
도는 Table 4.2와 같다.

Table 4.2 Air flow velocities formed by ceiling type air conditioner at
positions of fire detectors

기류 속도 (m/s)
토출구로부터
감지기번호 설치방향 간격(m)
무풍 설정 최대풍속 설정

1 0.5 0 0.33

2 1.0 0 0.25
근방
3 1.5 0 0.21

4 2.0 0 0.19

5 0.5 0 0.34

6 1.0 0 0.29
우측
7 1.5 0 0.24

8 2.0 0 0.19

9 0.5 0 0.39

10 1.0 0 0.35
원방
11 1.5 0 0.33

12 2.0 0 0.25

13 0.5 0 0.45

14 1.0 0 0.39
좌측
15 1.5 0 0.29

16 2.0 0 0.22

풍속을 8.5 m/s의 최대로 설정한 경우에 최저 풍속은 0.19 m/s, 최고 풍속은
0.45 m/s로 측정되었고 토출구에 가까울수록 속도가 높게 나타나는 경향을 보
였으며, 각 방향별 기류 속도의 편차는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 48 -
(2) 천장면 수평방향
천장형 에어컨 토출구의 기류방향을 최대한 천장면으로 향하게 조정한 후
풍속을 최대로 설정한 조건에서 각 거리별 기류의 속도를 측정한 결과는
Table 4.3과 같다. 토출 기류가 천장면을 따라 흐를 때는 상당히 먼 거리까지
천장면에서 기류의 풍속은 매우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에어컨의 토출 기류
속도가 높은 경우에는 반대편에서 화재로 인해 흘러오는 천장제트 흐름과 직
접적으로 충돌하여 화재 감지를 지연시킬 수 있다.

Table 4.3 Velocities when air flow is adjusted in direction to the ceiling face horizontally

토출구부터 풍속(m/s) 평균
측정위치 1회차 2회차 3회차 4회차 5회차 (m/s)

토출구 8.53 8.46 8.41 8.48 8.59 8.49


0.5 m 5.71 5.87 5.69 5.81 5.89 5.79
1.0 m 4.01 4.02 3.92 4.02 4.13 4.02
1.5 m 2.81 2.83 2.71 2.79 2.87 2.80
2.0 m 1.61 1.67 1.54 1.61 1.62 1.61

(3) 토출구에서 측정한 단계별 기류 풍속


천장형 에어컨 풍속조절은 수동 4단계와 Auto 1단계로 되어 있다. Auto는
주변온도에 따라서 바람세기가 자동으로 조정되는 단계이고 수동은 단계별로
바람세기가 증가되는 형태이다.
수동 4단계를 단계별로 설정한 후 토출구에서 5회씩 측정한 풍속은 Table
4.4와 같다. 미약단계에서 4.4 m/s, 약단계에서 5.04 m/s, 중단계에서 6.24 m/s,
강단계에서 8.49 m/s를 보였다.

Table 4.4 Velocities of each step measured at the register

풍속(m/s) 평균
단계
1회차 2회차 3회차 4회차 5회차 (m/s)

미약 4.45 4.47 4.39 4.32 4.36 4.40

약 5.06 5.02 5.06 5.10 4.97 5.04


중 6.20 6.26 6.15 6.36 6.25 6.24

강 8.53 8.46 8.41 8.48 8.59 8.49

- 49 -
(4) 하방각도별 및 거리별 기류 풍속 측정
토출기류가 천장면을 기준으로 하방으로 일정 각도를 갖도록 설정한 다음
토출구로부터 거리별 기류 속도를 측정한 결과는 Table 4.5와 같다.

Table 4.5 Velocities by distance from register in each downward angle

풍속(m/s)
토출구 평균
하방각도
부터거리 1회차 2회차 3회차 4회차 5회차 (m/s)

0.5 m 3.31 3.24 3.21 3.12 3.32 3.24

1.0 m 2.90 2.87 2.96 2.89 3.05 2.93


30°
1.5 m 1.89 2.03 2.1 1.97 1.98 1.99

2.0 m 1.43 1.46 1.29 1.33 1.27 1.36

0.5 m 0.34 0.45 0.37 0.32 0.33 0.36

1.0 m 0.24 0.18 0.13 0.14 0.11 0.16


45°
1.5 m 0.06 0.11 0.07 0.06 0.1 0.08

2.0 m 0.09 0.04 0.03 0.10 0.05 0.06

0.5 m 0.35 0.26 0.30 0.27 0.22 0.28

1.0 m 0.11 0.15 0.1 0.07 0.09 0.10


60°
1.5 m 0.03 0.04 0.03 0.09 0.07 0.05

2.0 m 0.04 0.06 0.03 0.07 0.05 0.05

측정결과를 보면, 블레이드 변화에 따른 기류속도는 45°이상부터는 거의


천장기류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블레이드 각도를 변화시켜본
결과, 천장기류에 영향을 주는 각도의 임계치는 45°정도인 것으로 나타났다.
즉 하방각도가 45°이상이 되면 천장면에서는 에어컨 기류 영향을 거의 받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5) 화재감지기 배치
화재감지기는 천장형 에어컨 4방향의 토출구로부터 0.5 m 간격씩 이격시켜

- 50 -
각 방향으로 4개씩 배치하였다.

Fig. 4.2 Arrangement of fire detector and fuel.

Fig. 4.2는 화재감지기 배치도를 나타낸 것으로 화재감지기를 천장에 총 16


개를 설치하였다. 화재감지기 번호는 화원에서 볼 때 근방, 우측, 원방, 좌측
순으로 가장 가까운 것으로부터 순차적으로 부여하였다. Photo 4.8은 실제 설
치된 천장형 에어컨과 화재감지기의 모습이다.

Photo 4.8 Fire detectors and fuel installed.

6) 화원과 감지기 사이 거리 해석
화원의 위치는 천장형 에어컨 중심으로부터 3.5 m를 이격시켰다. 즉 화원으

- 51 -
로부터 가장 먼 12번 감지기는 화원으로부터 약 6 m 이격시킨 것이다. 이는
우리나라의 경우 연기감지기는 1개당 150 ㎡를 감지 포용면적으로 하고 있으
므로 가장 먼 거리가 6.9 m가 되며, 미국의 경우 연기감지기는 9.1 m×0.7 =
6.3 m가 되므로 실험을 위한 적정한 이격거리로 볼 수 있다.

2. 화재모델링 방법
가. 개요
천장 공조설비가 설치된 실내공간을 대상으로 공조설비의 기류가 형성되지
않는 경우와 기류가 최대로 형성된 경우에 화재가 발생한 상황을 가정해서 모
델을 설정하고 감지기의 응답시간을 측정한다. 각각의 상황에서 감지기의 응
답시간을 비교하여 기류가 없는 경우에 비해 기류가 가장 강하게 형성된 경우
에 화재감지기의 응답이 얼마나 지연되는 지를 분석하고 화재감지기의 응답시
간 지연을 보상하기 위해 감도를 얼마나 조정해야 하는지를 시뮬레이션 결과
를 통해 확인하였다.
FDS의 전처리 프로그램인 PyroSim을 이용하였고, 모델링의 조건은 화재실험
과는 다르게 설정하였는데, 기류가 하방향의 각도를 최소화하고 천장면 가까
이로 흐르는 더 악한 조건의 화재모델링을 통해 천장 공조기류가 감지기 작동
에 미치는 영향을 폭넓게 확인하고자 하였다.

나. 화재역학시뮬레이션(FDS)
1) FDS 개요
여러 가지 화재 상황을 컴퓨터로 분석하는 모델로는 존모델과 필드모델이
있다. 존모델은 외부로부터 구획된 공간을 신속하게 해석할 때 많이 사용된다.
존 모델은 화재실을 고온의 상부 연기층과 저온의 하부층 및 화원으로 나누어
경계층을 통한 열, 물질 및 운동량에 관한 보존식을 적용하여 화재의 성상으
로 묘사한 방식이다. 필드모델은 세분화된 격자 각각에 비정상, 편미분 방정식
을 적용하여 얻고자 하는 변수의 해를 구하기 때문에 온도, 연기 및 유체의
유동에 관한 상세한 정보, 복잡한 공간과 상황을 해석할 때 많이 사용 된다.
존모델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대표적인 Tool로 CFAST가 있고 필드모델로 가
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대표적인 Tool로 미국 NIST에서 개발하여 보급한
FDS(Fire Dynamics Simulator)가 있다.
FDS는 화재로 인해 생성된 유체의 유동을 계산하는 전산유체역학 프로그램
이다. FDS에 적용되는 화재해석 이론으로는 유체역학모델, 연소모델, 복사
열전달모델 등이 있다.

- 52 -
화재 시 생성되는 난류는 LES(Large Eddy Simulation)을 이용하여 직접 계산
하고 세부격자규모 해리 프로세스(Subgrid-scale dissipative process)도 모델링
하고 있다. 뉴톤 유체에서의 질량보존법칙, 운동량보존법칙 및 에너지보존법
칙이 FDS에서도 기본 방정식으로 적용된다.
FDS는 미국 표준기술원(NIST)에서 개발한 컴퓨터시뮬레이션 프로그램으로
실험이 불가능한 최악 상황의 설계화재로부터 초래되는 결과를 예측하는데 활
용된다. FDS 프로그램에서 입력 가능한 변수에는 공간의 대기온도, 설계화재
의 연소 특성치, 제연 및 소화설비 작동시간, 그리드 크기, 측정 디바이스의
위치와 종류, 설계화재특성 등이 있다. FDS 모델을 통해 얻을 수 있는 정보로
는 연기농도, 온도, 가스농도, 가시도, 화재감지기 작동정보 등 매우 광범위하
고 다양하다. FDS를 적용함에 있어 자료 입력을 용이하게 하는데 PyroSim 프
로그램이 활용되고 있으며, 출력 정보의 가시화를 위해 SMOKE VIEW 프로그
램이 활용되고 있다.

2) PyroSim 프로그램
미국 Thunderhead Engineering社에서 개발한 화재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이다.
FDS의 전처리 프로그램으로서 FDS의 단점이었던 모델링 기능을 제공하여 시
뮬레이션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PyroSim안에 FDS와 SMOKEVIEW 프로그램이 기본으로 탑재되어 있다. 이
프로그램은 캐드 파일을 이용하여 건물 벽체를 자동으로 생성할 수 있고, FDS
데이터 파일의 Import 기능이 지원되어 기존에 작성하였던 FDS 파일을 그래
도 활용할 수 있다.
물성치에 대한 라이브러리 기능 지원으로 사용자가 데이터베이스를 새롭게
만들 수 있으며,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모델링 도구를 제공하여 FDS 모델
링에 소요되는 시간을 대폭 단축시킬 수 있다[55].

다. 모델별 입력조건
1) n-Heptane 및 열감지기 모델
천장형 에어컨 기류환경에서 n-Heptane 화원을 통해 열감지기 응답시간 지
연을 모델링하기 위해 Table 4.6과 같은 입력조건을 설정하였다.
PyroSim 프로그램에서 설정된 조건대로 입력한 n-Heptane 및 열감지기 모
델의 그림은 Fig 4.3과 같다.

