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287

편 집 위 원 박광옥(한국장애인개발원 직업재활팀)

변정엽(용산장애인복지관 직업지원팀)
이기학(부천시장애인종합복지관 직업평가센터)
신혜경(실로암시각장애인복지관 직업평가센터)
홍재숙(서울장애인종합복지관 직업평가센터)

자문 및 감수위원 박희찬(가톨릭대학교 특수교육과)


김선미(대구장애인종합복지관 직업평가센터)
박수정(한국장애인고용공단 전남직업능력개발원)
유정선(서울장애인종합복지관 직업평가센터)
윤성현(경기도장애인종합복지관 직업재활팀)
발간사

장애인의 직업재활서비스 과정에서 직업평가가 차지하는 중요성은 매우 크다 할 것입니다.


직업평가는 장애인이 직업적 강점을 찾고, 잠재적인 능력을 바탕으로 직업을 선택하고 결정하
는 데 유용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실제로 많은 직업재활현장들이 직업평가를 기반으로 한 전
문적인 직업재활서비스 과정을 통해 장애인이 양질의 일자리에 진입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습니다.

한국장애인개발원은 이러한 직업평가의 중요성을 기반으로 전문적인 서비스 제공과 직업평


가 전문가의 양성과 교육에 도움을 드리고자 직업평가도구 사용매뉴얼을 발간하게 되었습니
다. 특히 이번 매뉴얼은 다양한 직업평가도구 중 여러 직업군에서 가장 기본적으로 요구되고
있는 손 기능을 평가할 수 있는 평가도구를 중심으로 하여 구성되었습니다.

이번 매뉴얼 발간은 직업평가센터를 포함한 다양한 직업재활현장에서 손 기능 평가를 용이


하게 실시할 수 있고, 직업재활현장 간에 일관되고 정확한 평가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지원하
는 데 그 목적이 있습니다. 이번 기회를 통해 유용한 직업평가 자료가 지속적으로 발간되는
시작점이 되기를 바라며 장애인에게 더 나은 직업평가 서비스가 제공되기를 바랍니다.

이 매뉴얼은 중증장애인직업재활지원사업을 수행하고 있는 직업평가센터 등 직업재활현장에


서 종사하고 있는 전문가들에 의해 편집되었습니다. 각 평가도구의 원매뉴얼을 기반으로 하여
임상경험에서 비롯된 실질적인 정보를 담고자 애써주신 편집위원들의 노고에 감사드립니다.
아울러 매뉴얼의 완성도를 위해 정성스레 자문과 감수를 해 주신 박희찬 교수님을 비롯한 자
문 및 감수위원분들께도 감사의 말씀을 드립니다.

2011년 12월

한국장애인개발원 원장 변용찬
일러두기

○ 이 매뉴얼은 신체능력평가, 작업표본평가 도구 중에서 손 기능을 평가할 수 있는 도구들


의 사용방법을 제시하였으며, 직업평가의 실시과정과 직업평가 전문가의 연수 및 교육
과정에서 활용될 수 있습니다.

○ 손 기능 평가도구를 중심으로 구성되어 전체 도구가 아닌 몇 가지의 하위도구가 부분적


으로 제시된 경우가 있으므로 전체 도구에 대한 정확한 이해는 추가로 관련된 다른 자
료를 참고하실 필요가 있습니다.

○ 평가도구의 소개, 평가내용, 평가방법 등 매뉴얼의 모든 내용은 각 평가도구의 개발 및


판매업체에서 제공하는 원매뉴얼의 내용을 최대한 준수하여 편집하였습니다.

○ 이 매뉴얼은 원매뉴얼 뿐만 아니라 기존 발간되고 연구된 다양한 자료를 참고하고 있는


데 인용된 자료에 대한 구체적인 출처는 각 평가도구의 참고문헌에 제시하였습니다.

○ 각 평가도구의 난이도에 따라 별도의 교육과 훈련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이 때 일정 시간


의 교육과 매뉴얼 사용을 병행할 경우 매뉴얼을 더 효과적으로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직업평가도구 사용매뉴얼 「손 기능 평가도구편」

목차

Ⅰ. 직업평가 개요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
1. 직업평가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
2. 손 기능 평가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1
3. 참고문헌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2

Ⅱ. 손 기능 평가도구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3

❚ 악력계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4
1. 개요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4
2. 도구개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5
3. 실시방법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5
4. 결과해석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8
5. 부록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9

❚ 핀치게이지(Pinch-Gauge)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3
1. 개요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3
2. 표준화 정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4
3. 실시방법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4
4. 결과해석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7
5. 부록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8

❚ 그루브드 펙보드(Grooved Pegboard)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1
1. 개요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1
2. 도구개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2
3. 실시방법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2
4. 결과해석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5
5. 부록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6

i
❚ 오코너 손가락 기민성 검사(O'Connor Finger Dexterity Test) ·
··
··
··
··
··
··
··
··
··
··
··
··
··
·40
1. 개요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0
2. 표준화 정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1
3. 실시방법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1
4. 결과해석 사례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4
5. 부록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5

❚ MVE(Mobile Vocational Evaluation) 동작성 평가 ·


··
··
··
··
··
··
··
··
··
··
··
··
··
··
··
··
··
··
··
··
··
··47
1. 개요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7
2. 도구개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9
3. 하위도구별 실시방법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1
4. 자료입력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78
5. 결과해석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85
6. 결과해석 사례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87
7. 부록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89

❚ Work Activities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91
1. 개요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91
2. 도구개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00
3. 실시방법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02
4. 평가결과 채점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39
5. 결과해석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41
6. 부록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44

❚ TAP(Talent Assessment Program)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53
1. 개요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53
2. 도구개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55
3. 하위도구별 실시방법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58
4. 결과해석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72
5. 부록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73

❚ Purdue Pegboard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96
1. 개요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96

ii
직업평가도구 사용매뉴얼 「손 기능 평가도구편」

2. 도구개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97
3. 실시방법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99
4. 결과해석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09
5. 부록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13
6. 참고문헌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33

❚ HSDT(Haptic Sensory Discrimination Test) ·


··
··
··
··
··
··
··
··
··
··
··
··
··
··
··
··
··
··
··
··
··
··
··
··
··
·234
1. 개요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34
2. 도구개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35
3. 실시방법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35
4. 결과해석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41
5. 부록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43

❚ HVDT(Haptic-Visual Discrimination Test) ·


··
··
··
··
··
··
··
··
··
··
··
··
··
··
··
··
··
··
··
··
··
··
··
··
··
··
··247
1. 개요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47
2. 도구개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48
3. 실시방법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54
4. 결과해석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58
5. 부록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59

Ⅲ. 부 록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63
1. 직업평가관련 서식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64
2. 직업평가 실시기관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67

iii
표목차

<표 Ⅰ-1> 직업평가계획서 구성내용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
<표 Ⅰ-2> 직업평가보고서 구성내용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
<표 Ⅰ-3> 주요 신체능력평가 도구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
<표 Ⅰ-4> 주요 심리평가 도구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7
<표 Ⅰ-5> 주요 작업표본평가 도구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8
<표 Ⅰ-6> 상황평가 내용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0
<표 Ⅰ-7> 손 기능 평가도구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2
<표 Ⅱ-1> 악력계 평가기록지(국민체력실태조사)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9
<표 Ⅱ-2> 악력계 평가기록지(K-MAND)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0
<표 Ⅱ-3> 악력계 규준표(문화체육관광부 국민체력실태조사) ·
··
··
··
··
··
··
··
··
··
··
··
··
··
··
··
··
··
··
··
·20
<표 Ⅱ-4> 악력계 규준표(K-MAND)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1
<표 Ⅱ-5> 핀치게이지 평가기록지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8
<표 Ⅱ-6> 핀치게이지 규준표(박정일 외)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8
<표 Ⅱ-7> 핀치게이지 규준표(한국장애인고용공단) ·
··
··
··
··
··
··
··
··
··
··
··
··
··
··
··
··
··
··
··
··
··
··
··
··
··
··
·29
<표 Ⅱ-8> 그루브드 펙보드 평가기록지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6
<표 Ⅱ-9> 그루브드 펙보드 규준표(연령별 점수)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6
<표 Ⅱ-10> 그루브드 펙보드 규준표(연령별 평가 수행시간) ·
··
··
··
··
··
··
··
··
··
··
··
··
··
··
··
··
··
··
··
··38
<표 Ⅱ-11> 오코너 손가락 기민성 검사 점수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5
<표 Ⅱ-12> 오코너 손가락 기민성 검사 표준치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5
<표 Ⅱ-13> 오코너 손가락 기민성 검사 6가지 직업에 따른 표준치 ·
··
··
··
··
··
··
··
··
··
··
··
··
··
··46
<표 Ⅱ-14> MVE 동작성 하위 평가도구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8
<표 Ⅱ-15> 하위 평가도구별 채점 요약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0
<표 Ⅱ-16> MVE 동작성 평가 「손가락 기민성」 평점 산출표 ·
··
··
··
··
··
··
··
··
··
··
··
··
··
··
··
··
··
··
·54
<표 Ⅱ-17> MVE 동작성 검사 「손목-손가락 속도」 평점 산출표 ·
··
··
··
··
··
··
··
··
··
··
··
··
··
··
··
··57
<표 Ⅱ-18> MVE 동작성 검사 「팔-손안정성」 평점 산출표 ·
··
··
··
··
··
··
··
··
··
··
··
··
··
··
··
··
··
··
··
··60
<표 Ⅱ-19> MVE 동작성 평가 「손 기민성」 평점 산출표 ·
··
··
··
··
··
··
··
··
··
··
··
··
··
··
··
··
··
··
··
··
··
··63
<표 Ⅱ-20> MVE 동작성 검사 「양팔협응」 평점 산출표 ·
··
··
··
··
··
··
··
··
··
··
··
··
··
··
··
··
··
··
··
··
··
··
·67
<표 Ⅱ-21> MVE 동작성 검사 「양손협응」 평점 산출표 ·
··
··
··
··
··
··
··
··
··
··
··
··
··
··
··
··
··
··
··
··
··
··
·71
<표 Ⅱ-22> MVE 동작성 검사 「조준」 평점 산출표 ·
··
··
··
··
··
··
··
··
··
··
··
··
··
··
··
··
··
··
··
··
··
··
··
··
··
··74

iv
직업평가도구 사용매뉴얼 「손 기능 평가도구편」

<표 Ⅱ-23> MVE 동작성 검사 「반응시간」 평점 산출표 ·


··
··
··
··
··
··
··
··
··
··
··
··
··
··
··
··
··
··
··
··
··
··
·77
<표 Ⅱ-24> MVE 자료입력(SVP)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78
<표 Ⅱ-25> MVE 자료입력(JSC)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79
<표 Ⅱ-26> MVE 자료입력(PL-LIFTING)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79
<표 Ⅱ-27> MVE 자료입력(PL-CLIMBING)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80
<표 Ⅱ-28> MVE 자료입력(PL-STOOPING)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80
<표 Ⅱ-29> MVE 자료입력(PL-STANDING)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80
<표 Ⅱ-30> MVE 자료입력 (PL-REACHING)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81
<표 Ⅱ-31> MVE 자료입력(PL-HEARING)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81
<표 Ⅱ-32> MVE 자료입력(PL-SPEAKING)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82
<표 Ⅱ-33> MVE 자료입력(PL-VISION)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82
<표 Ⅱ-34> MVE 자료입력(PL-COLOR VISION) ·
··
··
··
··
··
··
··
··
··
··
··
··
··
··
··
··
··
··
··
··
··
··
··
··
··
··
··
··83
<표 Ⅱ-35> MVE 자료입력(WC-INSIDE / OUTSIDE / BOTH) ·
··
··
··
··
··
··
··
··
··
··
··
··
··
··
··
··
··
··83
<표 Ⅱ-36> MVE 자료입력(WC-COLD)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83
<표 Ⅱ-37> MVE 자료입력(WC-HEAT)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84
<표 Ⅱ-38> MVE 자료입력(WC- WET/HUMID)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84
<표 Ⅱ-39> MVE 자료입력(WC- NOISE)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84
<표 Ⅱ-40> MVE 자료입력(WC-HAZARDS)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85
<표 Ⅱ-41> MVE 자료입력(WC- DUST / FUMES) ·
··
··
··
··
··
··
··
··
··
··
··
··
··
··
··
··
··
··
··
··
··
··
··
··
··
··
·85
<표 Ⅱ-42> MVE 자료 입력 양식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89
<표 Ⅱ-43> Work Activities 하위 평가도구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92
<표 Ⅱ-44> Work Activities #206 호스노즐 조립/분해 재평가 신뢰도 ·
··
··
··
··
··
··
··
··
··
··
··101
<표 Ⅱ-45> Work Activities 하위 평가도구별 표준오차 ·
··
··
··
··
··
··
··
··
··
··
··
··
··
··
··
··
··
··
··
··
··
··101
<표 Ⅱ-46> Work Activities와 TAP #6과의 준거타당도 ·
··
··
··
··
··
··
··
··
··
··
··
··
··
··
··
··
··
··
··
··
··
··101
<표 Ⅱ-47> Work Activities와 Purdue Pegboard 오른손 수행과의 준거타당도 ·
··
··
··
··102
<표 Ⅱ-48> Work Activities와 Purdue Pegboard 왼손 수행과의 준거타당도 ·
··
··
··
··
··
·102
<표 Ⅱ-49> Work Activities와 Purdue Pegboard 양손 수행과의 준거타당도 ·
··
··
··
··
··
·102
<표 Ⅱ-50> Work Activities와 Purdue Pegboard 조립 수행과의 준거타당도 ·
··
··
··
··
··102
<표 Ⅱ-51> Work Acitivities 대구장애인종합복지관(2011) 점수해석 기준 ·
··
··
··
··
··
··
··
··
··142
<표 Ⅱ-52> Work Activities 평가기록지(Attainment Company) ·
··
··
··
··
··
··
··
··
··
··
··
··
··
··
··
··
·144
<표 Ⅱ-53> Work Activities 검사기록지(대구장애인종합복지관) ·
··
··
··
··
··
··
··
··
··
··
··
··
··
··
··
··
·145
<표 Ⅱ-54> Work Activities 작업수행기록지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46
<표 Ⅱ-55> Work Activities 작업행동기록지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47

v
<표 Ⅱ-56> Work Activities 자료표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48
<표 Ⅱ-57> Work Activities 조립 기준표
(Attainment Company 미국 산업근로자 기준) ·
··
··
··
··
··
··
··
··
··
··
··
··
··
··
··
··
··
··
··
·149
<표 Ⅱ-58> Work Activities 포장 기준표
(Attainment Company 미국 산업근로자 기준) ·
··
··
··
··
··
··
··
··
··
··
··
··
··
··
··
··
··
··
··
·150
<표 Ⅱ-59> Work Activities 대구장애인종합복지관(2011) 준거참조표 ·
··
··
··
··
··
··
··
··
··
··
··
·151
<표 Ⅱ-60> Work Activities 대구장애인종합복지관(2011) 일반집단 규준표 ·
··
··
··
··
··
··
··
·151
<표 Ⅱ-61> Work Activities 대구장애인종합복지관(2011) 장애집단 규준표 ·
··
··
··
··
··
··
··
·152
<표 Ⅱ-62> TAP 하위 평가도구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54
<표 Ⅱ-63> TAP의 규준집단 평균과 표준편차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56
<표 Ⅱ-64> TAP의 하위검사 ANOVA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56
<표 Ⅱ-65> TAP의 하위검사 1 Duncan 사후검증 ·
··
··
··
··
··
··
··
··
··
··
··
··
··
··
··
··
··
··
··
··
··
··
··
··
··
··157
<표 Ⅱ-66> TAP의 하위검사 2 Duncan 사후검증 ·
··
··
··
··
··
··
··
··
··
··
··
··
··
··
··
··
··
··
··
··
··
··
··
··
··
··157
<표 Ⅱ-67> TAP의 하위검사 3 Duncan 사후검증 ·
··
··
··
··
··
··
··
··
··
··
··
··
··
··
··
··
··
··
··
··
··
··
··
··
··
··157
<표 Ⅱ-68> TAP의 하위검사 4 Duncan 사후검증 ·
··
··
··
··
··
··
··
··
··
··
··
··
··
··
··
··
··
··
··
··
··
··
··
··
··
··157
<표 Ⅱ-69> TAP의 점수기록지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73
<표 Ⅱ-70> 작업재능검사 점수기록지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74
<표 Ⅱ-71> TAP #4 TESTS 지적장애인 규준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75
<표 Ⅱ-72> 작업재능검사 규준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78
<표 Ⅱ-73> Purdue Pegboard 2011년 비장애인 근로자 검사-재검사 신뢰도 ·
··
··
··
··
··198
<표 Ⅱ-74> Purdue Pegboard 2011년 지적장애인 근로자 검사-재검사 신뢰도 ·
··
··
··198
<표 Ⅱ-75> Purdue Pegboard 2011년 직업적응훈련생 검사자간 신뢰도 ·
··
··
··
··
··
··
··
··
·198
<표 Ⅱ-76> Purdue Pegboard 2011년 비장애인 근로자 대상 준거타당도 ·
··
··
··
··
··
··
··
·199
<표 Ⅱ-77> Purdue Pegboard 2011년 지적장애인 근로자 대상 준거타당도 ·
··
··
··
··
··
··199
<표 Ⅱ-78> Purdue Pegboard 검사 기록지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13
<표 Ⅱ-79> Purdue Pegboard 제조업 생산직 비장애인 근로자 백분위 규준표(전체) ·216
<표 Ⅱ-80> Purdue Pegboard 제조업 생산직 비장애인 근로자 백분위 규준표(남성) ·218
<표 Ⅱ-81> Purdue Pegboard 제조업 생산직 비장애인 근로자 백분위 규준표(여성) ·220
<표 Ⅱ-82> Purdue Pegboard 제조업 생산직 지적장애인 근로자 백분위 규준표 ·
··
··
·223
<표 Ⅱ-83> Purdue Pegboard 직업적응훈련 과정(지원고용 목표) 지적장애인 백분위
규준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27
<표 Ⅱ-84> Purdue Pegboard 직업적응훈련 과정(보호고용 목표) 지적장애인 백분위
규준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31

vi
직업평가도구 사용매뉴얼 「손 기능 평가도구편」

<표 Ⅱ-85> HSDT 점수기록지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43
<표 Ⅱ-86> HSDT 구준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45
<표 Ⅱ-87> 신뢰도계수와 HVDT 측정의 표준오류 ·
··
··
··
··
··
··
··
··
··
··
··
··
··
··
··
··
··
··
··
··
··
··
··
··
··
··249
<표 Ⅱ-88> HVDT 비장애 아동 항목분석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50
<표 Ⅱ-89> HVDT 신경정신장애 성인 항목분석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51
<표 Ⅱ-90> HVDT 비장애 아동 구성요소 상관분석 ·
··
··
··
··
··
··
··
··
··
··
··
··
··
··
··
··
··
··
··
··
··
··
··
··
··253
<표 Ⅱ-91> HVDT 신경정신장애 성인 구성요소 상관분석 ·
··
··
··
··
··
··
··
··
··
··
··
··
··
··
··
··
··
··
··
··
·253
<표 Ⅱ-92> HVDT 점수기록지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59
<표 Ⅱ-93> HVDT 감각요인 전환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61

그림목차

[그림 Ⅰ-1] 직업평가 과정도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

vii
사진목차

<사진 Ⅱ-1> 악력계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4
<사진 Ⅱ-2> 악력계를 잡는 방법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6
<사진 Ⅱ-3> 악력계 측정자세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7
<사진 Ⅱ-4> 핀치게이지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3
<사진 Ⅱ-5> 핀치게이지의 집기유형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6
<사진 Ⅱ-6> 그루브드 펙보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1
<사진 Ⅱ-7> 그루브드 펙보드 평가실시 과정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4
<사진 Ⅱ-8> 오코너 손가락 기민성 검사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0
<사진 Ⅱ-9> 오코너 손가락 기민성 검사 평가실시 과정 ·
··
··
··
··
··
··
··
··
··
··
··
··
··
··
··
··
··
··
··
··
··
··
·42
<사진 Ⅱ-10> MVE 동작성 평가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7
<사진 Ⅱ-11> MVE 동작성 검사「손가락 기민성」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1
<사진 Ⅱ-12> MVE 동작성 평가 「손가락 기민성」 평가실시 과정 ·
··
··
··
··
··
··
··
··
··
··
··
··
··
··
··
·53
<사진 Ⅱ-13> MVE 동작성 검사 「손목-손가락 속도」 ·
··
··
··
··
··
··
··
··
··
··
··
··
··
··
··
··
··
··
··
··
··
··
··
··55
<사진 Ⅱ-14> MVE 동작성 검사 「손목-손가락 속도」 평가실시 과정 ·
··
··
··
··
··
··
··
··
··
··
··
··
·56
<사진 Ⅱ-15> MVE 동작성 검사「팔-손 안정성」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8
<사진 Ⅱ-16> MVE 동작성 검사 「팔-손안정성」 평가실시 과정 ·
··
··
··
··
··
··
··
··
··
··
··
··
··
··
··
··
··59
<사진 Ⅱ-17> MVE 동작성 검사 「손 기민성」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1
<사진 Ⅱ-18> MVE 동작성 검사 「손 기민성」 평가실시 과정 ·
··
··
··
··
··
··
··
··
··
··
··
··
··
··
··
··
··
··
·62
<사진 Ⅱ-19> MVE 동작성 검사 「양팔협응」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4
<사진 Ⅱ-20> MVE 동작성 검사 「양팔협응」 평가실시 과정 ·
··
··
··
··
··
··
··
··
··
··
··
··
··
··
··
··
··
··
··
·66
<사진 Ⅱ-21> MVE 동작성 검사 「양손협응」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8
<사진 Ⅱ-22> MVE 동작성 검사 「양손협응」 평가실시 과정 ·
··
··
··
··
··
··
··
··
··
··
··
··
··
··
··
··
··
··
··
·69
<사진 Ⅱ-23> MVE 동작성 검사 「조준」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72
<사진 Ⅱ-24> MVE 동작성 검사 「조준」 평가실시 과정 ·
··
··
··
··
··
··
··
··
··
··
··
··
··
··
··
··
··
··
··
··
··
··
·73
<사진 Ⅱ-25> MVE 동작성 검사 「반응시간」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75
<사진 Ⅱ-26> MVE 동작성 검사 「반응시간」 평가실시 과정 ·
··
··
··
··
··
··
··
··
··
··
··
··
··
··
··
··
··
··
··
·76
<사진 Ⅱ-27> Work Acitivities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91
<사진 Ⅱ-28> (예시) #110 24개 품목 분류 준비물 배치 ·
··
··
··
··
··
··
··
··
··
··
··
··
··
··
··
··
··
··
··
··
··
··94
<사진 Ⅱ-29> (예시) #306A 공구세트 포장/분해 준비물 배치 ·
··
··
··
··
··
··
··
··
··
··
··
··
··
··
··
··
··
··95

viii
직업평가도구 사용매뉴얼 「손 기능 평가도구편」

<사진 Ⅱ-30> Work Acitivities #202 조립 준비물 배치 ·


··
··
··
··
··
··
··
··
··
··
··
··
··
··
··
··
··
··
··
··
··
··103
<사진 Ⅱ-31> Work Acitivities #202 분해 준비물 배치 ·
··
··
··
··
··
··
··
··
··
··
··
··
··
··
··
··
··
··
··
··
··
··103
<사진 Ⅱ-32> Work Acitivities #202 기본과제 조립 단계별 순서 ·
··
··
··
··
··
··
··
··
··
··
··
··
··
··
·104
<사진 Ⅱ-33> Work Acitivities #202 분해 단계별 순서 ·
··
··
··
··
··
··
··
··
··
··
··
··
··
··
··
··
··
··
··
··
··
··105
<사진 Ⅱ-34> Work Acitivities #205A 조립 준비물 배치 ·
··
··
··
··
··
··
··
··
··
··
··
··
··
··
··
··
··
··
··
··
··106
<사진 Ⅱ-35> Work Acitivities #205A 분해 준비물 배치 ·
··
··
··
··
··
··
··
··
··
··
··
··
··
··
··
··
··
··
··
··
··106
<사진 Ⅱ-36> Work Acitivities #205A 기본과제 조립 단계별 순서 ·
··
··
··
··
··
··
··
··
··
··
··
··
··
·107
<사진 Ⅱ-37> Work Acitivities #205A 분해 단계별 순서 ·
··
··
··
··
··
··
··
··
··
··
··
··
··
··
··
··
··
··
··
··
··108
<사진 Ⅱ-38> Work Acitivities #206 조립 준비물 배치 ·
··
··
··
··
··
··
··
··
··
··
··
··
··
··
··
··
··
··
··
··
··
··110
<사진 Ⅱ-39> Work Acitivities #206 분해 준비물 배치 ·
··
··
··
··
··
··
··
··
··
··
··
··
··
··
··
··
··
··
··
··
··
··110
<사진 Ⅱ-40> Work Acitivities #206 기본과제 조립 단계별 순서 ·
··
··
··
··
··
··
··
··
··
··
··
··
··
··
·111
<사진 Ⅱ-41> Work Acitivities #206 지그사용 과제 조립 단계별 순서 ·
··
··
··
··
··
··
··
··
··
··
·112
<사진 Ⅱ-42> Work Acitivities #206 분해단계별 순서 ·
··
··
··
··
··
··
··
··
··
··
··
··
··
··
··
··
··
··
··
··
··
··
··112
<사진 Ⅱ-43> Work Acitivities #207 조립 준비물 배치 ·
··
··
··
··
··
··
··
··
··
··
··
··
··
··
··
··
··
··
··
··
··
··114
<사진 Ⅱ-44> Work Acitivities #207 분해 준비물 배치 ·
··
··
··
··
··
··
··
··
··
··
··
··
··
··
··
··
··
··
··
··
··
··114
<사진 Ⅱ-45> Work Acitivities #207 기본과제 조립 단계별 순서 ·
··
··
··
··
··
··
··
··
··
··
··
··
··
··
·115
<사진 Ⅱ-46> Work Acitivities #207 분해 단계별 순서 ·
··
··
··
··
··
··
··
··
··
··
··
··
··
··
··
··
··
··
··
··
··
··117
<사진 Ⅱ-47> Work Acitivities #208 조립 준비물 배치 ·
··
··
··
··
··
··
··
··
··
··
··
··
··
··
··
··
··
··
··
··
··
··119
<사진 Ⅱ-48> Work Acitivities #208 분해 준비물 배치 ·
··
··
··
··
··
··
··
··
··
··
··
··
··
··
··
··
··
··
··
··
··
··119
<사진 Ⅱ-49> Work Acitivities #208 조립 단계별 순서 ·
··
··
··
··
··
··
··
··
··
··
··
··
··
··
··
··
··
··
··
··
··
··120
<사진 Ⅱ-50> Work Acitivities #208 분해 단계별 순서 ·
··
··
··
··
··
··
··
··
··
··
··
··
··
··
··
··
··
··
··
··
··
··121
<사진 Ⅱ-51> Work Acitivities #209 조립 준비물 배치 ·
··
··
··
··
··
··
··
··
··
··
··
··
··
··
··
··
··
··
··
··
··
··124
<사진 Ⅱ-52> Work Acitivities #209 분해 준비물 배치 ·
··
··
··
··
··
··
··
··
··
··
··
··
··
··
··
··
··
··
··
··
··
··124
<사진 Ⅱ-53> Work Acitivities #209 조립 단계별 순서 ·
··
··
··
··
··
··
··
··
··
··
··
··
··
··
··
··
··
··
··
··
··
··125
<사진 Ⅱ-54> Work Acitivities #209 분해 단계별 순서 ·
··
··
··
··
··
··
··
··
··
··
··
··
··
··
··
··
··
··
··
··
··
··126
<사진 Ⅱ-55> Work Acitivities #301 포장 준비물 배치 ·
··
··
··
··
··
··
··
··
··
··
··
··
··
··
··
··
··
··
··
··
··
··128
<사진 Ⅱ-56> Work Acitivities #301 분해 준비물 배치 ·
··
··
··
··
··
··
··
··
··
··
··
··
··
··
··
··
··
··
··
··
··
··128
<사진 Ⅱ-57> Work Acitivities #301 포장 단계별 순서 ·
··
··
··
··
··
··
··
··
··
··
··
··
··
··
··
··
··
··
··
··
··
··129
<사진 Ⅱ-58> Work Acitivities #301 분해 단계별 순서 ·
··
··
··
··
··
··
··
··
··
··
··
··
··
··
··
··
··
··
··
··
··
··131
<사진 Ⅱ-59> Work Acitivities #306A 포장 준비물 배치 ·
··
··
··
··
··
··
··
··
··
··
··
··
··
··
··
··
··
··
··
··
··132
<사진 Ⅱ-60> Work Acitivities #306A 분해 준비물 배치 ·
··
··
··
··
··
··
··
··
··
··
··
··
··
··
··
··
··
··
··
··
··132
<사진 Ⅱ-61> Work Acitivities #306A 포장 단계별 순서 ·
··
··
··
··
··
··
··
··
··
··
··
··
··
··
··
··
··
··
··
··
··133
<사진 Ⅱ-62> Work Acitivities #306A 분해 단계별 순서 ·
··
··
··
··
··
··
··
··
··
··
··
··
··
··
··
··
··
··
··
··
··135

ix
<사진 Ⅱ-63> Work Acitivities #308B 가열밀봉 준비물 배치 ·
··
··
··
··
··
··
··
··
··
··
··
··
··
··
··
··
··
·136
<사진 Ⅱ-64> Work Acitivities #308B 분해 준비물 배치 ·
··
··
··
··
··
··
··
··
··
··
··
··
··
··
··
··
··
··
··
··
··136
<사진 Ⅱ-65> Work Acitivities #308B 가열밀봉 단계별 순서 ·
··
··
··
··
··
··
··
··
··
··
··
··
··
··
··
··
··
·137
<사진 Ⅱ-66> Work Acitivities #308B 분해 단계별 순서 ·
··
··
··
··
··
··
··
··
··
··
··
··
··
··
··
··
··
··
··
··
··138
<사진 Ⅱ-67> TAP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53
<사진 Ⅱ-68> TAP #4의 시행 준비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58
<사진 Ⅱ-69> TAP #4의 시작 장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58
<사진 Ⅱ-70> TAP #4 평가실시 과정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59
<사진 Ⅱ-71> TAP #5 우세손이 오른손인 경우의 준비물 배치 ·
··
··
··
··
··
··
··
··
··
··
··
··
··
··
··
··
·160
<사진 Ⅱ-72> TAP #5 우세손이 왼손인 경우의 준비물 배치 ·
··
··
··
··
··
··
··
··
··
··
··
··
··
··
··
··
··
··160
<사진 Ⅱ-73> TAP #5 우세손이 오른손인 경우의 시작자세 ·
··
··
··
··
··
··
··
··
··
··
··
··
··
··
··
··
··
··
··161
<사진 Ⅱ-74> TAP #5 우세손이 오른손인 경우의 분해순서 ·
··
··
··
··
··
··
··
··
··
··
··
··
··
··
··
··
··
··
··162
<사진 Ⅱ-75> TAP #5 우세손이 오른손인 경우의 조립순서 ·
··
··
··
··
··
··
··
··
··
··
··
··
··
··
··
··
··
··
··162
<사진 Ⅱ-76> TAP #5 우세손이 왼손인 경우의 분해순서 ·
··
··
··
··
··
··
··
··
··
··
··
··
··
··
··
··
··
··
··
··
·162
<사진 Ⅱ-77> TAP #5 우세손이 왼손인 경우의 조립순서 ·
··
··
··
··
··
··
··
··
··
··
··
··
··
··
··
··
··
··
··
··
·162
<사진 Ⅱ-78> TAP #6 준비물 배치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63
<사진 Ⅱ-79> TAP #6 시작자세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63
<사진 Ⅱ-80> TAP #6 우세손이 오른손인 경우의 조립순서 ·
··
··
··
··
··
··
··
··
··
··
··
··
··
··
··
··
··
··
··164
<사진 Ⅱ-81> TAP #6 우세손이 왼손인 경우의 조립순서 ·
··
··
··
··
··
··
··
··
··
··
··
··
··
··
··
··
··
··
··
··
·165
<사진 Ⅱ-82> TAP #6 분해수행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65
<사진 Ⅱ-83> TAP #7 준비물 배치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66
<사진 Ⅱ-84> TAP #7 시작자세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66
<사진 Ⅱ-85> TAP #7 조립순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67
<사진 Ⅱ-86> TAP #8 준비물 배치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69
<사진 Ⅱ-87> TAP #8 시작자세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69
<사진 Ⅱ-88> TAP #8 분해 및 조립 순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71
<사진 Ⅱ-89> Purde Pegboard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96
<사진 Ⅱ-90> Purdue Pegboard의 구성요소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97
<사진 Ⅱ-91> Purdue Pegboard 오른손 기준 준비사진 ·
··
··
··
··
··
··
··
··
··
··
··
··
··
··
··
··
··
··
··
··
··
·200
<사진 Ⅱ-92> Purdue Pegboard 왼손 기준 준비사진 ·
··
··
··
··
··
··
··
··
··
··
··
··
··
··
··
··
··
··
··
··
··
··
··200
<사진 Ⅱ-93> Purdue Pegboard 오른손 시행준비 ·
··
··
··
··
··
··
··
··
··
··
··
··
··
··
··
··
··
··
··
··
··
··
··
··
··
·201
<사진 Ⅱ-94> Purdue Pegboard 왼손 시행준비 ·
··
··
··
··
··
··
··
··
··
··
··
··
··
··
··
··
··
··
··
··
··
··
··
··
··
··
··201
<사진 Ⅱ-95> Purdue Pegboard 오른손 시행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02

x
직업평가도구 사용매뉴얼 「손 기능 평가도구편」

<사진 Ⅱ-96> Purdue Pegboard 왼손 시행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02
<사진 Ⅱ-97> Purdue Pegboard 양손 시행준비 ·
··
··
··
··
··
··
··
··
··
··
··
··
··
··
··
··
··
··
··
··
··
··
··
··
··
··
··203
<사진 Ⅱ-98> Purdue Pegboard 양손 시행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03
<사진 Ⅱ-99> Purdue Pegboard 조립 시행준비 ·
··
··
··
··
··
··
··
··
··
··
··
··
··
··
··
··
··
··
··
··
··
··
··
··
··
··
··204
<사진 Ⅱ-100> Purdue Pegboard 조립 시행 1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04
<사진 Ⅱ-101> Purdue Pegboard 조립 시행 2 ·
··
··
··
··
··
··
··
··
··
··
··
··
··
··
··
··
··
··
··
··
··
··
··
··
··
··
·205
<사진 Ⅱ-102> Purdue Pegboard 조립 시행 3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05
<사진 Ⅱ-103> Purdue Pegboard 조립 시행 4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05
<사진 Ⅱ-104> Purdue Pegboard 결과채점 예시 ·
··
··
··
··
··
··
··
··
··
··
··
··
··
··
··
··
··
··
··
··
··
··
··
··
··208
<사진 Ⅱ-105> HSDT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34
<사진 Ⅱ-106> HSDT의 오른손 시행준비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36
<사진 Ⅱ-107> HSDT의 왼손 시행준비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36
<사진 Ⅱ-108> HSDT 모양 항목 실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37
<사진 Ⅱ-109> HSDT 크기 항목 실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38
<사진 Ⅱ-110> HSDT 재질 항목 실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39
<사진 Ⅱ-111> HSDT 배열 항목 실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40
<사진 Ⅱ-112> HVDT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47
<사진 Ⅱ-113> HVDT 구성요소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48
<사진 Ⅱ-114> HVDT의 시행을 위한 준비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54
<사진 Ⅱ-115> HVDT의 오른손 시행준비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55
<사진 Ⅱ-116> HVDT의 왼손 시행준비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55
<사진 Ⅱ-117> HVDT의 형태영역 4번째 물체사진 ·
··
··
··
··
··
··
··
··
··
··
··
··
··
··
··
··
··
··
··
··
··
··
··
··
··
·257
<사진 Ⅱ-118> HVDT의 형태영역 2번째 물체사진 ·
··
··
··
··
··
··
··
··
··
··
··
··
··
··
··
··
··
··
··
··
··
··
··
··
··
·257

xi
직업평가도구 사용매뉴얼 「손 기능 평가도구편」

직업평가도구 사용매뉴얼 「손 기능 평가도구」

Ⅰ. 직업평가 개요









1. 직업평가

1) 목적 및 목표
(1) 목적
직업평가는 장애인의 직업적 흥미, 적성, 강점, 제한점 및 잠재능력을 파악․분석하기 위해 신
체능력평가, 심리평가, 작업표본평가, 상황평가, 현장평가 등을 실시하는 직업재활서비스로서
장애인에게 적합한 직업재활 방향을 설정하고 효과적으로 직업을 선택할 수 있도록 지원함.

(2) 목표
▼ ① 일반고용, 보호고용 등 향후 직업방향을 탐색하기 위하여 장애인의 직무능력, 흥미, 적성,


강점과 제한점을 파악함.
2
② 장애인의 욕구 및 능력을 기반으로 한 직업목표를 설정하고, 지원서비스를 계획하는데 필
Ⅰ 요한 정보를 제공함.
직 ③ 직업재활서비스 제공 중 과정평가를 실시하여 개인의 향상 정도에 따른 서비스가 지원될

평 수 있도록 함.

개 ④ 직업을 탐색하고 선택하는데 있어 장애인의 직업의식과 통찰력을 증대시키고, 작업수행 및

태도 등에 있어 긍정적인 변화를 유도함.

2) 대상 및 과정
(1) 대상
구직, 직업 유지, 진로개발, 기타 직업재활서비스 등을 위해 자신의 흥미, 적성, 강점과 제한
점 등에 대한 평가를 필요로 하는 장애인

(2) 과정
직업평가는 직업평가뿐만 아니라 직업적응훈련, 취업알선, 취업 후 적응지원 등 직업재활서비
스의 전반적인 과정에서 실시되며, 직업평가계획 수립, 직업평가 실시, 평가보고서 작성의 순
서로 이루어짐.
직업평가도구 사용매뉴얼 「손 기능 평가도구편」









[그림 Ⅰ-1] 직업평가 과정도


① 직업평가계획 수립
직업상담 결과를 바탕으로 직업평가의 목적, 내용, 방법, 일정 등에 대한 계획을 수립하게 됨.
직업평가는 직업상담 및 직업재활서비스 과정에 따라 다양한 목적으로 실시되므로 그에 알맞
게 평가계획이 수립되어야 함. 또한 장애유형과 정도, 장애인의 욕구별로 접근하는 방법이 다
를 수 있으므로 평가의 목적에 따라 평가실시 방법과 기간 등이 다르게 계획되어야 함. 직업
평가사는 직업평가계획을 수립하기 위해서 평가 도구, 평가 실시 방법 등에 관한 내용을 숙지
하는 것이 필수적이며, 필요 시 해당 장애인에 대한 심층적인 확대평가를 계획할 수 있음.

<표 Ⅰ-1> 직업평가계획서 구성내용

• 장애인의 인적사항 : 성명, 생년월일, 장애유형 및 등급, 성별, 소속 등



▼ • 평가목적

• 평가내용(영역), 평가방법(도구), 평가일시, 평가장소, 평가사명
4
• 특이사항
Ⅰ • 작성일자, 평가사 서명


업 ☞ 부록 264p 서식 참조




② 직업평가 실시
평가 실시 전 해당 장애인에게 원활한 참여를 위해 필요한 안내를 실시하고 평가를 실시함.
직업평가는 직업평가계획에 따라 실시하되 평가의 목적, 장애유형이나 정도에 따라 적합한 평
가도구를 선택하고, 다양한 평가방법으로 객관적인 평가결과를 도출하여야 함.

③ 평가보고서 작성
직업평가를 실시한 후 각 평가도구의 평가결과에 대한 채점 및 해석을 실시하고, 직업평가보
고서를 작성함. 직업평가보고서의 핵심내용은 평가 결과를 토대로 장애인의 직업적 강·제한
점을 파악하고, 장애인의 능력을 고려하여 구체적인 지원프로그램을 마련하고, 직업재활의 방
향을 설정하는 것임.
직업평가도구 사용매뉴얼 「손 기능 평가도구편」

<표 Ⅰ-2> 직업평가보고서 구성내용

• 평가일, 의뢰요청 기관, 평가유형(내관, 이동)


• 장애인의 인적사항 : 성명, 생년월일, 성별, 장애유형 및 장애등급, 연락처 등
• 평가목적, 평가방법
• 배경정보 : 장애력, 가정환경, 교육 및 훈련, 직업경력, 기초학습, 생활적응능력 등 초기면접 정보
• 직업평가 내용 및 결과 : 신체능력, 심리, 작업표본, 상황 및 현장평가 등의 결과
• 종합소견 및 직업재활방향 : 직업적 강․제한점, 직업수준 및 목표, 직업권고, 종합소견 등
• 작성일자, 평가사 성명과 서명

☞ 부록 265p 서식 참조



④ 평가결과 공지 ▼

직업평가를 의뢰한 의뢰기관 및 장애인에게 평가결과를 제공하는 과정으로 장애인 본인의 직 5


업능력을 이해하고, 직업재활에 대한 욕구를 향상시키기 위해 평가결과를 제시함. 평가결과는

가급적 쉬운 말로 풀어서 상세하게 설명하고, 직업재활에 대한 의욕을 고취시킬 수 있도록 조 직

언함. 평



3) 평가영역 및 도구
(1) 신체능력평가
신체능력평가는 장애인의 기본체력, 신체기능의 정도와 제한점을 평가하는 것으로 신체발달
정도, 근력과 지구력, 운동범위, 협응능력 및 균형, 감각기능 등을 측정함. 기초적인 신체능력
은 직업생활을 유지하는 중요한 능력으로 신체능력평가 결과는 실제 근무조건을 수정하거나
필요한 부분을 지원하는데 활용될 수 있음. 신체능력을 측정하기 위하여 주로 신장계와 체중
계, 악력계와 배근력계와 같은 일반적인 도구에서부터 시력계와 청력계, 색각검사, 신체 계측
기, 관절운동 범위 측정기, 체성분 분석기, 체전굴 측정기, 점프메타 등이 사용됨. 운동범위,
감각 등 신체기능의 정도는 작업표본평가와 상황평가 및 현장평가를 통해서도 관찰되고 평가
될 수 있음.
<표 Ⅰ-3> 주요 신체능력평가 도구
평가영역 평가도구 평가내용
신장계, 체중계,
- 신장, 체중, 비만도, 앉은 키 등의 기본적인 신체정보를
신체구성비 체성분분석기,
파악하는데 활용
좌고계
각도계
운동가동범위 좌전굴 측정기
- 신체 관절의 운동가동범위와 유연성을 측정하는데 활용
신체유연성 체전굴 측정기
순발력(민첩성) Goniormeter
점프메타 - 신체의 순발력과 민첩성을 측정하는데 활용
- 배근력 및 근력을 측정함으로써 기초체력 및 무거운 작
배근력계 업의 가능 정도를 파악, 특히 운반 작업과 같은 직무에
서의 체력 적합성 판단에 활용
신체근력
▼ - 손으로 쥐는 힘을 측정하는 것으로 손의 마비나 기능저

▼ 악력계 하 정도, 손 기능을 요하는 직무에 대한 수행 가능성 파
악에 활용
6
- 시력을 파악하는 것으로 시력과 관련된 직무수행 가능성
시력계
Ⅰ 을 파악하는데 활용
- 청력을 파악하는 것으로 청력과 관련된 직무수행 가능성
직 청력계
업 을 파악하는데 활용
평 - 색각이상 유무를 파악하는 것으로 색 변별력이나 시각적
가 감각기능
지각기능 색각검사표 예민성을 요하는 직종에서의 직무수행 가능성을 파악하

요 는데 활용
K-DTVP
MVPT-Ⅲ - 기초적인 시지각 협응능력과 주위환경의 감각정보를 해
Mober's Pickup 석하는 지각능력을 파악하는데 활용
Test
MAS, DTR
- 근긴장도, 협응장애 유무, 보행과 자세 이상 등 운동조절
운동조절능력 Reflex Test
능력을 파악하는데 활용
협조성 검사
- 손끝, 손가락 등으로 물건을 잡을 수 있는 기능성을 파
핀치력 Pinch Strength
악하는데 활용

(2) 심리평가
심리평가는 주로 심리검사를 통해 이루어짐. 심리평가는 장애인의 발달수준, 심리적 특성, 행
동양식, 자아인식과 행동, 장애적응도 등을 판정하고 개인의 장․단점을 이해함으로써 직업재활
직업평가도구 사용매뉴얼 「손 기능 평가도구편」

방향 설정을 위한 기본 정보를 제공함. 심리평가의 영역은 인지, 언어, 정서 및 성격, 사회적


응도, 적성, 직업흥미 등이 포함되며, 평가는 영역별 검사 도구를 사용하여 진행됨.

<표 Ⅰ-4> 주요 심리평가 도구


평가영역 평가도구
- 한국판 성인지능검사(K-WAIS), LOTCA
인지
한국판 아동지능검사( K-WISC-III), K-Bine, 간편지능검사
언어 - 수용어휘력검사(REVT)
- 집-나무-사람검사(HTP), 로샤검사(Rorschach)
성격유형검사(MBTI), 다면적 인성검사(MMPI)
정서 및 성격 간이정신진단검사(SCL-90-R), 문장완성검사(SCT)
동적 가족화 검사(KFD), 정서문제척도(EPS) ▼
자아인식검사, 자아수용검사, 자기개념검사 ▼

- 사회성숙도검사(SMS), 지역사회적응검사(CIS-A)
7
사회적응도 적응행동검사(K-ABS), 기능적 적응행동 관찰(SFAB)
행동평가척도(BRS) Ⅰ
- 홀랜드적성탐색검사(SDS)
적성 직
일반적성검사(GATB), 일반직업적성검사(GVAT) 업

- 그림직업흥미검사(지적장애인용, 청각장애인용) 가
직업흥미 비언어성 직업흥미검사(RFVII), 광역직업흥미검사(WRIOT) 개
직업선호도검사, 구직욕구진단검사 요

- 직업인성프로파일(WPP)
직업적응도평가척도(VARS)
기타 시지각발달검사(DTVP), 학업성취도검사(SLAT)
추상논리검사(SPM), 진로탐색검사(STRONG), ABC 행동능력평가
신경심리검사

(3) 작업표본평가
작업표본평가는 실제 직업이나 직업군에서 사용되는 것과 거의 유사한 작업표본(work
sample) 도구를 통해 평가를 실시하는 것임. 작업표본평가의 주요 목적은 장애인에게 실제
직업 상황과 유사한 작업 및 환경을 제공함으로써 기대되는 직종을 스스로 이해할 수 있도록
하고, 직업적성 및 흥미를 평가하며 그 결과들을 실제 작업상황과 결부시켜 직업선정과 직업
적응을 위한 객관적인 자료를 얻는 데 있음. 작업표본평가는 장애인에게 실제 직무와 유사한
도구와 재료를 사용하여 작업배치 가능성을 예측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계획된 환경 안
에서 진행되기 때문에 실제 작업 현장에서 나타날 수 있는 문제나 상황에 대해서는 파악하기
힘들다는 단점이 있음.

<표 Ⅰ-5> 주요 작업표본평가 도구


평가도구 구성 활용
• 언어-공간-인지
- 지능검사(K-WAIS), 언어검사(PPVT)
• 감각
- BGT(시각운동형태 검사),
▼ HVDT(촉각-시지각 변별검사)

▼ • 운동 - 교육 및 직업 잠재력 수준을 파악하여
MDS
8 - MAND(신경-근육 운동발달 검사) 직업과 주거 수준에 대한 예측 및 개
(McCarron-Dial
• 정서 개인에게 필요한 프로그램 개발을 위
System)
Ⅰ - OEI-R(정서관찰척도), EBC(정서행동 한 기초자료로 활용
직 관찰)
업 • 통합-대응

가 - BRS(행동평가척도), SFAB(기능적 적
개 응행동 관찰), SSSQ(지역사회적응기술
요 평가)
- 잠재적인 적성 파악 : 숙련직 및 비숙
- 구조적․기계적 시각화, 크기/모양 변별,
련직에 상관없이 장애인이 상업, 공업,
TAP 색변별, 촉각변별, 작은 물건 조립, 큰
기술직 및 전문직에 일할 수 있는 지
(Talent 물건 조립, 작은 도구를 사용한 조립, 큰
에 대하여 타고난 특성을 측정함으로
Assessment 도구를 사용한 조립, 흐르는 패턴에 의
써 직업탐색에 활용하며, 특히 단순
Program) 한 시각화, 세부적 도구 및 구조 유지(기
서비스업과 판매업에 대한 적성을 파
억력)를 평가
악하는데 활용
- 손가락 재능, 손목-손가락 속도, 팔/손
안정성, 손재능, 양팔협응, 양손협응,
MVE
사무적성, 공간인지, 조준, 반응, 추상 - 기초적인 작업수행능력과 직업적성을
(Mobile
논리, 언어/수리 논리, 지시이해, 언어 파악하기 위한 도구로 적합직종을 제
Vocational
및 수리를 평가 시하는 등 직업탐색에 활용
Evaluation Set)
- 도구를 이용한 8가지 검사와 12가지의
지필검사로 구성
직업평가도구 사용매뉴얼 「손 기능 평가도구편」

평가도구 구성 활용
Valpar 17 • 발달수준검사
- 기본 인지력, 협응력, 작업태도 등을
(Pre-Vocational • 모의작업평가
측정하기 위한 도구로 단순직에서의
Readiness • 대인관계기술
적용가능성 파악을 위해 활용
Battery) • 금전관리기술
• 변별력
Work Activities - 제조업(변별, 조립, 포장)에서의 직무
• 조립
Full Set 수행능력을 측정하는데 활용
• 포장

□ 기타
▽ VITAS
: 조립, 계산작업, 교정작업, 은행출납, 제도작업 등의 작업표본으로 특정 직종에서의 작업수행 정도를
파악하는데 활용



▽ Micro-Tower
: 5가지 적성영역, 13종의 표본작업으로 운동신경(병뚜껑 닫아 상자에 넣기, 커넥터 조립하기, 전선 연
9
결하기), 공간지각(도면이해하기, 도면 그리기), 사무지각(우편번호 찾기, 우편물분류하기, 서류철하기,

재고기록 대조하기), 언어능력(전달문 메모하기, 구인광고 이해하기), 수리능력(거스름돈 계산하기, 임
금 계산하기) 등으로 구성되어 있어 미숙련, 반숙련 단순직에서의 적성을 파악하는데 활용 직



▽ Purdue Pegboard, Grooved Pegboard, KEPAD 손기능 작업표본검사, KEPAD 다차원 양손

협응작업표본 검사 요
: 손 기민성, 손가락 숙련성, 양손협응력을 파악하는데 활용

(4) 상황 및 현장평가
① 상황평가
상황평가는 장애인이 일을 하게 될 현장과 유사한 구조화된 장소에서 관찰을 통해 직무수행
정도, 행동, 태도 등을 기록하는 과정임. 여기서 현장과 유사한 구조화된 장소란 주로 기관 내
직업적응훈련실과 직업재활시설 등의 작업환경이 될 수 있음. 상황평가는 일반적으로 장애인
의 고용 가능성과 관계된 행동을 측정하게 되며, 실제 작업환경과 비슷한 환경에서 실시하므
로 보다 유연한 결과를 얻을 수 있음. 또한 표준화된 작업평가도구나 작업표본 방법에서 파악
하는 것보다 더 많은 작업행동을 평가할 수 있으며, 평가상황의 불안을 최소화할 수 있음.
<표 Ⅰ-6> 상황평가 내용

• 일상생활기능 - 개인위생 유지하기, 단정한 옷차림하기, 식사하기, 대중교통 이용하기 등


• 직업기능 - 출․퇴근 등 근태관리하기, 작업장규칙 준수하기, 작업 준비하기, 시간 엄수하기, 지시사항 이
해 및 수용하기, 협력하기 등
• 직무관련기능 - 변별하기, 대․소근육 협응하기, 수 계산하기, 운반 및 이동하기, 조립 및 포장하기, 정확
하게 수행하기, 작업도구 사용하기, 작업에 집중하기, 작업속도 맞추기와 유지하기, 지속적으로 작업하
기 등
• 직업관련 사회행동 - 인사나누기, 대인관계 형성하기, 의사표현하기, 도움 요청하기 또는 도움주기 등

▼ ② 현장평가

▼ 현장평가란 직업목표에 적합한 지역사회 내 사업체, 공공기관, 직업재활시설 등 실제 작업환경
10 에서 직무능력을 평가하는 것으로 특정 직무의 생산성과 현장에서의 적응력을 평가함. 주로

Ⅰ 고용의 가능성을 타진하기 위해 심층적이고 확대된 평가를 필요로 하거나 취업장애인의 적응


직 력을 평가하고 지원방안을 제시하기 위해 사용됨. 현장평가를 실시하기 위해서는 사업체와 해

평 당직무에 대한 분석이 전제되어야 하며, 평가목적 및 현장평가에 참여하는 장애인의 특성에


따라 평가내용 및 방법, 평가기간 등을 포함하는 평가계획을 수립하여야 함. 현장평가의 내용

은 상황평가와 마찬가지로 작업환경에서의 일상생활기능, 직업기능, 직무관련기능, 직업관련
사회행동 등이 포함됨. 또한 사업체에서 장애인이 담당하게 될 직무를 분석하여 각 공정별 수
행정도를 평가하고, 실제 작업환경에서 나타날 수 있는 장애인의 특성과 예측치 못한 상황에
서의 행동양식을 세심히 관찰하고 평가함. 현장평가는 현실에 좀 더 부합되는 실질적인 지원
방안을 마련할 수 있도록 장애인, 사업체, 가족 등의 욕구와 필요를 살펴보아야 함. 특정 직무
에 대한 정보를 얻게 되는 현장평가 결과는 최종 고용목표에 따른 직무배치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에 평가과정과 결과를 장애인 및 가족에게 정확하게 설명하고, 필요한 사항에 대해 협조
를 요청하도록 함.
직업평가도구 사용매뉴얼 「손 기능 평가도구편」

2. 손 기능 평가

1) 정의
손 기능이란 ‘손의 특수한 작용’이라 할 수 있으며 이를 구체적으로 알아보면 독립적 일상생활
동작을 수행할 수 있게 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손의 수행능력, 일상생활 동작의 수행 및
작업능력을 위한 신체기능 중의 일부, 조작과 조정, 안정, 감각, 표현과 전달, 일상생활을 위
한 필수적인 요소, 보호 및 유지수단 등으로 정의됨. 이러한 정의를 종합해 보면 손 기능이란
손의 감각 및 표현과 일상동작이나 작업수행에 필요한 운동능력이라고 정의할 수 있음. 손의
주요 기능은 잡기, 놓기, 뻗기이며, 손을 주로 사용하는데 있어서 물체를 다루는 능력인 기민
성과 손 전체로 잡는 장악력은 손의 기능을 반영하는 중요한 측정치가 될 수 있음. ▼

2) 평가영역 및 도구 11

손 기능 평가는 장애인의 손 기능을 정량적으로 판단하여 손 기능의 질을 평가하는 과정이며, Ⅰ



일반적으로 손 기능 평가 영역에는 관절가동범위, 부종, 도수근력검사, 감각검사, 기민성검사, 업

신체능력평가 등이 있음. 이 중에서 손 기능 요소의 하나인 조작능력, 즉 손의 기민성은 오랫 가
동안 손 기능의 중요한 요소로 자리잡아 왔음. 개

손의 기민성을 알아보는 도구로는 Box & Block Test, Minnesota Manual Dexterity
Test(MMDT), Nine Hole Pegboard, 스트롬버그 손재능검사(Stromberg Dexterity Test),
TAP 하위검사인 맨손 기민성-대형, 대도구 사용 손 기민성 등이 있고, 보다 세밀한 손가락의
기민성을 알아보는 도구로는 Lafayette Pegboard, Grooved Pegboard, Purdue Pegboard,
O'conner Finger Dexterity Test, 펜실바니아 양손 작업검사, 크롬포드 작은 부품 기민성(조립)
검사, 한국형 손기능 작업표본검사, TAP 하위검사인 맨손 기민성-소형, 소도구 사용 손 기민성
등이 있음.
<표 Ⅰ-7> 손 기능 평가도구

악력계
핀치게이지
Work Activities
HVDT(Haptic-Visual Discrimination Test, 촉각-시지각 변별 검사)
HSDT(Haptic-Sensory Discrimination Test, 촉각변별력 검사)
스트롬버그 손재능검사(Stromberg Dexterity Test)
TAP 하위검사(맨손 기민성-대형, 대도구 사용 손 기민성 검사, 맨손 기민성-소형, 소도구 사용 손 기민성 검사)
MVE 동작성 검사(Mobile Vocational Evaluation)
Grooved Pegboard
Purdue Pegboard
O'conner Finger Dexterity Test

▼ 펜실바니아 양손 작업검사(PBWS)

크롬포드 작은 부품 기민성(조립) 검사
12
젭슨 테일러 손 기능 검사(CSPDT)
Ⅰ KEPAD 손기능 작업표본검사
KEPAD 다차원 양손협응 작업표본검사






3. 참고문헌

강위영 외(2009). 직업재활개론.


부천시장애인종합복지관(2011). 손가락 기민성 검사.
이택영(2001). Grooved Pegboard 검사의 정상성인의 표준치에 관한 연구. 한국전문물리치
료학회지. 8(2). 87-94.
장기영・김원호・한창완(2005). 제 7차 교육과정에 기초한 손기능 향상 프로그램이 정신지체인
의 작업 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직업재활학회. 15(2). 213-233.
한국장애인개발원(2010). 중증장애인직업재활지원사업 운영매뉴얼 Ⅰ.
한국장애인고용공단(2009). 장애인직업능력평가 매뉴얼.
황희경・정미경(2003). 손 기능 관점에서 본 초등실과 수공노작의 교육적 가치. 한국작업치료
학회. 16(3). 55-73.
직업평가도구 사용매뉴얼 「손 기능 평가도구편」

직업평가도구 사용매뉴얼 「손 기능 평가도구」

Ⅱ. 손 기능 평가도구


13









❚악력계
<사진 Ⅱ-1> 악력계

악력계는 손으로 물건을 쥐는 힘과 아래


팔의 근력을 평가하는 도구로 직업배
치 시 장애인의 체력과 작업강도에 적
합한 직업을 탐색하기 위해 실시함.



14
1. 개요

손 1) 평가목적

능 손으로 물건을 쥐는 힘과 (팔꿈치와 손목까지의) 아래 팔의 근력을 평가함.

가 손의 마비와 기능 정도를 파악하는 데 활용함.

구 상지의 부분 근력에 대한 평가이지만 완력1), 각력2), 배근력과3)도 관계가 있어 전신근력의 정
도를 파악하는 데 활용하기도 함.

