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48

『자살실태조사』

통계정보보고서

2019. 12.

본 이용자용 통계정보보고서는 정기통계품질진단 수행과정에서 통계작성기관이 작성한


보고서로 작성기준 시점에 따라 현재의 통계작성 정보와 다소 차이가 날 수 있습니다.
<차
<차 례>
례>

Ⅰ. 조사개요 ·········································································································· 1

Ⅱ. 통계의 작성목적 및 이용 ············································································ 5

Ⅲ. 조사설계 ·········································································································· 7

Ⅳ. 자료수집 ······································································································· 19

Ⅴ. 자료처리 ······································································································· 28

Ⅵ. 통계추정 및 분석 ······················································································· 31

Ⅶ. 통계공표, 관리 및 이용자서비스 ···························································· 36

Ⅷ. 통계기반 및 개선 ······················································································· 42

Ⅸ. 참고문헌 ······································································································· 44
◆ 보고서 개요 ◆

이 보고서는 자살실태조사 통계를 생산하기 위하여 보건복지부 자살예방정책과,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한국리서치에서 수행하는 업무를 설명한 것이다. 보고서의 작성
목적은 조사의 배경, 연혁, 조사에서 사용되는 개념과 방법론 등에 대하여 심층적으로
알고자 하는 통계작성 담당자 (통계 전문이용자 , 품질진단자 또는 승인담당자 )에게
통계과정 전반에 대한 포괄적이고 상세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다. 여기에는 조사표
개발, 표본설계, 자료수집, 자료 입력 및 처리, 통계추정 및 분석, 통계공표 ․관리 및
이용자서비스, 통계기반 및 개선 등에 대한 설명이 수록되어 있다.
Ⅰ. 조사개요

1. 통 계 명
자살실태조사

2. 법적근거
○ 자살예방 및 생명존중문화 조성을 위한 법률 제11조 및 동법 시행령 제6조에 의한 지정통계
- 승인번호: 자살실태조사 제117094호
※ 자살예방 및 생명존중문화 조성을 위한 법률(약칭: 자살예방법) 제3장 제11조
- ①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는 자살실태를 파악하고 자살예방을 위한 서비스의 욕구와
수요를 파악하기 위하여 5년마다 자살실태조사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반영해야 한다
- ② 제1항에 따른 자살실태조사는 다음 각 호의 사항이 포함되어야 한다
1. 성별·나이·학력·혼인 및 취업 상태 등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관한 사항
2. 자살에 관한 생각, 자살을 시도한 횟수 등 조사대상자의 자살 위험요인에 관한 사항
3. 신문·방송 및 인터넷 등 언론의 자살보도가 자살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사항
4. 그 밖에 자살실태 및 자살예방을 위한 서비스의 욕구와 수요를 파악하기 위하여 필요한 사항
- ③ 제1항 및 제2항에 따른 자살실태조사의 실시, 결과발표, 조사내용 등에 관하여
필요한 사항은 대통령령으로 정한다
※ 자살예방 및 생명존중문화 조성을 위한 법률 시행령
제6조(자살실태조사의 실시 등)
- ① 법 제11조제1항에 따라 보건복지부장관은 전국을 대상으로 자살실태조사를 실시하고,
시ㆍ도지사는 필요한 경우에 관할 지역을 대상으로 자살실태조사를 실시한다
- ② 보건복지부장관은 자살실태조사의 결과를 보건복지부 인터넷 홈페이지 등에 게재하는
방법으로 발표한다
- ③ 보건복지부장관 및 시ㆍ도지사는 자살률 증가 등의 사유로 추가적인 조사가 필요한
경우에는 법 제11조제2항 각 호의 사항의 전부 또는 일부에 대하여 임시조사를 실시하여
제1항의 자살실태조사를 보완할 수 있다 <개정 2019. 6. 11.>
- ④ 보건복지부장관 및 시ㆍ도지사는 자살 시도의 원인 등을 파악하기 위하여 필요한
경우에는 제1항 및 제3항에 따른 자살실태조사 외에 자살시도자와 그 가족 또는 자살자의
유족(이하 "자살시도자등"이라 한다)에 대한 자살실태조사를 실시할 수 있다. 이 경우
미리 자살시도자등의 동의를 받아야 한다 <개정 2019. 6. 11.>
- ⑤ 보건복지부장관 및 시ㆍ도지사는 자살실태조사와 관련하여 수집한 자료를 목적 외의
용도로 사용해서는 아니 된다

3. 조사방법
○ 조사담당자가 대상 가구를 직접 방문하여 면접조사 실시
- 조사담당자: 리서치전문업체인 한국리서치 소속 조사원으로 본 조사에 대한 교육과정을 이수한 자
- 1 -
4. 통계작성기관/부서명
○ 보건복지부 건강정책국 자살예방정책과
5. 조사 및 공표주기
○ 조사 및 공표주기: 5년

- 2 -
6. 통계작성과정 개관
• 연구용역 발주 및 수행기관 선정(2018년 6월 ~ 8월)
- 2018 자살실태조사 연구용역 발주(보건복지부 자살예방정책과)
연구기관 선정
- 연구용역 수행기관으로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선정
- 조사수행업체로 한국리서치 선정

• 조사표 개발 및 통계작성 변경 승인(2018년 8월 ~ 9월)
- 2013년 조사표에 대한 검토 및 신규 조사항목에 대한 의견수렴
조사설계 - 2018년 조사표 확정 및 통계작성 변경승인 취득
• 모집단 및 표본추출방법, 조사수행방법 및 질관리 방법 설계
(2018년 9월)

• 표본 추출(2018년 10월)
- 표본조사구 및 표본가구 추출
조사준비 • 조사원 교육(2018년 10월)
- 설문문항, 질문방법, 기록방법 교육 - 복장 및 준비용품, 면접시도
방법, 면접종료 절차, 보고에 대한 교육

• 본 조사(2018년 11월 21일 ~ 12월 17일)
- 표본가구를 방문하여 구가 내 만 19~75세 성인 중 1명을 조사
- 4회 방문시에도 조사가 불가능한 경우 사유를 기록하고, 정해진 접촉
조사실시
순서에 따라 인접한 대체가구를 접촉하여 조사 실시
• 실사지도(2018년 11월 21일 ~ 12월 17일)
- 본 조사 시 발생하는 제반 문제점에 대해 해결지침 제시

• 자료검증 및 질 관리(2018년 11월 21일 ~ 12월)


- 슈퍼바이저가 완료된 설문지의 누락 및 에러를 100% 점검
- 조사원별 완료 분수의 30%에 대한 전화 검증 실시, 허위기재 및 조작
자료처리 발견 시 해당 조사원이 조사한 설문지 전부를 폐기하고 재조사 실시
• 전산입력(2018년 11월 26일 ~ 2019년 1월)
- 자료 전산입력 및 데이터 클리닝
- 가중치 산정


• 자료분석 및 보고서 작성(2019년 1월 ~ 5월)
- 조사대상자 특성에 따른 조사항목 응답률 분석
분석 및 공표
- 자살에 대한 태도 심층분석
• 통계공표(2019년 9월)

통계관리 및
• 보도자료, 보고서 업로드(2019년 9월 요청)
이용자 서비스

- 3 -
7. 조사연혁
□ 최초 개발시기 및 개발배경
○ 자살예방 및 생명존중문화 조성을 위한 법률 제11조에 국가의 자살실태조사(5년마다 한 번)
의무를 명시, 2013년 자살률 증가의 요인에 대하여 뚜렷한 정책적 기반이 될 수 있는
자살실태조사가 전국민을 대상으로 최초로 시행
○ 세계적으로 높은 자살률에도 불구하고 자살 관련 통계가 사망원인통계, 정신질환실태
역학조사, 국민건강영양조사, 지역사회건강조사, 청소년건강행태조사 등의 자료에 부분적으로
의존하고 있는 상황이었음
- 기존 연구들의 한계점을 보완, 극복하여 자살에 대한 다각적이고 통합적 이해를 제공하고,
전국적인 대규모 표본조사를 통해 한국 자살문제의 특성을 밝히는 대표성 있는 자료를
생산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조사 실시

□ 조사연혁
○ 2013년: 2013 자살실태조사 실시
○ 2018년: 2018 자살실태조사 실시
- 문항 추가: 향후 정책 수립 및 운영의 근거자료 확보를 위해 2013년 조사문항에 다음의
문항들을 추가
① 미디어 관련 항목 중 자살 영상물에 대한 대중의 인식을 파악하기 위한 문항
② 공공 자살예방 자원에 대한 인식을 파악하기 위한 문항
③ 주변인 중 자살사망자가 존재할 경우 그 시기를 파악하기 위한 문항
- 위치 변경: 응답자의 심리적 저항감을 줄이기 위해 행복감, 건강상태 등에 관한 문항을
전반부에 배치
- 보기 수정: 조사결과의 활용도 제고를 위해 일부 문항의 응답보기를 타 조사의 분류와
일치시킴
- 통계청 변경승인일자: 2018년 9월 28일

- 4 -
Ⅱ. 통계의 작성목적 및 이용

1. 통계의 작성목적
□ 통계작성 목적
○ 우리나라 국민들의 자살에 대한 태도와 인식을 파악함으로써 실효성 있는 자살예방정책의
수립과 자살예방 관련 연구, 사업 기획, 평가를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함

□ 주된 활용분야(활용기관 등)
○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의 자살예방정책 수립 및 추진을 위한 기초자료
○ 국가 자살예방정책 및 사업의 효과성 평가를 위한 기초자료
○ 민-관 협력 자살예방사업 기획과 수행을 위한 기초자료
○ 자살예방 관련 연구의 분석대상 또는 근거자료
□ 관련 통계에 대한 사전 검토
○ 이란 쿠르드족 1000명을 대상으로 자살에 대한 태도를 조사 (Mofidi et al., 2008)
- 저학력층에서 자살에 대해서 좀 더 수용적
- 여성, 저연령층이 좀 더 자살을 예방가능하다고 인식
○ 슬로베니아 청소년 423명을 대상으로 자살에 대한 태도를 조사 (Arnautovska & Grad. 2010)
- 여자 청소년들이 남자보다 자살에 대해 더 허용적 태도
- 허용적 태도의 정도와 자살 위험 요소가 양의 연관성을 보임
○ 일본 사회복지사 842명을 대상으로 자살에 대한 태도를 조사 (Kodaka et al., 2013)
- 자살 사고가 있었던 사람에게서 자살을 ‘권리’라고 인식하는 정도가 높음
- 자살에 대한 태도를 다룬 적이 없는 기존의 자살 예방 훈련을 받은 적이 있더라도
자살에 대한 허용적인 태도를 변화시키지 못 함.
○ 노르웨이, 스웨덴, 러시아에서 자살에 대한 태도를 조사하여 자살 행동과 관련성 연구
(Renberg et al., 2008)
- 구조방정식을 통해 분석한 태도와 자살 행동과의 연관성 모델이 나라마다 상이함
- 자살에 대한 태도가 자살에 미치는 영향이 사회문화적 요인에 매개됨을 시사
○ 국내 정신건강의학과 전공의를 대상으로 자살에 대한 태도를 조사 (이경린 등, 2015)
- 전공의들은 대체적으로 자살에 대해서 허용적이지 않으며 덜 금기적으로 여김
- 연차가 높을수록 자살을 예방 가능한 것으로 보지만 전체적으로 그 정도는 낮음
○ 국내 청소년을 대상으로 자살에 대한 태도를 조사 (이경은, 2016)
- 자살에 대한 태도 중 자살의 과거력, 자살의 이해도, 사회적 지지의 측면이 우울증상
의 정도와 유의한 상관관계
- 국내 청소년을 대상으로 ATTS의 구성 타당도는 높은 편
○ 2013년 국내 자살실태조사 자료를 바탕으로 자살 사고의 유무에 따른 자살에 대한
태도를 비교 (박종익 등, 2019)

- 5 -
- 자살 시도를 한 적이 있는 사람에서 자살에 대해 허용적인 태도가 높음
- 자살 시도가 자살에 대한 태도를 변화시킴을 시사하며 자살에 대한 태도가 자살 예방
프로그램에 반드시 포함되어야 함을 주지

