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245

국가 정보학 파워포인트

제 1 편 국가정보 개요
1 장 . 국가정보의 의의
제 1 절 . 국가정보의 개념
1. 용어정의

• 자료 (data)
• 첩보 (information)
• 정보 (intelligence)
* 정보성 첩보 : 첩보위성 사진처럼 분석이
필요 없는 생 자료
• 정보의 생산자와 사용자
- 생산자 (intelligence producer) : 정보를
만들어 내는 사람
- 사용자 (int. consumer) : 정책수행자 ,
개인소비자도 있음
2. 정보의 개념

가 . 제프리 리첼슨 (Jeffery T. Richelson)

• 외국이나 국외지역에 대한 첩보를 수집 , 평가 . 분석


종합 . 판단의 과정을 거쳐 생산
• 미국 합동참모부 (Joint Chiefs of Staff) 정보개념과 동일

나 . 마이클 허만 (Michael Herman)


• 정보는 추론적 , 평가적 , 지식임 . 셔면 켄트와 의견
동일
• 정보는 정부 내의 조직된 지식
• 정보는 해외세력을 총체적으로 보고 모든 종류의 첩보
자료를 활용하여 산출해 낸 지식
다 . 에이브람 슐스키 (Abram N. Shulsky)
• 정보는 국가이익을 극대화 하고 ,
적대세력의 위협을 취급하는 정부의
정책수립과 실현에 관련된 자료
• 상대세력에 대한 비밀활동과 방첩활동의
중요성 강조

라 . 마이클 워너 (Michael Waner)


• 적대세력의 영향을 완화시키거나
적대세력에 직접 영향을 미치기 위한
노력을 지원하는 비밀스러운 것
마 . 마크 로웬탈 (Mark M. Lowenthal)
• 정보는 첩보범주 하의 집합으로 정책결정자의 요구에
부응하여 분석되어 산출된 첩보
• 모든 정보는 첩보이지만 모든 첩보는 정보가 아님

바 . 파스너 재판관
• 정보활동은 적대세력에 대한 의도와 능력을 파악하는 것

사 . 칼 본 클라우제비치 ( Carlvon Clausewitz)


• 정보는 적국과 그 군대에 대한 제반 첩보
• 프러시아 전략가 . 전쟁론 (On War) 저자

아 . 셔먼 켄트 (Sherman Kent)
• 정보는 국가정책 운영의 기본자료
• 정보는 국가정책을 위한 지식 (knowledge), 활동 (activity),
조직 (organization) 으로 정의
• 예일대 역사학 교수 , 중앙정보국 (CIA) 분석국장 , Strategic
Intelligence for American World Policy 저자
아 . 셔먼 켄트 (Sherman Kent)

• 정보는 국가정책 운영의 기본자료


• 정보는 국가정책을 위한 지식
(knowledge), 활동 (activity), 조직
(organization) 으로 정의
• 예일대 역사학 교수 , 중앙정보국 (CIA)
분석국장 , Strategic Intelligence for
American World Policy 저자
3. 정보의 규범적 정의
가 . 미국 국가안보법 (National Security Act of 1947)
o 제 3 조에 규정
- 해외정보와 방첩정보 포함
- 그러나 미국 국가정보법이 정보를 해외정보와 방첩정보만으로
한정한 것은 아님
- 국가안보와 관련된 국내정보도 국가보안법의 정보개념에
포함됨
나 . 정보개념
• 정보란 국가안보와 국익을 도모 하기위한 자료
• 적대세력 관련 , 문제점에 대해 평가한 가공된 첩보를 의미
• 국가운용에 필요한 지식 , 활동 , 조직으로 정의
• 지식으로서의 정보는 적의 의도와 능력에 대한 분석자료
제 2 절 국가정보의 분류
1. 사용주체에 의한 분류
가 . 국가정보 (National Intelligence)
나 . 국가부문정보 (National Departmental
Intelligence)

2. 사용목적에 따른 분류
가 . 정책정보 (Policy Intelligence)
나 . 보안정보 (Security Intelligence)

3. 대상지역에 따른 분류
가 . 국내정보 (Domestic Intelligence)
나 . 국외정보 (Foreign Intelligence)
4. 시계열 (time series) 에 따른 분석

가 . 기본정보 (Basic descriptive Intelligence)


o 기본정보의 구성 : BEST MAPS

나 . 현용정보 (Current Reportorial Intelligence)


o 대통령 일일브리핑 , 국가일일정보 , 군사정보 다이제스트 ,
국방테러정보요약 , 신호정보 다이제스트

다 . 판단정보 (Evaluative Intelligence)


o Speculative estimative intelligence
o Speculative evaluative element
o NIC 생산 NIEs( 국가정보판단서 )
5. 요소에 따른 분류

가 . 정치정보 (Political Intelligence)


나 . 군사정보 (Military Intelligence)
다 . 사회정보 (Sociological Intelligence)
라 . 경제정보 (Economic Intelligence)
마 . 과학기술정보 (Scientific and Technical
Intelligence)
바 . 환경 . 생태정보 (Environmental and
Ecological Intelligence)
사 . 의료 . 보건정보 (Medical and Health
Intelligence)
아 . 기타 문화정보 , 사이버 정보 등
6. 수집활동에 따른 분류

가 . 인간정보 (Human Intelligence : HUMINT)


나 . 기술정보 (Technical Intelligence: TECHINT)

7. 출처에 따른 분류

가 . 공개출처 정보 (Open Source Intelligence :


OSINT)
나 . 비밀출처 정보 (Secret Source Intelligence)
제 3 절 셔먼 켄트의 정보 분류
1. 보안정보와 적극 . 명확 정보
• 가 . 보안정보 (Security Intelligence)
• 나 . 적극 . 명확 정보 (Positive Intelligence)

2. 사용수준에 의한 분류
• 가 . 장기 정보 (Long Range Intelligence)
• 나 . 중기 정보 (Medium Range Intelligence)
• 다 . 단기 정보 (Short Range Intelligence)

3. 수집활동방법에 따른 분류
• 가 . 공개수집정보 (overt intelligence)
• 나 . 비밀수집정보 ( secret or clandestine intelligence)
제 4 절 전략정보와 전술정보
가 . 전략정보 (Strategic Intelligence :
STRATINT)

나 . 전술정보 (Tactical Intelligence :


작전정보 , operational intelligence)
제 5 절 국가정보학 연구
1. 국가정보학

• 국가정보활동을 학문적으로 연구
• 국가정보활동의 의미
- 국가안보와 국가이익을 위한 기본자료
- 국가정책에 반영 - 효력발휘
- 국가가 존립하고 발전하기 위한 불가결의 요체

• 국가정보의 성격
- 국가별 처한 환경에 따라 다름
- 국가통치 수단으로도 가능
- 법 집행기능을 병행 , 경찰기능도 가능
- 미션 크립 (mission creep) 도 가능
- 정보 외교 도모
2. 국가 정보학의 한계

o 보편성 부족 ( 사실적 권력 활동이 우선 )


o 비밀성 ( 공개토론 및 자유의견 개진 불
가)
o 통치의 부속수단 ( 독립성의 결여 )
o 연구 자료의 부족
3. 국가정보학의 연구 범위

o 범위 : 개념 , 영역 , 정보환경 , 정보기구 ,
국제규범 , 감독과 통제
o 연구 목표 : 정보 마인드 , 활동 사례 , 성공적인
정보활동 , 국가안보에 기여
o 주요 기능
- 국가정보활동의 체계화
- 국가정보활동의 합리성 제고 ( 법치주의 부합 )
- 국가정보활동의 발전 도모
- 국가 발전에 기여
* 전 KGB 의 고급간부 , Oleg D. Kalugin :
국가정보활동에 수백만 달러를 사용하는 것이
전쟁으로 인한 수십억 불의 손실보다 낫다 .
제 2 장 국가정보 활동
제 1 절 국가정보활동과 국가안보
관계
1. 국가정보는 국가안보의 주요 투입변수
o 국가안보는 경제적 , 군사적 , 외교적 활동을 통해
확보가능
o 국가안보는 국가정보활동에 의해서 직접적으로
확보가능
o 국가안보개념이 절대적이지 못하기 때문에
국가정보개념도 변함

2. 국가정보기구의 기능
o 전략적 충격 방지 ( 전략적 기습과 전술적 기습 )
o 전문 지식의 장기적 제공
o 정책 과정의 지원 - 정보의 정책 종속성 의미
o 정보 출처에 대한 비밀성 유지
* 정책수행자는 양질의 정보를 제공받아 업무를
성공적으로 수행함
3. 국가정보의 대상

o 군사적 정보

o 우방국 , 중립국 , 동맹국 , 적국 의도 및 역할

o 국제테러 , 국제범죄

o 위협세력
* 동맹국 의도파악 사례 : 일본의 진주만 공격
- 초국가적 표적 (transnational targets)
- 지역표적 (regional targets)
- 국가표적 (national targets)
4. 국가정보의 효용

o 정보의 실용적 가치 : 사용자와 국가안보에 도움이 되는 측도


- 사용되고 활용됨으로서 빛이 나고 기구의 역할이 인식됨
- 판단 기준은 국가정책에의 기여도

o 정책단계별 효용
- 정책수립단계 : 제 1 의 효용
- 리첼슨 : 정책입안자를 위해 수집된 지식

o 정책운용에서의 효용

o 분쟁대처에 대한 정보의 효용
- 전술정보 효용

o 경고기능의 정보효용
- 위협에 대한 경고 기능
* 효용의 조건
- 적합성 , 적시성 , 정확성 , 객관성
제 2 절 국가정보 법치
1. 국가안보법 (National Security Act 1947)

o NSC, CIA, DCI 체제 창설근거 법


o 1981.12.4 레이건 대통령 명령 12333 호에 의거
강화
o 2004 년 정보개혁 및 테러 방지법으로 국가보안법
일부개정

2. 정보개혁 및 테러방지법 (TRTPA, 2004.12) 제정


o DCI 체제 폐지 , DNI( 정보공동체의 신황제 , Czar)
체제 출범
o 미국 중앙정보국의 해외공작업무 휴민트 전담
임무 부여
3. 국가정보와 국제법
가 . 1907 년 헤이그 협정 (Hague IV Convention 1907)
o 스파이에 대한 정의를 하고 , 원칙적으로 재판에 의해서 처벌
o 소속부대 복귀 스파이는 전쟁포로 (POW) 로 취급

나 . 비엔나 협정 (Vienna Convention on Diplomatic Relations ,


1961.4.18)
o 외교관계에 대한 비엔나 협정 , 이미 성공한 스파이 활동에
대해 추후 처벌 못하도록 명문화
o 모든 스파이 활동을 위법으로 간주하지 않음 .

다 . 국제형사 사법재판소 (ICC: International Criminal Court))


o 국제 강행규범 위배를 관할 할 목적으로 2002 년
국제형사재판소 창설
- 전쟁범죄 , 대량살상범죄 , 인륜에 반하는 범죄 , 침략범죄
o 스파이 활동은 상기 강행규범 범죄에 속하지 않기 때문에
국제형사재판소 관할사항이 아님
라 . 해외정보수집활동의 국제법적 성격
불인정

o 불법성설
- 근본적으로 불법하다는 견해 ( 다수의 견해 )
- 평시 정보 수집은 내정간섭에 해당
- UN 헌장의 자결권은 국제법의 기본 , 주권국가에 불법개입상황
- 에이 팍스 (Hays Parks): 스파이 활동의 자기이기주의적 특성이라고
주장하면서 불법성설을 지지

o 합법성설
- 원천적으로 합법하다는 견해
- 스파이 활동은 국제 관행이고 적법한 비밀외교 사절이라고 주장
- 예일대학교 헤븐 연구소 - 스파이 활동은 세계평화와 안전에 이바지 할 수
있는 순기능도 있다고 주장

o 결론
- 국내법적으로 불법성이면 국제법으로 합법적인 행위로 인정하기 곤란
- 그러나 국가정보활동은 세계평화와 안전이라는 유엔헌장의 목적을 달성 할
수 있는 유용한 가치가 있음도 부인하기 곤란
마 . 국가관할 권과 면책특권의 범위

o 국가관할권
- 속인주의
- 속지주의
- 보호주의 : 자국의 이익침해 행위로 간주 ( 자국형법적
용)
- 세계주의 : 인류의 공동적으로 간주 ( 모든 국가 관할권 )
- 관할권의 적용 : 속지주의 원칙하에 3 가지 원칙을
혼용적용

o 면책특권
- 비엔나 협약에 의거 개인 또는 국제기구 단체등도
면책특권
- 공직가장 (official cover) 자에게도 면책특권 인정
- 비공직가장 자에게는 면책특권
제 2 편 정보의 순환
(Intelligence cycle)
1. 정보순환의 의미

o What does what for whom? 에 대한 대답


o 첩보가 정보로 가공되어 사용자에게 전달되는 과정

2. 정보순환 범위

o 광의의 정보순환 : 환류 포함
o 협의의 정보순환 : 환류 불 포함

3. 정보순환단계 분류

o CIA 분류 (5 단계 ) : 기획 및 지시 , 수집 , 가공 , 분석 및 생산 , 배포
(dissemination)
o NATO 분류 (4 단계 ): 수집지시 , 수집 , 가공 , 배포
- 가공단계를 5 가지로 분류 : 대조 , 평가 , 분석 , 종합 , 해석
o 로웬탈 (7 단계 ) : 요구 , 수집 , 가공 과 개발 , 분석 및 생산 , 배포 , 소비 ,
환류 (feedback)
o 국정원 (5 단계 ) : 요구 (requirement), 수집 (collection), 처리 (processing),
생산 (production), 배포 (dissemination)
4. 정보순환의 기능

o 정보활동의 시스템화
o 정책과 정보의 유기적 협조 ( 정책공동체 +
정보공동체 )
o 견제와 균형기능 (checks and balances
function)

5. 환류 (feedback) 의미

o 정보순환과정 여부에 대한 논쟁 제공
o 생산자와 소비자의 대화 가능
o 정보활동의 발전 動因
6. 정보순환절차

1) 요구단계

o 정보수요 확인
o 정책결정자 , 정보기구 상호간 , 생산자 자체의 의해 요구
o 정보요구 우선순위 결정
o 우선순위
- PNIO (Priority of National Intelligence Objective)
- EEI (Essential Elements of Information ) 첩보기본요소로 정보활동의 순위와
방향을 규정
- 0IR(Other Intelligence Requirements)
- SRI(Special Requirements for Information)
• OIR, SRI 는 정보활동의 역동성 의미

o 미국의 경우
- 국가안보정책지침 (NSPD :National Security Policy Directive) : 국가정보활동
방향설정
- 국가정보우선계획 (NIPF:National Intelligence Priorites Framework)
-NIPF 는 5 년 예산주기계획 , 그러나 6 개월마다 대통령과 NSC 에 의해
상황변화에 맞게 재검토
2) 정보순환단계 고려사항

o 선취권 잠식 (priority creep)


- 영향력있는 조직 및 인물에 의해 우선순위 결정
- 정보활동 균형상실 , 정보목표상실 , 정보권력 암투
o 정보활동의 임시특별권 (ad hoc)
- 특별과제가 정보활동의 우선순위로 전환
- 선취권 잠식과 구별
- 로웬탈 : 특별권의 독재 (tyranny of ad hoc ) 로 표현
o 첩보수집량의 문제
- 정보분석관에 의한 첩보요구수준에 따라 결정 ( 분석적 요구에
기초하 결정 , 분석없는 정보는 있을 수 없다 )
- 밀과 겉겨의 문제 (wheat versus chaff problem )
o 처리 및 가공 (processing and exploitation ) 단계
- 암호문 해독 , 영상사진 판독 , 외국어 번역 등
- 수집과 분석간 불균형 문제 해결
o 분석 및 생산단계
- 단기정보 분석 , 장기정보 분석 문제의 균형
- 정보 분석은 정보수집의 우선순위 결정에도 영향
o 배포 (dissemination ) 단계
- 사용자에게 전달
- 5 개 사항고려 : 가치성 , 필요성 , 시의성 , 정확
성 , 배포방식의 타당성
- 형식 : 구두 , 보고서 , 브리핑 , 정기간행물 ,
연구과제 , 메모 , 電文 , 이메일 등
o 환류단계
- 정보활동 : 편도가 아니고 순환 왕복선
- 입체적 내용의 작용 , 반작용 영역
- 쌍방의 대화 , 상호반성과 평가
- 수집과 분석방향에 긴요
제 3 편 정보 활동론
제 1 장 정보수집활동
• * 첩보와 정보는 엄격히 구분되지만 정보
순한론에서는 정보활동의 최종목표가
정보이기 때문에 정보수집 ( 엄격히 말하면
첩보수집 ), 정보분석 이라는 용어 사용
1. 수집지시 요청근거

o PNIO(Priority of National Intelligence


Objectives)
o EEI ( Essential Elements of Information)
o OIR (Other Intelligence Requirements)
o SRI (Special Requirement for
Information)
2. 인간정보 (HUMINT : Human Intelligence)

o 인간자산에 의해 수집된 정보
o espionage
o CIA: 국가비밀부 (NationalClandestine Service) 에서 총괄 ,
과거의 주무부서는 공작국 ( Directorate of Operation)
o HUMINT 구성
- I/O, C/O(case officer), Agent Handler( 조정관 ), Controller(
통제관 )
- Agent( 공작원 ), Collaborator ( 의식적 협조자 , 무의식적
협조자 , 자발적 협조자 walk-in) , Fifth colum( 제 5 열 ),
mole( 두더지 ), 세작 , 밀정 , 닌자
o Cover( 가장 )
- offical cover( 공직가장 )
- non official cover(noc 비공직 가장 )
- targeting or spotting( 물색 ), assessing( 평가 ), recruiting( 포섭
채용 ), handling( 조종 ), terminating( 해고 및 종결 )
o 첩보보고선 및 보고방법
- 정상선
- 보조선
- 직접접촉 , 수수소 (live letter box: LLB), 밀사 (Courier), 안가 ( safe
house), 무인포스트 (dead letter box: DLB), E-mail, 전화 , 전신 ,
우편 , 신문광고 , 팩시밀리

o 인간정보사례
- 로젠버그 스파이사건 (Rosenberg Spying)
. 로젠버그와 부인 에텔 (Ethel) 이 영국 . 미국 주축 핵무기개발계획인
맨하탄프로젝트 (Manhatten Project) 핵무기 정보자료를 소련에게
넘겨줌
. 1945.7.16 미국 뉴멕시코 알라마 골드 사막 핵실험
. 1949 년 소련 핵무기 개발 성공
. 로젠버그 부부 , 1951.3.25 기소 , 1953.6.19 처형
- 캠브리지 스파이 링 사건 (Cambridge Spy Ring)
. 캠브리지 대학출신 , 공산주의 숭배자 , 재학중 KGB 장학생으로
포섭 , MI5. MI6 진출하여 KGB 를 위해 이중간첩활동
. Kimp Philby, Maclean, Guy Burgess, Anthony Blunt, John Cairncross.
o 인간정보활동 한계
- 심리상태 파악 불가
- 거짓 , 역정보 가능
- 배신 , 음모 가능
- 근접성 필수인데 위험성 농후
- 공작원 해고 등 처리 문제 곤란

o 장점
- 의도 , 계획 파악가능
- 테러 , 국제범죄 파악에는 용이
- 실전시 유익
3. 기술정보 (TECHINT:Technical Intelligence)

o 과학기술방법 , 기구로 정보수집하는 활동


o BC1274 년 이집트 파라오 람세스 2 세가
카데시전투에서 정찰기구로 적진관측 ( 효시 )
o 2 차례의 세계대전으로 TECHINT 비약적
발전
o 신호정보 (SIGINT), 영상정보 ( IMINT),
계측정보 (MASINT) 로 구성
1) 신호정보 (SIGINT: Signal Intelligence)

o 통신 ( 신호 ) 을 도청해서 획득
o 종류
-COMINT(Communication Intelligence): 통화내용 도청
-TELINT(Telemetry Intelligence): 원격측정신호내용파악
-ELINT(Electronic Intelligence): 전자신호정보
-FISINT(Foreign Instrumentation Signals Intelligence):
기계신호음을 수집해서 필요정보를 획득
o 수집수단
- 신호정찰위성
- 신호항공정보 :RIVET JOINT, COMBAT SENT, COBRA BALL
항공기 , U-2 기
- 선박기지
- 지상기지 : 하와이 , 알라스카 Shemya, 일본 Misawa, 태국
Khon khen 기지 ( 소련 : 쿠바로우르데스 , 베트남 캄란 )
- 해저잠수항기지 : Holystone( 암호명 )
o 신호정보한계
- 쌍방 통화 및 통신 전제 ( 침묵 , 대면
보고시 수집불가 )
- 거짓정보 송출가능
- 방대한 신호정보량 - 수집 및 분석 한계
o 장점
- 상대방의 속내와 목적 파악 가능
- 의도 , 내용 이외 징조 , 경고 파악 가능
2) 영상정보 (IMINT : Imagery Intelligence)