2) 평가대상
악력의 측정 등 손 기능 평가가 필요한 사람

3) 평가시간
5분 이내

1) 팔의 힘
2) 다리의 힘
3) 몸집과 다리를 완전히 편 뒤에 넓적다리를 구부리고, 몸집을 앞으로 구부렸다가 한꺼번에 몸집을 완
전히 펼 때 낼 수 있는 최대한의 힘
직업평가도구 사용매뉴얼 「손 기능 평가도구편」

4) 도구구성
악력계는 단일 도구로 구성되어 있으며, 종류는 전자식과 수동식이 있음.

2. 도구개발

1) 개발배경
1954년 Bechtol이 Jamar dynamometer를 개발하여 소개하였으며, 1956년 California 의학
협회의 산업보건 및 재활위원회의 장악력 조사분과 위원에서 장악력4) 측정을 위한 가장 적합
한 도구로 선정됨. ▼

15
2) 표준화정보

• 문화체육관광부(2011). 국민체력실태조사.

: 19세-65세 이상의 성인 남자 2071명, 여자 1929명을 대상으로 악력을 측정함. 기

• 박희찬 외(2005). 신경근육운동발달검사(K-MAND).

위 표준화 정보의 결과는 아래 5-3) 규준표를 참조함. 가

3. 실시방법

1) 평가준비

※ 준비사항 : 악력계, 평가기록지

(1) 악력계의 눈금을 ‘0’으로 맞춤.


(2) 평가 전 악력계 중간의 나사를 돌려서 피평가자의 손 크기에 맞게 손잡이를 조정함.

4) 손으로 잡아 쥐어 마음대로 조정하거나 다룰 수 있는 힘


<사진 Ⅱ-2> 악력계를 잡는 방법

• 악력계의 손잡이를 손가락 둘째 마디로 잡을


수 있도록 조정함.
* 성인은 약 5정도, 아동은 약 4정도로 조정



16 2) 평가실시

Ⅱ ▣ 악력계 측정방법 1 (국민체력실태조사)


손 (1) 양발을 어깨 넓이로 벌리고 서서 몸통과 팔을 15°유지하면서 팔을 아래로 곧게 펴도록 함.
기 (2) 피평가자에게 아래와 같이 평가방법을 설명하고 시범을 보임.


가 “악력계의 표시판이 바깥쪽을 향하도록 하고, 손잡이를 손으로 완전하게 감싸며 잡습니다. 그리고 제가

구 ‘시작’이라고 말하면 2-3초간 할 수 있는 한 힘껏 손잡이를 쥐어 주십시오. 손잡이를 쥘 때 여러 번 힘
을 주어 잡지 않고 한 번에 힘껏 손잡이를 쥐어 주셔야 합니다.”

(3) 평가자는 ‘시작’ 구호와 함께 손잡이를 힘껏 쥐라고 말함.


(4) 위와 같은 방법으로 오른손, 왼손을 교대로 2회씩 실시함.

▣ 악력계 측정방법 2 (K-MAND)


(1) 차렷자세를 한 후 악력계를 잡은 팔을 어깨높이로 올려 앞으로 뻗도록 함.
(2) 악력계의 손잡이를 한 번에 힘껏 쥐도록 함.
(3) 오른손, 왼손을 교대로 2회씩 실시함.
직업평가도구 사용매뉴얼 「손 기능 평가도구편」

<사진 Ⅱ-3> 악력계 측정자세

국민체력실태조사 K-MAND

양발을 어깨 넓이로
양발을 어깨 넓이로
벌리고, 측정하는 팔
벌리고 서서 팔을 아
을 어깨의 높이를 유
래로 곧게 펴고 몸통
지하고 앞으로 쭉 뻗
과 팔을 15°로 유지
은 자세를 유지하도록
하도록 함.
함.



17
3) 평가결과 채점

(1) 악력계 측정방법 1 (국민체력실태조사)

① 오른손, 왼손을 교대로 실시하고 수행결과를 바로 ‘1회’, ‘2회’ 란에 기재함. 기

② 오른손의 2차례 수행결과 중 높은 수치를 ‘최고치-오른손’ 란에 기재함.

③ 왼손의 2차례 수행결과 중 높은 수치를 ‘최고치-왼손’ 란에 기재함. 가

④ ‘평균’ 란에는 국민체력실태조사 규준표에 제시된 동일 성별과 연령의 값을 기재함. 구

예 - 피평가자가 25세 남자인 경우 ‘평균’ 란에 44.1㎏라고 기재함.


※ 악력계의 표시판이 파운드(lb)로 표시되어 있으면 ㎏단위로 변환하여 기재함.

(2) 악력계 측정방법 2 (K-MAND)


① 오른손, 왼손을 교대로 실시하고 수행결과를 바로 ‘1회’, ‘2회’ 란에 기재함.
② 오른손의 2차례 수행결과 중 높은 수치를 ‘최고치-오른손’ 란에 기재함.
③ 왼손의 2차례 수행결과 중 높은 수치를 ‘최고치-왼손’ 란에 기재함.
④ ‘양손 합계’ 란에 오른손의 최고치와 왼손의 최고치를 합산하여 기재함.
⑤ 환산점수의 ‘표준화집단’, ‘지적장애인집단’ 란에는 K-MAND 규준표를 활용하여 환산점수를
기재함.
예 - 피평가자가 남자이고 양손의 합계가 65㎏인 경우 ‘표준화집단’ 란에 7점을 기재하며,
‘지적장애인집단’ 란에 13점을 기재함.
※ 악력계의 표시판이 파운드(lb)로 표시되어 있으면 ㎏단위로 변환하여 기록함.

Tip

• 오른손과 왼손의 피로가 쌓이지 않도록 교대로 실시함.


• 평가를 실시하기 전에 손잡이에 방해가 될 수 있는 장식이나 소모품을 제거함.
• 지적․자폐성 장애인의 경우 악력계 사용방법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여 실제 악력을 최대한 발휘하지 못
할 수 있으므로 충분히 사용방법을 설명한 후 실시함.
• 평가를 실시하기 전 가벼운 손 털기 운동을 통해 순간적인 근력 사용에 따른 부상을 방지함.


18

Ⅱ 4. 결과해석



1) 악력계 측정방법 1 (국민체력실태조사)

가 - 25세 남자인 피평가자의 수행결과가 아래와 같다면 다음과 같이 해석할 수 있음.

구 1회 2회 최고치
구분 평균
오른손 왼 손 오른손 왼 손 오른손 왼 손
악력(kg) 35 39 32 40 35 40 44.1

국민체력실태조사 규준표에 따르면 25~29세 남자의 평균은 44.1㎏이면 표준편차는 6.93㎏이


고 평균 수준은 37.17~51.03㎏이 되기 때문에 오른손은 동일 연령에 비해 평균 이하 수준이
며 왼손은 평균 수준으로 해석이 가능함.

2) 악력계 측정방법 2 (K-MAND)


- 25세 남자인 피평가자의 수행결과가 아래와 같다면 다음과 같이 해석할 수 있음.
직업평가도구 사용매뉴얼 「손 기능 평가도구편」

1회 2회 최고치 양손 환산점수
구분
오른손 왼 손 오른손 왼 손 오른손 왼손 합계 표준화집단 지적장애인집단
악력(kg) 33 32 30 27 33 32 65 7 13

K-MAND 규준표에 따르면 피평가자는 양손의 합계가 65점이기 때문에 K-MAND 표준화집단
환산점수가 7점이고 지적장애인 집단 환산점수는 13점이며, 평균 10, 표준편차 3의 척도이므
로 표준화집단 규준으로 볼 경우 ‘평균 이하에서 평균’ 범위에 있는 수준이지만 지적장애인집
단 규준으로 볼 경우 ‘평균에서 평균 이상’ 범위에 있는 수준으로 해석이 가능함.




5. 부록 19


1) 평가기록지(국민체력실태조사)



<표 Ⅱ-1> 악력계 평가기록지(국민체력실태조사)


악력계 평가기록지 도

성 명 : 연령: 성별: □ 남 □ 여 우세손: □ 오른손 □ 왼손


평가목적 :
평가일 : 20 . . 평가자:

1회 2회 최고치
구분 평균
오른손 왼 손 오른손 왼 손 오른손 왼 손
악력(kg)
2) 평가기록지(K-MAND)
<표 Ⅱ-2> 악력계 평가기록지(K-MAND)

악력계 평가기록지

성 명 : 연령: 성별: □ 남 □ 여 우세손: □ 오른손 □ 왼손


평가목적 :
평가일 : 20 . . 평가자:

1회 2회 최고치 양손 환산점수
구분
오른손 왼 손 오른손 왼 손 오른손 왼손 합계 표준화집단 지적장애인집단

▼ 악력(kg)

20

Ⅱ 3) 규준표
손 (1) 문화체육관광부(2011)


평 <표 Ⅱ-3> 악력계 규준표(문화체육관광부 국민체력실태조사)



① 남자 (단위: ㎏)
연령
19-24 25-29 30-34 35-39 40-44 45-49 50-54 55-59 60-64 65이상
요인
N 234 212 211 258 212 246 269 170 129 171
평균 43.2 44.1 43.5 44.4 42.0 40.5 40.2 38.5 35.8 31.0
표준편차 7.51 6.93 6.58 6.24 6.91 6.56 6.14 6.18 6.05 6.60
최소값 19.1 22.3 20.1 26.1 25.0 14.1 15.9 20.6 20.0 7.7
최대값 60.9 64.2 58.2 65.2 61.4 58.5 54.6 58.8 57.5 45.5
백분위수 95 30.2 33.0 32.2 34.9 31.7 29.7 30.0 26.0 25.5 19.9
백분위수 90 32.9 35.7 35.9 36.9 32.5 31.8 32.3 30.8 27.2 22.8
백분위수 10 52.1 53.6 51.8 52.6 51.5 49.0 47.8 45.7 42.5 39.8
백분위수 5 55.8 55.7 55.3 54.3 55.1 50.9 50.4 47.3 45.4 40.9
직업평가도구 사용매뉴얼 「손 기능 평가도구편」

② 여자 (단위: ㎏)
연령
19-24 25-29 30-34 35-39 40-44 45-49 50-54 55-59 60-64 65이상
요인
N 199 187 153 233 228 222 231 157 133 224
평균 25.7 24.8 24.5 25.5 24.8 24.8 25.4 23.2 22.7 20.4
표준편차 5.51 5.03 4.56 4.12 5.05 4.45 4.85 4.36 4.14 5.04
최소값 11.4 14.9 11.1 14.1 12.3 7.2 9.9 8.1 10.6 5.0
최대값 49.7 37.6 35.9 37.0 44.0 34.1 37.4 36.6 31.4 35.4
백분위수 95 16.9 16.1 17.4 17.8 16.5 17.7 17.4 16.2 15.8 12.0
백분위수 90 18.4 18.2 18.9 20.1 18.4 19.4 19.8 18.3 17.9 14.2
백분위수 10 32.5 32.3 30.6 30.6 31.5 30.7 31.7 29.0 28.1 26.6
백분위수 5 34.4 34.5 31.7 31.9 33.0 32.0 33.0 30.0 29.5 27.9


21
(2) K-MAND의 표준화집단 및 지적장애인집단 규준표(2005)


<표 Ⅱ-4> 악력계 규준표(K-MAND)

① 규준표 (단위: ㎏) 능

성 별 표준화집단 지적장애인집단 가

환산점수 남자(양손의 합계) 여자(양손의 합계) 남자(양손의 합계) 여자(양손의 합계) 구
1 43 이하 23 이하 6 이하 3 이하
2 44-47 24-26 7-11 4-6
3 48-51 27-29 12-16 7-11
4 52-55 30-31 17-21 12-13
5 56-59 32-34 22-26 14-16
6 60-63 35-37 27-31 17-19
7 64-66 38-39 32-35 20-22
8 67-70 40-42 36-41 23-26
9 71-74 43-45 42-46 27-29
10 75-78 46-47 47-50 30-32
11 79-82 48-50 51-55 33-35
12 83-86 51-53 56-60 36-38
성 별 표준화집단 지적장애인집단
환산점수 남자(양손의 합계) 여자(양손의 합계) 남자(양손의 합계) 여자(양손의 합계)
13 87-90 54-55 61-65 39-42
14 91-94 56-58 66-70 43-45
15 95-98 59-61 71-75 46-48
16 99-102 62-64 76-80 49-51
17 103-105 65-66 81-85 52-55
18 106-109 67-69 86-90 56-58
19 110 이상 70 이상 91 이상 59 이상

▼ ② 표준편차에 따른 분류


기능수준 매우 낮음 평균 이하 평 균 평균 이상 매우 높음
22
환산점수 범위 1-3 4-6 7-13 14-16 17-19


③ 기술적 분류


기능수준 매우 낮음 다소 낮음 낮음 평 균 높음 다소 높음 매우 높음

가 환산점수 범위 1-3 4-5 6-7 8-11 12-13 14-15 16-19

3) 참고문헌
국민체육진흥공단(2007). 체육과학연구원 체력측정 및 평가매뉴얼.
문화체육관광부(2011). 국민체력실태조사.
박희찬 외(2005). 신경근육운동발달검사(K-MAND).
한국장애인고용공단(2009). 장애인직업능력평가 매뉴얼.
직업평가도구 사용매뉴얼 「손 기능 평가도구편」

❚핀치게이지(Pinch-Gauge)
<사진 Ⅱ-4> 핀치게이지

핀치게이지는 여러 형태의 집기를 통해 손가락


의 힘(핀치력)을 평가하는 도구로 직업배치
시 손가락을 주로 이용하는 직무수행의 가
능성을 파악하기 위해 실시함.



23
1. 개요 Ⅱ

1) 평가목적 기

집기(pinch)를 통해 손가락 힘을 평가함. 평


섬세한 작업에서 기본이 되는 3가지 손가락의 힘을 측정함. 구

2) 평가대상
손가락의 집는 힘과 유형을 알고자 손 기능의 평가가 필요한 사람.

3) 평가시간
10분 이내 소요

4) 도구구성
핀치게이지는 하나의 단일 도구로 구성되어 있으며 종류는 전자식과 수동식이 있음.
2. 표준화 정보

• 박정일 외(1998). 누적외상성 질환의 선별 기준 마련을 위한 grip 및 pinch strength의 정


상치에 관한 연구.
: 한국 성인(20세 이상) 1,018명(오른손 잡이)을 대상으로 실시함.
• 한국장애인고용공단(2009). 장애인직업능력평가 매뉴얼.
위 표준화 정보의 결과는 아래 5-2) 규준표를 참조함.

3. 실시방법


24 1) 평가준비

Ⅱ ※ 준비사항 : 핀치게이지, 평가기록지





(1) 핀치게이지의 눈금을 ‘0’ 으로 맞춤.

가 (2) 피평가자의 손에 땀이 많은 경우, 천(안경닦이 천 등)을 준비하여 집는 부위를 감싼 채로

구 실시할 수 있도록 함.

2) 평가실시
(1) 평가자와 피평가자가 서로 마주보고 앉거나 서 있도록 함.
(2) 평가자는 피평가자에게 핀치게이지의 평가순서(손끝집기→세 손가락집기(장측면집기)→측
면집기)와 방법을 설명하고 시범을 보임.
직업평가도구 사용매뉴얼 「손 기능 평가도구편」

"지금부터 손가락의 집는 힘을 측정하겠습니다. 총 3가지 방식으로 측정을 할 것입니다. 첫 번째는 손


끝집기로 엄지가 밑에, 검지가 위에 위치하도록 하여 손끝으로 집는 검사입니다. 두 손가락으로 꼬집듯
이 손끝으로 집어주세요. 두 번째는 세 손가락집기(장측면집기)로 손끝집기 자세에서 중간 손가락을 하
나 더 올려서 세 손가락으로 집는 검사입니다. 세 번째는 측면집기로 검지의 측면이 아래로 가도록 하
고 엄지가 위로 위치하도록 하여 집는 검사입니다. 열쇠를 집듯이 엄지와 검지를 사용하여 집으시면 됩
니다."

(3) 평가 시 평가자는 핀치게이지의 몸체 부분을 잡아 주어 피평가자의 바른 자세가 나오도록


유도하고, 핀치게이지의 무게가 평가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함.
※ 오른손 측정 시 평가자의 오른손으로 기기를 지지하고, 왼손 측정 시 평가자의 왼손으로 기기를
지지하여 측정할 때 피평가자의 바른 자세를 유도할 수 있음.


(4) 평가자는 오른손으로 손끝집기, 세 손가락집기(장측면집기), 측면집기 유형을 1회씩 측정한 ▼

후 왼손도 동일한 방법으로 1회씩 실시, 오른손과 왼손을 교대로 각 3회씩 실시함. 25


Tip

• 우세손, 비우세손 관계없이 오른손부터 실시함. 기

• 앉아서 측정할 경우 평가대 위에 피평가자의 손이 닿지 않도록 주의함. 평

• 평가 시 핀치게이지를 집은 피평가자의 손 부위가 신체 및 물체에 닿지 않도록 함. 도
• 시각장애인의 경우 실시방법의 이해를 돕기 위해 평가자가 핀치게이지 버튼의 아래쪽에 와야 할 피평 구
가자의 손가락을 잡아줌.
• 지적․자폐성 장애인의 경우 측정방법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여 실제 힘보다 낮게 측정될 수 있으므로
측정방법을 충분히 설명한 후 실시하도록 하며, 언어적인 촉진과 시범을 통해 최대한 힘을 줄 수 있
도록 함.
<사진 Ⅱ-5> 핀치게이지의 집기유형

• 손끝집기(tip pinch / tip prehension)

검지가 위로, 엄지가 아래로 위치하도록 하여


손끝으로 집는 유형
예) 콩, 핀, 못, 동전 등을 잡을 때의 집기유형



▼ • 세 손가락집기(3-jaw chuck pinch / three-jaw chuck prehension)
26 / 장측면집기(palmar prehension/palmar pinch)


손 엄지의 윗면이 밑으로 검지, 중지는 위로 위치

능 하도록 하여 세 손가락으로 집는 유형
평 예) 신발끈, 나비 넥타이 매기 등을 할 때의

도 집기유형

• 측면집기(lateral pinch / lateral prehension / key pinch)

검지 옆면이 아래로 가도록 하고 엄지가 위로


위치하도록 하여 열쇠를 잡듯이 집는 유형.
예) 열쇠 돌리기, 쪽가위, 음식도구 등을 잡을
때의 집기유형
직업평가도구 사용매뉴얼 「손 기능 평가도구편」

3) 평가결과 채점
오른손, 왼손을 교대로 3회씩 실시하여 각각의 값과 평균값을 ㎏단위로 평가기록지에 기록함.
우세손일 경우 DH, 비우세손일 경우 NH 규준을 참고하여 기재함.

4. 결과해석

• 만 47세 여성 시각장애인 사례
1회 2회 3회 평균 표준치
오른손 왼손 오른손 왼손 오른손 왼손 오른손 왼손 오른손 왼손 ▼

손끝집기 ▼

세 손가락집기 27
측면집기

측정항목 측정방법 측정치 평가 손
오른손: 5/6.5/7.5 kg 보통/보통/강함 기
핀치력 (tip / 3-jaw / lateral) 능
왼손: 5/7.5/6.5 kg 보통/강함/보통 평

피평가자의 오른손 손끝집기, 세 손가락집기 힘은 연령대 평균수준으로 나타났고, 측면집기 힘은 평균 도

이상으로 나타남. 왼손 손끝집기, 측면집기 힘은 연령대 평균수준으로 나타났고, 세 손가락집기는 평균 이
상으로 나타남.
평가결과 손가락의 힘이 평균이거나 평균 이상으로 손가락 사용을 요하는 수작업 및 수공기술이 필요한
직무로의 배치가 가능할 것으로 보임.
5. 부록

1) 평가기록지
<표 Ⅱ-5> 핀치게이지 평가기록지

핀치게이지 평가기록지

성 명 : 연령: 성별: □ 남 □ 여 우세손: □ 오른손 □ 왼손


평가목적 :
평가일 : 20 . . 평가자:


▼ 1회 2회 3회 평균
구분
28 오른손 왼손 오른손 왼손 오른손 왼손 오른손 왼손
손끝집기
Ⅱ 세 손가락집기
손 측면집기




도 2) 규준표

(1) 박정일 외(1998)

<표 Ⅱ-6> 핀치게이지 규준표(박정일 외)


① 남자
tip pinch 3-jaw chuck pinch lateral pinch
연령대
오른손 왼손 오른손 왼손 오른손 왼손
20-29세 6.4±2.6 6.2±2.4 9.2±3.0 8.9±2.7 9.3±2.9 8.9±2.7
30-39세 6.7±2.2 6.5±2.3 9.3±2.1 8.8±2.1 9.5±2.5 8.8±2.2
40-49세 5.1±1.9 4.8±1.8 9.8±2.5 9.2±2.5 7.6±2.6 7.1±2.5
50-59세 5.4±2.2 4.9±1.9 9.3±2.1 8.6±2.2 7.7±2.5 7.2±2.2
60세 이상 6.3±2.4 5.8±2.3 8.7±1.9 8.2±2.0 9.2±2.6 8.7±2.3
직업평가도구 사용매뉴얼 「손 기능 평가도구편」

② 여자
tip pinch 3-jaw chuck pinch lateral pinch
연령대
오른손 왼손 오른손 왼손 오른손 왼손
20-29세 4.0±1.4 3.8±1.4 6.8±1.9 6.4±1.9 5.6±1.6 5.3±1.6
30-39세 3.7±1.3 3.4±1.3 7.0±1.6 6.7±1.6 5.4±1.5 5.2±1.5
40-49세 3.7±1.7 3.6±1.6 7.6±1.7 7.1±1.5 5.2±1.4 4.9±1.5
50-59세 4.0±1.3 3.7±1.2 7.4±1.6 6.8±1.4 5.3±1.4 4.9±1.3
60세 이상 3.7±1.4 3.8±1.6 6.1±1.4 5.7±1.2 5.3±1.5 4.8±1.5

(2) 한국장애인고용공단(2009). 장애인직업능력평가 매뉴얼.


<표 Ⅱ-7> 핀치게이지 규준표(한국장애인고용공단) ▼

① 손끝집기
29
손끝집기
연령대 남 여 Ⅱ
DH NH DH NH 손

11~15 3.7±1.7* 3.4±1.4* 3.3±1.5* 3.0±1.7* 능
16~19 6.8±2.0 5.4±2.2 3.5±1.0* 2.7±0.7* 평

20~29 6.7±2.2 6.0±2.6 4.8±1.7 4.0±1.8 도
30~39 8.1±1.9 6.9±1.8 5.9±1.2 6.0±1.4 구

40~49 8.6±2.4 8.3±2.2 5.3±1.1 4.6±1.1


50~59 8.9±2.7 7.2±2.3 6.5±2.5 6.3±2.1
60~ 5.8±1.7 5.8±1.8 4.0±1.0* 3.2±1.0*
20~59 7.7±2.4 6.8±2.4 5.6±1.7 5.2±1.8

② 세 손가락집기/장측면집기
세 손가락집기/장측면집기
연령대 남 여
DH NH DH NH
11~15 4.9±1.4* 4.6±1.1* 4.1±2.2* 3.7±2.0*
16~19 7.9±2.0 7.2±1.1 5.1±0.8 3.8±2.1
20~29 9.1±1.9 8.4±1.9 6.2±1.6 5.2±2.1
세 손가락집기/장측면집기
연령대 남 여
DH NH DH NH
30~39 9.3±1.7 8.9±2.2 7.0±1.6 6.6±1.7
40~49 9.8±2.5 9.2±2.2 6.2±1.4 5.3±1.4
50~59 9.9±1.8 8.7±1.8 7.4±1.8 6.9±1.5
60~ 6.9±2.1 6.8±1.8 4.9±1.1* 4.1±0.9*
20~59 9.4±2.0 8.7±2.0 6.7±1.7 5.9±1.8

③ 측면집기
측면집기
연령대 남 여
▼ DH NH DH NH

▼ 11~15 5.2±1.9* 4.6±1.4* 4.5±2.1* 3.6±1.8*
30 16~19 7.1±2.0 6.5±1.5 4.2±0.8* 3.1±1.3*
20~29 9.4±2.0 8.4±2.2 5.9±1.7 5.3±1.4
Ⅱ 30~39 10.4±1.1 9.9±1.4 6.9±1.3 6.4±1.0
손 40~49 10.1±1.9 9.6±1.9 6.0±0.7 5.3±1.2

능 50~59 9.8±1.7 8.9±1.5 7.3±3.0 7.1±1.8
평 60~ 7.6±2.5 7.5±2.5 5.0±1.6 4.4±1.3

도 20~59 9.8±1.8 9.0±2.0 6.5±1.9* 6.0±1.6*

* statistically significant with age(p<0.05)
DH: Dominant Hand, NH: Nondominant Hand

3) 참고문헌
박수현(2009). 작업치료사를 위한 임상지침서. 군자출판사.
박정일 외(1998). 누적외상성 질환의 선별 기준 마련을 위한 grip 및 pinch strength의 정상
치에 관한 연구, 대한산업의학회지, 10(3), 362-378.
실로암시각장애인복지관(2011). 직업평가센터 내부자료.
한국장애인고용공단(2009). 장애인직업능력평가 매뉴얼.
직업평가도구 사용매뉴얼 「손 기능 평가도구편」

❚그루브드 펙보드(Grooved Pegboard)


<사진 Ⅱ-6> 그루브드 펙보드

그루브드 펙보드는 손가락 끝으로 작은


사물을 다루는 손의 조작능력과 손가락
기민성5), 시각-운동 협응력6) 등을 평가
하기 위해 실시함.



31



1. 개요 기


1) 평가목적 가


손의 조작적 기민성과 시각-운동 협응력을 평가함.
산업체 근로자 선별을 위해 평가함.

2) 평가대상
시각-운동 협응력, 손가락 기민성 등의 평가가 필요한 5세 이상의 아동과 성인

3) 평가시간
5분~10분

5) 동작이 빠르고 날쌘 성질, 민첩성이라고도 함.


6) 시각에 대한 지각을 통해 움직이는 능력
4) 도구 구성
(1) 보드판(Pegboard) : 열쇠모양의 구멍이 여러 방향으로 뚫린 사각형의 판
(2) 핀(Peg) : 열쇠모양의 핀 25개
(3) 초시계

2. 도구개발

1) 개발배경
▼ Canada Ontario Ottawa에 위치한 Royal Ottawa병원의 Dr. Ronald Tries에 의해 개발됨.

32
2) 표준화정보

• Ruff & Parker(1993). 정상성인의 Finger Tapping Test와 Grooved Pegboard Test.


: 표준치와 성별, 연령, 교육정도와의 관련성을 조사함.

: 검사-재검사에서의 신뢰도는 우세손 r=.72, 비우세손 r=.74로 나타남.



3. 실시방법

1) 평가준비

※ 준비물 : 보드판, 핀, 초시계, 평가기록지

(1) 보드판 안에 있는 25개의 핀을 꺼내어 보드판의 파인 홈에 담도록 함.


(2) 피평가자의 몸 중심에서 수직방향으로 보드판을 놓음. 이 때 보드판을 평가대 가장자리에
놓고, 핀을 담은 부분이 위로 가도록 함.
직업평가도구 사용매뉴얼 「손 기능 평가도구편」

2) 평가실시
(1) 우세손을 먼저 측정함.

“지금부터 열쇠모양의 핀을 이 보드판에 꽂도록 하겠습니다. 이 보드판의 구멍을 보면 열쇠모양으로 되


어 있는데 열쇠모양 부분의 방향이 다릅니다. 핀의 모양과 보드판의 모양이 동일하게 핀을 집은 후 한
번에 꽂습니다. 꽂는 순서는 우세손이 오른손일 경우 왼쪽에서 오른쪽(우세손이 왼손일 경우에는 오른쪽
에서 왼쪽)으로 끼우며 이 때 보드판에서 핀을 돌려가면서 보드판 구멍과 핀의 모양을 맞춰 끼우는 것
은 안 됩니다. 또한 한 번에 하나의 핀을 꽂아야 합니다. 우선 연습으로 핀 5개를 꽂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연습 시 잘못된 방법으로 수행할 경우 다시 수행방법을 설명함.)

“자 지금부터 평가를 실시하겠습니다. 모양을 미리 맞춰서 보드판에 한 번에 꽂아야 된다는 것을 잊지



마시고, 최대한 정확하고 빠르게 꽂아 주십시오. 준비, 시작.” ▼

33


(2) 비우세손을 측정함.


“자 지금부터는 왼손(우세손이 왼손일 경우 오른손)을 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방법은 우세손(우세손이 능
왼손일 경우 왼손)과 동일합니다. 대신 핀을 꽂는 방향은 오른손(우세손이 왼손일 경우 왼손)과 달리 오 평

른쪽에서 왼쪽(우세손이 왼손일 경우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꽂도록 하겠습니다. 오른손(우세손이 왼손일 도

경우 왼손)과 마찬가지로 연습으로 핀 5개를 꽂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연습 시 잘못된 방법으로 수행할 경우 다시 수행방법을 설명함.)

“자 지금부터 평가를 실시하겠습니다. 모양을 미리 맞춰서 보드판에 한 번에 꽂아야 된다는 것을 잊지


마시고, 최대한 정확하고 빠르게 꽂아 주십시오. 준비, 시작.”
<사진 Ⅱ-7> 그루브드 펙보드 평가실시 과정

• 평가준비 • 우세손・비우세손 측정
우세손과 비우세손이 오
른손인 경우 왼쪽에서
오른쪽 방향으로 핀을
꽂음. 반대로 왼손의 경
우 오른쪽에서 왼쪽 방
향으로 핀을 꽂음

▼ 3) 평가결과 채점

34 (1) 25개의 핀을 꽂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수행시간 란에 기재함.


※ 25개의 핀을 전부 꽂지 못하는 경우 피평가자가 핀을 꽂는 것을 멈출 때까지 걸린 시간을 수행
Ⅱ 시간 란에 기재함.
손 (2) 시작 후 소요시간이 5분을 초과할 경우 평가를 중지함. 이 때 평가기록지에 불완전 수행

능 을 의미하는 ‘A’라고 기록하고, 행동관찰 란에 완료하지 못한 이유를 작성함.

가 (3) 피평가자가 보드판에 핀을 꽂는 과정에서 비의도적으로 떨어뜨린 핀의 수를 ‘떨어뜨린 핀

구 의 수’ 란에 기재함.
※ 만약 한 번에 여러 개의 핀을 집어 하나만 남기고 의도적으로 보드판에 떨어뜨리는 경우이거나,
핀을 잘 집기 위해서 평가대 또는 보드판에 의도적으로 내려놓는 경우에는 ‘떨어뜨린 핀의 수’
란에 기재하지 않음.
평가 시 수행하는 손이 아닌 다른 손을 사용하여 핀을 집는 경우 주의를 주어야 함. 그러나 다
른 손으로 핀을 집는 행동이 나타날 때 한 번 이상 비표준화된(올바른 수행방법이 아닌) 평가를
의미하는 점수 ‘D’라고 기록함. 이 때 ‘떨어뜨린 핀의 수’ 란에 ‘D’라고 기록함.
(4) 피평가자가 보드판에 정확히 한 번에 꽂은 핀의 개수를 ‘핀의 수’ 란에 기재함. 이 때 한
번에 바로 꽂지 못하고 2차례 이상 시도하여 꽂는 개수를 통해 시각-운동 협응력을 평가
할 수 있음. 이는 ‘행동관찰’ 란에 기록함.
(5) ‘합계’ 란에 총 소요시간, 떨어뜨린 핀의 개수, 보드에 정확히 꽂은 핀의 개수를 합산한 값
을 기재함.
직업평가도구 사용매뉴얼 「손 기능 평가도구편」

(6) ‘동일 연령별 평균’ 란에 규준표를 활용하여 피평가자와 동일연령의 평균을 기재함.
(7) ‘행동관찰’ 란에는 피평가자의 수행 시 관찰사항(핀 조작능력, 수행태도 등)을 작성함.

4. 결과해석

• 만 34세 여성 지적장애인 사례
떨어뜨린 정확히 꽂은
구분 수행시간(초) 합계 동일 연령별 평균
핀의 개수 핀의 개수
우세손 95 0 24 119 83

비우세손 70 0 23 93 95 ▼

행동관찰
35
평가에 대한 긴장으로 처음 실시하는 오른손 수행 시 손 떨림이 나타남. 하지만 수행하면서 손떨림이 거의 나타
나지 않음. Ⅱ
핀의 방향조절 시 손가락 끝으로 핀의 방향조절이 가능하지만 수행속도가 느려 핀의 방향을 손목을 돌려 조절함. 손
한 번에 꽂지 못하고 두 번 이상 시도하여 핀을 꽂은 개수가 우세손 1차례, 비우세손 2차례로 나타나 시각-운동 기
협응력은 양호한 것으로 보임. 능



한 손만을 이용하는 조작적 기민성은 비장애인 평균 대비 오른손은 70%, 왼손은 102%의 수준으로 나 구
타나 작업을 빠르게 처리하는 능력이 오른손의 경우 동일 연령에 비해 낮은 수준이지만, 왼손의 경우 양
호한 것으로 보임. 평가수행 시 오른손의 손떨림이 관찰되었지만 기질적인 제한보다 평가에 대한 긴장으
로 인해 나타난 것으로 보임. 또한 손가락 끝으로 핀의 방향조절이 가능하지만 방향을 조절하는 속도가
손목을 돌려서 끼우는 속도보다 느리자 빠르게 수행하기 위해 손목으로 방향을 조절하여 끼우는 모습이
관찰됨. 전반적인 수행을 볼 때 손가락으로 핀의 방향조절이 가능함. 또한 핀의 조작이 손가락 끝으로 가
능하여 손가락 기민성이 양호한 것으로 보이며, 핀을 꽂을 때 한 번에 꽂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시각-
운동 협응력도 양호한 것으로 보임.
5. 부록

1) 평가기록지
<표 Ⅱ-8> 그루브드 펙보드 평가기록지

그루브드 펙보드 평가기록지

성 명 : 연령: 성별: □ 남 □ 여 우세손: □ 오른손 □ 왼손


평가목적 :
평 가 일 : 20 . . 평가자:

떨어뜨린 정확히 꽂은 핀의
수행시간(초) 합계 동일 연령별 평균
▼ 핀의 개수 개수

▼ 우세손
36 비우세손

Ⅱ 행동관찰







2) 규준표
<표 Ⅱ-9> 그루브드 펙보드 규준표(연령별 점수)
남자 여자
우세손 비우세손 우세손 비우세손
연령
최저점/ 최저점/ 최저점/ 최저점/
평균 평균 평균 평균
최고점 최고점 최고점 최고점
15 80 36/103 82 49/119 82 28/117 82 59/97
16 81 35/105 82 48/120 83 27/122 82 57/98
17 82 35/107 82 47/122 84 26/127 82 55/102
직업평가도구 사용매뉴얼 「손 기능 평가도구편」

남자 여자
우세손 비우세손 우세손 비우세손
연령
최저점/ 최저점/ 최저점/ 최저점/
평균 평균 평균 평균
최고점 최고점 최고점 최고점
18 82 36/110 82 47/123 84 26/131 82 53/105
19 83 37/113 83 46/124 84 25/134 83 52/109
20 83 38/117 85 45/127 85 25/137 83 50/113
21 84 39/121 86 45/129 85 25/141 84 49/118
22 84 40/125 87 45/131 85 26/143 85 48/121
23 85 41/128 87 44/134 85 27/144 86 47/124
24 85 41/131 89 44/135 85 28/143 87 47/127
25 86 42/133 90 45/137 84 30/142 88 47/129
26 87 42/134 91 45/139 84 32/140 89 45/131 ▼


27 87 43/135 93 46/141 84 34/139 90 46/133
28 87 44/136 94 46/143 84 36/137 102 45/135 37
29 88 44/136 95 47/145 84 37/135 92 45/137

30 88 45/137 96 48/146 83 39/132 93 45/138

31 89 45/137 98 48/148 83 40/130 93 45/139

32 90 46/137 99 49/150 83 41/127 94 45/142 능
33 90 46/137 100 49/152 83 43/126 95 45/143 평

34 91 46/137 101 50/153 83 44/123 95 45/144 도
35 91 46/137 102 50/155 83 45/121 96 45/147 구

36 91 46/137 103 50/157 83 46/120 97 46/148


37 92 46/138 105 51/159 83 46/120 98 46/149
38 92 46/138 105 52/160 83 47/119 99 47/151
39 93 46/138 106 52/161 85 48/121 101 47/152
40 94 46/138 108 52/162 86 48/123 102 47/154
41 95 46/138 108 51/163 89 48/125 103 47/156
42 95 46/138 108 51/163 90 48/129 105 48/158
43 95 46/140 109 51/165 92 47/134 106 48/160
44 96 47/140 109 51/165 94 46/140 107 49/162
45 97 47/141 109 52/166 98 45/145 109 49/164
46 97 47/142 109 52/166 101 44/151 111 50/166
47 97 47/143 110 52/167 106 43/158 113 50/169
남자 여자
우세손 비우세손 우세손 비우세손
연령
최저점/ 최저점/ 최저점/ 최저점/
평균 평균 평균 평균
최고점 최고점 최고점 최고점
48 98 47/144 110 52/169 108 43/164 114 50/172
49 98 49/156 110 52/170 111 42/166 117 50/174
50 99 50/158 110 52/170 113 41/170 119 51/180

* 위에 제시된 점수 = 총 소요 시간 + 떨어뜨린 핀의 개수 + 정확히 꽂은 핀의 개수


* 출처: Lafayette Instrument Company(2003). Grooved Pegboard User Instructions.

▼ <표 Ⅱ-10> 그루브드 펙보드 규준표(연령별 평가 수행시간)



▼ (단위 : 초)
38 우세손 비우세손
연령 인원수
평균 표준편차 평균 표준편차
Ⅱ 9 74.39 15.47 80.77 15.91 56
손 10 71.88 9.39 76.65 11.75 66
기 11 68.07 8.64 71.50 10.00 56
능 12 65.07 8.55 68.94 9.44 53
평 13 60.96 6.54 65.61 9.38 41

도 14 65.88 11.88 70.66 8.31 300
구 15-19 66.05 10.40 70.50 11.10 172
20-29 63.40 7.90 69.10 18.70 -
30-39 62.95 8.40 67.15 12.20 319
40-49 63.50 7.20 69.05 9.80 319
50-59 68.10 9.42 74.70 10.51 134
60 + 82.70 18.70 87.95 26.20 100
10-59 65.13 9.19 69.99 10.31 1460
* 연령별 평가 수행시간은 참고자료이지만 제시된 평가기록지로 평가를 하지 않고, 수행속도만을 평가하는 경우에는 위
의 참고자료를 활용하여 동일연령 대비 수행속도를 평가할 수 있음.
* 출처: Lafayette Instrument Company(2003). Grooved Pegboard User Instructions.
직업평가도구 사용매뉴얼 「손 기능 평가도구편」

3) 참고문헌
박수현(2008). 작업치료사를 위한 임상지침서 개정판, 군자출판사.
이택영(2001). Grooved Pegboard 검사의 정상성인의 표준치에 관한 연구.
Lafayette Instrument Company(2003). Grooved Pegboard User‘s Manual.
Ruff & Parker(1993). 정상성인의 Finger Tapping Test와 Grooved Pegboard Test.



39









❚오코너 손가락 기민성 검사
(O'Connor Finger Dexterity Test)
<사진 Ⅱ-8> 오코너 손가락 기민성 검사

오코너 손가락 기민성 검사는 손의 빠른


조작능력을 평가하는 도구로 손상된 손
의 치료 및 훈련 과정에서 활용할 수
있으며, 손가락 기민성을 요하는 제조
업 조립 직무로의 취업가능성 및 직무
적합성을 파악하기 위해 실시함.


40

Ⅱ 1. 개요


능 1) 평가목적

가 손의 빠른 조작능력 및 협응력을 평가하기 위해 실시함.

구 의료현장에서 장애정도와 치료의 효과를 객관적으로 평가하기 위해 활용하며, 제조업 조립직
무 등에 취업을 희망하는 장애인의 손가락 기민성을 평가하여 취업 가능성 및 직무 적합성을
파악하기 위해 실시함.

2) 평가대상
손 손상으로 치료가 필요한 사람
제조업 등의 취업을 위해 손 기능 평가가 필요한 사람

3) 평가시간
8분~16분
직업평가도구 사용매뉴얼 「손 기능 평가도구편」

4) 도구구성
(1) 보드판 - 100개(10×10)의 구멍(지름 약 3/16)이 있음.
(2) 핀 - 315개(길이 1inch, 지름 약 1/16)
(3) 초시계

2. 표준화 정보

미네소타대학 고용안정화 연구기관(the University of Minnesota Employment Stabilization


Research Institute)에서 성인 인구의 표준을 제시하였으며, 직업적 능력 패턴을 연구하는 데에


이 평가를 사용함. ▼

41


3. 실시방법 손


1) 평가준비 평


※ 준비물 : 보드판, 핀, 초시계, 평가기록지 구

(1) 피평가자가 70cm 정도 높이의 평가대 앞에 편안하게 앉도록 함.


(2) 보드판을 책상 모서리로부터 30cm 정도 거리를 두고 피평가자 앞에 놓음.
※ 큰 홈이 파인 쪽(핀이 담겨져 있는 부분)을 위 쪽으로, 100개의 구멍이 있는 보드판을 아래쪽을
향하도록 함.
(3) 피평가자가 오른손잡이의 경우 보드판을 오른쪽에 배치하고, 왼손잡이의 경우 왼쪽에 배
치함.
Tip

• 손톱이 길 경우 평가결과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평가 전에 피평가자의 손톱을 깔끔하게 손질하는


것이 좋음.

2) 평가실시
(1) 평가는 우세손부터 실시함.
(2) 평가자는 아래와 같이 시범을 보이며 설명함.

“이 보드판에는 100개의 구멍이 있고, 한 구멍에 3개의 핀을 넣을 수 있습니다. 평가방법은 3개의 핀을


▼ 동시에 집어 최대한 빠르게 구멍에 꽂아주세요. 단, 한 손만 사용하셔야 합니다. 오른손잡이인 경우 맨 위


쪽 모서리부터 시작해서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왼손잡이라면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움직이면서 꽂아주십시
42 오. 맨 아래쪽부터 시작하게 되면 소매나 손가락이 핀들을 건드릴 수 있기 때문에 맨 위쪽부터 시작하셔야
합니다. 한 구멍도 빠짐없이 순서대로 다 채우셔야 합니다. 각 줄이 완전히 채워졌는지 확인하고, 중간을

건너뛰지 마십시오. 핀은 통에 충분하게 있으니 검사 도중 핀이 떨어지더라도 신경쓰지 마시고 계속 꽂아주

기 세요. 제가 ‘시작’ 하면 시작하시고 전체 구멍에 핀을 다 채울 때까지 멈추지 마십시오”





(3) 피평가자는 연습으로 맨 윗줄 10개의 구멍을 채워보고, 연습 후에는 핀을 제거하고 잠깐
휴식을 취하도록 함.
(4) ‘시작’이라는 말과 함께 평가를 실시하며, 평가자는 초시계를 사용하여 핀을 꽂는데 걸리
는 시간을 측정함.
(5) 평가자는 맨 윗줄부터 50개(5줄)를 꽂는데 걸린 시간(A)을 측정하고, 아래 50개(5줄)를
꽂는 시간(B)을 다시 측정함.

<사진 Ⅱ-9> 오코너 손가락 기민성 검사 평가실시 과정


직업평가도구 사용매뉴얼 「손 기능 평가도구편」

Tip

• 연습 시 맨 윗줄 10개의 구멍을 초과하여 핀을 꽂을 경우 학습효과로 평가 결과에 영향을 줄 수 있


으므로 연습을 하는 핀의 개수는 10개까지로 함.

3) 결과채점
* 원점수 산출
(1) 위 50개(5줄)를 꽂는데 걸린 시간(A)
(2) 아래 50개(5줄)를 꽂는데 걸린 시간(B)에 1.1을 곱함.
(3) (2)의 측정값(B×1.1)에 맨 윗줄부터 50개(5줄)를 꽂는데 걸린 시간(A)을 더한 후 2로 나 ▼


누어 줌.
43
A + (B×1.1)
원점수 =
2 Ⅱ

예) 맨 윗줄부터 50개(5줄)를 꽂는데 걸린 시간이 243초, 아래 50개(5줄)을 꽂는데 걸린 시간이 225초

의 경우, 원점수는 다음과 같음. 능
243+(225×1.1)/2 = 245.25 평



* 표준점수, 백분위(%ile) 산출
(1) 규준표 상의 동일 성비에서 원점수에 맞는 표준점수와 백분위 점수를 산출함.

Tip

• 원점수 사이 값 산출 방법 : 원매뉴얼에서는 사이 값 산출에 대한 제언은 없으나 국내에서 통용되는


방법은 A(상위 값 적용), B(표준점수 차와 원점수 차의 비율로 추정치 산출)로 활용되고 있음.
A보다는 B가 보다 정확한 수준을 파악할 수 있기에 B방법을 추천함. 단, B방법으로는 백분위 점수
를 산출할 수 없음.
4. 결과해석 사례

• 만 17세 여성 지적장애인 사례 (우세손 : 오른손)


구분 오른손 왼손
원점수(초) 241 261
표준점수 5.5(5.08) 5.0(4.60)
백분위수 69.1 50.0
자신감 있게 평가에 임함.
행동관찰 사항 1회의 연습을 통해 과제를 습득함.
상지기능에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미세 손가락의 기민성 및 안정성이 양호함.



피평가자의 손가락 기민성은 비장애인 여성 평균수준으로 양호하며, 숙련기술자보다 우수한 능력을 보이고
44 있음.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손가락 끝의 미세 기민성과 손가락 협응력, 상지 기민성 등에서 강점을 보임.
과제수행 시 자신감 있고 안정적으로 참여함.

종합해 보면, 피평가자는 손가락 기민성을 요하는 직무참여 시 비장애인 여성 평균수준으로 양호한 생산

기 성을 보일 것으로 예상되며, 제조업 라인작업이나 시간의 압박 하에서 임하는 작업의 참여에도 큰 어려움

평 이 없을 것으로 사료됨.



직업평가도구 사용매뉴얼 「손 기능 평가도구편」

5. 부록

1) 점수표
<표 Ⅱ-11> 오코너 손가락 기민성 검사 점수표

오코너 손가락 기민성 검사 점수표

성 명 : 연령: 성별: □ 남 □ 여 우세손: □ 오른손 □ 왼손


평가목적 :
평 가 일 : 20 . . 평가자:


구분 오른손 왼손 ▼
원점수(초) 45
표준점수
백분위수

행동관찰





2) 표준치 도

<표 Ⅱ-12> 오코너 손가락 기민성 검사 표준치
(단위: 초)
원점수
표준 점수 백분위(%ile)
남성 여성
183 166 8.0 99.86
194 175 7.5 99.4
207 186 7.0 97.7
221 197 6.5 93.3
238 211 6.0 84.1
257 226 5.5 69.1
280 244 5.0 50.0
307 265 4.5 30.9
원점수
표준 점수 백분위(%ile)
남성 여성
340 290 4.0 15.9
382 319 3.5 6.7
434 356 3.0 2.3
503 402 2.5 0.6
598 462 2.0 0.14

<표 Ⅱ-13> 오코너 손가락 기민성 검사 6가지 직업에 따른 표준치

좌측 표준점수를 얻지 못한 일반
순번 직업 표준점수

대중 비율(%)

▼ 1 계량기, 기구 조립에 관련된 직업을 가진 여성 5.7 76
46 2 은행원 5.86 80
3 차고 기술공 5.03 50

4 숙련 기술자 4.9 46

기 5 반(半)숙련 기술자 4.9 46

평 6 버터 포장 기술자(1파운드 덩어리) 4.57 36

도 * 출처 : Lafayette Instrument Company(2002). O'Connor Finger Dexterity Test User's Manual.

3) 참고문헌
박수현(2009). 작업치료사를 위한 임상지침서. 군자출판사.
부천시장애인종합복지관(2011). 직업평가센터 내부자료.
한국장애인고용공단(2009). 장애인직업능력평가 매뉴얼.
Lafayette Instrument Company(2002). O'Connor Finger Dexterity Test User's Manual.
직업평가도구 사용매뉴얼 「손 기능 평가도구편」

❚MVE(Mobile Vocational Evaluation) 동작성 평가


<사진 Ⅱ-10> MVE 동작성 평가

미국심리학회에서 제작한 검사도구로 손


기능, 손의 민첩성 등을 평가하여 직
업적성을 파악하고, 개인의 직업능력
과 적합한 직업명을 제시하는 데 활용
함.



1. 개요 47


1) 평가목적 손

MVE 동작성 평가는 손 기능을 측정하여 직업과 관련된 능력과 흥미를 파악하여 적합한 직업 능

을 탐색하고 제시하기 위해 실시함. 가


2) 평가대상
손 기능, 손의 민첩성 등과 관련된 직업적성을 파악하기 위해 손 기능 평가가 필요한 사람.

3) 평가시간
하위 평가도구별로 소요되는 시간이 다름.
※ 아래 4) 도구구성의 내용을 참조.

4) 도구구성
MVE는 크게 동작성 평가와 언어성 평가로 구성되어 있음. 본 매뉴얼에는 손 기능을 평가할
수 있는 동작성 검사도구만을 제시함.
<표 Ⅱ-14> MVE 동작성 하위 평가도구
하위도구명 평가 평가
구성요소 평가내용
- 도구번호7)- 시간 방법
손가락 기민성
Lafayette Pegboard, 작은 물체를 다루는
-T1(R), 각 30초 좌식
초시계 손가락 기능
T2(L)-
손목-손가락 Tapping Board, 끝이
우세손
속도 두꺼운 첨필, 충격계수기, 손목의 빠른 운동능력 입식
30초
-T3- 연결용 전선 1개, 초시계
Hole Plate, 길고 얇은 짧은 시간동안 특정위치에
팔-손 안정성 각 홀
첨필, 충격계수기, 연결용 손과 팔을 고정시킬 수 있는 입식
-T4- 15초
전선 1개, 초시계 능력


▼ 손 기민성 Minnesota Dexterity, 작업 양손을 동시에 통합된
입식
48 -T5- 초시계 완성 시간 방식으로 움직이는 능력

Two-Arm Tracing
Ⅱ 양팔 협응 작업 양팔을 동시에 조정된
Apparatus, 충격계수기, 좌식
손 -T6, T7- 완성 시간 방식으로 움직이는 능력
연결용 전선 2개, 초시계

능 특정한 과제 수행을
평 양손 협응 Etch-A-Sketch with 작업 완성하기 위해 협응된
가 좌식
-T8, T9- Maze Overlay, 초시계 완성 시간 방식으로 양손을

구 움직이는 능력
Hole Plate, 길고 얇은 우세손,
조준 손을 고정된 위치로 정확히
첨필, 충격계수기, 연결용 작업 입식
-T13, T14- 이동시키는 능력
전선 1개 초시계 완성 시간
우세손,
반응 시간 Reaction Time Module, 외적 신호에 대해
작업 좌식
-T15- 시작 스위치 반응하는 운동 속도
완성 시간

7) T는 Tset의 약자로 MVE 하위검사 별 측정되는 요인에 부여한 번호임.


직업평가도구 사용매뉴얼 「손 기능 평가도구편」

2. 도구개발

1) 개발배경
미국심리학회에서 제작한 이동용 직업평가 시스템의 하위 검사로, 손 기능을 측정하고 직업과
관련된 능력과 흥미를 파악하기 위해 작업기능을 구체화한 도구임.

2) 표준화정보
• MVE 언어성, 동작성 평가 요인 신뢰도 : .72~.95
• 검사재검사 신뢰도(4-6주) : .81~.98

* 출처 : Hester Evaluation Systems, INC(1992). MVE Testing Manual. 중 부록 A, B ▼

49
Tip Ⅱ
「MVE 동작성 평가 실시 전 숙지사항」 손


• 평가방법 설명 평

평가자는 피평가자가 평가 내용과 실시방법을 정확히 이해할 때까지 연습시간을 충분히 제공함. 일부 하 도

위 평가는 속도와 정확도를 동시에 측정하기 때문에 피평가자에게 속도와 정확도 2가지 모두를 중요하게
생각하면서 평가에 임할 것을 설명함. 그리고 평가결과가 피평가자의 서비스 이용 등에 불리하게 작용하
지 않는다는 점을 안내함.

• 변형
일부 하위 평가는 신체적으로 어려움이 있는 피평가자들을 위해 평가방법을 변형할 수 있음. 예를 들어
손 기민성 평가와 같이 서서 평가가 실시되는 경우 서 있는데 어려움이 있거나 휠체어를 사용하는 피평
가자가 원활하게 평가에 참여할 수 있도록 평가방법을 변형할 수 있음.
변형은 평가에서 측정하고자 하는 요인과는 반드시 무관해야 하며, 가능한 변형에 대해서는 각 하위 평가
의 사용지침에서 설명하고 있음. 변형 시 변형에 관한 모든 내용은 평가기록지의 ‘주의사항 란’에 기록함.
• 재평가
피평가자의 신체적 혹은 정서적인 어려움으로 평가에 원활히 참여할 수 없을 경우에는 재평가를 고려할
수 있음. 피평가자의 능력을 정확하게 평가하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에 평가가 가능하지 않을 경우 몇 일
간에 걸쳐 실시하되 재평가 시 ‘학습효과’를 주의함.

• ‘수행불능’ 인 경우 ‘X’
신체적 제한으로 평가에 임할 수 없을 경우 수행불능을 나타내는 ‘X’로 기입함. 예를 들어 전맹인 시각장
애인이 시각적 정보에 대한 습득이 어려워 평가에 대해 정확하게 이해하지 못하는 경우 ‘X’로 기입함.

• ‘평가를 수행할 수 없는 경우’ ‘X’


만약 평가 도구의 오작동이나 외부 요인으로 평가를 실시할 수 없는 경우에는 ‘X’로 기입함. 이 표시는

▼ 평가를 실시할 수 없는 이유가 피평가자로 인한 것이 아닌 경우에만 사용됨.

50
• 채점
Ⅱ 자료입력 양식에 기본정보를 기록하고, 피평가자와 관련된 각 항목에 등급을 부여하는 기준에 따라 숙련
손 기간(SVP), 직무선택기준(JSC), 신체적제한점(PL), 작업환경(WC), 대인관계(PR) 등의 등급을 정해 기록
기 함. MVE 채점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자료입력 양식에 기입한 정보, 점수 등을 입력하고 결과를 산출함.


가 <표 Ⅱ-15> 하위 평가도구별 채점 요약

구 구분 하위 평가 채점
T1. 오른손으로 꽂은 핀의 수
손가락 기민성
T2. 왼손으로 꽂은 핀의 수
손목-손가락 속도 T3. 30초 동안 충격계수기에 기록된 횟수
팔-손 안정성 T4. 4번 시도 동안 충격계수기에 기록된 횟수
손 기민성 T5. 4줄 모두 완료하는데 걸린 총 초단위 시간
MVE
T6. 두 가지 과제를 수행하는데 소요된 총 초 단위 시간
동작성 양팔 협응
T7. 두 가지 과제를 수행하는데 충격계수기에 나타난 오류의 총수
평가
T8. 미로를 통과하는데 소요된 반올림한 분단의 시간
양손 협응
T9. 미로의 경계선 밖으로 벗어난 선의 횟수
T13. 과제를 수행하는데 소요된 초 단위시간
조준
T14. 충격계수기에 기록된 횟수
반응 시간 T15. 10번 시도 시 나타난 반응시간 측정기의 총합
직업평가도구 사용매뉴얼 「손 기능 평가도구편」

• 평가해석
MVE채점프로그램을 활용하면 피평가자가 각 하위평가마다 얻은 원점수가 평점으로 자동산출되고, 1.0(매
우 낮음)~6.0(매우 높음)까지의 평점을 숫자와 그래프로 보여줌.

• 적용
평가결과는 MVE채점프로그램이 각 하위평가마다 얻은 원점수를 기반으로 하여 D.O.T 상에서 적합한 직
업 및 직무를 제시함으로써 피평가자가 해당 직무를 수행할 수 있는 기본적인 능력이 있음을 보여줌.

3. 하위도구별 실시방법 ▼

▣ 손가락 기민성(T1, T2) 51


<사진 Ⅱ-11> MVE 동작성 검사「손가락 기민성」




작은 물체를 다루는 손가락 기능을 평가하기 위해 실시함. 가

1) 평가준비

※ 준비사항 : 라파예트 펙보드(Lafayette Pegboard), 초시계

(1) 피평가자가 편안한 거리에 라파예트 펙보드를 놓고 앉도록 함.


(2) 라파예트 펙보드의 컵부분이 평가자를 향하게 하고, 25개의 구멍이 있는 부분이 피평가자
를 향하여 놓도록 함.
2) 평가실시
(1) 평가방법 설명

“이 평가는 손가락의 기민성을 알아보기 위한 평가로 한 번에 하나씩 핀을 집어 펙보드에 꽂는 방법으


로 진행됩니다. 최대한 빠르고 정확하게 펙보드에 옮겨 놓는 것이 중요하며, 점수 채점은 각 손마다 30
초 동안 이동시킨 핀의 수로 계산합니다.”

Tip

• 평가는 우세손부터 실시하고, 결과는 자료입력 양식 T1(오른손), T2(왼손)에 기입함.



▼ (2) 피평가자 연습
52
① 피평가자의 우세손과 비우세손을 파악함.
Ⅱ ② 피평가자의 옆에 서거나 앉아서 핀 7개 정도를 빠르게 꽂으면서 시범을 보임.
손 ※ 평가자는 피평가자에게 혼선을 주지 않도록 평가대 건너편에서 시범을 보이지 않도록 함.

능 ③ 평가자는 피평가자의 같은 손으로 평가 시범을 보이고, 피평가자가 평가방법을 정확히 이
평 해할 때까지 횟수에 제한을 두지 않고 충분한 연습시간을 제공함.



(3) 평가실시
① 평가는 우세손부터 시작하며 우세손 1회, 비우세손 1회로 총 2회 실시함.
② 피평가자가 라파예트 펙보드에 한번에 하나의 핀을 집어서 꽂도록 함.
③ 초시계를 ‘0’으로 맞추고, 피평가자에게 ‘시작’이라는 말과 동시에 피평가자가 우세손부터
30초간 핀을 꽂을 수 있도록 설명함.
④ 오른손의 경우 피평가자는 왼쪽 맨 위쪽에서부터 시작하여 그 줄 아래쪽으로 내려가며 핀
을 꽂음. 첫 번째 열을 채우면 두 번째 열도 첫 번째 열과 마찬가지로 위쪽에서 아래쪽
방향으로 핀을 꽂음.
⑤ 왼손의 경우 오른쪽 맨 위쪽에서부터 시작하여 그 줄 아래쪽으로 내려가며 핀을 꽂음. 첫
번째 열을 채우면 두 번째 열도 첫 번째 열과 동일하게 위에서 아래 방향으로 핀을 꽂음.
직업평가도구 사용매뉴얼 「손 기능 평가도구편」

⑤ 평가자는 피평가자에게 제한시간 30초 동안 펙보드에 가능한 한 많은 핀을 꽂으라고 설명


함. 한 번에 반드시 한 개의 핀을 집어야 하며 하나보다 더 많은 핀을 집은 경우 다른 핀
은 컵에 다시 놓아야 함.
⑥ 우세손 평가를 실시한 후 제한시간 30초 동안 펙보드에 꽂은 핀의 수를 세어 기록하고, 모
든 핀을 컵에 다시 갖다 놓음.
⑦ 비우세손도 우세손과 마찬가지로 동일한 방법으로 평가를 실시함.

