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12

한국체육학회지, 2023, 제62권 제5호, 205-216 The Korean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2023, 62(5), 205-216

https://doi.org/10.23949/kjpe.2023.9.62.5.15 ISSN 1738-964X(Print) / ISSN 2508-7029(Online)

가스통 바슐라르의 상상력 이론에 근거한 스포츠


Sport based on Gaston Bachelard’s Theory of Imagination
이경숙* 한국체육대학교 조교수
Lee, KyungSook Korea National Sport Univ.
요약
이 연구의 목적은 ‘가스통 바슐라르의 상상력 이론에 근거한 스포츠’라는 제목으로, 그가 논하는 이미지의 4원소론(물, 불,
흙, 공기)에서 스포츠를 접목하려는 시도이다. 가스통 바슐라르의 상상력 이론은 철학, 과학, 문학 등 다양한 학문 분야에
서 널리 연구되고 있다. 그의 작품은 과학과 예술, 그리고 철학 사이의 경계를 허문 독특한 시각을 제공하며, 그의 광범위
한 영향력을 소박하게 남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그 틈 사이에 인간의 상상력에 대한 지식과 창의성에, 그동안 체육학에
서 시도되지 않았던 바슐라르의 상상력 이론에 근거하여 스포츠를 접목해 본 것이다. 물론 그의 광범위 하고 농도 진한
사고를 모두 담을 수는 없었지만, 그의 위엄있는 상상력에서 새로운 인식의 지평으로 동참한 것에 만족한다. 결론적으로
상상력은 스포츠 종목별로 나타나는 다양한 영역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담당한다. 그것은 ‘선수의 훈련과 경기 전략’, ‘관객
(감상자)의 참여 경험’, 그리고 스포츠를 통한 ‘사회적 혁신’을 가능하게 하는 원동력이다. 따라서 상상력은 스포츠를 통해
선수가 어떻게 움직이고, 팀은 어떻게 구성되며, 자신(주체)과 선수(타자)는 어떻게 관계하는지에 중추적인 역할이다. 이는
곧 스포츠와 상상력은 우리의 일상 경험과 광범위한 사회적 맥락에 깊이 뿌리내리고 있다.

주요어: 스포츠, 상상력, 가스통 바슐라르, 공기와 꿈, 4원소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titled Sport in Gaston Bachelard’s Theory of Imagination, is an attempt to incorporate sport
into his four-element theory of imagery (water, fire, earth, and air). Gaston Bachelard’s theory of imagination is
widely studied in various disciplines, including philosophy, science, and literature. His work offers a unique perspective
that blurs the boundaries between science, art, and philosophy, and his far-reaching influence can be seen in a small
way: the knowledge and creativity of the human imagination in the gaps, and the application of sport based on his
theory of imagination, which has never been attempted in physical education. Of course, we were not able to capture
the breadth and depth of his thinking, but we are satisfied that we have joined him in his majestic imagination as a
new horizon of awareness. In conclusion, imagination plays a key role in many different areas of sport. It is the
driving force behind the training and playing strategies of athletes, the participatory experiences of spectators, and
the social innovations that are possible through sport. Imagination thus plays a pivotal role in how athletes move
through sport, how teams are organized, and how they relate to themselves (the subject) and others (the object). This
means that sport and imagination are deeply embedded in our everyday experiences and broader social contexts.

Key words: Sport, Imagination, Gaston bachelard, Air and dreams, Four elements

* dancer505@knsu.ac.kr
Copyrightⓒ2023 KAHPERD
206 한국체육학회지 제62권 제5호

들어가며 않다. 이성과 감성, 냉철한 지성과 따뜻한 가슴을 지


닌 이상적 존재를 자신 안에서 발굴해 내어, 정신의
지평을 무한히 확장해 간 철학자이자 시인으로서, 바
가스통 바슐라르(Gaston Bachelard, 1884∼1962)는
슐라르의 면모는 문학 비평의 방법을 개척한 위대한
프랑스의 과학철학자이자 문학비평가로써 구조주의
철학자이다(김웅권 역, 2008). 다시 말해 우리의 상상
(構造主義)의 선구자이며, 프랑스 현대 사상사에서 독
력이 세상을 이해하고 그 안에서 살아가는 방식을 결
보적인 존재로 평가된다. 특히 상상력의 철학과 공간
정하는 중요한 요소라고 주장하였으며, 그의 작품은
의 시학으로 잘 알려진 인물이다. 그의 주요 저서로
이러한 상상력의 다양한 양상을 탐구하고, 이를 통해
는 과학철학에 관한 저작인 뺷새로운 과학 정신뺸, 뺷과
우리가 세계를 경험하고 이해하는 방식에 대한 깊은
학 정신의 형성뺸, 뺷부정의 철학뺸등 영미권 과학인식
통찰력을 제공한다. 그리고 그의 이론은 상상력을 현
론과는 다른 프랑스 과학인식론의 기틀을 마련하였다
실과 과학, 예술 그리고 우리의 인식 사이의 중요한
(정영란 역, 2001; 곽광수 역, 2023). 그리고 그는 과학
연결고리로 보고, 다양한 학문 분야에서 영향력이 미
적 인식과는 다른 시적(詩的) 창조에서 이미지(image)
칠 수 있음을 피력한다.
와 상상력의 주관적 관점을 통해 인간의 지각 세계를
바슐라르는 뺷물과 꿈뺸의 서문에서 다음과 같이 물
탐구한다. 물론 이것은 데카르트적 사유(이성주의 중
질적 상상력에 의한 시학의 포부를 밝히고 있다. “우
심)를 반박하는 입장이고, 후설이나 메를로-퐁티의 현
리는 상상력의 영역에서 물, 불, 흙, 공기의 어느 원
상학적 지각론의 사유와는 유사하다(홍명희, 2008). 특
소에 결부되느냐에 따라, 물질적 상상력을 분류해주는
히 그의 전 세계적으로 널리 읽힌 시학에 관한, 시적
4원소의 법칙을 규정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믿는다.
‘이미지’와 ‘상상력’에 관한 일련의 연구가 있다. 그가
그리고 이 같은 주장이 모든 시학이 물질 본질의 구
언급한 독창적 개념인 ‘물질적 상상력’이다. 즉 이미
성요소-그것이 아무리 미약한 것이라 할지라도-를 받
지의 물질성에 착안하여, 모든 이미지들을 ‘물’, ‘불’,
아들여야 한다면, 시의 영혼들을 가장 강력하게 결합
‘흙’, ‘공기’의 ‘네 가지 원소1)(4원소론 혹은 4원소)’라
시키는 것은 원초적인 물질 원소에 의한 분류임엔 분
는 기준으로 분류하였는데, 이것은 꿈꾸고 상상하며
명하다. 하나의 몽상이 하나의 작품을 제작하는 데
지각하는 방식을 말한다. 이러한 네 가지 원소의 이
충분한 항구성을 가지고 계속되기 위해서, 그것이 단
미지들을 기준으로 5권의 책을 살펴보면, 뺷불의 정신
순히 덧없는 무위(無爲)의 시간이 아니기 위해서는 자
분석뺸(1938),2) 뺷물과 꿈뺸(1942), 뺷공기와 꿈뺸(1943), 뺷대
신의 물질을 찾아야만 하며, 어떤 물질 원소가 자신
지와 의지의 몽상뺸(1948), 뺷대지의 휴식의 몽상뺸(1948)
의 실체, 규칙, 혹은 특별한 시학을 몽상에 제공해야
은 테마비평이라는 문학 비평의 새로운 장이 열리는
만 한다.”(홍명희, 2005; Gaston Bachelard, 1942b).
계기와 동시에 이 세계를 보는 새로운 눈을 제시하였
물론 그가 논하는 4원소론의 근원은 고대 그리스의
다(정영란 역, 2001; 김웅권 역, 2008; 홍명희, 2005).
흙, 물, 불, 공기 4원소론에서 기인한다. 그는 일상의
또한 그는 인간을 구성하는 두 축인, 객관적인 존재
대상과 인간의 언어 표현을 시론으로 확장해가며, 문
와 주관적 존재의 표상인 과학과 시를 넘나들면서,
학적 세계에서 몽상을 통한 시적 이미지와 상상력의
자신의 세계를 양분시켜 표출해 낸 사상가는 드물지

