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64

공 학 석 사 학 위 논 문

보강토 옹벽 설계/시공 개선방안

Improvement of Design and Construction


Procedures in Mechanically Stabilized Earth Walls

울산대학교 산업대학원
건설환경공학부
박 정 모
보강토 옹벽 설계/시공 개선방안

Improvement of Design and Construction


Procedures in Mechanically Stabilized Earth Wall

지도교수 신 호 성

이 논문을 공학석사 학위논문으로 제출함

2012년 6월

울산대학교 산업대학원
건설환경공학부
박 정 모
보강토 옹벽 설계/시공 개선방안

박정모

울산대 산업대학원 건설환경공학부

요 약

보강토 옹벽은 국내에 도입된 1980년대 이래 경제성, 비교적 쉬운 시공성, 수려한 외관 등으


로 인해 시공이 급격하게 증가 하고 있다. 보강토 옹벽은 성토흙(뒤채움흙)과 성토흙 내부에
부설된 보강재 및 전면벽체가 일체화 되어 외력이나 토압에 저항하는 구조물로 정의할 수 있
다. 또한, 보강토는 외력에 저항성이 크며 특히 지진과 부등침하에 대한 내성이 크다. 이러한
보강토 옹벽의 장점으로는 시공을 어렵지 않고 간편하게 할 수 있으며 건설속도를 빠르게 할
수 있다. 그러나 보강토 옹벽 시장의 확장과 더불어 부적적한 설계와 시공상의 부주의로 인해
옹벽의 변형이나 붕괴현상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에 따라 본 논문에서는 보강토 옹벽의
기본 이론과 특성, 보강토 옹벽의 설계 방법, 보강토 옹벽의 실제 설계 및 시공에서의 실패 사
례를 바탕으로 그 문제점을 밝히고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러한 보강토 옹벽의 실패
원인 분석을 통해 보강토 옹벽의 설계 및 시공시 주의해서 고려해야 할 사항과 그에 따른 개
선방안 등을 알아보았다.

- i -
목 차

국 문 요 약·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ⅰ
·
·
목 차·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ⅱ
표 목 차·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ⅴ
·
·
그 림 목 차·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ⅵ

제 1장 서 론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

1.1 연구배경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
1.2 연구목적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

제 2장 이론적 배경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

2.1 보강토 공법의 개요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
2.2 보강토 옹벽의 특성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
2.2.1 보강토 옹벽의 장점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
2.2.2 보강토 옹벽의 단점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
2.3 보강토 옹벽의 종류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
2.3.1 패널식 보강토 옹벽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
2.3.2 블록식 보강토 옹벽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
2.3.3 분리형 보강토 옹벽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
2.3.4 지오셀(GEOCELL) 보강토 옹벽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7

- ii -
제 3장 보강토옹벽 설계 방법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8

3.1 보강토 옹벽 설계 개요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8
3.1.1 보강토 옹벽의 설계 순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8
3.1.2 보강토 옹벽에 작용하는 하중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9
3.1.3 보강토 옹벽의 파괴양상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0
3.1.4 보강토 옹벽 설계기준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0
3.2 보강토 옹벽의 외적 안정성 검토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0
3.2.1 외적안정성 검토항목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0
3.2.2 외적안정성 검토를 위한 토압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0
3.2.3 저면활동에 대한 안정성 검토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4
3.2.4 전도에 대한 안정성 검토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5
3.2.5 지반지지력에 대한 안정성 검토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6
3.3 보강토 옹벽의 내적안정성 검토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8
3.3.1 내적안정성 검토항목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8
3.3.2 보강재 파단 및 인발파괴에 대한 안정성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8
3.3.3 보강재의 장기허용인장강도,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1

3.3.4 보강재의 인발저항력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2
3.4 전체(사면활동에 대한) 안정성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6
3.5 실용적인 보강토 옹벽 설계법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7
3.6 보강토 옹벽의 단계별 설계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8
3.7 보강토 옹벽 설계시 고려사항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0
3.7.1 예비설계단면의 가정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0
3.7.2 보강재의 수직간격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1
3.7.3 보강토 옹벽의 근입 깊이(Embedment depth) ·
··
··
··
··
·
···
··
··
··
··
··
·
··
··
··
··
··
··
·
··
··
··
·31
3.7.4 연결부 안정성 평가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3
3.7.5 힌지높이(hinge height)의 고려(블록식 보강토 옹벽) ·
··
··
··
··
··
··
··
··
··
··
··
··
··
··
··33
3.7.6 보강토 옹벽의 배수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5
3.7.7 보강토 옹벽 호용 변형의 한계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7
3.7.8 전체 성토사면의 안정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9

- iii -
제 4장 보강토 옹벽의 시공, 설계 및 실패사례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1

4.1 경북 OO공장부지 보강토 옹벽 우각부의 균열 발생 ·


··
··
··
··
··
··
··
··
··
··
··
··
··
··
··
··
··
··
··
··
··41
4.1.1 경북 OO공장부지 보강토 옹벽 우각부의 균열 발생 개요 ·
··
··
··
··
··
··
··
··
··
··
··
··41
4.1.2 실패원인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2
4.1.3 보강토옹벽 우각부 균열발생시 개선방안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4
4.2 경남 OO OO예술타운 보강토 옹벽 배부름 현상 ·
·
···
··
··
··
··
··
··
··
·
··
··
·
··
··
·
··
··
··
·
··
··
·
··
··
·47
4.2.1 경남 OO OO예술타운 보강토 옹벽 배부름 현장개요 ·
··
··
··
··
··
··
··
··
··
··
··
··
··
··
··47
4.2.2 보강토 옹벽 시공실패원인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8
4.3 전남 OO OO LPG 주유소 부지조성공사 배부름 현상 ·
·
···
··
··
··
··
··
··
··
··
··
··
··
··
··
··
··49
4.3.1 전남 OO LPG 주유소 부지조성공사 현장개요 ·
··
··
··
··
·
···
··
··
··
··
··
··
··
··
··
··
··
··
··
··
··49
4.3.2 보강토 옹벽 시공실패원인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0

제 5장 결론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2

참 고 문 헌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3

- iv -
표 목 차

[표 3.1] 지지력계수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7
[표 3.2] 보강토 옹벽 최소근입 깊이 제안치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2
[표 3.3] 잔류침하의 한계값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8
[표 3.4] 줄눈의 간격에 따른 허용부등침하량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9
[표 4.1] 경북 o o o o 공장부지 조성공사 현장개요 ·
··
··
··
··
··
··
··
··
·
··
··
·
··
··
·
··
··
·
··
··
·
··
··
·
··
·42
[표 4.2] 경남 o o o o 예술타운 건립공사 현장개요 ·
··
··
··
··
··
··
··
··
··
··
··
··
··
··
··
··
··
··
··
··
··
··
·48
[표 4.3] 보강토 옹벽 전면부 배부름 현상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9

- v -
그 림 목 차

[그림 2.1] 패널식 보강토 옹벽적용의 예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
[그림 2.2] 블럭식 보강토 옹벽적용의 예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
[그림 2.3] 분리형 보강토 옹벽적용의 예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7
[그림 2.4] 지오셀 보강토 옹벽적용의 예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7
[그림 3.1] 보강토 옹벽의 일반적인 설계 순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8
[그림 3.2] 보강토 옹벽의 주요 파괴형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9
[그림 3.3] 보강토체 배면에 작용하는 배면토압의 분포 ·
··
··
··
··
··
··
··
··
··
··
··
··
··
··
··
··
··
··
··
··
··
··11
[그림 3.4] 상부 사면이 무한하지 않은 경우의 배면토압 고려 방법 ·
··
··
··
··
··
··
··
··
··
··13
[그림 3.5] 활동 및 전도에 대한 안정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4
[그림 3.6] 지반 지지력 계산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6
[그림 3.7] 보강토체 내부의 토압분포(비신장성 보강재) ·
·
···
··
··
··
··
··
··
··
··
··
··
··
··
··
··
··
··
··
··19
[그림 3.8] 보강토체 내부의 토압분포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0
[그림 3.9] 보강재 유효길이의 정의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3
[그림 3.10] 그리드 형 보강재의 인발 저항구조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4
[그림 3.11] 보강재 종류별 인발저항계수의 값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6
[그림 3.12] 복합 중력식 방법 및 타이백 웨지법 ·
··
··
··
··
··
··
··
··
··
··
··
··
··
··
··
··
··
··
··
··
··
··
··
··
··
··
·28
[그림 3.13] 시공시 보강토 옹벽의 변형을 추정할 수 있는 경험곡선 ·
··
··
··
··
··
··
··
··
·30
[그림 3.14] 보강토 옹벽 근입 깊이의 정의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2
[그림 3.15] 힌지높이의 정의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4
[그림 3.16] 지표수 유입의 차단 예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6
[그림 3.17] 보강토 옹벽의 배수시설 설치 예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6
[그림 3.18] 침수 가능성이 있는 보강토 옹벽의 배수시설 ·
··
··
··
··
··
··
··
··
··
··
··
··
··
··
··
··
··
··
·37
[그림 3.19] 전체 사면활동에 대한 안정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0
[그림 4.1] 토압작용에 의한 블록의 균열 발생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3
[그림 4.2] 우각부 균열 전경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4
[그림 4.3] 우각부 균열이 발생된 지오그리드 모양 ·
··
··
··
··
··
··
··
·
···
··
··
··
··
··
··
··
··
··
··
··
··
··
··
··
··45
[그림 4.4] 보강토 옹벽 우각부 지오그리드 일반화 모형 ·
··
··
··
·
···
··
··
··
··
··
··
··
··
··
··
··
··
··
··
··46
[그림 4.5] 배부름 현상 발생 지역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1

[그림 4.6] 배부름 조사 현장사진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1

- vi -
제 1 장 서 론

1. 서론

산악지가 대부분인 우리나라는 토목공사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절토사면이 많이 발


생하고 이러한 절토사면을 지지함과 동시에 부지의 공간 활용을 목적으로 대표적인
흙막이 구조물인 콘크리트 옹벽이 많이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사용되
는 기존의 현장타설 콘크리트 옹벽은 공학적인 안정성은 확보되고 있으나, 벽체높
이에 따른 시공의 어려움, 배면배수의 문제, 콘크리트 자체의 균열 등에 대한 문제
를 가지고 있다. 이로 인해 국내에는 1990년대 이 후로 다양한 보강재와 전면판을
이용하여 경제성 및 시공성이 우수한 보강토 옹벽의 건설이 빠른 증가 추세에 있
다.

1.1 연구배경

보강토 옹벽은 성토흙(뒤채움흙)과 성토흙 내부에 부설된 보강재 및 전면벽체가


일체화되어 외력이나 토압에 저항하는 구조물로 정의 된다.
근본적으로 벽체 배면의 토압의 일부를 보강재가 부담하도록 보강재를 성토재에
포설하는 개념으로 설계되며, 기존의 중력식이나 켄틸레버식 형태의 옹벽에 비해
우수한 시공성 및 경제성을 바탕으로 사용성이 증가하고 있다. 또한 보강토 옹벽은
기존RC옹벽을 대체할 수 있으며 옹벽의 높이가 높아서 기존RC 옹벽의 적용이 불
가능하거나 특수한 설계가 필요한 경우에도 보강토 옹벽은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연약지반에서 RC 구조물은 지반지지력에 부족하여 부등침하의 피해가 많았
던 것에 비해 보강토 옹벽은 별도의 기초 처리 없이 적용 가능 하다는 장점이 있
다.
보강토 옹벽의 공법은 Henri Vidal(1963)에 의해 제안 되었고, 1964년 프랑스
Progness도로 성토공사에서 최초로 시도 되었다. 그 후, 40여년의 세월 동안 많은
연구 개발 및 시공기술의 축적을 통해 옹벽, 교대, 댐, 제방, 각종 저장 시설, 기초
구조물 등 다양한 분야에서 경제적이고 시공이 간편한 공법으로 인정받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1980년에 아연도 강판을 보강재로 사용한 패널식 보강토 옹벽이
처음 적용 되었으나, 아연도금 기술 부족과 뒤채움 흙 선정 및 시공관리 등의 문제
로 인해 크게 활성화되지 못 하였다. 이후 1986년에 띠형 토목섬유 보강재가 도입
되면서 보강토 옹벽의 사용량이 증가하기 시작하였고, 1994년에 고강도 지오그리
드를 보강재로 사용한 블록식 보강토 옹벽의 도입을 기점으로 활성화되기 시작하였
다. 그리고 현재 까지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또는 폴리에스테르(Polyester)

- 1 -
재질의 지오그리드가 광범위하게 활용되어 오고 있다. 또한 시공의 편이성과 외관,
경제적 이점 등으로 인해 보강토 옹벽의 활용이 점진적으로 증대되어 도로 및 철도
공사 현장뿐만이 아니라 소규모 주택단지에 이르기까지 많은 장소에서 설치된 옹벽
을 발견할 수 있다.