<사진 Ⅱ-12> MVE 동작성 평가 「손가락 기민성」 평가실시 과정

→ or →


53
(4) 변형
① 비우세손을 사용하여 꽂은 핀의 수가 우세손의 결과와 같거나 더 많은 경우 우세손에 대한 Ⅱ

평가를 다시 실시함. 우세손의 두 번째 수행결과가 더 좋은 경우 이 점수를 사용할 수 있

음. 능

② 편마비로 진단받은 피평가자의 경우 마비된 손으로 작업을 시도하도록 하고, 핀을 집을 수 가

없다면 평가 점수 란에 ‘X’(수행불능)로 기록함. 구

③ 하반신 지체장애인의 경우 핀과 펙보드를 손이 닿는 휄체어 무릎선반에 놓고 평가를 실시


할 수 있음.
④ 중증 시각장애인의 경우 평가대상이 아닌 손으로 펙보드 위의 각 구멍을 만지면서 평가를
받을 수 있음. 이 경우 반드시 충분한 연습시간을 필요로 함.

3) 평가결과 채점
(1) 피평가자가 평가에 임할 수 없다면(수행불능, cannot take) 'X'로 기록함.
(2) T1 : 오른손으로 펙보드에 꽂은 핀의 수
(3) T2 : 왼손으로 펙보드에 꽂은 핀의 수
4) 해석
(1) MVE 채점프로그램에 T1과 T2를 입력하여 결과를 해석함.
(2) T1과 T2의 합을 가지고 아래의 평점 산출표를 활용하여 결과를 해석함.

<표 Ⅱ-16> MVE 동작성 평가 「손가락 기민성」 평점 산출표


1 2 3 4 5 6
평점 (5%) (20%) (25%) (25%) (20%) (5%) 최고점수
매우 낮음 낮음 보통 이하 보통 이상 높음 매우 높음
======================================================>
50
T1+T2 0~16 17~25 26~28 29~31 32~35 36~




Tip
54
• 평점 산출표와 MVE 채점프로그램은 동일한 결과가 산출되지만 적합한 직업 및 직무를 추천받을 수
Ⅱ 있도록 MVE 채점프로그램을 활용할 것을 권유함.

• 평가 중 구두지시는 평가수행에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구두지시를 하지 않도록 함.

능 • 평가 시 오류의 횟수를 빼고 계산함.

가 예) 한 번에 세 개를 집어 꽂은 경우 최초 삽입 1개만을 인정하여 나중에 삽입한 2개를 제외하고 1
도 개로 계산함.

직업평가도구 사용매뉴얼 「손 기능 평가도구편」

▣ 손목-손가락 속도(T3)

<사진 Ⅱ-13> MVE 동작성 검사 「손목-손가락 속도」

손목과 손가락을 빠르게 움직이는 능력을 평가하기 위해 실시함.

1) 평가준비


※ 준비사항 : 두드림 판(Tapping Board), 두꺼운 첨필, 충격계수기, 연결용 전선, 초시계 ▼

55

(1) 평가대를 피평가자의 허리 높이보다 약간 낮게 맞추고 두드림판을 평가대에 놓음. Ⅱ


(2) 입식평가로 피평가자를 두드림 판과 편안한 거리를 두고 서서 허리를 곧게 세우고, 팔을 손

몸통에 붙지 않도록 함. 능


2) 평가실시 도

(1) 평가방법 설명

“이 평가는 조립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능력을 알아보기 위한 평가입니다. 첨필의 끝으로 두드림
판에 최대한 많이 두드리는 방식으로 진행되며 평가결과는 우세손으로 30초 동안 정확하게 두드린 수로
채점됩니다.”

(2) 피평가자 연습
① 평가를 실시하기 전 피평가자에게 평가방법을 충분히 설명한 후 약 10초간 연습시간을 가짐.
② 피평가자가 손목과 전완8)을 고정한 채로 연습에 참여하는 경우에는 연습을 중지시키고, 손

8) 팔꿈치부터 손목까지의 부분
목의 움직임을 이용하여 수행할 수 있도록 함. 첨필은 연필을 잡는 방식으로 잡음.

(3) 평가실시
① 충격계수기의 재설정 단추를 눌러 눈금을 ‘0’으로 맞춤.
② 충격계수기의 작동 스위치(손잡이가 상하로 작동하는)를 ‘멈춤’ 위치로 놓고, 초시계의 눈금
을 ‘0’으로 맞춤.
③ 평가자는 한 손에는 초시계를, 다른 손은 작동 스위치를 ‘시작’ 위치로 올릴 준비를 함.
④ 피평가자에게 ‘시작’이라고 말한 후 피평가자가 첨필을 두드리기 시작하면 작동 스위치를
올리는 동시에 초시계를 작동시킴.
⑤ 손목의 유연한 움직임을 측정하기 위해 두꺼운 첨필을 연필 잡듯이 잡고, 두드림 판의 같

▼ 은 자리를 수직(위-아래)으로 가능한 한 빠르게 두드림.

56 ⑥ 25초가 경과될 쯤 작동 스위치를 ‘멈춤’ 위치로 내릴 준비를 함.


⑦ 30초에 정확히 작동 스위치를 내리는 동시에 피평가자에게 ‘그만’ 또는 ‘중지’라고 말함.
Ⅱ ⑧ 충격계수기에 나타난 두드린 횟수를 점수기록지에 기재함.


능 <사진 Ⅱ-14> MVE 동작성 검사 「손목-손가락 속도」 평가실시 과정




직업평가도구 사용매뉴얼 「손 기능 평가도구편」

(4) 변형
① 편마비 또는 손목 위쪽으로 절단된 피평가자인 경우 평가가 가능한 손으로 평가를 실시함.
② 첨필을 잡을 수 있는 하반신 지체장애의 피평가자인 경우 자신의 휠체어 무릎선반에 평가
판을 놓고 평가를 실시함.

3) 평가결과 채점
(1) 피평가자가 첨필을 잡고 두림판을 두드릴 수 없는 경우 'X'로 기록함.
(2) T3 : 30초 동안 충격계수기에 측정된 두드린 총 횟수

4) 해석 ▼


(1) MVE채점프로그램에 T3를 입력하여 결과를 해석함.
57
(2) T3의 값을 가지고 아래의 평점 산출표를 활용하여 결과를 해석함.

<표 Ⅱ-17> MVE 동작성 검사 「손목-손가락 속도」 평점 산출표 손

1 2 3 4 5 6 능
평점 (5%) (20%) (25%) (25%) (20%) (5%) 최고점수 평
매우 낮음 낮음 보통 이하 보통 이상 높음 매우 높음 가

======================================================> 구
220이상
횟수 0-123 124-154 155-172 173-185 186-219 220-

Tip

• 손목-손가락 속도 평가는 손목을 빠르게 움직이는 능력을 평가하는 것으로 이 능력은 손목을 돌려서
나사나 볼트를 조이거나 풀고 작은 대상물을 옮겨 놓는 작업과 관련있음.
• 평가 시 피평가자를 관찰하여 평가방법을 정확히 수행하고 있는지를 확인함.
피평가자가 정확하게 수행하고 있지 않다면 평가를 중단하고 평가방법을 다시 설명함.
평가가 중단되면 충격계수기와 초시계를 다시 ‘0’으로 맞춘 후 재평가를 준비함.
▣ 팔-손 안정성(T4)

<사진 Ⅱ-15> MVE 동작성 검사「팔-손 안정성」

비교적 짧은 시간 동안 특정 위치에 손과 팔을 고정시킬 수 있


는 능력을 평가하기 위해 실시함.

1) 평가준비


▼ ※ 준비사항 : 구공판(Hole Plate), 길고 얇은 첨필, 충격계수기, 연결용 전선 1개, 초시계
58
(1) 피평가자는 일정 거리를 두고 평가대 앞에 서서 평가를 받을 준비를 함.
Ⅱ (2) 구공판의 구멍이 피평가자를 향하게 하여 구공판을 책상 끝 모서리에 배치시킴.
손 (3) 피평가자는 길고 얇은 첨필을 연필 잡는 방식으로 잡음.

능 (4) 피평가자의 손과 팔은 어떠한 지지도 없이 자유로워야 함.




2) 평가실시
(1) 평가방법 설명

“이 평가는 자신의 우세손을 얼마나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지 알아보는 평가입니다. 상단 4개의 구
멍에 각각 첨필을 넣고 그 상태를 15초씩 유지하여야 합니다. 첨필로 가장자리를 건드릴 때마다 충격계
수기에 접촉으로 기록되어 숫자가 올라 갈 것입니다.”

(2) 피평가자 연습
① 평가자는 구공판 상단 두 번째 구멍에 첨필을 넣고 10초 간 첨필을 움직이지 않고 흔들림
없이 유지하는 시범을 보임.
② 피평가자는 구공판 상단 첫 번째 구멍에 첨필을 넣고 10초 동안 첨필을 움직이지 않고 흔
들림 없이 유지하는 연습을 함.
직업평가도구 사용매뉴얼 「손 기능 평가도구편」

(3) 평가실시
① 충격계수기와 초시계를 ‘0’으로 설정하고 작동 스위치를 ‘멈춤’에 놓음.
② 구공판의 상단 첫 번째 가장 큰 구멍에 첨필을 절반 정도 넣음.
③ ‘시작’이라고 말하는 동시에 초시계를 작동시키고 충격계수기의 작동 스위치를 ‘시작’으로
올림.
④ 15초가 되는 순간에 충격계수기의 작동스위치를 ‘멈춤’으로 내리며, 초시계를 ‘0’으로 설정함.
⑤ 첨필을 빼서 구공판의 상단 두 번째 구멍에 약 절반 정도 넣음.
⑥ 첫 번째 방법과 동일하게 두 번째, 세 번째, 네 번째 구멍에 첨필을 넣어 평가를 실시함.
⑦ 4번의 평가가 모두 끝났을 때 충격계수기에 나타나는 접촉 횟수를 자료 입력 양식에 기록함.


<사진 Ⅱ-16> MVE 동작성 검사 「팔-손안정성」 평가실시 과정 ▼

59








(4) 변형
① 편마비나 뇌성마비 장애인 등 서서 균형을 잡는데 어려움이 있는 피평가자의 경우 앉아서
실시함. 이 때 팔걸이 없는 의자를 사용하여 팔이 고정되지 않도록 유의함.
② 시력 제한으로 구공판의 구멍을 지각하는데 어려움이 있는 경우 자료 입력 양식에 ‘실시안
함’으로 기록함.
③ 우세한 손이 마비이거나 손목 위쪽으로 절단된 사람은 비우세손을 사용함.
④ 우세손이 부분적으로 절단된 경우 피평가자가 사용할 손을 선택하도록 허용함.
⑤ 하반신 지체장애인의 경우 휠체어 무릎선반에 구공판을 놓고 평가를 실시함.

3) 평가결과 채점
(1) 피평가자가 첨필을 잡고 평가에 임할 수 없다면 자료 입력 양식에 ‘X’로 기록함.
(2) 평가를 4회 실시하여 첨필이 구공판에 접촉한 총 횟수(T4)를 자료 입력 양식에 기록함.
(3) T4 : 4회를 실시해서 충격계수기에 나타난 접촉 횟수

4) 해석



(1) MVE채점프로그램에 T4를 입력하여 결과를 해석함.
60
(2) T4의 값을 가지고 아래의 평점 산출표를 활용하여 결과를 해석함.

손 <표 Ⅱ-18> MVE 동작성 검사 「팔-손안정성」 평점 산출표
기 1 2 3 4 5 6

평점 (5%) (20%) (25%) (25%) (20%) (5%) 최고점수

가 매우 낮음 낮음 보통 이하 보통 이상 높음 매우 높음

구 ===============================================================>
0
횟수 72 30-71 14-29 6-13 1-5 0

Tip

• 손목의 각도가 꺾이지 않도록 유의함.


직업평가도구 사용매뉴얼 「손 기능 평가도구편」

▣ 손 기민성(T5)

<사진 Ⅱ-17> MVE 동작성 검사 「손 기민성」

비교적 큰 대상물을 숙련되고 빠르게 조작하는 능력을 평가하


기 위해 실시함.

1) 평가준비


※ 준비사항 : 검사판, 디스크 58개, 초시계 ▼

61
(1) 피평가자와 가까운 책상 모서리로부터 약 2.5cm(1인치) 정도 떨어진 곳에 검사판을 펼쳐
놓음. Ⅱ
(2) 모든 디스크를 같은 색(빨강이나 검정)이 위를 향하도록 일관되게 검사판에 꽂음. 손

(3) 피평가자는 평가도구와 편안한 거리를 두고 서도록 함. 능



2) 평가실시 구

(1) 평가방법 설명

“이 평가는 손의 기민성을 알아보기 위한 평가입니다. 한 손을 사용하여 디스크을 집어서 뒤집어 반대


손으로 주고, 뒤집힌 디스크를 다시 제자리에 얼마나 빨리 놓을 수 있는지 알아보는 평가입니다. 최대한
빠르게 진행해야 하며 점수는 모든 과제를 수행하는데 걸린 시간(초 단위)으로 채점됩니다.”

(2) 피평가자 연습
① 평가자는 피평가자 옆에 서서 시범을 보임.
② 피평가자에게 수행방법을 충분히 설명한 후 위의 2열 정도까지 연습할 수 있도록 함.
③ 연습 후 디스크는 모두 같은 색이 보이도록 돌려놓음.
(3) 평가실시
① 준비자세로 피평가자는 검사판 상단의 오른쪽(우측) 첫 번째 디스크에 왼손을 살짝 올려
놓음.
② 평가자는 ‘시작’이라고 말하면서 동시에 초시계를 작동시키고, 피평가자는 최대한 빨리 정
해진 절차대로 디스크를 모두 뒤집음.
③ 검사판 상단의 우측 첫 번째 디스크를 왼손으로 집어서 뒤집으며 오른손으로 주고, 오른손
으로 뒤집힌 디스크를 다시 원래 있던 구멍에 꽂음.
④ 1열 디스크를 모두 꽂은 후 검사판 상단의 우측 2열의 첫 번째 디스크를 다시 왼손으로
집어서 뒤집으며 오른손으로 주고, 오른손으로 뒤집힌 디스크를 원래 있던 두 번째 구멍에
꽂음.

▼ ⑤ 3열은 1열과 동일한 방법으로 진행함.

62 ⑥ 4열은 2열과 동일한 방법으로 진행함.


⑦ 평가자는 피평가자가 4열 우측의 마지막 디스크를 꽂는 동시에 초시계를 멈춤.

⑧ 피평가자가 과제수행을 모두 끝났을 때 소요된 시간을 점수기록지에 기재함.


능 <사진 Ⅱ-18> MVE 동작성 검사 「손 기민성」 평가실시 과정




직업평가도구 사용매뉴얼 「손 기능 평가도구편」

(4) 변형
① 한 팔이 절단되어 평가를 받을 수 없다면 자료입력 양식에 ‘X’로 기입함.
② 편마비의 경우 마비된 손으로 디스크를 집도록 하고 성공하면 평가를 실시함. 피평가자가
이 평가를 수행하는 데 2분 30초 이상 걸린다면 평가를 중지시킴. 이러한 경우 점수기록
지에 ‘150초’로 기록함. 이 점수는 등급 상 ‘1.0(매우 낮음)’을 의미함.
④ 일부 지적장애인은 새로운 열을 시작할 때 어느 손을 사용해야할 지를 인지하지 못할 때가
있음. 평가자가 이것을 연습 중 발견하게 되면 각 줄을 분리해서 시범을 보이고 각 줄마다
분리해서 평가를 수행함.
⑤ 하반신 지체장애인, 클러치 사용자, 서 있는데 어려움이 있는 피평가자의 경우 앉아서 실
시함.

⑥ 피평가자가 외소증인 경우 무릎을 꿇고 앉아서 평가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함. ▼

63
3) 평가결과 채점

(1) 피평가자가 평가에 임할 수 없다면 자료입력 양식에 'X'로 기록함. 손
(2) 4줄의 평가를 모두 완료하는데 걸린 시간(초)을 자료입력 양식에 기록함. 기

(3) T5 : 평가를 완료하는데 걸린 총 시간(초) 평



4) 해석
(1) MVE채점프로그램에 T5를 입력하여 결과를 해석함.
(2) T5의 값을 가지고 아래의 평점 산출표를 활용하여 결과를 해석함.

<표 Ⅱ-19> MVE 동작성 평가 「손 기민성」 평점 산출표


1 2 3 4 5 6
평점 (5%) (20%) (25%) (25%) (20%) (5%) 최고점수
매우 낮음 낮음 보통 이하 보통 이상 높음 매우 높음
===============================================================>
0
시간 126- 76-125 61-75 52-60 43-51 0-42
Tip

• 평가 중 구두로 지시를 줄 경우 멈칫거리게 되는 등 평가에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에 중간에 구두지


시를 주지 않도록 함.
• 평가자는 피평가자에게 시범을 보일 때 열이 바뀌게 되면 손의 순서가 바뀌는 것을 알 수 있도록 2
열까지 시범을 보임.

▣ 양팔협응(T6, T7)

<사진 Ⅱ-19> MVE 동작성 검사 「양팔협응」





양팔을 동시에 의도하는 방향이나 방법으로 움직일 수 있는 능
64
력을 파악하기 위해 실시하는 평가임.




1) 평가준비


도 ※ 준비사항 : 양팔추적기(Two-Arm Tracing Apparatus), 충격계수기, 연결용 전선 2개, 초시계

(1) 평가대의 끝 쪽에 양팔추적기를 고정시킴.
(2) 피평가자는 양팔추적기 앞에 앉도록 함.
(3) 충격계수기와 초시계를 ‘0’으로 맞춤.
직업평가도구 사용매뉴얼 「손 기능 평가도구편」

2) 평가실시
(1) 평가방법 설명

“이 평가는 양팔 협응력을 알아보기 위한 평가로 손잡이를 조절하여 첨필로 검은색 별 모양을 정확하고
빠르게 따라가는 방식으로 진행됩니다. 평가가 진행되는 동안 첨필이 검은색 별 모양을 벗어날 때마다
오류로 기록되기 때문에 첨필이 별 모양을 벗어나지 않게 주의하고, 최대한 빠르게 수행하여야 합니다.
이 평가는 정확도와 속도가 동일하게 채점됩니다”

(2) 피평가자 연습
① 평가자는 앉아서 양팔추적기의 손잡이를 가볍게 잡고, 시계 방향으로 한 바퀴 도는 시범을
보임. 시범 시 평가자는 손잡이를 조절하는 모습을 피평가자가 잘 볼 수 있게 함. ▼


② 양팔추적기의 작동 방법을 설명함.
65
※ 양팔추적기의 첨필은 손잡이를 펴고, 모으고, 좌우로 움직이면서 이동시킴.
※ 양팔추적기의 (별)상단을 향해 움직이기 위해서는 손잡이를 바깥쪽으로 펴야하고, 양팔추적기(별) Ⅱ
하단으로 첨필을 움직이기 위해서는 손잡이를 안쪽으로 모아야 함. 손
※ 좌우로 움직이기 위해서는 두 손잡이를 펴거나 모으는 과정 중에서 오른쪽이나 왼쪽으로 동시에 기

움직여야 함. 평
③ 연습은 첨필을 별의 가장 상단 지점에 놓고 시작하며, 약 1분정도 연습시간을 제공함. 가

④ 평가자는 피평가자에게 점수를 채점할 때 정확도뿐만 아니라 속도도 가중치를 두어 채점된 구

다는 것을 설명함.

(3) 평가실시
① 이 평가는 상단에서부터 시계방향으로 첨필을 움직여 별을 따라 그린 다음 다시 반대 방향
으로 되돌아 오는 두 가지의 과제로 구성되어 있음.
② 충격계수기와 초시계를 ‘0’으로 맞추고, 첨필이 별의 상단 지점에 있는 지를 확인함.
③ 과제 1. 피평가자에게 ‘시작’이라고 말하면서 초시계를 작동시키고 동시에 작동 스위치를
‘시작’으로 올림.
④ 첨필이 시계방향으로 한 바퀴를 돌아 별의 가장 상단지점으로 돌아왔을 때 초시계를 멈추
고, 동시에 충격계수기의 작동스위치를 ‘멈춤’으로 내려 점수를 확인함.
⑤ 과제 2. 평가자는 피평가자에게 다시 ‘시작’이라고 말하면서 초시계를 작동시키고, 동시에
충격계수기의 작동 스위치를 ‘시작’으로 올림.
⑥ 피평가자는 반시계 방향(왼쪽)으로 한 바퀴 돌아 원래의 시작점으로 되돌아 옴.
⑦ 피평가자의 첨필이 별의 상단으로 되돌아오면 초시계를 멈추고, 동시에 충격계수기의 작동
스위치를 ‘멈춤’으로 내려 점수를 확인한 후 자료 입력 양식에 시간과 충격계수기 점수를
기록함.
⑧ 평가 중 첨필이 검은 색 별모양을 벗어날 때마다 충격계수기에 실수(오류)로 기록됨.

<사진 Ⅱ-20> MVE 동작성 검사 「양팔협응」 평가실시 과정



66








(4) 변형
① 의수를 착용한 경우 의수로 양팔추적기 손잡이를 잡을 수 있게 하여 동일한 방법으로 평가
를 실시함.
② 피평가자가 양팔추적기 손잡이를 잡을 수 없다면, 손과 손잡이를 고무 밴드나 끈으로 묶어
첨필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함.
③ 뇌병변 장애인의 경우 양팔추적기를 제어할 수 없다면 두 가지 점수란(T6, T7) 에 ‘X’(수
행불능)로 기록함. 피평가자가 약간이라도 조절할 수 있다면 첫 번째 과제(시계방향)를 동
직업평가도구 사용매뉴얼 「손 기능 평가도구편」

일한 방법으로 실시함. 만약 첫 번째 과제의 평가 시간이 230초 이상, 실수가 33이상일


경우 피평가자는 가장 낮은 등급을 받기 때문에 두 번째 과제는 실시할 필요가 없음. 이
때는 첫 번째 과제에서 받은 점수만을 자료 입력 양식에 기입함.

3) 평가결과 채점
(1) 피평가자가 평가에 임할 수 없다면 ‘X’로 기록함.
(2) 두 가지 과제를 수행하는데 소요된 총 시간(T6)을 계산함.
(3) 두 가지 과제를 수행하는데 충격계수기에 나타난 총 오류 횟수(T7)를 계산함.
(4) T6 : 과제 수행에 소요된 총 시간(초)
(5) T7 : 충격계수기에 나타난 총 오류 횟수


4) 해석 67

(1) MVE채점프로그램에 T6, T7를 입력하여 결과를 해석함. Ⅱ


(2) T6, T7의 값을 가지고 아래의 평점 산출표를 활용하여 결과를 해석함. 손


<표 Ⅱ-20> MVE 동작성 검사 「양팔협응」 평점 산출표 평

1 2 3 4 5 6 도
(5%) (20%) (25%) (25%) (20%) (5%) 구
평점 최고점수
매우 낮음 낮음 보통 이하 보통 이상 높음 매우 높음
===============================================================>
T7
T6 31- 8-30 3-7 2 1 0
1-3 2.4 3.5 4.2 4.9 5.5 6.0
4-70 2.4 3.5 3.9 4.0 5.0 5.5
71-94 3.0 2.8 3.5 4.0 4.5 4.5
94-125 1.7 2.4 3.0 3.5 3.9 3.9
126-215 1.4 2.0 2.4 2.8 3.2 3.2
216-230 1.0 1.4 1.7 2.0 2.2 2.2
Tip

• 평점 산출표와 MVE 채점프로그램은 동일한 결과를 산출함. 다만, MVE 채점프로그램을 활용할 시
적합한 직업 및 직무를 추천할 수 있기 때문에 MVE 채점프로그램을 활용할 것을 권유함.
• 연습 시 1분 동안 피평가자에게 위 쪽부터 한 바퀴를 돌도록 함. 1분 동안 한 바퀴를 돌지 못했을
경우 다 돌 때까지 기다림.
• 한 바퀴에 230초 이상의 시간이 걸리고, 오류 횟수가 33번 이상인 경우 더 이상 실시하지 않음.
• 점수는 시간 합계와 두 과제의 오류 합계이기 때문에 중간에 초시계나 충격계수기를 재설정(리셋)하지
않음.
• 장애 및 신체 기능상의 제한으로 손잡이의 힘 조절이 어려운 피평가자는 손잡이를 살짝 들어 가볍게
하도록 시범을 보이고, 첨필로 인해 바닥이 심하게 긁히지 않도록 주의하여야 함.



68 ▣ 양손협응(T8, T9)


<사진 Ⅱ-21> MVE 동작성 검사 「양손협응」



평 특정 작업을 완수하기 위해 일정한 방법으로 양손을 움직이는

도 능력을 평가하기 위해 실시함.

1) 평가준비

※ 준비사항 : 미로가 그려진 그림판(Etch-A-Sketch with Maze Overlay), 초시계

(1) 피평가자는 그림판을 양팔의 범위 내에서 편안한 거리에 두고 앉음.


(2) 초시계를 ‘0’으로 맞춤.
직업평가도구 사용매뉴얼 「손 기능 평가도구편」

2) 평가실시
(1) 평가방법 설명

“이 평가는 양손 협응력을 알아보기 위한 평가로 좌우측에 있는 손잡이를 돌려 미로의 경계선을 넘지


않으면서 미로 안에 선을 그리는 방법으로 진행하는 평가입니다”

(2) 피평가자 연습
① 오른쪽 손잡이를 회전시키면 선을 수직으로 그릴 수 있음.
② 왼쪽 손잡이를 회전시키면 선을 수평으로 그릴 수 있음.
③ 오른쪽, 왼쪽 손잡이를 동시에 회전시키면 대각선을 그릴 수 있음.

④ 만약 선이 미로의 경계선 밖으로 나가면 미로 안쪽으로 선을 되돌린 다음 미로모양을 따라 ▼

선을 계속 그릴 수 있도록 함. 69
⑤ 피평가자가 평가도구 사용에 익숙해질 수 있도록 충분한 연습시간을 줌.

⑥ 연습이 끝나면 미로의 시작점에 선을 그리는 점을 되돌려 놓고 평가도구를 뒤집어 부드럽

게 흔들어 연습한 선을 지움. 기


<사진 Ⅱ-22> MVE 동작성 검사 「양손협응」 평가실시 과정 가

(3) 평가실시
① 초시계를 ‘0’으로 맞추고, 점이 시작점에 위치하고 있는지를 확인함.
② 피평가자에게 ‘시작’이라고 말하면서 동시에 초시계를 작동시키고 피평가자가 미로를 완성
하면 초시계를 멈춤.
③ 평가자는 피평가자가 평가를 수행하면서 나타난 오류의 총 횟수(선이 미로 경계선을 벗어
난 횟수)를 채점함.
(4) 변형
피평가자가 한손으로 평가 실시가 가능할 지라도 양손협응 평가에서는 양손을 활용하는 능력
을 평가하는 것이기 때문에 평가를 실시할 수 없음. 이 때는 자료 입력 양식에 수행불능을 나
타내는 ‘X’를 기입함.

3) 평가결과 채점
(1) 피평가자가 평가에 임할 수 없다면 자료 입력 양식에 ‘X’로 기록함.
(2) 오류 횟수(선이 미로 경계선을 벗어난 횟수)를 셀 때, 70번 이상의 오류가 나타났다면 더
이상 채점하지 말고 71번으로 점수를 기록함. 이 점수는 정확도에서 ‘l.0(매우 낮음)’의 등

▼ 급으로 분류됨.

▼ (3) 피평가자가 미로의 경계선을 넘은 경우 점을 되돌리라는 지시를 따르지 않고 오히려 미로
70 의 일부분을 건너 뛰었다면 평가자는 아래 두 가지 중 한 가지를 선택할 수 있음.

Ⅱ 첫째, 평가시간이 짧고 점이 미로의 많은 부분을 건너뛰었을 경우, 평가자는 피평가자에게

손 경계선을 넘지 않을 곳으로 점을 되돌리도록 지시함. 점이 되돌아가면 정상적으로 수행한


기 곳에서 부터 이어서 하도록 지시함.

평 둘째, 피평가자가 평가를 수행하는 시간이 오래 걸리는 경우, 평가자는 피평가자가 이 부

도 분을 건너뛰고 남은 미로를 계속해서 수행하도록 함. 이 때 남은 부분을 수행한 결과를

통해 건너뛴 부분에서 일어날 수 있는 오류 횟수를 추정함.
(4) 미로를 통과하는데 소요된 총 시간(T8, 분)을 채점함.
(5) 선이 미로 경계선을 벗어난 총 오류의 횟수(T9, 정확도)를 채점함.
(6) T8 : 과제 수행에 소요된 시간(분)
(7) T9 : 경계선을 벗어난 총 오류의 횟수

4) 해석
(1) MVE채점프로그램에 T8, T9를 입력하여 결과를 해석함.
(2) T8, T9의 값을 가지고 아래의 평점 산출표를 활용하여 결과를 해석함.
직업평가도구 사용매뉴얼 「손 기능 평가도구편」

<표 Ⅱ-21> MVE 동작성 검사 「양손협응」 평점 산출표


1 2 3 4 5 6
평점 (5%) (20%) (25%) (25%) (20%) (5%) 최고점수
매우 낮음 낮음 보통 이하 보통 이상 높음 매우 높음
=======================================================================>
T9
T8 62-71 61-12 4-11 2-3 1 0
22-99 1.0 1.4 1.7 2.0 2.2 2.4
21-10 1.4 2.0 2.4 2.8 3.2 3.5
7-9 1.7 2.4 3.0 3.5 3.9 4.2
5-6 2.0 2.8 3.5 4.0 4.5 4.9
3-4 2.2 3.2 3.9 4.5 5.0 5.5

2-1 2.4 3.5 4.2 4.9 5.5 6.0 ▼

71
Tip

• 평점 산출표와 MVE 채점프로그램은 동일한 결과를 산출함. 다만, MVE 채점프로그램을 활용할 시 손
적합한 직업 및 직무를 추천할 수 있기 때문에 MVE 채점프로그램을 활용할 것을 권유함. 기

• 인지적 장애가 있는 피평가자에게 평가방법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평가자는 상하・좌우 대각선 등

평가 중 선을 움직일 수 있는 방법들을 언어적 설명과 병행하여 시범을 보임. 가


▣ 조준(T13, T14)

<사진 Ⅱ-23> MVE 동작성 검사 「조준」

특정 고정된 위치로 손을 정확하게 이동시키는 능력을 평가하


기 위해 실시함.

1) 평가준비

▼ ※ 준비사항 : 플라스틱이 삽입된 구공판(Hole Plate), 길고 얇은 첨필, 충격계수기, 연결용 전선 1개,

초시계
72

Ⅱ (1) 높낮이 조절 평가대를 허리 높이로 맞춤. 높낮이 조절 평가대가 없을 경우 평가에 영향을



주지 않는 상자를 플라스틱이 삽입된 구공판 밑에 깔아 허리 높이로 맞춤.

능 (2) 플라스틱이 삽입된 구공판을 책상 끝에 평행이 되게 놓음.

가 (3) 피평가자는 플라스틱이 삽입된 구공판 앞에 편안한 거리를 두고 허리가 굽혀지지 않도록

구 똑바로 서서 우세손으로 연필 잡듯이 첨필을 잡음. 이 때 피평가자의 손과 팔은 어떠한
지지도 없이 자유로워야 함.

2) 평가실시
(1) 평가방법 설명

“이 평가는 고정된 위치로 손을 정확히 이동시키는 능력을 알아보기 위한 평가로 긴 첨필을 플라스틱이
삽입된 구공판의 구멍을 지나 플라스틱을 빠르게 치고 빼는 방법으로 진행하는 평가입니다”
직업평가도구 사용매뉴얼 「손 기능 평가도구편」

(2) 피평가자 연습
① 평가자는 피평가자에게 이 평가는 속도와 정확도 모두 중요하게 평가된다는 것을 설명함.
② 평가는 가장 큰 구멍부터 시작하여 가장 작은 구멍으로 이동하면서 플라스틱이 삽입된 구
공판의 가장자리를 건드리지 않고 첨필을 빠르게 꽂으며 플라스틱을 치고 첨필을 빼는 식
으로 진행됨.
③ 피평가자에게 약 10초 동안 연습시간을 줌.

(3) 평가실시
① 충격계수기와 초시계를 ‘0’으로 맞춤.
② 충격계산기의 작동스위치를 ‘시작’ 위치로 올림.
③ 피평가자에게 ‘시작’을 알리면서 초시계를 작동시킴. ▼


④ 평가는 구공판 상단의 가장 큰 구멍부터 시작하여 우측 하단의 가장 작은 구멍까지 첨필을
73
빠르게 꽂으며 플라스틱을 치고 첨필을 빼는 식으로 진행되며, 피평가자가 마지막 구멍에
서 첨필을 뺄 때 평가자는 초시계 작동을 중지시키고 작동스위치를 ‘멈춤’으로 내림. Ⅱ
⑤ 충격계수기 상의 수치(첨필이 구공판을 건드린 횟수)와 평가에 소요된 초 단위 시간을 자 손
료 입력 양식에 기록함. 기


<사진 Ⅱ-24> MVE 동작성 검사 「조준」 평가실시 과정 가

(4) 변형
① 이 평가는 시력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심한 시각적 손상으로 구멍을 볼 수 없거나 첨필을
잡을 수 없다면 수행불능(cannot take)을 의미하는 ‘X’를 자료 입력 양식에 기록함.
② 우세손에 손상을 입었다면 비우세손을 이용해 평가를 실시함.
③ 신체적 장애로 서서 평가를 수행할 수 없는 피평가자는 앉아서 평가를 수행할 수 있음. 다
만, 팔이 몸통이나 의자 팔걸이 등에 붙어 안정성을 가지지 않도록 주의가 필요함.
3) 평가결과 채점
(1) 이 과제를 완수하는데 소요되는 총 시간(T13/초)을 측정함.
(2) 충격계수기에 기록된 총 오류(접촉) 횟수(T14)를 측정함.
(3) T13 : 과제 수행에 소요된 시간(초)
(4) T14 : 충격계수기에 기록된 총 오류(접촉) 횟수

4) 해석
(1) MVE채점프로그램에 T13, T14를 입력하여 결과를 해석함.
(2) T13, T14의 값을 가지고 아래의 평점 산출표를 활용하여 결과를 해석함.


▼ <표 Ⅱ-22> MVE 동작성 검사 「조준」 평점 산출표
74 1 2 3 4 5 6
평점 (5%) (20%) (25%) (25%) (20%) (5%) 최고점수
Ⅱ 매우 낮음 낮음 보통 이하 보통 이상 높음 매우 높음
손 ==============================================================>
기 소요시간

평 접촉회수 0-2 3-6 7-10 11-15 16-28 29-99
가 1-5 6.0 5.5 4.9 4.2 3.5 2.4

구 6-8 5.5 5.0 4.5 3.9 3.2 2.2
9-10 4.9 4.5 4.0 3.5 2.8 2.0
11-14 4.2 3.9 3.5 3.0 2.4 1.7
15-24 3.5 3.2 2.8 2.4 2.0 1.4
25-99 2.4 2.2 2.0 1.7 1.4 1.0

Tip

• 평점 산출표와 MVE 채점프로그램은 동일한 결과를 산출함. 다만, MVE 채점프로그램을 활용할 시
적합한 직업 및 직무를 추천할 수 있기 때문에 MVE 채점프로그램을 활용할 것을 권유함.
• 피평가자는 평가 시 첨필로 구공판 뒤의 플라스틱을 쳐서 소리가 나도록 정확히 수행하여야 함.
• 피평가자는 평가자의 시범에 양향을 받을 수 있으므로 평가자는 정확하고 빠르게 시범을 보이며 사전
에 충분한 연습을 통해 피평가자가 평가방법을 숙지할 수 있도록 함.
직업평가도구 사용매뉴얼 「손 기능 평가도구편」

▣ 반응시간(T15)

<사진 Ⅱ-25> MVE 동작성 검사 「반응시간」

외적 신호에 대한 조건반사적인 운동의 속도를 평가하기 위해


실시함.

1) 평가준비


※ 준비사항 : 반응시간 측정기(Reaction Time Module), 시작 스위치, 초시계 ▼

75
(1) 반응시간 측정기의 LCD화면 옆 적색 단추를 눌러서 반응시간 측정기를 ‘0’으로 맞춤.
(2) 피평가자는 반응시간 측정기에 편안한 거리를 두고 앉아 우세손 중 원하는 손가락을 반응 Ⅱ
시간 측정기에 있는 키에 올려놓음. 손

(3) 평가자는 ‘시작’ 스위치를 언제 누르는지 피평가자가 볼 수 없도록 스위치를 감싸쥐고 무 능
릎에 놓음. 평

(4) ‘시작’ 스위치를 누르면 반응시간 측정기 중앙에 위치한 붉은색 전구에 불빛이 잘 들어오 도

는 지를 확인함.

2) 평가실시
(1) 평가방법 설명

“이 평가는 조건반사적인 속도를 측정하는 것으로 불빛이 들어오면 키를 최대한 빨리 눌러 반응시간을


측정하는 평가입니다.”
(2) 피평가자 연습
평가자는 실제 평가처럼 다양한 간격으로 스위치를 눌러 불빛을 들어오게 하고, 피평가자가
키를 눌러 불빛을 끄는 연습을 실시함.

(3) 평가실시
① 반응시간 측정기 뒷면에 있는 반응시간 기록계를 ‘0’으로 맞춤.
② 피평가자에게 반응시간 측정기에 불이 켜지면 가능한 한 빨리 키를 누르라고 말함.
③ 평가자는 ‘시작’이라고 말하고 평가를 실시함.
④ 자료 입력 양식에 나와 있는 일정한 시간간격으로 10회 평가를 진행함.
※ 평가자는 2초, 5초, 3초, 7초, 6초, 3초, 2초, 7초, 5초, 2초 간격으로 스위치를 누름.

▼ ⑤ 10번의 시도마다 각각의 반응시간을 확인하고 시간을 기록함.

76
<사진 Ⅱ-26> MVE 동작성 검사 「반응시간」 평가실시 과정







(4) 변형
반응시간 측정기를 제어하는데 적절한 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면 하반신 지체장애인의 경우에
도 반응시간을 평가할 수 있음. 만약 그렇지 않다면 자료입력 양식에 'X'라고 기입하여 피평
가자가 평가에 임할 수 없음을 나타냄.
직업평가도구 사용매뉴얼 「손 기능 평가도구편」

3) 평가결과 채점
(1) 10번의 시도마다 반응시간 측정기에서 측정된 시간을 자료 입력 양식에 기록함.
※ 반응시간 측정기는 1초의 100분의 1까지 시간을 나타냄. 즉, 1초는 100으로 보여짐.
(2) 10번 시도로 소요된 총 시간(T15)을 계산함.
(3) T15 : 반응시간 측정기 뒷면에 있는 반응시간 기록계에 나와 있는 시간

4) 해석
(1) MVE채점프로그램에 T15를 입력하여 결과를 해석함.
(2) T15의 값을 가지고 아래의 평점 산출표를 활용하여 결과를 해석함.


<표 Ⅱ-23> MVE 동작성 검사 「반응시간」 평점 산출표 ▼

1 2 3 4 5 6 77
(5%) (20%) (25%) (25%) (20%) (5%) 최고
평점
매우 낮음 낮음 보통 이하 보통 이상 높음 매우 높음
점수 Ⅱ
=============================================================> 손

T15 698~ 487~697 396~486 317~395 228~316 ~227 능


Tip 도

• 10번의 시도 중 어떤 시도는 다른 시도들 보다 반응 시간이 매우 길어지는 경우가 있음. 이것은 피


평가자가 집중을 하지 않아 발생한 것일 수 있으므로 특별한 사유가 없는 한 그 결과를 포함함.
• 만약 피평가자가 평가 중 방해를 받았다면 그 결과는 제외하고, 평가 마지막에 제외된 시도만큼의 시
간을 추가하여 재평가를 실시함.
• 피평가자가 자극 불빛이 언제 켜질 지를 예측할 수 없도록 자료 입력 양식에 제시되어 있는 시간대로
평가를 진행함.
4. 자료입력

1) 자료입력양식에 기본정보를 기록하고, 피평가자와 관련된 항목 각각에 등급을 부여하는 기


준에 따라 숙련기간(SVP) ․ 직무선택기준(JSC) ․ 신체적 제한점(PL) ․ 작업환경(WC) ․ 대
인관계(PR)의 등급을 정해 기록함.
2) 평가점수 란에는 평가수행 여부에 따라 수행불능(cannot take)인 경우 ‘X’, 평가를 수행할
수 없는 경우 ‘*’를 기록하고 매뉴얼에 제시되어 있는 채점방법에 따라 점수를 기록함.
3) MVE 채점 프로그램을 실행시켜 자료 입력 양식에 기입한 정보·점수 등을 입력하여 결과
를 구함.




(1) SVP : (과거 또는 미래) 직업경력 또는 교육훈련 기간
78
<표 Ⅱ-24> MVE 자료입력(SVP)

코드 1 2 3 4 5 6 7 8 9

10년
기 기간 시범 30일 3개월 6개월 1년 2년 4년 10년
능 초과



구 ① 고졸이하 : 직업훈련에 투자할 수 있는 기간을 의미
② 대졸 : SVP 7
③ 직업경력을 참조 : 만약 감독 일을 했다면 적어도 4년 이상의 훈련이 필요하였을 것이므로
SVP를 7이상 부여
④ 결과 참조시 유의 : 7점 이상은 전공과 무관한 직업이 포함되어 출력되므로 고려
⑤ SVP와 GED는 정적상관관계에 있으므로 지적능력이 평균 이하인 사람이 SVP가 5이상인
것은 직업잠재능력의 향상과 무관
직업평가도구 사용매뉴얼 「손 기능 평가도구편」

(2) JSC : 적합직업 출력 선택조건

<표 Ⅱ-25> MVE 자료입력(JSC)

코드 선 택 조 건
1 GED 또는 SVP 점수 이상으로 검색할 경우
중증장애인으로 제한점이 많은 사람에게 유용
2 - 시각, 운동범위(REACHING), 좌식작업에 국한된 사람에게 유용
- 추상논리가 100점 이상인 중증장애인에 적용

(3) PL : 신체적 제한점


① LIFTING : 들어올림 ▼


- 운반, 끌기, 밀기 등 육체적 힘을 요하는 요소
79

<표 Ⅱ-26> MVE 자료입력(PL-LIFTING) Ⅱ


코드 선 택 기 준 관 련 직 업 손

휠체어 또는 보조기, 목발사용 장애인으로 수초간 서 있을 수 없는 상담가, 사진기수리사, 능
0
사람 및 중증의 심장계질환자에 적용 광고타이피스트 평

의료적으로 최고 약 9㎏이상 들 수 없고, 수시 약 4.5㎏의 물건을 도
1 약사, 산업미술교사 구
들거나 운반할 수 없는 사람
최고 약 22.5㎏이상 들 수 없고, 수시 약 13㎏의 물건을 들거나 운 물리치료사, 자동차정비사,
3
반할 수 없는 사람 경찰관
최고 약 45㎏이상 들 수 없고, 수시 약 22.5㎏의 물건을 들거나 운 쓰레기수거원, 일반노무자,
5
반할 수 없는 사람 장비공구 소매점원
노무자, 앰블런스 기사,
6 약 45㎏를 초과하는 물건을 들거나 운반할 수 있는 사람
임업종사자
② CLIMBING : 기어오름/올라감
- 미끄러운 바닥 위를 구부리거나 움직일 때 균형을 유지하는 능력

<표 Ⅱ-27> MVE 자료입력(PL-CLIMBING)

코드 선 택 기 준 관 련 직 업
심한 관절염, 다중경화, 근디스트로피, 심장질환으로 짧은 사다리 사진여행가, 검사주임,
0
나 비행기 계단을 오르지 못하는 좌식작업에 랭크된 사람 전자기술자
꽃디자이너, 도서관사서,
1 경도의 관절염, 심장질환으로 가끔씩 오를 수 있는 사람
공구판매상점원
산불감시원, 건축업종사자,
2 제한이 없는 사람
전기톱기사


▼ ③ STOOPING : 구부림
80
- 무릎 꿇기, 웅크리기(구부리기), 기기 능력을 포함한 요소
Ⅱ <표 Ⅱ-28> MVE 자료입력(PL-STOOPING)


코드 선 택 기 준 관 련 직 업

공구디자이너, 보석가공사,
평 0 보조기, 의족 사용자 또는 관절염으로 구부리기가 곤란한 사람
가 유통사무원

구 트랜스미션기술자,
1 수시로 구부리기는 가능하지만 장시간 곤란한 무릎질환
폭발물감독, 요리사
엔진기술자, 보일러공,
2 제한이 없는 사람
판금노동자

④ STANDING : 서기
- 광범위한 서기, 걷기로서 들기(Lifting)와 연관이 있음.

<표 Ⅱ-29> MVE 자료입력(PL-STANDING)

코드 선 택 기 준 관 련 직 업
뇌성마비, 다중경화, 심한 관절염, 심장질환으로 광범위한 서기, 걷 신문편집, 판매매니저,
0
기가 곤란한 사람 회계사무원
1 제한이 없는 사람 영화조감독, 사환, 요리사
직업평가도구 사용매뉴얼 「손 기능 평가도구편」

⑤ REACHING : 손 뻗기
- 만지기, 손가락 사용하기, 촉각 포함.
- 손 민첩성 검사를 수행할 수 있는 사람은 최소한 2에 랭크
- 2이하로 랭크되면 직업 제외범위가 매우 커짐에 주의할 것

<표 Ⅱ-30> MVE 자료입력(PL-REACHING)

코드 선 택 기 준 관 련 직 업
책상에 앉아 가까이 있는 물건을 잡을 수 없는(물건까지 뻗을 도시계획전문가, 구매가격분석가,
0
수 없는) 사지마비 : 손재능검사 수행불가 경제학자
책상 앞 가까이에 있는 물건만 조작 가능, 만약 가까이에 있는 기금운용(증식)가, 방송모니터,
1
물건을 쉽게 다룬다면 2에 랭크 언어학자 ▼

어깨 또는 상체상해로 인하여 머리 위로 뻗기가 곤란한 기계설계사, 사고기록원, ▼
2
(머리 위 물건을 다룰 수 없는) 사람 주차요원 81
3 가끔은 머리 위에 있는 물건 다루기가 가능한 사람 기계기술자, 약사, 기계조립원

도서관 사서, 트랜스미션기술자,
4 제한이 없는 사람 손
유리닦기(세척원)



⑥ HEARING : 청각 가

- 말하기는 제외함. 구

<표 Ⅱ-31> MVE 자료입력(PL-HEARING)

코드 선 택 기 준 관 련 직 업
원예가, 카탈로그편집자,
0 수화 또는 필담만 가능한 사람
기계제작공, 재봉사
작동조사분석가,
3 전화는 사용할 수 없으나 구화를 사용하는 사람
다이캐스팅감독, 용광로조작자
보청기를 사용할 필요는 없으나 듣기능력이 현저히 떨어지는 사 계약담당자, 사무실관리자,
4
람, 전화사용 가능자 전화법무사
시청각제품제작자,
5 제한이 없는 사람
항공관제요원, 군무원
⑦ SPEAKING : 말하기
- 생각을 구어로 표현 또는 변환시키는 능력

<표 Ⅱ-32> MVE 자료입력(PL-SPEAKING)

코드 선 택 기 준 관 련 직 업
듣지만 수술 또는 질병으로 지적언어능력이 감소한 사람, 언어소 생물표본전문가,
0
통이 없는 직업에 종사 문서보관원, 실험실검사원
뇌성마비로 인하여 언어장애는 있으나 언어패턴에 익숙해지면 의 도시계획전문가,
1
사소통이 가능한 사람 구매가격분석가, 경제학자
상담원, 아나운서,
2 제한이 없는 사람
비행기조종사


82 ⑧ VISION : 시각
- 적용에 주의할 것


<표 Ⅱ-33> MVE 자료입력(PL-VISION)


코드 선 택 기 준 관 련 직 업

가 통신원, 상담감독자,
도 0 전맹으로 점자를 읽을 수 없는 사람
구 복사기조작원
점자번역가, 정보관리자,
2 전맹으로 점자사용(0과의 차이점: 정보수집)
음악평론가
작동 조사분석가, 고용조사
3 구체적 시각장비는 사용하지 않으나 특수문자는 읽기가 가능한 사람
계획담당, 기록관리담당
산업맹으로 보장구를 사용하여 시야를 확보하고 비교적 빨리 일반
사회사업가, 기금운용(증식)가,
4 문서를 읽을 수 있는 사람. 보장구가 필요하나 편지정도는 한번에
배차원
읽을 수 있는 사람
토양보존전문가, 임상심리학자,
5 시야가 20/40이하인 사람
물리치료사
디스플레이어, 그래픽디자이너,
6 제한이 없는 사람
외과의사
직업평가도구 사용매뉴얼 「손 기능 평가도구편」

⑨ COLOR VISION : 색 구분

<표 Ⅱ-34> MVE 자료입력(PL-COLOR VISION)

코드 선 택 기 준 관 련 직 업
보험설계사, 사무원,
0 색맹, 기본색 구분이 안되는 사람(적녹색맹 등)
시계조립공
기본색 구분은 가능하나 미묘한 형태의 색구분에 혼동이 있는 사람 전자기술자, 캐셔,
1
(색번짐 현상 등) 자동차공학자
화학자, 그래픽디자이너,
2 제한이 없는 사람
인테리어디자이너


(4) WC : 작업환경의 제한은 의료적 상태나 개인적 선호도에 달려있음. ▼

- 개인적 성향에 의해 꺼리는 것은 가급적 기입하지 않도록 할 것 83


① INSIDE / OUTSIDE / BOTH : 실내/실외


<표 Ⅱ-35> MVE 자료입력(WC-INSIDE / OUTSIDE / BOTH) 능

코드 선 택 기 준 관 련 직 업 가

0 실내에서만 작업하는 직종 산업디자이너, 총포상, 분쇄기원 구
1 실내/실외에서 작업하는 직종 부동산중계사, 농공학자, 환경분석가
2 실외에서만 작업하는 직종 사냥안내원, 정원사

② COLD : 저온
- 직업, 주거지역에 따른 범주

<표 Ⅱ-36> MVE 자료입력(WC-COLD)


코드 선 택 기 준 관 련 직 업
0 추위에 견디는 것이 요구되지 않는 직종 현금출납원, 유치원교사, 법률가조수
1 약간의 추위에 견디는 것이 요구되는 직종 건축공학, 치즈제조, 주차요원
2 아주 심한 추위에 견디는 것이 요구되는 직종 낙농업종사, 육가공종사, 냉동기사
③ HEAT : 고온
- 용광로열, 지역기후

<표 Ⅱ-37> MVE 자료입력(WC-HEAT)

코드 선 택 기 준 관 련 직 업
0 더위에 견디는 것이 요구되지 않는 직종 산업공학자, 정보과학자, 비디오기사
1 약간의 더위에 견디는 것이 요구되는 직종 공원경비원, 압출기조작원
2 아주 심한 더위에 견디는 것이 요구되는 직종 요리사, 용광로기사, 소방수

④ WET / HUMID : 축축함 / 다습





<표 Ⅱ-38> MVE 자료입력(WC- WET / HUMID)
84
코드 선 택 기 준 관 련 직 업
Ⅱ 0 일반적으로 습기가 있는 곳에서는 작업을 하지 않는 직종 행정보조, 설계사(주로 실내작업)
손 1 물에 약간 포함되어 있을 수 있는 직종 도시공학, 원예가, 선박부품 설비자

능 2 물 또는 습한 곳에서 계속적으로 해야 하는 직종 페인트공, 어부, 병원청소부



구 ⑤ NOISE : 소음
- 진동포함.

<표 Ⅱ-39> MVE 자료입력(WC- NOISE)

코드 선 택 기 준 관 련 직 업
0 작업과 관련해서 계속적인 소음이 없는 직종 원예가, 보험계산원, 모피디자이너
1 자주 작업과 관련하여 보통의 소음이 있는 직종 안전공학, 야채재배, 자동차검사원
2 자주 그리고 큰 소음속에서 작업해야 하는 직종 탱크탑승원, 수동착암기 기사
직업평가도구 사용매뉴얼 「손 기능 평가도구편」

⑥ HAZARDS : 위험성

<표 Ⅱ-40> MVE 자료입력(WC-HAZARDS)

코드 선 택 기 준 관 련 직 업
0 일반적으로 위험성이 없는 직종 전기작가, 사무기기서비스, 앰플충전
직무를 수행하는 사람에게만 약간의 위험이 있을 수
1 펄프프레스, 건축노무자, 임업종사자
있는 직종
근로자 또는 다른사람에게 매우 위험할 수 있는
2 잠수함조종사, 버스기사, 자동차정비
직종

⑦ DUST / FUMES : 분진 / 연기

- 냄새, 독가스, 탁한공기 ▼

85
<표 Ⅱ-41> MVE 자료입력(WC- DUST / FUMES)

코드 선 택 기 준 관 련 직 업


0 먼지 또는 연기가 없는 직종 S/W기사, 일러스터, 설계보조

1 먼지 또는 연기가 약간 있는 직종 사탕제조, 지질학자, 엔진정비사 능

2 면지 또는 연기 속에서 계속적으로 작업해야 하는 직종 개미구제, 펌프조작, 주석분쇄 가

5. 결과해석

1) MVE채점프로그램을 구동하면 피평가자가 각 하위평가 마다 얻은 원점수를 평점으로 자동


산출하고, 1.0(매우 낮음)~6.0(매우 높음)까지의 평점을 숫자와 그래프로 보여줌.
2) 유의사항은 어떤 사람이 운전이나 기계 조작에 우수한 능력이 있지만, 발작이나 무의식적
인 경련이 있는 피평가자의 경우 이러한 피평가자의 특성을 MVE 자료 입력 양식에 기록
하여 보고서에 모험적인 직무는 피하고 모험적이지 않는 직무를 가능한 목록으로 제시함.
3) 자료입력 양식의 결과를 MVE 채점프로그램에 자료를 입력하여 결과를 산출함.
4) 평가결과는 MVE채점프로그램이 각 하위평가 마다 얻은 원점수를 기반으로 하여 DOT 상
에서 적합한 직업 및 직무를 찾아 제시함으로써 피평가자가 해당 직무를 수행할 수 있는
기본적인 능력이 있음을 보여줌.
5) MVE 채점프로그램이 없는 경우 매뉴얼에 있는 평점 산출표를 활용하여 해석함.

Tip

• MVE 채점프로그램 활용 시 추천 직종와 직무가 나열되나, 국내에서는 MVE를 활용하는 직업재활관


련 기관의 주 이용자가 지적 및 자폐성 장애인이 많기 때문에 인지적 한계나 문화적 한계로 인해 현
실적인 직무매칭에 어려운 경우가 있음. 이에 평가자는 피평가자의 능력점수에 기반을 둔 현실적인
직무 파악에 노력해야 함.

▼ • MVE 채첨프로그램 활용 시 언어성 검사와 동작성 검사를 병행하여 활용해야 적합한 추천 직무와 산

▼ 업이 연결되나 언어성 검사의 경우 지적능력이 많이 요구되어 지적능력이 부족한 장애인에게 적용하
86 는데 어려움이 있음. 동작성 검사 결과로만 MVE 채점 프로그램을 활용할 경우 언어성 검사 결과를
요하는 항목에 ‘X’를 입력하여 채점프로그램을 시행함.








직업평가도구 사용매뉴얼 「손 기능 평가도구편」

6. 결과해석 사례

1) MVE 채점 프로그램 평가결과 입력 예시



87








(1) 평점은 1.0~6.0의 점수로 제시됨.


(2) DOT : 직업사전에 정의된 번호
(3) GOE : 산업명
(4) LHVG : 들어올리기(Lifting : 0~6), 청각(Hearing : 0~6:), 시각(Vision: 0~6), 정규교
육(GDE : 1~6)
(5) SVP : 숙련기간

• 만 17세 남성 지적장애인 사례(우세손 : 오른손)

* MVE 동작성 평가
1 2 3 4 5 6
검 사 항 목 등급 수 준
매우 낮음 낮 음 낮은 평균 높은 평균 높 음 매우 높음
손 가 락 기민성 2.0 낮음
▼ 손목/손가락속도 2.0 낮음

▼ 팔/손 안 정 성 3.0 낮은 평균
88 손 기 민 성 3.0 낮은 평균

Ⅱ 양 팔 협 응 3.0 낮은 평균

손 양 손 협 응 3.0 낮은 평균
기 조 준 능 력 4.0 높은 평균

평 반 응 시 간 4.0 높은 평균

도 - 추천직무
구 : 셀프 서비스 식당 종업원
: 비상근 통신원
: 컴퓨터를 활용하여 싼가격에 물건을 파는 사람
: 농산물을 세척하는 사람
: 도장찍는 일을 하는 사람
: 단열재 포장원
: 스크랩하는 사람
피평가자는 조준능력과 반응시간에서 높은 평균 수준으로 우수한 능력을 보이고 있으며, 팔/손 안정성,
손기민성, 양팔협응, 양손협응에서는 낮은 평균으로 양호한 수준을 보이고 있음. 다만 손가락 기민성과 손
목/손가락 속도에서 낮은 수준을 보이고 있어 직능개발훈련을 통해 기능 향상에 노력하는 것이 좋을 듯함.
피평가자는 작은 부품을 활용하여 조립하거나 포장하는 직무보다는 중간크기 정도의 부품을 활용한 직
무 참여에서 보다 높은 수행도를 보일 것으로 사료됨. 추천 직무로는 식당 종업원, 농산물 세척원, 우체국
직무 보조원 등을 추천하며, 현재 고등학생으로 지속적인 특수교육에 참여하고, 재학 기간 동안 서비스 직
종, 1차 직종, 우편물 분류원으로 현장실습을 통해 직무 적합성을 파악하는 것이 좋을 듯함.
직업평가도구 사용매뉴얼 「손 기능 평가도구편」

7. 부록

1) MVE 자료 입력 양식
<표 Ⅱ-42> MVE 자료 입력 양식
성 명 검 사 일
숙련기간
생년월일
(SVP)
직무선택기준(JSC) 기 타

신체적 제한점 작업환경 대인관계


1=YES 2=NO 1=YES 2=NO 0=범주포함
들어올림 01356 실내/실외 123 자문 ▼
기어오름/올라감 012 저온 012 협의 ▼

구부림 012 고온 012 교육
89
서기 01 축축함/다습 012 감독
손 뻗기 01234 소음/진동 012 오락제공
청각 0345 위험성 012 설득

말하기 012 분진/연기 012 말하기/신호하기 손
시각 023456 서비스제공 기

색 구분 012 지시따르기


X : 수행불능(Cannot Take) 검사점수 * : 실시안함(Did Not Give) 도

T1 손가락민첩성(우) 30초(좌식) 개 T13 조준(시간) 초
(좌식)
T2 손가락민첩성(좌) 30초(좌식) 개 T14 조준(정확도) 개
T3 손목-손가락속도 30초(입식) 개 T15 반응시간 (좌식) 초
T4 팔-손안정성 15초씩(입식) 개 T16 추상논리
T5 손민첩성 (입식) 초 T17 언어추리
T6 양팔협응(시간) 초 T18 수리추리
(좌식)
T7 양팔협응(정확도) 개 T19 구두지시
T8 양손협응(시간) 분 T20 독해력 수준
(좌식)
T9 양손협응(정확도) 개 T21 수리력 수준
T10 지각정확성(숫자) T22 지도력(구조화)
T11 지각정확성(이름) T23 지도력(배려)
T12 공간지각 T24 판매태도
MT15 반응시간 간격 : 2,7,10,17,23,26,28,35,40,42 T25 인지

파일이름 입력자 입력날짜


2) 참고문헌
한국장애인고용공단(1996). MVE 사용지침서.
한국장애인고용공단(2005). MVE 실시요강.
한국장애인고용공단(2009). 장애인직업능력평가 매뉴얼.
허태라(2011). MVE 활용의 실제. 2011년 중증장애인직업재활지원사업 전문인력 2차 평가도
구 교육 교재.
Hester Evaluation Systems, INC(1992). MVE Testing Manual.