1) ‘4원소’는 네 개의 원소가 아니라 세계의 모든 원소를 뜻한다. 다시 말해 세상의 모든 물질은 네 원소의 결합이므로 4라는 숫자는
세상을 이해하기 위한 가장 기본적인 숫자로 표현하였다(홍명희, 2005). 역으로 뤽 베송 감독의 1997년에 개봉한 ‘제5원소’의 영화
(2259년 배경)에서 상기해 볼 수 있는데, 제5원소란 이 세상에 존재하지 않는 원소를 뜻한다. 영화 속 제5원소는 4원소의 사이에 들
어가 있는 것, 바로 ‘사랑’이다.
2) 바슐라르는 과학 철학자에서 몽상 연구가로 전향시키며 상상력의 가치를 새롭게 조명하는 그의 일련의 저작들의 출발점이 되고 있
다. 무엇 때문에 ‘우리는 객관적 인식에 이르지 못하는가’, ‘객관적 인식을 방해하는 오류의 원흉들은 무엇인가’에 대한 답을 찾아가
는 과정 속에서 불에 대한 우리의 심리적 반응, 불에 대한 심리적 가치 부여, 불이라는 현상의 인식과 관계된 우리의 “주관적 확신
들”을 정신분석적 방법으로 분석했다.
가스통 바슐라르의 상상력 이론에 근거한 스포츠 207

개념으로 확장한다. 이것은 지각적인 성질에서 출발하 과 친근 관계가 있다고 생각하였다(이신철 역, 2011).
지만 지각세계를 초월하여, 한 개인의 기억이나 집단 둘째, 상상력(想像力, imagination, Einbildungskraft)은
기억에 의해 체화된 지각적 특징을 내포한다(형형칠, 상상하는 능력으로 재생산적 상상력과 창조적 상상력
2018). 이렇게 바슐라르는 각 원소를 물리적 현상이 으로 나누어진다. 상상력은 인간적 의식의 본질적 작
아닌, 인간의 경험과 상상력의 중요한 요소로 이해하 용임에도 불구하고, 종래의 심리학이나 형이상학은 상
는 데 집중하였으며, 이 접근법은 그의 상상력의 철 상력이 신체와 관계한다는 점에서 이것을 저급한 능
학에 깊게 뿌리를 두고 있다. 력으로 간주해왔다(이신철 역, 2011). 그리고 칸트가
이 연구의 목적은 가스통 바슐라르의 상상력 이론 말한 감성적(感性的) 경험을 오성(梧城)의 범주에 매개
에 근거하여, 그가 논하는 이미지의 4원소론(물, 불, 하는 능력을 의미한다. 즉 상상력은 오성에 대하여
흙, 공기)에서 스포츠를 접목하려는 시도이다. 그렇다 이것에 적응하는 직관을 부여하는 것으로 감성에 속
면 그의 상상력을 통해 스포츠는 어떻게 의미부여 될 하지만, 종합적 작용은 자발성의 작용이고, 감성을 선
수 있을까? 이 물음에 대한 답을, 바슐라르의 상상력 천적으로 규정하는 능력이라는 점에서 오성적인 것으
이론에서 네 가지 원소로 스포츠의 고유한 특수성에 로 되며, 감성-오성의 매개 역할을 하는 것을 말한다
서 나타나는 사실로써 상상력을 탐구하고자 한다. 그 (윤병태, 김성민, 이성백, 김종엽, 서유석, 윤수종, 박
리고 이것은 바슐라르의 상상력에 새로운 방향을 부 영균, 1987). 일반적으로 일컬어지는 의미에서 상상력
여한다는 측면에서 그 의미는 크며, 그의 상상력에서 (Einbildungskraft 혹은 imagination)3)은 외부 대상으로
스포츠에 대한 접목은 첫 시도로써, 상상력의 창조적 과 인한 신체적 자극이 활성화되어 창조적으로 사고하는
정 그 자체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볼 수 있다. 정신 능력을 가르킨다(김소영, 2008). 또한 우리나라
표준국어대사전에서 상상력(想像力)은 모양 상(像), 생
각 상(想), 힘 력(力)으로 실제로 경험하지 않은 현상
가스통 바슐라르의 상상력 이론 이나 사물에 대하여 마음속으로 그려 보는 힘으로 정
의되고 있다(국립국어연구원, 1999). 이러한 내용은 고
스란히 인간의 창의적 사고와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먼저 가스통 바슐라르의 상상력 외에 사전적으로
알 수 있다. 예컨대 작가는 상상력을 사용해 새로운
일컬어지고 있는 ‘상상’과 ‘상상력’에 대한 내용을 통
이야기를 창조하고, 과학자는 상상력을 통해 새로운
해, 그가 논하고자 하는 상상력의 이해를 도모하고자
이론이나 가설을 만들어 낸다. 또한 새로운 상황에
한다. 첫째, 상상(想像, imagination, Phantasie)은 현실
직면했을 때 상상력을 통해 다양한 해결책을 모색하
에서 획득되지만, 지금 현재에는 실재하지 않는 인상
고, 그 중 가장 적합한 방법을 선택할 수 있다. 이처
을 바탕으로 혹은 사고에 의해 의식에 새로운 감각적
럼 상상과 상상력은 복잡하며, 여러 학문 분야에서
인 심상(心傷)을 만드는 것이다(윤병태, 김성민, 이성
다양한 방식으로 다루어지고 있다.
백, 김종엽, 서유석, 윤수종, 박영균, 1987). 그리고 플
과거 서구 사회에서 상상력은 오랫동안 ‘거짓과 오
라톤이 인식에서 나타나는 상상적 계기(eikasia)를 이
류의 원흉’으로 낙인되었다. 왜냐하면 이미지는 현실
데아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으며, 거부하고 배척한 것
적인 실체가 아니라 플라톤의 이데아(idea)처럼 ‘감추
에 반해, 아리스토텔레스는 상상(fantasia)을 감성적
어진 현실’을 왜곡하고 기만하는 허상에 불과했기 때
지각(aisthētikón)과 사유(noûs)의 중간에 위치하게 하
문이다. 그러나 오늘날 상상력의 위상은 180도 달라
여, 후자의 수행에 불가결한 것으로 규정하면서, 기억
져 있다. 상상력이야 말로 인간이 가지고 있는 가장

3) 16c 초 이래로 사용된 ‘Einbildungskraft’는 그리스어 ‘phantasia’와 라틴어 ‘imaginatio’에 상응하는 독일어이다. 이 단어를 처음 사용
한 이는 paracelsus(15c 스위스의 의학자이자 화학자)로서, 그는 라틴어 ‘vis imaginationis’의 번역어로 소개하였다. 그 후 18c까지
Einbildungskraft, Imagination, Phantasie는 대개 동일한 의미로 사용되었다(Stuttgart, Weimar, 2001).
208 한국체육학회지 제62권 제5호