2. 주요 이용자 및 용도
○ 보건복지부: 자살예방정책 수립 및 추진, 평가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
○ 유관부처 및 산하기관: 자살 관련 정책 개발 및 연구과제 개발 시 참고자료로 활용
○ 자살예방사업 수행기관: 자살예방사업이나 프로그램 기획 시 방향성 설정과 주요 콘텐츠
개발에 활용
○ 학계 및 연구단체: 관련 연구용역 및 논문 작성 시 참고자료로 활용
○ 학생: 학위 논문이나 학술지 논문 작성 시 참고자료, 또는 분석대상으로 활용
○ 일반국민: 자살실태조사 결과에 대한 보도자료 또는 교육을 통해 우리나라 국민들의
자살에 대한 태도와 인식 현황을 파악, 자살예방에 대한 관심을 갖게 되는 기회로 활용

3. 이용자 의견수렴
□ 자살실태조사 조사항목에 대한 의견수렴
○ 대상: 자살예방 전문 연구자, 자살예방사업 수행기관 실무자
- 자살예방 전문 연구자(6명): 정신의학 교수, 사회복지학 교수, 사회학 교수 등
- 자살예방사업 수행기관 실무자(10명): 자살예방교육, 지자체 자살예방사업 컨설팅, 자살
수단 통제, 자살예방 관련 미디어 관리, 자살시도자 관리 등 다양한 사업 분야의 실무자
○ 요구반영 결과
- 응답자의 심리적 저항감을 줄이기 위해 행복감, 건강상태 등에 관한 문항을 설문 전반부에 배치
- 미디어 분야의 폭발적 성장과 영향력을 고려하여 미디어 관련 문항을 존치하고, 이에
더하여 자살 관련 영상물에 대한 대중의 인식을 파악하기 위한 문항 추가
- 현존하는 자살예방 자원에 대한 국민들의 인지도와 이용 의사를 파악하고, 국가 차원의
자살시도자 관리를 위한 개인정보 보호의 예외 인정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는 문항 추가
- 주변인의 자살사망, 자살시도 시기의 영향력을 파악하기 위해 주변인 중 자살사망자,
자살시도자가 존재할 경우 그 시기에 대한 문항 추가
- 조사결과의 활용도 제고를 위해 응답보기를 고용노동부의 표준직업분류, 국민건강영양
조사의 가구구성 응답범주, 한국복지패널의 교육수준 응답범주로 수정
○ 보건복지부 : 2013년도 결과와 비교할 수 있도록 기준을 마련하고 향후 같은 조사 시
기초자료로 활용
○ 학계 및 자살실태 관련 연구 단체 : 세부항목별 각각의 비교 보다는 요인분석을 통한
차원분석을 통해 기준 마련
- 자살에 대한 태도 설문(ATTS)의 원저자의 권고로 10개의 차원으로 분류 및 총 37개의
문항 중 32개의 문항만 분석에 활용
- 32개의 문항 중 원저자의 의도대로 해당되는 특정 문항 2개는 역점수로 계산

- 6 -
Ⅲ. 조사설계

1. 조사내용 및 조사표 설계
1-1. 조사 항목
□ 주요 개념 및 항목별 정의
○ 자살 : 스스로 자기 목숨을 끊는 것을 말함
WHO(1968)에서는 자살을 ‘치명적인 결과를 초래하는 자해행위’라고 정의
○ 자살률 : 인구 10만 명단 자살사망자 수
○ ATTS(Attitudes towards suicide) 척도
- ATTS는 Renberg와 Jacobsson(2003)이 스웨덴에서 두 개의 대규모 전집을 통해 개발한
자살태도를 측정하는 질문지이다. ATTS는 자살태도 분야의 전문지식과 더불어 부분적
으로는 Suicide Opinion Questionnarie (SOQ)와 Suicide Attitude Questionnaire (SUIATT)
에 기반하여 구성되었다. 초기에는 20문항 버전으로 개발되었으나 최근에는 37문항
버전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2013년 자살실태조사 연구자가 우리말로
번역한 ATTS를 동일하게 사용하였다. 본래 ATTS 중 자살에 대한 태도와 관련된 문항
은 모두 40개로 이루어져 있으며 크게 세 부분으로 구성되는데 첫 번째는 가족이나
지인의 자살 관련 행동에 대한 평가를 포함하고, 다음 부분에서는 37문항으로 자살태도
를 측정한다. 세 번째는 응답자 개인에 대한 3개의 질문을 포함하지만 본 연구에서는
마지막 부분을 제외하였다. 원척도의 문항 형식은 Likert 5점 척도로 ‘매우 동의하지
않음’의 1점에서 ‘매우 동의함’ 5점까지로 점수화된다. 이전 연구와 마찬가지로
Renberg와 Jacobsson(2003)의 분류에 따라 10개의 상위차원으로 ATTS 문항을 나누었으나
본 연구에서는 원저자의 자문을 받아 총 32개의 문항을 분석에 사용하였고 가장 최근
버전(2016)의 점수화 방식대로 4번과 6번은 역으로 점수화하여 합산하였다

- 7 -
□ 조사항목 체계 (제1세부 과제)
부 문 조 사 항 목
대상자 생활 관련 • 행복도 • 신체건강상태 •정신건강상태
• 주변인 중 자살한 사람, 자살시기
주변인의 자살 및 • 주변인 중 자살을 시도한 사람, 자살시도 시기
자살노출 영향 • 주변인 중 자살을 생각하거나 계획했던 사람
• 주변인 중 현재 자살을 생각하고 있는 사람
자살에 대한 태도 • ATTS(Attitudes towards suicide) 척도
• 자살사건 보도의 영향 인식과 자살사건 보도에 대한 평가
미디어 관련
• 영상물의 자살표현 영향 인식과 영상물 자살표현에 대한 평가
• 자살생각 경험 및 그 이유
• 자살생각 문제로 인한 전문가 상담 경험과 추후 이용의사
자살행동 관련
• 자살계획 경험
• 자살시도 경험
자살예방 자원에 • 자살예방 방문상담기관 인지도 및 추후 이용의사
대한 인식 • 자살예방 전화상담기관 인지도 및 추후 이용의사
• 자살시도자를 보호하기 위해 개인 동의를 받지 않고 자살예방관리를
국가 차원의
할 수 있는 예외인정에 대한 의견
자살예방관리사업에
• 개인 동의를 받지 않고 시행할 수 있는 국가 차원의 자살예방 관리
대한 인식
영역에 대한 의견
• 거주 지역 • 성별 • 연령 • 혼인상태
기본 인구학적 정보 • 교육정도 • 종교 • 직업 • 가구구성현황
• 월평균 가구소득

□ 조사항목별 조사목적
○ 대상자 생활 관련
- 대상자의 행복도 및 신체적 정신적 건강상태가 자살 관련 태도 및 인식, 자살행동과
어떠한 관련성을 갖는지 파악하기 위함
○ 주변인의 자살 및 자살노출 영향
- 주변인의 자살행동과 그 시기가 대상자의 자살행동, 자살 관련 태도 및 인식과 어떠한
관련성을 갖는지 파악함으로써 자살생존자들을 위한 정책적 지원과 프로그램 개발의
필요성 및 방향 설정의 근거자료를 마련하고자 함
○ 자살에 대한 태도
- 자살에 대한 수용적 태도, 자살에 대한 거부적 태도, 자살에 대한 인식 부족, 자살에
대한 예방인식, 자살에 대한 금기적 태도, 자살의 보편화 경향, 자살에 대한 결정과정,
자살 동기에 대한 유추, 자살예방의 준비성, 합리적 선택으로 분류되는 37개 문항에
대한 응답을 통해 우리나라 국민들의 자살에 대한 태도를 파악하고, 2013년 조사결과
와의 비교를 통해 변화를 점검함. 이를 통해 자살예방정책 및 사업의 성과와 한계를
파악하고 대처방안을 마련하고자 함

- 8 -
○ 미디어 관련
- 유명인의 자살이나 비슷한 처지의 사람이 자살한 사건에 대한 보도는 자살충동을 느끼고
있는 사람들에게 심각한 촉발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음. 또한 미디어 채널의 다양화와
폭발적 성장으로 인해 신문기사나 방송기사 이외의 미디어에서 자살 장면의 묘사가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음에 주목하여 이에 대한 국민들의 인식을 파악함으로써
향후 정책적 개입의 수립을 위한 근거자료로 활용하고자 함
○ 자살행동 관련
- 일반 국민을 대표하는 표본에서의 자살행동 발생빈도를 파악하고, 자살행동에 따른
전문가 도움 이용현황과 추후 이용의사 등을 확인하고자 함. 이와 함께 대표적인 자살
행동인 자살생각과 자살 관련 태도 및 인식, 인구사회학적 특성의 관련성을 파악함으로써
자살예방정책 수립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함
○ 자살예방 자원에 대한 인식
- 각종 공공 및 민간 자살예방 자원에 대한 인지도와 이용의사를 파악하여 향후 홍보전략
수립과 인프라 확대의 방향성 설정에 필요한 근거자료로 활용하고자 함
○ 국가 차원의 자살예방관리사업에 대한 인식
- 국가 차원의 자살예방관리사업은 핀란드를 시작으로 유럽 전역으로 확대 시행되고 있으
나, 우리나라의 경우 개인정보보호법으로 인해 자살시도자에게 적극적이고 선제적인 상
담과 지원을 제공할 수 있는 경로가 막혀있는 상황임. 이에 개인정보보호법 제15조 제
1항 제5호에 해당하는 예외사유로서 자살시도자에 대한 생명, 신체 및 재산상 이익을 보호
하기 위해 개인정보동의절차의 예외가 허용될 수 있는지에 대한 일반 국민들의 인
식을 파악하고자 함. 이를 통해 국가 차원의 자살예방관리사업의 추진 방향과 동력을 확인하
고자 함
○ 기본 인구학적 정보
- 자살에 대한 태도 및 인식, 미디어에 대한 인식, 자살행동, 자살예방 자원에 대한 인식,
국가 차원의 자살예방관리사업의 각 조사항목이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어떠한 관련성을
갖는가를 파악함으로써 자살예방정책 및 사업 수립 시 고려해야 할 인구집단 특성을
확인하고자 함

1-2. 적용 분류체계
□ 통계의 수집과 집계에 적용하고 있는 분류체계 개요와 내용
○ 시계열 변화를 확인하기 위해 ‘2013 자살실태조사’의 조사항목과 구조전반 대부분을 적용함
○ 국제적 비교가 가능하도록 자살에 대한 태도는 해외에서도 널리 활용되고 있는
‘ATTS(Attitudes towards Suicide’(Rengerg & Jacobsson, 2003; Renberg, 2011) 척도를 적용함
○ 응답자의 직업은 통계청의 ‘한국표준직업분류’를 적용함
○ 응답자의 가족구성현황은 보건복지부에서 실시하는 타 조사들과 일치시키고, 분석과정에서
다양한 활용이 가능하도록 자세한 정보를 담은 국민건강영양조사의 응답범주를 적용함
○ 응답자의 교육수준 역시 보건복지부에서 실시하는 타 조사들과 일치시키고, 분석과정
에서 다양한 활용이 가능하도록 자세한 정보를 담은 한국복지패널의 응답범주를 적용함
- 9 -
1-3. 조사표 구성
□ 조사항목 구성을 위한 전문가 회의
- 조사표 개발 및 통계작성 변경 승인(2018년 8월 ~ 9월)
- 2013년 조사표에 대한 검토 및 신규 조사항목에 대한 내·외부 의견수렴
- 2018년 조사표 확정 및 통계작성 변경승인 취득
- 전문가 회의 개최 및 결과
○ 기존 조사항목에 대한 검토
- 연구진이 ‘2013 자살실태조사’의 조사항목을 시계열 비교가능성 및 통계 실용성
차원에서 검토
- 삭제하거나 추가할 항목을 포함한 1차 조사표 가안 설정
○ 조사항목 및 조사표(안)에 대한 의견 수렴
- 방법: 전문가 자문회의, 이메일을 통한 의견서 작성 송부
- 대상: 자살예방 전문 연구자(6명/ 정신의학 교수, 사회복지학 교수, 사회학 교수 등),
자살예방사업 수행기관 실무자(10명/ 자살예방교육, 지자체 자살예방사업 컨설팅, 자살
수단 통제, 자살예방 관련 미디어 관리, 자살시도자 관리 등 다양한 사업 분야의 실무자)
- 시계열 비교가능성 및 통계 활용성을 고려하여 삭제하거나 추가할 조사항목에 대한 의견 수렴
○ 자살과 관련된 조사표 내용의 민감성을 고려하여 표현 순화
○ 자살예방 전문 연구자 및 자살예방사업 수행기관 실무자의 의견을 반영한 최종 조사표 확정
□ 조사표 검토
○ 조사 전 참여 연구진이 년 조사표에서 수정 및 보완할 부분을 전체적으로 검토
2013