o Photographic Intelligence: PHOTINT)


o 수집수단
- 정찰인공위성
. 1957.10.4 Sputniks 최초 위성발사
. 코로나 계획 (Corona Program): 하늘의 눈 (eyes in the sky)
CIA 운용 , 군사정찰위성계획 (1959-1972 간 영상감시활동 )
. 해상도 관건
- 정찰항공 : 군사시설에대한 영상정보 , 무인정찰기 운용
. 미국 :U-2, SR-71 Blackbird, RQ-4 Global Hawk( 무인 )
. 소련 : Yark-RV, MIG-25R, M-17 Mystic
. 한국 : 백두 - 금강사업 ( 금강 / 백두 정찰기 1991 년 시작 )
호크 800XP 기반 , 휴전선 이북 100KM 지역까지정찰 가능 (
대북첩보의 40% 담당 )
.
o 영상정보 한계
- 그래픽 특성 - 전문가도 쉽게 신뢰 , 다른 정보 간과
위험
-snapshot 에 불과 - 전 , 후 사항 파악 곤란
- 위장 , 방해전파 발사 가능
o 영상정보 장점
- 정치적 , 법적 논쟁 무
- 접근이 어려운 목표 수집가능 , 광범위한 정보수집
- 신뢰성 높여주는 결과 ( 정보성 첩보 )
o 영상 정보활용
-SPOT( 프랑스 1986) : 10m 해상도 ,
상업용사진정찰위성
-IKONOS( 미국 1999 년 ): 1m 해상도정찰위성 , 2000.1.1
판매
-IMINT tells you what has happened, SIGINT tells you
what will happen
3) 계측정보 (MASINT:Measurements and Signature Intelligence)

o 개요
- 징후계측정보 , 흔적계측정보 , 관측징후정보 로 호칭
- 무기보유량 , 화력 , 제조무기 등 산업활동 실태파악
- 미국은 1986 MASINT 처음 인정
o 계측정보의 특성
- 신호정보 및 영상정보 과정에서 발생
- 차이는 구성요소의 성숙도 와 다양성 측면에서 파악
- 성숙도는 원시적 상태 미성숙 , 실제상황에서는 매우 다양
* 매신트는 과학수사대와 비유
범죄현장에서 혈흔 , 머리카락 , 옷가지 등 흔적 및 족적으로 추정하여
수사 . 당사자의 통화를 도청하거나 사진촬영으로 접근하는 것과
차이나는 것이 과학적 수사대
o 매신트 대상
- 레이더 , 신호 , 라디오 주파수 , 음향 , 지진 . 자기등의 지질물질 , x-
ray. 감마선 등 방사선 , 분진 및 파편 , 전자파와 적외선
- RADINT, ACOUSTINT, NUCINT, RF/EMPINT, LASINT
RINT, CBINT, SPINT, IRINT
4) 기술정보 사건

o Zimmerman Telegram
o Magic cryptography(purple 해독 )
o Ultra project (Enigma 해독 )
o Venona project (1940-50 년대 소련 암호문
체계해독 )
o Echelon project (GCHQ, DSD, GCSD, CSE, NSA
참가 )
o Frenchelon project ( 프랑스 에셜론체계 대응 ,
DGSE 주관 )
o Northcom (NSA 9.11 이후 2002 년부터 극비
세계통신감청 )
- AT&T, SBC, Verizon, Bell South 의 전화통화
상세기록을 획득하여 정보수집
4. 공개출청 (OSINT : Open Source Intelligence)
o 공개된 출처 자료 수집
o 다른 정보수집 활동의 시발점

1) OSINT 의 발전
o 인터넷 발전 및 각종 매체 발전
o 정보기구의 약 75% 공개정보 활용 , 90% 까지
활용가능
o 힐렌 코에터 ( 미 초대 CIA 장 ): 80% 는 서적 , 잡지
라디오 활용
* 미국정보는 CIA 에서 나오는 것이 아니라 CNN 에서
나온다

2)OSINT 대상
o Media, Public Data, 일반인 관측 , 학술논문 , 지구
공간적인 공개 데이터 등
3) 일반적 수집
o 서적 , 자료 수집
o 상대국 발표자료 ( 정치 , 군사 , 과학 , 경제 , 사회 등
각종통계 )
o TV, 방송 모니터링 ( 주로 대북 첩보수집 )
o 로웬탈 : LAVINT, RUMINT, REVINT, DIVINT 사례예시

4)OSINT 한계
o 방대한 양 ( 알곡과 겨의 문제 , 숲속에서 진주 찾기 )
o 검증되지 않은 자료 , 조작자료 가능성 , 테러 및 국제범죄에
관한 OSINT 는 한계
o 출판된 자료에 대한 신뢰성이 높은 경향

5) 고려 사항
o 적시에 신속 수집 ( 수집기법이 요구되는 사항 )
o 인터넷 공개출처에 대한 과신 금물 (DNI 는 3-5% 정도 인터넷
정보 활용 )
제 2 장 정보분석 활동
1. 개요

1) 정보분석 개념
o 첩보를 검증 , 가공하여 정책결정자가 활용할 수
있도록 정보화 하는 일련의 과정
o 정보화 정책이 접점 , 국가안보와 관련된 현안이 규명 ,
결과에 대한 파급효과의 예측 및 평가
o 정책의 성공은 정보의 질의 성공

2) 특성
o 4 대정보활동 중 정보 분석을 가장 중시 ( 리처드 헬름 :
DCI)
o 대상 : 국가안보 및 국익관련 제 요소
o 분석시 핵심사항
- 비밀성 (secret), 공개사실여부 (known fact),
허위정보여부 (disinformation), 의문사항 (mystery)
3) 정보분석시 고려요소

- 지연판단 (deferred judgement)


- 다량양질 (quantity leads to quality)
- 他家受精 (cross-fertilization of ideas)
- 경쟁분석 (competitive analysis)
- 악역활용 (Devil's advocate)
- 안정감 (sense of security
2. 정보분석요건

o 연관성
- 국가안보와 국익 , 국가정책연관성 ,
사용자의 요구와 선호도
o 3 대 요건
- 적합성 (relevancy), 적시성 (timeliness),
정확성 (accuracy)
- 기타 맞춤형 (tailored), 간결성 (brevity),
명료성 (clarity) 필요
3. 정보분석의 이론적 접근

o 기술학파 : 과거 소련의 정보 분석개념


- 전문가의 견해를 사용자에게 전달
- 기술적 조언자 - 정보 분석의 엄격한 객관성 . 중립성
강조
o 과학적 예측학파 : 미 CIA 분석개념
-KENT, Colby 견해
- 단순 사실규명이 아니라 과학적 방법을 동원
인과관계규명하고 미래상황을 예측판단
- 정보의 정치적 중립성에 있어서 절충 ( 기술학파 /
기회분석학파 ) 입장
o 기회분석학파 (opportunity oriented analysis)
-Wilmore Kendal 의 견해
- 사용자의 정책방향에 맞는 분석
- 정보분석의 정치적 중립성은 없다는 입장
4. 정보분석부서

1) 정보분석 기구의 유형
o 분산형
- 정보기구별로 자체 분석부서 운용
o 중앙집중형
- 수집과 분석을 구분한 이원화 , 최종적으로 중앙에서 취합
- 중복투자방지 , 중요한 사안들을 포괄적으로 다루는 장점
o 절충형
- 혼합형 , 경쟁적 분산형 이라고도 함
- 분산형과 중앙집중형을 절충
- 두 팀으로 나누어 동일사안에 대해 경쟁적으로 분석 , 1975 년
부시 부장 때부터 정보공동체에서 주로 활용하던 방식
* 대부분 국가정보기구에서는 분석부서와 수집부서를 분리 운용
5. 정보 분석관

1) 개요
o 분석관의 자질 - 정보분석의 핵심
o 정보분석관은 담당분야 전문지식 함양
필수
o 우수정보관 채용 및 교육필요
• 정보분석관은 단순 사실관계 파악 또는
학문적 진리탐구가 아니라 국익증대를
위해 국가정책수립 및 집행에 기여하는
가를 연구하는 사람
2) 분석관 유형
o 전문형 : 미국 , 북한 , 이란 등
- 담당분야 전문가로 분석가 양성
- 미국은 지역 , 기능 전문성을 가진
고급인력을 선택적으로 채용
- 미국 2000.5 KENT SCHOOL 설립
o 일반형 : 영국
- 전문분석관을 채용하지 않고 외교분야
종사자를 평가국 분석관으로 임명
o 절충형 : 한국
- 일반직원과 석 . 박사 학위 소지자 별도 채용
- 전문분석관 양성 훈련과정 추진
3) 미 CIA 분석관 종류

o 분석방법전문가
o 정보수집관련 분석관
o 방첩활동위협분석관
o 대테러 분석관
o 범죄 및 마약 분석관
o 경제 분석관
o 리더쉽 분석관
o 의학분야 분석관
o 군사분석관
o 정치분석관
o 심리학 및 정신분석 분석관
o 과학 . 기술 및 무기 분석관
4) 정보 분석관의 기본자세

o 정세변화에 항상 관심
o 현안관심은 물론 일반적 사항에 대해서도
검토
o 자유로운 사고 , 사회적 현실에 대한 책임
o 책임감과 자부심
o 부단한 인내심 , 끈기있는 노력
o 오류 가능성에 대비 , 반대 입장에서
생각하는 자세
o 편향된 사고에 대한 염려
o 생자료 , 가설에 대한 집착 및 과신 경계
5) 정보분석관 관리
o 보직관리
- 지적정체를 막기 위해 순환 보직관리
o 승진문제
- 분석관의 사기를 진작시키는 승진제도 필요

6) 정보 분석과 학문분석의 차이
o 공통점
- 설명과 예측을 목적으로 함
- 사회과학적 방법을 이용하여 분석
o 차이점
( 학문적 분석 )
- 목표가 지식
- 현상과 상황의 본질적 규명에 관심 , 과학적 진리 탐구
- 학문의 발전을 목적
- 분석대상 접근 용이 , 자료 공개 , 연구결과 무제한 이용
- 시간적 제약 없음
( 정보분석 )
- 목표는 국가이익 , 국가안보
- 정책결정을 지원 , 정책결정의 합리성 제고
- 자국에 유리하게 조작 및 변화가 가능한 요소 분석에 중점
- 국익증대의 도구이며 당위론적 성격 강함
- 비공개 자료 활용
- 적시성이 생명이므로 시간적 제약 강함
6 정보분석의 절차

1) 첩보평가 (evaluation)
o 신뢰성 평가 : 기만정보 가능성 판단
o 첩보내용의 정확성 판단
o 첩보의 효용성 ( 유용성 ) 판단

2) 첩보분석 (analysis)
o 주제와 관련된 구체적인 내용을 추출
- 분석작업을 반복 , 의미있는 사실관계를 파악
o 첩보의 대조
- 입수첩보 내용 비교 및 기존첩보와 새로운 첩보 비교
- 연관성 파악
o 첩보의 분류
- 비슷한 내용 분류 - 주제에 대한 윤곽파악
- 인과 관계를 검증
3) 첩보 종합 (integration)
o 분석의 결과로 추출된 내용을 정리하여 논리적 추론을 통해
인과관계를 확인하고 보고주제와 관련된 사실관계를 재구성
o 사실관계 재구성
- 모든 가능성을 상정하여 가장 높은 가설을 선택하는 방법 ( 브레인
스토밍 활용 )
- 가설검증을 위해 추가 첩보수집 여부 확인
o 첩보로서 가설을 검증
- 어떤 가설을 반박 할 수 있는 첩보를 입수하여 해당가설을 제외시켜
나가는 방법 활용 ( 위증화 작업 falsification)
- 단일 가설로 좁혀지지 않을 경우 가장 유력한 가설을 선택
- 유력한 복수의 가설을 채택 - 사실 가능성을 확률로 표시

4) 첩보 해석 또는 판단 (interpretation , deciding)
o 정보분석의 마지막 단계
- 추출된 정보가 국가안보에 어떤 의미인지 해석 , 파급영향 평가
o 신속하고 정확한 첩보해석 및 판단
- 국가이익을 판단 할 수 있는 전문지식 및 정보감각 필요
- 국가정책의 추진방향에 대한 이해
7. 정보분석기법

1) 이론적 분류 ( 추론의 방법 )

가 ) 귀납법 (induction)
o 개별절 관찰을 통해 보편적 일반화를 도출해 내는 방법
나 ) 연역법 (deduction)
o 하나의 보편적 명제를 도출하고 이를 경험적 사례에 비추어
검증하는 것
다 ) 변증법 (dialectical method)
o 마르크스의 사회과학 방법론에서 주로 활용하는 역사 , 구조적
분석을 통해 사회변동의 흐름을 질적으로 규명해 내는 방법
라 ) 직관 (trained intuition)
o 분서관의 통찰적 인식
o 직관적 추론 능력은 경험이 없는 정보 분석관도 직관에 탁월한 정보
분석가능
라 ) 과학적 추론 (scientific method)
o 과학적 가설을 설정한 후 후속적 실험을 통해 검증하는 것
o 과학적 추론 기법은 직관과 실험적 검증이 함께 어울려 사용됨
2) 정보 분석의 가설이론

가 ) 가설 (hypothesis)
o 주어진 현상에 대하 잠정적 결론
o 정보보고서는 결국 가설의 최종적 집합체
나 ) 가설이론 단계
o 문제의 확인
o 문제에 대한 가설의 설정
o 가설 검증을 위한 첩보의 재수집
o 설정가설에 대한 평가
o 가설의 선택
o 지속적인 점검
* 가설에 대한 알렉산더 조지의 방식
- 최선보다 차선 , 만족할 만한 가설 채택
- 점진주의 방법으로 대안적 가설채택
- 과거 성공과 실패 사례 참조 , 유추적으로 선택
- 좋은 대안과 나쁜 대안 기준 정하여 가설 설정
* KENT 방식 또는 YALE 방식
- 발생확률을 구체적 수치로 표시 , 가설을 결정
- 켄트는 수학과 구두언어의 연계 ( 확실 100%, 거의확실 93%)
3) 분석기법의 분류

o 자료형 (data driven)


- 정통적인 정보 분석방법
- 자료형 모자이크 이론 - 모든첩보 수집후 큰 그림 완성
- 수집에 우선순위
- 기술첩보 옹호론자 , 가능한 많은 첩보 수집 강조
- 부분적인 첩보를 가지고 전체그림을 그려야 하는 단순화우려
o 개념형 (conceptually driven)
- 하나의 큰 그림을 그려 놓고 그 그림을 근거로 첩보수집
- 하나의 이론적 모델을 설정하고 맞는 첩보를 수집
- 경합이론을 제시하고 이를 단계적으로 검증해 나갈 때 분석의
정확도가 높아 질 수 있다는 것
- 최근 자료형 분석에서 개념형 분석으로 전이 하는 경향
* 개념형 분석유형
- 내재적 접근
- 보편 이론적 접근
- 비교 역사 모델적 접근
4) 개별 분석기법

가 ) 개별분석기법의 형식적 분류
o 정보 분석기법이란 수집된 첩보내용을 분석하는
도구로서 양적분석기법과 질적 분석기법으로 분류
o 양적분석기법
- 수집된 첩보의 수량화가 가능하고 통계적
방법으로 처리 가능 할 경우 사용
- 반복적 사회현상 , 전체 사회의 구조 및 제도 등을
분석
o 질적분석
- 단편적인 첩보 수집 시 인간의 사유에 의해
추론하는 능력을 활용하는 방법
- 개별적 , 문화적 사회현상 및 행위자의 주관적
의도 등을 분석하는 방법
나 ) 질적분석기법 (Qualitative Analytic Techniques)

o 브레인 스토밍 (Brain Storming) 기법


- 관련자 다수가 자유롭게 발언하도록 하여 아이디어를
도출하는 집단사고 방법
o 핵심판단기법 (Key Judgment)
- 일명 린치핀 기법이라고 함
- 다수의 가설을 설정하고 각 가설을 뒷받침하는 증거 수집
- 몇 개의 가설로 압축 , 비교분석하여 핵심적 판단을 추출
o 경쟁가설기법 (Competing Hypothesis)
- 경쟁관계에 있는 각종가설과 수집된 첩보를 행렬표 (matrix) 를
작성하여 가설과 개별첩보의 일치 여부를 검토
- 핵심판단기법과 유사하나 중요한 사실관계를 판단한 과정과
근거를 분명히 하여 객관적 판단을 유도하는 것에 차이
o 인과고리 기법 (Causal Loop Diagram)
- 원인과 결과를 통해 발생가능성을 도식화 하는 분석기법
o 역할연기 기법 (Role Playing)
- 전문가들에게 역할을 분담시켜 연기하도록 하여 진행결과를
관찰하는 분석기법
o 분기분석기법 (Divergent Analysis)
- 분석주제에 대한 다양한 가설과 아이디어를 창출 한 다음
- 분석결과를 수차례에 걸쳐 재분석하여 나타난 길을 쫓아 최종
분석결과를 도출하는 방법
o 목표지도 작성법 (Objective Mapping)
- 정책목표와 정책대안의 관계 및 장애요인 등을 도표화하여
최적의 방법을 도출
- 국가정책 수립 시 주로 활용하는 방법
o 계층분석 기법 (Hierarchy Analysis)
- 단계별 세부 추론에 의해 정책문제를 구조화 하고 이에 따른
해결방안을 강구하는 기법
- 문제 상황에 대한 근본적 발생 원인을 추적하는 방법
o 사례연구 (Case Study)
- 유사한 과거 사례를 통해 해답을 찾으려는 분석방법
다 ) 양적분석기법 (Quantitative Analytic Techniques)

o 베이지언 기법 (Bayesian Method)


- 복수 가설을 설정 , 각 가설의 실현가능성에 대한 확률판단
- 시간이 흐름에 따라 각 가설의 확률변화추이를 통계학적 방법으로 추론하는
방법
- 미 중앙정보국은 1969 년 중 . 소 국경분쟁 발발가능성 분석
- 1974-76 간 이스라엘과 아랍국간의 전쟁가능성을 분석
o 정세전망기법 (Policon & Factions)
- 교수가 개발한 정치전망 분석기법 , 게임이론과 합리적선택이론을 이용
- 미 CIA 는 1982-86 까지 Policon 을 정보분석에 활용 , 그후 과학기술의
연구 개발과에서 Policon 을 자체분석환경에 맞게 수정하여 Factions 를
개발
- 분석의 오류를 줄이고 예측력을 향상시키는 데 많은 기여를 함
o 의사결정나무 (Decision Tree) 기법
- 경영학의 의사결정 방법을 도입
- 가능한 모든 대안을 decision tree 라는 나뭇가지 형태로 도식화하여
분석관의 문제의식을 단순 . 명확하게 하는 기법
- 복잡한 상황에 직면 시 전체 상황을 파악 할 수 있는 통찰력을 주는 유용한
도구
참고사항 ( 정보분석 기법에 많이 활용되는 기법 )

1) 델파이 기법 (Delphi Method)


o 1964 년 미국랜드연구소가 공산품의 수요예측을 위해 사용
2) 램프 기법 (LAMP: Lockwood Analytical Method for Prediction)
o 록 우드 박사 고안 , 공개출처 정보의 분석에 활용
o 미래란 국가행위자의 개인적 또는 국제적 규모의 자유의지의 유기적 총합이라고 보는 바탕위에서 전개
3) 베이지안 기법 (Bayesian Method)
o 모든 가설에 대해 실현가능성을 확률로 표시하는 기법
4) 폴리콘 과 팩션 (Policons and Factions
o 정세전망 기법
5) 기회분석기법 (Opportunity Analysis)
o 정책방향에서 추동된 분석활동 , 정책방향에 맞게 연관성을 찾는기법
6) 린치핀 분석기법 (Linchpin Analysis)
o 중앙정보국 맥이친 (MacEachin) 이 도입한 분석기법 , 핵심판단기법을 의미
o 린치핀은 차체 고정장치를 의미하는 것으로 위험성을 감소하는 고정장치인 닻에 비유해 사용
7) 경쟁가설기법 (Analysis of Competing Hypotheses:ACH)
o 딕 호이어 (Dick Heuer) 가 개발한 정보분석기법
o 경쟁관계에 있는 복수 가설들을 동일평면상에 평가하여 상대적 우월성을 확인하는 분석방법
8) 경쟁분석 (Competitive Analysis)
o 복수이상의 정보기구들이 , 또는 복수 이상의 분석팀이 서로의 전문성을 살려 서로 다른 분석결과를
도출한 후 , 비교
o cherry-picking 에 따른 정보의 정치화 , 충성경쟁 등을 야기할 가능성 상존
8) 대안분석 (Alternative Analysis)
o 항상 대안적 가설을 함께 도출하는 분석방법
o 그러나 대안적 분석은 항상 강경파의 의견이 지배적이고 정책입안자의 입맛에 맞는 체리 - 피킹으로
남용되고 시간과 가용자원의 제한으로 대안분석을 할 여유가 없으며 중복업무라는 인식이 있기 때문에
선호하지 않음
* 미국 정보공동체는 테러 관련 경쟁분석과 대안분석을 요구한바 있음
8. 분석관의 오류