원초적 능력, 소중한 능력이고, 이성의 발달조차도 상 게 된다. 즉 그의 상상력은 우리가 직접 체험할 수
상력의 활동 위에서 이루어지는 인식이 널리 퍼지고 있는 실체로서 이미지의 모습을 더욱 잘 드러내기 위
있다는 것이며, 상상력의 소산인 창의성과 독창성의 한 필연적인 선택이다(홍명희 2008, 재인용). 또한 그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이러한 ‘상상력의 코페르니 는 물질적 상상력에 대해 구체적으로 언급하는데, 그
쿠스적 혁명’을 이룩한 사람이 바로 바슐라르이다(홍 것은 대상의 물질적 요인에 작용하는 상상력이고, 그
명희, 2005). 그의 상상력이란 “인간 정신활동의 모든 때의 이미지가 물질적 이미지이다. 즉 물질적 이미지
부분을 포괄하며, 이미지를 변형시키고 창조하는 과정 는 물질로부터 직접적으로 기인하며, 완전히 객관적으
을 거쳐 새로운 이미지를 생성해 내는 힘으로 정의한 로 분류하고 규정하기는 힘들다(임진수, 1987). 그리고
다.”(김웅권 역, 2007; 홍명희, 2005). 상상력이야말로 물질적 상상력은 대상이 가지고 있는 물질과 질료에
인간에게 자신이 누구인지 알게 하는 중요한 능력임 대한 상상력으로서 확장과 변형이 가능한 유동적 상
을 강조한다. 바로 상상력이 사물들 속에 옮겨진 주 상력이라고 할 수 있다. 이것은 예술작품에 있어서
체 외의 다른 것도 아니라는 것으로 이미지들은 주체 원초적인 기초를 이루는 상상력을 구분하는 데 활용
의 자취를 지닌다(김윤재, 박치완, 2015). 즉 상상력은 되면서, 예술가의 새로운 표현 가능성과 구체적 설정
상상작용 안에서 지각, 실재, 경험의 여부와 상관없이 의 이론을 확립하는 결정적 역할을 한다(양은호,
마음에서 떠올린 이미지를 상호 역동적으로 창조하고 2022). 바슐라르는 상상력이 오랜 세월에 걸쳐 동질성
변형시키는 능력으로 볼 수 있다(박영현, 2019). (homogénéité)을 지니고 있다고 보았으며, 그것은 상
바슐라르가 논하는 4원소론의 상상계 입장에서 보 상력이 인간 본성의 근저에 밀착되어 있는 증거를 제
면 세계를 바라보는 인간의 꿈, 즉 인간의 몽상적인 시해준다고 보았다. 그리고 4원소론은 무의식의 가치
틀을 보여준다. 물론 4원소론은 과학의 입장에서 보 를 가지며, 그 나름의 역할을 감당하고 있고, 그것은
면 명백한 인간 정신의 ‘오류’이며, ‘인식론적 장애물’ 객관적인 진실이 아닌 ‘영속적인 심리적 진실’이며,
이지만, 상상력의 세계에서는 진실인 것이다(홍명희, ‘인간 상상력의 영속적인 가치’이다(Gaston Bachelard,
2005). 그리고 그의 상상력은 자기 존재를 투사하는 1942b; 송태현, 2003, 재인용). 이러한 내용의 견지에
선구적 정신 심리의 자태를 갖는다(정영란 역, 2001). 서 바슐라르는 상상력을 단순히 비현실적인 환상이나
다시 말해 그의 가장 원초적이고 기본적인 물질 4원 일시적인 탈출 수단으로 보지 않았다. 그는 상상력을
소 물, 불, 흙, 공기의 상상력을 통해 인간의 현실, 그 ‘새로운 가능성의 열기’로 본 것이며, 상상력이 단지
이상을 넘어서는 인간의 고유한 능력으로 상상력을 과거의 경험을 재구성하는 것이 아니라, 새로운 경험
일깨워준다. 을 형성하고 세계를 다르게 이해하는 데 필수적인 도
바슐라르의 상상력 연구에 진정한 전환점은 방법론 구라고 표현할 수 있을 것이다.
상의 있어, 그는 이미지를 보는 시각 자체를 변화시 좀 더 구체적으로 ‘상상력’에 대한 철학자의 주요
켰다. 그것은 ‘이미지란’ 아는 것도 아니고 설명하는 개념을 <표 1>로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다.
것도 아니다. 단지 이미지를 인간의 현실로써 인정하 이상과 같이 철학자들의 상상력에 대한 이론은 그
고 그것을 체험하는 것이다. 이를 체험하기 위해서는 들 각각의 철학적 쟁점과 전통에 따라 다양하다.
‘원초적 이미지의 세계 속으로’(Gaston Bachelard, 좀 더 구체적으로 제2장을 요약하면 상상, 상상력
1942a), 직접 뛰어들어야 하고 원초적 ‘이미지의 출발 에 대한 개념은 부정적인 의미로 언급되기도 하였다.
점’(Gaston Bachelard, 1957)에 자리를 잡아야 한다. 바로 “영혼에 대한 범죄(brunschvicg)”, “의식의 미성
더욱이 중요한 것은 ‘이미지 현상’(Gaston Bachelard, 숙한 혼동의 단계(alain)”, “유령 같은 대상(sartre)”등
1957)에 직접적으로 뛰어드는 것이지, 그것을 객관적 으로 표현하였고(Gilbert Durand, 1964), 심지어는 ‘창
으로 관찰하는 것이 아닌 주관적이다. 이 주관성의 의성(création)’이 자신의 철학적 키워드 중 하나였던
접근 방식은 기존 철학에 대한 이미지의 입장도 바뀌 들레즈도 상상력의 산물들로 구성된 상상계(l’
가스통 바슐라르의 상상력 이론에 근거한 스포츠 209

