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19

상 담 학 연 구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2012, Vol. 13, No. 3, 1461-1479

대학생의 진로스트레스와 진로태도성숙의 관계:


진로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와 부모진로지지의 조절효과*

이 상 희†

광운대학교

본 연구에서는 진로자기효능감을 진로스트레스와 진로태도성숙의 관계에 대한 매개변인으로 가정하


고, 부모진로지지를 진로장애와 진로태도성숙의 관계에 대한 조절변인으로 가정하여 이들의 관계를
확인하였다. 연구는 대학생 427명(남학생 253명, 여학생 174명)을 대상으로 하여 진로스트레스 척도,
진로자기효능감 척도, 부모진로지지 척도, 진로태도성숙 척도로 구성된 설문지를 실시하여 진행되었
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남학생과 여학생 집단 모두에서 취업압박 스트레스와 외적갈등 스
트레스가 진로태도성숙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정보부족 스트레스는 여학생 집단에서만
진로태도성숙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둘째, 진로자기효능감의 진로스트레스와 진로태도성
숙에 대한 매개효과를 살펴본 결과, 남학생과 여학생 집단 모두에서 진로자기효능감은 진로모호 스트
레스, 정보부족 스트레스, 외적갈등 스트레스와 진로태도성숙의 관계에 대한 매개효과를 가지고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그러나 취업압박 스트레스와 진로태도성숙과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은 남학생 집단
에서만 매개효과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진로스트레스와 진로태도성숙에 대한 부모진
로지지의 조절효과는 본 연구의 가설을 지지하지 않고 있었다. 남학생 집단과 여학생 집단 모두에서
부모진로지지의 조절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진로스트레스의 연구에서 성차를 고려할 필
요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연구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주요어 : 진로스트레스, 진로자기효능감, 부모진로지지, 진로태도성숙

* 이 논문은 2011년 정부재원(교육과학기술부 인문사회 연구역량 강화사업비)으로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연구되었음(NRF-2011-330-B00167).
†교신저자(Corresponding Author): 이상희 / 광운대학교 산업심리학과 / 서울특별시 노원구 월계동 447-1번지
Tel: 02-940-5423 / E-mail: sanglee@kw.ac.kr

- 1461 -
상담학연구

진로를 선택하는 일은 대학생들이 당면하는 가 생들의 진로나 학업 스트레스는 특히 여학생들에


장 시급한 고민 문제이며, 대학 시기는 학교에서 게서 더 과도하게 나타나고 있는데(이경주, 1997),
직업세계로의 이행을 앞두고 있으므로 진로결정 이경주(1997)는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급격한 생리
과 진로준비에서 특별히 중요한 시기라고 할 수 적, 심리적 변화에 민감할 뿐 아니라 변화에 따른
있다(김봉환, 1998). 더군다나 장기간의 경기 침체 스트레스에 잘 적응하지 못하기 때문에 환경적,
로 인한 취업률의 감소와 대학에서의 학부제 실 사회적 스트레스 원에 더욱 부정적인 반응을 나
시, 복수전공제, 그리고 노동시장의 급속한 변화 타낸다고 보고하였다. 따라서 진로 스트레스에 대
는 대학생들의 진로결정에 대한 고민을 더욱 심 한 반응은 성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날 가능성이
화시키고 있다(백지숙, 2006). 많은 대학생들이 자 있다.
신의 진로나 취업에 대하여 막연한 불안감, 심리 한편 진로스트레스와 진로 성숙의 관계를 살펴
적 어려움 등을 호소하고 있으며, 복잡하고 다원 본 연구는 그 수가 많지 않다. 정은이(2007)는 스
화된 사회, 불확실한 미래와 무한 경쟁 등으로 진 트레스가 대학생의 진로미결정과 유의미한 정적
로와 관련된 많은 스트레스를 경험하고 있다(서유 상관이 있으며, 특히 진로 관련 스트레스가 상대
진, 2007) 적으로 진로미결정과의 관련성이 높음을 보고하
대학생들이 진로를 탐색하고 결정하는 과정과 였다. 박선희(2009)는 진로스트레스가 진로결정에
취업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받는 스트레스는 진로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진로스트레스가 높은 학
스트레스로 정의되며(서유진, 2007), 류미화(2003) 생일수록 진로를 결정하지 못할 가능성이 크다고
는 진학 및 취업과 관련된 문제로 인하여 학교생 보고하였다. 오소제(2010)는 사범계 대학생을 대상
활에서 신체적, 심리적 평형상태가 파괴되고 위 으로 연구한 결과 취업스트레스와 진로성숙이 유
기, 긴장감 또는 불안을 느끼는 상태를 진로스트 의미한 상관이 있음을 보고하였다. 강유리(2006)는
레스로 설명하였다. 한편 박희락(2009)은 우리나라 무용학과 대학생을 대상으로 하여, 학업 스트레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진로스트레스 척도를 개발 스, 고용불안 스트레스, 성격 스트레스, 그리고 가
하였는데, 스트레스 상황에 대한 개인의 지각과 족환경 스트레스가 진로태도성숙의 각 차원에 중
평가를 강조하는 교류분석적 접근법에 근거하여 요한 영향을 미친다고 하였다. 이현림 등(2008)은
진로와 관련된 자원이 부족하여 개인의 안녕을 지방소재의 6 개 대학교의 학생을 대상으로 연구
위협받는 것으로 진로 스트레스를 정의하였으며, 한 결과, 대학생들이 진로스트레스를 많이 겪을수
진로모호성, 취업압박, 진로정보 부족, 외적갈등을 록 진로발달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보고하
진로 스트레스의 하위요인으로 구분하였다. 였다(이현림, 김순미, 천미숙, 최숙경, 2008). 이와
대학생들의 스트레스와 관련된 연구 결과들을 같은 선행 연구들을 종합해보면 개인의 일상 스
살펴보면, 많은 결과들이 대학생들의 진로 및 취 트레스와 진로 스트레스가 진로태도성숙에 중요
업 스트레스가 학업적응 및 일반적인 대학생활 한 영향을 미침을 보여주고 있다. 그러나 지금까
적응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고 지의 연구들은 주로 진로와 취업에 관련된 전반
있다(김성경, 2003). 대학생들이 스트레스를 가장 적인 스트레스로 연구되었으며, 진로스트레스의
많이 받는 원인으로 장래문제(김영상, 2003)와 학 하위영역에 따른 진로태도성숙에 대한 연구는 이
업 및 진로문제(서유진, 2007)가 보고되었다. 대학 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박희

- 1462 -
이상희 / 대학생의 진로스트레스와 진로태도성숙의 관계: 진로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와 부모진로지지의 조절효과