- 조사항목 추가/변경/삭제 여부, 항목 위치 변경, 문구의 가독성/명확성 등


- 자살과 관련된 조사표 내용의 민감성을 고려하여 표현 순화

□ 조사항목 배열
○ 응답자의 심리적 저항감을 최소화하기 위해 보다 용이하게 답할 수 있는 행복도, 신체적
건강상태, 정신적 건강상태에 대한 문항을 전반부에 배치함
○ 동일한 맥락에서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대한 문항을 후반부에 배치함
- 특히 가장 민감한 월평균 가구소득에 대한 문항은 범주화하여 응답자가 보다 쉽고 솔직하게
답할 수 있도록 함
○ 해당 분야 조사문항 구성의 경향성에 따라 자살행동을 자살생각 → 자살계획 → 자살시도
순서로 질문함

□ 응답범주 구성
○ 조사결과의 활용도 제고를 위해 응답보기를 고용노동부의 표준직업분류, 국민건강영양자소의
가구구성 응답범주, 한국복지패널의 교육수준 응답범주로 수정

- 10 -
1-4. 조사표 설계 및 변경 절차
□ 조사항목의 선정 및 변경 절차
○ 기존 조사항목에 대한 검토
- 연구진이 ‘2013 자살실태조사’의 조사항목을 시계열 비교가능성 및 통계 실용성 차원에서 검토
- 삭제하거나 추가할 항목을 포함한 1차 조사표 가안 설정
○ 조사항목 및 조사표(안)에 대한 의견 수렴
- 방법: 전문가 자문회의, 이메일을 통한 의견서 작성 송부
- 대상: 자살예방 전문 연구자(6명/ 정신의학 교수, 사회복지학 교수, 사회학 교수 등), 자살
예방사업 수행기관 실무자(10명/ 자살예방교육, 지자체 자살예방사업 컨설팅, 자살수단
통제, 자살예방 관련 미디어 관리, 자살시도자 관리 등 다양한 사업 분야의 실무자)
- 시계열 비교가능성 및 통계 활용성을 고려하여 삭제하거나 추가할 조사항목에 대한 의견 수렴
○ 자살예방 전문 연구자 및 자살예방사업 수행기관 실무자의 의견을 반영한 최종 조사표 확정
1-5. 조사표 변경이력
□ 조사표 변경 사항
○ 2018년 9월(통계청 변경승인 취득 2018년 9월 28일)
영역 변경 전 변경 후 사유
응답자의 심리적 저항감
을 최소화하기 위해 보
대상자 생활
다섯 번째 부문으로 배치 첫 번째 부문으로 배치 다 용이하게 답할 수 있
관련
는 본 문항들을 전반부
에 배치
- 주변인 중 자살한 사
주변인의 람이 있을 경우 그 주변인의 자살사망, 자
자살 및 시기 살시도 시기의 영향력
없음
자살노출 - 자살시도를 한 사람 의 파악하기 위해 문항
영향 이 있을 경우 그 시 추가
기에 대한 문항 추가
미디어 채널의 다양화와
폭발적 성장으로 인해
신문기사나 방송기사 이
영상물의 자살표현 영
외의 미디어에서 자살
향 인식과 영상물 자살
미디어 관련 없음 장면의 묘사가 사회적
표현에 대한 평가 문항
문제로 대두되고 있음에
추가
주목하여 이에 대한 국
민들의 인식을 파악하는
문항 추가
- 11 -
- 자살예방 방문상
자살예방자원에 대한 홍
담기관 인지도 및 추
자살예방 보전략 수립과 인프라
후 이용의사
자원에 대한 없음 확대의 방향성 설정에
- 자살예방 전화상
인식 활용하기 위해 해당 문
담기관 인지도 및 추
항 추가
후 이용의사

- 자살시도자를 보
호하기 위해 개인동
국가 차원의 의 예외인정에 대한 국가 차원의 자살예방관
자살예방관리 의견 리사업의 추진 방향과
없음
사업에 대한 - 개인 동의 없이 동력 현황을 파악하기
인식 시행할 수 있는 국가 위해 해당 문항 추가
차원의 관리 영역에
대한 의견

① 관리자
①농업, 어업, 임업 종사자
② 전문가 및 관련 종사자
② 자영업
③ 사무 종사자
③ 서비스직 종사자 및 판매,
④ 서비스 종사자
영업직 종사자
⑤ 판매 종사자
④ 기능직 및 생산직 근로자
⑥ 농림어업 숙련 종사자
⑤ 단순노무자 조사결과의 활용도 제
⑦ 기능원 및 관련 기능
⑥ 고위 공직자, 고위 임직원
종사자 고를 위해 응답범주를
직업 및 관리자
⑧ 장치‧기계 조작 및 조립 고용노동부 표준직업분
⑦ 전문직
종사자
⑧ 기술직 및 준전문직 류에 맞춰 수정
⑨ 단순노무종사자
⑨ 일반 사무직
⑩ 군인
⑩ 주부
⑪ 주부
⑪ 학생
⑫ 학생
⑫ 무직/퇴직
⑬ 무직/퇴직
⑬ 기타
⑭ 기타
1세대
① 1인 가구
동거인 모두 선택 ② 부부

① 혼자 ③ 부부+미혼 형제자매 조사결과의 활용도 제


④ 응답자+미혼 형제자매
② 부모 고를 위해 응답범주를
가구구성현황 ⑤ 부부+기타 친인척
③ 배우자/애인 ⑥ 응답자+기타 친인척
국민건강영양조사 응답
④ 자녀 ⑦ 기타: 상기를 제외한 모 범주에 맞춰 수정
⑤ 기타 든 1세대 가구
2세대
⑧ 부부+미혼자녀

- 12 -
⑨ 편부+미혼자녀
⑩ 편모+미혼자녀
⑪ 부부+양친
⑫ 부부+편부/편모
⑬ 부부+자녀+부부의 형제
또는 자매
⑭ 조부모+미혼 손자녀
⑮ 편조부/편조모+미혼 손
자녀
⑯ 기타: 상기를 제외한 모
든 2세대 가구
3세대
⑰ 부부+미혼자녀+양친
⑱부부+미혼자녀+편부/편모
⑲ 기타: 상기를 제외한 모
든 3세대 이상 가구
정규교육
 안 받았음
① 초등학교
② 중학교
③ 고등학교
④ 대학(4년제 미만) 조사결과의 활용도 제
① 중학교 졸업 이하 ⑤ 대학교(4년제 이상)
고를 위해 응답범주를
교육정도 ② 고등학교 졸업 ⑥ 대학원 석사과정
③ 대학졸업 이상 ⑦ 대학원 박사과정
한국복지패널 응답범주
교육과정 이수여부 에 맞춰 수정
① 졸업
② 재학
③ 수료
④ 휴학
⑤ 중퇴

□ 조사표 변경 이력
○ 연구진 회의 결과를 반영하여 기존 조사표의 틀을 벗어나지 않는 선에서 일부 변경
- 문항 추가 : 미디어 관련 항목 중 자살 영상물에 대한 대중의 인식을 파악하기 위한
문항, 공공 자살예방 자원에 대한 인식을 파악하기 위한 문항 등을 추가하여 향후 정책
수립 및 운영의 근거자료를 확보
- 보조 문항 추가 : 자살 노출 기간에 따른 영향을 파악하고자 주변인 중 자살사망자가
존재할 경우 시기 문항 추가
- 위치 변경 : 응답자의 심리적 저항감을 줄이기 위해 행복감 및 건강상태 등을 전반부에 배치
- 보기 수정 : 조사 결과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 직업은 통계청 한국표준직업분류와,
가족구성은 보건복지부의 타 조사와 일치시킴
* (변경승인일자) 2018.9.28
- 13 -
1-6. 응답 소요시간
□ 조사표 응답 소요시간 점검
○ 조사 시작 전 조사원을 대상으로 자기기입식 설문 작성을 통해 응답 소요시간을 점검하고
일반인의 이해 수준을 파악함
- 응답 시간은 평균 20분 가량 소요되는 것을 확인함

2. 모집단 및 표본틀
2-1. 목표모집단과 조사모집단
□ 목표모집단
○ 조사시점 현재 대한민국에 거주하는 모든 가구 내 만 19세 이상 75세 이하의 성인
□ 조사모집단
○ 2016년 인구주택총조사 상의 섬, 기숙시설, 특수사회시설, 관황호텔 및 외국인 조사구를
제외한 일반 조사구 및 아파트 조사구 내 가구에 거주하는 만 19세 이상 75세 이하의 성인
- 가족이 아닌 6인 이상 가구, 집단시설 가구(기숙사, 양로원, 보육원 등 사회시설),
외국인으로만 구성된 가구는 조사모집단에서 제외함
- 한국인과 외국인이 함께 사는 가구(다문화가구)는 ‘일반가구’에 해당하여 조사모집단에 포함됨
- 다가구 주택의 경우는 하나의 주택에 여러 가구가 거주하지만 독립가구를 이루고 있기 때문에
별도의 가구로 간주

□ 목표모집단과 조사모집단의 차이
○ 이용 가능한 정보의 수준이 제한되어 있는 조사의 현실적 측면을 고려하여 조사모집단을 규정함
2-2. 표본추출틀(표본조사)
□ 표본추출틀
○ 2016년 인구주택총조사 조사구 중 보통조사구와 아파트 조사구 리스트를 표본추출틀로 활용
□ 표본추출틀 출처
○ 통계명: 「인구주택총조사」
○ 작성 기관: 통계청
○ 작성 연도: 2016년
□ 표본추출틀 선정 사유
○ 인구주택총조사는 우리나라의 모든 인구와 주택의 총 수는 물론 나이, 지역, 소득 등 가구 및
인구특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어 각종 경제사회 발전계획 수립 및 평가와 학술연구
등에 일반적으로 활용되는 표본추출틀임
○ 표본설계 시점에서 활용할 수 있는 최신 표본추출틀 정보가 2016년 기준 인구주택총조사
- 14 -
조사구 리스트였기 때문에 해당 정보를 사용함
- 다만 표본설계 단계에서는 최신인 2017년 인구주택총조사 결과를 모집단 현황 분석에 활용함

3. 표본설계 및 관리(표본조사)
3-1. 표본설계 방법 및 결과
□ 표본설계 방법
○ 표본 규모 산정
- 본 조사의 표본 크기는 1,500명이며, 전국에서 150개 표본 조사구를 추출하고 각 표본 조
사구로부터 10가구의 표본 가구를 조사하여 해당 가구 내 만 19 ∼75세 성인 중 한 명을
조사하는 것을 원칙으로 함
- 인구주택총조사 조사구를 1차 추출단위로 하는 통계청 사회조사에서 집락 내 상관계수
는 대개 0.03~0.05 사이의 값을 가지므로 본 조사에 대한 설계효과1)는 1.27~1.45 사이의
값을 갖게 될 것으로 예상되며, 이 값을 기초로 계산된 모비율 추정에 대한 95% 신뢰
수준의 최대 허용오차 한계는 약 3.1%p임
<2013년 조사 주요 변수에 대한 설계효과 현황>
분석 결과
조사항목
비율 추정값 95% 오차의 한계 설계효과
현재까지 자살계획 비율2) 5.3% 1.16% 1.04
현재까지 자살시도 비율3) 2.4% 0.84% 1.19
행복도 61.9% 3.09% 1.58
신체 건강 66.0% 3.11% 1.69
정신 건강 74.8% 2.67% 1.48
평균 - - 1.40
중위수 - - 1.48
○ 층화
- 전국을 행정구역에 따라 구분하여 33개 1차 층을 구성
- 서울, 광역시 및 세종시, 11개 도 지역(동) 층에 대해서는 아파트 조사구와 일반 조사구로
나누어 세부 층화
<층화 방법>
구분 지역 1차 층화 2차 층화 층 수
서울시, 서울(4개 권역),
인구주택 아파트/일반조사구 22
광역시 및 세종시 광역시 및 세종시
총조사
11개 지역(동부) 아파트/일반조사구 22
조사구 도 지역
11개 도 지역(읍․면부) - 11

1)     
 
,   
    
2) ‘예’라고 응답한 비율
3) ‘예’라고 응답한 비율
- 15 -
○ 표본배분
- 표본 조사구의 배분은 층별 가구 수에 비례배분법, 제곱비례배분법, 우선할당비례배분법
등을 비교하여 각 시도별 가구 수에 대한 비례배분법으로 결정함

- 최종배분법은 각 시도별 가구 수에 대한 비례배분법을 적용한 후 이를 조정하여 설정함.