- 53 -
Table 4.6 Input conditions for model of n-Heptane and heat detector

항 목 내 용

화재실 규모 10 m(가로)×7 m(세로)×3 m(높이)

감지기 아날로그식 열감지기

32개(토출구로부터 0.5 m, 1 m, 1.5 m, 2 m 이격


감지기 설치수량
시켜 설치하되 8방향으로 배치)

화원 1,000 kW의 HRRPUA를 적용한 n-Heptane

화원 위치 에어컨 중심으로부터 3.5 m

화원 크기 0.33 m × 0.33 m

공조 설비 4 Way 천장형 에어컨

기류 각도 천장면 수평방향

공조기류 에어컨 토출구에서 0 m/s 또는 8.5 m/s

초기온도 20 ℃

격자크기 0.25 m×0.25 m×0.25 m

시뮬레이션시간 약 600초

Fig. 4.3 n-Heptane and heat detector model diagram in PyroSim.

2) 우레탄폼 및 연기감지기 모델
천장형 에어컨 기류환경에서 우레탄폼 화원을 통해 연기감지기 응답시간 지
연을 모델링하기 위해 Table 4.7과 같은 입력조건을 설정하였다.

- 54 -
Table 4.7 Input conditions for model of urethane foam and smoke detector

항 목 내 용

화재실 규모 10 m(가로)×7 m(세로)×3 m(높이)

감지기 아날로그식 연기감지기

32개(토출구로부터 0.5 m, 1 m, 1.5 m, 2 m 이격


감지기 설치수량
시켜 설치하되 8방향에 각각 4개씩 배치)

화원 34 kW의 HRRPUA을 적용한 우레탄폼

화원 위치 에어컨 중심으로부터 3.5 m

화원 크기 0.25 m × 0.25 m

공조설비 4 Way 천장형 에어컨

기류 각도 천장면 수평방향

공조기류 에어컨 토출구에서 0 m/s 또는 8.5 m/s

초기온도 20 ℃

격자크기 0.25 m×0.25 m×0.25 m

시뮬레이션시간 약 600초

PyroSim 프로그램에서 설정된 조건대로 입력한 우레탄폼 및 연기감지기 초


기 모델은 Fig 4.4와 같다.

Fig. 4.4 Urethane foam and smoke detector model diagram in PyroSim.

- 55 -
Ⅴ. 결과 및 고찰

1. 화재실험 결과 및 고찰
가. 천장 공조 디퓨저
1) 화재실험 결과
가) n-Heptane 화원
(1) 열감지기(차동식)
n-Heptane 화원에서 천장 공조 디퓨저의 기류가 없는 경우와 5 m/s 기류가
있는 경우 차동식 열감지기 응답시간을 비교해보니 Table 5.1 및 Fig. 5.1과
같이 평균 23.5 % 응답이 늦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모든 감지기에서 응답이
지연되는 특성을 보였으며, 최저 지연율은 4.1 %, 최고 지연율은 57.3 % 로 나
타났다.

Table 5.1 Response time of heat detectors by diffuser air flow velocity (n-Heptane)

설치위치 응답시간(s)
감지기번호 응답지연율(%)
(화원기준) 0 m/s 기류 5 m/s 기류

1 70 81 15.7

2 근방 52 67 28.8

3 56 68 21.4

4 97 101 4.1

5 우측 108 122 13.0

6 76 99 30.3

7 75 118 57.3

8 원방 95 148 55.8

9 120 139 15.8

10 117 133 13.7

11 좌측 85 99 16.5

12 86 94 9.3

평균     23.5

- 56 -
Fig. 5.1 Comparison of response time of heat detectors by diffuser
air flow velocity (n-Heptane).

천장 공조설비 디퓨저로부터 이격거리별 응답지연율을 살펴보면 Table 5.2


와 같이 1.0 m 이격거리에 설치된 감지기들의 응답지연율은 22.7 %, 1.5 m 이
격거리에 설치된 감지기들의 응답지연율은 28.5 %, 2.0 m 이격거리에 설치된
감지기들의 응답지연율은 19.2 %로 나타나 디퓨저로부터 이격거리에 따른 응
답지연율이 어떤 일정한 규칙을 보이지는 않았다. 이는 천장 공조설비의 기류
방향이 천장면 수평방향으로 이루어지지 않고 어느 정도 하방향으로 각도를
이루고 형성됨에 따라 천장에는 기류 흐름이 거의 없기 때문인 것으로 추정된
다. 사실, 디퓨저 토출구 직근에서 기류를 측정하였을 때 5 m/s 풍속을 보이던
기류가 1.0 m 떨어진 천장위치에서 0.5 m/s 미만의 미미한 풍속을 보이는 것
으로 나타났다.
다만, 기류가 없을 때보다 5 m/s 기류가 형성될 때 전체적으로 감지기 응답
이 지연되는 이유는 디퓨저 토출 기류가 열제트 기류를 교란시켜 천장부근에
서 열 흐름이 형성되지 못하고 실내전체로 확산되어 열감지기 응답이 늦어진
결과를 초래한 것으로 판단된다.

- 57 -
Table 5.2 Respone time delay by distance from diffuser and airflow velocity (n-Heptane)

디퓨저부터 무풍시 5 m/s시


감지기번호 응답지연율(%)
이격거리 응답시간(s) 응답시간(s)
1 70 81 15.7
4 97 101 4.1
1.0 m 7 75 118 57.3
10 117 133 13.7
평균     22.7
2 52 67 28.8
5 108 122 13.0
1.5 m 8 95 148 55.8
11 85 99 16.5
평균     28.5
3 56 68 21.4
6 76 99 30.3
2.0 m 9 120 139 15.8
12 86 94 9.3
평균     19.2

(2) 연기감지기(광전식)
Table 5.3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n-Heptane 화원에서 연기감지기는 모두 작
동하지 않았다. 이를 통해 n-Heptane 화재에 대해 광전식 연기감지기는 적응
성이 없는 것으로 판단된다. 모든 감지기가 작동하지 않아 기류에 따른 응답
특성 변화를 확인할 수 없었다.

Table 5.3 Response time of smoke detectors by diffuser air flow velocity(n-Heptane)
디퓨저부 감지기 감지기 응답시간(분:초)
번호 설치방향 터 간격 종류
(m) 기류 0 m/s 기류 5 m/s
1 1 연기감지기 작동안함 작동안함
2 근방 1.5 연기감지기 작동안함 작동안함
3 2 연기감지기 작동안함 작동안함
4 1 연기감지기 작동안함 작동안함
5 우측 1.5 연기감지기 작동안함 작동안함
6 2 연기감지기 작동안함 작동안함
7 1 연기감지기 작동안함 작동안함
8 원방 1.5 연기감지기 작동안함 작동안함
9 2 연기감지기 작동안함 작동안함
10 1 연기감지기 작동안함 작동안함
11 좌측 1.5 연기감지기 작동안함 작동안함
12 2 연기감지기 작동안함 작동안함

- 58 -
나) 면심지 화원
(1) 열감지기(차동식)
Table 5.4에서 볼 수 있듯이 면심지 화원에서 열감지기는 모두 작동하지 않
았다. 이는 면심지 화재에 대해 열감지기는 적응성이 없는 것으로 판단된다.
모든 열감지기가 작동하지 않아 기류에 따른 응답특성 변화를 확인할 수 없었
다.
Table 5.4 Response time of heat detectors by diffuser air flow velocity (Cotton wicks)

감지기 응답시간(분:초)
번호 디퓨저부
설치방향 터간격(m) 감지기
종류
기류 0 m/s 기류 5 m/s

1 1 열감지기 작동안함 작동안함

2 근방 1.5 열감지기 작동안함 작동안함

3 2 열감지기 작동안함 작동안함

4 1 열감지기 작동안함 작동안함

5 우측 1.5 열감지기 작동안함 작동안함

6 2 열감지기 작동안함 작동안함

7 1 열감지기 작동안함 작동안함

8 원방 1.5 열감지기 작동안함 작동안함

9 2 열감지기 작동안함 작동안함

10 1 열감지기 작동안함 작동안함

11 좌측 1.5 열감지기 작동안함 작동안함

12 2 열감지기 작동안함 작동안함

(2) 연기감지기(광전식)
면심지 화원에서 천장 공조 디퓨저의 기류가 없는 경우와 5 m/s 기류가 있
는 경우 광전식 연기감지기 응답시간을 비교해보니 Table 5.5 및 Fig. 5.2와
같이 평균 85.8 % 응답이 늦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부분의 감지기에서
응답시간이 지연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일부 감지기에서는 응답시간이 빨라
지기도 했다. 최고 지연율이 253.6 %로 높게 나타난 반면에 어떤 감지기는
57.1 % 빨리 작동하는 등 기류의 영향을 매우 크게 받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 59 -
Table 5.5 Response time of smoke detectors by diffuser air flow velocity(Cotton wicks)

설치위치 응답시간(s)
감지기번호 응답지연율(%)
(화원기준) 0 m/s 기류 5 m/s 기류
1 106 104 -1.9
2 근방 28 99 253.6
3 25 65 160.0
4 161 69 -57.1
5 우측 149 77 -48.3
6 156 142 -9.0
7 185 591 219.5
8 원방 195 329 68.7
9 197 572 190.4
10 143 399 179.0
11 좌측 209 267 27.8
12 184 271 47.3
평균     85.8

Fig. 5.2 Comparison of response time of smoke detectors by diffuser air


flow velocity(Cotton wicks).

- 60 -
디퓨저로부터 이격거리별 응답지연율을 살펴보면 Table 5.6과 같이 1.0 m
이격거리에 설치된 연기감지기들의 응답지연율은 84.9 %, 1.5 m 이격거리에
설치된 연기감지기들의 응답지연율은 75.4 %, 2.0 m 이격거리에 설치된 연기
감지기들의 응답지연율은 97.2 %로 나타나 디퓨저로부터 이격거리에 따른 응
답지연율이 어떤 규칙을 나타내지는 않았다.
이는 n-Heptane 화원으로 열감지기 작동시험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천장공
조 디퓨저의 기류 방향이 천장면 수평방향으로 이루어지지 않고 어느 정도 하
방향으로 각도를 이루고 형성됨에 따라 천장면에서 기류 흐름이 약하기 때문
인 것으로 추정된다.