1) 미러 이미지 오류 (behaviors of mirror image)


o 상대방도 나와 똑 같은 생각을 하고 있다는 관점
o 경상이미지오류라고도 하는데 , 거울에 반사되는 것과 같이
당연한 타성적 마음가짐을 의미
o 냉전시 미국은 비들기파 , 매파 , 독수리파가 있었기 때문에
소련에도 미국과 같을 것이라고 판단 - 소련은 비들기파 없음
2) 고객과신주의 (clientism) 오류
o 믿을 만한 출처에 대해 맹목적 신뢰를 보이거나 기존 처리
경험이 있는 유사 분석주제에 대해 과잉 신뢰하는 것
o 미 국무부는 사대주의 (clientitis) 라고 설명
3) 겹층쌓기 (layering) 오류
o 잘못된 정보 분석을 한 번 믿으면 다음 정보분석이 계속
오류를 가지게 된다는 것
o 자기오류를 인정하지 않으려는 인간본성에서 유래
9. 정보 보고서

1) 개요
o 안보 , 국익관련 국가정책을 수립하여 집행하는
사람에게 전달하기위해 생산된 문서
o 안보 . 국익사항이 포함되어야 하고 국가정책을
수행하는 정보수요자에게 유용해햐 하는 보고서가
되어야 함
o 절대적 진리를 탐구하는 학문연구 및 학술논문과는
다름
2) 요건
o 적시성 , 정확성 , 완전성 , 결과지향성 요건충족 (
적시성절대 )
o 수요자에게 보고되는 문서라는 점에서 간결성 ,
명확성 , 평이성을 갖추어야 함 ( 평이성은 쉽게
작성하라는 의미 )
3) 정보보고서의 종류
o 정보내용의 특성 기준
- 기본정보
- 현용정보
- 판단정보 ( 예측정보 )
o 수요자 기준
- 대통령 보고서
- 국가안보회의 보고서
- 각 부처 보고서
- 민간서비스 보고서
o 보고하는 시기에 따라
- 일간 , 주간 , 월간 등 정기 보고서
- 수시보고서
4) 미국의 정보보고서

o 현용정보 보고서
- 미국대통령 일일브리핑 (PDB:President's Daily Brief)
- 고위정책 정보요약 (SEIB:Senior Executive
Intelligence Brief)
- 일일경제정보 요약 (DIEB:Daily Economic Intelligence
Brief)
- 국무장관 조간요약 (Secretary's Morning Summary)
o 경고정보 보고서
- 경고경계목록
- 경고 메모
- 국방부 생산 , 경고 정보분석문건 ( 주간정보전망 ,
워치콘 변동 , 연간경고 전망 등 )
o 예측 . 판단 정보 보고서
- 국가정보예측 (National Intelligence Estimates)
보고서
- 마약정보 예측 (Narcotics Intelligence Estimates)
보고서
- 국방부 국가정보 예측보고 (DoD-NIEs)
o CIA 발간 정기간행물
- 주간경제 정보
- 월간 유럽리뷰
- 무기거래 보고
- 반기별 국제에너지통계
- 테러리즘 리뷰
- 국제마약리뷰
- 무기 확산 다이제스트
o 국무부 정보조사국 정기간행물
- 평화전망 ( 격주 )
- 정보 분석국 저널
o 국방정보국 (DIA) 정기간행물
- 월간마약정보
- 반기정보추세 다이제스트
- 주간 공군 정보
o 기타
- 미 CIA 1977 년 21 명의 러시아주요인사
신상기록유지 , 세바르드나제 전기 (Biography)
발간
- 미래예측 보고서 발행 , 2020 년의 미래상황인
“ mapping the global future”(2004 년 생산 ) 및
“ global trends 2025”(2008 년 생산 ) 등이 있음
제 3 장 비밀공작활동
1. 비밀공작 (Covert Action) 의 개념

가 . 의의
o 정보기관이 수행하는 비밀활동 (clandestine operation) 의 일부 ( 수집활동 ,
대간첩활동 , 비밀공작활동이 있음 )
o 대외정책 목표달성을 위해 타국에 영향을 미칠 목적으로 수행하는 정치 ,
경제 , 군사 , 선전활동을 포함

나 . 비밀공작에 대한 각국 사용용어
o 미국 : 특수해외활동 (special activity aboard), 1974 년 휴 - 라이언 개정안
(Hughes-Ryan Amendment) 에 비밀공작 규정
- 제 5 의 기능 (fifth function), 비밀활동 (covert activities), 특별활동 (special
activities)
o 영국 : 특수정치공작 (special political action)
o 러시아 : 적극적 조치 (active measure), 공개적 수단사용 포함 ( 구소련은
dry affairs, 살인이나 암살은 제외 )
o 한국 : 비밀공작 , 비밀활동 ( 미국용어개념과 유사 )
o 이스라엘 : special assignment
o 북한 : 와해모략공작
* 카터행정부 (1977-81): 특별활동 (special activity)
* 비밀공작을 제 3 의 방안 (the third option) 이라고도 함
- 외교교섭을 제 1 방안 , 군사개입을 제 2 방안 , 비밀공작을 제 3 방안 .
다 . 비밀공작수행의 목적과 특징
o 대외정책목표 달성을 위한 정책수단 (policy tool)-
여타비밀활동과 차이
o 정책을 집행하는 기능을 수행
o 공작결과가 노출될 수밖에 없다는 점에서 첩보수집과 차이
o 정보기관에서 수행하는 것이 일반적
o 비밀공작의 특성
- 정보기관의 고유활동
- 원천적으로 정당성을 가지며 국가정책의 집행업무임 . 그러나
비밀공작이 민주주의 국가 정보기구의 본연의 고유임무는
아님
- 공작의 배후 세력을 은폐하는 비밀활동 ( 활동자체의
은폐보다는 후원자의 정체를 은폐하는데 중점을 둠 )
- 정보기관의 비밀활동 중 정보수집 과 대간첩활동을 제외한
모든 활동으로 내용과 형태가 다양
- 비합법적인 활동이거나 자국의 개입사실을 은폐해야 할 필요가
있는 활동일 경우 비밀공작으로 수행
- 원천적으로 외국을 대상으로 하는 활동
2. 비밀공작의 필요성

가 . 비밀공작의 한계
o 은밀한 내정간섭 (covert intervention) 으로 유엔
헌장위배
o 매수 , 기만 , 폭력 , 납치 , 살해 등과 같은 범죄수단
동원
o 노출될 경우 국제적 비난 및 국가 간 외교단절 사태
부담
- 비밀성이 노출된다면 공작의 의미는 상실
- 그럴듯한 부인구실 (plausible deniability) 을 마련
나 . 비밀공작 필요성
o 비교적 신속하면서 조용하게 외교목표 달성
- 제 3 방안 또는 조용한 방안 (quiet option) 으로 표현
o 비용이 적게 듬 ( 군사개입보다 상대적 개념 )
3. 비밀공작의 수행

가 . 비밀공작 목적
o 대상국가의 정책결정과정에 영향력 행사
o 대상국 정치체계 변화모색
o 전시에 적국의 전략 및 전술에 영향력
도모
나 . 비밀공작의 유형

( Shulsky)
o 우호정부에 대한 비밀지원
o 외국정부의 인식에 대한 영향
o 외국의 사회인식에 대한 영향
o 우호적 정치세력에 대한 지원
o 정치적 사태에 폭력수단을 통한 영향력 행사
(Dycus & Treverton)
o 선전공작
o 준 군사비밀공작
o 정치공작
(Lowenthal) : covert action ladder 제시
o 선전공작 (propaganda)
o 정치공작 (political operation)
o 경제공작 (economic operation)
o 쿠데타 공작 (coups operation)
o 준군사공작 (paramilitary operation)
( 미 정보공동체 )
o 선전공작
o 정치공작
o 경제공작
o 준군사공작
다 . 비밀공작의 결정과정

1). 계획수립
o 정당성 검토 - 타당성 검토
o 비밀공작수행능력 검토 - 예산과 조직적 기반
- 예산 적법화
- 인적 , 물적자원 확보
o 위험도 검토
- 노출에 따른 위험도와 실패에 따른 위험도 검토
- 공개적 대안이 있다면 이를 선택 -
비밀공작보충성의 원칙
o 유사공작 검토
- 과거 유사 공작과 비교 , 검토
- 사례연구
2) 비밀공작 결정과정 ( 미국 )

o 공작승인
- 공식적인 승인을 받아야 함
- 대통령이 승인 ( 법률적의무 , 서면으로 승인 , 비상시는 예외이지만 48 시간내 승인서
작성되어야 함 )
- 승인서는 의회에 전달
o 예산승인
- 1 년단위로 공작예산을 편성 , 의회의 심의
- 미국은 상 . 하원 정보위에서 심의 , 영국은 하원에서 심의
- 일부 나라의 경우 정보기관 책임자의 단독결정가능
라 . 비밀공작의 수행
o 정보기관이 주도하고 담당 공작관이 공작을 추진
o 첩보수집공작과 유사한 절차
- 본부지령 , 공작계획 , 공작원 획득 , 공작원 조정 , 공작원 해고 순
o 첩보수집활동
- 사전 대상국 관련 첩보수집
- 공작수행과정에의 피드 백을 위해서도 첩보수집 필요
o 공작추진 소요시간
- 공작추진 능력을 갖추는데 소요되는 시간에 달려 있음
- 공작원 물색 , 포섭 , 교육 에 따라 소요시간 차이
o 비밀유지
- 공작의 성공여부 요인 중 하나가 비밀유지
- 공작참여자의 보안성 검토 필수
4. 비밀공작 활동

가 . 선전공작 (propaganda)

1) 개념
o 라디오 , TV, 언론매체 등을 이용하여 특별한 정치적 목적을 위해 조작된
정보를 공작대상국에 유포하여 대상국가의 여론을 오도해 가는 공작
o 그러나 폐쇄사회에서는 언론 접근이 어렵기 때문에 전단 등을 사용하거나 제
3 국 언론을 활용
2) 선전공작의 종류 ( 출처확인 여부에 따라 분류 )
o 백색선전 (white propaganda)
- 출처를 정직하게 공개 , 정확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자국의 신뢰를 높이는

- 경우에 따라서는 다소간의 과장 또는 허위사실 유포
o 흑색선전 (black propaganda)
- 출처를 완전히 숨기고 허위정보나 폭로정보를 제공 ( 믿거나 말거나 식 )
- 경우에 따라서는 출처를 숨기는 것이 설득력 제고
- 외교적 이유 : 외교문제 발생 소지를 제거
o 회색선전 (grey propaganda)
- 출처를 완전히 숨기지도 않고 정직하게 공개하지도 않는 것
- 위조문서의 제작과 유포를 통해 거짓정보를 상대국 국민들의 의식을
변화시키고 판당을 혼란케하는 방법
3) 선전공작의 부작용

o 역류 : 블로우 백 ( blowback)
o 대상국내 여론을 조작할 목적으로 게재한 기사를 자국 언론사가
모르고 외국의 시각이라는 형태로 국내에 소개

나 . 정치공작 (political action)


1) 개념
o 정치공작
- 특정국가의 내부 정치정세를 자국에게 유리한 방향으로 바꾸기
위공작
- 주로 우호적인 세력에게 비밀리에 재정지원을 하는 방법을 사용
o 대상국의 선거에서 특정후보 당선을 지원하거나 정권 담당자의
장기집권을 돕거나 축출하기 위해 정당 또는 후보를 은밀하게 지원
o 정치공작의 대상
- 정치인 , 정당
- 정치적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는 청년단체 , 노동단체 , 종교지도자 ,
비정부 단체 (NGO)
2) 영향력 공작

o 정치공작의 일환
o 대상국의 정치세력판도에 영향력을 미치려는 것이 아니라
대상국가의 특정정책이 자국에 유리하게 결정되도록 영향을
미치는데 목적 ( 로비활동 )
o 영향력 공작에 활용하는 공작원을 영향력 공작원 (agent of
influence)
- 정부관료 , 여론을 형성하는 지도층 , 방송매체 접근가능 관료 . 정치
엘리트 등
- 1970 년대 구소련 KGB 에게 협조한 혐의로 처벌을 받은 프랑스
언론인 삐에르 샬르 빠페어 사건
* 지원공작
- 대상국가 정부 , 정당 , 노동조합 , 언론기관 등에 지원하여 소기
목적 달성
- 비 정보적 지원 : 원조
- 정보적 지원 : 대상국에 그 나라가 모르는 정보 제공 . 1983 년
미국은 이란 호메이니 정부에게 이란에서 활약하고 있는 소련
첩보원과 협력자 정보를 제공 , 이란은 200 여명의 공산당원을
처형하여 이란 투데당을 해산
3) 정치공작 노출 경우

o 내정개입으로 비난을 받아 외교적 문제로 비화


o 지원을 받은 당사자는 입지가 오히려 축소 - 공작이전보다 못한 결과 초래
o 정치공작의 핵심은 노출 차단 (cut out) 장치 필요

다 . 경제공작 (economic action)

1) 개념
o 경제공작
- 대상국 경제기반을 붕괴시켜 자국의 정책에 유리하게 유도
- 경제기반 붕괴로 경제혼란야기 , 사회불안 야기 , 궁극적으로 정치적 불만
또는 폭동을 유발
o 경제공작 방법
- 파업유도 , 전기 및 유류저장고폭파 , 위조지폐발행 , 대상국 주요수출품
가격 고의 폭락유도
- 주식 , 곡물시장을 파괴하거나 경제적 불안 심리전 전개 , 간접적 무역금수
조치 , 석유국유화 정책 추진 반대 등으로 자국에 유리한 방향으로 유도
- 경제공작을 추진 할 때는 “생필품이 부족하다”는 흑색선전활동과 병행
2) 경제 공작 사례

o 미국 레이건 행정부가 전략방위구상 (strategic defence initative, 일명 star wars) 을


과장되게 발표 , 소련이 막대한 예산을 낭비하도록 유도함으로써 소련 붕괴를 5 년 앞당김

라 . 준군사 공작 (paramilitary operation)

1) 개념
o 준 군사공작
- 대상국 정부를 전복 할 목적으로 군사력을 사용
- 공작유형중 가장 과격한 특성 , 보안유지가 어렵고 정치적 위험부담 수반
- 일반적으로 정치공작을 시도한 후 최후 수단으로 활용
- 비밀공작과 저강도 전쟁의 경계선에 놓여 있는 것으로 정치적 목적을 실현하기 위해
군사력을 활용
2) 방법
o 대규모 무장단체가 장비와 훈련을 갖추어야 하지만 , 자국 전투부대의 군사요원은 절대
관여 불가
3) 암살공작
o 준군사공작에는 암살공작도 포함되는데 , 암살에 대해서는 사안의 민감성으로 인해
집행공작 (executive action), 극단적인 편견의 종식 (terminating with extreme prejudice),
무력화 (neutralize) 같은 완곡한 표현
- 미국 케네디 대통령 임기 중 카스트로 제거 암살공작이 시도된적 있으나 실패하고 1976 년
이후 외국정치 지도자에 대한 암살금지
- 오바바 대통령은 2011. 알카에다의 오사마 빈 라덴 사살
4) 쿠데타 (Coups) 공작

o 정부 전복공작으로 준 군사공작에 포함
- 직접적으로 또는 대리자를 통해 정부를 전복하는 한 단계 위의 활동으로
선전공작 , 정치공작 , 경제공작 등의 최고 절정수단
- 상대국의 집권세력에 대항하고 있는 반대 세력을 지원함으로써 쿠데타를
통해 정권을 전복
- 쿠데타 공작의 핵심은 군대로 하여금 정부전복을 부추키거나 고무하고 가장
중요한 것은 개입흔적을 남기지 않는 것
o 쿠데타 지원 형태
- 쿠데타를 위한 군사작전 지원
- 대상국 정부에 대한 정치적 , 경제적 압력 행사
- 장기간 게릴라 투쟁 및 정권전복을 위해 필요한 핵심세력 양성훈련과 경제적
지원
o 쿠데타 지원 수단
- 적대적국의 주요 인사에 대한 모략이나 테러
- 주요 시설 및 장비에 대한 사보타지
- 적대국 내부의 혼란이나 이간 조성
- 중요한 무기나 기술의 확보 저지
- 잘못된 정책입안을 유도 - 국가능력 약화
- 적대국과 제 3 국간 이간 조성
마 . 기만공작

1) 개념
o 기만공작
- 역정보를 제공 , 정부의 오판을 유도 ( 死間에 해당 )
- 그릇된 인식을 심어주기 위한 일체의 책략
o 기만공작의 대상
- 대상국 정부 전체가 아니라 정보기관이 이를 인지토록 하는 방법으로 수행
- 기만공작은 흑색선전으로 간주되기도 하지만 차이점은 선전활동은 대중을 대상으로 하는
반면 , 기만공작은 소수의 인원이나 특정 조직을 대상으로 하는 것임

2) 특성
o 기만은 방첩의 한 형태
- 적국의 주요 정보활동목적을 무력화 시키는 시도
- 이중 공작원을 이용한 역용공작의 한 수단으로 활용되기 때문
o 대상국 정보기관의 수집 , 분석활동에 타격을 가하기 위한 역정보 제공은 방첩활동의
일환으로 보는 것이 타당

3) 기만공작 유의사항
o 장기간에 걸쳐 정교한 공작 준비 필요
o 설득력 있는 역정보 제공
o 적기에 적에게 전달되도록 준비
o 화폐개혁설 , 세금인상설 , 막후거래설 , 공장폐쇄나 감원설 등을 유포 , 사회혼란유도
5. 비밀공작 사례

1) 이란에서의 비밀공작
2) 이라크에서의 비밀공작
3) 칠레에서의 비밀공작
o 1973 아옌데 대통령을 몰아내고 피노체트 장군을
대통령 선출
4) 쿠바에서의 비밀공작
o 1961 년 피그만 공작
5) 이스라엘 비밀공작
o 신의 분노 ( operation wrath of god) 1972 년 뮨헨
올림픽
6) 이란 - 콘트라 사건
o 1987 년 레이건 대통령 시절 발생
o 이란에 무기를 팔아 니카라과 반군지원
제 4 장 방첩공작활동
1. 방첩활동

1) 개요
o 방첩활동의 개념
- 정보활동의 일환으로 외국의 적대적 정보활동을
무력화 시키고 간첩행위로부터 정보를 보호하며
전복 또는 파괴활동으로부터 인원 , 장비 , 시설 ,
기록 , 물자 등을 보호하기위한 활동
- 4 대 주요 정보활동의 하나
o 방첩
- 간첩활동 방어 , 상대세력의 첩보활동에 대항
- 적의 활동이 칼 , 방첩은 방패
- 대간첩에서 비롯된 개념
2). 방첩에 대한 제 견해
o 슐스키
- 방첩은 적대국 정보기구의 아국에 대한 정보활동을 방어하는
활동이고 지식 ( 첩보 ) 으로서 스파이 대 스파이 활동
o 미국 국가정보장 (ODNI) 의 견해
- 방첩은 미국에 대한 외국정보기관의 위협을 확인하고
처리하는 업무
o 레이건 대통령 명령 제 12333 호
- 외국정부나 그 기관 , 해외 세력이나 조직 , 개인 또는
국제테러 조직들에 의해서 또는 그들을 대신해서 수행되는
첩보활동과 파괴 활동 , 암살로부터 아국의 대상을 보호하기
위한 정보의 수집과 조치를 포함
o 방첩문제와 외사문제
- 광범위한 외사문제 중 특별한 영역
- 주체적으로 보면 상대방의 정보활동에 대응하는 것이고
내용적으로 보면 국가안보를 위협하는 세력에 대응
3). 방첩활동의 유형
가 . 방첩수집활동 (collection)
o 자국을 상대로 하는 상대세력 정보기구
등의 정보수집활동과 능력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것
나 . 방첩방어활동 (defensive)
o 소극적 방첩활동으로 보안이라고 함
다 . 방첩공격활동 (offensive)
o 적극적인 방첩활동으로 방첩공작
4). 방첩활동 사례

o 조르게
- 독일인 공산주의자로 소련 스파이활동
- 1933.9-1941.10 동경 독일잡지사 특파원으로 근무
o 더블크로스 (double-cross system)
- 2 차 대전 중 MI5 는 독일에서 영국으로 침투시킨
스파이 120 명을 체포 , 역이용
- 독일에 지속적으로 기만정보 제공
o FBI 방첩관 Robert Phillip Hansen
- 2001.2 25 년간 KGB, SVR 을 위해 일한 한센 체포
o CIA 고위간부 Aldrich Ames 사건
- 1994 CIA 요원이 9 년동안 소련에게 미국의
기밀사항을 넘겨오다가 FBI 의 추적에 의해 체포
5). 경제방첩 (Economic Counterintelligence)

o 경제방첩
- 외국인에 의해 국가의 경제안정이나 이익을 침해하는 행위를
색출하는 활동
- 경제스파이에 대한 대응활동
- 기업의 첨단기술 유출을 방지하는 활동
o 국가별 경제방첩
- 미국은 국가안보위협리스 (NSTL: National Security Threat List) 에
경제 스파이 활동을 명시 , 첨단기술 유출 및 경제정책에 대한
불법적 , 은밀한 방법으로 영향력을 행사하려는 행위로 정의
- 영국은 1989 년 제정한 보안부법 (Security Service Act1989) 제 1 조
3 항에서 영국의 경제적 번영에 대한 외국인의 위협을 막아내는
것을 보안부 (SS) 임무중 하나로 규정
o 경제방첩활동의 중요성 부각
- IT, BT 등 첨단산업 과 금융 산업분야가 기업의 사활을 결정하는
요소
- 냉전 후 경제 분야가 안보의 핵심가치로 부상
- 산업 스파이 들은 첨단기술 및 경영상의 모든 정보와 인원 , 문서 ,
시설 , 자재 , 전산 , 통신 등을 대상으로 함
6). 우리나라 방첩활동

o 우리나라는 북한을 대상으로 하는 방첩활동


즉 대공활동전개 , 외국에 대한 방첩활동은
상대적 약화
o 법제도
- 간첩죄를 규정한 형법 제 98 조 , 적국을
위하여 간첩한자로 구성요건을 한정적으로
제한
- 형법 113 조 외교상기밀 누설에 의거 외국인
처벌
- 군사기밀보호법에 의거 군사기밀에 관하여
처벌
- 외교관일 경우 기피인물 (PNG) 로 추방
2. 보안