90









직업평가도구 사용매뉴얼 「손 기능 평가도구편」

❚Work Activities
<사진 Ⅱ-27> Work Acitivities

Work Activities는 실제 작업환경과 흡


사한 작업활동을 통해 양손의 기능, 작업
기술, 색 변별력, 인지력, 작업태도 등을
평가할 수 있는 작업표본평가도구로 직업
흥미탐색, 훈련프로그램으로도 활용됨.



91
1. 개요

1) 평가목적 손


Work Activities는 변별, 조립, 포장작업과 같은 기술과 행동 등 2차 산업현장에서 필요한 직

무능력을 평가하기 위해 실시함. 가

2) 평가대상
모든 장애인

3) 평가시간
변별(100시리즈)과제는 정확도를 기준으로 하며 별도의 기준시간이 제시되지는 않으나, 조립
(200시리즈)과제와 포장(300시리즈)과제는 각 과제마다 기준시간이 제시됨.

4) 도구 구성
Work Activities는 크게 변별, 조립, 포장과제로 구성되어 있음.
<표 Ⅱ-43> Work Activities 하위 평가도구
평가과제(번호) 도구명
100B 빗과 솔 분류(Brush and Comb Sort)
101 숟가락 분류(Spoon Sort)
변별 103 기본 크기 분류(Basic Size Sort)
(100 105 다양한 단서로 된 물품 분류(Cue Variable Sort)
시리즈) 108 6개 품목 분류(Six Item Sort)
109 고무 부품 분류(Rubber Parts Sort)
110 24개 품목 분류(Twenty-Four Item Sort)
200 빗 세트 조립/분해(Comb Set Assembly/Disassembly)
202 다양한 색상의 볼트와 너트 조립/분해(Colorful Nuts and Bolts Assembly/Disassembly)
203 플라스틱 관 조립/분해(Plastic Pipe Assembly/Disassembly)

▼ 205 연결기 조립/분해(Coupling Assembly/Disassembly)

205A 열쇠고리 조립/분해(Key Ring Assembly/Disassembly)
92 조립
206 호스노즐 조립/분해(Hose Nozzle Assembly/Disassembly)
(200
207 연결관 조립/분해(Connector Assembly/Disassembly)
Ⅱ 시리즈)
208 펜 조립/분해(Pen Assembly/Disassembly)

209 손전등 조립/분해(Flashlight Assembly/Disassembly)

능 210 스프링클러 조립/분해(Sprinkler Assembly/Disassembly)
평 210A 클립과 고리 조립/분해(Clip and Ring Assembly/Disassembly)

도 211 수도꼭지 조립/분해(Faucet Assembly/Disassembly)

300 칫솔통 조립/분해(Toothbrush Tube Assembly/Disassembly)
301 형광펜 포장/분해(Highlight Pen Packaging/Disassembly)
302 색종이 포장/분해(Color Match Collating/Disassembly)
303 4칸 칸막이 포장/분해(Four Compartment Packaging/Disassembly)
303A 연필 포장/분해(Pencil Packaging/Disassembly)
포장
304 스냅상자 포장/분해(Snap Box Packaging/Disassembly)
(300
305 용기 포장/분해(Container Packaging/Disassembly)
시리즈)
305A 주사위 포장/분해(Dice Packaging/Disassembly)
306A 공구세트 포장/분해(Tool Kit Packaging/Disassembly)
307 무게 달아 지퍼백에 담기/분해(Weighing and Bagging/Disassembly)
308B 비닐포장 후 가열밀봉/분해(Bagging and Heatsealing/Disassembly)
309 사무용품 포장/분해(Office Supplies Processing/Disassembly)
* 위 표는 2011년 Attainment Company의 판매목록 기준으로 현재 208번 펜조립/분해는 판매하고 있지 않음.
직업평가도구 사용매뉴얼 「손 기능 평가도구편」

(1) 변별과제(Discrimination Task)


변별과제는 사물 간의 차이점을 변별하는 과제로 모든 과제는 기본과제와 응용과제를 포함하
고 있음. 평가자는 단계별로 변화하는 복잡한 과제(응용과제)를 지도하고 과제의 연속과정을
진행하면서 피평가자의 수준에 맞게 난이도를 조정하여 알맞은 과제단계를 지시해 줄 수 있
음. 피평가자가 분류할 수량의 선택은 평가자가 결정함.
① 복잡한 응용과제(난이도)
변별과제는 세 종류의 응용과제로 제한되어 있어 복잡하지 않음.
- 변별할 종류의 수
- 종류와 그 외의 특징을 변별
- 종류별로 크기를 변별

복잡한 응용과제(난이도)는 위에 있는 변수들을 조정하면서 바꿈. ▼

미묘한 차이를 변별하는 것은 그 특징에 따라 차이가 있음. 93
예- 지름이 1/8보다는 1/2의 원을 변별하는 것이 더 쉬움.

분류과제에서 색상, 모양, 길이, 무게, 치수의 차이를 조정하면서 점차 복잡한 과제를 만들 수

있고 변별의 복잡성과 난이도는 다음과 같이 조정할 수 있음. 기

- 한개 이상의 특징에 따른 분류 :

예- 「#105 다양한 단서로 된 물품분류」는 6가지 색, 3가지 모양, 2가지 크기로 구성되어 가

있는데 같은 색끼리 분류 또는 같은 색이면서 같은 크기로 분류 구

- 관련 특징들 간의 일정한 차이에 따른 분류 :


예- 「#105 다양한 단서로 된 물품분류」에서 같은 색상이지만 서로 다른 모양으로 분류
- 관련이 없는 것에 대한 분류
예- 「#105 다양한 단서로 된 물품분류」에서 피평가자는 모양과 크기차이를 무시하면서 색
상에 따른 분류 또는 두 가지 변수를 무시하면서 모양이나 크기에 따른 분류
- 하나 이상 관련이 있는 것에 대한 분류
예- 「#110 24개 품목 분류」에서 같은 모양과 두께로 분류하거나 같은 색상과 두께로 분류
② 설치방법
- 설치 지시사항(준비물 배치도)을 보고 각 과제 설치
※ 준비물 배치도는 평가도구 판매처에서 제공하는 원문 매뉴얼 지침에 제시되어 있음.
<사진 Ⅱ-28> (예시) #110 24개 품목 분류 준비물 배치

- 시행할 과제의 분류기준에 따라 배치


- 수행방법에 대한 언어적인 지시 및 정확한 시범 필요

▼ - 분류상자에 분류할 부품 1개씩 견본으로 넣어둠.

94 ③ 과제수행에 어려움을 보이는 피평가자의 경우


- 과제를 일부 변경하여 언어적인 지시 및 정확한 시범 반복

- 기본과제나 수정된 과제의 훈련 실시

기 - 기본과제 반복


④ 수행도 평가

도 - 변별과제에서 수행도는 속도가 아니라 정확성에 기본을 둠.

: 변별과제는 제한시간은 없지만 시간측정을 할 수 있음. 하지만 정확하게 과제를 완성해야
한다는 점을 피평가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함.
- 변별과제에서의 오류는 아래와 같음.
: 부정확하게 분류한 부품
: 바닥에 떨어뜨린 부품
: 평가대 위에 남겨진 부품
: 수행 후 정확도가 95%이상 되도록 함. 만약, 95%미만일 경우 훈련이 요구됨.
: 분류하는데 있어 부품을 정렬하거나 필요 이상으로 부품을 만지는 등의 행동은 불필요한
행동으로 이 때 과제를 완성하는데 제한시간을 제시하면 불필요한 행동을 줄일 수 있음.
직업평가도구 사용매뉴얼 「손 기능 평가도구편」

(2) 조립과 포장과제(Assembly․Packaging Task)


모든 조립과 포장과제에는 기본과제, 응용과제, 분해과제를 포함하고 있음.
① 난이도 조정
난이도는 세 가지 변수에 의해 결정됨.
- 하나의 물품을 조립(포장)하는데 필요한 부품의 수
- 하나의 물품을 완성하는데 요구되는 단계의 연속적인 순서
- 단계별 조립(포장) 시 해당 단계의 근육운동과 연속적인 난이도
② 조립과 포장과제의 일반적 특징
- 수행 : 단계별 정확한 조작이 요구되기 때문에 단계별 순서를 정확하게 설명함.
- 분해 : 분해방법은 모든 조립과 포장과제에 포함. 분해는 부품을 재활용하는 과제로 부품

을 배치하는데 있어 정확도를 덜 요구하므로 조립보다 더 쉬울 수 있음. ▼

- 과제 설명 : 부품의 정확한 배치를 보여주도록 함. 설치 지시사항(준비물 배치도)을 참고 95
하여 정확한 배치에 관한 시범이 필요함. 또한, 분해의 응용과제도 설치 지시사항(준비물

배치도)을 참고하여 제시함.

- 규준 : 과제는 방법-시간측정(MTM : Methods-Time-Measurement) 또는 일반 산업근로 기

자가 모든 물품을 완성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규준으로 함. 모든 수행은 정확도 90%이상

이 되도록 하거나 이전에 적용된 규준보다 더 높은 정확도를 성취할 수 있도록 함. 가

- 수행 방향 : 조립(왼쪽 → 오른쪽) / 분해(오른쪽 → 왼쪽) 구

③ 설치방법
- 설치 지시사항(준비물 배치도)을 보고 각 과제를 설치함.

<사진 Ⅱ-29> (예시) #306A 공구세트 포장/분해 준비물 배치


- 수행방법에 대한 언어적인 지시 및 정확한 시범이 필요함.
- 피평가자에 따라 시범 후 추가적인 지시가 필요함.
- 분해과제에서 분류할 부품을 1개씩 넣어둠.
④ 과제수행에 어려움을 보이는 피평가자의 경우
- 다른 과제 제시
- 더 쉬운 응용과제 선택
※ 응용과제는 판매처에서 제공하는 원문 매뉴얼 지침에 제시되어 있음.
- 할당된 과제를 훈련한 후 수행
- 일부 과제 조정
⑤ 수행도 평가

▼ - 조립과 포장과제의 수행도는 속도보다는 정확성에 기본을 둠.

- 조립과 포장과제에서의 오류는 아래와 같음.
96
: 완성된 하나의 물품에 오류가 여러 차례 나타나도 오류는 1개로 기록
Ⅱ : 분해과제 시 지정된 분류상자가 아닌 다른 분류상자 안에 넣은 각 부품을 기록

: 수행의 정확도가 90%이상 되도록 함. 만약 90%미만일 경우 훈련이 요구됨.

능 - 수행속도 : 과제수행 시 기준시간에 따라 비장애인 수행수준 대비 %로 수행속도를 측정함.

가 단, 부품에 문제(손상된 부품)가 있는 과제일 경우 문제가 있는 부품(손상된 부품)마다 단위

구 당 기준시간의 1/3 시간을 기준시간에 추가시간으로 주도록 함. 또한 피평가자가 과제를 완
성하지 못할 경우 단위당 기준시간을 활용하여 수행속도를 측정할 수 있음. 하지만 피평가
자의 정확도가 떨어진다면 수행속도의 측정은 무의미함.

(3) 작업태도 개선
작업장에서의 적절한 태도는 또 하나의 중요한 기술임. 궁극적으로 과제수행에서의 성공은 피
평가자의 수행능력 뿐만 아니라 태도 또한 중요한 영향을 미침. 부적절한 태도는 수행방법 습
득과 수행 향상, 독립적으로 일할 수 있는 능력, 직업을 갖고 유지하는데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음.
Work Activities 수행은 작업현장에서의 태도를 관찰하고 수정할 수 있는 좋은 기회를 제공
하며, 적절한 작업태도를 습득하고 향상시키기 위한 효과적인 접근방법을 찾는데 유용하게 활
직업평가도구 사용매뉴얼 「손 기능 평가도구편」

용할 수 있음.
평가자는 피평가자의 특정 행동이 관찰될 때마다 관찰된 행동을 기록하여 작업태도를 명확하게
파악하고, 수정 및 향상을 위한 개별적인 접근을 실시하여야 함. 일반적으로 관찰이 필요한 작업
태도는 아래와 같으며 작업태도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쾌적한 작업환경을 만들어야 함.
① 과제 참여 태도 : 과제를 완성하기 위하여 지속적인 과정의 수행들이 요구되어짐. 피평가
자는 과제에 참여하거나 참여하지 않을 수 있으며 피평가자가 수행하는데 얼마나 많은 시
간이 소요되는 지를 측정하고 기록함. 작업행동기록지를 사용해서 수행시간과 참여횟수를
기록하여 과제참여 정도를 백분율로 산출함.
※ 작업행동기록지 작성방법은 p.99 참조
② 물리적인 방해 태도 : 작업현장에서 공격적이거나 다른 동료나 감독자를 방해하는 위협

③ 언어적인 방해 태도 : 동료의 수행을 비방하는 등의 부적절한 언어표현 ▼

④ 정형화된 태도 : 수행과정과 무관하고 비생산적이며 반복적으로 발생하는 태도
97
예- 몸 흔들기, 팔 흔들기 같은 상동행동 등
⑤ 작업장 태도 : 작업장에서의 무단이탈, 작업도구 및 물품 등의 불필요한 처리 Ⅱ

예- 완성된 물품의 불필요한 적재 등



(4) 프로그램 계획 가

Work Activities는 다양한 응용과제로 각 평가도구와 과정을 개별적으로 사용하여 피평가자의 구

필요에 부합한 개별적인 프로그램을 계획할 수 있음. 아래와 같은 단계를 통해 프로그램을 계


획할 수 있음.
① 프로그램 예비계획
프로그램 예비계획 시 평가자는 과제의 지침을 면밀히 검토해야 하며, 지시문에 따라 부품을
배치하고 제시된 응용과제를 해 보도록 함. 또한 평가자는 과제를 시작하기 전에 그 과제에
익숙해야 함. 훈련프로그램으로 과제를 실시할 때 아래와 같은 문제를 주의하도록 함.
- 훈련기간, 시간, 날짜, 과제수행 시간을 미리 계획함.
- 일관된 규칙을 정함.
예- ‘피평가자의 대화를 제한하면서 앉은 자세로 계속 과제를 수행한다’ 라는 규칙 등을 세
울 수 있음.
- 생산성을 강화시키는 방법을 찾거나 피평가자가 생산성에 지장을 초래하는 불필요한 행동을
하지 않도록 지원함. 빠른 목표달성을 위해 자리를 지정하거나, 목표달성 시 주어지는 강화물
을 제공할 수 있도록 계획할 수 있음. 적절한 목표 기준은 수행속도 40%에 정확도 95%임.
- 평가자는 과제가 쉬울 경우, 피평가자에게 맞게 과제를 재설정할 수 있음. 간단한 변형과
과정시범을 통해 수행방법들을 재설정한 후 피평가자가 과제물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함. 평
가자는 과제수행을 시작할 시기를 결정하기 위해 피평가자의 수행능력을 관찰해야 함.
② 초기평가
초기평가는 피평가자의 작업수행에 관한 기초선이 되며 초기평가 시에는 기본과제만 수행할
것을 권고함. 하지만 기본과제가 어렵다면 더 쉬운 응용과제를 찾아 수행할 수 있도록 함. 초
기평가 시 기준시간을 활용한 수행도는 측정하지 않고, 초기평가 때는 수행시간만 측정함. 초

▼ 기평가 수행 전 90% 정도의 정확도를 일관성 있게 유지하도록 하며, 초기평가 중 나타난 오

98 류와 정확도를 기록해야 함. 피평가자가 정해진 과제를 수행할 수 없다는 것이 불분명할 경우


개입없이 계속 수행하도록 함. 하지만 개입이 필요하다면 작업수행기록지 의견/평가 란에 의

견을 기록하고, 응용과제를 이용해서 평가를 진행함.


③ 목표설정

피평가자의 능력을 관찰한 후 평가자의 견해를 포함한 초기평가 자료분석은 피평가자의 개인

가 적 목표를 설정하기 위한 필수적인 정보를 제공함. 목표 설정에는 아래와 같은 사항을 포함하

구 도록 함.
- 기초선 수행도(초기평가 시 수행도 참고)
- 정해진 시간동안 달성할 수 있는 목표수행도 설정
- 목표수행도를 달성하기 위한 훈련 전략
④ 훈련
수행기술과 행동의 향상은 구조화된 훈련프로그램을 통해서만 가능함. 훈련과정의 두 가지 전
략은 수행기술 습득과 생산율임.
- 수행기술 습득 : 피평가자가 과제를 수행하는데 필요한 기술을 배우고 변동과 수정된 과제
를 경험하는 시간으로 피평가자에게 가장 적합한 수행방법(언어적인 격려, 물리적인 지원,
자기수정 전략 등)이 무엇인지 찾도록 함. 이 때 평가자는 피평가자에게 속도보다 정확성
이 중요하다는 것을 설명하고 1:1 개별적인 훈련을 실시함.
직업평가도구 사용매뉴얼 「손 기능 평가도구편」

- 생산단계 : 이 단계에서 피평가자는 수행속도를 증가시키기 위한 기술을 배움. 여기서 생


산률을 강조할 수 있는데 피평가자가 과제를 완성하는 동안 나타나는 산만한 행동과 낮은
손기능이 생산량을 낮출 수 있음. 각 도구의 정해진 기준시간을 활용하여 수행속도를 측정
하도록 하며 이 때 최소한 90%의 정확도를 유지해야 함.
⑤ 재평가
재평가의 과정은 초기평가와 동일하게 진행하며 초기평가가 사전평가라면 재평가는 사후평가
라고 할 수 있음. 재평가는 실행된 훈련계획이 얼마나 효과적이었는지를 확인하는 것으로 재
평가 결과가 평가자의 기대에 미치지 못했다면 훈련전략을 재설정해야 함.

(5) 자료수집

모든 과제수행은 자료수집체계를 포함하는데 과제수행에 관련된 정보를 작업수행기록지에 기 ▼

록하며 과제수행 시 관찰행동은 작업행동기록지에 기록함. 또한 자료표시에 작업수행도(시간 99
또는 날짜별 오류횟수)를 그래프로 표시함.
① 작업수행기록지


자료를 수집하는 목적(정기적인 평가, 훈련계획을 세우기 위한 자료수집의 평가)을 명확히 하

는 것이 정보를 수집하는데 시간을 절약할 수 있음. 또한 실질적인 자료(목표에 부합하는 과 능

제수행, 훈련계획에서 중요한 과정의 과제수행)만 기록해야 함. 대부분의 란은 날짜, 과제명, 가

수행시간, 수행횟수를 기록하고, 기준선수행 란은 초기평가 시에만 기록함. 평가자는 자료로 구

이용하지 않더라도 과제수행 과정을 기록할 필요가 있음. 훈련과정과 비생산적인 행동을 기록
하려면 견해/평가 란에 기재함.
② 작업행동기록지
간격과 성과를 기록하는 방법으로 작업행동에 기록함.
- 간격기록 : 빈번히 일어나는 행동을 기록하기 위한 효과적인 방법임. 평가자는 빈번히 일
어나는 행동을 측정하기 위해 과제수행 중 5분씩 3회에 걸쳐 관찰함. “+” 또는 “○”, “-”
또는 “×”로 관찰행동을 15초 단위로 표시함.
※ “+”, “○”, “-”, “×” 는 특별한 의미가 있는 것이 아닌 단순히 표기하기 위한 기호임.
- 사건기록 : 관찰하는 동안 일어난 행동을 간략하게 기록함. 지속적으로 관찰할 필요는 없
으나 관찰시간 계획을 세운 후 그 시간에 일어난 행동을 모두 기록함.
③ 자료표시
그래프는 설정된 목표에 대한 피평가자의 향상 정도를 나타낸 것으로 목표는 수행 시 나타나
는 행동일 수도 있고 수행속도일 수 있음. 피평가자의 수행도 그래프는 피평가자에게 효과적
인 피드백이 될 수 있으며 평가자의 훈련전략을 평가하는데 도움을 줌.

2. 도구개발

1) 개발배경 및 표준화 과정
Attainment Company의 설립자인 돈 바스티안(Don Bastian)이 장애 청소년들을 위한 직업


▼ 교육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직무분석을 토대로 한 직업기술 발달프로그램을 개발하였는데 추후
100 Work Activities Package로 발전하게 됨.
Work Activities는 일반 산업근로자의 기준시간만 제시되어 있고 장애인에 대한 규준이 없어


장애인집단 간의 수준파악이 어려움. 이에 대구장애인종합복지관 직업평가센터에서는 2008~
기 2009년에 표준화연구를 실시함. 이를 통해 비장애인 또는 동 장애인집단 간의 수준비교가 가

평 능하도록 규준을 개발함. 이 규준의 비장애인집단 표집은 2009년 10월 동 복지관 직원 50명

도 을 대상으로, 장애인집단 표집은 2008~2009년 동 복지관 직업평가센터를 이용한 118명을 대

상으로 하여 개발함.

2) 표준화정보
• 대구장애인종합복지관(2011). Work Activities 표준화연구.

(1) 신뢰도
① 재평가 신뢰도
#206 호스노즐 조립/분해의 최초 평가를 실시하고, 6개월 후에 재평가를 실시, 재평가 신뢰도
는 .858로 나타남.
직업평가도구 사용매뉴얼 「손 기능 평가도구편」

<표 Ⅱ-44> Work Activities #206 호스노즐 조립/분해 재평가 신뢰도


평균(M) 표준편차(SD) 신뢰도계수
본평가 127.1333 59.13208
.858**
재평가 120.8333 45.13205
**p< .01

② 오차범위
평가의 표준오차는 비장애인집단이 2.0666~2.0809, 장애인집단은 1.3671~2.0794로 모두 크
지 않고 오차범위가 낮은 수준이므로 평가의 신뢰도가 상당히 양호한 것으로 판단됨.

<표 Ⅱ-45> Work Activities 하위 평가도구별 표준오차 ▼



집단 하위평가 #205A #206 #303 #305 #306A ▼

표준오차 2.0666 2.0743 2.0809 2.0802 2.0808 101


비장애인집단
N 50 50 50 50 50
장애인 표준오차 1.7409 1.3847 1.6754 2.0794 1.3671

집단 N 72 115 78 50 118 손



(2) 타당도 가

타당도는 준거타당도 검증으로 큰 부품을 다루는 맨손의 기민성을 평가하는 TAP #6과 미세 구
손 기능을 검사하는 Purdue Pegboard를 활용함.

<표 Ⅱ-46> Work Activities와 TAP #6과의 준거타당도


하위평가 #205A #206 #303 #305 #306A
상관계수 .757** .751** .727** .809** .754**
N 26 60 63 28 63
**p< .01
<표 Ⅱ-47> Work Activities와 Purdue Pegboard 오른손 수행과의 준거타당도
하위평가 #205A #206 #303 #305 #306A
상관계수 .749** .643** .547** .744** .598**
N 35 77 79 38 80
**p< .01

<표 Ⅱ-48> Work Activities와 Purdue Pegboard 왼손 수행과의 준거타당도


하위평가 #205A #206 #303 #305 #306A
상관계수 .729** .593** .512** .682** .533**
N 35 75 77 37 78
**p< .01



<표 Ⅱ-49> Work Activities와 Purdue Pegboard 양손 수행과의 준거타당도
102
하위평가 #205A #206 #303 #305 #306A
Ⅱ 상관계수 .736** .513** .414** .706** .482**
손 N 35 75 77 37 78
기 **p< .01


가 <표 Ⅱ-50> Work Activities와 Purdue Pegboard 조립 수행과의 준거타당도

구 하위평가 #205A #206 #303 #305 #306A
상관계수 .634** .631** .561** .623** .579**
N 35 77 79 38 80
**p< .01

3. 실시방법

※ 실시방법은 Work Activities의 조립과 포장과제 중 손 기능을 평가할 수 있는 도구(#202, #205A,


#206, #207, #208, #209, #301, #306A, #308B)에 대해서만 실시방법을 제시함.
직업평가도구 사용매뉴얼 「손 기능 평가도구편」

▣ #202_ 다양한 색상의 볼트와 너트 조립/분해


(Colorful Nuts and Bolts Assembly/Disassembly)

1) 평가개요
(색상과 무관하게) 일치하는 모양끼리 조립과 분해를 하는 과제임.

2) 평가준비
(1) 준비물

플라스틱 볼트(A) 32개 작은 부품상자(D) 1개



플라스틱 너트(B) 32개 3칸짜리 분류상자(E) 1개 ▼

큰 부품상자(C) 1개 보관상자(F) 1개 103


(2) 설치과정

① 평가대 왼쪽에 볼트가 들어 있는 큰 부품상자(C)를 배치함. 기

② 작은 부품상자(D)와 3칸짜리 분류상자(E)를 평가대 오른쪽에 배치하고, 각 칸에 색상과 상 평

관없이 한 가지 모양의 너트를 알맞게 분류하여 배치함. 도

③ 보관상자(F)는 평가대 뒤 쪽 중앙에 배치함.

<사진 Ⅱ-30> Work Acitivities #202 조립 <사진 Ⅱ-31> Work Acitivities #202 분해
준비물 배치 준비물 배치




3) 평가실시
(1) 조립 단계별 수행방법
<기본과제>
① 왼손으로 볼트를 집어 들어 볼트의 머리부분 모양을 파악함.
② 오른손으로 볼트의 머리부분과 동일한 모양의 너트를 집어듬.
※ 여기서 볼트와 너트의 색상은 동일할 필요는 없음.
③ 너트를 볼트의 머리부분에 닿아 멈출 때까지 돌려 조임.
④ 보관상자 안에 완성된 조립품을 넣음.
⑤ 위와 동일한 방법과 순서로 남아있는 볼트와 너트를 조립함.


▼ <사진 Ⅱ-32> Work Acitivities #202 기본과제 조립 단계별 순서
104

Ⅱ 󰋼󰋼 󰋼󰋼







󰋼󰋼 󰋼󰋼

<응용과제>
① 좀 더 복잡한 과제를 하려면 모양과 색상이 모두 일치하도록 볼트와 너트를 조립함.
② 단순한 작업을 하려면 볼트의 색상이나 모양 중 한 가지만 일치하는 너트를 조립함.

Tip

• 너트와 볼트 머리의 모양은 일치해야 함.


• 조립된 너트와 볼트는 흔들었을 때 덜걱덜걱 소리가 나지 않아야 함.
직업평가도구 사용매뉴얼 「손 기능 평가도구편」

(2) 분해 단계별 수행 방법
① 보관상자에서 완성된 조립품 하나를 꺼냄.
② 왼손으로 볼트를 쥐고서 오른손으로 너트를 돌려 조립을 풀어줌.
③ 큰 부품상자에 분해한 볼트를 넣음.
④ 3칸짜리 분류상자와 작은 부품상자에 분해한 너트를 구별하여 넣음.
⑤ 위와 같은 방법과 순서로 나머지 조립품을 분해함.

<사진 Ⅱ-33> Work Acitivities #202 분해 단계별 순서

󰋼󰋼 󰋼󰋼 ▼

105



󰋼󰋼 󰋼󰋼






(3) 오류측정
① 다음과 같은 경우는 오류로 측정함.

• 너트와 볼트의 머리의 모양이 일치하는 않은 조립품


• 조립된 너트와 볼트가 완전히 조여지지 않은 조립품
• 분해 시 지정된 분류상자가 아닌 다른 분류상자 안에 넣은 부품

② 하나의 조립 및 분해품에서 위와 같은 오류가 여러 가지로 나타나는 경우에도 오류는 1개


로 기록함.
예- 1개의 완성된 조립품에 너트와 볼트의 머리모양이 일치하지 않는 것과 너트와 볼트가
완전히 조여지지 않는 것이 동시에 나타나는 경우에도 오류는 1개로 기록함.
▣ #205A_ 열쇠고리 조립/분해(Key Ring Assembly/Disassembly)

1) 평가개요
열쇠고리를 누르면서 미는 조립과 누르면서 당기는 분해를 하는 과제임.

2) 평가준비
(1) 준비물
열쇠고리(A) 40개 작은 부품상자(D) 2개
열쇠고리(B) 40개


부품상자(C) 1개

106
(2) 설치과정
Ⅱ ① 평가대 왼쪽에 열쇠고리 부품이 든 작은 부품상자(D) 2개를 배치함.

② 작은 부품상자(D)의 오른쪽에 부품상자(C) 1개를 배치함.



가 <사진 Ⅱ-34> Work Acitivities #205A 조립 <사진 Ⅱ-35> Work Acitivities #205A 분해
도 준비물 배치 준비물 배치


직업평가도구 사용매뉴얼 「손 기능 평가도구편」

3) 평가실시
(1) 조립 단계별 수행방법
<기본과제>
① 한손으로 A 열쇠고리를 들도록 함.
② 다른 손으로 B 열쇠고리를 들도록 함.
③ B 열쇠고리를 검지와 중지 사이에 쥐고서 엄지로 B 열쇠고리를 누름.
④ A 열쇠고리 안에 있는 큰 구멍 안으로 B 열쇠고리를 밀어 넣음.
⑤ 부품상자에 완성된 조립품을 넣음.
⑥ 위와 같은 방법과 순서로 남아 있는 열쇠고리를 조립하여 부품상자에 넣음.


<사진 Ⅱ-36> Work Acitivities #205A 기본과제 조립 단계별 순서 ▼

107


󰋼󰋼 󰋼󰋼







󰋼󰋼 󰋼󰋼

<응용과제>
① 열쇠고리부품 끝에 있는 원모양의 고리를 붙이는 것이 조립과정에 포함된다면 상당히 어려
운 변형이 될 수 있음.
② A 열쇠고리부품에 고리를 붙이는 것보다 B 열쇠고리부품에 고리를 붙이는 것이 더 어렵기
때문에 A 또는 B 열쇠고리부품에 있는 고리를 붙이는 것인데 A와 B 열쇠고리부품에 있는
고리를 붙이는 것이 조립과정에 포함된다면 난이도를 다양하게 조정할 수 있음.
③ 일자형 드라이버를 이용하는 것은 A, B 열쇠고리부품의 고리를 분리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지만 유의해야 함. 일자형드라이버를 사용하다가 미끄러져 손이 다칠 수 있음.

Tip

• 기본과제는 A, B 열쇠고리 끝에 원모양의 고리가 붙여져 있는데 피평가자가 더 쉽게 조립할 수 있도


록 고리를 뺀 열쇠고리로 조립할 수 있음.
• 모든 열쇠고리는 A 열쇠고리 안에 있는 큰 구멍 안으로 B 열쇠고리를 끝까지 밀어 넣어 조립해야 함.

(2) 분해 단계별 수행방법


① 부품상자에서 조립된 열쇠고리를 가져옴.

▼ ② 검지와 중지 사이에 있는 B 열쇠고리를 잡고서 엄지로 B 열쇠고리 윗부분을 누름.

108 ③ 다른 손으로 A 열쇠고리를 B 열쇠고리에서 뺌.


④ 작은 부품상자 중 오른쪽에 있는 작은 부품상자에 B 열쇠고리를 넣음.

⑤ 작은 부품상자 중 왼쪽에 있는 작은 부품상자에 A 열쇠고리를 넣음.

기 ※ 모든 열쇠고리는 완전히 분해하여 A, B 열쇠고리를 지정된 부품상자 안에 넣어야 함.


가 <사진 Ⅱ-37> Work Acitivities #205A 분해 단계별 순서

󰋼󰋼 󰋼󰋼

󰋼󰋼 󰋼󰋼
직업평가도구 사용매뉴얼 「손 기능 평가도구편」

(3) 오류측정
① 다음과 같은 경우는 오류로 측정함.

• 완전히 조립하지 않은 열쇠고리


• 부품상자에 넣지 않은 완성된 열쇠고리
• 분해 시 분리하지 않은 열쇠고리
• 분해 시 지정된 부품상자가 아닌 다른 부품상자에 넣은 열쇠고리 부품

② 하나의 조립 및 분해품에서 위와 같은 오류가 여러 가지로 나타나는 경우에도 오류는 1개


로 기록함.
예- 1개의 조립품을 완성할 때 완전히 조립되지 않고, 완성된 열쇠고리를 부품상자에 넣지

않는 경우에도 오류는 1개로 기록함. ▼

109









▣ #206_ 호스노즐 조립/분해(Hose Nozzle Assembly/Disassembly)

1) 평가개요
세 가지 부품의 조립에 다양한 회전을 사용하는 과제임.

2) 평가준비
(1) 준비물
노즐 윗부분(A) 24개 작은 부품상자(E) 1개
고리/이음기(B) 24개 종이보관상자(F) 1개

▼ 노즐 아랫부분(C) 24개 지그(G) 1개

2칸짜리 부품상자(D) 1개 보관상자(H) 1개
110

Ⅱ (2) 설치과정

① 평가대 왼쪽에 노즐 윗부분과 노즐 아랫부분을 넣은 2칸짜리 부품상자(D)를 배치함.

능 ② 평가대 중앙에 고리(이음기)를 넣은 작은 부품상자(E)를 배치함.

가 ③ 평가대 오른쪽에 종이 보관상자(F)를 배치함.


<사진 Ⅱ-38> Work Acitivities #206 조립 <사진 Ⅱ-39> Work Acitivities #206 분해
준비물 배치 준비물 배치


Ⓓ Ⓔ
직업평가도구 사용매뉴얼 「손 기능 평가도구편」

3) 평가실시
(1) 조립 단계별 수행방법
<기본과제>
① 왼손으로 노즐 윗부분을 쥐고 오른손으로 노즐 아랫부분을 쥐어 줌.
② 노즐 아랫부분 위에 노즐 윗부분을 멈출 때까지 돌려 조임.
③ 왼손으로 노즐을 쥐고 오른손으로 고리(이음기)를 쥐어 줌.
④ 노즐에 고리(이음기)를 단단히 움직이지 않게 돌림.
⑤ 종이 보관상자에 조립된 노즐을 넣음. 이 때 조립된 노즐을 정리해서 넣을 필요는 없음.
※ 조립된 노즐은 세 가지 부품(노즐 윗부분, 고리(이음기), 노즐 아랫부분)으로 구성됨. 각각의 부
품은 단단히 조여진 상태이어야 함. ▼

<사진 Ⅱ-40> Work Acitivities #206 기본과제 조립 단계별 순서 111



󰋼󰋼 󰋼󰋼





󰋼󰋼 󰋼󰋼

<지그사용 과제>
• 회전을 하는데 도움이 필요한 피평가자의 경우 지그를 사용하여 수행함.
• 지그를 사용할 경우 기본과제보다 어려울 수 있기 때문에 기본과제의 조립방법으로 수행하
지 않아도 됨.
① 지그를 사용할 경우 노즐 아랫부분과 연결될 끝을 위로 향하게 하여 노즐 윗부분을 끼움.
② 노즐 윗부분에 노즐 아랫부분을 넣고 안전하게 부착될 때까지 조임.
③ 노즐 아랫부분에 고리(이음기)를 넣고 안전하게 부착될 때까지 조임.
④ 조립된 노즐은 지그에서 당겨서 뺀 후 종이 보관상자에 넣음.

<사진 Ⅱ-41> Work Acitivities #206 지그사용 과제 조립 단계별 순서

󰋼󰋼 󰋼󰋼 󰋼󰋼

(2) 분해 단계별 수행방법


① 종이 보관상자에서 조립된 노즐을 꺼냄.

▼ ② 왼손으로 노즐을 잡고, 오른손으로 고리(이음기)를 풀어서 고리(이음기)를 작은 부품상자에

넣음.
112
③ 왼손에 노즐을 계속 쥐고 있으면서 노즐 아랫부분을 풀어서 노즐 아랫부분을 2칸짜리 부품
Ⅱ 상자에 넣음. 이 때 노즐 아랫부분이 들어 있는 칸에 넣음.

④ 노즐 윗부분을 2칸짜리 부품상자에 넣음. 이때 노즐 윗부분이 들어있는 칸에 넣음.

능 ※ 호스노즐은 완전히 분해하여 각 부품을 지정된 부품상자 안에 넣어야 함.


도 <사진 Ⅱ-42> Work Acitivities #206 분해단계별 순서

󰋼󰋼 󰋼󰋼

󰋼󰋼 󰋼󰋼
직업평가도구 사용매뉴얼 「손 기능 평가도구편」

(3) 오류측정
① 다음과 같은 경우는 오류로 측정함.

• 세 가지 부품으로 조립하지 못한 호스노즐


• 완전히 조립하지 못한 호스노즐
• 분해 시 세 가지 부품을 완전히 분리하지 못한 노즐 부품
• 분해 시 분리한 노즐부품을 지정된 부품상자가 아닌 다른 부품상자에 넣은 노즐부품

② 하나의 조립 및 분해품에서 위와 같은 오류가 여러 가지로 나타나는 경우에도 오류는 1개


로 기록함.
예- 1개의 조립품을 완성할 때 세 가지 부품으로 조립하지 못하고, 완전히 조립하지 못한

경우에도 오류는 1개로 기록함. ▼

113









▣ #207_ 연결관 조립/분해(Connector Assembly/Disassembly)

1) 평가개요
복잡하고 다양한 회전과제임.

2) 평가준비
(1) 준비물

베이스(base)(A) 36개 2칸짜리 부품상자(F) 1개


너트(nut)(B) 36개 작은 부품상자(G) 2개

▼ 조임틀(clamp)(C) 36개 종이보관상자(H) 1개

나사(screws)(D) 72개 보관상자(I) 1개
114
일자형드라이버(E) 1개

손 (2) 설치과정

능 ① 평가대 왼쪽에 베이스와 너트가 들어 있는 부분을 넣은 2칸짜리 부품상자(F)를 배치함.

가 ② 2칸짜리 부품상자(F) 오른쪽에 조임틀을 넣은 작은 부품상자(G1)를 배치함.

구 ③ 조임틀을 넣은 작은 부품상자(G1) 오른쪽에 나사를 넣은 작은 부품상자(G2)를 배치함.
④ 나사를 넣은 작은 부품상자(G2) 오른쪽에 종이 보관상자(I)를 배치함.

<사진 Ⅱ-43> Work Acitivities #207 조립 <사진 Ⅱ-44> Work Acitivities #207 분해
준비물 배치 준비물 배치

Ⓖ1 Ⓖ2

직업평가도구 사용매뉴얼 「손 기능 평가도구편」

3) 평가실시
(1) 조립 단계별 수행방법
<기본과제>
① 왼손에 베이스를 오른손에 너트를 쥠.
② 베이스와 너트를 맞물려 흔들 때 달각거리는 소리가 나지 않을 정도로 단단하게 조여 줌.
③ 조임틀을 하나 쥔 후 조임틀의 구멍을 베이스의 구멍에 맞춰 쥐어 줌.
④ 나사를 하나 쥐고 나사를 맞춰진 조임틀과 베이스 구멍 위에 둠.
⑤ 다른 손으로 나사를 움켜쥐어 돌릴 수 있도록 베이스 아래로 나사가 충분히 튀어나올 때까
지 나사를 돌림(정확히 9번을 돌림).
⑥ 너무 단단히 조이지 말고 조임틀 위에 있는 나사의 머리 부분이 여유가 있을 때까지 다른 ▼

손으로 튀어나온 나사를 잡아서 돌림. ▼

⑦ 두 번째 나사를 가져와서 첫 번째 나사와 같이 돌림(④-⑥번 순서로 나사를 돌림).


115

⑧ 단단히 조여질 때까지 첫 번째 나사의 끝을 잡아서 돌림. Ⅱ


⑨ 단단히 조여질 때까지 두 번째 나사의 끝을 잡아서 돌림. 이 때 조임틀을 흔들었을 때 달 손

각거리는 소리가 나지 않을 때까지 돌림. 능
⑩ 종이 보관상자 안에 조립된 연결관을 넣음. 이 때 조립된 연결관을 정리해서 넣을 필요는 없음. 평

※ 각각의 조립된 연결관은 베이스 1개, 너트 1개, 조임틀 1개, 나사 2개로 구성됨. 도

<사진 Ⅱ-45> Work Acitivities #207 기본과제 조립 단계별 순서

󰋼󰋼 󰋼󰋼

󰋼󰋼 󰋼󰋼
󰋼󰋼 󰋼󰋼

<응용과제>
① 36개의 베이스와 35개의 너트를 이용해서 두 가지 부품을 조립할 수 있음.
② 36개의 베이스와 72개의 나사를 이용해서 세 가지 부품을 조립할 수 있음.
③ 36개의 베이스, 조임틀 36개, 나사 72개를 이용해서 네 가지 부품을 조립할 수 있음.




Tip
116 • 나사의 머리 부분이 조임틀에 압력을 주기 위해서 나사는 아주 단단히 조여야 함.
• 나사를 조일 때 좀 더 확실히 조이기 위해 일자형 드라이버를 사용할 수 있음.

• 분해과정에서도 나사를 풀기 위해 일자형 드라이버를 사용할 수 있음.



평 (2) 분해 단계별 수행방법

도 ① 종이 보관상자에서 조립된 연결관을 꺼냄.

② 너트를 풀어서 2칸짜리 부품상자에 넣음. 이 때 너트가 들어있는 칸에 넣음.
③ 베이스가 돌리는 것을 막을 때까지 한 개의 나사 끝을 잡고 돌림.
④ 나사의 머리 부분을 풀어서 느슨해진 나사를 풀어줌. 풀린 나사를 작은 부품상자에 넣음.
이 때 나사가 들어있는 칸에 넣음.
⑤ 조임틀과 베이스는 각각 2칸짜리 부품상자와 작은 부품상자에 넣음. 이 때 각각의 부품이
들어 있는 부품상자에 넣음.
※ 조립된 연결관은 완전히 분해한 후 각 부품들을 지정된 부품상자 안에 넣어야 함.
⑥ 위의 방법과 순서로 남은 나사를 분해함.
직업평가도구 사용매뉴얼 「손 기능 평가도구편」

<사진 Ⅱ-46> Work Acitivities #207 분해 단계별 순서

󰋼󰋼 󰋼󰋼

󰋼󰋼 󰋼󰋼



󰋼󰋼 󰋼󰋼 117




(3) 오류측정 능

① 다음과 같은 경우는 오류로 측정함. 가


• 베이스 1개, 너트 1개, 조임틀 1개, 나사 2개로 조립되지 못한 연결관
• 조임틀의 둥근 모서리가 베이스에 맞대어 있지 않는 연결관
• 흔들었을 때 달각거리는 소리가 나는 조립된 연결관
• 분해 시 지정된 부품상자가 아닌 다른 부품상자에 넣은 연결관 부품

② 하나의 조립 및 분해품에서 위와 같은 오류가 여러 가지로 나타나는 경우에도 오류는 1개


로 기록함.
예- 1개의 조립품을 완성할 때 조임틀의 둥근모서리가 베이스에 맞대어 있지 않고, 흔들었
을 때 달각거리는 소리가 나는 경우에도 오류는 1개로 기록함.
▣ #208_ 펜 조립/분해(Pen Assembly/Disassembly)

1) 평가개요
끼우기와 돌리기를 순서대로 하는 복잡한 과제임.

2) 평가준비
(1) 준비물

플라스틱 상자(A) 16개 펜심(refill)(F) 48개


검정색 클립(cap)과 펜 몸통(barrel)(B) 16개 3칸짜리 부품상자(G) 1개

▼ 빨간색 클립(cap)과 펜 몸통(barrel)(C) 16개 작은 부품상자(H) 1개

118 흰색 클립(cap)과 펜 몸통(barrel)(D) 16개 분할된 보관상자(I) 1개


손잡이(grip)(E) 48개


기 (2) 설치과정


① 평가대 왼쪽에 분할된 보관상자(I)를 배치함. 이 때 보관상자 왼쪽에 플라스틱 상자(A)를

도 놓음.

② 3칸짜리 부품상자(G)의 안에 검정색, 빨간색, 흰색의 펜을 왼쪽부터 순서대로 배치함. 3칸
짜리 부품상자(G)는 분할된 보관상자(I) 오른쪽에 놓음.
③ 작은 부품상자(H)의 안에 펜심을 넣고 3칸짜리 부품상자(G) 오른쪽에 배치함.
직업평가도구 사용매뉴얼 「손 기능 평가도구편」

<사진 Ⅱ-47> Work Acitivities #208 조립 <사진 Ⅱ-48> Work Acitivities #208 분해
준비물 배치 준비물 배치


Ⓘ Ⓖ Ⓗ

3) 평가실시 ▼


(1) 조립 단계별 수행방법 119
① 분할된 보관상자에서 플라스틱 상자를 꺼내 뚜껑을 열어 평가대 위에 놓음.

② 왼손으로 검정색 펜을 집어 들어 오른손으로 클립을 열어서 평가대 위에 놓음.

③ 왼손으로 펜 몸통을 쥔 채로 오른손으로 손잡이를 풀어서 평가대 위에 놓음. 기

④ 왼손에 펜 몸통을 쥔 채로 오른손으로 펜심을 가져옴. 평

⑤ 펜 몸통에 펜심을 넣음. 도

⑥ 손잡이를 집어서 펜심 위에 씌운 후 오른손으로 손잡이를 잡고 펜 몸통에 단단히 조여질
때까지 돌려 끼움.
⑦ 클립을 집어서 펜 몸통에 단단히 끼움.
⑧ 조립된 펜을 플라스틱 상자 가장 안쪽에 넣음. 이 때 클립이 오른쪽을 향하도록 함.
⑨ 빨간색 펜도 위의 과정과 동일하게 수행하고 플라스틱 상자 중간에 넣음. 이 때 클립이 왼
쪽을 향하도록 함.
⑩ 흰색 펜도 위의 과정과 동일하게 수행하고 플라스틱 상자 가장 바깥쪽에 넣음. 이 때 클립
이 오른쪽을 향하도록 함.
⑪ 플라스틱 상자의 뚜껑을 닫아서 오른쪽에 있는 분할된 보관상자에 넣음. 이 때 분할된 보
관상자 오른쪽에 플라스틱 상자를 넣으며 흰색 펜이 앞쪽을 향하도록 함.
※ 네 개의 부품(클립, 펜 몸통, 손잡이, 펜심)을 정해진 순서대로 조립해야 함.
<사진 Ⅱ-49> Work Acitivities #208 조립 단계별 순서

󰋼󰋼 󰋼󰋼 󰋼󰋼

󰋼󰋼 󰋼󰋼 󰋼󰋼

󰋼󰋼 󰋼󰋼 󰋼󰋼


120
󰋼󰋼 󰋼󰋼 󰋼󰋼


기 Tip


가 • 이 과제는 포착하기 힘든 변별, 다양한 삽입, 회전 및 패턴 포장을 포함하고 있어 여러 부분으로 나
도 누어 조립라인 공정을 소개하고 훈련하는데 활용할 수 있음.

(2) 분해 단계별 수행방법


① 분할된 보관상자에서 조립된 펜을 포장한(담은) 플라스틱 상자를 꺼냄.
② 플라스틱 상자를 평가대 위에 놓고 뚜껑을 열어 둠.
③ 플라스틱 상자에서 흰색 펜을 꺼냄.
④ 클립을 빼서 평가대 위에 놓음.
⑤ 클립 안에 있던 손잡이를 뺌.
⑥ 펜심을 꺼내서 작은 부품상자에 넣음.
⑦ 오른손으로 손잡이를 집어서 펜 몸통에 다시 끼움.
⑧ 클립을 다시 끼워 펜 몸통과 클립을 오른쪽에 있는 3칸짜리 부품상자에 넣음. 이 때 흰색
직업평가도구 사용매뉴얼 「손 기능 평가도구편」

펜이 들어있는 오른쪽 칸에 넣음.


⑨ 빨간색 펜을 위와 동일한 과정으로 수행한 후 3칸짜리 부품상자에서 빨간색 펜이 들어있는
중앙 칸에 넣음.
⑩ 검정색 펜을 위와 동일한 과정으로 수행한 후 3칸짜리 부품상자에서 검정색 펜이 들어있는
왼쪽 칸에 넣음.
※ 각 부품들은 지정된 부품상자 안에 넣어야 함.
⑪ 세 가지 펜을 모두 분해한 후 플라스틱 상자를 닫아서 분할된 보관상자 왼쪽 칸에 놓고
플라스틱 상자를 여는 부분을 앞쪽으로 향하도록 함.

<사진 Ⅱ-50> Work Acitivities #208 분해 단계별 순서





󰋼󰋼 󰋼󰋼 󰋼󰋼
121



󰋼󰋼 󰋼󰋼 기




󰋼󰋼 󰋼󰋼 구

󰋼󰋼 󰋼󰋼
(3) 오류측정
① 다음과 같은 경우에 오류로 측정함.

• 클립, 펜 몸통, 펜심, 손잡이를 정해진 순서대로 조립하지 않은 펜


• 조립된 부품을 흔들었을 때 달각거리는 소리가 나는 펜
• 세 가지 색깔의 펜을 한 개의 플라스틱 상자 안에 포장하지(담지) 않은 플라스틱 상자
• 분해 시 펜심을 빼지 않은 펜
• 분해 시 펜심을 뺀 후 다시 조립하지 않은 펜
• 분해한 펜 부품들을 지정된 부품상자가 아닌 다른 부품상자에 넣은 펜 부품

② 하나의 조립 및 분해품에서 위와 같은 오류가 여러 가지로 나타나는 경우에도 오류는 1개


▼ 로 기록함.


예- 1개의 조립품을 완성할 때 정해진 순서대로 펜을 조립하지 않고, 펜을 흔들 때 달각거
122
리는 소리가 나며 플라스틱 상자에 펜을 제대로 넣지 않는 경우에도 오류는 1개로 기록
Ⅱ 함.







직업평가도구 사용매뉴얼 「손 기능 평가도구편」

▣ #209_ 손전등 조립/분해(Flashlight Assembly/Disassembly)

1) 평가개요
매우 미세하게 작동하는 것에 대해 자체검사 및 품질관리를 포함하는 과제임.

2) 평가준비
(1) 준비물
은색 집(silver sheath)(A) 24개 플라스틱 관(plastic sleeve)(F) 24개
건전지(B) 48개 6칸짜리 부품상자(G) 1개
손전등 앞부분(front section)(C) 24개 부품상자(H) 1개 ▼


클립(clip section)(D) 24개 플라스틱 상자(I) 1개
123
금속 고리(metal ring)(E) 24개 보관상자(J) 1개

(2) 설치과정 손

① 평가대 왼쪽에 6칸짜리 부품상자(G)를 뚜껑을 열어서 배치함. 이 때 6칸짜리 부품상자(G) 능

에 왼쪽부터 은색 집, 건전지, 손전등 앞부분, 클립을 넣어두고 가장 오른쪽에 플라스틱 가

관(F)을 넣어 둠. 구
② 플라스틱 상자(I)를 꺼내서 6칸짜리 부품상자(G) 앞에 배치함. 이 때 플라스틱 상자(I) 안
에 금속 고리를 넣어 둠.
③ 6칸짜리 부품상자(G) 오른쪽에 부품상자(H)를 배치함.
<사진 Ⅱ-51> Work Acitivities #209 조립 <사진 Ⅱ-52> Work Acitivities #209 분해
준비물 배치 준비물 배치

Ⓕ Ⓗ

▼ 3) 평가실시


(1) 조립 단계별 수행방법
124
① 손전등 앞부분을 꺼내서 연결부분이 아래로 가게 해서 잡음.
Ⅱ ② 은색 집을 꺼내서 전구 끝이 먼저 들어가게 해서 손전등 앞부분을 넣음.

③ 건전지를 꺼내서 은색 집안에 넣음. 이 때 양극(+)이 아래로 가게 함.

능 ④ 두 번째 건전지도 위와 같은 방법과 순서로 수행함.

가 ⑤ 플라스틱 상자에서 금속 고리를 꺼내서 건전지와 은색 집 위에 끼워 손전등 앞부분의 연결

구 부분에 위치하도록 함.
⑥ 클립과 손전등의 앞부분을 함께 돌려 끼움.
⑦ 조명시험을 위해 클립을 누름. 조명이 켜지면 계속해서 수행함.
※ 손전등 클립을 눌렀을 때 조명이 켜져야 함.
⑧ 플라스틱 관을 손전등에 끼워 클립 밑에 위치하도록 함.
⑨ 부품상자에 조립한 손전등을 넣음.
⑩ 남아있는 부품들도 위의 방법과 단계로 동일하게 수행함.
※ 손전등은 은색 집, 건전지, 손전등 앞부분, 클립, 금속 고리, 플라스틱 관을 모두 조립해야 함.
직업평가도구 사용매뉴얼 「손 기능 평가도구편」

<사진 Ⅱ-53> Work Acitivities #209 조립 단계별 순서

󰋼󰋼 󰋼󰋼 󰋼󰋼

󰋼󰋼 󰋼󰋼 󰋼󰋼

󰋼󰋼 󰋼󰋼 󰋼󰋼


125
󰋼󰋼 󰋼󰋼 󰋼󰋼


Tip 기


• 피평가자가 건전지를 입에 넣지 않도록 주의하고, 건전지를 입에 넣을 가능성이 있는 피평가자에게는 가
이 평가를 실시하지 않는 것이 좋음. 도

• 과제를 시작하기 전에 손전등의 조명이 켜지지 않는다면 피평가자가 어떻게 해야 할지를 평가자는 결
정해야 하며 아래와 같이 선택할 수 있음.
- 손전등을 옆에 두고 오류로 기록함(평가자가 부품 중 건전지가 정확히 작동하는 것이라고 확인한
경우에만 해당됨).
- 실수한 것이 무엇인지(건전지가 올바르게 끼워지지 않았는지) 확인하기 위해 손전등을 분해하여
건전지 두개를 바르게 끼운 후 다시 조립함.
- 새 건전지를 제공하여 오래된 건전지를 교체하도록 함(이 때는 건전지의 문제이기 때문에 수행시
간을 기준시간에 포함하지 않음).
(2) 분해 단계별 수행방법
① 부품상자에서 조립된 손전등을 꺼냄.
② 플라스틱 관을 빼서 6칸짜리 부품상자에 넣음. 이 때 플라스틱 관이 들어있는 칸에 넣음.
③ 클립을 빼서 6칸짜리 부품상자에 넣음. 이 때 클립이 들어있는 칸에 넣음.
④ 손전등 앞부분에서 금속 고리를 빼서 플라스틱 상자에 넣음.
⑤ 손전등 앞부분은 6칸짜리 부품상자에 넣음. 이 때 손전등 앞부분이 들어있는 칸에 넣음.
⑥ 건전지를 빼서 평가대 위에 놓음. 두 번째 건전지를 꺼내기 위해 필요하다면 은색 집을 평
가대 위에 가볍게 두드려 건전지를 꺼낼 수 있음.
⑦ 은색 집은 6칸짜리 부품상자에 넣음. 이 때 은색 집이 들어있는 칸에 넣음.
⑧ 건전지를 평가책상에서 집어서 6칸짜리 부품상자에 끝이 닿지 않도록 한 줄로 넣음. 이 때

▼ 건전지가 들어있는 칸에 넣음.

126 ⑨ 두 번째 건전지도 위와 같은 방법과 순서로 수행함.


※ 조립된 손전등의 각 부품들은 완전히 분해되어야 함.
Ⅱ ※ 각 부품들은 지정된 부품상자 안에 넣어야 함.


능 <사진 Ⅱ-54> Work Acitivities #209 분해 단계별 순서



구 󰋼󰋼 󰋼󰋼 󰋼󰋼

󰋼󰋼 󰋼󰋼 󰋼󰋼

󰋼󰋼 󰋼󰋼 󰋼󰋼

󰋼󰋼
직업평가도구 사용매뉴얼 「손 기능 평가도구편」

(3) 오류측정
① 다음과 같은 경우는 오류로 측정함.

• 은색 집, 건전지, 손전등 앞부분, 클립, 금속 고리, 플라스틱 관을 모두 조립하지 않은 손전등


• 조명이 켜지지 않은 조립된 손전등
• 부품상자에 넣지 않은 조립된 손전등
• 분해 시 조립된 손전등의 각 부품들을 완전히 분해하지 않은 손전등
• 분해 시 지정된 부품상자가 아닌 다른 부품상자에 넣은 손전등 부품

② 하나의 조립 및 분해품에서 위와 같은 오류가 여러 가지로 나타나는 경우에도 오류는 1개


로 기록함.

예- 1개의 조립품을 완성할 때 손전등이 모든 부품으로 조립되어 있지 않고, 조명이 켜지지 ▼

않으며, 각 지정된 부품상자에 넣지 않는 경우에도 오류는 1개로 기록함.
127









▣ #301_ 형광펜 포장/분해(Highlight Pen Packing/Dissembly)

1) 평가개요
색깔인지, 특정 공간배치 인식, 손목 움직임을 요구하는 과제임.

2) 평가준비
(1) 준비물
색상목록표(A) 12장
노란색 형광펜(B) 12개
▼ 파란색 형광펜(C) 12개

▼ 분홍색 형광펜(D) 12개
128 초록색 형광펜(E) 12개
플라스틱 상자(F) 12개
Ⅱ 3칸 분류 상자(G) 2개
손 분할된 보관상자(H) 1개


평 (2) 설치과정

도 ① 분할된 보관상자(H)를 평가대 오른쪽에 배치함.

② 플라스틱 상자(F)를 분할된 보관상자(H)의 왼쪽 편에 6개 높이로 2줄로 쌓아 배치함. 이
때 플라스틱 상자(F)의 여는 부분이 왼쪽을 향하도록 배치함.
③ 분할된 보관상자(H)의 왼쪽편으로 형광펜이 있는 3칸 분류상자(G) 2개를 나란히 배치함.