표 1. 상상력4)에 대한 주요 개념

구분 상상력에 대한 주요 개념
- 상상력은 주로 이데아(idea 혹은 형상=eidos)에 대한 비물질적, 영원, 초세계적인 절대적 참
실재이며, 이에 대하여 물질적, 감각적인 존재는 잠정적, 상대적이고, 이 감각에 호소하는
플라톤 경험적인 사물의 세계는 이데아의 그림자, 모상(模相)이라는 이원론적 세계관을 내세움
(B.C 427-347) - 상상력 없는 이성은 단순한 계산 장치로 전락할 것이며, 탐구를 촉발하는 것은 상상력이며
이성이나 추론 혹은 계산 능력은 이런 상상력을 뒷받침하고 입증해 주는 수단에 불과함
- 플라톤이 의도한 진정한 ‘전향’은 이성이 아니라 상상력에서 비롯된다고 봄
- On the Soul(De Anima)에서 상상력을 언급하는데, 상상력은 감각적인 인식과 지적인 사고
사이의 중간 과정으로 지각은 물론 사고와도 구분된다고 봄
아리스토텔레스
- 상상력이 이성적 사고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주장하였고, 우리가 개념을 이해하거나 논
(B.C 384-322)
리적으로 추론하는 과정에서도 우리는 내적 이미지를 사용한다고 그는 주장함
- 이런 점에서 아리스토텔레스의 상상력 이론은 플라톤의 이론과 차별화 됨
- 상상한다는 것은 정신이 자기를 물체로 향하게 하여, 그 물체 속에서 정신 자신에 의해 이
해된 관념 내지 감각에서 지각된 관념에 대응하는 것을 직관하는 것을 말함
- 지각과 비슷한 능력이지만, 물리적인 대상이나 현상을 두고 마음의 눈으로 보는 것이라는
데카르트
점에서 지각과는 구별됨
(1596-1650)
- 몸과 연결된 영혼의 특별한 기능으로 묘사함
- 상상력은 이해력과 다르게 항상 개별적인 사물을 대상으로 하며, 실제로 존재하는 물체나
감각을 통해 경험한 물체에 대해서만 가능하다는 것임
- 지각의 현재성과 기억의 과거성을 근거로 하여, 미래를 열어주는 역할에 상상력을 부여함
흄 - 상상력이 인식, 기억, 예측, 과거와 미래에 대한 생각 등 인간의 인지 과정에서 중요한 역
(1711-1776) 할을 하는 것으로 보았고, 그는 상상력이 개인의 생각과 감정, 그리고 행동에 중요한 영향
을 미치며, 우리의 세계 인식을 구성한다고 주장함
- 상상력의 재생적 기능뿐만 아니라 생산적인 기능을 발견하고 그 특성을 부각함
- 상상력의 종합을 위해서 지각이나 기억이 일차 작용으로 소용된다고 봄
칸트
- 상상력을 감각적인 표상과 지식적인 표상 사이의 중재자 역할로 봄
(1724-1804)
- 상상력은 그의 철학에서 인식과 이해, 그리고 판단 사이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데, 그것
은 사물을 인식하고 이해하며 미적으로 감상하는 과정에서 중요한 능력임
- 지각은 대상을 현실적으로 여기에 존재하는 것으로서 정립하지만, 상상이란 대상을 무로서
베르그송
정립함으로써 현실을 초월하는 작용임
(1859-1941)
- 과거의 경험과 현재의 인식 사이에 교량 역할을 하는 중요한 기능임
- 상상력을 물질성에 착안하여 4원소론 물, 불, 흙, 공기를 이용하여 다양한 양상을 탐색함
- 상상력이 단순히 실제 경험을 반영하는 것이 아니라, 새로운 현실을 창조하고 현실을 해석
바슐라르
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하는 것으로 봄
(1884∼1962)
- 상상력이란 무엇일까? 우리의 삶에 있어서 근원적인 힘으로 작용할 수 있을까? 라는 끊임
없는 질문을 던지고, 우리의 경험과 세계 인식을 어떻게 형성하는지에 대한 통찰을 제공함
- 상상력은 인간적 의식의 본질적 작용인바, 적극적으로 평가되어야 한다고 주장함
샤르트르 - 의식의 비현실화하는 탁월한 작용인 상상력은 현실계와의 고통을 차단하여 가능성의 세계
(1905-1980) 를 개시하는 능력임
- 이러한 능력을 그 존재의 본질로 하는 의식 그 자체가 이미 자유인 것임

imaginaire)란 개념을 신중히 사용해야 한다는 것이다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 외부 세계의 경
(Gilles Deleuze, 1990, 1991; 박치완, 2014). 이러한 부 험과 내부 세계의 사유를 연결하는 것, 예술, 과학,
정적 편견을 재고한 철학자가 바로 가스통 바슐라르 철학 등 여러 분야에서 창조성과 혁신을 이끌어내는
이다. 무엇보다도 그의 상상력은 새롭게 지식의 영역 데 가장 결정적인 역할이 바로 상상력에서 비롯된다
으로 포함되어야 한다는 사실이다(Gaston Bachelard, 는 것이다. 이러한 공통점은 상상력의 다양성과 중요
1952). 즉 바슐라르의 입장을 근거로 상상력을 전제한 성을 보여주며, 새로운 가능성을 탐색하는데 있어 상
의미 고찰을 통해, 표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공통점 상력이 얼마나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지 보여준다.
을 도출해 볼 수 있다. 그것은 상상력이 인간의 인지
210 한국체육학회지 제62권 제5호

예컨대 축구 선수는 경기장에서의 위치, 팀원과 상대


가스통 바슐라르의 상상력 이론에 선수의 움직임, 그리고 축구공의 경로 등을 상상하여
전략을 수립하고 결정을 내리기도 한다. 또한 골퍼는
근거한 스포츠의 해석 자신이 다음에 칠 스트로크를 상상하고, 그것을 실행
하기 전에 정확한 방향과 힘을 계획하며, 자신의 움
1. 상상력과 스포츠의 이해 직임을 계획하기 위해 상상력을 사용한다.

스포츠는 규칙이 정해진 물리적 활동을 통해 경쟁하 둘째, 선수 주체로써 몸(신체)의 움직임(활동)에 대
는 행위를 의미하며, 개인 혹은 팀 간의 경쟁으로 나 한 상상력이다.
타난다. 또한 스포츠는 수천 년 동안 인류의 중요한 스포츠에서 선수의 몸(신체) 움직임은 경기나 훈련
일부였으며, 전 세계 수많은 팬들에게 감상의 기회를 중에 실행되는 모든 물리적 활동을 포함한다. 선수들
제공하며 국가적, 사회적, 문화적, 경제적, 교육적 측면 은 새로운 기술을 배우거나 복잡한 움직임을 수행하
등에서 그 위상은 계속되고 있다. 기 전에 그 움직임을 먼저 ‘상상’하는데, 그 움직임을
즉 스포츠는 우리가 세상을 경험하고 이해하는 방식 어떻게 연습하고 완벽하게 만들 수 있는지에 대한 상
에 영향을 미치며, 상상력의 중요한 원천 중 하나라고 상력인 것이다. 이를 통해 선수 자신의 몸이 움직이
볼 수 있다. 그리고 스포츠의 상상력 개념은 그 자체 는 방식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실제로 움직임을 수
로 여러 가지의 의미를 가질 수 있는데, 선수에게 중 행할 때 더욱 효과적이게 된다. 이러한 내적인 시각
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이다. 바로 행위자 입장에서 선 화는 뇌와 신체 사이의 연결을 강화하고, 선수가 실
수들은 자신의 전략, 움직임, 그리고 목표를 상상하고 제로 움직임을 수행할 때 그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
계획하는 것이 필요충분조건이다. 결국 이러한 상상력 기 때문이다. 예컨대 축구 선수는 공을 차고, 패스하
은 선수들의 경험과 성과에 크나큰 영향을 준다. 고, 수비하는 방법을 잘 알아야 하며, 체조 선수는 다
이상의 내용을 구체적으로, 경기에 대한 전략, 스포 양한 동작과 루틴을 수행할 줄 알아야 한다.
츠 현장에서 나타나는 선수(행위자, 운동을 하는 자),
경기 결과, 감상자(관객, 관람자, 향수자)의 입장에서 셋째, 경기 결과에 대한 상상력이다.
그 내용을 종합적으로 살펴보았다. 선수들은 자신이 원하는 경기 결과를 상상한다. 그
것은 그 결과를 이루기 위한 구체적인 단계를 시각화
첫째, 경기에 대한 전략적 상상력이다. 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경기 성과를 향상시키는 데
스포츠 경기에서 전략은 매우 중요하며, 실제로 그 중요한 역할을 하며, 그러한 이미지를 사용하여 실제
전략을 실행하기 위해 상상력을 사용한다. 그리고 선 성과를 도출하려고 한다. 또한 자신의 능력을 최대한
수들은 자신의 플레이를 최적화하고 상대방의 플레이 발휘하고, 다양한 경기 상황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게
를 예측하기 위해 상상력을 사용하며, 이는 스포츠경 하는 데 필수적이며, 앞으로 다가올 경기상황에 대한
기의 전략과 전술을 계획하고 실행하는 데 필수적이 불안감을 줄이고 자신감을 높일 수 있다. 그리고 선수
다. 또한 선수들은 상대방의 움직임을 예측하고, 이에 자기 자신의 목표 설정,5) 동기부여,6) 성과 향상7)에 있
따른 자신의 반응을 상상함으로써 미래의 경기상황을 어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예컨대 마라톤 선수는 자신
예측하며, 이러한 예측은 실시간으로 발생함과 동시에 이 결승선을 통과하는 모습을 상상하며, 이러한 상상은
선수들이 상황에 빠르게 적응하고 반응할 수 있다. 그들에게 목표를 향해 계속 전진하는 힘을 줄 수 있기