1.2 연구목적

보강토 옹벽에 대한 국내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음 에도 불구하고 외부에 알


려지지 않은 보강토 옹벽의 사고가 빈번히 일어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보강토
옹벽의 사고원인 으로는 보강토 옹벽의 새로운 역학 메커니즘에 대한 이해 부족과,
장비 작업에 대한 시공 관리의 소홀함을 들 수 있다. 특히, 뒤채움 흙의 철저한 다
짐관리가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장비적 재하중으로 인해 배면 지반의 붕괴를 초래
할 수 있다. 또한 기초의 지지력 부족, 배부름 현상으로 인한 파괴, 벌어짐
(Opening)파괴도 보강토 옹벽의 사고 원인이 된다.
옹벽과 같은 흙막이 구조물에서 배면 지반의 간극수 처리는 구조물의 안정성에 큰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배수불량 으로 인해 간극수의 원활한 처리가 되지 않을 경
우, 벽체에 수압이 가중되어 구조물의 전체적인 안정성을 해친다.
이 중에서도 최근 다양한 보강재와 전면판을 이용하는 보강토 옹벽이 등장하면서
각 공법에 대한 구체적인 설계 및 시공 관리 기준이 정립 되지 않아 기존 공법의
기준을 그대로 적용하는 문제가 있다. 또 한신 공법에 사용된 흙-보강재와 전면판
의 특성 및 보강토 옹벽의 역학거동에 대하여 실질적인 연구보다 수치해석에 의존
함으로서 실제현장에서 시공중 사고가 빈번히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
서는 섬유보강재 등을 적용한 보강토 옹벽과 연약한 지반 위에 시공되는 보강토 옹
벽의 설계사례를 분석하여 설계자가 유념해야 할 주의사항을 소개하려 한다.

- 2 -
제 2 장 이론적 배경

2.1 보강토 공법의 개요

1966년 프랑스 건축가 Henri Vidal이 개발한 보강토 공법은 모래를 쌓아 올렸을
때 항상 같은 경사를 이루는 것에 비해 유연한 솔잎을 모래층 사이에 끼워 넣으면
상당이 높이 모래를 쌓을 수 있으며, 경사 각도도 가파르다는 것에 착안하여 흙과
보강재 사이에 마찰 메카니즘을 도입하여 보강토의 개념을 제시 하였다. 이 공법은
흙은 주체로 성토체 속에 인장력이 큰 스트럿 형태를 보강재를 일정한 간격으로 매
설하여 하나의 새로운 복합 구조체를 형성시키는 공정으로 , 보강재를 흙 속에 삽
입하여 인장력을 증가시키는 방법이다. 그 이후, 벽체, 성토부 및 현장 원지반 보강
을 위하여 몇 가지 보강토 공법이 개발되었다. 그리고 쉽게 구할 수 있는 강재 , 토
목 섬유 및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진 보강재가 쉽게 구할 수 있고 ,널리 사용되고 있
다. 흙은 일반적으로 서로 강하게 부착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불연속 재료로 볼 수
있는데, 이에 흙입자 자체만으로는 소정의 강도를 발휘하는데 한계가 있다. 흙의 인
장력을 증가시키기 위해서 인장력을 가지고 있는 재료를 포설하거나 삽입하여 흙의
성징을 개량하는 것이 보강토 옹벽의 원리이다. 보강토 공법은 댐, 제방, 옹벽, 도로
, 터널 등에 광범위하게 적용되어 지반의 지지력 증가로 인한 정적 ,동적 안정성을
개선할 수 있다고 밝혀지고 있다. 보강토의 보강재 중에 하나인 지오그리드
(geogrid)는 영국에서 처음 개발된 토목건설 재료이다. 이 지오그리드는 고분자 재
질을 신축시켜 만든 고강도 제품으로 직교하는 양방향 리브(rib)사이에 대략
1~10cm의 큰 격자에 의한 수동저항의 발현으로 분리(separation)와 보강
(reinforcement)의 기능을 가지게 되어 지반의 지지력 증강을 위해 많이 사용된다.
지오그리드는 제조형태에 따라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의 고분자 폴리머를 판
상으로 압출시킨 후, 격자형태로 구멍을 내고, 일방향 또는 직교하는 양방향으로 연
신하는 일체형(강성) 지오그리드와 폴리에스테르 등의 고강도 섬유를 격자형으로
교차시켜 제직 / 편직한 후 PCV, 역청, 콜타르 등으로 코팅하여 제조하는 결합형
(연성) 지오그리드로 분류 된다.

2.2 보강토 옹벽의 특성

보강토 공법은 종래의 공법에 비하여 여러 가지 특성을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단점보다는 장점이 많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보강토 옹벽은 도로제방용 옹벽, 교량
의 교대, 해상구조물, 댐 또는 방파제, 터널 입출입구, 임시 우회도로 등에 적용 가
능하다. 보강토 공법은 일반적인 공법에 비하여 구조적, 경제적 및 미관적 장점 때
문에 현재 옹벽 및 교대, 파괴사면의 보수, 굴착시 토류벽, 현장사면의 안정 등에

- 3 -
많이 이용되고 있다. 보강토 옹벽의 일반적인 장점과 보강토 옹벽의 종류는 다음과
같다.

2.2.1 보강토 옹벽의 장점

(1) 시공성 및 뒤채움 재료


일반적으로 뒤채움재, 보강 및 전면판의 연속적인 시공은 특별한 업체, 숙련된
기술자 또는 전문적 장비를 필요로 하지 않으며, 보통 도로 성토에 사용되는 장
비와 건설비용으로 시공될 수 있다. 보강토의 많은 구성요소가 제작된 상태에서
시공하므로 조립과 시공이 용이하여 건설속도를 빠르게 할 수 있다. 종종 토공구
조의 전면공사에 좁은 공간이 필요한 경우가 있으며, 특히 기존도로가 존재할 때
또는 제한된 지역에서 시공할 때 더욱 유리하다. 토류벽체의 보강토 공법을 사용
하여 굴착을 할 경우 전통적인 띠장을 이용한 개착식 굴착방법에 비하여 버팀대
사용 및 파일 널말뚝 또는 말뚝 시공으로 발생되는 소음을 배제할 수 있다. 기존
의 콘크리트 옹벽은 동절기 시공시 추운 날씨 관계로 콘크리트 양생에 문제점이
있으나 보강토 옹벽은 모든 구성요소가 기성제품을 사용하므로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다. 보강토 구조에 뒤채움 재료로 광범위한 재료가 사용되어 왔으
며, 적합한 품질의 재료가 현장 인근에서 쉽게 발견 사용될 수 있으므로 기존 장
소로부터 현장 반입을 필요치 않는다. 일반적으로 내부마찰각이 30°이상인 사
질토의 사용이 추천되고 있으며, 일부 공사에서는 점토질 실트와 같은 재료가
성공적으로 사용되었다.
옹벽 전면이 블록으로 구성되어 있고, 블록 바로 뒷 배면에 잡석층을 형성하는
관계로 배수가 원활하여 간극수압으로 인한 옹벽의 안정성에 문제가 발생되는
않는다.

(2) 지진과 부등침하에 대한 저항


일체로 작용하는 가요성의 보강체로서 보강토 구조는 지진위험지역에 적합한
구조 형태이며, 지진으로 인한 대량의 에너지 방출을 흡수하는 높은 감세율을 제
공한다. 또한 , 보강토는 외력에 의해 변위를 일으킨 후에도 쉽게 안정을 되찾으
므로 특별한 내부 응력상의 변화가 없으며, 전면판이 PC블록, 블록구조 또는 금
속판이나 지오그리드 연결구조이기 때문에 부등침하에 대한 내성이 크다 . 부등
침하의 크기가 전 길이에 대하여 콘크리트의 경우 약 1/200, 금속판의 경우 약
1/100까지는 구조적으로 피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예를 들면 1995년 일본
고베지역에서 지진이 발생하였을 때 현장조사를 해 본 결과 콘크리트 옹벽은 피
해가 컸음에도 불구하고 보강토 옹벽은 피해가 미약해 제 기능을 수행하는데 큰
문제가 없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 4 -
(3) 경제성
보강토는 부지제약을 받는 곳의 성토부 옹벽에 가장 경제적인 공법으로 적용될
수 있다. 즉 ,일반적인 옹벽에 사용되는 재료 대신에 더 경제적인 토사가 전설재
료로 사용될 수 있으며, 공사의 규모가 크면 클수록 전면벽 요소와 보강재의 비
용에 따라 경제성이 정해질 것이나 보강토공법의 시공편리성과 시공속도는 기존
옹벽에 비하여 경제적인 또 하나의 요인이 된다. 불안정한 사면을 가진 산악지
나 연약지반을 갖는 곳의 보강토사용은 상당량의 공사비를 절감시킬 수 있다. 가
요성을 갖기 때문에 보강토는 큰 부등침하와 측방향 거동을 하는 구조물에 유리
하며, 전체적인 안정성을 요구하는 깊은 기초를 필요로 하지 않고 안정된 구조물
이 될 수 있다.

2.2.2 보강토 옹벽의 단점

장기적인 측면에서 배면 성토재의 부등침하가 발생하며, 구조적으로 안정하나 미


세한 균열이 발생하기도 한다. 보강재 자체의 인장력에 의한 변형 및 연결부에서
파단이 발생하는 단점이 있다.

2.3 보강토 옹벽의 종류

보강토 옹벽의 종류옹벽에는 패널식 보강토 옹벽, 블록식 보강토 옹벽, 분리형 보
강토 옹벽 , 지오셀 보강토 옹벽 ,임시 구조물로의 적용방법이 있다.

2.3.1 패널식 보강토 옹벽

그림1.2에서와 같은 패널식 보강토 옹벽은 가장 오래된 형태의 보강토 옹벽으로,


보통 콘크리트(철근 또는 무근) 전면판과 띠형의 보강재를 사용한다. 국내에서는
한국건설기술연구원의 전신인 국립건설연구소가 1980년 경기도 용인시 외서면 3번
국도에 200  규모로 시험 시공한 것이 최초이며, 여기에는 콘크리트 전면판과
강재 띠형(steel strip) 보강재가 사용되었다.

- 5 -
그림 2.1 패널식 보강토 옹벽적용의 예

2.3.2 블록식 보강토 옹벽

블록식 보강토 옹벽은 1990년대 초반 전면포설식(지오그리드형) 보강재와 함께


도입되어 다양한 색상 및 형태를 가진 높이 20 cm의 모르타르블록을 사용하므로
미관이 우수하여 , 그 적용실적이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고 있다.

그림 2.2 블럭식 보강토 옹벽적용의 예

2.3.3 분리형 보강토 옹벽

기존의 패널식 및 블록식 보강토 옹벽은 전면벽체와 뒤채움 성토작업이 순차적으


로 진행됨으로써 뒤채움 다짐시에 발생하는 다짐유발토압에 의하여 벽면의 변형이
과도하게 발생하는 사례가 종종 있었다.
보강토 옹벽의 거동에 대한 연구결과에 의하면 보강토 옹벽의 변형은 대부분 시
공 중에 발생하며, 이러한 보강토 옹벽의 거동특성을 반영하여 보강토체와 전면벽
체를 분리하여 시공함으로써 시공 중에 발생하는 변형을 합리적으로 수용할 수 있
는 분리형 보강토 옹벽이 국내에서 개발되어 보급되고 있다.

- 6 -
그림 2.3 분리형 보강토 옹벽적용의 예

2.3.4 지오셀(GEOCELL) 보강토 옹벽

지반보강 및 사변보호용으로 주로 사용되어 오던 3차원 지반보강재인 지오셀을 보


강토 옹벽의 전면벽체로 사용한 옹벽이다.
지오셀은 벌집모양의 3차원 지반 보강재 속에 흙을 채워 넣어 식생이 가능한 형
태로 환경친화적인 토류 구조물을 형성 할 수 있다.

그림 2.4 지오셀 보강토 옹벽적용의 예

- 7 -
3. 보강토 옹벽 설계 방법

3.1 보강토 옹벽 설계 개요

3.1.1 보강토 옹벽의 설계 순서

보강토 옹벽의 일반적인 설계순서는 다음 그림과 같다


(1) 설계현황파악 : 보강토 옹벽의 기하형상, 뒤채움 재료의 선정 및 공학적 특성
평가, 기초지반 및 배면토의 공학적 특성 평가, 보강재의 허용인장강도 및 흙/보
강재 상호작용에 대한 평가, 전면벽체의 형식(패널식, 블록식등)의 선정, 설계하
중의 선정 등.
(2) 설계기준의 설정 : 보강토 옹벽의 내적 및 외적 안정성 검토를 위한 최소 안전
율, 옹벽의 근입 깊이 등
(3) 예비설계단면의 가정 : 보강재의 길이, 강도, 간격 등

그림 3.1 보강토 옹벽의 일반적인 설계 순서

- 8 -
(4) 외적안정성해석 : 외적안정성해석용 토압산정, 저면활동, 전도 및 지반지지력에
대한 평가, 지진시의 외적 안정성 평가 등.
(5) 내적안정성해석 : 임계활동파괴면의 가정, 각 층별 소요 보강재 인장력 평가,
보강재의 파단 및 인발에 대한 안정성 평가, 전면벽체/보강재 연결부 안정성 평
가, 지진시 내적 안정성 평가 등
(6) 보강토체를 포함한 전체사면활동에 대한 평가
(7) 사용성 검토 : 설계된 단면에 대하여 보강토체 및 기초지반의 압축에 의한 보
강토 옹벽의 침하와 벽면의 변형에 대하여 검토한다. 보강토체의 압축 침하량은
크지 않으며, 기초지반이 양호한 경우에는 사용성 검토를 생략하는 것이 일반적
이다.