1) 보안의 개념

o 개인 , 조직 , 국가가 존립을 확보하거나 경쟁에서 승리하는데


필요한 요소를 찾아 그것을 보호하는 수단
o 인원 , 문서 , 시설 , 지역 , 자재 , 통신의 침해행위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예방대책 .
o 국가 , 사용주체 및 용도에 따라 다양한 의미 내포
- 미국 : 기밀에 속하는 모든 기관 . 인물 , 물자 , 시설 , 지역 등에
관한 일체를 허가되지 않은 자로부터 보호하는 것
- 중국 : 비밀유지 및 안전 업무라고 칭하며 적의 간첩활동을 차단 ,
예방하기 위해 취해지는 방어성 조치
- 대만 : 지역의 안녕을 보호하는 것
2) 우리나라 보안제도
o 1953 년 한국전쟁이후 “ 군사기밀 보호규정” 과 “비밀취급인가
규정” 으로 불순분자로부터 보호
- 중앙정보부 법에 의거한 국가재건최고회의 규칙 제 16 호 및 제
17 호를 근거로 보호
- 보안규정으로 “비밀보호 규칙” 및 “비밀취급 인가 규칙” 제정
o 1963.12.17 민정이양을 계기로 중앙정보부법 개정 , 동법 제 2
조 2 항에 의거 보안업무규정을 제정
- 공공기관의 내부에서만 효력을 가지는 행정규칙
o 보안업무 지도조정기능
- 입법부는 국회보안업무규정 ( 국회규정 제 430 호 ) 으로
사무총장에게 지도조정기능을 부여
- 사법부는 비밀보호규칙 ( 대법원 규칙 제 1497 호 ) 으로
법원행정처장에게 지도조정기능을 부여
- 행정부는 각급기관에 대해서 국가정보원장이
지도조정기능행사
- 국가정보원장은 각급기관의 보안업무를 기획 . 조정하고
국방부 본부 이외의 군사보안과 관련된 대상은 국방부
장관에게 그 권한을 위임
3) 보안 분류
o 주체에 따라 : 개인 , 기업 , 국가 보안
o 대상에 따라 : 인원 , 문서 , 시설 , 전산 , 통신 보안
o 업무분야 : 군사보안 , 공작보안 , 산업보안 등

4) 인원보안
o 의의
- 국가업무를 잘 수행하도록 사람을 관리 하는 것
- 인사관리 담당자는 대상인원의 자질 , 능력 , 성실성 , 충성심
등 성품 , 성향 , 주위환경까지 파악 , 적재적소 배치
o 대상
- 공무원 , 정부관리 기업체 임직원
- 선원 , 항공사 종사자 , 해외여행자 등
o 인원보안의 수단
- 신원조사
- 동향파악
- 보안조치 ( 서약 )
5) 문서보안

가 ) 의의 및 대상

o 공무상 작성하였거나 접수한 모든 문서 , 도화 ,


전자 기록등을 관리하는 것
o 문서는 물리적이 존재이므로 편리한 점도
많지만 분실 , 도난의 위험성이 있고
o 문서자체를 절취하지 않고 사진촬영이나
복사하여 누설 할 때에는 근거확인이 곤란하고 ,
유출시 근거를 제공하는 취약성이 있음
나 ) 문서보안을 위한 방법 : 비밀의 분류

o 비밀의 의의
- 그 내용이 누설될 경우 국가안보에 유해로운 결과를 초래할 우려가 있는
국가기밀
- 보안업무 규정에 의거 비밀로 분류
- 선진국의 광의로 해석하여 보안개념으로 국익까지도 포함
o 비밀의 구분 ( 보안업무 규정제 4 호 )
- 1 급 비밀 : 누설되는 경우 국교단절 및 전쟁유발 위험
- 2 급 비밀 : 누설되는 경우 국가안보에 막대한 지장을 초래
- 3 급 비밀 : 누설되는 경우 국가안보에 손해를 끼칠 우려
- 대외비 : 안보에 손해를 끼치거나 악영향을 미치는 내용이 아니고 공정한
업무수행 상 특별히 보호를 요하는 사항 ( 주요정책추진 계획 , 암행성
단속계획 , 특별지역 개발계획 등 )
o 미국기준
- top secret: exceptionally grave damage
- secret : serious damage
- confidential: damage or prejudicial effect
- restrict : undesirable
* 영국은 미국과 동일 분류 , 일본은 機密 , 極秘 , 秘 , 取扱注意 . 중국은 高度
機密 , 機密 , 保密 , 內部文件으로 분류
다 ) 비밀의 생산

o 생산
- 비밀 취급인가자 만이 생산
- 문서나 책자에 국한하는 것은 아님
- 상황판 제작 , 사진인화 및 현상 등의 형태 가능
o 생산시 유의점
- 사전계획에 의한 생산
- 현재 필요한 최소한의 양만 생산
- 배포처에 따라 비밀내용을 제한
_ 비밀의 과도분류 및 과소분류 금지
- 비밀분류에서의 이익형량의 문제 : 공개성을 원칙으로
하는 민주주의 요청에 따른 국가 투명성에 의한
경쟁력증대 문제와 비밀로 유지함으로서 안보에 대한
잠재적 손해를 방지 할 수 있는 판단의 상호균형과
이익형량의 문제
o 비밀의 파기
- 비밀을 소각 , 용해 또는 기타의 방법으로
원형을 소멸
- 파기는 형태를 해독하거나 재생 할 수 없을
정도라면 방법에는 제한이 없지만 세절기가
없는 경우 , 소각방법이 최선
- 보관책임자 또는 비빌취급인가자 참여하에
파기하며 관리기록부에 참여자의 파기확인을
받아야 함
- 보호기간이 경과된 비밀원본은 파기하지
아니하고 공공기관의 기록물관리에 관한
법률 및 동 법 시행령에 의거 , 기록물 전문
관리기관에 이관하여야 함 .
6) 시설보안

가 ) 의의 및 대상
o 국가안보 기능을 수행하는 시설들을
각종위해로부터 보호
o 대상은 국가안보와 국익에 기여하는 전 시설

나 ) 시설보안 대책
o 보안방벽 설치 : 보안시설물 , 장비 등
o 보안방벽은 주위환경과 조화
o 시설물의 중요도에 비례하는 정도의 보안대책
o 보안환경이 악화된 상태를 기준으로 보안방벽
구축
다 ) 보호구역 지정
o 제한지역
- 비밀또는 정부재산의 보호를 위하여 울타리 또는
경비원에 의하여 일반인들의 출입에 감시가
요구되는 지역
o 제한구역
- 비밀 또는 주요시설 및 자재에 대한 비인가자의
접근을 방지하기 위하여 출입에 안내가 요구되는
지역
o 통제구역
- 비인가자의 출입이 금지되는 보안상의 극히
중요한 구역
- 관리책임자의 사전허가를 득하고 출입자 명부에
기재한 다음 안내를 받아야 하는 장소 (
비밀상황실 , 종합비밀보관소 , 핵심설비 등 )
7) 전산 . 통신 보안

가 ) 전산분야
o 정보의 파괴 , 유출 , 변조 및 통신 인프라의
마비 등으로부터 보호
o 정보자원의 효율적 사용을 위해 정보의
기밀성과 무결점성을 보장하면서 가용성을
최대화 할 수 있도록 전산보안 통제대책을 수립
o 전산망 보안대책
- 시설에 대한 보안대책 ( 하드웨어에 대한 대책 )
- 패스워드 운용관라
- 입출력 자료관리 : 매뉴얼
나 ) 통신분야
o 국가기밀이 통신수단에 의해 전달되는 과정에서 직
접 , 간접으로 누설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
o 통신수단의 종류
- 전령통신 ( 통신문 직접휴대 )
- 우편통신
- 전등 , 수기 , 신호탄 , 연기등 상호 약정된 부호나
신호로 의사소통
- 음향통신 , 유 . 무선 전기통신 - 보안상 가장취약
o 유 . 무선 통신보안 대책
- 선로 지하매설
- 단자판 이나 맨홀에 대해 견고한 보호 장치 설치
- 주요 통신망에 대해서는 선로에 대한 주기적인
순찰필요
- 도청에 대비 , 음어화 (code) 또는 암호화 (cipher)
필요
제 4 편 테러리즘 과 국제범죄
제 1 장 테러리즘
1. 정의

o 테러라는 용어가 가지고 있는 커다란 공포


또는 죽음이라는 심리적 상태를 이용하여
정치적 목적을 달성 하려는 주의
o 테러 발생원인
- 정치적 문제로 분쟁야기 시 , 평화적 방법
또는 국제법 , 유엔을 통해 해결하지 않고
폭력이라는 불법적 방법과 수단을 도원하여
문제를 해결하려는 주의나 주장
- 강자들은 약자를 지배하기 위한 수단으로 ,
약자들은 생존을 위해 강자들에게 대항하는
수단으로 활용
2. 테러 대응 전략

o 대응전략
- 테러 발생을 사전에 예방하고 , 발생 후 피해를
최소화
o 대응전략 선결요건
- 관련정보나 첩보 수집활동에 적극
- 폭력행사 수단의 방법에 대한 정보 수집
- 활동자금의 조성 및 이동과 관련된 사항
o 정보협력
- 테러의 주체는 철저한 보안과 비밀유지활동을
하므로 세계적인 네트 워크를 통해 예방활동 필요
- 정보기구간 정보협력이 절실
3. 우리나라 테러대응 활동

o 국가대테러활동 지침
- 1988. 제 24 회 서울 올림픽 계기 1982 년 대통령
훈령 제 47 호로 제정
- 테러 대응을 위한 유관부처별 전담임무가
부여되고 대책기구 가동
- 총리 산하에 테러대책회의 ( 위원장 : 총리 ), 그
산하에 테러대책상임위원회 , 테러정보 통합센터
( 국정원 ) 등 5 개 상설 및 비상설 대책기구 가동
o 국가대테러활동지침 문제점
- 법률적 근거 없이 대통령 훈령으로 제정
- 강제력을 발동할 구속력 미약
- 테러 혐의자에 대한 통신감청 및 테러활동 자금의
추적권이 부여 되어 있지 않음
4. 사이버 테러

가 . 의미
o 사이버 공간이 외부의 침입으로 전산망이 작동되지 않는
상황전개
o 피해
- 군지휘 통신망의 두절로 인한 군 작전 수행 불능
- 원자력 발전소 통제시스템의 오작동으로 인한 방사능 유출
- 가스 제어시스템의 마비로 인한 가스촉발 사고
- 교통관리 시스템의 오류로 인한 열차 충돌사고
- D DoS 공격에 의한 전 행정부 업무 마비

나 . 사이버 테러 공격 유형
1) 악성코드 공격
O 컴퓨터 바이러스 공격
o 웜
o 트로이 목마
2) 서비스 거부 공격
o 네트워크 또는 전산시스템에 과도한 부하를 유발하여
정상적인 정보통신 서비스를 중단시키거나 성능을
떨어지게 하는 행위
- D-DoS 공격
o 2002.2 야후 온라인 쇼핑업체 이 베이 (e-Bay) 등의
서비스 중단에 사요된 사례가 있고 북한의 우리 각
행정부 공격 및 2011. 12 서울시장 선거 시 선관위
홈페이지를 공격하여 선거행위를 방해한 사례도 있음

3) 비인가 접근 공격
o 네트워크 , 전산시스템에 인가를 받지 않은 채 , 인가
권한을 초과하여 논리적 , 물리적 불법 접근하는
행위를 의미
o 논리적 불법접근행위를 크래킹 (cracking) 이라고
부르며 어떤 분야에 심취하여 탐구하는 행위를
해킹이라고 함
4) 전자전 무기
o 정보통신시설을 일시에 마비 시킬 수 있는 전자폭탄 , 전자총을
의미
- 2003 년 이라크 전쟁에서 사용
o 전자폭탄은 공중에서 투하되면 고출력의 전자기펄스 (EMP : Electro
Magnetic Pulse) 에너지를 방출하여 반도체로 작동하는 컴퓨터 ,
휴대전화 등의 전자기기를 파괴 또는 작동 중지

다 . 우리나라 사이버 테러 대응체계


o 2004.7 국가위기관리 지침 대통령 훈령 제 124 호
- 국가안보회의 사무처 주관으로 “ 사이버 안전분야 위기관리 표준
매뉴얼”을 2004.9 마련
- 2005.5 개정하여 사이버 공격에 대한 국가위기관리체계 ( 예방 - 대
비 - 대응 - 복구 ) 및 기관별 활동방향 규정
o 국가 사이버 안전관리규정 ( 대통령훈령 제 141 호 ,2005.1) 개정
- 국가 사이버 안전 정책의 결정기구로 “ 국가 사이버안전 전략회의
( 의장 : 국정원장 )” 를 두고 관련 정부기관 간 협력을 강화
o 국가차원의 종합적인 대응조직
- 국정원장 소속하에 “ 국가사이버안전센터” 를 두고
정책수립을 포함한 제반 업무를 총괄 수행
제 2 장 국제 범죄
1. 국제범죄 개념

o 마약 , 국제폭력 , 밀무역 , 불법무기 거래


등의 범죄를 의미
o 사이버 공간을 이용하여 국가 간 법 , 제도 ,
시스템의 규제를 회피하려는 시도 활발
o 기존의 마피아 , 삼합회 , 야쿠자 등의
범죄조직에 국한되지 않고 개인 , 우범자
집단 , 범죄 프리랜서 등으로 확대
o 국제범죄가 기업적인 특성을 보이면서
국제범죄 네트워크 형성
o 국제범죄를 안보위협요소로 인식
2. 각국의 대응

o 2000.11 유엔 총회가 채택한 “ 초국가적 범죄에 대한 유엔협약”에서


국제범죄 집단을 3 명이상의 사람들로 구성되고 2 개국 이상에 걸쳐서
행동하는 조직범죄 집단으로 규정
o 각 국가들은 자국의 범죄조직을 대상으로 단속활동 전개
o 일본 야쿠자
- 18 세기 중반 , 보부상집단인 데끼야 와 전문도박단 집단인 바쿠도를 모체로
탄생
- 20 세기 초 불량청년집단 구렌따이 와 결탁 , 2 차대전 후 급성장
- 일본정부는 1992.3 “ 폭력단 대책법”을 제정 , 야마구찌구미 . 이나가와카
이 . 스미요시카이 등 3 개단체를 포함 2005.10 현재 21 개 단체를 “
지정폭력단”으로 지목 , 특별관리
o 중국 삼합회
- 청나라 후반기 反靑復明을 명분으로 조직된 비밀결사대 天地會가 기원
- 19 세기 말 哥老會 , 三合會 등으로 이어지다가 20 세기들어 靑幇 , 線幇 , 紅
幇 등 組合形 범죄조직으로 변모
- 1949 년 공산당 정권수립 후 홍콩 대만으로 이동 , 1978 년 본토로 다시 진출 ,
黑社會 또는 黑幇으로 통칭 전국에 수천개조직 유지
- 2006.6 강택민 , 조직범죄 근절을 지시 , 2002 년 한국과 중국정부는
범죄인도 조약 체결
o 러시아 마피아
- 구소련 사회주의 체제 붕괴 , 공권력 이완 , 경제질서
문란을 틈타 정부재산 민영화과정에서 각종이권에
개입
- 군수물자 , 수산물 밀거래 등 경제적 조직범죄 집단의
성야을 보여 “경제 마피아”로 지칭
- 특히 KGB , 군 출신 , 공산당원 및 관료가 조직원과
간부로 활동
- 러시아 정부는 치안활동을 강화하고 엄격한 형집행
체계 구축에 노력하고 있으며 , 연방보안부 (FSB) 에
조직범죄 수사권을 부여 , 조직범죄를 강력 단속
o 미국
- 1995.10 대통령 지시각서 (PDD) 42 호를 공포 ,
국제범죄를 국가안보 위협요소로 간주
- FBI, DEA( 마약단속청 ) 등을 중심으로 마피아의
불법행위에 대한 단속을 지속적으로 강화
3. 전망 및 대책

o 디지털 기술의 발달로 인한 국제범죄 수


법 . 수단의 첨단화 그리고 초국가 화 . 광속
화에 대처하기 위해서는 실시간 국제공조 .
상시적인 국가 간 정보협력이 긴요
o 1990 년대 중반부터 국제범죄가 UN 과 G8
정상회담의 의제로 부상
- 2000.7 일본개최 제 26 회 G8 정상회담 시
국제조직범죄 대책 , 테러대책 , 사이버
범죄 대책의 필요성을 강조 .
제 5 편 정보기구론
제 1 장 세계저보기구 개관
1. 정보기구 개념

o 정보를 생산하고 적시에 전달하여 국가의


정책결정에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특별히 훈련된 인원과 시설 또는 장비를
갖춘 조직
o 국가를 보위하고 생존해 나가려면
적대세력의 의도와 계획 , 그리고 그
능력에 관한 종합평가를 할 수 있는 국가
정보기구가 절대 필요
2. 국가정보기구의 발전

o 근대국가 태동과정
- 왕권강화 , 식민지 개척 , 전쟁에서의 승리 목적으로 정보활동이
필요
- 전문화 되고 유기적으로 편성된 국가정보 조직 절실
o 19 세기 후반 , 근대적 형태의 정보기구
- 군사부문에서 최초 설립
- 주로 인간정보 활동과 방첩활동을 수행
o 20 세기 통신기술 및 전자기술 발달
- 통신정보 (COMINT) 활동을 하기위한독자적인 정보기구 창설
o 1960 년대
- 미 . 소 간 정찰위성 개발로 영상정보 활동 강화
- 미국은 영상정보 활동을 위한 기구 (NRO) 창설
o 정보환경의 변화에 따라 정보활동목표 변경
- 테러위협국가에 대한 정보활동 강화
- 군사분야 활동에서 경제분야 활동 강조
- 전자정보전 가열
3. 정보기구의 조직원리

o 총괄적인 조직이 필요
o 전문성을 갖는 조직 필요
o 총괄성과 전문성을 조정 할 수 있는 조직
o 비밀성을 유지
4. 정보기구의 분류

o 기능별 분류
- 통합형 : 수집 , 분석 , 공작 , 방첩을 총괄적으로 수행 ( 중국 ,
한국 , 미국 CIA) : 강력한 정보력 유지 , 경쟁정보기관의
부재로 역동성 부족 및 조직 관료화 우려
- 분리형 : 기능별로 나누어져 특정분야를 중심으로 임무수행 (
미국 NSA, GCHQ, FAPSI, NRO, FBI, SS 등 ). 고유한
임무영역에서 권위적 , 정보기구의 배타성으로 인해
정보협력이 용이하지 않음
o 소속별 분류 : 행정수반 직속기구와 부처행정부처 소속기구
- 행정수반 소속 : 대통령 산하 (CIA, SVR, FSB, NIS), 수상산하
(BND, 모사드 )
- 행정부처 소솟 : 외무성 (SIS, GCHQ), 내무성 (SS, 헌보청 ),
국방성 ( NSA. DGSE), 법무성 (FBI), 국무원 ( 국가안전부 )
o 국가정보기구 와 국가부문정보기구
- 국가정보기구 : DNI, CIA, NSA, NIS
- 국가부문정보기구 : DIA, 기무사 , 정보사
제 2 장 미국의 정보기구
1. 기원과 발전