4) 상상력에 대한 주요 개념은 윤병태, 김성민, 이성백, 김종엽, 서유석, 윤수종, 박영균(1987)의 뺷철학대사전뺸과 이신철 역(2011)의 뺷현
상학사전뺸, 홍명희(2005)의 뺷상상력과 가스통 바슐라르뺸내용을 요약, 정리한 것임.
5) 선수 본인이 이루고자 하는 목표를 더욱 명확하게 인식하고 이해할 수 있다.
가스통 바슐라르의 상상력 이론에 근거한 스포츠 211

때문이다. 예컨대 올림픽뿐만 아니라, 패럴림픽8)에서 2. 4원소와 스포츠의 결합


장애를 가진 선수들이 스포츠를 즐길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방식을 상상하고 구현한 결과도 함류된다. 가스통 바슐라르의 상상력 이론에 따르면, 자연의
4원소 물, 불, 흙, 공기는 우리의 상상력과 경험에 중
넷째, 감상자에 대한 상상력이다. 요한 영향을 미친다. 즉 물의 상상력, 불의 심리학,
상상력은 스포츠를 보는 사람, 즉 감상자의 입장에 흙과 무질서의 상상력, 공기와 꿈의 상상력 등의 작
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물론 선수와 감상자 모두에게 품에서 상상력의 다양한 형태와 기능을 탐색하였으며,
그 가치는 높다. 팬들은 자신이 경기를 직접 수행하거 4원소를 이용하여 상상력이 어떻게 작동하는지를 설
나 자신이 좋아하는 선수 혹은 팀이 승리하는 상황을 명하였다. 이러한 원소들은 인간의 상상력을 통해 각
상상하기도 하는데, 이는 스포츠를 더욱 즐겁게 만들며 기 다른 방식으로 형상화되며, 꿈, 예술, 신화, 문학
스포츠에 대한 사람들의 열정과 참여를 촉진시키는 계 등을 통해 나타난다. 이러한 내용의 토대 위에 4원소
기가 된다. 요컨대 감상자는 간혹 선수의 위치에 자신 를 스포츠와도 연결 지어 볼 수 있다. 그 내용을 살
을 두고 상상을 한다. 이는 감상자가 경기에 더 깊게 펴보면 다음과 같다.
몰입하게 해주며, 이를 통해 경기의 스릴과 긴장감을
느낄 수 있다. 그리고 스포츠 감상은 대부분 미래의 첫째, 스포츠에서 ‘물’의 상상력이다.
결과를 예측하는 것에 상당한 부분을 차지하는데, 감상 가스통 바슐라르는 물의 상상력을 뺷물과 꿈뺸에서
자는 다음 플레이가 어떻게 진행될지, 경기가 어떻게 상상의 세계에서 차지하는 공간, 물이 어떻게 다양한
끝날지 상상하며, 이러한 예측은 경기를 더욱 흥미롭게 정서적 상태와 연결되는지를 다룬다. 그리고 우리의
만든다. 또한 실제로 선수처럼 경기장에서 뛰지 않아 일상 경험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넘어서, 상징
도, 상상력을 통해 감상자는 경기에 참여하는 것처럼 적, 심리적 차원 등에서 인간의 깊은 정서와 상상력
느낄 수 있고, 이는 자신이 경기의 일부라는 느낌을 에 미치는 영향을 탐구하였다.
주며, 스포츠에 대한 열정을 증가시킨다. 따라서 스포 스포츠에서 ‘물’은 물 속에서 이루어지는 스포츠
츠에서 감상자의 상상력은 스포츠 감상의 근본적인 부 종목으로 물과의 상호작용은 필수적이다. 물은 유동성
분을 차지하며, 스포츠 경험이 훨씬 더 풍부하고 만족 과 변화의 상징으로 볼 수 있으며, 스포츠에서 이것
스러워진다. 은 선수의 유연성과 자신의 환경에 적응하는 능력을
이렇게 스포츠에서 선수의 상상력은 경기의 전략, 의미한다. 이러한 스포츠는 선수들이 물과 어우러져
몸의 움직임, 경기 결과에 대해 훈련, 플레이, 목표 움직이는 방식을 상상한다. 또한 물은 우리의 무의식
달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감상자는 단순히 경기를 을 상징하기도 하며, 수중에서의 움직임은 때론 무의
관람하는 것, 그 이상으로 상상력을 통해 더 깊은 차 식적인 반응과 근육 기억에 의존하게 된다. 그리고
원의 경험으로 변화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스포츠에서 수영, 서핑, 카누/카약, 다이빙, 워터 폴로
맥락에서 다음 2절에서는 바슐라르의 4원소 이론인 등은 물과 함께 흐르고, 물을 이용해 움직이는 방법
물, 불, 흙, 공기의 상상력을 스포츠와 결합하여, 더욱 을 상상하며 이를 실천한다. 요컨대 ① 수영은 가장
풍부하고 다양하게 만드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명확하게 물과 연결된 스포츠로써 선수들은 물을 이

6) 선수 자신이 우승하거나, 개인 최고 기록을 달성하는 등의 성공적인 결과를 상상하며, 이러한 상상은 그들에게 훈련을 계속하고, 경
기에서 최선을 다하는데 필요한 동기부여를 제공한다.
7) 선수들이 자신의 성공을 상상하면 실제로 성능이 향상되는 경우가 많다. 이는 상상력이 뇌에서 실제 움직임을 준비하고 계획하는
데 도움을 주기 때문이다.
8) 패럴림픽은 국제패럴림픽위원회(IPC) 주최로 4년 주기로 개최되는 신체장애인들의 국제적인 경기대회로서, 그 자체가 상상력의 혁신
적인 표현이라고 볼 수 있다. 다양한 종류의 장애를 가진 선수들이 모두 같은 무대에서 경쟁함으로써, 패럴림픽은 장애인의 스포츠
참여를 촉진하고 그들의 능력을 세계에 인정받는 기회를 제공한다.
212 한국체육학회지 제62권 제5호