3.1.2 보강토 옹벽에 작용하는 하중

보강토 옹벽의 설계시에는 보강토 옹벽 설치 위치에서의 기상 및 환경조건, 사용


목적, 시공조건, 구조물의 규모 등을 고려하여 필요한 하중을 선택하여 적용하여야
한다. 보강토 옹벽의 서례에 사용하는 하중으로는 보강토체의 자중, 상재하중 및 토
압 등이 주로 고려되며, 현장여건에 따라서 수압, 부력, 풍하중, 지진하중 등이 추가
로 고려될 수 있다

그림 3.2 보강토 옹벽의 주요 파괴형태

- 9 -
3.1.3 보강토 옹벽의 파괴양상

일반적으로 고려할 수 있는 보강토 옹벽의 주요파괴형태는 그림과 같다. 보강토


옹벽의 설계 및 안정성 해석 시에는 이와 같은 형태의 파괴에 대한 안정성 확보 여
부를 평가하여야 한다. 이들 파괴형태 중 a), b), c),는 외적 파괴형태 d), e), f)는
내적 파괴형태로 구분하며, g)는 보강토체를 포함한 전체 사면의 활동에 의한 파괴
형태를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보강토체의 외적 및 내적 안정성 조건을 만족시키면 전체사면활동에
대한 안정성 또한 만족하는 경우가 많으나. 보강토 옹벽이 사면상에 위치하거나 보
강토 옹벽 위에 고성토고의 성토사면이 있는 경우 또는 기초지반에 비교적 연약한
경우에는 반드시 전체사면활동에 대한 안정성을 평가하여야 한다.

3.1.4 보강토 옹벽 설계기준

보강토 옹벽의 설계시 앞 절에서와 같은 형태의 파괴가 발생하지 않도록 보강재의


길이, 강도 및 간격 등을 결정하여야 한다. 이를 위하여 각 코드/지침에서 설계기준
으로 제시하고 있는 각 파괴유형에 대한 최소안전율은 다음 표 6.1에서와 같다. 지
진시의 안정성 확보를 위한 보강토 옹벽의 설계 기준안전율은 대부분 정적 안정성
검토시에 작용하는 기준안전율의 75% 정도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3.2 보강토 옹벽의 외적안정성 검토

3.2.1 외적안정성 검토항목

보강토 공법에 의하여 구축되는 조립식 옹벽은 보강된 토체가 일반 철근콘트리트


중력식 옹벽 구조물과 동일한 기능을 한다. 즉, 보강재에 의하여 보강된 토체는 철
근콘크리트처럼 강성을 지닌 구조 체는 아니지만 일체화된 연성구조물이며, 보강된
구조물에 부분적으로 변형이 발생한다할지라도 일체로 결속된 토체(soil mass)로
거동한다. 따라서 보강토 옹벽의 외적안정성 검토에서는 보강토체를 일체로 된 구
조물로 가정하여 중력식 옹벽과 동일한 개념으로 옹벽구조물의 안정성해석에서와
같이 지면활동, 전도, 지반지지력 등에 대한 안정성을 검토한다.

3.2.2 외적안정성 검토를 위한 토압

앞에서 말한 바와 같이 보강토 옹벽은 일체로 된 중력식 옹벽으로 가정하여 일반


중력식 옹벽과 동일한 방법으로 저면활동, 전도 및 지반지지력에 대한 안정성을 검
토한다.

- 10 -
보강토 옹벽의 배면에는 그림 10과 같이 각 층별 보강재의 끝단을 연결한 가상의
벽면에 토압이 작용하는 것으로 가정하며, 보강토 옹벽의 외적 안정성 검토를 위해
서는 보강토체 배면에 작용하는 토압의 계산이 필수적이다.

그림 3.3 보강토체 배면에 작용하는 배면토압의 분포

배면토압은 다음 식 (3.1a)과 같이 계산할 수 있으며, 여기서 주동토압계수  는

식 (3.1b)과 같은 Coulomb의 주동토압계수를 사용하여 계산할 수 있다.


    (3.1a)

cos   
  
 
sin  sin    (3.1b)
cos cos   

 

cos  cos   

여기서,   : 보강토 옹벽 배면에 작용하는 주동토압 (kN/m)


 : 배면토(retained soil)의 단위중략 (kN/m)
 : 보강토 옹벽 배면에 주동토압이 작요하는 가상 높이 (m)
  : 주동토압계수
 : 배면토(retained soil)의 내부마찰각 (°)

- 11 -
 : 벽면경사(수직으로부터) (°)
 : 벽면마찰각 (°)
 : 상부사면경사각 (°)

보강토 옹벽에 작용하는 배면토압의 작용방향에 대해서 각 기준별로 서로 다르게


가정하고 있으며, NCMA 매뉴얼(NCMA, 1977)에서는 보강토 옹벽 배면의 가상벽
면에서 보강토체의 내부마찰각  과 배면토의 내부마찰각  중 작은 값을 벽면 마
찰각  으로 사용하여 토압의 작용방향을 수평으로부터 (  -  )만큼 경사져서 작용하
는 것으로 가정하는 반면, FHWA 지침(Elias등, 2001, 1999)에서는 토압의 작용
방향이 상부사면의 경사와 동일하지만 흙의 내부마찰각 보다는 작다고 가정한다.
벽면마찰각은 옹벽배면과 뒤채움 성토체 사이의 상대적인 변위에 의하여 발생 한다
는 것을 생각하면 FHWA 지침의 방법이 좀 더 합리적이라고 볼 수 있다.
보강토 옹벽의 벽면경사가 수직이고 상부에 성토사면이 없이 수평인 경우 즉,
 =0,  =0인 경우에 위의 Coulomb 주동토압계수 대신에 다음 식 (3.2)과 같은
Rankine의 주동토압계수를 사용할 수 있다.

 
  tan   
  (3.2)

또한 벽면의 경사는 수직이지만 상부에 사면이 존재하는 경우 즉,  =0,  ≠0인


경우에는 다음 식을 사용할 수 있다.
 cos  
cos  cos 

  cos 

 (3.3)
 cos  cos   cos  
 

FHWA지침(Elias 등, 2001)에서는 벽면경사    인 경우에 위의 식(3.2) 및


식(3.3)과 같은 Rankine의 주동토압계수를 사용할 것을 권장한다.
보강토 옹벽 상부의 사면이 무한하지 않은 경우에는 앞에서와 같은 토압계수를 직
접적으로 적용하기는 곤란하다. 따라서 NCMA 매뉴얼(NCMA, 1997)과 FHWA지
침(Elias 등, 2001)에서는 다음 그림 3.4.a 에서와 같이 보강토 옹벽 상부를 가상
의 무한사면으로 가정하여 배면토압을 작용시키며, 위의 식 (3.1b)에서 사면경사각
 대신에 가상무한사면의 경사각  ′ 을 사용한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을 적용할 경우
특정한 조건에서 배면토압을 과대평가하여 비정상적으로 과대한 단면을 산출하는
결과가 초래될 수 있다.
French MOT(1980), 영국 CIRIA의 Special Publication123 (CIRIA, 1996)등
에서는 상부사면이 무한하지 않은 경우 그림 3.4.b 에서와 같이 배면토압이 사면의
영향을 받는 깊이  와 영향을 받지 않는 깊이  및 이때의 벽면마찰각을 다음과
같이 계산하여 배면토압을 적용시킨다.

- 12 -
′ 

  (3.4 a)
  

′ 
  (3.4 b)
  

    (3.4 c)


여기서,  : 주동토압이 사면의 영향을 받는 깊이 (m)


 : 주동토압이 사면의 영향을 받지 않는 깊이 (m)
 : 보강토 옹벽의 높이 (m)

- 13 -
  : 보강토 옹벽 상부 사면의 높이 (m)
 ′ : 가상벽고  위의 사면 높이 (그림 3.4 b 참조)
 : 보강토 옹벽 배면의 가상벽고 (m)
  : 상부가 수평인 경우의 주동토압계수
  : 상부가 사면인 경우 주동토압계수
 : 벽면마찰각 (°)
 : 벽면 경사각 (°)
 : 상부 사면의 경사각 (°)

그림 3.4의 a 및 b 방법으로 평가한 보강토체 배면토압을 시행 쐐기법으로 구한


토압과 비교한 결과, a의 방법은 검토조건에 따라서 최소60%에서 최대 180%까지
변화폭이 큰 반면, b의 방법은 배면토압을 0 ~ 15%정도 크게 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그림 3.4 b의 방법으로 보강토체의 배면토압을 산정하면
안전측으로 설계할 수 있다.

3.2.3 저면활동에 대한 안정성 검토

보강토 옹벽에 작용하는 힘은 그림 3.5에서와 같으며, 이러한 조건에서 기초지반


상부 보강토 구조물 저면에서의 활동에 대한 안정성 평가식은 다음과 같다.

그림 3.5 활동 및 전도에 대한 안정

- 14 -

 ≥  (3.5 a)


  tan   (3.5 b)

      cos  (3.5 c)

  cos  (3.5 d)

여기서,  : 보강토체 저면의 활동에 대한 저항력 (m)


   : 저면활동에 대한 안전율 (보통 1.5)(kN/m)
 : 보강토체 배면토압에 의한 활동력 (kN/m)
 : 보강토체 저면에 작용하는 수직력의 합 (kN/m)
 : 보강된 토체의 최하단과 기초지만 흙 사이의 마찰각 (°)
 : 보강재의 평균길이 (m)
 : 보강토체의 자중 (kN/m)
 : 보강토 옹벽 상부 성토하중 (kN/m)
 : 주동토압의 합력 (kN/m)
 : 보강된 토체 하단과 기초지반 사이의 점착력 (kN/m)
 : 벽면마찰각 (°)
 : 벽면의 경사 (°)

3.2.4 전도에 대한 안정성 검토

보강토 벽체의 전도에 대한 안정성 검토는 그림 3.12의 점 O를 중심으로 한 모멘


트에 근거하며, 전도에 대한 안정성 평가식은 다음과 같다.


 ≥  (3.6 a)
  

               ⋯ (3.6 b)

     (3.6 c)

여기서,   : 수직력에 의한 저항모멘트 (kN·m/m)


   : 전도에 대한 안전율 (보통 2.0)
 : 수평력에 의한 전도모멘트 (kN·m/m)
   : 보강토체의 자중에 의한 저항모멘트 (kN·m/m)

- 15 -
   : 배면토압의 수직성분에 의한 저항모멘트 (kN·m/m)
   : 배면토압의 수평성분에 의한 전도모멘트 (kN·m/m)

또다른 전도에 대한 안정성 평가방법은 편심거리 e를 이용하는 방법으로, 보강토


체 저면에서 합력   는 보강토체 저면의 중앙 1/3 이내에 있어야 한다. 즉,

 ∑ 토사지반
   
   ≤≤ 암반 (3.7)

3.2.5 지반지지력에 대한 안정성 검토

지반지지력에 대한 안정성 검토는, 그림 3.6에서와 같이, 최하단 기초지반에 대해


서 수행되며, 안전율 평가식을 정리하면 식 (3.8)과 같다.

그림 3.6 지반 지지력 계산

- 16 -

 ≥  (3.8 a)


         (3.8 b)



   (3.8 c)
  

여기서,  : 기초지반의 극한지지력   


  : 지반지지력에 대한 안전율 (보통2.5)
  : 기초지반의 소요지지력   
 : 기초지반의 점착력   
 : 기초지반의 단위즁량   
 : 보강재의 길이 (m)
 : 편심거리 (m)
 : 보강토 옹벽의 근입 깊이 (m)
       : 지지력 계수
 : 보강토체 바닥면에 작용하는 수직력의 합   
∑ : 보강토체 선단에 대한 모멘트의 합  ∙ 

식 (3.8 b)는 얕은기초의 지지력공식과 동일하며, 보강토 옹벽에서는 제3항의 근


입 깊이   의 영향을 고려하지 않는 경우가 많다. 무차원의 지지력계수       는
다음 표 3.1에서와 같은 값을 사용 할 수 있다. (Eilas 등, 2001 : NCMX)
보강토 옹벽 기초지반에 지하수위가 잇 있거나 보강토 옹벽 전면이 수평이 아닌
경우에는 이들의 영향을 고려하여야 한다.

- 17 -
       
0 5.14 1.00 0.00 26 22.25 11.85 12.54
1 5.38 1.09 0.07 27 23.94 13.20 14.47
2 5.63 1.20 0.15 28 25.80 14.72 16.72
3 5.90 1.31 0.24 29 27.86 16.44 19.34
4 6.19 1.43 0.34 30 30.14 18.40 22.40
5 6.49 1.57 0.45 31 32.67 20.63 25.90
6 6.81 1.72 0.57 32 35.49 23.18 30.22
7 7.16 7.53 7.92 33 38.64 26.09 35.19
8 7.53 2.06 0.86 34 42.16 29.44 41.06
9 7.92 2.25 1.03 35 50.59 33.30 48.03
10 8.35 2.47 1.22 36 55.63 37.75 56.31
11 8.80 2.71 1.44 37 61.35 42.92 66.19
12 9.28 2.97 1.69 38 73.87 48.93 78.03
13 9.81 3.26 1.97 39 75.31 55.96 92.25
14 10.37 3.59 2.29 40 83.86 64.20 109.41
15 10.98 3.94 2.65 41 83.86 73.90 130.22
16 11.63 4.34 3.06 42 93.71 85.38 155.55
17 12.34 4.77 3.53 43 105.11 99.02 186.54
18 13.10 5.26 4.07 44 118.37 115.31 224.64
19 13.93 5.80 4.68 45 133.88 134.88 271.76
20 14.83 6.40 5.39 46 152.10 158.51 330.35
21 15.82 7.07 6.20 47 173.64 187.21 403.67
22 16.88 7.82 7.13 48 199.26 222.31 496.01
23 18.05 8.66 8.20 49 229.93 265.51 613.16
24 19.32 9.60 9.44 50 226.89 319.07 762.89
25 20.72 10.66 10.88 - - - -
표3.1 지지력계수

※ Vesic(1973)의 지지력 계수     cot



  tan     tan    tan

3.3 보강토 옹벽의 내적안정성 검토

3.3.1 내적안정성 검토항목

앞 절에서 보강토 옹벽의 외적안정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부강토체를 일체로 된 구


조물로 가정하였다. 이러한 가정이 성립되기 위해서는 보강제의 파단파괴 및 인발
파괴와 같은 보강토체의 내부적인 파괴가 발생하지 않아야 하며, 이러한 조건의 만
족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보강재의 파단 및 인발파괴에 대한 안정성을 검토해야
한다.