가 . 독립전쟁 전후
o 독립전쟁 기간 , 영국군 관련 첩보 수집
o 헌법제정직후 의회는 대통령 ( 워싱턴 ) 직속으로 정보기구설치

나 . 서부개척과 남북전쟁 (1861.4-1865.4)


o 재무부 산하 비밀정보부 (secret service) 창설 : 1865 년 대통령 보호와
위조화폐 단속 목적의 기구 창설
o 1982 년 해군 항해국 소속 해군정보처 신설
o 1885. 육군참모부산하 육군첩보부대 (MID: Military Information Division)
o 1908 년 보나파르트 법무장관 , 수사국 (Bureau of Investigation) 창설 ,
1935 년 연방수사국 (FBI) 으로 개칭
o 1941.7 프랭클린 루즈벨트 , 정보조정국 (OCI:Office of Coordination of
Information) 을 신설하고 도노반을 책임자로 임명
- OCI 는 최초 설립 평시 중앙정보기관이었으나 진주만 기습공격으로 1942.6
전시정보기관인 전략정보국 (OSS:Office of Strategic Service) 로 개편
- 전쟁종료후 거대한 정보기구출현을 우려하는 여론으로 1945.10 OSS 해체
다 . 2 차대전후 냉전기간
o 1946.1 트루먼 대통령 , 중앙정보단 (CIG: Central Intelligence Group) 창
설 - 국무부 , 전쟁부 , 해군 정보업무 조정 , 통제
o 1947.7 국가보안법 (National Security Act) 이 의회통과 , 9.18 NSC 산하에
CIA 창설
- CIA 국장이 중앙정보장 (DCI) 가 되어 정보공동체를 운영
- NSA 법에 의거 군조직을 재정비한 NME(National Military Establishment)
와 공군을 창설
o 1950 년 제 4 대 DCI 스미스는 DCI 산하에 국가정보판단위원회 (BNE:
Board of National Estimates) 를 설치 , 국가정보판단서 (NIE) 를 생산
o 1975.1-2, 상원과 하원 , “ 정보활동 조사특별위원회” 설치
o 1976.5 상원 , 1977.7 하원에서 “정보위원회 설치”
o 1977.3 카터 대통령 , CIA 조직과 기능을 대폭 축소조정
o 1981.1. 레이건 대통령 , Casey 를 DCI 로 임명 , CIA 의 기능과 조직을 보강

라 . 탈냉전 시대
o 의회 등 감독기능 강화 - 정보예산 삭감시작
o 1995. 클린턴은 정보공동체의 최우선 정보목표를 군사작전지원에 두도록
하는 대통령 령 (PDD-35) 발표
- 의회에서는 분권화된 정보시스템은 잘못된 방향으로 경고하고 DCI 의
권한을 강화하고 정보기관을 더욱 통합적으로 운용할 것을 권고
마 . 9.11 테러 이후

o 2002.11. 국토안전보장법 (Homeland Security Act) 에 의거 국토안보부 (DHS) 신설


o 의회는 진상위원회 설치 , 2004.7 국가정보체제 개편안제시
- DCI 를 폐지하고 DNI 를 신설 , 정보기관의 주요 책임자 임면권 , 예산출납권 ,
정보조직 인원 소요판단 등의 권한 부여
- DNI 산하에 국가대테러센터 (NCTC) 설치
- CIA 분석기능과 인간정보 수집능력을 보강 , 비밀공작 강화 요구 ( 준군사공작은
국방부로 이관 의견 )
- 상 . 하 양원 공동 정보위원회를 출범 , 감독업무를 전담 할 소위원회 설치
o 부시 대통령 조치 (2004.8.27)
- DNI 는 정보공동체 정보기관에 대해 예산조정 , 감독권 부여
- 국가대테러센터 신설 및 정보기관 간 정보공유 활성화
o 의회 , 정보개혁법 (Intelligenc Reform Bill and Terrorism Prevention Act of 2004) 을
2004.12.8 통과
- DNI 는 장관급으로 CIA, FBI 등 16 개 정보기관의 예산과 인력을 총괄조정
- DNI 산하에 기구 설치
. 국가대테러 센터 (NCTC) 설치
. 국가비확산 센터 (NCPC: Nation Counter Proliferation Center) 설치 ,
대량살상무기확산과 관련된 정보통합과 분석
. 국가정보센터 (NIC: National Intelligence Center), 국내외 정보수집 수요를 판단하고
정보 분석및 생산
. 합동정보공동체회의 (JICC: Joint Intelligence Community Council), 정보소요 판단 ,
예산편성 , 정보활동 평가 등과 관련 정보공동체의 통일된 정책이 필요한 경우 DNI
의 자문에 응하는 기구
2. 미국정보기구의 조직

가 . 미국정보체계
o 미국정보조직 체계는 정보공동체 (IC) 와
개별 정보기구로 구성
- DNI 는 대통령의 선임 정보자문으로서
NSC 산하 “ 국가정보위원회 (NIC) 위원장
직 수행 , 국가정보우선순위 결정 .
정보기관 간 업무 협조 . 해외의 정보활동
감독 , 지휘 , 대통령에게 직접보고
나 . 정보공동체
1) 국가정보장 실 (O/DNI)
o 국가정보위원회 (NIC) 위원장 수행
o 국가정보우선순위결정 , 정보기관 간 업무협
조 , 해외정보활동 감독 , 대통령에게 직접보고
o 정보 공동체 16 개 기관 예산 ( 약 400 억불 ) 과
인력을 총괄
o 산하 기구
- NCC
- NIC
- NCPC
- JICC
2) 국가정보위원회 (NIC: National Intelligence Council)

o 국가정보장의 정보공동체 조정 , 지휘 업무를 실질적으로


뒷받침하는 기구
o 국가정보관 (NIO) 로 구성 , DNI 에 의해 임명
o 국가정보 판단서 (NIE) 생산
- DNI 가 필요로 하는 정보보고서를 작성하는 임무도 수행
o 조직
- 의장 , 부의장 , 평가담담 부의장 , 국가정보관
o 기능
- 정보공동체의 중 . 장기 전략적 사고의 중심역할
o 국가정보관
- 지역별 , 분야별 전문성을 가진 12 개 분야 정보관 활용
o 생산보고서
- 국가정보 판단서
- 세계정세 보고서
* 국가정보위원회는 1973 년 William Colby. DCI 가 종래의
국가정보판단위원회 (BNE) 를 대체하여 조직한 것임
3) 국가대외정보위원회 ( NFIB: National Foreign
Intelligence Board)

o 1947 년 제정된 국가안전보장법과 행정명령 12333


호에 의해 설치
- 1997. 1.14 DCI 지시에 의해 보강
o 임무
- 실질적인 국가정보의 견지에서 DCI 에 대해 선임
정보공동체 자문기관으로서 업무 수행
o 기능
- DNI 에 대해 자문역할
- 대외관계 국가정보의 생산 , 검토 , 조정 : NIE
발행전 마지막 단계에서 배포를 최종 승인
- 정보기관간의 대외관계 국가정보 교류
4) 대통령 대외정보자문위원회 (PFIAB: President's Foreign Intelligence
Advisory Board)

o 정보기관의 정보수집 , 분석 , 판단 , 방첩및 기타 정보활동의 질과 양 ,


타당성을 평가하고 대통령에게 조언하는 기구
- 대외정보활동의 합법성에 대해 정보감독위원회를 통해 대통령에게 조언
o 구성
- 정보활동 성과 , 경험 , 독립성 및 완전 무결성 등에서 자격이 있는 정부기구
외부의 민간인 전문가들 16 명을 선임
o 역사
- 1956 년 아이젠하워 대통령이 백악관에 설립한 “대외정보활동 고문위원회”
로 시작
- 케네디 대통령이 현재의 이름으로 바꾸고 카터 대통령을 제외한 모든
대통령이 동 기구를 활용
o 활동
- 정보기구 장들의 회합 , 브리핑 , 정보기구 방문 등을 통해 수집 , 분석 ,
보고의 문제점을 파악
- 정보 공동체와는 별도로 일상적인 운영이나 정보목표에 대해 견해를 표현
- PFIAB 위원들은 임무를 수행하는데 있어서 대통령의 신임을 받아
자문역할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대외정보와 관련된 정보접근권리 보유
5) 정보감독 위원회 ( IOB : President's
Intelligence Oversight Board)

o 법률적 검토를 하는 기관으로 1976 년


설립 , 1993 년 이후 PFIAB 산하 위원회가
되고 정보기관에 대한 직접적인 수사권은
없음
o IOB 위원은 PFIAB 위원장이 임명하는 동
자문위원 4 명으로 구성
o IOB 는 요청이 있을 경우 , 독립적으로
감독조사를 수행하거나 정보기관의
감사관 및 법률고문들의 감독행위를 조사
다 . 개별정보기관

1) 중앙정보국 (CIA: Central Intelligence Agency)


o 임무
- 국가보안법 (1947) 에 의해 조직된 대표적 정보기관
- 국가안보회의의 지시를 받아 정보분석 , 첩보수집 ,
비밀공작 업무르 수행 ( 인간정보활동을 주로 함 )
o 조직
- 국장 , 차장 , 운영차장 , 각 활동부서
- 공작활동부서 , 정보분석 부서 , 과학기술부서 ,
지원부서등이 운영차장 산하에 있음
2) 국가보안국 ( NSA: National Security Agency)

o 1952 년 트루먼 대통령에 의해 국방성 산하 비밀리 창설


- 1957 년 공식적으로 NSA 의 존재가 미 정부조직 편람에
수록되어 인정
- “ 지구의 귀”로 간주
o 임무
- 국가정보위원회 (NIC) 가 제정한 “ 정보목표 , 요구사항 ,
우선순위”에 따라 신호정보 수집활동
- 신호정보 수집에 종사하는 어떠한 소부대에도 필요시 명령을
하달 할 수 있는 권한 위임
- 통신정보 (COMINT) 활동과 전자정보활동 (ELINT) 을 수행
- 통신보안활동 : 암호창안하고 인가 , 비화전화기 보급 ,
연방정부 데이터뱅크 보호를 위한 보안활동 전개
o 조직 및 기능
- 포트미트 소재 , 6800 여명 , 년간 예산 75 억불 예산
- 정보운영단 - 세계 각 지역을 6 개 그룹으로 구성
o 한국연관
- 1968 년 푸에블로호 납치
- 한국에 서슬락 (SUSLAK) 이라는 연락사무소
설치
- 통신감청부대인 777 부대에 감청장비 제공
o NSA/CSS(Central Security Service)
- 미국의 암호작성 및 암호해독 조직
- 미국 정보조직을 보호하고 외국신호 정보
수집
- 통신과 자료처리의 최전선 책임
o 모토
• 내부인에게 : Never Say Anything
• 외부인에게 : No Such Agency
3) 국가정찰국 (NRO: National Reconnaissance Office)

o 위성정찰 계획을 관리
- 위성을 이용하여 수집되는 영상정보와 신호정보를
포함
- 정찰위성 탐지기기들의 연구개발에 대한 자금지원 ,
감독
o 운영 및 기능
- 미국 정찰위성을 디자인 , 제작 및 운영
- 국방부의 한기관 , 운용자금은 국가대외정보계획의
일환으로 국가정찰계획으로 충당
o 참고
- 우주의 자유파수꾼으로 지구를 정찰
-1994 버지니아 주 찬틀리 (Chantlly) 에 본부 설립
-“ 지구의 눈”으로 간주
4) 연방수사국 (FBI:Federal Bureau of Investigation)

o 1908.7.26 Theodore Roosevelt 대통령 지시에의거


보나파르트 법무장관이 수사과를 설치
- 1909 년 수사국으로 명명되었다가 1934 년 현재의 명칭으로
개칭
o 임무
- 연방정부의 경찰인 동시에 외국정보기구에 대한 방첩업무
책임부서 ( 언제 어디서나 수사 할 수 있는 권한 보유 )
- 연방법 위반행위 모두를 수사가능 , 다만 알콜 , 위조지폐 ,
밀수 , 밀입국 등 특별법 규정으로 다른 연방기관에 위임된
사항을 제외
- 국내 보안정보를 담당하는 기구
o 주임임무
- 대테러 임무
- 방첩활동 ( 경제간첩활동 포함 )
- 국제조직범죄와의 전쟁
- 컴퓨터 관련 범죄
5) 국토안보부 (DHS:Department of Homeland Security)

o 창설
- 2002.11 국토안보법에 의해 창설 ,
- 기존 22 개 행정부처와 약 17 만명의 인원을 흡수
o 임무
- 테러공격의 사전예방과 테러 발생시 사태수습을 위해 통합된
국가전략을 수립
- CIA, FBI 등 관련 정보기관과의 협조체제를 구축하여 국내외정보를
수집하고 유관기관의 활동을 조정
- 핵무기 , 생화학 무기 등 테러공격에 이용 될 수 있는 무기의 제조와
반입을 사전 예방
o 업무내용
- 국경경비 , 재난방지 , 화생방 공격대비 , 세관관리 , 이민업무 ,
사이버 보안등 광범위한 업무 수행
* 특별검찰부 US Secret Service
- 경호와 범죄 수사 임무 수행
- 대통령 , 부통령 , 그 가족 , 국가원수 , 기타 지정된 인사 경호
- 경호대상자에 대한 위협요소 수사 , 미국증권과 채권위조관련 법률
위반 , 컴퓨터 사기
6) 국가지구공간정보국 (NGA: National Geospatial Intelligence Agency)

o 임무
- 지구공간의 지질학적 정보를 생산하는 기구 , 지리적인 데이터와 함께
공간소프트웨어 및 통계학적인 분석방법의 조합을 의미
- 지구 구석 구석에 대한 지질학적 공간정보를 생산해 내는 임무
- 국방부의 주요전투 지원부서로서 적기에 관련된 정확한 영상정보 및
지구 공간정보를 제공
o 조직
- 국가영상지도국 (NIMA) 으로 창설했다가 2003 년 현재의 명칭으로
개칭
- CIA 내 국가사진판독부서 , 국방지도국 , 중앙영상국 ,
국방보급계획국의 모든 기능을 포함
- 국가정찰국 (NRO), 국방정보국 (DIA), 국방항공정찰국 (DARO) 의
영상처리 , 분석 , 배포 기능을 흡수하여 창설
- Now, Next and After Next 에 대한 정보 까지 생산
o 지구공간정보국의 비젼
- 지구를 알고 길을 인도하라 이다
o 메릴랜드 Bethesda 에 본부를 두고 , 워싱턴 DC 와 미조리주 세인트
루이스에 주요 시설을 두고 있음
7) 국방정보국 (DIA: Defence Intelligence Agency)

o 개요
- 국방장관의 지휘 통제 하에서 육 . 해 . 공군의 정보부대 등 국방부 산하의 전
정보조직을 총괄하는 전략정보기관
- 국방부 예하 조직을 위해서 활동하는 해외 군사정보기관으로 해외 무관을 관리
- 국가대외정보정보위원회 (NFIB: National Foreign Intelligence Board) 에 해외군사
정보를 제공 , 육 . 해 . 공군 의견이 아닌 국방부 전체 의견을 대변
o 임무
- 전쟁관련 군사정보수집 , 분석하여 전투부대 , 국방정책결정자 및 관련정부 기관에
제공
- 외국군 및 외국지형에 관한 정보의 수집 및 분석 , 군사와 관련된 과학기술정보 수집 ,
분석 및 전파
o 운영
-1961 년 맥나마라 국방장관 의해 국방부의 정보수집 , 생산 , 배포과정을 합리적으로
통합하기 위해 창설
- 1950 년대 아이젠 하워 대통령은 경쟁적 정보활동을 통합 , 조정 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 , 1959 년 합동연구팀을 구성 , DIA 설립을 제안하는 결과보고에 따라 DIA 창설
- DIA 국장은 육 . 해 . 공군의 3 성 장군이 번갈아 가면서 맡으며 상원인준거침
- 육 . 해 . 공군에서 차출 , 7700 여명 , 예산 15 억불
- 워싱턴 DC 볼링 (Balling) 공군기지 내의 국방정보 분석센터 위치
8) 국무부 정보조사국 (INR: Bureau of Intelligence and Research)

o 개요
- 국무부가 수행하는 대외정책 수립 , 집행에 필요한 정보를 수집 , 분석
- 해외주대 대사관 요원들이 수집한 정보를 정상적인 외교경로를 통해 보고
받으며 공개 자료를 수집
- 공작활동관련 정보기관 활동이 국무부의 외교정책과 상충되지 않도록 매개
기능
o 임무
- 국가정보 판단서 (NIEs) 작성에 관여하고 국무장관 및 핵심간부를 위한
보고서 작성
- 각종 지역별 , 특정사안별 , 기능별 보고서 작성
- 조간 정보보고서 (morning intelligence summery) 작성
o 조직
- 1946.2 차 대전후 OSS 가 해체되면서 조사 , 분석기능이 국무부로
이관되면서 창설 - 몇차례명칭변경과 조직개편을 거쳐 1957 년 현재의
기구로 정립
- INR 장은 차관급으로 3 명의 부차관보가 19 개 부서 (300) 여명을 나누어
관장
. 수석부차관보 : 정보 , 조사 담당
. 분석담당 차관보 :6 개 지역별 분석실장과 장기분석과제연구조직 담당
. 협력담당차관보 : 정보협력관실 , 연락실 , 자원실 담당
9) 육군 , 해군 , 공군 , 해병대 정보부대

o 각 군은 국방부에 속해 있으나 군사작전을 위해


국방정보국 (DIA) 과는 별도로 각각 정보부대를
운용
- 육군군사정보국 (Army Military Intelligence:MI)
- 해군정보국 (Naval Intelligence Office:NIO)
- 공군정보국 (Air Intelligence Agency:AIA)
- 해병대정보국 (Marine Corps Intelligence Activity)
o 해군정보실은 1882 년 창설 ( 군 부대중 제일
먼저창설 )
o 각군을 통합적으로 구성하여 운영하고 있는
통합사령부 단위에도 정보부대가 있음
10) 해안경비대정보실 (US Coast
GuardIntelligence:USCG)

o 국토안보부 산하 군사력을 갖춘 무장조직 ,


항만의 안전확보 , 마약단속 , 불법이민단속
해양자원보호 등의 임무
o 군사력을 활용하여 인도적 활동 및 일반
법집행활동을 수행한다는 점이 특이
o 1920 년대부터 활동시작 , 암호해독
전문가팀을 운영하여 밀수조직암호통신망을
해독 , 밀수조직 와해
o 2001.12.29 부시 대통령이 국가안보법
수정안에 서명함으로서 정보공동체 일원이
된 것임
11) 재무부 정보분석실 (OIA: Office of Intelligence and
Analysis)

o 2004 년 정보수권법에 의거 정보공동체의 일원이 됨었음


o 테러재정정보실 (TFI: the Office of Terrorism and Financial
Intelligence) 담당차관보가 지휘
- 테러재정정보실은 테러재정 및 재무범죄실 , 외국인
자산통제실 , 재무 범죄단속실 , 자산몰수 , 재정 집행실을
담당하는 차관보조직을 관장 .
- 테러재정정보실은 재무시스템 보호 , 국가안보위협요인인
재정토대를 보강 할 수 있는 재무부 만의 특정정책중심 ,
재정정보 , 세계네트워크 , 규정책임 , 방법과 제도 등을
정비하기 위해 창설
o 재무부 정보지원실 (OIS:Office of Intelligence Support)
- 1977 년 Blumenthal 재무장관에 의해 창설되었으며 미국및
세계 경제의 안정과 번영을 위해 국내외 경제 , 재정 ,
금융관련 자료를 수집 , 분석하는 업무
- 재무장관의 특별보좌관이 OIS 의 장이 됨
12) 에너지부 정보실 (Office of Intelligence)

o 임무
- 국무부와 함께 에너지 관련 정보를 수집하고 에너지
정책운영에 필요한 정보를 생산 배포
- 핵무기와 과학기술의 발전을 위한 지원업무 수행 ( 관련
에너지 정책운영에 필요한 정보 생산 )- 핵무기 등의
첨단무기 성능시험 분석과 각국의 핵 에너지 관련 활동 분석
평가
o 에너지부의 정보활동 기능
-1946 년 행정부는 핵에너지위원회 (Atomic Energy
Commission) 에 필요한 정보를 해외에서 수집할 수 있는
기능부여
- 1977 년 에너지부가 창설되면서 에너지정보실로 이관
o Z Division 이라고 불리는 로렌스 리버모어 연구소 (Lawrence
Livermore Laboratory) 의 정보활동 관장
- 1965 년 소련의 핵무기 개발능력을 평가하기 위한 목적으로
설립하였으며 , 그 후 중국 등 여타국에 대한 평가도 수행
13) 마약 단속국 (DEA)

o 창설
- 1970 년 제정된 약물규제법에 의거 1973 년 법무부 소속
기관으로 시작하였으며 FBI 와 함께 마약법 집행기관으로
집행권을 공유하고 해외에서는 마약단속국이 단독으로
수사권행사
o 조직
- 본부는 버지니아 앨링톤 (Arlington), 1 만 1 천여명 직원 , 20
억불의 예산
- 버지니아주 Quantico 해병대 기지에 교육시설 (FBI 도 같은
장소에 교육학교가 있음 )
o 실적
- 2005 년 마약거래관련 자산 14 억불 상당 압수 , 마약 약 5
억불 압수 ( 미국의 년간 마약거래 량은 약 640 억불로 추정 )
o 2006.2.17 DEA 의 정보실 (Office of National Security
Intelligence) 이 정보공동체의 16 번째 기구로 가입
제 3 장 주요 국가 정보기구
1. 일본