락(2009)이 개발한 대학생용 진로스트레스 검사를 반대로 특정과제에서 자기효능감이 강하면 그 과


사용하여 진로 스트레스를 진로모호성 스트레스, 제에 많은 노력을 투입하게 되고 행동을 지속하
취업압박 스트레스, 진로정보부족 스트레스, 외적 는 시간도 길게 된다. 따라서 진로자기효능감은
갈등 스트레스의 하위영역으로 구분하여 측정하 특정 직업이나 진로에 대한 선택, 효과적인 의사
고자 한다. 일반적으로 더 많은 진로 스트레스를 결정, 그리고 지속적인 진로계획들을 추진해 나
경험할수록 진로태도성숙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 가는데도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이은진,
칠 것을 예측할 수 있으나, 진로 스트레스 하위영 2001). London(1997)은 진로스트레스와 진로결정
역에 따라 진로태도성숙에 미치는 영향에는 차이 자기효능감 간에 부정적 관계가 있어 진로스트레
가 나타날 수 있을 것이다. 스가 높은 사람은 진로자기효능감이 낮고, 반대로
한편, 모든 사람들이 일정 정도의 진로 스트레 진로스트레스가 낮은 사람은 진로자기효능감을
스를 겪게 되지만, 이들 모두가 부적응 상태를 경 높게 지각하여 진로행동 수행을 성공적으로 수행
험하는 것은 아니며, 진로스트레스로 인한 부적응 할 수 있음을 보고하였다. 국내에서는 진로스트레
의 강도도 개인적, 환경적 요인에 따라 다르게 나 스와 진로자기효능감 간의 연구가 부족하여 본
타날 수 있다(Gore & Eckenrode, 1994). 이에 따라 연구에서 사용한 진로스트레스와 비슷한 공통 요
최근 스트레스를 감소시켜 효율적인 적응을 도모 인으로 구성된 진로장벽의 경우를 살펴보았다. 이
할 수 있는 개인적, 환경적 요인들에 대한 연구들 상희(2007)는 직업정보 부족, 자기명확성 부족, 우
이 수행되고 있다(김성경, 2003). 특히 자기효능감 유부단한 성격, 필요성 인식부족, 외적 장애의 5
과 같은 개인적 신념은 환경의 요구를 판단하고 개 요인으로 구성된 진로장벽 척도를 사용하여
평가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진로장벽이 진로자기효능감을 거쳐 진로태도성숙
있는데, 자기효능감 수준이 높은 사람은 외부환경 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보고하였다. Lent 등
의 요구를 도전으로 평가하는 경향이 있어서 결 (2001)도 지각된 진로장벽은 직접적으로 진로에
과적으로 외부환경에 대해 스트레스를 덜 지각하 영향을 주지 않고 개인의 결과 기대 및 자아효
게 되고 긍정적인 대처방안을 모색할 가능성이 능감 기대를 매개로 하여 진로과정에 간접적인
높아진다(Chemers, Hu, & Garcia, 2001). Litt(1988)는 영향을 미친다고 보고하였다(Lent, Brown, Brenner,
자기효능감이 높을수록 다양한 스트레스 상황에 Chopra, Davis, Talleyrand, & Suthakaran, 2001). 진로
서 수행 결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고 하였으며, 장벽은 직업이나 진로계획상의 진전을 방해하는
Jimmieson(2000)은 100명의 고객 서비스 담당 직원 요인으로 정의되며 따라서 진로장벽이 높을수록
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연구에서, 직무스트레스와 진로스트레스도 높아지기 때문에(Taveira, Silva,
직무적응 간에 자기효능감이 매개 작용을 하고 Rodriguez, & Maia, 1998), 이 둘은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보고하였다. 있는 변인으로 볼 수 있다(서유진, 2007). 따라서
Hackett와 Betz(1981)는 자기효능감을 진로와 직 진로스트레스가 진로태도성숙에 미치는 영향은
업분야에 적용하였으며, 특별히 진로선택과 적응 진로장벽과 유사할 것으로 기대할 수 있으며, 진
에 관련되는 개인적 효능감은 ‘진로자기효능감’으 로자기효능감이 높을수록 스트레스 상황에서 효
로 개념화 되었다. 개인이 자신의 능력에 대해 자 율적인 대처를 할 수 있고(Litt, 1988), 개인의 진
신감이 없으면 어려운 환경에서 포기하기 쉽지만, 로발달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으

- 1463 -
상담학연구

로 기대할 수 있다. 따라서 진로스트레스가 개인 머리 스타일, 취미 생활 등-에 대한 지지를 제공


의 진로태도성숙에 미치는 영향을 보기 위해서는 한다면, 부모는 장기적인 진로나 가치관 형성과
진로스트레스 뿐만이 아니라 진로자기효능감을 같은 중요한 선택에서 영향력 있는 지지를 제공
함께 살펴볼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진로스 하기 때문이다. 청소년들 또한 진로발달 영역에서
트레스가 직접적으로 진로태도성숙에 연결되는 상당한 부분 부모에게 도움을 얻고자 하며, 부모
것이 아니라 개인의 진로효능감을 통해 진로태도 는 자녀들의 진로관련 의사결정의 적절한 가치를
성숙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가정하였고, 진로자기 사회화시키는 동시에 자녀가 학업적․직업적으로
효능감을 진로스트레스와 진로태도성숙의 매개변 유능한 존재라는 자기 지각을 하는 것에 상당한
인으로 가정하였다. 또한 많은 연구들에서 진로자 영향을 미치게 된다(Eccles, 1994). 김은경(2000)은
기효능감의 성차가 보고되고 있다(남미숙, 1998; 아버지와의 지지적 관계는 청소년의 자아존중감
Dix & Savickas, 1995). 남학생들은 대부분의 직업 과 자아통제, 지적 발달을 증진시키며, 어머니로
에서 직업적 자기효능감이 고르게 나타나지만, 여 부터 충분한 지지를 경험한 아동은 높은 학업성
학생들은 직업의 성격에 따라 진로효능감 수준이 취도를 보인다고 보고하였다. 이처럼 가족의 지지
다르게 나타난다. 특히 남성중심 직업에서는 남학 는 개인의 학교생활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며 미
생이 높은 진로자기효능감을 보이고 여학생은 낮 래의 교육과 직업을 계획하는데 중요한 요인임을
은 진로자기효능감을 나타낸다(남미숙, 1998). 이 알 수 있다.
외에도 선행 연구들은 진로자기효능감이 남성과 남부 텍사스의 멕시코계 졸업반 여자 고등학생
여성에 따라 다른 양상을 보일 것으로 가정하여 을 대상으로 한 Flores 등(2002)의 연구에서도 부모
왔다(이은경, 2001). 따라서 본 연구에서도 성별에 의 지지가 개인의 진로 포부와 진로 선택에 중요
따라 진로자기효능감의 효과가 다르게 나타나는 한 예언효과를 가지고 있음이 나타났다(Flores &
가를 비교 확인하고자 한다. O'Brien, 2002). 국내에서는 여성구(1996)가 직업과
한편 스트레스에 관한 여러 연구들은 일관적으 정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가족과 급우,
로 사회적 지지가 스트레스에 대한 완충효과를 교사 등 가까운 주변인들의 관심과 격려가 긍정
가지고 있으며(Karasek & Theorell, 1990), 개인의 적인 자아개념의 형성과 진로태도성숙에 중요한
심리적, 신체적 적응에 도움을 준다는 결과들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하였다. 노미순(1999)은
밝혀왔다. 사회적 지지가 청소년들의 적응에 영향 일반계 고등학교 직업과정 청소년을 대상으로 하
을 미치는 분야는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는데, 이 여 부모와 직업학교 교사의 사회적 지지가 진로
중 사회적 지지와 진로발달과의 관계를 고찰한 태도성숙과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가지며, 특히 정
Burk 등(1995)은 개인을 둘러싸고 있는 지지적인 서적 지지, 평가적 지지, 정보적 지지가 진로태도
상호 관계망은 개인의 진로발달에 중요한 역할 성숙과 유의미한 관계가 있다고 보고하였다.
을 담당하고 있다고 보고하였다(Burk, Bristol, & 한편 선행연구들은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Rothstein, 1995). Furman과 Buhrmester(1992)는 다양 지지해 주고 있는데(Cohen & Syme, 1985; Karasek
한 사회적 지지 제공자 중에서도 특히 부모가 가 & Theorell, 1990), 사회적 지지는 스트레스의 부정
장 중요한 지지를 제공하는 사람이라고 보고하였 적인 영향을 줄일 수 있으며(Cauce, Hannan, &
는데, 또래가 일상적인 생활-우정, 데이트, 의상, Sargeant, 1992), 사회적 지지가 높을 때 위기 요인

- 1464 -
이상희 / 대학생의 진로스트레스와 진로태도성숙의 관계: 진로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와 부모진로지지의 조절효과