용해 자신의 몸을 움직이며, 물의 저항과 상호작용을 ② 복싱과 격투기는 선수들의 강렬한 에너지와 열정,
필요로 한다. ② 서핑은 물결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그리고 스포츠 현장에서 예측 불가능한 움직임을 요
몸의 움직임과 속도를 조절해야 하므로 물과는 밀접 구한다. 이 특징들은 불의 변화무쌍한 특성과 연관될
한 관계를 맺는다. ③ 카누/카약은 물의 정확한 흐름 수 있다. ③ 럭비나 아메리칸 풋볼은 선수간의 강력
을 이해하고 이를 이용하여 노를 젓고 보트를 움직여 한 충돌과 공격적인 전략을 필요로 한다. 불은 파괴
야 한다. ④ 다이빙은 선수들이 공중에서 다양한 동 적이지만 에너지 넘치는 특성을 반영할 수 있다. ④ 성
작을 수행한 후 물에 착지해야 하는데, 이는 물의 표 화봉송은 최종적으로 개최 도시에 도착하면, 그것은
면과의 상호작용을 가장 크게 필요로 한다. ⑤ 팀 스 대회 기간 동안 계속 불을 지피게 되는데, 이것은 올
포츠(7명씩 짠 두 팀)로 워터 폴로는 수영장에서 진행 림픽 게임의 정신을 상징한다.
되며, 선수들은 물에 떠서 공을 다루고, 상대편의 골
에 집어 넣어 점수를 얻어야 하는 종목으로 물을 가 셋째, 스포츠에서 ‘흙’의 상상력이다.
장 오래 머물러 있는 밀접한 관계이다. 가스통 바슐라르는 흙의 상상력을 뺷대지와 의지의
몽상뺸에서 흙, 대지와 관련된 상상력을 다룬다. 대지
둘째, 스포츠에서 ‘불’의 상상력이다. 는 안정, 지속성, 물질적인 세계와의 연결성을 상징하
가스통 바슐라르는 불의 상상력을 뺷불의 정신분석뺸 며, 인간의 심리적 차원에서 인간의 내면세계와 대지,
에서 불의 상상력과 인간 정신에 미치는 영향을 다룬 자연과의 관계를 탐구하였다.
다. 그리고 불이 인간 문화와 상징적 의미를 상상력 스포츠에서 ‘흙’은 선수의 꾸준한 훈련과 끈기를
의 차원에서 탐구하였다. 상징한다. 또한 땅과 자연, 물질적인 실체는 흙의 기
스포츠에서 ‘불’은 에너지와 열정의 상징이다. 불의 초와 안정성, 물리적인 연결 등은 스포츠에서 나타나
상상력에 약간의 추상적인 생각이 필요할 수 있는데, 는 종목별 기술의 기초와 안정된 자세로 매우 중요하
스포츠에서 선수들은 열정을 다해 몸을 움직이고 경 다. 특히 스포츠에서 선수들은 땅과의 물리적인 접촉
기에 임한다. 이를 불같은 열정이라고 표현할 수 있 과 상호작용을 통해 힘을 얻고 움직이게 된다. 그리
을 것이다. 또한 스포츠에서 불은 승리와 쾌, 도전을 고 흙과 관련된 굳건한 기초와 체계적인 전략이 필요
상징하는 불꽃이 될 수 있다. 바로 선수들은 경기에 한 스포츠 종목으로는 야구, 골프, 씨름, 승마, 모토크
열정을 불태우고, 그 열정을 통해 자신의 최고의 성 로스 혹은 산악자전거 경주 등을 나타낼 수 있다. 요
능을 이끌어낸다. 즉 불처럼 타오르는 의지와 열정이 컨대 ① 야구는 야구장의 인필드는 흙으로 되어 있으
선수의 상상력을 자극하며, 이를 통해 더 큰 도전과 며, 그 위에서 주요한 플레이가 이루어진다. 또한 투
목표를 세울 수 있다. 그리고 불과 관련된 스포츠 종 수는 투구를 하기 전에 흙에 발을 단단히 박아 안정
목은 레이싱과 모터스포츠, 복싱 혹은 격투기, 럭비나 감을 얻고, 유격수나 내야수들은 흙 위에서 빠르게
아메리칸 풋볼 등을 상징적으로 이해할 수 있다. 특 움직여 공을 맞추거나 상대 팀의 주자를 아웃시키는
히 스포츠에서 올림픽의 꽃이라고 할 수 있는 성화봉 등의 중요한 역할한다. 이러한 흙의 사용은 플레이의
송은 불의 상징성을 가장 잘 보여주는 스포츠 이벤트 복잡성과 전략을 더해 주는데, 흙은 안정성, 물리적인
중 하나이다. 이는 고대 그리스에서 비롯된 전통으로, 연결, 그리고 변화의 저항력을 상징한다. ② 골프는
올림픽이라는 행사가 평화, 평등, 우정, 그리고 스포 흙에서 진행되는 것으로 바둑판처럼 흙과 모래로 이
츠 정신, 개인의 용기와 힘에 상징임을 보여준다. 요 루어진다. 흙에서의 플레이는 플레이어가 공과 더욱
컨대 ① 레이싱과 모터스포츠는 자동차, 오토바이, 보 밀접한 상호작용을 가질 수 있게 한다. 예컨대 흙에
트 등의 높고 빠른 속도, 강력한 엔진, 고온의 열을 서는 샷의 효과를 크게 느낄 수 있고, 그러한 느낌은
생각하게 만들고 눈에 띄는 불꽃을 필요로 하며, 이 스윙을 조정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흙에서의 골
러한 요소들은 불의 상징성과 밀접한 연관이 있다. 프는 플레이어에게 이러한 요소들과 직접적으로 상호
가스통 바슐라르의 상상력 이론에 근거한 스포츠 213