가 . 연혁
o 메이지 유신 이후 강국건설을 위한 국가정보 역할 강조
-20 세기 초 지역강국으로 성장 , 제국운영을 위한 제도적 정보역량강화추진
o 2 차대전기간
- 방대한 정보 수집능력
- 극동 및 태평양 , 독일 . 스페인 . 스웨덴 까지 확대
o 패전이후
- 안보는 전적으로 미국에 의존 , 경제재건과 부흥에 집결 , 따라서 경제정보
수집에 적극적
- 독립적이고 규모있는 국가정보기구의 기능은 제한하고 경제및 산업정보의
중요성 인식 . 민간경제연구기관과 종합상사등이 주요 역할 담당
o 냉전체제종식
- 일본의 역할 증대 경향 , 국가정보활동 강화 필요성 초래
- 미 . 일 안보관계내용과 정도가 심화 , 국가차원의 군사안보관련 정보분야
활동 강화
- 군 정보기관으로 정보본부 발족 , 국가정보기구로 내각정보조사실도
행정개혁의 일환으로 구성
나 . 일본의 정보 기구

1) 내각 합동정보회의
o 정보관련 최고기관으로 총리관저에서 부정기적을 개최
o 주재 : 내각관방장관
- 구성원 : 내각관방 내각정보조사실 , 법무부 공안조차청 ,
방위성 정보본부 , 외무성 국제정보 총괄관실 , 경찰청 경비국

2) 내각정보조사실 (CIRO: Cabinet Intelligence & Research


Office)
o 내각관방성의 한 부서이지만 수상직속으로 운영
- 내각의 주요정책과 관련한 정보의 수집 , 분석 및
기타조사업무
- 1952 년 총리부 설치령으로 내각조사실 창설
o 외곽의 민간 연구기관들을 활용하고 공개자료를 중시하면서
국가정보활동을 주도
- 내조실은 관련부서에서 파견나온 직원들이 근무하고 있어 각
省 , 廳 의 수집정보가 종합되는 기능
3) 공안조사청 (PSIA:Public Security Investigation Agency)
o 법무성의 외청이며 인간정보수집에 적극적이고 방첩활동을
주 임무로 하는 경찰
o 1952 년 일본 좌익활동을 통제하기 위해 설립 , 탈냉전으로
진보정당및 좌익세력 감시는 약화되고 오옴 진린교 같은
원리주의자 , 테러 같은 새로운 위협요소에 대응

4) 방위성 정보본부 (DIH: Defence Intelligence Headquarters)


o 통합된 군정보기구로서 통합막료회의의 하부조직으로 설립
o 방위청 각 기관에 제공되는 공개정보 , 신호정보 , 영상정보
o 설립
- 1995.11 방위계획대강 발표 결과 , 1996.5 방위청 설치법의
일부를 개정하는 법률에 의해 정보본부 설치
- 1997.1.20 새로 통합된 군 정보기구로서 정보본부가
통합막료회의의 하부조직으로 탄생
5) 경찰청 경비국
o 일본의 정보기구 중 가장 영향력을 행사하는
기구
o 방대한 경찰조직과 인원을 근거로 국내치안과
정보분야에서 주도적 역할 수행

6) 외무성 국제정보총괄관실 ( 과거 국제정보국 )


o 외무성은 외교 전략의 근간으로서 정보기능의
강화를 주창
o 전략적 외교를 위해 국제정보국을 폐지하고
정보수집및 분석능력을 강화하기 위한
국제정보 총괄실을 신설 , 운영
2. 중국

가 . 연혁
o 중국은 당 , 군 , 국가수립단계를 거쳤기 때문에 정보기구도 같은 맥락에서 발전
- 국민당과의 경쟁에서 이기기 위해 군부에 정보기구 활동
- 정보조직은 당과 중앙군사위원회내에 설치되었기 때문에 당과 군의 지도부에 의해
지휘 , 통제를 받음
o 국가수립 이후 당 정보기구
- 중앙조사부 ( 전 중앙사회부 ): 당내외 안전담당
- 중앙대외연락부 : 공산권 국가간 연락업무
- 중앙통일전선공작부 : 책반 , 국내외 침투활동
o 군내 정보기구
- 총참모부 2 부 : 총참 정보부와 중앙군사위 총정보부 통합
- 총참모부 3 부 : 중앙군사위 3 국과 총참 기술부 총합
- 총참 정치부 연락부
o 국무원 정식출범 : 1954.9
- 정보조직도 당 , 정 , 군부에 모두 설치
o 모택동 사망후
- 범시파 ( 모택동 추종파 ) 는 당 중앙조사부의 권한증대를 통해 파벌세력확대
o 개혁개방 이후 (1978 년 이후 )
- 국내외 환경의 변화 , 즉 대중국 외국정보활동 증가 , 소련위협감소 , 대만독립추진 등
으로 정보활동 강화 필요성 대두
- 1983.6 국가안전부 설립 , 공안부의 밥첩단 , 중앙조사부의 일부기능 , 군 총참모부의
일부 기능을 통 폐합
나 . 중국 당 산하 정보기구

1) 당 중앙정법회의
o 중국 정보기구를 총괄하는 기능
- 서기 1 인 , 위원 7 인 , 비서장 1 인 등으로 구성
- 위원은 국가안전부장 , 공안부장 , 사법부장 , 최고인민법원장 ,
최고인민검찰장 , 총정치부부주임 , 중앙기율검사위 위원
o 운영
- 매년 12 월 전국정법공작회의를 개최 , 다음해 정법활동의 주요목표를 발표
- 5 개년 단위로 정법목표 추진
- 안전부 , 공안부 , 사법부 , 인민법원 , 인민검찰원 , 군의 정보 . 공안업무
협의

2) 당 중앙통일전선 공작부
o 통일전선 주무부서로 대만과의 통일전선공작을 주 임무
o 홍콩 . 마카오 및 전 세계 화교단체에 침투하여 조정 및 정보수집
3) 당 중앙대외 연락부
o 1934 년 중앙연락국이었다가 1949 년 중국정부 수립후 개칭
o 국무원 산하 외교부의 업무를 지휘 , 조정하고 세계 각국 당과의 교류를
전담
다 . 국무원 산하 정보기구

1) 국가안전부 (MSS)
o 1983 년 창설된 중국의 대표적 국가정보기구
o 주요기능
- 공산당체제유지 , 국가전복 및 반혁명사건 적발 ,
방첩업무
- 해외첩보수집 및 공작활동

2) 공공안전부 (MPS)
o 각급 공안기관의 소관업무를 지휘 , 감독
o 기능
- 국가공안업무 총괄 , 사회치안유지 및 경호 , 출입국
업무
- 대만인 출입국 관리 , 대 대만투자기업 감시 , 홍콩 .
마카오 주민 국내활동 관리 등
3) 군 사하 정보기구

o 군 총참모부 2 부
- 군사정보부 혹은 군 정보부
- 군 정보활동의 총괄부서
o 군 총참모부 3 부
- 통신정보부 혹은 기술정찰부
- 신호정보 , 통신 . 전자 . 음성 정보수집 및 암호해독 등
o 군 총참모부 4 부
- 전자대레이더 부 혹은 전자부
- 1993 년 설립 , 전자정보 관리
o 군 총정치부 연락부
- 대만정세파악 , 대만군에 대한 심리전 , 요원의 대만파견등의
담당
- 연락국 , 조사연구국 , 변방국 , 대외선전국 등 4 개 연락국과
상해 . 광주에 분국운영
3. 러시아

가 . 연혁
o 1565 년 최초정보기구 오프리치니나 (Oprichina) 창설
- 모스크바 대공국 이반황제 4 세 설립
- 왕권보위를 위한 비밀경찰조직
o 1825 년 비밀경찰조직인 궁정부 제 3 과 설립
- 러시아 최초 반체제 운동인 “데카브리스트 난” 발발을 계기로
설립
o 1866 년 오흐라나 (Okhrana) 창설
- 러시아 내무성 보안경찰조직으로 비밀경찰
- 1866 년 알렉산더 2 세 암살기도 실패사건을 계기로 알렉산더
2 세가 12 명이 수사관으로 최초 특별보안과 ( 질서회복 및
공공평화과라는 명칭 ) 를 창설
- 황제및 그 가족 경호 , 러시아 혁명가들의 해외 활동 감시
- 본부는 상뜨 뻬쩨르부르크 16 번지에 위치 ,
러시아제국시대동안 악명이 높았던 곳
- 1884-1902 파리에 오흐라나의 해외지국 설립
o 1917 년 비상위원회 (Cheka) 창설
- 1917.10 혁명성공후 오흐라나 폐지시키고 12.20 체카창설
- 러시아 혁명성과와 수호 목적
- 레닌의 뜻에 따라 제르진스키가 창설한 비밀첩보기관으로
소련비밀경찰인 KGB 의 전신
- 무소불위의 권력행사
- 1922 년 악명이 극에 달하면서 명칭을 국가정치보안부 ( GPU:
게페우 ) 로 개명
- 그후 수차례의 명칭변경을 거쳐 1954.4.27 국가보안위원회
(KGB) 로 되었음

o KGB
- 세계최대 정보기구
- 방첩 , 해외정보수집 , 분석 업무 수행
- 군사보안 , 국경방위업무 및 국가원수 경호 등
o 1991 년 소련붕괴와 함께 KGB 해체
- 해외정보부 (SVR) 와 연방보안부 (FSB) 로 분리
나 . 러시아의 정보기구

1) 해외정보부 (SVR)
o 1991.12 KGB 의 제 1 총국을 기반으로 대통령 직속 중앙정보처 (CRS) 로
설립했다가 1993 년 현 SVR 로 개명
o 기능
- 해외정보 전담기구
- SVR 공작관은 러시아대사관 , 영사관 , 무역관계 요원으로 가장

2) 연방보안부 (FSB)
o 1991.12 KGB 해체 과정에서 보안청 (MD) 으로 분리되었다가 1993.12
연방방첩부 (FSK) 로 개편 , 1995.7 연방보안부 (FSB) 로 승격
o 기능
- 국내보안업무 전담기능
- 과거 KGB 건물 그대로 사용
- 독자적인 특수부대를운영할 수 있으며 어떤 기관도 법적으로 동 기관에 대해
감독 불가
o FSB 인력은 77640 명으로 법률에 의해 제한 , 그러나 최대한 13 만명의
보조인력채용 가능
3) 참모부 정보총국 (GRU)

• 러시아 군을 위한 전략 및 전술을 제공
• 해외주재 러시아 무관 파견 , 군사분야
첩보수집 및 공작
• SIGINT 활동 , 특히 감청활동 및 분석
• 아프리카 , 아랍인 , 아시아인 , 중남미인 중
저개발국 게릴라 요원들에게 지하전복훈련
실시
o 특수부대 스페츠나즈 (SPETSNAZ) 운용
• 미 육군의 그린베레 (Green Beret),
델타포스 (Delta Force), 해군의 네이비실
(Navy Seal) 같은 부대임
4. 영국

가 . 연혁
o 1573 년 웰싱햄의 비밀조직
- 엘리자베스 여왕 지휘하게 해외정보망 구축
- 암호학과 첩보기술 훈련
- 스페인 펠리페 2 세의 무적함대 격파에 결정적
역할 수행
- 여왕암살 음모적발
o 해군정보국 (Naval Intelligence Division;NID)
- 1909 년 비밀정보국 설립이전까지 영국의
중심정보수집
- 전세계에 진출해 있는 영국함장들에게 지시 ,
정보수집
o 비밀정보부 (Secret Service Bureau)
- 1909.10 설립 , 전쟁성 소속 군사작전총국의 특별분과
- MO5( 영국보안정보국 ) 으로 현재의 비밀정보국 (SIS)
와 보안국 (SS) 의 기원
- 3 가지 주요기능
. 외국 스파이로부터 영국의 기밀을 보호
. 공공기관과 해외에서 활동하고 있는 영국 공작원들을
중개하는 기능
. 방첩기능
o 영국은 1915 년 육군성을 개편하였고 , 1916 년
국내과와 국외과를 군사정보국의 일부로
편입시키면서 각각 Military Division5(MI5) 와 Military
Division6(MI5) 로 명칭부여
- MI6: 1921 년 국외분야 업무가 외무성으로 이전
- MI5: 영국안보에 위협이 되는 사안들을 포괄적으로
담당
나 . 영국의 정보기구

1) 비밀정보국 (SIS:Secret Intelligence Service, MI6)


o 1992.5.6 영국하원에 의해 공식적으로 존재가 인정
- 외무성 소속
- 영국 해외정보를 전담
- 1994.12.25 제정된 정보기관법으로 법률적기반을 갖음
o 주요활동
- 소련 , 러시아와의 전보전
- 중동석유확보를 위한 공작 - 이란 . 이락

2) 보안국 (SS:Security Service, MI5)


o 내무부 산하 국내보안을 담당하는 정보기구
o 기능
- 대테러 , 방첩 , 국가전복방지 , 보안 , 보안정보 , 정보관리
o 조직
- 직원 2000 여명
- 6 개처 : C 처 방호및 보안 , F 처 국내전복 , K 처 방첩 , A 처 정보자원 및 운용 ,
B 처 참모실 및 행정 , S 처 컴퓨터 등 지원
3) 정부통신본부 (GCHQ: Government Communication Headquarters)
o 1919 년 암호해독기관인 정부암호학교로 설립
o 1942 년 정부통신본부로 개칭 - NSA 와 비슷한 업무
- 외무장관 소속 , 영국남부 글로스터셔의 첼튼햄에 본부
- 국내에 통신감청 , 자국통신의 도청방지 업무수행
- 영국정보부의 통신을 보호하는 암호와 수단을 개발하는 책임
o 주요임무
- 에셜론의 한 구성조직원 ( 캐나다 통신보안국 CSE, 호주 국방통신처 DSD,
NSA 에 연락장교 파견 )
- 1947. UKUSA 협정 ( 미 , 영 , 캐나다 , 호주 , 뉴질랜드 )
. 1 차 가입 : GCHQ, NSA
. 2 차 가입 : CSE, DSD, GCSB( 뉴질랜드 )
. 3 차 가입 : NATO, 한국 , 일본 , 터키
- 전화도청 : 사마귀 (Mantis), 텔렉스 , 하루살이 (Mayfly)
- 120 여개의 위성을 사용 , 지상처리 센터에 전파를 통해 정보송신 (
처리시설을 미국덴버 , 영국 멘위드힐 , 호주 , 독일 )
5. 프랑스

가 . 연혁
o 특별경찰국
- 1855 년 나폴레옹 3 세가 창설한 전국적인 조직
- 보불전쟁 (1870-71) 에서 정보활동
- 육군참모부에 소속되었다가 나중에 제 2 국의 모체
o 드레프스 사건 (1894 년 프랑스 정보기관의 간첩조작 사건 ) 이후 1899 년 대대적인
개편작업
o 1. 2 차 세계대전을 거치면서 오늘과 같은 정보기구로 발전
- 보불전쟁이 끝날무렵 군사정찰과 창설
- 1873 년 알사스 - 로렌 지방 점령이 종식된후 첩보국 또는 특수국 으로 발전
o 1899 년 첩보국 폐지
- 첩보기능은 내무성 치안국에 이양
- 정보기능은 육군일반참모부의 제 2 부에 배정
o 서신검열소는 외무성이 책임
- 리슐리에 추기경 시대 (1601-1643 년 ) 부터 서신검열수행
- 1909 년 암호공동위원회 창설 ( 육군 , 해운성 , 내무성 , 식민성 , 무장성 , 전신성등이
합동구성 )
o 1937 년 내무성 안에 국토감시청 (DST) 설립
- 프랑스에서 활동하고 있는 외국정보원에 대한 방첩
o 전시중 정보기구인 총특무국을 창설 ,1944 년 드골이 파리로 귀환하면서 연구조사총국
(DGER) 으로 개명
- 1981 년 미테랑대통령 대외정보총국 (DGSE) 으로 다시 개명
나 . 정보기구

1) 대외정보총국 (DGSE)
o 국방부산하 해외정보를 총괄하는 기구
o 조직
- 파리에 본부
- 전략국 , 정보국 , 공작국 , 기술국으로 구성
o 임무
- 해외정보활동 총괄
- 정보수집의 최고우선순위는 소련 , 분야는 경제 및 테러리즘
2) 국내중앙정보총국 (DCRI:Central Directorate of Interior Intelligence)
o 기존의 국가경찰조직인 중앙정보총국 (RG) 과 국토감시청 (DST) 를 통합하여
2008.7.1 창설
o 임무
- 국내보안정보활동 부서
- 대간첩 , 대테러 , 대 사이버 범죄 업무 수행
3) 군사정보 총국 (DRM: Directorate of Military Intelligence)
o 군사정보총국 (DRM) 은 중동걸프전쟁시 군사관련 정보가 종합 종합되지
못한점을 해결키 위해 1992 년 창설된 군사정보기구
4) 국방보안총국 (DPSD: Directorate for Defense Protection and Security)
o 군 방첩공작활동 , 군 정치화 방지 등 군사보안 문제 전담
6. 독일

가 . 연혁
o 1866.3.25 육군 , 정보국 창설
- 조직적인 정보활동 시작
o 제 1 차 세계대전
- 독일의 정보활도이 대대적으로 팽창
o 하틀러 집권
- 1929 년 대공항 여파로 어려운 국내 여건속에서 힌덴부르크
대통령은 나치 지도자 히틀러를 수상에 임명하고 조각권을
부여 , 1933 년 1 월 나치 정권 탄생
- 보안대 본부 (RSHAA),1939 년 나치당과 보안 , 경찰기구가
병합하여 창설
- 게쉬타포 (SS)- 친위대 , 보안본부 4 부로 나치당의
국가사회주의 (Nazism) 를 반대하는 인물색출임무
- 아프베르 (Abwehr) , 중앙군사정보기구로 해외에서
스파이활동 , 방첩 및 독일군의 사보타지 공작에 대한 임무
수행
o 2 차대전후
- 1945.6 소련과 대치중이던 겔렌 중령은
미군사령관 브레들리 장군에게 투항
- 미국에서 1 년동안 교육을 받은 후 겔렌
조직을 창설
- 1955.7.11 아데나워 수상에 의해
독립기구로 편성
- 1956.2.21 BND 로 명명
- 1956.4.1 독일연방공화국 수상실 산하
연방정보국으로 공식출범
나 . 독일 정보기구

1) 독일연방정보국 (BND)
o 1956.2 창설당시 법적근거 없었음
-1990.12.20 자료처리 및 자료보호법 제정으로
해외정보기관으로서의 법적근거
o 임무
- 해외정보를 전담하는 기구
- 대간첩업무 및 산업정보 수집업무
2) 헌법보호청 (BfV)
o 독일의 국내보안업무를 담당하는 기구
- 극좌 , 극우 및 테러조직에 대한 감시 감독
- 국가기밀보호 자문 및 교육임무 수행
o 운영
- 수상실 차관이 관장하고 있지만 내무부에 보고하고 주 1 회
개최되는 정보조정위원회에 주요사항을 협의
- 헌법보호청은 사람을 연행하거나 조사하는 경찰의 기능을 수행
할 수 없음
3) 기타 군 보안부 와 연방정보보호청
o 군 보안부 (Military Protective Service)
- 독일군 보안부는 1956 년 창설된 군정보기구로 당시 헌보청 , 연방정보국과
함께 3 대 정보기구
- 군 관련 정보수집과 분석업무 수행
o 연방정보보호청 (Federal Office for Information Security)
- 컴퓨터와 통신부 안에 대한 주무 정보기구
- NSA, GCHQ 와 같은 업무 수행

4) 슈타지 (STASI)
o 냉전시대 동독의 정보기구
o 복무방침은 “ 당의 방패와 차” 이었음
o 인간정보활동을 주로 했으며 동독의 통치기구로 활동
o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의 제반분야에 엄청난 비밀자료를 확보하고 있었던
것으로 판명
* 참고사항
o 유럽연합 15 개국 정보기관장 회의 (2001.9.17)
- 런던보안국에서 반테러협력에 대한 논의
o 유럽의회 , 통신자료보호지침 제정 (2002.5.30)
- 경찰과 정보기관들이 모든 이메일 , 전화 , 팩스 , 인터넷 기록들에 접근할
수 있는 권한 인정
7. 이스라엘 정보기구