의 부정적인 영향은 억제되고 오히려 위기요인을 지위 포부 및 성취과정 등의 진로발달 차이를 야


통하여 목표에 도달하려는 동기가 높아지기도 한 기시키는 원인이 될 수 있다고 설명하였다(Turner,
다(Rosenthal, 1995). Treharne, Lyons와 Tupling(2001) Alliman-Brisett, Lapan, Udipi, & Ergun, 2003). 이처
도 지각한 사회적 지지와 스트레스 사건에 관해 럼 부모진로지지 지각에서 성차가 존재할 수 있
연구한 결과, 사회적 지지가 완충 요인으로 작용 으며 따라서 진로스트레스와 진로태도성숙에 대
하여 스트레스의 부정적인 효과를 줄여준다는 것 한 부모진로지지의 조절효과에도 성차가 있는지
을 보고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볼 때, 부모의 진 확인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로지지는 대학생들이 진로 스트레스 상황을 해결 다음과 같다. 첫째, 진로스트레스가 진로태도성숙
하는데 도움이 되고 진로발달에 미치는 부정적인 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인가? 둘째, 진로스트
영향을 감소시킬 수 있을 것이다(Wheaton, 1985). 레스와 진로태도성숙의 관계에서, 진로자기효능감
그러나 진로 영역에서 부모의 지지의 중요성이 이 매개효과를 가질 것인가? 셋째, 진로스트레스
강조됨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국내에서는 일반 와 진로태도성숙의 관계에서 부모진로지지가 조
적 사회적 지지 척도를 사용한 연구가 주로 진행 절효과를 가질 것인가? 넷째, 진로스트레스와 진
되어 왔고, 부모의 진로 지지를 사용한 연구가 부 로태도성숙의 관계 및 진로자기효능감과 부모진
족한 상황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부모의 진 로지지의 효과에서 성차가 존재할 것인가?
로지지를 진로스트레스가 진로태도성숙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을 감소시켜주는 조절변인으로 가정
하고, 일반 사회적 지지 척도가 아닌 부모진로지 방 법
지 척도를 사용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진로스트레
스를 주된 문제로 호소하는 대학생에게 부모 진 대상
로지지는 특별히 중요할 수 있으며, 부모진로지지
의 조절효과가 확인될 경우 대학생들의 진로스트 서울 및 경기도 소재의 3개 대학교, 충청도, 강
레스를 다룰 수 있는 효과적인 상담 개입 방향의 원도, 경상도 소재의 각 1개씩의 4년제 대학교 재
제시가 가능해질 것이다. 더불어 부모가 제공하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지지 지각에 있어서 중요한 성차가 나타나고 있 총 445명이 설문에 응답하였다. 그 중 설문에 성
는데, 일반적으로 여자 청소년들이 남자보다 부모 의 있게 응답하지 않거나 설문에 끝까지 응답하
의 지지를 더 많이 받는다고 인식하고 있다(조아 지 않은 18명을 제외한 총 427명의 자료가 분석
미, 2005). 또한 진로에서의 부모진로지지의 경우 되었다. 연구에 포함된 대상의 학년 및 성별분포
도 여성의 진로발달과 좀 더 높은 상관을 보이는 가 표 1에 제시되었다.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Trusty, 1996). 김설아(2010)
도 부모진로지지 중 언어적 격려에서 여학생들의 도구
지각이 남학생보다 높다는 것을 보고하였으며,
Turner 등(2003)도 부모진로지지 지각에 있어서 성 진로스트레스 척도
차가 있으며 여학생이 부모가 제공하는 직업 모 박희락(2009)에 의해 개발된 대학생용 진로스트
델이나 언어적 격려를 더 높게 지각하며, 이것이 레스 검사를 사용하였다. 이 척도는 대학생들의

- 1465 -
상담학연구

표 1. 연구대상자의 분포 명(%)
1학년 2학년 3학년 4학년 전 체
남학생 42(16.6) 31(12.3) 78(30.8) 101(39.9) 253(59.3)
여학생 32(18.4) 28(16.1) 61(35.1) 53(30.5) 174(40.7)
전체 74(17.3) 59(13.8) 139(32.6) 154(36.1) 427(100.0)

진로와 관련한 지각된 스트레스와 이를 구성하는 로 완수할 수 있다는 개인의 신념 정도를 측정한
요인들을 측정하는 척도로서 진로모호성 스트레 것이다. 점수가 높을수록 진로자기효능감이 높은
스(문항 예: 나는 미래에 내가 원하는 직업을 알 것으로 해석된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진로자기효
지 못해서 걱정스럽다), 취업압박 스트레스(문항 능감 척도의 내적일관성 신뢰도 계수는 .90이었다.
예: 직업을 위해 너무 많은 것을 준비해야 하는
것이 힘들다), 진로정보부족 스트레스(문항 예: 나 부모진로지지 척도
의 진로를 위해 도움 받을 사람이 거의 없다), 외 이상희(2010)가 개발한 부모진로지지 척도를 사
적갈등 스트레스(문항 예: 주위 사람들이 나의 진 용하였다. 부모진로지지 척도는 정보지지(문항 예:
로 계획이 부적절하다고 평가하기 때문에 혼란스 부모님은 여러 가지 직업에 대하여 장, 단점과 전
럽다)의 4요인 20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척도에 망을 알려주신다), 대화지지(문항 예: 부모님은 내
서 역채점 되는 문항은 없으며, 각각의 문항은 진로문제를 이해해 주시고 함께 고민해 주신다),
Likert 5점 척도로 응답하도록 되어 있다. 각 하위 정서지지(문항 예: 나는 부모님에게 장래 진로의
요인의 Cronbach's α 신뢰도 계수는 진로모호성이 두려움에 대하여 이야기할 수 있다), 경제지지(문
.92, 취업압박이 .87, 진로정보부족이 .89, 외적갈 항 예: 우리 부모님은 내가 원하면 어학연수 및
등이 .79이며, 전체 척도의 신뢰도 계수는 .90으로 유학을 보내주실 것이다) 및 경험지지(문항 예:
나타났다. 부모님은 내게 부모님이 일하시는 곳을 보여주신
적이 있다)의 5개 하위요인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진로자기효능감 척도 총 20문항이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부모진로 지
Betz와 Voyten(1997)이 구성한 진로결정 자기 지척도 하위요인들의 내적 일관성 신뢰도 계수는
효능감 단축형 척도(Career Decision-Making Self- 정보지지 .82, 대화지지 .83, 정서지지 .82, 경제지
Efficacy Short Form: CDMSE-SF)를 이은진(2001)이 지 .79, 경험지지 .79로 나타났으며, 전체 문항에
번안한 것을 사용하였다. 이 척도는 자기평가, 직 대한 내적일관성 신뢰도 계수는 .89로 나타났다.
업정보 수집, 목표선정, 계회수립, 문제해결 등의
5가지 하위척도로 구성되어 있으며 총 25문항이 진로태도성숙 척도
다(문항 예: 직업 선택과 관련된 가치에 대해 우 진로성숙을 측정하기 위해 이기학(1997)이 개발
선순위를 정할 수 있다). 단축형의 근간이 된 진 한 진로태도성숙 측정도구를 사용하였다. 진로태
로결정 자기효능감 척도(CDMSES: Taylor & Betz, 도성숙 검사는 결정성 차원(10문항), 준비성 차원
1983)는 진로결정에 요구되는 과제들을 성공적으 (10문항), 독립성 차원(9문항), 목적성 차원(8문항),

- 1466 -
이상희 / 대학생의 진로스트레스와 진로태도성숙의 관계: 진로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와 부모진로지지의 조절효과

확신성 차원(10문항)의 5개 하위 영역 총 47문항 따른 평균차이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진로스트


으로 구성되어있다(문항 예: 내가 계획한 진로와 레스의 모든 하위요인에서 여학생의 진로스트레
관련된 자료를 얻는데 관심이 많다). 각 문항은 5 스가 남학생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취
점 척도로 구성되어 있고, 점수가 높을수록 진로 업압박 스트레스와 정보부족 스트레스에서는 유
태도성숙이 높은 것을 나타낸다. 본 연구에서 사 의미하게 여학생의 진로스트레스가 남학생보다
용한 진로태도성숙 척도의 내적일관성 신뢰도 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진로자기효능감과 부모진
수는 .86으로 나타났다. 로지지, 진로태도성숙에서는 유의미한 성차가 없
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 측정 변인들 간의 상관을 구하여 표 2에 제시
하였다. 우선 진로스트레스 하위요인들 간의 상관
자료의 전반적인 기술통계량 분석을 위하여 을 살펴보면, 모든 진로스트레스 하위요인들이 서
SPSS 12.0을 사용하였고, 진로스트레스가 진로태 로 유의미한 정적상관을 나타내고 있었다. 진로스
도성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진로자기효능감의 트레스의 하위요인들과 진로자기효능감, 부모진로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사 지지, 진로태도성숙은 모두 유의미한 부적상관이
용하였다. 또한 부모진로지지의 진로스트레스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진로자기효능감은 부모진
진로태도성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조절효과를 로지지, 진로태도성숙과 유의미한 정적상관이 있
확인하기 위하여 위계적 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었으며, 부모진로지지는 진로태도성숙과 유의미한
정적상관을 보이고 있었다.