이 조사는 전국 단위 성별 및 연령대별 구분에서 통계작성을 목적으로 하기 때문에
각 시도의 표본배분은 가구 수(2017년 인구주택총조사 결과) 기준의 비례배분법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함
- 다만, 세종시와 제주도의 경우는 추정량의 분산 계산을 위해서 일부 조사구를 추가하여 조정함
<시도별 표본배분>

모집단 현황 조사구 조사구


시도
가구 수 비율 비례배분 최종배분
서울 3,813,260 19.4% 29 27
부산 1,354,401 6.9% 10 10
대구 948,030 4.8% 7 7
인천 1,080,285 5.5% 8 8
광주 575,732 2.9% 4 4
대전 597,736 3.0% 5 5
울산 428,720 2.2% 3 4
세종 104,325 0.5% 1 3
경기 4,602,950 23.4% 35 32
강원 620,729 3.2% 5 5
충북 629,073 3.2% 5 5
충남 834,986 4.2% 6 6
전북 728,871 3.7% 6 6
전남 733,757 3.7% 6 6
경북 1,087,807 5.5% 8 8
경남 1,292,998 6.6% 10 10
제주 240,215 1.2% 2 4
합계 19,673,875 100.0% 150 150

- 16 -
<세부 층별 표본조사구 현황>
동 지역
행정구역 읍면 지역 합계
아파트조사구 일반조사구
전 국 61 62 27 150
서울-북서 2 3 0 5
서울-북동 3 5 0 8
서울-남서 3 5 0 8
서울-남동 3 3 0 6
부산 5 5 0 10
대구 3 4 0 7
인천 4 4 0 8
광주 2 2 0 4
대전 2 3 0 5
울산 2 2 0 4
세종 2 1 0 3
경기-북부 2 1 3 6
경기-중부 7 6 1 14
경기_남부 5 5 2 12
강원 2 1 2 5
충북 2 1 2 5
충남 2 1 3 6
전북 2 2 2 6
전남 2 1 3 6
경북 2 2 4 8
경남 3 3 4 10
제주 1 2 1 4

- 17 -
○ 표본추출방법
- 층화2단 집락추출법을 적용하여 표본가구를 추출함(1차 추출단위: 조사구, 2차 추출단위: 가구)
- 표본조사구(PSU) 추출: 조사구 내 가구 수에 비례하는 확률비례계통추출법에 의해 추출
- 표본가구(SSU) 추출: 표본조사구에서 임의 시작 가구부터 10가구를 계통추출

3-2. 표본관리
□ 표본 내 변동 발생 시 보완 방법
○ 조사 자체가 불가능한 표본 조사구는 조사 준비기간에 파악하여 특성이 유사한 다른
조사구로 즉시 대체하여 조사함

<표본조사구 교체사유>
- 조사구 내 가구가 당해 년에 전체 철거 또는 철거 예정인 경우
- 행정구역 변동에 의한 해당 조사구 관할이 서로 다른 경우
- 지형지물의 심한 변동으로 조사구 식별이 불가능한 경우
- 조사구 내 위험이나 장애가 생겨 조사 수행이 불가능한 경우
- 타 기관 등에서 현 조사구에서 조사를 실시하고 있는 경우

○ 조사과정에서 불응 가구 및 무응답을 적절히 관리하여 표본의 대표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함


□ 표본가구 변동 발생 시 보완 방법
○ 표본가구와의 접촉을 위한 방문 횟수는 최대 4회로 하고, 요일/시간대를 달리하여
방문하도록 함
- 조사원은 매회 방문할 때 ‘가구방문기록표’ 양식에 준해 해당 가구와의 접촉상황을 기록함
○ 4회 방문 시에도 조사대상가구/조사대상자와의 면접이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에는 사유를
기록하고, 가구명부를 기준으로 정해진 접촉 순서에 따라 인접한 대체조사 가구를
선정하여 다시 접촉/방문을 시도함

- 18 -
Ⅳ. 자료수집

1. 조사방법
□ 조사담당자
○ 훈련받은 조사 면접원
□ 조사방법
○ 조사 면접원이 배정받은 조사구 내 표본가구를 직접 방문하여 면접조사 실시
□ 조사방법별 조사과정
○ 준비 : 조사를 나가기에 앞서 조사에 필요한 것을 확인하며, 용모 및 복장을 단정히
하고 아래와 같이 준비물을 챙기도록 하였다
- 공문 및 신분증
- 가구 명부 및 요도
- 조사가구 접촉일지
- 조사 설문지 및 지침서
- 답례품
- 필기도구(흑색볼펜, 붉은색 볼펜, 여분의 필기도구)
○ 조사구 내 표본가구 방문 : 조사에 대한 준비 후에 배정받은 조사구 내 표본가구를
직접 방문하여 조사대상자에게 접촉을 시도하였다
○ 면접의 시도 : 조사 대상자와의 예비접촉이 이루어진 후에는 본 조사를 하게 되며,
조사가 이루어지려면, 응답자가 설문에 응하겠다는 동의가 있어야 하므로 응답자의
동의를 구하기 위해서는 아래와 같은 매뉴얼에 따라 행동하였다
- 면접원의 소개 : 먼저 「자살에 대한 국민태도조사 」를 위해 파견된 누구라는 것과
방문한 목적이 무엇인지를 뚜렷하게 밝혀야 한다. 신분증의 제시는 면접원과 설문조사
에 대한 응답자의 의심을 없앨 수 있으므로 신분증을 왼쪽 가슴에 달고 방문하도록
한다. 면접원의 신분을 확인하기를 원하는 응답자가 있을 경우 한국리서치의 조사책임
자를 알려주어 응답자가 직접 면접원의 신분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면접원은 조사
대상자가 설문에 응할 것인지를 물어보고, 조사대상자가 동의할 경우에만 조사에 착수한다.
조사대상자가 재방문해 줄 것을 요구할 경우에는 설문지의 표지에 약속시간을 기재하고,
약속시간에 맞추어서 재방문한다
- 조사대상자의 질문에 대한 면접원의 대답 : 설문을 시작하기 전이나 설문조사 중에
조사대상자가 면접원이나 조사의 내용들에 관하여 물어보는 경우가 있다. 이때는 대답을
간단명료하게 해주어야 하고, 너무 긴 설명을 하지 않는다. 조사대상자가 보다 구체적인
대답을 원할 때에는 담당자 전화번호를 알려주도록 한다
○ 면접의 실시 : 조사대상자가 조사에 응하기로 승낙을 하면 면접원은 설문의 내용을
질문지 순서대로 묻게 된다. 조사의 도중에 일어날 수 있는 문제점(예를 들면, 설문 내용이

- 19 -
어렵다거나, 애매함, 복잡함 등)에 대해서는 책임을 연구진에 둔다
○ 면접의 종료 : 면접원은 조사가 끝난 후 응답자에게 좋은 인상을 남겨주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조사에 협조해 주어서 고맙다는 말을 반드시 하고, 또한 사례품을 건네줄
때에는 선물을 준다는 인상이 들지 않도록 한다. 조사가 끝나면 면접원은 그 자리에서
설문지를 검토하여 미완성 문항이 있을 경우 다시 면접을 하여 조사를 완결시킨다
○ 관리자에게 보고 : 조사원은 면접조사의 완료 및 면접조사 중에 일어난 모든 문제점을
접촉일지에 작성한 뒤 관리자에게 제출한다
○ 확인(프로빙) : 응답자들은 때때로 질문의 초점을 놓치는 수가 있다. 그래서 어떤 대답을
하기는 하지만, 우리가 한 질문에 대한 대답이 아닐 수 있다. 이런 경우 확인을 하는
데, 응답자에게 편견을 주거나 응답을 유도하는 식으로 해서는 안 된다. 아울러 확인
할 때는 응답자의 응답이 잘못되었기 때문에 확인한다는 인상을 주어서는 안 된다
- “모르겠다”는 응답이 나오면 적어도 한 번 이상은 항상 확인해보아야 한다. 그러나
응답자가 다시 모르겠다고 대답하면 응답을 강요하지 말아야 한다. 최종적으로 응답으
로서 “모르겠다”를 기록할 때에는 항상 조사표 내의 정확한 지점에 “모르겠다”를
기록하여 누락과 구분해야 한다

□ 조사방법 및 과정
○ 면접원이 조사 대상으로 선정된 가구를 방문한 후, 구조화된 종이 설문지를 이용하여
응답자에게 질문하고 답변 내용을 기입하는 방식의 대면면접조사(PAPI: Paper And
Pencil Interviewing)

□ PAPI 조사방법 도입 사유
○ 자살실태조사는 설문이 길지 않고 문항 간 로직이 단순함
○ 또한 문항 중 민감한 내용이 포함되어 있고, 대면 면접 시 컴퓨터 또는 태블릿 PC를
활용할 경우 응답자에게 심리적 부담을 안겨줄 수 있으므로 종이 설문이 더욱 적합함

- 20 -
2. 조사원
2-1. 조사원 채용 및 처우
□ 조사원 채용방법 및 과정
○ 실사 용역 수행기관에 소속되어 있는 면접원 활용
- 2013년 자살인식조사 경험 면접원을 우선적으로 선발

□ 조사원 자격
○ 면접원 선발 자격
- 대면면접조사 유경험자
- 본 조사를 위한 교육(조사 개요, 응답 대상 선정, 설문 내용)을 수료한 자

□ 조사원 지위 및 급여
○ 조사원은 정해진 조사 기간 동안 배정 받은 조사량을 수행하는 방식으로 계약함
○ 조사원의 급여는 완료 부수를 기준으로 산정하여 지급함
□ 우수 조사원 채용을 위한 노력
○ 전문 면접원 제도를 운영함.
- 자료 품질 및 업무량, 일정준수 비율에 따라 우수한 면접원을 전문 면접원으로 선정
- 전문 면접원의 날을 지정하여 행사 진행

2-2. 조사원 교육훈련


□ 슈퍼바이저 교육
○ 실사 중 면접원에게 일관된 지침을 줄 수 있도록 각 사무소별 슈퍼바이저를 대상으로
사전 교육을 실시함

□ 면접원 교육
○ 조사지침서를 이용하여 담당 연구원이 직접 집체교육을 실시함
- 지방의 경우 사전 교육을 받은 슈퍼바이저가 면접원을 교육하게 하고 결과 및 특이사항을
보고 받음

□ 추가 교육
○ 본 교육에 참여하지 못한 면접원이 있거나 면접원 탈락 발생 또는 진행 부진으로 면접원의
추가 투입이 필요할 때에는 추가 교육을 실시함

□ 실사 기간 중 면접원 관리
○ 실사 기간 중 변경된 지침 및 유의사항은 각 슈퍼바이저가 담당 면접원들에게 대면 또는
전화로 설명하고 주지시킴
- 21 -
○ 슈퍼바이저가 완료된 설문을 리뷰하여 문제가 있는 경우, 해당 면접원을 불러 사유를
확인하고 보완하게 함으로써 문제 재발을 방지함.