3.3.2 보강재 파단 및 인발파괴에 대한 안정성

- 18 -
보강토 옹벽의 내적안정성 검토는 먼저 각 층별 보강재가 최대인장력을 나타내는
점을 연결한 선인 가상파괴면을 설정한 후, 이를 기준으로 보강재의 인발 및 파단
파괴에 대하여 검토하게 되며, 각 층별 보강재가 부담하여야할 최대인장력 m ax 
는 보강재의 장기허용강도 (long-term allowable strength,  ) 및 보강재의 유
효길이에 따른 인발저항력    보다 작아야 한다. 각각의 파괴형태에 대한 안정성
평가식은 다음 식 (3.9) 및 식 (3.10)과 같다.

 ≥ max (3.9)


 ≥ max (3.10)


여기서, m ax : 각 층별 보강재의 소요인장강도  


 : 보강재의 장기허용인장강도  
 : 각 층별 보강재의 인발저항력  
  : 보강재 인발에 대한 안전율  

(1) 보강재 소요인장강도,  m ax 의 산출


보강재 소요인장강도는 보강토체 내에서 보강재가 부담하는 면적에 작용하는
토압으로부터 다음 식 (3.11)과 같이 계산된다.

max   (3.11 a)

신장성 보강재 :    (3.11 b)

 
       for  ≤ 
비신장성 보강재 :      (3.11 c)


  for   

여기서, m ax : 보강재의 소요인장강도(required tensile strength)  


 : 토압계수
 : 보강재 위에 작용하는 수직응력   
 : 보강재의 수직간격 (m)
 : 보강재의 수평간격 (보통     에 대하여 계산) (m)
 : 주동토압계수
 : 정지토압계수

- 19 -
여기서, 토압계수  는 사용하는 보강재의 특성에 따라서 깊이에 따른 분포가 달라
지며, 토목섬유 보강재와 같은 신장성(extensible) 보강재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깊
이에 상관없이 주동토압계수   fmf 사용한다. 강재 띠형 보강재와 같은 비신장성
(inextensible) 보강재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그림 3.7에서와 같이 일정 깊이(보통
6.0m) 이하에서는   로 일정하지만, 상부에서는 보강토 옹벽 상단부의   에서부터
깊이에 따라서   까지 변화하는 것으로 가정한다.(BSI, 1945 : AASHTO, 1996 :
GEO, 2002 : 한국지반공학회, 2003)

그림 3.7 보강토체 내부의 토압분포(비신장성 보강재)


보강토체 내부의 토압 작용방향은 상부의 조건과 상관없이 항상 수평인 것으로 가
정하기 때문에 (AA노새, 2005), 식 (3.11)에서의 정지토압계수    와 주동토압계
수    는 각각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    sin (3.12 a)

 
  tan   
  : 벽면이 수직인 경우 (3.12 b)

cos    

  : 벽면이 경사진 경우
sin (3.12 c)

cos   
cos 
여기서,   : 정지토압계수
 : 보강토체의 내부마찰각  
  : 주동토압계수

- 20 -
 : 벽면경사각  

FHWA 지침(Elias 등, 2001)과 AASHTO (2005)에서는 깊이에 따른 토압계수


의 변화를 주동토압계수   에 대한 비율로서 그림 3.8와 같이 적용한다.

그림 3.8 보강토체 내부의 토압분포

- 21 -
3.3.3 보강재의 장기허용인장강도, 

보강토 옹벽에 사용하는 보강재는 그 재질(금속성 또는 토목섬유)에 따라서 설계


에 적용하는 허용강도의 산정밥법이 다르다. 따라서 보강재 파단에 대한 안정성 검
토 의외의 안정성 검토방법에서와 같은 안전율의 개념으로 평가하기는 곤란하며,
각각의 보강재의 특성에 맞는 방법에 의하여 장기허용강도  fmf 산정하여 소요보
강재 인장력 m ax 와 직접 비교한다.

(1) 강재 보강재(steel reinforcement)


강재 보강재를 사용하는 경우에 대하여, 미국의 FHWA 지침(Elias 등, 2001)
에서는 AASHTO (1996)의 시방기준에 따라서 재료의 항복강도   의 48% 또
는 55%를 보강재의 장기허용인장강도   로 사용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즉,


  
  강재띠형보강재또는
 연성벽면에연결된강재그리드형보강재



  콘크리트패널또는블록에연결된
  강재그리드형보강재

(3.13)

여기서,  : 보강재의 장기허용인장강도  


 : 강재 보강재의 항복응력   
  : 부식에 의한 손실을 고려한 보강재의 유효 단면적  

위의 식 (3.13)에서 강재 띠형 보강재의 경우에는 항복강도  의 55%를 허용인


장강도로 사용하지만, 콘크리트 패널 또는 블록과 같은 강성벽면에 연결된 강재 그
리드형 보강재의 경우에는 항복강도  의 48%만 허용인장강도로 사용하는 것은
하중의 불균등 분포로 인한 국부적인 과응력의 발생가능성이 강재 띠형 보강재 보
다 강재 그리드형 보강재에서 더 크기 때문이다(Elias 등, 2001).

(2) 토목섬유 보강재(geosynthetic reinforcement)


토목섬유 보강재는 흙 속에서의 안정성과 시공시의 뒤채움 재료에 의한 손상, 크
리프 특성 등의 요소들을 고려하여 다음과 같이 장기허용인장강도(long-term
allowable strength)  를 계산한다.

- 22 -

   (3.14 a)


   (3.14 b)


여기서,  : 보강재의 장기허용인장강도  


 : 보강재의 장기설계강도 (long-term design strength)  
  : 보강재의 극한인장강도(공칭강도)  
   : 여러 가지 불확실성을 고려한 안전율 (보통 1.5)
 : 재료의 내구성을 고려한 강도감소계수 (보통 1.0~2.0)
  : 시공시 손상을 고려한 강도감소계수 (보통 1.0~3.0)
 : 재료의 크리프 특성을 고려한 강도감소계수

여기서, 보강재의 장기 설계 강도  는 재료의 내구성과 크리프 특성 및 시공사


손상의 영향을 고려한 구조물의 설계수명까지 유지할 수 있는 인장강도를 말하며,
장기허용인장강도   는 구조물의 기하형상, 하중조건 등과 같은 불확실성을 고려한
안전율     이 포함된 인장강도 이다.
일반적으로 토목섬유 보강재는 지오그리드 또는 지오텍스트타일과 같이 보강재 층
전체 면적에 대하여 포설되는 전면포설형 보강재이므로 위의 식 (3.14)로 보강재의
장기허용인장강도를 평가함에 무리가 없으나, 띠형 섬유 보강재의 경우에는 다음과
같이 보강재의 폭  과 수평간격    이 고려되어야 한다.
 
    (3.14 c)
 

여기서,   는 띠형 섬유보강재 개당 인장강도   이며,   는 단위폭당 보강


재의 포설 개수를 나타낸다.

3.3.4 보강재의 인발저항력

(1) 보강재 유효길이


보강토체의 내적안정성은 보강 재료의 인장강도와 흙과 보강재 사이의 결속력
에 의존하며, 보강 재료의 인장강도는 보강재 파단파괴에 대한 안정성에 영향을
미치는 반면, 흙과 보강재 사이의 결속력은 보강재 인발파괴에 대한 안정성에 영
향을 미친다.
보강토 옹벽의 내적안정성 해석에서는 그림 3.9에서와 같이 보강토체를 두 개
의 영역 즉, 활동(주동)영역(active zone)과 저항영역(resistance zone)으로 나

- 23 -
누어서 생각하며, 이들 두 영역은 보강토체 내부의 가상 파괴면을 기준으로 나누
어서 생각하며, 이들 두 영역은 보강토체 내부의 가상 파괴면을 기준으로 나누어
진다. 여기서, 가상 파괴면은 이론상 보강토체 내부의 각 층별 보강재의 최대인
장력 발생위치를 연결한 가상의 선으로 대수나선의 형태를 가지는 것으로 알려
져 있으나, 설계에서는 계산의 편의를 위하여 일반적으로 하나 또는 두 개의 직
선으로 가정한다.
수직 또는 수직에 가까운 토류구조물의 경우 벽면에 가까운 영역은 도체로부터
떨어져 나가려는 경향이 있으며, 이러한 영역을 활동영역(active zone)이라 한
다. 이러한 활동영역은 가상파괴면 뒤쪽의 저항영역 속으로 연장된 보강재의 저
항력에 의하여 평형을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보강재의 인발저항력은 전체 보강재 길이에 대하여 고려하는 것이 아니
라 저항영역 속에 묻힌 보강재의 길이에 대해서만 고려하며, 이 때 저항영역 속
에 묻힌 보강재의 길이를 유효길이(effective length   )라고 한다.

그림 3.9 보강재 유효길이의 정의

(2) 흙 속에 묻힌 보강재의 인발저항력은 흙과 보강재 사이의 상호작용에 의하여


발생하며, 만약 보강재가 그림 3.17과 같은 그리드의 형태라면, 보강재의 인발저
항력    은 보강재가 토체 속에서 인발될 때 보강재와 주변 흙 사이의 마찰저
항력    과 횡방향 지지부재의 수동지지저항력     의 합으로 나타날 것이다.

- 24 -
즉,

     (3.15 a)

  tan (3.15 b)

 

   

(3.15 c)

그림 3.10 그리드 형 보강재의 인발 저항구조(GEO, 2002)

여기서,  : 보강재 전체 표면 중 흙과 접하는 면적비


 : 전체 폭에 대한 지지부재의 유효지지폭의 비율
  : 보강재의 유효길이 (m)
 : 보강재의 폭 (m)
 : 보강재 위에 작용하는 수직응력   
 : 흙과 보강재 사이의 접촉면 마찰각  
  : 지지부재의 간격 (m)
 : 지지부재의 단면두께 (m)
 : 지지부재의 지지저항응력   

- 25 -
만약 보강재 위에 작용하는 수직응력이 보강재 길이 방향으로 일정하지 않다면 식
(3.15b)는 다음과 같이 쓸 수 있을 것이다.

      
  (3.15 d)

(3) 흙/보강재 인발저항(결속)계수


그러나 보강재의 마찰저항력   와 수동지지저항력  을 구분하여 적용하기
는 그리 쉬운 일이 아니므로 보통 인발시험을 통한 포괄적 의미의 인발저항(결
속)계수   를 설계에 적용하여, 다음 식 (3.16)과 같이 표면마찰성분만의 형태
로 나타낸다.

   (3.16 a)



  tan  tan (3.16 b)

여기서,   : 보강재의 유효길이 (m)


 : 보강재의 폭 (m)
 : 보강재 위에 작용하는 수직응력   
  : 흙/보강재 인발저항계수(마찰성분  지지력 성분)
 : 인발시 흙/보강재 사이의 (포괄적 의미의) 마찰각  
 : 인발시의 상호작용계수(interaction coefficient)
 : 흙의 내부 마찰각  

위 식에서는    는 흙과 접촉하는 보강재의 면적을 나타내며, 인발시의 상호작용


계수  는 흙의 마찰계수 tan  에 대한 인발시 흙/보강재 마찰계수 tan  의 비를
나타낸다. 인발시의 상호작용계수는 흙 속에 묻힌 보강재의 인발시험으로부터 얻을
수 있다.
시험결과가 없는 경우, 지오그리드 또는 지오텍스타일과 같은 토목섬유 보강재의
인발저항계수는    tan 를 사용할 수 있다(Elias 둥, 2001).
또한 돌기가 없는 강재 보강재(smooth steel strip)의 경우에는     를 사용할
수 있으며(French MOT, 1980 : AASHTO, 1996), 돌기달린 강재 보강재
(ribbed stell strip)의 경우에는 다음 식과 같이 평가할 수 있다(French MOT,
1980 : AASHTO, 1996, 2005 : Elias 등, 2001).

- 26 -
 

 

 


 
       for  ≤   
(3.17 a)
tan for     
    log (3.17 b)

여기서,   : 보강토 옹벽 상단에서의 인발저항계수(보통 1.5)


 : 보강토 옹벽 상단에서 보강재까지의 깊이 (m)
 : 뒤채움재의 균등계수     

아래의 그림 3.11에서는 AASHTO (2005)에서 제시한 보강재의 종류별 인발저


항계수의 값을 보여준다.
김상규와 이은수 (1996b)의 연구결과에 의하면 국내 화강풍화토를 보강토 뒤채움
재로 사용하고 돌기형 보강재 또는 띠형 섬유보강재를 보강재로 사용하는 경우, 위
의 식 (3.17)을 사용하여 인발저항계수를 결정하면 다소 안전측으로 설계된다.