연구결과 진로스트레스가 진로태도성숙에 미치는 영향


남학생, 여학생 집단을 대상으로 진로스트레스
측정변인들의 평균과 상관관계 가 진로태도성숙에 미치는 영향의 정도가 어느
측정변인들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전체, 남학생, 정도인지, 또 가장 중요한 설명력을 가진 진로스
여학생으로 구분하여 표 2에 제시하였고, 성별에 트레스 변인은 무엇인지 알아보기 위하여 다중회

표 2. 남학생, 여학생, 전체의 측정변인들 평균(표준편차)과 상관관계

변인 남학생 여학생 전체 성별(t값) 1 2 3 4 5 6

1. 진로모호스트레스 2.92(1.01) 3.02(.94) 2.96(.98) -1.04

2. 취업압박스트레스 3.42(.95) 3.86(.78) 3.59(.91) -5.15*** .51***

3. 정보부족스트레스 2.75(.95) 3.07(.90) 2.88(.94) -3.56*** .64*** .46***

4. 외적갈등스트레스 2.41(.85) 2.54(.73) 2.46(.81) -1.59 .63*** .27*** .61***

5. 진로자기효능감 3.35(.57) 3.25(.50) 3.40(.62) .207 -.52*** -.34*** -.58*** -.61***

6. 부모진로지지 3.41(.64) 3.39(.60) 3.31(.55) 1.81 -.23*** -.15*** -.27*** -.29*** .38***

7. 진로태도 성숙 3.43(.45) 3.47(.43) 3.44(.44) -.901 -.60*** -.27*** -.47*** -.57*** .54*** .17***

* p<.05 ** p<.01 *** p<.001

- 1467 -
상담학연구

표 3. 진로스트레스 하위 요인이 진로태도성숙에 미치는 영향

남학생 (N=253) 여학생 (N=174)


예언변인
β t β t
***
진로모호 스트레스 -.289 -3.57 -.460 -5.98***
취업압박 스트레스 -.013 -.219 .018 .282
정보부족 스트레스 -.127 -1.68 -.010 -.134
***
외적갈등 스트레스 -.293 -4.22 -.315 -4.21***
R2=.405, adj.R2 =.396, F=42.127 R2=.480, adj.R2 =.467, F=38.99
** ***
p<.01 p<.001

귀분석을 실시하여 표 3에 제시하였다. 며, 셋째, 독립변인과 매개변인이 동시에 종속변


남학생 집단에서 진로스트레스 요인들은 진로 인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쳐야 한다. 이때 종속변
태도성숙을 39.6% 예언하고 있었으며, 여학생 집 인에 대한 독립변인의 영향력이 세 번째 단계에
단에서 진로스트레스 요인들은 진로태도성숙을 서 두 번째보다 줄어들어야 매개효과를 나타낸다
46.7% 예언하고 있었다. 두 집단 모두에서 진로모 고 할 수 있다. 이때, 독립변인의 영향력이 유의
호 스트레스와 외적갈등 스트레스가 진로태도성 미 수준에서 무의미 수준으로 떨어지는 경우에는
숙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취업압박 완전매개, 영향력이 감소하기는 하나 무의미 수준
스트레스와 정보부족 스트레스는 진로태도성숙에 으로 떨어지지 않는 경우에는 부분매개로 볼 수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고 있었다. 남학생의 있다. 진로스트레스와 진로태도성숙에 대한 진로
진로태도성숙에 가장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진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성별과 진로스트레스
스트레스는 외적갈등 스트레스였으며, 다음은 진 하위요인별로 구분하여 표 4와 5에 제시하였다.
로모호 스트레스였다. 한편 여학생의 진로태도성
숙에 가장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진로 관련 요인 남학생의 진로스트레스와 진로태도성숙에 대
은 진로모호 스트레스였으며, 다음은 외적갈등 스 한 진로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트레스로 나타났다. 진로스트레스 요인별로 구분하여 진로자기효능
감의 진로스트레스와 진로태도성숙에 대한 매개
진로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효과를 살펴보았다. 진로모호 스트레스의 경우,
진로스트레스와 진로태도성숙에의 관계에서 첫 번째 단계에서 진로모호 스트레스가 진로자기
진로자기효능감의 매개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효능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며, 두 번째 단계
Baron 과 Kenny(1986)가 제안한 절차를 사용하였 에서 진로모호 스트레스가 진로태도성숙에 유의
다. 매개 효과에 대한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3단 미한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세 번째 단계에서 진
계의 조건이 충족되어야 하는데, 첫째, 독립변인 로모호 스트레스와 진로자기효능감이 모두 진로
이 매개변인을 유의미하게 예언해야 하며, 둘째, 태도성숙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이때
독립변인이 종속변인을 유의미하게 예언해야 하 세 번째 단계에서 진로태도성숙에 대한 진로모호

- 1468 -
이상희 / 대학생의 진로스트레스와 진로태도성숙의 관계: 진로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와 부모진로지지의 조절효과

스트레스의 영향력이 감소하고 있으나 여전히 유 취업압박 스트레스와 진로태도성숙은 진로자기효


의미 수준이므로, 진로모호 스트레스와 진로태도 능감에 의해 부분매개 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성숙은 진로자기효능감에 의해 부분매개 되는 것 정보부족 스트레스의 경우, 첫 번째 단계에서
으로 볼 수 있다. 정보부족 스트레스가 진로자기효능감에 유의미한
취업압박 스트레스의 경우, 첫 번째 단계에서 영향을 미치며, 두 번째 단계에서 정보부족 스트
취업압박 스트레스가 진로자기효능감에 유의미한 레스가 진로태도성숙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영향을 미치며, 두 번째 단계에서 취업압박 스트 있으며, 세 번째 단계에서 정보부족 스트레스와
레스가 진로태도성숙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진로자기효능감이 모두 진로태도성숙에 유의미한
있으며, 세 번째 단계에서 취업압박 스트레스와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이때 세 번째 단계에서 진
진로자기효능감이 모두 진로태도성숙에 유의미한 로태도성숙에 대한 정보부족 스트레스의 영향력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이때 세 번째 단계에서 진 이 감소하고 있으나 여전히 유의미 수준이므로,
로태도성숙에 대한 취업압박 스트레스의 영향력 정보부족 스트레스와 진로태도성숙은 진로자기효
이 감소하고 있으나 여전히 유의미 수준이므로, 능감에 의해 부분매개 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표 4. 진로스트레스 요인에 따른 진로태도성숙에 대한 진로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남학생)

남학생(N=253)