□ 교육 내용 및 일정
○ 자살에 대한 국민인식조사 교육 내용은 아래와 같음
교육시간 교육 내용
1교시(30분) 조사 개요, 주요 개념 설명
2교시(30분) 조사구를 이용한 표본 조사 방법 안내
3교시(60분) 설문문항별 조사 지침 전달
4교시(30분) 주의 사항 전달 및 질의응답

○ 11월 18일 슈퍼바이저를 대상으로 한 사전 교육, 19일 면접원 집체 교육을 실시함


- 교육에 참석하지 않은 면접원은 탈락 처리하고 다른 인원을 선발하여 대체

2-3. 조사원 업무량


□ 활동 면접원 수
○ 1개 조사구 이상을 완료한 활동 면접원 수는 61명임
- 조사의 공간적 범위가 전국임을 고려해 표본 크기에 비해 많은 수의 면접원을 선발함

관할 지역 활동 면접원 수
서울사무소 서울, 인천, 경기, 강원, 제주 26 명
부산사무소 부산, 울산, 경남 명
8

대구사무소 대구, 경북 10 명
광주사무소 광주, 전북, 전남 10 명
대전사무소 대전, 충북, 충남, 세종 명
7

전체 61 명

□ 업무 배정 결과
○ 1,500명의 표본 조사에 3.5주가 소요되었으며, 면접원별 평균 완료 부수는 약 24.6부임
- 면접원 1인당 배부량과 일별 완료 부수를 제한하여 조사의 품질을 유지함
- 면접원 편의에 의한 조사구 대체를 방지하기 위해 방문 횟수 및 결과를 보고하게 하여 관리함

- 22 -
3. 조사 실시
3-1. 조사업무 흐름도
□ 자료 수집 및 처리 흐름도
○ 자살실태조사의 자료 수집 및 처리의 과정은 아래와 같음
구분 내용 기간
1. 실사 준비 조사구 명부 및 요도정리, 교육 자료 작성 등 11/13 ~ 11/20

2. 면접원 교육 설문 문항 및 개념 교육, 조사 관련 지침 안내 등 11/21

3. 실사 자료 수집(3.5주) 11/21 ~ 12/14

4. 자료 처리 펀칭/코딩/에디팅 등 자료 처리, 데이터 클리닝 12/17 ~ 12/21

5. 데이터 확정 최종 데이터 확정 12/24

- 23 -
3-2. 조사준비 및 준비조사
□ 조사구 정리 절차
○ 표본설계한 조사구의 명부와 요도를 통계진흥원으로부터 수령함
○ 수령한 조사구의 명부 및 요도를 정리함
- 조사구를 본 표본과 예비 표본으로 구분하고, 명부와 요도의 조사구 유형 및 번호를 확인함
- 명부와 요도의 가구수를 확인하고 요도 상태를 점검해 면접원이 실제로 찾아갈 수
있는 상태인지 점검함
- 통계진흥원의 조사구 번호는 길고 복잡하여 직관적 식별이 어려우므로 별도의 4자리수
일련번호 부여하고, 명도와 요도에 각각 기입함
○ 누락되거나 잘못된 조사구 명부 및 요도를 재요청함
○ 정리된 조사구의 명부 및 요도를 면접원에게 배부함
□ 조사 홍보
○ 보건복지부 명의의 공문을 면접원에게 지참하도록 하여 응답자의 신뢰도를 높이고
협조도를 제고함

3-3. 조사항목별 조사 방법
□ 주요 조사항목별 작성 요령
○ 면접원을 위한 <2018년 자살실태조사 지침서>를 작성하여 배포
□ 기입 시 유의사항
○ 조사 진행 중 문의가 필요한 경우에는 현장에서 면접원이 슈퍼바이저에게 전화하여
해당 내용을 즉각적으로 확인함
- 슈퍼바이저가 대응하기 어려운 경우, 담당 연구원에게 전화를 연결하여 연구원이 직접
확인하도록 함
○ 조사항목별 자세한 작성 요령 및 유의사항은 부록으로 첨부한 조사지침서를 참고
3-4. 현장조사 관리
□ 실사 관리 체계 및 방법
○ 서울, 부산, 대구, 광주, 대전의 각 사무소에서 전국 실사를 담당 지역별로 관리함
- 1주 이내 단위로 면접원별 배부 부수, 진행 부수, 성공 부수를 실시간으로 확인하여
질적, 양적 관리를 실시함
- 가구별 접촉 횟수, 설문 소요 시간, 비성공사유 등을 확인하여 불성실한 면접원은 특별 관리함

□ 실사 관리 현황
○ 슈퍼바이저 1명당 평균 10명의 면접원을 관리하게 함으로써 원활한 실사 진행을 도모함
- 24 -
슈퍼바이저 1명당
지역 슈퍼바이저 수 활동 면접원 수
관리 면접원 수
전체 6명 명
61 10명

서울사무소 2명 26명 13명

부산사무소 1명 8명 8명

대구사무소 1명 10명 10명

광주사무소 1명 10명 10명

대전사무소 1명 7명 7명

□ 조사 관리자의 역할
○ 슈퍼바이저 교육을 통해 높인 조사 및 설문 이해도를 바탕으로, 실사 과정에서 면접원
들에게 제 2의 교육자 역할을 수행함
○ 담당 지역 면접원들의 실사 진행 상황을 관리함
○ 조사 완료된 설문의 리뷰를 진행하여 데이터를 점검함
3-5. 조사 질의응답 체계
□ 주요 질의응답․오류 사례 축적 및 관리 방법
○ 주로 발생하는 문의에 대한 답변을 연구부서와 실사 담당자가 사전 공유하여 응답자에게
조사에 대한 신뢰감을 줌
- 조사의 주관 기관, 시행 목적, 개인정보 이용 및 보안 대책, 결과 활용 등
○ 리뷰 및 검증을 통해 확인한 오류는 슈퍼바이저에게 수정 방향을 알려주고 관리하게
하며, 이 가운데 발생 빈도가 높은 오류에 대해서는 별도의 지침을 하달하여 재발을 방지함

□ 문의 대응 체계
○ 조사원이 직접 처리하지 못한 문의가 발생하면 본인 담당 슈퍼바이저에게 즉각 이관함
○ 슈퍼바이저가 대응하지 못한 사항은 연구원에게 전달하여 한국리서치 주거실태조사 담당
연구원이 처리함
○ 그 외 서울대병원 및 중앙자살예방센터와 논의가 필요한 사항은 협의 후 최종 결정된
지침을 전달함

- 25 -
4. 응답자 및 무응답 대처
4-1. 응답자
□ 적격응답자
○ 자살실태조사의 적격응답자는 조사시점 기준 대한민국에 거주하는 만 19세 이상 75세
이하의 성인임

□ 대리응답
○ 자살실태조사는 자살에 대한 개인의 인식 및 가치관 등을 주로 확인하는 조사이므로
대리응답을 허용하지 않음

4-2. 기억응답
□ 주변인의 자살 시점에 대한 응답
○ 주변인의 자살에 따른 영향 부분 중 자살 시점 및 자살 시도 시점은 ‘조사시점으로부터
몇 년 전’ 또는 연도로 응답할 수 있도록 면접원에게 지침을 줌
- 조사표에는 해당 문항을 ‘조사시점으로부터 몇 년 전’으로 응답받도록 하고 있으나,
응답자가 역산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 경우에는 연도로 응답받은 후 추후 면접원이
계산하여 해당 보기에 체크할 수 있도록 함

4-3. 무응답 대처
□ 항목 무응답 최소화 및 대처 방안
○ 무응답을 최소화하기 위해 무응답 허용 항목을 제한함
- 설문 구조 및 내용상 무응답이 발생 가능한 일부 항목에 ‘모름’ 등의 보기를 추가함
- 주변인의 자살 계획 또는 생각, 자살 기사/영상물이 미치는 영향 등에만 해당 보기 선택이
가능하도록 설정하고 나머지 항목에 대해서는 제한을 둠
○ 무응답 발생 시 대처 방안은 3단계로 이루어짐
- 1단계: 면접과정에서 면접원의 재확인
- 2단계: 슈퍼바이저를 통한 검증과 전화 확인
- 3단계: 검증팀의 검증과정을 거쳐 무응답에 대한 검증 작업 진행

□ 단위 무응답 최소화 및 대처 방안
○ 면접원에게 다음과 같은 지침을 주어 응답자의 부담을 최소화함
- 철저한 사전 준비, 협조 공문 제시, 응답자 희망 시간대 방문, 불필요한 질문/행동 삼가,
부담을 느낄 수 있는 행위 금지 등
○ 조사 불응, 장기 부재 등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대응함
- 면접 거부나 응답 기피 등 조사에 불응하는 경우, 실사 슈퍼바이저가 동행하여 설득
- 가구원 모두 부재중인 경우, 3일 이상(하루 1회 이상) 방문

- 26 -
4-4. 표본대체
□ 표본대체 허용 기준
<표본조사구 교체사유>
- 조사구 내 가구가 당해 년에 전체 철거 또는 철거 예정인 경우
- 행정구역 변동에 의한 해당 조사구 관할이 서로 다른 경우
- 지형지물의 심한 변동으로 조사구 식별이 불가능한 경우
- 조사구 내 위험이나 장애가 생겨 조사 수행이 불가능한 경우
- 타 기관 등에서 현 조사구에서 조사를 실시하고 있는 경우

□ 표본대체 절차 및 방법
○ 조사가 불가능한 경우, 특성이 유사한 다른 조사구로 대체하여 조사함
○ 면접원에게 조사구별 대체 사유를 슈퍼바이저에게 보고하고, 슈퍼바이저는 이를 담당
연구원에게 전달하여 연구원이 직접 대체 허용 여부를 결정함
○ 대체 사유가 단순거절 또는 부재인 경우에는 슈퍼바이저가 면접원에게 다시 접촉을
시도하도록 지침을 내려서 표본의 대표성을 최대한 유지함

5. 사후조사
□ 독립된 전화 검증팀의 검증
○ 한국리서치는 실사 조직과 독립된 전화 검증팀에서 공정하고 엄격한 검증을 실시함
○ 전화 검증팀에서 수퍼바이저가 리뷰 후 확정한 데이터 중 30% 이상 검증함
- 검증 결과, 오류가 많은 면접원의 설문은 전량 폐기함
○ 검증 프로그램에서 면접원별 검증 부수, 에러율, 에러 내용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어,
실사 도중 즉각적 오류에 대한 피드백을 실시하고 데이터 품질을 향상시킴

6. 현장조사 파라데이터
□ 현장조사 파라데이터 정보 활용
○ 면접원은 접촉 현황 및 상세 사유를 보고해야만 조사구 대체를 요청할 수 있음
- 조사구 대체의 주된 사유는 ‘아파트 및 공동주택 출입 불가’, ‘부재 및 거절 등으로
인한 목표 표본 크기 미달’, ‘지역 재개발로 인한 조사구 소멸’ 등이었음
○ 가구별로는 부재의 경우 최소 3회 이상 방문하도록 했으며, 거절의 경우 최소 2회 이상
설득 과정을 거치도록 원칙을 세워 실사를 운영함

- 27 -
Ⅴ. 자료처리

1. 자료코딩
□ 자료코딩 방법
○ 면접원을 통해 수집한 자료는 부호화(coding) 과정을 거쳐 전산 입력하고, 검증 절차를 통해
이상 없는 경우만 SPSS 형태로 변환함
○ 자료 입력 전문 프로그램인 SurveyCraft 시스템을 사용하여 전산입력 전문가가 설문지의
구조를 미리 전산프로그램으로 컴퓨터에 입력한 후, 입력요원이 입력된 설문지 구조와
조사된 설문지를 보면서 조사데이터를 입력하는 방식으로 코딩함
○ 논리적 에러(특정문항의 응답이 4번가지인 경우 5번을 입력하면 입력되지 않음)방지기능을
보유한 자료 입력 전문 프로그램 사용