가 . 연혁
o 시오니즘과 정보활동
- 시오니즘을 현실화 하기 위해 유태인들의 시온산 이주 및 독립운동
전개
- 1909 년 집단농장인 하쇼메 (Hashomet 경비부대 ) 라는 자위기구발
족 , 체계적인 정보활동 필요
- 1930 년 이후 정보수요 급증으로 정보기관이 태동
o 1948 년 독립 시 까지 영국의 정보활동 습득 , 독립후 미국으로부터
습득하여 국가건설
- 영국통치에 대항하여 하가나라는 지하군사 조직창설 , 그 아래 쉐이
(SHAI) 라는 정보조직 창설
- 1937 년 하가나 지도자회의를 개최 , 모사드 레알리아 베스를 만들어
비합법적인 이민사업전개 ( 영국을 적으로 간주 )
o 1948.6 독립선포후 벤구리온 수상은 쉐이를 모태로 정보조직을 재편
o 주미 이스라엘 공사로 근무한 실로아 (R Shiloa) 건의로 베구리온
수상은 CIA 와 같은 해외공작기구인 모사드를 1951.4.1 발족
o 1970 년 말 4 차례의 중동전쟁 후 PLO 와 테러리스트를 상대로
정보활동 전개
나 . 이스라엘 정보기구

1) 모사드 (Mossad, ISIS)


o 독립이후 총리 산하에 “중앙보안정보부”를 설립 , 모사드 탄생 (1949.12)
- 외교부 , 보안정보부 (GSS:General Security Service), 국방부의 해외정보
수집기능을 이관
o 군사정보를 제외한 모든 해외정보 수집 , 분석 , 공작기능
- 심리전 , 해외거주 유태인 보호 , 암살 , 준 군사공작 수행
- 기본적으로 인간정보 활동 위주
o 부훈
- 조언자가 없으면 멸망한다 . 다수의 조언자가 있으면 안전하다 .
2) 신베스 (ShinBeth, ISA)
o 1948.6.30 국내 쉐이 라고 불리면서 창설
- 국내보안정보 활동
- 샤박 (ShaBak) 라고도 함
o 조직
- 8 개 활동 및 지원부서로 구성 , 국방부 산하기관에서 총리산하 기관으로
이전
o 모토
- 눈에 보이지 않은 수호자
3) 아만 (Aman : Military Intelligence)
o 군사정보 기구
- 야전 보안부대 , 지역사령부 산하 정보국 , 공군정보국 , 해군정보국 지휘
o 조직
- 생산국 , 외교관계국 , 야전보안 , 검열국 , 정보단으로 구성
- 전체 요원 7000 여명 중 2600 여명이 생산국에 근무
- 산하에 신호정보 전문 획득부대로 8200 부대가 있음

4) 외교부 정치연구센터 (Center for Political Research of Ministry of Foreign


Affairs)
o 각국의 정치정보를 수집 , 분석하고 평가하며 전 세계에 이스라엘의 미션에
대한 설명 및 안내를 함
o 해외의 유대인 거주지인 디아스포라 공동체 (diaspora communities) 와
관계를 증진 , 해외 이스라엘 국민권익보호

5) 라캄 (LAKAM)
o 과학관계국이라고도 함
- 시몬 페레스가 국방차관 (1959-1965) 으로 있을 때 국방부 산하기관으로 창설
- 과학기술정보 , 군사부문의 과학기술 정보를 수집하는 활동담당
o 이스라엘 핵개발과 독자적인 전투기인 크펄 (Kfir) 생산에 크게 기여
o 1986 년 조나단 폴라드 사건으로 해체되고 업무는 외무부와 과학기술부로
이관 .
제 4 장 남북한 정보기구
1. 한국의 정보기구

가 . 연혁
o 삼국사기 삼국유사
- 정보활동 , 방첩활동 기록
o 고구려
- 국외정보활동 치중 ( 국경선으로 인해 )
o 통일신라시대
- 왕권유지를 위한 정보활동 활발
o 조선시대 정보활동
- 암행어사제도
- 상소 , 구언 , 권당 - 양반의견 청취
- 신문고 , 격쟁 - 백성들의 민심정보
- 보부상 - 정부의 지시를 받아 첩보 수집
나 . 근대정보활동
o 일제시기
- 독립운동의 일환으로 독립운동 관련 정보수집
- 1902.6 황제 직속으로 제국익문사 설립
. 근대적 형태의 정보기관 (61 명 )
. 현대판 통신사 기능 담당
. 제국익문사 비보장정에는 비밀활동 지침이 상세하게 규정
. 1907.7 헤이그 밀사 사건으로 고종퇴위 , 제국익문사 해체
o 1910 년 한일합방 이후
- 1919.4 상해 임시정부 수립
- 독립자금전달 , 일제통치시설파괴 , 요인암살등의 정보활동
- 통신문은 암호화
o 의열단 , 애국단
- 의열단 : 1919.11 만주 길림성에서 김원봉 등이 결성한 단체 ,
일본인 및 친일 매국노 암살
- 애국단 : 1926 년 임정 김구 국무령이 특무공작기관으로 설치 ,
주요인물 암살 및 주요 행정기관 파괴 임무 ( 이봉창 ,
윤봉길의사활동 )
다 . 광복이후
o 미 방첩대 주도시기 (1945-1948)
- 미 CIC(Counter Intelligence Corps) 방첩대 주도시기는 남북분단과 함께시작
- CIC 가 군정을 지원하는 정보활동
- 1945.9.9 미 CIC224 파견부대가 주한 미 24 군단의 군정을 지원하기위해 최초입국
- 북한정보수집 , 통신감청 , 우편물 검열 임무
-1946.4.1 971 파견대로 통합
o 육군본부 정보국 (G-2) 주도시기 (1948-1950)
- 신생정부가 미 CIC 지원하에 독자적인 정보 , 보안체계를 수립해 나가는 시기
- 한국군 정보요원들이 미국샌프란시스코를 방문 ,CIC 교육을받고 1948.5 육군정보국
특별조사국을 설치 , CIC 업무를 인수
- 한국전 발발후 1950.10.21 육군정보국으로부터 독립 , 육군특무부대로 창설 ,
국군기무사령부의 전신이 되었음
o 특무대 주도시기 (1950-1960)
- 국내보안담당 기구로 활동
- 한국전쟁 , 정보기구를 군사중심으로 전환
- 종전후 특무대는 이승만 대통령의 특명사항을 지시받아 수행함으로서 군의 정치개입 , 군내
파벌조성 등 부작용 발생
- 1956.1.30 김창룡 특무부대장이 암살되는 결과 초래 ( 강문봉 준장 , 허태영 대령 모의 )
o 중앙정보부 창설 ( 1961-1980)
- 5.16 계기로 국가정보기구로 중앙정보부 창설
- 1981.1 국가안전기획부 , 1998 년 국가정보원 으로 개칭
라 . 국가정보기구
1) 국가안전보장회의
o 참여정부는 2003.3.22 국가안전보자회의법 시행령과
국가안전보장운영등에 관한 규정 ( 대통령령 17944 호 ) 을 개정
o 노무현 대통령 2003.3.18
- 대통령이 국정원 , 국방부 , 통일부 , 외교부롤부터 전체 안보상황에
대한 중요한 국가정보들을 접수 받아 대응책을 마련
- 정보를 각 부처가 공유할 수 있는 시스템을 만들기 위해
국가안전보장회의를 확대 . 강화
2) 국정원
o 1961 년 중앙정보부 창설이래 국가안전기획부를 거쳐
국가정보원으로 개칭
o 국정원은 대통령 소속하에 두며 대통령의 지시와 감독을 받음
o 기능
- 국가정보 생산
- 국가기밀 관리
- 간첩수사 및 직원 범죄 수사
- 정보 및 보안업무 기획 . 조정
o 국정원은 국가정보기구로서 조정대상기관에 대한 정보사업 , 예산
및 보안업무의 감사기능을 보유
3) 국군기무사
o 1948.5 조직된 육군본부 정보국 산하 특별조사과가
독립부대로 발전
- 특별조사과는 SIS(Special Intelligence Section) 로 표기하면서
특무과 , 특별조사대 , 방첩대로 불리다가
- 1949.10 CIC(Counter Intelligence Corps) 로 개칭
- 1950.10.21 육군정보국으로 독립하여 육군특무대로 창설 ,
1960 년 장면정부 출범후 방첩부대로 개칭
- 1968.1.21 김신조 청와대 기습사건으로 군사보안체계강화
조치 , 보안사령부로 개칭
- 1977 년 국군보안사령부로 창설하였다가 , 1990 년 민간인
불법사찰폭로 사건이 터지자 1991 년 국군기무사령부로 명칭
개칭
o 국군기무사령부는 국방장관 직속기관으로
- 군사보안 및 방첩에 관한 사항
- 군인 및 군무원에 대한 범죄사항 수수
- 군에 관한 첩보 및 군과 관련된 첩보의 수집 , 처리에 관한
사항등을 처리 하는 임무
4) 국군정보사령부
o 합참의장의 지휘 , 감독을 받는 합동부대
- 한국전쟁 이전 대북 첩보수집을 주 임무로 하던
육군본부 정보국 제 2 과 ( 첩보과 ) 에서 1951.3
분리된 육군첩보부대 (HID: Headquarters of
Intelligence Detachment) 와 해군 . 공군
첩보부대가 통합되어 1990.11 창설
- 1948 년 정부수립후 이범석 국방장관이 국방부에
설치했다가 폐쇄한 제 4 국 ( 특수공작국 ) 이
실질모태 , 미 OSS 총책임자 도노반이 직접
공작선포식에 참석
o 이범석 장군은 1948 년 정부수립후 국방장관에
취임 ,
- 국방부내 제 4 국 ( 특수공작국 ) 을 설치하고
- 특수 부대 ( 호림부대 , 일명 영등포학원 /
보국대대 등 ) 도 다수 창설
5) 국방정보본부
o 합참 정보본부를 의미
- 예하 국군정보사령부 , 대북 감청부대 ,
그리고 무관들이 수집한 국방정보를 종합 ,
분석하는 기능
- 국방장관직속 기무사는 대적 군산정보와
보안업무에 관해서는 정보본부의 조정을
받음
o 하부 구조로 각 군별 정보참모부를 두고
있으며 , 군 사령관과 정보참모는 주로
전장에 관한 정보를 수집하고 보고하는
임무 수행
6) 대검찰청 공안부 및 범죄정보 기획관
o 검찰의 정보기능은 공안정보와 범죄정보
기능으로 구성
o 공안정보
- 공안기획관은 공안부장을 보좌하며 공안정세
분석 , 공안자료 수집 등의 기능 수행
- 공안 1 과는 대공사건 , 남북교류사건 , 각종
공안사건에 관한 검찰사무 및 정보보고에
관항 사항 수행
o 범죄정보
- 대검 범죄정보기획관이 관장
- 범죄정보 업무에 관하여 대검찰청
차장검사를 보좌하기 위한 것이라고 명시
7) 경찰청 정보국
o 경찰법 등 법률과 “ 정보및 보안업무 기획 .
조정규정” 등의 대통령에 규정
o 경찰은 국민의 생명 , 신체 및 재산의 보호와
범죄의 예방 , 진압 및 수사 , 치안정보의 수
집 , 교통단속 기타 공공안녕과 질서유지를 그
임무로함 ( 경찰법 제 3 조 )
o 기능
- 치안정보와 정책정보의 수집 , 종합 , 분석 ,
배포
- 외사는 외사정보 , 보안국은 보안관련 정보
활동
- 치안정보는 공공안녕과 질서 , 정책정보는
국가안보와 이익에 관한 정책관련 정보를 의미
2. 북한의 정보기구

가 . 연혁
o 1949.9.9 조선민주주의 인민공화국 수립
- 정보기구는 노동당 중앙위 소속
국가정보위원회의감독을 받으며
국가주석이 직접 지휘
- 행정부 정보기관도 노동당 중앙위
소속으로 군 작전과 병행하여 정보업무
수행
나 . 정보기구

1) 대외연락부
o 노동당 중앙위 소속
- 남한내 지하당을 구축하고 미국에 대한 정보와 정부불만세력에 대한 정보를
수집
o 남한내 지하당을 지원하는 임무 담당

2) 인민무력부 정찰총국
o 2009.5 당 중앙위 산하 작전부와 35 호실을 통합하여 정찰국으로 창설
- 인민무력부는 대남공작을 총괄 지휘하며 남한의 제반 군사력에 대한 정보와
전투적 공작업무를 담당함
- 2010 년 천암함 공격과 황장엽 암살조 파견
- 특별 임무 수행을 위해 10 여 만명의 정예 공작부대운영
o 특별임무는 유사시 남한내 혼란상태유발 , 한국군 방어벽파괴 , 후방에 제 2
전선 형성 , 실제 전투 수행등임
o 북한군 조직도는 국방위원장 호위사령부와 보위사령부가 별도 있고 ,
계선조직으로 총정치국과 인민무력부가 있으며 , 인민무력부 산하에 총
참모부와 정찰총국이 있음
- 현재 (2012.2 현재 ) 총 정치국장은 조명록 , 인민무력부장은 김영춘 ,
총참모장은 이영호 , 정찰총국장은 김영철 임
3) 국가안전보위부

o 국정원에 비유
o 체제의 첨병으로 비밀경찰업무와 보안유지
업무 수행
- 범죄수사는 물론 , 반체제범죄 , 경제범죄 ,
주민 이동 통제 와 수용소도 관할
- 해외정보 수집활동
- 고위간부애 대한 경호업무와 국경수비도
담당 , 전쟁발발시 정규부대로 편제
- 50,000 여명의 요원으로 주민 466 명당 1 인
비율
제 6 편 정보와 정책
제 1 장 정보 와 정책결정
1. 정보와 정책관계

가 . 관계학설
o 독립성설 , 전통주의라고 함
- 정책과 정보 사이의 절연으로 독립성을 주장
- 정보생산자와 사용자간의 직접적인 상호작용을 추구해서는 안되며 자료나
분석의 요구에 부응해야 한다고 생각
o 공생관계설
- 정보는 정책의 투입요소이므로 서로 영역을 넘어서 긴밀한 관계를 유지해야
한다는 설
- Roger Hilsman, 베어리 (Barry) 는 상호 밀접성을 주장 , 정보분석가들은
정책과정과 정보투입 효과를 보다 철저하게 연구해야하고 정보는 정책에
의미있는 이슈에 지원해야 한다고 주장
o 유기적 조화설
- 공생관계까지도 아니고 절연 독립관계도 아니라는 것
- 양자는 유기적 관계를 보여 주어야 한다는 것
o 국정원 입장
- 정보와 정책간에는 반투막이 있어서 정보는 정책영역을 침범할 수 없고
정책은 정보영역을 침범할 수 있다는 것임
- 로웬털은 정보는 정책에 의존하여 존재하지만 정책은 정보없이도 존재 할 수
있으므로 정보는 정책에 조언을 주는 방향으로 기능해야 한다고 주장
- 유기적 조화설에 가장 가까운 것으로 평가
나 . 정보생산자와 사용자간 협력관계 고려사항
o 정책결정자는 생산자에게 우선순위 , 방향 등에 대해 정확한
지침을 주고 , 생산자는 정확한 정보를 제공
- 상호간 이해 필요
- 생산자는 정책결정자로부터 지침과 협조 획득 긴요
o 정보는 사용자를 위해 지원역할을 충실
- 정보가 타락해서도 안되지만 정책수립에 기여하지못해도 곤란
- 생산자가 정보제공을 통해 정책에 개입하는것은 금물
- 정책결정자도 정보 공동체의 조언을 신뢰하고 의존하는
자세유지
o 정보사용자는 정보생산의 독립성 , 객관성 , 중립성 보장
- 정보의 정치화 , 정치의 예속화 금물
- 정보의 정치화는 정책실패로 연결 ( 한국전 , 베트남전 ,
진주만침공 )
* 세먼 켄트는 정보기관과 정책결정자간의 이상적인 관계가
정보업무의 가장 중요한 영역임을 강조
다 . 정보와 정책간의 이상적 관계
o 상호 충분한 이해 - 정보의 객관화
o 정보와 정책영역의 레드라인 설정 - 반투성막 경계
o 정보수요처 불특정의 정보제공 원칙
- 생산한 정보는 특정정보 수요처를 지정하지 않고 배포
- 배포처에서는 필요인원만 정보 사용
o 국가정보의 자동활용 체제 구축
- 필요정보가 적기에 적소에서 활용될 수 있는 체제
- 모든정보기관이 정보를 공유 , 사장되는 일이 없는
체제
- 합동배치정보지원시스템 (JDISS)- 미 국방부개발시스템
- 인텔링크 (INTELINK): 미국 IC 에서 개발 ,
최고안전도를 갖춘 정보와 정책공동체의 내무 인터넷 .
1994 년 구축했으며 당시 Woolsey 국장은 “ 모든
정보 공급을 위한 전략적 방향” 이라고 선언
2. 정보의 기능

가 . 정보의 존립목적
o 정책을 효과적으로 지원
o 정책결정과정에 공헌 ( 정책과
관련없는 정보 무가치 )
- 실제로 정보가 정책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구체적으로 파악하는
것은 쉽지 않음
나 . 정책결정과정에서의 정보의 기능
o 정책환경진단
- 국익증대를 위한 국내외의 다양한 여건을 진단
- 잠재적 적국에 대한 위협평가 진단
- 조기경보 기능
- 자국의 국익과 안보적 취약성 진단
o 정책수립 및 조정기능
- 정책의 성공여부 및 한계성 . 문제점 검토
- 정책추진에 필요한 제약요인을 검토하는데 필요한 판단을 제공
o 정책선택기능
- 유용한 정책의 선택에 대한 판단을 제공
- 미래상황의 예측에 대한 판단을 제공
- 국력의 효과적 사용
o 정책집행 및 평가기능
- 정책집행시기에 대한 판단제공
- 협상에 기여
- 조약검증에 기여
- 정책평가에 대한 판단 제공
3. 정보생산자와 정보사용자

가 . 생산자와 사용자

o 생산자
- 정보기구
- 미국의 경우 , 정보공동체
o 사용자
- 정책결정자 및 정책 수행자
나 . 정보생산자와 사용자 관계

1) 요구문제
o 원거리 학파
- 생산자와 사용자는 일정거리 유지
o 근거리 학파
- 생산자와 사용자는 긴밀 협조해야 한다는 이론
o 생산자와 사용자는 정보요구에 대한 시각차이 존재
2) 수집문제
o 사용자
- 충분한 정보를 수집해 줄 것을 기대
o 생산자
- 제반 여건으로 항상 부족한 수집
o 정책결정자의 판단과 국내의 정치적 상황의 변화로 일부 수집집단이 약화 될 경우
수집활동이 위축되고 결과적으로 정보생산이 위축
3) 정보판단 문제
o 사용자
- 광범위한 안목 , 상대적으로 시간의 여유 , 추구정책 집착
o 생산자
- 전문적 시각 , 시간의 부족 , 자신이 선호하는 정책을 지지하는 경향 , 직관적 견해
o 정보판단이 정책결정자의 요구에 따라 객관성 상실시 정책을 지지하는 도구로 전락 ,
국가이익 침해
다 . 정보생산자의 자세

o 적시성
o 객관성
- 편견적 사고 지양
- 정책적 장애요인 , 조직적 장애요인 , 분석관 자신의 인지적
편견에 의해 객관성 상실위험 상존
o 명확성
- 정보의 애매성이 사용자 욕구를 채워주지 못하는 경우
- 분석관의 심리적인 장애요인으로 인한 명확성 부족
- 애매한 표현으로 책임 회피 , 복잡한 문제에 대해서는
직관으로 판단하는 오류
o 적합성
- 정책의 주제에 맞는 내용
- 사용자의 욕구에 맞는 내용
라 . 사용자의 오류

o 정보에 대한 불신
o 정보기관의 사유화
4. 정책결정과 정보조작

가 . 정책결정
o 정책결정을 산출하고 구체적 행동 노선을
결정하는 정부 기구들 간의 상호작용을
종합적으로 의미
o 정책결정의 제약
- 정보자료의 불확실성 , 문제의 복잡성 ,
사태의 인식과 판단의 한계성 등
- 외적으로는 국제환경 , 상대국의 정치 . 경제 ,
사회 제 상황 , 가치 , 동기 , 기대요소 등
o 정책결정의 한계와 문제점 때문에
정책결정에 정보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상호
긴밀한 관계유지
나 . 정보조작 (Intelligence Manipulation)
1). 조작
o 정책결정권자로 하여금 특정한 정책을 추진하도록 유도 할
목적으로 , 정책결정자의 정치적 선호도에 부응하기 위하여
정보를 조작하는 것
o McCornack 은 정보조작을 상대방을 잘못으로 인도하는
행위이며 대화상대자간 합리적 기대에 대한위반이라고 정의
o 조작은 진실한 정보를 공개하지 않는 부작위의 의한 것이거나
의도적으로 거짓정보을 생산하고 제공하는 작위적 방법으로