단계 종속변인 예언변인 B SE β R2 adj.R2 F


***
1단계(독립→매개) 진로자기효능감 진로모호스트레스 -.32 .03 -.57 .32 .32 118.3***

2단계(독립→종속) 진로태도성숙 진로모호스트레스 -.26 .02 -.58*** .33 .33 125.6***

3단계(독립, 매개→종속) 진로태도성숙 진로모호스트레스 -.18 .03 -.41*** .40 .39 82.29***

진로자기효능감 .24 .05 .31*** · ·


***
1단계(독립→매개) 진로자기효능감 취업압박스트레스 -.26 .04 -.42 .18 .18 54.48***

2단계(독립→종속) 진로태도성숙 취업압박스트레스 -.16 .03 -.35*** .12 .12 33.88***

3단계(독립, 매개→종속) 진로태도성숙 취업압박스트레스 -.07 .03 -.15* .30 .30 54.35***

진로자기효능감 .37 .05 .47***

1단계(독립→매개) 진로자기효능감 정보부족스트레스 -.38 .03 -.63*** .40 .40 164.5***

2단계(독립→종속) 진로태도성숙 정보부족스트레스 -.25 .03 -.53*** .28 .27 97.4***

3단계(독립, 매개→종속) 진로태도성숙 정보부족스트레스 -.15 .03 -.32*** .35 .34 66.4***

진로자기효능감 .26 .05 .33***

1단계(독립→매개) 진로자기효능감 외적갈등스트레스 -.42 .03 -.63*** .39 .39 162.2***

2단계(독립→종속) 진로태도성숙 외적갈등스트레스 -.30 .03 -.57*** .32 .31 119.3***

3단계(독립, 매개→종속) 진로태도성숙 외적갈등스트레스 -.20 .03 -.38*** .38 .38 74.98***

진로자기효능감 .23 .05 .30***


** ***
p<.01 p<.001

- 1469 -
상담학연구

외적갈등 스트레스의 경우, 첫 번째 단계에서 여학생의 진로스트레스와 진로태도성숙에 대


외적갈등 스트레스가 진로자기효능감에 유의미한 한 진로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영향을 미치며, 두 번째 단계에서 외적갈등 스트 진로스트레스 요인별로 구분하여 진로자기효능
레스가 진로태도성숙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감의 진로스트레스와 진로태도성숙에 대한 매개
있으며, 세 번째 단계에서 외적갈등 스트레스와 효과를 살펴보았다. 진로모호 스트레스의 경우,
진로자기효능감이 모두 진로태도성숙에 유의미한 첫 번째 단계에서 진로모호 스트레스가 진로자기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효능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며, 두 번째 단계
이때 세 번째 단계에서 진로태도성숙에 대한 에서 진로모호 스트레스가 진로태도성숙에 유의
외적갈등 스트레스의 영향력이 감소하고 있으나 미한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세 번째 단계에서 진
여전히 유의미 수준이므로, 외적갈등 스트레스와 로모호 스트레스와 진로자기효능감이 모두 진로
진로태도성숙은 진로자기효능감에 의해 부분매개 태도성숙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이때
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세 번째 단계에서 진로태도성숙에 대한 진로모호
스트레스의 영향력이 감소하고 있으나 여전히 유

표 5. 진로스트레스 요인에 따른 진로태도성숙에 대한 진로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여학생)

여학생(N=174)

단계 종속변인 예언변인 B SE β R2 adj.R2 F


***
1단계(독립→매개) 진로자기효능감 진로모호스트레스 -.23 .04 -.42 .18 .18 32.28***

2단계(독립→종속) 진로태도성숙 진로모호스트레스 -.29 .03 -.64*** .41 .40 120.0***

3단계(독립, 매개→종속) 진로태도성숙 진로모호스트레스 -.22 .03 -.49*** .52 .51 92.4***

진로자기효능감 .31 .05 .36*** ·

1단계(독립→매개) 진로자기효능감 취업압박스트레스 -.08 .05 -.13 .02 .02 2.876


*
2단계(독립→종속) 진로태도성숙 취업압박스트레스 -.10 .04 -.19 .04 .04 6.437*

3단계(독립, 매개→종속) 진로태도성숙 취업압박스트레스 -.07 .03 -.12 .34 .33 43.61***

진로자기효능감 .47 .05 .55***

1단계(독립→매개) 진로자기효능감 정보부족스트레스 -.27 .04 -.49*** .24 .24 53.21***

2단계(독립→종속) 진로태도성숙 정보부족스트레스 -.20 .03 -.42*** .17 .17 35.70***

3단계(독립, 매개→종속) 진로태도성숙 정보부족스트레스 -.09 .03 -.18* .35 .34 45.80***

진로자기효능감 .41 .06 .48***

1단계(독립→매개) 진로자기효능감 외적갈등스트레스 -.40 .04 -.58*** .34 .33 86.72***

2단계(독립→종속) 진로태도성숙 외적갈등스트레스 -.34 .04 -.59*** .34 .34 89.97***

3단계(독립, 매개→종속) 진로태도성숙 외적갈등스트레스 -.23 .04 -.39*** .42 .41 62.65***

진로자기효능감 .30 .06 .35***


** ***
p<.01 p<.001

- 1470 -
이상희 / 대학생의 진로스트레스와 진로태도성숙의 관계: 진로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와 부모진로지지의 조절효과

표 6. 진로모호 스트레스, 취업압력 스트레스와 진로태도성숙에 대한 부모진로지지의 조절효과

종속변인 진로태도성숙

진로모호 스트레스 취업압력 스트레스


독립변인
남학생 여학생 남학생 여학생

모델 1 모델 2 모델 1 모델 2 모델 1 모델 2 모델 1 모델 2
(β ) (β ) (β ) (β ) (β ) (β ) (β ) (β )
*** *** *** *** *** *** *
진로스트레스 -.57 -.57 -.63 -.63 -.32 -.32 -.19 -.19*

부모진로지지 .02 .02 .06 .06 .09 .10 .18* .18*

진로스트레스*
-.007 -.008 .028 .02
부모진로지지

R2 .334 .334 .415 .415 .127 .127 .068 .069


2
adj.R .325 .325 .402 .402 .118 .118 .055 .055
*** *** *** *** *** *** **
F 62.69 41.63 60.57 40.15 18.13 12.11 6.27 4.17**
* ** ***
p<.05 p<.01 p<.001

의미 수준이므로, 진로모호 스트레스와 진로태도 이 감소하고 있으나 여전히 유의미 수준이므로,


성숙은 진로자기효능감에 의해 부분매개 되는 것 정보부족 스트레스와 진로태도성숙은 진로자기효
으로 볼 수 있다. 능감에 의해 부분매개 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취업압박 스트레스의 경우, 첫 번째 단계에서 외적갈등 스트레스의 경우, 첫 번째 단계에서
취업압박 스트레스가 진로자기효능감에 유의미한 외적갈등 스트레스가 진로자기효능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고 있으며, 두 번째 단계에서 취 영향을 미치며, 두 번째 단계에서 외적갈등 스트
업압박 스트레스가 진로태도성숙에 유의미한 영 레스가 진로태도성숙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향을 미치고 있으나, 세 번째 단계에서 취업압박 있으며, 세 번째 단계에서 외적갈등 스트레스와
스트레스만 진로태도성숙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 진로자기효능감이 모두 진로태도성숙에 유의미한
치고 있었다. 따라서 진로자기효능감은 취업압박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이때 세 번째 단계에서 진
스트레스와 진로태도성숙에 대한 매개효과를 갖 로태도성숙에 대한 외적갈등 스트레스의 영향력
지 않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 감소하고 있으나 여전히 유의미 수준이므로,
정보부족 스트레스의 경우, 첫 번째 단계에서 외적갈등 스트레스와 진로태도성숙은 진로자기효
정보부족 스트레스가 진로자기효능감에 유의미한 능감에 의해 부분매개 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영향을 미치며, 두 번째 단계에서 정보부족 스트
레스가 진로태도성숙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부모 진로지지의 조절효과
있으며, 세 번째 단계에서 정보부족 스트레스와 본 연구에서는 지각된 진로스트레스가 높을지
진로자기효능감이 모두 진로태도성숙에 유의미한 라도 부모 진로지지에 따라 진로태도성숙에 미치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이때 세 번째 단계에서 진 는 부정적인 영향이 달라질 것이라고 가정하였다.
로태도성숙에 대한 정보부족 스트레스의 영향력 따라서 부모진로 지지를 진로 스트레스가 진로태

- 1471 -
상담학연구

표 7. 정보부족 스트레스, 외적 갈등 스트레스와 진로태도성숙에 대한 부모진로 지지의 조절효과

종속변인 진로태도성숙

정보부족 스트레스 외적 갈등 스트레스


독립변인
남학생 여학생 남학생 여학생

모델 1 모델 2 모델 1 모델 2 모델 1 모델 2 모델 1 모델 2
(β ) (β ) (β ) (β ) (β ) (β ) (β ) (β )
*** *** *** *** *** *** ***
진로스트레스 -.53 -.53 -.40 -.40 -.57 -.57 -.57 -.58***

부모진로 지지 -.004 -.014 .101 .101 -.021 -.017 .057 .058

진로스트레스*
-.03 .007 .020 .017
부모진로지지

R2 .280 .280 .182 .182 .323 .323 .347 .347


2
adj.R .271 .271 .169 .169 .314 .314 .334 .334
*** *** *** *** *** *** ***
F 48.52 32.34 18.98 12.59 59.54 32.34 45.35 30.10***
***
p<.001