□ 코드체계
○ 폐쇄형/척도형 질문
- 폐쇄형 질문은 조사표에 기재된 번호 그대로 코드를 부여하여 전산 입력함
○ 개방형 질문
- 폐쇄형 질문의 기타 보기에 관한 내용, 응답자 연령과 같은 연속형 변수의 응답은 문자/
숫자의 형태로 입력함

2. 자료입력
□ 자료 입력 방법 및 내용
○ 자료 검증이 완료된 설문지는 전문 자료입력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입력하며, 자료 입력의
전체 흐름은 아래와 같음
- 입력 과정에서 오류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은 문항은 더블펀치를 통해 입력 오류를 최소화함

- 28 -
○ 자료 입력을 위해 활용하는 전문 프로그램에는 오류 방지 기능이 포함되어 있으며, 다른 유형
데이터로의 변환이 용이함

3. 자료내검
□ 슈퍼바이저 리뷰를 통한 검증
○ 슈퍼바이저가 응답받은 내용을 1차 점검하여 필요한 경우 조사원에게 재조사를 요청함
□ 클리닝 작업을 통한 검증
○ 슈퍼바이저의 1차 검증을 거친 데이터를 바탕으로 전문 연구원이 응답의 논리적 흐름
및 정성적 에러를 확인하여 데이터를 검증함

□ 자체 검증팀을 통한 검증
○ 자체 검증팀에서 전화 검증을 통해 회수된 설문지 중 30% 이상을 무작위 추출하여,
응답자에게 전화를 걸어 조사가 적절하게 이루어졌는지 확인함
○ 허위 기재 또는 조작이 발견된 경우 해당 면접원이 조사한 설문지 전부를 무효화하고
재조사를 실시함

4. 무응답
4-1. 주요 항목무응답 실태
□ 항목 무응답 산출식
○ 해당 문항에 응답해야 하는 대상자 수를 분모로 항목별 무응답 비율을 산출함
○ 산출식

항목 무응답률    
해당 문항 무응답 수
 해당 문항 응답 대상자 수

□ 주요 항목 무응답
○ 자살에 대한 국민인식조사는 무응답
- 설문 구조 및 내용상 무응답 발생이 가능하여 사전에 ‘모름’ 보기를 추가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나머지 항목에서 무응답이 발생하지 않음
4-2. 단위무응답 실태

- 29 -
□ 불응, 부재 등에 따른 무응답 최소화 방안
○ 조사 성공률을 높이기 위해 다음과 같이 대응함
- 면접 거부나 응답 기피 등 조사에 불응하는 경우에는 실사 슈퍼바이저가 전화/동행
등의 방식으로 설득
- 가구원 모두 부재중인 경우, 3일 이상(하루 1회 이상) 방문
○ 이러한 대처에도 불구하고 조사 진행에 실패한 경우, 예배표본 중 동일한 층에 속한
표본으로 대체하여 진행하였으므로 본 조사에서 단위무응답은 발생하지 않음

- 30 -
Ⅵ. 통계추정 및 분석

1. 통계추정
1-1. 가중치 조정
□ 가중치 산정
○ 통계조사에서 가중치 부여는 표본추출에 따른 추출률의 차이와 응답률 및 모집단에 대한
정보 등을 이용하여 모집단의 구조와 표본 구조를 맞춤으로써 추정의 정확도를 높이는
것을 목적으로 함. 추정단계에서 가중치를 이용하면 모집단에 대한 특성치인 모수에
대한 비편향 추정량(unbiased estimator)을 얻을 수 있음. 만약 통계분석 과정에서 가중치를
무시하고 분석한 추정치는 심각한 편향(bias)이 발생할 수 있음. 표본의 크기가 큰 대규모
조사에서 문제가 되는 것은 추정량의 편향이기 때문에 추정과정에서 반드시 가중치를
이용해야 함
○ 일반적으로 표본조사의 가중치는 ㉠ 설계가중치 산정, ㉡ 무응답에 대한 조정,
㉢ 가구원 수 조정, ㉣ 모집단 정보를 이용한 조정 등의 세 가지 과정을 통해서 산정됨.
가중치 조정단계에서 이용하는 모집단 정보는 2017년 기준의 「인구주택총조사」 결과임
○ 표본설계에서는 각 시․도 구분과 도 지역 내의 동 및 읍․면 구분을 이용한 세부 층
화를 통해서 전체 55개 층을 구성하였음. 표본추출은 층화2단추출법을 적용하였는데,
1차 추출단위는 조사구이고, 2차 추출단위는 가구 및 만 19 ∼75세 성인임. 각 층에서 배
정된 표본 조사구 수만큼을 조사구 내의 가구 수에 비례하는 확률비례계통추출법에 따라
추출함
○ 본 연구에서 설계가중치는 표본추출 과정에서 층화2단확률비례계통추출법을 적용함에
따라 나타나는 조사구 내의 가구별 추출확률의 차이를 반영할 수 있도록 산정함
○ 가중치 작성 과정에서 사용될 기호들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음
-  : 층의 수
-  : 층 의 모집단 조사구 수
-  : 층 의 표본 조사구 수
-  : 층 의  번째 조사구에 대한 크기의 측도(해당 조사구의 총 가구 수)

-   
 
 : 층 에서 크기의 측도에 대한 총합

-  : 층 의  번째 조사구 내 가구 수(조사완료+조사미완+조사미착수)


-  : 층 의  번째 조사구 내 조사착수 가구 수(응답+거절)
-  : 층 의  번째 표본조사구 내 조사완료 가구 수(응답)

- 31 -
□ 설계가중치
○ 이 조사의 설계가중치는 각 표본조사구에 대한 표본추출률의 역수와 표본조사구에서
가구조사 착수율의 역수를 곱하여 다음과 같이 산출함
 
설계가중치   × 
  
○ 원칙적으로 각 표본 조사구에서는 10가구씩을 표본으로 조사하였기 때문에     이다.
 ≈ 를 가정할 수 있는 경우(표본추출틀 상의 조사구 내 가구 수와 실제 가구 수에
차이가 작은 경우) 각 층에서 설계가중치는 해당 층 내에서 일정한 값이 되어

설계가중치   으로 표현할 수 있음. 이때 각 지역 내 층에서 표본 가구들은 모두
 ×
동일한 설계가중치를 갖게 됨
○ 실제 조사과정에서는 표본추출틀의 조사구 내 가구 수와 실제 가구 수에 차이가 있어
각 층 내에서 설계가중치는 동일하지는 않지만 비슷한 값을 갖게 됨

□ 무응답 조정
○ 해당 지역 내 세부 층에서 조사 가구에 대한 설계가중치는 원칙적으로 같음. 본 조사에서
무응답 조정은 표본 조사구 단위로 진행됨. 무응답 조정계수는 다음 식에 따라 구함

무응답 조정계수  


□ 가구 내 추출확률 보정
○ 표본으로 추출된 표본가구에서 만 19∼75세 성인 중 한 명을 조사하는 것을 원칙으로 함.
따라서 가구 내 조사적격자 수에 따라 추출확률에 차이가 발생하게 되며, 이를 보정하기
위한 것임. 가구 내 추출확률은 각 표본 가구에서 전체 적격조사대상자 수의 역수로
계산됨. 가구원 수 조정계수는 가구 내 추출확률의 역수로 계산됨


가구 추출확률  
해당 표본 가구의 만  ∼세 가구원 수

□ 「인구주택총조사」 결과를 이용한 조정


○ 모집단 정보를 이용한 가중치 조정은 모집단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모집단의 구조와
표본 구조를 유사하게 맞춤으로써 추정의 정확도를 높이는 것을 목적으로 함. 가중치
작성 단계에서 사용한 모집단에 대한 정보는 2017년 기준의 「인구주택총조사」결과임
○ 본 연구에서는 「인구주택총조사」결과에 대해서 레이킹 비 접근법(Raking Ratio
Method)을 적용하여 가중치를 조정함. 본 연구에서 사용한 모집단에 대한 정보는 2017년
기준의 인구주택총조사 결과 중 시 ․도별(17)×성별(2) 구분과 연령대(5)×성별(2) 구분
에 대한 만 19 ∼75세 인구 현황임. 다음의 표들은 각각 모집단 정보를 이용한 조정 단
계에 사용된 2017년 인구주택총조사의 시도별(17)×성별(2) 구분과 연령대(5)×성별(2) 구
- 32 -
분에 대한 만 19 ∼75세 성인 수 현황임. 최종 가중치는 다음 식에 따라 산정됨

최종 가중치=설계가중치×무응답 조정×가구원 수 조정×모집단 정보 조정

<시도 및 성별 만 19세∼75세 인구 현황>

행정구역 남자 여자 합계
전국 20,171,545 19,582,642 39,754,187
서울 3,834,795 4,006,231 7,841,026
부산 1,343,300 1,365,062 2,708,362
대구 952,971 951,344 1,904,315
인천 1,161,739 1,121,359 2,283,098
광주 570,912 567,813 1,138,725
대전 595,395 582,288 1,177,683
울산 471,528 426,696 898,224
세종 101,520 97,365 198,885
경기 5,057,537 4,828,330 9,885,867
강원 598,177 559,120 1,157,297
충북 636,435 589,522 1,225,957
충남 852,426 767,719 1,620,145
전북 695,599 665,650 1,361,249
전남 682,688 630,628 1,313,316
경북 1,052,379 976,215 2,028,594
경남 1,319,178 1,216,262 2,535,440
제주 244,966 231,038 476,004

<연령대 및 성별 만 19세∼75세 인구 현황>

연령대 남자 여자 합계
전 체 20,171,545 19,582,642 39,754,187
19-29세 4,022,004 3,544,942 7,566,946
30-39세 3,905,071 3,613,383 7,518,454
40-49세 4,356,370 4,213,635 8,570,005
50-59세 4,203,139 4,177,644 8,380,783
60-75세 3,684,961 4,033,038 7,717,999

- 33 -
□ 극단 가중치 조정
○ 일반적으로 가중치의 과도한 변동은 추정량의 분산을 크게 만들어 추정의 정확도를
떨어뜨릴 수 있다. 몇 개의 과도하게 큰 가중치를 갖는 조사값이 잘 설계되고 수행된
통계조사에서 얻어지는 조사의 정확성을 낮추게 하는 경우도 발생할 수 있음. 실제
가중치 작성 과정에서는 지나치게 큰 가중치를 표본설계가 끝난 후 사후적으로 제한하거나
조정하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음. 대표적인 방법으로는 다음 두 가지로 구분할 수 있음
- 첫째, 가중치 작성 과정에서 무응답 조정, 모집단 정보를 이용한 조정 등과 같은 가중치
작성 단계별로 지나치게 큰 조정값이 나오는 것을 막기 위하여 지나치게 큰 가중치의
경우에는 절단(trimming)하거나 제한을 두는 방안임
- 둘째, 가중치 작성의 전체 과정을 마친 후에 과도하게 큰 가중치를 찾아서 절단
(trimming)하고, 절단으로 인하여 부족해진 가중치를 보충하는 과정을 거치는 방안임
○ ‘2018 자살실태조사’의 특이 가중치 조정은 두 번째 방안을 사용되었는데, 전체
응답자의 가중치 분포를 고려하여 상 하위 1%씩을 특이 가중치로 간주하여 조정함
○ 가중치 절단 (weighting trimming)의 궁극적인 목적은 가중치 절단으로 인한 추정량의
편향(bias)의 증가를 보상하기에 충분한 추정량의 분산 감소를 통해서 추정량의
평균제곱오차(Mean Squared Error: MSE)를 줄이는 것임

1-2. 이상치 식별 및 처리
□ 이상치 처리
○ ‘2018 자살실태조사’의 경우 연속형 응답이 응답자 연령뿐이며, 대상을 만 19~75세
로 제한하고 있어 별도 이상치가 발생하지 않음

1-3. 통계추정 산식 및 내용
□ 추정량
○ ‘2018 자살실태조사’에서 주요 추정대상은 모평균이나 모비율임. 모비율 추정 및
추정량의 분산은 모평균 추정방법과 동일함. 다만, 모비율 추정의 경우 조사변수 값이
어떤 특성을 갖고 있는가에 따라 1 또는 0의 값을 갖는다는 점이 차이임. 본 조사에서
각종 모평균 추정을 위해서 사용된 가중치를 이용한 추정량은 다음과 같이 정의됨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4 -
○ 여기서,   는 각 응답자에 부여된 가중치이고,  는 각 응답결과로 모비율 추정의 경우는
특정 속성을 갖고 있는 경우는 1, 아니면 0의 값을 가짐.  은 층의 수,  는 층 에서의
1차 표본추출단위인 표본 조사구의 수, 는 층 내  번째 표본 조사구의 응답자 수임.
  