Table 5.6 Response time delay by distance from diffuser and airflow velocity(Cotton wicks)

무풍시 5 m/s시 응답지연율


이격거리 감지기번호
응답시간(s) 응답시간(s) (%)

1 106 104 -1.9

4 161 69 -57.1

1.0 m 7 185 591 219.5

10 143 399 179.0

평균     84.9

2 28 99 253.6

5 149 77 -48.3

1.5 m 8 195 329 68.7

11 209 267 27.8

평균     75.4

3 25 65 160.0

6 156 142 -9.0

2.0 m 9 197 572 190.4

12 184 271 47.3

평균     97.2

- 61 -
2) 화재실험 결과 고찰
실내 천장에 설치되어 기류를 토출하는 디퓨저가 설치된 환경에서 기류의
속도에 따른 화재감지기의 응답 실험을 통하여 확인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
론을 얻었다.
건물에 설치된 공조설비의 디퓨저에 의해 형성되는 기류가 화재시 발생되는
천장제트 열기류를 방해하여 화재감지기의 동작에 영향을 준다는 것을 확인하
였다. 열방출율이 커 열을 많이 발생시키는 n-Heptane 화원에서는 차동식열감
지기가 좋은 응답특성을 보여 기류에 따른 작동시간의 변화를 확인할 수 있었
으나, 광전식 연기감지기는 응답하지 않아 적응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기류속도 변화에 따른 응답시간의 변화를 확인할 수 없었다. n-Heptane 화원
에서 차동식열감지기는 천장 공조 디퓨저에서 기류가 없는 경우에 비해 약 5
m/s의 기류가 있는 경우에 작동 시간이 평균 23.5 % 길어지는 것으로 나타났
다.
반면에, 면심지 화원에서는 광전식 연기감지기는 좋은 응답특성을 보였으나
차동식 열감지기는 모두 동작되지 않아 기류에 따른 작동 성능의 변화를 확인
할 수 없었다. 면심지화원에서 광전식 연기감지기는 천장 공조 디퓨저에서
기류가 없는 경우에 비해 약 5 m/s의 기류가 있는 경우에 응답 시간이 대부분
늦어져 평균 85.8 %로 상당히 길어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일부 감지기는 오
히려 기류가 빠르게 형성될 때 빠르게 응답하는 특성을 보였다.
육안으로 확인한 결과, 디퓨저에서 만들어진 기류가 천장제트 기류의 연기
층을 교란시켜 천장에서 연기층이 형성되지 못하고 실내 전체로 연기가 확산
되어 대부분의 연기감지기의 응답 시간이 늦어지는 결과를 초래하였으나 천장
일부에는 기류가 빠르게 형성되어 오히려 감지기가 빠르게 응답하는 것을 확
인하였다.
한편, 우리나라 자동화재탐지설비 화재안전기준에서 정하고 있는 외부 공기
유입구에서 1.5 m 이내 감지기 설치 금지 규정과 관련, 실험 데이터만 가지고
해석할 때 공기유입구에 근접한 감지기가 멀리 떨어진 감지기 보다 더 빠르게
응답하는 경우도 있었다. 실제로 디퓨저 토출구 직근에서 기류를 측정하였을
때 5 m/s 풍속을 보이던 기류가 1 m 떨어진 천장 위치에서 0.5 m/s 미만의
미미한 풍속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기류의 방향이 천장 수평방향으
로 이루어지지 않고 어느 정도 하방향으로 각도를 두고 형성되므로 천장 위치
에서는 기류가 거의 없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 62 -
나. 천장형 에어컨
1) 화재실험 결과
가) 열감지기 실험 결과
n-Heptane 화재실험에서 열감지기 작동 결과는 Table 5.7 및 Fig. 5.3과 같
으며, 화재실험의 진행과정은 Photo 5.1과 같다.

Table 5.7 Response time of heat detectors by flow velocity of air


conditioner (n-Heptane) [62]
감지기 응답시간(분:초) 응답지연율
감지기 화원부터 토출구부터 최대풍속
번호 설치방향 간격(m) 무풍 설정 (%)
설정
1 0.5 2:01 2:43 34.7

2 1.0 1:41 2:28 46.5


근방
3 1.5 1:36 2:13 38.5

4 2.0 1:06 1:04 -3.0

5 0.5 2:11 2:49 29.0

6 1.0 2:11 3:04 40.5


우측
7 1.5 2:46 3:39 31.9

8 2.0 2:46 3:34 28.9

9 0.5 3:41 5:14 42.1

10 1.0 3:31 5:14 48.8


원방
11 1.5 3:46 6:24 69.9

12 2.0 4:26 8:20 88.0

13 0.5 2:21 2:49 19.9

14 1.0 2:16 2:54 27.9


좌측
15 1.5 2:21 3:14 37.6

16 2.0 2:21 3:09 34.0

평균 38.5

- 63 -
Fig. 5.3 Comparison of response time of heat detectors by air conditioning
velocity (n-Heptane).

Photo 5.1 n-Heptane fire test progress.

천장형에어컨 토출구로부터 이격거리별 응답지연율을 보면 Table 5.8과 같


이 토출구로부터 이격거리에 따른 응답지연율이 일정한 규칙을 보이지는 않았
다. 이는 천장 에어컨의 기류 방향이 천장면 수평방향으로 이루어지지 않고
어느 정도 하방향으로 각도를 이루고 형성됨에 따라 천장에는 기류 흐름이 거
의 없기 때문인 것으로 추정된다. 천장에어컨 토출구 직근에서 기류를 측정하

- 64 -
였을 때 8.5 m/s 풍속을 보이던 기류가 1.0 m 떨어진 천장위치에서 0.5 m/s
미만의 미미한 풍속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류가 없을 때보다 8.5 m/s
기류가 형성될 때 전체적으로 감지기 응답이 지연되는 이유는 에어컨 토출 기
류가 열제트 기류를 교란시켜 천장 부근에서 열 흐름이 형성되지 못하고 실내
전체로 확산되어 열감지기 작동이 늦어진 결과를 초래한 것으로 판단된다.

Table 5.8 Response time delay by distance from register and air flow velocity (n-Heptane)

응답시간(s)
토출구부터 응답지연율
감지기번호
이격거리 무풍시 8.5 m/s시 (%)

1 121 163 34.7


5 131 169 29.0
0.5 m 9 221 314 42.1
13 141 169 19.9
평균     31.4
2 101 148 46.5
6 131 184 40.5
1.0 m 10 211 314 48.8
14 136 174 27.9
평균     40.9
3 96 133 38.5
7 166 219 31.9
1.5 m 11 226 384 69.9
15 141 194 37.6
평균     44.5
4 66 64 -3.0
8 166 214 28.9
2.0 m 12 266 500 88.0
16 141 189 34.0
평균     37.0

참고로 n-Heptane 화원에서 천장형에어컨 기류가 없을 때와 8.5 m/s 기류가


형성될 때 실험 경과시간에 따른 열감지기 위치에서의 온도 변화는 부록 Fig.
A-1 및 Fig. A-2와 같다.

- 65 -
나) 연기감지기 실험결과
면심지화재 실험에서 연기감지기 응답시간 결과는 Table 5.9 및 Fig. 5.4와
같으며, 실험진행 과정은 Photo 5.2와 같다.

Table 5.9 Response time of smoke detectors by flow velocity of air conditioner (Cotton wicks)

화원기준 토출구부터 감지기 응답시간(분:초) 응답지연율


감지기번호
설치방향 설치간격(m) 무풍 설정 최대풍속 설정 (%)
1 0.5 2:27 3:48 55.1
2 1.0 2:27 5:08 109.5
근방
3 1.5 1:12 4:58 313.9
4 2.0 1:07 3:08 180.6
5 0.5 2:27 5:03 106.1
6 1.0 2:37 9:48 274.5
우측
7 1.5 2:42 10:18 281.5
8 2.0 3:13 6:36 105.2
9 0.5 2:52 5:08 79.1
10 1.0 4:49 7:27 54.7
원방
11 1.5 5:24 6:57 28.7
12 2.0 7:28 7:47 -4.1
13 0.5 3:18 6:57 110.6
14 1.0 2:53 5:03 75.1
좌측
15 1.5 3:28 5:36 61.5
16 2.0 3:28 6:57 100.5
평균 120.8

Fig. 5.4 Comparison of response time of smoke detectors by air


conditioning velocity (Cotton wicks).

- 66 -
Photo 5.2 Cotton wick fire test progress.

천장형 에어컨 토출구로부터 이격거리별 연기감지기의 응답지연율을 보면


Table 5.10과 같이 이격거리에 따른 응답지연율이 일정한 규칙을 나타내 보이
지는 않았다. 이는 천장에어컨의 토출기류 방향이 천장면 수평방향으로 이루
어지지 않고 어느 정도 하방향 각도를 이루고 형성됨에 따라 천장에는 기류
흐름이 거의 없기 때문인 것으로 추정된다.

Table 5.10 Response time delay by distance from register and air flow velocity(Cotton wicks)
토출구부터 응답시간(s) 응답지연율(
감지기번호
이격거리 무풍시 8.5 m/s시 %)
1 147 228 55.1
5 147 303 106.1
0.5 m 9 172 308 79.1
13 198 417 110.6
평균     87.7
2 147 308 109.5
6 157 588 274.5
1.0 m 10 289 447 54.7
14 173 303 75.1
평균     128.5
3 72 298 313.9
7 162 618 281.5
1.5 m 11 324 417 28.7
15 208 336 61.5
평균     171.4
4 67 188 180.6
8 193 396 105.2
2.0 m 12 467 448 -4.1
16 208 417 100.5
평균     95.5

- 67 -
2) 실험결과 고찰
일반적으로 기류가 없을 때는 화재감지기는 화원으로부터 거리가 멀어질수
록 작동이 늦어지지만, 강한 기류가 있는 환경에서는 그 패턴이 무너진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즉, 천장형 에어컨의 기류가 화재시 발생되는 열기류를 방해
하여 화재감지기의 응답특성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천장형 에어컨의 기류가 없는 경우에 비해 기류가 강한 경우에 응답시간이
대폭 늦어지는 데, 연기감지기는 면심지 화원에서 120.8 % 만큼 응답시간이
길어지고, 열감지기의 경우는 n-Heptane화원에서 38.5 % 길어지는 것으로 확
인되었다.
육안으로 확인 결과, 에어컨기류가 강한 경우에는 화재로 형성된 열기류의
연기층을 교란시켜 천장에서 연기층이 형성되지 못하고 실내 전체로 연기가
확산되어 대부분의 연기감지기의 작동이 늦어진 결과를 초래하였고, 그로 인
해 화원으로부터 이격거리와 감지기 작동시간 간의 상관성이 낮아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우리나라 자동화재탐지설비기준에서 정하고 있는 공기 유입구에서 1.5 m 이
내 감지기 설치 금지 규정과 관련, 실험 데이터만 가지고 해석할 때 공기유입
구에 근접한 감지기가 멀리 떨어진 감지기 보다 더 빠르게 응답하는 경우도
있었다.
실제적으로 에어컨 풍구 직근에서 기류를 측정하였을 때 기류는 0.5 m/s 미
만의 미미한 풍속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기류의 방향이 천장 수평
방향으로 이루어지지 않고 어느 정도 하방향으로 각도를 두고 형성되므로 천
장에는 기류가 거의 없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기류가 강한 경우, 천장방향
의 기류는 강한 편이 아니지만 실내공기를 확산시키는 역할을 하여 연기를 희
석시키므로 감지기 응답이 늦어지는 결과를 초래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 68 -
2. 화재모델링 결과 및 고찰
가. n-Heptane 및 열감지기 모델
1) 경과시간별 기류 상황
Table 5.11은 n-Heptane 및 열감지기 모델에 대해서 에어컨 기류가 없는 환
경에서 화재시뮬레이션(FDS)를 실행하였을 때 경과시간(0초, 30초, 60초)에 따
른 열기류 거동을 나타낸 것이다. 에어컨 기류가 없을 때에는 화재에 의한 플
룸과 천장제트흐름에 의해 천장에 기류가 밀집되는 모습을 보여준다.

Table 5.11 Behavior of air flow by lapse of time at 0 m/s of air conditioning flow

경과시간 기류의 상황 설명

0초 준비상태

n-Heptane
30초 연소기류가
천장부로 상승

n-Heptane
60초 연소기류가
천장부에 밀집

- 69 -
Table 5.12는 n-Heptane 및 열감지기 모델에 대해서 8.5 m/s의 에어컨 기류
환경에서 화재시뮬레이션(FDS)를 실행하였을 때 경과시간(0초, 30초, 60초)에
따른 기류의 거동을 나타낸 것이다. 에어컨 기류가 형성될 때에는 화재에 의
한 기류가 에어컨 기류와 혼재되어 희석되는 모습을 보여준다.