도성숙에 미치는 영향을 조절하는 변인으로 가 를 검증하기 위해 진로모호 스트레스와 부모진로


정하였다. 이를 확인하기 위하여 부모진로 지지 지지의 상호작용항을 투입하였다. 그 결과 남학생
의 조절효과를 ‘위계적 다중회귀분석(hierarchical 집단과 여학생 집단 모두에서 진로모호 스트레스
moderate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사용하여 만 진로태도성숙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
분석하였다. 첫 번째 단계에서는 진로스트레스만 으며, 부모진로지지 및 진로모호 스트레스와 부모
을 회귀식에 포함하였으며, 두 번째 단계부터는 진로지지의 상호작용항은 진로태도성숙에 유의미
부모진로지지를 단계적으로 회귀식에 포함시켜 한 영향을 미치지 않고 있었다.
진로스트레스와 상호작용하는가를 검증하였다. 부 모델 1에서 취업압력 스트레스와 부모진로지지
모진로지지의 조절효과에 대한 결과는 진로스트 가 진로태도성숙에 미치는 직접적 효과를 살펴보
레스 요인별로 구분하여 제시하였다. 면, 남학생과 여학생 집단 모두에서 취업압력 스
트레스는 진로태도성숙에 직접적 영향을 미치고
진로모호 스트레스, 취업압력 스트레스와 진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부모진로지지는 여학생
로태도성숙에 대한 부모 진로지지의 조절효과 집단에서만 진로태도성숙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
모델 1에서 진로모호 스트레스와 부모진로지지 치고 있었다. 모델 2에서는 부모진로지지가 조절
가 진로태도성숙에 미치는 직접적 효과를 살펴보 역할을 하는지를 검증하기 위해 취업압력 스트레
면, 남학생과 여학생 집단 모두에서 진로모호 스 스와 부모진로지지의 상호작용항을 투입하였다.
트레스는 진로태도성숙에 직접적 영향을 미치고 그 결과 남학생 집단과 여학생 집단 모두에서 취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부모진로지지는 진로태 업압력 스트레스는 진로태도성숙에 유의미한 영
도성숙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고 있었다. 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부모진로 지지는 여학생
모델 2에서는 부모진로지지가 조절역할을 하는지 집단에서만 진로태도성숙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

- 1472 -
이상희 / 대학생의 진로스트레스와 진로태도성숙의 관계: 진로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와 부모진로지지의 조절효과

치고 있었다. 한편 취업압력 스트레스와 부모진로 한 영향을 미치지 않고 있었다. 따라서 정보부족


지지의 상호작용항은 진로태도성숙에 유의미한 스트레스, 외적갈등 스트레스의 경우 부모진로지
영향을 미치지 않고 있었다. 따라서 진로모호 스 지의 조절효과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
트레스, 취업압력 스트레스의 경우 부모진로지지 었다.
의 조절효과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정보부족 스트레스, 외적갈등 스트레스와 진 논 의


로태도성숙에 대한 부모진로지지의 조절효과
모델 1에서 정보부족 스트레스와 부모진로지지 본 연구의 목적은 진로스트레스가 진로태도성
가 진로태도성숙에 미치는 직접적 효과를 살펴보 숙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진로스트레스와 진
면, 남학생과 여학생 집단 모두에서 정보부족 스 로태도성숙의 관계에서 진로자기효능감의 매개효
트레스는 진로태도성숙에 직접적 영향을 미치고 과와 부모진로지지의 조절효과 및 성차를 확인하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부모진로지지는 진로태 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를 중심으
도성숙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고 있었다. 로 논의해 보면 다음과 같다.
모델 2에서는 부모진로지지가 조절역할을 하는지 첫째, 진로스트레스는 진로태도성숙에 중요한
를 검증하기 위해 정보부족 스트레스와 부모진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진로스트레스는 남학생 집
지지의 상호작용항을 투입하였다. 그 결과 남학생 단의 진로태도성숙을 39.6% 예언하고 있었으며,
집단과 여학생 집단 모두에서 정보부족 스트레스 여학생 집단의 진로태도성숙을 46.7% 예언하고
만 진로태도성숙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 있었다. 남학생의 진로태도성숙에 가장 중요한 영
으며, 부모진로지지 및 정보부족 스트레스와 부모 향을 미치는 진로스트레스는 외적갈등 스트레스
진로지지의 상호작용항은 진로태도성숙에 유의미 였으며, 다음은 진로모호 스트레스로 나타났다.
한 영향을 미치지 않고 있었다. 한편 여학생의 진로태도성숙에 가장 중요한 영향
모델 1에서 외적갈등 스트레스와 부모진로지지 을 미치는 진로스트레스는 진로모호 스트레스였
가 진로태도성숙에 미치는 직접적 효과를 살펴보 으며, 다음은 외적갈등 스트레스였다. 결과적으로
면, 남학생과 여학생 집단 모두에서 외적갈등 스 남학생, 여학생 모두가 높게 지각하고 있는 진로
트레스는 진로태도성숙에 직접적 영향을 미치고 스트레스는 진로모호 스트레스와 외적갈등 스트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부모진로지지는 진로태 레스로 동일하게 나타났는데, 이것은 다음과 같은
도성숙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고 있었다. 이유로 생각해볼 수 있다. 현대사회는 지식기반
모델 2에서는 부모진로지지가 조절역할을 하는지 사회, 정보화 사회를 맞이하면서 직업세계가 급격
를 검증하기 위해 외적갈등 스트레스와 부모진로 히 변화하고 있으며, 하루가 다르게 수많은 직업
지지의 상호작용항을 투입하였다. 그 결과 남학생 들이 창출되고 있다. 따라서 취업을 위해 알아야
집단과 여학생 집단 모두에서 외적갈등 스트레스 할 지식이나 정보의 양이 나날이 증가해가는 추
만 진로태도성숙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 세이며, 변화가 빠르기 때문에 대학생들은 이전보
으며, 부모진로지지 및 외적갈등 스트레스와 부모 다 더욱 자신의 진로를 결정하기가 어려우며 따
진로지지의 상호작용항은 진로태도성숙에 유의미 라서 진로모호 스트레스가 남학생, 여학생 모두에

- 1473 -
상담학연구

게서 높은 진로스트레스로 인식되는 것 같다. 또 모든 하위요인에 대해 매개효과를 가지고 있었다.


한 우리나라는 부모나 주위사람과의 관계가 중요 한편 여학생은 취업압박 스트레스를 제외한 모든
한 공동체 문화이기 때문에, 대학생들은 자신들의 진로스트레스 하위요인에서 진로자기효능감의 매
진로를 결정할 때 자신이 아닌 주위사람들의 영 개효과가 확인되었다. 또한 연구결과는 남학생과
향을 많이 받고 있으며, 따라서 외적갈등 스트레 여학생 집단 모두에서 외적갈등 스트레스, 정보부
스를 높게 지각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족 스트레스와 진로모호 스트레스가 진로자기효
많은 대학생들이 장래문제(김영상, 2004)와 학업 능감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임을 확인시켜
및 진로문제(서유진, 2007)를 가장 높은 스트레스 주었다. 다만 취업압박 스트레스는 남학생의 진로
원인으로 보고하고 있다. 따라서 대학생들의 진로 자기효능감에는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나, 여학생
지도를 위한 상담 및 지도가 필요하다. 그러나 대 의 진로자기효능감에는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학생들의 진로스트레스는 여러 가지 요인으로 구 않고 있었다. 일반적으로 진로태도성숙에 중요한
성될 수 있으며, 따라서 대학생들이 지각하는 진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된 진로스트레스
로스트레스의 내용에 따라 진로상담자는 각각의 요인들이 진로자기효능감에도 중요한 영향을 미
필요에 부합하는 구체적이고 세부적인 도움을 제 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연구의 결과를 통
공하여 줄 필요가 있다. 예로 진로모호 스트레스 하여 취업스트레스는 진로태도성숙에 직접적으로
가 높은 대학생에게는 진로결정에 필요한 지식이 만 영향을 미치는 것이 아니라 진로자기효능감을
나 정보를 제공하여 주는 것이 필요하며, 외적갈 통하여 간접적으로도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
등 스트레스가 높은 경우에는 진로결정의 주체가 할 수 있었다. 따라서 진로자기효능감 수준이 높
본인임을 깨닫게 하여 선택에서 보다 자주적이고 은 사람은 외부환경의 요구를 도전으로 평가하여
적극적인 태도를 위한 접근이 효과적일 수 있을 결과적으로 진로스트레스를 덜 지각하게 되고 효
것이다. 이와 같이 진로스트레스를 하위요인으로 율적인 대처를 할 수 있기 때문에(Litt, 1988), 개
구분하여 연구하는 것은 여러 가지로 유용한 실 인의 진로발달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
제적인 진로상담개입 방향을 제시하여 줄 수 있 을 것으로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을 것이다. 셋째, 이전 연구들에서 부모의 진로지지가 진로
둘째, 기존의 연구들은 진로와 관련된 스트레스 발달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변인임이 일관적으
를 주로 맥락적인 영역으로 한정하여 왔으며, 따 로 밝혀져 왔지만, 진로스트레스와 어떤 관계를
라서 진로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는 주로 외부 가지고 있으며, 어떠한 경로로 진로발달에 연결되
적인 스트레스에 관한 것으로 제한되어 왔다 는지에 관한 연구가 부족한 상황이었다. 본 연구
((Lent, Brown, Brenner, Chopra, Davis, Talleyrand, 에서는 부모진로지지를 진로스트레스가 진로태도
& Suthakaran, 2001). 그러나 본 연구의 결과를 통 성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조절변인으로 가정하
해 진로자기효능감은 진로스트레스의 다양한 요 였다. 연구 결과, 진로스트레스에 대한 부모진로
인들에 대해 매개효과를 가지고 있으며, 더욱이 지지의 조절효과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
외적인 요인이 아닌 내적인 스트레스 요인에 대 다. 남학생과 여학생 모두에서 진로스트레스와 부
해서도 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남 모진로지지의 상호작용 자체가 진로태도성숙에
학생의 경우 진로자기효능감은 진로스트레스의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 1474 -
이상희 / 대학생의 진로스트레스와 진로태도성숙의 관계: 진로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와 부모진로지지의 조절효과