그림 3.11 보강재 종류별 인발저항계수의 값(AASHTO, 2005)

3.4 전체 (사면활동에 대한) 안정성

보강토 옹벽의 폭(보강재의 길아. 보통   ≥  )은 일반적으로 비교적 크기 때


문에 보강토체를 포함한 전체 사면활동에 의한 파괴가 발생할 가능성은 희박하다.
그러나 보강토 옹벽이 연약지반상 또는 사면상에 위치하거나, 보강토 옹벽 상단에
고성토고의 성토사면이 있는 경우에는 보강토체를 포함한 전체 사면활동에 의한 파
괴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 27 -
따라서 보강토 옹벽이 사면 또는 연약지반상에 위치하거나 보강토 옹벽 상부에 고
성토고의 사면이 계획된 경우 이를 고려하여 설계 및 시공하여야 하며, 이러한 경
우에는 보강토 옹벽의 내적, 외적 안정성 외에도 그림 3.9 에서와 같이 보강토체를
포함한 전체사면활동에 대한 안정성 또한 검토되어야 한다.
보강토체를 포함한 사면활동에 대한 안정성 해석은 한계평형법(limit equilibrium
method)에 의한 전통적인 사면안정성해석 방법을 사용하여 수행 할 수 있다. 과
거에는 전통적인 사면안정해석법에서 보강재의 효과를 고려하기 어려웠기 때문에
보강토체를 하나의 강성체로 보고 활동 파괴면이 보강토체를 통화하지 않는 것으로
가정하였으나, 최근에는 전통적인 사면안정해석에 보강재의 효과를 고려할 수 있는
방법들이 많이 개발되어 있으므로, 이러한 방법들을 사용하여 전체 사면활동에 대
한 안정성을 검토한다.

3.5 실용적인 보강토 옹벽 설계법

현재 실용화되어 사용되고 있는 보강토 옹벽의 설계법은 크게 복합중력식방법


(coherent gravity method)과 타이백 웨지법(tie-back wedge method)으로 구
분할 수 있으며(그림 3.19참조), 이러한 구분은 보강재와 흙과의 상대적인 강성의
차이에 따른 것이다.
보강재의 상대적인 강성은 주동토압 발생시 흙의 변형(양질의 사질토에서 보통 각
변위 ∆   )을 기준으로 하며, FHWA의 지침 (Elias 등, 2001)에서는 보강
재의 극한인장강도에서의 변형률이 흙의 변형률 보다 작은 경우를 비신장성 보강재
(inextensible reinforcement)로 분류하며, 보강재의 강성에 따라서 내적안정성 검
토를 위한 가상 파괴면과 토압분포를 달리 적용한다(그림 3.8 및 그림 3.11 참조).
BS 코드(BS8006 : 1995) 에서는 보강토 옹벽의 내적안정성 검토시 보강재의 축
방향 인장강성(tensile stiffness) 즉, 신장성(extensibility)에 따라서 설계방법을
달리 적용하도록 규정하고 있으며, BS8006 : 1995(BSI, 1995)에 따르면, 설계하
중에서 보강재의 축방향 변형률이 1%미만인 비신장성 보강재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복합 중력식방법(coherent gravity method)을, 1%보다 큰 신장성 보강재를 사용
하는 경우에는 타이백 웨지법(tie-back wedge method)을 적용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 28 -
그림 3.12 복합 중력식 방법 및 타이백 웨지법

이러한 기준으로 현재 보강토 공법에 사용 중인 보강재를 구분하면, 일반적으로


강재 보강재는 비신장성, 토목섬유 보강재는 신장성 보강재로 분류할 수 있다.
그러나. Websol또는 Freyssisol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띠형 섬유보강재는 그 재질
이 비록 토목섬유 이지만, 실제 구조물에 대한 현장계측을 통한 거동특성 분석결과
에 의하면 강재 보강재를 사용한 보강토 구조물과 유사한 거동을 나타내므로 복합
중력식 방법을 사용하여 설계한다(BBA, 1999).

3.6 보강토 옹벽의 단계별 설계

설계순서

Step 1. 보강토 옹벽의 기하형상 및 설계조건 결정


Step 1.1 : 보강토 옹벽의 기하형상
○보강토 옹벽의 높이   와 형식(전면벽체, 보강재 등)결정
○보강토 뒤채움 재료    및 배면토   의 토질특성 결정
Step 1.2 : 설계조건의 설정
○흙/보강재 경계면의 마찰계수
-보강재의 인발저항계수 : 
-흙/보강재 접촉면 마찰효율 :    tan tan
○기준안전율 설정
-저면활동에 대한 안전율 :    ≥ 

- 29 -
-전도에 대한 안전율 :    ≥ 
-지반지지력에 대한 안전율 :   ≥ 
-보강재 파단파괴에 대한 안전율 :  ≥  m ax 또는     m ax ≥ 
-인발파괴에 대한 안전율 :   ≥ 
-전체사면활동에 대한 안전율 :   ≥ 

Step 2. 외적안정 검토
Step 2.1 : 단면가정
○보강토체의 폭(보강재의 길이, 보통    ∼  ) 가정.
step 2.2 : 저면활동에 대한 안정성 검토
○식 (3.5)에 의한 저면활동에 대한 안정성 검토
○저면활동에 대한 안정조건을 만족하지 않을 경우 보강토체의 폭   을 조정한다.
Step 2.3 : 전도에 대한 안정성 검토
○식 (3.6) 또는 식 (3.7)에 의한 전도에 대한 안정성 검토
○전도에 대한 안정조건을 만족시키지 못하는 경우 보강토체의 폭   을 조정한다.
Step 2.4 : 지반지지력에 대한 안정성 검토
○식 (6.8)에 의해 지반지지력에 대한 안정성 검토
○지반지지력에 대한 안정조건을 만족하지 않을 경우 보강토체의 폭   을 조정한
다. 다만, 기초지반이 성토체의 자중도 견디지 못할 정도로 연약한 경우에는 보
강토체의 폭을 증가시키더라도 지반지지력에 대한 안정조건을 만족시키지 못하
는 경우가 있으므로, 이러한 경우에는 지반개량, 치환, 지반보강 등 지지력 개선
공법의 적용을 검토해야 한다.

- 30 -
Step 3. 내적안정 검토
Step 3.1 :단면가정
○보강재의 강도, 수직 및 수평간격      가정.
○보강재의 장기 설계 강도    결정.
Step 3.2 : 각 층별 보강재의 소요인장강도 계산.
○식 (3.11)에 의한 각 층별 보강재 소요인장강도 m ax 계산
○일반적으로 단위 폭당 보강재의 소요인장강도 계산
Step 3.3 : 보강재 파단파괴에 대한 안정성 검토.
○식 (6.9)에 의해 보강재 파단에 대한 안정성 검토
○불안정한 경우 Step 3.1의 보강재의 강도 또는 수직 및 수평 간격을 조정하여
보강재의 강도를 증가 시킨다.
Step 3.4 : 보강재 인발파괴에 대한 안정성 검토.
○ 식(3.10)에 의해 보강재 인발파괴에 대한 안정성 검토
○ 불안정한 경우 보강재의 길이를 증가시키거나, Step 3.1의 보강재 수직 및 수
평간격을 조정하되 경제성일 비교하여 결정.

3. 7 보강토 옹벽 설계시 고려사항

3.7.1 예비설계단면의 가정

일반적으로 보강토 옹벽의 설계는 가정된 단면에 대한 안전율을 계산하여 설계 기


준 안전율과 비교하는 과정을 거친다. 따라서 보강토 옹벽 설계 초기단계에서 예비
설계단면을 결정할 필요가 없으며, 여기서 보강재의 길이는 옹벽 높이의 50~70%
로 가정하는 것이 일반적이다(NCMA,1997 : Elias 등, 2001 : GEO, 2002)

그림 3.13 시공시 보강토 옹벽의 변형을 추정할 수 있는 경험곡선(Christopher 등 , 1990)

- 31 -
일반적으로 보강재의 길이가 감소하면 보강토 옹벽의 횡방향 변형량은 증가하며,
Christpeher 등 (1990)의 연구결과에 의하면 기초지반의 조건이 양호한 경우에는
보강재의 길이가  정도만 확보되어도 모든 외적안정조건을 만족시키면서 안전한
구조물을 형성시킬 수 있지만, 보강재의 길이가  에서  로 감소하면 변형은
약 50%정도 증가한다(그림3.13 참조).

3.7.2 보강재의 수직간격

보가 경제적인 보강토 옹벽의 설계를 위해서는 깊이의 변화에 따라 사용하는 보강


재의 강도 및 간격을 적적히 조절하는 것이 좋다. 패널식 보강토 옹벽의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띠형 보강재를 사용하므로 수직간격을 고정시키고 수평간격을 변화 시
키나, 블록식 보강토 옹벽의 경우에는 지오그리드와 같은 전면 포설형 보강재를 사
용하므로 수직간격을 조절한다.
현장시험결과에 의하면, 보강재의 수직간격이 1.5m를 초과해서는 안되며, 경우에
따라서는 국부적인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보조보강재를 설치하여야 하고, 세립
분이 많은 성토재를 사용할 경우에는 최대수직간격을 0.3~0.5m로 제한하는 것이
좋다(GEO, 2002). 일반적으로 보강토체가 일체로 된 구조물로서 거동하기 위해서
는 보강재의 수직간격이 0.8~1.0m를 초과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포장
형 전멱벽체(wrapped facing)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최대수직간격이 50cm를 초과
할 경우 길이가 1.2~2.0m로 짧은 보조보강재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건설교통부,
2000).
또한 최상단 보강재의 수직간격이 클 경우에는 변형이 과도하게 발생할 수 있으므
로, 최상단 보강재의 수직간격이 클 경우에는 변형이 과도하게 발생할 수 있으므로,
최상단 보강재는 최대수직간격의 1/2정도로 설치하는 것이 좋다.
다짐두께가 너무 얇을 경우 다짐이 원활하지 않을 수 있으므로, 보강재의 최소 수
직간격은 20~20cm로 하는 것이 좋다.

3.7.3 보강토 옹벽의 근입 깊이(Embedment depth)

보강토 옹벽의 안정성 검토에서 근입 깊이의 영향을 고려하지 않는 것이 일반적이


지만, 보강토 옹벽 전면의 세굴과 동상의 피해 등을 방지하고 전면벽체 근처에서의
국부적은 펀칭(punching)파괴를 방지하기 위하여, 보강토 옹벽은 어느 정도의 근입
깊이를 확보하는 것이 좋다. 보통 보강토 옹벽의 근입 깊이는 동결심도 이상으로
하며 최소한 0.5m이상 확보해야 한다. 보강토 옹벽 전면이 사면인 경우의 근입 깊
이 산정방법은 그림 3.14 같다.

- 32 -
그림 3.14 강토 옹벽 근입 깊이의 정의

보강토 옹벽 근입 깊이의 결정에서 고려해야할 사항은 다음과 같다.

-보강토 옹벽에 의하여 기초지반에 가해지는 소요지지력,  


-동결심도
-파이핑 및 세굴의 영향
-굴착에 따른 보강토 옹벽 기초의 노출 위험

기초지반이 암반인 경우에는 최소근입 깊이를 확보할 필요가 없으나, 그러한 경우


를 제외하고는 최소한 동결심도 이상의 근입 깊이를 확보하는 것이 좋다.
다음 표 3.2에서는 보강토 옹벽 전면의 사면경사각  에 따른 근입 깊이   와 지
반의 소요지지력   과의 관계를 보여준다.
해안, 호안 또는 강가에 구축되는 보강토 옹벽으 경우에는 유속의 영향을 고려하
여야 하며, 이러한 경우에는 위의 표 3.2에서 보다 더 깊은 근입 깊이를 필요로 하
고, 사석(rip-rap), 돌망태 등을 사용하여 추가적인 안정성을 확보해야 한다.

보강토 옹벽 전면의 최소 근입 깊이와


최소 근입 깊이 
사면경사 소요지지력의 비, 

수평 옹벽 H/20  × 

수평 교대 H/10  × 

3H:1V 옹벽 H/10  × 

2H:1V 옹벽 H/7  × 

3H:2V 옹벽 H/5  × 

표3.2 보강토 옹벽 최소근잎깊이 제안치

주 1) 본 표는  ≥  인 경우에 적용가능


2) 위 조건을 만족하더라도 최소 동결심도 이상 확보해야함
3) 유수의 영향을 받는 경우에는 별도의 침식방지 대책이 필요함

- 33 -
3.7.4 연결부 안정성 평가

보강토 옹벽에서 전면벽체와 보강재 사이의 연결은 전면판에 정착된 부착고리와의


구조적 연결방법과 전면블록과 보강재 사이의 마찰 및 전단저항에 의한 연결방법이
주로 사용된다. 패널식 보강토 옹벽에서는 구조적 연결방법이 조로 사용되고, 블록
식 보강토 옹벽에서는 마찰 및 전단저항에 의한 연결방법이 주로 사용되고, 블록식
보강토 옹벽에서는 마찰 및 전단저항에 의한 연결방법이 주로 사용된다.
패널식 보강토 옹벽에서 띠형 섬유보강재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연결부에서 강도
저하요인이 발생하지 않으나, 강재 띠형 보강재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볼트 구멍에
의한 단면손실이 있으므로 연결부 강도에 대하여 충분히 검토되어야 한다. 최근에
는 이러한 볼트 구멍의 단면손실을 만회하기 위하여 보강재 단부의 두께를 증가시
킨 강재 보강재가 사용되기도 한다.
마찰 및 전단저항에 의한 연결부의 강도는 연결보으 기하학적 형상과 옹벽의 벽면
경사, 전멱벽체의 깊이, 수직응력 등에 의하여 영향을 받으면 연결부강도  는 미
국 GRI Test Method GS8 (GRI, 1991),또는 NCMA Test Method RSWU-1
(NCMA, 1997)의 시험방법을 사용하여 얻은 연결부 파괴시 저항력     와 안
전율   (보통 1.5)를 고려하여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 
  (3.18 a)


     tan (3.18 b)

여기서,     : 시험으로부터 얻은 견결부 극한강도


  : 연결부의 파괴에 대한 안전율 (보통1.5)
   : 시험으로부터 얻은 수직응력과 연결부 강도와의 관계
 : 블록의 무게

위 식 (3.18b)에서 블록과 연결부의 강도는 블록의자중  의 함수이며, 벽면 경


사가 있을 경우 임의의 위치에서 블록의 무게는 아래에서 설명하는 힌지높이(hinge
height)의 영향을 받으므로 이를 고려하여야 한다.