Table 5.12 Behavior of air flow by lapse of time at 8.5 m/s of air conditioning flow

경과시간 기류의 상황 설명

0초 준비상태

에어컨 기류에
의해
30초 n-Heptane
연소 열기류가
희석

에어컨 기류와
n-Heptane
60초
연소 열기류가
혼재

- 70 -
2) 모델링 결과
n-Heptane 화재에서 아날로그식 열감지기의 응답시간을 기류가 없는 경우
와 기류가 8.5 m/s로 강하게 있는 경우로 구분하여 알아보는 n-Heptane 및 열
감지기 모형 시뮬레이션 결과는 Table 5.13 및 Fig. 5.5와 같다. 천장에어컨의
기류가 없는 경우에 비해 천장 에어컨의 기류가 8.5 m/s를 형성하고 있는 경
우에 약 12.0 % 만큼의 응답시간이 지연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Table 5.13 Response time delay of heat detector according to air conditioning flow velocity
무풍 및 60 ℃ 8.5 m/s 및 60 ℃
감지기 번호 응답지연율(%)
(s) (s)
1 200 361 80.5
2 176 252 43.2
3 154 181 17.5
4 126 119 -5.6
5 209 179 -14.4
6 171 152 -11.1
7 159 142 -10.7
8 149 133 -10.7
9 210 197 -6.2
10 194 163 -16.0
11 187 160 -14.4
12 188 157 -16.5
13 262 327 24.8
14 252 301 19.4
15 246 303 23.2
16 237 340 43.5
17 281 559 98.9
18 291 488 67.7
19 302 428 41.7
20 316 345 9.2
21 250 349 39.6
22 251 308 22.7
23 247 305 23.5
24 248 326 31.5
25 216 284 31.5
26 201 153 -23.9
27 196 159 -18.9
28 190 154 -18.9
29 204 175 -14.2
30 171 141 -17.5
31 161 131 -18.6
32 150 127 -15.3
평균     12.0

- 71 -
Fig. 5.5 Comparison of response time of heat detectors according to modeling result.

참고로, n-Heptane 화원에서 천장형에어컨 기류가 없을 때와 8.5 m/s 기류


가 형성될 때 모델링 경과시간에 따른 열감지기 위치에서의 온도 변화는 부록
Fig. A-3 및 Fig. A-4와 같다.
천장형 에어컨의 기류에 의한 응답시간 지연을 보상해주기 위해 화재시뮬레
이션을 통해 계산한 결과, Fig. 5.6 및 Table 5.14와 같이 약 3 ℃ 낮은 온도인
57 ℃에서 8.5 m/s 기류가 형성된 경우의 응답시간이 60 ℃ 설정온도에서 기
류가 없는 경우의 응답시간과 유사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Fig. 5.6 Comparison of response time of heat detectors according to compensation


modeling result.

- 72 -
Table 5.14 Temperature compensation for response time delay when airflow is formed

무풍 및 60 ℃ 8.5 m/s 및 57 ℃
감지기 번호 응답지연율(%)
응답시간 (s) 응답시간 (s)
1 200 268 34.0
2 176 232 31.8
3 154 163 5.8
4 126 112 -11.1
5 209 165 -21.1
6 171 142 -17.0
7 159 130 -18.2
8 149 122 -18.1
9 210 186 -11.4
10 194 152 -21.6
11 187 151 -19.3
12 188 147 -21.8
13 262 294 12.2
14 252 275 9.1
15 246 275 11.8
16 237 302 27.4
17 281 419 49.1
18 291 376 29.2
19 302 328 8.6
20 316 289 -8.5
21 250 310 24.0
22 251 277 10.4
23 247 274 10.9
24 248 300 21.0
25 216 247 14.4
26 201 140 -30.3
27 196 143 -27.0
28 190 140 -26.3
29 204 160 -21.6
30 171 130 -24.0
31 161 121 -24.8
32 150 116 -22.7
평균     -1.4

- 73 -
나. 우레탄폼 및 연기감지기 모델
1) 경과시간별 기류 상황
Table 5.15는 우레탄폼 및 연기감지기 모델에 대해서 에어컨 기류가 없는
환경에서 화재시뮬레이션(FDS)를 실행하였을 때 경과시간(0초, 60초, 180초)에
따른 기류의 거동을 보여주고 있다. 에어컨 기류가 없을 때에는 화재에 의한
플룸과 천장제트흐름에 의해 천장에 화원으로 인한 기류가 밀집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Table 5.15 Behavior of air flow by lapse of time at 0 m/s of air conditioning flow

경과시간 기류 상황 설명

0초 준비상태

우레탄폼의
60초 약한 기류가
천장부로 상승

우레탄폼의
기류량이
180초
증가하여
천장부 밀집

- 74 -
Table 5.16은 우레탄폼 및 연기감지기 모델에 대해서 8.5 m/s의 에어컨 기류
환경에서 화재시뮬레이션(FDS)를 실행하였을 때 경과시간(0초, 30초, 60초)에
따른 모델링 상황을 보여준 그림이다. 에어컨 기류가 형성될 때에는 화재에
의한 기류가 에어컨 기류의 방해를 받고 희석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Table 5.16 Behavior of air flow by lapse of time at 8.5 m/s of air conditioning flow

경과시간 모델링 상황 설명

0초 준비상태

에어컨 기류에
의해 우레탄폼
연소 열기류가
30초
희석되고
상승을
방해받음

에어컨 기류와
60초 우레탄폼 연소
열기류가 혼재

- 75 -
2) 모델링 결과
우레탄 폼 화재에서 아날로그식 연기감지기 16개의 응답시간을 천장 공조기
류가 없는 경우와 천장 공조기류가 8.5 m/s로 설정된 경우를 구분하여 컴퓨터
화재시뮬레이션을 수행한 결과는 Table 5.17 및 Fig. 5.7과 같이 나타났다. 천
장에어컨의 기류가 없는 경우에 비해 천장형 에어컨의 기류가 8.5 m/s를 형성
하고 있는 경우에 약 90.9 % 만큼의 응답 지연이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Table 5.17 Response time delay of smoke detector according to air conditioning flow velocity
무풍 및 15 %/m 8.5 m/s 및 15 %/m
감지기 번호 응답지연율(%)
응답시간 (s) 응답시간 (s)
1 191 433 126.7
2 183 214 16.9
3 170 214 25.9
4 123 216 75.6
5 195 282 44.6
6 174 238 36.8
7 170 131 -22.9
8 150 130 -13.3
9 187 446 138.5
10 183 268 46.4
11 179 188 5.0
12 183 191 4.4
13 204 495 142.6
14 202 461 128.2
15 203 462 127.6
16 201 464 130.8
17 210 575 173.8
18 215 557 159.1
19 220 499 126.8
20 225 500 122.2
21 199 453 127.6
22 204 418 104.9
23 203 416 104.9
24 206 418 102.9
25 185 432 133.5
26 187 382 104.3
27 188 356 89.4
28 181 358 97.8
29 178 374 110.1
30 175 367 109.7
31 160 353 120.6
32 162 334 106.2
평균     90.9

- 76 -
참고로 우레탄 폼 화재에서 천장형에어컨 기류가 없을 때와 8.5 m/s 기류가
형성될 때 모델링 경과시간에 따른 열감지기 위치에서의 온도 변화는 부록
Fig. A-5 및 Fig. A-6과 같다.

Fig. 5.7 Comparison of response time of smoke detectors according to modeling result.

기류가 8.5 m/s 형성된 경우 연기감지기 응답이 지연되는데 이를 보상해주


기 위해서는 Table 5.18, Fig. 5.8, Table 5.19 및 Fig. 5.9과 같이 연기감지기
작동농도를 7 %/m ∼ 8 %/m로 설정해야 한다. 즉, 연기감지기 농도를 7 %/m
∼ 8 %/m로 설정하면 8.5 m/s 기류가 형성된 경우의 작동시간이 15 %/m에서
기류가 없는 경우의 응답시간과 유사해진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Table 5.18 Smoke concentration compensation(8 %/m) for response time delay when air
current is formed
무풍 및 15 %/m 8.5 m/s 및 7 %/m
감지기 번호 응답지연율(%)
응답시간 (s) 응답시간 (s)
1 191 182 -4.7
2 183 184 0.5
3 170 122 -28.2
4 123 123 0.0
5 195 155 -20.5
6 174 137 -21.3
7 170 95 -44.1
8 150 86 -42.7
9 187 176 -5.9
10 183 125 -31.7

- 77 -
11 179 128 -28.5
12 183 128 -30.1
13 204 281 37.7
14 202 271 34.2
15 203 273 34.5
16 201 269 33.8
17 210 374 78.1
18 215 353 64.2
19 220 305 38.6
20 225 293 30.2
21 199 294 47.7
22 204 284 39.2
23 203 266 31.0
24 206 272 32.0
25 185 298 61.1
26 187 149 -20.3
27 188 149 -20.7
28 181 151 -16.6
29 178 197 10.7
30 175 135 -22.9
31 160 116 -27.5
32 162 117 -27.8
평균     5.6

Fig. 5.8 Comparison of response time of smoke detectors according to


compensation(8 %/m) modeling result.

- 78 -
Table 5.19 Smoke concentration compensation(7 %/m) for response time delay
when air current is formed

무풍 및 15 %/m 8.5 m/s 및 7 %/m


감지기 번호 응답지연율(%)
응답시간 (s) 응답시간 (s)
1 191 181 -5.2
2 183 130 -29.0
3 170 122 -28.2
4 123 82 -33.3
5 195 106 -45.6
6 174 94 -46.0
7 170 93 -45.3
8 150 39 -74.0
9 187 128 -31.6
10 183 125 -31.7
11 179 128 -28.5
12 183 127 -30.6
13 204 211 3.4
14 202 212 5.0
15 203 214 5.4
16 201 230 14.4
17 210 319 51.9
18 215 304 41.4
19 220 291 32.3
20 225 266 18.2
21 199 266 33.7
22 204 242 18.6
23 203 243 19.7
24 206 257 24.8
25 185 197 6.5
26 187 149 -20.3
27 188 148 -21.3
28 181 142 -21.5
29 178 151 -15.2
30 175 118 -32.6
31 160 115 -28.1
32 162 112 -30.9
평균     -10.1

- 79 -
Fig. 5.9 Comparison of response time of smoke detectors according to
compensation(7 %/m) modeling result.

다. 화재모델링 결과 고찰
화재모델링을 수행한 결과, 기류가 없을 때와 비교하여 기류가 형성될 때
응답시간이 지연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열방출율이 큰 n-Heptane 화재에서는 기류의 영향에 따른 응답시간 지연율
이 12 %로 작았다. 열방출율이 작은 우레탄폼 화재에서는 기류의 영향을 크게
받아 응답시간 지연율이 90.9 %로 나타났다. 화재실험 시와 마찬가지로 천장
공조기류가 형성될 때 화재감지기 응답시간이 지연된다는 것과 열방출율이 커
야 작동되는 열감지기보다는 열방출율이 작아도 작동되는 연기감지기가 큰 영
향을 받는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응답시간 지연을 보상하기 위해서는 아날로그 감지기를 사용하여 감도를 조
정하여야 하는데, 열감지기의 경우는 60 ℃에서 기류가 없을 때와 57 ℃에서
기류가 8.5 m/s로 형성될 때 응답시간이 유사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기감
지기는 기류가 8.5 m/s로 형성될 때 응답시간 지연을 보상하기 위해서는 상당
히 큰 폭인 7 %/m ∼ 8 %/m 로 설정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기서 수행한 열감지기와 연기감지기 응답지연 및 보상 모델링은 일정한
조건에서 하나의 사례를 든 것으로써, 각 경우마다 감지기 설치환경이나 설정
온도 및 연기농도값 등 파라미터가 다르므로 보상모델링을 통해 적정 보상온
도나 연기 농도를 구할 필요가 있다.