여러 연구들에서 부모의 지지가 개인의 진로에 한 점을 고려할 때 여학생을 위한 진로스트레스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변인임을 일관되게 설명하 관리 프로그램의 개발, 특히 하위 요인별로 취업
여 왔지만, 본 연구의 결과로 부모 지지의 효과에 압력과 정보부족을 집중적으로 다뤄줄 수 있는
대한 재확인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진로에서 부 상담 및 진로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함을 생각
모 지지의 효과가 적다는 결과는 우리에게 여러 해볼 수 있을 것이다. 진로자기효능감, 부모진로
가지를 시사해준다. 개인이 높은 진로스트레스를 지지, 그리고 진로태도성숙에서는 유의미한 성차
가지고 있을 때, 주위사람들 특히 부모의 지지와 가 발견되지 않았다. 그러나 진로자기효능감이 진
도움을 강화시키고 증진시키는 전략이 기대만큼 로스트레스와 진로태도성숙에 대한 매개 효과를
효과적이지 않을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러 살펴본 결과, 취업압박 스트레스가 남학생의 진로
한 해석을 내리기 전에 다음과 같은 점을 신중히 자기효능감에는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나, 여학생
생각해 볼 수 있다. 우선 진로스트레스와 부모진 의 진로자기효능감에는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로지지를 함께 고려하여 진로태도성숙을 설명할 않고 있었다. 흥미롭게도 취업압박 스트레스는 여
때, 진로스트레스의 영향이 훨씬 크기 때문에 부 학생이 남학생보다 유의미하게 높게 지각하고 있
모진로지지의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을 수 있다. 는 하위요인이며, 또한 진로스트레스 중 여학생이
진로스트레스의 영향이 부모진로지지의 영향보다 가장 높게 지각하고 있는 요인이었다. 그러나 진
훨씬 크기 때문에, 부모진로지지가 진로태도성숙 로자기효능감에는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생각할 것으로 나타났으며, 따라서 진로스트레스의 하위
수 있다. 또는 우리나라 대학생 대부분의 경우 높 요인에 따라 진로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에 성차
은 부모진로지지를 제공받고 있기 때문에 부모의 가 나타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부
진로지지가 진로스트레스에 대한 중요한 완충요 모진로지지의 진로스트레스와 진로태도성숙에 대
인이 되지 않을 수 있으며, 따라서 조절 효과가 한 조절효과에서는 성차가 나타나지 않았다. 결론
나타나지 않은 것으로 생각해 볼 수 있다. 적으로 진로스트레스 연구에서는 성별에 따른 차
넷째, 성별에 따라 지각하는 진로스트레스의 하 이가 나타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미래
위요인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모든 진 연구에서는 진로스트레스의 지각과 변인들의 관
로스트레스의 하위요인에서 여학생의 점수가 남 계에서 성차가 존재할 수 있음을 고려하여 이를
학생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특히 취업압력 스트레 구체적으로 확인하는 작업들이 이루어져야 할 것
스와 정보부족 스트레스는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이다.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이전의 다음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들을 살펴보면서 후
연구결과(이경주, 1997)와도 일치하는 것으로, 여 속연구에 대한 제안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은 남학생보다 변화에 따른 스트레스에 잘 본 연구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시행되었으며, 따라
적응하지 못하기 때문에, 같은 진로 스트레스를 서 진로스트레스도 대학생의 진로발달 과업에 맞
경험하더라도 진로발달에서 더 부정적인 영향을 추어 정의되었다. 진로스트레스 개념에 대한 정의
받는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특히 여학생의 경우 는 대상이나 발달시기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취업압력 스트레스와 정보부족 스트레스가 남학 진로스트레스를 구성하고 있는 하위요인도 다양
생보다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러 하게 나타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가

- 1475 -
상담학연구

다양한 집단이 가지는 진로스트레스들에 대해서 국대학교.


도 유사한 결과를 나타내는지 확인하기 위한 후 김봉환 (1998). 21세기 진로상담의 방향. 한국진로
속연구들이 필요하다. 이러한 연구들은 진로스트 상담학회지, 3, 1-24.
레스를 명확히 개념화하는데도 도움이 될 것이다. 김설아 (2010). 부모지지와 진로의사결정 유형 및
둘째, 본 연구에서 측정한 변인들만이 아닌 다른 진로성숙도간의 관계. 석사학위논문, 중앙대학
변인들을 포함한 폭넓은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 교 교육대학원.
구에서 측정된 변인만으로는 진로스트레스가 진 김성경 (2003). 대학 신입생의 스트레스와 학교 적
로태도성숙에 미치는 영향을 완전하게 설명할 수 응에 관한 연구. 청소년학 연구, 10(2), 215-
없을 것이다. 따라서 진로스트레스와 진로태도성 237.
숙의 관계에 대한 설명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본 김영상 (2003). 대학생 생활스트레스와 대처방식에
모형에서 확인하지 못한 다른 변인들을 고려한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대구대학교.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선행연구들에 기초하 김은경 (2000). 아동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 및 자아
여 연구모형을 설정하고 이 모형이 경험적 자료 개념과 문제행동과의 관계. 석사학위논문, 연
에 얼마나 적합한지를 분석할 수 있는 구조방정 세대학교.
식 모형(SEM)을 적용한다면 좀 더 타당하고 신뢰 남미숙 (1998). 초등학생의 진로 자아 효능감과 관
롭게 변인들 간의 관계를 구조적으로 파악할 수 련 변인과의 관계연구. 석사학위논문, 건국대
있을 것이다. 셋째, 본 연구에 사용된 측정방법은 학교.
모두 자기 보고식 질문지였기 때문에 객관적인 노미순 (1999). 일반계 고등학교 직업과정 청소년의
실체를 반영하고 있지 않을 가능성도 있다. 따라 진로성숙과 사회적 지지에 관한 연구. 석사학
서 후속 연구들에서는 실제 객관적으로 진로스트 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레스가 높은 집단을 선정하여 연구하는 방법 등 류미화 (2003). 고등학생이 지각한 가정환경과 진로
으로 자기보고식 설문 연구의 한계를 보완할 필 결정 스트레스와의 관계. 석사학위논문, 동아
요가 있다. 넷째, 본 연구는 5개 대학교의 재학생 대학교.
만을 대상으로 표집하였다. 따라서 이 결과를 전 박선희 (2009). 대학생의 진로스트레스와 스트레스
체 대학생이나 일반 청소년으로 확대 해석하는 대처방식이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 석사
것에는 약간의 문제점이 있다고 볼 수 있다. 본 학위논문, 동국대학교.
연구의 결과가 다양한 대학생을 대상으로 하여 박희락 (2009). 대학생의 부적응적 완벽주의를 통한
서도 설명력을 갖는지에 대한 후속연구들이 필 진로태도성숙의 예측: 진로 스트레스 및 스트
요하다. 레스 대처 전략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고
려대학교.
백지숙 (2006). 진로결정상태 유형에 따른 진로미
참고문헌 결정 이유, 진로성숙도와 대학적응. 한국가정
관리학회지, 24(4), 1-10.
강유리 (2006). 무용전공대학생의 취업스트레스가 서유진 (2007). 진로장애와 낙관성이 대학생의 진로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단 결정수준, 진로준비행동, 진로스트레스에 미치