작용하며 경기의 결과에 커다란 영향을 미친다. ③ 있는 방법을 상상해야 한다. 특히 공기와 관련된 스포
씨름은 흙에서 맨몸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흙과 뗄 츠 종목은 패러글라이딩, 스카이다이빙, 육상, 요트, 서
레야 뗄 수 없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또한 씨름은 핑 등은 공기와 상호작용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또한
선수들이 흙과 밀접하게 상호작용하며 동시에 선수들 축구, 야구, 농구, 탁구 등에서 공이 비행하는 방식에
에게 독특한 도전을 제시하게 되는데, 상대방을 흙 따라 공의 속도, 회전, 방향 등 공기 저항에 의해 크게
밖으로 밀어내거나 상대방이 먼저 흙에 손이나 다른 영향을 받는다. 그리고 자전거 경주, 수영, 스키 등 스
부위를 대게 만들어 승리하게 된다. ④ 승마는 흙으 포츠에서 공기 저항은 선수들이 극복해야 하는 주요
로 된 트랙이나 경기장에서 진행되는 여러 종목을 포 장애물 중 하나이며, 산악자전거, 알파인 스키, 산악
함하고, 흙의 표면 조건에 따라서 경기의 결과에 큰 등반 등에서는 공기 밀도가 낮기 때문에 선수들의 체
영향을 미친다. 예컨대 흙의 조건이 변화하면(비가 와 력과 체내 산소 공급에 영향을 미친다. 요컨대 ① 패
서 땅이 젖은 경우, 건조한 날이 이어졌을 경우) 달라 러글라이딩은 공기와 상호작용하는 것이 가장 필수적
질 수 있다. 또한 승마 종목은 말을 타고 흙이나 잔 이다. 공중에서 조작하는 공기 저항, 바람의 방향과 세
디 위의 여러 장애물을 넘어가는 것을 포함하며, 흙 기는 경기를 이끌어 가는 핵심적인 요소이다. 패러글라
의 상태는 성공적인 장애물 극복에 큰 역할을 한다. 이더는 공기 중에서 순풍, 역풍, 열기 등의 변화를 감
이러한 흙에서의 승마는 선수들이 흙과 밀접하게 상 지하고 이를 활용하여 고도를 조절하고 방향을 전환한
호작용하도록 만들어진다. ⑤ 모토크로스 또는 산악자 다. 또한 상승 기류를 찾아 내려감을 최소화하고 가능
전거 경주는 땅, 흙, 그리고 자연 지형과 밀접하게 연 한 오랫동안 공중에 머무는 것이 중요하다. 바람의 세
결되어 있다. 이 경주는 모두 자연환경에서 진행되는 기와 방향을 고려하여 안전하게 착륙하는 것 역시 중
것으로 흙, 먼지, 모래, 돌 등의 다양한 표면을 활용 요하며, 이러한 모든 과정에서 패러글라이더는 공기의
하고, 흙은 이 종목의 가장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그 흐름, 온도, 습도 등을 계속적으로 분석해야 한다. ②
리고 그 과정에서 나타나는 점프, 코너링, 언덕 오르 스카이다이빙은 선수들이 직접 공기와 상호작용하며
기 등의 다양한 도전과제를 풀어야 하며, 경사진 산 그 힘과 저항을 이용한다. 스카이다이빙에서 공기는 두
길, 급한 하강, 불규칙한 표면 등에 대처하는 데 필요 가지 중요한 역할을 한다. 먼저 스카이다이버가 자유
한 능력은 이 종목에서의 성공에 결정적 요인이다. 낙하하는 동안 공기 저항은 속도를 제어하고 몸의 위
흙에서의 모토크로스와 산악자전거 경주는 선수들이 치를 조절하는데 사용된다. 그리고 스카이다이버가 낙
이러한 요소들과 직접적으로 상호작용이다. 하산을 배포할 때, 공기는 낙하산을 부풀려 오름력을
제공하고 착륙을 가능하게 하는데, 스카이다이버는 바
넷째, 스포츠에서 ‘공기’의 상상력이다. 람의 방향과 세기를 고려하여 안전한 착륙 지점을 선
가스통 바슐라르는 공기의 상상력을 뺷공기와 꿈뺸에 택하고 착륙 절차를 수행해야 한다. ③ 육상에서 공기
서 공기와 관련된 상상력을 다룬다. 공기는 경량성, 는 매우 다양한 방식으로 통합되며, 선수들은 이를 이
자유, 투명성 등을 상징하며, 공기는 단순한 물리적 해하고 제어하여 경기를 이끌어간다. 육상 선수들은 달
현상이 아니라, 인간의 삶과 상상력에 미치는 영향을 리기 도중에 공기 저항과 싸우며, 효과적인 호흡을 통
탐구하였다. 해 산소 공급을 최적화해야 한다. 또한 공기의 온도와
스포츠에서 ‘공기’는 자유와 무한함, 자유로운 움직 습도는 선수의 역량에 큰 영향을 미치는데, 높은 온도
임과 가벼움, 가능성의 상징이다. 바로 선수의 창의성 와 습도는 선수의 체온을 빠르게 증가시킬 수 있어, 체
과 개방성을 의미할 수 있다. 이러한 스포츠에서 공기 력 소모가 빠르고, 탈수와 열성 중독의 위험을 증가시
는 중요한 역할을 하는데, 공기의 흐름과 저항을 이해 킨다. 이러한 조건에서 선수들은 적절한 수분 섭취와
하고 이를 이용하는 것, 그리고 선수들은 자신의 움직 체온 관리에 주의해야 한다. ④ 요트는 공기의 움직임,
임을 최적화하고, 경쟁 상황에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자유, 변화 등을 상징하는 요소로 볼 수 있는데, 요트
214 한국체육학회지 제62권 제5호

에서는 바람을 통해 직접적으로 경험하게 된다. 요트는 이 설명할 수 있다.


바람의 힘을 이용하여 전진하며, 세일(세일링)을 통해
바람의 에너지를 받아들이고, 이를 전진력으로 전환하 3. 바슐라르의 상상력과 스포츠의 상상력 구분
는 방법을 이해하고 적용하는 것이 요트 선수에게 필
요한 핵심 기술이다. 그리고 바람의 방향에 따라 요트 가스통 바슐라르의 상상력과 스포츠에서의 상상력
의 전진 방향을 조절해야 하는데, 바람을 따라 직진하 을 구분하는 것은 바슐라르의 철학적 접근법과 스포
는 것은 비교적 쉽지만, 바람에 반대로 전진하는 것은 츠에 대한 전형적인 이해를 기반으로 합리적인 고려
복잡한 방향 조절과 세일 조정이 필요하다. ⑤ 서핑은 사항이 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구분은 고려될 여
바람, 즉 공기의 힘과 방향에 크게 영향을 받는 활동 러 요소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다. 바람은 파도의 형성과 움직임에 결정적인 역할을 바슐라르의 상상력은 주로 우리가 세계를 경험하고
하므로, 서퍼는 바람의 상태와 향후 변화를 예측하고 이해하는 방식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그는 과학, 예
이해해야 한다. 파도는 바람에 의해 만들어지기 때문 술, 일상 경험과 같은 다양한 문맥에서 상상력의 역
에, 바람이 바다 표면에 부딪혀 발생하는 에너지로 인 할을 탐구했고, 그의 접근법은 상상력이 어떻게 현실
해 파도가 생성되고, 강한 바람이 불면 더 크고 강한 을 구성하고 재구성하는 데 도움을 주는지, 그리고
파도가 만들어질 수 있다. 서퍼들은 이러한 바람의 조 우리가 세상을 어떻게 느끼고 해석하는지에 대한 깊
건을 이해하고 적절한 파도를 찾아야 한다. 은 이해를 제공한다.
바슐라르의 상상력 이론은 자연 세계와 우리가 그 스포츠에서의 상상력은 이와는 조금 다르게 작동할
것을 이해하는 방식에 대한 깊은 통찰력을 제공한다. 수 있다. 선수들은 자신들의 능력을 향상시키고, 경기
그가 4원소(물, 불, 흙, 공기)를 통해 인간의 상상력을 전략을 계획하고, 경기상황을 예측하는 데 상상력을 사
연구했는데, 이는 실질적인 물리적 요소뿐만 아니라 용하고, 이러한 상상력은 명확한 목표를 가지고 구체적
상징적인 의미를 지니고, 이를 통해 스포츠를 더 깊 인 동작을 계획하고 실행하는 데 중점을 둘 수 있다.
이 이해하고 분석할 수 있었다. 그의 상상력 이론을 이는 바슐라르의 철학에서 강조하는 개인적인 경험과
근거로 스포츠를 해석한다는 것은, 스포츠의 물리적 감정을 통한 세계 이해와는 다소 차이가 있을 수 있다.
요소 그것이 상징하는 깊은 의미와 인간의 경험, 감 그러나 이 두 접근법 사이에는 중요한 교집합이 있
정, 의지 등을 고려하는 것을 의미한다. 스포츠는 단 다. 스포츠에서의 상상력도 개인적인 경험, 감정, 그리
순한 물리적 활동이 아니라, 인간의 상상력과 창의성 고 세계에 대한 이해에 깊게 연결되어 있을 수 있으며,
이 펼쳐지는 영역으로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지금 바슐라르의 상상력 철학이 스포츠에 어떻게 적용될 수
까지의 내용을 간단히 도표화 하면 다음 <표 2>와 같 있는지에 대한 깊은 이해는 스포츠를 통한 인간 경험에

표 2. 가스통 바슐라르의 4원소와 스포츠의 상상력

4원소 바슐라르의 상상력 스포츠의 상상력과 종목


유연성과 적응능력
물 유동성과 변화, 적응성
수영, 서핑, 카누/카약, 다이빙, 워터 폴로 등
열정과 목표달성
불 청정과 변화, 정신
레이싱과 모터스포츠, 복싱 혹은 격투기, 럭비나 아메리칸 풋볼 등
훈련과 끈기
흙 안정성과 실체성
야구, 골프, 씨름, 승마, 모토크로스 혹은 산악자전거 등
창의성과 개방성
공기 자유와 가능성
패러클라이딩, 스카이다이빙, 육상, 요트, 서핑 등
가스통 바슐라르의 상상력 이론에 근거한 스포츠 215