- 80 -
라. 토출구로부터 적정 이격거리 관련 분석
1) n-Heptane 및 열감지기 모델
열감지기는 천장형에어컨 토출구로부터 0.5 m, 1.0 m, 1.5 m, 2.0 m 이격된
위치에 각각 8개씩 설치되었다. 토출구 방향과 대각선 방향으로 나누어 이격
된 위치별로 4개씩의 감지기들의 천장 공조기류가 없는 경우에 비해 천장 공
조기류가 8.5 m/s로 설정된 경우의 응답 지연을 모델링한 결과는 Table 5.20과
같다. 분석결과를 보면, 응답지연이 가장 크게 나타나는 경우는 토출구 방향
0.5 m 위치에 설치된 감지기들로 응답지연율이 51.2 % 이었다. 그 다음은 토
출구 방향 1.0 m에 위치한 감지기들로 17.8 %로 나타났으며, 그 다음 모든 위
치에서는 전체 평균 응답지연율 보다 낮게 나타났다. 따라서, 열감지기의 경우
토출구에서 1.0 m 까지는 영향을 많이 받기 때문에 1.5 m 이상 이격시켜 설
치해야 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Table 5.20 Response time delay of heat detector by installation direction,


separation distance and air flow velocity

설치 이격 감지기번호 무풍시 8.5 m/s 시 응답지연율


방향 거리 응답시간(s) 응답시간(s) (%)
1 200 361 80.5
9 210 197 -6.2
0.5 m 17 281 559 98.9
25 216 284 31.5
평균     51.2
2 176 252 43.2
10 194 163 -16.0
1.0 m 18 291 488 67.7
26 201 153 -23.9
토출구 평균     17.8
방향 3 154 181 17.5
11 187 160 -14.4
1.5 m 19 302 428 41.7
27 196 159 -18.9
평균     6.5
4 126 119 -5.6
12 188 157 -16.5
2 m 20 316 345 9.2
28 190 154 -18.9
평균     -8.0

- 81 -
5 209 179 -14.4
13 262 327 24.8
0.5 m 21 250 349 39.6
29 204 175 -14.2
평균     9.0
6 171 152 -11.1
14 252 301 19.4
1.0 m 22 251 308 22.7
30 171 141 -17.5
대각선 평균     3.4
방향 7 159 142 -10.7
15 246 303 23.2
1.5 m 23 247 305 23.5
31 161 131 -18.6
평균     4.3
8 149 133 -10.7
16 237 340 43.5
2 m 24 248 326 31.5
32 150 127 -15.3
평균     12.0

2) 우레탄폼 및 연기감지기 모델
연기감지기는 천장형 에어컨 토출구로부터 0.5 m, 1.0 m, 1.5 m, 2.0 m 이격
된 위치에 각각 8개씩 설치되었다. 토출구 방향과 대각선 방향으로 나누어 이
격된 위치별로 4개씩의 감지기들의 천장 공조기류가 없는 경우에 비해 천장
공조기류가 8.5 m/s로 설정된 경우의 응답 지연율을 모델링하여 확인한 결과
는 Table 5.21과 같다. 응답지연율이 가장 크게 나타나는 경우는 토출구방향
0.5 m 위치에 설치된 감지기들로 응답지연율이 143.1 %인 것으로 확인되었고
그 다음은 대각선 방향 0.5 m에 위치한 감지기들로 106.3 %으로 나타났으며,
그 다음은 대각선 방향 1.0 m에 위치한 감지기들로 94.9 %를 보였다. 나머지
는 토출구 방향에 설치된 감지기와 대각선 방향에 설치된 감지기들이 큰 차이
가 없고 전체 평균(90.9 %) 이하의 응답지연율을 보였다.
연기감지기는 토출구에서 1.0 m 까지는 영향을 크게 받는 것으로 나타나므
로 토출구에서 1.5 m 이상 떨어뜨리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 82 -
Table 5.21 Response time delay of smoke detector by installation direction,
separation distance and air flow velocity

토출구부터 감지기 무풍시 8.5m/s시 응답지연율


설치방향 이격거리 번호 응답시간(s) 응답시간(s) (%)
1 191 433 126.7
9 187 446 138.5
0.5 m 17 210 575 173.8
25 185 432 133.5
평균     143.1
2 183 214 16.9
10 183 268 46.4
1.0 m 18 215 557 159.1
26 187 382 104.3
토출구 평균     81.7
방향 3 170 214 25.9
11 179 188 5.0
1.5 m 19 220 499 126.8
27 188 356 89.4
평균     61.8
4 123 216 75.6
12 183 191 4.4
2 m 20 225 500 122.2
28 181 358 97.8
평균     75.0
5 195 282 44.6
13 204 495 142.6
0.5 m 21 199 453 127.6
29 178 374 110.1
평균     106.3
6 174 238 36.8
14 202 461 128.2
1.0 m 22 204 418 104.9
30 175 367 109.7
대각선 평균     94.9
방향 7 170 131 -22.9
15 203 462 127.6
1.5 m 23 203 416 104.9
31 160 353 120.6
평균     82.5
8 150 130 -13.3
16 201 464 130.8
2 m 24 206 418 102.9
32 162 334 106.2
평균     81.6

- 83 -
마. 감지기 설치방향 관련 분석
1) n-Heptane 및 열감지기 모델
열감지기를 천장형에어컨 토출구 방향과 대각선 방향 중 어느 방향으로 설
치해야 기류의 영향을 덜 받을 것인가를 모델링을 통해 확인해 보았다. Table
5.22 및 Table 5.23은 토출구로부터 1.5 m 이상 떨어진 위치에 설치된 감지기
를 대상으로 토출구 방향으로 설치된 감지기들과 대각선방향으로 설치된 감지
기들의 응답지연율을 계산하여 비교한 것이다.
모델링 결과를 보면, 토출구 방향에 설치된 감지기들의 기류에 따른 응답지
연율이 대각선 방향에 설치된 감지기들의 천장에어컨 기류에 따른 응답지연율
보다 약간 높으나 큰 차이는 아닌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열감지기를 토출
구에서 1.5 m 이상 이격시켜 설치한다면 설치 방향은 고려하지 않아도 될 것
으로 판단된다.

Table 5.22 Response time delay of heat detectors installed in the register
direction

무풍 시 8.5 m/s 시
감지기번호 응답지연율(%)
응답시간(s) 응답시간(s)
3 154 181 17.5
4 126 119 -5.6
11 187 160 -14.4
12 188 157 -16.5
19 302 428 41.7
20 316 345 9.2
27 196 159 -18.9
28 190 154 -18.9
평균     -0.7

Table 5.23 Response time delay of heat detectors installed diagonally

무풍 시 8.5 m/s 시
감지기번호 응답지연율(%)
응답시간(s) 응답시간(s)
7 159 142 -10.7
8 149 133 -10.7
15 246 303 23.2
16 237 340 43.5
23 247 305 23.5
24 248 326 31.5
31 161 131 -18.6
32 150 127 -15.3
평균     8.3

- 84 -
2) 우레탄폼 및 연기감지기 모델
연기감지기를 천장형에어컨 토출구 방향과 대각선 방향 중 어느 방향으로
설치하는 것이 기류의 영향을 덜 받을 것인가를 화재모델링을 통해 확인해 보
았다. Table 5.24 및 Table 5.25는 토출구로부터 1.5 m 이상 떨어진 위치에 설
치된 감지기를 대상으로 토출구 방향으로 설치된 감지기들과 대각선방향으로
설치된 감지기들의 응답지연율을 계산하여 비교한 것이다. 모델링 결과를 보
면, 토출구 방향에 설치된 감지기들의 천장에어컨 기류에 따른 응답지연율이
대각선 방향에 설치된 감지기들의 천장에어컨 기류에 따른 응답지연율보다 약
간 낮으나 큰 차이는 아닌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연기감지기를 토출구에
서 1.5 m 이상 이격시켜 설치한다면 설치 방향은 고려하지 않아도 될 것으로
판단된다.

Table 5.24 Response time delay of smoke detectors installed in register direction
무풍 시 8.5 m/s 시
감지기번호 응답지연율%)
응답시간(s) 응답시간(s)
3 170 214 25.9
4 123 216 75.6
11 179 188 5.0
12 183 191 4.4
19 220 526 139.1
20 225 473 110.2
27 188 356 89.4
28 181 358 97.8
평균     68.4

Table 5.25 Response time delay of smoke detectors installed diagonally


무풍 시 8.5 m/s 시
감지기번호 응답지연율%)
응답시간(s) 응답시간(s)
7 170 131 -22.9
8 150 130 -13.3
15 203 462 127.6
16 201 464 130.8
23 203 416 104.9
24 206 418 102.9
31 160 353 120.6
32 162 334 106.2
평균     82.0

- 85 -
바. 화원이 대각선 방향일 때 모델링
1) n-Heptane 및 열감지기 모델
화원을 토출구 사이의 대각선 방향으로 에어컨 중심으로부터 3.5 m 떨어진
위치에 위치하였을 때를 가정하여 모델링을 실시하였다. 화원 이외의 다른 입
력조건은 토출구 방향으로 에어컨 중심으로부터 3.5 m 떨어진 위치의 화원에
서 모델링한 Table 4.6의 조건과 동일하며, 모델링한 결과는 Table 5.26과 같
다. 대각선 방향의 화원일 때 평균 응답지연율은 23.8 %로 토출구 방향의 화
원일 때 평균 응답지연율 12 %(Table 5.13 참조) 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Table 5.26 Response time delay of heat detector by air flow velocity in a diagonal fire source
무풍시 60 ℃ 8.5 m/s시 60 ℃
감지기번호 응답지연율(%)
응답시간(s) 응답시간(s)
1 196 172 -12.2
2 195 164 -15.9
3 198 164 -17.2
4 197 159 -19.3
5 192 154 -19.8
6 176 148 -15.9
7 167 142 -15.0
8 145 128 -11.7
9 197 161 -18.3
10 190 157 -17.4
11 183 148 -19.1
12 172 132 -23.3
13 218 369 69.3
14 214 425 98.6
15 207 330 59.4
16 212 184 -13.2
17 229 615 168.6
18 236 374 58.5
19 240 302 25.8
20 244 278 13.9
21 237 266 12.2
22 253 270 6.7
23 264 258 -2.3
24 284 248 -12.7
25 229 577 152.0
26 238 499 109.7
27 248 364 46.8
28 262 246 -6.1
29 218 427 95.9
30 224 397 77.2
31 229 266 16.2
32 240 214 -10.8
평균 23.8

