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2

경제학이란 무엇인가 3 주차 강의요약 과제

미디어학과 201621043 김승주

1. 4 가지 동기모델 욕망 (네가지 근원적인 필요)

(지혜) 누가 지혜로운가?

(권력) 누가 강한가?

(재산) 누가 부자인가?

(명성) 누가 존경을 받을 만한 사람인가?

2. 인간개발 지수

(1) 건강- 기대수명지수

(2) 지식- 교육 지수

(3) 행복- 1 인당 GDP 지수

3. 네가지 동기의 균형 필요

4. 행동결정의 기준: 쾌락을 추구하고 고통을 회피한다.

5. 뇌를 세가지 부분으로 해부 도파민과 가장 관련되어 있는 부분 측좌핵

6. 부와 존경,권력 지혜를 추구하는 건 본능적인 선택

7. 성취 지향형 vs 안전 지향형

안전 지향형: 안전에 접근할 때 쾌락 (처벌을 가할 때 적극적 참여)

성취 지향형: 보상이 주어질 때 적극적 행동

8. 광고

예방동기 Vs 향상동기

성취지향형 향상동기일 때 더 열심히 참여

안전지향형 예방동기일 때 더 열심히 참여

9. 부를 어떻게 다루는가 (화식열전)

자연스러움을 다루는 것이 부의 근본이다.

부자가 된 사람은 부를 기이하게 다루었다.

10. 다스림의 근본 (화식열전)

(1) 자연스러움이 다스림의 근본


(2) 이익을 이용하여 이끄는 것

(3) 부잣집 아들은 저잣거리에서 죽지 않는다.

(4) 창고가 가득차야 예절을 안다

예절은 재산이 있는 곳에서 존재하며 재산에 따라 사라지기도 한다.

(5) 사람들은 저마다의 능력에 따라 원하는 것을 얻는다.

각자가 원하는 생업에 뛰어들어 일할 수 있는 분위기 만들어 져야 한다.

(6) 물건과 돈은 흐르는 물처럼 유통시켜야 한다.

가뭄이 있는 해에 배를 준비해두고 수해가 있는 해에는 미리 수레를 준비해


두어야 한다.

(7) 값이 비싸면 팔고 값이 싸면 사야합니다, (기존에 동양사상에도 서양의 자본에


관한 생각과 유사한 장사의 이치에 대해 다루었다는 사례)

거래할 상대를 고른 뒤에 자연의 시세에 맡긴다.

(8) 세력을 얻어 더욱 세상에 드러낸다.

공자의 이름이 알려지게 된 것도 자공이 공자의 뒤를 따라 도왔기 때문이다.

(9) 중국 상인 백규: 시세 변동에 따라 새처럼 사고 팔아라

풍년과 흉년이 반복되는 이치를 이용하여 사고 팔았다.

때를 보고 나아가는 것은 새처럼 빨랐다.

(10) 물자와 지역 사람사이에는 관계가 있다.

초나라와 월나라에는 사람은 없지만 사람이 드물고 쌀밥에 생선을 먹는다.

지형상 먹을 것이 풍부하다.

You might also like