대한 더 풍부하고 다차원적인 이해를 제공할 수 있다. 에서 시도되지 않았던 바슐라르의 상상력 이론에 근거
이상의 논의를 통해 다음과 같이 차이점을 논할 수 하여 스포츠를 접목해 보았다. 물론 그의 광범위하고
있다. 첫째, ‘추상적인 것’과 ‘구체적인 것’이다. 바슐라 농도 진한 사고를 모두 담을 수는 없었지만, 그의 위
르의 상상력은 추상적이고 광범위한 개념이고, 그는 상 엄 있는 상상력에서 새로운 인식의 지평으로 동참한
상력을 우리가 세계를 인식하고 이해하는 방식, 우리의 것에 만족한다.
개인적인 경험과 감정에 깊이 연결된 것으로 보았다. 상상력은 스포츠 종목별로 나타나는 다양한 영역에
이와 반대로 스포츠에서의 상상력은 좀 더 구체적이고 서 핵심적인 역할을 담당한다. 그것은 ‘선수의 훈련과
목표 지향적이다. 예컨대 선수들은 상상력을 통해 다음 경기 전략’,9) ‘관객(감상자)의 참여 경험’,10) 그리고
움직임을 계획하거나, 상대방의 행동을 예측하고, 자신 스포츠를 통한 ‘사회적 혁신’11)을 가능하게 하는 원동
이 어떤 전략을 사용할 것인지 결정한다. 둘째, ‘자아 력이기도 하다. 따라서 상상력은 스포츠를 통해 선수
와 세계의 이해’ 그리고 ‘능력 향상’을 둘 수 있다. 바 가 어떻게 움직이고, 팀은 어떻게 구성되며, 자신(주
슐라르는 자아와 세계를 이해하는 데 초점을 맞췄으며, 체)과 선수(객체, 타자)는 어떻게 관계하는지에 중요한
그는 상상력을 ‘신비로운’ 현상으로 보았으며, 이것은 역할을 한다. 이는 곧 스포츠와 상상력은 우리의 일
우리의 세계를 이해하는 방식을 초월한다. 그와는 대조 상 경험과 광범위한 사회적 맥락에 깊이 뿌리내리고
적으로 스포츠에서는 능력 향상에 초점을 맞춘다. 스포 있다는 사실이다.
츠에서 상상력을 사용하는 것은 전략을 계획하고, 경기 결국 가스통 바슐라르의 상상력 이론에 근거하여
를 준비하고, 성능을 향상시키는 것에 도움이 될 수 스포츠를 이해하는 방식에 깊은 통찰력을 갖는다.
있다. 셋째, ‘과학적 방법론’과 ‘실용적인 도구’를 둘
수 있다. 바슐라르는 과학적 방법론과 대조되는 방식으
로 설명하며, 상상력을 합리적이거나 과학적인 사고가 참고문헌
아닌, 개인적인 경험과 감정을 통해 세계를 이해하고
탐구하는 도구로 보았다. 반면에 스포츠에서는 실용적
곽광수 역(2023). 가스통 바슐라르. 공간의 시학. 도
인 도구로 사용되며, 선수들이 특정 목표를 달성하거나
서출판: 동문선.
문제를 해결하는 데 사용된다.
국립국어연구원(1999). 표준국어대사전. 서울: 두산
동아.
김병욱 역(2020). 가스통 바슐라르. 물과 꿈. 도서출
나가며 판: 이학사.
김병욱 역(2022). 가스통 바슐라르. 불의 정신분석.
가스통 바슐라르의 상상력 이론은 철학, 과학, 문학 도서출판: 이학사.
등 다양한 학문 분야에서 널리 연구되고 있다. 그의 김소영(2008). 미학대계간행회. 상상력. 도서출판:
작품은 과학과 예술, 그리고 철학 사이의 경계를 허문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독특한 시각을 제공하며, 그의 광범위한 영향력을 소박 김웅권 역(2007). 가스통 바슐라르. 몽상의 시학. 도
하게 남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연구는 그 틈 사이에 서출판: 동문선.
인간의 상상력에 대한 지식과 창의성에, 그동안 체육학 김웅권 역(2008). 가스통 바슐라르. 촛불의 미학. 도

9) 선수들은 경기 전에 특정 동작이나 전략을 시뮬레이션하는 데 상상력을 사용하는 것이다.


10) 관객들은 자신이 관람하는 경기를 통해 다양한 감정과 경험을 상상한다. 이는 관객들이 경기를 보는 방식과 스포츠에 대한 그들의
인식에 깊은 영향을 미치기도 한다.
11) 스포츠는 그 자체로 사회와 문화를 반영하는 동시에, 새로운 사회적 혁신을 촉진하는 플랫폼이 될 수 있으며, 이러한 혁신은 상상
력의 결과물이기도 하다.
216 한국체육학회지 제62권 제5호

서출판: 동문선. 홍명희(2005). 상상력과 가스통 바슐라르. 도서출판:


김윤재, 박치완(2015). 가스통 바슐라르와 상상력의 살림출판사.
치유학. 기호학연구, 43, 9-39. 홍명희(2008). 바슐라르의 상상력의 현상학. 프랑스
박영현(2019). 가스통 바슐라르(Gaston Bachelard) 문화예술연구, 24, 357-375.
의 상상력 이론에 근거한 유아의 문학적 상 Gaston Bachelard. (1942a). L’eau et les réves. Paris,
상력 탐구.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한국교원 José Corti.
대학교 대학원. Gaston Bachelard. (1942b). L’eau et les réves. Essai
박치완(2014). 과학적 상상력과 시적 상상력의 구분 sur l’imagination de la matiére. Paris, José
은 정당한가?. 철학연구, 49, 105-131. Corti.
송태현(2003). 가스통 바슐라르: 과학철학에서 상상 Gaston Bachelard. (1952). “La poésie et les
력철학으로. 한국프랑스학논집, 42, 183-202. éléments” - Université Radiophonique
양은호(2022). 물의 유기적 이미지 표현 연구. 미간 Internationale, “Dormeurs éveillés”. Paris,
행 박사학위논문. 홍익대학교 대학원. Inter.
윤병태, 김성민, 이성백, 김종엽, 서유석, 윤수종, 박 Gaston Bachelard. (1957). La Poétique de l’espace.
영균(1987). 철학대사전. 도서출판: 중원문화. Paris, PUF.
이신철 역(2011). 기다 겐, 노에 게이이치, 무라타 준 Gaston Bachelard. (1988). Fragments d’une
이치, 와시다 기요카즈. 현상학사전. 도서출 poetique du feu. Paris, PUF.
판: 도서출판 b. Gilbert Durand. (1964). L’Imagination symbolique.
임진수(1987). 이미지와 상상력(2): 바슐라르의 이 coll, PUF.
미지론. 계명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19, Gilles Deleuze. (1990). pourparlers (1972∼1990).
191-209. Minuit.
정영란 역(2001). 가스통 바슐라르 공기와 꿈. 도서 Gilles Deleuze. (1991). Qu’est-ce que la philosophie?,
출판: 이학사. en collaboration avec Félix Guattari. Minuit
형형칠(2018). 몸의 지각론에 의한 국내 건축도시 coll, Critique.
재생 연구.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홍익대학 Stuttgart, Weimar. (2001). Ästbetische Grundbegriffe.
교 대학원. Bd, 2.

논문투고일: 2023. 07. 29


논문심사일: 2023. 08. 14
심사완료일: 2023. 09. 07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