<사진 Ⅱ-55> Work Acitivities #301 포장 준비물 배치 <사진 Ⅱ-56> Work Acitivities #301 분해 준비물 배치


직업평가도구 사용매뉴얼 「손 기능 평가도구편」

3) 평가실시
(1) 포장 단계별 수행방법
① 보관상자에서 플라스틱 상자를 가져 옴.
② 플라스틱 상자를 열어 둠.
③ 색상목록표를 가져와서 플라스틱 상자의 맨 왼쪽에 넣음.
④ 어떤 색을 넣어야 하는지 알 수 있도록 색상목록표와 분류상자의 형광펜을 확인함.
⑤ 색상목록표에서 제시하는 색깔과 일치하는 형광펜을 플라스틱 상자 안에 넣음. 이 때 형광
펜의 뚜껑 부분이 색상목록표 방향으로 놓이도록 함.
⑥ 두 번째 색을 확인해서 일치하는 형광펜을 플라스틱 상자 안에 넣음.
⑦ 세 번째 색을 확인해서 일치하는 형광펜을 플라스틱 상자 안에 넣음. ▼

⑧ 네 번째 색을 확인해서 일치하는 형광펜을 플라스틱 상자 안에 넣음. ▼

⑨ 플라스틱 상자의 뚜껑을 완전히 덮음.


129

⑩ 완성된 플라스틱 상자를 분할된 보관상자 오른편에 넣음(플라스틱 상자 외부의 돌출 장착 Ⅱ


물이 바깥쪽을 향하도록 넣음). 손
※ 플라스틱 상자의 뚜껑은 ‘딱’ 소리가 나도록 완전히 닫은 후 분할된 보관상자 안에 정확하게 넣어 기

야 함. 평



<사진 Ⅱ-57> Work Acitivities #301 포장 단계별 순서

󰋼󰋼 󰋼󰋼

󰋼󰋼 󰋼󰋼
󰋼󰋼 󰋼󰋼

Tip

• 3칸 분류상자 안에 형광펜은 색상순서에 관계없이 배치할 수 있음.


• 형광펜은 색상목록표에서 제시하는 색상과 일치하게 상자 안에 넣어야 함.

▼ (2) 분해 단계별 수행방법




① 분할된 보관상자에서 플라스틱 상자를 꺼내 옴.
130
② 평가대 위에 플라스틱 상자를 놓은 다음 플라스틱 상자를 열어 둠.
Ⅱ ③ 플라스틱 상자의 여는 방향이 몸쪽으로 향한 상태에서 맨 위 뒤쪽의 형광펜부터 뺌.
손 ④ 첫 번째 형광펜을 분할된 보관상자와 인접한 3칸짜리 분류상자의 맨 오른쪽에 넣음. 이 때

능 형광펜은 뚜껑 방향이 위쪽을 향하도록 배치함.
평 ⑤ 두 번째 형광펜을 첫 번째 형광펜 옆 빈칸에 넣음.


구 ⑥ 세 번째 형광펜을 두 번째 형광펜 옆 빈칸에 넣음.
⑦ 마지막 형광펜을 옆에 나란히 놓인 3칸짜리 분류상자 맨 오른쪽에 넣음. 이 때 마지막 형
광펜의 옆 칸은 비워야 함.
⑧ 색상목록표를 3칸짜리 분류상자 맨 왼쪽에 넣음.
⑨ 플라스틱 상자 뚜껑을 완전히 닫은 후 분할상자의 왼쪽 칸 안에 플라스틱 상자를 넣음.
⑩ 나머지 플라스틱상자도 위의 방법과 순서로 수행함.
직업평가도구 사용매뉴얼 「손 기능 평가도구편」

<사진 Ⅱ-58> Work Acitivities #301 분해 단계별 순서

󰋼󰋼 󰋼󰋼 󰋼󰋼

󰋼󰋼 󰋼󰋼 󰋼󰋼

Tip

• 분해과정을 수행한 플라스틱 상자 안은 모두 비어있어야 함. ▼



• 각 3칸 분류상자의 형광펜 색상이 일치하여야 함. ▼
• 형광펜은 색상목록표에서 제시한 동일한 색상의 형광펜을 플라스틱 상자 안에 넣어야 함. 131
• 플라스틱 상자를 완전히 닫는데 어려움이 있는 경우 조금 열어 놓을 수 있음.


(3) 오류측정 기

① 다음과 같은 경우는 오류로 측정함. 평

• 색상목록표의 방향이 플라스틱 상자 안에 올바른 방향으로 놓이지 않은 경우 도

• 색상목록표에서 제시하는 자리에 동일한 색의 형광펜이 놓이지 않은 경우
• 3칸짜리 분할된 보관상자 안에 형광펜의 색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 플라스틱 상자의 뚜껑이 ‘완전히’ 닫히지 않은 경우
※ 장애로 수행이 제한될 경우는 오류측정 제외
• 3칸짜리 분할된 보관상자의 색상목록표 옆 칸을 비우지 않은 경우
• 분해과제 수행 후 플라스틱 상자에 형광펜이 남아 있는 경우

② 완성된 하나의 물품의 오류가 여러 차례 나타나도 오류는 1개로 기록함.


예- 분해과제 수해 후 플라스틱 상자에 형광펜이 여러 개가 남아 있는 경우 형광펜의 남은
개수와 상관없이 오류는 1개로 기록함.
▣ #306A 공구세트 포장/분해(Tool Kit Packing/Disassembly)

1) 평가개요
원동력과 정밀검사 기능을 요구하는 상품교정 과제임.

2) 평가준비
(1) 준비물
공구세트 주머니(A) 24개
투명 분할상자(B) 24개

▼ 견본상자(C) 1개

부품상자(D) 2개
132
보관상자(E) 2개



(2) 설치과정

① 투명 분할상자(B)를 평가대 위에 배치함.

가 ② 공구세트 주머니가 들어 있는 부품상자(D1)를 투명 분할상자(B) 오른쪽에 배치함.

구 ③ 빈 부품상자(D2)를 공구주머니가 들어 있는 부품상자(D1) 오른쪽에 배치함.
④ 빈 부품상자(D2) 오른쪽에 빈 보관상자(E)를 배치함.
⑤ 부품상자들 앞 중앙에 견본상자(C)를 배치함.

<사진 Ⅱ-59> Work Acitivities #306A 포장 준비물 배치 <사진 Ⅱ-60> Work Acitivities #306A 분해 준비물 배치

Ⓑ Ⓔ
Ⓓ1 Ⓓ2


직업평가도구 사용매뉴얼 「손 기능 평가도구편」

3) 평가실시
(1) 포장 단계별 수행방법
① 투명 분할상자를 가져와서 뚜껑을 연 후 평가대 위 견본상자 앞쪽에 둠.
② 공구세트 주머니를 가져와서 뚜껑을 열어 둠.
③ 공구세트 주머니에서 몽키를 꺼내 투명 분할상자 안에 견본과 똑같은 위치로 배치함.
④ 공구세트 주머니에서 일자 드라이버의 납작한 머리 부분을 꺼낸 후 견본대로 투명한 분할
상자 안에 배치함.
⑤ 공구세트 주머니에서 망치의 머리 부분을 꺼내 견본에 따라 투명 분할상자 안에 배치함.
⑥ 공구세트 주머니에서 스패너를 꺼내고 견본에 따라 투명 분할상자 안에 배치함.
⑦ 드라이버 손잡이를 공구세트 주머니에서 꺼내 견본에 따라 투명 분할상자 안에 배치함. ▼

⑧ 공구세트 주머니의 뚜껑을 완전히 닫은 후 정면 빈 보관상자에 배치함. ▼

⑨ 투명 분할상자의 뚜껑을 닫은 후 맨 오른쪽 빈 보관상자안에 배치함. 이 때 6개 높이씩 4


133

열로 쌓음. Ⅱ
⑩ 나머지 투명 분할상자도 위와 방법과 순서로 수행함. 손


<사진 Ⅱ-61> Work Acitivities #306A 포장 단계별 순서 평



󰋼󰋼 󰋼󰋼

󰋼󰋼 󰋼󰋼

󰋼󰋼 󰋼󰋼
Tip

• 모든 공구는 투명 분할상자의 지정된 칸 안에 배치해야 함.


• 공구세트 주머니의 뚜껑을 완전히 닫은 후 부품상자에 배치해야 함.

(2) 분해 단계별 수행방법


① 완성된 투명 분할상자를 가져와서 뚜껑을 열고 평가대 위에 분할상자 안에 있는 공구를 쏟음.
② 투명 분할상자를 닫고 왼쪽에 위치한 보관상자에 넣음(뚜껑이 있는 부분이 위로, 여는 부
분을 왼쪽으로 향하게 배치하며 투명 분할상자는 6개씩 4줄로 쌓도록 함).
③ 공구세트 주머니를 가져온 후 열어서 뒤로 젖힌 상태로 열어 둠.
▼ ④ 탁자 위 드라이버 손잡이를 꺼내 견본에 따라 공구세트 주머니 안에 넣음.

▼ ⑤ 스패너를 가져와서 견본에 따라 공구세트 주머니 안에 넣음.
134 ⑥ 망치 머리 부분을 가져와서 견본에 따라 공구세트 주머니 안에 넣음.
Ⅱ ⑦ 일자드라이버의 납작한 머리 부분을 가져와 견본에 따라 공구세트 머니에 넣음.
손 ⑧ 몽키를 가져와 견본에 따라 공구세트 주머니에 넣음.

능 ⑨ 나머지 투명한 분할상자도 위와 같은 방법과 순서로 수행함.




직업평가도구 사용매뉴얼 「손 기능 평가도구편」

<사진 Ⅱ-62> Work Acitivities #306A 분해 단계별 순서

󰋼󰋼 󰋼󰋼

󰋼󰋼 󰋼󰋼



󰋼󰋼 󰋼󰋼 135




Tip 능

• 모든 투명 분할상자는 비워둬야 하고 보관상자에 일정하게 보관해야 함. 가

• 모든 공구는 종류에 따라 공구세트 주머니 안에 정확하게 넣어야 함. 구
• 공구세트 주머니는 완전히 닫아 알맞은 부품상자 안에 보관해야 함.

(3) 오류측정
① 다음과 같은 경우는 오류로 측정함.

• 각 공구를 투명 분할상자의 정확한 위치에 배치하지 않은 경우


• 투명 분할상자를 보관상자에 6개 높이 4줄로 배치하지 않은 경우
• 공구세트 주머니가 완전히 닫혀 있지 않은 경우

② 완성된 하나의 물품의 오류가 여러 차례 나타나도 오류는 1개로 기록함.


예- 완전히 닫혀 있지 않은 공구세트 주머니가 2개 이상일 경우에 오류는 1개로 기록함.
▣ #308B 비닐포장 후 가열밀봉/분해(Bagging and Heatsealing/Disasembly)

1) 평가개요
산업용 봉인기를 이용하여 포장하는 과제임.

2) 평가준비
(1) 준비물

부품상자(A) 3개
부품상자(B) 1개

▼ 칩(C) 360개(색깔별 120개)

136 비닐 주머니(D) 500개


봉인기(E) 1개
Ⅱ 보관상자(F) 1개


능 (2) 설치과정

가 ① 평가대 왼쪽에 각각 색깔이 다른 칩이 들어있는 부품상자(A)를 배치함.

구 ② 평가대 중앙에는 비닐 주머니가 들어있는 부품상자(B)를 배치함.
③ 평가대 오른쪽에 봉인기(E)를 배치함.
④ 평가대 오른쪽에 큰 보관상자(F)를 배치함.

<사진 Ⅱ-63> Work Acitivities #308B 가열밀봉 준비물 배치 <사진 Ⅱ-64> Work Acitivities #308B 분해 준비물 배치





직업평가도구 사용매뉴얼 「손 기능 평가도구편」

3) 평가실시
(1) 가열밀봉 단계별 수행방법
① 비닐 주머니 하나를 한 손으로 잡고서 다른 손으로 비닐 주머니를 열어 둠.
② 열어 둔 비닐 주머니에 같은 색상의 칩 5개씩을 가져와서 비닐주머니 안에 넣음.
③ 비닐 주머니 안에 칩이 15개(3가지 색상의 칩이 각각 5개씩)가 될 때까지 넣음.
④ 칩이 들어 있는 비닐 주머니를 정돈한 후 평가대 위에 가지런히 놓음.
⑤ 봉인기 열선 위에 비닐 주머니의 윗부분을 나란하게 놓음.
⑥ 한 손으로 비닐 주머니의 윗부분을 누르면서 위치를 잡아 줌.
※ 봉인 위치는 모서리 기준 최소 1.27cm~최대 3.81cm 사이가 될 수 있도록 함.
⑦ 다른 손으로는 봉인기 손잡이 부분을 누르면서 빨간 불빛이 꺼질 때까지 잡고 있음. ▼

⑧ 봉인된 비닐 주머니를 오른쪽 보관상자 안에 넣음. 이 때 완성된 물품은 정리하지 않아도 됨. ▼

⑨ 칩이 들어있는 나머지 비닐 주머니도 위의 방법과 순서로 수행함. 137


<사진 Ⅱ-65> Work Acitivities #308B 가열밀봉 단계별 순서 손



󰋼󰋼 󰋼󰋼 가

󰋼󰋼 󰋼󰋼

(2) 분해 단계별 수행방법


① 보관상자에서 비닐 주머니를 꺼내 봉인선이 평가대의 가장자리와 지각이 되도록 하여 놓음.
② 한 손으로는 가위를 들고 다른 손으로는 봉인된 비닐 주머니의 모서리 끝을 잡음.
③ 봉인선을 따라 가위로 비닐 주머니를 자름.
④ 비닐 주머니의 잘라낸 봉인선 비닐부분을 쓰레기 통 안에 넣음.
⑤ 평가대 위에 칩을 쏟음.
⑥ 비닐 주머니를 평평하게 펴서 부품상자 안에 넣음.
⑦ 칩을 색상별로 알맞은 부품상자 안에 넣음.
⑧ 모든 비닐 주머니의 안의 칩들을 부품상자 안에 담을 때까지 위의 방법과 순서로 수행함.

<사진 Ⅱ-66> Work Acitivities #308B 분해 단계별 순서

󰋼󰋼 󰋼󰋼


138

Ⅱ 󰋼󰋼 󰋼󰋼





도 Tip

• 비닐 주머니의 봉인선 아래 부분을 잘라야 하는데 정확하게 일직선으로 자르지 않아도 됨.
• 모든 칩은 색깔별로 부품상자 안에 정확하게 구분하여 넣어야 함.

(3) 오류측정
① 다음과 같은 경우는 오류로 측정함.

• 비닐 주머니 안의 칩 개수가 틀린 경우
• 비닐 주머니의 입구 봉인 위치가 3.81cm를 넘은 경우
• 부품상자 안의 색깔별 칩 분류가 정확하지 않은 경우

② 완성된 하나의 물품의 오류가 여러 차례 나타나도 오류는 1개로 기록함.


예- 비닐 주머니 안의 칩 개수가 틀린 경우 개수에 상관없이 오류는 1개로 기록함.
직업평가도구 사용매뉴얼 「손 기능 평가도구편」

4. 평가결과 채점

1) 평가기록지
(1) 변별과제
평가기록지에 피평가자의 기본 신상정보를 기재함.
변별과제 란에 수행한 과제명을 기재함.
과제수행 후 총 소요된 시간을 소요시간 란에 기재함.
수행량 란에는 총 수행한 수를 기재함.
오류수 란에 측정한 총 오류수를 기재함.
관찰사항 및 결과 란에 평가 중 관찰된 행동과 평가결과를 기재함. ▼

139
(2) 조립․포장과제
평가기록지에 피평가자의 기본 신상정보를 기재함. Ⅱ
조립과제, 포장과제 란에 수행한 과제명을 기재함. 손

과제수행 후 총 소요시간을 소요시간 란에 기재함. 능
기준시간 란에 과제당 기준시간을 기재함. 단, 전체수행을 하지 못했을 경우 단위당 기준시 평

간을 활용하여 기준시간을 기재함. 도

예- #306A 공구세트 포장/분해의 과제당 수행시간은 포장- 8분, 분해- 10분 30초 이지만
피평가자의 수행력이 낮아 10개만 수행하면 단위당 수행 시간(포장-20초×10개=200
초, 분해-26초×10개=260초)을 기준시간으로 기재함.
오류수 란에 측정한 총 오류수를 기재함. 단, 완성된 하나의 물품에 오류가 여러 가지 나타
나도 오류는 1개로 기록함. 따라서 최대 오류수는 과제당 최대 단위수를 넘지 못함.
정확성 란에는 아래와 같이 계산하여 %로 기재함.

『(전체 수행수 - 오류수) ÷ 전체 수행수 × 100』

수행도 란에는 다음과 같이 계산하여 %로 기재함.

『기준시간 ÷ 소요시간 × 100』

관찰사항 및 결과 란에 평가 중 관찰된 행동과 평가결과를 기재함.


2) 대구장애인종합복지관(2011) 평가기록지
과제수행 후 총 소요된 시간을 총 시간 란에 기재함.
과제수행의 정확도는 10개의 조립품을 기준으로 산출하며 %로 기재함.

『(10 - 오류수) × 100』

준거참조 수행도 란에는 아래와 같이 계산하여 %로 기재함.

『준거점수 ÷ 총시간 × 100』

규준참조 일반집단은 일반집단 규준표를 활용하여 %ile와 규준표에 제시되어 있는 표준점수를


기재함. 이 때 규준표에 시간이 나와 있지 않는다면 사잇값을 구해 반올림하여 %ile와 표준점
수를 기재함.


▼ 예- 205A 열쇠고리 조립에서 시간이 58초라고 하면 위의 방법으로 계산하면 %은 2.86%로
140 반올림하여 3%이며, 표준점수는 70.75점으로 반올림하여 71점임.


손 {(4 - 1) ÷ (63 - 55)} × (58 - 55) = 1.14
205A
기 1초당 백분위 산출
능 시간(초) 백분위수 표준점수 4 - 1.14 = 2.86

가 55 4 73 {(73 - 67) ÷ (63 - 55)} × (58 - 55) = 2.25
도 1초당 표준점수 산출
구 63 1 67
73 - 2.25 = 70.75

규준참조 장애집단은 장애집단 규준표를 활용하여 %ile와 규준표에 제시되어 있는 표준점수를


기재함. 이 때 규준표에 시간이 나와 있지 않는다면 사잇값을 구해 반올림하여 %ile와 표준점
수를 기재함.
행동관찰 란에 평가 중 관찰된 행동을 기재함.
직업평가도구 사용매뉴얼 「손 기능 평가도구편」

5. 결과해석

1) 기준표에 따른 결과해석
Work Activities의 결과해석은 평가도구별로 변별과제는 소요 시간과 수행량, 오류수를 토대
로 결과를 해석하며, 조립․포장과제는 정확성과 수행도를 토대로 결과를 해석함. 또한 결과해
석 시 수행도에 앞서 정확도를 중요시하는데 변별과제는 정확도 95%, 조립․포장과제는 정확도
90%이상일 경우 결과에 대한 의미있는 해석이 가능함. 의미있는 해석이 가능한 정확도로 결
과가 산출되는 경우 조립․포장과제는 기준표를 활용하여 비장애인 수행수준 대비 수행도로 해
석이 가능함.


<사례> ▼

141
이○○는 만 34세의 지적장애 3급 여성으로 현재 □□□근로작업장에서 2011년 1월 27일에 입사하여 현재까지
이용 중임. 의사표현 시 발음이 정확하고 자신의 생각을 구체적으로 표현이 가능한 수준으로 의사소통이 원활하며, Ⅱ
기초학습 수준이 매우 양호하고, 지역사회시설 이용 및 대중교통이용도 독립적으로 수행가능한 수준임. 손
□□□근로작업장에서는 주 직무인 포장직무의 수행능력을 파악하기 위해 Work Acitivities에 대한 평가를 기

의뢰함.

1) Work Activities 205A(열쇠고리 조립/분해) 가
열쇠고리를 조립/분해하여 분류상자에 넣는 과제로 수행속도를 기준시간에 비교하여 볼 때 비장애인 수행수준 도

대비 조립은 58%, 분해는 74%로 조립의 경우 다소 지체를 보이는 수준이고, 분해의 경우 지체를 보이나
훈련을 거치면 생산성의 향상을 기대해볼 수 있는 수준으로 나타나 손가락으로 누르면서 당기는 직무수행
시 초기 개별지도가 필요할 것으로 보임. 하지만 수행 시 시선이 평가도구로 고정되어 있고 수행속도가 일정하여
집중력은 양호한 것으로 보이며 열쇠고리를 조작하는 데 어려움이 없어 손가락 기민성은 비교적 양호할 것으로 보임.
2) Work Acotivities 306A(공구세트 포장/분해)
5가지의 공구를 분할상자 포장과 공구세트 주머니에 포장(분해)하는 과제로 수행속도를 기준시간에 비교하여
볼 때 비장애인 수행수준 대비 포장은 87%, 분해는 66%의 수준으로 나타나 포장은 원활한 수행을 보이며
분해는 다소 지체를 보이는 수준으로 나타남. 하지만 포장직무 시 원활한 수행을 보여 훈련을 통해 직무에
익숙해지면 수행속도가 향상될 수 있을 것으로 보임. 또한 수행 시 손떨림이 나타나지 않고 집중력이 양호하며
불필요한 손동작이 없는 등 수행태도가 양호함. 손가락으로 공구조작이 원활하여 손가락 기민성이 양호할
것으로 보이며 정확도가 100%로 나타나 9단계의 다단계 작업 공정인지가 가능한 것으로 보임.
이를 종합적으로 볼 때 피평가자 이○○는 다단계 작업공정의 인지가 가능하고 손가락 기민성이 양호하여
포장직무를 수행하는 데 어려움이 없을 것으로 보임.
2) 대구장애인종합복지관(2011)에 따른 결과해석
Work Activities의 결과해석은 준거참조 해석과 규준참조 해석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준거참
조해석은 과제수행도에 성공과 실패에 대한 정보만 제공하여 규준참조 해석을 통해 평가결과
해석을 보충할 수 있음.
준거참조 해석은 규준참조 해석과 달리 평가점수를 다른 사람들과 비교하는 것이 아니라 어떤
준거점수와 비교해서 이용하려는 해석임. 수행도가 100%이상이면 일반집단 대비 양호한 수행
도 또는 준거를 통과한 것으로 해석할 수 있음. 하지만 70 ~ 80%정도에 해당되면 현재는 수
행도가 낮은 수준이지만 훈련을 거친 후에는 생산성의 향상을 기대해 볼 수 있는 수준으로 판
단할 수 있음.
▼ 만약 피평가자가 과제를 완성하지 못하는 경우 %를 측정하기 위해 각 부품의 완성한 개수로

▼ 수행도를 계산함. 준거점수는 작업속도를 기록하고 피평가자의 수행도를 효과적으로 비교할
142 수 있도록 함. 또한 준거점수는 개별수행도를 비교하는 근거로써 평균집단에서의 위치를 결정

Ⅱ 하는 준거이나 직업준비도를 의미하는 것은 아님.


손 규준참조 해석은 각각의 평가도구에 해당하는 백분위 점수와 표준점수로 해석함. 백분위 점수
기 와 표준점수에 대한 점수해석 기준은 아래 표와 같음.



도 <표 Ⅱ-51> Work Acitivities 대구장애인종합복지관(2011) 점수해석 기준

기능 수준 매우 낮음 평균 이하 평균 평균 이상 매우 높음
표준점수 범위 69이하 70 ~ 84 85 ~ 114 115 ~ 129 130이상
백분위수 범위 3이하 3 ~ 16 16 ~ 84 84 ~ 97 97이상
이론적 정규분포 2.2 13.6 68.2 13.6 2.2

이 평가도구는 손 기민성과 작업기술을 요하는 조립․포장과제로 장애유형에 큰 제한없이 과제


를 실시할 수 있지만 일반집단 규준을 활용해서 해석할 때는 주의가 요구됨.
피평가자의 조립․포장작업에 대한 수행도를 일반집단과 비교하고자할 때는 일반집단 규준을 일
반고용에 어려움을 보이는 장애집단과 비교하고자 할 때에는 장애집단 규준을 활용해서 해석
할 수 있음. Work Activities는 수행도 뿐만 아니라 과제에 대한 정확도 또한 피평가자의 수
행기술을 파악하는 중요한 요인으로 조립・포장과제에서 90%의 정확도가 권장되며 그 이하의
직업평가도구 사용매뉴얼 「손 기능 평가도구편」

수준일 경우 훈련을 통한 정확도의 향상이 권고됨.

<사례>

이○○는 만 34세의 지적장애 3급 여성으로 현재 □□□근로작업장에서 2011년 1월 27일에 입사하여


현재까지 이용 중임. 의사표현 시 발음이 정확하고 자신의 생각을 구체적으로 표현이 가능하는 등 의사
소통이 원활하며, 기초학습 수준이 매우 양호하고, 지역사회시설 및 대중교통 이용도 독립적으로 수행가
능한 수준임.
□□□근로작업장에서는 주 직무인 포장직무의 수행능력을 파악하기 위해 Work Acitivities에 대한 평
가를 의뢰함.
1) Work Activities 205A(열쇠고리 조립)
열쇠고리를 조립하여 분류상자에 넣는 과제로 10개를 조립하는데 총 69초가 소요되었고, 수행도가
71%로 현재는 수행도가 낮은 수준이지만 훈련을 거친 후에는 생산성의 향상을 기대해볼 수 있는 수 ▼


준으로 보임. 일반집단 규준으로 볼 때 1%ile로 나타나 매우 낮은 수준으로 보이나 장애집단 규준으
로 볼 때는 62%ile로 나타나 평균 수준으로 보임. 수행 시 시선이 평가도구로 고정되어 있고 수행속 143
도가 일정하여 집중력은 양호한 것으로 보이며 열쇠고리를 조작하는 데 어려움이 없어 손가락 기민성
은 비교적 양호할 것으로 보임.

2) Work Activities 306A(공구세트 포장) 손

5가지의 공구를 분할상자에 포장하는 과제로 10개를 포장하는데 총 229초가 소요되었고 수행도가 능
69%로 현재 다소 지체를 보이는 수준으로 보임. 일반집단 규준으로 볼 때 1%ile로 나타나 매우 낮 평

은 수준으로 보이나 장애집단 규준으로 볼 때는 42%ile로 나타나 평균 수준으로 보임. 수행 시 손떨 도
림이 나타나지 않고 집중력이 양호하며 불필요한 손 동작이 없는 등 수행태도가 양호함. 손가락으로 구
공구조작이 원활하여 손가락 기민성이 양호할 것으로 보이며 정확성이 100%로 나타나 9단계의 다단
계작업 공정인지가 가능한 것으로 보임.
이를 종합적으로 볼 때 피평가자 이○○는 다단계 작업공정의 인지가 가능하고 손가락 기민성은 양호하
지만 일반고용으로의 포장직무 수행은 어려움이 있음. 하지만 보호고용 형태인 □□□근로작업장에서
포장직무를 수행하는 데에는 어려움이 없을 것으로 보임.
6. 부록

1) 평가기록지
(1) Attainment Company(2011)

<표 Ⅱ-52> Work Activities 평가기록지(Attainment Company)

Work Activities 평가기록지


성 명 : 성 별 : 남, 여 우 세 손 :

▼ 장 애 명 : 평 가 일 : . . . 평 가 자 :


소요
144 변별과제(#100) 수행량 오류수 관찰사항 및 결과
시간






가 소요 기준
도 조립과제(#200) 오류수 정확성 수행도 관찰사항 및 결과
시간 시간

소요 기준
포장과제(#300) 오류수 정확성 수행도 관찰사항 및 결과
시간 시간
직업평가도구 사용매뉴얼 「손 기능 평가도구편」

(2) 대구장애인종합복지관(2011)

<표 Ⅱ-53> Work Activities 검사기록지(대구장애인종합복지관)

Work Activities 검사 기록지


이 름 : 성 별 : 연령 (만) :
장애/등급 : 검 사 일 : 평 가 자 :

점 수 표
#205A #206 #303 #305 #306A
열쇠고리 조립 호스노즐조립 4칸 칸막이 포장 용기 포장 공구세트 포장
총 시 간 ▼

정 확 도 ▼
준거점수 49초 76초 123초 107초 157초 145
준거참조
수행도 % % % % %
일반집단 %ile %ile %ile %ile %ile Ⅱ
규준참조
장애집단 %ile %ile %ile %ile %ile


행 동 관 찰 능


#205A 도

#206

#303

#305

#306A










146
(3) 작업수행기록지
<표 Ⅱ-54> Work Activities 작업수행기록지

작업수행기록지(Work Performance Data Sheet)

성 명 : 평가사 : 훈련계획 :
수행
수행 평균 오류 기준선 주어진 설정된
날 짜 도구명 단위 정확도 견해/평가
시간 달성량 횟수 수행 훈련 목표
(횟수)

* 출처: Attainment Company(2011). Work Activities Task Instruction.


(4) 작업행동기록지
<표 Ⅱ-55> Work Activities 작업행동기록지

작업행동기록지(Work Behavior Sheet)


성 명 :
A. 시간간격기록방법 기록부호 :
행동분석
6회 실시 - 각 회별 5분씩
시 간 합 계 Ⅰ. 행동 -
성공 전체 정확도
날짜 행동 시작 종료 시간간격 = 15초
횟수 횟수 (%)
기준선 -

목표 -

합 계 계획 -

Ⅱ. 행동 -

합 계
B. 성공횟수 기록 방법
기준선 -
날짜 행동 계수표시 (예 - 󰂂, 正) 합계 소요시간
목표 -

합 계 계획 -

합 계
* 출처: Attainment Company(2011). Work Activities Task Instruction.
직업평가도구 사용매뉴얼 「손 기능 평가도구편」











147










148
(5) 자료 표시
<표 Ⅱ-56> Work Activities 자료표시

자료 표시(Data Display)
성 명 :

목표 - 견해 -

도구명 - 하위 목표 (1)

기준선 - (2)

* 출처: Attainment Company(2011). Work Activities Task Instruction.


직업평가도구 사용매뉴얼 「손 기능 평가도구편」

2) 기준표
<표 Ⅱ-57> Work Activities 조립 기준표(Attainment Company 미국 산업근로자 기준)
평가도구 기준 (단위당) 기준 (과제당)
빗 세트 조립/분해 조립 - 5초 조립(50단위) - 4분
200
(Comb Set Assembly/Disassembly) 분해 - 3초 분해(50단위) - 2분 15초
다양한 색상의 볼트와 너트 조립/분해
조립 - 5.5초 조립(32단위) - 3분
202 (Colorful Nuts and Bolts
분해 - 4초 분해(32단위) - 2분 15초
Assembly/Disassembly)
조립 - 3초 조립(30단위)
기본 기본 - 1분 40초
과제 분해 - 2.8초 과제 분해(30단위)
- 1분 25초
조립 - 4초 조립(30단위) ▼

플라스틱 관 조립/분해 응용 응용 - 1분 50초 ▼
203
(Plastic Pipe Assembly/Disassembly) 과제1 분해 - 3.3초 과제1 분해(30단위)
149
- 1분 40초
조립 - 7초 조립(15단위)

응용 응용 - 1분 45초
과제2 분해 - 6.5초 과제2 분해(15단위) 손
- 1분 40초 기

연결기 조립/분해 조립 - 5.8초 조립(50단위) - 4분 50초
205 평
(Coupling Assembly/Disassembly) 분해 - 5.3초 분해(50단위) - 4분 25초 가
열쇠고리 조립/분해 조립 - 4초 조립(40단위) - 2분 40초 도
205A 구
(Key Ring Assembly/Disassembly) 분해 - 3초 분해(40단위) - 2분
호스노즐 조립/분해 조립 - 6초 조립(24단위) - 2분 30초
206
(Hose Nozzle Assembly/Disassembly) 분해 - 6초 분해(24단위) - 2분 30초
연결관 조립/분해 조립 - 28초 조립(36단위) - 17분
207
(Connector Assembly/Disassembly) 분해 - 18초 분해(36단위) - 11분
펜 조립/분해 조립 - 55초 조립(16단위) - 14분 40초
208
(Pen Assembly/Disassembly) 분해 - 65초 분해(16단위) - 17분 20초
손전등 조립/분해 조립 - 29초 조립(24단위) - 11분 45초
209
(Flashlight Assembly/Disassembly) 분해 - 20초 분해(24단위) - 8분
스프링클러 조립/분해 조립 - 30초 조립(24단위) - 12분
210
(Sprinkler Assembly/Disassembly) 분해 - 25초 분해(24단위) - 10분
클립과 고리 조립/분해 조립 - 16초 조립(24단위) - 6분 25초
210A
(Clip and Ring Assembly/Disassembly) 분해 - 16초 분해(24단위) - 6분 25초
수도꼭지 조립/분해 조립 - 40초 조립(12단위) - 8분
211
(Faucet Assembly/Disassembly) 분해 - 30초 분해(12단위) - 6분
<표 Ⅱ-58> Work Activities 포장 기준표(Attainment Company 미국 산업근로자 기준)
평가도구 기준 (단위당) 기준 (작업당)
칫솔통 조립/분해 조립 - 5초 조립(48단위) - 4분
300
(Toothbrush Tube Assembly/Disassembly) 분해 - 2.5초 분해(48단위) - 2분
형광펜 포장/분해 포장(1상자) - 15초 포장(12상자) - 3분
301
(Highlight Pen Packaging/Disassembly) 분해(1상자) - 15초 분해(12상자) - 3분
색종이 포장/분해 포장(45단위) - 12분
302
(Color Match Collating/Disassembly) 분해(45단위) - 6분
4칸 칸막이 포장/분해 포장 - 15초(견본 A, B의
포장(27단위) - 6분 45초
303 (Four Compartment Packaging 평균)
분해(27단위) - 4분 30초
/Disassembly) 분해 - 10초
연필 포장/분해 포장 - 22초 포장(30단위) - 11분
303A
(Pencil Packaging/Disassembly) 분해 - 9초 분해(30단위) - 4분 30초

▼ 스냅상자 포장/분해 포장(평균 판 3개) - 7초 포장(78단위) - 9분 15초
▼ 304
(Snap Box Packaging/Disassembly) 분해 - 4초 분해(78단위) - 5분 30초
150
용기 포장/분해 포장 - 11초 포장(50단위) - 9분 20초
305
Ⅱ (Container Packaging/Disassembly) 분해 - 5초 분해(50단위) - 4분 20초
주사위 포장/분해 포장 - 25초 포장(36단위) - 15분
손 305A
(Dice Packaging/Disassembly) 분해 - 10초 분해(36단위) - 6분

능 공구세트 포장/분해 포장 - 20초 포장(24단위) - 8분
306A
평 (Tool Kit Packaging/Disassembly) 분해 - 26초 분해(24단위) - 10분 30초

도 무게 달아 지퍼백에 담기/분해 담기 - 17초 담기(25단위) - 7분
307
구 (Weighing and Bagging/Disassembly) 분해 - 6초 분해(25단위) - 2분 30초
비닐포장 후 가열밀봉/분해 포장 - 25초 포장(24단위) - 10분
308B
(Bagging and Heatsealing/Disassembly) 분해 - 20초 분해(24단위) - 8분
포장 - 1분 30초 포장(32단위)
기본 기본 - 48분
과제 분해 - 20초 과제 분해(32단위)
사무용품 포장/분해 - 10분 40초
309
(Office Supplies Processing/Disassembly) 포장 - 20초 포장(32단위)
응용 응용 - 10분 40초
과제1 분해 - 13초 과제1 분해(32단위)
- 7분
* 출처: Attainment Company(2011). Work Activities Task Instruction.
직업평가도구 사용매뉴얼 「손 기능 평가도구편」

3) 준거참조표
<표 Ⅱ-59> Work Activities 대구장애인종합복지관(2011) 준거참조표
평가도구 기준 (단위당) 기준 (10단위당)
205A 열쇠고리 조립(Key Ring Assembly) 4.9초 49초
206 호스노즐 조립(Hose Nozzle Assembly) 7.6초 76초
4칸 칸막이 포장
303 12.3초 123초
(Four Compartment Packaging)
305A 주사위 포장(Dice Packaging) 10.7초 107초
306A 공구세트 포장(Tool Kit Packaging) 15.7초 157초
* 대구장애인종합복지관 표준화연구의 Work Activities #206번은 현 Work Activities #206번와 같은 도구이기는 하나
부품이 달라 현 Work Activities #206번 평가 시 위 준거참조표를 활용하여 해석할 수 없음.

4) 규준표 ▼


<표 Ⅱ-60> Work Activities 대구장애인종합복지관(2011) 일반집단 규준표
151
205A 206 303 305 306A
시간 백분 표준 시간 백분 표준 시간 백분 표준 시간 백분 표준 시간 백분 표준

(초) 위수 점수 (초) 위수 점수 (초) 위수 점수 (초) 위수 점수 (초) 위수 점수
28 99 130 48 99 133 65 99 133 65 99 133 91 99 133 손
31 94 121 51 98 127 70 98 127 67 98 127 102 98 127 기

32 90 118 52 96 124 74 96 124 69 96 124 104 96 124

33 87 115 53 94 121 78 94 121 71 94 121 111 94 121 가
34 82 112 55 90 118 81 90 118 72 90 118 118 90 118 도
35 75 109 56 85 115 85 86 115 74 87 115 122 86 115 구
36 69 106 59 80 112 88 81 112 77 80 112 124 79 112
38 60 103 61 75 109 90 75 109 79 75 109 125 74 109
40 52 100 62 70 106 92 69 106 83 66 106 127 66 106
41 45 97 65 60 103 94 61 103 85 58 103 130 60 103
42 35 94 66 50 100 97 52 100 86 50 100 133 50 100
43 28 91 67 44 97 104 43 97 89 42 97 136 42 97
46 20 88 68 36 94 107 35 94 92 35 94 138 36 94
48 15 85 69 30 91 114 28 91 95 29 91 145 28 91
51 10 82 71 20 88 118 21 88 98 21 88 156 20 88
52 8 79 72 15 85 121 16 85 101 15 85 162 15 85
54 6 76 74 12 82 129 12 82 108 12 82 166 11 82
55 4 73 77 8 79 143 8 79 110 8 79 170 8 79
63 1 67 80 6 76 144 6 76 112 6 76 172 6 76
86 4 73 147 4 73 126 4 73 179 4 73
96 1 67 160 1 67 163 1 67 204 1 67
<표 Ⅱ-61> Work Activities 대구장애인종합복지관(2011) 장애집단 규준표
205A 206 303 305 306A
시간 백분 표준 시간 백분 표준 시간 백분 표준 시간 백분 표준 시간 백분 표준
(초) 위수 점수 (초) 위수 점수 (초) 위수 점수 (초) 위수 점수 (초) 위수 점수
34 99 136 57 99 136 92 99 136 93 99 133 106 99 136
43 99 130 63 99 133 93 99 130 104 97 124 115 99 133
46 97 127 65 98 130 100 97 127 110 94 121 130 98 130
47 96 124 70 97 127 104 96 124 115 90 118 135 97 127
48 92 121 71 95 124 108 93 121 118 86 115 140 96 124
49 88 118 77 93 121 125 89 118 125 81 112 150 92 121
50 85 115 80 89 118 133 84 115 128 74 109 152 89 118
52 80 112 82 85 115 139 79 112 142 66 106 159 84 115
56 73 109 89 79 112 148 73 109 150 59 103 168 79 112
63 67 106 92 74 109 152 65 106 157 50 100 175 73 109

▼ 73 58 103 98 65 106 159 59 103 168 42 97 183 66 106

78 51 100 102 59 103 181 50 100 178 36 94 196 58 103
152 83 42 97 111 50 100 190 42 97 181 31 91 210 50 100
90 35 94 116 43 97 197 35 94 200 22 88 228 42 97
Ⅱ 104 27 91 124 34 94 202 28 91 224 16 85 242 35 94
손 110 22 88 133 28 91 212 22 88 240 12 82 259 27 91
기 125 17 85 146 21 88 227 17 85 255 9 79 280 21 88
능 134 12 82 157 16 85 234 12 82 277 6 76 302 16 85
평 150 8 79 160 12 82 248 9 79 300 5 73 324 12 82
가 155 6 76 176 9 79 252 6 76 330 3 70 340 9 79

구 164 4 73 179 6 76 306 4 73 411 1 67 372 6 76
222 3 70 201 4 73 320 3 70 390 4 73
258 1 64 218 3 70 334 1 64 444 3 70
255 2 67 452 2 67
280 1 61 460 1 61

5) 참고문헌
대구장애인종합복지관(2011). Work Activities 표준화 연구.
Attainment Company(2011). Work Activities Task Instruction.
www.attainmentcompany.com.
직업평가도구 사용매뉴얼 「손 기능 평가도구편」

❚TAP(Talent Assessment Program)


<사진 Ⅱ-67> TAP

TAP평가는 작업표본평가 도구로써 작


업재능, 직업적 잠재력, 손 작업 기능 등
을 평가하기 위해 실시되며, 작업활동
및 훈련 프로그램에 활용되기도 함.



153
1.개요

1) 평가목적 손


TAP은 장애인의 다양한 작업재능과 직업적 잠재력, 손 작업 기능을 평가하기 위함.

평가도구의 기능 외에도 흥미탐색, 작업활동 및 직업훈련 프로그램에 활용할 수 있음. 가

2) 평가대상
모든 장애인

3) 평가소요시간
전체 2시간 ~ 2시간 30분 정도
4) 도구 구성
<표 Ⅱ-62> TAP 하위 평가도구
영역 도구명 구성요소
∙ 미리 조립된 모형 1개
∙ 긴 금속막대 8개
TAP #1 구조, 기계물 이해 ∙ 짧은 금속막대 8개
∙ 직각금속 8개
시각과 기억력 ∙ 너트
∙ 도면 10장
TAP #9 도면이해
∙ 비닐 코팅 시트지
TAP #10 기계․구조물 상세기억 ∙ #1과 동일
∙ 크기와 모양이 다른 나사못 각각 8개씩 12
▼ TAP #2 크기와 모양변별
▼ 세트 : 총 96개
▼ 구별, 변별
TAP #3 색깔변별 ∙ 색깔구슬 6종류 × 48개 = 288개
154
TAP #4 촉각변별 ∙ 사포원반 12개
Ⅱ ∙ 전기 split 볼트 30개
TAP #5
∙ 와이어 클립 30개
손 ※ 맨손 기민성-소형
∙ 너트 30개
기 (하위검사1)

∙ 플라스틱 분류상자
평 ∙ 전기 연결기 12개
TAP #6
가 맨손 기민성-대형 ∙ 고리 24개
도 (하위검사2)
구 ∙ 금속개스킷 24개
∙ 소형 십자드라이버 1개
∙ 핀셋 1개
기민성
TAP #7 ∙ 금속판 1개
소도구 사용 손기민성
(하위검사3) ∙ 금속막대 3개
∙ 스테플
∙ 금속나사
∙ “T”자형 금속판
∙ 몽키스페너
TAP #8
대도구 사용 손기민성 ∙ 톱니바퀴랜치
(하위검사4)
∙ 소켓 3개
∙ 조임쇠
※ 하위검사 1, 2, 3, 4의 용어는 TAP의 하위영역중 손 기민성 평가도구를 작업재능검사라는 이름으로 국내 표준화하
면서 사용된 용어임(서울장애인종합복지관, 부천장애인종합복지관, 대구장애인종합복지관, 2009).
직업평가도구 사용매뉴얼 「손 기능 평가도구편」

2. 도구개발

1) 개발배경 및 표준화과정
미국에서 상업, 산업, 기술직, 전문직, 숙련직 또는 비숙련직 분야에 적용될 수 있는 중요한
특성들을 측정하기 위해 고안됨.
TAP 평가도구는 미국에서 장애인, 비장애인 등 모든 사람들에게 실시되어 왔으며, 고용, 훈
련, 흥미탐색 등을 위한 도구로 사용되어짐.
2009년 대구장애인종합복지관에서 TAP평가도구 중 평가현장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는
하위검사 5~하위검사 8을 표준화함.


2) 표준화정보 ▼

155
(1) TAP
13-15세를 대상으로 평가를 실시하고 6개월 후 검사-재검사를 실시하여 측정된 신뢰도 계수는


.86임.



(2) 작업재능검사(대구장애인종합복지관, 2009) 가

대구장애인종합복지관이 TAP평가도구의 표준화를 위해 2008년 5월부터 10월까지 대학생 구

240명, 일반고용 수준 지적장애인 216명, 작업활동 수준 지적장애인 201명 등 총 657명을


표집함.
연구계획에서 규준집단을 당초 대학생집단, 장애인집단, 취업자집단으로 할 계획이였으나
ANOVA 사후검증결과 하위검사 1에서는 세 집단 모두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나, 하위검사
2, 3, 4에서 장애인집단과 취업자집단 간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아 대학생, 지적장애
일반고용, 지적장애 작업활동 등 3개의 집단으로 선정함.

사후검증은 단계별 순서를 통해 두 집단 간의 평균을 비교하고, 검증집단에 대한 오차비율을


제어하는 Duncan 사후분석을 사용함.
<표 Ⅱ-63> TAP의 규준집단 평균과 표준편차
표준 표준
검사 규준집단 N 평균 최소값 최대값
편차 오차
지적장애 일반고용 194 20.3026 6.9116 .4962 9.80 62.60
지적장애 작업활동 151 26.4338 7.7790 .6330 13.90 58.00
검사1
대학생 239 12.2050 1.9620 .1269 6.40 20.00
합계 584 18.5740 8.1596 .3376 6.40 62.60
지적장애 일반고용 213 11.7099 4.0476 .2773 6.20 29.60
지적장애 작업활동 185 14.0811 3.8523 .2832 6.20 30.30
검사2
대학생 239 7.0477 1.3415 .0867 3.90 11.70
합계 637 10.6493 4.3709 .1732 3.90 30.30
지적장애 일반고용 200 12.7610 4.6990 .3323 6.20 30.50

▼ 지적장애 작업활동 167 16.0231 5.3286 .4123 7.70 37.60
▼ 검사3
대학생 239 8.0895 1.6806 .1087 5.10 16.80
156
합계 606 11.8176 5.1799 .2104 5.10 37.60
Ⅱ 지적장애 일반고용 187 19.8497 6.8994 .5045 8.70 44.40
지적장애 작업활동 130 22.4612 7.2080 .6322 11.50 61.90
손 검사4
기 대학생 239 11.6711 2.6175 .1693 6.50 22.60
능 합계 556 16.9447 7.2743 .3085 6.50 61.90


도 <표 Ⅱ-64> TAP의 하위검사 ANOVA

구분 제곱 합 자유도 평균제곱 F 유의확률
집단 간 19602.624 2 9801.312 296.395 .000
검사1 집단 내 19212.740 581 33.068
합계 38815.364 583
집단 간 5518.543 2 2759.271 263.772 .000
검사2 집단 내 6632.169 634 10.461
합계 12150.712 636
집단 간 6453.262 2 3226.631 198.947 .000
검사3 집단 내 9779.783 603 16.219
합계 16233.045 605
집단 간 12180.917 2 6090.459 195.964 .000
검사4 집단 내 17186.925 553 31.079
합계 29367.842 555
직업평가도구 사용매뉴얼 「손 기능 평가도구편」

<표 Ⅱ-65> TAP의 하위검사 1 Duncan 사후검증


Subset for
N
alpha = .05
규준집단 1 2 3
대학생 239 12.2050
지적장애 일반고용 194 20.3026
지적장애 작업활동 151 26.4338

<표 Ⅱ-66> TAP의 하위검사 2 Duncan 사후검증


Subset for
N
alpha = .05
규준집단 1 2 3 ▼

대학생 239 7.0477 ▼
지적장애 일반고용 213 11.7099 157
지적장애 작업활동 185 14.0811

<표 Ⅱ-67> TAP의 하위검사 3 Duncan 사후검증 손

Subset for 능
N
alpha = .05 평

규준집단 1 2 3 도
대학생 239 8.0895 구

지적장애 일반고용 200 12.7610


지적장애 작업활동 167 16.0231

<표 Ⅱ-68> TAP의 하위검사 4 Duncan 사후검증


Subset for
N
alpha = .05
규준집단 1 2 3
대학생 239 11.6711
지적장애 일반고용 187 19.8497
지적장애 작업활동 130 22.4612
3. 하위도구별 실시방법

▣ #4_ 촉각변별

1) 평가개요
손가락을 이용하여 촉각변별능력을 측정하는 평가임.

2) 평가준비
(1) 준비물


▼ 12개의 구멍이 있는 분류상자 1개
158 사포원반 12개

Ⅱ 눈가리개 1개


능 (2) 설치과정

가 ① 평가대 위에 사포원반을 무작위로 배치함.

구 ② 피평가자가 쉽게 닿을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사포원반 뒤로 구멍이 있는 분류 상자를 놓음.

<사진 Ⅱ-68> TAP #4의 시행 준비 <사진 Ⅱ-69> TAP #4의 시작 장면


직업평가도구 사용매뉴얼 「손 기능 평가도구편」

3) 평가실시
(1) 피평가자에게 이 평가는 분류상자에 거친 것부터 상자 구멍의 순서대로 사포원반을 분류
하는 평가임을 알림.
(2) 가장 거친 것에서부터 가장 부드러운 순서로 분류상자의 왼쪽 상단에 사포원반을 넣은 뒤
거친 것이 오른쪽 방향으로 위치하도록 넣음. 이 과정을 순차적으로 반복할 시 마지막 가
장 부드러운 사포원반은 오른쪽 하단에 놓이게 됨.
(3) 피평가자에게 눈이 완전히 보이지 않게 눈가리개를 할 수 있도록 설명함.
(4) 분류상자의 좌측 상단과 우측 하단을 식별하고 원반을 손으로 만져 봄으로써 피평가자 스
스로 원반과 분류상자에 익숙해지도록 함.
(5) 가능한 한 빨리 평가를 수행하도록 설명함. ▼

<사진 Ⅱ-70> TAP #4 평가실시 과정 159


󰋼󰋼 󰋼󰋼 󰋼󰋼 손




4) 평가결과 채점 도

(1) 시작시간과 종료시간을 기록함.
(2) 피평가자 앞에서 사포원반을 확인하고 분류상자의 모든 구멍이 채워져 있는지 확인함.
(3) 사포원반을 뒤집어 오류를 확인함.
(4) 사포원반들은 알파벳순으로 “A”에서 “L”까지의 순서로 적혀있으며, 이탈된 원반은 오류수
로 기록함.
(5) 만약 피평가자가 매뉴얼에 진술된 것과 다른 방식으로 평가를 수행할 경우 평가자의 재량
에 따름.
(6) 피평가자가 사포원반의 가장 거친 것이 분류상자의 우측 하단에 있고 가장 부드러운 원반
이 우측 상단에 있는 것과 완전 반대로 배치했을 경우 오류로 기록하기 전 우선 피평가자
가 지시를 이해하지 못한 것인지 또는 즉흥적으로 행한 것인지를 관찰하여야 함.
▣ #5_ 맨손 기민성-소형

1) 평가개요
일정한 시간동안 손가락 끝으로 작은 부품을 다루는 맨손 기민성을 평가함.

2) 평가준비
(1) 준비물

4개의 칸이 있는 분류상자 1개
전기 분할볼트(split bolt) 30개

▼ 와이어 클립 30개

너트 30개
160


(2) 설치과정

기 ① 평가대 위에 조립된 전기 분할볼트(이하 볼트라 칭함)가 들어있는 상자를 배치함.

② 피평가자의 우세손이 오른손이라면 조립된 볼트를 가장 왼쪽에 배치하며, 우세손이 왼손이

가 라면 조립된 볼트를 가장 오른쪽에 배치함.

<사진 Ⅱ-71> TAP #5 우세손이 오른손인 경우의 <사진 Ⅱ-72> TAP #5 우세손이 왼손인 경우의
준비물 배치 준비물 배치
직업평가도구 사용매뉴얼 「손 기능 평가도구편」

<사진 Ⅱ-73> TAP #5 우세손이 오른손인


경우의 시작자세


3) 평가실시 ▼

(1) 평가자는 아래와 같은 순서로 분해와 조립에 대한 시범을 보임. 161


① 왼손으로 볼트를 잡고 오른손으로 너트를 풀면서 볼트를 분해함.

② 오른손으로 너트를 오른쪽 칸에 떨어뜨리는 동안 왼손으로 와이어 클립이 중간 칸에 떨 손
어질 수 있도록 중간 칸 위에서 볼트를 분해함. 기

③ 분해한 너트는 분류상자에서 조립된 볼트가 놓여진 칸 중 오른쪽 칸에 떨어뜨리고 볼트 평

는 분류상자에서 조립된 볼트가 놓여진 칸에서 가장 마지막 칸에 떨어뜨림. 너트와 볼 도

트를 동시에 떨어뜨림.
④ 분해가 끝난 후 왼손으로 볼트를 집은 후 오른손으로 와이어 클립을 볼트에 삽입하고
너트가 클립에 닿을 때까지 오른손으로 너트를 돌려 볼트를 조립하도록 함. 조립된 볼트
는 분류상자의 가장 오른쪽 칸에 넣음.
※ 우세손이 왼손의 경우 ①~④의 손의 순서를 반대로 실시함.
(2) 평가자는 피평가자가 빠른 수행이 충분히 가능하다고 생각될 때까지 분해와 조립을 연습
할 수 있도록 함.
(3) 평가자는 피평가자가 가능한 최대한 빨리 수행하고 분해와 조립을 각각 30개씩 하도록 지
시함.
(4) 수행 전 볼트가 조립된 상태라면 분해과제부터 실시하고 분해된 상태라면 조립과제부터
실시함.
<사진 Ⅱ-74> TAP #5 우세손이 오른손인 경우의 분해순서

󰋼󰋼 󰋼󰋼

<사진 Ⅱ-75> TAP #5 우세손이 오른손인 경우의 조립순서

󰋼󰋼 󰋼󰋼 󰋼󰋼


▼ <사진 Ⅱ-76> TAP #5 우세손이 왼손인 경우의 분해순서

162

Ⅱ 󰋼󰋼 󰋼󰋼



평 <사진 Ⅱ-77> TAP #5 우세손이 왼손인 경우의 조립순서



󰋼󰋼 󰋼󰋼 󰋼󰋼

4) 결과채점
(1) 시작시간과 종료시간을 기록함.
※ 완전히 조여지지 않고 남겨진 볼트들은 완전히 조이도록 하고, 조이는데 추가로 소요된 시간은
원점수 시간에 합산함.
(2) 평가자는 모든 너트가 볼트의 끝부분까지 조여졌는지를 확인함.
※ 만약 조여지지 않았다면 피평가자가 완전히 조립해야 하고 추가시간을 기록함.
(3) 평가자는 피평가자를 관찰하고 수행과제에 대한 반응을 기록함.
* 행동관찰을 기록해야 하며 이를 결과해석 시 활용함.
직업평가도구 사용매뉴얼 「손 기능 평가도구편」

▣ #6_ 맨손 기민성-대형

1) 평가개요
큰 부품을 다루는 맨손 기민성을 평가함.

2) 평가준비
(1) 준비물

부품상자 1개
전기 연결기 12개

고리 24개 ▼

금속 개스킷 24개
163


(2) 설치과정

① 피평가자 앞 평가대 위에 전기 연결기(이하 연결기라 칭함)를 배치함. 이 때 배치된 부품 기

들 앞에서 피평가자가 작업을 할 수 있도록 충분한 공간을 확보하도록 함.

② 연결기 옆에 고리를 배치함. 이 때 연결기 양옆에 수직으로 고리를 2줄씩 놓고 고리가 세 가

로로 총 4줄이 되도록 놓음. 구

③ 고리 옆에 금속 개스킷(이하 개스킷이라 칭함)을 배치하여 고리의 양옆에 수직으로 2줄씩


놓고 개스킷이 세로로 총 4줄이 되도록 놓음.

<사진 Ⅱ-78> TAP #6 준비물 배치 <사진 Ⅱ-79> TAP #6 시작자세


3) 평가실시
(1) 평가자는 아래와 같은 순서로 조립과 분해에 대한 시범을 보임.
① 앉거나 선 자세에서 동시에 양손을 사용하여 반대편의 고리를 1개씩 동시에 끌어당겨
평가자 바로 앞에서 조립할 수 있도록 부품을 가져옴.
② 동시에 양손을 사용하여 양쪽 반대편에 있는 개스킷을 1개씩 집어 들어 평가자 앞에 있
는 고리 안으로 넣음.
③ 우세손이 오른손일 경우 왼손으로 왼쪽에 있는 고리를 견고하게 잡고 오른손으로 연결기를
돌려 고리에 조립함. 이 때 연결기를 돌려 완전히 조립하되 너무 조이지 않도록 함.
④ 오른손으로 오른쪽의 고리를 잡고 왼손으로 연결기를 끝까지 돌려 완전히 고리에 닿게
▼ 조립함. 이 때 왼손은 연결기를 잡지 않고 고리를 잡아 조립함.

▼ ※ 작업재능검사 규준표를 사용할 경우 수행방법에서 고리를 평가대에서 들지 않고 바닥에 붙인
164 채 연결기를 조립하여야 함.
⑤ 조립이 끝난 후 분해를 실시하도록 함. 분해방법으로 정해진 규칙은 없지만 개스킷이 고

리에서 모두 분리되어야 함. 이 때 부품을 원래 순서대로 정리할 필요가 없으며 최대한

기 빨리 실시하도록 함.

평 ※ 우세손이 왼손일 경우 ③, ④의 손의 순서를 반대로 실시함. 단, 과제를 수행하는 동안 양손을
가 교차한다든지 조립하는 동안 한 손에서 다른 손으로 부품들을 이동해서는 안 된다는 등의 조

구 립수행의 기본 원칙들은 지켜져야 함.
(2) 평가자는 피평가자가 수행과제를 완전히 이해할 때까지 연습할 수 있도록 함.
(3) 평가자는 피평가자가 가능한 최대한 빨리 수행할 수 있도록 언어적인 설명을 하고, 조립
과 분해를 각각 12개씩 하도록 설명한 후 피평가자가 수행할 수 있도록 함.

<사진 Ⅱ-80> TAP #6 우세손이 오른손인 경우의 조립순서

󰋼󰋼 󰋼󰋼 󰋼󰋼 󰋼󰋼
직업평가도구 사용매뉴얼 「손 기능 평가도구편」

<사진 Ⅱ-81> TAP #6 우세손이 왼손인 경우의 조립순서

󰋼󰋼 󰋼󰋼 󰋼󰋼 󰋼󰋼

<사진 Ⅱ-82> TAP #6 분해수행

분해방법은 정해진 규칙이 없지만 개스킷이 고


리에서 모두 분리되어야 함. 그리고 분해과제
에서는 부품을 원래 순서대로 정리할 필요는
없음. ▼

165

4) 평가결과 채점 Ⅱ

(1) 시작시간과 종료시간을 기록함. 기

※ 완전히 조립되지 않은 연결기들은 끝까지 조립해야 하고, 조립하는데 추가로 소요된 시간은 원점 평
수 시간에 합산함. 가

(2) 평가자는 평가과정을 면밀히 관찰해야 하며, 모든 행동들은 왼손과 오른손을 모두 똑같이 구

사용하여 수행해야 함.
(3) 피평가자가 최대한 빨리 과제를 수행할 수 있도록 충분한 연습시간을 제공해야 함.
▣ #7_ 소도구 사용 손 기민성

1) 평가개요
작은 도구와 작은 부품을 다루는 손 기민성을 평가함.