3.7.5 힌지높이(hinge height)의 고려(블록식 보강토 옹벽)

블록식 보강토 옹벽에서 전멱블록과 보강재의 연결부는 판, 전단키 등 다양한 형


태를 가지고 있으며, 연결부의 강도는 기하형상, 벽면경사, 수직응력, 블록의 길이

- 34 -
등에 따라서 달라진다. 연결부 강도는 보통 수직응력의 함수로 표현되며, 수직응력
은 블록의 자중에 의하여 발생한다.
그런데 대부분의 블록식 보강토 옹벽은 벽면경사를 가지도록 시공되므로 적층된
블록의 모멘트 전달능력이 제한되어 상부 블록의 자중이 모두 하부로 전달되는 것
은 아니기 때문에 임의의 깊이의 전면블록에 작용하는 수직응력은 그 위의 블록의
자중과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다.
따라서 임의의 점의 수직응력은 그 점 위의 옹벽의 높이와 힌지높이(hinge
height)중 작은 값으로부터 계산된 수직응력을 사용한다. 이러한 힌지높이의 개념
은 NCMA 매뉴얼(NCMA, 1997)에 잘 소개되어 있으며, 힌지높이는 블록을 일정
한 경사  를 유지하며 무너뜨리지 않고 쌓을 수 있는 최대높이를 의미한다.
블록 기둥은 그림 3.15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최 하단 블록의 뒷부리(heel) 바깥
기둥의 연직 무게가 뒷부리 안쪽 기둥의 무게를 초과할 경우(즉,      ) 무너져
내리는데, 이때의 연직높이를 힌지높이로 간주할 수 있다.
힌지높이는 벽체의 최하단 블록의 뒷부리(그림3.15에서의  점)에 대해 모멘트를
취함으로써 계산되며,    일 경우 아래 식 (3.19)에 의해 계산된다.

그림 3.15 힌지높이의 정의

   
   (3.19 a)
tan

여기서,   : 힌지높이
 : 블록의 깊이

- 35 -
 : 블록의 무게중심
 : 벽면경사

식(3.19)으로부터 계산되는 힌지높이는 블록에 작용하는 연직하중을 계산할 때 최


대높이로 사용되며, 힌지높이가 벽체의 높이   보다 큰 경우나 벽체의 경사가 없는
   연직 벽체의 경우에     로 가정한다.

3.7.6 보강토 옹벽의 배수

보강토 옹벽의 안정성은 흙과 보강재 사이의 상호결속력에 의존하며, 이러한 흙/보


강재 결속력은 보강재 위에 작요하는 수직응력  의 함수이다.
만약, 보강토체 내부로 물이 유입되어 배수가 원활하지 않다면,k 보강토체 내부에
는 간극수압이 발생하여 보강재 위에 작용하는 수직응력은 ′     로 감소하여
흘과 보강재 사이의 결속력은 감소하는 반면, 보강재가 부담하여야할 인장력 m ax
는 토체 내부에서 발생한 간극수압 만큼 증가할 것이다.
이러한 경우 보강토체의 안정성 특히, 보강재의 파단 및 인발파괴에 대한 안전율
은 급격히 저하될수 있으며, 결국에는 보강토체의 붕괴에 이르게 할 수도 있을 것
이다. 국내에서도 해마다 장마철 및 집중 호우시에 피해를 입는 사례가 종종 있으
며, 그 원인 중 하나가 이러한 수압의 영향일 것이다.
보강토 옹벽 피해사례들을 살펴보면 대부분 물과 연관이 있으며, 지표수 및 지하
수의 부적절한 처리가 피해의 원인인 경우가 많다. 아래에서는 보강토 옹벽 내부로
물의 유입을 차단하기 위한 방법 또는 유입된 물에 의한 간극수압의 발생을 억제하
기 위한 방법에 대하여 간단히 소개한다.

(1) 지표수 유입의 차단


보강토 옹벽의 전멱벽체는 블록과 블록 또는 패널과 패널 사이에 충분한 배수
공간을 확보하고 있어 보강토체 내부로 유입된 지표수는 대부분 원활하게 배수
된다. 그러나 블록식 보강토 옹벽의 경우 전면블록에 인접한 뒤채움 토사의 다짐
이 곤란한 점을 고려하여 대부분의 경우 일정한 폭의 골재층을 두게 되어 있으
며, 이러한 골재층은 투수성이 좋기 때문에 강우시 지표수가 유입될 우려가 이
때. 전면블록 배면의 골재층을 통해 지표수가 보강재 사이 연결부에 응력을 증가
시켜 결국에는 전면블록이 탈락하는 피해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피해를 방지하기 위하여 보강토 옹벽 상단부에 그림 3.15에서와
같이 차수층을 설치해주는 것이 좋다.

- 36 -
그림 3.16 지표수 유입의 차단 예

(2) 지하수 유입의 차단


보강토체에 이용되는 뒤채움 재료는 비교적 배수성이 양호한 양질의 토사이고,
전면벽체에는 배수공이 충분하지만, 다량의 배면 유입수로 뒤채움 흙이 포화되면
흙의 전단강도가 급격히 저하하여 불안정한 상태가 될 수 있으므로 배면 용출수
의 유an, 수량의 과다에 따라 보강토체 내부로 물이 유입되지 않도록 배수시설
을 설치 하는 것이 좋다. 특히 계곡부에 설치되는 보강토 옹벽은 반드시 일반 성
토의 경우와 동일하게 적정한 크기의 배수구를 설치하여야 한다.

(3) 침수구조물에서의 배수대책


침수가능성이 있는 위치에 설치되는 보강토 옹벽은 보강토체의 투수성에 따라
서 수위급하강시 보강토 옹벽 외부와 내부의 수위차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러한
수위차에 의하여 보강토 옹벽의 안정성은 급격히 저하될 수 있다. 따라서 침수가
능성이 있는 보강토 옹벽은 그림 3.18에서와 같은 배수층을 두거나 홍수시 수중
에 잠기는 최고수위까지 투수성이 좋은 골재를 사용하여 시공하여 보강토체 내
외부의 수위차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좋다

그림 3.17 보강토 옹벽의 배수시설 설치 예

- 37 -
그림 3.18 침수 가능성이 있는 보강토 옹벽의 배수시설

3.7.7 보강토 옹벽 허용 변형의 한계

(1) 보강토 옹벽은 대체로 수직에 가깝게 시공되므로 작은 수평변위도 매우 민감하


게 나타난다. 따라서 실제 보강토체의 안정성과는 별도로 수평변위를 철저하게
관리할 필요가 있다. 특히 최근에는 보강재가 강재 보강재에서 변형률이 큰 토목
섬유(geosynthetics) 보강재로 급속히 대체되는 상황이므로, 이에 대한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벽체수직선형의 허용오차에 대해서 FHWA지침(Elias, 2001)
에서는 높이 3m에 대하여 13mm를 초과할 수 없다고 규정하고 있으며, 배부름
현상(bulging)에 대해서 BS 코드(BS8006 : 1995)에서는 그 허용치를 4.5m에
대하여 ± 20mm이내라고 규정하고 있으나, 연구결과 및 경험에 의하면 패널식
보강토 옹벽의 경우 수직선형의 허용오차는 ±  또는 ±  이내 이다(한국
지반 공학회, 1998).

(2) 침하(수직변위)
보강토 구조물의 전체 침하량은 보강토체 자체의 압축변형에 의한 침하와 보강
토체의 하중에 의한 기초지반의 침하의 합으로 나타나며, 대부분의 경우 보강토
체 자체의 압축변형은 무시할 수 있을 만큼 작다.
기초지반이 충분한 지지력을 가지는 경우에는 기초지반의 침하량이 크지 않지
만, 지반지지력이 충분치 못한 기초지만 위에서도 충분히 안전한 구조물을 구축
할 수 있다는 보강토 옹벽의 특성상 경제성을 위하여 별도의 기초처리 없이 지
반지지력이 충분치 못한 지반에서 시공되는 경우도 있으며, 이러한 경우 기초지
반의 침하량은 커질 수 있다.
보강토체 자체는 침하에 대한 내성이 충분하지만, 교대 또는 박스구조물과 인전
하여 시공되는 보강토 옹벽의 경우에는 침하에 대한 허용치가 상대적으로 작은
교대 또는 박스구조물과의 부등침하에 대한 허용치가 상대적으로 작은 교대 또
는 박스구조물과의 부등침하에 대하여 고려되어야 하며, 이러한 구조물 인접부에

- 38 -
서의 과도한 부등침하는 구조물의 수명을 단축시키고, 사용성을 저해하는 요인이
될 수 있다.
따라서 기초지반의 침하량이 클 것으로 예상되는 경우에는 다음과 같은 침하의
영향에 대하여 검토할 필요가 있다.

-전면벽체의 뒤틀림
-보강재에 부과되는 추가적인 응력
-보강토 구조물에 지지되는 구조물의 부등침하

a. 전체침하
보강토 옹벽의 시공 중에 발생하는 침하는 대부분 내부적으로 맞추어 시공할 수
있으므로 문제가 되지 않으나, 시공후의 잔류침하는 보강토 옹벽에 지지되는 구조
물 또는 인접구조물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중요한 고려사항이다.
구조물기초설계기준해설(한국 지반 공학회, 2003)에서 제시한 보강토 옹벽 잔류
침하량의 한계는 다음 표 3.3과 같다.

검토항목 잔류침하량

교량,고가의 접속부에 있는 보강토 옹벽 10~20cm

상기 이외의 경우 15~30cm

표 3.3 잔류침하량의 한계 값

그러나 보강토 옹벽은 침하에 대한 내성이 크며, 보강토체 시공 시 60~90cm까


지 지반의 침하가 발생한 사례(Bloomfield 등, 2001)가 있는 것으로 미루어 보아
전체 침하가 보강토 옹벽의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은 거의 없다고 할 수 있다.
다만, 시공완료후의 예상되는 침하량이 75mm이상인 경우에는 인접구조물 또는
상부구조물을 축조하기 전에 약 2개원 정도 방치해 두는 것이 좋으며, 침하량이
300mm를 초과할 것으로 예상되는 경우에는 방치기간이 너무 길어질 수 있으므로
단계시공이나 지반안정화, 지반보강 등의 대책이 고려되어야 한다.(The reinforced
Earth Company, 2005).

b. 부등침하
보강토 옹벽에 영향을 미치는 것은 전체침하 보다는 부등침하이며, 부등침하는 보
강토 옹벽에 심각한 손상을 초래할 수 있다. 이러한 부등침하는 보강토 옹벽 종방
향으로 기초지반의 강도특성이 급격하게 변화하거나, 보강토 옹벽 높이 또는 구조
물 기하형상이 급격하게 변화하는 경우에 발생할 수 있으며, 보강토 옹벽 근처에

- 39 -
옹벽, 교대 등과 같은 강성구조물이 존재하는 경우에도 상대적은 침하이 차이가 발
생할 수 있다.
전면벽체의 특성에 따른 보강토 옹벽의 종방향 부등침하에 대한 허용한계는 다음
과 같다.
∆ 
① 블록식 보강토 옹벽 (몰탈 또는 콘크리트 블록) :  ≤ 
 
∆ 
② 패널식 보강토 옹벽 (콘크리트 패널)의 경우 : ≤ 
 
∆ 
③ 연성벽면을 갖는 보강토 옹벽의 경우 : ≤ 
 

여기서, ∆ : 두 측점간의 상대적인 침하량의 차이 (m)


 : 두 측점 사이의 거리 (m)

패널식 보강토 옹벽의 경우 전면벽체의 줄눈간격에 따른 허용부등침하량의 범위는


다음과 같다(Elias 등, 2001).

줄눈간격 허용부등침하량

20mm 1/100

13mm 1/200

6mm 1/300

표 3.4 줄눈의 간격에 따른 허용부등침하량

보강토 구조물 횡방향의 부등침하는 보강토체의 회전변형을 유발시킬 수 있다. 보


강토체 배면 방향으로 1/50 정도의 회전변형이 발생하였으나 보강토체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은 사례가 있는 것으로 미루어 보아 보강토 구조물의 횡방향 부등침하에
대한 내성 또한 상당히 크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다만, 횡방향 부등침하량이 클 것
으로 예상되는 경우에는 보강토체의 변형에 의하여 보강재 또는 연결부에 추가적인
응력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GEO, 2002).

3.7.8 전체 성토사면의 안정

이미 보강토 옹벽의 설계부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보강토체를 포함하는 전체 성


토사면에 대한 안정성의 검토는 매우 중요하다. 지금까지 국내, 외에서 보강토 옹벽
설계를 위한 여러 가지 컴퓨터 프로그램이 개발되어 이용되고 있으나, 상당수의 프
로그램이 전체사면활동에 대한 안정성 검토를 무시하거나 소홀히 하고 있어 주의가
요구된다.