- 86 -
2) 우레탄폼 및 연기감지기 모델
화원을 토출구 사이의 대각선 방향으로 에어컨 중심으로부터 3.5 m 떨어진
위치에 위치했을 때를 가정하여 모델링을 실시하였다. 화원 이외의 다른 입력
조건은 토출구 방향으로 에어컨 중심으로부터 3.5 m 떨어진 위치의 화원을 가
정하여 모델링한 Table 4.7의 조건과 동일하며, 모델링 결과는 Table 5.27과 같
다. 대각선 방향의 화원일 때 평균 응답지연율은 176.1 %로 토출구 방향의 화
원일 때 평균 응답지연율 90.9 %(Table 5.17 참조) 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Table 5.27 Response time delay of smoke detector by air flow velocity in a diagonal fire source

무풍시 15 %/m 8.5m/s 시 15%/m


감지기번호 응답지연율(%)
응답시간(s) 응답시간(s)
1 49 141 187.8
2 46 32 -30.4
3 44 32 -27.3
4 42 29 -31.0
5 30 32 6.7
6 23 22 -4.3
7 20 19 -5.0
8 15 14 -6.7
9 42 142 238.1
10 38 122 221.1
11 27 32 18.5
12 23 32 39.1
13 47 257 446.8
14 42 226 438.1
15 32 218 581.3
16 32 203 534.4
17 104 299 187.5
18 110 298 170.9
19 51 296 480.4
20 51 223 337.3
21 102 266 160.8
22 108 282 161.1
23 112 277 147.3
24 116 274 136.2
25 96 317 230.2
26 99 148 49.5
27 101 148 46.5
28 95 150 57.9
29 55 254 361.8
30 54 145 168.5
31 52 143 175.0
32 53 137 158.5
평균 176.1

- 87 -
사. 다양한 기류 풍속에서 모델링
1) n-Heptane 및 열감지기 모델
제4장에서 설명한대로 천장형 에어컨 기류의 풍속은 수동 4단계와 Auto 1
단계로 되어 있다. 수동 4단계는 미약단계 4.4 m/s, 약단계 5.0 m/s, 중단계
6.24 m/s, 강단계 8.5 m/s로 측정되었다. 미약단계, 약단계 및 강단계의 풍속
에 따른 열감지기의 응답지연을 확인하기 위한 모델링한 결과는 Table 5.28과
같다. 기류 풍속 외에 모델링 입력 조건은 제4장 Table 4.6의 조건과 동일하
며, 모델링한 결과는 Table 5.28과 같다.
각 풍속 단계별 응답지연율에는 일정한 규칙을 발견할 수 없었으나 응답지
연율은 유사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기류의 직접적 영향으로 지연되는 것
보다는 에어컨 기류로 의한 화재기류와 공기의 희석으로 인해 지연되는 효과
가 큰 것으로 추정된다.

Table 5.28 Response time delay of heat detectors by air conditioning flow velocity

감지기 응답 시간(s) 응답지연율(%)


번호
무풍 시 4.4 m/s 5 m/s 8.5 m/s 4.4 m/s 5 m/s 8.5 m/s

1 200 312 359 361 56.0 79.5 80.5

2 176 150 157 252 -14.8 -10.8 43.2

3 154 126 128 181 -18.2 -16.9 17.5

4 126 105 105 119 -16.7 -16.7 -5.6


5 209 169 167 179 -19.1 -20.1 -14.4

6 171 141 139 152 -17.5 -18.7 -11.1

7 159 132 129 142 -17.0 -18.9 -10.7

8 149 131 127 133 -12.1 -14.8 -10.7

9 210 165 161 197 -21.4 -23.3 -6.2

10 194 156 154 163 -19.6 -20.6 -16.0

11 187 155 152 160 -17.1 -18.7 -14.4

12 188 158 154 157 -16.0 -18.1 -16.5

13 262 458 429 327 74.8 63.7 24.8

14 252 443 451 301 75.8 79.0 19.4

15 246 278 321 303 13.0 30.5 23.2

16 237 202 203 340 -14.8 -14.3 43.5

- 88 -
17 281 650 750 559 131.3 166.9 98.9

18 291 570 720 488 95.9 147.4 67.7

19 302 540 650 428 78.8 115.2 41.7

20 316 480 437 345 51.9 38.3 9.2

21 250 480 472 349 92.0 88.8 39.6

22 251 386 469 308 53.8 86.9 22.7

23 247 239 350 305 -3.2 41.7 23.5

24 248 190 206 326 -23.4 -16.9 31.5

25 216 181 195 284 -16.2 -9.7 31.5

26 201 158 162 153 -21.4 -19.4 -23.9

27 196 153 153 159 -21.9 -21.9 -18.9

28 190 151 153 154 -20.5 -19.5 -18.9

29 204 164 167 175 -19.6 -18.1 -14.2

30 171 140 142 141 -18.1 -17.0 -17.5

31 161 131 131 131 -18.6 -18.6 -18.6

32 150 126 130 127 -16.0 -13.3 -15.3

평균         10.6 17.9 12.0

2) 우레탄폼 및 연기감지기 모델
기류 풍속 외에 입력 조건을 제4장 Table 4.7의 조건과 동일하게 설정하여
각 풍속 단계별 연기감지기(설정농도 : 15 %/m)의 응답지연을 확인하는 모델
링을 실시한 결과는 Table 5.29와 같다.
각 풍속 단계별 응답지연율에는 일정한 규칙을 발견할 수 없었으며 응답지
연율은 크게 차이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기류의 직접적 영향으로
지연되는 것 보다는 에어컨의 기류로 인해 화재 기류와 공기가 희석됨에 따라
지연되는 효과가 큰 것으로 추정된다.

- 89 -
Table 5.29 Response time delay of smoke detectors by air conditioning flow velocity

감지기 응답시간(s) 응답지연율(%)

번호 무풍시 4.4 m/s 5 m/s 8.5 m/s 4.4 m/s 5 m/s 8.5 m/s

1 191 267 278 433 39.8 45.5 126.7


2 183 230 211 214 25.7 15.3 16.9
3 170 139 133 214 -18.2 -21.8 25.9
4 123 137 108 216 11.4 -12.2 75.6
5 195 264 139 282 35.4 -28.7 44.6
6 174 145 137 238 -16.7 -21.3 36.8
7 170 128 139 131 -24.7 -18.2 -22.9
8 150 122 161 130 -18.7 7.3 -13.3
9 187 285 235 446 52.4 25.7 138.5
10 183 267 211 268 45.9 15.3 46.4
11 179 233 212 188 30.2 18.4 5.0
12 183 235 208 191 28.4 13.7 4.4
13 204 473 514 495 131.9 152.0 142.6
14 202 468 441 461 131.7 118.3 128.2
15 203 400 441 462 97.0 117.2 127.6
16 201 325 436 464 61.7 116.9 130.8
17 210 634 610 575 201.9 190.5 173.8
18 215 538 556 557 150.2 158.6 159.1
19 220 440 534 499 100.0 142.7 126.8
20 225 424 509 500 88.4 126.2 122.2
21 199 449 518 453 125.6 160.3 127.6
22 204 463 501 418 127.0 145.6 104.9
23 203 456 493 416 124.6 142.9 104.9
24 206 450 490 418 118.4 137.9 102.9
25 185 625 592 432 237.8 220.0 133.5
26 187 505 148 382 170.1 -20.9 104.3
27 188 412 167 356 119.1 -11.2 89.4
28 181 401 169 358 121.5 -6.6 97.8
29 178 532 132 374 198.9 -25.8 110.1
30 175 165 144 367 -5.7 -17.7 109.7
31 160 144 144 353 -10.0 -10.0 120.6
32 162 153 130 334 -5.6 -19.8 106.2
평균 77.4 58.0 90.9

- 90 -
Ⅵ. 결 론

본 논문은 천장에 설치된 공기조화설비 급기 디퓨저 및 천장형 에어컨에서


발생하는 기류가 화재감지기 응답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로서 다음과 같
음 결론을 도출하였다.
천장공조 디퓨저 토출기류가 감지기 응답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화재실험을
수행한 결과, n-Heptane 화원에서 차동식열감지기는 천장공조 디퓨저 토출기
류가 없는 경우에 비해 약 5 m/s의 토출 기류가 있는 경우에 응답시간이 평균
23.5 % 늦어지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면심지 화원에서 광전식 연기감지기는
천장공조 디퓨저 기류가 없는 경우에 비해 약 5 m/s의 기류가 있는 경우에 응
답 시간이 대부분 늦어져 평균 85.8 % 길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천장형 에어컨의 토출기류가 감지기 응답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화재실험을
실시한 결과, 천장형에어컨 토출 기류가 없는 경우에 비해 기류를 최대 풍속
(8.5 m/s)으로 설정한 경우에 열감지기는 n-Heptane화원에서 38.5 %, 연기감지
기는 면심지 화원에서 120.8 % 만큼 작동이 지연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천장형 에어컨의 기류를 약 45°하방향으로 토출시켰던 화재실험과 다르게
기류가 천장면 가까이 흐르게 조건을 주고 화재모델링을 수행한 결과,
n-Heptane 화원에서는 기류의 영향에 따른 평균 응답지연율이 12 %로 낮았으
나, 우레탄폼 화원에서는 기류의 영향을 크게 받아 평균 응답지연율이 90.9 %
로 나타났다. 응답시간 지연을 보상하기 위해서 아날로그 열감지기의 경우는
60 ℃에서 기류가 없을 때와 57 ℃에서 기류가 8.5 m/s로 형성될 때 응답시간
이 유사해지는 것으로 나타났고, 아날로그 연기감지기는 기류가 8.5 m/s로 형
성될 때 지연되는 응답시간을 보상하기 위해서는 7 %/m ∼ 8 %/m 로 설정해
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천장형 에어컨 기류를 천장면과 수평방향으로 흐르는 조건으로 모델링한 결
과에서 감지기는 토출구 방향과 대각선 방향 모두 천장공조 디퓨저 또는 천장
형에어컨 토출구로부터 1.0 m 까지는 영향을 크게 받으나 1.5 m부터는 영향
을 적게 받는 것으로 나타나므로 토출구 방향이나 대각선 방향으로 부터 1.5
m 이상 이격시키는 것이 조기 화재감지를 위해 필요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다만 에어컨의 기류가 천장면으로부터 하방향으로 45°이상 되는 경우에는 천
장면에서 기류가 미미하게 형성되어 천장공조 디퓨저나 천장형 에어컨 토출구
근방에 감지기를 설치하여도 무방할 것으로 판단된다. 토출구 방향과 대각선
방향에 설치된 감지기들 중 1.5 m 이상 떨어진 감지기만 대상으로 평균 응답

- 91 -
지연율을 비교한 결과,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나 감지기 설치 시 설치
방향은 중요한 고려사항은 아닌 것으로 확인되었다.
천장 공조설비 기류가 형성될 수 있는 실내에는 감지기 응답 지연을 보상하
여 화재를 정한 시간 내에 감지하기 위해 아날로그 감지기 등 감도조정이 가
능한 감지기나 감도가 뛰어난 감지기를 설치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된다.
일반 스포트형 감지기의 설치 개수를 늘리는 방법도 천장 공조기류 영향에
의한 응답 지연을 보상하는 방안이 될 수 있으며, 설치환경 및 감지설계안이
다양하기 때문에 화재모델링을 이용한 성능위주의 화재감지 설계를 권장한다.
본 연구는 실 규모, 공조기류 조건, 화원의 종류 및 크기 등이 제한된 조건
으로 화재실험과 화재모델링을 수행한 결과이다. 본 연구를 기초로 향후 일반
화된 기준을 도출하기 위해서는 화원의 종류 및 규모에 따른 화재감지기 응답
특성 변화, 에어컨의 토출기류 각도에 따른 화재감지기 응답특성 변화, 실 규
모 및 다양한 공조설비 설치환경에서 화재감지기 응답특성 실험 또는 모델링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 92 -
참고 문헌