   
    
 은 전체 응답자에 대한 가중치의 합계임

2. 표집오차 추정 방법 및 결과 (표본조사)
□ 추정량의 분산
○ 앞서 제시한 모평균 추정량에 대해서 층화와 2단 집락추출 등의 표본설계를 반영한 추정
분산은 다음과 같이 계산됨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여기서,  은 층의 수,  는 층 에서의 1차추출단위(PSU)인 조사구 수, 는 층 내  번째

   
 
표본조사구의 응답자 수,    ,        ,      이다.
  

만약 층 내의 표본조사구 수가 1개인 경우는 추정량의 분산을 계산할 때 해당 시도 내의


유사 층과 통합하여 산정함
○ 모평균 및 모비율 추정에 대한 표준오차(standard error), 상대표준오차(relative standard error),
95% 신뢰수준 오차의 한계는 다음과 같음


   ,

   ×,


오차의 한계   ×  

- 35 -
Ⅶ. 통계공표, 관리 및 이용자서비스

1. 공표통계 및 해석방법
□ 공표되는 내용과 세분화 수준
○ 대상자 생활 관련
- 성별 및 연령대별 현재의 행복감, 신체건강상태, 정신건강상태 공표
○ 주변인의 자살 및 자살노출의 영향
- 성별 및 연령대별 주변인 중 자살한 사람 존재 여부(아버지/어머니, 형제/자매, 자녀,
파트너, 친척, 친구/학교동기, 회사동료/학교선후배, 기타)와 자살시기
- 성별 및 연령대별 주변인 중 자살 시도한 사람 존재 여부(아버지/어머니, 형제/자매, 자녀,
파트너, 친척, 친구/학교동기, 회사동료/학교선후배, 기타)와 자살시도 시기
- 성별 및 연령대별 자살생각 혹은 계획했던 사람 존재 여부(아버지/어머니, 형제/자매,
자녀, 파트너, 친척, 친구/학교동기, 회사동료/학교선후배, 기타)
- 성별 및 연령대별 현재 자살생각을 하는 사람 존재 여부(아버지/어머니, 형제/자매, 자녀,
파트너, 친척, 친구/학교동기, 회사동료/학교선후배, 기타)
○ 자살에 대한 태도(ATTS)
- 성별 및 연령대별 자살에 대한 태도 37개 문항 응답비율
○ 미디어 관련
- 성별 및 연령대별 자살 기사에 대한 관심 여부 및 관심이유 응답비율
- 성별 및 연령대별 자살기사의 자살 시도 조장 경향에 대한 응답비율
- 성별 및 연령대별 자살 기사 보도에 대한 의견 응답비율
- 성별 및 연령대별 자살 영상물의 자살 시도 조장 경향에 대한 응답비율
- 성별 및 연령대별 자살 영상물에 대한 의견 응답비율
○ 자살행동 관련
- 성별 및 연령대별 자살생각 여부 및 시기, 자살생각의 주된 이유 응답비율
- 성별 및 연령대별 자살생각으로 인한 전문가 상담 경험 및 상담을 받지 않은 이유 응답비율
- 성별 및 연령대별 문제가 재발할 경우 전문가 상담 의향 응답비율
- 성별 및 연령대별 자살계획 여부 및 시기 응답비율
- 성별 및 연령대별 자살시도 여부 및 시기 응답비율
○ 자살예방 자원에 대한 인식
- 성별 및 연령대별 자살예방 전화상담기관 인지 여부 응답비율
- 성별 및 연령대별 자살예방 전화상담기관 이용의사 응답비율
- 성별 및 연령대별 자살예방 방문상담기관 인지 여부 응답비율
- 성별 및 연령대별 자살예방 방문상담기관 이용의사 응답비율
○ 국가 차원의 자살예방관리사업에 대한 인식
- 성별 및 연령대별 자살예방을 위한 개인정보보호 동의 예외 인정에 대한 의견 응답비율
- 성별 및 연령대별 개인정보보호 동의 예외 적용 시 국가의 적정 자살예방 관리영역에 대한 의견 응답비율

- 36 -
□ 주요 통계표 및 이용 시 유의사항
○ 주요 통계표
- 자살에 대한 태도: 자살사고를 가진 사람을 돕는 것은 항상 가능하다
(단위 : %)
④ ⑤ 매우
사례수 ① 매우 ② ①+② ③ 잘 ④+⑤ 모름/
Base=전체 동의하지 동의하지 계
(명) 동의함 동의함 동의 모르겠음 비동의 무응답
않음 않음
2018년 (1,500) 9.8 43.1 52.9 20.8 21.9 4.4 26.3 0.0 100.0
성별
남자 (761) 10.3 44.4 54.7 20.2 21.1 4.0 25.1 0.0 100.0
여자 (739) 9.3 41.8 51.1 21.4 22.6 4.9 27.5 0.0 100.0
연령
19-29세 (286) 10.0 41.5 51.5 25.7 19.7 3.1 22.8 0.0 100.0
30~39세 (284) 10.4 41.6 52.0 22.6 22.1 3.3 25.4 0.0 100.0
40~49세 (323) 10.5 43.8 54.4 18.0 21.8 5.8 27.6 0.0 100.0
50~59세 (316) 9.9 41.9 51.8 17.7 24.6 5.8 30.4 0.0 100.0
60~75세 (291) 8.1 46.7 54.8 20.5 20.8 3.9 24.7 0.0 100.0

- 자살에 대한 태도: 자살은 절대로 정당화될 수 없다


(단위 : %)
④ ⑤ 매우
사례수 ① 매우 ①+② ③ 잘 ④+⑤
Base=전체 ② 동의함 동의하지 동의하지 계
(명) 동의함 동의 모르겠음 비동의
않음 않음
2018년 (1,500) 29.3 46.4 75.7 14.2 8.7 1.3 10.1 100.0
성별                
남자 (761) 30.0 45.6 75.6 14.4 8.9 1.1 10.0 100.0
여자 (739) 28.6 47.3 75.9 14.0 8.5 1.6 10.1 100.0
연령                
19-29세 (286) 24.2 45.3 69.5 18.8 10.9 0.9 11.8 100.0
30~39세 (284) 26.3 46.9 73.2 14.7 10.5 1.6 12.1 100.0
40~49세 (323) 30.8 46.3 77.1 12.6 8.8 1.4 10.3 100.0
50~59세 (316) 28.0 49.0 77.0 14.0 8.4 0.7 9.0 100.0
60~75세 (291) 36.9 44.5 81.4 11.4 5.3 2.0 7.3 100.0

- 자살에 대한 태도: 자살하는 것은 가족들에게 가장 나쁜 짓을 하는 것이다


(단위 : %)
④ ⑤ 매우
사례수 ① 매우 ② ①+② ③ 잘 ④+⑤ 모름/
Base=전체 동의하지 동의하지 계
(명) 동의함 동의함 동의 모르겠음 비동의 무응답
않음 않음
2018년 (1,500) 45.6 42.2 87.8 8.7 3.0 0.6 3.5 0.0 100.0
성별                  
남자 (761) 45.8 43.0 88.8 7.4 3.5 0.3 3.8 0.0 100.0
여자 (739) 45.5 41.3 86.8 9.9 2.5 0.8 3.3 0.0 100.0
연령                  
19-29세 (286) 40.5 43.4 83.9 11.1 4.8 0.2 5.0 0.0 100.0
30~39세 (284) 40.6 47.3 87.9 8.0 3.5 0.7 4.2 0.0 100.0
40~49세 (323) 46.6 40.1 86.7 9.7 2.6 1.1 3.6 0.0 100.0
50~59세 (316) 46.5 43.9 90.4 5.9 3.0 0.7 3.7 0.0 100.0
60~75세 (291) 53.5 36.6 90.0 8.8 1.2 0.0 1.2 0.0 100.0

- 자살에 대한 태도: 대부분의 자살 시도는 충동적인 행동이다

- 37 -
(단위 : %)
④ ⑤ 매우
사례수 ① 매우 ② ①+② ③ 잘 ④+⑤ 모름/
Base=전체 동의하지 동의하지 계
(명) 동의함 동의함 동의 모르겠음 비동의 무응답
않음 않음
2018년 (1,500) 15.7 43.0 58.6 19.3 19.1 2.9 22.1 0.0 100.0
성별                  
남자 (761) 15.9 41.2 57.1 20.5 19.4 2.9 22.4 0.0 100.0
여자 (739) 15.4 44.8 60.2 18.0 18.8 2.9 21.8 0.0 100.0
연령                  
19-29세 (286) 16.1 42.2 58.4 20.6 17.7 3.3 21.1 0.0 100.0
30~39세 (284) 16.3 38.1 54.5 21.1 19.6 4.9 24.4 0.0 100.0
40~49세 (323) 16.8 38.5 55.3 20.7 21.8 2.3 24.1 0.0 100.0
50~59세 (316) 14.5 46.1 60.6 18.9 18.4 2.1 20.5 0.0 100.0
60~75세 (291) 14.7 49.9 64.6 15.2 17.9 2.3 20.2 0.0 100.0

○ 이용 시 유의사항
- 수록 자료는 반올림 되었으므로 전체 수치와 표내의 합계는 일치하지 않을 수 있음

2. 시의성 및 정시성
2-1. 조사/조사대상 기준시점과 공표시기
□ 조사대상 기간과 공표시기
○ 조사기준시점 : 2018. 10. 1.
○ 조사실시기간 : 2018. 10. 1. - 2018. 12. 31.
○ 공표시기 : 2019년 9월
2-2. 공표일정
□ 사전계획 및 공개된 통계공표일정
○ 사전 계획
- 공표 일정 : 3월
- 공표 방법 : 언론(보도자료), 전산망(인터넷), 간행물
○ 실행
- 공표 일정 : 9월
- 공표 방법 : 언론(보도자료), 전산망(인터넷), 간행물
○ 공표 시기 차이 이유
- 자료 수집 지연, 분석 및 보고서 작성 연장

- 38 -
3. 비교성 및 일관성
3-1. 통계 작성방법의 비교성
□ ‘2013 자살실태조사’와 ‘2018 자살실태조사’의 통계 작성방법 비교
구 분 2013 자살실태조사 2018 자살실태조사 비고
통계의 개념 동일
분류기준 동일
조사기준 동일
1개월 반 정도의
2018년 시간 차가 있으
조사시기 2013년 10월 ~ 11월
11월 21일 ~ 12월 17일 나 영향력은 미
미하다고 판단됨

3-2. 시계열 비교성


□ 관련 법령에 5년마다 한 번씩 실시하도록 되어 있는 조사이므로 시계열 단절이
발생함

3-3. 국가간 비교성


□ 자살행동과 자살에 대한 태도(ATTS)에 대한 조사
○ 국가 간 비교가 가능한 척도이나, 다른 나라에서 일반 국민을 대상으로 한 국가 차원의
조사의 경우 자살에 대한 태도를 단문항으로 묻기 때문에 비교가 어려움