- 40 -
그림 3.19 전체 사면활동에 대한 안정

국내에서도 전체사면활동에 대한 안정성의 미확보로 인하여 피해를 입은 사례들


이 종종 있으므로, 보강토 옹벽의 설계 및 시공 시에는 보강토체를 포함한 전체사
면 활동에 대한 안정성 확보 여부를 확인하는 것이 좋다. 특히 기초지반이 불량하
거나 사면 상에 보강토 옹벽이 축조되는 경우 또는 보강토 옹벽 상부에 고성토고의
사면이 계획된 경우에는 반드시 저체사면활동에 대한 안정성을 검토해야 한다.
최근에 개발된 사면안정해석 프로그램들은 대부분 사면활동에 대한 안전율의 계
산에 보강재의 효과를 고려할 수 있도록 개발되어 있으므로, 보강토 옹벽 전용 설
계/해석 프로그램을 사용한 보강토 옹벽의 내적 및 외적 안정성 검토와 더불어 일
반적인 사면안정해석 프로그램을 사용한 보강토체를 포함한 전체사면활동에 대한
안정성 검토를 실시한다면 문제는 쉽게 해결될 수 있다.

- 41 -
제 4 장 보강토 옹벽의 시공,설계 및 실패사례

4.1 경북 OO공장부지 보강토 옹벽 우각부의 균열 발생

4.1.1 경북 OO공장부지 보강토 옹벽 우각부의 균열 발생 개요

경북 OO공장부지 조성공사 현장개요 본 조성공사 현장개요에서는 보강토 옹벽


공법과 보강토 옹벽 기본 현황 그리고 보강토 옹벽에 사용재료를 분류하여 현장사
례의 구체적인 현장개요를 나열하고 있다.

(1) 보강토 옹벽 공법
본 현장에서의 공장부지 조성공사 중 일부구간에 보강토 옹벽을 시공하였다. 이
보강토 옹벽은 보강토 블록과 지오그리드(Geogrid) 공법을 병행한 것으로 보강
토사 포설 및 다짐 작업을 반복적으로 적용된 것으로 조사 되었다.

(2) 보강토 옹벽 높이 및 길이
적용 사례에 대한 부지조성 공사의 일부 구간 보강토 블록과 지오그리드 공법을
병행한 옹벽은 낮은 구간은 2.3m에서부터 높은 구간은 10.9m의 높이 차이가
있었으며 총연장 길이는 319.0m에 이르는 것으로 파악하였다.

(3) 보강토 옹벽에 사용재료


일반적으로 표준형과 캡형으로 분류되는 블록을 사용하고 있었으며, 표준형 보강
토 블록(200*500*550)과 캡형 보강토 블록(100*480*320)을 기준으로 하는
마감블록을 주재료로 사용하였다. 또한 뒤채움을 통해 지반안정을 위한 그리드는
크기에 따라 총 4개의형태(3XT, 5XT, 7XT, 8XT)를 사용한 것으로 표 4.1과
같다.
표 4.1은 현장부지 조성공사 개요를 정리한 것으로 전반적인 보강토 옹벽의 구
성을 나열해 보았다. 이를 통해 보강토 옹벽의 일반사항을 분류하고, 문제점을
파악하는데 보다 쉽게 접근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42 -
구 분 내 용
보강토 블록과 지오그리드 공법으로, 블록 및 그
보강토 옹벽 공법
리드 설치 후 보강토사 포설 다짐
보강토 옹벽 높이 2.3m~10.9m
보강토 옹벽 길이 319.0m
3XT : 1,574.0 , 5XT : 5.142.0 
그리드의 종류
7XT : 3,802.0 , 8XT : 2,135.0 

시공 후
현장 사진

표 4.1 경남 o o o o 예술타운 건립공사 현장개요

4.1.2 실패원인

경북 OO OOOOO 공장부지 조성공사에서는 보강토 옹벽이 단지 내부 부지조


성을 위하여 경계부에 위치하고 있었으며, 옹벽의 높이는 2.3m에서부터 최고
10.9m에 이르는 것으로 현장 개요을 통해 알 수 있었다. 본 현장에서 현황조사 통
해 문제점으로 지적된 사항으로는 보강토 옹벽 전면에 나타나는 경계부 가장자리의
가장 높은 구간에서 발생한 수직 균열현상과 백화 현상이 발생하였다. 따라서 본
절에서는 이러한 문제점들의 발생 원인을 분석하여 개선방안을 토출하고자 한다.

(1) 보강토 옹벽 우각부 균열의 문제점 분석


현장조사를 통해 옹벽의 총 길이(319.0m)에서 최고 높이(10.9m)에 이르는 코
너부분에 우각부가 위치하고 있었다. 옹벽 구조물에서 균열은 구조물 내부의 열
화를 촉진하고 옹벽구조의 벽면에서 생성되는 배면수의 유출로 옹벽의 안정성을
위협할 수 있다. 우각부에서 발생되는 균열은 옹벽 자체 그리드가 포함한 보강토
체의 주동토압 뿐만 아니라 측면토압이 발생되어 보강토체가 안정을 찾는 과정
에서 일부 블록에 균열이 발생하기도 한다. 또한 우각부에서는 보강토 옹벽 블록
시공시 하단의 블록과 상단의 블록이 불일치할 경우 균열이 발생하기도 한다.

- 43 -
(2) 설계도면에 따른 문제점 분석
본 사례는 우각부에서 발생되는 균열이 문제점으로 발생하였으며 이러한 위치에
서 발생된 블록의 균열은 그림 4.1과 같이 분석하였다. 이는 우각부 도면에 토
압작용과 지오그리드의 면적에 따른 문제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그림 4.1 토압작용에 의한 블록의 균열 발생

위 그림에서와 같이 우각부 균열은 토압작용에 의해 발생되는 경우가 많은 것


으로 조사되었다. 현장에서 발견된 우각부 균열의 현장사진을 다음 그림 4.2과
같이 제시하였다. 이는 시공당시 상단 블록의 1/2가 일부 하단 블록과 밀착이
안 되고 들려있는 상태에서 다음 단을 시공할 경우 블록의 자중에 의해 블록의
균열이 발생되기도 한다. 그림 4.1에서 그리드 모양이 블록과 접촉되는 면적이
적은 것으로 관찰되며, 이러한 현상은 우수로 인하여 뒷채움재의 토압작용 발생
시 우각부 균열의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다. 그림 4.2은 현장에서 문제점으로
발생된 우각부 균열의 현장사진을 제시하고 있으며, 우각부 균열의 전체사진과
부분 확대사진을 나타내고 있다.

- 44 -
그림 4.2 우각부 균열 전경

우각부 균열은 그림 4.1에서 같이 우각부에 토압작용이 집중되는 것으로 분석


된다. 이러한 현상은 장마철 국지성 집중호우가 발생할 경우 유량의 유입과 토압
작용의 과부하로 보강토 옹벽의 붕괴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3) 보강토 옹벽의 높이에 대한 문제점


본 사례와 같이 높이가 높을수록 보강토 옹벽의 균열발생 확률이 높아지고, 시
공 후 초기 균열이 발생되면 지속적으로 균열이 발생되기도 한다. 일본에서는 판
넬식 보강토 옹벽과 블록식 보강토 옹벽의 높이에 대한 기준을 제시하고 있다.
즉 판넬식 보강토 옹벽의 높이는 구속응력이론에 의해 무제한 높이를 올릴 수
있으나 초기 1단의 높이는 최대 18m로 규정하고 이를 초과하지 못하도록 정의
를 내리고 있다. 또한 블록식 보강토 옹벽의 경우 최대 높이를 12m로 제한하고
있다. 그러나 국내 대부분의 옹벽회사들은 안전율(H=0.03)을
기준으로 적용하고 있다. 따라서 국내 지형과 계절적 요인을 고려하여 보강토 옹
벽 높이에 대한 구체적인 기준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4.1.3 보강토옹벽 우각부 균열발생시 개선방안

표 4.1의 경북 지역의 공장부지 조성공사에 발생된 옹벽의 문제점에서 옹벽의 높


이가 2.3m에서부터 최고 10.9m에 이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특히 10m이상의 보
강토 옹벽에서 중상부에서 아랫단까지 균열이 발생한 것으로 현장사진(그림 4.2)을
통해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균열의 원인과 개선방안을 도출하기 위해 현장 적용된
도면과 일반적인 우각부 도면을 통해 문제점을 비교하고, 설계시 계선방안을 제시
하였다. 현장조사를 통해 발생된 우각부 균열 보강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 45 -
(1) 설계도면에 따른 우각부 균열 개선방안
우각부 균열은 과도한 응력에 의한 균열과 일반적인 균열로 분류되고 있다. 먼
저 과도한 외적하중이 작용할 경우 발생하는 과응력 균열은 건조수축이나 온도
변화에 의한 균열과는 달리 그림 4.2의 현장 사진과 같이 보통 직선으로 발생한
다. 과응력 균열의 발생원인 으로는 시공 중 과대한 하중 또는 설계오류로 인하
여 발생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일반균열은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하는 것으로
원인이 불분명한 것들이 많다. 즉 블록의 건조수죽, 온도변화, 기후작용, 화학적
반응 등 다양하게 발생되며, 균열복은 0.5mm 보다 작고 온도에 따라 변한다.
일반균열로 판단되는 구조적인 영향은 크게 심각하지 않았으나 구조물의 내구성
을 저하시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절에서는 과하중 또는 설계오류나
상세 설계의 잘못으로 발생한 될 가능성이 큰 것으로 판단되었다. 따라서 현장
적용된 우각부 도면(그림 4.1)과 일반적으로 적용되고 있는 우각부 도면을 비교
하여 구체적인 문제점을 분석하고 개선방안을 도출하고자 한다.

그림 4.3 우각부 균열이 발생된 지오그리드모양

그림 4.2 에서는 현장 도면을 확대한 것으로 보강토 옹벽의 우각부부분 상세도면


으로 지오그리드의 길이는 길고 폭이 좁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옹벽의 우각부
부분은 최고의 높이(10.9m)에 해당되며, 그리드는 총 15단으로 구성되어 있었
다. 기초부 위의 1~7단까지는 8XT(2,136.0㎡), 8~11단까지는 7XT(3,802.0
㎡), 1~15단까지는 5TX(5,142.0㎡)를 이용하여 블록과 뒤채움 인장력을 높여주
는 역할을 하고 있었다

- 46 -
그림 4.4 보강토 옹벽 우각부 지오그리드 일반화 모형

위에서 보강토 옹벽 우각부 지오그리드 일반화 모형으로 배부름현상으로 발견


되었던 경남 지역의 예술촌 옹벽공사에 적용된 우각부 부분 상세도이기도 하다.
블록의 모양은 조금 다를 수 있으나 두 현장에 적용된 블록의 크기의 최대 폭이
500mm를 사용하여 시공된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보강토 블록의 우각부 균
열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설계 단계시 지오그리드의 면적을 보강토 옹벽에 넓게
포설하여 뒤채움을 하는 것이 옹벽의 안정화에 더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판단
된다. 4,2과 3을 비교해 보면 지오그리드 모양과 일반적인 우각부 부분의 지오
그리드 모양이 조금 다른 것을 알 수 있었다. 즉 4.2에서 현장 적용된 그리드는
폭이 좁고 길이가 긴 지오그리드를 사용한 것이 우각부 균열을 유발시키는 원인
으로 분석되었다. 우각부 균열을 방지하기 위해 설계시 우각부 부분에 적용되는
지오그리드를 길이와 면적을 고려하여 직사각형 그리드 사용이 바람직 한 것으
로 판단된다. 또한 하단 블록을 설치하고 상단 블록 거치 시 정확한 수평을 확인
한 후 그리드 설치를 곡선부에서 시작하여 지그재그로 겹치지 않도록 포설하여
야 우각부 균열이 최소화 되는 것으로 분석하였다.

(2) 보강토 옹벽의 높이에 따른 개선방안


일반적으로 옹벽의 높이가 높을수록 균열이 쉽게 발생된다. 따라서 주변 지반 및
지질의 특성을 고려하여 일정 높이 이상을 초과하게 되면 2∼3단으로 보강토 옹
벽을 시공해야 된다고 판단된다. 아시아 주변국들 중 일본에서는 판넬식 보강토
옹벽의 높이는 구속응력 이론에 의하여 무제한이지만 1단의 최대 높이를 18m를
초과하지 않도록 설계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또한 블록식 보강토 옹벽의 경우 최
대 높이를 12m로 제한하고 있었다. 따라서 우리나라도 문적 자료를 기초로 하

- 47 -
여 보강토 옹벽에 대한 높이제한과 기준이 필요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즉 지질
및 지형적 특성에 따라 높이에 대한 기준을 정하여 법적 규제가 필요하다.

(3) 보강토 옹벽 우각부 균열발생시 개선방안


보강토 옹벽의 우각부 부분 균열이 지속적으로 진행되면 옹벽 전반에 걸쳐 위험
요소로 작용될 수 있다. 이러한 현상이 일정기간 지속적으로 발생할 경우 균열발
생을 억제하기 위해 적절한 보강조치가 필요하다. 따라서 우각부 부분의 균열을
보수 및 보강하기 위해서는 발생 지점에 에폭시(Epoxy)와 같은 속채움재를 주
입한다. 에폭시란 강력한 접착제로 도로 및 공항활주로 보수공사에 속채움재로
많이 활용되고 있다. 에폭시 주입은 대체로 압력에 따라 저·중·고압으로 분류
되어지며, 보강토 구조물의 상태에 따라 속채움재를 이용하여 균열을 보강할수
있다.