2). 정보조작의 유형 (Metts 분류 )
o 정보위작 (falsification)
- 허위 내용을 정보로 만드는 것
o 정보왜곡 (distortion)
- 정보내용을 직접 변경시키는 것
o 정보누락 (omisson)
- 정보의 일부를 빠뜨리고 참고자료의 전달을 보류
다 . 정보조작과 정보실패
o 정보실패
- 정책실패로 연결
o 정보조작
- 가끔은 정책성공의 경우도 있음
o 선진국
- 정보조작을 통해 대외정책의 타당한 근거를 마련 ,
석유수급권을 확보 , 영토확장을 위한 침공이유 조
작 , 타국의 내정간섭 등 행위
o 2003 년 미국은 이라크 전쟁에서 이라크 내의
살상무기 존재를 명분으로 조작 , 결과적으로
살상무기를 찾아내지 못했기 때문에 정보 실패라고
규정하는 견해 . 중동에서 지속적인 영향력을
행사하기 위한 의도된 정보조작이라는 견해가
다수설
제 2 장 국가안보와 정보
1. 국가안보

o 만델은 국가안보는 국가의 책임으로서 국가 및


시민의 핵심가치가 대 . 내 외로부터 위협받는
상활을 방지하고 심리적 그리고 물리적
안정을 취하는 것이라고 언급
o 아놀드 월포스는 “ 국가안보의 개념은
절대적일 수 없다 . 국가안보는 국익을 위한
것으로서 국가이익은 시대상황과 주변환경에
따라서 변할 수 있기 때문이다” 라고 정의 -
국가안보의 상대성론 제기
o 국가의 핵심가치는 국가의 생존 (survival),
국가의번영 (prosperity), 국가위신 (prestige),
국민의 생명과 재산 (life & properties) 을
의미
2. 국가안보에의 위협

o Ian Brownlie 의 국제법적인 위협개념


- 국가 간 무력사용의 위협은 “ 어느
한국가가 요구한 내용을 상대국이
받아들이지 않을 때 무력에 의존하겠다는
명시적 또는 암시적 약속” 을 의미
o 분야별 위협
- 정치적위협 , 경제적 위협 , 군사적 위협 ,
생태적 위협 , 사회적 위협 등
3. 국가이익 (National Interest)

가 . 국가이익과 레종 데타 (Raison d'etat)


o 국가이익은 국가보존과 번영 , 발전 , 국위선양 및 국민이 소중하게
여기는 국가가치로 국가목표 , 국가야망 , 국가이성 , 국가가치로도
호칭
o 레종 데타는 국가를 유지하고 강화하기위해 지켜야 할
행동기준이나 국가이성 또는 존재이유
o 국가이익의 상대성과 현실성
- 주권국가의 대외정책의 중심개념으로 역사 , 문화 , 전통 , 규범 및
시대상황에 따라 변할 수 있음
- 역사적으로 국가이익의 개념은 정치지도자들이 전쟁을 일으키거나
전쟁에 개입하기 위한 가장 훌륭한 개념으로 활용
나 . 정치현실론자 (realism) 의 국가이익
o 정치현실론자에 있어서 국가이익은 중요한 정책수단
o 정치현실론자들은 무력을 사용하는 한이 있더라도 국가이익을
최우선으로 하는 현실적인 국가정책의 추진과 집행을 주장
o 헨리 키신저는 1969-1977 년 사이에 Detente 를 주장하는 미국의
실용주의 외교노선 주도 , 결과 당시 우방국이었던 대만을 버리고
중국과 국교정상화를 추진
다 . 국가이익의 분류

1) 도날드 네텔레인 (Donald Nuechterlein)


o 국가존립자체가 걸려있는 존망의 이익 (survival interests)
o 결정적 이익 (vital interests)
o 중요한 이익 (major interests)
o 지엽적 이익 (peripheral interests)

2) The Commission on America's National Interests( 미국


국익검토위원회 )
o 결정적 이익 (vital interests)
- 국가존립과 관련된 이익
- 자국민 생활보장과 증진에 반드시 필요
- 국제무대에서 외교력과 군사력 및 신뢰성을 증진을 주장
o 핵심적 이익 (extremely important interests)
- 국민의생활 보장을 심각하게 손상하지만 아주 위태롭게
하지는 않는 이익
- 대량살상무기 방지 , 사용위협의 억제 , 분쟁의 평화적 해결 ,
동맹국에 대한 침략방지 등
- 우방국과의 강력한 전략적 제휴관계 구축을 강조
o 중요한 이익 (important interests)
- 국가의 존립이나 번영과 무관하지 않지만 핵심적이지는 않는

- 국민의 생활보장에 부정적 결과를 초래하는 것
- 대규모 인권위반 사례 발생방지 , 전략적으로 중요한
지역에서의 자유 민주주의 고양 , 국제테러조직으로부터 보호

- UN 과 지역적 혹은 기능적 차원의 협력장치 유지
o 부차적 이익 (secondary interests)
- 본질적으로 바람직 , 국민의 생활보장에는 중요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
- 무역역조의 시정과 범 세계주의 민주주의 확산
4. 국가안보와 국가이익

가 . 안보와 이익 관계
o 엄격히 말하면 국가안보는 국가이익의 협의의 개념
o 외부세력의 위협으로부터 국가를 보호하는 것이 중요한 국가이익으로 , 국가안보는
결정적 국가이익
o 다른 측면에서 보면 국가안보는 자국의 국가이익을 수호하는 가장 중요한 여건
o 국가이익은 국가안보 이외에도 자연보호 등의 요소가 있기 때문에 국가이익이
국가안보 보다는 광의의 개념
- 태안반도 유조선 전복으로 기름이 누출되어 태안반도 일대가 기름으로 오염되었을 때
국민들이 참여하여 제거한 것을 국가안보를 위한 것이 아니고 자연보호를 통한
국가이익활동이었다고 볼 수 있음
• 일부학자들은 국가안보와 국가이익은 대부분의 경우 동전의 양면으로 평가하기도 함

나 . 국가안보와 국익의 공통 영역
o 국토방위 , 국민보호
o 주변국들 간의 적대적 관계형성 예방
o 우주 , 항공 , 영해상 자유통행권 확보
o 통행 , 통신 , 국가교류권을 확보
o 국제시장 , 에너지공급 등 제요소에 대한 접근권확보 등
* 실제로 국가이익과 국가안보를 구분하기에는 애매한 부분이 많아 현실적인 구분은
곤란
5. 국력 (National Power)

가 . 국력 개념
o 국력 (NI) 은 국가의 힘 또는 국가능력의 총합
- 정신력 및 물리력을 포함한 , 또는 유형 및 무형의
능력을 포함한 국가의 총체적인 능력을 의미
o 국력의 요소
- 인구 , 영토 , 자원 , 군사력 , 경제력 , 국민의식수준을
포함한 정신력
- 국민의 교육수준 , 건강상태 , 단결력 등 국민의
질적수준을 포함한 인적요소와 국가지도자의 지도력 등
o 국력의 속성
- 가변성 : 양적으로나 질적으로나 끊임없이 변화하고
유동
- 정신적 가치 : 지도자와 국민들이 단결 , 노력하여
증대가능
나 . 국력방정식 : Ray S. Cline
o 방정식 P=(C+E+M)*(S+W), P= 국력 , C= 임계량 , E= 경제력 , M= 군사력 ,
S= 정치지도자의 전략 , W 국민의 의지
- 임계량은 국토면적 , 인구규모 같은 고정변수로서의 국가의 자연적 조건의미
o 정치지도자의 전략과 국민의지
- 상기방정식에서 S 와 W 가 가장중요
- S, W 가 0 이거나 1 보다 낮으면 전체국력이 0 에 수렴가능

다 . 국가안보 전략
o 국가전략
- 국가목표를 실현하기 위한 구체적 정책 및 수단을 연결하는 국가 활동의
추진계획
- 국가전략은 국가가 처한 대내외 환경 속에서 당면하고 있는 도전과 기회를
활용하여 체계적으로 대응하는 국가 활동의 추진계획
o 국가안보전략
- 국가전략 중에서 외교 및 국방문제에 대해 특별히 국가안보전략이라고 함
o 1997 년 미국 국가안본전략 목표
- 효과적인 외교활동과 싸워서 승리할 수 있는 군사력으로 안보 강화
- 국가경제번영
- 해외에서의 민주주의 증진
6. 탈냉전시대의 정보환경

가 . 안보환경변화
o 국가안보능력의 상대적 약화
o 국가안보의 관심영역확대
o 국가안보의 대상국 확대

나 . 국가정보환경 변화
o 국가정보수집목표 확대
o 국가정보활동 영역확대
o 적과 우군의 구분 모호
다 . 민주화의 확산
o 국내정치 민주화 확산
- 알권리 확대
- 개인보호주의 확대
o 대중매체 발전
o 정보기구에 대한 통제 강화
- 휴즈 - 라이언 수정안 (1974.12.30 포드대통령 비준 )
- 대통령이 국가안보에 중요하다고 결정하지 않는 한
CIAA 는 정보수집이외의 곳에 자금지출 불가
- 대통령은 그런 결정을 내린후 적절한 시기에 의회의
해당위원회에 제출
- 정보기관의 비밀공작을 의회에 보고하게 되었다는
것이 핵심내용임
7. 국가정보의 향후 대응

가 . 안보개념 변화
o 탈냉전으로 안보개념이 다소 변했다고
해도 핵심개념은 군사안보라고 볼 수 있음
o 정보활동의 성공은 전쟁을 통한 승리보다
더 가치
- 현대의 경제전쟁 , 무역전쟁 상황에서 응용
- 군축회담 , 외교협상 , 무역협상등에서
정보전을 통해 좋은 결과 거양
나 . 정보기관의 대응
o 안보환경의 변화로 정보기관은 국가정보가 생명으로
하는 비밀성을 위협받고 있음
o 서방정보기관들은 민주화에 맞추어 조직 , 기능 및
활동의 개혁을 시도
o 우리나라 정보기관의 대응
- 북한과 외국정보기관의 활동에 대응해야 하는 2 중
부담
- 북한에 대해서는 군사위협 , 외국정보기관에 대해서는
경제 , 첨단산업 방첩활동이 주를 이루고 있는 실정
- 국내 민주화로 인한 예산 , 인원의 감축 , 정보활동의
공개성 요구 등으로 정보활동이 위축
- PNIO 조정 , 수집수단의 과학화 , 분석방법의 체계화 ,
활동의 공개성 , 효율적인 인력과 조직 관리로
대응하는 것이 중요
참고 : 국가안보 관련사건

1) 코레마츠 사건 (Korematsu)
2) 함디 (Hamdi) 사건
o 전쟁포로 (prisoner of war) 와
불법전투원 (enemy combatant)
3) 오사마 빈 라덴의 운전사 함단 (Salim
Ahmed Hamdan) 사건
o 인신보호영장 (habeas corpus) 청원
제 7 편 정보의 실패와 통제
제 1 장 정보의 실패 (Intelligence
Failure)
1. 정보실패

가 . 정보실패의 개념

o 정보실패
- 기습에 제대로 대응하지 못한 상태를 의미
- 국가안보나 국익의 위협을 제대로 예측하지 못하여 치명적인 손상을 가져오도록 한
정보과정의 제반 잘못
- 월터 라쿠어는 정보실패를 결과적 현상으로 분류하여 군사적 , 정치적 , 경제 . 과학기술적
기습 (surprise) 이 초래된 경우로 정의
- 슐스키는 정보 실패란 기본적으로 상황에 대한 오판이라고 정의 , 그 때문에 정부 또는
군대가 그 자신의 이익에 반하거나 부적절한 행동을 취하게 되는 것이라고 정의
o 정보실패 - 정책실패 (policy failure). 정부실패 (government failure)
- 정책실패 (policy failure) : 잘못된 정보에 기초하여 정책실패 , 또는 사용자가 정책왜곡
때문에 발생
- 국민입장에서 보면 정보 실패나 정책실패 모두 정부실패로 귀결
- 넓은 의미에서 정보실패는 정보기관실책 , 정책결정자의 오판 및 의도적 왜곡 , 정보의
정치화 까지 포함
o 정보실패의 종류
- 경고실패 (warning failure): 기습공격을 제때에 알리지 못해서 발생 (1941 년 진주만 기습 ,
1950 년 북한의 남침 , 1951 년 중국의 한국전 개입 , 1973 년 욤키푸르 전쟁 , 1990 년
이라크의 쿠웨이트 침공 )
- 정보오판 (intelligence misjudgement): 적의 능력을 과대 또는 과소 평가 , 또는 동향을 잘못
파악 ( 1978-79 이란 Shah 정권몰락 , 1973-74 OPEC 의 석유무기화 , 1991 년
소련체제붕괴 )
나 . 정보실패의 요인

1) 첩보수집수단의 문제
o 레바이테 (Levite) 및 크노르 (Knorr) 주장
- 정보실패의 주요원인은 정보수집에 있다고 주장
- 크노르는 현대와 같은 해양감시위성을 가지고 있었다면
일본의 진주만 기습은 미연에 방지 할 수 있었다고 주장
- 마이클 허만은 영국정보기관이 아르헨티나의 포크랜드
침공을 알지 못 했던 것은 첩보수집 불충분 이라고 주장

2) 분석상의 요인
o 일반적으로는 정보실패의 요인으로 분석을 지목
o 분석실패는 인간의 인지적 오류와 능력부족이 원인
o 잦은 경고발령에 따라 결정적 순간의 경고를 불신 (cry wolf
effect)
3) 인지적 오류 (cognitive failure)
o 정설이론 (received opinion)
o 경상이미지 , 거울이미지 (mirror image)
- 상대방도 자신과 동일한 가치를 가지고 있다고 착각
- 과학기술분야의 “ 아직 여기까지 증후군 (not invented here syndrome)” 이 대표적
o 집단사고 (group-thinking)
- 집단내 개인들의 의견 무시
- 의사결정시 “ 우리의식” 에 따른 분석실패
- 1961 년 피그만 사건이 대표적

4) 능력부족 (capability failure)


o 분석관의 능력부족 - 정보실패의 주요요인

5) 정보외적요인에 의한 정보실패
o 정보의 정치화
o 관료주의적 경직성
- 최초개념으로 정립시킨 것을 고수
- 자신의 생각과 모순되는 정보를 회피
- 자신의 기대를 반영하려는 의지
- 고정관념
o 정보사용자와 생산자간의 관계소원
o 정보배포상의 문제
2. 정보실패의 사례

가 ) 역사적 사례
o 1941 년 제 2 차 대전시 일본의 진주만 사건
o 1941 년 독일의 러시아 침공과 일본의 필리핀 기습
o 1950 년 북한의 남침과 1951 년 중공군의 한국전개입
o 1962 년 중국의 인도 침공
o 1968 년 8 월 체코슬로바키아 사태
o 1973 년 욤키푸르 전쟁 (Yom Kippur War)
o 1973 년 중국의 베트남 전쟁
o 1982 년 아르헨티나의 영국령 포크랜드 침공
o 1990 년 이라크의 쿠웨이트 침공
o 1974 년 인도 , 1998 년 파키스탄의 핵무기 개발성공
o 2001.9.11 알카에다의 세계무역센터 건물 공격
o 2006.10 북한의 핵 실험
나 ) 정보실패의 의미

o 실패와 성공의 기준은 양면성 또는


상대성의 속성
o 아국의 정보실패은 상대국의 정보성공을
의미
o Betts 는 유리병에 물이 반쯤 있을 때
시각에 따라서 물이 반이나 찼다고 볼 수도
있고 반밖에 없다고 볼 수도 있다고 언급
o 정보성공과 실패는 시각의 차이 , 혼합된
의미를 내포
3. 정보실패의 극복방안

o 분석관의 자질향상
o 분석관과 사용자간 새로운 관계정립
- Roy Godson : 기회분석에 입각 분석
- Richard Betts : 분석관에게 최대한
자율보장을 주장
o 분석분야업무에 비전문가 활용 ,
정책결정자와 전문가 간의 빈번접촉
o 정보기관이나 부서의 조직개편 단행
o 경고 업무 만을 전담하는 기구 설치 등
제 2 장 정보의 통제
1. 통제의 개념
가 . 정보의 통제
o 정보기구의 활동이 조직목표에서 일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
o 통제수단과 자원을 동원하여 정보기구를 평가 , 시정 , 조치해 나가는
활동전반

나 . 통제의 필요성 및 효용
o 국가목적을 달성하는 방향으로 정보업무를 제대로 수행
o 정보기구에 대한 불필요한 정치적 부담제거
o 행정의 책임성 도모
o 예산남용방지
• 통제는 헌법의 최고결정권자인 국민의 당연한 요구로 인식

다 . 통제의 전제와 수단
o 미션 크립 (mission creep)- 임무이탈
o 업무통제목표와 기준의 확립
- 미리정해진 국가목표와 기준의 존재를 전재
o 업무통제의 수단 (means) 과 자원 (resources) 의 확보
- 통제주체가 통제에 필요한 수단과 자원을 가져야 함
o 정보업무에 대한 이해와 전문성
2. 통제의 배경

가 . 냉전적 질서의 위반
o 냉전시기 - 군사 및 외교 분야에 중점
o 탈냉전시기 - 이념문제 벗어나 경제등 비군사문제 다양

나 . 자유권적 기본권의 신장
o 알 권리 (right to know)
- 알권리 관련 규정
- 알권리의 한계성
o 사생활의 비밀과 자유
- 사생활과 비밀과 자유
- 1990 년 보안사 윤석양 일병 , 민간인 사찰 폭로
o 탈정치 . 탈권력 요구의 증대
- 정보통제에 대한 외부 통제가 설득력을 얻고 있는 배경
- 정보기구에 대한 통제필요성 제기 - 워터게이트 사건
- 정보기구에 대한 비판여론 제기
다 . 정보통제의 가치와 실익
o 통제의 불가피성
o 통제에 대한 부정적 시각
o 면책방법 강구

라 . 통제체계의 형성
o 정부조직내 정보기구에 대한 통제체제
o 정보기구 내부 통제
o 의회차원의 통제 체제
3. 정보통제의 수단

가 . 행정부 통제
o 최고통치자에 의한 통제
- 인사권
- 조직개편권
- 행정명령권 ( 대통령 지시 presidential directive, 행정명령 executive
order)

나 . 의회의 통제
o 상임위원회 설치
o 법률적 통제
o 예결산 심의 등 여타 수단

다 . 언론 및 기타 수단
o 언론의 감시
o NGO 등 시민단체 감사

라 . 사법부 감시
o 사후적 감시
o 사건에 대한 판결을 통하여 규범 통제적 영향력을 행사
4. 통제에 대한 입법

가 . 미국
o 1974 년 휴즈 - 라이언 개정법
o 정보감독법 (intelligence oversight act of
1980)
o 정보자유법 (freedom of information act:
FOIA)
o 프라이버시법 (privacy act :PA)
o 1999 년 개정 정보 권한법
o 1947 년 국가 안보법 (National Security Act
of 1947)
나 . 미국 애국법 (USA PATRIOT ACT)
o 9.11 테러 공격에 대한 FBI 의 효율적인 수사를
지원하기 위해 일반형사사건 수사절차를 대폭
배제한 4 년 한시법
o Uniting and Strengthening America by Providing
Appropriate Tools Required to Intercept and
Obstruct Terrorism Act of 2001
o 애국법에 대한 비판
- 적법절차의 과도한 제한
- 침입과 정탐 (Sneak and Peek searches) 조항 비판
- 사서조항 (library provision) 에 대한 비판
- 법존재 자체에 대한 비판
o 애국법의 연장
- 2006. 3.7 범죄정보공유조항 등 10 개 조항을
영구조항으로 전환 , 다른 조항은 4 년간 재연장
다 . 2004 년 정보개혁 및 테러방지법

라 . 2008 년 해외정보 감독 법 (FISA Amendments of 2008)


o 해외정보감독법의 의미
o 해외정보감독 특별법원
o 영장처리기준
o 해외정보감독법의 정보활동 규율내용
- 전자감시
- 펜 레지스터 (pen registers) 사용
- 인터넷 이메일 접속
- 영업기록의 수집
- 물리적 수색

마 . 영국의 관련법
o 보안서비스 법 (Security Service Act 1989)
o 정보서비스 법 (Intelligence Service Act 1994)
o 조사권한 규제법 (Regulation of Investigatory Power Act 2000)
제 8 편 국가정보의 발전 방향
1. 정보환경의 변화
o 정보화 혁명 - 인간의 삶을 획기적으로 변화
o 정보통신수단의 혁명적 발전
o 정보화와 세계화 - 안보환경 획기적 변화

2. 국가정보체계의 발전방향
o 국가정보에 대한 올바른 인식
o 올바른 국가정보활동방향에 대한 인식
o 국가정보체계의 재편과 혁신적 운용
- 다만 소모성 논란 금지
o 정보기구에 대한 감독과 민주적 통제
- 상설 정보위 개최
- 청문회 및 보고서 제출 제도화
- 정보기구의 독립적 감찰제도
3. 한국정보체계의 발전방향
o 현재의 정보환경
- 안보환경의 변화
- 초국가적 안보위협 또는 비군사적
안보위협에 대한 대처능력 미흡
- 제한된 인원과 예산 , 정보활동에 제한
- 알권리에 대해 선택적으로 공개가 어려운
실정
o 국가정보활동 근거규범의 체계적 정리 및
미비점 보완
o 국가정보시스템의 재 구축
- 효율성과 민주화 제고에 초점 끝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