[1] 소방청, “국가화재정보센터 화재통계”, https://www.nfds.go.kr/index.jsf,


2018.10.21.접속 (2018).
[2] 소방청, “국가화재정보센터 생활소방상식”, http://www.nfds.go.kr/fs_
sense_0001.jsf?gb=v7, 2018.10.21.접속 (2018).
[3] 연합뉴스,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6/08/10/0200000000AKR
20160810122400003.HTML, 2018.10.21.접속 (2016).
[4] 최진, “방화 화재의 특성 및 방재대책에 관한 연구”, 명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경기도, pp. 27∼29 (2007).
[5] 사공성호, 김시국, 이춘하, 정종진, “화재실험을 통한 주택용 연기감지기
응답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화재소방학회 논문지, Vol. 23, No. 4, pp. 98
∼103 (2009).
[6] 이종화, 김시국, 지승욱, 김필영, 이춘하, “연소생성물이 거주자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한 단독경보형 감지기의 응답범위에 대한 연구”, 대한안전경
영과학회지, Vol. 14, No. 1, pp. 23∼29 (2012).
[7] David A. Purser, “Toxicity Assessment of Combustion Products”,
Chapter 6, SFPE Handbook of Fire Protection Engineering, National Fire
Protection Association (2002).
[8] 최문수, 홍성호, 박상태, 유송현, 유상필, “공기유입구에서 유입유속에 따
른 화재감지기의 감도성능변화 연구”, 한국화재소방학회 춘계학술대회논
문집, pp.148∼149 (2013).
[9] 이복영, 이병곤, “기류순환이 연기농도와 감지기 작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화재소방학회지, Vol. 16, No. 4, pp. 28∼32 (2002).
[10] 이복영, 박상태, 채영무, 백동현, 이병곤, “공기유동이 감지기 응답특성에
미치는 영향과 대책”, 한국화재소방학회 하계학술논문발표회논문집,
pp.131∼137 (2004).
[11] 이복영, 최문수, 박상태, 이병곤, “공조설비에 의한 화재감지기 응답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화재소방학회 추계학술대회논문집, pp. 147∼151 (2002).
[12] 이복영,“조기화재감지용 공기흡입형 광전식 연기감지기 감지장치의 개
발”,충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충청북도 (2006).
[13] 최문수, “화재감지기와 스프링클러헤드의 응답특성에 관한 실험적 연
구” 서울산업대학교 산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서울, pp. 63∼64 (2006).

- 93 -
[14] 박동하, “성능위주설계를 위한 자동화재감지기의 적정배치에 관한 공학적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서울, pp. 150∼152 (2010).
[15] 이종화, 김시국, 지승욱, 김필영, 이춘하, “연소생성물이 거주자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한 단독경보형 감지기의 응답범위에 대한 연구”, 대한안전경
영과학회지, Vol. 14, No. 1, pp. 23∼29 (2012).
[16] 최문수, 홍성호, 박상태, 유상필, 김갑용, “천장으로부터 이격거리에 따른
화재감지기 감도성능변화 실험연구”, 한국화재소방학회 춘계학술대회논
문집, pp.111-112 (2014).
[17] 박희원, “연기 및 열감지기의 장치특성에 관한 실험 및 수치적 연구”,
대전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대전, pp. 45∼46 (2014).
[18] 이종철, 김두현, 홍성호, “온도 변화에 따른 감지기 동작특성 및 화재적
응성”, 한국화재소방학회 추계학술대회논문집, pp. 112-117 (2002).
[19] R.J. Cooper, P.F. Johnson and G. Timms, “Optimizing sampling
arrangement for high sensitivity smoke detectors in computer
facilities”, Fire Safety Journal, Vol. 19, No. 2, pp. 141∼157 (1992).
[20] B.J. Meacham and V. Motevalli, "Characterization of Smoke from
Smoldering Combustion for the Evaluation of Light Scattering Type
Smoke Detector Response”, Journal of Fire Protection Engineering,
SFPE, Vol. 4, No. 1, pp. 17∼32 (1992).
[21] S. Nam, L. P. Donovan and J. G. Kim, “Establishing Heat Detectors’
Thermal Sensitivity Index through Bench-Scale Tests”, Fire Safety
Journal, Vol. 39, No. 3, pp. 191∼215 (2004).
[22] S. Nam, “Predicting Response Times of Fixed-temperature, Rate-of-rise,
and Rate-compensated Heat Detectors by Utilizing Thermal Response
Time Index”, Fire Safety Journal, Vol. 41, No. 8, pp. 616-627 (2006).
[23] Depeng Kong, Shouxiang Lu, Lei Feng and Qimiao Xie, “Uncertainty
and sensitivity analyses of heat fire detector model bsaed on monte
carlo simulation”, Journal of Fire Sciences, Vol. 29, No. 4, pp. 317∼337
(2011).
[24] Lee F. Richardson and Richard J. Roux, "National Fire Alarm and
Signaling Code Handbook”, National Fire Protection Association, 7th
Edition, Quincy, MA, pp. 908∼912 (2013).
[25] 이유식, “건축물의 방화대책”, 방재기술실무교육 화재안전관리과정 교
재, 한국화재보험협회 방재시험연구원 (2007).

- 94 -
[26] 이경구, “철골보에 대한 불연천장의 내화성능에 관한 실험연구”, 건국
대학교 산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서울, pp. 3∼4 (1995)
[27] 강경원, 송가철, “소방기술사특론”, 동화기술, pp. 99∼103 (2015).
[28] Sean Michaletz and Edward A Johnson, “How forest fires kill trees: A
review of the fundamental biophysical processes”, Scandinavian Journal
of Forest Research (2007).
[29] 이종렬, “소방정책개발 및 소방교육체계 구축을 위한 소방학 정립 연구
자연과학분야”, 소방청(서울행정학회 수행) 보고서, pp. 123∼125 (2008).
[30] 이동명, 손봉세, 박용환, “제연공학”, 성안당, pp. 25∼52 (2009).
[31] 노형기,“광전식 연기 감지 특성을 고려한 화재감지시간 산정 방법에 관
한 연구”,경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경기도 (2011).
[32] 황동환, “차동식 열감지기 배치거리에 따른 화재감지 성능에 관한 시뮬
레이션 연구”, 명지대학교 대학원 논문, 경기도, pp.10 (2015).
[33] Jonathan Ochshorn, “ARCH 2614/5614 Lecture notes-Fire safety
overview, sprinklers”, NIST (2014).
[34] Society of Fire Protection Engineers, “The SFPE Handbook of Fire
Protection Engineering”, Chapter 2.2 Ceiling Jet Flows, Third Edition
pp. 2.18∼2.31 (2005).
[35] G. Heskestad and H. Smith, “Investigation of a new sprinkler sensitivity
approval test: The plunge test", FMRC Tech. Report 22485, Factory
Mutual Research Corp., Norwood, MA (1976).
[36] J. P. Holman, “Heat Transfer”, TBS, 10th edition, Newyork (1986).
[37] 최문수, “화재감지기와 스프링클러헤드의 응답특성에 관한 실험적 연
구”, 서울산업대학교 산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서울, pp. 18 (2006).
[38] R.L. Alpert, "Calculation of response time of ceiling-mounted fire
detectors”, Fire Technology, Vol. 8, No. 3, pp. 181∼195 (1972).
[39] 권오승 박창복 혀윤택, 김민주, “PBD 설계방법 및 평가방법 개발”, 서
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소방방재청 (2009).
[40] 박동하, “성능위주설계를 위한 자동화재감지기의 적정배치에 관한 공학적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서울, pp. 17∼18 (2010).
[41] National Fire Protection Association, “The SFPE Handbook of Fire
Protection Engineering”, 4th Edition, pp. 4∼7 (2008).
[42] Custer, R. and Bright, R. “Fire Detection: The State-of-the-Art” NBS
Tech. Note 839, National Bureau of Standards, Washington (1974).

- 95 -
[43] 홍성호, 김동석, 최기옥, “반응시간지수(Response Time Index)를 이용한
국내 화재감지기 등급분류에 관한 연구”, 한국안전학회지, Vol. 32, No.2,
pp. 46∼51 (2017).
[44] Meacham, B. J. “Characterization of Smoke from Burning Materials for
the Evaluation of Light Scattering Type Smoke Detector Response,” MS
Thesis, WPI Center for Fire safety Studies, Worcester, MA (1991).
[45] Schifiliti, R. P., Meacham B. and Custer, R. L. P. “Design of Detection
Systems,” SFPE Handbook of Fire Protection Engineering (2015).
[46] Brozovski, E. “A Preliminary Approach to Siting Smoke Detectors Based
on Design Fire Size and Detector Aerosol Entry Lag Time”, Master’s
Thesis, Worcester Polytechnic, Worcester, MA (1989).
[47] Geiman, J. A., “Evaluation of Smoke Detector Response Estimation
Methods”, Master of Science Thesis, University of Maryland, College
Park, MD (2003).
[48] 김동규, “FDS를 이용한 지하공동구 배연성능 확보를 위한 적정 기류속
도 도출방안에 관한 연구”, 가천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경기
도, pp. 13 (2016).
[49] 손윤석, “지하철 화재에서 FDS에 의한 열 및 연기 거동 해석”, 명지대
학교 산업대학원 공학석사학위논문, 경기도, pp. 7∼12 (2008).
[50] G. Cox and S. Kumar, "Modeling Enclosure Fires Using CFD”, SFPE
Hand-book of Fire Protection Engineering, 3rd Edition, National Fire
Protection Association, MA (2002).
[51] 김병준, 서찬원, 신원규, “공동주택 화재 시 화재풍속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들에 관한 수치해석적 연구”, 한국화재소방학회 논문지, Vol. 30, No.
4, pp. 14∼19 (2016).
[52] G. W. Mulholland and C. Croarkin, “Specific extinction coefficient of flame
generated smoke”, Fire Materials, Vol. 24, No. 5, pp. 227∼230 (2000).
[53] 박은정, 오창보, “제트 확산화염구조에 대한 FDS 연소모델의 예측성능
비교연구”, 한국안전학회지, 제25권, 제3호, pp. 22∼27 (2010).
[54] K. B. McGrattan and G. P. Forney, “Fire Dynamics Simulator (Ver. 5)
Technical-Reference-Guide”, National Institute of Standard and
Technology Special Publication 1019, Gathersburg, MD (2008).
[55] 최문수, “화재감지기와 스프링클러헤드의 응답특성에 관한 실험적 연
구” 서울산업대학교 산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서울, pp. 1 (2006).