2) 평가준비
(1) 준비물
부품상자 1개
소형 십자드라이버 1개
▼ 핀셋 1개

▼ 금속판 1개
166 금속막대 3개
스테플러침 충분한 양
Ⅱ 금속나사 충분한 양


능 (2) 설치과정
평 ① 부품상자 안 왼쪽 칸에 구멍이 난 금속판을 배치하고, 부품상자 중앙 작은 두 개의 칸에

도 스테플러침과 금속나사를 배치함. 오른쪽 칸에는 금속막대 3개를 배치함.

② 위와 같이 구성된 부품상자를 피평가자 앞 평가대 위에 아래의 사진과 같이 배치함.
③ 부품상자 오른쪽에 소형 십자드라이버와 핀셋을 배치함.

<사진 Ⅱ-83> TAP #7 준비물 배치 <사진 Ⅱ-84> TAP #7 시작자세


직업평가도구 사용매뉴얼 「손 기능 평가도구편」

3) 평가실시
(1) 평가자는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조립에 대한 시범을 보임.
① 먼저 핀셋을 이용하여 금속판의 작은 구멍에 스테플러침을 끼워 넣음. 이 때 스테플러침
을 손으로 만져서는 안 됨.
② 금속판의 한 줄에 스테플러침을 다 끼운 후 손으로 금속막대를 금속판 위에 얹고 금속
판의 큰 구멍과 금속막대의 구멍을 맞춤.
※ ①, ②을 수행할 때는 한 번에 한 줄씩 수행해야 함.
③ 핀셋을 이용하여 금속나사를 집고 금속막대의 중앙 가까이에 있는 구멍에 끼운 후 금속
막대가 금속판에 고정될 수 있도록 소형 십자드라이버(이하 드라이버라 칭함)로 일단 느
슨하게 금속나사를 조임. ▼

④ 핀셋으로 금속막대의 나머지 구멍에 금속나사를 모두 채운 후 양손을 이용하여 드라이 ▼

버로 금속나사를 모두 완전히 조임. 167


⑤ 피평가자에게 두 번째 열과 세 번째 열을 위와 같은 방식으로 수행해야 한다고 설명함. Ⅱ
(2) 평가자는 피평가자가 빠른 수행이 충분히 가능하다고 생각될 때까지 연습하도록 함. 손
(3) 평가자는 피평가자가 가능한 최대한 빨리 수행할 수 있도록 설명함. 기


<사진 Ⅱ-85> TAP #7 조립순서 가

󰋼󰋼 󰋼󰋼 󰋼󰋼

󰋼󰋼 󰋼󰋼 󰋼󰋼

󰋼󰋼
Tip

<평가수행 시 평가자가 할 일>


• 평가자는 피평가자가 스테플러침과 금속나사를 편하게 집을 수 있는 위치에 부품상자를 배치함.
• 평가자는 피평가자에게 스테플러침과 금속나사를 집는 여러 가지 방법을 설명해 주어야 함.
예를 들어 핀셋의 한쪽 날로 금속나사머리를 잡고 다른 한쪽 날로는 나사머리 밑 부분을 잡는 방법이
있고, 또 다른 방법으로 핀셋의 양날로 금속나사머리 밑 부분을 잡는 방법이 있음. 부품상자 안에 스
템플러침과 금속나사의 위치를 설명해 주고 스테플러침과 금속나사를 쉽게 다룰 수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연습시간을 제공함.
• 평가자는 피평가자가 한꺼번에 모든 스테플러침을 금속판에 끼워 넣을 수도 있고, 한 번에 한 줄씩
끼워 넣을 수도 있음. 지루함을 피하기 위해 한 번에 한 줄씩 하도록 권장함.
• 평가자는 금속판에 3개의 금속막대가 고정될 때 평가를 종료함.

▼ • 평가자는 피평가자가 수행 시 금속나사와 스테플러침을 손으로 조작할 수 없게 해야 함.

• 평가자는 피평가자가 금속나사를 완전히 조여야 하지만 맨 처음에 조이는 금속나사를 너무 꽉 조이게
168
되면 금속막대가 고정될 수도 있고 다른 금속나사를 구멍에 조이지 못하게 될 수도 있기 때문에 맨
Ⅱ 처음에 조이는 금속나사는 완전히 조이지 않도록 설명해 주어야 함.



능 4) 평가결과 채점

가 (1) 시작과 종료시간을 기록함.

구 (2) 평가자는 금속막대에 모든 금속나사들이 조여졌는지 확인한 후 조여지지 않았다면 피평가
자에게 금속나사들을 다시 조일 수 있도록 하고 조이는데 소요된 추가시간을 기록함.
직업평가도구 사용매뉴얼 「손 기능 평가도구편」

▣ #8_ 대도구 사용 손 기민성

1) 평가개요
큰 도구와 큰 부품을 다루는 손 기민성을 평가함.

2) 평가준비
(1) 준비물
스프링이 달린 볼트 6개가 부착된 “T"자형 금속판 1개
멍키 스패너 1개

톱니바퀴 렌치 1개 ▼

소켓 3개
169
평가대에 금속판을 부착할 조임쇠 1개

(2) 설치과정 손

① 평가대 위에 금속판을 안전하게 부착할 조임쇠를 이용하여 “T"자형 금속판을 배치함. 능

② “T”자형 금속판 양 옆에 각각 멍키 스패너와 톱니바퀴 렌치 및 소켓을 놓음. 가


<사진 Ⅱ-86> TAP #8 준비물 배치 <사진 Ⅱ-87> TAP #8 시작자세
3) 평가실시
(1) 평가자는 피평가자에게 멍키 스패너와 톱니바퀴 렌치에 관한 지식이나 과거에 사용한 경
험이 있을 것이라고 추측하지 않아야 함.
(2) 평가자는 멍키 스패너의 조정, 톱니바퀴 렌치의 소켓 교환, 톱니바퀴 렌치의 방향전환에
대해 시범을 보인 후 아래와 같은 순서로 “T"자형 금속판(이하 금속판이라 칭함) 분리에
대한 시범을 보임.
멍키 스패너로 볼트의 머리를 고정시키고 소켓으로 너트를 돌려 금속판에서 볼트를 분리
함. 이 때 볼트의 머리에 소켓을 사용하여 금속판의 볼트를 분리한다면 볼트의 머리를 상
하게 할 수 있기 때문에 볼트에는 반드시 멍키 스패너를 사용함.
▼ (3) 피평가자가 금속판에서 볼트 분리, 소켓 교환, 톱니바퀴 렌치의 방향전환을 연습할 수 있

▼ 도록 함.
170 (4) 금속판에서 6개의 볼트를 다 빼낸 후 너트와 와셔를 오른쪽에 볼트와 스프링은 왼쪽에 놓

Ⅱ 음. 이 때 볼트에서 스프링을 분리할 필요는 없음.


손 (5) 볼트가 모두 제거된다면 손잡이가 있는 금속판은 분리됨. 금속판의 붉은 표시가 일치하도
기 록 손잡이를 위로 혹은 앞으로 회전시킴. 손잡이의 회전 방향은 원래의 위치에 따라 다른

평 데 손잡이가 위쪽에 있을 때 평가를 시작했다면 손잡이를 앞으로 회전시키고, 손잡이의

도 위치가 앞에 있을 때 평가를 시작했다면 손잡이를 위쪽으로 회전시킴.

(6) 볼트, 스프링, 와셔, 너트를 금속판의 제 위치에 다시 끼움. 도구를 사용하기 전에 손으로
너트를 완전히 조임. 손으로 부품을 먼저 조립하는 이유는 수행시간을 절약하고 모든 볼
트가 조립되기 이전에 1~2개의 볼트가 너무 조여지는 것을 막기 위한 것임.
(7) 평가수행은 모든 볼트에 스프링이 완전히 눌려졌을 때 완료됨. 하지만 작은 볼트의 경우
에는 스프링이 완전히 눌려지기 이전에 볼트의 눈금이 끝날 수도 있음.
직업평가도구 사용매뉴얼 「손 기능 평가도구편」

<사진 Ⅱ-88> TAP #8 분해 및 조립 순서

󰋼󰋼 󰋼󰋼

󰋼󰋼 󰋼󰋼



󰋼󰋼 󰋼󰋼 ▼

171


Tip 손

<평가수행 시 평가자가 할 일> 능
• 평가자는 피평가자가 최대한의 수행결과가 나올 수 있도록 도구사용법의 이해는 물론 충분한 연습시 평

간을 주도록 함. 도

• 피평가자가 금속판의 손잡이를 위에서 앞으로, 앞에서 위로 돌려가며 각각 연습해 보도록 함.
• 평가자는 피평가자가 우세손이 왼손일 경우에는 너트가 왼쪽에 오도록 금속판을 돌려 놓고, 피평가자
가 금속판의 손잡이를 위, 앞으로 돌려가면서 붉은 표시를 일치시킬 수 있도록 설명함.
• 피평가자는 항상 너트에 소켓을 사용하고 볼트의 머리에 멍키 스패너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함.
• 평가자는 피평가자가 평가수행 시 바로 옆에 서서 마지막 볼트를 제거할 때 금속판을 떨어뜨리지 않
도록 설명함.

4) 평가결과 채점
(1) 시작시간과 종료시간을 기록함.
(2) 평가수행의 종결시점은 모든 스프링이 완전히 조여졌을 때이며 스프링이 완전히 조여지지
않았다면 피평가자에게 스프링을 완전히 조이게 하고 조이는데 추가된 시간을 기록함.
4. 결과해석

1) TAP
평가결과 해석은 규준표에 따른 하위검사별 평가시간 대비 표준점수를 토대로 이루어짐.

2) 작업재능검사

기능수준 매우낮음 평균이하 평균 평균이상 매우높음


표준점수범위 69이하 70~84 85~114 115~129 130이상
백분위수범위 3이하 3~16 16~84 84~97 97이상

▼ 이론적 정규분포 2.2 13.6 68.2 13.6 2.2

172 장애인의 작업재능을 일반집단과 비교할 때는 대학생집단 규준표를 활용하고, 고용가능성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일반고용수준 규준표를, 일반고용이 어려운 중증장애인의 경우는 작업활동

수준 규준표를 활용함.




<사례>

도 이○○씨는 자폐성장애 3급으로 사회성이 부족하고 또래관계 형성에 어려움을 보이는데 반해 학습인지

능력이 양호하고, 단순직무의 경우 시범이 주어질 시 즉각적인 수행이 가능하다는 상담내용을 기반으로
관련 직종으로의 외부 취업을 희망하고 있음. 피평가자의 작업인지와 큰 부품을 다루는 손의 기능을 알
아보기 위해서 하위검사 2를 실시한 결과 대학생 규준에서 16%ile인 평균수준으로 양호한 능력을 보였
으며 일반고용수준 규준에서는 86%ile로 평균 이상의 수행능력을 보임.
따라서 이○○씨는 큰 부품을 다루는 손 기능이 취업이 가능할 정도의 기능수준으로 관련 직종으로의
시범 및 훈련이 지원될 시 직무 배치가 가능할 것으로 사료됨.
직업평가도구 사용매뉴얼 「손 기능 평가도구편」

5. 부록

1) 점수기록지
(1) TAP 점수기록지

<표 Ⅱ-69> TAP의 점수기록지

TAP(Talent Assessment Program)

날짜: 이름: 나이: 성별:




소속: 주소: 평가자: 집단: ▼

도구사용
173
맨손 기민성 10.
1. 2. 기민성
3. 4. 9. 세부
기계 크기와 Ⅱ
색깔 촉각 5. 6. 7. 8. 도면 구조
구조 모양 손
소형 대형 소형 대형 기억

B. 종료시간 능

A. 시작시간 가

C. 원점수(시간) 구

완전히 수행되지 않았을


D. 오류수(E) 경우 마무리하는데 걸린
추가시간을 더한다.

E. 페널티시간 ×.5= ×.5= ×1= ×.7= ×1= ×.5=

F. 총 시간 (C+E)

G. 백분위

1. 2. 3. 4. 5. 6. 7. 8. 9. 10.

* 출처: 대구장애인종합복지관 역(2001). TAP 직업평가체계.


(2) 작업재능검사 점수기록지

<표 Ⅱ-70> 작업재능검사 점수기록지

작업재능검사 점수기록지
이 름: 성 별: 연 령(만):
장애/등급: 검사일: 평 가 사:

작업재능검사 점수표

맨손기민성 도구사용기민성
하위검사1(소형) 하위검사2(대형) 하위검사3(소형) 하위검사4(대형)

▼ B. 종 료 시 간

A. 시 작 시 간
174
C. 원점수(B-A)
Ⅱ D. 추 가 시 간
손 E. 총 시 간
기 F. 대 학 생

표준 일반고용

가 점수 작업활동


작업재능검사 행동관찰

하위검사 1
맨손기민성
(소형)

하위검사 2
맨손기민성

하위검사 3
소도구 사용
손기민성
하위검사 4
대도구 사용
손기민성
* 출처: 대구장애인종합복지관(2009). 작업재능검사.
직업평가도구 사용매뉴얼 「손 기능 평가도구편」

2) 규준표
(1) TAP #4
<표 Ⅱ-71> TAP #4 TESTS 지적장애인 규준표
Time/ PERCENTILE Time/ PERCENTILE Time/ PERCENTILE
Mins. RATING Mins. RATING Mins. RATING
1.0 99 11.3 3 21.6 0
1.1 99 11.4 3 21.7 0
1.2 99 11.5 3 21.8 0
1.3 99 11.6 2 21.9 0
1.4 99 11.7 2 22.0 0
1.5 99 11.8 2 22.1 0
1.6 99 11.9 2 22.2 0
1.7 99 12.0 1 22.3 0 ▼
1.8 99 12.1 1 22.4 0 ▼

1.9 99 12.2 1 22.5 0
2.0 99 12.3 1 22.6 0 175
2.1 99 12.4 1 22.7 0
2.2 98 12.5 1 22.8 0 Ⅱ
2.3 98 12.6 1 22.9 0

2.4 97 12.7 1 23.0 0

2.5 97 12.8 1 23.1 0 능
2.6 97 12.9 1 23.2 0 평
2.7 97 13.0 1 23.3 0 가
2.8 96 13.1 1 23.4 0 도

2.9 96 13.2 0 23.5 0
3.0 95 13.3 0 23.6 0
3.1 94 13.4 0 23.7 0
3.2 93 13.5 0 23.8 0
3.3 92 13.6 0 23.9 0
3.4 91 13.7 0 24.0 0
3.5 90 13.8 0 24.1 0
3.6 89 13.9 0 24.2 0
3.7 88 14.0 0 24.3 0
3.8 87 14.1 0 24.4 0
3.9 86 14.2 0 24.5 0
4.0 85 14.3 0 24.6 0
4.1 83 14.4 0 24.7 0
4.2 81 14.5 0 24.8 0
4.3 80 14.6 0 24.9 0
4.4 78 14.7 0 25.0 0
Time/ PERCENTILE Time/ PERCENTILE Time/ PERCENTILE
Mins. RATING Mins. RATING Mins. RATING
4.5 76 14.8 0 25.1 0
4.6 74 14.9 0 25.2 0
4.7 73 15.0 0 25.3 0
4.8 71 15.1 0 25.4 0
4.9 69 15.2 0 25.5 0
5.0 67 15.3 0 25.6 0
5.1 65 15.4 0 25.7 0
5.2 62 15.5 0 25.8 0
5.3 60 15.6 0 25.9 0
5.4 57 15.7 0 26.0 0
5.5 55 15.8 0 26.1 0
5.6 53 15.9 0 26.2 0
5.7 51 16.0 0

▼ 5.8 48 16.1 0
▼ 5.9 46 16.2 0
176 6.0 43 16.3 0
6.1 42 16.4 0
Ⅱ 6.2 40 16.5 0
6.3 39 16.6 0

6.4 37 16.7 0
기 6.5 36 16.8 0

6.6 34 16.9 0

가 6.7 33 17.0 0
도 6.8 31 17.1 0
구 6.9 30 17.2 0
7.0 28 17.3 0
7.1 27 17.4 0
7.2 26 17.5 0
7.3 26 17.6 0
7.4 25 17.7 0
7.5 24 17.8 0
7.6 23 17.9 0
7.7 22 18.0 0
7.8 22 18.1 0
7.9 21 18.2 0
8.0 20 18.3 0
8.1 20 18.4 0
8.2 19 18.5 0
8.3 19 18.6 0
8.4 18 18.7 0
직업평가도구 사용매뉴얼 「손 기능 평가도구편」

Time/ PERCENTILE Time/ PERCENTILE Time/ PERCENTILE


Mins. RATING Mins. RATING Mins. RATING
8.5 17 18.8 0
8.6 16 18.9 0
8.7 16 19.0 0
8.8 15 19.1 0
8.9 15 19.2 0
9.0 14 19.3 0
9.1 14 19.4 0
9.2 13 19.5 0
9.3 13 19.6 0
9.4 12 19.7 0
9.5 11 19.8 0
9.6 10 19.9 0
9.7 10 20.0 0

9.8 9 20.1 0 ▼
9.9 9 20.2 0 ▼
10.0 8 20.3 0 177
10.1 8 20.4 0
10.2 7 20.5 0 Ⅱ
10.3 7 20.6 0

10.4 6 20.7 0
10.5 6 20.8 0 기

10.6 6 20.9 0

10.7 6 21.0 0 가
10.8 5 21.1 0 도
10.9 5 21.2 0 구
11.0 4 21.3 0
11.1 4 21.4 0
11.2 3 21.5 0
* 출처: 대구장애인종합복지관 역(2001). TAP 직업평가체계.
(2) 작업재능검사
<표 Ⅱ-72> 작업재능검사 규준표
○ 규준표 1 : 대학생집단 하위검사 1
시간 백분위수 표준점수 시간 백분위수 표준점수 시간 백분위수 표준점수
6.4 99 142 10.7 79 112 15 8 79
6.5 99 142 10.8 77 111 15.1 8 79
6.6 99 141 10.9 76 110 15.2 8 79
6.7 99 141 11 73 109 15.3 8 79
6.8 99 140 11.1 70 108 15.4 8 78
6.9 99 140 11.2 68 107 15.5 7 77
7 99 139 11.3 67 107 15.6 6 77



7.1 99 139 11.4 66 106 15.7 5 76

178 7.2 99 138 11.5 63 105 15.8 5 75


7.3 99 137 11.6 60 104 15.9 5 75
Ⅱ 7.4 99 137 11.7 56 102 16 5 74
손 7.5 99 137 11.8 54 101 16.1 5 74

능 7.6 99 136 11.9 52 101 16.2 4 74
평 7.7 99 136 12 50 100 16.3 4 73

도 7.8 99 136 12.1 49 100 16.4 4 73

7.9 99 135 12.2 47 99 16.5 4 73
8 99 135 12.3 45 98 16.6 4 72
8.1 99 135 12.4 43 97 16.7 4 72
8.2 99 135 12.5 41 97 16.8 3 71
8.3 99 134 12.6 39 96 16.9 3 71
8.4 99 134 12.7 38 95 17 3 70
8.5 99 134 12.8 37 95 17.1 3 70
8.6 99 132 12.9 35 94 17.2 3 70
8.7 99 132 13 32 93 17.36 3 70
8.8 98 131 13.1 30 92 17.4 3 70
8.9 98 130 13.2 28 91 17.5 3 70
9 98 130 13.3 25 90 17.6 2 69
직업평가도구 사용매뉴얼 「손 기능 평가도구편」

시간 백분위수 표준점수 시간 백분위수 표준점수 시간 백분위수 표준점수


9.1 97 129 13.4 23 89 17.7 2 69
9.2 96 127 13.5 22 88 17.8 2 69
9.3 95 125 13.6 20 87 17.9 2 69
9.4 95 124 13.7 18 86 18 2 68
9.5 94 123 13.8 15 84 18.1 1 66
9.6 93 122 13.9 14 84 18.2 1 65
9.7 92 121 14 13 83 18.3 1 64
9.8 92 120 14.1 12 82 18.4 1 63
9.9 91 120 14.2 11 82 18.5 1 63
10 90 119 14.3 10 81 18.6 1 62
10.1 89 118 14.4 10 80 18.7 1 61
10.2 88 118 14.5 9 80 18.8 1 60

10.3 86 116 14.6 9 80 18.9 1 59 ▼

10.4 84 115 14.7 9 80 20 1 58
179
10.5 83 114 14.8 9 80
10.6 81 113 14.9 8 79


○ 규준표 1 : 대학생집단 하위검사2

시간 백분위수 표준점수 시간 백분위수 표준점수 능
4 99 142 8.3 18 86 평

4.1 99 141 8.4 16 85 도

4.2 99 140 8.5 15 84
4.3 99 139 8.6 13 83
4.4 99 137 8.7 11 81
4.5 99 136 8.8 9 80
4.6 98 131 8.9 8 78
4.7 97 129 9 6 77
4.8 97 127 9.1 5 76
4.9 96 126 9.2 5 74
5 95 124 9.3 5 74
5.1 93 122 9.4 5 74
5.2 92 121 9.5 4 73
5.3 90 119 9.6 4 73
5.4 89 118 9.7 3 72
5.5 86 116 9.8 3 71
시간 백분위수 표준점수 시간 백분위수 표준점수
5.6 85 115 9.9 3 70
5.7 83 114 10 2 69
5.8 82 114 10.1 2 69
5.9 81 113 10.2 2 68
6 78 112 10.3 2 68
6.1 75 110 10.4 2 68
6.2 74 109 10.5 1 67
6.3 71 108 10.6 1 66
6.4 68 107 10.7 1 66
6.5 65 106 10.8 1 66
6.6 60 104 10.9 1 65
6.7 57 102 11 1 65

▼ 6.8 54 101 11.1 1 64

6.9 51 100 11.2 1 64
180 7 50 100 11.3 1 64
7.1 49 100 11.4 1 63
Ⅱ 7.2 46 99 11.5 1 63
손 7.3 42 97 11.6 1 63
기 7.4 38 95 11.7 1 58


7.5 36 95
가 7.6 34 94

구 7.7 32 93
7.8 30 92
7.9 27 91
8 23 89
8.1 21 88
8.2 19 87
직업평가도구 사용매뉴얼 「손 기능 평가도구편」

○ 규준표 1 : 대학생집단 하위검사3


시간 백분위수 표준점수 시간 백분위수 표준점수 시간 백분위수 표준점수
5.1 99 142 9.4 16 85 13.7 2 67
5.2 99 141 9.5 15 84 13.8 2 67
5.3 99 140 9.6 15 84 13.9 2 66
5.4 99 139 9.7 14 84 14 1 66
5.5 99 137 9.8 14 84 14.1 1 66
5.6 99 135 9.9 13 83 14.2 1 66
5.7 99 133 10 12 83 14.3 1 66
5.8 98 131 10.1 11 82 14.4 1 66
5.9 98 129 10.2 10 81 14.5 1 66
6 97 127 10.3 9 80 14.6 1 66
6.1 96 125 10.4 9 80 14.7 1 65
6.2 94 123 10.5 8 79 14.8 1 65 ▼
6.3 92 120 10.6 8 78 14.9 1 65 ▼

6.4 89 118 10.7 7 78 15 1 65
6.5 87 117 10.8 6 77 15.1 1 65 181
6.6 86 116 10.9 5 76 15.2 1 65
6.7 82 114 11 5 76 15.3 1 64 Ⅱ
6.8 78 112 11.1 5 75 15.4 1 64 손
6.9 77 111 11.2 5 74 15.5 1 64 기
7 75 110 11.3 5 74 15.6 1 64 능
7.1 73 109 11.4 4 74 15.7 1 64 평

7.2 70 108 11.5 4 74 15.8 1 64 도
7.3 68 107 11.6 4 74 15.9 1 63 구
7.4 64 105 11.7 4 73 16 1 63
7.5 61 104 11.8 4 73 16.1 1 63
7.6 58 103 11.9 4 73 16.2 1 63
7.7 54 101 12 4 73 16.3 1 62
7.8 51 100 12.1 3 72 16.4 1 61
7.9 47 99 12.2 3 72 16.5 1 60
8 43 97 12.3 3 72 16.6 1 60
8.1 41 96 12.4 3 71 16.7 1 59
8.2 38 95 12.5 3 71 16.8 1 58
8.3 34 94 12.6 3 70
8.4 31 92 12.7 3 70
8.5 28 91 12.8 2 69
8.6 27 91 12.9 2 69
8.7 25 90 13 2 69
8.8 23 89 13.1 2 69
시간 백분위수 표준점수 시간 백분위수 표준점수 시간 백분위수 표준점수
8.9 21 88 13.2 2 69
9 20 87 13.3 2 68
9.1 18 86 13.4 2 68
9.2 18 86 13.5 2 68
9.3 17 85 13.6 2 68

○ 규준표 1 : 대학생집단 하위검사4


시간 백분위수 표준점수 시간 백분위수 표준점수 시간 백분위수 표준점수
6.5 99 142 11.1 55 102 15.7 6 77
6.6 99 140 11.2 54 101 15.8 6 77
6.7 99 137 11.3 52 101 15.9 6 76
6.8 99 136 11.4 51 100 16 6 76
▼ 6.9 99 136 11.5 50 100 16.1 5 75

▼ 7 99 135 11.6 49 99 16.2 5 75
182 7.1 99 134 11.7 46 99 16.3 5 75
7.2 99 134 11.8 45 98 16.4 5 74
Ⅱ 7.3 99 133 11.9 43 97 16.5 5 74
7.4 99 132 12 41 97 16.6 5 74

7.5 98 130 12.1 39 96 16.7 4 73

능 7.6 97 128 12.2 37 95 16.8 4 73
평 7.7 97 127 12.3 36 95 16.9 4 73
가 7.8 96 126 12.4 35 94 17 4 73

구 7.9 95 125 12.5 34 94 17.1 3 72
8 95 124 12.6 32 93 17.2 3 71
8.1 94 123 12.7 31 93 17.3 3 71
8.2 92 121 12.8 31 92 17.4 3 70
8.3 91 120 12.9 30 92 17.5 2 70
8.4 90 119 13 30 92 17.6 2 69
8.5 89 118 13.1 29 92 17.7 2 69
8.6 88 118 13.2 28 91 17.8 2 68
8.7 87 117 13.3 27 91 17.9 2 68
8.8 86 116 13.4 26 90 18 2 67
8.9 85 115 13.5 25 90 18.1 1 67
9 83 114 13.6 25 90 18.2 1 66
9.1 81 113 13.7 24 90 18.3 1 66
9.2 80 112 13.8 24 89 18.4 1 66
9.3 80 112 13.9 22 88 18.5 1 65
9.4 79 112 14 21 88 18.6 1 65
직업평가도구 사용매뉴얼 「손 기능 평가도구편」

시간 백분위수 표준점수 시간 백분위수 표준점수 시간 백분위수 표준점수


9.5 78 111 14.1 19 87 18.7 1 64
9.6 77 111 14.2 18 86 18.8 1 64
9.7 76 110 14.3 17 86 18.9 1 63
9.8 74 110 14.4 17 85 19 1 63
9.9 73 109 14.5 16 85 19.1 1 62
10 72 108 14.6 15 84 19.2 1 62
10.1 70 108 14.7 14 83 19.3 1 61
10.2 69 107 14.8 12 83 19.4 1 61
10.3 67 106 14.9 11 82 19.5 1 60
10.4 66 106 15 10 81 19.6 1 60
10.5 65 106 15.1 9 80 19.7 1 59
10.6 64 105 15.2 9 80 19.8 1 59
10.7 63 105 15.3 8 78 19.9 1 58
10.8 61 104 15.4 8 78 20 1 58 ▼

10.9 59 103 15.5 7 77 ▼
11 57 103 15.6 7 77 183


○ 규준표 2 : 일반고용수준집단 하위검사 1 손

백분 표준 백분 표준 백분 표준 백분 표준 능
시간 시간 시간 시간
위수 점수 위수 점수 위수 점수 위수 점수 평
9.8 99 141 12.7 95 125 15.6 81 113 18.5 52 101 가

9.9 99 141 12.8 95 125 15.7 79 112 18.6 51 100 구
10 99 140 12.9 95 124 15.8 78 111 18.7 49 100
10.1 99 139 13 95 124 15.9 77 111 18.8 48 99
10.2 99 138 13.1 94 123 16 76 110 18.9 47 99
10.3 99 137 13.2 93 121 16.1 73 109 19 47 99
10.4 99 136 13.3 93 121 16.2 72 109 19.1 46 98
10.5 99 136 13.4 92 121 16.3 72 108 19.2 45 98
10.6 99 135 13.5 92 121 16.4 71 108 19.3 45 98
10.7 99 134 13.6 92 121 16.5 70 108 19.4 44 98
10.8 99 133 13.7 91 120 16.6 69 107 19.5 43 97
10.9 99 133 13.8 90 119 16.7 68 107 19.6 43 97
11 99 132 13.9 89 118 16.8 68 107 19.7 42 97
11.1 98 131 14 89 118 16.9 67 107 19.8 41 97
11.2 98 131 14.1 88 117 17 66 106 19.9 41 96
11.3 98 131 14.2 88 117 17.1 65 106 20 40 96
백분 표준 백분 표준 백분 표준 백분 표준
시간 시간 시간 시간
위수 점수 위수 점수 위수 점수 위수 점수
11.4 98 130 14.3 88 117 17.2 64 105 20.1 40 96
11.5 98 130 14.4 87 117 17.3 63 105 20.2 39 96
11.6 98 129 14.5 87 117 17.4 62 104 20.3 39 96
11.7 97 129 14.6 87 116 17.5 61 104 20.4 39 96
11.8 97 128 14.7 86 116 17.6 61 104 20.5 38 95
11.9 97 127 14.8 86 116 17.7 60 104 20.6 37 95
12 97 127 14.9 86 116 17.8 59 103 20.7 37 95
12.1 96 126 15 85 115 17.9 59 103 20.8 36 95
12.2 96 126 15.1 85 115 18 59 103 20.9 36 94
12.3 96 126 15.2 84 115 18.1 58 103 21 36 94
12.4 96 126 15.3 83 114 18.2 57 103 21.1 35 94
▼ 12.5 96 126 15.4 83 114 18.3 55 102 21.2 34 94

▼ 12.6 95 125 15.5 82 113 18.4 53 101 21.3 34 94
184 21.4 33 93 24.8 19 87 28.2 11 81 31.6 5 76
21.5 31 92 24.9 18 86 28.3 11 81 32.7 5 76
Ⅱ 21.6 30 92 25 17 86 28.4 10 81 32.8 5 76
21.7 29 91 25.1 17 86 28.5 10 81 32.9 5 76

21.8 28 91 25.2 17 86 28.6 10 81 33 5 76

능 21.9 27 91 25.3 17 86 28.7 10 81 33.1 5 75
평 22 26 90 25.4 17 86 28.8 10 80 33.2 5 75

도 22.1 26 90 25.5 16 85 28.9 10 80 33.3 5 75
구 22.2 26 90 25.6 16 85 29 9 79 33.4 5 75
22.3 26 90 25.7 16 85 29.1 9 79 33.5 5 74
22.4 26 90 25.8 16 85 29.2 8 79 33.6 5 74
22.5 25 90 25.9 16 85 29.3 8 79 33.7 5 74
22.6 25 90 26 16 85 29.4 8 79 33.8 5 74
22.7 25 90 26.1 16 85 29.5 8 78 33.9 5 74
22.8 25 90 26.2 16 85 29.6 8 78 34 5 74
22.9 24 89 26.3 16 85 29.7 8 78 34.1 5 74
23 24 89 26.4 15 84 29.8 8 78 34.2 5 74
23.1 24 89 26.5 14 84 29.9 8 78 34.3 5 74
23.2 23 89 26.6 14 84 30 8 78 34.4 5 74
23.3 23 89 26.7 13 83 30.1 8 78 34.5 5 74
23.4 23 89 26.8 13 83 30.2 7 78 34.6 5 74
23.5 22 88 26.9 13 83 30.3 7 78 34.7~
4 74
23.6 22 88 27 13 83 30.4 7 78 35.3
직업평가도구 사용매뉴얼 「손 기능 평가도구편」

백분 표준 백분 표준 백분 표준 백분 표준
시간 시간 시간 시간
위수 점수 위수 점수 위수 점수 위수 점수
23.7 22 88 27.1 13 83 30.5 7 78 35.4~
4 73
23.8 21 88 27.2 12 82 30.6 7 78 38.1
23.9 21 88 27.3 12 82 30.7 7 77 38.2~
3 72
24 21 88 27.4 12 82 30.8 7 77 41
24.1 21 88 27.5 12 82 30.9 7 77 41.1~
2 69
24.2 21 88 27.6 11 82 31 7 77 41.9
24.3 20 87 27.7 11 82 31.1 6 77 42~
2 67~68
24.4 20 87 27.8 11 82 31.2 6 77 42.8
24.5 20 87 27.9 11 82 31.3 6 77 42.9~
1 64~66
24.6 20 87 28 11 81 31.4 6 77 46.4
24.7 20 87 28.1 11 81 31.5 6 77




○ 규준표 2 : 일반고용수준집단 하위검사 2
185
백분 표준 백분 표준 백분 표준
시간 시간 시간
위수 점수 위수 점수 위수 점수 Ⅱ
6.2 99 141 11.4 39 96 16.6 12 83

6.3 99 139 11.5 38 96 16.7 12 83

6.4 99 137 11.6 37 95 16.8 12 83 능
6.5 99 135 11.7 36 95 16.9 12 83 평
6.6 99 132 11.8 35 94 17 12 82 가

6.7 99 132 11.9 34 94 17.1 12 82 구
6.8 98 131 12 32 93 17.2 12 82
6.9 98 130 12.1 31 92 17.3 11 81
7 98 130 12.2 29 92 17.4 11 81
7.1 98 129 12.3 27 91 17.5 11 81
7.2 97 127 12.4 26 90 17.6 10 81
7.3 96 126 12.5 25 90 17.7 10 81
7.4 96 125 12.6 25 90 17.8 9 80
7.5 95 124 12.7 25 90 17.9 9 80
7.6 94 123 12.8 25 90 18 9 80
7.7 94 123 12.9 25 90 18.1 9 80
7.8 93 122 13 25 90 18.2 9 80
7.9 93 122 13.1 24 89 18.3 9 80
8 92 121 13.2 23 89 18.4 8 79
8.1 90 119 13.3 22 88 18.5 8 79
8.2 88 118 13.4 21 88 18.6 8 79
백분 표준 백분 표준 백분 표준
시간 시간 시간
위수 점수 위수 점수 위수 점수
8.3 87 117 13.5 21 88 18.7 8 79
8.4 86 116 13.6 20 87 18.8 8 79
8.5 85 116 13.7 19 87 18.9 8 78
8.6 84 114 13.8 19 87 19 8 78
8.7 81 113 13.9 19 87 19.1 7 78
8.8 80 112 14 19 87 19.2 7 78
8.9 78 112 14.1 18 86 19.3 7 77
9 76 110 14.2 18 86 19.4 6 77
9.1 73 109 14.3 17 86 19.5 6 77
9.2 72 108 14.4 17 86 19.6 6 76
9.3 70 108 14.5 17 86 19.7 6 76
▼ 9.4 68 107 14.6 16 85 19.8 5 75

▼ 9.5 66 106 14.7 16 85 19.9 5 75
186 9.6 65 106 14.8 16 85 20 5 75
9.7 65 106 14.9 16 85 20.1 5 75
Ⅱ 9.8 64 105 15 16 85 20.2 5 75
9.9 63 105 15.1 16 85 20.3 5 75


10 61 104 15.2 16 85 20.4 5 75
능 10.1 59 103 15.3 15 84 20.5 5 75
평 10.2 58 103 15.4 15 84 20.6 5 75

도 10.3 57 102 15.5 15 84 20.7~22.1 4 74
구 10.4 55 102 15.6 15 84 22.2 4 74
10.5 54 101 15.7 15 84 22.3 4 73
10.6 52 101 15.8 14 84 22.4 4 73
10.7 50 100 15.9 14 83 22.5 3 72
10.8 49 99 16 13 83 22.6 3 72
10.9 47 99 16.1 13 83 22.7~24.4 3 71
11 45 98 16.2 13 83 24.5~24.9 2 70
11.1 44 98 16.3 13 83 25~25.7 2 68
11.2 43 97 16.4 13 83 25.8 1 66
11.3 41 97 16.5 12 83
직업평가도구 사용매뉴얼 「손 기능 평가도구편」

○ 규준표 2 : 일반고용수준집단 하위검사 3


시간 백분위수 표준 점수 시간 백분위수 표준점수 시간 백분위수 표준점수
6.2 99 141 11.4 49 99 16.6 18 86
6.3 99 140 11.5 48 99 16.7 18 86
6.4 99 139 11.6 47 99 16.8 17 85
6.5 99 138 11.7 47 99 16.9 17 85
6.6 99 137 11.8 47 99 17 16 85
6.7 99 135 11.9 46 98 17.1 16 85
6.8 99 131 12 45 98 17.2 16 85
6.9 99 131 12.1 43 97 17.3 15 84
7 99 131 12.2 43 97 17.4 15 84
7.1 98 130 12.3 42 97 17.5 14 84
7.2 98 130 12.4 41 96 17.6 14 84 ▼
7.3 98 130 12.5 40 96 17.7 14 83 ▼

7.4 98 129 12.6 39 96 17.8 14 83
187
7.5 97 128 12.7 38 95 17.9 14 83
7.6 97 127 12.8 37 95 18 13 83

7.7 97 126 12.9 36 94 18.1 13 83

7.8 96 125 13 35 94 18.2 13 83

7.9 95 124 13.1 34 94 18.3 13 83 능
8 94 123 13.2 34 94 18.4 12 82 평
8.1 93 122 13.3 33 93 18.5 12 82 가

8.2 93 121 13.4 32 93 18.6 12 82 구
8.3 91 120 13.5 32 93 18.7 12 82
8.4 90 119 13.6 31 92 18.8 12 82
8.5 89 118 13.7 31 92 18.9 11 81
8.6 87 117 13.8 3 92 19 11 81
8.7 85 116 13.9 29 91 19.1 11 81
8.8 84 115 14 28 91 19.2 10 81
8.9 84 115 14.1 27 91 19.3 10 81
9 83 114 14.2 27 91 19.4~20.1 10 80
9.1 82 114 14.3 26 90 20.2 9 80
9.2 80 113 14.4 25 90 20.3 9 80
9.3 78 111 14.5 25 90 20.4 9 79
9.4 77 111 14.6 25 90 20.5 9 79
9.5 76 110 14.7 25 90 20.6 9 79
9.6 75 110 14.8 25 90 20.7 9 79
시간 백분위수 표준 점수 시간 백분위수 표준점수 시간 백분위수 표준점수
9.7 73 109 14.9 24 89 20.8 8 79
9.8 71 108 15 24 89 20.9~22.1 8 78
9.9 69 107 15.1 24 89 22.2 8 78
10 67 106 15.2 24 89 22.3 7 78
10.1 65 106 15.3 23 89 22.4 7 78
10.2 65 105 15.4 23 89 22.5 7 77
10.3 64 105 15.5 23 89 22.6 7 77
10.4 62 104 15.6 22 88 22.7~23.3 6 76
10.5 60 104 15.7 21 88 23.4 5 75
10.6 59 103 15.8 21 88 23.5 5 74
10.7 58 103 15.9 20 87 23.6~24.5 4 73
10.8 57 102 16 20 87 24.6~25 4 72

10.9 56 102 16.1 20 87 25.1~25.6 3 71
▼ 11 54 102 16.2 20 87 25.7~26.6 3 70

11.1 53 101 16.3 19 86 26.7 2 69
188 11.2 51 100 16.4 19 86 26.8~30.2 2 67
11.3 50 100 16.5 19 86 30.3 1 64



능 ○ 규준표 2 : 일반고용수준집단 하위검사 4

가 백분 표준 백분 표준 백분 표준 백분 표준
시간 시간 시간 시간
도 위수 점수 위수 점수 위수 점수 위수 점수

8.7 99 138 15.4 73 109 20.4 40 96 25.5 18 86
8.8 99 137 15.5 72 109 20.5 39 96 25.6 18 86
8.9 99 136 15.6 72 108 20.6 38 95 25.7 17 86
9 99 135 15.7 71 108 20.7 38 95 25.8 17 86
9.1 99 134 15.8 71 108 20.8 38 95 25.9 17 86
9.2~10.8 99 133 15.9 70 107 20.9 37 95 26 17 85
10.9 98 131 16 69 107 21 37 95 26.1 17 85
11 98 129 16.1 68 107 21.1 35 94 26.2 17 85
11.1 97 128 16.2 67 107 21.2 34 94 26.3 17 85
11.2 97 127 16.3 66 106 21.3 34 94 26.4 17 85
11.3 96 126 16.4 66 106 21.4 33 93 26.5 16 85
11.4 96 125 16.5 65 106 21.5 33 93 26.6 16 85
11.5 95 124 16.6 65 106 21.6 32 93 26.7 16 85
11.6 95 124 16.7 65 106 21.7 32 93 26.8 16 85
11.7 94 123 16.8 64 105 21.8 32 93 26.9 16 85
직업평가도구 사용매뉴얼 「손 기능 평가도구편」

백분 표준 백분 표준 백분 표준 백분 표준
시간 시간 시간 시간
위수 점수 위수 점수 위수 점수 위수 점수
11.8 94 122 16.9 62 104 21.9 31 92 27 15 84
11.9 93 122 17 61 104 22 30 92 27.1 15 84
12 92 121 17.1 60 104 22.1 29 91 27.2 14 84
12.1 91 120 17.2 60 104 22.2 28 91 27.3 14 84
12.2 91 120 17.3 60 104 22.3 27 91 27.4 14 84
12.3 90 119 17.4 59 103 22.4 27 91 27.5 14 84
12.4 90 119 17.5 59 103 22.5 26 90 27.6 14 84
12.5 90 119 17.6 58 103 22.6 26 90 27.7 14 84
12.6 89 118 17.7 57 103 22.7 26 90 27.8 13 83
12.7 89 118 17.8 57 103 22.8 26 90 27.9 13 83
12.8 88 118 17.9 56 102 22.9 25 90 28.0~28.9 12 82
12.9 87 117 17.9 56 102 23 25 90 29 12 82 ▼
13 86 116 18 55 102 23.1 25 90 29.1 11 82 ▼

13.1 86 116 18.1 54 101 23.2 25 90 29.2 11 82
189
13.2 85 116 18.2 53 101 23.3 24 89 29.3 11 81
13.3 84 115 18.3 52 101 23.4 24 89 29.4~30.1 10 81

13.4 83 114 18.4 51 100 23.5 24 89 30.2 10 80
13.5 82 114 18.5 50 100 23.6 23 89 30.3~30.9 9 80 손
13.6 82 113 18.6 49 100 23.7 23 89 31 9 79 기

13.7 82 113 18.7 49 110 23.8 22 88 31.1~31.9 8 79 평
13.8 81 113 18.8 48 99 23.9 22 88 32.0~32.2 7 78 가
13.9 81 113 18.9 47 99 24 21 88 32.3~32.8 7 78 도

14 8 113 19 46 98 24.1 21 88 32.9 76 77
14.1 79 112 19.1 45 98 24.2 21 88 33.0~33.5 6 76
14.2 79 112 19.2 44 98 24.3 20 87 33.6~33.8 5 76
14.3 78 111 19.3 43 97 24.4 20 87 33.9~34.8 5 75
14.4 77 111 19.4 43 97 24.5 20 87 34.9 4 74
14.5 77 111 19.5 42 97 24.6 20 87 35 4 73
14.6 76 111 19.6 41 97 24.7 19 87 35.1~35.4 3 72
14.7 76 110 19.7 41 97 24.8 19 87 35.5 3 71
14.8 75 110 19.8 41 97 24.9 19 87 35.6~38.2 2 69
14.9 74 110 19.9 41 97 25 19 87 38.3~44.2 2 67
15 74 109 20 41 97 25.1 19 87 44.3 1 64
15.1 73 109 20.1 40 96 25.2 19 87
15.2 73 109 20.2 40 96 25.3 18 86
15.3 73 109 20.3 40 96 25.4 18 86
○ 규준표 3 : 작업활동수준집단 하위검사 1
백분 표준 백분 표준 백분 표준 백분 표준
시간 시간 시간 시간
위수 점수 위수 점수 위수 점수 위수 점수
13.9 99 140 20.6 80 113 25.5 51 100 32.2 19 86
14 99 134 20.7 79 112 25.6 49 100 32.3 19 86
14.1~15.2 99 132 20.8 79 112 25.7 48 99 32.4 19 86
15.3 98 130 20.9 78 111 25.8 47 99 32.5 18 86
15.4 98 129 21 77 111 25.9 46 98 32.6 18 86
15.5 98 129 21.1 77 111 26 44 98 32.7~33.2 18 86
15.6 98 129 21.2 77 111 26.1 43 97 33.3 17 85
15.7 97 128 21.3 76 110 26.2 42 97 33.4~33.6 17 85
15.8 97 127 21.4 76 110 26.3 41 97 33.7 16 85
15.9 97 127 21.5 76 110 26.4 40 97 33.8~33.9 15 84
▼ 16 96 126 21.6 75 110 26.5 39 96 34 15 84

▼ 16.1 95 125 21.7 74 109 26.6 38 95 34.1~34.3 15 84
16.2 95 124 21.8 73 109 26.7~27.0 38 95 34.4 14 83
190
16.3 95 124 21.9 72 109 27.1 37 95 34.5 14 83
Ⅱ 16.4 94 123 22 71 108 27.2 36 95 34.6 13 83
16.5 94 123 22.1 71 108 27.3 35 94 34.7 13 83
손 16.6 93 122 22.2 70 108 27.4 35 94 34.8 12 82

능 16.7 93 122 22.3 69 107 27.5 35 94 34.9~36.1 12 82
평 16.8 93 121 22.4 68 107 27.6 34 93 36.2 11 82
가 16.9 92 121 22.5 67 107 27.7 33 93 36.3~36.5 11 82

구 17 92 121 22.6 66 106 27.8~28.1 33 93 36.6 11 81
17.1 91 120 22.7 66 106 28.2 32 93 36.7~37.2 11 81
17.2 91 120 22.8 65 106 28.3 32 93 37.3 10 80
17.3 90 119 22.9 65 106 28.4 32 93 37.4 9 80
17.4~18.0 90 119 23 64 105 28.5 32 93 37.5 9 80
18.1 89 118 23.1 64 105 28.6 31 92 37.6 9 79
18.2 89 118 23.2 63 105 28.7 30 92 37.7~37.9 9 79
18.3 88 117 23.3 62 105 28.8 29 92 38 8 79
18.4 88 117 23.4 62 104 28.9 29 92 38.1~38.6 8 79
18.5 88 117 23.5 61 104 29 28 91 38.7 7 78
18.6 87 117 23.6 60 104 29.1 28 91 38.8~39.1 7 78
18.7 87 117 23.7~23.9 60 104 29.2 28 91 39.2 6 77
18.8 87 117 24 59 103 29.3 28 91 39.3~41.1 6 76
18.9 87 116 24.1 58 103 29.4 27 91 41.2 5 75
19 87 116 24.2 58 103 29.5 27 91 41.3~43.6 5 75
직업평가도구 사용매뉴얼 「손 기능 평가도구편」

백분 표준 백분 표준 백분 표준 백분 표준
시간 시간 시간 시간
위수 점수 위수 점수 위수 점수 위수 점수
19.1 87 116 24.3 57 102 29.6 26 90 43.7 5 74
19.2 86 116 24.4 56 102 29.7 26 90 43.8~44.3 5 74
19.3 86 116 24.5 55 102 29.8 24 89 44.4 4 73
19.4 86 116 24.6 55 102 29.9~30.7 24 89 44.5~46.5 4 73
19.5 85 116 24.7 55 102 30.8 23 89 46.6 3 72
19.6 84 115 24.8 54 101 30.9 23 89 46.7~47.1 3 71
19.7 84 115 24.9 53 101 31.0~31.2 23 89 47.2 3 70
19.8~20.1 84 115 25 52 101 31.3 22 88 47.3 3 69
20.2 83 114 25.1 52 101 31.4 21 88 47.4 2 68
20.3 82 114 25.2 52 101 31.5 20 87 47.5~54.6 2 67
20.4 82 114 25.3 52 101 31.6~32.0 20 87 54.7 1 66
20.5 81 113 25.4 51 100 32.1 19 87 54.8~58 1 60


191
○ 규준표 3 : 작업활동수준집단 하위검사 2
백분 표준 백분 표준 백분 표준 Ⅱ
시간 시간 시간
위수 점수 위수 점수 위수 점수 손
6.2 99 141 12.4 64 105 16.5 23 89 기
6.3~7.0 99 136 12.5 63 105 16.6 23 89 능
7.1~8.1 99 133 12.6 61 104 16.7 22 88 평

8.2~8.5 98 131 12.7 59 103 16.8 21 88 도
8.6~8.8 98 129 12.8 58 103 16.9~17.0 21 88 구
8.9~9.0 97 127 12.9 56 102 17.1 20 87
9.1 96 125 13 55 102 17.2~17.3 19 87
9.2 95 124 13.1 55 102 17.4~17.6 19 87
9.3 94 123 13.2 54 101 17.7 18 86
9.4 94 122 13.3 53 101 17.8 18 86
9.5 93 121 13.4 51 100 17.9 16 85
9.6 92 120 13.5 51 100 18 15 85
9.7~9.9 91 120 13.6 50 100 18.1~18.5 14 84
10 90 119 13.7 49 99 18.6 13 83
10.1 89 118 13.8 47 99 18.7~18.9 12 83
10.2 89 118 13.9 45 98 19.0~19.2 12 82
10.3 88 117 14 44 98 19.3 11 82
10.4 86 116 14.1 42 97 19.4~19.6 11 81
10.5 8 114 14.2 41 97 19.7 10 81
백분 표준 백분 표준 백분 표준
시간 시간 시간
위수 점수 위수 점수 위수 점수
10.6 82 113 14.3 40 96 19.8 10 80
10.7 81 113 14.4 39 95 19.9 9 80
10.8 80 112 14.5 38 95 20 9 79
10.9 79 112 14.6 37 95 20.1 8 79
11 78 112 14.7 35 94 20.2~20.3 8 78
11.1 77 111 14.8 34 94 20.4 7 78
11.2 76 110 14.9 33 93 20.5~20.6 6 77
11.3 75 110 15 32 93 20.7~21.2 6 76
11.4 74 110 15.1 31 92 21.3 5 76
11.5 74 109 15.2 30 92 21.4 5 75
11.6 72 108 15.3 30 92 21.5~22.2 4 74
11.7 69 107 15.4 28 91 22.3~22.4 4 73
▼ 11.8 68 107 15.5 28 91 22.5~23.1 3 72

▼ 11.9 67 106 15.6~15.8 27 91 23.2 3 71
192 12 67 106 15.9 26 90 23.3 2 69
12.1 66 106 16 25 90 23.4~24.6 2 67
Ⅱ 12.2 65 106 16.1~16.3 25 90 24.7~25.3 1 64
12.3 65 106 16.4 24 89 25.4~30.3 1 59



평 ○ 규준표 3 : 작업활동수준집단 하위검사 3

도 백분 표준 백분 표준 백분 표준
구 시간 시간 시간
위수 점수 위수 점수 위수 점수
12.8 70 108 18.1 26 90
7.7 99 140
12.9 69 107 18.2~18.6 25 90
13 69 107 18.7 25 90
7.8 99 139
13.1 68 107 18.8~18.9 24 90
7.9 99 137 13.2 67 106 19 23 89
8 99 136 13.3~13.7 66 106 19.1~19.4 22 88
8.1 99 135 13.8 66 106 19.5~19.7 21 88
8.2 99 134 13.9 65 106 19.8~20.3 20 87
8.3 99 132 14 63 105 20.4 19 87
8.4 99 131 14.1 62 104 20.5 19 86
8.5 99 130 14.2 61 104 20.6 17 86
8.6 98 130 14.3 60 104 20.7~20.8 16 85
8.7 98 129 14.4 59 103 20.9~21.2 16 85
8.8~9.0 98 128 14.5 57 102 21.3~21.4 15 84
직업평가도구 사용매뉴얼 「손 기능 평가도구편」

백분 표준 백분 표준 백분 표준
시간 시간 시간
위수 점수 위수 점수 위수 점수
9.1 97 127 14.6 56 102 21.5 14 83
9.2 97 126 14.7 55 102 21.6 13 83
9.3 96 125 14.8 53 101 21.7~22 12 82
9.4~9.6 95 124 14.9 52 101 22.1~22.7 11 82
9.7 94 123 15 51 100 22.8~23.1 11 81
9.8 93 122 15.1 49 100 23.2 10 81
9.9 93 122 15.2 49 99 23.3 10 80
10 92 121 15.3 48 99 23.4~23.6 9 80
10.1 92 121 15.4 46 99 23.7~24 8 79
10.2 91 120 15.5 45 98 24.1~24.6 8 78
10.3 90 119 15.6 44 98 24.7 7 78

10.4 89 118 15.7 42 97 24.8~25 7 77 ▼

10.5 89 118 15.8 41 96 25.1~25.5 6 76
10.6~10.8 88 118 15.9 40 96 25.6 5 76
193
10.9 87 117 16 40 96 25.7~28 5 75

11 85 116 16.1 39 96 28.1~28.6 4 74

11.1 84 114 16.2 39 96 28.7 4 73

11.2~11.3 83 114 16.3 39 96 28.8~31 4 72 능
11.4 82 114 16.4 38 95 31.1 3 71 평

11.5~11.6 81 113 16.5 37 95 31.2~31.3 2 70 도
11.7 81 113 16.6 36 94 31.4~32.2 2 69 구
11.8 79 112 16.7 34 94 32.3~32.5 2 68
11.9 78 111 16.8 33 93 32.6 2 67
12 77 111 16.9 33 93 32.7 2 66
12.1 76 110 17 31 93 32.8~32.9 1 65
12.2 75 110 17.1 30 92 33 1 64
12.3~12.4 74 109 17.2~17.5 29 92 33.1 1 63
12.5 73 109 17.6 28 91 33.2~37.5 1 62
12.6 72 109 17.7 28 91 37.6 1 60
12.7 71 108 17.8~18 27 91
○ 규준표 3 : 작업활동수준집단 하위검사 4
백분 표준 백분 표준 백분 표준
시간 시간 시간
위수 점수 위수 점수 위수 점수
11.5 99 139 18.0~18.1 72 108 23.7 35 94
11.6 99 138 18.2~18.3 71 108 23.8~23.9 35 94
11.7 99 137 18.4~18.5 70 108 24 33 93
11.8 99 136 18.6~18.8 69 107 24.1 32 93
11.9 99 135 18.9~19.0 68 107 24.2~24.3 32 93
12 99 134 19.1 68 107 24.4 31 92
12.1 98 130 19.2~19.3 67 106 24.5 30 92
12.2~12.4 98 129 19.4 66 106 24.6~24.7 28 91
12.5~12.7 98 128 19.5 65 105 24.8~25.2 27 91
12.8~12.9 97 127 19.6 64 105 25.3~25.4 26 90

▼ 13 97 127 19.7~19.8 63 105 25.5~25.8 25 90

13.1 96 126 19.9~20.0 62 105 25.9~26.2 24 89
194
13.2~13.3 95 125 20.1 62 104 26.3~26.6 23 89
13.4~13.7 95 124 20.2 60 104 26.7~27.1 22 88

13.8 94 123 20.3~20.5 59 103 27.2~27.3 21 88

13.9 93 122 20.6~20.9 58 103 27.4~27.8 20 87

능 14 92 121 21 57 102 27.9~28.2 19 87
평 14.1~14.2 92 120 21.1~21.3 56 102 28.3~28.6 18 86
가 14.3~14.4 91 119 21.4 55 102 28.7 16 85

구 14.5~14.7 90 119 21.5 53 101 28.8~29.2 15 84
14.8~15.4 89 118 21.6 52 101 29.3~29.6 14 83
15.5~15.7 88 118 21.7 50 100 29.7~29.8 13 83
15.8 88 117 21.8 49 100 29.9~30.0 12 82
15.9~16.1 87 117 21.9 48 99 30.1~30.3 11 81
16.2~16.3 86 116 22 47 99 30.4~30.9 10 80
16.4 85 115 22.1 45 98 31.0~31.3 8 79
16.5 84 115 22.2 43 97 31.4~31.8 8 78
16.6~16.7 83 114 22.3 42 97 31.9~32.5 7 77
16.8 82 114 22.4 42 97 32.6~33.0 5 74
16.9 81 113 22.5 42 97 333.1~34.1 5 73
17 8 112 22.6 41 96 34.2~35.6 4 72
17.1 78 111 22.7 40 96 35.7 3 71
17.2 77 111 22.8 40 96 35.8~38.2 2 69
직업평가도구 사용매뉴얼 「손 기능 평가도구편」

백분 표준 백분 표준 백분 표준
시간 시간 시간
위수 점수 위수 점수 위수 점수
17.3~17.5 76 110 22.9 38 95 38.3~54.6 2 66
17.6 75 110 23 38 95 54.7~61.9 1 61
17.7 73 109 23.1 37 95
17.8~17.9 72 109 23.2~23.6 36 95
* 출처: 대구장애인종합복지관(2009). 작업재능검사.

3) 참고문헌
대구장애인종합복지관 역(2001). TAP 직업평가체계.
대구장애인종합복지관(2009). 작업재능검사. ▼


http://www.talentassessment.com.
195









❚Purdue Pegboard
<사진 Ⅱ-89> Purde Pegboard

Purdue Pegboard는 손가락, 손 그리


고 팔의 전반적인 움직임과 조립과제
에서 필요한 미세한 손가락 끝 기민성
을 평가하기 위해 실시함.



196 1. 개요

손 1) 평가목적

능 두 가지 유형의 손재능을 측정함으로써 다양한 손 기능을 필요로 하는 직무의 근로자 선발과

가 손 기능 재활훈련에 도움을 주기 위한 것으로 첫 번째는 손가락, 손 그리고 팔의 전반적인 움

구 직임을 측정하며, 두 번째는 조립과제에서 필요한 미세한 손가락 끝 기민성을 측정함.

2) 평가대상
비장애인 및 모든 장애인

3) 평가시간
15분 ~ 20분

4) 도구구성
핀, 워셔, 칼라, 펙보드 4가지로 이루어져 있으며, 핀 50개, 워셔 40개, 칼라 20개, 펙보드 1
개로 구성되어 있음.
직업평가도구 사용매뉴얼 「손 기능 평가도구편」

<사진 Ⅱ-90> Purdue Pegboard의 구성요소

워셔



칼 라 ▼

197
펙보드




2. 도구개발 능



1) 개발배경 구

Purdue Pegboard는 1948년 Joseph Tiffin(퍼듀대학교 산업심리학자)에 의해 산업현장에서


근로자 선발을 위하여 개발됨.
2004년 한국장애인고용공단에서 지적장애인, 정신장애인, 청각장애인 규준을 제작함.
2011년 부천시장애인종합복지관 직업평가센터에서 실시방법 및 규준을 표준화함.