4.2 경남 OO OO예술타운 보강토 옹벽 배부름 현상

블록식 보강토 옹벽의 부분적인 배부름 현상은 포설된 보강재 상부와 하부 블


록에 작용하는 토압이 블록 사이의 전단저항력을 초과할 경우 발생된다. 따라서
본 사례는 시공 후 초기에 발생되는 보강토 옹벽의 배부름 현상을 파악하여 그
문제점을 분석하였다.

4.2.1 경남 OO OO예술타운 보강토 옹벽 배부름 현장개요

본 현장은 OO시 판문동 산OO번지 내에 위치하게 되는 OO예술타운 건립공사


현장에서 발생한 보강토 옹벽의 배부름 현상이 발생하여 이를 분석하고자 한다.

(1) 보강토 옹벽 공법
배부름 현상이 발생한 본 현장은 블록식 보강토 옹벽을 사용하고 있었으며, 현장
특징으로는 옹벽 벽면 아랫단 부지 소유주가 배부름 현상을 관찰, 붕괴조짐의 우
려가 있다고 판단하여 민원신고를 접수 하였다. 이에 따라 본 현장에 대한 정밀
조사가 진행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문제점을 분석하였다.

(2) 보강토 옹벽의 높이 및 길이


본 현장의 보강토 옹벽의 높이는 4.0m~9.0m의 편차를 보이고 있었으며, 보강
토 옹벽의 총 길이는 167.3m나 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특징들을 이용
하여 표 4.2와 같이 종 평면도 및 현장개요를 제시하고 있다.

- 48 -
구 분 내 용
보강토 옹벽 공법 블록식 보강토 옹벽
보강토 옹벽 높이 4.0m~9.0m
보강토 옹벽 길이 167.3m

종 평면도

시공 후
현장 사진

표 4.2 경남 OO OO예술타운 건립공사 현장개요

4.2.2 보강토 옹벽 시공실패원인

느슨한 그리드의 부실시공, 블록의 길이, 옹벽 높이에 따른 그리드의 수직 간격과


함께 부적절한 뒤채움 토사의 사용 등 복합적인 요인으로 인하여 문제점이 발생되
기도 한다. 따라서 한국시설안전기술공단 (ISO 9001 인증)에서는 옹벽 유지관리
매뉴얼을 통해 보강토 옹벽 전면부 배부름 현상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고 있다

- 49 -
근본원인 배면지반의 침하
-추가상재하중으로 인한 침하
-침하로 인한 측방유도
세부원인
-보강재의 과도한 변형
-보강재의 국부적인 파단 및 인발
-침하로 인한 보호시설의 불안정 요인 유발
발생현황
-시각적 불안요인 발생
-정기정검 : 육안조사
조사방법 -정밀정검 : 육안조사 및 측정기기(경사계 및 측량기)
-조사항목 : 위치 및 진행성
표 4.3 보강토 옹벽 전면부 배부름 현상

위 표 4.3 에서는 근본원인과 세부원인 그리고 발생현황과 조사방법 등으로 분류


하여 각 항목별 세부사항을 제시하고 있다. 이러한 요인을 중심으로 근본적인 원인
및 정밀 조사를 시행한 결과 선형조정에 의한 시공오차가 발생된 것으로 추측되었
다. 더 큰 문제점으로 보강토 옹벽 기초공사 터파기 작업 중 옹벽 기초부 아래 배
수관이 매설된 사실을 발견하였다. 시공사는 이러한 현장을 알고 있었으나 특별한
이상 징후가 발생되지 않을 것이라고 판단하고 기초 작업을 한 사례로 조사되었다.
또한 완공 후 보강토 옹벽의 배부름 현상으로 인해 육안관찰시 불안정한 요소로 작
용하여 부실시공으로 인한 보강토 옹벽의 문제점으로 발견되었다.

4.3 전남 OO OO LPG 주유소 부지조성공사 배부름 현상

본 현장의 보강토 옹벽은 공장 내 부지조성을 위해 부지 경계부에 위치하고 있으


며, 당시 보강토 옹벽 시공시 집중호우로 인한 문제점이 발생되기도 하였다. 이러한
현상이 발생되고 보수 및 보강조치 후 부지조성 공사가 완료되었으며, 이후에 보강
토 옹벽 배부름 현상이 발생되었다. 따라서 본 절에서는 보강토 옹벽 공법과 시공
시 문제점을 파악하고 문제점분석을 통한 개선방향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4.3.1 전남 OO LPG 주유소 부지조성공사 현장개요

(1) 보강토 옹벽 공법
본 현장에서는 보강토 블록을 이용한 지오그리드 공법으로 블록과 그리드를 설
치하고 보강토사를 포설 및 다짐을 반복하여 보강토 옹벽이 완공한 것으로 조사
되었다.
(2) 보강토 옹벽 높이 및 길이
현장에 적용된 보강토 옹벽은 블록과 지오그리드 공법을 병행한 것으로 낮은
구간은 2.0m에서부터 높은 구간은 7.5m의 높이로 시공 되었으며, 총연장 길이
는 150.0m에 이르는 것으로 파악된다.

- 50 -
(3) 보강토 옹벽에 사용재료
보강토 옹벽은 일반적으로 표준형 보강토 블록(500*250*550)과 캡형 보강토
블록(510*490*100)을 사용하여 보강토 옹벽을 완공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
한 지반안정을 위한 그리드는 크기에 따라 3개(PS-40, PS-50, PS-60)의 종
류를 사용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4.3.2 보강토 옹벽 시공실패원인

본 현장사례에서는 보강토 옹벽 시공 후 옹벽 시점부에서 약41.5m~94.0m까지의


배불림 현상이 발생하였다. 이러한 현상은 시공 완료 후 초기에 발생된 문제점으로
시공 시 문제점이 원인이 될 수 있다고 판단된다. 따라서 본 절에서는 현장 시공시
문제점을 분석하고 배부름 현상에 대한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1) 시공 단계시 문제점 분석


본 현장의 보강토 옹벽을 분석한 결과 기초부의 시공과 기초부 다짐시 일정한
다짐 후 콘크리트를 타설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보강토 옹벽의 뒷채움재를
시공할 때 100mm이하의 골재를 사용하도록 설계도면에 명시되어 있었다. 그러
나 현장사진을 살펴보면 100mm 이상의 골재들과 혼재되어 있는 것을 쉽게 파
악할 수 있었다. 따라서 굵은 골재와 잔골재들의 혼합으로 인해 공극현상이 발생
되어 시공단계의 문제점으로 분석하였다.

(2) 시공단계시 우수로 인한 문제점 분석


현장사례에서는 보강토 옹벽 공사 시 장마철 지속적인 강우로 인하여 뒷채움재
위에 빗물 고임 현상이 전체적으로 발생되어 문제점으로 지적되었다. 이러한 현
상은 90%이상의 공정이 진행되었을 때 문제점으로 발생되었고, 결국 뒤채움 균
열과 함께 일부 보강토 블록과 그리드가 분리되는 현상이 발생하였다. 이러한 현
상으로 인하여 최종적으로 그리드가 파쇄 되는 복합적인 문제점으로 나타났다.

(3) 배부름 현상 문제점 분석


블록을 이용한 보강토 옹벽공법에서는 블록 벽체가 국부적 변형 없이 일체의
구조를 형성하는지 검토하여야 한다. 국부적 안정성 확보를 위해 블록과 보강재
연결부 파단이 발생하지 않도록 블록과 보강재 연결부가 충분한 강성과 강도를
확보하여야 한다. 또한 블록에 유발되는 토압이 블록 접촉면의 전단저항력을 초
과할 경우 배부름 현상이 발생한다. 이러한 현상은 그림4.5 그림4.6 와 같이 보
강토 옹벽 전면부에 배부름 현상이 발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51 -
그림 4.5 배부름 현상 발생 지역

그림4.6 배부름 조사 현장사진

보강토 옹벽의 배부름 현상은 보강토 옹벽 시공 시 우수로 인한 문제점에서 다


양한 요인으로 발생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즉 뒷채움재와 부적절, 배면배
수 처리미흡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이러한 문제로 인하여 시공 후 1년 이
내에 배부름 현상이 발견되면 허용안전기준 H=0.03이내 포함되어도 차 후 심각
한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또한 본 사례의 배부름 현상은 연결요소는 그리드 파
단을 최우선적으로 확인하여야 하나 현장 시공이 90%이상 완료된 상태에서 전
체적인 그리드 파괴 확인이 불가능한 것으로 판단, 일부 그리드를 교체한 후 옹
벽 뒷채움을 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 52 -
제 5 장 결론

앞에서는 국내 보강토 옹벽 적용현황과 설계/시공 상의 문제점 및 개선 방안을 살


펴보았다. 이러한 문제점은 국내 보강토 옹벽 시장 및 업체의 급속한 양적 증가에
비해 기술력의 발전은 이를 따르지 못하여 일어나는 현상으로 판단되며, 이러한 문
제점등이 지속된다면, 전체 보강토 시장에 큰 위기가 도래 할 수도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보강토 옹벽 시장의 지속적 발전을 위해서 관련학회 및 업체는 시장의 변


화 및 발전에 따른 설계/시공기준의 정립, 표준화 및 품질확보 방안 등을 마련하여
지속적인 홍보 및 보급을 하여야 할 것이며 그 상세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안 하고
자 한다.

(1) 표준화된 설계/시공 기준 및 지침의 정립


현재의 설계 기준 및 지침 중 상충되는 부분과 미흡한 설계,시공 및 품질관리
기준을 보완한 통합기준이 필요하다

(2) 범용 설계 프로그램 개발 및 보급
국내에서 사용되고 있는 설계 S/W에 대한 비교 검토결과, 적용설계기준이 외
국과 국내기준이 혼용된 상태이며 산출결과도 각각 다르게 나타나 신뢰성이 저
하되므로 설계자의 다양성을 고려하면서 국내기준에 적합한 범용 설계프로그램
의 개발 및 보급이 필요하다.

(3) 설계 및 시공방법 검증시스템 구축


각 업체가 보유하고 있는 설계 프로그램과 시방(시공방법)에 대한 공신력 있는
기관의 검증 및 인증작업 필요하다.

(4) 저가 수주 경쟁을 지양하여 품질 확보


현장 발주시 최저가 방식을 지양하고 소요품질 및 기술력을 확보한 업체만 입
찰에 참여할 수 있도록 재료시험, 설계검증 및 시방기준을 강화한

- 53 -
참고문헌

1. 이은수 외(2007). 보강토 공법. 서울 :건설가이드

2. 한국토지이용 연구회(2003). 보강토 신공법. 공간출판사

3. 강호명(2008). “보강토 옹벽의 시공실패사례분석을 통한 효율적 시공방법에


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경상대학교

4. 이경태,박종권,이태옥,최영철(2011), 보강토 옹벽 설계, 시공 및 관리 실태의


개선방안 - 국도건설공사 현장을 중심으로 - 도로학회지. p41-51

5. 조삼덕(2010. “국내 보강토옹벽의 적용현황 및 향후전망”. 토목섬유학회,1. 3

6. 이광우․조삼덕(2010). “국내보강토옹벽 적용 현황과 피해사례(제1편)”.


토목섬유학회, 9(3). 8-12

7. 이광우․조삼덕(2010). “국내보강토옹벽 적용 현황과 피해사례(제2편)”.


토목섬유학회, 9(4). 8-12

8. 이광우․조삼덕(2011). “국내보강토옹벽 적용 현황과 피해사례(제3편)”.


토목섬유학회, 10(1). 8-12

9. 이경태․박종권․이광우(2011). “국내보강토옹벽 적용 현황과 피해사례(제4편)”.


토목섬유학회, 10(2). 8-12

10. 방윤경․손녕득․이규호․황운섭(2010), “국내 보강토옹벽 공법의 개발 동향”.


한국지반환경공학회. 11(2). 52-57

- 54 -
11. 국토해양부(2010), 건설공사 보강토 옹벽 설계・시공 및 유지관리 잠정지침

12. Elias, Christopher, B.R. & Berg, R.R. (2001) , Mechanically Stabilized
Earth Walls and Reinforced Soil Slopes, Design and Construction
Guidelines FHWA, Washington, DC, FHWA-NHI-00-043.

- 55 -
ABSTRACT

Improvement of Design and Construction


Procedures in Mechanical Stabilized Earth Wall

Park, Jeong Mo

Graduate School of Industrial Technology


University of Ulsan
Ulsan, Korea

Improvement of Design and Construction Procedures in Mechanically


Stabilized Earth Walls. Since first introduced in Korea in 1980, constructions
of MSEW (Mechanically Stabilized Earth Walls) are rapidly increased due to
economic advantage, workability, and beautiful appearance, etc. MSEW
consists of back-filling soil, installed reinforcement, and front concrete block
to resist earth pressure and external force. Also, it is well known that
MSEW effectively endures earthquakes and differential settlement. Another
advantage of MSEW is easier and faster construction, rather than other
retaining walls. However, market expansion in MSEW results in improper
design and negligence of construction leading to permanent deformation and
collapse of this earth system. In this paper, problems related with design
and construction procedures are identified and improved based on the actual
failure cases in MSEW. The failure analyses through careful consideration
are conducted and provide subsequent improvements in design and
construction procedures in MSEW.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