- 1476 -
이상희 / 대학생의 진로스트레스와 진로태도성숙의 관계: 진로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와 부모진로지지의 조절효과

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가톨릭대학교. outcome expectations influence career exploration


여성구 (1996). 일반계 고등학교 직업과정 학생들의 and decidedness. Career Development Quarterly, 46,
자아개념과 진로성숙도와의 관계. 석사학위논 179-189.
문, 공주대학교. Burk, R. J., Bristol, J. M., & Rothstein, M. G.
오소제 (2010). 대학생의 진로스트레스와 스트레스 (1995). The role of interpersonal networks in
대처방식이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 석사 women's and men's career development process.
학위논문, 원광대학교.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38, 39-50.
이경주 (1997). 청소년의 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지 Cauce, A. M., Hannan, K., & Sargeant, M. (1992).
및 행동문제. 박사학위논문, 전남대학교. Life stress, social support, and locus of control
이기학 (1997). 고등학생의 진로태도성숙과 심리적 during early adolescence: Interactive Effects.
변인들과의 관계. 박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American Journal of Community Psychology, 20(6),
이상희 (2009). 대학생의 부모 진로지지 척도 개발 787-798.
연구. 상담학연구, 10(3), 1539-1553. Chemers, M. M., Hu, L., & Garcia, B. F. (2001).
이은경 (2001). 자기효능감이 진로발달에 미치는 영 Academic self-efficacy and first year college
향. 박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student performance and adjustment. Journal of
이은진 (2001). 다재다능한 대학생을 위한 진로 집 Educational Psychology, 93(1), 55-64.
단 상담 프로그램의 효과. 박사학위논문, 연세 Cohen, S., & Syme, S. L. (1985). Social Support and
대학교. Health. San Diego: Academic Press.
이현림, 김순미, 천미숙, 최숙경 (2008). 대학생의 Dix, J. E., & Savickas, M. L. (1995). Establishing a
진로장벽 지각, 진로스트레스, 진로발달 및 Career: Developmental Tasks and Coping
진로 준비행동에 관한 구조적 관계 분석. 진 Responses.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47(1), 93
로교육연구, 21(4), 59-80. -107
정은이 (2007). 대학생의 일상적 창의성 및 생활 Eccles, J. (l994). Understanding women's educational
스트레스가 진로미결정에 미치는 영향. 교육 and occupational choices: Applying the model of
방법 연구, 19(2), 143-162. achievement-related choices. Psychology of Women
조아미 (2005). 청소년의 스트레스와 학업성취의 Quarterly, 18, 585-609.
관계에 대한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교육학 Furman, W., & Buhrmester, D. (1992). Age and sex
연구, 43(3), 137-155. differences in perceptions of networks of personal
Astin, A. S. (1984). The meaning of work in women's relationships. Child Development, 63(1), 103-115.
lives: A sociopsychological model of career choice Flores, L. Y., & O'Brien, K. M. (2002). The career
and work behavior. The Counseling Psychologist, 12, development of Mexican American adolescent
117-126. women: A test of the social cognitive career
Bandura, A. (1997). Self-efficacy: The Exercise of Control. theory.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49, 14-27.
New York: Freeman. Furman, W., & Buhrmester, D. (1985). Children's
Betz, N. E., & Voyten, K. K. (1997). Efficacy and perceptions of the personal relationships in their

- 1477 -
상담학연구

social networks. Developmental Psychology, 21(6), Sepich, R. T. (1987). A review of the correlates and
1016-1024. measurements of career indecision. Journal of Career
Gore, S. & Eckenrode, J. (1994). “Context and Process Development, 14(1), 8-23.
in Research on Risk and Resilience”. In Haggerty, Shartrand, A., Kreider, H., & Erickson-Warfield, M.
R. J., sherrod, L. R., Germezy, N., & Rutter, M. (1994). Preparing Teachers to Involve Parents: A
(Eds), Stress, Risk and Resilience in Children and National Survey of Teacher Education Programs.
Adolescents (pp.19-63). New York.: Cambridge Cambridge, MA: Harvard Family Research Project.
University Press. Taveira, M. D. C., Silva, M. C. Rodriguez, M. L. &
Hackett, G., & Betz, N. E. (1981). Self efficacy to Maia, J. (1998). Individual characteristics and
the career development of women. Journal of career exploration in adolescence. British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18, 326-339. Guidance & Counselling, 26(1), 89-104.
Jimmieson, N. L. (2000). Employee reactions to Taylor, K. M., & Betz, N. E. (1983). Applications of
behavioral control under conditions of stress: the self-efficacy theory to the understanding and
moderating role of self-efficacy. Work & Stress: an treatment of career indecision. Journal of Vocational
International Journal of Work, Health & Behavior, 22, 63-81.
Organisations, 14(3), 262-280. Treharne, G. J., Lyons, A. C., & Tupling, R. E.
Karasek, R., & Theorell, T. (1990). Healthy work: (2001). The effects of optimism, pessimism, social
Stress, Productivity, and Reconstruction of Working support, and mood on the lagged relationship
Life. New York: Basic Book. between daily stress and symptoms. Current
Lent, R. W., Brown, S. D., Brenner, B., Chopra, S. research in social psychology, 7(5), 60-81.
B., Davis, T., Talleyrand, R., & Suthakaran, V. Trusty, J. (1996). Counseling for dropout prevention:
(2001). The role of contextual supports and Applications from multicultural counseling. Journal
barriers in the choice of math/science educational of Multicultural Counseling and Development, 24(2),
options: A test of social cognitive hypotheses. 105-117.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48, 474-483. Turner, S L., Alliman-Brisett, A., Lapan, R. T., Udipi,
Litt, M. D. (1988). Cognitive mediators of stressful S. J., & Ergun, D.(2003). The career-related
experience: Self-efficacy and perceived control. parent support scale. Measurement and Evaluation in
Cognitive Therapy and Research. 12(3), 241-260. Counseling and Development, 36, 83-94.
London, M. (1997). Overcoming career barriers: A Wheaton, B. (1985). Models for the stress-buffering
model of cognitive and emotional processes for functions of coping resources. Journal of Health &
realistic appraisal and constructive coping. Journal Social Behavior, 26, 352-364.
of Career Development, 24(1), 25-38.
Rosenthal, B. S. (1995). The influence of social 원고 접수일 : 2012. 4. 15.
support on school completion among Haitians. 수정원고 접수일 : 2012. 6. 3.
Social Work in Education, 17, 30-39. 게재 결정일 : 2012. 6. 15.

- 1478 -
상 담 학 연 구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2012, Vol. 13, No. 3, 1461-1479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Stress and Career Attitude Maturity:


the Effects of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Parent-Related Career Support

Lee, Sang-Hee
Kwangwoon university

This study examined how career stress,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parent-related career support
relate to career attitude maturity. A total of 427 college students(male 253, female 174)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 survey included questionnaires of career stress, patent-related career support,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CDMSE), and career attitude maturity. The results showed the followings. First, for male and female
groups, employment pressure and external conflict stress had significant effects on career attitude maturity, and
only for female group, laking information stress had significant effect on career attitude maturity. Second, the
partial mediating effects of CDMSE between career stress(ca]reer ambiguity, laking information, external conflict)
and career attitude maturity were significant for male and female groups, but employment pressure stress, only
for male group. Third, the results did not support the hypothesis that parent-related career support variable
would moderate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stress and career attitude maturity variables. Lastly, these results
included differences by gender. Limitations of the present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Key words : career stress,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parent-related career support, career attitude maturity.

- 1479 -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