2) 표준화정보
(1) 신뢰도
• 1948년 검사-재검사 신뢰도는 .60, .76으로, 세 번 시도할 때 각각 .82와 .91로 높은 신뢰
도를 보임(Tiffin & Asher, 1948).
• 2011년 검사-재검사, 검사자 간 신뢰도를 검증함(부천시장애인종합복지관, 2011).
<표 Ⅱ-73> Purdue Pegboard 2011년 비장애인 근로자 검사-재검사 신뢰도
(N=30)
본검사 재검사
구분 신뢰도계수
M SD M SD
우세손 18.33 1.34 19.22 1.46 .771
비우세손 17.42 1.38 18.13 1.44 .753
양손 14.33 1.32 15.30 1.25 .827
조립 39.93 6.23 42.76 6.42 .796
** P<.01

<표 Ⅱ-74> Purdue Pegboard 2011년 지적장애인 근로자 검사-재검사 신뢰도


▼ (N=30)

▼ 본검사 재검사
구분 신뢰도계수
198 M SD M SD
우세손 13.27 2.91 13.47 2.66 .793
Ⅱ 비우세손 12.76 2.61 12.52 2.59 .885
손 양손 10.18 2.45 10.26 2.56 .890
기 조립 25.21 8.23 25.84 8.72 .938

평 ** P<.01



<표 Ⅱ-75> Purdue Pegboard 2011년 직업적응훈련생 검사자간 신뢰도
(N=30)
검사자 B
항목
우세손 비우세손 양손 조립
우세손 .924**

사 비우세손 .931**
자 양손 .931**
A
조립 .921**
** P<.01
직업평가도구 사용매뉴얼 「손 기능 평가도구편」

(2) 타당도
• 2011년 준거타당도의 수렴타당도를 검정

<표 Ⅱ-76> Purdue Pegboard 2011년 비장애인 근로자 대상 준거타당도


(N=30)
Lafayette Pegboard Minnesota Dexterity
항목
우세손 비우세손 -수행시간
우세손 .814** .629** .574**
Purdue 비우세손 .744** .781** .535**
Pegboard 양손 .707** .720** .601**
조립 .636** .597** .585**
* p<.05, ** P<.01 ▼

<표 Ⅱ-77> Purdue Pegboard 2011년 지적장애인 근로자 대상 준거타당도 199


(N=30)

Lafayette Pegboard Minnesota Dexterity
항목 손
우세손 비우세손 -수행시간

우세손 .796** .527** .711** 능
Purdue 비우세손 .779** .650** .844** 평

Pegboard 양손 .767** .654** .763** 도

조립 .590** .389* .695**
* p<.05, ** P<.01

3. 실시방법

1) 평가준비

※ 준비사항 : Purdue Pegboard, 핀, 워셔, 칼라, 검사기록지


(1) 평가도구 설치
① Purdue Pegboard의 컵 부분이 위로 가도록 놓음.
② 4개의 컵 중 오른쪽 끝과 왼쪽 끝의 컵에 각각 25개의 핀을 넣음.
③ 오른쪽 안쪽 컵에 칼라 20개, 왼쪽 안쪽 컵에 워셔 40개를 넣음.
※ 규준 특성에서 우세손이 오른손인 빈도가 높아 기본 도구 배치를 오른손 기준으로 배치함.

(2) 평가에 대한 일반적인 소개

"이 평가는 조립할 때 필요한 손끝 기민성(얼마나 빠른지)을 알아보기 위한 평가입니다. 각 평가마다 평


가를 실시하기 전에 제가 어떻게 해야 하는지 알려드리고 연습할 기회를 드리겠습니다. 정확하게 실시방
법을 이해한 후 평가를 시작합니다."


200 (3) 우세손 파악(직접적 질문, 간접적 질문, 상황 및 행동 등을 통해 파악)

Ⅱ “주로 사용하는 손이 어느 손인가요?”


손 “글씨나 식사는 어느 손으로 하시나요?”
기 “(평가지 상단의 인적사항 기재 란을 제시하며) 여기에 이름과 성별, 생년월일을 작성해 주세요.”



도 (4) 구성요소 배치

<사진 Ⅱ-91> Purdue Pegboard 오른손 기준 <사진 Ⅱ-92> Purdue Pegboard 왼손 기준
준비사진 준비사진

핀-워셔-칼라-핀 핀-칼라-워셔-핀
직업평가도구 사용매뉴얼 「손 기능 평가도구편」

(5) 평가 시행 순서 설명

우세손 연속 3회 (수행도 평가 및 질적평가 동시 진행)


비우세손 연속 3회 (수행도 평가 및 질적평가 동시 진행)
양손 연속 3회 (수행도 평가 및 질적평가 동시 진행)
조립 연속 3회 (수행도 평가 및 질적평가 동시 진행)

2) 평가실시
(1) 친숙해지기 및 평가실시
① 우세손 / 비우세손 평가 실시

우세손(오른손 가정) : “오른쪽 컵에 있는 핀을 오른손으로 한 번에 하나씩 집어 위쪽 구멍부터 하나씩 ▼

아래로 채워주세요. 연습으로 3~4개 해 보세요. 만일 평가 도중 핀이 떨어지더라도 집지 말고 컵에 있
201
는 다른 핀을 집어서 계속 해 주세요. 제가 ‘시작’하면 오른쪽 줄의 위에서부터 꽂아주세요. 제가 ‘그만’
이라고 할 때까지 가능한 많이, 빨리 해 주세요. 준비 됐나요? 시작”, (30초 후) ”그만” Ⅱ


<사진 Ⅱ-93> Purdue Pegboard 오른손 <사진 Ⅱ-94> Purdue Pegboard 왼손 시행준비 능
시행준비 평



<사진 Ⅱ-95> Purdue Pegboard 오른손 시행 <사진 Ⅱ-96> Purdue Pegboard 왼손 시행

오류유형 유의사항
한 번에 여러 개의 핀을 집어 꽂은 경우 최초 꽂은 1개만 수행량에 포함

▼ 펙보드에 꽂는 것을 중간에 생략한 경우

핀을 떨어뜨린 경우
202
핀을 떨어뜨린 후 다른 손으로 핀을 꽂은 경우 수행량에서 제외
Ⅱ 다른 손으로 핀을 꽂은 경우
손 핀을 꽂는 중 땀이나 기타 사유로 핀이 빠진 경우
기 핀을 꽂는 열이 잘못되었을 경우
능 수행량에 포함
핀을 떨어뜨린 후 다시 집어서 넣은 경우



구 Tip

• 꽂은 핀의 개수는 상단의 오류를 고려하여 다음과 같이 계산함.


- 한 번에 하나씩 꽂은 핀의 수
- 한 번에 여러 개의 핀을 집어 꽂은 경우에도 1개로 기록
- 핀을 떨어뜨리거나 다른 손으로 꽂거나 빠진 경우에는 개수에 미포함
• 평가 전 오류 유형을 설명하여 오류가 발생하는 수를 줄이도록 함.
• 오류를 줄이기 위하여 평가를 실시하지 않는 손은 책상 아래로 내린 후 수행함.
• 우세손 / 비우세손 평가 시 중심축에서 평가를 실시하는 손 방향으로 펙보드를 약간 옮겨 최대한 편
한 자세로 평가를 실시하도록 함.
• 평가 시 전완 및 팔꿈치는 펙보드에서 붙이지 않고 수행하여야 함.
• 오른손과 왼손의 점수 차이는 손의 우위를 결정하는데 사용할 수 있음.
직업평가도구 사용매뉴얼 「손 기능 평가도구편」

② 양손 평가 실시

우세손(오른손 가정) : “이 평가는 양손을 동시에 사용하는 것입니다. 오른손으로 오른쪽 컵에 있는 핀


을 집어 오른쪽 구멍에 꽂아주시고, 동시에 왼손으로는 왼쪽 컵에 있는 핀을 집어 왼쪽 구멍에 꽂아주
세요. 양쪽 모두 위에서부터 아래로 꽂아주세요. 연습으로 3~4개 꽂아보세요. 제가 ‘시작’ 하면 양손으
로 할 수 있는 한 많은 핀을 꽂아주세요. 맨 위에서부터 아래로 제가 ‘그만’ 할 때까지 빨리 해 주세요.
준비됐나요?” “시작“ (30초 후) “그만“

<사진 Ⅱ-97> Purdue Pegboard 양손 시행준비 <사진 Ⅱ-98> Purdue Pegboard 양손 시행



203





오류유형 유의사항 평
한 번에 여러 개의 핀을 집어 꽂은 경우 최초 꽂은 1개만 수행량에 포함 가

핀을 떨어뜨린 경우 구
펙보드에 꽂는 것을 중간에 생략한 경우
수행량에서 제외
핀을 떨어뜨린 후 다른 손으로 핀을 꽂은 경우
핀 꽂는 중 땀이나 기타 사유로 핀이 빠진 경우
동시에 꽂지 못하고 시간 간격이 1초 이상 있었던 경우
수행량에 포함
핀을 떨어뜨린 후 다시 집어서 넣은 경우
Tip

• 꽂은 핀의 개수는 상단의 오류를 고려하여 다음과 같이 계산함.


- 한 번에 한 쌍씩 꽂은 핀의 수
- 한 번에 여러 개의 핀을 집어 꽂은 경우에도 1개로 기록
- 핀을 떨어뜨리거나 다른 손으로 꽂거나 빠진 경우에는 개수에 미포함
- 동시에 꽂지 못하고 1초 이상 시간 간격이 있는 경우 개수에 포함하나 질적평가 오류유형에 채점함.
• 평가 전 오류유형을 설명하여, 오류가 발생하는 수를 줄이도록 함.
• 양손 평가 시 평가판은 몸의 중심축에 위치시킴.
• 평가 시 전완 및 팔꿈치는 펙보드에서 붙이지 않고 수행하여야 함.
• 양손 평가는 손가락 기민성, 양손협응, 눈손협응 등의 능력을 평가함.


▼ ③ 조립 평가 실시

204 우세손(오른손 가정) : “오른손으로 오른쪽 컵에 있는 핀을 하나 집어 오른쪽 맨 위의 구멍에 꽂으면서


왼손으로 워셔를 집으세요. 핀을 꽂자마자 워셔를 핀 위에 꽂고, 왼손으로 워셔를 꽂는 동안 오른손으로

칼라를 집으세요. 칼라를 핀에 꽂는 동안 왼손으로 워셔를 집어 그 위에 꽂아주세요. 이렇게 조립은 핀,
손 워셔, 칼라, 워셔로 구성됩니다. 첫 번째 조립의 마지막 워셔를 넣으면서 오른손으로 두 번째 조립을 시

능 작하세요. 이제 연습으로 4~5개 조립해 보세요. 제가 ‘시작’하면 가능한 많이 조립해 주세요. 오른쪽 맨
평 위의 줄부터 (우세손이 왼손인 경우는 왼쪽 줄) 시작하세요. 제가 ‘그만’ 할 때까지 가능한 빨리 해 주

도 세요. 준비됐나요?” “시작” (1분 후) “그만”

<사진 Ⅱ-99> Purdue Pegboard 조립 시행준비 <사진 Ⅱ-100> Purdue Pegboard 조립 시행 1


직업평가도구 사용매뉴얼 「손 기능 평가도구편」

<사진 Ⅱ-101> Purdue Pegboard 조립 시행 2 <사진 Ⅱ-102> Purdue Pegboard 조립 시행 3

<사진 Ⅱ-103> Purdue Pegboard 조립 시행 4



205








오류유형 유의사항 구
조립품(핀, 칼라, 워셔)을 떨어뜨린 경우
펙보드에 꽂는 것을 중간에 생략한 경우
수행량에서 제외
조립 중 손이나 기타 사유로 인해 완성된 조립품에 영향을 주어 워셔 및 기타 구
성요소가 빠진 경우
떨어뜨린 후 집어서 넣은 경우
조립 시 손의 순서가 바뀐 경우 수행량에 포함
완전한 조립품을(4개 구성요소)을 만들지 못한 경우(단, 마지막 조립부품은 제외)
Tip

• 꽂은 핀의 개수는 상단의 오류를 고려하여 다음과 같이 계산함.


- 한 번에 하나씩 꽂은 구성요소 개수만을 인정함.
- 조립 시 손의 순서가 바뀐 경우에도 개수에 포함하나 질적평가 오류유형에 채점함.
- 핀을 떨어뜨리거나 기타 사유로 인해 구성요소가 빠진 경우에는 개수에 미포함
• 평가 전 오류유형을 설명하여, 오류가 발생하는 수를 줄이도록 함.
• 우세손이 왼손인 경우 워셔와 칼라의 위치를 바꾸어 주며 왼손으로 핀을 잡아 시작함. 따라서 왼손이
핀을 넣고 오른손이 워셔를, 왼손이 칼라를 넣고 오른손이 다시 워셔를 끼우는 순서로 진행함.
• 평가 시 전완 및 팔꿈치는 펙보드에서 붙이지 않고 수행하여야 함.
• 조립평가는 다단계 작업인지, 손가락 기민성, 양손협응, 눈손협응 등의 능력을 평가함.


▼ (4) 결과채점

206 ① 수행도 평가
○ 각 평가항목 당 제한시간 내에 펙보드에 삽입 및 조립한 구성요소 개수만을 기록함. 단, 피평가자가

손 기능 파악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경우인 󰡔한 번에 여러 개의 핀을 집어 꽂은 경우󰡕, 󰡔다른 손

으로 핀을 꽂은 경우󰡕를 보일 시 평가를 중단하고, 평가방법을 다시 설명할 수 있음. 단 그 횟수는

능 2회로 한정하며, 재설명 후에도 동일한 오류를 보일 시 아래의 기준에 따라 수행량에서 제한함.
평 ○ 조립과제의 경우 4~5회 연습 후에도 과제를 이해하지 못할 경우 추가 연습을 할 수 있음. 이 경우

도 에는 행동관찰에 작업인지적 측면을 기재함. 다만, 추가 연습 후에도 과제를 이해하지 못할 시 평가
구 를 중단함.
○ 채점 방법
1 ~ 3차 평 균
우세손 30초 동안 꽂은 핀의 개수 1~3차 평균 개수
비우세손 30초 동안 꽂은 핀의 개수 1~3차 평균 개수
30초 동안 꽂은 한쌍의 핀의 수
양손 1~3차 평균개수
(한쌍이 1개임)
총합
우세손, 비우세손, 양손 개수의 합 우세손, 비우세손, 양손 합의 평균
(삽입)
60초 동안 꽂은 핀, 와셔, 칼라의 총수 (조립 8개를
조립 1~3차 평균
완성했다면 조립개수는 32개)
직업평가도구 사용매뉴얼 「손 기능 평가도구편」

○ 세부 채점기준
유형 오류유형 유의사항
한 번에 여러 개의 핀을 집어 꽂은 경우 최초 꽂은 1개만 수행량에 포함
펙보드에 꽂는 것을 중간에 생략한 경우
핀을 떨어뜨린 경우
핀을 떨어뜨린 후 다른 손으로 핀을 꽂은 경우 수행량에서 제외
한손
다른 손으로 핀을 꽂은 경우
핀을 꽂는 중 땀이나 기타 사유로 핀이 빠진 경우
핀 꽂는 열이 잘못되었을 경우
수행량에 포함
핀을 떨어뜨린 후 다시 집어서 넣은 경우
한 번에 여러 개의 핀을 집어 꽂은 경우 최초 꽂은 1개만 수행량에 포함
핀을 떨어뜨린 경우
펙보드에 꽂는 것을 중간에 생략한 경우
수행량에서 제외
양손 핀을 떨어뜨린 후 다른 손으로 핀을 꽂은 경우
핀 꽂는 중 땀이나 기타 사유로 빠진 경우 ▼
동시에 꽂지 못하고 시간 간격이 1초 이상 있었던 경우 ▼
수행량에 포함 ▼
핀을 떨어뜨린 후 다시 집어서 넣은 경우
조립품(핀, 칼라, 워셔)을 떨어뜨린 경우 207
펙보드에 꽂는 것을 중간에 생략한 경우
수행량에서 제외
조립 중 손이나 기타 사유로 인해 완성된 조립품에 영향을 주어 워셔 Ⅱ
및 기타 구성요소가 빠진 경우
조립 손
구성요소를 떨어뜨린 후 집어서 넣은 경우

조립 시 손의 순서가 바뀐 경우 능
수행량에 포함
완전한 조립품(4개 구성요소)을 만들지 못한 경우(단, 마지막 조립부품

은 제외) 가


② 질적평가
○ 퍼듀펙보드 원매뉴얼에는 오류에 대한 내용이 없음. 한국장애인고용공단의 2004년 표준화 연구에서
공단 실무자의 의견을 바탕으로 오류의 유형을 정하였으며, 참고자료로 활용하기 위해 오류분석을
진행함. 이에 본 평가에서는 오류에 대한 부분을 질적평가로 정하고 선행연구와 직업평가 실무자의
의견을 참고하여 오류유형을 선정함.
○ 평가자는 피평가자가 검사를 수행하는 동안 발생한 오류를 정(正)으로 기록함.
○ 정해진 오류 이외의 오류가 발생하면 그 사항을 행동관찰평가에 작성하고 평가를 지속함. 다만, 해당
오류가 측정하고자 하는 손 기능에 영향을 줄 시 평가를 중단하고 오류를 정정하여 재평가를 실시함.
○ 아래의 오류는 발생 빈도가 매우 적어 유의미한 해석이 어렵기 때문에 기타 유형의 오류로 범주화
시킴. 아래의 오류 발생 시 기타 유형의 오류로 채점함.
한손검사
- 펙보드 판에 핀을 꽂는 것을 중간에 생략한 경우
- 핀을 떨어뜨린 후 다른 손으로 핀을 꽂은 경우
- 다른 손으로 핀을 꽂은 경우
- 핀을 꽂는 열이 잘못되었을 경우
양손검사
- 핀을 떨어뜨린 후 다른 손으로 핀을 꽂은 경우
- 한번에 여러 개의 핀을 집어 꽂은 경우

③ 행동관찰평가
○ 평가자는 평가 시 나타나는 신체적 측면, 작업인지적 측면, 작업태도적 측면 등 피평가자의 평가
행동 양상에 대하여 기재함.

▼ ○ 작업수행 시 요구되는 정확성 및 신체적 특성을 파악하여 보다 객관적인 평가가 이루어질 수 있

도록 함.
208



(3) 결과채점 예시



가 <사진 Ⅱ-104> Purdue Pegboard 결과채점 예시

구 ·수행도평가 : 4개
·질적평가
: 펙보드에 꽂는 것을 중간에 생략한 횟수(빈 공간 수) 1회
·행동관찰평가
:-

·수행도평가
: 6개(최초 삽입 1개만 인정함)
·질적평가
: 한 번에 여러 개의 핀을 집어 꽂은 개수 2개
·행동관찰평가
: 평가 방법을 숙지하고 있으나 빨리 수행하려는 의욕이 높아
오류수정이 이루어지지 않음.
직업평가도구 사용매뉴얼 「손 기능 평가도구편」

·수행도평가 : 19개(4×4+3=19)
·질적평가
:-
·행동관찰평가
:-

·수행도평가 : 17개 : 4×2+3×3=17


·질적평가
: 조립품(핀, 칼라, 워셔)을 떨어뜨린 횟수 2회
: 완전한 조립품을 만들지 못한 횟수 2회(단, 마지막 조립부품
은 제외)
·행동관찰평가 : 엄지와 중지로 구성요소를 잡음. 미세 조정력 ▼


부족으로 워셔 삽입 중 워셔를 떨어뜨림.
209

Tip Ⅱ

• 원매뉴얼과 선행연구(강용주 외, 2004, 부천시장애인종합복지관, 2011년)는 각각 실시방법 및 채점 기
에서 약간의 차이를 보이고 있는데 본 매뉴얼에서는 최근 연구(부천시장애인종합복지관, 2011)결과 능

를 제시하고 있으며 정신장애, 청각장애인의 경우에는 강용주 외(2004년)의 연구를 참고함. 가

4. 결과해석

1) 전산 프로그램에 수행도평가와 질적평가를 입력하여 자동 채점을 함.


2) 전산 프로그램이 없을 경우 부록의 규준표를 활용하여 수기 채점함.
3) 결과해석은 규준표를 토대로 이루어짐. 이 평가는 손가락 기민성을 요하는 제조업 분야로
취업을 희망하는 장애인의 직무수행 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한 평가로 비장애인과 지적장애
인은 물론 모든 장애유형에 적용할 수 있음. 다만, 지적장애인 근로자 규준과 직업적응훈
련생 규준을 사용할 경우에는 이들 규준집단이 지적장애와 자폐성장애이므로 주의가 필요
함. 장애인의 손가락 기민성을 비장애인과 비교할 때는 비장애인근로자 규준을 활용하고,
일반고용 및 직무수행 가능성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비장애인 근로자 규준과 지적장애인 근
로자 규준을 활용함. 일반고용이 어려운 중증장애인과 비교할 때에는 지적장애인 근로자
규준, 직업적응훈련생 규준을 활용함.
4) 정규분포에 따른 해석
평균과 표준편차를 이용하여 수행의 수준을 파악할 때 사용함. +1SD는 약 85%, +2SD는
약 95%, +3SD는 약 99%에 수준을 가지고 있다고 볼 수 있음. 반대로 -1SD는 약 25%,
-2SD는 약 5%, -3SD는 약 1%의 수준을 가지고 있다고 볼 수 있음. -3SD와 -2SD사이의
수행도는 매우 낮음이고, -2SD와 -1SD는 낮음, -1SD와 +1SD는 평균이고, +1SD와 +2SD
의 사이의 수행도는 높음, +2SD와 +3SD는 매우 높음이라고 해석할 수 있음.
5) 백분위 규준에 따른 해석

▼ 피평가자가 규준집단 정상 분포 내에서 어느 정도의 위치에 있는지를 알고자 할 때 사용

210 함. 피평가자의 수행 점수가 97.0%ile이라면 피평가자는 상위 3%에 해당하는 수준으로 해


석됨. 이는 100명을 기준으로 하였을 때 피평가자의 수행도에 따른 순위가 3번째의 능력

을 보이는 것으로 해석하면 됨.


6) 오류에 대한 해석

피평가자의 과제 이해도 측면, 신체 기능적 측면, 심리적 측면 등을 고려하여 해석함. 첫

가 째, 과제 이해도 측면에서 발생하는 오류는 지적능력과 관련하여 과제이해의 어려움으로

구 발생하는 유형임. 둘째, 신체 기능적 측면에서의 오류는 신체 기능상의 제한(손떨림, 경직,
시각-운동협응 등)에 의해 발생하는 유형임. 셋째, 심리적인 측면에서의 오류는 과도한 의
욕이나 위축에 따라 발생하는 유형임. 이러한 유형을 통해 오류에 대한 해석을 실시하더라
도 수행도와 오류와의 상관관계가 낮게 나타날 수 있어 참고자료로 활용할 것을 권유함.
직업평가도구 사용매뉴얼 「손 기능 평가도구편」

<사례>

Purdue Pegboard 검사 기록지


이름/성별 : 고OO/여 생년 월일 : 1990.1.20 우 세 손 : 오른손
장애/등급 지적장애3급 평 가 일 : 2011.4.18 평 가 자 : 홍길동
수행도평가
평가 수행개수 수행결과
시간 1차 2차 3차 평균 백분위 정규분포
우세손 (1) 30초 17 18 18 17.67 39.6 평균
비우세손 (2) 30초 15 14 17 15.33 12.4 낮음
양손 (3) 30초 12 13 16 13.67 29.6 평균
합계 (1+2+3) 44 45 51 46.67 21.2 평균
조립 60초 37 48 45 43.33 54.4 평균 ▼

질적평가 ▼

작업 우세손 비우세손 211


오류유형
유형 1차 2차 3차 1차 2차 3차
기타 유형의 오류 Ⅱ
한 번에 여러 개의 핀을 집어 꽂은 개수

(최초 삽입 1개만 수행량에 포함)
한손 기
핀 꽂는 중 땀이나 기타 사유로 핀이 빠진 횟수 능
핀을 떨어뜨린 횟수 평
― ⊤ ―
(떨어뜨린 후 집어서 넣은 경우는 수행도에 포함) 가
1차 2차 3차 도

기타 유형의 오류
동시에 꽂지 못하고 시간 간격이 1초 이상 있었던 횟수
펙보드에 꽂는 것을 중간에 생략한 횟수(빈 공간 수)
양손
핀을 꽂는 중 땀이나 기타 사유로 핀이 빠진 횟수
핀을 떨어뜨린 횟수
(떨어뜨린 후 집어서 넣은 경우는 수행도에 포함)
조립 시 손의 순서가 바뀐 횟수
완전한 조립품을(4개 구성요소)을 만들지 못한 횟수
(단, 마지막 조립부품은 제외)
펙보드에 꽂는 것을 중간에 생략한 횟수(빈 공간 수)
조립
구성요소(핀, 칼라, 와셔)를 떨어뜨린 횟수
(떨어뜨린 후 집어서 넣은 경우는 수행도에 포함)
조립 중 손이나 기타 사유로 인해 완성된 조립품에 영향을
주어 와셔 및 기타 부품이 빠진 횟수
행동 순응적인 태도로 평가에 참여함. 1회의 설명과 시범으로 과제수행 가능.
관찰 과제 수행 중 혼잣말 있음. 과제를 빨리 수행하려는 의욕이 앞서 핀을 떨어뜨림.
평가 결과 수행성이 우세손, 비우세손, 양손, 합계, 조립이 각각 17.67개, 15.33개, 13.67개, 46.67
개, 43.33개이다. 질적평가에서는 비우세손 과제수행 시 핀을 떨어뜨리는 오류를 4회 범함. 행동관찰
사항으로는 순응적인 태도로 평가에 임하였으며, 1번의 설명과 시범을 통해 과제수행이 가능함. 다만 과
제수행 중 간혹 혼잣말을 하거나 빨리 하려는 의욕이 앞서 핀을 떨어뜨리는 오류를 보임.
비장애인 근로자 규준을 활용하여 해석해 보면, 정규분포에 따른 언어척도는 우세손, 비우세손, 양손,
합계, 조립이 각각 평균, 낮음, 평균, 평균, 평균 수준으로 양호한 수준을 보임. 백분위척도로 살펴보면
우세손, 비우세손, 양손, 합계, 조립이 각각 39.6%ile, 12.4%ile, 29.6%ile, 21.2%ile, 54.4%ile로
나타남. 오류에 따른 정확도는 총 오류수 4회로 비장애인 근로자 62%ile, 지적장애인 근로자
70.97%ile 수준을 보임.
따라서 고OO님의 전반적인 손가락 기민성은 비장애인 근로자집단의 평균수준임. 다만 한손의 기민성
이 약간 낮아 반복 훈련이나 직무의 숙련이 이루어진다면 손가락 기민성 향상이 기대되며 비장애인 근
로자와 동일한 수준의 생산성이 기대됨.


212









직업평가도구 사용매뉴얼 「손 기능 평가도구편」

5. 부록

1) 검사기록지(부천시장애인종합복지관, 2011)
<표 Ⅱ-78> Purdue Pegboard 검사 기록지
Purdue Pegboard 검사 기록지
이름/성별 : 생년월일 : 우 세 손 :
장애/등급 평 가 일 : 평 가 자 :
수행도평가
평가 수행개수 수행결과
시간 1차 2차 3차 평균 백분위 정규분포
우세손 (1) 30초
비우세손 (2) 30초 ▼
양손 (3) 30초 ▼

합계 (1+2+3)
조립 60초 213
질적평가

작업 우세손 비우세손
오류유형 손
유형 1차 2차 3차 1차 2차 3차
기타 유형의 오류 기

한 번에 여러 개의 핀을 집어 꽂은 개수
(최초 삽입 1개만 수행량에 포함) 평
한손 가
핀을 꽂는 중 땀이나 기타 사유로 핀이 빠진 횟수 도
핀을 떨어뜨린 횟수 구
(떨어뜨린 후 집어서 넣은 경우는 수행도에 포함)
1차 2차 3차
기타 유형의 오류
동시에 꽂지 못하고 시간 간격이 1초 이상 있었던 횟수
양손 펙보드에 꽂는 것을 중간에 생략한 횟수(빈 공간 수)
핀을 꽂는 중 땀이나 기타 사유로 핀이 빠진 횟수
핀을 떨어뜨린 횟수(떨어뜨린 후 집어서 넣은 경우는 수행도에 포함)
조립 시 손의 순서가 바뀐 횟수
완전한 조립품을(4개 구성요소)을 만들지 못한 횟수
(단, 마지막 조립부품은 제외)
펙보드에 꽂는 것을 중간에 생략한 횟수(빈 공간 수)
조립
구성요소(핀, 칼라, 와셔)를 떨어뜨린 횟수
(떨어뜨린 후 집어서 넣은 경우는 수행도에 포함)
조립 중 손이나 기타 사유로 인해 완성된 조립품에 영향을 주
어 와셔 및 기타 부품이 빠진 횟수
행동
관찰
2) 규준표(부천시장애인종합복지관, 2011)
(1) 제조업 생산직 비장애인 근로자 규준표
1-1. 정규분포 규준표
1-2. 백분위 규준표(전체)
1-3. 백분위 규준표(남성)
1-4. 백분위 규준표(여성)

(2) 제조업 생산직 지적장애인 근로자 규준표


2-1. 정규분포 규준표
▼ 2-2. 백분위 규준표

214 (3) 직업적응훈련 과정(지원고용 목표) 규준표


Ⅱ 3-1. 정규분포 규준표
손 3-2. 백분위 규준표


평 (4) 직업적응훈련 과정(보호고용 목표) 규준표

도 4-1. 정규분포 규준표

4-2. 백분위 규준표
직업평가도구 사용매뉴얼 「손 기능 평가도구편」

(1) 제조업 생산직 비장애인 근로자 규준표


1-1. 정규분포 규준표
우세손 평균 : 18.19 표준편차 : 1.49

3SD ↔ 2SD ↔ 1SD ↔ mean ↔ 1SD ↔ 2SD ↔ 3SD


매우낮음 낮음 평균 높음 매우높음
13.72 15.21 16.7 18.19 19.68 21.17 22.66

비우세손 평균 : 17.36 표준편차 : 1.57




215
3SD ↔ 2SD ↔ 1SD ↔ mean ↔ 1SD ↔ 2SD ↔ 3SD Ⅱ
매우낮음 낮음 평균 높음 매우높음
12.65 14.22 15.79 17.36 18.93 20.5 22.07 손


양손 평균 : 14.6 표준편차 : 1.46 평


3SD ↔ 2SD ↔ 1SD ↔ mean ↔ 1SD ↔ 2SD ↔ 3SD


매우낮음 낮음 평균 높음 매우높음
10.22 11.68 13.14 14.6 16.06 17.52 18.98

합계 평균 : 50.14 표준편차 : 3.95

3SD ↔ 2SD ↔ 1SD ↔ mean ↔ 1SD ↔ 2SD ↔ 3SD


매우낮음 낮음 평균 높음 매우높음
38.29 42.24 46.19 50.34 54.09 58.04 61.99
조립 평균 : 42.72 표준편차 : 5.64

3SD ↔ 2SD ↔ 1SD ↔ mean ↔ 1SD ↔ 2SD ↔ 3SD


매우낮음 낮음 평균 높음 매우높음
25.8 31.44 37.08 42.72 48.36 54 59.64

1-2. 백분위 규준표(전체)

<표 Ⅱ-79> Purdue Pegboard 제조업 생산직 비장애인 근로자 백분위 규준표(전체)
우세손 비우세손 양손 합계 조립 총 오류
▼ 표준 표준 표준 표준 표준 표준
▼ 평균 평균 평균 평균 평균 평균

편차 편차 편차 편차 편차 편차
216 18.19 1.49 17.36 1.57 14.60 1.46 50.14 3.95 42.72 5.64 5.45 4.57

Ⅱ 개수 %ile 개수 %ile 개수 %ile 개수 %ile 개수 %ile 오류수 %ile


손 14.33 .4 12.33 .4 10.67 1.2 38.67 .4 25.00 .4 34 .4
기 14.67 .8 12.67 .8 11.67 2.0 40.00 .8 25.67 .8 24 .8
능 15.00 2.0 13.00 1.6 12.00 5.2 40.33 1.2 28.33 1.2 22 1.2
평 15.33 4.0 13.67 2.0 12.33 8.0 40.67 2.0 29.67 1.6 21 1.6
가 15.67 7.2 14.33 2.8 12.67 12.0 41.33 2.4 30.00 2.0 17 2.8

구 16.00 11.6 14.67 4.0 13.00 18.0 42.33 2.8 30.67 2.8 16 3.2
16.33 15.6 15.00 6.8 13.33 22.8 43.00 3.2 31.00 4.0 14 4.0
16.67 19.2 15.33 12.4 13.67 29.6 43.33 4.0 31.33 4.4 13 6.4
17.00 23.2 15.67 16.0 14.00 38.4 43.67 4.8 31.67 4.8 12 9.6
17.33 30.8 16.00 23.6 14.33 45.6 44.00 5.2 32.33 5.2 11 13.6
17.67 39.6 16.33 29.6 14.67 55.6 44.33 6.4 33.67 6.4 10 16.4
18.00 45.2 16.67 36.8 15.00 64.8 44.67 7.6 34.00 7.2 9 20.4
18.33 56.8 17.00 44.4 15.33 71.6 45.00 10.0 34.33 7.6 8 24.4
18.67 65.6 17.33 52.0 15.67 78.8 45.33 14.0 34.67 9.6 7 29.6
19.00 76.0 17.67 58.4 16.00 87.2 45.67 16.0 35.00 10.0 6 36.8
19.33 80.0 18.00 68.4 16.33 92.0 46.00 16.4 35.33 11.2 5 47.6
19.67 85.6 18.33 76.4 16.67 93.6 46.33 19.6 35.67 12.4 4 62.0
20.00 91.2 18.67 82.4 17.00 96.8 46.67 21.2 36.00 13.6 3 74.0
20.33 94.8 19.00 88.8 17.33 97.6 47.00 23.6 36.33 14.0 2 84.0
20.67 97.2 19.33 93.2 17.67 98.4 47.33 25.2 37.00 16.0 1 93.6
21.00 98.8 19.67 95.6 18.00 99.6 47.67 27.2 37.33 16.4 0 100
직업평가도구 사용매뉴얼 「손 기능 평가도구편」

우세손 비우세손 양손 합계 조립 총 오류
표준 표준 표준 표준 표준 표준
평균 평균 평균 평균 평균 평균
편차 편차 편차 편차 편차 편차
18.19 1.49 17.36 1.57 14.60 1.46 50.14 3.95 42.72 5.64 5.45 4.57

개수 %ile 개수 %ile 개수 %ile 개수 %ile 개수 %ile 오류수 %ile


21.33 99.2 20.00 97.6 18.33 100 48.00 33.2 37.67 16.8
22.00 100 20.33 98.0 48.33 36.0 38.00 18.4
20.67 98.4 48.67 38.4 38.33 19.2
21.00 99.2 49.00 40.4 38.67 20.0
21.33 99.6 49.33 43.6 39.00 21.6
21.67 100 49.67 46.4 39.33 24.0
50.00 48.8 39.67 27.2
50.33 52.8 40.00 29.6
50.67 55.6 40.33 32.0 ▼

51.00 60.8 40.67 35.6 ▼
51.33 63.2 41.00 37.2 217
51.67 65.2 41.33 39.6
52.00 66.4 41.67 41.2 Ⅱ
52.33 68.8 42.00 45.2

52.67 72.0 42.33 48.4

53.00 75.6 42.67 50.4 능
53.33 76.8 43.00 52.8 평
53.67 80.8 43.33 54.4 가

54.00 82.8 43.67 57.2 구
54.33 86.0 44.00 58.0
54.67 87.6 44.33 60.4
55.00 88.8 44.67 62.0
55.33 90.8 45.00 64.8
55.67 94.4 45.33 68.0
56.00 95.6 45.67 72.8
56.33 96.0 46.00 74.8
56.67 96.4 46.33 77.2
57.00 97.6 46.67 78.8
57.33 98.8 47.00 79.6
58.00 99.2 47.33 80.8
58.67 99.6 47.67 82.4
61.67 100 48.00 83.2
48.33 84.8
48.67 85.2
우세손 비우세손 양손 합계 조립 총 오류
표준 표준 표준 표준 표준 표준
평균 평균 평균 평균 평균 평균
편차 편차 편차 편차 편차 편차
18.19 1.49 17.36 1.57 14.60 1.46 50.14 3.95 42.72 5.64 5.45 4.57

개수 %ile 개수 %ile 개수 %ile 개수 %ile 개수 %ile 오류수 %ile


49.00 86.4
49.33 87.2
49.67 89.6
50.00 91.6
50.33 92.8
50.67 93.6
51.00 94.4
52.00 94.8
▼ 52.33 96.0

▼ 53.00 98.0
218 53.33 98.4
53.67 98.8
Ⅱ 54.33 99.2
54.67 99.6

56.67 100




도 1-3. 백분위 규준표(남성)

<표 Ⅱ-80> Purdue Pegboard 제조업 생산직 비장애인 근로자 백분위 규준표(남성)
우세손 비우세손 양손 합계 조립
표준 표준 표준 표준 표준
평균 평균 평균 평균 평균
편차 편차 편차 편차 편차
16.88 1.23 16.31 1.52 13.7 1.36 46.89 3.49 40.08 4.57

개수 %ile 개수 %ile 개수 %ile 개수 %ile 개수 %ile


14.33 2.0 12.33 2.0 10.67 5.9 38.67 2.0 28.33 2.0
14.67 3.9 13.00 3.9 11.67 7.8 40.00 3.9 30.67 3.9
15.00 5.9 13.67 5.9 12.00 11.8 40.33 5.9 31.00 5.9
15.33 13.7 14.33 7.8 12.33 15.7 41.33 7.8 31.67 7.8
15.67 21.6 14.67 11.8 12.67 23.5 42.33 9.8 32.33 9.8
16.00 31.4 15.00 17.6 13.00 37.3 43.33 11.8 34.67 11.8
16.33 39.2 15.33 29.4 13.33 43.1 43.67 13.7 35.33 13.7
직업평가도구 사용매뉴얼 「손 기능 평가도구편」

우세손 비우세손 양손 합계 조립
표준 표준 표준 표준 표준
평균 평균 평균 평균 평균
편차 편차 편차 편차 편차
16.88 1.23 16.31 1.52 13.7 1.36 46.89 3.49 40.08 4.57

개수 %ile 개수 %ile 개수 %ile 개수 %ile 개수 %ile


16.67 49.0 15.67 37.3 13.67 52.9 44.33 19.6 35.67 15.7
17.00 58.8 16.00 47.1 14.00 58.8 44.67 23.5 36.00 19.6
17.33 68.6 16.33 56.9 14.33 72.5 45.00 31.4 37.00 21.6
17.67 78.4 16.67 68.6 14.67 78.4 45.33 39.2 37.33 23.5
18.00 84.3 17.00 76.5 15.00 88.2 45.67 41.2 38.00 25.5
18.33 92.2 17.33 80.4 15.33 90.2 46.00 43.1 38.33 27.5
19.00 98.0 17.67 86.3 15.67 96.1 46.33 51.0 39.00 29.4
20.00 100 18.00 88.2 16.00 98.0 46.67 54.9 39.33 37.3
18.33 92.2 16.67 100 47.00 58.8 39.67 41.2 ▼

18.67 94.1 47.33 60.8 40.00 43.1 ▼
19.00 96.1 48.00 68.6 40.33 45.1 219
19.67 98.0 48.67 70.6 40.67 52.9
20.00 100 49.00 74.5 41.00 54.9 Ⅱ
49.33 76.5 41.33 56.9

49.67 80.4 41.67 64.7

50.00 82.4 42.00 70.6 능
50.33 84.3 42.33 78.4 평
51.00 90.2 42.67 82.4 가

51.33 94.1 43.00 84.3 구
53.00 96.1 43.33 88.2
54.33 98.0 43.67 92.2
55.67 100 46.67 94.1
47.67 96.1
49.00 98.0
53.33 100
1-4. 백분위 규준표(여성)

<표 Ⅱ-81> Purdue Pegboard 제조업 생산직 비장애인 근로자 백분위 규준표(여성)
우세손 비우세손 양손 합계 조립
표준 표준 표준 표준 표준
평균 평균 평균 평균 평균
편차 편차 편차 편차 편차
18.52 1.36 17.63 1.47 14.83 1.39 50.97 3.63 43.4 5.7

개수 %ile 개수 %ile 개수 %ile 개수 %ile 개수 %ile


15.00 1.0 12.67 .5 11.67 .5 40.67 1.0 25.00 .5
15.33 1.5 13.00 1.0 12.00 3.5 43.00 1.5 25.67 1.0
15.67 3.5 14.33 1.5 12.33 6.0 43.33 2.0 29.67 1.5
16.00 6.5 14.67 2.0 12.67 9.0 43.67 2.5 30.00 2.0
16.33 9.5 15.00 4.0 13.00 13.1 44.00 3.0 30.67 2.5

▼ 16.67 11.6 15.33 8.0 13.33 17.6 44.67 3.5 31.00 3.5

17.00 14.1 15.67 10.6 13.67 23.6 45.00 4.5 31.33 4.0
220 17.33 21.1 16.00 17.6 14.00 33.2 45.33 7.5 33.67 5.5
17.67 29.6 16.33 22.6 14.33 38.7 45.67 9.5 34.00 6.5
Ⅱ 18.00 35.2 16.67 28.6 14.67 49.7 46.33 11.6 34.33 7.0
손 18.33 47.7 17.00 36.2 15.00 58.8 46.67 12.6 34.67 9.0
기 18.67 58.8 17.33 44.7 15.33 66.8 47.00 14.6 35.00 9.5
능 19.00 70.4 17.67 51.3 15.67 74.4 47.33 16.1 35.33 10.6
평 19.33 75.4 18.00 63.3 16.00 84.4 47.67 18.6 35.67 11.6
가 19.67 82.4 18.33 72.4 16.33 90.5 48.00 24.1 36.00 12.1

구 20.00 88.9 18.67 79.4 16.67 92.0 48.33 27.6 36.33 12.6
20.33 93.5 19.00 86.9 17.00 96.0 48.67 30.2 37.00 14.6
20.67 96.5 19.33 92.5 17.33 97.0 49.00 31.7 37.67 15.1
21.00 98.5 19.67 95.0 17.67 98.0 49.33 35.2 38.00 16.6
21.33 99.0 20.00 97.0 18.00 99.5 49.67 37.7 38.33 17.1
22.00 100 20.33 97.5 18.33 100 50.00 40.2 38.67 18.1
20.67 98.0 50.33 44.7 39.00 19.6
21.00 99.0 50.67 48.2 39.33 20.6
21.33 99.5 51.00 53.3 39.67 23.6
21.67 100 51.33 55.3 40.00 26.1
51.67 57.8 40.33 28.6
52.00 59.3 40.67 31.2
52.33 62.3 41.00 32.7
52.67 66.3 41.33 35.2
53.00 70.4 42.00 38.7
53.33 71.9 42.33 40.7
직업평가도구 사용매뉴얼 「손 기능 평가도구편」

우세손 비우세손 양손 합계 조립
표준 표준 표준 표준 표준
평균 평균 평균 평균 평균
편차 편차 편차 편차 편차
18.52 1.36 17.63 1.47 14.83 1.39 50.97 3.63 43.4 5.7

개수 %ile 개수 %ile 개수 %ile 개수 %ile 개수 %ile


53.67 76.9 42.67 42.2
54.00 79.4 43.00 44.7
54.33 82.9 43.33 45.7
54.67 84.9 43.67 48.2
55.00 86.4 44.00 49.2
55.33 88.9 44.33 52.3
55.67 93.0 44.67 54.3
56.00 94.5 45.00 57.8
56.33 95.0 45.33 61.8 ▼

56.67 95.5 45.67 67.8 ▼
57.00 97.0 46.00 70.4 221
57.33 98.5 46.33 73.4
58.00 99.0 46.67 74.9 Ⅱ
58.67 99.5 47.00 75.9
61.67 100 47.33 77.4 손
47.67 78.9 기

48.00 79.9

48.33 81.9 가
48.67 82.4 도

49.00 83.4
49.33 84.4
49.67 87.4
50.00 89.9
50.33 91.5
50.67 92.5
51.00 93.5
52.00 94.0
52.33 95.5
53.00 98.0
53.67 98.5
54.33 99.0
54.67 99.5
56.67 100
(2) 제조업 생산직 지적장애인 근로자 규준표
2-1. 정규분포 규준표
우세손 평균 : 13.53 표준편차 : 2.46

3SD ↔ 2SD ↔ 1SD ↔ mean ↔ 1SD ↔ 2SD ↔ 3SD


매우낮음 낮음 평균 높음 매우높음
6.15 8.61 11.07 13.53 15.99 18.45 20.91

비우세손 평균 : 13.27 표준편차 : 2.35




222

Ⅱ 3SD ↔ 2SD ↔ 1SD ↔ mean ↔ 1SD ↔ 2SD ↔ 3SD


매우낮음 낮음 평균 높음 매우높음
손 6.22 8.57 10.92 13.27 15.62 17.97 20.32


평 양손 평균 : 10.51 표준편차 : 2.31


3SD ↔ 2SD ↔ 1SD ↔ mean ↔ 1SD ↔ 2SD ↔ 3SD


매우낮음 낮음 평균 높음 매우높음
3.58 5.89 8.2 10.51 12.82 15.13 17.44

합계 평균 : 37.31 표준편차 : 6.61

3SD ↔ 2SD ↔ 1SD ↔ mean ↔ 1SD ↔ 2SD ↔ 3SD


매우낮음 낮음 평균 높음 매우높음
17.48 24.09 30.7 37.31 43.92 50.53 57.14
직업평가도구 사용매뉴얼 「손 기능 평가도구편」

조립 평균 : 25.95 표준편차 : 7.64

3SD ↔ 2SD ↔ 1SD ↔ mean ↔ 1SD ↔ 2SD ↔ 3SD


매우낮음 낮음 평균 높음 매우높음
3.03 10.67 18.31 25.95 33.59 41.23 48.87

2-2. 백분위 규준표

<표 Ⅱ-82> Purdue Pegboard 제조업 생산직 지적장애인 근로자 백분위 규준표
우세손 비우세손 양손 합계 조립 총 오류
표준 표준 표준 표준 표준 표준 ▼
평균 평균 평균 평균 평균 평균 ▼

편차 편차 편차 편차 편차 편차
13.53 2.46 13.27 2.35 10.51 2.31 37.31 6.61 25.95 7.64 8.08 7.28 223

개수 %ile 개수 %ile 개수 %ile 개수 %ile 개수 %ile 오류수 %ile Ⅱ


5.67 1.3 6.00 .7 4.00 .7 16.00 .7 10.33 .7 35 0.65 손
7.67 2.0 6.33 1.3 4.33 1.3 19.67 1.3 11.67 1.4 31 1.29 기
8.67 2.7 8.33 2.7 5.67 2.0 23.00 2.0 12.00 2.0 26 3.23 능
9.00 3.3 8.67 4.0 6.00 3.3 23.67 2.7 12.67 2.7 25 3.87 평
9.67 5.3 9.00 4.7 6.33 5.3 24.67 3.3 13.33 3.4 24 4.52 가

10.00 6.7 9.33 6.0 7.00 8.0 25.67 4.0 14.00 4.1 23 5.81 구
10.33 10.7 9.67 8.0 7.33 9.3 26.33 4.7 14.33 5.4 21 7.10
10.67 13.3 10.00 9.3 7.67 13.3 27.33 6.7 14.67 6.8 20 8.39
11.00 16.7 10.33 12.7 8.00 14.0 28.00 7.3 15.33 7.5 19 10.32
11.33 18.0 10.67 13.3 8.33 18.0 28.33 8.0 15.67 8.2 18 11.61
11.67 23.3 11.00 17.3 8.67 25.3 28.67 9.3 16.67 10.9 16 14.84
12.00 30.7 11.33 22.0 9.00 29.3 29.00 10.7 17.00 11.6 15 16.13
12.33 35.3 11.67 26.7 9.33 32.7 29.33 12.0 17.33 12.9 14 18.06
12.67 40.7 12.00 30.0 9.67 38.7 29.67 13.3 17.67 14.3 13 21.94
13.00 41.3 12.33 36.7 10.00 43.3 30.00 14.7 18.00 15.6 12 26.45
13.33 46.7 12.67 41.3 10.33 49.3 31.00 15.3 18.33 16.3 11 32.26
13.67 54.7 13.00 46.0 10.67 55.3 31.33 18.0 18.67 17.7 10 38.71
14.00 59.3 13.33 51.3 11.00 59.3 32.00 23.3 19.00 19.0 9 40.65
14.33 63.3 13.67 57.3 11.33 64.7 32.33 26.0 19.67 20.4 8 43.87
14.67 70.0 14.00 62.0 11.67 70.0 32.67 28.0 20.00 21.1 7 50.97
15.00 74.7 14.33 69.3 12.00 74.0 33.00 30.0 20.33 24.5 6 57.42
우세손 비우세손 양손 합계 조립 총 오류
표준 표준 표준 표준 표준 표준
평균 평균 평균 평균 평균 평균
편차 편차 편차 편차 편차 편차
13.53 2.46 13.27 2.35 10.51 2.31 37.31 6.61 25.95 7.64 8.08 7.28

개수 %ile 개수 %ile 개수 %ile 개수 %ile 개수 %ile 오류수 %ile


15.33 78.0 14.67 74.0 12.33 80.0 33.33 30.7 20.67 27.2 5 64.52
15.67 82.7 15.00 77.3 12.67 83.3 33.67 31.3 21.00 29.3 4 70.97
16.00 84.0 15.33 84.0 13.00 88.0 34.00 32.7 21.33 30.6 3 75.48
16.33 88.7 15.67 86.7 13.33 90.7 34.33 34.7 21.67 33.3 2 76.77
16.67 90.7 16.00 91.3 13.67 92.0 34.67 35.3 22.00 36.7 1 77.42
17.00 93.3 16.33 92.7 14.00 94.7 35.00 36.0 22.33 37.4 0 100
17.33 96.0 16.67 93.3 14.33 96.7 35.33 38.0 22.67 38.1
17.67 97.3 17.00 94.7 14.67 98.7 35.67 40.0 23.00 42.2
▼ 18.00 98.0 17.33 96.7 15.67 99.3 36.00 42.7 23.33 43.5

▼ 18.33 98.7 17.67 98.7 16.00 100 36.33 46.0 23.67 44.2
224 18.67 99.3 18.00 100 36.67 47.3 24.00 47.6
19.33 100 37.00 49.3 24.33 50.3
Ⅱ 37.33 50.7 24.67 51.7
37.67 52.7 25.00 53.7

38.00 54.0 25.33 55.1

능 38.33 56.0 25.67 55.8
평 38.67 58.7 26.00 56.5
가 39.00 60.0 26.33 58.5

구 39.33 61.3 26.67 60.5
39.67 62.7 27.33 61.2
40.00 64.0 28.00 62.6
40.33 67.3 28.33 63.9
40.67 69.3 28.67 66.0
41.00 70.0 29.00 67.3
41.33 71.3 29.33 68.0
41.67 73.3 29.67 68.7
42.00 76.0 30.00 70.1
42.33 77.3 30.67 70.7
42.67 78.7 31.00 72.1
43.00 80.0 31.33 72.8
43.33 81.3 31.67 74.8
43.67 82.0 32.00 78.2
44.00 82.7 32.33 78.9
44.33 83.3 33.00 79.6
직업평가도구 사용매뉴얼 「손 기능 평가도구편」

우세손 비우세손 양손 합계 조립 총 오류
표준 표준 표준 표준 표준 표준
평균 평균 평균 평균 평균 평균
편차 편차 편차 편차 편차 편차
13.53 2.46 13.27 2.35 10.51 2.31 37.31 6.61 25.95 7.64 8.08 7.28

개수 %ile 개수 %ile 개수 %ile 개수 %ile 개수 %ile 오류수 %ile


44.67 85.3 33.33 80.3
45.00 86.7 33.67 81.6
45.33 89.3 34.00 83.7
46.00 90.7 34.33 85.7
46.33 91.3 34.67 86.4
47.33 94.0 35.00 87.1
47.67 95.3 36.00 89.1
48.00 96.0 36.33 89.8
48.33 98.0 36.67 91.8 ▼

49.33 98.7 37.67 92.5 ▼
50.67 99.3 38.00 93.2 225
51.33 100 38.33 93.9
39.67 94.6 Ⅱ
40.33 95.2

40.67 96.6

41.33 97.3 능
41.67 98.0 평
42.33 98.6 가

42.67 99.3 구
45.67 100

(3) 직업적응훈련 과정(지원고용 목표) 규준표


3-1. 정규분포 규준표
우세손 평균 : 12.61 표준편차 : 2.25

3SD ↔ 2SD ↔ 1SD ↔ mean ↔ 1SD ↔ 2SD ↔ 3SD


매우낮음 낮음 평균 높음 매우높음
5.86 8.11 10.36 12.61 14.87 17.12 19.37
비우세손 평균 : 11.94 표준편차 : 2.27

3SD ↔ 2SD ↔ 1SD ↔ mean ↔ 1SD ↔ 2SD ↔ 3SD


매우낮음 낮음 평균 높음 매우높음
5.12 7.40 9.67 11.94 14.22 16.49 18.76

양손 평균 : 9.35 표준편차 : 2.09


▼ 3SD ↔ 2SD ↔ 1SD ↔ mean ↔ 1SD ↔ 2SD ↔ 3SD

매우낮음 낮음 평균 높음 매우높음
226 3.08 5.17 7.26 9.35 11.44 13.52 15.61



합계 평균 : 33.91 표준편차 : 6.07





구 3SD ↔ 2SD ↔ 1SD ↔ mean ↔ 1SD ↔ 2SD ↔ 3SD
매우낮음 낮음 평균 높음 매우높음
15.7 21.77 27.84 33.91 39.98 46.05 52.12

조립 평균 : 24.54 표준편차 : 7.38

3SD ↔ 2SD ↔ 1SD ↔ mean ↔ 1SD ↔ 2SD ↔ 3SD


매우낮음 낮음 평균 높음 매우높음
2.39 9.77 17.16 24.54 31.92 39.30 46.68
직업평가도구 사용매뉴얼 「손 기능 평가도구편」

3-2. 백분위 규준표


<표 Ⅱ-83> Purdue Pegboard 직업적응훈련 과정(지원고용 목표) 지적장애인 백분위 규준표
우세손 비우세손 양손 합계 조립
표준 표준 표준 표준 표준
평균 평균 평균 평균 평균
편차 편차 편차 편차 편차
12.61 2.25 11.94 2.27 9.35 2.09 33.91 6.07 24.54 7.38

개수 %ile 개수 %ile 개수 %ile 개수 %ile 개수 %ile


6.33 .6 5.33 .6 4.67 1.3 18.67 .6 12.00 1.3
6.67 1.3 7.00 3.2 5.00 1.9 20.67 1.3 12.67 2.0
8.00 2.6 7.67 3.9 5.33 3.9 21.00 1.9 13.00 3.3
8.33 3.2 8.00 6.5 5.67 5.8 21.33 2.6 13.67 3.9
8.67 3.9 8.33 7.8 6.00 7.8 21.67 3.2 14.00 5.9
9.00 5.2 8.67 8.4 6.33 11.7 22.67 3.9 14.67 7.2 ▼

9.33 8.4 9.00 9.1 6.67 13.0 23.34 4.5 15.00 9.2 ▼
9.67 11.0 9.33 10.4 7.00 15.6 24.34 5.2 15.33 11.1 227
10.00 13.0 9.67 16.9 7.33 20.1 24.67 5.8 15.67 12.4
10.33 14.3 10.00 20.8 7.67 23.4 25.00 6.5 16.00 14.4

10.67 17.5 10.33 26.0 8.00 26.0 25.33 7.1 16.33 16.3
11.00 24.7 10.67 29.9 8.33 32.5 25.67 7.8 16.67 17.0 손
11.33 33.1 11.00 36.4 8.67 38.3 26.00 8.4 17.00 18.3 기

11.67 35.7 11.33 42.2 9.00 43.5 26.67 9.7 17.67 19.6

12.00 40.3 11.67 49.4 9.33 53.2 27.00 12.3 18.00 20.3 가
12.33 49.4 12.00 53.9 9.67 57.8 27.33 13.6 18.33 20.9 도

12.67 56.5 12.33 57.8 10.00 64.9 27.67 16.2 18.67 22.9
13.00 61.0 12.67 63.6 10.33 70.1 28.00 16.9 19.00 24.2
13.33 67.5 13.00 71.4 10.67 76.0 28.33 18.2 19.33 24.8
13.67 74.0 13.33 77.3 11.00 81.2 28.67 22.1 19.67 25.5
14.00 77.9 13.67 81.2 11.33 86.4 29.00 23.4 20.00 28.1
14.33 81.8 14.00 85.1 11.67 89.6 29.33 26.0 20.33 28.8
14.67 83.8 14.33 87.7 12.00 92.2 29.67 26.6 20.67 30.7
15.00 87.7 14.67 90.9 12.33 92.9 30.00 28.6 21.00 34.0
15.33 90.3 15.00 91.6 12.67 96.1 30.33 31.2 21.33 36.6
15.67 92.9 15.33 94.8 13.00 96.8 31.00 34.4 21.67 37.3
16.00 94.2 15.67 96.1 13.33 98.1 31.33 36.4 22.00 40.5
16.67 96.1 16.00 96.8 13.67 98.7 32.00 39.0 22.33 42.5
17.33 97.4 16.33 98.1 14.33 99.4 32.33 40.3 22.67 45.1
17.67 98.7 17.33 98.7 15.33 100 32.67 42.2 23.00 49.7
18.00 99.4 18.00 100 33.00 44.2 23.33 50.3
우세손 비우세손 양손 합계 조립
표준 표준 표준 표준 표준
평균 평균 평균 평균 평균
편차 편차 편차 편차 편차
12.61 2.25 11.94 2.27 9.35 2.09 33.91 6.07 24.54 7.38

개수 %ile 개수 %ile 개수 %ile 개수 %ile 개수 %ile


19.33 100 33.33 48.1 23.67 51.6
33.67 51.3 24.00 54.2
34.00 51.9 24.33 56.2
34.33 54.5 24.67 58.2
34.67 56.5 25.00 58.8
35.00 61.0 25.33 59.5
35.33 61.7 25.67 62.1
35.67 62.3 26.33 64.7
▼ 36.00 65.6 27.00 66.0

▼ 36.33 66.9 27.33 69.3
228 36.67 68.2 27.67 70.6
37.00 69.5 28.00 71.9
Ⅱ 37.33 71.4 28.33 72.5
37.67 73.4 28.67 75.2

38.00 76.6 29.00 75.8

능 38.33 78.6 29.33 76.5
평 38.67 79.2 29.67 77.8
가 39.00 80.5 30.00 78.4

구 39.33 82.5 30.33 79.1
39.67 85.1 30.67 80.4
40.00 85.7 31.00 81.0
40.33 86.4 31.33 81.7
40.67 88.3 31.67 83.0
41.33 89.6 32.00 84.3
41.67 90.3 32.33 85.0
42.33 91.6 32.67 86.3
42.67 92.2 33.00 87.6
43.00 93.5 33.33 88.2
43.33 94.8 33.67 90.2
43.67 96.1 34.00 90.8
44.67 96.8 34.33 91.5
45.33 97.4 34.67 92.2
46.67 98.1 35.00 92.8
47.00 98.7 35.67 93.5
직업평가도구 사용매뉴얼 「손 기능 평가도구편」

