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1

미래대비 정신전력 발전방향 정립 연구 보고서 번호: 인20-4449

연 구 자 : 책임자 김인국
참여자 김광식, 이동윤, 지평기, 박찬빈, 이선미
연 구 기 간 : 2020. 6. ~ 2020. 11.
비 밀 등 급 : 평문

정신전력의 중요성은 지속적으로 강조되고 있으나 정신전력을 무형전력과 동일시하거나 무


형전력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다. 그뿐만 아니라 정신전력의 강화를 위해서
는 다양한 활동이 전개되어야 함에도 대부분의 경우 정신전력 체계상의 한 부분에 불과한 정
신전력 교육이 마치 정신전력 전체를 의미하듯 변용되어 왔다. 이로 인해 국가관, 안보관, 군
인정신을 위주로 한 정신교육이 마치 정신전력 전체를 구성하고 있는 것으로 오해하고 있으며
이는 결과적으로 정신전력 강화를 위한 정책 왜곡은 물론 종합적인 접근을 곤란하게 하고 있
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고 미래를 대비한 정신전력 발전 방향을 제시
하고자 수행되었다.
첫째, 전투력을 유형 요소와 무형 요소로 나누는 전통적인 구분 방법이 지닌 한계를 극복할
수 있도록 전투력을 구성하는 새로운 요소로서 인간 요소(Human Dimension)를 분리하고 이
러한 인간 요소의 한 차원으로서의 정신전력 중요성을 논의하였다. 둘째, 이러한 중요성을 지
닌 정신전력 발전방향의 준거로서 구성주의 관점에 기반을 둔 정신전력 패러다임 변화를 제시
하였다. 본 연구에서 정신전력은 기본적으로 사회과학에서 오랜 시간 논의해온 집합적 의식,
집합적 행동, 집합적 열광과 같은 개념에 기반을 두고 정신전력 구성요소와 기제, 표출과정을
포함하는 새로운 모형을 제시하였다. 셋째, 이렇게 정립된 이론적 모형을 토대로 정신전력을
강화하기 위한 중장기 정책방향으로서 군 조직문화 혁신을 통한 민군 가치 적합성 강화, 민군
가치 적합성 제고를 위한 군성(Military Character)개발, 긍정심리자본 강화를 통한 장병들의 군
생활적응 능력을 제고 방안, 신세대 병사의 특성을 고려한 정신전력 강화 방법 최적화, 지휘관
중심의 정신전력 강화 활동, 지도 교관의 교수능력 강화 방향 등을 중심으로 제시하였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 제시된 모형들은 이론적으로 정립된 것이므로 보다 정교화를 위해서는
실증적 연구를 통한 검증 연구 후속이 필요하다. 나아가 정신전력이 국방운영목표에 어떠한
영향을 끼치고 있는지에 관한 거시적 연구는 물론, 일상생활 속에서 장병들 간 상호작용을 통
해 형성되는 사회적 관계라는 구조적 맥락이 장병들의 정신전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지 등등에 관한 과학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국방인력연구센터 79❙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