□ 자살생각, 자살계획, 자살시도에 대한 조사


○ 국가 간 비교가 가능한 데이터를 제공하는 OECD, WHO 통계자료에 자살 생각, 자살
계획, 자살시도에 대한 자료는 공유하고 있지 않음

3-4. 동일영역 통계와 일관성


□ 동일 내용에 대한 작성주기가 다른 통계
○ 자살생각, 자살계획, 자살시도에 대한 조사
- 국민건강영양조사: 2년 주기
- 한국복지패널: 1년 주기
- 동일한 항목에 대한 조사가 시행되고 있으나, 해당 자료가 공표되지는 않음: KOSIS 및
온라인 간행 보고서에 수록되지 않음

- 39 -
3-5. 작성주기 차이에 의한 통계의 일관성
□ 작성주기 차이에 의한 통계의 일관성
○ 자살생각, 자살계획, 자살시도에 대한 국민건강영양조사와 한국복지패널의 자료가
공표되지 않음으로 인해 확인이 어려움

4. 접근성 및 명료성
4-1. 통계의 이용자 서비스
□ KOSIS
○ 통계표 제공
- 주제별 통계->사회->자살실태조사->자살에 대한 국민 인식 조사

□ 보건복지부 홈페이지
○ 보도자료 제공
- 인터넷 주소 링크
http://www.mohw.go.kr/react/al/sal0301vw.jsp?PAR_MENU_ID=04&MENU_ID
=0403&page=1&CONT_SEQ=350950&SEARCHKEY=TITLE&SEARCHVALUE=%EC%9E%90%
EC%82%B4
○ 연구보고서 제공
- 인터넷 주소 링크
http://www.mohw.go.kr/react/jb/sjb030301vw.jsp?PAR_MENU_ID=03&MENU_ID=032901&CONT_SEQ=350956

□ 온-나라정책연구(PRISM) 홈페이지
○ 연구보고서 제공
- 인터넷 주소 링크(검색창에 ‘자살실태조사’ 검색)
http://www.prism.go.kr/homepage/main/retrieveMain.do

- 40 -
4-2. 연락처 정보
□ 담당자 연락처
○ 보건복지부 건강정책국 자살예방정책과
- 044-202-3886

4-3. 통계 설명자료 제공
□ 보건복지부 홈페이지
○ 자료 설명
http://www.mohw.go.kr/react/jb/sjb1101vw.jsp?SEQ=165&MENU_ID=03320101&page=1&PAR_MENU_ID=03

□ 나라통계 홈페이지
○ 자료 설명
https://meta.narastat.kr/metasvc/index.do?confmNo=117094

5. 비밀보호 및 보안
5-1. 자료 수집, 처리 및 보관 과정의 비밀보호
□ 자료수집, 처리 및 보관 과정의 비밀보호
○ 자료수집 시 통계법 제33조(비밀의 보호)에 의해 비밀보호
- 통계의 작성과정에서 아려진 사항으로 개인이나 법인 또는 단체 등의 비밀에 속하는
사항은 보호되어야 한다
- 통계의 작성을 위하여 수집된 개인이나 법인 또는 단체 등의 비밀에 속하는 자료는
통계작성 이외 목적으로 사용되어서는 아니된다

5-2. 공표자료의 비밀보호


□ 공표 자료에 응답자 식별가능 조사항목 삭제
5-3. 자료 보안 및 접근제한
□ 자료수집, 처리 및 보관 과정의 유실, 유출, 훼손을 방지하기 위한 조치
○ 자료 담당자 및 관리자 등 일부 인원만 마이크로데이터 보관
○ 마이크로데이터 파일에 대한 암호 형성
○ 마이크로데이터가 저장된 컴퓨터 접근 암호 형성

- 41 -
Ⅷ. 통계기반 및 개선

1. 기획 및 분석 인력
□ 인력 구성(연구용역)
구분 이름 소속 직책 해당분야 경력 교육과정 이수내역

책임연구원 안○○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교수 28년 2월 의학박사

박○○
강원대학교
연구원 교수 26년 4월 의학박사
의학전문대학원
연구원 한○○ 고려대학교 교수 25년 5월 의학박사
연구보조원 박○○ 서울대학교병원 연구임상강사 5년 5월 정신의학 석박수료
연구보조원 권○○ 중앙자살예방센터 상임팀장 8년 7월 사회복지학 박사
연구보조원 허○○ 중앙자살예방센터 팀원 9년 4월 사회복지학 박사

책임연구원 이○○ 한국리서치 차장 11년 8개월 사회학 석사

연구원 권○○ 한국리서치 과장 6년 9개월 통계학 학사

연구원 박○○ 한국리서치 연구원 1년 9개월 북한학 석사

연구원(실사) 김○○ 한국리서치 대리 5년 9개월 인문학 학사

연구원(실사) 김○○ 한국리서치 팀장 20년 10개월 가정관리학 학사

연구원(실사) 장○○ 한국리서치 팀장 12년 2개월 영어영문학 학사

연구원(실사) 나○○ 한국리서치 팀장 16년 8개월 생활정보 전문학사

연구원(실사) 송○○ 한국리서치 팀장 19년 2개월 -

전산연구원 박○○ 한국리서치 차장 19년 3개월 전자계산 전문학사

연구보조원 심○○ 한국리서치 대리 17년 1개월 정보처리 전문학사

2. 사업예산
□ 200백만원 (091-3600-3633-300-210-14)
○ 현재의 표본 수인 1500명은 2013년과 2018년의 조사를 비교하는데에는 대부분의 영역에
있어서 적정한 수준이었으나, 향후 2023년 이후의 연구가 추가되면 추이를 살펴보는
데 ‘다중비교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통꼐력이 약화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통계력 약화를 보완하기 위해서는 표본 수의 확대가 향후에 필요하며
그에 따라 예산 증액이 필요할 것으로 보임

- 42 -
3. 통계위탁 조사
□ 통계작성 위탁 업무
○ 자살에 대한 국민인식조사의 자료 수집·처리 과정 담당
- 실사 관리 및 운영, 자료 구현 및 정제, 기초 결과 분석 등

□ 제출 자료 목록
○ 조사표 원본
○ 표본 설계서
○ 조사원 교육 관련 자료
○ 조사 결과 원자료
○ 에디팅 요령서
○ 최종보고서
4. 자료처리 시스템
□ 자료처리 시스템
○ Survey Craft
- 자료 통합처리 프로그램. 펀칭 및 코딩에 사용
○ SPSS
- 통계 패키지. 데이터 출력 및 통계 검정에 사용
○ EXCEL
- 오피스 프로그램. 데이터 정제 및 편집 작업에 사용

5. 통계 품질관리 및 개선
□ 조사항목 관련 의견 수렴
○ 조사 진행 전 조사 항목에 대한 관련 부처, 전문가 및 이용자 의견 수렴
- 기존 조사와 기본적으로 동일한 문항을 사용하여 비교 분석이 가능하도록 함
- SNS 활성화 등 변화된 문화를 반영한 문항 추가
- 향후 정책에 반영에 근거자료로 활용할 수 있는 문항 추가
○ 조사 결과 검토 후 조사 항목에 대한 관련 부처, 전문가 및 이용자 의견 수렴
- 조사 결과를 신뢰도를 향상을 위한 조사 대상 확대 필요
- 자살에 대한 태도 척도의 신뢰도 및 타당도 향상을 위한 점검 필요

□ 통계 품질 제고 가능성, 개선 발전 계획
○ 통계 품질 향상을 위한 조사 사례 수 확대
○ 주요 활용 척도에 대한 타당성 검증을 통한 보완

- 43 -
Ⅸ. 참고문헌

1. 기타 문헌
□ 국내외 관련 문헌
○ 김성완, 배경열, 김재민, 김선영, 유준안, 양수진, 신일선, 박지현, 김세현 & 윤진상
2010. 자살시도 위험요인 및 자살에 대한 태도 연구. 대한신경정신의학회지, 49, 367-373.
○ 김용기, 이소영, 김혜진, 이아름, 문경선, 김신겸 & 정한용 2016. 부천시 일반 성인 인
구의 자살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대한신경정신의학회, 55(4), 376-385.
○ 박종익 & 김영주 2014. 한국판 자살 태도 설문지(ATTS-20)의 요인구조. 정신보건과 사
회사업, 42(1), 91-113.
○ 이경린, 이강욱, 황준원, 한상우 & 대한신경정신의학회 2015. 우리나라 정신건강의학과
전공의의 자살에 대한 지식, 태도 및 경험에 대한 고찰: 횡단연구. 대한신경정신의학회
지, 54(4), 444-458.
○ 이경은. 2016. 청소년에서 한국형자살태도측정도구(Attitudes Towards Suicide: ATTS)의
신뢰도와 타당도. 중앙대학교.
○ 이상욱, 전민아 & 박종익 2019. A Comparison of Attitudes Toward Suicide Among
Individuals With and Without Suicidal Thoughts and Suicide Attempts in South Korea.
Crisis, 40(1), 27-35.
○ 지남주, 홍연표 & 이원영 2016. Comprehensive psychometric examination of the
attitudes towards suicide (ATTS) in South Korea. Int J Ment Health Syst, 10, 2.
○ ARNAUTOVSKA, U. & GRAD, O. 2010. Attitudes Toward Suicide in the Adolescent
Population. Crisis, 31(1), 22-29.
○ DIEKSTRA, R. & KERKHOF, A. 1988. Attitude toward suicide: Development of a
Suicide Attitude Questionnaire (SUIATT). In Current Issues of Suicidology, 462-476.
○ DOMINO, G., MACGREGOR, J. & HANNAH, M. 1988. Collegiate attitudes toward
suicide: New Zealand and United States. Journal of Death and Dying, 19(4), 351-64.
○ DOMINO, G., MOORE, D., WESTLAKE, L. & GIBSON, L. 1982. Attitudes toward
suicide: A factor analytic approach.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36(2), 257-62.
○ DOMINO, G. & TAKAHASHI, Y. 1991. Attitudes toward suicide in Japanese and
American medical students. Suicide and Life-Threatening Behavior, 21(4), 345-59.
○ KODAKA, M., INAGAKI, M., POSTUVAN, V. & YAMADA, M. 2013a. Exploration of
factors associated with social worker attitudes toward suicide. International Journal of
Social Psychiatry, 59(5), 452-459.
○ KODAKA, M., INAGAKI, M. & YAMADA, M. 2013b. Factors Associated With Attitudes
Toward Suicide. Crisis, 34(6), 420-427.
○ KODAKA, M., POSTUVAN, V., INAGAKI, M. & YAMADA, M. 2010. A Systematic
Review of Scales that Measure Attitudes toward Suicide. International Journal of

- 44 -
Social Psychiatry, 57(4), 338-361.
○ LIMBACHER, M. & DOMINO, G. 1985. Attitudes toward suicide among attempters,
contemplators, and nonattempters. Omega, 16, 319-28.
○ MCAULIFFE, C., CORCORAN, P., KEELEY, H. & PERRY, I. 2003. Risk of Suicide
Ideation Associated with Problem-Solving Ability and Attitudes toward Suicidal
Behaviour in University Students. Crisis, 24, 160-67.
○ MOFIDI, N., GHAZINOUR, M., RENBERG, E. & RICHTER, J. 2008. Attitudes towards
suicide among Kurdish people in Iran. Social Psychiatry Psychiatric Epidemiology, 43, 291-298.
○ MYERS, D. 1993. Behavior and Attitudes. In Social Psychology, New York, McGraw-Hill.
○ RENBERG, E. 2016. Attitudes toward Suicide, ver. 2016. Umea, Sweden: UMEÅ UNIVERSITY.
○ RENBERG, E., HJELMELAND, H. & KOPOSOV, R. 2008. Building Models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Attitudes Toward Suicide and Suicidal Behavior: Based on Data
from General Population Surveys in Sweden, Norway, and Russia. Suicide and
Life-Threatening Behavior, 38(6), 661-675.
○ RENBERG, E. & JACOBSSON, L. 2003. Development of a Questionnaire on Attitudes
Towards Suicide (ATTS) and Its Application in a Swedish Population. Suicide and
Life-Threatening Behavior, 33(1), 52-64.
○ STEIN, D., BROM, D., ELIZUR, A. & WITZTUM, E. 1998. The association between
attitudes toward suicide and suicidal ideation in adolescents. Acta Psychiatr Scand, 97, 195-201.

- 45 -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