우세손 비우세손 양손 합계 조립
표준 표준 표준 표준 표준
평균 평균 평균 평균 평균
편차 편차 편차 편차 편차
12.61 2.25 11.94 2.27 9.35 2.09 33.91 6.07 24.54 7.38

개수 %ile 개수 %ile 개수 %ile 개수 %ile 개수 %ile


50.67 99.4 36.00 94.1
51.67 100 37.00 94.8
37.67 95.4
38.67 96.1
40.00 96.7
41.00 98.0
42.00 98.7
43.33 99.3
54.33 100 ▼

229
(4) 직업적응훈련 과정(보호고용 목표) 규준표

4-1. 정규분포 규준표

우세손 평균 : 10.17 표준편차 : 2.45 기





3SD ↔ 2SD ↔ 1SD ↔ mean ↔ 1SD ↔ 2SD ↔ 3SD
매우낮음 낮음 평균 높음 매우높음
2.82 5.27 7.72 10.17 12.62 15.07 17.52

비우세손 평균 : 9.47 표준편차 : 2.63

3SD ↔ 2SD ↔ 1SD ↔ mean ↔ 1SD ↔ 2SD ↔ 3SD


매우낮음 낮음 평균 높음 매우높음
1.58 4.21 6.84 9.47 12.10 14.73 17.37
양손 평균 : 7.07 표준편차 : 2.42

3SD ↔ 2SD ↔ 1SD ↔ mean ↔ 1SD ↔ 2SD ↔ 3SD


매우낮음 낮음 평균 높음 매우높음
0 2.23 4.65 7.07 9.49 11.91 14.33

합계 평균 : 26.72 표준편차 : 6.97


▼ 3SD ↔ 2SD ↔ 1SD ↔ mean ↔ 1SD ↔ 2SD ↔ 3SD

매우낮음 낮음 평균 높음 매우높음
230 5.81 12.78 19.75 26.72 33.69 40.66 47.63



조립 평균 : 17.07 표준편차 : 5.89





구 3SD ↔ 2SD ↔ 1SD ↔ mean ↔ 1SD ↔ 2SD ↔ 3SD
매우낮음 낮음 평균 높음 매우높음
0 5.29 11.18 17.07 22.96 28.85 34.74
직업평가도구 사용매뉴얼 「손 기능 평가도구편」

4-2. 백분위 규준표

<표 Ⅱ-84> Purdue Pegboard 직업적응훈련 과정(보호고용 목표) 지적장애인 백분위 규준표
우세손 비우세손 양손 합계 조립
표준 표준 표준 표준 표준
평균 평균 평균 평균 평균
편차 편차 편차 편차 편차
10.17 2.45 9.47 2.63 7.07 2.42 26.72 6.97 17.07 5.89

개수 %ile 개수 %ile 개수 %ile 개수 %ile 개수 %ile


4.67 1.3 1.67 .7 1.33 1.3 11.33 .7 5.67 .7
5.00 2.0 3.33 1.3 2.33 2.7 11.67 1.3 6.33 1.4
5.33 2.7 4.00 2.0 2.67 4.0 13.00 2.0 6.67 2.0
5.67 5.4 4.33 4.0 3.00 5.4 14.00 2.7 7.67 4.1
6.00 7.4 4.67 4.7 3.33 7.4 14.33 4.0 8.00 4.7 ▼
6.33 8.1 5.00 6.7 3.67 9.4 14.67 6.0 8.33 6.8 ▼

6.67 9.4 5.33 8.1 4.00 12.1 15.00 8.1 8.67 8.1
7.00 12.8 5.67 10.1 4.33 16.1 15.67 8.7 9.00 9.5
231
7.33 16.1 6.00 11.4 4.67 20.8 16.00 9.4 9.33 10.8
7.67 18.8 6.33 13.4 5.00 22.8 17.00 10.7 9.67 11.5 Ⅱ
8.00 22.8 6.67 16.8 5.33 27.5 17.67 11.4 10.00 13.5 손
8.33 26.2 7.00 20.1 5.67 32.2 18.00 12.1 10.33 15.5 기
8.67 29.5 7.33 22.8 6.00 37.6 18.34 14.1 10.67 16.2 능
9.00 32.9 7.67 26.2 6.33 41.6 19.00 14.8 11.00 18.2 평

9.33 38.3 8.00 30.2 6.67 46.3 19.33 15.4 11.33 19.6 도
9.67 43.0 8.33 34.9 7.00 51.0 19.67 16.8 11.67 20.9 구
10.00 48.3 8.67 40.9 7.30 51.7 20.00 18.1 12.00 22.3
10.33 53.0 9.00 45.6 7.33 55.7 20.33 19.5 12.33 23.6
10.67 58.4 9.33 51.0 7.67 60.4 20.67 21.5 12.67 26.4
11.00 61.7 9.67 55.0 8.00 63.8 21.00 23.5 13.00 28.4
11.33 69.1 10.00 58.4 8.33 69.1 21.33 24.8 13.33 30.4
11.67 71.8 10.33 61.7 8.67 71.8 21.67 26.2 13.67 32.4
12.00 77.2 10.67 63.8 9.00 77.9 22.00 29.5 14.00 34.5
12.33 80.5 11.00 69.1 9.33 83.2 22.33 30.9 14.33 35.1
12.67 84.6 11.33 73.8 9.38 83.9 22.67 32.2 14.67 36.5
13.00 86.6 11.67 77.9 9.67 84.6 23.00 33.6 15.00 39.2
13.33 89.9 12.00 83.2 10.00 91.3 23.34 34.2 15.33 40.5
13.67 96.0 12.33 85.9 10.33 92.6 23.67 36.2 15.67 43.9
14.00 98.0 12.67 91.3 10.67 94.6 24.00 38.3 16.00 45.3
14.33 98.7 13.00 93.3 11.00 96.6 24.67 40.3 16.33 48.0
14.67 99.3 13.33 95.3 11.33 98.0 25.00 41.6 16.67 50.0
우세손 비우세손 양손 합계 조립
표준 표준 표준 표준 표준
평균 평균 평균 평균 평균
편차 편차 편차 편차 편차
10.17 2.45 9.47 2.63 7.07 2.42 26.72 6.97 17.07 5.89

개수 %ile 개수 %ile 개수 %ile 개수 %ile 개수 %ile


16.00 100 13.67 97.3 11.67 98.7 25.33 43.6 17.00 51.4
14.00 98.7 12.33 100 25.67 45.6 17.33 54.1
14.33 100 26.33 46.3 17.67 54.7
26.67 48.3 18.00 58.1
27.00 49.7 18.33 59.5
27.33 54.4 18.67 62.2
28.00 56.4 19.00 64.9
28.33 57.7 19.33 68.2
▼ 28.67 61.1 19.67 69.6

▼ 29.00 61.7 20.00 71.6
232 29.33 63.1 20.33 73.0
29.67 64.4 20.67 73.6
Ⅱ 30.00 65.1 21.00 77.0
30.33 65.8 21.67 79.7

30.67 66.4 22.00 81.1

능 31.00 68.5 22.33 83.8
평 31.33 69.8 22.67 85.1
가 32.00 70.5 23.33 87.2

구 32.33 72.5 23.67 88.5
32.34 73.2 24.33 89.2
32.67 77.2 24.67 89.9
33.00 78.5 25.00 91.2
33.33 80.5 25.33 91.9
33.67 82.6 26.00 92.6
34.00 83.9 27.33 93.2
34.33 85.2 27.67 93.9
35.00 86.6 28.00 94.6
35.33 88.6 28.67 96.6
35.67 91.3 29.67 97.3
35.72 91.9 30.00 98.6
36.00 92.6 30.33 99.3
36.33 93.3 33.33 100
36.67 95.3
37.67 96.6
직업평가도구 사용매뉴얼 「손 기능 평가도구편」

우세손 비우세손 양손 합계 조립
표준 표준 표준 표준 표준
평균 평균 평균 평균 평균
편차 편차 편차 편차 편차
10.17 2.45 9.47 2.63 7.07 2.42 26.72 6.97 17.07 5.89

개수 %ile 개수 %ile 개수 %ile 개수 %ile 개수 %ile


38.00 98.0
39.33 98.7
39.67 99.3
41.33 100

6. 참고문헌



강용주 외(2004). 장애인 직업평가를 위한 Purdue Pegboard 표준화. 장애와 고용. 54.
233
85-96.
부천시장애인종합복지관(2011). 손가락 기민성 검사. Ⅱ







❚HSDT(Haptic Sensory Discrimination Test)
<사진 Ⅱ-105> HSDT

HSDT(촉각변별력평가)는 촉각-감각통
합, 단기 촉각기억 능력, 공간정위 기술
을 평가하기 위해 실시함.



234
1. 개요

손 1) 평가목적


HSDT는 부분적으로 인지적 기능 및 지능과 관련이 있으나 주로 시각장애인의 촉각조화기술,

가 단기 촉각기억력, 공간정위 기술을 평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함.

2) 평가대상
시각장애인 및 비장애인

3) 평가시간
제한시간은 없으나 양손을 모두 수행하는 것에 평균 30~40분 소요
직업평가도구 사용매뉴얼 「손 기능 평가도구편」

4) 도구구성
HSDT는 모양, 크기, 재질, 공간배열 4가지를 평가함.

기하학적 모양과 특정한 감촉을 지닌 대상물 5개의 다른 도형물이 부착된 16개의 응답판
응답판과 평가물을 올려놓을 수 있는 나무판 1개
안대 1개
점수기록지 -

2. 도구개발


HSDT는 포괄적 직업평가체계(Comprehensive Vocational Evaluation System : CVES) 의 ▼

구성요소임. 시각장애인용으로 고안된 CVES는 MDS의 제한점을 극복하기 위해 텍사스 시각 235


장애인위원회(Texas Commission for the Blind) 지원으로 개발됨. Ⅱ



3. 실시방법 평



1) 평가준비
(1) HSDT의 시행에 필요한 물체를 제외하고 평가대 위를 깨끗이 치움.
(2) 평가도구 상자는 평가대 위나 근처에 있는 의자 등 평가자의 손이 닿기 편리한 곳에 배치
함. 이 때 피평가자가 평가도구를 볼 수 없도록 함. 저시력 시각장애인의 경우 안대를 착
용하도록 함.
(3) 피평가자가 평가자의 반대편에 앉도록 안내하고 가장 편안한 위치에서 평가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함.
(4) 피평가자 방향으로 나무판을 배치함. 시행하는 손이 아닌 다른 손은 자연스럽게 내리고
한 손으로만 실시할 수 있도록 준비함.
<사진 Ⅱ-106> HSDT의 오른손 시행준비 <사진 Ⅱ-107> HSDT의 왼손 시행준비

2) 평가실시
▼ (1) 모양에 대한 연습 및 평가


① 모양 항목에 있는 첫 번째 응답판 A(왼쪽 끝에 원모양이 오게 하고 오른쪽 끝에 다이아몬
236
드 모양이 오도록 배치)를 피평가자 앞 나무판 위에 놓음.

"오른손을 응답판위에 올려서 각각의 모양을 만져보세요. 5개의 도형이 서로 다른 모양을 하고 있습니

기 다. 응답판의 오른쪽부터 왼쪽까지 모양을 인식할 때까지 만져보십시오."
능 "이번에는 제가 어떤 물체를 만져보게 할 것입니다. 그것은 이 5개의 모양 중 하나와 똑같습니다."



구 ② 평가도구 상자에서 원형 물체(모양항목 연습물 A)를 꺼내 응답판의 다이아몬드 바로 위에
놓음. 모양을 만져보고 기억하도록 함. 피평가자가 적극적으로 만져볼 수 있도록 하되 10
초를 넘지 않도록 함.

"모양을 기억하셨으면 아래의 도형 중에서 그것과 똑같은 모양을 찾으십시오."

③ 오른손 연습에서 정확한 응답을 하였을 경우 실제 평가로 넘어가게 되며 동일한 방법으로


평가를 실시함. 오른손 연습에서 실패하였을 경우 평가자는 피평가자에게 왼손으로 5개의
모양을 모두 만져보게 한 후 왼손 연습을 실시함. 오른손이나 왼손으로 정확하게 응답하였
을 경우 모양항목 응답판 A부터 실제 평가를 시작함.
직업평가도구 사용매뉴얼 「손 기능 평가도구편」

<사진 Ⅱ-108> HSDT 모양 항목 실시

(2) 크기에 대한 연습 및 평가 ▼


① 모양에 대한 연습에서 모두 실패하거나 실제 평가를 실시한 다음에는 크기 연습을 실시함.
237
크기 항목에 있는 첫 번째 응답판 A(왼쪽 끝에 가장 작은 크기가 오도록 배치)를 피평가
자 앞 나무판 위에 놓음. Ⅱ

"오른손을 응답판에 올려서 각각의 크기를 만져보세요. 이것들의 모양은 모두 같으나 크기가 각각 다릅 기

니다. 큰 것부터 작은 것 순서대로 되어 있습니다. 응답판의 오른쪽부터 왼쪽까지 만져보십시오."

"이번에는 제가 어떤 물체를 만져보게 할 것입니다. 그것은 이 5개의 크기 중 하나와 똑같습니다." 가

② 평가도구 상자에서 크기항목 연습물 A를 꺼내 응답판의 오른쪽 위에 놓음. 크기를 만져보


고 기억하도록 함. 피평가자가 적극적으로 만져볼 수 있도록 하되 10초를 넘지 않도록 함.

"크기를 기억하셨으면 아래의 도형 중에서 그것과 똑같은 것을 찾으십시오."

③ 오른손 연습에서 정확한 응답을 하였을 경우 실제 평가로 넘어가게 되며 동일한 방법으로


평가를 실시함. 오른손 연습에서 실패하였을 경우 평가자는 피평가자에게 왼손으로 5개의
크기를 모두 만져보게 한 후 왼손 연습을 실시함. 오른손이나 왼손으로 정확히 응답하였을
경우 크기항목 응답판 A부터 실제 평가를 시작함.
<사진 Ⅱ-109> HSDT 크기 항목 실시

(3) 재질에 대한 연습 및 평가

▼ ① 크기에 대한 연습에 실패하거나 실제 평가를 실시한 다음에는 재질연습이 실시됨. 재질 항

238 목에 있는 첫 번째 응답판 A를 피평가자 앞 나무판 위에 놓음.

"이제 이것들을 만져보십시오. 모양과 크기는 모두 같지만 느낌이 다를 것입니다. 어떤 것은 다른 것보



다 거칠 것입니다. 이것들은 서로 다른 재료로 만들어져 있습니다. 응답판의 오른쪽부터 왼쪽까지 만져

보십시오."

능 "이번에는 제가 어떤 물체를 만져보게 할 것입니다. 그것은 이 5개의 재질 중 하나와 똑같습니다."



구 ② 평가도구 상자에서 재질항목 연습물 A를 꺼내 응답판의 오른쪽 위에 놓음. 재질을 만져보
고 기억하도록 함. 피평가자가 적극적으로 만져볼 수 있도록 하되 10초를 넘지 않도록 함.

"재질을 기억하셨으면 아래의 도형 중에서 그것과 똑같은 것을 찾으십시오."

③ 재질 항목에 관한 연습은 양손 다 실시하게 됨. 피평가자가 오른손 또는 왼손으로 연습에


대해 정확한 응답을 할 경우 재질항목 응답판 A부터 실제 평가를 시작함.
직업평가도구 사용매뉴얼 「손 기능 평가도구편」

<사진 Ⅱ-110> HSDT 재질 항목 실시

(4) 배열에 대한 연습 및 평가
① 재질에 대한 연습에 실패하거나 실제 평가를 실시한 다음에는 배열연습이 실시됨. 배열 항 ▼


목에 있는 첫 번째 응답판 A를 피평가자 앞 나무판 위에 놓음.
239
"이제 이것들을 만져보십시오. 이것들의 모양과 크기는 모두 같으나 배열이 다릅니다. 첫 번째 응답판은
하트모양이 서로 다른 방향으로 놓여져 있습니다. 응답판의 오른쪽부터 왼쪽까지 만져보십시오."

"이번에는 제가 어떤 물체를 만져보게 할 것입니다. 그것은 이 5개의 배열 중 하나와 똑같습니다." 손



② 평가도구 상자에서 배열항목 연습물 A를 꺼내 응답판의 오른쪽 위에 놓음. 배열을 만져보 가

고 기억하도록 함. 피평가자가 적극적으로 만져볼 수 있도록 하되 10초를 넘지 않도록 함. 구

"배열의 위치를 기억하셨으면 아래의 도형 중에서 그것과 똑같은 것을 찾으십시오."

③ 오른손 연습에서 정확한 응답을 하였을 경우 실제 평가로 넘어가게 되며 동일한 방법으로


평가를 실시함. 오른손 연습에서 실패하였을 경우 평가자는 피평가자에게 왼손으로 5개의
배열을 모두 만져보게 한 후 왼손 연습을 실시함. 오른손이나 왼손으로 정확히 응답하였을
경우 배열항목 응답판 A부터 실제 평가를 시작함.
④ 배열항목의 경우 아래와 같이 각 응답판에 대한 약간의 설명이 주어지게 됨.
응답판 A : "이것들을 만져보십시오. 하트모양이 서로 다른 방향으로 놓여져 있습니다. 이 하트의 방향
을 기억하도록 하십시오."
응답판 B : "이것들은 모두 다른 방향으로 되어있으나 약간 다른 방법으로 배열되어 있습니다. 마치 퍼
즐과 같습니다. 이것을 주의 깊게 만져보고 그것들의 특정한 배열을 기억하도록 하십시오."
응답판 C : "응답판 C에 있는 물체들을 주의깊게 만져보십시오. 그 물체들은 각도 또는 방향이 조금씩
다르게 기울어져 있습니다. 방향을 정확하게 기억하도록 하십시오."
응답판 D : "이것들은 서로 다른 모양의 물체로 방향도 다릅니다. 그리고 각각은 조금씩 다른 방법으로
배열되어 있습니다. 잘 만져보고 모양과 방향을 기억하도록 하십시오. 아래에서 만져본 것
과 똑같은 것을 찾으십시오."

<사진 Ⅱ-111> HSDT 배열 항목 실시



240







도 Tip

• 평가자는 피평가자가 원활히 과제를 수행하고 응답판의 모든 도형을 익힐 수 있도록 충분한 연습시간
을 제공함.
“똑같은 모양을 지적해 주십시오. 조금 전에 기억한 모양과 어떤 것이 똑같습니까?” 피평가자가 정확
하게 지적하면 “맞습니다.” 틀리게 지적하면 “그것은 똑같은 모양이 아닙니다. 왼손으로 다시 한번 해
보십시오.” 라고 말함. 이는 연습상황에서만 주어지게 됨.
• 연습에 대한 답을 기록하더라도 점수에는 포함되지 않음. 연습과정은 평가의 원칙을 안내하고 평가를
받을만한 최소한의 능력을 가지고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실시함. 각 항목들의 실제평가는 연습에서
오른손과 왼손 모두 수행이 가능한 사람에게 실시함. 그러나 피평가자의 연습수행 결과와 관계없이
평가자의 판단(실제평가를 실시하고자 할 때 실제 평가 시 정확한 응답이 나타날 것이라고 판단될 때)
에 따라 각 항목에 대한 하위평가를 실시할 수 있음.
• 각각의 과제에 대한 피드백(정답 또는 오답)은 연습 과제에서만 주어지게 됨.
• 재질항목에 관한 연습은 오른손 또는 왼손의 응답여부에 관계없이 양손 다 실시함.
• 우세손에 관계없이 모두 오른손부터 평가를 시작하도록 함. 예외적으로 피평가자가 한계를 갖고 있거
나 오른손을 전혀 사용할 수 없는 경우에 왼손부터 시작할 수 있음.
직업평가도구 사용매뉴얼 「손 기능 평가도구편」

3) 평가결과 채점
(1) 피평가자의 기본정보(이름, 나이, 성별, 우세손 등)를 기록함.
(2) 피평가자가 정확하게 응답하였을 경우 빈 공간에 [ ∨ ], 피평가자가 틀린 응답을 하였을
경우 그에 해당되는 번호를 적고 점수기록지에 [ / ] 표시를 기록함.
(3) 점수기록지에 정확한 응답을 기록하도록 주의를 기울여야 하며 점수기록지 번호에는 제시
된 항목의 위치 번호가 적혀있음. 각 항목에서 정확하게 응답한 개수를 항목 총점의 오른
손, 왼손에 각각 기재함.
(4) 점수기록지 상단에 각 항목별 점수를 기재한 후 합산 총점을 기록함.



4. 결과해석 ▼

241
1) CVES 결과해석을 위해 사용되는 소프트웨어프로그램인 EPARS 프로그램을 사용할 경우

오른손 총점 원점수와 왼손 총점 원점수를 프로그램에 입력함. 이 경우 EPARS 프로그램 손
내에서 자동으로 오른손, 왼손, 양손의 표준점수를 각각 산출하게 되며 EPARS 프로그램에 기

서 제공하는 HSDT 영문결과를 해석하여 평가서를 작성함. 평

2) HSDT 규준표를 활용하게 될 경우 오른손, 왼손의 원점수는 표준점수로 환산하는데 이용 도

되고, 각 영역의 점수표는 각각의 하위평가 점수를 환산하는데 사용됨. 이 경우 아래 첨부
된 14세 이상 규준표를 활용하여 작성하도록 함.
3) 검사결과 좌측에 비해 우측 결과가 좋지 않다면 이는 언어영역을 관장하는 좌측 대뇌반구
에 신경심리학적인 기능장애가 있음을 암시함. 이러한 것은 읽기, 철자, 계산 같은 기본적
인 학습과제 수행이 서투른 몇몇 학습장애 사례에서 관찰된 바 있음.
4) 검사결과 우측에 비해 좌측 결과가 좋지 않다면 이는 우뇌에 장애가 있음을 암시하며 공간
분석에 관련된 학습장애와 계산에 서투른 학업수행능력이 나타남을 알 수 있음.
5) 촉각변별력 장애는 적절한 소형 손 공구의 사용, 소형 부품의 구별과 조립 과업 같은 기초
적인 직업전/직업기술 상 문제들을 야기할 수 있으며 특히 우뇌와 관련될 때 보행기술에도
영향을 미친다고 해석됨.
<사례>

이○○씨는 선천성 유전으로 인해 시각장애가 발생한 사례로 좌안은 적출상태, 우안은 약 15point이
상의 묵자식별이 가능한 잔존시력을 보유하고 있음. 현재 00복지관의 PC사무 훈련생으로 훈련 중에 있
으며 사무직 또는 단순노무로의 진출을 희망함.
상담 및 평가 시 소통에 큰 어려움은 없었고 자신의 이야기를 잘 하는 편으로 나타났으나 성격이 다
소 급한 편으로 평가 시 종종 실수가 관찰됨.

▶ 검사결과 : 오른손 24점(표준점수 95점) / 왼손 21점(표준점수 85)


오른손 왼손 총합 표준점수
모양 6 6 12 84
크기 6 7 13 111
재질 6 4 10 80

▼ 배열 6 4 10 93

총합 24 21 45 90
242
HSDT(촉각변별력검사) 수행 결과 오른손의 원점수는 24점(표준점수 95점), 왼손의 원점수는 21점
Ⅱ (표준점수 85점)으로 나타나 왼손보다 오른손의 감각기능이 우세한 편으로 나타남. 따라서 오른손으로
손 감각과제가 주어질 경우 보다 나은 수행력을 보일 것임.
기 양손 합의 표준점수는 90점으로 피평가자는 표준범위에 해당하는 감각기능을 나타남. 따라서 면, 실
능 크, 합성섬유를 비교하는 것과 같은 다양한 재질의 차이를 구별 할 수 있을 것이나 미세한 차이를 구별

가 하는 것은 피평가자에게 어려울 수 있을 것임. 또한 이 수준에 해당하는 사람은 공간인지 통합력을 발
도 휘할 수 있고, 점자를 익히기 가능한 감각을 지닌 것으로 보임.

우측에 비해 낮은 좌측 감각점수는 공간분석에 관련된 학업수행능력에 약점을 보일 수 있으나 피평가
자의 좌측 감각점수 또한 일반집단의 표준범위에 해당하는 수준이므로 감각과제 수행에 큰 어려움은 없
을 것으로 판단됨.
직업평가도구 사용매뉴얼 「손 기능 평가도구편」

5. 부록

1) 점수기록지(실로암시각장애인복지관, 2002)

<표 Ⅱ-85> HSDT 점수기록지

촉 각 변 별 력 검 사 (H S D T)

이 름: 나 이: 세 성 별: 남 / 여
익숙한 손: 평가일: 세 평가자:


모 양 크 기 ▼

243
오른손 왼 손 오른손 왼 손

연 습 1 연 습 5 Ⅱ
1 5 손

1. 2 1. 3 능

2. 4 2. 1 가
A A
3. 3 3. 4 도

4. 5 4. 2
5. 3 5. 1
6. 2 6. 5
B B
7. 4 7. 3
8. 5 8. 2
9. 3 9. 5
10. 4 10. 4
C C
11. 5 11. 2
12. 1 12. 3
13. 3 13. 3
14. 4 14. 5
D D
15. 1 15. 1
16. 2 16. 4
총 점 오른손 왼손 총 점 오른손 왼손
오른손 왼 손 총 점
모양: + =
점 크기: + =
재질: + =
수 배열: + =
총점: + =

재 질 배 열
오른손 왼 손 오른손 왼 손
연 습 3 연 습 3

3 3

▼ 1. 1 1. 2

244 2. 4 2. 1
A A
3. 5 3. 5

4. 2 4. 4

기 5. 3 5. 2

평 6. 4 6. 1
가 B B
도 7. 2 7. 4

8. 1 8. 5

9. 1 9. 1

10. 5 10. 2
C C
11. 3 11. 3

12. 2 12. 4

13. 3 13. 5

14. 2 14. 1
D D
15. 5 15. 4

16. 4 16. 2

총 점 오른손 왼손 총 점 오른손 왼손
직업평가도구 사용매뉴얼 「손 기능 평가도구편」

2) 규준표(실로암시각장애인복지관, 2002)
<표 Ⅱ-86> HSDT 구준표

■ 14세 이상

Table for Converting Right, Left & Total Raw Scores to Standard Scores

표준점수 오른손 왼손 전체 표준점수


140 32 64 140
135 32 31 63 135
130 31 30 61 130
125 30 29 59 125 ▼

120 29 28 57 120 ▼
115 28 27 53 115 245
110 27 26 53 110
105 26 25 51 105 Ⅱ
100 25 24 49 100 손
95 24 23 47 95 기

90 23 22 45 90 평
85 22 21 43 85 가

80 21 20 41 80 구
75 20 19 39 75
70 19 18 37 70
65 18 17 35 65
60 17 16 33 60
55 16 15 31 55
50 15 14 29 50
45 14 13 27 45
40 13 12 25 40
Table for Converting Subtest Raw Scores to Standard Scores

표준 모양 크기 재질 배열 표준 모양 크기 재질 배열 표준 모양 크기 재질 배열 표준 모양 크기 재질 배열
점수 점수 점수 점수

136 16 16 108 12 80 10 8 52
135 107 79 51
134 106 78 50
133 16 105 77 11 9 49
132 104 76 48
131 103 75 47 7 5 6 4
130 102 74 46
129 101 73 45
128 100 14 12 13 11 72 44
127 15 15 99 71 10 9 7 43


126 98 70 42
▼ 125 97 69 8 41
124 96 68 40 6 4 5 3
246
123 95 67 39
122 94 66 38 4
Ⅱ 121 16 15 14 93 13 11 12 10 65 37
손 120 92 64 36 5 3
기 119 91 63 9 8 6 35 3
능 118 14 90 62 34 4 2
평 117 89 61 7 33 2
가 116 88 60 32
도 115 13 87 59 31 3 2
구 114 86 10 11 9 58 30 1
113 85 57 29 2 1
112 84 12 56 28 1
111 15 13 14 83 55 27
110 82 54 26 1
109 81 53 8 6 7 5 25 0 0 0 0

3) 참고문헌
박희찬, 이종남 역(1997), MDS의 구성과 사용법. 서부장애인종합복지관.
실로암시각장애인복지관 역(2002). 포괄적직업평가체계; CVES, 시각장애인의 직업・교육・신
경심리 사정을 위한 체계적 접근.
한국장애인고용공단(2009). 장애인직업능력평가 매뉴얼.
직업평가도구 사용매뉴얼 「손 기능 평가도구편」

❚HVDT(Haptic-Visual Discrimination Test)


<사진 Ⅱ-112> HVDT

HVDT는 평가전문가, 의료전문가, 교육자, 연구자


들이 촉각-시지각 통합 능력을 측정하고 진단하기
위한 도구로 지적장애, 자폐성장애, 심각한 정신분
열 상태의 대뇌 기능장애를 겪고 있는 어린이와 성
인을 파악하는데 효과적인 도구이며 직업평가 시스
템인 McCarron-Dial System의 구성 요소임.



247
1. 개요


1) 평가목적 기

HVDT는 촉각, 시각 과정과 관련하여 대상물을 인지하는 능력을 평가하며 촉각과 시각적 정 평

보를 통합하는 능력을 평가함. 도

2) 평가대상
비장애인, 지적장애, 자폐성장애, 심각한 정신분열 상태의 대뇌 기능장애가 있는 사람.

3) 평가시간
제한시간은 없으나 각 항목에 대략 10~20초 소요(양손수행 평균 20~30분 소요)
4) 도구구성
HVDT는 모양, 크기, 재질, 공간배열 등 4가지를 평가함.

기하학적 모양과 특정한 감촉을 지닌 대상물 5개의 다른 도형물이 부착된 16개의 응답판
대상물을 포함하고 있는 그림책 1개,
시야가리개 스크린 1개
점수기록지 -

<사진 Ⅱ-113> HVDT 구성요소



248









Tip

• 촉감 영역에서 도구의 배열이 정확하지 않을 경우 평가 상에서 피평가자가 정확하게 답을 선택하였더


라도 평가자가 점수기록지에 오류로 기록할 수 있으므로 정확한 도구 배치가 필요함.

2. 도구개발

1) 개발배경
Halstead(1947)가 형태판을 사용하여 블록을 형태판의 올바른 위치에 맞추는 과제를 통해 촉
각 신호에 따른 운동 수행 능력을 측정하기 위해 HVDT를 개발함.
직업평가도구 사용매뉴얼 「손 기능 평가도구편」

1976년 McCarron&Dial은 촉각수용과 대뇌 기능의 관계를 자세히 관찰하기 위해 ① 모양 ②


크기 ③ 촉감 ④ 형태를 포함하여 아동, 성인의 자료를 수집하였고 지적장애, 청각장애, 시각
손상, 뇌혈관 외상, 신경병리증상, 중풍, 정신 분열증 등의 장애인 집단의 자료를 수집함.

2) 표준화정보
1976년 예비 및 효과측정 검사 간의 상관관계 계수는 51명의 비장애 아동의 경우 r=.91, 신
경정신장애를 가진 51명의 성인들의 경우 r=.93으로 높은 신뢰도를 보임.
보호작업장의 지적장애 40명의 성인을 대상으로 한 검사-재검사 결과 신뢰도는 r=.80으로 높
은 신뢰도를 보임.
Spearman-Brown 예언공식을 통한 반분적 신뢰도 검사결과 예상 신뢰도는 비장애 초등학생


들의 경우 r=.91, 신경정신장애의 경우 r=.90으로 높은 신뢰도를 나타냄. ▼

249
<표 Ⅱ-87> 신뢰도계수와 HVDT 측정의 표준오류

구분 비장애아동 신경정신장애인

평균 22.60 23.50

표준편차 5.80 6.85 능

검사-재검사 0.91 0.93 가

결정계수 0.83 0.87 구
Spearman-Brown 공식 0.91 0.90
측정상 표준오류 1.74 1.81

HVDT의 타당성은 51명의 비장애 아동 및 성인 신경정신장애인을 대상으로 내용, 구성타당도


로 검증함(McCarron&Dial, 1976).
<표 Ⅱ-88> HVDT 비장애 아동 항목분석
항목 난이도 변별력 타당성
1. 십자형 .96 .15 .39
2. 동그라미 .65 .38 .28
3. 타원형 .72 .46 .38
4. 사다리꼴 .57 .00 .12
5. 별모양 .80 .31 .20
6. 육각형 .67 .31 .16
모양
7. 둥근바닥삼각형 .70 .77 .56
8. 삼각형 .82 .46 .47
9. 5각형 .67 .31 .30


10.원뿔실린더 .49 .46 .32
▼ 11.강체구형 .72 .31 .30

250 12.강체타원형 .74 .54 .47


13.1인치입방체 .55 .62 .48
Ⅱ 14.1¼인치입방체 .37 .15 .24
손 15.½인치입방체 .96 .08 .26
기 16.⅝인치너트(내부직경) .41 .46 .39


17.½인치너트(내부직경) .43 .62 .36
가 18.⅜인치너트(내부직경) .18 .23 .23
도 크기
구 19.¾인치실린더 .45 .54 .39
20.1인치실린더 .33 .54 .37
21.½인치실린더 .90 .15 .22
22.1½인치 직경 손잡이 .28 .31 .20
23.1¾인치 직경 손잡이 .37 .15 .20
24.2인치 직경 손잡이 .59 .31 .28
25.5메쉬 .33 .15 .15
26.10메쉬 .35 .31 .22
27.3메쉬 .35 .23 .17
촉감 28.그로그랭 .28 .46 .45
29.벨벳 .41 .46 .38
30.새틴 .33 .54 .43
31.펠트 .43 .54 .45
직업평가도구 사용매뉴얼 「손 기능 평가도구편」

항목 난이도 변별력 타당성


32.테리 .53 .54 .47
33.코듀로이 .41 .23 .25
34.spine .28 .00 .12
35.Sail Cloth .20 .20 .20
36.플라스틱 테이프 .30 .23 .23
37.3A 실린더 .51 .62 .49
38.4A 실린더 .65 .31 .37
39.1A 실린더 .49 .77 .63
40.5B 실린더 .31 -.08 -.07
41.2B 실린더 .22 .08 .08
42.4B 실린더 .35 .23 .26
형태 ▼
43.5A 포스트 .43 .23 .04 ▼

44.4A 포스트 .31 .00 .02 251
45.2A 포스트 .14 .31 .35
46.4A 포스트 .16 .38 .34 Ⅱ
47.3B 포스트 .24 .46 .38 손
48.2B 포스트 .24 .46 .40 기




<표 Ⅱ-89> HVDT 신경정신장애 성인 항목분석 구
항목 난이도 변별력 타당성
1. 십자형 .79 .50 .45
2. 동그라미 .74 .33 .37
3. 타원형 .77 .50 .49
4. 사다리꼴 .47 .58 .47
5. 별모양 .81 .25 .29
모양
6. 육각형 .81 .50 .45
7. 둥근바닥삼각형 .62 .67 .51
8. 삼각형 .64 .75 .60
9. 5각형 .47 .50 .35
10.원뿔실린더 .28 -.08 -.08
항목 난이도 변별력 타당성
11.강체구형 .53 .67 .48
12.강체타원형 .83 .25 .33
13.1인치입방체 .55 .58 .46
14.1¼인치입방체 .53 .00 .07
15.½인치입방체 .87 .50 .53
16.⅝인치너트(내부직경) .30 .50 .36
17.½인치너트(내부직경) .36 .42 .43
18.⅜인치너트(내부직경) .30 .58 .35
크기
19.¾인치실린더 .38 .83 .65
20.1인치실린더 .40 .75 .59
▼ 21.½인치실린더 .85 .50 .45

▼ 22.1½인치 직경 손잡이 .36 .33 .26
252 23.1¾인치 직경 손잡이 .36 .08 .21
24.2인치 직경 손잡이 .62 .75 .61
Ⅱ 25.5메쉬 .15 .25 .25
손 26.10메쉬 .30 -.25 -.21

능 27.3메쉬 .34 .33 .24
평 28.그로그랭 .09 .25 .42

도 29.벨벳 .47 .83 .60

30.새틴 .40 .58 .42
촉감
31.펠트 .47 .58 .49
32.테리 .30 .58 .46
33.코듀로이 .49 .50 .38
34.spine .06 .08 .27
35.Sail Cloth .11 .08 .10
36.플라스틱 테이프 .32 .08 .20
37.3A 실린더 .49 .67 .55
38.4A 실린더 .64 .83 .57
형태 39.1A 실린더 .53 .83 .67
40.5B 실린더 .40 .25 .29
41.2B 실린더 .45 .17 .11
직업평가도구 사용매뉴얼 「손 기능 평가도구편」

항목 난이도 변별력 타당성


42.4B 실린더 .49 .50 .38
43.5A 포스트 .32 .08 .11
44.4A 포스트 .34 .42 .33
45.2A 포스트 .23 .50 .55
46.4A 포스트 .17 .33 .33
47.3B 포스트 .47 .25 .27
48.2B 포스트 .43 .67 .41

<표 Ⅱ-90> HVDT 비장애 아동 구성요소 상관분석

HVDT 구성요소 모양 크기 감촉 형태 ▼

모양 1.00 ▼

크기 0.26 1.00 253


촉감 0.30 0.58 1.00 Ⅱ
형태 0.54 0.25 0.04 1.00 손


<표 Ⅱ-91> HVDT 신경정신장애 성인 구성요소 상관분석 평

HVDT 구성요소 모양 크기 감촉 형태 도

모양 1.00
크기 0.60 1.00
촉감 0.53 0.54 1.00
형태 0.57 0.48 0.56 1.00
3. 실시방법

1) 평가준비
(1) 준비물
평가대 1개
시야가리개 스크린 1개
평가도구상자 1set
그림책 1권

▼ (2) 설치과정

▼ ① HVDT의 시행에 필요한 물체를 제외하고는 평가대 위를 깨끗이 치움.
254 ※ 만약 도구상자가 의자나 작은 책상 위에 놓여질 경우 피평가자가 물체를 보지 못하도록 주의를
기울임.

② 피평가자는 평가자의 맞은 편에 앉도록 함.

기 ③ 그림판 책을 피평가자의 왼쪽 손 앞, 몸과 평행한 위치에 둠.

평 ※ 피평가자가 뇌 손상이 있을 경우 시야에 장애가 있을 수 있으므로 그림판 책이 시야에 완전히 들
가 어올 수 있도록 배치해야 함.

구 ④ 시야가리개 스크린 천을 조립한 후 피평가자의 손을 넣을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정면으로
배치함.

<사진 Ⅱ-114> HVDT의 시행을 위한 준비


직업평가도구 사용매뉴얼 「손 기능 평가도구편」

<사진 Ⅱ-115> HVDT의 오른손 시행준비 <사진 Ⅱ-116> HVDT의 왼손 시행준비

2) 평가실시

(1) 모양에 대한 평가 ▼

① 피평가자에게 “이 쪽 천의 열린 부분으로 오른손을 넣으세요.”라고 설명함. 255
※ 우세손과 상관없이 오른손을 먼저 실시함.
② 그림판을 가리키며 “여기에 있는 각 그림을 보세요.”라고 설명하며 그림판의 첫째 장 그림


을 가리킴.

③ “지금부터 여기에 있는 모양과 같은 모양의 물체를 손에 놓겠습니다. 하지만 이것이 무엇 능

인지 볼 수는 없습니다”라고 설명함. 가

④ 정사각형을 예로 사용하여 피평가자의 손에 올려주고 “이 물체를 손에서 만져보세요. 하지 구

만 손을 밖으로 빼서는 안됩니다.”라고 설명함.


⑤ “이제 그림을 다시 보시고 손으로 느낀 물체와 비슷한 것을 가리켜 주세요.”라고 설명함.
⑥ 만약 피평가자가 예로 사용한 물체를 맞추면 “정답입니다.”라고 말함.
⑦ 만약 피평가자가 맞추지 못할 시 정사각형 그림 근처에 물체를 올려주고 5초 정도 관찰할
수 있도록 함.
⑧ “지금부터 물체를 손에 올려드릴텐데요. 방금 전에 했던 방법과 동일하게 손 위에서 만져
보고 느껴지는 물체와 일치하는 모양을 그림판에서 찾으시면 됩니다. 그러나 이제부터는
정답인지 아닌지를 알려드리지는 않습니다.”라고 설명함.
⑩ “시간제한은 없으니, 긴장하지 마시고 최선을 다해주십시오. 지금부터 시작하겠습니다.”라
고 말한 후 평가를 실시함.
(2) 크기에 대한 평가
① 피평가자가 「모양」 변별평가를 마치면 “지금부터는 다른 평가입니다. 물체들은 같은 모양
을 하고 있지만 크기가 다릅니다.”라고 말함.
② “손으로 잘 만져보고 같은 크기의 물체를 이 그림에서 찾아보세요.”라고 말함.
③ “시간제한은 없으니, 긴장하지 마시고 최선을 다해주십시오. 지금부터 시작하겠습니다.” 라
고 말한 후 평가를 실시함.

(3) 촉감에 대한 평가
① 「크기」 변별평가를 마치면 그림판을 넘긴 뒤 “지금부터는 다른 평가입니다. 이번에는 물체
의 촉감(혹은 감촉)이 다르다는 것을 느낄 것입니다. 엄지손가락을 사용하여 잘 만져보고

▼ 비슷한 느낌의 것을 그림에서 찾으세요.”라고 말함.

256 ② “시간제한은 없으니 긴장하지 마시고 최선을 다해주십시오. 지금부터 시작하겠습니다.”라고


말한 후 평가를 실시함.


(4) 형태에 대한 평가

능 ① 「촉감」 변별평가를 마치면 “지금부터는 다른 평가입니다. 물체는 모두 같은 부분으로 되어

가 있지만 물체의 배열이 다르게 되어 있습니다. 물체를 위에서부터 아래까지 잘 만져보고 손

구 에 있는 것과 같은 것을 그림에서 가리켜보세요.”라고 말함.
③ “시간제한은 없으니, 긴장하지 마시고 최선을 다해주십시오. 지금부터 시작하겠습니다” 라
고 말한 후 평가를 실시함.

Tip

• 점수기록지에 보이는 것과 같이 물체의 상하를 구분하여 피평가자가 물체의 윗부분을 잡을 수 있도록


물체를 엄지손가락 방향으로 건네주어야 함.
• 형태영역의 두 번째에 위치하고 있는 대상물 실린더는 그림책 B에서 다시 제시되기 때문에 평가자는
사전에 대상물의 위치를 잘 숙지하고 있어야 함.
• 평가자는 형태영역의 두 번째에 위치하고 있는 대상물 포스트는 마지막 그림판의 2번 위치에서 마지
막 제시물로 다시 제시되기 때문에 그림판과 동일하게 상하를 구분하여 제시해야 함.
직업평가도구 사용매뉴얼 「손 기능 평가도구편」

<사진 Ⅱ-117> HVDT의 형태영역 4번째 <사진 Ⅱ-118> HVDT의 형태영역 2번째
물체사진 물체사진

(5) 왼손평가


① 왼손평가는 오른손 평가방식과 동일하게 실시함. ▼

② 일반적으로 오른손에 대한 평가가 우선 시행되었다면, 왼손에 대해서는 예시 문제를 제시 257


하지 않음.

※ 어린이나 지적장애를 동반할 경우 예시물을 다시 제시할 수 있음.



3) 평가결과 채점 평

(1) 점수기록지에 피평가자의 기본정보를 기재함. 도

(2) 점수기록지 왼쪽 란에 오른손, 오른쪽 란에 왼손 점수를 기재함.
(3) 피평가자가 응답한 숫자를 기록 후 틀리면 숫자 위에 ‘/’ 표시를 함.
※ 피평가자가 오류표시를 볼 수 없도록 주의함.
(4) 각 영역에서 정확하게 응답한 개수의 합을 영역별 점수의 오른손과 왼손에 각각 기재함.
(5) 점수기록지 뒷면 상단에 영역별 점수를 기재 후 합산 총점을 기재함.
(6) HVDT 하위평가(모양, 크기, 촉감, 형태)의 합계점수를 MDS 규준집 감각요인 전환표에
근거하여 표준점수로 전환함.
(7) 합계 총점을 MDS 규준집 감각요인 전환표의 HVDT 오른손과 왼손에 근거하여 표준점수
로 전환함.
4. 결과해석

<사례>

김OO씨는 신생아 때부터 머리에 열이 많았으며 이로 인해 발달지연이 나타나 중 2때 지적장애 2급


으로 장애등록을 함. 유아 때 집 앞에서 차 사고로 오른손을 다쳤으나, 일상생활에서 크게 영향을 미치
지 않음. 자신에 대한 장애수용 어려움으로 또래 장애 친구들과의 관계를 꺼려함. 취업에 대한 욕구가
커서 직업평가를 통해 외부로의 취업을 희망하여 본 기관에 내관함.
상담 및 평가 시 전반적인 지시이해 및 수용능력은 양호한 수준이나 다소 위축되어 상담자와의 눈맞
춤을 피하고, 주변 사람들을 많이 의식하는 행동태도들이 관찰됨.

▼ ▶ 검사결과 : 오른손 25점(표준점수 64점) / 왼손 15점(표준점수 25점)



▼ 표준점수
258 오른손 왼손
오른손 왼손
모양 7 8 40 55

크기 5 4 55 40

감촉 5 6 70 85

능 형태 3 2 25 13
평 총합 20 20 44 44


구 HVDT(촉각-시지각 변별검사) 수행 결과 오른손의 원점수는 20점(표준점수 44점), 왼손의 원점수 20
점(표준점수 44점)으로 나타나 오른손의 왼손의 촉각-시지각 변별능력이 동일한 수준으로 나타남.
양손의 표준점수 44점은 MDS 직업수준에서 작업활동 수준으로 장애인 평균 55점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수행능력을 보이고 있으며 하위 요인별 영역에서 감촉 영역은 양손 표준점수가 70점, 85점으로 우세
한데 반해, 양손의 형태 변별 수준은 25점, 13점으로 상대적으로 많이 지체되어 있는 수준을 보임.
이로 보아 피평가자는 감촉영역을 요하는 직무수행 시에는 나은 수행력을 보일 수 있으나 모양 및 형
태영역의 감각을 필요로 하는 직무수행에서는 제한점을 지닐 것으로 보임.
따라서 전반적인 검사결과를 종합해보았을 때 피평가자는 기본적인 작업활동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
나 원활한 직무수행을 위해 감각운동 및 적응행동 프로그램 지원이 필요할 것으로 보임. 또한 하위영역
요인별 수행능력 차이에 따라 독립적인 수행보다는 집단 환경에서의 직무별 배치를 고려하는 것이 적합
할 것으로 사료됨.
직업평가도구 사용매뉴얼 「손 기능 평가도구편」

5. 부록

1) 점수기록지
<표 Ⅱ-92> HVDT 점수기록지



259











260









2) 감각요인 전환표
<표 Ⅱ-93> HVDT 감각요인 전환표

표준점수 25 28 31 34 37 40 43 46 49 52 55 58 61 64 67 70 73 76 79 82 85
HVDT-R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HVDT-L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HVDT 하위검사들
모양 6 7 8 9 10
크기 3 4 5 6 7 8
촉감 1 2 3 4 5 6
형태 3 4 5 6 7 8
표준점수 25 28 31 34 37 40 43 46 49 52 55 58 61 64 67 70 73 76 79 82 85

계 속
표준점수 88 91 94 97 100 103 106 109 112 115 118 121 124 127 130 133 136 139 142 145
HVDT-R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HVDT-L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HVDT 하위검사들
모양 11 12
크기 9 10 11 12
촉감 7 8 9 10 11 12
형태 9 10 11 12
표준점수 88 91 94 97 100 103 106 109 112 115 118 121 124 127 130 133 136 139 142 145
직업평가도구 사용매뉴얼 「손 기능 평가도구편」











261
3) 참고문헌
서부장애인종합복지관(1997). MDS 구성과 사용법.
서울장애인종합복지관(2003). MDS 직업평가도구 활용 워크숍 자료집.
명성교역상사(1979). MDS(McCarron-Dial System) HVDT 활용설명서.



262









직업평가도구 사용매뉴얼 「손 기능 평가도구」

Ⅲ. 부 록
1. 직업평가관련 서식

직 업 평 가 계 획 서
NO-
성 명 생년월일

장애유형 및 등급 성별 소속

평가목적



▼ 평가내용(영역) 평가방법(도구) 평가일(시간) 평가장소 평가자
264



특이사항
직업평가도구 사용매뉴얼 「손 기능 평가도구편」

의뢰요청
NO-
기관
직업평가보고서
평 가 일 평가유형 □내관 □이동
성 명 생년월일 성 별

장애유형 장애등급 연락처

평가목적

평가방법



265
배경정보


직업평가 내용 및 결과
(신체능력, 심리, 작업표본, 상황 및 현장평가 등 실제 실시된 평가결과 작성)
종합소견 및 직업재활방향

1) 직업적 강·제한점

2) 직업수준 및 목표




3) 직업 권고
266




4) 종합소견

20 년 월 일 평가자 (인/서명)
직업평가도구 사용매뉴얼 「손 기능 평가도구편」

2. 직업평가 실시기관

■ 장애인복지관(직업재활센터)

No 기관명 주소 전화번호 팩스 기관홈페이지


서울시 동작구 신대방2동 395
1 서울시남부장애인종합복지관 02-829-7184 02-829-7105 www.ilovenambu.or.kr
(보라매공원 내)

서울시 동작구 대방로 219 보라매공원


2 서울시립지적장애인복지관 02-846-9275,6 02-842-1959 www.seoulidd.or.kr

3 성모자애복지관 서울시 강남구 율현동 110번지 02-3411-9581~3 02-3411-9584 www.smwelfare.or.kr

서울시 관악구 남부순환로 1719


4 실로암시각장애인복지관 02-880-0500 02-887-1120 www.silwel.or.kr
(봉천본등 931-7)

5 청음회관 서울시 강남구 역삼1동 681-50 02-556-3493 02-564-4265 www.chungeum.or.kr ▼

6 충현복지관 서울시 강남구 충현남길 14 02-564-4885 02-562-4988 www.chw.or.kr 267
7 하상장애인복지관 서울시 강남구 개포동 12-5 02-451-6000 02-459-4377 www.hasang.org

8 서부장애인종합복지관 서울시 은평구 구산동 191-1 02-351-3982 02-351-3987 www.openlife.or.kr

9 서울시립북부장애인종합복지관 서울시 노원구 상계6동 771번지 02-2092-1700 02-951-4280 www.internet.or.kr 록
10 서울장애인종합복지관 서울시 강동구 고덕1동 317-24번지 02-440-5700-2 02-440-5780 www.seoulrehab.or.kr

11 강북장애인종합복지관 서울시 강북구 번2동 306-12 02-989-4215~8 02-989-4219 www.gangbukrc.or.kr

12 노틀담복지관 인천 계양구 계산2동 40번지 032-542-3711 032-541-7377 www.ntd.or.kr

13 인천시각장애인복지관 인천 남구 학익동 709-1 032-876-3500 032-876-6633 www.ibu.or.kr

서울시 강서구 허준길90


14 기쁜우리복지관 02-3665-3831 02-3665-3292 www.gibbun.or.kr
(가양동 1466번지)

15 부천장애인종합복지관 경기도 부천시 오정구 작동 57 032-675-9901 032-681-0799 www.pchand.or.kr

16 성남시장애인종합복지관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사기막골길 144 031-733-3322 031-733-6166 www.rehab21.or.kr

17 성분도복지관 경기도 광주시 도척면 진우리 661 031-799-0300 031-762-7285 www.bundoreh.com

18 안양시관악장애인종합복지관 경기도 안양시 만안구 안양2동 22-1 031-389-2789 031-472-7775 www.ajwc.or.kr

부산 연제구 연산4동 곡리7로 7


19 부산광역시장애인종합복지관 051-868-3580 051-868-3518 www.rehabcnter.or.kr
(연산4동 578-5)

20 울산광역시장애인종합복지관 울산 중구 성안동 487-5번지 052-242-1782 052-242-1781 www.ulsanrehab.or.kr


No 기관명 주소 전화번호 팩스 기관홈페이지
21 경상남도장애인종합복지관 경남 창원시 봉곡동 179-1번지 055-237-4027 055-237-2225 www.assist.or.kr

22 경상북도장애인종합복지관 경북 안동시 북후면 도촌리 846-1 054-858-7283 054-858-7287 www.kbrc.or.kr

23 대구장애인종합복지관 대구 수성구 파동 1-1 053-763-1011 053-762-0040 www.dgrc.or.kr

24 엠마우스복지관 광주 북구 운암2동 480-2 062-524-7701~3 062-526-2799 www.emmausw.or.kr

25 혜림종합복지관 전남 담양군 금성면 금성리 산16-1 061-380-4570~6 061-380-4611 www.hyelim.or.kr

26 명도복지관 전남 목포시 산정 2동 225-54번지 061-279-4879 061-279-4880 www.myongdo.or.kr

27 남원시장애인종합복지관 전북 남원시 이백면 남계리 343-3 063-635-1543,4 063-635-1546 www.namwonrc.or.kr

28 전라북도장애인종합복지관 전북 전주시 완산구 효자동3가 1215-21 063-222-9997 063-224-4131 www.jbwc.or.kr

29 충청남도남부장애인복지관 충남 공주시 계룡면 기산리 627-1 041-856-7071,2 041-856-0270 www.cnnrec.or.kr




▼ 30 충남서부장애인종합복지관 충남 보령시 주교면 관창리 397-4 041-934-7230 041-934-7242 www.westrc.or.kr
268 31 제천장애인종합복지관 충북 제천시 청전동 689번지 043-652-0900~3 043-652-0904 www.jcrc.co.kr

32 혜원장애인종합복지관 충북 청주시 흥덕구 미평동 271-7번지 043-295-2505 043-295-2502 www.hw.or.kr



부 33 강원도장애인종합복지관 강원도 춘천시 사농동 105-5 033-255-2491~3 033-255-2494 www.rehab.or.kr

록 34 제주특별자치도장애인종합복지관 제주도제주시아라1동396-1번지 064-702-0295,6 064-702-0294 www.jejurehab.or.kr

※ 이 외 가까운 지역사회 내 장애인복지관 직업재활관련팀에서 직업평가를 실시함.

■ 직업평가센터

No 기관명 주소 전화번호 팩스 기관홈페이지


서울시 관악구 남부순환로 1719
1 실로암시각장애인복지관 02-880-0881 02-887-1120 www.silwel.or.kr
(봉천본등 931-7)
2 서울장애인종합복지관 서울시 강동구 고덕1동 317-24번지 02-440-5700-2 02-440-5780 www.seoulrehab.or.kr
3 부천장애인종합복지관 경기도 부천시 오정구 작동 57 032-621-0607 032-621-0608 www.pchand.or.kr
부산 연제구 연산4동 곡리7로 7
4 부산광역시장애인종합복지관 051-868-3580 051-868-3518 www.rehabcnter.or.kr
(연산4동 578-5)
5 포항시장애인종합복지관 경북 포항시 남구 해도2동 181-1 054-282-4009 054-277-9555 www.always.or.kr
6 대구장애인종합복지관 대구 수성구 파동 1-1 053-763-1011 053-762-0040 www.dgrc.or.kr
직업평가도구 사용매뉴얼 「손 기능 평가도구편」

■ 한국장애인고용공단

No 기관명 주소 전화번호 팩스 기관홈페이지


1 서울지사 서울시 종로구 인사동길 53 대일빌딩 13층 (인사동 43) 02-6320-7000 02-6320-7070 www.kead.or.kr
서울특별시 관악구 남부순환로 1926 (봉천동) 경동제약 빌딩 02-6004-1012
2 서울남부지사 02-6004-1002 www.kead.or.kr
6층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범일로 181 (범천동) 사학연금회관 6층
3 부산지사 051-640-9810 051-646-3552 www.kead.or.kr
(범천동 877-2)
대구광역시 남구 중앙대로 200 우체국보험대구회관
4 대구지사 053-288-1500 053-288-1555 www.kead.or.kr
13층(대명동 2010-1)
인천광역시 남동구 백범로 357 대한교원공제회관 13층
5 인천지사 032-242-1004 032-242-1001 www.kead.or.kr
(간석3동 172-1)
광주광역시 서구 운천로 273 (치평동)
6 광주지사 062-448-1199 062-448-1144 www.kead.or.kr
(구)한국토지공사 12층 (상무지구) ▼

7 대전지사 대전광역시 동구 계족로 516 삼우빌딩 6층(용전동 44-2) 042-620-6200 042-635-3705 www.kead.or.kr ▼

울산광역시 남구 삼산로 48 효천빌딩 7층, 8층 269


8 울산지사 052-226-1004 052-226-1090 www.kead.or.kr
(신정4동 685-4)

9 경기지사 경기도 수원시 팔달구 효원로 265번길 28 인석빌딩 2~3층 031-300-0900 031-300-0999 www.kead.or.kr

(인계동 1046)

경기도 의정부시 신흥로 251 구성타워 9, 10층
10 경기북부지사 031-850-4500 031-836-4172 www.kead.or.kr 록
(의정부2동 431-24)
11 강원지사 강원도 원주시 호저로47(우산동) 강원도산업경제진흥원 4층 033-737-6618 033-744-4976 www.kead.or.kr
충북 청주시 흥덕구 풍산로 50번지(가경동 1508-1)
12 충북지사 043-230-6400 043-234-6030 www.kead.or.kr
충북중소기업지원센터 3층
13 충남지사 충남 천안시 동남구 만남로 82 소암빌딩 3층 041-629-6000 041-622-7656 www.kead.or.kr
전라북도 전주시 덕진구 건산로 251 (인후동1가)
14 전북지사 063-240-2400 063-246-4658 www.kead.or.kr
고용노동부종합청사 1층 (인후동 807-8)
15 전남지사 전남 목포시 영산로 118 KT목포사옥 7층 061-240-0700 061-247-9880 www.kead.or.kr
16 경북지사 경북 구미시 백산로 118 구미고용센터 7층 054-450-3000 054-458-8826 www.kead.or.kr
경남 창원시 성산구 중앙대로 107(중앙동)
17 경남지사 055-225-8000 055-285-1729 www.kead.or.kr
한국교직원공제회관 6층
제주도 제주시 연삼로 495 중소기업종합지원센터 3층
18 제주지사 064-710-5000 064-759-7907 www.kead.or.kr
(이도2동 390)
직업평가도구 사용매뉴얼
「손 기능 평가도구편」

펴 낸 날 2011년 12월

펴 낸 곳 (재)한국장애인개발원
150-917 서울시 영등포구 여의도동 의사당로 22번지 이룸센터 5층
Tel. 02-3433-0782
Fax. 02-416-9569

홈페이지 http://www.koddi.or.kr

편집․인쇄 리드릭 (02-2269-1919)

I S B N 978 89 94262 703 13330

※ 본 매뉴얼의 내용을 무단 복사하는 것을 금합니다.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