- 96 -
[56] 한국화재보험협회, “자동화재탐지설비 및 시각경보장치 방재기술자료”,
No. 07, 서울, pp. 1 (2018).
[57] 홍성호, “화재감지센서 작동시간 및 열방출률에 대한 실험연구”, 대한
전기학회 논문지, Vol. 61, No. 9, pp. 1358∼1361 (2012).
[58] NFPA 90, “Standard for the installation of air conditioning and
ventilating systems”, National Fire Protection Association (2018).
[59] NFPA 72 미국화재경보 및 신호처리코드 핸드북, 7th Edition, 한국화재보
험협회 번역판, pp. 312∼335 (2015).
[60] NFSC 203, “자동화재탐지설비 및 시각경보장치의 화재안전기준”, 소방
청 (2018).
[61] 최문수, 이근오, “천장형 에어컨 기류가 화재감지기 작동에 미치는 영향
분석”, 한국화재소방학회 논문지, Vol. 32, No. 5, pp. 40∼45 (2018).
[62] Lee F. Richardson and Richard J. Roux, “National Fire Alarm and
Signaling Code Handbook”, National Fire Protection Association, 7th
Edition, Quincy, MA, pp. 908∼912 (2013).
[63] ISO 7240-9, “Fire Detection and Alarm Systems-Part 9 : Test Fires for
Fire Detectors”,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2012).
[64] 홍성호, 최문수, 박상태, 유상필, 김갑용, “무선네트워크기반의 지능형 화
재 및 연기감지기 개발”, 중소기업청 연구장비활용기술개발사업 보고서,
방재시험연구원 (2013).
[65] UL 268, “Standard for smoke detectors for fire alarm signaling
systems”, Underwriters Laboratories Inc., Notthbrook, IL, pp. 56∼64
(2009).
[66] 이인, 박정익, 이상원, 조민호, “신개념 화재 감지기용 CO & CO2 멀티
가스 감지기 개발”, 소방방재청 재난안전기술개발기반구축사업 보고서,
인바이런먼트 리딩 테크놀러지(이엘티) (2010).
[67] 소방청, “감지기 우수품질인증 기술기준 제17조”, 소방청고시 제
2016-33호 (2016).
[68] 한국소방산업기술원, “감지기의 우수품질인증 시험세칙”, pp. 10∼13
(2016).

- 97 -
부 록

1. n-Heptane 화원에서 에어컨기류가 없을 때 실험 경과시간에


따른 열감지기 위치별 온도 변화

2. n-Heptane 화원에서 하방 약 45°에어컨기류가 8.5 m/s일 때


실험 경과시간에 따른 열감지기 위치별 온도 변화

3. n-Heptane 화재에서 에어컨기류가 없을 때 모델링 경과시간에


따른 열감지기 위치별 온도 변화

4. n-Heptane 화재에서 천장 수평방향 에어컨기류가 8.5 m/s


일 때 모델링 경과시간에 따른 열감지기 위치별 온도 변화

5. 우레탄폼 화재에서 에어컨기류가 없을 때 모델링 경과시간에


따른 연기감지기 위치별 연기농도 변화

6. 우레탄폼 화재에서 천장 수평방향 에어컨기류가 8.5 m/s 일 때


모델링 경과시간에 따른 연기감지기 위치별 연기농도 변화

- 98 -
1. n-Heptane 화원에서 에어컨기류가 없을 때 실험 경과시간에 따른 열감지기
위치별 온도 변화

Fig. A-1 Temperature change by heat detector position when


there is no air conditioning flow in the n-Heptane fire.

2. n-Heptane 화원에서 하방 약 45°에어컨기류가 8.5 m/s일 때 실험 경과


시간에 따른 열감지기 위치별 온도 변화

Fig. A-2 Temperature change by heat detector location when


there is 8.5 m/s of air conditioning flow in
45°downward direction from ceiling plane in the
n-Heptane fire.

- 99 -
3. n-Heptane 화재에서 에어컨 기류가 없을 때 모델링 경과시간에 따른 열감지
기 위치별 온도 변화

Fig. A-3 Temperature change by position of heat detector


according to modeling time when there is no air
conditioner flow in n-Heptane fire.

4. n-Heptane 화재에서 천장 수평방향 에어컨기류가 8.5 m/s일 때 모델링 경


과시간에 따른 열감지기 위치별 온도 변화

Fig. A-4 Temperature change of the heat detector position


according to modeling time when ceiling horizontally
air conditioning flow is 8.5 m/s in n-Heptane fire.

- 100 -
5. 우레탄폼 화재에서 에어컨기류가 없을 때 모델링 경과시간에 따른 연기감
지기 위치별 연기농도 변화

Fig. A-5 Change of smoke concentration by position of smoke


detector according to modeling time when there is no
air conditioning flow in urethane foam fire.

6. 우레탄폼 화재에서 천장 수평방향 에어컨기류가 8.5 m/s일 때 모델링 경과


시간에 따른 연기감지기 위치별 연기농도 변화

Fig. A-6 Smoke concentration change by position of smoke detector


according to modeling time when ceiling air conditioning flow
is horizontally 8.5 m/s in urethane foam fire.

- 101 -
Abstract

A Study on the Response Characteristics of Fire Detector


in Ceiling Air Conditioning Environment

Choi, Moon Soo


(Supervisor Lee, Keun Oh)
Dept. of Energy Safety Engineering
Graduate School of Energy and Environment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Ceiling type HVACs are being used more and more in apartments, offices,
and computer rooms due to the advantages of space utilization. The ceiling
air conditioning system usually generates air flow for a pleasant environment,
but problems arise when a fire occurs in the indoor space. This is because
the ceiling air-conditioning airflow collides with the ceiling jet flow generated
by the fire, and as the combustion products are diluted, the speed, direction
and temperature of the jet flow are changed and the response time of the
fire detector is delayed. In this paper, for the early detection of fire, the
response characteristics of fire detector in the ceiling air conditioning
environment are confirmed through fire experiment and fire modeling.
Through a room-scale fire test, the rate-of-rise type heat detector in the
n-Heptane source showed an average response time of 23.5 % longer when
there was an air flow of about 5 m/s in the ceiling air diffuser compared
with no air flow. The photo-electric type smoke detector was found to have
an average response time delay of 85.8 % when the ceiling air diffuser had
air flow of about 5 m/s compared with no air flow. In the ceiling type air
conditioner airflow, when the airflow was set at 8.5 m/s, the response time
of fixed temperature type heat detector was delayed by 38.5 % in n-Heptane
source and photo-electric type smoke detector was delayed by 120.8 % in
cotton wick source.

- 102 -
As a result of the fire modeling, the average response delay of heat
detector was 12 % in the n-Heptane fire, and 90.9 % in smoke detector in
the urethane foam fire.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fire modeling, when
the ceiling air-conditioning flow along the ceiling, the fire detector is
affected to a distance of 1.0 m from the air conditioner register. Therefore,
it is considered that it should be separated more than 1.5 m from the
register. But, when the ceiling air-conditioning flow is more than 45°
downward, it can be installed close to the register.
In the room where the ceiling air conditioning flow can be formed, it is
necessary to install fire detector with high sensitivity or analogue type fire
detector to compensate for the response delay and detect fire in a proper
time.
The output throughout this study can be applied to fire detection design or
to amendment of safety standard for the indoor space where ceiling air
conditioning flow is formed.

Key Words : Ceiling air conditioning flow, Ceiling type air conditioner, Fire
detector, Response characteristics

- 103 -
감사의 글

좋아하는 잠언 중에 “배움의 끝이 인생의 끝이다”라는 말씀이 있다. 배움


은 즐거움이요, 살아가는 힘이요, 소중한 자산이요, 누구나 좋아하는 아름다움
이기에 숨이 멎을 때까지 계속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2013년 대학원 박사과정에 입학하고 다시 캠퍼스를 다녔을 때 마냥 좋기만
했다. 싱그럽고 청춘의 기운이 가득한 캠퍼스 분위기 자체도 좋았고, 사람을
통해서 책을 통해서 다시 배움의 세계에 빠져든다는 것이 나름 만족스러웠다.
그러나 시작할 때의 즐거움은 끝까지 계속되지만은 않았다. 수업 학기가 모두
끝나고 이제 논문이라는 어마어마한 벽이 앞을 가로 막고 있었기 때문이다.
예상은 했지만 막상 코 앞에 닥치니 미비한 준비와 바쁜 직장생활 가운데 엄
두를 낼 마음을 먹지 못했다. 그러한 상황으로 어느새 3년의 세월은 쏜살같이
빠르게 지나갔다. 어떻게 할까? 무엇을 할까? 바쁜 현실을 이유삼아 포기해
버릴까? 여러 가지 고민과 힘없는 생각들로 나의 뇌는 꽉 차 있었다. 기도를
했다. 주님! 어떻게 해야 할까요? 여러 날을 작정하며 기도하고 있는데, 이근
오 교수님께서 전화를 주셨다. “지금 안하면 앞으로 더 힘들다. 수료는 아무
것도 아니야. 학위를 받는 것과는 천지차이야. 지금 할 수 있는 것으로 해보
라.”하시면서 자극과 격려를 해주셨다. 큰 힘이 되었다. 주님께서 이근오 지
도교수님을 통해 역사하시며 기도를 들어주신 것이다. 일단 맘을 먹으니 논문
구조와 흐름이 뇌에 잡히기 시작했고 그 동안 수행했던 실험 자료와 모아놓은
관련 문헌들을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화재시뮬레이션도 급히 익혀 그 내용을
반영하면서 결국에야 논문을 완성하게 되었다.
항상 사랑으로 함께 하시고 박사학위 모든 과정과 이번 논문을 쓰는데도 큰
힘과 도움이 되어주신 영원하신 하나님, 성령님, 성자 주님께 진심으로 감사드
립니다. 입학 때부터 저를 받아주시고 논문을 완성할 때까지 늘 따뜻한 관심
과 격려로 완벽하게 지도해주신 존경하는 이근오 교수님께도 정말 감사드립니
다. 아울러, 이번 논문 진행 과정에서 심혈을 기울여 논문의 완성도를 높여주
신 이수경 교수님, 박달재 교수님, 이영순 교수님, 하동명 교수님에게도 진심
으로 감사드립니다. 또, 논문 쓴다는 핑계로 가정에 소홀히 했던 것에 대해 이
지면을 통해 아내와 아이들에게 미안함을 표현하고 싶고 그 동안 참고 견디면
서 불평하지 않고 오히려 격려와 사랑을 아끼지 않은 사랑하는 아내와, 그리
고 늘 이 아빠의 든든한 기쁨과 힘이 되는 해미와 진영에게도 고마움을 전한
다. 53년 동안 항상 아들이 잘 되기만을 바라면서 기도와 사랑을 베풀어주신

- 104 -
사랑하는 아버님과 어머님께도 이 논문을 드리며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논
문을 한창 진행하면서 어려움이 있을 때 조언과 도움으로 어려움을 해결해 준
홍성호 박사와 이선기 과장에게도 진심으로 고마운 마음을 전합니다. 또 논문
을 준비하느라 정신이 다른데 가 있을 때도 있었는데 이 모든 것을 이해해주
고 사랑으로 보듬어준 협회 인사회계팀 이현창 차장, 문태숙 과장, 문기석 과
장, 전상미 차장에게도 진심으로 감사의 마음을 전합니다.
끝으로, 입사해서 배움의 중요성을 알려주고 항상 공부할 수 있도록 여건을
제공해주면서 이렇게 박사논문까지 완성하고 학위를 받을 수 있도록 지원해
준 한국화재보험협회에도 진심으로 감사하게 생각하며 앞으로도 더 열심히 배
우고 공부하며 협회 발전에 기여할 생각입니다.

- 105 -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